TRAJECTORY OF EWHA ACHITECTURE
T E A
EWHA WOMANS UNIVERSITY ARCHITECTURE PROJECT REVIEW 2014
TEA Trajectory of Ewha Architecture Project Review 2014
CONTENTS 학과장 인사말 Department Chair’s Statement 교수진 Faculty
7 9
STUDENT WORKS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Space, Form and Structure / Foundation Studio
12 74 92 108 124 144 168 176 190
OTHER WORKS
198
TIMELINE
202
후기 Epilogue: Pick-EA-up
212
Department Chair's Statement
안녕하세요? 2014년은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전공이 설립 20주년을 맞은 매우 뜻깊은 해입 니다. 지난 20년 동안 학생 및 교수진 모두가 불철주야 노력해온 덕분에 본 전공 은 국내 유수의 건축학전공 중 하나로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었습니다. 장래 20년은 건축학전공이 그간 축적해온 역량을 발휘하며 자신만의 독자적인 개성 과 범접할 수 없는 위상을 형성해 나아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전공의 학생작품집 ‘TEA(Trajectory of Ewha Architecture)’을 2013년에 이어 세번째로 발간합니다. TEA는 지난 1년간 학부 학생들 이 창조한 우수 과제와 졸업작품을 싣습니다. 지난 한해 동안 건축학전공이 움 직여온 주요 궤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기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작품집 을 통해 건축학전공의 성과를 대내외에 알리며 따끔한 지적과 아낌없는 격려를 기다립니다. 그리고 저희 건축학전공의 향후 활동에도 많은 관심과 애정을 기울 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특히 열정과 헌신으로 학과 동료들의 작업을 멋지게 정리해 준 건축학전공 편 집부 학생들과 이를 성심성의껏 지도해 주신 김현대 교수께 이자리를 빌어 감 사드립니다. 2014. 12.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주임 이동훈
6 7
Faculty 교수진
건축학전공 겸임교수
건축공학전공 전임교수
EA Visiting Professors
EA Engineering Department Professors
김정주 JeongJoo Kim
신영수 YeongSoo Shin
제공건축 소장 Ecole d'architecture de Paris La Villette, Diploma 프랑스건축사 건축설계
정교수 Professor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건축구조공학
김태균 TaeGune Kim
송승영 SeungYeong Song
TKA 소장 Yale University, M.Arch 한국건축사(KIRA), 미국건축사(AIA) 건축설계
정교수 Professor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건축환경 및 설비, 친환경건축
최종문 JongMoon Choi
이준성 JuneSeong Yi
이담건축사사무소 소장 Stuttgart University, Diploma 독일건축사 건축설계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박사 건설경영관리(CM), 건축시공
최교식 KyoSic Choi
임재한 JaeHan Lim
오우재건축사사무소 소장 서울대학교 석사 한국건축사(KIRA) 건축설계
부교수 Assistant Professor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건축환경 및 설비
권경은 KyoungEun Kwon
김희선 HeeSun Kim
Office Kyuhng 소장 Me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Arch 미국건축사(AIA) 건축설계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Georgia Institute Tech. 박사 건축구조공학
전숙희 SookHee Chun
손정욱 JeongWook Son
와이즈건축 소장 Princeton University, M.Arch 미국건축사(AIA) 건축설계
조교수 Assistnat rofessor University of Washington 박사 건설경영관리(CM), 건축시공
이소진 SoJin Lee Ateliers Lion Seoul 소장 Ecole d'architecture de Paris Tolbiac 프랑스건축사 건축설계
장기욱 Zhang KiUck 보이드아키텍트 공동대표 서울대학교 석사 한국건축사(KIRA) 건축설계
국현아 HyunAh Kook K.ARCH 소장 Yale University, M.Arch 한국건축사(KIRA), 미국건축사(AIA), LEED AP 건축설계
양수인 SooIn Yang 삶것Lifethings 소장 Columbia University, M.Arch 한국건축사(KIRA) 건축설계
8 9
건축학전공 전임교수 EA Full-time Faculty
임석재 SokChae Im 정교수 Professor Univ. of Pennsylvania 박사 건축역사 및 의장
윤재신 ChaeShin Yoon 정교수 Professor M.I.T 박사 건축설계이론과 방법론 및 한국전통건축
강미선 MiSeon Kang 정교수 Professor 서울대학교 박사 건축계획 및 건축설계
이윤희 YoonHie Lee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Yale University, M.Arch 건축설계
류창수 ChangSu Ryu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AA School of Architecture, M.Arch 영국건축사(ARB, RIBA) 건축설계 및 디지털건축설계
이동훈 TongHoon Lee 부교수 Assistant Professor S.M.Arch.S 한국건축사(KIRA), 미국건축사(AIA), LEED AP 건축설계
유다은 DaUn Yoo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Havard University, M.Arch. MAUD 미국건축사(AIA), LEED AP 건축설계 및 도시설계
김현대 HyunDai Kim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Princeton University, M.Arch 미국건축사(AIA), LEED AP 건축설계
국형걸 Hyong-gul Kook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Columbia University, M.Arch 미국건축사(AIA) 건축설계 및 디지털건축설계
Klaas Kresse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TU Delft, M.Arch 네덜란드건축사(NAI) 건축설계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ARCHITECTURAL DESIGN THESIS 광범위한 개념의 도시 및 건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지계획, 도시적 맥 락 속의 건축물, 새로운 건축적 유형 및 원형(Typology&Prototype) 등 다양 한 디자인방법론을 탐구하는 졸업설계 스튜디오이다. 4학년 2학기의 ‘건축 졸업주제연구’ 강의에서 발전된 건축적 개념, 프로그램 및 대지분석을 바 탕으로 사회문화환경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건축디자인으로 완성한다. 건축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 방법론을 제시하고, 단일 건축물 혹은 단지계획의 통합설계를 완성하여 건축 가로서 종합설계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체 디자인 프로세스에 서의 성과물 그리고 최종 결과물들을 종합하여 졸업 전시회에 출품 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STUDIO TUTORS: Yoonhie Lee Taegune Kim Kyungeun Kwon
A Sensitive Matter architecture and phenomenology 졸업작품전시회 최우수상
김현지 Hyunji Kim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위
치
Siteless
용
도
Pavilion
대 지 면 적
.
건 축 면 적
.
층
지하
수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이 프로젝트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일정한 삶의 패턴도 달라질 수 있다.”는 하나의 명제에서 시작한다. 계절은 많 은 것을 변하게 한다. 하나의 계절이 가고 또 다른 계절이 오는 동안 온도, 강수량, 습도, 바람의 방향 등 수많은 기후 조 건은 미세하게, 그러나 분명하게 변화한다. 우리가 따르는 이러한 일정의 규칙성은 개개인이 속한 공동체에 따라서 결 정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렇게 정형화된 삶 속에서 그 자신보다 사회적 굴레의 비중이 커져있는 밸런스에 주목했다.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의 관계 속에서 변화에 반응하는 개체가 지닐 수 있는 융통성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 생각을 건축의 영역에 적용하기 위해‘빛’이라는 요소에 초점을 맞췄다. 건축 분야에서 빛이란 통상 주관적이고 감 성적이며, 건축가의 역량에 따라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나는 요소로 인식된다. 때문에 빛은 흔히 이용되지만, 동시에 다 루기 어려운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 과정의 일환으로 진행한 실험들을 통해서 빛이라는 요소가 변하는 방 식이나 정도에는 규칙적인 질서가 있고 이는 상당부분 예측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빛도 벽이나 기둥과 같이 객 관적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빛의 세밀한 질서들을 파악하고, 건축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이 프로 젝트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It is a simple fact that the alteration of seasons cause changes in a variety of objects and conditions. For instance, temperature, precipitation, humidity, and winddirection changes gradually but distinctively. Unlike others, humans have social positions where they perform specific roles that are imposed by their communities. Moreover, they focus more on their social roles than their own lives. I mean to discuss the flexibility of those that respond to changes. To apply this idea to architecture, I focused on a commonly considered factor: light. It is a very subjective factor through which an architect’s ability can shine or ruin the resulting piece. Hence, even though light is very often incorporated into architecture, it is still hard to get a grasp of it. After a variety of experiments, however, I came to a very different understanding: rather than being unpredictable, light changes in a very orderly fashion. This claim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ways to measure light. Hence, The final goal of this project was set as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light in order to utilize it effectively.
Change of Sunlight (unit space 3.3 ㎡) for 24 hours (x axis) 12 month (y axis)
EAST
WEST
SOUTH
NORTH
12 13
2013 , 10 , 23 8:00 AM ~ 6:00 PM 하루동안 변하는 빛의 변화를 찍은 사진 사진. 김현지
NEW YORK 73.21 - 26.21
40°42’51”N / 74°0’23”W
계절이 변함에 따라 함께 변화하는 요소 중 ‘빛’을 선택. 미세한 빛의 변화에 사람들은 무뎌진 듯 하다. 이 프로젝트는 궁극적으로 변하는 것과 그 속에서 변하지 않는 것의 관계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한다.
SOURCE II
SOURCE I
INQUIRY
MEXICOCITY 94.26 - 47.25 계절의 변화에 따라 규칙적인 삶의 패턴도 바뀌어야한다는 하나의 제 안. 계절의 변화는 시간의 변화를 뜻하며 삶의 패턴 변화는 융통성의 유무, 나아가 공간의 반응성를 의미 하기도 한다.
그 미세한 변화를 인식하는 것이 시작 이다.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요소가 대조를 통해 인식되는 공간을 의도하 였다. 구축적이며 동시에 기능적인 요 소들로 이를 구현해내고자 한다.
19°29′52″N / 99°7′37″W layer 1 layer 2
layer 1
LIGHTING AREA
layer 1 layer 2 layer 3
SEOUL 76.00 - 29.00
LIGHTING AREA
LIGHTING AREA
Main Idea
37°33’59”N / 126°58’40”W
summer 6/22 divided by A
LONDON 61.82 - 14.80
winter 12/22 서울 기준 해의 연중 고도 차 ( 30˚~78˚)
태양 입사각과 구의 두께를 고려한 단면 배치
3차원으로 발전, 단위 각 A ( 5˚) 설정
51°30’39”N / 0°7’11”W
구의 중심과 연결
레이어가 하나일 때 바닥에 맺히는 빛의 면적
레이어가 두 개일 때 바닥에 맺히는 빛의 면적
레이어가 증가할 수록 빛은 구의 중심으로 수렴함
섬세하게 반응하는 파빌리온을 위해 증가하는 홀
홀의 갯수는 각도를 중심으로 제도하였으며, 두 홀 사이의 시간 차는 약 4~5분 정도이다.
invert solid & void
한정된 공간 안에서 레이어가 무한히 증가하며 결과적으로 하나가 되어버린 형태.
나아가 홀 사이를 비워내었다. 속이 빈 투명 아크 릴 파이프로 유지되며, 결과적으로 그 안에 갇힌 빛 을 관측할 수 있다.
구sphere 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파빌리온에 사용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4 15
이 프로젝트는 시간의 변화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진다. 빛의 변화란 결국 다른 빛을 몰고 오는 계절의 변화이고, 계절의 변 화는 다시 시간의 변화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시공간에 의해, 시공간 안에서 존재하는 우 리에게 시간의 변화는 모든 것의 변화를 의 미할 것이다. 우리는 이렇게 모든 것이 변화하는 와중에 변 하지 않는 시스템, 생활의 사이클을 고집하며 살아간다. 변하지 않는 것은 우리 자신일 수 도 있으며, 나아가 건축에서의 공간일 수 있 다. 변화의 정도는 개인의 선택권 혹은 지혜 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우선 그 모 든 것의 출발점을 끊는 것은 우리가 변화 그 자체와 밀착되어 살고 있다는‘인식’이다. 이 공간 속에서 빛의 변화를, 그러니까 모든 것의 변화를 온몸으로 감각하기를 바란다.
SERIAL EXPERIENCE 1 폴대를 통해 들어온 빛은 3~4 분의 주기로 빛이 유입하는 위치만 달라질 뿐, 변하지 않는 효과를 볼 수 있다.
SERIAL EXPERIENCE 2 그러나 반대편에는 섬세하게 변화에 반응하는 PAVILION의 이면을 경험할 수 있다.
Light Sequence 지하화 된 공간에 일련의 경험을 제공한다. 이 연속적인 경험은 빛의 조도 차가 점진적으로 일어남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둥 이나 벽과 같은 건축적인 요소보다는 하나의 ‘공간 SPACE’ 그 자체만이 존재하여 사람들이 빛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bright
dark
bright
bright
Cave Entrance
dark
bright
dark Diffused light from entrance
bright
dark
dark
bright
dark
Constant light Adaptive light
Light from far Bright outdoor Water (circulation)
1
2
3
4
지면과 닿는 부분과 곡선, 직선이 만나는 부분의 상세 도면으로 땅에 닿는 부분에는 스페이서를 설치한 후, 핀으로 고정한다. 윗부분의 경우와는 다르게 아랫부분 의 접합부는 힘을 받는 방향이 역전되어 별도의 접합부 를 필요로 한다. 또한 콘크리트와 아크릴 부재의 연결 부의 경우 아크릴을 잡아주는 상세 부재를 계획하였다. _ Construction machanism of the Pavilion
th
A YEAR CYCLE
95 ˚ 100 ˚
1700여개의 아크릴 폴대는 해가 지 지 않는 이상 빛이 꺼지는 일이 없게 되어 구의 중심부에는 계속해서 빛 이 모이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변하 지 않는 절대적인 빛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의 단면에 해당하는 면에 는 해의 변화에 섬세하게 반응하며 변 하는 빛이 존재하게 된다. 이렇듯 대 조되는 빛의 효과는 파빌리온이 궁극 적으로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와 부 합하며 파빌리온에 접근하는 사람들 로 하여금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의 관게에 대한 인식의 공간으로 거 듭나게 된다.
105 ˚
90 ˚
85 ˚
80 ˚
75 ˚
JU
NE
22
세로 방향의 구는 일 년 단위의 변화 를 담는다. 계절이 변하는 동안에도 구의 중심부에는 변하지 않는 빛이 존 재하고 이러한 변화는 반복되게 된다.
70 ˚ 65 ˚
110 ˚ 115 ˚
60 ˚ 55 ˚
120 ˚ 125 ˚ 130 ˚
50 ˚
135 ˚ 140 ˚
45 ˚
145 ˚ 150 ˚
D
40 ˚
165 ˚ 170 ˚
_Vertical section of the sphere contains annual change
175 ˚ 35 ˚
180 ˚
30 ˚
0
06:0
0 AM
AY
1
-1
50
D
Y
DA
12:0
0 PM
0
12
-1
60
AY
0
25
-3
25 ˚
D
11:0
20 ˚
0 PM
15 ˚
10 ˚
5˚
ONE DAY CYCLE 가로 방향의 구는 하루 단위의 변화를 담는다. 해가 뜨고 지는 동안에도 구의 중심부에는 변하지 않는 빛이 존재하고 이러한 변화는 나아가 일 년 단위의 변화를 담도록 세로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공간이 지하로 내려가면서 외부의 빛은 완벽히 차단되고, 파빌리온 하부에 위치한 수(水)공간에서 피어나는 아지랑이와 안개는 은은하게 빛나게 된다. _Horizontal section of the sphere contains daily change
0˚
21
AL ON AS GE E S AN CH
155 ˚ 160 ˚
ER
MB
E EC
th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01 좌: 레이어 1개, 우 레이어 2개
02 히루의 변화 (빛의 유입각과 산란의 관계)
02 파빌리온 모델링을 위한 가로,세로 부재
04 파빌리온 프레임의 각도
05 가로, 세로, 사선 부재의 스터디 모형
06 부재 높이에 따른 입사각 스터디
07 석고 반 구와 내부의 아크릴 폴대
08 사선 부재 스터디
09 두 개의 레이어로 이루어진 mock up
10 구를 재현하기 위한 재료 스터디
11 아크릴 폴대를 잡아줄 두 개의 레이어
12 안쪽 벽에 의해 차단되는 빛
13 파빌리온 1차 가안
14 단위 구조체의 매달리는 구조
15 30-78˚의 구를 지지하는 공간
16 구조 및 내부 공간 스터디
17 오브제에서 벗어난 공간화
18 프레임의 높이와 바닥 높이 변화
19 지름 스터디. 한 바퀴 당 30분 소요
20 나무막대와 아크릴 구
21 48*36=1728개의 홀
22 천 칠백여개의 홀에 꽂힌 나무막대
23 천칠백여개의 홀을 뚫기 위한 격자 틀
24 두 개의 레이어에 필요한 격자 틀
16 17
Projection of Hidden City living archive + living plaza 졸업작품전시회 우수상
고주연 Juyeon Ko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오늘날 건물들은 도시와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소통하기 보다는 도시 속에 서 어떻게 자태를 뽐낼 것이냐만 고민한결과로 보여진다. 도시의 흐름을 완전히 막아버린 두가지 소스를 찾아 도시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건축 물로 구현함으로써 도시의 흔적과 기억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한다. 하나는 기록원 이야기다. 기록원은 도시의 이야기를 서술한다는 점에서 도시와 굉장히 밀접하지만, 서고의 공간적 특성 때문에 지하에 묻혀있 다. 도시의 이야기들을 품은 채 도시 속으로 자취를 감춰버린 아이러니함 을 지니고 있다. 두번째는 광장 이야기다. 광화문 광장은 우리나라의 이야 기를 담고 있지만‘고립된 섬’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기록과 같은 행 태를 지닌다.
Today, it seems that buildings try to show off rather than interact with other buildings and the city to which they belong. I found two elements that block city’s changes and I suggest ‘living plaza’ that interact with other buildings and the city. The first element is national archive. Archive is closely connected with a city but it should be underground with no from the sunlight. Second, another element is a plaza. Gwanghwamun plaza is a biggest plaza in Seoul that tells history but it is isolated. In other words, ironically, this two elements have city’s story but are not in the city.
A CUT
B CUT ROOF PLAZA
ENTRANCE PLAZA
SLOPE PLAZA
GROUND LEVEL
-6.5 LEVEL
-10.5 LEVEL -14.5 LEVEL -18.0 LEVEL
living plaza
parking
entrance hal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A
C
18 19
D
B
T
C CUT
D CUT
SUNKEN PLAZA
open archive reading room
open underground archive
ENTRANCE PLAZA
entrance hall
Exploded Section
Site Analysis
도시 속에 숨은 광화문 광장
BUKHAN Mt. INWANG Mt. GYEONGBOK PALACE
SITE 물리적 맥락으로 살펴본 세종로 공원의 단절
GWANAK Mt.
사이트 주변 닫힌 공공기관
Living Plaza
ARCHIVE가 도시와 반응하는 방법
광화문 광장 앞 녹지 축
광화문 광장의 시야 확장
Research on Living Plaza 1. SUNKEN PLAZA
museum
museum
plaza
office
library
library office
old archive program
Withney museum, new york
new archive program 2. SLOPE PLAZA
service area
service area
OFFICE
MUSEUM open archive
pompidou center, paris
3. ROOF PLAZA
LIVING PLAZA
closed archive
LIBRARY
caixa forum, madri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Concept
20 21
대지의 성격을 유지한 채 땅을 찢어 지하를 드러내다
LIVING PLAZA
OPEN ARCHIVE
HIDDEN ARCHIVE
지하에 숨어있는 아카이브
CUT
광화문 광장에서 오는 동서 축
LIVING PLAZA
축으로 대지 찢음
대지 들어올려 지하 드러냄
Living plaza roof+slope
Reaction of Surrounding
1 광화문 광장과의 반응 2 경복궁과의 반응 3 서쪽 오피스 존과의 반응 4 스쳐 지나가는 동선과의 반응
Open underground archive
이 프로젝트에는 크게 두개의 SLOPE PLAZA가 존재하는데 이 LIVING PLAZA의 SLOPE은 사람들에게 방향성과 새로운 뷰를 제공한다.
Living plaza underground hal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22 23
Plan B2F
Plan B1F
Aerial photograph of new national archive
바다의 깊이, 하늘의 끝 바닷가의 화장터와 납골당 디자인 2014 학생작품전 (주최 | 대한건축학회) 최우수상 졸업작품전시회 우수상
이예주 Yeju Lee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24 25
현대사회에서 장례문화라 하면 크게 화두에 오르는 것이 매장이냐 화장이냐 하는 시신 처리의 방식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교의 유입과 더불어 효가 중시되어 장례절차가 길 고 복잡해졌다. 하지만 이는 꼭 유교에 의한 것은 아니고 그 전의 관습 등에 의해 장례 는 길고 의미있게 보냈다. 그러나 경제적 이유나 시간적 이유 때문에 매장문화에서 화 장, 납골문화로 변하고있다. 급하게 변화된 이별의 방법은 많은 사람들에게 쉽게 받아 들여지지 않고 있다. 그 이유를 단순히 처리 방식이 달라서라기 보다는 망자를 보내는 데 필요한 시간적 여 유의 부족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중요한 것은 시신처리 방식이 아니라 망자를 보낼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다. 장례, 그 방식이 변화하였으나 여전히 변하지 않는 것은 기리 는 마음이다. 외국의 경우 장례식이 이벤트의 개념이 되지만 우리나라는 기리는 개념 이다. 남아있는 자를 위한 공간은 과거의 장례절차가 그러했듯이 이별의 시간은 충분 히 주어져야 한다. 그 시간은 장례식 이후 최측근 가족들만이 남아 치르는 화장에서 납 골에 이르는 절차에 바닷길 열림이라는 지리적 요소를 도입해 기다림의 하룻밤이라는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담았다.
The way the body handles the cremation burial are not funeral culture in modern society when large, rising to the topic la. If the country is introduced with emphasis on the Confucian hyoga and funeral process was long and complicated. But this funeral was spent significantly longer due to the previous practice is not necessarily due to Confucian. However, the changes in makeup, burial urns culture in cultural and economic reasons or because of time reasons. Is not easily accepted by many people rushed changed the way of farewell. I found the cause of lack of free time needed to send the deceased simply different, rather than processing the way the reason. The process to send the dead body is not enough how important time. It is a funeral, but the changes do not change the way the mind is still honoring. If this is a foreign concept for the event, but funerals are honoring a nation concept. As in the past, however, the space funeral for those who remain shall be given sufficient time for parting. Captured in a new program called the night of waiting to introduce an element of geographical seaway opened up the process since the urns in funeral cremation remains closest family only pay for the time.
위
치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무의도, 실미도
용
도 장례시설
화장터 투시도
Site
배
SITE
인
천
대
교
사이트는 우리나라 서쪽에 위치한 무의도와 실미도라는 섬이다. 이 섬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인천대교를 건너 영종도 라는 섬에서 다시 배를 타고 들어와야 한다. 섬에 도달하는 과정도 일상과는 다른 교통수단을 통해 느린 시간을 제공한 다. 이 섬은 이별이라는 프로그램에 감응을 일으키게 해줄 수 있는 자연요소를 가지고 있다. 우선 서쪽이라는 방향적 요 소로 인해 저녁에 노을지는 것이 이별의 감정을 이끌어준다. 빨갛게 노을지는 바다의 풍경에서 망자를 기릴 수 있다. 또 한 죽으면 요단강을 건넌다는 말처럼 무의도와 실미도는 바다를 사이에 두고있다. 이 마주 보고있는 무의도와 실미도 는, 같지만 다른곳에있는 이승과 저승을 상징한다. 바다는 차오르고 빠져나가며 두 섬을 단절시켰다 잇기를 반복한다.
Site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A. 상여공간
B. 화장터
CARRY
FOREST
화장터로 향하는 상여길은 우거진 숲에서 끝이 보이지 않는다. 걷다보면 앞을 보아 도 뒤를 돌아 보아도 숲길의 끝은 죽음의 거리를 일러주 듯 보이지 않는다.
BYE
C. 전망대 CREMATE
길의 끝 상여는 갈대밭을 가 로질러 태초의 땅속으로 들 어간다. 상여는 이내 유족들 의 손을 떠난다. 잠시뒤, 망 자의 긴 삶의 마지막 순간 은 짧고 강렬하게 타오른다.
OBSERVE
D. 유족숙박실 OCEAN
온기가 식고 납골함이 나오 면 이를 끌어안고 바다소리 를 향해 걸어나간다. 전망대 그 끝에 올라서면 바다 한가 운데 망자와 나 둘만이 있고 거대한 바다소리에 모든 울 음을 토해낸다.
WAIT
E. 바닷길 열림 ECHO
바다가 허락하는 5시간을 기다리기 위해 납골함을 들 고 유족숙박실에 간다. 유족 들은 고인과의 마지막 밤을 지새운다. 파도쳤던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힌다.
F. 납골당 OCEAN ROAD
CONNECT
TOMB
동이 트면 하루 1번 5시간 동안 섬으로 가는 길이 열 린다. 바닷길을 건너기 위 해 해안길을 따라 걷다보면 두 섬을 나누었던 길이 수면 위로 드러난다. 망자의 섬에 도달한다.
Step 1 AXIS
A. 시퀀스
바다
Step 2 PATH +
B. 연결
화장터, 납골당, 바닷길 세가지 영역의 축은 바다 를 중심으로 모이게 된다. 화장터와 납골당의 축 은 평행하나 어긋나있어 서로를 향하지만 영원히 만날수 없음을 의미한다. 다리 건너기
뒤돌아보기 돌아가기
Step 3 SLOPE
C. 레벨
경사지 분석을 통해 조수간만의 변화가 가장 적은 곳을 찾는다. 가장 경사가 낮은 곳이 각각 화장터 와 납골당 부지가 된다.
바다가 가로막지 않는다면 4걸음이면 건너갈 거리를 오랜시간 기다렸다. 건너가야 할 곳이지만 너무나 건너기 싫은곳 망자의 섬으로 가는길의 문이 열렸다.
+ + +
D. 장소
Step 4 NODE 바다를 한 가운데 두고 각각의 프로그램을 담는 노드가 그 주변으로 위치하게 된다.
다리를 건너다 이승의 삶을 다시 한 번 돌아보고 마지막 돌다리에서는 긴 시간 가로막았던 바다를 가두어두고
Step 5 TIDE +
E. 바다
노드를 넘어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해 경계가 변하 는 해변가가 의미를 가지게 된다.
REACH
바다건너 섬에 도달하면 어 두운 밤 하나의 점으로 빛나 던 납골당이 자리잡고 있다. 거대한 유골함벽의 끝은 마 치 망자를 보냈던 굴뚝 속과 같고 그곳에서 망자의 영혼 과 나의 영혼이 마지막 춤 을 춘다.
바닷길
기존의 길은 섬과 섬을 이어주지 못한다. 바다로 분리되었던 길을 연결해줌과 동시에 망자와 유족 들이 가는 길에 바다를 건너게 한다.
26 27
이를 돌아가며 망자와 나를 비춘다.
1 2 3 4 5 6
1
4
3
2
화장터 진입로 화장터 전망대 진입로 전망대 유족숙박실 처리실
만조 간조
6 A’
A
Section A-A’
갈대밭 투시도 떠나는 이의 마음처럼 흔들리는 갈대밭 사이를 지나 화장터입구에 다다른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28 29
3 1
2
4
1 납골당 진입로 2 납골당 3 기도실 4 추모홀
Lev. + 8000m
1
2
4
Lev. 0m Lev. -3000m
Section B-B’
유족들은 반대쪽 섬을 바라보며 망자와의 마지막 밤을 보낸다.
유족숙박실 로비
처음 이 섬은 의미없는 일회성의 섬이었다. 그러나 이곳에 누군가의 기억을 뿌리내린 후 이섬은 망자와의 마지막 추억을 담은 의미있는 섬이 된다. 이 섬을 다시 찾아 올 때에 유족들은 망자를 떠나보냈던 그길을 다시 걸으며 이 섬 전체에서 망자를 추모한다. 서로 다른 추억을 끌어들여 감 응을 일으킨다.
납골당 투시도 수 많은 유골함이 들어가있는 납골벽은 끝없는 하늘로 높게 뻗어있다.
Purifying Architecture Mohang Port 정화하는 항구 졸업작품전시회 최우수상
백장미 Jangme Baek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30 31
태안군 소원면에 위치한 모항항은 태안 기름유출 사고 당시 사고발생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항구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항구중 하나이다. 이 사고로 인해 태안은 사람 들에게 기름유출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으로 자리 잡았고, 6년이 흐른 지금, 바다는 이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지만, 관광객의 수는 여전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태안 의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상징적인 건축물을 설계하기로 하였다. 이미지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정화라는 요소를 착안하였고, 정화를 실현하는 방법으 로 정수시설을 생각하였다. 항구에 정수시설을 설치하여 정수된 해수를 항구에 공급 하고 항구시스템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항구를 새로운 개념의 관광지로 만들어 줄어 든 관광객을 유치하는데 도움이 되도록하였다. 항구에 정화시스템을 갖춘 물길을 도 입하여 작업과정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관광객들이 물길을 따라 걸으며,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함께 항구시설을 체험한다.
Mohang port is located in Taean Sowon-myun where was closest port to spot of oil spill accident and most damaged for local fisher mans. The disaster caused negative awareness of Taean to people. After 6 years, sea is recovered as clean level before accident. However, visitors are still small. So I decided to design symbolic architecture that improve negative prejudice. The way to improving negative image is that using purifying system. This system not only provide purified sea water to fish market but also can help making port to new concept of tourist attraction. By adopting purifying systemized water flow, work procedure will be connected efficiently and visitors can experience port system with beautiful nature environment, walking along water flow.
가 구 214가구 인 구 618명 항내수 면적 100,000m2 정온수 면적 25,000m2 주요 어종 꽃게, 넙치, 우럭, 붕장어 어 선 96척
CAFE
WATER FRONT
OCEAN EXPERIMENT HALL
EQUIPMENT STORAGE
PARKING
OIL TANK
PURIFYING PARK FISH MARKET SEA FOOD COMPANY AUCTION MARKET
Program Diagram
Mass Study
산맥이 이어지는 부분과 선착장 끝을 높여 전망대를 제공하고 건물전체가 정화공원 이 되도록 하였다.
물길을 중심으로 6개의 레이어를 만들어 실내공간과 외부공간의 기준을 정하였다.
레이어의 단면 높이 4m, 8m, 12m를 기준 으로 외부공간과 각층의 실내공간을 조 성하였다.
지붕공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단 면을 유동적으로 엮어, 자연스러운 경사를 형성하였다.
Experience Hal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Recovery Park
32 33
Fish Market
Purifying Park
생태체험관
정화공원
정수시설
수산시장
가공회사
Purifying System
생태체험관으로 공급
물길을 건너는 계단 기계실의 지상부로 도 이용
생태체험관 배수 유입 해양식물을 이용한 정화
취수조 여과기
매립 여과식 취수기
수산시장 배수 유입 기계식 정수장치와 더 불어 해안의 돌을 이용 해 여과
UV살균기
수산시장과 위판장, 수산 회사에 일괄적으로 공급
방류
Circul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34 35
A’
WATER FRONT EQUIPMENT STORAGE
EXPERIENCE HALL
RECOVERY PARK
FISH MARKET B
B’ AUTION MARKET SEAFOOD COMPANY
SHIPPING SPACE A’ N
Section B-1
Plan 1F
Section B-2
Section A
CO-Cycling Center Walking witlh Trash 2014 학생작품전 (주최 | 대한건축학회) 최우수상 졸업작품전시회 우수상
전은경 EunKyung Jeon 김태균 스튜디오 Teagune Kim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36 37
도시에서 쓰레기라는 존재는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존재이다. 그러나 쓰레기는 도 시에서 숨겨져 있고 외면당하고 있다. CO-cycling center의 기존 사이트는 도시 의 그런 태도가 드러나는 공간이다. 쓰레기 집하장으로 교외에 위치하는 쓰레기 처리장과 달리 도심에 위치 하여 존재감 있는 공간이지만, 철저히 단절되어 있다. CO-cycling center은 이렇게 도시 속에 가려져 있는 공간인 쓰레기 집하장의 존 재를 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흐름의 중심적 성격을 끌어들여 드러내고, 단절된 주 변 도시와 연결 시키며, 쓰레기를 보고, 체험하고,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쓰레기를 재인식 시키고자 한다.
Garbage is a unavoidable existence of the city. However trash has been hidden and been outside of attention. The site of CO-CYCLING CENTER is the evidence. The place, garbage collention place, is blocked although it has heavy presence as located in the urban, compared to garbage disposal plant located in the subrub. CO-CYCLING CENTER project will expose its existence by drawing the flow of the site and linking the city. Simultaneously by planing the new program where you can look, contact, use the trash, it will show garbage in a new light.
수거
수거
배출 배출 중간 집하장 수거 수거
운송 운송
재활용 재활용
운송 운송
매립 매립
운송 운송
소각 소각
배출 배출
쓰레기 집하장 기능
Design concept
GARBAGE
SHAPE
PLAZA + PARK PATH
INSERT
GARBAGE
ROOF PARK
BIKE COMMERCE
SUBWAY PARK
기존 시설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그 안을 주민들의 흐름을 위한 공간으로 채우고 기존의 쓰레기 집하시설을 새로운 공간으로 흐름에 삽입한다. 집하 시설이 삽입되면서 일관된 입면을 깨고 형태의 활기를 준다. 두 공간의 교차점에서 쓰레기에 대한 안내·체험·예술 공간 및 공원, 광 장이 배치되면서 쓰레기시설과 사이트에의 흐름이 공존한다. 이 흐름들 은 사이트 주변으로 연결되어 사이트를 사이로 단절된 영역을 이어준다.
보라매 공원과 보행자 프로그램, 쓰레기 집하시설의 연결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Structure
a
b
a 가시성을 위해 철망벽 b 기존시설물의 철판 c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입면 디자인
c
38 39
18
1 2
3
5 4
9
24
10
6 19
22
14
24
7
20 8
Plan 1F
17
A
16
13 B
12 21
9
18
C,D
24
22 19
15
C’,D’
9 11
14
20 A’
8 B’
Plan B1F
지하철 역방향 입구
플리마켓, 이벤트 장터
도서관/영상실/PC실 자전거 도로 입구
전시홀, 계단광장, 재활용 체험장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40 41
쓰레기 집하장의 새로운 공간 CO-cycling center은 쓰레기 집하시설로써 의 기능 뿐 아니라 쓰레기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하고 쓰레기를 재인식하는 공간이다. 기 존의 기피시설인 쓰레기 집하장을 활동적이 고 접근하기 쉬운 공간으로 변화시켜 새로 운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보행자 프로그 램들과 쓰레기 집하시설은 선택적으로 직접 체험하거나, 간접적으로 시각으로 체험되면 서 거리감을 감소 시킨다. 또한 공원,자전거 도로 등 사이트의 특성을 활용하여 활동 공 간의 영역이 확장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연 결점을 배치한다.
주거지역
17 16
13 상업지역
12
9
1 2
3
4
5
10
6
15
11
지하철역
14
7 8
Path Program
Garbage Program
1
교육센터
18 종량제·음식물
2
안내소
3
주민 쓰레기 집하장
19 압축소, 목재파쇄실
4,5,6
공예실,카페,리폼실
20 집하창고, 전구분리실,
7,8
집하 체험장,플리마켓
9
계단광장,전시홀
21 부품창고,정비소
10
재활용 체험장
22 재활용 집하시설
보라매 공원
보행자 흐름 쓰레기 집하장
11,12,13 도서관, 영상실, PC실 14,15
플리마켓, 이벤트 장터
16
자전거 보관소
17
인라인스포츠장,공원
도로정비 폐기물
24
23 집하차량 주차장
21 24
18 19
24 사무실, 직원휴게실
24 22
23 24
20
쓰레기 집하시설 흐름
체험장,리폼실,카페
공예실
주민 쓰레기 집하장
안내소,교육센터
보행자 프로그램 흐름_단면 D-D’
돈의동 101번지 쪽방촌, 마을만들기 모든 것이 최소한으로 소유되고 공유되는 곳
이선아 Sunah Lee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2
3
4
5
1 2 3 4 5 6
사랑의 쉼터 목욕탕 슈퍼 쌀집 중고서점 세탁소 N 0
2
6
12 M
6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42 43
이 쪽방의 운영방식은 일세부터 월세까지 다양하게 분포하는 일 시적인 거주공간이면서 장기적으로 머무는 특이한 주거형태를 가지고 있다. 쪽방 거주민들은 도시빈민계층으로 대체적으로 자 존감이 낮아 자신을 숨기고 싶어하고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이기 때문에 이곳에서 주의의 시선에 구애받지 않고 삶의 터전을 꾸 려나간다. 쪽방은 정부가 고시한 ‘최저주거기준’이란 개념 이 무색할 정도의 주거환경을 지니고 있지만 거주민의 입장에 서는 쉽게 벗어날 수 없는 노숙이전 최후의 주거지로서 그 절박 한 기능을 하고 있다. 현재 쪽방촌은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고 설비자체도 제대로 된 곳이 별로 없다. 서울시에서 쪽방개선사업으로 여러 보수작업 및 주거환경개선을 하지만 이것도 결국엔 일시적인 대 응방법이다. 이는 주거지를 도시빈곤계층의 주거 자원으로 인식 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마을은 사람들과 어울려 지내는 법을 배우고 더 안정적인 주 거로 갈 수 있는 발판이 되어야 한다. 그 방법은 마을 안에서 각 자의 역할을 가지고 행위가 일어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배치와 작은 공간들의 짜임으로 인해 나타난다. 또한, 자신의 소유라고 는 방이 전부인 그들의 작은 단위부터 살펴보았다. 이는 작은 범 위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마을의 길까지 뻣어나가 서로의 관계 를 만들어준다. 휴먼스케일에서 접근해 각 영역별 최소한의 공 간과 프로그램과 위치를 설정하고 어떻게 공유공간이 구성되 고 엮어질 수 있는지 쪽방들이 모여있는 새로운 마을의 시나리 오를 제안한다.
'Jjokbang' is the last small residence of room for homelessness. Various problems are present 'jjokbangchon(Areas that are 'jjokbang' together)'. The government is running a temporary repair policy does not recognize the resources of the city housing the poor 'jjokbang'. This village will be a role of foothold going more stable housing. residents. It is important in the relationship of the elements of a town. The plan from micro to macro elements that can happen what is owned or shared.
1 UP
Site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44 45
길과 여러 오픈된 공간들이 서로 다른 성격으로 수평적, 수직적으로 연결되어 거주자가 사용하고 있다
Concept
micro to macro
private
public
micro room
macro house
village
가장 최소한의 단위의 개인적인 방을 정의하고, 방들이 모여 하나의 집유닛이 만들어지고, 그 집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도록 프로파일을 제시한다.
resident
room
거주자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1인, 남자, 고정거주를 기본 으로 방의 이용자를 정한다.
house
누울수 있는 바닥, 높은 층고로 쾌적성을 높이고 각 방에 맞도록 효율적인 맞춤형 빌트인 가구를 넣어준 다. 환기나 채광을 위한 창의 적정크기를 지정해준다. 1인가구를 위한 세가지 타입을 제시한다.
node
entrance
기존의 현관은 길에서 바로 들어가는 구조였다. 숨구멍 역할 을 하는 현관의 공간을 만들어주고 이 곳을 여러집이 현관으 로 공유하도록 한다.
길을 모서리에 따라 가장 큰 위계를 1로 두고 통행위계를 만들었다. 그 사이에 편의시설을 놓아두고 그 주 변에 함께 소공간을 마련했다. 기존에 멀리서 운영되던 사랑의 쉼터 상담소도 큰 클러스터로 가장 통행이 큰길에 가장 큰 오픈스페이스를 함께 두었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46 47
위에서 본 장면
길모퉁이
방에서 창문을 열고 본 장면
현관에서 출입의 공유
Block Elevation
Park-ing : Taking a Rest-Bus 도심 속 휴식처로의 터미널
김은진
Eunjin Kim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도심 속 휴식처로의 터미널 버스터미널은 설렘을 안고 여행 혹은 고향을 찾아 떠나기 위해 찾는 곳이다. 터미널은 도착한 곳의 첫인상을 남기는 중요한 곳이며, 이동 전/후 사람들이 잠깐이라도 휴식을 취하거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현재의 터미널은 단순히 이동을 위한 기능, 1차적인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변해가는 시대에 맞춰 터미널에 어떤 프로그램들이 필요하고, 터미널 이용객 외에도 공공을 위한 곳이 되기 위해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제안하려 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48 49
Terminal as a shelter in the city Bus Terminal is a place to find a Home or go to travel. It is an important place to make first impression. And many people can relax or spend time in the terminal. However, the current terminal is performing a one-dimensional function for moving. I would like to discuss what types of programs are required for a terminal in respect of the changing era as well as its users.
Site analysis Outdoor codition
Indoor codition C B
C
B
A
A
1층
D E
2층
현 동서울터미널의 외부상황은 버스, 자동차, 보행자 간 동선 정리가 되어있지 않아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승/하차 대기 시 외부에 설치된 의자에 앉아있게 되는데, 이 때 이용 객들이 자동차 매연과 소음과 같은 불쾌한 환경에 노출된다. 또한, 터미널이 강변역과 횡단보도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데, 지하로 연 결이 안되어 있어 이 부근에 복잡함을 더하고 있다.
3층
터미널 입구 부분에 의자들이 놓여 져 있어 진입자 & 대기자간 충돌 발생하고 있다. 현재 1층에만 상가 가 밀집되어있어, 적절한 대기공간 과 함께 레벨 별로 프로그램 분산 이 요구된다.
Problem Suggestion Issue
Problem
Suggestion
단절
동서울종합터미널은 도로와 높은 건물들로 둘러쌓여 하나의 섬같다. 이 곳에 적절하게 트인 공간을 만들어 주어 주변과 연결되고자 한다.
사람 동선
자동차 동선
이용객 승용차 들어오는 버스
나가는 고속버스 나가는 시외버스
이용객 승용차 들어오는 버스
나가는 버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Get Get off off
Get Get on on
Concept
REST + BUS
50 51
Get Get off off
Get Get on on
Subway Subway
Subway Subway
Bicycle Bicycle
Requirement
Bicycle Bicycle
Turn angle
Current Get Get on on Get Get off off
Rule
90도 회전
하차장 3,800
R39,000
PARKING PARKING
R21,300
Get Get on on
3,800 Parking area > Public zone
75,000
New Get on Get on
Get off Get off
Get on Get on
Get off Get off
Subway Subway Bicycle Bicycle
180도 회전
Subway Subway
b a
Bicycle Bicycle
c
Get on Get off GetGet off on
Separation of function : 승차 - 하차 분리
Scattered public zone PARKING PARKING Get 공원 on Get on 배치 : 곳곳에
15,000 e
d f
g
a) b) c) d) e) f) g)
R25,200 R22,500 R21,300 R20,400 R39,900 R20,100 R21,000
Circulation
OUT
22,500
IN
33,000
Standard Bus
Standard Bus
2,500
2,500 11,400
11,400
People circulation
Traffic circulation
Standard Bus
Standard Bus
from Subway
Get off
2,500
2,500
11,400
11,400
Get on
Resident
from suburb Passenger
N
0
10
20
Roof Plan
60M
실내
1층 상가
하차장
하차장 부근 공원
A' B
A
B'
BUS PARKING
SHOP
SHOP
RESTAURANT
SHOP
TICKET ENTRY
GET OFF PLACE
USER PARKING
Section A-A'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Structure diagram
Plan 1F
Plan 2F
Plan B1F
자전거도로 - 터미널 연결 공원
승차장 맞은편 야외공원
GET ON PLACE
강변역 - 터미널 연결 공원
SHOP
BRIDGE SHOP
SHOP BUS PARKING
52 53
GET OFF PLACE
Section B-B'
SUBWAY
Daily Green Library 오산 청학도서관 재건축 프로젝트 졸업작품전시회 최우수상
하예린 Yerin Ha 권경은 스튜디오 Kyungeun Kwon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54 55
최근 건립되는 도서관들은 도심에 많이 지어진다. 지하철 역 근처, 아파 트 단지내 등 시민들의 일상적인 공간에 입지해야 도서관이 많이 이용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 도서관 이슈는 ‘일상성’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유달리 높고 외진 곳에 위치한 도서관들이 많다. 급 하게 성장하면서 도서관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도시계획을 세웠고, 경제적인 이유도 있을 것이다. 이런 변두리 도서관들은 디지털화, 도서관 의 기능 다양화, 물리적 노후, 새로운 도서관의 등장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이용자들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도서관은 유기체이며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방식에 따라 변화한다. 사람들 이 오지 않는 도서관은 이미 죽은 것이라고 한다. 외면당한 도서관을 위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Many of the recently-built libraries are located in the cit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people tend to go to the library if it’s at a convenient location such as apartments or near the subway station. Therefore, “dailiness” could be labeled as the major issue concerning libraries recently. However, many libraries in Korea are located far from the city and at higher grounds. Along the process of city planning, little effort has been put in concerning building libraries because the importance of libraries were underestimated at the time, and economic reasons may take a part as well. Lesser and lesser people are visiting these libraries because of problems such as libraries going digital and establishing various features, physical aging of the buildings, and because of the new libraries emerging. A library is an organic body, and it changes depending on how the users utilize it. It is said that libraries that have no visitors are dead. A differentiation strategy is necessary for the neglected libraries.
위 치 건축연도 부 지 부지높이 용도지역
경기도 오산시 청학동 16-13 1992년 8264 ㎡ 중 4005 ㎡ 도로에서 20m 이상 위 제 1종 주거지역
파견 근무 사서 현황 2명 보유 장서 58000여 권
Site Analysis 궐동 궐동
오산 학원
SITE
휴식
뒷산 운동
만남 자전거 보관
오산학원
Surrounding area
Inner Site Condition
사이트 뒤로는 산지와 함께 오산학원이 있고 옆 블록에는 궐동 원룸촌이 있다. 앞에는 오산시의 대표적인 공원인 오산천변 공원이 있다.
그럼에도 도서관 부지는 뒷산에서 운동하 기, 자전거타기 등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도서관 주변에 다양한 이용층이 존재하지 만 도서관으로 유입되는 사람들은 적은 편이다.
시민들이 도서관과 맞닿은 녹지를 자발적 으로 공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Design Process
다양한 레벨의 녹지 경험
도서관 기능 배치
지하 대공간과 녹지가 동시에 필요
결합
전망대
서고 시청각실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56 57
Ground Floor Plan
Plan 2F
Exploded Diagra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58 59
주민센터, 오산천에서 도서관으로 편히 들어와 이용한다
산책 후 원래의 길로 빠져나간다
Section
그 겨울 바람이 분다 대관령; 바람, 안개 그리고 풍경 졸업작품전시회 우수상
전소현 Sohyun Jeon 권경은 스튜디오 Kyungeun Kwon Studio
SCENE B _ 켜켜이 쌓인 나무 틈 사이로 새어들어오는 안개와의 만남
영동고속도로 폐지 후 잊혀져가던 대관령마을휴게소(구 대관령휴게소)가 다시금 활기를 찾고있다. 하지만 대관령의 자연을 느끼며 휴식을 즐기러 오는 관 광객들이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대관령휴게소는 여전히 고속도로 위 휴게소로 남아있다. 단순히 쉬어가는 휴게소가 아닌 대관령 자연 속에서 머물며 휴 식을 누릴 수 없을까? 휴게소에서 양떼목장, 트래킹코스로 이어지는 길목에 휴게소의 인공과 대관령이 자연이 공존하고 있다. 인공과 자연이 만든 모호 한 경계부에 대관령의 자연이 담긴 전이공간(pavilion)을 두어 인공과 자연을 연결하고자한다. 이 곳에서 자연을 저욱 극대화하여 느낄 수 있도록 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60 61
SCENE A _ 양떼목장에서 흘러나오는 물줄기와 안개의 만남
SCENE C _ 길 따라 펼쳐지는 대관령 풍경과의 만남
Expressway service area of Daegqllyeong that went into oblivion after the abolition of Yeongdong highway recovers vitality again. Despite the tourists who come to look forward to relax while feeling the nature of Daegwallyeong has increased, Daegwallyeong resting place is left to the service area on the highway yet. That place will be changed to be able to enjoy the rest to remain in nature. There is a vague boundary area made by nature and artificial. By creating a transition place can feel the nature of Daegqwallyeong, connect the nature and artificial. In that area, it is to be able to feel to maximize even more natural.
Suggestion Between Nature and Artificial
자연과 어울리지 못한 채 개발된 인공적인 휴게소는 자연을 흐름을 막아 극명한 자연과의 경계를 만들어 내 고 있다. 이를 대관령의 북서방향으로의 안개, 바람의 흐름과 경계부의 자연을 이용하여 인공적인 건축물을 통 해 자연을 극대화하여 느낄 수 있도록 전이 시퀀스를 만들어 자연과 인공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제안한다.
Concept Wind Fence System
대관령 특수조림지에 위치한 방풍책 단지
방풍책을 통한 강한 바람의 차단 및 미세기후 조절
자연을 받아들이는 방식 + α
나무생장에 최악의 영향을 끼치는 대관령 칼바람을 맞 서기 위해 방풍책(통나무를 엮어 만든 울타리)을 세웠다.
바람을 대응하는 것이 아닌 받아들이는 방법의 벽을 구축 하여 자연의 흐름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Wood masonry by light weight Wood Framing System Module
모듈로 구성된 4가지 입면 패턴 정형화된 모듈의 크기를 통해 자연의 흐름을 느끼는 방법을 고려해 다양한 패턴을 만든다.
벽을 느끼는 사람의 행위를 고려한 모듈 적용 높이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62 63
Site A Enterance of sheep’s garden KEY WORD
양떼목장에서 흘러오는 물줄기와 안개의 만남 흐르는 계곡물을 모아 안개를 머무르게 하다
- WATER SPACE - FIRST ENT. - SHEEP FARM
N 0
1
3
5M
Section A-A’
Site B Exit[Enterance] of Seonjaryeong 켜켜이 쌓인 나무 틈 사이로 새어들어오는 안개와의 만남 인공을 끌어들여 자연 속에서 머무르게 하다.
KEY WORD - TREE LAYER - SUNKEN - DESCEND MT.
Section B-B’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Site C Enerance[Exit] of Seionjaryeong 길 따라펼쳐지는 대관령 풍경과의 만남 대관령능선과 풍력발전기, 대관령특수조림지, 강릉 동해바다를 담다.
64 65
KEY WORD - 3 AXIS VIEW - SEQUENCE - SOLID & VOID
Section C-C’
통하는 집 홍대 문화의 거리를 잇는 게스트하우스 졸업작품전시회 우수상
위 치 용 도 대지면적 건축면적 층 수
서울시 마포구 당인동 숙박시설 5916㎡ 2550㎡ 지하1층 지상5층
도지원 Giwon Do 권경은 스튜디오 Kyungeun Kwon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66 67
최근의 여행 추세는 관광지를 둘러보는 것 뿐만 아니라 마을 전체에서 생활감각을 느끼는 것에 초점을 둔다. 이는 여행자들이 여행지에 가서 다른 외부 인들 뿐만아니라 그 지역의 사람들과도 교류하고 싶어한다는 생각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현재 존재하는 숙박 시설은 이러한 수요를 충족해주지 못하고 도심내 나홀로 동 떨어져 있는 편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켜주고 외부인들이 좀 더 마을에 가깝게 다가가고 현지인들과 교류한다면 현지인들 도 역시 설렘을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홍대의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한국인 관광객들이 언제고 찾을 수 있을만한 장소가 되고 있고 홍대 거리문화가 가진 크기가 다른 곳들에 비해 크다는 것이 좋은 점이다. 길거리 공연문화 유니크한 테마를 가진 카페들은 홍대에서 부터 개발될 당인리 문화시설까지 채워 나갈 것이다. 본 설계는 문화, 생활, 체험 을 할만하고 낯선이들과 교류할 만한 문화를 가진 홍대거리를 확장하며 당인리발전소까지 문화의 축을 늘리면서 주변인들을 자연스럽게 여행자들과 함 께 어울릴만한 숙박시설을 계획한다.
Recently, travel trend is not only just looking around the sights but also experiencing around the village. It means travelers like to communicate with other strangers and moreover people that live in those area. However, tourists are not satisfied with present accomodations that located in city center lonely. Therefore, I suggest the guest house mixxing foreigners and natives. There is a hongik university cultural area where the guesthouse will be located. This area is the place whenever Korean travelers are going out. And hongdae street culture is bigger than other’. Site will be filled with Busking and cafes that have unique atmosphere. This project design the accomodation that get along with travelers and natives naturally to extend the cultural axis from hongdae street to danginlee power plant. It helps travelers experience tht area’s culture, life and people.
Site Analysis broad
기존의 홍대 거리 문화지역
연남동으로의 확장
당인리 문화시설 개장
Concept
홍대거리의 확장 가능성
Section Concept
주변은 주거지역이고 이 대지는 곧 공공의 거리로써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1층부터 지하층을 모두 외부에 개방하여 공공의 거리를 활성화 시켰다. 지하로 내려간 공공의 거리는 주변의 주거지역과 단면적으로 반층 이상 엇갈리면서 프 라이버시를 확보하게 된다. 대지의 중앙에는 지하1층을 모두 내려 더욱 홍대 거리문화를 담는다. 게스트하우스 간의 교류 공간은 2층 슬라브에 뚫린 보이드에 의해 시선과 소리를 함께 공유한다 수평적 교류만이 일어나는 기존의숙박시설
게스트 하우스의 여행객들끼리의 교류
수직적 교류까지 계획하는 새로운 숙박시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68 69
Circulation
2층에서 체크인을 하고 이들은 각자의 방으 로 가게 되는데 이때 이 게스트하우스에 묶 는 다른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여행자들로 하여금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이 존재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 층이 다른 복도를 가지고 있어 수직적으로도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틈이 생겨 서로에게 좀 더 가깝게 다가 갈 수 있는 환경을 이룬다.
N
공공의 거리로써 존재하는 게스트하우스
0 4
12
24 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70 71
N
Plan 2F
0 2
6
12 M
Plan 1F
Plan B1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FREE STUDIO 본 교과목은 설계스튜디오의 마지막 단계로서 설계담당교수별로 주제를 설정 하되 건축담론의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건축적, 도시적 실험을 설계주제로 한다. 아울러 건축과 타 분야 간의 적극적인 접목을 통한 새로운 시도를 통해 건축가로서의 새로운 사회적 역할과 건축을 통한 사회적 소통을 동시에 모색한다. 수행과제는 개인 또는 공동 작업으로 진행되며 설계팀의 일 원으로서 조정자로서의 역할과 협력자로서의 역할을 배운다.
STUDIO TUTORS: Tonghoon Lee Taegune Kim Kiuck Zhang
Gongchester United Club House 공과대학 축구부 동아리실
강수지 Sooji Kang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운동장 부지는 이화여대의 정문과 바로 인접하여 등하교하는 학생들 뿐 아니 라 관광객이나 학교를 찾은 귀빈들에게 학교의 첫인상을 남길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입지를 갖고 있다. 그러나 운동장 영역에 대한 고려없이 지나치게 노 출되어 있는 현재 모습은 심지어 황량한 느낌마저 주고있는 상황이다. 본 프 로젝트는 건축주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과 더불어 운동장의 경계부를 디자인 함으로써 현재 대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영역성을 제시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play ground is located near the main entrance of Ewha. So the location is very important to make first impression of Ewha. But the play ground area has no characteristic of location and even is looked desolate. This project not only includes a client’s requirements but also improves the area by designing of boundary between the play ground and the main entrance.
Diagram
대강당
ECC 박물관 잔디광장
운동장
정문
단순히 화강석 타일과 흙바닥으 로 경계지어지는 운동장 영역 재 정의 필요
플랫폼 형성으로 어색한 바닥경 계 개선 및 파생된 계단으로 앉 을 수 있는 스탠드 활용
일정한 방향성을 띈 벽체 배치, 시각적 분리와 더불어 사이공 간 활용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N
74 75
Plan 0
1
3
6M
휴게공간
세면실
공용락커
Small chapel for two 이화여자대학교 내 작은 채플
이예주 Yeju Lee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대지는 이화여자대학교내 사회복지관 옆의 텃밭이다. 이곳을 사람들이 잠 시 들러 기도할 수 있는 작은 채플로 꾸미려고한다. 기도실에 머물러 기도 하는 곳이 아닌 채플 전체를 조망하며 기도하는 곳으로 조성했다. 사이트 를 돌아내려가며 건물 전체를 조망하고, 기도실을 관통하는 두개의 벽을 따라 지상에서, 지하에서 기도를 한다.
Site is a garden beside of ewha social welfare building. Here a small chapel where people can stop by to pray. View the whole, not a place of prayer chapel remains in prayer, and have created a place of prayer. Parading down around the site overlooks the entire building, from the ground along the two walls through the prayer, pray in the basement.
Lev . + 5000
Lev . + 3000 Lev . + 2000
Section A-A’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76 77
1 기도실 2 화장실
Lev . + 4000 UP
T
EN
Lev . 0
2
DN
DN UP
Lev . 0 Lev . + 1000
DN
Lev . - 2000
Lev . - 2000
1
Plan 1F
Lev . + 4000
Lev . + 0
Lev . - 2000 Section B-B’
林을 위한 Chapel 작은 공원 속의 숲의경험
전은경 Eunkyung Jeon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우리는 숲에서 나무의 소리, 향, 바람, 그림자 속을 거릴며 마음이 쉬고, 그 곳에 잠시 앉아 나무를 바라보며 몸이 쉰다. 숲을 바라보면서 쉰다는 것은 정적인 공간과 동적인 흐름을 아우르는 경험이다. 높은 고목들이 밀 도 있게 위치한 이화여자대학교 헬렌관 공원의 다섯가지 수목군의 배치 와 주변 맥락에서 그 흐름을 찾아 전체 대지에 흐르는 동적공간과 정적 공간을 계획한다. 林을 위한 Chapel은 대지에 작은 점들이며, 길을 이 어주는 고리이다. 즉, 보행자들이 주인공인 숲의 다채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계기이다.
하나, 대지의 높이에서 바라보는 숲.
We rest our minds walking through sound, incense, wind and shadow of the forest and sitting while looking at the trees. Resting at the forest is an experience that encompasses the static and dynamic flow space. Plan a dynamic space and static space traveling across the land, Ewha Womans University Helen Park. Chapel for forest is a small group of dots on the site and a ring that connects the road through the park. In other words, It is the opportunity that pedestrians can experience the colorful character of the forest.
둘, 나무의 가지 높이에서 바라보는 숲.
셋, 대지의 아래에서 느끼는 숲.
0
1
3
6M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78 79
Site Plan
N 0
2
6
12 M
기 삼각형태의 쉼터는 대지의 시작점으로 지 정표인 양버즘 나무의 그늘을 즐길 수 있 는 공간이다.
승 대관목이 밀집한 영역의 나무 높이에서 숲 을 보기 위한 공간으로 나무를 둘러싸며 올라가는 수직적 선부재의 계단공간이다.
전 등고에 의해 대지에 녹아드는 원형 채플로 숲을 형상화하여 원으로 나열된 선부재 사 이로 빛을 즐기며 하늘과 땅 그리고 나무 를 보고 사색하는 Chapel이다.
결 좁은 조적 복도를 지나 맞이하는 하늘로 열린 공간을 둘러싼 풍성한 나무와 그 사 이의 빛 그리고 하늘을 보며 숲의 여정을 마무리하는 공간이다.
Shelter in EWHA 교내 공공 디자인 프로젝트
왕주희
Juhui Wang 이영은 Youngeun Lee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Bird eye view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과 헬렌관 사이에 위치한 이 휴식공간은 교내 중심 공간으로 많은 학생들이 찾는 장소이다. 9m의 레벨차이가 나는 비 교적 가파른 대지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여러 수종이 공존하고 있다. 바 쁜 일상을 사는 우리들에게는 늘 자연이 그립다. 우리는 공공디자인이라 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교내에 자연과 닮은 공간을 실현해 바쁜 일 상 속에서 잠시나마 잃어버린 자연의 여유와 낭만을 찾아보기로 했다.
Structure System
This Rest area located between the main library and the Helen building is a place for many students. We always miss the Nature because we live in a busy world. We decided to find free and romance by making a public space resembling nature on campus. We designed a small forest in Ewha and a space for tried students who want to take a nap.
Concept
해먹 나무 그늘 같은 곳에 달아매어 사 용하는 해먹을 사이트의 자연요소 를 이용해 디자인하기로 한다.
Structure Detail Drawing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80 81
Net Design A
B
Net Model
A’
해먹 네트 디자인은 나뭇잎을 본따서 아래에서 바라보았을 때 하나의 나뭇잎을 보는 느낌 을 준다. 먼저 불규칙한 나뭇잎의 결을 따서 적용한다. 네트가 안정적으로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일련의 규칙을 적용해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해먹 위에서 사람들이 활동 할 수 있 도록 휴먼스케일에 맞게 더욱 촘촘하게 엮어 조성한다.
B’
0
1
3
N
Site Plan
Section B-B’
6M
공간의 기억 Series 공간과 기억, 기억 속 공간. 고 공간의 기억에 대한 이야기
신혜리 Hyery Shin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Series 0.
Series 1.
이 프로젝트의 시작은 2009년부터 2014년 총 6년동안 생활했던 공간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 이었다. 2009년 이화여대 건축학부에 입학해 서 건축학을 전공하며 이화여대 안에서, 학부가 속해있는 아산공학관 안에서 수 많은 시간을 보냈다. 학과 특성 상 어느 누구보다 많은 시 간을 학교에서 보냈고, 그 시간에 비례한 많은 기억들이 이곳에 존재한다. 공간의 기억은 공간의 첫 이미지와 공간에서의 경험에 의한 기억 들이 합쳐진 형태를 하고 있다. 그 곳에서의 기억이 쌓여 하나의 공간의 기억을 완성하게 되는 것 이다. 이 작업은 시리즈 작업으로, 총 세 가지 단계에 걸쳐 공간의 기억에 대해 말하고자 하였다.
<공간의 기억 series 1>은 지난 6년 간의 기억이 쌓인 공간인 이화여대의 상징적 건축물인 ECC, 건축학부가 위치해 있는 아산공학관을 사 진으로 찍고, 레이어를 설정하여 기억이 쌓이듯 레이어를 쌓는 작업이다. 건축학전공으로 이 곳 에서 보낸 시간을 ‘건축적 방법’으로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디지털적인 리터칭이 들어가지 않고, 사람이 없는 온전하고 순수한 건물의 사진을 사용하였고 원근감에 기초하여 레이어를 설정하고 물리적 모형을 만들어 내었다. 기억의 레이어가 더해진 공간은 왜곡되어 보이기도 하고, 방향에 따라 다른 모습을 갖기도 한다.
<공간의 기억_ series 1_1> 2014. 우드락에 사진, 41.5x60x40. 사진 :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ECC
<공간의 기억_ series 1_2> 2014. 우드락에 사진, 45.3x60x40. 사진 :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아산공학관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Series 2.
82 83
<공간의 기억 series 2>는 좀 더 포괄적인 건축으로 나아간 단계의 작업이다. 디자인을 하고, 2D 도면으로 표현하고, 그를 3D 모형으로 나타 내던 기존의 작업 방식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3D화 시킨 2D를 다시 2D화 시키는 작업이다. 수평 수직이 잘 맞는 ‘보기 좋은’ 건물 사진이 아닌 낯선 그림자와 왜곡이 사진 자체에 의문을 갖게하고 사진을 넘어 공간의 기억에도 의문을 갖게 하고자 하였다.
<공간의 기억_ series 2_1> 2014. 혼합재료, 60x40. 사진 :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ECC
<공간의 기억_ series 2_2> 2014. 혼합재료, 60x40. 사진 :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아산공학관
Series 3. 세 번째 작업은 물리적인 결과물보다 ‘행위’에 초점이 맞추어진 작업이다. <공간의 기억 series 1>의 작업물을 직접 그 장소에 들고 가서 사 진을 찍는다.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현재’의 건물에 ‘기억’의 결과물을 들고 찾아가 사진을 찍는 것은 나의 기억과 현재가 만나 소통하 는 행위의 상징이다.
<공간의 기억_ series 3_1> 2014. 혼합재료, 60x40. 사진 :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ECC
<공간의 기억_ series 3_2> 2014. 혼합재료, 60x40. 사진 :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아산공학관
Seoul Box Modular unit for multipurpose occupation André Motta Vieira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Capsules in Han River Park
Exploring the inifinitude of Bang (방) in Korea and the need for more spaces that don’t have fixed functions, a capsule was proposed for the city. The space, that can be rented through an App, offers multiple possibility through changeable layouts and offering modular furniture. These capsules would be all over Seoul for everyone to use.
N
Layout of apsules in Han River Park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84 85
Mobile App
Just choose the location, the dates and the furniture you want. Modular arrangement provides you with easy assembly and limitless combinations.
You can easily unfold the furniture...
to store it, move it or have more space while not using it
Structural systems
Modular furniture
Potential layout
水
墨
畵
수묵화 재해석, 낮설게하기
김윤희 Yoonhee Kim 장기욱 스튜디오 Kiuck Zhang Studio
수묵화란, 채색을 가하지 않고 그린 그림으로 전통동양화이다. 먹의 농도조 절로 깊이감이 표현된다. 이러한 수묵화를 새로운 기법을 통해 재해석하여 색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첫번째로는 수묵화를 농도에 따라 해체와 재 조합을 해 볼 것이다. 농도에 따라 해체시킨 수묵화의 요소들을 다른 그림과 의 재조합을 통해 낮선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두번째로는 단순한 그림이 아 니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의 재해석이다. 같은 농도의 레이어를 중첩시 켜 공간으로 나타난 수묵화를 체험할 수 있다.
Su-muk-wha is ink-and-wash painting. It is korea traditional picture, and use only ink stick. Perspective find expression in the amount of water. Through the new method, we can find fresh su-muk-wha. First, dissolve and recombinate su-mukwha. Second, reinterpretation of su-muk-wha on experience space. Overlapping of same concentration layer can facilitate experience of su-muk-wha.
수묵화의 해체 우선적으로 동양화를 농도에 따라 분리해 보자. 농도별로 분리된 수묵화의 다양한 조 합으로 다른 느낌을 자아낸다. 수묵화 원본
농도 1
농도 2
농도 3
수묵화 낯설게하기 수직적 기법인 소나무수묵화와 수평적 기법인 산맥수묵화를 겹치게 되면 두 그림에서 보지 못했던 새로운 그림을 발견할 수 있다.
▷ ▷ ▷ 수묵화 원본
DNA 추출
다양한 방법으로 재조합
농도 4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수묵화 재조합 각자 다른 그림에서 분리된 DNA들을 재조합 하여 기존의 그림에선 보지 못하였던 새 로운 그림들을 만들어 낸다. 그림을 거꾸로 겹치기도 하고, 가로 세로를 바꾸어 겹치기 도 하는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한다.
수묵화의 체험 2차원적인 방법인 농도 조절이 아닌, 같은 농도의 레이어를 중첩시킴으로 인해 수묵화 를 입체화 시킨다. 공간으로 나타난 3차원의 수묵화의 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각 레이 어들의 간격에 의해 농도에 따른 원근감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수묵화의 실제 응용 이러한 수묵화의 체험을 단순 전시가 아닌 실제 생활에 응용할 수 있다. 카페나 도서관 등 사람들이 앉아있는 공간에 적용하여 숲에 있는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수묵화 너머 에 보이는 상점의 모습은 고급스럽고 편안한 느낌을 만든다.
86 87
S.arch: total design in architecture 아뜰리에 디자인
전소현 Sohyun Jeon 장기욱 스튜디오 Kiuck Zhang Studio
S.arch, a total design atelier pursue to design all such acts that occur in architecture. The studio is managed by unique architect 5 people. S.arch is not only design, make the work in the workshop in the studio. Atelier is located in Hap-jeong. This place,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afe by remodeling such as housing. In addition, design-related office, studio, etc. was born vitality lot has been added. By making an atelier’s symbol gable on site, try to put blow a new vitality.
S.arch는 건축 내에서 일어나는 행위 등 모두를 충족하는 디자인을 추구하 는 total design atelier이다. 개성있는 건축가 5명이 모여 아뜰리에를 끌어 가고 있다. S.arch는 디자인 뿐만아니라 아뜰리에 내 공방에서 작품을 만든 다. 아뜰리에는 합정에 위치하여 있다. 이 곳은 기존의 주택 등을 리모델링 하여 하나 둘 카페로 변모하고 있으며, 디자인 관련 사무실 등이 많이 생겨 나 활력이 더해지고 있다. 이 곳에 상징적인 박공매스 구성을 통해 아뜰리 에 성격을 드러내며 사이트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자한다.
2 5 6
3
4
1 2
3 1 Shop 2 Client Room
N
1
0
1
3
6M
3 Library + print
1 Model works (making room)
4 Kitchen
2 Shop
5 Toilet + shower
3 Sunken area (rest & event)
6 Sunken area
Lower Plan
Plan 1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88 89
S.arch (Shop + Atelier) Atelier, Client Client room + living room
Shop & Atelier
Work space
아뜰리에는 마루바닥으로 shop과 분리되고 계단을 오르 면 아뜰리에로, 내려가면 지하 shop과 공방으로 이어진다.
Client room
박공지붕으로 편안한 느낌의 작업공간을 조성하고 개인 책 상은 천창과 클라이언트룸을 향해 배치되게 하였다.
Exterior
(Atlier’s living room)
(Rest area)
거실에 들어오게되며 S.arch와 접한다. 아뜰리에의 중심공 간으로 보이드를 통해 2층 작업공간과 소통이 가능하다.
지하 공방과 함께 선큰공간은 아뜰리에의 열린공간이다. 지 하까지 빛이 들어가게하여 외부 이벤트공간으로 사용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REMODELING PROJECT 본 교과목은 증개축 과제를 통한 인테리어 특화과정이다. 기존 건축물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구조적, 경제적 가치판단을 기반으로 공간성격 및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기존건축물의 외부공간 및 외장개선, 용도변경, 내부공간의 변경 및 확장 등을 통하여 증축과 개축과정에서 요구되는 설계기술을 습득한다. 아울 러 증개축을 통해 새로 조성되는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설계과정을 통해 구조 와 내외장 그리고 이에대한 좀더 디테일한 측면을 탐구한다.
STUDIO TUTORS: Hyundai Kim Tonghoon Lee
Blank Center 시민들을 위한 이벤트 홀
박일형 Ilhyoung Park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세종로에 위치한 BLANK CENTER는 다양한 이벤트의 발생을 장려하는 대여 공간이다. 국가적, 상업적, 문화적인 콘텐츠들이 차별없이 받아들여지고 그것들 이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이벤트가 되면서, 창조적 국가를 상징한다. 다양한 규 모의 이벤트들을 담을 수 있도록 연속된 동선을 가진 대규모 공간이 되기도, 분 절되어 독립적 공간이 되기도 하는 것이 공간적 특징이며, 담겨진 이벤트의 필 요에 따라 외피의 루버가 열리기도 닫히기도 하면서 입면이 역동적으로 변하 는 외피시스템을 가진다.
Blank Center is convention center for national, commercial and cultural events. Spatial characteristic is‘Continuity’for huge event, so visitors can enjoy the event with continuous circulation. Also it can be separated for each small events. Facade louver system is operable by the event expressing it metaphorically on facade.
Design Process Blank The Building To Put 3Kinds Of Program Into It
OPEN &CLOSE
CAR OPEN VISUALLY
OPEN TO PEOPLE
GREEN PEOPLE
ADAPT TO THE SITE
Adapt To The Site
BRING THE CIRCULATION IN AND EXTEND
Bring The Circulation IN / EXTEND
OPEN & CLOSE
Close & Ope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0
0.5
92 93
1M
Facade System
Program
MOVABLE VERTICAL MULLION
LOUVER FACADE MACHINE ROOM
LOUVER FACADE
FIXED VERTICAL STRUCTURE ELASTIC LOUVER
OFFICE
AUDITORIUM
STORAGE
HORIZONTAL MULLION
CAFE
RENTAL SPACES_
RENTAL SPACES
7
TYPE
CLOSE
OPEN
TYPE D NO COLUMN
LOUVER FACADE AUDITORIUM NO COLUMN
6
TYPE C OPEN & CLOSE BY OPERABLE LOUVER FACADE
CONTINUOUS CIRCULATION
5
4
3 2
ENTRANCE VIEW
View form Gwanghwamun square
TYPE B
OPNE VISUALLY
AUDITORIUM
Auditorium
Horizontal Variation 주한미국대사관 Remodeling Project
신혜지 Hyeji Sheen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주한미국대사관이 위치한 세종로는 과거에는 육조거리였고 대한민국정부수립 이 후에는 공보처, 문화부 등이 있었다. 최근에는 문화부 건물이 대한민국역사박물 관으로 바뀌며 공공청사 기능들이 차츰차츰 문화요소로 변해가고 있다. 이에 외 교부의 역할인 주한미국대사관을 '세계속의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대한민국의 입지를 전시하는 EXHIBITION HALL을 프로그램으로 한다. 고층부는 CONVENTION HALL이 위치한다. 이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대형홀로써, 기존에 폐쇄적이던 주한미국대사관의 분위기를 공공에게 대여해주는 용도로 변환시키 며 많은 교류가 발생하는 건물로 바꾸기 위함이다.
The Sejong Road is located was a Yookjo Street. There has been the Ministry of Culture building since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Recently the building changed into the Museum of Korea History. So I put Exhibition Hall into the building with a topic of ‘Korea in the World’. Higher part of the building will have Convention Hall so that the building opened to the public occuring more communication compared to the past one.
N 0
2
6
12M
Plan 1F
94 95
EXHIBITION
CONVENTION HAL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0
2
6
12M
Section
0
0.5
1.5
3M
The Design Market New design department store and culture agit
임한솔 Hansol Lim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광화문 광장에서 바라본 전경
주한미국대사관은 대중에게 개방된 광화문 광장 앞에서 유일하게 차단 된 건물이다. 리모델링을 통해 활력이 넘치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이 를 위해 디자인 마켓과 같은 상업적인 프로그램과 갤러리, 라이브러리 등 문화적인 프로그램들이 공존하는 복합공간을 제안한다. 광화문 광장 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축을 광장부터 건물 앞의 플라자를 연결하고, 또 건물 내부로 끌려들어오는 아케이드로 해석했다. 사이트의 역사적 이슈 를 고려하여 파사드의 패턴을 디자인하였고, 프로그램에 따라 패턴글라 스 및 스틸패널로 적용하여 파사드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The United States Embassy is the only blocked building in front of Gwanghwamun square. So I want to create a vibrant space through this remodeling. I propose a complex space that coexist commercial programs like design market and cultural programs. I create a ‘New Axis’ crossing the Gwanghwamun square, and connect it from the square to the plaza in front of the main building. I interpreted it as an ‘Arcade’ penetrating the building. And I design a pattern of facade considering the historical issue of this site.
MAIN ENTRANCE
CAR IN AND OUT
ARCADE
N 0
3
9
18 M
Site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96 97
DESIGN LIBRARY BOOK SHOP
N
0
2
5
10 M
Facade Pattern
Plan 3F
PATTERN PROCESS
PATTERN MOTIF
Facade Elevation
Facade Detail Pivoting vertical louver THK 24 Low-e double glass (Patterned Glass)
Lighting
COMMERCIAL ZONE
CULTURE ZONE
THK 30 Steel Panel (Waterjet cut)
쉴, 휴(休) 주한미대사관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정민지 Minji Chung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광화문 광장에서 바라본 모습
기존 세종로공원, 광화문광장, 세종로 등은 머물 수 있는 공간이 아닌 주로 일회성이벤트가 일어나며 통과동선으로 이용되는 공간이다. 광장과 맞닿아 있는 대지에 복합스포츠센터를 넣음으로써 거리에 활기를 불어넣어주고자 한다. 1,2층 복층공간은 반 외부공간으로써 자전거대여소와 PLAZA역할을 하는 스케이트보드장이 있다. 건물내부에는 코어 주변으로 사람들이 머물 면서 내부 활동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이를 통해 건물은 사람들이 쉬 었다 갈 수 있음과 동시에 활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Existing open space such as Sejongno park, Gwanghwamun Plaza, Sejong-ro is not for staying but for just one-off thing. Seeks to give life to the street by putting a program called ‘dynamic sports center’ on site. Skatepark and bicycle rental shop are on ground floor which is duplex space. Also, you could stay and see the inner activities of people around the cores. Through this, people could rest and at the same time street will be invigorated.
Program
복합스포츠센터 코어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높은 층고, 우측에는 기존의 층고를 유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을 배치했다. 1층에는 자전거대여소와 스케이트 보드장을 두어 주변 관광지를 편하게 둘 러보거나 광장에서 구경할 수 있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Program
98 99
Facade Concept
CONCEPT과 부합하는 형태 디자인
산자락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타공
프로그램을 고려해 OPENING을 내고 휨으로써 극적인 느낌
Material
pre patinated copper panels
Detail
Multi-Layered Newspapers 주한미국대사관 리모델링 프로젝트
여수진 Sujin Yeo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실외에서도 각 국의 소식을 접할 수 있는 뉴스 도서관의 전경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는 한국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가 기록되어있는 곳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곳이다. 또한, 정치, 경제, 외교의 중심이기도 하 다. 여기에 주한미국대사관이 위치해 있다. 이러한 도시맥락과의 조화 및 효 율성을 고려하여, 세계 각 국의 소식들을 한 곳에서 찾아보고 실시간으로 파 악할 수 있는‘뉴스 도서관’을 제안한다. ‘뉴스 도서관’은 여러 신문들이 겹겹이 쌓여 층을 이루는 모습을 떠올리게 할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를 활용 하여 매스 및 공간을 구성해본다.
Sejong-ro is an important place because it is embedded wit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dditionally it is the center of politics, economy and diplomacy. The United States Embassy is located here. We propose a ‘News library’ that grasps real time news all over the world. The aesthetic quality of the ‘ News Library’ will be reminiscent of several stacked layers of newspapers.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00 101
Design Process 1
2
3
4
N
하나의 모듈는 서가와 책상을 배치했을 때의 총 길이로 함
0
2
6
12 M
0
2
4
8M
Facade Detail Section
Plan 6F
Meeting at the Center 중심에서 만나다
이승원 Seungwon Lee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프로젝트에서 사람들 사이에 교류와 소통이 일어나고, 그것을 통해 정체성 이 생산, 공유되는 것을 중요하게 보았다. 실내 광장은 플리마켓, 공연 등 이벤트들을 수용하며 교류의 중심이 되는 장소로 계획하였다. 실내 광장 을 중심으로 둘러싸며 동선을 따라 연결되는 공간들은 gallery, workshop, library 등의 공적인 기능을 가졌다. 이 곳은 기울어진 형태를 통해 더 적극 적인 소통을 한다. 광장은 하나의 큰 공간이지만 아래에서는 불특정 다수를 위한 public한 성격을 가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머무는 사람들을 위한 실내 광장의 성격을 가지게 되면서 자연스러운 소통을 이끌어낸다.
Design Process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makes identity within the society. This project aims to make people meet and communicate. The "Indoor Square" is planned for flee markets, concerts, and many different events. The spaces that are surrounding the space are for galleries, workshops, and libraries. The tilted shape of it makes these spaces more communicating. Lower part of the square provides public places and it provides more private area as it goes up.
N
기존의 모듈에서 한 베 이를 증축
건물 중심의 두 베이는 자유 로운 교류 공간으로 계획
실내 광장을 중심으로 기능을 가진 public space들 배치
기울어진 형태의 실내 광장 Site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Facade Detail
102 103
Elevation Diagram
Layered Facade
Gradational Elevation
Horizontal Variation
0
1
3
6M
1 Group Work
0
0.5
1.5
3M
4
2 Conferene Room 3 Lobby 4 Outdoor Work Area 5 Library
5 1 3
2
0
2
6
12M
Section N-S
Continuous Plaza 주한미국대사관 리모델링 프로젝트
주하나 Hana Joo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광화문 광장에서 바라본 전경
현재 삼청동에서 청계천을 잇는 중학천의 복원이 진행 중이며 사이트 뒷편 으로는 인사동, 종로 등의 문화적인 축이 연결된다. 따라서 광화문 광장으 로 대표되는 앞과 뒷편를 이어주는 광장을 조성하여 시민들의 휴식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함께 공공의 수요를 위한 예술 도서관을 프 로그램으로 하고 내부에도 외부 광장이 연결되는 듯한 중심적인 공간을 만 들어 자연스러운 교류를 유도한다.
A
0
1
In this place, restoration business of the Junghak stream is in progress. And behind the site, it can be connected to axis of culture: Jongno, Insa-dong, etc. So I formed ‘breathing plaza’ that link front side represented by Gwanghwamun Plaza and the back side. For the public, this building is used as Arts Library. And I induce accidental encounters by making central space leads to plaza.
A’
3
6M
Section A-A’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0
1
3
6M
104 105
Wall Section
자연스러운 교류를 유도하는 수직의 내부 광장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URBAN DESIGN 도시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영역의 도시 컨텍스트와 건축물의 상관성 인식을 목적으로 공공영역 디자인 사례조사 및 도시읽기를 바탕으로 공공성 영역 및 해당 시설을 디자인한다. 도시의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맥락과 물리 적 환경의 상관성을 이해하며 그 속에서 건축이 만나면서 발생하는 건축 혹은 도시의 위상과 그 관계성들을 탐구한다. 또한 구체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을 통해 도시환경의 스케일과 형태 상관성을 분석하며, 구체적인 영역을 사 이트로 정하고 거리 혹은 공간영역 안에서 행해지는 행위를 지원할 수 있는 공공성의 영역 및 해당 시설을 디자인한다. 이는 소정의 건축시설을 포함하 여야 하며, 건축물과 외부 공공공간의 상관성에 대한 입장을 드러내어야한다.
STUDIO TUTORS: Hyoung-gul Kook Daun Yoo
팔멍사멍 원주민과 관광객이 대평리스러움을 느끼며 소통하는 길
박일형 Ilhyoung Park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해안가, 소박한 마을이었던 제주도 대평리는 최근 몇년간 관광지로의 급변 을 겪고 있는 마을이다. 하지만 원주민들은 그 물결에 참여하지 못하는 상 황이다. 하여 가장 대평리다움을 유지한 길에서 원주민과 관광객이 소통 할 수 있는 길을 계획하였다. 관광객은 주민의 삶의 길에서 그들의 대표 농 작물인 마늘을 소비하고, 주민들은 관광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수익 을 창출한다.
Seaside towns, Daepyeong-ri is changing to a tourist destination. But the natives can’t take part in the change. So I desinged the communication path of tourists and the natives. Tourists will consume agricultural products: garlic, and the natives will make profits by the garlic in the communication path.
Masterplan
Design Strategy
관광객과 주민의 공존을 위한 계획과 SITE 선정
원주민 수익
관광객 체험
물리적인 경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통이 가능하게 하는 돌담
SITE
주거 동선 관광 동선 관광 보행자
돌담으로 형성된 기존의 길
새로운 MEETING POINT제안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08 109
N 0
Linear Approach
창고 건물이 별채로 존재하는 대평리의 주거의 특징을 이용
돌담으로 형성된 현재의 길
잉여공간인 창고로 인도 확장
4
12
24 M
MEETING POINT
주민입구
가공품 공동작업장
마늘 가공 체험실 광장
Flowing Intersection 사람중심의 로터리. 제주도 원도심, 동문로터리
김은영 Eunyoung Kim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제주도 원도심은 관덕로 동문로터리 방면 도로에서 신호등 대기 차량이 중앙로 사거리까지 줄을 잇는 등의 교통문제가 심각하다. 제주도 거주민도 교통문제의 심각성을 말하고있으며, 원도심을 살리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이 교통체계 개선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에 다니는 버스 뿐 만 아니 라 제주항-동문로터리-제주국제공항을 잇는 트램, 여행객들이 탈 수 있는 자전거를 환승할 수 있는 환승센터를 동문로터리에 설치하여 제주 원도심 의 구심점 및 대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old Jeju city has big traffic problems. Traffic on the thoroughfare is choked with vehicles. So we have to improve old Jeju city's traffic system to save the old Jeju city. The rotary has big benefit that makes the flow of traffic smoothly. The transfer center acts as a pivot and the main gate of the old Jeju city. This transfer center will be able to concentrate people who visit the old Jeju city and they can transfer to other vehicles or walk.
Design Process 1
2
기능적인 동선 외 부분의 지하를 활용 산지천, 산지로의 보행자도로, 환승센터와 지하에서 연결
기존의 플랫한 모습을 하고 있는 동문로터리
3
기능적인 동선에 의해 형성, 사람의 동선이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전체 동선을 wrapping
4
제주 원도심의 대문으로서의 환승센터 형성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 2 3 4 5 6
보행자 로터리 버스 대기 장소 트램 대기 장소 버스 정차 구역 트램 정차 구역 보행자 도로
110 111
6
3
2
5
4
1
Site Plan
N 0
5
15
30 M
Concept
사람중심의 로터리 기존 4차선의 산지로를 2차선으로 줄 인 뒤 보행자, 자전거 위주의 도로 확충
징검다리 칠성통 제주 원도심 도시설계 프로젝트 박정민 Jungmin Park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N 0
1
3
6
2008년 침체된 옛 제주시 중심 상권을 회복시키기 위해, 길이 435m 칠성로 위에 너비 3.9m, 높이 11.6m의 철골구조물 아케이드를 만들었다. 아케이드는 사람들이 칠성로를 쉽게 인지 할 수 있게 Identity를 부여하고, 우 천시에도 쇼핑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준다. 그렇지만 기존 건물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구조물이 상층부의 시야를 방해하고 있어, 오히려 상층부 상권은 완전히 죽이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일관된 디자인으로 하늘을 막아버렸 다. 적극적인 건축행위가 아닌 기존의 도로 위에 천정을 설치하여, 외부공간을 실내공간화 하는 것 이상의 의미 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런 기존 구조물을 이용하여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없앤 데크 디자인을 하였다.
There are people who keep their stores, but people don’t live here anymore. The street is empty where it was lively and there is no culture, story and life.There is an arcade at the street that hide the beautiful sky. It will be 500 meters long and 6 meters wide. The arcade was designed to hide windows regard to existing buildings' elevation. Actually, the arcade is an important factor in environment improvement business. However, it is not active architectural designing. So far, it is only to replace outdoor Space with indoor. 기존 아케이드의 모습
1
2
Design Process 1
아케이드를 걷어낸다.
2
3
4
H : 2층슬라브
3
기존 아케이드
4
아케이드를 걷어낸다. 아케이드 제거
기둥을 이용하여 데크를데크를 만든다. 기존 기둥을 이용해 만듬
데크가 있는데크와 쪽은 데크 밑에 간판, 표지판이 기둥에 달림 없는 쪽은 기둥에 간판이 붙는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일도1동 주민센터
옥상정원
일도1동 주민센터 ,쉼터
CAFE 편의점
예술가 공방
야외 전시공간
테마카페 칠성단
예술가 공방
예술가 공방
예술가 공방
야외 전망대
옥상정원 예술가 공방
안내 문화센터
Program Diagram
제주목관아, 관덕정, 예술문화거리에서 이어지는 예술문화흐름을 칠성로 출입 구 부분까지
PUBLIC SPACE 들은 데크에 의해 적극적으로 연결
1층 건물 지붕에 옥상정원
2층부의 많은 빈집들을 예술가들 에게 임대하여 공방 사용. 데크를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소통
112 113
MASTERPLAN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LEGEN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14 115
Transitional Movement 도시설계 프로젝트 Wanchien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The project focuses on the urban transi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realm which is often result in the condition where the interface layer is left unplanned. In the case of Changsin Ssangyong Apartment, slope topography has created harsh division between spaces, thus led to fragmentation of communal areas. In respond to the urban threshold, new intermediate space is inserted to serve as the transitional spa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area. The project is conducted focusing on two areas: ground level transition space between open areas and apartment blocks, and intermediate floor sky terrace to connect the apartment blocks and to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at high leve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16 117
1 Extending sky bridges out 2 Inserting perpendicular entrances 3 Creating pilotis spaces 4 New massing as horizontal connection 5 Expansion of units
1
Entrances to apartment blocks
2
3
4
5
N 0
5
15
30M
Sky Bridge Level +67.0m
South Elevation
Community Gymnasium 쌍용아파트 외부 대지를 이용한 아파트 내외부 커뮤니티 활성화
최유정 Yoojeong Choi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GYM
SHOP
SHOP
SHOP
SHOP
N
창신 쌍용 2차 아파트 서쪽 경계부의 커뮤니티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할 체육관 지층평면도
이 대지는 창신 쌍용 아파트의 가장 서쪽의 경계부이다. 경계를 따라 약 20m의 레벨 차이가 있으며, 여러 단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렇게 심한 레벨 차이에도 불구하고 경계부 밖에는 운동장이나 공원 같은 오픈 스페이스가 여럿 존재하지만 잘 쓰이지 않고 있다. 이 곳에 체육관을 지음으로서 주민 들이 아파트 경계 밖 오픈 스페이스로 쉽게 접근할 수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 지름길은 쓰이지 않고 있는 오픈 스페이스를 실내외 활동/스포츠 허브로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ANJI ENTERANCE
This site is the westest part of Changshin Ssangyong APT, where the level difference within the danji boundary is about 20 meters, and there are several layers of level. Even though there is a huge level difference, there are many open spaces having potential as a public space to be shared. By building an indoor gym at the boundary, residents can easily cut through to the other side. This shortcut can activate unused open spaces and make these area an in/outdoor activity & sport hub. OPEN SPACES
지름길이 없는 창신쌍용아파트 현황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Design Diagram
118 119
96.2
108.5
Car Circulation 90
◀
Pedestrian Deck Crosswalk
105.6 102.4
◀
Badminton / Tennis Court 97.5
Seating Stairs
106.1
Pedestrian Only Pathway Childcare
112.6
Schoolyard Park & Playground 106
105.7
110.6
116.8
Church
Plaza
SOCCER FIELD CHILDCARE
BADMINTON/ TENNIS COURT
Site Plan
101.1
PADESTRIAN
GYM
CAR
GYM
CIRCULATION
DECK
CIRCULATION
DECK
DANJI
INDOOR GYM INDOOR GYM
PLAZA INDOOR GYM INDOOR GYM INDOOR GYM
VERTICAL CIRCULATION
SEMIPUBLIC AREA
INDOOR GYM
SEMIPUBLIC AREA
SEMI-PUBLIC AREA
CAFE SHOP
0
1
3
6M
Section diagram
Seamless Plaza 아파트단지 광장 디자인
정민지 Minji Chung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현재 마장동 현대아파트는 낮시간에도 단지 내가 조용하다 못해 고요하다. 이는 단지 내 커뮤니티 공간이 단조롭고 작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현대아파트의 단지 와 옆 아파트를 단절시키던 3m의 레벨차이를 단지의 중심으 로 옮겼다. 새롭게 생긴 단지 중심의 레벨차이에 주민들이 필 요로하는 기능을 갖는 매스를 끼워넣고 그 중앙에는 넓은 오 픈스페이스를 두어 단지 내 행사등 다양한 이벤트가 일어날 수 있도록 했다.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다양한 레벨의 공간을 넘나들며 광장 공간이 활성화되도록 했다.
The current center of danji is not activated because of monotonous and small spaces for community. Therefore the objective was that creating central community plaza which is always activated. By making ground multiplication and plug in masses which has function that reflects the demand of residents. 레벨차이와 오픈스페이스를 이용해 단지 내 행사등 다양한 이벤트가 일어날 수 있도록 했다.
Process Diagram MARKET SCHOOL
STREAM ANOTHER DANJI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20 121
A
A' N
0
1
3
6M
Site Plan
Section A - A'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PUBLIC LIBRARY 연면적 5,000㎡ 내외의 교육시설 설계를 통하여 대지의 지형적/환경적 요인과 프로그램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축 및 외부공간을 종합적으로 디자인한다. 먼 저 교육시설에 대한 사례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과 사회문화, 그리 고 건축공간의 상관성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적, 지리적, 역사적 문맥(Context) 에 맞는 교육 및 연계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다 양한 구축방법(Tectonics)에 대해 연구하여 최종 설계안으로 발전시킨다. 마지 막으로 내/외부공간의 무장애설계(Barrier-free Design)을 설계에 적용하고 주 요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심화발전시킨다. 건축디자인의 내용적 측면과 더불 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건축적 재현(Representation)방법을 탐구하고 개 념의 창의적 전달방법을 습득한다. 이번 스튜디오에서는 다양한 학교시설이 분포되어 있는 주거지역에 연면적 3,000㎡ 내외의 공공도서관 설계를 함에 있어 대지의 지형적,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시대적,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오는날 특정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공공 도서관의 성격을 재정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프로그램의 관계를 이 해하고 건축 및 외부공간을 종합적으로 디자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유사 사례들의 조사를 통한 도서관이 갖는 프로그램 및 공간의 특징에 대한 이 해를 바탕으로 안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안에 맞는 합리적 구축방법을 연구하고, 공공건물이 갖는 사회적 의무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프로그램적, 공 간적으로 적용하는 기회를 갖는다.
STUDIO TUTORS: Sojin Lee Hyoung-gul Kook Hyunah Kook
Through Library 외부로 통하다, 내부에서 통하다
이수형 Suhyung Lee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주 출입구에서 바라본 도서관 전경
현 강서도서관 부지에는 통행량이 많으며 전체적으로 경사진 지형에 위치해 있다. 외부는 자연스러운 경사면을 통해 부지를 관통하고, 내부는 보이드 공 간을 통해 시각적인 관통을 구현하고자 했다. 대지 자체를 재단해 경사면 아래 공간을 주차창, 서고, 어린이 도서관으로 활용하고 둔중한 직육면체 매스를 더 하여 경계는 확실히 두면서 적절한 녹지를 확보하였다. 건물 내부에는 보이드 공간이 존재하며 각 층은 불규칙한 평단면을 가진다. 이로 인해 수직적 시선 의 교차가 일어나며 이 공간을 가로지르는 계단이 수직적 경험을 배가시킨다.
The building is located in sloped site which have relatively a lot of pedestrian traffic. I took penetrability into both exterior and interior space in different ways. This slope connect both side of entrance and make easy to approach library and by adding box in this slope, the library can retain much green. There are void in interior space. Each plan and section have irregular plan and this factor lead to vertical intersection of one’s eye. In addition, stairs which cross this large void make more various visual experience.
N-E Elevation
124 125
N-
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S-E N
0
3
9
18M
Site Plan
S-E Elevation
Reading Village 작은 동네 속에 흡수된 도서관
김새롬 Saerom Kim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등촌동은 단독주택 및 다세대 주택이 대다수를 이룬다. 대지 인근에는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고, 마을의 중심부에 대지가 위치해 있다. 마을의 보행로, 학생들의 등하굣길이 될 수 있는 길을 도서관 대지 내에 제공하여, 주민들이 도서관을 접할 기회를 극대화했다. 대지를 가로지르는 큰 축이 주동선이 되 고, 이 동선에서부터 이용자의 목적에 맞는 건물로 이동하게 된다.
Deungchon-dong mostly consists of detached houses or multiplex houses. Schools are located nearby site which is the center of villages. By providing roads for pedestrians of the villages and the students commuting to school inside the library site, availability of the library for people will be maximized from this project.
Concept Diagram
중앙의 길을 중심으로 세 개의 매스가 대지의 형상을 따라 자리 잡아 작은 도서관 마을 을 형성하고, 매스로 인해 생기는 야외 공간들을 최대한 건물과 연계해 이용하려 했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126 127
1 Study Room 2 Library 3 Junior’s Library 4 Book Cafe 5 Seminar Room
1 2
5
4
3
Ground Floor Plan
N 0
3
9
18M
North Elevation
Section
Greebrary : Green + Library
최수진 Sujin Choi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주출입구에서 바라본 풍경
SITE의 주변은 학교들과 주택가 위주이다. 주민들이 평소에 즐기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녹지가 부족하다. 따라서 녹지 속에 자리잡은 도서관을 구상 하여 사람들이 마치 자연속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양쪽으로 큰 오픈스페이스를 두고, 도서관 방문자들을 위한 공원으로 계획 했다. 대지의 축을 반영하여 도서관을 배치하고, 건물과 건물 사이를 관통 하는 공간을 두었다. 큰 길로 두 오픈 스페이스를 연결하고, 그 위로는 건물 과 건물을 연결 하는 휴게 공간 및 구름다리로 이용했다.
Arrounding site are mostly schools and residential areas. There are not enough green areas that inhabitants can enjoy and rest. Therefore I plan GREEBRARY, they can get vibe appearing as if placed in nature. In SITE, I design both sides of Open space and park for visitors of library. I arrange library applying axis of site and perforative place between buildings. Both sides of Open space are connected by perforative road. Overbridge can be rest place and connect between buildings.
Concept Diagram
Program
공원 속의 도서관
사용자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
EXCHANGE 두 진입로를 기준으로 큰 오픈스페이스를 둠
오픈스페이스를 제외한 공간에 도서관 계획
오픈스페이스와 도서관의 중첩 : 길과 휴게공간
본관 : 주로 일반 이용자들을 위한 공간 - 강당, 자료실, 열람실 별관 : 주로 특정 이용자들을 위한 공간 - 어린이 열람실, 실버 자료실, 문화교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128 129
1 Toilet 2 Reading Room 3 Terrace 4 Reference Room & Restroom
2
5 Child Reading Room 6 Terrace & Exterior Restroom 7 Cafe
3
1
2
4
6
5
1
7
N
0
3
9
Plan 3F
18M
주출입구 진입로
열린 열람실
부출입구 진입로
Section
Walking in the Library 흐르는 도서관
이미성 Meesung Lee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사이트는 전면에 빌라가, 후면에 학교가 위치해있어 주요 동선은 좌우의 길들이 다. 사이트에 접해있는 좌우의 진입로를 연결해 동선을 만들어 길을 지나는 사 람들을 유도한다. 연결된 동선 건물 안으로 연장해 사람들을 도서관 내부로 끌 어들인다. 연장된 동선은 도서관 안에서 램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계속되어 사람들이 끊임없이 도서관 안을 거닐게 한다. 동선 안에 서고가 녹아들어있어, 도서관 안을 거닐며 자연스럽게 책을 접하도록 유도된다.
In front of this site, villas locating while the school building is behind, creating main circulation from both sides of the road. Connecting both sides of entrance to make the circulation leading people get into the site. Extending those connected circulation to induce people into the library. The ramp inside of the building extending circulation once again, so that people could stroll the whole ways of the building.
Concept
Program the Flowing Library
6
책을 접하도록 유도하는 공간
6
core 1
동선에 자연스럽게 녹아든 서고
7
4
2
9
7
3 10
8
5
서로의 행위를 바라볼 수 있는 동선
9
10
8
1 Lounge 2 Open reading room
끊임없이 연결되는 동선
3 Browsing room 4 Teen’s reading room 5 Kid’s reading room
Rotating Circulation One Way Circul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130 131
1 Teen’s reading room 2 Study room 3 Browsing room
3
1
2
N 0
3
9
18M
Plan 2F
North Elevation
Open and Communicate 열림 그리고 교류의 도서관
신희정 Heejung Shin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출입구에서 바라본 도서관 전경
바쁜 사회 속에서 여가 시간에 순수 독서를 목적으로 도서관을 방문하는 사 람의 수가 감소했고, 사람들 간의 교류도 줄어들었다. 새로운 도서관은 어 른과 어린이 모두가 여가 시간에 찾아와 편하게 독서를 하며, 다양한 소통과 교류의 경험을 할 수 있는 도서관이다. 사이트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큰 길 은 통로의 역할과 동시에 통과해가는 사람들이 도서관과 교류를 할 수 있다.
The number of people visiting library with purpose to read books has been decreased, so has the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The library would be a place where both adults and kids can freely visit to read books and have variety of experiences about communication and interchange. The road which crosses the site will be a place where visitors or passersby can interchange with the library.
READ READ OPEN OPEN
→
+
COMMUNICATE COMMUNICATE
LIBRARY LIBRARY
TERRACE TERRACE
2000mm 350mm 500mm
길에 있는 사람과 이용자, 프로그램 간의 교류는 테라스에서 이루어진다. 회전 창문을 통 해 테라스로 나가 독서를 할 수 있고, 프로그램 간 이동시 사용하는 통로의 역할도 한다.
테라스 공간 개념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N
132 133
Plan 1F 0
3
6
12M
North Elevation
Book 村
마당과 골목길을 가진 마을같은 마을같은 도서관
양효실 Hyosil Yang 국현아 스튜디오 Hyunah Kook Studio
강서구 등촌2동 깊숙히 학교들 사이에 위치하여 있는 현재 강서도서관 부지 에 주민들을 위한 도서관을 새로 설계하였다. 다양한 사용자들이 어울릴 수 있는 마당들 과 골목길을 제공하여 도서관 내에서 커뮤니티가 형성 될 수 있 도록 돕는다. 아이들과 어른들, 학생들과 주부들 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모습 들이 서로 건너다 보이기도 하면서 도서관은 활기를 띄고 독서활동은 그 안 에 자연히 스며든다.
This library is designed for residents in Deungchon-dong, where has schools and many houses. The alley and yards in the library make users to mix with various neighbors who visit the library and help to form a community. Children and elder people, students and housemakers can look out over each others’ activities and it makes the library lively. Reading activity pervades in them naturally.
Concept Diagram
중간사이즈로 대지를 조각냄
서로 단 차이를 두어 배치
일부는 바닥이 되고, 지붕이 되면서 전체적인 모습을 만듦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134 135
1 독서실 2 소극장 3 어린이 도서관 4 열람실
1 2
3 4
N
0
3
9
Plan 2F
18M
Section A-A’
로비에서 중정을 바라본 뷰
어린이 도서관 뷰
가족을 품은 도서관 Courtyard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정재영 Jaeyoung Jung 국현아 스튜디오 Hyunah Kook Studio
강서도서관을 찾는 사람들은 다양하지만, 이들은 주변에 살고 있는 가족 구성원 들 중 한 명이다. 도서관을 찾아왔을 때, 각자 원하는 활동을 즐기면서 '서로가 마 치 한 공간 안에 품어져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도서관은 과연 어떤 곳일 까. 우리는 실제로 같은 공간 안에 있을 때 뿐 아니라(courtyard), 각자가 다른 곳 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서로의 시선을 자유롭게 공유함으로써 상대방과 거리감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느낄 수 있다. 다양한 공간적 특성을 통해 사용자들간의 시 각적 혹은 심리적 거리감을 줄여 한 공간안에 품어져있다는 느낌을 전하게 된다.
The people who came to 'Gangseo public library' are diverse. These people must be family members living in the surrounding. If these family came to this library, they may be desire to enjoy their activities, and want to get the feeling that they are in the same space. We feel 'Coexistence' expecially when we can confirm the presence of each other over the line of sight; of course when they are in the same space(Courtyard).
Concept Diagram
Exploded Diagram
ENCLOSED COURTYARD
VOID SPACE
SKIP FLOOR
HALL OUND
ROOM N DESK ROOM ZONE . CAFE
443
33
11
1
2
22
5
55
9 9
66
9
6
77
1 Cafe
2
2 Children Space
7
3
1
3 Information
88
4 Cloak Room
8
5 Care For Children Room 6 Cafe
136 137
4
4
7 Education Hall 8 Study Hall 9 Children’s Playground
5 Plan B1F
N
AFE ACE . CAFE ESK SPACE OM DESK OM ROOM AFE ROOM ALL . CAFE ALL HALL N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0
2
6
12M
0 1
6
3
0 1
11m
3
6
11m
Elevation
0 1
3
6
11m
Section A-A'
Fiorid 강서구 등촌동 공공도서관
허윤정 Yunjeong Huh 국현아 스튜디오 Hyunah Kook Studio
등촌동은 다가구 주택, 연립주택 밀집지역이며, 인구수에 비해 녹지공간이 부 족하다. 이 곳은 작은 mass사이에 좁은 골목으로 연결되며 하나가 된다. 가파 른 대지 조건을 이용해 완만한 산을 절토한 후 그 곳에 각기 다른 작은 mass 를 설정한다. 프로그램 특성상 주민이용부분으로 나뉜 후 땅에 묻혀 있는 통로 로 연결되어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Deungchon-dong is the multi-family houses, townhouse area, where this green space is insufficient. There is the narrow alley formed between the small mass. They are connected due to the alley and form one. Set up a small mass there, using the steep ground conditions in Deun-gchon-dong and a gentle mountains cut after construction.
Concept Diagram
Form
Division
Transform
Creat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138 139
Program Diagram 관리자 이용부분 주민이용부분
완전한 공공성 중간의 공공성 실내의 공공성
프로그램에 따라 주민이용부분, 관리자이용부분으로 구분
N 0
3
9
18M
Plan
The Green Roof 강서구 등촌동 공공도서관
정한아
Hana Jeong
국현아 스튜디오 Hyunah kook Studio
국현아 스튜디오 1205044 정한아
CONCEPT
현재 site인 강서도서관은 도서관의 역할 뿐 만아니라 주민들의 통행길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주위엔 넓은 녹지공간이 부족하다. 이 두 가지의 것 을 결합하여서 도서관의 지붕을 통행로와 공원의 역할을 하도록 GREEN ROOF로 하였다. 도서관이 전반적으로 지하로 들어가게 되어 부족한 일 조량을 채우기 위하여 중간의 넓은 썬큰공간을 만들고 뒤쪽의 매쓰를 끌 어올렸다. 이러한 매쓰의 흐름이 전반적인 공간에 햇빛을 받을 수 있게 하 고 도서관 내의 시스템에도 작용하여 전체적인 도서관 내부가 흐름이 느 국현아 껴지도록 설계를 하였다.스튜디오 1205044 정한아
GangSeo Library is used by a passageway of residents. There isn’t a green space to rest in their time aroud site. Combining these 사람들이 two causes, I make roof of library into GREEN 사용하는 기존 동선을 그대로 유지하고자 했고 ROOF for 또한 이 녹색공간을 만들어주며 자연스럽게 doing role of 지역의 park and passageway. The library goes to under이끌 수 to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것을amount 만족시키기 ground사람들을 entirely. So, retain insufficiency of sunshine, 위해서 땅의 모양을 변형해서 자연스러운 녹지공간을 make wide sunken space and pull in the behind mass. I design 창출하고 그 내부에 도서관을 위치시켜 자연스럽게 땅 taking 속으로 sunshine a all-round a flow of mass and 들어와for 도서관을 체험하는space 느낌을 by 주도록 하였다. interacting inner library system.
CONCEPT Mass study
Circulation diagram
CIRCULATION DIAGRAM
+1 LEVEL PLAN
Main MainCirculation circulation Vertical Circulation Vertical circulation
매스를 땅에서 끌어 올려 기존 등촌동의 특징 본 건물을 만듦 했고 사람들이 사용하는 기존 동선을 그대로 유지하고자 또한 이 지역의 녹색공간을 만들어주며 자연스럽게 사람들을 이끌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것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땅의 모양을 변형해서 자연스러운 녹지공간을 창출하고 그 내부에 도서관을 위치시켜 자연스럽게 땅 속으로 들어와 도서관을 체험하는 느낌을 주도록 하였다.
땅에서 끌어올린 매스의 형태에 맞추어 땅으로 흡수되는 동선으로 계획
땅의 변형에 맞추어서 동선도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점점 내려가는 형식을 취했다. 전반적으로 땅의 흐름과 내부의 흐름을 같이하여 땅과 함께 움직이는 느낌을 내도록 하였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140 141
1 Lobby 2 Study Room 3 Library 4 Reading Room 5 Culture Center 6 Rest Zone 3
7 Kids Library
4
3
1
6 7
1 5
N
0
3
9
Entrance level Plan
18M
B’ A’
B A
Section A - A’
Section B - B’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HOUSING PROJECT 동시대 거주문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집합주거공간의 단지설계, 건축설 계 및 인테리어설계의 통합적 설계능력을 발전시키는 과정이다. 집합주거 공간 및 관련시설들의 성격 및 관계를 체계화하고 이를 프로그래밍(연면적 5,000㎡-10,000㎡)으로 조직한다. 이를 바탕으로 단지계획, 단위공간의 구 성 및 조합논리를 탐구하고 설계한다. 또한 프로그램과 공간의 시스템적 접 근과 구축형식을 탐구하고 디자인한다. 동시에 거주단위공간에 대한 인테리 어스페이스를 디자인하고 전체공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여 일관성 있 는 건축프로젝트를 완성한다.
STUDIO TUTORS: Yoonhie Lee Jongmoon Choi Hyunah Kook
Co-Ring Village 연결된 공간, 이웃과의 어울림
김효정 Hyojeong Kim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단지안에서 연결된 외부를 바라보는 풍경
신영동은 북악산, 북한산, 인왕산으로 둘러 쌓여있고, 그 사이 홍제천이 흐르 고 있다. 이런 환경 속에서의 주거는 단지사람들만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것 뿐 만 아니라, 인근에 있는 자연적인 요소들과 함께, 주민들과의 어울림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직 간접적으로 통할 수 있는 '동네'라는 최소한의 범위를 잡고, 사 람들이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고 엮어 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And Sinyeong-dong is surrounded by mountains, this hongjecheon flows between them. Residents of housing in these circumstances, People living in harmony and can live with the natural elements in the neighborhood.That could work directly or indirectly holding a minimum range of 'Dongne', and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have an interest to be woven together.
Mass Develop
동네를 위한 광장 구획
향을 고려한 매스 배치
매스 분리
지상 연결과 매스와의 연결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144 145
N 0
1
3
6M
Roof Plan
홍제천에서 본 광장
유닛들과의 관계
Elevation
안락安樂을 품다 노인과 어린이를 위한 신영동 공동주택
신희정 Heejung Shin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단지 내 보행자 전용 공간
서울시 종로구 신영동에 위치한 1인 노인 가구와 어린 아이가 있는 3인 혹은 4인 가구를 위한 공동주택이다. 곡선 형태의 주거동이 중앙의 커뮤니티 시설 을 둘러싸고 있어 하나의 작은 마을과 같은 분위기를 형성한다. 단지 내에는 보호가 필요한 어린 아이나 신체적으로 쇠약한 노인 등의 거주자들이 생활 하기 편리하고 안전하도록 보행 전용 공간이 조성되어 있으며, 1층과 2층의 주거 유닛은 이러한 보행 전용 공간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다.
Housing for single elderly households and 3-4 member households with kids form a comfortable, village-like atmosphere. Roads inside the complex is only for pedestrians to enhance safety and convenience of various residents' such as children, weak and elderly. Units located on the 1st and 2nd floor have easy acccess to the outer space.
Unit Plan
1인 가구 유닛
3인/4인 가구 유닛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146 147
B’
A
73.8
73.2
73.3 72.7
73.8
73.8
72.1
72.6 71.5
72.1 71.0
71.5
B 73.2
70.5
72.6
70.6
69.6
70.0
N
A’
Plan 0
5
15
30 M
Section
Small World 외국인을 위한 공동주거 프로젝트
정한아 Hana Jeong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서울의 중심인 중구는 자연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인 중심지의 역할도 하고 있다. 또한 모든 교통이 지나가는 곳으로 익숙 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충분한 편리함을 제공해 줄 것이라 생각하 였다. 그 중에서도 요즘 우리나라로 들어와서 사는 외국인들이 최근 10년동안 약 3배 증가하였지만 그들만을 위한 공간은 수요만큼 충 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새로운 장충동 주거단지에 외 국인 전용 단지를 만들어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이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담아보려 했다.
Jung-gu, center of Seoul, plays role not only natural element but also social, cultural element. Because there is easy of access, it will offer sufficient convenience for unacquainted people. Most of all, nowadays, foreigner living in Korea is increased about three times during the past 10 years. But, we don’t fill space only for them insomuch their demand. So, design Residence Complex for Foreigner in Jangchung-dong residence for another cultural people place living convenience.
Concept
Bring into
단지 안으로 끌어들인 녹지를 유닛 내부까지 연장함 Low in High
Figure ground map
1F 유닛들로 둘러싼 소규모 마당과 단지내 산책길을 조성함
2F 골목길에서 바라본 뷰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0
3
9
18 M
148 149
Plan 2F
Section
N
자연에 물들다 환경적인 특징을 활용한 공공주거 디자인
한승연 Seungyeon Han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단지 내 모습
Housing이 위치한 곳은 신영동으로 신영동은 서울의 복잡한 도시와 다른 자 연을 품은 작은 동네이다. 사이트의 지형적인 특징을 살려 환경적인 요소( 빛, 바람)를 최대로 이용하였다. 사이트는 Green zone과 Grey zone으로 나 뉘며, 자연적 요건을 살린 Green zone은 산과 연결된 단지 내 숲을 컨셉으 로 공간을 연출하였고 각각의 unit에서 외부로 나오면 Green zone으로 이루 어진 외부공간과 바로 만나도록 디자인하였다. Grey zone은 도시의 삭막한 공간과 경계지역으로 단지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전이공간 역할을 한다.
This Housing is located at Shinyoung-dong. Shinyoung-dong, it is a small village that embraces nature, is diffrent from Seoul which is comlicated city. Its design considers geographical feature, especially environmental feature - Light, Wind. The site seperate Green zone from Grey zone. Green zone’s concept is small forest that is continued from mountain in site and each unit meets exterior space which has natural condition. Grey zone is boundary with soulless city, can be transitionl space from outside to inside.
Diagram
유닛들간 어긋나게 배치하여 더 많은 면이 외기와 만나도록 하였고 창의 크기를 최대로 하여 자연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넓게 만듬
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0
5
15
150 151
30 M
Plan
Section
장충동 공동주택 프로젝트 장충동 공동주택 프로젝트
김영주 Youngju Kim 최종문 스튜디오 Jongmoon Choi Studio
장충동 사이트에는 큰 스케일의 공원, 문화시설은 많지만 동네 주민을 위한 오픈 스페이스가 없다. 따라서 거주민과 인근 동네 주민을 위한 열린 광장을 공동주택 안으로 끌어들이고,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외부를 향해 적극적으로 열린 광장은 거주민으로 선정한 아티스트들이 활용 할 수 있는 갤러리, 소호 샵과 연계되어 보행자, 동네주민, 거주민이 다양한 경험과 커뮤니티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In Jang-choong dong, there are many parks and cultural spaces for citizens. However, there is no small open space for neighborhood. Therefore, open plaza for residents and neighborhood was designed inside co-housing complex. Artists and designers are selected as habitants. They will run gallery and soho shop that are highly linked with open plaza. Pedestrians, neighborhood residents, and habitants will create diverse experience and community in plaza space.
N
Site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152 153
Unit Plan
Unit Type Soho
6
Unit Type 90m2
7 3
5
9
4
8 3 2
10
1 프라이빗 코트야드 2 커뮤니티 공방 3 북까페 4 주민회의실 5 멀티룸 1
6 영상관람실 7 키즈까페 8 어린이집
2
1
1 커뮤니티 공방
9 실내놀이터
2 커뮤니티 쉽터
10 관리실
3 공동육아 방
N
01
3
6
12M
Plan
Section
길 Community 신영동 공동주택 디자인
정재영Jaeyoung Jung 최종문 스튜디오 Jongmoon Choi Studio
신영동은 뒤로는 북악스카이 웨이의 산책로와 연결되어 있고, 앞에는 물이 흐르는 자연환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동네이다. 조금씩 다른 분위기와 크기의 4개의 마당들이 만들어지고, 그곳을 주로 이용하게 될 주민들에 의 해 다른 활동들이 발생하게 되며 하나의 새로운 오픈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Shinyeong-dong is connected to the trails of bukak-sky way, and the front of the neighborgood, which retains the natural environment, the water is flowing. Four courty yards which have different atmosphere and size are made, and other activities generated by the residents group.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154 155
SITE PLAN 1:400
노인형노인형 주거동 주거동 + + 부대 시설 부대시설
노인형 주거동 노인형 주거동
노인형 주거동 + 부대시설 노인형 주거동 + 부대 시설
MASTER PLAN INDEX 근린생활시설 근린생활시설
주민 진입로 부대시설 부대시설
차량 진입로
근린생활시설 근린생활시설
가족형 주거동
가족형 주거동
주거 + 근린 시설
가족형 가족형 주거동 주거동 ++
주거 전용 시설
근린생활 시설
근린생활시설 근린생활시설 근린생활시설
근린생활 시설
부대시설 N
OPEN SP ACE 0 3 6
12 M
Site Plan
Unit Diagram Block 1 가족형 BLOCK 1.
Block BLOCK22. 노인형
DIAGRAM Diagram
FLOOR PLAN Floor Plan
DIAGRAM Diagram
FLOOR Plan PLAN Floor 근린시설
근린시설
주거시설
주거공간 3인 UNIT
1인 UNIT
4F
4F
4F 유닛
주민들만의 SECRET GARDEN
4F 유닛
유닛
주민들만의 SECRET GARDEN
2,3인 UNIT
3F
유닛
1,2인 UNIT
3F
3F
Unit Plan UNIT PLAN
3F
UNIT PLAN Unit Plan 2,3인 UNIT
2F
TYPE 3 3인 가구형 (복층) 75m2 (약 25평)
TYPE 2 3인 UNIT 2인 가구형 45m2 (약 15평)
1F
1,2인 UNIT
2F
2F
1F
TYPE 1 1인 가구형 30m2 (약 10평)
TYPE 2 1인 UNIT 2인 가구형 45m2 (약 15평)
1F
2F
1F
Section
'네 앞에 마당' 소통의 시작인 머쓱한 인사를 야기하는 마당
정지우 Jiwoo Jeong 최종문 스튜디오 Jongmoon Choi Studio
현재 우리나라 사회문제 중에서 가장 심각한 것들 중 하나는 사람간의 단절 로 인한 소외감이다. 나는 그 해결의 실마리로 한옥의 '마당'이라는 개념에 주 목을 했다. 마당은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의 중간쯤의 개념으로 아파트의 ‘복 도’와는 사뭇 그 느낌이 다르다. 나는 준 사적 공간인 마당을 전면에 내세움 으로서 서로의 생활상을 살필 수 있기를 의도했다.
2세대 주거 Unit Type
Currently, one of the most serious thing in the Korean social issues is a sense of alienation by discontinuity between human. So I was the attention to the concept of 'Madang'(have same meaning with garden) of Hanok to clue of the resolution. I place ‘Madang‘ which is a quasi-private space on the front, so residents to be able to hear the life of each other.
2인 주거 Unit Typ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156 157
N
Site Plan
대청마루(거실) 가족끼리만 공유하는 사적 공간
마당 이웃과 소통하는 준 사적공간
0
1
3
6M
3세대 주거 Unit Type
V Complex 교통의 중심지, 장충동의 집합 주거 단지
최수진 Sujin Choi 최종문 스튜디오 Jongmoon Choi Studio
주상 복합동에 맞닿은 거리 풍경
장충동은 서울 중심에 위치하여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유동인구가 많으며 비교적 낮은 연령대가 많아 젊고 생산적이며 활기찬 분위기를 이룬다. 따라 서 도시적 성격을 통해 신혼부부와 대학생을 타겟으로 선정하였다. SITE와 맞닿은 도로 쪽에 주상복합을 계획하여 활발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주민들이 함께 공유 가능한 공간을 구성했다. 안쪽은 경사를 이용한 두 개의 마당을 가진 단지를 계획하고 부대 시설을 배치하여 사람들의 교류를 유도하였다.
Jangchung-dong is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There are much floating population and many relatively low age groups, so achieve a lively atmosphere. Accordingly urban character, I chose new married couple and university student. I planed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inhabitant can share a space together. The inside of SITE, I constituted two subdivisions, arranged facilities to induce exchange of people.
Concept Diagram
생활형가로 주민들이 같이 공유 가능한 공간 고려
주상복합 복잡한 보차도로 쪽에 활발한 분위기를 조성 저층부는 상업시설 고층부는 주거 배치
NETWORK 각 대지의 축을 이용해 교차시켜 만나는 NODE 에 부대시설을 위치하여 사람들의 교류를 유도 단지 출입구와 내부 마당 모습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N
0
4
12
24 M
158 159
Plan 3F
Section
Stack Up House 신영동, 쌓고 받아들이고 소통하다
김지연
Jiyeon Kim
국현아 스튜디오 Hyunah Kook Studio
신영동의 지리적 특징에따라 Stack Up House를 형상화 한다. 지하의 공간 을 열어주면서 열린 공간을 제공한다. 공용시설로 카페와 도서관, 어린이 놀 이공간이 제공된다. 주거단지는 좀 더 개인적인 공간으로 인식되며 주거단 지들은 일조량을 충분히 받기 위해 각기 다른 각도로 틀어진다. 주거의 진입 로는 산책로를 연상시킨다. 보행자 보도 곳곳에 휴식공간이 숨어있고 진입 부에 작은 공터가 마련되어 주민과 소통할 수 있다.
The Stack Up House is the figuration of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Sinyeong-dong . While opening the underground to provide an open space to the residents. Public facilities have a cafe, library, children’s play area. The residential complex is recognized as a more private space. Residential complex changed its different direction to get plenty of sunshine. Residential access road is reminiscent of the trails. The seating area is hiding around the pedestrian walkway and equipped with a small vacant lot and communicate with residents.
Unit Plan
공용 베란다
0
2
6
12 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160 161
N
0
10
30
60 M
Site Plan
Housing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1
D E
2 B 3
1 Childrenâ&#x20AC;&#x2122;s play area. 2 Library 3 Cafe
A
C B
Build On 쌓아가는 주거 공간
이미성 Meesung Lee 국현아 스튜디오 Hyunah Kook Studio
Community Band, Commercial Fence, Inner Green
장충동의 주요 연령층은 사회 초년생부터 장년층까지로, 활동기 성인들이 대 부분이다. 활동기 성인들은 Life Style 에 따라 다양하고 개성 있으며, Life Cycle에 맞춰 변화할 수 있는 주거공간을 원한다. 고정되어있는 구조 역할의 공간과 필요에 따라 Living Box 를 바꿔 넣을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해 다양한 주거 공간을 꾸밀 수 있도록 했다. ground plan 에 자리하고 있는 Community Band, Commercial Fence 와 Inner Green 또한 활동기 성인들의 다양한 욕 구를 충족시켜준다.
The major age group of Jangchung-dong including from mere beginners to elderly citizens. Adults in Active Period require various, personal residential spaces depending on Life Style and also changeable spaces by Life Cycle. For this, dividing fixed spaces of structural role and spaces containing Living Box from the residence modifying different residential spaces on personal demand. Located in ground plan, Commercial Fence, Community Band and Inner Green fulfill need satisfactory of the adults.
N 0
5
15
15 M
Site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162 163
City sclae 에서의 전경
Unit Plan
Plan 1F PART A
PART B
PART C
PART D
Plan 1F 0
1
3
6M
만남을 짓다 예술가의 마을 공동체
이지윤 Jiyoon Lee 국현아 스튜디오 Hyunah Kook Studio
사이트는‘마을 공동체의 회복’을 떠올리게 하는 곳이었다. 특히 예술적인 도시인 종로구와 멀지 않으면서 자연과 가까운 환경은 생생하고 지속가능한 예술가들의 마을 공동체를 만들기에 적합해 보였다. 그들이 작은 중정으로 집 중되는 창작공간과 얽힌 길들을 공유하며 주거에 적합한 예술가 마을을 이루 어 나가길 시도하였다. 공용공간은 3개의 레이어로 지역과의 연계를 위해 오 픈 스페이스, 작품전시와 공유를 위한 중간 전시 공간, 전체 주민들만을 위한 공연공간들을 구상했다.
Site was where to remind ‘Rrestoration of the village community’. Especially standing far as artistic city;Jongno, the site is close to nature so it looked fit to make a vivid and sustainable village community of artists. By sharing the streets tangled and creative space concentrated in a small courtyard, I want to try a residential artist’s village. Public spaces links with 3-layer; open space for local community, the middle of the space for exhibition, performance area for only residents.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164 165
N 0
5
15
30 M
Site Plan
Elev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SINGLE FAMILY HOUSE & RETAIL DESIGN 주택을 사례조사하고 도면 및 모형 연구를 통해 그 상호관계를 이해한 후, 2개의 소규모 건축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연면적 200㎡ 내외의 작가 작업실 겸 거주공간 디자인이며 두 번째 프로젝트로 연면적 400㎡ 내외의 소형상 업시설을 디자인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건축설계개념이 공간으로 전환되는 과정 을 탐구하고 건축적 구성요소가 공간생성논리와 구축논리로 체계화되는 과정을 학 습한다. 또한 건축공간과 사용자간의 행태상관성이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위한 건축공간을 디자인한다. 디자인과정에서 다이어그램 및 도면의 작도와 모형스터 디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STUDIO TUTORS: Daun Yoo Jeongjoo Kim Kiuck Zhang
The house of Healing 화가 권경엽의 주택
유선주 Seonju You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바다를 향한 배치
누구나 한번쯤은 치유할 수 있는 나만의 공간에서 마음편히 쉬고 싶다는 생각 을 해 보았을 것이다. 치유의 개념에 그림으로 접근하는 화가 권경엽을 위한 주택 설계를 통해, 치유의 의미와 그를 위한 공간적인 접근방법에 대해 고민 하였다. 중정을 둘러싸며 약간씩의 높이차를 둔 개별 매스들이 엇갈리며 조화 를 이루도록 하였고, 바다라는 자연에의 동화를 통한 치유를 중점으로 하였다.
Anyone has ever been thought about resting in my own space high-heartedly. Through house planing for a painter kyungyup kwon who approaches the concept of healing as her painting, I was concerned about meanings of healing and spatial approach method.I made several masses in harmony with a little misses and difference in height. And I emphasis on healing through assimilation into the sea. 6 1
7
8
1 그림보관실
5
2
2 작업실
3
3 발코니1 4 발코니2 5 마당 6 욕실
4
7 다락방 8 거실
N 0
2
6
12 M
Plan
Knotting the TWO 청실홍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168 169
신성희 Sunghee Shin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카페와 헌혈의 집이라는 다른 두가지 프로그램을 연결하여 매듭짓듯이 커피 를 마시던 사람이 자연스레 헌혈도 하고, 헌혈하던 사람도 나와서 음료를 마 시기도 한다. 헌혈의 집의 대기실과 카페의 좌석을 자연스럽게 연결해보고 자 한 점에서 시작하여 시각적으로도, 동선으로도 서로 접근할 수 있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좀 더 공동체적인 공간이 되길 바랬다.
0
1
3
6M
Plan 2F
A knot is that two different things tied to each other become harmonious and powerful. I tied the two different program as a knot; a cafe and a blood donation center. In this place people can affect each other naturally. The places are accessible and visible by each other. Also, by joining the drinking area of the cafe and waiting area of the center, the boundary gets vague.
N
Intersecting Time 시간, 공간의 교차
조채원 Chaewon Cho 김정주 스튜디오 Jeongjoo Kim Studio
작가 댄 브라운의 집이다. 층고를 달리하여 상이한 위계를 지니게 한 공간들 이 수직적인 기둥형 계단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시간축에 있는 사건들이 연결되는 것을 표현하였으며, 퍼즐처럼 구성되어 있는 공적 공간 과 사적 공간이 중첩되면서 제 3의 공간을 만들어내도록 설계하여 많은 사 건들이 교차, 상호작용하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전개되어 나가는 작가의 소 설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Plan 1F
This is the house of the author Dan Brown. I connected spaces, which have different floor heights and spatial hierarchy, with vertical columnar staircases, thereby depicting the interconnection of the events in different timelines. Besides, by overlapping public and private spaces, which I posed like a puzzle, to create the ‘third space’, I tried to reflect the author’s writing style; the interactions between numerous events lead to novel circumstances.
Plan 2F
Plan 3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House of Banksy 거리예술가의 소통공간
170 171
강다온 Daon Kang 장기욱 스튜디오 Kiuck Zhang Studio
외부에서 바라본 전반적인 모습
이 건물은 거리 예술가인 뱅크시를 위한 집이다. 자신의 모습을 숨기지 만, 그래피티, sns 등으로 사회와 간접적으로 소통하는 뱅크시에게 이 주 택은 또 하나의 소통공간이 된다. 이 주택은 뱅크시의 거주공간임과 동 시에 자유롭게 작품을 그리고 전시할 수 있는 갤러리이다. 이 곳을 통 해 뱅크시는 자신의 메세지를 전달하고, 외부사람들도 자유롭게 드나들 어 이 갤러리를 감상하며 작품에 담긴 뱅크시의 메세지를 읽을 수 있다.
This house is for a street artist called Banksy. Banksy’s appearance is veiled, but he communicates indirectly with the society by his graffiti arts, SNS, and so on. This house would also be a space of communication. This place is not only a house, but also a gallery where he can freely do his art works. Therefore, Banksy can send his message to people by his works, and people can look around this gallery, reading the message contained in his artworks.
N 0
2
6
12 M
Plan 1F
Plan 2F
House for Rest 일상에 지친 당신을 위한
김희주 Heejoo Kim 장기욱 스튜디오 Kiuck Zhang Studio
핵심 주제 중 하나인 '일탈'과 지형에대한 배치를 보여주는 전경
바쁜 일상에 지쳐 화려한 일상으로부터의 일탈을 꿈꾸는 연예인을 위한 개 인 별장이다. 언제나 남에게 보여지는 삶을 살고 있는 그들 역시 남의 눈을 신경쓰지 않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화려한 도시의 풍경에 지쳐 있을 건축주를 위해 건물 어디에서나 자연의 풍경을 즐길 수 있 도록 지형에 맞춰 건물의 배치를 구성했다. 또한 공간의 용도와 사용자를 구 분하는 것을 통해 배치한 각 건물에 공간의 용도를 설정했다. 개인적 공간은 타인의 접근이 가장 어려운 위치에 배치하여 타인의 침해를 받지 않도록 구 성했다. 그러면서도 지인들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을 중간에 배치하여 폐쇄적인 느낌이 들지 않도록 했다.
This is the villa for entertainer, who was tired of pressing daily life, so dreamed of break away from fancy routine. Entertainers always show their life to others, but they also need a space that can rest without others' attention. For owner, who is tired of splendid town sight, I composed space that can enjoy nature everywhere. Also, I separated the use and user of space and place the space according to them, by so doing, I can situate the private space in hard to approach, so it can avoid invasion of privacy. However, I also made a space which can enjoy with others so removed exclusive air.
N
Site Plan
건물의 배치와 내부 모습
Healing Space S 바쁜일상속 작은쉼터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172 173
양희경 Heekyung Yang 장기욱 스튜디오 Kiuck Zhang Studio
이대에서 북서방향으로 바라본 전경
남북으로 길게난 이대 앞 거리는 다양한 사람들이 매일 가득 채우고 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길이지만 상업적인 공간만이 가득할 뿐 잠시 쉬어갈 공간조차 없다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꼈고, 작은 공간이지만 푹 쉬어갈 수 있는 휴식공간, 푸르른 나무들에 싸인 숲 한가운데에 있는 것 같 은 공간을 만들게 되었다. 계단의 방향을 다양하게 하여 각 층마다 새로운 뷰를 마주하여 지루하지 않은 휴식공간으로써의 기능또한 수행하고 있다.
Ewha’s main road is always filled with a variety of people. But so many people have felt the sadness that not even a space that only take a short rest and just so many commercial space. So I think about space that can give comfortable and rest freely. It is just like forest with lush trees and green place. Also, enables a different view of the direction of the stairs to each floor vary in opposite. This makes people enjoy their rest with no boring at all.
N
Section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ART MUSEUM 문화시설의 건축적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사회문화적 배경과 건축공간의 상관 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사회의 문화예술 활동에 필요한 복합문 화시설을 설계한다. 문화시설이 갖는 특수한 건축형식의 설계를 위해 경사진 대지 에 1500㎡미만의 복합적인 문화시설을 계획하고 이에 대한 구조 및 구축형식을 연구, 발전시킨다. 사회문화 프로그램과 공간과의 관계, 환경과 형태의 관계를 이해 하고 대지의 자연적 조건들을 창의적으로 분석하고 설계에 반영하는 능력을 함양 한다. 나아가 개별 건축물의 디자인을 넘어 사회문화건축담론에 대한 사고를 확장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STUDIO TUTORS: Hyundai Kim Kyosik Choi
Space Loop 고리를 닮은 매스에 담은 공간
이다연 Dayeon Lee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갤러리의 컨텐츠를 지브리 입체조형전을 중점에 두고 시작했다. 지브리 스튜디오 애니메이션의 생동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매스형태를 생각했다. 외관에서 보여지 듯 내부 동선도 외부 형태에 따라 흘러가도록 했다. 위아래층이 연결되는 공간에 서는 보이드 공간을 만들고 큰 창을 두어서 열린 공간이 만들어진다.
The gallery’s contents is ghibri’s animation. Think about making vitality of animation to mass. As it’s apperance, interial flow is designed like exterial shape. Some space connect level and has void space and big window, so it can give some visual open space.
Elev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176 177
3
1
2
N
0
4
12
Plan 1F
24 M
1 Lobby & Museumshop 2 Permanent Exhibition 3 Temporary Exhibition 4 Seminar Room
3 2
1
4
Section
Museum Walking Through the Slope 부암동 미술관
문신영 Shinyoung Moon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DRAWING TITLE : ELEVATION
DRAWING TITLE : ELEVATION
네 개의 각 매스가 서로 얽혀 중정의 공간을 만들어낸다. 매스가 경사 가 심한 지형에 안착되도록 발전하면서 안정감을 준다. 지형의 윗부 분이 자연스럽게 건물의 지붕과 연결된다. 전시 내용은 사진가 배병 우의 소나무 사진전이다. 중정에 놓인 소나무가 전시의 일부가 되어 중정을 향한 큰 창이 있는 전시실과 카페테리아에서 보여지게 된다.
1
2
Each four masses are entangled each other making courtyard space. The upper part of the earth is connected naturally to the highest level of the roof. The exhibition contents are pictures of pine tree produced by photographer Bae-Byoung-woo. A pine tree in the coartyard is a part of the exhibition which could be watch through large windows of exhibition space and caffeteria.
5
4
3 6
7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178 179
1 Library 2 Cafeteria 3 Machince Room 4 Permanent Exhibition 5 Green Roof 6 Loading Dock 2
1
3
1
N 0
5
15
30 M
Plan
1 3
4
2
6
Section
Swellscape 종교적 경험을 통한 치유의 미술관
박찬서 Chanseo Park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대지의 등고선과 자연스럽게 연결된 미술관 외부 전경
부암동의 평화로운 장소적 특성에 따라, 일상의 상실을 치유하는, 능동적 경 험제공자로서의 미술관을 계획하였다. 종교의 유무와 관계없이 모두가 공감 할 수 있는 보편적인 인간의 감정들을 미술관의 각 실로 구성하여, 종교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치유의 길 시퀀스(고통과의 대면 - 자아확인 - 숭 고함의 경험 - 자비와 사랑 이라는 연속된 네 개의 실을 구성)를 만들었다. 미 술관은 주변 대지와 독립된 건물이라기 보다 연속된 풍경으로 읽히게 된다.
Making a natural sequence of the road of cure, which could be experienced from religion by designing every single rooms of this art gallery as general feelings of human beings that people emphasize with regardless of their religions. Making four consecutive space. And converting those feelings to perpendicular arrangement of exhibition rooms that people can more concentrate on their inner side naturally. The notion of entrance dimmed by being regarded as a landscape not a structure.
Roof Surface Cladding
Steel Tendon
Steel Frame(Wide Flange)
Loadbearing Wal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180 181
1 Museum Shop 2 Librar y & Book Shop 3 Parking Lot 5
4 Machine Room
6
5 Loading Dock
8
6 Storage 7 Office
7
8 Director Room 4
9 Auditorium
3
10 Bathroom
2
1
10
N
0
2.5
7.5
15M
9
Plan 1F
Elevation
Section
Gallery of Wind 바람과의 만남
신성희 Sunghee Shin 최교식 스튜디오 Kyosik Choi Studio
부암동에 위치한 이 사이트는 골짜기에 위치해 시원한 산바람과 주위 산의 풍 경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도심과 자연, 중간의 위치에서 바람과의 만남 이 이뤄지는 미술관을 주제로 이곳에서 바람의 Floating, Flowing, Flying을 몸소느껴볼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하였다.
The location of this project is on the mountain valley in Buamdong, giving easy access to enjoy both gentle breeze and beautiful surroundings.This art gallery is set up in the middle of urban site and nature in order to feel the “Floating, Flowing, and Flying” of the wind.
Site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182 183
1 제 1전시실 2 제 2전시실 3 야외데크
3
2
1
N 0
3
9
18 M
Plan 4F
1 야외데크 2 자료실 3 세미나실 4 뮤지엄 숍
1
5 카페
2
3
4
5
Section
Long Corridor & Box Room 대지 상황에 맞춘 공간 디자인
조채원 Chaewon Cho 최교식 스튜디오 Kyosik Choi Studio
대지의 변형을 최소화한 미술관의 전경
부암동 대지 자체의 역사적, 자연적, 지형적 가치를 최대한 보존하기 위하 여 대지에 의해 공간을 위치시켰다. 동선이 되는 긴 복도의 가로 공간에 수 직의 세로 동선이 끼어 들어오고 박스 형태의 전시 공간들이 외부 환경을 훼손하지 않게 위치한다. 전시 공간은 전시 특성에 맞추어 진입 방식, 채 광, 관람 위치 등을 조절하여 관람 동선에 따라 각각의 다른 공간으로의 이 동이라는 느낌을 준다.
Buam-dong site has historical, natural value and geographical features. Consequently The space of museum in order to preserve this site were placed by features of site. Long corrider and box type of exhibition space in position not to interfere with their external environment. Difference of approach, mining, viewing positions gives the impression of movement with each other space, depending on the movement.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184 185
1 기계실 2 상설 전시관
2
2
N
0
3
9
18M
Plan 1F
1 상설 전시관 2 자료실 3 수장고 2
3
1 1
Section
Gallery in Valley 골짜기 미술관
김연경 Yeonkyung Kim 최교식 스튜디오 Kyosik Choi Studio
미술관 외부 전경
도심 속에서 비교적 높은 해발 고도에 위치하며, 두 언덕 사이에 형성된 골짜 기라는 사이트의 지형적 특성을 인상깊게 보았다. 따라서 밸리 형태의 건물 과 이를 기반으로 둘로 나뉜 공간 안에 다양한 동선을 형성하였다. 서로 분 리된 공간들의 연결성이나 공간 내부의 채광 방식 모두 밸리를 중심으로 연 관성을 맺고 있다.
Site is located in high level and makes the valley between two hills. I was impressed this geographical characteristic of the site. So I designed the museum looks like the valley and planed various watching movements based on this element. All connection of separated spaces and lighting system are related with the valley.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186 187
1 수장고 2 로비 3 제 1전시실
2 1
3
N
0
1
3
6M
Plan 1F
Elevation
SPACE, FORM AND STRUCTURE 건축설계의 기본이 되는 조형적 구성원리를 이해함과 함께 조형의식과 건축물 구축의 근간이 되는 기하원리를 탐구하고 응용한다. 또한 조형 형식과 구축, 구조의 상관성을 이해하고 이에 입각한 조형제작물을 수 행한다. 이와 함께 이론적 측면에서 건축물 구성의 기본요소 및 건축조 형의식의 변천과정을 이해한다.
STUDIO TUTORS: Yeongju Seo Sooin Yang Sookhee Chun Changsu Ryu
FOUNDATION STUDIO 본 교과목은 Pre-studio 과목으로 설계스튜디오를 시작하기 전 건축공 간의 기본적인 개념과 기초적인 건축도면의 이해 및 작성방법, 모형의 제작 등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네 단계로 나뉘어진 과정을 통해, 건축 도면의 의미는 건물의 사실적 묘사가 아니라 건축적 사고의 전개 및 표 현수단임을 배우며, 설계초기의 개념의 설정과 이의 발전 그리고 건축 공간의 구축을 경험하며, 기능적, 심미적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공간 을 사고하고 구축하며 이를 표현할 것인가에 강의의 초점을 두고 있다.
STUDIO TUTORS: Changsu Ryu Tonghoon Lee Kyungeun Kwon Jeongju Kim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Alice in Wonderland
방경화 Kyoungwha Bang 서영주 스튜디오 Yeongju Seo Studio
루이스 캐럴의‘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주제로 공간을 구성하였다. 그리 드의 분할, 결합으로 생긴 방들은 시놉시스 공간들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연속적인 이야기가 펼쳐지는 3차원공간이다. 높이가 달라지는 다양한 공간 들이 존재하는데, 각각의 형태와 방을 둘러싼 면들의 개방 정도가 다르며 비 현실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벽을 없애거나 바닥을 투명하게 하기도 했다.
The topic is 'Alice in Wonderland' written by Lewis Carroll. Spaces are made by division or combination of grid and each has features shown in synopsis. This three-dimensional space with a sequence of narrative has various spaces. and they differ in shape and openness of sides. Also, eliminated walls and transparent floor express unreality of the story.
소년, 소녀 그리고 지하다락방 Boy, Girl and Underground Attic
SPACE, FORM AND STRUCTURE
190 191
오은영 Eunyoung Oh 류창수 스튜디오 Changsu Ryu Studio
소년과 소녀-소녀는 소녀의 세계에 있는 지하 다락방과 소년 세계의 오두막 을 통해 이동한다. 둘은 복잡한 시장의 골목들을 지나며 만나지 못하다 시장 광장에서 만나게된다. 소년은 소녀에게 자신의 마을을 구경시켜주고자 시계 탑으로 이끈다. 그 곳에서 둘은 우연히 구름 아래로 떨어지며 정신을 잃고, 정신을 차린 둘은 각자의 지하 다락방과 오두막으로 돌아와있음을 깨닫는다.
A boy and girl -Girl moves boy's world through symmerical underground loft of her world and cabin of his world. They don't meet and pass the side street of market. Finally they come across. The boy leads her to show his town's clock tower. In clock tower, they accidentally fall down in cloud and black out their memories. After they recover consciousness, they realize that they are in theirs space.
Repetition of Geometry 기하원리의 설정과 반복
조현수 Hyunsoo Cho 양수인 스튜디오 Sooin Yang Studio
Floor and Space
FOUNDATION STUDIO
갤러리 설계 프로젝트
192 193
김수정 Suejeong Kim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이 건물은 기하학적인 모양을 기반으로 사람의 이동경로 를 고려하여 설계한 갤러리이다. 건물의 특징으로는 각 공간의 성격에 따라 층고와 빛의 채광을 달리했다는 점 이다. 조각상은 수직적인 느낌을 갖고 있으므로 가장 높 은 층고를, 그림은 수평적인 느낌을 갖고 있으므로 조 각 공간보다는 낮은 층고로 설정하였다.
최주연
Jooyeon Choi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이 미술관은 작품의 역동성을 강조했다. 건물의 외벽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반면, 전시공간과 휴게공간, 대형 설 치작품의 공간을 곡선 내벽으로 구분하여 직선과 곡선 의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Volume and Space 갤러리 설계 프로젝트
김수정 Suejeong Kim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이 건물은 2개의 미술작품과 2개의 조각상 그리고 1개의 대형 설치물이 배치된 2층 갤러리이다. 관람객들의 동선을 고려하 여 1층에는 리셉션 공간과 휴게실, 화장실이 있고, 2층은 작품 전시를 위한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대형설치물 공간의 한쪽 벽 을 유리벽으로 설정함으로써 건물 내부 1,2층뿐만 아니라 건 물 밖에서도 관람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지예 Jiye Lee 권경은 스튜디오 Gyeongeun Gwon Studio 이 미술관은 리셉션 공간과 한 개의 화장실, 기타 휴식공간이 작품감상 및 전시공간과 어우러져있다. 토르소, 회화작품, 설치 미술이 한 개씩 분리되어 전시되어있다. 삼각형이 내부의 공 간을 커팅함으로써 벽이 없이 자연스럽게 건물형태만으로 관 람객들의 동선을 유도한다.
FOUNDATION STUDIO
194 195
오은영 Eunyoung Oh 류창수 스튜디오 Changsu Ryu Studio 다양한 규격의 2차원 벽면들을 불규칙적으로 배치하여 3차원 의 공간을 구성한 미술관이다. 외벽이 다른 벽의 틈을 통해 내 부로 들어와 내벽으로 이어지는 구조이다.
OTHER WORKS DIGITAL ARCHITECTURE 1
TUTOR: Hyoung-gul Kook
본 교과목은 다양한 모델링 툴을 활용한 디지털 건축 디자인의 이해와 표현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학습을 목표로 한다. 단순히 형태를 만드는 도구로서의 디 지털 건축을 벗어나, 학생들은 기하학적 구축 원리에 근거한 디지털 공간상의 구축 및 재현에 대해 학습한다. 더 나아가 Parametric Tool 에 대한 이해를 기 반으로 이러한 형태적 결과를 기하학적으로 재해석하고 체계적으로 조직화해 가는 과정을 배운다. 또한, 디지털 실험 장비를 활용한 Digital Fabrication에 대 해 이해하고, 디지털 공간상의 결과물을 물리적으로 재현해내는 과정을 경험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건축의 형태 및 재료, 구조의 관계에 대해 보다 폭넓 은 이해를 하게 된다.
DIGITAL ARCHITECTURE 2 This course teaches architectural tectonics through design research using various design softwares and digital fabrication machines. Students will develop a performance-based design prototype which integrates diverse design elements such as form and structure, function and materials. This prototype will be developed into architectural or spatial components such as wall panels or pavilion through parametric design algorithms and various fabrication experiments. Towards the end, students will proceed research on architectural designs using their own prototypes and understand notions of tectonics through full-scale mock-up and assemblage details.
TUTOR: Hyundai Kim Hyoung-gul Kook
Digital Architecture 1
고주연
OTHER WORKS
198 199
신희정
홍희원
Digital Architecture 2
김영주
이미성
OTHER WORKS
200 201
김지희, 신혜리
Timeline 학과 행사 일정
FIRST SEMESTER
2014/03/04 건축학 전공 재학생 OT
2014/05/10 이화 FT (Field Trip) 인솔교수: 임석재
2014/03/12 표현기법 드로잉 특강 프리핸드 드로잉 최경식,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
2014/03/14 스튜디오 특강 Hypercells Grace Chung, Zaha Hadid Architects
2014/03/21 Cross - Year Project 2014/03/25 스튜디오 특강 육조대로-광화문로-세종대로 그리고 미대 사관 안창모, 경기대 건축학과
2014/04/15 이화렉처 2火 Lecture 01. 매체예술과 적정예술 한창민, 하이브
2014/05/03-09 UAUS 전시 서울지역 대학 건축과 연합 전시회 Refocus Seoul Architecture 2014/05/04 건축가 특강 Making 김용주
2014/05/13 이화렉처 2火 Lecture 02. 건축 이전의 건축的 행위들 - 대규모 개발사업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김우성, 아키브레인
2014/05/23 스튜디오 특강 BIM 박성현, Henn
2014/07/05-14 1학기 우수과제전 및 졸업 전시회
TIMELINE
SECOND SEMESTER
2014/09/16 이화렉처 2火 Lecture 03. 전기양의 꿈
202 203
2014/11 건축학부 1학년 및 전공 미결정자 전공설명회 / 오픈 스튜디오
이상준, 더즈 인터랙티브
2014/09/25 건축학부 20주년 기념식
2014/11/11 이화렉처 2火 Lecture 05. 한국 벽돌건축의 역사 박성형,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2014/09-11 건축기획 특강 한국의 젊은 건축가 강연 시리즈 10 by 200
2014/11/12 인테리어디자인 특강 Signage Design 김중근, aandd
2014/10 포트폴리오 전시회
2015/01/19 - 2015/01/26 Ewha - Kyoto Univ. 해외교류 스튜디오
2014/10/07 이화렉처 2火 Lecture 04. 옳은디자인 오준식, 아모레퍼시픽 Brand & Design Lab
2014/10/11 이화 FT (Field Trip) 인솔교수: 윤재신
2014/10/15 인테리어디자인 특강 Lighting Design 이시언, LINNO
2014/10/31 스튜디오 특강 Tectonics & Art Museum 최교식, 오우재 건축사사무소
Japan Contemporary & Ancient Architecture 일본 현대와 고대 건축일본 현대와 고전건축
2015/01 2학기 우수과제전
"ECC PAVILION"-서울지역 대학 건축과 연합 전시회 2014/05/03 - 09
TIMELINE
204 205
Ewha - Kyoto Univ. 해외교류 스튜디오 2015/01/19 - 26
TIMELINE
206 207
2014 우수과제전 및 졸업전시회 2014/07/05 - 14
TIMELINE
208 209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부 20주년 기념식 2014/09/25
TIMELINE
210 211
2014 "EWHA LECTURE" Series 2014/04,05,10,11
Epilogue Pick-EA-up! 구본영
편집부장 첫 작품집 발간을 보고 지원하게 된 피키업! 그 인연으로 함께 학교 이야기들을 담아온지 2년 되는 해에, 이렇듯 세 번째 작품 집을 발간하게 되어 기쁩니다. 학과 행사가 있는 곳에서 항상 함 께 해왔던 부원들과 찍은 우리들의 모습과 작품들을 이 한권 안 에 담는 작업은 우리의 일년을 되돌아 보는 즐거운 경험이었습 니다. 앞으로도 이런 기록들이 계속 이어졌으면 좋겠습니다. 피 키업을 이끌어주신 김현대교수님, 언제나 응원해준 든든한 초 롱언니와 선아언니,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함께한 피키업 멤버 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임한솔
편집부장 이화여대 건축학전공의 2014년 기록을 담은 작품집을 드디어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올해 초 편집부장이라는 부담을 안고 시 작한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작품집 발간을 눈앞에 두고 있네요. 모든 스튜디오의 1년의 기록을 책으로 담아낸다는 것은 저에게 도 참 의미 있던 작업이었습니다. 물론 처음 작업을 시작하면서 어려운 일도 많았지만 지금 돌아보니 많이 배우고 오히려 얻어 가는 시간들이었던 것 같아요 :)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함께해준 든든한 4명의 편집부원 친구들과 공동으로 편집부를 이끌어준 본영이 덕분에 이렇게 작품집 발간까지 잘 걸어올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항상 지원해주시고 도와주셨던 김현대교수님, 존재만 으로도 힘이되어준 초롱언니와 선아언니, 그리고 도움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212 213
양효실 2년동안 편집부 활동을 하면서 좋은 선배언니들과 함께 작업을 할 수 있어서 너무 즐거웠습니다. 아무것도 몰라서 이것 저것 물 어보기만 했던 나인데 이제는 오히려 후배 친구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는 것이 쑥쓰럽기도 하지만 기쁩니다. 웹이나 책 편집에 대해 배우고 알게될 수록 더 좋은 작품집을 발간하고자 하는 욕 심도 생기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멋진 선후배님들과 함께 편 집부를 이어가고 싶습니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정한아 2년동안 편집부 활동을 하면서 정말 많은 기억들이 남아있습 니다. 처음에는 무엇을 해야할지도 모르고 낯선 환경에 적응 하느라 버벅대기만 했는데 드디어 직접 디자인하고 편집한 책 이 나오다니 정말 믿어지지가 않습니다. 아직도 마음은 선배님 들께 질문할 것이 많은 새내기인데 이제는 직접 스스로 해야 할 시기가 되다니...!! 그래도 앞으로 더욱 더 열심히해서 더 좋 은 책을 만드는 편집부가 되도록 노력하고 싶습니다. 수고하셨 습니다. 모두들!
정다희 아무것도 잘 모르던 제게 언니들과 수진이가 도와주고 챙겨주어 1년 동안, 많은 작품도 만나고 결과적으로 저희의 이름으로 책 을 발권한다는 사실이 매우 뿌듯합니다. 지난 1년 매우 뿌듯했 던 경험이었고 내년에도 함께 더 즐거운 추억을 쌓아나가면 좋 겠습니다! 모두들 수고하셨습니다~
최수진 피키업에 들어온지 어느덧 1년, 시간이 정말 빠르게 지나갔습니 다. 처음이라 부족하고 서툰 부분들이 많았지만 피키업 사람들 과 함께였기에 행복하게 작업할 수 있었습니다. 저에겐 피키업 일원으로 첫번째 작품집 발간을 하게되어 너무나 설레고 뿌듯 합니다. 스쳐지나가는 것들이 아니라 책을 발간함으로써 그동안 의 시간들을 한번 곱씹어 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앞으로도 멋 지게 발전할 피키업 기대 하겠습니다!^^ 모두 수고 하셨어요♡
TEA Trajectory of Ewha Architecture Project Review 2014 발행인 Publisher 이동훈 Tonghoon Lee Chair, Department of Architecture Ewha Womans University 담당교수 Director 김현대 Hyundai Kim, Assistant Professor 편집부장 Editor-in-chief 구본영 Bonyoung Gu 임한솔 Hansol Lim 편집부원 Editors 양효실 Hyosil Yang 정한아 Hana Jung 정다희 Dahee Jung 최수진 Sujin Choi
Copyright(c) 2014 by Department of Architecture; College of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ystem, or transmitted by any means, electronic, photocopying recoding of otherwise, without the prior permission or the copyright owner. 이 출판물의 모든 저작권은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전공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라 여기에 실린 모든 이미지, 텍스트, 교육 프로그램은 보호를 받으며 사전 동 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Architecture tel 82-2-3277-2397 fax 82-2-3277-2396 http://ea.ewh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