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아미연 가을 학술대회 연구집

Page 1











푸드트럭 개발팀

이유식업체 선정 팀 [그림 4] 팀 이미지 제작

카페 선정팀





4.1 벽체 시스템 OPEN Architecture

베트남 수치 요법 센터

Sheraton Bali Kuta Resort

4.4 수경 시스템 체코 LIKO NOE 생태 사무소

인디아 KMC회사 빌딩

SEs Landskap

4.5 케이블 시스템 One Central Park

베트남 공장 사무실 리모델링

마이애미 예술 박물관

4.6 모듈 시스템 EATHOUSE

미국 플로리다 개인 주택

페루 주택 빌딩















표1) 한·중·일 상차림 분석 구분

한국

중국

일본

반찬의 종류가 다양하며, 식기가 많이 사용되어짐

음식들이 둥근 식기에 담겨 모두 함께 나눠 먹는다.

각자의 트레이에 담겨 나오며, 식기 형태가 작다.

식기 재료

놋, 도자기, 돌솥

플라스틱, 세라믹

식기 개수

- 돌솥(대) 2개 - 밥그릇, 국그릇(중) 각 1개 - 반찬 그릇(중) 10개 - 양념 그릇(소) 1개 - 총 15개

- (대) 5개 - 반찬 그릇(중) 5개 - 양념 그릇(소) 3개 - 총 13개

- 철판(대) 1개 - 밥그릇, 국그릇(중) 각 1개 - 반찬 그릇(소) 4개 - 총 7*2개

식기 모양

그릇의 밑부분과 끝부분이 두꺼우며, 대체적으로 무겁다. 모서리가 둥근 형태의 그릇이 사용된다.

접시가 가볍고 얇으며 흰색의 동그란 형태의 그릇이 사용된다.

밑부분이 좁은 형태의 목기와 둥근 형태의 그릇이 사용된다.

식기 모양

도자기의 투박하고 자연스러운 질감을 통해 도교의 무위자연 사상이 나타남

둥근 식기에 담긴 음식을 나눠 먹는 것으로 중립화 사상이 드러남

(소)크기의 반찬 그릇들이 제일 많이 사용됨으로 '오카시' 와 '가와이이', '와' 사상이 드러남

식기 배치 형태

목기, 도자기, 철판






한국

붉은색 음식이 많은 편이다 (예: 불고기, 장아찌, 된장국). 메인 요리는 수분이 많은데, 중국의 탕요리와 비슷하다. 중국과 일본과 달리 한국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서 종종 노래 장단을 맞추기위해 젓가락을 사용한다.

한국의 공기는 비교적 무거운 편이다. 한국은 앉은 자리에 음식을 먹기 때문에 공기를 손에 들 필요도 없고, 또 공기를 식탁 위에 고정해야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다.

중국

음식의 종류는 물론 조리 방식까지 매우 다양하다. 중국은 예를 매우 중시하고, 또 보여지는 것을 중요시한다. 따라서 음식을 얼마나 담았건, 음식을 남기지 않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

쌀밥은 물론이고 음식도 가능한한 많이 담아야하기 때문에 중국의 공기는 크기가 대체로 크다.

일본

싱싱하고, 차갑고, 담백한 음식이 많다. 음식이 가진 본연의 맛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일본의 음식은 최소한의 조리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음식이 본래 가진 맛을 잘 살릴 수 있도록 조미료를 최대한 적게 사용하고, 조리 과정도 최소화한다. 음식과 식기 간의 조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음식에 따라 식기를 달리 선정한다.

국가

그림

일본 공기는 무게도 가볍고 두께도 얇은 편이다. 섬세한 식문화를 추구하는 일본인들은 음식을 들었을 때 가벼운 느낌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식습관

한국

한국인들은 식사 시에 식기를 식탁 위에 올려둔다. 공기를 손에 쥐고 음식을 먹으면 점잖지 않은 행동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식사 시 공기를 반드시 식탁 위에 올려 두어야 하며 손에 있어서는 안 된다. 한국인들은 수저로 밥을 뜨고 공기를 들지 않는다,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공기를 들고 먹을 수 없는 또 다른 이유는 한국인에게 공기를 들고 있는 모습은 마치 거지가 밥을 구걸하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중국

중국에서는 식사시 입을 크게 벌려야 한다. 식기를 식탁 위에 올려두는 것은 “다 먹었다” 내지는 “입맛에 맞지 않는다”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처럼 너무 예의를 차리고 밥을 먹으면 되려 예의에 어긋나게 된다.

일본

중국과 일본의 식습관은 매우 비슷하다, 일본에서도 공기를 들고 밥을 먹는다.


동아시아 디자인

식문화를 바탕으로 한중일의 식기 비교 연구 - 공기를 연구 대상으로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식기의 디자인은 한 국가의 역사와 발전, 전통 문화, 사회생활 양상, 과학 기술, 민족의 풍습, 미학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반영한다. 특히 한국,중국,일분 3국은 고대에 부터 오랜 교류를 통해 문화가 융합되어왔다. 오늘까지 이웃 세 나라는 여전히 동아시아의 여러 측면에서 긴밀한 교류를 유지하고있다.,특히 음식문화 측면에서는 3 국 모두 쌀을 주요 식량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 대상으로 공기(밥그릇)를 고른다. 이와 관련된 문헌과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현재까지 한중일의 식기를 다룬 연구가 체계성과 양적인 면에서 다소 불충분한 사실을 발견했으며, 연구와 관련된 적절한 참고문헌은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관련된 소수의 논문과 한국 생활상에 관한 이미지를 많이 참고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공기(밥그릇)를 연구 대상으로, 한중일 3개국의 식문화와 공기의 발전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음식문화의 관점에서 공기의 재질, 크기, 디자인 등을 연구했다. 또한 식문화 연구, 식습관 연구, 공기 디자인의 역사, 현대 시장 현황 조사 등을 동하여 한중일 삼국의 공기 디자인의 특징과 자이점을 문화융합적인 관점에서 비교하고자 한다.

DESIGN FESTIVAL

2. 이론적 고찰 음식문화 식문화는 인류의 발전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초기의 원시사회에서는 정신적인 것에 대한 추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고, 먹고 마시는 것만이 생활의 전부였다. 원시사회에서 대부분의 도구들은 식음활동에 사용되었는데, 그 예로 돌로 만든 도끼와 칼 등이 있으며 모두 “먹는” 행위를 위해 사용된 도구들이다. 신석기시대에 이르러 인류가 불을 다루게 되었을 때에도, 인류가 최초로 만들어낸 것은 식음을 위한 도기(陶器 도기( )였다. 인류의 생활과 발전은 식음과는 떼래야 뗄 수 없다. 인류 문명의 발전으로 인해 식문화가 발전했고, 식문화의 발전 역시 인류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되었다.

식도구 도구란 무엇인가, 도구 디자인은 인류의 창작 활동에 있어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도구란 초기 원시인의 사상을 반영하고, 자연의 적응 과정에서 겪은 일련의 과정을 물질화, 형태화, 가시화시킨 산물이다. 전통 도구 디자인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인류 문명의 기원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이론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또 가장 보편적인 원칙을 도출할 수 있다.

공기(사발) 공기는 깊이를 가진 원형 용기이다. 구멍은 넓고 아랫부분은 좁으며 받침이 있다. 밥을 담는 것이 일반적인 용도이지만, 때로는 예술작품이 되는 경우도 있다. 공기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손으로 들기 간편하다. 위는 넓고 아래는 좁기 때문에 바닥에 두었을 때 다소 불안정할 수 있다. 중심이 아래로 향하는 타원형 식기이기 때문에 반원형으로 볼 수도 있다. 쟁반보다 더욱 깊고, 찻잔에 비하면 크고 무거운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은 “밥 그릇”를 "공기" 라고 부른다. 한국은 예부터 금속 식기를 사용했는데, 한반도는 자원이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귀족이나 소수의 부자들만이 은과 놋그릇(鍮器)를 사용할 수 있었다. 철기가 생기기 전에, 한반도에는 이미 유기에 대한 기록이 있었고, 그 후로는 유기를 계속해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공기”를 “완”이라고 부른다, “완(碗)”은 “만류”라는 의미를 가진 “완(挽)”과 음이 같아서, “완( 공기는 상대방을 잡아둔다는 의미로써 선물로 자주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공기”를 “차완”이라고 부른다. 차완은 다기의 일종인데, 이는 중국에서 최초로 생겨났고 나라시대부터 헤이안시대까지의 시기에 일본에 차문화가 유입되면서 함께 일본에 들여진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인들은 보통 아주 작은 공기에 밥을 담는데, 이를 “차완”이 라고 부른다. 이지엔화,마추화,왕휘휘,유천


동아시아 디자인

식문화를 바탕으로 한중일의 식기 비교 연구 - 공기를 연구 대상으로 -

3. 한중일 공기 디자인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이것이 원칙이다” (‘Form follows the function, This is the law’) 이는 시카고 학파의 현대주의 건축가 루이스 설리반이 남긴 명언이다. 인류는 끊임없는 창작활동을 통해 형태과 기능을 발전시키고 있다. 식기 디자인의 주목적이 생활의 편리함이기 때문에 식기 디자인은 “사용”하는 것 그 자체를 최우 선 순위에 두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식기를 디자인할 때는 먼저 식문화와 식습관의 특징을 연구한 후에 디자인을 진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과 기능성에 더욱 부합할 수 있다.

<표 1> 한중일 공기 디자인 특징 정리

<표 6> 한중일 공기의 장단점 비교

<표 2> 한중일의 식습관에 대한

DESIGN FESTIVAL

<표 3> 한중일의 공기 사용

<표 4> 현대 시장 조사

4. 결론 한중일 3개국의 식기- 공기의 공통점 및 차이점, 그리고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위 조사 후 세 나라의 식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공기 모양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공기는 테이블 위에서 사용되므로 손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한국의 공기는 바닥 디자인이 없으며 공기의 지름도 별로 다르지 않으며 전체 라인이 부드럽다. 반대로 중국과 일본의 식습관은 공기를 들고 사용하므로 양국의 공기는 바닥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공기의 입과베이스의 직경은 상당히 다르며, 또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문화의 융합은 한 국가가 자국의 문화를 보존하게끔 하는 긍정적인 요소이다. 한중일 문화의 융합은 3개국의 문화에 생명력을 불어 넣을 수 있으며, 각국의 문화에게는 기회이자 도전이다. 따라서 장점을 적극적으로 흡수하고, 독자적인 문화를 보존하는 차원에서 서로의 문화를 융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향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각국은 토종문화를 보존하고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것이다. 이지엔화,마추화,왕휘휘,유천



국가

음식 특징

식기 배치 및 식사 습관 음식 집는 방식

기타

중국

한국

종류가 다양하고 1년 4 계절별로 음식이 다르다. 겨울에는 찜과 푹 끓인 음식을. 여름에는 생체무침과 얼려 먹는 음식을 많이 먹으며 음식과 의료보건이 결합되어 있다.

구이류 육류품이 다양하고 김치,장아찌 등 절임 음식과 탕 음식이 다양하다. 대개 붉은 색이다.

일본 청,신(新),담(淡),아(雅)등 4가지 큰 특징이 있다. 이는 식재료가 깔끔하고, 신선하며, 생식을 위주로하고, 조리 온도가비교적 낮고 맛은 담백하며, 식재료 본연의 맛을 중요시한다. 또한, 음식을 먹을 때 우아한 분위기를 중요시한다.

모든 음식을 테이블 위에 두고, 사람들이 테이블에 둘러 앉아 식사를 한다.

모두 각자 자신의 주식이 있으며, 주식 주변에 밑 반찬 (김치 등)을 작은 접시에 놓아 올린다.

직접 젓가락을 음식물을 집는다.

음식을 먹을 때 숟가락을 주로 사용하고, 젓가락 사용은 상대적으로 적다.

손으로 음식을 집는 것 이외에는 대부분 젓가락을 사용한다. 자신 앞에 놓인 음식 외에는 다른 음식을 집을 필요가 없다.

파티 등 회식자리에서 젓가락을 이용해 접시와 그릇을 두드리며 분위기를 띄울 수 있다. 이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서로에게 음식을 집어주는 습관이 없으며, 음식과 식기구의 배합을 중요시한다. 음식마다 알맞은 식기에 담는다.

들어서

손님 맞이를 반기며, 음식은많아도 되지만 적으면 안된다. 손님에게 음식을 집어주어 따듯함과 환영하는 마음을 표한다.

모두 개인 식기와 밥, 반찬을 두고먹는다. 대부분의 음식은 작게 나누어져 있다.

상차림

표 2) 한·중·일 젓가락 디자인의 특징 국가 사진1) 중국의 유물 젓가락(뼈, 은, 상아)

중국

한국

일본

사진2) 백제 수저세트(523년) 대나무, 목재

스테인리스, 금속, 유기

대나무, 목제 (옷칠)

재질

길고 직선으로, 끝 모양은 무딘 원형이다. 머리 부분은 네모 혹은 마름모꼴이다.

사진3) 고려청동 수저세트

전체적으로 납작하고 평평하며, 끝부분이 비교적 가늘고, 머리 부분은 비교적 얇다.

머리 부분이 얇고 뾰족하며, 끝 부분은 비교적 두껍다.

사진4) 유기(놋)수저 형태

사진5) 조문시대 젓가락

길이

가장 길다 24cm 정도.

중간 길다 23cm 정도.

가장 짧다 22cm 정도.

장식이 적으며, 일반적으로 젓가락 머리부분에 그림이 적게 있고, 소박하다.

장식

장식과 문양은 대개 머리 부분에 있고, 길한 상징과 장식을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소박하다.

디자인에 정성을 들이며, 대개 문양이 뚜렷한 대나무와 삼나무 등을 사용한다. 상아나, 옻으로 만든 젓가락도 있다.

남녀의 젓가락이 다르다. 남자용이 상대적으로 길고, 여자용이 상대적으로 짧다.

남녀의 젓가락이 다르다. 남자용이 상대적으로 길고, 여자용이 상대적으로 짧다.

사진6) 조문시대 유물 (세계 가장 오래된 젓가락)

기타


젓가락

프라이드 치킨

두부

3

2

2

1

2

1

3

3

2

3

3

프라이드 치킨

두부

2

1

1

1

3

1

1

3

2

3

1

2

3

1

프라이드 치킨

두부

1

1

1

1

1

1

1

1

1

1

1

프라이드 치킨

두부

1

1

1

1

2

2

1

3

2

2

2

2

2

2

프라이드 치킨

두부

2

1

2

1

2

3

3

1

2

2

2

프라이드 치킨

두부

2

1

2

1

1

1

2

3

2

1

1

3

3

2

종류

다시마

감자칩

깍두기 작은새우 생선회

중국식

2

1

1

1

1

한국식

2

3

2

1

2

일본식

1

3

3

1

1

1

젓가락

종류

다시마

감자칩

중국식

3

2

1

1

3

한국식

3

3

2

1

일본식

3

3

2

2

젓가락

종류

다시마

감자칩

중국식

2

1

1

1

1

한국식

3

1

1

1

2

일본식

3

1

1

2

1

1

젓가락

종류

다시마

감자칩

중국식

1

2

2

2

2

한국식

2

3

3

2

일본식

2

2

2

2

젓가락

종류

다시마

감자칩

중국식

1

2

1

1

3

한국식

3

2

2

1

3

일본식

3

1

1

1

3

2

젓가락

종류

다시마

감자칩

중국식

3

3

3

2

3

한국식

1

2

3

1

일본식

1

3

2

1

깍두기 작은새우 생선회

깍두기 작은새우 생선회

깍두기 작은새우 생선회

깍두기 작은새우 생선회

깍두기 작은새우 생선회


젓가락

프라이드 치킨

두부

2

1

1

1

1

1

3

3

1

2

2

프라이드 치킨

두부

1

1

2

1

2

1

1

2

2

3

1

2

2

2

프라이드 치킨

두부

2

1

2

1

1

1

2

2

2

2

1

종류

다시마

감자칩

깍두기 작은새우 생선회

중국식

1

1

2

1

2

한국식

3

2

2

1

2

일본식

2

2

1

1

2

1

젓가락

종류

다시마

감자칩

중국식

2

2

1

1

3

한국식

2

2

1

1

일본식

3

2

2

2

젓가락

종류

다시마

감자칩

중국식

2

1

1

2

1

한국식

2

1

2

2

2

일본식

3

2

2

2

2

1

깍두기 작은새우 생선회

깍두기 작은새우 생선회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