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 5기 [Fall 2019]

Page 1


24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가을 SIG연구

- 근대 지폐디자인을 중심으로 SIG연구회 : 유덕천, 장단, 조상문, 진시 지도교수 : 장주영

아미연 · 대학원 연구지원 프로그램 | 제 5기

SIG연구회는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내에 지식교류를 통한 연구 를 활성화하여 연구의 관심과 목표가 같은 대학원생들끼리의 소그 룹 연구 활동을 장려한다. 또한 대학원생들 간의 자발적 학술 및 작 품 연구 활동을 통한 면학 분위기를 조성시키며 디자인학 연구범위 의 확장·심화 및 연구주제의 발굴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언어 적 소통 문제를 자발적으로 해결한다.

<동아시아 비교문화 연구>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 근대 지폐디자인을 중심으로 유덕천, 장단, 조상문, 진시

‘和(화)合(합)’문화에 근거한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천타오, 두보위, 웨이이린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에 기반한 한·중·일 국립중학교 교복 디자인 비교 연구 웨이나, 양베이


24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가을 SIG연구

- 근대 지폐디자인을 중심으로 SIG연구회 : 유덕천, 장단, 조상문, 진시 지도교수 : 장주영

아미연 · 대학원 연구지원 프로그램 | 제 5기

SIG연구회는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내에 지식교류를 통한 연구 를 활성화하여 연구의 관심과 목표가 같은 대학원생들끼리의 소그 룹 연구 활동을 장려한다. 또한 대학원생들 간의 자발적 학술 및 작 품 연구 활동을 통한 면학 분위기를 조성시키며 디자인학 연구범위 의 확장·심화 및 연구주제의 발굴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언어 적 소통 문제를 자발적으로 해결한다.

<동아시아 비교문화 연구>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 근대 지폐디자인을 중심으로 유덕천, 장단, 조상문, 진시

‘和(화)合(합)’문화에 근거한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천타오, 두보위, 웨이이린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에 기반한 한·중·일 국립중학교 교복 디자인 비교 연구 웨이나, 양베이


25

26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25

26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27

28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27

28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29

30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29

30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31

32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31

32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33

34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33

34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35

36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35

36 시대변화에 따른 한,중,일 3국의 국가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37

38


37

38


39

40


39

40


41

42 和(화)合(합)’문화에 근거한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和(화)合(합)’문화에 근거한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이름 : 천타오, 천타오��두보위, 두보위�� 웨이이린 SIG연구회 웨이이린 지도교수 지도교수: 장주영 장주영

연구제목 Keywords

학번

201950���� 20195082� �� 20185095

분류

과정

박사과정

���� 연구회

1.2 역사의 기원과 발전

을 추진시키는 것을 말한다. 화합 문화는 중화민족

유교, 불교, 도교의 '화합문화(和合文化)'

이 문화 수용의 적극성을 지도할 수 있고 융합과 혁

선진(先秦)시기의 <국어. 정어(國語.鄭語)>에는 서주

'和(화)合(합)'�화�� ���� ���� �������� ������ ��� 연구

사백(史伯)의 “부화실생물, 동칙불계. 이타평타위지

和(화)合(합)문화�� ��� 주�� 공간�� 한중일

生物, 同칙不繼. 以他平他謂之和, 故能豊長而物歸

화, 고능풍장이물귀지, 약이동비동, 진내기의(夫和實 之, 若以同裨同, 尽乃棄矣, 다양한 실체들을 조화롭

Ⅰ. 서론

해 상호 의존하는 요소들을 찾아내며 현대 동아시아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 부합되는 거주 공간을 건설하

게 섞어가야 모든 실질적 물건들이 만들어 질 수 있

국제간의 문화 교류가 빈번해짐에 따라 세계 문화도

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고, 완전히 똑같으면 발전하고 지속할 수 없다. 다

다차원적 분화와 융합을 나타냈다. 유럽과 북미 통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른 것으로 다른 것을 평(平)하게 하는 것을 화라 부

합의 발전 전략에 비해 동아시아 문화는 심각한 정

본 연구는 화합문화가 한중일 전통 민가의 공간 연

체성 위기에 맞닥뜨리고 있다.1) 동아시아 문명의 주 요 전승국가로서 한, 중, 일 3국은 예로부터 문화적 측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었고, 각자의 분야에서 서로 다른 형식으로 세계를 향해 동양의 문화와 지혜를 전달하고 있다. 건축 활동에 대한 인류의 모든 탐구는 모두 거주 공 간에서 시작되었다. 전통 거주 공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서로 다른 지역 간의 문화 차이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가운데 내포하고 있는 사회 인 문적 분위기도 느낄 수 있다. 한중일 삼국은 유가문 화의 영향을 깊게 받았다.2) 그리하여 전통 유가 문 화의 정수로서 화합문화는 심미(審美) 과정 및 가치 의 판단에서 매우 큰 포용성을 나타냈고, 그 문화 내용의 본질에서 서로 다른 사물들이 발전하는 과정 에서 균형 상태를 유지하여 화합과 번영에 이르는 것을

강조하였다.3)

출 방법에 대한 비교 분석과 연구이다. 첫째, 화합문화의 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해, 화합문 화를 중심으로 화합문화의 역사적 기원, 발전 과정 및 현대 사회의 인식과 이해에 대해 정리하였다. 뿐 만 아니라 각 나라의 선행 연구 문헌에 대한 조사를 통해 현대 한중일 3국의 문화 정체성에 부합되는 화 합문화의 개념을 통합하여 연구 시각을 확립하였다. 둘째. 사례 분석 프레임을 구축하기 위해 거주 공간 과 관련되는 논문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평면 구도, 실내외 공간 구성, 공간 특성 등 3가지 측면 에서 분석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화합문화가 한중일 3국이 전통 거주 공간에서의 공 간 연출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사례를 중심으로 각 사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표준 디자인 요소를 제기하였으며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화합 문화의 각도에서 한중일 3국의 전통 거주 공간에 대한 비교와 연구에 초점을 맞추려고 한다. 문화 간 이질적 요소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현대 거주 공간의 디자인 과정에서 문화 융합 상태 에 이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현재 전통 거주 공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국가적 범위에 주목하였 고, 공간 차원에서 동아시아 한중일 3국에 연구 범 위를 한정하여 진행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철학적 화합 문화를 기반 으로 하고, 문화 화합에서 입각하여 한중일 3국의 전통 민가(民家)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전통 화합 문화 내용에 대한 정리와 그 현대적 의미에 대한 해 석을 통해,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화합 문화가 한중 일 3국 전통 거주 공간에서의 표현 방법에 대해 분 석을 진행하였고,디자인 각도에서 모순과 차이를 통

Ⅱ. 이론적 고찰 1. 화합 문화 1.1 화합 문화의 개념 '화합'이란 단어는 가장 일찍 춘추 시기에 나타났고, '화'와 '합'이 두 글자의 역사는 더욱 유구하다. 갑 골문과 금문 시기에 벌써 '화'와 '합' 두 글자가 나 타났다. '화'의 최초의 뜻은 소리와 비슷한 화합이고 '합'의 본뜻은 아래위가 합쳐지는 것이다. '천지만물 이 화합(和合)하고 화해(和諧)하는 것은 세상만물의 첫 번째 요소이다.' '화합(和合)'사상은 유교, 불교, 도교를 포함한 동아시아 문화에서 가장 생명력이 있 는 문화 내용이다. 화합에는 다양한 사물의 차이와 모순의 다양성의 통일을 내포하고 동과 서가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세상 만물이 탄생될 수 있으며 완 전히 똑 같은 사물은 없다.

르고, 그래야야만 풍성하게 성장시키고 만물을 복귀, 순환시킬 수 있다. 만약 동(同)으로 동(同)을 보조(補

신을 통해 보다 훌륭한 중화 문명을 창조할 수 있게 한다. 1.3 한중일 화합문화의 차이 중, 한, 일 3국은 모두 유교, 불교, 도교의 영향을 받았고 유교, 불교, 도교(또는 신도교)는 동아시아 사회의 3대 기본 종교이다. 동아시아 사회의 커뮤니 케이션과 발전 과정에서 이 3대종교는 충돌은 물론 융합도 있었다. 충돌-융합, 융합-충돌의 반복과 함 께 동아시아 3교는 결국 화합을 이루게 된다. 화합 문화는 동아시아 3교의 기본 내용과 발전의 주류를

助)하게 하면, 끝내 이를 폐하게 될 것이다)'라고 기

형성하였다.

록되어 있다. <논어자노(論語子路)>에는 공자의 '군

1) 중국

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

제자백가의 '가(家)'는 현대 철학가와 사상가들이 말

不和, 군자는 서로의 생각을 조절하여 화합을 이루 기는 하지만 이익을 얻기 위하여 주관을 버리고 상 대방에게 뇌동하지는 않으며, 소인은 이익을 얻기 위하여 주관을 버리고 상대방에게 뇌동하기는 하지 만 서로의 생각을 조절하여 화합을 이루지는 못한 다)'라 주장하였다. <노자(老子)>에서 노자는 '만물부 음이포양, 충기이위화(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만물은 음의 기운을 등에 지고 양의 기운을 앞에 안 아 충화의 기운에 의해 조화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라 말하였다. <순자. 천륜(荀子.天倫)>에서 순자는 ' 만물각득기화이생, 각득기양이성(萬物各得其和以生, 各得其養以成, 만물은 각각 그 조화를 따라서 생겨 나고, 각각 그러한 그 길러줌에 따라 이루어진다)'이 라 말하였다. 진나라 이후 양한(兩漢)의 경학(經學), 위진의 현학, 당나라의 불학, 나아가 송명의 이학(理 學), 근대 사상의 반성과 혁신에 이르기까지 화합 문화의 끊임없이 발전하여 일련의 화합 문화 이념을 형성하였다. 이른바 화합이란 자연, 사회, 인간관계, 마음, 문명 에서 유형 또는 무형의 많은 사물들이 서로 충돌하 고 융합하며, 충돌과 융합의 동태적 변화 과정에서 제반 형상과 무형상(無形相)이 새로운 구조 방식, 새 로운 사물, 새로운 생명으로 화합되는 합을 말한 다.4) 따라서 화합은 역동적 과정이라 할 수 있고 서 로 다른 사물을 서로 의존하는 복합체 속에 통일시 키는 것이며, 서로 다른 사물의 화합 과정에서 각 사물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없애어 최선의 조합을 이루어 새로운 사물의 탄생을 촉진하고 사물의 발전

하는 '가(家)'와 달리, 한 사람이 아니다. 한 사람으 로 '가(家)'를 이룰 수 없고 '가(家)'자체가 바로 합 쳐진 것이지만 개인은 흩어져 있다.5) 역사와 현실을 통해 중서양 문화 성격과 국민 성격을 고찰하여 결 론을 도출해냈다. 서양 문화는 충돌성이 더욱 크고 중국 문화는 조화의 힘이 더욱 강하다. 중국 문화의 위대한 부분이 바로 조화를 이루어 충돌되는 각 부 분을 포용하여 공생과 공존하며 서로 돕는다. '화'란 화합, 평화, 중화 등을 가리키고, '합'은 회합, 융합, 연합 등을 말한다. 윤리관 면에서 유교는 충, 효, 인, 의, 지, 신을 강조하여 중국 봉건 사회의 보편적 윤리 도덕과 봉건 통치자들의 통치 사상이 되었다. 불교와 도교는 법도를 널리 퍼뜨려 유교의 윤리적 도덕을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도교와 불교의 정수와 융합하였고 이를 통해 윤리 철학 면에서의 부족함을 보완하였다. 2) 한국 한국의 3교화합은 신라시기 화랑도의 이념에서 집중 적으로 나타난다. 화랑도는 신라 진흥왕(眞興王, 기 원540년-575년)이 창설하였는데 최초의 소년들의 낭만적인 심미(審美) 활동에서 점차 청소년의 자유 분방한 인격을 수양하는 '도(道)'로 변하였다. '화랑' 자체가 바로 '선발된 인물' 즉 국가에서 등용한 인 재이기 때문에 신라의 화랑은 국가의 미래와 흥망성 쇠를 좌우할 수 있는 핵심인물이 되었고 국가의 최 고 이념을 실현하는 주력이 되었고, '화랑'의 정신적 신앙, 사상 이념, 행위 규범은 점차 '화랑도(花郞道)' 로 표현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화랑도'는 신라 시대


41

42 和(화)合(합)’문화에 근거한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和(화)合(합)’문화에 근거한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이름 : 천타오, 천타오��두보위, 두보위�� 웨이이린 SIG연구회 웨이이린 지도교수 지도교수: 장주영 장주영

연구제목 Keywords

학번

201950���� 20195082� �� 20185095

분류

과정

박사과정

���� 연구회

1.2 역사의 기원과 발전

을 추진시키는 것을 말한다. 화합 문화는 중화민족

유교, 불교, 도교의 '화합문화(和合文化)'

이 문화 수용의 적극성을 지도할 수 있고 융합과 혁

선진(先秦)시기의 <국어. 정어(國語.鄭語)>에는 서주

'和(화)合(합)'�화�� ���� ���� �������� ������ ��� 연구

사백(史伯)의 “부화실생물, 동칙불계. 이타평타위지

和(화)合(합)문화�� ��� 주�� 공간�� 한중일

生物, 同칙不繼. 以他平他謂之和, 故能豊長而物歸

화, 고능풍장이물귀지, 약이동비동, 진내기의(夫和實 之, 若以同裨同, 尽乃棄矣, 다양한 실체들을 조화롭

Ⅰ. 서론

해 상호 의존하는 요소들을 찾아내며 현대 동아시아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 부합되는 거주 공간을 건설하

게 섞어가야 모든 실질적 물건들이 만들어 질 수 있

국제간의 문화 교류가 빈번해짐에 따라 세계 문화도

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고, 완전히 똑같으면 발전하고 지속할 수 없다. 다

다차원적 분화와 융합을 나타냈다. 유럽과 북미 통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른 것으로 다른 것을 평(平)하게 하는 것을 화라 부

합의 발전 전략에 비해 동아시아 문화는 심각한 정

본 연구는 화합문화가 한중일 전통 민가의 공간 연

체성 위기에 맞닥뜨리고 있다.1) 동아시아 문명의 주 요 전승국가로서 한, 중, 일 3국은 예로부터 문화적 측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었고, 각자의 분야에서 서로 다른 형식으로 세계를 향해 동양의 문화와 지혜를 전달하고 있다. 건축 활동에 대한 인류의 모든 탐구는 모두 거주 공 간에서 시작되었다. 전통 거주 공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서로 다른 지역 간의 문화 차이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가운데 내포하고 있는 사회 인 문적 분위기도 느낄 수 있다. 한중일 삼국은 유가문 화의 영향을 깊게 받았다.2) 그리하여 전통 유가 문 화의 정수로서 화합문화는 심미(審美) 과정 및 가치 의 판단에서 매우 큰 포용성을 나타냈고, 그 문화 내용의 본질에서 서로 다른 사물들이 발전하는 과정 에서 균형 상태를 유지하여 화합과 번영에 이르는 것을

강조하였다.3)

출 방법에 대한 비교 분석과 연구이다. 첫째, 화합문화의 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해, 화합문 화를 중심으로 화합문화의 역사적 기원, 발전 과정 및 현대 사회의 인식과 이해에 대해 정리하였다. 뿐 만 아니라 각 나라의 선행 연구 문헌에 대한 조사를 통해 현대 한중일 3국의 문화 정체성에 부합되는 화 합문화의 개념을 통합하여 연구 시각을 확립하였다. 둘째. 사례 분석 프레임을 구축하기 위해 거주 공간 과 관련되는 논문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평면 구도, 실내외 공간 구성, 공간 특성 등 3가지 측면 에서 분석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화합문화가 한중일 3국이 전통 거주 공간에서의 공 간 연출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사례를 중심으로 각 사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표준 디자인 요소를 제기하였으며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화합 문화의 각도에서 한중일 3국의 전통 거주 공간에 대한 비교와 연구에 초점을 맞추려고 한다. 문화 간 이질적 요소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현대 거주 공간의 디자인 과정에서 문화 융합 상태 에 이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현재 전통 거주 공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국가적 범위에 주목하였 고, 공간 차원에서 동아시아 한중일 3국에 연구 범 위를 한정하여 진행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철학적 화합 문화를 기반 으로 하고, 문화 화합에서 입각하여 한중일 3국의 전통 민가(民家)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전통 화합 문화 내용에 대한 정리와 그 현대적 의미에 대한 해 석을 통해,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화합 문화가 한중 일 3국 전통 거주 공간에서의 표현 방법에 대해 분 석을 진행하였고,디자인 각도에서 모순과 차이를 통

Ⅱ. 이론적 고찰 1. 화합 문화 1.1 화합 문화의 개념 '화합'이란 단어는 가장 일찍 춘추 시기에 나타났고, '화'와 '합'이 두 글자의 역사는 더욱 유구하다. 갑 골문과 금문 시기에 벌써 '화'와 '합' 두 글자가 나 타났다. '화'의 최초의 뜻은 소리와 비슷한 화합이고 '합'의 본뜻은 아래위가 합쳐지는 것이다. '천지만물 이 화합(和合)하고 화해(和諧)하는 것은 세상만물의 첫 번째 요소이다.' '화합(和合)'사상은 유교, 불교, 도교를 포함한 동아시아 문화에서 가장 생명력이 있 는 문화 내용이다. 화합에는 다양한 사물의 차이와 모순의 다양성의 통일을 내포하고 동과 서가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세상 만물이 탄생될 수 있으며 완 전히 똑 같은 사물은 없다.

르고, 그래야야만 풍성하게 성장시키고 만물을 복귀, 순환시킬 수 있다. 만약 동(同)으로 동(同)을 보조(補

신을 통해 보다 훌륭한 중화 문명을 창조할 수 있게 한다. 1.3 한중일 화합문화의 차이 중, 한, 일 3국은 모두 유교, 불교, 도교의 영향을 받았고 유교, 불교, 도교(또는 신도교)는 동아시아 사회의 3대 기본 종교이다. 동아시아 사회의 커뮤니 케이션과 발전 과정에서 이 3대종교는 충돌은 물론 융합도 있었다. 충돌-융합, 융합-충돌의 반복과 함 께 동아시아 3교는 결국 화합을 이루게 된다. 화합 문화는 동아시아 3교의 기본 내용과 발전의 주류를

助)하게 하면, 끝내 이를 폐하게 될 것이다)'라고 기

형성하였다.

록되어 있다. <논어자노(論語子路)>에는 공자의 '군

1) 중국

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

제자백가의 '가(家)'는 현대 철학가와 사상가들이 말

不和, 군자는 서로의 생각을 조절하여 화합을 이루 기는 하지만 이익을 얻기 위하여 주관을 버리고 상 대방에게 뇌동하지는 않으며, 소인은 이익을 얻기 위하여 주관을 버리고 상대방에게 뇌동하기는 하지 만 서로의 생각을 조절하여 화합을 이루지는 못한 다)'라 주장하였다. <노자(老子)>에서 노자는 '만물부 음이포양, 충기이위화(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만물은 음의 기운을 등에 지고 양의 기운을 앞에 안 아 충화의 기운에 의해 조화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라 말하였다. <순자. 천륜(荀子.天倫)>에서 순자는 ' 만물각득기화이생, 각득기양이성(萬物各得其和以生, 各得其養以成, 만물은 각각 그 조화를 따라서 생겨 나고, 각각 그러한 그 길러줌에 따라 이루어진다)'이 라 말하였다. 진나라 이후 양한(兩漢)의 경학(經學), 위진의 현학, 당나라의 불학, 나아가 송명의 이학(理 學), 근대 사상의 반성과 혁신에 이르기까지 화합 문화의 끊임없이 발전하여 일련의 화합 문화 이념을 형성하였다. 이른바 화합이란 자연, 사회, 인간관계, 마음, 문명 에서 유형 또는 무형의 많은 사물들이 서로 충돌하 고 융합하며, 충돌과 융합의 동태적 변화 과정에서 제반 형상과 무형상(無形相)이 새로운 구조 방식, 새 로운 사물, 새로운 생명으로 화합되는 합을 말한 다.4) 따라서 화합은 역동적 과정이라 할 수 있고 서 로 다른 사물을 서로 의존하는 복합체 속에 통일시 키는 것이며, 서로 다른 사물의 화합 과정에서 각 사물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없애어 최선의 조합을 이루어 새로운 사물의 탄생을 촉진하고 사물의 발전

하는 '가(家)'와 달리, 한 사람이 아니다. 한 사람으 로 '가(家)'를 이룰 수 없고 '가(家)'자체가 바로 합 쳐진 것이지만 개인은 흩어져 있다.5) 역사와 현실을 통해 중서양 문화 성격과 국민 성격을 고찰하여 결 론을 도출해냈다. 서양 문화는 충돌성이 더욱 크고 중국 문화는 조화의 힘이 더욱 강하다. 중국 문화의 위대한 부분이 바로 조화를 이루어 충돌되는 각 부 분을 포용하여 공생과 공존하며 서로 돕는다. '화'란 화합, 평화, 중화 등을 가리키고, '합'은 회합, 융합, 연합 등을 말한다. 윤리관 면에서 유교는 충, 효, 인, 의, 지, 신을 강조하여 중국 봉건 사회의 보편적 윤리 도덕과 봉건 통치자들의 통치 사상이 되었다. 불교와 도교는 법도를 널리 퍼뜨려 유교의 윤리적 도덕을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도교와 불교의 정수와 융합하였고 이를 통해 윤리 철학 면에서의 부족함을 보완하였다. 2) 한국 한국의 3교화합은 신라시기 화랑도의 이념에서 집중 적으로 나타난다. 화랑도는 신라 진흥왕(眞興王, 기 원540년-575년)이 창설하였는데 최초의 소년들의 낭만적인 심미(審美) 활동에서 점차 청소년의 자유 분방한 인격을 수양하는 '도(道)'로 변하였다. '화랑' 자체가 바로 '선발된 인물' 즉 국가에서 등용한 인 재이기 때문에 신라의 화랑은 국가의 미래와 흥망성 쇠를 좌우할 수 있는 핵심인물이 되었고 국가의 최 고 이념을 실현하는 주력이 되었고, '화랑'의 정신적 신앙, 사상 이념, 행위 규범은 점차 '화랑도(花郞道)' 로 표현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화랑도'는 신라 시대


43

44 和(화)合(합)’문화에 근거한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의 핵심과 정수이자 신라 정신의 응집체라 할 수 있 다. 삼국이 통일된 후 '화랑도'는 미래로 향하는 한 국 사상의 중심이 되었고, 왕조의 교체가 있더라도 ' 화랑도'라는 이름이 사라지더라도 그의 정신과 명맥 은 여전히 현대 한국 사상에 존재해 있다. 화랑도는 유교의 '충효' 사상과 불교의 '제악막작 중선봉행 (諸惡莫作 衆善奉行, 모든 악함을 짓지 말고 여러 선함을 받들어 행하라)'의 가르침, 도교의 '처무위지 사 행불언지교(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무위의 태도 로 세상일을 처리하고 말 없는 가르침을 행한다)'의 훈계를 흡수하여, 자연에 대한 깨달음을 기반으로 3 교를 종합하여 유교가 더 이상 윤리와 불교가 아닌 계율이 되게 하였고, 도교가 처세가 아닌 3교가 서 로 영향을 주고 서로 보충되게 하였다.6) 이 3교의 융합 과정에서 강력한 한민족의 민족 주체 정신과 주체 의식, 주체성을 부각시켰다. 일본의 잔혹함 속 에서 신음소리를 내고 있던 조선인들의 민족 영혼을 불러일으킨 강일순이 말한 것처럼 '천존(天尊)과 지 존(地尊)에 비해 인종(人尊)이 더욱 중요하고, 현재 는 인존의 시대이다.‘ 3) 일본 신도교는 일본의 전통 종교이다. 신도는 일본 조몽 (繩文)시대에 발원하였으며 원시적인 제사 행위이다. 나라 시대 이후 유교와 불교가 널리 전파되면서 신 도와 유교, 불교가 융합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신, 유, 불의 화합은 신도 이론의 향상을 추진하였을 뿐 만 아니라 신도가 실전 예의의 단일한 표현 형식만 을 가지고 있던 소박한 신앙에서 예절이 있고 교의 가 있으며 이론이 있는 종교 실체로 발전하였다. 신 도교에서 주장하는 3교 화합은 일본 사회의 '공생' 성을 반영하였다. '공생'이란 이질적 문화와 사상이 공존하고 융합되어 가치가 있는 신문화, 신사상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7) 이러한 '공생'성은 일본 사 회의 현대화에 촉진 작용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도 그 역할을 하고 있다. 20세기 90년대 이 후 일본 사회에서는 '공생'이란 단어가 매우 유행하 였다. 예를 들면 '사람과 자연의 공생', '인류 사회 의 공생' 등은 사실상 '환경 보호 의식'과 '평화 공

민가는 사람들이 거주와 생활 그리고 생산의 편리를

치해 있다. 사합원을 예로 들면 거실, 정원, 좌방(座

위해 건조한 휴양 장소이다. 전통 민가는 전통성,

房)이 모두 중심선 위에 놓여 있다.

거주지 선정, 구조, 기초, 실내외 장식 그리고 배치

국별

3) 현관

작품

에서 모두 현지의 민족 풍습과 민족 문하에서 출발 하여 각양각색의 건축을 구축하였다. 민가의 벽돌, 기와, 기둥, 창문 등은 모두 민족 특유의 전통 문화 를 나타냈다. 형식이 다양한 거주 환경은 서로 다른 인문 정신을 형성하였다. 민간 건축은 민족의 전통 적 심미(審美)의식, 사상관념, 사회 풍습, 종교 예법 등 다양한 요소를 융합하였고, 번화한 도시이든 농 촌이든 모두 농후한 생활 분위기를 드러냈으며 사람 들의 문화와 심미(審美)를 보여주었다.8) 중국 사합 원의 나무와 벽돌, 일본식 주택의 나무와 종이, 한 옥의 나무와 흙, 이 재료들은 모두 자기 나라와 민 족의 특징 및 신앙으로 받들고 있는 종교 문화로 선 택하였는데, 정원에 대한 구도 또한 이러하다.9)

원을 예로 들면 전통 민가에는 대부분 정원이 있지 만 현재 아파트 형태의 주택은 1층을 제외하고 거의 독립적 정원이 없고 일부 아파트는 하나의 공동 활 동 공간밖에 없다. 별장식 주택은 서양의 주택 모델 에서 발전하였고 정원이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전 통성 면에서 동양 문화를 나타내지 못한다.10)

아가는 표현이기도 하다. 중국과 일, 한의 다른 점 은 일, 한은 현관 위치에서 신발, 모자, 겉옷 등을 벗어야 한다. 일본은 비교적 현관 공간을 중요시하 여 실내와 실외를 명확하게 구분하는데, 현관이 실 내와 실외의 연결 역할을 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는 전통 민가를 실내와 실외 두 부분

형식

2.2.2 실외 공간 정원은 전통 민가에서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동양 문 화의 대표적 특징 가운데 하 사람과 자연이 가까이 하고

실내

융합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천

공간

<그림 3> 일본식 고산수

다. 이는 동양 문화의 구현이

기도 하다.

2) 회랑

회랑은 실외 정원과 실내 공간의 과도 공간으로서 은 각 방마다 모두 회랑을 통해 연결되었고, 일본과 한국은 회랑의 사용을 승계하고 발전시켰다.12)

을 진행하고자 한다.

악하기 위하여 제2장에서 다룬 공간 구성 요소를 기

2.2.1 실내 공간

반으로 분석 프레임을 구축하였고 사례 분석을 중심

의 구도는 상대적으로 사적인 공간이어서 각 나라마 2) 거실 거실은 현대 주택의 다기능 용도와 달리 전통 민가 에서 주로 손님 맞이 용도로 사용되었다. 거실의 위 치는 대부분 정문을 향하고 있고 건축의 중간에 위

거실

한국에는 별도의 홀을 마련하지 않았고 남 녀의 거주 구역을 따로 구분하였는데 대부 분 남성의 거주 구역에 손님 접대 구역을 준비하였다.

현관

한국과 일본의 현관 기능이 비슷하다. 한국은 온돌과 구들장을 사용하기 떄문 에 실내에서 신발을 신지 않고 현관에서 신발을 갈아 신거나 옷을 갈아입는다.

정원

한국의 정원은 내정과 외정으로 나뉘고, 위 합의 내정 공간은 가사 노동, 휴식, 교육에 장소를 제공한다. 내정에 비해 외정은 더욱 개방되어 남성 구역으로 통할 수 있는 주요 통로이다.

회랑

한옥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공간이 있는데 일본처럼 건축 주변에 구축하였고 이 또한 위로 띄워 일부는 현관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한옥 회랑의 설치와 기능은 매우 특징이 있고 사랑(舍廊)은 남성이 취침하거 나 식사하는 곳이며 하인들이 거주하는 곳 을 행랑(行廊)이라 부르기도 한다.

간 성

현관과는 달리 연결성이 더욱 강하다. 중국 사합원

본 연구는 한중일 전통 민가의 공간 구성 특성을 파

공간의 중요한 구성 요소 가운데 한 가지이다. 침실

한옥의 침실에서 가장 큰 특징이라면 온돌 을 꼽을 수 있고 또 내외실을 나뉘어 중 간에 미닫이 또는 칸막이로 가로막는다.

인합일'의 사상 관념을 나타냈

서 전통 민가에 대한 구체적 기능 공간에 관한 설명

침실은 전통 민가에서 휴식 공간으로서 전통 주택

침실

나이다. 전통 민가에서 정원은

Ⅲ. 사례분석

1) 침실

한옥 국내 유일의 도시 내 한옥 군락은 700여 채에 이른다.

개요

1) 정원

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고 실내와 실외 시각에

화 과정에서 각종 관계를 처리하는 중요한 이념이

2.1 전통민가의 개요

디자인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이는 전통으로 되돌

해왔다. 때문에 실내 공간의 기능은 대체적으로 비

다 침실에 대한 배치에 고정적 형식이 있다.11)

2. 전통 민가 공간

발전하게 되면서 현대 대부분 주택에서 현관에 대한

슷하고, 현대 주택과 아파트도 전통 민가에서 발전

존'의 관념을 지향한다. 때문에 '공생 의식'은 세계 다.

람들에게 잊혀진 공간이다. 그러나 주택 디자인이

전통 민가는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의 기능과 비

지만, 실외 공간에서는 비교적 큰 차이가 있다. 정

한국 전주 한옥 마을 조선 시대,전주

이미지

현관은 주택 내부와 외부의 과도 공간으로서 늘 사

2.2. 전통민가의 공간구성요소

슷한 현관, 거실, 침실 등 기능 공간으로 나누어지

<표 1>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비교분석표

으로 3국의 전통 민가 공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 다. 시간 척도에서는 같은 시대인 중국 청나라 (1636——1912), 일본 에도 시대(1603-1868), 한국 조선 시대(1392-1910)를 연구 범위로 한정 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같은 시기의 3국에 대한 사 례 선택을 선택하였다. 사례에서 보여지는 공간적 특성에 나타난 반응을 고찰하여, 공통점과 기준적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외 공간

특성 추출

포용성, 연결성, 기능성, 생태성, 질서성

<표 3> 일본 전통 주거공간의 비교분석표 국별 작품 이미지

일본 桂離宮(계이궁) 에도 시대,교토


43

44 和(화)合(합)’문화에 근거한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의 핵심과 정수이자 신라 정신의 응집체라 할 수 있 다. 삼국이 통일된 후 '화랑도'는 미래로 향하는 한 국 사상의 중심이 되었고, 왕조의 교체가 있더라도 ' 화랑도'라는 이름이 사라지더라도 그의 정신과 명맥 은 여전히 현대 한국 사상에 존재해 있다. 화랑도는 유교의 '충효' 사상과 불교의 '제악막작 중선봉행 (諸惡莫作 衆善奉行, 모든 악함을 짓지 말고 여러 선함을 받들어 행하라)'의 가르침, 도교의 '처무위지 사 행불언지교(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무위의 태도 로 세상일을 처리하고 말 없는 가르침을 행한다)'의 훈계를 흡수하여, 자연에 대한 깨달음을 기반으로 3 교를 종합하여 유교가 더 이상 윤리와 불교가 아닌 계율이 되게 하였고, 도교가 처세가 아닌 3교가 서 로 영향을 주고 서로 보충되게 하였다.6) 이 3교의 융합 과정에서 강력한 한민족의 민족 주체 정신과 주체 의식, 주체성을 부각시켰다. 일본의 잔혹함 속 에서 신음소리를 내고 있던 조선인들의 민족 영혼을 불러일으킨 강일순이 말한 것처럼 '천존(天尊)과 지 존(地尊)에 비해 인종(人尊)이 더욱 중요하고, 현재 는 인존의 시대이다.‘ 3) 일본 신도교는 일본의 전통 종교이다. 신도는 일본 조몽 (繩文)시대에 발원하였으며 원시적인 제사 행위이다. 나라 시대 이후 유교와 불교가 널리 전파되면서 신 도와 유교, 불교가 융합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신, 유, 불의 화합은 신도 이론의 향상을 추진하였을 뿐 만 아니라 신도가 실전 예의의 단일한 표현 형식만 을 가지고 있던 소박한 신앙에서 예절이 있고 교의 가 있으며 이론이 있는 종교 실체로 발전하였다. 신 도교에서 주장하는 3교 화합은 일본 사회의 '공생' 성을 반영하였다. '공생'이란 이질적 문화와 사상이 공존하고 융합되어 가치가 있는 신문화, 신사상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7) 이러한 '공생'성은 일본 사 회의 현대화에 촉진 작용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도 그 역할을 하고 있다. 20세기 90년대 이 후 일본 사회에서는 '공생'이란 단어가 매우 유행하 였다. 예를 들면 '사람과 자연의 공생', '인류 사회 의 공생' 등은 사실상 '환경 보호 의식'과 '평화 공

민가는 사람들이 거주와 생활 그리고 생산의 편리를

치해 있다. 사합원을 예로 들면 거실, 정원, 좌방(座

위해 건조한 휴양 장소이다. 전통 민가는 전통성,

房)이 모두 중심선 위에 놓여 있다.

거주지 선정, 구조, 기초, 실내외 장식 그리고 배치

국별

3) 현관

작품

에서 모두 현지의 민족 풍습과 민족 문하에서 출발 하여 각양각색의 건축을 구축하였다. 민가의 벽돌, 기와, 기둥, 창문 등은 모두 민족 특유의 전통 문화 를 나타냈다. 형식이 다양한 거주 환경은 서로 다른 인문 정신을 형성하였다. 민간 건축은 민족의 전통 적 심미(審美)의식, 사상관념, 사회 풍습, 종교 예법 등 다양한 요소를 융합하였고, 번화한 도시이든 농 촌이든 모두 농후한 생활 분위기를 드러냈으며 사람 들의 문화와 심미(審美)를 보여주었다.8) 중국 사합 원의 나무와 벽돌, 일본식 주택의 나무와 종이, 한 옥의 나무와 흙, 이 재료들은 모두 자기 나라와 민 족의 특징 및 신앙으로 받들고 있는 종교 문화로 선 택하였는데, 정원에 대한 구도 또한 이러하다.9)

원을 예로 들면 전통 민가에는 대부분 정원이 있지 만 현재 아파트 형태의 주택은 1층을 제외하고 거의 독립적 정원이 없고 일부 아파트는 하나의 공동 활 동 공간밖에 없다. 별장식 주택은 서양의 주택 모델 에서 발전하였고 정원이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전 통성 면에서 동양 문화를 나타내지 못한다.10)

아가는 표현이기도 하다. 중국과 일, 한의 다른 점 은 일, 한은 현관 위치에서 신발, 모자, 겉옷 등을 벗어야 한다. 일본은 비교적 현관 공간을 중요시하 여 실내와 실외를 명확하게 구분하는데, 현관이 실 내와 실외의 연결 역할을 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는 전통 민가를 실내와 실외 두 부분

형식

2.2.2 실외 공간 정원은 전통 민가에서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동양 문 화의 대표적 특징 가운데 하 사람과 자연이 가까이 하고

실내

융합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천

공간

<그림 3> 일본식 고산수

다. 이는 동양 문화의 구현이

기도 하다.

2) 회랑

회랑은 실외 정원과 실내 공간의 과도 공간으로서 은 각 방마다 모두 회랑을 통해 연결되었고, 일본과 한국은 회랑의 사용을 승계하고 발전시켰다.12)

을 진행하고자 한다.

악하기 위하여 제2장에서 다룬 공간 구성 요소를 기

2.2.1 실내 공간

반으로 분석 프레임을 구축하였고 사례 분석을 중심

의 구도는 상대적으로 사적인 공간이어서 각 나라마 2) 거실 거실은 현대 주택의 다기능 용도와 달리 전통 민가 에서 주로 손님 맞이 용도로 사용되었다. 거실의 위 치는 대부분 정문을 향하고 있고 건축의 중간에 위

거실

한국에는 별도의 홀을 마련하지 않았고 남 녀의 거주 구역을 따로 구분하였는데 대부 분 남성의 거주 구역에 손님 접대 구역을 준비하였다.

현관

한국과 일본의 현관 기능이 비슷하다. 한국은 온돌과 구들장을 사용하기 떄문 에 실내에서 신발을 신지 않고 현관에서 신발을 갈아 신거나 옷을 갈아입는다.

정원

한국의 정원은 내정과 외정으로 나뉘고, 위 합의 내정 공간은 가사 노동, 휴식, 교육에 장소를 제공한다. 내정에 비해 외정은 더욱 개방되어 남성 구역으로 통할 수 있는 주요 통로이다.

회랑

한옥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공간이 있는데 일본처럼 건축 주변에 구축하였고 이 또한 위로 띄워 일부는 현관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한옥 회랑의 설치와 기능은 매우 특징이 있고 사랑(舍廊)은 남성이 취침하거 나 식사하는 곳이며 하인들이 거주하는 곳 을 행랑(行廊)이라 부르기도 한다.

간 성

현관과는 달리 연결성이 더욱 강하다. 중국 사합원

본 연구는 한중일 전통 민가의 공간 구성 특성을 파

공간의 중요한 구성 요소 가운데 한 가지이다. 침실

한옥의 침실에서 가장 큰 특징이라면 온돌 을 꼽을 수 있고 또 내외실을 나뉘어 중 간에 미닫이 또는 칸막이로 가로막는다.

인합일'의 사상 관념을 나타냈

서 전통 민가에 대한 구체적 기능 공간에 관한 설명

침실은 전통 민가에서 휴식 공간으로서 전통 주택

침실

나이다. 전통 민가에서 정원은

Ⅲ. 사례분석

1) 침실

한옥 국내 유일의 도시 내 한옥 군락은 700여 채에 이른다.

개요

1) 정원

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고 실내와 실외 시각에

화 과정에서 각종 관계를 처리하는 중요한 이념이

2.1 전통민가의 개요

디자인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이는 전통으로 되돌

해왔다. 때문에 실내 공간의 기능은 대체적으로 비

다 침실에 대한 배치에 고정적 형식이 있다.11)

2. 전통 민가 공간

발전하게 되면서 현대 대부분 주택에서 현관에 대한

슷하고, 현대 주택과 아파트도 전통 민가에서 발전

존'의 관념을 지향한다. 때문에 '공생 의식'은 세계 다.

람들에게 잊혀진 공간이다. 그러나 주택 디자인이

전통 민가는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의 기능과 비

지만, 실외 공간에서는 비교적 큰 차이가 있다. 정

한국 전주 한옥 마을 조선 시대,전주

이미지

현관은 주택 내부와 외부의 과도 공간으로서 늘 사

2.2. 전통민가의 공간구성요소

슷한 현관, 거실, 침실 등 기능 공간으로 나누어지

<표 1>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비교분석표

으로 3국의 전통 민가 공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 다. 시간 척도에서는 같은 시대인 중국 청나라 (1636——1912), 일본 에도 시대(1603-1868), 한국 조선 시대(1392-1910)를 연구 범위로 한정 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같은 시기의 3국에 대한 사 례 선택을 선택하였다. 사례에서 보여지는 공간적 특성에 나타난 반응을 고찰하여, 공통점과 기준적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외 공간

특성 추출

포용성, 연결성, 기능성, 생태성, 질서성

<표 3> 일본 전통 주거공간의 비교분석표 국별 작품 이미지

일본 桂離宮(계이궁) 에도 시대,교토


45

46 和(화)合(합)’문화에 근거한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일본 화식 주택

개요

일본 에도 시대 초기에 전달해 당시 일본 문화의 정수다.

침실

실내 공간

거실

현관

공 간 구 성 정원

실외 공간

회랑

특성 추출

일본식 주택의 침실은 반개방 형태이고 택 내의 공간은 미닫이문으로 구분하여 간의 개방성이 강하다. 휴식이 필요할 미닫이를 닫아 별도의 휴식할 수 있는 간 즉 침실을 만들어낼 수 있다.

현관의 기능을 중요시하였다. 일본은 바 닥에 앉기 때문에 실내에서 신발을 신지 않는다. 현관은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공간으로써 현관에서 모자와 신발을 벗 는다. 일본은 선종 사상을 전승한 정원 디자인의 최고의 승계자이다. '고산수' 정원 설계는 전 세계적으로 명성이 자자하고 나무, 돌, 모래의 결합으로 자연의 조화로움을 나타 내는 동시에 사람의 진입을 제한다. 이를 통해 경치를 멀리서 바라볼 수만 있을 뿐 파괴할 수 없음을 표현하는 한편, 자연의 자연 성형은 사람이 만들거나 변화시킬 수 있는게 아니라는 것을 심층적으로 설명하 였다. 일본은 회랑을 건축의 주변에 배치하여 이 를 공중으로 띄워 목재의 습기 방지 목적 에 이루어 건축의 수명을 연장하였다. 이처 럼 위로 띄우는 회랑은 변두리 공간으로서 교통의 연결 역할은 물론, 일본식 주택 내외부의 연결성을 나타냈으며 전형적인 접합 공간이다.

작품 이미지

자의 본뜻은 매우 강한 동작성이 있다. 이를 가치관

개요

4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지금 명청시대의 사 합원 민가 500여 채가 보존되어 있다.

의미에서의 '화해(和諧)'와 방법론 의미에서의 '융합

내는 명사로 사용된다. '화'의 사용법은 서로 다르거

', 인식론 의미에서의 '(주객)투합'으로 전환된 후에

나 심지어 대립되는 요소 또는 사물의 상호 보완적

도 그의 과정성 또는 구성성을 잃지 않았다. 이와

공존과 공생의 의미를 담고 있고, 매우 뚜렷한 가치

같은 과정성 의미는 방법론과 인식론의 '화'에서 모

판단이 있다. 때문에 늘 목적 또는 목표의 형식으로

두 구현되었다. 예를 들면 노자가 말하기를 '도생일

나타난다. 예를 들면 공자는 '예지용, 화위귀'<논어.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 만물부음이포양 충기이위

학이(論語.學而)>라 하였다. 이런 의미의 '화'는 늘 '

화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萬物負陰而抱

동(同)'과 함께 비교 속에서 그 가치를 돋보이게 한

陽, 沖氣以爲和, 도가 일을 낳고, 일이 이를 낳고,

다.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君子和而不同, 小

실 내 공

거실

거실, 정원, 좌방(座房)이 모두 중심선 위에 놓여 있고, 이를 통해 손님에 대한 존중을 표 현하는 한편 노선을 더욱 명확하게 한다.

현관

사합원의 현관은 안채와 바깥채 사이에 있 고 대부분 중문과 가림벽이 있는데 현대의 거실에도 대부분 이와 같은 구조를 사용한 다.

정원

중국의 사합원은 정원을 기본 단위로 건조하 였으며 한 정원이 하나의 거주 집단을 구성 할 수 있어 정원이 많을수록 위합(圍合)도 많 아 거주 군도 더욱 많다.

회랑

사합원 복도는 집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고, 전통 사합원에서 중심 정원은 관상성이 기 능성보다 크기 때문에 각 방마다 회랑으로 연결시키고 남북측 대부분 중문으로 갈라 놓았으며 마장이 많을수록 중문이 많다.

간 공 간 구 성

실 외 공 간

중국의 사합원은 침실을 건축의 동서 양측에 배치하고 중심선 기준으로 대칭되는 구도를 하고 있으며 보통 집안의 장남 또는 차남이 거주한다.

특성 추출

대칭성, 비밀성, 연결성, 포용성, 생태성

Ⅳ. 종합분석 및 결론 화합 문화 시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한 결과 서로 다른 나라의 전통 민가에는 동일한 특성과 각자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합원은 상대적으로 폐쇄적이고 비교적 강한 프라이버시성이 있는가하 면, 일본의 일본식 주택은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방과 방 사이의 연결성이 강하며 또 자연과의 친밀 함을 중요시하고, 한옥은 기능과 질서를 더욱 중요 시하여 방과 방 사이가 연결되어 있지만 각자의 기 능이 명확하다. 사례분석을 통해 한중일 3국의 전통

<표 2> 중국 전통 주거공간의 비교분석표 국별

주 공 때 공

일본은 중국과 흡사하여 현관의 위치가 다 를 뿐 거실이 대부분 정문을 향하고 있고 모두 정원을 거친다.

개방성, 생태성, 연결성, 연속성,포용성

사합원

침실

형식

중국 爨底下村 청나라,북경

용사로 사용되거나, 화합의 상태 또는 경지를 나타

형식

민가의 공간 특성은 연결성, 생태성, 포용성으로 요

이가 삼을 낳고, 삼은 만물을 낳는다. 만물은 음(陰)

人同而不和, 군자는 서로의 생각을 조절하여 화합을

을 짊어지고 양(陽)을 끌어 안고 있고 충기(沖氣)로

이루기는 하지만 이익을 얻기 위하여 주관을 버리고

조화시킨다)'. 노자의 '도'는 특정 구체적 사물이 아

상대방에게 뇌동하지는 않으며, 소인은 이익을 얻기

닌 '화'라는 수단과 방식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하는

위하여 주관을 버리고 상대방에게 뇌동하기는 하지

과정 속에서 드러내는 '도'이다. 이 사례에서 '화'는

만 서로의 생각을 조절하여 화합을 이루지는 못한

매우 뚜렷한 생성성과 연속성이 있다.

다)'하였다. 이런 관점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사물

2) 생태성

간의 포용성을 토론하였다.

한중일 3국 전통 민가의 공간 형식은 심플하고 구조

화합문화 시각에서 볼 때 화합문화 요소 기호는 형

물 크기가 비교적 작으며, 색채가 간단하고 장식이

식면에서든 형태면에서든 모두 현대 디자인에서의

적다. 주택이 사용한 프레임과 문창 등은 대부분 천

심미(審美)와 일정한 관계가 있다. 때문에 전통 민가

연 목재를 사용하였다. 일본 정원의 고산수(枯山水)

의 공간 형태로부터 화합문화의 표현 형식을 연구하

내의 구성 요소는 모두 천연적인 석재와 같은 자연

는 것은 화합문화의 가치 내용을 깊이 이해하는데

친화적 재료를 사용하였다. 맹자가 제기한 '천인합일

도움이 된다. 공간 디자인 발전 각도에서 볼 때 화

'은 고대 철학가의 가장 대표적 의의를 지닌 인식론

합문화가 내포하고 있는 연결성, 생태성, 포용성은

과 우주관으로, 사람의 몸 담고 살고 있는 천지에서

현재의 공간 디자인 과정에서 인문적 관심 및 생태

세계에 대한 생각을 깨닫는다. 이러한 사상은 <장자

디자인적 요구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현재 다원 문

(莊子)>에서 한층 발전되었다. 천지여아병생, 만물여

화의 공존과 융합의 필요이기도하다.

아위일 (天地與我竝生,而萬物與我爲, 천지도 나와 함께 생긴 것이고, 만물도 나와 더불어 하나를 이룬 다.)(<장자. 제물론(莊子. 齊物論)>). 장자의 이 글은 '천인합일' 사상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이 관점을 바탕으로 자연 환경과 사람의 관계를 토론하였고 현 재의 디자인 이념에서 생태화 디자인 사상이다.

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포용성

1) 연결성

한중일 3국 전통 민가 공간 디자인에서 포용성은 여

한중일 3국 전통 민가 공간의 연속성은 한편으로 회 랑을 통해 각 방을 연결시키고 각 방마다 대응하는 외부 회랑이 있으며 외부 회랑은 독립적인 각 방들 을 하나의 완전체로 연결시킨다. 중국의 사합원 회 랑, 일본식 주택의 '마루 공간' 등이 바로 그 예이 다. 다른 한편으로 실내 공간은 열 수 있는 문 또는 창문을 설치하여 일본식 주택의 일실성(一室性)처럼 전체 실내를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화 합문화에서 보면 공간의 연속성을 볼 수 있다. '화'

러 가지 구성 요소에 대한 공존과 상호 보완이다. 한편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조 소재 즉 목재와 석재의 결합, 사합원의 전반적 구조에서 사용한 목 조 구조, 벽면에 벽돌 활용 등을 나타냈다. 한옥과 일본식 주택은 실외 환경을 실내 경치의 일부분으로 하여 내외 공간이 상부상조하여 조화로운 완전체를 구성한다. 이는 환경과 구조 소재에 대한 포용성을 나타낸다. 가치관인 '화'는 '화'자의 사용법에 있어 일반적으로 '화합', '화목', '협조' '화애(和悅)'등 형

참고문헌 1) 황인수, 지역별 전통주택의 안채와 사랑채 특징 고찰,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p.66. 2)

陈丽旭,「화합문화의

내포와

시대적

가치」,

ZHEJIANG Social Sciences,Vol.2, 2018 3) 张立文,「화합과 대화」, 문학·사학·철학,Vol(4). 2011 4) 쿠마 켄고,,「일본 과 현대의 통일 -- 전후 일본 의 주택역사」, World architecture, Vol.08.1989 5) 백림,「중국 전통주택의 공간구성 및 생활과의 대 응관계연구——시안 사합원 주택중심으로」, 2014. 6) 리우닝,「중국 전통 민가공간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현대 상업 무역,2012. 7) 유동,「중 한 전통주거문화의 특징 비교분석」, 아 트 테크놀로지,Vol.02.2015. 8) QIAN MU,『 Chinese Nationality and Chinese


45

46 和(화)合(합)’문화에 근거한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일본 화식 주택

개요

일본 에도 시대 초기에 전달해 당시 일본 문화의 정수다.

침실

실내 공간

거실

현관

공 간 구 성 정원

실외 공간

회랑

특성 추출

일본식 주택의 침실은 반개방 형태이고 택 내의 공간은 미닫이문으로 구분하여 간의 개방성이 강하다. 휴식이 필요할 미닫이를 닫아 별도의 휴식할 수 있는 간 즉 침실을 만들어낼 수 있다.

현관의 기능을 중요시하였다. 일본은 바 닥에 앉기 때문에 실내에서 신발을 신지 않는다. 현관은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공간으로써 현관에서 모자와 신발을 벗 는다. 일본은 선종 사상을 전승한 정원 디자인의 최고의 승계자이다. '고산수' 정원 설계는 전 세계적으로 명성이 자자하고 나무, 돌, 모래의 결합으로 자연의 조화로움을 나타 내는 동시에 사람의 진입을 제한다. 이를 통해 경치를 멀리서 바라볼 수만 있을 뿐 파괴할 수 없음을 표현하는 한편, 자연의 자연 성형은 사람이 만들거나 변화시킬 수 있는게 아니라는 것을 심층적으로 설명하 였다. 일본은 회랑을 건축의 주변에 배치하여 이 를 공중으로 띄워 목재의 습기 방지 목적 에 이루어 건축의 수명을 연장하였다. 이처 럼 위로 띄우는 회랑은 변두리 공간으로서 교통의 연결 역할은 물론, 일본식 주택 내외부의 연결성을 나타냈으며 전형적인 접합 공간이다.

작품 이미지

자의 본뜻은 매우 강한 동작성이 있다. 이를 가치관

개요

4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지금 명청시대의 사 합원 민가 500여 채가 보존되어 있다.

의미에서의 '화해(和諧)'와 방법론 의미에서의 '융합

내는 명사로 사용된다. '화'의 사용법은 서로 다르거

', 인식론 의미에서의 '(주객)투합'으로 전환된 후에

나 심지어 대립되는 요소 또는 사물의 상호 보완적

도 그의 과정성 또는 구성성을 잃지 않았다. 이와

공존과 공생의 의미를 담고 있고, 매우 뚜렷한 가치

같은 과정성 의미는 방법론과 인식론의 '화'에서 모

판단이 있다. 때문에 늘 목적 또는 목표의 형식으로

두 구현되었다. 예를 들면 노자가 말하기를 '도생일

나타난다. 예를 들면 공자는 '예지용, 화위귀'<논어.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 만물부음이포양 충기이위

학이(論語.學而)>라 하였다. 이런 의미의 '화'는 늘 '

화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萬物負陰而抱

동(同)'과 함께 비교 속에서 그 가치를 돋보이게 한

陽, 沖氣以爲和, 도가 일을 낳고, 일이 이를 낳고,

다.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君子和而不同, 小

실 내 공

거실

거실, 정원, 좌방(座房)이 모두 중심선 위에 놓여 있고, 이를 통해 손님에 대한 존중을 표 현하는 한편 노선을 더욱 명확하게 한다.

현관

사합원의 현관은 안채와 바깥채 사이에 있 고 대부분 중문과 가림벽이 있는데 현대의 거실에도 대부분 이와 같은 구조를 사용한 다.

정원

중국의 사합원은 정원을 기본 단위로 건조하 였으며 한 정원이 하나의 거주 집단을 구성 할 수 있어 정원이 많을수록 위합(圍合)도 많 아 거주 군도 더욱 많다.

회랑

사합원 복도는 집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고, 전통 사합원에서 중심 정원은 관상성이 기 능성보다 크기 때문에 각 방마다 회랑으로 연결시키고 남북측 대부분 중문으로 갈라 놓았으며 마장이 많을수록 중문이 많다.

간 공 간 구 성

실 외 공 간

중국의 사합원은 침실을 건축의 동서 양측에 배치하고 중심선 기준으로 대칭되는 구도를 하고 있으며 보통 집안의 장남 또는 차남이 거주한다.

특성 추출

대칭성, 비밀성, 연결성, 포용성, 생태성

Ⅳ. 종합분석 및 결론 화합 문화 시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한 결과 서로 다른 나라의 전통 민가에는 동일한 특성과 각자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합원은 상대적으로 폐쇄적이고 비교적 강한 프라이버시성이 있는가하 면, 일본의 일본식 주택은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방과 방 사이의 연결성이 강하며 또 자연과의 친밀 함을 중요시하고, 한옥은 기능과 질서를 더욱 중요 시하여 방과 방 사이가 연결되어 있지만 각자의 기 능이 명확하다. 사례분석을 통해 한중일 3국의 전통

<표 2> 중국 전통 주거공간의 비교분석표 국별

주 공 때 공

일본은 중국과 흡사하여 현관의 위치가 다 를 뿐 거실이 대부분 정문을 향하고 있고 모두 정원을 거친다.

개방성, 생태성, 연결성, 연속성,포용성

사합원

침실

형식

중국 爨底下村 청나라,북경

용사로 사용되거나, 화합의 상태 또는 경지를 나타

형식

민가의 공간 특성은 연결성, 생태성, 포용성으로 요

이가 삼을 낳고, 삼은 만물을 낳는다. 만물은 음(陰)

人同而不和, 군자는 서로의 생각을 조절하여 화합을

을 짊어지고 양(陽)을 끌어 안고 있고 충기(沖氣)로

이루기는 하지만 이익을 얻기 위하여 주관을 버리고

조화시킨다)'. 노자의 '도'는 특정 구체적 사물이 아

상대방에게 뇌동하지는 않으며, 소인은 이익을 얻기

닌 '화'라는 수단과 방식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하는

위하여 주관을 버리고 상대방에게 뇌동하기는 하지

과정 속에서 드러내는 '도'이다. 이 사례에서 '화'는

만 서로의 생각을 조절하여 화합을 이루지는 못한

매우 뚜렷한 생성성과 연속성이 있다.

다)'하였다. 이런 관점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사물

2) 생태성

간의 포용성을 토론하였다.

한중일 3국 전통 민가의 공간 형식은 심플하고 구조

화합문화 시각에서 볼 때 화합문화 요소 기호는 형

물 크기가 비교적 작으며, 색채가 간단하고 장식이

식면에서든 형태면에서든 모두 현대 디자인에서의

적다. 주택이 사용한 프레임과 문창 등은 대부분 천

심미(審美)와 일정한 관계가 있다. 때문에 전통 민가

연 목재를 사용하였다. 일본 정원의 고산수(枯山水)

의 공간 형태로부터 화합문화의 표현 형식을 연구하

내의 구성 요소는 모두 천연적인 석재와 같은 자연

는 것은 화합문화의 가치 내용을 깊이 이해하는데

친화적 재료를 사용하였다. 맹자가 제기한 '천인합일

도움이 된다. 공간 디자인 발전 각도에서 볼 때 화

'은 고대 철학가의 가장 대표적 의의를 지닌 인식론

합문화가 내포하고 있는 연결성, 생태성, 포용성은

과 우주관으로, 사람의 몸 담고 살고 있는 천지에서

현재의 공간 디자인 과정에서 인문적 관심 및 생태

세계에 대한 생각을 깨닫는다. 이러한 사상은 <장자

디자인적 요구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현재 다원 문

(莊子)>에서 한층 발전되었다. 천지여아병생, 만물여

화의 공존과 융합의 필요이기도하다.

아위일 (天地與我竝生,而萬物與我爲, 천지도 나와 함께 생긴 것이고, 만물도 나와 더불어 하나를 이룬 다.)(<장자. 제물론(莊子. 齊物論)>). 장자의 이 글은 '천인합일' 사상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이 관점을 바탕으로 자연 환경과 사람의 관계를 토론하였고 현 재의 디자인 이념에서 생태화 디자인 사상이다.

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포용성

1) 연결성

한중일 3국 전통 민가 공간 디자인에서 포용성은 여

한중일 3국 전통 민가 공간의 연속성은 한편으로 회 랑을 통해 각 방을 연결시키고 각 방마다 대응하는 외부 회랑이 있으며 외부 회랑은 독립적인 각 방들 을 하나의 완전체로 연결시킨다. 중국의 사합원 회 랑, 일본식 주택의 '마루 공간' 등이 바로 그 예이 다. 다른 한편으로 실내 공간은 열 수 있는 문 또는 창문을 설치하여 일본식 주택의 일실성(一室性)처럼 전체 실내를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화 합문화에서 보면 공간의 연속성을 볼 수 있다. '화'

러 가지 구성 요소에 대한 공존과 상호 보완이다. 한편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조 소재 즉 목재와 석재의 결합, 사합원의 전반적 구조에서 사용한 목 조 구조, 벽면에 벽돌 활용 등을 나타냈다. 한옥과 일본식 주택은 실외 환경을 실내 경치의 일부분으로 하여 내외 공간이 상부상조하여 조화로운 완전체를 구성한다. 이는 환경과 구조 소재에 대한 포용성을 나타낸다. 가치관인 '화'는 '화'자의 사용법에 있어 일반적으로 '화합', '화목', '협조' '화애(和悅)'등 형

참고문헌 1) 황인수, 지역별 전통주택의 안채와 사랑채 특징 고찰,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p.66. 2)

陈丽旭,「화합문화의

내포와

시대적

가치」,

ZHEJIANG Social Sciences,Vol.2, 2018 3) 张立文,「화합과 대화」, 문학·사학·철학,Vol(4). 2011 4) 쿠마 켄고,,「일본 과 현대의 통일 -- 전후 일본 의 주택역사」, World architecture, Vol.08.1989 5) 백림,「중국 전통주택의 공간구성 및 생활과의 대 응관계연구——시안 사합원 주택중심으로」, 2014. 6) 리우닝,「중국 전통 민가공간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현대 상업 무역,2012. 7) 유동,「중 한 전통주거문화의 특징 비교분석」, 아 트 테크놀로지,Vol.02.2015. 8) QIAN MU,『 Chinese Nationality and Chinese


47

48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9)『한국

철학사』,사회과학

문헌

출판,

of International Relations, Vol.44(5), 2004 12)

History』,JIUZHOU PRESS ,2011,p.59. 1996.

Yan

Bing

「Hierarchy

Zhang,

and

Akihiko

Nonaka,

Conservatism:

A

pp.108-219.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10 ) 张大拓, 『 当代神道教』 , 东方出版社, 1 99 9, History』,JIUZHOU PRESS ,2011,p.59. pp.21-23. 9)『한국 철학사』,사회과학 문헌 출판, 1996. 11) Jung In Kang,「The Cultural Identity of pp.108-219. East Asi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10 ) 张大拓, 『 当代神道教』 , 东方出版社, 1 99 9, Westcentrism and Asian Values」, The Korean pp.21-23.

Cross-Cultural Comparison of Confucian of International Relations, Vol.44(5), 2004 Values in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12) Yan Bing Zhang, Akihiko Nonaka,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22, 「Hierarchy and Conservatism: A 2005 Cross-Cultural Comparison of Confucian

11) Jung In Kang,「The Cultural Identity of

2005

East

Asia

in

the

Age

of

Values in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22,

Globalization:

Westcentrism and Asian Values」, The Korean

1) Jung In Kang, 「The Cultural Identity of East Asi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estcentrism and Asian Values」, The Korean of International Relations, Vol.44(5), 2004 2) Yan Bing Zhang, Akihiko Nonaka, 「Hierarchy and Conservatism: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Confucian Values in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22, 2005 1)3) Jung In Kang, 「The Cultural Identity of East Asia inSocial the Age of Globalization: 陈丽旭, 「화합문화의 내포와 시대적 가치」,ZHEJIANG Sciences, Vol.2, 2018Westcentrism and Asian The Korean International Relations, 4) Values」, 张立文,「화합과 대화」,of문학·사학·철학,Vol(4). 2011Vol.44(5), 2004 2)5) Yan Akihiko Nonaka, and 「Hierarchy Conservatism: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QIANBing MU,Zhang, 『 Chinese Nationality Chinese and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History』, Confucian Values,2011,p.59. in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22, JIUZHOU PRESS 6) 2005 『한국 철학사』,사회과학 문헌 출판, 1996. pp.108-219. 3)7)陈丽旭, 「화합문화의 내포와 시대적 1999, 가치」,ZHEJIANG 张大拓, 『当代神道教』, 东方出版社, pp.21-23. Social Sciences, Vol.2, 2018 4)8)张立文,「화합과 문학·사학·철학,Vol(4). 2011 쿠마 켄고, 「일본대화」, 과 현대의 통일 -- 전후 일본의 주택역사」, World architecture, Vol.08.1989 5)9) QIAN Chinese Nationality Chines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백림, MU, 「중국『 전통주택의 공간구성 및 and 생활과의 대응관계 연구——시안 사합원 주택중심으로」, 2014. History』, PRESS전통민가공간의 ,2011,p.59.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현대 상업 무역,2012. 10)JIUZHOU 리우닝, 「중국 6)11) 『한국 문헌 출판, 1996. pp.108-219. 유동,철학사』,사회과학 「중.한 전통주거문화의 특징 비교분석」, 아트 테크놀로지,Vol.02.2015. 7)12) 张大拓, 东方出版社, 황인수,『当代神道教』, 지역별 전통주택의 안채와 1999, 사랑채pp.21-23. 특징 고찰,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p.66. 8) 쿠마 켄고, 「일본 과 현대의 통일 -- 전후 일본의 주택역사」, World architecture, Vol.08.1989 9) 백림, 「중국 전통주택의 공간구성 및 생활과의 대응관계 연구——시안 사합원 주택중심으로」, 2014. 10) 리우닝, 「중국 전통민가공간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현대 상업 무역,2012. 11) 유동, 「중.한 전통주거문화의 특징 비교분석」, 아트 테크놀로지,Vol.02.2015. 12) 황인수, 지역별 전통주택의 안채와 사랑채 특징 고찰,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p.66.


47

48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9)『한국

철학사』,사회과학

문헌

출판,

of International Relations, Vol.44(5), 2004 12)

History』,JIUZHOU PRESS ,2011,p.59. 1996.

Yan

Bing

「Hierarchy

Zhang,

and

Akihiko

Nonaka,

Conservatism:

A

pp.108-219.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10 ) 张大拓, 『 当代神道教』 , 东方出版社, 1 99 9, History』,JIUZHOU PRESS ,2011,p.59. pp.21-23. 9)『한국 철학사』,사회과학 문헌 출판, 1996. 11) Jung In Kang,「The Cultural Identity of pp.108-219. East Asi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10 ) 张大拓, 『 当代神道教』 , 东方出版社, 1 99 9, Westcentrism and Asian Values」, The Korean pp.21-23.

Cross-Cultural Comparison of Confucian of International Relations, Vol.44(5), 2004 Values in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12) Yan Bing Zhang, Akihiko Nonaka,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22, 「Hierarchy and Conservatism: A 2005 Cross-Cultural Comparison of Confucian

11) Jung In Kang,「The Cultural Identity of

2005

East

Asia

in

the

Age

of

Values in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22,

Globalization:

Westcentrism and Asian Values」, The Korean

1) Jung In Kang, 「The Cultural Identity of East Asi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estcentrism and Asian Values」, The Korean of International Relations, Vol.44(5), 2004 2) Yan Bing Zhang, Akihiko Nonaka, 「Hierarchy and Conservatism: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Confucian Values in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22, 2005 1)3) Jung In Kang, 「The Cultural Identity of East Asia inSocial the Age of Globalization: 陈丽旭, 「화합문화의 내포와 시대적 가치」,ZHEJIANG Sciences, Vol.2, 2018Westcentrism and Asian The Korean International Relations, 4) Values」, 张立文,「화합과 대화」,of문학·사학·철학,Vol(4). 2011Vol.44(5), 2004 2)5) Yan Akihiko Nonaka, and 「Hierarchy Conservatism: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QIANBing MU,Zhang, 『 Chinese Nationality Chinese and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History』, Confucian Values,2011,p.59. in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22, JIUZHOU PRESS 6) 2005 『한국 철학사』,사회과학 문헌 출판, 1996. pp.108-219. 3)7)陈丽旭, 「화합문화의 내포와 시대적 1999, 가치」,ZHEJIANG 张大拓, 『当代神道教』, 东方出版社, pp.21-23. Social Sciences, Vol.2, 2018 4)8)张立文,「화합과 문학·사학·철학,Vol(4). 2011 쿠마 켄고, 「일본대화」, 과 현대의 통일 -- 전후 일본의 주택역사」, World architecture, Vol.08.1989 5)9) QIAN Chinese Nationality Chines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백림, MU, 「중국『 전통주택의 공간구성 및 and 생활과의 대응관계 연구——시안 사합원 주택중심으로」, 2014. History』, PRESS전통민가공간의 ,2011,p.59.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현대 상업 무역,2012. 10)JIUZHOU 리우닝, 「중국 6)11) 『한국 문헌 출판, 1996. pp.108-219. 유동,철학사』,사회과학 「중.한 전통주거문화의 특징 비교분석」, 아트 테크놀로지,Vol.02.2015. 7)12) 张大拓, 东方出版社, 황인수,『当代神道教』, 지역별 전통주택의 안채와 1999, 사랑채pp.21-23. 특징 고찰,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p.66. 8) 쿠마 켄고, 「일본 과 현대의 통일 -- 전후 일본의 주택역사」, World architecture, Vol.08.1989 9) 백림, 「중국 전통주택의 공간구성 및 생활과의 대응관계 연구——시안 사합원 주택중심으로」, 2014. 10) 리우닝, 「중국 전통민가공간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현대 상업 무역,2012. 11) 유동, 「중.한 전통주거문화의 특징 비교분석」, 아트 테크놀로지,Vol.02.2015. 12) 황인수, 지역별 전통주택의 안채와 사랑채 특징 고찰,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p.66.


49

50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에 기반한 한중일 이름 웨이나, 양베이 20195128, 20195143 과정 국립중학교 교복디자인학번

지도교수 장주영 SIG연구회 : 웨이나, 양베이 지도교수 : 장주영

연구제목 Keywords

분류

박사

SIG : 연구회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에 기반한 한중일 국립중학교 교복디자인 비교 연구 한중일 교복, 감성디자인

1. 서론

다른 교복 타입과 스타일을 선택하기 때문에 연구

교복이란 학교가 학생이 입도록 규정한 일상복으로,

자료의 취사선택 과정이 번잡하다. 따라서 본 연구

일종의 상징적 복장이다1). 교복은 캠퍼스의 복식으

는 문헌 조사와 이미지 분석 방법만을 차용해 기존

로 캠퍼스 문화를 비출 수 있으며, 학교의 운영 취

문헌과 인터넷에 공개된 자료 중에서 가장 최신이고

지와 학생들의 정신을 측면적으로 반영할 수 있고,

가장 보편적인 이미지 자료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고

한 나라의 교육과 복식 문화의 이념과 수준을 반영

자 한다.

하기도 한다. 교복은 기본적인 의복 기능과 심미 기능을 제외하고

2. 이론적 배경

일반적인 의상에는 없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컨

문헌을 살펴본 결과 기존 연구는 한중일 삼국의 교

대 학생의 학교에 대한 귀속감이나 정체성을 강화시

복 디자인의 역사와 발전을 거슬러 올라가 이를 정

킬 수 있으며, 학생들 간의 사이를 돈독히 하는 작

리하는 것이나 삼국의 교복 디자인의 현황 분석에

용도 한다. 또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고 통일성과 규

집중되어 있고, 삼국의 중학교 교복 디자인에 대한

율성을 강화하고, 학생들이 옷으로 남과 비교하는

비교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를 해결하며, 청소년 범죄율을 감소시킨다. 이러

또한 교복의 외관과 성능면에서 연구하여 교복 사용

한 이유로 교복은 한중일 삼국의 국립중학교의 통일

자의 심리적 욕구를 적게 분석하였다. 훌륭한 교복

적인 의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디자인은 외형의 미관성뿐만 아니라 내적인 기능성

본 연구는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을 통해

과 사용자의 심리적 측면의 수요까지 고려하여야 한

한중일의 교복 외형, 기능과 함의 등 방면에 대한

다. 이는 도널드 아서 노먼(Donald Arthur Norma

비교 분석을 진행하여 한중일 삼국 국립중학교 교복

n)이 제시한 감성 디자인(Emotional Design) 이론

디자인의 특징, 중학생의 교복 디자인을 개선 할 수

과 부합한다. 도널드 노먼의 저서 “Emotional Desi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gn: 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에

1.1 연구 범위

서는 심리학적 각도에서 인간의 본성을 본능적, 행

교복 디자인은 자연환경과 지정학적 위치의 영향을

위적, 반성적 세 가지 특징적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받는다. 한중일 삼국은 모두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

본능적 디자인의 기본 원리는 인간의 본능에서 비롯

해 있으나, 중국은 한일 양국에 비해 국토 면적이

되며, 이 측면의 주요한 물리적 특징으로는 시각,

넓어 남쪽과 북쪽의 지형적 차이가 보다 두드러진

청각, 촉각이 주요 지배 요인을 점한다. 사람들이

다. 또한

어떤 사물을 봤을 때 드는 소유욕은 본능적 선택에

시간과 지면의 한계가 있어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서 비롯된 것이다. 행위적 측면의 디자인은 효용을

한중일 양국의 서울, 베이징와 도쿄으로 한정할 것

중시하며, 물품의 기능과 조작의 편의성 등을 중시

이다. 세 도시는 계절 구분이 상대적으로 분명해 계

한다. 반성적 측면의 디자인은 사용자가 제품을 사

절별로 하복과 춘추복 두 종류로 나뉜다. 여름이 비

용한 후 이성적 사고가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

교적 짧기 때문에 춘추복 교복의 사용 빈도율이 더

한 일정한 평가를 하게 만드는 것을 가리킨다. 이

높아 본 논문은 국립중학교 춘추복 교복 디자인을

측면은 문화, 교육, 개인의 배경 등 여러 방면과 관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계가 있다2). 본 연구는 감성 디자인 이론을 기반으

1.2 연구방법

로 한중일 삼국의 국립중학교 춘추 교복의 디자인에

교복은 통일성이 있는 복장이지만, 학교의 이미지와 건학 이념을 상징하는 기능이 있어 학교마다 서로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49

50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에 기반한 한중일 이름 웨이나, 양베이 20195128, 20195143 과정 국립중학교 교복디자인학번

지도교수 장주영 SIG연구회 : 웨이나, 양베이 지도교수 : 장주영

연구제목 Keywords

분류

박사

SIG : 연구회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에 기반한 한중일 국립중학교 교복디자인 비교 연구 한중일 교복, 감성디자인

1. 서론

다른 교복 타입과 스타일을 선택하기 때문에 연구

교복이란 학교가 학생이 입도록 규정한 일상복으로,

자료의 취사선택 과정이 번잡하다. 따라서 본 연구

일종의 상징적 복장이다1). 교복은 캠퍼스의 복식으

는 문헌 조사와 이미지 분석 방법만을 차용해 기존

로 캠퍼스 문화를 비출 수 있으며, 학교의 운영 취

문헌과 인터넷에 공개된 자료 중에서 가장 최신이고

지와 학생들의 정신을 측면적으로 반영할 수 있고,

가장 보편적인 이미지 자료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고

한 나라의 교육과 복식 문화의 이념과 수준을 반영

자 한다.

하기도 한다. 교복은 기본적인 의복 기능과 심미 기능을 제외하고

2. 이론적 배경

일반적인 의상에는 없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컨

문헌을 살펴본 결과 기존 연구는 한중일 삼국의 교

대 학생의 학교에 대한 귀속감이나 정체성을 강화시

복 디자인의 역사와 발전을 거슬러 올라가 이를 정

킬 수 있으며, 학생들 간의 사이를 돈독히 하는 작

리하는 것이나 삼국의 교복 디자인의 현황 분석에

용도 한다. 또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고 통일성과 규

집중되어 있고, 삼국의 중학교 교복 디자인에 대한

율성을 강화하고, 학생들이 옷으로 남과 비교하는

비교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를 해결하며, 청소년 범죄율을 감소시킨다. 이러

또한 교복의 외관과 성능면에서 연구하여 교복 사용

한 이유로 교복은 한중일 삼국의 국립중학교의 통일

자의 심리적 욕구를 적게 분석하였다. 훌륭한 교복

적인 의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디자인은 외형의 미관성뿐만 아니라 내적인 기능성

본 연구는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을 통해

과 사용자의 심리적 측면의 수요까지 고려하여야 한

한중일의 교복 외형, 기능과 함의 등 방면에 대한

다. 이는 도널드 아서 노먼(Donald Arthur Norma

비교 분석을 진행하여 한중일 삼국 국립중학교 교복

n)이 제시한 감성 디자인(Emotional Design) 이론

디자인의 특징, 중학생의 교복 디자인을 개선 할 수

과 부합한다. 도널드 노먼의 저서 “Emotional Desi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gn: 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에

1.1 연구 범위

서는 심리학적 각도에서 인간의 본성을 본능적, 행

교복 디자인은 자연환경과 지정학적 위치의 영향을

위적, 반성적 세 가지 특징적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받는다. 한중일 삼국은 모두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

본능적 디자인의 기본 원리는 인간의 본능에서 비롯

해 있으나, 중국은 한일 양국에 비해 국토 면적이

되며, 이 측면의 주요한 물리적 특징으로는 시각,

넓어 남쪽과 북쪽의 지형적 차이가 보다 두드러진

청각, 촉각이 주요 지배 요인을 점한다. 사람들이

다. 또한

어떤 사물을 봤을 때 드는 소유욕은 본능적 선택에

시간과 지면의 한계가 있어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서 비롯된 것이다. 행위적 측면의 디자인은 효용을

한중일 양국의 서울, 베이징와 도쿄으로 한정할 것

중시하며, 물품의 기능과 조작의 편의성 등을 중시

이다. 세 도시는 계절 구분이 상대적으로 분명해 계

한다. 반성적 측면의 디자인은 사용자가 제품을 사

절별로 하복과 춘추복 두 종류로 나뉜다. 여름이 비

용한 후 이성적 사고가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

교적 짧기 때문에 춘추복 교복의 사용 빈도율이 더

한 일정한 평가를 하게 만드는 것을 가리킨다. 이

높아 본 논문은 국립중학교 춘추복 교복 디자인을

측면은 문화, 교육, 개인의 배경 등 여러 방면과 관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계가 있다2). 본 연구는 감성 디자인 이론을 기반으

1.2 연구방법

로 한중일 삼국의 국립중학교 춘추 교복의 디자인에

교복은 통일성이 있는 복장이지만, 학교의 이미지와 건학 이념을 상징하는 기능이 있어 학교마다 서로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51

52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에 기반한 한중일 국립중학교 교복디자인

3. 교복 디자인 분석 이번 장에서는 감성 디자인 이론의 세 가지 측면을 근거로 한중일 삼국 공립 중고등학교 춘추 교복 디 자인에 대한 비교 및 분석을 하고자 한다. 3.1 본능적 측면 도널드 노먼의 감성 디자인 이론에 따르면 디자인의 제1 측면은 본능적 측면의 디자인이며, 이는 교복 디자인의 스타일과 색깔 등 방면에서 구현된다. 이 번 절에서는 한중일 삼국의 중학교 춘추 교복의 스

학교의 휘장과 학교명을 교복 재킷이나 셔츠의 좌측 가슴 위치에 자수를 놓아 식별도를 높인다. 색깔 방

분하였으며, 10곳은 나이별로 디자인을 나누었다.

<표2>베이징 중학생 교복

나머지 학교의 교복은 성별이나 나이의 구분 없이

면에서는 한국의 중학교 교복은 사진처럼 검은색,

남녀공동

흰색, 회색, 갈색, 짙은 파란색 위주의 순도가 낮은

운동복 형식

짙은 빨간색 등을 장식색으로 차용한 경우도 종종

위 4위권을 차지한 색깔은 흰색, 파란색, 검은색과

있다. 전체적으로 진중하고 깔끔하며 순수한 느낌을

빨간색과 같이 명도가 높은 색깔이었으며, 청색, 녹

주는 색깔이다(표1 참고).

색, 보라색이 하위 3위권을 차지하였다는 것을 알

<표1> 서울 중학생 교복

수 있다. 264곳의 중학교 교복에 사용되지 않은 색

남성 정장식

캐주얼

깔은 갈색이었다(표3 참고)4).

여성 운동북

정장식

캐주얼

3.1.3 일본

운동북

일본어로 교복은 “정복(せいふく)”이라고 불린다. 이 처럼 일본의 교복은 정복 성질에 속하며, 정장의 특

서울 스마트(SMART) 교복 디자인 회사가 1000명의

징과 기능이 있다. 조사 결과 일본 교복은 일상적인

중학생 학부모를 상대로 진행한 한국 중학교 교복

수업 중에 입는 정장식 교복 외에도 체육 운동에 적

디자인 신뢰도 설문 조사 결과, 상위 4위권을 차지

합한 운동복도 있다. 춘추 정장은 남성용의 경우 상

한 회사는 차례로 스마트(SMART), 스쿨룩(SCHOOL

의는 군복식과 양복식 두 종류가 있으며, 하의는 보

LOOKS), 엘리트(ELITE)와 아이비 클럽(IVYCLUB)

통 양복바지이다. 여성용의 경우 상의는 양복과 군

이었다. 그중 인천시에 위치한 엘리트를 제외하고

복식(세일러 슈트) 두 종류이며, 하의는 일반적으

세 곳의 회사는 모두 서울에 위치하고 있다3). 이는

로 주름치마가 많다. 일본인은 청색을 차분한 색깔

대중의 서울 지역 교복 디자인 수준에 대한 만족도

로 여기며 지력, 감정, 의지와 같은 인격 향상에 도

를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움을 준다고 여긴다. 또 짙은 파란색은 일본인의 피

연구는 서울 지역의 세 곳의 회사 웹사이트에 게시

부색과 어울리기 때문에 검은색, 곤색, 짙은 파란색

된 계절별 교복 이미지를 선택하여 연구 설명을 진

은 일본 교복의 기본 색감이다5).

행하고자 한다. 표1에서 드러난 것처럼, 본 논문이 선정한 샘플 이

<표 3> 도쿄 중학생 교복

미지는 남성용 24장과 여성용 24장 총 48장이다.

남성

이 48장의 샘플 이미지를 통해 스타일 방면에서 한

정장식

국 중학교 교복은 크게 정장식, 캐주얼, 운동복 이 렇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스타일은 상황과 장소에 따른 복장 수요 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정장식의 경우 남성복은 재킷, 셔츠, 넥타이, 긴 바지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재킷은 빳빳하고 구김이 없으며, 허리 부분이 들어가 있다. 또 일자 바지는 다리 모 양을 비교적 훌륭히 보완한다. 여성복의 경우 사진 을 보면 재킷, 셔츠, 짧은 치마로 구성되어 있다. 재 대한 몸에 딱 맞아떨어지게 디자인하였다. 치마는 대부분 활동하기 편한 주름치마 디자인을 차용하였 다. 캐주얼복의 상의는 대부분 카디건 형태이며, 하 의는 편안한 일자바지이다. 운동복은 대부분 후드와 야구복의 형식을 차용해 몸에 맞으면서도 편의성과 미관성까지 확보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또 학교마다

색깔 방면에서는 264곳의 중학교 교복의 색깔은 총 25가지이며, 색깔의 사용 비율로 분류하였을 때 상

3.1.1 한국

킷은 중학교 여학생들의 신체에 맞게 디자인되어 최

운동 재킷과 긴 바지로 통일하였다. 사진을 보면,

색조를 주로 차용하며, 옅은 분홍색, 옅은 노란색,

타일과 색깔에 대한 분석 연구를 진행해 보고자 한 다.

발견하였다(표2 참고).

3.1.2 중국 본 논문은 베이징 지역 공립 중학교 춘추 교복을 중 국 교복의 표본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위챗 공식 계정(公众号) “제도회(帝都绘)” 가 2018년 베이징 지역 264곳의 공립 중학교 춘추 교복 264장의 그림으로 그려 베이징 지역 중학교 교복 디자인 특징을 현실적으로 복원하였다는 것을

이 그림들을 분석한 결과, 베이징 지역 춘추 교복은 기본적으로 모두 헐렁한 운동복 형식이며, 학교 휘 장과 교명은 보통 교복 등판에 프린트되어 있고, 전 체적으로 소박하고 자연스럽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264곳의 중학교 중 6곳만이 남성용과 여성용을 구

군복식

여성 정장식

군복식


51

52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에 기반한 한중일 국립중학교 교복디자인

3. 교복 디자인 분석 이번 장에서는 감성 디자인 이론의 세 가지 측면을 근거로 한중일 삼국 공립 중고등학교 춘추 교복 디 자인에 대한 비교 및 분석을 하고자 한다. 3.1 본능적 측면 도널드 노먼의 감성 디자인 이론에 따르면 디자인의 제1 측면은 본능적 측면의 디자인이며, 이는 교복 디자인의 스타일과 색깔 등 방면에서 구현된다. 이 번 절에서는 한중일 삼국의 중학교 춘추 교복의 스

학교의 휘장과 학교명을 교복 재킷이나 셔츠의 좌측 가슴 위치에 자수를 놓아 식별도를 높인다. 색깔 방

분하였으며, 10곳은 나이별로 디자인을 나누었다.

<표2>베이징 중학생 교복

나머지 학교의 교복은 성별이나 나이의 구분 없이

면에서는 한국의 중학교 교복은 사진처럼 검은색,

남녀공동

흰색, 회색, 갈색, 짙은 파란색 위주의 순도가 낮은

운동복 형식

짙은 빨간색 등을 장식색으로 차용한 경우도 종종

위 4위권을 차지한 색깔은 흰색, 파란색, 검은색과

있다. 전체적으로 진중하고 깔끔하며 순수한 느낌을

빨간색과 같이 명도가 높은 색깔이었으며, 청색, 녹

주는 색깔이다(표1 참고).

색, 보라색이 하위 3위권을 차지하였다는 것을 알

<표1> 서울 중학생 교복

수 있다. 264곳의 중학교 교복에 사용되지 않은 색

남성 정장식

캐주얼

깔은 갈색이었다(표3 참고)4).

여성 운동북

정장식

캐주얼

3.1.3 일본

운동북

일본어로 교복은 “정복(せいふく)”이라고 불린다. 이 처럼 일본의 교복은 정복 성질에 속하며, 정장의 특

서울 스마트(SMART) 교복 디자인 회사가 1000명의

징과 기능이 있다. 조사 결과 일본 교복은 일상적인

중학생 학부모를 상대로 진행한 한국 중학교 교복

수업 중에 입는 정장식 교복 외에도 체육 운동에 적

디자인 신뢰도 설문 조사 결과, 상위 4위권을 차지

합한 운동복도 있다. 춘추 정장은 남성용의 경우 상

한 회사는 차례로 스마트(SMART), 스쿨룩(SCHOOL

의는 군복식과 양복식 두 종류가 있으며, 하의는 보

LOOKS), 엘리트(ELITE)와 아이비 클럽(IVYCLUB)

통 양복바지이다. 여성용의 경우 상의는 양복과 군

이었다. 그중 인천시에 위치한 엘리트를 제외하고

복식(세일러 슈트) 두 종류이며, 하의는 일반적으

세 곳의 회사는 모두 서울에 위치하고 있다3). 이는

로 주름치마가 많다. 일본인은 청색을 차분한 색깔

대중의 서울 지역 교복 디자인 수준에 대한 만족도

로 여기며 지력, 감정, 의지와 같은 인격 향상에 도

를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움을 준다고 여긴다. 또 짙은 파란색은 일본인의 피

연구는 서울 지역의 세 곳의 회사 웹사이트에 게시

부색과 어울리기 때문에 검은색, 곤색, 짙은 파란색

된 계절별 교복 이미지를 선택하여 연구 설명을 진

은 일본 교복의 기본 색감이다5).

행하고자 한다. 표1에서 드러난 것처럼, 본 논문이 선정한 샘플 이

<표 3> 도쿄 중학생 교복

미지는 남성용 24장과 여성용 24장 총 48장이다.

남성

이 48장의 샘플 이미지를 통해 스타일 방면에서 한

정장식

국 중학교 교복은 크게 정장식, 캐주얼, 운동복 이 렇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스타일은 상황과 장소에 따른 복장 수요 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정장식의 경우 남성복은 재킷, 셔츠, 넥타이, 긴 바지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재킷은 빳빳하고 구김이 없으며, 허리 부분이 들어가 있다. 또 일자 바지는 다리 모 양을 비교적 훌륭히 보완한다. 여성복의 경우 사진 을 보면 재킷, 셔츠, 짧은 치마로 구성되어 있다. 재 대한 몸에 딱 맞아떨어지게 디자인하였다. 치마는 대부분 활동하기 편한 주름치마 디자인을 차용하였 다. 캐주얼복의 상의는 대부분 카디건 형태이며, 하 의는 편안한 일자바지이다. 운동복은 대부분 후드와 야구복의 형식을 차용해 몸에 맞으면서도 편의성과 미관성까지 확보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또 학교마다

색깔 방면에서는 264곳의 중학교 교복의 색깔은 총 25가지이며, 색깔의 사용 비율로 분류하였을 때 상

3.1.1 한국

킷은 중학교 여학생들의 신체에 맞게 디자인되어 최

운동 재킷과 긴 바지로 통일하였다. 사진을 보면,

색조를 주로 차용하며, 옅은 분홍색, 옅은 노란색,

타일과 색깔에 대한 분석 연구를 진행해 보고자 한 다.

발견하였다(표2 참고).

3.1.2 중국 본 논문은 베이징 지역 공립 중학교 춘추 교복을 중 국 교복의 표본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위챗 공식 계정(公众号) “제도회(帝都绘)” 가 2018년 베이징 지역 264곳의 공립 중학교 춘추 교복 264장의 그림으로 그려 베이징 지역 중학교 교복 디자인 특징을 현실적으로 복원하였다는 것을

이 그림들을 분석한 결과, 베이징 지역 춘추 교복은 기본적으로 모두 헐렁한 운동복 형식이며, 학교 휘 장과 교명은 보통 교복 등판에 프린트되어 있고, 전 체적으로 소박하고 자연스럽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264곳의 중학교 중 6곳만이 남성용과 여성용을 구

군복식

여성 정장식

군복식


53

54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에 기반한 한중일 국립중학교 교복디자인

3.2 행위적 측면

과정에서 가장 오래 입는 의상이 되었다. 문헌 조사

체형을 부각시키지만, 교복의 디자인과 착용 규정이

도널드 노먼의 감성 디자인 이론에 따르면 디자인의

결과 교복에 대한 학생들의 감정은 비교적 “복잡한”

한중 양국보다 엄격하고 가격 역시 상당히 높아 학

제2 측면은 행위적 측면의 디자인이며, 이는 교복

것으로 나타났다. 무관심하거나 싫증을 느끼기도 하

생에게 경제적, 심리적인 이중 부담이 될 수 있다.

디자인의 성능과 기능 등 방면에서 주로 구현된다.

지만 교복을 벗어난 후에 더없이 그리워하면서 교복

(표4 참고)

이번 절에서는 한중일 삼국의 중학생 춘추 교복의

은 결국 한 단락의 세월을 담고 있는 기억 기호로

성능과 기능에 대해 분석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거듭난다. 이것은 “교복 콤플렉스”라고도 할 수 있

<표 4> 한중일 3국 공립중학교 교복 디자인의 장단점 비교

3.2.1 교복의 성능

으며, 학생의 성장 과정에서 집단적으로 공유하는 하다8).

교복은 중학생이 일상적으로 입는 복장이기 때문에

추억이기도

교복의 재질과 품질은 그 편안함과 내구성을 직접

현대 교복은 백여 년의 발전을 거쳤으며, 그 시간

결정한다. 따라서 한중일 삼국의 학교는 교복의 재

동안 수많은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변화는 시대적

질과 품질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만, 교복의 구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역사 시기별 교육 형태

매는 보통 학교의 권한이기 때문에 최근 몇 년간 교

를 반영하는 몇 세대의 사람들의 유년기부터 소년

복 구매 루트가 독점적이고 불투명해 저품질 교복

기, 청년기에 이르기까지의 성장 기록이며, 종국적으

사건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 신형 원단이 계속해

로 하나의 국가적 기억으로 거듭난다.

서 개발되면서 교복의 원자재 역시 경제와 환경보호

3.3.2 감정 표현

추세를 띠게 되었으며, 최첨단 과학기술 요소까지

교복과 여타 기초 복장과 다른 이유는 교복은 집단

첨가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징의 한 회사는

의 귀속감, 정체성, 긍지와 안전감을 구현할 수 있

GPS 마이크로칩을 학교 휘장에 넣어 학부모가 앱을

기 때문이다. 중국 광동성(广东省) 선전시(深圳市)

이용해 학생의 위치를 확인하고 학생의 운동량과 신

통일 교복을 예로 들면, 학교가 학생을 이용해 사리

체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였다6).

를 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전은 중국 도시 중

3.2.2 교복의 기능

최초로 교복을 통일하였다9). 세계 각지에서 유학하

교복의 기능은 우선 착장의 기능에서 구현된다. 복

고 있는 선전 유학생들은 교복을 입고 모임을 가지

장이 갖춰야 할 기본적 속성, 예컨대 몸을 가리는

기도 한다. 이처럼 교복은 선전이라는 도시의 특수

것, 보온, 활동의 편리성, 장소와 상황에 부합할 것

한 “기호”가 되었다. 선전이 교복을 통일한 후, 선

등의 기능을 갖추는 것을 말한다. 둘째로는 교복은

전이라는 신형 이민 도시의 응집력과 정체성은 강화

통일성이 있어 학생의 신분을 쉽게 식별할 수 있으

되었다. 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교복이 스타일과 색

며, 교복과 휘장의 디자인은 학생의 소속 학교를 식

깔을 통일한 것은 “표준화”된 청춘을 대표하기는 하

별할 수 있다. 이는 교복의 표식성 기능이다. 셋째,

지만, 학생의 개성을 제약한다는 비판을 하기도 한

교복은 학교가 강제하는 복장으로, 학교 의지의 구

다. 문헌 조사 중 한중일 모두 교복 거부 사건이 있

현이라고 할 수 있다7). 따라서 앞서 언급한 기능 외

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2019년 한국 서울

에 교육적 기능도 갖추고 있다. 통일적인 복장은 학

지역의 여학생들은 “치마 강제 착용 반대” 운동을

생의 규율감을 높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학생의

전개하여 결국 바지를 입을 수 있는 권리를 쟁취하

일상 행위를 효과적으로 단속하고 학습 효율을 높일

였다.

수 있다.

3.4 소결

3.3 반성적 측면

표4에서 드러난 것처럼, 이처럼 한중일 삼국 국립중

도널드 노먼의 감성 디자인 이론에 따르면 디자인의

학교 교복 디자인은 각자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

제3 측면은 반성적 측면의 디자인이다. 반성적 측면

국은 스타일이 다양하여 장소와 상황별 수요를 만족

디자인은 복장 정신 측면의 함의와 의의를 중시한

시킬 수 있으며, 성별에 따른 교복 디자인은 사춘기

다. 이번 절에서는 한중일 교복 디자인 중의 기억

학생의 성별 의식을 키울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이

기능과 감정 표현 방면에 대해 분석을 진행해 보고

비교적 높고, 교체 빈도율도 높아 저소득층에게 상

자 한다.

대적으로 큰 경제적 부담이 된다. 중국의 교복은 스

3.3.1 기억 기능

타일이 획일적이고 성별과 나이에 따른 구분을 하지

교복은 기억 기능이 있어 성장의 발자취를 기록한

않지만, 편안하고 가격이 저렴해 가성비가 좋다. 일

다. 학교 교육의 보급에 따라 교복은 아이들의 성장

본의 교복은 디자인적으로 예쁘고 학생의 전체적인

또 다른 방면에서 한중일 삼국의

노 먼 이 로

국 가

한국 정 장 식

중국

캐 주 얼

운 동 복

운 동 복

하며, 학생의 정신 상태와 활발한 기질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다. 색깔

문화적 요소

일본 정 장 식

군 복 식

스 타 일

심미적 요소

전체적으로 통일적인 색조를 기본으로 하여야 하며, 일부분에 다른 색조를 차용해 포인트를 주는 것으로 특색을 살려야 한다. 교복은 국가의 인문문화와 지역적 특징을 결합하여 본국의 학생에 적합하고 본국의 발전과 교육 문화를 반영할 수 있게 디자인하여야 한다. 교복 디자인은 학생의 심미적 특징을 반영하여야 한다. 학생들의 건강한 심미관을 유도 및 육성하며, 학교에 끊임없이 발전하는 문화 분위기를 조성하여 더욱 훌륭한 사회 이미지를 구축하여야 한다.

5. 결론 교복은 학생의 윤리 교육, 심미 교육의 일상적인 담 성별 구분 남자

본 능 적

여자

성별 구분이 드뭄 낭여공동

성별 구분 남자

여자

체이며, 학교의 학풍, 규율과 캠퍼스 문화의 중요한 상징 중 하나이자 사회 전반의 모습을 구현하기도 하다. 본 연구는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을

성 별

통해 한중일의 교복 외형, 기능과 함의 등 방면에 대한 비교 분석, 한중일 3국의 국립중학교 교복 디

나 이

주 요 색 깔

나이에 따라 교체 빈도가 높음

극소 교체

검은 색

흰색

흰색

파란색

회색

검은색

검은 색

갈색 빨간색

파란 색 가 격 행 위 적

기 능 성

반 성 적

기 억 성 감 정 성

상대적으로 높음

상대적으로 편안함

나이에 따라 교체 빈도가 높음

짙은 남색 파란 색

싸다

비싸다

상대적으로 편안함

편안함, 여학생에게 치마 착용을 강제하고, 보온성이 낮음

삼국의 중등학교 교복은 모두 교복의 기억성과 감정성 속성을 드러냄

4. 토의 앞선 장절에서 우리는 한중일 삼국의 국립중학교 교 복 디자인은 각자 장단점이 있어 서로 단점을 보완 하고 장점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 다. 이번 장에서는 이를 기초로 중학교 교복 디자인 이 고려해야 하는 요소을 제시하고자 한다.(표5 참 고). <표 5> 교복 디자인 개선 방법 제안 요소

내용

스타일 디자인

중학생의 특징과 성별의 차이을 고려하여야

자인의 차이점이 주로 본능적 차원과 행위적 차원으 로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한국과 일본은 스타 일이 다양하여 장소와 상황별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성별에 따른 교복 디자인은 사춘기 학생의 성별 의식을 키울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이 비교적 높고, 교체 빈도율도 높아 저소득층에게 상대적으로 큰 경제적 부담이 된다. 중국의 교복은 스타일이 획 일적이고 성별과 나이에 따른 구분을 하지 않지만, 편안하고 가격이 저렴해 가성비가 좋다. 이와 동시 에, 교복은 이미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 거듭났으며, 그 다원화 수요는 충분히 존중받아야 한다. 따라서 미래의 교복 디자인은 학생, 학교, 기업과 사회 등 여러 이해관계자의 수요를 전방위적으로 고려하여야 만 새로운 시대 속 새로운 교복 사용자의 수요에 적 응할 수 있을 것이다.


53

54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에 기반한 한중일 국립중학교 교복디자인

3.2 행위적 측면

과정에서 가장 오래 입는 의상이 되었다. 문헌 조사

체형을 부각시키지만, 교복의 디자인과 착용 규정이

도널드 노먼의 감성 디자인 이론에 따르면 디자인의

결과 교복에 대한 학생들의 감정은 비교적 “복잡한”

한중 양국보다 엄격하고 가격 역시 상당히 높아 학

제2 측면은 행위적 측면의 디자인이며, 이는 교복

것으로 나타났다. 무관심하거나 싫증을 느끼기도 하

생에게 경제적, 심리적인 이중 부담이 될 수 있다.

디자인의 성능과 기능 등 방면에서 주로 구현된다.

지만 교복을 벗어난 후에 더없이 그리워하면서 교복

(표4 참고)

이번 절에서는 한중일 삼국의 중학생 춘추 교복의

은 결국 한 단락의 세월을 담고 있는 기억 기호로

성능과 기능에 대해 분석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거듭난다. 이것은 “교복 콤플렉스”라고도 할 수 있

<표 4> 한중일 3국 공립중학교 교복 디자인의 장단점 비교

3.2.1 교복의 성능

으며, 학생의 성장 과정에서 집단적으로 공유하는 하다8).

교복은 중학생이 일상적으로 입는 복장이기 때문에

추억이기도

교복의 재질과 품질은 그 편안함과 내구성을 직접

현대 교복은 백여 년의 발전을 거쳤으며, 그 시간

결정한다. 따라서 한중일 삼국의 학교는 교복의 재

동안 수많은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변화는 시대적

질과 품질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만, 교복의 구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역사 시기별 교육 형태

매는 보통 학교의 권한이기 때문에 최근 몇 년간 교

를 반영하는 몇 세대의 사람들의 유년기부터 소년

복 구매 루트가 독점적이고 불투명해 저품질 교복

기, 청년기에 이르기까지의 성장 기록이며, 종국적으

사건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 신형 원단이 계속해

로 하나의 국가적 기억으로 거듭난다.

서 개발되면서 교복의 원자재 역시 경제와 환경보호

3.3.2 감정 표현

추세를 띠게 되었으며, 최첨단 과학기술 요소까지

교복과 여타 기초 복장과 다른 이유는 교복은 집단

첨가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징의 한 회사는

의 귀속감, 정체성, 긍지와 안전감을 구현할 수 있

GPS 마이크로칩을 학교 휘장에 넣어 학부모가 앱을

기 때문이다. 중국 광동성(广东省) 선전시(深圳市)

이용해 학생의 위치를 확인하고 학생의 운동량과 신

통일 교복을 예로 들면, 학교가 학생을 이용해 사리

체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였다6).

를 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전은 중국 도시 중

3.2.2 교복의 기능

최초로 교복을 통일하였다9). 세계 각지에서 유학하

교복의 기능은 우선 착장의 기능에서 구현된다. 복

고 있는 선전 유학생들은 교복을 입고 모임을 가지

장이 갖춰야 할 기본적 속성, 예컨대 몸을 가리는

기도 한다. 이처럼 교복은 선전이라는 도시의 특수

것, 보온, 활동의 편리성, 장소와 상황에 부합할 것

한 “기호”가 되었다. 선전이 교복을 통일한 후, 선

등의 기능을 갖추는 것을 말한다. 둘째로는 교복은

전이라는 신형 이민 도시의 응집력과 정체성은 강화

통일성이 있어 학생의 신분을 쉽게 식별할 수 있으

되었다. 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교복이 스타일과 색

며, 교복과 휘장의 디자인은 학생의 소속 학교를 식

깔을 통일한 것은 “표준화”된 청춘을 대표하기는 하

별할 수 있다. 이는 교복의 표식성 기능이다. 셋째,

지만, 학생의 개성을 제약한다는 비판을 하기도 한

교복은 학교가 강제하는 복장으로, 학교 의지의 구

다. 문헌 조사 중 한중일 모두 교복 거부 사건이 있

현이라고 할 수 있다7). 따라서 앞서 언급한 기능 외

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2019년 한국 서울

에 교육적 기능도 갖추고 있다. 통일적인 복장은 학

지역의 여학생들은 “치마 강제 착용 반대” 운동을

생의 규율감을 높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학생의

전개하여 결국 바지를 입을 수 있는 권리를 쟁취하

일상 행위를 효과적으로 단속하고 학습 효율을 높일

였다.

수 있다.

3.4 소결

3.3 반성적 측면

표4에서 드러난 것처럼, 이처럼 한중일 삼국 국립중

도널드 노먼의 감성 디자인 이론에 따르면 디자인의

학교 교복 디자인은 각자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

제3 측면은 반성적 측면의 디자인이다. 반성적 측면

국은 스타일이 다양하여 장소와 상황별 수요를 만족

디자인은 복장 정신 측면의 함의와 의의를 중시한

시킬 수 있으며, 성별에 따른 교복 디자인은 사춘기

다. 이번 절에서는 한중일 교복 디자인 중의 기억

학생의 성별 의식을 키울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이

기능과 감정 표현 방면에 대해 분석을 진행해 보고

비교적 높고, 교체 빈도율도 높아 저소득층에게 상

자 한다.

대적으로 큰 경제적 부담이 된다. 중국의 교복은 스

3.3.1 기억 기능

타일이 획일적이고 성별과 나이에 따른 구분을 하지

교복은 기억 기능이 있어 성장의 발자취를 기록한

않지만, 편안하고 가격이 저렴해 가성비가 좋다. 일

다. 학교 교육의 보급에 따라 교복은 아이들의 성장

본의 교복은 디자인적으로 예쁘고 학생의 전체적인

또 다른 방면에서 한중일 삼국의

노 먼 이 로

국 가

한국 정 장 식

중국

캐 주 얼

운 동 복

운 동 복

하며, 학생의 정신 상태와 활발한 기질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다. 색깔

문화적 요소

일본 정 장 식

군 복 식

스 타 일

심미적 요소

전체적으로 통일적인 색조를 기본으로 하여야 하며, 일부분에 다른 색조를 차용해 포인트를 주는 것으로 특색을 살려야 한다. 교복은 국가의 인문문화와 지역적 특징을 결합하여 본국의 학생에 적합하고 본국의 발전과 교육 문화를 반영할 수 있게 디자인하여야 한다. 교복 디자인은 학생의 심미적 특징을 반영하여야 한다. 학생들의 건강한 심미관을 유도 및 육성하며, 학교에 끊임없이 발전하는 문화 분위기를 조성하여 더욱 훌륭한 사회 이미지를 구축하여야 한다.

5. 결론 교복은 학생의 윤리 교육, 심미 교육의 일상적인 담 성별 구분 남자

본 능 적

여자

성별 구분이 드뭄 낭여공동

성별 구분 남자

여자

체이며, 학교의 학풍, 규율과 캠퍼스 문화의 중요한 상징 중 하나이자 사회 전반의 모습을 구현하기도 하다. 본 연구는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을

성 별

통해 한중일의 교복 외형, 기능과 함의 등 방면에 대한 비교 분석, 한중일 3국의 국립중학교 교복 디

나 이

주 요 색 깔

나이에 따라 교체 빈도가 높음

극소 교체

검은 색

흰색

흰색

파란색

회색

검은색

검은 색

갈색 빨간색

파란 색 가 격 행 위 적

기 능 성

반 성 적

기 억 성 감 정 성

상대적으로 높음

상대적으로 편안함

나이에 따라 교체 빈도가 높음

짙은 남색 파란 색

싸다

비싸다

상대적으로 편안함

편안함, 여학생에게 치마 착용을 강제하고, 보온성이 낮음

삼국의 중등학교 교복은 모두 교복의 기억성과 감정성 속성을 드러냄

4. 토의 앞선 장절에서 우리는 한중일 삼국의 국립중학교 교 복 디자인은 각자 장단점이 있어 서로 단점을 보완 하고 장점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 다. 이번 장에서는 이를 기초로 중학교 교복 디자인 이 고려해야 하는 요소을 제시하고자 한다.(표5 참 고). <표 5> 교복 디자인 개선 방법 제안 요소

내용

스타일 디자인

중학생의 특징과 성별의 차이을 고려하여야

자인의 차이점이 주로 본능적 차원과 행위적 차원으 로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한국과 일본은 스타 일이 다양하여 장소와 상황별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성별에 따른 교복 디자인은 사춘기 학생의 성별 의식을 키울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이 비교적 높고, 교체 빈도율도 높아 저소득층에게 상대적으로 큰 경제적 부담이 된다. 중국의 교복은 스타일이 획 일적이고 성별과 나이에 따른 구분을 하지 않지만, 편안하고 가격이 저렴해 가성비가 좋다. 이와 동시 에, 교복은 이미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 거듭났으며, 그 다원화 수요는 충분히 존중받아야 한다. 따라서 미래의 교복 디자인은 학생, 학교, 기업과 사회 등 여러 이해관계자의 수요를 전방위적으로 고려하여야 만 새로운 시대 속 새로운 교복 사용자의 수요에 적 응할 수 있을 것이다.


55

56

참고문헌 Donald A. Norman,「Emotional Design: Why we love(or hate) Everyday Things」,Basic Books 참고문헌 , pp.10-55, 2003 Donald A. Norman,「Emotional Design: Why we love(or hate) Everyday Books 刘恩汐,侯东昱, “中韩两国高中生校服文化设计比较研究”, 服装学报, 1(3), p.27,Things」,Basic 2016. ,宋玲敏, pp.10-55, 2003 “中日韩校服设计与比较研究”, p17, 2018

刘恩汐,侯东昱, “中韩两国高中生校服文化设计比较研究”, 服装学报, 12(6), 1(3), p.27, 2016.2010 谢颖, “日本校服及其蕴含的教育文化”, 福建商业高等专科学校学报, pp.83-85, 宋玲敏, “中日韩校服设计与比较研究”, p17, 2018 http://news.hexun.com/2015-07-18/177652601.html(2015.07.18) 谢颖, “日本校服及其蕴含的教育文化”, 福建商业高等专科学校学报, 12(6), pp.83-85, 2010 http://smartzzang.com/19fw/common/whySmart http://news.hexun.com/2015-07-18/177652601.html(2015.07.18)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http://smartzzang.com/19fw/common/whySmart https://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2043216(2018.03.27)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https://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2043216(2018.03.27)

1) 刘恩汐,侯东昱, “中韩两国高中生校服文化设计比较研究”, 服装学报, 1(3), p.27, 2016. 2) Donald A. Norman,「Emotional Design: Why we love(or hate) Everyday Things」,Basic Books ,1)pp.10-55, 2003 “中韩两国高中生校服文化设计比较研究”, 服装学报, 1(3), p.27, 2016. 刘恩汐,侯东昱, 3) 2) http://smartzzang.com/19fw/common/whySmart Donald A. Norman,「Emotional Design: Why we love(or hate) Everyday Things」,Basic Books https://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2043216(2018.03.27) ,4)pp.10-55, 2003 5) 谢颖, “日本校服及其蕴含的教育文化”, 福建商业高等专科学校学报, 12(6), pp.83-85, 2010 3) http://smartzzang.com/19fw/common/whySmart 6) https://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2043216(2018.03.27)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4) 7) “中日韩校服设计与比较研究”, p17, 2018 5) 宋玲敏, 谢颖, “日本校服及其蕴含的教育文化”, 福建商业高等专科学校学报, 12(6), pp.83-85, 2010 8) http://news.hexun.com/2015-07-18/177652601.html(2015.07.18) 6)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9) 7)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宋玲敏, “中日韩校服设计与比较研究”, p17, 2018 8) http://news.hexun.com/2015-07-18/177652601.html(2015.07.18) 9)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55

56

참고문헌 Donald A. Norman,「Emotional Design: Why we love(or hate) Everyday Things」,Basic Books 참고문헌 , pp.10-55, 2003 Donald A. Norman,「Emotional Design: Why we love(or hate) Everyday Books 刘恩汐,侯东昱, “中韩两国高中生校服文化设计比较研究”, 服装学报, 1(3), p.27,Things」,Basic 2016. ,宋玲敏, pp.10-55, 2003 “中日韩校服设计与比较研究”, p17, 2018

刘恩汐,侯东昱, “中韩两国高中生校服文化设计比较研究”, 服装学报, 12(6), 1(3), p.27, 2016.2010 谢颖, “日本校服及其蕴含的教育文化”, 福建商业高等专科学校学报, pp.83-85, 宋玲敏, “中日韩校服设计与比较研究”, p17, 2018 http://news.hexun.com/2015-07-18/177652601.html(2015.07.18) 谢颖, “日本校服及其蕴含的教育文化”, 福建商业高等专科学校学报, 12(6), pp.83-85, 2010 http://smartzzang.com/19fw/common/whySmart http://news.hexun.com/2015-07-18/177652601.html(2015.07.18)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http://smartzzang.com/19fw/common/whySmart https://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2043216(2018.03.27)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https://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2043216(2018.03.27)

1) 刘恩汐,侯东昱, “中韩两国高中生校服文化设计比较研究”, 服装学报, 1(3), p.27, 2016. 2) Donald A. Norman,「Emotional Design: Why we love(or hate) Everyday Things」,Basic Books ,1)pp.10-55, 2003 “中韩两国高中生校服文化设计比较研究”, 服装学报, 1(3), p.27, 2016. 刘恩汐,侯东昱, 3) 2) http://smartzzang.com/19fw/common/whySmart Donald A. Norman,「Emotional Design: Why we love(or hate) Everyday Things」,Basic Books https://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2043216(2018.03.27) ,4)pp.10-55, 2003 5) 谢颖, “日本校服及其蕴含的教育文化”, 福建商业高等专科学校学报, 12(6), pp.83-85, 2010 3) http://smartzzang.com/19fw/common/whySmart 6) https://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2043216(2018.03.27)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4) 7) “中日韩校服设计与比较研究”, p17, 2018 5) 宋玲敏, 谢颖, “日本校服及其蕴含的教育文化”, 福建商业高等专科学校学报, 12(6), pp.83-85, 2010 8) http://news.hexun.com/2015-07-18/177652601.html(2015.07.18) 6)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9) 7)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宋玲敏, “中日韩校服设计与比较研究”, p17, 2018 8) http://news.hexun.com/2015-07-18/177652601.html(2015.07.18) 9) https://tech.sina.com.cn/it/2019-02-16/doc-ihqfskcp5765716.shtml(2019.02.16)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