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khansanseong Fortress(Korean)

Page 1

Bukhansanseong

하늘에서 본 북한산성 전경(대남문 주변)


Bukhansanseong

『북한지』 중 「북한도」 (1745년 성능),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Bukhando map of Bukhanji historic document(1745 Seongneung), house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2

1

북한산성 고지도 Bukhansanseong Old map

북한산성 소개

Introduction of Bukhansanseong

3

북한산성 연보

북한산성 미래 Future of Bukhansanseong

Bukhansanseong Chronology

6

Contents

5

북한산성 현재

Present of Bukhansanseong

4

북한산성 과거 Past of Bukhansanseong

중성문 Jungseongmun Gate 북한산성 내에 외부의 침략에 취약한 서쪽을 대비하여 성벽을 이중 으로 쌓으며 지어진 성문으로 1714년 중성과 함께 완공되었다. 현재의 문루와 문루 여장은 1998년 복원되었다. 문루는 우진각 지붕으로 전면

2

3칸, 측면 2칸에 사면이 개방된 단층이며, 초석은 원형이다.

3


대남문

Daenammun Gate 북한산성 남쪽에 위치한 대문으로 초기에는 소남문 으로 불렸다. 문루는 우진각 지붕으로 전면, 3칸, 측면 2칸에 사방이 개방된 단층이며, 초석은 팔각주형 이다. 1991년 문루와 문루여장, 주변 성곽이 복원 되었다. 대남문의 외측으로 문수사가 보인다.

4

5


대동문

백운봉암문

Daedongmun Gate

Baekundong Auxiliary Gate

초기에는 소동문으로 불렸으며, 1993년 문루와 함께 주변

백운봉암문은 북한산성의 성문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성곽이 복원되었다. 문루는 우진각 지붕으로 전면 3칸, 측면

있으며, 일제강점기 이후 위문(衛門)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2칸에 사면이 개방된 단층이며, 팔각주형의 초석위에 세워

암문은 평상시 백성들의 출입문으로 사용되었으며, 전쟁때

졌다.

에는 비밀통로로 사용되었다. 백운봉암문은 방형의 평문 형식 으로 상부에 문루가 없으며, 현재는 백운봉암문에서 백운봉

6

구간의 성벽이 복원되었다.

7


1

북한산성 소개

북한산성(北漢山城), 지정번호 사적 제162호 지정일 1968. 12. 5 지정면적 494,516㎡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1-1(임)

Introduction of Bukhansanseong

북한산성은 북한산의 여러 봉우리를 연결하여 쌓은 석축산성으로, 길이는 자연성벽 구간을 포함하여 11.6㎞, 내부 면적은 5.3㎢이다. 도성의 방어를 위한 축성 논의는 조선초기부터 있었으나 직접 실행에 옮기지 못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며, 도성의 배후에 산성을 쌓아 국난에 대비하자는 의견이 대두되었으나, 실제 축성으로 이어지기까지는 100여년의 시간이 더 걸렸다. 축성과 관련된 긴 논의 과정과는 다르게 1711년(숙종 37)에 축성을 시작하여 단 6개월만에 북한산성을 만들었다. 이는 당시 수준 높은 축성 기술 및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성벽에는 주요 출입시설로 대문 6곳, 보조출입시설로 암문 8곳, 수문 2곳을 두었다. 성 내측의 성벽 가까이에는 병사들이 머무는 초소인 성랑(城廊) 143곳을 설치하여 방어의 효율을 높였다.

Protect Capital

도성을 수호하다

북한산성 성벽(부왕동 구간) Fortress wall of Bukhansanseong (Buwangdong Sector) 북한산성의 성벽은 평지·산지·봉우리 등 지형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쌓아 자연과 의 조화를 꾀하였다. 계곡부는 온전한 높이 로 쌓았고, 지형이 가파른 곳은 그보다 낮게 쌓거나 여장(女墻)만 올린 곳도 있다. 봉우리 정상부는 성벽을 쌓지 않았고, 자연 성벽 구간으로 두었는데 그 길이는 4.3km 이다. 성벽의 높이를 지형에 따라 달리 한 점, 성문의 여장을 한 매의 돌로 만든 점, 옹성 과 포루를 설치하지 않은 점, 이중성으로 축성한 점 등은 다른 산성과 구별되는 겨울의 북한산성(대서문)

8

북한산성의 특징이다.

9


02

03

01 중성문

02 북문

Jungseongmun Gate

Bukmun Gate

1712년(숙종 38) 4월 숙종대왕이 북한산성에

원효봉과 영취봉 사이에 위치한 북문은

행행하였을 때, 서쪽의 지세가 낮아 적의 침입을

18세기 후반 대문으로서의 기능이 정지되

우려하여 중성(重城)을 쌓도록 지시하여, 1714년

었다. 1988년 큰 비로 육축을 포함한 성벽

(숙종 40) 완성하였다.

일부가 붕괴되어, 1993년 보수를 하였다. 문루는 복원되지 않았지만, 단주형 초석 5개

01

10

남아 있다.

03 대서문~수문 구간 성벽 Fortress wall between Daeseomun and Watergate

대서문에서 수문 구간의 성벽은 성벽의

완곡에 따라 협축과 편축을 혼용하였다. 방형과 장방형으로 다듬은 석재를 빈틈이 거의 없을 정도로 치밀하게 쌓았다. 층단이 있는 들여쌓기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약간 의 기울기를 주면서 수직으로 쌓아 올렸다.

11


2

북한산성 소개

북한산성 고지도

Bukhansanseong Old Map

북문

서암문

백운봉 암문 상운사

수문지

서암사

대서문

아미타사

무량사

북장대지 훈련도감 유영지

용암문 중성 수문지 중성문

용암사지

노적사

중성 암문 국녕사

가사당 암문

중흥사

『동국여도(東國輿圖)』 중 「도성연융북한합도(都城鍊戎北漢合圖)」

태고사

산영루 동장대

(19세기 전반, 47.0X66.0cm),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호조창지

부왕사

Doseongyeonyungbukhanhapdo map of Donggukyeodo Map(Early 19C., 47.0x66.0cm),

경리청 상창지

house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대동문

Studie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부왕동 암문

북한산성 행궁지

「도성연융북한합도(都城鍊戎北漢合圖)」 는 『동국여도(東國輿圖)』 중 도성도·연융 대도·북한성도, 세 지역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합쳐서 그린 지도다. 앞의 3개 지 도에는 내부 구조가 아주 상세하게 그려

어영청 유영지

남장대지

져 있는 반면에 본 지도는 전체적인 흐름

금위영 유영지

보국문

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외부와 연결 되는 도로도 가장 중요한 것만 그렸으며, 한강변에도 유명한 나루와 포구만 표시 하였다. 도성도에서 구체적인 이름이 적

청수동 암문

혀 있던 창고도 단지 ‘倉’이라고만 표시되 어 있다. 1711년(숙종 37)에 북한산성이, 1719년(숙종 45)에 탕춘대성(후에 연융대

12

북한산성 문화유적 현황도

성 또는 서성)이 축조되면서 조선후기 도

Lo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of

성의 방어체제가 완성된다.

Bukhansanseong

대성문 대남문

탕춘대성

13


『해동지도(海東地圖)』중 「경도(京都)」 중 북한산성 부분 확대 Partially enlarged map centered on Bukhansanseong of Gyeongdo Capital map included in Haedongjido map.

『해동지도(海東地圖)』중 「경도(京都)」, (1750년대 초, 47.0X30.5㎝)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Gyeongdo Capital, (Early 1750s, 47.0x30.5cm) Haedongjido map, house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1750년대 초에 제작된 회화식 군현지도 집 『해동지도』중 조선시대 한성부를 그린 「경도」이다. 지도 여백과 뒷면에 적힌 설 명문에는 1730~40년대의 사정을 반영 하고 있다. 백악(白岳)·인왕(仁王)·목멱(木覓)·낙산 (駱山)을 연결한 도성(都城)을 지도의 가 운에 크게 그렸으며 城門의 이름이 자세 히 나와 있다. 도성이 연결되는 산과 봉 우리를 회화적으로 묘사하였으며, 하천은 점선으로 표시하고 덧칠을 하여 나타내 었다. 도성의 서북쪽 인왕산과 연결된 성 곽은 탕춘대성(蕩春臺城;西城)이며, 북쪽 으로 북한산성(北漢山城) 지역을 자세히 그렸다. 북한산에는 주요 봉우리와 성문 의 이름, 여러 창고가 잘 나타난다. 북한 산성을 자세히 그리겠다는 의도는 지도 의 제목을 북한산성부(北漢山城附)라고 한데서도 드러난다.

14

15


3

북한산성 연보

북한산성 소개

Bukhansanseong chronology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The three Kingdoms

Goryo Dynasty

Joseon Dynasty

▶ 현종

원년(1010) 거란 성종 40만 군사가 침입.

숙종 37년(1711) 4월 3일 대대적인 축성공사 시작 5)

태조의 재궁을 부아산 향림사에 옮겨 안치함 3)

숙종 37년(1711) 8월 행궁영건청 설치, 김우항, 이언강 북한행궁영건당상 임명 6)

▶ 고구려 ▶ 백제

북한산군 소속. 남평양이라고도 함. 1)

개루왕 5년(132) 북한산성 축성 2)

▶ 신라 진흥왕 14년(553) 한성지역을 신라가

▶ 우왕

▶ 숙종 37년(1711) 10월 북한산성 완공(둘레 7,620보, 성문13, 행궁1, 장대3, 창고8, 대사18, 암자2,

13년(1387) 삼각산에 중흥산성을 수축 4)

누각3, 교량7 성랑143, 지26, 정99) 7)

점령. 비봉에 진흥왕 순수비를 세움

1 『北漢誌』 ◎沿革 ‘本高句麗北漢山郡 一云南平壤…’ 2 『三國史記』卷23 「百濟本紀」 第1 蓋婁王 “五年, 春二月, 築北漢山城” 백제 개루왕 5년(132) 2월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하던 때 (온조의 건국은 기원전 18년) 도성을 지키는 북방의 성으로 축성 3 『高麗史』卷4, 顯宗 7年 1月 壬申 4 『高麗史』卷136 列傳 卷第四十九, 禑王 13年11月… 耆老會議築漢陽山城, 修戰艦, 遣門下評理商議禹仁 烈, 判密直洪徵于漢陽府, 審視重興山城形勢

16

5 『肅宗實錄』卷50, 肅宗 37年 10月 19日(甲戌) 6 『肅宗實錄』卷50, 肅宗 37年 8月(丙戌) 7 『備邊司謄錄』 肅宗 37年 10月 18日 8 『肅宗實錄』卷51, 肅宗 38年 4月 10日(壬戌) 2번째 기사 『備邊司謄錄』 肅宗 38年 4月 12日 9 『肅宗實錄』卷52, 肅宗 38年 9月 20日(庚子) 10 『肅宗實錄』卷62, 肅宗 44年 8月 23日(己亥) 11 『英祖實錄』卷96, 英祖 36年 8月 20日(辛卯) 1번째 기사 12 『英祖實錄』卷118, 英祖 48年 4月 10日(乙亥) 13 『備邊司謄錄』 正祖 17年 2月 20日

숙종 38년(1712) 4월 숙종대왕이 북한산성 행행, 중성을 쌓도록 지시 8)

숙종 38년(1712) 9월 북한산성 주관부서로 「경리청」을 신설하고, 도제조-제조를 둠 9)

숙종 40년(1714) 중성문 완성(중성문1, 중성 암문1, 수문1)

숙종 44년(1718) 8월 탕춘대성 축성 결정 10)

영조 21년(1745) 팔도도총섭 승 성능(聖能)이 『북한지 (北漢誌)』를 지음

영조 36년(1760) 8월 영조대왕이 북한산에 거둥. 11)

영조 48년(1772) 4월 영조대왕과 세손(정조대왕)이 북한산성 행궁에 행차하여 시단봉에 오름 12)

정조 17년(1793) 북한산성 개수 13)

고종 31년(1894) 경리청 폐지

17


4

북한산성 과거

북한산성 소개

Past of Bukhansanseong

축성관련 기록 Historic Records on fortress construction 북한산의 지정학적 위치는 일찍부터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다. 조선시대 한양의 배후에 위치하게 되어 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북한산성의 축성과 관련된 논의는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1745년(영조 21)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이었던 성능(性能)이 도총섭의 직책을 서윤(瑞胤)에게 인계할 때 북한산성에 관한 내용을 지지형태로 기록한 『북한지』를 통하여 북한산성 축성 및 관리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문화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조선왕조실록』, 서울대학교 규장각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ouse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대서문 (2016 북한산성 사진공모전 수상작, 안태규)

18

『북한지』(1745년, 성능), 서울대학교 규장각

『승정원일기』,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첩」, 토지주택박물관 소장

Bukhanji Document(1745, Seongneung), housed in Kyujanggak Institute

Seungjeongwon Ilgi,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housed in

(북한산성 축성과 관련하여 공명첩 발행 내용을 기록함)

Kyujanggak Institute

Socheop document, housed in land and House museum(Record on the not-filled certificate of appointment related to the Bukhansanseong fortress construction)

19


유리원판은 식민통치의 산물이지만 지금은 소실된 우리 문화유산의 모습과 일제강점기 생활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박물관장이었던 후지타 료사쿠(藤田亮策, 1892∼1960)가 한반도 전역에 있는 유적·유물을 찾아다니며 필름의 초기형태인 유리원판 사진을 찍었다.

유리원판 및 조선고적도보

01

Glass disks and Joseongojeokdobo photo document

01

북한산성에는 많은 금석문이 존재하고 있다. 그중 주목되는 것은 북한산성의 축성과 관련된 공사 담당한 책임자나 감독관, 석공의 이름 등을 기록하고 있는 각자성석(刻字城石)이다.

01 북한산성 대남문 구간 전경 02 북한산성 전경 03 북한산성 대서문

금석문 Epigraph

04 북한산성 대서문 구간 전경

01 대성문 육축 각자성석 대성문 육축에 축성과 관련된 감독관과 책임자의 이름을 새겨 놓았다. 禁營 監造牌將 張泰興 石手邊首 金善云 (금(위)영 감조패장 장태흥 석수편수 김선운) 02 북한승도절목(1855년, 228X109㎝, 해서체) 산영루 앞의 암반의 경사면에 새겼다. 북한산성 선정비군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글자크기는 약 가로 4㎝, 세로 5㎝정도이며, 총 325자로 확인된다. 내용의 을묘(乙卯)년 명문을 통해 조선 철종 6년(1855)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19세기 중엽 북한산성 내의 사찰이 피폐하고 승도가 흩어짐이 승병대장인 총섭 (總攝)의 책임으로, 그의 임용시 폐단을 없애기 위한 규칙을 새겨 놓은 것으로 3가지 규칙을 적어 놓았다.

02

03 금위영(禁衛營) 각석(시대 미상, 52X180㎝, 해서체) 금위영유영지의 외곽 서쪽계곡 건너편 바위에 가로 41㎝, 세로 50㎝의 글자를 새겼다. 조선 후기 문신인 석재 윤행임의 북한산성 유람기인 「북한기」의 기록으로 미루어보아 1715년 금위영이 이곳으로 이건된 시점과 1789년 사이에 쓰여지고 각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20

02

03

03

04

21


1890년 말에 조선을 방문한 A. Henry Savage-Landor(1865~1924), 1905년 말부터 일본 주재 독일대사관 무관으로 근무한 Hermann Gustav Theodor Sander(1868~1945), 1911년 독인인 신부 Norbert Weber(1970~1956), 19세기말 주한 프랑스 공사로 근무한 Hippolyte Frandin(1852~1924) 등이 북한산성과 관련된 사진을 남겼다. 당시의 사진을 통하여 북한산성과 성내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외국인의 눈에 비친 북한산성 View of foreigners on Bukhansanseong

01

북한산성 대서문 구간 원경 01

01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Norbert Weber ; 1970~1956) 1911년 촬영한 대성문으로 상부의 문루는 손실되어있으며, 여장에서 전돌 이 확인된다. 02 『헤르만산더의 여행』(Hermann Gustav Theodor Sander ; 1868~1945) 01

03

02

중 성안에서 보이는 소서문 1907년 헤르만산더가 촬영한 중성 문 안쪽에서 바라본 북한산성의 모습 으로, 수문은 촬영당시에도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03 『먼나라 꼬레』 (Hippolyte Frandin ; 1852~1924) 중흥사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팔도승 군 본영의 도총섭(유영, 留營)이 확인 된다.

22

02

01 북한산성 행궁 원경

04 『꼬레아 꼬레아니(Corea e Coreani)』

02 북한산성 행궁 내전

(Carlo Rossetti ; 1876~1948) 중 북한산 북한산성 중흥사(重興寺) 일대의 전경

03 북한산성 중흥사 원경 04 북한산성 중흥사 대웅전

04

03

이다. 북한산의 봉우리(노적봉) 아래에 자리 잡은 중흥사와 민가들이 확인된다.

23


보물 제932호 「영조 어진(Portrait of King Yeongjo)」 1900년대 / 채용신·조석진 등 / 크기 : 110.5X61.8㎝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Treasure No. 932, Portait of King Yeongjo, 1900s/ Chae yongjin, Cho Seokjin etc/ Size:110.5x61.8cm/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1900년(광무 4) 역대 임금의 어진을 모셔 두었던 경운궁(慶運宮)의

북한산성을 다녀간 왕들 The Kings who visited Bukhansanseong

선원전(璿源殿)에 화재가 발생하여 잃게 된 일곱 분 임금의 어진을 대대적으로 모사할 때 제작한 영조 어진이다. 익선관을 쓰고 가슴과 두 어깨에 오조룡(五爪龍)을 금실로 수놓은 홍룡포(紅龍袍)를 착용한 반신상으로, 표제는 고종황제가 직접 쓴 것이다.

백운봉(白雲峰) 삼가

북한산성 가는 길에 ‘회’자를 운으로 뽑다

북한

태조대왕의 「등백운봉」 시에 차운함

北漢

敬次太祖白雲峰韻

24

北漢途中拈回字

귀하신 발걸음 백운봉 높이 오르시어

도읍 북쪽에는 금성탕지 있으니

산성 호종 길에 내 말은 돌아가고

扈駕山城我馬回

뭇 봉우리 서광으로 휘감기게 되었네

높은 봉우리들 한양 땅을 지켜주네

구불구불 좁은 비탈 가파르기도 하네

逶迤細磴正崔嵬

성조의 덕부가 천지 간에 크기만 크니

산성에 들릴 때마다 오위 뒤따르네

하늘 높이 기세 좋은 건 세 봉우리고

浮天氣勢三峰石

땅 끝까지 널리 모두를 포용하리로다

이곳까지 배종하니 그 모습 장하도다

땅 위의 경치는 두 장대 으뜸이네

拔地形勝二將臺

길게 늘어선 기 구름 그림자 뒤엎고

旗掣龍蛇雲影轉

高臨玉趾白雲峰

京都之北有金湯

바람결에 북소리 물소리 뒤섞이네

風傳鼓角澗聲來

萬朶詳光擁繞中

兀兀山峰護漢陽

오늘 느린 걸음에 잔일도 많았는데

聖祖德符天地大

十年曾參五衛列

徐行此日多閒事

區埏至廣盡包容

陪從于此歷看詳

어느새 앞 숲에는 석양볕이 쌓였네

不覺前林夕照堆

출처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열성어제(列聖御製)』

출처 『열성어제(列聖御製)』

출처 『홍재전서(弘齋全書)』·『열성어제(列聖御製)』

숙종 (肅宗, 재위:1674∼1720)

영조 (英祖, 재위 1724~1776)

정조 (正祖, 재위:1777~1800)

1711년 북한산성을 축성하도록 하였으며, 1712년 4월 북한산성에 행행하여 중성을 쌓도록

영조는 1760년 8월과 1772년 4월 두차례에 걸쳐 북한산

1772년 영조와 함께 당시 세손이었던정조는 북한행궁에 행차하여 시단봉에 올랐다.

하였다.

성을 방문하였다.

25


5

북한산성 현재

1915년 집중호우와 산사태로 사라진 북한산성 행궁 발굴조사를 통하 여 내전·외전지 등 124칸에 이르는 웅장한 행궁의 전모가 드러났다.

북한산성 소개

성벽조사 과정에서 북한산성의 성벽 및 부속시설(성랑, 치성 등)의 형태

Present of Bukhansanseong

및 구조 등 성격이 밝혀졌다. 한편, 부왕동 암문 구간의 성벽조사에서 고려시대에 축성된 중흥산성 (추정)이 확인되었다.

북한산성의 역사적 가치회복 Recovery of historical value of Bukhansanseong 나한봉 치성 전경(발굴조사 후 모습)

01

02

03

북한산성 행궁지 북한산성 행궁지는 조선왕실의 보장처로 북한산성 축성이 진행되던 그해 가을 공사로 시작하며 이듬해인 숙종 38년

01 북한산성 행궁 외대문지 출토 용문양 취두

(1712) 봄에 완공되었다.

02 북한산성 행궁 외전지 출토 램프

124칸 규모로 내전과 외전 그리고 부속건 물로 구성되었으나, 1915년 대홍수로 유실 되었다.

26

04

03 중흥산성(추정) 성벽 구간 04 북한산성 행궁 출토 막새

27


북한산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전파 Forming consensus and promotion of Bukhansanseong

북한산성의 가치와 진정성을 확보하고,

01

01

03

02

02

04

다양한 형식의 유산관광을 통하여 시민들에게 문화유산에 대한 향유기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북한산성은 지속적인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민들 가까이에 다가서고자 한다.

01 내 손으로 쌓는 북한산성 01 북한산성 역사해설프로그램

02 북한산성 방문자센터 이전·개소

02 북한산성에서 만나는 고고학 체험교실

03 명상수련 프로그램 <휴(休)! 북한산>

03 고양국제 꽃박람회 북한산성 홍보관 04 내 손으로 그리는 북한산성 <탁본체험>

28

03

04

04 북한산성 학술심포지엄 05 북한산성 역사문화아카데미 <원효의 길을 걷다>

05

29


6

북한산성 안에 자리잡은 북한동 마을은 북한산성을 쌓을 때 만들어졌다.

북한산성 소개

북한산성 미래

Future of Bukhansanseong

1968년 1·21사태로 인하여 군부대가 주둔하고, 이후 북한산이 유원지화되면서 1980년대 마을 대부분이 음식점으로 바뀌었다. 2007년 문화재 및 환경보호를 위하여 북한동 마을의 이주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일부 시설은 재활용하여 북한산성의 역사와 경관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01

시민들의 공간으로 재탄생한 북한산성 Bukhansanseong reborn as a citizen space 02

수문 주변에서 본 의상봉

03

01 대서문 내 모습 02 대서문 전경

중성문의 변천 (위 : 1998년 이전 중성문, 아래 : 현재의 중성문)

30

03 북한동 마을(이주사업 전) 04 북한동 역사관(하창지 소재)

04

31


북한산성 조감도 Aerial View of Bukhansanseong

산영루의 변천 (위: 1900년대 산영루, 가운데: 2012년 복원전의 산영루, 아래: 현재의 산영루)

비석거리 변천 (위: 1900년 초의 비석거리, 아래: 현재의 비석거리)

Historical States of Sanyeongnu Pavilion (Upper: 1900s, Mid: 2012 before reconstruction, Lower: present)

Historical Trace of Stele street(Upper: early 1900s, Lower: present)present)

32

33


원효봉에서 바라본 삼각산(「肅宗의 城, 북한산성」, 이재용)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