䒜䒜 설계개요
1 경남시청자미디어센터
대지위치
경남 창원시 의창구 중동 776-7
지역지구
준주거지역, 창원00부대이전부지 지구단위계획구역 공공·업무용지1
대지면적
1,841.3㎡
도로현황
북측 6m도로(35m 접함), 남측 14m도로(30m접함)
연면적
디지털 미디어로 즐기는 아날로그 일상 놀이터
7층
4,171.49㎡
지하
741.27㎡
지상
3,430.22㎡
건축면적
1,079.38㎡
건폐율
58.62% (법정 60% 이하)
용적율
186.29% (법정 400% 이하)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층수
지하 1층 / 지상 5층
최고높이
25m 계획 : 14대 (장애인 1대 포함)
주차대수
공공업무용지 (10층 이하)
1,200
합계
법정 : 14대 이상
자전거주차 대수
1,701
지하 주차장 출입구 자전거 주차장
태양광 집열판
계획 : 386.67㎡ (21%)
조경면적
부출입구
옥상 라운지
로
14m 도
12대 (법정 해당없음) 법정 : 276.20㎡이상 (대지면적 15% 이상)
주요마감재
알루미늄 패널, 삼중유리, 알루미늄 루버
용도
교육연구시설(교육원), 방송통신시설(촬영소)
3,405 지하 외벽선
스
라
1,25
4
스 테 라 주출입구 스 테 터 라 센 오 테 디 리 튜 정원 테라스 러 스 브 아날로그 광장 이 라 무대 테라스 로 2층 책 산 출입구 결 연
6m
도로
평산
5층
로
䒜䒜 배치도 5
10
20
N
01
축척 1/500
䒜䒜 대지현황
䒜䒜 디자인전략 의창대로
저층주거지
의창대로
경남 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일상화 시대에 맞는 다양한 오
의창대로
프라인 모임과 협업 등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서, 체험/교육 및 업무 등이 이루 공공업무용지
저층주거지
어지는 공공공간에서도 자연환경과 친숙한 외부공간으로 접근성을 강화하고,
중앙공원
상업
자연채광, 자연환기 등으로 에너지를 절감, 안전하고 쾌적한 공간계획으로 기 공공업무용지
대상지
후변화에 대응하도록 제안하였다.
하천
공공업무용지 유니시티 6100세대
녹지
N
평산로
녹지축
평산로
용지
평산
로
저층주거지
6100세대 유니시티 초입 입지
중앙공원
녹지축 및 보행로 연결
삼면 도로를 마주한 오각형 대지
중앙공원
길의 연속성 존중하기
아날로그 미디어 원형, 마당 만들기
다목적홀(발산공간) 열린 조망 향하기
테라스로 조망하고, 위압감 낮추기
진입광장 및 각층 외부공간 녹지 연결
3면 도로와 마주한 오각형 대지 X1
䒜䒜 디지털 유희 + 아날로그 플랫폼 = 21세기형 문화거점
X2
X3
X4
X5
X6
X1
X2
X3
X4
40,000
고대 로마의 극장이나, 한국 전통의 마당극에서, 미디어(콘텐츠)는 사람들이 모여 함께 유희할 수 있는 매개를 물리적인 장소
6,500
9,000
X5
X6
X1
X2
X3
X4
40,000
6,500
9,000
9,000
6,500
9,000
X5
X6
40,000
6,500
9,000
9,000
6,500
9,000
6,500
9,000
9,000
Y4
1,200
Y4
적 감수성을 공동의 기억으로 공유한다는 의미에서 문화적 기반을 만드는 근간이 되는 것이기도 하다.
Y4
(place)나 공간(space)을 중심으로 공유되어왔다. 이는 같은 콘텐츠를 같은 공간, 같은 시간대에, 함께 경험하는 것으로, 문화 1,701
교육실 발코니
시사실(60)
오름
61 m2
131 m
미디어 라운지
27.55 m2
24.3 m2
일반교육실-2
가변형 벽
54.73 m2
Y1
가변형 벽
동아리실-2
정원 테라스
일반교육실-1 53.75 m2
무대 테라스
름
오
4 1,25
XA
2층 출입구
10
20
N
5
1/300 1/500
산
책
12
00
0 1
결
2
䒜䒜 1층평면도
축척 1/300
1
연
6,5
䒜䒜 지하1층평면도
XA
2
YA
1
,04
XA
로
1
12
2 YA
아트리움에도 계단을 두어 층간 상호 소통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마루 출입구-1
동아리실-1
29.56 m2
00
연계성이 높은 1~2층의 체험교육영역과 4~5층의 제작지원/사무영역은
XA
2
주차장
하도록 하였다. 전시/ 카페
6,5
아트리움
미디어체험
2
YA
체험교육영역
,04
상부 외벽선
1
2
교육실/ 동아리실
12
2 YA
YA
의 테라스형 외부공간도 자연환기 및 채광에 유리하도록 남측을 지향
장비대여
XA 00
교류지원영역
는 대공간은 남측으로 배치, 대공간의 쾌적성을 높이고자 하였고, 각 층
동아리실-3
±0
53.86 m2
Y1
114.83 m (면적제외)
Y2
주출입구 미디어체험관2(드론)
2
+7,000
26.86 m2
8,000
8,000
8,000
Y1
2
24인승 (1600kg)
여자화장실
아날로그 광장
6,5
다목적홀
+7,000
지하 외벽선
84.48 m2
1
방송제작스튜디오
테마 라운지
방풍실
미디어체험관1(360영상)
YA
자연채광 및 자연환기가 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대규모 인원을 수용하
3,405
51.43 m
저수조
기계실
전체층의 공용공간은 건축물 중앙의 천창이 있는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사무실/ 회의실
마루
남자화장실
오름
홀
±0
오름
오름
휀룸-2
24인승 (1600kg)
여자화장실
䒜䒜 빛과 공기, 사람이 흐르는 아트리움 제작사무영역
가변형 벽
26,000
9,000
26,000
6,000
미디어 체험 홀
오픈라디오 스튜디오 2
41.29 m
마루 출입구-2
음수대
남자화장실
Y2
Y2
24인승 (1600kg)
지털 문화 플랫폼으로 조성하고자 한다.
오름
72 m2
상부 외벽선
계는 학습하고 있다. 경남 시청자미디어센터는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적극 반영한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오프라인 환경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는 디
72 m2
부출입구
40.62 m2
활동이 위축된 상황을 체감하면서 아날로그 오프라인 활동이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하며, 앞으로도 유효할 것임을 전 세
디지털교육실-2
디지털교육실-1
자동방화셔터 설치
-3,500
전기실
카페
음수대
지하주차장 (계획 14대 / 법정 14대 이상) 9,000
26,000
최근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이후, 디지털 미디어는 사회-문화 영역 전반에서 그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 다만 대외
14.7 m2
Y3
Y3
폐기물 수거장 45.94 m2 (면적제외)
자전거 보관소
미화원 관리실/방재실 휴게실 30.38 m2
Y3
9,000
오픈TV 스튜디오 2
지하 주차장 출입구 9,000
내려감
9,000
교육, 업무, 창업 등 활용범위가 이미 널리 확장되어 있으며, 일상적인 창작과 취미, 소통의 중요한 매개로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를 창작하고 생산하는 일은 더 이상 전문가들만의 몫이 아닌, 대중의 일상 도구가 된 것이다.
올라감
25 m2
4차산업혁명의 시대, 디지털 기술과 결합한 미디어는 이제 일반 대중 누구나가 스스로 생산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고,
9,000
휀룸-1
䒜䒜 2층평면도
XA
1
,04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