â“’Alex Filz/noa*
â“’Alex Filz/noa*
Hanging Pools 바빌론의 공중 정원과 달리 공중 풀은 실존한다(옥상 정원으로 추측되는 공중 정원처럼 공중 풀도 대부분 옥상 풀이다). 기발한 아이디어 및 디자인, 우직한 시공 등으로 빚어낸 착시 효과를 십분 활용해 청량감과 스릴을 한꺼번에 선사하는 풀의 사례를 살펴보자. WORDS 이용재 PHOTOGRAPHS 셔터스톡, COURTESY
Marina Bay Sands Hotel
인공 풀은 안전하지만 매력이 떨어진다. 아련하게 수평선만 보이는 물, 더 큰 자연의 일부가 된 시원함을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개념이 바로 인피니티 풀(Infinity Pool)이다. 명칭처럼 물과 하늘이 이어지는 것과 같은 일종의 착시 효과를 주는데, 원리는 의외로 간단하다. 수면보다 낮은 둑(Weir)을 1단계의 경계선으로 설정해 물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만들고, 그 아랫부분에 가장자
리를 한 단계 더 둘러 흘러나온 물을 모은다. 풀의 가장자리인 둑에서는 물이 아래로 흘러내리기만 하므로 풀 안에서는 수면이 하늘과 맞 닿은 것처럼 보인다. 17세기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을 통해 처음으로 이 개념이 소개되었다는 설이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인피
니티 풀은 싱가포르의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에 있다. 57층 2561실 규모의 건물 세 채가 범선 모양의 스카이 파크를 떠받치고 있는데, 가
로축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 150m의 풀이 들어서 있다. 57억 달러(약 6조1000억원)를 들여 2010년 개장했다. 투숙객에게만 사 용이 허용되는 시설이지만 홈페이지(ko.marinabaysands.com)에서 360° 둘러보기 영상을 제공한다.
1
ⓒMarina Bay Sands
1 수평선 너머의 마천루가 매력적인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의 인피니티 풀. 2 풀의 가장자리는 이렇게 생겼다.
2
MM··MM
Hanging Pools 바빌론의 공중 정원과 달리 공중 풀은 실존한다(옥상 정원으로 추측되는 공중 정원처럼 공중 풀도 대부분 옥상 풀이다). 기발한 아이디어 및 디자인, 우직한 시공 등으로 빚어낸 착시 효과를 십분 활용해 청량감과 스릴을 한꺼번에 선사하는 풀의 사례를 살펴보자. WORDS 이용재 PHOTOGRAPHS 셔터스톡, COURTESY
Marina Bay Sands Hotel
인공 풀은 안전하지만 매력이 떨어진다. 아련하게 수평선만 보이는 물, 더 큰 자연의 일부가 된 시원함을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개념이 바로 인피니티 풀(Infinity Pool)이다. 명칭처럼 물과 하늘이 이어지는 것과 같은 일종의 착시 효과를 주는데, 원리는 의외로 간단하다. 수면보다 낮은 둑(Weir)을 1단계의 경계선으로 설정해 물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만들고, 그 아랫부분에 가장자
리를 한 단계 더 둘러 흘러나온 물을 모은다. 풀의 가장자리인 둑에서는 물이 아래로 흘러내리기만 하므로 풀 안에서는 수면이 하늘과 맞 닿은 것처럼 보인다. 17세기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을 통해 처음으로 이 개념이 소개되었다는 설이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인피
니티 풀은 싱가포르의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에 있다. 57층 2561실 규모의 건물 세 채가 범선 모양의 스카이 파크를 떠받치고 있는데, 가
로축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 150m의 풀이 들어서 있다. 57억 달러(약 6조1000억원)를 들여 2010년 개장했다. 투숙객에게만 사 용이 허용되는 시설이지만 홈페이지(ko.marinabaysands.com)에서 360° 둘러보기 영상을 제공한다.
1
ⓒMarina Bay Sands
1 수평선 너머의 마천루가 매력적인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의 인피니티 풀. 2 풀의 가장자리는 이렇게 생겼다.
2
MM··MM
Mirage
Hotel Hubertus
에이티드 아키텍츠의 주택 계획안이다. 그리
인 크론플라츠 호텔이다. 푸스터 골짜기의 해
미라지는 아테네의 스튜디오 코이스 어소시
남티롤(이탈리아 북부)의 스키장이자 휴양지
스 소재의 위치상 고대 유물이 남아 있는 환경
발 1350m 고도에서 가족이 대를 물려 꾸려 오
의 훼손을 최대한 막는 계획안이 필요했다. 그
던 후베르투스는 이탈리아(볼카노)와 독일(베
래서 일단 언덕의 지형을 살리면서 자리를 잡
를린)의 합작 스튜디오 noa*에 확장안을 의뢰
은 한편 주변의 유적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
했고, 젊은 디자이너 집단은 16개의 스위트로
의 석재 건식 벽을 세웠다. 벽은 실외 거실의 공
이루어진 새로운 숙박동으로 화답했다. 신축
간을 구분 짓는 한편 바닷바람을 막아주고, 동
건물의 핵심은 구관과 신관, 두 숙박동을 이어
시에 지붕을 지탱하는 구조체의 역할도 맡는
주는 공중 풀이다. S자형으로 굽이치는 두 숙박
다. 프로젝트의 명칭인 미라지, 즉 신기루는 바
동 사이에 마치 바위가 떠다니다가 마침내 정
로 이 지붕에서 유래되었다. 평면 하나가 세 가
지의 신기루를 자아내기 때문이다. 첫 번째와
착한 형국으로 자리를 잡은 공중 풀은 지면으 로부터 12m 높이에 떠 있으며, 숙박동으로부
1
두 번째 신기루는 외부자를 위한 것이다. 먼저
터는 17m 뻗어나온 캔틸레버(Cantilever)형
지붕 평면 그 자체가 언덕의 일부인 것처럼 보
풀이다. 또한 인피니티 풀로, 진회색 석재로 감
이는 한편, 인피니티 풀은 바다의 일부인 듯 보
춘 가장자리 덕분에 연장된 시선이 유리로 처
이는 착시 현상을 불러일으킨다. 언덕과 바다
리된 전면부로 인해 한층 더 강화된다. 그것으
사이에서 시점과 위치에 따라 지붕이 언덕의
로도 모자라 바닥의 일부를 유리로 처리함으로
일부로도, 바다의 일부로도 보인다는 의미다.
써 하늘과 땅 사이에 떠 있는 듯한 효과를 극대
마지막 세 번째 신기루는 인피니티 풀이 거주
화한다. 폭 5m, 길이 25m, 수심 1.3m.
자에게 불러일으키는 착시 현상으로, 바다의
1, 2 오른쪽 일부만 수심이 깊어 풀의 기능을 하며, 선베드가 놓인 곳처럼 그 밖의 부분은 발목 정도만 적시는 얕은 깊이로 물이 채워져 있다.
2
(맨 앞 페이지) 후베르투스 호텔의 풀은 다이빙
ⓒKois Associated Architects
일부, 즉 수평선과 맞닿는 공간이다.
보드처럼 허공으로 툭 튀어나온 형상이다. 1, 2 바닥 일부를 투명하게 시공해 12m 아래의 정원이 내려다보이는 인피티니 풀이다.
1 2
1 풀 안쪽은 이렇게 생겼다.
Mt. Bonnell Road House
2, 3 호수를 향해 캔틸레버로
교수 부부가 살던 주택의 바로 옆 부지를 매입
내민 풀의 끄트머리는 물속에서
했다. 새로운 건축 아이디어를 찾던 두 사람은
또 다른 물을 바라볼 수 있게끔
지역에서 주택 설계로 유명세를 떨치는 앤더
플렉시글라스로 처리했다.
슨-와이즈 아키텍츠에게 프로젝트를 맡겼다.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의 마운트 보넬가 3402
번지 주택은 호수 쪽으로 난 사다리꼴의 긴 변 을 살려 자리 잡은 뒤 자투리땅이라고 할 수 있 는 모서리를 수영장에 내주었다. 철과 콘크리 2
트, 유리의 현대적인 디자인 언어를 공유하는 수영장은 긴 변의 길이가 25m로, 호수를 바라 보는 모서리 한쪽을 캔틸레버형으로 튀어나
오게 설계했다. 두꺼운 콘크리트 캔틸레버로 연장한 부분의 끄트머리는 전면과 측면을 플
렉시글라스(투명 합성수지)로 마감해 물에 완 전히 잠긴 가운데 발밑으로 펼쳐진 또 다른 물,
즉 호수를 굽어보는 ‘물속의 물’과 같은 경험이
니의 아이디어로, 공중 풀로 유명해졌지만 정 작 건축학적으로 중요한 요소는 비정형인 부 1
MM·MM·
3
지의 단점을 승화시켰다는 점이다.
ⓒAlex Filz/noa*
다양한 디자인을 아우르는 루트 디자인 컴퍼
ⓒRoot Design Company
가능하다. 수영장을 비롯해 조경, 브랜딩까지
MM··MM
Mirage
Hotel Hubertus
에이티드 아키텍츠의 주택 계획안이다. 그리
인 크론플라츠 호텔이다. 푸스터 골짜기의 해
미라지는 아테네의 스튜디오 코이스 어소시
남티롤(이탈리아 북부)의 스키장이자 휴양지
스 소재의 위치상 고대 유물이 남아 있는 환경
발 1350m 고도에서 가족이 대를 물려 꾸려 오
의 훼손을 최대한 막는 계획안이 필요했다. 그
던 후베르투스는 이탈리아(볼카노)와 독일(베
래서 일단 언덕의 지형을 살리면서 자리를 잡
를린)의 합작 스튜디오 noa*에 확장안을 의뢰
은 한편 주변의 유적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
했고, 젊은 디자이너 집단은 16개의 스위트로
의 석재 건식 벽을 세웠다. 벽은 실외 거실의 공
이루어진 새로운 숙박동으로 화답했다. 신축
간을 구분 짓는 한편 바닷바람을 막아주고, 동
건물의 핵심은 구관과 신관, 두 숙박동을 이어
시에 지붕을 지탱하는 구조체의 역할도 맡는
주는 공중 풀이다. S자형으로 굽이치는 두 숙박
다. 프로젝트의 명칭인 미라지, 즉 신기루는 바
동 사이에 마치 바위가 떠다니다가 마침내 정
로 이 지붕에서 유래되었다. 평면 하나가 세 가
지의 신기루를 자아내기 때문이다. 첫 번째와
착한 형국으로 자리를 잡은 공중 풀은 지면으 로부터 12m 높이에 떠 있으며, 숙박동으로부
1
두 번째 신기루는 외부자를 위한 것이다. 먼저
터는 17m 뻗어나온 캔틸레버(Cantilever)형
지붕 평면 그 자체가 언덕의 일부인 것처럼 보
풀이다. 또한 인피니티 풀로, 진회색 석재로 감
이는 한편, 인피니티 풀은 바다의 일부인 듯 보
춘 가장자리 덕분에 연장된 시선이 유리로 처
이는 착시 현상을 불러일으킨다. 언덕과 바다
리된 전면부로 인해 한층 더 강화된다. 그것으
사이에서 시점과 위치에 따라 지붕이 언덕의
로도 모자라 바닥의 일부를 유리로 처리함으로
일부로도, 바다의 일부로도 보인다는 의미다.
써 하늘과 땅 사이에 떠 있는 듯한 효과를 극대
마지막 세 번째 신기루는 인피니티 풀이 거주
화한다. 폭 5m, 길이 25m, 수심 1.3m.
자에게 불러일으키는 착시 현상으로, 바다의
1, 2 오른쪽 일부만 수심이 깊어 풀의 기능을 하며, 선베드가 놓인 곳처럼 그 밖의 부분은 발목 정도만 적시는 얕은 깊이로 물이 채워져 있다.
2
(맨 앞 페이지) 후베르투스 호텔의 풀은 다이빙
ⓒKois Associated Architects
일부, 즉 수평선과 맞닿는 공간이다.
보드처럼 허공으로 툭 튀어나온 형상이다. 1, 2 바닥 일부를 투명하게 시공해 12m 아래의 정원이 내려다보이는 인피티니 풀이다.
1 2
1 풀 안쪽은 이렇게 생겼다.
Mt. Bonnell Road House
2, 3 호수를 향해 캔틸레버로
교수 부부가 살던 주택의 바로 옆 부지를 매입
내민 풀의 끄트머리는 물속에서
했다. 새로운 건축 아이디어를 찾던 두 사람은
또 다른 물을 바라볼 수 있게끔
지역에서 주택 설계로 유명세를 떨치는 앤더
플렉시글라스로 처리했다.
슨-와이즈 아키텍츠에게 프로젝트를 맡겼다.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의 마운트 보넬가 3402
번지 주택은 호수 쪽으로 난 사다리꼴의 긴 변 을 살려 자리 잡은 뒤 자투리땅이라고 할 수 있 는 모서리를 수영장에 내주었다. 철과 콘크리 2
트, 유리의 현대적인 디자인 언어를 공유하는 수영장은 긴 변의 길이가 25m로, 호수를 바라 보는 모서리 한쪽을 캔틸레버형으로 튀어나
오게 설계했다. 두꺼운 콘크리트 캔틸레버로 연장한 부분의 끄트머리는 전면과 측면을 플
렉시글라스(투명 합성수지)로 마감해 물에 완 전히 잠긴 가운데 발밑으로 펼쳐진 또 다른 물,
즉 호수를 굽어보는 ‘물속의 물’과 같은 경험이
니의 아이디어로, 공중 풀로 유명해졌지만 정 작 건축학적으로 중요한 요소는 비정형인 부 1
MM·MM·
3
지의 단점을 승화시켰다는 점이다.
ⓒAlex Filz/noa*
다양한 디자인을 아우르는 루트 디자인 컴퍼
ⓒRoot Design Company
가능하다. 수영장을 비롯해 조경, 브랜딩까지
MM··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