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인사말
● 레지던스 O�T
● 2022 부산국제 openARTs Residence Preview Exhibition
● 부산x광주 레지던스 교류전
● 아이슬란드 레지던스
● 아티스트 토크
● 신안아트캠프
● openARTs Project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 전시 Exhibition � 오픈 리허설 Open Rehearsal � 메인 퍼포먼스 Main Performance 레지던스 작업 과정
● 결과보고전 Ⅰ 오픈아츠 레지던스 결과보고전
● 결과보고전 Ⅱ 결과보고 � 영상 아카이브
● 전시
퍼포먼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CONTENTS
02 02 레지던스 소개 06 03 작가 소개 08 04 부산국제 openARTs Residence 14 06 레지던시 프로젝트 기획전시 in F1963 150 ● 정재운 � 모르는 영역에서 시도하는 연결들
공간사이
역설
05 레지던스 평론 132 07 레지던스 참가후기 156
Exhibition
● 송만용 � 비밀의
가려진 아우성의
● 이혁발 � 무질서의 질서� 정신이상의 세상에서 예술하기 ● 성백 � 쓰임을 다한 사물의 재구성
3개월간의 기억� 전시를 뒤 돌아보며��� 본 단체가 레지던스라는 프 그램을 시작한 계기는 2005년 �꽃마을자연미술제�부터이다� 당시 한국에는 �레지던스�라는 개념이 명확하지 않았지만� 여러 국내 작가들과 함께 주관단체 대표의 사무실 겸 작업실과 구덕청소년 수련관 숙소를 사용하면서 레지던스 기반의 미술제를 운영하였다� 이것도 벌써 18년 전이다� 세월은 그렇게 흘러� 2014년부터는 행사명을 �부산국제openARTs프 젝트�라고 바꾸어 18년째 진행하고 있다� 2005년부터 �이번이 마지막이다��라는 생각으 시작한 프 젝트였다� 그럼에도 이렇게 긴 시간 프 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늘 참여 작가들의 응원과 지지 18년째 쉬지 않고 진행되었다� 본 단체에서는 몇 해 전부터 사회적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예술행동을 해오고 있었다�
#StopWAR� 환경오염� 국가의 부당한 폭력� 전쟁 등 본인은 이 모든 것이 거대 자본에 의해 자행되는 폭력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왜 거대 자본의 폭력 앞에서 저항하지 못하고 침묵을 강요받고 있는지�
예술가 서 진지한 고민과 예술적 표현을 통해 사회적 울림을 만들어 내고자 했다�
그래서 2022년에는 레지던스 주제를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이라고 정하고
레지던스 작가와 프 젝트 참여 작가들을 섭외하였다�
특히 올해는 코 나 이후 오랜만에 해외 작가들을 섭외하며 프 젝트를 다시 진행하였다�
부산문화재단의 예산이 줄어들면서 1년 사업은 3개월 축소되었다�
그동안 해 왔던 규모가 있어 사업을 축소하기가 여간 쉽지가 않았다�
어쩔 수 있나 하는 생각에 세부 사업들을 조정해가며 프 젝트를 진행했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은 여전히 많았다�
한국의 코 나 방역 기준은 국제사회보다 높았고� 해외 작가를 초청하기엔 장벽이 많았다�
참여 의사를 보내왔으나 초청 절차 과정에서 포기하는 해외작가도 있었다�
또 다른 어려움 중 하나 는 비자 발급의 문제였다� 일례 몽골 작가의 경우 한국 대사관에서 비자 발급이 불허되어� 2명의 몽골 작가를 초청했음에도 결국 1명의 작가만이 참가할 수 있었다�
아직은 코 나19부터 우리는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음을 직시했다�
인사말
#생태예술행동 #SaveMYANMAR�
02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우여곡절 끝에 다양한 분야에서 창작활동을 하는 작가들 선정하여 레지던스를 진행하였다�
영상� 회화� 사진� 설치� 퍼포먼스 등 여러 장르의 창작자들이 함께 모였다� �부산국제openARTs레지던스�는 �openARTs�라는 특성을 살린 다양한 프 젝트들이 실현된다� 가장 큰 차별성은 개인의 작업과 작품 발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험적 창작활동과 작품 발표를 통해 작가들 간의 상호 작용을 만들어 작품이 완성된다는 것이다�
2022년에도 그동안 openARTs프 젝트에 참여했던 선배 작가들과 올해 레지던스에 선정된 작가들이 함께 전시와 퍼포먼스 공연 등을 선보였다� 특히 영상� 사진� 설치� 회화 작품들이 전시장에서 상호 작용을 통해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이라는 주제의 큰 설치 작품을 만들어 내었다� 그리고 그 작품들 사이에서 퍼포먼스 작가들의 몸짓으 입체적이고 유기적으 표현되었다�
이는 본 레지던스만의 특징인 �openARTs열린예술�이라 가능한 전시 및 공연이 아닐까 한다� 이러한 프 젝트의 특성상 경험이 많은 작가들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그래서 본 레지던스에서는 프 젝트성 전시를 할 때는 단체의 기획에 참여했던 선배 작가들의 참여를 열어두고 있다� 올해는 무시마루� 홍라무�부토 아티스트�� 언덕� 이정민� 백보림�퍼포먼스�� 이광혁� 홍성률�사운드 퍼포먼스�� 손경대�사진� 작가들의 참여는 �부산국제openARTs프 젝트�를 더욱 탄탄하고 의미 있게 만들어 주었다� 본 프 젝트와 레지던스에 참여한 작가들이 자신의 프 필에 한 줄의 경력의 추가뿐 만아니라 한 단계 성장하고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기를 희망한다� 마지막까지 작가들을 위해 전시 준비와 기 에 최선을 다한 큐레이터 선생님들께도 감사하다는 뜻을 전한다� 부산자연예술인협회 대표 성백
03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Greetings
Looking Back The Memory of Residence Project for Three Months�
The program called Residence by this organization is based on the �Flower Village Nature Art Festival� in 2005�
At that time� the concept of �residence� was not clear in Korea� but with various artists� a residence�based art festival was operated working at the organization�s ofce� studio� and �Gudeok Youth Training Center� accommodation� 18 years have already passed since then�
The years have passed like that� and since 2014� the event name has been changed to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e in BUSAN� and has been held for 18 years�
This project got started in 2005 with the idea that �this is the last time�� Nevertheless� the support of the participating artists have made the project carry out for such a long time� I could not proceed this project without them for 18 years�
This organization has been interested in social issues and has been doing art activities for several years� #Ecological Arts Behavior #SaveMYANMAR #StopWAR� environmental pollution� unjust violence in the country� war� etc� I think all of them are violence committed by huge capital� Why are we being forced to remain silent in the face of the violence of tremendous fnancial�
As an artist� I tried to create a social echo through serious concerns and artistic expressions� Therefore� in 2022� the subject of residence was designated as �The silent roar of the earth� and resident artists and project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particular� the project was carried out again by recruiting overseas writers for the frst time in a long time after COVID�19 this year�
As the Busan Cultural Foundation�s budget decreased� the one�year project was reduced by three months� Considering the past�scale� it was not easy to reduce the business� I worked on the project by adjusting the details thinking �I can�t help it�� But I had no choice but to face many hardships� Korea�s COVID�19 quarantine standard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t was difcult to invite overseas artists�
They intended to participate in� but they were forced to give up coming to Korea for many problems and it was hard to issue a visa during the invitation process� For example� in the case of Mongolian artists� visa issuance was not allowed at the Korean Embassy� So� two Mongolian artists were invited� but unfortunately� only one artist could participate in� We realized that we have not fully escaped from COVID�19�
04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After many twists and turns� artists who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in various felds were selected as resident participants�
Creators of various genres� including video� painting� photography�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gathered together�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e in BUSAN� comes to fruition by various projects that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openARTs��
The biggest diference is that the work is not completed through individual work and presentation� but through experimental creative activities and interactions between artists�
As always� this year�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previous �openARTs� project and selected residents gathered together to showcase exhibitions and performed performances� In particular� videos� photos� installations� and paintings have created large installation works under the theme of �The silent roar of the earth� through interaction in the exhibition hall�
And among the works� it was expressed three�dimensionally and organically by the gestures of performance artists�
These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were possible because of the program�s characteristic �openARTs�� Due to the nature of this project� the participation of experienced writers is essential� Therefore� when exhibiting the �openARTs� project in this reside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enior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organization�s planning will participate in�
This year� artists such as Musimaru� Hong Ramoo�Butoh Dancer�� Undock� Lee Jungmin� Baek Borim �Performance�� Lee Kwanghyuk� Hong Seongryul�Sound Performance�� and Son Kyungdae�photo� participated in�
Thanks to them� the event was even stronger and more meaningful� We hope that this project and residence will not only add one career to the participating artists� but will also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grow and develop further�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e curators who have done their best to prepare and record the exhibition for the artists until the end�
Busan Nature Artist Association
SungBaeg
05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부산국제
openARTs Residence
2022 부산국제 openARTs 레지던스에서는 해외 협력 큐레이터와 함께 국제사회의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는 프 그램을 함께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예술가들과 국제적인 연대를 이루고� 더 나아가 현재 2022년 국제사회의 여러 문제점들과 다양한 이슈들을 예술가의 시선으 바라보고 고민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자 합니다�
세계에서 일어나는 기후 위기와 같은 환경문제를 비롯해 전쟁� 폭력� 차별과 혐오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해 왜 국제사회와 자본주의 거대 기업들은 침묵하고 있고 직접적인
2022
피해를 보는 자연생태계와 그 안의 지구인들의 아우성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단순히 국제교류 및 예술 활동에 그치지 않고 예술가들과 국제적인 연대와 문화 담론을 형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06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is a program that deals with various issu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overseas cooperation curators�
Through this� we will establish international solidarity with artists and create an opportunity to look at various problem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artists in 2022�
Through this program� we will talk about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the global climate crisis� as well as various issues such as war� violence� discrimination and hatred� Why i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capitalist conglomerates silent� I would like to hear the cries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the earth�s people who are directly afected by this�
We aim not only to engage in international exchange and artistic activities� but also to form international solidarity with artists and to form cultural discourse�
0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류승옥
Ryu Seungok
2022 �중심은 없다�� 플레이스막� 서울
2022 �워킷� 드 잉전�� GAGOSIPO GALLERY
2022 부산국제 오픈아츠 레지던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0 �가지고 싶은 공간�� Gallery The Flux & Flow
2018 �가지고 다니는 공간�� GAGOSIPO GALLERY
2018 �숨길 수 있는 이야기�� Cyart document
2022 �No Focus�� Place mac2� Seoul
2022 �Workit� Drawing Exhibition�� GAGOSIPO GALLERY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The silent roar of the earth�� openARTs space MERGE�� Busan
2020 �Wishing Space�� Gallery The Flux & Flow
2018 �Carrying Space�� GAGOSIPO GALLERY
2018 �Ownself�� Cyart document
박시호 Park Siho
2022 �Drifting in the balchic�sea�설치 전시� 갤러리 별일
2022 개인전 �박인어씨� 가변 설치�영상� 제주 새탕라움
2021 �요나가 바라는 바다� 설치�영상� 서울평화문화진지
2020 화이트배너프 젝트 �속도의 무게� 비디오 설치� 서울문화재단
2019 May Fly전_영상설치 �비온다� 비디오 설치� 을지 오브
2022 �Drifting in the balchic�sea� Installation� Gallary Byul�Il
2022 Solo Exhibition �Park in the Sea� Variable Installation�Video� Seetangraum
2021 �The Sea that Jonah hopes for� Installation�Video� Culture Bunker In Seoul
2020 Whitebanner Project �The Weight of Speed� Video Installation�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019 May Fly Exhibition_Video Installation �It�s rainning� Video Installation� Euljiro OF
작가 소개
08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배시아 Baesia
2022 아이슬란드 국제 레지던스 Hafsjor� Oceanus 참여작가
2019 독립단편영화 �행차� 감독
2018 국악그룹 AMA�C 아트디렉터 및 기
2017 아직도 슬픈열대전 난초 참여작가
2015� 노란꽃씨 참여작가
2022 Iceland International Residence Artist
2019 Independant short movie �The Dearest� Director
2018 Traditional music group AMA�C Art director & Videography
2017 Still tristes tropiques Artist
2015� Yellow seed Artist
서영 Seoyoung
2022 2nd 개인전 �in � out side�� 부산프랑스문화원� 부산
2022 부산국제 오픈아츠 레지던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2 빈칸 아트 페스티벌� 성수 LAYER 57� 서울
2021 under39 ART FAIR�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몰� 부산
2020 1st 개인전 �공간 � 공간展’� 예술지구p� 부산
2022 2nd solo Exhibition �in � out side�� Busan French Cultural Center� Busan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The silent roar of the earth�� openARTs space MERGE�� Busan
2022 Blank Art Festival� Seongsu LAYER 57 � Seoul
2021 under39 ART FAIR� Shinsegae Department Store Centum City Mall� Busan
2020 1st solo exhibition �Space � Space�� Art District p� Busan
09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작가 소개
정은형 Chung Eunhyung
2022 �I�Park� 레지던시� East Haddam� 코네티컷� 미국
2021 �Ox�Bow School of Art and Artists� 레지던시� Saugatuck� 미시간� 미국
2020 2021 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RISD� 조소과� 예술 교육과 석사 졸업
2019 2021� 2022 Tale Amor Park 레지던시� La Porte� 인디아나� 미국
2017 서울대학교 조소과 학사 졸업
2022 �I�Park� Residency� East Haddam� CT� USA
2021 �Ox�Bow School of Art and Artists� Residency� Saugatuck� MI� USA
2020� 2021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RISD� MFA in Sculpture � Art Education
2019� 2021� 2022 Tale Amor Park Residency� La Porte� In� USA
2017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BFA in Sculpture 조구 Cho Gu
2022 부산국제 오픈아츠 레지던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0 개인전 �취향입니다� 존중해주시죠��� 스페이스제 � 서울
2019 개인전 �극적인 순간�� 스페이스제 � 서울
2019 단체전 �Art in the Life City � Upcycling Recycling & Regeneration��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제1관� 서울
2019 개인전 �춤�� 스페이스 제 � 서울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The silent roar of the earth�� openARTs space MERGE�� Busan
2020 Individual exhibition �It�s my preference� Please respect me�� Space Zero gallery� Seoul
2019 Individual exhibition �a dramatic moment� � Space Zero gallery� Seoul
2019 �Art in the Life City � Upcycling Recycling & Regeneration�� Hongik University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2019 Individual exhibition �The Dance�� Space Zero gallery� Seoul
10
Enkhzaya Erdenebileg �Mongolia�
2022 Quantum Distance� 3rd solo exhibition� Khan Bank Gallery� Ulaanbaatar
2022 Ulaanbaatar International Media Art Festival� Sainshand� Mongolia
2022 ZUUN ART 22 international residence program� Co�Curator
2021 MADDI international exhibition� Tromso� Norway
2021 UB Contemporary Art Pavilion� Co�Curator�
Iwa Kruczkowska�Krol �Poland�
2022 Ethnic Colors Municipal Museum in Zabrze�painting� unique fabric�� Poland
2022 Dry Landscape Gardens Center of Culture and Art in Kalisz�painting�� Poland
2021 In the Swirl of Emptiness� Gallery of Contemporary Art BWA in Olkusz�painting�� Poland
2021 Portraits of Ethnic Groups� Regional Public Library in Cracow�painting�� Poland
2021 Contemplative Journeys� Historical Museum in Bielsko�Biala� Old Factory Gallery� Bielsko Biala �painting�� Poland
11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레지던스 O.T
14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15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16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1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수 있을까� 흐르는 선을 기어코 좇아가다 보면 알겠지� 그어놓은 결함들은 결핍이 되고� 그것들이 전제가 되어 이상향을 만들어낸다�
이상향을 그리는 마음은 많은 단어들 응집된다�
결핍과 부족� 욕구와 갈망�
이보다 더 부질없는 감정들 속에서도 생성되며� 순교적인 기원과도 같은 감정도 포함된다� 완전한 형태에서 깨져버린� 그리고 금이 가버려 형상을 제대 주시하지 못할 때� 불완전한 형태에서 진실성에 집착하고 해석하려는 태도에 중점을 두었다�
무수한 선으 이루어진 균열의 형상은 얽힌 거미줄 같기도 하고� 날카 우면서도 약해보이기도 한다� 이미지의 시작이 되는 형상을 바탕으 하되� 화면에는 전진되는 이미지만 남는다� 이러한 이미지 속 거둬지는 시선엔 저마다의 형상이 보일 것이다�
참여 작가 박서희 Park Seohui 자라지 않는 제 키를 탓하고� 돌봄이 없는 제 아량을 원망하고� 눈앞에 있는 불씨만을 집어삼켜 제 몸집을 키우는 욕심 많은 태생이 원죄겠지� 가냘픈 선들은 그렇게 구성된다� 나를 향한 애틋하고도 어설픈 사랑들은 여기저기 흩어진 듯이 보이고� 복잡하게 얽혀진다� 아무도 모르게 깨뜨린 균열 속에 꽁꽁 숨겨버린다� 내가 감히 숨겨놓은 모자란 결함들을 찾을
나중의
18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일 Oil and acrylic on canvas / 89.4x130.3cm / 2021
박시호
Siho Park in the sea 성게, 갑오징어뼈, 소라 / 가변설치 / 2022 인간은 자신의 욕망을 위해 어디까지 할 수 있는가� 무수히 쌓여있는 성게 뼈 무덤 너머 누군가 그려둔 벽화가 있다� 그리고 그 아래엔 보란 듯이 분필과 갑오징어 뼈가 놓여있다� 한 획이라도 긋고 싶은 욕망을 이루려면 발아래 깔린 성게의 뼈를 우지끈 밟고 지나가야 한다� 나의 발자취를 남기기 위해 어떠한 존재에게 그렇게까지 할
혹은� 나의 욕망을 포기할 것인가를 스스 결정할
디즈니 애니메이션 �인어공주�의 테마곡
어떤 방식으 사랑하고 있는지를 체험형으 보여준다� 역설적이게도 밟히고 부서진 성게 껍질조차 아름답다고 연신 셔터를 누르는 관객들을 우리는 계속해서 마주하게 된다� 19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Park
것인가�
수 있게 하였다�
�Under the sea�엔 �둘러봐� 걱정이 없는 곳� 우리가 있는 이 바다는 육지보다 아름답고 평화 워�라는 대목이 있다� 많은 사람이 좋아하는 이 노래는 이제 박물관으 가야 할지 모른다� �바다 정원�이라고 명명한 이 작품은 인간이 바다를
난초 퍼포먼스 영상 / 2017 참여 작가 배시아 Baesia 동시대 예술가들의 시대정신이 담긴 다양한 시선을 기 하는 비디오 아트 프 젝트를 진행한다� 또한 영상을 기반으 다양한 장르의 작가들과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다원예술을 추구한다� 20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green 움직임 1-4 Mixed media shaped on canvas 45.5x45.5cm 2022
서영
이번 �green 움직임� 작품은 경계에서 시작되는 또 다른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 속에 한 켠에는 연기들이 각자의 모습을 하며 여전히 움직이고 있다� 이는 작가가 계속적으 이어나가고 싶은 이야기의 한 모습을 담고 있다� 21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Seoyoung
참여 작가
안혜민 An Hyemin
심연 Woodcut / 29x21cm / 2022
Metro Project Mezzotint / 12x16cm / 2022
22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Yoon San
Blizzard Effect Oil on linen / 153.5x100cm / 2022
Glich Satellite Oil on linen / 153.5x207.2cm / 2022
전후
저장하는
일정 기간
이미지를
때� 뒤섞인 이미지들을 자르고 붙이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조합하고 버리며 전혀 상관없는 이미지들의 층위가 발생하고� 본래 가지고 있던 맥락은 휘발되어 보는 이 하여금 또 다른 해석의 여지를 남겨둔다� 23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윤산
동시대에 재현되고 있는 주술적 이미지� 가상화면을 소재 회화와 여러 매체를 통한 방법론을 실험하고 있다� 빈번한 블랙아웃에서 비롯된 비가시적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고 여기며 우스꽝스러운 미감에 호기심을 가진다� 경험하지 않은 노스탤지어의 모호함은 실제 삶의 플레이에서 채굴한 것과 닿을 수 없는 시대의 조각들이 뒤섞여 투명한 터치의 방식으 치환된다� 이러한 것들은 긴 호흡의 화면이나 종이에서 출처를 찾을 수 있기에 납작한 경험이라고 이름 붙이고�
맥락이 탈각된 스크린샷을
루틴에서 시작된다�
묵힌
다시 꺼낼
이런 감정이 드는지 모를 일이다� 머릿속에 계속해서 물음표를 그려보자면 하루하루 가는 시간에 대한 애도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오늘의 해는 여느 때처럼 내일도 떠오르겠지만 그날의 시간� 감정� 공기와 온도 같은 것들은 내게 있어 매번 마지막이니까� 그걸 문득 깨닫도 하는 게 노을이지 않을까� 가는 시간에 대한 씁쓸함� 혹은 뿌듯함� 회의감�� 이것도 저것도 아니라면 노을이 나 하여금 느끼게 하는 감정은 도대체 어디서 기초하는 걸까� 24 2022 International openARTs
in BUSAN
어떤노을11 Digital print on canvas / 42x29.7cm / 2021 참여 작가 이현주 Lee Hyunjoo #어떤노을 series 노을을 보면 드는 모호한 감정은 왜일까� 슬프다고 하기엔 과하고� 기쁘거나 아무렇지 않다고 하기에는 울렁이는 느낌이 어떤 감정인가 의문이 든다� 오늘의 해는 지고� 다시 같은 해가 뜨는 건 모두가 아는 자명한 사실인데 왜
Residence
Chung Eunhyung
철가루
/ 영상(5분)
자국들과 겹치면서 사라져 가는 벽돌을 만들었다� 그리고 도시에서 사라진 벽돌들이 있던 자리를 우리가 만든 벽돌 대체했다� 이 작품은 관객들 하여금 어떻게 우리가 동물들과 지구라는 행성을 함께 공유하고 있는지� 어떻게 인간이 만든 것들이 동물들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그들의 발자국을 희미하게 하는지에 대해 생각하도 한다� 25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찰흙과
Shiqi Wu와 협업
20x60x2.5cm / 2022 정은형
생물 다양성의 상실 인디애나주의 숲에서 동물의 발자국을 처음 보았을 때 우리는 이 흥미 운 경험을 도시 생생하게 되돌려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숲에서 동물들이 남긴 발자국을 캐스팅했고 동물 발자국들이 도시의
그들의 신경전 Oil on canvas / 116.8x90.6cm / 2021 참여 작가 조구 Cho Gu #묵직한_자유 움 #역동성 #동물 살아서 날뛰는 새를 그리고 싶은데 내가 오늘 그린 새는 다 죽어 있었다� 살아있는 대상을 정지된 화면에 옮길 수 있을까� 역동성에 집중한 반년 동안은 �춤� 시리즈를 지속했는데 그림 속 대상은 항상 닭 아니면 새들뿐이었다� �푸드듣뜯듣�� 날지는 못하지만 날갯짓을 있는 힘껏 치며 닭이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낼 때� 멀리서 봤을 땐 한 없이 가볍고 자유 워 보였던 새가 하늘을 날기 직전 어딘가 조금 버거워 보이는 �V� 모양으 묵직하고 느리게 날아오르기 시작해 금방 �ㅡ� 같은 모양으 자유롭게 바람을 타고 하늘 날아갈 때� 나는 자연스럽게 그들에게 시선이 빼앗겼고 저들을 그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런데 저렇게 자유롭고 묵직하게 움직이는 애들을 정지된 화면에 어떻게 담지� 동물의 거칠고 묵직한 자유 움은 여전히 날 설레게 한다� 새가 둔탁한 날갯짓을 치며 하늘 날아오르는 것을 볼 때� 치타가 온 힘을 다해 앞으 튕겨 나갈 때� 자연스럽게 내 고개도 그들의 움직임을 쫓아가며 호흡을 맞춰간다� 26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Finding beauty in pain Body print / 200x100cm / 2022 Sewing the relation 비디오
설치 / 14분 40초 / 2019
2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Enkhzaya Erdenebileg �Mongolia�
Zenn Epoxid / 30x30cm 3pieces / 2020
Zen garden II Oil on canvas / 150x170cm / 2016
참여 작가
28
Iwa Kruczkowska�Krol �Poland�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Hannah Castro �Philippines�
My purple heart Acrylic on canvas / 61x91cm / 2022
Heaven's Looking Down Acrylic on canvas / 61x91cm / 2021
29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Jasper
참여 작가
Kanchan Karjee �India�
Acclimatization wood, terracotta, glass ect 109.2x55.8x38.1cm
Golden leg wood, bronze / 140x60x43cm
Black Figer Wood, Graft, Glass / 152.4x40.6x35.5cm
30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31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무제 Mixed media / 가변설치 무제 Mixed media / 가변설치 Odmaa Uranchimeg �Mongolia�
참여 작가
Onongua Enkhtur �Mongolia�
Numur Mixed media /가변설치 / 2022
32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Teenage god �USA�
ritual 퍼포먼스 / 2020
Candy necklace
33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참여 작가
Tserendejid Bayarmunkh �Mongolia�
Growing Ceramic / Variation / 2022
Growing Ceramic / 25x20x7cm / 2022
34
Exodus Movie / 20minutes / 2022
Honey and old cheese Movie / 25minutes / 2016 Yassine goes to syria Documentary / 55minutes / 2014
35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Yassine El Idrissi �Morocco�
36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3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38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2009년 처음 부산 국제 꽃마을 자연예술제�현� 부산국제 openARTs 프 젝트�에 광주 작가들을 대거 초대하면서 광주와 부산 간의 문화교류가 시작되었다� 다음 해인 2010년 제1회 시화 환경예술제 때 부산 작가들이 광주에 참여하면서 두 도시의 문화단체 간 교류를 시작한 것이 14년이라는
부산�
쏠림으
심각하며� 특히 문화예술가들의 이탈 인해 지역 문화 생태계가 취약하게 되었다는 점은 매우 유사하다� 2022년 올해도 부산� 광주 각 문화단체에서 진행되는 레지던스 소속 작가들이 중심이 되어 전시를 한다� 앞으 도 광주 부산 공동의 지속적인 프 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의 문화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 39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시간이 흘렀다�
광주 두 도시 모두 서울 중심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인프라의
인해 청년 인구 유출이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참여 작가
고태현 Ko Taehyun
2022 �폭풍 후 맑음� 가랑전� 조선대학교 미술관
2021 �불을 지피다�� 조선대학교 미술관
2021 �반복재생�� 조선대학교 미술관
2021 �채찍질�WHIPLASH��� 조선대학교 미술관
2021 �MIght see the answer if I stay dazed� Art group 타래 x 경계_인� 갤러리 혜윰
2021 �페르소나� 타래� 뽕뽕 브릿지
2020 �Bottom too Floor�� 순천 순천만습지센터 야외공연장
2018 �소리의 형태�� 광주 에꼴드 팡세
아직 생기지 않은 언어 Acrylic on canvas / 72.7x90.9cm 아직 생기지 않은 언어 Acrylic on canvas / 90.9x72.7cm
42
김은택 Kim Euntaek
2022 �환원과 확산�� 소촌아트팩토리� 광주
2022 �12인12색�� 소소미술관� 화순
2022 �아시아프�� 홍익대학교현대미술관� 서울
2021 �HOW TO PAINT TIME�� 전일빌딩245시민갤러리� 광주
2021 �태초에 두개의 이야기�� 산수싸리� 광주
2021 �삶의 가치�� 무등갤러리� 광주
2021 �오후2시�� 드영미술관� 광주
2020 �NEVER ENDING STORY�� 한평갤러리� 광주
2017 �ON MY WAY�� 조선대학교미술관� 광주
2017 BAMA�부산아트페어�� 부산벡스코� 부산
2015 광주국제현대미술전� 광주비엔날레� 광주
빛의 흐름 Mixed media on canvas / 122x30cm / 2022
빛의 흐름 Mixed media on canvas / 122x30cm / 2022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43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참여 작가
라원 Ra Won
2022 �LapiA Mall � 미술거래소� 작가미술장터� 전주 팔복예술공장
2022 �Show Of� 지역문화예술육성 사업 시각예술 기획전� 목포 오거리문화센터
2022 �Residency X Residency� LapiA & MERGE� 영호남 교류전� 부산 복합문화예술공간 MERGE�
2017 �Find art and you���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2016 �Rising 미술장터� 깡통프 젝트 LapiA기획� 광주 소촌아트팩토리
2016 �몰라� 타래�� 6th 작가지원 전시� 광주 DS갤러리
2016 �Space Station� 무등갤러리 기획 작가지원 프 젝트 전시� 광주 무등갤러리
Lost 동판 원본 / 25x25cm / 2016
Lost 동판 원본 / 25x25cm / 2016
44
코 나19와 귀차니즘으 인한 각종 음식들의 배달문화 시대�
24시간 365일 끝없는 배달
Unlimited Delivery 단채널 영상(00:09) / 04분50초 / 2022
Unlimited Delivery 단채널 영상(01:31) / 04분50초 / 2022
Unlimited Delivery 단채널 영상(03:00) / 04분50초 / 2022
Unlimited Delivery 단채널 영상(03:53) / 04분50초 / 2022
아침부터 밤까지� 봄� 여름� 가을� 겨울 시간과 계절의 변화를 색의 변화 표현하면서�
업무에 종사하는 분들이 노고를 기린다�
예술� 하나가 되다�� 갤러리 관선재� 광주
작가
PD
게임애니메이션학과
그날의 진실�� AR 프 젝트 참여 45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서정보 Seo Jeongbo 2022 �게임과
2022 광주 LapiA 레지던시
2021 FG 총괄
2021 경주대학교
겸임 교수 2020 �5�18
참여 작가
정송희 Jeong Songhui
Solo Exhibition
2022 �그녀의 속사정�� 갤러리생각상자� 광주
2022 �마음의 스냅샷은 그림이다�� 기억공장1945� 순천
2022 �feeling과 emotion에 관한 네 가지 이야기�� 조선대미술관� 광주
2021 �감정에 대한 명백한 확신�� 금호갤러리� 광주
2020 �정송희 개인전�� 소소미술관� 화순
Group Exhibition
2022 �오늘의 시각과 방법�� 영아트갤러리� 대전
2022 �지역감성청년작가교류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22 �하랑��미담갤러리� 광양�
2022 HAAF�HIDDEN ARTIST ART FAIR� 아트나살갤러리� 울산
2022 �청춘�� 소촌아트팩토리� 광주
2022 �한중현대미술교류전��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2021 �호호전�� 우제길미술관� 광주
2021 �마중물�� 갤러리생각상자� 광주
2020 �발화�� 소소미술관� 화순
2020 �에이스페어��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2020 �예술산책�� 해동문화예술촌� 담양
2020 �Drawing work shop�� 갤러리이안� 대전
선명하다 oil on
/
따뜻하고 편안할수록
canvas / 53x72.7cm
2021
46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박서희 Park Seohui
�이상향�으
부를 이름이 없는 것들의 존재를
것들의
뒤돌아보기 Oil and acrylic on canvas / 72.7x53cm / 2021 개인의 �이상향�은 내재된 �결핍�을 전제 구성된다� 보고 싶은 것만 바라보고� 마주하고 싶지 않은 것들을 지워낸다� 균열 인한 파편들을 조각을 맞추듯이 모으고 버리며� �이상적인� 형상을 만들어낸다� �결핍�은 부재 부터 출발하지만 결국
자신을 증명해낸다� 불신이라는 것은 없다� 믿는 힘이 부재할 뿐� 나태라는 것은 없다� 열망하는 힘이 부재할 뿐� 우리는
위해 부지런하게 거짓말을 쏟아낸다� 뒤틀린
결속으 태어나는 �이상향�� 그것들을 들춰 보면 결핍과 부재만이 가득하다�
4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참여 작가
박시호 Park Siho
2022 해양환경전시 �마주하는 바다�� 대전아트센터
2022 파라다이스 아트랩_파라다이스 시티� 인천� 박혜수 �퍼펙트패밀리 쇼케이스� 참여 �연출 및 배우�
2022 개인전 �박인어씨�� 제주 새탕라움
2021 지구숨숨 아카이브 전 �요나가 바라는 바다�� 서울평화문화진지
2021 Art D�RAM �실연활용법� 참여작가�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2021 제5회 소태산영화제 단편 �바다�바라�바래보다�초청� 교육부�전라북도�원광대학교
2020� 현 콜렉티브 지구숨숨 대표
대한 제사이다�
�제의� 시리즈� 첫 번째
녹음(綠陰)의 신에게–제의(祭儀) Installation / 2020(광주 무등산) 있는 그대 의 것들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한 번도 깎이지 않은 채 자란 나무� 빗물에 쓸려서 아무 데나 놓여진 바위� 그리고 제멋대 여기저기 자란 풀은 그 자체 아름답다� 이것은 조여지고 가려지고 덮여진 본연의 아름다움에
48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서영
Seoyoung
Solo Exhibition
2022 �in � out side� 부산프랑스문화원� 부산
2020 �공간 � 공간展’ 예술지구p� 부산
Group Exhibition
2022 �울림안울림展’� 523갤러리� 부산
2022 �빈칸 아트 페스티벌�� 성수 LAYER 57� 서울
2022 �이오공감展’� 써니갤러리� 부산
2022 �해리단 뮤지엄_잇다展’� �구�해운대역사 해운대 아틀리에� 부산
2022 �그 이후�After Graduation展’� 동아대학교 석당미술관� 부산
2022 �BLUE ART FAIR�� 웨스틴조선 부산호텔� 부산
2021 �under39 ART FAIR��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몰 B2F 중앙광장� 부산
2021 �ASYAAF & Hidden Artists Festival 展’�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전시실� 서울
2021 �공존�공간X공간展’, 영도놀이마루 WATCH갤러리� 부산
2021 �제9회 청년작가展�부산 미술 꿈을 꾸게 하다��� 금련산역 갤러리� 부산
2020 �미술� 부�울�경 학생교류전� 부산대학교 아트센터 기획展
L)울림 outside Oil on shaped canvas / 115x45cm / 2020
R)울림 inside Oil on shaped canvas / 115x45cm / 2020
49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참여 작가
이현주 Lee
Hyunjoo
2022 첫 번째 개인전 �시선의 시작��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2 부산국제 openARTs Residence �부산X광주 레지던스 교류�展�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2 �부산국제 openARTs Residence 프리뷰�展�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2 �INSIDER�인사이더���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1 �MOAF�문래 원앤온리 아트페어��� 갤러리문래� 서울
2021 지역문화예술지원 창작공간프 그램 지원사업 Vision in a Compact �ERROR�展� 금봉미술관� 광주
2021 �너와 나 우리� 함께하는 서동_4인 4색�展� 서동예술창작공간� 부산
2020 �서하� 서동의 여름�展� 서동예술창작공간� 부산
작업하기도 한다� #2� 어떤 노을 series 꽤 자주 하늘을 찍곤 한다� 수백 장의 풍경 사진 중 대부분이 노을 지는 하늘 이다� 많은 이들이 그렇듯 �감히 단정 지어 본다� 노을을 바라보면� 많은 생각이 들며 괜히 센치해진다� 자연이 어떻게 저런 색을 낼 수 있는가 하는� 특히나 좋아하는 색이 오묘하게 섞인 것을 보며 경이 움을 느낌과 동시에� 그런 노을을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그림으 옮기고 싶었고� 빠르게 완성해내고 싶었기에 드 잉을 택했다� 보통 내 작업 방식으 는 몇 개월 정도는 걸려서� 그 사이 그림에 질리는 일이 부지기수였기 때문이다� 작품 자체에 커다란 의미를 담진 않았으나� 지는 노을을 보며 느끼는 감정을 �어떤 노을�이 비춰낼 수 있길 바란다�
어떤노을13 Digital print on canvas / 50x70cm / 2021 내 작업은 시선으 부터 시작된다� 누군가의 시선� 내가 바라보는 시선� 누군가 날 바라보는 시선��� 이 시선 속에서 비롯된 작업은 한 가지에 고정되지 않고 계속해서 움직인다� 때 는 사회가 바라보는 시선이 싫어 작업하기도 하고� 내가 바라보는 풍경들이 좋아
50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정은형 Chung Eunhyung
2022 �I�Park� 레지던시� East Haddam� 코네티컷� 미국
2021 �Ox�Bow School of Art and Artists� 레지던시� Saugatuck� 미시간� 미국
2020 2021 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RISD� 조소과� 예술 교육과 석사 졸업
2019 2021� 2022 Tale Amor Park 레지던시� La Porte� 인디아나� 미국
2017 서울대학교 조소과 학사 졸업
�One who cannot live in the Present�라는 저의 퍼포먼스 시리즈에 등장하는 생명체들은 주 시야가 가려져 있고 방향성을 잃고 길을 헤매고 있습니다� 그들은 과거에 대한 후회와 미래에 대한 걱정 때문에 현재를 살지 못합니다� 어떤 이들은 머리가 정면이 아닌 양쪽을 향하고 있어 앞을 보지 못하며 어떤 이들은 머리가 너무 무거워서� 혹은 손과 발이 돌처럼 굳어가서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무엇인가 그들을 뒤 잡아당기고 아래 끌어내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들은 끊임없이 어딘가 나아가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이 퍼포먼스 �Stability� 에 등장하는 생물은 팔다리 굳건하게 땅을 딛고 있는데� 안정성에 너무 익숙해져서 움직일 수 없는 바위처럼 보입니다� 어디가 앞이고 뒤인지 구분할 수 없이 방향성을 잃고 헤매고 있지만� 그들은 멈춰 있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꿈틀댑니다� 그들은 어디를 향해 나아가는지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끊임 없이 부딪히고 부서짐을 반복하며 자신만의 길을 찾아갑니다� 이 퍼포먼스는 목적지가 명확히 정해져 있는 정류장� 안정적인 삶을 살아가는� 양복을 입은 사람들이 많은 금융지구� 비좁은 골목길� 행인들이 많은 회색 도시에서 행해졌습니다�
One who cannot live in the Present (Stability) 시멘트, ISO foam / 109 x 69 x 90cm / 2019
51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참여 작가
조구 Cho Gu
Solo Exhibition
2020 �취향입니다� 존중해주시죠��� 스페이스제 � 서울
2019 �춤�� 스페이스제 � 서울
2019 개인전 �극적인 순간�� 스페이스제 � 서울
Group Exhibition
2022 부산국제 오픈아츠 레지던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1 한가람 예술의전당 청년미술상점 전시
2019 �Art in the Life City �
Upcycling Recycling & Regeneration��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제1관
2019 INSAYAF 아시아대학생페스티벌
춤4 Oil on canvas / 38x46cm / 2019
52
53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춤추는 한송이 꽃은 생명의 우주를 아름답게 한다� 한순간 흐르다 사라지는 꽃잎 향기는 천 리를 향하며 공기를 정화� 그 향기의 진동� 아름다운 영혼의 꽃춤
엉거주춤으
멈춤으 갖춤으 낮춤으 감춤으
안성맞춤으 그리고 막춤으 �홍라무�
지구는 누구의 것인가�
인간들은 지구가 인간들의 소유물 착각하고 있다�
지구는 어느 누구의 것도 아니다� 지구는 결코 인간의 소유물이 아니며 소유할 수도 없다� 지구는 많이 아프다� 지구는 인간에게 계속적으 메시지를 남기고 있다� 하지만 이미 시간이 너무 흘러 가버린 것인가� 그 지구 아우성� �잡음과 화음�� �침묵과 울림� 그것들을 표현해 보고자 한다� �홍성률�
메인 퍼포먼스 이번 공연은 하나의 이야기 구조 우리 주변의 복잡한 삶 속에서 우리가 잊고 있는 �무엇�이라는 인간 본연의 깊은 모습을 다시 찾기 위한 열망에서 시작됐다� 들숨과 날숨의 조화� 모든 생명의 숨 그의 깃든 생명의 탄생� 약하지만 강한 생명력으 바람과 햇살과 호흡하며
Main
104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홍라무� Mushimaru Fujieda� 홍성률 협업 퍼포먼스
시간�참 거짓 그리고 조화�대한 이야기 � performance� 2022
Performance 무심코 하는 나� 너 우리의 행동들이 많은 생명들에 돌을 던지고 있다는 것� 이번 프 젝트를 통해 다시금 지나온 시간들과 지금을 돌아본다� 환경이 파괴되고 전쟁이 일어나고� 그 모든 것의 중심에는 우리� 인간이 있었다� 우리가 만든 이 흔적들이 조금씩 쌓이고 쌓여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커다란 형체 다가올 것 같은 두려움이 느껴진다� 본 퍼포먼스는 우리가 파괴하는 것은 무엇인가� 누구를 향하고 있는 것인가� 물음을 던지며 이 모든 것들이 결국에는 우리에게 되돌아올 것이라는 암묵적인 주의의 메시지를 던진다� Messenger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 performance� 2022 서수연� 성백� 홍성률 협업 퍼포먼스 105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메인 퍼포먼스 제 2장 엉켜있는 줄을 하나하나 풀며 관객과 작가들이 모여서 한명 한명 어떻게 기후 위기를 체감하는지 속 이야기 또한 풀어본다 기후 위기라는 단어에 감춰진 대학살을 맞이하며 누가 죽는지 누가 죽이는지 어떻게 죽이는지 어떻게 죽어야 하는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엉킴과 뭉침을 하나하나 풀어헤쳐 보고자 한다� Ground 그라운드 � 바닥 기초 땅 지면 지구 바탕흙 경지 정원 1� 예술 한 목소리를 내기 전에 함께 그라운드를 다지는 작업 2� 지금 딛고 있는 그라운드에서 목소리를 내기 3� 스트레스 돌아버릴 때도 있겠지만 다시 그라운드 돌아오기 언덕 Main Ground � performance� 2022 106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Performance 10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류승옥
2022 ‘중심은 없다’, 플레이스막, 서울
2022 ‘워킷, 드로잉전’, GAGOSIPO GALLERY
2022 부산국제 오픈아츠 레지던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0 가지고 싶은 공간, Gallery The Flux &Flow
2018 가지고 다니는 공간, GAGOSIPO GALLERY
2018 숨길 수 있는 이야기, Cyart document
존재하는
것� 두 번째는 100kg이라는 무거운 부와 재산과 그런 권리를 가진 사람들이 움직이지 않고 저 멀리 저 편한 소파에 앉아서� 자기의 권리와 부를 누리고 있는 사람들� 곧 돈이 권력의 힘이라는 것을 가지고 최상위 계층에서 지키려고 하는 사람들� 움직이지 않는 사람들이죠� 그리고 마지막으 많이 움직이는 사람들인데� 개인 또는 각자가 가지고 있는 100kg의 무게들� 다양하겠지만 그것을 해소하거나 조금 더 가볍게 하거나 현재 지고 가는� 그렇지만 그것을 나눌 수 있는 동조자를 만나는 그런 세 가지 범주를 나눠가지고 작업을 시도해 봤어요�
레지던스 작업
부산 태풍이 굉장히 심하게 불던 날이었어요� 그날 밤� 높이 8m 이상� 무게 100kg이 되는 조형물인 철 의자가
무너졌더라고요� 그것을 보고 느낀 게 하나는 물리적인
과정 Note
있었는데 그게
100kg� 잘라졌지만 나름 생존 방식이 달라진 거고� 충분히
철 의자라는 조형물이라는
108
109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박시호
2022 ‘Drifting in the balchic-sea’ 설치 전시, 갤러리 별일
2022 개인전 ‘박인어씨’ 가변 설치/영상, 제주 새탕라움
2021 ‘요나가 바라는 바다’ 설치/영상, 서울평화문화진지
2020 화이트배너프로젝트 ‘속도의 무게’ 비디오 설치, 서울문화재단
2019 May Fly전, 영상설치 ‘비온다’ 비디오 설치, 을지로 오브
생각으 �Under the sea�라는 작품을 만들어보았습니다�
레지던스
�Under the sea�는 제가 좋아하는 인어공주의 테마곡이기도 한데요� 그 당시에는 노래 가사 중에 �인간 세상은 너무 시끄럽고 복잡하고 지저분한데� 우리가 살고 있는 바다는
평온하고 평화롭고 아름다운 곳이다� 뭐 하러 인간 세상을 그리워하느냐�
Note
작업 과정
너무
그런 내용인데요� 지금 세상에서는 조금 통용되기 어려운 노래 가사라는 생각이 들어요� 사람들은 바다 표면을 보고 아름답게 반짝이는 바다� 노을이 지는 바다� 그런 아름다운 것들만 보고 기 을 하잖아요� 실제 조금 더 가까이 가서 냄새를 맡아보고� 바다 가까이에서 들여다보면 너무나 많은 쓰레기들과 플라스틱들을 볼 수 있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표면의 바다가 아닌� 더 아래에 있는 바다의 진실을 좀 더 사람들이 꼼꼼히 뜯어봤으면 좋겠다는
110
111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레지던스 작업 과정
배시아
2022 아이슬란드 국제 레지던스 Hafsjór, Oceanus 참여작가
2019 독립단편영화 <행차> 감독
2018 국악그룹 AMA-C 아트디렉터 및 기록
2017 아직도 슬픈열대전_난초 참여작가
2015~ 노란꽃씨 참여작가
Note
설치 작업과 영상 미디어 작업을 오픈아츠 형식으 결합하여 전시 퍼포먼스 하였습니다� 레지런스 기간 중 작가들의 생활을 팔 우 하면서 인터뷰한 다큐멘터리 영상을 제작하였는데요� 정말 가족 같고 따듯한 분위기의 레지던스였습니다� 또 다시 꽃마을에서 경험할 수 있기를 바라고�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이 아름다운 파장으 퍼져나가길 바랍니다�
112
113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서영
2022 2nd 개인전 ‘in · out side’, 부산프랑스문화원, 부산
2022 부산국제 오픈아츠 레지던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2 빈칸 아트 페스티벌, 성수 LAYER 57, 서울
2021 under39 ART FAIR,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몰 B2F 중앙광장, 부산
2020 1st 개인전 ‘공간 ◦ 공간展’, 예술지구p, 부산
주제에 맞춰서 버려진 플라스틱 이미지를 통해 무너져가는 중심의 축을 시각적 이미지 표현하는 작업으 풀어내 보았습니다�
Note 레지던스 작업 과정 주변에 플라스틱들이 버려져있는 모습들을 보았어요� 저희가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을 많이 사용하잖아요� 지구 환경적인 오염에 플라스틱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그 소재 표현해보면 어떨까 생각을 했어요� �중심의 축이 흔들릴 수 있다��라는
114
115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정은형
2022 I-Park 레지던시, East Haddam, 코네티컷, 미국 2021 Ox-Bow School of Art and Artists' 레지던시, Saugatuck, 미시간, 미국 2020, 2021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RISD) 조소과, 예술 교육과 석사 졸업 2019, 2021, 2022 Tale Amor Park 레지던시, La Porte, 인디아나, 미국 2017 서울대학교 조소과 학사 졸업
사람들도 수압 때문에 문을 못 열고 있었어요� 결국에는 경찰 분들이 오셔서 문을 깨서 창문을 통해서 탈출하고� 그런 것들을 보면서
레지던스
이번 작업은 홍수� 태풍이나 해수면 상승 때문에 사라지는 풍경들� 아니면 풍경과
됐습니다� 이번에 홍수가 되게 심하게 왔었잖아요� 저희 할머니네
좀 더 와닿았던 것 같아요� 항상 나랑은 먼 일이겠거니 하고� 생각을 저도 모르게 이기적으 하고 있었는데� 항상 뉴스에서만 일어나고 그런데 그 일이 제 주변인한테 닥치니까� 나도 뭔가 이런 자연재해 같은 것� 특히 이런 일이 있을 때 예술가 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좀 더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Note
작업 과정
관련되는 기억들에 대해서 작업을 시작하게
반지하가 침수가 됐었어요� 거기
116
11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조구
2022 부산국제 오픈아츠 레지던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 부산
2020 개인전 ‘취향입니다. 존중해주시죠?’, 스페이스 제로, 서울
2019 개인전 ‘극적인 순간’, 스페이스 제로, 서울
2019 단체전 ‘Art in the Life City: Upcycling Recycling & Regeneration’,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제1관, 서울
2019 개인전 ‘춤’, 스페이스 제로, 서울
본능들을 포착하는 작업들을
움직임 이런 세 가지 키워드에 집중해서 계속 작업을 진행해 왔어요� 예전에는 동물이라는 대상의 역동적인 움직임이라던가� 행위를 통해서 에너지를 포착했었다면� 여기 와서는 묶는 행위에서 느껴지는 에너지에 또 즐거움을 느끼는 것처럼 같은 세 개의 키워드지만� 다른 형태의 모습으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버려진 밧줄이 다른 사람한테는 쓰레기처럼 보일 수도 있는데� 저한테는 너무 흥미 운 재료 느껴지더라고요� 그래서 이런 버려진 나무라던가 밧줄이라던가 햇빛� 비� 바람에 많이 닳아서 지저분해진 것들에 많은 재미를 느끼고 있어요�
레지던스
작업을 통해서 인간이든�
Note
작업 과정
인간 이외의 비인간 동물이든� 그들이 갖고 있는 가식 없는 솔직한
하고 있는데요� 제가 계속해서 집중하고 있는 부분은 생생한 에너지� 역동성�
118
119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Enkazaya Erdenebileg �Mongolia�
2022 Quantum Distance, 3rd solo exhibition, Khan Bank Gallery, Ulaanbaatar
2022 Ulaanbaatar International Media Art Festival, Sainshand, Mongolia
2022 ZUUN ART 22 international residence program, co-curator
2021 MADDI international exhibition, Tromso, Norway
2021 UB Contemporary Art Pavilion, co-curator.
Note
레지던스 작업 과정 저의 작업은 사람들이 시간과 공간을 각자 얼마나 다르게 느끼는 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오픈아츠 레지던스를 통해 작업에 있어서 자유 움을 느끼게 되었고� 이 경험이 나를 좀 더 창의적으 만들어 주었습니다�
120
121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Iwa Kruczkowska�Krol �Poland�
2022 Ethnic Colors Municipal Museum in Zabrze(painting, unique fabric) Poland
2022 Dry Landscape Gardens Center of Culture and Art in Kalisz.(painting) Poland
2021 In the Swirl of Emptiness, Gallery of Contemporary Art BWA in Olkusz.(painting) Poland
2021 Portraits of Ethnic Groups, Regional Public Library in Cracow(painting) Poland
2021 Contemplative Journeys, Historical Museum in Bielsko-Biala, Old Factory Gallery, Bielsko Biala (painting) Poland
레지던스 작업 과정 저는 친환경적인 소재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작품 제작에 사용한 갈대 빨대와 종이는 흙으 다시 돌아가는 재활용품들입니다� 한국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어 기쁩니다� 한국과 몽골의 멋진 예술가들과 함께하게 되어 기쁩니다�
Note
122
123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124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오픈아츠 레지던스 결과보고展
2022부산국제openARTs레지던스에 참여했던 작가들의 결과보고전이 10월
25일부터 11월 3일까지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머지에서 열립니다�
무더웠던 8월부터 레지던스를 시작해서 11월의 추운 날씨에 레지던스가 끝이 났습니다� 지난 3개월 동안 작가들은 openARTsSTUDIO에서 서 많은 소통을 나누었고 작가적으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짧은 기간 동안이지만 작업을 통해 사회적 문제에 대해 발언하는 것에 대한 진지한 고민들이 있었습니다� 특히 3개월간의 레지던스 기간 동안 공동생활은 개인적인 작업의 완성도보다 각자의 생각과 작업 과정을 공유하면서 더욱 의미
있는 레지던스였을 거라 생각됩니다�
코 나19 사태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홍콩� 미얀마� 우크라이나 등에서 크고 작은 분쟁과 전쟁으 많은 사람들이 죽었습니다� 우리는 지구온난화 기후
위기와 환경오염 등 세계가 공동으 대처해야 할 문제에 대해 침묵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2022년 현재 국제사회의 문제점을 예술가들의 시선으 바라보고 고민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 이를 통해 예술가들과 연대를 통해 국제 사회가 가진 문제점들을 예술가의 시선으 다루고자 합니다� 세계에서 일어나는 기후 위기와 같은 환경문제를 비롯해 전쟁� 폭력� 차별과 혐오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해 왜 국제사회와 거대 기업들은 침묵하고 있고 직접적인 피해를 보는 자연생태계와 그 안의 자연인들의 보이지 않는 아우성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이번 레지던스를 통해 만들어진 인연이 추억으 끝나지 않고 지속적인 교류의 시작이 되길 바라봅니다� 그동안 함께 작업해준 작가 한 분 한 분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125
126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12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128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오픈아츠 레지던스 영상 아카이브展
부산국제openARTs레지던스는 단순히 개인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전시하는 프 그램으 끝나지 않는다� 다양한 장르의 작가들과 함께 담론을 만들어 내며� 프 젝트를 작가 스스 구성해 내는 레지던스이다� 2022년에는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이라는 주제 를 가지고 부산국제openARTs프 젝트라는 이름으 두 번의 전시와 세 번의 퍼포먼스를 진행하였다� 그 과정들을 지켜보며 작가들의 인터뷰와 퍼포먼스를 영상으 기 해 전시를 구성했다� 작가의 작품 이면 속 예술적 철학과 그것이 작품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영상 기 을 통해 알 수 있는 전시이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은 인류와 생태� 기후 등 전 지구적 차원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중심적인 주제이다� 부산국제openARTs프 젝트에 참여한 작가들의 퍼포먼스를 하나의 행사 끝내지 않고 오랫동안 조명하여 우리가 듣고자 하는� 또는 들어야만 하는 아우성에 귀 기울이기를 바란다� 129
130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131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openARTs 레지던스 결과보고전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2022. 10. 25 - 11. 03 복합문화예술공간MERGE?)을 중심으로1) -
정재운 �월간 「함께가는 예술인」 편집장�
지난 시월� 나는 복합문화예술공간 머지�MERGE��의 전시장 벽에 기대어 한참 잡념에 빠져있었다� 두 해 전 작고한 어떤 선생에 관한 추억인데� 그런 것이 굳이 박시호� 배시아 작가의 퍼포먼스 �Treasure of trash�를 보는 중에 떠오른 데에는 마땅한 이유를 대지 못하겠다� 선생은 돌아가기 한 해 전� 꽤 부피 있는 사상론집을 출간했다� �에콜 지와 민주주의에 관한 에세이�라는 부제를 단 그 책은 지금쯤 많이 팔렸을까� 책의 전생이 나무였음을 모르는 이 있으려고� 그렇담 선생은 자신의 책이 널리 읽히길 바랐을까� 몇 해가 흘렀으니 그 사이 거듭 쇄를 찍었을지 모르겠으나� 어쨌든 내가 밑줄 그어 읽고 또 읽었던 그 책은 초판본이었다� 따 말이 없는 두 작가 중 하나가 유리창 너머 실외에서 책을 펼쳐 보고 있다� 머지라는 전시 공간과 친숙한 이라면 유리창을 사이에 두고 실외와 면한 전시장 왼쪽 측면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유리창 저편에서 한갓지게 독서하고 있는 이는 내버려 두고� 이편인 실내에서는 나름 분주하다� 그때껏 의자의 한쪽 발이 딛고 있던 책을 한 권씩� 두 권씩 빼더니 전시장 바닥에 쌓는 일을 반복하고 있다� 추억이라고 하여 꼭 둘 혹은 여럿이 쌓는 것만을 일컬어야 하는가� 나는 선생의 사상을 잡곡밥처럼 곱씹어왔고� 그랬던 한 시절은 더없이 온전한 �추억�이라고밖에 말하지 못하겠다� 그 추억 속에서 선생은 자신이 돌아가기 한 해 전� 책을 엮으며 머리말에 타르코프스키의 마지막 작품 �희생�의 모티프가 되었던 중세 수도사의 감동적인 이야기를 슬쩍 건넨다� 그 이야기란 죽은 것처럼 보이는 나무일망정 인내심으 물을 길어 붓기를 계속한다면 언젠가 그 마른 나뭇가지에 푸른 싹이 돋아나는 기적을 보는 행운이 우리에게도 찾아올지 모른다는 것이다�2) 몇 분 사이� 창 이편에서 책을 옮겨 쌓는 일이 끝나자� 창밖에 있던 이도 손 안의 책을 접고 흰색 매직을 집어 든다� 유리창의 안팎에서 동시에 그림이 그려진다� 이제 막 선을 그어가는 그들의 완성되지 않은 형�形�을 보고 저것이 무엇이 되리라 예상할 수는 없지만� 모르긴 몰라도 그들은 같은 것을 그리리란 강한 확신이 든다� 그들이 마주 보는 유리창을 거울삼는다는 발상이 전에 없이 새 운 것일 리는 없기 때문� 망설임 없이 그어가는 선이 형체를 갖추어 나간다� 닮았지만� 다른 저것�들�은 의자다� 선생은 인류세�Anthropocene� 人類世�를 나고 있는 인간의 귀결에 대해 누구보다 차가운 통찰을 할 줄 아는 이였다� 노벨화학상 수상자 파울 크뤼천�Paul Crutzen� 1933�2021�은 2000년� 한 지질학회에서 �우리는 더 이상 홀 세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류세에 있다�라는 말 우리가 가장 위험한 시대를 살고 있음을 피력한 바 있다� 들으니� 현재 지구상의 생물들은 15분마다 한 종이 멸종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따르면� 앞으 반백 년 내에 생물종의 50퍼센트가 사라질 것이다� 그 형해뿐인 지구에 남은 인류의 미래가 너무도 빤하지만� 선생은 물을 길어 붓기를 중단 없이 이어가야 한다고 했다� 그 높은 정신이 아뜩하다� 자� 아무리 아뜩해오는 정신일지라도 그 출발은 모두 우리가 딛고 선 근대라는 토대 부터 말미암았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주지의 사실대 � 우리가 통과해온 근대라는 시절은 세상에 존재하던 신비들을 와해시켰다� 신비가 존재할 때� 우리의 영혼은 외 워질 틈이 없었다� 진종일� 어디에서나 신은 우리 곁에 있었기 때문� 이 신비가 벗겨진 근대의 영혼들은 자의든 타의든 자기 인식의 허기를 감내해야했다� 그들은 내가 누구인지 알기 위해 내가 아닌 것들은 무엇인지 구분해내는 방식으 이 허기를 채워갔다� 나와 나 아닌 것을 구분 짓기 위해 민족과 이념을 소환하였으며� 지배와 피지배를 나누었다� 그렇게 가름해온 세월 속에서 세계의 전일성은 와해되었다� 배시아 작가의 문제의식은 여기에서 비롯된다� 그가 보기에 이성의 집적물인 책은 인간을 신으 부터 놓여나게 만들어 인간으 하여금 자유의 증대를 가져왔으나� 이 상식과 철학의 금자탑이 역설적으 비식별적으 발생하는
평론
비극의 정초가 되고 있음을
거기까지 작품을
높은 층위의
다분히 지시적이어서 보는 이에게 새 운 깨달음을 던져주는 것도 아니다� 문제적인 것은 유리창에 그려진� 닮았지만 다른 저 의자들에 있다� 부제에 ��을 중심으 � 읽었음을 밝히는 까닭은 중심을 둘러싼 외연�外緣�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자가 접한 전시를
132 2022
말한다�
읽어가는 과정에는 어떠한 어려움도 없으며�
예술적 형상화가 있다고도 느끼기 어렵다� 작품명인 [Treasure of trash]�Mixed media_2022�까지도
시간 순으 밝히면�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展 앞과 뒤 �오픈아츠 프 젝트�가 존재한다� 앞선 전시는 �2022 부산국제 openARTs 레지던스�라는 기획전의 이름으 같은 공간�복합문화예술공간MERGE��에서 2022�10�11��10�22 열렸고� 뒤의 전시는 부산문화재단 F1963 기획전시� �2022 레지던시 프 젝트�의 일환으 2022�11�05��11�20 열렸다� 장소는 F1963이었다� 김종철�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 >� 녹색평론사� 2019� 9쪽 참조� 1� 2� 모르는 영역에서 시도하는 연결들 - 2022 부산국제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의자야말 우리의 지구를 침묵하게 만든 근대의 상징물 더없이 적확한 제유다� 과학기술과 산업혁명의 폭발적인 발달을 딛고 일어선 자본주의는 인간을 앉은뱅이 만들었다� 과거 인류의 생산 방식인 씨를 뿌리고 곡식을 거두는 일련의 과정을 떠올려보자� 인간이 의자에 앉을 일이 있었는가� 되풀이되는 기계 중심의 노동조건 속에서 인간은 의자에 앉게 되었으며� 의자에 앉음으 자연히 시야가 낮아진 인간은 소수의 설계자를 제외하고는 제 코앞의� 생산 메커니즘의 극히 일부만을 이해할 뿐이었다� 거대한 전체의 일부에만 관여하게 된 노동자는 자신이 무엇을 생산하고 있는지 알 수 없으며� 그 알 수 없는 것에 자신의 인생이 산입 된다는 것도 인지할 수 없다� 한편� 노동자가 된 부모의 부재한 자리에 국가는 학교를 만들어 미래 인력을 양성했다�
같지만� 실은 학교의 출발은 미성숙한 존재들더러 근대사회의 규율과 모범을 익히게 만들기 위하여 요청� 개발된 교도소와 같은 수용공간이다� 그곳에서 아이들은 책을 펼친다� 그러나 그곳에서 아이들은 눈앞에 책을 두고도 그것이 숲에서 온 것임을 연상하지 못한다� 슬쩍 빗나가게 마주 보고 있는 두 의자는 나무와 책 사이의 여의치 않은 연결을 상징하는 것처럼 인간종의 이기적인 방향으 만 빚어내는 빈한한 상상력의 단면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듯하다� 공생과 에콜 지적 방향으 선회하는 상상력의 요청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는 것을 암시적으 드러낸다� 그 의자들 위 전시장 천장으 부터 일그러진 브라운관이 묶여있다� 오염된 지구이자� 문명사회의 상처 입은 인간의 삶을 상징하는 그것으 부터 터져 나온 꽃들은 더는 침묵을 방기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상이 아닐지� 이처럼 �생명�� �생태�� �환경�에 관한 예술적 발언이 해를 거듭할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그 파장을 넓혀가고 드높아지는 것은 이 문제야말 인간이 지구라는 별에 존재하는 한 외면할 수 없는 테마라는 인식이 보편적 수준으 격상되었기 때문이다� COVID�19와 기후위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같은 사건들은 우리 문명이 일순 파국으 치달을 것이라는 경고의 시그널이다� 지난 팔월부터 삼 개월 간 작가들은 이 같은 주제 소통을 나누었다고 했다� 기간 동안 작가들은 개인적인 작업의 완성도보다 각자의 생각과 작업 과정을 공유하면서 하나의 전시를 만들어갔는데� 본 전시 역시 근 몇 년 사이 가장 자주 마주하게 되는 주제의식을 경유하고 있었다� 배시아 작가가 인간의 다변�多辯�을 묶은 책을 전시장 바닥에 쌓고� 브라운관을 뚫고 폭발하는 자연물�꽃무더기�의 아우성을 담았다면� 서영 작가의 [침묵의 축]�100*100cm 이내 가변설치_Mixed me dia_2022�은 동일한 주제의식을 경유하고 있으나 정서적으 반대쪽 끝에 놓을 수 있는 작품이다�
133
�미래 인력�이라고 하면 어딘지 모르게 희망이 깃들어 있는 것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작품은 어느새 우리의 일상 전반을 잠식해 들어간 플라스틱 폐기물을 제재 삼고 있다� 매일 헬 수 없을 정도 다종다양한 쓰임을 하고 있는 플라스틱은 저비용으 효율을 추구하는 자본주의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가 되어버렸다� 땅 위의 인간들이 누리는 호사의 대가 바다 생물들의 생은 위협당하고 있으며� 무한히 쏟아지는 볕에 분해된 미세 플라스틱은 다시 우리 인간의 뱃속으 흘러들어와 거대한 악순환을 만들고 있다� 작가는 칼날처럼 파편화된 페트병 조각들을 전시장 곳곳에 함정처럼 흩뿌려놓았다� 저 플라스틱 폐기물들이 전생에는 우리의 생명을 유지케 하는 물을 담았던 용기였다는 사실을 모를 리 없지만� 그것이 어제 내가 마신 페트였다는 사실과는 얼른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인정해야 한다� 내가 어제 하루를 살아내기 위해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을 사용했는지를� 작가는 저와 같은 시각적 충격이 수용자에게 경각심으 전환되는 단순한 과정에 의도적으 지연의 브레이크를 건다� 작가는 플라스틱 폐기물에다 시멘트와 석고를 섞은 덩어리를 전시장 벽면에 걸거나� 바닥에 세워놓았다� 저 설명할 수 없는 덩이를 보고도 무언가를 읽어내려고 하는 것이 인간의 어리석음은 아닐지� 그 어리석음으 인하여 보는 이는 상상의 잔가지를 내리뻗는다� 직육면체에 가까운 저 덩어리들이 길이 서 있는 모습은 거대한 돌기둥을 세운 고대 유적인 스톤헨지의 일부를 형상화한 것처럼도 보이고� 폐허가 된 지구에 외 이 서 있는 마천루처럼도 보인다� 어느 쪽이 되었든 사고의 비약임을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이 같은 읽기가 쉬 멈추어지지 않는 까닭은 폐기물을 뼈대 취한 이 덩어리의 살을 이루고 있는 석고의 완고한 침묵 탓이다� 어떤 침묵은 침묵으 다변한다� 이 작품이 [Treasure of trash]와 정서적으 반대 축에 있다고 마음대 진단한 까닭은 두 작품 모두 침묵으 다변하고 있음에 같지만� 브라운관을 뚫고 나온 아우성과 달리 [침묵의 축]은 환경파괴 인해 무너지는 인류와 문명사회를 상징하는 기둥을 회백색으 뒤덮어 끝끝내 침묵을 강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즈음하면 죄 사함의 가능성마저 불가능한 인간종의 미래를 나타내는 저 작품은 얼마나 서늘한가�
다시 선생을 떠올린다� 그는 한국 사회를 포함해 전 세계가 지나간 수십 년의 아까운 시간을 터무니없이 허비해왔음을 개탄했다� 세계는 감당하기 어려운 미증유의 환경 위기에 직면해 있지만� 이를 바 잡을 골든타임은 분명히 있었다는 것이다� 올해는 1962년 미국의 해양생물학자 레이첼 카슨의 저서 [침묵의 봄]이 나온 지 일 주갑�周甲�이 되는 해이며� 1970년대 초 마클럽의 [성장의 한계]가 출판된 이래 충분히 예고되어 온 상황이었다� 무엇보다 1970년대 두 차례나 발생한 �오일쇼크�는 석유와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의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에 기반을 둔 산업경제가 근시일 내 바닥을 드러내 보일 것임을 명확히 경고한 사건으 해석해야 함이 너무도 마땅한 데도 인간은 위기를 제대 직시하지 못했다� 그것이 의도적 외면인지� 무지의 소치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나는 눈앞에서 펼쳐지는 박시호� Enkhzaya Erdenebileg의 행위예술 퍼포먼스 �In be tween�을 보는 동안� 선생의 탄식을 떠올리고 있었다�
134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두 사람은 각각 천장의 낚싯줄에 매달린 오브제를 마주 보고 섰다� 그들이 각각 입으 바람을 불기 시작하자� 공기의 흐름대 오브제가 회전을 한다� 회전하는 동안� 전시장 벽면에 길게 뻗은 그림자가 기하학적 무늬를 그리며 흔들린다� 마치� 빛을 난반사하는 화려한 샹들리에처럼 보인다� 두 작가의 입에서 부는 바람은 거세지다가 점점 차분하게 가라앉는다� 채 수 분이 안 되는 퍼포먼스와 전시 주제를 연결시켜 이해하려 드는 것이 다소 억지처럼 느껴지기도 하여� 나도 모르게 마스크에 묶인 입에서 한숨이 나왔다� 한숨도 바람이다� 하아 � 후우 � 선각자 살다 가신 선생의 입에서도 나와 같은 속인에게서 흘러나온 숨과 똑같은 숨이 흘러나왔다 들어오곤 했겠지 � 이 별의 대기 속에 녹아들어 있는 O₂와 CO₂라는 것을 형체 있는 것인 양 떠올려본다� 퍼포먼스를 바라보며 이처럼 뜬금없는 사념에 묶일 수 있는 것까지도 실은 세 작가�퍼포먼스 연행자 두 사람과 오브제를 제공한 Iwa Kruczkowska�Krol까지 포함하여�의 비의지적 의도가 설계한 결과이지 않았을까� 내가 지금 목도한 행위예술은 과연 두 발 딛고 서 있는 이 세계의 근간을 이뤄온 �이성�이라는 이름이 억눌러왔던 �이성의 타자��das Andere der Vernunft�에 주목한 결과라는 새삼스러운 사실이 되똑 생기되었던 것이다� 이성은 목적 없는 의식의 흐름 따위 혐오한다� 그처럼 자연� 환경에 대한 위기의식은 이 목적의 자리에 한 번도 제대 놓인 적 없었다� 앞서 잠깐 언급했던 �인류세�라는 말을 다시 떠올려보자� 저 명명을 있기 이전에 인간은 이 별을 잠시 빌리고 있다는 것조차 인지하지 못하였다� 인간 중심적� 이성이 편제한 질서에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은 언제나 중심으 부터 한참 벗어난 자리의 메아리에 불과하였다� 하아 � 후우 � 저 바람과 입김들은 그간의 배제의 세월을 돌이키며 뱉는 만시지탄일지 모른다� 그렇다고 작품 읽기의 시도를 이쯤 멈추어야 하는가� 더 낮은 곳으 떨어질 수 없음을 자각하는 때에야 다시 비상의 가능성이 열리듯� 만시지탄의 탄식은 Iwa Kruczkowska�Krol의 작품 [A whisper of the wind]�가변설치_Mixed me dia_2022�을 톺아볼 수 있는 전제가 되었다� 하아 � 후우 � 바람을 불고 사라지는 두 작가는 인간의 미욱한 이지�理 智�가 닿을 수 없는 신의 입김� 혹은 우주의 원리를 상징한다고 거칠게 가정할 때� 흔들리고 있는 오브제는 지구라고 읽혔다� 이 지구의 모양이 우리의 과학기술 관측한 창백하고 푸른 구체가 아니라� 프랙탈�fractal� 모양의 기하학적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이 문제적이다� 주지의 사실대 개별 부분의 모양과 전체의 모양이 닮은 자기 유사성�self�similarity�을 가지면서 무한히 반복되는 순환성�recursiveness�을 가진 구조를 프랙탈이라고 한다� 앞서 미세 플라스틱이 파괴하는 바다생물에 관한 짤막한 언급이 있었는데� 저 미물의 생존이 보장받을 수 없다면 부분의 합인 전체 서의 지구도 살 수 없으며� 그 속에 존재하는 인간 역시 말할 것도 없음을 Iwa Kruczkowska�Krol는 작품을 통해 피력하고 있다� 덧붙여 이 같은 읽기가 가능하도 만드는 것이 퍼포머 함께 한 박시호� Enkhzaya Erdenebileg 두 작가였다� 그들이 없다면 아마도 그녀의 작품은 뭇 장식품의 하나에 불과했을지 모른다� Iwa Kruczkowska�Krol는 작가노트를 통해 자신의 작품은 일종의 주변적인 요소 써 이를 보는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완성됨을 강조했다� 퍼포머의 입김과 그 바람에 의한 움직임은 곧 한국이라는 중심에서 벗어난 이방인으 서 찾은 타지에서 머무는 동안 느꼈던 바람과 자신의 작업물 사이를 드나들고� 훼방을 놓거나 영향을 주는 각종 외력 등을 총체적으 나타내는 상징이었을 터� 여기까지 읽어내고 이해하고 향유하는 데에까지 도착함으 미완의 작품은 마침내 완성될 수 있었다�
135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위의 경우들처럼 작품을 배경이나 오브제 삼아 벌이는 행위예술은 해당 작품의 창작자인 특정 작가만의 전유가 아니라� 큰 틀에서 서 의 작업을 내밀하게 이해하고 있는 여러 작가들의 육체를 빌리거나 그들 개개의 다원적 가치들을 씨줄과 날줄 엮어 하나의 유기적인 결과물 탄생한 것이다� 전시기획 또한 2022 부산국제 오픈아츠 레지던스에 참여했던 작가들의 결과보고전 격으 열린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展은 지난 10월 25일부터 11월 3일이라는 기간 동안의 정물적인 전시에 그치지 않았다� 이에 앞선 10월 11일부터 22일까지는 �openARTs Project�라는 제목으 해외 협력 큐레이터와 함께 국제사회의 다양한 이슈들을 예술가의 시선으 바라보고 고민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 프 그램을 진행했다� 세계에서 일어나는 기후 위기와 같은 환경문제를 비롯해 전쟁� 폭력� 차별과 혐오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해 왜 국제사회와 자본주의 거대 기업들은 침묵하고 있는지� 직접적이고도 막대한 피해를 직면하고 있는 자연생태계와 그 속에 살고 있는 지구인들의 아우성을 이야기하고자 했다�3) 이들은 적어도 국제교류 및 예술 활동으 그치길 바라지는 않은 것 같다� 나아가 예술가들과 국제연대와 문화담론을 형성하고자 했던 그들은 결과보고전이 끝난 뒤인 지난 11월 5일부터 20일까지는 F1963으 장소를 옮겨 프 젝트를 진행했다� 음악인 이광혁이 컨트롤하는 배음�背音�이 전시장에 내리깔리면� 빔 프 젝트가 내쏘는 푸른빛을 받은 백보림 작가가 뒤꿈치 바닥을 쿵쿵� 찧기 시작한다� 그이의 행위예술 퍼포먼스 �혐오자연의 나열�을 처음 만난 것은 지난 시월이었다� 전시장 머지의 유리창 밖에서 말없이 총총 뛰던 모습이 선명하다� 그때의 그이나� 공간을 바꾸어 마주한 그이의 모습이나 익숙해질 수 없는 충격과 혐오를 떠안게 되는 것은 매한가지다� 양팔을 시옷자 모양으 벌리고 선 저 존재는 보는 이 하여금 앞뒤를 가늠할 수 없도 흰색 스판 재질의 것으 얼굴까지 뒤덮어 쓰고 있다� 그 몸뚱어리에는 팔과 구분할 수 없게끔 비죽이 매달린 돌기가 뜀박질을 할 때마다 치렁거리고 있다� 머지에서의 저이는 유리창 저편에서 이편으 편입되고픈 강렬한 욕망에 휩싸인 동시에 보이지는 않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유리창을 통해 배제된 분노 겅중거리면서 인간의 소리가 아닌 기괴한 소리에 휩싸여있었다� 저이의 꼴이 저토 충격적인 까닭은 인간의 죄가 야기한 근 미래의 불안과 공포를 작가가 그만큼이나 섬뜩하게 시각적으 형상화하였기 때문이다� 죄라는 말끝에 스윽 입술을 닦는다� 입은 닦여도 우리의 죄는 쉬 닦일 리 없다� 죄목을 일일이 열거하자면 지면이 감당할 수 없으니 얼른 손가락을 꼽아본다� �해양쓰레기�� �미세플라스틱�� �핵오염수�� �핵폐기물 방류� � 백보림 작가의 몸짓은 기어이 오고야 말 미래를 당겨와 보여준 차라투스트라적 현신이며� 인간에게 신비를 벗겨낸 대신 그만큼 자유의 증대를 가져온 이성이 짊어져야 할 업보다� 인간의 의지에 의해 의복처럼 갈아입을 수 있는 것으 전락한 신비� 그것이 충만히 깃들어 있던 이 별의 옛날을 떠올려본다� 지구�地球�라는 인간중심적인 말 부터 최대한 반대방향으 도망쳐 수구�水球�라는 조어 불러본다� 이 거대하고도 작은 물방울 속에 용왕이 살고 있고� 누천 년 전에 가라앉았다던 아틀란티스 대륙이 있으며� 납작하게 눌리다 못해 끈끈하고 검어진 석유 변신해 또다시 세상 나들이에 한창인 공룡들이 있다� 그곳의 다른 이름은 어제 우리가 떠나온 고향이며� 우리가 마침내 돌아갈 무덤이며� 도저한 꿈이 깃들어 있는 길이다� 그러나 이 물방울에는 더 이상 신령한 생명이 깃들지 못한다� 각종 중공업단지� 화학공단들이 들어섰고� 산처럼 거대한 쇠를 잘라 배를 만드는 조선소야 핵발전소에 비하면 양반이다� 그에 비하면 무엇인들 양반이 아니겠는가� 인류는 핵에너지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가없이 공멸의 시계를 앞당기고 있다� 필자가 어릴 적만 해도 원자력 발전은 수력도� 화력도 아닌� �제3의 불�이라 했다� 세상에서 제일 깨끗하며� 영구적인 자원이라 했다� 홍라무� Mushimaru Fujieda의 행위예술 퍼포먼스 �Blind & Shadow��홍성률 사운드�는 여전히 영험함의 커튼이 다 벗겨지지 않은 지구와 거기 살고 있는 원시 생물체를 떠올리게 한다� 그네들이 움직거리는 세상엔 적어도 핵에너지의 개발이나 요청은 필요하지 않았을 터� 각각 흰 벽과 검은색 벽에 붙어서 손가락으 더듬어가는 두 작가의 모습은 눈이 퇴화되어버린 환형동물의 움직임을 연상케 하는데� 두 가벽의
모서리 점점 가까워지는 두 작가는 입으 괴음을 내기 시작한다� 가만 듣고 있기 거북한 소리는 사람이 내는 소리 같지가 않다� 지나치게 성대 깊숙한 곳을 울려내는 낮은 소리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어떤 동물� 또는 혼의 소리들이 심장을 파고든다� 이윽고 두 존재는 만나서 한데 섞인다� 이 섞여드는 과정을 가만 보고 있기가 여간 괴롭지 않다� 백�홍라무�은 눈을 감고 절규하지만 소리가 없고� 흑�Mushimaru Fujieda�은 두 동공을 있는 힘껏 개방했지만� 아무것도 들여다보지 못하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 이후 백은 흑의 세계 � 흑은 백으 제각기의 방향으 나아간다� 이 과정은 얼마나 그 테스크한가 하면 바닥을 기거나 바닥에 머리를 대고 거꾸 서는 등� 끊임없이 발작을
이
신성이 깨어져 고통 받는 지구라고
좋겠다� 2022년 10월 11일 19시� 복합문화예술공간 MERGE�에서 오픈리허설이 10월 22일 18시에 메인이벤트를 열렸다� 3� 136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재질이 각각 나무와 주물이어서 두드릴 때 나는 소리가 서 다르다� 기묘한 긴장 속에서 벽과 벽이 만나는
해 보이는데� 이 인상적인 부토�舞踏�에서 기실 그 테스크한 느낌은 말하기 쉬운 일부일 뿐� 극도의 정제된 몸짓으 표출하는 다양한 감정들은 헨다는 것이 불가능할 것 같다� 홍성률 작가의 사운드가 시종 이들의 움직임을 조정하거나 보채고 있는데� 필자는
과정들을
읽어내었다� 이때의 신성은 전일성� 또는 합일성 같은 말 대체해도
그러는 사이� 인류는 어제 체르노빌을 겪었고� 오늘 후쿠시마를 직면하고 있다� 내일 그 이름이 고리� 古里�가 아닐 거라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핵발전소 밀집도 세계 1위� 핵발전소 반경 30km 이내 거주자 420만 명�이라는 공상소설의 한 페이지에서나 만나볼 법한 현실을�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 일이 이렇게 흘러가버린 데에는 마땅한 소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겠지만� 우리가 만든 문명이 뭇 생명들의 목숨을 끊어가는 것은 물론� 우리 자신의 생존까지 위협하고 있는 작금의 상황은 그 어떤 의도나 섭리도 미치지 못하는 폭발적인 불확정성이 이끈 결과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몰랐다 하더라도 이해를 기대하거나 선처를 바랄 수는 없다� 그와 같은 눈으 성백� 서수연 작가의 팔매질� �Messenger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홍성률 사운드�을 바라보았다� 둘은 앞선 홍라무� Mushimaru Fujieda 작가가 천장으 부터 입으 물고 끌어내린 흰 천에다 들입다 공을 던지기 시작한다�
젝트 쏜 영상은 위기에 빠진 지구라는 행성의 모습이다� 또렷한 궤적을 그리며 천으 날아가는 팔매질처럼 오독이 가능하지 않을 만큼 저 흰 천과 천 뒤에서 버둥거리는 사내들의 정체가 바 지구라는 것이 확실해진다� 이 지구를 항하여 무언으 되풀이되는 저 폭력적인 행위를 보고 있는 수용자는 두 가지 불쾌한 느낌에 휩싸인다� 하나는 마치 저 공이 나에게도 날아올지 모른다는 데서 오는 불안이고� 다른 하나는 팔짱 낀 갤러리 서 흰 천 뒤에서 고통스러운 몸부림으 신음하고 있는 이를 묵과했다는 죄악감이다� 필자의 경우에는 전자에서 후자 감정이 옮아갔다� 정확하게는 저 팔매질을 내가 당할 것 같아 행위예술을 벌이고 있는 자들 부터 멀어진 것이라기보다 돌�공�이라는 매질을 통해 타자에게 물리적인 힘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부작위 엮일 수 있는 가능성 자체를 제 에 수렴시키기 위한 이동이었다� 그러한 소시민적 이동 후� 일방향의 폭력을 관람하는 마음이 편할 리 없다� 과연 작가들이 의도했을지 몰라도� 이 퍼포먼스는 우리에게 묘한 깨달음을 준다� 부지불식간에 이루어지는 환경파괴의 혐의 부터 자유롭기를 바라는 것은 얼마나 허황된 심사란 말인가� 혐의를 인정하자 힘이 빠진다� 붉은 물감을 찍어서 던지는 공들이 흰 천을 더럽히고� 천 뒤에 선 두 작가 홍라무� Mushimaru Fujieda는 픽픽 쓰러진다� 그들은 쓰러졌다가 다시 일어선다� 오 분이 채 안 되는 시간이 아주 오랜동안인 것 같다� 몸부림이 끝나자 차라리 안도감이 찾아온다� 완전히 숨이 끊어진 것만 같은 두 작가가 바닥에 눕자� 던지기를 멈춘 성백 작가가 그들의 자리인 흰 천 뒤 이동한다� 그는 시뻘건 물감이 묻은 손을 천 사이 쑥 내민다� 그 손이 어떤 손인가� 다른 생물종을 살해한 손이며� 자기 별 지구를 파괴한 손이 아닌가� 이제 이 천의 뒤에서 자신이 파괴될 차례라는 것을 직감했는지 그의 두 눈 속엔 허량함만이 그득 들어차있다� 아니나 다를까� 그때까지 전시장 구석에서 웅크리고 있던 언덕 작가가 고치처럼 자신을 구속하고 있던 위생복을 훌훌 벗으며 기지개를 켠다� 그이는 이들의 퍼포먼스가 시작하기 한참 전에 한바탕 자기 몫을 끝내지 않았나� 의문을 가질 사이도 없이 그이는 핏빛 타이즈 차림으 선 채� 너무도 거리낌이 없는 움직임으 붉은 실타래를 반복해서 객석 방향으 던지듯 털어내고 있다� 그것은 혈관처럼 기다란 것이 배배 꼬여있다� 저 꼬인 것을 이불 털 듯 털어낼 때마다 피가 튈 것만 같다� 그의 존재는 미래에 우리가 맞닥뜨리고야 말 다른 생물종이 아닐까� 우리가 타 생물종을 살해했듯� 그것은 인류를 죽일 것이다� 흰 천 뒤 들어간 그녀는 흰 천의 갈라진 가운데를 열어내고 보는 이들 앞에 해사한 웃음을 띠며 재등장했다� 이것으 또 하나의 퍼포먼스의 막이 내렸음을 알 수 있었다�
표면 그대
13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긴 꼬리를 내며 공이 날아갈 때마다 드럼이 타격음을 낸다� 마치 총구에서 불을 내뿜는 소리처럼 들린다� 복잡할 것 없는 상징을
읽어내면 이렇다� 스크린 역할을 하고 있는 흰 천에 빔 프
퍼포먼스 이날 메인이벤트의 대단원을 장식했다� 오픈아츠 레지던시 작가들은 갤러리의 정물 존재하는 작품들을 퍼포먼스의 장으 끌어들이고� 작가와 작가 간의 융합을 시도하며� 이를 넘어 보는 이들까지 둥글게 둘러앉히더니 구경 오신 한 분� 한 분에 대해 알고 싶다며 말을 건네기 시작했다� 인류가 직면한 이 기후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개별자들의 노력을 공유하고자 하는 사십여 분간의 대화가 작가가 준비한 행위예술 그 자체였다� 실은 그이가 전시장에 처음 등장할 적만 해도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위생복으 감싼 그 속에 뱃속 볼 하니 무언가를 넣은 채였다� 한참 배를 매만지던 그이의 동작은 태아를 어루만지는 영락없는 산모의 모습이나� 당연히 그 속에 들어있는 것이 생명이 아닌 헛것임을 알기에 그 위생복 안에 감추어진 것이 무엇인지 두려운 마음으 지켜보았었다� 핏줄과 탯줄을 연상케 하는 붉은 실뭉치4)가 의미하는 것이 다소 지시적이라는 아쉬움이 없지 않았으나� 보는 사람에게 시각적으 충격을 주려는 의도는 초월해서 달성하였다� 그러니 등장 시의 퍼포먼스와 이렇게 둥글게 토크를 주고받는 행위예술은 서 다른 두 개의 퍼포먼스 읽어야 할 것이다� 이들의 퍼포먼스가 훑고 지나는 자리마다 정은형 작가의 작품 [Locked]�가변설치_Mixed media_2022�가 바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망실된 �그 무엇�을 주제 하고 있는 작품더러 존재감을 드러낸다는 감상 자체가 틀린 것일지 모른다� 전시장 바닥에 사물들이 듬성듬성 자기 자리를 차지하고 놓여있다� 빛바랜 낡은 의자� 손잡이가 끊어진 주전자� 문고리� 거울� 바구니 각종 낡아빠진 것들 개중엔 류승옥 작가의 작품이 내걸려있는 빨래건조대� 빨간 대야도 눈에 들어온다� 생활에서 익숙하게 만나고 또 사용해온 것들이 예리하게 잘린 채� 바닥에 비스듬히 놓여있는 것이다� 에폭시 마감 처리한 바닥의 투명한 코팅력 때문에 사물들은 마치 흥건한 물속에 잠긴 것처럼 보인다� 태풍이야 매년 쉬지 않고 피해를 남긴다지만� 이상 기후 인한 위기는 점점 고조되고만 있다� 물에 잠긴 사물들이
4� 언덕
나타내는 바가 무엇인지
않겠다� 작품은 이리 단순히 읽을 수도 있지만� 보다 깊은 층위 읽기도 가능하다� 낡고 헤어져 본 기능을 상실한 공산품들은 생산된 시점으 부터 쓰임이 다하는 종국이 예정되어 있기 마련이다� 우리의 생활 속으 � 밀접하게 스며들어있는 이 생산품들은 유한한 우리의 삶 속에서도 지극히 유한한 한 시기 동안만 쓰이는 것이다� 그것들은 시간의 마모를 결코 버틸 수 있는 존재들이 아니다� 깨지거나 부서지기 쉽고 영원하지 않은 것들이다� 존재하는 동안 겪게 될 다양한 상실을 나타내는 오브제 사이사이를 행위예술 연행자들이 누비고 다니는 현장과의 결합을 통해 이 작품 또한 완성에 다가간다� 전시 중에도 중단 없이 진행될 침식을 견디면서� 138 2022 International
언덕 작가가 품고 있던 실 뭉치는 박시호� Enkhzaya Erdenebileg 두 작가가 행위예술 퍼포먼스 �Happily Ever After�에서 짜던 붉은 실일 것이다� 그들은 나란히 앉아 하나의 바구니를 두고 바느질 중인데� Enkhzaya Erdenebileg 작가가 머플러처럼 무언가를 집중해 짜내려갈 때� 박시호 작가는 자신이 입은 흰색 스웨터에 붉은 실을 꿰기 시작한다� 옷을 입은 채 바느질을 하는 행위는 제 머리를 이발하는 이발사의 모습처럼� 자기 몸을 수술하는 외과의처럼 기괴하다� 그 움직임이 오래 갈 수 없는 까닭은 둘의 실이 팽팽하게 당겨져 서 양보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양쪽에서 잡아당기던 실은 곧 끊어진다�
작가는 곧바 �Ground performance�라는 제목의
모르지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존재한다� 박시호 작가는 [Under the Sea]�가변설치_뉴락� 스티 폼� 해양쓰레기_2022�를 통해 이 뉴락�New Rock�5)의 존재를 우리에게 드러내 보인다� 전시장 천장에서부터 길이가 다른 푸른색 끈이 내려와 있고� 그 끝에 해양 쓰레기가 엮여있다� 푸른색 끈은 중간에 매듭을 내면서 이어져 있는데� 그 매듭을 만들기 위해 조여든 자리마다 전시장 조명을 퉁겨내며 물결치듯 반짝임을 자아낸다� 그녀는 이를 작가노트를 통해 �인스타그래머블하게�라고 표현했다� 아름답게 포장된 그것은 그것이 무엇이든 실제와 일정한 거리가 있다� 찬란하게 빛나거나 반짝이고 일렁거리는 것도 인스타그램이라는 렌즈를 치우면 범상한 것으 전락한 경험이 얼마나 많은가� 그이는 쉽사리 대체가능한 아름다움을 만들기 위해 끝없이 쓰레기를 만드는 이 구조를 작품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 쓰레기를 매달고 모빌처럼 하늘하늘 흔들리는 작품을 마주하며 아름다움을 느끼는 순간은 얼마나 아이러니 가득 차 있는가� 이 아이러니의 바다에서 우리가 보는 현실은 결국� 그때 그곳의 조각에 불과하다� 우리의 눈은 불완전하며 지적 토대라는 것도 환상에 지나지 않은데� 예술가는 기어이 이 파편들이 가리고 있는 틈을 본다� 그런 의미에서 내가 기억하는 녹색평론의 김종철 선생도 그 기준으론 예술인으 살다 가신 거라 혼자 고개를 끄덕여보았다� 낯선 눈으 바라본 세상을 날선 말 그려내었던 이라고� 거기서 그치지 않고 틈 사이를 얼기설기 엮어 그물을 짜 세상에 던지기를 멈추지 않았던 자라고� 작품과 작가들을 마주하며 늘어놓은 사념은 좀처럼 중단을 모른다� 끈끈이에 목숨이 다한 파리들 전시장 벽면을 채운 �LIVE�라는 글자를 배경으 어떤 영상이 흘러나오고 있다� 기다란 천을 자르거나 깁는 모습인데� 그 결과물이 저 번데기 모양의 셀인 듯하다� 그 속으 Enkhzaya Erdenebileg이 들어간다� 작품명 [As if inside me� but also in the distance]�가변설치 _Mixed media_2022�을 대강 우리말 번역하면� �내 안에 있는 것처럼� 그렇지만 먼 것처럼� 정도가 되겠다� 작품 속으 들어간 그이의 행위와 문학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제목 간의 연결은 인상적이다� 작가 자신에 의해 배태�胚胎�된 작품은 그이의 기준에서 가장 가까운 대상물이자 분신과도 같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시장에서 보는 자의 시선을 획득하면서 작품은 점점 작가에게서 멀어져 마침내는 작품 그 자체 존재하게 되며� 급기야는 작가가 지워지는 지경에 이른다� 이를 문학에서는 �저자의 죽음�이라는 말 설명한다� 최초의 생산자는 작가 자신이지만� 읽어내어 의미를 채우는 행위를 통해 작품은 다시 한 번 새 운 생명을 부여받고 완성된다는 것이다� 작가는 자신이 깁고 기운 셀 안으 들어가 붓과 검정 잉크를
선생도 예술인처럼 느낀다 했다� 그들의 공통점이라면 그들이 세상에
그물
우리는 뒤미처 보지
우리가 배출한 플라스틱이 바다를 떠도는 동안� 시간 속에서 닳아져 마치 자연물인양 돌의 형태를 띠게 된 것� 작가는 새 재료는 배제하고 기존에 사용했던� 혹은 누군가에게 나누어 받은 재료를 전시에 사용할 것이라는 원칙을 가지고 작업에 임했다고 한다� 5� 작품의 침식은 곧 일상의 침식이다� 인간은 침식을 면하기 위해 버둥거리지만� 세상에 존재하는 유한자는 모두 저마다의 속도 무�無� 수렴한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동안 생산한 팔라스틱의 분해는 그 사용주체가 사라지고 난 근 영겁의 세월 동안
이용하여 내부에 글씨를 쓰거나 칠을 했다� 이 과정은 카메라를 통해 전시장의 또 다른 벽면에 상영되고 있어 관객이 이를 관찰할 수 있게끔 만들었다� Enkhzaya Erdenebileg의 이 같은 행위는 작가가 작품에 개입함으
연장하려는 욕망이 아니라� 오히려 가깝기 는 그 반대편일 것이다� 필자야 그렇게 읽었지만� 작가의
139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자신의 생명을
의도는 정반대일 수도 있다� 속으 들어가는 것이 가장 멀리 달아나는 것일 수 있는 것처럼� 작품 앞에서 작품명을 이리 오래 곱씹기는 참으 오랜만이다� �As if inside me� but also in the distance� 나에게 김종철 선생의 존재도 셀 안에 쓴 글씨처럼 쓰였다가 시간 속에서 지워질지 모를 일이다� 그러나 전시장 머지를 걷는 동안은 시퍼렇게 살아있었다� 앞서 나는
던진
사이
못했던� 정작 자신조차 알지 못했던 자아의 조각을 맞추거나 세계의 형을 더듬어 볼 수 있게 만든다는 것이다� 인간의 이지가 그려내었던 조악한 세계의 꼴 너머에 가리어있던 진상�眞像�은 결국 불완전한 질료 구축된 예술과 예술적 삶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이제 조구 작가가 구축한 세계를 들여다볼 차례다� 그는 버려진 나무를 주워 못을 박고 망치질을 하다 불현 듯 밧줄 나무를 강하게 비틀어 싸매었다고 했다� 작가노트에 의하면 그 순간 그는 소름끼치게 생생한 에너지가 자신을 덮쳤다고 했다� 그가 느낀 것은 무엇이었을까� 대상 a를 속박하려는 의지에는 억척스런 생의 의지가 개입되어 있다� 억척스러움의 자리에는 간절함� 치열함� 절박함� 수많은 감정으 대체가 가능하다� 반대 밧줄에 의해 구속당한 대상 a의 입장에서는 밧줄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면 파괴되거나 잘려버리기 때문에 둘 사이에는 형질을 유지하고자하는 팽팽한 긴장관계가 성립한다� 밧줄의 입장에서도 묶으려는 힘과 대상 a와의 긴장관계 속에서 여차하면 자신이 끊어지게 될 것이기에 처지는 같다� 니체는 자연 속에 편재한 질서를 �힘에의 의지�라 표현했다� 되려다 만 시인이자 스스 예술가이길 염원했던 자답게 저 멋들어진 표현의 함의를 예를 동원해서나마 야트막하게 이해해보면 이렇다� 가열 중인 물은 끓는점에 닿을 때까지는 물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 유지하게 만드는 의지가 힘이라 할 때� 힘이 더 센 어느 쪽의 의지에 의해 다른 한 쪽은 성질을 잃게 되는 것이다� 겨울이면 종종 뉴스에서 접하게 되는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또한 이 힘에의 의지 설명 가능하다� 불완전연소 시 생성되는 일산화탄소는 원자가가 4 인 탄소 1개와 �2의 원자가를 갖는 1개의 산소 원자를 갖는다�CO�� 따라서 어느 쪽으 도 기울어지지 않은 안정한 상태인 0 이 되기 위한 일산화탄소의 의지는 인간의 혈액 속 헤모글 빈이 운반하는 산소와 결합하여 1개의 탄소에 2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CO2� 거듭나는 것이다� 그의 제목 없는 작품들�102*53cm� 65*25�5cm� 75*15�3cm_Mixed media_2002�을 보면서 �주인이 되고자 하고� 그 이상이 되고자 하며� 더욱 강해지고자 하는 의지 작용��Herr�werden�� Mehr�werden�� Starker�werden�wollen�으 잠정적으 정의되는 힘에의 의지를 떠올린 것은 지나친 초월읽기일까� 이 같은 오독을 막으려는지 류승옥 작가는 친절한 다변을 작가노트에 부려놓았다� 그이가 주목한 것은 �100�이라는 숫자다� 알다시피 수는 일정한 진실을 담아 현상을 객관적으 전달하는 매질이다� 이쪽 분야론 말과 단어가 쫓아올 수가 없다� 어휘야 개별적 존재 부터 솎아낸 보편의 개념이기 때문에 이 약속과 합의는 자주 오해를 동반한다� 한편� 수는 아무것도 모르는 순진한� 어떤 것에도 관심을 두질 않는 무심한 낯으 우리와 마주하곤 한다� 수 자체와 수 치환된 실제를 조망하는 것 사이에는 그렇게 이격이 존재한다� 코 나 인한 사망자 수가 매일 같이 쏟아지던 때를 기억하는가� 우리가 무감각하게 카운트하는 수만큼 시신이 늘어서 있는 이미지 단박에 변환시켜 팬데믹 상황을 실감하는 자가 몇이나 되었던가 말이다� 작가에게 100이라는 수가 의미하는 것은 무게다� 100kg이 나가는 물질들부터 부와 권력의 무게 사회에서 힘을 발휘하는 인간들� 개인의 신산한 삶을 짓누르는 무게들� 그에 관한 사유를 작품 [100kg]�195*138cm_Acrylic colors on can vas_2022�에 담았다� 100이라는 키워드를 가운데 놓고 보면 레지던스 거주 기간 동안 작업한 모든 결과물들과 연결된다� 그이의 생태적� 인류학적 고민들을 담은 평면회화 작품 가운데 [동조자]�110*140cm_Acrylic colors on canvas_2022�는 충일감의 수인 100이 상실의 무게 전환된 모습을 보여준다� 작품을 보는 동안� 강렬한 질문이 보는 이의 심중에 일어난다� 과연 동조는 언제 가능한가� 자기 자신으 100% 가득 차 있는 사람은 타자를 받아들일 수 없다� 작품은 자기를 완전히 비워낸 허량함을 담았다� 이와 반대되는 정조를 지닌 작품이 [여기에서 보는 세상]�130�3*89�3cm_Acrylic colors on can vas_2022�이다� 안락한 의자에 팔을 걸친 이들의 시선은 살짝 아래를 향하고 있다� 작품 속엔 김종철 선생이 경계한 세상과 인간의 전형이 표현되어있다�
140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지젝은 [팬데믹 패닉]�북하우스� 2020�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가장 기본적 특성들을 재점검하기 위해 하나의 파국이 필요하다는 서글픈 사실�을 지적했다� 6� 전시장을 나오는 길에 필자는 선생에 관한 흘러넘치는 추억으 아주 짧은 사이 휘청거렸던 것 같다� 그는 팬데믹을 통과한 인류의 내일을 보지 못하고 돌아갔다� 그런데� 우리도 그 내일을 볼 것이라 장담할 수 있을까� 내가 선생을 추억하듯� 우리 자신을 추억할 후대는 존재하기나 할까� 그러고 보면 먼저 돌아간 선생이 부러워진다� 먼저 가신 자를 부러워할 만큼 우리의 현재는 보잘것없어져 버렸는가� 물음에 대답이 쉽게 나오질 않는다� 모르는 걸 모르는 영역에 두기 하자� 그 영역에 유폐되어 있던 충격이 새삼 만져진다� 팬데믹 상황을 거치는 동안 개인적으 받은 충격이 있었는데� 그것은 세상이 이 모양인데도� 이 와중에도 새 운 작품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감각의 첨병이자 심미적� 비판적 관찰자의 위치에 서게 된다� 그 속에서 제련된
유연성은 예술가의 창조적 삶과 작품들이야말 문명사회의 미래를 열 단초가 될 것임을 확신케 한다� 이 유연성이 예술과 생태의 공존을 절체절명의 키워드 포착했다는 것은 그래서 유의미하다� 예술이 현실
때� 그 반짝임이 오래가는 경우를 최소한 지금껏 본 적 없다고 장담한다� 현실이 없는 현상학은 존재하지 않듯� 현실이 없는 미학과 철학도 존재할 리 없다� 우리는 팬데믹을 통과하는 동안� 우리가 딛고 선 삶이 얼마나 취약한 지반 위에 있는지 알 수 있었다�6) 그처럼 현실이 아무리 황폐한 형해만 남았더라도� 절대적 밑바닥까지 추락했을지라도 이는 우리 자신이 뒤집어야 할 중심이고� 실체이다� 그것이 태생적으 바깥을 사유하는 예술과 예술가가 일깨워주는� 진부하면서도 새 운 진리가 아닐까� 141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것에 대한 경이 움이었다� 예술가는 스스 원하든 그렇지 않든 전 지구적 이행기를 겪어내는 모두 가운데 동시대
인식의
밖에서 현실 아닌 것을 말할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비밀의 공간사이 가려진 아우성의 역설
류승옥을 만나기 전에 류승옥의 작품 앞에 섰다� 이 작가는 참으 서툴려고 하는 의지가 느껴진다� 세련과 화려함으 점철되는 디지털시대에 너무 낯선 풍경이 연이어 열린다� 풍경은 편린�片鱗�으 구성되고 내리고 있고 각 편린들은 단절된 듯하면서도 겹쳐 있다� 편린이 겹쳐 있다는 것은 연결 볼 수 있지만 레이어�layer�� 즉 시간과 공간의 층이 다른 층들의 겹침이며 연결이고 또한 거부된 것들의 서술인 것이다� 이런 단절된 편린에 의해 열려 된 비밀의 공간사이 류승옥이 말을 걸어온다� 무작정 참여한 이번 레지던시인 부산은 낯선 곳이었다고 한다� 사실 레지던시의 장점은 충분한 작업공간의 제공과 동시대의 예술가들과의 교류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레지던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보다 넓은 시야와 예술적 자극을 받아 더욱 작품이 깊어지거나 변화를 맞이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번 레지던시가 류승옥의 필모그래피에서 어떤 의미가 되었는지가 궁금하다� 그래서 레지던시 이전과 이후에 차이가 나는 작품에 대하여 물었다� 이것에 대하여 류승옥은 작품 �100kg�을 말한다� 작품 �100kg�은 무게 100kg의 철제 의자 구조물이 태풍 힌남노 인하여 파손된 모습을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아 제작한 작품이라고 한다� 아직 류승옥은 태풍의 위력과 무서움을 알지 못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부산에 대하여 낭만의 바다가 있는 도시 생각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부산의 바다는 낭만의 바다 이전에 거친 환경 속에서 살아가야만 하는 사람들이 있다� 거대한 자연의 무서움을 안고 있으면서도 삶을 이어가고 작품도 하는 곳이다� 그런 부산의 환경적 특징이 이 작품에 담겼다고 한다� 그러나 작품만 보면 구조적 꺾임은 중층적 선의 어울림과 도드라지는 흰색 선으 묘사되어 있으나 이것도 설명을 듣지 않으면 인식할 수 없다� 그 어떤 태풍의 강력함과 두려움 아울러 꺾여버린 구조물에 작가적 해석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류승옥은 태풍의 위력을 실감하였고 꺾여버린 구조물에서 남다른 존재자의 새 운 생명력을 보고 있는 듯하다� 즉 befor & after 모두가 관계와 상황 속에서 존재하는 하나의 의미 받아들였던 것이다� 그래도 류승옥은 본다� 즉 �100kg은 무겁다 � 이번 작품에서는 실제적으 100kg의 무게가 나가는 물질들� 많은 부와 권력으 사회에서 힘을 발휘하는 인간들 그리고 개인별 가진 힘겨운 무게들을 100kg으 이름 붙여 표현해 보았다�� 즉 삶의 무게를 100kg으 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곤 류승옥은 100이라는 숫자에서 남다른 숫자관을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 100은 충만� 완성을 의미한다� 그런데 류승옥은 100이라는 숫자에서 다양한 존재자들의 다양한 생존방식과 아우성으 읽어내고 있다� 다시 말해서 류승옥은 완전함에 이르기 위해 채워가고 자는 욕망과 완성의 막다른 골목에 도달한 것이 아니라 다른 차원으 이전됨에 따른 상실을 보고 있는 것이다� 즉 100으 완성은 다음 101 이어져 다시 200으 그리고 1000으 무한하게 물러나는 목표에 다가서려는 자의 상실의 무게와 좌절된 욕망으 보고 있는 것이다�
평론
142
송만용 �미술평론가� 동서대학교 교수� in BUSAN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이러한 상실과 좌절된 욕망은 작품 �동조자 sympathizer�에서 류승옥 자신이 말하듯이 �다른 생명체의 옷을 입고 얼굴을 숨긴다�라고 한다� 그러면서도 다시 �잠시 동안 얼굴을 대신 가려주고 있는 다른 손이 있다� 그리고 스스 가리고 있는 손과 그 옆을 지키는 마음을 표현해 보았다�라고 한다� 그렇다면 왜 류승옥은 관계 속에서 존재자를 보고 그 의미를 읽고 있는 것인가� 남들과 같이 태풍에 파괴된 의자는 고철이며 존재 가치가 없는 존재자 평가할 수는 없는 것인가� 여기에 류승옥의 존재 인식의 시각이 존재한다� 즉 류승옥은 �회화는 비밀의 공간이며 만들어지고 생겨나고��� 드러나는 세상에서 외 움은 공유되는 것�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감당할 수 없는 힘에 의한 파괴의 �힘겨운 과정 이후 다른 모습을 받아들이는 것을 희망이라고 말하고 싶다�라고 한다� 파괴된 존재자는 존재가치가 제거된 이전의 존재가 아니라 환경과 조건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존재인데 우리는 그 존재자를 동일한 것으 보고 있는 것이다� 동일한 것이 아니라 다른 차원의 것이다� 그리고 작품 속의 편린들은 정당한 존재가치를 인식해라는 아우성이며 아직 살아있다는 아우성인 것이다� 나아가 존재하나 보이지 않는 거대한 손� 자본의 논리� 기성가치들에 대한 아우성을 편린적 색채 구조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류승옥의 작품에서 단절의 시그널은 그 너머가 보인다� 즉 보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보아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렇때 아우성은 공허함을 떠나 하나의 변화할 수 있는 힘이 된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류승옥은 �우리가 사는 세상에 간절하게 필요한 것이 있다� 같은 이슈를 갖고 움직인다면 강하고 착한 아우성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아우성은 개인들의 생존 방식으 부터 파생될 수 있다� 착한 아우성은 자신들을 위한 움직임이며� 나쁜 침묵을 움직일 희망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제 다시 류승옥과 떨어져 작품을 본다� 표현의 서투름은 존재와 실제를 혼란케하는 디지털적 가상의 �the real�을 걷어내야만 하는 엉성한 장막이며 그 너머의 존재자를 볼 수 있는 장치인 것이다� 그러나 명확한 메시지는 없다� 읽히지 않는다� 손짓은 거부가 아니라 다른 공간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류승옥은 철저히 감추어진 보는 자의 시선을 상정하고 있다� 류승옥의 세계는 류승옥이 해석한 세계가 아니라 보는 자와 더불어 보고 싶은 비밀의 공간인 것이다� 그래서 류승옥은 서툴게 표현하고 있다� 다만 모든 것은 상대적인 것 서투름의 존재가치는 그 반대적 표현이 같이 있을 때 더욱 힘을 받는 것이다� 그렇기에는 류승옥은 아직 순수하다� 어설프다� 서투름의 역설이 있다� 그래서 다음이 기대하는 것은 우리의 몫인가 보다�
143
무질서의 질서� 정신이상의 세상에서 예술 하기
�예술연구소 육감도�
아방가르드� 소수자 되기 레지던스 결과전시에서 재기 넘치고 전도유망해 보이는 한 젊은 작가를 만나서� 작품도 보고� 얘기도 나누고 왔다� 이런 레지던스 과정을 하며 이 작가들이 꿈꾸는 지향점은 어디일까 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작품이 잘 팔리는 것에만 집중하는 작가들뿐만 아니라 그저 좋은 작품을 하고 싶다는 작가들 모두는 심보선이 명명한 �파퓰러 아방가르드�를 지향할 것이다� 파퓰러 아방가르드는 �대중성과 전위성� 명성과 개성� 성취와 자유를 양손에 동시에 거머�1)쥐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대중적이면서도 전위적인� 즉 인기� 명성� 부를 누리면서도 미술사에도 기 되는 작가� 누구나 꿈꾸고 있지 않겠는가� 요즘 이건용 작가가 70년대 했던 �신체 드 잉� 행위미술을 색깔을 좀 가미�당시엔 검은색�하여 재연한 작업들이 인기 만발이다� 명성과 부를 동시에 거머쥔 것이다� 세계미술사 어느 부분을 꿰차도 손색이 없는 작가이므 그런 대접을 충분히 받을만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말하고 싶은 것은 이건용의 경우 이런 각광을 받는데 40년이 넘게 걸린 반면� 잭슨 폴 이나 데미안 허스트처럼 작품발표와 보상�명성과 부�이 이뤄지는 격차가 크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렇게 간격이 커지지 않으려면 예술향유 수준이 높아지고 나라의 경제력이 높아져야 한다� 이제 우리나라도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섰고� 정보화사회� 네트워크사회� 개념미술의 시대가 되었으니 작품 몇 점으 짧은 시간에 세계적 조망을 받을 수도 있게 되었다고 본다�
그러한 우리나라의 상황을 보여주는 사건이 있었다� 2020년에 경기도미술관에서 성능경 작가의 행위미술 작품 4점과 홍명섭 작가의 �종이 찢어 붙이기� 설치형 행위작품�1978년 첫 개인전�을 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미술관에서 구매한 성능경 작품 4점이 작품 콘티�매뉴얼�제작계획서�가 적힌 A4용지 4장과 관련된 작은 사진 몇 장뿐이라는 것이다� 국립현대미술관 등 공립미술관이 퍼포먼스에 사용된 오브제나 그 부산물� 영상� 크게 출력된 사진을 소장한 예는 있었으나 이처럼 �개념� 자체를 구매해 소장2)하기는 처음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있는 획기적인 일이다� 우리나라도 이제 �개념�을 살 줄 아는 수준에 온 것이다� 그러니 젊은 작가들이여� 이제 인기와 명성을 동시에 거머쥐는 전위작가�파퓰러 아방가르드�를 꿈꾸어도 되지 않겠는가� 전위가 아니어도 이름을 남길만한 현대미술을 하려면 �언제나�이미 당대의 공통적 이념�감성과는 �불화�할 수밖에 없는� 다시 말해 �당대의 대중을 지배하는 감성이나 통념의 기준에 대한 저항�3)과 도전을 하여야 한다� 또 �조화롭게 질서 잡히고 체계화된 통일된 유기체적 전체에 대항하여 이질성� 비연속성� 파편적 개별성을 드러내�4)는 작품이어야 한다� 이렇듯 동시대의 대중적 통념에 �불화�하고 저항하는 경향을 홍명섭은 들뢰즈의 용어를 빌려 �소수자�되기�5)라 하였다� 이 용어는 랑시에르의 �소수자 예술론�과도 같은 의미다� 이 소수자는 일반이 아닌 바깥�이반� 쪽에 자리하고� 지배적 정서�감성에 편승하지 않는 �사회적�문화적 합의라는 기준에서 자유롭고자 스스 소외되는 불이익을 감수해야�6)하는 자인 것이다� 전위�선구자�아방가르드의 명칭을 부여받으려면� 자유롭고 창의적이며 선구적인 작업을 하려면� 언제나 앞쪽에 서서 통념을 뒤흔든 대가 날아오는 수많은 화살을 감당해내야만 하는 것이다� 조각 전공으 작업 초기부터 좌대를 벗어나서 설치작업이나 무심한 야외 공간을 작품의 주요 요소 활용한 작업을 하였다는 것� 나아가 몇 번의 행위작업까지도 실행하였다는 것만으 도 정은형은
평론
“예술이란 영원히 마음을 불안하게 하는 것이며 또 영원히 혁명적” -허버트 리드 심보선� 『그을린 예술』� 민음사� 2013� 191쪽� 1996년� 38세 사망한 펠릭스 곤잘레스 토레스의 �사탕��1991� 작업이 우리나라에서 전시될 수 있었던 것도 작품제작계획서를 구매했기 때문인 것으 알고 있다� 홍명섭� 『현대철학의 예술적 사용』� 아트북스� 2017� 315쪽�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2000� 372쪽� 홍명섭� 『현대철학의 예술적 사용』� 아트북스� 2017� 316쪽� 같은 책� 317쪽� 1� 2� 3� 4� 5� 6�
이혁발
파퓰러
�전위�아방가르드�� 지역에 이미 와 있으며 � 소수자�되기�를 실천하고 있다�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미술사에 이름을 남기는 작가는 이 소수자들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144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설치미술로 그려진 이 시대의 풍경화
작품 �Locked�잠긴�� 일상용품을 절단하여 홍수에 잠긴듯한 풍경을 만들어낸 발상이 신선한 작품이다� 복합문화예술공간 MERGE�에서 전시했을 때의 시각적 효과가 좋았다� 이 전시장 바닥은 에폭시 마감 처리되어 광이 약간 나는 번들거리는 표면이었기에 잘린 사물들의 그림자가 생겼고 그 표면 광택에 의해 마치 물에 떠 있는 듯한 착시효과를 주었다� 물의 장력에 어찌할 도리없이 잠겨버린� 잠겨진 상태인 이 풍경은 절단되어 잘려나간� 잃어버린 상실의 아픔이 있고� 무력감과 답답함과 미쳐버릴 것 같은� 목청껏 구원을 요청하다 �소리 나지 않는 외침�을 계속하는� 그 장엄한 침묵 속에 있다�
설치미술은 설치되는 주변 공간 자체가 작품의 구성요소가 되는 예술이다� 조각은 어느 곳에나 놓아도 되지만 설치미술은 특정 장소� 그 작업 개념과 맞는 공간� 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 장소만큼 설치방법도 중요하다� 이 작품이 선택한 �나열�을 말해보자� �나열�은 �집적�7) 형태의 설치작품에서 뿜어 나오는 에너지와는 또 다른 에너지� �나열의 힘�을 발산한다� 그 힘은 널려있는 만큼의 면적이 뿜는 힘이고� 배치된 사물보다 많은 허공간이 주는 힘이고� 이 작품처럼 틀과 규칙� 반복이 없는 자유롭고 허툰�정교하거나 자 잰듯함이 아닌� 배치가 주는 힘이고� 부분 작품 하나하나를 자세히�유심히 볼 수 있는 데서 나오는 힘이다� 또한� 이런 나열 작품은 작품 속으 걸어 들어가서 작품을 보는 데서 오는 또 다른 감흥� 정서의 반향이 있다� 일정 거리를 두고 바라봐야만 하는 작품과는 또 다른 차원인 것이다� 작품 안으 들어간다는 것은 한 세계 안으 들어가서 교감� 공명하는 것이다� 이것은 �몸을 통하여 세계 내 모든 것들이 서 연결되고 소통하고 있음을 깨닫게 해�8)주는 �몸�철학의 실행장 이기도 하다� 예술가의 손길이 최소화된 오브제�사물�의 직접적 제시는 그 사물이 가진 고유한 힘을 발산한다� 인공품으 처음 태어나서 사람들과 숱한 접촉� 그 사용됨의 시간� 역사를 가짐으 그 사물은 나름의 에너지를 쌓아간다� 햇빛에 탈색된 플라스틱 의자의 표면이나 쭈그러지고 꺼멓게 그을린 양푼이가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는가� 그래서 때 예술가가 직접 만든 것보다 기성품�일상품의 직접적 제시가 더 가치 울 때가 있는 것이다� 일상적 물품을 오브제 선택�사용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들을 보이게 하고� 아무것도 아닌 것들에 나름의 몫을 찾아주는� 전복적 문맥의 �소수자�예술가� 되기의 한 방편이기도 한 것이다�
이참에 아름다움의 미술에 대해 생각해 본다� 뒤샹 이후의 현대미술에서는 아름다움을 논하는 미학�조형미학�은 디자인� 상품 세계 넘어가고� 현대미술은 개념미학� 관념미학으 완전히 전이됐다는 분위기다� 그래서 뒤샹의 변기를 보며 조형적 미감을 느낀다고 하면 무식하다고 하는 이들이 있다� 작가의 작업 의도가 어찌 됐든� 소변기의 곡선을 보고 관능적인 여체의 곡선을 연상해 매력적이거나 아름답거나 하는 미적 쾌감을 느끼면 안 되는가 하고 항변하고자 한다� 1988년 �난지도�전에 전시된 윤명재의 �숲� 작업은 버려진 나무 파편들을 이용한 설치작이다�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를 반복하는 물화된 현실 세계의 풍경을 반사적으 표출�9)한 것으 평론가는 적고 있지만� 필자는 이 작품을 전시장에서 접했을 때의 첫 감응은 � 구성이 참 아름답다�였다� 이 �잠긴� 작품에서도 사물의 다양한 표면 질감이나 광채에서 미적 쾌감이 느껴지는 것을 어찌하랴� 기울어져 서 있는 의자의 형태에서도 조형미를 느낀다� 1�3 정도의 반원 형태 서 있는 자전거 바퀴나 넘어질 듯 거꾸 서 있는 의자 다리�부분�를 거대한 크기라 상상해보면 가슴 벅차게 만드는 멋진 조각품이 눈앞에 펼쳐진다� 또 선풍기 앞면 부분이 잘려 누워있는 형태는 옵아트 회화의 한 장면이 연상된다� 또 배치된 장면을 하나의 캔버스라 보면� 각기 다른 크기와 다양한 형태의 이 배치는 �율동�� �균형�� �강조�� �변화�� �통일� 등의 조형 원리를 작동시켜 은근하게 미적 쾌감을 불러일으키고 있지 않은가�
7� 8� 9�
모아서 쌓는 것을 말한다� 옷가지�볼탕스키�� 신문 등 온갖 재료가 활용된다� 이주영� 『현대미학 특강』� 미술문화� 2019� 48쪽� 서성 � 『설치미술 감상법』� 대원사� 2005� 72쪽�
145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생명체를 시각화한 것 같다� 공중에 매달린 것은
재해의 파편이며 부유물일 것이다� 물체가 가진 회색 톤의 뿌연 느낌 때문일까� 어떤 애잔한 정서를 은근히 자아내고 있다� 이 작품은 지구의 기후 위기에 대한 예술적 경고장이며� 그 위기를 벗어나려는 생명체들의 간절한 희망의 몸짓이고� 날갯짓이다� 죽음 안에 생명 있듯이� 그 위기상황에서도 동토를 뚫고 꽃을 피우는 복수초처럼 한 생명의 움틈을 보았다� 그림자의 유무는 사물을 존재�부존재 하게 한다� 이 작품에서 그림자를 지금보다 좀 더 부각했더라면 이 작품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더욱 강렬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작품과 벽체의 거리를 조금 더 두고 벽 쪽으 좌우 두 개의 조명을 쏘아 사물마다 두 개의 그림자가 생기게 하였으면 어땠을까� 나아가 매달린 사물이 지속해서 흔들리던가� 아니면 조명이 흔들리던가� 아니면 점멸방식의 조명을 써서 조명이 켜졌다 꺼졌다 하면 어땠을까� 흔들리거나 깜박이는 그림자는 지구온난화 발생하는 위기상황과 그 위기 속에 사는 우리들의 불안하고 흔들리는� 존재와 부존재를 왔다 갔다 하는 상황을 극명하게 잘 보여주지 않았을까� 좀 더 예술적 호소력이 커지지 않았을까�
것이다� 거기에 건조대의 경사짐은 불안하고 쓰러질듯한 존재의 위기를 보여주는 듯하다� 어떤 관객은 전시 주제와 연계해서 물에 잠긴 건조대를 생각하고 구멍 난 지구환경 위기를 떠올렸을지도 모른다� 작품 �살아지고 사라질� 스티 폼을 이용한 형상을 만들고 그 위에 홍수와 지구 위기에 관한 신문기사를 전사시켰다� 자연재해에 관한 신문기사와 사진들이 발라져 있는 이 형상은 아우성치는 지구와 그 안에서 몸부림치며 절규하는
146
작품 �덩더꿍� 지지대가 경사지게 잘려 삐딱하게 서 있는 반쪽짜리 빨래건조대에 구멍 난 옷가지들이 널려있다� 널려진 옷� 천의 구멍 주위에 감정이나 사연이 담기게 회화적인 제스쳐�붓질�가 되어 있다� �총 맞은 것처럼�이란 노래 가사가 생각났다� 옷가지 하나하나는 상처� 불안� 소외� 메워지지 않는 원초적 고독함을 가진 인간들 써 서 어깨 비비며 흔들리며 매달려�걸쳐져 있는
이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가지 다른 현상이 한 곳에서 동시에 일어나고 있음을 드러낸 것이다� 하늘과 땅이 공존하고� 음과 양이 함께 있어 세상은 존재한다� 몸에서는 매일 생겨나는 세포와 매일 죽어 나가는 세포가 공존하고� 에 스와 타나토스가 공존하고� 삶과 죽음이 공존하고 있다� 태극이라는 우주의 중심에는 음과 양이 있고� 그 음양이 사방� 팔방이 되고� 팔괘가 되고� 60 갑자가 된다� 이렇게 세상은 다의적� 다층적으 복잡하게 구성되어있으면서도 동시에
동시에 카오스 한 무질서 구성되어있다� 또한� 이 무질서도 거대한 질서 안에 있다� 세상은 �변화 한다�라는
존재하고 있다� 불안해 보이는 지구도 전염병이나 자연재해를 일으키며 스스 자기 생존을 이어 간다� 이러한 세상에 살아가는 80억 인구도 각기 다른 정신상태에 있다� 퍼센트 차이만 있지 80억 모두 정신이상 상태라 생각한다� 물 잔에 물이 꽉 차면 물 잔의 용도가 사라지듯� 증류수에는 고기가 살 수 없듯이 완벽한 정상 상태는 존재할 수 없다� 고 완벽함에서 조금이라도 부족한� 정신이상 상태가 정상인 것이다� 이러한 우리 인간은 비정상의 정상 상태에서 끊임없이 � 흔들리며�� 세상�사람� 사물 모두�을 �흔들며� 그렇게 허허 이 �살아가며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어찌 되었든 인간으 태어나서 격 높은 삶을 사는 데에 예술만큼 뿌듯한 기쁨을 주는 것이 없다� 규칙이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 울 수 있으며� 마음껏 자신의 개성을 뽐낼 수 있고� 맨 앞으 뛰쳐나가 소신껏 자기 얘기를 외칠 수 있다� 전위적이며 선구자적인 미술은 자기 의지 얼마든지 획득 가능한 것이다� 무엇보다 �하고 있다�라는 것 자체만으 도 의미 있다 할 수 있다� 이후 명성이나 인기나 평가는 다른 이들이 할 노릇이다� 미술가는 자신의 생의 찰나마다 온전히 자기 자신�주체적�으 살아가기만 하면 될 일이다� 미술은 �나 부터� 출발하되 나에게 �준비되거나 체험되지 못했던 비현실의 새 운 감수성�10)으 �무수한 경우 수의 우발점들을 발생시키는�11) 작업�표현�을 줄기차게� 지속해서 하다 보면 어느 날 명성은 자신의 뒤를 환하게 비추고 있을 것이다�
홍명섭� 『미술과 비평 사이』� 솔� 1995 수정 증보판� 275쪽 홍명섭� 『현대철학의 예술적 사용』� 아트북스� 2017� 134쪽�� 10� 11� 흔들리고 흔들며� 살아가며 사라지며 �잠긴�이란 작품 제목은 물에 잠기거나 문이 잠긴� 양의적 의미
두
기하학적 구조� 구조 같은 질서 가득
하면서
딱 하나의 진리 아래� �질서와 무질서가 혼재하는 질서� 속에 있는 것이다� 그렇게 세상은 굴러가고 우주는
14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쓰였다� �살아지고 사라질�도 마찬가지다� 사는 것이나 사라지는
하나이다� 세상�우주는 프랙털�자기 유사성을 갖는
차 있는 듯
쓰임을 다한 사물의 재구성 성백 �openARTs Project 기획자� 오래되고 쓰임을 다한 사물의 재구성을 통해 만들어낸 작가의 작품들을 보면 무엇인가 어색하듯 하면서도 조형미가 있다� 작가의 가장 특이한 점은 오래되고 버려진 오브제 위에 그림을 그린다는 것이다� 오래된 합판� 부서진 나무 조각� 프 등 어느 하나 성한 것이 없어 보인다� 그러나 이를 재구성한 작품들은 나름의 조형미를 가지고 있다� 이번 �부산국제openARTs 레지던스�의 주제가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인데 작가의 이러한 작업 방식은 이번 주제와도 맞닿아 있다� 현대산업사회에서는 자연을 파괴하고 착취해 대량생산을 해왔다� 그렇게 만들어진 공산품들은 현대인들에게 소비를 강요한다� 현대산업사회의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패턴은 일상의 오브제들이 쉽게 버려지고 쉽게 잊혀지게 만들었다� 이는 인류의 노동환경과도 연결된다� 현대인들의 노동 또한 쉽게 사용되고 쉽게 버려진다� 기계문명의 발달이 더해지면서 �노동 상실�의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모든 것이 잊혀지고 상실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역설적으 현대인들이 SNS에 집착하는 이유도 잊혀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의 자기 기 일 것이다� 이 상실의 시대에 작가는 버려진 오브제 위에 그려내는 야생조류의 날갯짓에서 위안을 찾고자 하는 것은 아닐까� 작가의 창작활동 또한 노동의 상실과 함께 사라지지는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무의식의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지도 모른다� 작가의 외형적 부드러운 이미지와는 상반된 이러한 작업 방식은 어디에서 온 것일까 궁금했다� 작가가 살아온 환경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지 않을까 한다� 보령이라는 지역의 대도시보다는 조금 한적한 마을에서 성장했다� 자연적 환경에서 버려진 오브제가 주는 이미지는 청소년기 작가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을 것이다� 그리고 작품에 등장하는 �새� 또한 자주 봐 왔던 야생동물 일 것이다� �새�가 공기를 가르고 중력을 거스르며 날갯짓을 하는 모습에서 작가는 �날것�의 힘을 보았다고 한다� 그 날것의 힘에 매료되어 새를 자신의 그림에 자주 등장시키고 있다� 작가가 작품에 차용하고 있는 �버려진 오브제�와 살아있는 � 동물�은 상반된 이미지이다� 작가의 작품을 이해하려면 오래된 오브제가 가지는 �힘�과 새의 라는 살아 있는 생명체가 가지는 살아있는 것의 �힘� 이 두 가지의 연결고리를 찾는다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 같다�
평론
148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버려져서 햇빛과 비�바람에 오랜 시간 노출되어 있던 재료 위에 그렸을 때 더 생생함이 느껴졌어요��라고 말한다�
지켜봐 온 새 또는 동물들을 거침없이 그려
것이 쉽게 버려진다� 작가 서
버려지지 않으려는 작가의 의지가 새의 날갯짓에 투영되어 있지 않을까 한다� 레지던스와 프 젝트성 전시를 위해 3개월의 짧은 시간 작업을 봐 왔다� 작업의 붓터치만큼이나 작가의 말투에는 늘 자신감과 힘이 엿 보였다� 작가의 의지대 오랫동안 창작활동을 유지하고 지속적으 날갯짓을 하며 활동 하길 바란다� 149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오래되어 쓰임을 다해 버림받은 오브제가 가지는 ‘힘’은 무엇이 있을까? 이 오래된 오브제에는 어떤 매력이 있기에 작가는 매료되었을까? 작가의 입을 빌리면 �가식 없는 날것의 절절한 에너지를 포착하는 것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깨끗하고 정돈된 캔버스보다는� 쓰임을 다하고
비� 바람이라는 자연의 �힘�과 그 힘을 견뎌낸 시간의 �힘�이 오브제에는 고스란히 담겨 있다� 작가는 그 날것 위에 자신이
내었다� 그 거침없는 붓터치 하나하나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거기에는 작가의 자연을 바라보는 시선과 삶의 의지가 보인다� 현대산업사회에서는 모든
쉽게 잊히고
레지던시 프로젝트 기획전시 in F1963
시 명 : 전시기간 :
소 :
:
:
:
부산문화재단 레지던시 프로젝트 기획전시 in F1963 2022년 11월 5일 - 11월 20일 F1963 석천홀 (부산광역시 수영구 구락로 123번길 20) 부산광역시, 부산문화재단 부산자연예술인협회, 시민도예가회
예술지구P, 홍티아트센터, 523쿤스트독 류승옥 박시호, 배시아, 서영, 손경대, 정은형, 조구, Enkhzaya Eredenebileg, Iwa Kruczkowsak-Kroi
전
장
주 최
참가단체
참여작가
150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레지던시 프 그램은 예술가들에게 일정 기간 동안 거주 공간과 전시장� 공연장� 작업실 등 창작 공간을 지원해 그 공간에서 생활하며 작품 활동을 돕는 프 그램을 말한다� 레지던시�Residency�라는 용어처럼 프 그램을 통해 예술가는 특정 공간에 �거주�하며 그 지역에 대해 연구하고 영감을 받고� 레지던시 프 그램에 참여한 다른 예술가와 교류하며 창작 역량을 키운다� 또한 시민들에게 창작활동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시민 참여 프 그램을 제공하기도 하며 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공유하기도 한다�
부산문화재단 F1963 기획전시 �2022 레지던시 프 젝트�는 2022년도 부산문화재단에서 직접 운영하거나 지원하는 레지던시 공간 중 1개 공간� 4개 단체가 참여한다� 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홍티아트센터와 레지던시 활성화 지원 사업에 선정된 예술지구P� 부산자연예술인협회� 시민도예가회� 523 쿤스트독이 참여하여 작가들의 작업을 선보인다� 각 공간과 단체는 그 지역의 특성을 살리며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예술가와 함께하는 레지던시 프 그램을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 다양한 프 그램을 기획� 운영하고 있다� �레지던시 프 젝트�전시에서 각 공간의 레지던시 프 그램에 참여한 36명의 예술가를 만날 수 있다� 예술가가 �부산의 어느 동네� 5곳에서 생활하며 낯선� 혹은 익숙한 도시 부산에서 받은 영감으 창작한 작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각 레지던시 공간이 지닌 개성과� 작가 작품으 새 운 부산을 느낄 수 있길 바란다�
부산자연예술인협회 2005년 설립된 부산자연예술인협회는 대중과 문화 사이의 매개공간 역할을 하고 현대미술의 저변확대를 이루고자 만들어졌다� 부산자연예술인협회의
비전을 openARTs라는 새 운 예술용어를 사용하여 현대예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시각예술에 머무르지 않고 실험음악� 퍼포먼스 아트 등 열린 예술� 다원 예술 확장하고 있다� 작품의 발표 공간 역시 정형화된 공간을 벗어나 도심의 주요거리� 자연환경을 배경으 공간을 확장하고 있다� 여러 장르의 실험적 예술의 결합을 시도하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문화공간으 대중에게 다가가고자 한다�
151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152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153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F1963에서의 마지막 퍼포먼스 전시 오픈 며칠 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일이라고는 도저히 믿어지지 않는 엄청난 사고가 일어났다� 10월 29일 이태원 참사였다� 158명이 대한민국 서울 한복판에서 압사당했다� 본 단체에서는 부산문화재단과 의논 끝에� 국가 애도기간에 퍼포먼스를 하는 것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판단을 했고 일정을 변경해서 11월 17일 퍼포먼스를 진행하였다� 퍼포먼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일 시 : 장 소 : 참여작가 : 2022년 11월 17일 17시 30분 F1963 석천홀 (부산광역시 수영구 구락로 123번길 20) 백보림, 이광혁, 손경대, 배시아, 성백, 이재웅, 이정민 154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이날 퍼포먼스에는 이광혁�사운드 퍼포먼스� 배시아�영상� 백보림�퍼포먼스� 이정민�퍼포먼스� 성백�퍼포먼스� 손경대�사진� 이재웅�영상기 � 등의 작가들과 함께 진행하였다� 이광혁 작가의 사운드 퍼포먼스 시작된 낮은 기계음이 전시장 전체를 천천히 채웠다� 이후 손경대 작가의 대형 현수막 작품 위 배시아 작가의 영상이 투영되었다� �침묵하는 지구� �고통받고 있는 지구�의 모습을 편집한 영상이었다� 이러한 연출 안에서 백보림 작가의 �혐오자연의 나열� 퍼포먼스가 모든 작가들의 작품 앞에서 천천히 진행되었다� 마치 처음부터 작품의 일부였던 것처럼 � 그러다 이정민 작가가 영상 앞으 등장하면서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을 온몸으 표현되었다� 그리고 그 몸짓이 끝날
포물선을
작품 위에 붉은 점을 남기고 스크린을 떨어뜨리며 퍼포먼스는 끝이 났다� 우리는 사진 ● 영상 설치 현장에서의 즉흥적인 사운드 및 육체 퍼포먼스를 통해 작가가 만든 작품들을 넘나들면서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그 �침묵의 아우성�의 끝은 지구상 마지막 멸종위기종이 인류가 될 수 있다는 암묵적인 경고였다� 155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무렵 붉은 물감이 묻어 있는 공이
그리며 영상 위 날아갔다� 몇 번의 던짐은 대형 스크린으 변한 사진
레지던스 작가 후기
류승옥
태풍으 쓰러진 거대한 철 의자와 함께 나의 부산 레지던스 생활은 시작되었다� 그 첫인상과 함께 사방으 둘러싸인 산들과 그 아래 위치한 마을을 산책하는 일상의 시간은 어떤 주제와 방향의 기반이 되었다� 공통적인 주제가 있었던 만큼� 깊은 생각 중 하나 전쟁으 인한 생존방식에 대하여 고민 중이었다� 어느 날� 매일 마주쳤던 온전한 철 조형물 의자가 넘어진 후 반으 처리된 철물을 보았을 때였다� 더 이상 조형물 의자 보이지 않는 철물 2개는 무엇인가� 사다리인가� 설 수 없는 쇠 막대기 조립인가� 그리고 바 그 질문은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의 주제의 하위개념으 작업을 끌어갈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동시에 내가 이곳을 선택한 이유와 생활 조건이 달라진 변화에 흥분되었다� 작업의 주제는 다양한 형태 있는 다양한 희망이었다� 조형물 철 의자의 존재는 하나에서 두 개 되었다� 아니 더 많아질 수 있다� 그 의자를 아는 사람들과 관계들의 수만큼 존재한다� 나 또한 서울과 다른 이 공간에서의 나의 존재는 내가 공동으 사용하는 이곳에서 알게 된 다른 작가님들의 수만큼 있는 것이다� 공동 스튜디오� 나의 방식대 그들과 함께 작업을 준비하고� 올리고� 대화하는 여러 명의 나 동시에 있는 것이다� 이 존재 방식은 철 의자 조형물의 생존방식과 나� 여러 명의 작가님들과 나� 그리고 레지던스를 진행하는 사람들과 나 등으 영향을 주고받는 상황이 되어갔다� 작품 진행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스튜디오는 출입문 벽과 마주하는 기다란 벽 전체가 유리 되었기에 날씨에 따라 변하고 있는 풍경은 파노라마처럼 움직이고 있었다� 그 유연하게 움직이는 나무들과 잎사귀들처럼 개인적인 작업도 진행되고 있었고� 가능하다면 협업하며 함께 흔들릴 수 있는 것이 있었으면 하는 또 다른 희망이 싹 트고 있었다� 작가노트 및 진행 과정은 작품이 완성될 때마다 바뀌고 있었다�
한 달 정도 지났을 때� 오픈아츠 프 젝트 리허설이 시작되었다� 기간은 열흘 동안 진행되었고 중간중간 발전� 성장 등을 위한 시간이었다� 설치는 과거 레지던스에 거주했던 작가님들의 작품과 함께 조화롭게 걸었다� 그리고 퍼포먼스는 오프닝과 클 징 때에는 비중이 높았던 경우 � 개인 공연을 비롯해 여러 아티스트들과 함께 연출한 공연으 이어졌다� 개인적으 한꺼번에 여러 사람들이 함께 공연하는 것을 본 것은 처음이었다� 관람 중간중간에 퍼포먼스 규모와 공간 그리고 카메라 장비들과 음악 등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공연 자체를 본다는 것은 관람자 좋은 경험이었다� 동시에 나는 여기에 무엇으 있는 것이고 어떤 이유 함께 있는 것일까�라는 질문이 올라오고 있었다� 오픈아츠란 관점으 보았을 때� 오프닝 때에는 긍정의 에너지 나는 그들과 �함께 있다� 는 마음으 보낼 수 있었지만� 클 징 때에는 좀 더 중요한 것이 따 있는 전시 형태 이해되었다� 각각의 레지던스가 갖고 있는 차별화된 성격으 이해하려고 노력 중이다� 오픈아츠 openARTs의 개념으 연대를 공고히 하는 그 착한 마음을 갖기에는 솔직히 질문이 남는다� 나는 다른 프 젝트 공간에 초대받은 한 사람으 있지 않았을까� 더불어� 의견을 내자면 퍼포먼스가 끝난 후 우리는 모였었다� 바 그 자리에서 참여했던 아티스트들과 함께 작품들에 대한 관심의 질문과 답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면 훨씬 더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시간이 되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레지던스 경험은 나의 작품표현 성장� 작품 의도 및 확장 등 두둑하게 넓어졌다� 함께한 작가님들과 레지던스 운영을 위해 매주 매번 다정하게 관심 써주신 분들에게 진심으 감사함을 표하고 싶다� Thank you! for everyone!
156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박시호
이제 와서 하는 이야기지만 사실 입주 일주일 전쯤에서야 레지던시의 위치를 알게 되었다�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이라는 주제만 보고 다른 어떤 조건도 확인하지 않은 채 덜컥 지원했었으니까� 꽃마을에 처음 찾아가던 날이 기억난다� 영도 뺨치게 가파른 오르막에��� �아니 여기 차가 들어갈 수가 있다고�� 싶은 골목골목을 우당탕탕 지났더니 부산 시내가 저으기 멀리 보이는 산자락에 레지던시가 반짝� 불을 밝히고 있었다�
재료 사용되는 이상 부산이라는 곳은 바다 쓰레기를 양껏 수집하기 더없이 좋은 환경이다� 아� 좋은 환경이라고 말하는 것이 이렇게 서글프다니�
레지던시의 묘미는 뭐니 뭐니 해도 다른 작가의 작업 과정을 �무료 � 관람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오픈 스튜디오가 레지던시 기간 내내 열리는 셈이다� 지구와 환경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이곳에 모인 작가들인 만큼 식단과 생활 습관에서도 일회용을 배제하려고 애쓰고� 먹거리를 사러 갈 때도 잠깐씩 걸음을 멈추고 고민하는 순간들이 있었다� 오픈아츠 레지던시의 특이한 점은 작업실이 작가들 개인마다 따 있는 게 아닌� 통창유리 밖의 전망이 보이는 탁 트인 한 공간에서 각자가 자신의 구획을 가지고 작업할 수 있는 것인데� �단점도 물론 있겠지만� 이 덕분에 서 가 시간이 맞을 때마다� 함께 음식을 나누며 날씨와 땅� 그리고 지구에 대해 자연스레 열띤 토론을 나눌 수 있었다�
3개월은 생각보다 짧았다� 여름에 만난 우리의 고민이 무르익기도 전에 어느덧 겨울이 성큼� 꽃마을까지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다음에 우리가 만날 때에는 부디� 부디� 이 땅의 아픔이 조금은 덜어져 있기를� 우리가 그 무언가 실낱같은 빌미라도 제공했었기를�
(여러 의미의) “와...........” 부산을 참 여러 번 왔고� 살아도 봤지만 이렇게 도심에서 멀리 떨어져 본 적이 있나 싶다� 저 멀리 아득하게 반짝이는 대교와 전조등을 밝힌 차들이 줄을 서서 움직이는 것이 꼭 남의 세상 이야기 같다� ‘작업하기 좋겠다’ 그리고 나의 작업이 바닷가에서 수집한 �인간이 만든� 폐기물들이
157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작가 후기
오픈아츠 레지던스에서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이라는 주제를 통해 예술가 서의 태도와 발언에 대해 많이 고민하게 되었다� �전쟁�� �기후위기� 등에 대해 머리 는 이해하고 분노한다� 그러나 내 삶 속에서 타인의 고통에 대해 마음으 진정성 있게 이야기하고 있는 것인가� 예술가와 운동가의 경계 사이에서 나는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런 질문들을 스스 에게 자꾸 던지며 사회적으 도움이 되는 예술의 목소리 들려주고 다듬어지길 바란다� 그리고 openARTs라는 개념으 전시와 공연이 진행되었다� 다원예술이라는 장르 경계의 모호함이 있다면 openARTs는 그 모든 가능성을 열고 더 자유롭게 장르 간을 넘나들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작가들의 세계관을 공유하고 새 운 표현과 감각들을 지켜볼 수 있다는 것은 언제나 흥미 운 일이다� 특히 함께 콜라보 작업을 한 시호작가님� Zaya작가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대한 생각들을 나눌 수 있고� 각자의 방식으 풀어낼 수 있어 나날들을 보다 솔직하게 마주할 수 있었다� 그렇기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분들을 만날 수 있음에 감사했고 무엇보다 직접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이 단연 최고라고 말하고 싶다� 서영 158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레지던스
배시아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 올해의 주제에 비슷한 관심을 두고 만난 여러 작가분들과 소통하며 작업에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정은형
부산 오픈아츠 레지던스가 이전에 경험했던 레지던스와 가장 차별화되었던 점은 주거 공간뿐만이 아니라 작업 공간도 다른 작가들과 함께 셰어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곳에는 세 아이의 엄마도 있었고� 대학을 갓 졸업해서 미래에 대한 고민이 많지만 똑 부러지게 자기 길을 헤쳐나가고 있는 친구도� 큰 아픔을 극복하는 과정 중에 있는 분도� 작업을 하기 위해서 일도 잠깐 쉬고 12시간을 넘게 타지에서 날아온 분도 있었습니다� 아쉽게도 저의 작업은 소음이 많고 더 큰 공간이 필요했기에 조각 스튜디오에서 홀 작업을 해야 했지만 그 이외의 시간은 최대한 다른 작가분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소통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레지던스를 시작하는 시간이 작가마다 달랐기에 이미 진행 중인 작업이 있었던 저는 온전히 협업에 많은 시간을 쏟지는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서 가 나누는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 서 에게 작업적으 많은 영향을 주고받음을 경험했고 그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협업�덩더꿍�이 이루어졌습니다� 함께 동고동락하면서 쌓인 서 에 대한 이해는 서 의 작업을 더 깊이 있고 진지하게 볼 수 있게 해 주었고 관계가 깊어졌을 때는 더 진솔한 피드백도 가능했습니다� 서 가 서 에게 듣기 좋은 말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작업에 있어서 아쉬운 점 또한 공유하면서 발전적인 의견을 나눌 수 있었습니다� 오픈아츠 레지던스에서 만난 인연들은 저의 민낯과 저의 �빵꾸�를 가감 없이 보여줄 수 있는 용기를 주었고 서 가 나눈 대화는 서 의 빵꾸를 메워주었습니다� 레지던스 작가분들의 예술에 대한 진심어린 마음과 그들과의 진솔한 관계는 앞으 제가 작가 생활을 하는 데에 있어서 힘들 때마다 쉬어가는 마음의 안식처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룹전을 하는 데에 있어서 �리허설�이라는 개념 또한 저에게는 굉장히 새롭게 다가왔습니다� 항상 그룹전을 할 때에 참여하는 작가들 간의 의견 교류나 관계 맺음이 있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남았는데 부산 오픈아츠 레지던스는 그 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주었습니다� 서 가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알았기에 작품 설치는 조금 더 수월하게 이뤄졌고 관객들은 완전히 완성된 전시를 보는 것이 아니라 전시 기간 동안 꾸준히 변화하는 고정되지 않은 전시를 본다는 컨셉이 흥미 웠습니다� 물론 전시 과정이 완전히 매끄러웠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퍼포먼스와 페인팅� 설치� 영상 등의 다양한 작업이 한 데 어우러져 있었기 때문에 퍼포먼스를 하는 동안 작업 간에 예기치 못한 흥미 운 영향을 주고받는 경우도 있었지만 가끔은 퍼포먼스 영상의 스크린이 다른 작품을 가리기도� 설치된 조각이 동선에 방해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아직 이 부분에 있어서는 고민하고 의논해야 할 부분이 남아있지만 리허설 전시는 작품이 어떻게 하면 서 를 잘 살릴 수 있는 방향으 전시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리허설 전시를 통해 �단체전에서 나는 내 작품만 신경을 쓰면 된다��는 이기적인 마음가짐을 되돌아보면서 �좋은 전시�가 되기 위해서는 서 의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심이 바탕이 될 때 �조화 운 전시�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159
레지던스 작가 후기
작업에만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았기에 이 시간들이 내게는 너무나 소중했다� 당장 눈에 보이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에 대한 강박을 내려놓고� 온전히 작업에만 몰두했다� 기존에 갖고 있던 한계들을 하나씩 쳐내려 가는 것부터 집중했다� 초반엔 스스 에게 계속 질문을 던지는 시간들이 대부분이었던 것 같다�
“나는 왜 돈도 안 되는 작업을 지속할까?”
“왜 이렇게 광적으로 동물만을 그려대는 것일까?”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작업행위의 목적이 무엇인가?”
끝도 없는 질문과 해결되지 않는 의문들에 머리는 더욱더 복잡해져 갔지만 조바심이 들지는 않았다� 단지 어렵다고 외면하지 않기만을 바랐다� 계속해서 스스 의 작업과 삶에 대해 의심하고� 질문하며 끊임없이 성장해나갈 수 있는 내가 되길 간절히 바란다� 그동안 레지던스는 작가의 CV를 채우기 위한 수단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직접 레지던스를 경험해 보니� 작가들을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직업에 비해 작가는 쓰는 시간만큼의 돈을 벌기가 어렵다� 타자의 시선으 보았을 땐� 즉각적인 결과가 없으니 비생산적인 행위 보이기도 할 것이다� 계속 작업실에 박혀 아무것도 안 하는� 속 편한 사람으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평온해 보이는 작업실은 그 어느 곳보다도 치열하다� 모든 걸 걸고 몰두하는 행위이기에 다른 어떠한 지원도 없이 작업을 지속한다는 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런 작가들이 온전히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도 가장 현실적인 지원을 해주는 제도가 레지던스라는 것을 이번 기회에 크게 배워간다� 이런 작가지원 프 젝트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고 부산국제 오픈아츠 레지던스가 더 오래도 활성화되어 많은 작가들이 지지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3개월이라는 시간을 돌이켜보면� 큐레이터 선생님들 부터 더 많은 작업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압박이나 강요가 없었기에 온전히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 부분에 정말 큰 감사함을 느낀다�
160
조구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Enkhzaya Erdenebileg �Mongolia�
I am pleased to be the frst Mongolian artist to participate in the OpenArts residency program� From September 16th to October 23rd� I worked and resided at the ArtistInNature studio with other artists from the program� I loved that the OpenArts program allowed artists to work on their own schedule and plan their time� We were also encouraged to collaborate and create with other artists� which was a com pletely new experience for me� During this period� I devel oped 2 performances together with 2 Korean artists� and their creative and bold approach should be mentioned here� In this residency program� it was not only very interesting that artists who create works of many diferent genres worked together� but it was also very interesting to closely observe the development and working process of their works� I fully believe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my future care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nth spent in Busan� I think it was an extraordinary time rich in new experiences� I am extremely happy to hav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me� To meet new people and the art they create� As a painter I was able to experience working with and talking to performance artists and observe their work� It was an extremely impor tant experience for me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an art project on Sinan island� where I was able to be part of a performance prepared together with other artists� I also found the city of Busan interesting� where I had the opportu nity to visit museums in my free time and learn about contemporary art in Korea� but also about the traditions and history of the city� The wide range of possibilities ofered by the diverse museums and galleries in Busan will be a source of future inspiration for me� I believe that the artists� presentations of their own work and the opportunity to present myself at the �Artist talk� in the �MERGE�� space helped us to prepare a joint exhibition in which I hope we understand each other� I hope that the next exhibition in November will be equally interesting� I am extremely satisfed with the time I have spent here� it has been rich in new experiences that will bear fruit in the future� It has been a very creative time for me and I feel as if I have recharged my batteries here for further creative work�
161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Iwa Kruczkowska�Krol �Poland�
특히 해외 작가들의 경우는 작품을 공간에 두고 출국을 하기에
위치 선정이 쉽지가 않았다� 그리고 부산에서 상징성이 있는 F1963이라는 장소에서 타 단체 작가들과 함께 같은 공간에서 전시가 진행
다른 작가들의 설치를 돕는 작가들의 노력 덕분에 전시는 잘 마무리되었다� 작가의 창작활동에 있어 철학적 접근과 작품의 물리적 완성도는 중요하다� 하지만 주변의 환경들과 상호관계를 통해 서 가 발전하는 것이다� 이런 경험들이 쌓여 좀 더 성숙한 작가 발전하리라 믿는다� 본 프 젝트와 레지던스에 참여한 작가들이 자신의 프 필에 한 줄의 경력으 만 남는 것이 아니라� 한 단계 성장하고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기를 희망한다� 레지던스를 마무리 하며 성백 �부산자연예술인협회 대표� 162 2022 International openARTs Residence in BUSAN
작가들과 마지막 성과보고전이 부산문화재단의 기획으 F1963에서 11월 5 일부터 20일까지 열렸다� 작가들은 이미 오픈아츠 스페이스 머지에서 한 번의 전시와 두 번의 오픈리허설과 메인이벤트 행사에서 퍼포먼스를 진행하였다� 그렇기에 F1963에서의 전시는 본 단체의 입장에서 레지던스 작가뿐만 아니라 그동안 프 젝트에 참여했던 작가들의 작품들을 전시하여 �openARTs�의 특징과 단체가 �침묵하는 지구의 아우성�이라는 주제 어떤 프 젝트들을 해 왔는지 한눈에 볼 수 있도 전시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넓은 전시장에서 작가들의 작품이 하나하나 돋보이게 하면서도 전시 주제가 드러나게 만드는 것은 쉽지는 않았다�
작품 설치를 위한
되다 보니 작가들이 많이 긴장한 것 같았다� 그러나 차분하게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자신의 작품 설치뿐만 아니라
163 침묵하는지구의아우성
초판 1쇄 발행ᅵ 발행인ᅵ 디자인·편집ᅵ 펴낸곳ᅵ 주소ᅵ 큐레이터ᅵ 사진ᅵ 영상ᅵ 전화ᅵ 팩스ᅵ E-mailᅵ 공식 블로그ᅵ ISBNᅵ
2022년 12월 30일 성백(부산자연예술인협회) 이용관 openARTs MERGE(오픈아츠머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50번길 49 이현주, 박서희 손경대, 이현주 이재웅, 배시아 051-527-8196 0504-372-5302 artinnature@naver.com https://blog.naver.com/artinnature 979-11-980071-3-1
본 도록에 실린 글과 사진은 ‘부산자연예술인협회’의 동의 없이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No parts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or transmitted in any forms by any manners without prior written permission from ‘Busan Nature Artist Association’.
본 사업은 2022년 부산광역시,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예술지원사업>으로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