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고지 마을 역사 사진전

Page 1

평화로 만나는 우리마을 이야기

60년대 밤고지 마을 풍경


들어가며 평화도서관이 위치한 파주 파평면 두포리는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과 유엔군의 치열한 전투가 있었던 격전지였 다. 작년, 마을연구사업이었던 ‘우리 마을 전쟁의 상흔, 평화로 풀다’에서 적군묘지, 칠중성, 영국군 추모공원 등 을 답사해 전쟁의 상흔을 품은 지역을 돌아본 것도 이 지역의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 저번 사업에서 여러 마을 을 다니며 큰 맥락을 잡았다면, 이번 사업에서는 좀 더 좁은 단위의 마을에 집중해보려 한다. 한국전쟁 직후부터, 파평면 밤고지(밤꼬지/방고지) 마을에는 미군부대가 주둔하기 시작했다. 조용했던 시골 마 을이 시끄럽고 복잡한 도시로 변했고, 더불어 마을사람들의 삶도 달라졌다. 미군들이 드나드는 상점과 술집이 생겼고 400~500명의 근무자가 몰려들었다. 아이들도 넘쳐나 초등학교에서는 2부제로 수업을 했고, 교회와 약 국, 양복점, 상회가 생겼다. 거의 모든 주민들이 미군부대와 공존하거나 의존해 살아갔던 마을... 1974년 미군부 대가 철수한 이후, 그때의 풍경과 흔적은 거의 사라지고, 그 시절은 사람들의 기억 속, 가슴 한 구석에 박혀 있 다. 직접 사람들을 만나 증언을 듣는다. 당시에 찍었던 사진이나 기록들을 함께 공유한다. 이런 것들을 종합해 ‘마을 현대사 지도’를 만든다. 당시 미군부대에 근무했던 국내최초 8인치 포 엔지니어 이야기,

마을의 온갖 일을 도맡았던 마을 이장 이야

기, 미군부대와 민간인들의 소통 창구였던 한미친선회 이야기, 옆집 동생 흑인 아이와 학교 다닌 이야기 등 울 고 웃었던 아프기도 했던 과거의 파편적인 기억을 모아보는 활동은, 개인과 마을 차원에서 소중한 경험이 될 것이다. 마을의 이야기는 사람들의 이야기의 총체일 것이다. 한국전쟁과 미군부대 주둔 시기를 겪어낸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직접 듣고 사진 자료와 더불어 그 시대의 마을 주민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마을지도를 재 현해보았다.


Ⅰ. 1960년대 밤고지 주변 미군부대 분포

밤고지 지역은 포병 계곡(Artillery Valley)으로 표시되어 있다. 지도 출처: `Camp Sill.` Korea Camps. n.p., n.d. Web. 13 November 2016.


Ⅱ. 1960년대 밤고지 내 미군부대 위치

현 한국군부대 위치에 Camp Brittin, Camp Kensington, Camp McIntyre가 표시되어있다. 지도 출처: `Camp Brittin.` Korea Camps. n.p., n.d. Web. 13 November 2016.


Ⅲ. 미군 캠프 브리틴(Camp Brittin)

Camp Brittin의 뒤쪽으로 밤고지의 모습이 보인다. 산 아래 지금은 사라진 많은 집들이 있다. 사진출처: `Camp Saber Korea.` Bruce Richards's Web Page. n.p., n.d. Web. 14 November 2016.


Ⅳ. 미군 캠프 매킨타이어(Camp McIntyre)

1960년대 후반 Camp McIntyre 사진출처: `Camp McIntyre Korea.` Bruce Richards's Web Page. n.p., n.d. Web. 13 November 2016.


Ⅴ. 미군 캠프 에덴 앨런(Camp Ethan Allen)

Camp Ethan Allen 사인 앞에 서있는 미군들 `Camp Ethan Allen Signs.` Korea Camps. n.p., n.d. Web. 17 November 2016.


Ⅵ. 미군 캠프 세이버(Camp Saber)

1960년대 밤고지 Camp Saber 내의 NCO/EM 클럽. 왼쪽으로 지금의 새마을이 있고, 상단의 다리 앞이 지금의 두포리 마을회관. 사진출처: `Camp Saber Korea.` Bruce Richards's Web Page. n.p., n.d. Web. 14 November 2016.


Ⅶ. 한미친선회 사람들 1

한미친선회 중인 김남열(왼쪽에서 두 번째)씨와 故 안인호(왼쪽에서 세 번째)씨.

사진제공: 안종수

미군과 밤고지 주민 모습.


Ⅷ. 한미친선회 사람들 2

미군과 토의 중인 주민들.

미군들과 함께있는 故 안인호(뒤쪽 왼쪽에서 두

마을길을 걷고 있는

번째)씨와 정면장님(앞 줄 오른쪽), 그 옆 통역관이 함께

미군과 주민.

마을 일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 안종수


Ⅸ. 파평교회 사람들

신축 전 예배당 앞에 모인 파평교회

교회 언덕 아래 교인들 뒤쪽에 신축된 교회와 사택이 보인다

사진제공: 이순자, 이호영

앞마당에서 행사 중인 파평교회


Ⅹ. 빨래터 아낙네들

사진출처: `Camp McIntyre Korea.` Bruce Richards's Web Page. n.p., n.d. Web. 13 November 2016.


Ⅺ. 밤고지 아이들

1960년대 밤고지의 아이들

1960년대 파평초등학교 소풍에서 찍은 단체사진

임용석씨(왼쪽 첫 번째)의 파평초등학교 졸업식

1960년대 후반 Camp McIntyre 인근 마을 아이들.

사진제공: 임용석, 안종수


XIII. 밤고지 시설들 2

. 1960년대 말 스윙 클럽(Swing Club).

1960년대 용주골 부근의 미군 클럽 내부.

사진출처: `Camp McIntyre Korea.` Bruce Richards's Web Page. n.p., n.d. Web. 13 November 2016.


Ⅻ. 밤고지 시설들 1

1960년대 말 세븐 클럽(Seven Club) 사진출처: `Camp McIntyre Korea.` Bruce Richards's Web Page. n.p., n.d. Web. 13 November 2016.


XIV. 밤고지 시설들 3

마산리 평촌상회 앞 안종수씨의 어머니(왼쪽)

두포리 오복약포

마산리 사진관 앞 고급자동차

미군의 도움으로 지어진 파평교회 예배당

사진제공: 안종수, 이순자


XV. 이웃마을 풍경

1960년대 용주골 기지촌의 미군과 성노동 판매 여성들 양색시 혹은 양공주라 불렸다

1960년대 용주골 부근의 성노동 판매 여성들

1960년대 용주골의 유바이로 추정되는 여자들 1960년대 용주골 부근에서 찍힌 미군과 여성

미군부대 철조망 사이로 물건을 받아 파는 사람을 ‘유바이(You buy?)’라 불렀다

사진출처: `Misc Pictures near the DMZ 2.` Bruce Richards's Web Page. n.p., n.d. Web. 15 November 2016.


XVI. 밤고지 일상

산에서 내려오는 주민들

지게를 지고 가는 주민

사진제공: 안종수


XVII. 마산리교

1960년대 말 마산리 평촌상회 앞 다리. 사진출처: `Camp McIntyre Korea.` Bruce Richards's Web Page. n.p., n.d. Web. 13 November 2016.


XVIII. 마산리교 원경

1960년대 마산리 평촌상회 앞 다리 사진출처: `Camp Saber Korea.` Bruce Richards's Web Page. n.p., n.d. Web. 14 November 2016.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