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EBRATING THE BEAUTY OF MARRIAGE
아세안문화원 개원기념 기획특별전
화혼지정(華婚之情)
- 결혼문화를 통해 바라본 아세안 Inaugural Exhibition of the ASEAN Culture House
Celebrating the Beauty of Marriage
- ASEAN seen through Wedding Traditions and Cultures
미얀마연방공화국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and Culture 필리핀공화국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싱가포르 공화국 The Republic of Singapor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ingapore Tourism Board 타이왕국 The Kingdom of Thailand 이 전시는 아세안 10개국의 대사관, 정부 및 여러 기관의 협조로 이루어졌습니다.
This exhibition was made possible by the generous support and contributions from the embassies and governments of the 10 ASEAN Member States. 브루나이 다루살람 Brunei Darussalam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Ministry of Culture, Youth and Sports 캄보디아 왕국 The Kingdom of Cambodi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Ministry of Culture and Fine Arts
인도네시아 공화국 The Republic of Indonesi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Ministry of Tourism
Provincial Government of Yogyakarta Bali, Jakarta and North Sumatra 라오인민민주공화국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Information, Culture and Tourism 말레이시아 Malaysi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Malaysia
Ministry of Tourism and Culture of Malaysi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Culture
Tourism Authority of Thailand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후원 Support 그 밖에 본 전시에 도움을 준 국내 기관
국립민속박물관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국립한글박물관 (National Hangeul Museum)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International Information and Networking Centre for Intangible Culture Heritage in the Asia-Pacific Region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한국외국어대학교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부산외국어대학교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아세안 ASEAN
⑥
④
⑨
②
⑧
⑩
⑦ ⑤
① ③
① 브루나이 다루살람 Brunei Darussalam
② 캄보디아 왕국 The Kingdom of Cambodia
③ 인도네시아 공화국 The Republic of Indonesia
④ 라오인민민주공화국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⑤ 말레이시아 Malaysia
⑥ 미얀마연방공화국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⑦ 필리핀공화국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⑧ 싱가포르 공화국 The Republic of Singapore
⑨ 타이왕국 The Kingdom of Thailand
⑩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
차례 Contents
인사말 Foreword
기획의 글 Curator's note
혼담 Hon-dam: The Narraitve of Marriage
Please Note 1. 이 인쇄물은 아세안문화원에서 개최한〈화혼지정-결혼문화를 통해 바라본 아세 안〉 의 전시 도록이다.
This publication is the catalogue for the exhibition titled Celebrating
the Beauty of Marriage - ASEAN seen through Wedding Traditions and
Cultures.
2. 본 전시의 공식 명칭은〈화혼지정(華婚之情)- 결혼문화를 통해 바라본 아세안〉 이며, 본문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경우〈화혼지정〉 으로 줄여 표기하였다.
Celebrating the Beauty of Marriage - ASEAN Seen Through Wedding
Traditions and Cultures is the official title of this exhibition, and is
referred to as Celebrating the Beauty of Marriage throughout the catalogue as when repeated.
3. 국가명 표기의 경우 국문은 약식으로(예:한국), 영문은 공식 국가명으로 (예:Republic of Korea) 표기하였다. 도록에 수록된 국가의 순서는 공식 국가명의 알파벳 순으로 했다.
The name of countries are written in Korean, as they are commonly referred to (eg. 한국) and in English, by their official names (eg. Republic of Korea). The countries are featured in alphabetical order.
4. 협력 작업은 아세안 10개국에서 기증한 유물 이외에 국내외 작가의 작품, 공공과 민간 영역에서 도움받은 자료 기증과 대여를 바탕으로 구성된 창작 작업을 이른다.
Collaborative works include those created by artists from Korea and
abroad, creative works based on the material donated or lent by the public entities, and private individuals, other than the donated objects from the 10 ASEAN countries.
10
12
20
혼례 Hol-lyeh: The Ritual of Marriage
42
기고문 Contributor's Writing
150
혼인 Hon-in: The Relationship of Marriage
일러두기
부록 Appendix
114
184
서문
아세안문화원의 첫 번째 기획전인 〈화혼지정(華婚之情) - 결혼문화를 통해 바라본 아세안〉 의
도록 발간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은 1991년 설립 이래 문화예술교류, 해외
한국학 진흥, 인사초청 및 해외정책연구지원 등을 수행하는 공공외교 전담기관으로서 세계인들이 대한민국을 바로 알고 우리의 친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왔습니다.
아세안문화원은 2014년 부산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2017년 9월 1일
Foreword
I am thrilled to see the publication of the catalogue of the first special exhibition held at the
ASEAN Culture House titled Celebrating the Beauty of Marriage – ASEAN seen through Wedding
Traditions and Cultures .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91, the Korea Foundation has been committed to promoting Korean culture around the world, developing friendships between the peoples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through cultural exchanges, support for Korean studies and policy-
oriented research on Korea at overseas institutions, as well as people-to-people exchange activities.
개원하였고,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운영을 맡게 되었습니다. 아세안문화원은 우리 국민의 아세안에
The ASEAN Culture House, as one of the key outcomes of the 2014 ASEAN-ROK Commemorative
문화〮학술교류 플랫폼의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
will strive to become a lively platform to enhance Koreans’ understanding of the cultures and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한국과 아세안 회원국 간의 우호친선 증진에 기여하는 쌍방향 국제 아세안의 결혼 문화를 소개하는 〈화혼지정〉전시는 2017년 한-아세안 문화교류의 해 및
아세안문화원 개원을 축하하기 위해 지난 9월부터 12월까지 전시되었으며, 2018년 2월부터는
Summit held in Busan, Korea, had its grand opening on September 1, 2017, with the Korea
Foundation awarded the honor of operating this prestigious institution. The ASEAN Culture House societies of ASEAN, while promoting mutual awareness and friendship between the peoples of ASEAN and Korea by fostering cultural and academic exchanges.
The Celebrating the Beauty of Marriage exhibition, which introduces the wedding cultures of the
서울 KF갤러리에서 순회 전시됩니다. 한국 최초로 한 자리에 모인 아세안 회원국들의 전통
ten ASEAN Member States, was presented at the ASEAN Culture House in Busan from September
수 있기를 바랍니다.
ROK Cultural Exchange Year. From February 2018, it will also be showcased at the KF Gallery in
혼례복과 장신구, 결혼과 관련한 물품 등을 통해 아세안 각 국 문화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느낄 이번 전시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하여 전시품을 기증해 주신 아세안 회원국 관계자들의 협조에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한국과 아세안의 문화예술교류가 한층 더 활발해지기를 기대합니다.
to December, 2017 to celebrate the inauguration of the ASEAN Culture House as well as the ASEANSeoul. Unprecedented in Korea, the exhibition presents traditional wedding attires, jewelry, and
ceremonial objects from all ten ASEAN Member States. I hope this show will provide viewers with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beauty and diversity of ASEAN culture.
I would like to extend my deepest gratitude to all ASEAN Member States for their cooperation and generous donations to our splendid exhibitions, as well as everyone who has worked tirelessly to make this exhibition a success. Furthermore, I hope that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이시형
the ten ASEAN Member States will become even livelier going forward.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Sihyung Lee President
The Korea Foundation
10
11
기획의 글
Curator’s Note
조주리 | 객원 큐레이터
Juri Cho | Guest Curator
화혼의 길: 새벽 어스름에서 황혼까지
The Road to Hwa Hon: From Dawn till Dusk
2017년 아세안문화원의 개관을 알리는 전시로 마련된 기획전〈화혼지정(華婚之情) - 결혼문화를
통해 바라본 아세안〉 은 아세안 회원 국가의 ‘혼례문화’를 그 첫번째 화두로 꺼냈습니다. 혼례라는 인류보편의 제도에서 파생된 각국의 문화인류학적 특수성과 현재적 의미를 성찰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본 전시는 혼례의 역사성과 특수성을 시각화하는 데서 나아가 문화 간의 섞임과 스밈이 그 어느 때보다 역동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오늘날 아세안 공동체의 다양한 삶의 모습과 문화적 연결망을 종횡으로 직조하여 보여줄 것을 제안합니다.
전시에서 명명하는 ‘화혼’이란 타인의 결혼을 아름답게 높여 칭하는 말로, 이는 서로 다른 가치를 지닌 이들이 사랑하며 쌓아나간 신뢰를 바탕으로 불투명한 미래를 담보하고, 공동체 안에서의
혼인 의식을 행함으로써 공인된 가정을 일구어 나가는 삶의 책임감과 무게에 대한 수사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개인 간의 우연한 만남이 화혼으로 이행하는 과정은 의례나 제도 차원에만
머물지 않으며, 의미 있는 순간들을 함께 만들어 나가는 생의 경험 속에서 완성되어 나갑니다.
이를테면, 새벽녘 어스름을 뚫고 미지의 길을 나선 소년 소녀가 나이들어감에 따라 성인이 되고,
단단해져 가는 인간적인 분투와 화해의 과정이기도 합니다. 전시의 출발은 분명 푸른 빛 속에 잠긴 새벽 같았지만, 저 멀리 보일 듯한 붉은 황혼을 좇아가며 거리를 좁히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혼례’라는 주제는 탈 민족, 탈 국가적 보편성을 아우르면서도 저마다의 민속과 의례에 내재된
특수성의 서사가 교차하기에 우리에게 새로운 역사문화적 탐구의 좌표들을 제시합니다. 드넓게 펼쳐진 미완의 좌표들 위에서, 이번 전시는 아세안 결혼 문화의 다채로움 속에 깃든 일상성과 이질적 모습들이 보편의 가치로 수렴되도록 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순환의 구도: 혼례의 서사와 의례, 다시 사람들의 이야기로
전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개념화되어 구성되었습니다. 결혼에 대한 집단 서사와 개인의 기록들,
12
The exhibition, Celebrating the Beauty of Marriage – ASEAN seen through Wedding Traditions and
Cultures is held to celebrate the inauguration of the ASEAN Culture House in Busan, Korea. The
show is a display of the wedding cultures of the ASEAN countries, which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diverse cultural-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t-day significances of
a universal system. This exhibition not only aims to visually showcas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lifestyles, and the cultural networking of the ASEAN countries in today’s world, where different cultures are being blended and merged together more than ever before.
The term “화혼” (華婚, Hwa-hon) which is a part of the Korean title of the exhibition is an honorific
expression of another couple’s beautiful marriage. It also signifies the responsibility and the weight of the life of two people who hold different values building trust based on their love for each
other, promising an undetermined future together, and to carry out an official ceremony among their community members to tie the knot. A serendipitous encounter between two strangers
developing into a hwa-hon does not remain as part of institution, but grows to be completed in
life, pieced together with meaningful moments, just like a boy and a girl maturing into adulthood as they travel along an unknown journey through twilight. It is a human story of conflict and
reconciliation. The start of the exhibition is shrouded in the cold dawn light, but progresses as it follows a just visible warm sunset in the distance.
The theme of wedding encompasses universality that transcends race and national borders. It
also holds the unique narratives that are embedded in each of the peoples and their etiquettes.
Therefore, the theme serves as a proposal of new indexes for historical-cultural exploration. This exhibition will be an invaluable starting point for bringing together the universal values that can be found among the diverse and different wedding cultures of ASEAN.
The Cycle of Narrative and Ceremony of Matrimony, and Stories of the People
The exhibition is divided into three main concepts: the compilation of stories on weddings; marital objects that reflect the regional tales and traditions; and stories of people, not from the “good old days” but those who are living and breathing here and now. Stories big and small intertwine as
13
민족 설화와 지역의 풍습이 특정한 형태로 나타난 혼례의 증거와 담지체들, 마지막으로 ‘그때
그곳’이 아닌 ‘지금 이곳’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적 이야기로 귀환하게 됩니다. 그 안에서 큰 이야기와 작은 이야기가 교차하고, 과거의 유물과 현재의 해석이 담긴 작업들이 어우러집니다.
전자가 흔히 고정된 실체라고 인식된다면, 후자는 그것들을 바라보는 시선과 해석, 즉 변화가능한 창작-지식지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교차, 순환의 구도 안에서 혼례를 둘러싼 개인과 집단의 기록, 역사적 유물, 생활사에 대한 예술적 접근을 통해 개인의 삶과 집단의 문화를 새롭게 구성하고 확장하여 결혼의 순간 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전개되는 찬란한 삶의 순간들을 전시의 풍경 안에서 비추고자 합니다.
〈화혼지정〉 의 도입에 해당하는 ‘혼담’ 婚談 섹션에서는 결혼과 관련된 개인과 집단의 서사를 통해 전시의 포문을 엽니다. 혼례를 결정 짓는 과정에서 양측을 이어주는 비밀스러운 언어
안에 저마다의 문화적 원형과 지역 특수성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전시에서는 혼례를 둘러싼 기록 문화를 그대로 재현하는 것 보다는, 각각의 상징적 언어들이 발화되면서 표출되는
독특한 심상들에 주목하였고, 궁극적으로는 그 이질성들이 합류하는 집단 서사의 보편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수집된 고전적 문장들, 혼례 문서, 사적 기록들을 병치시켰습니다. 그리고 동시대적 감수성으로 혼례의 언어들을 독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 하였습니다.
전시의 중추적 무대를 열어나가는 두 번째 섹션 ‘혼례’ 婚禮 에서는 일생의례 중에서도 정수에
해당하는 혼례의 특별한 순간들을 포착하고자 하였습니다. 각 국가의 공예전통과 민속적 미감이 응축된 혼례 복식과 다채로운 혼례 상징물, 장신구, 의례 용품들이 한데 어우러져 소개됩니다.
아세안 10개국의 적극적 기증과 대여를 통해 한 곳에 모인, 총 300여 점 이상의 방대한 유물들은 개별체로써, 때로는 집합을 구성하면서 진귀한 시각성을 구축하게 됩니다. 혼례 유물 컬렉션
이외에도 설명을 돕기 위한 텍스트와 사운드, 영상 자료가 어우러지면서 아세안 혼례 문화의 지형 전반을 현대적인 방식으로 풀어냅니다.
마지막 섹션인 ‘혼인’ 婚姻 은 결혼에 대한 보다 내밀하고 특수한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구성됩니다.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는 개인들의 만남과 화합,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삶, 이주와 정주에 대한 이야기가 결혼을 중심으로 사방 교직됩니다. 비로소, ‘결혼’의 의미는 의례와
전통으로부터 확장되어 그 이후에 펼쳐지는 특정한 삶의 순간들로, 열린 결말의 프레임으로
the relics of the past and their modern takes are displayed together. If the former is seen as the
constant, then the latter is the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e variable creative knowledge.
In this cyclical and intersecting composition, the personal lives and collective culture is newly structured and expanded through the various records on weddings, historical artefacts, and
an artistic approach to everyday life, to thereby highlight life’s splendid moments within the exhibition space.
Hon-dam: The Narrative of Marriage
The exhibition opens with a section called Hon-dam, which focuses on the personal and
collective narrative on the wedding. Unique cultural archetypes are embedded in the secretive
language that is used to bridge two families together in the process of matchmaking. The focus
here are the peculiar mental images that are conjured when symbolic rhetoric is uttered, rather than reproducing the culture of recording matrimony. Ultimately, the goal is to highlight the
universality of the collective narrative that is derived from the congregated peculiarities. Classic sentences gathered through various channels, marriage documents, and personal records are displayed together in a way that allow the viewers to interpret the marriage vernacular with modern sensibilities.
Hol-lyeh: The Ritual of Marriage
The second, and main section called Hol-lyeh aims to capture the most special of special moments in life: the wedding. More than 300 items such as wedding attire that is the epitome of traditional craftsmanship and folk aesthetics, and an assortment of personal ornaments, and ceremonial
objects are on display, courtesy of the 10 ASEAN countries’ generous donations and loans. This
large collection of artefacts is a visual panoply each on their own, but also in groups. Text, sound, and video materials further aid in exploring the ASEAN wedding culture landscape in a modern light.
Hon-in: The Relationship of Marriage
The last section titled Hon-in delves deeper into the stories of marriage. Tales of meeting and coming together, creating a life within a community that passes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emigration, and settlement are weaved together, with the wedding and marriage at its center. The meaning of matrimony now expands from tradition and ceremony to the important moments in life, to a frame with an open ending. Such stories provide the viewers with the
opportunity to further ponder on the mobility of life within the ASEAN community, and the cultural changes.
이동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결혼을 통해 가시화된 아세안 공동체 내 삶의 모빌리티와 문화적
14
15
변곡점들에 대해서 성찰할 수 있는 지점들을 마련하였습니다.
과정 속의 전시, 열린 질문들과 미완의 대답들
전시에 초대된 기획자로서 전시를 만들어 감에 있어, 몇 가지 단순한 원칙을 가지고 준비했습니다. 기법을 과시하고 지식을 나열하기보다는 마지막까지 호기심을 유지하면서, 연구하는 데 가장 많은 시간을 쏟자는 것이 첫째였습니다. 둘째, 각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획정하고 차이점을 두드러지게 하기 보다는, 이방인의 시선에서 각 국가와 민족, 커뮤니티가 연결되는 지점을 추적하고자 했습니다. 그 방대한 지형도는 미처 완성되지 못했지만, 미완의 시간들이 못내
즐거웠습니다. 그래서 이번 전시는 한 지붕 안에 모여 있는 가정, 여느 동네의 풍경처럼 시각화
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높은 가림막과 좌대, 차단 시설은 가능한 없앴고, 어느 방향에서건 관람이 가능하도록 개방적인 공간을 연출했습니다. 그래서 경계 침범에 대한 긴장감 보다는 상호 존중과 어울림이 공간 안에서 지배적인 가치로 작동합니다. 끝으로, 의례를 특정한 순간들을 그대로
포착하고 재현함으로써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그저 이국적인 풍경으로 대상화하고자 하는 것을
Exhibition of Process, Open Questions and Incomplete Answers
I kept a handful of key principles the entire journey. The first was to spend much of the time studying, and to remain curious till the end, rather than focusing on enumerating the facts
with elaborate exhibition techniques. The second was to trace the connections between the
countries, races, and communities from a foreigner’s standpoint, rather than to trace the borders, and highlight the differences. The vast map is still incomplete, but the process was exciting
nonetheless. The goal was to present this exhibition much like a family under one roof, or a
neighborhood. Tall pedestals, and walls are eliminated as much as possible, aiming for an open
space, where the viewers can enjoy all the exhibits, from everywhere in the hall. The main drivers of this show are harmony and respect, rather than the tension along the boundaries.
Lastly, I aimed to refrain from objectifying the unique traditions and cultures as exotic, by
capturing and reproducing certain moments. I was committed to accepting the fact that there
existed a gap and a lack of understanding between Koreans and the people of ASEAN; to imagine the rich history rooted in the artefacts, in our own grammar; and to look closely at the smallest
clues. There are many mysteries yet to be solved. I look forward to more ideas being exchanged, and more information being collected during and after the exhibition.
가능한 피하고자 했습니다.
I would like to extend my gratitude to all the cooperating institutions, who gladly shared their
얼마 만큼은 그 동안 우리와 아세안 국가 사이에 존재해 온 서로의 거리감과 몰이해를 인정하고,
people pooled their talent and energy into this project,from writing a wonderful poem, working
지금의 시선으로, 우리의 언어로서 하나의 유물 안에 서려있는 장구한 역사적 서사를 상상하고, 미약한 단서라도 흥미롭게 들여다 보려고 했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수수께끼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전시가 시작된 후, 혹은 끝난 후 비로소 더욱 활발한 의견 교환과 자료 수집이 이뤄지기를 기대합니다.
준비 과정에서 축적된 지식을 아낌없이 나누어준 협력 기관들에 감사드리고, 통찰력 있게 아세안 문화를 바라보고, 각자의 언어와 형식으로 우리 앞에 서 있는 이국의 물품과 의례를 번역해준
knowledge and wisdom, and all the creators who took the unfamiliar wedding objects and
ceremonies that are showcased in front of us today, and put their own spin on them. So many
at a loom every day for four months, to developing a media program that searches and displays wedding images from the ten countries in real time—true to form of an artist based in an IT
powerhouse country; graphic artists interpreting the ten proverbs and phrases related to marriage using their own aesthetic language. With the cooperation of the ASEAN Culture House, my fellow curator, and researchers worked tirelessly and spiritedly to tailor and rediscover the immense
amount of information. I truly hope that you can feel the harmony resonating from the beautiful donated artefacts, and to also discover the effort dispersed around the objects themselves.
창작자들에게 고맙습니다. 이 전시를 위해 누군가는 시를 썼고, 넉달 여 동안 매일 베틀을 짰고, IT 강국답게 동남아 혼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검색, 중계해주는 미디어 프로그램을 개발했고,
그래픽 아티스트는 혼례와 관련된 10개국의 격언과 속담을 독창적인 조형 언어로 풀어 냈습니다. 아세안문화원의 협력 아래, 현장의 동료 기획자와 연구자들은 방대한 정보를 알맞은 크기로
가공하고, 새롭게 발굴하고자 즐겁게 일했습니다. 각국에서 기증해주신 아름다운 유물들의 성좌 속에 흩어진 소박한 노력과 지금 여기, 한 자리에모여 발광하는 유물들끼리의 상호 어울림을 발견해 주시기를 소망합니다.
16
17
혼담 婚談 〈화혼지정〉 의 도입에 해당하는 ‘혼담’ 섹션에서는 결혼과 관련된
개인과 집단의 서사를 통해 전시의 포문을 연다. 혼례를 결정 짓는
과정에서 양측을 이어주는 비밀스러운 언어 안에 저마다의 문화적
원형과 지역 특수성이 내재되곤 한다. 전시에서는 혼례를 둘러싼 기록 문화를 그대로 재현하는 것 보다는, 각각의 상징적 언어들이 발화되며 표출되는 독특한 심상들에 주목하고, 궁극적으로는 그 이질성들이
합류하는 집단 서사의 보편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수집된 고전적 문장들, 혼례 문서, 사적 기록들이 병치된다. 그리고 이 혼례의 언어들은 동시대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시각화된다.
HON-DAM: THE NARRATIVE OF MARRIAGE The exhibition opens with a section called Hon-dam, which focuses on the personal and collective narrative on the wedding. Unique cultural archetypes are embedded in
the secretive language that is used to bridge two families
together in the process of matchmaking. The peculiar mental
images that are conjured when symbolic rhetoric is uttered is the focus, rather than reproducing the record taking culture related to weddings. Ultimately, the goal is to highlight the
universality of the collective narrative that is derived from the
congregated peculiarities. Classic sentences gathered through various channels, marriage documents, and personal records are displayed together in a way that allow the viewers to
interpret the marriage vernacular with modern sensibilities.
전시 물품
Items on display
혼인서약서와 증서, 개인간 서신, 청첩장 등의 기록 문서, 애니메이션
from Different Countires; Recorded Documents such as Marital
국가별 혼례에 관한 속담으로 구성된 타이포그라피 디자인 섹션, 작업(1837년 가을 어느 혼례날).
Typography Design Section Composed of Proverbs on Wedding Vows and Certificates, Personal Letters, and Wedding Invitations, Animation (A Wedding one Autumn Day, 1837)
22
23
●
●
Old Sayings, New Truths
〈Old Sayings, New Truths〉
Typographic Illustration Design
타이포그래피와 일러스트
Artist: Chung Jin-wook (Graphic designer)
작가: 정진욱(그래픽 디자이너)
A collection of sayings on marriage. Chung reinterprets the old
결혼 또는 결혼 생활에 관한 옛 표현들의 모음. 각 나라에서 오랜 기간
proverbs and sayings that are passed down by word of mouth to
구전되어 온 속담과 격언 등의 경구들은 작가의 손길을 거쳐 재해석된
create one single image. These saying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하나의 이미지로 제시된다. 짧게 응축된 결혼에 대한 경구들은 민족
of the people and the region but also holds universality. The
또는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보편성을 내포한다. 작가는
artist transforms the foreign texts into images, or links them
읽을 수 없는 각국의 문자를 이미지로 치환하거나 상징적 조형 요소와
with symbolic formal elements to provide universally and
연동시킴으로써 경구의 의미에 대한 직관적이고 보편적인 힌트를
intuitively understandable hints to what they may mean.
제시한다.
Đô★ t★ làm bạn th★ng d★ng,
Như đô★ đũ★ ngọc nắm tr★ng mâm vàng Bở★ chúng thầy mẹ nó★ ng★ng,
Để ch★ đũ★ ngọc mâm vàng x★ nh★★.
Garam di laut, asam di gunung, bertemu dalam belanga juga.
Semoga
PAG-A ASAWA
AY DI PAR ANG KAN ING ISU SUB O
ANG
sampai
langgeng
NA KAPAG
NAPASO
AY ILU LUW A
24
memisahkan
maut
Đời cha ăn mặn, đời con khát nước
25
벽면에 포스터 설치, 각각의 해제수록한 핸드아웃 배치
Posters on the Wall, Handout with Interpretation of Graphic Works
결혼 청첩장, 방명록, 소설 및 관련 출판물
Wedding Invitations, Guestbooks, Novels, Booklets
결혼식 방명록과 결혼 미사 주보, 필리핀
신부 일기, 도서, 싱가포르역사박물관 출간, 2004
Wedding Guestbook, Nupital Mass Missalete, Philippines
A Bridal Diary, Publication, Singapore History Museum, 2004
30
31
혼인증서, 태국, 1930
Marriage Certificate, Thailand, 1930
32
33
“왜 한국 사람과 결혼했습니까?” 라고 누군가 묻는다면 아마 그것은 우리가 부 부의 인연으로 만나게 될 운명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나의 선택을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여보, 진심으로 사랑합니다. ― 로살리의 자필 편지 중에서
If someone asks me why I married a Korean man, I would say that I was destined to do so. I stand by my decision. I love you, my dear husband. 이수범, 로살리씨의 연애시절 사진
Lee Soo-beom and Naldoza Rosalie on a date
34
― Excerpt from Rosalie’s Letter to her Husband
35
●
●
A Wedding Day in Autumn, 1837
〈1837년 가을 어느 혼례날〉
Digital Animation Film (2' 13''), Digital Copy of a Letter,
디지털 애니메이션 필름 (2’ 13’’), 서신 디지털 복제
Courtesy of the National Hanguel Museum
국립한글박물관 협조
2016년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소개된 바 있는 조선 23대왕 순조와 왕비
순원왕후의 막내딸이자 조선 마지막 공주인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1844)의 혼례를 서정적인 애니메이션으로 재구성한 작업이다. 이와
함께 순원왕후가 사위인 윤의선에게 보낸 한글 편지를 함께 소개한다. 사위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몸이 약한 딸을 걱정하는 어머니의 마음이 담겨 있다.
This film features the wedding of Princess Duk-on, the last
princess of Joseon. Princess Duk-on (德溫公主, 1822~1844), was the youngest daughter of the 23rd King of Joseon, King Soon-
jo, and his Queen Soon-won. The letter written by Queen Soon-
won to her son in law, Yoon Ui-sun is also on display. This letter conveys a mother’s love and care for her fragile daughter.
스틸 컷 Still Cuts
36
37
편지 내용 일부
장마철 더위가 심하니 (염려) 떨쳐 버리지 못했는데, 더윗병으로 깨끗이 낫지 않았는가 싶으니 오늘은 어떠한지 염려하며, 덕온도 일전 두드러기 기운이 있고 날이 더워 그러한지 무엇 때문에 그런지 뒤척이고, 마른 안질도 있고 깔깔하게 말라 보이기에 오창렬에게 물어 약방문을 내어 그제와 어제까지 두 첩 먹었으나, 두드러기는 묵던 날 밤부터 괜찮았는데, 이 약은 두드러기 말 하고 넣은 것이니 괜찮을지 의심스러워 약방문을 보내니, 보고서 물어 보소. … (하략)
Excerpt from the letter
The monsoon heat is stifling, and I cannot help but worry. Has Duk-on recovered from heat exhaustion? She had rashes, and I am unsure if it is from the heat or from something else, but she also had dry sore eyes, and looked 순원왕후가 사위 윤의선에게 보낸 한글 편지, 1838~1843년 추정 , 36.7(가로)×22.5(세로)cm
Queen Soon-won’s Letter to her Son in law Yoon Ui-sun, 1838~1843, 36.7cm(width) X 22.5cm (height)
as if she lost weight too. I asked Dr. Oh Chang-yeol to prescribe medicine for my daughter, and she took them twice—yesterday, and the day before last. Her rashes seemed to have eased since then, so I am not sure if it is alright for her to take her medicine, as they are for her rashes. I have enclosed the prescription, so please ask the doctor when you see him. (…)
38
39
혼례 婚禮 전시의 중추적 무대를 열어나가는 두 번째 섹션 ‘혼례’에서는 일생의례
중에서도 정수에 해당하는 혼례의 특별한 순간들을 포착한다. 각 국가의 공예전통과 민속적 미감이 응축된 혼례복식과 다채로운 혼례 상징물, 장신구, 의례 용품들이 한데 어우러져 소개된다. 아세안 10개국의
적극적 기증과 대여를 통해 한 곳에 모인, 총 300여 점 이상의 방대한 유물들은 개별체로써, 때로는 집합을 구성하면서 진귀한 시각성을
구축하게 된다. 혼례 유물 컬렉션 이외에도 설명을 돕기 위한 텍스트와 사운드, 영상 자료를 통해 아세안 혼례 문화의 지형 전반을 동시대적 감각으로 전달한다.
HOL-LYEH: THE RITUAL OF MARRIAGE The second, and main section called Hol-lyeh aims to capture the most special of special moments in life: the wedding. More than 300 items such as wedding attire that is the
epitome of traditional craftsmanship and folk aesthetics,
and an assortment of personal ornaments, and ceremonial objects are on display, courtesy of the 10 ASEAN countries’ generous donations and loans. This large collection of
artefacts is a visual panoply either each on their own, or tied together in groups. Text, sound, and video materials further aid in exploring the ASEAN wedding culture landscape in a modern light.
전시 물품
Items on Display
패널 구조물, 텍스타일 작업 설치, 혼례 영상(The Special Moments )
Dowry of Each Country, Symbolic Marital Objects, Text and
각국의 전통혼례복과 장신구, 혼수품, 혼인 상징물, 텍스트/멀티 미디어
Traditional Wedding Attire and Personal Ornaments, Marriage Multi-media Panel Installations, Textile Work Installation, Compilation Video of a Wedding (The Special Moments )
44
45
브루나이 다루살람
BRUNEI DARUSSALAM
브루나이 다루살람의 혼례 문화 브루나이 다루살람(Brunei Darussalam)
아까드 니까(akad nikah) 는 엄숙한 의례이자
Brunei Darussalam)은 풍부한 문화와 긴 역사를
신부집에서 거행된다) 가장 중요한 행사로서
(공식명칭: 느가라 브루네이 다루살람. Negara
(전통적으로는 사원에서 치뤄지지만 때로는
가진 말레이 이슬람 왕국으로, 보존되어온 문화유산과
신랑만이 참여하여 공인된 종교인의 주도하에
발전한 현대사회가 완벽하게 어우러져 있는 나라다.
이뤄진다. 신부의 참석은 그의 아버지나 법적
브루나이 다루살람에서 열리는 말레이 결혼식은
후견인인 왈리(wali)로 대신되며 신랑은 결혼허락을
브루나이인 삶의 통과의례들 중 가장 공을 들인
위해 목격자들 앞에서 절을 한다. 신부는 의례를
엄숙한 절차들을 포함하고 있고 그 결과 혼인 문화는
목격하기 위해 참석할 수 있다.
매우 잘 보존되었다.
또다른 의례행사인 말람 브르브닥(malam
브루나이 다루살람의 일반적인 말레이식 결혼식은
berbedak)에서 가족들과 친구들은 염색된 쌀가루와
결혼준비에서 예식 후 행사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로
향유를 섞은 것으로 신랑신부를 축복한다.
구성되어 있다.
결혼식의 하이라이트인 베르산딩(bersanding)
혼인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신랑측의 부모가 혼인
의례는 전통적으로 신부의 집에서 진행된다.
상대가 적절한지 확인하고 의사를 묻는 단계로,
신랑신부는 매우 아름답고 정교한 전통적인 상징
이를 베르자룸-자룸(berjarum-jarum)이라고
패턴으로 장식된 밝은 색의 의례복식을 입는다.
한다. 신랑가족들이 신부측에 반지와 선물들을 주면, 정식으로 결혼을 약속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많은 수의 하객을 수용하기 위해 컨벤션
결혼계획을 의논하기 시작한다. 믕한따르
선호에 따라 간소화해 치르는 경향도 있다. 그러나
여겨지며(pertunangan 의식) 양측은 구체적으로
센터나 호텔 대연회장에서 결혼식을 치르거나 개인의
베리안(menghantar berian) 의식은 신랑이
여러 날에 걸쳐 결혼을 축하하고, 의식을 함께 돕고,
신부에게 주는 선물증정을 포함하며 수행단들은
즐김으로써 앞으로 이어질 결혼 생활을 축원하는
선물이 진열된 은쟁반들을 나른다.
46
브루나이 결혼전통의 정수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47
Wedding Culture of Brunei Darussalam Brunei Darussalam (Official name: Negara Brunei
The akad nikah is the solemnisation ceremony
long history steeped in culture. The country is a
in the bride’s home) and is the most crucial event
(traditionally takes place in a mosque but sometimes
Darussalam) is a Malay Islamic Monarchy with a
where it is presided by a religious official and only
perfect blend of the heritage it has preserved and
involves the groom. The bride is represented by her
the modern world it has evolved into. The traditional
father or a “wali” (legal family representative) and
Malay wedding in Brunei Darussalam includes more
the groom vows in front of witnesses to accept the
elaborate and solemn procedures than any other
bride’s hand. The bride may be present to witness the
rite of passage in the lives of Bruneians. As a result,
ceremony.
wedding traditions have been well preserved.
The typical Malay weddings in Brunei Darussalam
In another ceremonial event, malam berbedak, family
to post-wedding events.
them with a mixture of coloured rice flour and scented
members and friends bless the couple by blessing
comprise of various stages from wedding preparations
oils.
The wedding preparations begin with berjarum-
jarum, an opportunity for the would-be-groom’s
Traditionally, the bersanding ceremony which is the
the woman in question. When the groom’s family
at the bride’s home. The bride and groom are clad
highlight of the wedding would take place usually
representative, such as his parents, to find out about
in bright coloured ceremonial attire decorated with
offers rings and other gifts to the woman, it signifies
traditional symbolic patterns in exquisite embroidery.
their formal proposal or pertunangan, and both sides start discussing wedding plans in detail.
The more modern wedding venues tend to take
place in hotel ballrooms and convention centres
The menghantar berian ceremony involves the
to accommodate the large number of guests. The
presenting of gifts from the groom to the bride where
essential spirit of Bruneian wedding traditions
the event is carried out by an entourage of men or
continues to live on in the age-old customs of
women carrying silver trays adorned with each gift
celebrating over days, sharing the joy and the work,
displayed.
enjoying the get-togethers and wishing for a happy married life of the newlyweds which are vigorously carried on.
48
브루나이 혼례복
Bruneian Wedding Garments
캄보디아
CAMBODIA
캄보디아의 혼례 문화 캄보디아에서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크메르족의
캄보디아인들은 여전히 전통 방식의 혼례를 선호한다.
있다. 우기가 길게 이어지는 기후 때문에 비가 덜
결혼식 기간 동안 예식이 열리는 신부의 집 앞에 큰
결혼문화는 그들의 전통 혼례와 여전히 맞닿아
전통 예식은 보통 3일에서 일주일 동안 이어진다.
오고 시원한 10월부터 4월 사이에 결혼식을 올리는
천막이 쳐지고, 화려한 꽃과 전통음악이 하객들을
경우가 많으며, 조혼의 풍습이 남아있어 25세 이전에
맞이한다. 하객들은 행복을 바라는 의미로 신랑신부의
결혼하는 경우가 많다. 배우자의 선택에서부터 결혼에
손목에 빨간 실을 묶어주고 축의금을 낸다. 결혼식 날
이르는 과정에는 부모의 의사가 중요하게 반영되며,
밤에 신랑과 신부는 바나나를 서로 먹여주며 자식을
특히 예비 신랑은 신부 부모의 허락을 얻기 위해 일정
많이 낳고 부자가 되기를 기원한다. 결혼식 비용은
기간 신부측의 집에서 노동일을 돕기도 한다.
신랑이 모두 부담하며, 전통시대에는 결혼식 이후
신부의 집에서 신부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경우도 많았다.
최근 캄보디아의 혼례 문화는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결혼 방식을 정하는데 혼례 당사자들의 의사가 더
많이 반영되고 있으며, 도시에서는 신부의 집 대신
예식장에서 식을 치르는 서구식 결혼식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길게는 일주일간 이어졌던 전통 결혼식도 하루 만에 끝나도록 간소화되고 있다.
50
51
Wedding Culture of Cambodia Weddings among the Khmer people who constitute
Cambodians show a strong tendency to favor
distinctively influenced by tradition. As the country
ceremonies lasting from three days to a whole week.
traditional weddings which consist of multiple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of Cambodia are still
During this period, a large tent is pitched in front of the
has a long rainy season, most weddings take place
bride’s house and guests are welcomed with beautiful
between October and April, when there is less rainfall
flowers and music. The guests tie red strings around
and the temperatures are relatively cool. Under the
the bride’s and groom’s wrists and give them gifts of
influence of the old custom of early marriage, most
money, wishing them life-long love and happiness. On
Cambodians get married before age 25. Parents have a
their wedding night, bride and groom feed each other
decisive role through all stages of choosing a marriage
bananas, praying that they would have many children
partner, engagement and the wedding ceremony.
and become rich. The groom and his family pay for the
Sometimes even today, in order to win the approval of
entire cost of the wedding ceremony. In pre-modern
the prospective bride’s parents, the groom-to-be stays
times, many grooms moved into the bride’s home
with her family for a period of premarital service by
after the wedding ceremony.
performing menial household tasks.
Wedding practices in Cambodia are gradually
changing. Young people today have more say in
selecting their spouse and planning their wedding. In
cities, more and more people get married in Westernstyle wedding venues instead of the bride’s house,
reducing the elaborate weeklong rituals to a one-day event.
52
캄보디아 크메르족 혼례복
Khmer Wedding Garments
인도네시아
INDONESIA
인도네시아의 혼례 문화 인도네시아는 다섯 개의 큰 섬을 비롯하여 총
혼례 서약과 결혼 신고 후, 신랑과 신부는 또다른
광대한 문화적 다양성이 살아 숨쉬는 다민족, 다종교
부모님과 일가 친척을 모시고 결혼을 공인하게 되는
17,000여개의 섬으로 구성된 세계 최대의 군도이다.
혼례 행사인 "뜨몬"에서 서로를 맞게 된다. 양가의
국가인만큼 그 안에서 종족 집단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자리이다. 이 행사에서 시리 이파리를 서로의 가슴에
문화와 전통을 형성해 왔고 혼레 풍습 또한 다채롭다.
던지는데, 이는 앞으로의 결혼 생활에서 서로를
따라서 인도네시아를 하나의 국가로 포괄적으로
이해하겠다는 의미이다. 이어 신랑은 오른 쪽 발로
보기 보다는 혼인에 대한 이상적 믿음과 금기 사항을
계란을 깨고, 신부의 발을 씻긴다. 앞으로 책임감 있는
둘러싼 각 집단의 문화적 특수성과 다양성이 있음을
가장이 되겠다는 의지의 표출이며, 신부는 남편을
이해해야 한다.
믿고 섬긴다는 의미이다. 이후, 신랑 측 가족은 신부를 환영하기 위해, "응운두 만뚜"라고 부르는 잔치를
인도네시아의 최대 종족인 자바(Java)족의 전통
연다.
혼례에서는 부모의 결정과 공동체 안에서의 질서가
중요하게 작동한다. 자바족의 전통 혼례는 상징적으로
또 다른 주요 종족은 힌두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양가의 첫 상견례인 "논또니"를 통해 신랑, 신부측
혼인 후에야 비로소 온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인정받는
깊은의미를 갖는 여러 세부사항과 절차가 수반된다.
발리(Bali)족으로, 이들은 혼인을 매우 중요하게 여겨
가풍을 서로 이해하고, 이후 진행될 예식에 대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즉 혼례를 통해 종족의 결속과
계획을 상의하게 된다.
동일성을 유지해 온 것이다. 카스트 제도의 영향으로, 혼인은 되도록 동일 씨족과 계급 간에 이루어지는
이후 혼례 선물을 주는 절차들이 진행되는데, 신랑과
내혼의 특성을 지닌다. 일반적으로 결혼 후 부부는
신부 사이에 반지를 교환하는 "빼닝스딴"과 신랑
신랑의 부모가 정한 곳에서 살아기게 되지만, 반대로
측 가족이 신부 측 가족에게 혼례에 필요한 자금을
모계 질서에 따라 사는 것도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제공하는 "아속 뚜꼰"이 포함된다.
인도네시아에서 모게 사회의 전통이 가장 강한
종족은 미낭까바우(Minangkabau)족이다. 결혼식의 전 과정이 여성에 의해 주도되며, 결혼을 하더라도 남자들은 낮 동안 자신의 마을에서 일하고 밤에만
신부 집에 들어와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혼례 전통은 지역과 인종마다 서로 다르고, 각각의 법과 가치를 따른다.
오늘날 도시에서의 혼례는 여느 나라와 크게 다를 바 없이, 자유 연애에 기반한 약혼과 결혼식을 올린다. 다만 전통에 기반한 여러 날에 걸친 흥겨운 피로연 문화는 보편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54
55
Wedding Culture of Indonesia
right foot and then washed by the bride. It depicts that
As the world’s largest archipelago, Indonesia
and the bride will be faithfully serve her husband.
the groom is ready to become a responsible father
After some while, the groom’s family will throw a party
comprises some 17,000 islands including five large
called “ngunduh mantu”, to welcome the bride into
ones. Hence it is a multi-ethnic and multi-religious
their house.
country with an immense diversity of cultural
traditions and customs practiced within each ethnic group. As the marriage customs and religious
The Balinese people, another major ethnic group
it would be desirable to accept and understand the
Hinduism and Buddhism as well as native Balinese
in Indonesia, have cultural traditions combining
influences differ from one ethnic group to another,
culture. They regard marriage as a crucial passage
ideal perceptions and forbidden practices surrounding
in the life of every individual as a member of their
marriage in different ethnic groups as their respective
community, because they have maintained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ngenuity rather than
ethnic solidarity and homogeneity through marriages.
attempting to draw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impact of the caste system is found in the
Indonesian weddings as a whole.
dominant tendency of endogamy practiced within the same clan and the same social class. In most cases,
The wedding traditions of the Javanese, who
the groom’s parents decide where a newlywed couple
constitute the largest ethnic group in Indonesia,
would live, but matrilocal marriage is also optionally
emphasize parental decisions and communal order.
possible.
The traditional Javanese wedding consists of several
processions entailing many details which symbolically representing a deeper meaning. It is started with
The Minangkabau people retain matriarchal traditions
groom and the would-be-bride and their families,
marriage procedures. After marriage, men usually
most vividly in Indonesia. Women dominate the entire
“nontoni”, the first meeting between the would-be-
work outside their house during the day and return
where they get to know each other and discuss the
to their wife’s home to spend the night. Marriage
wedding plans.
traditions of other ethnic groups differ from region to
region and one ethnic group to another as they follow
This is followed by a series of pre-wedding events for
their respective common law and values.
ceremonial gift giving, including the “peningsetan”, an exchange of rings between the bride and groom and the “asok-tukon” where the groom’s family support
Weddings in today’s Indonesian cities hardly differ
wedding.
Many young couples these days are engaged and get
from those in any large cities in other countries.
the bride’s family some fund to be spent for the
married because they love each other. However, the days-long semi traditional celebrations and merry-
After the wedding vow and marriage registration, the
making festivities continue to prevail over weddings in
bride and groom meet in “temon”, another ceremonial
Indonesia.
occasion, in the company of their parents and relatives to reaffirm their marriage. The procession consist of,
among other, the throwing sirih leaves to each other’s chest which depicts the couple is ready to understand each other during their marriage, and also a ritual
where the bridegroom crash a chicken egg with his
56
인도네시아 자바 족자카르타 혼례복
Java Yogyakartan Wedding Garments
라오스
LAO PDR
라오스의 혼례 문화 인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라오족을 비롯해
라오스에서는 결혼식과 연회를 성대하게 준비한다.
지역과 민족에 따라 각기 다른 다양한 결혼 문화를
모여 음식과 술, 결혼식 장식 등을 함께 준비하며,
48개 이상의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있는 라오스는
결혼식 전날밤 신부의 집에는 가까운 친구와 친척들이
가지고 있다. 불교 국가로 국민 대다수가 불교를 믿고
예식 당일에는 초대장을 받은 사람들이 하객으로
있으며, 우기에 승려들이 사원에서 수행하는 카오
참석한다. 전통과 현대의 결혼 문화가 절충된
판사(Khao Phansa)*-하안거- 의 석 달 동안에는
근래에는 오전에 신부의 집에서 전통 예식을 열고,
결혼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후부터 저녁까지는 넓은 장소를 빌려 신랑 신부와 하객들이 흥겹게 전통 춤을 추며 현대식 피로연
결혼 전 신랑측은 신부를 얻기 위해 지참금이나
행사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금 등의 값비싼 물건들을 신부의 부모에게 건네며,
신부측은 어려서부터 ‘젖을 먹이며’ 신부를 키운 것에
결혼식에 참석한 하객들은 초대장 봉투에 축의금을
대한 보상으로 이를 받아들인다.
넣어 축하의 마음을 표한다. 예식에는 결혼뿐 아니라
출산과 이사 등 새로운 일을 맞이한 사람에게 행운을 기원하는 바시(Baci) 의식이 포함된다. 의식을
주관하는 사람은 신랑 신부의 손목에 흰색 실을 감아주며 부부의 건강과 행복을 빈다. 라오스는
모계사회의 전통이 남아 있으며, 결혼 후 첫 출산
때까지 신랑이 신부의 집에서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라오스의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전통 결혼 문화는 약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카오판사 : 음력 8월 16일부터 11월 15일까지
승려들이 절에 입사하여 수도하는 것. 좁은 의미로는 이 기간의 첫날을 뜻한다. 승려들은 이 기간 동안 외출이
금지되고 수양에 정진한다. 신자들은 술과 담배, 고기를 피하며 결혼을 비롯해 계약 등의 상업적 행위를 하지 않는다. (한국의 하안거에 해당한다.)
58
59
Wedding Culture of Lao PDR The wedding customs of Laos reflect the nation’s great
Wedding preparations are made carefully to hold an
groups, the Lao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the wedding, the bride’s friends and relatives gather at
extravagant ceremony and reception. On the eve of
ethnic diversity. Of the country’s over 48 main ethnic
her house to prepare food and drinks and decorations;
total population. Buddhism, which coexists easily with
only invited guests attend the wedding ceremony.
enduring folk animism, has a predominant influence
Many families combine traditional and modern
among the people of Laos, so they generally refrain
weddings: They hold a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from holding weddings during the khao phansa,* or
at the bride’s home in the morning and in the
the summer retreat, which lasts three months.
afternoon move to a spacious reception venue, where the newlyweds and well-wishers dine and dance late
Lao wedding preparations include negotiation of the
into the night.
“bride price,” which the bride’s parents accept as “a
refund” for the breast milk that was fed to the bride.
Guests bring gifts of money contained in the invitation
The bride price is usually paid with money and gold, or
envelopes. A typical Lao wedding includes a well-
anything valuable.
wishing ceremony called baci, where the master of ceremony, usually a community elder, ties white strings around the wrists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in symbolic union, praying for their
happiness. The baci ceremony is also conducted on other auspicious occasions such as childbirth and
moving into a new house. With vestiges of matriarchy remaining evident in Laotian society, the newlyweds often live with the bride’s family until the first child is born. But traditional weddings are gradually disappearing in cities.
*Khao phansa, also known as the Buddhist Lent, is a
period of three lunar months, from the 16th day of the eighth month to the 15th day of the eleventh month,
when monks are expected to stay in their own temple and devote themselves to study and meditation. The
term also refers to the first day of the period. Devotees abstain from drinking, smoking, eating meat, holding weddings, and conducting commercial transactions during this period. (Korean Buddhist monks have
similar three-month retreats twice a year in summer and winter.)
60
라오스 혼례복
Lao Wedding Garments
말레이시아
MALAYSIA
말레이시아의 혼례 문화 주요 인종인 말레이계, 중국계, 인도계로 이루어진
결혼식에서 신랑은 증인과 이슬람 사원의 종교 지도자
혼례 문화를 계승하고 있다. 타 민족간의 결혼도
서명하면 두 남녀는 공식적인 부부가 된다. 결혼식의
말레이시아는 각 민족의 전통과 관습에 따른
앞에서 신부와의 결혼을 발표한다. 이후 서류에
존재하지만 같은 종교를 가진 집안과의 결혼이
핵심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베르산딩(Bersanding)은
일반적이며, 중매혼의 전통이 현존하고 가족 특히
좌식으로 치러지는 혼례 의식으로, 식장의 앞에
웃어른의 의견이 중시된다. 다른 이웃 국가들과
마련된 단상에서 신랑과 신부가 나란히 앉아 서로를
마찬가지로, 결혼을 둘러싼 양가의 의사소통은 매우
처음 만나는 자리다. 신부는 단상에 놓인 의자에 앉아
조심스럽게 이루어지며 약혼과 결혼식에 필요한
신랑을 기다린다. 신랑의 들러리가 신부의 가족에게
지참금 전달과 선물 준비 또한 정성스럽게 진행된다.
선물을 전달 할 때마다 신랑은 신부에게 한걸음씩
가까워진다. 일종의 연극적 몸짓이긴 하지만, 무장한
말레이시아에서 결혼은 일반적으로 많은 하객을
남자가 신랑을 가로막으면, 신랑은 신부 옆에 앉게
초청하여 함께 축하하는 공동체 축제의 성격을 띤다.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신혼부부는 나란히 앉아,
때문에 전통 혼례의 경우 일반적으로 수 일에 걸쳐
하객들의 축복을 받는다. 하객들은 각각 백단향
다양한 의식과 이벤트를 수반한다. 신랑은 신부에게
반죽을 신랑의 이마에 찍고, 장미수를 뿌리고,
금실로 짠 천으로 지은 혼례복을 마련해주고, 신부
마지막으로 쌀알과 꽃잎을 신랑과 신부에게 뿌려준다.
집으로 귀한 선물들을 전달하는 행렬을 진행한다. 결혼 전날 밤 신부는 미혼의 친구들을 초청하여
베르산딩이 끝나면 비로소 가족과 친지, 하객들이
읽기를 마치면, 신부의 혼인 의식을 돕는 인물인 막
서로에게 ‘첫 만남의 쌀밥’이라 불리는 작은 양의
코란을 함께 읽으며 밤 늦도록 잔치를 즐긴다. 코란
함께 즐기는 잔치로 이어진다. 신랑과 신부가
안담(Mak Andam)이 신부의 머리를 빗겨 쪽을 틀고
달콤하게 조리된 쌀밥을 서로에게 먹여주는 의식을
손과 발을 헤나로 치장해준다.
시작으로 잔치는 시작된다. 하객들은 보통 현금을 봉투에 담아 선물하고, 잔치가 끝난 후 다산을 상징하는 삶은 계란을 기념으로 받는다.
62
63
Wedding Culture of Malaysia Malaysian wedding customs differ along ethnic lines
At the wedding ceremony, the groom declares
ethnic groups constituting a great majority of the
witnesses and then the bride and groom sign the
marriage before a kadhi, a religious man, and
dividing the Malays, Chinese and Indians, the three
marriage document. This is followed by bersanding,
nation’s population. Some marry across ethnic lines,
the highlight of the wedding, when the bride and
but most marriages occur within the same group
groom sit next to each other for the first time
with traditions of arranged marriages and family
on thrones placed on a decorated dais. First the
influence still remaining relatively strong. As in other
bride takes her seat and waits for the groom, who
Southeast Asian countries, conversations concerning
approaches while the groomsmen bribe the bride’s
marriage between the two concerned families begin
family to clear his way to her. Sometimes the groom
very cautiously and politely; subsequently, dowries
pretends to swing a dagger called kris in a dramatic
and gifts for betrothal and wedding ceremonies are
gesture of fighting off an armed man blocking his way
carefully prepared and delivered with courtesy.
and victoriously gets to sit next to the bride. Friends, relatives and guests then offer their blessings and
Weddings in Malaysia are occasions of joyous
congratulations, putting a pinch of white sandalwood
celebrations. The traditional Malay wedding involves
paste on the groom’s forehead and sprinkling rose
a variety of ceremonies and events that are held
water, and finally showering the couple with yellow
over several days. The bridegroom presents the
rice and flower petals.
bride a wedding dress made of handwoven fabric
embroidered with golden thread. He also sends more
A reception follows, when the bride and groom join
valuable gifts to the bride’s house in a procession. On the eve of the wedding, the bride invites her friends
their family members, friends and guests in a feast.
Quran together. When they finish reading the Quran,
feed each other morsels of sweetened rice, called “the
Before the guests start eating, the bride and groom
and enjoys a party until late at night, reading the
rice of first meeting.” The guests usually give gifts of
the mak andam, a lady hired to serve as the bride’s
money to the couple, and are given a token gift of
attendant and ritual adviser, combs the bride’s hair
decorated hard-boiled egg, a symbol of fertility, when
into a chignon and decorates her hands and feet with
they leave.
henna.
64
말레이시아 혼례복
Malaysian Wedding Garments
미얀마
MYANMAR
미얀마의 혼례 문화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버마족을 비롯해
미얀마에서도 혼례는 중요한 의식이다. 결혼을 위해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미얀마는 지역별로 다채로운
신랑측의 부모가 신부의 집을 먼저 방문해 예식에
공식적으로는 8개, 비공식적으로는 135개의
신부측 부모의 동의를 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혼례 문화를 가지고 있다. 불교 인구(불교도들)의
대해 논의하는 절차를 거친다. 집안의 어른들은
비율이 89%에 이르며, 불교와 토착 신 낫(Nat)
신랑 신부가 태어난 달과 요일의 조합을 통해
숭배가 조화를 이루며 종교적 양태를 구성한다.
궁합을 따지고 점성가에게 결혼하기 좋은 길일을
이들의 일상에 이 종교 문화가 미치는 영향은 매우
받기도 한다. 예식은 주로 신부의 집이나 마을
크며,타 종교인과의 혼인을 금기시 하는 등 종교와
회관 등의 장소에서 성대하게 열리며, 낫 신의
성별의 문제에 있어 다소 보수적인 자세를 보인다.
영매에게 쟁반에 담은 과일을 바치며 부부의 건강과 경제적 성공을 기원한다. 불교도의 경우 결혼에
승려들을 초대해 음식을 공양하고 설법을 듣기도 한다. 결혼식을 올리고 나면 부부는 양곤시에
있는 성지 쉐다곤(Shwedagon) 스투파를 방문해
기도를 올린다. 예식 비용은 신랑이 부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들어 미얀마의 결혼 문화는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부모들이 재산과 교육 정도를 고려해 자녀들의 배우자를 정해주는 경우가 많았으나,
근래에는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연애 결혼을 선호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또한 전통 예식 대신
판사와 증인들 앞에서 결혼을 서약함으로써 예식과 동시에 법적으로 부부가 되는 경우도 있다.
66
67
Wedding Culture of Myanmar Myanmar has a great diversity of wedding customs
Weddings are important rituals in Myanmar society.
The government officially recognizes 135 distinct
is acquiring the consent of the bride’s parents. The
For a couple to get married, the first important step
originating from different regions and ethnic groups.
would-be-groom’s parents visit the home of the
ethnic groups, with the Bamar people making
would-be-bride to discuss marriage arrangements in
up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population.
detail. The parents and elderly members of the two
While 89 percent of the population are Buddhist
families assess the compatibility of the prospective
and the rest practice a diversity of faiths from major
couple based on their birth details, such as the month
organized religions to animism, religious life is largely
and the day of the week, and may also consult an
characterized by simultaneous worship of Buddhist
astrologer to select an auspicious day for the wedding.
deities and the nat, the spirits of native folk beliefs.
The wedding ceremonies, held at the bride’s house or
Religion has a predominant influence on the everyday
the community hall, are usually grand and elaborate,
lives of most people, who maintain conservative
and plates of fruits are offered to the nat spirits along
attitudes in regard to faith and gender. Marriage across
with prayers that they would bless the couple with
religious lines is considered taboo.
health and prosperity. Buddhist families invite monks into their house to offer food and listen to their
sermons. Following the wedding ceremony, the couple visits Shwedagon Pagoda in Yangon to offer their
prayers. Generally, the groom and his family shoulder all wedding expenses.
Marriage customs in Myanmar have recently been
changing. In the past, parents usually selected marriage partners for their children based on
considerations of their economic and educational backgrounds, but in recent years young people in
cities tend to prefer to marry for love. In many cases, a couple would choose to declare themselves husband and wife simply by signing a marriage certificate
before a judge and witness, without holding a formal ceremony.
68
미얀마 혼례복
Burmese Wedding Garments
필리핀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필리핀의 혼례 문화 인구 중 가톨릭 신자의 비율이 83%에 달하는
혼례 과정은 본 예식과 피로연으로 나눌 수 있다.
법률상 분리나 혼인무효 사례가 존재하지만 이혼이
신부가 속한 교구의 예배당이다. 결혼은 신랑 혹은
필리핀은 종교적 영향으로 극히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
가장 선호하는 예식 장소는 대성당이나 신사 혹은
불가능하다. 과거에 혼례는 대규모 가족 행사로
신부, 양가에서 원하는 바에 따라 화려해지거나
치러졌지만, 점점 더 경제적으로 독립된 삶을 사는
단순해질 수도 있지만 언제나 성 미사의 축복과 함께
도시 기반의 젊은이들은 보다 자율적인 결정을 택하고
진행된다. 예식은 신부 입장행진과 함께 시작되는데,
있다. 또한 1950년대에서 80년대에 비해 결혼 시기는
화동과 들러리는 행렬의 선두에, 부모님 사이에
점점 늦춰지고 있는 추세다.
신부가 마지막 부분에 입장한다. 그리고 신랑은
제단에서 걸어오는 신부를 기다린다. 미사에서 결혼
필리핀의 혼례는 화려하고 다채롭다. 수많은 소수
선서와 같은 일련의 의식들이 진행된다. 또한 가정의
민족들 뿐만 아니라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 경험,
풍요로움을 기원하기 위해 부부와 동전을 엮은
중국과 같은 타 문화로부터의 영향 관계 안에서 여러
반지로서 축복한다. 부부의 결속을 상징하는 베일과
문화가 혼재되어 있기에, 혼례 문화 또한 다양성을
끈이 놓이고 촛불을 켠다. 마지막 축원이 끝나면,
내재하고 있다.
신랑 신부 행진과 함께 결혼식이 종료되는데, 신부는 부케를 가장 선호하는 성인의 재단에 바친다. 대개는
결혼 전 연애를 시작할 때부터 여자의 부모에게
행복한 삶을 염원하며, 성(聖) 가족의 제단에 성서와
허락을 구하는 옛 관습을 따르는 일부 남성도
함께 바친다.
존재한다. 매우 드문 예이긴 하지만, 농촌 지역에서는 구혼을 위해 남자가 예비 신부 가족의 집에서
결혼식 하객들은 양가 가족, 신랑, 신부와 양가
이것을 ‘파니닐비한(Paninilbihan)’이라고 한다.
신부의 결정에 따르는데, 경제적 여건이 되는 대로
집안일이나 농장에서 일을 돕는 경우가 있는데,
부모님의 친지 그리고 회사 동료들이다. 피로연은
근래에도 남아있는 관습은 집 계단을 오르기라는
신부의 집, 호텔, 가장 최근에는 다양한 테마 공간에서
뜻의 ‘파만히칸(Pamanhikan)’이라고 하는 절차로,
이뤄진다. 교회에 초청된 모든 사람들은 피로연에
청혼 과정에서 신랑의 부모가 예비 신부의 집을 찾아
초대되어, 음식과 음료를 먹고 마신다. 이곳에서 갓
결혼을 결정짓는 과정이다. 대개는 신부와 가까운
결혼한 부부가 웨딩 케이크를 먹는 것을 지켜보고,
사람이 이를 돕는다.
신랑신부의 유년기에서부터 사전 촬영한 결혼
사진으로 구성된 시청각 자료를 함께 감상하게 된다. 하객들은 결혼 기념품도 받고, 때로는 댄스파티로 식을 마무리한다.
70
71
Wedding Cultur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The Philippines is a predominantly Roman Catholic
The nuptials proper comprise the wedding ceremony
percent of the population, divorce is prohibited,
in an important church – a cathedral or a shrine –
and the reception. The ceremony is held preferably
nation. With Roman Catholics accounting for 83
or in the parish church of the bride. This can be as
though legal separation and annulments are permitted
elaborate or as simple as the couple and their families
in very extreme cases. While in the past a wedding
desire, always with the celebration of the Holy Mass.
was largely a family affair, more and more couples,
It starts with a grand procession, with flower girls and
specially those who are financially independent
other attendants at the lead, with the bride flanked by
and live and work in urban areas, make the crucial
ger parents bringing up the end, as the groom waits at
decisions themselves. They also tend to marry later
the altar. The requisite marriage rites are performed at
than their counterparts of the 1950s through the
specific sections of the Mass, such as the declaration
1980s.
of vows; confirmation of the marriage bond; the
blessing of the rings that will unite the couple and
Weddings are colorful and diverse owing to the
the arrhae (coins) that will ensure plenty in the home;
country’s enormous cultural diversity derived from its
the lighting of candles; and the laying of the veil and
numerous ehhno-linguistic groups as well as Spanish
cord, symbolizing the ties that bind the couple. After
and American colonial experience, and exposure to
the final blessings, the couple leads a recessional.
Chinese and other cultures.
Many brides offer their bridal bouquets at the altar of
their favorite religious figures, such as the Holy Family,
Some Filipino men still practice old customs, from
longing for the Catholic ideal for a happy family life,
the stages of courtship and dating, such as formally
aided by the presence of the Holy Bible.
requesting consent from their love interest's parents. Though now very rare, male suitors in a few rural
regions stilll undergo paninilbihan, meaning “being of
The wedding ceremony is attended by the families of
chores in agricultural communities, for the family of
and business associates. The reception, depending
bride and groom, their and their parents’ friends, work
service,” offering gifts or doing household and farm
on the wishes of the bride, and the finances available,
the bride-to-be. Another ritual still observed today
may be held at the bride’s residence, a hotel, or more
is the pamanhikan meaning "going up the stairs of
recently, in the themed event venues. All invited to the
the house" in which the man and his parents ask the
Church ceremony attend the reception for food and
woman's parents for her hand, and their blessing. A
drinks, to witness the first bite of the wedding cake the
person close to the family of the bride-to-be is often
couple has. An audio-visual presentation featuring the
asked to assist.
bride and groom from their childhood, pre-wedding photo-shoots are usually on display, and the guests
are given mementos for the occasion. In some cases, the celebration is punctuated with an evening of dancing.
72
필리핀 혼례복
Filipino Wedding Garments
싱가포르
THE REPUBLIC OF SINGAPORE
싱가포르의 혼례 문화 말레이 반도 끝에 위치한 싱가포르는 전통적으로
페라나칸의 전통 혼례는 12일에 걸쳐 진행되는 만큼,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여러 문화와 종교, 관습이
점술로 보는 사주 궁합, 특정 시각에 이뤄지는 네 번의
동서양 문화의 교류지로 성장해 왔다. 세계적인
매우 중요한 행사이다. 중매를 통한 의사소통과
역동적으로 융합된 혼합국가이다. 인구 구성에 있어서
혼례 절차, 혼례에 사용되는 장식과 상징물은 중국의
중국계가 다수를 차지하지만 유럽 식민주의의 문화적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특징적인 의례는 신랑과 신부의
유산과 이민 사회의 특징이 고루 섞이고 스며든
머리를 올리는 일종의 성년식인 치우타우(Chiu
다인종, 다민족 사회이다. 따라서 싱가포르 고유의
Thau, 梳頭)와 신랑과 신부가 처음으로 마주보는
문화를 규명하는 것, 싱가포르만의 특수한 혼례문화를
침팡(Chim Pang, 進房)으로, 전자는 신랑과 신부의
변별적으로 설명하는 일은 어렵다.
집 거실에 마련된 사당의 제단에서, 후자는 신부집의 신방에서 치러졌다.
혼합 문화를 긍정적으로 지향하는 만큼, 과거에
비해 타 민족 간의 결혼은 점점 증가세에 있다. 동남
동시대 젊은이들의 혼례 문화는 부모의 출신국과
공존하며, 결혼 문화 또한 여러 이질적 요소들이
점차 자유로워지고 있다. 그러나 결혼식이 오후에
아시아 고유의 전통과 글로벌화에 따른 서양식 의례가
결정에 영향을 받기는 하지만 옛 관습과 절차로부터
혼합 발전된 양상으로 나타난다. 가령, 동남아시아
시작해 자정이 넘어서야 행사가 끝날 만큼, 초대된
현지인과 중국계 이주민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을
하객들과 양가의 가족들이 오랜 시간 함께 축하하고
지칭하는 페라나칸(Peranakan)의 생활양식, 그
즐기는 잔치인 것만은 변치 않는 분위기다.
가운데서도 매우 아름답고 화려한 페라나칸 혼례는
싱가포르 문화의 특수성을 잘 보여준다. 주로 중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말레이, 인도네시아 문화와 유럽
문화를 흡수하여 새롭게 만들어 낸 페라나칸의 혼합 문화는 다채로운 공예와 시각 예술을 발전시켰고, 이는 결혼 복식과 의례에서 정점을 이룬다.
74
75
Wedding Culture of the Republic of Singapore Singapore, located at the tip of the Malay Peninsula,
The traditional Peranakan wedding lasted twelve day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Singapore is a
procedures starting with a marriage proposal made
Chinese influences were predominant in the elaborate
has traditionally been a hub for cultural exchanges
through a go-between, to the astrological matching
multiracial and multiethnic city state characterized by
for compatibility of the prospective couple, and the
a dynamic mixture of numerous cultures, religions and
four wedding ceremonies, each conducted at a specific
customs. The majority of Singapore’s population are
hour. Most distinctive among these were chiu thau,
people of Chinese descent, but cultural legacies and
the hair-combing ceremony to initiate the bride and
characteristics of an immigrant society dating to the
groom into adulthood; and chim pang, the ceremony
European colonial period add to the country’s racial
marking the first meeting between the bride and
and cultural diversity. Therefore, it is not easy to define
groom. These refined and sumptuous ceremonies
Singapore’s distinctive cultural identity and wedding
celebrating a union of two individuals and their
traditions.
families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y were maintained until 1940, when
Interracial marriage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ey were simplified amid modernization and cost
Singapore amid a predominant tendency toward
concerns.
ra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A great diversity of
heterogeneous elements has been integrated into
Although they cannot completely ignore the influence
Singaporean weddings which combine Southeast Asian traditions and Western-style ceremonies. In
of the wedding traditions of the ancestral home
locally-born descendants of 15th- and 16thcentury
the weddings of contemporary Singaporeans are
countries of their parents and parental decisions,
particular, the lifestyle of the Peranakans, who are
becoming increasingly freer from old customs. At the
Chinese immigrants, and their gorgeous, colorful
same time, the typical Singaporean wedding remains
weddings definitely speak for the cultural traits
a joyous festivity which begins with a solemn wedding
of Singapore. A mixture of Malay, Indonesian and
ceremony in the afternoon and continues into a
European cultures permeating a base of Chinese
jubilant party where the families and well-wishers
tradition, the Peranakan hybrid culture has given
celebrate and enjoy themselves together until after
rise to a splendid array of handicrafts and visual arts,
midnight.
wedding costumes and ceremonies expressing a unique, vibrant syncretism.
76
싱가포르 혼례복
Singaporean Wedding Garments
태국
KINGDOM OF THAILNAD
태국의 혼례 문화 태국의 혼례 문화는 전통적으로 지역과 인종에 따라
남녀가 사랑하여 부부의 연을 맺기를 원할 경우,
많은 변화를 겪기도 했다. 또한 전통 혼례를 구성하는
통해 혼담을 진행한다. 타오깨는 남자측 부모를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해 왔고, 시대 변화에 따라
신부측 중매인인 매스와 신랑측 주혼자인 타오깨를
다양한 요소들은 개인의 선택에 따라 더 정교해지기도
대신하여 여자측 부모에게 청혼하고 약혼과 혼례의
하고, 간소화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태국의 전통
택일을 하고, 혼수예물을 정하여 ‘함’에 넣어 전달하는
혼례는 승려가 집행하지만, 종교성을 강조하기보다는
중간 역할을 담당한다. 승려나 점술가의 도움을 받아
새로 탄생한 부부에게 행운을 빌어주는 수많은 전통
택일이 이뤄지면 약혼일에 남자 측에서 우리나라의
상징물과 상징적 의례로 이뤄진다.
함에 해당하는 ‘칸막만((Khan Maak Man)’에 황금과 현금, 빈랑 열매와 베텔후추잎을 담아 전달하고,
태국의 전통 혼인 풍속은 위와하 몽콘(Wiwaha
신부측 요구에 맞춰 과자와 떡을 담기도 한다.
Mongkon)이라고 불리는 데릴사위제도와 정교한
결혼식은 반드시 짝수인 달 중에서 정하지만, 2월과
혼례 절차, 신 소드(Sin Sod)라고 하는 지참금 문화로
‘하안거 ’가 시작되는 8월을 피한다.
특징 지어진다. 불교와 브라만교의 종교적 영향과
함께 독자적인 전통과 문화적 상징이 혼례 문화에
혼례 절차는 크게 4 단계, 즉 종교의식, 피와이와
가족의 영향력이 컸으며, 결혼에 이르는 전 과정은
저녁까지 진행되며, 각 단계마다 참석하는 사람도
반영된다. 전통사회에서는 배우자 선택에 있어 부모와
칸막땡, 롯남쌍, 뿌띠넌으로 이뤄진다. 아침부터
개인과 개인간의 직접적인 소통보다는 양가에서
구분된다. 종교의식의 경우 아침에는 불교 승려에
내세운 중매인을 통해 복잡한 절차와 규모를 상호
의한 축복 의식이, 오후에는 브라만교에서 전래된
조율해 나가는 방식을 따른다.
것으로 보이는 전통혼례식이 치러진다. 그 후에는
혼례품인 ‘파와이’와 ‘칸막땡’ 전달 행사와 ‘롯남쌍’
이라고 하는 성수 의식, 피로연 및 신방 의식이 차례로 거행된다.
오늘날 대도시에서는 호텔 예식이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태국인들이 전통의식에 따라 가정에서 혼인식을 치르는 것이 선호하기도 한다.
78
79
Wedding Culture of Kingdom of Thailand Thai weddings reflect influences of Buddhism and
When a man and a woman love each other and want
symbolism. Though usually presided over by Buddhist
called thao-gae, meet to discuss matters concerning
to marry, representatives of their respective families,
Brahmanism as well as native traditions and cultural
their marriage. The representative of the man’s
monks, traditional Thai weddings draw more attention
family makes a proposal on behalf of his parents and
for their resplendent symbolic trappings and rituals
continues to perform the role of intermediary, helping
designed to express wishes for a happy life ahead for
to choose the dates for the engagement and wedding
the newlyweds, rather than religious meanings.
ceremonies, determine dowry details, and deliver the dowry to the bride’s family. When the dates for the
Thailand’s marriage traditions are characterized
engagement and wedding have been picked with the
largely by wiwaha mongkon, referring to the custom
assistance of a monk or astrologer, the groom’s family
of a son-in-law living with his wife’s family performing
sends the khan maak man, the engagement tokens
the role of a son, and sinsod, the dowry paid to
contained in a box, in a procession to the bride’s
the bride’s parents by the groom’s family “for her
family. The items usually include gold and cash as well
mother’s milk.” In traditional Thai society, parents and
as areca nuts and betel leaves, but sometimes also
families exerted a dominant influence in the choice of
rice cakes and cookies at the request of the bride’s
marriage partners and the complicated steps leading
family. The wedding day has to fall in a month of even
to a wedding used to be mutually adjusted through
numbers, but the second lunar month is avoided and
dialogue between representatives of the two families,
so is the eighth month when khao phansa, the annual
rather than between the prospective bride and groom.
three-month Buddhist retreat, begins.
The wedding is held in four major steps: religious
ceremonies, the khan maak procession, the water
ceremony called rod nam sang, and tying sai sin, the
sacred thread, around the wrists of the bride and the
groom. These ceremonies begin early in the morning and continue until evening, with different groups of
well-wishers attending. The religious ceremony in the morning is conducted by Buddhist monks, while the
traditional wedding ceremonies in the afternoon are obviously derived from Brahmanism. The daylong
celebrations end with a dinner with music, dance and congratulatory speeches, as well as more blessings
from guests. Then follow the making of the bridal bed and the final ritual of blessings extended by a happy elderly couple before the newlyweds meet their first night as husband and wife.
These days, weddings take place increasingly at hotels in large cities, but many Thais still prefer weddings held at the bride’s home in traditional ways.
80
태국 혼례복
Thai Wedding Garments
베트남
VIET NAM
베트남의 혼례 문화 공식적으로 인정된 54개의 민족을 포함하는 다언어,
절차면에서는, 중국의〈주자가례〉 에 영향을 받아
혼례 전통을 발전시켜 왔다. 결혼은 단지 개인간의
궁합, 혼수 문화 등 한국과도 유사점이 많다. 전통
다민족 국가인 베트남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다양한
고착된 여러 단계의 절차와 중매를 통한 결혼, 사주와
만남일 뿐만 아니라 가족, 친족, 공동체에서 중요한
혼례는〈주자가례〉 에 따라 여섯 가지 의식을 치르는
의미를 지니는 공공성을 내포하기도 한다. 가문의
룩레룩레(Luc Le, 六禮)를 따르는데, 각각 레납타이,
혈통과 명예 유지라는 측면과 아울러 토지 분배와
레번잔, 레납깟, 레납떼, 레틴끼, 레턴응인의 절차로
같은 경제적 변화에도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전통혼례의 육례와 같다. 전통을 지키면서도
따라서 결혼식을 합법적이며 신성한 의례로
번거로운 절차를 줄이려는 노력이 이어져왔고,
받아들이며, 의례 과정마다 중요한 의미를 부여해
오늘날에는 3단계 정도로 간소화되었다.
왔다.
서로에게 이상적인 배필을 정하고, 중매인을 통해
전통적으로 같은 마을 안에서 비슷한 배경의 배우자를
길일을 택하고, 예물(쩌우까우*, 차, 술, 반 떡, 약간의
구하는 것을 이상적으로 여기며 근친혼을 금기시하며,
돈과 장신구, 붉은 양초 등)을 주고받으며, 마을공동체
소수민족과 농촌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조혼의
속의 행사로서 혼사 전반을 진행해나가는 것에는
경향이 있다.
단계마다의 절차와 의례를 수반한다. 이상적인 혼례 시기는 건기인 음력 1월과 10월이며, 여름 혼인은
피한다. ‘탓끄어이’라고 불리는 혼수 문화와 신랑이
신부의 마을에 돈과 현물을 기부하는 ‘쩨오’ 문화가 특징적이다.
현재는 생활 양식의 변화로 부모의 결정보다는 자신의 의사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하고, 전통 복식보다는
웨딩 드레스 차림으로 호텔에서 예식을 올리는 등 변화를 겪고 있지만 여전히 전통적 혼례의 절차와 의미를 중요하게 지켜 나가고 있다.
* ‘쩌우까우’는 후추목 후추과 덩굴식물 구장의 잎과 종려목 야자나무과 빈랑 나무의 열매 빈랑을 함께
부르는 말이다. 덩굴식물로서, 백년해로의 상징을 담고 있다.
82
83
Wedding Culture of Viet nam Viet nam is a largely homogeneous nation that
visiting the bride’s home to welcome her into his
various languages. Therefore, the country has a
while retaining their meaning and as a result, most
family). Efforts have continued to simplify these rituals
also includes 54 ethnic minority groups who speak
weddings have been reduced to observe just three
tremendous multiplicity of wedding traditions that
rites.
have evolved over time amid long exposure to
various cultural influences. Marriage is not only a
union of two individuals but a significant affair of
In traditional weddings, all of these ceremonial
kin together. Marriage is also closely related with the
earnestness as events of broader communal concern,
procedures are carried out with utmost care and
communal concern as it brings two families and their
from the selection of an ideal marriage partner for
maintenance of family lineages and reputation as well
each other to picking an auspicious wedding date
as economic transition such as redistribution of land.
through a go-between, and exchanging betrothal gifts
Therefore, weddings are considered as lawful and
(trau cau* which include areca nuts and betel leaves,
sacred rites with important meanings attached to each
as well as tea, cake, fruits, wines, red candles, money
procedure. Traditionally, it has been regarded ideal to
and jewelry). An extravagant thach cuoi, or dowry,
find a marriage partner within the same village and
and the groom’s cash and material donation to the
social class, but marriage between close relatives is
bride’s village, called cheo, are also distinct features of
considered taboo. Members of ethnic minority groups
traditional Vietnamese weddings. The first and tenth
and residents of rural areas tend to get married at a
lunar months are the ideal times for weddings; the wet
relatively younger age.
summer months are avoided.
Traditional weddings in Viet nam comprise a rigorous set of steps that have been practiced for a long time
Changing lifestyles today have enabled many young
Zhu’s Family Rituals (Zhuzi jiali). They include the
rather than following their parents’ preferences. Many
Vietnamese to choose their own marriage partner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classic, Master
choose to wear a Western-style dress and suit instead
marriage arrangements made through a go-between,
of traditional garments at their wedding. Still, time-
checking the marital compatibility of the potential
honored wedding traditions and their meanings
spouses based on zodiac signs, and the delivery of
continue to be cherished.
dowry, which are similar to Korean wedding customs. The traditional Vietnamese wedding typically consists of luc le, the six rites: le nap thai (the matchmaker’s visit to the would-be-bride’s family to convey the
intention for a marriage proposal from the would-
be-groom’s family); le van danh (inquiring about the would-be-bride’s birth details needed to consult a
fortuneteller about the marital compatibility of the
prospective couple); le nap cat (the matchmaker’s visit to the would-be-bride’s family to announce a good
* Trau cau means literally “betel and areca.” Betel
the groom’s family to the bride’s family); le thinh ky
family, and areca is a genus of palm in the Arecaceae
compatibility); le nap te (delivery of wedding gifts from
is the leaf of a vine belonging to the Piperaceae
(the groom’s family’s notice of the wedding date to
botanical family of perennial climbers. In Viet nam,
the bride’s family); and le than nghinh (the wedding
areca nuts and betel leaves symbolize a long-lasting,
ceremony starting with the groom and his entourage
happy marriage.
84
베트남 킨족의 혼례복
Kinh Wedding Garments
전시 전경 Installation View
전시 전경 Installation View
칸 막 액 (Khan Mak Ek), 태국
칸 막 액 쟁반세트는 신랑가족과 신부가족 간의 선물로 천과 점토로 만 들어진다. 빈랑나무 열매 쟁반, 행렬 환영식 쟁반, 향과 양초 쟁반, 신성
한 성라 쟁반, 지참금 쟁반, 반지쟁반, 바나나나무 쟁반, 사탕수수 쟁반, 디저트 쟁반 등 태국에서 신성한 숫자인 9개로 꾸려진다. Set of Khan Mak EK, Thailand
Khan Mak Ek means the bowls with a supporting stand or
beautiful container for putting betel nuts, betel leaves, dowry
money and holy things to be given by the man to the bride's parents on the wedding day.
⊙ 뺀 칸 막 (빈랑나무 열매의 쟁반) Pan Khan Mak (Trays of betal nut) ⊙ 뺀 체엔 칸 막 (칸 막 행렬 환영식 쟁반) Pan Choen Khan Mak (Khan Mak procession welcoming tray) ⊙ 뺀 뜨얻 띠엔 파에 (향과 양초 트레이) Pan Thup Tian Pae (Tray of joss-sticks and candles) ⊙ 뺀 롣 남 쌔앵 (신성한 성라 트레이) Pan Rod Nam Sangh (Tray of Sacred chank) ⊙ 뺀 씬 썯 뜨엉 만 (지참금 트레이) Pan Sin Sod Thong Man (Tray of dowry) ⊙ 뺀 워언 (반지 트레이) Pan Waen (Tray of Rings) ⊙ 뺀 톤 끌루와이 (바나나나무 쟁반) Pan Ton Kluay (Tray of banana tree) ⊙ 뺀 똔 어이 (사탕수수 쟁반) Pan Ton Oy (Tray of sugarcane) ⊙ 뺀 칸옴 멍꼬 (디저트 쟁반) Pan Khanom Mongkol (Tray of dessert with auspicous name)
90
91
① 어깨띠 - 라오스 Shoulder Band,- Laos 신부 악세서리 – 태국 Accessories for Bride – Thailand 여성용 금속허리장식, 비즈장식 실내화(여성용/남성용) – 싱가포르 Gold Plate Nonya Belt(for female), Kasot Manek (Beded Slippers – Singapore ② 신랑용 팔찌, 신부용 머리장식, 목걸이와 귀걸이 - 캄보디아 Jewelry of Groom’s Hands, Jewelry for Bride’s Head, Necklaces and Earrings – Cambodia
예식용 장신구
귀걸이 - 태국 Earrings – Thailand
Wedding Accessories
작은 왕관 – 브루나이 다루살람 A Tiara – Brunei Darussalam ③ 끈, 베일, 결혼반지와 결혼반지용 쿠션, 부케 – 필리핀 Cord, Veil, Wedding Rings and a Pillow for Wedding Ring, Bridal Qoutuet – Philippines ④ 팔찌, 목걸이, 귀걸이 – 라오스 Bangles, Necklaces, A Pair of Earrings – Laos 머리장식, 팔찌, 반지, 남성용 귀걸이 – 인도네시아 Hair Decoration, A Pair of Bangles, A Ring, A Pair of Earrings(male) – Indonesia
92
93
혼수용 찻잔 세트, 베트남
혼례용 은기들, 미얀마
Set of Cup and Teapot - Gift in the Wedding, Viet nam
Silverware, Myanmar
미얀마 혼례에 쓰이는 은기들 중 은 쟁반(silver tray) 위에는 결혼반지
가 놓인다. 은 그릇(silver bowl)에는 꽃을 담아 화동이 뒤따라오는 신랑
신부 앞에서 꽃을 뿌린다. 은 구장나뭇잎 함(silver betel box)은 결혼식 앞쪽에 장식하는 용도로 쓰인다.
Wedding rings are put on the silver tray in Myanmar wedding. Flower girl holds and gently scatters the flowers with the nuptial
douple folollwing behind. Silver betel box is decorated for in front of wedding ceremony.
94
95
전시 전경 Installation View
뒷면: 열두폭 병풍 모양으로 제작된 아세안 10개국 혼례 문화를 담은 멀티미디어 패널_텍스트, 영상, 사진, 사운드
Background: Multimedia Panels on ASEAN Member State Wedding Cultures_Text,Video, Image, Sound
98
99
전시 전경 Installation View
예식용품
Wedding Ritual Objects
대형 금제 호, 미얀마
Golden Bowls, Myanmar 화관 (남성용 / 여성용), 브로치, 귀걸이와 장신구들, 인도네시아
Coronets (male/female), Brooch, Earrings and Accessories, Indonesia
신부 바구니, 싱가포르
Nyonya Bridal Baskets, Singapore 석회 주전자와 쟁반, 베트남
Lime Pots and a Tray, Viet nam
재스민 목걸이, 미얀마
혼수함과 장신구, 캄보디아
Jasmine Garland, Myanmar
Wedding Box and Accessories, Cambodia 가톨릭식 결혼 용품(케이크, 성가족의 조각상, 촛대와 초 등), 필리핀
Catholic Wedding Ritual Objects(Cake, Statue of Holy Family, Pair Candles and Sticks, etc), Philippines
100
결혼식 기념품들, 태국 Souvenirs, Thailand
크리스, 인도네시아 / 남쌍, 태국
Swords, Indonesia / Nam sangh, Thailand
101
말레이시아 혼례 연단
Malaysia Wedding Dias
말레이시아 혼례 연단
Malaysia Wedding Dias
말레이시아 혼례 절차
The Wedding Process of Malaysia
말레이시아의 혼례 연단은 특별히 말레이시아 뻬락 지역
The Malay Wedding Dais is specifically presented to
① 메르식(Mersik)
① Mersik
showcase the design of the local Malay community
의 문화를 보여준다. 혼례 예단의 특징은 황금 자수 장
in Perak, Malaysia.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is
식으로 장식된 연단에 있다. 계단과 색의 배열은 사람의
wedding dais lies in its raised platforms decorated with
계급과 재정상태를 나타낸다. 신혼 부부는 황금 자수로
gold embroidery, which is still practiced today. The
장식 된 계단 또는 벨벳 천에 수 놓은 야생 난초 모티프
arrangement of the steps and colours reflect the rank and status of a person. Then bridal couple will sit on the
의 자수가 있는 최 상단 부분에 앉는다.
top level with the steps adorned with gold embroidery or
raised couched embroidery of wild orchid motif sewn on
결혼식 연단에 있는 기타 장식용품에는 장식용 베개, 작
velvet cloth.
은 원형 베개, 매트리스, 쿠션, 팔걸이 그리고 부채가 있
다. 보통 붕가 뜰루 스로자(Bunga telur seroja) 라고
Other decorative items on the wedding dais include
쪽의 첫 번째 단에 놓인다. 또한 첫 번째 단에는 신혼부
cushions, hand rests, and hand-held fans. Usually, the
불리는 계란 꽃다발(Bunga telur)이 연단 왼쪽과 오른
decorative pillows, small round pillows, mattresses, egg bouquet (bunga telur), also called the `bunga telur
부의 축복을 위한 ‘뜨뿡 따와르’ (Tepung tawar) 행사
seroja`, is placed on the first platform on the left and
를 위해 장미 물뿌리개, 강황 밥 그리고 ‘붕가 람빠이’
right sides of the dais. Also placed on the first platform
(bunga rampai)를 갖춘 `Tepung tawar` 소반이 있
is the `tepung tawar` tray with rose water sprinkler,
다.
turmeric rice and `bunga rampai` (potpourri) for the `tepung tawar` ceremony to bless the bridal couple.
일반적으로, 결혼식 연단은 사흘 전부터 결혼식 내내 설
Normally, the wedding dais is installed during the day,
치된다. 버리나이 끄찔(손가락과 손톱에 헤나를 물들이
three days before the wedding day. The `berinai kecil`
는 것)행사는 결혼식 사흘 전에 열린다. 그 다음 날 밤에
ceremony (standing of fingers and nails with henna)
버리나이 브사르 의식이 이어진다. 3일째에는 코란 암송
is held three nights before the wedding day. This is
과 `마르하반`(marhaban: 이슬람 찬송가) 공연이 열
followed by the `berinai besar` ceremony on the
리고, 결혼식의 하이라이트가 되기 전에 신부 대표의 부
following night. On the third day, a Quran recital and
`marhaban` (Islamic hymns) performance are held,
모님에 의해 결혼이 성립된다. 버르산딩 행사는 신혼부
followed by the solemnization of marriage by the bride`s
부가 하루 동안 연단에 앉는 행사다.
guardian of his representative, before the highlight of the wedding, i.e. the `bersanding` ceremony, where the
결혼식 연단은 독특함, 모티프의 통일성, 그리고 장식 면
The man`s family, headed by a close relative, pay a visit
신랑의 가까운 친척들과 가족들이 신부가 될 사람의 의
to the prospective bride`s house to inquire about her
사를 묻기 위해 집을 방문한다
status.
② 한따르 딴다(Hantar Tanda)
② Hantar Tanda
Proof of consent whereby the prospective bride put a
신부가 될 사람의 손가락에 반지를 끼워 결혼서약을 한다.
ring to her finger.
③ 버르뚜낭(Bertunang)
③ Bertunang
예비신부의 집에 돈, 약혼 반지 및 선물을 전달함으로써
An engagement ceremony is held as a promise of
본격적으로 결혼을 약속하는 약혼식을 치른다.
marriage by presenting the prospective bride`s family with spending money, an engagement ring and gifts.
④ 버리나이 끄찔(Berinai Kecil)
결혼식 사흘전, 예비신부의 손가락과 손톱에 헤나를 그
④ Berinai Kecil: A ceremony to stain the fingers and nails
⑤ 버리나이 브사르(Berinai Besar)
⑤ Berinai Besar
은 예비신랑의 손가락에게 헤나를 그린다.
to the prospective groom a day before the wedding
of the prospective bride with henna is held three nights
리는 의식을 한다.
before the wedding ceremony.
결혼식 전날, 친구들과 가족들을 동반한 신부의 대리인
Representatives of the prospective bride delivers henna
ceremony, accompanied and received by family and friends.
⑥ 아깓 니까(Akad nikah)
신혼부부는 가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까디(kadhi)’라 불리
⑥ Akad nikah
는 사람과 신부의 후견인 앞에 앉아 결혼식을 거행한다.
The couple sit before the `kadhi` and the bride`s guardian to solemnize their marriage in the presence of their families.
⑦ 버르산딩(Bersanding)
신혼부부는 황금자수로 장식된 혼례 연단에 앉는다.
⑦ Bersanding: The couple sit on the wedding stage that has been adorned with gold embroidery.
bridal couple sit on the dais as royalty for a day.
에서는 자수의 우수함이 중요한 평가 요소다. 예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말레이 사회의 자부심인 예술적 창의력
The wedding dais is adorned with embroidery as the
finishing touch, which can be assessed in terms of its
과 장인 정신, 그리고 국가 유산의 우수성을 반영한다.
uniqueness, uniformity of motifs, and ornamentation.
It reflects the artistic creativity and craftsmanship which are the pride of the Malay community since time immemorial, and the excellence of the nation`s heritage.
104
105
●
●
One Roof
〈One Roof〉
Hand Woven Textile and Installation
직기로 짠 천으로 만든 구조물
Artist: Lee Jung-eun (Textile Designer)
작가: 이정은(텍스타일 디자이너)
작가는 동남 아시아 직물에 관심이 많다. 직기를 이용해 직접 원단을 짜고, 그 원단으로 옷과 생활소품, 개인 창작을 해나가고 있다. 처음 전시 의뢰를 받았던 올 봄부터 총 넉 달여의 수공예 과정을 거쳐
완성된 직물은 금,은사로 직조된 송켓(Songket)을 떠올리게 한다.
은은한 황금빛 천은 동남아시아 혼례에서 볼 수 있는 일산(wedding umbrella)의 형태로 구조화되어 전시장 천장에 설치된다. 작가가
소망했던 것은 젊은 부부를 덮어주는 소박한 금빛 지붕의 모습이었다. 이질적 요소들이 사방으로 교직되면서 하나로 연결되는 구조는 다시 아세안에 대한 공간적, 촉각적 은유로서 존재하게 된다.
Lee has a deep interest in South East Asian textiles. She weaves textiles by hand using a loom, and creates clothing and other objects out of them. The piece on display took a full four months to weave all by hand, beginning from her commission
in spring. It is reminiscent of the songket which is woven with
gold and silver thread. The subtle gold hued cloth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South East Asian wedding umbrella and installed
on the ceiling. Lee envisioned a simple gold colored roof that can cover a young newlywed couple. The structure of different
materials woven together to become one serves as a spatial, tactile metaphor for ASEAN.
106
107
인도차이나 반도를 떠올려보면 그 수많은 문화와 종교가 뿜어내는
One color comes to mind when I think of the Indo-China Peninsula, of the countless colors that gush out from its
여러가지 색 중에서도 결국은, 하나의 색이 떠오른다.
numerous cultures, and religion.
붉은 색, 각기 다른 상징을 품고있을 그 곳의 붉은 색은 내가 보기엔
Red. The color red means something different in each of its
깊은 자색을 띈다. 그리고 그들의 유구한 craftsmanship 으로 만들어낸
regions, and its red is close to a deep magenta.Their resplendent
반짝이는 직물들. 수 세기 전, 그 곳을 지났을 화려한 실크로드 바닷길을
textiles born of a rich heritage of craftsmanship.While thinking of
떠올리며 어쩌면 일생에서 가장 큰 사치가 허락되는 날, 결혼식을
the sea routs of the splendid Silk Road that would have passed
생각했다. 내가 본 그 곳의 색으로 그들처럼 직물을 짜고 이어 부부를
by the peninsula, my mind wondered to a wedding ceremony,
덮어주는 하나의 금빛 지붕을 그려보았다.
the day the richest of decadence is approved of.I created a
textile using its people’s colors, and drew a gold colored roof
〈화혼지정〉 을 위한 아티스트 노트 중,
that covers the newlyweds.
2017년 5월
Excerpt from the artist’s notes for Celebrating the Beauty of
Marriage , May 2017
제작과정 Work in Progress
108
제작과정 Work in Progress
109
화혼_특별한 순간들
10개국 혼례장면 하이라이트 영상 리어 스크린에 투사, 6분
Hwa-hon_The Special Moments
Compliation of Highlights from Weddings of the ASEAN, Rear Projection on Screen, 6 mins
110
스틸 컷 Still Cuts
혼인 婚姻 마지막 섹션인 ‘혼인’은 결혼에 대한 보다 내밀하고 특수한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한다.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는 개인들의 만남과 화합,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삶, 이주와 정주에 대한 이야기가 결혼을 중심으로 사방 교직된다. 비로소, ‘결혼’의 의미는 의례와 전통으로부터 확장되어 그 이후에 펼쳐지는 특정한 삶의 순간들로, 열린 결말의 프레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결혼을 통해 가시화된 아세안 공동체 내 삶의 모빌리티와 문화적 변곡점들에 대해 사색을 유도한다.
HON-IN: THE RELATIONSHIP OF MARRIAGE The last section titled Hon-in delves deeper into the stories
of marriage. Tales of meeting and coming together, creating a life within a community that continu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emigration, and settlement are weaved together, with the wedding and marriage at its center. The meaning
of matrimony now expands from tradition and ceremony to those important moments in life, to a frame with an open
ending. Such stories provide the viewers with the opportunity to further ponder on the mobility of life within the ASEAN community, and the cultural changes.
전시 물품
Items on display
SNS 스크리닝
presentation, generative sns screening.
사진, 영상 설치, 개인 아카이브 구성, 시, 텍스트 프레젠테이션,
116
Photography, video installation, personal archives, poem, text
117
전시 전경 Installation View
●
●
My First and Last
〈My First and Last〉
Courtesy of Lee and Naldoza Family
이수범, 날도자 로살리 자료제공
In collaboration with the National Folk Museum, Department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연구과 협조
도시민속조사보고서 12 살림살이 시리즈에 수록된〈이수범·로살리 가정의 살림살이〉 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거제에 거주 중 부부와
자녀들의 사진과 생활 유물을 대여하였다. 서로에게 모든 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인, 생의 기록들과 일상의 물건들을 재구성한다.
of Folk Research
Photographs, and everyday objects of a family currently residing on Geoje Island are borrowed and put on display, based on the
report on the Lee & Naldoza Family Househol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Records that are to be the first and last of the family, and everyday objects are arranged.
120
121
이수범씨 가족사진
Photo of Lee’s Family
122
123
●
●
Ways of Solitude
〈Ways of Solitude〉
Photo Slide Film (6' 32''), Piano Improvisation
사진 슬라이드 영상(6’ 32’’), 즉흥 피아노 연주
Artist: Patavee Viranuvat, Thailand
작가: 파타비 비라누밧, 태국
젊은 영화감독이자 문화 생산자로 활발한 활동을 펼쳐왔던 파타비
비라누밧은 현재는 태국에서 해양 에너지 개발회사의 대표로 일하고 있다. 자신의 가족사와 관련된 방대한 사진 아카이브를 구축해 온
파타비는 2017년 자신의 결혼을 경험하면서 훨씬 복잡한 감정의 켜를 의식하게 되었다. 무대 위에서 화려하게 펼쳐진 파타비 부부의 예식 장면들은 현대화된 태국식 웨딩의 정수를 보여준다. 그러나 동시에
“고독의 길”로 명명된 결혼은 그 자신이 속한 지금의 세대와 부모님으로 기억되는 과거, 파트너와 함께할 미래를 담는 행복한 고독, 고독한 행복이기도 하다.
124
Patavee Viranuvat, an active young film director, and producer of culture currently works as the CEO of a maritime energy
development firm in Thailand. Viranuvat who has a large
photographic archive on the history of his family, became aware
of a whole new level of complex sentiments through his own marriage experiences. Viranuvat’s ornate wedding is a display
of a quintessential modernized wedding. However it is also the depiction of the past, remembered as the generation of
his parents, and himself, and a new life with his wife filled with happy solitude, and solitary happiness.
125
결혼식, 2017
낫차 & 파타비 부부 결혼식을 위한 공간, 조명 디자인, 2017
Wedding Ceremony, 2017
Space and Light Design of Natcha & Patavee's Wedding Ceremony
126
127
●
●
Yunmi’s Album
〈윤미네 집〉
Photo Slide Film(5’58’’)
사진 슬라이드 영상(5’58’’)
Artist: Chun Mong-gak (Photographer)
작가: 전몽각(사진가)
故 전몽각 교수가 남긴 사진집〈윤미네 집〉 은 가족을 향한 따듯한
시선과 성실한 기록으로 폭넓은 사랑을 받아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존의 사진집에 수록된 이미지들 뿐만 아니라, 사진가 부부의 결혼 사진과 황혼기의 모습을 앞뒤로 덧붙이고, 잔잔히 흐르는 영상으로 전환하였다. 이를 통해 조금 더 확장된 의미에서의 결혼의 의미와
가족의 역사성을 그려내고자 하였다. 평범함 속의 특별한 감동으로 남은 윤미네 집에 담긴 삶의 핍진성은 개인의 기록에 머물지 않고, 우리가
단계 단계 지나쳐왔던 세대의 모습과 문화를 고스란히 증거한다. 또한
민족과 국가를 초월한 보편의 가족사로, 보통의 삶으로 기억될 것이다.
The photography collection called Yoon-mi’s House, a legacy left by now deceased Professor Jeon Mong-gag is well loved
for its warm portrayal of his family. Photographs of Jeon’s wedding, and the couple in their silver years are displayed back
to back and rendered into a video with subtle background music which is displayed along with a selection from his well-
known collection. The aim is to depict the expanded meaning of marriage, and the history of a family. The collection is
especially charming though it may seem banal, and its trueto-life illustrations are not personal records, but bears witness
to the generations and cultures passed. Furthermore, it will be remembered as a family history, common to us all transcending race and nationality.
128
129
이미지 제공 : 이문강
Images Courtesy of Lee Moon-gang
130
131
132
133
134
135
●
●
Short Stories on Marriage
〈화혼단편선〉
Text Writing and Digital Presentation, Poem
텍스트 설치, 시 창작
Collaboration: Kim Mi-seon(Poet), Waterain(Graphic Design)
협력: 김미선(시인), 물질과 비물질(그래픽 디자인)
각 아세안 국가의 혼례 전통과 현재적 변화의 단면들을 간략한 필치로 서술한〈화혼단편선〉 은 전시팀 연구자들이 지난 몇 달간 검토했던
단행본들과 각종 매체의 기사와 통계자료, 학술 논문, 그리고 ASEAN
공동체의 일원들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의 결과값을 반영하여 함께 완성해 낸 공동 텍스트 작업이다. 단편선에서 소개되는 서른
다섯 개의 문장들은 변치 않는 진실을 담고 있다기 보다는 오히려,
파편적이고 지엽적인 특정 지점들을 지시한다. 그렇지만 단어와 문장,
해제 사이에 놓인 얕은 막과 칸들이 유동하면서 우리에게는 낯선 어떤 혼례의 풍경들을 그려보게 한다. 한편 단편선의 문장가로 협력한 시인
김미선은 라오스 결혼식의 장면을 떠올리며, ‘흰 실’ 이라는 제목의 시를 창작하였다.
Wedding traditions of each ASEAN country and their modernday changes are described in concise pros in the Short Stories
on Marriage. It is a collaborative text that is the result of
exhibition team researchers reading countless books, various articles from different media, statistical data, academic articles, and carrying out an online survey. The thirty five sentences
that are introduced do not hold eternal truths but rather
point to certain fragmented, peripheral aspects. However the divided cells and a thin sheath between words, sentences, and labels move, giving the viewers the opportunity to imagine an
unfamiliar wedding. Kim Mi-sun, who is the collaborative writer
of Short Stories on Marriage wrote a poem titled White Thread while visualizing a Lao traditional wedding.
136
137
흰실
White Thread
흰실
김미선
김미선 의 맨발은 과나 당신
거대
었
을
까
비
만
우주위로
흘
모난
러 나
고 리 내
네
온
하수 은
든
꽃
있 한수 에 레바퀴의 어디쯤
목 우리의 손
에서
부
터
닥 셀수 없는 인연의 가
을
꼬
아
물살 을 라 따
지독한 윤 회 를
돌
레
아
의
굴
서
돌고
또
길
위에
발 의맨 이 리 우 하나
의
피투
성이
가 된다 할지라
도
시리 도록
빛
Where would our bare feet be
거대한 수레바퀴의 어디쯤에 있었을까
On the great wheel of being
꽃 비 내리고
Flower petals fall like rain
네모난 우주 위로
On our rectangular universe
우리의 손목에서부터 흘러나온 은하수
The milky way flowing from our wrists
셀 수 없는 인연의 가닥을 꼬아 만든
Along the silvery current
물살을 따라
Woven of countless friends and family
지독한 윤회의 굴레를
Spinning and spinning
돌고 돌아
With the bittersweet cycle of life
먼 훗날
Although our bare feet
우리의 맨발이
May become bloody
또 하나의 길 위에서
Strolling along a different path
피투성이가 된 다 할지라도
Tomorrow
시리도록 빛나는 흰 물살이
The crisp sparkling white water
우리를 감싸고
Shall envelop us
삶을 건너가리
And flow across our lives
꽃 잎 흩날리던가
Flower petals that fluttered
삶과 삶이 만나는 곳에서
The sound of the universe
이제 막 새로 태어난
Taking its first breath
우주가 움트는 소리
Where a life and another meet
물살
이
번역 김정윤
Translated by Kim Jeongyoon
고 싸 감
흰
당신과 나의 맨발은
우리 를
나
는
Kim Mi-seon
삶
을
건너
가리
꽃잎 흩날리던가 삶과 삶이 만나는 곳에서 이제 막 새로 태어난 우주가 움트는 소리
139
140
141
●
●
ASEAN Wedding Hashtags 99+1
〈아세안 웨딩 해시태그 99+1〉
Real time Generative SNS Display
SNS 기반 사진 설치
Artist: Lee Dong-hoon (Media developer, artist)
작가: 이동훈(미디어 개발자, 아티스트)
아세안 국가의 혼례 이미지를 수집함에 있어 가장 발 빠른 조사
채널은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과 같은 SNS로, 이곳을 통해 수많은
이미지가 나타나고, 축적되며, 어디론가 흘러나가게 된다. 본 전시를 위해, 전시팀에서는 10개국 결혼 문화를 언어적으로 구성하는
단어들을 조사하여 총 99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미디어
개발자이자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이동훈은 주어진 아흔 아홉 개의 해시태그들로 불러들일 수 있는 엄청난 수의 이미지들을 실시간으로 검색, 배열하는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전시가 진행되는 석
달여 동안 아흔아홉 개의 태그가 호출하는 이미지들과〈화혼지정〉 의
해시태그를 단 이미지가 함께 수집되어 모니터에 비춰지게 된다. 단어와 이미지, 전시장 안팎, 여러 국가들에 관한 정보의 연합과 제유의 방식은 조금씩 예상을 뒤틀면서, 가상적으로 연동된다.
The quickest channel for collecting wedding images of ASEAN
countries is none other than Social networking platforms such as Instagram, and Facebook. Images on top of images appear, gather, and float away. The exhibition team researched words that best depict the ten countries’ wedding cultures to come
up with 99 key words for this exhibition. The artist Lee then developed a program that uses those 99 hashtags to search for images and arrange them in real time. During the three months
of the exhibition, the images found using the hashtags and images from the #화혼지정 (Hwa hon ji jung) hashtag are to be collected and displayed on the monitor. The viewers can see
how words and images,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exhibition space, the compilation and representation methods of the information on the countries slowly spiral away from what is initially expected, and are virtually synchronized.
142
143
99+1 키워드 #Singaporewedding #Indonesianwedding #malaysianwedding #Malaywedding #bruneiwedding #Thaiwedding #vietnamwedding #Laoswedding #cambodianwedding #philippinewedding #myanmarwedding #Aseanwedding #Aseanweddingphoto #Aseanweddings #Aseanweddingguide #Javawedding #Jakartawedding #Borneowedding #Balinesewedding #Balineseweddingdress #Balineseweddingceremony #Minangkabauwedding #Minangkabauweddingdress #Khmerwedding #peranakanwedding #Karenwedding #Burmawedding #Tagalogwedding #Batakwedding #Maduresewedding #Betawiwedding #Minangkabauwedding #Bugiswedding #Tenggeresewedding #Banjaresewedding #Achehnesewedding #Sasakwedding #Sasakweddingdress #Sasakweddingceremony #Dayakwedding #Dayakweddingculture #Gujaratiwedding #Gujaratiweddings #Banjaresewedding #Burmeseweddingdress #Burmesewedding #Bengaliwedding #Bengaliweddings #Samawedding #Samaweddings #Sakaiwedding #Huiwedding #Dusunwedding #Dusunweddingceremony #Bajauwedding #Tutongwedding #Taiwedding #Hmongwedding #Lahuwedding #peranakanweddingerception #singaporeweddingdecoration #singaporeweddingdress #singaporeweddingservice #singaporeweddingday #singaporeweddingcard #singaporemuslimweddings #brueniweddingstyle #bruneiweddinggift #bruneiweddinghenna #bruneiweddingmakeup #bruneiweddingsongket #bruneiweddingphotographer #vietnamweddingphotography #vietnamweddingdestination #thaiweddingdress #thaiweddingdressmaker #thaiweddingceremony #thaiweddingreception #thaiweddingbackdrop #thaiweddingcard #cambodiaweddingtradition #khmerweddingceremony #indonesiaweddingvendor #indonesianweddingstory #indonesianweddiggift #malaysianweddingideas #malaysianweddingculture #malaysianweddingmakeup #malaysianweddingreception #malaysianweddingcake #malaysianweddingphotography #bersanding #sanding #Berjarumjarum #malamberinai #adatberinai #MakAndam #sakpengadek #asoktukon #pelamin #hwahonjijeong
145
아세안의 혼례 관련 서적과 음악 모음
Collection of Publication and Music Compilation on ASEAN Marriage
아세안의 결혼문화
Weddings in Southeast Asia: Cherished Traditions and Modern Evolutions
김이재 | 문화지리학자, 경인교대 교수
Prof. eje kim | Geographer,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 프롤로그: 다문화 선진국, 아세안의 결혼문화
1. Prologue: Weddings in Southeast Asia’s Multicultural Societies
아세안은 역동적으로 발전하는 동남아 국가들의 연합체다. 동서양이 만나는 교차로, 다양한
문화와 전통이 만나는 위치에 있는 동남아는 부드럽고 유연하다. 넓은 토지와 풍요로운 자연환경 속에서 먹을 것이 풍부한 동남아에서는 노동력 확보가 관건이었다. 모든 생명을 귀하게 여기고 다양한 개성을 품어주는 따뜻한 공동체가 형성되기 좋은 조건이다. 실제로 아세안은 나와 다른 사람, 사회적 약자를 차별하지 않고 너그럽게 포용하는 다문화 선진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혼식은 청춘 남녀가 만나 가정을 이루는 복되고 기쁜 날이다. 신랑신부 뿐 아니라 결혼식장을 찾은 하객도 주인공이다. 동남아(아세안)의 전통 결혼식은 종교와 계층에 상관없이 짧게는
2-3일에서 길게는 7-12일까지 온 동네잔치로 성대하게 치러진다. 양가 친지와 하객들이 맛있는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신랑 신부에게 선물과 덕담를 건넨다. 신랑, 신부가 복 많이 받기를,
무엇보다 자녀를 많이 낳아 가문이 번성하기를 기원한다. 열대의 동남아 지역에는 1년에 4-5번
경작이 가능한 비옥한 논과 밭이 널려 있으니 다산은 축복이다. 누구나 열심히 일하면 먹고 살기에
부족함이 없는 풍요로운 자연환경에서는 자녀가 많을수록 행복하고 든든하다. 흥겨운 춤과 노래가 이어지는 가운데 신랑·신부와 친지, 하객들이 어울려 사진을 찍으며 결혼식의 축제 분위기는 고조된다.
동남아(아세안)는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뉴욕·런던·서울 등 글로벌 도시 못지않은 화려한
도시 문화도 있지만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곳도 여전히 존재한다. 전기도 잘 들어오지 않는
파푸아 뉴기니, 티모르, 니아스 섬 등 도서부 동남아의 외딴 지역에 가면 자연을 닮은 원시 부족이 고유의 전통을 지키며 소박하게 살아간다. 라오스, 베트남, 태국, 미얀마에 걸친 고산지역은
고도에 따라 서로 다른 종족이 독자적인 생활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 북부 고산지역의 소수종족인 흐몽(Hmong)족 여성은 ‘사랑 시장(love market)’에서 마음에 드는 남성을 주도적으로 선택하는 풍습으로 유명하다.
전통적으로 양계 또는 모계사회적 성격이 강한 동남아에서는 여성들이 사랑과 결혼에 있어
150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is a regional community of nations
characterized by remarkable heterogeneity, yet sharing an innate gentleness and inclusiveness. Historically, Southeast Asia has been a vital crossroads where diverse societies have met and
mingled, exchanging and transforming each other’s traditions and cultures over the ages. The region is blessed with rich natural environments, vast lands and waterways, and abundant
resources. The region is home to vibrantly diverse multiethnic nations that magnanimously embrace and celebrate their different origins.
A wedding is a blissful occasion when a young man and a young woman tie the knot to form a
family. A wedding is a celebratory event not only for the bride and the groom but all the guests and well-wishers. Traditional wedding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regardless of religious
faith or social class, are sumptuous celebrations observing elaborate procedures involving the
entire neighborhood, which can last from a few days at the shortest to twelve days at the longest.
Relatives and friends of both sides participate by partaking of delicious feasts and offering gifts and blessings to the newlyweds. They wish the couple all the joy and happiness of married life, and
many children, so their family would prosper. Having many children is considered a great blessing in still mostly agrarian tropical Southeast Asian region. With a rich natural environment, people of the region believe that having more children means a greater opportunity for material affluence.
Southeast Asia is characterized by a great diversity. The region has global metropolises comparable to New York, London or Seoul, as well as backwoods areas which still remain isolated from the
great wave of modernity that have swept their nations’ capitals and urban centers. In such faraway islands as New Guinea, Timor and Nias in maritime Southeast Asia, primitive tribes continue to lead simple lives maintaining their native traditions, and in the highlands stretching over Laos,
Viet nam, Thailand and Myanmar, numerous ethnic groups retain their indigenous lifestyles. For example, the ethnic Hmong people residing the mountainous regions of northern Viet nam are known for their traditional “love markets,” where young unmarried women gather to meet and choose from the young men who come serenading them in hopes of meeting a likely spouse.
In most Southeast Asian societies, where matriarchal traditions remain relatively strong, women
tend to be assertive in matters related to love and marriage. Even the notably patriarchal societies
151
적극적이다. 심지어 부계적 성격이 강한 화교사회도 동남아 문화와 만나면 양성 평등적으로
변화한다. 실제로 말레이 문화와 중국문화가 융합한 페라나칸 문화의 결혼식은 모계사회의 전통이 강하게 나타난다. 어머니가 어린 딸에게 전족을 강요하여 상류층 여성들이 제대로 걷지도 못했던 중국과는 달리, 페라나칸 여성들은 편안하고 아름다운 슬리퍼를 신었다. 동남아 화교 사회에서는 중매로 결혼이 성사되기도 하지만, 최종적인 의사결정에서 신부의 의견도 중시되었다. 지금도
페라나칸 문화에서는 미혼의 젊은 여성이 마음에 드는 남성을 만나게 해달라고 기원하면서 바다에 오렌지를 던지는 전통이 남아 있다.
2. 종교적 전통을 따르는 아세안 결혼문화
1) 알라의 뜻대로...무슬림 결혼문화의 통일성과 다양성: 부르네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중심/ 미낭까바우 모계사회 화려한 결혼식/ 일부다처제 /자바의 결혼식
중동 이슬람 문화권에서 결혼은 집안 전체 혹은 부족 전체의 축제가 되는 반면은 이혼은 집안
전체의 수치가 된다. 배우잣감은 주로 부모에 의해 선택되며, 지역의 전통에 따라 부계의 사촌이 우선적으로 선호된다. 여성은 스스로 배우잣감을 선택할 권리가 제한되며, 심한 경우 부모나
형제에 의해 명예살인이 벌어지기도 한다. 무슬림 여성이 비무슬림 남성과 결혼하려면 그 남성은 결혼 전 반드시 무슬림으로 개종해야 한다. 이는 부계혈통 중심의 가부장적 관행에서 비롯된
of ethnic Chinese shift toward gender equality when they are exposed to Southeast Asian culture. Matriarchal traditions remain vivid in the Peranakan weddings combining Malay and Chinese
customs. In traditional mainland China, middle-to-upper class mothers bound their daughters’
feet tightly from a very young age in a custom consigning girls to lifelong pain and subservience to their husbands, whereas Straits-born Peranakan women wore comfortable and beautiful slippers. Arranged marriages are not uncommon in the ethnic Chinese societies in Southeast Asia, but the
bride’s opinion is eventually considered important as well. Among the Peranakans, there still exists the custom of single young women throwing oranges into the sea wishing that they would find a good husband
2. Religious Influences on Weddings in ASEAN Countries
1) Muslim Wedding Culture: Inshallah, Syncretism and Diversity In the Islamic world of the Middle East, weddings are festivals for all the families or the tribal communities concerned, whereas a divorce brings shame to the entire families. Spouses are
mostly selected by parents, and paternal cousins are often considered most preferable. Women are
seldom allowed to choose their spouses and, in some extreme cases, honor killings are undertaken by parents or siblings. If a Muslim woman wants to marry a non-Muslim man, he must convert
to Islam before marriage. This custom originated from the ages-old patriarchal traditions in the Islamic world, where religious faith is passed on from fathers to children.
것으로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아버지의 종교가 자녀에게 상속된다.
Unlike in the conservative Middle Eastern countries, Muslim weddings in Southeast Asia are
보수적인 중동과는 달리 동남아 무슬림의 결혼문화는 다채롭고 역동적이다. 말레이시아,
Moreover Buddhist and Christian wedding customs are naturally accepted in Malaysia, Indonesia
인도네시아, 부르네이는 무슬림 인구가 다수를 차지하는 국가이지만, 불교 및 기독교식 결혼
문화도 자연스럽게 인정된다. 무슬림 커플을 위한 결혼식 파티가 중국 음식점에서 열릴 정도로 종교적 금기가 엄격하지 않은 나라가 인도네시아다. 짧게 이슬람식 결혼 의례를 치루더라도 각
종족의 문화적 전통을 반영하는 의례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무슬림으로서 행정 처리를 위한 간단한 결혼식은 집에서 식구들과 소박하게 치루더라도 종족의 전통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결혼 파티만은 화려한 공간에서 시끌벅적하게 치룬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자바족의 결혼식과정은 무슬림 의례와 함께 힌두교에서 기원한 풍습으로 구성된다.
한편 독실한 무슬림이지만 모계사회 전통을 지켜온 미낭까바우 사람들의 결혼식은 신부 측에서 결혼식 전 과정에서 확실한 리더쉽을 갖는다. ‘분도 깜둥’이라 불리는 여성 리더가 주도하는
152
colorful and dynamic. Indonesian society is generally tolerant of religious differences and it is not uncommon for Muslim couples to hold their wedding receptions at Chinese restaurants. and Brunei, where Muslims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ir populations. Islamic wedding
ceremonies often reflect cultural traditions of different ethnic groups. The simple Islamic wedding ceremonies conducted at home with a small number of family members, which are needed for the administrative process, are usually followed by boisterous receptions manifesting ethnic
characteristics. The weddings of the Javanese people, constituting the largest ethnic group in Indonesia, typically combine Muslim and Hindu customs.
The Minangkabau people, despite being devout Muslims, keep their matriarchal traditions in
which the bride’s family dominates the entire marriage procedures. The wedding ceremony is
led by a senior woman, called bundo kanduang, with the bride wearing the suntiang gadang, an
elaborate golden crown, entering the hall side by side with the bridegroom. The ceremony follows colorful celebrations which continue all day with performances of the traditional plate dance (tari
153
결혼식은 모계사회의 전통을 잘 보여준다. 새와 곡식, 꽃과 나비 등 금빛 장식물이 가득한 금빛 화관, 순띠앙을 쓴 신부는 신랑과 함께 당당하게 결혼식장에 입장한다. 따리 삐링과 같은 전통
춤과 실랏 무예가 펼쳐진 후 음식을 나누어 먹고 사진을 찍는 결혼식 행사가 하루 종일 진행된다.
미낭까바우 결혼식 잔치음식을 대표하는 렌당(rendang)은 CNN이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으로 유명하다. 결혼식이 끝나면 신랑은 신부 집에 들어가 사는 것이 원칙이다. 중동의 무슬림 결혼문화에서는 일부다처제를 인정하지만 여권이 강한 동남아에서는 많은 여성들이 반대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뜨거운 논쟁거리이다.
2) 카스트에 순응하는 힌두교식 결혼 문화 (힌두교 영향을 받은 동남아 결혼문화) : 인도네시아 발리의 결혼 문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타밀족/ 결혼지참금/ 힌두교 결혼 의식
인도에서는 신부 측에서 남자 측에 청혼하는 것이 일방적인데, 신랑의 아버지는 신부가 자신의 아들과 잘 아울리는 신부감인지 확인하기 위해 별자리를 맞춰 본다. 신랑 신부가 서로 별자리 궁합이 맞아야 결혼식 일자를 잡을 수 있다. 힌두교식 결혼은 두 가족 간의 유대와 결속을
의미한다. 신랑의 아버지는 달콤한 과자를 신부에게 보내고 신부 측에서는 신랑의 아버지에게
약간의 돈을 보내는 것으로 화답한다. 신랑의 아버지는 다시 신부에게 장신구를 보내주고, 역시
신부는 신랑의 아버지에게 선물을 준비해 보내는 것으로 감사 표시를 한다. 힌두 문화에서 결혼 준비는 서로 선물을 주고받는 과정의 연속이라 돈이 많이 든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타밀족 결혼식은 원색의 화려함이 특징이다. 해질 무렵 신부 집에서는 하객을 초대해 성대한 결혼식 잔치를 마련한다. 결혼식장의 주인공인 신부는 화려한 색깔의
실크에 금실 장식이 들어간 사리를 입는다. 인도식 결혼식에 쓰이는 바나나 장식은 다산과 풍요를 상징한다. 결혼식에서는 부부의 인연을 묶어주는 의식이 하이라이트인데, 신랑 신부 모두 긴 천을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신부는 수많은 보석류로 몸을 장식하는데 특히 머리와 얼굴 부분에 화려한 장식이 집중된다.
결혼식장 중앙에는 임시로 만든 제단이 설치되는데, 가족이 섬기는 신과 더불어 가네샤 신상이 코코넛, 두 개의 물을 담는 그릇과 함께 놓인다. 하객들은 제단을 중심으로 의자에 둘러앉아
사제가 집행하는 의식에 참여하고 주문을 되새긴다. 사제가 비쉬누 신의 24가지 이름을 암송하는 동안 하객들은 물을 조금씩 마시면서 몸과 마음을 정화시킨다. 힌두교도들은 제사의 신이자 불의 신인 아그니(Agni)가 살고 있는 동쪽을 신성하게 생각하며, 힌두교 의식에서 붉은 색은 열정과
154
piring) and martial arts (silat), sharing food and taking photographs. The typical Minangkabau
wedding reception food, called rendang, has been selected as one of the world’s most delicious
foods by the international television network CNN. After the wedding ceremony, the groom moves into the bride’s house and lives there in accordance with the tribe’s matrilineal tradition. While
polygamy is recognized in Muslim countries of the Middle East, it is a contentious issue in most Southeast Asian countries with their strong feminist voices.
2) Hindu Wedding Culture: Compliance with the Caste System In Indian wedding traditions, it is common for the prospective bride’s family to make a marriage proposal to the prospective groom’s family. The groom’s father checks astrological compatibility of the prospective couple, an essential step to proceed with wedding plans including the picking
of an auspicious wedding date. The groom’s father then sends sweet cookies to the bride, and the bride’s family responds by sending some money to the groom’s father. Then the groom’s father sends jewelry to the bride, who expresses her gratitude by sending him gifts. As such, marriage preparations are largely the procedures of exchanging gifts between the two families because a Hindu wedding signifies the union of two families.
The Tamil weddings in Singapore and Malaysia are characteristically colorful. Following the
wedding ceremony, the bride’s family invites well-wishes to a lavish wedding reception at their
house in the evening. The bride wears a gorgeous saree made of silk woven with golden thread.
The banana decorations at the wedding venue symbolize fertility and affluence. The bride and the groom are draped with silk fabric symbolic of their union. The bride typically wears a range of jewelry over her body, particularly gorgeous ornaments on her face and hair.
The wedding hall has an altar set up at the center, on which the family deity is placed along with an image of Ganesha, a coconut and two water pots. The guests sit on chairs placed around the altar, participating in the rituals conducted by a priest and chanting mantras. While the priest
recites the 24 names of Vishnu, the guests purify themselves in body and mind by sipping water. The Hindus regard the east as the sacred abode of the fire god, Agni. They also believe red
symbolizes passion and love. When the groom arrives at the bride’s house, the bride’s mother applies a spot of sandalwood paste, called tilak, on his forehead. The bride’s family members
shower him with rice and flower petals to welcome him, and wash his feet with holy water mixed
with honey and milk. The bride takes a purifying bath with holy water and her hands and feet are decorated with henna mehandi designs to celebrate a fresh start of her life and also to protect her from evil influences. This is an important process in kanyadan, the ritual of “gift of a maiden,” in which the bride’s parents give their daughter to the groom and ask him to take good care of her
155
사랑을 상징한다.
throughout their lives.
신부의 어머니는 신부집에 찾아온 신랑의 이마에 붉은 색 ‘띨락’을 발라준다. 신부 가족은 쌀알과 꽃가루를 뿌려 신랑을 환영하고, 신랑의 오른쪽 발을 꿀, 우유를 넣은 물로 깨끗이 닦아 준다. 신부는 목욕제례를 마친 후 손과 발바닥에 헤나 염색으로 메한디(mehandi) 장식을 한다.
악한 기운이나 재앙으로부터 신부를 보호하기 위한 의례로 신부의 새로운 출발을 축복하는 의미도 있다. 신부의 부모가 신랑에게 신뢰감을 표현하여 자신의 딸을 맡기는 이른바 ‘딸 바침(kanyadan)’의식은 결혼식에서 중요한 과정이다.
베다의 종교를 따르는 힌두교들에게 영적인 순결과 숭고한 공간의 느낌은 결혼식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힌두교 사제가 전통 악기가 연주되는 가운데 향료와 우유 기름을 불에 태우고 주문을
암송하면서 결혼식장의 분위기는 고조된다. 식장 중앙에 정방형 화로를 세우고 신성한 불을 밝혀
놓는 것은 오염된 기운을 정화하는 효과를 기대해서다. 신랑이 신부의 왼쪽 손목에 심황을 물들여 노란 면실 타래를 묶어주는 행위는 악령을 쫓는 부적의 역할을 한다. 하객이 노란 쌀알을 신랑
신부에게 뿌려 축복하거나, 신부의 이마에 신랑이 물을 살짝 뿌리고 리그베다를 암송하는 과정 등은 인도식 결혼식에서 필수적이다.
For the Hindus who follow Vedic traditions, spiritual purity and sacred space are important
elements of a wedding ceremony. The solemn atmosphere in the wedding hall is heightened as the Hindu priest recites mantras, burning incense and oil, whil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re played. A sacred flame is kept burning in a square brazier at the center of the wedding venue to
remove impurities. The bridegroom ties thread dyed yellow with turmeric around the bride’s left
wrist to chase away evil spirits. The guests shower the couple with yellow rice to invoke blessings
and the bride sprinkles holy water on the groom’s forehead, while mantras from the Rig Veda are chanted. All these are essential to Indian-style weddings.
In the Indonesian island of Bali, where Hindu religious rituals and traditional arts are actively practiced, wedding ceremonies are lavish events. Wedding preparations involve the whole
families concerned, particularly the bride and her family in the belief that earnest preparations,
including improving her appearance, would help ward off misfortunes. The Balinese people have
traditionally considered marriages within the same clan to be most desirable, frequently leading to marriages between first cousins. An inter-caste marriage is regarded as a shame to the family. In
particular, a woman marrying a man from a lower caste is seen as bringing dishonor to the entire caste she belongs to.
힌두교 종교 의례와 전통예술이 발달한 인도네시아 발리에서도 결혼식은 화려한 행사이다. 온
3) Buddhist Wedding Culture: The Beginning of a New Relationship
고르게 하거나(teeth filling) 외모를 단정히 하는 정성스러운 과정이 액운을 막는다고 믿는다.
Buddhist wedding traditions prevail throughout continental Southeast Asia, alongside the native
4촌간의 결혼도 흔했다. 서로 다른 카스트와의 혼인은 가문의 수치로 여겨지며, 특히 자신보다
on behalf of the would-be-groom’s parents to determining the amount of dowry to be sent to the
가족이 함께하는 발리의 결혼식 준비는 몇 달 전부터 시작된다. 신부와 가족들은 이를 갈아서
발리의 전통에 따르면 같은 카스트 내에서의 씨족혼을 바람직하게 생각해 남자 형제의 자녀인 낮은 계층의 가문으로 여성이 시집을 가면 카스트 전체의 위신을 떨어뜨리는 행위가 된다.
3) 새로운 인연의 시작, 불교식 결혼문화 (불교의 영향을 받아 전생의 업, 인연 중시하는 결혼
문화, 시주와 승려의 집전 중요) : 베트남/태국/라오스/캄보디아, 결혼의 의미에 대한 국가 간 차이, 승려가 될 수 없는 여성의 한계와 사회적 역할
대륙부 동남아는 불교식 결혼문화가 대부분이지만, 각 종족과 지역의 전통도 포함한다. 태국의 결혼문화에서는 ‘타오깨’라 불리는 문중의 어른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신랑 측 부모를 대신하여 신부 측 부모에게 청혼을 하는 일, 신부집에 보내는 혼수 예물의 액수를 정하는 일,
156
customs of different ethnic groups and regions. In Thai weddings, family elders called thao-gae
perform essential roles throughout the entire marriage process, from making a marriage proposal bride’s family, picking the date for the engagement ceremony and delivering dowry to the bride’s home. When the details of engagement and dowry have been determined by agreement between
the families of the bride and the groom, an auspicious date is picked for the wedding ceremony by consulting a famous monk or astrologer. As the Thai people consider the symbolism of numbers important, most weddings take place during the even-numbered months, but the eighth lunar
month when the annual Buddhist retreat begins is avoided and so is the twelfth month when dogs begin mating. However, the ninth month is favored for weddings because the number 9 in the
Thai language is pronounced kao (or gao), which sounds the same as the first syllable of the word kaona, meaning “progress.”
Ahead of the wedding ceremony, Buddhist monks are invited to perform a religious ceremony where donations are made to accumulate merit. While the monks chant sutras, the bride and
157
약혼식 날자를 정하거나 혼수예물을 넣은 함을 신부집에 가지고 가는 일 등 중요한 역할은 다
타오깨가 맡는다. 약혼이나 혼수 예물에 대한 신랑 신부 양가의 합의가 이루어지면 결혼식 날자는 저명한 승려나 점술가의 도움을 받아 길일로 정해진다. 숫자의 상징적 의미를 중시하는 태국 문화에서 결혼식 날자는 홀수 달보다는 짝수 달이 선호된다. 하지만 입안거가 시작되는 8월,
개들이 교미를 시작하는 12월은 기피한다. 반면 9월은 홀수 달이지만 예외적으로 허용되는데 태국어로 ‘까오’로 발음되는 9는 발전을 뜻하는 ‘까오나’와 앞부분 발음이 같아 행운의 달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결혼식이 시작되기 전에 승려가 불공을 드리는 행사를 통해 보시를 하고 공덕을 먼저 쌓는다. 승려가 축원하고 경을 읽는 동안 신랑과 신부, 양가 친척들은 합장을 하고 독경을 경청한다.
결혼식 경비를 담은 봉투와 세 송이의 녹색 연꽃, 향이 담긴 작은 은 쟁반이 공물로 바쳐진다. 신랑 앞에 작은 오렌지 그릇이 전달되면 승려들은 나뭇가지에 물을 묻혀 신랑 신부를 축복한다. 이후 친지들에게 차례로 성스러운 법수를 뿌려주는 의례가 진행된다.
타이어로 ‘롯남쌍’은 성수를 뿌리는 의식으로 결혼식의 하이라이트이다. 신랑은 오른쪽, 신부는
왼쪽에 있는 초에 불을 붙이고 3개의 향에 불을 붙인다. 신랑 신부가 승려에게 3번 절하고 무릎을 굽혀 엎드린 자세를 취하면 승려는 이들의 머리 위에 흰 색 끈을 늘어뜨려 두 사람의 인연을
완성시킨다. 아침에 승려가 만들어 놓은 성스러운 물 ‘남쌍’을 금박을 입힌 큰 소라껍질 모양 용기에 넣어 합장을 한 후 덕담과 함께 신랑 신부 손에 조금씩 부어주면 경건한 결혼 의식은 마무리된다.
흥겨운 피로연이 밤까지 이어지고 하객이 돌아가면 신방에 잠자리를 펴는 ‘뿌티넌’ 의식이
치러진다. 조상에게 절을 올린 후 신부 측의 어른이 정성스럽게 준비한 침구, 베개, 모기장 등을
가져온다. 양가의 ‘타오깨’가 협의해 하객 중에서 가장 덕스럽고 부유하고 자녀들을 잘 키운 다복한 부부를 주례로 초빙해 신랑과 신부를 신방에 데리고 가게 한다. 주례를 맡은 부부는 열을 식혀주는 음식인 ‘확(야채)’, 깨끗함을 상징하는 물을 담은 질그릇, 풍요를 상징하는 녹두와 검은 깨를 담은 쟁반, 평생 변치 많고 끝까지 사랑하라는 의미를 지닌 돌을 들고 신방에 들어간다. 주례 부부가 덕담을 마치고 신부를 신랑에게 인계하면 긴 하루가 마무리된다.
불교 전통이 강한 라오스와 캄보디아에서도 결혼식은 친지와 마을의 중요한 행사다. 특히 승려가 축복을 기원한 물은 결혼식 의례에서 여러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한편 미얀마에서는 불교와 더불어 ‘정령(nat)’ 신앙의 전통이 강하다. 인간, 동‧식물, 자연현상에 존재하는 초자연적인
158
groom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listen with their hands folded. A tray containing money in an envelope, three green lotus blossoms and incense are offered. When a small bowl
containing oranges is delivered to the groom, the monks bless the bride and groom by sprinkling holy water on them with tree sprigs. Then the relatives take turns saying blessings to the couple and sprinkling them with holy water.
The water blessing ceremony, called rod nam sang, is the highlight of a Thai wedding. The bride
and groom light the candles to their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s well as three incense sticks. The bride and groom bow to the monks three times and kneel down so the monks would drape sacred thread around their heads, forming a circle to symbolize their union as husband and wife. Then
the guests take turns pouring holy water from a gold-gilt conch shell (nam sang) over the hands of the newlywed couple, saying blessings for good luck, thereby completing the wedding ceremony. The joyful wedding reception usually continues until late at night. When all the guests have left, the bridal bed ceremony, called poutinon, follows as the newlyweds enter their bridal chamber.
After paying respects to the ancestral spirits, they are led to their bridal bed by the most happily married, virtuous couple chosen from among the guests by the thao-gae (respected elders) of
both families. This elderly couple has to have led successful lives with good children and material prosperity. They bring into the room a variety of symbolic objects, including vegetables (phak), a pottery vessel containing pure water, a tray of mung beans and black sesame seeds, and a stone, all standing for steadfast love and a happy marriage. They say blessings to the bride and groom
to transmit their luck to the newlyweds before leaving them alone on their bridal bed. Thus the daylong rituals and celebrations come to an end.
In Laos and Cambodia, where Buddhist traditions remain vital, weddings are important events for the family and the community. Particularly, the holy water containing blessings of monks carry
various symbolic meanings in wedding rituals. In Myanmar, the majority of people simultaneously worship the nat, the spirits of native folk beliefs, along with Buddhist deities. They believe in the
supernatural powers of the animistic spirits residing in humans, animals and plants, and natural phenomena to influence the affairs of human beings and determine their fortunes.
Unlike in Myanmar, Thailand, Cambodia and Laos, where the Theravada Buddhism is the
mainstream national faith, a great majority of people in Viet nam show syncretic tendencies in
their religious lives, incorporating Confucianism, Taoism and the Mahayana school of Buddhism, as well as native folk beliefs. In Viet nam, marriage i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event of
communal concern bringing two families and their kin together beyond a union of two individuals. Marriage is also perceived as a tool for maintaining family lineages and reputation, a realistic issue involving the redistribution of land. The groom is expected to make cash and material
donations, such as bricks, trays and pottery wares, to the bride’s village. This is called cheo, an
159
능력을 지닌 영적 존재로서 정령이 인간 세계와 연결되어 길흉화복을 주관한다는 믿음이
확고하다. 상좌부 불교 국가인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와는 달리 베트남에서는 중국을 통해 유입된 유교, 도교, 대승불교 및 토착 신앙이 혼합된 종교가 우세하다.
베트남에서의 혼인은 개인적인 경사에 그치지 않고 가족, 친족, 그리고 마을의 구조와 관련된 공적인 행사로 인식된다. 결혼식은 가족과 친족의 혈통과 함께 명예를 유지하는 수단이 되고
important qualification process to obtain the bride’s hand. The groom’s family sends gifts to the
bride’s family and upon receiving their permission for marriage, notifies the bride’s family of the
wedding date, sending more gifts, including money, rice, rice cakes, pork, tea, liquor, and wedding costumes and jewelry. On the wedding day, the groom and his family and relatives visit the bride’s house in a procession, carrying more jewelry contained in a box. The procession is led by a child holding a colorful lantern or a pair of geese.
마을의 토지 분배와도 관련된 매우 현실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신랑이 마을에 기부를 하는
In Hanoi and other regions in northern Viet nam, the best wedding season is autumn to winter
돈, 벽돌, 쟁반, 도자기 등을 신부의 마을에 제공해야 한다. 신랑은 신부 측에게 예물을 보내 결혼
them with white thread or chains, asking for money to pass through. When the door of the bride’s
‘째오(cheo)’는 결혼식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갖는데, 신랑은 신부를 얻을 자격을 얻기 위해 승낙을 받으면 결혼할 길일을 물으며 추가로 돈, 떡, 쌀, 돼지고기, 혼인 예복, 귀걸이, 반지, 차,
술 등을 신부 집에 보낸다. 결혼식 날 신랑은 패물함을 들고 가족 친지들과 신부 집까지 열을 맞춰 행진을 한다. 맨 앞에 청사초롱을 들거나 한 쌍의 거위를 든 어린아이를 앞세우기도 한다.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베트남 북부지역에서 결혼하기 좋은 때는 가을에서 구정 전까지다. 여름은 농사일로 바쁜 시기라 결혼식을 금기시한다. 신랑 측의 행렬이 신부의 마을을 지날 때 마을
사람들이 실타래로 길을 막거나 신랑 측에 돈을 요구하며 실랑이를 벌인다. 신부 집 문이 열리면 조상의 신위가 모셔진 제단에서 먼저 예를 올리고 마당 한가운데 술과 닭이 차려진 제단 앞에서 홍사례를 치룬다. 최근에는 결혼식을 관공서나 호텔에서 약식으로 치루는 경우가 많아졌다.
결혼식의 계절인 봄과 가을이 되면 서양식 웨딩드레스나 턱시도우를 입고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결혼사진과 비디오를 찍는 커플을 쉽게 만날 수 있다.
3. 현대사회에서 다양하게 진화하는 동남아(아세안) 결혼 문화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던 카톨릭 국가 필리핀에서는 성당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경우가 많다. 화려한 드레스를 입고 곱게 화장한 신부와 신부 들러리들은 필리핀 결혼식을 빛나게 하는
주인공들이다. 다양한 종교가 조화롭게 존재하는 동남아에서는 다른 종교를 가진 소수자의 취향도 존중되는 다문화 선진국이다. 예를 들어 태국이 독실한 불교신자가 많은 국가이기는 하지만
카톨릭 신자가 웨딩 드레스를 입고 성당에서 미사를 드리는 서구식 결혼식도 자연스럽다. 주말이 되면 베트남 남부 호치민시 시내의 사이공 대성당에서는 결혼미사를 마친 신혼부부를 축복하는 행복한 종소리가 울려 퍼진다. 프랑스 식민 통치의 흔적이 남아 있는 베트남 남부의 아름다운
고원도시 달랏은 신혼부부들이 선호하는 허니문 여행지이다. 마치 영화를 찍는 것처럼 중간 중간
160
before the start of the lunar New Year, while the summer months busy for farming are usually
avoided. When the groom and his entourage arrive in a procession, the bride’s neighbors block home is opened, the ceremony begins with the groom and his party paying respects before
her family’s ancestral tablets. Then they conduct the wedding rite before an altar set up in the
courtyard with rice wine and chicken laid out and a red envelope presented to the bride’s family.
Many young Viet namese these days prefer holding simple wedding ceremonies at public offices or hotels. In spring and summer, young couples in Western-style wedding dresses and tuxedoes are often found taking wedding photos and videos at scenic spots.
3. Toward Greater Diversity: The Evolution of Southeast Asian Weddings
In the Philippines, a predominantly Roman Catholic nation where the influences of Spanish
rule remain palpable, weddings are most frequently conducted in cathedrals. The bride and her maids of honor wearing gorgeous Western-style dresses and makeup are the brightest figures in Philippine weddings. Even in Thailand, with the majority of its population devoutly practicing
Buddhism, it is natural for Catholics to hold a Roman Catholic wedding in a cathedral. In Ho Chi Minh City, the capital of Viet nam, the bells of the Notre Dame Basilica of Saigon ring happily
every weekend to bless the young couple who have just tied the knot in a mass. Da Lat, a beautiful city in the southern highlands of Viet nam with many vestiges of French occupation, is among the country’s most favored honeymoon destinations. Newlywed couples are seen taking photographs, changing into different costumes for different backdrops as if filming movies, to create memories they would cherish throughout their lives. All these are vivid evidence that the weddings in the
inherently multicultural societies in Southeast Asia are evolving toward even greater diversity by embracing the preferences and choices of minority groups following different religions.
The Peranakan wedding traditions continue to influence the weddings of Malaysians in Penang, Malacca and Ipoh, where ethnic Chinese maintain large communities. In Singapore as well,
traditional wedding customs are retained if partially despite the global city state’s cosmopolitan extravagance. A typical Peranakan wedding lasts over 12 days, apart from months of elaborate
161
촬영 장소를 바꾸고 계속 옷을 갈아입으며 평생 간직할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어 간다. 동남아에서도 화교들의 전통이 강한 말레이시아 페낭, 말라카, 이포의 결혼식에는 페라나칸의 전통이 남아 있다. 싱가포르 역시 글로벌 도시의 화려함 속에서도 조상들로부터 전래된 전통 혼례 풍습을 일부라도 지키려 한다. 전통적인 페라나칸의 결혼식은 12일 넘게 계속되는데
결혼식 준비과정까지 포함시키면 더 길어진다. 동남아 화교들은 결혼을 통해 가족 간의 결속을
다지고 사업의 영역을 확장하는 기회로 삼기도 한다. 부유한 화교들의 결혼식은 향기로운 생화로 장식된 세련되고 력셔리한 공간에서 계속 먹고 마시며 선물을 주고받는 행사가 펼쳐진다.
서구식 결혼이더라도 신랑 신부와 하객이 함께 차를 마시는 중국식 예식(tea ceremony) 전통을
포함시키고, 하객들이 막 안담(Mak Adam)이 준비한 장미, 판단 잎을 넣은 향기로운 물을 뿌리는 등 말레이 전통문화도 가미된다. 말레이 문화에서 신랑과 신부는 결혼식동안 왕과 왕비처럼
대접받는데, 특히 말레이 결혼에서 순결한 신부를 상징하는 베텔 잎(betel leaves)은 중요한 소품이 된다.
대도시의 자본주의와 결합해 더 화려해진 결혼식은 서구 미디어와 자본주의의 영향으로 마치 문화 이벤트나 예술 공연처럼 치러지기도 한다.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의
대도시에서는 서구식 자본주의와 결합해 단 하루에 수 억원을 쓰는 화려한 결혼식도 등장했다.
특히 아세안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복잡한 메트로폴리스 자카르타에서는 교통 체증을 피하기 위해 아예 온 가족과 친지가 2-3일 동안 호텔에서 함께 숙박하며 성대한 결혼식을 치루는 게 유행이다.
사랑의 섬 발리는 다양한 결혼예식이 패키지화되어 있어 결혼하기 편한 섬이다. 실제로 발리는 잘 나가는 뉴요커였던 한 커리어우먼이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자전적 소설,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에서 여주인공이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는 낭만적인 공간으로 그려졌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북부의 대표적 종족인 바딱족(Batak)의 근거지 또바 호수 부근이나
술라웨시의 또라자 지역, 향료제도로 유명한 말루쿠(Maluku), 파푸아뉴기니 등에서는 서구에서 온 선교사들의 포교로 기독교 신자가 많다. 목사님의 주례로 예배를 드려 경건한 결혼식을
치루더라도 피로연만큼은 종족 고유의 전통이 담긴 춤과 노래를 곁들여 흥겨운 파티로 이어진다. 인도네시아 대도시와 항구도시에 정착한 화교들 중에는 최근 기독교로 개종한 신자가 많은데, 이들은 대부분 성당과 교회에서 기독교 전통에 따른 결혼식을 치룬다. 남녀 성역할 구분이
뚜렷하고 보수적인 카톨릭에서는 남성인 신부가 혼배 미사를 집전하지만 개신교에서는 여성
목사가 결혼예배를 집전하기도 한다. 동남아 사회 전반에 뿌리깊은 양성평등적 문화가 현대의 결혼식장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다.
162
preparations. Weddings of the ethnic Chinese in Southeast Asia are often significant occasions for
consolidating family networks and expanding business opportunities. Wealthy ethnic Chinese hold
wedding ceremonies at gorgeous venues lavishly decorated with fresh flowers, where they dine and exchange gifts. Even Western-style weddings include a traditional Chinese tea ceremony where the
bride and the groom and the guests drink tea together, as well as the traditional Malay ritual where the well-wishers sprinkle water scented with pandan leaves, prepared by the mak andam, a lady
serving as the bride’s attendant and ritual adviser. In the Malay weddings, the bride and groom are
treated like the king and queen, and betel leaves are considered an indispensable item symbolizing freshness and prosperity.
Weddings in large cities tend to grow more lavish, resembling cultural events or art performances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media and capitalism. In Singapore and large cities in Indonesia, Malaysia and Thailand, some weddings are sumptuous events costing hundreds of thousands
of dollars for daylong celebrations. In Indonesia, some families invite their relatives to stay in
a hotel to hold grand wedding celebrations over a few days away from the traffic congestion in
Jakarta, one of the most densely populated metropolises in Southeast Asia. The romantic island
of Bali offers a variety of wedding packages. The island is a setting of Eat, Pray, Love, the popular autobiographical novel of a successful New Yorker who sets off on a journey to discover her true self and, finally and unexpectedly finds true love.
There are many Christians in the regions around Lake Toba, the homeland of the Batak people,
in northern Sumatra, Toraja in central Sulawesi, and the Maluku Islands, also known as the Spice
Islands, in Indonesia, as well as Papua New Guinea, where Western missionaries actively worked. Weddings in these regions are often conducted as church services administered by pastors, but
they are usually followed by receptions featuring traditional songs and dances and merrymaking parties in the unique ethnic styles. Many ethnic Chinese residing in large Indonesian cities and ports have recently converted to Christianity, and most of these people hold Christian wedding ceremonies at Roman Catholic or Protestant churches. Some Protestant wedding services are
administered by female pastors, whereas Catholic wedding masses are always led by male priests because Catholicism is more conservative about gender roles. This indicates that the deep-
rooted traditions of gender equality in Southeast Asian societies are influencing modern wedding ceremonies.
4. Epilogue: Flexible and Progressive Weddings in ASEAN Countries
Under the strong traditions of gender equality prevailing in the region, weddings in Southeast
Asia are typically female-dominated events. The Minangkabau people, based in the Indonesian
province of West Sumatra, form the world’s largest matrilineal society where the family lineage
163
4. 에필로그: 유연하고 진취적인...아세안 결혼문화
동남아는 세계적으로도 양성평등 전통이 강한 지역이었기에 여성이 주도하는 결혼식 문화가 발달하였다. 서부 수마트라에 기반한 미낭까바우 족은 가문의 재산과 혈통이 할머니에게서
어머니로, 어머니에게서 딸로 이어지는 세계 최대 모계사회로 유명하다. 독실한 무슬림이지만 여성들의 경제·사회적 참여가 활발하며, 자본주의적 현대사회에서도 강한 생명력을 유지해온 특별한 종족이다. 미낭까바우 족은 발리·롬복·반둥·자카르타 등 인도네시아 전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부르네이 등 동남아 지역 뿐 아니라 서구와 아랍 지역까지 진출하는 등 무슬림 모계사회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왔다.
최근 아세안 공동체가 확장되고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해 지면서 결혼을 통해 문화적 혼종성이 커지고 있다. 국가와 종족, 종교와 계층을 뛰어넘어 사랑하고 결혼하는 남녀 커플도 늘어났다.
최근 진취적인 동남아 여성들이 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하는 사례도 많아졌다. 특히 한국과
역사적·문화적 공통성이 많은 베트남으로부터 한국으로 이주하여 가정을 꾸린 여성이 급증했다. 동남아(아세안)와 한국은 가족 및 여성에 대한 관념이 우리와 유사한 점도 있지만 다른 점도 많다. 우선 동남아(아세안) 지역은 전반적으로 성역할 고정관념 약하고 여성의 경제·사회적 지위가
높다. 세계경제포럼이 매년 발표하는 성격차지수(Gender Gap Index)에서도 동남아는 한국보다 훨씬 순위가 높은 양성평등국가가 대부분이다. 아들·딸 차별하지 않는 가정에서 태어나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해온 동남아 여성들은 자존심은 강하고 콤플렉스는 적다. 동남아 여성들에게 집에서
살림하고 아이 키우는 한국의 전형적인 엄마 역할만 강요하기 보다는 이들이 가족 및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목소리를 내고 한국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개성과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고 조화롭게 조정해온 아세안은 다문화
선진지역이다. 순혈주의와 단일민족 신화로 경직된 한국사회는 아세안과의 활발한 인적·문화적 교류를 통해 조금씩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부계적 성격이 강한 한국 사회와
모계사회적인 아세안은 서로 보완하고 협력하기에 유리한 상생의 파트너가 될 수 있다. 특히
넉넉한 분위기에서 맛있는 음식을 나눠먹으며 다정한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행복한 결혼식 문화는 우리가 아세안으로부터 꼭 배워야 할 전통이 아닐까?
164
and property are passed down from grandmothers to mothers and from mothers to daughters.
Though devoutly Muslim, the Minangkabau have maintained their tribal traditions characterized
by active economic and social participation by women contributing to their strong presence in the modern capitalist environment. The Minangkabau have continuously expanded their matrilineal
Muslim networks throughout Bali, Lombok, Bandung and Jakarta regions in Indonesia, and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like Singapore, Malaysia and Brunei, as well as European, American and Arab regions.
With the expansion of the ASEAN community and the subsequent rise in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in recent years, cultural hybridity is also growing through marriages. Increasing
numbers of young people are marrying for love beyond national, ethnic, religious or class barriers. At the same time, more and more Southeast Asian women are marrying Korean men.
Korea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shar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notions of family and women. Most notably, Southeast Asian countries generally have traditionally more
progressive attitudes about gender roles, endowing women with higher economic and social status than in Korea. In the annual Global Gender Gap Report released by the World Economic Forum, Southeast Asian countries usually rank far higher than Korea. Women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typically have higher self-esteem with little inferiority complex because they were born in families that do not discriminate between sons and daughters and have active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in their countries. Therefore, when they marry Korean men and live in Korea,
they need to be encouraged to voice their opinions as members of their families and communitie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Korean society, rather than expecting them to follow the example of a typical Korean woman keeping her home and raising children.
The ASEAN is an organization of societies based on advanced multiculturalism, where cultur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are recognized, embraced and harmonized. Korean society, which
has remained rigid due to age-old myths of pure blooded nationalism and ethnic homogeneity,
has much to gain in opening up to active human and cultural exchanges with these nations. The
patriarchal Korean society and the ASEAN’s matrilineal societies have much to tell each other for bilateral understanding, and coexistence through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Particularly,
Koreans have a lot to learn from Southeast Asians’ vibrant wedding customs steeped in tradition yet thoroughly inclusive and in tune with the times, characterized by the generous sharing of delicious food and joyful blessings exchanged between loved ones.
165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AN G
Như đô★ đũ★ ngọc nắm tr★ng mâm vàng
PA G- AA SA WA
Bở★ chúng thầy mẹ nó★ ng★ng,
NA PA SO
NA KA PA G
Để ch★ đũ★ ngọc mâm vàng x★ nh★★.
AY DI PARANG KANING ISUSUB O
Đô★ t★ làm bạn th★ng d★ng,
AY ILULUWA
베트남 VIET NAM
필리핀 PHILIPPINES
Đôi ta làm bạn thong dong, Như đôi đũa ngọc nắm trong mâm vàng Bởi chúng thầy mẹ nói ngang, Để cho đũa ngọc mâm vàng xa nhau.
Ang pag-aasawa ay di parang kaning isusubo na kapag napaso ay iluluwa
우리는 아름다운 인연을 맺었는데, 마치 금 쟁반에 놓인 옥 젓가락 같았고, 부모님은 반대하여, 금 쟁반 옥 젓가락을 서로 멀리하게 하는구나. (출처 : Ca dao 민요의 가사부분을 지칭한 것으로 구비문학의 한 종류.) You and I, we would make a perfect couple. Like jade chopsticks on a gold tray. But our parents do not approve, and the jade chopsticks are kept away from the gold tray.
결혼은 밥 먹는 것과 달라, 입 속에 들어갔을 때 뜨겁다고 함부로 뱉거나 물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결혼을 경솔하게 대하면 안되며 수없이 많은 희생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Unlike eating rice, you cannot spit out marriage when it burns your tongue. (This means that marriage should not be taken lightly. It entails a lot of work and sacrfice. It is something you can't undo or take back easily the moment you say your vows.)
태국 THAILAND ดูชา้ งให้ดห ู าง ดูนางให้ดแ ู ม่ 코끼리를 고를 때는 꼬리를 보고, 아내가 될 사람을 고를 때는 그 어머니를 보아야 한다.
When choosing an elephant, look at its tail; When choosing a girl, look at her mother.
말레이시아 MALAYSIA Bagaikan pinang dibelah dua
빈랑나무 열매는 반으로 매끄럽게 쪼개진다. (갓 결혼한 신랑신부의 선남선녀와 같은 모습을 이르는 말.)
The betel nut splits evenly in half. (The actual meaning is compatible / equally beautiful and handsome for a pair of just married bride and bridegroom.)
Semoga sampai
langgeng
인도네시아 INDONESIA Semoga langgeng sampai maut memisahkan
죽음이 갈라놓을 때까지 항상 함께 하기를. Together till death do you(us) part.
memisahkan
maut
Garam di laut, asam di gunung, bertemu dalam belanga juga.
인도네시아 INDONESIA Garam di laut, asam di gunung, bertemu dalam belanga juga.
산에서 나는 타마린드와 바다에서 나는 소금이 결국 한 솥에서 만난다. (멀리 떨어진 지역 출신의,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연인들이 언젠가는 남편과 아내가 되어 만난다는 운명론적 의미.) Tamarind from the mountain, and salt from the sea, meet in one pot.
인도네시아 INDONESIA
캄보디아 CAMBODIA
ถือไมเ้ทา้ ยอดทอง กระบองยอดเพชร 평생동안 함께하기를.
Together for a lifetime.
바나나를 한입도 먹을 수 없을 때까지, 옥수수를 깨물어 먹을 수 없을 때까지 서로서로 영원히 사랑하여라. Love each other till you no longer can chew bananas or corn (and even ghosts can't get to you).
Đời cha ăn mặn, đời con khát nước
미얀마 MYANMAR Youn nout za-dome par
예전에는 미얀마 남자들은 머리를 길게 늘어뜨리고 맨 위에 youn이라는 머리매듭을 묶었던 반면 여자들은 za-dome이라고 부르는 각기 다른 스타일의 고리모양의 머리를 했다. 이 격언은 젊은 남녀가 결혼을 했고 여자가 남자의 집에 들어간다는 것을 표현하는 격언이다.
The groom is in his youn, and the bride in za-dome. (Youn is traditional married men's long hairstyle, and the za-dome women's ring-shaped updo meaning that a young coupe married, and the bride went to live in the groom's house.)
베트남 VIET NAM Đời cha ăn mặn, đời con khát nước
아버지가 짜게 먹으면 아들이 물을 찾는다. (결혼할 때는 상대방 뿐만 아니라 가족을 보면 그 특징, 습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의미.) When the father likes much salt in his food, the child thirsts for water.
아세안문화원 개원기념 기획특별전
그래픽/도록 디자인 Graphic/Catalogue Design
- 결혼문화를 통해 바라본 아세안
전시 디자인 Space Design
화혼지정(華婚之情)
발행일 Date 2017. 12. 1.
발행인 Publisher
이시형 Sihyung LEE 발행처 Published by
한국국제교류재단 아세안문화원 ASEAN Culture house, The Korea Foundation 총괄 Directors-in-chief 윤금진 Keum-jin YOON
함승훈 Seung-hoon HAM 기획 Curator
조주리 Juri Cho 프로젝트책임 Project Manager 이방복 Bangbok Lee
프로젝트담당 Project Coordinators 이혜원 Hyewon Lee 임미선 Mi-seon Lim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Curatorial Assistant 최호랑 Horang Choi
전시지원 Project Assistant 심미정 Mijung Shim 김민희 Minhee Kim
학술지원 Scholarly Support 강희정 Heejung Gang
송승원 Seungwon Song 번역 Translation
이경희 Kyong-hee Lee
김정윤 Jeong-yoon Kim 설치 진행 Installation 노준태 Joon-tae Noh 이수지 Soo-ji Lee
이수진 Soo-jin Lee
물질과비물질 waterain 제로랩 zerolab
미디어 프로덕션 Media Production 루트 254 route254
사진 Photographer
권도연 Do-yeon Kwon
굿보이픽쳐스 GOODBOY PICTURES 필라멘트리 FILAMENTREE 협력작업 Collabaration
시인 김미선 Poet Kim Mi-seon
미디어 아티스트 이동훈 Media Artist Lee Dong-hoon
텍스타일 디자이너 이정은 Textile Designer Lee Jung-eun
그래픽 디자이너 정진욱 Graphic Designer Jung Jin-wook
이수범, 날도자 로살리(자료협조) Lee Soo-beom & Naldoza Rosalie (Image and Objects Loan)
사진가 고 전몽각, 이문강 여사(자료협조) Photographer Late Chun Mong-gak, Lee Moon-gang (Image Loan) 영화감독 파타비 비라누밧(태국) Filmmaker Patavee Viranuvat (Thailand) 자료 협조
씨응 쏙헹(캄보디아) Seang Sokheng (Cambodia) 장소 Venues
아세안문화원 기획전시실 Special Exhibition Gallery, ASEAN Culture House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로 162
162, Jwadong-ro, Haeundae-gu, Busan, 48108, Korea
KF갤러리 KF Gallery
서울시 중구 을지로5길 26 센터원 서관 2층
West Tower 2nd Fl. Mirae Asset CENTER1, 26 Eulji-ro 5-gil, Jung-gu, Seoul 기간 Period
부산 Busan 2017.9.1. - 12.3 서울 Seoul 2018.2. - 3. 주최 Organizers
한국국제교류재단 The Korea Foundation 아세안문화원 ASEAN Culture house 후원 Support
외교부 Ministry of Foreign Affairs 부산시 Busan Metropolitan City
아세안문화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로 162 ASEAN Culture House
162, Jwadong-ro, Haeundae-gu, Korea www.ach.or.kr
ⓒ 2017 ASEAN Culture House, the Korea Foundation 이 책의 저작권은 한국국제교류재단 아세안문화원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 담긴 모든 내용 및 자료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한국국제교류재단 아세안문화원의 문서를 통한 허가 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으로 복사 또는 전재하여 사용할 수 없습니다. All right reserved. No part of this catalogue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ystem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electronic, mechanical, photocopying, recording or otherwise, without written permission from the ASEAN Culture House, the Korea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