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하는 아세안

Page 1

아세안문화원 기획전

ASEAN Culture House Special Exhibition

놀이하는 아세안 Playful ASEAN




아세안문화원 기획전시

후원

2018.9.14.–12.2.

부산광역시

놀이하는 아세안

아세안문화원 기획전시실 이 전시는 아세안

10개국의 대사관, 정부 및 여러 기관의 협조로 이루어졌습니다. 브루나이 다루살람 캄보디아 왕국

인도네시아 공화국

라오인민민주공화국 말레이시아

미얀마연방공화국 필리핀공화국

싱가포르 공화국 타이왕국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본 전시 준비에 협력해주신 아래 국내·외 기관에 특별히 감사드립니다.

싱가포르 국립문화유산위원회

싱가포르 문화·지역개발·청소년부 태국 문화부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

필리핀 아멜리아 라페나 보니파시오 인형극 박물관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아시아춤문화연구소 부산영상위원회

부산아시아영화학교 한국국제협력단

KOICA지구촌체험관

주한라오스문화원

주캄보디아대한민국대사관 주싱가포르대한민국대사관

KF하노이사무소, 주베트남대한민국대사관

외교부

주최·주관

한국국제교류재단 아세안문화원

ASEAN Culture House Special Exhibition Playful ASEAN -ASEAN Seen Through Traditional Leisure Activities 2018.9.14.–12.2. ASEAN Culture House, Special Exhibition Gallery

This exhibition was made possible by the generous support and contributions of the embassies and governments of the 10 ASEAN Member States. Brunei Darussalam The Kingdom of Cambodia The Republic of Indonesia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Malaysia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The Republic of Singapore The Kingdom of Thailand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 Special thanks to following institutions for their support and cooperation in the preparation of the exhibition Playful ASEAN . The National Heritage Board, Singapore The Ministry of Culture, Community and Youth, Singapore The Ministry of Culture, Thail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Viet Nam The Amelia Lapeña-Bonifacio Teatro Papet Museo in the Philippines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and Networking Centre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AsiaPacific Region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Asia Dance Culture Institute Busan Film Commission Busan Asian Film School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Global Village Lao Cultural Center in Korea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hnom Penh, Cambodia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ingapore, Singapore The Korea Foundation Hanoi Offic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Hanoi, Viet Nam Support Kore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Busan Metropolitan City Organizers The Korea Foundation The ASEAN Culture House


2

6

인사말

Foreword

8

기획의 글

Curator�s Note

48

땅으로

Low to the Ground 64

하늘로

Up Above 70

원으로 사방으로

In a Circle Out and About

1

14

아세안 놀이지도

Playful Map of ASEAN 22 국경을 넘은 전통, 아세안 놀이 Nori Across ASEAN

3 일러두기

1.

이 인쇄물은 아세안문화원에서 개최한 ‹놀이하는 아세안›

(2018.9.14.-12.2.)의 전시도록이다. 2. 아세안 10개국의 국가명 표기는 영문 알파벳 순서를 따랐다.

Please Note 1. This publication is the catalogue for the exhibition Playful ASEAN held at the ASEAN Culture House. 2. The names of the 10 ASEAN countries appear in alphabetical order.

94

협력작업

Collaborative Works 116

전시장 둘러보기

View of Installation


인사말

Foreword

아세안문화원의 개원 1주년을 기념하여 기획전시 ‹놀이하는 아세안›전을 개최하게 되어

It gives me a great pleasure to host the Playful ASEAN-ASEAN Seen through Traditional Leisure Activities exhibition celebrating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ASEAN Culture House.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1989년 대화관계 수립 이후 한국과 아세안의 관계는 경제, 사회문화, 인적 교류 등

E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ir sectoral dialogue partnership in 1989, the Republic of Korea and ASEAN have developed a remarkable relationship in many areas and fostered economic, sociocultural and people-to-people exchanges. Furthermore, the Korean government hopes to create a �peoplecentered peace community� together with ASEAN.

다양한 방면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아세안과의 협력을 통해 �사람 중심의 평화공동체�를 함께 이루어가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은 1991년 창립 이래 아세안 국가 내 한국학 증진, 문화예술 교류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외교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지난 2017년 9월

쌍방향 국제 문화·학술교류 플랫폼으로 개원한 아세안문화원 운영을 통해 한국과 아세안

Since its founding in 1991, The Korea Foundation has conducted a diverse array of public diplomacy projects, including promoting Korean studies in ASEAN countries as well as nurturing arts and cultural exchanges. In addition, the Korea Foundation has been contributing to promoting mutual trust and friendship between the peoples of ASEAN and Korea through operating the ASEAN Culture House, which opened in September 2017 as an interactive platform for cultural and academic exchanges between Korea and ASEAN.

회원국 국민들 사이의 상호신뢰와 우호친선 증진에 더욱 기여하고 있습니다.

아세안문화원은 매년 10개국 내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문화요소를 선정해 기획전시를

개최함으로써 방문객들에게 아세안의 문화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 ‹놀이하는 아세안›은 인간의 일상적이고도 친근한 활동 중 하나인

6

�놀이�를 주제로 삼아 아세안 10개국의 문화를 조망하고, 아세안 각국과 우리의 놀이문화에 담긴 공통점과 차이점, 보편성과 특수성을 들여다보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통놀이와 그 방식이나 생김새가 유사하면서도 독특한 차이를 지니는 아세안 각국의

전통놀이를 통해 아세안의 역사와 자연환경, 그리고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속에 깃든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이번 전시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각국의 놀이문화에 대한 자문은 물론 전시품의 기증과

대여 등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신 주한 아세안 10개국 대사관 관계자 여러분께 특별한 감사를 전합니다. 또한 전시에 참여해주신 협력작가와 각계 전문가를 비롯하여, 귀한 자료들을

기꺼이 제공해주신 한국과 아세안 각국의 협력기관 관계자 여러분, 자문위원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번 전시가 한국과 아세안이 서로를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친밀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이시형

7

The ASEAN Culture House has been selecting common cultural themes existing in ASEAN countries and holding special exhibitions in order to offer visitors variou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vivid cultures of the region. The special exhibition Playful ASEAN , highligh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well as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among the national cultures of each ASEAN country and Korea through the medium of their traditional leisure activities. Through showcasing these activities, at once familiar and yet unmistakably distinct, the exhibition sheds light on the region�s history and natur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wisdom of the people that have dwelled here since time immemorial. I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the 10 ASEAN embassies to Korea for generously supporting this exhibition by not only giving advice on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ir countries but also contributing a number of wonderful exhibits. I would also like to thank all the collaborating artists, experts and partner institutions who offered their invaluable contributions. I hope this exhibition can play a role in deepen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ASEAN, further cementing our friendship. Sihyung Lee President The Korea Foundation


기획의 글

최호랑 l 객원큐레이터

�놀이(여러 사람이 모여서 즐겁게 노는 일 또는 그런 활동 – 국립국어원)�는 유희를 추구하는

전시 구성의 문제 외에도 전시가 마주한 근본적 난제들은 여러가지였다. 그중 하나는 범위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놀이는 대부분 사회문화적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이유로, 몇 가지 용어와 개념에 대한 전제가 필요했던 것이다. 예컨대 �놀이의 범위를

인간종의 본능을 증명하는 일상적이며 원초적 행위이다. 민족이나 국가, 지역을 초월해

문제였다. 이 전시가 �아세안�이라는 광범한 지역과 �문화�와 같은 추상적 개념을 넘나드는

지속되어 왔다.

어디까지로 볼 것인가�와 같은 질문은, 전시가 포괄할 대상을 규정짓는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문제였다. 한국어 �놀이�는 사전적 정의 뿐 아니라 통용되는 의미 범위가 넓어 여러

아세안문화원 개관 1주년이라는 뜻깊은 시기에 맞추어 열린 기획전시 ‹놀이하는 아세안›은,

일상 활동을 두루 포함하는 반면, 아세안 국가들의 언어 혹은 영어에서 이와 같은 개념이나

이와 같은 인식에 기반하여 아세안 국가들의 전통놀이에 함축된 문화적 속성에 주목하고자

용어를 찾기 어려웠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놀이를 �문화�의 관점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했다. 놀이가 인간의 �일상 삶�이나 �환경� 따위와 분리될 수 없다면, 놀이를 통해 특정 공동체가

맥락에서, 한국어 �놀이�에 담긴 광범한 의미 범위에 기대는 편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영어

영위하고 있는 삶의 단면, 혹은 삶의 방식과 태도, 가치관 등을 엿볼 수 있으리라 보았기

게임(game)과 플레이(play), 리저 액티비티(leisure activities)에 해당하는 다양한 활동

때문이다.

역시 함께 다뤄야했기 때문이다. 같은 의미에서, 전시 제목 ‹놀이하는 아세안›이 한국어 개념에 기댄 한국적 시각으로 아세안의 문화를 들여다보는 이 전시의 관점을 규정하는 것이라는

같은 관점에서, 태생적으로 아세안 10개국이라는 큰 숙제를 품은 이 전시가 응당 마주해야 할,

설명도 가능했다.

아세안 국가들 간의 문화적 유사성과 보편성, 개별성과 특수성에 관한 논의 역시 �놀이�를 통해 꺼낼수 있다고 보았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국가들임에도, 이들의 전통놀이가 유사성 이상의

�전통을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전통�은 종종 �타자�와 구분되는

다양성과 차별성을 가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8

유사하면서도 다른, 익숙해 보이면서도 생경한 아세안의 놀이를 친근하게 소개하기 위해,

전시 구성에서 고민한 것은 두 가지 측면이었다. 하나는 아세안 전통놀이들의 �도구�와 놀이

�행위�라는 고유의 형식적 특성을 날것 그대로 전시에 옮기는 것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놀이에 담긴 일상적 �이야기�를 통해 더 깊은 층위에 존재하는 문화적 특성을 조망하는 것이었다.

전자와 관련해, 놀이 실행에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놀이 �도구�와 �행위�를 놀이 고유의 �움직임�과 �방향성�으로 구분해 전달코자 했다. 이러한 기준에서 ‹땅으로›, ‹하늘로›, ‹원으로 사방으로›와 같은 3부 구성은 놀이가 가진 본연의 형식에 따른 구성상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놀이의 무대이자 근간인 자연 공간, 놀이의 역사적 진화, 고조되는 전시의 서사 등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한편으로, 놀이의 일상적 혹은 역사적 맥락으로부터 파생된 특정한 서사를 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경로로 수집한 연구물과 자료, 그리고 여러 주체와 협업해 만든 창작물을 소개하고자 했다. 학자, 교육자, 영화감독, 예술가, 디자이너 등 각기 다른 생각과 목적을 가진 주체들의 시각을 통해 해석되고 제시된 내용들은 전시의 층위를 복합적으로 만들어 관객의 해석을 다채롭게 이끌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두 가지 외에 각별히 의식한 것은 �체험�이었다. 놀이를 다룬 전시로서 �감상�을 넘어선 �체험�의 귀중한 기회를 배제해서는 안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전시장 말미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 아세안 전통놀이와의 직접적이고 물리적인 교감을 유도하려 했다. 놀이 도구를 직접

만지고 놀이 동작을 몸소 체험함으로써, 오랜 시간 놀이에 켜켜이 쌓여 온 문화와 역사의 숨결을 피부로 느끼는 기회를 나누고자 했다.

측면에서 오래된 고유한 것을 지칭하기 위해 쓰이며, 순수한 것으로 오해받기도 한다. 그런데

9

잘 알려져 있다시피 동남아시아 지역은 오랜기간 인도, 중국, 중동, 유럽 등 세계 여러 지역과 영향을 주고 받아왔으며 오늘날까지 다양한 민족과 인종, 언어, 종교 등이 공존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놀이�라는 제한적 소재를 다룸에도 불구하고, 전통을 어디까지로 이해하고 출발할 것인가의 문제는 생각보다 단순하지 않은 문제이기도 했다.

전시가 다루고자 하는 대상 범위의 광범함과 모호함과 같은 요소들은 엄밀하고 정교한 전시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기 어렵게 만드는 난제들이었다. 이를 의식해 관점과 맥락이 다른 여러

선행연구에 기댄 몇몇 내용들이 때로는 인위적으로 비춰질 수도 있을 것이라 본다. 여러 노력과 시도에도 불구하고 발견되는 부족함과 빈틈이 있다면, 이 전시가 좀 더 친숙하게 아세안에

다가가는데 주력한 나름의 시도이자 해석임을 너그러운 마음으로 헤아려주시길 희망한다.


Curator’s note Horang Choi l Guest Curator

Nori (놀이, an activity taken part by two or more people for their amusemen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s the most primitive and common act that demonstrates the human race�s basic desire to seek amusement. Nori that exist ubiquitously regardless of ethnicity, nation, and region are mostly developed and maintained in close relation with sociocultural elements.

Now, considering the regionally and culturally comprehensive purview of the exhibition, one must set forth the premise of certain terminology and concepts. A particularly finicky yet important issue was defining the scope of nori. The Korean word nori is not only extensive in its definition, but also in its common usage, and includes various daily activit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equivalent term in English or any ASEAN languages. Therefore, actions applicable to the English terms—games, play, leisure activities—were included with the Korean usage for nori as the touchstone. In this sense, the Korean title of this exhibition, Norihaneun ASEAN (놀이하는 아세안, Noriing ASEAN) establishes and hints that the culture of ASEAN is observed somewhat from a Korean perspective.

The special exhibition Playful ASEAN , which opens around the time of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ASEAN Culture House, showcases the nori of ASEAN. It also focuses on their cultural aspects, which is befitting because nori reflect the communities� values and attitudes towards life, and embody the most natural and general aspects of life. This show provides a lively stage for illustrating the lives of the people of ASEAN through their nori. It also highlights the cultural similarities and universality, as well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geographic neighbors that is ASEAN.

10

The foreign yet familiar nori are conveyed by means of two different strategies to emphasize their diversity: the first by introducing the actions and tools of ASEAN nori, and the second by delving into the everyday stories through the contexts behind nori. Nori are introduced based on their �action� and �movement,� their two most essential and basic elements.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unique to each of the nori is used to categorize them into three groups, Down Low, Up Above, and In a Circle, Out and About, which also hints at the natural environments of their origins and evolution throughout history, marking the climax of the narrative of the exhibition. Research and archive materials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and creative works produced in collaboration with various artists and groups, are also displayed to portray the everyday and historical contexts and narratives. Contents that are interpreted through the perspectives of academics, educators, film directors, artists and designers—who each have their own different thoughts and objectives—add depth to the show, allowing viewers to develop diverse and extensive interpretations of their own. The exhibition comes to a close with an area dedicated to hands-on experience. Viewers are encouraged to play with some of the collected items and artwork, and to physically engage in ASEAN nori culture. Viewers can experience, albeit for a short while, the distinctly ASEAN culture and history that are layered little by little onto their nori.

11

A similar issue ensued in defining �tradition�. This term is often used to refer to the old and indigenous that differentiates one from the �others,� and is often mistaken for being pure. However, South East Asia was influenced by various regional cultures such as those of India, China, the Middle East, and Europe, and vice versa, making it a salad bowl of numerous races, languages, and religion. Then, to what extent must this exhibition, which aims to introduce the traditional nori of ASEAN, consider as traditional? The extensive scope and ambiguous nature of this exhibition makes it difficult to achieve academic rigor and depth as may be expected. Therefore, the contents that are based on precedent research and data may come across as contrived or arbitrary. I hope this exhibition can be considered as an interpretation and attempt to take a step closer to the ASEAN nations notwithstanding any shortcomings and gaps that may be noticed despite the concerted efforts.


12

13

아세안

Playful Map of ASEAN

놀이지도 국경을 넘은 전통,

Nori Across ASEAN

아세안 놀이

Chapter 1

전시가 포괄하는 아세안 놀이의 대상 범주를

규정하고 아세안 10개국 놀이 문화를 개괄한다. 이들 국가들 간에 국경을 초월해 널리 퍼진 대표적 놀이들을 꼽아 소개한다.

An outline of the scope of ASEAN nori, and overview of the ASEAN countries� nori culture, and an introduction to the most common nori of ASEAN.


아세안 놀이지도

Playful Map of ASEAN

아세안은 경제협력체 이상의 의미를 내포한다. 동남아시아는 지리적으로 근접해있을 뿐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여러 문화권과 영향을 주고받아온 공통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인종, 언어, 종교가 뒤섞여 있다는 조건도 유사하다. 혼종성과 다양성을 포괄하는 가운데 존재하는 유사성은 아세안 문화의 큰 특징이다.

아세안의 놀이를 소개하기에 앞서, 놀이 문화 형성에 근간이 되는 아세안 각국의 조건환경에

관련한 개괄적 정보를 소개하고, 국가별로 나눈 놀이 목록을 제시한다. 놀이의 범주와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해, 몇몇 기관에서 연구하고 분류한 내용에 근거해 아세안 각국의 전통놀이를

추렸다. 이 목록은 유네스코 아태무형문화유산센터(ICHCAP)가 선정한 동남아시아 전통놀이와

각국 관광청 등의 정부기관과 여러 언론사에서 작성한 자료에 실린 전통놀이들을 추출한 것으로, 각국 대사관의 확인을 거쳤다.

15

Chapter 1

ASEAN is more than an economic cooperation community. Southeast Asia is not only geographically close, but also has a shared history of culturally influencing one another, with a variety of different peoples, race, language and religion. One of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ASEAN culture is its similarity amidst its hybridity and diversity. In prelude to introducing the nori of ASEAN, lets take a look at the general geographical, environmental facts that form the basis of nori culture, and the list of nori by country. This list is compiled by referencing the list of Southeast Asian traditional games and activities put together by the ICHCAP, various institu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of each country such as the tourism ministries and the press, and finally received consultation from the Embassies of each nation.

참고 대한민국 외교부 주한 아세안 10개국 대사관 아세안문화원 베트남 관광청 유네스코아태무형문화유산센터 유네스코 방콕 미얀마 타임즈 브루나이 타임즈 아카이브

Reference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Embassies of 10 ASEAN Countries to Korea ASEAN Culture House Viet Nam National Administration of Tourism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and Networking, Center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Asia-Pacific Region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UNESCO Bangkok The Myanmar Times The Brunei Times Archive


10

6 4

7

9 2

16

17

1 5 8

3


✽ 놀이 명칭은 �국문 발음표기(로마자 표기, 국문 풀이)�로 표기하고, 알파벳 순서로 배열하였다. 자료출처: 대한민국 외교부 홈페이지(2018년 12월 기준)

2

캄보디아 Kingdom of Cambodia

The names of nori are written in �Korean pronunciation (Romanization or Latin script, Korean interpreatation)�, and in alphabetical order. Reference: Countries Information on the ROK MOFA website (December 2018)

수도 인구 면적 민족구성 종교 언어

인도네시아 Republic of Indonesia

수도 인구 면적 민족구성 종교 언어

18

Phnom Penh 16 million 181,035km² Khmer (90%), other minority groups (Vietnamese, Chinese, Cham, Formosans, etc.) Religion Theravada Buddhism Language Khmer

수도 인구 면적 민족구성 종교 언어

반다르 세리 베가완 약 43만 명

5,770km²

말레이계(65.7%), 중국계(10.3%), 기타(24%) 이슬람교(수니파) 영어, 말레이어

Capital Population Area Ethnicity

Bandar Seri Begawan 430 thousand 5,770km² Malay (65.7%), Chinese (10.3%), Other (24%) Religion Islam (Sunni) Language English, Malay

주요 놀이 바뚜 씀반(batu simban, 공기놀이), 블랄랑 블라뚝(belalang belatuk, 메뚜기 딱따구리 놀이), 짜라 아이스 / 짜라 따푹(carah ais / carah tapuk, 술래잡기), 짜라 까끼(carah kaki, 발로 술래잡기), 쫑깍(congkak, 만칼라), 담(dam, 병뚜껑 치기), 가씽(gasing, 팽이치기), 굴리(guli, 구슬치기), 까끼 띠가(kaki tiga, 슬리퍼 던지기 놀이), 끼끽(kikik, 연날리기), 끼빠쓰 따릭 / 우따르-우따르(kipas tarik / utar-utar, 프로펠러 돌리기), 럼빳 그따(lompat gatah, 고무줄넘기), 빠쌍(pasang), 쓰빡 따크로(sepak takraw, 등나무 공차기), 틴팅(tinting, 사방치기) 등

자카르타 2억 6,399만 명 190만km² 자바족(45%), 순다족(13.6%) 등 300여 종족 이슬람교, 개신교, 힌두교, 불교, 유교 인도네시아어

Capital Population Area Ethnicity

Jakarta 263.99 million 1,900,000km² About 300 ethnic groups including Javanese (45%), and Sundanese (13.6%) Religion Islam, Christianity, Hinduism, Buddhism, Confucianism Language Indonesian

주요 놀이 바똑 끌라빠(batok kelapa , 코코넛 껍데기 밟고 빨리 걷기), 다콘(dakon , 만칼라), 에그랑(egrang , 죽마), 엥끌렉(engklek , 사방치기), 가씽(gasing , 팽이치기), 가뜨릭(gatrik , 자치기), 고박 쏘도르(gobak sodor , 선 위에서 술래잡기), 끌레렝(kelereng , 구슬치기), 꾸다 룸삥 (kuda lumping , 납작한 말 모형 타기), 라양(layang , 연날리기), 릉강 로딴(lenggang rotan , 훌라후프), 럼빳 딸리(lompat tali , 고물줄넘기), 응가두 믄짱(ngadu muncang , 고무 열매 깨기), 쁜잣 삐낭(panjat pinang , 기름칠한 대나무 장대 올라가서 선물 따기), 쓰빡 라고(sepak rago , 코코넛나무 공차기), 딴듬 바끼악(tandem bakiak , 긴 나막신 신고 빨리 걷기), 와양 골렉 (wayang golek , 인형극), 와양 꿀릿(wayang kulit , 그림자 인형극) 등

19

브루나이 다루살람 Brunei Darussalam

181,035km²

크메르족(90%), 소수민족(베트남, 중국, 참족, 고산족 등) 남방불교 크메르어

Capital Population Area Ethnicity

주요 놀이 빤 클리(banh kli , 구슬치기), 바이 크욤(bay khom , 만칼라), 베이 덕 무이 (bei daok mouy , 원형으로 서서 술래잡기), 버 엉꾼(bos ongkunh , 엉꾼나무열매 던지기), 짝 쫑 무이(chak cheung muoy , 사방치기), 차악 록락(chak loklak , 손가락 술래잡기), 버 츠웅(bos chhoung , 묶은 스카프 던지기), 흥(heung , 자치기), 클라 클룩(klah klok , 주사위 놀이), 꿉 써이(kup sey , 제기차기), 롯 까오쑤(lot kaosou , 고무줄넘기), 옥 짜뜨렁(ouk chatrang , 캄보디아 체스놀이), 스벡 똠(sbek thom , 그림자 인형극), 세팍타크로(sepaktakraw , 등나무 공차기), 띤 쁘롯(teanh prot , 줄다리기), 띤 오을럭(tinh ovleuk , 수박 사기 놀이), 뜨레(tress , 돌 던지고 막대기 옮기기), 워(voo , 팽이치기) 등

3

1

프놈펜 약 1,600만 명

4

라오스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수도 인구 면적 민족구성 종교 언어

비엔티안 약 686만명 23.6만km² 라오룸(53.2%), 크무족(11%), 허몽족(9.2%), 기타(26.6%) 불교, 민간 종교, 개신교 라오스어

Capital Population Area Ethnicity

Vientiane 6.86 million 236,000km² Lao (53.2%), Khmu (11%), Hmong (9.2%), Other (26.6%) Religion Buddhism, Folk, Christianity Language Lao

주요 놀이 키마(chaij nees , 죽마), 에폭(e-pok , 인형극), 카토(kator , 등나무 공차기), 쿰 쿡 쿰 퀴(koom kook koom kuee , 돌 찾기 놀이), 린 막 부에(lin maak vue , 병뚜껑 돌리기), 마카양(makyang , 한발 술래잡기), 마우 옴 우(maw om aw , 사발 만들기), 낭양(nangyang , 새총), 핀 마우 캉(pin maw khang , 손잡고 원형 돌기), 포브 파(pov pa , 막대 공기놀이), 포브 포브 (pov pob , 공 던지기), 세우 라이 모우(seua lai mou , 호랑이 돼지 술래잡기), 쓰앙몬(seuangmohn , 지우개로 하는 수건돌리기), 틴 마이(teen mai , 대나무 뛰어 넘기), 우 바브 로그(ua bav loog , 선 위에서 술래잡기), 바오(vao , 연날리기), 자이 치(zai qe , 계란 숨기기 놀이) 등


5

말레이시아 Malaysia

수도 인구 면적 민족구성 종교 언어

쿠알라룸푸르 약 3,162만 명

330,252km²

말레이계(62%), 중국계(22%), 인도계(7%), 기타(1%), 외국인(8%) 이슬람교(국교), 불교, 힌두교(종교의 자유를 헌법으로 보장) 말레이어(공용어), 영어, 중국어

Capital Population Area Ethnicity

Kuala Lumpur 31.62 million 330,252km² Malay (62%), Chinese (22%), Indian (7%), others (9%) Religion Muslim (official religion), Buddhism, Hinduism (Freedom of religion guaranteed) Language Malay (official), English, Chinese

8

싱가포르 Republic of Singapore

미얀마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수도 인구 면적 민족구성 종교 언어

네피도 5,337만 명 67.7만km² 버마족(70%), 소수족(25%, 샨, 카렌, 카친 등), 기타(5%, 중국계, 인도계 등) 불교(89%), 기독교(5%), 이슬람(4%) 등 미얀마어(공용어), 기타 소수어

7

필리핀 Republic of the Philippines

수도 인구 면적 민족구성 종교 언어

마닐라 1억 490만 명

Neypyidaw 53.37 million 676,578km² Bamar (70%), minority groups (25%), others (5%) Religion Buddhism (89%), Christianity (5%), Muslim (4%), etc. Language Burmese (official), other minor languages

300,400km²

말레이계가 주인종이며 중국, 미국, 스페인계 혼혈 다수 천주교(83%), 개신교(9%), 이슬람교(5%), 불교 및 기타(3%) 영어, 타갈로그어

Capital Population Area Ethnicity

Manila 104.9 million 300,400km² Malay (majority), many Chinese, American, and Spanish people of mixed blood Religion atholicism (83%), Protestantism (9%), Muslim (5%), Buddhism and others (3%) Language English, Tagalog

주요 놀이 아가완 부코(agawan buko , 부코 열매로 하는 럭비), 다마(dama , 체커스), 구륜(guryon , 연날리기), 함파스 팔라욕(hampas palayok , 도자기 깨뜨리기), 홀른(holen , 구슬치기), 카레라 응 바옹 상코(karera ng baong sangko , 코코넛 껍데기 밟고 빨리 걷기), 룩송 싸코 / 딱보한 싸 싸코(luksong sako / takbuhan sa sako , 포대 입고 빨리 달리기), 룩송 티닉(luksong tinik , 장애물 뛰어넘기), 파비틴(pabitin , 선물 따기), 팔로 세보(palo sebo , 기름칠한 대나무 장대 올라가서 선물 따기), 파틴 떼로(patin tero , 선 위에서 술래잡기), 푸눅(punnuk , 줄다리기), 시파(sipa , 제기차기, 등나무공 차기), 숭카(sungka , 만칼라), 티라도(tirador , 새총), 트룸포(trumpo , 팽이치기), 돔방 프레소 / 툼바(tumbang preso / tumba 슬리퍼 깡통 맞히기) 등

싱가포르 약 561만 명

718km²

중국계(74%), 말레이계(13%), 인도계(9%), 기타 불교(33%), 기독교(18%), 이슬람(15%), 도교(11%), 힌두교(5%) 등 영어(37%), 표준중국어(36%), 말레이어(11%), 타밀어(3%)의 4개 공식언어 및 기타 언어

Capital Population Area Ethnicity

Singapore 5.61 million 718km² Chinese (74%), Malay (13%), Indian (9%), others (3.3%) Religion Buddhism (33%), Christianity (18%), Muslim (15%), Taoism (11%), Hinduism (5%) Language English (37%), Mandarin (35%), Malay (11%), Tamil (3%) and other languages

주요 놀이 아두 풀리 아땀(aadu puli attam , 보드게임), 바뚜 쓰름밧(batu serembat , 공기놀이), 짭떼(capteh , 제기차기), 쫑깍(congkak , 만칼라), 가씽(gasing , 팽이치기), 골리 빤장 (goli panjang , 구슬치기), 꾸띠 꾸띠(kuti kuti , 딱지치기), 마인 르릉(main lereng , 자전거 바퀴 굴렁쇠 굴리기), 빨랑우이(pallanguzhi , 만칼라), 빠라마빠담(paramapadham , 뱀주사위 놀이), 세팍타크로(sepaktakraw , 등나무 공차기), 톡 카(tok kah , 술래잡기), 바나바스(vanavaas , 라마야나 보드게임) 등

Capital Population Area Ethnicity

주요 놀이 발론 푸욱(balon pouk , 공 피하기 놀이), 쩨 떠 레 러(chay hter hlay hlaw , 앉아서 빨리 달리기), 친론(chinlone , 등나무 공차기), 쵸 딘(chow dine , 기름칠한 대나무 장대 올라가서 깃발 뽑기), 까응 온 잇(gaung ohn yite , 기름칠한 대나무 위 베개싸움), 끄웨 여 또에(gway yar htoe , 구슬치기), 똑 씨 또(htoke see toe , 선 위에서 술래잡기), 끼얏 페 쿳(kyat phe khut , 앉아서 노래부르며 겨루기), 룬 슈 퓨(lun swe pwe , 줄다리기), 판 콘(phan khone , 한발 높이뛰기), 슈웨 쑨 응요(shwe sun nyo , 꼬리잡기), 쑨 헐트(soon hult , 연날리기), 욧 뜨웨(yoke thay , 인형극), 자 꺼, 싸 꺼 으웻 (za kaw , sa gaw ywet , 대나무 바구니 이고 달리기) 등

20

종교 언어

주요 놀이 바뚜 쓰름반(batu seremban , 공기놀이), 볼라 브라쯘(bola beracun , 피구), 짭떼(capteh , 제기차기), 짜리 쭈쭈(cari cucu , 할머니 손자 잡기 놀이), 쫑깍(congkak , 만칼라), 갈라 빤장(galah panjang , 선 위에서 술래잡기), 가씽(gasing , 팽이치기), 굴리(guli , 구슬치기), 함브르그르(hamburger , 손 햄버거 놀이), 아이스맨(iceman , 술래잡기), 까바디(kabbadi , 영역 지키기), 께띵띵(ketingting , 사방치기), 꼰다 꼰디(konda kondi , 막대기 치기 놀이), 럼뻣 그따(lompat getah , 고무줄넘기), 쓰빡 라가(sepak raga , 등나무 공차기), 따릭 우페 (tarik upeh , 야자수잎 끌기 놀이), 뚜둥 띤(tudung tin , 병뚜껑 치기), 뚜주 띤(tuju tin , 공으로 캔 무너뜨리기), 와우(wau , 연날리기), 와양(wayang , 그림자 인형극) 등

6

수도 인구 면적 민족구성

9

태국 Kingdom of Thailand

수도 인구 면적 민족구성 종교 언어

방콕 약 6,904만 명 51.3만km² 타이족(85%), 화교(12%), 말레이(2%) 등 불교(95%), 이슬람(4%), 기독교(1%) 타이어(공용어), 중국어, 말레이어

Capital Population Area Ethnicity

Bangkok 69.04 million 513,000km² Thai (85%), Thai Chinese (12%), Malay (2%), etc. Religion Buddhism (95%), Islam (4%), Christianity (1%) Language Thai (official), Chinese, Malay

주요 놀이 바 캉 오(ba kang wo , 대나무 팽이치기), 콥터 마이 파이(copter mai pai , 프로펠러 돌리기), 던 까 라(dern ka la , 코코넛 껍데기 밟고 빨리 걷기), 깜 문(gam moon , 프로펠러 돌리기), 훈 끄라 벅(hoon kra bok , 인형극), 키 마 깐 끌루와이(khee ma karn kluay , 바나나 잎대로 만든 말타기), 끄라돋 츠악(kradod chuek , 고무줄넘기), 렌 와우(len wow , 연날리기), 러 꼰 크록(lor kon krok , 코코넛 공 굴리기), 막 콤(mak khom , 만칼라), 막룩(makruk , 태국 체스), 몬 썬 파(mon son pa , 옷으로 수건돌리기), 낭 따룽(nang talung , 그림자 인형극), 응우 낀 항(ngoo kin hang , 뱀 꼬리 잡기), 쁜 깐 끌루와이(peun karn khuay , 바나나 잎대로 만든 총놀이), 리 리 카오 산(ree ree khao sarn , 아치 문 사이로 통과하기), 따우 까라(tao kala , 코코넛 거북이) 등

21

10

베트남 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

수도 인구 면적 민족구성 종교 언어

하노이

9,554만 명 330,341km² 비엣족(86%) 외 53개 소수민족 불교(12%), 천주교(7%) 등 베트남어(공용어)

Capital Population Area Ethnicity

Hanoi 95.54 million 330,341km² Vietnamese (86%), 53 minority groups Religion Buddhism (12%), Catholicism (7%), etc. Language Vietnamese (official)

주요 놀이 밧 맛 밧 제(bit mat bat de , 염소잡기), 쩌이 쭈엔(choi chuyen , 테니스공 던지고 막대잡기), 꺼 응어이(co nguoi , 인간 장기), 껀 꾸아이(con quay , 팽이치기), 다 꼬우(da cau , 제기차기), 다잉 두(danh du , 대나무 그네), 더우 벗(dau vat , 전통 씨름), 가 쩌이(ga choi , 투계), 께오 꺼 (keo co , 줄다리기), 께우 끄어 르어 새(keo cua lua xe , 나무 켜는 노래), 메우 두오이 쭈옷 (meo duoi chuot , 고양이 쥐 놀이), 무어 로이 느억(mua roi nuoc , 수상 인형극), 넴 껀(nem con , 신선한 공 던지기), 냐이 쌉(nhay sap , 대나무 넘기), 누 나 노 농(nu na nu nong , 동요 부르기), 오 안 꽌(o an quan , 만칼라), 타 지에우(tha dieu , 연날리기), 타이 다(thay da , 공기놀이), 티 토이 껌(thi thoi com , 밥 짓기 놀이) 등


국경을 넘은 전통, 아세안 놀이

Nori Across ASEAN 국경을 초월해 아세안 지역에 널리 퍼져있는 대표적인 놀이들을 소개한다.

An introduction to nori that are commonly found in ASEAN

23

Chapter 1


공 던지기

Ball Tossing

캄보디아에서는 버 츠웅(bos chhoung),

라오스와 태국 등지에 퍼저있는 몽족들 사이에서는

포브 포브(pov pob), 베트남에서는 넴 껀(nem con) 이라 불리는 놀이로 동남아시아 대륙과 남중국 등지에 퍼져있다. 놀이의 유래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나, 대개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봄 축제 때나 신년을 축하하는 행사 때

하며, 전승 지역의 분포가 수도경작(水稻耕作)

지역과 연관성이 깊다는 연구 내용이 전해진다. 공 던지기 놀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결혼이나 약혼 풍속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때문에 유부녀와 과부 등의 참여를 제한하는

종족도 있다. 놀이에 참여한 미혼남녀는 공을

주고받으며 구애의 신호를 보내는데 그 신호는

지역과 종족에 따라 다르나 대개 상대를 바꾸지

않고 계속해서 공을 던지는 남녀가 생길 때, 혹은

24

남성이 마음에 드는 여성에게 지속적으로 공을

The ball tossing nori which is called bos chhoung in Cambodia, pov pob among the Hmong People in Laos and Thailand, and nem con in Vietnam, is widespread across continental Southeast Asia such as Cambodia, Laos, Thailand, and Vietnam as well as Southern China. The exact origin of this nori is unknown however, it is often played during the spring festival that marks the start of the farming season. There are researches that trace the roots of this game to the rice paddy farming region. Ball tossing nori are often strongly related to the marriage and courtship cultures of the region. That is why married women and widows are prohibited from playing in some cultures. The participating unmarried youth toss the ball to each other to send signals of affection. It is

던져 여성이 더이상 공을 되돌려주지 않을 때

구애에 성공한 것으로 여겨진다. 반대로 여성이 받은 공을 떨어뜨리면 구애를 거부하는 것으로 본다.

몽족의 공 던지기 놀이 포브 포브(pov pob)는 남성과 여성이 편을 나누거나 1대 1로

마주 보고 서서 공을 주고받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여성은 맞은 편에 있는 여성 혹은 남성에게 공을 던질 수 있으나, 남성은 여성에게만 공을 던질

수 있는 규칙이 있다. 또한 같은 부족에게로 공을 던지는 것은 금기시하는데, 이는 몽족이 같은 부족과 결혼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 던지기 놀이는 사랑의 노래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반려자 선택의 목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변형된 형태로 지속되기도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축제 때 풍년을

25

기원하는 의미로 공을 던지는데, 장대 끝에 매어 단 고리에 청년 팀과 처녀 팀 중에서 먼저 공을 넣은 팀이 이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베트남 따이족(Tay people)의 신년제가 이와 같은 형태로 진행된다.

과거와 달리 공 던지기 놀이에 깃든 구애의

성격은 오늘날 많이 퇴색되었고, 놀이에 사용하는 공 또한 명주나 비단으로 만든 공이 아닌, 테니스 공 등으로 대체하고 있다.

태국 몽족의 공던지기 놀이, 포브포브

Ball tossing nori of the Thai Hmong people, pov pob

참고 소우가와 쓰네오 『놀이의 역사민족학』, 민속원, 2005 베트남 관광청

different in each ethnic group, but it is generally considered a success when a couple tosses the ball only to each other, or when a girl no longer returns the ball after the boy tosses it to her many times. However, it is considered a rejection if a girl drops a ball that is thrown well. The girls and boys of the Hmong people play pov pob by standing in two rows facing each other. The girls are allowed to toss the tall to another girl, but the boys are only allowed to toss the ball to girls. Also, it is taboo to toss the ball to a member of the same clan, because the Hmong cannot marry within the same clan. Ball tossing games are often accompanied by singing, and are mostly played for the purposes of courtship, however there are other variants of the game. In some areas, it is played to wish for a good year of harvest at the festival marking the start of the farming season, and the team of either girls or boys that throws the ball into a ring tied to the top of a pole wins. The Tay People of Vietnam celebrate their New Year with this game. Nowadays, the courtship aspect of the game has faded somewhat, and the traditional cotton or silk balls are replaced with tennis balls.


등나무 공차기

raga)로, 태국에서는 타크로(takraw)라 불렀으나, 이들 3개국과 싱가포르를 포함한 4개국은 1965년에 특정 공놀이의 명칭을 �세팍타크로(sepaktakraw)�로 정하고 경기의 규칙을 합의한 바 있으며, �세팍타크로�는 1990년 이후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여기서 �세팍(sepak)�은 말레이시아어로 �차다�를, �타크로(takraw)�는 태국어로 공을 의미한다.

Rattan Ball

주요 놀이도구인 공은 등나무 혹은 코코넛

나무의 잎과 줄기 등을 손으로 교차하여 만든다.

대개 자연 등나무 공은 9개에서 11개의 줄로 엮어 만들며, 공식 종목인 세팍타크로의 공은 12개의

구멍과 20개의 교차점이 생기도록 엮어 만든다.

최근에는 인조섬유와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놀이의 방식은 크게 경기, 놀이, 퍼포먼스로 나뉜다. �경기�는 배구처럼 공을 발로 차서

반대편 구역으로 넘기고 점수를 얻는 방식이며,

�놀이�는 돌아가며 공을 독특한 기술로 주고받는 일종의 춤과 유사한 방식이다. �퍼포먼스�는

친론(chinlone)의 타판다잉(tapandaing)과

같이 홀로 묘기를 부리는 방식이다. 놀이는 주로

26

27

사각형 혹은 원형 프레임 안에서 이루어지고, 한명 혹은 세 명에서 여섯 명의 사람들이 공을 차며 주고받는다.

공차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성별과

말레이시아의 등나무공차기, 세팍타크로

연령층은 다양하며, 사람들은 특정 행사와

축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도 장소에

Malaysian rattan ball nori, sepaktakraw

등나무 공차기는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태국,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전역에 널리 퍼져있으며, 지역에 따라 놀이의 이름과 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 놀이의

형식은 발과 머리를 사용해 오랫동안 공을 튀겨 그 숫자를 세는 데서 유래하였다.

이 놀이의 이름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브루나이 다루살람에서는 쓰빡

따크로(sepak takraw), 인도네시아에서는 쓰빡 라고(sepak rago)로, 미얀마에서는

친론(chinlone) 등으로 칭한다. 놀이의 모습은 도구를 차는 방식에서 필리핀의 시파(sipa)와 베트남의 다 꼬우(da cau)와도 유사하다.

전통적으로 라오스에서는 카토(kator),

말레이시아에서는 쓰빡 라가(sepak

구애받지 않고 공차기를 자유롭게 즐긴다. 각

Rattan ball nori are common across South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Cambodia, Indonesia, Laos, Malaysia, Myanmar, Thailand and Vietnam, however the way they are played differs from region to region. It is said that the original game was played by using the head or feet to bounce the ball as many times as possible while counting the number of bounces. The names of this ball are different in each country, it is called sepak takraw in Brunei Darussalam, sepak rago in Indonesia, and chinlone in Myanmar. The Vietnamese da cau , and Filipino sipa , are also in the same family in the way they are played. Traditionally, the nori is called kator in Laos, sepak raga in Malaysia,

나라에서는 고유한 역사와 특성을 지닌 자국의

공차기 놀이문화를 발전시키고, 전승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and takraw in Thailand however, these three countries and Singapore came to an accord to call the game sepaktakraw , as well as establish the rules of the game in 1965, and it became an official sport in the 1990 Asian Games. Sepak means �to kick� in Malay, and takraw means �ball� in Thai. The ball which is the main tool of this nori is usually made by hand weaving rattan or coconut leaves and stalks. Balls made of rattan are usually woven with 9 or 11 strands, and the official ball for sepaktakraw is woven to form 12 holes, and 20 intersections. More recently, they are made with synthetic fiber and plastic. The way the nori is played can be categorized into sport, nori, and performance. The �sport� is played like volleyball, with the ball kicked to either sides of the net; the players walk in circles to engage in the �nori� style by kicking the ball to each other using various techniques in dance-like movements; and finally, the �performance� aspect refers to nori like the chinlone tapandaing , in which one person performs elaborate tricks alone. This nori is most commonly played in a circular or square shaped court alone, or among 3, and even up to 6 people kicking and passing the ball to each other. The age and gender of the players may vary, and it is enjoyed not only on special occasions but whenever players can find the time and place. Each country is making great effort to develop and maintain its heritage of the rattan ball nori.

참고 대한세팍타크로 협회

Olympic Council of Asia Crego, Robert, Sports and Game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 Greenwood Press (CT), 2003 www.aseantourism.travel www.indonesiantraditionalgames.wordpress.com

등나무로 만든 공

Rattan balls


연날리기 연날리기는 바람을 이용해 하늘 높이 연을 띄우는 놀이로 브루나이 다루살람에서는 끼끽(kikik),

인도네시아에서는 라양(layang), 라오스에서는 바오(vao), 말레이시아에서는 와우(wau),

미얀마에서는 쑨 헐트(soon hult), 필리핀에서는 구륜(guryon), 태국에서는 렌 와우(len wow),

베트남에서는 타 지에우(tha dieu)로 부른다. 고대 중국과 그리스의 기록에서 기원을 찾아볼 수 있는

연날리기는 남녀노소가 즐기는 보편적인 놀이문화 중 하나로 아세안 전 지역에서 발견된다. 아세안의 연은 지역과 환경에 따라 고유한 문화를 반영함과

동시에 연의 형태와 문양, 날리는 장소와 시기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이 나타난다.

연을 날리기에 적합한 장소는 연줄을 길게 풀

수 있고 장애물이 없는 곳이다. 아세안 지역에서는 새해 혹은 농사철이 시작되거나 추수가 끝나는

28

시기 등 지역별로 중요한 행사와 축제가 열리는 시기에 연을 날리며, 주로 몬순(monsoon)과

같이 바람이 많이 부는 계절에 해안지대에서 연을 날린다.

아세안 지역의 연은 자연물과 관련된

이름을 붙이거나 형태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종류에는 새 모양 연, 물고기연, 초생달연,

다이아몬드 모양 연, 고양이연, 나비연, 가오리연

등이 있다. 연의 뼈대를 이루는 살은 주로 대나무를 사용하고, 잘 마른 것을 좁게 쪼개어 활용한다.

예를 들어 말레이시아에서는 �불루 두리(buluh duri)�라는 종류의 대나무를 가장 많이 사용하여, 식물에 영혼이 깃든다고 믿기 때문에 해를 향해 자란 대나무를 선호하는 풍습이 있다.

연날리기는 크게 �연 높게 날리기�와 �연줄

끊기�로 나뉜다. 연을 높게 날리는 것이 연날리기의 기본적인 놀이 방식이라면, �연줄 끊기�는 연줄에 돌가루, 유리가루, 구리가루 등을 풀에 섞어 발라

상대방의 연줄을 끊는 놀이 방식이다. 연날리기는 농업과 해상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일부 아세안

지역에서 액을 쫓고 복을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를 상징하기도 한다.

Kite Flying

Kite flying is a nori of which aims to make the kite fly in the wind, and is called kikik in Brunei Darussalam, layang in Indonesia, vao in Laos, wau in Malaysia, soon hult in Myanmar, guryon in the Philippines, len wow in Thailand, and tha dieu in Vietnam. The kite which can be traced to ancient China and Greece, is enjoyed by everyone, and is commonly found all across ASEAN. The shape, pattern, when and where they are flown reflect the environment and culture of each region. The best place to fly kites is an open area where the string can be unwound. They are flown during special occasions and festivals such as the New Year when farming season begins or harvest ends. They are mostly played along the coastal areas during the monsoon season when it is windy. The kites of ASEAN are usually named after what they are shaped like, such as bird, fish, crescent moon, diamond, cat, butterfly, and sting ray kites. The frame is usually made of well dried bamboo split to thin slivers. For example, in Malaysia, a special type of bamboo called buluh duri , is considered the best, and bamboos that are grown towards the ocean are preferred as they believe that spirits dwell in plants. In general, there are two types of kite flying nori based on the goal—one is to fly them as high as possible, and the other is to break the string of the kite of the opponent by coating the kite string in a glass or rock power paste. While the first type is the most basic way to enjoy this nori, there is an element of competition to the second type. In some countries there is a shamanistic character to kite flying, especially in fishing and agricultural regions, and are known to draw out bad luck and draw in good fortune.

29

말레이시아의 연날리기, 와우

Malaysian kite, wau

참고 이웅규 외 공저, 『세계의 민속문화』, 대왕사, 2003 김광언, 『동아시아의 놀이』, 민속원, 2004


인형극

동남아시아의 인형극은 예술로 승화된 놀이의

Puppetry

속성을 보여준다. 연극의 공연자나 인형 조종자, 놀이 도구 제작자는 대부분 고도의 기술과

전문성을 가진 지식인이자 장인으로 대우받는다. 스벡 똠(sbek thom)은 가죽으로 만든

2m 높이의 관절 없는 꼭두각시를 도구로 하는

그림자극 놀이이다. 스벡 똠 공연은 궁중 춤 및 가면극과 함께 신성한 공연으로 여겨졌으며,

크메르 신년 축제나 왕의 탄생일, 유명인사의

경축일 등 1년에 3~4회 정도만 공연되었다. 공연 내용은 크메르식 라마야나인 림커(Reamker)를 소재로 한다.

전통적으로 밤중에 논이나 탑 주변의

야외에서 공연하며, 흰 스크린을 설치하고 스크린 뒤에 코코넛 껍질을 태워 커다란 불을 밝혀

그림자가 스크린에 비춰지도록 한다. 꼭두각시를

움직이는 사람은 꼭두각시를 들고 특정한 동작과 스텝을 보여주기도 한다. 공연에는 보통 전통

관현악단과 2명의 구술 예능인이 따른다. 스벡

똠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와양 꿀릿(wayang kulit)은 인도네시아

30

31

자바섬과 발리섬, 수마트라섬, 보르네오 섬, 그리고 말레이시아와 중국 남부 일대에서 볼 수 있는 놀이이자 종합 예술이다.

인도네시아 자바어로 �와양(wayang)�은

�그림자�를, �꿀릿(kulit)�은 �가죽�을 뜻하며, 와양 꿀릿은 가죽으로 만든 인형을 이용한

그림자 인형극을 의미한다. 주로 인도의 고대 서사시 �마하바라타(Mahabharata)�와

라마야나(Ramayana)를 소재로 하며 지방마다 음악과 공연 방식, 이야기 구성의 특징이 다르다. 인형을 조종하며 공연을 진행하는 사람을

�달랑(dalang)�이라 한다. 달랑은 인형을

조종할 뿐만 아니라 인형들의 대사도 읊조리며, 음악 반주와 효과도 지시하는 종합 예술가이자 지식인으로 여겨진다. 인도네시아의 와양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미얀마의 인형극 욧 뜨웨(yoke thay)는 18세기 말 왕실대신 우 또(U Thaw)가 고안한 것이라 전해진다. 인구의 85% 가량이 불교 신자인 미얀마에서 욧 뜨웨는 주로 부처의

이야기를 소재로 다루며, 불교 교리를 설파하는 기능을 담당했다. 인형극의 형식을 통해 사람이 캄보디아의 그림자 인형극, 스벡 똠

Cambodian shadow puppetry, sbek thom

직접 부처의 흉내를 내는 결례를 피할 수 있었던

Puppetry of Southeast Asia is a type of nori that is elevated to an art form. The performers or the puppetmasters are usually highly trained to have the highest level of technical skills and expertise, and are revered as artisans and intellects. Sbek thom is performed with nonarticulated leather shadow puppets that are about 2 meters in height. It is considered sacred along with the royal ballet and mask theater. It is performed about 3 to 4 times a year on occasions such as the Khmer New Year, the Monarch�s birthday, and the veneration of prominent figures. The theme is usually the Reamker, the Khmer version of the Ramayana. It is traditionally performed at night next to rice paddies or around pagodas, with a white screen held up between two bamboo poles, and an open fire of burning coconut peels so that the silhouettes of the puppets can be cast onto the screen. The sbek thom is unique in that the shadows of the puppeteers are also clearly visible. Normally, two vocalists are accompanied by a traditional orchestra. Sbek thom is designated as a UNESCO Intangible Heritage. Wayang kulit is performed on the Indonesian Java, Bali, Sumatra, and Borneo Islands, Malaysia, and certain parts of Southern China. Wayang means �shadow�, and kulit means �leather� in Javanese, and the two words are put together to form wayang kulit , or �shadow puppet�. The theme is usually either a form of the ancient Indian epics, Mahabharata, or Ramayana, and the music, method of performance and plot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The puppeteer or dalang , not only controls the puppets, but also chants the dialogues, as well as conducts the music and sound effects. The dalang whose role is to deliver the hidden messages of philosophy, moral, and aesthetic values of the performance is considered the intellectual and wiseman of the village, and are respected as the teacher, and political satirist of each community.


것이 욧 뜨웨가 널리 퍼지게 된 이유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태국의 낭 따룽(nang talung)은 동물의

가죽에 구멍을 내거나 잘라서 만든 모양을 이용한 그림자 연극이다. 손전등이나 모닥불에서 나오는 빛을 등지고 도구들을 이용해 움직이면 앞의

화면에 그림자가 생기는 원리를 이용한다. 또한 낭 따룽은 내레이션과 대화, 음악이 어우러진 정교한 종합예술이기도 하다.

베트남의 독특한 놀이 문화 중 하나인 무어

로이 느억(mua roi nuoc)은 사람이 수중무대

뒤에서 대나무로 연결한 인형을 조종하는 형태의 인형극이다. 이 인형극은 베트남 북부지역 홍하

유역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논농사 문화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설날이나 명절 등 특별한 날에 공연되었으며, 노래와 춤, 대사가 어우러진 종합 공연예술의 성격을 가진다. 인도네시아의 그림자 인형극, 와양 꿀릿

Indonesian shadow puppetry, wayang kulit

32

33

베트남의 수상인형극, 무어 로이 느억

Vietnamese water puppet theatre, mua roi nuoc

Indonesia�s wayang kulit is designated as a UNESCO Intangible Heritage. Yoke thay , the Burmese puppet theater is said to be created by U Thaw a minister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t usually portrays stories about Buddha, and is used to spread the Buddhist teachings, since 85% of the population in Myanmar is Buddhist. One major reason yoke thay gained popularity, was because it was the perfect solution to avoid disrespecting Buddha by impersonating him. Nang talung is the Thai shadow puppet that is made by cutting and piercing leather. It is performed behind a screen in front of a light source such as a torch or open fire so that the silhouettes of the puppets are projected onto the screen. It is an artform that consists of narration, dialogue, and music. Mua roi nuoc is Vietnam�s unique puppet theater performed on a water stage with puppets that are connected to bamboo sticks. It is said to be originated from the Red River Valley and is deep rooted in their agricultural culture. It is normally performed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during the New Year festivities, and the performance is an art that is accompanied by song, dance, and dialogue.

참고 김성원, 『미얀마의 이해』,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2 김영순, 응웬 반 히에우 외, 『베트남 문화의 오디세이』, 북코리아, 2013 주경미, 「인도네시아의 와양 꿀릿」, 『부산외국어대학교 동남아지역원 연구셀』, 2015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스벡 톰, 크메르 그림자극」,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e-지식관, http://www.ichcap.org/kor/ek/sub6/sub.php#2


장대오르기 필리핀의 팔로 세보(palo sebo)는 축제 기간에

하는 대표적 전통놀이로, 5-6미터 높이의 대나무 장대에 기어올라 끝에 달려있는 상품을 얻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주로 10대 소년들이 놀이에 참가하는데 장대에는 돼지기름을 발라 오르기

어렵게 만들고, 참가자들은 미끄러짐을 줄이기

위해 손에 흙이나 모래 등을 묻혀 장대에 오른다. 인도네시아어로 �높은 야자수 오르기�라는

의미를 가진 쁜잣 삐낭(panjat pinang)은

인도네시아 독립기념일(8월 17일)에 전국에서 모여든 수많은 사람이 참가하는 대표적인

놀이이다. 기름칠한 야자수 기둥을 타고 올라 기둥 위에 달려있는 상품을 얻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주로 4-6명 정도의 남성들이 팀을 이뤄 참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대오르기는 미얀마에서 쵸 딘(chow

34

dine)이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독립기념일 (1월 4일)에 주로 하는 이 놀이는, 기름칠한 13피트(약 4미터) 이상의 대나무 장대를 기어올라 꼭대기에 매달린 깃발을 획득하는 것이 놀이의 목표다. 놀이 방식은 개인전과 3명이 팀을

이뤄 팀별로 승부를 겨루는 방식 두 가지가

있는데, 장대를 기어오를 때 남녀의 구분 없이

미얀마인들이 즐겨 입는 치마 형태의 전통의상

롱지(longyi)를 활용하기도 한다. 단, 개인전과

달리 3인 팀 경기에서는 맨 아래에 있는 사람만 롱지를 대나무에 감쌀 수 있다는 규칙이 있다.

국가에 따라 그 이름은 다르지만 그 방식이

유사한 장대오르기 놀이는 유럽에서 건너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리핀의 팔로 세보는

스페인으로부터, 인도네시아의 쁜잣 삐낭은 네덜란드로부터 전해졌다고 한다.

참고 미얀마 타임즈

Pole Climbing

The Filipino palo sebo is one of their most common nori usually played during festivals. The aim is to climb to the top of a 5 to 6 meter tall bamboo pole to collect a prize hanging from the top and is usually played by boys in their teens. The poles are greased with lard to make it difficult to climb, and the players coat their hands with sand to get a better grip. Panjat pinang means �to climb a tall palm tree� in Indonesian, and people gather from all around the country on Independence Day (August 17th) to play. The aim is to climb up to the top of a greased palm tree trunk to collect prizes and is usually played by a team of 4 to 6 men. There is a similar game in Myanmar called chow dine . It is also played on Independence Day (January 4th) and the aim of this game is to collect a handkerchief or flag that is hung from the top of a tall greased bamboo pole, usually about 4 meters. It can be played by one person or in groups of 3 people racing each other. Sometimes the traditional wrap skirt, longyi can be used when climbing, however in group games only the person on the very bottom can wrap the longyi around the bamboo pole. The names may differ by country however, how they are played are nearly identical, and it is said to be originated from Europe. Palo sebo was introduced to the Philippines from Spain, and panjat pinang to Indonesia from the Netherlands. Such European influences are related to the 300-year history of colonialism from the 16th century.

35

인도네시아의 장대오르기, 쁜잣 삐낭

Indonesian pole climbing, panjat pinang


제기차기

제기차기는 캄보디아의 꿉 써이(kup sey),

Shuttlecock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짭떼(capteh), 필리핀의 시파(sipa), 베트남의 다 꼬우(da cau)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대중적인 전통 놀이로 사랑받고 있다. 전통 제기는 엽전이나 구멍 난

주화를 얇고 질긴 한지나 비단으로 감싸고, 구멍에 꿰어서 그 끝을 여러 갈래로 나누거나, 닭이나 꿩, 오리의 깃털을 달거나 붙여서 만들었다. 이러한 제작 방식은 아세안 지역에 전해져 지역별로

유사하면서도 다양한 제기의 형태가 만들어지는

데 기여했다. 오늘날은 고무와 플라스틱을 제기의

머리로 활용하고, 깃털 혹은 비닐과 플라스틱으로 몸통 부분을 만들어 사용한다.

동남아시아의 공차기 놀이인 �쓰빡따크로�와

같이 두 편으로 나눠 겨루는 방식과 원형으로 여러 명이 둘러서서 팔꿈치와 팔, 발, 무릎 등을 이용해 상대방에게 제기를 전달하는 방식이 있다. 혼자 놀이를 할 경우 한번 찰 때마다 점수를 얻으며,

균형감각을 잘 유지해서 제기가 땅에 떨어지지

않도록 오랫동안 많이 차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이 모두 제기차기를 즐기지만 주로

36

37

어린이들과 남자들이 많이 한다.

주고받는 놀이를 할 때는 등 뒤의 맞잡은 손

사이로 제기를 통과시켜 받는 재주를 부리기도 한다. 놀이를 지켜보는 구경꾼들은 놀이꾼이

독창적인 방식으로 제기를 차거나 재주를 부릴 때, 박수를 치며 놀이꾼과 호응한다.

참고

캄보디아의 제기차기, 꿉 써이

Camboidan shuttlecock nori, kup sey

www.aseantourism.travel 로레타 메디나, 「밝은 태양, 신선한 공기, 즐거운 놀이 그리고 우정」, 『국제이해교육』, 제 19호, 2007

The shuttlecock nori is called kup sey in Cambodia, capteh in Malaysia and Singapore, sipa in the Philippines, and da cau in Vietnam, and is one of the most loved traditional games. The shuttlecock shares its origin with the rattan ball but is passed down as a nori using a shuttlecock instead of a ball. Traditional shuttlecocks are made from coins with holes in the middle, wrapped in sturdy mulberry paper or silk which is then passed through the hole, and cut into a tassel. Chicken, pheasant, or duck feathers can also be attached. This method of making shuttlecocks is spread throughout the ASEAN countries and developed into the various modern-day shuttlecocks. The weights are made of rubber or plastic nowadays, with either feathers, or plastic for the body. There are many ways to play, including dividing into two teams to compete much like sepaktakraw , or passing the shuttlecock to each other while standing around in a circle, using the elbows, knees, feet, knees and other body parts. It can even be played alone in which case, and the aim is to keep it in the air for as long as possible with points gained every time it is kicked into the air. Anyone can play this nori, but it is especially popular among children and men. When the shuttlecock is passed between two or more people, it can be received through one�s arms held like a ring behind one�s back. The viewers watching the shuttlecock �performance� clap and cheer when a particularly flamboyant or unique move is made.


줄다리기

제1회랑 벽면에 있는 유해교반(乳海攪拌)에

Tug-of-war

나타난 줄다리기 묘사는 힌두교가 전파된 역사와 관련있으며, 인도 기원설의 근거로 다뤄진다.

줄다리기의 주재료는 볏짚이지만 아세안

캄보디아에서는 띤 쁘롯(teanh prot),

미얀마에서는 론 슈 퓨(lun swe pwe),

필리핀에서는 푸눅(punnuk), 베트남에서는

께오 꺼(keo co)라고 부르는 줄다리기는 줄을 당겨 힘을 겨루는 집단놀이로 대개 두 편으로 나뉘어

많은 줄을 당긴 쪽이 우승하게 된다. 많은 동남아

국가에서 줄다리기는 파종 전이나 파종 직후, 혹은 신년축제나 왕의 탄생일에 하는 놀이이다. 편을

가를 때는 주로 성별과 지리적 요건을 기준으로 한다. 줄다리기는 줄을 만들어 운반하고 놀이 후에 줄을 처리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지역

구성원의 협심 없이 이루어질 수 없는 사회문화적

놀이이다. 전 세계에 고루 분포하지만, 그중에서도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의 농경 문화권과 연안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있다.

줄다리기는 농경사회인 동남아시아에서

38

유래되었다는 설과 더불어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한다. 동남아시아 기원설은 동남아시아가

논벼 문화권인 것에 근거해 줄다리기가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미얀마에서 비롯되었다고 밝히고 있으며, 이외에도 줄다리기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기록이 발견된 중국 기원설과 인도 기원설이 있다. 캄보디아의 앙코르와트 사원

베트남의 줄다리기

Vietnamese tug-of-war

The game of tug-of-war which is called teanh prot in Cambodia, lun swe pwe in Myanmar, punnuk in the Philippines, and keo co in Vietnam is usually played by two teams by pulling a long length of rope, and the team that pulls more wins. In many countries this nori is often played before or after the sowing season, and during special occasions like the New Year celebrations, and the Monarch�s birthday. The teams may be divided by gender or region. It is a socio-cultural game that requires the cooperation of the community members—from making the rope, carrying the completed rope to the venue, to putting the rope away after the game is finished. One form or other of this game is spread across the world, however it is especially prominent in the agriculture-based society of South East and Northeast Asia, and its neighbors. There are many theories as to where the game of tug-of-war began, including the agricultural region of Southeast Asia. This particular theory is based on the fact that this area is of rice farming culture,

지역에서는 그 외 여러 재료로도 줄을 만든다. 예를 들어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의 일부 종족들은 삼을, 인도네시아 일부 지역과 베트남에서는 등나무 줄기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는 종려나무와

같은 재료로 줄을 만든다. 대개 줄다리기의 줄은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지역민의 협동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특히 어업에서 사용되는 밧줄의 기술이 반영되었다. 이는 줄다리기가 풍작과

풍어를 기원하는 문화와 결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줄의 종류에는 외줄, 쌍줄, 게줄(기줄)

등이 있는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로 외줄이 사용되고 있으며, 동북아시아에서

사용되는 줄보다 얇은 편이다. 또한 줄의 길이는 줄다리기에 참여하는 인원의 규모와 상응하며,

줄 자체는 수신(水神)을 상징하거나 용과 뱀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39

지역과 성별을 기준으로 편을 나누고 특정한 편의 우승을 통해 한 해의 길흉을 점치며,

줄다리기 자체를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행위로 받아들인다. 이처럼 아세안의 줄다리기는 농경사회의 풍요와 번영을 기원하는 주술성과 놀이성이 결합한 놀이문화이다. 캄보디아,

필리핀, 대한민국, 베트남의 줄다리기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공동 등재된 바 있다.

참고 소우가와 쓰네오, 『놀이의 역사민족학』, 민속원, 2005 송화섭, 「동아시아 줄다리기와 한국 줄다리기의 유형과 계통 연구」, 『역사민속학』,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정연학, 「동북·동남아시아 전통 줄다리기의 공유성과 다양성」, 『민속학연구』, 제 34호, 2014

and argues that this game originated from Cambodia, Indonesia, Laos, and Myanmar. However, those who believe that it originates from China base their ideas on the fact that the oldest record of tug-of-war was discovered in China. Meanwhile, those who believe this game originated from India claim as such because the carvings of the �Churning of the Ocean of Milk� on the East Gallery Wall of Angkor Wat, Cambodia depicts the gods and demons pulling a rope, a scene from the Hindu mythology that spread to Cambodia. The most common material that is used to make the rope is rice straw, however it is also made with a variety of plants. For example, certain peoples of Cambodia, Laos, Malaysia (Borneo), the Philippines, and Thailand use hemp; rattan stalks are used in certain parts of Indonesia, and Vietnam; while palm trees are used in Bali, Indonesia. The rope is usually made cooperatively by the regional residents, who have different professions, and is influenced by fishing rope making technology. This well reflects the culture of wishing for a good harvest and abundant fish. Many different types of ropes are used for this nori, including the single rope, twin rope, and multiple rope. The single rope is the most common type used in Southeast Asia, which are much thinner than those used in Northeast Asia. The length of the rope changes with the number of players and is sometimes considered as dragons or snakes, or the water god. In certain parts of the Southeast Asian region, the teams are divided according to gender, and region, and the victory of one team over the other is used to tell the year�s fortune. It can also signify good harvest and fertility. As such, the tug-of-war of ASEAN is a combination of divination and nori that is played to wish for bounty and prosperity in agricultural society. The tug-of-war of Cambodia, Korea, the Philippines, and Vietnam have been co-designated as UNESCO Intangible Heritages.


쫑깍

쫑깍(congkak)은 만칼라 놀이의 한 종류로

Congkak

고대 이집트로부터 유래한 것이라 전해지며,

세계에서 역사가 오래된 놀이 중 하나이다. 이

놀이는 수 세기 전 인도와 아랍의 상인들에 의해 인도네시아 자바 섬에 소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세안 국가들을 포함해 세계적으로 다양한 놀이의 변형들이 존재하는데 브루나이 다루살람,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에서는 쫑깍(congkak) 혹은 쫑끌락(congklak), 인도네시아에서는 쫑끌락(congklak) 혹은 다콘(dakon),

필리핀에서는 숭카(sungka), 베트남에서는

오 안 꽌(o an quan), 캄보디아에서는 바이

크욤(bay khom), 태국 남부에서는 막 콤(mak

khom)으로 불린다. �쫑깍�이라는 이름은 고대

말라이어로 �계산하다�는 의미이며, 카오리 소라껍질을 의미하기도 한다.

쫑깍은 일반적으로 두 줄의 구멍과 양

끝의 큰 구멍(저장고)이 있는 긴 나무판으로

하는 놀이이다. 이 놀이는 카오리 소라껍질이나 작은 돌, 유리구슬, 타마린드 씨앗과 같은 작은

조각을 사용한다. 각 줄에 나 있는 구멍의 숫자는

40

41

다양하나, 대부분 줄마다 일곱개의 구멍이 있고 각 구멍에는 일곱 조각이 담겨 있는 형태이다. 놀이판은 매우 정교한 것에서 단순한 것까지

다양하며, 오 안 꽌의 경우 땅에 그려 하기 때문에 나무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참고

말레이시아의 쫑깍

Malaysian mancala, congkak

Jill Forshee, Culture and Customs of Indonesia, Greenwood Press , 2006 Alex de Voogt, Mancala: Games that Count

Congkak , is a type of mancala game which is said to be traced back to ancient Egypt and is one of the oldest known games in the world. It is believed that it was introduced to the island of Java, Indonesia centuries ago by Indian or Arab traders. There are many variants of this game all around the world including ASEAN countries which are called congkak or congklak in Brunei Darussalam, Malaysia, and Singapore, congklak or dakon in Indonesia, sungka in the Philippines, o an quan in Vietnam, bay khom in Cambodia, and mak khom in Southern Thailand. The name congkak means �to calculate� in old Malay, and also means �cowrie shells�. Congkak is generally made of long wooden boards, with two rows of smaller cup like holes carved out and one larger hole at each end of the board that are �store houses�. The game is played with small bead-like pieces such as cowrie shells, small stones, glass marbles, and tamarind seeds. The number of holes per row and the number of pieces in each hole may vary however, the most common has two rows of seven, with seven pieces in each hole. The boards can be both very elaborate or simple—the o an quan variation doesn�t even require a board, as it is played by drawing the board on the ground. There are many variations to how the games are played, but in general, the objective is to collect the greatest number of pieces.


코코넛 껍데기 밟고 빨리 걷기

Coconut Stilts Race

42

43

끈을 매단 코코넛을 신고 빠르게 이동하는

사람이 승리하는 놀이로 인도네시아에서는 바똑 끌라빠(batok kelapa), 필리핀에서는 카레라 응 바옹 상코(karera ng baong sangko),

태국에서는 던 까 라(dern ka la)라 부른다.

그 유래에 대해서는 특별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주로 7세에서 10대 초반에 이르는 어린 소년과 소녀들이 즐겨하는 이 놀이는 동남아지역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코코넛 열매를 재료로 쓴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지역에 따라서는 코코넛 껍데기 대신 대나무를 이용하기도 한다.

놀이 방법은 단순하다. 두 발을 코코넛

껍데기 위에 놓고 올라탄 상태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껍데기와 연결한 줄을 손으로 잡고 걷는다. 반환점을 빠르게 돌아 출발점으로 먼저 도착하는 사람이 승리한다. 놀이 도구를 만들기도 어렵지

않다. 코코넛을 반으로 잘라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길게 끈을 연결하면 놀이 준비가 끝난다.

태국의 코코넛 밟고 빨리 걷기 놀이, 던 까 라

Thai coconut stilts race, dern ka la

The coconut stilts race is a nori that is played by wearing coconut shells like stilts and racing with an opponent, and is called batok kelapa in Indonesia, karera ng baong sangko in the Philippines, and dern ka la in Thailand. The exact origin of this game is unknown however, it is played by children around the age of 7 to the early teens. It is characteristic in that it is made with coconut shells that are commonly found all across the Southeast Asian region. In some regions, bamboo is used instead of coconut shells. It is easy to play — place the feet on the coconut shells while holding the strings taut so that they do not detach from the bottom of the feet and walk. The first person to make it back around the turning point wins. Making the stilts is not difficult either, simply cut a coconut in half and attach a piece of string on the halves long enough to hold in each hand.


팽이치기 팽이치기는 평평한 바닥에 원추형 모양의 팽이를 채로 치거나 채를 몸체에 감았다가 풀면서

돌리는 놀이이다. 팽이채는 헝겊이나 줄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막대기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팽이는 약 6,000여 년 전 우르(Ur)라는 오늘날의

이라크 지역과 중국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고 전해지며, 세계 전 지역에서 발견되는 보편적인 놀이이다. 아세안 지역에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팽이치기는 브루나이 다루살람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에서

가씽(gasing)으로, 캄보디아에서 워(voo)로,

필리핀에서 트룸포(trumpo)로, 태국에서 바 캉 오(ba kang wo), 베트남에서 껀 꾸아이(con

quay) 등으로 불린다.

아세안 지역에서는 산간지역의 화전민들이

팽이를 자주 돌렸으며, 하나의 의례이자 놀이로

44

전승되었다. 보르네오 섬의 카얀족(Kayan People)은 파종 때 팽이를 돌렸으며, 태국의 라후족(Lahu People)은 정령들이 팽이를

좋아한다고 여겨 자주 팽이를 쳤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특성은 아세안 지역에서 팽이를 치는 행위가 농경의례의 하나로 받아들여졌음을

보여준다. 아세안의 팽이는 대나무, 구아바, 바라밀(jackfruit) 등과 같은 나무나 쇠와

플라스틱을 재료로 사용하고 강도가 높은 동물의 뼈를 깎아 만들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메르바우(merbau)라는 강도가 높은 나무로

전통 팽이를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단단한 나무의 밑동과 뿌리 부분을 팽이의 주재료로 사용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계란을 이용해

팽이를 만들기도 하였으며, 오늘날에는 대나무로 팽이를 만든다. 태국에도 있는 이 대나무 팽이는

나무막대에 줄을 끼워 팽이에 감고 돌리는데, 돌릴 때 �우(wooooo)�하는 소리를 내며 도는 것이 특징이다.

대개 어린 남자아이들이 작은 크기의 팽이로

팽이놀이를 하며, 위험하고 역동적일 수 있는

팽이치기 경기는 어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말레이시아에서는 팽이를 돌리는 사람과 그를 돕는

Spinning Top

The spinning top is played by hitting a cone shaped top with a string or winding the string around the body of the top and whipping it free to spin it. The string or sometimes a piece of cloth can be used as it is or attached to a stick. It is said to originate from an area called Ur—modern day Iraq, and China about 6,000 years ago, and is a toy that is found all around the world. In ASEAN countries, it is called gasing in Brunei Darussalam, Indonesia, Malaysia, and Singapore, voo in Cambodia, trumpo in the Philippines, ba kang wo in Thailand, and con quay in Vietnam. The spinning top is most commonly enjoyed by the slash-and-burn farmers in the mountainous regions and is passed down as a form of nori and ceremony. The Kayan People of Borneo spin the top during sowing season, while the Lahu People of Thailand believe that the spirits like the spinning top and spin them often. Such characteristics demonstrate that the spinning top has become an agricultural ceremony of sorts. Southeast Asian spinning tops are made from bamboo, guava, jackfruit and other plants or metal and plastic, and sometimes even carved out of hard animal bone. In Malaysia, traditional tops are made from a hardwood called merbau , especially the lower part of the trunk and the roots which are the hardest, however, bamboo is also used more recently. Thai tops can also be made of bamboo which are spun by wrapping a piece of string attached to a stick around the top, and it makes a characteristic �wooooo� sound when it spins. Little boys are usually given small spinning tops to play with, and the more dynamic and dangerous tops are enjoyed by adults. In Malaysia, it is a team game, with one spinner, and two assistants, and they use large pointed tops that can

인도네시아의 팽이치기, 가씽

45

Indonesian top spinning nori, gasing

사람 두 명으로 팀을 구성해 팽이치기 경기를 하며,

5.5kg까지 나가는 크고 뾰족한 팽이로 경기를 한다. 이러한 경기용 팽이는 가씽 우리(gasing uri)라 하는데, 어린아이들은 다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씽 우리를 못 만지게 하거나 세심한

주의를 준다. 겨울철에 얼음 위에서 팽이를 쳤던

한국의 전통 팽이놀이와 달리 아세안 지역에서는 주로 여름에 팽이를 치며, 거리에서 팽이를 치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참고 김광언, 『동아시아의 놀이』, 민속원, 2004. 이웅규, 『세계의 민속문화』, 대왕사, 2003.

www.vietnamtourism.com www.aseantourism.travel

weigh up to 5.5kg. Children are sometimes prohibited from playing with these large tops, or gasing uri , due to safety reasons. Unlike Korean tops, which are spun on ice during the winter, ASEAN tops are spun during the summer and can be commonly seen in the streets.


Low to the Ground

땅으로

아세안 10개국의 놀이도구들을 그 방향성과 움직임에 따라 나누어 소개한다.

하늘로

Up Above In a Circle Out and About

46

An introduction to the nori of the 10 ASEAN countri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movement in which they are played

원으로 사방으로

47

Chapter 2


땅으로

Low to the Ground 땅과 연관성을 가지는 놀이, 지면에서 수평적으로 이루어지는 움직임을 가진 놀이와 그 도구들을 소개한다.

Ground-oriented nori and their tools that are mostly based on horizontal motion

49

Chapter 2


공 던지기 Ball Tossing 남성과 여성이 서로 공을 주고 받으며 구애하는 놀이

공기놀이 Jacks 돌이나 공깃돌, 공, 나무막대 등을 한손으로 집고, 던지며 받는 놀이 Counters — usually stones, small beanbags, balls, or sticks

Balls or balled scarves are thrown between girls and boys with the aim of courtship 01 02

버 츠웅 | 캄보디아 포브 포브 | 라오스

are scattered on the floor, then picked up before a stone thrown into the air is caught

Bos chhoung | Cambodia Pov pob | Lao PDR

03 04 05

50

51

바뚜 쓰름반 | 말레이시아 바뚜 쓰름밧 | 싱가포르 볼라 버끌 | 인도네시아

Batu seremban | Malaysia Batu serembat | Singapore Bola bekel | Indonesia

04

01 03

05

02


07

52

53

06

제기차기 Shuttlecock 제기를 발, 무릎, 팔꿈치 등을 이용해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차는 놀이

Shuttlecocks are maneuvered with the feet, knees, or elbows to keep them in the air as long as possible 06 07 08

꿉 써이 | 캄보디아 짭떼 | 말레이시아 짭떼 | 싱가포르

Kup sey | Cambodia Capteh | Malaysia Capteh | Singapore

08


팽이치기 Spinning Top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팽이를 줄(팽이채)로 감거나 쳐서 돌리는 놀이

Various tops are spun using a piece of string, or string attached to a stick 9 10 11 12 13 14

워 | 캄보디아 가씽 | 인도네시아 가씽 | 싱가포르 가씽 | 말레이시아 트룸포 | 필리핀 바 캉 오 | 태국

Voo | Cambodia Gasing | Indonesia Gasing | Singapore Gasing | Malaysia Trumpo | Philippines Ba kang wo | Thailand

12 9

54

55

10

11

13

14


16

구슬치기 Marbles 땅에 선을 긋거나 기준을 정한 후, 구슬로 구슬을 쳐서 점수를 얻는 놀이

Glass marbles are flicked over a line drawn on the ground to hit other players� marbles 홀른 | 필리핀 골리 빤장 | 싱가포르 굴리 | 말레이시아

Holen | Philippines Goli panjang | Singapore Guli | Malaysia

15

56

57

고무줄넘기 Jumping Over Rubber Band 두 사람이 맞잡고 있는 고무줄을 뛰어넘는 놀이. 성공할 때마다 고무줄의 높이는 조금씩 높아진다.

Players jump over a rubber band held by two people. The rubber band is held higher each round. 15

럼빳 그따 | 브루나이 다루살람

Lompat gatah | Brunei Darussalam

16


엉꾼나무열매 던지기 Ongkunh Tossing 한국의 비석치기와 유사한 놀이. �버엉 꾼�은 크메르어로 �엉꾼 열매(Ongkunh)를 던지다(Bos)�라는 뜻이다.

Bos ongkunh means to throw (bos) the ongkunh seed in Khmer. Ongkunh seeds are stuck in the ground, and a player throws another ongkunh to hit the ones on the ground. 18

58

버 엉꾼 | 캄보디아

Bos ongkunh | Cambodia

59

17

슬리퍼 던지기 놀이 Slippers Throwing 두 팀으로 나누어 하는 놀이. 두 팀 모두 슬리퍼 세 개를 포개서 피라미드를 세우고, 상대팀은 슬리퍼 피라미드를 세우려는 팀원을 슬리퍼나 테니스공을 던져 방해한다. 두 팀 중에서 먼저 피라미드를 세우거나, 팀원을 다 맞히면 이긴다.

People are divided into two teams to play. Both teams build pyramids by leaning the slippers against each other. The opposing team throws a slipper or tennis ball to stop the other team members from rebuilding the slipper pyramid. The team that rebuilds the pyramid, or hits all the other team members first wins. 17

까끼 띠가 | 브루나이 다루살람

Kaki tiga | Brunei Darussalam

18


코코넛 껍데기 밟고 빨리 걷기 Coconut Stilts Race 끈을 매단 코코넛 껍데기를 밟고, 빠르게 이동하는 사람이 승리하는 놀이

코코넛 거북이 놀이 Coconut Turtle 코코넛 껍데기로 거북이를 만들고 실을 감아 빠른 속도로 앞으로 나아가도록 한 놀이 기구

Coconut shells are used as stilts to race one another 19 20 21

카레라 응 바옹 상코 | 필리핀 바똑 끌라빠 | 인도네시아 던 까 라 | 태국

A halved coconut shell is used to make a turtle, and a long piece of string is wound to make the turtle move forward

Karera ng baong sangko | Philippines Batok kelapa | Indonesia Dern ka la | Thailand

22

60

따우 까라 | 태국

Tao kala | Thailand

61

21

20

19

22


대나무 바구니 이고 달리기

23

자 꺼, 싸 꺼 으웻 | 미얀마

자전거 바퀴 굴렁쇠 굴리기

24

마인 르릉 | 싱가포르

긴 나막신 신고 빨리 걷기

25

26

Za kaw, Sa gaw ywet | Myanmar

Two people straddle a log of greased bamboo and hit each other with pillows

Bicycle Rim Rolling

27

Main lereng | Singapore

까응 온 잇 | 미얀마

Gaung ohn yite | Myanmar

Long Wooden Shoes Race

딴듬 바끼악 | 인도네시아

코코넛 공 굴리기

베개 싸움 Pillow Fight 기름칠한 대나무 위에 두 사람이 올라가 베개로 싸움하여 승부를 가르는 놀이

Bamboo Baskets Race

Tandem bakiak | Indonesia

Coconut Ball Rolling

러 꼰 크록 | 태국

Lor kon krok | Thailand

62

63

23

26

25

24

27


하늘로

Up Above 하늘로 향하는 방향성을 가지거나 수직적 움직임이 강조되는 아세안의 놀이와 그 도구들을 소개한다.

Sky-oriented nori and their tools that are mostly based on vertical motion

65

Chapter 2


28

장대오르기 Pole Climbing 독립기념일과 같은 축제와 행사 기간 중에 기름칠한 장대에 올라 깃발을 뽑거나 선물을 획득하는 놀이

Players climb greased bamboo poles to retrieve prizes or a flag, and is often played on special occasions and festivals such as Independence Day 쁜잣 삐낭 | 인도네시아 쵸 딘 | 미얀마 팔로 세보 | 필리핀

66

Panjat pinang | Indonesia Chow dine | Myanmar Palo sebo | Philippines

67

28

28


29

31

30

68

35

69

32

33 연날리기 Kite Flying 바람을 이용해 하늘 높이 연을 띄우는 놀이로 남녀노소가 즐기는 아세안의 보편적인 놀이

Kites are flown high up in the sky on a windy day. It is common across ASEAN and is loved by people of all gender and age. 29 30 31 32 33 34 35

와우 | 말레이시아 구륜 | 필리핀 라양 | 인도네시아 타 지에우 | 베트남 바오 | 라오스 끼끽 | 브루나이 다루살람 렌 와우 | 태국

Wau | Malaysia Guryon | Philippines Layang | Indonesia Tha dieu | Viet Nam Vao | Lao PDR Kikik | Brunei Darussalam Len wow | Thailand

34


원으로 사방으로

In a Circle Out and About

수직과 수평의 직선적 동작을 넘어 원형과 비정형의 방향성을 가진 놀이에 주목한다.

Nori that are mostly based on circular or irregular motions

71

Chapter 2


쫑깍 Congkak 만칼라의 일종으로, 아세안의 보편적인 놀이. 쫑깍은 두 줄의 구멍과 큰 구멍(저장고)이 있는 나무판에 구슬이나 조개껍질을 옮기며 점수를 얻는다.

Mancala type games are common across ASEAN. Usually there are two rows of smaller holes with two larger holes at either ends on a wooden board. The player who gains the greatest number of glass marbles or cowrie shells wins.

36 37 38 39 40

쫑깍 | 싱가포르 쫑깍 | 말레이시아 숭카 | 필리핀 쫑깍 | 브루나이 다루살람 다콘 | 인도네시아

Congkak | Singapore Congkak | Malaysia Sungka | Philippines Congkak | Brunei Darussalam Dakon | Indonesia

40

39

72

73

38

36

37


꾸다 룸삥 Kuda Lumping 대나무로 만든 말을 타고 춤을 추는 인도네시아의 놀이

Thin slivers of bamboo are weaved to make flat horse dolls, and are used as dance props. 41

꾸다 룸삥 | 인도네시아

Kuda lumping | Indonesia

등나무 공차기 Rattan Ball 등나무나 대나무를 엮어 만든 공을 발과 무릎을 이용해 상대방의 구역으로 넘기거나, 다양한 동작으로 공을 차서 주고 받는 놀이

Hollow balls are made by intersecting rattan or thin slivers of bamboo. The ball is passed to the opposing side or passed between players in elaborate moves. 42 43 44 45 46

74

시파 | 필리핀 세팍타크로(카토) | 라오스 세팍타크로 | 캄보디아 친론 | 미얀마 세팍타크로(쓰빡 라가) | 말레이시아

42

Sipa | Philippines Sepaktakraw (Kator) | Lao PDR Sepaktakraw | Cambodia Chinlone | Myanmar Sepaktakraw (Sepak raga) | Malaysia

44

75

41

43

45

46


보드게임 Board Games 목재나 종이판 위에서 주사위를 던지거나, 돌이나 말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움직여서 진행하는 놀이

Players move small stones or pieces according to certain rules on wooden or paper game boards 47 48 49

클라 클룩 | 캄보디아 아두 풀리 아땀 | 싱가포르 빠라마빠담 | 싱가포르

Klah klok | Cambodia Aadu puli attam | Singapore Paramapadham | Singapore

48

76

77

47

49


50 51 52 53

다마 | 필리핀 막룩 | 태국 빠쌍 | 브루나이 다루살람 옥 짜뜨렁 | 캄보디아

Dama | Philippines Makruk | Thailand Pasang | Brunei Darussalam Ouk chatrang | Cambodia

51

78

79

50

52

53


54

프로펠러 돌리기 Propeller Spinning �콥터 마이 파이�와 �깜 문�은 손을 이용해 작은 대나무 프로펠러를 돌리는 놀이

새총 Slingshot 돌멩이 따위를 고무줄로 날려 목표물을 맞힐 수 있는 놀이 도구

Small bamboo propellers are spun with the hands 콥터 마이 파이 | 태국 깜 문 | 태국

55

소리나는 장난감

Small objects such as a small piece of stone is catapulted using the rubber band.

Copter mai pai | Thailand Gam moon | Thailand

56 57

낭양 | 라오스 티라도 | 필리핀

Nangyang | Lao PDR Tirador | Philippines

Noise Maker

오록 밤부 | 인도네시아

Orog bambu | Indonesia

56

80

81

54

55

57


아세안의 인형극과 꼭두각시 동남아시아의 인형극은 예술로 승화된 놀이의 속성을 보여준다. 연극의 공연자나 인형 조종자, 놀이 도구 제작자는 대부분 고도의 기술과 전문성을 가진 지식인이자 장인으로 대우받는다.

82

인형극 꼭두각시

Puppetry and Marionettes of ASEAN Puppetry of Southeast Asia is a type of nori that is elevated to an art form. The performers or the puppetmasters are usually highly trained to have the highest level of technical skills and expertise, and are revered as artisans and intellects.

58

83

Puppets and marionettes

와양 골렉 | 인도네시아 | 꼭두각시 인형

Wayang golek | Indonesia | Puppets


59 60

훈 끄라 벅 | 태국 | 꼭두각시 인형 꼭두각시 인형 | 라오스

Hoon kra bok | Thailand | puppets Lao Puppet | Lao PDR

84

85

59

60


61

욧 뜨웨 | 미얀마 | 꼭두각시 인형

Yoke thay | Myanmar | Marionettes

62

현대 꼭두각시 인형✽ | 필리핀 (필리핀의 두 영웅, Andres Bonifacio, Jose Rizal)

Modern puppets | Philippines (National heroes, Andres Bonifacio, Jose Rizal)

✽필리핀 아멜리아 라페냐 보니파시오 인형극 박물관 소장

Courtesy of The Amelia Lapeña-Bonifacio Teatro Papet Museo in the Philippines

86

87

61

62


63

무어 로이 느억 | 베트남 | 수상 인형

88

Mua roi nuoc | Viet Nam | Water stage puppets

89

63

63


64 65

낭 따룽 | 태국 | 그림자 인형 와양 | 말레이시아 | 그림자 인형

90

Nang talung | Thailand | Shadow puppets Wayang | Malaysia | Shadow puppets

91

64

65


협력작업

Collaborative Works

아세안의 놀이를 주제로 다양한 장르적 창작 실험을 소개한다.

Creative experimentation across various genres under the theme of ASEAN nori

92

93

Chapter 3


아세안으로 가는 다른 문

Different Doors to ASEAN

워크숍 영상 기록물과 설치 협력 : DD238 영상제작 : Vipro

Workshop documentary and installation Collaboration: DD238 Film production: Vipro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에 위치한 아이들의

작업실 DD238에서 아이들과 함께한 놀이 워크숍 결과물을 소개한다.

A documentation of a workshop held in DD238 a studio for children in Imun-dong, Dongdaemun-gu, Seoul

94

95


놀이 매뉴얼, 놀이 포스터

장우석

Wooseok Jang

Nori Manual, Nori Poster

일러스트레이션과 그래픽 디자인

Illustration and Graphic Design

아세안 각국의 전통놀이의 도구와 움직임을 조형적으로 해석하여 그래픽으로 풀어낸다.

Tools and movements of traditional ASEAN nori are visually reinterpreted into graphics.

96

97


뒷배경

설치

최종하

Jongha Choi

Background

Installation

바닥에 금만 그으면 충분했던 어릴적 땅따먹기

놀이는 머릿속에서 벽이 되고 공간이 되어 또다른 훌륭한 놀이판이 된다.

A game of hopscotch could be played simply by drawing a few lines on the ground when we were young. This game is reimagined into walls and spaces to make an all new game.

98

99

+

작가 스케치

Artist�s sketch

+

=


종이놀이

설치

이장섭

Jangsub Lee

Paper Play

Installation

5,000여장의 종이인형은 서로 연결되어 큰 구조물로 확장이 된다. 관람객들은 직접 이 행위에 참가하여 작업을 완성해나간다. About 5,000 paper dolls are interconnected to from a large structure. Viewers can participate to complete the work themselves.

100

101


뚝딱국수

아리송

Arisong

Make My Bowl

인터랙티브 미디어 설치

Interactive Media Installation

아세안 10개국의 다양한 문화와 정서를

한 그릇의 국수를 만들어 먹는 일상적 행위에 빗대어 담아낸다.

The mixed culture and sentiments of the 10 ASEAN countries are compared to an ordinary activity like making and eating a bowl of noodles.

102

103


희미한 현재

손선경

연속 애니메이션 비디오

Roofed Animated Video

Seonkyung Son

Faint Present

TV상자의 한정된 공간 속에서 뛰노는 소년 소녀들을 통해 무한히 반복되는 놀이의

움직임을 무심히 조용하고 묵묵하게 지속되는 무빙이미지로 보여준다.

Moving images that quietly and nonchalantly depict children playing games in infinite repetition within the limited space of TV boxes

104

105


영화놀이

10명의 아세안 각국 영화감독 10 Film Directors from the member states

The Transition , 5:55 Nurain Abdullah Brunei Darussalam

Play on Movies

10 편의 단편영화

오늘날 브루나이 사람들은 전통적인 수상가옥에서 벗어나 땅 위로 주거지를 옮기고 있다. 주거형태의 변화는 각기 다른 배경을 가진 새로운 이웃과 마주해야 하는 문제를 포함해, 새로운 커뮤니티 조성의 문제로 연결된다. 영화는 새로운 친구 만들기나 새로운 놀이 활동처럼 사회적 변화가 아이들에게 주는 영향을 소재로 한다.

10 Short Film

아세안 10개국 영화감독 10명이 자국의 놀이문화에 대한 생각을 영화로 풀어낸다.

As more and more Bruneians move out from the Water Villages to live on land, especially at the housing scheme, they have to form a new community composed of neighbors from different backgrounds. The film explores the effects of such change on children who are pushed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and make new friends, play new games on land instead of in water.

10 filmmakers from 10 ASEAN countires portray their thoughts and imaginations on the nori culture of their home country

106

The Successor , 11:00 So Chandara Cambodia

107

캄보디아의 뛰어난 전통 안무가이자 지도자 Sophiline에 대한 이야기. 크메르 예술을 보존하는 중요한 교육기관인 크메르 예술 아카데미를 지키고자 분투하는 그녀의 활동을 다룬다.

Don�t Play Alone , 8:21 Luhki Herwanayogi Indonesia 익발이라는 10세 소년이 죽은 형 샌디의 영혼을 불러내기 위해 �잘랑쿵�이라는 놀이를 한다. 소년의 엄마는 두려움을 느끼고 익발의 놀이를 멈추려한다.

A 10-year-old boy named Iqbal is playing jalangkung at home to call his brother Sandy who passed away to play with him. However his mother is scared and tries to stop him from playing this dangerous game.

A story about Sophiline, an award-winning choreographer, dancer and teacher of the Cambodian classical dance. The film is about her struggles to preserve her Khmer Arts Academy, a renowned and important platform to keep Khmer arts alive.


Wau: Dancing in the Sky , 6:38 Putri Purnama Sugua Malaysia

Lao Activites , 4:50 Thanouphet Onmavong Lao PDR

Watermelon Dragon , 5:06 Ng Phui Leng Gladys Singapore

조깅, 닭싸움, 에어로빅과 같은 라오스 사람들의 일상적 여가활동을 오전부터 저녁까지 시간대를 나눠 소개한다.

레드힐 클로스는 곧 재개발로 사라지는 주거단지이다. 이 곳의 놀이터는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아이들이 추억을 쌓은 곳이다. 이 영화는 재건축, 재개발과 같은 환경 변화의 문제를 아이들의 놀이와 추억이라는 관점에서 담담히 바라본다.

This film introduces leisure activities widely enjoyed by Laotians such as jogging, cock fighting, and aerobics, from morning till evening.

Redhill Close is a residential estate that is soon to disappear because of the Enbloc scheme. Many children�s memories have been made in the playgrounds around the estate. This film delves into the issues of re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hange while highlighting the children�s times spent in the playgrounds.

말레이시아의 전통놀이인 �와우�(연날리기)에 주목한 다큐멘터리. 와우는 전 세대가 즐기는 놀이로, 여러 형태가 있으며, 각 형태마다 고유의 의미를 가진다.

A documentary that portrays the traditional Malaysian kite called wau .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and designs of wau and can be enjoyed by everyone. Each type and design has it�s own meaning.

Playful Thailand , 5:49 Nutthapon Rakkhatham Thailand

108

2018년 현재, 태국 방콕에 사는 1990년대 초반에 태어난 20대

109 Burma Chinlone , 7:40 Myat Thiri Htoo Myanmar 미얀마식 등나무 공차기 놀이 �친론�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매해 6월에 열리는 친론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전국에서 선수들이 모인다. 영화는 미얀마인들에게 친론이 가지는 의미를 조명한다.

A Day in the Sun , 5:21 Carlo Enciso Catu Philippines 작은 촌락의 컴퓨터 가게에 모여 온라인 게임에 열중한 아이들은 갑작스런 정전에 당황한다. 실망해 각자의 집으로 돌아가려할 때, 누군가 밖에서 함께 놀 것을 제안한다.

Children from a small village are playing online games at the town computer café, when suddenly there is a power outage. The disappointed children start to head home when someone suggests that they play outside.

A documentary on the Burmese rattan ball game, chinlone . Players from all across the country congregate in Mandalay to participate in the chinlone competition, a special feature of the chinlone festival. This film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his game to the people of Myanmar.

Nostalgia for a Summer Day , 9:51 Nguyen Le Hoang Viet Viet Nam 어느 여름날, 한 작가가 집에서 그의 오래된 장난감 상자를 우연히 발견하고, 어릴 적 놀이에 대해 추억한다.

One summer�s day, a writer finds a box full of her old toys in her house, and reminisces her childhood days spent playing games.

젊은 청년들은 이미 빠르게 바뀌는 첨단기술에 익숙한 세대이다. 그러나 동시에 디지털 기기 없이 성장한 마지막 세대이기도 하다. 영화는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사라져가는 태국의 전통놀이 풍경을 추억한다.

2018 in Bangkok, Thailand, youth in their 20s who were born in the 1990s have become accustomed to rapidly changing cuttingedge technology.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last generation to have grown up without digital devices. This film remembers the disappearing landscape of Thailand�s traditional games through the voices of this generation.


아세안의 발음놀이

ASEAN Tongue Twisters

텍스트 애니메이션 영상제작: 원윤찬

Text animation Film production: Yoonchan Won

아세안 국가들의 말장난 놀이를 소개한다.

A compilation of tongue twisters from ASEAN countries

110

111


112

113


춤으로 만나는 아시아

One Asia in Dance

자료협조 아시아춤문화연구소, 유네스코아태무형문화유산센터

Film courtesy of Asia Dance Culture Institut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re in the Asia Pacific Region

아시아의 다양한 춤을 주제로 매년 열리고

있는 아시아민속춤 축제 중 아세안 국가들의 공연을 소개한다.

An Asian folk dance festival is held every year showcasing various dances.

114

115


View of Installation

전시장 둘러보기



120

121


122

123



아세안문화원 기획전시

놀이하는 아세안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이시형

교류협력이사 김성인

아세안문화원장 함승훈 문화사업부장 이방복

문화사업부 유혜인, 임지은 영문교열

Simon Robinson

전시기획 최호랑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김정윤, 김미혜 번역 김정윤

설치 노준태, 임선영, 홍혜리

디자인 액션서울

도록디자인 김리원

미디어 프로덕션 루트 254, 비프로, 원윤찬 사진 굿보이픽쳐스, 제이프롬 협력작업

DD238 손선경 아리송 이장섭 장우석 최종하

누레인 압둘라(브루나이 다루살람) 소 찬다라(캄보디아)

루키 헤르와나요기(인도네시아) 타누펫 온마봉(라오스)

푸트리 푸르나마 수구아(말레이시아) 미얏 시리 흐투(미얀마)

카를로 엔키소 카투(필리핀)

응 퓌 렝 글라디스(싱가포르) 누타폰 라카탐(태국)

응우옌 르 호앙 비엣(베트남) 후원 외교부, 부산광역시

주최·주관 한국국제교류재단, 아세안문화원

전시에 도움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ASEAN Culture House Special Exhibition Playful ASEANASEAN Seen Through Traditional Leisure Activities The Korea Foundation President Sihyung Lee Executive Vice President Seong-in Kim Director-General of ASEAN Culture House Seung-hoon Ham Director of ACH Exhibition Program Bangbok Lee Senior Program Officer Hyein Yoo, Jieun Im Copy Editor Simon Robinson Curator Horang Choi Curatorial Assistant Jeongyoon Kim, Mihye Kim Translation Jeongyoon Kim Installation Coordinator Joontae Noh, Sunyoung Lim, Hyeri Hong Design Action Seoul Catalogue Design Riwon Kim Media Production route 254, Vipro, Yoonchan Won Photographic Credit (Installation View) Goodboy Picutures, J.from Collaborative Works DD238 Seonkyung Son ARISONG Jangsub Lee Wooseok Jang Jongha Choi Nurain Abdullah (Brunei Darussalam) So Chandara (Cambodia) Luhki Herwanayogi (Indonesia) Thanouphet Onmavong (Lao PDR) Putri Purnama Sugua (Malaysia) Myat Thiri Htoo (Myanmar) Carlo Enciso Catu (Philippines) Ng Phui Leng Gladys (Singapore) Nutthapon Rakkhatham (Thailand) Nguyen Le Hoang Viet (Viet Nam) Support Kore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Busan Metropolitan City organizers The Korea Foundation, The ASEAN Culture House

Special thanks to all those who contributed to this exhibition.


발행처

한국국제교류재단 아세안문화원

디자인

액션서울

발행인

이시형

초판 1쇄 인쇄 및 발행 2018년 12월 아세안문화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로 162

T. 051 775 2024 F. 051 775 2020 H. www.ach.or.kr

ⓒ한국국제교류재단 아세안문화원 2018

이 책의 저작권은 한국국제교류재단 아세안문화원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 담긴 모든 내용 및 자료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한국국제교류재단 아세안문화원의 문서를 통한 허가 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으로 복사 또는 전재하여 사용할 수 없습니다.

Published by The ASEAN Culture House, The Korea Foundation Sihyung Lee Publisher action seoul Design

First Printed/Published on December, 2018 ASEAN Culture House 162, Jwadong-ro, Haeundae-gu, Busan Tel. 051 775 2024 Fax. 051-775-2020 www.ach.or.kr ⓒASEAN Culture House, The Korea Foundation, 2018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catalogue may be 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ystem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electronic, mechanical, photocopying, recording or otherwise, without written permission from the ASEAN Culture House, the Korea Foundation.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