씬짜오베트남 527호

Page 1


세번째는전이(transfer)입니다.모국어의 지식을 활용해서 외국어를 익히는 것입니다. 추상적인 단어

의 뜻을 이해하거나, 품사를 이해하는 등의 언어 지식을 외국어에 적용하여 배우는 것입니다. 간혹 과잉

문법을 적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한국어에 있는 존댓말을 영어에 적용하여 선생님께 “Hi요”라고

인사하는 경우 또는 한국어 조사를 붙어 “Mommy가”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영어식 표현을 한

국어에 적용하여 “이 자동차s는 다 mine” 이런 식으로 단어의 복수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네번째는전보식발화(telegraphicspeech)입니다.이는 내용어만 말하는 것으로 "There's no toilet paper in the bathroom."을 “Bathroom no paper”라고 단어 수준으로 짧게 말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이러한 현상이 언어지연이 있는 아이들이 보이는 발화 특징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 입니다. 따라서 외국어를 배우는 과정에 있는 아이들이 간혹 언어지연이 있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대로, 이중언어 아동이므로 이러한 현상이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다 생각하여 언어지연을

조기에 찾아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능력은 모국어와 할 줄 아는 모든 외국어 능력을 합하여 생각해야 합니다. 아이가

어릴 때부터 영어에 노출되어 있었고 교육기관에서 또한 영어를 사용하고 있다면, 단일언어환경에서의

언어발달을 평가하는 공식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아동의 언어발달을 파악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 니다. 예를 들어, 「K-BNT-C」는 아동의 어휘발달을 평가하는 도구로 60개의 그림을 보여주고 단어 를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곳에서 제가 만나는 아이들은 ‘모자’ 그림을 보고, “모자” 또는 “hat” 또는 “nó”이라고 합니다. 저는 이 모든 답변을 정반응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그보다 중요하게 파악되어야 할 부분은 아동 본인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논리적인 흐름을 갖고 있는 지, 이야기의 앞뒤 맥락을 파악할 수 있는지, 인과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지 등입니다. 더 어린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추정하기도 합니다. 이는 아이가 언어를 초월하여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는 범언어적(translingual) 개념입니다. 향후 학령기가 되는 아이의 언어능력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로 모국어 발달

과 더불어 외국어 습득에도 중요합니다.

이 곳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여러 언어에 노출되어 있습니

다. 이러한 점이 장점으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부모님들

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이중언어 아동에게 모국

어만 강조하는 것도, 사회적 언어인 영어만 강조하는 것

도 경계해야 합니다. 언어는 필요에 따라 갈아입을 수 있

는 옷과 같은 개념입니다. 언어를 도구로 사용하여 세상

의 많은 일들을 배우고 경험하며, 상호작용합니다.

베트남에서 이중언어 아이들이 언어라는 날개를 달고 행

복하고 건강한 일상을 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