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엽 감는 새가 태엽을 감지 않으면, 세계가 움직이지 않아.”
출간 25주년 기념 완전판
제47회 요미우리 문학상 수상
무라카미 하루키의 이력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
잃어버린 것을 되찾기 위해 폭력의 역사와 맞서는 존재의 기록
▶ 마치 꿈같은 강렬함, 무라카미 하루키는 천재다. ―《시카고 트리뷴》
▶ 무라카미 하루키의 예술 세계에서 가장 주요한 모험이 되는 작품, 대담하고 관대한 책. ―《뉴욕 타임스》
▶ 놀라운 작품,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다. ―《옵저버》
진실이 사실과 다르고, 진실과 진심이 다를 때가 많은 걸 확인할 때마다 깊은 어둠 속에 빠지는 기분이 든다. 인간이 자신의 뒷모습을 끝내 볼 수 없다는 사실이 어둠 속의 어둠을 바라보는 일의 어려움을 온몸으로 보여 주는 증거인 것 같아 서늘해졌다. 그 도무지 불가능한 일을 여전히 해내고 있는 하루키에게 고맙다.
백영옥 (소설가)
어떤 작가의 작품 세계에 ‘월드’라는 말을 붙이는 일이 가능한 경우는 많지 않다. … 누군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말투로 농담을 시작하면 다른 이는 그에 맞게 대꾸할 수 있었다. 그러니까, 우리는 그 월드의 주민들이었다.
이다혜 (기자)
그저 좋아서 읽었던 기억, 너무 읽고 싶었던 열정, 환락에 가까운 탐닉. 그는 내게 가장 단순하고도 순수한 차원에서의 ‘독서’와 ‘재미’를 알려 준 사람이자, 나의 ‘일본–문학’에 대한 애호의 시원이기도 하다. 이런 단어가 존재하는지 알 수 없지만, 되돌아보니 나는 무라카미 하루키즈(春–Kids)였달까.
김봉곤 (소설가)
어떤 것을 희망하기 위해서는, 크든 작든 절망이 있어야 한다. 백지상태에서 백지 위에 글을 쓰듯, 칠흑 같은 우물 아래에서 빛을 발견해야 한다. 태엽 감는 소리를 내는 것이 새 자신이었듯, 우리는 묵묵히 우리 삶의 태엽을 감아야 한다.
오은 (시인)
친밀했지만 아무것도 몰랐던 관계, 부정하고 비밀스러운 쾌락, 기꺼이 혼자가 되는 법, 죽음을 직면했던 사람의 결의와 허무에 대해 생각하면서 마주한 새벽의 얼굴은 매번 낯설었다. 넘기는 줄도 모르고 넘어간 페이지의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