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A
강
N
G,
S
상 A
N
훈 G - H U
N
PAST&ING
deerhunter
개
개No.2 ,ceramica gel,W6.5×H26.5×D17.0(cm),2009
개No.1,ceramica gel,W6.5×H26.5×D17.0(cm),2007
개No.3,ceramica gel,6.5×26.5×17.0(cm),2009
개No.4,ceramica gel,6.5×26.5×17.0(cm),2009
대화
대화,ceramica gel + cement ,W29.0×H27.5×D29.0(cm),2008
monkey
Fallen Leaves No.1,초경석고,W30.0×H5.0×D30.0(cm),2009
Fallen Leaves no.2 , 초경석고(dental plaster),W16.6×H6.0×D14.0(cm),2009
Fallen Leaves No.3,초경석고,W20.0×H5.5×D12.8(cm),2009
Fallen Leaves No.4 ,초경석고,W17.5×H5.0×D17.5(cm),2009
Fallen Leaves No.6,초경석고,W17.0×H4.5×D16.7(cm),2009
Fallen Leaves no.7, 초경석고(dental plaster), W6.5×H36.0×D7.5(cm),2009
Fallen LeavesNo.8, 초경석고,W7.5×H20.5×D14.5(cm),2009
BANANA aluminum+graphite+dental plaster,27.0×65.0×17.0(cm), 2010
BANANA, pocelain+graphite,27.0×65.0×17,2009
BANANA, pocelain+graphite, 27.0×65.0×17,2009
해바라기, bronze+aluminum, W17.0×H4.5×D16,2011
rabit
my,ceramica gel,6.5×23.0×6.5(cm),2008
one eye,ceramica gel,6.5×23.0×6.5(cm),2008
토끼귀를물어뜯는머리들
토끼귀를물어뜯는머리들,ceramica gel+우레탄+나무에 채색, W93.0×H21.0×D93.0(cm)
토끼해부no.1, ,ceramica gel+cement ,30.0×11.0×14.5(cm),2008
토끼해부no.5, ceramica gel+cement ,W30.0×H11.0×D14.5(cm),2009
토끼해부no.7-浮游하는 토끼,dental plaster,W50.0×D14.5×H13(cm).2010
토끼해부no.8-man, dental plaster ,W50.0×D14.5×H13(cm),2010
토끼해부no.9-bomb, dental plaster ,W50.0×D14.5×H13(cm),2010
토끼해부no.10-상처, dental plaster ,W50.0×D14.2010
부유하는토끼,통의동보안여관
화분, ceramica gel,16.2×30.5×16
bird
bird(부분),ceramica gel,110.0×18.0×28.0(cm),2008
seat
NEWPROJECT
뱃놀이
파문
plaster,W36.5×D24.5×H15(cm)
plaster,W5.0×D5.5×H16(cm)
NOTE&REVIEW&PROFILE
Note1 1. 나의 생활사를 물화시키기에 적절한 상징들을 다룬다. 거짓말, 허풍, 위선, 오만... 내가 다루는 생활사의 디테일이다. 유모어, 패러디 내 작업의 대부분은 얼마든지 문장화 할 수 있는 것들로 이루어져있다. 그것들은 일상의 구질구질한 사건들과 가십거리를 연상하게 한다. 평소에 내가 겪는 감정의 굴곡들이 기록되어있다. 이것은 특별한 얘기도 특별한 사건들도 아니다. 어떤 날은 울컥하고 그러다가 분노하고 연민에 사로잡히다가도 우쭐해지기도 하는 그런 것들의 파편이다. 하지만 그것은 유모어와 패러디의 필터를 거치면서 이미지는 증폭되고 끝없이 증식을 한다. 이것은 잡다한 사변이 가진 무기력의 함정으로부터 단숨에 빠져 나오게 하는 힘이 있다.그래서 나는 쉬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다. 카니발의 가면 카니발이 보여주는 환타지한 풍경이 흥미롭다. 인생은 그다지 우아하지도 점잖지도 않고 욕망은 서로를 침해한다. 그리고 절대 사과하지 않는다. 그래도 카니발 속에서는 즐겁고 행복하다. 그것이 카니발의 룰이다. 서로의 귀를 물어뜯으면서 배를 잡고 웃는다. 오늘은 오로지 욕망을 분출하고 털어낸다. 나의 캐릭터가 중요하지는 않다. 그것들은 가면일 뿐이다. animals, 욕설 처음에는 동물의 얼굴을 가면처럼 여겼지만 작업이 진행되면서 피가 흐르는 신체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리고는 상징과 은유의 혼합체로서의 작업으로 진행했다. 짐승들의 세부는 우화와 욕설(개새끼, 소 같은 놈..)로부터 왔다. 기존의 틀 속에서 재현되기도 하고 때로는 비틀기나 뒤집기를 해보면서 이 작업의 세부를 늘려왔다. 재료에 대한 명상 내구성에 대한 고려보다는 재료가 주는 느낌이 우선이다. 납, 시멘트: 상처(출처를 알 수 없는 혹은 알고 있는 모든 상처). 독. 한없이 무겁다. 벗을 수 없는 젖은 옷. 수많은 기억의 흔적. 냉랭하고 역하지만 동시에 나(self) 이다. 저개발. 개발도상. 환경....... 석고, 나무: 시간의 축적, 나는 석고의 요란하지 않은 윤기에 반했다. 위태로우면서도 오래 견딘다. 이집트의 유물. 고상한 템페라의 채색. 생명의 존재감과 온기를 가졌다. 석고와 나무는 피가 흐르는 피부이다....... 2. 일상의 감정을 기록한 것들이다. 감정의 원형이 결과물에서 손실 없이 재현되기 위한 작업의 방법을 고민한다. 내 생활의 자질구레한 일들과 타인의 일상이 빈번하게 맞닿아 있는 곳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길 원한다. 치고 받는 만담 같기도 하 고 가십의 질펀한 감정이 솟구치는 그런 작업을 꿈꾼다. 내게 인생을 환기하지 않는 작업은 의미가 없다. 작업 안에 인생의 빛과 그림자가 은유 되길 원한다.
카니발의 풍경
Note2
카니발의 초현실 풍경이 흥미롭다. 그런데 초현실은 현실이다. 인생은 그다지 우아하지도 점잖지도 않고 욕망은 서로를 침해한다. 그리고 절대 사과하지 않는다. 그래도 카니발 속에서는 즐겁고 행복하다. 그것이 카니발의 룰이다. 서로의 귀 를 물어뜯으면서 배를 잡고 웃는다. 오늘은 오로지 욕망을 분출하고 털어낸다. 나의 짐승들은 카니발의 인파이다. 달려라 토끼 1. 오래 전부터 어떤 책의 제목이 맴돌고 있었다. ‘달려라 토끼’인데, 그 책을 가진 건 대학 때였고 이후 십 년이 지나서야 토끼에 관한 드로잉을 시작했다. 나는, 완독도 하지 않은 그 책의 제목을 그토록 긴 시간을 내내 기억해낸 것과 결국은 드로잉을 지나 현재의 토끼작업으로 양산? 되고 있는 것이 의아스럽다. 짧은 제목은 내 안의 온갖 우화들 그리고 사건들 과 융합되고 ‘뒤죽박죽’의 반응을 일으키면서 모종의 집중력을 발휘한 것 같다.
2. 이미 주어진 캐릭터토끼에게는 이미 주어진 막대한 양의 은유와 상징이 있다. 특별히 새롭게 내놓고 싶은 것은 없다. 나는 그 속에서 유희하고 부유하고 싶었다. 나의 짐승캐릭터 중에서 토끼는 일상의 스냅같은 장면에 강하다. 이야기의 속도감있는 전개. 그런 점이 좋다. 이야기의 새로움이 아닌 신선한 조각이 목표다.
전시명: 부유하는토끼
Note3
1년 몇 개월 전 가을이 깊을 때 나는 통의동 길을 한 달 정도 빈번히 오갔다. 그리고 우연히 내 눈에 들어오고 한참을 여 기 앞에 서 있었다. 이렇게 묘한 제목의 건물 앞에서 누가 그냥 지나칠까? 세상에 누가 여관 이름에 이런 장난을 했을까? 이렇게 절묘하게. 누가 낡은 건물에 일부러 간판을 ‘빈티지’ 효과로 각색해서 올린 걸까? 장소와 시절과 은유와 상징, 이 모든 것이 이처럼 기묘하게 조합이 된 것을 나는 경험해본 적이 없었다. 아주 오랜 이전부터 우연이 겹치고 겹쳐 작가로
서 이곳에 오게 되었다. 이곳에서 전시를 하게 되었다는 사실이 내게 많은 생각한다. 인생, 은유, 상징 나는 항상 이것을 염두에 두고 작업한다. 작업에서 이것을 제외하면 내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토끼들은 누워있다. ‘토끼해부’ 연작은 존재 의 이력을 나열하는 작업이다. 지나간 시간이 몸에 남긴 기록들을 생산한다. 이곳을 염두에 두고 만든 것은 아니지만 나 는 이곳과 연결된 코드를 떠올리게 되었다.‘부유, 표류’ 이곳을 숙박했던 사람들의 흔적이 ‘토끼해부’에 각인되길 바란다.
Note4 1 나의 원숭이는 가볍다. 나의 생활은 한없이 가볍게 부유한다. 가십으로 둘러싸인 공기 속에서 우두커니 서있다. 바나나 받침대는 원숭이의 이미지를 복합적, 유동적, 가변적이게 한다. 원숭이는 가벼움에 대한 대체물이다. 그리고 원숭이 연작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가시밭의 원숭이, 바지를 벗은 원숭이, 구름 위의 원숭이, 돌아보는 원숭이(‘왜불러‘ 연작), 원숭이를 밟은 원숭이, 해바라기, 꽃밭, 양귀비 밭, 낙화.... 2 ’낙엽 연작’은 몇 해 전에 병을 겪으면서 이루어진 작업이다. 그때부터 매일 다니던 산이 있었는데, 나는 산의 사계절을 목격했다. 낙엽. 봄의 낙엽, 여름의 낙엽, 가을낙엽, 겨울 낙엽. 바닥에 차곡차곡 쌓여있는 낙엽은 인생의 풍경을 보여 주었다. 가을에 막 떨어진 싱싱한 신선한 낙엽, 몇 해 전에 떨어진 입맥만 남은 낙엽, 이른 철에 떨어 진 푸른 낙엽.. 낙엽은 내가 벗어날 수 없는 운명으로 생각됐다. 그리고 그 낙엽 위에서 어떤 일이 벌어져도 하나 도 기이할 것도 믿지 못할 것도 없었다. 3 Anatomy 연작의 출발: 처음의 단서는 토끼를 배를 가르면 솜이 나오지 않을까하는 생각이었다. 그 다음은, 기 왕에 솜이 나왔으니 아무거나 나와도 된다. 변형된 생명체와 기계, 인공물과의 결합이다. 4 대화: ‘소통 불능’ 소통이 불가능한 상태 - 대화의 장면 속에 내재된 정적도 함께 표현하고 싶었다. 어떠한 설명 도 필요 없는, 강력하게 ‘자존’할 수 있는 것을 만들고 싶었다.
REVIEW 신개념주의 조각의 확장
김종길 | 미술평론가.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인류의 역사 전체를 생각해보아도 유한한 삶을, 그것도 한 시대에 한정된 삶을 살아야 하는 운명으로는 ‘삶의 혁명’을 성취하기란 쉽지 않다. 역사 와 예술의 긴 알레고리를 깨트리고 돌연변이와도 같은 ‘예술의 혁명’을 실천하는 것 또한 그렇다. 날마다 사건과 이변이 터지고 전위와 실험이 쌓 여도 관념과 이성을 뒤흔들 그 어떤 아성牙城의 완벽한 해체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인지 모른다. 그럼에도 우리가 변혁을 희구하는 따위의 ‘모순적 희망’을 삶에 투영시키는 것은, 우리 삶이 그 자체로 모순에 차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들끓는 모순으로부터 예술가는 창조의 에너지를 응결해 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예술가는 이 현실에 창조의 제국을 선포하는 자들이며, 그 제국의 시민이자 통령統領consul이다. 2009년의 한국 조소예술계는 대체로 맑았고 그 밑은 어두웠다. 2000년 이후 주목을 받아왔던 작가들의 ‘아성 해체’ 시도를 볼 수 있었던 것이 그 맑음이고 그 외의 전시들이 모순보다는 안주를 선택했기 때문에 우울했다. 예컨대 아르코미술관에서 개최된 《대학로 100번지전》(5.21~7.5)은 문 예회관부터 미술관까지 오는 30년의 역사를 기념하기 위해 기획되었는데, 유사 기념전의 과대포장용 ‘회고’ 집착보다는 대항로對抗路의 새 길을 개척하려는 의지가 윤사비, 성기완의 <학림:왓칭미토킹>과 같은 작품으로 튕겨져 나와 놀랐고, 그 보다는 먼저 백남준아트센터의 두 번째 기획전 이었던 《수퍼하이웨이 첫 휴게소전》(3.7~5.16)이 21세기 ‘신형상-신개념’의 조각을 백남준의 사유를 관통하는 후배세대들의 농염한 제시로 개최되 었다는 점은 경이로웠다. 로댕이나 부르델에 휩싸였던 권진규, 류인, 구본주식 리얼리즘 조각이 오브제와 개념의 결합으로 속칭 ‘멀티미디어비디오 매스컨셉츄얼’ 조각으로 전환하고 있는 사례를 ‘휴게소전’은 똑똑하게 보여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아마도 새로운 조각의, 그 절정에 있는 작가는 양 혜규일 것이다. 그의 작품들은 기존에 제시된 조각의 개념을 낱낱이 해부하고 해부된 개념을 불태워 폐기처분해 버렸다. 그는 매스가 해체된 곳에 빛과 바람과 향기를 음각한 뒤 그것을 채운 오브제마저 부차적인 것들로 치부했다. 그의 조각을 해제하는 하나의 단서는 공교롭게도 어떤 인물, 어 떤 역사의 단초들과 관련을 맺는다. 그가 제53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초대작가로 선정된 사건은 그래서 ‘놀람’이 아니다. 2009인천여성미술비 엔날레에 설치된 김순임의 <더 스페이스 17-인천2009>도 전환의 예시를 잘 드러냈다. 주목할 전시와 작가에 대해선 본문에서 다시 다루겠다. 뉴스와 경종의 타전! 6월 26일, 가나아트센터에서 최성숙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관장, 임충빈 양주시장, 가나아트센터 이호재 회장이 ‘양주시립문신아틀리에미술 관’ 건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경기도 양주시 장흥조각아카데미에 2010년 가을 개관예정이다. 10월9일에는 광화문 광장에 세종대왕상 제 막식이 거행됐다. 김영원 홍익대 교수에 의해 4월 25일부터 시작된 조형작업은 제막식을 며칠 앞두고 완성되었는데, 그 운송과정이 군사작전을 방 불케 하여 화제가 되었다. 높이 6.2m, 폭4.3m, 무게20톤에 달한다. 한국미술평론가협회가 한국 현대미술의 발전과 진흥을 위해 제정한 <한국미술 평론가협회상>의 첫 수상자로 창작부문에 조각가 정현이, <포스코스틸아트어워드> 대상에 이병훈의 <이미지를 쏘는 화포1.2>가 선정되었다. 이 병훈의 작품은 “현대미술에 익숙하게 등장하는 프라모델을 모티브로 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작업에 대한 노력과 땀, 재료를 다루는 헌신적인 열 정이 진솔하게 전해진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구상조각회가 주관하고 성남문화재단과 MBC가 공동 주최한 《MBC한국구상조각대전》의 시 상식이 9월 22일에 있었다. 기성부 대상에 이철희, 신인부에 정의지가 수상했다. 장르로 볼 때 공예에 해당하겠지만, 2009년에는 탈장르적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 ‘건축도자’ 혹은 ‘현대도자’ 전시가 공공 미술관에서 기획되었 다. 클레이 아크 김해미술관은 《건축도자 Now & New전》을 3월7일까지 개최했는데, 벽돌, 타일, 애자(절연체) 등 일상에서 친숙한 현대 건축도자 재료를 예술적 작업으로 시도한, 창조적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경기도미술관이 기획한 《2009경기미술연례전: 현대조형도자전_세라믹스&클라이맥 스》(4.24~7.5)는 도예라는 형식 혹은 도자라는 형식을 뛰어넘는, 대단히 조형적인 ‘현대미술작품’을 보여주었다. 점토를 이용한 대형 현장설치 작업, 미디어를 결합한 공간구성 작업 등 기존의 도예전에서 볼 수 없었던 작품들이었다. 특히 2001년 경기도자박물관에 설치되었던 백남준의 비디오 토기 설치작품 <흙으로 미래를 빚다>가 새롭게 재현, 제작되어 전시됨으로써 탈 장르적 개념으로서의 현대도자 개념을 새롭게 제시했다. 해외 전시 초대전이 러시를 이루지 않았지만, 조동환-조해준 부자의 <미군과 아버지>가 이스탄불비엔날레 출품된 것, 조각가 정현이 베이징 금일 미술관Today Art Museum에서 초대기획전 《From Material to Life》(2.12~20)을 가진 것, 베이징에 거주하며 창작지형을 넓히고 있는 박성태 작가 가 베이징 창아트와 서울 워터게이트갤러리에서 《인드라의 그물-존재와 신화Net of Indra-existence and myth》란 주제로 4월과 5월에 전시한 것, 조각가 배형경이 베이징 페킨 파인아트Pekin fine arts에서 ‘카르마’ 연작과 70개 나무 상자 안의 부처상을 전시한 것(5.9~6.15)은 조각계의 잔잔한 화제였다. 정현과 박성태, 배형경은 중진 조각가로 한국 형상조각의 중심에 위치한다. 그들의 태반은 20세기에 있으나 형상의 변화와 주제를 진일 보 시키는 힘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LA카운티미술관 개최 이후 휴스턴 미술관으로 이동한 《당신의 밝은 미래:한국현대미술 12인전》(6.28~9.20)은 한국 현대미술의 오늘을 ‘생얼’로 보여주는 전시였다. 우리는 이 전시에 출품된 서도호의 <떨어진 별 1/5>과 <집안의 집>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그는 간간히, 그러나 치밀하게 준 비된 작품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들은 한국 현대조각이 헤쳐가야 할 하나의 지표로 상승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개인/집단, 사회/문 화, 그리고 국가 정체성 혹은 탈 정체성을 화두로 미학적 정치성을 탁월하게 성취하고 있는 그의 작품들은 마티에르, 매스, 형상성 등에 갇힌 근대 적 조형논리를 가볍게, 그러나 통쾌하게 탈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국박물관100주년 기념 기획특별전으로 개최된 《영원한 생명의 울림-통일 신라조각전》(2008.12.16~2009.3.1)은 조각의 서구적 현대성에만 쏠려있는 한국 현대조각계에 전통조각의 미학세계를 타전한 묵직한 경종이었다. 조각의 변태變態, 신 형상주의와 신개념주의 확산 20세기 형상조각, 개념조각으로부터 비 동일성의 작업을 강행하는 것은 21세기 한국 현대 조각계의 변혁적 과제라고 할 수 있을 터이다. 과거의 기억을 끊어내면서 동시에 탈아적 脫我的 시도와 실천을 힘 있게 수행하는 일. 그러나 우리는 그와 동시에 동일성의 뿌리를 상실하지 않으려는 의식/무의식의 관념도 인정해야만 할 것이다. 기억을 끊어내는 스스로의 결단이 근대 미학에의 극복, 즉 탈근대적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기 억의 고리를 결연히 해체하려는 의식은 단지 하나의 의지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는 해변의 모래 둔덕처럼 파도에 휩쓸린 현재의 탈각이며, 현재는 바람에 밀려와 탈각을 준비하는 오늘, 그리고 미래란 오늘이 실존해야만 볼 수 있는 바람의 결이지 않겠는가. 신 형상조각과 신개념조각은 2000년 이후 후기 신세대 조각가들에 의해 실험된 탈근대적 전환의지에서 비 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세대적 지층은 30대 중반에서 40대 중반을 이룬다. 이들은 1980년대 후반 사회변혁운동에 동참했던 민중미술로부터 비 판적 현실주의의 미학을 전수받았고, 칼라TV와 올림픽, 자본주의 소비사회의 현란한 이미지 속에서 “脫-모던, 제도, 권위”를 내세웠던 당시 청년 작가 세대의 ‘신세대론’을 흡수했으며, 대안공간의 ‘얼터너티브alternative 정신’을 형성시켰다. 또한 인터넷의 일상화와 글로벌네트워크는 1980년 대 후반에 등장한 신세대론(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의 편협성을 확장해 글로벌 후기 신세대(1990년대 후반 이후~현재)로 층위를 구성하 게 만든 원동력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서구미술계와 한국미술계의 시간차/시각차를 동시성으로 끌어 올렸으며, 아카데미 조형론에 구속 되지 않는 자율성의 최대치를 실험했고, 모더니즘-리얼리즘-컨셉추얼리즘/비디오아트-팝아트…와 같은 특정 미학, 특정 경향보다는 그것들이 믹 싱 된 개념, 즉 혼합개념으로서의 ‘비빔’을 더 선호했다. 조각은 더 이상 오브제에 갇혀 있지 않았다. 이제 조각개념의 화두는 “어디까지를 조각이 라고 불러야 하는 가”의 질문에서 “지시되는 모든 것이 조각이다”로 기립시켜야 할 것이다. 그 기립현상의 단면을 2009년의 주목할 만한 전시들 로 살펴보겠다. 첫 스타트는 KT&G 상상마당에 전시된 나현의 《실종MISSING전》(1.30~2.15)이었다. 그는 유사 다큐멘터리 PD가 되어 동영상 인터뷰, 사진촬영, 수집(아카이브), 퍼포먼스를 수행하여 그 결과물을 재맥락화하고 재구성 해왔다. 국립현대미술관의 《젊은 모색전》에도 출품된 바 있었던 그의 작 품들은 도서관·박물관·미술관의 전시연출을 영민하게 차용하여 ‘실종’의 ‘실존’을 드러내고자 했다. 부재의 흔적들로 채워진 전시공간은 실종된 자 들의 ‘실존’과 밀접하게 상관했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산자들, 살아남은 자들이 전하는 기억의 정치학이기도 할 것이다. 같은 날, 스페이스 크로프 트에서 개최된 유비호의 세 번째 개인전 《Flexible Landscape전》(1.30~2.15)은 ‘서브토피아sub-topia’를 주제로 다뤘다. 송도신도시 개발과 태안 반도 기름유출이라는 두 개의 사건을 작가적 상상으로 혼합-재생산한 이 전시는 에코토피아의 깃발을 내건 토건국가 대한민국의 모순적 현실을 담담하게 직조하였다. 그의 영상은 1980년대 <현실과 발언>의 일부 작가들이 ‘회화이미지’로 집약시켰던 소비사회 간판문화와 다국적 기업들의 상업전략을 몽환적 영상이미지로 전환하여 보여 주었고, 기름유출의 늪에 빠진 생명체들의 모뉴망moniment을 검은 조각상으로 형상화 했다. 덕원갤러리에서 최수앙의 《The Pruritus전》(2.13~28), 대안공간 풀에서 강상훈의 《獸Animals전》(10.23~11.13)이 있었다. 그들은 이원석, 설총식, 박장근, 이종희 세대를 잇는 후기 신형상조각의 기수라 할 만 하다. 둘의 작품들에서 동일하게 떠오르는 개념은 ‘페르소나Persona’이다. 라틴어 미 술 개념으로 페르소나는 ‘사람의 몸을 조각한 작품’이지만, 종교적으론 지혜와 자유의사를 가진 독립된 인격체, 심리적으로는 실체 뒤의 ‘가면’이 다. 그들의 몸은 ‘가려움’과 ‘짐승의 탈’이라는 페르소나를 갖지만, 모두 사람의 몸이며 독립되어 있다. 이들 작품에서 ‘독립’은 개인의 자율보다는 ‘고독’, ‘자폐’와 같은 비사회적 개념에 가깝다. 최수앙은 그런 비사회적 세계에 갇힌 개인들의 실상을 ‘독립된 자화상’으로 창조했으며, 강상훈은 ‘거짓말, 허풍, 위선, 오만…’으로 가득 찬 페르소나의 실체에 짐승의 가면을 덧씌워 제출했다.
몽인 아트센터에서 지니서의 《end of the Rainbow전》(5.21~6.19), 유현미의 《그림이 된 남자Bleeding Blue전》(11.19~2010.1.17), 아트선재 센터에서 함경아의 《욕망과 마취Desire and Anesthesia전》(8.22~10.25), 국제갤러리에서 김기라의 《SUPER MEGA FACTORY전》 (9.19~10.18), 신미경의 《번역_그리스 아르카의 조각상전》(11.19~12.19), 그리고 갤러리 팩토리에서 김주현의 《누구나 꾸는 꿈>(12.17~2010.1.17)이 있었다. 지니 서, 유현미, 함경아, 김기라, 신미경, 김주현은 2009년의 한국 조각계 단층을 가장 돋보이게 하는 작가 들이었다. 지니 서는 단일성의 조각으로서 공간에 점유된 하나의 덩어리가 아닌 그것의 역설, 그러니까 조각이 공간을 점유하면서 스스로 공 간이 되는 조각을 펼쳐냈다. 강철의 판선들로 협곡과 바람 결, 빛 무리를 연상케하는 공간연출을 펼쳐내어 관객의 시선을 조각 내부로 진입시 켰다. 관객은 그 내부에서 ‘무지개 끝’이라는 희망 없는 현실에 부딪혔으며, 반대로 ‘강철무지개’의 강렬한 아우라에도 휩싸여야 했다. 사진과 회화, 조각의 경계를 무화시키는 유현미의 작업은 매 년 일정한 확장선을 타고 있다. 최근까지 사진작업은 그 자신의 작업실 문, 벽, 계단, 커튼을 배경삼아 오브제 사진(오브제와 배경에 페인팅을 한 후 사진작업)을 제시한 것이었다. 그래서 그의 작업은 ‘조각’이라 단정할 수 없는 모호한 경계를 형성한다. 조각에서 출발했으나 최근 작품들은 ‘결과적으로’ 사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기도미술관의 《창작의 해부학전》에 전시된 사진 속 풍경의 ‘모델공간(실제공간으로서)’은 조각적 설치에 가까운 것이었고, 《그림이 된 남자전》은 현실 속 인물과 배 경(소파에 앉아있는 남자, 책꽂이가 있는 방)에 여러 사람이 나타나 흰 색으로 바꾸고, 다시 회화적 채색을 가하는 퍼포먼스인데, 결과적으로 작품은 영상으로 제작되었으나 ‘살아있는 조각’의 개념을 차용했고, 또한 ‘회화적 조각’과 근친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현미의 작업에 서 회화와 조각, 사진과 영상은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개념이며, 그것들이 동시적으로 작동되는 총체적 작품이라 할 것이다. 유현미의 작품 을 해석하는 것은 결과론에 얽매여서는 안 되며, 작품의 구상, 구상의 시놉시스, 시놉시스의 구성, 구성의 실현이라는 프로세스 모두를 창조 적 연기론으로 분석해야만 한다. 함경아의 작품들 <뮤지엄 디스플레이Museum Display>, <훔쳐지고 뒤바뀐 사물들Switched Stolen Objects>, <스틸 라이프 시리즈Steal Life series>, <사기꾼과 점쟁이The Sharper and Fortune Teller>는 수년 동안 제시하고 있는 ‘훔쳐 온 것들로 이뤄진 컬렉션(혹은 약탈 문화재로서의 컬렉션)’에 관한 상징적 스펙터클이다. 전직 대통령의 화장실 폐자재로 재구성했던 <오데사의 계단>처럼 훔친 것들로서의 오브제는 훔쳐진 곳의 장소, 공간의 정체를 파고들어 그 이면에 똬리를 튼 착취, 약탈, 억압, 비정상성, 비일상성, 비현실성의 실체에 접근한다. 낮고 은밀하게 그러나 지속적으로 포복해 들어간 그의 육체와 정신은 한 순간의 영감과 미학적 순수에 열광했 던 20세기 한국의 예술가상을 간단없이 해체하며, 그의 ‘도둑질’ 작품들을 아주 그럴싸하게 제시하고 있는 박물관 혹은 미술관식 진열과 보호 용 유리케이스는 약탈의 역사에 대한 날카로운 페이소스를 발산한다. 김기라의 작품들은 20세기 제국주의 신화를 형성했던 팍스 아메리카와 그 세계가 꿈꿨던 21세기를 우화적 상상력으로 빚어낸 기념비적 조 상이다. 자본과 욕망, 권력의 하모니가 1달러 지폐에 새겨진 거대한 피라미드처럼 탑신의 제국이 된 아메리카는 더 이상 ‘드림의 제국’이 아니 다. 그들의 제국이 약탈과 살인, 착취와 억압에 의해 탄생되었듯이 탄생 뒤의 역사 또한 그것들의 연속일 뿐이다. 오직 자본만이 유일선이 되 는 세계의 확장 그 중심에 아메리카는 존재해 왔다. 악을 물리칠 선의 영웅은 늘 아메리카에서 탄생했고. 영웅은 아메리카(선. 친미)와 반아메 리카(악. 반미)로 나뉘는 이분법의 구도 사이에서 선을 장악하고, 악의 세력을 물리쳤다. 관객은 영웅을 환호함으로써 선의 제국 아메리카에 경도되었다. 김기라의 <20세기 수퍼 히어로즈-Monsters>는 그런 영웅들의 일그러진 초상들이다. 자본도 욕망도 권력도 없이 꿈의 판타지를 유포했던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영웅들은 괴물이 되었다. 그 괴물들에서 나는 친미와 반미, 보수와 진보, 전체주의와 민중/시민주의로 구분되 는 우리의 실체를 엿본다. 신미경의 비누조각은 비누의 속성인 ‘소멸의 미학’을 ‘시간의 미학’으로 상승시키고 있는 듯하다. ‘소멸’에는 시간성 이 내재되어 있으나 그 둘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화장실 세면대에 설치한 일부 작품들이 손 세정에 의해 자연스럽게 ‘시간의 소 멸성’을 획득했다면, 그의 많은 작품들은 비누의 ‘소멸성’만을 차용해 왔기 때문이다. 경기도미술관 앞 야외 수조공간에 일정기간동안 비누조 각을 설치해 두어 자연의 시간을 고스란히 받아들이도록 한 이번 작품들은 그런 맥락에서 ‘시간의 소멸성’ 개념을 완성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 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김주현의 조각은 ‘생태성’을 내포한다. 세포분열 하듯이 무한 증식이 가능한 그의 조각은 ‘자라는 조각’이라 할 수 있 으며, 그런 맥락에서 확장형 조각에 다름 아닐 것이다. 형상성이 완결된 매스로서의 근대조각과 달리 확장형 조각은 완결된 형상이 유동적이 다. 이끼와 덩굴들처럼 그의 조각은 지표면을 넓게 확산하는 방식, 성장과 동시에 여기와 저기를 연결하면서 확장해 나가는 방식 등을 취한다. 우리는 단일한 형상성으로 이 작품을 판독할 수 없다. 이음과 혼합의 알레고리로 이 작품을 해독할 때 드디어 그 본질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 다. 그 외 주목할 만한 개인전으로는 안규철의 《2.6평방미터의 집》(공간화랑, 3.11~4.26), 차기율의 《세 개의 장소》(공간화랑, 9. 23~10. 30), 최태훈의 《Dual Skin Project, Seoul》(갤러리아트싸이드, 11.25~12.8) 등이 있다.
2004년 로댕갤러리 이후 5년 만의 개인전이었던 안규철의 전시는 가장 작은 규모의 개인전이었을 터이다. 그러나 그는 후 기 자본주의에 귀속된 한국사회 현대인의 실존을 가장 단명한 방식으로 응결해 냈다. 오직 한 사람, 자기 자신을 지켜내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은 상실과 고립 사이에 매달린 ‘자존의 한계치’로서의 공간일 것이다. 차기율의 ‘공간 발굴’은 최근의 유적발굴프로젝트에서 시작된다. 공간 화랑에 들어 온 ‘발굴로서의 공간’. 공간 발굴은 역사의 탯줄을 이어 자아의 현존을 밝히려는 고독한 몸부림에서 시작된다. 최태훈은 철 재료를 다시 일상의 오브제로 치환하려는 구상에의 욕망을 펼쳐 보인 다. 빛과 어둠의 코스모스에까지 가 닿았던 그의 사유는 그것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 되는가에 주목한다. 모든 것 이 점․선․면에서 시작된 것이라면 현실 또한 그 개념 안에 포박될 것이다. 근대적 조각에 의도적으로 저항하기 보다는 새 로운 시대의 매체와 미디어를 활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저항이 된 조각. 서울시립미술관은 《조각적인 것에 대한 저항》 (11.28~2010.2.16)으로 그 현상을 파고들었다. 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은 3월 4일부터 4월 3일까지 《Sarubia Collection by SMILEPLANET》을 개최했다. 사루비아다방과 아티스트 브랜드 Smileplanet(웃음행성:아티스트 윤정원, 공간 디자인 유영호)이 협력해 새로운 브랜드 ‘사루비아 컬렉션’ 을 론칭하는 전시였다. 이른바 쓸모없거나 미완의 오브제로 만 들어진 의상, 가방, 신발, 조명, 테이블, 액세서리 등이 라인업으로 구성되었고, 이를 통해 탈의미화, 탈영역화 되는 미술의 경계에 대해 화두를 던지는 작업이었다. 우리는 이 전시에서 조각의 무용성보다는 탈조각적 영역의 가능성을 보게 된다. 아니 그 실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탈주하는 현실 속 과거와 미래 5월을 수놓은 엄태정(성곡미술관, 5.20~6.28), 심영철(선화랑, 5.20~6.4), 김인겸(표갤러리, 5.6~6.5), 김청정(학고재, 5.6~7.5), 한애규(포스코미술관, 5.7~28)의 전시는 195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미술대학 출신의 아카데미화풍이 어떻게 새 로운 변모로 이어졌는가를 보여주는 의미있는 전시들이었다. 각각 3,4,5세대에 해당할 이 작가들의 다양성과 독자적 세계 의 형성은 한국 조각계의 색다른 풍요가 아닐 수 없다. 전수천의 ‘新월인천강지곡’(서울대미술관, 10.16~12.12)도 마찬가 지다. 그의 저력은 그 자신이 수행하는 프로젝트의 개념을 스펙터클한 공간연출로 창출해내는 ‘장면’에서 비롯된다. 우무 길의 집요한 집착, 최울가의 조각적 회화, 이강소의 공간회화, 이우환의 ‘조각’은 여전히 그들의 인식이 미래를 향해 열려 있다는 인상을 준다. 과거를 이어서 현재를 직조하는 조각의 개념은 이우환의 경우 순환과 연기緣起로서의 미래를 가늠케 한다. 새로운 것은 과거를 파괴하고 해체하는 개념의 단절, 개념의 전환에서 시작될 터이지만, 과거가 인식되지 않으면 새 로운 것은 결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안진우가 주장했듯이 우리가 인식하는 ‘모든 것은 가짜’(<모든 것은 가짜다>, 노암 갤러리, 6.19~28)라는 예술정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백남준아트센터가 제정한 국제예술상 2009년 수상자인 이승택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그의 정신은 이미 선구적이었다. 탈장르적 실험으로 점철된 그의 역사는 한국 현대미술사가 고스 란히 떠안아야 할 전위적 유산에 가깝다. 이제 후배세대는 그를 전복하는 모험을 감행해야 할 것이다. “1964년 <강에 떠 내려가는 불붙는 화판>이란 작품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쓰레기 같은 그림들을 불살라 강물에 떠내려 없애려는 것 이었다. 당시 한강은 국가 안보에 아주 중요한 군사기지여서 한강에서의 불장난은 이적행위로 간주되었다. 그래서 나는 12월25일 크리스마스를 맞아 감시가 느슨해진 틈을 타 007작전으로 이를 서둘러 결행했다. 불 지르고 사진 찍고 허겁지 겁 달아나다시피 아슬아슬한 모험을 감행해 성공했다.”(이승택)
짐승, 매끄러운 짐승 황세준 강상훈의 조각의 주제는 ‘세태世態’ 다. 그의 말에 의하면 ““생활사의 디테일”” 이다. 작가는 디테일이라고 했지만. 그것은 구체적인 사실들이라기보다 매우 보편적인-어찌 보면 고전적이기까지 한 ‘인간들의 무한히 이어져 온 유한한 행태’ 다. ““거짓말, 허풍, 위선, 오만”” , 작가가 지시하는 그의 주제는 욕망하는 인간이 존재한 이후로 무수히 이야기 된, 아니 ‘이야기’라는 것의 핵심들이다. 새삼 스럽지 않다. 그의 조각이 신선하게 다가오는 것은 주제의 새로움-새로운 주제라는 것이 남아 있지도 않겠으나, 우리는 언제나 새롭다는 치장을 ‘좋아’ 한다-때문이 아니라 ‘조각’ 이라는 매체를 풀어가는 방식이다. 이를테면 ‘이야기 조각’ ‘디어헌터 deerhunter’를 보자. 남자가 아주 푹신해 보이는 일인 용 소파에 앉아서 무언가에 만족한 듯 살짝-징그럽게 웃고 있다. 휴식을 위한 옷차림인 듯, 얇고 편안해 보이는 옷 위로 적당히 나온 배와 적절히 나온 성기(남성적 욕망=성기의 등식은 좀 전형적이기는 하지만 남, 녀 공히 성기가 사라지기 전에는 유효한 비유겠다)가 보인다. 그런데 그는 거대한 목도리
를 두르듯 사슴을 들고-두르고 있다. 전리품’ . 현대를 살고 있는 남자와 (원시적인 의미의)사슴이라는 전리품이 만들어 내는 간극이 이 작업이 포인트이고 매력이자 강상훈의 이야기 조각이 가지고 있는 특질이라고 볼 수 있다. 그는 넌지시, 에둘러서 웃음을 머금고 우리 욕망의 원시성을 지적한다. 그것은 강파르게, 직선적으로 욕망의 저열한 부분을 까발리는 것보다 힘이 세다. 그걸 보는 우리는 웃으면서 동시에 우리의 우스꽝스러움을 ‘음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보고 웃는 것 같은 둔중함. 그의 작업에는 그런 게 있다. 덧붙여 ‘디어 헌터’라는 제목에는 무언가가 겹쳐진다. 영화 ‘디어 헌터’ 이다. 소파의 남자가 조각 밖에 있는 무엇인 가를 보고 있다면 그것은 디어 헌터의 영상이 아닐까. 그렇다면 이 남자는 자기 삶의 근본(욕망과 경쟁과 성취 기타 등등, 전쟁이 발생하는 바로, 그 근 본)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하는 예술-영화를 보면서도, 전혀 동요하지 않는다. 거의 재미있네, 자식들, 하는 느낌으로. 예술 혹은 문화란 어차피 그런 거 아닌가, 라는 작가의 ‘자조’가 보일 듯 하다면 과도한 해석일까. 강상훈의 조각은 작다. 아주 작은 것은 10센티도 안돼 보인다. 오랜만에 다시 하는 조각 작업(그는 꽤 오래 사진 작업을 했었다.)이기 때문에 더 본격적인-거창한 사이즈의 조각을 보일 만도 한데, 그는 아주 작고 날렵한 조각을 선보인다. 이야
기의 이야기성이조각의 기념비적 물질성에 방해 받지 않게 하려는 배려와 더불어 그의 섬세한 손끝을 정확히 드러내려는 전략이기도 할 것이다. 작업하 는 사람들이 흔히 쓰는 표현대로 그는 ‘손이 좋다’ . 이 좋은 손은 작가에게 (진부한 표현이지만)행운이자 불운이다. 그의 손이 ‘맛’ 에 너무 쏠리지 않고 그의 주제가 ‘확장’ 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그런 작업을 통해 이 매끄러운 욕망의 짐승인 인간의 모습이 선명하게 드러나기를. 문화-예술이 그저 그 런 교양인을 위한 오락을 벗어나기를, 빈다
Profile • • • •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드림랜드 101동103호 작업실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915-호 남곡빌딩 305호 전화번호 : 010-8782-3088 e-mail : landscape60@hotmail.com 서울대 미대 조소과
개인전 • 1999 PHOTO1 반복과 순환의 풍경 (1.13-1.28 서남 미술관) • 1999 PHOTO2 집, 풀 (9.8-9.22 일민 미술관) • 2009 animals (10.16~11.6 대안공간 풀) • 2011 부 유 하 는 토 끼 (4.27~5.15 통의동보안여관)
• • • • • • • •
단체전 1990 ‘작은 조각’ 전(그림마당 민, 인사동) 1990 신 지 철, 강 상 훈 2인 전(인데코, 인사동) 1990 젊은 시각-내일에의 제안 전 (예술의 전당) 1991 사람들의 땅 (홍 갤러리 기획, 인사동) 1991 조각의 힘(갤러리아 미술관) 1991 소생하는 꿈(신세계 미술관) 1992 소생하는 꿈(신세계 미술관)
• 작품소장처 • 일민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분당 갤러리호텔, 통의동보안여관
• 1999 환경미술제-광화문 프로젝트 (11.11-11.18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전시장) • 2000 제6회 2000년 우리사진 오늘의 정신: The Next Generation (3.31-4.5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 2000 풍경과 장소- 유토피아& 아토피아 (경기도문화예술회관) • 2001 'Photo-Click'展 (4.20-4.30 가나아트닷컴) • 2002 ‘풍경으로부터의 사진, 사진으로부터의 풍경’ (1.22-2.4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 2002 '전시를 보다‘ (2.20-4.7 일민 미술관) • 2002 ‘식물성의 사유’ (3.6-3.26 라 메르) • 2002‘프랑스 초청 한국사진작가 특별전’ (5.28-6.29 La galerie photo, Montpellier) • 2002 ‘한국 바라보기 View Korea/from outside & inside-한국의 풍경사진전’ • 가나아트갤러리 월드컵 기념전-또 다른 한국 (5.29-6.10 가나아트 갤러리) • 2003 ‘재발견2003 ― 청계천 프로젝트’(7.11- 8.17 서울시립미술관) • 2003 ‘동강사진축제 2003’ (7. 30.˜8. 8.강원도 영월군 학생체육관) • 2003 <서울생활의 발견-삶의 사각지대를 보라>展 • (8.4-8.16 쌈지 스페이스 메인 갤러리/ 대안공간 루프) • 2003 Charity 展-선물(아름다운 가게, 쌈지스페이스 공동기획) 12.23 - 12.31 • 쌈지스페이스 1,2,3층 전관 • 2006 성남의 얼굴 展 (7.10-7.27 성남문화재단미술관) • 2008 工場 Factory 展 (5.16~8.17 일민미술관) • 2010 Rabbit Syndrome (12.29~ 2011.1.9 대백갤러리) • 2011 달려라 토끼 展 (1.4~2.6 롯데갤러리 본점) • 2011 제3회 Art Road 77 아트페어 (5.13- 6.12 헤이리 화이트블럭갤러리)
Profile
1986, B.F.A. College of Fine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 1990 Young Artist 'Perspective for Tomorrow' ( Seoul Arts Center, Seoul ) • 1990 Kang, Sang-Hoon & Shin, Ji-Chul ( Indeco Gallery, Seoul ) • 1990 Small Sculpture ( Min Art Gallery, Seoul ) • 1991 Revival Dream ( Shinsegye Gallery, Seoul ) • 1991 Power of Sculpture ( Galleria Art Hll, Seoul ) • 1991 The Earth of Human-being ( Hong Gallery ) • 1992 Revival Dream ( Shinsegye Gallery, Seoul ) • 1999 99 Environmental Art Festival - Kwanghwamun Project • ( Subway No.5 - Kwanghwamun Station Gallery ) • 2000 The 6th 'Our Photograph, Spirit of Today-The Next Generation' • ( THE FINE ARTS CENTER of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 • 2000 A Landscape & A Place - Utopia & Atopia ( The Kyungki-Do Culture & Arts Foundation ) • 2001 Photo Click ( ganaart.com ) • 2002 ‘Photography from landscape, landscape from Photography’ • ( 1.22-2.4 The Fine Art Center of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 • 2002 'The Exhibition / retrospective‘ ( 2.20-4.7 ilmin museum of art ) • 2002 ‘Botanical Speculation’ (3.6-3.26 La Mer) • 2002 ‘Photographe Contemporaine Coreene’ (5.28-6.29 La galerie photo, Montpellier) • 2002 View Korea/from outside & inside-Landscape of Korea (5.29-6.10 GANA ART GALLERY) • 2003 ‘REDISCOVERY2003 - CHEONGGYECHEON PROJECT'(7.11- 8.17 SEOUL MUSEUM OF ART • 2003 ‘DONG RIVER PHOTO FESTIVAL 2003' (7.30˜8.8 Gangwon-do Youngweul-gun) • 2003 <Discovery of Living in Seoul - LOOK Dead Zone of Life> • (8.4-8.16 SSAMZI SPACE MAIN GALLERY/ALTERNATIVE SPACE LOOP) • 2003 Exhibition of Charity -Gift (BEAUTIFUL STORE, SSAMZI SPACE joint planning) • (12.23 - 12..31 SSAMZI SPACE GALLERY) • 2006 FACE of SUNGNAM time of life, the face of time(7.10-7.27 SungnamArtCenter) () • 2008 工場 Factory 展 (5.16~8.17 ilmin museum of art ) • 2010 Rabbit Syndrome (12.29~ 2011.1.9 Debec Gallery) • 2011 Rabit, Run! (1.4~2.6 LOTTE GALLERY) • 2011 Art Road 77 ART FAIR (5.13- 6.12 White Block GALLERY, Heyri) • SOLO EXHIBITIONS • 1999 PHOTO 1 ( 1.13-1.28 Seonam Art Center ) • 1999 PHOTO 2 House, Grass ( 9.8-9.22 ilmin museum of art ) • 2009 獸 animals (10.16~11.6 alternative space pool) • 2001 F L Y I N G R A B I T (4.27~5.15 Tonguidong Boaninn) ADDRESS • Telephone 82-31-286-3089 • Mobile 010-8782-3088 • e-mail : landscape60@hot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