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A EA idĂŠe architects associates
생각. [명사] 1. 사물을 헤아리고 판단하는 작용. 2. 어떤 사람이나 일 따위에 대한 기억. 3. 어떤 일을 하고 싶어 하거나 관심을 가짐. 또는 그런 일. Idée 1. An action to judge and judge objects. 2. Remember about someone or something. 3. I want to do something or have an interest. Or something like that.
구현. (具現/具顯) [명사] 어떤 내용이 구체적인 사실로 나타나게 함. Actualize Index
Making certain contents appear as actual facts
미아동 양지마을 주민공동이용시설 / Miadong Yangji-village Common Facility 사당동 어르신 복합시설 / Sadang-dong Elderly Complex Facility 당고개 앵커시설 현상설계 계획안 / Danggogae Anchor Facility Proposal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왕십리 도선동) / Doseon-dong Community Center 따몽 쥬스 샵 / DDamong Juice Shop
명쾌하고 단순한 아이디어로부터 삶의 풍경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으며, . 추상적이거나 개념적에서만 머무르는 것이 아닌 구축 가능한 방법을 연구하며,
노량진 근린공원(고구동산) 편의시설 / Noryangjin Community Park Restroom 광주 동명동 주택, 근린생활시설 / Dongmyeong-dong Private House and Retail 강릉 학산리 주택 / Haksan-ri Private House
삶의 풍경을 구성하고 있는 무형, 유형의 것으로 부터 아이디어를 찾기 위하여 노력한다.
We believe that the clear idea could change life-scape positively. We put my effort on finding a way to realize idea. Idea could be related with not only the conceptualism but also the constructivity.
서울 율현동 주택 / Yulhyeon-dong Private House
Also it could contain tangible and intangible both from the life-scape.
Public Space
미아동 양지마을 주민이용시설 Competition Winners Expected to be completed in July 2017
site
site
Idée
마을 전망 및 공원 조망
어린이 공원
어린이 공원
코어부의 효율 추구
공원과의 연결
공원으로의 개방 주민간 소통이 가능한 사이공간
주민간 소통이 가능한 사이공간
동선의 통합
4m 도로
개방적 전면과 편리한 접근성
4m 도로
새로운 마을길 남향채광 및 태양광 발전
마을길의 연장
양지마을의 새로운 길
양지마을의 사랑채
마을이 생길때부터 있었던 일상의 길과 마을의 아이들과 주민들의 쉼터였던 어린이공원이 이어지는 길을 만든
양지마을 사랑채는 양지마을의 새로운 길과 이어져 마을가게, 마을공동육아, 마을회관 의 3가지의
다. 그 길은 새로운 공동체 시설과 조화를 이룬다. 길과 공동체 시설이 만나는 곳에서는 마을가게를 드나들고 쉼
주요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계획 되었다.
터에서 쉬어가기도 하며 어린이들의 공간과 이어지고, 마을회관을 방문하기도 한다.
이용객 및 주민들은 양지마을의 새로운 길을 따라 각 프로그램별 특성에 맞는 출입구, 개구부로의 자연스러운 출입이 가능하다. 코어부는 서측으로 배치하여 이웃의 프라이버시를 배려하는 한편, 향과 접근성이 좋은 남동측과 공원으로의 조망,접근이 좋은 북측으로 명쾌한 실배치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곳이 어른과 아이, 가족과 가족간의 소통이 가능한 장소가 없어 단절되었던 이웃이라는 관계를 다시 이어주는 장소가 되길 바란다.
in progress
기존의 다소 단조로운 형태의 규칙적 주택단지에서 담을 허물고 다양한 동선을 수용함에 따라 마을 공동체를 위한 공공 시설로서의 접근성을 확보한다. 동선들을 대지로 수용하여 공원과 이어지는 작은 길을 만들고 매스는 가각전제와 대지내 의 길로인해 자연스럽게 사이공간들이 형성된다. 밀집된 주거블럭에서 일상적 풍경이었던 대상지는 마을 주민들이 함께 어울리는 새로운 공간이 된다.
공사진행중
공사진행중
공사진행중
Public Space
사당동 어르신 복합시설
site
1. 수직책장 전층을 관통하는 책장은 가구가 되며
4. 옥상마당
구조체가 되기도 한다. 모든 연령층의
옥상에는 파고라를 설치하여 햇빛을
이용객이 쉽게 책을 접할 수 있다.
피할 수 있는 야외 휴식공간을 제공 한다. 개방된 녹지 공간을 두어 식재 를 심을 수 있다.
6M 도로
2. 마을마당 마을길 교차점과 만나는 경로당 마당
5. 계단서가
이자 거실 앞 마루이기도 하다.
2층과 3층을 연결하는 실내 계단이
학교길에서 부터 이어진 길은 도서관 입구와 연결되어 이용자들의 만남을
책을 읽는 계단형 열람실이 된다. 주출입구
마을을 조망하면서 책을 읽는 모습
유도한다.
은 마을의 풍경이 된다.
6. 지하마당 3. 마당길
낮은 레벨의 도로에서 자연스럽
차 길밖에 없는 도로에 완만한 계단
게 접근할 수 있는 지하층 입구이
을 두어 지하층과 1층을 자연스럽
자 할아버지 방과 연결되는 마당
게 연결한다. 이곳은 마을 주민들이
이다. 접근성과 지하의 채광을 확
오르내리는 여유로운 쉼터가 된다.
보해준다.
지하출입구
Idée
공공이 제공해야 하는 것들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반듯한 도로, 여유로운 녹지와 같은 기반 시설들이 좋은 동네를 판가름 짓는 요소이듯, 사람이 일차적으로 체감하는 공간은 대상의 좋고 그름을 판단하는 근본적인 요소이자 공공이 제공 해야할 것 중 하나이다. 사당1동 어르신 복합시설은 단순한 노인복합시설을 넘어 주민과 학생들의 통합적인 활동이 일어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일률적이지 않다. 정적이기도 동적이기도 하며, 사용자와 목적에 따라 다채로울 것이다. " 우리는 제한된 공간에서, 여러 이야기들이 생겨 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 경로당은 충분한 전이 공간과 외부공간을 갖는다. 필요에 따라 노인분들의 완급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외부공간들에서 주민들은 여유를 갖게 된다. 도서관은 일률적인 책장,책상, 의자의 나열을 벗어나 수직적인 가구와, 공간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수용 할 수 있다. 전경
지하 입구부분
3층 도서관
" 사당1동 어르신 복합시설은 동네의 책장인 동시에, 다양한 커뮤니티가 생겨 날 수 있는 장소가 될 것이다. "
■ 지하1층 평면도
■지상1층 평면도
■지상2층 평면도
■지상3층 평면도
Model
Under Construction
20
Public Space
당고개 앵커시설 현상설계
당고개 앵커시설
마을길의 끝에서 시작되는 새로운 마을 공동체 공간 길은 단순한 통로로서의 기능외에 시장이 형성되기도 하고 작은 광장이 되기도 하고 놀이의 공간 또는 쉬는 공간 이 되기도 한다. 길위에서 일어나는 주변 이웃들과의 모습들은 삶의 풍경이며 잔잔한 마음을 살짝 일렁이게 하는 여운이다. 그러한 삶의 모습들은 '백남준 기념관'을 시작으로 '종로53길'을 따라 '당고개 앵커시설' 까지 이어진다. 마을길의 끝자락에 새롭게 제안하는 앵커시설은 건물이기 이전에 주민들이 언제든 거닐 수 있는 길의 연장이다.
종로 53길
백남준 기념관
Idée
주요부분 투시도
종로53길에서 이어진 마을전시길
마을길에서 옥상정원까지 이어지는 외부계단
경로당 퇴마루와 어우러진 뒷마당공간
프로그램 요구 면적과 법규에 의한 매스 형성
길의 연장선상으로서 주민들의 자연스러운 유입을 유도하고 필요시설로의 접근성 강화
선큰공간, 마당공간, 옥상쉼터 등 사이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공공영역 형성
Public Space
찾아가는 주민센터 _ 왕십리 도선동 닫혀있던 공간을 모두에게 열린 공간으로 ! 동네 / Neighborhood 주민센터 Open Frame (gable) Open Lobby 열린공간 Cafe 건강이음터 휴게공간 Wood 공간의 확장 적극적인 열린공간의 활용 이야기가 생겨나는 공간
동네 / Neighborhood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
잘 활용되어지지 않던 주민센터의 로비공간을 ‘동네 커뮤니티 공간, 열린 공간으로의 확장’ 이 이번 공간디자인의 주된 계획의 요소이다. 기존 의 획일적이며 갑갑했던 대기공간을 동네 주민들이 언제나 머무르다 가며 주민과 직원들이 함께 새로운 이야기들을 생겨날 수 있는 열린 공간을 제안한다. 먼저 주민센터를 방문하게 되면 처음 보여지는 것은 동네에서 본듯한 친숙한 박공 형태의 열려진 프레임과 열주들이다. 연결된 박공 지붕 형태의 프레임은 우리 이웃들, 주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 동네의 집들이 사이 좋게 모여 우리의 삶의 풍경을 만들어가는 모 습을 형상화 하였다. 연결되는 다른 각도의 프레임들은 주민센터의 민원실과 건강 이음터의 접근동선을 고려하여 계획 하였으며. 벽면과 프레임의 재료는 자작나무 합 판을 사용하여 마감하였다. 박공 형태의 프레임과 벽면에 연속되는 열주, 루버 벽면, 완전히 개방 되어지는 폴딩도어등을 통하여 기존의 좁은 민 원 대기공간에서 개방(로비)공간까지 주민센터의 영역을 확장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휴게공간과 카페공간을 계획하였으며, 입구에 위치한 건강 이음터를 통하여 주민센터를 방문하는 지역주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의료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열리고 확장된 주민센터의 개방(로비) 공간을 통하여 주민센터의 다른 프로그램들과도 적극적으로 연결된다.
Idée
Small Shop ddamong shop
remodeling / interior
오래된 1층건물의 작은 상점 리모델링 프로젝트이다. 낡고 오래된 상점을 리모델링 하면서 도시에서 작은 점포의 영역이 길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고민하였다. 물리적인 공간인 상점은 작지만 길에서 사람들이 오가며 느끼게 되는 공간의 영역이 확장 방법에 대하여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Idée
Public Space
노량진 근린공원(고구동산) 편의시설 Competition Winners Expected to be completed in July 2017
Alt a
Idée
Alt b
Alt c
Alt d
천장 B
The lot is located in Noryangjin community park, in an area previously known as Gudongsan; neighbors in the community come to walk on the trails or to exercise. The project goal was to rebuild the small, run-down restroom, and to propose a new restroom of equal size. To those who frequent the park, it was our objective in this small space to provide function as well as spatial experience, by creating different heights and light use throughout the space to stimulate conversations. So that the patrons could find a place to take a break, engage in conversations, and watch those exercising in the park, the restroom was given a canopy and a pagoda. The interior space used multi-directional skylights to bring in as much natural light as possible during the day, when the park is most actively in use. The show of changing light and shadow manifests different spatial expressions throughout the day. The entrance into the restrooms were separated and placed to be accessed from the rear of the park. Nighttime interior lighting is motion-sensored, while the exterior wall receives indirect lighting, adding convenience to park users. Among the exterior finish materials, decorative bricks and granite stone were used on the walls. Areas that connected to the floor and parts of the door had to be matched using brick laying tile. Projects of this miniature scale are not subject to building inspection; hence, many finishes and details (roof and wall, brick laying tile method) were not done to plan. The builder took many liberties to stray from the original design.
천장 A
대상지는 노량진 고구동산 근린공원에 있으며, 주변 주민들이 산책과 운동을 하는 장소다.
또한 야간 조명은 감지 센서를 통해 조절되며, 간접조명과 외부 벽부등을 설치해 공원을 찾는 주민들이 사용하기 편리하게 했다.
이곳의 낙후된 작은 화장실을 개축하고, 공원을 이용하는 주민들에게 과거와 같은 규모의 화장실 공간을 제안하는 프
외부 재료 중 벽면 재료는 치장벽돌과 화강석 등으로 마감해 바닥 면에서 연결된 부분과 도어 부분의 일부는 조적 타일을 마감 면
로젝트였다.
에 맞추어 시공해야 했다. 하지만 이렇게 작은 규모의 공사는 감리자를 지정하지 않고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설계 시 반영한 여러
이에 공원을 찾는 주민들에게 기능적인 부분은 물론 작은 공간이기는 하지만 다양한 높이와 빛을 통한 공간감을 경험
마감과 디테일(지붕과 벽면, 조적쌓기 등)들을 시공자가 설계와는 다르게 변경한 부분들이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하게 하여 공원을 찾는 주민들의 일상에서 여러 이야기가 생겨날 수 있는 곳이 되기를 바랐다. 공원을 찾는 주민들이 편히 쉬면서 이야기도 하고, 운동을 하는 친구들이나 주민들을 볼 수 있도록 화장실의 작은 캐 노피 공간과 파고라(휴게 공간)를 두었다. 내부 공간은 남녀 화장실에 각기 다른 방향의 천창으로 들어오는 채광을 통해 공원의 주 사용 시간대인 낮 시간 동안 최대한 밝도록 계획했으며, 시간 변화에 따른 내부 공간의 빛과 그림자를 통해 다양한 공간의 표정을 경험할 수 있도 록 계획했다. 각 출입구는 분리해 공원 후면 쪽에서 접근하도록 고려했다.
Private Space
광주 동명동 근린생활시설
Private Space
강릉주택
Private Space 율현동 주택 Yulyeon-dong House
Private Space 율현동 주택
일반적인 건축물의 층 구분은 수평적인 층의 영역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인 사 례이다. 이 주택의 경우 부모님 세대와 자녀 세대가 같이 사는 집이면서 부모님 세대의 은 퇴 후를 고려하여 임대수익을 얻기 위한 임대세대를 계획 하였다. 층으로 세대를 분리하는 것이 아닌, 각 세대가 같은 볼륨의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스터디를 진행하였고, 자녀세대는 스킵플로어를 통하여 지하층부터 옥상정원까 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모님세대는 저층부분을 임대세대로 계획하면서 각 세대에 지하와 다락공간을 활용하여 복층으로 계획하였다. 부모님세대는 자녀세대와 옥상마당을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여 옥상공 간에마당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다 단독주택이기는 하지만 여러 가구가 가능한 공간의 볼륨을 최대한으로 해석하여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22
It is common practice to divide the floor of a typical building into areas of a horizontal layer. In the case of this house, it is a house where the parents’ household and the child household live together, We planned a rental generation to get rental income. Instead of separating the generations into layers, we proceed to study so that each generation has the same volume of space, The child household use space from the basement to the roof garden through the skip floor, Parents’ households planned low - rise areas for rented households, and planned for each household using underground and attic spaces in multiple layers. The parents’ households is designed to share the child household with the rooftop yard. It is a single-family house, but it is a project that maximizes the volume of
Idée
space that can accommodate multiple households.
자녀세대 A
자녀세대 A
자녀세대 A
임대 세대 B
임대 세대 B
부모님 세대 C
부모님 세대 C
IDEA EA idĂŠe architects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