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_우리동네숲 애뉴얼리포트

Page 1

우리동네



우리동네의 작은숲이

지구를 숨쉬게 합니다.

‘우리동네숲', 생소한 듯 하면서도 친근한 말이죠. 한마디로 말하면... 우리가 사는 동네를 더욱 아름답게 가꾸자는 것입니다.

숲을 소개합니다. 숲을 만드는 일이 지구를 살리는 가장 의미 있는 활동입니다.

우리라는

말에는 함께한다는 뜻이 들어 있습니다. 그냥 숲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만들고 지키는 동네숲을 의미합니다.

동네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너무 친근한 단어입니다. 그러나 최근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동네, 또는 동네사람들이라고 부를 수 있는 곳은 얼마나 될까요? "어떤 아파트에 사니?" 라고 묻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우리동네숲'은 서울에도 '동네'가 많아지길 바랍니다.

숲이라는

한 음절에는 무궁무진한 비밀이 숨어있습니다.

숲이란 수+풀의 준말이라고 합니다. 나무와 풀이 어우러진 생명 공동체라고 할까요? 숲은 우리에게 안정과 건강을 줍니다.

우리+동네+숲=? 1. 초록별 지구를 살리는 일입니다 자동차 이용, 건물의 냉난방 등 편안한 삶을 위해 서울 시민은 매년 3,0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1그루의 나무는 1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나무를 심어 우리 동네숲을 만드는 일이 지구를 살리는 가장 의미 있는 활동입니다.

2. 되살아나는 마을공동체 '고향, 서울'을 만듭니다. 우리 민족은 마을 숲이라는 아름다운 전통을 갖고 있습니다. 동구 밖에 커다란 느티나무를 심고, 마을 공동체가 모여 서로의 일을 돕고 이해하며, 마을 잔치를 벌여 어른을 공경하여 왔습니다. 그러나 급속한 도시화로 아름다운 문화가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우리동네숲'를 통해 서울에 마을공동체를 되살리고자 합니다.

3. 다 영역간 파트너십(Multi-Sectoral Partnership) 운동입니다. 대학 및 전문가, 지역주민, 기업, 시공사, 행정, 서울그린트러스트의 참여와 역할분담을 통한 진정한 의미의 시민참여 프로그램입니다.

- 1 -


'우리동네숲' 만들기 과정입니다. 우리동네숲

참여규모결정

우리동네숲 약정

설계워크숍

후원기업 지자체 주민

모니터링

주민참여운영관리

공청회 및 대상지

서울그린트러스트 협약

준공식·마을잔치

실시설계·시공

결과도 중요하지만, 과정을 소중하게 여깁니다. 우리동네숲 사업은 주민들의 갈등도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그런 갈등을 숨길 것이 아니라, 솔직하게 털어놓고 합의를 해 나갈 때 시간이 지나더라도 숲이 훼손되지 않고 잘 보존된다는 의미 있는 결론을 맺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설계에서 시공, 사후관리까지 주민이 참여합니다. 우리동네숲은 설계과정에서도 주민이 참여하고, 조성과정에서도 같이 나무를 심으며 한그루 기금에 참여합니다. 그리고 푸르닝과 '우리동네숲지킴이'가 되어 우리동네숲을 관리합니다.

- 2 -


'우리동네숲' 이렇게 참여 하세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나무를 심는 기업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싶으세요? 우리동네숲 조성을 위해 나무와 숲을 기부하실 수 있으며, 도시숲 가꾸기 자원봉사활동을 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실이 위치한 동네에서 참여하시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우리동네 자투리땅에 더 많은 숲을 만들고 싶으세요? 동네 한 바퀴 돌고나면 작은 빈 공간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로 메워져 있거나 쓰레기가 쌓여있기도 하지요. 구청의 공원녹지과를 통하거나, 직접 서울그린트러스트에 알려주세요. 서울그린트러스트는 해당 지역의 도시숲 조성의 필요성과 지역주민의 참여의지에 따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사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로서 자원봉사를 하고 싶으세요? 우리동네숲 사업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숲을 디자인하는 조경설계가, 주민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지역주민과 아이들을 교육할 수 있는 숲해설가 등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또한 조경전문 시공업체는 나무심기 기술의 전문성을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동네숲 기금에 참여하고 싶으세요? 1㎡에 10만원의 기금후원을 받고 있습니다. 당신의 이름으로 아름다운 숲을 아이들에게 물려주세요. 아울러 도시숲을 만드는 서울그린트러스트 운동에 함께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서울그린트러스트 홈페이지(http://sgt.or.kr)에 오셔서 ‘물을주는사람들’ 회원에 가입하시면 더욱 값진 활동을 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동네숲을 만들기 위해 토지를 기증하고 싶으세요? 얼마 전 안양의 한 기업회장님께서 자신의 공장 부지를 자식들에게 물려주지 않고, 안양시민에게 공원을 만들어 달라고 하시며 기증하셨다고 합니다. 우리 아이들과 서울의 미래를 위해 동네숲을 만들 수 있는 토지와 유산을 기증하실 수 있습니다.

- 3 -


Contents 프롤로그 - 왜, 우리동네숲인가? I. 2008년 우리동네숲을 만든 사람들 II. 우리동네숲 in Seoul III. 2008년 우리동네숲 1. 2. 3. 4. 5.

7호 광장동 - 그린씨티1호, 도심의 단풍나무숲 8호 명일동 - 자작나무숲에서 책을 읽다. 9호 쌍문동 - 쌍둥이 감나무 이야기 10호 휘경동 - 기차길옆, 커뮤니티가든 11호 개화동 - 우리 동네에 소음이 줄었어요.

12 22 32 44 52

IV.‘푸르닝’과 함께한 우리동네숲 1. 도시를 가꾸는 사회적 기업‘푸르닝’을 소개합니다. 2. 푸르닝의 2007(1호~6호) 우리동네숲 가꾸기

64 65

(미아동, 대치동, 제기동, 홍은동)

V. 지속가능한 우리동네숲을 만들기 위한 노력 1. 우리동네숲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2. 도시숲과 공동체의 만남 3. 우리동네숲 운영위원회 4. 2008 우리동네숲 성과보고 및 워크숍

73 80 82 90

에필로그 - 2009년을 기약하며 후원자코너

95


프롤로그 - 왜, ‘우리동네숲’인가? 서울은 세계의 대도시들과 비교할 때 도시숲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지 않 다. 그러나 정작 집근처에는 숲이 부족하다. 출퇴근 길, 등하교 길에 녹색을 얼마나 만날 수 있을까? 서울시의 통계에 의하면 10% 전후의 녹지를 볼 수 있다고 하고 서울은 시가화지역의 82%가 콘크리트로 덮여있기 때문에 흙을 밟을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 지난 2008년 7월, 서울그린트러스트에서는 서울시 12개 지역의 온도를 동시 에 측정한바 있다.

표 : 2008년 7월24일 경향신문 최명애 기자 글 중

당일 기상청이 발표한 최고온도는 29℃ 였고, 상업지역의 온도는 최고 35℃ 에 이르렀으며, 주거지역은 43℃까지 치솟았다. 반면 공원지역은 28~29℃전 후였으며, 산림지역은 25℃에 불과하였다. 과도하게 아스팔트·콘크리트로 포 장된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은 최고온도가 평균보다 최대 14℃ 높았으며, 상대 적으로 공원지역은 여름철 적정온도인 28℃ 정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산림지 역이 온도가 낮은 이유는 나무의 증·발산작용 때문이다. 도시숲은 열섬현상 을 해소 해주는 냉섬역할을 하고 있다. IPCC(세계기후변화패널)는 인간이 화 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2000년 기준 50% 이상 감축할 때를 - 5 -


기준으로 앞으로 지구의 평균온도가 최소 2~2.4℃가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지난 100년간 지구의 온도가 0.74℃ 오를 때 서울은 이의 3배인 2℃가 상승 하였다. 지구의 온도가 2℃ 오를 때 서울의 온도는 6℃ 상승할 수 있다. 여 름 최고온도는 더욱 심각할 것이다. 이제 도시숲은 생존의 문제이다. 베를린과 같이 도시 전체 50%를 숲으로 구성하기는 어려울지라도 최소한 주거지역 곳곳에 도시숲을 조성하여 숨통을 틔워야 한다. 우리동네숲을 만들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다. 최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저탄소녹색성장’을 제시하였으며, 대표적인 기후변화 대응 선진도시인 런던시는 기후변화 적응전략을 수립하고, 특히 도시고온 또는 도시열섬현상에 적응하기 위한 획기적인 도시녹화 활성 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영국 런던시는 CO2 배출 시나리오와 여름철온도의 변화를 예측하였는데, 저 (低)배출 시나리오의 경우 2080년대에 2.5~3℃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고(高)배출 시나리오의 경우 2080년대에 4.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울러 고(高)배출 시나리오에서 유럽의 여름철 최고온도는 8℃까지 오를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그림. 유럽의 여름최고온도 예측_1961~1990기준 . 출처 : 런던기후변화적응전략(2009, Greater London Authority)

- 6 -


한편 영국의 맨체스터시는 고밀도개발 도시지역에서 녹지면적의 10% 증가 는 지표면온도를 1961~1990년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반면, 반대로 10%의 녹지면적을 제거하면 2080년대에 8.2℃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 기 후변화 시대 도시고온현상에 적응하기 위한 도시숲의 양적확대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캐나다의 토론토시는 녹지 중 잔디밭 등 수관 피복율이 낮은 녹지가 도시열섬저감 기능이 낮음을 고려하여 현재 17%에 불과한 수관 피복 율을 2020년 30%까지 증진시킬 목표를 설정하였다. 기후변화 시대 저탄소녹 색성장의 과제를 맞고 있는 우리에게는 전국적인 도시녹화 운동을 통하여 도 시의 부족한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를 구축하고 기후변화와 도시 열섬 현상에 시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며, 나아가 도시의 경쟁력을 증진시켜 야 하는 시대적 책임을 가지고 있다. 우리동네숲은 지역사회를 통합하는 가치를 갖고 있다. 모든 시민이 자신의 이익과 가치를 위해서만 살아간다면 도시에서의 삶은 각박하고 삭막 할 것이 다. 우리동네숲은 지역공동체의 나눔의 공간으로, 모두가 즐길 수 있으며 나 눌 수 있는 공간이다. 사라져간 우리의 공동체 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최고 의 선물이 되고 있다. 지역주민들 중에는 우리동네숲이 조성되면 그곳이 우범화 될 수 있음을 걱 정했다. 그러나 오히려 우리동네숲은 청소년범죄율을 줄이고 평화를 선사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동네숲은 풍요로운 문화공간으로, 유치원아이들의 작 품전시회도 가능하고, 세대가 함께 어울릴 공간이다. 그러므로 어떻게 조성 하고 운영할 것인가?! 는 매우 중요하다. 지속 가능을 위하여 그 운영의 역 할을 주민자치에 돌려야 한다. 우리동네숲의 꿈은 서울시 곳곳에 이러한 녹색공동체 문화를 복원하고, 모 든 시민의 유전자에 잠재하는 ‘자연을 돌보는 마음, 공익을 위한 마음’을 이 끌어내고자 하는데 있다. 서울에서 시작한 우리동네숲 운동이 전국의 도시로 꽃피워 가기를 기원한다. 서울그린트러스트 사무처장 이 강 오

- 7 -


I. 2008년 우리동네숲을 만든 사람들 기부(기증) 한국씨티은행 - 2개소 1,000㎡ 동네숲 조성 후원 유한킴벌리 - 2개소 500㎡ 동네숲 조성 후원 동국대학교, 푸른세상 - 수목 등 현물기부 산림청 서울국유림사무소 - 명일동 우리동네숲 토지제공 쌍문동, 개화동 주민들 - 행사에 필요한 물품 준비 오브제프랜, JH조경 - 행사 참여자에게 꽃 화분 선물 동전모아 숲기금 -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소액 모금 한그루선물기금 - 사랑하는 이를 위한 기념식수 참여자들의 기금

서울시 토지제공 및 매칭 펀드 우리동네숲 조성에 필요한 시유지 등 공유지 제공 숲 조성을 위한 기금의 50% 매칭 펀드

행정지원 서울시 푸른도시국 조경과 - 토지의 확보와 효율적이며 적절한 예산집 행을 위해 행정지원 광진구청, 강동구청, 도봉구청, 동대문구청, 강서구청 - 나무심기 행사 지원 외 여러 행정서비스 광장동사무소, 명일1동사무소, 쌍문1동사무소, 개화동사무소 - 주민참 여를 위한 구체적인 협력과 지원 양진초등학교, 성덕여상 행정과 - 학생참여, 주차장 사용 등 지원

- 8 -


주민참여 광장동 현대아파트11차 부녀회, 명일동 주민들 외 지킴이(5명), 쌍문동 주민들 외 지킴이(4명), 휘경동 주민들, 방화2동(개화동) 주민들

자원봉사 양진초등학교 우리동네숲 지킴이, 광장동 가족참여주민, 양진중학교, 강동고등학교 외 명일동 인근학교, 씨티은행 직원과 가족들, 유한킴벌 리 직원들, 동국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건국대학교, 숭실대학교

설계 오브제프랜, 서울시립대 김아연 교수님과 대학원생들, 디자인 로직, 숭실대학교 서귀숙 교수님과 학생들, 서울여대 이은희 교수님과 학생 들, (주)푸른세상

시공 오브제프랜, (주)JH조경, (주)장원조경, (주)푸른세상

관리 지역주민과 학생들, 구청 그리고 도시를 가꾸는 사회적 기업 “푸르닝”

우리동네숲위원회 조경진 교수(서울대), 서귀숙 교수(숭실대), 오충현 교수(동국대), 김아연 교수(서울시립대), 채 일 사장(수프로), 전정일 교수(신구대),

서울시 조경과 이용태 조경과장, 최현실 녹화지원팀장, 최한규 주임

- 9 -


서울그린트러스트 사무처 이강오 사무처장 - 사업책임 최향란 팀장 - 사업총괄 및 관리 김예식, 윤유미 - 모니터링 및 기록 김보윤 - 기업커뮤니케이션 및 자원봉사 관리 이주연 - 푸르닝을 통한 우리동네숲 관리 류기식 - 푸르닝 지원

도시생태환경복원

기업

서울시 지자체

시공사 푸르닝

여 지역주민

SGT 전문가

주민 자치회

도시공동체복원 그림1. 우리동네숲의 시민참여를 통한 도시생태/공동체 복원

- 10 -


II. 우리동네숲 in Seoul 서울시 공원녹지현황도 상에 우리동네숲 11개소에 대한 위치를 표시하였다.

6호 홍은동

9호 쌍문동

10호 휘경동

5호 제기동

4호 미아동

2호, 11호 개화동 1호 석관동

7호 광장동

8호 명일동

3호 대치동

- 11 -


III. 2008년 우리동네숲 1. 우리동네숲 7호 광장동 - 그린씨티1호, 단풍나무숲 우리동네숲 7호 광장동은 한국씨티은행의 참여로 시작되었다. 주민들의 오랜 숙 원사업으로 아파트 담장을 따라 넓은 보도에 숲을 조성하여 초등학교에 등교하 는 학생들과 아차산을 등산하는 시민들에게 아름다운 경관을 마련하고자 추진되 었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의견, 주민의 의견을 종합하여 단풍나무 숲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주민의 의견인 잣나무에 대한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 갈등이 만들어지기 도 하였다. 4월 한국씨티은행 임직원과 지역주민, 양진초등학교 학생들이 함께 조성한 단풍 나무숲은 주민과 등산객 학생들에게 사랑받는 걷고 싶은 길로, 아차산에서 하산 하는 길에 쉬어가는 쉼터가 되고 있다.

사업개요 ○ 사 업 명 : 광장동 우리동네숲 7호 ○ 위

치 : 광진구 광장동 414-23, 414-24, 414-8

○ 면

적 : 570㎡

○ 사업내용 수목식재 : 1,693주 - 교 목 : 단풍나무 등 교목 총 130주 - 관 목 : 찔레 등 관목 총 1,563주 초화류식재 : 송악 등 총 4,030본 시 설 물 : 벤치5, 조형석8, 장식담, 쉼터3 외 ○ 사업기간 : 2008. 3 ~ 2008. 12 ○ 후원 : 한국씨티은행 ○ 기본/실시설계 : 오브제프랜 ○ 시공업체 : 오브제프랜 - 12 -


추진현황 ○ 2008. 3 ~ 5 : 사업대상지 조사 ○ 2008. 6. 5 : 도시녹화사업 약정서 체결 ○ 2008. 3 : 기본계획수립 ○ 2008. 3. 13 : 주민설명회 개최(1차) ○ 2008. 8. 25 : 주민설명회 개최(2차) ○ 2008. 9. 25 : 주민설명회 개최(3차) ○ 2008. 9 : 실시설계 ○ 2008. 10. 20 : 조성공사 시행 ○ 2008. 10. 25 : 식재 및 주민잔치 ○ 2008. 12. 05 : 준공

주민설명회 개최결과 일자

주요 의견 ○ 보도에 그늘을 만들어 줄 것

3.12 ○ 학생들의 통학 보행

협의결과 ○ 우리동네숲의 취지와 동일 ○ 보도 중앙에 4m 확보

공간 확보 ○ 단풍나무와 잣나무에 대한

3.17

의견 대립 ○ 아파트 담장 허무는 것은 어려움 ○ 설문결과 :

○ 주민,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정하기로 함 ○ 아파트 담장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함 ○ 주 수종을 다수의견인 단풍나무로 잣나무-주민

3.27

단풍나무-학생 , 한국씨티은행 ○ 공사 시 학생안전 확보

○ 학생들이 없는 주말에 집중하고, 평일에 안전조치

- 13 -


설계도

- 14 -


의견수렴을 위한 판넬

- 15 -


주민참여 프로그램 ①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1차

날짜

2008.3.12.오후3:30

장소

광장동사무소 및 현장 주민, 현대아파트관리소장, 양진초교감, 통장, 동장

참석자

광진구청 환경녹지과, 조경팀, 설계자, 서울그린트러스트 ① 4.9일 선거로 인해 주민모임이 불가능하게 되어 일단 실무대표들만 만 나서 의견을 나눔. ② 계획 초기단계에서 반영할 주민의견은 주민대표들을 통해 전달받고 추 후

인터뷰나 설문지등을 통한 방법으로 주민의견을 동네숲에 반영하

기로 함. ③ ‘08.3.17.월, 현대아파트관리사무소, 2차 사전협의 예정 (의견 내용) 협의

o 동장,통장 : 주민들이 평소에 관심을 많이 가지던 곳이니 아파트 담 쪽 으로 나무그늘을 만들어 달라

내용

o 양진초등학교감 : 등하교시 교통이 혼잡하고 학생들 왕래가 많은 곳이 니 안전에 유의한 설계요망. 특히 횡단보도 앞 대기공간 확보요망 o 현대아파트관리소장 : 아파트 담장 안 나무는 자체 하자보수. 담장 허 무는 것은 관리측면에서 불가. o 광진구 조경팀장 : 구청에서도 대상지 동네숲 사업을 환영. 현대아파트쪽 담장 제거 요망, 인도 폭 3m 확보, 대상지 내 도로가 있 어 공사 시 도로 굴착비(약3,000,000)고려.

비고

- 16 -


②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2차

날짜

2008.3.17.오후2:00

장소

현대아파트11차 관리사무소

참석자

주민, 현대아파트관리소장, 양진초교감, 통장, 동장 광진구청 환경녹지과, 조경팀, 설계자, 서울그린트러스트

① 설계자의 기본설계안 설명과 함께, ‘단풍나무숲 or 잣나무숲’에 대한 주민의견조사를 학교 측과 아파트부녀회에 의뢰하여 이번 주 내로(가 급적이면 목요일까지)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음. ② 식목행사가 4/12로 연기되었음을 알리고, 행사시 양진초등학교 운동장 과 주차장이용에 대해 학교 측에 정식 공문을 보내 요청키로 함. ③ ‘한그루 선물’에 대한 설명과 신청서를 주민대표에게 전달 협의 내용

(의견 내용) o 부녀회 주민들 세 군데에 의자를 놓는 것이 나쁜 용도로 사용될까봐 싫다는 측과 긍정적인 의견으로 나뉨. 단풍나무숲과 잣나무숲 조성에 대해 의견이 나누어짐. o 동사무소 : 청구아파트처럼 한 쪽면만 식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도 양 쪽으로 나무를 심는다고 해서 좋다. o 양진초등학교감, 구청조경팀장 : 인도 폭을 더 넓힐 수 있으면 좋겠다.

비고

- 17 -


③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3차

날짜

2008.3.27.오후1:00

장소

현대아파트11차 관리사무소

참석자

주민, 현대아파트관리소장, 양진초교감, 통장, 동장 광진구청 환경녹지과, 조경팀, 설계자, 서울그린트러스트

① ‘단풍나무숲 or 잣나무숲’에 대해서 주민과 학교 측에 선호도 조사 결과-부녀회 주민(잣나무), 학교(단풍나무), 씨티은행(단풍나무) -> 다수의견에 따라 단풍나무숲으로 결정 ② 4/12 식목행사 일정과 준비물 협의. ③ 양진초 운동장과 주차장이용에 대해 학교 측에 정식 공문을 보내 요 청(3/21)했고 교감선생님께 사용허가 확답 받았음. ④ 양진초등학교와 부녀회 측에 협의 내용

‘우리동네숲지킴이’신청서를 주고 모집

을 요청함 ⑤ 4월4일 보도블럭 걷어내는 작업부터 공사 시작할 예정임 (의견 내용) o 부녀회 주민들 : 어렵게 의견 수렴해서 잣나무로 정했는데 단풍나무숲 으로 결정한다니 기분이 좋지 않음 o 양진초등학교감, 구청조경팀장 : 인도 폭 3m확보하고 시작과 끝나는 곳 (학생들이 길 건너기 위해 대기하는 장소는 보도 폭을 광장처럼 더 넓게 할 필요성 있음) 공사할 때 학생들 다치지 않게 안전조치를 철저히 하기를 요청

비고

- 18 -


② 식목행사 2008년 4월 12일, 서울양진초·중학교 학생들의 통학로이며, 고구려의 숨결 이 머물고 있는 아차산으로 올라가는 길목인, 광장동 우리동네숲에 나무심기 행사를 하였다. 한국씨티은행이 신용카드 요금청구를 이메일로 전환하면서 절감되는 비용을 기부해 ‘그린씨티(Green Citi) 1호-우리동네숲’이 기금이 만들어졌다.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단풍나무숲으로 설계된 대상지에, 하영구 한국씨티 행장을 비롯한 100여명의 직원들과 정송학 광진구청장, 서울그린트러스트 윤 준하이사, 김형진운영위원장과 지역주민, 인근학교 학생 등 200여명이, 단풍 나무, 산수유, 조팝나무, 찔레나무, 사철나무 및 초화류 1,000본을 심고 나 무에 희망메시지를 걸었다. 향후 서울양진초·중학교 학생과 광장동 현대아파트11차 부녀회를 중심으로 구성된 ‘우리동네숲 지킴이’가 서울그린트러스트와 함께 우리동네숲을 관리해 나갈 것이다.

- 19 -


Before & After

- 20 -


찾아가는 길

①지하철2호선 강변역하차-1,4번 출구에서 광나루방면 버스탑승- (구)한국화이자, 극동아파트 하차- 길 건너 양진초·중학교 골목 끝, 현대아파트11차 뒤 위치 ②지하철5호선 광나루역하차-4번 출구로 나와 (구)한국화이자까지 걸어서-양진초 ·중학교 골목 진입- 학교 지나서 골목 끝, 현대아파트11차 뒤에 위치

- 21 -


2. 우리동네숲 8호 명일동 - 그린씨티2호, 자작나무숲에서 책을 읽다. 동네 어귀에 위치하여 한국씨티은행의 그린씨티2호 동네숲으로 선정하는데 최적의 장소로 판단되었다. 대상지는 사택을 조성하기 위해 산림청이 소유한 토지로 수목을 심어 관리하던 중, 나무가 크게 자라 그늘을 만들어 주변 건 물주들에 의한 민원과 불법쓰레기 투기 등 관리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도시녹화를 위해 산림청 서울국유림관리소와 강동구청 간에 무상사용 허가 협의를 거쳐 우리동네숲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대상지 바로 앞에 매우 큰 규모의 토지는 강동구청에서 공공시설로 개발 중이었다. 아쉬움이 있지만, 지 역주민을 위한 공공시설과 조화로운 공간으로 재탄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한다. 사업개요 ○ 사 업 명 : 명일동 우리동네숲 8호 ○ 위

치 : 강동구 명일동 312-254, 312-255번지( 면적 : 506㎡ )

○ 사업내용 수목식재 : 1,080주 - 교 목 : 자작나무 등 총 80주 - 관 목 : 총 1,000주 초화류식재 : 송악 등 4,320본 시 설 물 : 앉음벽 2조, 화단경계 기

타 : 원주목 화단

○ 사업기간 : 2008 . 3 ~ 2008 . 12 ○ 후원 : 한국씨티은행 ○ 기본설계 : 서울시립대 조경과 김아연 교수팀 ○ 실시설계 : 디자인 로직

- 22 -


추진현황 ○ 2008. 3 ~ 5 : 사업대상지 조사 ○ 2008. 6. 5

: 도시녹화사업 약정서 체결

○ 2008. 3.

: 기본계획수립

○ 2008. 3. 13 : 주민설명회 개최(1차) ○ 2008. 8. 25 : 주민설명회 개최(2차) ○ 2008. 9. 25 : 주민설명회 개최(3차) ○ 2008. 9.

: 실시설계

○ 2008. 10. 20 : 조성공사 시행 ○ 2008. 10. 25 : 식재 및 주민잔치 ○ 2008. 12. 05 : 준공

주민설명회 개최결과 일자

3.13

주요 의견

협의결과

○ 여름 벌레들에 의한 피해

○ 폐기물처리, 방제작업을 통해 해결

○ 부지사용에 관한문제

○ 산림청+구청 무상사용 협약 추진

○ 등록입목 보전(산림청)

○ 기존수목 가지치기 및 일부 제거

○ 기존수목제거요청(주민)

○ 서양측백 등 부적절한 수목제거

○ 큰 나무로 인한 우범화 가능성 ○ 가지치기 통해 개방성 확대 8.25

9.25

○ 양버즘나무제거

○ 큰 나무 등록된 수목으로 불가

○ 지압보도

○ 수요 적음으로 미반영

○ 노인을 위한 시설요청

○ 세대가 함께하는 공간 계획

○ 경사면 산석

○ 자연석은 사용하지 않는 원칙

○ 폐쇄적 공간 우범화 우려

○ 공간의 적절한 배치로 해결

○ 가로등 설치

○ 구청-옆 건물 소유자와 협의필요

- 23 -


설계도

- 24 -


의견수렴을 위해 제안된 스케치

- 25 -


주민참여프로그램 ①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1차

날짜

2008.3.13.오후4:00

장소

강동구청 푸른도시과, 조성예정지

참석자

주민, 설계자 외 시립대학생, 산림청 서울국유림관리소장 동사무소, 강동구청 푸른도시과장, 조경팀, 서울그린트러스

대상지가 산림청 소유로 강동구청과 산림청 간의 무상사용 협의가 필요 한 사안으로 각 담당자끼리 만나 의견을 나누면서 원만히 협의가 이루어 져, 흔쾌히 성공적인 아름다운 동네숲을 조성하자는데 의견을 모았다. - 강동구청 : 동네숲 조성이 ‘해피 코리아’(한겨레신문) 대상을 받은 강동 협의 내용

구청의 ‘그린웨이’ 노선과 부합되어 적극적인 협조하겠다. - 산림청 : 관사를 지으려고 남겨둔 부지지만 숲을 만들어 주민들한테 주 는 거라면 궁극적으로 좋은 일이니 협조하려고 함. - 서울그린트러스트 : 설계 시 동국대에서 기증받은 수목을 가급적 수용 하기 바람. - 주민 : 여름이면 대상지로 인해 벌레들이(곤충들) 많이 발생하니 고려 하기 바람.

비고

- 26 -


②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2차

날짜

2008.8.25.오후7:00

장소

조성예정지 주민, 설계자 외 시립대학생, 산림청

참석자

동사무소, 강동구청 푸른도시조경팀, 서울그린트러스 저녁에 현장에서 야외 주민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우리동네숲에 대한 설 명과 설계자의 기본 설계안 발표와 함께 주민 의견을 듣고 아이들을 위해 ‘나무 심는 사람들’ 이란 애니메이션 영화 상영. - 주민 : ① 길에 차가 못 다니게 나무를 다 심자. =>잣나무 ② 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 =>큰 나무는 지저분함 그늘 때문에 집안으로 햇빛이 못 들어옴.

협의

밝고 환하게 .. (우범화 우려)

내용

③ 길은 살려야 함. 키 큰 나무(양버즘나무) =>벌레생기고, 꽃가루 날리니 없애고 예쁜 나무 심어주길 희망 ④ 지압길이 있으면 좋겠음 ⑤ 근처에 노인정이 없으므로 노인들을 위한 시설이 필요함. - 서울그린트러스트 : ① 최종디자인 나오면 공고하고 주민 전체 모임 보다는 대표모임으 로 최종디자인 결정할 계획. ② 에어컨 실외기 치우고, 주택 쪽 고저차로 인해 발생할 안전사고 에 유의한 설계 필요

비고

- 27 -


③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3차

날짜

2008.9.25.오후5:00

장소

명일1동사무소 주민, 동사무소, 강동구청 담당자

참석자

서울시 조경과 담당자, 설계자, 서울그린트러스트

설계자 김아연 교수의 대상지 모형을 이용한 설계안 설명과 그에 따른 질의응답이 있었음. - 설계자 : 주택 쪽으로 불량한 나무3주 정도 없애고, 큰 나무는 살리기 로 함 - 강병숙 : 경사면에 자연석 놓고 영산홍 심는 것인지? - 설계자/서울그린트러스트 : 자연석은 여기 동네숲을 위해 또 다른 자 연을 훼손하게 되므로, 적용하지 않지만 자연스러운 느낌으로 앉음벽은 협의

콘크리트위에 나무를 깔겠음

내용

- 주민 : 외부에서 잘 보이게 밝고 환하게 해라, 그래야 우범화가 되지 않는다. - 서울그린트러스트 : 구청 측에 가로등 설치에 대해 물어봄. 대상지 312-255소유자 확인 요청. - 주민 : 겨울에 경사면은 눈 오면 미끄러울 수 있음. - 인접주택주민: 큰 플라타너스 꽃가루 때문에 괴롭다고 꼭 베어 주기를 강병숙 통장한테 신신당부했다고 함. - 설계자 : 나무를 베어낼 수 없으면 다른 방법을 찾아보겠음

비고

- 28 -


식목행사

2008년 10월 25일 한국씨티은행과 함께, 산림청 국유지를 기증(무상사용 허가)받아, 명일동에 그린씨티2호-우리동네숲을 조성했다. 그린씨티 켐페인은, 기후변화 시대에 기업의 경제활동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줄이고 고객들의 참여로 절약된 비용으로 도시숲 조성하여 지역에 녹색공동 체를 만드는 1석 3조의 공익캠페인이다. 기존의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 사이에 단풍나무, 산딸나무, 초화류 등을 적 절하게 심고 자작나무숲을 만들어 동네 주민과 어린이들이 함께 숲을 느끼고 체험하며 책 읽는 숲이 되도록 설계되었다. 지역주민, 인근학교 학생, 한국씨티은행 직원 등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식목행사는, 참여자들이 향후 담쟁이가 아름답게 올라갈 펜스를 장식 을 하고, 현장에서 나온 돌멩이에 아크릴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고, 나무에 희망 메시지를 걸어 각자에게 의미 있는 동네숲이 되도록 직접 숲을 가꾸었 다. 특히 어린 자작나무를 직접 심고 지속적으로 가꿀 수 있게 함으로써 다 양한 계층이 어우러지는 소통의 장으로 일구어 낼 것으로 기대된다.

- 29 -


Before & After

- 30 -


찾아가는 길

명일역(5호선) 1번 출구에서 암사시장 쪽으로 100m 걸어가면, 강동구 공영 주차장 공사장 옆, 성덕여중·여상 뒤편에 우리동네숲 위치.

- 31 -


3. 우리동네숲 9호 쌍문동 - 쌍둥이 감나무의 전설 석관동, 미아동, 개화동에 이어 주민참여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발견한 곳이다. 저층 단독주택이 밀집한 주거지역으로 공동체가 살아있어, 어른을 공 경하고 마을의 대·소사를 함께 하는 곳. 어느 집에서든지 도봉산의 우뚝 솟은 봉우리가 보이지만, 동네 안에는 공원 이나 쉼터가 없다. 그래서인지 대문 앞에 심겨진 넝쿨나무 한 그루로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집, 자신의 앞마당이며 작은 공간마다 나무와 꽃을 정성스럽 게 키우고 특히, 쌍문동 우리동네숲9호 건너편 아담한 2층 양옥집에 커다란 감나무가 길가까지 뻗어있다. 매년 11월이면 홍시 감을 따 동네사람과 나누 는... 우리동네숲에 감나무를 심을까? 쌍둥이처럼... 노인들을 위한 정자를 만들 것인가? 말 것인가? 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느티나무 아래 벤치를 놓는 것으로 타협점을 찾아가는 진행과정에서 서로에 대한 신뢰와 애정을 보이며, 나무심기 행사 당일에는 십시일반으로 김치며, 떡이며, 음료수를 마련해 잔치를 하며, 이구동성으로 내년 10월30일 국수 만 들어 다 함께 나누자며, 매년 만나자는 초대와 약속을 하였다. 사업개요 ○ 사 업 명 : 쌍문동 우리동네숲 9호 ○ 위 치 : 도봉구 쌍문동 497-7, 497-37번지( 면적 : 124㎡ ) ○ 사업내용 수목식재 : 459주 - 교 목 : 느티나무 등 5종 24주 - 관 목 : 영산홍 등 3종 435주 초화류식재 : 송악 등 3종 270본주 시 설 물 : 벤치 2조, 평상 1조 기 타 : 화강석 . 원주목경계석, 디딤석 ○ 사업기간 : 2008 . 3 ~ 2008 . 11 . 27 ○ 후원 : 유한킴벌리 ○ 시공업체 : (주)장원조경 ○ 기본설계 : 숭실대학교 실내건축과 서귀숙 교수팀 ○ 실시설계 : (주)장원조경 - 32 -


추진현황 ○ 2008. 3 ~ 5 : 사업대상지 조사 ○ 2008. 6. 5

: 도시녹화사업 약정서 체결

○ 2008. 7 ~ 9 : 조성계획 도면작성 및 실시설계 ○ 2008. 7. 24 : 주민설명회 개최(1차) ○ 2008. 8. 27 : 주민설명회 개최(2차) ○ 2008. 9. 24 : 주민설명회 개최(3차) ○ 2008. 9 ~ 11 : 조성공사 시행 ○ 2008. 10. 30 : 식재 및 주민잔치 ○ 2008. 11. 27 : 준공

주민설명회 개최결과 일자

7.24

8.27

9.24

주요 의견

협의결과

○ 정자 설치

○ 우범화 될 수 있으므로 반영 안 함

○ 지압보도 설치

○ 장소 협소하여 불가능

○ 주민에 의한 초화류 관리

○ 주민참여 활성화하도록 반영

○ 벤치는 집과 거리를 띄움

○ 벤치위치 디자인에 반영

○ 조경석 설치

○ 대상지가 협소하여 조경석 무의미

○ 토양 나쁘다

○ 토양을 치환할 계획

○ 사유지와 경계 명확히

○ 경계에 관한자료를 구청제공하기로 함

○ 기본(안) 확정

○ 작은 소로가 있는 안 채택

○ 상록수 - 크리스마스 장식

○ 활착률을 위해 작은 주목을 심기로 함

○ 차량진입 막을 방법

○ 이형경계석 채택하여 차량진입 방지

○ 벤치와 평상 위치이동성

○ 고정형 평상이 관리에 용이

- 33 -


설계도

- 34 -


의견수립을 위해 제시된 모형

- 35 -


주민참여 프로그램 ①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1차

날짜

2008.3.24.오후5시

장소

도봉구청 공원녹지과 및 조성예정지 주민, 설계자 외 대학원생, 동사무소 직원

참석자

도봉구청 조경팀, 서울그린트러스트

- 도봉구 : 녹지대나 자투리땅에 대한 예산이 부족해서 관리가 어려웠는데 동네 숲을 만들겠다니 환영하고, 주민을 위해 하는 일이니 주민이 원하는 방향대로 ‘자투리땅 이용의 좋은 사례’를 보여 주기 바란다. 대상지 인접한 집들 배려해서 민원 발생 않도록 부탁함 - 설계자 : 협의

주차문제(현재 대상지를 주차장으로 이용)를 구청 측에서 적극적으로 해결해 줬으면 좋겠다. 근처 노인정 어른들은 팔각정 같은 야외 쉼터

내용

를 원하나 주민 전체의 의견을 반영해야하므로 어려울 것 같음. 선거후(4/9), 주민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모임을 자주 가지려 함. - 도봉구 예년 좁은 골목 내의 벤치 및 정자에서 불미스런 일의 발생으로

원에 의해 철거된 적 있음. - 서울그린트러스트 : 갈등은 드러내서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함.

비고

- 36 -


②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2차

날짜

20087.24.오전11시

장소

쌍문동 쌍우경로당, 조성예정지

참석자

주민, 설계자 외 대학원생, 서울그린트러스트 Ⅰ. 설계자 발표 (숭실대 서귀숙 교수 외 학생들) 1. 내용 1) SGT 소개 및 우리동네숲 취지와 기존사례 소개 2) 디자인팀 소개 3) 주민참여 필요성 2. 준비사항 1) 보드에는 간단한 홍보용 내용을 기재한다. 2) 홍보내용은 작년 우리동네숲 사례의 전후 비교 사진

협의 내용

3) 이해를 돕기 위한 간단한 설명 프린트를 작성한다. 4) 주민들에게 간단한 음료제공(주민과 가까워지기) 5) 주민들로부터 간단한 의견수렴을 한다. 3. 준비물 캠코더, 카메라, 우드락 보드, 노트, 필기도구, 음료, 테이블 Ⅱ. 의견 1) 정자를 빼고 큰 나무 밑에 앉을 수 있게 해달라는 의견. 2) 홍보물에 있는 개화동처럼 지압보도를 설치 해달라는 의견. → 효용성이 없고 친환경적이 아니라고 설득 Ⅲ. 결과 1) 1차 워크샵에서 나온 의견을 취합하여 2~3차 워크샵을 조정 2) 주민들과 구체적인 이야기 나누고 디자인 제안.

비고

- 37 -


③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3차

날짜

2008.8.27.오전11시

장소

쌍문동 쌍우경로당, 조성예정지

참석자

주민, 동사무소, 도봉구청, 설계자 외 대학원생, 서울그린트러스트

의견수렴과 합의사항 1 . 상록수와 그늘을 드리워 쉴 수 있는 느티나무를 심기를 바람. 협의 내용

2 . 지압길, 조형석, 콘크리트, 화산석 -> 하지 않기로 주민과 합의. 3 . 벤치는 눕지 못하게 하고 집과 떨어지게 설치해서 소음으로 인한 민 원발생 않도록 요청. 4 . 쓰레기봉투 지급해주면 주민들이 쓰레기 줍고 관리하겠다고 함.

비고

- 38 -


④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4차

날짜

2008.9.24.오전11시

장소

쌍문동 쌍우경로당, 조성예정지

참석자

주민, 설계자 외 대학원생, 실시설계자, 서울그린트러스트

나무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의 의견들… 1 . 공지에 영산홍 심기. 2 . 은행나무 대신 주목나무 심기(작은 걸로 여러 그루 심기) 3 . 홍단풍을 심으려는 교수님의 의견에 동의 4 . 사철나무를 심으려는 교수님의 의견에 동의 5 . 감나무집 어머님네 청단풍나무 옮겨오기 6 . 표기 안 된 귀퉁이에 주목을 심기로 함 협의

7 .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공간에 디딤돌을 삽입해서 꾸며놓은 라인

내용

을 살려주기, 디딤돌 사이사이 잔디 심기, 디딤돌을 두껍고 표면이 평평 한 걸로 선택.(예 : 청평석, 온양석) 8 . 전체 애벌레 의자 고정하기 (느릅나무 밑) 9 . 조명배치 요구 (바닥 조명) 10 . 경계선은 화강석으로 하기 11 . 전문가가 추천한 잔디 위에 구석구석 빈 공간이 채워질 수 있는 식 물로는 초화류, 맥문동, 바위취, 옥잠화, 에란 등등… 넝쿨로는 사계장미 를 추천.

비고

- 39 -


식목행사

2008년 10월 30일, 삼각산이 내다보이는 도봉구 쌍문동(1동)에 서울그린트 러스트의 제9호 우리동네숲의 나무심기 행사가 있었다. 유한킴벌리와 서울시 가 후원하고 숭실대학교 서귀숙 교수팀이 5개월 동안 지역 주민과 토론하고 씨름하면서 설계를 마친 끝에, 주민들의 뜨거운 환영과 참여로 이루어진 행 사였다. 수육과 김치겉절이, 떡과 막걸리, 과일 등을 준비해주신 주민들과, 서울시, 도봉구청, 동사무소 등에서 나온 공무원들이 함께 나무를 심으며 우 리동네숲 가꾸기의 참 의미를 느끼게 해준 행사였다. 124㎡의 작은 동네숲이 지만, 공동체의 만남이 가능하고, 지역의 기후를 조절해주고, 사람과 자연을 소통하게 해주는 큰 힘을 가지고 있는 우리동네숲이다.

그림. 우리동네숲9호 건너편 멋진 감나무아래에서... 행사 진행자들의 모습

- 40 -


이웃한 담장에 담쟁이를 심고 있음

동네 잔치가 열린 나무심기 행사날

으~쌰!! 최고령 할머니와 함께 나무심기

모두 다 함께라면, 즐거움이...

- 41 -


Before & After

- 42 -


찾아가는 길

지하철 4호선 수유역 3번 출구 → 170(간선), 1217(지선)번 버스 → 서라벌중학교 하차 → 옹기박물관 뒤편에 위치

- 43 -


4. 우리동네숲 10호 휘경동 _ 기차길 옆 커뮤니티 가든 1호선 회기역에서 북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철도 건널목을 지나 작은 공터를 만날 수 있다. 누구네 땅인지 모르게 쓰레기가 잔뜩 쌓여있고 나무를 심은 흔적은 있지만 관리되지 않아 안타까운 곳이다. 이미 한번 자투리땅 녹화를 하였건만, 차들이 화단 사이로 비집고 주차되어 있다. 그 곳에 정겨운 골목의 문화가 있다. 동네에 수십 년 사셨던 할아버지의 인 테리어(?) 도구창고가 있고, 미장원의 뒷문이 통하는 곳이다. 할머님이 가꾸 는 작은 텃밭도 있고 나란히 줄을 선 돌 더미에 앉으면 오후의 따사한 햇살 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철도와 주거지 사이에 조그맣게 남은 땅으로 관심 받지 못했지만, 아침·저녁으로 학교 가는 아이들에게 동심의 정원을 만들었으 면 하는 마음으로 시작하였던 것 같다. 내년 봄, 아이들의 웃음소리를 기다 리며.... 휘경동 우리동네숲은 묵묵히 겨울을 나고 있다. 사업개요 ○ 사 업 명 : 휘경동 우리동네숲 10호 ○ 위

치 : 동대문구 휘경동 194-98번지 외 2필지( 면적 : 140㎡ )

○ 사업내용 수목식재 : 722주 ( 기존수목 5종 ) - 교 목 : 20주 - 관 목 : 702주 초화류식재 : 1,200본 시 설 물 : 앉음벽 5조, 경계용화단 4조, 기

타 : 원주목 화단, 디딤돌,

○ 사업기간 : 2008. 3 ~ 2008. 12 ○ 후

원 : 유한킴벌리

○ 기본설계 : 서울여대 이은희 교수팀 ○ 실시설계 : (주)제이에이치조경개발 ○ 시 공 사 : (주)제이에이치조경개발 - 44 -


추진현황 ○ 2008. 3 ~5 : 사업대상지 조사 ○ 2008. 3. 19 : 사전 협의회 개최(1차) ○ 2008. 4. 30 : 사전 협의회 개최(2차) ○ 2008. 5. 8

: 사전 협의회 개최(3차)

○ 2008. 6. 5

: 도시녹화사업 약정서 체결

○ 2008. 7~11 : 기본계획수립 ○ 2008. 8

: 실시설계

○ 2008. 8. 20 : 조성공사 시행 ○ 2008. 11. 28 : 식재행사 ○ 2008. 12. 02 : 준공 주민설명회 개최결과 일자

3.19

4.30

5.8

주요 의견

협의결과

○ 집터로 토양부족

○ 복토 및 토양치환 반영

○ 노인들 걸터앉는 시설

○ 앉음벽 설치하기로 함

○ 기존 무궁화 관리상 제거

○ 수목전지 등으로 문제점 해소

○ 옆 부지도 포함

○ 구청과 협의 하에 포함

○ 유실수보다 관상수 선호

○ 유실수와 관상수 혼합식재 계획

○ 구청에서 쓰레기수거 요청

○ 시공자 수거하여 처리하기로 함

○ 처마 밑 보도블럭 유지

○ 제거 후 식재할 수밖에 없음

○ 일부 텃밭 사용요청

○ 요청하신 분이 이사 가게 됨

○ 자작나무 식재

○ 전선으로 인해 큰 교목 불가능

○ 주택지 담과 거리 두고 식재

○ 교목 식재 시 배려함

- 45 -


설계도

- 46 -


주민참여 프로그램 ①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1차

날짜

2008.3.19.오후4:00

장소

휘경동 현장

참석자

주민, 설계자외 대학원생, 동대문구청 환경녹지과, 서울그린트러스트

- 설계자, 구청, 서울그린트러스트 논의결과 ① 대상지 옆 부지도 구유지여서 동네숲 영역에 합칠 수 있을지 여 부는 재무과와 협의가 이루어진 후에 결정. ② 대상지 인접 주민들이(할아버지 두 분) 예전부터 구청 측에 대상 지 내의 쓰레기와 수목관리를 요구했는데 재개발 소리가 떠돌면 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속상해하고 있던 터라, 동네숲 조성 을 환영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함. 협의

③ 설계자인 서울여대 측에선 대학원생들끼리 조별로 설계안을 내게 해서 경합을 시키겠다고 함.

내용

- 주민의견 ① 대상지가 예전 집터 자리여서 바닥에 토양이 부족해 영산홍을 심 었던 나무들이 다 죽은 적이 있으니, 흙을 개량 요망 ② 설계 시 노인들이 걸터앉을 자리를 만들어주면 좋겠다. ③ 현재 식재되어 있는 흰 무궁화가 관리가 어려우니 고려해 주길 바람 ※ 서울그린트러스트 : 대상 부지 경계측량 필요성 확인

비고

- 47 -


②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2차

날짜

2008.4.30.오후4:30

장소

휘경동 현장

참석자

주민, 동대문구청 담당자, 설계자, 서울그린트러스트

- 설계자, 구청, 서울그린트러스트 논의사항 ① 5/8, 목, 오후 4:30, 서울여대에서 설계안확정 미팅을 갖기로 함 ② 현재 주차하고 있는 3가구에 통장님이 개별 연락하기로 함 ③ 대상지내 담, 블럭더미, 쓰레기는 구청 측에 수거 요청하였음 *이병순씨 텃밭 가꾼 것 일부분 인정해주기로 함 협의 내용

- 주민의견 ① 주로 세입자들이 주거, 별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② 유실수보다는 관상수로 심어 달라, 좋은 나무 심으면 뽑아 간다. ③ 이병순씨집 처마 밑에 보도블럭 쌓아놓은 것은 치우지 말아 달라, ④ 비오면 물이 흘러 흙이 파이는 곳이니 나무심어도 죽을 것이다. - 서울그린트리스트 : 구청에 쓰레기 처리에 대한 협조 요청

비고

- 48 -


③설계·시공자·서울그린트러스트모임 횟수

3차

날짜

2008.5.8.오후4:30

장소

서울여대 자연과학1관

참석자

설계자 외 대학원생1명, SGT 2명 설계자·시공자·서울그린트러스트의 협의사항 ① 자작나무는 대상지 여건상 심지 않기로 협의. ② 기본 컨셉은 설계자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할 것이나 시공자와 실 제 협의과정에서 대상지에 맞게 약간의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알림.

협의

③ 담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나무를 식재(담이 부실하여 붕괴

내용

우려) ④ 동네숲 공사는 3년 정도를 예상하고 진행하니 올해에 설계도대로 다 식재를 못 할 수도 있음 ⑤ 5/15정도에 설계확정안을 보내주기로 했음. ⑥ 5/29 우동숲 회의 때 발표 예정

비고

식목행사

2008년 11월 21일, 휘경동 기차길옆

우리동네숲

10호에

나무심기 행사가 있었다. 봄철 아름다운 꽃을 틔우는 황매화 와, 수수꽃다리 등의 화목류를 심었고 앉음벽과 화단이 길을 오가는

주민과

어르신들에게

새로운 쉼터 역할을 훌륭히 수 행할 것이다. 주민들과 함께 화단에 삼색조팝나무를 심었는데 한 그루 한 그루 정성들여 심으시는 모습 에서 자연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었다. 내년 봄에 철로 변 방음펜스를 덩 쿨식물로 가꾸는 운동을 꿈꾸어 본다. - 49 -


Before & After

- 50 -


찾아가는 길

지하철1호선 회기역 1번 출구 → 외대방향 철로 방음벽을 따라30m 진행 → 건널목을 건너 철로 방음벽을 따라 30m 위치

- 51 -


5. 우리동네숲 11호 개화동 - 우리 동네 소음이 줄었어요. 개화동(지금은 지명이 바뀌어서 방화2동)에서 우리동네숲은 2007년에 이어 두 번째이다. 행주대교와 김포공항 사이 개화로 변에 자리한 개화동에 지속 적으로 동네숲을 조성하여 숲속마을로 만드는 꿈을 가지고 시작했기 때문이 다. 스폰서가 나타나지 않아 시작이 늦어지고 대상지가 이동하는 등의 이유 로 많이 지연되었다. 동국대에서 기증한 이식수목과 지역주민의 기부, 유한킴 벌리의 도움으로 시작이 가능해졌다. 2007년과 달리 방음을 위한 숲이라는 목적을 분명히 하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기대 속에 주민참여설계과정 을 거쳤다. 그러나, 그동안 대상지를 주차장으로 이용하던 사람들과 숲을 조 성하려는 주민간의 갈등이 있어, 시의원도 나서고, 지역 리더들의 조정 등으 로 문제는 풀려갔다. 다행이 나무 심는 당일에는 많은 사람들의 행복한 웃 음과 함께 우리동네숲의 의미와 가치를 나누는 시간이 될 수 있었다. 아울러 11호 우리동네숲은 다가오는 기후변화시대를 대비한 첫 번째 탄소 중립프로그램 시범사이트가 될 전망이다. 사업개요 ○ 사 업 명 : 개화동 우리동네숲 11호 ○ 위 치 : 강서구 개화동 425-4번지외 5필지( 면적 : 1,048㎡ ) ○ 사업내용 수목식재 : 3,625주 - 교 목 : 서양측백 외 10종 358주 - 관 목 : 황매화 외 7종 3,017주 - 대나무 : 250주 초화류식재 : 혼합종파종 694㎡, 잔디 시 설 물 : 식생옹벽블럭, 판석포장, 통나무의자 10조, 기 타 : 배수로 ○ 사업기간 : 2008 . 3 ~ 2008 . 11 . 30 ○ 후 원 : 동국대학교, 유한킴벌리 ○ 설계·시공업체 : (주) 푸른세상 - 52 -


추진현황 ○ ○ ○ ○ ○ ○ ○ ○ ○ ○ ○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3 ~ 5 : 사업대상지 조사 3. 8 : 주민설명회 개최(1차) 6. 5 : 도시녹화사업 약정서 체결 10 ~ 11 : 대상지변경 10 : 기본계획수립 11. 3 : 주민설명회 개최(2차) 11. 9 : 주민설명회 개최(3차) 11 : 실시설계 11 : 조성공사 시행 11. 23 : 식재 및 주민잔치 11. 30 : 준공

주민설명회 개최결과 일자

주요 의견

협의결과

3.8

○ 사유지와 공유지의 경계 ○ 주차문제 ○ 주민교육 관련

○ 사유지 제외 문제 ○ 사유지와의 문제였음 ○ 코디양성과정 후 현장투입

11.3

○ ○ ○ ○ ○ ○

○ ○ ○ ○ ○ ○

둔덕설치, 상록수도입으로 반영 구조적으로 반영 불가 사업기간, 협의체간 조율 등 시설면적 최소화를 위해 제외 사업대상지 외에 위치함 야생초화류 씨드 스프레이 계획

11.9

○ 경계에 울타리목 심지 않도록 ○ 벚나무 식재 ○ 소나무 식재 ○ 시유지를 주차장으로 양보하라 ○ 소음문제해소 ○ 꽃피는 동네가 되도록 설계 ○ 국가 소유지 포함하여 조성

○ ○ ○ ○ ○ ○ ○

배수로 설치키로 함 병충해에 약하고 방음림에 부적절 기후변화에 취약하여 미반영 별개의 문제 1미터 이상의 둔덕을 설치 4월~11월 개화 24종 꽃 종자파종 협의 후 반영여부결정

겨울에도 소음방지 소방도로 설치 보도포함 녹지조성 지압보도 기존 양버즘 . 쥐똥나무제거 잔디 심지 않도록 요청.

- 53 -


설계도

- 54 -


주민참여 프로그램 ①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1차

날짜

08.3.8.오후2:30-4:00

장소

개화동 우리동네숲 현장

참석자

주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진 교수 및 학생들 서울그린트러스트

설계팀과 논의내용 Ⅰ. 2007년 대상지 나무심기 행사 관련 Ⅱ. 2008년 추가 대상지 일정: 가을에 시공 Ⅲ. 장기적 계획: 친환경 명품마을 협의 내용

주민 미팅 - 우리동네숲 2호 조성이후, 마을 분위기가 좋아졌다 (3 1절 태극기 게양도하고 반응이 좋음) - 사유지는 흙길로 두고 공유지 부분만 설계를 한다면? 의사 타진 - 인근회사(ADC)의 주차문제가 있음: 약 30대 - 주민교육 관련: 교육프로그램은 동네숲 인근에서 실시하는 것이 주민 참여율을 높일 수 있음

비고

- 55 -


②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2차

날짜

2008.11.7.오후7:00

장소

대상지 옆 노인정

참석자

주민, (주)푸른세상, 신구대 푸르닝, 서울그린트러스트

① 안건 1 : - 소방도로 신설요청 : 우리의 권한 밖의 일임을 설명 - 양버즘나무 제거 : 양버즘나무의 순기능을 이해시키고자 함 - 현재 보도는 소음 분진 바람 등으로 제 기능을 못하고 있음 - 겨울에도 방음 방풍이 되게 계획 : 최소한 1미터 정도의 방음을 협의 내용

위한 흙 쌓기로 반영 - 잔디는 관리상 불편함 : 야생화 씨드 스프레이로 제안 - 지압보도 등 : 시설면적 최소화를 이유로 주민 설득 ② 안건 2 (2007년 조성지 도로확장으로 인한 이식) - 보도가 숲으로 들어오는 것엔 의견이 반반 - 1차 조정 : 느티나무, 소나무이식. 나머지는 다른 대상지로 이동 ※ 기타 : 공공근로자 투입은 오히려 지역공동체 활동을 저해한다.

비고

- 56 -


③주민(사전협의)모임 횟수

3차

날짜

2008.11.9.오후2:00

장소

노인정, 조성예정지

참석자

주민, (주)푸른세상, 서울그린트러스트

주민과의 논의내용 ① 소방도로 설치 재요청 : 권한 밖의 일임을 설명 ② 사유지와 만나는 곳에 울타리를 조성하지 말 것을 재요청-주차공 간에 대한 이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③ 수종에 관한 논의 - 양버즘나무 제거 요청 : 양버즘나무의 순 기능에 대해 설명 협의 내용

- 벚나무 제안 : 병충해에 약하고, 소음방지에 적절하지 않음 설명 - 소나무 : 기후변화 대응에 부적절하다. - 대나무와 상록교목을 배치 : 겨울에도 방음 효과 기대 ④ 예산 등을 밝히라 : 보고서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것임. ⑤ 일부의 주차 문제로 계속 논란이 됨-그러나 공유지와 사유지 사 이의 경계를 잘 활용하여 문제해결 함 ⑥ 소음은 우선 언덕을 조성하는 것으로 효과를 기대 ⑦ 동네 이름 그대로 꽃이 피는 마을이 되게 설계를 부탁한다. ⑧ SGT : 지역을 위한 일이므로 주민 스스로 기금에 동참 바람

비고

- 57 -


개화동 우리동네숲 11호 소음측정 우리동네숲 11호 개화동의 가장 큰 목적 중 하나는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다. 도로 변에 위치한 주거지는 순간소음이 70~80db에 달하여 환경부 소음기준을 크게 초과 하고 있다. 따라서 숲 조성 전후의 최대소음과 최소소음 측정, 비교하여 우리동네숲 의 효과를 검증하기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1)도로와 가장 인접한 주소 3곳과, (2) 도로와 한 블록 떨어진 주소 3 곳, (3) 도로와 바로 인접한 보도 이렇게 세 곳을 사업 전후로 하여 비교 측정하였 다. 그 결과 다음 그래프에서 보이듯이, 최대/최소 소음 모두 도로변과 도로변에 인접한 주거지역은 은 75dB이상 나타났으며, 반면 1블럭 안쪽의 주거지는 50~55dB로 큰 차 이를 보였다. 사업 후(성토 마운딩 후) 도로변 주거지의 소음이 8~10dB 감소한 것으 로 측정되었다.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숲이 성장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볼 계 획이다. Before Max.

75.0 70.0

After Min. 65.0

65.0

60.0

dB 60.0

dB 55.0

55.0

50.0

50.0 45.0

Before Min.

70.0

After Max.

45.0

도로변 보행로 도로변 주거지 도로 1블럭 뒤

그래프. 좌)사업 전후 소음 계측결과,

도로변 보행로 도로변 주거지 도로 1블럭 뒤

우)사업 전후 소음 계측결과

표. 2008 개화동 우리동네숲 11호 사업 전후 소음 비교측정 결과 측정장소 도로변 보행로 도로변 주거지 도로 1블럭 뒤 측정일

- 58 -

사업 전 소음량(dB) 최대 최소 74.3 69.0 74.3 69.0 51.7 50.0 11월 12일 11:50~12:20

사업 후 소음량(dB) 최대 최소 74.8 68.0 63.2 60.2 54.7 50.6 11월 23일 11:30~12:30


개화동 우리동네숲 11호 소음측정표 측정지점위치표시 개화산

4

6

5

도로

422-9 422-10

421-70 425-20

3 9

421-76 425-24

1

보도 2 사유지 우리동네숲 11호 보도 8 차도

로 재경부

7

측정표 번호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소음측정지점 (번지) 425-24 425-20 422-10 422- 9 421-70 421-76 1번 차도앞 2번 차도앞 3번 차도앞 측정일 측정시간

소음감소 공사 전 후

공사 전

부지조성

소음량(dB) 최대 최소 82 75 73 67 68 65 48.5 47.1 54 52.5 52.5 50.5 82 75 73 67 68 65 11/12 pm11:50~12:20

측정 그래프

소음량(dB) 최대 최소 62.5 58.5 64.5 62.5 62.5 59.5 52 47.6 55 51.3 57 53 77 70 75 69.5 72.5 64.5 11/23 pm 11:30~12:30

(11월 12일, 11월 24일)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⑦전 ⑦후

①전 ①후

①②③지역

⑥전 ⑥후

⑧전 ⑧후

②전 ②후

⑤전 ⑤후

⑨전 ⑨후

③전 ③후

④전 ④후

소음감소량 최대 19.5 dB ~ 5 dB

- 59 -


식목행사

2008년 11월 23일 일요일, 개화동 신대 부속마을에 우리동네숲11호에서 식목 행사가 있었다. 이미 지난해 조성한 우리동네숲 2호가 있어 마을 주민 의 관심과 참여가 더욱 큰 곳이었다. 떡과 과일, 고기와 따듯한 음식이 넉넉히 준비되어 있었고 많은 주민들이 함께 나무를 심었다. 이 날 현장에서는 한그루 나무심기 모금을 하여 각자의 나무에 선물 받는 이의 이름을 새긴 리본을 다는 행사를 가졌다. 한그루 선물에 참여한 30여명 의 주민과 시민들이 품은 의미는 무엇일까? 한 그루 나무를 심을 수 있다는 것은 가족 공동체, 지역 공동체의 회복의 조짐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식목 행사 전후로 실시한 소음측정에서는 공사전과 비교하여 무려 10dB이 낮아지 는 결과발표에 참여자들이 놀라워했다. 앞으로 개화동 주민들의 소망처럼 시 끄러운 차 소리가 아닌 새소리가 들리는 숲, 도란도란 이야기가 피어나는 숲 이 되기를 기대한다.

- 60 -


- 61 -


Before & After

- 62 -


찾아가는 길

지하철 5호선 개화산역 2번출구 -> Bus : 길 건너 버스정류장에서 지선 6647이나 광역 9602번을 타고 개화파출소를 지나 부석마을 입구에서 하차

-> 도보 : 2번 출구로 나와 길을 건넌 후 좌측(개화사거리 방향)으로 직진. 개화사거리에서 개화로 따라 도보로 25분소요

- 63 -


IV. ‘푸르닝’과 함께한 우리동네숲 1. 도시를 가꾸는 사회적 기업 ‘푸르닝’을 소개합니다. 류기식, 이주연 “우리동네숲을 푸르게, ‘푸르닝(Pruning)” 숲을 아름답게 만드는 노력 못지 않게 유지·관리하는 일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동네숲 조성 후 지킴이 분들이나 동네 주민들이 많 은 관심을 갖고 돌보아 주고 계시 지만, 병충해 관리나 전문적인 식 물관리는 이루어지기가 쉽지 않습 니다. 이에 체계적인 동네숲 관리의 필 요성을 느끼고 서울그린트러스트와 신구대학, 조경 업체의 협력으로 녹지 관 리단체 ‘푸르닝’을 조직하였습니다. 2008년3월6일 신구대 식물응용과 'Dr.T'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발대식을 가지고, 3월부터 현재까지 푸르닝으로 활동 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식물들은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서 건강하게 성장해갈 때 비로소 ‘숲‘으로서의 모습을 갖추고 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푸르닝 은 계절별, 수목별 관리매뉴얼을 통해 작업하여 체계적인 녹지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주민들과의 긴 밀한 연락을 통하여 숲의 상황과 의견을 교류하고 이를 관리에 반영하도록 하며, 나아가 숲과 사람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 을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마련하려고 준비 중에 있습니다. - 64 -


한 여름의 뜨거운 날씨 아래 무심히 버려져있는 쓰레기들을 보며 지치고 힘들 때도 있었지만, 늘 격려해 주시고 함께 나와 도와주시는 주민들이 계셨 기에 힘을 낼 수 있었습니다. 우리의 손길이 닿아 한결 아름다워지는 동네숲 을 보면서 또한 많은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 해 동안 활동하며 중요 하게 느낀 점은 외부에서 투입된 정기적인 관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입 니다. 우리동네숲을 찾고 이용하는 주민들이 적극적인 주인 의식과 관심을 가지고 참여 할 때 비로소 완벽한 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올해 활동은 숲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일의 중요성을 직접 확인하는 즐거운 과정 이였습니다. 숲을 늘리는 것의 중요성만큼 유지·관리의 무게 또한 큽니 다. 그만큼 푸르닝의 푸른 세상 만들기가 더욱 활발해 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그 간의 활동을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 65 -


2. 푸르닝의 2007(1호~6호) 우리동네숲 가꾸기 각 동네별로 연간 4~5회 방문하여, 식생 및 시설에 대한 관찰과 주민과의 대화를 통해 필요한 사항을 조치하고 식재를 보완하는 등의 2007 대상지 우 리동네숲 가꾸기 활동을 정리하였다. 도시숲은 그 집약적인 이용특성 상 최 소한 초기 3년간 집중적인 관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주민 스 스로 가꾸어 나갈 수 있는 주민자치의 실현만이 우리동네숲과 같은 주거지의 작은 녹지공간을 지속가능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다. 1호 석관동 우리동네숲 (497㎡) / 후 원 : 유한킴벌리 주민 참여도가 매우 높은 곳으 로, 주민들은 자기 집에 있는 화분을 내놓거나, 빈 공간에 꽃 을 심기도 한다. 진정으로 마을 주민의 사랑을 받는 곳이다. 인 접한 교회에서는 1층 공간을 우 리동네숲 카페로 만들 계획을 하고 계신다. EBS 등 방송언론 을 통해서도 자주 소개되기도 한 우리동네숲 1호 사례이다. 여전히 쓰레기가 가끔씩 버려지고 있지만, 주민참여의 힘이 무엇인지 잘 보여주고 있는 동네숲 이다. 같은 시기에 인접하여 조성된 구청의 자투리땅 녹화사례와 비교할 때 주민의 애정과 관심을 받은 참여형 녹지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4/18 하자완료-단풍나무, 스트로브잣나무, 측백, 관목류 9/7 주차방지용 벽돌 화단 설치(교회옆길) 9/10 우동숲표지판 설치 4/13, 5/11, 6/22, 7/27, 8/24, 9/7 푸르닝 에 의한 일반 식물 관리 11/2 월동준비-잠복소 설치 - 66 -


2호 개화동(방화2동) 우리동네숲(1,120㎡) / 후 원 : 유한킴벌리 그린벨트 해제가 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고층을 포기하고 저층주거지 역을 유지하기로 결정한 서울에서 보기 드문 중산층이 사는 저층주 거지역이다. 두 분 통장님과 지역 의 지도자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 공동체의 리더십이 형성되어 있으 며, 노인층의 자원봉사를 통한 도 시 녹지 공간 관리의 미래를 보여주는 곳이다. 미리 동네숲 관리하는 일정을 통 지해드리면 우리팀이 도착하기 몇 시간 전에 나와서 잡초를 제거하는 어르신들을 만날 수 있다. 지역 전체의 녹화에도 관심이 많아 앞으로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 된다. 다음은 푸르닝을 통한 주요 동네숲 관리활동이다. 잔디밭 면적이 넓어 여 름철 잡초관리에 어려움이 많았다. 아울러 도로확장으로 인하여 일부 공간이 이 식될 예정이다. 이웃하여 2008년 우리동네숲 사업이 추진되었다.

3/8,3/25 현장답사-주민 스스로 마을의 다른 땅을 찾아내 녹화를 요 청, 봄철에 ‘푸른서울가꾸기’에 신청해서 받은 초화류 주민들 식재 9/4 우동숲표지판 설치 4/21, 6/1, 7/6, 8/10, 9/21-푸르닝 관리.11/30-월동준비(잠복소 설치) 3호 미아동 우리동네숲(50㎡) / 후원 : ARENA 우리가

조성한

우리동네숲

에서 가장 작은 규모이다. 그만 큼 어려움도 많다. 작지만 주민들 의 관심이 많기 때문이다. 동네 입

- 67 -


구에 양쪽으로 조성된 작은 녹지공간에 대한 식물관리 뿐만 아니라, 인접한 주택 에서 발생하는 문제,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오래된 주택이 동네 숲 조성 후 원인모를 이유로 금이 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랜 민원 끝에 구청에 서 보수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주차문제로 인해 구청에서 주차방지 볼라드를 설치하였고 볼라드 설치 내부도 식생 추가를 바래, 도로과와 사전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다. 동네숲을 조성함으로써 방치된 공간에 주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구청에서도 적극 대처함으로써 동네의 공공 공간에 대한 관리가 향상되는 결과를 낳았다. 다음은 주요 활동일지이다.

대상지 앞쪽으로 여전히 주차문제- 구청에서 주차방지 볼라드설치 4/12 현장답사-골목(65세대, 400여명) 사람들의 관심이 크다. 수목의 생육과 관련한 문의와 의견제시 9/10 우동숲표지판 설치 5/11, 7/27, 9/7 푸르닝 관리 4호 대치동 우리동네숲(209㎡) / 후 원 : ARENA, GUESS 유일한 강남의 대상지로, 게이 트볼장이 우리동네숲으로 바뀐 사례이다. 항상 청결하게 관리 되고 있으며 동네숲 귀퉁이에 청소도구가 비치되어 있다. 낮 에는 어르신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밤에 청소년 비행장소로 우려되었지만 이후 로 한 건의 신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정돈된 공간이 오히려 이런 현상의 발 생을 억제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웃한 재경부의 토지도 동네숲으로 확장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그러나 재경부와의 협의를 지속함으로써 우리동네숲의 화 장을 꾀하고자한다.

- 68 -


다음은 주요 활동일지이다. 4/26(토) 벤치 4조 설치 4/27 영산홍 하자보수 완료 4/28(월)추가식재- 흰말채나무, 영산홍, 쑥부쟁이, 구절초, 꽃잔디 등 9/4 우동숲표지판 설치 5/11, 6/22, 8/24, 푸르닝 관리 11/2, 월동준비-잠복소 설치(푸르닝) 5호 제기동 우리동네숲(38㎡) / 후 원 : ARENA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동네숲 이다. 미아동과 비슷한 규모의 동네숲으로

고려대학교

인근

하숙집이 많은 곳이다. 작은 정원이 생겨 반가워하고 즐겁 게 가꾸는 주민도 있는가 하 면, 자연석으로 경계를 만들어 주지 않았다고 항의하는 주민 들이 있어 여러 차례의 현장미팅과 추가적인 주민간담회를 개최하였다(결국 이 사건을 계기로 SGT 담당자가 교체되는 일도 발생하였다). 주민간담회에 서 일정정도의 신뢰를 회복하게 되었으며, 하자보수와 지속적인 관리가 진행 되었다. 가장 문제가 되었던 목재로 만든 앉음벽은 주변에 기와로 경계를 하 고 넝쿨식물을 식재하였다(당초 계획되어 있던 사업이었음). 아무리 작은 공 간이라도 주민과 충분한 교감을 갖지 않으면 실패할 수밖에 없으며, 정확하 고 신속한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 69 -


다음은 주요 활동일지이다. 3/27, 동사무소에서 주민 간담회 (하자보수건) 하자보수 - 배롱나무, 살구나무(현물후원), 백철쭉, 영산홍 식재 6/22 추가공사 - 테두리에 기왓장 설치 후 줄사철, 맥문동, 능소화 9/10 우동숲표지판 설치 4/13, 6/1, 6/22, 7/27 - 푸르닝 관리 11/2, 월동준비 - 잠복소 설치(푸르닝) 6호 홍은동 우리동네숲(80㎡) / 후 원 : ARENA 우리동네숲의 주인을 찾기 어려 운 곳이다. 도로확장으로 움푹 파인 곳으로 주민의 접근이 쉽 지 않으며, 자칫 우범지역으로 되기 쉬운 공간이다. 이웃한 아 파트의 부녀회에서 관리하기로 하였으나 관리상의 문제로 입구 에 문과 자물쇠를 달아 관리하 고 있다. 부녀회는 꽃과 정원에 대한 관심이 많아 적극적이지만 아파트 내부 에 위치한 공간이 아니라는 단점으로 인하여 적극적인 돌봄이 어려운 상황이 다. 당초 설계자(동국대 오충현 교수팀)의 의도대로 인근 유치원의 생태교육 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도입이 요청되는 곳이다. 다음은 주요 활동일 지이다. 3/28(금) 초화류 식재. 9/4 우동숲표지판 설치 4/27, 7/27, 9/21, 푸르닝 관리 11/2,월동준비-잠복소 설치(푸르닝)

- 70 -


표. 푸르닝의 주민참여형 우리동네숲 관리 일정

구분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 월 11 월 12 월

제초

잔디

작업

깍기

잔디 침투 방지

시비

교목

관목

작업

전정

전정

병충 해방 제

관수 작업

월동

월동

해제

잠복

낙엽

설치

정리

1회

1회

비고

초 중 하 초 중 하 초 중 하 초 중 하 초 중 하 초 중 하 초 중 하 초 중 하 초 중 하 초 중 하

시행 횟수

4회

4회

1회

1회

2회

2회

4회

2회

- 71 -


표. 푸르닝의 우리동네숲 유지관리 체크리스트 결

체 크 리 스 트

월 점

일 검

시 사

분 ~ 200

1.수목의 도장지 상태는 양호한가? 2.수목에 고사지는 없는가? 3.지하고 줄기 부위에 돌출지는 없는가? 4.수목의 밀식정도는 양호한가? 관목전정 잔디제초

5.꽃피는 시기는 끝이 났는가? 6.수목의 도장지 상태는 양호한가? 7.잡초 발생정도는 양호한가? 8.잔디 생육정도는 양호한가?

잔디깍기

9.잔디뗏밥 상태는 양호한가?

10.키 큰 나무의 병충해(좀,응애,혹파리,진딧물

병충해

등)발생정도는? 11.키 작은나무(관목)의 병충해(명나방,방패벌레)

방제

등의 발생정도는? 시비

12.수목이나 잔디의 생육상태는 양호한가?

지피식물

13.지피식물의 생육상태는 양호한가?

고사정도

14.고사목 발생정도는?

가뭄피해

15.수목의 가뭄피해정도는?

월동 정리정돈

16.잠복소 설치 등 동해를 입는 수목에 대한 월 동대책수립은? 17.현장 작업 후 정리정돈 상태는 양호한가?

<기타협의사항>

- 72 -

승 인

점 검 자 200

교목전정

검 토

현장명 점검일시 구

작 성

월 적 합

시 부적합

분 비 고


V. 지속가능한 우리동네숲을 만들기 위한 노력 1. 우리동네숲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집중교육과정 2008년 8월 26일(화)~29(금), 4일 동안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제1기 우리동 네숲 코디네이터 양성과정’을 46명의 수강자들과 함께 뜨거운 교감 속에 교육을 마치고, 7개의 조로 나눈 후 각 조별로 과제를 주어 10일 후 워크샵에 발표하기로 하였습니다. 다음은 진행된 프로그램이다. 제1기 우리동네숲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 부제 : 녹색도시공동체를 위하여 취지 -2007년부터 서울그린트러스트에서 진행해온 우리동네숲 사업의 일환으로서, 도시의 숲을 조성하는 과정을 통한 동네공동체를 복원하는 일에 함께할 시민활동가를 양성 하기 위함이다. 우리동네숲 코디네이터양성과정 후 우리동네숲에서 주민을 교육 조직 하고 동네숲을 주민과 함께 가꾸어나가는 시민자원활동가로서의 역할을 기대한다. 목표 - 시민참여 도시숲 조성관리를 위한 코디네이터 25명 양성 기간 - 강의 : 8월 26, 27, 28, 29일 13:30 - 17:20 - 팀별 프로젝트 : 9월 7일까지(팀별로 자율적으로) - 워크숍 : 9월 8일 - 도시공동체운동과의 만남 : 10월 - 11월 장소 : 생명의숲 1층 부피에룸

- 73 -


프로그램 1. 동네숲 조성관리 방법론 - 교육과정을 시작하며

이강오(서울그린트러스트)

8월26일_13:00-13:20

- 동네숲 조성과 관리

정병현(푸른세상)

8월26일_13:30-15:20

- 주민참여에 의한 한평공원만들기

김은희(도시연대)

8월26일_15:30-17:20

- 어떻게 디자인 할 것인가?

김아연(시립대)

8월27일_13:30-15:20

- 도시숲 생태문화 프로그램

민성환(생태보전시민모임)

8월27일_15:30-17:20

2. 도시문제와 도시공동체 - 도시공동체 운동 - 녹색치유를 통한 인간성 회복 - 서울의 녹지현황과 문제점

이근행(모심과살림)

8월28일_13:30-15:20

탁광일(국민대)

8월29일_13:30-15:20

오충현(동국대)

3. Project 수업

8월29일_15:30-17:20 9월 7일까지

- 우리동네숲 현황조사 및 제안

멘토 : 전정일, 이강오, 이근향

- 7개조로 나누어 자율적인 팀별 현황조사 및 제안서 작성

김은희 도시연대 국장님 강의,

김아연 시립대교수와 함께 동네숲 디자인하기

우리동네숲 디자인 발표

- 74 -


워크숍 2008년 9월 8일(월)에 ‘우리동네숲 프로그램 개발-워크숍’이, 신구대 전정일교수와 서울 숲사랑모임 이근향 국장을 모시고, 7개조가 각각 한 개의 우리동네숲을 맡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숙제한 결과를 PPT로 과제발표 하는 자리를 가졌다. 전문가들을 놀라게 한 기대 이상의 성과에 우리동네숲의 희망을 보았으며, 코디네이터 양성과정과 연계해 총28명의 수료자(80%이상출석)를 배출하였다.

다음은 팀별 우리동네숲 평가와 제안사항을 요약한 결과이다. 1조 석관동 - 임근영, 육혜숙, 정인숙, - 돌곶이공원과 연계하여 초등학생이나 유치원생을 위한 생태교육 도입 - 길 이름이 매화길이므로 단풍나무 대신 매실나무를 심었다면 마을 매화축제를 개최가 가능하지 않았을까? 2조 개화동 - 한경헌, 최영란, 추종순 - 개화산을 뒤로하고 있는 마을은 아파트만 주로 보이는 서울에서 보기 드물게 단독주택만으로 이루어진 아주 아름다운 마을이다. - 그곳의 주민들이 텃밭으로 이용하던 곳을 마을 숲으로 만들어 쓰레기 가 생기고, 벤치에서 잠을 자는 사람들이 생기면서 텃밭일 때가 더 좋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시다는 것이 앞으로 동네숲에 참여하는데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 공원에 '맨발 체험로'를 통해서 동네숲과 친해지는 기회를 만들고, 재활용 나무로 바둑판을 만들어 활용하고, 봄엔 작은 풀꽃을 심어 작은 꽃에 관심을 갖게 하여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 같다. 3조 미아동 - 박성숙, 노혜숙, 윤연순 - 담장을 장식할 수 있는 화단 이름, 시화나 그림 등이 있으면 좋겠다. - 수목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 75 -


4조 대치동 - 이향배, 최정윤, 여윤정, 김현순, 이주연 - 잔디가 없어진 자리나 그늘에 운동 시설 또는 평상을 설치하거나, 나무 아래 맥문동 이나 수크령 등을 심어 접근을 막을 필요가 있다. - 건축사사무소 앞의 풀밭에 조팝나무 등을 심어 주차장을 약간이라도 가릴 수 있었으면 싶다. - 옆의 공터에 밭농사를 짓고 있는데 경관을 개선하고, 가능하면 농사보다 는 꽃밭조성을 구청에 건의한다. - 느티나무 때문에 음지에 강한 초화류를 심어야겠고 단풍나무는 햇빛이 드는 곳에 블록을 따라 한 줄로 모아 심고 그 아래 벤치 설치 희망 5조 제기동 - 배해진, 임원대, 조영옥, 이준기, 신주아 - 이 작은 공원에 주민들이 돌아가면서 일주일에 한 번이라도 관리를 하고 꽃을 직접 가꾸는 건 어떨까 생각한다. - 아직 미흡하지만 식물이 자라고 형태가 갖추어 지면 주민들과 어린이들이 머물고 즐겁게 다양한 식물들을 볼 수 있는 곳이 될 것 입이다. 6조 홍은동 - 김명구, 박철수, 김수경, 김수희, 최슬기 - 주민의견 : 이용하기엔 부족, 경관으로만 사용가능하다. 쓰레기로 인한 주민들의 불만이 있으나, 60% 이상이 만족하고 있다. 휴식공간이 필요 하 나, 소음으로 인해 동네균형이 깨질 위험이 있다.

프로그램 제안 -그림. - 76 -


7조 광장동 - 최경희, 정경택, 이화옥, 김승미, 신주아, 이외순 - 식재된 나무의 수종선정이 적절한지 의문이 든다. - 나무 간격이 좁아 답답한 느낌이 들고 제대로 자랄 수 있을까 하는 생각 이 들었다. - 나무의 활착이 잘 안 된 것으로 보였는데, 이는 토질의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 학생들과 주민들과의 인터뷰에서 작은 공간의 녹지화에 대한 긍정적 반응 은 매우 좋았다. - 청소관리 상태는 매우 불량하였는데 이는 관리하는 자가 없다는 데 있 다. 어린이지킴이 담당 선생님과 부녀회 임원들은 책임을 맡길 싫어하며 서 로에게 미루고 있는 상태이었다. - 학생들에게 봉사점수를 주는 방안 등을 생각해서 청소관리에 좀 더 신경 을 써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 77 -


그림. 우리동네숲코디네이터 양성과정(2009. 9. 8. 워크숍)

조별발표

즐거운 교육생들 - 78 -


다음은 참여자에게 주어진 우리동네숲 모니터링을 위한 체크리스트이다. 우리동네숲 모니터링 체크 리스트 대상지 : 날짜 및 시간 : 조원(조원 이름) : 정도 항목 청

관리상태 좋 보 나 음

구체적 사항

휴지, 폐기물 잡초 낙서

결 상 태 수

교목 관목 잔디, 초화류

목 상 태

벤치 포장(보도블럭,

시 설

마사토, 기타) 휀스 표지판 장식석(돌)

물 상 태

이용 빈도 주민 참여 이용 행태(상태) 형태 주민 평가(인터뷰)

모니터링 소감(의견)

- 79 -


2. 도시숲과 공동체의 만남 앞서 정리한 우리동네숲 코디네이터 양성과정은 우리동네숲의 주민과 함께하 는 자원활동가로 갖춰야할 기본적인 역량에 집중하였다면, 2번째는 도시숲과 여러 사회문제와의 만남을 기획하였다. 궁극적으로 도시숲의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문제와 연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프로그램은 서울그린트러스트 뿐만 아니라 함께 도시숲 운동을 진행하는 생명의숲 상근 활동가들도 함께 참여하였다. 다음은 숲과 공동체의 만남에 대한 기획서이 다.

숲과 공동체의 만남

숲이 사회와 대화를 합니다. 우리 사회에 여러 가지 문제들과 숲이 만나 면 어떨까요? 이미 북미, 유럽, 일본에서는 숲과 사회(공동체)와의 만남이 일 상화되어 있습니다. 우리도 학교숲, 동네숲 등을 통해 여러 가지 만남을 시 도하고 있습니다. 이에 상근활동가/자원활동가/전문가를 위한 숲과 공동체의 만남을 기획 하게 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의 강의방식을 벗어나 토크쇼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간단한 발제에 이어서, 사회자 1명과 발제자 1명, 그리고 청중이 같이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부끄러운(?) 고민, 어설픈 질문들을 마음껏 토해내 면서 숲과 공동체 운동의 발전을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진행은 매주 화요일 오후 5시부터 7시까지 진행하고, 간단한 뒤풀이를 가질 예정입니다. 사회는 서울그린트러스트 이강오, 생명의숲 이수현, 유영민 님이 나누어 진행할 것입니다.

- 80 -


행사개요

기간 장소 주최 주관 후원

: : : : :

2008년 11.18 ~ 12.23, 매주 화요일 오후 5시 ~ 7시 생명의숲 1층 부피에룸 서울그린트러스트(SGT) 서울그린트러스트, 생명의숲 한국씨티은행, 서울특별시

주요 일정 및 프로그램 11월18일 화요일 17:00~19:00 (사회 : 이강오 SGT 사무처장) - 도시 공동체와의 만남 - 발제 : 성미산 공동체 유창복 11월25일 화요일 17:00~19:00 (사회 : 이수현 생명의숲 사무처장) - 사회적 일자리와의 만남 - 발제 : 함께일하는재단 이은애국장 12월02일 화요일 17:00~19:00 (사회 : 이강오 SGT 사무처장) - 저소득층(또는 빈민) 주거문제와의 만남 - 발제 : 홍인옥박사 12월09일 화요일 17:00~19:00 (사회 : 이수현 생명의숲 사무처장) - 장애운동과의 만남 - 발제 : 김정렬 한국장애인연구소 소장 12월16일 화요일 17:00~19:00 (사회 : 유영민 생명의숲 실장) - 청소년 운동과의 만남 - 발제 : 김찬호 성공회대학교 교수 12월23일 화요일 17:00~19:00 (사회 : 유영민 생명의숲 실장) - 살림운동과의 만남 - 발제 : 한살림 윤희진 상무

성미산공동체를 설명하는 유창복님

도시주거문제를 위해 참여하신 홍인옥 박사

- 81 -


3. 우리동네숲 운영위원회 우리동네숲의 사령탑에 운영위원회가 있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5차례에 걸쳐 회의를 하면서 우리동네숲 사업의 발전을 모색했다. 우리동네숲 위원회는 운영위원장에 조경진(서울대학교), 운영위원에 김원주(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아연(서울시립대학교), 남준기(내일신문), 박미호(생명의숲), 박찬열(국립산림과학원), 서귀숙(숭실대학교), 오충현(동국대학교), 이용태(서울시 조경과), 전정일(신구대), 채일(수프로)로 구성되어 있다.

그 역할로는 “우리동네숲 사업방향 결정”, “우리동네숲 대상지 선정”, “우리동네숲 조성과 관리 자문” 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다음은 5회 운영위의 주요 내용과 결과이다.

- 82 -


2008 제1차 위원회 회의자료 - 회의개요 ○ 일 시 : 2008. 1. 24(목) 17:00 ○ 장 소 : 서울숲 관리사무소 2층 상황실 ○ 참 석 : 김원주, 김아연, 박미호, 서귀숙, 조경진, 최광빈, ○ 실무진 : 사무처 - 이강오, 윤유미, 임원대, 최향란, 김보윤 서울시 조경과 - 최현실, 이용남 ○ 옵서버 : 이승은박사, 염정식차장(토지공사), 김예식 - 회의결과 【안건1】 2007사업평가 및 개선사항 ▷ 조성매뉴얼은 2008년도 시행한 후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충분히 시간을 갖고 작성하기로 함. ▷ 전문가 선정 시 시공사를 짝 지워서 초기부터 유기적인 관계를 갖게 하자 ▷ 헌수기금의 다향화가 필요하다(노원 조사결과 1-3만원이 적당하다고 생각) ▷ 노원조사결과 대다수 주민의 요구는 숲으로의 조성을 얘기하고 있다. ▷ 주민교육관련 서울시의 시민녹화교실을 찾아가는 녹화교실로 전환하고 내용 도 지역의 녹지 가꾸기 형태로 발전시킬 계획이며, 연계를 생각해볼 필요 있다. ▷ 아파트 열린 녹지의 경우 녹지와 보도를 합하여 오솔길 형태로 변형하는 사 례를 적용해볼 필요도 있다. ▷ 표지판은 차기 위원회에서 홍익대 전문가를 모시고 자문 받도록 하자

【안건2】 2008 우리동네숲 대상지의 선정 ▷ 총사업비의 배분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동의 ▷ 연계하여 서울시 푸른서울 가꾸기 예산을 골목길가 꾸기 사업으로 전환할 계 획이므로 이와 연계하여 해당주민들의 자발적으로 골목길 가꾸기 사업에 신청할 수 있도록 하자

- 83 -


▷ 중앙정부의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와도 연계해볼 필요가 있다. ▷ 대상지 선정은 박미호 위원을 중심으로 현장조사 후 차기 위원회에서 최종결 정한다.

【안건3】 2008 예산계획(안) ▷ 조경과에서 매칭펀드 해석에 대한 실무적인 검토가 요청된다. 특히 적립부문 에 대해 가능성에 대해 서울시 예산구조에서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매년 예산에 반영하는게 좋겠다. ▷ 생명의숲 산림청과의 파트너십, 서울그린트러스트 서울숲에서의 파트너십 등 에 대해 기초자료를 만들 필요가 있다. ▷ 매칭펀드의 비율을 시의회와 상의해서 비율을 조정을 논의하자.

【안건4】 2008 사업방향 및 추진일정(안) ▷ ▷ ▷ ▷ ▷

설계자&시공자 워크숍은 불필요하다 2차 위원회에서 사이트별 설계팀과 시공팀을 지정하자 시민공모사업은 8월에 추진하자. 봄에 집중하기에는 부담스럽다 4월에 1개소는 식목일 즘에 추진하고, 가능한 많은 대상지를 봄에 끝내자. 서울시 공적심사위원회를 통하여 참여하는 주민들을 시장표창토록 하자.

【기타안건】 ▷ 토지공사의 생태계보전협력금으로 우리동네숲을 조성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하고 있다.

- 84 -


2008 제2차 위원회 회의자료 - 회의개요 ○ 일 시 : 2008. 2. 21(목) 17:00 - 19:00 ○ 장 소 : 서울그린트러스트 사무실 3층 회의실 ○ 참석대상 : 김아연, 김원주, 박미호, 서귀숙, 오충현, 조경진, 최광빈 ○ 실무진 : 사무처_ 이강오, 윤유미, 김예식 서울시조경과_ 최현실, 이용남 옵서버_ 유진홍(홍익대 산업디자인) 신준호, 이남식, 김예식, 류기식, 임원대, 김보윤

- 회의결과 【안건1】2008 1차 사업대상지 ▷ 1차 사업대상지 및 예비 대상지 선정 대상지 광진구 광장동

414-24

소유 시유지

면적 (㎡) 540

비고

강동구 명일동

312-254

국유지

416

도봉구 쌍문동

497-7

구유지

123

동대문구 휘경동

194-98

시유지

120

강서구 개화동

418 일대

시유지

2,210

영등포구 여의도동

7-10, 11

시유지

722

예비

노원구 상계동

1115-1 등

복합

135

예비

▷ 중랑구, 양천구, 송파구, 마포구 대상지 - 우리동네숲 사업 취지에 맞지 않 거나 사업 진행에 어려움이 있어 대상지 선정에서 제외 ▷ 광장동- 인접한 아파트의 담장을 허무는 작업에 대해서는 안전의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다면, 주민과의 대화를 통해 추진해 볼 수도 있을 것임. ▷ 개화동(2007년도 연속사업) -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 : 도로 쪽의 보도, 사유 지 등 마을전체를 포괄, 공원보다는 숲.

- 85 -


【안건2】 2008 우리동네숲 연간 세부추진일정 및 역할분담 ▷ 추진일정 공유 - 2009년도 사업을 올 하반기에 시작 - 봄 대상지 조성 이후, 전체 워크숍 (7월) ▷ 역할분담 동네숲 미아동 대치동 홍은동

역 할 골목가꾸기 +주민교육 보완식재 꽃밭가꾸기 2007 대상지 (윤유미) 마을녹화 종합계획 개화동 + 골목가꾸기 + 2008 연속사업(조성) 광진구 광장동 주민워크숍 + 설계 동대문구 휘경동 주민워크숍 + 설계 2008 봄 대상지 도봉구 쌍문동 주민워크숍 + 설계 (김예식) 강동구 명일동 주민워크숍 + 설계 강서구 개화동 주민워크숍 + 설계

설 계 (김아연) (김아연) (오충현) (조경진) 문현주 이은희 서귀숙 김아연 조경진

【안건3】 2007, 2008 우리동네숲 표지판 디자인 ▷ 유진홍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 size는 한 가지로 통일 가능: 너무 크지 않게 전체를 세울 경우: 가로 60, 세로 80 (추천) ▷ 통일된 CI 또는 BI가 있었으면 합니다.(김아연) - ‘우리동네숲’의 성격을 잘 나타내면서, 다른 공원들과 차별성 나타내는. - 대학생 대상 공모전(서귀숙) ▷ 솟대 같은 상징물 등을 만드는 것 제안 【기타안건】 → 2008 예산안 ▷ 매칭 비율, 증빙서류 등: 실무적으로 추후 논의 ˙ ▷˙차기 회의는 4월 10일 오후 5시에 서울숲에서 개최 ※ 올해 우리동네숲 위원회는 6회로

- 86 -


2008 제3차 위원회 회의자료 - 회의개요 ○ 일

시 : 2008. 4. 10.(목) 17:00

○ 장

소 : 서울숲 관리사무소 2층 회의실

○ 참석대상 : 김원주, 김아연, 남준기, 문현주, 박미호, 박찬열, 서귀숙, 오충현, 이은희, 조경진, 채일, 최광빈 ○ 실무진: 사무처_ 이강오, 최향란, 김예식, 윤유미, 류기식 서울시 조경과_ 최현실, 이용남 - 회의결과 【안건1】 2008 대상지 진행상황 공유 - 각 대상지 설계자 발표 (각10-15분) 동네‘숲’이라는 개념에 대한 논의. 기존의 조경설계보다는 ‘숲’이라는 개념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해보자. 【안건2】 2007 우리동네숲 관리진행 상황 제기동의 갈등도 중요한 학습사례 대치동의 추가식재에 대한 내용이 구청을 통해 수렴되지 않은 문제 점 발견 쌍문동은 길게 호흡하고, 주민들과 시간을 갖고 진행하고자 하므로 조성시기를 늦추기로 함 【안건3】 도시숲관리 사회적 기업: ‘푸르닝’ 일지 관리가 중요함 【기타안건】 표지판 서울시 표지판 기준에 맞춰 실무진에 일임하기로 함

- 87 -


2008 제4차 위원회 회의자료 - 회의개요 ○ 일

시 : 2008. 5. 29.(목) 17:00-19:00

○ 장

소 : 서울숲 관리사무소 2층 회의실

○ 참석대상 : 김원주, 김아연, 서귀숙, 이은희, 조경진, 최현실, ○ 실무진

: 사무처_ 이강오, 최향란, 김예식

- 회의결과 【보 고 】 2008년도 상반기 경과보고 【안건1】 2008 대상지 진행상황 공유 - 휘경동 8호(이은희, 서울여대), 명일동(김아연, 서울시립대) 【안건2】 대상지 검토- 산림청 소유 5곳 / 공모 - 산림청 대상지는 우리동네숲 사업으로는 부적절해 보임 - 서울시 자투리땅 확보 방안 고민

- 88 -


2008 제5차 위원회 회의자료 - 회의개요 ○ 일

시 : 2008. 9. 18(목) 17:00

○ 장

소 : 생명의숲 3층 회의실

○ 참석대상 : 김원주, 김아연, 서귀숙, 조경진, ○ 실무진

: 사무처_ 이강오, 최향란, 김예식 서울시_ 최현실, 최한규

- 회의결과 【보고안건1】 전 회의록 【보고안건2】 2008 상반기 우리동네숲 활동보고 【안건1】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의 숲 시범사업 적용 우리동네숲 1개 사이트(개화동)를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의 숲 시범 사업으로 추진하고자 제안. 우리동네숲 사업과 기후변화 사업이 섞이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임 【안건2】 2008 추가대상지 공모 및 선정 2008년 추가대상지 2개소를 공모, 선정할 것을 제안함. 시기적으로 어려운 점이 예상되므로 추가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함 【기타안건】 서울시 자투리땅 모니터링 제안 25개 구청에서 시행되는 서울시 자투리땅 사업의 사후관리에 대해 모 니터링을 제안함. 2009년도에 추진하도록 함.

- 89 -


4. 2008 우리동네숲 성과보고 및 워크숍 2008년 우리동네숲 워크숍은 “참여형 도시공공 공간의 디자인 워크숍”이라는 주제로 12월 18일 진행되었다. --------------------------------------

2008 우리동네숲 사업보고 및 워크숍

“참여형 도시공공 공간의 디자인 워크숍” "How to Design Urban Public Space with People" 도시는 살아있는 생물과 같아 최고의 디자이너가 만든 예술작품을 가져다 놓는다 하여도, 지역주민과 호흡하지 않으면 길거리의 돌멩이와 다를 바 없 습니다. 2007년 서울그린트러스트는 꿈틀거리며 움직이는 도시가 만들어낸 작은 틈새 공간에 “우리동네숲”을 만들기 시작하여, 2008년까지 총 11개의 우리동네숲을 만들었습니다. 디자인 과정에서 주민과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녹색도시를 가꾸는 주민조직의 성장을 꿈꾸고 있습니다. 지역주 민의 사랑의 손길을 지속적으로 받지 못하는 녹색공간은 죽은 공간이기 때문 입니다. 우리가 만든 작은 성과를 공유하고, 축하하고, 보다 발전된 모습을 만들어가기 위해 여러 전문가, 지역주민, 후원기업인, 정치인, 행정가, 조경사 업가, 시민단체 리더를 모시고 “참여형 도시공공 공간의 디자인 워크숍”을 개 최하오니 많은 참여바랍니다. 2008. 12. 서울그린트러스트 이사장 양병이 우리동네숲 운영위원장 조경진

- 90 -


일시 : 2008년 12월 18일(목) 오후 14시 ~ 18시 장소 : 서울시의회 서소문별관 2층 회의실 주최 : 서울그린트러스트, 서울특별시 후원 :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

프 로 그 램

-

개회식---------------------------------------------------14:00 ~ 14:20 14:00~14:20 개회사/축사 : 양병이 SGT 이사장, 안승일 푸른도시국장 제1부. “참여형 도시공공 공간의 디자인 워크숍”

14:20 ~ 17:00

▷ 좌장 - 조경진 우리동네숲운영위원장/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14:20~14:30 2008 사업보고-서울그린트러스트 사무처 14:30~14:50 주제발표1 : 쌍문동우리동네숲의 사례-서귀숙 숭실대교수팀 14:50~15:10

주제발표2 : 명일동우리동네숲의 사례-김아연 시립대교수팀

15:10~15:30 주제발표3 : 우리동네숲 기업의 참여 -김수연 한국씨티은행부부장

15:30~15:50 주제발표4 : 지속적인 관리 방안-전정일 신구대/류기식팀장 15:50~16:50 토

론 : 이영범(경기대 교수), 최병암(산림청

도시림정책과장), 이용태(서울시 조경과장), 하지원(서울시의원), 신경준(장원조경 대표), 지역주민 대표 등

Break----------------------------------------------------16:50 ~ 17:00 제2부. 2008 우리동네숲 공로자 시상

17:00 ~ 18:00

17:00~17:10 영상보고 - 우리동네숲 2007~2008 17:10~17:20 축

사 - 이진식 환경수자원위원장

17:20~17:30 시

상 - 참푸른서울을가꾸는기업,_한국씨티은행 등 5개 기업 공로패-조경기업 및 설계가

17:30~18:00 리 셉 션

- 91 -


에필로그 - 2009년을 기약하며... ‘2007년에 이어 우리동네숲 사업이 지속 되었다.’ 라는 사실만으로도 우리에 게는 큰 기쁨이었다. 오히려 첫 해 보다 더 어려움이 많았다. 2008년 대상지 를 선정하는 것부터 쉽지 않았다. 도시는 유기체라 믿었고, 꿈틀대는 도시가 만들어 놓은 작은 자투리땅에 기회가 많을 거라고 생각하였으나, 공공의 이 익을 추구할 수 있는 공간이 생각보다 많은 것 같지 않았다. 더군다나 주민 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적절한 장소를 확보하는 것 또한 쉬운 과제가 아니었다. 2008년을 돌이켜 보면, 쌍문동에서 이루어진 6개월이 넘는 과정의 주민참여 프로그램에 많은 가치와 의미를 두고 싶다. 주민참여란 밥을 지으면서 뜸을 들이는 것과 같다. 다양한 생각과 갈등이 충분히 표출되고 지역사회의 합의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 조금만 급하게 추진해도 공사과정에서 갑자기 나타나 는 주민민원에 대응하기 쉽지 않다. 명일동에서는 공사과정에서 소음문제와 차후 예상되는 일조권 문제로 갈등 이 발생하였다. 개화동에서는 주차문제가 심각한 과제였다. 결국 새로운 논 의와 협의(또는 타협)를 통하여 해결 점을 찾을 수 있었다. 객관적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현재 우리사회의 주민참여의 정도는 “적극적인 관심”, “소극적인 관심”, “무관심”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 같다. 2008년 대상지 중에는 개화동과 쌍문동이 적극적인 관심으로 분류할 수 있 을 것 같다. 두 곳은 지역의 환경 개선은 물론 동네숲의 위치가 주변의 관심 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또한 마을공동체가 살아있었다. 반면 명일동 우리 동네숲은 마을 입구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공동체가 없다는 점에 서 숲에 관심을 가진 주민들이 조직적으로 동네숲에 참여하기 어려웠다. 휘 경동은 주민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조차 어려움이 있었다. 광장동은 보도를 숲으로 조성하면서, 이해관계자가 많아 주민의 이야기를 들어주기 쉽지 않았다. 주변에 아파트가 많아 중산층 이상이 거주하는 지역 으로 상대적으로 주부들이 매우 바쁘기도 했다. 또한 공간의 성격이 모두의 관심을 받을 수도 있지만, 반면에 어느 누구도 책임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 92 -


특성이 참여를 어렵게 만든 것 같았다. 2007년 대상지의 관리에도 새로운 배움이 많았다. 3월부터 12월까지 신구 대 푸르닝 학생들을 중심으로 우리동네숲 관리를 추진하였으며, 우리동네숲 코디네이터 양성과정을 통해 사회, 문화적인 과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3년 이상 집중적인 우리동네숲 관리는 주민참여를 강화시킬 수도 있다. 우리의 상황에서 우리동네숲 설계과정에서부터의 주민 참여는 많은 어려움 을 가지고 있다. 아직은 도시녹지에 대한 주민의 이해가 높지 않기 때문이 다. 영국처럼 국민들이 가드닝에 관심을 갖는 조건에서의 주민참여와 비교해 볼 때, 그렇지 않은 우리의 조건에서의 주민참여는 주민의 이해관계를 잘 살 피는 수준에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지속적인 주민참여와 주체적인 주민역량의 발현은 사후관리에서도 중요하다. 적극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체계적인 관리가 도시숲의 가치를 얼마나 향상시 킬 수 있는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경관적으로, 환경적으로, 문화적으로 훌 륭하게 관리될 수 있다면 우리동네숲에 대한 주민의 관심과 이해가 더욱 높 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의 사업에 있어 주민참여에 대한 숙제가 많다. 서울은 끊임없이 재개 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작은 공간에도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다. 2009년도에는 첫째, 우리동네숲의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경제적인 가치도 더불어 평가되어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지역사회의 가치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속적인 관리는 지역주민의 자원 봉사와 사회적 일자리 창출과 연계되어야 한다. 셋째, 탄소흡수원 및 도시열섬 저감효과에 대한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서울그린트러스트는 최소한 3년 이상의 우리동네숲 지속관리를 통해 주민조직을 만들고, 우리동네숲의 가치평가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탄소 흡수원 계정을 통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가고자 한다.

- 93 -


또한 영역의 확대도 고민해야 한다. 아파트 동네숲으로의 확대 이미 인구의 50% 이상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고, 아파트 녹지는 도시열섬 현상 등의 도시전체 공익적 과제와 관련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이미 서울시 는 민간의 옥상녹화를 지원하고 있다. 우리동네숲은 향후 아파트 동네숲으로 도 발전해야 한다. 저소득층을 위한 도시공원 여전히 서울시민의 약 50%는 저층주거지역에 살고 있으며, 특히 저소득층의 주거공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모든 시민의 도시공원에 대한 환경권(주거지 역의 250m 이내에 소공원을 가질 권리가 있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서울시 내에 최소한 150개의 동네숲(마을공원)이 필요하다. 도시개발을 통해 발생하 는 자투리땅 만 염두에 둘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소규모 주택을 매입하여 저소득층의 환경권을 위한 소공원 조성에 나서야 한다. 이러한 소공원은 기 후변화 시대, 도시열섬에 적응하기 위한 도시정책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사회적 일자리로서의 우리동네숲 기존에 조성된 녹지 관리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행정의 관리는 도로변 녹지나 규모가 큰 공원에 집중하고 있다. 인적·재정적 어려움 때문이다. 동네 에 있는 작은 녹지공간의 관리는 사회적 일자리와 연계가 가능하다. 노인계 층과 실업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도시녹지의 질적인 관리를 위해 과거 ‘숲 가꾸기’와 같은 사업이 도시녹지관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가든씨티 캠페인 전반적으로 도시숲의 중요성에 대한 시민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적극적인 도시숲 문화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 모든 주거, 상업공간 에 가든씨티 캠페인 도입을 제안한다. 1인당 국민소득 2만불시대의 사회적 화두는 삶의 질, 웰빙이다. 보다 나은 환경에서 보다 나은 삶의 질을 누리고 자 하는 시민의 욕구를 도시숲, 가든에서 찾아야 한다. 또한 도시에서 생물 의 양을 늘리는 것은 기후변화 적응에 커다란 도움을 준다. 서울그린트러스트 - 94 -


후원자 코너 한그루 기부자 사연 From 곽문수 김광회 김보윤 김성복 김예식 노영식 류기봉 류민형 류예환 박용금 배연우 양승춘 원해연 유영재 유평준 이강오 이명복 이승은,김영석 이영화 이정권 이정애 이종슬 장복진 장영우 정병현 개화노인회 내촌부녀회 킴스시스템

To 곽정식,류길자 4femmes 전효섭 김정순

이재승

유정현 푸르닝 김강빈 승원, 지원 이건호, 이건무 박상봉 이충호 최옥경

개화노인회원

사랑한다, 일이 잘 되길 빈다. 애지☆, 자영♨, 지혜♥~ 사랑해!!! 푸른숲과 사랑하는 가족을 위하여! 고마워, 사랑해! 우리동네숲을 축하합니다. 김정순님께 드립니다. 푸른숲과 사랑하는 가족을 위하여! 푸른숲과 사랑하는 가족을 위하여! 아들! 민중의 지팡이가 되어라. 가족들에게 행운을.... 가족 모두 건강하고 행복하길.... 구영목님께 드립니다. 나무처럼.... 푸르닝이여, 영원 하라! 마을숲을 위하여 무럭무럭 자라라. 건강하게 자라라. 다함께 행복하기. 우리 남편, 사랑해요! 아들아, 건강해라. 최옥경님께 드립니다. 온가족 행복하게 살자. 회원을 위해서, 평안을 빕니다.

두 그루 기부

- 95 -


우리동네숲 참여하시는 방법

기금 참여 개인 : 한그루기금, 10만 원 기업, 단체 : 10㎡의 기금 100만 원부터 예) 100㎡ 참여의 경우 1,000만원 1그루의 나무는 일생동안 1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 기후변화그린네트워크의 탄소중립인증센터를 통해 탄소흡수원에 대해 인증합니다. 후원에 참여하시는 개인/기업/단체의 이름은 우리동네숲 표지판에 새겨집니다.

현물 및 자원봉사 참여 수목, 토지, 현물 등의 기부 우리동네숲 관리 자원봉사 참여

- 96 -


유한킴벌리 광고

- 97 -


한국씨티은행 광고

- 98 -


2008 우리동네

리포트

1판 1쇄 발행

펴낸날 : 2008년 12월 15일 발행인 : (재)서울그린트러스트

양 병 이

만든이 : 2008 우리동네숲 리포트 제작팀 기획 : 이강오 구성 : 김예식 , 이주연 편집 : 김보윤 , 최향란

(재)서울그린트러스트 133-110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1가 656-1693 풍성빌딩 3층 전화번호 : 02-498-7432 팩스번호 : 02-498-7430 홈페이지 http://sgt.or.kr 우리동네숲 홈페이지 이메일

http://sgt.or.kr/ucf

sgt@sgt.or.kr - 99 -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