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와포스트코로나시대의 형평성과지속가능성을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2022년 10월 | 결과보고서 Image: Urban Institute(2019), 「Investing in Equitable Urban Park Systems」 한국조경학회
2022년 3월 11일 -10월 31일 주관 | 서울그린트러스트, 한국조경학회 책임연구원 | 조경진(서울대학교환경대학원교수 | 서울그린트러스트이사) 공동연구원 | 서영애(기술사사무소이수대표 | 서울그린트러스트이사) 심주영(퍼블릭어라운드대표 | 서울그린트러스트이사) 연구원 | 정은하(서울대학교환경대학원박사과정) 정경화(기술사사무소이수차장) 박윤주(서울대학교환경대학원석사과정) 유다연(서울대학교환경대학원석사과정) 연구기간 연구진 노후생활권공원재생모델사업개발연구 과업명 본 연구는 2022년도유한킴벌리후원사업으로시행하였습니다.
연구내용 연구결과물 ◎연구보고서 ◎연구성과공론화를위한심포지엄 ‘숲으로도시혁명 4 서울그린비전 2040’ (2022. 12. 05.) ◎공원녹지에관한인식및위상변화분석 ◎서울그린트러스트도시숲운동및사업성과분석(유한킴벌리협력사업중심으로) ◎서울그린비전 2040 기본방향및목표수립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및추진과제, 핵심사업발굴
목차 1. 연구개요 01 연구배경 02 연구목적 03 연구범위및주요내용 2. 현황및여건분석 01 서울시도시공원기본계획 02 SGT 도시숲운동성과분석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4. 실행계획및사업 01 실행계획 02 추진과제및핵심사업 03 사업추진전략 3. 서울그린비전 2040 :형평성과지속가능성플랜 01 글로벌그린정책경향 02 서울그린비전 2040 03 추진방식 4
1 연구개요 01 연구배경 02 연구목적 03 연구범위 및 내용
6 탄소중립에대응하는녹색전환으로숲, 정원, 공원, 녹지의역할증대 몸과마음의건강을치유하는녹색공간에대한요구 COVID-19 팬데믹이후도시공원과생활권녹지의중요성증대 01 연구배경 (사례: 거리두기 속 도시공원) (사례: 명동타임워크옥상정원프로그램을운영하는 ‘녹녹‘) 6
팬데믹이후세계적으로공원과야외공간이용확대 [출처:https://www.bennettinstitute.cam.ac.uk/blog/value-public-parks] 01 연구배경 Covid-19 이전과비교하여공원, 국립공원, 공공해변, 광장등야외공간이용이증가 Covid-19 이전에비해영국각지역과도시의공원이용률이현격히증가 코로나시기의커뮤니티이동경향 코로나시기전후, 지역의도시공원이용률변화 7
"Without adequate buffer stocks, whetherthatis proximityto cleanairand greenspace for all, or sufficientcommunities investmentin skills that people canadapt, or where neighbors want to help others, thereisno resilience."
8 모든사람을위한깨끗한공기와녹지공간과의근접성의중요성 이것을위한적절한기술에대한충분한지역사회투자의필요성 회복탄력성을위한충분한완충재의중요성 자연자본의중요성증대
https://www.bennettinstitute.cam.ac.uk/wpcontent/uploads/2020/12 /WER_Building_Forward_Investing_in_a_resilient_recovery.pdf]
[자료:
01 연구배경 8
동네공원접근성중요 모든공원은지구온난화의영향으로부터사람들을보호하는데도움을줌 나무그늘을제공하고이산화탄소를흡수하고인근지역의온도를낮춤 COVID-19 확산및이에따른사회적거리두기의시행이공원이용자수에미치는효과를실증적으로분석(박인권외 2인(2021)) 생활권공원과접근성의중요성증대 Your local park has a hidden talent: helping fight climate change [출처;https://www.npr.org/2022/08/31/1118786411/city-parks-global-warming-heat-wave] - 주거지역 내 위치한소규모근린공원은이전에비해평균적으로 3~6% 정도 이용자 수가 증가 - 잠실 롯데월드 일대 이용자 수가 평균적으로 38%가량 감소 - 올림픽공원의경우에는 COVID-19 확산에따라평균적으로 1.9% 정도이용 자 수가감소 (올림픽공원의원거리이용자를나타내는차량이용자수가 평 균적으로 23%가량감소) - COVID-19와 같은전염병재난 시 도시공원, 특히주거지역 내 근린공원은 도 시인들에게주요한피난처이자여가공간으로서역할을수행 - 적절한공급과유지관리가필요하다는것을시사 [박인권 외3인(2021), COVID-19 확산에따른도시공원이용자수의변화 – 시계열 빅 데이터분석] 01 연구배경 9
10 생활밀착형공원녹지에대한형평성이슈 01 연구배경 동네공원의중요성이증대됨에따라형평성문제제기 생활권공원의 73%가보행접근성불량 [출처] https://www.khan.co.kr/local /Seoul/article/202206081613 001 [출처]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60716200001190
11 샹젤리제프로젝트의 Extraodinary Garden 전세계도시는기후위기대응도시로전환중임, 파리시는시장의리더십을통해대규모도시숲프로젝트추진중 오염되고혼잡한소비지역을친환경적이고생태적인지역으로탈바꿈 도로를보행자전용녹지로전환, 대기질을개선하기위해나무터널을조성 기후위기대응으로도시정책전환 [출처:https://www.designboom.com/architecture/champs-elysees-plan-pca-stream-01-11-2021] 01 연구배경
12 미국중앙정부, 기후변화대응관련입법과투자조치 [출처;IFLAWorldCongress2022] 01 연구배경 인플레이션감축법안(IRA) 통과, 법인세와부자증세를통해재원을확보하고기후변화대응등에투자 기후변화에대응하고 2030년까지온실가스배출을 2005년대비 40% 줄이기위해 3690억달러(약 493조원)를투자 국립공원서비스(NPS), 토지관리청(BLM) 사업 5억달러지원, 유지보수, 생태계기후변 화대응하도록조성추가 14억지원 삼림유산프로그램(FLP) 만들어 7억달러를지원, 개인숲보존프로그램 지방등소외된지역사회 나무심기 15억달러지원 국립해양대기청(NOAA) 해안과해양서식처를보존 하는데 26억달러, 어류및야생동물보호국 (FWS)가멸종위기종 복원약 3억달러지원
13 런던국립공원도시운동은세계최초로국립공원도시를선언(2019년 6월) 런던을더푸르고건강한야생의공간으로 (프론트가든사업 Front Gardens) 누구든참여할수있는협력의가이드(Park City Wiki) 체계구축, 녹지와공원공간을넘어전체범위로확장 공원거버넌스의담론형성과참여확대를촉구 자발적시민운동으로녹색도시전환, 런던의국립공원도시운동 01 연구배경
14 해남솔라시도, 정부예산 400억투입해 2027년까지세계적인생태정원도시조성추진 바다, 호수등주변경관과어우러진최초의해안가로정원 남부지역특화수종으로구성된도시정원가도등을조성해정원도시의기반을구축 국내정원도시지정그리고도심내공공정원확산 01 연구배경 사례 좌: 해남솔라시도정원도시사업, 사례 오른쪽 위: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사례 오른쪽아래: 태화강국가정원의피에트오돌프(정원가) 공공정원
도시숲운동 20주년을맞아그동안의성과와한계를짚어보고서울그린비전 2040 수립 지속가능한도시숲운동(23년~)을위한생활권단위전략과사업유형제시 서울시자치구중적용가능한대상지발굴및지속가능한민관협치방안도출 도시숲운동확산을위한방향성제고, 팬데믹이후의새로운방향제시 02 연구목적 15 [출처] City of Perth, Urban Forest Plan 기후위기와팬데믹으로 실천가능한 비전수립의필요성대두 서울그린비전 2020 서울그린비전 2030 서울그린비전 2040 2005년 2014년 2022년
도보권에서공평하게누릴 수 있는생활권공원녹지의중요성 공공이주도하는공원의리모델링은시설의재구조화에치중하는상황 02 연구목적 연구의관점: “생활권공원의재발견” 16 [출처] 서울특별시 법적인공원을벗어나 생활권에서접할 수 있는 공원녹지의가치를 발견해야 함 명동, 성수동공개공지 신림동관천로수변녹지 통의동마을마당
03 연구범위 및 주요내용 국내외도시숲운동 및 공원녹지확충전략, 실행사례연구 양적, 질적도시숲운동확산을위한생활권노후공원실태파악 및 개선여건진단 장기적이고지속가능한관리운영을위한사업유형 및 모델제시 기후위기와팬데믹이후 사회여건변화에따른 공원정책변화 지역밀착형, 주민참여가능한 사업유형및모델발굴 서울그린비전 2040 비전및목표, 전략설정 SGT-YK 사업진단 방향설정 SGT 도시숲운동의방향성및 실천전략제시 장기적, 지속가능한 파트너십사업유형및모델발굴 글로벌공원녹지정책진단 기존사업리뷰 사례연구와목표설정 실행계획및사업모델발굴 17
Ⅱ 현황및 여건분석 01 서울시도시공원계획경향 02 SGT 도시숲운동성과분석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2030 서울시공원녹지기본계획 01 서울시도시공원계획경향 계획의목적 도시환경발전정책 공원녹지확충,관리, 이용방향제시 노후한시설물정비 공공기관이전시 공원확보파악 공원녹지구조적인 틀제시 개정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관한법률’에 따라 관리체계의정비 친환경적인자원의 현황파악 및 데이터베이스구축 훼손된공원녹지 복원 공원녹지축완성으로 생태적기능향상 훼손된생태계복원 19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과정합성을유지하면서서울시공원녹지비전을제시하는역할 상위계획으로서자치구별세부지표및현황데이터제시(조감의틀제시): 공원녹지양적확보와물리적공간중심의계획 생활권공원녹지공급및불균형에대한세부적인계획및지표제시하지못하는한계(미시스케일현황부재) ▶ 생활권공원녹지전략계획(안)의제시가필요함 2030 서울시공원녹지기본계획의지위
01 서울시도시공원계획경향 2040 서울시공원녹지기본계획 20 2030 공원녹지기본계획의한계보완, 기후변화와코로나이후의사회변화상반영예정 시민의실제이용을고려한입체적인공원녹지계획수립, 하천-생활권-공원연결하는그린인프라네트워크강화수립예정 수변중심 도시공간혁신 ---------------지천활용한 도시자연성회복 및 여가공간확충 팬데믹시대의 공원녹지정책 ---------------둘레길, 산책로정비 비대면 공원프로그램 움직이는 공원 ---------------이동형한뼘공원 (24개소 -> 40개소 사업추진) 도시숲 프로젝트 ---------------숲 자연성회복사업 (1개소 -> 4개소) 빈집활용 도시재생사업 ---------------생활정원조성사업 (5개소 -> 21개소 사업추진)
02 서울그린트러스트도시숲운동분석 서울그린트러스트의서울그린비전 2020 ~ 2030 21 서울그린비전 2020 (2005) 서울그린비전 2030 (2014) 도시녹지총량확대 녹지보전과네트워크화 공원문화화 시민참여활성화 생활문화공간화 민간참여운영(조직, 제 도개선) Beyond Green “녹색을넘어” Green Right “녹색은시민의권리” Trust Green “녹색공유”
• 주민참여우리동네숲조성사업
• 우리동네푸르게푸르게나무심기
• 서울숲공원전면수탁운영(서울숲컨서번시)
• 전국공원의친구들캠페인전개
• 한강공원입양을통한기업참여한강숲가꾸기
• 성수동녹색공유센터운영
• 도시녹색커뮤니티지원사업(나꿈커)
• 도시숲환경사회경제적가치지표개발
• 숲으로도시혁명심포지엄개최
• 탄소저감도시공원재생(인덱스가든, 에코존)
• 그린라이프스타일공유그린맵캠페인전개
2013~2015 2019~ 2007~ 2013 2016~
2003~2006
• 서울숲헌수운동/ 시민과기업참여나무심기 • 서울숲공원개장/ 시민참여공원운영(서울숲사랑모임) • 시민과기업모금통해 4개 대형공원조성에기여
2020~ • 코로나19 시대, 공원사용법캠페인 • 그린맵발굴녹지소외지역숲조성 • 녹색소외계층초록키트지원사업 02 서울그린트러스트도시숲운동분석 2003 ~ 2022 도시숲사업의흐름 22
23 • 초기도시숲조성형사업에서다양한형태의도시숲사업으로발전, 다변화되었으며총 4가지의유형으로구분됨 • 서울그린비전 2030 핵심과제였던그린리더양성을위한 ‘도시숲커뮤니티지원형’ 사업은유한킴벌리외다른기업의공감을얻지못하였 으며, 지속가능한사업재원확보에실패함 • 2030 UN SDGs, ESG 시대이후, 글로벌목표인탄소중립중직관적성과가될수있는나무심기형도시숲조성사업기업후원문의급증 58% 23% 10% 9% 02 서울그린트러스트도시숲운동분석 1위 | 도시숲조성형 : 정부또는지방정부와협력하여조성하려는도시숲 에 대해조성사업비용을후원 - 서울숲, 우리동네숲, 인덱스가든(종다양성), 어린이정원, 꿀벌정원 등 2위 | 도시숲조성+기업자원봉사형 : 도시숲조성 후, 최소 3년 이상조성한도시숲 가꾸기자원봉사참여와비용을후원 - 한강공원입양, 공원의친구들 등 3위 | 온라인캠페인+도시숲조성형 : 기업이캠페인관련상품개발또는 SNS로 도시숲캠페인동참을유도하고시민참여형 도시숲조성사업비용을후원
: 도시숲을만들고가꾸는다양한시민커뮤니티를지원하는 공모사업비용을후원 - 나꿈커지원사업, 작은숲지원사업 등 기업이 선호하는도시숲사업유형 서울그린트러스트도시숲사업과기업사회공헌 (2007-2021)
- 미세먼지 FREE! 도시숲캠페인, Cup a Tree 캠페 인, 그린컨슈머친환경공원에코존캠페인 등 4위 | 도시숲커뮤니티지원형
’03-’05 ‘07-’10 ■서울숲조성/보전 (도시숲조성) • 서울숲 총 6,000평 시민의숲조성 • 개장 후 서울숲사랑모임운영 Main Sponsor(약 11억원후원) • 교목 5,888주, 관목 98,833주 식재 • 기업사우가족, 여고생그린캠프봉사활동 ■우리동네숲 (도시숲조성) • 서울시, 자치구와협력사업(대상지제공) • 주민참여형동네숲 5,537㎡ 조성, 8,234주 식재 • 주민워크숍수행, 나무심기프로그램운영 • 총 7개소사업지조성(석관동, 개화동 3개소, 쌍문 동, 휘경동, 우면동) • 휘경동경우, 재개발로인해마을과숲이사라짐 ‘14-’16, ‘17-’18 ■나꿈커 기금지원 (그린리더 양성, 공모형) • 나누는, 꿈꾸는, 커가는기금 • 도시곳곳에녹색공간조성시민활동 17개팀 선정 • 공원녹지(정원형)조성과녹색커뮤니티활동지원 • 주로양성교육과활동씨드머니지급 • 전문가-선정팀멘토링시스템운영 • 1팀당 1천만원내외지원(9개월사업기간) ’16-’21 ■ 도시공원재생인덱스가든 • 도시공원 내 유휴공간 18,531 ㎡ 재생 • 도시에서쉽게만날 수 있는식물수종 에 특별한테마로색인한종다양성정원 • 총 6개소조성(뚝섬한강공원 3개소, 서울숲 3개소) • 나무 3,365주, 초본 5145본 식재 • 인덱스가든 4와 5(서울숲설렘정원, 겨울정원) 경우 각 컨셉에부합하는 이벤트사업후원병행: 웨딩가든컨셉 부합하는결혼식지원, 겨울철공원 이벤트진행 ■작은숲지원(어린이집대상, 공모형) • 어린이를위한 숲 조성공간개선사업 • 어린이집마당, 어린이공원 등 2개팀 선정 • 공원녹지개선과워크숍사업비지원 • 성동구 내 국공립어린이집대상 • 1팀당 1천 2백만원지원 • 선정이후, 워크숍프로세스지원 및 청년정원가대상 으로설계공모전실시하여정원조성사업비지원 우리강산푸르게푸르게 작은숲모여 더 큰숲으로 ‘우리강산푸르게푸르게’ 유한킴벌리와함께한도시숲사업 02 서울그린트러스트도시숲운동분석 24
25
서울그린트러스트 정부지자체 지역사회/시민 기업 전문가 도시숲토지제공, 재정, 행정협력
사업기획 및 운영 기부금운용 홍보커뮤니케이션
거버넌스원칙 절차: 대상지모집 및 선정→ 전문가참여주민워크숍 → 주민참여설계워크숍 → 파트너간업무협약체결 → 실시설계 및 시공→ 주민참여나무심기 → 유지관리자원봉사 → 주민참여프로그램운영 → 모니터링(서울그린트러스트)
사업비기부, 숲조성 관리자원봉사참여, 사업홍보 공유자산인도시숲의가치를민간자본투입하여향상, 정부,지방정 부는예산절감 • 서울그린트러스트는거버넌스조직으로설립됐으며, 기후위기대응을위해 필수적인요소로평가받는도시숲을효과적인그린인프라스트럭처로써발전 시키기위한전략, 연구, 제도화등이활성화, 고도화 됨 • 초기공공주도-민간참여형거버넌스에서 1)민관파트너쉽, 2)민간위탁, 3)민 간주도형으로다변화 됨. 민간자본의투입을통한지자체의예산절감, 전문가 의 공익사업기여, 서울시 외 지방으로도시숲거버넌스확산, 네트워크활성 화에기여함 • 시민들은도시숲사업을통해교류, 성장하며사회에서역량있는주체로성장 하고지역사회를이끌어나갈 수 있는힘을얻음
숲조성과정의견개 진,유지관리자원봉 사, 교육참여 등
02 서울그린트러스트도시숲운동성과분석
서울그린트러스트도시숲사업추진방식과거버넌스
사업전략, 숲조성 방 향 자문, 조경설계 재 능기부 등 거버넌스성과 거버넌스한계 도시숲관련, 제도의실효성과실질적인참여미흡 • 「도시공원 및 녹지등에관한법률」에서제시한녹지활용계약, 녹화계약등은 시민들의자발적인사유공간녹화유도가목적이지만실질적인참여미흡 • `15년 제정된 「 서울특별시도시녹화등에관한조례 」의 경우, 제정된 지얼 마 되지않아제도의인식도가낮음. 제도활성화위한행정절차의편리성, 정 책결정자의적극적인의지, 예산확보, 시민을선도하는행정을펼칠필요있음 • 도시숲사업은 특히조성이후가 중요하지만, 조성녹지의변화파악을위한 장기모니터링, 민간유지관리참여제도의실천의한계, 공원녹지의시민자치, 자발적인행정지원 등 다수의한계발생
성과 도시공원녹지 총량확대 (식생증가, 녹화면적증대) 도시숲거버넌스 강화와확산 (도시녹화관련 제 도, 네트워크, 조직 의 확산) 필요에맞는 도 시 근린공원 유휴부지재생 (인덱스가든, 어린 이정원, 에코존 등) 공공녹지매개 사회적가치창출 (그린리더양성, 녹 색커뮤니티지원, 공간활용방안 제시) 나무 2,116,320 그루 초본 314,363 본 면적 423,270㎡ 그린트러스트지방 3개 발족 4개 지역 도시숲정원유형 10개 19개소공원 12개소사업지발굴 숲 콘텐츠 97개 개발 영상콘텐츠 6개, 3,873회 시민참여144,194명 자원봉사329,416시간 660명 그린리더양성 관련분야녹색일자리창출 도시숲민간자 본 투자-지방정 부 예산절감 (전문가참여, 시 민 봉사, 기업 사 회공헌) 68개 기업 4,900,151,233원 02 서울그린트러스트도시숲운동분석 26
녹지지속성 유지관리 (도시개발, 관리부 재에의한멸실, 관 련제도실효성) 사업지발굴의 접근방식, 어려움 (코로나후시대변화, 거버넌스약화, 선정 기준, 구체적 DB 부재) 나무심기성과 중 심 임팩트수요 (녹지총량외 가치의다양성지향, 지표개발필요) 한계 “도시숲조성이후, 개발, 유지관리부재로인한한계” -도시숲 및 공원녹지확충, 재생효과상실 (특히주거지, 공동체사업지경우) “사업대상지발굴의한계, 선정기준, 당위성의어려움존재“ “도시숲관련, 제도의실효성과실질적인참여미흡” “사업효과성환경분야 외 성과검증가능한명확한지표, 임팩트부재“ “ 조성 후, 녹지의 변화 파악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 한계” 조성비중심의 예산편성 (조성비:유지보수: 프로그램=5:2:3) 앞으로의도시숲운동은보다지역사회밀착형으로, 새로운부지발굴보다는재생이필요한생활권노후공 원녹지개선으로전환해보자는문제의식과공감대형성[ ] 생활권노후 공원녹지진단 02 서울그린트러스트도시숲운동분석 27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도시공원결정개소현황(2021) [출처] 전국도시공원정보표준데이터 | 공공데이터포털 (data.go.kr) 서울시구별 1인당공원면적 [출처] http://parks.seoul.go.kr20.00 40.00 60.00 80.00 계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공원율(%) 1인당공원면적(㎡) 1 인당 도보생활권공원면적(㎡) 지자체에따라공급되고있는공원의개소및면적격차가심함 서울시내에서도구별공원면적차이가존재 공원녹지공급의불균형 공원율과 인당 공원 면적이 모두 높음 공원율과 인당 공원 면적이 모두 낮은 편 다른 수치는 높으나 인당 도보 생활권 공원 면적이 현저히 낮음 공원녹지공급현황 공원률, 1인당 공원면적 도보생활권 공원 모두 가장 낮음 28
노후생활권공원증가: 20년이상경과 34% (서울시경우전체의 69%)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경과연도별생활권공원개소현황 34% 2018년기준 20년넘은공원의수 (면적기준 33%) 66% 2018년기준 10년넘은공원수 69% 91% 특히서울시경우노후공원의비율이높음 20년이상경과공원수전체의 69%, 10년이상은 91% 5년 이내 5~10년 10~20년 20~30년 30년 이상 경과연도별생활권공원개소현황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29
법정생활권공원중어린이공원/비법정생활권녹지중마을마당현황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 어린이공원공급, 자치구별격차크게발생 (주거지, 신도시개발지인강서구 122개소, 도심중구-종로는 16, 20개로 6배이상차이) • 마을마당은서울시에서정책적으로추진하고지정하였으나사후관리미비인곳이많음(구로구의경우예산부족으로방치) 구로구개봉1동 마을마당(155㎡ / 구유지) 구로구고척1동 마을마당(103㎡ / 구유지) 서울시어린이공원현황 [출처]서울기록원카탈로그북 Vol.2 2021 30
비법정생활권녹지중공개공지현황 • 도심생활권공원녹지가운데가장밀접한장소 공개공지는 “공공공간이부족한도심지에서공공에게쾌적한도시환경을제공하는목적으로법, 제도적으로지정, 설치하는공간 (건축법제43조) • 1991년제도도입이후, 전국적으로 4,671개(2020) 공개공지설치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참조) • 주로수도권(특히서울시),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연계하여입지 • 도입취지에부합하지않는불법점거, 상행위, 용도불명등민원다수발생 • 대지안의조경, 가로녹지와통합하는접근필요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31
32 공원수요의변화로생활권공원에대한이용자만족도저하, 재정비수요발생 (출처: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9556) • 인구및가족구성의변화(1인가구-소규모가족증가, 반려동물수요증가등)에따른공원이용행태변화 (다양한여가활동및교육, 복지의장소) • 코로나이후, 도심녹지공간이용률 51% 증가. 도시민의여가및야외활동장소이용증대(국립산림과학원, 2021) • 도시인프라의변화, 지역사회와인구집단의특성, 공원이용객의사회적요구를반영한공원재정비및이용서비스개선필요 (출처: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9556) 코로나발생전후, 대표공원녹지의이용행태변화 문화이벤트활동형에서자연녹지감상-체험형으로 동적활동에서정적활동으로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33 노후도시공원리모델링관련연구및지자체노후공원리모델링사업증가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 정부/지자체노후공원리모델링관련연구활성화 발행처 제목 국토해양부(2011) 미래지향적저탄소녹색성장형도시공원리모델링연구 조경두(2012) 구도심권노후공원의활성화를위한주제공원조성방안 연구 김용국외(2019) 포용적근린재생을위한공원정책개선방안연구 정수진(2020) 수원시노후도시공원재생방안연구 김용국외(2020) 민관협력을통한노후공원재정비및관리운영방안연 구 명우성외(2021) 근린공원노후도진단체계구축연구(서울시를중심으로) • 지자체별공원리모델링사례(리모델링사유와내용중심) (출처: 명우성 외, 2019, 근린공원노후도진단체계 구축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조경학과)
서울시양천구 5대공원재생사업추진사례 (2019년~) 34 공원명 양천공원 파리공원 오목공원 신트리공원 목마공원 기존배치도 계획안 배치도 면적 (m2) 33,797.9 29,619.3 21,470.4 16,409.3 12,816.8 업체명 구청문의 ㈜바이런 스튜디오 loci ㈜바이런+Studio201 ㈜바이런+Studio201 핵심목표 - 크고작은잔디원형 셀 조성 (이용규모와목적 따라구분) - 복합건축물설치 – 공간 활용도증가 - 구민의견반영프로그램 구성 - 조형물/프랑스식자수화 단 유지 – 상징성계승 - 순환산책로재정비 - 친수공간보완 - 스카트퍼걸라설치 -
-
망공간) -
토어
) -
/
프로그램존중 -
-
-
및 개방성 확보 - 현재공원골격/중요프 로그램존중 - 공원중심시설배치 - 잔디마당확장 및 개방성 확보 - 공공성강화 민선 7기대표구정사업으로 <양천구정원도시> 추진. 주요 5대대형공원재생사업시행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주민커뮤니티공간설치 - 아카이빙전진행 - 중앙부회랑도입 - 기존흔적보존 – 중앙부 입체적 ‘회랑'도입
회랑상부 (이동통로+전
가설공간설치 (팝업스
, 마을장터 등
현재의공원골격
중요
시설재배치
공원중심시설배치
잔디바당확방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양천구 5대공원재생사업추진(2019년~) 35 목동중심축 5대공원리모델링(파리공원/양천공원)
03 생활권노후공원현황 생활권노후공원의재정비를위한공공만의노력한계 36 서울시도시공원관련예산은 2.01% (시예산대비푸른도시국예산, 참조:고하정(2020)) 지자체별재정자주도(19년, 74.2%) 및재정자립도(19년, 51.4%)는하락추세 생활권공원재정비를위한재원투입규모축소, 정책우선순위에서도하락 <기간별예산추이> 0 5000000 10000000 15000000 20000000 25000000 30000000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1995~1998 1999~2002 2003~2006 2007~2011 2012~2018 푸른도시국예산(누계) 도시공원조성예산2 서울시예산 백만원 외부재원투입을통한재정비필요
3 서울그린비전 2040 01 글로벌그린정책동향 02 서울그린비전 2040 03 추진방식
유럽연합(EU) • Urban planning for resilience and health, 2022 -도시
38 뉴욕, 미국 •
,
-8
:
,
,
, 건강한삶,
,
01
OneNYC 2050 [출처] https://onenyc.cityofn ewyork.us/
, 회복력, 환경 및 건강: COVID-19 대유행은정부와시민에게건강, 도시환경, 주택, 공공기관, 기본서비스 , 기반시설, 교통간의연결강조 -도시회복력과건강을위한정책결정에관한핵심메시지 Conceptual diagram categorizing thethree interconnected Action areas [출처]Urban planning for resiliencs and health:key messages
그린뉴딜
OneNYC 2050
개의비전목표
활기찬민주주의
포용경제
번성하는지역사회
교육의평등및우수성, 살기좋은기후, 효율적인이동성
현대적인인프라 -건강불평등해소되고모든거주자들이번영할 수 있는동등한기회부여 -모든시민들에게접근성 및 합리적인양질의의료서비스보장, 건강 및정 신 건강문제해결로형평성개선
글로벌그린정책동향 도시정책으로서포용, 회복탄력성, 건강에중점
39 캔버라, 호주 빅토리아, 캐나다 • Urban Forest STRATEGY, Canberra 2020 -탄력적이고지속가능하며변화하는기후에서건강한지역사회에 기여 -2023년까지 25,000그루의나무식재 -2045년까지캐노피 30% 달성 -뛰어난수목및생물다양성또는생태문화가치가높은수목보호 • Tree and
-도시숲의약75%는사유지, 25%는시유지로도시숲을구성
01 글로벌그린정책동향 https://www.victoria.ca/EN/main/ residents/parks/urbanforest.html Tree Canopy 2013 and 2019 지속가능한도시숲계획수립_도시캐노피증진에중점
Urban Forest
, 29%의도시전체의캐노피제공 -도시캐노피대상을개발하고생태계서비스데이터구축 - 나무심기와보존이니셔티브가필요한지역의우선순위정함
40 런던, 영국 멜버른, 호주 01 글로벌그린정책동향 생활권주변의녹지범위와다양성을증가시키는도시숲계획 • London Urban Forest Plan / NOVEMBER 2020 -도시숲을보호, 관리및확장하는데필요한목표와우선순위설정 -캐노피늘리기: 거리, 공원, 녹지지역을총괄한계획 • Urban Forest Strategy 2012-2032 -22% 공공영역캐노피, 2040년까지 40%로증가 -도시숲다양성증가, 5%에서 20%로수목종다양화
41 01 글로벌그린정책동향 캠브리지, 영국 • City of Cambridge, Urban Forest Master Plan(UFMP), 2020 -도시숲의가치 1) 형평성 : 현재부족한공간의캐노피설치 (소수민족, 노약자, 비영어권자 및 저소득층밀집지역) 2) 회복력:공공영역에서캐노피커버개선, 열섬을줄이는 “쿨 코리더” 조성 3) 공동책임 : 토지소유자에게인센티브제공 형평성, 사회적취약계층에대한배려를강조한도시숲계획 보스턴, 미국 • BOSTON URBAN FOREST PLAN / March 14, 2022 -Equity First _ 캐노피부족, 역사적배제, 사회적취약지역에집 중투자및개선 : 역사적으로배제된지역사회, 사회적으로취약한사람들이집중된 장소, 상대적으로캐노피가낮은지역에우선순위 : 사회적으로취약한주민들이나무를보호하고돌볼수있도록지원
Healthy City Healthy Forest
42 01 글로벌그린정책동향 불평등해소를위한관심증대와전략수립 로스앤젤레스, 미국 • Los Angeles Urban Forest Equity Streets Guidebook, 2021 -저소득, 유색인종커뮤니티의녹지공간부족 :폭염, 악화된공기질, 홍수를포함한환경모욕에대한불균형적인노출 -도시캐노피불평등해소목적: 50% 향상목표 뉴욕, 미국 • Park Equity plan for New York City (by Trust for Public Land) - 뉴욕시 100% 거주지로부터보행 거리 10분 안에 공원 위치(현재 99%) - 불투수학교마당을녹지커뮤니티놀이터로리모델링(100개 선정,시행) - 녹지불평등 갭 줄이기 ▶녹지 접근성 맵핑 후 공원 조성 우선 순위 제안
43 시민참여와종다양성증진을위한가이드라인을통한실천 필라델피아: 나무심기실천프로세스 펜실베니아원예협회: 종다양성가이드라인 01 글로벌그린정책동향 • Value of Tree Programs, Philadelphia - 매년 2,000그루이상의나무를심는자원봉사자 6,000명 이상교육 - 최적의 수목캐노피 적용범위는토지면적의 30%임, 필라델피아시는 20%에 불과하고일부지역은 2.5%에 불과함 - 녹음이우거진부지근처주민들은우울감이 40% 감소, 총기폭력이 29% 감소 1. Trees provide more than just shade. 2. Tree Tenders help communities build social connections, 3. Tree improve health and well-being. 4. Working together to increase the region’s tree canopy. • Pollinator Gardens_PHS(Philadelphia Horticultural Society) - 꽃가루매개자 중요성: 야생동물정원은나비, 새, 벌 같은수분매개체지원 ▶ 꽃가루매개자정원혜택 - 음식, 물, 쉼터 및 새끼를키울장소를제공하여야생동물서식지확장 - 더 적은물로장기간유지관리 - 꽃가루매개자개체군에피해를주는살충제나비료불필요 - 공기질개선 - 이웃과지역사회를미적기능향상 - 잔디제거로인한 물 침투증가 및 범람감소 및 기타압축된표면적축소
, 농생물다양성 입증, 새로운서식지생성, 다기능녹지개발, 도시기후개선, 경제녹지유지, 시민들의도시개발활성화 -고용된장기실업자들은소중한일을하고녹지관리와유지에참여 -지속가능성, 퍼머컬쳐
44
, 긴밀하고자립적인커뮤니티,
품 경제, 탄력있고지속가능한식품시스템, 공공녹지공간관리 • Eatable City -다기능적 접근: 생태적, 경제적, 미적기능동등하게지원목표 -시민들이자유롭게이용할 수 있는채소밭과기타유용한식물구역 - 식용도시의긍정적인영향 : 유용한식물간의다양한촉진
및 건강한영양소개 등 교육적동기도포함 01 글로벌그린정책동향 먹거리와연계_ 다기능적접근 식품탄력성 [출처] https://ccc.govt.nz 식용 및 지속가능한정원어워드 [출처] https://ccc.govt.nz 먹을 수 있는도시 [출처] https://www.connective-cities.net/gute-praktiken-details/gutepraktik/andernach- die-essbare-stadt
크라이스트처치, 뉴질랜드 안데르나흐, 독일 • 먹을수있는정원도시, Edible Christchurch -재배된 음식을 접할 수 있는 세계 최고 먹을 수 있는 정원도시 목표 - 식용 및 지속가능한정원어워드(Edible and Sustainable Garden Awards) - 캔터베리원예협회(Canturbury Horticulture Society)와 파트너십 - 집에서재배가능한음식 및 재배가이드제공, 커뮤니티가든운영 - 도시식량지도, 식용공원, 파머스마켓, 학교정원 등 프로그램운영 - 식품탄력성지원 :건강과웰빙
평생학습, 번성하는지역 식
45 01 글로벌그린정책동향 도시숲운동의확산_도시간정책적협약프로그램 < Trees in Cities Challenge> • 2019년유엔유럽경제위원회(UNCE)에서도시와도시주변의나무, 숲복원-확충을위한이니셔티브시작 • 전세계도시(도시대표인시장)에게식재서약을하고, 이를정책목표에반영하도록요청 • 서약에참여하는도시간의연대를독려하고, 도시간정책및사업을공유하며, 실질적인혜택을검증하는역할 • 도시숲운동의다방면성과, 혜택을공유하고실천성과를모니터링 • 유네스코 2030 SDGs 목표에부합하는지표제시 50개이상의도시참여 약 1,120만그루식재서약 (2022년 1월기준) 전체목표의 74.1% 인 810만그루신규식재확충달성 (2021년 1월기준) •Tree-Tracker 어플을개발 •실시간업데이트 •시민들은나무의수종, 위치, 사 진을이메일로정보제공 •도시숲활동모니터링리포트 발 간(2020년) •나무심기이니셔티브참여를 독 려하는전용웹사이트개설 •도시의자연회복을위한녹색도전 인 RetoVerde 캠페인추진 Best Practice (https://treesincities.unece.org/about-trees- cities#sthash.dbiWW6Yr.dpbs)
46 01 글로벌그린정책동향 소결 _ 주요키워드 도시나무캐노피 형평성 접근성 건강 나무량늘리기 안전 연계 먹거리 종다양성증진 기후변화 탄소저감 다기능 회복탄력성 취약계층 What Does Green Infrastructure Do for Us? Connectivity Access to Nature Multi-functionality Ian Mell( 2019 ) Concise guides to planning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도시나무캐노피개념과측정방법 - UTC(Urban Tree Canopy) _미산림청 : 도시나무캐노피는위에서볼때나무의잎, 가지및줄기층을측정 Public Street Tree Inventory [출처] https://www.boston.gov - 하향식방법 : 위성, 비행기, 드록을활용한이미지 : 양적변화파악에유리 2009년과 2014년의도시캐노피변화 [출처] Tree Canopy in Cambridge, MA:2009-2014 - 상향식방법 : 지상에서수집한현장데이터기반 : 수종. 상태파악가능 47 02 서울그린비전 2040
도시나무캐노피측정의기대효과
한국의캐노피관심과연구
-Canopy: 수관층 (2019년신규사업(미세먼지저감) 도시숲조성·관리지침, 국립산립과학원) 수관피복 (도시숲조성·관리연구, 산림청, 김민지) 임관, 많은수관이서로붙어있거나겹쳐져있을때전체를말함. 숲지붕이라고도함
(산림청산림임업용어사전) - Canopy cover: 임관피복도, 수관의수직투영에의해덮히는산림지면의비율 (산림청산림임업용어사전) - 연구사례: 가로수의 생태학적 평가를 위한 i-Tree Eco 적용(나영린 외, 2022) i-Tree Eco와Google Map을 활용한수원지역위성사진 [출처] 나영린외(2022) 가로수의생태학적평가를위한 i-Tree Eco 적용 48 도시나무캐노피접근의차별점 법정/비법정, 공적/사적구분없이분포도파악 취약지역및우선순위판단 시기별변화를비교함으로써요인과문제점분석 단, 비용(하향식), 인력과시간(상향식)이수반됨 02 서울그린비전 2040
녹지량의증대 서울그린비전 2040 수립의필요성 서울그린비전 2020 서울그린비전 2040 펜데믹과기후위기로인해 실천력이수반되는 새로운비전수립필요 02 서울그린비전 2040 49 생애주기별 녹색서비스 강화 서울그린비전 2030
50 02 서울그린비전 2040 형평성과지속가능성을위한서울그린비전 2040 도시를살리는 가까운 숲 , 풍성한 숲 모두에게공평한 공원녹지서비스제고 기후위기에대응하는 그린인프라구축 생물다양성을위한 녹지질개선 리모델링 발굴 연계 구-동단위대상지적용검토 공원/그린인프라리모델링 (개념, 시설, 식물, 기능) 법적공원을넘어서는 생활밀착형그린대상지발굴 공원/그린인프라자원의연계 미션 목표 전략 추진 방식 리서치/상세계획/전술적실행의순환체계
03 추진방식 실천을위한 상세계획수립(P) 시민협력모델의 다각적실행 (T) 민관협력의 리서치 (R) 형평성과지속가능성을위한 추진구조 (RPT strategy) 지속성있는그린비전실천을위한구조로접근: 리서치(R)-계획(P)-전술(T) 패키지실행 리모델링/발굴/연계 파트너쉽과공모 구/동 단위의 도시숲전략계획 51
공원녹지부족한지역을대상으로 공원녹지정책기본계획수립 기존공원녹지인프라 문화역사자원 생활 SOC 도시계획관련 접근성등의분석 다양한유형의 리모델링 생활밀착형대상지 발굴 자원간의 연계 계획 로드맵을통한우선순위선정 유형에따른적합한전술(T) 적용 형평성을고려한도시숲비전실천 민간협력의리서치 (R) 상세계획수립 (P) 기대효과 03 추진방식 방법및기대효과 52
20.00 40.00 60.00 80.00 계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공원율(%) 1인당공원면적(㎡) 1 인당 도보생활권공원면적(㎡) 서울시구별 1인당공원면적 - 산업단지에서주거지로의전환과도기; 구로구전체면적의 34.6%(6.97㎢)가 준공업지역
-
03 추진방식
[출처] http://parks.seoul.go.kr 53
, 서울의대표적인공업도시
개발지역과미개발지역의격차가큼; 오류동, 궁동지역개발제한구역 (4.96 ㎢, 구면적의 24.6%) - 영등포교도소구치소등도심부적격시설이위치 - 안양천을경계로동서로생활권이나누어져있어지역간연계체계가미흡 - 개발지역(신도림역주변)과기존주거지역과의격차심함
파일럿대상지 _ 서울시구로구
동서분리, 생활환경 격차 문화예술 인프라 부족 공원녹지 분포 불균형 예산, 지원 부족 03 추진방식 구로구생활권공원녹지현황: 리서치(R) 54 파일럿대상지 _ 서울시구로구
1 2 7 3 4 5 6 03 추진방식 구로구생활권공원녹지: 리서치(R) 55
연결보도가로정원 교통섬 : 지속적관리가 능한정원으로조성 분리된거리공원과도림천연계 ② 근린공원: 종다양성증진 ① 도림천: 그늘식재 03 추진방식 구로구생활권공원녹지: 계획(P) 56 파일럿대상지 _ 서울시구로구
가로정원연계 공개공지&가로정원연계 보행환경개선: 가로수식재 등 보행환경개선: 가로수식재 등 ③ 구로리어린이공원공원 :캐노피증진 ④ 도림로: 가로정원 ⑥ 공개공지 : 가로녹지와연계 ⑤ 구로사회복지관 :주변보행로개선 03 추진방식 57 파일럿대상지 _ 서울시구로구 구로구생활권공원녹지: 계획(P)
- 마을마당현황: 좁은골목과주거지사이의 105㎡ 의 공간으로자전거보관공간으로활용 중 - 정원형으로조성하여마을주민의관리를유도하고어린이집프로그램과연계 현황 현황 조성예시 조성예시 어린이집과프로그램공유 ⑦ 마을마당 : 정원조성 03 추진방식 58 파일럿대상지 _ 서울시구로구 구로구생활권공원녹지: 계획(P)
파일럿대상지_서울시동대문구20.00 40.00 60.00 80.00 계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공원율(%) 1인당공원면적(㎡) 1 인당 도보생활권공원면적(㎡) [출처] http://parks.seoul.go.kr 출처 |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60716200001190 <2022년 촬영한서초구양재시민의숲과동대문구제기동전경> • 서울시구별 1인당공원면적 출처 | https://urban.seoul.go.kr/view/map/main.html?sggCd=11230 • 동대문구토지이용현황도 03 추진방식 59
[출처] https://www.ddm.go.kr/ddmmap/contents.do?key=1628
[출처] 동대문구청제공자료
[출처] 동대문구 2035 장기발전종합계획(2018)
파일럿대상지
03 추진방식 60
• 연령별인구분포 • 동대문구도시공간구조구상(안) • 동대문구공원현황도
_서울시동대문구
파일럿대상지_서울시동대문구 장안근린공원리모델링 중앙녹지및가로정원조성 중랑천둑방길 도시캐노피증진 주변학교와연계 둘레정원조성 배봉산-중랑천-장안근린공원을연계하는그린네트워크(가제) 03 추진방식 서울시립대와연계 정원지원센터건립 61
4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 01 실행계획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3 실행전략
01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 서울그린비전 2040 도시를살리는 가까운숲, 풍성한숲 비전 3대 목표 3대 전략 서울그린비전 2040 실행계획 (도시)나무지붕프로젝트 추진과제 1 추진과제 2 추진과제 3 3개 추진과제 및 10개 핵심사업발굴 모두공평한공원녹지서비스제고 공원-그린인프라리모델링 기후위기대응그린인프라구축 생물다양성위한녹지질개선 생활밀착형그린대상지발굴 공원-그린인프라자원연결 지속가능한공원프로젝트 공원사업 ESG 성과지표개발연구 63
추진과제 1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도시)나무지붕프로젝트 Urban Tree Canopy Project 목표 추진전략 폭염으로부터안전한도시, 새가날아드는가로와광장 수량에서면적으로 위기지역의발굴 연결과다양성추구 도시숲운동과사업의그간성과는나무심기총량으로측정해왔으나, 나무심기양적확대에서 질적확대로의전환이요구된다. SGT는 기존의나무심기운동을유지하되수목밀도와대형 교목을늘리는토지피복도를사업의새로운성과지표로삼아가로수관리 및 도시의교목층 식생확충에주력한다 기후변화가야기한극심한폭염은도시빈민, 사회취약계층의생존을위협하고있다. SGT는 누구에게나공평한녹색서비스확대를위해쪽방촌 등 녹지불균형지역의나무심기를시작하 고, 저소득층아동청소년-한부모가정에게녹색키트를지원하는사업을지속한다. 학교, 공원 , 공원 등 거점장소중심으로진행하였던나무심기를선형-연결전략으로치환한다. 도시그린인프라를연결하고이동과녹색서비스를연결하는 (게릴라) 나무심기운동을전개 한다. 또한, 광장과가로에서단일수종으로경관서비스를제공하는녹지를다양한교목-초화 식재전환을통해풍성한녹지를제공할 수 있도록파트너십사업을전개한다. 64
등 파트너십나무심기수행
• 시민과학자, 자원봉사자와함께심는나무의그린맵구축(온라인위치표시, 관리태그부착, 확대 총 량/토지피복도면적제시 등) • 나무관리가이드라인게시 및 온라인교육서비스제공
교육 정책제안 [사례] Million Trees NYC 캠페인 핵심사업 (신규사업발굴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1 | 나무심기 2.0(Tree Planting) 도시의그린인프라네트워크, 그린코리더관점에서 빈 곳을채우는나무심기사업추진 사업내용 • 생활권공원녹지기본계획또는전략계획에근거한열섬완화필요지역
조사 나무심기 자원봉사
(지점) 발굴 (데이터수집 및 계획수립은공공협력추진) • 기업후원사업, 자체크라우드펀딩
• 1차년도 _ 지역생활권데이터(열섬지도, 녹지빈곤지도) 구축또는데이터구축지원 • 2차년도 _ 사업대상지발굴 및 실행사업 + 수목관리가이드라인구축 및 /온라인교육워크샵수행 • 3차년도 _ 그린맵서비스모니터링지속 사업추진방식/주요사업지 기본계획 전략계획 검토 대상지 발굴 (후보지상시 리스트업) 나무심기 실행 관리 서비스 지원 모니터링 (온라인그린맵 연동) 교육프로그램, 워크샵운영 공간조성 및 수목식재 시민과학자/자원봉사자 모집 지역주체(관리자) 연계, 선정 교육프로그램, 워크샵운영 시민과학자/ 자원봉사자 모집 가로, 광장, 마을마당 등 65 #그린코리더연결, #도시열섬취약지개선, #그린맵(웹앱) 관리, #지역나무입양협약
• 지역사회관리주체선발 및 관리지원교육서비스운영(수목관리 및 데이터모니터링 등)
• 지역구성원과함께심는나무의그린맵구축(온라인위치표시, 관리태그부착, 확대총량/토지피복
핵심사업 (신규사업발굴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2 | 취약지쿨링쉼터조성사업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녹색서비스빈곤지역(대표적쪽방촌, 저소득층밀집주거지)에 쿨링쉼터(이동형플랜터) 조성사업 사업내용 • 사회복지지원조직(센터, 비영리단체 등) 대상공모사업대상지발굴
사회복지서비스와녹색서비스를결합하는거버넌스형파트너십사업추진 기관형공모사업수행 사업추진방식- 협력주체 공공기관 (자치구, 지원센터) X 사회복지 지원 조직 X SGT X 민간기업 (후원사업) 서울시에서 19-20년도수행한장소제약없는새로운형태의공원서비스‘움직이는공원’(Mobile Planter)’ 사업. 광장,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앞등 유동인구많지만나무심기어려운공간위주로설치 총 16개 장소, 주로공공공간중심 그늘쉼터제공, 도심열섬현상 완화, 미세먼지감소, 도시경관개선 등 효과기대 [보도자료] 폭염에도집과거리에서모두, 쉴 곳이없는쪽방촌주민들 (2018.08.20 서울신문) [사례] 서울시움직이는공원사업 (2020.10.19 서울시) 공모 및 교육운영 그린맵구축 대상지발굴 지역주체지원 사업비후원 부지사용 및 관리 지원(협조) 66 #쪽방촌-위기지역발굴, #폭염대비, #마을쉼터, #마을가드너(아보리스트) 양성
도 면적제시 등)
마켓팅 정책제안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사업 (신규사업발굴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3 | (게릴라) 도시숲캠페인 [사례] NYC Plaza Program 도시의광장, 도로를 (일시적으로) 녹색쉼터, 소공원으로바꾸는전술적인캠페인추진 사업내용 • 공개공지, 소광장, 마을마당, 도로 등 녹색서비스가필요한장소에 (일시적) 쉼터와플랜터설치 • 주말또는일정기간에도심광장프로그램 및 이벤트진행
및 관련행정서비스수행 자치구 – 기업 – SGT 민관파트너십실행 (유사사례: 자치구타운매니지먼트사업(영등포, 중구) 등) 사업추진방식- 협력주체 [사례] 무교다동무교테라스 (2019년 조성 및 운영중 ~ ) 공공기관 (자치구,공사) SGT 민간기업 (후원/협력) 부지사용 및 관리 지원(협조) 사업비후원 행사지원 사업실행 MOU 체결 및 사업기획 물리적 공간기획 프로그램, 이벤트개최 전술적녹색쉼터조성 및 운영 물리적 공간조성 (쉼터, 벤치, 플랜터 등) 이벤트, 프로그램운영 (장터, 전시 , 공연 , 교육 등) 이용자 모니터링 (설문조사, 상설 설치의향조사 등) 공간운영 제안 (상설설치제안, 계획수립 등) 67 #도시오프스페이스조성, #소광장-마을마당, #이용자경험기반, #경험이장소로
• 지역사회-이용자대상으로설문조사를진행하여, 공간리모델링수요파악 • 상설설치를위한제반여건마련
[사례] 뉴욕플라자프로그램 마켓팅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사업 (신규사업발굴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4 | 공개공지개선사업 [사례] 일반적인도심공개공지의모습(그늘없는통행로에불과) 민간/공공건축물부지전면공개공지의식생 및 가로수수종을개선하는공간리모델링사업추진 사업내용 • 민간건물주/공공기관(청사, 사회복지기관 등) 대상지발굴 (사업주체발굴 등) • 기존공개공지이용자모니터링수행 (리모델링방향성제시) • 도심종다양성(및 열섬완화
및
민간건물주/기업 – SGT 파트너십협력사업추진 * 협력의형태는기업사옥전면공개공지부지제공, 사업비지원. 각각개별사업후원가능 사업추진방식- 협력주체 공개공지리모델링의경제적, 사회적편익측정중요! ESG 경영의사회적가치창출, 간접이익(가로활성화, 야간보행량증가, 기업홍보 등) 발생예상 68 [사례] 다층교목과초화류식생이조화로운공개공지(우란문화재단, 성수동) #도시숲-쉼터, #민관(Private-Public Partnership), #기업-건물주, #도시생물종다양성
) 식물식재가이드라인
관리방안제시
추진과제 2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지속가능한공원프로젝트 Sustainable Park Project 목표 추진전략 식생자생력을높이고, 에너지소비를줄이고, 폭우에대응하는공원 야생정원 Wild Garden 식용정원 Edible Garden 스펀지공원, 빗물정원 Sponge Park, Rain Garden 도시숲은하나의생태계이다. 그러나대중유행과경관에치중한외래수목과품종은고관리를 요하며자생식물의서식지를밀어낸다. SGT는 토착품종과 이 땅의기후대에서자생력이 강 한 야생정원의확산운동을전개한다. 특히생활권노후공원의식재개선과리모델링을통한 저관리 및 자연기반의지속가능한공원개선을도모한다. 건강한먹거리의관심은건강과웰빙에서 더 나아가에너지소비를줄이는탄소발자국저감으 로 이어지고있다. 도심텃밭과플랜터의확산이공원에서도가능하다. 대안환경운동가들의 실천에서청소년, MZ청년들의 핫 플레이스로자리하고있는식용정원의가치, 사회적임팩트 확산을위하여 SGT는 다양한주체들과연대하여 ‘팜투테이블’ 운동을전개한다. 폭우로인한재해, 침수빈도가급격히늘어나고있다. 공원을 물 저장고로활용하는지혜로운 해법과적극적인실천이중요하다. 우기에물을머금고건기에물을배출하는스펀지공원, 빗 물을머금는빗물정원은전통적인생태환경기법이다. 그러나여기에는섬세하고세밀한접근 과 광역적접근이요구된다. SGT는 작은실천부터 큰 연대까지를아우르며변화를모색한다. 69
마켓팅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조사 핵심사업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5 | 야생정원조성사업 노후생활권공원의식생개선 및 지형리모델링사업추진. 도심기후 변화대응과생태계고려한지형의변화, 식생다양성목표 사업내용 • 기존공간의이용자 및 식생모니터링수행 • 수체계 – 식생천이환경 – 경관요소검토, 제반지형개선 등 • 자생종 및 기존식생천이, 동식물생태계고려한식생개선 • 조성이후, 정원관리운영주체발굴 및 관리지원교육운영 • (옵션) 식재중심의정원공모전연계, 수행 [사례] 대모산야생정원조성 [사례] 수원시지속가능한공원을위한다층식생도시숲조성 [사례] 오산시맑음터공원리모델링 (2022 경기정원문화박람회개최, 작가정원조성)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등 생활권공원 마을마당, 정원 등 소규모녹지 주요사업대상지 민간기업 – SGT –(공공 /자치구) 파트너십협력사업추진 사업추진방식- 협력주체 70 #자생식물서식지, #저관리정원, #자연기반공원
마켓팅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핵심사업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6 | 식용정원조성사업 생활권공원을사회적가치창출의공간으로재편하는임팩트사업을 전개. 단순히식용정원(도심텃밭, 키친가든)이 건강한먹거리창출의 장소로인식됨을지양하고함께 “모이고” –“기르고
마을마당
소규모녹지 주요사업대상지 민간기업
파트너십협력사업추진 사업추진방식- 협력주체 [사례] SGT가 자치구치매센터와함께실행한느슨한가느닝사업(21, 22년) 71 #건강안전먹거리, #탄소발자국저감, #공동체돌봄
” –“마시고먹는“ 일련의행위속에서형성되는공동체, 지역사회, 사회적약자의회복과 성장목표 사업내용 • 사업대상지발굴 • 사회적약자 등 지원/참여대상자선별 • 물리적공간계획 및 정원조성프로세스운영 • 참여대상자교육워크샵진행(이벤트 및 프로그램연계)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등 생활권공원
, 정원 등
– SGT –(공공 /자치구또는치매지원센터 등)
) 폭우시침수대비하여도심하천 및 공원녹지를우수저장고 및 침투지로조성, 리모델링사업추진 사업내용
핵심사업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7 | 빗물정원조성사업 08 | 침수대비 스펀지공원조성사업 공원녹지공급불균형지역가운데침수위험도높은대상지발굴, 빗물정원조성사업지원 특히불투수율높은저층주거지가운데사회취약계층주거안전서비스제공을목표로사업지발굴 사업내용 • 지역침수위험도데이터검토
•
•
및
• 지역광역수순환체계데이터검토 (공공협조, 관련전문가지원) • 침수대비저류지 및 침투지, 우수길계획마련 • 침수에강한식물종가이드라인마련, 식재반영 • 자원봉사자함께침수대비도시숲조성실행, 관리교육실시 민간기업 – SGT – 공공(자치구또는지원센터 등) 파트너십협력사업추진 사업추진방식- 협력주체 민간기업 – SGT –(공공 /자치구) 협력사업추진 사업추진방식- 협력주체 [사례] 저류지조성, 침수강한수종중심의식재 [사례] 공원의물길과빗물정원 [사례] 가로의빗물정원 [사례] 종로구-KT 조성한중학천도시숲 72 #폭우침수대비, #도심물저장고, #투수-침투지
나무심기 자원봉사 교육 조사
(공공협조)
사회취약계층대상사업지 및 지원대상발굴
지역사회자원봉사자모집, 빗물정원조성실행
관리교육실시 (사후모니터링수행
, 공원사업에대한성과측정과가치평가를시도하고자한다. 최근 AI를 비롯한빅데이터솔루션접목과사회적가치확산은도시문제를해결하는공원의다양한가능성과효과를 검증 하는중요한지표가되고있다. 시민사회 , 민간기업, 공공기관 등 다양한주체들과의 협력을 통해도시숲운동을 전개해
추진과제 3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공원사업 ESG 성과지표연구개발 Park project ESG KPI R&D 목표 데이터기반, 사회적임팩트를높이는연대와협력모색 도시공원은기후위기와 포스트 팬데믹시대에더욱중요한그린인프라이다. SGT는 지속가능성과형평성을과제로하는 다양한녹색서비스확산과도시숲운동을전개하기위하여
온 SGT는 ESG
. <뉴욕시도시숲총량확대를위한데이터기반실천, 연구사례들> [사례] 뉴옥시가로수데이터목록화사업 [사례] 뉴옥브르클린지역의그린코리더열섬완화측정지도 73
대전환시대를맞아효과성있는실천을담보하는기초연구와협력주체발굴을강화해나간다
핵심사업 (신규사업발굴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09 | ESG 전략성과관리지표개발 도시공원녹지조성 및 운영관리전반의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부문실행, 성과관리지표수립 [사례] 파타고니아 ESG 경영전략 E | 환경 S | 사회 G | 지배구조 환경경영 온실가스 원부자재 에너지 물/ 수순환 폐기물 오염 종다양성 사회통합 포용성 건강 안전 지역상생 소통 네트워크 투명 경영 고용창출 사업내용 • 시민참여(시민과학자협력 등) 기반의데이터수집기초 • 기업-공공기관 ESG 경영전략 및 지표연계가능한 KPI 도출(지역사회공헌, 인력육성 등 사회적가치창출) • 연계가능한협력주체발굴 및 파트너십모색 (예시) 지표구성 및 핵심아젠다 민관협력형기초연구과제수행 (지원사업공모, 후원사업펀드마련 등) 사업추진방식- 협력주체 (사례) YK 지속가능보고서 마켓팅 정책제안 조사 74
마켓팅 정책제안 조사
서울그린트러스트와함께도시공원의친구가되어주세요!
핵심사업 (신규사업발굴중심으로) 02 추진과제 및 핵심사업 10 | 데이터기반매칭-협력사업 녹지공급부족지역의데이터구축(자원봉사, 시민과학자협력 – 그린맵캠페인연계), 사회취약계층수요데이터구축을통해기업니즈가있는후원사업매칭 사업내용 (사례) 구글제공하는 ‘트리캐노피 랩‘ (AI와 위성지도로 미 도시의토지피복도 데이터를제공) (사례) SK재단이시행하는 2022 ‘생물다양성데이 터 분석 및 아이디어제안경영‘ • 녹지공급부족지역의데이터구축(자원봉사, 시민과학자협력 – 그린맵캠페인연계) • 사회취약계층수요데이터구축을통해기업니즈가있는후원사업매칭 민관협력형기초연구과제수행
(지원사업공모, 후원사업펀드마련 등) 사업추진방식- 협력주체 75
76 서울그린트러스트와함께도시공원의친구가되어주세요! 서울그린트러스트는시민참여를바탕으로서울시생활권녹지를확대 및 보존하고쾌적한도시환경을만드는비영리재단법인입니다. 2003년 (사)생명의숲국민운동과서울시간에서울그린트러스트협약을체결하여‘서울그린비전 2020’을 바탕에두고출범하였습니다. 같은 해 5월, 국내최초로시민들이기금을모으고나무를심어서울숲공원만들기에참여함으로써시민참여형공원조성사례를실현하였습니다. 현재는시민과기업의자원봉사를통한도시숲과도시공원가꾸기를진행하며, 다양한학술행사를진행하는 등 도시공원에대한시민들의인식개선과 도시의녹색가치를실현하는다양한활동을지속해가고있습니다. 천만시민모두초록의기쁨을누릴 수 있도록서울그린트러스트가함께합니다. www.greentrust.or.kr 서울특별시성동구서울숲길 53(심오피스), 3층 | T. 02-498-7432 | E. hello@greentrust.or.kr 도시공원운영 녹색공간조성· 관리 녹색커뮤니티지원 녹색문화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