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의친구들] 공원봉사활동 가이드북

Page 1

| 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 |

공원봉사활동이 낯선 봉사자를 위한 안내서


(재)서울그린트러스트 소개

(재)서울그린트러스트는 시민참여를 바탕으로 서울시 생활권녹지를 확대 및 보존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드는 비영리 재단법인입니다. (재)서울그린트러스트는 서울숲컨서번시라는 수탁운영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서울숲 공원을 운영하고, 공원의친구들을 통해 시민의 자원봉사를 통한 도시숲과 도시공원 가꾸기를 진행하며 도시공원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개선과 도시의 녹색 가치를 실현하는 다양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2

3


목차

제 1장.

가이드북 소개 및 준비물

제 2장.

도구 소개

제 3장.

공원 봉사활동 10가지 1

쓰담쓰담(쓰레기담기)

2

먹고 만들고 기부하라(친환경 비료 만들고 공원에 기부하기)

3

잡초쏙쏙(잡초제거)

4

떨어진 낙엽 정리하기

5

꽃과 나무 심기

6

가지치기

7

유해식물 제거하기

8

오일스테인칠하기

9

열매채취금지캠페인

10 공원 모니터링

부록

활동 일기


가이드북 소개 및 준비물

1 6

7


가이드북 소개

준비물

<봉사자 준비물>

공원봉사활동 가이드북은 봉사활동을 시작하는 봉사자들을 위한 안내서입니다. 공원에서 자주 진행되는 활동을 중심으로 봉사활동이 필요한 이유, 봉사 순서 및 방법, 알아두면 좋을 주의사항과 꿀팁 등을 소개합니다.

모자

어떤 활동인지 감이 오지 않거나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짝 맛보고 싶다면 공원 봉사활동 가이드북을 꺼내보세요. 공원을 위한 봉사활동이 즐겁고, 어렵지 않은 시간이 되기를 바라요. 마실 물

공원에서의 봉사활동을 통해 여러분의 일상에도 활력이 넘치고,

즐거운 마음

뿌듯한 시간이 될 거에요. 공원은 여러분의 사랑과 관심이 항상 필요해요. 편안한 복장 (긴팔/긴바지)

운동화

8

9


도구 소개

2 10

11


도구 소개

장갑

팔토시

삽/모종삽

호미

식물(꽃, 나무)

안전사고나 풀독, 해충 등에서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해요.

식물심기, 전정활동, 유해식물 제거 시 팔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해요.

식물 심기를 할 때 땅을 파고 흙을 덮는 용도로 사용해요.

땅을 파고, 잡초를 뽑는 등 다양한 활동에 사용해요. 끝이 날카롭기 때문에 사용 시 주위를 잘 살펴요.

전지가위

갈퀴

빗자루

봉투(자루)

전정활동 시 나뭇가지나 줄기를 자를 때 사용해요.

가위로 잘리지 않는 두꺼운 가지는 톱을 사용해요. 날 끝을 만지거나 스치지 않게 주의해요.

나뭇잎, 풀, 돌 등을 긁어 모을 때 사용해요.

낙엽이나 활동 후 부산물 등을 쓸어 모아요.

부산물을 담거나, 쓰레기를 주워 담을 때 사용해요.

퇴비

바크(파쇄목, 우드칩)

오일스테인+붓

식물에게 부족한 영양분을 공급해요.

식물을 심고 난 후 흙 위에 덮어줘요.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고 추위와 더위로부터 뿌리를 보호해요.

목재 벤치와 테이블에 칠하면 방수, 방목 기능을 해요.

* 활동 시 주의할 점 - 도구 사용 시 다치지 않도록 사용법을 잘 숙지하고, 봉사자 간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활동해주세요. - 봉사활동 중 다쳤을 경우 담당자에게 즉시 알려주세요.

12

13


공원봉사활동 10가지

3

1

쓰담쓰담(쓰레기담기)

2

먹고 만들고 기부하라 (친환경 비료 만들고 공원에 기부하기)

14

3

잡초쏙쏙(잡초제거)

4

떨어진 낙엽 정리하기

5

꽃과 나무 심기

6

가지치기

7

유해식물 제거

8

오일스테인칠하기

9

열매채취금지캠페인

10

공원 모니터링

15


공원봉사활동 1

쓰담쓰담

● 참여 방법

• 봄 / 여름 / 가을 / 겨울

1

2

3

활동에 필요한 장갑, 봉투를 준비해요.

쓰담 봉투를 들고, 공원을 걷거나 뛰어요.

곳곳에 숨어있는 쓰레기를 찾아요.

4

5

6

쓰레기를 주워서 봉투에 넣어요.

공원 한 바퀴를 돌면서 쓰레기를 주워요.

공원 내 쓰레기통에 일반/재활용 분리수거해요.

• 누구나

걷거나 달리면서 쓰레기담기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가족, 아이, 반려견과도 할 수 있는 공원봉사활동이에요. ‘쓰담쓰담’은 공원을 걷거나 달리면서 쓰레기를 줍는 환경정화운동인 플로깅(Plogging)의 우리말로, ‘쓰레기 담기’의 뜻과 함께 ‘쓰담쓰담하다’처럼 환경을 보듬는 의미도 담겨있어요. ● 좋아요 - 나에게 좋은 점: 몸도 마음도 건강해져요. 깨끗한 공원을 이용할 수 있어요. - 공원에게 좋은 점: 공원이 깨끗해져요. 동식물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요. ● 준비물 장갑 (또는 집게), 쓰담 봉투 ● 활동 꿀팁 - 화단 속 식물 사이 사이에도 쓰레기가 숨어있어요. - 집에 있는 모든 봉투는 ‘쓰담봉투’가 될 수 있어요. 굴러다니는 봉투를 쓰담봉투로 재활용해요. - 음료가 들어있는 경우 내용물을 버리고 분리수거해요. ● 주의 사항 - 날카로운 조각에 다칠 수 있으니 장갑이나 집게 등 도구를 활용해요. - 활동이 끝나면 근처 화장실에서 손을 깨끗하게 씻어요.

16

17


공원봉사활동 2

먹고 만들고 기부하라 친환경 비료 만들고 공원에 기부하기

● 참여 방법

• 봄 / 여름 / 가을 / 겨울 • 누구나(어린이는 어른과 함께해요)

1

2

3

바나나 또는 달걀을 맛있게 먹어요.

바나나 껍질 또는 달걀 껍데기를 모아요.

껍질과 껍데기는 깨끗이 씻어 통풍이 잘 되는 곳에 3일 이상 말려요.

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를 활용하여, 공원의 꽃과 나무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비료를 만들고, 공원에 기부하는 활동이에요. ● 좋아요 - 나에게 좋은 점: 바나나와 달걀을 먹고 건강해져요.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해요. - 공원에게 좋은 점: 꽃과 나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영양분이 돼요.

*달걀 껍데기 안의 흰 점막은 꼭 제거 해주세요.

● 준비물 바나나껍질 또는 달걀 껍데기, 절구 또는 믹서기, 비료를 담을 용기

4

5

6

절구나 믹서기를 활용하여 가루로 만들어줘요.

비료는 용기에 담아 밀봉하고, 만든날짜와 재료명을 적어요.

공원에 방문하여 제출해요.

● 활동 꿀팁 - 비료를 보관하는 용기는 유리병이나 생수병 등을 재활용해보세요. - 껍데기를 씻을 때 베이킹소다를 사용하면, 더 깨끗하게 씻을 수 있어요. - 바나나껍질을 전자렌지에 돌리면 빨리 말릴 수 있어요. 전자렌지를 사용할 때는 위험할 수 있으니 한번에 오랜 시간 돌리지 않고 1분~2분씩 나눠서 바싹 마를 때까지 돌려주세요. - 비료 사용 방법: 우리집 화분에도 비료를 사용해보세요~ 화분의 흙을 조금 파낸 후, 비료를 뿌려줍니다. 흙을 조금 덮고, 그 위에 물을 충분히 줍니다. 비료가 과하면 식물에 좋지 않으니, 조금씩 뿌려주세요. ● 주의 사항 - 날달걀에는 살모넬라균이 있을 수 있어요. 만지면 꼭 손을 씻어주세요. - 믹서기를 사용할 때는 안전에 유의해주세요. 어린이는 어른과 함께 사용하세요.

18

19


공원봉사활동 3

잡초쏙쏙

● 참여 방법

• 봄 / 여름 / 가을 / 겨울

1

2

3

장갑과 잡초를 담을 수 있는 봉투(자루)를 준비해요.

잡초가 있는 장소로 이동해요.

화단, 보도블록, 잔디밭에 있는 잡초를 뽑아요.

4

5

6

뽑은 잡초는 흙을 잘 털어서 봉투(자루)에 넣어요.

뽑은 자리는 깨끗하게 정리해요.

잡초와 도구를 분리하여 제자리에 반납해요.

• 누구나(어린이는 어른과 함께해요)

잡초는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나서 자라는 여러 가지 풀로 농작물 따위의 다른 식물이 자라는 데 해가 되기도 하는 것’을 말해요. 공원의 녹지대를 건강하게 가꾸기 위해서는 잔디밭, 화단 곳곳에 숨어있는 잡초를 찾아 제거해주는 활동이 필요해요. ● 좋아요 - 나에게 좋은점: 잡초를 발견하는 재미가 있어요. 잡초를 뽑다 보면 잡생각이 사라져요. - 공원에게 좋은점: 화단이 깨끗해져요. 식물들이 잘 자라나요. ● 준비물 장갑, 호미, 봉투 ● 활동 꿀팁 - 잔디밭에서는 잔디가 아닌 식물은 모두 잡초에요. - 보도블록, 계단 사이에서도 잡초를 발견 할 수 있어요. ● 주의 사항 - 호미는 날카로워 다칠 수 있어요. 주위를 잘 살피고 사용해요. - 잡초인지 아닌지 구별이 쉽지 않은 식물은 뽑지 않아요.

20

21


공원봉사활동 4

떨어진 낙엽 정리하기

● 참여 방법

• 봄 / 가을 / 겨울

1

2

3

배수로, 산책로에 낙엽이 쌓여 있어요.

갈퀴나 빗자루를 이용해 낙엽을 모아요.

쓰레기, 흙, 돌은 분리하고 낙엽만 봉투에 담아요.

4

5

빗자루로 주변을 깨끗이 정리해요.

들 수 있을 만큼만 봉투에 담고, 정해진 장소에 모아요.

• 청소년 / 성인

가을이 되면 수많은 낙엽이 공원 산책로와 배수로에 쌓여요. 쌓인 낙엽은 비가 왔을 때 물빠짐을 막는 방해물이 되기도 하고 보행에 지장을 주기도 해요. 공원에서는 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산책로 및 배수로의 낙엽을 쓸어 정리하는 활동을 해요. ● 좋아요 - 나에게 좋은 점: 보행 시. 쾌적하게 산책로를 이용할 수 있어요. - 공원에게 좋은 점: 공원 내 배수 및 보행환경이 좋아져요. 모은 낙엽으로 친환경 퇴비를 만들수도 있어요. ● 준비물 장갑, 갈퀴, 빗자루, 봉투(자루) ● 활동 꿀팁 - 산책로는 갈퀴보다 빗자루를 이용해서 낙엽을 모아요. - 한곳에 모아진 낙엽은 봉투 입구 양 옆을 발로 잡고 갈퀴나 손을 이용해 쓸어 담으면 편해요. - 2/3정도의 낙엽만 봉투에 담아야 쉽게 옮길 수 있어요. ● 주의 사항 - 갈퀴로 낙엽을 모을 때는 흙, 돌, 쓰레기를 분리해서 담아요. - 낙엽 속에 여러가지 곤충이나 해충이 있을 수 있으니 긴팔 옷, 토시, 마스크를 착용해요.

22

23


공원봉사활동 5

꽃과 나무 심기

● 참여 방법

• 봄, 여름 (꽃) / 봄, 가을(나무)

1

2

3

꽃과 나무를 심을 공간에 잡초와 돌을 골라내고 땅을 고르게 만들어요. (경운 작업)

상토와 퇴비를 골고루 섞어줘요.

삽과 호미를 이용해 구멍을 만들어요.

4

5

6

구멍에 식재할 꽃/ 나무를 넣어요.

흙을 채워줘요.

꽃/나무에 물을 충분히 뿌려줘요.

• 성인

초화류는 ‘초본성에 피는 꽃들. 또는 아름다운 꽃이 피는 종류의 풀’을 말하며, 나무 아래 또는 비어있는 땅에 계절별 꽃을 심어 공원을 아름답게 꾸미고 가꾸는데 사용해요. 관목류는 ‘밑동에 가지를 많이 치고 원줄기와 가지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은 키 작은 나무’를 말하며 주로 꽃을 감상할 수 있는 종류와 잎과 나무 수피, 열매를 볼 수 있는 키가 작은 나무들을 공원에 심어요. ● 좋아요 - 나에게 좋은 점: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어요. 직접 심은 꽃과 나무가 공원에 있어요. - 공원에게 좋은 점: 계절별 꽃과 나무가 공원에 생겨요. 빈 공간이 건강하고 아름다워져요. ● 준비물 식물(초본류,관목류), 장갑, 삽, 호미, 갈퀴, 빗자루, 팔토시, 봉투, 비료, 바크 ● 활동 꿀팁 - 꽃과 나무를 심을 공간에 자갈, 잔뿌리, 잡초 등을 잘 솎아주고 걸러주는 경운 작업이 중요해요. (심기 활동에 70%는 경운 작업이랍니다.) ● 주의 사항 - 꽃과 나무를 심고 난 후에는 물을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주기적으로 물을 충분히 뿌려주어 식물이 자리잡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요. - 나무를 심을 때는 성장을 고려하여 너무 빽빽하게 심지 않도록 해요.

24

25


공원봉사활동 6

가지치기

● 참여 방법

• 봄 / 가을 / 겨울

1

2

3

가지치기를 할 나무를 확인해요. 한 그루당 2-3명 정도 함께해요.

전지가위의 사용법과 가지치기를 할 위치에 대한 설명을 들어요.

죽은 가지, 시든 가지, 전체 나무의 모양을 보고 필요없는 가지를 선택해요.

*눈에서 대각선으로 대각선의 끝이

4

5

6

전체적으로 나무 모양을 보고 높이를 맞춰 다듬어요.

가지치기한 나뭇가지를 정리해서 묶어요.

큰 나뭇가지를 한곳에 모으고, 작은 나뭇가지는 갈퀴로 모아 봉투(자루)에 담아요.

• 성인

가지치기는 나뭇가지의 일부를 자르고 다듬는 일로 가지, 눈, 뿌리와 같은 식물의 일부를 제거 하는 것을 말해요. 죽거나 시든 가지를 잘라주거나, 식물의 겉모양을 고르게 하고 웃자람을 막아주는 활동으로 전지, 정지, 전정이라고도 불려요. ● 좋아요 - 나에게 좋은 점: 쉽게 할 수 없는 활동으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어요. - 공원에게 좋은 점: 죽은 가지를 자르면 식물이 튼튼하게 자랄 수 있어요. 과일 나무는 가지치기를 통해 좋은 열매를 더 많이 맺을 수 있어요.

눈보다 위로 향해요.

● 준비물 장갑, 전지가위, 톱, 갈퀴, 봉투(자루) ● 활동 꿀팁 - 굵은 가지 먼저, 가는 가지를 나중에 잘라요. ● 주의 사항 - 가지치기 중 떨어진 나뭇가지에 다칠 수 있으니 활동 전후로 주변을 잘 확인해요.

26

27


공원봉사활동 7

유해식물 제거하기

● 참여 방법

• 봄 / 여름 / 가을

1

2

3

제거가 필요한 유해식물을 확인해요.

유해식물을 뿌리채 뽑아 제거해요. 전지가위, 호미를 사용해요.

제거한 식물의 뿌리에 붙은 흙은 잘 털어줘요.

4

5

유해식물을 봉투에 담아요.

빗자루와 갈퀴로 주변 청소를 하고 정리해요.

• 누구나(어린이는 어른과 함께해요)

유해식물은 ‘다른 식물체에 기생하며 양분, 수분 등을 흡수해 생육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식물로 다른식물의 생육을 방해 하는 유해한 식물’을 말해요. 이 식물들은 번식력이 높아 환경부에서 지정하여 제거를 권장하고 있어요. ● 좋아요 - 나에게 좋은 점: 활동 전후의 변화가 뚜렷하여 활동 만족도가 높아요. - 공원에게 좋은 점: 유해식물로부터 식물을 보호할 수 있어요. 식물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어요. ● 준비물 장갑, 전지가위, 호미, 갈퀴, 빗자루, 팔토시, 봉투(자루) ● 활동 꿀팁 - 씨가 많이 달린 상태에서 제거 할 경우 신발이나 옷에 묻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어요. 작업 후에 묻은 씨를 모두 털어내고 모아 발아하지 못하도록 봉지에 넣어 정리해요. ● 주의 사항 - 유해식물 중에 독성이 있어 만지거나 접촉하면 안되는 식물을 사전에 확인하고 피해를 예방해요. - 장갑과 팔토시를 꼭 착용해서 풀독이 오르지 않도록 예방해요.

28

29


공원봉사활동 8

오일스테인 칠하기

● 참여 방법

• 봄 / 여름 / 가을 / 겨울

1

2

3

빗자루, 사포 등으로 칠할 부분을 청소해요.

오일스테인을 막대기로 잘 저어 섞은 후 개인용 통에 나눠줘요.

붓에 오일스테인을 가볍게 발라, 벤치나 데크에 칠해줘요.

4

5

1-2회 덧칠을 해요.

칠주의 안내지를 부착해요.

• 성인

공원에 있는 벤치나 데크 등의 목재시설물은 대부분 방무목을 사용해요. 방부목은 시간이 지나면서 햇빛을 받고 비바람에 벗겨져 오염, 변색 되고 썩거나 갈라져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부, 방수 기능을 하는 오일스테인을 칠해 오랫동안 안전하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요. ● 좋아요 - 나에게 좋은 점: 오일스테인 칠하기는 생각보다 재미있어요. - 공원에게 좋은 점: 깨끗하고 안전하게 벤치, 데크 등 목재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어요. ● 준비물 방수장갑, 붓, 오일스테인, 소분용통, 팔토시, 빗자루, 봉투(자루), 안내판 / 오염방지용 비닐테이프(필요시) ● 활동 꿀팁 - 실내 공간에서 활동 시에는 주변에 신문지를 깔아줘요. - 넓은 면을 칠할 때는 롤러를 사용해요. ● 주의 사항 - 사전에 활동 장소에 통제 표시를 해요. - 옷과 신발에 오일스테인이 묻거나 튀면 잘 지워지지 않으니 주의해요. - 다 사용한 도구들에 오일스테인이 남아있지 않은지 확인해요.

30

31


공원봉사활동 9 • 가을 / 겨울

가을열매 십시일반 동물들의 겨울나기 돕기 (열매 무단채취 금지 캠페인 및 열매 돌려주기 활동)

● 참여 방법

1

2

3

캠페인 문구가 새겨진 어깨띠를 착용해요.

가을철 열매가 많은 구역을 지정 받아 이동해요.

공원 이용객들에게 열매 돌려주기 캠페인에 대해 설명해요.

4

5

바닥의 열매를 주워 열매저금통에 담거나, 공원 이용객들이 주운 열매를 열매저금통에 넣을 수 있도록 안내해요.

십시일반으로 수확한 가을 열매는 겨울에 다시 공원 곳곳 나무와 숲에 돌려줘요.

• 누구나 • 작성자: 서울어린이대공원 박혜인 과장

공원의 열매는 공원에 살고 있는 다양한 동물들의 먹이에요. 가을철 공원의 열매(도토리, 밤 등)를 무단으로 채취하면 안되는 이유를 공원 이용객에게 알리고, 열매저금통에 열매를 모아서 먹이가 부족해지는 겨울철 야생동물들을 위해 다시 돌려주는 활동이에요. ● 좋아요 - 나에게 좋은 점: 공원에서 살아가는 새, 다람쥐, 청설모와 같은 야생동물을 도와줄 수 있어 뿌듯해요. 공원의 곳곳을 걸어다니면서 자연환경을 누리고 건강한 바깥 활동을 할 수 있어요. 공원과 자연환경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어요. - 공원에게 좋은 점: 공원에서 살아가는 야생동물의 겨울철 먹이를 확보할 수 있어요. 공원의 야생동물이 겨울에도 죽지않고, 다양한 동물들이 살 수 있도록 해요. 도토리를 줍기 위해 나무 밑의 식물들을 밟는 행위를 예방해 식물들을 보호할 수 있어요. 공원이용에티켓을 알려 올바른 공원 문화가 정착될 수 있어요. ● 준비물 어깨띠, 열매저금통, 동물을 사랑하는 마음 ● 활동 꿀팁 - 상수리나무, 밤나무의 생김새를 알거나 공원내 나무 위치를 알면 더 쉬워요. ● 주의 사항 - 열매를 돌려줄 때는 동물들만 찾을 수 있도록 나무 밑둥에 놓아주거나 사람이 다니지 않는 숲 속에 뿌려줘요. - 봉사자임을 나타낼 수 있는 명찰이나 조끼를 착용하면 공원이용객을 대상으로 캠페인 활동을 설명하기에 더 수월해요. 32

33


공원봉사활동 10 • 봄 / 여름 / 가을 / 겨울

공원관찰일기 공원모니터링

• 누구나 • 작성자: (사)강릉생명의숲 숲정책팀 이혜림 부장

- 모두의 관찰일기가 쌓여 공원의 변화를 기록한 공원 모니터링 보고서로 탄생해요. ● 주의 사항 - 목표에 맞게 모니터링하고있는지 확인해요. - 큰 공원은 여러 사람이 구역을 나눠서 모니터링하는 것도 좋아요. ● 참여 방법

1

2

3

모니터링 목표와 내용을 미리 확인해요.

공원 내 모니터링 할 구역을 선정해요.

공원의 꽃과 나무, 동물, 시설물을 관찰해요.

4

5

6

변화가 있었던 곳은 사진과 글로 기록해요.

공원을 관찰하며 관리가 필요한 부분을 정리해요.

기록 사진과 함께 모니터링 일지를 작성해요.

공원에 살고 있는 식물, 동물, 곤충을 내 눈으로 발견하는 활동이에요. 모니터링이란 어떤 대상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과정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어딘지 전문가만이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요. 그렇지만 관찰이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로, 꼼꼼하게 공원을 관찰하고 이를 기록해두는 일기도 공원 모니터링 활동이라고 할 수 있어요. 모니터링에서 가장 중요한 건 공원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에요. 관찰 결과는 다음 봉사일감을 기획하고, 공원을 연구하는 사람들 모두를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어요. ● 좋아요 - 나에게 좋은 점 : 공원 곳곳을 발견하는 재미가 있어요. 관찰력이 쑥쑥 자라요. 내가 제안한 봉사일감이 실제로 봉사활동이 될 수 있어요. - 공원에게 좋은 점: 공원의 다양성, 건강성을 확인할 수 있어요. 공원의 변화가 꾸준히 기록돼요. 공원에 꼭 필요한 봉사활동을 계획할 수 있어요. ● 준비물 모니터링 일지(인쇄물 또는 링크), 독수리 같은 관찰력, 산책을 위한 체력 ● 활동 꿀팁 - 장소를 정해서 계절마다 기록하면 공원의 변화를 느낄 수 있어요. - 식물 관찰은 꽃과 나무가 건강한지, 종류는 다양한지, 관리가 필요한 것은 없는지 확인해요. - 동물 관찰은 도심 속 공원의 생태서식지 역할을 알리기 위해 관찰하여 기록해요. - 시설 관찰은 벤치나 기구 등이 안전한지, 위치가 적절한지, 필요한 것이 있는지 확인해요. - 이름을 모르는 꽃과 나무 등 공원의 식생은 사진으로 기록하고 이름을 찾아줘요. 식물의 이름을 찾아주는 어플을 활용해보세요. (예.모야모, 네이처링) - 죽은 나무, 망가진 시설, 훼손된 장소 등은 사진으로 기록하고 제보하면 봉사일감이 돼요. 34

35


활동일기

활동일기

공원봉사활동이 끝난 후, 인상 깊었던 일이나 감정을 그림이나 글로 남겨보세요.

공원봉사활동이 끝난 후, 인상 깊었던 일이나 감정을 그림이나 글로 남겨보세요.

20

활동공원 :

요일

날씨

20

활동명 :

활동공원 :

36

37

요일

날씨 활동명 :


만든사람들 발행일

2020년 12월

발행처

(재)서울그린트러스트

기획

(재)서울그린트러스트 진다예, 서지영, 박소영

후원

은행연합회와 22개 회원사

일러스트

손호용

편집/디자인

김유진

저작권/무단배포금지 ⓒ2020. (재)서울그린트러스트 본 제작물의 저작권 및 판권은 (재)서울그린트러스트에 있습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