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03
서울숲을통한공동체형성
만인의화원 수서동국화동아리
이 한 아 서울숲사랑모임 국장
이 우 향 서울그린트러스트 코디네이터
단 15명의 자원활동가들로 시작했던 서울숲사랑모임에는 현재 150명의 일상적인 활동가와 5,000여명의 사회봉사자가 함께합니다. 매년 수십개 기업의 임직원, 대학생 그리고 청소 년이 서울숲의 토양을 개량하고 나무와 꽃을 심고 가꾸는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우리동네숲은 콘크리트 건물로 둘러싸인 도시 안에서 빈 땅을 찾고, 친근한 자연공간을 이 웃과 함께 만들고 가꾸어가는 도시공동체 운동입니다. 2007년 석관동 우리동네숲 1호를 시작으로 현재 서울 곳곳에 22개의 우리동네숲이 만들어졌습니다. 우리 주변에 숲과 공원 이 있지만 우리동네숲은 아직 많이 부족합니다.
(
)
“서울숲지킴이 1기에서 인기짱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를 거쳐 에코플러스의 대장과 서울숲 가을페스티벌 포스터 디자이너까지, 귀농을 꿈꾸고 찾아온 서울숲에서 벌어지는 한줌!의 신바람나는 이야기~”를 들려드리고자 합니다.
04
도시숲 .공원 .텃밭, 공동체를 품다
,
(
)
“당신의 이웃은 누구입니까?”이 질문에 자신있게 소개할 이웃이 있으신가요? 수서동에는 2009년 우리동네숲의 탄생과 더불어 태어난 국화동아리, 그리고 그들이 모이는 단자원이 있습니다. 동네 주민, 아이들, 옆동네 사람들까지 365일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모이는 이 곳, 나의 이웃, 너의 이웃에서‘우리 이웃’이 된 수서동 주민들의 사람냄새나는 이야기, 그 유쾌한 국화이야기속으로 함께 떠나보실까요?
2011
서울그린트러스트 심포지엄
05
성미산과 성미산 마을
여럿이함께하면학교운동장이변할수있다
문 치 웅 사람과마을 운영위원
김 인 호 신구대학교 교수
성미산은 마포구의 자연숲으로 주민들의 쉼터와 아이들의 놀이터로 사랑받는 동네 뒷산입 니다. 2000년대초 서울시의 배수지공사 계획으로 훼손위기에 놓이게 되자, 주민들이 합심 해 3년여간의 싸움 끝에 결국 산을 지켜내었고 이를 계기로 성미산마을이라는 도시공동체 가 본격화 되었습니다.
년부터 생명의숲에서 시작된 학교숲 운동은 학교에 나무를 심고, 숲을 조성하여 자라 나는 청소년들이 푸른 자연환경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동이며, 생활환경 주변에 공원을 만드는 효과를 주어 환경을 개선하고 쾌적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운동입 니다. 그리고 학교숲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과정에 학생, 교사, 학부모, 지역 주민 등이 참여하여 지역의 유대감을 높이고, 학생들이 살아있는 체험 환경교육을 진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운동입니다.
(
)
매년 나무를 심고, 아이들은 생태수업을 하고, 이제는 성미산의 녹색 기운이 골목길을 따라 주민들의 삶터 곳곳에 스며들게 하는 노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한평공원, 지렁이 분양, 되살림가게, 상자텃밭, 태양광에너지 등 녹색실천과 주민공동출자 방식의 카페, 식당 등을 함께 운영하며 성미산과 더불어 상호 돌봄이 있는 도시형 공동체의 한 모델로 소개 되고 있습니다.
06
도시숲 .공원 .텃밭, 공동체를 품다
(
)
1999
성남혜은학교 감각치료정원-학교운동장신화는 오랜 멍울입니다. 장애 우학교의 맨땅 운동장은 다른 학교보다 썰렁합니다. 하지만 학교구성 원, 전문가, 지자체, NGO가 희망을 공유하여 운동장을 치유숲으로 바꾸었습니다. 여럿이 함께 희망의 공유는 오랜 운동장신화도 재정의 어려움도 장벽이 될 수 없습니다.
2011
서울그린트러스트 심포지엄
07
08
09
10
11
12
13
14
15
“창문을 열면 숲이 보이는 도시를 꿈꿉니다”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숲센터 층
[121-846] 209-4 4 Tel. 02 498 7432 Fax. 02 498 7430 www.sg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