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 Design Archive 01 [2017]

Page 1

2018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아시아디자인연구 I 2018. 02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



2017년 1학기 게재논문

이홍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

....................

이홍

디자인 오브제를 적용한 도심 내 옹벽사례에 관한 연구

홍흠

중국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 연구

홍흠

중국 수출시장 진출을 위한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연구 ............ - 경북 한방화장품을 중심으로 동물원 사인시스템에 나타난 공감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예춘홍

공공공간 사인시스템의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류처

마수원

판위

. . . . . . . . . . . . . 17

. . . . . . . . . . . . . . . . . . . . . 29

예춘홍

동위샤오

7

41

. . . . . . . . . . . . . . 53

. . . . . . . . . . . . . . . 63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aginary Creatures in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山海經) . . . . . . . . . . . . . . 75 and "Strange Animals Book”(怪奇鳥獣図巻) 부수를 활용한 중국 포스터디자인 연구

. . . . . . . . . . . . . . . 85

Empathy as Tool for Studying Chronic Disease Medicine Package Design for Chinese Elderly

. . . . . . . . . . . . . . . 97

부산 상하이 거리에 대한 색채 현황 연구

. . . . . . . . . . . . . . . 107

1


Contents 2017년 2학기 게재논문

류복희

범죄예방을 위한 화훼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 . . . . . . . . . . . . . . . . . 119

류복희

새로운 공공미술로서의 화훼디자인연구

왕루이

중국4대 연화(년화)의 문신화(門神畫) 연구

왕루이

중국 동창부(東昌府) 연화(年畫)의 현황조사 . . . . . . . . . . . . . . . . . . . . . 163

무윈

패션아트에 있어서 설치미술 표현 특성 연구 . . . . . . . . . . . . . . . . . . . . . 175

무윈

패션 연출공간과 설치미술 형태 특징에 관한 비교연구 . . . . . . . . . . . . . 209

왕스웨이즈

지역 그래픽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중국 . . . . . . . . . . . . . . . . . . . . . . 239 무한(武漢) 지하철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왕스웨이즈

중국 무한 지하철 사인시스템의 그래픽기호 개발에 관한 연구 . . . . . . . 244

2

. . . . . . . . . . . . . . . . . . . . . . . 143

. . . . . . . . . . . . . . . . . . . . . 151


2017년 1 학기 학술대회 발표논문 김하 DI

새로운 가정용 수저통 디자인 개발 연구 ........................ 251

류허

공동주택의 범죄예방을 위한 요소 중 영역석이 ................ 259 사용자와 환경간의 교류에 미지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징위

도시 진수지역의 경관 디자인 연구

자 01 장

Research on background of Chinese new character ................ 265 and case analysis

루한이

태블릿 PC에서 중국 쇼핑앱의 GUI디자인 제안연구 ................ 269

이기향

매제유저 인터페이스에서 플랫화 도형의 응용연구 ................. 273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주天|화

족각발달을 위한 중국 영유아 장난감 디자인에 대한 연구 ............ 00

리자우만

죄적화된 한식당의 활랄화 서비스 프로세스 제안 .................. 00

장징위

문화기반 산업유산 공간의 장소성 평가 연구 ...................... 00

전원리

중국 주거공간에서의 납염재료의 활용에 관한 연구................. 00

3

............................ 263


Contents 2017 년 2 학기 학술대회 발표논문 이상기

수면무호흡 환자의 양압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발에 대한 ....... 277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가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지 비교연구

인드라

A Study on Application Animation Techique Related to Anti-racism Animation Process Production

o::><::여 긴IL

20대 여성 싱글족을 위한 스탠드형 무드조명 디자인에 관한 연구 ..... 291

o;,c::여 긴IL

해양 생태계를 고려한 해양 쓰레기 재활용 방안 ................... 295

박지현

한국의 20대 남성이 선호하는 이미지를 반영한 ................... 299 기조 화장품 용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지현

해녀를 위한 안전장비 디자인 연구

재수림

평면적 쇼트 안에서의 시각적 연출기법 3요소 ..................... 307

주 Al 화

족각 발달을 위한 중국 영유아 장난감 디자인 대한 연구 ............ 309

류서

............. 289

............................ 303

유아용 팝업 북에 나타난 그림자극 조형방식 연구

................ 315

허지에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혁신저항 요인 연구........... 317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 중심으로-

왕단

도시공원 벤지 이용자의 이용행위 특성 관한 연구 ................. 319 -부산시민공원의 벤지를 중심으로-

팽자용

현대 디자인에서 응용된 중국 민국시기 .......................... 321 "월분페 도형요소에 관한 연구

2017 년 전기 학위 논문

............................. 323

2017 년 후기 학위 논문

............................. 327

4


2017년 1학기 게재논문

5


6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Sustainable public design for old town local activation

이홍 Hong Lee 안 병진 Byoungjin Ahn

-Focused on Busan City-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Dong 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동서대학교 디자인 학부 Dept, Dong seo University

중심어 : 구도심, 활성화, 공공디자인 keyword : old cities, activation, public design

ABSTRACT Cities repeat prosperity and declining fast and evolve. And in the process, the members leading lives there show more and more demands day after day. However, it is physically 1.서 론 limited in many ways to meet their needs. Recently, in order to resolve the members’ 1.1.연구목적 demands and complaints, they not just show keen interest in the activation of old cities 1.2..연구방법 및 범위 through design but adopt it even as the general paradigm.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centering around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First, it started from theory 2.이론적 고찰 establishment and then classified sustainable public design typically with the case study for 2.1.구도심 활성화의 배경과 정의 the activation of old cities. Second, based on the typical classification, it studied the case of 2.2.구도심 활성화의 문제점 regional activation through public design in Busan Metropolitan City. Lastly, third, it examined 2.3..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개념 the measures of sustainable public design and its value and necessity for the activation of 3.공공디자인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 유형 old cities from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aspect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functional role of public design in urban 3.1.민간주도형 regeneration, into three types from four perspectives focusing on the case of Busan 3.2.관주도형 metropolitan city. Also, the study proposed basic data regarding the role and direction of . 3,3.민 관복합형 public design in promoting the old urban area which is less developed through research, and 4.공공디자인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의 from that data, the study expects to be helped in the advancement of an attractive and economic community. 문제점과 한계 목차

요약 도시는 번영과 쇠퇴를 빠른 속도로 거듭하며, 진화하고 있다. 또한 그 속에서 삶을 영위하 는 구성원들의 요구도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는 물리적으로 많은 한계가 있다. 최근 들어 도시 구성원들의 요구와 불만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디자인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에 많은 관심을 넘어 보편적인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 6.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을 통한 구도심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다음의 내용을 연구하였 다. 첫째, 이론정립과 사례연구를 통한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유 활성화 방향 형적 분류 둘째, 앞의 유형적 분류를 근거하여 부산광역시의 공공디자인을 통한 지역 활성 7.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가치와 필요성 화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제도적인 관점에서 구도심 활 성에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방향과 가치 및 필요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구 도심활성화에 있어서 공공디자인이 어떠한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지 부산광역시의 사례를 8.결론 중심으로 3가지 유형과 4가지의 관점으로 분석.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향 후 낙후된 구도심지역의 활성화에 있어서 공공디자인의 역할과 방향성에 관한 기초적인 자 참고문헌 료를 제시하였으며, 그것을 통하여 매력적이고 경제력 있는 지역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5.부산광역시의 사례 5.1.감천동 문화마을 5.2.광복로 5.3.산복도로 르네상스

7


1. 서론

축하기 위해 신도시 개발 보다 엄청난 비용 발생으로 지역 발전에 불이익을 받고 있다. 또한 지역 간 대립과 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구도심지역의 인구가 상대적으로 신도심 1.1. 연구 목적 도시는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로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재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함에 따라 지역 공동화 현상이 심각 개발과 신도시 건설 정책으로 양적 성장을 거듭해 왔다. 한 생태다. 김광중은 그의 논문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또한 그로인한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인구증가와 사회기반 특성’에서 1차 산업의 쇠퇴로 인한 유통구조 변화와 신도 시설의 노후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시개발, 산업기반 시설 시외 이전, 교육환경과 계층간 소득 급증하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부분의 도시들의 그 불균형 등이 주원인으로 보고 있다.<표 2 참조> <표 1> 도시 변화에 따른 구도심의 문제점 대안으로, 비교적 개발이 용이한 신도시 개발 정책을 선택 분류 문제점 하고 있다. 이러한 선택은 도심정비측면에서 볼 때, 재건축 -급속한 사업화로 외적 확장과 재편으로 인구 분산 및 감소 ‧재개발정비가 진행된 일부지역을 제외한 기존 시가지인 -지역경제 축소 및 주거환경 악화 사회.문화적 -지역 공동화 현상 발생 구도심지역을 방치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 결과 우리나 -구.신 도시간의 대림과 갈등 발생 라의 대도시 내 대부분의 구도심지역들이 인구감소, 고령 경제적 -기존 구도심지역의 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엄청난 비용 발생 화, 도시기능의 쇠퇴 및 공동화, 도시의 슬럼화 등의 현상 구도심 활성화는 과거 중심 도시로서 중추적인 역 들이 급속도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최근 들어 구도심지역 따라서 할을 하던 장소가 변화에 의하여 쇠퇴하거나 진행되고 있 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공디자인 통한 도시 는 기성시가지를 지속가능하도록 물리적. 환경적 측면 등 경쟁력과 정체성 회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활발하게 다양한 방향으로 재구축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공공디 인 제이콥스는 “시간의 켜에 층층이 쌓아올린 다양한 인간 자인을 활용한 구도심 활성화 사례를 부산광역시를 중심으 들의 삶의 모습과 그 삶의 역동성을 단순한 거대 계획으로 정비하려는 것은 도시를 죽이는 일이다”라고 말 로 조사.분석했다. 또한 쇠퇴해가는 구도심 활성화를 위하 일순간에 하고 있다. 그러므로 구도심재생은 경제적 재화로서 땅의 여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방향성 가치만을 높이는 물리적 재개발과 구분되어야하며, 기존의 을 제시하고자 했다. 노후화된 시설과 결합될 수 있는 새로운 가치의 프로그램 을 통해 낡고 오래된 장소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며, 사 회적 변화를 이끌어 도시와 새로운 관계망을 구축, 물리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환경적, 장소적 활성화를 통해 사회구성원들과의 쌍방향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공공디자인을 통한 구도심 활성 소통방식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화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표 2> 구도심 쇠퇴원인의 한국적 특성 출처:김광중/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3 첫째, 관련 자료와 문헌 조사를 통하여 구도심활성화의 개 no.2 통권30호, 2010 념과 범위를 고찰을 통해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지속가능 이론적 서구 한국 한 공공디자인의 유형적 분류하였다. 쇠퇴원인 둘째, 앞의 유형적 분류를 근거하여 부산광역시의 공공디 산업구조의 1차 산업의 쇠퇴, 유통업 변화 변화 2차 산업의 쇠퇴 자인을 통한 지역활성화 사례를 연구함과 그에 따른 문제 교외화 민간주도 교외화 공공주도 교외화 고용의 이전 기업/공장의 이전 폐쇄 공장의 이전, 군사기지 이전 점 등을 연구하였다. 직접적 교외 개발, 공공기관 이전, 셋째,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제도적인 관점에서 구도심 도시계획/ 재개발 구역 지정 간접적 교외화 촉진 규제 - 개발동결 활성화에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역할과 방향성 및 가치 사회적 와 필요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평판하락 인종, 범죄, 교육문제 등 소득 계층, 교육 환경

2. 이론적 고찰 2.1. 구도심 활성화의 배경과 정의 고도 성장기 도시의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중심기능을 담 당하던 중심지역이 도시의 외적 확장과 재편, 분산으로 인 구 감소, 지역경제 축소, 주거환경 악화 등 환경적, 물리적 요인으로 기성시가지인 구도심지역을 중심으로 급격히 쇠 퇴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구도심지역의 기반시설을 구

초기의 부실개발 설명력 미약

빈곤시대의 시가지, 건물 개발

2.2. 구도심 활성화의 문제점 지금까지의 도시개발은 도시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 전통 을 무시한 획일적인 개발로 일괄되어 왔다. 황보민경은 구 도심활성화 방법의 문제와 한계를 신개발위주제도, 대규모 전면철거, 관주도의 하향.획일 전시 측면에 의해서 발생한 다고 말하고 있다.<표3 참조> 따라서 구도심 개발에 있어 서 지자체나 관련행정기관을 중심과 제도적인 한계로 인해 8


신개발위주의 기능적 측면으로 집중화 되어왔다. 그로인해 리’의 구체적인 접근방법 이라고 할 수 있다.2) 지역의 역사문화적인 공공영역이 사라지고 경제적이 이익 만을 추구하는 획일적인 도시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표 3> 구도심 활성화 방법의 문제와 한계 출처: 황보민경, 이정교/ 구도심 재생을 위한 공공영역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 학회지 vol.3 no.3 통권7호, 2008 분류 문제점 신개발 도시의 질 무시, 자연환경 회손, 역사와 지역의 특성 상실, 위주제도 비인간적 도시형성 대규모 역사와 문화 특색 무시, 현대화의, 고층고밀 개발, 전면철거 지역의 도심 환경의 악화 방식 관주도의 획일적 건축군과 비인간적 도시경관, 역사문화적 공간 상 하향. 획일 실, 획일적 거리연출. 건조한 도시문화 형성, 공공영역의 전시 측면 통일성 결여

2.3.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개념 지속가능한 디자인이라는 용어를 거론한 윌리엄 맥도너 (Wiliam Mcdough)는 현대 산업사회 병폐의 원인이 잘못 된 디자인에서 비롯되며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모든 것 이 새롭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 그는 지속가 능한 디자인은 환경(ecology), 경제(economy), 공정성 (equity) 세 요소의 상관관계의 중앙점을 이상향으로 삼는 다고 하였다. 알라스테어 푸아드 루크(Alastair Fuad-Luck) 은 ‘지속가능한 느린 디자인’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강조하 였으며, 또한 스튜어트 워커(Stuart Walker)는 ‘Sustainable by Design'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쟁점은 21세기에 들어 증가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20세기 후반에 강 조된 지속가능한 발전 이념과 원리가 적용되는 디자인이라 고 말했다.1) 현재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개념은 에코디자인, 그린디자인 등과 비슷한 개념으로 혼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산업구조의 변화로 도시의 외연적 확산과 한계, 환경 보전에 대한 관심 등 도시의 경제력 향상과 효율적인 도심 관리를 위한 공공영역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 의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영국의 도시학자 로버트 는 도시재생이라는 행위 자체는 이미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담고 있다고 하였다. 그는 그의 저서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은 “변화되어 왔거나 혹은 변화하고 있는 지역에 있어서, 그 도시문제가 해결되도록 이끌고,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환경적 영역의 지속적인 개선을 야기하는 포괄적 이고 통합적인 비전 제시와 그의 시행”이라고 정의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개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도시재생은 ‘개발이냐, 보전이냐’ 하는 양자택일의 논리로부터 벗어나 개발할 수 있는 것을 선별하여 개발함으로써 보전할 수 있 는 것을 철저히 보전한다는 ‘보전과 개발 동시추구의 도시 개발 논리’, 또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논

<그림 1>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 개념

1) 김수현,「현대 패션에 나타난 지속가능한 디자인 연구」, 2007, 국민대 박사 논문.

2) 엄나너, 이광영,「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공공디자인 접근체계 및 방법에 관한 연구」, 2011, 한국인포디자인학회, vol.-no.29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이란 도시 전체의 지속적 인 발전을 위한 핵심역량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역량을 창 출할 수 있는 필수적인 요소를 전략적인 접근아래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인간중심의 경제, 사회, 환경, 문 화, 제도적 관점 등을 반영한 공공영역을 조성, 지속적으로 개선 관리해 나가는 통합적인 개념이며, 공공의 문화와 국 가 발전은 물론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분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제도적

<표 4>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역할 내용 -지역환경 개선을 통한 정주성 증대 -지역적 특성과 정체성 형성을 통한 도시 전체적 이미지 형성 -지속적인 가치에 대한 커뮤니티 및 네트워크 형성과 복원 -사회적 지역적 관심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증가 -지역정체성 개발 -지역 공공디자인프로젝트의 가치에 대한 이해 확산 -지역 간 상호교류를 통한 사회적 문제 해결 -공공과 민간의 투자촉진 및 공공과 민간의 자발적 협력 강화 -다양한 인력 공급과 고용창출 -내재적 성장을 통한 자족적인 지역문화 형성 -지역재생 파트너십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지원 -지역 공공디자인프로젝트의 일관성 유지 -역사적 환경, 지역적 특성과 정체성 반영 -주민참여활성화로 지속가능한 도시구축

3. 공공디자인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의 유형 3.1. 민간주도형 국가의 정책이 없이 기업이나 민간단체 또는 지역의 커뮤 니티, NGO 등 비영리기구나, 대학 연구소와 전문디자인 집단이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 우를 말하며, 사업진행에 있어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민간주도 공공디자인의 특성상 대부분의 사업이 소규모로 행해지거나 일회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9


가 많으며 장기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하여 유지보수나 관리 에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과거에는 적은 비용으로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페인팅 작업이 주로 행 하여 졌으나 근래 재활용 물건 등의 오브제를 활용한 작업 들도 많이 행해지고 있다.

<사진 1> 일본 학습지회사 베네세사가가 안도다다오에 의뢰 예술공간으 로 탈바꿈한 나오시마섬의 주택재생과 예술적인 마을 갤러리 프로젝트

3.2. 관주도형 중앙정부나 각 지역의 지자체를 중심으로 장기적인 계확과 제도를 바탕으로 지역의 디자인 센터, 유관부처 또는 유관 기관을 주축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국채사업과 지자체대 형사업 위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민간주도형에 비해 사업진행에 있어 재원조달과 유지보수 및 장기적이고 체계적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업진행이 느리 고 제도적이한계와 제약이 많고 주민들의 의사와 요구가 반영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과거 관주도의 일방적인 개발의 획일적인 형태의 건축물과 비인간적 도시경관을 초 래하였다. 또한 경제적 이익만 추구한 나머지 지역의 역사 와 문화적인 공간이 사라지고, 획일적이고 무미건조한 도 시문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관주도의 도시디자인은 민간건축의 실행을 실현수단으로 하기 때문에 공공부분 조 성에 한계가 나타난다. 관과 민간사이에서 발생하는 견해차 이로 통일성 있는 디자인이 정책이 어려우며, 이러한 견해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도시공간의 문제점 해결방안을 위한 접근이 최근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사진 2> 부산시는 과거 미국군기지였던 하야리아부대를 부산시민공원 으로 조성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3.3. 민.관복합형 중앙정부나 각 지자체가 지역 활성화를 위하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공모 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을 통하거나 지역 커뮤니티 등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재원과 전문인력을 지원 받아 지역 주민이 자율적.자발적으로 지

역재생과 활성화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수 있도 록 관리.감독 및 행정적이 지원을 하는 형태이다. 이것은 주민과 전문일력으로 구성된 협의체에 의해 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역 내 당면 과제 또는 디자인 적용에 있어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주민들의 요구와 의사가 바로 적용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의사결정에 있어서 지역주민 과의 분쟁의 여지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사진 3> 문화체육관광부가 공모한 마을미술프로젝트 통하여 새롭게 변모한 부산시 서구 감천동 문화마을 <표 5> 공공디자인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의 유형 분류 내용 국가정책 없이 기업과 민간단체 등의 비영리기구, 지역 커뮤니 민간 티, NGO, 대학 연구소나 전문디자인 집단 등의 자율적. 자발적 주도형 인 참여 또는 제안 등의 유사한 방법을 통하여 소규모로 이루어 지는 것이 특징. 정부 중심으로 계획된 정책이나 제도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이루 관 지면 각 지역의 디자인 센터나 진흥원 등의 유관부처 또는 유관 주도형 기관이 주축으로 이루어지는 형식이며 대부분 대형사업 위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 민.관 관의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지원 및 관리.감독을 통하여 협의체 복합형 를 구성,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진행하는 형식

4. 공공디자인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의 문제점과 한계 도시 속 존재하는 건물 등의 공공영역은 사람을 모으고 만 나게 하며, 또 어떤 것은 사람들을 흩어지게 하고 소외시 키기도 한다. 도심 속에 존재하는 공공영역이 도시 변화의 한가운데에 있음은 분명하다. 하지만 반대로 그에 따른 문 제점 등의 역기능도 무시하지는 못한다. 사람이 어떤 옷을 입느냐에 따라 다르게 보이듯이 도시 또한 어떤 옷으로 치 장하는 것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아직 우리주변에는 신 개발 형태의 도시디자인이 만연하던 시대적 패러다임의 대 규모 전면철거방식의 도시디자인 방법이 답습되고 있다. 이러한 과거의 도심활성화 방법은 도심의 고유한 역사..문 화.지역성 등을 고려하지 못한 나머지 도심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점을 간과하고 있다.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정립하지 못한 채 일방적.획일적 개발을 통해 비인간적이 고 차가운 도시경관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로인해 지역의 역사..문화적인 공간이 사라지고 경제적 이익만 쫒 는 획일적이고 무미건조한 도시문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도심활성에 있어서 관과 민간사이에서 발생하는 견해 차이로 통일성 있는 디자인정책 실행에 어려움 겪고 있다. 10


지금 이 시각에도 재개발 재건축, 혹은 국가적 계획 아래, 크고 작은 주거 단지들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지만 정작 필 요한 것을 새롭게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보존하고 유지해 나갈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라고 하겠다. 분류 사 회 적 환 경 적 경 제 적 제 도 적

<표 6> 구도심 활성화의 문제점과 한계 문제점 한계 지역의 역사와 문화 특색 무시, 도시 질 무시, 역사와 특성 상 공간 네트워크 체계 구성 실, 비인간적 도시형성 노후지역으로부터 도심활성 자연환경 회손, 현대화의 고층 도심 화에 맞는 고밀 개발, 도심환경의 악화 확보 방향성 있는 공공영역 한계와 낮은 사업성으 젊은 인구층의 감소로 지역경제 시로 재정의 인한 민간투자 부재, 재개발 위축, 기존 상권의 분괴 등 추진지연 확일적 건축군과 비인간적 도시 경관, 역사문화적 공간 상실, 확 성격에 맞춘 다양한 요소 일적 도시 연출, 건조한 도시문 공간 화 형성, 공공영영의 통일성있 를 고려한 공공영역 디자인정책 는 정책 결여

5. 부산광역시의 사례 부산광역시는 중구, 동구, 서구를 중심으로 공공디자인을 통해 쇠퇴해 가는 구도심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시도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지리적 특성상 기성시가지인 구도심 지역이 대부분 산복도로3)을 중심으로 형성 되었다. 특히 동구와 서구는 한국전쟁의 산물로 50∼60년대 판잣집들로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우리나라 근현대사 격변기 역사를 간직한 대표적인 서민 밀집 주거지이다. 이 지역은 노후화 된 주택, 가파른 도로와 계단, 좁은 골목길, 취약한 편의시 설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슬럼화와 젊음 층의 감소에 따른 고령화 인구증가 등으로 주민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열악 한 지역이다. 중구는 한국전쟁 이후 국제시장과 광복로를 중심으로 부산의 대표적인 상업공간이자 문화 중심지로 발 전 하였다. 하지만 현재 과거에 비해 그 기능과 역할이 위 축되어 가고 있다. 근래 중구청에서 광복로 정비사업의 일 환으로 국제공모를 실시 광복로 정비와 다양한 문화 이벤 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시민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동구는 부산광역시의 지원으로 산복도로 르네상스라 는 프로젝트를 통하여 현재 산복도로 주변과 골목길을 중 심으로 다양한 공공디자인 상업을 통해 환경조형물과 가로 경관 개선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서구는 감천동 일원의 낙후된 지역을 문화마을프로젝트를 통하여 문화체육관광부 로부터 지역개발의 우수사례로 선정되었으며, 영화촬영지 로 유명세를 타고 최근 세간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최 근에는 꾸준히 방문객 및 관광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3) 산복도로는 산의 중턱을 지나는 도로를 뜻하며, 부산의 도심 산허리를 감싸며 형성, 부산의 대표적인 구도심지역인 중구, 동구, 서구를 연결도로

본장에서는 부산광역시의 구도심지인 중구, 동구, 서구를 주 대상지로 하여 조사 하였으며, 대상지 내, 관주도형과 민.관복합형의 사례는 존재 하였으나 민간주도형 사례는 찾아 볼 수가 없다. 분류 산복도로 르네상스

광복로 시범가로 조성사업

감천문화 마을

<표 7> 부산광역시의 구도심 활성화 사례 내용 위 치 부산광역시 동구 산복도로(수정산) 유 형 관주도형 사업기간 2010~2020(10년간) -산복도로을 중심으로 50∼60년대 판잣집들로 형성 환경적 -노후화된 주택, 가파른 도로와 계단, 좁은 골목길, 요 인 취약한 편의시설 등의 슬럼화 -젊음 층의 감소에 따른 고령화 인구증가 등 사업 ‘산복도로의 역사와 공간. 생활문화 자원 개발을 통해 목적 지역의 문화, 경제 및 다양한 공체 활성화 등 위 치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 일원 유 형 관주도형 사업기간 200~2007(2년간) -한국전쟁 이후 국제시장과 광복로를 중심으로 부산 의 대표적인 상업.문화 중심지 환경적 -과거의 비해 젊음 층의 유동인구 감소와 편의시설 요 인 노후화 등 상권의 침체 -최근 가로환경 정비와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제2의 도약준비 중 사업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가로경관 정비 목적 및 개선을 통한 새로운 도시 공간재탄생이 그 목적 위 치 부산광역시 서구 감천 2동 일원 관주도형 2009.6.8~9.30 유 형 1차사업: 2차사업: 민.관복합형 사업기간 2010.5~10 -6.25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내려와 산허리에 계단식 으로 판잣집을 지은 것이 시초. 환경적 -감천 2동 산복도로 일원에 위치 과거 태극마을이라 요 인 불림 -주변에 자갈치시장, 국제시장, 남포동 등 부산의 대 표적인 관광명소가 자리 잡고 있음 사업 ‘살고 싶은 공간’,‘걷고 싶은 거리’,로 만들고, 해당지역 주민 목적 과 시민들에게 새로운삶과 일상의 체험을 제공하고자 함

5.1.감천동 문화마을

<사진 4> 부산 중구 광복로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 2동 산복도로 일원으로 주변에 자 갈치시장, 국제시장, 남포동 등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명소 가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6.25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내려 와 산허리에 계단식으로 판잣집을 지은 것이 시초로 지금 도 슬래브 지붕의 집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 부산의 대 표적인 문화 소외지역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공모한 2009 마을미술프로젝트에서 아트팩토리 인 다대포가 당선되면서 ‘꿈을 꾸는 부산의 마추픽추’라는 제목으로 10점의 조형물 들이 설치되기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의 경험을 바탕으로 2010년 2월에 ‘감천동 문화마을 운영협의회’가 구성되었다. 이것은 ‘주민 참여형 마을재생’의 본보기를 보여주는 모범 적인 사례라고 말할 수이다.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11


2010 콘텐츠융합형 관광협력사업 공모에 사하구청과 감천2 되었으며, 주요 영화 촬영지에 인증서를 부착하여 부산의 동 주민, 전문가 집단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을 구성 ‘미 이미지를 제고하고 관광객 방문 등의 경제적 효과를 높이 로미로 골목길 프로젝트’에 당선되어 민.관.전문가 집단의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지역은 국내외 다양한 영화와 드 상호 소통하고 협력하는 도심재생 커뮤니케이션의 성공적 라마에서 배경으로 등장하였다. 문화관광부가 주도하는 여 인 사례를 남기게 되었다. 러 공공사업으로 인해 감천 문화마을을 찾는 방문객의 발 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진 6> 감천문화마을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사진 5>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제작한 표지판

‘골목길 프로젝트’는 골목 곳곳에 작가들과 마을 주민들이 참여한 예술작품을 설치하여 진행하였다. ‘테마가 있는 빈 집 프로젝트’는 빈집 5곳을 각각 ‘사진 갤러리’, ‘어둠의 집 -별자리’, ‘빛의 집-집에서’, ‘평화의 집’, ‘북카페-흔적’등 새 로운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분류 관 주 도 형 민 . 관 복 합 형

요 소 분 석

<표 8> 감천문화마을

내용 대상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 2동 일원 사 업 명 2009마을미술프로젝트‘꿈을 꾸는 부산의 마추픽추’ 1 사업주관 문화체육관광부 마을미술프로젝트 추진위원회 차 사업기간 2009.6.8~9.30 사 사업단체 아트팩토리 인 다대포 업 사업내용 10점의 조형물을 사업 대상지에 설치 싶은 공간’,‘걷고 싶은 거리’,로 만들고, 해당지역 주민 사업목적 ‘과살고시민들에게 새로운삶과 일상의 체험을 제공하고자 함 대상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 2동 일원 콘테츠융합형 관광협력사업‘미로미로 골목길 프 사 업 명 2010 로젝트’ 2 사업주관 문화체육관광부 차 사업기간 2010.5~10 사 사업단체 감천동 문화마을 운영협의회 업 사업내용 6점의 빈집 프로젝트와 5점의 골목길 프로젝트 지역의 특성을 살린 융합형 콘텐츠를 도입 적용함으 사업목적 로써 문화공간를 통한 도심재생과 더불어 관광산업의 활성화를 이루고자 함 가치 효과 -예술소비기회제공 -주민참여를통한자긍심고취 -인적.물적자원을증지 사 회 적 -지역간상호류촉진 -디자이너 사회참여 기회 -지역의정체성반영 -공공미술에대한사회적관심증대 확대 -낙후된이미지개선 -공간의질제고 -새로운문화시설도입을통한지역 환 경 적 -삶의질향상 이미지부각 -복합생활공간제공 -축제, 이벤트등을통한지역홍보 -내발적 성장을 통한 자족적인 지 역문화형성 -차별화된스토리텔링을통한공동체 경 제 적 -지역특화브랜드창출 -경제활성화 브랜드개발(랜드마크화) -적은비용으로큰효과 -사회적 취약 계층 문화향유 기회 증진 제 도 적 -지역거점문화도시화 장으로써 지역사회에 -지역공동체형성및복원 -평생학습의 전반에긍정적인변화에기여 -지역간교류활성화및소통

2011년 2월 11일, 문화마을은 '영화의 집' 3호점으로 선정

또한 감천2동문화 마을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작업을 통해 지역 이미지 통일화 작업과 브랜드 가치 창출의 목적 으로 심볼마크와 로고타입을 개발, 성공적인 문화마을로써 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5.2.광복로

<사진 7> 부산 중구 광복로

문화관광부 간판문화개선시범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광 복로 일원이 시범가로 조성지역으로 선정 2005년부터 2007 년까지 국비와 지방비 87억원(국비30억, 시비28.3억, 구비 28.3억)을 투자하여, 광복로와 PIFF광장 일원의 간판문화개 선을 비롯하여 토목, 전기, 조경 등 가로시설물을 정비하는 토탈디자인 개념의 사업이 시작되었다. 중구청은 과거에 비하여 죽어가는 지역상권 활성화와 지역 젊은 층의 인구 유출 등을 막고 구도심 활성화 차원에서 시범가로 조성사 업을 적극 추진했다.

<사진 8> 부산 중구 광복로 조선통신사 행렬 *출처 부산일보

<사진 9> 부산 중구 광복로의 공공조형물

12


또한 이사업을 통해 가로환경 개선을 통하여 구도심이 가 성된 노후화 주택, 가파른 도로와 계단, 좁은 골목, 노후화 지는 역사적 의미와 영화산업의 중심지로서 역사적․문화 상태의 도시기반시설 등 전반적으로 생활환경이 열악한 지 적 특성을 고려하고 동시에 주변의 변화에 따른 위기와 기 역이다. 회를 창조적으로 이용하여, 새로운 도시공간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업의 목적과 의의가 있다.4) 분류 관 주 도 형

요 소 분 석

<표 9> 중구 광복로

내용 대상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사 업 명 광복로 시범가로 조성사업 사업주관 문화관광부, 부산광역시 사업기간 200~2007(2년간) 사업단체 시범가로 추진단 인구유출과 상권침체를 막고 구도심 활성화 차원 사업내용 지역의 에서 시범가로 사업 추진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가로경관 정비 및 사업목적 지역의 개선을 통한 새로운 도시 공간재탄생이 그 목적 가치 효과 -문화, 교류, 복지, 학습, 정 문화생활의 교류 보 등 사 회 적 -원도심 거점으로서 기능 에 관한 기능 강화 -쾌적한 가로경관 조성, 상 -쾌적한 보행공간 확보 점가 환경정비 원도심 상권 -공공공간 시설정비 및 개 환 경 적 자체 매력제고 선 -문화 기능 강화 가는 상권부활 통한 원도심 -쇠퇴해 -젊은 경 제 적 -상권활성화를 유동층 인구 증가 매력 제고 -민간투자 기획 확대 -원도심을 관심관광 장소로 -문화 기능 강화 제 도 적 -지역 중심의 문화커뮤니티 인식 -자발적인 지역주민과 상인 형성 들의 참여 확대

<사진 10> 동구 산복도로 주변의 계단식 주택지 전경

부산 산복도로 지역은 8.15해방과 한국전쟁 등 우리나라 근현대사 격변기의 산물로서 부산의 대표적인 서민 주거지 이다. 이 지역 대부분의 주거지는 해발고도 50m이상의 능 선에 위치하고 있으면 사회적 혼란기인 1930~1950년대 형 성된 노후화 주택, 가파른 도로와 계단, 좁은 골목, 노후화 상태의 도시기반시설 등 전반적으로 생활환경이 열악한 지 역이다. 과거 1950~1980년 초 한국 고도경제성장기의 산복 도로는 부두와 방직 노동자들의 삶의 터전이었으나 현재 산업구조의 변화로 젊은 층의 노동인구의 감소로 인한 지 역상권의 침체로 노인인구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동구 산복도로는 지역 특성상 좁은 경사지 지역에 많은 주택 들이 밀집하고 있다. 따라서 시 재정 한계와 낮은 사업성 으로 인해 민간개발 등 기타사업 추진에 어렵을 겪고 있다. 하지만 2010년 부산광역시는 원도심 부흥과 부산발전의 핵 심 아젠다로 ‘산복도로 르네상스’를 설정 도시재상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다.

또한 부산 중구청은 문화관광부 지정 전국 최초의 가로정 비사업인 `광복로 일원 가로경관개선사업'에 대하여 국제 적인 감각을 갖춘 세계적인 문화예술거리로 조성하기 위해 서 국제공모를 통해 옛 부산시청앞∼부평파출소 일대 1km 구간을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진행하였다. 이 사업을 계기 로 2007년 지역 상인들로 구성된 '광복로 상권 활성화 연 구회'를 중심으로 쇠퇴해가는 광복로를 살리기 위하여 학 계인사 및 관련부처 공원 등 학술토론을 통하여 다양한 문 화사업과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 광복로에 총 1160m 크리스마스 트리 설치 광복로 트리문화축제를 3회 에 걸쳐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현재는 부산 제2롯데월드 건립과 지역을 살리기 위해 상인과 구청의 노력 그리고 다 양한 문화이벤트 통하여 제2의 도약을 준비 중에 있다. <그림 2> 산복도로 주변지역 인구변화 추이 5.3.산복도로 르네상스 부산 산복도로 지역은 8.15해방과 한국전쟁 등 우리나라 근현대사 격변기의 산물로서 부산의 대표적인 서민 주거지 이다. 이 지역 대부분의 주거지는 해발고도 50m이상의 능 선에 위치하고 있으면 사회적 혼란기인 1930~1950년대 형

*출처『산복도로 르네상스, 원도심 재생의 시발점』, 부산발전연구원

이와 함께 최근 정부차원의 ‘소외지역 생활환경 개선을 위 한 공공미술사업’이 추진과 세계적인 사진건축가인 ‘다오니 스오 곤잘레스’가 산복도로를 방문 등 문화자원으로써 가치가 새롭게 평가 받고 있다. 또한 현재 오픈스페이스배라는 문 화예술인단체의 활동으로 산복도로 주변에 버스정류장과 4) 황영우, 이원규,「부산광역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관리에 관한 지붕위의 물탱크 등을 활용한 다양한 퍼포먼스, 전시, 공공 벽화 등의 설치물 작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산복도로 연구」, 2007, 부산발전연구원, 내용 요약. 13


주변의 탁 트인 스카이라인, 탁월한 해양 조망, 다양한 색 행 중에 있으며, 특히 산복도로 주변의 탁 트인 스카이라인, 상의 슬래브와 계단식 주택 등 과거의 향수와 현대의 느낌 탁월한 해양 조망, 다양한 색상의 슬래브와 계단식 주택 이 함께 공존하는 독특한 경관으로 예술가, 건축가, 사진작 등 과거의 향수와 현대의 느낌이 함께 공존하는 독특한 경 가 등 영화촬영지로써 관심이 집중 되고 있다.5) 관으로 예술가, 건축가, 사진작가 등 영화촬영지로써 관심 이 집중 되고 있다.6)

<사진 11> 부산 동구 초량동 산복도로에 설치된 ‘산복도로 갤러리’

<사진 12> 부산 동구 초량동 산복도로변 인도에 설치된 벤치 분류 관 주 도 형

요 소 분 석

<표 10> 동구 산복도로(수정산)일원 내용 대상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산복도로(수정산) 일원 사 업 명 산복도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사업주관 부산광역시 사업기간 2010~2020(10년간) - 현재 진행 중 사업단체 부산광역시 창조도시본부 사업내용 쇠퇴해가는 원도심 활성화와 낙후된 주거환경 개선 등 역사와 공간. 생활문화 자원 개발을 통해 지 사업목적 산복도로의 역의 문화, 경제 및 다양한 공체 활성화 등 가치 효과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의 이해를 -원도심기능 회복을 통한 지역가 치제고 사 회 적 통한지역문화활성화 -지역격차해소일조 -젊은층의관심고조 -사회적관심고조 -산복도로의부족한인프라보완 -주거환경 개선 및 공공공간 조 성확대 -공공디자인을통한새로운문화 -소외계층 문화생활 체험 기회 환 경 적 자원으로서가치평가 확대 -지역주민의기초생활경개선 -영화 등의 촬영장소로 재평가 및국내외인지상승 -신도시 및 시외개발 위주에서 . -기업 시 민네트워크구축확대 원도심 경 제 적 -도심광관상품개발 으로전환 -민간개발참여기회확대 -노후주거지의 정비방향에 대한 -지역커뮤니티형성을통한개발 참여기회확대 새로운패러다임제시 .문화등의참여확대 제 도 적 -원도심 활성화의 통합적 기능 -교육 -공공주도적주민공감대형성 강화 -지역과연계한문화콘텐츠육성 -전문가집단참여기회확대 -주민참여형문화예술거점구축

또한 현재 오픈스페이스배라는 문화예술인단체의 활동으로 산복도로 주변에 버스정류장과 지붕위의 물탱크 등을 활용 한 다양한 퍼포먼스, 전시, 공공벽화 등의 설치물 작업이 진 5) 김경수,「산복도로 르네상스, 원도심 재생의 시발점」, 2010, 부산발전 연구원. - 본 연구자가 일부 내용 수정 정리함

<사진 13> 부산 동구 초량동 산복도로 주변 옹벽에 설치 된 공공조형물

<사진 14> 부산 동구 초량동 산복도로 버스정류장

6.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을통한구도심 활성화방향 공공디자인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에 있어서 먼저 지역 내 에 존재하는 공공영역을 활용한 디자인을 통하여 접근성, 상징성, 연계성, 어메니티 등을 향상시켜 도심의 활력을 증 대하여 공공적 요소를 통합 재구성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표 11> 구도심 활성화의 방향

방향 -지속가능한도시재생의체계를구축하기위해지역커뮤니티구성및기반으로 사 다양한주민의모임과단체를활성화필요 회 -행정적지원을통해마을만들기협의회등지역주민이기반이된자치조직을 적 구성, 운영주민주도의도시재생사업을유도해나갈수있도록여건을마련 환 -물리, 사회, 경제, 문화등제반사항에대한조사와평가필요 경 -공공영역의효율화와지역발전에대한뚜렷한방향성 적 -대상그자체의의의, 효율성, 실시조직의본질이엄격하게추궁돼야함 경 -협의회구성을통하여개발이익을지역사회적환원유도 제 -지역의여건을고려한내재적인발전을위한장기적인마스터플랜수립 적 -공적기관은지역이안고있는문제점을직시하여도출된과제를바탕으로명 확한목표를설정하고, 구상단계에서부터참여가필요 제 -실현가능한종합계획을수립하는중추적역할및담당 도 -공공과민간의합의형성과협력관계구축을통한원활한진행을유도 적 -중앙정부또는지방자치단체가단순예산집행기간에서탈피사업추진체제의정 비및자체기획기능의강화가필요 -공적기관은도시재생사업에서민간의참여를독려하는지렛대역할을수행

따라서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에 있 어서 독단적인 개선이 아닌 일정한 가이드라인 안에서 조 화롭게 진행되어야 하며, 쇠퇴한 지역 상권을 활성화 시키 고 지역주민들의 이익추구는 물론이고, 방문객의 지역 체 6) 김경수, 앞의 논문 - 본 연구자가 일부 내용 수정 정리함 14


험을 통한 공감과 적극적 참여 및 관심을 유도하여 할 것 이다. 디자인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대상지의 정체성과 잠 재력을 도출 이슈화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구도심지역의 상위 개발계획을 파악 지역의 문제점과 현황은 물론 미래 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구도심 재생과 활성화의 방향을 계획하여야 한다. 대상지 내의 잠재력 있는 공공영역을 확 보를 통해 네트워크 체계를 구성하여 새로 형성된 공공공 간 사용자를 연계, 물리적 개선이 아닌 공간의 개념 자체 를 새롭게 정립을 통해 구체적인 이용 성격 및 활동 상황 을 예측 그에 부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디자인을 통해 지속 가능하도록 주변과의 조화와 자발적인 변화를 추구하 여야 한다.

<그림 3> 구도심 활성화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 방향

7.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가치와 필요성 부산광역시의 사례를 통하여 구도심활성화에 있어서 공공 디자인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 요약 하였다. <표 12>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가치와 필요성 구분 내용 도시 공공디자인을 통해 지역의 역사, 문화와 개성을 살린 정체성 형 교루 성, 지역 사람들의 애향심을 촉진의 계기와 지역의 특성을 살림 거점 으로써 도시 간 경쟁에서 우위성을 발휘하는 전략적 거점의 형 형성 성이 가능하게 한다. 도심 지역이 공동화로 지역에 남아있는 고령자의 생활 기반이 커뮤 붕괴, 정체된 지역이라는 이미지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거주 환 니티 경 또한 한층 악화될 것이다. 한번 슬럼화 되어 주민이 빠져나간 보존 도심을 재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부정적인 이미지 재고를 위 육성 해서 지역의 문화와 역사성을 살린 다양한 공공디자인이 정책적 으로 적용이 되어야한다. 도시 구도심 내의 버려진 공간을 공공디자인을 통하여 지역의 새로운 산업 문화창조공간으로 활용, 지역간 교류와 젊은 층의 인구를 흡인하 활성 는 공간으로서 신규산업을 창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화

따라서 공공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창조공간은 구도심 의 커뮤니티 형성이 주축이 될 수 있으며, 구도심 내 산업 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처럼 구도심 내에 서 발생하는 다양한 지역의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응 방안을 찾을 수 있는 중요한 정책적인 한 방향 이며, 디자인을 통한 새로운 문화를 통해 시민과 공유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도시의 발전에 있어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어야하며, 특히, 정보화・지방화・세계화 등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를 적극 반영하여 불가피하게 쇠퇴하는 구도심 활성화를 위해 서는 다양한 공공디자인정책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활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8. 결론 경제적 논리에 의한 내재적 자생능력을 약화시키는 일방적 인 구도심 활성화 정책은 언젠가는 뒤처지고 외면당하게 마련이다. 따라서 무분별하고 성급한 정책 실행에 앞서 합 당한 대안을 고려해봐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면밀한 경제 적 분석과 현명한 판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구도심활성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역할은 첫째,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 수동적인 공공디자인 적용이 아니라 지역의 문화적인 특성을 고려한 커뮤니티를 구성하여 내재적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활용이 용이한 디자인 방향성이 계획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적용, 특성화 할 수 있 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지역의 낡은 이미지 개선과 젊 은 층의 관심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셋째, 이원화된 행정조 직과 추진체계의 정립을 통한 조직구축과 지원을 바탕으로 지역의 다양한 문화를 개발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과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한다. 넷째, 구도 심 활성에 있어서 공공디자인의 지속적인 역할은 사라져가 는 구도심의 역사와 문화를 도출하여 지역의 아이덴티티와 어메니티가 결합한 문화를 창조, 새로운 문화자원으로써 차별화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사례를 통하여 공공디 자인이 구도심활성화에 있어서 그 가치와 역할에 관하여 조사.연구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조사의 범위를 부 산의 구도심지역으로 한정한 것과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했 기 때문에 지역 주민들의 의사에 관한 조사 분석이 미흡했 으며, 타 지역의 사례와 비교를 통한 다양한 접근과 시사 점 및 문제점을 조사반영 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노출했 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위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보안 한 보다 실질적이고 진전된 분석과 접근방식을 통한 연구 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광중, 『한국 도시쇠토의 원인과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0 나카지마 에리), 『영국의 지속가능한 지역만들기』,한올아카데미, 2009 니시카와 요시아키 외,『시민이 참가하는 마치즈쿠리』,한울, 2006 이동훈, 이성창,「2010 도시재생사업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공적 기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황보민경, 이정교,「구도심 재생을 위한 공공영역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 학회지, 2008 황영우, 이원규,「부산광역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관리에 관한 연 구」, 2007, 부산발전연구원. 15


16


17


18


1. 서론 1.1. 연구목적

부산광역시는 1970-1980년대 산업 근대화를 시작 으로 인구증가와 신도시 개발, 교통량의 증가로 도로

와 대중교통의 확충이 대두되었다. 그로 인하여 부산 광역시는지리적 특성인 많은산을뚫어 터널을만들

었으며, 터널과 터널을 연결하는 고가 도로가 타 지

역에 비하여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지리적 득 〈사진 1 〉부산진구 가야로 응벽에 적용

성상 도심 곳곳에 절벽과 같은높은옹벽들이 존재하 고- 있으-면, 그·것올 횔·용휴} 새로-운 시도들이 활발히

디자인 오브제 ‘

이루어지고있다.부산광역시는 아름다운부산 도시경관 가로시설물디자인 개선 계획에 의거 응벽

디자인 개선 사업을연차적으로 시행하고있다.사업기간은 2008년 아름다운부산 만들기 종합 계획

을수립하고, 옹벽 둥도시구조물에 대한 전수조사를통해 응벽디자인 개선 사업 시행 예정 73개소

옹벽올 선정하였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5개소, 2012년 2개소를 진행하였다. 또한 2013년~ 2015년까지 우선순위 10개소의 옹벽올선정하여 연차적으로 사업올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부산 옹벽 현황 댑웅, 부산대 도시공학과 석사 에서 최근 부산광역시에서 진행 하고있는가로환경 개선 사업 터근 참조, 2006. 디자인 작업의 사례를연구 하였다. 단순히 기능적인 구조물로 〈표

1〉

전체

개소수

구분

개소수

중구

4

북구

5

동구

2

큽H운대구

5

서구

5

사하구

2

영도구

2

금정구

1

부산진구

7

연제구

2

동래구

3

수영구

2

님구

5

人�:규

7

중심으로오브제를 활용한 응벽 공공 존재하던 도로변 응벽이오브제를 활

용한 새로운 시도를통해 도시환경개선 및 장소의 새로운 해석과 재생이라는 관점에서 그 활용에 관 한하여 이슈화와 기초적인 학문적 자료를제시한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고 하겠다. 1.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최근 2008년부터 부산광역시에서 아름다운 부산 만들기 종합 계획 의 일환으로 시작한

사업 중 오브제를 활용한웅벽디자인 작업 사례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관련 문헌자료 조사와 이론 및 선행연구를통하여 고찰올하였다. 둘째, 옹벽 가로환경개선에있어서디자인요소로오브제 ‘

의 기능적인 역할을 연구하였다. 셋째, 2008년부터 부산광역시에서 아름다운 부산 만들기 종합 계 ’

획 의일환으로 시작한 사업 중 우선선정 대상지 10개소 중 완료지 4개소와일반 대상 완료지 4개소

총8개 지역의 사례를조사후유형분석등을하였다. 넷째, 마지막으로오브제를활용한웅벽디자인

의 가치와 필요성 그리고 방 향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오브제의 개념과 기능

오브제(objet)의 어원은 라틴어오브젝툼(objectum)에서 왔으며,일반적으로 물건, 물체, 객체란 의

미로 사용한다. 사전적 의미는 크게 오감으로 포착할수있는물체, 사물과 지적으로 포착할수 있는

대상, 객체라는두가지 의미로 나눈다. 즉사전 속의오브제에 대한 정의는시각, 청각, 촉각등의 감

각을통해 인식할수있는사물과 인식 주체의 인식대상으로서의 정신적인 것을포함한 대상으로요 약할수있다. 에너슨(H H Arnason)은오브제의 특성을 현실적인 물체가 자유롭고 비결정적인 상

태에있는것처럼 방치되는것이며, 레비AE 쿠 A(ClaudeLevi-Strauss)는한 가지오브제가일상성

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하나의 레디메이드(ready-made)ll가 있기 위해서는 최소한 두개의 물체가

필요하댜고 주장하였다_2) 이러한오브제는특히 1960년대 크게 유행하였던 생활주변에서 쉽게 구

할수있는 생활용품들을사용한오브제 작품들이 활발하게 등장하기 시작, 이러한 경향들이디자인 에 큰영향을미치게 되었다.

’ 1) 레디메이드(ready-made):' 기성품의 미술작품 이라는 의미이며 M. 뒤샹이 처음으로 창조한 미술 개념 2) 김보명.「재현된 패션 오브제의 조형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p.7-p9 내용 요약정리.

19


〈표 2〉용어의 개념 정의

오브제

재현된 오브제

-물건, 물체 vs 대상, 객체 -독립적인 표현 수단 _人듐計글 일상적인 의미에서 분리시켜 예술의 영 역으로 이임된 것 -작가나 디자이너들이 아이디어나 이미지, 혹은 개념을 보여주기 위해 일상의 사물을 작품에 도임한 오브제 -디자이너가 새롭게 창작한 창작물은 대상이 이님

김보명은그의 2010년 논문에서 작가나 디자이너들이 그들의 아이디어나 이미지, 혹은개념을보여

주기 위해 일상의 사물을작품에 도입한 오브제를‘재현된 오브제(represented object)' 로 정의하고

있다.또한남미경은그의 논문'오브제 예술의확장이 현대 디자인에 미친 영향고찰에서 현대 디자

인에 수용된 오브제 예술의 개념을설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은바로 디자인의표현이 기법과 용

도 중심의 전통성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고 얼마만큼자유로운표현에 근접하고, 단순 한반전통과반

예술의 미학이 아니라표현의 한계와전통성의 습관적 답습을초월한 다양한 디자인표현영역의 개

방성과확대성을중시했기 때문이라고말하고있다. 〈표 3〉 디자인 요소로서 오브제의 기능 구분

1::11고

내용

특정한 人層이나 요소를 매개체로 이용, 말 상징적 로 표현하기 힘든 경험이나 잠재되어 있는 보편적인 방법을 상징적으로 저꼼한다.

기호적

특별한 해석이 없이도 人泡- 속에 내재되어 있는 기호적인 요인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재해석이 가능하게 한다.

부산 동래구 복천박물관 일원 - 철기와 토기문화를 찬란하게 꽃피웠던 옛 --" 가야 문화를 상징적으로 표현

사회적, 문화적인 의미를 내포한, 일종의 기 문화적

호로서 내중문화의 수준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디자인은 단순히 기능을 충족시키는 형태를 갖거나 문자근 그림으로 바꾸는 일이 아니며 조형적 | 새로운 시각적 창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조형적 기능과 예술적 요인들이 결합된다.

-

부산 남구 황령터널 입구 _ 남구의 내표적 관광명소인 오륙도와 떠오 르는 해, 바닷바람을 시각화하여 이미지를 표현 부산진구 가야로옹벽 _도시의 사람들(People of City)이라는 테 마로 도시인의 하루 일상을 시간의 흐름에

� 따라연출 부산 사하구 감천문화마을 -도심재생 프로젝트 일환으로 주민과 디자이 너 및 전문작가들의 참여하여 설치

따라서 디자인에서 오브제란 정체성(Identity)올 말하는 것이며, 즉물적(卽物的) 형태를통하여 대 중과 소통의 매개체로서의 가치와사회적, 문화적인 의미를내포하고있는 상징적인 역할올 의미하

는 것이다. 예술 영역에서는 여러 형태의 오브제를다양한 형태로 표현하여 소통이 가능하다. 과거

디자인은 예술 영역에 비하여 기능적인 면을강조한 나머지 오브제를활용한표현은상대적으로제

한적이었다. 근래 현대 디자인은대량생산체재의 산업사회를상징하는즉물적 오브제의 미학적 개 념을확대 수용함으로써 직관적이고 감성 위주 태도를가진 디자이너와개성을추구하는 소비자의

물질 중심표현을교류시키며 상징적, 기호적, 문화적, 조형적인 기능적 요소를바탕으로제품, 광고

등하나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수단으로 기능할수있는새로운문화영역확장을이루어 내었다_3)

또한 순수미술과 달리 디자인에서의 오브제는 디자이너의 물성에 대한 재해석과 재창조를통하여 상 징적인 매개체로 대중에게 쉽고 집근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을가진다.

2.2. 디자인 요소로서 오브재의 역할

디자인 요소로서의 오브제의 역할을 〈표 4〉과 같이 정리하였다.

3)이소현 「오브재 미술이 그래픽 디자인에 미친 영향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논문, 2003, p49-p53 참고 정리. 20


〈표5〉옹벽 디자인의 유형 분류 구 분

정 -슬로건, 관광명소 등을 보 모티브 전 -지역의 경계를 구분 하는 달 표식의 기능 형 -사진 등과 같이 직점적 으로설치 -미적, 인간적 요소와 지 역의 문화적 정체성이

경 미

미적, 인간적 요소 부여

내용 -공공성과 지역성의 정체 싱이 강함

〈표 4〉 디자인 요소로서 오브제의 역할

강함 -홍보형과 같은 유사한 특징 - 주로 경관개선이 주목 적

-시각적으로 정성적, 심 화 리적인 안정을 주는 분 형 위기를발산

-일상생활환경의 요소로서 시각적, 심리적 악센트의 역할 -도시생활 환경에서 보다 나은 환경을 조성과 능률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해줌 공공성확보 -공공디자인을설치를 통해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공적인 문화공간확보가 가능 -획일적인 형태의 도시환경에서 예술적인 조형물이 입체적으로 개입을 통해 시각의 피로와 권태를 덜어주고 정서적, 심리적 안정 된 분위기를 발산 -수직적이고 위압적 구조물 속에 디자인적 요소가 적용되며 시각적인 변화로 심리적인 관심을 갖게 됨 정체성부여 -지역 또는 단체의 이미지, 혹은 공간의 지표 등으로 상징됨 _복잡한 도시 생활을 하는 시민들에게 공감대를 형성, 공간의 성격을 선명하게 하거나 특징을부여 존재감을 갖게 함

2.3. 오브제를 활용한 옹벽 디자인의 유형 분류 ’

김광일 ‘부산시내 옹벽벽화의 특성연구 와 이태원 ‘재료에 따른 웅벽 경관이미지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에서 기능과 재료에 따라 옹벽디자인의 유형을 분석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위의

두논문의 분류방법을참고하였으며, 부산광역시의 응벽 디자인사례를조사후 앞의 2-3장의 〈표

3〉와 〈표 4〉를기준으로 정보전달형과 환경미화형 등으로 〈표 6〉와 같이 분류하였다.

-지역의 랜트마크적인 기 능이 강함 〈표 6〉 오브제를 적용한옹벽 디자인의 기능적 유형 분류 -전문작가나 디자이너들 내용 구분 이 참여 설치

이미지

| 주로 지역의 슬로건이나 대표적인 관광명소 등을 홍보함.

홍보형 정보 전달형 지역구분형

오박세형 환경 미화형

| 다양한 재료와 함께 패턴, 오브제를 사용함

콘크리트에 벽화를 그려 경관을 개선함 주로 페인트 작업이 많 음

그래픽형

| 지역의 경계를 표기함

3. 부산광역시의 옹벽 현황 부산광역시 내의 산재한 콘크리트 옹벽은 2008년 3월부터 7월까지 전수조사된 터널 접속 옹벽과 도

로 절개지 옹벽올 포함하여 73개소로 집 계되 었으며 2011년 3년간 디자인 개선 산업이 완료된 곳은 6 소이댜 또한 2008년부터 아름다운 도시 부산 만들기 5개년 종합 계획에 의해 2015년까지 웅벽 디

자인 개선 사업 우선순위 10개를선정 4개소는 완료하였고 나머지는 현재 계획 중에 있다_4)

〈표 7〉 2011년까지 부산광역시옹벽 디자인 개선 사업 완료옹벽 (*김광일, 2012년 힌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지 참조 정리) 제작년도

위치

높Ol(m)

〈그림 1 〉 디자인 요소로서

2009

가야로옹벽

1-4

437

환경미화형 (오브제)

오브제의 기능과 역할

2009

화명동 금곡로

8

342

정보전단형 (지역구분형)

2010

부구 만덕2너널옹진입로 벽

3-8

445

환경미화형 (오브제)

2010

남구 황령너널 진입로옹벽

1-10,3

240

환경미화형 (오브제)

2011

사히구 다대로옹벽

6-12

250

정보전달형 (홍보형)

2011

사상왕굴다리 주벽옹벽

1-8

240

정보전달형 (홍보형)

4)김광일 「부산시내옹벽벽화의 특성연구」. 힌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지, 2012. 참고 21

길Ol(m)

유형


〈표 8〉 부산광역시 옹벽 디자인 개선 사업 우선순위 10개소 위치

완공

크71

상태

유형

부산진구신암로옹벽

2012

높이:1-15m / 길이:377m

완료

환경미화형 (오브제)

북구제2만덕터널 임구옹벽

2010

높이:2-Sm I 길이:180m

완료

환경미화형 (오브제)

사하구 다대로 응벽

2011

높아3-12m / 길이:950m

완료

정보전달형 (홍보형)

높이:1-3m / 길이:260m

DI실人|

높이:2-sm / 길이:170m

완료

영도구 하수종말처리장 앞 옹벽

높이:1-6m / 길이:150m

DI실人|

서구 서대신동 구덕터널 임구옹벽

높이:1-7m / 길이:240m

DI실人|

人쌍구 학장동 구덕터널 입구옹벽

높이·s-6.5m I 길이:120m

DI실人|

人장구모라동 백양터널 입구오벽

높이·s-11m / 길이:430m

DI실人|

인저尸 월트킵길 옹벽

높이:1-1om / 길이:330m

DI실人|

해운대 송정터널 입구옹벽 2014

연제구고분로 옹벽

환경미화형 (오브제)

4. 부산광역시의 사례

〈사진 2〉 디자인 적용 전 부산 가야로의 옹벽

〈사진 3〉디자인 적용 전 부산 대티터널 입구

부산광역시는지리적으로일부내륙지역을제외한 대부분의 주거공간과상업지역이 해안매립지 또

는산지에 위치한도로를 중심으로발달하였으며, 지역과지역올 연결하는터널과산복도로가타지

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많이 발달한것이 특징이다.또한지리적 특성상산지나해안절개지를깎아 만든 도로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도심 곳곳에 절벽과 같은 높은 웅벽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장에서는 부산광역시가 2008년부터 시작한 아름다운 도시 부산

만들기를 통해 개선된 옹벽 사례 중 우선 선정 10개 중 완료지 4개소와일반 대상 완료지 4개소 총 8

개 지역의 사례를조사하였다.

〈표 9〉 아름다운 도시 부산 민기를 통한 옹벽개선 사업 사례 내상지 완공

위치

높Ol(m)

길Ol(m)

유형

2009

가야로옹벽

1-4

437

환경미화형 (오브제)

2009

화명동금곡로옹벽

8

342

정보전달형 (지역구분형 )

2010

만덕 2터널 진입로 옹벽

3-8

445

환경미화형 (오브제)

2010

남구 황령터널 진입로 옹벽

1-10

240

환경미화형 (오브제)

2011

사하구 다대로옹벽

6-12

250

정보진달형 (홍보형)

2012

사상왕굴다리 주벽 옹벽

1-8

240

정보전달형 (홍보형)

2012

부산진구신암로 옹벽

1-15

377

환경미화형 (오브제)

2014

연저円 고분로옹벽

2-8

170

환경미화형 (오브제)

22


4.1.환경미화형

〈표 10〉 부아름다운 도시 부산 만기를 통한 개선작업 환경미화형 사례 완공

내용

구분

|

동서대학교 퍼블릭 & 라이팅 연구소 소장 인 안병진 교수가 디자인한「도시의 사람들 ( People of City)」이라는 테마로 도시인 의 하루 일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출

f [ 7 0 로 한 작품으로 시민들이 일상의 소중함을 느 2009 옹벽 낄 수 있도록 시각적, 감성적 메시지를 전 달하여 생활공간과 가로공간의 단절을 극 복하고, 미적 감흥을 불러일으켜 새로운

71 크m ( ) | 재료 |

높01 1-4 길01 437

LED, 포맥스 등

볼거리를 제공

-만덕터널 입구는 출퇴근 시간마다 극심 한 교통정체가 발생하는 민성체증 구간,

옹벽까지 낡고 칙칙하여 미관 정비가 시 급하다는 지적을 받아 오딘 곳.

-동래구는 이곳에 동래읍성, 은천천 등 동 래구를 상징들을 모티브로 세라믹 도자 타일을 이용하여 입체감 있게 디자인, 터 2010

만덕 2터널

진입로

미 화 형

널 입구 쪽에 동래음성, 소나무와 학 모 앙 등을, 출구 쪽에는 온천천, 반딧붐이,

I

오 巳 제 I 님구

고기 잡는 아이들 모습을 새겨 동래의 �A},Jil} S') 編 담아냈다 또 요 으로 LED 조명을 설치해 야간에도 은은

높01 3-8 길01 445

LED, 티일

하고 환상적인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남구의 내표적 관광명소인 오륙도와 떠오

횡력 르는 해, 바닷바람을 시각화한 남구의 이 2010 터널 미지물 표현했으며 또한 점·산면을 이용해 진임로 조형적으로 나타냈다.

관내 속 낙후된 신암로~범천로를 연결하 부산 는 3단 옹벽을 그래픽 작업과 임체 오브제 2012 진구 에 경관조명을 적용하여 재정비 작업하였 신암로 E(

연제구와 부산경대와 함께 관내의 고분군

에서 출토된 토기들의 문양과 패턴을 이용 연제구 하여 유기적으로 표현하였으면 경관 조명 2014 고분로 을 설치하여 야간의 거리 조명 역할도 동

I

시하고 있다.

23

LED, 높01 1-10 포맥스 길01 240

우드데 등

높01 1-15

LED, 포맥스

길이 377

높01 2-8 길01 170

타일 페인트

LED, 포맥스 등

이미지


4.2.정보전달형

〈표 11〉 아름다운 도시 부산 만기를 통한 개선작업 정보전달형 사례 완공

내용

구분

가야대로와 백양로를 연결 접속 도로 로 평소에도 교통량과 유동인구가 많 人I{!卜 왕굴 다리

은 구간, 철도와 고가도로 아래 어둡 고 칙칙했던 회색빛 굴다리, 조명시설 이 부족하고 곡선과 경사가 심해 교 2012년 통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음산한 분위

I

홍보 형 정보 전 달 형

기로 기피지역이 야간 경관 조명과 벽 화그림이 있는 주민 친화공간으로 탈H땅느

크71

높01 1-8

지역 구 분 형

화명동 이'(거북이), 구조인 까치 등, 벽면을 1 2009년 금곡로 장식, 스테인리스로 제작, 임체 조형 물에 LED 등을 설치하여 야간 경관 을 연출

LED, 포맥스

길이 240

고니, 억새 등 구를 상징하는 조형물 높016 사하구 과 지역의 명소 이미지를 사용하여 -12 12012년 대대로 기존 공단지대 이미지에서 벗어난 생 태도 시를 콘셉트로 연출 길이 260 구의 심벌마크, 슬로건 'Hu-Nature Bukgu'(휴 네이처 북구), 캐릭터 ‘북

재료

(m)

LED, 포맥스 등

높018

LED, 포맥스

길이 342

5. 오브제를 활용한 옹벽 디자인의 가치와 필요성 도시는유기체와같이 성장하며 변화를갖는다는말이 있다. 그중에서 최근디자인올통하여 도시 경 쟁력을 높이는 성공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도시 디자인의 중요 관심사는 공적인 공간이다. 모두에게

열려 있고,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은 도시 디자인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공간이다. 문화예술 콘

텐츠를 생산하는 관련 시설물을 짓거나, 크고 화려한 랜드마크 건축물을 세우는 것도 도시 이미지를

바꾸는데 기여한다.

〈표 12〉 오브제를 활용한 도로변 옹벽 디자인 필요성과 가치 〈사진 4〉부산 동구 초량동 산복 도로 주변 옹벽에 셜치 된 공공 조형물

필요성

구분

7f�I _관광 자원으로서 가치 부여

경제적

-지역 재생 및 지역의 정체성 반영 가능 -고지 효과와 기억 보존의 효과 가능

-정보전달의 기능(홍보효과 ) -지역 재개발의 기능 -마케팅적 가치

-공공성이 반영된 문화공간으로서의 대중성이 반영 가능

_미술과 대중의 매개기능

사회적

-장소나 지역사회의 독자성을 제공 자부심 고양에 효과 있음 -교육적 기능 (지역익 역사성 등) -정체성의 대변 가능 -작간점적 문화 체험 공간 제공

환경적

-환경 미화와 도심 재생의 기능

-지역별 개성부여 (정체성 부여) -새로운 문화공간으로서 가치 부여 -환경조형물로서의 가치

또한 건물의 간판이나 도로 표지판만 바꿔도 도시의 이미지는 180도 달라질 수 있다. 결정적으로 도

시의 인상을 좌우하는 것은 의외로 작은 것들이다. 경관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는 요소 가운데 가장 자그마한 변화로 최대의 효과를 펼칠 수 있는 방안으로 옹벽에 간단한 디자인적, 미적 요소가 추가됨

으로써, 이미지 개선의 큰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 4〉과같이 구도심에 낡은 도로변 옹벽 밑 하단에 단수한 공공 조형물 설치 하나로 주변의 이미지 개선과 주변을 지나는 사람에 좋은 이미지

로 각인 시키는 효과를 가지질 수 있다. 대부분의 도시에 대한 첫인상이나 경험은 걷거나, 대중교통

24


수단 등을 통해 거리에서 체험 된 첫 이미지들과 생각들이 도시 전체 이미지로 각인 되는 것이다. 도 시를 구성하는요소 중 가장 많이 경험하고 사용하는 곳이 도로나 보도 등의 가로환경을 통한 것이

다. 따라서 도심 내 가로환경 중절벽과같이 높고칙칙 한 회색의 콘크리트 된응벽에오브제를활용

한 디자인 적용의 필요성과그에 따른 가치를 〈표12〉같이 정리하였다.

6. 환경개선 요소로서 오브제를 활용한 옹벽 디자인의 역할 수직적이고 회색 콘크리트로 마감된 도심부 가로변 응벽에 오브제를 활용한 디자인의 적용은 미적 감각과 개성적 표현, 주변 공간의 조화를통하여 쾌적한 환경을제공하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것이 주된 역할이라고 하겠다. 오브제가 이러한 역할올 할수있는것은여러 가지 다양한재료

를이용하여 넓은공간의 벽에 예술성올부여하고 그로 인하여 다양한 기능적이 역할이 발생하기 때 문이댜 김광일 (2012) 은 공공디자인으로서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첫째, 지역주민들에게

〈그림 2〉 가로환경 개선 요소로서 응벽 디자인의 역할

아름디운환경을제공하여 심미적 만족도를높임으로 주민의 삶의 질을높인다. 둘째, 지역의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보전, 발전시킴으로 경제적 가치를향상시킨다. 셋째, 관광, 문화 사업과 관련하여 도

시경쟁력올향상시킴으로 경제적 가치를향상시킨다. 이상세 가지 역할은앞서 조사한바와같이 공

공디자인과옹벽 경관 이미지는같은 개념이므로 같은역할을한다고 볼수있다_5) 따라서 가로변 옹 벽 환경 개선 요소로서의 오브제의 역할을 아래 〈표 13〉과 같이 4가지로 정의하였다.

〈표 13〉 환경개선 요소로서 오브제를 활용한 옹벽 디자인의 역할 표식의 역할

_ 장소에 점근하는 사람들에게 단계적인 공간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 일종의 랜트마크로서의 기능 및 지도의 방위적 역할과 공간 지각을 하여 지역의 특성과 개성을 나타내어 지역을 부각시키는 홍보 의 역할을한다. 공간조절의 역할

- 벽면에 그래픽 처리를 하거나 도시 광징에 구조물을 설치, 여러 가지 조정, 변화 시켜 의도하고자 하는 특정한 내용이나 시각적 효고層 거둘 수 있다. 미관개선의 역할

- 시각적 악센트가 되고, 보논 이에게 심리적, 정서적 즐거움을 줌. - 시각장애물이 되논 회색의 넓은 벽면을 디자인 작업을 통하여 비일상적인 의외성이 거추장스러운 벽 대신 삭막한 도시공간에 도 입되어, 보는 이에게 신선한 경험을 재공한다. 경제적인 역할

- 잘 선택된 공공디자인은 저렴한 비용과 효율성으로 장소와 지역 사회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을 높여주고 지역의 특성과 개성을 살려 매력적인 가치를 올려준다. - 구조체 전체의 변형이 아니라 오브재를 적용한 디자인을 통하여 표면의 채색작업이나 환경조형물 설치를 동하여 쉽고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 구조체 전체를 변형하는 것에 비하여 경비의 절감과 도시미관 개선이라논 관점에서 최선책이라고 하겠다.

7. 오브제를 활용한 옹벽 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및 한계 경제적

도시환경 속에서 자연이 도시인에게 피곤을덜어주고오아시스와같은휴식처룰제공해주는것과같 이 최근 활발하게 설치되고 있는오브제를통한 디자인 적용도 이와 유사한 기능을가진다고 하겠다.

도시의 사회학적 측면으로 볼 때 이것은공익적인 요소의 하나로써 그것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에 분명하게 영향을 준다고 하겠다. 즉, 도시의 환경조형물은 전반적인 도시계획이나 기존 도시의

재개발에 기여하는미관적 요소로서 시민으로 하여금 그들의 환경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도시가 갖

〈그림 3〉 옹벽 디자인의 문제점 고 있는문제의 해결을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모색할수있는기능성을가지며, 단순한 목적으로서의 발생 요인 장식이나 미화를 떠나 근본적으로 도시생활 환경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환경조형물은 개인이

나 공공기관에서 조형공간구성이라는목적 및그것을감상함으로써 예술적 감각을체험하고, 정서적

안정과함께 환경의 미를증진하려는의도 아래 세워진 것이다_6) 따라서 본관에서 〈표 14〉와같이 경

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에서 오브제를활용한 옹벽 디자인의 문제점과 한계를 정리 하였다. 5) 이태원 「재료에 따른 옹벽 경관이미지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 힌앙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p11. 6) 오주현 「환경조형물의 도시 랜드마크 역할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p25. 25


〈표 14〉 오브제를 활용한 옹벽 디자인의 문제점과 한계 구분

문저점

개선방향

한계

경제적

_예산의 비효율적 사용 -지역별 부익부 빈익빈 현상 발생

-친환경, 지속 가능한 디자인 개념의 도임

-예산의 문제로 인하여 유지 보수 결 여 및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사회적

-사업 진행과정의 민관 참여 부족 -통합적 점근의 인식 부재

-안전과 미관이 함께 고려된 디자인 -지역주민의 공감대 형성 부족으로 -시각적, 생태적으로 자연친화적인 디자인 일회성 전시행정으로 끝날 수 있다.

-획일화된 디자인 (지역의 상징물 슬로건 등) -담당 전문 인력 부족

-획일적인 산업화 재료에 의한 몰개성의 극부 더

환경적

-주변 경관 또는 맥락과 조화 되 지못함

-주변 환경과 여1H의 문제로 당초 취 지나 목적고는 전혀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자연과 조화되고 도시 맥락을 반영하는 -잘못 계획으로 최소 몇 년간 설치되 디Xf인 어 흉물로 전락할 수 있다.

8. 결론 현대 도시는점차 복잡하고개성을찾아볼 수 없는 획일 화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 렇게 무미 건조 하고 무질서한 도시환경에서 오브제를 적용한 디자인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한다. 특히 현대 도시환

경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디자인은 도시의 형태를 아름답고 쾌적하게 꾸며주는 심미적 기능과 역할

하며, 주변 환경과조화를 이루는것에 중요한역할을한다. 특히부산과같이 산이나 언덕을깎아서 건설된 도시는 다양한 형태의 수직적이고 위압적인 회색 콘크리트옹벽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옹벽에 디자인을적용함으로써 도심 속 가로환경을미화시키고 생기 있고활력올불어넣어 주며 도 시 환경의 가치와인간의 정서를 순화시켜주는중요한역할올한다. 또한 오브제를활용한옹벽 디자

인 작업은단순히 특정단체의 기념비적, 장식적조형물이 아니라 공적 공간에 놓이는공공의 자산이

며, 지 자체의 전시성 정책의 산물이 아니라 지역의 발전과 공공적역할등을수행히눈A상징적인역할 을수행하여야 한다. 이것은지역 문화의 향상과 문화도시를만드는데 오브제를응벽에 적용하는것

은 지역 가로환경은 물론이고 미관개선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겠다. 오브제를 활용한 웅벽설치

디자인작업은지역의 문화코드가 되고지역의 구성, 배열등외적 형태는물론이고감성충족과 품격

향상둥내적 발전에 도움이 된다. 과거에는산업분야가 지역발진에일조하였다며, 이제는문화와예

술이 지역의 발전과 수준을향상시킨다고하겠다. 특히, 상징과 이미지 로 구성되는오브제 요소가경

관구성의 재생성과 의미화 된다는점에서, 장소의연출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하겠다.

따라서 이것은그 자체가 상품이며 문화라 말할 수 있다. 오브제를활용한 디자인작업을통하여 형성

된 랜드마크(Land Mark) 는지역 문화 상징은 물론이고 낙후된 가로환경계선과 지역 고유의 경쟁력

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현대의 도시 가로환경이 인간의 필요성에 의해 문화와기타 요소가 인위적으 로 이루어졌다면 도시미관 또한 인간을위한 기초단위로 생각하여야 한다. 시각적 무질서 요소들의

재배열과 도시문화의 융합그리고도시의 모든요소즉, 도시가로환경의 시각적, 심미적 측면의 중요

성에 대한 강조가 도시의 생명력인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관심은 도시와 환경, 그 자체의 분석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가로환경문제의 해결에 접근하고자 하는 노력에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연 구는부산광역시의 사례를 통하여 웅벽이라는 대상으로 가로변 환경개선에 있어서 디자인오브제의

기초적인역할과 가치 등에 관하여조사.연구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조사의 범위를부산광역

시의 전역이 아니라일부 구간을한정한 것과부족한 문헌자료와현장을중심으로연구했기 때문에

지역 주민들의 의사 등에 관한조사 분석이 빠졌다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타 지역의 사례와비교를 통한 다양한 접근과 시사점 및 문제점을조사반영 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노출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위의 한계점과 문제점을보완하여 보다 실질적이고심층적으로 더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26


찹고문헌 오주헌 「환경조형물의 도시 랜드마크 역할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노경욱 「환경조형물이 지역 문화 환경에 미치는 영향」,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김보명 「재현된 패션 오브제의 조형성 연구」,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0 구철웅 「도시가로변 구조물 경관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부산대학교 도시공학 석사논문, 2006 남경미 「오브제 예술의 확장이 현대 디자인에 미친 영향고찰」,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03

27


28


https://doi.org/10.5392/JKCA.2017.17.02.612

중국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 연구

Research on Culture Symbol Element about China Mongolian Culture Symbol Recognition and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홍흠*, 곽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Luxun Academy of Fine Arts of China** Hong-Xin(28350257@qq.com)*, Guo-Yan(380867593@qq.com)** 요약 본 논문은 다양한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중국의 가장 대표적 소수민족인 내몽고자치구의 몽고족을 중심 으로 그들의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를 설문조사를 통해 체계적으 로 정립하여 향후 몽고족의 대외 홍보 및 디자인에 응용 가능한 학제적 기초를 마련하고자한다. 본 논문은 객관적 자료를 위해 몽고족 및 타민족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 대부분 몽고족은 소수민족임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으며 소수민족을 대표하는 민족이라 인식하고 있다. 몽고족의 민족성은 사회성이 높고 장식하기 좋아하는 심미성이 있으며, 창의성, 신뢰성, 진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문화상징의 디자인요소 선호도에서는 색상은 청색, 문양은 성길사한의 인물 문양, 재질은 마노 를 선호하였으며 상징의미는 평화가 가장 높았다. 문화상징 활용은 축제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류에 가장 많이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런 문화상징을 내몽고의 정체성 확립 및 홍보를 위해 적극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몽고족 문화상징의 체계적 정립은 몽고족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일로, 민족적 의미와 문화적 사명 아래 민족문화자원과 잘 결합되어 소수민족문화의 발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소수민족으로서 자 부심을 고취시킬 것이다. ■ 중심어 :∣문화상징∣몽고족∣민족정체성∣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on the most representative ethnic of China Mongolian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o establish the understanding of national cultural symbol and the system of national identity, and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Mongolian communication and design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ity of the data, so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populations of Mongolian and other nationalities. The result is that the majority of the Mongolians believe that as the Mongolian people have a sense of pride, and the Mongolian nationality is a representative of china. Mongolian is a kind of aesthetic, creative, reliable, aggressive and like the decoration of the nation. The cultural symbols for design elements are cyan, Gen Gi Khan graphics, agate, and peaceful meaning and so on. The cultural symbols are used for celebration, as well as clothing accessories. The symbol of culture has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Inner Mongolia identity and the propaganda of the nation. The construction of Mongolian cultural symbol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Mongolian national identity. To combine the meaning of nation and the mission of culture with national cultural resources. It is not only to help the development of minority culture, but also to promote the sense of pride of ethnic minorities. ■ keyword :∣Symbol of Culture∣Mongolian∣Identity∣

접수일자 : 2016년 12월 15일 수정일자 : 2017년 01월 23일

심사완료일 : 2017년 02월 01일 교신저자 : 홍흠, e-mail : 28350257@qq.com

29


중국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 연구

I. 서 론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배경 및 목적

유의 문화가 쇠퇴되고 있으며 다른 민족문화와 결합하

고도로 발전해가는 산업화속에서 점차 자기 민족 고

21세기는 고도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문화의 시대에

면서 새로운 형태의 문화가 싹트고 있다. 그러나 몽고

접어들면서 문화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55개의

족은 어느 소수 민족보다 자 민족에 대한 문화적 자부

소수민족[1]으로 이루어진 중국은 각 민족마다 독특한

심과 고유의 민족문화를 잘 형성 해온 민족 중 하나이

민족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소수민족은 민족정체성

다. 몽고족 고유의 민족문화를 보존하고 올바른 정체성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그들의 노력은 단

을 구축하기 위한 몽고족의 문화상징 연구가 필요하며,

순한 민족 정통성의 보존뿐만 아니라 독립된 자치에 대

몽고족을 뿐만 아니라 다른 민족도 인정해줄 수 있는

한 열망으로 나타나 최근 정치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

문화상징을 재정립해야 한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중

다. 그러나 중국은 국가다원일체화 또는 민족다원일체

국의 소수민족 몽고족이며, 연구범위는 문화상징과 정

화를 위해 모든 국가의 역량을 집결 시키고 있으며 하

체성에 국한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소수민

나 된 중국의 힘을 전 세계에 보여주고자 각별히 소수

족문화와 문화상징에 관한 학제적 이론뿐만 아니라 몽

민족에 대한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지원 등을 통해 해

고족의 기초적인 인식조사와 문화상징에 대한 조사, 그

결해 가고 있다. 소수민족의 문화상징에 관한 연구는

리고 문화상징의 활용을 위해 디자인 관점에서의 몽고

소수민족의 민족정체성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

족 문화상징의요소를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실시

고 있으며, 민족문화를 계승하고 대외 이미지 형성에

하여 분석하였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늘날 이러한 문화상징은 점차

본 논문은 체계성, 전형성, 활용성을 기본원칙으로 따

경제와 연관되어 복합적인 상징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

르며 참고문헌과 학술적 선행 논문을 참고 하였으며,

으며 경제가 문화상징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분석의 객관성을 갖기 위해 중

는 실정이다.

국 소수민족 문화 관련 연구원을 방문 조사하여 분석에

문화상징은 민족정신과 문화를 대표하는 가장 중요

대한 합리성을 찾았고 설문조사는 SPSS17.0 통계 프로

한 유형, 무형의 요소로서 몽고족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있다. 몽고족 문화상징의 연구는 소수민족 문화계승 발 전에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중국의 민족정책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수민족 문화상징을 통해

Ⅱ. 이론적 배경

정체성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소수민족의 번영 발전과

1. 민족문화

소수민족의 올바른 문화형성의 기초적인 학제 연구가 본 논문의 연구핵심이다.

민족적 개성의 표현이 바로 민족문화인데, 민족문화

이에 본 연구는 몽고족의 민족문화를 계승 발전시키

는 민족성, 곧 민족 각자의 개성이 같은 풍토적 환경에

기 위해 몽고족의 인식과 문화상징을 연구 조사하고,

서 같은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공통의 생활 집단을 영위

몽고족의 대표 문화상징의 요소를 제시하여 향후 몽고

하는 동안에 저절로 이루어지는 생활과 사고방식에 대

족의 대외 홍보 및 디자인에 응용 가능한 학제적 기초

한 공동의 마음 바탕이라 할 수 있다[2]. 이런 민족문화

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몽고족과 타민족을

는 “일정한 역사적 시대의 민족의 정치생활, 경제생활,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몽고족의 문화상징’

생활풍습과 생활감정을 반영한 문화[3]”라 할 수 있어

을 분석하여 몽고족의 문화상징 인식과 문화상징요소

소수민족 문화는 민족적 개성을 가지고 역사의 발전과

를 체계적으로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에서 공동체 생활을 통해 저절로 이루어지는 생활방 식에 대한 공통의 마음 바탕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현

3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 Vol. 17 No. 2 대 산업화를 통해 소수민족문화는 변질되고 왜곡되어

식별성을 가지고 있는 민족적, 문화적, 상징적 산물이다

왔으나 중국의 소수민족들은 오랜 역사를 통해 자기 민

[8].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민족문화상징은 소수민족

족만의 소수민족문화를 잘 보존하여 왔고 자부심을 느

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 중에 하나인 고유의 언어를

끼면서 그들의 소수민족문화를 지키려는 의지가 강하

비롯하여 민족상징의 색상, 문양, 재질, 의미가 있다. 상

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맞게 일부에서는 “민족문화

징의 존재양식 분류를 바탕으로 한 소수민족 문화상징

의 고유한 전통과 우수한 유산을 살리며 그것을 현대적

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미감과 시대의 요구에 맞게 발전시킴으로써만 참다운 표 1. 소수민족 문화상징 요소 분류

소수민족문화를 발전 시켜 나갈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존재 양식

소위 ‘현대화’를 강조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분류 말 글

연설, 웅변, 대화, 논쟁 단어, 표어, 슬로건, 기록 언어 논리적 기호, 수학적 기호, 기호 일상적 기호 일상적 행위 신호, 몸짓 행위 규범적 행위 의례, 의식, 주술 신화, 전설, 꿈 상 상 의 신비적 산물 산물 예술적 산물 음악, 미술, 공간구성 정치적 관념 이데올로기, 준 이데올로기 관념 비정치적 관념 악인, 적, 반역자, 침략자 긍정적 인물 영웅, 성인, 국부, 위인, 애국자 인물 부정적 인물 악인, 적, 반역자, 침략자 깃발, 건축물, 조형물, 인위적 사물 도구, 의상, 배지 사물 자연적 사물 해, 달, 별, 동물 등 역사적 사건 건국, 전쟁, 발견, 발명, 혁명 사건 극적ㆍ도발적 자연재해, 정치적 사태, 사건 사회적 사건 정치제도 헌법, 정당, 선거, 투표 경제제도 자유 시장경제, 통제, 계획경제 제도 사회제도 가족, 교육, 언론, 종교 문화제도 관습, 규범, 생활양식, 예절

2. 상징 어원적으로 ‘상징(Symbol)’이라는 단어는 ‘짝을 맞추 다’는 뜻을 가진 희랍어 동사 ‘Symballein’에서 유래한 것이다[4]. 이 말의 명사형은 ‘Symbolon’은 ‘표상(表象)’, ‘증표(證標)’, ‘신표(信標)’ 따위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서, 본래 헤어지는 두 사람이 상호맹세의 표시로 동전 을 나누어 가지고 떠나 훗날 다시 만날 때 그 짝을 맞추 어 봄으로써 결합과 신임의 증표로 삼았던 데에서 유래 한다. 따라서 상징이란 본래의 것, 그 자체를 드러내기 위해 결합된 어떤 것으로 그에 부합되는 기호나 표상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상징은 원관념이 배제된 보조 개념 만으로 성립하는 것으로서, 고도의 해석 능력을 통해서 만 그 의미가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5].

3. 소수민족문화상징 분류

상징 요소 문양

의식 색상, 의미 의식 문양 재질, 문양 민족성

민족성

소수민족 문화상징 요소는 크게 인식과 디자인요소

소수민족은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데 대표적인

로 나눌 수 있다. 인식은 민족의식과 민족성을 포함하

문화를 집중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문화상징

였으며 디자인은 색상, 문양, 재질, 의미 네 가지 요소가

이다. 인류 문화의 오랜 발전 단계에서 자기민족만의

포함되었다.

독특한 문화를 가지면서 다른 민족 문화와 차이를 나타

4. 소수민족의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정체성

내는데 이것이 문화의 민족성이다. 소수민족 문화상징 은 소수민족이 민족문화를 창조하여 계승, 발전시켜온

소수민족 문화는 소수민족의 역사, 문학, 매체 그리고

과정에서 민족구성원의 공동체성을 함양시키고 연대를

대중문화 속에서 이야기되고 반복되는데 민족성의 본

강화하기 위해 만들어낸 그림, 문자도형, 행동, 의식 등

질은 역사의 모든 변천을 거치면서도 변하지 않는 초시

을 말하며, 대표적인 민족 문화적 산물이라 말한다고

간성이며, 민족정체성은 종종 상징적으로 순수하고 유

할 수 있다[6]. 이에 따라 소수민족 문화상징은 어느 소

일한 '민중'이란 개념에 기초되기도 한다[9]. 그러나 민

수민족의 고유한 민족문화상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7].

족문화는 문화적 권력구조 대부분 현대 민족은 오랜 폭

다시 말하면 소수민족의 문화상징은 어느 소수민족의

력적 정보의 과정에 의해, 즉 문화적 차이에 대한 강제

고유한 문화와 대표적인 상징물을 결합하여 형성하는

적인 억압을 통해 통합되었고, 민족은 항상 상이한 사

31


중국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 연구

3. 재질

회계급들과 성 및 종족적 집단으로 구성되기에 민족문 화를 통합한다는 것으로 보기보단 여러 차이들을 통합

몽고족이 발전해오면서 장식을 매우 중시한다는 것

성 또는 정체성으로 재현하는 하나의 담론장치로 생각

을 알 수 있다. 특히 주택내부나 신체에 장식하는 등 행

해야 한다. 따라서 민족문화 담론은 그렇게 현대적이지

위에서 여러 가지 제작 재료가 충분히 이용이 되었음을

도 않고, 그것은 과거와 미래 사이에 모호하게 놓여 있

알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재질은 금은, 산호, 마노, 송

는 정체성들을 만들어낸다.

이석(松耳石), 비취, 호박, 옥, 진주 등이 있다.

소수민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은 그 민족의 정체성 으로 이어지며 급변하는 세계의 정치, 문화, 사회 환경

4. 의미

속에서 소수민족만의 고유한 민족상징을 잘 보존하고

몽고족의 선호한 의미는 주로 평화, 화합, 투쟁, 풍작,

지키기에 앞서 이제는 체계적이고 올바른 문화상징의

길상벽사, 공명출세, 수복장수, 다산기자, 부귀유여로

정립과 적극적인 활용으로 소수민족만의 정체성을 확

정의된다. 예를 들면 색상 중 흰색은 몽고족 마음속에

립하고 발전 시켜야 할 것이다.

행복과 행운, 빨간색은 행복과 승리, 파란색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상징으로 되어 있다. 문양에서는 지속적으 로 개념을 탐구하는 소용돌이무늬, 장수와 길상을 상징

Ⅲ. 몽고족 문화상징요소

하는 균사문, 용맹과 영웅을 상징하는 매문, 권력과 부 귀를 상징하는 용봉문 등이 있으며, 재질은 고귀권력을

1. 색상

상징하고 행운을 가져다주는 붉은색, 부유를 상징하는

몽고족은 오랜 세월 동안 초목생활을 하며 자연과 함

금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몽고족의 문화상징의미를 나

께 생활해 왔는데 그들의 문화상징 요소 중 색상은 많

타낸다.

은 의미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문화상징으로서 매우 중 요한 요소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몽고족이 숭상하며 좋

5. 소결

아하는 대표적인 색상으로는 흰색, 청색, 적색등이 있

몽고족의 문화상징은 크게 색상, 문양, 재질과 의미

다.

네 가지 요소로 나눌 수 있다. 몽고족의 문화상징 분류 는 다음 [표 2]과 같다.

2. 문양 아름다운 상상, 과장된 예술 및 일상생활에 대한 묘

표 2. 몽고족 문화상징의 분류

사는 몽고족 문양의 주요한 특징이다. 몽고족은 문양을

분류

조합하는 것을 좋아한다. 예를 들면 반장(盤腸)문양은

색상

연신에다 풀의 운두 문양과 함께 얽매여 다채롭다. 여 기에 쓰이는 기법은 기하학모양의 권초(卷草)문양을 비

구분

내용

유채색 무채색 문자 천상

적색, 청색, 녹색, 황색 흑색, 흰색 몽고문, 한자, 복, 녹, 수, 희, 재 형, 소용돌이, 구름 용봉, 제비, 나비, 코끼리, 낙타, 백조, 마문, 매, 이리, 사슴, 어, 귀사 권초, 모란화, 설련화, 보상화 성길사한, 홀필렬, 효장태후 승, 팔각별 길상팔보, 구궁팔괘 금, 은, 동 산호, 마노, 송이석, 비취, 호박, 옥, 진주, 나무, 뼈, 종이, 유리, 실, 돌 평화, 화합, 투쟁, 길상벽사, 수복장수, 다산기자 풍작, 공명출세, 부귀유여

동물

롯한 곡직선의 변화를 이용하여 여러 다른 감정을 표현

문양

하고 직선과 곡선의 변형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화롭게 결합하였다. 구불구불한 양의 뿔은 아름다워서 뿔과 같 이 구불구불한 문양은 ‘오알랍길(烏嘎拉吉)’을 부르고

재질

다른 문양은 ‘하(賀)’라고 부른다. 일부 문양은 다른 민 족, 특히, 한족과 장족 문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문

의미

양을 사용할 때 몽고족만의 특색을 나타낸다.

32

식물 인물 기학 종교 금속 비금속 정신적 물질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 Vol. 17 No. 2

Ⅳ. 몽고족의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문화상징 요소에 관한 조사

족을 대상으로 설문지 150부를 배부하고, 6월26일부터

1. 조사방법

부를 배부하며 7월 5일까지 300부를 수거하여 불성실

일까지 중국 내몽고자치구의 몽고족과 몽고족 이외 민 7월3일까지 몽고족 이외 민족을 대상으로 설문지 150

본 연구의 조사방법은 설문조사를 선택하여 진행하

한 응답 4부를 제외한 296부를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Statistics 17.0 통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

4. 측정도구

다. 우선, 몽고족에 대한 인식은 몽고족의 의식성을 파 악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을 하였으며 몽고

본 연구는 몽고족의 인식과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 등

족의 민족성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한 20

을 파악하고, 문화상징의 요소별 선호도와 사용 그리고

개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탐색적 요

민족문화 정체성을 추출하기 위한 필요한 사항을 찾고

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5개 핵심

자 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설문지 구성과 내용은 아

요인을 추출하였는데 제5요인의 설명된 총 분산이 낮

래의 [표 4]과 같다.

아서 4가지 요인으로 정리된다. 마지막으로 몽고족의 상징 와 문화상징의 요소별 선호도에 대한 분석은 빈도

표 4. 설문지 구성 및 내용

분석을 하였으며 몽고족 문화상징의 활용에 대한 분석 은 기술성 통계분석 방법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구분

내용

인구통계학적 문항

성별, 연령, 직업유형, 민족, 생활지역

2. 조사대상 몽고족 인식

본 연구는 소수민족 문화상징의 인식과 그에 기반한 디자인요소 연구를 위해 중국 가장 대표적인 내몽고자 치구의 몽고족과 기타 민족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직 업, 민족, 생활지역에 따라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몽고족 문화 상징

조사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변이의 분포를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다. 표 3. 조사대상의 인구 통계적 특성 성 별

연 령

민 족

구분

빈도

백분율

구분

빈도

백분율

남 여 20세 미만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몽고족 기타 민족

139 157 93 73 79 39 10 2 147 149

46.96 53.04 31.42 24.66 26.69 13.18 3.38 0.68 49.7 50.3

학생 주부 직 자영업 업 회사원 공무원 기타 생활 내몽고 지역 기타

134 11 26 53 21 51 166 130

45.27 3.72 8.78 17.91 7.09 17.23 56.8 43.92

전체

296

100

의식성

1문항 (10소문항)

민족성

1문항 (20소문항)

선호도

1문항 (2소문항)

요소

1문항 (4소문항)

사용

1문항 (5소문항)

문항의 예 성별구분: 남, 여 민족: 몽고족, 몽고족이외 민족 1. 원래 중국인이라 생각한다. 6. 후손에게 소수민족 후손이라 가르 친다. 3. 새로운 것을 좋아한다. 12. 다른 사람을 기꺼이 돕다. 1. 몽고족을 대표하는 인상은? 2. 몽고족 가장 대표적인 문화상품 은? 문화상징 요소: 색상, 문양, 재질, 의미 1. 몽고족이 문화상징을 주로 사용하 는 시기는? 4. 몽고족의 문화상징 계속 사용 여부 는? 5문항(41소문항)

Ⅴ. 몽고족과 문화상징에 관한 조사결과 및 분석 1. 몽고족의 인식 1.1 몽고족의 의식성 몽고족에 대한 몽고족인과 몽고족이외 민족의 의식 을 파악하고자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3. 연구 절차

문항별 동의정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 4.08로 전반적으 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3년 6월 17일부터 24

33


중국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 연구

표 5. 몽고족의 의식성에 대한 분석

후손이라 가르친다'(0.06), '나는 몽고족의 상징을 잘

문항 내용 1. 원래 중국인이라 생각한다. 2. 소수민족임에 대해 자부심을 느낀다고 생각한다. 3. 후손에게 소수민족 후손이라 가르친다. 4. 선조의 뜻과 업적을 잘 안다. 5. 소수민족이라 차별을 받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6. 소수민족을 대표하는 민족이라고 생각한다. 7. 다른 민족의 문화를 인정한다. 8. 다른 소수민족을 잘 구분할 수 있다. 9. 민족 언어 이외 중국어를 할 수 있다. 10. 나는 몽고족의 상징을 잘 알고 있다. 전 체

Mean

Std

3.97 4.13 4.22 4.14 4.05 4.19 4.19 3.97 4.02 3.96 4.08

0.95 0.81 0.70 0.79 0.99 0.74 0.74 0.85 0.81 0.80 0.81

알고 있다'(0.03), '선조의 뜻과 업적을 잘 안다'(0)순으 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몽고족은 소 수민족임에 대해 자부심을 느낀다고 생각하는 문항과 소수민족을 대표하는 민족이라고 생각하는 문항에 아 주 강한 인정을 하지만 몽고족 이외 민족의 인식은 그 렇지 않다. 후손에게 소수민족 후손이라 가르친다는 문 항과 몽고족의 상징을 잘 알고 있다는 문항에는 몽고족 과 몽고족 이외 민족의 인식은 차이가 거의 없다. 그리 고 선조의 뜻과 업적을 잘 안다는 문항에는 인식의 차

문항분석으로 통해 몽고족에 대한 긍정적 인식으로

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몽고족은 소수민족임

는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후손에게 소수민족 후손이라

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소수민족을 대표하는 민족이

가르친다 4.22(0.70), 소수민족을 대표하는 민족이다

라 인식하고 있으며 다른 소수민족의 문화를 인정하는

4.19(0.74), 다른 민족의 문화를 인정한다 4.19(0.74) 등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소수민족을 잘 구분하지 못하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인식으로는 원래 중국

고 몽고족과 몽고족 이외 민족은 몽고족의 상징을 잘

인이라 생각한다 3.97(0.95), 다른 소수민족을 잘 구분할

모르는 편이다. 그러므로 몽고족의 문화상징에 대한 연

수 있다 3.97(0.55), 나는 몽고족의 상징을 잘 알고 있다

구는 매우 시급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3.96(0.80) 순으로 나타났다. 1.2 몽고족 민족성 표 6. 몽고족 의식성에 대한 몽고족과 몽고족 이외 민족의 평균값 비교 분석

몽고족 민족성에 대한 자료를 얻기 위해 조사 자료에 관련한 단어를 적절히 활용하였으며, 몽고족 민족성에

몽고족

미치는 요인들을 20개의 문항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몽고족 이외 민족

4. 5 4. 4 4. 25 4. 19

4. 2 4. 1 4 3. 9

4. 37

4. 32

4. 3

4. 28 4. 14

4. 06 3. 88

4. 12 3. 97

3. 93

4. 09 4. 02

4. 09 4. 02 3. 92

3. 96

Factor

KMO(Kaiser-Meyer-Olkin)의

표준형성

10. 나는 몽고 족의 상징을 잘 알고 있다.

9. 민족 언어 이외 중국어를 할 수 있다.

8. 다른 소수 민족을 잘 구 분할 수 있다.

7. 다른 민족 의 문화를 인 정한다.

6. 소수민족을 대표하는 민족 이라고 생각한 다.

5. 소수민족이 라 차별을 받 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4. 선조의 뜻 과 업적을 잘 안다.

3. 후손에게 소수민족 후손 이라 가르친 다.

Chi-Square=1844.578,df=190),요인 2. 소수민족임 에 대해 자부 심을 느낀다고 생각한다.

[표

7]의

0.885>0.8, Bartlett의 구성형 검정도 p<.000(Approx.

3. 7 1. 원래 중국 인이라 생각한 다.

Analysis)은

KMO and Bartlett's Test 결과 보면, KMO값은

3. 97 3. 94

3. 8 3. 6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추출

부분이

56.72%의 변이(变异)로 해석하였으며, 더 좋은 요인 결 과를 얻기 위하여 회전분석(varimax rotation)을 한 결 과 아래 [표 8]에 제시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몽고족

몽고족과 몽고족 이외 민족의 인식은 '소수민족임에

의 민족성을 판단하는 요인은 5가지로 구성되는 것으

대해 자부심을 느낀다고 생각한다'의 응답에서 인식의

로 나타났다. 이 5가지 요인의 신뢰성을 분석하여

차이가 제일 컸다(0.39). 그 다음은 '소수민족을 대표하

Cronbach’s alpha 계수를 추출하였다.

는 민족이라고 생각한다'(0.35), '다른 소수민족의 문화 표 7. KMO와 Bartlett's 검사 결과

를 인정한다'(0.19), '원래 중국인이라 생각한다'(0.18),

KMO and Bartlett's Test Kaiser-Meyer-Olkin Measure of Sampling Adequacy. Approx. Chi-Square Bartlett's Test of df Sphericity Sig.

'소수민족이라 차별을 받지 않는다고 생각한다'(0.15), '민족 언어 이외 중국어를 할 수 있다'(0.13), '다른 소 수민족을 잘 구분할 수 있다'(0.1), '후손에게 소수민족

34

.885 1844.578 190 .00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 Vol. 17 No. 2 [표 8]에 분석의 결과를 보면, 제1 공통요인에 타인과 교류하기를 좋아한다, 대체로 친절하다, 자부심을 느낀

다재다능하다고 생각한다

.259

.110

.709

.079

디자인 감각이 뛰어나다

.286

.232

.584

.091 -.073

.176

약속을 잘 지킨다

.330 -.104

.376

.436 -.461

친구가 많은 편이다

.296

.175

.060

.472

.242

남을 잘 믿는 편이다

.013

.329

.302

.624

.217

우정이 깊은 편이다

.158

.080

.044

.811

.070

있다. 제2 공통요인에 장식하기를 좋아한다, 미적 감각

뚜렷한 목표의식이 있다

.465

.050

.304

.111

.493

이 뛰어나다, 화려한 색상을 좋아한다, 세련된 편이다의

적극적이다

.127

.183

.100

.278

.719

문항에 큰 비중을 보이며 심미성으로 명명할 수 있다.

고유값(Eigen Value)

6.468 1.500 1.215 1.157 1.005

설명된 충분산(%)

32.339 7.501 6.074 5.784 5.024

α 신뢰성 계수

0.813 0.743 0.688 0.624 0.496

다, 대체로 좋은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제도와 법률을 지 킨다, 교육 받은 수준이 높은 편이다, 종교 활동을 참가 한다의 문항에 큰 비중을 보이며 사회성으로 명명할 수

제3 공통요인에 새로운 것을 좋아한다, 다재다능하다고 생각한다, 디자인 감각이 뛰어나다 문항에 큰 비중을 보이며 창의성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4 공통요인에 약

2. 몽고족의 문화상징

속을 잘 지킨다, 친구가 많은 편이다, 남을 잘 믿는 편이

2.1 몽고족의 상징

다, 우정이 깊은 편이다의 문항에 큰 비중을 보이며 신

1) 대표상징

뢰성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5 공통요인에 뚜렷한 목표

중국 몽고족의 대표상징을 알아본 결과 전체 응답자

의식이 있다, 적극적이다의 문항에 큰 비중을 보이며

296명중 293명(98.99%)이 초원을 가장 몽고족을 대표

진취성으로 명명할 수 있다. 같은 문항으로 적재된 각

하는 상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258명

각의 요인을 문항 내용을 고려하여, 요인1은 사회성, 요

(87.16%)이 파오의 인상을 선택하였고 말, 양떼, 성길사

인2는 심미성, 요인3을 창의성, 요인4는 신뢰성, 요인5

한, 청공 순으로 답하였다. 이 결과는 몽고의 상징이 드

는 진취성으로 조작 정의하여 명명하였다. α 신뢰성 계

넓은 대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몽고족의 생활이 반영

수를 보면, 사회성은 0.813, 심미성은0.743, 창의성은

된 것으로 고도로 발전되어가는 현대사회와 대비되는

0.688, 시뢰성은 0.624, 진취성은 0.496으로 나타났다. 제

인상을 가지게 한다.

5 공통요인 진취성의 α 신뢰성 계수가 0.60이하 추출하 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5요인을 제외한 4개 민족성을

표 9. 몽고족의 대표 상징 순위

미치는 요인을 이용하기로 하였다.

1위

2위

3위

4위

명칭

초원

파오

양떼

빈도

293

258

231

226

순위

6위

7위

8위

사진

표 8. 몽고족의 민족성에 대한 분석 Rotated Component Matrixa 문 항

5위

요인1 요인2 요인3 요인4 요인5 .110

.150

성길사 후흐허 청공 사막 한 트 224

208

93

58

타인과 교류하기를 좋아한다

.499

.384

대체로 친절하다

.488

.244 -.045

.413 -.041

.059

2) 대표문화상품

자부심을 느낀다

.655

.194

.262

.104

.019

몽고족 상징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상품을 개수에 상

대체로 좋은 성격을 가지고 있다

.653

.118

.284 -.018

.074

제도와 법률을 지킨다.

.697

.048

.164

.067

.079

관없이 여러 가지 선택한 결과 마두금이 전체 응답자

교육 받은 수준이 높은 편이다.

.593

.298

.139

.308 -.054

296명중 268명(90.54%)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외 마유주가 234명(79.05%), 합달이 226명

종교 활동을 참가한다.

.589

.165

.034

.274

.215

장식하기를 좋아한다

.215

.761

.080

.051

.135

(76.35%), 몽고복식이 217명(73.31%), 몽고칼이 212명

미적 감각이 뛰어나다

.371

.684

.166

.046 -.084

(71.62%) 순으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그 이외 필낭이

화려한 색상을 좋아한다

.193

.623

.118

.123

.234

-.001

.667

.147

.256

.048

114명(38.5%), 기타24명(8.1%)으로 나타났다.

.097

.143

.823

.090

.068

세련된 편이다 새로운 것을 좋아한다

35


중국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 연구

표 10. 몽고족의 대표 문화상품 순위 순위

표 12. 몽고족의 선호하는 문양 순위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6위

명칭

마두금

마유주

합달

몽고 복식

몽고칼

모전

필낭

빈도

268

234

226

217

212

114

114

사진

2.2 몽고족 문화상징의 선호도 1) 색상 몽고족 문화에 나타난 색상을 바탕으로, 몽고족 문화 상징 색상의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전체 응답자 296명 3) 재질

중 240명(81.08%)이 청색을 가장 선호하는 색으로 답하

몽고족 문화에 나타난 재질을 바탕으로, 몽고족 민족

였고 다음으로 227명(76.69%)이 흰색, 134명(45.27%)이

문화 상징재질의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응답자 296명

녹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 황색 36명

중 199명(67.23%)이 마노를 가장 선호하며, 170명

(12.16%), 적색 27명(9.12%), 흑색 21명(7.09%), 기타 6

(57.43%) 은, 100명(33.78%) 금, 97명(32.77%) 뼈 등의

명(2.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청

순으로 나타났는데, 전체 응답자의 50%이상이 마노와

색 흰색 녹색의 선호도가 45%이상 압도적 높은 빈도를

은을 선택하였다.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몽고족이 초원 유목민족임이 가장 잘 표현된 결과이다.

표 13. 몽고족 상징재질에 대한 선호도

표 11. 몽고족의 선호 색상 순위

2) 문양 몽고족 문화에 나타난 문양을 바탕으로, 몽고족 민족

구분

빈도(F)

퍼센트(%)

마노 산호 호박 비취 나무 실 금 은 동 뼈 송이석 털 유리 진주 옥

199 50 57 63 58 76 100 170 112 97 78 14 22 71 118

67.23 16.89 19.26 21.28 19.59 25.68 33.78 57.43 37.84 32.77 26.35 4.73 7.43 23.99 39.86

문화 상징문양의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응답자 296명 중 282명(95.27%)이 성길사한의 인물 문양을 가장 선호

4) 의미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36명(79.73%)이 홀필렬을, 24

몽고족 문화에 나타난 의미를 바탕으로, 몽고족 민족

명(79.05%)이 문자문을 선택하였다. 이 결과에서 성길

문화 상징의미의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전체 응답자

사한과 홀필렬의 인물문양, 그리고 몽고 문자문양의 상

296명중 166명(56.08%)이 평화의 의미를 상징할 수 있

징 요소가 다소 높게 나타난 것은 기존의 몽고족 문화

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161명(54.39%)이 수복

상징문양으로 인식된 것에 대한결과로 해석된다.

장수의 의미를 선택하였고 길상벽사, 풍작, 화합, 부귀 유여, 다산기자 등의 순으로 답하였는데, 전체 응답자의

3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 Vol. 17 No. 2 에 비해 민족문화를 주로 상징하는 분야임이 밝혀졌다.

50%이상이 평화와 수복장수 상징의미를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몽고족이 물질적 만족보다

표 16. 몽고족 문화상징을 사용하는 분야

정신적 만족을 더 중요시하는 민족임을 알 수 있다.

몽고족 문화상징을 주로 사용하는 분야는

표 14. 몽고족 상징의미에 대한 선호도

Frequency Percent

구분

빈도(F)

퍼센트(%)

평화 화합 투쟁 부귀유여 길상벽사 풍작 수복장수 다산기자 공명출세

166 95 38 90 144 142 161 47 19

56.08 32.09 12.84 30.41 48.65 47.97 54.39 15.88 6.42

Valid

의류 장신구 생활용품 수공예품 기타 Total

119 83 36 51 7 296

40.2 28.0 12.2 17.2 2.4 100.0

Valid Cumulative Percent Percent 40.2 40.2 28.0 68.2 12.2 80.4 17.2 97.6 2.4 100.0 100.0

3.3 만족도 [표 17]을 보면 몽고족 문화상징의 사용시 만족도는 만족 113명(38.2%)의 응답자와 아주 만족 137명(46.3%)

3. 몽고족 문화상징의 활용

의 응답자가 전체 250명(84.5%)을 이룸으로써, 문화상

몽고족 문화상징 사용의 선호도에 대한 분석은 기술

징의 사용 시 만족도는 높은 편임을 보여준다.

성 통계(Descriptive Statistics)분석 방법으로 진행 하였다. 조사내용을 사용의 시기, 사용의 분야, 사용의

표 17. 몽고족 문화상징의 사용 민족도

만족도, 사용의 지속성, 홍보작용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몽고족 문화상징의 사용 시 만족도는 Frequency Percent

3.1 사용시기

Valid

[표 15]를 보면, 몽고족 문화상징을 주로 사용하는 시 기는 전체 296명 응답자 중 131명(44.3%)이 축제를 선 택해 그 요소에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으며, 몽고족은 축제를 중심으로 문화상징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사실 이 결과로 드러났다.

Frequency Percent 101 22 131 36 6 296

5

1.7

1.7

1.7

5 36 113 137 296

1.7 12.2 38.2 46.3 100.0

1.7 12.2 38.2 46.3 100.0

3.4 15.5 53.7 100.0

[표 18]몽고족이 문화상징의 계속 사용 여부는 266명 (89.9%)이 그대로 사용한다는 답을 하였다.

몽고족 문화상징을 주로 사용하는 시기는

제사 결혼 축제 일상적 기타 Total

Cumulative Percent

3.4 지속성

표 15. 몽고족 문화상징을 사용하는 시기

Valid

아주 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아주만족 Total

Valid Percent

34.1 7.4 44.3 12.2 2.0 100.0

Valid Percent 34.1 7.4 44.3 12.2 2.0 100.0

Cumulative Percent 34.1 41.6 85.8 98.0 100.0

표 18. 몽고족 문화상징의 계속 사용 여부 분석 몽고족이 문화상징의 계속 사용 여부는 Frequency Percent Valid

3.2 사용분야 [표 16]에서는 몽고족 민족문화상징을 주로 사용하는 분야는 전체 296명 응답자 중 119명(40.2%)이 선택해 의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는 다른 분야

37

빨리 바꿔야한다 천천히 바꿔야한다 관심 없다 그대로 사용한다 Total

3

1.0

Valid Cumulative Percent Percent 1.0

1.0

5

1.7

1.7

2.7

22

7.4

7.4

10.1

266

89.9

89.9

100.0

296

100.0

100.0


중국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 연구

3.5 홍보적용

연구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

[표 19]몽고족이 내몽고자치구에 대한 홍보 시 문화

과 같다.

상징의 사용여부는 "사용해야 된다"와 "적극적로 사용

첫째, 몽고족은 다른 소수민족 보다 더 그들의 문화

해야 된다"라는 선택에 총 230명(77.7%)이 응답하였다.

를 잘 보존하고 있으며 몽고족으로써 자부심을 가지고

이 결과는 몽고족에 대한 홍보 시 문화상징을 사용해야

있다. 둘째, 사회성, 심미성, 창의성, 신뢰성이 높은 민족으

한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로 물질적 만족보다 정신적 만족을 더 중요시하는 민족 표 19. 홍보 시 문화상징의 사용 여부 분석

이며, 소박하고 선량한 성격이다. 셋째, 몽고족은 축제를 즐기며, 그들의 상징 사용에

몽고족이 내몽고자치구에 대한 홍보 시 문화상징의 사용 여부는 Valid Cumulative Frequency Percent Percent Percent 사용하지 Valid 않아야 된다 그냥 그렇다 사용해야 된다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된다 Total

14

4.7

4.7

4.7

52 122

17.6 41.2

17.6 41.2

22.3 63.5

108

36.5

36.5

100.0

296

100.0

100.0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지속 사용의 의지가 있고 문화 상징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넷째, 몽고족의 대표 문화상징요소로는 초원, 파오, 말 순으로 인식하였으며 대표문화상품은 마두금, 마유 주, 합달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몽고족의 상징하는 색상은 청색, 흰색, 녹색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문양은 성길사한의 인물문양을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몽고족 문화상징을 주로 축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질은 마노, 은, 옥의

제 시 의류분야에 사용하였으며, 사용 시 만족도가 높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의미는 평화와 수복장수, 그리고

아 계속 그대로 사용한다고 결론을 나타냈다. 그리고

길상벽사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몽고족이 내몽고자치구에 대한 홍보 시 문화상징을 사

소수민족의 문화상징의 체계적인 정립은 민족적 의

용해야 한다고 보이며 몽고족의 문화상징은 몽고족에

미와 문화적 사명이 있는 것으로 문화상징에 대한 효율

게는 아주 중요한 부분임을 엿볼 수 있었다.

적인 발굴과 사용 그리고 민족문화자원과 잘 결합되어 야만 민족문화산업화 발전을 더욱더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몽고족의 문화상징의 인식

Ⅵ. 결 론

과 문화상징의 요소들은 긍정적인 이미지의 몽고족 이 미지 구축에 영향을 주어 중국 자국 내에서 뿐만 아니

소수민족의 문화상징에 관한 연구는 소수민족의 민

라 세계 속에서도 훌륭한 민족임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족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민족문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몽고족의 민족 브랜드화를 통해

화를 상속하고 대외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다양한 산업과 연관되어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 오늘날 이러한 문화상징은 점차 경제와 연관되어 복합적인 상징 인식으로 바뀌고 있으며 경제가 문화상 징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

참고문헌

서 소수민족으로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올바른 몽고족 의 민족정체성 인식과 문화상징에 대한 요소를 정확히

[1] 중화인민공화국통계청, 중국통계연감, 중국통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몽고족의 민족문화 가치관을 정

출판사, 2005.

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2] 조지훈, 한국문화사 서설, 나남, 1996.

본 연구는 몽고족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민

[3] 북한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철학사전, 1985.

족정체성과 몽고족의 문화상징요소를 알아보기 위한

[4] 송연호, “지역적 특성에 따른 상징조형물의 접근

3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 Vol. 17 No. 2 과 해서: 지역이미지를 나타내는 유형적, 무형적 상징조형물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 회, Vol.16, pp.51-62, 2008. [5] 정한모, 김용직, 聞學槪說, 박영사, 1983. [6] 신현욱, 남북 국가상징 및 민족문화상징 통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7, 2005. [7] 郑晓云, 文化认同论,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992. [8] 殷海光, 中国文化的展望, 山东美术出版社,1995. [9] http://blog.naver.com/seunooo?Redirect=Log& logNo=80189570139

저자소개

홍흠(Hong-Xin)

정회원 ▪2013년 9월 ~ 현재 : 동서대학 교 일반대학원 디자인전공 시각 디자인전공박사과정 ▪2008년 5월 ~ 현재 : 중국 루신 미술대학교 강사

<관심분야> : 지역이미지, 문화상징, 멀티미디어

곽암(Guo-Yan)

정회원 ▪2014년 2월 :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디자인박사) ▪2014년 10월 ~ 2016년 10월 : 중 국

대련예술대학교

Management

Studio,

Brand Design

Director ▪2016년 10월 ~ 현재 : 중국 루신미술대학교 강사 <관심분야> : 지역이미지, 문화관광상품

39


40


논문접수일 : 2016.12.12

심사일 : 2016.12.31

게재확정일 : 2017.1.21

중국 수출시장 진출을 위한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연구 - 경북 한방화장품을 중심으로 -

Studies on Package Design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for Exporting to Foreign Countries - Focusing on Gyeongbuk Oriental Medicine Cosmetics -

홍 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박사과정

Xin-Hong Department of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41


1. 서론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 경북 한방화장품이 중국 시

장 진출을 위해서는 제품이 갖는 기능성은 물론이고 보

1.1 연구배경 및 목적

다 해외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브랜드 포장디자인

1.2 연구범위 및 방법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경북

2. 포장디자인의 일반적 고찰 2.1 포장디자인의 개념과 기능 2.2 포장디자인의 표현 2.2.1 포장형태에 의한 표현 2.2.2 포장디자인 시각요소에 의한 표현 2.2.3 포장재질에 의한 표현

3. 한방화장품과 포장디자인 3.1 한방화장품 정의 3.2 한방화장품 시장현황

한방화장품 생산업체들이 브랜드 포장디자인에 대한 인 식 부족하며 전문 디자이너 부족에서 나오는 현상으로 보다 체계적인 디자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결론

경북 한방 화장품이 중국 수출 시장으로 진출하

기 위해서는 보다 철저한 중국시장의 문화를 이해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중국은 전 세계 화장품 시 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만큼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피할 수 없는 시장으로 식지 않는 한류를 배경으로 보 다 체계적이고 전문 디자이너들에 의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3.3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특징

주제어

4.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분석

화장품,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4.1 분석절차 4.2 분석결과 4.2.1 한방화장품 만족도

Abstract

4.2.2 한방화장품 브랜드네임 분석

Research Background In terms of oriental medicine

4.2.3 한방화장품 시각조형요소 분석

cosmetics in the Gyeongbuk region, many SMEs are

4.3 문제점 및 개선방향

5. 결론

experiencing difficulty in sales due to low domestic demand and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Therefore, in order for Gyeongbuk oriental medicine to enter overseas

참고문헌

markets especially targeting China and Southeast Asia, this study aims to set directions for building

논문요약

brand

images by analyzing elements of the visual designs of various

brands

and

to

provide

direction

regarding

연구배경 경북 한방화장품은 대기업의 꾸준한 화장품

packaging design that will meet the needs of overseas

성장 시장과는 달리 제품의 질적 수준이 우수함에도 불

consumers.

구하고 수준 낮은 포장디자인과 마케팅 부족으로 저가

Research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화장품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국내 소비자 뿐

to eight oriental medicine cosmetics brands produced in

만 아니라 해외 소비자 시장 개척이 힘들어 많은 경북

the Gyeongbuk area among all products manufactured in

한방화장품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Korea.

경북 한방화장품이 중국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으로 진출

established from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하기 위해 브랜드별 시각적 조형요소 분석을 통해 브랜

market research data from the oriental cosmetics industry

드이미지 구축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고 중국 소비자 욕

and professional material on oriental medicine cosmetics,

구에 맞는 포장디자인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nd examples of packaging design of oriental medicine in

연구방법 연구범위는 국내 생산 한방화장품 중 경북에

the

서 생산되는 한방화장품 8개 브랜드로 제한하였으며,

organized. Also, for further research, surveys of 100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Chinese residents living in Korea were conducted about

정립하였고 한방화장품 업계의 시장조사 자료 및 한방

the

화장품 전문자료, 경북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사례 등

medicine

을 비교 분석하여 정리 하였다. 또한 심층적인 연구를

provided in this study.

위해 국내 거주 중국인 100명을 대상으로 경북 한방화

Research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in order for

장품 포장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에

Gyeongbuk oriental medicine cosmetics to enter overseas

따른 결과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arkets, not only is the function of the cosmetics

42

The

theoretical

Gyeongbuk

packaging

area

design

basis

were

of

this

compared,

images

cosmetics. The results

of

research

analyzed,

Gyeongbuk

was

and

oriental

and implications

are


important but the development of brand packaging design

과 세계경제 침체의 영향으로 판매실적 부진의 결과

that satisfies the eyes of foreign consumers is urgent.

가 초래되면서 많은 경북 한방화장품 중소기업은 어

The

of

려움을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경북 한방화

Gyeongbuk oriental medicine cosmetics manufacturers on

장품 중소기업들은 디자인 전문 인력 부족뿐만 아니

brand packaging design and a lack of expert designers,

라 경제적인 이유로 디자인개발 및 마케팅에 소극적

and a systematic development of design is in need.

이어서 그 어려움은 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

urgency

rises

from

a

lack

of

awareness

Conclusion For Gyeongbuk oriental medicine cosmetics to

enter

the

overseas

export

market,

studies

on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the overseas market more thoroughly should be conducted. As the market in China accounts for as much as half of the global cosmetics market, it is a market that cannot be neglected. With the

지만 한류의 열풍과 한국의 화장품에 대한 해외 소 비자들의 인식은 여전히 긍정적이며 특히 한방화장 품에 대한 기능성에 대한 좋은 인식이 날로 증가되 면서 해외시장 개척에 대한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북 한방화장품이 중국을 중심으

aid of the still popular Korean wave, a systematic design created by professional designers needs to be developed.

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생산제품 디자인의 시각적 조형요소 분석을 통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을 위 한 방향을 설정하고 중국소비자 욕구에 맞는 포장디

Keyword Oriental

medicine

cosmetics,

Brand,

Package

자인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ign

1.2 연구방법 및 범위 21세기 글로벌 시장에서의 화장품 산업은 다양해 지고 미적 수준이 날로 높아지면서 더욱 세분화되어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화장품 소비자 시장은 글로벌 경제에 힘입 어 더욱 확대되고 있으나 소비자 욕구는 세분화 되

가는 소비자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각 기업들은 좀 더 강력한 소비자 지향적인 마케팅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화장품 시장뿐만 아니라 한방 화장품에서 디자인 개발을 통한 포장디자인이 핵심 전략이 된다고 볼 수 있다.

고 더욱 더 다양해지면서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업 간의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포장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및 한방화장품의 일반적 현황을 살펴보고 경북 한방

기업의 핵심전략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브랜

화장품의 포장디자인 분석을 통해 그 문제점과 개선

드는 이미지를 다양하고 상징적으로 표현한 포장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로 해외수출을 위한 경

자인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소비자에게 브랜

북화장품의 포장디자인

드를 가장 직접적인 노출을 통해 인지 시 킬 수 있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는 것이 포장디자인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범위는 한방화장품 중 경북에서 생산되는 한

브랜드에서 포장디자인은 소비자에게 가장 실질적으

방화장품 8개 브랜드로 제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로 브랜드를 표현하는 한 방법이며 디자인 개발 프

는 국내외 문헌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정립하였고

로세스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자 결과물이라 할 수

한방화장품 업계의 시장조사 자료 및 한방화장품 전

있다.

문자료, 경북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사례 등을 비

최근 소비자들은 자연주의와 웰빙에 대한 관심이

교 분석하여 정리 하였다. 또한 심층적인 연구를 위

높아지면서 서양의 화학적 화장품에서 점차 자연적

해 국내 거주 중국인 100명을 대상으로 경북 한방화

이고 자기 피부에 맞는 것을 선호하는 차원으로 바

장품 포장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

뀌면서 한방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에 따른 결과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해외 소비자 역시 화장품에 대한 인식 이 바뀌면서 한방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점차 높아

2. 포장디자인의 일반적 고찰

지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급격한 경제성장과 지속되

2.1 포장디자인의 개념과 기능

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제품의 한방화장품 구매 고 일반적으로 포장(package)이란, 재화가 유통되는

객이 꾸준히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경북 한방화장품은 국내 내수시장의 부진

과정에서 내용물을 외부의 요인이나 작용에 의해서

43


변질, 손상,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취급이나 사

올 수 있는 혼란을 막는 것도 중요하다. 거시적 관

용이 편리하도록 해주는 동시에 상품가치를 높이기

점에서는 환경 보호 차원에서도 고안되어야 한다.

위해서 내용물 외부에 적절한 재료, 용기 등으로 덮

그러나 오늘날의 포장디자인은 품질향상과 제품 간

어 싸는 기술 또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의 질적 평준화, 시대적 유행주기 단축, 취향에 의한

한국 공업규격(KSA 1001)에 따르면 '포장은 물품

새로운 제품 모델의 등장과 소멸, 제품의 다양화(다

의 유통과정에 있어서 그 물품의 가치 및 상태를 보

품종 소량화 시대), 시장개방으로 인한 시장의 세계

호하기 위하여 적합한 재료나 용기 등으로 물품을

화, 다양한 판매구조(통신 판매, 인터넷 망을 이용한

포장(물품을 둘러싸는 것) 또는 충전(물품을 포장수

판매)와 물류망의 발전으로 인한 유통시스템의 변화,

단에 집어넣는 것)하는 방법 및 포장한 형태' 라고

포장 신소재 개발, 환경문제 등과 같은 시대적 상황

규정하고 있다.

에 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제품의 포장은 소비자와

이처럼 포장이라는 것은 어떤 목적을 위해서 행해

제품 간의 의사소통으로, 구매자들에게 제품의 정보

지는 일반적인 행위이며 입체적이고 시각적인 아름

를 전달해 주고, 구매동기를 자극하며 제품이 갖는

다움을 가미하는 제반활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정서나 소구대상의 취향을 잘 표현해야 하는 부가적

과거 포장디자인의 개념은 물품생산에서 소비에

인 기능이 더 강조되고 있다.

이르기까지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보전하는 데만 목

또한 포장디자인은 이성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감

적이 있었으나, 현대사회에서는 물품의 판매를 촉진

성적 동기를 부여하고 소비자와 효과적으로 커뮤니

하고 재료와 형태에서 포장의 사회적 공익성과 함께

케이션함으로써 독자적인 전달과 광고기능을 다할

환경에 적합하며 유통합리화를 기하기 위한 목적이

수 있게 하고 성공적인 상품이 될 수 있게 하는 마

더해졌다. 이렇듯 포장의 개념은 점차 제조자 중심

케팅 요소가 된다. 감성시대인 현대사회에서 소비자

에서 소비자와 판매업자 등을 함께 생각하고 나아가

들은 그 기호가 다양해졌으며 특히 '자기중심적'이고

환경까지 생각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어 가는 것을 알

'가치창조의 내적지향'의 정신적인 요소로 제품에 대

수 있다.

한 기호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소 비자의 행동이 습관, 감정 등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표 1] 포장디자인의 개념 변화 포장디자인

되며 따라서, 포장디자인은 표면장식으로서의 역할 (보호, 보존의 기능)

물리적 기능

⇩ 포장디자인

이처럼 상품의 포장은 소비심리와 밀접하게 관련

물리적 기능(physical function)

⇩ 포장디자인

서 구매행동으로 연경되기 때문이다.

과 더불어 마케팅 전략과 일환으로 이어져야 한다.

기본적 기능 (primary function)

즉, 계획된 체계 아래서 디자인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생산, 적재, 수용, 가격 등)

물리적 기능

기본적 기능

2.2 포장디자인의 표현

감성적 기능 (sub function)

(독자성, 판축기능 등)

포장디자인에서는 여러 시각적 요소들이 결합하 여 표현되는데 포장형태뿐 만 아니라 서체와 색 채, 일러스트레이션 등 많은 시각적 요소들과 언

[표 2] 상품 개념의 구성요인

어요인들이 어울려 소비자의 기억에 남도록 통합 되어 형성된다. 2.2.1 포장형태에 의한 표현

판매력

포장디자인에 있어서 형태란 제품을 일차적으로

(상품의시장성)

설명해주는 중요한 요소로써 차별화 방안과 제품 군에 대한 분류, 보호, 취급의 용이성, 제품의 미

상 품 감성적 기능 (포장디자인, 브랜드명)

물리적 기능 (상품자체의 용도)

학적 측면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현 대 사회와 같이 다량 제품들이 시장 진열대에 전 시되어있는 환경에서는 독자성을 지닌 형태가 상

소비자 측면에서 포장디자인은 편리하고 심플하여 야 하며, 제품 내용과 부합하여 제품 인지과정에서

품의 개성을 표현해 주는데 가장 인상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는 확고한 개성을 갖게 될 것이다.

44


항상 비슷한 포장용기로 가득한 진열환경에서 독

구력을 갖는 부분이다. 포장 디자인에서 main color

특한 형태의 디자인이 새롭게 진열되었다면 시장

는 특히 상징작용이 있어 제품을 더욱 두각 시키고

진열환경에서 이보다 더 신선한 충격은 없을 것이

소비자에게 브랜드 개성을 인지시키는데 큰 역할을

다.

한다. 예를 들어 붉은색은 콜라, 파란색은 니베아 등

포장형태를 이루는 요소는 생산성의 문제라든

을 쉽게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 특정 상품에서 그

지, 용기에 제품을 채워 넣는 과정, 유통, 진열,

와 어울리는 색상은 분명 제품의 개성을 표현하는데

판매, 사용, 사용 후 폐기 등 많은 요인들이 작용 하며 이런 문제들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적절하고 독창적인 형태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하나 의 상품이 독자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기란 제품의 대량생산체제에서는 설비의 한계에 의해 제품포장 형태의 차별화가 쉽지 않다. 따라서 제한된 환경 에서도 독자적인 제품의 개성을 나타내고 이를 통

대단히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심리적 측면에 서 색채의 상징적 기능은 포장디자인에서 적절한 색 채의 조합을 통해 포장의 전체적 이미지를 형성하여 소비자의 심리적 변화를 촉진하기도 한다. 브랜드 로고타입은 그 글자체, 크기, 색채, 표현방 법에 있어 타제품과 차별화되도록 독창적이고 특이 하고 눈에 잘 띄는 것이 유리하다. 로고타입은 개성 이 강하고, 상품 특성과 어울리며 소비자에게 빠르

해 제품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확실한 정체성을

게 인지된다면 이는 언어적 특성보다 더 효율적인

끌어내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경쟁 상품과의

경우가 될 것이다. 복잡하고 어려운 문자나 언어보

관계 속에서 정확한 포지션을 파악하고 분석해야

다 그림이나 도형이 더 충격적이고 강한 인상을 준

하며, 포장이 어떤 이미지를 전달해야 하는지에

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는 현대 시각정보화사회의

대해 구체적이고 정확히 파악하여야 한다. 특히나

특징이다. 이 가운데 로고타입이나 타이포그라피는

형태의 변형으로 발생되는 생산성에 관한 문제점

브랜드와 상품에 관한 문자적 정보전달 뿐만 아니라,

은 기업마다의 큰 고민거리가 아닐 수 없다. 그러

시각적 전달기능을 통해 확실한 커뮤니케이션 역할

나 제품내용에 대한 정보를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형태로 만들어 낼 수 있고 이것이 가능한 경우에

일러스트레이션은 컨셉을 갖는 시각언어로서 즉각

는 강력한 개성을 확보하게 된다. 포장디자인에서

적 메시지를 전달하여 매우 효율적인 요소라고 할

형태의 독자성은 분명, 시각적 강도가 높은 정보

수 있다. 따라서 언어적 표현요소보다 더 빠르게 소

사회에서 제품의 특성전달은 물론 기억 속에 깊이

비자가 인지한다. 또한 개념적 형상, 존재하지 않는

인식되는 개성표현의 요소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 다.

대상의 표현도 가능하고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내용물의 특성을 잘 표현함과 동시에 타 상품과의 차별화를 줄일 수

2.2.2 포장디자인 시각요소에 의한 표현

있는 효과적인 표현중 하나이다.

포장디자인에 있어서 정체성을 주는 주요 요소로

2.2.3 포장재질에 의한 표현

는 브랜드네임, 컬러, 심벌마크나 로고타입 등의 시 각적 요소이며 이 요소들에 의해서 그 정체성은 복 합적으로 형성된다. 브랜드에 관한 명칭이나 제품에 관한 정보는 포장의 형태요소 만으로 표현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너무나도 많다. 반면에 포장 표면에 연 출되는 시각적인 디자인 요소들은 상품 스스로 노출 되어 알리려하는 다양한 정보는 물론이고 상품의 브 랜드 명칭을 대외적으로 알리는데 있어서 가장 직접 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브랜드 네임은 이 시각적 표현을 통해 소비자의 기억에 잠입하기 시작한다. 효과적인 시각적 처리는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기억으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 기도 하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소비자의 의식 속에 오히려 부정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색상은 시각전달을 통한 인지도 측면에서 강한 소

포장의 표현 중에서 간과 할 수 없는 것이 포장의 재질인데 오늘날 소비자들은 포장재질에서 나타나는 고급스러움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브랜드 가 여러 상품 중에 돋보이고 차별화를 주기 위한 하 나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 화장품의 재 질은 최고급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구매 에 대한 가격 대비 심리적 안정감과 본인이 사용하 는 화장품이 보다 고급스럽게 보이고 싶은 자부심을 느끼게 하고 있다. 화장품의 용기 또한 마찬가지의 현상으로 화장품 개발업체에서는 경제적으로 허락하 는 범위에서는 자체 디자인된 용기를 사용하려는 경 향이 있으며 소비자들은 차별화되고 고급스러우며 전시될 경우에 돋보이는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 이다.

45


포장디자인에서 재질은 소비자들에게 화장품 구매

학이 출시한 '백옥생'으로 알려져 있다. ㈜정산실업

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로써 시각적

을 포함한 ㈜생그린, ㈜청담화장품, ㈜한솔화장품 그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그렇기 때문에

리고 ㈜한생화장품 등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제조,

화장품의 내용보다 화장품 재질에서 나타나는 외부

판매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한방(韓方)

적인 요인이 구매를 결정 짓기도 한다.

화장품의 시장을 크게 성장시킨 동력으로 가늠할 대

3. 한방화장품과 포장디자인

표적인 브랜드는 1997년에 태평양에서 출시한 '설화 수'(雪花秀)이다. 국내 1위, 2위 화장품 업체인 아모레퍼시픽과 LG

3.1 한방화장품 정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모든 생활 전반에서 세계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화· 세 분화 되어가면서 웰빙과 자연이라는 큰 사회적인 트 렌트를 기반으로 자연친화적이고 근본을 치료한다는 동양적 식생활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화장품에서도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자연성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증가하게 되고 서양인의 피부 타입에 맞춘 수입화장 품 대신 한국인의 피부에 적합한 한방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면서 자연서 환방화장품이 국내 화장품 시장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대 각 화장품 회사들은 한방화장품을 판매하고 있으나 한방화장품의 개념과 범위를 어떻게 볼 것인 가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있는 가운데데 식약청에 서“한방화장품은 동의보감(東醫寶鑑), 본초강목(本草 綱目) 등 8대 한의학 서적에 언급된 한약재를 함유 한 화장품을 말한다.”하는 정의를 내린바 있다. 이에 대해 화장품 업계에서는“같은 식물이라도 한 약재로 쓰이느냐 아니냐, 신토불이 컨셉으로 보느냐 아니냐에 따라 다르게 구분될 수 있다. 한방에 대한 철학이 뒷받침돼야 진정한 한방 화장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약사법에 규정된 기성한의서 11종(방약합편, 동의보감, 향양집성방, 광제비급, 제중신편, 약성가, 사상의학, 의약입문, 경악전서, 수세보원, 봉초강목 등)에 수재된 원료를 사용해 제조한 화장품을 한방 화장품이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른 관점에서는 한방 화장품을‘과거 오랫동안 민 간 치료약이나 건강식품으로 단순히 경험적으로 사 용돼 온, 자연에서 유래한 천연 한방 약재들을 과학

생활건강을 통해 판매되는 한방화장품 단일 브랜드 매출이

미는 한방(漢方)약재의 효능을 화장품에 접목시켜 漢方화장품이라고 불러 왔으나, 진정한 한방화장품 시장의 틀을 구축한 브랜드는 1980년에 정산생명공

각각

1조

6,000억원,

1조

LG생활건강은 2016년 11월 3일 매출 마감 기준으 로 자사의 한방화장품인 '더 히스토리 오브 후'의 올 해 매출이 1조원을 넘어섰으며, 이는 2003년 1월 출시 이후 14년 만에 달성한 기록으로 업계 국내 화 장품 단일 브랜드 중 가장 빠른 속도로 매출 1조원 을 돌파한 기록이다. 더 히스토리 오브 후를 출시하 면서 왕실의 궁중 처방을 바탕으로 한 품질과 궁중 이야기를 담은 화려한 패키지 디자인, 럭셔리 마케 팅 등으로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었다. 또한 동양의 약초라고 불리는 한약재 천연 원료를 사용해 전 세 계 소비자들에게 효능 높은 화장품으로 자리 잡았으 며, 왕과 왕후라는 궁중 스토리 및 화려한 제품 디 자인이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 홍콩, 대만, 베트남 등 10여개 국가에서 성공적으로 어필했다는 평을 듣 고 있다. 먼저 출시했던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 역시 원조 한방화장품 브랜드로써 꾸준한 성장을 기록하고 있 는데, 설화수의 경우 경쟁사인 LG생활건강의 더 히 스토리 오브 후보다 5년 늦게 중국시장에 진출했지 만 출시 이후 2015년 중국 현지 매출이 2배가량 증 가했으며 매장 수 역시 2014년 52개에서 73개로 40% 가량 늘었다. 중국에 진출한지 불과 5년이 채 안 된 점을 감안할 때, 폭발적인 성장세라고 할 수 있으며, 업계에서는 2015년 기준 9조 355억원을 기 록하고 있는 국내 화장품 시장 매출에서 이 같은 한 방화장품의 비중이 전체 화장품 매출의 30%를 웃돌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3.3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특징 화장품 포장디자인은 내용물 보존과 편의를 제공

3.2 한방화장품 시장현황

출시된 태평양의 '진생 삼미' 이다. 이 때 한방의 의

올해

1,6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최근

적인 방법으로 안정화시킨 화장품’이라고 정의한다.

한방화장품이 시장에 첫 선을 보인 것은 1973년에

2016년

한다는 일반적 포장개념으로 볼 때는 다른 것과 구 분이 없으나 현대사회의 필수품이며 지속적으로 판 매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그 기능 면에서 중요한 특 징은 판매 촉진 기능(Sales Promo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감각적 기분을 높여 주는데 큰

46


역할을 하며 신뢰감과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어야 하

경북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의 만족도와 포장디자

므로 화장품에 있어서의 포장디자인은 상당히 중요

인의 구성요소로서 언어적, 시각적 요소인 브랜드

한 비중을 차지한다.

네임(Brand name),

일반적인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의 중요한 특징을 4가지로 요약해보면, 첫째, 제품이미지를 가장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한

로고타입(Brand

logotype),

상(Color), 일러스트 등의 시각적 조형적 요소를 이 미지맵 스케일을 통한 이미지 포지셔닝으로 포장디 자인을 분석하였다.

방화장품 포장디자인은 소비자에게 한방화장품 내용

4.2 분석결과

물의 특성적 정보를 시각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4.2.1 한방화장품 만족도

기능을 하게 되며, 내용물에 따라서 강조되는 디자 인 표현이 달라지게 된다.

한방화장품구매에 대한 만족도 수준을 분석한 결

둘째, 실용성을 중시한 디자인이 주류를 이룬다.

과<표3>사용 후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

한방화장품의 경우 보관·유지성, 안전성, 사용편리성

며 대부분의 여성들이 피부에 적합하다는 것을 가장

뿐만 아니라 한방 제품으로서 제품기능에 대한 정보

큰 장점으로 뽑았다. 그다음이 브랜드 명, 판매원 서

전달이 중요시되는 제품이어서 이를 포장 디자인개

비스, 판매원 화장품 관련 지식, 제품 구입경로 순이

발에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

며, 가격의 적절성과 용기·디자인·포장의 만족도 수

셋째, 조형성과 장식적인요소가 짙다. 한방화장품

준이 가장 낮은 순을 나타났음을 볼 수 있다. 따라

포장은 단순한 기능의 단계를 넘어 문화적, 예술적

서 소비자들에게 한방화장품만이 지니는 제품의 특

조형미를 최대한 표현하고자 하는 수준으로 발전하

성뿐만 아니라 한방화장품의 개념을 차별화시킬 수

였는데, 미적 감각을 최대한 살린 화장품 용기는 안

있는 포장디자인 전략 연구가 시급함을 알 수 있다.

방의 화장대 위에서의 장식적인 측면에서도 그 역할 을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경북 한방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분석요인인 심미성,

넷째, 생산성을 중요시 한다. 한방화장품의 경우도

실용성, 고품격, 트랜드, 차별성 모두가 매우 낮은

제품의 수명주기가 점차 짧아지고 있고, 소비계층의

편으로 나타났으며, 해외 수출 시장에서 소비자 눈

다양화 경향에 따른 상품의 세분화 추세에 따라 다

높이에 부적합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출 시장

품종 소량생산 형태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감안할

의 문화나 타겟층에 대한 분석이 미흡한 디자인과

때 기업의 규모나 품목의 생산수량 정도에 따라서

전문 디자이너 부족에서 오는 디자인의 한계점이 나

생산설비나 시스템에도 변화가 수반되어야겠지만 포

타나고 있다.

장디자인에 있어서도 생산성 문제를 심도 있게 고려 해야 한다.

[표 3] 한방 화장품 만족도 수준

4.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분석 4.1 분석절차 4.1.1 분석목적

구분

MEAN(평 균)

SD(표준편 차)

브랜드 명

3.54

0.72

제품 정보획득의 용이성

3.12

0.64

제품 구색의 다양성

3.18

0.68

경북 한방화장품의 해외 수출시장 개척을 위해 브

사용 후 효과

3.56

0.75

랜드별 한방화장품의 기능성과 경제성을 제외한 한

가격의 적절성

2.49

0.79

방화장품 포장디자인의 분석을 통해 경북 한방화장

용지·디자인·포장

3.07

0.83

품의 구체적인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향을 설정

3.17

0.86

구매 전 제품 사용기회 제공

2.99

0.88

판매원의 서비스

3.35

0.66

판매원의 화장품 관련 지식

3.26

0.62

장품 8개 업체가 출시하는 한방화장품 브랜드 제품

반품교환·환불의 편리성

2.09

0.76

을 선정하여 포장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이미지를

제품의 구입경로

3.25

0.75

전체

3.17

0.45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4.1.2 분석대상 국내 거주 중국인 100명을 대상으로 경북 한방화

분석하였다.

4.1.3 분석방법

47


[표 4] 경북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현황

만나는 교두보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표 6] 각 업체 한방화장품 브랜드네임(Brand Name) 브랜드명 궁중비향 동양적 이미지

자연 친화적 이미지

[표 5] 각 브랜드별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만족도

글로벌 이미지

제품 네임의 컨셉 의미: 궁중의 향기 표현 : 한자표현 형식 : 켈리그라피

은단수

의미 : 하늘의 은하수 강 표현 : 영문 표현 형식 : Logo Design

오샴푸

의미 : 제품 사용 후 감탄사 표현 : 영문 표현 형식 : 일반 서체타입

에코수안

의미 : 자연과 물의만남 표현 : 영문 로고타입 형식 : 일반 서체타입

Skylake

의미 : 하늘호수 표현 : 영문 로고타입 형식 : Logo Design

오가닉가든

의미 : 하늘호수 표현 : 영문 로고타입 형식 : Logo Design

바이오플레이스

G2 Skin

의미 : 바이오의 속성 전달 표현 : 영문 로고타입 형식 : 일반 서체타입 의미 : 회사명칭 그대로 사용 표현 : 영문 로고타입 형식 :일반 서체타입

각 브랜드 네임을 분석해본 결과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경북 한방화장품은 영문위주가 대부 분이며 제품속성을 표현하려고 하고 있으나 몇몇 제

4.2.2 한방화장품 브랜드네임 분석 이름은 모든 브랜드에 사실성과 느낌을 부여한다. 또 이는 브랜드의 약속과 감정적 가치의 정수이다.

품을 제외하고는 제대로 잘 전달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제품에 브랜드 개성이 거의 표현되지 않고 있다.

4.2.3 한방화장품 시각조형요소 분석

포장디자인에 있어서 색체, 일러스트, 캐릭터 등이 구매나 무계획 구매를 자극한다면 브랜드 네임은 소

한방화장품의 포장디자인에서 시각조형요소는 내

비자들의 의식 속에 인지된 제품의“계획된 구매”를

용물을 이해하기 쉽게 하고, 전시기능을 갖도록 하

돕는 요소로서 브랜드 요소 들 중 가장 중요한 매체

며, 상품 특징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까지 연결

로 브랜드를 칭하는 하나의 단어이며 소비자가 브랜

되었음을 뜻하기도 한다.

드를 인지하는데 있어 가장 대표적이고도 기본적인 수단으로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포장디자인은 색상(color), 로고타입(logotype), 일 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심벌과 캐릭터 등 시각요

오늘날 완전경쟁시장, 포화된 공급시장에서 제품

소의 적절한 구성(layout)에 의해 최대한의 효과를

차별화는 필수적인 마케팅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분석

현대의 상품시장에서 소비자의 머릿속에 자사브랜드

을 위해 시각적 조형요소를 브랜드 로고타입, 색상,

에 대한 인식을 어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나누어 각 브랜드별 비교로 이

브랜드의 이미지, 차별화의 출발은 브랜드 네임에 의해 조성되는 브랜드 개성에서부터 가능해진다. 따

미지 맵 스케일(Image ma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라서 브랜드 네임은 제품의 중요한 포인트이고 기업

(1) 로고타입(Brand logotype)

의 통제영역을 벗어나 제품에 앞서 소비자와 직접

포장디자인은 소비자에게 정보 전달을 쉽게 하고

48


시각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되는 전체적 이미지에

색에서 느끼는 인상은 매우 다양하다. 색상과 감정

서 그 상품을 인지시키는 요소로서 구체적인 역할을

의 관계를 보면 어떤 색이 어떤 감정과 연결되고 있

하기 때문에 시각요소들 중에서도 대표적인 핵심적

는지는 개인차가 있으나 어느 정도 보편성을 가지고

인 역할을 한다. 매장에 진열되어 타 상품과 비교되

있다.

었을 때 소비자는 일차적으로 브랜드 로고의 개성에

포장디자인에서 색채가 갖는 우선적 기능은 상징

의한 인상이 결정적으로 관심과 기억에 영향을 주고

적 기능으로 감성적 역할을 중대시키기도 하지만 물

그 다음 다른 요소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이미지를

리적으로는 제품의 종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라 할

감지하면서 타 상품과 차별되는 특성을 인지하게 된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같은 제품군에서 각각의 종

다. 이것은 브랜드 로고디자인이 구성 요소들 간의

류에 따라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코드 역할

조화와 브랜드 개성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효율적인

도 한다.

역할을 의미하며, 또한 여기에서 생성되는 브랜드

브랜드 개성을 제고시켜 성공적인 브랜드를 만들

이미지는 소비자에게 강력한 인상을 주게 될 것이다.

기 위해서는 타 상품과 구별되는 독특한 색상이 선

상품으로서의 브랜드를 인식하게 하는 것은 브랜드

택되고 포장디자인 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명이며, 브랜드를 연상시키는 작용은 패키지디자인

한다. 이렇게 될 때 타 경쟁 상품과 차별화되는 브

의 전체이미지와 연결되면서 브랜드 로고타입에서

랜드 칼라로서의 역할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

구체적으로 확인된다. 개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브

다.

랜드 로고타입 디자인이 가능해지면 포장디자인의

[표 8] 브랜드 포장디자인 색상분석

개성은 어느 판촉수단보다 효과적인 방향으로 진행

업체명

이 될 수 있게 한다. [표 7] 로고타입 이미지 맵

브랜드명

main color

sub color

대한바이오워드

오가닉가든

White

Red, Green

(주)메디코스텍

궁중비향

Dark Bluegreen

Gold

(주)소리소

은단수

Brown

Gold

White

Red

(주)튜링겐코리아

바이오플레이스

COREA 향진원

에코수안

White / Green

Black

G2 Skin

G2 Skin

White

Black

하늘호수

Skylake

White / Green

허브허스

O Shampoo

Magenta

Gold

[표 9] 포장디자인 색상 이미지 맵

브랜드 로고타입을 분석한 결과 소수를 제외하고 는 대부분 영문표기 방식으로 기존의 서체를 조합한 디자인으로 제품과 어울리지 않는 로고타입 디자인 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현대적이지도 전통적이지도 않는 독창성 없는 디자인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딱딱하고 강한 느낌보다 부드럽고 친근한 느낌의 서 체 디자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2) 색상(Color) 브랜드 포장디자인의 형성 요인 중 인간의 시각적 자극을 가장 강하게 전달하는 요소는 색상이다. 이 는 색상이 가진 특징으로 색상은 사람의 시각적 인 색상분석 결과, 대부분 경북 한방화장품은‘White'

지를 통해 감정을 자극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49


를 메인 컬러로 사용하고 있으며 보조색상으로는

분석결과 경북 한방화장품은 전부 사진(Photo) 보

Gold, Black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 자연 친환

다 일러스트(Illust)로 포장디자인에 적용하고 있으

경적 이미지를 표방하는 몇몇 제품군은 white와

며, 대부분 사실적 표현 보다 상징적 표현으로 적용

Green을 사용하여 제품의 속성을 나타내도록 하였

되고 있다. 또 대부분 상징적인 일러스트 모티브의

으며 보조색상으로는 Black을 사용하였다.

그래픽으로 제품 속성을 표현하고 있거나 단순히 브 랜드 로고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상품의 포장에 표현되는 일러스트레이션은 소비자 에게 즉각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율적인 시각 요소로써 차별화된 시각표현에 의한 의미전달과 흥 미, 감동 공감을 환기시켜 구매 욕구를 유발시키는 심리적 요소의 역할을 수행한다. 일러스트레이션은 그림이나 사진형식으로 표현되 기 때문에 상품을 일차적으로 보여주는 전달개념의 요소로써 기본역할을 하게 되며 흥미와 감동, 공감

브랜드 로고도 포장디자인에서는 일러스트적인 개념 으로 소비자에게 보이기 때문에 단순한 서체의 나열 보다 보다 심미적이고 제품 이미지와 연관된 디자인 이 필요하다. 전체적으로 경북 한방화장품 브랜드 포장디자인 에 나타난 일러스트레이션은 한방화장품으로서의 속 성 표현이 미흡하고 화장품으로서 필요한 감성적 디 자인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4.3 문제점 및 개선방향

에 이르는 감성적 요인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 하여 일차적인 상품정보의 표현보다는 그 이상의 브

본 연구의 결과 경북 한방화장품이 해외 시장 개

랜드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브랜드 개성을 효과적으

척을 위해서는 제품이 갖는 기능성은 물론이고 보다

로 표현함으로써 소비자 구매를 유발시키는 역할을

해외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포장디자인 개발이

가능하게 한다.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문제점으로 첫째, 해외 소비자 니즈에 대한 분

[표 10] 포장디자인 일러스트 분석 업체명

브랜드명

석이 미흡한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다.

사실표현 (Photo)

상징표현 (일러스트)

둘째, 로고타입은 단순한 서체조합이 주류를 이루 고 있어 한방화장품의 제품 속성이 잘 표현되어 있

대한바이오워드

오가닉가든

-

(주)메디코스텍

궁중비향

-

셋째, 색상은 천편일률적인 컬러 위주로 차별화가

(주)소리소

은단수

-

없거나 제품 속성과 동 떨어지는 색상이 사용되고

(주)튜링겐코리아

바이오플레이스

-

있다. 또한 해외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색상 분석이

COREA 향진원

에코수안

-

미흡 한 것으로 나타났다.

G2 Skin

G2 Skin

-

하늘호수

Skylake

-

허브허스

O Shampoo

-

지 않으며 심미성이 부족하다.

넷째, 포장디자인에 나타난 일러스트레이션은 일러 스트 드로잉기법 위주의 표현으로 되어 있으나 제품 속성 또는 이미지 전달이 미흡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업체가 브랜드 포장디자인에 대한

[표 11] 포장디자인 일러스트 이미지 맵

인식 부족이며 전문 디자이너 부족에서 나오는 현상 으로 보다 체계적인 디자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선책을 살펴보면, 첫째,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은 제품의 속성인 한 방의 효능을 강조하고 해외 소비자 미적 요구 수준 에 적합한 디자인 개발이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서는 중국 소비자 니즈에 대한 정확한 트랜드 및 마 케팅 분석을 통하여 포장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한방화장품 제품의 속성 표현을 위해 중국 소비자가 인지 용이한 네이밍과 브랜드 로고 개발이 필요하며 포장디자인 개발에서 지금까지 치중되어온 단순한 그래픽디자인 연구 이외 중국인이 선호하는 지기구조 및 다양한 포장 재질 연구가 필요하다.

50


셋째, 한방화장품으로서 속성과 해외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색상분석을 통해 제품에 색상이 적용되어 G2 Skin

야 한다. 해외 수출시장의 타겟층이나, 한방화장품 이미지를 고려하여 그 브랜드만이 가질 수 있는 개

G2 Skin 전체적으로 깔끔한 디자인이나 화장품 같지 않은 포장디자인으로 제품속성 및 심미성 미흡

성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색상을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5. 결론

넷째, 한국적이면서도 글로벌 감각의 세련된 이미 지와 한방화장품의 제품 속성이 잘 표현된 일러스트

한방화장품에서 포장디자인은 실질적으로 소비자

가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너무 한국적, 전통적 디

들이 직접적으로 느끼는 포괄적 이미지로 이성적인

자인만을 내세우면 오히려 역 효과가 나타날 수 있

정보를 제공 이외 감성적 동기를 부여하고 소비자와

으므로 전통과 현대의 개념이 잘 조화된 디자인 개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함으로써 독자적인 전달과

발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감성적 디자인 접

광고기능을 다할 수 있게 하고 성공적인 상품이 될

근이 필요하며 보다 전문 디자이너의 역량이 필요로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마케팅 요소가 된다. 포장디자인은 단순한 제품의 외면 장식차원을 넘

하다.

어 중국 소비자들에게 경북 한방화장품의 브랜드를 [표 12] 각 브랜드별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의 문제점

직접 알리고 경북 한방화장품의 첫 이미지를 갖게 하는 중요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므로 본

동양적 이미지

브랜드명

제품 포장디자인 컨셉과 문제점

궁중비향

(주)메디코스텍 자연의 꽃잎을 일러스트화 브랜드로고의 가독성이 떨어지고 브랜드명과 그래픽이 일치하지 않으며 무분별한 그래픽 사용

은단수

오샴푸

(주)소리소 브랜드 네이밍과 포장디자인의 이미지가 통일되지 않으며 포장디자인에 나타난 이미지가 너무 현대적임. 차별성과 심미성이 부족함. 허브허스 동양적 문양의 이미지를 일러스트화 제품속성이 잘 표현되지 않은 컬러적용과 현 트랜드에 미흡.

연구에서 제안된 중국 소비자 니즈에 대한 정확한 트랜드 및 마케팅 분석을 통하여 선호하는 지기구조 및 다양한 포장 재질 연구 이외 한국적이고 글로벌 한 감각의 세련된 이미지와 한방화장품의 제품 속성 이 잘 표현된 일러스트 및 색상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최근 동남아 뿐 만 아니라 중국의 소비자들의 소 득수준이 급격히 향상되면서 생활이 여유로워 지고 화장품 구매 형태나 상품선택에 대한 관점도 점점 달라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내수시장 악화와 세계경제시장의 불황으로 경북 한방 화장품 이 중국 수출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보다 철 저한 해외시장의 문화를 이해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 이다. 특히 중국은 전 세계 화장품 시장의 절반을

에코수안 자연 친화적 이미지

COREA 향진원 제품속성을 그래픽 일러스트화 자연친화적 표현의 컬러적용이나 제품속성 및 기능성 표현 미흡

차지하는 만큼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피할 수 없는 시장으로 철저한 디자인마케팅 분석을 통한 체 계적이고 전문 디자이너들에 의한 포장디자인 개발 이 필요하다.

Skylake

오가닉가든 글로벌 이미지

하늘호수 전체적으로 깨끗한 이미지 유지 기존 제품 시리즈와 동떨어진 디자인으로 통일감 미흡 대한바이오워드 제품속성인 허브의 잎을 단순화한 일러스트 브랜드 로고 시그니춰가 불안정하며 제품 속성 표현 미흡

참고문헌 - 김준석. (2003). 화장품 브랜드 구매와 관련한 브 랜드 개성의 역할.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 학원, 서울. (국내학위논문) - 김제준. (2001). 화장품

포장디자이이 구매결정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학위논문)

바이오플레이스

(주)튜링겐코리아 단순한 브랜드로고 사용으로 제품 속성이 잘 나타나지 않으며 제품군의 무분별한 컬러적용으로 심미성 미흡

- 김혜랑. (2003). 한방화장품의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 원, 서울. (국내학위논문) - 분병용. (2000). 음료포장디자인이 브랜드에 미치

51


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학위논문) - 원현진. (2002).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 원, 서울. (국내학위논문) - 한상욱. (1997). 한방화장품의 통합적 니치마케팅 전략.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학위논문)

- 엄정여. (2003). 한방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학위논문)

- 데릴 트레비스. (2002). 파워 브랜딩. 서울 : 종 은책만들기. (국내단행본) - 박규원. (1995). Package Design. 서울 : 미진사. (국내단행본)

- 박규원. (1995). 현대포장디자인. 서울 : 미진사. (국내단행본)

- 박규원. (2003). 브랜드와 패키지디자인. 한양대 학교출판부. (국내단행본) - 장업신문. (2011. 11. 2). 한국화장품 산업 유통 별 브랜드 통계자료. 장업 신문. (국내신문, 잡지 기사)

- 심재연. (2003. 5. 17). 한방화장품 육성 어떻게 이뤄져야 하나. 주간신문 CMN. (국내신문, 잡지 기사)

- 최동신. (2003). 장수브랜드와 패키지디자인에 관 한연구. 한국 패키지디자인 학회, 14. (국내학술 지) -

Bernd

Schmitt

&

Alex

Siminso,

한상만,

(1999). 미학적 마케팅. 서울 : 한국언론자료간행 회. 한언. (국내단행본)

52


53


54


55


、 、

56


57


58


59


60


61


․ ․

62


http://dx.doi.org/10.17548/ksaf.2016.06.24.239

공공공간 사인시스템의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예춘홍* 안 병 진 **

*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교수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for the Public Space Sign System Ni, Chun Hong * Ahn, Byoung Jin **

* Doctor,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 Professor,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KOREA SCIENCE & ART FORUM 한국과학예술포럼

KOREA SCIENCE & ART FORUM Vol.24_Regular article or full paper * Contribution : 2016.05.18_Examination : 2016.06.10_Revision : 2016.06.15_Publication decision : 2016.06.30

63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I.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1.3. 한국 선행연구 분석 1.4. 중국 선행연구 분석 II. 이론적 고찰 2.1. 소외계층의 개념 2.2. 공공 공간의 범위 2.3. 사인시스템의 개념 2.4.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 Ⅲ. 사인시스템과 유니버설 디자인 관계 3.1. 사인시스템의 유니버설 디자인 유형 3.2. 소외계층과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련성 IV. 유니버설 디자인 사인시스템의 사례분석 4.1. 사례분석 대상 4.2. 사례분석 4.3. 소결 V. 결론 Reference Endnote

countries and tried to analyze the crowd which Public Space Sign system concerned. Through the research, I found that Chinese Sign system haven t pay much attention on vulnerable groups in China. In this study, I classified the Vulnerable Groups into different types of groups, with the actual needs of those groups in Sign System explored the crossover design concept of Universal esign . First, Vulnerable Groups focused on the needs of the blind people, the seniors and color weakness crowd. By analyzing the Sign system in German istorical Museum, I expanded the design ideas. In the Sign system for foreigners, seniors and children, color and word font are particularly important. The appropriate used of graphic design in German Airport Sign system accelerate the information capture of people, especially for the seniors and children. Secondly, the problems for disabled person in Guide system became apparent. Such as identifying issues for children in using the Sign system because of height problems the special requirement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pregnant women in using sign systems. Sign system of Umeda hospital in Japan met the needs of special groups with its unique design concept. Finally, I summarized Vulnerable Groups and Universal esign, I found the existence of Vulnerable Groups promoted social progress. Universal esign is also a powerful tool to discover the problem in social progress. According to the previous thesis research and case study, I found that developed countries payed attention on to different aspects in Sign system, and the national investment in research is large. From this point , Sign system reflected contribution to an area.

D

H

;

Abstract

Sign system is an effective guiding tool. Current sign system provieded a lot of convenience to the society by its unique design concept and forms. According to the diversity in counties, regions and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sign system presented the different design features in the world. In developed countries, sign system has been relatively mature, it considered variety needs from different groups. The perfection of sign system is the way to measure the level of development, which reflected the importance of sign systems in social development. Based on the study on the literature data and case studies, I found that Sign system in developed countries attached importance to vulnerable groups which include disabled person, children, seniors and women (pregnant women). In this study, I found the cantorial issue by analyzing the paper, researched on cases from the United States, Germany, Japan and other developed

D D

국문초록

빠르고 효율적으로 길을 안내할 수 있는 도구인 사 인시스템은 오늘 날 특유의 독특한 디자인 이념과 형 식으로 사회의 유통 시스템 전반에 많은 편리함을 가 져다주었다. 다양한 국가와, 지형, 경제발전 수준에 따 라 각기 실정에 맞는 다양한 사인디자인과 기능을 갖 추고 있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 이미 사인시스템이 어 느 정도 자리를 잡아 성숙한 상태이며, 다양한 집단의

64


잘 측정

끌 냈 막 외 층 버설 관 정 정 회 외 층 회 촉진 것 견 었 버설 혜 회 쪽 회 촉진 문 견 움 주 료 터 작 종 무 짓 정 많 진 템 설 축 며 학 량 력 투입 견 정 템 헌정

수요를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반영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사인시스 의 성도를 도로 도 시의 발전 도를 하고 있는데, 이는 사 발전에서 사인시스 이 지하는 중요성을 분 해준다. 에서는 자 에 한 리 사례 조사 수 을 통해 소 계 에 대한 도 면에서 의 선 국들의 사인시스 에 대한 시 도를 악 해보고자 한다. 장애인 부분에서 시각장애인, 청각장 애인 그리고 지체장애인, 그리고 동, 인, 부 자 여러 다 한 면들을 로 들어 수 있다. 연구방 으로 선행 연구 자 들의 중 인 트를 은 , 국, 독일, 일 선 국가들의 실 제사례를 바탕으로 공공 공간 사인시스 의 타 단에 한 연구를 행하였다. 또한 이에 그치지 않고 사인시스 중 유니 디자인 이 에 해 보다 적으로 분석하였다. 자 리 실제 고 을 통해 연구자는 이러한 방면에 중국의 도가 비교적 어지는 이 는 을 발 다. 연구에서 연구자는 소 계 을 개 적인 단으 로 분 해 고, 사인시스 사용 중에 발 하는 이 단의 실제 니 를 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니 디자인의 교 디자인 이 에 대해 적으로 연 구해보았다. 선, 시각장애인 위 의 소 계 을 대 상으로 하는 장애 디자인이 타 으로 하는 단에 는 로 시각장애인, 인 및 인 계 이 있다. 독 일의 역사 사인시스 은 시각장애인 단을 중 적으로 분석하여 사인시스 중 유니 디자인 분야에서 보다 은 디자인 이디어 및 발전 가 능성을 제공해 다. 국인, 인 및 이들을 타 으로 하는 공공시 사인디자인의 경 에 한 연구 및 자 체 용 간의 연구가 특 중 적으로 이 어 야 한다. 독일 공 의 사인디자인은 그 디자인을 적 활용한 사인시스 으로, 오늘날처럼 그 을 처럼 는 시대에 이러한 소 계 들이 보다 율적으로 보 를 할 수 있도 하는 동시에 인과 이들의 보 식 도를 높이는 데 공 다는 에서 의의가 있다. , 사인디자인에서 사용 을 소 계 으로 하면 발 가능성이 있는 제 들이 다. 를 들어, 이들이 사인시스 을 사용하는 과 에서 높이 제로 인해 사인 식 에 어려 을 을 수 있다. 또 한 지체장애인의 경 사인디자인 사용 시에 특 한 니 가 발 할 가능성이 있다. 임 부의 경 임 기 간에 으로 할 시에 특수한 서비스형 사인시스 을 요로 할 가능성이 있다. 일 다 원에서 는 독특한 디자인 이 을 통해 사인디자인을 성, 환

자 및 기타 보호자들의 공감을 이 어 다. 마지 으로 소 계 과 유니 디자인에 해 리하는 과 에서 한 사 에서 소 계 의 존재가 전 체 사 의 발전을 한다는 을 발 할 수 있 다. 유니 디자인의 수 자들 또한 사 한 에서 전 체 사 의 발전을 하고, 제발 및 해결에 도 을 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자는 자 조사부 시 해서 사례들을 분석하 고 연구를 최 적으로 마 리 는 과 에서 현재 수 은 선 국들이 공공 공간 사인시스 시 구 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 , 과 연구 분야에서 대 의 인 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 하였다. 이러 한 현상들은 특 국가나 지역에서의 사인시스 의 공 도를 반영하고 있다.

템 완 척 정 회 템 차 충 히 설명 본 논문 관련 료 관 문헌정 와 집 외 층 관심 측 진 템 주 정 파

아 노 녀 양 측 예 볼 법 먼저 료 심포 찾 뒤미 본등 진 템 깃집 관 진 템 버설 념 관 심 층 료정 와 찰 관심 떨 편 라 것 견했 본 외 층 별 집 류 놓 템 생 집 즈 파 버 설 차 념 심층 우 주 외 층 무 깃 집 주 노 색약 층 박물관 템 집 점 템 버설 더많 아 주었 외 노 아 깃 설 우 색채 관 색채와 글 응 히더 점 루 져 항 래픽 극 템 림 글 읽 외층 효 정 포착 록 노 아 정 별 헌했 점 두 번째 주 층 외 층 생 문 점 많 예 아 템 정 키 문 별 움 겪 우 정 즈 생 산 우 신 밖 외출 템 필 본 우메 병 념 완 등

Key Words

외 층 템 융복합

Vulnerable Groups(소 계 ), Public Space(공공 공 간), Sign System(사인시스 ), Universal esign(유 니 디자인), Convergence( )

버설

D

I.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념 럽 작 세 널 퍼 었 히 템 빈 점점 아 추세 집 외 층 혹 두 집 료 와 집정 정 템 숙 황 라 것 견 뿐 아 라 양 와 따라 른 념 템 차 점 것 알 었 논문 정 진 진 논문 즈 매우 접 진 것 알 었 같 우 템 아 잘 루 며 히 외 층 배 많 족 황 우 정세와 템 른 산업 금 뒤늦 작 편 순히 념 며 념

사인디자인의 개 은 유 에서 처음으로 시 되어 전 계적으로 리 지게 되 다. 특 공공 공간 사인시스 의 사용 도는 높 지는 이다. 사용자 단 중 일부는 소 계 으로, 어느 국가, 은 어느 지역에도 모 존재하는 단이다. 자 조사 수 , 리하는 과 에서 연구자는 현재 사인시스 이 나날이 성 되고 있는 상 이 는 을 발 하였다. 이 만 니 다 한 국가 , 지형, 여 제발전 수준에 각기 다 디자인 이 을 가지고 있고, 그 결과 사인시스 에서도 이 이 있다는 을 게 되 다. 연구자는 선행연구 들을 연구하는 과 에서 선 국에서 행된 연구가 비교적 현실적이고, 보다 실제적인 니 에 근 한 방향으로 행되고 있 다는 을 수 있 다. 이에 반해, 중국과 은 개 발도상국들의 경 사인시스 이 직 체계적으로 이 어지지 않고 있으 , 특 소 계 을 려한 디 자인이 이 부 한 상 이다. 또한 중국의 경 국가 의 경제적인 요소로 인해 사인시스 방면의 연구가 다 분야에 비해 조 게시 된 이다. 대부분의 디자인이 단 표면적인 이 에 국 한되어 있으 , 디자인의 이 에 대한 실질적인 인식

65


깊 족

외 층 많

관심

이 그다지 지 않고, 소 계 에 대한 과 고려 방면에서 부 한 부분이 기도 하다. 사람들의 공통 된 인식 중 가장 하게 드러나는 은 바로 선 국이든 개발도상국이든 계 이 유니 디자인 개 에 된 소 계 에 대한 과 해 방면에서 의 연구가 공통된 연구과제이 실현해야 할 표 는 이다. 연구자는 실제 사례 및 자 리를 통해 국의 공 , , 원, 도서 공공장소에서 쓰이는 사 인시스 시 이 운용 수 있 이유가 사 각 방면의 다 한 사람들의 니 를 면 하게 악하 여 고려한 데 있다는 을 발 할 수 있 다. 계적 인 선 국가들의 수 은 사인시스 을 전반적으로 살펴 결과 소 계 에 대한 디자인 수요를 이 고려하고 있다. 연구는 독일, 일 , 영국 그리고 한국 선 국가들의 선례 연구를 통해 공공 공간의 사인시스 에 대한 소 계 들의 실제적인 니 에 대 한 분석을 된 내용으로 다 다. 또한 장애인( 체 적으로 을 고 있는 사람 함), 동, 인, 임 부 및 국인 다 한 단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인시스 형식에 대해서도 분석 해 보았다. 유니 디자인을 활용하는 방식은 소 계 의 사용에 있 어 발 할 수 있는 제 들을 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만 니 , 보다 은 사람들에게 최대한의 리를 제공해 수 있기도 하다. 은 독일, 일 , 영국과 한국 선 국의 선 적인 사례 연구를 이용하여 장애인, 인, 동, 임 부, 국인의 단에 대해 어 사인디자인을 하였는지에 대해 분석을 행한다. 사례 분석 을 통해 현재 중국 사인시스 의 부 한 특 상 기다 단에 대한 유니 디자인 면에서의 부 한 을 발 하고 또 지적한다. 사례에서 된 단 의 유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인시스 의 후 발전 이를 발 하고 의 디자인 방향에 고를 제공 한다. 이로써 중국의 사인시스 의 디자인 방 을 개 선하고 선 국의 사인디자인과 그 를 는데 도 이 되고자 한다.

뚜렷

외 층 관련 문헌 배 념 주 외 층 버설 관

소개 하였다. 제 2장에서는 소 계 , 공공 공간 사인 시스 과 유니 디자인과 된 을 살펴 후, 연구에 요한 이론적 경과 개 을 해석하고 하였다. 제 3장에서는 로 소 계 과 공공 공간 사인시스 , 그리고 유니 디자인 간의 계에 대 해 서술하고 있다. 제 4장에서는 독일, 영국, 일 선 국의 수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 인시스 에 나타나는 유니 디자인과 소 계 간 의 계에 대한 분석을 행하였다. 제5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선 국이 장애인, 인, 동, 임 부 및 국인 에 대한 의 과 디자인 형식을 악하고 중국의 사인시스 에 대한 제 을 한다. 연구의 위는 최근 10 간 전 계적으로 소 계 을 대상으로 하는 사인시스 에 대해 행되 사례들 중 6개의 수한 사례를 선 하여 분석 을 행하였다. 이들 사례로는 독일 공 (Cologne Bonn Airport)과 오스나 크 동 원( oo Osnabr ck), 독일 역사 의 사인시스 사례이 , 영국의 마이 러데이 니 , 일 의 다 원과 향시 화교 가 있다. 이러한 사례 분석연구를 통해 적인 유니 디자인을 고 해 앞으로 중국 사인시스 의 발전에 도 이 되 으면 한다.

것 진 관 없 버설 념 관련 외 층 관심 당 며 목 라 것 료정 외 항 쇼핑몰 병 관등 템 설 잘 될 었던 회 양 즈 밀 파 것 견 었 세 진 많 템 본 외 층 점점 더 많 본 본 등 진 와 관련 논문 템 외 층 즈 주 루었 신 불편 겪 포 아 노 산 외 등 양 집 템 버 설 외 층 생 문 점 효 뿐 아 라 더많 편 줄 본 논문 본 등 진 진 와 논문 노 아 신 외 집 떤 진 와 논문 템 족 점 히 섯집 버설 족 점 견 관련 집 템 추 추 견 미래 참 템 법 진 격차 좁히 움

버설

본 설

템 본등 진 우 템 버설 외 층 관 진 진 노 아 신 외 등 관심 초점 파 템 안 본 범 년 세 외 층 템 진 었던 우 정 진 쾰른 본 항 브뤼 물 Z ü 박물관 템 며 클패 커뮤 티 본 우메 병 삼 립문 류센터 혁신 버설 안 템 움 었

1.3. 한국 선행연구 분석 버설 템 진 며 외 층 두 진 안 락 박덕 김미 김민 노 섭 박우 승 등 논문 두 외 층 관련 템 문 점 관 외 층 점 템 관 강 세 생 와 관련 와 문 미래 흐름 관 같 진 주 안 락 버설 관점 커뮤 효 천 항 템 주 정 관 진 박덕 D 횡 안 템 관 며 논문 집 주 것 김민

한국의 유니 디자인에서의 사인시스 에 대한 선행연구 및 실제 사례의 분석 연구를 행하였으 , 이 역시 소 계 에 보다 크게 비중을 고 행하였 다. 상 (2007), 제(2007), 식(2010), 연 (2007), 만 (2014), 이 (2008), 이기 (2012) 이러한 들에서는 모 소 계 과 된 사인시 스 의 제 들에 한 연구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소 계 을 중 으로 공공 공간 사인시스 의 한 연구를 보다 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계적으로 발 하고 있는 이 된 수요 실제 제들, 의 실제 발전방향과 에 한 연구가 이 행되어 야 한다고 장한다. 상 (2007)의 연구에서는 유니 디자인 에 서의 공공사인 니케이션 지각 과, 인 국제공 유도사인시스 을 요 연구 대상으로 선 하여 공공 공간 사인에 한 연구를 행하였다. 제(2007)의 연구는 RFI 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단보도 보행 내 시스 에 한 연구이 , 이 은 시각장애인 단을 대상으로 실제 수요를 디자 인 한 이다. 식(2010)의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1.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방법으로서 제 1장에서는 주로 사인시스 템 구축 방면에서의 중국과 선진국의 격차에 대한 내 용을 간략하게 다루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소외계 층, 공공 공간 사인시스템 및 유니버설 디자인, 이렇 게 세 가지 개념에 관한 연구현황에 대해서도 간략히

66


1.4. 중국 선행연구 분석

논문 것 템

위한 보행시스 디자인 연구로서, 이 은 시각장 애인의 행동을 중 적으로 하여 연구한 이다. 연(2007)은 장애인 교의 사인시스 에 대한 연구 이 ,이 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인디자인에 대해 로운 수요 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다. 만 (2014)의 연구는 광역시 청사사인시스 의 유 니 디자인 니케이션(U C) 시각체계 분석으 로서, 유니 디자인 방식을 활용하여 어 한 지역 의 수요 및 디자인 형식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2008)의 연구는 장애인을 중 으로 한 지하 사인시스 계획에 한 연구로 로 시각장애인 의 특수한 수요에 적 한 디자인에 해 연구를 행 하였다. 또한 이기 (2012)의 연구는 유니 디자인 에서 BRT 장 디자인 가이드 인에 한 연구이 , 이 에서는 유니 디자인의 으로 상 연구를 행하였다. 이 게 선행연구 을 살펴보는 과 을 통해 소 계 을 위한 공공 공간 사인시스 의 유니 디 자인에 한 의 요 연구내용을 다음의 표-01 과 이 비교해서 수 있도 연도 로 요 리 하였다.

점 관찰 김민 학 며 논문 새 와아 노 섭 버설 커뮤 D 버설 철

박우

관 합 승 승강

관점 본 며 논문 관 진 렇 논문 외 층 관 논문 주 같 볼

외 층 템 버설 등 관련 岳翔 벽 李京擘 왕추혜 王秋惠 걸 夏英 杰 홍 于红利 풍 冯 莹 吴燕璟 논문 논 문 회 외 층 즈 긴 깊 히 격차 벌 져 황 참 논문 논문별 루었던 [ ]와 같 정 岳翔 베린 설 버설 설 안 주 점 벽 李京擘 박물관 템 버설 응 안 주 삼 왕추혜 王秋惠 외 층 터 버설 까 주 삼 논문 주 외 층 설 족 점 루 걸 夏英杰 필 버 정류 관 접 본 논문 주 정 생 버 설 즈 걸 논문 템정 관 진 논문 관점 출 층 더 아 정 탐 와 홍 于红利 템 양 측 정 집 천 관 주 루 풍 冯莹 색맹 집 정 주 본 논문 집 른 논문 집 吴燕璟 노 관련 관 주 며주 노 버설 루 와같 논문 봤 논문 템 버설 관 와 정 차 것 견 었 본 논문 작

중국의 소 계 , 공공 공간 사인시스 , 유니 디자인 에 된 연구로는 악상( )(2013), 이경 ( )(2013), ( )(2006), 하영 ( )(2014, 2015), 어 리( )(2013), 영( )(2011), 오연경( )(2007)의 이 있다. 이 들에서도 중국 사 소 계 의 현실적인 니 에 대해 언급한 바 가 있 하나, 한국보다 연구의 이 에서 여전 가 어 있는 상 이다. 중국의 고 또한 각 로 다 연구내용을 표 -02 이 리하였다. 악상( )(2013)의 연구는 를 시 대중교통 시 의 유니 디자인을 중국의 대중교통 디자인과 계분야 에 제 하고자 요한 시사 들을 제시하였다. 이경 ( )(2013)의 연구에서는 사인시스 의 유니 디자인 연구 및 용 방 을 제로 고 있다. ( )(2006)의 연구는 소 계 의 구체적 인 수요부 유니 디자인 지를 제로 고 있 다. 이 에서는 로 소 계 에 있어 중국의 공공 시 이 가지고 있는 부 한 들에 대해 다 고 있다. 하영 ( )(2014)의 연구는 시각장애인들이 요로 하는 공공 스 장 공간 사인에 한 근성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에서는 로 시각 장애인이 보행하는 과 에서 발 할 수 있는 유니 디자인에 대한 니 를 분석하고 있다. 하영 (2015)의 또한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연구로서, 공공 시스 보디자인에 한 연구를 행하였다. 이 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에서 발, 한 나 가 장애인을 위한 보디자인의 비중을 실어 구 토론을 연구하였다. 어 리( )(2013)의 연구는 시각장애인 사인시 스 에 대한 다 한 면의 보를 수 하였고, 장애 인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위한 실 연구에 한 내용 을 로 다 고 있다. 영( )(2011)의 연구는 단의 보디자인 분석을 제로 하고 있다. 에서 연구하는 단은 다 의 시각장애인 단 의 수요 디자인 분석과는 구분된다. 오연경( )(2007)의 연구는 인 인구의 인지기 능및 요소에 한 제로 하고 있으 , 로 인을 위한 유니 디자인 요소들을 바탕으로 한 분 석 결과를 다 고 있다. 이 은 중국의 선행 연구 들을 살펴 을 때, 이러한 들이 연구자의 공공 공간 사인시스 의 유니 디자인에 한 연구 어느 도 교 되는 부분이 있다는 을 발 할 수 있 다. 을

심 주 관

진 버설 라 관 버설 관점 정 템 버설 [ ] 록 별 약정

[표-01] 선행연구 분석(한국) 연구자

안상락 (2007)

박덕제 (2007)

김민식

목 버설 관점 커뮤 효 D 횡 템 관

제 유니 디자인 에서의 공공사인 니케이션 지각 과 연구 RFI 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단보도 보행인내 시스 에 한연구

연구 내용 인 국제공 을 요 연구대상으로 선 , 공공 공간 사인에 한 연구 행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시스 디자인 연구

시각장애인의 행동방식에

항 주 정 관 진 시각장애인 집단을 주 대상으로 하여 실제 수요를 디자인함

템 관해 연구함 유니버설 다자인 버설 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BRT 관점유니 이기승 으로 승강장 사용에 승강장 디자인 (2012) 대한 상관 연구 진행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인시스템에 대한 김민연 장애인학교의 시각 새로운 수요와 아이디어 (2013) 사인디자인 연구 제시 광역시 유니버설 디자인의 템의 관점으로 연구대상 노만섭 청사사인시스 유니버설 디자인 지역의 수요 및 디자인 (2014) 커뮤니케이션(UDC) 형식을 전반적으로 시각체계 분석 검토함 지하철 사인시스템 중 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시각 장애인의 특수한 이박우 지하철 사인시스템 수요에 적합한 유니버설 (2018) 계획에 관한 연구 디자인에 관해 연구함 (2010)

67


2.3. 사인시스템의 개념

관련 논문의 연구방향과 실적을 검토하고, 배 습득하기 위해 중국 논문의 선행 연 와 관련 논문 아래 [표-02]와 같이 정리해보았다.

성하기 전 이론적인 경을 구 을

사인시스템(Sign System)은 사인의 체계를 말하는 것이며, 사인환경에 질서를 부여하여 보다 알기 쉽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2) 사인시스템이란 길을 묻고 주소를 찾는다는 의미이며, 사람들이 정보를 획득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또한 사인디자인은 한 지역의 문 명을 반영하며, 동시에 지역의 정보를 전달하는 현대 적인 저장 매체이다. 여러 가지 원소와 방법을 이용하 여 정보를 전달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이곳에서 저곳 으로 이동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정보의 내용과 구조 를 알게 하는 매체 시스템이다.

[표-02] 선행연구 분석(중국) 연구자 악상

岳翔

(2013)

왕추혜 王秋惠 (2006)

오연경

吴燕璟 (2007)

풍영 冯莹 (2011) 이경벽 李京擘 (2013) 어홍리 于红利 (2013)

걸 夏英杰( 하영

2014)

걸 夏英杰 하영

(2015)

제목 베를린시 대중교통 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이 중국에 시사하는 점 소외계층의 수요부터 유니버설 디자인까지 성과 노인인구의 인지 기능 및 관련 요소들에 관한 연구 색맹 집단의 정보디자인에 관한 분석 박물관 사인시스템의 디자인 및 응용에 관한 연구 시각장애인 사인시스템 정보수집 및 최적화에 관한 분석 시각장애인의 니즈를 바탕으로 한 대중교통 정류장 공간 사인의 접근성 탐구 시각장애인들의 공공 시스 보디자인에 한 연구

템정 관

연구 내용 독일의 대중교통 디자인을 통해 중국의 대중교통 시 에 대행 시사 제 소 계 에 있어 중국의 공공시 이 가지고 있는 부 한 제시 로 인을 위한 유니 디자인 요소들을 바탕으로 한 분석

설 점 안

외 층 설 족 점 주 노 버설

2.4.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

시각장애인 단의 수요 디자인 분석

버설 커뮤

D

D

유니 디자인(Universal esign, U )은 제품, 환 경, 니케이션, 서비스 을 디자인할 때 이들 다 한 특성을 지 사람들을 모 용할 수 있도 디자인 하는 이다. 장애인, 인, 어 이, 임 부, 국인 모 를 려하여 디자인하는 사고방식이 고 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을 용한다는 의 에서 유 에서는 유니 디자인이 는 용어 대 에 인 시 디자인 (Inclusive esign) 은 모 를 위한 디자인을 직 적으로 의 하는 디자인 ( esign for all) 이 는 용어를 이 사용한다.3) 비 지역 로 각기 다 의 과 을 가지고 있 하나, 된 서비스 대상은 전체적으로 동일하기 때 에 연구자는 에서 유니 디자인이 는 단어를 사용 다.

박물관 사인시스템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제안 및 디자인 제안 시각장애인의 정보 수집 및 최적화 디자인에 대한 실천 연구 시각장애인이 보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수요분석 시각장애인의 관점의 공공 시설물의 정보디자인에 관한 탐구와 토론

닌 두포 록 것 노 린 신 외 등 두 배 라 포 미 럽 버설 라 신 ‘ 클루 브 D ’혹 두 접 미 ‘ 포 올D ’ 라 많 록 별 른 견 관점 긴 주 문 본 논문 버설 라 했

Ⅱ. 이론적 고찰 2.1. 본 연구에서의 소외계층의 의미규정

Ⅲ. 사인시스템과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계 3.1. 유니버설 디자인에서의 사인시스템 유형

본 논문에서는 소외계층의 개념을 장애인, 노인, 임 산부, 외국인, 어린이로 규정하기로 한다. 사인시스템 의 완성도 수준에 대한 평가는 주로 해당 사인시스템 이 얼마나 다양한 사람들의 니즈를 고려하였는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정상인 이외의 시각장애인, 노인, 아동, 임산부 및 외국인 등 이들의 니즈는 사인시스템 에서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는 부분들이다.

터 촉 템 템 관 던 초 작 었 관련 논문 른 관련 논문 훨씬 많 며 진 템 점 응 매 우 룬 태 브뤼 물 Z ü 물 갖 죽 템 터 번 른 신 히

(1) 시각장애인을 위한 치형 각 사인시스 소 계 들을 위한 사인시스 에 한 연구는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하 데서 최 로 시 되 다. 오늘날에도 시각장애인과 된 연구 들이 다 분야 들보다 으 , 현재 대부분의 선 국가에서 사인시스 에서의 자 용 수준이 크게 발전을 이 상 이기도 하다. 독일에 위치하는 오스나 크 동 원( oo Osnabr ck)에서는 동 이 고 있는 자체 가 의 특 성을 가지고 사인시스 에 적용하여 디자인하였다.4) 치 방식을 활용한 이 사인디자인은 다 디자인 들에 비해 보다 선하다는 특징이 있는데, 특 시각

외 층

2.2. 공공 공간의 범위 공공 공간은 의도된 환경 또는 인위적 환경이라 하는 것으로 건축된 환경임(Built environment)을 말한다.1)본 논문에서 말하는 공공 공간은 사람들이 실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공공 공간 범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공항, 학교, 병원, 도서관, 공원, 생활 거주지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68


족 키

장애인의 특수한 니 를 만 시 는 데 다는 데서 의 가 있다.

큰 공헌을 했

아동, 임산부 및 외국인들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연구가 더욱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첫 번째, 시각장애인이 공공 공간에서 보행할 시에 사 인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때때로 터치 안내나 음성 안내 가 필요한 상황이 생기게 된다. 이 중 가장 많이 사용 되는 것은 바로 터치 안내이다. 중국은 전 세계적으로 시각장애인이 많은 국가로, 세계 시각장애인 인구의 무 려 18%를 차지하고 있다.8) 통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 서는 매년 45만 명이 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의 시각장애인의 비율은 1%에 이른다고 한다. 이는 중 국에서 매 년 45만 명의 사람들이 이 문제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부분에 서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고령화는 이미 대다수의 국가에서 겪고 있 는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이다. 사인디자인은 이러 한 사회적인 압력을 보다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 중 하나이다. 연구자는 한국, 일본, 중국의 상황을 전반적 으로 살펴 본 결과 이 세 국가에서 고령화가 매우 익 숙한 주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들의 특수한 니즈를 파악한 유니버설디자인이 절실하다. 세 번째로, 아동은 전체 사회구조에서 노인과 성인 과는 약간 다른 관점에서 출발해야 한다. 아동들을 위 한 사인시스템 개발 시에는 교육적인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사인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네 번째 임산부는 인생의 특정 시기에 생겨나는 특 별한 관심과 심리적 안정을 도와줘야하는 집단으로, 현재 중국에서 이러한 임산부가 사용하는 사인시스템 은 여전히 미비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마지막으로 그 나라의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관광 객이나 외국인 그룹이 있다. 새로운 지역에 온 외국인 들에게는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급선무일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과 같은 그래픽 리 딩 시대에 그래픽 이미지는 언어를 초월하고 있으므 로 사인시스템에서 문자 대신 그래픽을 사용하여 사 물이나 정보를 표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 이 앞으로 미래의 발전 방향에 걸맞은 것이다.

래픽 심 템

(2) 그 중 의 사인디자인 사인시스 의 요소 중 그 요소는 비중 을 지하고 있다. 현대 사 는 그 리 의 시대 할 수 있다. 도형을 이용한 간 한 그 이 지는 국가 국가 간의 경계, 음성과 언어를 할수 있 으므로 전 계적으로 공통된 인식이 할 수 있다. 를 들어, 독일에 위치하는 공 (Cologne Bonn Airport)의 사인디자인은 특 국인들의 니 를 분 고려하여 그 이 지 중 의 사인시스 으로 개선하여 최 적으로 만들어 이다.5) 전체 적인 디자인을 을 때, 조형적인 이 지가 자를 대 하고 있어 국인들이 이 사인시스 을 사용하여 보를 하는 과 이 용이하 유 함을 느 수 있도 한 이 특징적이다.

래픽 매우 큰 회 래픽 딩 라 략 래픽 미 초월 세 라 예 쾰른 본 항 히외 즈 충 히 래픽 미 심 템 종 진것 봤 미 문 신 외 템 정 포착 정 며 쾌 낄 록 것 차 와

집 깃 템 말 집 아 노 산 등 칭 념 군 속 학 병 양 등 설 템 와같 템 땅히 관심 랑혹 육 념 터출 것 예 클패 커뮤 티 쿨 명 명 색채와 돋 학 아 관 즈 합 점 매우 합 금까 던 외 층 템 정 아래 [ ] 같

(3) 기타 특수 단을 타 으로 한 사인시스 여기에서 하는 특수 단은 동, 인, 임 부 을 지 하는 개 으로, 이 사용자 에 하는 사람들은 대 부분 교, 원 그리고 로원 공공시 에서 사인시 스 을 사용한다. 이 은 사인시스 은 마 과사 은 교 의 이 으로부 발해야 할 이다. 를 들어, 영국의 마이 러데이 니 스 (Micheal Faraday Community School)의 도를 높여 선 하고 화려한 활발함이 보이는 이 교 의 사인 형식은 이들의 성장에 한 니 에 부 하 고 있다는 에서 적 하다 할 수 있다. 6) 지 지 살펴보았 소 계 의 사인시스 유형 을 리하면 표-03 과 다.

[표-03] 유니버설 디자인에서의 사인시스템 유형 유형

터치형 촉각 사인시스템 그래픽 조형 사인디자인 특수 집단을 위한 사인시스템

개요 시각장애인을 위한 치형 각 사인시스 국인, 인, 어 이 을 대상으로 한 그 사인시스 인, 동, 임 부를 위한 특수 사인디자인

터 촉 템 외 노 린 등 래픽 템 노 아 신

[표-04] 각 소외계층별 니즈와 유니버설 디자인 층

계 구분 시각장애인

3.2. 소외계층과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련성

노인 어린이 임신부 외국인

본 럽등 노 설 규격 움 히 버설 관 논문 정 정 회 관심 배 필 노

독일, 일 , 유 지에서는 인, 장애인도 사용하 기 운 제품 계를 국제표준화로 화하는 직임 7) 이 활발 전개되고 있다. 공공 공간에서 유니 디자인에 한 연구 들을 리하는 과 을 통해 사 적으로 과 려가 요한 시각장애인, 인,

69

세부 내용 터치 및 음성형 사인시스템 디자인 문자 크기와 색채 사용을 고려한 사인디자인 성장과 교육을 유도하는 사인시스템 디자인 심리적 안정을 위한 사인디자인 문자를 대체할 수 있는 그래픽이미지를 사용 한 사인디자인


4.2. 사례 분석

회 외 층 양 집 템 저 즈 며 즈 족 킬 필 것 알 었 집 속 템 아무런 움없 록 즈 충 히 우 우 신 불편 문 터 템 필 며 템 신 목 노 생 심 쇠 약 문 히더 즈 아 우 육 초점 맞춰 며 산 정 안 세심히 배 회 낌 록 템 신 외 문 배 차 외 층 류 것 외 집 버설 진

이를 통해 사 의 소 계 의 다 한 단들이 각 기 사인시스 에 대해 마다 특수한 니 를 가지고 있으 , 이러한 니 를 만 시 수 있는 디자인을 요로 한다는 을 수 있 다. 이러한 단에 하 는 사람들이 공공장소에서 사인시스 을 어려 이 사용할 수 있도 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들 의 특수한 니 를 분 고려해야 한다. 선 시각장애인의 경 특수한 체적인 함 제로 인해 치형 및 음성형 사인시스 을 요로 하 , 이러한 시스 을 통해 자 이 가고자 하는 적 지에 도달하고자 한다. 인들은 리적, 적으로 하기 때 에 특 특수한 니 를 가지게 된다. 동의 경 성장과 교 에 을 야 하 , 임 부들은 특 기간 동 그들을 려하고 사 적으로 보호받고 있다는 느 이 들도 사인시 스 에 경을 써야 한다. 국인은 화 경의 이로 인해 소 계 으로 분 된 이므로 이러한 국인 단을 위한 유니 디자인에 대해서도 연구 를 행해야 한다.

[표-06] 쾰른 본 공항 사인시스템 사례 1 위치 개요

이 지

사례 1 사례 2 사례 3 사례 4 사례 5 사례 6

연도

년 2006년 2010년 2010년 2012년 2006년 2010

래픽 항 템 큰 점 히문 돌파 래픽 빠르 속 효 정 록했 것 [표-07] 오스나브뤼크 동물원 사인시스템 사례 2 위치 개요

브뤼

템 라 평

오스나 크동 원 독일 연도 2006 오스나 크 동 원의 사인시스 은 람 의 의를 위한 디자인 모 사례 고 가되고 있음

브뤼

년 관 객

이 지

물 죽 템 했 며 아 외 없 롭 록 료 물 터치형 류 피 울퉁불퉁 물 관 객 미 특히 이 사인시스템은 시스템 자체의 기능을 수행하 어린이 는 동시에 교육적인 기능을 수행함 시각장애인 노인 어린이 임산부 외국인 종합 ● ◐ ● ◐ ● ● 관련성 높음 ◐ 다소 관련 ○ 관련성 없음 동 의 털가 을 사인시스 의 소재로 활용 으 , 시 각장애인, 동 및 국인들이 장애 이 자유 게 교 를 할 수 있도 함,10) 재 의 사용 면에서 동 모 의 한 표면을 이용한 디자인으로 동 원 람 들에게 특이한 질감과 재 를 느끼게 함

[표-05] 사례분석 대상

템 사례 쾰른 본 공항 오스나브뤼크 동물원 마이클 패러데이 커뮤니티스쿨 우메다 병원 삼향시립문화교류센터 독일 역사박물관

미 록

위의 그 을 활용한 공 사인시스 의 가장 장 은 언어 중 특 자 방면에서의 장애를 하 여 그 디자인이 게 유동하는 공간 에서도 과적으로 보를 전달할 수 있도 다는 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래 [표-05]와 같이 최근 10년 간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이 적용된 사인디자인 사례들 중 6개의 우수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는 공공 공간에서 사인시스템을 이용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다른 측면으 로는 사인시스템의 유니버설 디자인의 작용과 사회에 대한 공헌을 반영하는 동시에 소외계층에 대한 사회 의 배려와 관심을 구현하고 있기도 하다. 공공 공간 사인시스

래픽 외

그 디자인을 활용하여 독일어를 하지 하는 국인들도 이 지를 통해 리하게 사인시스 을 사용할 수 있도 하였음 시각장애인을 위한 자를 사용하였을 만 니 도형의 처리에도 한 디자인을 하여 치의 과를 가시 시각장애인 인 어 이 임 부 국인

템 점 뿐 아 라 시각 올록볼록 터 장애인 효 증 킴 노 린 산 외 종합 ● ● ● ◐ ● ● 관련성 높음 ◐ 다소 관련 ○ 관련성 없음 도형

IV. 유니버설 디자인 사인시스템의 사례분석 4.1. 사례분석 대상

구분

쾰른 본 항 년 북쪽 터 약 정 떨 진곳 메 항 미 ‘ H ’ 라 회 년 걸쳐 완

공 독일 연도 2010 시의 동 으로부 16km 도 어 에 위치하는 독일의 인 공 중 하나로, 전체적인 이 지는 ToanVu- uu 는 디자인 사에서 2002-2004 에 성하였음9)

위치 독일 독일 영국

본 일본

본 물 관 버설 템 라 아 까 했 점 매우 포괄 터 집 생 효 묘 접목 켰 것 본 물 템

동 원에 한 연구는 유니 디자인 사인시 스 의 전형이 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과 동 지 전반적으로 고려 다는 에서 적이고, 치 방식을 사용자 단과 디자인 사이에 발 하는 공감 및 과에 교 하게 시 다는 이 동 원사 인시스 의 특징이다.

독일

70


우메다 병원 사인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소수인 임 신부, 산모, 아이들을 중심으로 출발한 사인시스템으로, 이들 계층에 대한 니즈를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심리적 측면에서의 사인시스템을 고안해낸 것이 특징이다.

[표-08] 마이클 패러데이 커뮤니티 스쿨의 사인시스템 사례 3 위치

개요

클 패러데이 커뮤니티 스쿨

마이

년 ­ 영국 런던 남부 Aylesbury구 소재의 한 초등학교 ­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저마다 다른 언어와 문 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 ­ 디자이너 Carlidge· Levene는 학교 건축물과 구성 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사인시스템을 고안하였음 영국

연도

2010

[표-10] 일본 삼향시립문화교류센터 사례 5 위치 개요

이 지

이 지

학생들의 특수한 니즈를 충분히 고려하여 디자인함, 어린이 노란색을 선택하여 아이의 활달함에 부합되고, 또 일 정한 경고 의미도 표현하였음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비교적 많기 때문 양한 문화에 적합한 사인시스템을 구축하기 위 외국인 에해 다국제적인 표준기준을 충분히 활용․접목하여 유 니버설 디자인 사인시스템을 구상하였음 노인 어린이 임산부 외국인 종합 시각장애인 ● ○ ● ○ ● ● 관련성 높음 ◐ 다소 관련 ○ 관련성 없음

본 교류 센터의 주제(식품교육)를 보다 더 강조 하기 위해 Ujidesign사에서는 양파, 완두콩 등 구 체적인 식품의 형태를 바탕으로 사인디자인 진행 어린이 ­ 재미있고 이해하기 쉬운 사인으로 이 건물의 특 징을 돋보이게 함 13) 노인 어린이 임산부 외국인 종합 시각장애인 ◐ ◐ ● ◐ ● ● 관련성 높음 ◐ 다소 관련 ○ 관련성 없음 ­

사례 4 위치

우메다 병원 연도

템 출 것

[표-11] 독일 역사박물관 사례 6 위치

2010

우메다 병원은 일본 산구현 광시구에 위치하는 산부인과 및 소아과 전문병원, 요양병원 ­ 우메다 병원의 사인시스템은 디자이너 하라켄야 (Hara Kenya)가 구상함11)

개요

­

개요

병 육 측

아이들 더 새롭 참신한

이 원의 사인시스 의 중 사상은 바로 의 교 적 면에서 발하여 보다 고 교 환경을 제공하는 이다.

본 사례에서 주 타깃으로 삼고 있는 계층은 아동과 외국인이며,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디자인 항목들도 매 우 명확한 편이다. [표-09] 우메다 병원

일본 삼향시립문화교류센터 본 연도 2012년 일본 삼향시립문화교류센터(piala-City)는 식품교 육을 위주로 하고 있음 일

독일

박물관

독일 역사 연도

2006

년 창립 베 린 탄생 주년 맞아 새 템 너 페 년 됨

­ 1987 에

. 를 750 을 로 운 사인시스 이 디자이 이오 밍 이에 의해 디자인되어 2006 에 공개

이 지

점자 응용을 통해 시각장애인들에 대한 비교적 높은 관심도를 표현하였음 고도나 촉각 방면에서 노인과 아이들의 습 노인과 디자인은 관 적 동작에 따른 니즈를 모두 고려하였다는 것이 특 어린이 징 양식 처리를 통해 외국인에 대한 관심도도 충분 외국인 도형 히 표현해냄 노인 어린이 임산부 외국인 종합 시각장애인 ● ● ● ○ ● ● 관련성 높음 ◐ 다소 관련 ○ 관련성 없음

이 지

시각 장애인

당병 입 출산 산 생 편안 친 임신부 템 흰색 무명천 료 산 정 신 태 안정 병 산 뿐 아 라엄 따라 온 린 많 편 어린이 및 노인 ­ 우메다 병원은 예전부터 “아이들의 친구 같은 병 원” 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오고 있으며, 요양병원 에는 노인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음 노인 어린이 임산부 외국인 종합 시각장애인 ◐ ● ● ● ◐ ● 관련성 높음 ◐ 다소 관련 ○ 관련성 없음 해 원에 원한 환자의 대부분은 전후의 임 부로 위 과 함, 근함을 위해 전반적인 사 인시스 에 의 을 재 로 사용, 모의 상 를 되게 함12) ­ 원에 내원하는 사람들은 임 부 만 니 마를 어 이도 은 임

박물관 족키

템 즈 터 응 뿐 아 라노 아 훨씬 줄 주

이 의 사인시스 은 시각장애인들의 니 를 실 질적으로 만 시 고 있다. 치사인의 용은 사인시스 사용 시에 시각장애인 만이 니 인, 동 그리 고 국인 간의 거리를 여 는 역할을 하고 있다.

71


4.3. 소결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와 재료, 양식, 색채 그리고 문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소외계층의 디자인 니즈에 관한 연구가 여 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두 번째,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들은 대부분 여전히 다른 국가의 사례들을 본보기로 삼는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실제 사례연구는 진행된 바가 매우 적은 편이다. 이 뿐만 아니라 수많은 시각장애 인 학교들과 소외계층이 실제로 사용하는 공공 공간 과 이러한 집단들을 위한 시설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 기도 하다. 따라서 수많은 시각장애인들이 보행 문제 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선진 국가 사례연구를 통 해 독일 등 선진 국가에서 시각장애인들이 보행 시에 아무런 장애나 문제없이 다닐 수 있는 주된 이유는 무장애 보행 시설 덕분이며, 이는 사인시스템의 유니 버설 디자인 연구에 어느 정도 공헌한 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아동과 노인들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연 구 방면에서 중국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사회문제인 고령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여러 효과적인 방안들 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노인과 아이는 소외계층 에서도 비교적 수가 큰 집단이다. 소외계층을 유니버설 디자인에 중점을 두는 것은 사회 질서를 보장하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사회가 돌 아가도록 하는 측면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사례 및 자료 분석을 통해 영국 등 선진 국가들이 소외계층의 공공시설 사용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한 시기가 중국 보다 최소 30여 년 이나 빨랐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중국은 마땅히 하루라도 빨리 선진 국가들 의 경험을 본보기로 하여 자국의 사회문제를 해결하 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네 번째, 공공 공간 사인시스템을 디자인 하는 과정 에서의 디자인 이념은 사회 전반적인 효익을 결정하 게 된다. 일본의 디자이너 하라켄야(Hara Kenya)가 디자인 한 우메다 병원 사인디자인은 세상에 공개되 자마자 큰 주목을 끌었다. 이 사인시스템이 이토록 크 게 주목받을 수 있었던 주된 이유는 해당 디자인 이 념에서 주시하고 있는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주시하 는 공통된 문제점이었기 때문이다. 이 디자인 이념은 여성, 임산부 혹은 아이들의 관점에서 그들의 니즈를 충분히 고려한 뒤 완성된 디자인으로, 사인시스템 영 역에서도 뛰어난 사례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 공간 범위 내에서의 사인시스템 유 니버설 디자인 니즈에서 출발하여 디자인 전반에 걸 쳐 탐구 토론을 진행한 것이다. 그 결과 연구자는 경 제가 빠르게 발전하고, 세계적인 유통 및 교류 속도가

논문 본등 진 템 버설 많 루었 것 알 었 뿐 아 라 노 아 신 외 르 까 양 집 배 축 것 알 었 아 미숙 편 며 히 머물 념 족 많

현재 과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독일, 일 여러 선 국가들에서 사인시스 유니 디자인이 상대적으로 이 발전을 이 다는 을 수있 다. 이 만 니 시각장애인, 인, 동, 임 부 및 국인에 이 기 지 다 한 단들에 대한 선 려가 구 되어 있다는 도 수 있 다. 하지만 중 국은 이러한 방면에 있어 직 한 이 , 현재 여전 형식과 소재 방면의 연구에만 러 있고 디 자인 이 과 의식 또한 부 한 부분이 다.

[표-12] 종합 분석 구분

사인시스 사례

시각장애인

● ● ◐ ● ● ◐ ● ◐ 마이클 패러데이 사례 3 ○ ● ○ ● 커뮤니티 스쿨 사례 4 우메다 병원 ● ● ● ◐ ◐ 사례 5 삼향시립문화교류센터 ● ◐ ● ◐ ◐ 사례 6 독일 역사박물관 ● ● ● ○ ● ● 관련성 높음 ◐ 다소 관련 ○ 관련성 없음 사례 1

쾰른 본 공항

외 계층 노인 어린이 임산부 외국인 소

브뤼크 동물원

사례 2 오스나

[ ] 종합 템 버설 관점 루 져

● ● ●

듯 더

위의 표-12 의 분석에도 나타나 있 공공 공 간의 사인시스 사용 및 연구는 계적인 과제이 , 유니 디자인의 에서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 게 이 어 야 할 부분이다.

V. 결론 본 본 떠

진 템

정 외 층 깃 안 왔 본 템 른 었던 주 외 층 배 관점 출 본 즈 충 히 했 문 본 법 주 목 두었 첫 번째 번 템 버설 회 미 탐 외 층 깃 념 승 킨 것 며 버설 본 것 알 었

연구는 선 국가사례를 선 하여 그 중 독일, 일 이 사인시스 방면에서 소 계 을 타 으로 어 한 사인디자인을 고 해 는지 분석해 보았다. 독일 과 일 에서 이처럼 사인시스 이 다 국가보다 발 전할 수 있 된 이유는 소 계 을 러한 에서 발하여 인간의 질적인 니 를 분 고려 기 때 이다. 연구자는 연구를 통해 앞으로 중국 사인디자인의 발전 방향과 분석 방 을 제시하는데 요 적을 다. , 연구자는 이 사례 비교분석을 통해 공공 공간 사인시스 유니 디자인이 사 적으로 가지 는 실질적인 의 에 대해 구해보았다. 분석 결과 소 계 을 타 으로 하는 디자인은 사인디자인의 이 을 화시 이 , 유니 디자인의 근 이기도 하다는 을 수 있 다. 중국은 이러한 방면에서

72


빨라 양 깨닫

템 코무 없 었 었 외 층 측 진 것 미래 추세라 것 알 었 본 템 참 될 정 될 길 란

Endnote

나날이 지면서 실제 사용 시에 사인시스 이 수 행하는 다 한 역할들을 결 시할 수 게 되 다 는 사실을 게 되 다. 소 계 디자인 면에서 선 국가들의 사례를 통해 이 이 바로 의 디자 인 발전 는 또한 게 되 다. 연구가 앞 으로의 사인시스 을 계획함에 있어 고가 만한 보로서 제공 수 있 바 다.

1) 2)

「도시문제」, p.7, 1978년 7월 7호 송연호, “박물관 사인시스템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 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4호(통권 제36호),

p.535, 2012.10. 3) 고영준, 사용자 중 의 유니 디자인 방 과 사 례 , 한국 술 보 사, p.19, 2011. 4) , 동 사인시스 에 나타 공감 디자인에 한 연구 , 한국과 술 럼, Vol.23, p.243, 2016. 5) ttp://www.cymj.com (2015.05.28) 6) opress Books, New Wayfinding & Signage System , opress Books, Posts & Telecom Press, p.300, 2012. 7) 고영준, op. cit, p.18, 2011. 8) ttp://www.lesou51.com (2016.02.01) 9) ttp://www.ad518.com (2010.09.30) 10) Jiang, Feng Architecture & Communication esi gn Liaoning Science and Technology Pres s p.400 , 2005. 11) ttp://www.blog.sina.com (2010.12.28) 12) ttp://www.wenku.baidu.com (2012.03.26) 13) ttp://www.douban.com (2015.12.29.)

「 심 버설 」 학 정 출판 예춘홍 " 물월 템 난 관 " 학예 포 H D 「 」D

Reference [1] Ak-Sang,「Berlin points to the universal design of public transport suggests China」,Journal of chifeng University (Natural Science Edition), 2013. [2] Bao, Dushi., Wang, Huiliang., Ge, Ying, 「Surroundin gs Sign System Design」, China Architecture and Building Press, 2010. [3] Cao, Qian, “A Study on an Aging Population is Considered of Sign System”, Central Academy of Fine Art, Master Thesis, 2009. [4] Dopress Books,「New Wayfinding & Signage Sys tem」, Posts & Telecom Press, 2012. [5] Ha, Young Geol, "Study on the design of public information systems visually impaired",Master Thesis, 2015. [6] Jiang, Feng,「Architecture & Communication desig n」,Liaoning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05. [7] Lee, Ki Seung,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about a BRT station design guideline",Graduate School of Design, Kookmin University, Master Thesis, 2012. [8] Kim, Min Sik, "Desing study of walking wa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Koomin University, Master Thesis, 2010. [9] Shen Shen City,「Sign System」, Yili Culture Devel opment Co. Ltd, 2010. [10] Wang, Chen hui, 「Manual sign system」, Liaon I ng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2010. [11] Wang, Jing,「City Sign System·City Public Syste m」, Liaoning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2010. [12] Wang, Ying ying, 「Tourist attractions color design of sign system」, Hubei Fine Arts Publishing House, 2009. [13] Xiao, Yong, 「Sign System Design」, HuneiI Fine Arts Publishing House, 2010. [14] Ko, Young Jun, 「Niversal Design」, Korea

H H D , H H H

Research Information Publisher, 2011.

73

」,

,「


74


Received date of the paper : 2017.6.20

Examined : 2017.7.8

Determined to publish : 2017.7.27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aginary Creatures in“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山海經)and "Strange Animals Book”(怪奇鳥獣図巻)

Main author : Yuxiao Dong 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Juyoung Chang 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jychang@gdsu.dongseo.ac.kr

75


both Chinese and Japanese versions were selected for the

1. Introduction

analysis and comparison.

1.1. Research background and aim 1.2. Research method

Comparative research: By comparing the images of the imaginary creatures that appear in the two books, the

2. Two books: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study analyzed their links and relations, and then discussed

and "Strange Animals Book"

their heritage in innovating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culture.

2.1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2.2 "Strange Animals Book"

Result By comparing the images of the imaginary creatures that appear in the two books, the study found

3. Imaginary creatures in the two books

the relation between them, identified their similarities, and analyzed their differences. The imaginary creatures in

3.1 Imaginary creatures in "Classic of the Grea t Wilderness" 3.2 Imaginary creatures in "Strange Animals Bo ok "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gave a big influence to the creation of "Strange Animals Book" as a reference. The imaginary creatures after the integration of the Japanese local imaginary creatures culture system and

4. Illustrations of imaginary creatures

gradually evolved into a variety of Japanese imaginary creatures images that some are still active now. Although

4.1 Comparison of images 4.2 Summary of analysis 4.3 Chinese influence and Japanese cultural bac kground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was written hundreds of years ago, it remains a creative gem that offers insight for innovation. A close correlation exists between valuable cultural inheritance and innovation.

5. Case study

Conclus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and images of

5.1 Tengu in japan 5.2 Evolution of Tengu in Japan 5.3 Application of Tengu

various imaginary creatures in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the imaginary creatures are used as a reference in the creation of "Strange Animals Book" for depicting cultural elements from China. A number of them

6. Conclusion

have been disseminated through local Japanese culture, and many classic Japanese monsters images are still well

References

known today, such as Tengu(天狗). And with the evolution of these traditional images, they were known and loved by more people, and were used in various fields. Important

Abstract

traditional books such as “The Classic of the Great

Background This study primarily discusses the links and

Wilderness” and "Strange Animals Book" are

connections of imaginary creatures illustrations between

priceless

sources for creating contemporary design and inspiration.

two ancient books: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山海

Those ancient books left a great wealth on the art of

經) and "Strange Animals Book"(怪奇鳥獣図巻). And this

thinking and imagination, so they are worth letting more

study compares and analyses their similarities, and

people learn and study their mystery.

investigates on their historical links between China and Japan.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two books, to explore the value of those ancient

Keyword

books and to investigate their potential of application to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Strange Animals

contemporary design and other areas.

Book, Imaginary Creatures

Methods Literature research: By studying the imaginary creatures illustrations of two books in libraries and museums, and reviewed imaginary creatures that appear in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and "Strange Animals Book", and then analysed them on a comprehensive and detailed basis. Case research: Representative creatures that appear in

76


antiquities full of mythic geography and myth, and

1. Introduction

were compiled in ancient times,

so a detailed

1.1 Research background and research aim

field investigation is not realistic. Thus, this study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is an ancient

reviews the text and images in the books, and

Chinese text. In ancient China, the different

then refers to related existing documents, historical

dynasties collected various illustrations to this text.

materials. Literature research, case research,

Different

of

comparative research, these three methods are

paintings. This study analyzed the illustrations of

used. The aesthetic theory is used to conduct

the imaginary creatures from the Hu Wenhuan (胡

in-depth study of the available materials.

文焕) version. Hu Wenhuan was a Ming Dynasty

2. Two books: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versions

have

different

styles

opera writer, editor and publisher, hailing from

and "Strange Animals Book"

Hangzhou(杭州), Zhejiang(浙江) Province. He is credited for many writings, including hundreds of

2.1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secret letters, as well as for editing the "Gezhi

As I mentioned in my published paper(2017),

series". His version of "Classic of the Great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has been

Wilderness" is one of those series. In this version, the

preface

contains

Ming

dynasty

considered a masterpiece since the ancient times.

(1593)

Although it contains only 31,000 words, the book is

engraving that is the oldest version in circulation.

a repository of knowledge relating to ancient

According to the Seiji Ito, he said that "Classic

myths, geography, history, medicine, mineral

of the Great Wilderness" spread to Japan in the

products, animals and plants. It is a valuable

Nara era or earlier than Nara era (710-794 AD).

resource for gleaning insight into the original

In the city of Nara, archeologists unearthed the

aesthetic of the Chinese and their efforts to

wooden plate with words "山海經日大" on the

obtain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back. This can be said at that time, there are

Experts and scholars have various views on

some people who have read this book. Further,

"Classic

some scholars believe that this book may have

the

Great

Wilderness".

Most

contemporary scholars believe it was completed in

been used as a reference in the compilation of

the Warring

literature or as a guide for tours when Japanese

States period. There

is much

argument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this book.

officials and their peers visited the Tang Dynasty

It is a book that puts the mountains and rivers of

in the unfamiliar mainland China. (Seiji I. 2002).

the universe into neat order. In other words,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ttempts to classify the world, both real and

imaginary creatures illustrations of these two

imaginary. Ma Changyi stated that it was written

books and to find the links and relation between

for the Chinese " To grasp the power of the

them. Presumably whether "Strange Animals Book"

universe, and behind it is a unified political

is derived from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 and whether "Strange Animals Book"

of

motive...This kind of writing method reflects the

was

ancient religion. The intention being of evoking

affected by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At

religious spells or witchcraft to control the

the same time, this study tries to discover the

geographic land." Scholars have discussed the

contemporary values of these ancient books such

essence of this book, and many different point of

as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and perhaps

views have been proposed, such as that it is a

they can be re-created and used as a source of

history book, a book for witchcraft, or an ancient

inspiration and creativity.

astronomical calendar (Ma, C. 2000).

1.2. Research method

2.2 "Strange Animals Book"

Records of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Ma Changyi stated that "Strange Animals Book"

and "Strange Animals Book" are texts of great

appeared in the Japanese Edo era (1603-1867 AD,

77


equivalent to China's Ming and Qing Dynasties),

3. Imaginary creatures in the two books

as a picture containing 76 pictures. The author's

3.1 Imaginary creatures in "Classic of the

identity remains unknown. The book records the

Great Wilderness"

strange beasts and birds that people have never witnessed in the Edo period (Ma, C. 2002).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has two parts:

imaginary creatures recorded in this book are

"mountain"(山) and "sea"(海). The "mountain" part

colored and rich in detail, and are now in the

contains images of 251 pieces of imaginary,

library at Seijo University, Japan.

including birds, beasts, insects, plants, and trees. The text also describes about 382 kinds of gods. The "sea" part presents 46 species of imaginary creatures and hundreds of kinds of Gods. The Hu Wenhuan version has a total of 110 pictures, including 16 images of Gods, 2 images of exotic, 52 images of beasts, 23 images of strange

[Figure 1] "Strange Animals Book" in the Seijo

birds, and 17 images depicting snakes, fishes, and

University, Japan

worms.

As mentioned previously, "Classic of the Great

3.2 Imaginary creatures in "Strange Animals

Wilderness" spread to Japan in the Nara era or

Book"

earlier. It was unearthed in the city of Nara, along with evidence that it was read as a reference in

"Strange Animals Book", is housed at the Seijo

the Nara era, probably in relation to a compilation

University library in Japan. According to its

of a class of literature. Another theory is that it

classification, this work depicts 30 kinds of birds

was used as a guide for tours taken by Japanese

(鳥) and 46 kinds of beasts(獣). The paintings are

officials and their peers in Tang Dynasty mainland

extremely detailed in their appearances and

China (Seiji Ito. 2002).

structures, and each figures bear the name of the

According to the "Strange Animals Book"

creatures accompanied by a short description. Seiji

displayed in the Seijo University, the imaginary

says the descriptions are probably from "Classic of

creatures in "Strange Animals Book" are classified

the Great Wilderness" and other materials (Seiji I.

based on zoological significance. It contains 30

2002).

species of birds and 46 species of mammals. Of

"Strange Animals Book" contains 76 imaginary

these strange birds and mammals, 80% also

creatures in total. Among them, 55 images

appeared in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It

correspond to descriptions in the Hu Wenhuan

is not necessary to reiterate that the picture of

version of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the Qing Dynasty is not an ancient painting.

including 9 images of Gods, 2 images of exotic, 43 images of beasts, and 1 images of fish.

Zhang Fan said that the basis of these drawings is not clear, but it is likely that some of the

4. Illustrations of imaginary creatures

ancient impressions spread and then became icons.

4.1 Comparison of images

Most of the painters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likely read "Classic of the Great

As mentioned above, The "Strange Animals

Wilderness", and then drew inspiration from it for

Book" has 76 imaginary creatures. Among them,

their drawings. Alternatively, the Japanese may

55 are described in Hu Wenhuan's "Classic of the

have used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first

Great Wilderness". [table 1] present 10 creatures

as inspiration for describing creatures by painting

as representatives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in color (Zhang, F. 2005).

- 198 78


[Table 1] Imaginary Creatures in two books Nam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characteristic

1. Gumiho (九尾狐)

A fox with nine tails. It could become a gorgeous woman to tempt men; when a fox has lived for more than 1000 years, it becomes the nine-tailed fox.

2 Dong Dong (䍶䍶)

It is a unique unicorn, and also a lucky beast. It looks like a sheep with one corner and one eye behind the ear, its voice sounds like calling its own name.

3. Bo (駮)

A white horse with a black tail, long head with a horn, and tiger claws, it sounds like a drum, it eats tigers and leopards for food, it can resist soldiers

4. Lei (类)

Looks like a cat with long black human hair, its body has both male and female sex organs and it can conceive and reproduce by itself. Anyone who eats its meat will never feel jealous.

5 .Jiao (狡)

A wild animal in the mountains of Yushan. It looks like an ordinary dog, but has leopard markings. It horns are similar to a cow's, Its voice sounds like a dog's. When it appears place will produce good harvests.

6. Cong Long (葱聋)

Looks like an antelope with a black head, its neck hair is red.

7. Si (兕)

A cattle like animal, with a black body and a head with only one horn.

- 199 79

"Strange Animals Book"


8. Tengu

(天狗)

Tengu looks like a kind of wild cat with a white head, and is a fierce beast. It is likely a kind of ancient mammal, its calls sounds like "yo yo".

9. Qiong Qi (穷奇)

It looks like a cow with long hedgehog hair around its body, it likes to eat human beings. It is one of the four ominous(四凶) animals in ancient China.

10. Er Shu (耳鼠)

It looks like a rat with a rabbit's head and elk's fur. It sounds like a dog and uses its tail to fly. People who eat it will have a bad spirit, but will be able to withstand hundreds of poisons types.

their counterparts in the Hu Wenhuan' version, such as SI (兕), Bi Fang (畢方), Cheng Huang (乘

4.2 Summary of analysis

黃). Zhang Fan said that the reason i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range Animals

Japanese painters at the time read the Hu

Book" and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ness"

Wenhuan

imaginary creatures could be summarized as

version, which

may have

left an

impression that the painters, internalized, thereby

follows [Table 2].

affecting their creation. Nonetheless. the creatures

Firstly, perhaps owing to the language barrier,

in

"Strange Animals Book" imitates Hu Wenhuan's

"Strange

Animals

Book"

have

unique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in their shape, which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ness". For example,

reflects the Japanese painters' interpretation of

according to the records of "Classic of the Great

the ancient Chinese text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there is a kind of bird called Shu Si

Wilderness "(Zhang. F, 2005).

(踈斯). The original text reports that this bird is

Thirdly, "Strange Animals Book" contains some

"like a female and has a human face"(其狀如雌難

imaginary creatures not seen in "Classic of the

而人面). In the Hu Wenhuan' version, it is "like a

Great Wilderness" various versions, in other words,

female and obverse"(其狀如雌難而反面). From the

they are completely novel images. Example

current undestanding of view "反"(obverse), it is

include: Dang Kang(當康), a kind of pig beast that

likely that it was misread from the a original "面

can predict the Mega years. "Classic of the Great

"(face). The image of the Shu Si (踈斯) does not

Wilderness"

have human face, it has a bird head. In the

describes it as "like a pig with

teeth", and all versions of "Classic of the Great

Japanese version in "Strange Animals Book" (怪奇

Wilderness" depict Dang Kang as a pig beast, but

鳥獣図巻), the image of Shu Si (踈斯) also does

"Strange Animals Book" depicts it as a beast with

not have a human face. This error may be a

a human face.

coincidence, but the same phenomenon is observed

Finally, the imaginary creatures in the Japanese

in other creatures, such as Jing Wei(精卫), Niaozhi

"Strange Animals Book" are colored, in contrast

Niaoyu(鳥只鳥余), Qi Tu(鵸鵌), Man Man(蛮蛮).

with the images of Hu Wenhuan. The Japanese

Secondly, although there are images in "Strange

version of the creatures is more delicate, vivid,

Animals Book" that are not exactly same as those

and full of details, especially the eyes and facial

in Hu Wenhuan' version, they nonetheless emulate

80


expressions. The image modeling of imaginary

understanding of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creatures in the Japanese "Strange Animals Book"

and shows their unique styles. In other words,

was probably based on Hu Wenhuan's version, but

although the images of two versions are similar,

modified. On the whole, the Japanese version

those in "Strange Animals Book" exude personality

reflects

and more creativity.

the

Japanese

painters'

different

[Table 2] Connection between two books connection

images in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case

1.

Perhaps owing to the language barrier, "Strange Animals Book" imitates Hu Wenhuan's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ness", even the mistake.

The original text reports Shu Si (踈斯) is "like a female and has a human face". But in those two books, they do not have a human face.

2.

Although there are images in "Strange Animals Book" that are not exactly same as those in Hu Wenhuan' version, they nonetheless emulate their counterparts in the Hu Wenhuan' version.

SI (兕) looks like a cattle with a black body and a head with only one horn. They are analogous in both two books.

3.

"Strange Animals Book" contains some imaginary creatures not seen in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they are completely novel images.

Dang Kang(當康), a kind of pig beast that can predict the Mega years.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describes it as "like a pig with teeth", but "Strange Animals Book" depicts it as a beast with a human face

images in "Strange Animals Book"

2005).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picked up,

4.3 Chinese influence and Japanese cultural

providing

background

a

rich

soil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hy do they have plenty of similarities but also

Meanwhile, Japan's Edo period is charaterized as

have differences? It is indispensable to analyze the

a late feudal society, in which people lived

differences between the different social, cultural

according to a strict hierarch. The socio-economic

and ethnic aesthetics between China and Japan

development and growing commodity economy

during that period.

belied the concept of a feudal society, accord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Chinese history

to representatives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are known as a prosperous period. In the early

thinkers.

Ming dynasty, a series of measures to restore the

These

people

put

forward

the

"Thownsman Thoughts"(町人思想), and held the

economy were undertaken, production measures

opinion that everyone is descended from the

were reformed and developed, productivity was

universe.

enhanced, and significant progress was made i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hownsman Thoughts", Japanese society produced

the handcrafts, technology, and arts of the time.

a "Thownsman Culture"(町人文化) (Zhou, T. 2015).

Zhang Fan said "Various handcrafts also began to

Under the influence of this culture, the Ukiyoe(浮

be produced, and with the development of China's

世绘) or Japanese genre painting of prints,

manpower, foreign trade developed significantly.

developed rapidly, prints, depicting people's daily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s from 1641, a

life, scenery, and drama, were produced. During

fleet of ships docked at Nagasaki in Japan, laden

that time, the arts blossomed, producing many

with 20000 pieces of porcelain items." (Zhang, F.

authors and painters. These artisans sought to

81


expand the demand for handicraft, so they

of the Great Wilderness". As mentioned above,

produced a large number of works. The birth and

when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spread to

prevalence of the Ukiyoe in the Edo period even

Japan, some of its images became completely

saw the participation of many outstanding Ukiyoe

rooted in Japan, eventually becoming Japanese

painters. Seiji Ito said that "Strange Animals Book"

native monster, such as Tengu and Gumiho.

was influenced by the Ukiyoe at that time (Seiji

Nonetheless, there are imaginary creatures that

Ito. 2002). In the images, lines are mainly

were imported from China but were transformed

composed of smooth curves, especially in the

and re-constructed in Japan, becoming completely

description and processing of details, such as the

different images compared with their Chinese

hair, feet, and facial features. Background places

version.

are also drawn delicately. Rich color are used,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Tengu looks

including black, orange, green, and white. The use

like a kind of wild cat with a white head, and is a

of smooth lines to draw the shapes of the

fierce beast. It is likely some kind of ancient

imaginary creatures give the latter full, moderate,

mammal, and its sound like 'yo yo'."(又西三百裏,

and exaggerated features.

曰陰山, 濁浴之水出焉,而南流於番澤, 其中多文貝,

In summary, the imaginary creatures in Hu

有獸焉,曰天狗,其狀如貍而白首,其音如榴榴,可

Wenhuan's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were

以禦兇). In ancient China, Tengu was a kind of

modeled after a simple approach that relied more

wild cat with a white head, and it is a lucky

on

pure

creatures that can resist fierce forces (Chen, C.

techniques. They were drawn in pursuit of

inspiration

and

ink,

rather

than

2010). As the ancient people lacked knowledge of

spiritual similarity, while retaining their ancient

astronomy, the eclipse phenomenon was described

meaning. Meanwhile, the imaginary creatures in

as "Tengu eating the sun" or "Tengu eating the

the Japanese although drawn based on "Classic of

moon", and was thus seen as bad luck. As such,

the Great Wilderness", reflected the Ukiyoe

tigers became a fierce star, whenever an eclipse

painting techniques, boasting rich and more

occurred, people banged gongs and drums, and set

colorful details. Thus, the imaginary creatures in

off firecrackers to scare away Tengu.

"Strange Animals Book" are elaborated and show a

5.2 Evolution of Tengu in Japan

different charm.

5. Case study Tengu

appears

in

these

two

books

simultaneously. And Tengu continue to be popular subjects in variety of legends, folklore, and modern

fiction

among

China,

Japan

and

increasingly other countries. They often appear [Figure 2] Tengu

among the many characters and creatures featured in video games, online games, animations, movies and comics. The Tengu is the one that might seem most familiar even to a modern Westerner

[Figure 3]

[Figure 4]

Tengu as a

Akiba

kite-like

Sanjakubō

monster

Daigongen

In Japan, until the Heian period(平安时代), Tengu

but it has a long history and deep connections to

appeared as described in "Classic of the Great

East Asian cultures and religions. So I chose such

Wilderness". Slowly, the Japanese Tengu evolved.

a prominent Tengu character as an example of

Today, the image of the Tengu is far from its

case for further study.

original image.

5.1 Tengu in japan

Tengu is one of the three most famous monsters

"Tengu", one of the three Japanese monster

in Japan. Today Japanese people are familiar with

images, in fact, has its prototype in the "Classic

the well-known image of Tengu: having red nose, and red face, holding a feather fan or a hammer,

82


wearing

a

monk's

clothing,

or

a

military

animation, comics, role-playing games, and video

commander armor, wearing Japanese traditional

games such as the popular smart phone game

high clogs, carrying a samurai sword by the waist,

called "Onmyouji"(陰陽師). The background of this

having long wings, carrying costumes for disguising

game is based on the Japanese culture and the

themselves at any time, often living in the

style of game is also Japanese. Tengu plays an

mountains, and with unimaginable strange force

important role in this game [Figure 5].

and supernatural powers [Figure 2]. Tengu is

In Chinese animation movie, "Lotus Lantern"(宝

known to kidnapped the humans who are lost in

莲灯) [Figure 6], the story is based on the

the fores. A child who is kidnapped was called

traditional Chinese folklore about a boy named

"God hidden", or hidden by the gods. Influenced

Chenxiang. His mother, Sanshengmu, was a

by book "Nihon Shoki"(日本書記), people imagine

goddess and his father, Liu Yanchang, was a

Tengu as having a pair of large wings, capable of

mortal. Since their marriage was forbidden, his

attacking humans with its beak, and bearing

maternal uncle, Erlang Shen, who was a god,

resemblance to "an eagle" image also known as

punishes them by killing Liu Yanchang. Tengu is

"Crow Tengu"(鴉天狗), Tengu is described in the

Erlang Shen's pet dog that can eat the moon

Japanese book "Gazu Hyakki yagyō" an eagle like

[Figure 7]. This is also based on the legend of

as well [Figure 3].

Chinese Tengu. Due to the lack of scientific

Another influence to the evolution of Tengu is

knowledge, the ancient people thought that eclipse

the Daitengu [Figure 4]. Daitengu is often pictured

was the Tengu eat the moon.

in a more human-like form, and due to its high noses, it may also called hanatakatengu(鼻高天狗, tall-nosed tengu). In similar legends, arrogant monks who, despite consistent practice, can-not give up their arrogant attitude will become Tengu after they die. Throughout the 12th and 13th centuries, there was even a story that Tengu would lead to world chaos. The Tengu's unpleasant image continued to develop in the 17th centur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engu became to be feared by people as a vigilant protector of certain

[Figure 6]

[Figure 7] Tengu

Animation movie

in "Lotus Lantern"

"Lotus Lantern"

forest.

In Japanese animation "Nura: Rise of the Yokai

5.3 Application of Tengu

Clan"(known in Japan as Nurarihyon's Grandson) [Figure 8], is a manga series written and illustrated by Hiroshi Shiibashi. The "Nura: Rise of the Yokai Clan" talks about that with the modern Japanese (Ukiyo-machi, 浮世町) as a stage, depicts the weird fantasy about the humans and monsters. The protagonist is a teenager who punishes evil

[Figure 5] Tengu in the smart

forces in the world of monsters and ghosts. Tengu

phone game "Onmyouji"

Profoundly

entrenched

in

the

in its image is from "Crow Tengu" [Figure 9], he

Japanese

is responsible for reconnaissance news, security

imagination for centuries, tengu continues to be a

and

popular subject in modern fiction, among in Japan

Japanese

and

Chinese

and

Crow

Tengu

is

the

It also has a derivative video game called

appears among the many characters and creatures in

work,

protagonist's good friend, gave him a lot of help.

and increasingly in other countries. Tengu often featured

other

"Nurarihyon no Mago: Great Profuse Hyakki War".

cinema,

Through the above several examples, we can

83


contemporary design and valuable sources of inspiration. Those ancient books left a great spiritual wealth on the art of thinking, so they are worth letting more people learn and study their mystery.

References [Figure 8]

[Figure 9] "Crow

"Nura: Rise of

Tengu"

- Chen, C. (2010). Library of Chinese Classics-The Classic of Mountains and Seas, Hunan People's Publishing House - Dong. Y. (2017). Illustrations of Imaginary Creatures from“Th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山海經)as Source of Inspir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07-16. - Ma, C. (2000). The figure of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山海經): finding the other part , Cultural heritage. 39-50. - Ma, C. (2002). Comparison of Chinese and Japanese in the Ming Dynasty:A preliminary study of the Japanese "Strange Animals Book" (怪奇鳥獣図巻), Journal of The National Museum of Chinese History. 42-49. - Ma, C. (2001). An Analysis of the engraving of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山海 經)in Ming Dynasty, Literature & Art Studies, 114-128 - Seiji, Ito. (2002). Japanese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山海經): explanation about "Strange Animals Book" (怪奇鳥獣図巻). Journal

the Yokai Clan"

see that Tengu has developed well in every field of the world. Tengu is widely used, such as movies, animation, games and so on. This can be explained from one aspect to the fact that ancient imaginary creatures have the value of being exploited and re excavated. They deserve our exploration of their potential for the future. 8. Conclusion According to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scription and images of various imaginary creatures in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the imaginary creatures in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gave a big influence to the creation of "Strange Animals Book" as a reference. The creation of the imaginary creatures in "Strange Animals Book" potentially used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as for the original source, but added some Japanese local culture in it. A number

of National Museum of China. 38-41. - Zhang, F. (2005).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Images of the imaginary creatures in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and "Strange Animals Book" (怪奇鳥獣図巻), Master degree paper of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 Zhou, T. (2015). Investigation of the townsfolk culture. Master degree paper of Nanjing University. - https://baike.so.com/doc/6880982-7098472.html - http://img.zwbk.org/baike/spic/2011/04/21/201104 21113034937_4950.png - http://www.lib.seijo.ac.jp/news/news1473/

of them have been disseminated through local Japanese culture. Many classic Japanese monsters images still are well known today, such as Tengu (天狗). Japan developed representative image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and these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The study identified their similarities, analyzed their differences, and then discussed their heritage in

innovating

culture.

and

Although

developing "Classic

the of

traditional the

Great

Wilderness" was written hundreds of years ago, it remains a creative gem that offers insight for innovation. A close correlation exists between valuable

cultural

inheritance

and

- http://bbscache1.artron.net/forum/day_101128/ 1011281242457fd9f2fd13d6dc.jpg-https://en. wikipedia.org/wiki/Tengu - http://yw.eywedu.com/wenhua/ShowArticle.asp? ArticleID=4850

innovation.

Important traditional books such as “The Classic of the Great Wilderness” and "Strange Animals Book"

are

priceless

sources

for

creating

84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

부수를 활용한 중국 포스터디자인 연구 Application of Bushou in Contemporary Chinese Poster Design 류처, 장주영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Che Liu(393951200@qq.com), Juyoung Chang(jychang@gdsu.dongseo.ac.kr) 요약

한자의 부수는 한자의 특성을 계승하고 독특한 문화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한자 부수의 형식미는 시각디자인에 있어서 한자 형상의 잠재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대 디자인에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현대 포스터 디자인에서 한자 부수의 활용을 분석함으로써 한자 부수의 형태적, 표현 적, 전통적 특징을 파악하고, 이 특징들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킬 것인지를 탐구해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자부수가 가진 시각언어로서의 문화적 가치를 재인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한자의 역사와 구조, 부수의 역사, 기능, 분류, 의미에 대해 각각 정리하였다. 부 수를 사용한 포스터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포스터에서 부수의 역할 및 잠재된 시각적 표현 방법과 객관적 법칙에 대해 총괄하였다. ■ 중심어 :∣한자∣한자 부수∣포스터 디자인∣부수 활용∣

Abstract

For designers, Chinese characters are featured as its unique cultural connotation and the inheritance of information. In visual designs, the beauty of Bushou in form, especially its potential forms, plays an important role and has been applied in various modern designs. There are analyses focused on radicals' roles, as well as its performance and design principles in modern posters in order to figure out how radicals are inherited and developed in posters. Additionally, these researches are conducted to recognize the cultural values of the visual linguistics of Bushou. In this paper, collating of the history and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along with the histor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meaning of Bushou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The function of Bushou and its potential visual performance means, as well as the objective laws are summarized by analyzing Bushou posters. ■ keyword :∣Chinese Character∣Bushou∣Poster Design∣Application of Bushou∣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중국의 한자 예술의 역사는 매우 깊다. 부수는 한자

의 일부분이며 고정된 음과 뜻을 지니고 있다. 사람들 은 부수를 통해서 한자의 구조와 의미와 숨겨진 뜻을 알 수 있다. 한자의 부수는 한자의 특성을 계승하고 독 특한 문화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중국디자인 한

접수일자 : 2017년 04월 24일 수정일자 : 2017년 05월 23일

심사완료일 : 2017년 05월 31일 교신저자 : 장주영, e-mail : jychang@gdsu.dongseo.ac.kr

85


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 Vol. 17 No. 8

자를 소재로 한 포스터디자인은 한자를 보다 널리 홍보 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자 부수의 독특 한 형식미는 시각디자인에 있어서 한자의 형상의 잠재 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대 디자인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중국현대 포스터 디자인 에서 한자 부수의 활용을 분 석함으로써 한자 부수의 형태적, 표현적, 전통적 특징을 파악하고, 이 특징들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킬 것인지를 탐구해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자부수가 가진 시각 디자인 언어로서의 문화적 가치를 재인식하는 것에 목 적을 둔다. 2. 연구방법

본문은 문헌 연구 방법을 통해 한자의 역사와 구조, 부수의 역사, 기능, 분류, 의미에 대해 각각 정리하였다. 또한 사례 분석 방법을 통해 부수를 디자인 요소로 하 는 중국 현대 포스터에 대해 해석했고, 부수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포스터 속에 드러나지 않는 부수의 시각적 표현 방식과 객관적 법칙에 대해 연구하 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한자 1.1 한자의 역사

한자는 세계에서 지금까지 그 역사가 가장 유구한 문 자 중 한 가지로서, 체계적인 이 문자는 기원전 16세기 상 나라에 형성되었다. 고고학은 상 나라 초기 중국 문 명이 이미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까지 발전하였으며, 그 주요한 특징 중 하나가 바로 갑골문의 출현이라고 실증 하였다. 갑골문은 성숙하고 체계적인 문자이며, 후세의 한자 발전에 기초를 다졌다. 이후, 한자는 또 동명문(铜 铭文), 금문(金文), 소전(小篆), 예서(隶书), 해서(楷书) 등의 형식을 거쳐, 줄곧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한 자는 수 천 년의 변천을 거쳤으며, 점차 “한자칠체"(汉 字七体) 즉 갑골문, 금문, 전서, 예서, 초서, 해서, 행서를 형성하였다.

그림 1. 한자의 변천 과정 도식

1.2 한자의 구조

한자의 조자 방법으로는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 의(会意), 형성(形声)이 있다. 중국 고대에서는 조자법 에 대해 “육서(六书)” 를 제기했으며, 이것은 상술한 네 가지 종류를 제외하고 전주(转注)와 가차(假借)를 포함 한다. 그러나 엄격히 말해서 이 두 가지 종류는 글자의 사용(用字) 방법에 속해야 한다. 한자의 조자법에 관해 서는 한나라 이래로 “육서(六书)”라는 표현이 생겼고, 육서의 우두머리는 상형 법(象形法)이다. 한자는 표의 체계 문자에 속하고, 자형과 자의 사이 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자의 구조에 대해서 얘기 하면, ‘육서(六書)’설을 제외하고 이야기할 수 없다. 육 서란 옛사람들이 한자 구조를 분석하여 도출해 낸 여섯 가지 항목이다. 이는 선조들이 더욱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만든 조자 방식으로써,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 6가지를 포함한다. 표 1. 웹 마케팅 사전의 개념

조자법

구체적 설명

상형 (象形)

사물의 형태, 체 태(体态) 특징을 묘사, 모사하여 문자를 창조한다

지사 (指事)

造字(조자-글자 를 만드는 방법) 추상적인 부호로 서 어떤 개념을 표현하는 문자를 창조한다.

사례

象상

사례 설명

코끼리 한 마리 의 측면 형상 초승달의 형상

月월

86

一일 二이

일횡 이횡


부수를 활용한 중국 포스터디자인 연구

회의 (会意)

형성 (形声)

두 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의 다 른 의미를 가진 하나의 단어를 함께 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형성한다. 형방과 성부를 합쳐서 하나의 자형을 구성한 다. 형방이란 글 자의 종류 속성 혹은 의미를 말 하며, 성부는 글 자의 비슷하거나 동일한 발음을 말한다.

명 (鸣)

앵 (樱ying)

전주 (转注)

두 글자의 편방 부수는 같으나 의미가 같고 형 태가 다르다. 두 글자는 서로 주 석한다.

고(考) 노(老)

가차 (假借)

한 글자를 여럿 사용한다.

화 (花)

“구(口)”와 “조(鸟)”두 글 자로 “명(鸣)” 자를 구성하며, 이는 새가 운다 는 의미를 가진 다. “ 앵(櫻) ”자의 형방은 “목 (木)”이며, 나무 를 의미한다. 성 부는 “영(婴)” (ying)이다. 따라 서 그것의 발음 과 “영(婴)” (ying)자는 같다. “고(考)”는 옛 날 “장수(长 寿)”의 의미가 있 었 다 . “ 고 ( 考 ) ” , “ 노 (老)”자의 의미 는 서로 통하며, 자형은 부수가 같다. “돈을 쓰다(花 钱)”의 “화 (花)”는 본의가 “ 화초( 花草) ” 인 “화(来)”를 빌려서 기록한 다.

2. 부수 2.1 부수의 역사

부수는 자전 사서(字典辞书)를 편성하는 명칭이다. 《설문해자, 说文解字》에서는 동일한 형방(形旁-육서 의 형성자에서 뜻을 나타내는 부분)을 한 부로 귀납하 였고, 이 형방자를 “부수”라고 불렀다. 동일한 부수의 한자가 나타내는 의미는 그 부수와 관련이 있다. 부수 는 동한 허진(东汉许慎)의 《설문해자, 说文解字》에서 창시되었다. 작가는 이 책에서 9353개의 글자를 540개 의 부수로 나누었다. 역사가 발전함에 따라, 부수는 점 차 적어졌고, 많은 형체 또는 의미가 비슷한 부수는 하 나의 부수로 귀납되었다. 특히 현대 자전 부수의 대다 수는 필획 수에 따라 배열을 진행하며, 이는 더욱 많은 사용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2.2 부수의 기능

한자 부수의 변천은 대게 문자 학적 부수 단계, 검자 법 부수 단계, 간화자 검자법 부수단계 세 가지 단계로

3

나누어진다. 매 단계마다 부수는 각기 다른 기능을 한다. “부수의 표의 공능이란 한자 중에서 부수가 한자의 의미 종류 또는 의미 범주를 표명하는 기능을 하는 것 을 말한다.”[1] 예를 들어 “전(电)”자는 원래 번개형(闪 电形)이다. 도형이 부호화가 되고, 사람들이 번개와 비 가 내리는 것의 관계를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이후 “전 (電)”이라 쓰게 되었다. “운(云)”자는 원래 운기가 피어 오르는 형태로, 후에 “운(雲)”이라 썼다. 이처럼 “우 (雨)”를 솔선하는 자군(字群)이 객관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바로 부수가 형성된 기초이다. 형 태로 의미를 표현하는 성질의 한자는 부수를 담고 있으 며, 부수 역시 이러한 기초에서 형성된다. 검자법 부수 단계- 형태와 의미를 동시에 고려하는 공능. 부수는 표의 부분의 공통된 편방(偏旁)으로서, 사 람들은 한자 부수를 이용하여 글자를 찾는다. 부수 필 획 검자법은 각종 자전에서 글자를 찾는 주요 방법이 되었다. 예를 들어 “일(日)”은 “태양(大阳)”의 의미이며, “일(日)”이라는 부수의 글자를 가지고 있어, 여전히 “태 양(大阳)”과 관련된다. 이것은 새로운 글자체(字体)에 서 한자의 표의성이 확장된 것이다. 좌방에 위치한 “수 (水), 심(心), 시(示), 의(衣)”는 “氵,忄,礻、衤”로 변 화하였고, 아래 위치한 “화(火)”가 “灬”로 변화한 것 등 이다. 현대에는 '강희사전'의 214개 부수에 대해 지속적으 로 개량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량은 “입부(立部)의수”, “귀부(归部)의 근거”, “부수(部首)의 위치”, “부수(部首) 간의 배열" 및 “동부(同部) 한자의 배열” 이라는 다섯 가지 문제를 둘러싸고 있다. 중국한자개혁위원회(中国 文字改革委员会)와 중국문화부(中国文化部)는 1983년 통일된 부수 배열 검색 방안을 세웠다. 이러한 방안은 《강희사전 康熙字典》(214부), 《사해, 辞海》(250부), 《신화사전 新华字典》(189부)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168개 부수를 기초로 하였고, 201개 부수를 만드는 방 안을 제기하였다. 《강희사전 康熙字典》의 214부에서 는 8개 부수를 삭제했고, 7개 부수를 합쳤고, 2개의 부 수를 변화시키고, 기존 부수 197개를 보류하였다. 《신 화자전 (新华字典)》등의 자전 사서는 201개 부수 방안 을 채택해 만들어졌다. 87


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 Vol. 17 No. 8

간화자 검자법 부수 단계-표형 공능. 간화자 검자법 부수 단계는 표형 기능이 있다. 간화자 검자법 부수의 생성과 체계는 간화 한자와 관련된다. 《신화자전 (新 华字典)》은 부수를 정간하였고, 189개의 부수만 남겨 두었다. 간화자 검자법 부수 단계는 부수의 검색 기능 을 강화하였으나, 한자의 표형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표 2. 부수 발전의 세 단계

단계

부수의 발전단계

1단계

“ 전( 電- 번개) ” 자, 문자학적 부수단계 표의 번개와 비 “일(日)”은 “태양 (大阳)”의 의미이며, “일(日)”이라는 부 수의 글자를 지니고, 형태와 의미를 모두 여전히 “태양(太 검자법 부수단계 고려하는 단계 阳)”과 관련된다. 예 를 들면, “ 난 ( 暖) ” , “ 만( 晚) ” 이 있다.

2단계

3단계

간화자 검자법 부수단계

기능

표형

사례

訁--讠、飠--饣、 糹--纟、釒]-- 钅

2.3 부수의 분류

《설문해자》는 처음으로 소전(小篆)1의 한자를 540 개의 부수 속으로 분류하였다. 《설문해자》의 부수 분 류는 부수가 반드시 그 한자의 구조에 대해 의미를 가 져야 하는 것이 가장 큰 원칙이다. 부수의 배열법에서 부수가 반드시 문자와 어느 정도 관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지만, 이 또한 음양오행 이론의 영향을 받아서 「일, 一」부수를 시작으로 하여 십이지의 마지막인 「해, 亥」로 끝나게 되며, 540 부수가 14가지의 대 분 류로 분류된다. 허신(许慎)이 부수를 만든 후, 부수는 오랜 기간 동안 줄곧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현대 중국의 부수에 관한 책 중 일부는 고증에 기초하여 《설문해자 说文解字》부수를 다시 분류하였는데 예로 는 당옥서(唐玉书)의 《설문부수강의 说文部首讲义》, 추료혀(邹晓丽)의 《기초한자형의석원基础汉字形义释 源-<설문说文>부수금독본의部首今读本义》, 채신발 (蔡信发)의 《설문부수류석说文部首类释》등이 있다. 그리고 그 중에서는 추료혀(邹晓丽)의 《기초한자형의 1) 소전(小篆)은 진나라의 어느 글자체 형식에서 비롯되었고, 직사각형 이며 필획이 둥근 것이 특징이다.

석원基础汉字形义释源-<설문说文>부수금독본의部首 今读本义》의 영향력이 가장 크고 현재 상용되는 대표 적인 분류방법이다. 저자는 의미에 따라서 부수를 식물, 동물, 대자연, 그릇, 인체, 숫자 6가지로 크게 분류하였 다. 고인들의 생활과 사상에 대한 거시적인 인식을 노 력해서 드러내는 것에 뜻이 있는 것과 허신(许慎)의 철 학 사상과 문학관을 열심히 드러내는 것은 작가가 한자 자형을 구성하는 기본 성분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 록 만들었다. 표 3. 상용되는 부수 분류: 추료혀(邹晓丽)의 분류법

식물 종류를 나타내는 상용 부수 동물 종류, 부위를 나타내는 상용 부수 일월산천 지리, 자연 현상 등을 나타내는 상용 부수

艹 초자두- 草 자의 머리 부분 (草字头), 목(木), 화 (禾), 장(爿), 편(片), 미(米), 마(麻), 과(瓜), 죽(竹), 곡 (谷), 맥(麦) 견(犬), 치(豸), 충(虫), 란(卵), 우자저-禹 자의 밑부분 (禹字底), 虍 호자두-虎 자의 머리 부분(虎字头), 채 (采), 각(角), 모(毛), 우(羽), 혁(革), 위(韦), 피마(皮 马), 시(豕), 녹(鹿), 토(兔), 서(鼠), 우(牛), 양(羊), 조 (鸟), 추(隹), 상(象), 용(龙), 구(龟), 민(黾), 호(虎), 어 (鱼) 일(日), 월(月), 석(夕), 진(辰), 산(山), 석(石), 전(田), 수(水), 빙(冰), 토(土), 리(里), 대구광-口자를 테두리 로 하는 자(大口框), 부(阜), 읍(邑), 灬 사점저-밑 부 분 네 개의 점(四点底) 화(火), 혈(穴), 우(雨), 풍 (风), 기(气), 금(金), 유자저-幽자의 밑 부분 (幽字底), 서(西), 형(炯)

가옥 건축을 나타내는 상용 부수

宀 보개두-宝 자의 머리 부분 (宝盖头), 시(尸), 광 (广), 엄(厂), 와(瓦), 호(户), 문(门)

사람의 전체, 외형, 부위를 나타내는 상용 부수

대(大), 인(人), 亻(单人旁), 사(士), 아(儿), 남(男), 자 (子), 녀(女), 부(夫), 부(父), 모(母), 신(身), 卩(硬耳 刀), 㔾(犯字旁), 공(工), 노(老), 비(比), 문(文), 시(尸), 수(首), 견(见), 흠(欠), 疒(病字旁), 勹(包字头), 尢(尤 去点), 흑(黑), 귀(鬼), 기(己), 알(歹), 왕(王), 혈(血), 이(耳), 자(自), 골(骨), 치(齿), 심(心), 신(臣), 육(肉), 엽(页), 면(面), 구(口), 왈(曰), 언(言)

수량을 나타내는 상용 부수

一、二、八、十 일(一), 이(二), 팔(八), 십(十)

2.4 부수의 의미

“한자 부수 중에서 대부분 부수가 같은 글자는 글자 의 의미도 부수의 의미가 결정한다.”[2] 다시 말해, 한자 부수의 구조 및 의미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해하기만 하면 서로 다른 부수에 속한 다른 글자의 의미도 그 부 수의 의미와 일정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目(목)’은 ‘眼(안)’을 대표한다. 그렇다면 ‘目(목)’부수에 속한 글자 들, 예를 들어 ‘睡, 眷, 睛, 挣, 看’등 글자는, 그 글자 의 미도 ‘눈’과 관련 있다. 88


부수를 활용한 중국 포스터디자인 연구

따라서 부수의 의미는 사전을 찾기 편하게 하는데 있 는 것만이 아니라, 그보다 중요한 점은 바로 한자의 구 조와 함의를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함이라고 말할 수 있다. Ⅲ. 중국포스터 디자인에서 부수의 활용 사례 분석

성조휘(成朝晖, (2004)는 《한자디자인 “형태”와“의 미”의 재창조》에서 ‘모든 폰트(글꼴) 시스템의 표현 형 식은 그 만의 특수한 그래픽의 매력을 가지고 있다’라 고 언급하였다. 《포스터 디자인》2 에서 동설련(董雪莲, 2002)은 그 래픽 디자인의 관점으로 포스터 디자인을 세 가지로 분 류해서 설명하였다. 그 중 첫 번째는 포스터에서 그래 픽 디자인의 역할이며, 두 번째는 현대 포스터 디자인 의 표현 기법이고, 세 번째는 포스터에서 그래픽 디자 인 원칙이다. 본 논문에서는 《포스터 디자인》의 이론 부분에서 분류 설명한 이 세 가지를 중점으로 포스터 작품을 해석 정리하였다. 중국에서 전적으로 부수를 디자인 요소로 하는 포스 터는 그 수가 매우 적고, “칸타이킁 디자인상(靳埭强设 计奖)3”에서만 “문자를 활용한 포스터(文字型海报)”의 2) 《포스터 디자인》은 중국 대학의 예술 디자인 전공에서 사용되는 “십이오(十二五, 12차 5개년 계획)”기획 교재이다. 3) 칸타이킁(靳埭强 근태강), 남, 1942년생, 국제 그래픽 디자인의 대가, 칸타이킁 디자인상의 주창자, 국제 그래픽 연맹AGI 회원, 중앙미술 학원, 청화대학, 길림 애니메이션 대학의 객원교수. 그의 작품으로는 중국은행 로고 디자인, 《손에 손잡고 手牵手》홍콩 반환 기념 은제 품, 포스터《아시아 예술축제 시리즈 포스터 亚洲艺术节系列海报》, 《자재 自在》 시리즈 포스터, 《마카오 반환 九九归一·澳门回归》 등이 있다. 그는 중국 및 해외에서 수 차례 수상하였으며, 홍콩 뛰어 난 청년 10에서 수석 디자이너로 선발되었으며, 시정국 디자인상을 수여한 단 한 명의 디자이너이고, 중국인 최초로 세계 그래픽 디자 이너 인명록에 오르게 되었으며, 영국에서는 21세기 뛰어난 예술가 및 디자이너로 뽑혔다. “칸타이킁 디자인상(靳埭强设计奖)”은 1999년부터 시작되어 17회까 지 개최되었다. 매년 평균 5400건의 작품을 받고 27건의 수상작을 선 정한다. 이 경기는 국제 선진 디자인 창조 아이디어와 독창성, 본토 정신을 구비한 디자인 작품을 통해 중국 예술 디자인 교육의 발전을 추진하는데 진력하며, 높은 수준의 참가 기준을 계발하고, 디자인 사 고와 이념을 안내하는 것에 힘쓴다. 그리고 오늘날 이 경기는 중국 예술 디자인 경기의 선두 브랜드가 되었다.

5

수상자가 다수 있다. 칸타이킁 디자인상은 중국 국내에 서 중국 문화에 입각해 진행되는 최고 대회이며, 매년 제시되는 디자인의 테마는 모두 중국 문화와 관련된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11년간의 “칸타이킁 디자 인상”에서 금, 은, 동상을 수상한 작품은 총 30개이며, 그 중에서 오직 한자 부수를 주제로 하여 만들어진 “순 부수형 포스터”는 11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 근 11년 동안 “칸타이킁 디자인상”에서 “순 부수형 포 스터”로 수상을 한 포스터 총 11개를 사례로 선정하여 해석을 하였다. 1. 부수의 역할

포스터 디자인에서 부수는 주요 디자인 요소로서 포 스터의 주제를 드러내고, 감정을 토로하는 직접적인 정 보 기호이며, 정보를 전달하는 직접적 매개체이다. 1.1 표의성

정보 전달의 정확성과 그래픽 디자인의 여부는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문제이다. 부수는 한자 형태의 일 부분이며 한자의 부분적인 특징을 계승하였다. 부수를 통해 우리는 한자의 의미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구체 적이고 객관적이며 신속한 전달은 디자인이 추구하는 첫 번째 목적이며, 부수의 표의적 기능은 바로 이러한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포스터 디자인에서는 단 지 부수에 근거하면 포스터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림 2. <오-만연(污-蔓延> 판위 (樊玉)(2013 은상)

《오-만연(污-蔓延)》은 환경 포스터이다. 부수“氵” 의 명칭은 삼수변이며, 수부(水部)라고도 부른다. 포스 터에서는 “氵”를 주체로 하여 작품과 물의 관계에 대해 89


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 Vol. 17 No. 8

직접적이고 명료하게 전달했다. 모래를 부수의 질감으 로 하여 수자원이 점점 줄어들고 사막화가 점점 심해지 는 형상을 표현해냈으며, 사람들에게 수자원을 아껴야 하는 것을 깨우쳐주고 있다.

굵기, 길이, 고저의 변화이며, 점선의 구조는 추상미의 최고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점선면의 합리적인 조직, 각 부분의 조화로운 비율은 빈틈이 없으며 미감이 풍부하 다. 따라서 부수는 구조미를 가지고 있다.

그림 3. <춘삼월(烟花三月)> 허신(何鑫)(2010 금상)

그림 4. <중국문자> 이화강(李华康) (2006 금상)

붓으로 쓴 “氵”이라는 부수는 3월을 뜻하기도 하고, 물을 뜻하기도 한다. 중국의“연화삼월하양주”라는 시에 서 중국인은 자연적으로 쟝쑤(江苏) →양저우(扬州) → 서우시후(瘦西湖)를 연상할 수 있다. “氵”이라는 부 수 도형은 추상적인 시각부호로, 이 부호에서 물의 그 림자를 볼 수 있다. 이 부호의 숨겨진 첫째 의미는 강 (江)이고, 또 다른 의미는 “쟝쑤(江苏)”또는“쟝난(江 南)”등 글자와 단어에서 연상되는 뜻이다. “氵”의 중간 에 있는 점형 그림은 서우시후(瘦西湖)와 완벽하게 결 합하고 붓의 표현 형식으로 양저우(扬州)의 문화의 정 취를 나타낼 수도 있다.4 따라서 포스터 디자인에서 부수의 표의성(表意性)을 찾아내고, 그것을 이용하면 한자의 예술적 경지와 감정 을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송체(宋體)5의 특징들을 활용하여, 부수들을 포개고 중복하여 겉보기에는 질서가 없어 보이지만, 사실 엄청 난 구성 의식을 가지고 있어, 강렬한 공간감을 형성하 고 부수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한자 기호의 넘치는 개성은 포스터 디자인의 창작 언어를 풍부하게 만들었다.

그림 5. <중국한자(中國漢字)> 진락(金罗) (2006 동상)

부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형성 과정에서 구상적 사물에 대한 귀납, 정련, 추상과 재구성을 통해 끊임없이 완성된다. 즉“그림을 보고 글 자를 익힘”에서 “도형문자”로 변화 발전하였다. 점(丶), 횡(一), 수(丨), 별(丿), 날(乀), 완(ㄱ), 구(亅)등의 부수의 형상 그 자체가 바로

<중국한자(中國漢字)>는 한자 부수를 해체하고 원 형으로 재구성하였다. 원은 중국의 ‘中’과 ‘和’사상을 구 현하였고 부수의 조형적 특징을 잘 드러내어 부수의 ‘중화’적 아름다움을 잘 만들어냈다. 부수 필획이 간단한 가로금 세로금(一横一竖)은 한자 의 번잡한 필획과는 다른 형태미가 있다. 포스터 디자 인 중에서 부수 자체의 형식미를 이용하여 포스터 디자 인을 완성시키는 것은 새로운 시각적 언어를 발굴하며, 새로운 창조적 수법을 제공한다.

4)서우시호는 중국 강소성 양주시에 위치해 있으며, 형상은 띠처럼 좁 고 길게 생겼다. 포스터 <춘삼월(烟花三月)> 속 가운데 “丶”의 형상이 서우시호의 형상과 같다.

5) 송체(宋體): 송체는 중국인쇄체의 한 종류이다.필획의 굵기에 변화 가 있고 일반적으로 가로는 가늘고 세로는 굵다.

1.2 형상의 조합

90


부수를 활용한 중국 포스터디자인 연구

7

1.3 은유성

부수는 문자의 일부분일 뿐이지만 문자보다 더 깊은 의미를 표현해낸다. 부수의 서로 다른 필세 방향은 관 람자에게도 다른 시각적 감상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로(一)필세가 위로 향하면 사람들에 게 생기발랄한 인생의 태도와 용감하게 도전하는 강인 한 정신을 준다. 필세가 아래로 향하면 비관적이고 낙 담한 느낌을 준다. 긴 가로획은 관대한 품격을 드러내 며, 짧은 가로획은 조심조심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부 수의 이러한 특성이 포스터 디자인에 사용되면 포스터 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더 완벽하게 만들 수 있 으며, 도형의 시각 형상은 더욱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림 6. <타나카 잇코를 추모하다(悼念田中一光)> 다이창 (靳埭强)(2007 금상)

《타나카 잇코를 추모하다(悼念田中一光)》는 디자 인의 각 영역에 공로가 있고, 문자디자인에서도 마찬가 지이다. ‘잇코 명조체’(명조체는 중국의 송체이다)를 만 들었는데, 그 특징은 가로가 얇고 세로가 뚱뚱하며 모 서리가 뾰족하다는 점이다. 진다이창(靳埭强) 선생 은 부수‘一’을 활용하였는데 ‘一’의 상, 하를 바꾸어 모서 리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슬픔 느낌을 주고 눈물을 흘 리는 효과를 만들어냈다. 이는 그리운 감정을 표현하기 도 하는데, 눈에 띄는 창의적인 도형도 깊은 인상을 준 다. 노련한 도형, 선명한 색채대비는 강렬한 감정을 나 타낸다.

그림 7. <한자 의경(漢字意境)> 범대 (何鑫)(2016 금상)

송체는 인쇄술에 적합하게 출현한 한자 글씨체이다. 획의 굵기에 변화가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가로획이 얇 고 세로획이 굵으며, 끝부분에 장식부분이 있다(삐침이 나 끝의 굵기 변화) 또한 점, 삐침, 파임, 꺾임 등의 획은 끝이 뾰족하다. <한자 의경(漢字意境)>에서 ‘一’은 한 자에서 가장 기본적인 부수이자 한자 ‘一’이다. 포스터 에서 ‘一’은 부수로서 송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꼬리 부분에 삼각형 장식이 있다. 또한 선의 구조에는 형식 미와 상상의 공간이 넘친다. 의미 속에 ‘1은 2를 낳고, 2는 3을 낳고, 3은 만물을 낳는다’는 도가사상을 더하여 그 의미가 매우 심원하다. 부수는 디자인 요소로써 그 은유성이 더 강하다. 부 수는 단지 문자의 일부분이지만, 문자보다 더 강한 의 미를 표현해낸다. 부수가 형성한 도식으로 관람자는 부 수 배후의 깊은 함의에 대해 탐색해볼 필요가 있다. 부 수의 은유성은 포스터의 가독성을 높인다. 포스터 디자 인 중 부수는 한자보다 관람객에서 더 많은 연상의 공 간을 부여하며, 부수의 사용 의미를 풍부하게 한다. 이로부터 우리는 포스터 디자인 속 부수가 문자보다 자체의 함의를 더 명확하게 표현해내고, 구성미와 은유 적 기능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부수의 표현 방식

포스터 속 표현 방식은 창작 영감에 상당한 영감을 주며 동시에 시야를 넓히고 경험을 쌓을 수 있게 한다. 2.1 부수의 장식

한자 부수 디자인 과정 중, 부수 구조 형태의 단조성 때문에 우리는 일반적으로 흥미로운 도안이나 시각 디 91


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 Vol. 17 No. 8

자인을 통해 부수를 장식하였고, 장식의 목적은 미적 수요와 충격적인 시각 형식을 위함이었다. 혹은 한자의 부수 도형 자체의 특징을 이용하여 디자인을 재창조 해 냈고, 새롭게 창조해낸 도형은 장식 수법을 이용해 드 러냈다. 이는 한자 부수의 표현 방식 중 하나이다.

매체적 역할을 하고 있다면, 한자 부수 속 장식적 의미 는 디자인 속에서 표현될 필요가 있는 정보 간에 직접 적이고 간접적인 의미적 관련성이 존재할 것이고, 이는 형태와 의미 간의 유기적인 결합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2.2 질감(텍스처) 효과의 변화

“질감(텍스처) 사용‘은 디자인 방식의 한 가지로써, 디자인 요소에 자연적 질감 혹은 우연적 질감을 주관적 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질감 효과를 변화시킴으로써 포 스터 디자인 속 부수 그래픽의 시각적 충격을 강화할 수 있는데, 시각적 충격이 강할수록 관중이 받게 되는 충격도 점점 강해지며, 관객도 모르는 사이에 깊은 인 상을 받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림 8. <한자의 아름다움(汉字之美)> 류비비(刘菲菲) (2015 은상)

그림이 있는 신문, 서예 글꼴의 상이한 장식 패턴과 부수에 장식 패턴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차원의 관계를 형성하며 이는 작품의 방향, 면적, 공간, 그림 배경 관계 모두에서 다른 느낌을 표현하고 형태 구성에 상이한 장 식 효과를 더하여 화면의 시각적 느낌이 다르다. 그림 10. <오-만연(污-蔓延> 판위 (樊玉)(2013 은상)

이 작품은 모래흙의 재질로 지구에 물이 부족한 상태 를 표현해냈다. 이는 사람들을 경각시키며 매우 인상적 이다. 그림 9. 묘필생화(妙笔生花) 스슈앙(孙昂) (2009 동상)

<묘필생화(妙笔生花)6>는 부수 ‘、’의 도형적 특징과 활짝 핀 꽃송이를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서예의 예술적 형식을 활용하여 생화지필(生花之笔)7를 나타냈다. 여 기서 부수가 완전 도형화되어 문자적 의미가 도형장식 효과로 대체되고 장식적 의미는 관찰자에게 일목요연 하고 무궁무진한 의미로 전달된다. 한자 부수 디자인이 6) 문필이나 문학적 재능을 마치 붓 위에 꽃이 핀 것 같이 잘 형용하였다. 7) 뛰어난 글재주

그림 11. <성성지화( 星星之火)8> 뢰연항 (雷年航)(2014 은상)

부수“,”는 작은 비율의 형식으로 전체 구도의 바로 위에 배치되며, 불꽃이 타오르는 효과를 텍스처로 한다. 8) 한 점의 불꽃

92


부수를 활용한 중국 포스터디자인 연구

그 함축된 의미는 작은 불꽃이 전체의 들판을 태울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텍스처의 처리 효과는 전체 포스터가 표현하고자 하는 새로운 것이 막 시작될 때에 는 그 힘이 적을지라도, 왕성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으 며, 작은 소동이 커다란 재난이 될 수 있다는 의미를 나 타내고, 관람객의 눈앞에 매우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하 였다. 2.3 재조합 구성

재조합 구성이란 부수를 발굴하고 구성하여 새로운 시각적 그래픽 요소를 형성하는 것이다. 부수의 형식미 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하고, 조합을 바꾸어보고, 재조 합 된 것을 다시 확대하고 축소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 해 공간의 분위기를 조성하며, 부수의 두께와 길이를 이용하여 다채로운 특징으로 새로운 도식을 구성하고, 부수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9

서로 다른 부수 자체의 형식미를 이용하고, 가지런히 배열하여 어지러운 화면에서 질서를 보이도록 하며, 포 스터의 디자인 미학을 높였다. 포스터 속 부수에 장식을 더하면, 질감 효과를 변화 시켜 시각적 언어를 풍부하게 하고, 부수를 재통합하여 “의미 있는 형식”을 나타내며, 시각 전달 효과를 강화하 고, 부수의 발전 가능성을 제고한다. 총괄적으로 말하면, 포스터 속 부수의 표현 형식은 부수의 깊은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최적의 시각적 효과도 발휘해 낼 수 있다. 3. 부수활용의 디자인 원칙

포스터 속의 부수는 평면 구성의 형식미 법칙에 근거 하여 포스터에서 유기적인 조합과 배열을 나타낸다. 이 는 포스터 디자인의 화면감, 형태감에 훌륭한 시각적 느낌을 선사하며 포스터 디자인의 정보 전달 기능을 촉 진시킨다. 3.1 율동

“율동은 크기, 밀도, 명암을 의미하며, 다른 요소들이 한 화면에서 조합되고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3] 그림 12. <중국문자> 이화강(李华康) (2006 금상)

《중국문자》에서 각종 부수는 난잡한 형식을 새롭 게 재통합하였고, 포스터 디자인의 다원성을 실현시켰 으며 “형태는 변하나 주의력이 분산되지 않는”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 냈다.

그림 13. <한자의 새로운 해석(汉字新解)> 황검평(黄建萍) (2012 동상)

그림 14. <한자 의경(漢字意境)> 범대 (何鑫)(2016 금상)

《한자 의경(漢字意境)》에서 ‘一’은 한자 중 가장 기 본적인 부수이다. 포스터에서 ‘一’은 부수로서 송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꼬리부분에 삼각형 장식이 보인다. 화면 속 부수 “一”은 위에서 아래쪽으로 평행 배열되어 있으며, 크기와 밀도가 조화롭게 되어 있고, 율동적이다. 화면에서 부수인 "一"수변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평행 으로 배열되었다. 중복된 구성방식을 이용해 크기와 소 밀이 적절히 조합되어 리듬감을 조성한다. 93


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 Vol. 17 No. 8

3.2 균형

“균형은 순수예술의 개념으로 화면에 비대칭과 균형 의 다양한 상태로 나타난다. 균형은 사람들의 주관적인 시각적 경험이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화면에서 미의 기본적 요구를 구성해낸다.”[3]

그림 15. <춘삼월(烟花三月)> 허신(何鑫) (2010 금상)

《춘삼월(烟花三月)》그림 중 붓으로 쓴 “氵”이라 는 부수가 특히 눈에 띈다. “氵”이는 3월을 뜻하기도 하 고, 물을 뜻하기도 한다. “氵”중에서 가운데 “丶”는 가 로로 놓여있으며, 화면은 위와 아래 두 부분으로 나뉘 어 있다. 위의 “丶”는 아래를 향해 내려가 있으며, 아래 의 “丶”는 위를 향해 있다. 이는 전체 화면을 균형적인 상태로 만들며, 작가의 “연화삼월하양주 (꽃피는 아름 다운 삼월의 양주 煙花三月下揚州)”에서와 같은 평화로 운 심리 상태를 표현해냈다. 3.3 대비

“대비는 형태 간의 변화와 충돌이다.”[3]

그림 16. <죽> 하일명 (何一名)(2014 금상)

포스터 수상작품 《죽, 竹》의 화면은 한자의 부수 형식을 빌려서 간단한 필치로 동방 특유의 수묵 스타일

과 허실이 상생하는 시각적 경관을 구성해냈으며, 강남 수향(江南水乡)9 과 문자의 예술적 경지로 도처는 생활 의 정취가 충만하다. Ⅳ. 결 론

이상 최근 11년 동안 “칸타이킁 디자인상”에서 “순 부수형 포스터”로 수상을 한 포스터 총 11개를 사례로 선정하여, 동설련(董雪莲, 2002) 이론의 세 가지를 중점 으로 포스터 작품을 해석 정리하였다. 부수의 역할에서 는 표의성, 형상의 조합, 은유성의 관점에서 해석을 진 행하였고, 부수의 표현방식에서는 장식성, 질감, 재조합 구성의 관점에서 해석을 하였다. 그리고 부수 활용의 원칙에서는 율동과 균형과 대비의 관점에서 해석을 시 도하였다. 이러한 해석의 과정을 통하여 부수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의 형태적, 표현적, 전통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 었다. 한자에 비해 부수는 형태적으로 더욱 간결, 명료 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활용에 있어서도 더욱 단순한 형식미를 강조할 수 있고, 이들의 조합을 통한 새롭고 독창적인 장식미와 형식미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부수 특유의 깊은 함의로 인해 표의성과 은유성을 강조 한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함의에 따른 깊 은 사유를 불러일으켜서 상상을 동원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은 자연스럽게 중국의 전통으로 연결된다. 이상 본 연구에서는 중국 현대포스터에서 부수의 활 용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부수의 역할(표의성, 형상의 조합, 은유성), 부수의 표현 방 식(부수의 장식, 질감효과의 변화, 재조합 구성), 부 수 활용의 디자인 원칙(율동, 균형, 대비)으로 분류하 여 포스터 사례의 해석을 진행했다. 중국의 전통문화인 한자문화를 잘 계승 발전시켜 나 가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부수라는 독특한 문자 체 계를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부수를 활 용한 포스터 디자인의 다양한 활용가능성을 파악할 수 9)창강 삼각주와 타이후 지역은 계절이 분명하고 강우량이 충분하여, 수운을 주로 하는 교통 체계가 형성되었으며 주민들은 물에 의존하 여 생산하고 생활한다.

94


부수를 활용한 중국 포스터디자인 연구

있었다. 포스터의 제작 과정에서 부수를 하나의 도구로 활용 하고, 부수가 가지는 잠재적 독창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과 부수 가 가진 시각 언어로서의 중국 문화적 가치를 재인식한 데에 연구의 의미를 둔다.

저자소개

류 처(Che Liu)

참고문헌

[1] 成朝晖, "汉字设计“形”与“意”的再创造," 装饰, 第 09期, pp.30-31, 2004. [2] 王亚丽, 汉字部首表意功能研究, 兰州大学, 硕士学 位论文, 2006. [3] 毛溪, 平面构成, 上海:上海人民美术出版社, 2006. [4] 靳棣强, 视觉传达设计实践, 上海:上海文艺出版社, 2005. [5] 李丛芹, 汉字与中国设计, 北京:荣宝斋出版社, 2007. [6] 许慎 说文解字 杭州:浙江古籍出版社 1998. [7] 王亚竹, "中国现代平面设计的突破口——汉字," 装 饰, 第07期, pp.14-18, 2006. [8] 孙明明, 何征, “浅谈汉字在现代文字海报设计的视 觉表现,” 包装世界, 第35期, pp.23-29, 2010. [9] 董雪莲 海报设计,北京:中国轻工业出版社,2002. [10] 李阳, 汉字的设计方法在海报设计中的运用研究, 兰州大学, 硕士学位论文, 2010. ,

,

11

정회원

▪2011년 9월 : 칭다오(青岛)대학 교 디자인학과(석사) ▪2015년 9월 ~ 현재 : 동서대학교 디자인학과(박사)

<관심분야> : 전통 문화의 활용 장 주 영(Juyoung Chang)

정회원

▪현재 :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 인학과 교수

<관심분야> : 디자인역사, 비교문화(동아시아 및 한 국지역 디자인문화), 디자인이론

,

,

95


96


Received date of the paper : 2017.6.20

Examined : 2017.7.8

Determined to publish : 2017.7.27

Empathy as Tool for Studying Chronic Disease Medicine Package Design for Chinese Elderly

Main author : Su-wen Ma 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Co-author : Ju-young Chang 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97


Abstract

1. Introduction 1.1. Research background and aim 1.2. Research methods

Background The elderly population expanded gradually in modern Asian society as a special community. China’s first blue book shows the high prevalence rate of chronic diseases

2. Empathy and empathic design

in the elderly. Daily prescription medicines for chronic

2.1. Empathy

diseases, which differ from OTC (over-the-counter)

2.2. Empathic design 2.3. Empathic tool for Chinese elderly 2.3.1. The character of Chinese elderly 2.3.2. The advantage of empathic design

medicines, are not required to be packaged or labelled under the mandatory prescription drug requirement in China. Existing package design need to be improved since there have been frequent reports of misuse and poisoning related to elderly users misusing the medicine due to unclear design.

3. Empathic design process and research tools

Empathic design offers a new vision for designers to meet

4. Application of new SPI process

the real needs of users by observing their behavior in a natural environment. The literature review shows extensive

4.1. Empathy in design process 4.2. New SPI process 4.2.1. Step 1: Pre-Observation 4.2.2. Step 2: Observation (1) Half- opened interviews (2) Contextual Inquiry(CI). 4.2.3. Step 3: Analysis of collected data (1)Analysis of KANO questionnaire data (2)Analysis of half-opened interviews (3)Analysis of CI 4.3. Results and discussions

literature focusing on NPD (new product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empathy.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in a Western social context.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specifically addressing the Asian elderly.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empathic design process for identifying the problems in chronic disease medicine package for Chinese aging users, via the case studies from a design perspective. Methods This paper follows Leonard & Rayport’s empathic design process and is divided into two stages: problem identification(SPI)and problem solving(SPS). Moreover, a new SPI was developed using case studies to identify the

5. Conclusion

problems in chronic disease medicine package. The KANO questionnaire, a half-opened interview and Contextual Inquiry

Bibliography

(CI) were the main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sults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questionnaire, interview, and CI were summarized and compared. The data shows that the interview found some hidden problems that the questionnaire could not done. Moreover, for the CI, the observation without pre-set questions filled the vacancy of knowledge brought on by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The indirect methods in empathic design such as the empathic probe pack were not very effective for the subject, the elderly people did not respond positively when the researcher showed it to them. Conclusion A new 3-step SPI, which was effective in identifying the problems for Asian elderly users, was developed using case studies: pre-observation,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Keyword Empathic design, Elderly, Package design

98


translated by psychologist, Edward B. Titchener in

1. Introduction

1909 from ‘Einf hlung’ (means ‘feeling into’ ) which 1.1 Research background and research aim

was created by the German esthetician Robert Vischer in 1872. Empathy refers to a person who

The elderly population expanded in modern Asian

actively understands and shares feelings of other

society as a special community. China’s first blue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With the

book shows the high prevalence rate of chronic

advent of globalization in twenty-first Century and

diseases in the elderly. Daily prescription medicines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environmental

for chronic diseases, which differ from OTC

problems, people now have more time to develop

(over-the-counter) medicines, are not required to be

empathy, strengthen the contact with others, and

packaged

mandatory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Rifkin, J., 2009).

prescription drug requirement in China. Existing

or

labelled

under

the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 ,Dev Patnaik,

package design needs to be improved since there

the founder and chief executive of Jump Associates

have been frequent reports of misuse and poisoning

thought if you observe the people, you will discover

related to elderly users misusing the medicine due to

the insight that is different than what the data

unclear design. Empathic design offers a new vision

shows. Therefore, to build empathy with others and

for designers to meet the real needs of users by

stand in the position of others, is the effective way

observing their behavior in a natural environment.

to achieve enterprise success(Patnaik, D. ,2009).

The literature review shows extensive literature

Kouprie and Sleeswijk Visser summarized the two

focusing on NPD (new product design) from the

components of empathy in psychological terms as

perspective of empathy. However, most of these

follows: (Figure 1).

studies were conducted in a Western social context.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specifically addressing the Asian elderly .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empathic design process for identifying the problems in chronic disease medicine package for Chinese aging users, via the case studies from a design perspective. [Figure 1] The components of empathy

1.2. Research method 2.2. Empathy in design

This paper follows Leonard and Rayport’s empathic design process and is divided into two stages:

In order to bring contextual and meaningful factors

problem identification(SPI)and problem solving(SPS).

into a design task (Kouprie & Visser, 2009) designers

And a new SPI was developed using case studies to

should try to be close to the lives, feelings, and

identify the problems in chronic disease medicine

experiences of users to design in the way that

packages. The KANO questionnaire, a half-opened

meets users’ needs (Koskinen et al., 2003). At the

interview and Contextual Inquiry (CI) were the main

end of the 1990s, designers, design researchers, and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dustries wanted to explore feelings and moods and their links to design solutions. Empathy is a significant

2. Empathy and empathic design

factor

in

th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that helps designers to meet customer needs (Mattelmäki & Battarbee, 2002, Suri, 2003).

2.1. Empathy

Empathic design supports a wide range of issues in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defined empathy as

design from rational issues to private context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another

(Mattelmäki & Battarbee, 2002). Leonard and Rayport

person’s feelings, experience, etc." ‘Empathy’ was

suggested that empathic design would especially

99


entail “techniques (that) require unusual collaborative

group activities are less than their western

skills...”, “open-mindedness, observational skills, and

counterparts; their social network are built based on

curiosity” and the use of visual information, as well

kinship, and gradually to geopolitical relations (Liu,

as

existing

Y. & Ji, X.L., 2013). To compound the introversion,

capabilities combined with “the eyes of a fresh

the birth rate and the population continued to

observer” in the users’ own contexts.

decline since 1970s causing the rapid miniaturization

an

understanding

of

companies’

In empathic design, there are two kinds of

of China family and thus the elderlys’ social circle.

approach: direct and indirect. (Table 1) 1. Direct

(Yang, J.H. & He Z.H., 2014). The aging process

approach. The most popular and accepted approach

caused the massive influence on the negative

is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users (McDonagh &

attitudes

Bruseberg, 2000, Mattelmäki & Battarbee, 2002, Suri,

communicating with non-family members (Zhang W.

2003). It concludes focus groups, observation, user

J., R.P. & Liu, 2016), due to the Chinese elderly

trails
and

interviews.

showing

preparing

generative

Some

advocates

sessions

can

believe

provide

an

regarding

exclusionary

the

Chinese

behavior

elderly

with

social

relationship (Yao, Y, 2005).

opportunity for users to express their thoughts

Introversive: Chinese elderly are more introverted,

(Sanders & Dandavate, 1999, Visser et al., 2005). 2.

mild and peaceful in character. The western social

Indirect approach. Use of

techniques such as

and political structure takes democracy as the core,

storytelling, persona and scenario design, and

an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role-playing have been mentioned in empathic design

tend to be extroverted, while the elderly in China

research

when

tend to be introverted (He, L.F. 1998). Asian culture

designers cannot directly meet users. (Buchenau &

as

a

emphasizes connection and harmony with others.

Suri, 2000, Go & Carroll, 2004, Lugt & Visser, 2007).

Therefore,

Designers

to

accommodated by others and suppress their own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users by using

emotions while the personality of westerner shows

techniques such as ‘product handling’, ‘experience

a high independence and strong willingness to

prototyping’,

‘informance’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Markus &

(Buchenau & Suri, 2000, Hosking, I., Cornish, K.,

Kitayama, 1991). ‘Westerners … communicate their

Bradley, M., & Clarkson, P. J.,2015)

ideas clearly and adopt a "transmitter" orientation…

use

form

a

of

communication

role-playing

‘bodystorming’

and

approach

the

individual

prefer

to

be

Asians, in contrast, teach their children a "receiver" [Table 1] Two kinds of approach in empathic design Direct approach Focus groups, Observation, User trails, Interviews

orientation’ (Nisbett, R., 2010). Chinese elderly tend

Indirect approach Storytelling, Personas, Video, Measurement, Population data, Role-playing, Experience prototyping

to control emotional expression, thereby concealing their true feelings and having passive attitudes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2.3.2. The advantage of empathic design IDEO proposes three main sections in a human

2.3. Empathic tool for Chinese elderly

centered project: hear, create, and deliver (IDEO,

2.3.1. The character of Chinese elderly

2008). ‘Develop the approach’, the first step of

Literature review shows that the elderly in China

‘create’ section, it proposes empathic design as the

has exclusionary, introversive and anxiety prone

one of two methods (another is participatory

characteristics.

co-design). It should be done not only to generate

Exclusionary: compared to the westerners, the

ideas in a design team, but also to have the users

Chinese elderly has smaller social networks with the

in min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Empathic

majority consisting of family members (Silverman et

design research started with studying on the

al., 2000). The level of outdoor activities with

connection with designers and users, but is now

peers, social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and

geared

100

towards

finding

ways

to

connect


stakeholders, designers and users (Mattelmä ki,T.,

questions. Compared with formal interviews, it is

Vaajakallio,K., & Koskinen, I., 2014).

more casual and makes participants feel more

Comparing the research the Chinese elderly

comfortable, making it easier to obtain more

characteristics with traditional designer-centered

effective information for researchers(Hanington, B.,

investigation method, researchers may need some

& Martin, B. 2012). Contextual Inquiry (CI): Contextual inquiry is a

new ways to investigate their inner needs. In order to be commercially successful, new product and

semi-structured

service

real-or

information under the nature contextual of users,

perceived-customer need (Kouprie, M. and Sleeswijk

some questions were asked during the process by

Visser, F., 2009). Empathy is the tool to probe the

observer

inner needs of the users. Empathic design allows the

environments. It is a usable method in customer-

designer to understand the real needs of the user by

centered design. It could identify the hidden

standing

a

problems of a product which was too familiar to be

indirect

ignored by customer in the interview. It was

ideas

in

must

the

user-centered

user's

way

meet

point

with

a

of

direct

view and

in

were

in

to

their

obtain

own

is a field data-gathering technique that studies a

3. Empathic design process and research tools are

users

method

designed by Beyer, H. and Holtzblatt, K. in 1998, it

approaches.

There

while

observation

three

1.Pre-observation

steps

of

this

all customers.’(Beyer, H. & Holtzblatt, K. 1998).

collection & analysis, using the KANO questionnair

Context, partnership and interpretation are the 3

e,

principles of CI. As the observe tool, it could

inquiry(CI)and

and

at a fuller understanding of the work practice across

3.Data

contextual

,2.Observation

few carefully selected individuals in depth to arrive

research:

half-opened

interview.(Figure 2)

discover the real needs of customers which was not been told. ( Leonard, D. and Rayport, J.F., 1997)

4. Application of new SPI process 4.1 Empathy in design process Leonard and Rayport promoted ‘the five steps of doing empathy in design process’: 1. Observation, 2. Capturing Data, 3. Reflection and analysis, 4. Brainstorming for solutions and 5. Developing

[Figure 2] The process and tools

prototypes of possible solutions. In this process, users KANO questionnaire was created by Japanese

participate in the first two steps- observation and

professor Noriaki Kano in the field of quality

capturing data. Designers or researchers immersed

management, it observed and analyzed how customer

themselves in users’ environment with empathy in

satisfaction is determined by the service level and if

order to capture the data. From the perspective of

it meets customers’ expectations in a scientific way.

problem solving, step 1-3 are the stage of problem

Then it offered a visual way to show the result.

identification(SPI)and step 3-5 are the stage of

KANO is a qualitative analysis model which is

problem solving (SPS). This SPI was generated for

designed to help companies improve customer

western users, it was not quite effective for the

satisfaction.

Asian people due to culture differences. SPI is the

Half-opened

interviews:

interviewing

a

premise of SPS, therefore this paper will discuss the

foundational user research tool that people assume

new SPI that is suitable for Asian elderly users. A

they already

S. 2013). A

step called pre-observation was added before

half-opened interview is a conversation process

observation step (Table 2). In following sections the

which is led by researchers with some pre-set

new SPI will be introduced with the case study in

possess(Portigal,

is

101


China.

members met 1-2 hours each time at their familiar place with communication. With this pre-observation

[Table 2] Comparative analysis of Leonard & Rayport’s

step, the tensions or hidden feelings which may

and this paper's new empathic design processes

cause distorted observations were reduced. The

Leonard and Rayport’ s empathic design process

This paper's new empathic design process

Step 1

Observation

Pre-observation

Step 2

Capturing Data

Observation

Step 3

Reflection and analysis

Data collection & analysis

Step 4

Brainstorming for solutions

Brainstorming for solutions

Step 5

Developing prototypes of possible solutions

Developing prototypes of possible solutions

subjects were familiar with observer and slowly removed the tension during the 1 or 2-week period. This played a very good role in the next formal observation. At this point, the second KANO questionnaire started using the 1-5 scale option(1. I

SPI

like it that way
2. It must be that way
3. I am neutral
4. I can live with it that way 5. I dislike it that way)with both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SPS

question. The purpose was to obtain the true feeling of users using current medicine package and the hidden features that could delight them by the

4.2. New SPI process

KANO analysis.

In this case, 2 rounds of questionnaires were

4.2.2 Step 2: Observation

conducted, the first aimed to get the general data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urban China, 105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112. Based on

covered the whole process related to the use of

the data, the target group was narrowed down to the

majority

hypertension,

of

60-70

then

a

aged

second

patients round

of

hypertension medicine began. In order to better

with

understand the user's internal demand for medicine

Kano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two parts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and

After the link was built, an observation which

general

packaging, two methods were applied: Half- opened interview and contextual inquiry.

(1) Half- opened interviews.

customer satisfaction)with 12 features from inner and outer packaging design was conducted to the

The researcher interviewed 10 chosen senior with

target users who were defined by the first round

half-open questions, the average time of each

questionnaire. The problem and features which need

interview was 1-1.5 hours and the process were

to improve through the Kano analysis. Meantime, 10

recorded with camera (Table 3). Respondents were

half opened interviews to selected users and

asked questions related to their physical condition

contextual

typical

and the chronic disease medicine package they were

characteristics offered the critique data. Finally, all

currently using. The physical condition questions

the data were analyzed, the problems in chronic

were, “How is your vision condition?”,” How long

disease packaging design were identified.

have you been diagnosed with hypertension?”, “How

inquiry

for

4

users

with

often do you do the body check in a year?” and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chronic disease medicine

4.2.1 Step 1: Pre-Observation

package were, “What medicines are you taking?”,

The first step of observation is to determine the

“Where do you get the medicine?”, “How do you

object group. Base on the first round questionnaire,

store medicines?”, “What is your biggest

the researcher chose 10 users between the ages of

about your medicine?” etc., those questions were

60 and 70 as observation subjects. In order to make

aimed to get the information about how the

a better observations, researchers contacted subjects

respondents use the product during the whole

and their families two weeks ahead and met 3-4

process from medicine identification to consumption.

times a week prior to the formal observation.

Also, the interviewer asked interviewee to recall the

Researchers and respondents and their familiy

information of the medicine package that they were

102

concern


using without looking at it, to find the most important/ most concerning information a users could recognize. Also, medical practitioners

4

are the

2017/ 1/6

M

/

/

60

stakeholder of the medicine, so they offered some usable information from another perspective. In this

4.2.3. Step 3: Analysis of collected data

case, one doctor who has 20 years’ experience in geriatrics was been interviewed.

Once all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e researcher started analysis and compareing, there

[Table 3] Interviews data Intervi ewee 1 2 3 4 5 6 7 8

Gende r

Time Nov., 5, 2016 22:00-23:00 Nov., 10, 2016 14:10-15:30 Nov., 13, 2016 20:27-21:00 Nov., 14, 2016 18:18-19:10 Jan.,15, 2017 19:45-20:45 Jan.,3, 2017 8:30-10:10 Jan.,6, 2017 10:30-12:00 Jan.,10, 2017 14:00-15:30

Age

M

62

F

61

F

61

M

60

M

45

M

69

M

60

M

64

were three sources of data: the respond of KANO

Location

questionnaire, the interview and CI result.

Interviewee’s home, Jingmen Interviewee’s home, Jingmen Interviewee’s home, Jingmen Interviewee’s home, Jingmen Geriatrics department, Jingmen 1st people hospital Interviewee’s home, Jingmen Interviewee’s home, Jingmen Interviewee’s home, Jingmen

(1)Analysis of KANO questionnaire data. 108 valid responds were chosen from 125 collected responds. 68 participants completed

via SNS and

other

the

57

participants

wrote

on

printed

questionnaire sheet since some paticipants were not accustomed to using smart phones.All unfinished responses and the ones that were finished under 120 seconds and chose same option for all subject were labeled as invalid. The data had two components: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and general customer

(2) Contextual Inquiry(CI).

satisfaction.

In this case, 4 people were chosen from 10

Each component included 12 features which

previous interviewees under their agreement. The

related to the visual information and functional

researcher followed each subject for 1-2 days, in

design on both package and medicine instruction.

order to observe the all processes connected to their

Survey respondents were asked to fill the answer

medicine(Table 4).

Some questions were asked

with 5 level scales. (For example, what do you feel

during the process to get a better understand of

about the using time information on the medicine

motives or the feeling during certain behavior of

package? The options are 1. I like it, 2. It must be,

participants.

3. Neutral, 4. I can live with it, 5. I dislike it) The first component aimed to obtain the feeling/response

[Table 4] CI data CI USE perio R d

Gen Age der

of using current medicine package with functional questions (what do you feel if there is…). Pharmacy

Home

Hospital

In

another component, the author offered suggestion to those 12 features via functional questions and

1

2016/ 11/ 10 11/15

dysfunctional question with functional. (Functional F

61

/

question was ‘what do you feel if the using time information on the medicine package is showed with image?’ and dysfunctional question was ‘what do you

2

2017/ 1/3 – 1/8

feel if using time information on the medicine M

69

package is not showed with image?’) The results of each features were evaluated in 5 categories:

3

2017/ 1/10 – 1/11

Attractive M

64

/

(A),

Must-be(M),

Irrelevant(I),

One-dimensional(O), Reverse(R), Questionable(Q). Then extent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data in each

103

feature

were

evaluated,

calculated

and


compared in both components (Table 5).

patients. For example, most patients did no like the information of side effect on the instruction and

[Table 5] KANO questionnaire data

Features

1.Labelling on medicine package 2.Information about medicine using time on package 3.Medicine dosage information on package 4.Description of side effect on instruction 5.Information arrangement of instruction 6.Information about time of changing dosage 7.Information about the time to contact medical facility 8.Understandable information of dosage on instruction 9. Child–safe design 10.Expiry date indication 11.Organize/ split design 12.Reminder information to take medicine

exterior package, they thought this part should be enlarged and more detailed. However, the medical

Grad e

Coeffi cient of Satisf action

Coeffi cient of Dissati sfacti on

Curre nt PCSI Positi Index on (S-P) (P)

PCSI Ranki ng

A

0.61

-0.40

0.10

0.51

8

M

0.16

-0.61

-0.40

0.56

5

I

0.43

-0.32

0.07

0.36

11

O

0.42

-0.62

-0.31

0.73

2

who need to take more than 2 medicines per day.

M

0.43

-0.68

-0.29

0.72

3

Each medicine should be taken by certain time, but

A

0.58

-0.47

-0.12

0.70

4

some patients always fail to recognize itsince the

O

0.73

-0.48

-0.03

0.76

1

information fonts are too hard to find on the

A

0.54

-0.46

0.02

0.52

7

package, therefore just taking the two medicines

I

0.43

-0.40

-0.03

0.46

9

A

0.51

-0.39

-0.04

0.55

6

I

0.26

-0.31

-0.09

0.35

12

I

0.47

-0.17

0.10

0.37

10

practitioner stands on the other pole, the doctor thought side effect part should not be emphasized since the elderly patients were easy to produce a sense of substitution of the possibilities syndromes even if there was just 0.01% incidence rate. And, the doctor expressed the concern of the patients

at the same time..

(3)Analysis of CI. 4 participants agreed to participate in contextual

Based on the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nquiry during the process that related to the

improvement (PCSI), the PCSI index was proposed

medicine. The researcher followed the participants

using Kano model and CS coefficient. It represents

and recorded by camera, some necessary questions

how much a service feature can increase the degree

were asked during the process (Figure 4). The data

of customer satisfaction when the product/service feature is fully fulfilled. 12 features are visually represented by a laddering table based on the result of PCSI ranking (Figure 3). There are 4 urgent need to be improved features (7,4,5,6), 5 need to be improved features (2,10,8,1,9) and 3 features (12,3,11) that already meet the user’s satisfaction. The first 4 features were chosen as the problems which targeted by KANO questionnaire. [Figure 4] Journey Map of Medicine Use

were collected and a journey map was completed. In the 3 phases of the map which include purchase (pre-purchase and purchase), use and after use. There were 2 evaluation lines, the green one reflected the elation level and the purple one indicated the anxiety level. The summit of green line [Figure 3] PCSI Ranking (F. indicate the features in

means positive feeling and valley means negative.

the table 5)

The evaluation standard was opposite: summit means negative emotion and valley reflects the users were in the positive feeling. According to the data in the

(2)Analysis of half-opened interviews. The

medical

practitioner’s

interesting responses which

interview

showed

were opposite to

map, 6 pain points were identified. The problems are: 1.No obvious dosage information on the

104


package;2. Unrecognizable font and bad arrangement

family and friends are more willing to provide

of instruction;3. Lack of medicine taking remind

information to a familiar person. 3. It avoids the

design;4.

unnatural act of observed subjects.

Not

satisfied

with

the

side

effect

information which were highly concerned by users.5. Lack of image in instructions;6. Lack of design about

[Table 7] Comparison of 3 types of result

split mark (Table 6). [Table 6] Pain points in CI 1

2

3 4

5 6

Pain points It is hard to find the dosage and taking time informaiton, I need help from others or from my glasses I feel frustrated when reading such little paper with so much information The fonts are too small and crowded I need to remember the time to take medicine Every medicine has its bad side, will this one conflict with my other medicine I was taking? The information is not to find and hard to recognized I could not split 1 pill to ½ or ¼ easily

Problems No obvious dosage information Unrecognizable font, Bad arrangement of instruction Lack of reminders to take medicine design

CI

Labelling on medicine package

Color on medicine package

Information about medicine using time Dosage information Arrangement of instruction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ime of changing dosage Information about the time to contact medical facility Expiry date indication Organize/ split design Reminder information to take medicine Information of side effect

Not satisfied with side effect information Lack of image in instructions Lack of design about split mark

4.3. Results and Discussion In this part, the problems found in questionnaire, interview and CI were summarized and compared below (Table 7). The data shows that the interview found some hidden problems that questionnaires could not have

found. For CI, the observation without pre-set question fill the vacancy of knowledge brought on

by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The indirect methods in empathic design such as empathic probe

Ques tionn aire

Inter view

Features

Could not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hronic disease medications. Don’t like the color with high purity and brightness; The words could not be recognized easily from the background. Need time to make clear of using time for different medicines for a day. Could not understand the dosage easily Could not find the information easily; The fonts are too small. Could not fi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when I should change dosage. Feel anxious and worried that when should recheck or get the help from medical facility. Could not find easily.

Problem

Could not split by hand or knife with little pill.

Worried to forget taking medicine.

Feel anxious of side effect.

5. Conclusion

pack was not that effective for the subject, the

Asian elderly are more likely to hide their true

elderly people did not show positive behavior when

feelings (He, L.F. 1998). In order to meet the inner

the researcher showed it to them.

needs of Asian elderly, this paper followed Leonard

Before the the pre-observation step was formed,

and Rayport’s empathic design process divided into

the researchers previously contacted the respondents

two stages: problem identification(SPI)and problem

directly, and the investigation process started

solving (SPS). A new 3-step SPI which was more

immediately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process

effective in identifying the problems for Asian

to the respondents. However, the result is not ideal:

elderly users was developed using case studies

respondents acted unnatural and nervous, and

involving: pre-observation, observation and analysis

showed the emotion of exclusion. When researchers

of the collected data. Pre-observation facilitated the

adjusted the process step and contacted subjects and

data collection in the next observation step. In the

their families two weeks ahead and met 3-4 times a

case studies, the new SPI was used to identify the

week prior to the formal observation

with the

problems of chronic disease medicine package for

purpose to understand the user life background and

elderly users in China, using research methods such

living habits, it turned out to be the key for next

as a KANO questionnaire, a half-opened interview,

steps because: 1. elderly are more willing to open

and Contextual Inquiry. The analyzed data indicated

their hearts to the familiar people; 2. subjects of

that the interview revealed some hidden problems

105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by the questionnaire . Regarding the CI, the observation without pre-set questions filled the vacancy of knowledge obtained b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The combination of these methods may help to discover the hidden needs of users, especially among more introverted

and exclusionary cultures. In addition, the indirect empathic design methods in empathic design such as empathic probe1), was not very effective for the subject, the elderly people did not show positive behavior when the researcher showed it to them. Therefore, in order for indirect tools play a role for Asian elderly users in the empathic research, a future research direction should be developing a suitable indirect tool for Asian users that is combined with Asian cultural context.

Bibliography - Beyer, H., & Holtzblatt, K. (1998). Contextual Design: Defining Customer-Centered Systems. San Francisco, CA: Morgan Kaufmann Publishers. - Hanington, B., & Martin, B. (2012). Universal methods of design: 100 ways to research complex problems, develop innovative ideas, and design effective solutions. Rockport Publishers. United Kingdom. - He, L. F. (1998). Analysis of mental health of retired elderly. Chinese Journal of Gerontology, 18(1), 7-8. - Hosking, I., Cornish, K., Bradley, M., & Clarkson, P. J. (2015). Empathic engineering: helping deliver dignity through design. Journal of medical engineering & technology, 39(7), 388-394. - Jääsko, V., & Mattelmäki, T., (2003),Observing and Probing, ACM, DPPI'03, 126-131. - Koskinen, I., Battarbee, K., & Mattelma k ̈i, T., (2003). Empathic design, user experience in product design. Helsinki: IT Press. - Kouprie, M. & Sleeswijk Visser, F. (2009). A framework for empathy in design: stepping into and out of the user’s life. Journal of Engineering Design, 20, 437–448. - Leonard, D., & Rayport, J. F. (1997). Spark 1) Empathic probe pack is a

innovation through empathic design. Harvard Business Review, Nov–Dec, 102–113. - Luh,D. B., Ma, C. H., Hsieh, M. H., & Huang, C. Y. (2012), Using the Systematic Empathic Design Method for Customer-centered Products Development,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 Process Science, 16, 31-54. - Mattelmä ki, T., Vaajakallio, K., & Koskinen, I. (2014), What Happened to Empathic Design? Design Issues, 30. MIT Press. - Mattelma ̈ ki, T., & Battarbee, K. (2002). Empathy probes. Proceedings of the participatory design conference (PDC2002), 23–25 June 2002 Malmo, Sweden. -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2), 224. - National Research Council, & Committee on Population. (2012). Aging in Asia: Findings from new and emerging data initiatives. National Academies Press. United States. - Nisbett, R. (2010). The Geography of Thought: How Asians and Westerners Think Differently. Free Press. United States. - Patnaik, D. (2009). Wired to care: How companies prosper when they create widespread empathy. Ft Press. United States. - Rifkin, J. (2009). The empathic civilization: The race to global consciousness in a world in crisis. Penguin. United Kingdom. - Portigal, S. (2013). Interviewing users. Rosenfeld Media. New York, United States. - Postma, C. E., Zwartkruis-Pelgrim, E., Daemen, E., & Du, J. (2012), Challenges of Doing Empathic Design:Experiences from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6, 59-70. - Yao, Y., & Chen, L. X. (2005).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on mental health in the elderly, Population Journal, 152, 10-15. - Zhang W. J., & Liu, R. P. (2016). The research on the socail isolation factors of Chinese elderlly, Population Research , 40(5), 75-91.

specifically designedm aterial

packages which was introduced by Mattelmiiki and Battarbee, which could record private lives, contexts and experiences of potential users.

10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017, Vol.31, No.2

http://dx.doi.org/10.17289/jkscs.31.2.201705.15

Color Research on “Shanghai Street” in Busan 부산 상하이 거리에 대한 색채 현황 연구

Fan, Yu* 판위|Chang, Juyoung† 장주영 *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Abstract The purpose of the text is investigating, analyzing and researching the color status quo of Busan Shanghai Street. The process of the research is mainly judging by “La Geographe De La Couleur” the basic method. Field investigation method is taken to take pictures and evidence. The induction of color and chromatography of preparation is based on Munsell color theory, complete by Photoshop software. The gathering and summing up of the present of Busan Shanghai Street’s color status quo, summing up its problems. Based on the analyzing and researching of Shanghai Street’s color status quo, it provided the reference opinions of the future renovation work, and kept the basic research of my future study. Keywords Shanghai Street in Busan, Chinese Color, Color analysis 부산 상하이거리, 중국 색채, 색채분석

은 후 화교학교와 중국 영사관이 설치되면서 이 지역은

1. Introduction

점점 화교 집단 거주지로 발전했다. 중국 스타일대로 꾸 며진 이 거리에서 가장 중요한 건축물은 바로 부산이 상

1.1. 연구배경 및 목적

하이와 함께 세웠던 ‘상하이 문’인데, 그 양쪽에 중국 식

세계 곳곳에 건설되어진 차이나타운은 해외에 거주하

당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관광객들의 인기가 높다.

고 있는 중국 사람들이 표현하는 고향에 대한 향수뿐만

본 연구는 부산에 소재한 차이나타운인 상하이거리를

이 아니라 중국문화가 해외에서 확장되고 전파되는 통로

중심으로 상하이 거리의 색채를 연구하고자한다. 조형요

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의 차

소로서의 색채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문화를 구현할 수

이나타운 지역은 대체로 사회활동과 비즈니스 활동이 활

있는 직접적이고 주요한 표현요소이다.

발해서 중국문화의 다양한 요소를 용합시키는 장소이자,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독특한 문화를 담

문화적이면서도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는 장소이다. 그러

은 한국 부산의 차이나타운인 상하이 거리의 색채에 관

므로 차이나타운의 건설과 발전은 중국 본토에서 관심을

한 연구를 주제로 한다. 그리고 상하이 거리의 색채 현황

받을 뿐만 아니라 차이나타운 현지에서도 중시를 받는

에 대해 자세한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여 상하이 거리 색

다.

채의 특징과 현존하는 문제를 정리하여 이 거리의 색채

부산은 한국 제2대 도시이자 가장 바쁜 항구 도시 중

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의 하나이다. 부산 차이나타운은 ‘상하이거리’라고도 불 린다. 1884년부터 부산은 중국 상하이와 자매도시를 맺

1.2. 연구방법 및 목표 연구의 방법은 색채학자 장 필립 랑클로(Jean

† Corresponding Author_Chang, Juyoung e-mail: jychang@gdsu.dongseo.ac.kr

Philippe Lenclos)의 "색채지리학(geography of color)"

107


16 - 2017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vol.31 no.2

에서 사용하는 기본 방법인 장소 선정, 조사, 증거 찾기,

2. Research Area: Busan Chinatown,

귀납, 중간 결론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Song, 1999).

Shanghai Street

우선 장소는 부산의 차이나타운인 상하이거리를 선 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이 거리가 중국 전통문화를 담

부산시와 상하이시 양 도시 간 자매결연을 체결한 후

았지만 한국의 부산이라는 지리적 위치에서 어떤 색채

양국 간의 우호증진 및 경제·문화·관광 분야 등에 교류를

적 특징을 담고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상하이

해오던 차에 1998년 양 시장간 협의에 의해 상하이시에

거리의 역사 부분에서는 문헌 연구를 하였고, 색채 조

는 ‘부산거리’를, 부산시에는 ‘상하이거리’를 조성키로 합

사는 실지 현지 조사를 통한 측색을 시도하였다. 부산

의하였다. 이듬해 1999년에 부산시에서 1884년 중국영

상하이 거리의 색채 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색채조사의

사관이 설치되어 중국 상인들이 점포를 겸한 주택가를

범주를 크게 여섯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첫 번

집단형성 해오던 초량동 571번지 일원을 ‘상하이거리’로

째는 교차점에서 상하이거리의 동서남북 4개 거리의

명명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로확장, ‘상하이문’ 건립

전체적인 색채이고, 두 번째는 상하이거리의 20개의

및 야간 조명시설 설치, 중국풍 환경시설 변경 등이 이루

주요 건축물 입면의 색채이고, 세 번째로 공공시설물

어졌고, 2004년부터 매년 10월에 상하이거리 축제를

의 색채, 네 번째는 특수구역 색채, 다섯째는 간판의

성대히 개최하고 있다. 2007년 상하이거리는 지역 특수

색채, 그리고 여섯 번째는 축제기간의 장식물 색채로 세분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항목별 색채를

화 발전 구역으로 지정 되었다(Park, 2010).

먼셀 색

체계 이론을 근거로 포토샵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색분 해를 통해 색채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조사 분석을 통해 상하이거리 색채의 특징을 정리하고, 현존하는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 였다. 그리고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어, 색채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1.3. 이론적 고찰 현재 차이나타운에 대한 연구는 지리학적 측면에서 연 구한 것이 대부분이며, 인천 차이나타운 관광지의 상업 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한 논문이 있다(Ye, 2012). 하지만 디자인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차이나타운

<Figure 1> 부산 상하이 거리

연구는 적은 편이다. 대부분의 디자인 관점에서의 연구 들은 차이나타운의 경관설계에 대해 분석하고, 차이나타

상하이거리<Figure 1>의 대표적인 건축물은 부산역

운의 디자인적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Park, 2010). 그리

맞은편에 위치한 상하이거리 중앙 출입구 쪽의 ”상하이

고 차이나타운에 대한 재외 중국인의 이미지 편중 정도

문”<Figure 2>이다. 이 건축물은 2000년 6월 중국 상하

에 대한 이미지를 연구한 논문도 있다 (Hu, 2014).

이시에서 지원하여 “상하이문”이라는 이름으로 준공되

이상과 같이 차이나타운에 대한 연구 중에서 색채연구

었다. “상하이문”은 중국 건축가가 설계하고 지었는데,

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현재까지 차이나타운의 색채에

양쪽 기둥 사이의 길이는 16.4미터, 높이는 11.1미터 으

대한 구체적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로 중국 강남의 전통적인 건축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2

상하이거리를 중심으로 차이나타운의 거리 색채연구를

층 높이의 건축물이다. 부산시와 상하이시의 우호적인

하고자한다.

관계를 표현했다(Park, 2010). 상하이문은 이 지역의 대 표적인 정통 중국식 건축물로서 건축 양식 뿐만이 아니 라 색채도 중국 정통의 문화를 표현한 것으로 간주되어 본 연구에서 표준으로 삼는 구조물이다(Hu, 2014).

108


Color Research on “Shanghai Street” in Busan - 17

아래는 거리의 교차점의 중심에서 동서남북의 서로 다 른 방향으로 관측한 거리의 색상이다<Table 1>. <Table 1> 거리 색채 분석 거리 사진

색채 분석

7R5/5 6Y4/7 N4 N10 6PB/4 명도7-10 채도4-10 7R4/8 5Y5/7 N3 N10 8PB/4 6BG6/3 명도7-10 채도6-10 N7 6R3/7 4Y4/5 4GY7/2 8PB6/2 명도3-8 채도1-9 N8 6R3/7 4Y5/5 4GY7/2 명도2-6 채도3-9

<Figure 2> 부산 상하이 거리 ”상하이문” 동

3. Color situation of Busan Shanghai Street 본 연구를 위해 측색을 위한 현장조사와 현장 촬영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먼셀

색체계

이론을

근거로

Photoshop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색채를 표시하고 분 석했다. 색채 면적을 분석함에 있어서는 <한국표준색 색채분석>(KSC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남

<중국건축표준색(中国建筑标准色)>색상카드<Figure 3> 를 사용하여 색채 데이터를 추출했다. 그리고 현장조사와 촬영은 2016년 9월, 날씨가 맑 은 날에 여러 차례에 걸쳐 부산 상하이거리를 대상으로

색채범위

실시하였다.

면적 비례

R:40%, Y:2O% N:30%, PB:10%

R:40%, Y:15% N:20%, PB:10%, BG:5%

R:20%, N:35% Y:20%, PB:10% GY:15%

R:20%. Y:20%, GY:15%. N:35% PB:10%

아래는 상하이거리의 대표적 건물 20개의 입면<Table 2>의 색채 분석 내용이다. 위의 지도에서 20개의 주요 건축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Figure 4>. <Table 2> 상하이거리 내에 있는 20개 주요 건축물입면 색채분석 <Figure 3> 중국건축표준색상카드

번 호

건축물 사진

색채 분석

3.1. 상하이 거리의 4개 거리 및 주요 건축물

4R3/4 5PB8/6 7Y8/8 N2 명도5-6 채도6-8

입면 색채 1

본 연구는 “상하이문”에서 “동화문”까지의 거리를 연 구범위로 선택하였다. 상하이거리 전체 구역<Figure 4>

색채범위

면적 비례

R:50%, PB:20% Y:10%, N2:10%

상하이문, 중국 건축가 설계, 1997, 4층 건축 4R3/4 5PB8/6 7Y8/8 N2 명도5-6 채도6-8

안에서 주요 건축물은 여기 집중되어 있고, 이곳은 관광 객들이 가장 많은 구역이기도 하다. 2

R:50%, PB:20% Y:15%, N2:15%

동화문, 4층 건물, 4층 건축

3

N7 6R7/8 5Y5/10 7YR8/6 명도6-10 채도7-9

N:50%, R:25% Y:15%, YR:10%

버시앙허채(包⾹好菜),음식점, 중화요리 ,2층 건축

<Figure 4> 부산 상하이 거리지도

109


18 - 2017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vol.31 no.2

4

5

N7 N10 5R7/8 5Y10/9 3R10/3 명도6-10 채도3-8 BOHT 30J10T0, change money, 상점 ,2층 건축 3R6/4 5YR8/7 5Y10/8 5Y10/9 명도6-10 채도4-10 중합전자냉둥, 상검, 전기 전매 ,2층 건축

원시앙치(元⾹齐),음식점, 중화요리,3층 건축 4R10/6 4R3/4 6YR10/8 5Y10/9 13 명도7-10 채도8-10

N:45% R:35% Y:25%

R:60% YR:20% Y:20%

창승시양(长盛⾹),음식점, 중화요리,4층 건축 R:75% YR:15% Y:5%

N2 4R10/5 5Y10/9 명도7-10 채도8-10

14

N:60%, R:25% Y:15%

JNHA,노래방, 4층 건축 3R6/4 5R10/8 W 5Y10/9 명도6-10 채도4-9

6

N2 6R10/10 6YR3/4 5Y10/9 15 명도8-10 채도8-10 산승원(三⽣园),음식점, 중화요리,2층 건축 N3 6R10/10 4Y6/6 5R4/5 16 명도6-10 채도5-8 HI-TEL,휴대폰 상점, 2층 건축

R:75% W:15% Y:10%

구민이 주민되는 힉망동구 건설, 3층 건축 N6 5R9/7 6Y6/3 명도5-10 채도3-8

7

N:55% R:30% Y:15%

N10 3R6/4 4R3/4 5Y10/9 명도N6-N10 채도6-9

International CLUB, 2층 건축 N3 5R9/9 5Y8/5 명도3-7 채도2-6

8

N:50% R:30% Y:20%

17

9

N:50% R:30% Y:20%

4R10/6 6YR10/8 5Y10/8 명도7-10 채도7-9

18

10

4R10/6 6YR10/8 5Y8/10 명도6-10 채도8-10

19

R:75% YR:15% Y:5%

11

R:60% YR:20% Y:20%

R:60% YR:20% Y:20%

동해노래주점, 유훙주정, 중화요리,3층 건축 N4 4R7/6 6YR10/8 5Y8/10 명도7-10 채도6-8

음식점, 중화요리,4층 건축 4R10/6 4R3/4 6YR10/8 5Y10/9 명도7-10 채도8-10

N:25% R:50% Y:25%

증국증동(中国正统),중화요리,3층 건축

CAHK T-IIET EP6YPI,음식점, 중화요리,2층 건축 3R6/4 4Y3/4 5R8/5 5YR8/5 명도6-8 채도8-10

N:50% R:30% Y:10%

Halal Food, 회교 식품, 중화요리,2층 건축

증면.여권, 상점, 2층 건축 N4 5R10/18 5Y8/5 명도3-8 채도5-7

N:60% R:20% YR:10% Y:10%

20 R:75% YR:15% Y:10%

N:30% R:40% Y:25%

MANBO DESIGN, 2층 건축

아래의 그래프는 주요 4개 색채의 면적 비율에 대한 신바원(新发园),음식점, 중화요리,3층 건축

12

4R10/6 4R3/4 6YR10/8 5Y10/9 명도7-10 채도8-10

비교이다. 각각의 건물에서 빨간색 영역, 노란색 영역, 주황색 영역, 회색 영역에 대한 색채면적 비율을 볼 수 R:60% YR:20% Y:20%

있다<Table 3>.

110


Color Research on “Shanghai Street” in Busan - 19

<Table 3> 20개 건축물의 색채 면적 비율

정자이다. 색채는 빨간색과 노란색 두 가지 이다. 모두 중국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표지 사인물은 도로 및 건축 의 표지판이 있고, 모두 한국어, 영어, 중국어의 세 가지 언어가 있다. 도로는 평탄하고 깨끗하며 도로위에 시멘 트 벽돌이 있다. <Table 4> 공공시설물 색채 가 로 등

표지 사인 물

바닥 포장

3.3. 특수구역의 색채 상하이 거리에는 특별한 구역이 세 군데 있다. 부산 화교 초등학교에는 삼국문화의 벽화가 있다. 상하이거 리 주변의 건물들로, 상하이거리의 전체 이미지와는 다 르다<Table 5&6>. <Table 5> 특수구역 설명

화 교 초 등 학 교

중 국 삼 국 문 화

3.2. 공공시설물 색채

부산 화교 초등학교: 학교 건물에 주로 사용한 색채는 빨간색과 흰 색이며, 빨간색이 차지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적다. 색채로 보면, 학교는 상하이거리와 연관되면서, 구별되기도 한다.

중국 삼국 문화 홍보 벽: 이 구역의 색채는 빨간색과 노란색을 전 혀 사용하지 않았다. 색채상에서는 연속성이 없지만, 고요한 감상 환경을 만들어 내었다.

거리 공공시설물은 가로등, 벤치, 쓰레기통, 표지 사 인물, 관광안내시설, 지역안내도, 바닥포장 등을 포함

주 변 지 역

한다. 상하이거리에는 벤치와 쓰레기통은 설치되어있 지 않아 가로등과 표지 사인물과 바닥포장 색채에 대한 정리와 분석을 한다<Table 4>. 상하이 거리의 가로등의 조형은 용이고, 그 색채는 빨 간색과 파란색 두 가지이다. 부차적인 가로등의 조형은

111

구역의 엔드존(end zone): 구역의 가장 마지막 몇 채의 건물은 상 하이거리의 색채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이러한 점은 상하이거리 색 채의 통일성과 완전성을 훼손시킨다.


20 - 2017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vol.31 no.2

<Table 6> 특수구역의 색채 분석

화 교 초 등 학 교

4YR5/4 5R6/3 5R8/7 4Y6/4 N2 N9

<Figure 5> 동화문 앞 오른 쪽의 학교 앞 근처

3.4. 상업광고 간판의 색채

명도3-7 채도5-8

상점의 간판은 빨간색, 노란색, 검은색, 세 가지 색 채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옥외광고 간판색상은 건축 물의 색채와 함께 중요한 거리의 색채를 구성하는 요 소이다. 그러나 이 거리의 상업광고 간판은 지극히 단 조로운 색상의 사용을 하고 있다. 상하이거리의 간판 들은 아래의 사진과 같이 빨간색, 노란색을 위주로 획일 적인 색채 사용을 하여 매우 단조로운 느낌을 준다

중 국 삼 국 문 화

7YB4/3 6YR2/5 N5 N8

<Table 7>. <Table 7>

간판 색채

명도2-4 채도3-5

간 판 들

주 변 지 역

N5-N10

간판들은 사진과 같이 빨간색, 노란색으로 획일적으로 사용하여, 색상이 매우 단조롭다.

3.5. 축제 기간의 장식물색채 상하이 거리의 대표적인 축제로서 ‘Chinatown special

여러 차례 현지 조사를 하며 상하이 거리 내의 건물은

zone festival’이 있는데, 이 행사는 2004년부터 시작되어

모두 개인(건물주인)이 스스로 건설하고 장식했다는 점

2016년 현재까지 매년 개최되었고 올해로 총 12회에 이

을 발견했다. 부산 화교초등학교 맞은편의 넓은 빈 땅에

르렀다<Table 8&9>.

는 장기간 회색 담이 있었다. 공사를 진행할 가능성이 있 다. 이렇게 독립적으로 건물 건설을 시행하기 떄문에 결 과적으로 거리 색채를 통일성 있게 기획하지 못하고 색 채 혼란 현상을 쉽게 일으키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 다.

112


Color Research on “Shanghai Street” in Busan - 21

<Table 8> 축제 기간 중의 색상

3R8/8 4Y6/5 5B6/7 4R8/9 3Y8/4 3BY4/10

주 간 절기 기간에 상하이거리에서 사용하는 빨간색의 등롱은 상점 간 판의 빨간색과 매우 비슷하다. 장식물로 빨간 등롱을 대량으로 사 용하며, 이는 상하이거리 내에 사용된 빨간 색채의 면적을 크게 늘렸다.

야 간

명도6-8 채도5-9

공 연 장 축제 기간의 행사 장소, 공연장소의 색채는 빨간색과 노란색 외에 도 파란색을 추가하였다.

4. Color analysis of Shanghai street in three aspects

야 간 축제 기간, 상하이거리의 야경은 빨간색과 노란색을 주로 사용한 다. 야간에는 거리가 어둡게 변하기 때문에, 불빛의 장식물과 큰 대조를 이룬다.

4.1. 주요 건축물 입면 색채 소결 <Table 10> 색채 비교 분석

<Table 9> 축제 기간 중의 색채 분석

주 간

5R7/8 5R10/8 3R8、8 5Y10/9 5Y8/5 6BY6/8 4BY4/8

건 물

명도6-9 채도3-7

공 연 장

5R5/7 6R10/8 5Y4/7 6Y4/8 4Y5/5 6BY/4 4BG6/10

색 채 귀 납

명도4-10 채도4-8

R: Y: GY: N:

113

명도2-8 명도3-8 명도3-7 N2-N9

채도5-11 채도5-10 채도6-9


22 - 2017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vol.31 no.2

단독 건축물의 색채 분석을 통해, ‘상하이문’과 ‘동화 문’이 상하이거리의 상징적인 건축물이며, 색채에 있어 서 기타 건축물 간에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하이 거리의 전체적 색채로 살펴보면, ‘상하이 문’과 ‘동화문’의 색채가 상당히 짙으며, 이는 여타의 다 른 건출물의 색채 스타일과 일치하지 않는다. ‘상하이

색 채 귀 납

문’과 ‘동화문’을 기준으로 볼 때 거리의 색채는 연속성 과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없다.

4.2. 간판 색채 소결

G: 명도4-8 RP: 명도2-8 R: 명도4-6 GY: 명도3-7 N: N5-N8

채도6-10 채도5-11 채도5-10 채도6-9

분석과 조사 결과에서 보면 건축의 색깔은 주로 짙은 붉은 색(R)과 회색(N)두 가지가 있다. 명도의 차이가 별

4.4. 축제 기간 중 장식물의 색채 소결

로 없지만 채도의 차이는 대단히 크다. 각 가게 간판의

차이나타운을 상징하기 위해 축제 기간 중에 사용하

색채는 온 거리의 색채를 풍부하게 만들었지만 상점들

는 장식물의 대다수는 모두 짙은 빨간색을 사용하는데,

이 모두 명도와 채도가 비교적 높은 색채를 사용하였기

모든 가로변에 매다는 등롱이 대표적인 장식물이다. 하

때문에 온 거리의 색채가 불일치하고 혼란스럽게 되었

지만 빨간색의 등롱과 건축물 간의 색채 대비에 의존하

다.

여 등롱의 특수한 분위기가 형성된다. 행사장의 장식도 <Table 11>

주로 빨간색에 의존하여 축제 기간에는 지역의 빨간색의

간판 색채 분석

면적이 극대화된다. 그리고 야간의 장식 조명으로 인해 야경은 색채 대비가 강렬해지기 때문에 축제의 분위기는 더욱 과장될 수 있다. <Table 13>

색채 분석

간 판 들

간 판 들

색 채 귀 납

R: 명도6-7 Y: 명도7-8 N: N11

채도10-11 채도10-11 색 채 귀 납

4.3. 공공시설물 색채 소결 <Table 12> 색채 비교 분석

R: Y: GY: B: G:

명도2-9 명도4-8 명도4-7 명도5-7 명도7-8

채도8-11 채도7-10 채도6-11 채도8-11 채도10-11

5. Color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사 진

색채의 채도는 12개의 단계로 나누는데 0~4는 저채 도,5~8은 중채도,9~12는 고채도이다. 상하이 거리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의하면 상하이 거리 안에 있는 건축

114


Color Research on “Shanghai Street” in Busan - 23

물의 색채인 “상하이문”과 ”동화문”의 색채 명도는 5-6

서 따뜻하고 가볍고 편안하고 활력이 있는 느낌을 전해

이며 중명도에 속한다. 하지만 상하이거리의 다른 건축

준다. ‘상하이문’과 ‘동화문’을 기준으로 볼 때, 상하이거

물 색채는 대체로 모두 고명도의 범위 안에 속한다. 또한

리에서 색채로 전해지는 감성은 중국 본토의 그것과 다

‘상하이문’과 ‘동화문’의 채도는 6~8이며 중채도에 속한

른 것이라 볼 수 있다.

다. 이에 비해 다른 건축물의 채도는 대체로 중채도와 고 채도이며 그 중에서 고채도의 건축물이 비교적 많다.

5.1.2. 배색

색채 이론의 저서에서는 흔히 화면의 70%면적을 하나

주색조인 붉은색을 제외하고 상하이 거리에서 볼 수

의 측정 기준으로 삼는다. 한 가지 색의 면적이 화면의

있는 다른 색채는 대체로 배색이다. 노란색, 주황색 그리

70%를 차지할 때, 해당 색깔을 화면의 주색조로 삼는다

고 회색 등 이 세 가지 배색 중에서 회색인 중성색을 제

는 것이다. 상하이 거리에서 붉은색의 면적이 70%를 넘

외하면 노란색과 주황색 모두 따뜻한 색 계열의 색채이

는 건축물은 4개이고 회색의 면적이 70%를 넘는 건축물

다. 또한 붉은색과 함께 쓰면 동일계열의 색채의 조합이

은 하나이다. 전체적인 건축물의 색채에서 보면 상하이

된다. 그 중 노란색 또한 중국의 대표적인 색채로서, 거

거리의 주색조는 붉은색이며 축제 기간에는 장식물이 증

리나 상점의 간판에 쓰인 한자의 색채로 많이 사용된다.

가함에 따라 붉은색을 주색조로 하는 면적이 더욱 커지

비슷한 색의 배색을 사용하는 것은 거리의 색채가 잘 어

게 되어 80%정도까지 차지하게 된다(Xiang & Young,

울리게 하는 효과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단조로운 느낌을

2012).

주어 풍부한 색채감은 느낄 수가 없다.

위와 같은 내용을 통해 상하이거리의 주색조는 붉은색

색채의 원리에 따르면 한 가지 색과 그 색과 대비되는

이며 이들은 대체로 고명도와 고채도의 특성을 가지고

색상은 서로 보색이 되어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하네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스 이튼은 ”서로 보색을 이루게 하는 규칙은 색채가 알맞 은 구도를 이루도록 하는 기초이다. 왜냐하면 이 규칙은 시각적으로 하나의 정확한 평행을 만들기 때문이다.” 라

5.1. 상하이 거리의 색채 특징

고 말하였다. 따라서 적절하게 보색을 활용하는 것은 색

5.1.1. 주색채: 붉은색

채 조합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든다. 붉은색, 노란

조사 및 분석을 통한 결과에 의하면 상하이 거리의 주

색 그리고 주황색의 보색은 초록색, 보라색 그리고 파란

색조는 붉은색이다. 붉은색은 중국의 가장 대표적인

색이다. 하지만 상하이 거리에서는 일부 가로수의 나무

색채이며 전 세계의 차이나타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

가 주는 초록색을 제외하고는 보라색과 파란색은 거의

하는 색채이다. 따라서 상하이 거리의 대표적인 건축

사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보색의 사용이 극히 제한적임

물과 거리 전체에서 붉은색을 사용한 것이다. 하지만

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한 분석에 따르면 상하이 거리 안에서의 붉 은색 사용은 아래와 같은 두 가지 현상이 존재한다.

5.1.3. 강조색: 상점 간판의 색채

(1)주색조가 통일 되어있지 않다는 점이다. ‘상하이 문’과 ‘동화문’에서 사용한 주색조인 붉은색은 중명도와

상하이 거리의 모든 색채 중에서 상점 간판에서 사용

중채도이다. 하지만 상하이거리의 다른 건축물이 사용한

한 붉은색과 노란색은 명도와 채도가 가장 높은 색채이

붉은색은 대체로 고명도와 고채도이다. 주색조의 통일성

다. 이런 색채는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색채

에서 보면 비록 상하이거리의 주색조가 붉은색이나, 대

의 밝음을 통해 직접적으로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효과

표적인 건축물의 붉은색과 거리 안 건축물의 붉은색이

를 만들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하이 거리의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주색조인 붉은색은 통일되어 있지

모든 상점 간판이 색깔, 형태, 재질 면에서 모두 획일적

않음을 알 수 있다.

으로 똑같은 형식을 취하게 됨으로써 효과가 반감되었다

(2)색채로 느껴지는 느낌이 다르다는 점이다. ‘상하

고 볼 수 있다. 이런 색채의 사용이 비록 상하이 거리의

이문’과 ‘동화문’의 색표현은 전반적으로 짙은 색 계열의

상점 간판이 통일성을 보여주지만, 중국 문화의 특징 표

붉은색으로서 위엄있고 소박하고 고풍스러운 전통적인

현과 강조라는 측면에서는 부정적이다.

중국적 역사와 문화의 감성을 전달해준다. 반면 다른 건 축물의 색채표현은 대체로 보다 밝은 계열의 붉은색으로

115


24 - 2017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vol.31 no.2

거리의 색채를 완성시켜야 한다. (4) 상점 간판의 색채

5.1.4. 거리 색채의 미완성 상하이거리는 두 개의 특별한 구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초록색, 파란색, 보라색을 더하는 방법을 통하여 색

부산시 화교 초등학교와 중국 삼국 문화담장 모두 중국

채를 풍부하고 다양하게 하여 단조로움을 피한다. (5)

적인 색채의 조합을 사용하여 완성도가 뛰어나다. 하지

상하이 거리의 색채 표현은 축제 기간에 가장 강렬하지

만 상하이거리의 엔드존(end zone)인 거리 끝자락에 있

만, 여행지로서 상하이 거리의 색채는 부산 현지의 특색

는 회색 건축물들로 인해 거리 구역을 잘 파악할 수 없거

이 부족하다.(6)상하이 거리의 색채의 문화적인 문제

나 거리의 경계를 잘 알아낼 수 없다. 이러한 부분은 상

에 대하여 현재 구체적인 실행 방법을 위한 기초 연구가

하이거리의 색채의 미완성에 의해 생겨난 문제점으로 지

필요하다. 상하이 거리의 색채가 나타내는 문화성은 상하이 거리

적할 수 있다.

의 미래 발전 방향과 결합시켜야 하며 전문적이고 더욱 깊은 조사와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5.2. 상하이 거리 색채의 문제점

이상 본 연구는 부산 상하이거리 색채의 특징을 정리

이상 상하이거리의 다양한 색채의 조사결과 다음

분석하고, 현존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색채 개선 방안

5가지의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1)상징적 건축

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미래 상하이거리 색채 개선에

물인 “상하이문”의 색채 느낌과 거리의 전체적인 색채

대한 기초적인 참고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분위기는 동일하지 않다. (2)거리 색채는 단순하며 따뜻한 붉은색, 노란색, 주황색만 사용하였고 그에 상

References

응하는 보색이 부족하다. (3)거리의 색채가 일관성 있게 표현되어있지 않고 특히 상하이거리의 서쪽 끝

1. Song,

영역의 색채는 회색을 띄고 있어서 거리의 경계가 불

J.(1999).

Color

Design

in

France.

CHN:Shanghai People's Fine Arts Publishing House. 2. Xiang, H.P. & Young, J.K. (2012). A Analysis on the

분명한 문제를 낳았다. (4)상점 간판의 색채가 단조 롭다. (5)상하이 거리의 색채는 중국 전통 색채가

Characteristics

아니다.(“상하이문”과 ”동화문”은 포함하지 않는다).

Reappearance Technique of Landscape Image in the Chinatown of Shanghai street in Busan. Journal of the

따라서 색채가 전달하는 문화 또한 정통 중국 문화와

of

Landscape

Elements

and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다소 거리가 있다고 하겠다.

30(2),130-141. 3. Hu, Y. (2014). An Analysis of the preference Image of

6. Conclusions

Overseas Chinese on the Commercial streetscape in Chinatown S. Chinatown-Street

위에 열거한 5가지의 상하이거리의 색채 문제점에

korea and

-Focused on Gwangjin-go

Incheon Jayang

Dongil-ro-18 Stree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대한 색채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상하이 거리의 건축물 색채를 빨간색과 회색을 위주로

Han Yang University, Seoul, Korea. 4. Park, H.H. (2011). A study on the Reappearance

구성한다. 상하이 거리의 색채에 “상하이문”에서 사용

Technique of Landscape Image in Chinatown-Focusing

한 색채를 적절하게 보충함으로써, 대표적인 건축물과

on Shanghai Street in Busa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거리 사이에서 연속적인 색채를 통한 시각적인 느낌을

5. Ye, J.Y. (2012). Commercialization of the Landscape in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건축물 색채를 바꾸기 어려운

Incheon Chinatown of Korea.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상황이라면 공공시설과 상점 간판의 색채를 바꾸는 것 또한 동일한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2)거리 색 채를 충분히 고려하여 초록색, 파란색 그리고 보라색

[Received January 3, 2017.]

을 알맞게 더해야 한다. 그러면 거리의 색채가 더욱 풍

[1st Revised January 20, 2017.]

부해질 것이며 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색채와 서로 보

[2nd Revised February 6, 2017.]

색 관계를 형성하게 될 것이고, 거리 색채에 활력을 더할

[3rd Revised May 1, 2017.] [Accepted May 15, 2017.]

수 있다. (3)거리 서쪽 끝 부분에 있는 3개의 색채가 없는 회색 건물에 적절한 중국적 색채를 더하여 상하이

116


2017년 2학기 게재논문

117


118


범죄예방을 위한 화훼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loral Design for Crime Prevention 류 복 희 Ryu, Bok Hee 이 진 호* Lee, Jin Ho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중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도시재생, 셉테드, 화훼디자인 Major of Design Keyword: Urban Regeneration, CPTED, Floral Art and Design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Design of Collage, Dongseo University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화훼조형과 범죄예방 1. 화훼조형과 공공미술 1-1. 화훼조형의 정의 1-2. 공공미술로서 화훼 디자인 2. 범죄예방과 디자인 2-1. 범죄예방환경설계 2-2. 범죄예방과 디자인 3. 범죄예방 디자인 사례 및 방향 3-1. 유형별 사례 3-2. 문제점 및 해결방향 Ⅲ. 범죄예방을 위한 화훼디자인 의 활용 1. 디자인 전략 1-1. 조사 결과 2. 디자인 요소 도출 2-1. 대상지역 환경색채 분석 3. 범죄예방을 위한 화훼 디자인 적용 3-1. 가림막 팬스 3-2. 건물 간 방범장벽 3-3. 접근 제한용 차단장벽

ABSTRACT There have been more concerns regarding the safety of society due to the increased crimes against children and women. The local governments started introducing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 (CPTED) plan to prevent crimes. Local governments have been trying to improve the environment to reduce crimes since there is the limitation to preventing crimes through technology such as CCTV cameras and lights. This research studied about crime prevention systems around residential area and trying to find a better way of crime prevention system within the system they already exist. After researching the patterns of current crime prevention plans, they used emotion to prevent crimes as well as technology upgrades. Most CPTED areas are in slums where graffiti improves its look. This can lead to a vague characteristic of the area. This study shows that floral sculptures can be used to prevent crimes due to its cultural values. In conclusion, the use of floral sculptures can make an area look more beautiful with the creation of green areas, and reduce anxiety which can lead to prevention of crimes.

국문초록 최근에 여성과 아동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범죄의 증가 추세로 인해 안 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커지면서 도시계획에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 설계(CPTED)를 도입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어나고 있다. CCTV나 조명 설치 등의 기계적 범죄예방 대책만으로는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범죄에 대응하 기 어려워, 환경을 개선하여 범죄 발생을 줄이기 위한 시도가 활발하다. 본 연구는 최근 주택가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 개선 사례를 조사ㆍ분석하여 CPTED기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현 재 설치된 범죄예방을 위한 시설들의 유형을 분류한 결과, 기존의 기계적 방 범시설의 성능개선과 함께 감성적인 방법을 이용해 활용도를 높인 사례도 다 수 파악되었다. 또한 CPTED 대상 지역은 주로 낙후된 주택가로서 환경 개선 을 위해 벽화를 그린 곳이 많아, 지역 고유의 정체성이 분명하지 않은 문제점 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화훼조형물이 조형미술로서의 문화적 가치에서 확장하여 범죄예방을 위한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즉 화훼를 활 용한 콘텐츠는 녹지공간을 조성하게 되고, 이는 시각적으로 아름답고 물리적 으로 친근하며,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줄여 활력을 되찾는 도시재생전략이 될 뿐만 아니라 범죄예방설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 였다.

Ⅳ. 결론 참고문헌

119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개발사업이 상업화 논리를 앞세워 추진되면 개발에서 소외된 지역은 부동산 가치가 하락하 고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짐으로써 지역은 활기를 잃어 거주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주민이 떠나간 주택가는 폐공가가 늘고 슬럼화 하여 범죄의 온상이 될 개연성이 높아진다. 최근 여성과 아동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증가추세이며, 범죄발생률도 OECD국 가 평균보다 높아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계획 시 안전에 대한 대 책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CCTV나 조명 설치, 방범활동 등의 범죄예방 대책만으로는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범죄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어, 도시계획이나 건축설계 과정에서 범죄발생의 개연성이 높은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범죄 발생을 감소시키는 개념, 즉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인 셉테드(CPTED :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를 도입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 어나고 있다. 국내에서 CPTED는 주로 주택가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2011년 대 검찰청의 범죄분석 자료 중 국내 범죄발생 장소별 빈도 조사에서 나타난 전체 범죄 발생 건 수의 60~ 70%가 주택가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통계와 무관하지 않다. 국내의 CPTED 적용 유형을 조사ㆍ분석한 결과, 방범장비 및 시설 등 물리적 요소와 공간의 환 경 미화와 같은 감성적 요소로 대별할 수 있었는데, 이들 사례에서 인공적인 부분을 순화하고 거주민의 정서성을 배려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시설물 들이 방범의 기능에만 충실하다보면 물리적인 힘과 권위적인 감정이 강하게 부각되어, 자칫 그 시 설물이 생활의 일부가 되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감정을 피폐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전제로 화훼(花 卉)를 대안으로 하는 적용방법을 검토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훼조형물이 범죄예방을 위한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화훼가 조형미술 로서 문화적 가치로부터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화훼디자인을 도시재생의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면 공공미술로서 공익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설 하에 화훼조형물의 가치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화훼조형이 범죄예방의 목적으로 활용된 사례나 선행연구를 찾았으나, 공공미 술로서의 가치에 대한 연구 밖에는 찾을 수 없었다. 공공미술의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단지 전시 목적이 아닌 공공의 이익을 위해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이 산업화, 탈도시화의 여파로 활기를 잃어가는 도시의 일 부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자 도시재생사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범죄예방정책과 문화정 책을 동시에 추진하면서 나타난 사례를 살펴보고, 그 유형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화훼를 공익의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Ⅱ장에서 화훼조형이 공공미술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의를 살펴보고, 공익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근거에 대해 논한 다음, 최근 도시재생사업에서 나타난 범죄예방환경설계에서 디자인 적용 사례를 열거하고 이들의 형식에서 보이는 문제점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최근 시행된 범죄예방환경디자인사업 대상지를 샘플지역으로 선정하여, 연구자의 화훼조형작품 및 참고작품을 범죄예방의 목적으로 적용함을 시뮬레이션 해보았다. 다만, 본 연구 에서의 범위는 적용 가능성 검토단계까지만 한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실제 현장 적용 및 검증을 시행할 공적, 행정적 절차가 필요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고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두었다. 끝으로 Ⅳ장에서 연구를 통해 발견된, 기존의 범죄예방을 위해 행해지는 방식들에서 간과되고 있는 부분을 종합하고, 이의 대안으로 화훼조형을 적용함에 따른 의의와 가치에 대해 논하였다.

120


Ⅱ. 화훼조형과 범죄예방 1. 화훼조형과 공공미술 1-1. 화훼조형의 정의 화훼란 본래 초본식물(草本植物)의 꽃을 의미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관상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모든 식물, 즉 초본식물 뿐만 아니라 화목(花木)과 정원수, 산야의 야생초, 때로는 일부 과수나 채소도 포함시킨 것으로, 관상식물(觀賞植物)이라고도 한다1). 화훼조형(花卉造形, Botanical Sculpture)이란 꽃과 관상용 식물을 주소재로 활용하여 때와 장소, 상황, 목적에 따라서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하거나 설치하고 유지, 관리하는 행위로 생활 속의 종 합예술을 말한다2). 화훼조형이 다른 예술 장르와의 차이점은 생명체인 식물을 그 대상으로 하여 자연 속에 필연 적으로 존재하는 1차원‘시간’이라는 요소가 더해지게 된다. 본질상 시간을 내포함으로써 생명 력의 변화과정과 시간의 유한성을 지니고, 또한 유한성을 초월하기도 하므로 자연의 4차원을 표 현하는 시공간 예술이라 할 수 있다3). 즉 화훼조형은 자연물을 매개로 하는 공간예술로서 예술적 속성과 디자인적 속성을 동시에 지 닌 조형의 형식이며, 시간의 유한한 범주 내에서 이루어지는 창작행위로 요약할 수 있다.

1-2. 공공미술로서 화훼디자인 공공미술(公共美術, public art)이란 용어는 존 윌렛(John Willett)이 1967년『도시 속의 미술 (Art in a City)』이라는 책에서 처음 사용하였는데, 이는 미술을 전시장 밖에까지 확대시키기 위 한 방안으로, 혹은 전시장 예술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4). 공공미술은 일반적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되거나 전시된 작품 또는 공공영역 속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미술 행위 및 활동으로 정의된다5). 화훼조형의 시각적 예술성과 화훼디자인의 주된 재료인 식물재료들은 여러 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동반한다. 화훼디자인의 외적인 아름다움은 사회를 아름답게 장식하여 미적인 감각을 증 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주된 재료인 식물들은 인간의 긴장감을 해소시켜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 어, 식물 특유의 미적 감각으로 생활환경을 아름답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다6). 공공미술이 역 사적으로 도시의 형성과 함께 시작되어 시대와 사회제도의 변화에 따라 가치를 달리하며 열린 영역에서 공공적 가치를 확장해 온 것과 같이 화훼조형도 공간을 장식하여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는 심미적 기능 외에도 생물학적으로 인간 심리에 작용하여 정서를 함양하고, 감각적 자극을 통한 치료적 기능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영역을 갖고 있다. 또한 환경학적으로는 공간의 차폐나 상징성을 부여함으로써 건축적인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광합성에 의한 공기정화, 전자파 차단, 열 흡수, 방음효과 등 대기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까지 갖고 있어 근래에 들어 도시환경에 매우 중 요한 순기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생활환경에 선택적 요소가 아닌 필수적 요소로서, 화훼조형의 공익적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 류복희 외,『화훼장식기사』, 도서출판 인아, 2011, p.12. 2) 류복희 외, 앞의 책, p.152. 3) 윤숙병,「화예설치미술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6, p.17. 4) 박삼철,『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2006, p.116. 5) 김석,「현대 환경조각과 공공미술의 양가성에 관한 고찰」,『기초조형연구』, vol.12 No.6, 2011, p.89. 6) 서정호,「테이블 데커레이션 유형에 따른 화예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2003, p.56.

121


2. 범죄예방과 디자인 2-1. 범죄예방환경설계 범죄예방환경설계, 즉 셉테드의 이론적 기원은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s, 1916~2006)가 1961년 에 출간한『미국대도시의 죽음과 삶(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이라는 책에 서 안전한 도시에 대해 언급한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제이콥스는 이 책에서 낯선 사람들의 존재 자체가 안전한 자산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도시의 조건으로, 다음 3가지 주된 특질을 갖추어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 사이의 경계선이 명확해야 한다. 2) 거리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눈이 있어야 한다. 3) 보도에는 이용자들이 끊이지 않아야 한다7). 따라서 거리를 사람들로 가득 채우는 것이 안전하고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지름길이라며 자 연감시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이후 레이 제프리(C. Ray Jeffery)가 1971년에 도시설계와 범죄의 상관관계를 밝힌『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이라는 책 제목으로부터 CPTED라는 용어를 차용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PTED는 범죄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며 도시설계, 도시공학, 건축공학, 환경심리학, 조명기술, 조경기술, 공공디자인, 공업디자인, 범죄학, 범죄심리학, 환경범죄학, 범죄지리학, 보안관리학, 기 술표준 등 다양한 연관 학문들이 학제적으로 연합하여 도시 및 건축시설 공간에서 생활하는 인 간들이 실질적이고 심리적으로 안전하도록 계획, 설계, 그리고 관리하는 하나의 이론 및 학문 조 류(trend)라 할 수 있다8). 범죄 예방(prevention)이나 억제(deterrence) 측면에서 보면 CPTED는 잠재적 범죄인의 시각에 서 범죄행위의 위험(risk)/보상(rewards)에 대한 합리적 또는 준(quasi)합리적 계산에 따라 범죄의 상황적, 물리적 기회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팬스, 벤치, 식재(planting), 공공예술품 (public art)을 가시적(visible)이고 시각적(visual)인 공공시설 디자인으로 적용하고, 시설물 부지 주출입구와 건물의 개구부(문, 창호 등)에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침입 차단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서 피해의 취약성(vulnerability)을 완화하고 범죄를 방지하는 데 기여한다9). CPTED프로그램의 개념적 요지는 물리적이거나 인공적인 장벽 기술을 통해 범죄대상으로의 접 근을 어렵게 함으로써 물리적 환경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범죄사건을 감소시키는 행동효과를 양산하도록 조작 하는 것에 주로 초점을 맞춘다10). 결론적으로 CPTED프로그램은 다학제적 기반의 사회적 문제 해결 방법론이며, 프로그램의 전 개 과정에서 디자인은 다양한 형태로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2. 범죄예방과 디자인 인류역사에 있어서 문화ㆍ예술은 어떠한 형태로든 창조와 변화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문 화ㆍ예술의 향유는 삶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는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하나로 여겨져 왔다. 20세기 후반부터 문화ㆍ예술은 또 다른 형태로의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과거의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 화는 산업체계의 혼란과 도시환경의 피폐화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도시의 지속가능성 에 의문을 제기하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문제의 해결방안으로 문화ㆍ예술의 적극적인 활용이 대 7) 제인 제이콥스, 유강은 역,『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그린비출판사, 2010, pp.60-67. 8) 박현호,『범죄예방 환경설계 CPTED와 범죄과학』, 박영사, 2017, p.7. 9) 박현호, 앞의 책, pp.17-18. 10) Timothy D. Crowe, Revised by Lawrence J. Fennelly, 한국셉테드학회편찬위원회 역,『셉테드:범죄예방설계』, 기문당, 2016, pp.34-35.

122


두되면서, 문화ㆍ예술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11). 국내에서의 CPTED는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 및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찰력만으로는 범죄 를 유발하는 환경까지 제어하기에는 무리라는 판단에서 2005년도부터 도시재생사업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여기서 CPTED에 디자인을 도입하게 된 행정적 관점의 이유를 두 가지로 들 수 있다. 첫째, 도시재생에 문화와 예술을 입혀 도시의 경제적가치가 상승하는 이른바 컬처노믹스 (culturnomics) 전략으로 성공한 서구의 사례를 답습함으로써 실패에 따른 리스크를 줄일 수 있 다.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스페인 바스크지방의 쇠퇴한 공업도시 빌바오를 매력적인 도시로 되살린 구겐하임미술관(Guggenheim Bilbao Museum), 영국 런던의 폐화력발전소를 세계 최 대 규모의 현대미술관으로 탈바꿈시킨 테이트 모던(Tate Modern)과 뉴타운 개발의 성공사 례로 런던의 도크랜드(Dockland), 쇠락한 도시 전체를 문화도시로 재개발하여 건축 및 디자 인 도시로 거듭난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Glasgow)를 들 수 있다. 이 모든 사례의 공통점은 도시의 중심 코드로 문화를 핵심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디자인을 활용하는 방식이 타 개발방식과 비교했을 때 투자비용 대비 효과가 뚜 렷하고 신속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지역 활성화사업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주거 및 도로정 비, 쌈지공원 등 휴게ㆍ편의시설 조성, 공공건축물 리모델링, 역사적 경관 보전ㆍ복원 등의 물리적인 형태가 있고, 축제나 국제행사 등의 이벤트 또는 다양한 테마로 도시에 새로운 활 력을 불어 넣는 무형의 지역특화사업이 있다. 최근의 도시재생사업에서 문화ㆍ예술적 자원을 매개로하여 도시브랜드화로 발전을 추구 하 는 경향을 흔하게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술에서 출발하여 기능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디자인의 특성에 착안하게 되었고, 문화언어로서의 디자인을 공공의 기능으로 영역을 확장함으 로써 범죄 예방을 위한 하나의 솔루션으로서의 역할에 기대를 갖게 된 것이라 볼 수 있다.

3. 범죄예방 디자인 사례 및 방향 3-1. 유형별 사례 3-1-1. 벽화 벽화의 기원은 후기 구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주술적 의미를 포함한 하나의 기록 형태로 서 인류역사상 가장 오랜 문화ㆍ예술의 장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벽화가 최근 각 지자체가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면서 특정한 장소의 물리적 환경개선 을 함에 있어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경쟁적으로 도입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벽화를 테마로 한 마을까지 조성하며 정기적인 축제도 개최하고 있다. 국내의 대표적인 벽화마을로는〔사진 1〕~〔사진 4〕와 같이 통영의 동피랑마을, 부산의 감천 문화마을 등 4곳 외에도 서울 홍제동개미마을, 종로구 이화동벽화마을, 전주 자만벽화마을을 비 롯한 전국에 300여 곳의 벽화마을이 존재한다. 우리나라의 도시 벽화는 1980년대부터 국내 정치적 문제로 인한 자발적 학생운동과 민중작가 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2006년부터 등장한 벽화마을은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문예 진흥기금, 복권기금과 같은 제도적 지원을 배경으로 본격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이 중에는 재능기 부로 발생한 사례들도 다수였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낙후된 마을에 생기를 불어넣어 밝고 환하 게 한 반면, 제각기 다른 주제와 마을의 정통성 및 존재와는 상관이 없는 벽화가 생겨나기도 하여, 마을 정체성의 혼돈 또는 부재를 가져왔다12). 11) 주정민, 서준교, 이효원,『문화도시의 도시재생과 문화콘텐츠 –글래스고, 빌바오, 도크랜드-』, 전남대학교출판부, 2005, p.25. 12) 성영아, 변민주,「벽화마을의 보존과 계승을 위한 정체성 구현에 관한 연구」,『한국과학예술포럼』, vol.14, 2016, p.244.

123


〔사진 1〕경남 통영 동피랑마을

〔사진 2〕부산 감천문화마을13)

〔사진 3〕태백시 상장동 탄광이야기마을

〔사진 4〕청주 수암골 벽화마을14)

문제는 이러한 배경으로 시작된 벽화마을의 영향을 받아,〔사진 5〕,〔사진 6〕과 같이 지역 공동화로 인해 감시나 관리 부재 등으로 강력사건이 발생했던 곳이나 지역이 낙후되어 방범취약 지역이 된 곳의 경관을 개선하기 위해 평면공간을 벽화로 채우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언론에서 CPTED를 적용한 지역에서 범죄발생률이 감소했다고 보도하고 있으나, 벽 화가 범죄발생률 저감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음을 연구한 자료는 찾을 수 없었다.

〔사진 6〕서울 강동구 천호동15)

〔사진 5〕부산 사상구 덕포동

CPTED요소로서 벽화를 다루고 있는 연구 중에서 진은미의 연구16)에서는, 벽화는 CPTED요소 13) 사진1~2, 한국일보, 2015, http://www.hankookilbo.com/v/506e7e6277cd4fbab34ba3324a4be20c 14) 사진 3~4, Outdoor News, 2016, http://www.outdoo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31 15) 사진 5~6, 월간중앙, 2017,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7109 16) 진은미, 김장석, 유예나,「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에 있어서 환경시설물 디자인의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기초조형 학연구』, vol.17, No.3, 2016, p.548.

124


로서의 기능보다 경관적 측면에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김부치의 연구17)에 따르면, 범죄를 예방하고 관광객을 증대시켜 경제를 살리고자 했던 이러한 마을 만들기는 여러 문제점들 을 생성하고 주민들이 오히려 삶의 터전을 떠나거나 범죄자가 되어버리는 상황까지 발생한 것이 라고 적시하고 있다. 한편 도시경관요소로서 벽화를 다루고 있는 연구 중에는 도시경관의 이미지 및 색채와 연계시 키고, 통일성을 유지하며 사후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한 연구18)도 있었다. 따라서 벽화를 CPTED요소로서 적용함에 있어 적절한지 여부와 주민의 삶에 있어서 어떤 의미 가 있는지 등을 공론화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3-1-2. 쉘터(Shelter) 평소에는 동네 주민들의 쉼터로서 커뮤니티공간으로 이용되며 야간에는 방범초소가 되어 위급 상황 발생 시 대피소 역할을 겸한다.

〔사진 7〕서울 동대문구 회기동 안녕마을 쉼터

〔사진 8〕수원시 장안구 방범초소갤러리19)

쉘터의 문제점으로는 범인을 피해 대피하고자 했으나, 범인이 따라 들어올 것 같다는 우려가 많았고(75%), 오히려 쉘터가 범행장소로 악용될 수 있다(15%)는 조사결과20)가 있어 방범시설 설계 시 안전 확보를 위한 많은 고려와 치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3-1-3. 사인, 유도표시, 기타

〔사진 9〕안심귀가 유도사인

〔사진 10〕주민의 감시가 가능한 투시형 팬스21)

17) 김부치,「CPTED기반 벽화마을의 효용성에 관한 인과지도 구축 연구」,『한국과학예술포럼』, vol.26, 2016, p.48. 18) 이소리,「국내ㆍ외 도시벽화의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벽화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한양대학교, 2016, pp.113-116. 19) 중앙일보, 2016, http://news.joins.com/article/20912527 20) 진은미, 김장석, 유예나, 앞의 논문, p.549. 21) 사진 9~10, 도봉구청공식블로그, 2017, http://blog.naver.com/happydobong/220669220721

125


밤길 귀가를 돕기 위해 도로나 계단에 안전지대(safe zone)까지 형광색 유도라인 도색 또는 유 도사인을 설치하는 사례〔사진 9〕가 있으며, 투시형 담장(fence)은 시야를 가리지 않아 거리를 주민들의 자연감시가 용이하도록 한다〔사진 10〕. 골목길 등 취약지역에 인체감지 센서로 작동 하는 경고 조명(Intractive Lighting Massage System)을 설치하는 곳도 증가추세이다〔사진 11〕. 〔사진 12〕는 휴대전화의 보편화로 사용성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공중전화 부스의 기능을 확 장한 형태로 유사시 쉘터로서의 기능을 부여한 스트리트 퍼니처(street furniture)이다.

〔사진 11〕인터랙티브 라이팅 메시지시스템22)

〔사진 12〕여성안전지킴이 전화부스23)

이 외에도 SOS비상벨, 코너볼록거울, 위치번호판 등이 대표적인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시설물 로 조사되었다. 범죄예방디자인연구정보센터의 자료에 의하면 서울 염리동 등 전국의 범죄예방시범마을로 지 정된 곳에서 사업을 시행한 후 주민의식조사를 한 결과, 범죄 불안감은 감소한 반면 마을에 대한 애착심은 증가함으로써 환경개선사업이 범죄예방의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3-2. 문제점 및 해결방향 범죄예방시범마을의 사례에서 나타난 CPTED기반 환경시설물들은 자연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측면에서 CPTED의 2대 핵심원리와 3가지 접근방법이 혼재되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접근통제

감시/관찰

(Access control)

(Surveillance)

자연적

인적/조직적

▶출입감시인

인적/조직적

▶RFID

기계적

▶영역성 확보

▶경찰 순찰

▶USN

기계적

▶창문

자연적

▶출동대응

▶출입차단기

▶팬스/관목

▶출동대응

▶CCTV

▶가로배치

〔그림 1〕CPTED의 2대 핵심원리와 3가지 접근방법24) 22) WIKITREE, 2014,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92363 23) 네이버캐스트, 생활을 바꾸는 디자인, 201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9450&cid=58791&categoryId=58791 24) 박현호, 앞의 책, p.41

126


CPTED의 개념에 대한 논의에서 CCTV, 비상벨, 볼록거울과 같이 물리적환경개선을 1세대 CPTED로, 지역 커뮤니티를 통한 사회적 유대, 공동체 의식 고양으로 범죄통제를 유도하는 단계 를 2세대 CPTED로 구분한다. 이에 반해 CPTED에 친환경 디지털 하이테크 솔루션(예: 방범기능 을 하는 다용도 친환경 공공시설물이나 안전감을 높여주는 공공장소의 인터랙티브 공공미술)을 적용하는 것이 3세대 CPTED이다25). 3세대 CPTED는 IC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연 결된다는 개념으로서 지금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한 보안시설들은 근시일 내 ICT기술과 결합 한 형태로 발전할 수밖에 없어, 페인팅에 의존하는 벽화나 평면 사인류도 어떤 형태로든 진화가 불가피 할 것이다. 이에 CPTED의 핵심원리와 접근방법인 감시와 접근통제, 영역성 확보라는 프 레임으로 판단할 때 벽화와 같은 평면 요소로는 기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어 대안이 요구된 다.

Ⅲ. 범죄예방을 위한 화훼디자인 활용 화훼디자인이 범죄예방을 위한 하나의 솔루션이 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화훼조형물 적용을 시뮬레이션 해보기기로 하고 샘플지역을 선정하였다. 지역은 2015년에 부산광역시가 추진 한‘부산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사업’대상지 4곳을 샘플로 하였다. 샘플은 편의상 각 A, B, C, D지역으로 칭하기로 한다.

1. 디자인 전략 대상지역 4개소는 주거환경 낙후지역이라는 공통성과 지역별 특수성에 맞춘 디자인으로 기존 방식과 차별화를 도모하였다. CCTV 등 물리적 범죄예방 시설이‘적극적 범죄예방 기술’이라면, 화훼조형은‘개선적 주 거환경품질 향상설계’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주민에게 정서적 안심감을 부여하는 결과물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지역의 환경디자인 개선을 통한 범죄를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디자인솔루 션을 도출하기 위해 조사 분석이 필요함에 따라 2차례 서베이(survey)를 실시하였다. 인문지리학 및 문화인류학 관점의 조사는 관할 주민센터와 현지 주민과의 인터뷰 및 관찰 조사(fieldwork)를 하였고, 범죄사회학 관점의 조사는 관할 경찰지구대 방문 후 인터뷰로 진 행하여 분석한 후 최종 결론을 도출하였다. 문제 인식을 위한 지역 환경을 파악하여 솔루션을 도출하는 프로세스는〔그림 2〕와 같다.

범죄사회학적 조사 분석 집단과 사회 환경이 범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사

관할지구대 인터뷰 및 관찰조사 범죄 예방 목적에 부합하는 환경디자인 솔루션 도출

문화인류학적 조사 분석 대상 환경에서 드러나지 않고 내재된 문제 파악

현지 주민 인터뷰 및 관찰조사

〔그림 2〕지역 환경 파악과 솔루션 도출 프로세스

25) 박현호, 앞의 책, pp.42-44.

127


조사는 2017년 6월 2일부터 6월 11일까지 10일 소요되었고, 1차 조사와 2차 조사로 나눠 2회 실시 하였다. 1차 조사는 범죄사회학 관점의 조사로서, 지역의 치안을 담당하고 있는 경찰지구대를 방문하 여 인터뷰조사 및 지역 관찰조사를 병행하였다. 2차 조사는 인문지리학 및 문화인류학 관점의 조사 로서, 거주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하고 있는 안전ㆍ안심에 관한 인식과 불안요소 및 개선 요구사항 등을 청취하였다. 대상지역의 인문지리적 특성을 조망하고, 에스노그래피(ethnography) 관점에서 거주 민들의 생활상을 체감하기 위해 도보답사로 이루어졌다. 특히 2차 조사 시에는 주간 및 심야의 범죄 취약시간대로 나누어 현장의 주민 인터뷰와 관찰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A

지역B 주택밀집/슬럼화지역

주민의 주 이동로

주택밀집/슬럼화/ 범죄취약지역 신고다발구역

지역C 지역D 절도다발, 무질서구역

범죄취약지역

〔사진 13〕조사 대상 지역 범위

1-1. 조사 결과 〔표 1〕대상지역 환경 특성 및 범죄 유형 종합

지역별 세대 수

지역A

622세대

지역B

500세대

지역C

380세대

지역D

501세대

지역・지구

주거환경개선지구, 일반상업지역, 방화지구, 준주거・근린상업지역, 주거환경정비구역

지역A

경사가 급하고 좁은 골목길과 옹벽 및 계단길로 구성. 1인 가구 증가와 폐공가(廢空家)로 인해 범죄발생 가능성 상존.

지역B

정책이주지, 공단과 시장 쇠퇴, 노령화로 주거환경 낙후지역(폐공가, 좁 은 직선형 골목길 다수로 방향 인지 어려움), 서민보호 치안강화구역.

지역C

철로변이며 노후건축물 비율이 높고, 막다른 골목길 다수로 범죄발생 우려 높아 범죄예방과 화재예방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

지역D

초중고교의 통학로로서 안심통학 보장 필요, 문화재(고성, 박물관)와 연접한 개발제한구역

지역 특성

128


공통 방범시설

가로등, 비상벨, 보안등, CCTV(쓰레기 무단투기 감시 겸용)

공통 취약지역

공터, 놀이터, 폐공가, 미로형 골목과 건물 사이, 어두운 지선골목.

생활고로 인한 주취 소란, 학교 주변 학생 흡연, 갈취 등이 주요 민원, 주택 연접으로 공통 범죄유형 옥상 이동 연쇄절도 발생, 저소득층 주거지역으로 재산 표적 범죄나 강력사건보다 주간 빈집털이 좀도둑, 심야시간대 오토바이 날치기 및 노인 범죄도 빈발.

2. 디자인 요소 도출 화훼조형물을 CPTED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적 근거로서 컬러와 함께 건축적 기능, 심리 적 기능을 주요 공공 기능으로 볼 수 있다. 이 3가지 기능은 CPTED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여러 융합학문 중 하나인 범죄심리학에 맥락이 닿아 있다고 판단됨에 따라, 대상지역의 인 문지리학(human geography)적 현장관찰조사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적으로 고려해야 할 3대 요소로서 환경색채, 디자인 규모,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2-1. 대상지역 환경색채 분석 대상지역을 포함, 부산은 1960년대 정부 경제개발계획에 따라 슬레이트 사용이 급증하였 고,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확산에 따라 석면슬레이트 제품으로 대체되어 슬레이트 지붕은 당시 건축물의 43.61%를 차지했다. 슬레이트 지붕은 대상지역 중 C지역이 가장 높고, 4개 대상지역의 색채분포는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D C B A

〔그림 3〕대상지역 환경색채분석 종합

대상지역은 1970-80년대 개발 붐 당시 전국적으로 사용된 슬레이트, 석면재질과 외관 자재 로 사용된 컬러가 전반적으로 유사하며, Grey, 적벽돌, 슬레이트 지붕 컬러 톤을 기본으로 황 색, 그린, 핑크 계열 컬러가 보편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색채의 차별

129


요소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고유 컬러가 가지는 맥락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주변 신축 건물의 컬러를 고려한 색채를 기본으로 하는 화훼디자인 방향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1) 환경디자인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일차원적이고 다양한 색채보다 컬러를 제한함으 로써 지역 특성을 살린 이미지 구축이 필요하다. 2) 대상 지역과 유사한 Tone, Hue의 컬러군으로 이미지를 통일한다. 3) 화훼조형물의 컬러, 볼륨(volume), 매스(mass)를 범죄심리 저지요소로 활용한다.

3. 범죄예방을 위한 화훼디자인 적용 화훼조형물의 규모와 범위가 확장되면서 장식적인 목적 외에 다양한 환경문제 및 사회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공적 목적을 수행하기에 이르렀다. 화훼조형의 종류 중 공간장식(Raumschmuck) 목적으로 제작하는 부류는 CPTED에서 범죄의지를 완화, 저지시킬 목적으로 적용하는 물리적 시 설, 환경조형물들과 대체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대상지역을 지리경제학적 환경과 문화인류학적 환경의 프레임으로 분석하면 직접적 범죄예 방 솔루션이 필요한 지점과 지역 재생을 통한 상권 활성화로 인구유입이 늘어나 슬럼화 예방 과 범죄 감소효과가 기대되는 지점이 있었다. 치안관계자들과의 인터뷰에서는 CCTV가 현재 가장 유용한 범죄예방시스템이라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러한 CCTV가 주거환경의 정서적 품질 을 향상시키지는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접적이며 강력한 범죄예방 솔루션이 필요한 지 점보다 지역재생을 통해 슬럼화를 예방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는 간접적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지점에 범위를 한정하여, 화훼조형물을 범죄 예방 목적의 시설물로 대체 또는 보완함으 로써 주거환경품질 향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WiFi 무선 전송기반의 고해상도 블랙박스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개념도

적용 시설

가림막 팬스

접근 제한용 장벽

방범시스템 예시

태양광모듈 사양 - 용량 : 120W~200W - 에너지관리공단 인증모듈 사용 - 20년 80% 성능 보증

기존 보안등 교체용 LED램프 - 용량 : 30W/45W/54W/60W - 기존 보안등 교체 시 50%~70% 에너지 절감

등주 - 설계풍속: 45m/sec - sus재질

Pan/Tilt기능 내장 Full HD 블랙박스 - LED램프 내장 - 인체감지형 적외선센서 내장 - WiFi,GPS, 마이크, 경고용 스피커 내장 - 130°고화질 광각렌즈 - 압축방식: 비디오 H.264/오디오 AAC-LC - 200만 화소 CMOS센서(1,920x1,050) - 내장 메모리 64GB(FD15프레임 기준 34시간) - 사용온도: -30°~ 70°C - 소비전력: DC12V, Max. 5W

컨트롤러 - 무보수 밀폐형 배터리 - Li-ion 배터리팩 - 부조일수(不照日數) 3일 이상 지원

컨트롤러 & 배터리

건물 간

LED 방범등

솔라셀

방범장벽 인체감지형 적외선 센서

저조도 Full HD 블랙박스

태양광 충전방식의 무선적외선 빔 감지센서 (ZigBee or RFID로 녹화신호 전송)

〔그림 4〕화훼조형물과 결합하여 방범효과 강화를 위한 방범시스템 사양

130


위한 주요 대상물로 가림막 팬스, 건물 간 방범장벽, 접근 제한을 위한 차단장벽 등 3가지로 선정하였다. 이들 시설물의 특징은 주로 장벽에 의한 차단 목적인 바, 수직방향(verticality)의 넓은 면 적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화훼조형 디자인 원리의 기본형에 해당하는 평면구성 중에서도 직 선구성과 매스구성 방식에 부합하고, 이를 모듈(module) 방식으로 제작한 후 적용환경에 따 라 병렬(parallel)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그림 4]는 화훼조형물 단독 설치하는 것보다 더욱 강력한 방범효과가 요구되는 곳에는 기계적 인 방범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양을 나타낸 것이다.

3-1. 가림막 팬스 대상지역 현황 조사에서 폐공가는 2가지 관점에서 관리가 필요한 대상임을 인지하였다. 첫 째, 폐공가는 불량청소년, 노숙자 등이 출입함으로써 범죄가 싹틀 수 있는 개연성이 높다. 둘 쨰, 주 민이 살고 있는 연접한 주택에 심리적 불안감을 줄 뿐 아니라, 동네 전체 이미지를 훼손한다. 이 는 조지 켈링(George Kelling)과 제임스 윌슨(James Wilson)가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하면 그 지 점을 중심으로 점차 범죄가 확산되어 간다는‘깨진 유리창이론(Broken Window theory)’과 사례 를 통해서도 널리 알려진 바 있다. 가림막 팬스는 흉물스런 폐공가를 시각적으로 차단하는 현실적 대안일 뿐 아니라 출입을 제한 해야 할 장소에 유용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조사지역에서의 실태는 출입금지 경 고문 부착이나 스틸 팬스 설치가 전부였다. 경고문 부착이나 미관을 이유로 공간 전체를 가린 팬스가 오히려 도시미관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대안으로는 화훼조형물로 팬스를 만드는 방법이다. [사진 14]의 예시와 같이 출입을 제한하는 목적으로 화훼조형물을 활용할 수 있다. 적용방법은 지주 프레임을 스틸 파이프로 제작하고

페공가

축대

131

공터


Type A

Type B

〔사진 14〕가림막 팬스로 대체 가능한 화훼 작품 예시(류복희/Rosalie Bock)26) 및 모듈 구조도

매쉬 팬스, CCTV, 적외선 감지센서, 블랙박스 등의 보안기기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방범 목적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자연물에 의한 친환경 접근 차단과 감시를 구현한 CPTED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조형물의 규격은 설치장소의 환경에 따라 출입차단만 필요한 경우 900W ✕1900H✕350D(A타입), 공간 전체를 래핑(wrapping)할 경우 2000W✕1800H✕1500D(B타입)의 두 가지 구조를 기본 모듈로 하되 병렬구성이 가능하게 하여 적용 범용성을 확보한다. A타 입 구조물은 강성확보를 위해 스틸 보드로 프레임을 만들고 화재(花材)의 지지를 위해 매쉬 팬스를 지지대로 사용한다. B타입은 90∅스틸 파이프 2개를 교차연결한 지주(pillar)를 3개 병렬연결하고 매쉬 팬스를 지지대로 결합한 구조를 기본 모듈로 한다. 방범효과를 위해 도 면 예시와 같이 파이프 1개씩은 각각 전방을 향해 45°각도를 유지하여 심리적으로 팬스의 접근을 어렵게 한다. 화훼소재는 알리움(Allium giganteum Regel), 부들(Typha orientalis C.Presl), 트리토마(Kniphofia uvaria)등을 사용하였다. 이 외에도 방크시아(Banksia burdettii Bak. f.), 프로테아(Protea speciosa), 마크로필라수국(Hydrangea macrophylla Ser.) 류는 드라이플라워가 가능해 제작 후 관리가 용이하 다. 분화로는 안슈리움(Anthurium andraeanum Linden), 델피니움(Delphinium grandiflorum L.), 클 레마티스(Clematis hybrida grandiflora Hort.) 등이 가능하고, 아킬레아(Achillea alpina L.), 헬레니 움(Helenium), 네펜데스(Nepenthes alata Blanco), 몬스테라(Monstera deliciosa) 류는 각각 꽃과 잎 이 아름다운 화재이고,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L.) DC.), 삼백초(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등의 야생화와 로즈제라늄(Pelargonium capitatum),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26) 방식, GFM, GBF,『Florist Meister 08』, 도서출판 화원, 2008 p.9, p.82.

132


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등의 허브종류와 매칭이 가능하다.

3-2. 건물 간 방범장벽

옥상 팬스

건물 경계가 없는 곳

미관상 나쁜 옥상 철조망

Type A

Type B

〔사진 15〕건물 간 방범장벽으로 대체 가능한 화훼 작품 예시(류복희/Alexandra Günther)27)및 모듈 구조도

133


대상지역은 단독/연립주택 밀집지역으로서 비단 조사지역 뿐 아니라 대부분 단독주택은 방범에 취약하며, 특히 건폐율을 적용한 건축법 시행 전에 건축된 단독주택은 건물 간 이격거리가 거의 없어 건물 간의 낮은 옥상이 범죄인의 이동통로가 되고 있으므로 차단시설이 필요한데, 대부분 팬스나 철조망으로 시공되어 주택가 미관을 해치는 요소가 되고 있다.〔그림 4〕의 무선적외선 빔 센서를 화훼조형물의 인체 무릎 높이(약 50Cm)의 위치에 결합 설치하면 경보기능에 의한 건 물 간 방범장벽화가 가능하다. 환경에 따라서는 매쉬 팬스, 블랙박스 등의 보안기기를 결합하 여 조형물을 제작하면 강화된 목적 달성이 가능하며, 자연물에 의한 친환경 접근 차단과 감시 를 구현한 CPTED가 될것으로 판단된다. 조형물의 규격은 옥상 간 차단 용도로 900W✕ 700H✕300D(A타입), 건물 간 경계로 사용할 경우 2000W✕1800H✕1600D(B타입)의 두 가지 구조를 기본 모듈로 하되 병렬구성 및 높낮이 가변식으로 하여 적용성 확장이 가능하다. A 타입 구조물은 강성확보를 위해 스틸 프레임에 우드 보드를 결합한 후 방범침을 적용하고, 화재(花材)의 지지를 위해 매쉬 팬스를 지지대로 사용한다. B타입은 각재 원목기둥 2개를 교 차연결한 지주(pillar)를 3개 병렬연결하고 매쉬 팬스를 지지대로 결합한 구조를 기본 모듈로 한다. 우드보드 및 각재는 방부처리해야 하며, 재활용 건축자재도 무방하다. 방범효과를 위 해 도면 예시와 같이 파이프 1개씩은 각각 전방을 향해 45°각도를 유지하여 심리적으로 팬 스의 접근을 어렵게 한다. 화훼소재는 알리움(Allium giganteum Regel), 줄맨드라미(Amaranthus caudatus L.), 글라디올러스 (Gladiolus gandavensis Van Houtte)등을 사용하였다. 이 외에도 3-1.의 가림막 팬스에 적용한 화재도 가능하며, 골든볼(Craspedia globosa),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 수수(Sorghum bicolor) 류는 드라이플라워가 가능해 제작 후 관리가 용이하다. 분화로는 루드베키아(Rudbeckia hirta L.), 백일홍 (Zinnia violacea Cav.)등이 가능하고, 금계국(Coreopsis drummondii), 데이지(Bellis perennis L.), 프테 리스고사리(Pteris multifida Poiret), 필로덴드론(Philodendron) 류는 각각 꽃과 잎이 아름다운 화재이 고,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 L.), 문주란(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Baker) 등의 야생화와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범의꼬리(Polygonum bistorta),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등의 허브종류와 매칭이 가능하다. 건물 간 방범대책 또한 화훼조형물이 감성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자연물을 소 재로 하는 화훼조형물의 특성상 어떤 건물에도 위화감 없이 자연의 일부로서 융합될 수 있다. 즉 조형물의 높이와 밀도만으로도 방범기능을 수행하지만, 높이가 낮은 곳은 연구자 작품의 예시에 서 원형점선 표시와 같이 방범침 등으로 혼합된 화훼조형물을 설치하면 미관을 해치치 않으면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3-3. 접근 제한용 차단장벽

골목에 개방된 현관

잡초로 덮인 통학로

27) 방식, GFM, GBF, 앞의 책, p.29, p.91.

134

주택가 빈 공간(dead space)


Type A

Type B

〔사진 16〕접근 제한을 위한 장벽으로 대체 가능한 화훼 작품 예시(류복희/Alexandra Günther)28)및 모듈 구조도

공적/사적 공간의 구획을 위한 접근 제한 장치는 CPTED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설계지침이다. 기존의 방식은 주로 스틸 팬스이거나 다수가 방치되어 있었다. 조사지역은 대부분 도시계획에 의해 체계적으로 조성된 지역이 아니어서 공적공간과 사적공간 의 구분이 모호하여 관리가 쉽지 않아 방치된 공간이 많았다. 이러한 공간은 미관상 좋지 않았 28) 방식, GFM, GBF, 앞의 책, p.29, p.91.

135


고, 프라이버시 확보가 어렵고 범죄심리를 유발할 개연성이 높아 개선이 시급하게 인식되었다. 이곳 또한 스틸 팬스의 대안으로서, 예시의 화훼조형물과 같이 사적공간임을 밝히는 표식 (warning sign)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메인 프레임을 스틸 보드로 제작하고 매쉬 팬스, 적외선 감지센서, 블랙박스 등의 보안기기를 결합하여 조형물을 제작하면 차단과 제한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으며, 자연물에 의한 친환경 접근 차단과 감시를 구현한 CPTED가 될것으로 판단된 다. 조형물의 규격은 낮은 울타리나 오픈형 현관 구조의 접근 제한 용도로 900W✕1800H✕ 350D(A타입), 비교적 넓고 개방된 공간의 경계로 사용할 경우 900W✕2200H✕550D(B타입)의 두 가지 구조를 기본 모듈로 하되 병렬구성 및 높낮이 가변식으로 하여 적용성 확장이 가능 하다. A,B타입 공히 구조물은 강성확보를 위해 스틸 보드를 박스형태로 제작 후 화재(花材) 의 지지를 위해 매쉬 팬스를 지지대로 사용한다. 본 구조물은 매스에 의한 심리적 위압감으 로 팬스의 접근을 어렵게 한다. 화훼소재는 엄나무(Kalopanax pictus (THUNB.) NAKAI), 억새(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부들(Typha orientalis C.Presl)등을 사용하였다. 이 외에도 3-1., 3-2.의 가림막 팬 스와 방범장벽에 적용한 화재도 가능하며, 목화(Gossypium indicum), 알리움(Allium giganteum Regel), 조(Setaria italica) 류는 드라이플라워가 가능해 제작 후 관리가 용이하다. 분화로는 거베라(Gerbera),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L.)등이 가능하고, 천인국(Gaillardia pulchella Foug.),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L..), 알로카시아(Alocasia amazonica Andr'e), 싱고니움(Syngonium podophyllum Schott) 류는 각각 꽃과 잎이 아름다운 화재이고, 큰까치수염(Lysimachia clethroides Duby), 용담(Gentiana scabra Bunge) 등의 야생화와 미역취(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몬스테라(Monstera deliciosa), 시계초 (Passiflora incarnata) 등의 허브종류와 매칭이 가능하다.

Ⅳ. 결론 인간은 누구나 높은 수준의 행복지수나 쾌적지수를 추구한다. 근래 들어 쾌적한 도시의 기본적 조건은 깨끗한 환경과 함께 범죄 등 위험요인으로부터 얼마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느냐가 관 건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지자체가 쾌적한 도시를 지향하고자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범죄예방환경디자인 개념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CCTV, 차단장치 설치와 같이 범죄예방을 위한 물리적 환경개선이 1세대 CPTED라면 주민이 참여함으로써 소통과 유대가 강화된 2세대 CPTED에서 친환경과 ICT기술이 관여하는 3세대 CPTED로 발전할 것이라는 예측에 근거해보면, 지금의 보안장비나 시스템은 이미 3세대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지금의 CPTED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한 ICT기술 과 완벽한 연동이 이루어질 환경에서는 현 수준의 벽화와 같은 평면조형만으로는 제 기능을 못 함은 물론 미래 환경에서의 인간 정서에도 부합하지 못할 것으로 예견된다.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시설물들이 방범의 기능에만 충실하다보면 물리적인 힘과 권위적인 외관 이 강하게 부각되어, 자칫 그 시설물과 생활의 일부가 되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감정을 피폐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전제 하에, 화훼조형이 조형미술로서의 문화적 가치에서 확장하여 범죄예방을 위한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로부터 출발한 본 연구는〔사진 14〕,〔사진 15〕, 〔사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훼조형의 공익적 확장성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결과, 자연물을 소재로 하는 화훼조형의 특성상 어떤 건물이나 환경에도 위화감 없이 자연의 일 부로서 융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조형물의 높이와 밀도만으로도 충분히 접근 차단에 의한 방범기능을 수행하지만, 설치 환경에 따라서는 주재료인 화훼와 스틸 파이프나 스틸 보드 등을 보조재료로 하고, 기계적 보안기기인 CCTV, 적외선 감지 센서, 블랙박스와 결합한 조형구 조물을 제작하면 미관을 해치치 않으면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화 훼조형물을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에 적용했을 때 획일적이고 위화감을 주는 콘텐츠가 아닌 인간정서에 가장 부합하는 자연스러운 경관을 연출하는 솔루션이 될 수 있음을 밝힌 것에 본 연 구의 의의가 있다.

136


다만, 본 연구 단계의 범위는 적용 가능성 검토를 위한 시뮬레이션까지만 진행하였으므로, 실 제 현장 적용에 따른 효과의 검증은 후속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다. 도시재생이 지역성과 공간적 맥락을 배제한 채 실적 지표나 상업화 논리에 귀결된다면 공공성 을 상실함으로써 주민의 삶과 헛돌게 되어 주거환경의 품격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화훼를 활 용한 콘텐츠는 녹지공간을 조성하게 되고, 이는 시각적으로 아름답고 물리적으로 친근하며, 심리적 으로 불안감을 줄여 활력을 되찾는 도시재생전략이 될 뿐만 아니라 범죄예방설계의 새로운 패러다 임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문제의 핵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내재 된 정보를 읽어내야 하고, 전체적 맥락에서 인과관계를 조명하여 다른 차원의 패러다임으로 접근하되, 인간을 중심에 둔 정책만이 공감을 얻을 수 있고 지속가능한 디자인 철학임을 밝 히고자 하였다.

137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홍,『마을의 재발견』, 올림, 2014. 김민수 외,『도시 공간의 이미지와 상상력』, 메이데이, 2010. 김인, 박수진,『도시해석』, 푸른길, 2006. 김정민, 왕경희,『플로럴컬러디자인』, 일진사, 2009. 류복희 외,『화훼장식기사』, 도서출판 인아, 2011. 문화도시네트워크,『우리가 만드는 문화도시』, 산지니, 2010. 박현호,『범죄예방환경설계 CPTED와 범죄과학』, 박영사, 2017. 방식, GFM, GBF,『Florist Meister 08』, 도서출판 화원, 2008 하순혜, 韓國花材植物圖鑑, 도서출판 광진, 1998 조철옥,『새 범죄심리학』, 21세기사, 2011. 주정민, 서준교, 이효원,『문화도시의 도시재생과 문화콘텐츠 –글래스고, 빌바오, 도크랜드-』,전 남대학교출판부, 2005. 진영효 외,『상인들의 도시이야기』, 국토연구원, 2012. 제인 제이콥스, 유강은 역,『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그린비출판사, 2010. 찰스 랜드리, 최지영 역,『크리에이티브 시티 메이킹』, 역사넷, 2009. 한국화훼장식학회,『화훼장식학』, 부민문화사, 2010. P. D. Smith, 엄성수 역, 『도시의 탄생」, 옥당, 2015. Timothy D. Crowe, Revised by Lawrence J. Fennelly, 한국셉테드학회편찬위원회 역,『셉테드 : 범죄예방설계』, 기문당, 2016.

논문⋅학술지 김부치,「CPTED기반 벽화마을의 효용성에 관한 인과지도 구축연구」,『한국과학예술포럼』, vol.26, 2016. 김석,「현대 환경조각과 공공미술의 양가성에 관한 고찰」,『기초조형연구』, vol.12 No.6, 2011. 김주연, 이미림, 권양숙,「도시 공간에서의 인간과 공공미술의 유기적 관계 연구 –시카고 공 공미술 작품 사례 중심으로-」,『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3, 2010. 정호,「테이블 데커레이션 유형에 따른 화예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2003 성영아, 변민주,「벽화마을의 보존과 계승을 위한 정체성 구현에 관한 연구」,『한국과학예 술포럼』, vol.14, 2016, 윤수진,「공공미술로서 화훼조형 설치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5. 윤수진, 이재규,「공공미술로서 화훼조형 설치에 관한 연구 –현대미술에 나타난 화훼작품을 중심으로-」,『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3, 2014. 윤숙병,「화예설치미술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6. 이소리,「국내ㆍ외 도시벽화의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벽화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한양대학교, 2016. 이슬기,「공공미술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변화 및 도시공간 속 장르의 변화양상 고찰 –뉴욕의 사례를 중심으로-」,『미술사학보』, vol.39, 2012. 조명래,「문화적 도시재생과 공공성의 회복 –한국적 도시재생에 관한 비판적 성찰-」,『한국공 간환경학회지』, vol21 No.3, 2011. 정현숙, 「예술로서의 화예와 화훼디자인의 접근방법 차이에 관한 연구 –디자인 프로세스와 예술창작 프로세스의 비교를 중심으로-」,『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vol.14, 2006. 진은미, 김장석, 유예나,「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에 있어서 환경시설물 디자인의 문제점 분석에 관

138


한 연구」,『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2016. Huimin Wang, Taiho Kang,「The Improvement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Regeneration Region in Urban Areas Through the Public Art – Based on the Revitalize Case of the Gamcheon Culture Village in Busa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ol.14, 2016. Thorpe, A., & Gamman, L. (2013). Walking with Park: Exploring the‘reframing’and integration of CPTED principles in neighbourhood regeneration in Seoul, South Korea. Crime Prevention and Community Safety, 15(3), 207-222.

웹사이트 http://www.cpted.or.kr http://www.cpted.kr/?r=home http://www.hankookilbo.com/v/506e7e6277cd4fbab34ba3324a4be20c http://www.outdoo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31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7109 http://blog.naver.com/happydobong/220669220721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9236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9450&cid=58791&categoryId=58791 http://news.joins.com/article/20912527

139


140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Vol. 50. 2017. pp. 1

http://dx.doi.org/10.18555/kicpd.2016.44.1

새로운 공공미술로서의 화훼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Floral Design as a New Public Art

목차 1. 서론

4. 공공미술로서 화훼디자인의 가치

2. 공공미술과 도시환경

5. 결론

3. 화훼디자인의 개념 및 효과

참고문헌

Abstract While each local autonomous government is promoting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by improving the look of environmental scriptural and wall paintings, it may consequently disregard the unique view of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is can result in urban areas looking similar everywhere. The study began by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flower formation as a paradigm changer. It explored the use of flowers as an alternative to an object oriented to human art. We studied the concepts, researched trends and roles of public art, analyzed characteristics of a flower, and figured out the significance of floral art as a public art. Not included in the category of public ar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of floral composition. However, the public is exploring this by proposing empirical methods to approach public art in a new way. The research metho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and floral composition focusing on the nature of public art and floral design. It has utilized the process of experimental methodology for presenting alternative methods. Until now, public art has been mainly seeking to promote symbolism by installing paintings and landscapes in public places and most recently attempting to capitalize on urban brands as a means of expressing urban culture. However, urban environments lack access to areas for public art due to landscaping, gardening and street design.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the public propose a new approach to the creation of public art, drawing upon six utilities. They believe that this will result in a paradigm shift regarding the perception and style of public art. Keyword / Public Art, Floral Design, Paradigm Changer

141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국문요약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도시환경개선사업을 추진하면서 환경조형물이나 벽화 등으로 미관을 개선하는 사례를 빈번히 볼 수 있으나, 역사성이나 장소성, 지역 고유의 정서를 대표하는 변별적 특성을 살리지 못함으로써 어디를 가든 획일적 풍 경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인류의 역사에서 이미 공공미술로서 인류와 가까웠던 화훼(花卉)가 오브제 위주의 기존 공 공미술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화훼디자인이 패러다임 체인저(paradigm changer)가 될 수 있 는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먼저, 공공미술의 개념과 경향 및 역할을 살펴보고 화훼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로서 갖는 의의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공공미술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화훼디자 인의 어떠한 특성이 공공미술로서 가치가 있는지를 논한 다음, 공공미술에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는 실험적 방법을 제안 함으로써 본 연구의 독자성을 확보하였다. 연구방법은 공공미술과 화훼디자인의 특성 및 공공성 등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 하고, 대안 제시를 위해 실험적 방법론의 프로세스를 구조화 하였다. 지금까지의 공공미술은 주로 벽화나 환경조형물을 공 공장소에 설치하여 상징성과 지역성을 추구해왔고, 최근에는 도시에 문화를 입히는 수단으로 활용하여 도시브랜드화를 시 도하는 양상으로까지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환경은 조경이나 원예, 스트리트퍼니처 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화훼디자인 이 공공미술의 영역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연구자는 대중이 공공미술의 창작활동에 참여하는 새로운 접 근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이 방식을 통해 여섯 가지 효용을 도출하여 이를 근거로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의 패러다임 체인 저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중심어 / 공공미술, 화훼디자인, 패러다임 체인저

1. 서론

로 인해 역사성이나 장소성, 지역 고유의 정서를 대 표하는 변별적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어디를 가든

1.1. 연구배경 및 목적

획일화 된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인류의 역사에서 종교의식과 장식의 목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산업화로 경제규모가 성장하

적으로 사용됨으로서 이미 공공미술로서 인류와 가

면서 급격한 도시화가 이루어지고 각 도시는 상업화

까웠던 화훼(花卉)가 오브제 위주의 기존 공공미술

논리의 개발로 인해 집적과 과밀화함에 따라 삶의

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질 향상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었다. 여기에 세계경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로서 패러다임 체인저(para-

제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도시들은 경제침체에 빠

digm changer)가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

지게 되어 도시경쟁력을 회복하고자 도시재생에 관

다.

심을 두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도시개발정책에 문 화라고 하는 코드를 전략적으로 도입하게 되었고,

1.2. 연구범위 및 방법

북미대륙과 유럽을 중심으로 예술을 도시재생의 중 현대는 국가 간의 경쟁으로부터 도시 간에 경쟁하

심축으로 삼아 이른바 문화도시(cultural city)를 추 구하고 있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핵심 가치로 삼을 도시의 상

최근 우리나라의 각 지방자치단체들도 단기간에

징성과 정체성이 필요해졌다. 이의 한 방안으로 이

도시화함에 따라 서구의 도시들이 앞서 경험한 문제

른바 문화도시를 지향하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에 직면하게 되었고, 비균형적 도시개발로 인해 발

예술이 공공성을 띠고 대중 앞으로 다가서게 되었다.

생한 부작용들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도시환경개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공공미술의 개념과 경향

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환경조형물이

및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 화훼디자인의 특성을

나 벽화 등으로 미관을 개선하는 사례를 빈번히 볼

분석한 다음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로서 가지는 의

수 있으나, 지역과 무관한 외부의 주관적인 개입으

의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공공미술의 범

142


새로운 공공미술로서의 화훼디자인 연구

주에 포함되지 않는 화훼디자인의 어떠한 특성이 공

보지 않고 사회적⋅문화적⋅정치적 소통의 공간으로

공미술로서 가치가 있는지, 화훼디자인 고유의 독자

간주하며, 그런 의미에 맞는 작품으로 지역공동체와

가치를 논한 다음, 공공미술에 새로운 방식으로 접

관람객의 참여, 일시적 작업 등을 제안한다.”3)라고

근하는 실험적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본 연구의 독자

정의되어 있어 최근의 공공미술은 그 범위가 매우

성을 확보하였다.

확장된 개념으로 취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이

연구방법은 공공미술과 화훼디자인의 특성 및 공

순, 문혜영4)에 따르면, 공공미술은 대체로 공적공간

공성 등 선행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한 문헌 고찰을

에 설치된 오브제 중심이었으나, 최근 들어 참여와

통해 분석하고, 대안 제시를 위해 실험적 방법론의

소통이 중요해짐에 따라 공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프로세스를 구조화 하였다.

퍼포먼스나 시위까지를 공공미술로 간주하기도 한다 고 하였다. 정철현, 박윤조5)는 지금까지 공공미술정 책에서 중요한 것은 예술작품에 대한 전문가의 심미

2. 공공미술과 도시환경

적 관점이었다. 그러나 이제 공공미술은 일상적으로 대하는 대중들의 소통과 향유가 더 중요하다는 생각

2.1. 공공미술의 개념

을 하게 된다. 즉 공공미술을 공공장소에 설치된 도 시미관을 위한 미적 장식으로 보는 시각을 뛰어 넘

공공미술(公共美術, public art)이란 용어는 존 윌

어, 일상의 대중과 함께 참여하고 사회현안을 해결

렛(John Willett)이 1967년‘도시 속의 미술(Art in a

해 나가는 역할까지 감당하기를 바라는 것이라고 하

City)’이라는 책에서 처음 사용하였는데, 이는 미술

였다. 이러한 관점은 국내에서 공공미술이 1920년대

을 전시장 밖에까지 확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혹

동상이나 모뉴먼트로 시작되어 80년대 ‘건축미술장

은 전시장 예술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

식법’ 도입으로 환경조형물이 대거 등장하였고, 이

다.1)

폐단을 극복하고자 수잔 레이시(Suzanne Lacy) 등

공공미술은 일반적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되거나 전

진보적 공공미술가에 의해 최근 오브제 중심의 미술

시된 작품 또는 공공영역 속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품보다 시민참여와 소통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장르

미술 행위 및 활동으로 정의 된다.2) 두산백과사전에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이 부각되면서 공

따르면, 대중에게 공개된 장소에 설치·전시되는 작품

공미술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으로서 장소에 결합하는 예술이라는 의미를 갖기도 하지만, 설치되는 장소는 대부분 도시이며, 조각⋅벽

2.2. 공공미술의 역할

화⋅스트리트퍼니처⋅포장작업(paving)⋅디자인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한다. 근래에는 기념 조형물의

근대 이전의 국내의 공공미술은 국가주도형의 형

형태를 뒤집어놓거나 날카로운 비판의식으로 공공

태로 공동체의 의식을 고취하거나, 건축물의 부수적

영역에 개입하는 경우도 늘고 있으며, 사회적 비판

인 장식의 일부로서의 단순한 형태를 의미하였다.

과 미술의 형식미가 절묘하게 만나 공공미술의 영역

그러나 시대적 흐름의 변화로 인하여 공공미술은 단

을 넓힌 경우도 있다. 즉, “전통적 공공미술이 공공

순한 기념 조형물의 형태에서 벗어나 주변 환경과

의 개념을 장소와 관련시켜 작품을 만들고 소통하는

상호작용을 하며 도시를 상징하게 되었다. 공공미술

데 반해, 새로운 공공미술은 장소를 물리적 장소로

을 통해 편안하고 쾌적한 도시를 만들어 시민의 삶

1) 박삼철. (2006).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p.116. 2) 김석. (2011). 현대 환경조각과 공공미술의 양가성에 관한 고찰. 기초조형연구. vol.12 No.6. p.89. 3) 서주환, 지소강. (2010). 환경 조각 작품에 미치는 주변 경관의 시각적 영향력 분석: Antony Gormley의 작품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vol.16. p.13. 4) 김이순, 문혜영. (2014). 이념을 위한 공공미술에서 공존을 위한 공공미술로: 한국 공공미술의 패러다임 변화. 예술과 미디어. vol.13(1). p.38. 5) 정철현, 박윤조. (2011). 우리나라 공공미술정책을 위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vol.50(2). p.83.

143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의 질을 높이고, 그 도시만이 지닌 매력을 극대화시

체의 통합에도 이바지해야 한다.”8)고 하였다. 그러

켜 도시의 부와 경쟁력을 창출하며 또한 도시의 기

므로 공공미술은 특정 시대의 산물로서 일반대중의

반 시설물에 미술이 개입하여 심미적으로 개선하는

정서에 개입하므로 사회인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

역할을 해야 한다.6)

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공공미술의 역할은 이데올

최근 설치미술작품인 슈즈트리(Shoes Tree)를 비

로기를 위한 상징적 존재의 의미로부터 공공건물의

롯하여 다수의 공공미술작품이 사회적 논란의 중심

미적 장식을 넘어 대중과 소통이 요구되는 새로운

이 된 사례는 외국에서도 예외가 없다. 리처드 세라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Richard Serra)의 기울어진 호(Tilted Arc)의 경우 처럼 작가의 예술적 심미성과 철학도 대중의 부정적

2.3. 공공미술의 확장

반응을 극복하지 못하면 존재이유를 상실한다는 교 국내에 공공미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시기는

훈을 주고 있어 지금은 공공미술이 일상에서 마주하 는 대중들과 소통이 중요함을 일깨워준다.

1980년대로 볼 수 있다. 이때 도시의 환경 개선을 통해 도시를 활성화 하고자 도시재생이 정책적으로 다루어졌으며, 건축물 미술장식 제도의 도입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금제가 시행된다. 이후 1986년 아 시안게임과 1988년 올림픽에 맞춰 도시 경관 개선을 위한 건축조례에서 건축물에 대한 미술장식품이 의 무사항이 되었다. 과거 도시 속의 공공미술이 기능적인 측면만을 표 현했다면 현재의 공공미술은 기능성, 예술성 그리고 실용성을 표현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과거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의 등장은 형식과 관념적 심미주의 에 빠져 피상적인 가치 중심에서 민중과 함께 소통 할 수 있는 현실을 반영하고자 민중예술이 시작되었 고, 현재는 기존의 공공미술이라는 영역 안에서 확

[사진 1] 리처드 세라. 기울어진 호7)

장된 형태로 재료, 공간, 예술적 매체의 유형, 관객, 관계 그리고 소통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다.9)

2.1.에서 거론한 바, 공공미술의 패러다임 변화가

공공미술의 변화와 확장에 있어 공공성에 대한 사

요구되는 관점의 중심에는 대중(大衆)이 있기 때문

고의 시작으로 미술과 대중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이다. 공공미술(public art)의 public이 대중을 의미

강조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하며 대중은 여론을 형성(public opinion)하는 주체

수잔 레이시(Suzanne Lacy)는 새로운 장르 예술

이므로 대중의 정서에 반하는 경우는 공공미술로서

은 특별히 회화, 조각, 필름이 아니라 서로 다른 종

의의를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류의 매체의 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설치,

박삼철에 의하면, “성공적인 공공미술은 예술에

퍼포먼스, 개념미술, 그리고 혼합매체 미술은 또한

대한 질적 요구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맥락

내용과 형식 둘 다에서 실험적인 것에 대한 포괄적

이나 설치장소와의 관계에서도 적절해야 하고 공동

인 용어인 이 새로운 장르 예술의 범주에 해당된

6) 오승희, 한영호. (2011). 변화와 확장을 통한 공공미술 사례분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5(5) No.15. p.76. 7) 1981년 뉴욕 맨해튼의 연방빌딩 광장에 설치한 36000W×3600H의 작품이었으나, 소재가 녹슨 강판이어서 미관이 좋지 않고, 광장을 가로 막음으로서 휴식공간이 사라지고 통행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http://art-nerd.com/newyork/ 8) 박삼철. (2006). Op. cit., p.239. 9) 오승희, 한영호. (2011). Op. cit., pp.78-79

144


새로운 공공미술로서의 화훼디자인 연구

다.10) 따라서 최근 공공영역에서 행해지는 미술의

않아도 꽃과 식물 그 자체로도 이미 완벽한 미적 요

형태는 비물질적, 비영구적, 이동성 등 다양한 유형

건을 갖추고 있어 작가의 역할은 본질을 훼손하지

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관객을 작가의 정신세계로

않고 인간의 가까운 곳에서 재현하는 역할을 하는

끌어들인다기보다 사람들과 함께 하는 작업을 통해

것이라 할 수 있다. 순수한 자연 상태의 화훼를 그대

내재하는 힘을 서로 나눔으로써 참여와 소통을 중시

로 옮기는 작업도 어렵지만, 거기에 다른 재료를 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용하여 새로운 조형미를 창조하는 작업은 더욱 고도 의 조형미적 감각이 요구된다. 그러기 때문에 화훼 디자인 작업은 어떤 조형미술보다 어려운 창조활동

3. 화훼디자인의 개념 및 효과

이라 할 수 있다.

3.1. 화훼디자인의 정의

3.2. 화훼디자인의 기능적 효과

화훼란 본래 초본식물(草本植物)의 꽃을 의미하지

화훼디자인은 ‘자연’ 속에서 존재하는 식물로부터

만, 넓은 의미로는 관상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모든

조형원리를 도출하여 예술작품으로 재창조하는 과정

식물, 즉 초본식물 뿐만 아니라 화목(花木)과 정원

이다. 사람들은 이 작품을 바라보면서 단지 예술적

수, 산야의 야생초, 때로는 일부 과수나 채소도 포함

감흥만 느끼게 되는 것이 아니라 식물이라는 소재가

시킨 것으로, 관상식물(觀賞植物)이라고도 한다.11)

주는 특성에 따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의 이

화훼장식(花卉裝飾)은 화훼식물을 주소재로 활용 하여 때(time)와 장소(place)와 경우 또는 목적

치와 조화를 깨닫게 되어 정서가 순화되고 인성이 발달하게 되는 것이다.

(occasion)에 따라서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하거나

식물로 구성된 환경은 인간의 정신적 능률과 쾌적

설치하고 유지, 관리하는 행위로 생활 속의 종합예

성, 안정성을 회복시키고 환각성이나 자극을 감소시

술을 말한다. 화훼장식은 디자인 요소와 디자인 원

킴으로써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인간이 본

리를 조화롭게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실내외 공간장

능적으로 녹색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반응을 가지고

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12)

있기 때문이다. 녹색은 인간이 가장 아늑하고 평온

화훼디자인이 다른 예술 장르와의 차이점은 생명

하게 느끼는 색이며 인간이 가시광선의 스펙트럼 중

체인 식물을 그 대상으로 하여 자연 속에 필연적으

에서 녹색에 가장 민감한 것도 특기할 만한 사실이

로 존재하는 1차원 ‘시간’이라는 요소가 더해지게 된

다. 이처럼 쾌적과 능률이 식물에 의해 적용되었을

다. 본질상 시간을 내포함으로써 생명력의 변화과정

때를 ‘녹색의 쾌적성(Green Amenity)’이라고 한

과 시간의 유한성을 지니고, 또한 유한성을 초월하

다.14) 그러므로 Green Amenity를 적용한 공간디자인의

기도 하므로 자연의 4차원을 표현하는 시공간 예술 이라 할 수 있다.13)

중요성은 현대 도시의 인공 환경으로 인해 균형을

즉 화훼디자인은 자연물을 매개로 하는 공간예술

잃은 자연환경의 영향력을 문화와 예술의 형식을 통

로서 예술적 속성과 디자인적 속성을 동시에 지닌

해 인간의 삶과 생활환경에서 회복시키는 것이다.

조형의 형식이며, 시간의 유한한 범주 내에서 이루

즉 기계적이고 인공성이 강한 도시인의 생활환경을

어지는 창작행위로 요약할 수 있다.

자연을 인식시키는 디자인 환경으로 구성함으로써

화훼디자인은 작가가 불필요하게 꾸미려고 하지

인간에 대한 자연의 영향력을 회복시키며 이러한 회 복은 다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왜곡된 행동과 영향

10) 11) 12) 13) 14)

수잔 레이시, 이명욱, 김인규 역. (2010).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 지형 그리기. 문학과학사. p.24. 류복희, 신순임, 이옥자, 임주연, 장정희, 정관숙...최정란. (2011). 화훼장식기사. 도서출판인아. p.12. 류복희, 신순임, 이옥자, 임주연, 장정희, 정관숙...최정란. (2011). Op. cit., p.152. 윤숙병. (2001). 화예설치미술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p.17. 손기철. (2002). 원예치료. 도서출판 서원. p.31.

145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력을 수정시킬 수 있다.15)

생리적인 유익을 제공하는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라

화훼디자인의 장식적인 효과는 단지 공간을 쾌적

할 수 있다.

하고 감성적으로 조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문화적 인 에너지가 풍부한 환경으로 변환시켜 인간의 삶의 수준을 고도화해준다.

4. 공공미술로서 화훼디자인의 가치

[그림 1]과 같이 화훼디자인 활동이 인간에게 직

4.1. 화훼디자인의 공익적 특성

접적으로 작용하는 치료적 효과에는 ① 원예활동에 의한 원예치료(horticultural therapy) 효과, ② 조형

화훼디자인은 작가가 이미 형태와 색상을 갖추고

표현에 의한 미술치료/미술심리치료(art therapy/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특정 식물의 자연적 현상을

art psychotherapy) 효과, ③ 후각계 반응에 의한 향

관찰한 후 한 시점에 개입하고 작가의 미적 감성을

기치료(aroma therapy) 효과, ④ 시각계 반응에 의

동원하여 조형물로 형상화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한 색채치료(color therapy) 효과, ⑤ 조형 창조행위

따라서 작가를 통해 완성 된다기보다, 작가의 손을

에 따른 물리적 운동과 자극에 의한 운동치료효과

떠나 설치되는 순간부터 새로운 조형이 시작되는 예

등이 있다. 이러한 효과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상

술이므로 석재나 목재, 금속이나 인공적 소재와 같

승된 의료적 치료(therapeutic) 효과로 이어져 결과

은 무생물 재료로 만든 오브제와는 성격을 달리한다.

적으로 우리의 삶의 가치와 기능을 높이게 된다.16)

화훼디자인의 시각적 예술성과 화훼디자인의 주된 재료인 식물재료들은 여러 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동반한다. 화훼디자인의 외적인 아름다움은 사회를

원예치료

미술심리/색채치료

⋅긴장완화/집중력 ⋅장애회복/완성감 ⋅기술습득

⋅긴장완화/집중력 ⋅장애회복/완성감 ⋅기술습득

아름답게 장식하여 미적인 감각을 증진시키는 역할 을 하고, 주된 재료인 식물들은 인간의 긴장감을 해 소시켜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어, 식물 특유의 미 적 감각으로 생활환경을 아름답게 만드는 역할을 하 고 있다.18)

⋅자신감/성취감/행복감 ⋅재활치료 ⋅감정통합/정서순화 ⋅정신기능회복/인지기능증가 ⋅인체기능 조절

이와 같이 화훼디자인은 공간을 장식하여 시각적 인 즐거움을 주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생물학적으 로 인간 심리에 작용하여 정서를 함양하고, 감각적 자극을 통한 치료적 기능이 있다. 또한 환경학적으

⋅의약적·병리적·최음효과 ⋅자연적치료/질병치료 ⋅방부·살균작용 향기치료

⋅혈액순환 ⋅신경,근육수축 이완 ⋅피로감 감소 ⋅퇴화방지 운동치료

[그림 1] 화예디자인에서 치료적 효과가 지닌 주요 내용17)

이러한 이유로 주변의 많은 실내외 건축물이나 이 벤트 등에서 식물이 있는 환경으로 공간연출을 하고

로는 공간의 차폐나 상징성을 부여함으로써 건축적 인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광합성에 의한 공기정화, 전자파 차단, 열 흡수, 방음효과 등 대기환경을 개선 하는 효과까지 갖고 있어 근래에 들어 도시환경에 매우 중요한 순기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 라서 인간의 생활환경에 선택적 요소가 아닌 필수적 요소로서, 화훼디자인의 공익적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있음을 알 수 있고, 화훼가 인간에게 심리적 안정과 15) 홍의택, 이정민. (2004). 화예디자인을 이용한 공간연출에서 Green Amenity의 역할과 적용유형에 관한 연구: 환경지각과 환경태도 형성에 대한 심리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10. p.290. 16) 진미자. (2001). 화예디자인이 지닌 정서성과 기능적 효과.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4(0). p.52. 17) 진미자. Op. cit., p.51. 18) 서정호. (2003). 테이블 데커레이션 유형에 따른 화예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p.56.

146


새로운 공공미술로서의 화훼디자인 연구

4.2. 공공미술로서 화훼디자인의 고유 가치

인애플과(Bromeliaceae)의 식물을 주재료로 사용하 였고, 강관(鋼管, steel pipe) 기둥(column)과 보

지금까지 화훼디자인은 창작행위나 접근방법 등에 서 독립적인 성격을 띤 조형예술로서 발전해왔다.

(beam) 구조의 골조(骨組, framework)를 만들어 개 선문을 상징하는 구조물이 완성되었다.

미학적, 철학적으로도 독립적인 소재를 사용하는 입 체조형으로서의 단순한 표현 양식을 넘어 정신세계 를 중시하는 예술로서 독자적이면서도 창조적인 프 로세스를 형성하게 되었다. 오승희, 한영호(2011)는 공공미술을 장소, 재료, 유형 등 3가지 특성으로 분류하였는데, 이 중 재료는 화훼디자인이 다른 공공미술과의 구분에서 가장 핵 심적인 차별적 요소라 할 수 있다. 화훼디자인의 특 성을 감상하는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찾는다면 이

화훼를 사용한 조형물이므로 작품의 좌측 공간에 는 별도의 휴게요소(rest facility)를 설치함으로써 앉 아 쉬면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상 자와의 거리를 최대한 좁혀 소재에서 시각, 청각, 후 각, 촉각을 체험(experience)하도록 함으로써 3.2.에 서 언급한 화훼디자인의 기능적 효과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작가의 예술적 세계로 대중을 끌어들여 대중과 소통하는 공공미술을 추구한 것이 다.

역시도 소재의 친근함, 편안함이 형성하는 녹색의 쾌적성 (Green Amenity)로서, 타 공공미술의 소재와 대비되는 요소이자 인간에게 주는 중요한 공익적 요 소이다. 화훼디자인은 예술성, 실용성, 상징성, 참여성 등 공공미술의 요소19)를 모두 충족하는 예술활동이며, 장소, 재료, 유형의 3가지 특성에도 모두 부합한다. 이에 대한 예로서, [사진 2]의 작품은 야외공원에 설 치한 작품 사례이다. 40만평 규모의 공공공간의 장 소적 특성상 실내공간에 설치하는 조형작품과는 달 리 화훼(재료), 건축, 조경, 디자인, 미술조형, 철학 등 다중척도(multicriteria)를 감안해야 함은 물론, 양 감(sense of mass), 색채, 리듬, 전시 주제 표현 등 일반적인 조형작업에서 요구되는 사항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작가는 타 조형작품에 못지않은 도전에 직면 하게 된다. 작품의 소재면에서는 금속이나 석재조형물처럼 단 일속성재료가 아닌 다양한 화훼 중에서 선별하되 그 시기에 생육하는 종(種)에 한정되며, 주제를 표현하 기 위해 미적 형상을 조형원리에 따라 구성하기 위 해서는 건축적 구조가 도입될 수도 있으므로 건축소 재가 필수적이다. [사진 2] 공원에 설치된 화훼디자인 작품20)

본 작품에 사용된 화훼 소재는 다래덩굴(Actinidia arguta PLANCH),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호접란(Phalaenopsis Cultiva), 구즈마니아 마그니피카(Guzmania × magnifica Hort.) 등의 파

이렇듯 화훼디자인은 주 소재인 화훼가 자연 속에 서 존재할 때와 예술작품으로서 재구성될 때 표출하

19) 김정주. (2010). 도시 외부공간의 공공미술 실태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p.12. 20) 류복희, 김선겸. (2013). 라데츠키행진곡(Radetzky Marsch). 코리아플라워디자인콘테스트 대상 수상작품. 렛츠런파크 부산경남

147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는 메시지가 달라지므로 예술적 행위로서 프로세스 적 요건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1차 조형 활동

2차 조형 활동

4.3. 공공미술로서 화훼디자인의 실험적 접근 1. 시간

앞에서 화훼디자인은 독자적 고유 가치를 갖고 있

화훼디자인 작품

화훼디자인 작품

어 여러 가지 측면에서 타 공공미술과 차별성이 있 음을 밝혔다. 화훼디자인이 갖는 고유 가치는 [그림 2]의 도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작가의 2차에 걸친 조형 활동으로 자연 상태의 화훼로부터 최소한 두

심미적

2. 관리에 의한

조형성

조형 참여

차례의 변화를 하게 된다. 즉 자연 상태의 화훼에 작 가의 1차 조형 활동으로 심미적 조형성을 갖춘 조형

1단계

2단계

3단계

물이 창작된다. 이 조형물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이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성장과 소멸에 이르는 라이 프 사이클을 거치면서 최초 설치된 시점과 물리적,

[그림 2] 화훼디자인의 가치 변화 프로세스

화학적인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2차 조형 활동 이 이루어지면 앞서 1차 완성된 화훼디자인 결과물 상태로부터 재차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겪으면서

2차 조형 활동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는 국면을 맞게 된다. [그림 3]은 2차 조형 활동에 관여하는 3가지 큰

1. 시간

주체와 이들 주체의 관여로 1차 조형 활동의 결과물 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가를 도해한 것이다. 2차

화훼디자인 작품

조형 활동이라 함은 생명의 유한성을 갖는 소재 특

2. 작가 3. 지역주민

성상 활성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급수나 화훼의 교환

화훼디자인 작품

또는 추가 보완작업을 의미한다. 여기서 시간의 흐 름에 따른 화훼디자인물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연현상으로서 인간의 관여에 의한 조형 활동의 범 주에서는 제외한다. 2차 조형 활동에는 작가가 재차 관여할 수도 있지만 작품의 감상자이자 관리자로서 1차 조형 활동 작품

지역 주민이 참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도 두

2차 조형 활동 작품

가지로 참여 형태가 가능한데, 오리지널 작가가 주 가 되어 참여 주민들을 가이던스 하면서 융합에 의 [그림 3] 실험적 접근에 의한 2차 조형 활동의 가치 변화

한 조형성을 도모하는 경우와 전적으로 지역주민이 주가 되어 조형 활동을 하는 경우이다. 만일 작가가 아닌 지역 주민이 조형 활동의 주체가 된다면 오리 지널 작가의 1차적 조형작업에서 발현된 미학적 관 점과 예술적 심미성에 일반 대중의 철학과 사상이 혼입되어, 오리지널 작가가 추구하는 2단계 작품과

이러한 예측 불가능한 의외성은 본 실험의 또 하 나의 의도된 미적 창작활동인 것이다. 물론 오리지 널 작가가 2차 조형 활동을 재개함으로써 1차 조형 물에서 발전된 결과물이나 변형을 시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3단계에 걸친 화훼디자인의 변화

는 별개의 형상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로비데스크에 설치되었다. 18000W×5000H×20000D

148


새로운 공공미술로서의 화훼디자인 연구

프로세스 중 가장 유의미한 단계는 2단계에서 3단계

조형 활동을 거치는 과정에서 누가 관여하는가에 따

로 넘어가는 과정이며, 조형 활동으로는 2차 조형 활

라 예상 밖의 양상으로 변화하는 것을 기대하고 관

동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어떠한 미술작품에서

찰하는 것은 또 다른 예술작품 감상의 묘미가 될 수

도 작가에 의해 완성되어 설치된 후 2차 조형 활동

있다.

이 일어나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이 부분을 새로

다섯째. 대중이 참여함으로써 다양한 미학, 철학뿐

운 장르의 진보적 공공미술 이론가들이 자신들의 철

만 아니라 개개인의 경험에 이르기까지 모든 관념체

학과 기존 작가들의 작품 활동을 이른바 ‘대화론

계의 융합에 의해 창작된 조형작품은 그 자체로도

(chat-them-up theory)’과 ‘던져놓기론(plunk th-

시대적 산물로서 역사적 가치를 갖는다.

eory)’으로 이분법적 구분을 하고 있으나, 양 가치관

여섯째,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가 되기도 하

에 대한 타당성 논의는 본 연구의 방향과 맞지 않아

는 공공미술이 지역과 무관한 외부의 주관적인 개

논외로 하더라도, 2차 조형 활동을 오픈한다는 실험

입으로 인해 장소성 등 지역 고유의 정서를 반영

적 접근은 지역 대중의 참여를 유도하고 조형 활동

하지 못하여 주민들과 괴리되는 부작용이 종종 발

의 자유도를 높임으로써 일방적인 미술이 아닌 상호

생하지만, 지역주민의 참여형으로 제작된 조형물은

작용이 있는, 최근의 공공미술에서 나타나는 사조에

대중과 소통이라는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부합하는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의 맥락과 연결고리를 갖게 됨으로써 작품에 주민의 애착이 형성되어 자발적 관리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나타난 공공미술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

5. 결론

면, 주로 회화나 조각 등을 공공미술의 형태로 공공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미술의 심미성을 지역에 접목

연구자는 화훼디자인이 식물이라는 자연물을 소재 로 이루어지는 창작행위이므로 인간은 제어할 수 없 는 생명력을 갖고 있는 바, 이 점이 오히려 감상자와 의 관계 속에서 무생물의 오브제와 달리 빛이나 감 상 위치에 따른 변화뿐만 아니라 조형물 자체가 시 간에 따라 라이프 사이클이 변화하는 특성을 갖고 있음에 착안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첫째, 화훼디자인은 소재가 가진 시간적 유한성이 창작활동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 히려 이 유한성으로 인해 작품의 한정적가치가 발생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모든 공공미술은 설치 못지않게 관리가 중 요한 바, 화훼디자인은 관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최초 설치상태와 달리 형상, 색채, 밀도 변화에 의한 양감의 변화 등 새로운 조형미가 발현될 수 있다. 셋째, 1차 조형 활동의 결과로 설치된 조형물에 일반 대중이 관리에 참여할 경우, 자연스럽게 2차, 3 차 융합형 리디자인이 이루어져 오리지널 작가가 의 도하지 못한 조형미를 경험할 수 있다. 넷째, 1차 조형 활동에 의해 설치된 조형물은 2차

하여 상징성과 지역성을 추구하였고, 최근에는 도시 에 문화를 입히는 수단으로 활용하여 도시브랜드화 를 시도하는 양상으로까지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환경정책에서 조경이나 원예를 활용하여 녹지를 조성한다든가, 분식물[pot(ted) plant, 盆植物]로 스 트리트퍼니처를 구성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화훼디자 인이 공공미술의 영역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 이다. 더욱이 공공미술이 최근 도시재생사업의 일환 으로 도입되어 지역 살리기나 마을 만들기의 콘텐츠 로 활용되고 있음을 볼 때, 공공미술이 더 이상 소외 된 지역의 환경미화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가 제안하는 공공미술에의 새 로운 접근방식을 통하여 추출한 여섯 가지 변별적 요소만으로도 기존 공공미술의 패러다임 바꿀 수 있 는 근거가 된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에 접근 하는 새로운 가치 모델의 제안단계에 초점을 맞추었 다. 따라서 논문에서 제시한 조형 활동에 의한 가치 변화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이나 실제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의 검증 및 보완 등은 후속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다.

149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REFERENCES 1. 박삼철. (2006).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p.116. 2. 김석. (2011). 현대 환경조각과 공공미술의 양가성에 관 한 고찰. 기초조형연구. vol.12 No.6. p.89. 3. 서주환, 지소강. (2010). 환경 조각 작품에 미치는 주변 경관의 시각적 영향력 분석: Antony Gormley의 작품 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vol.16. p.13. 4. 김이순, 문혜영. (2014). 이념을 위한 공공미술에서 공 존을 위한 공공미술로: 한국 공공미술의 패러다임 변 화. 예술과 미디어. vol.13(1). p.38. 5. 정철현, 박윤조. (2011). 우리나라 공공미술정책을 위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vol.50(2). p.83. 6. 오승희, 한영호. (2011). 변화와 확장을 통한 공공미술 사례분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5(5) No.15. p.76. 7. http://art-nerd.com/newyork/(2017.08.20.) 8. 수잔 레이시, 이명욱, 김인규 역. (2010).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 지형 그리기. 문학과학사. p.24. 9. 류복희, 신순임, 이옥자, 임주연, 장정희, 정관숙...최정 란. (2011). 화훼장식기사. 도서출판인아. p.12. 10. 윤숙병. (2001). 화예설치미술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p.17. 11. 손기철. (2002). 원예치료. 도서출판 서원. p.31. 12. 홍의택, 이정민. (2004). 화예디자인을 이용한 공간연 출에서 Green Amenity의 역할과 적용유형에 관한 연 구: 환경지각과 환경태도 형성에 대한 심리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10. p.290. 13. 진미자. (2001). 화예디자인이 지닌 정서성과 기능적 효과.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4(0). p.52. 14. 서정호. (2003). 테이블 데커레이션 유형에 따른 화예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p.56. 15. 김정주. (2010). 도시 외부공간의 공공미술 실태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p.12.

150


논문접수일 : 2016.12.20

심사일 : 2016.12.21

게재확정일 : 2017.01.21

중국 4대 연화(年畫)의 문신화(門神画) 연구 Research on Four representative Chinese New-Year Pictures - Focus on the Gate-God pictures -

주저자 : 왕 루 이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Rui Wang Department of Design, Graduate school in Dongseo University

교신저자 : 장 주 영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Juyoung Chang College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lsg100@gmail.com

151


1. 서 론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중국의 대 표적 연화인 4개 지역의 연화가 형성된 지리 환경적 특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성, 사회적 배경, 및 문화적 분위기 등에 대해 정리하였

1.2. 연구방법

다. 또한 4대 연화 특성의 비교를 위하여, 가장 대표적

2. 이론적 배경

이며 모든 지역에 통용된 문신화라는 주제를 정하였다.

2.1. 중국의 민간 연화 2.2. 문신(門神)화

3. 선행연구

그리하여 무문신과 문문신 연화의 조형적 특징을 비롯 하여 다양한 항목을 가지고 비교분석하여 각각의 공통 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연화의 현대디자인에 서의 가치와 활용가능성에 대해 탐구했다. 연구결과 문신화를 중심으로 4대 연화에 대한 비교분석

4. 4대 연화의 문신화

을 통해, 연화는 중국 각 지역의 문화정체성의 표현이며

4.1. 무문신 (武門神)

독특한 조형적 특징과 함께 다양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

4.1.1.천진 양류청(楊柳靑) 연화

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현대디자인에 활용할 많은 잠재

4.1.2.산동 양가부(楊家埠) 연화

력과 가치를 가지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라 하겠다.

4.1.3.소주 도화오(桃花塢) 연화

결론 연화의 창작 주체는 민간 예술인이다. 연화는 지역

4.1.4.사천 면죽(綿竹) 연화

의 독특한 문화 풍속을 담고 있고, 고유의 심미관을 반

4.2. 문문신 (文門神) 4.1.1.천진 양류청 연화

영한다. 연구를 통한 각 지역 연화의 예술적 문화적 의

4.1.2.산동 양가부 연화

발굴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

4.1.3.소주 도화오 연화

여 연화의 독특한 예술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새롭게 조

4.1.4.사천 면죽 연화

명해보았다는 점과 현대디자인에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

4.3. 4대 연화 문신화의 비교분석

미와 가치의 발견은 현대 디자인에 응용할 미래 가치를

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를 둔다.

4.3.1. 무문신화 4.3.2. 문문신화

주제어

4.3.3. 소결

4대 연화, 문화 특징, 조형 특징, 색채 특징

5. 결과 및 토의 5.1. 연화의 가치 5.2. 연화의 활용 가능성

6.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Background Chinese New Year picture is the thousand-year product of the folks. It ha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folks including their beliefs, customs and aesthetic. It is of great value to study it whether from its styling or from a further level as symbolism, culture and socialism. Though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Chinese New Year pi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most of which focus on the

논문요약 연구배경 중국의 민간 예술의 한 형태인 목판 연화는 민간에 의해 제작, 향유되며 오랜 역사적 과정을 거쳐 내려온 것으로 그 속에는 민간의 신앙, 풍속과 같은 문 화적 특성이 담겨져 있다. 근년에 와서 연화에 대한 연 구가 많아졌지만, 디자인 관점에서 저술된 논문을 보면 연화의 시각 디자인에의 응용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 다. 이들은 연화와 디자인의 접목에 대한 주관적인 연구 들이 주를 이루고, 세분화되거나 구체적인 방법으로 분 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고 중국의 대표적인 4 대 연화에 대한 비교분석은 거의 없으며 작품에 대해 각 항목을 나누어 분석한 연구는 더더욱 없다.

application of it from a certain region in graphic design, so these researches have strong regional features. And others discuss the combination of Chinese New Year picture and design. Most of the present theses discuss the question subjectively and in a macro way, and few of them analyze the question in detail. So far, there is almost no contrast analysis of the Four New Year Pictures, while the analysis of a certain type is much less. Methods First,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backgrounds and cultural atmosphere of the New Year pictures of the four regions in China are analyzed systematically through literature survey. Then, the styling

152

theory

and

other

perspectives

of

military


door-god-- Qin Qiong and Jing De and civil door-god--

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화의

kylin sending sons, the two representative ones of the

독특한 예술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연화의 문화적 의

four regions, a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미와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여, 현대디자인에 활용하

comparative analysis. Then the common points and

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현대디자인에 활

differences of the four regions’ pictures are found out

용가능성을 제안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to explore the value and the possibility of flexible

1.2. 연구방법

application of New Year Picture in modern design. Result Afte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yling of the Four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서 전통 연화의 특징을

New Year Pictures, it is concluded that the New Year

파악하고, 연화의 현대적 가치 및 활용 가능성을 찾

picture has the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sustenance, cultural

았다. 연화(年畵)는 가장 먼저 문신(門神)의 형식으로

wholeness, the technique of expression of symbolism and

나타나서 2천여 년의 변화를 거쳐 왔는데, 본 연구에

metaphor, colorful regional languages, and all these have

서는 문신화를 중심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4대 연화,

certain values in modern design.

즉 천진 양류청(楊柳靑) 목판연화, 산동

Conclusion The main subject in the creation of New Year

埠) 목판연화, 소주 도화오(桃花塢) 목판연화, 사천 면

painting is people, and New Year painting of different regions bears various customs and cultures, which reflects different aesthetic standard. Through the study on regional New Year paintings,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value of regional art have been discovered. It is extremely meaningful for modern people to utilize the future value. From this point of view, a variety of researches shall be continuously

양가부(楊家

죽(綿竹) 목판연화에 대해 문화적, 조형적 특징을 비 교분석하였다1). 이를 통해 네 지역의 문신화의 각각 의 특징과 이런 현상이 이루어지게 된 배경에 대해 깊이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대 디자인에 서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2. 이론적 배경

conducted on China’s centuries-old traditional New Year

2.1. 중국의 민간 연화

paintings before they disappear. Through this study, the New Year paintings has been rediscovered to have unique artistic value.

중국의 춘절(春節)은 정초에 집집마다 정원, 내실을 청소하고 조상을 공양하는 1년 중 가장 큰 명절이다. 또 이날에는 창문, 거실, 부엌 등 곳곳에 연화, 종이

Keyword Chinese New Year Painting, Cultural characteristics, Design Features, Color characteristics

로 만든 지마(紙馬)2), 춘련(春聯)3), 창화(窓花)4)등을 붙여 액댐을 하고 악귀를 물리치는 중요한 풍습이 있 다. 이로써 좋은 염원을 기원하고 경사스러운 분위기 를 조성할 뿐만 아니라 장식의 효과까지 얻게 한다. 연화는 “설”문화의 산물이어서 보통 연말 기간에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중국 고대 예술에서 대표적인 회화의 형식은 “중

붙인다. 처음에는 주로 악귀를 내 쫓는 염원을 담아 서 그 종류도 주로 문신화와 귀신을 공격하는 연화가 위주였다. 그러나 생활이 윤택해지고 생각이 변화함 에 따라 점점 소원과 장식적 기능의 연화가 파생되기

국화”와 “민간 연화", 두 종류가 있다. 중국화는 문 화 교양이 높은 문인들이 그린 것으로, 산수나 화조 의 내용을 그려서 벽에 장식 또는 감상을 하거나, 소 장가치가 높아서 후대에 물려주는 것이다. 이와는 달 리 민간 연화의 창작자는 민간 예술인이고, 재료의 질도 비교적 열악했고, 문화 수준도 높지 않았으며, 그것을 즐기는 대상도 일반 백성이었다. 새해를 준비 하며 행복한 소망을 염원하여 민간 예술인들이 자발 적으로 창작한 회화의 형식이다. 중국 연화는 민간에 서 그 독특한 예술적 풍모를 형성하였지만 지금은 쇠 퇴일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라져가는 전통 민간 화의 일종인 연화에서 대표적인 주제인 문신화를 중

1) 본 연구에서 분석을 진행한 연화의 선정은, 저명한 지방연화 연구가인 펑지차이(冯骥才)의 저서, <중국 목판화 집성>에서 각 지역의 대표작으로 소개된 작품들 중에서 문신화들만 선별 한 결과이다. 문신화라는 같은 소재의 연화를 선택하여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고, 이들 작품들을 각 지역의 대표성을 가진 작 품으로 간주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제사 때 태우는) 신상(神像)이 그려져있 는 종이, 또는 종이 로 만든 말(馬) 3) 간결하고 정교한 문자로 아름다운 형상을 묘사하고 소원을 비는 한족 특유의 문화 형식으로 설에 붙이는 것으로, 종이의 색깔이 빨간색이고 대문 문틀의 양 옆에 붙여 내용이 서로 대 응된다. 4) 창문에 붙은 전지(剪紙, 중국의 종이공예의 일종)를 말하고 중국 오래된 전통 민간 예술 중의 하나이다.

153


시작하였다. 전통 연화의 제작 방법은 지역에 따라

형 식 양/ 질 기 능 생 산 형 식

그 방법도 다양했는데 주로 손 그림, 목판 인쇄 혹은 양자를 결합하는 방법들이 있었다. 민국(民國) 시기에 와서 민국풍의 월분패(月份牌),5) 그리고 근대의 석판 인쇄, 오프셋 인쇄 연화 등의 영향으로 전통적인 방 법으로 제작한 연화는 점차 약화되어 대량으로 생산 되는 연화로 대체되었다. 이처럼 연화는 일반적으로 축복과 길상의 뜻을 담

내 용

고 있으며, 제재는 벽사(辟邪), 기복(祈福)의 문 신류(門神类), 좋은 소망을 기탁하는 신상(神像)류,

손으로 그림

목판화

수량이 적고 질이 높음

양이 많고 질이 떨어짐

감상과 소장용

실용적 판매를 위한 것

개인 창작 활동

대중적 판매를 위해 여러 장인들이 협업해서 생산

산수, 화조 등에 감정을 기대어 느끼는 것의 표현

보통 민간 활동, 세속, 신앙 등과 연관, 길상

2.2. 문신(門神)화

속세(世俗), 중국 전통극을 반영한 이야기류 및 단 순하게 집을 꾸미는데 쓰이는 장식류가 있다. 일반적

중국 최초의 문신화는 궁중 혹은 왕족 귀족의 문에

으로 연화는 해마다 바뀌며 보관하지 않고 사용 후

등장했다. 주공단(周公旦)의 <주례(周禮), 지관(地官),

버린다.

사씨(師氏)>의 기록에 따르면,“호문(虎門)의 왼쪽에

연화가 중국화와 다른 점으로서, 중국화는 늘 여백

자리를 하여 왕조를 관장한다.” 라고 쓰여 있다. 여

을 두는 방식으로 예술적 정취를 자아냈으나 연화는

기서 최초의 문신화는 궁 혹은 왕족의 문에 그린 호

그림 구조로 볼 때 크고 꽉 찬 느낌으로 설의 분위기

랑이에서 왔고 주로 권위를 상징하며 잡귀신의 침범

와 기쁨을 표현했다. 또한 중국화의 창작자들은 대부

을 막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나라에 와서 최

분 왕실 귀족이나 수양을 하는 문인들이었고 손으로

초로 문신화의 소재로서 신도(神荼)와 울루(鬱壘)라는

그림을 그렸다. 그들의 작품은 수량이 적고 질이 높

두 신(神)이 나타났다. 한나라 황제는 흉악한 귀신을

아 평소 감상과 소장용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연화

막기 위하여 문에 신도와 울루, 두 신(神)과 호랑이를

의 창작자들은 대부분 민간 예술가들로 설의 분위기

그려 평안을 기원하였다 한다.

를 표현하기 위하여 민간의 신앙 이야기나 전설 등을 주제로 제작한 복수로 찍어내는 목판화이기 때문에 양이 많고 질이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중국화는 인 간의 감정과 소양을 표현하는 개인 창작 활동이지만, 연화는 대중적 판매를 위해 여러 장인들이 협업해서 생산하는 방식이다. 한 폭의 연화 작품은 먼저 화공

[그림 1] 신도(神荼), 울루(鬱壘) 이미지6)

이 창작을 하거나 바탕을 그리면, 목판 조각사가 미

그러나 문신화의 소재도 점점 다양해지고 민간의

리 연마하고 잘 말려놓은 목판 위에 그림 바탕을 조

신앙도 자신의 소원 성취를 기원하는 것으로 바뀌었

각한다. 그리고 모든 색깔마다 한 개의 색판을 필요

고, 문신화의 역할도 귀신을 막는 것에서 상징적 의

로 하기에 한 폭의 연화는 적어도 서너 개, 많으면 6

미를 담고 있는 장식으로 변해갔다. 문신화는 초기

개의 목판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간을 절약하

대문에 붙여 액운을 막고 가정을 지키는 무문신(武門

기 위하여 한 가지 색판으로 몇 십 장을 찍은 다음,

神)에서 점점 발전하여 내실문, 내실 등에 상서로움을

다른 색판으로 바꾸어 전에 했던 종이에 다른 색을

상징하거나 소원을 비는 문문신(文門神)(및 동자)으로

찍어낸다.

바뀌었다. 무문신(武門神)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붙였 던 것은 진경과 위지공의 화상들이었는데 거의 모든

[표 1] 중국화와 연화의 특징 비교 구 성 창 작 자

지방에서 붙였다. 문문신(文門神)은 각 지방의 문화,

중국화 여백을 두는 방식으로 예술적 정취를 자아냄

연화 크고 꽉 찬 느낌으로 설의 분위기와 기쁨 표현

왕실 귀족, 수양 하는 문인들

민간 예술가

5) 민국시기의 특수한 달력의 형태로 대체로 여성의 초상이 그 려져있는 포스터 형식의 한 장짜리 달력이다. 전통 연화와 서 양의 회화 기법이 결합된 형식이다.

풍습에 따라 소재와 형상도 다양했다. [표 2] 무문신과 문문신의 특징 비교 무 문신

기능

잡귀신의 침범을 막기 위한 것: 액운을 막고 가정을 지킴

6) 신도와 울루, 두 신에 대한 현존하는 고대 판화 중 최초의 문신화 도상- 목판화, 왕수춘(王樹村), 중국 문신화, 텐진: 인민 출판사, 2005. p.7

154


부착 장소 화 제재

문 문신 화

기능 부착 장소 제재

집 밖의 대문 양쪽 호랑이-전설 속의 신도와 울루 -현실 생활 속의 영웅 인물, 전사 (진경과 위지공이 가장 보편적) 자신의 소원 성취를 기원하는 것-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는 장식으로

4. 사대연화의 문신화 4.1. 무문신(武門神)화 무문신은 보통 길가를 향한 대문에 붙인 문신화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전설 혹은 현실에서 공이 큰 무관을 소재로 한다. 최초의 무문신 소재는 전설 속

마당 안의 방문, 내실문, 내실 등

의 신도와 울루였고 나중에 점차 현실 생활 속의 영

신상류- 문관-동자(童子)- 여성

웅 인물로 확대되었다. 그 중에서 진경(秦瓊)과 위 지공(尉遲恭)7)의 초상화가 가장 보편적이고 정통

3. 선행연구

인데, 지역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풍격을 형성하였다.

4.1.1. 천진 양류청(楊柳靑) 연화-무문신 연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 다. 즉 소장, 감상을 위주로 하는 소장품 도록 연구, 지방의 연화에 대한 전문 연구, 그리고 연화의 미술 사적인 연구 등으로 나뉜다. 소장, 감상을 위주로 하는 소장품 도록 연구는 주 로 작가 혹은 콜렉터들이 소장한 연화 이미지 자료의 아카이빙을 위주로 한다. 왕하이샤(王海霞) 등이 편집 한 <중국 고대 연화 진본(珍本) 시리즈 총서>는 명청 시기에서부터 민국시기까지의 소장품들을 기록하였 고, 연화의 역사적, 예술적, 문화적 가치를 다뤘다. 지방 연화 전문연구가인 펑이차이(馮驥才)가 2002 년부터 9년의 시간을 들여 전국 범위에서 연화의 현 황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여 총 22권으로 된 <중국 목 판화 집성>을 출판하였는데, 본 연구자도 이 저서를 통해 연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게 되었다. 연화의 미술사적인 연구에 관해 2002년 왕수춘(王 樹村)이 집필한 <중국 연화사>는 연화의 총론, 연구 개황에서부터 왕조의 연화 발전에 대해 아주 자세한 논술과 정리를 하였다. 2008년 부송년(簿松年)이 출판

천진 양류청(天津楊柳青) 지역은 화북 평원 북부 에 위치해있다. 예로부터 수운 조건이 우월하고 교통 이 편리하여, 다른 지역의 문화를 쉽게 받아들였다. 천진은 지리적으로 수도와 가깝기 때문에 양류청 연 화는 수도의 문화 및 서화원의 영향을 받아 품질이 높고 정교하고 치밀한 풍격이 형성되었다. 이로인해 이 지역 연화는 민간 백성뿐만 아니라 수많은 고관과 귀족들에게도 사랑을 받아서, 감미롭고 화려하고 진 귀한 풍격을 형성하였고 문인풍이었다. 주로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자색의 색상의 순도와 명도 대 비로 시원시원하고 조화로운 색조를 구성하여, 전체 화면은 부드럽고 조화로우며 섬세하게 묘사되었다. 천진 양류청 연화는 명대 숭정 시기에 시작되었다. 양류청 연화는 판화와 회화 형식을 혼용하였으며, 얼 굴 부분은 일반적으로 회화 형식을 사용하였다. 표현 이 섬세하고 생동적인데, 묘사 기법이 정교하고 색채 가 우아한 “섬세한 기법”과 호탕하고 약간 사의화 느낌의“거친 기법”으로 나뉜다.

한 <중국 연화 예술사>에서는 초기 연화의 등장부터 명청 시기 각 지역의 연화 발전 상황, 그리고 근대 연화, 신중국(新中國) 시기의 연화까지 자세한 논술과 연구를 진행하였다. 손신(孫欣)의 <중국풍, 연화>에서 는 중문과 영문으로 연화의 기원, 제작, 재료와 방법 등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문신만을 주제로 하는 연구

[그림 2] 천진 양류청 무문신-녹운문신(绿云门神)

는 그 수가 많지 않다. 왕수춘(王樹村)의 <중국 민간

위 그림은 배경이 녹색 구름 문양이라고 녹운문신

문신 예술사>와 <중국 문신화>는 모두 문신화 연구에

(綠雲門神)이라 불리는 무문신화이다. 이 작품은 목판

큰 기여를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가장 많은 참고 가 되었다. 연화의 색채에 대한 연구로서 황연(黄燕) 의 <주선진, 양류청, 면죽 세 지역의 목판 연화 색채 특징 비교 연구>와 마복정(馬福貞)의 <민간 연화의 색채 예술로부터 중국 민속 색의 문화의 내포를 투시 하다>와 같은 논문은 문화의 측면에서 색의 의미를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를 진행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7) 진경과 위지공은 당나라의 건국 공신이며 장군이다. 당태종 이 병에 걸려 악귀에 시달렸으나 진경과 위지공이 문 앞에서 지키고 있을 때만이 안심하였다고 한다. 하여 화공(畵工)에 명 을 내려 그 두 사람의 초상화를 그리게 하고 왕궁의 대문에 붙 이게 하였다 한다. 후세에 이 두 사람을 무문신이라 불렀으며 민간으로 전해 내려오면서 액운에서 지키는 목적으로 두 장군 의 초상화를 대문에 붙였다한다. 보통 진경의 얼굴을 하얗게 위지공의 얼굴은 검은 색으로 그려 위풍당당한 기세로 귀신들 을 몰아냈다고 한다.

155


인쇄 후 손으로 수정하여 얼굴을 묘사하였다. 수작업

같았지만 글자는 “日”자가 쓰여 있다. 좌우로 일월

이 세밀하고 정교하게 그려졌다. 진경과 위지공은 구

두 자를 넣어 일월 신이 지켜주고 있음을 뜻하고, 초

름 위에 있으며, 양 손은 금 망치를 꽉 부여잡고 있

롱불과 여의는 상서로움을 상징한다. 이 문신화는 액

다. 왼쪽은 위지공인데 눈이 크고 둥글며 피부는 까

운에서 지켜주는 역할과 함께 장식적 요소도 가진다.

맣고 큰 수염과 짙은 눈썹을 하고 있어 얼굴 표정만 봐도 무서움을 느낄 수 있다. 오른쪽 그림은 진경인 데 피부가 하얗고 얼굴에 분까지 더해 전반적인 모습 이 늠름하며 위지공의 무서운 기운과 비교했을 때 선 비의 기운이 느껴진다.

4.1.2. 산동 양가부(楊家埠) 연화-무문신

4.1.3. 소주 도화오(桃花塢) 연화-무문신 소주(蘇州)는 동부 연해 지역에 자리를 잡고 있 으며 북으로 장강과 이어지고 경항대운하 (京杭大運 河)가 가로지른다. 소주는 도가 문화 발양의 핵심 지 역이고, 도가는 음양오행에 반대하여 예술미는 부족 하나 자연미가 있고, 특유의 인간본성의 소박미를 선

산동은 유교 문화의 발원지로 유교의 창시자인 공

도하였다. 소주는 물이 많은 지역 환경과 도가의 영

자, 노자가 모두 산동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유가의

향을 받아서 자연의 평범하고 수수한 색채관을 추구

예절과 도리, 효의 가르침에 따라 산동 지역의 사람

하였다. 춘추시기 오나라의 수도가 이곳에 있었으며

들은 순박하고 충직한 성격이 형성되었다. 유교는 색

당송(唐宋)이후 상업이 번창하여 명나라에 와서 인재

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순수한 빛깔 (정색)”을 중

가 밀집된 지역이 되었다. 소주의 예술 활동은 활발

요시하여 고관과 귀인의 의복은 간색을 사용하지 않

했는데 많은 문인과 화가들이 모였을 뿐만 아니라 민

았고, 보통 백성들만이 간색을 사용했다. 이러한 사상

간 예술인들도 육성되여 오파(吳派)회화의 발상지가

은 백성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연화에서도 노란색, 파

되었다. 명 시기 소주는 이미 목판 조각의 중심이 되

란색, 홍색과 청색, 즉 “순수한 빛깔 (정색)”을 많

었는데 회화든 목판 조각이든 모두 정교한 기술을 가

이 사용하였고, 색상 대비도 강렬하며, 대담한 색상

지고 있었다. 소주 도화오(桃花塢) 목판 연화는 명 시

사용 경향을 볼 수 있다. 그러면서도 전체적으로 온

기에 생겨나서 청나라 때 전성기를 이루었다.

후한 농촌 생활의 정취를 느끼게 해준다.

도화오 연화는 종류가 다양하고, 색채가 화려하며,

산동 양가부(杨家埠) 목판 연화는 5백여 년의 역사

윤곽이 간결하고 세련되었다. 세심하고 우아한 강남

를 가지고 있다. 명나라 때 처음 나타나서 청나라 때

민간 예술 풍격을 갖추고 있다. 제작 기술이 정교하

전성기에 이르렀는데 황하 하류지역에서 유행하였다.

며, 어떤 연화의 제작에서는 인물 얼굴에 “분 칠

산동 양가부 목판 연화는 두 가지 표현 기법이 있었

(敷粉)”을 하기도 한다. 연화 표구 전에는 “금분

다. 한 가지는 채색 인쇄로 목판화의 운치를 부각시

칠(掃金)”8)등의 제조 공정을 거친다.

켰고, 다른 한 가지는 반 인쇄 반 회화였는데 손으로 그린 효과를 강조하였다.

[그림 4] 소주 도화오 무문신-쌍양편(双扬鞭)

이 문신화는 청나라 말기의 작품으로 먹판 착색(墨 [그림 3] 산동 양가부 무문신-진경 경덕 (秦琼敬德)

版着色)하여 제작한 것이다. 두 장군이 발걸음을 옮기

위의 문신화에서 인물이 앞으로 향하고 있고 한 손

며 양 손에 무기를 들고 싸우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

을 머리 위로 올리고 머리를 기울였는데 표정에 위엄

다. 그림에서 두 인물의 옷 문양은 거의 흡사하지만

이 서리고 마치 전투를 하고 있는 듯하다. 인물의 동

색깔의 조합에 약간의 다른 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

작, 의복, 장식에서부터 문양까지 거의 모두 비슷했지

다. 또 얼굴색에서 눈빛이 다를 뿐만 아니라 수염도

만 위지공의 피부색이 검은 색이어서 두 사람을 구분

서로 다르나 얼굴은 모두 벽돌색을 하고 있고, 왼쪽

하기 쉽다. 왼쪽 그림 속의 진경은 쌍검을 들고 발아

그림의 인물은 채찍을 양 손에 들고 있지만 오른 쪽

래에는 초롱불 장식이 있었는데 위의 장식 문양은 봉

그림에서는 창을 들고 있다. 붉은 색을 위주로 왼쪽

황과 상운(祥雲)문양, 그리고 “月”자가 새겨져 있

그림은 분홍색에 보라색을 매치하였고, 부분 포인트

다. 오른쪽 그림의 위지공은 창 두 개를 들고 있고

는 노란색과 검정색으로 하였다. 오른쪽 그림은 빨간

발아래에는 여의(如意) 장식이 있는데 위의 문양은

8) 표구를 하기 전 화면에 금속 가루를 한 번 칠한다.

156


색에 분홍색을 사용하였고 포인트로 노란색과 보라색

다. 왼쪽 인물의 손에는 채찍이 들려져 있는데 얼굴

을 사용하여 작품의 색상이 선명하고 명쾌하여 명절

표정이 사납고 메인 색을 차가운 색인 불청(파란색과

의 분위기를 잘 부각시켰다. 색채 사용에서 색상과

남색의 중간) 색으로 하고 부분적으로 선홍색, 분홍색

명도가 강하게 대조되었다.

으로 뒷받침을 하였고, 옷에는 “화금(花金)”10) 기술

4.1.4. 사천 면죽(綿竹) 연화-무문신 면죽(綿竹)은 사천분지의 서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지세가 평탄하고 물자가 풍부하다. 면죽은 사천의 습 윤 기후구에 있어 일 년 내내 기후가 습하고 식물이 무성하며 대나무가 많이 자란다. 이곳의 대나무는 대 부분 종이를 만드는데 쓰이기 때문에 종이 자원이 풍 부하여 연화 발전에 아주 좋은 조건을 제공하였다. 면죽 연화의 초기 발전은 벽관회화(壁觀繪畵)9)의 영

을 활용하였다. 오른쪽 인물의 손에는 창이 들려있고 얼굴 표정이 비교적 온화하다. 따듯한 색감의 선홍색 긴 옷을 입고 일부를 불청과 노란색으로 조합하여 좌 우를 비교하여 균형과 대칭을 이루게 하였다. 두 인 물의 자태가 아름답고 생동감이 있어 발을 살짝 드는 것이 극 속의 동작과 흡사하다. [표 3] 4대 연화의 무문신 특징 정리

향을 받았다. 면죽 지역에는 불교 문화가 성행하였는

Ÿ

데, 면죽의 연화와 벽화는 아주 큰 연관이 있으며 기법과 소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중국 연 천진 양류청 연화

극의 일종인 천극(川劇)의 발전은 면죽 연화에 큰 영 향을 가져왔다. 제작 기법 면에서 선은 주로 윤곽을 그리는데 쓰였

Ÿ Ÿ Ÿ Ÿ

다. 선의 활용이 원활하고 부드러웠으며 굵음과 가늚 이 뚜렷해서 화면이 딱딱하지 않고 생동감이 넘쳤다. 밑그림 부분의 선의 윤곽선만 목판 인쇄를 하고 나머 지 부분은 모두 화가들이 손으로 그렸기 때문에 각 연화의 분위기가 모두 다르며, 모든 면죽 연화에는 감성이 깃들어있어서 독특하다. 색깔의 활용과 배색에 대해서 펑지차이(2008, p20) 는“빨간색과 노란색, 선홍색과 검정색, 녹색과 노란 색, 빨간색과 빨간색, 보라색과 빨간색을 서로 가까이 하지 않고, 파랑, 빨강, 초록은 서로 짙고 옅게 가까 이 할 수 있으며, 빨강, 초록, 파랑은 서로 배합할 수 있고, 황단은 빨간색과 조합해도 된다.”는 생각을 가

Ÿ Ÿ Ÿ

4 대

Ÿ Ÿ

연 산동 화 양가부 의 연화

Ÿ

무 문 신 특 징

지고 있었다.

Ÿ Ÿ Ÿ Ÿ

소주 도화오 연화

면죽 연화는 얼핏 보기에는 거칠어 보이지만 비교

Ÿ Ÿ Ÿ Ÿ Ÿ

적 자유로운 형식을 가진다. 사천 면죽 연화

Ÿ Ÿ Ÿ Ÿ Ÿ Ÿ

녹운문신(綠雲門神) 조각이 섬세하고 인물 형상이 위엄 있으며, 천신이 속세에 내려온 듯한 느낌이 난다. 배경이 녹색 구름 문양 얼굴은 손으로 묘사 위지공: 피부는 까맣고,얼굴 표정이 무서움 진경: 피부가 하얗고,선비의 기운 빨강, 주황, 노랑, 초록, 보라색 색 조합이 조화롭고 명쾌하다 목판과 회화의 결합 진경 경덕(秦瓊 敬德) 배경: 상서로운 문양과 문자 장식 위지공과 진경의 동작, 의복, 장식 등이 비슷 원색위주, 색 사용이 대담하고 대비가 강렬 과장된 표현 비율: 머리가 크고 몸이 짧다 몸이 굵고 단단하며, 얼굴형이 곧아서 튼실한 느낌을 준다 다색목판 쌍양편(双扬鞭) 빨강, 보라, 노랑, 검정의 사용 과장된 표현 인물 얼굴은 모두 벽돌색 순도 대비가 크고 색상 및 명도 대비가 강렬 다색목판 진경 경덕(秦琼 敬德) 먹판 인쇄, 나머지는 수제 채색 회화 색채가 밝고 명쾌하며 조각이 세밀하다 행동 및 움직임: 연극화(중국 천극 영향) 좌우 색깔의 사용에서 구별점을 찾을 수 있다. 좌우 균형과 대칭을 이루게 하였다. 목판과 회화의 결합 (윤곽선만 목판)

[그림 5] 사천 면죽 무문신-진경 경덕 (秦琼 敬德)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연화 전체의 색깔이 화 려하고 명쾌하며 그림이 정교하여 세밀한 작업에 속 한다. 인물의 동작은 일치하고 복장과 문양도 거의 비슷하지만 색깔의 사용에서 큰 구별점을 찾을 수 있

9) 벽관회화: 일반적으로 벽에다가 그리는 불상을 위주로 하 는 회화의 일종

4.2. 문문신 (文門神)화 문문신은 보통 마당 안의 방문, 내실에 붙이는데, 무문신과 달리 인물의 손에 검이나 칼과 같은 무기를 드는 것이 아니라 손에 꽃이나 보석 등 물건들을 들 10) 꽃무늬 도안을 나무에 조각하는 것인데 현대의 꽃무늬 도 장에 해당된다. 그것을 인물의 옷에 찍으면 장식 효과가 있다.

157


고 있다. 그리고 상서로운 문양과 풍부한 화면을 많

합은 사의화(寫意畵)의 영향을 받아 주로 파랑, 초록

이 그리기도 한다. 때문에 무문신의 사나움과 비교하

을 많이 사용하였고 부분적으로 노랑과 빨간색을 사

면 문문신에는 장식과 상징의 의미가 깃들어 있다.

용하여 그림 전체의 색깔이 조화롭고 평온하다.

지역에 따라 유행하는 문문신도 모두 달랐는데 같

4.2.2. 산동 양가부(楊家埠)연화-문문신

은 시기 같은 소재의 문신화라도 풍습이 다르고 표현 기법에서 색채까지 모두 다르다. 중국의 고대에서 아들을 얻어 대를 잇는 것은 인생 에서 가장 중요한 일로 간주하고 대를 잇지 못한다는 것을 불효로 여겼다. 공자가 태어날 때 기린(麒麟)이 입에 옥으로 된 책을 물고 있었다하여 연화에서 기린

[그림 7] 산동 양가부 문문신-기린송자(麒麟送子)

은 현명한 아들 혹은 자손을 바라는 뜻이 담겨있다.

이 작품의 왼쪽 그림 속 여인은 어깨에 모란 문양

아래 4쌍의 연화는 모두 기린이 아들을 보내주는 것

의 망토를 두르고 파란색으로 된 모란 문양의 외투를

을 소재로 하였는데, 주로 신혼부부의 방에 붙인다.

입고 있으며, 오른손에는 빨간색 손수건, 왼팔을 탁자

여기서 4대 연화의 문문신을 비교하기 위해 4대 연

에 걸치고 부채를 들고 있으며 탁자에는 빨간 구름

화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진 자손을 추구하는 기린송

문양의 화분이 있는데, 안에는 모란꽃이 있고 그 옆

자를 주제로한 문신화를 선정하였다.

에 찻주전자와 찻잔이 놓여있다. 탁자 앞의 아이 목

4.2.1. 천진 양류청(楊柳靑)연화-문문신

에는 금으로 된 자물쇠를 걸고 있고 분홍색 겉옷을 입고 뒤의 아이를 보고 있다. 오른손에는 여의를 들 고 왼손에는 책을 잡고 있으며 책상에 돈이 놓여있 다. 몸 아래의 기린은 귀여운 표정을 짓고 있는데 머 리 윤곽이 단순하고 과장되어있다. 기린 몸뚱이의 장 식은 비교적 간단한데 몸에는 주로 비늘 부분의 중복

[그림 6] 천진 양류청 문문신-기린송자(麒麟送子)

된 문양을 새겼다. 기린의 뒤편에 따라온 하인의 양

이 연화는 청나라 시기 작품인데 색채가 안정적이

손에 쟁반을 들고 쟁반 속의 물체를 쳐다보고 있으며

고 조화롭다. 왼쪽 그림 속의 여인은 머리에 나비 비

앞으로 나아가는 동작을 하고 있다. 하인의 쟁반의

녀를 꽂고 파란색 옷을 입었으며 비단으로 된 망토를

물체는 간략하게 그려져 있는데 겹겹이 쌓여있다.

걸치고 보석을 장식을 하였다. 손에 여의를 들고 있

오른쪽 그림의 구조는 왼쪽 그림과 동일하다. 단지

는 자태가 아름답다. 왼쪽 그림의 어린 아이의 왼손

인물의 의복과 장신구, 액세서리에서 약간의 차이점

에 생(笙: 중국의 악기의 일종)을 들고 있고 오른 손

이 있을 뿐이다. 오른쪽 그림 속의 여인은 분홍색 겉

에 무관의 관모를 들고 있는데, 체형이 둥글고 기린

옷을 입었는데 문양이 왼쪽 그림 속 여인의 옷과 다

의 몸 위에 올라탔다. 오른쪽 그림 속 여인은 날고

르지만 어깨의 망토는 똑같다. 책상에는 보라색 구름

있는 새 모양의 비녀를 꽂고 분홍색의 외투를 입고

문양의 화분이 놓여있고 화분 속의 연꽃이 한창 꽃을

있으며 모란꽃무늬의 망토를 걸치고 진주로 장식하였

피고 있다. 탁자 앞의 아이 목에는 금 자물쇠를 걸고

다. 그림 전체의 꼭대기에 노란 우산으로 아이에게

빨간색 옷을 입고 있으며 왼손에는 여의, 오른손에는

햇빛을 가려줌으로 아이의 소중함과 그에 대한 사랑

책을 들고 있으며 책에는 관과 비슷한 물건이 놓여있

을 상징한다. 오른 그림 속의 아이는 왼손에 문관의

다. 아래의 기린도 표정만 왼쪽 그림 속 기린과 다를

관모를 들고 오른 손에 생황을 들고 눈빛이 흔들림

뿐 기타 체형, 자태, 색채 등이 모두 똑같다. 기린의

없이 앞을 바라보며 기린의 위에 올라타고 있다. 생

앞에는 금 한 덩어리가 놓여있다. 뒤편의 동자는 파

황은 “오르다”와 같은 음을 가지고 있어 승진한다

란색 모란 문양의 겉옷을 입고 품에 금을 안고 눈앞

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왼쪽과 오른 쪽 아이의 손에

의 주인을 바라보고 있다.

무관과 문관의 관모를 들고 있는 것은 문무(文武) 관

모란은 부를 상징하고 책과 금으로 승진과 재물을

직에 등용됨을 상징한다. 모란꽃은 부귀를 상징하며

비유했다. 그림 구성에서 윗부분은 확대하는 수법으

또 망토와 보석 등과 함께 하여 부위 영화와 같은 아

로 탁자 위의 화분과 꽃을 두드러지게 했다. 아이의

름다운 일을 추구하는 것을 상징한다.

비율과 탁자 위의 꽃이 동일했고 여인의 커다란 형상

정통 중국화의 영향을 받아 그림 속의 인물 얼굴의

및 둥그스름한 얼굴형은 북쪽 지방 사람들의 우직함

분장, 복장 및 기린을 모두 세밀하게 그렸다. 색깔 배

을 나타냈다. 주로 빨강, 노랑, 파랑 세 개의 원색을

158


사용하여 색채가 고풍스러우면서도 단아함을 잃지 않

며 떼어낸 연화는 따로 보관하지 않고 버려서 남겨진

았다. 그림 전체에 농후한 농촌 분위기를 풍긴다.

작품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문화혁명시기 다 량의 목판을 불에 태운 관계로 지금까지 남아있는 목

4.2.3. 소주 도화오(桃花塢)연화-문문신

판이 극소수에 달한다. 그 중에서도 면죽 연화의 제 작 방법은 윤곽선만 목판 조각하고 나머지 부분은 모 두 손으로 그렸기 때문에 전통 작품을 보존하는데 더 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그림은 현대에서 창작된 면죽의 작품이다. 화면 속의 남자는 비교적 크고 아 [그림 8] 소주 도화오 문문신-기린송자(麒麟送子)

이 작품에서 그림 속의 여인은 삼신할머니로 재물 신 조공명(趙公明)의 딸이고 사람들에게 자식을 보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림 전체는 마치 삼신할머니가 기린을 타고 천궁(天宮)에서 인간세계로 내려가 아이 를 선물하는 것을 전달하려는 것 같다. 왼쪽 그림 속 의

삼신할머니는

사합여의(四合如意)식의

운견(云

肩)11)을 걸치고 목 부위에 목걸이를 하고 회녹색 겉 옷과 연 잎 문양의 주름치마를 입고 있다. 기린의 몸 위에 타고 오른 손으로 아이의 두 발을 잡고 왼손으 로 아이의 어깨를 받들고 있다. 아이의 왼손에는 등 불이 달린 연꽃 줄기를 잡고 있고 오른 손은 삼신할 머니의 목을 안고 있다. 그림 속의 기린은 앞으로 나 가려 하고 고개를 들어 아이와 말 하는 것 같다. 오 른쪽 그림 속의 인물 동작은 왼쪽 그림과 똑같다. 하 지만 색채와 국소 문양에 약간의 변화가 있다. 오른 쪽 그림의 삼신할머니는 빨간색 겉옷을 입고 사합여 의식의 운견(云肩)을 걸쳤으며 목에는 장수 자물쇠가 붙은 목걸이를 하고 연꽃 문양의 주름치마를 입었다. 아이의 오른 손은 연꽃 줄기를 높이 들고 왼손으로 삼신할머니의 목을 꼭 잡고 있다. 삼신할머니의 체형 은 마르고 움직임이 우아하며 아이는 체형은 작지만

래의 기린은 축소되어 작다. 또 인물 형상이 간결하 여 아래의 번잡하게 그린 기린과 선명한 대비를 형성 하였다. 이와 같이 큰 것과 작은 것, 간결한 것과 번 잡한 것의 대비는 그림 속의 내용을 부각시킨다. 이 작품은 묘사가 정교하고 인물의 의복에 색깔을 넓게 사용했고 윤곽에서 전통 작품보다 일부 공정을 생략하여 현대의 미적 기준에 부합하게 하였다. 윤곽 선의 활용은 옷 주름의 곡선이 직선과 대비를 형성하 여 화면의 효과를 풍성하게 하였다. 왼쪽 그림의 남 자는 금관(金冠)을 쓰고 왼손에는 옥으로 된 책을, 오 른 손에는 검푸른 깃발을 들고 위에는 “기린송자” 라는 4글자가 새겨져 있다. 그는 보라색 도포와 초록 색 바지를 입었고 아래의 기린은 파란색, 녹색을 주 요 색상으로 하여 귀엽고 얌전함을 표현했다. 오른쪽 그림 속의 남자는 오른손에 여의를 들고 왼손에는 보 라색 깃발을 들고 있다. 위에는 “장원급제”라는 4 글자가 쓰여 있고 검푸른 도포와 보라색 바지를 입었 으며 갈색과 녹색으로 조화를 이룬 기린을 타고 있 다. 인물의 얼굴형은 둥글고 크며, 귀는 크고 길어 얼 굴 전체가 불상의 인물과 흡사하다. [표 4] 4대 연화의 문문신(기린송자) 특징 정리

얼굴은 둥그스름하다. 천진 양류청 연화

주로 노랑, 빨강, 초록을 사용하였으나 먹물 색의 라인이 굵은 편이어서 검정색이 두드러진다. 소주 도 화오 연화는 목판을 조각하여 채색 인쇄를 하였는데

4 대

인물의 얼굴은 모두 목판 인쇄를 한 것으로 손으로 그린 부분이 없이 간결하다.

연 화 의

4.2.4. 사천 면죽(綿竹) 연화-문문신

문 문 신 특 징

[그림 9] 사천 면죽 문문신-기린송자(麒麟送子)

산동 양가부 연화

소주 도화오 연화

사천 면죽 연화

이 작품은 현대의 작품으로, 연화는 해마다 교체하

11) 운견: 옛날, 부녀자가 어깨에 걸치던 복식(服飾)의 일종

159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여자가 아름답고 몸매가 늘씬 아이들은 부드럽다 아이들은 놀러 나가고 여자는 우산을 들고 있으며, 신분이 고귀한 느낌 색깔 배합은 사의화(寫意畵)의 영향 관모, 생황 등의 소재적 의미는 아름다운 일을 추구하는 것을 상징 여자의 이미지가 돋보이고 아이와 기린은 비교적 작다 그림 속에서 화기애애한 느낌이 난다 과장된 표현 주로 빨강, 노랑, 파랑의 세 원색 사용 천궁을 사용해 아들을 속세로 내려 보낸 듯한 분위기를 연출 아이와 여자 모두 늘씬하고 꾸밈이 없이 소박 전설중의 삼신할머니의 표현 주로 노랑, 빨강, 초록을 사용 조각이 간단하다 남자만 있고 여자는 없다 과장된 표현 인물 얼굴이 불상의 인물과 흡사하다.


4.3. 4대연화 문신화의 비교분석 이상을 종합하여 중국 사대 연화의 지역 환경적, 문화적, 조형적 특징 등을 항목을 나누어 다양한 관 점에서 비교분석을 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 특징

였다.

4.3.1. 무문신화의 비교분석 4대 연화

천진 양류청 연화

산동 양가부 연화

소주 도화오 연화

녹운문신

진경 경덕

쌍양편

사천 면죽 연화

이미지

조형 측면 공통점

기원시 기

지역 환경적 특징

문화적 특징

-그림 구성이 크고, 꽉 차있다. -주제가 완전하게 다 표현되어있다. -인물중심이다. -색채가 강하다.

-동작이 전투를 하고 있다. -인물 복식의 양식과 갑옷이 다 같다. 내용 -인물의 표정과 자세가 위엄이 있다. 측면 -무기를 양 손에 들고 있다. -얼굴의 묘사와 수염을 통해 두 사람을 구분한다. 명대 시기 명대기원, 불확실, 불확실, 청대융성, 청대 청대 황하하류 전성기 전성기 지역에서 성행 화북 평원 강수량이 동부 기후온화, 북부 위치, 많다. 연해지역, 지세평평, 수상 교통 물품이 수륙국경, 물자풍족, 조건 우수, 풍족, 수자원 대나무 교통 편리, 농촌생활 풍부, 밀집수도에 종이자원 가깝다. 풍부 수도의 유교문화 인재밀집, 벽화의 정통 귀족 발원지 예술활동 영향, 문화 중심, 사람들 활발, 불교문화, 서화원의 성격은 상업이 광범위한 영향, 순박, 번창, 주제, 품질이 충직,온후 세심하고 신상, 높고 정교, 실용적 우아한 희극, 화려하고 신상류: 강남민간 시사내용 치밀한 재물과 예술풍격, 풍격, 안전의 도가문화 문인풍, 기도와 핵심지, 주제는 보호의 자연미, 희곡이야 내용, 소박미, 기, 미녀, 유교적 평범하고 포동포동 색사용: 수수한 한 아이 정색중시 색채관. 온후한 민간전통 농촌 심미적 생활의 내용 정취

창작 주체

전문 장인

농부

문인, 전문장인

제작방 법 및 표현적

판화와 회화 형식 결합,

과장된 형상 심플

윤곽이 간결하고 세련,

색 감

진경경덕

전문 연화공방 장인 과장되고 변형된 이미지,

조 형 적 특 징

색 상

형 태 윤 곽 선 배 경

얼굴은 회화형식 으로 그림, 목판채색 인쇄, 섬세하고 생동적 표현, 사의화의 느낌, 목판인쇄 후 손으로 수정 부드럽고 안정되고 조화로운 색조, 따듯한 색

호방하고 소박 전체적 판화와 부분적 회화의 결합 형식

세심,정교 판화와 회화의 결합, 묵판착색, 얼굴에 분칠, 표구 전 금분칠

상징적 의미, 목판에 윤곽선을 파서 찍은 후 나머지는 전부 손으로그 린다. 생동감, 활기

대담한 색 사용, 대비 강렬

화려,명쾌 따듯함과 차가움의 강한비교,

녹색, 빨강, 노랑, 보라 명도대비

파랑, 빨강, 노랑, 보라

선명하고 명쾌, 명절분위 기 부각, 따듯한 색, 명도대비 분홍, 빨강, 노랑, 보라,검정

세밀, 정교, 정통적

정교, 우아

정교, 세밀,유연 균형,대칭

부드럽다

고지식, 문자와 상징과 장식 거칠다

간결하고 연하다

유연하다

강조: 녹색 구름 문양

중요시, 장식문양

없음

없음

군청, 보라, 남색, 녹색

4.3.2. 문문신화의 비교분석 4대 연화

천진 양류청 연화

산동 양가부 연화

소주 도화오 연화

사천 면죽 연화

이미지 기린 송자 조형 측면

-그림 구성이 크고, 꽉 차있다. -주제가 완전하게 다 표현되어있다. -인물중심이다. -색채가 다채롭고 강하다.

내용 측면

-손에 꽃, 보석 등 물건을 들고 있다. -상서로운 문양과 풍부한 화면 -장식물을 통해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고 은유의 수법을 사용한다. -인물이 기린을 타고있다.

공통점

조 형 적 특 징

160

색 감

안정되고 조화롭다. 평온, 따듯한 색

고풍스럽고 단아. 차가운 색

소박하고 우아하다 따듯한 색

명쾌하다 따듯함과 차가움의 강한비교

색 상

녹색, 파랑, 분홍

파랑, 빨강, 노랑, 보라

빨강, 노랑, 초록, 검정

불청, 보라, 파랑, 초록

형 태

부드러운 형태, 세밀,

간단, 중복, 과장스럽다

형태가 작다, 간결,

과장되고 대조적, 선명한


아름답다 윤 곽 선 배 경

세밀함과 안정감 부족

대비, 감성적

그리고 연화는 앞서 연구 분석한 바와 같이 지역마 다 독특한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중국 전통 유가, 도가, 불교 사상은 중국인들의 삶 속에 스

부드럽다

거칠다

거칠다. 연하다

유연하다

강조

중요시

단순

없음

며들어 영향을 주고 연화는 이런 문화 정체성의 외재 적 표출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연화에 표현된 중국의 문화적 색채는 오늘에도 재해석하여 이어가야 할 중국적 문화정체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4.3.3 소결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지역의 두드러진 특징을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천진 양류청은 교통이 편리하고 경성(京城)의 정통 문화의 영향을 받아 연화도 정교하고 색상이 조화롭 고 안정적이며 궁중 혹은 귀족풍이 두드러진다. 산동 양가부는 중부 지역이어서 외부의 영향을 비 교적 적게 받았지만 유교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 다. 현지 백성들이 단순하고 순수하고 원색을 선호하 여 인물 묘사나 색채와 장식에서 모두 그 지역의 농 촌 분위기를 부각시켰다.

또한 연화에 표현된 다양한 소재들은 상징적 의미 를 가지고 있는데, 곧 장식물, 배경 등을 통해 특정 의미를 전달한다. 예술에서 기표를 통한 기의의 표현 이라는 상징적 수법은 오늘날에도

활용되고 있고,

좋은 염원과 길상의 의미를 지닌 상징과 은유의 표현 은 여전히 가치를 지닌다. 그리고 여러 지역의 연화는 모두 자신만의 색채 언 어를 가지고 있는데, 지역문화와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이런 색채관은 각 지역의 색채로서 의미 를 지닌다. 지역성의 표현의 한 방법으로 이러한 지 역의 독특한 색채를 활용할 수 있다.

5.2. 연화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

소주 도화오의 자연환경, 인문환경은 우월하여 기 후와 자연 지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도가적 영향

이러한 연화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현대에 활용

으로 자연미를 강조하고, 색상 선택에서도 선명하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다양하고 더욱 심도 있는

화려하며 전반적인 그림 묘사와 표현이 딱딱하지 않

논의가 앞으로의 연구를 통하여 이어지겠지만, 여기

고 따뜻하다.

서 간단하게 몇 가지를 제안해보고자 한다.

사천은 수자원이 풍부한 환경의 영향을 받아 색상

먼저 현대의 만화나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의 형상으

사용에서 담담하고 우아한 풍을 추구하였고 화려한

로 재창조 할 수 있다. 중국적 문화 색채를 지닌 캐

색상을 적게 사용하며 분홍, 연초록과 같은 순도가

릭터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중국 연화는 전설, 이

낮고 부드러운 색을 선호했다.

야기 혹은 희곡에서 유래한 것이 일반적이고 대부분 교육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이런 전설과 이

5. 결과 및 토의

야기를 통해 연화 속의 인물 캐릭터들을 재창조할 수 있다. 이런 캐릭터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중국 고

이상 중국 사대 연화의 지역적, 문화적, 조형적 특

대의 전설과 역사 이야기를 알리거나 교육적 의미를

징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분석을 하였고, 공통점

가진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여 중국 고대의 문화를 홍

과 차이점을 정리하면서, 이러한 중국전통 연화의 현

보 할 수 있다.

대적 가치와 이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한다.

뿐만 아니라 득남의 소원을 담은 동자 소재의 지속 적인 활용은 여전히 신혼부부의 방을 꾸밀 수 있는

5.1. 연화의 현대적 가치

좋은 소재인 것이다. 동자의 그림을 붙이는 것은 신

연화는 민간예술로서 대중의 염원과 정신을 담은

에게 건강하고 귀여운 아기를 줄 것을 기도하는 것이

매개체로서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런 길상의 의

다.

미는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화의 조형적 특징인 비례의 과장을 통한 강조의

형식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현대의 삶에서 정신적

원리는 현대디자인의 원리로서도 유효할 뿐만이 아니

가치의 회복은 중요한 부분이다.

라 꽉 찬 전체적 구도를 통해 시각적 충격을 강화하

또한 연화는 수천 년의 중국의 문화적 속성을 담고

는 연화의 독특한 구성도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화적인 요소들은 현대 디자인

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채의 배색 및 중국적 색채

에 활용할 수 있는 큰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문화

의 사용에 있어서도 활용 가치가 있다. 또한 여러 상

원형으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징적 의미를 활용하는 장식물을 통해 주제를 강화하

161


여 부가가치와 교육적 의미를 더하는 방식을 활용할

현방식으로서, 지역의 독특한 색채관 등의 관점에서

수 있다.

현대에도 다양한 가치를 여전히 지닌다고 하겠다.

즉, 연화의 소재와 주제, 내용과 상징, 구성양식, 표

이러한 가치를 지닌 전통연화는 현대 디자인에 다

현방법, 조형원리 등을 다 각도에서 적용하여 현대적

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연화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하겠다.

동물의 형태, 동작 등을 창의적으로 응용하여 만화나

이러한 연화의 현대적 활용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는 향후 연구의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등으로 응용할 수 있다. 또한 현대생활에서도 좋은 염원을 이어갈 수 있는 소재는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현대 디자

[표 5] 4대 연화의 현대적 가치와 활용가능성 Ÿ Ÿ 현대적 가치

Ÿ Ÿ Ÿ Ÿ

현대적 활용 가능성

Ÿ Ÿ Ÿ Ÿ Ÿ

민간예술로서 대중의 염원과 정신을 담은 매개체 길상의 의미-현대의 삶에서 정신적 가치의 회복의 역할 기대 중국의 문화적 속성- 문화정체성의 발굴 내포된 상징과 은유의 표현의 발굴 색채의 지역적 가치 연화적 소재의 만화나 애니메이션, 교육용 다큐멘터리의 캐릭터 형상으로 재창조 -->중국적 문화 색채를 지닌 캐릭터의 개발이 가능 길상의 상징과 은유의 표현: 예) 동자 제재의 지속적인 활용 연화의 독특한 구성의 응용-비례의 과장을 통한 강조의 조형원리 등 중국적 색채와 배색의 응용 구도의 크고, 꽉찬 완전함으로 시각적 강조를 한다. 장식적 요소를 통해 상징적 의미를 더한다.

인에서 각 지역의 연화의 조형적 특성을 적극 활용하 여 지역의 문화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활 용 방안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야할 것이다. 연화의 창작 주체는 민간 예술인이다. 각 지역의 연화는 각각의 독특한 지역의 문화 풍속을 담고 있 고, 각 지역 고유의 심미관을 반영한다. 지역 연화의 연구를 통하여 그 지역의 예술적 문화적 의미와 가치 를 발견하는 것은 현대 디자인에 응용할 미래적 가치 를 발굴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디자인에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사라져가는 중국의 고유한 전통 민화 인 연화의 독특한 예술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새롭게 조명해보았다는 것에 또 다른 의미를 둔다.

참고문헌 6. 결론

- 류의연. (2007). 소주(蘇州) 고전 원림(園林) 색채 체계 연구, 북경 임업(林业)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중국의 목판연화는 그 지역 과 시대의 민간에서의 신앙과 풍습 등을 깊이 반영하 면서 발전해온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중국의 문신 화는 그 역사가 유구한데, 최초의 민간신앙으로 인해

(학위논문) - 부숭넨. (2008). 중국 문신화. 광저우: 영남 출판사. (단행본)

탄생된 귀신을 내쫓는 전설적인 인물에서부터 주변의

- 왕문연. (2005). 오행(五行)과 오색(五色)”, 미 술관찰, 제3권, 081-087.

영웅적 인물, 이어서 문관(文官), 동자(童子), 여

- 왕수춘. (2012). 연화. 문화 예술출판사. (단행본)

성 등으로 발전하였다. 이런 소재의 변화는 민간 사

- 왕수촌. (2005). 중국 문신화, 천진인민(天津人民) 출

상의 변화와 떼놓을 수 없다. 중국 목판 연화는 민간

판사.(단행본)

의 염원에 따라 생긴 것인데 근대에 들어서서 더 이

- 왕수춘. (2008). 중국 민간 문신 예술 사화.

상 허황된 기대에 의존하지 않게 되면서 연화가 쇠퇴

백화 문예출판사. (단행본) - 펑지차이. (2008). 중국 목판화 집성 도화오 권. 베

하게 되었다. 간간이 고유의 전통 민간 예술 형식으

텐진:

이징: 중화서국.(단행본)

로서의 가치를 인정하여 국가에서 보호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대부분 지역에서 여전히 소실되는 상황을

- 황연. (2007). 주선, 양류청, 면죽 세 지역의 목판

바꿀 수 없었다. 비록 과거와 같은 역할은 상실했지

연화 색채 특징 비교 연구, 허난(河南)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학위논문)

만, 민간 고유의 예술양식으로서 보존의 가치가 있기 에 현대에 맞게 그 형식과 내용의 전환과 모색이 필 요하다고 여긴다. 이러한 전통 연화는 민간의 염원과 정신을 의지하 는 매개체로서, 현대 디자인에 활용 가능한 문화 원 형으로서, 문화 정체성의 외재적 표출로서, 상징적 표

162


논문접수일 : 2017.6.20

심사일 : 2017.6.29

게재확정일 : 2017.7.27

중국 동창부(東昌府) 연화(年畵)의 현황조사 -동창연화박물관 현장조사 및 지역연화 전문가의 구술을 통한 고찰-

Investig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Dongchangfu New Year Paintings” in China - Investigation on the “Dongchang New Year Painting Museum” and local Experts-

주저자 : 왕 루 이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Rui Wang Department of Design, Graduate school in Dongseo University

교신저자 : 장 주 영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Juyoung Chang College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lsg100@gmail.com

163


1. 서론

되길 바란다.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주제어

1.2. 연구방법

동창부(东昌府) 연화, 동창 연화 박물관,구술사

2. 이론적 배경 2.1. 중국 연화 2.2. 동창부(东昌府) 연화 2.3. 선행연구

Abstract Background With hundreds years of history, Chinese New Year Painting as the carrier of people’s belief is of certain

3. 동창연화박물관 현장조사 및 지역 연화 전문가

values and significance. Studies on endangered local New

인터뷰

Year Painting mostly focused on field investigation and the

3.1. 동창연화박물관 현장조사 3.2. 연화박물관장 인터뷰 3.3. 연화 장인 롼시쿠이(栾喜魁) 인터뷰

4. 토의: 동창부 연화의 현황 분석

related records. This research finds out the key problems on the basis of field investigation and analysis to make out how to invigorate the Dongchangfu New Year Painting, especially aimed at providing materials for Dongchangfu New Year Painting research.

4.1. 현장조사 및 구술 내용 정리

Methods Field investigation, interview and oral history study

4.2. 논의점

were used as the main methods in this research. To have a

5. 결론

further understanding of Dongchangfu New Year Painting, this research has taken records and analysis in the form of oral dictation.

논문요약 연구배경 중국 연화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고 민간 의 신앙을 간직하고 있다. 중국에서 소멸 위기에 있는 지역의 연화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현황조사나 그에 대 한 기록물뿐이다. 본 연구는 동창부 연화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지역 연화 관련 현황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찾고자하였다. 특히 연구 자 료가 전무한 동창부의 지역 연화연구의 기초자료의 생 성을 위한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주로 현장조사, 전문가와의 인 터뷰를 통한 구술채록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이 들 자료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안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쇠퇴하고 있는 지역 문화로서의 동창부연화의 현황조사를 진행하며 여러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그 중 영세성을 면치 못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전문연구 인력의 결핍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미비는 이에 따른 활용가치에 대한 연구의 결여로 이어진다. 이 문제 해결과 연화 활성화를 위해 동창연화 박물관을 중심으 로 여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적인 연화 연구팀 구성 등의 방안을 제시한다.

Result A lot of problems have been discover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poor situation of Dongchanfu New Year Painting. The main factor that hinders its development is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researchers. This deficiency has resulted in the lack of studies on activating New Year Painting. To solve this problem and invigorate Dongchangfu New Year Painting, this research proposes some schemes that with the Dongchang New Year Painting Museum as the cent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launched

and

professional New Year Painting research groups should be created. Conclusion Dongchangfu New Year Painting contains folk belief and local custom with distinctive artistic characteristics, thus it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to develop and invigorate Dongchangfu New Year Painting. This research can help present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igoration and key problems of Dongchangfu New Year Painting, taken as a fundamental material for local culture invigoration research.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of future studies on the invigoration of local New Year Painting.

결론 동창부 연화는 해당 지역 민간의 신앙, 풍습을 담 고 있고 독특한 예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동

Keyword

창부 연화를 발전시키고 활성화하는 것은 지역문화의

Dongchangfu New Year Painting, Dongchang New

보존과 발전이라는 면에서 매우 의미가 있는 일이다. 본

Year Painting Museum, oral history

연구는 동창부 연화의 현황과 문제점의 이해와 지역연 화의 활성화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연화의 활성화에 대한 연구가 지속

164


1. 서론

왕루이(2017)는 연화는 전통적인 중국화와 달리 그 구도가 화면을 가득 채우고 색채가 화려하고 풍부하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화(年畵)는 중국의 독특한 민간의 회화 형식으로 주로 신년에 가정에서 붙이며 일반적으로 축복과 길 상의 뜻을 포함하고 있다. 소재로는 벽사 또는 축복 에 관한 문신(門神)1)류, 아름다운 염원을 담은 신의 초상화류, 세속 또는 희곡을 담은 이야기류, 단순하게 주변 환경을 아름답게 하는 장식류 등이 있다. 동창부(東昌府)2)의 목판 연화는 30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명청 시기에 전성기에 이르렀으며 현지 경 제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사회는 변화를 가져왔고 지금의 동창부 연화는 점점 몰락하여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다. 2008년 6월, 동창부 목판 연화가 제2차 무형문화재로 지정이 된 후 현지의 연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지만 여전히 현지 주민과 정부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소멸되어가는 지역 문화이지만 가치를 가진 동창부의 연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였다. 현장 조사와 함께 지역 연화 전문가의 구술을 받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동창부 목판연화의 활성화의 방안을 찾 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그 현황에 대한 조사 연구의

다고 한다. 특히 서로 다른 지역에서는 연화를 제작 하는 방법도 모두 다르다고 했다. 또한 연화가 중국 화와 다른 점으로서, 중국화는 늘 여백을 두는 방식 으로 예술적 정취를 자아냈으나 연화는 그림 구조로 볼 때 크고 꽉 찬 느낌으로 설의 분위기와 기쁨을 표 현했다고 말한다. 또한 중국화의 창작자들은 대부분 왕실 귀족이나 수양을 하는 문인들이었고 손으로 그 림을 그렸다. 그들의 작품은 수량이 적고 질이 높아 평소 감상과 소장용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연화의 창작자들은 대부분 민간 예술가들로 설의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하여 민간의 신앙 이야기나 전설 등을 주 제로 제작한 복수로 찍어내는 목판화이기 때문에 양 이 많고 질이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중국화는 인간 의 감정과 소양을 표현하는 개인 창작 활동이지만, 연화는 대중적 판매를 위해 여러 장인들이 협업해서 생산하는 방식이다. 한 폭의 연화 작품은 먼저 화공 이 창작을 하거나 바탕을 그리면, 목판 조각사가 미 리 연마하고 잘 말려놓은 목판 위에 그림 바탕을 조 각한다. 그리고 모든 색깔마다 한 개의 색판을 필요 로 하기에 한 폭의 연화는 적어도 서너 개, 많으면 6 개의 목판이 있어야 한다. [표 1] 중국화와 연화의 특징 비교

성격을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해 동창부 연화에 대한

구 성 창 작 자 형 식 양/ 질 기 능 생 산 형 식

이해를 돕고,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고, 지역연 화의 활성화의 방안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는 데에 목적을 둔다.

1.2. 연구방법 본 논문은 지역의 유일한 박물관인 동창연화박물관 의 현장 조사와 함께 박물관장 및 목판 조각 장인에 대한 인터뷰를 통하여 구술을 채록하면서 동창부 연 화와 관련된 조사를 진행 하였다. 이를 종합 분석하 여 전반적인 동창부 연화 문화 및 동창부 연화 박물 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내 용

연화의 활성화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였다.

2. 이론적 배경

중국화 여백을 두는 방식으로 예술적 정취를 자아냄

연화 크고 꽉 찬 느낌으로 설의 분위기와 기쁨 표현

왕실 귀족, 수양 하는 문인들

민간 예술가

손으로 그림

목판화

수량이 적고 질이 높음

양이 많고 질이 떨어짐

감상과 소장용

실용적 판매를 위한 것

개인 창작 활동

대중적 판매를 위해 여러 장인들이 협업해서 생산

산수, 화조 등에 감정을 기대어 느끼는 것의 표현

보통 민간 활동, 세속, 신앙 등과 연관, 길상

출처:왕루이.(2017). 중국 4대 연화(年畫)의 문신화(門神画) 연 구. 한구디자인포럼, Vol.54, 143-154.

2.1. 중국 연화

2.2. 동창부(东昌府) 연화 2.2.1. 산동성 요성시(聊城市) 동창부

1) 문 위에 붙이는 신상화(神像畵)를 말한다. 대문에 붙이는 신 을 무문신이라 부르는데 벽사의 목적으로 쓰이고, 실내의 문에 는 문문신과 동자를 부착하는데 복을 기원하는 목적으로 쓰인 다. 2) 동창부는 요성시의 옛 명칭이며, 현재는 요성시의 3개의 행 정구 중의 하나이다.

(1) 지리적 환경 중국의 민속연구가인 펑지차이(冯骥才, 2010)는 중 국 산동(山東)성의 민간 연화에는 동쪽과 서쪽 두 개

165


의 발상지가 있다고 한다. 동쪽은 웨이팡의 양가부가

교적 분산되어 관현, 신현, 양구현 등 지역에 분포되

발상지이고 서쪽은 요성의 양구현(陽穀縣)의 장치

어 있다는 것이다. 또 조각과 인쇄가 별도로 나뉘어

유진(張秋鎭)이 발상지이다. 요성은 예로부터 동창부

져 있었는데 공정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마을을 단위

로 불렸는데, 현재 요성의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연

로 모두 달랐다. 예를 들면 양구현, 동창부, 신현의

화를 통틀어 동창부 연화라 부른다.

장인들은 보통 그림 인쇄만 담당했고, 과거 요성은

요성시는 산동성 서부에 위치하고 있고 대륙성 계

서적 조각업이 발달하여 관현지역에 조각 장인들이

절풍 기후에 속한다. 요성은 총 6개의 현이 있고 동

집중해 있었다. 관현(冠县)의 천칭성(陈庆生) 목

창부는 요성 시에서 가장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판 조각 장인은 글자와 서적 조각을 업으로 하였으나

현이다.

나중에 연화로 분야를 변경하였다. 둥어현(東阿縣)은 기타 지역과 달리 조각 장인도 있었고 인쇄 장인들도

(2) 문화적 환경 춘추전국 시대부터 동창부는 중요한 성읍이었고,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명청 시기 동창부는 경항대운하3)의 발전으로 인해 400여 년의 경제 번영과 문화 발전을 이루어 왔다. 하여 경 항대운하의 9대 항구 중의 하나가 되었고 "강북 제일 도회"로 불렸다. 2016년 현재 국가 AAAA급4) 관광구 1곳과 AAA급 관광구 2곳, 국가 농업 관광 시범 구역 2곳이 있다.

있으며 심지어 일부는 조각과 인쇄를 모두 섭렵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여 이 지역의 연화는 기타 지역의 연화보다 규모가 더욱 컸다. 동창부 목판 연화는 당나라에서부터 비롯됐는데 가 장 먼저 문신화(門神畵) 형식으로 나타났다. 펑이차이 (2010)는 예술 양식으로 볼 때 기타 연화 생산지에 비해 동창부 연화는 독특한 양식을 가지고 있어 독자 적인 특색을 창조하였다고 하였다.

동창부 목판 연화의 생산은 이미 300년에 가까운

동창부 연화는 구도가 풍성하고 선에 힘이 있으며

역사를 자랑하고 양구현 지역의 장치유진(張秋鎭) 연

각지면서도 둥그스름하다……연화의 인물 형상은 과장 되고 묘사하였고 색깔이 선명하며 대조가 강했다. 동 창부 연화는 여태껏 “초판(草版)5)”밖에 없다. 즉 일 부 지역에서처럼 손으로 그림을 그리고 얼굴 단장6)을 한 다음 색채를 입히지 않고 전부 채색 인쇄로 완성한

[그림 1] 산동성 지도

다. (펑지차이, 2010, p.294)

[그림 2] 요성시 지도

(2) 연화의 주제와 종류

화의 한 갈래에 속한다. 산시성의 상인들은 가장 먼 저 양구현의 장치유진에 연화 가게 3개를 개업하였고

동창부 연화는 주로 신상류(神像類)의 연화가 대부

나중에 동창부로 이전하였는데 발전이 장치유진에서

분으로 그 중에서도 문신화가 가장 많았다. 희극 연

보다 더욱 번영했다. 하여 청나라 말기에 와서는 20

화7)와 같은 단순한 장식류는 소수에 불과했다.

여 개의 연화 가게들이 즐비했다.

2.2.2. 동창부 연화의 특성 (1) 역사적 배경

소재의 선택은 주로 두 가지로 나뉘는데, 첫째는 고대 신화, 민간 전설 그리고 역사인물들을 선택하였 고, 둘째는 상서로운 내용들을 담았다. 인물을 부각시 킬 때 늘 과장된 수법을 활용하였고 모두 목판에 색

동창부 연화의 기원에 대해 세창을 대표로 하는 학

깔을 나누어 인쇄하여 화면 색채가 풍부하고 장식성

자들은 동창부 연화의 기원은 양구현의 장치유진에서

이 강했다. 류위메이(劉玉梅,2015)의 연구에 의하

비롯됐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또 일부 학자들 예를

면 펑지차이가 편집한 <중국 목판 연화 집대성>에서

들면 현지의 학자 장시엔창은 이러한 주장이 틀렸다

의 <동창부권>부분과 장시엔창이 편집한 <동창부 목

고 반박하였다. 동창부 연화의 분포는 상대적으로 비

판 연화>에서 현존하는 동창부 연화와 화판이 약 백 여 가지가 남아있는데, 그 중에 문신화가 약 60~70여

3) 경항대운하는 세상에서 가장 긴 고대 운하이다. 남쪽의 항저 우에서 시작되어 북쪽의 베이징까지 이어지며, 해하, 황하, 회 화, 장강 그리고 전당강 등 5대 강을 관통하며 전체 길이는 1794m에 달한다. 중국 남북지역 사이의 경제와 문화의 발전과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특히 운하 유역의 공업과 농업 경제의 발전과 도시의 발전에 추진작용을 일으켰다. 4) 중국 여행지 등급의 하나로 5개 등급 중 우수등급에 속한다.

가지, 신령, 조상의 신위(家堂)류 약 20여 가지, 부뚜 5) 전부 목판 인쇄며 다른 가공이 필요하지 않다. 6) 인물의 얼굴 분장을 그리는 것을 말한다. 7) 극출 연화란 무대 위 희곡 이야기의 내용, 희곡 인물, 공연 장면 등을 나타내려고 무대 공연 상황, 연기자 얼굴 등을 묘사 하는 소재와 내용의 연화를 말한다.

166


막신 17~18여 가지, 재물신 10여건, 기타 잡화8)가 약

동창부 연화 박물관의 관장인 쉬슈전(徐秀貞)의

15~16여 가지가 있다고 한다.

소개에 따르면 위의 표에 열거된 쉬창치엔과 양중위

(3) 제작과정의 특징

엔은 이미 별세하였고, 현재 남은 목판 조각 장인으

대부분 연화의 제작과정은 비슷하지만 동창부 연화 에서는 인쇄와 목판의 조각을 하는 사람은 같은 사람 이 아니다. 그리고 동창부의 목판조각 장인은 원래 서적의 인쇄판을 조각하던 장인이었기 때문에 목판의 조각을 하는 기술이 다른 지방에 비해 뛰어났다는 점 이 특징이다.

요성시 동창부 관현

양중위엔 (楊中原) 신현 둥어현

쉬아이링 (徐愛玲) 츠칭허 (遲慶河)

었고 칼솜씨가 좋았다. 동창부 연화에 대한 수집과 홍보 면에서 장시엔창 (張憲昌), 쉬슈전 등의 기여도가 가장 크다. 장시엔 창은 1955년 산동성의 신현에서 출생하였고 요성대학 동창부 연화를 수집하고 연구한 학자이며 동창부 연 화의 구성 방식, 장인 소재지, 제작 공정 등에 대해

[표 2] 동창부 연화 장인 일람표 이름 장쓰춘 (張世春) 돤춘창 (段存昌) 룽웨이천 (榮維臣) 자오징화 (趙景華) 자오징린 (趙景林) 궈바오구이(郭保貴) 티엔파창 (田法昌) 리위정 (李玉增) 천칭성 (陳慶生) 쉬창치엔 (許長謙)

장인이 있었다. 천칭성은 과거 책을 조각하는 장인이

교 미술대학 민속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가장 먼저

(4) 연화 장인 및 연화 연구 현황

지역 양구현

로는 주로 관현의 천칭성과 동창부구의 롼시쿠이 두

출생년 1937년1951 년 1954 년 1959 년 1968 년 1913 년 1932 년 1954 년 1935 년 1934 년-? 작고 1950 년 -? 작고 1955 년 1935 년 -

츠운련 (遲雲連) 츠운련 (遲雲蓮) 츠칭민 (遲慶民)

기술 구분 그림인쇄 장인

연구하였다. 쉬슈전은 연화애호가이다. 1995년까지 연 화를 수집하였고 끊임없이 요성대학교 교수 장시엔창 과 소통을 진행하여왔다. 동창부 연화라는 예술문화 를 승계하고 보존하고자 노력하여 동창부 연화의 홍 보에 크나큰 기여를 했다. 2014년 쉬슈전은 요성의 구시가지의 문화구 창조사업을 알게 된 후 신청서를 제출하여 연화연구사를 구시가지로 이전하였으며 자

목판조각 장인

신이 오랫동안 소장하고 있던 연화 및 목판을 기반으 로 동창 연화 박물관을 개관하였다.

(5) 연화 작품 그림인쇄 장인 목판조각, 그림인쇄 장인 그림인쇄 장인

아래의 작품은 현재 동창부 연화 박물관에 소장되 어있는 연화작품으로서 예로부터 내려오는 동창부연 화의 전통적 형식으로 작가는 불분명하다. 현재 쉬슈 전의 동창연화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출처:펑지차이(2010)의 내용을 연구자 재정리

동창부 연화장인에 대한 기록은 지역연화연구가인 펑지차이가 2010년에 통계한 중국 목판화 집성에서 제시한 현존하는 장인들의 목록이 모두이다. 특히 펑 지차이는 둥어현에 대해 전면적인 조사를 진행하였는

[그림 3] 꽃바구니(花篮子9)) [그림 4] 오자등과(五子登科)10)

데, 본 연구에서도 현업에(2010년 현재) 종사하고 있 는 장인의 정보만 나열하였다. 과거의 다른 장인들에 대한 기록은 현재로서는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현재 연화박물관장의 인터뷰를 통해 기록에 없던 이 지역의 중요한 연화장인을 알게 되어 인터뷰

[그림 5] 요전수 (摇钱树)

를 할 수 있었다. 그 장인은 롼시쿠이(欒喜魁)로 2009

11)

[그림 6] 상관하재(上官下财)

2.3. 선행연구

년에 산동성 무형문화재로 인정받았고 동창부 목판 조각 연화의 대표적인 후계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펑지차이가 출판한 책에는 롼시쿠이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전면 조사라고 할지라도 누락된 정 보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8) 월광, 정좌 관음(正坐觀音), 남해의 신, 태산, 노반의 위패, 창고신, 마차신, 노호신(老胡仙), 서 있는 불상(佛像) 등

9) 동자 손 안에 꽃바구니를 가지고 있으며 이 즐거운 장면은 행복을 추구하는 의미가 있다. 10) 예전에 두연산(사람 이름)이란 사람이 행선을 통해 다섯명 의 아들을 얻고, 다섯 아들 모두 관직에 올랐고, 후세의 자손들 역시 모두 이름을 남겼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선악 유보(善恶有报)를 의미하며, 선한 일을 행해야지만 자손들에게 복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11) 그림 중 위에 요전수(나무이름)가 있고 아래는 부엌신이 있 으며, 집안의 부귀를 구하는 의미가 있다.

167


펑지차이가 2010년 출간한 <중국 연화 집성. 평도

과 목판조각 장인으로 성급의 무형문화재로서 동창부

동창부 권>에서 산동성 평도와 동창부 지역의 연화

연화 전수자로 인정받은 롼시쿠이, 이 두 명의 지역

현황, 예술 특징, 생산 방식, 소재 내용 등에 대해 기

연화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적인 요약과 정리를 진행하였다.

3.1. 동창연화박물관 현장조사

장시엔창은 2000년 출간한 <동창부 목판 연화>에서 동창부의 고대 목판 연화를 소개하였다. 이 책에서는 현지 연화의 생산방식, 유통, 민간 신앙 등에 대해서 도 간략한 정리와 소개를 진행하였다. 2011년 선훙(沈泓)이 출간한 <중국 소멸 위기의 연화를 찾아서: 동창부 연화 여행>에서는 보고서의 형식으로 연화를 찾아가는 작가의 여정을 기록하였 다. 관련 논문도 그다지 많지 않은데, 류옌(劉燕),

3.1.1. 박물관 현황 동창연화 박물관은 2014년 개관하고 면적은 약 600 평방미터이다. 주요공간은 전시관, 뮤지엄숍, 체험관 의 3가지 구역이다. 관내 수집 연화는 300여점이 있 고 관장 쉬슈전은 연화 애호자이자 수집자인데, 박물 관이 개인 소유이고 또 박물관 내에는 쉬슈전 1인 외 에 기타 직원이 없다. 아주 바쁜 시간에는 임시직원

숭팡하오(宋方昊)가 발표한 <동창부 연화 예술에

을 채용하든지 가족의 도움을 받고 있다. 박물관의

서의 이미지 형상>에서는 그래픽의 문화 내용을 설명

개관 시간은 일정하지 않고 폐관하는 경우가 많다.

하였다. 논문에서는 미학적 측면에서 동창부 연화의

3.1.2. 전시공간 및 체험공간

조형적 특징을 논술하였다고 할 수 있다. 류위메이 (劉玉梅)가 2015년 발표한 <동창부 연화와 양류 청 연화의 비교>에서는 주로 창작 주체, 제작 공정, 표현 소재, 연화의 속성, 심미 스타일 및 타깃 대중 등 6가 지 측면에서 두 지역 연화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를 진행하였는데 이는 동창부 연화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도움을 제공했다. 본 연구에서 주로 사용한 구술사적 연구방법에 대 한 선행연구로서, 리샹핑(李向平), 웨이양보(魏揚 波)가 2010년에 출판한 <구술사 연구방법>은 가장 먼 저 구술사를 방법론으로 연구한 저작이다. 20세기 초 에 들어서서부터 사회학, 미디어학, 민족학, 예술학 등 분야에서 구술사 연구를 도입한 문헌이 해마다 증 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를 놓고 볼 때 예술 분 야에서 구술사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은 상대적으 로 적은 편이다. 이상과 같이 동창부의 연화연구에 대한 자료가 충 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생존해있는 동창부 연화 관련 인사들의 인터뷰를 통한 구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 행하고자 한다.

3. 현장조사 및 지역 연화 전문가 인터뷰 중국에서는 1966년부터의 10년 동안의 문화대혁명 의 기간을 통하여 많은 연화들이 구태 사회의 그림이 란 오명을 받아 불에 태워져버렸다. 그 과정에서 명 청 시기부터 전해져 내려온 많은 연화 문양 및 목판 도 문화대혁명에 의해 소실되었다. 그 이후 연화는 전국적으로 쇠퇴일로를 걷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창부연화에 대한 연구와 사료가

[그림 7] 동창 연화 박물관

동창 목판 연화 박물관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길가에 인접한 2층 건물인데 여기는 주로 연화 홍보와 판매를 진행하는 뮤지엄숍이 위치 해있다. 두 번째 부분은 뜰 안의 건물인데 주로 전시 와 문화 체험을 하는 곳으로 좌, 우 양측의 전시관이 포함된다. 왼쪽은 연화 전시실 및 체험 그리고 작업 실이고 오른 쪽은 동창부의 조롱박 조각 전시관이며 가장 안쪽의 2층 건물은 주로 동창부의 과거부터 전 해져 내려온 고대 목판, 고대 목판 연화 및 기타 지 역의 연화를 전시하고 있다. 동창부 연화는 주로 문신화 위주이다. 하여 전시된 연화는 주로 여러 종류의 문신화 위주이고 극 관련 (이야기, 소설 또는 극 중 장면을 묘사한 연화) 연화 도 있다. 뮤지엄숍에서는 벽에 걸어둔 연화를 비교적 빠르게 바꿔주지만 전시관에 전시된 연화는 대부분 고대 목판 연화12)이므로 새로운 것으로 바꾸지 않는 다. 동창 연화 박물관에서 미술 교육 기관, 대학생 등 단체 또는 개인 체험을 진행하기도 하는데 주로 인쇄 과정 및 간단한 목판 조각 수법을 체험한다. 또 현지 의 요성대학 미술대학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사회 실 습 장소로 되어있다. 동창 연화 박물관은 정교하게 포장을 한 고대 목판 연화와 극 관련 연화 서적을 제

부족한 관계로 구술에 의한 1차 자료수집을 계획하였 다. 현재 동창연화 박물관장을 역임하고 있는 쉬슈전

12) 목판은 명청 또는 민국 시기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이고 이 런 목판과 기존의 색상 배합으로 다시 인쇄한 연화

168


작하여 판매하는데 이런 류의 서적은 고대 목판 연화 를 인쇄하여 매우 높은 소장 가치를 지니게 된다.

2011년 쉬슈전의 동창부연화사(年画社)가 설립된 이후 정부의 지원을 받아 2014년에 동창부 옛 성 지 역으로 이전하여 동창부 연화 박물관을 개관하였다.

(1) 박물관 건립 배경 쉬슈전의 소개에 따르면 연화를 수집하는 십여 년 동안 줄곧 자비로 목판 조각 장인에 조각을 의뢰하여 동창부 연화의 목판 조각 예술 작품을 최대한 보존하 고자 하였다고 한다. 그녀는 이 부분에서 이미 100만 [그림 8] 동창 연화 박물관 뮤지엄숍 내부

위 사진은 동창부 연화 박물관의 뮤지엄숍 내부이 다. 이 구역은 아래, 위 두 층으로 나뉘는데 아래층은 주로 상품을 판매하는 곳으로 동창부의 고대 목판 연 화, 창의적으로 발전된 연화13) 및 기타 비 무형문화 재 예술품 등이 있다. 박물관 위 층은 대외로 개방하 지는 않고 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위안이 넘는 금액을 투자하였다고 한다. 가족의 반대 가 있었지만 그녀는 자신의 신념을 가지고 꿋꿋이 버 티고 있었다. 정부의 옛 성 문화 구역을 조성한다는 기획 발표 후 2014년부터 옛 성에 동창 연화 박물관 을 건립하였다. 당시 정부의 지원 정책은 2년 동안의 임대료 면제와 전시장, 책상 지원이었고 인테리어 비 용은 그녀가 부담하였다고 한다.

(2) 연화의 소재

뜰 안의 왼쪽편의 전시관은 문화 체험의 장이다. 벽에 걸려있는 연화는 고대 목판으로 인쇄한 연화도

쉬슈전은 동창부 연화의 소재는 주로 신상류라고

있고 새롭게 발전된 연화도 있다. 소재는 일정하지

소개하였다. 동창부의 문신과 전신(全神)15)은 전국적

않고 전시관 정면에 책상과 그림 작업대가 놓여있었

으로도 유명한데 과거 사람들이 가난하여 하늘에 도

는데 쉬관장이 연화를 인쇄하는 모습을 방문자에게

움을 기원하였다고 한다. 문신, 재물신, 부뚜막신 외

보여주거나 체험을 하는 곳이다. 전시관의 왼쪽 편에

에 우신, 마신, 우물신 등 잡신도 함께 공양하였다고

책상, 책장을 배치하여 책을 읽거나 도면을 수정할

한다. 동창부 연화에서 비교적 특색을 가지고 있는

수 있도록 하였다. 전시관의 오른쪽은 4개의 책상을

것은 “부뚜막 신” “전능신(그림의 이름)” “꽃바

붙여놓은 큰 테이블이었는데 주로 인쇄를 마친 연화

구니(그림의 이름)”이다. 동창부 연화에서 “부뚜막

를 말리는데 사용된다. 또 전시관 내에는 목판 몇 개

왕”이란 소재만으로도 70여 가지에 달하는 그림이

와 도구들이 배치되어 관람자가 목판을 조각하는 과

있다고 했다. “전능신”은 더욱 모든 신상을 한 폭

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 그림에 집결시킨 그림으로 현지인들이 신에 대한 신앙을 표현하였다. “꽃바구니”는 동창부에만 있는 문신화이며 경사스런 뜻이 가득 담겨있다. 펑지차이(2010)에 의하면 연화소재로 볼 때 동창부 연화의 특징은 신상류를 위주로 한 벽사나 기복적인 성격의 연화라는 것이다. 간혹 실용적인 연화16)를 생 산하기도 하였으나 단순 감상용으로 나온 연화는 아 주 드물다.(P293) 여기서 현지 주민들의 신을 섬기며 복을 비는 기복적인 신앙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 9] 동창 연화 박물관 전시관

3.2. 연화박물관장 인터뷰: 쉬슈전(徐秀貞) 3.2.1. 구술 채록 내용 동창 연화박물관에 세 번14)의 방문을 통하여 쉬슈 전과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13) 인쇄 시 사용하는 연료는 수분화 연료를 배합하여 만들어 졌고 색상이 비교적 선명하고 화려하며 보존성이 높다. 14) 방문 일시: 2016년 2월 27일 오후, 9월 23일 오후,2017년2 월26일 오전

(3) 연화의 인쇄 과정 쉬슈전은 여름에는 쉽게 습해지기 때문에 연화 인 15) 여러 신상을 한 폭의 작품 속에 모두 담는 것을 말한다. 16) 동창부 연화는 주로 문신, 재물신, 부뚜막 신 등 신상 위주 이다. 이런 신상은 민간 예술처럼 보이지만 당시에는 설에는 붙이는 기호 일뿐이었고 복을 기원하고 제사를 지내는 도구에 지나지 않았다. 연화는 실용적인 기능만 지니고 있었는데 신을 모실 때 신 이외의 기타 심미 기능은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작가는 여기서 말하는 실용적인 연화를 실제 사용처가 있는 선 면화(扇面畵)와 같은 연화를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한다.

169


쇄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했다. 일반적으로 인쇄는 그

이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한다고 했다. 목판을 조각할

녀가 직접 담당하고 있지만 양이 많을 때에는 다른

때 그림 라인 조각용, 나무 깎아내기 용, 테두리 수정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고 말했다. 동창부 연화가 흔히

용 등 각각 다른 칼을 사용한다. 목판 조각은 기술에

사용하는 색깔로는 묵색판 이외에 노란색, 녹색, 빨간

대한 요구가 매우 높기 때문에 쉬슈전도 간단한 방법

색, 분홍색, 보라색, 남색 등이 있다. 하지만 한 가지

은 알고 있으나 조각 작업은 하지 못한다고 했다.

색을 더 사용하면 목판 한 개를 더 사용해야 하고 그 동창부 연화의 가장 특징적인 예술적 특성은 조각

에 따른 비용도 늘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자금 절 약을 위해 한 폭의 연화에서 4-5개의 목판을 사용한

기법에 있다. 조각 기법이 가지고 있는 선의 예술성,

다고 한다. 동창부 연화는 전부 채색 인쇄를 하기 때

노련한 칼 솜씨, 그 속에서 드러나는 묵직함은 동창부 연화의 대체할 수 없는 예술적 특징을 이루었다.

문에 인쇄작업이 복잡하다.

(펑지차이, 2010, p.294)

정리해보면 인쇄과정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절 차를 필요로 한다고 했다. 첫째, 종이를 작업대 위에 올린다. 둘째, 종이를 작 업대 위에 고정시킨다. 보통 한번에 200장을 고정시 킨다. 셋째, 목판을 고정하는 순서로 목판의 사이즈, 비율에 따라 책상 위에 위치를 잡아서 고정시킨다. 넷째, 목판을 인쇄하기 시작한다. 한번 인쇄하여 그림 한 장이 완성된다. 다섯째, 순서대로 색깔 판을 바꿔 가며 인쇄한다. 한 가지 색깔이 완전히 마른 다음에

여기까지 볼 때 완전한 동창부 연화를 완성하는 데 는 목판 조각과 인쇄, 이 두 가지 공정을 거쳐야 한 다. 그러나 동창부 연화는 채색 인쇄이기 때문에 목 판 조각 기술이 특히 중요하다. 만약 정통 목판 조각 장인이 사라진다면 동창부 연화의 느낌도 전부 변하 게 될 것이며 더 이상 동창부 연화가 존재하지 않는 다고 말할 수 있다. 때문에 기술의 전승 및 기술의 기록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야 다른 색깔로 바꿀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인쇄할

(5) 박물관 운영 상의 문제점

때 색깔과 라인 및 색깔과 색깔 사이의 연결을 매끄 럽게 해야 하는데 시작 단계의 목판 고정이 특히 중 요하다고 말했다.

(4) 목판 조각과 장인의 상황

쉬슈전은 길가와 인접해 있는 박물관의 1층 입구에 있는 뮤지엄숍(museum shop)에 주로 있다고 한다. 전 시장은 독립된 건물로서 숍의 뒤편에 자리하고 있다. 박물관에는 쉬슈전 한 사람밖에 없기 때문에 전시장

동창부 연화의 목판 조각과 목판 조각 장인의 상황 에 대해 쉬슈전은 아래와 같이 설명하였다. 현재 동 창부에서 전문 조각장인이 적어 그녀는 늘 롼시쿠이 와 천칭성에게 연화 목판조각을 의뢰한다고 했다. 롼 시쿠이의 기술은 대대로 내려온 것이지만, 현재는 아 들과 함께 슈퍼를 운영하며 양계 사업도 병행하고 있 어, 목판 조각은 한가할 때에만 108장군17) 등을 조각 한다고 하였다. 천칭성은 과거 지난(濟南)18)에서 책을 조각하였고 기술을 인정받아 고향으로 돌아온 후 쉬 슈전의 의뢰를 받고서 연화 목판 조각을 시작하였다 고 한다. 과거에는 둥어현에 연화 작업을 하는 사람 이 많았으나 현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했다. 목판 조각에 사용되는 목재로 보통 재질이 단단한 배 나무을 사용한다고 했다. 조각의 편의성과 칼이 꽉 끼지 않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조각을 시작하 기 전 기름칠을 한 다음 24시간 정도 방치한다고 했 다. 기름이 나무에 완전히 흡수된 후 그림의 선을 그 려놓은 종이를 붙인 다음 다시 한 번 기름을 발라 선

은 늘 잠겨 있고 전시장의 입구에는 간판조차도 없었 다. 쉬슈전의 말에 따르면 대부분 요성시 현지인들도 연화 박물관의 존재를 모르고 있다고했다. 박물관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라고 했다. 1 호기심에 의해 발걸음을 한 사람들은 보통 뮤지엄 ◯ 2 아이와 함께 외출한 부 숍을 훑어본 다음 나간다. ◯

모들은 교육적인 목적으로 연화를 판매하는 곳을 보 고 연화에 대해 간단히 아이에게 설명한 다음 나간 3 요성시의 어린이를 상대로 운영하는 미술 교 다. ◯

육 기관에서는 가끔 어린이들을 데리고 현장 체험 교 4 현지 요성대학의 대학생들은 가끔 육을 진행한다. ◯ 5 요성시 또는 고 팀을 구성하여 체험을 진행한다. ◯

위간부들이 가끔 관람 또는 상황 시찰을 시행한다. 6 중국민속 전문가 펑지차이의 학생들이 연구를 위 ◯

해 동창부 연화박물관을 두 세번 정도 방문하였다. 결과적으로 동창부 연화 박물관은 설립되었지만, 박물관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 겠다. 여러 차례 현지 조사를 진행하면서 관장 쉬슈전은

17) 중국 4대 명작 중 하나인 ‘수호전’속에 등장하는 108명 영웅 인물에서 비롯되었다. 18) 산동성의 현재 수도

방문자에게 박물관 작품에 깃들어 있는 사람들의 신 앙을 체계적으로 소개하였으나, 목판 조각, 인쇄 문제

170


에 대해서는 단편적으로 소개를 진행하여 연화에 대

펑지차이(2010)는 ‘요성 목판 서적 조각의 역사가

해 잘 모르는 사람들에 있어서는 여전히 연화의 전체

오래되고 서적 조각업의 발전은 많은 조각 명인을 배

적인 작업방식 또는 과정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출하여 연화의 발전에 필수 조건을 제공하였다. 그림

알 수 있었다. 또한 연화 전시장은 늘 잠겨 있어 아

가게는 장기적인 조각 장인을 고용할 필요가 없이 목

무나 들어가서 관람할 수 없었다. 들어가서 관람을

판 조각을 진행할 때에만 장인을 초청하여 목판 조각

하고자 해도 쉬슈전의 동의를 얻은 다음 소수만이 들

의 수량과 난이도에 따라 임금을 지불하면 된다. 목

어갈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판 조각 장인은 주로 탕이20)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3.3. 연화 장인 인터뷰: 롼시쿠이(栾喜魁)

고 기술했다. 여기서 동창부에는 전문적으로 연화를 조각하는 장 인이 없고 전부 서적 조각에서 전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적 조각의 난이도가 연화 작업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장인들의 칼 솜씨가 매우 좋을 수밖에 없다. 또 이러한 조각 장인들이 있었기 때문에 동창 부 연화는 지금까지 존재하고 발전할 수 있었다.

[그림 10] 동창부 목판연화 제5대 상속인 란시쿠이

(3) 과거와 현재의 설 명절 감상

롼시쿠이는19) 목판을 조각하는 장인의 가문에서 태 어나서 제 5대의 상속자이다. 15살에 학교를 졸업하

롼시쿠이 추억 속 설 명절은 집집마다 춘련과 연

고 아버지로부터 목판을 조각하는 기술을 배우기 시

화를 붙였다고 한다. 춘련은 보통 자기가 빨간 종이

작했다고 했다. 아버지의 엄격한 교육 하에 일 년 안

를 사서 직접 글자를 썼고 연화는 대문에 붙이는 무

에 전통적인 조각 기술을 파악하고 혼자 작품을 완성

문신, 출입문에 붙이는 문문신, 외양간에 붙이는 우마

할 수 있었다고 한다. 시간이 갈수록 유명한 기술자

신, 주방에 붙이는 부뚜막 신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가 되었다.

연화를 사서 붙였다고 했다. 롼시쿠이의 눈에 비춰진

3.3.1. 구술 채록 내용 (1) 개인 상황 과거 롼시쿠이는 주변 마을의 장마당을 다니며 도장과 글자를 새겼으며 인쇄 공장에서 그림을 조각 한 적도 있었다고 했다.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그는 몇 년 동안 조각 작업을 할 수 없었는데 최근에 들어 서야 연화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목판 조각 부탁하 기 시작하였다고 했다. 현재 그는 생계를 위해 아들 과 함께 양계 사업을 하고 있고 슈퍼도 운영하고 있 다고 한다. 2005년부터 두 사람은 여가 시간에 <수호 전> 속 108영웅의 인물 초상화를 조각하기 시작하였 으며 완성하면 책으로 엮어낼 예정이라고 한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더 이상 연화를 붙이지 않지 만 집집마다 부뚜막 신과 하나님은 여전히 존재한다 고 믿었다. 오늘 날의 ‘설 분위기’는 과거에 비해 많이 약해 졌다고 롼시쿠이는 말했다. 예전에는 가난했으나 설 을 쉬는 분위기가 물씬 났고 북적북적했다고 회상했 다. 그 당시 설에는 물만두나 빚어 먹고 연화를 붙이 며 폭죽을 터트리는 게 다였다고 한다. 초 하루날에 는 아침부터 어른들에게 설 인사를 하러 다녔으며 조 금이라도 안면이 있는 어른이라면 모두 방문했다고 했다. 그러나 지금의 설은 좋은 음식을 먹고 연화도 붙이지 않고 세배도 자기 집 식구들끼리만 하는 게 전부이라고 아쉬워했다.

(4) 목판 조각 비용

(2) 지역 목판조각 장인 상황 롼시쿠이의 소개에 따르면 그가 젊은 시절까지 만 해도 마을 또는 주변 마을에 연화를 조각하는 장 인이 몇몇 있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그들을 찾아와 목 판 조각을 의뢰했다고 한다. 그러나 전문 장인들은 이미 돌아가신 분도 많아, 현재 주변 마을에 있는 목 판 조각 장인들은 기술이 좋지 않은 편이라고 했다. 관현에 천칭성이라 불리는 장인이 있는데 80세 나이 에 조각 기술이 모두의 인정을 받고 있다고 한다. 19) 방문 일시: 2017년2월26일 오후

롼시쿠이가 젊은 시절 사회 전체가 가난했기 때문 에 목판 조각 거래는 고정적인 가격과 방식이 없어 판매자와 구매자가 협의하여 거래를 진행하였다고 했 다. 최초에는 양곡으로 거래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비용의 기준은 주로 목판의 크기 및 선의 세밀 한 정도, 즉 난이도 수준에 따라 결정하였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완전한 목판을 조각하는 데는 4-6개의 목판을 조각해야 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모됐다

20) 관현에 있는 마을 이름

171


고했다. 그래서 구매자가 중도에 거래를 번복하는 것

5 각기 다른 칼을 이용하여 선을 조각하고 게 한다. ◯

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체 금액의 절반을 계약금으로

도려낸다. 일반적으로 1cm 두께로 조각하되 조각 할

지불하게 하였다고 한다.

때 단칼에 끝내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점차 깊이 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롼시쿠이가 작업을 할 때 목 판 크기에 상관없이 한 세트 당 700위안 정도를 받았

6 반복적으로 수정을 진행하고 네 모퉁이 들어간다. ◯

를 정리한다.

으나 현재는 목판의 크기와 시간 소모 정도에 따라

위와 같은 과정으로 평균 5~6개의 목판을 제작한다

비용을 계산하기 때문에 크기가 가장 작은 목판을 조

고 한다. 그 다음은 목판 연화의 인쇄과정으로 넘어

각하는데 약 1000위안이 넘는다고 했다.

가는데, 이 과정은 주로 판매자들이 맡아서 한다고

(5) 연화의 내용과 의미 롼시쿠이에게 목판 조각을 의뢰하는 연화애호가들

한다.

4. 토의: 동창부 연화의 현황 분석

은 모두 자신의 그림 샘플을 들고 온다고 했다. 그래

4.1. 현장조사 및 구술 내용 정리

서 연화 속에 담긴 내용과 상징적 의미에 대해 자세 히 모르고 연화의 대략적인 전설만 알고 있는 수준이

4.1.1. 동창부 연화의 특징

며, 또 연화의 인쇄 문제21)에 관해서도 잘 모르고 있

(1) 소재 및 조형적 특성

었다. 그래서 목판 조각 장인은 조각만 할 뿐 조각을 생계를 꾸려나가는 도구로 사용할 뿐이었다.

동창부 연화의 소재는 주로 신상류이고 기타 소재

위의 분석으로 볼 때 목판 조각 장인은 대부분 농

종류들은 연화에서 매우 적은 비중밖에 차지하지 못

민이고 교육도 많이 받지 않아서 연화의 내용과 의미

한다. 이 중 문신과 전신이 가장 유명한데, 신상 유형

에 있어서 종합적인 이해도가 낮았다.

에 비해 형식이 더욱 다양하다. 예를 들면 “부뚜막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목판 조각이 동창부 연화에

신”의 신상은 70여 가지나 되었다.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적

동창부 연화는 기타 지방 연화와는 달리 인물 조형

조각업에서 전환된 목판 조각 장인들은 연화의 발전

이 과장되고 얼굴에 분장을 하지 않아 다부지고 소박

에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없었다.

한 모습을 만들어냈다. 이처럼 인위적이지 않은 인물

3.3.2. 제작 과정

형상은 신상과 현실 생활의 거리를 좁혀주었다. 그리 고 모두 채색 인쇄를 하였는데 일부 지역처럼 손으로 그리지 않아도 됐다. 이런 채색 인쇄는 목판의 “라 인감”(펑지차이, 2010)을 살려주었는데 바로 이러한 부분이 동창부 연화의 독특한 예술적 기품을 구성하 였다. 동창부 연화는 색채가 화려하고 대조가 강렬하 며 원색 계열을 선호하였다. 이처럼 화려한 색깔은 새해의 분위기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고 또 현지 주 민들의 소박함과 문화적 분위기를 나타냈다. [표 3] 동창부 연화의 조형적 특성

[그림 11] 제작과정

소재

동창부 연화의 목판 조각 과정은 비교적 복잡한데, 롼시쿠이에 의하면 대체로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

제작방법 및 표현적 특징

된다고 한다. ① 좋은 품질의 배나무를 선택하여 샌딩 작업과 말 림 작업을 거친다. 목판 하나는 약 한 달의 말림과정 2 식용유로 목판을 균일하게 바른 다 이 필요하다. ◯ 3 뜨거운 물로 목판을 데 음 20시간 동안 방치한다. ◯

쳐 칼이 나무 사이에 끼지 않도록 부드럽게 만든다. 4 그려놓은 문양을 그린 종이를 뒤집어 목판 위에 ◯

대표 작품 구도 조 색감 형 색채 적 특 징

풀로 부착한 다음 식용유를 도포하여 화면이 선명하

21) 동창부 연화는 조각과 인쇄가 분업화 되어 있다.

172

형태 윤곽선

신상류가 대부분 -과장된 형상 -얼굴에 분장을 하지 않는다. -전부 채색 인쇄(다색목판화) -손으로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 꽃바구니, 부뚜막신, 문신, 전신 등 깔끔하고 일체감이 강하다. 선명하며 대조가 강하다. 노란색, 녹색, 빨간색, 분홍색, 보라색, 남 색, 회색 등 (7가지 색) 눈의 형태가 가늘고 길며 형체가 풍만하 고 소박하다 선이 강하고 유창하다


(2) 제작 과정과 운영 상의 특성 동창부에는 전문적인 연화 목판 조각 장인이 없었 고, 대부분 책을 조각하던 장인들이 연화 조각까지

특징

겸해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동창부 연화 의 제작과정은 목판 조각과정과 인쇄 과정이 나뉘어 져 있어 분업이 뚜렷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경 영자가 연화의 전반적인 생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연화판매자(경영자)가 밑그림을 들고 조각 장인에 목판 조각을 의뢰한 다음 인쇄 기술자를 찾아 연화를 인쇄하고 판매하였다. 이와 같이 모든

물 관

과정에서 경영자가 절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 다. 하지만 연화의 몰락과 더불어 수요가 없어지고 문제점

판매점도 없어지면서, 현대에 와서는 연구자와 수집 가가 연화 생산과정의 중요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3) 동창부 연화의 현대적 가치 중국 연화는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예술 형 식을 감상할 수 있는 문인화와는 달리 다양한 민속 문화와 신앙, 민간의 이야기와 전설을 담고 있는 대 중 예술이다. 이처럼 민간에서 발원한 연화는 사람들

4.2. 논의점

이 더욱 쉽게 이해하고 가까이 갈 수 있다. 전달하는 내용과 지식, 문화, 도덕, 교육 등을 보급하는 수단으 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역의 풍부한 문화적 가치로서 뿐만이 아니라 현대 생활에서 일정한 가치 와 의미를 가지고 있다.

4.1.2. 현장조사 및 구술 내용 분석 [표 4] 구술 내용 정리 과거 상황 현재 상황 목 판 조 각 장 인

갑자가 줄어든 원인

비용 기준

문제점

연 화 박

방문자 및 체험자

-서적 조각업의 발전, -조각 기술자가 많고 기술이 좋았다. -관현에 조각 장인이 비교적 집중 -기술이 뛰어난 장인 수의 감소 -생계가 어려워서 마트와 양계장 운영 중 -연화 작업은 취미생활 -문화대혁명, -시대의 발전 -미신적 기복신앙의 쇠퇴 -과거에는 마음이 내키는 대로 비용을 계 산하였다. –현재는 목판의 크기와 시간 소요량에 의 해 계산한다. -가격대가 높아져서 수집가나 연화판매자 들이 주로 구입-수요가 많지 않다. -교육 수준이 낮다. -연화의 역사와 내용을 잘 모른다. -의미를 모른 채 주문자의 요구에 맞추어 제작 -신세대에서 기술이 뛰어난 조각 장인이 없다. -대부분 미술 학원의 어린이와 대학생들, -관련 연구자, -공무원

-연화와 연화 목판은 쉬슈전 개인 소유 -박물관 부지는 정부에서 2년 동안 임대 료를 면제하고 책상과 의자를 제공 -직원은 관장 한 사람뿐이다. -박물관 뮤지엄숍은 상업거리에 위치 -전시구역과 체험구역은 뒤편 정원 옆 3 개의 건물에 있다. -전시관 내에는 고판(古版), 고판 연화, 현대 인쇄연화 그리고 연화문양집 등이 전시되어있다. -관리 인원 문제로 인해 가장 기본적인 영업시간을 보장할 수 없다. -전시관에 들어가려면 관장의 허락 하에 문을 열어야 해서 관람이 어렵다. -동창부 연화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에도 변화를 주지 못했다. -전문적인 연화 연구원이 없다. -관장이 알고 있는 내용도 민간에서 들은 것이기 때문에 학술적인 면에서는 전문성 이 떨어진다. -특별한 전시 기획이나 공공 교육 프로그 램도 진행하지 않았다. -전시관 내의 연화 작품의 진열과 배치가 효과적이지 않다 -박물관 설비가 뒤떨어져 멀티미디어와 같은 첨단시설의 설비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4.2.1. 동창연화 박물관의 역할 평가 현장조사와 구술에 근거하여 동창연화박물관의 역 할을 평가해보면 아래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엄 건강(嚴建强)은 박물관은 기본적으로 보존, 연구, 전 파 그리고 교육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동창 연화 박물관도 이러한 기본 기능을 가지고 동창부 연 화의 발전에 일정한 추진 작용을 하였음에도 불구하 고, 아직도 열악한 환경 속에서 영세성을 면치 못하 고 있는 실정이다. ① 보존 기능: 동창부 연화 박물관은 총 300여 가 지의 연화와 목판을 소장하고 있다. 이는 연화를 보 호하고 수집하는데 일정 역할을 하고있지만, 연화와 목판을 수집하여 임의대로 박물관에 진열하는 것만으 로는 한없이 부족하다. ② 연구 기능: 동창부 연화 박물관은 교육기관과 학교 및 연구자들에게 1차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 볼 때 영 업 시간이 일정하지 않고, 연구 자료도 부족하고, 전 문 연구인력도 전무한 실정 등 부족한 점들이 많다. ③ 전파 기능: 동창 연화 박물관은 예술가 사이, 예 술가와 관람자 사이, 그리고 관람자 사이의 교류와 소통, 나아가서 동창부 연화 문화의 홍보 면에서 기 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4 교육 기능: 박물관은 비 정규적인 교육 장소로 ◯

173


인식된다. 동창 연화 박물관과 학교, 교육기관의 협동

의 가치가 있고, 그 지역의 문화를 풍성하게 하며, 지

은 학생의 지식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규 교육을 보완

역 관광 자원을 개발하는 일이 되기도 하는 등, 다양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목적을 가진 교육

한 의미가 있다.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못했다. 이처럼 동창연화박물관은 박물관으로서 다양한 기

본 연구는 동창부 목판연화의 활성화의 방안을 찾 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동창부 연화에 대한 이해를

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있지 못했다.

돕고,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고, 지역연화의 활

4.2.2. 동창부 연화의 문제점

성화의 방안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쇠퇴하고 있는 지역 문화로서의 동창부연화의 현황 조사를 진행하며 여러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그 중 영세성을 면치 못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전문연구 인력의 결핍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미비는 이 에따른 활용가치에 대한 연구 결여로 이어진다. ① 동창부연화에 관한 연구자료는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동창부 연화에 관한 서적들은 모두 현황에 대한 조사이고, 문화, 사회, 인문적 배경 등의 면에서 심도 깊은 연구가 없다. ② 이러한 결과로서 동창부 연화에는 현대적 재해 석의 시도와 같은 더 이상의 발전의 모습을 볼 수 없 다. 사용되는 문양에는 더 이상 현대성이나 창의성이 더해지지 않고 모두 고대에서부터 내려온 전통적인 도안만이 반복적으로 원용되고 있다. ③ 또한 다양한 분야로 응용되지 못하여 표현 형식 이 단조롭다. 이러한 결과로서 현대 대중들의 관심을 끌 수 가 없다.

4.2.3. 동창부연화 활성화를 위한 제안 ① 전문적인 연화 연구팀을 구성한 다음 동창부 연 화의 사료에 대한 정리를 진행한다. 예를 들면 예술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역의 유일한 박물관인 동창연화박물관의 현장 조사와 함께 박물관장 및 목 판 조각 장인에 대한 인터뷰를 통하여 구술을 채록하 였고, 이를 종합 분석하여 현황 파악과 문제점을 정 리하였다. 그리고 연화의 활성화에 대한

관점을 제

시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연화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부 족이 현대 동창부연화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중대한 문제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 제를 해결하고 동창부 연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동창연화 박물관을 중심으로 연화 연구팀을 구성하거 나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연화의 활성화의 방안을 찾 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 를 둔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로서 학생 들을 위한 동창연화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한다. 이러한 동창부연화에 대한 연구 활동을 통하여 현지 문화의 이해를 돕고 동창부 연화문화가 현대에 다양하게 활용되어 지방 문화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

가의 변화 그리고 경영모델 등을 연구할 수 있고 기 술과 예술적 혁신 등을 탐색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② 서로 다른 연령층, 서로 다른 수요를 가진 사람 들을 상대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그리 고 박물관 봉사자를 모집하여 대중도 참여하게 한다. ③ 학교의 전통 미술이나 연화에 관한 수업에 따라 관련 교사와 같이 정식 교육(학교 수업)과 비공식 교 육(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결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펑지차이. (2010). 중국 목판화 집성 平度 东昌府권. 베이징: 중화서국. -장시엔창. (2000). 동창부 목판연화. 인민 미술 출 판사. -왕루이.(2017). 중국 4대 연화(年畫)의 문신화(門神 画) 연구. 한구디자인포럼, Vol.54, 143-154. -刘玉梅(2015).东昌府年画与杨柳青年画之比较.艺术探

4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에 뉴미디어 기술과 인터 ◯

넷 기술을 응응한다.

索.Vol29. No3. -张锐.(2014). 东昌木版年画研究--人类学视角下的审视 与回顾”,

5. 결론 동창부 연화는 현지의 독특한 민간 신앙과 풍습을

-杨祥银.(2014). 口述史研究 第一辑.社会科学文献出版 社.

담고 있어 지역의 문화적 예술적 특징을 표현하고 있

-嚴建强,梁晓艳. 박물관의 정의 및 이해. 중국 박물

다. 비록 과거의 연화는“설”문화의 상징이었지만, 현대에 와서 동창부 연화를 발전시키고 활성화하는

관. 2001.제1호. -http://baike.so.com/doc/6582912-6796680.html

것은 현지의 문화를 이해하게하는 하나의 방편으로서

174


패션아트에 있어서 설치미술 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Installation art characteristics in Fashion Art

무윈(Mu, Yun) 제1저자 대련공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부교수

김순구(Kim, SoonKu) 제2저자 동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투고일자

게재일자

심사일자

175


국문요약

패션아트에 있어서 설치미술 표현 특성 연구

“패션아트”(Fashion Art)말 그대로 패션과 관련된 예술이다. 패션아트는 하나의 예술 형 식이며 이 예술 형식의 핵심적인 특징은 패션을 매개체 및 소재로써 개인의 감정과 정신세 계를 표현하는 것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현대 예술의 한 종류이며 현대 예술 중 하 나인 설치 미술과 함께 창조성, 사상성, 예술성 그리고 예견성의 특징이 있으며 패션 디자인 을 이끌고 지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대에서 패션 디자인은 현장 활동 속에서 “예술”이 ”패션”과 어우러지고 ”예술가”가 ”패 션”에 어우러지는 하나의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 거듭났다. 이 예술은 창작자의 감정 태도, 생활 주장을 어느 정도 반영하였고 하나의 사회성의 문화 형태로 거듭났다. 패션아트는 20 세기 60년도의 미국의 패션아트 운동에서 유래했으며 당시 미국에서 활발했던 현대 예술은 패션아트의 전파와 발전에 가능성을 주었다. 20세기 중반은 현대 예술이 활발해지고 포스트 모더니즘 예술이 발전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따라서 패션아트는 탄생할 때부터 현대 예술의 수많은 관념 그리고 철학적 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설치 미술 또한 20세기 60년도에 시작되었는데 하나의 예술로써 60,70년도의 “팝아트”, “미니멀아트”, “개념미술”등과 연관이 있다. 평론가 마이클 킴멜 만은 설치 미술이 현대에서 발전한 것은 문헌으로 기록되는 기능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방면에 대한 설치 미술 의 잠재력은 회화, 조소 그리고 촬영 등의 예술 형식을 훨씬 뛰어넘는다. 설치 미술과 패션 아트의 결합은 현대 사회만이 가지고 있는 새로운 것이며 패션미래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것은 우리가 중시해야 할 가치가 있으며 또한 깊이 연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설치미술의 형태의 집중 분석을 통해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을 뽑아내고, 이 러한 특성과 패션예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설치미술의 실물성, 관념성, 상호작 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매개 다양성, 확장성이란 7개의 표현적 특성을 뽑아낸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연구결과라 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패션예술의 많은 작품 사례들을 심층 적으로 연구한 뒤, 설치미술의 공통적인 표현적 특성 중 관련도가 가장 높은 특성으로는 실 물성,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그리고 매개 다양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다섯 가지의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과 패션예술을 융합하고, 또 이를 창작의 출발점 으로 삼으면, 패션에 더욱 풍부한 시대적 특징이 담긴 참신함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사회 사상의 형태를 반영하는 변화 능력을 부여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새로운 창작 형식으로 이 어져 당대의 패션문화를 해석할 수 있다. 창작자들을 위해 새로운 예술 각도로 패션을 자세

176


히 살펴보게 되면, 전통적인 사고관념을 부수고, 상상력을 더하며, 창작능력을 활성화하여 패션산업과 유행에 더욱 많은 영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문화의 창의적인 산업발전 의 촉진이라는 큰 의미를 낳을 수 있다. 핵심어 패션아트

설치미술 표현 특성

패션아트 특성

패션아트 창작

패션디자인

아이디어

Abstract

Fashion art known as Fashion Art in English stresses art related with fashion. It is originated from Fashion Art Movement in 1960s of the United States when contemporary art was active making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fashion art possible. Installation art similarly prevailing in 1960s is also closely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art. The combination of installation with fashion is the particularly new thing in modern society. Therefore, it deserves great attention and in-depth researches. Through analyzing the modeling features of installation art, this article has firstly obtained seven manifestation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substantiality, conceptualization, interactivity, region-specificity, temporality and medium diversity, expansivity. Then after the in-depth researches on a large amount of examples of fashion art, the article has found that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also exist in fashion artworks. Through researches and interview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by using five-point measurement method, it proved that fashion art has five installation art characteristics: substantiality, conceptualization, interactivity, region-specificity, and medium diversity. Integrate these five installation art characteristics with fashion art, and then with it as the starting point of creation, endow fashion with innovation of time features and transformation capacity to reflect social ideological form so as to extend new innovation mode for explanation of fashion art in contemporary era. This research can help creators view fashion from the brand new artistic perspective, break through

177


traditional thinking model, activate imagination and stimulate creativity, and infuse more inspirations to clothing industry and fashion industry so that it has the great significance of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ve industry.

Keywords Fashion art, Installation art characteristics, Fashion art characteristics, Fashion art Invention,Fashion Design Idea

패션아트에 있어서 설치미술 표현 특성 연구

Ⅰ.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및 의의 3. 연구방법 및 한계성 4. 선행 연구 분석 Ⅱ. 이론적 고찰 1. 패션 아트의 개념 2. 설치미술의 개념 Ⅲ. 설치미술과 패션 아트의 관계 1. 설치 미술의 표현 특성 2. 패션 아트와 설치미술의 관련성 Ⅳ. 패션아트에 나타나는 설치 미술 표현 특성 사례 분석 1. 사례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

2. 사례 분석 3. 분석 결과 V.결론

178


Ⅰ. 서 론 1. 연구배경 근대산업혁명 이후, 유럽은 수공업의 생산방식에서 기계를 통한 생산방식으로 전환을 이루었고, 20세기에는 기술혁명을 바탕으로 세계화가 이루어져 과학기술의 발전 흐름이 전 세계를 뒤덮었다. 의상영역에 있어서도 기존의 재봉실에서 고급부띠끄, 또 패션 브랜드까지 그 패션산업이 발전되면서 패션의 대중화를 이루었다. 기계가 수공업을 대신하던 과정에서 일부 사람들은 기계를 통해 빠르고 편리하다는 갈채를 받았지만, 일부 사람들은 복제를 통 해 수량화/표준화된 상품을 생산하면서 예술감의 상실이 이루어져 마음을 아파했다. 의상이 던 다른 상품이던 공업과 예술의 분리, 그리고 상품 속의 예술감의 상실은 일련의 반성을 야기하였고, 또 새로운 디자인 실천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190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현대예술가와 디자이너는 모두 새로운 방식을 통해 자신 의 창작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예술 창작은 각각의 영역에서 자신만의 방법으로 참신하게 나타났고, 이로써 초현실주의, 입체주의, 장식주의, 추상표현주의 등 명백하게 색깔을 지닌 창작 스타일과 예술 유파가 생겨났다. 새로운 예술사상의 빠른 보급은 예술품이 더 이상 전 통적인 형식의 연속이 아닌, 예술가들이 더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예술적 관념을 표 현하는 작품이 되었다. 패션 아트는 강력한 상징성, 실험성, 전향적 성격을 지님과 동시에 당대 예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패션 아트는 예술가가 예술을 이룸을 의미하여, 또한 자유로운 사상을 바탕으 로 패션정신을 내포하는 플랫폼이기도 하다. 패션아트는 패션 디자인 중, 디자이너의 창작능 력의 작용을 불러일으키며, 디자이너의 정신적 일깨움과 생활상태의 반성을 가져왔다. 예술 창작은 디자인 방법의 융합과정에서 더욱 많은 불씨, 격정, 그리고 가능성과 부딪힌다. 또한 패션 디자인 영역의 양적 순환을 추진하는 작용을 하며, 디자인의 독창성을 올려, 성숙한 패 션 브랜드 시장이 지속발전을 이룰 수 있는 길을 제공한다. 패션디자이너의 창작력은 브랜드의 핵심 경쟁력이다. 창작력이 있는 브랜드야말로 단일 적인 물질적 욕구의 만족에서 더욱 높은 정신적 욕구의 만족으로 올라가,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업계경쟁의 국제화가 이루어지고 점점 치열해지면서, 패션 디자인은 자신 의 디자인 사상을 조정하고, 그 사고의 각도를 바꾸어야 했고, 디자인 속에서 다양한 방면에 서 미학적 의의, 관념적 가치, 시대적 정신을 고려해야만 했다. 이 역시 “패션아트”이념이 디자인 속에서 기대하고 이루고자하는 바이다. 상업사회 속에서 인간과 사물(상품)의 경계는 혼합되었다. 미국의 학자Ronald J.Onorato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설치 미술의 심미적 영 향력은 단일적이지 않다. 이미 상품화된 물품은 힘을 지니고 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단순

179


하게 나타났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의 잠재능력에 접촉하여 대중이 측정한 환경을 반영하면 서 그 자신의 친근한 감각이 연역되었기 때문이다.”

1)

설치 미술은 시대적 특징이 반영된 예술적 형식을 시대의 예술에 응용되게 함으로써, 예술창작의 새로운 언어를 형성한다. 그것은 시대적 실용성과 기능성의 속박을 던져버리지 않고, 의상의 재료, 구조, 윤곽, 제작공예 등 방면에서 거대한 변화를 야기하였다. 뿐만 아니 라 패션재료가 아닌 재료를 창작 작품으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모든 종합적 재료, 기성품, 미디어, 하이테크놀로지 등 개성적이고 이념에 사로잡히지 않는 물건을 이용하여 독특한 사 고방식과 생활태도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패션이 “일상 생활품”의 한계를 벗어나, 패션아트 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게 된다.

2. 연구목적 및 의의 현대 패션의 설치미술 표현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 하여 패션의 예술적 가치를 재인식 하고 , 순수한 창작행위로서의 패션아트를 조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또한 설치 미술과 패션아트의 결합과 패션의 미래적 발전과도 긴밀한 연관이 있다. 또한 브랜드 영업과 이념 적인 학술교류 및 일상생활 등 장소에서도 빈번히 나타나게 되었다. 패션 아트와 결합된 설치 미술의 조형적 특징을 연구함으로써 일종의 “창의(Idea)”를 패 션 디자인에 녹였고. 이로써 패션유행과 심미적 인도 작용을 야기했다.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예술적 각도에서 심미적 각도의 패션을 인도하고자 하고, 전통적인 사유방식을 깨뜨리고 활 발한 상상력과 적극적인 창작력을 이용하여 패션산업과 패션상업에 더욱 많은 영감을 불어 넣어, 그로써 문화의 창의적 산업발전을 추진하는 등의 큰 의의를 불러온다. 설치 미술과 시 대예술의 결합은 당대 사회 특유의 신문물이자, 패션의 미래적 발전과 긴밀한 연관을 짓는 다. 따라서 중시해야만하고 깊게 연구해야한다고 사료된다.

3. 연구방법 및 한계성 본 연구는 이론 고찰법을 이용하여 선행연구에서 다룬 설치미술작품과 그 특징유형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간행본, 학술지등 국내외 문헌과 인터넷 자료, 그리고 현장조사 사 진 등의 사례를 선택하여 실증연구방법을 병행하여, 패션 예술작품에 나타난 설치미술의 특 징에 대해선 사례분석법 연구를 이용하였다. 또한 중국과 한국의 예술학과 교수와 패션 전 문영역의 전문가와 함께 방문취재와 조사연구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문헌, 인터넷, 현장 사진, 조사 탐방 등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그 연구범주는 20세기 초기부터 오늘날의 설치미술, 패션미술영역으로 한정하여 자료상의 한계가 존재한다.

4. 선행 연구 분석 1)

Ronald J. Onorato, 『Blurring the Boudaring : Installation Art 1969-1996』, Museum of

Contemporary Art, San Diego,1997, p.13

180


본 연구는 설치미술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설치미술과 공간 디자인, 실내 디자인, 매 체 영상, 패션 연출공간 VMD 등에 중요한 유기성과 촉진작용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각각의 예술 영역 역시 각자의 설치미술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음 역시 확인하였다. 제각각의 패션 디자인, 패션 예술영역에서 패션 관념과 창조 예술을 표현할 때 나타나는 설치미술의 특징 은 매우 연구하고 탐구할 가치가 있다. 이 역시 본고의 중요한 연구목적이기도 하다. 아래는 선행연구 중 대표성을 갖는 연구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과 부합되는 주요 선행연 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요 선행연 연구자

제목

주요내용

패션연출 공간과 설 치 미술 형태 특징 에 관한 비교 연구

설치 미술 형태의 중요한 특징: 도시화 예술성 특징, 현품 (现品)의 현장성 특징, 관람자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특징, 그리고 미디어 하이테크놀로지 크로스 오버성 특징 과 패션 연출 공간 형태 간의 분석을 통해 공통적으로 연 결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심준섭 (2015)

MovingImage설치미 술에서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의 소 통적 요소 연구

설치미술에서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의 소통적 특성 관 객과의 상호 소통 안에서 자유로운 논리적 활용 선행연구

이정은 (2012)

설치 미술을 적용한 VMD공간에 관한 연 구

예술의 특성인 설치미술을 적용될 때의 설치미술이 VMD 공간적용에 특성을 분석하였다. 설치미술의 공간 특성 일 상적 오브제 공간의 구조화

한수진 김규정 (2012)

영상설치미술에서 관객-작품간의내러 티브적상호작용 체 험

영상 설치미술에서 내러티브를 통한 다양한 관객참여와 작 품간의 체험 표현특성을 제안하고자 한 다.

한국영 상미디 어협회

설치미술에서 나타 나는 체험 공간에 관한 연구

설치미술에서 나타나는 체험적 공간화 표현특성에 대해 연 구하였다. 오브제의 요소로서 공간으로 확장하여 사건적으 로 발생하는 상황과 인간의 참여로 구성하고 있다.

한국공 간디자 인학회

설치미술의 조형적 사고와 표현 특성

설치미술의 조형적 사고에 기초하여 그 표현 특성을 체계 화 한 결과 시간 time(신체움직임) ,장 field(총체적 환경), 장소 site(컨텍스트); 담론discourse(문제제기), 전자매체 electronic media(상호소통) 매체의 다양성

한국실 내디자 인학회

패션아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초현실 주의적 패션아트 작 품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 패션아트 작품의 표현특성을 분석하 고자 하였으며 현재의 패션아트에 나타난 예술 반영의 모 습을 인식하여 인간 감성의 새로움 추구에 대한 기본적 욕 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순수예술로서의 패션아트 작품 표 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신정임 강병석 (2012)

패션아트에 표현된 인간의 욕구계층과 조형적 특성 연구

본 논문에서 인간욕구의 경향에서 바라본 패션아트의 조형 적 특성은 생명의 상징성, 영역의 확장성, 인간의 자존성, 관계지향성, 이상적 창조성으로 나타났다.

류근종 강병석 (2005)

패션아트를 위한 초 현실주의 표현에 관 한 연구 - 몸의 형 태 표현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작업에 몸의 형태가 어떠 한 모습으로 표현되는가들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세기 전반에 걸쳐 연구되었던 몸 , 초현실주의, 패션아트에 대 한 고찰을 하였고,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작업에 나타난 몸의 표현형태를 분석하였다.

장정파

어떻게

설치미술의 매개 재질, 색깔과 광택, 명암, 표면처리, 형상,

(발행연도) 무윈 김순구 (2016)

이숙진 (2011)

김주미 (2001)

류근종 (2010)

설치미술을

181

발행처 한국영 상미디 어협회

한국영 상미디 어협회 한국공 간디자 인학회

한국패 션디자 인학회

한국기 초조형 학회

한국패 션디자 인학회

중국문


(2014)

소원 (2012)

서감 (2000) 하만리 (1999)

이해해야 하는가?: “극장성”을 중심으로

도안, 3D공간에서는 “극장성”, “현대성”의 특징이 나타난다.

예이론 연구

설치미술의 개념과 그 표현방식

설치미술은 일종의 물체 병치 예술로, 일반적으로 2개 이 상의 습득물 또는 기성품을 조합하여 만든다. 설치미술은 광적인 관념예술에 속하는 일종의 예술형태로, 관념은 설 치미술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내용이다.

중국화 남농업 대학학 보

설치미술이란 인가

설치미술은 일종의 개방된 예술 수단으로, 특정한 공간과 관람자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특징, 시간성 예술의 특징을 갖고 있다.

중국미 술관찰

무엇

형태변천사로서의설 치미술

설치미술은 마음대로 마음껏 주울 수 있는 기성품부터 실 물재료의 표현적 품질에 대한 탐구까지 포함하며, 실물 매 체 자체의 단독존재성을 진실 되게 재현하는 것이다. [표 1] 설치 미술에 대한 주요 선행연구

중국문 예연구

이상의 연구에서 알 수 있듯, 설치미술과 수많은 예술 디자인 영역은 매우 중요한 유기성 과 촉진작용을 지니고 있다. 연구자는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징 역시 중요하다 판단하여, 이 론연구방면을 더욱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는데, 주로 설치미술의 역사적 발전 및 표현형식을 분석하여 일련의 연구 성과를 얻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종합해보면,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 을 전면적으로 분석한 심도 깊은 연구의 수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패션 예술의 연구는 거 의 대부분 모종의 예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패션 예술 영역에서의 설치미술에 관 한 연구가 현저히 부족하다. 본고는 선행연구 속의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징에 관한 이론을 체계적이고 전면적으로 분석하였다. 대량의 실증사례를 분석하여 표현적 특성의 요인을 뽑 아내고, 이를 패션 예술영역의 창작이념과 조형적 특징을 종합하여 실증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Ⅱ. 이론적 고찰 1. 패션 아트의 개념 19세기 중기 이래로 예술은 사회에 평행적 도전이 있는 것처럼 보여 진다. 그러나 당대 예술이 실천되는 활동의 풍부성과 다양성은 혼잡 된 형식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예술가는 20세기 초기의 현대예술의 기초적 원칙을 재 탐구 하여 재구성하여 빛을 발하게 한다.2) 1960년대 미국의 예술운동 중, 예술가는 “입을 수 있는 예술”의 박람회를 개최하였다. 이 박람회는 몸에 입을 수 있는 예술형식이라 그 박람회 형식을 규정하였다. “젊은 폭풍”이 가 져온 기존의 전통과는 반(反)하는 사조를 가져왔는데, 반공업사회가 가져온 공해현상의 내용 을 포함하였다. 그들은 공업 디자인을 부정하고, 공업화로 생산된 의상을 폐기하였으며 수공 업을 존중하였고, 수공업으로 제작된 유일한 패션을 즐겼다.

3)이러한

사조는 “입을 수 있는

2) Michael Archer,『Art Since 1960』, Thames & Hudson world of Art, 1994,P.7 3) Jump up ^ Penelope Green,'BOOKS OF STYLE; Why Knit? The Answers',(New York Times),

2003,05.04

182


예술”과 "the 60s Art to Wear movement"을 야기하였는데,

그 대표적 인물로는 Sharron

Hedges, Janet Lipkin, Jean Williams Cacicedo, Dina Knapp이 있다.4) 웨어러블 아트(wearable art)는 일종의 재료 및 공예 예술로, 그 창작자는 주로 방직품을 이용해 예술창작을 이루어낸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모두 전통적인 정교함과 설치미술을 정식으로 배웠기 때문에, 그들의 창작 작업은 예술성을 띠고 있지, 패션 디자이너로서 작업 하지 않는다. 미국에서는 1970년대 웨어러블 아트(wearable art)가 등장하였는데, 그 기원은 히피 운동((hippie movement)이다. 이 운동은 수공예 제작물품의 가치를 부여하였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물품들에는 영혼과 성실함이 담겼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작품들은 공업 생산품에는 결여된 것이었다. 히피가 진 정으로 자신의 스타일을 형성하게된 것은 “리바이스(Levi Strauss & Co.)”의 청바지 대회에 서였으며, 일종의 유파로서 웨어러블 아트(wearable art)와 함께 베이에리어(Bay Area)와 뉴 욕시(New York City)에서 동시에 시작하여 각각의 패션방향으로 발전해갔다.5) 미국의

Dina

Knapp의

작품“기모노의

역사(See

It

Like

a

Native,

History

Kimono#1,1982)”는 1980년대의 신문과 잡지의 사진으로 만들어진 의상의 이미지로, 기성 품 장갑과 목화, 폴리에스테르, 비닐, 신문, 잡지, 포스터, 열전사 프린터, 인쇄 등의 재료와 공예를 이용하였다. 플라밍고 및 야자수의 그림 이미지와 가두시위, 전투기, 총, 해안지역의 난민의 그림 이미지를 강하게 대비하여 당시에 발생한 모순을 반영하였다(그림1).

6)

“입을

수 있는 예술”운동 이후, 20세기 말의 일부 일본 예술가는 새로운 사고를 하기 시작했다. 이세이 미야케의 “Bustier,”(그림2)7) , 三本耀司( yohji yamamoto)의 “Dress” (그림3)8) 등 으로 “입을 수 없는 예술”을 시도하였다. 입을 수 없는 예술은 입을 수 있는 예술을 더욱 가소성 있는 창작으로 만들어주었다. 예술가들이 만든 예술작품은 의상의 모습을 지녔지, ‘입음’을 목적으로 지니지 않은 예술품이다. 이로써 사물과 인체간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 였다. 이 단계의 패션과 예술운동은 더욱 긴밀해졌다. 패션아트는 더욱 광범위한 창작 플랫 폼을 얻게 되었고, 예술가들은 예술을 바탕으로 작품을 창작한다. 또한 사람들이 입는 방식 을 다방면으로 시도하는데, 이러한 창작방식은 전위적으로, 선구적이고 실험적인 탐구방식이 다.

4) 려월,『FROM WHERE FASHION ART 2008 INTERNATIONAL EXHIBITION』, 북경 중국문연출판사,

2008, P.15. 5) Melissa Leventon,『Artwear』, Thames & Hudson, 2005. p.12-30. 6) Washington, D.C, 'The Kimono Inspiration: Art and Art-to-wear in America 'Textile Museum 7) http://www.ngv.vic.gov.au 8) http://www.metmuseum.org

183


그림1 Dina Knapp 1982

그림2 이세이미야키 1980

그림3 yohji yamamoto 1991

‘패션과 미술의 만남’으로 이해될 수 있는 미술의상은 의상이라는 틀에서 조형성을 강조하 는 것으로 미술과 의상의 각 분야가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타 분야의 특징을 수용하면서 새 롭게 파행된 예술형식이다.

9)

‘패션 아트(Fashion Art)’는 ‘미술의상(Art to Wear)’에서

유래한 용어로서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1997년 예술의 전당에서 대규모의 예술행사로 기획 한 ‘패션 아트 페스티발(Fashion Art Festival)’이라는 전시회였다.10) 이 시기의 설치미술은 “웨어러블”과 “NON-웨어러블”의 형식적인 문제가 모호해지기 시작하였고, 점진적으로 더욱 독립적인 개념과 체계를 지닌 예술창작 형식인 패션 아트(Fashion Art)가 형성되었다.

2. 설치미술의 개념 설치미술이란 용어가 서구에서 미술사진에 등장한 것도 1970년 이후일 정도로 이 용어는 현대미술 자체에서 생소하게 사용되어 왔었다. 그렇지만‘설치’라는 미술 용어는 이제 대부분 의 미술전문 사진에 등재되어 있으며, 테이트 모던 미술관에서 운영하는 웹에서도‘설치’라는 미술을 1950년대 말 해프닝에 그 뿌리를 둔 채 혼합매체 등을 사용한 현대미술의 한 유형 으로 정의하며 1990년대 이후의 미술에서 주도적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한다.11) 설치미술(Installation)은 일종의 3D 예술로, 1960년대에 등장한 당대예술 유형이다. 1970 년대에는 이미 세계 시각문화의 주류 양식으로 발전되었다. 설치미술의 기원은 1912년 몇몇 의 피카소의 콜라주(Collage)와 현품(Ready-made) 창작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2) 60년대의 서양 청년들의 저항정신이 정치에서 예술까지 이어졌다. 예술가들은 전통적인 예술 분류를 무시하고 정의(Definition)의 속박을 받지 않고 마음가는대로 모든 그들이 원하는 예술수단 과 재료를 응용하였는데, 이러한 행위들이 설치미술이 예술 부류로서 형성되도록 촉진작용 을 하였다.

13)

9) Joann Goldberg, 'Art to Wear Visionary'Ornament Vol.10,No.2,1986,p.42. 10) 류근종,「패션아트의 초현실주의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5 No.2, 2005 11) 정연심,『현대공간과 설치미술』,

에이엔씨출판, 2014, p. 60.

12) 소원.<설치미술의 개념과 그 표현방식>, 중국화남 농업대학학보(CSSCI), 2012 13) 서감. 『설치미술 Installation』, 북경: 인민미술출판사, 2003, p.5.

184


‘오브제(Objet)’의 어원은 라틴어의 ‘Objectum’에서 기원한 말로써 ‘앞으로 던져진 것’이 라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물건, 물체, 객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14)

오브제의 사전적 의미는

크게 오감(五感)으로 포착할 수 있는‘물체’, ‘사물’과 지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대상’, ‘객체’ 라는 두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다.15) 즉, 사전 속의 오브제에 대한 정의는 시각, 청각, 촉 각 등의 감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사물’과 인식 주체의 인식 대상으로서의 정신적인 것 을 포함한 ‘대상’으로 요약된다.16) 예일대학의 교수 퀴블러(George Kuble)는 그의 책 《시간의 물화(The Shape of Time)》에 서 “인류가 제작한 물품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정확성으로 흘러가는 시간을 기록하고, 그야말로 이런 완제품들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시간을 물화(物化)한다.”

17)고

밝혔다. 실물

을 사용하여 관념을 표현한 것은 마르셀 (마르셀뒤샹Marcel Duchamp)의 명작 “샘 (Fountain)”에서 시작되었다. 철물점에서 하얀 자기로 만든 소변기를 구매하여, 그 위에 전 통화가들이 싸인을 하던 방식으로 필명 “Mutt” 와 1917년이라 적었다(그림 4 ).18) 그는 이 렇게 해석하였다. “Mutt선생이 자신의 손을 이용하여 ‘샘’을 만들었는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그의 선택(뒤샹 본인을 강조)이다. 그는 일상 생활용품을 선택하여 실물 적인 가치가 없는 환경에 배치하여, 새로운 주제를 부여함으로서 그의 지향적인 새로운 관 념을 표현하였다. 그는 그 물건을 기점으로 새로운 사상을 창조하였다.”

19)

“찾은 물건(습득물)”이던 “기성품”이던 모두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예술가의 의지로 조합된 다. 이러한 조합은 예술가의 관념을 전달하는 것을 유일한 목적으로 삼는다. 1961년 미국 뉴욕시의 현대미술관에서는 “조합 예술관”을 개최하여, 각종 방식으로 사물을 사용한 예술 가들을 불러들였다. 이 때 사용된 사물들을 통해 만들어진 모종 환경의 설치미술은 이미 그 모습이 드러나고 있었다.

그림4 뒤샹 14)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서울: 월간미술, 2001, p.339. 15) 시사영어사편집부, Random House, INC. 『랜덤 영한대사전: The Random HouseDictionary of

theEnglish Language』, YBM시사: 2002, p.1579. 16) 박찬국외, 『현대미술의기초개념』, 서울: 재원, 1995, p.186. 17) George Kubler,『The Shape of Time: Remarks on the History of Things』, Yale University

Press,1965,p2 18) http://zh.wikipedia.org 19) Calvin Tomkins,『The World of Marcel Duchamp』,New York: Time Incorporated,1966,P.39.

185


“샘(Fountain)”1917

Ⅲ. 설치미술과 패션 아트의 관계 설치 미술의 표현 특성

1.

1)오브제(Object)의

현품(Ready-made)과

습득물(Found Object)이

지닌

실물성과

관념성 설치미술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은 “오브제(Object)를 사용하는 것이다. 설치미술을 언급할 때 “오브제(Object)”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오브제(Object)는 매 우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물체 또는 실물은 일반적인 의미 외에도 같은 목적과 객체 의 함의를 지니고 있다.

20)

1917년 뒤샹의 명작 "샘"(Fountain)에서 나타난 현품은 이후 설

치미술의 기본적인 특징에 부합한다. 이 작품은 명실상부 공업상품이다. 다시 말하면, 뒤샹 이 이후 이것을 현품이라 불렀는데, 이 현품은 발견된 “습득물(Found Object)”이라는 것이 다. 예술가들이 이렇게 대상을 발견하고 사용할 때 예술품의 특권자가 된다.21) “현품(Ready-made)”의 등장은 다다이즘(Dadaism)의 예술가 뒤샹이 만들어낸 단어로, 가 장 대표성을 띔과 동시에 논의의 대상이기도 하다. 1913년-1914년 동안 뒤샹은 이미 작품 “자전거 바퀴(Bicycle Wheel)”(그림 5) 를 통해 현품의 영감을 느꼈다. 다만 당시에는 유희 적 성질(游戏性质)이 다소 정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1915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이 명사가 정 식으로 사용되었다. 뒤샹은 예술품을 구상하는 것은 예술가가 나타낸 결과보다 훨씬 중요하 다고 생각하였으며, 관람자의 주의력을 물품제작 속 공예 기교에서 돌려 예술의 지성적 본 질에 돌려놓고자 하였다.

22)

설치 미술(Installatio Art )은 1960년대에서 비롯된 예술적 관

념을 지니고 있다. 60년대 관념예술의 대표인물인 코수스(Joseph Kosuth)는 “마르셀뒤샹부 터 시작하여 모든 예술의 본질은 모두 관념예술이다. 왜냐하면 예술은 관념 속에서만 존재 하기 때문이다.” 라고 단언하였다.23) 라우션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설치미술 작품은 현품을 대량으로 이용하였다. 공업 문명과 도시문화 특유의 물품과 심지어 폐기물까지 그의 작품에서 나타난다. 설치의 방식으 로 표현된 관념은 이미 초기 뒤샹의 파괴적 성격에서 건설적 성격으로 전환되어 물질문명의 놀라움과 자긍심으로 전환되었다. 오늘날의 현대예술 구조를 다진 중요한 기초는 물건사용 (실물의, 실물환상의)의 방식으로 예술가들이 표현한 공업이 발전된 공업사회의 정신적 감상 이다. 라우션버그는 신문, 사진, 밧줄, 손톱, 의상 등 실물 그대로를 묶어 캔버스 위에 담거 나, 또는 3D 입체로 이어 붙여 회화재료의 사용과 미학원칙을 약화시켰고, 현품으로 재현하 20)

서성록, 『설치미술 감상법』, 서울: 대원사,1995,p.11.

21) 고승봉. 하만리,『설치미술』,호남미술출판사, 2003, p. 23. 22) Robert Atkins. 『예술개강』, (황려연 역), 태북, 예술가출판사, 1996, p.81. 23) Joseph Kosuth. “Art after Philosophy” Studo International,Oct.1969

186


거나 나타낸 전통은 물체 재료 자체의 물질성과 진실성을 부여하여 그 자신의 물질성을 보 존하였다(그림 7).24) 라우션버그 뿐만 아니라 당시의 많은 예술가들 모두 당대 사회 속에서 보이는 여러 현품 을 예술품의 구성요소로 사용하였다. 워홀(Andy Warhol)은 200개의 통조림 또는 코카콜라 병의 모습 그대로를 직접적으로 병렬하여 나타내어, 이로써 상업사회에서 나타나는 소비의 식과 생활의식을 예술의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설치미술 작품인 “브릴로 박스 (Brillo Box)”(그림 8) 는25) 실제 소비품을 예술 작품 속으로 끌어들여, 작품 전반적으로는 물품 그 자체의 물질성은 소멸하고 새로운 예술적 의미를 생성하였다.

그림5 뒤샹 “자전거 바퀴(Bicycle Wheel)” 1913-1914

그림7 Rauschenberg “Monogram” mounted on four casters 1955-1959

그림6 코넬 Boxes “습득물(Found Object)”1954

그림 8 워홀 “브릴로박스(Brillo Box)” 1964

다음 내용은 설치 미술 사례 그림을 표현특성 분석: 사례 그림

조형특징

작품 의미

그림5

Ready-made Found Object

가치가 소실된 환경을 활용하여 새로운 주제를 부 여함으로써 작품의 새로운 관념을 나타내었다.

그림6

Found Object

연상(聯想)과 우아하면서도 소박한 스타일이 담아 심미적으로 품질을 표현하고, 미(美)로 뒤샹의 반 (反)형식 미학의 의도에서 벗어났다.

그림7

Ready-made Found Object

그림8

Ready-made

2)

관람자의

참여와

표현 특성

실물성 관념성

오브제 자체의 물질성, 진실성으로 표현하여 그 자신만의 물질성을 남겼다. 물제 자체의 물질성을 없애고 새로운 예술적 의미 를 만들었다. [표 2] 설치 미술 표현 특성 분석

작품

간의

체험,

상호교류,

체험의

공간화가

지닌

상호

작용성(Interactivity)과 장소 특정성(site-specificity) 미술에서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의 특성은 상호소통, 매체와의 결합, 관객의 개입 등으 로 살펴보면, 상호소통은 쌍방향의 소통에 의해 나타고, 그것은 상징적인 소통의 형태를 가 지고, 내외적 구조와 의미작용과 상징 및 관계를 내포하는 것이며, 이것은 “각 단계마다 언 어와 사회, 생각과 행동, 자아와 타자 등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난다.”26) 설치미술은 관람자의 참여를 중심으로 한 관람자의 체험, 경험 등의 중요한 부가요소가 24) http://www.rauschenbergfoundation.org 25) Michael archer ,『art since 1960』,

Thames & Hudson Ltd, 2015,p16

26) 마크 포스트, 『뉴 미디어의 철학』, 김성기 역, 민음사, 1995, p.22.

187


필요하다. 화랑 또는 설치 미술을 배치할 장소의 예술 장소성의 중요한 관계는 1960년대부 터 시작되어 현대 예술에까지 이르러 지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관람자와 작품, 작품을 배치할 장소 이렇게 3개 요소의 상호관계는 작품의 의미를 만들어낸다.

27)설치미술

작품은

공간 환경과 관람자를 예술 작품 속으로 끌어들여, 관람자의 상상력과 참여 열정을 고무시 킬 뿐만 아니라, 관람자 역시 작품제작에 참여하는 관계자이자 창작자가 될 수 있다. 실내와 실외를 막론하고 설치미술에서 공간과 사람의 상호 작용성은 필요불가결하다.28) 설치미술은 일반적으로 장소 특정성(site-specificity)을 지니고 있다.29) 작품의 각종 요소 는 하나의 단일된 작품으로서 체험되고, 이러한 요소의 집합체로서 설치미술 작품은 특정한 장소에서 제작되었을 때 장소 특정성을 지니게 된다. 관람자는 장소가 특정된 설치미술 작 품을 그 장소와는 독립된 독자적인 것으로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 화랑이나 미술관 속 장소 가 특정한 설치미술 작품에게 있어, 예술과 주위 건축은 함께 조화를 이루고, 건축물의 벽과 공간은 예술의 일부가 된다. 오스본(Harold Osborne)은 그의 책 《20세기 예술》을 통해 설치는 어느 정도에서는 소 위 환경예술, 장소예술이 서로 포용된다고 밝혔는데,

“설치, 상황, 환경 등의 단어는 미술

적으로 사용 구분이 엄격하지는 않지만, 작가들 사이에서는 각기 다른 의미로 통한다. 설치 는 일반적으로 각기 다른 물체를 조합하여 형성된 모습이고 환경예술과 설치미술은 공통점 이 있다. 이는 또한 환경 전체의 인지적 경향에 영향을 미치면서, 또한 대중의 마음 속에 위 치한 장면 예술을 포함하기도 한다.”를 언급하였다.30) 관람자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은 사회적으로 더욱 큰 의미로 작용하는데, 강렬한 미 술 관념이 지지하는

미술은 더욱 광범위하고 강한 생명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설치 미술은

관람자 상호작용성을 지니고 있다. 많은 설치미술은 장소 이외의 다른 주제에 집중되어 있지만, 그렇다 해도 설치 미술 자체 는 구성적인 환경존재로서 관람자가 그 안에 위치하게 되면 작품과의 유기성이 생성된다. 설치미술 작품은 일종의 감정과 사고력이 연결된 신체적 체험을 제공한다. 관람자는 마치 무대 장면 속(소품, 배경, 조명, 음향효과가 겸비된)에 들어가 작품의 부름에 맞추어 자신을 자각하게 되는데, 그러한 신비롭고 미지의 내용은 무궁무진하다. 비록 그 정의와 구체적인 실천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지만, 장소 특정성(site-specificity)이란 개념은 당대에서 계속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31) 비올라(Bill Viola)의 작품과 그 희극성의 비결은 비디오 설치(Video installation)이란 예 27) 정연심,『현대공간과설치미술』, 에이엔씨출판, 2014, p. 23. 28) 황건성. 『공간전시디자인』, 북경대학교출판사 , 2007, p. 10. 29) Jean Robertson,Craig McDaniel. 『Themes of Contemporary Art: Visual Art after 1980』,

Oxford University Press, 2009,p178. 30) Harold Osborne. 『Twentieth Century Art』, New York,OxfordUniversity,1981, p563-564. 31) Hal Foster,ed.『The Anti-aesthetic: Essays on Postmondern Culture』,Seattle: Bay Press,

1983,p31-42.

188


술유형의 전형적인 산물이기 때문이다. 관람자를 중심으로, 즉 관람자를 자신의 핵심 연기자 로 삼고, 대중을 위해 공명된 공간을 만들어준다.

32)1996년

비디오 아트 “교차(The

Crossing)”는 이러한 예술유형의 중요한 대표작 중 하나이다. 스크린 정면에서 한 사람은 계속해서 급류에 잠기게 되지만, 스크린 배경에서 그 사람은 동시에 큰 불에 집어삼켜지고 있다. 작품은 “불”과 “물”의 윤회를 통해 “생성과 소멸”, “우주와 인류”의 윤회원리를 표현 하고자 하였고, 동양사상의 “윤회관”은 당대 사람들의 심미가 자아 속박과 고립을 벗어나게 끔 하였다(그림9)33). 예술가 슈왈츠(Jennifer Woolcock Schwartz)는 1998년 뉴욕에서 설치미술 작품 “절대 패션(Absolutely Fashionable!)”(그림10)를 선보여, 관람자의 참여행위를 작품의 중심으로 삼았다.34) 패션과 예술의 융합은 주류 문화의 대화 주제이다. 패션은 팝아트예술의 지위를 높였고, 그 숨겨진 사회와 심리적 요소가 예술가에 의해 설치미술의 형태로 반영되어 나타 났다. 작품은 8개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패션 마네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의 마네킹은 이름 뿐 만 아니라 약력 또한 갖고 있다. 예술가는 마네킹에 추상적인 도안을 그려 그 만의 개성적인 특징을 부여하였고, 모든 마네킹에게 사람과 비슷한 대사를 준비시 켰을 뿐만 아니라 관람자를 불러 편지를 쓰게 하고 반드시 모두 답장할 것을 약속하게 하였 다. 많은 관람자들이 편지를 쓰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관람자의 참여와 개입을 통해 상업사 회 속에서 그들이 슈퍼 마네킹이란 현상에 대해 반성과 사고를 하게 한다. 독일의 예술가 휠러(Carsten Höller)는 영국의 테이트브리튼 갤러리(Tate Britain)터빈홀 (Turbine Hall)에서 작품 테스트 사이트(OE Test Site,2006)을 선보였는데, 이는 상호작용 예술(Art of Interaction)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전시장의 큰 높이를 이용하여, 작품과 각 층 의 미술관 관람석을 직접적으로 연결시켰다. 서로 교차하는 5개의 거대 금속 구조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지면에서부터 곡선의 형태로 올라가 각 관람석과 연결되어 있다. 사실상 이는 5개의 미끄럼틀로, 관람자가 위층에서 한 관람석을 미끄러질 시작점으로 삼아야만 비로소 경악스러운 전시장의 높이를 의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모든 감각 이 바로 놀라운 자극의 경험에 의해 완전히 흡수된다. 테이트브리튼미술관 관장인 토돌리 (Vicente Todoli)는 이 작품은 참여자가 놀이터와 비슷한 체험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체 험자는 신체의 제어력을 버리고 놀랍고 가슴이 뛰는 신체 체험 속으로 들어간다), “공간의 수직성”이란 예술 탐구로서 우리들에게 진지한 생각을 남기게 하는 공간이라 설명하였다. 35)(그림

11)36)

미국 당대 설치미술의 대표자 중 하나인 해밀턴(Ann Hamilton)의 수많은 작품은 모두 각 32) Hans Belting. 『Art History After Modernism』, 홍천복 역, 남경대학출판사, 2014. p175. 33) http://www.cafa.com.cn 34) 서감,『설치미술 Installation』,북경: 인민미술출판사, 2003, p.66. 35) Charlotte Higgins,'Carsten Höller's Slide Show','Guardian'2006.10.10.p.9. 36) http://www.tate.org.uk

189


종 현존하는 물체, 섬유 등 재료인 “방직”을 조합하여 만든 것으로, 소리와 각종 시각적 요 소를 더하여 각종 감각기관의 연상을 하게 한다. 장소 특정성을 지닌 대형 설치미술 작품인 “실-사건(the event of a thread) (그림12)37)은 뉴욕에서 면적이 55,000평 방 피트에 달하는 큰 공간(Wade Thompson Drill Hall)에 위치해 있다. 거대하고 하얀 실들이 천장에서 밑으 로 떨어져 있는데, 걸려서 얽혀있는 실들은 10 여 개의 그네와 밧줄로 이어져 있다. 현장에 온 관람자는 마음껏 그네를 즐길 수 있는데, 이렇게 움직이는 그네는 밧줄을 잡아당기고, 밧 줄은 실들을 움직이게 하여 하얀 파도가 출렁거리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설치미술 작품 전 체의 조종사는 바로 현장의 관람자들이다. 해밀턴의 사회 은유적 인용으로써 이 작품은 사 람들 간의 상호 유기성과 상호 작용성(Interactivity)이란 철학적 사고를 하게 한다.

그림9 비올라 “교차(The Crossing)” 1996

그림10 슈왈츠 “절대 패션(Absolutely Fashionable!)” 1998

그림11휠러 “테스트 사이트(OE Test Site)”2006

그림 12 하나인 해밀턴 “실-사건(the event of a thread)"2012-2013

다음 내용은 설치 미술 사례 그림을 표현특성 분석: 사례 그림

조형특징

작품 의미

그림9

특정공간、관람자참여 Video 매체

관람자를 자신의 주요 연기자로 삼고 관람자에 게 공명 공간을 만들어준다.

그림10

특정공간、관람자참여 Ready-made、Found Object、 Video 매체

관람자의 참여행위를 작품의 중심으로 삼았다. 관람자의 참여개입을 통해 상업사회 속 슈퍼 마 네킹이란 현상에 대해 사람들이 반성하고 생각 하게 한다.

그림11

그림12

특정공간、관람자참여 금속제작물

특정공간、관람자참여 Ready-made、FoundObject、 Video 매체

“공간의 수직성”의 예술적 탐구로서 참여자가 놀이터에 온 것 같은 체험을 하게 하고, 나아가 신체와 공간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작품의 조종사가 바로 관람자이다. 관람자는 각 종 감각기관의 연상이 생겨나 사람들 간의 상호 유기성과 상호 작용성이란 철학적 사고를 하게 된다.

표현 특성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 장소 특정성 (site-specificity) 실물성 관념성

[표 3] 설치 미술 표현 특성 분석

3) 관람자의 개입과정과 작품변화가 지닌 시간성(temporality) 설치미술은 절대적 시간에서 상대적 시간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시간성(temporality)은 관찰자로의 주체를 제외한 물리적 시간이 아니라 주체가 포함된 심리적 시간의 개념에 속하는 것으로 설치된 전체 상황과 신체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상대적인 시간 표현이라 할 수 있다.38) 37) http://www.annhamiltonstudio.com

190


시간은 당대 예술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각종 매체, 방법, 개념과 연결된 형형색색의 작품은 모두 시간문제를 탐구하고 있다. 예술가가 과거의 시간을 표현하는 비법은 바로 그 예술 과정에서 현품 재료와 그 재활용을 이용하는 것이다. 오브제 중 현품(Ready-made), 습득물(FoundObject),전용물(appropriations),유적(relices),소장품(collections),문서(archiv es)들과 결부된 명사는 당대의 예술 단어와 개념 도구에 속한다.39) 프랑스의 철학자 베르그송(Henri Bergson,1859-1941)의 “시간”에 대한 연구는 카메라맨, 화가, 작가, 감독, 비디오감독 등 다양한 예술가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매우 큰 영향을 미친 그의 책 "물질과 기억"(1896)에서는 “시간의 본질은 그것의 흐름이다.”라고 적혀있다. 마치 평론가이자 큐레이터 뒤게(Anne-Marie Duguet)가 말한 것처럼 1960년대 중기 이후 “시간은 반복해서 나타나는 주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예술작품의 가장 본질적 계수를 구 성하고 있다.”40) 예술품은 시간의 구체적 표현을 운동의 시각적 착각을 통해 나타낸다. 1965년 SONY사 (社)가 최초의 휴대용 동영상 카메라를 판매한 이래로 한국의 예술가 백남준(Nam June Paik)을 대표로 한 예술가들은 이 도구를 이용하여 관람자에게 시각적 서사를 위한 주요방 식을 창조하였다. 1974년 백남준이 자신이 소장하던 불상을 우주비행사의 헬맷과 비슷하게 생긴 일본 TV앞에 두어 촬영할 때, 그는 “기나긴 시간”을 유감없이 나타냈다. 작품 “TV 부 처(TV Buddha) (그림13 )는41) 현실 시간(Real Time)과 예술작품의 지속된 시간을 하나로 융 합하는 시도를 보였고, 백남준의 예술생활 초기를 앞장서서 개척하였다.42) 맥아더상 수상자인 미국의 예술가 로벨(Whitfield Lovell)은 소묘용 목탄으로 만든 조각상 과 현존하는 역사적 물품을 결합하여 오래된 재료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였다. 에술가는 관람자가 일종의 시간 현상을 연상하길 바랐다. 즉, 지금 시기가 지나면 기존의 세 월로 변한다는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작품 “깊은 강(Deep River)” (그림14) 은43)

찾은

오래된 물건과 영상, 그림, 음향효과, 음악 등을 함께 조합하여 독특한 체험을 만들어 여행 객이 여행 도중 시간의 기억을 탐색하도록 하였다. 영국 예술영역에서 가장 명망 받는 터너상(Turner Prize 2003 artist)에 입상한 영국의 예 술가 갈라치오(Anya Gallaccio)는 용이하게 변하는 재료를 이용해 창작하는데 능숙하였다. 예컨대, 화훼, 과일, 얼린 풀(冰草)과 같은 단기성을 지닌 재료를 이용하였다. 작품명은“나로 인해 멈출 수 없다(Because I could

not stop 2000)(그림15)44)으로 3개월간의 전시가 진행

38) 김주미 (2001). 설치미술의 조형적 사고와 표현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2001.3.p106 39) Jean Robertson,Craig McDaniel. 『Themes of Contemporary Art: Visual Art after 1980』,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p132-133. 40) Michael Rush.『New Media in Art』, Thames &Hudson Let, London, 2005, p12. 41)

http://www.switchtalk.wordpress.com

42) Jean Robertson,Craig McDaniel. 『Themes of Contemporary Art: Visual Art after 1980』,

Oxford University Press, 2009,p144. 43) http://www.arbus.com/whitfield-lovell-deep-river/

191


되면 기존의 생생했던 사과는 점차 부패하였는데, 이러한 과정 속에서 생명과 죽음에 대한 관심이 나타난다. 작품은 일회성으로만 존재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연속 불가능성”은 계속 해서 변화하는 세계를 반영하였다. 이러한 설치 미술은 예측불가능한 시간의 의미를 담고 있다. 미국의 예술가 해밀턴(Ann Hamilton)는 종종 다양하게 변화하는 재료(예: 나뭇잎, 곤충, 대두) 등을 이용하여 설치미술 작품을 만들었다. 이러한 작품은 부패되는 과정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표현을 더욱 구체화시킨다. 1991년 피츠버그에 위치한 카네기 국제 전시회(The Carnegie International)에서 그녀는 설치미술 작품 “제물(Offerings)” (그림16)45) 을 선보 였다. 본 작품엔 밀랍으로 만든 얼굴로 가득 찬 유리 쇼윈도가 있다. 밀랍인형이 밑에서부터 융화되는 이러한 작품은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꺾여 흐르고, 융화되고, 부 식되고 변화한다. 변화하는 재료를 관찰하는 것이 예술 체험의 핵심이기에, 작품의 존재 역 시 물론 일시적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 많은 설치미술이 초기에 전시되었을 때에는 반제품(半製品)이라 불 렸다. 왜냐하면 작품이 끝나기 전(철거되거나 소장되기 전)의 모든 과정이 그 작품의 예술 표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예술가의 행위, 재료의 변화, 관람자의 행위, 자연 적 변화 모두 작품의 최종 완성 형태에 영향을 주며, 그 중 일부 변화는 창작자 역시 예측 하기 어렵다.

그림13 백남준 “ TV 부처” 1974

그림14 로벨 “깊은 강(Deep River)”2013

그림15 갈라치오 “나로 인해 멈출 수 없다(Because I could not stop )”2000

그림 16 하나인 해밀턴 “제물(Offerings)”1991

다음 내용은 설치 미술 사례 그림을 표현특성 분석: 사례 그림

조형특징

작품 의미

그림13

특정 공간、 관람자참 여 Ready-made、 Found- Object、Video 매체

대중에게 시각적 서사를 위한 주요방식을 만들 어주어 현실 시간(Real Time)과 예술작품의 지 속된 시간을 하나로 융합시키는 시도를 하였다.

그림14

그림15

44)

특정 곤간、 관람자참 여 Ready-made、 FoundObject、 Video 매체

오래된 재료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 였다. 작품은 대중이 일종의 지간현상을 연상하 길 바란다. 즉, 지금의 시간이 지나면 기존의 세월로 변화한다는 점을 알리고자 하였다.

특정 공간、 관람자참

작품의“연속 불가능성”은 바로 계속해서 변화

http://www.tate.org.uk

45) http://www.mattress.org

192

표현 특성 시간성 (temporality)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 장소 특정성 (site-specificity) 실물성 관념성


여 Ready-made、 Found- Object、

그림16

특정 공간、 관람자참 여 Ready-made、 FoundObject、 Video 매체

하는 세계를 반영하여, 예측 불가능 한 시간의 의미를 갖고 있다.

시간과 다른 방식에 따라 꺾여 흐르고, 융화되 고, 부식되고 변화한다. 변화 속의 재료를 관찰 하는 것이 바로 예술체험의 핵심이다. [표 4] 설치 미술 표현 특성 분석

4)과학 하이 테크놀로지가 예술에 개입하면서 갖게된 매체의 다양성(medium)과 확장성 오늘날 다양한 영역의 과학연구는 예술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예술적 충 동을 야기한다. 시간, 공간, 지역, 국경, 문화를 초월한 시각적 정보는 이미 일상생활의 일부 가 되었다. 설치미술과 과학기술이 긴밀한 관계를 맺은 예술 수단으로는 영화, TV, 동영상, 투영형(投影型) 텔레비전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어떠한 표면에도 이미지 레이저, 홀로그램 3D공간 이미지 등을 투사할 수 있다. 이러한 예술의 표현은 매체의 다양성을 지닐 뿐만 아 니라 더욱 큰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 미국의 예술가 토스(John Toth)는 과학기술이란 특유 한 시스템으로, 예술을 위한 수단과 관람자를 동시에 제공한다고 여겼다. 과학기술이 있었기 때문에 인류의 관념은 비로소 물화(物化)할 수 있다. 각종 기술의 취사선택은 더욱 정밀하게 변별할 수 있게 해주고, 구상을 이룰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변화를 추구하도록 도와준다. 46)

매체의 다양성과 전자적 패러다임 속에서 설치미술은 표현의 확대, 커뮤니케이션의 확대 를 가져왔으며 이를

통해 참여와 소통이라는 아방가르드적 전통을 더욱더 강화하는데 기여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7) 각종 과학의 신발견과 로봇공학, 생체공학, 인공지능 유형과 관 련된 기술의 발전은 일상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대중은 새로운 과학 관념과 신상품과 접촉할 수 있는데 문자 자료뿐만 아니라 각종 루트를 통한 형형색색의 시각적 형식(과학자 자신, 광고 홍보, TV 프로그램, 인터넷, SF영화)을 통해 이것이 가능하다. 예술가는 모든 시 각적 자원에서 영감을 얻는데, 이러한 자원은 안구 뿐 만 아니라 사고까지도 끌어들인다. 48)

예술가 베르트하임(Margaret Wertheim) 자매는 2005년부터 “ 쌍곡선 코바늘 산호초 프 로젝트(Hyperbolic Crochet Coral Reef Project)49)를

진행하였다.

수학자

타이미나

(DainaTaimina)는 수학과 뜨개질 기술을 조합하여 “쌍곡 기하학(hyperbolic geometry)”을 응용한 3D 뜨개질 모형방법을 만들었다. 기하학, 해양생물학, 생태학, 공예를 종합하여 지구 온난화와 비닐 쓰레기 등 오염물질의 위협을 겨냥하여 해양생물의 이중 재난을 표현하였다. 예술가는 어마어마한 인류의 쓰레기 물질(예: 마트 비닐봉지, 비닐 쇼핑백, 녹음테이프 줄, 46) 서감,『설치미술 Installation』,북경: 인민미술출판사, 2003, p.30. 47) 김주미 (2001),「설치미술의 조형적 사고와 표현특성」,한국실내디자인학회:2001.3.p.111 48) Jean Robertson,Craig McDaniel, 『Themes of Contemporary Art: Visual Art after 1980』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p.277. 49) http://crochetcoralreef.org

193


비닐 병뚜껑, 알약 등)을 이용하여 쌍곡 뜨개질을 통해 각종 독소와 병리적 상태의 또는 빈 사상태의 산호초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만든 대형 설치미술 작품은 각국 도시의 박물관, 미 술관에서 전시되어 사람들의 의식이 일상적인 환경보호 행위에 집중되도록 하고, 환경보호 의 생활방식을 개선하였다.(그림17)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예술학 교수이자 예술가 리날도(kenneth E. Rinaldo)는 그의 일련의 설치미술에서 첨단 컴퓨터기술과 광전자기술을 이용하여 바이오닉 기계인간을 만들 었다. 그는 전자, 광학, 기계 등의 요소와 유기물질(예: 나뭇가지 등)을 조합하여 당대의 각 종 대립적 요소들의 상호 영향과 공존의 과정과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작품 "물고기 의 증강현실(Augmented Fish Reality)" (图18)50) 은 상호작용의 설치미술 작품으로 3개의 기계로 된 어항으로 종(種)들 사이의 소통을 탐구하였다. 리날도가 말한 바와 같이 시각적 시스템과 컴퓨터 동물의 행위, 동기, 소통 방법을 분석하고 통계를 통해 동물의 소통과 환경 과의 상호작용을 그들의 행위로 상대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흥분되는 지점 이다. 왜냐하면 이 작품 역시 인류의 동물에 대한 이야기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관람자가 이 설치미술 앞에 서면 반드시 인류행위에 관한 사회학 수업을 듣게 될 것이다. 예술가는 이 때 더 이상 예술 창작자가 아니고 철학자와 마찬가지로 사고를 한다. 철학자 와 다른 점은 언어가 아닌 오브제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예술가는 시각적 사고 를 이용한 철학자이다. 영국학자 에스콧(Roy Ascott)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인터넷 공간 의 예술은 통신, 컴퓨터, 가상공간, 현실(real) 공간이 혼합된 산물이다. 이들은 시간과 공간 의 신 우주를 구성한다. 인터넷 문화 속에서 창작예술은 현실, 인터넷의 연결을 구축하고, 건설적인 과정으로 인류 간의 협력과 소통을 확장시킨다.”51) 생물학 박사학위를 지닌 예술가 휠러의 주요 작품은 인류의 인식과 자아 탐색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대형 설치미술 작품 "뒤집어진 버섯방(Upside-Down Mushroom Room, 2000)" (그림19)52)은 예술 확장성의 표현을 통해 직접적으로 사람의 반응과 심리적 정서를 관찰한다. 이 작품은 수많은 과학적 요소를 이용하였는데, 휠러는 자신의 과학 전공을 작품 에 응용하였다. 특히 인류와 자연의 관계의 탐구에 집중하였다. 이 외에도 대중의 참여성은 그의 설치미술의 핵심이다. 하이 테크놀로지의 개입으로 설치미술은 매체의 다양성 표현 뿐 만 아니라 예술의 확장성 역시

지니게

되었다.

예술가

사라세노(TomásSaraceno)는

독일의

뒤셀도르프K21

Staendehaus박물관의 “궤도 속으로(In Orbit)”를 전시하였다. 이 거대한 공공 설치미술 작 품을 위해 그는 직경 8.5미터의 PVC구를 응용하여 3개의 그물모양의 평면으로 분리하여 관 람객이 자유롭게 그물 속을 걷도록 하였다. (그림22)

53)예술가에게

있어 이 떠다니는 공간은

50) http://www.kenrinaldo.com/portfolio/augmented-fish-reality 51) Roy Ascontt. 『Theories and Documents of Contemporary Art』,By Kristine Stiles, Peter Howard

Sel,University of California Pr, 1996, p.396. 52) 정연심.『현대공간과 설치미술』, 에이엔씨출판, 2014,p255

194


상호 작용의 관계로 변화하고, 신경 감각기관과 공진, 동시 통신이 합쳐진 “그물망”을 형성 한다. 즉, 물리적 체험 차원에서 완전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극의 투시 효과는 SF영화 속 특수효과 장면과도 비슷한데, 사라세노는 바로 “과학과 예술의 융합”이란 이념을 보여주고 싶어 하였다.

그림17 베르트하임 “쌍곡 뜨개질 산호초 프로젝트(Hyperbolic Crochet Coral Reef Project)”2010-2011

그림18 리날도 “물고기의 증강현실(Augmented Fish Reality)” 2003-2004

그림19 휠러 “뒤집어진 버섯방(Upside-Down Mushroom Room)”2000

그림 20 사라세노 “궤도 속으로(in Orbit)” 2012-2014

다음 내용은 설치 미술 사례 그림을 표현특성 분석: 사례 그림

조형특징

작품 의미

표현 특성

그림17

Object、수공예품、관 람자참여、관람자가 작가로 변함、특정공 간、과학기술매체

기하학, 해양생물학, 생태학, 수공예를 조합하 여 사람들의 의식이 일상적 환경보호행위에 집 중되도록 하고 환경보호 생활방식을 개선하였 다.

매체의 다양성

Ready-made、FoundObject、다양한 과학 기술매체、 과정과 변 화、특정 공간、 관람 자참여

첨단 컴퓨터 기술과 광전자 기술을 이용하여 바 이오 기계인간을 제작하였다. 전자, 광학, 기계 등 요소와 유기물질(예: 나뭇가지)를 조합하여 당대에 존재하는 각종 대립요소의 상호작용과 공존하는 과정과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그림18

그림19

Object、수공예품、관 람자참여、특정공간、 다양한 과학기술매체

그림20

특정 공간、 관람자참 여、과정과 변화、 다 양한 과학기술매체

작품은 인간의 인식과 자아탐색과 결부되는 특 징이 있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한다. 대 중의 참여성이 설치미술의 핵심이다.

확장성 시간성 (temporality)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 장소 특정성 (site-specificity) 실물성 관념성

시간과 다른 방식에 따라 꺾여 흐르고, 융화되 고, 부식되고 변화한다. 변화 속의 재료를 관찰 하는 것이 바로 예술체험의 핵심이다. [표 5] 설치 미술 표현 특성 분석

2. 패션 아트와 설치미술의 관련성 1)설치미술 속 패션소재의 표현 오늘날의 예술 전람회에서 패션은 이미 크게 사랑받고 있는 소재로 자리 잡아, 나날이 많은 설치미술에서는 패션을 매개로 삼아 오늘날의 사회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예컨대, 환경 53) http://www.ideamsg.com/2013/08/in-orbit.

195


보호를 장려하거나, 면이나 삼베 등 천연재료를 이용한 의상제작을 주장하거나, 동물보호를 외치거나, 산림훼손을 반대하거나, 의상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는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패션 을 통해 전달하고 있다. 설치미술가 시오타 치하루(盐田千春)의 작품 “기억 미궁(Labyrinth of Memory)”(2012)은 예복 여러 벌과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흑색 실을 조합하여 회랑 전체 와 예복을 휘감았다. 그녀에 따르면, 치마는 마치 사람의 “제2의 피부”이며 어느 정도 선에 서는 ‘심지어 우리의 피부보다 훨씬 좋아’, 매우 편안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사람을 속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흑색 선을 이용하여 이러한 모순적 관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그림21)54) 일본의 패션디자이너이자 패션예술가 미야케 잇세이(三宅一生)는 예술과 패션의 조합에 지속된 관심을 보이고 있다. 1998년 캐리어(Carrier)재단의 전람회에서 설치미술가 치국앙 (CaiGuo Qiang)과 함께 50벌이 넘는 주름이 있는 의상을 나열하여 용의 모습처럼 보이도록 하고, 현장의 관람자 앞에서 화약장치를 이용하여 의상을 태웠다. 의상은 연소 후 거대한 용 의 그림의 모습이 되었고, 화약장치를 이용한 의상을 이용하여 패션쇼를 진행하였다.(그림 22)55) 2008년 말부터 2009년 초까지, 베이징의 우론스 당대예술센터에서는 “디올(Dior)과 중국 예술가”라는 대형 예술 전람회를 개최하였다. 전시장 전체에 대량의 거울, 비디오 영상 등 설치수단을 이용하여 허구적인 공간을 연출하고, “우주”를 주제로 디올의 현재와 미래를 표 현하였다. 전람회는 예술가, 패션디자이너 등이 특별이 제작한 20여 점의 작품으로 구성되 었다(설치 미술작품도 포함). 이러한 예술작품을 통해 관람자에게 설득력과 흡입력을 만들어 주고, 단순히 지면에서의 패션보다 훨씬 강렬한 느낌을 안겨주었다.(그림23)56)

그림21 시오타 치하루

그림22 미야케 잇세이&치국앙

그림23 “디올과 중국예술가”

“기억 미궁”

설치미술 캐리어(Carrier)재단 전람회,

예술 전람회, 북경 우론스

(Labyrinth of Memory) 2012

1998

당대예술센터, 2008-2009

2)패션예술 속 설치미술의 특성 20세기 이후의 패션사(史)는 어느 정도 상에서 보면 각종 예술유파와 서로 교류하고 융합 되며 소통하는 역사였다. 수많은 클래식 예술과 현대 예술의 형식은 모두 현대 패션디자인 에서 사용되고 있고, 이로써 패션 예술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었다.57) “패션 예술”의 이름에 서 짐작할 수 있듯, 패션예술은 패션과 예술의 종합체이다. 패션을 오브제로 삼아 개인의 감 54)

http://wenhua.kantsuu.com/

55)

서루, 『예상우의』, 북경: 중국인민대학출판사, 2009, p60

56)

http://ucca.org.cn/

196


정과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것이다. 이는 현대예술의 한 부류에 속하며, 현대예술 속 설치미 술과도 유사하다.58) 패션예술 작품은 창작자의 예술관념, 감정태도, 생활 속 주장을 나타내며, 사회적 심리상 태에 피드백을 던지는 일종의 예술형식이다. 설치미술의 조형기법을 이용하여 패션예술의 창작성을 더욱 돋보이게 변화시키는

요인은 바로 다양한 매개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재료의 다양성과 변화성은 패션예술에 더욱 직관적인 시각적 감각을 부여하였다. 특히 첨단 기술을 이용한 방직재료는 패션조형에 거대한 영향을 미쳤다. 영국의 디자이너 루이스 (Sophia Lewis)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선진적인 합성소재를 이용한 실험 유행이 향후 가 장 큰 잠재력을 지닐 것이며, 이는 새로운 미학과 패션의 융합을 촉진시키는 방법이 될 것 이다.”59) 유행은 시대를 반영함으로써 당시의 과학기술의 발전과 융합한다. 변화는 유행의 항상성(恒常性)이다. 사람들은 계속해서 발전하는 선진적인 재료와 방법을 기대할 수 있으 며, 심지어 새로운 유행 목적 역시 기대할 수 있다. 기성품의 사용은 설치 미술의 기본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기성품을 패션 예술의 창작에 사용하는 일은 그 조형 요소를 가장 직접적이면서 가장 효과적으로 바꾸는 방법이다. 패션 예술 작품뿐만 아니라, 패션 예술과 연관된 각종 이벤트 활동이나 또는 패션 브랜드의 프로 모션, 또는 일상생활 등 장소에서 나타나는 설치미술의 특성은 패션의 향후 발전에 매우 중 요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다. 다음 장에서는 사례를 가지고 실증 연구방법을 진행하여 패션예술 속 설치미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Ⅳ. 패션 예술에서 나타나는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의 사례 분석 1.사례분석 연구대상과 분석방법

20세기 이후 예술가의 창작관념에는 거대한 변화가 일어나 재료의 참신함과 예술언어의 혁신에 집중하게 되면서, 자신의 출신 전공분야의 틀에서 벗어나 예술의 종합적인 표현발전 으로 향하고 있다. 주제는 패션 디자이너가 혁신과 극복을 이룰 수 있도록 촉진하였는데, 특 히 예술과 디자인의 관념·형식상 점진적으로 심화되어져갔다. 또한 설치미술이라는 새로운 예술형식을 빌려 패션의 시각적 형태에 숨겨져 있던 시대적 특징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1966년부터 2016년까지의 50년 동안 등장한 10점의 패션예술작품을 사례를 다루었다. 그 이유는 이 기간동안 패션예술 분야에 영향력이 크다는 사료되는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그

대표적인 작품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의 창작관념, 조형적 특

징, 그리고 나타나있는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을 객관적인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57) 변향양, 『패션예술판단(Judgement of Fashion Art)』, 상해: 동화대학출판사, 2006, p39 58) 려월, 『패션예술·디자인』, 북경: 중국방직출판사, 2016, p3 59)

Braddock, Sarah E., Marie O'Mahony, 『Techno』, London: Thames &Hudson Let, 1999

197


구분

패션예술 작품명

제작자

년도

사례1

“플라스틱 미니드레스”(Rhodoid Dress)

Paco Rabannel

1966

사례2

장갑옷, 레코드옷, 브러쉬옷

Martin Margiela

1980

사례3

A-POC(A Piece Of Cloth)

Issey Miyake

1999

사례4

“No.13시리즈” “백조의 죽음”(The Dying Swan)

Alexander McQueen

1999

사례5

One Hundred and Eleven (Spring/Summer 2007)

Hussein Chalayan

2007

사례6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야성미”(Savage Beauty) Alexander McQueen 패션예술전

Alexander McQueen

2011

사례7

“기쁨의 빛(Delight of Light)”

Yuru Ma

2012

사례8

The White Shirt According to Gianfranco Ferre패션예술전

Gianfranco Ferre

2015

사례9

“눈앞에서 사라지는 수용성 패션치마” (Water Soluble Fashion Disappears Clothes Before Your Eyes)

Hussein Chalayan

2015

Iris van Herpen

2016

3D레이저 조각기술의 패션 [표6] 사례분석 연구대상

사례10

20명 예술학과패션 전공 분야 전문가와 교수 그리고 디자이너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예 술학과 전문가 4명, 패션 전공 분야 전문가 6명, 패션 전공학생5명,

패션디자이너 5명) 관

련성의 정도를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낮음, 매우 낮음의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평가한

점수를 평균 총점으로 나타내었다. (표7) 구분

설치 미술 표현 특성 종합 실물성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매개 다양성

확장성

사례1

5●

5●

5●

3◎

1○

5●

3◎

사례2

5●

5●

5●

3◎

3◎

5●

3◎

사례3

5●

5●

5●

5●

3◎

5●

3◎

사례4

5●

5●

5●

4●

4●

5●

4●

사례5

5●

5●

5●

5●

4●

5●

5●

사례6

5●

5●

4●

5●

4●

3◎

1○

사례7

5●

5●

4●

5●

3◎

4●

2○

사례8

5●

5●

5●

5●

3◎

4●

4●

사례9

5●

5●

5●

4●

4●

4●

5●

사례10

5●

5●

5●

5●

4●

5●

5●

매우 높음:5점 높음:4점 보통:3점 낮음:2점 매우 낮음:1점 ●관련성 높음 5점,4점 ◎다소 관련 3점 ○관련성 없음 2점 1점 [표7] 사례분석 (평균 총점) 결과

관련도 분석 방법(correlation analysis method)을 사용하여 패션 예술 작품에 나타난 설 치 예술의 표현 특성에 대한 관련성을 그 관련성의 높음과 다소 또는 무관련성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2. 패션예술 작품 속 설치미술이 나타난 사례분석

198


표8-표17은 사례분석 결과표 이다. 사례1 개요

Paco Rabannel

작가

1966

년도

장소

미국

라반(Paco Rabanne)이 1966년 내놓은 “플라스틱 미니드레스”(Rhodoid Dress)는 그의 대표 디자인으로 자리잡았다. (그림)60)

이미지

조형 특징

표현 특성 종합

수지유리, 처리된 종이, 탄력 있는 붕대, 금속 조각, 스테인리스선 등 설치미술 중 어디서나 찾아 볼 수 있는 오브제를 작품에 응용하여 매우 강한 개성적 분위기와 과학적 의식을 표현 하였고, 패션예술 조형의 가능성을 확충시켰으며, 인체와 재료 간의 상호작용성을 탐색하여 패션예술의 향후 과학기술관념을 부여하였다. 실물성 ●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 ● ◎ ○ ●관련성 높음 ◎다소 관련 ○관련성 없음

매개 다양성

확장성

[표8] 사례1 “플라스틱 미니드레스”(Rhodoid Dress)

재료의 디자인의 각도에서 출발하여, 기성품 등 비(非)패션재료와 인체를 통해 예술창작을 이루었다. 1960년대의 라반은 패션 디자인에서 유일하게 참신하고 전위적인 변화 가능성은 신소재를 찾는데 있다. 그러므로 일정 기간 안에 입을 수 없는 몇 점의 실험적인 패션작품 을 만들었다. 사례2 개요

작가

Martin Margiela

1980

년도

장소

프랑스

마르지엘라(Martin Margiela)는 일반 생활에서 사용하는 오래된 물품, 재활용 소재를 이용하 여 참신한 패션을 디자인하였다. 주로 단일적인 요소의 비율을 조절하고, 위치를 엇바꾸고, 외형을 변화하고, 색조를 조화롭게 바꾸거나 또는 대조시키는데 치중하였으며, 탈구축과 재 구축의 기법을 이용하여 패션의 풍부다채함과 섬세한 감촉을 표현하였다.(그림)61)

이미지

조형 특징

표현 특성 종합

본 작품은 일반적인 생활용품(예: 낡은 장갑, 레코드판, 빗 등)을 이용하고 인체구조를 응용 하여 반복적으로 3D 입체 의상 위에 배열하였다. 인체를 매개로 삼아 패션작품의 새로운 의 미와 관념을 부여하였다. 패션과 인체 간의 역사적·공간적 감각을 이용하여 새로운 시각의 미적 감각을 표현하였다. 이로써 사람들에게 완전히 다른 각도로 패션예술의 낡은 사물을 바 라보게 함으로써, 관람자에게 특별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였다. 실물성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매개 다양성

확장성

60) http://www.fashionforrealwomen.com

199


●관련성 높음 ◎다소 관련 ○관련성 없음 [표9] 사례2 장갑옷, 레코드옷, 브러쉬옷

당시의 패션예술은 생활용품의 생활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예술의 초 월감을 표현하였는데, 이 때 기존의 기성품 재료의 의미는 명확하게 바뀌어 그 의미가 모호 해지고 다양해졌다. 마르지엘라의 패션예술작품은 마치 설치미술과 마찬가지로 사물과 사람 의 대화와 교류를 표현했다고도 볼 수 있다. 사례3 개요

Issey Miyake

작가

1999

년도

장소

일본

“옷 한 조각”(One piece of cloth)은 면소재 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해 A-POC(A Piece Of Cloth)프로그램을 나타내었다. 모든 제작과정은 컴퓨터로 진행되었으며, 직접적으로 한 가닥 실에서 시작하여 일회성으로 면, 질감, 기성품 의상 등 모든 과정을 완성하였다. (그림)62)

이미지

조형 특징

표현 특성 종합

전통 기모노의 “유내자외”의 처리기법으로 신체와 의상의 관계를 고려하였다. 천은 인간의 “제2의 피부(second skin)”이라 생각하여 고객이 입는 행위를 해야만 비로소 마지막 조형 이 완성된다. 의상은 인체의 동작에 따라 풍부하게 변화하며 활동 역시 마찬가지이다. 잇세 이의 브랜드 매장 내의 설치는 천이 지면 위에서 흐르는 궤적을 띠어 마네킹의 몸에 닿아야 만 비로소 패션작품이 완성되도록 하였다. 본래 다른 공간, 시간, 단계에 있던 사물이 설치 미술 기법을 만나 재현되었다. 실물성 ●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 ● ● ◎ ●관련성 높음 ◎다소 관련 ○관련성 없음

매개 다양성

확장성

[표10] 사례3 A-POC(One piece of Cloth)

일본 디자이너가 나타낸 “무(無)구조 디자인”의 관점을 통해 신공예와 신기술이 패션창작 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패션창작의 스타일 디자인 수단과 방법을 다양하게 하였다. 잇세이 의 옷 한 조각 구상과 변화한 패션 작품은 면 한 조각을 이용하여 무구조 디자인과 재단을 응용하여 독특하면서도 특색 있는 패션예술을 완성하였다. 핵심적으로는 사람과 의상 간의 상호작용성을 드러냈다. 사례4 개요

작가

Alexander McQueen

년도

1999

장소

영국

“공예미술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No. 13시리즈” “백조의 죽음”(The Dying Swan)은 제작과정은 유명 모델 할로우(Shalom Harlow)가 새하얀 엄브렐러 스커트를 입고 쇼 에 등장하며 나타났다. 그녀가 우아하게 돌 때, 옆에 설치되어 있던 분무 도장기가 그녀를 향해 여러 색깔의 염료를 뿌린다…·몇 분 후, 맥퀸(Alexander McQueen)의 잉크 분사 드레스 가 관중의 눈앞에서 탄생하여, 최종적으로 자유롭게 잉크 궤적과 아래로 후르는 색채효과가 어우러진 “완성품”이 만들어졌다.

61) http://www.kr.pinterest.com 62) 《A-POC MAKING ISSEY MIYAKE & DAI FUJIWARA》

1990,P.85-88,

200

Germany, Vitra Design Museum GmnH ,


이미지

조형 특징

표현 특성 종합

패션쇼의 현장이라는 특정한 장소에서 하이 테크놀로지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였다. 모델의 자 유로운 회전과 현장의 분무 도장기로 패션예술 작품이 완성되어, 패션영역의 확장성을 보였 다. 또한 일정한 시간동안 사람과 기계가 상호작용하여 함께 색채와 패션창작을 완성하였다. 행위예술의 과정을 이용하여 창작자만의 고유한 예술 관념을 전달하였다. 실물성 ●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 ● ● ● ●관련성 높음 ◎다소 관련 ○관련성 없음

매개 다양성

확장성

[표11] 사례4 “No.13시리즈” “백조의 죽음”(The Dying Swan)

설치미술의 시간적 과정과 행위의 상호작용이 패션예술 창작에 도입되었고, 소리, 빛, 전 기 등 하이 테크놀로지가 패션쇼에 융합되어 상호 융합되면서도 상호 독립된 환경 분위기를 만들었다. 존재감이 있는 패션과 장치와의 상호작용은 관중에게 복잡하면서도 풍부한 전면 적인 감각기관의 체험을 선사하였다. 사례5 개요

작가

Hussein Chalayan

2007

년도

장소

프랑스

One Hundered and Eleven(Spring/Summer 2007)은 조형감이 매우 강한 he Dying Swan)은 유리 섬유와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하였고, 의상 내부에 리모콘 장치를 삼아, 외부의 플라스틱 패 널의 외형을 변화하여, 안쪽에 있는 얇은 샤천 부분을 보이게 하였다. 또한 기계의 힘을 이 용하여 단기간동안 공중에 뜨게 만들 수 있다. 치마와 모자챙 역시 자유롭게 수축이 가능하 다.

이미지

조형 특징

표현 특성 종합

작품은 하이 테크놀로지의 멀티미디어 소재를 이용하여, 과학기술 수단과 인체와의 상호작용 을 통해 한 의상이 각종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도록 하였다. 패션쇼라는 특정한 장소 속에서 미래의 이미지와 미래를 향한 탐색을 나타내었다. 디자이너 샬라얀의 완성된 형태와 구성의 파괴와 재구성, 그리고 지속된 변화 형태라는 창작기법은 패션의 “다변성”이 나날이 중시 되도록 하였다. 실물성 ●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 ● ● ● ●관련성 높음 ◎다소 관련 ○관련성 없음

매개 다양성

확장성

[표12] 사례5 One Hundred and Eleven(Spring/Summer 2007)

작품 속 모델이 표현하는 과정은 마치 “변화하는 예술”과도 같다. 허구와 실제의 종합을 통해 관람자에게 다양한 차원과 의미를 가져다주고, 또한 공간을 상상하게 하는 예술적 분 위기를 조성해주었다. 과학기술의 빠른 발전에 발맞추어 디지털화와 멀티미디어 역시 패션 예술의 창작 속으로 스며들고 있다.

201


사례6 개요

작가

Alexander McQueen

2011

년도

장소

미국

2011년 5월,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는 McQueen의 디자인 작품 회고전인 “야성미”를 개최하였다. 그의 1994년 창작한 “허무주의” 시리즈 부터 그의 유작인 “천사와 악 마”(2010)등 각종 작품들을 전시하였다.

이미지

조형 특징

표현 특성 종합

전시회 중 “사라반더”(Sarabande) 롱 드레스에서 사용한 현품인 생화와 인조 비단조화, 패 션작품, 마네킹이 실물로서 특수한 장소인 예술 전시회 속에 등장하여 관람자와 상호 작용 및 교류를 이루어내어, 한정된 생명의 시간 속에서 무한한 영향력을 지닌 작품을 제작한 예 술 디자이너를 기념하였다. 작품에는 의 자연에 대한 이해, 인공제품 문명에 대한 비하라는 디자인 관념이 담겨있다. 실물성 ●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 ● ● ● ●관련성 높음 ◎다소 관련 ○관련성 없음

매개 다양성

확장성

[표13] 사례 6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야성미”(Savage Beauty) Alexander McQueen 패션예술전

맥퀸의 회고전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어 그의 패션작품 자체의 “예술성”이라는 예술적 가치를 증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객관적 평가도 얻었다. 패션디자이너가 사람의 옷 입는 방 식을 바꾸고 대중 소비자의 심미적 가치에도 영향을 준다고도 말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영 향력이 클래식 예술작품에 비해 결코 적지 않다. 사례7 개요

Yuru Ma

작가

2012

년도

장소

뉴질랜드

“세계 웨어러블 예술 대회(World of Wearble Art-WOW)”는 세계에서 가장 독창적이자 가장 영향력있는 예술행사 중 하나로, 매년 9월 뉴질랜드의 수도 웰링턴에서 진행된다. 상해에서 온 마(馬玉儒, Yuru Ma)는 2012년 본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작품 “기쁨의 빛(Delight of Light)”을 선보였다. 이 작품은 미국의 조지아주 아틀란타 박물관에서 진행된 WOW 순회 전 시회에 전시되었다. (그림)63)

이미지

조형 특징

표현 특성 종합

이 작품은 런던의 뚜렷하고 세세한 화려함이 돋보이는 건축에서 착안하였기 때문에, 창작영 감은 건축에서 얻었다 볼 수 있다. 반(半)투병의 특수한 비닐로 작품에 신비로움을 더하였으 며, 그 표면은 빛나고 매끄럽다. 이런 소재를 많이 조합하여 점점 진해지거나 점점 변하는 듯한 감각을 선사하며, 장력과 기세, 그리고 공간감을 갖고 있다. 오브제의 가소성(可塑性) 과 다변성을 발굴한 것은 제작자가 창의력을 떠올릴 수 있던 전제조건이 된다. 이 작품은 재 질, 공예, 윤곽과 외형의 참신함을 가져와 더욱 직관적인 시각적 감각을 나타내었다. 실물성 ●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 ● ● ◎ ●관련성 높음 ◎다소 관련 ○관련성 없음 [표14] 사례 7 “기쁨의 빛(Delight of Light)”

202

매개 다양성

확장성


“세계 웨어러블 예술대회”(World of Wearble Art-WOW)는 패션의 창의력 대회로, 매우 높은 수준의 창의적인 예술표현력을 요구하며, 전 세계적으로 퍼져있는 신유행과 추세와 조 화를 이룬다. 예술 및 전통의 기존관념을 뒤집어버리는 작품의 표현은 인체와 패션 건축의 확장성을 띤 실험임과 동시에 탐색이 되었다. 사례8 개요

Gianfranco Ferre

작가

2015

년도

장소

이탈리아

2015년 밀란의 토리노왕궁(Palazzo Reale)에서는 유명한 이탈리아 패션디자이너 페레 (Gianfranco Ferre)의 The White Shirt According to Gianfranco Ferre 패션예술전이 열렸 다. (그림)64)

이미지

조형 특징

표현 특성 종합

전시회는 하얀 블라우스와 셔츠가 조명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형식으로 주로 진행되어 형식 상으로는 블라우스와 셔츠를 해부하고 돌이켜보도록 하였다. 또한 해당 전시회에는 많은 양 의 오브제를 사용하였는데, 그 종류로는 도화지, 기술정보, 소묘, 사진, 광고, 이미지 , 동 영상 등이 있다. 전체적으로 하얀 색조의 아름다움을 부각시키기 위해 선과 음영의 상호작용 을 응용하여, 이로써 사람으로 하여금 돌이켜보는 패션 예술효과를 낳아 관람자로 하여금 페 레의 논의의 여지가 없는 패션 미학과 독특한 창의적 감각을 느끼게 한다. 실물성 ●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 ● ● ◎ ●관련성 높음 ◎다소 관련 ○관련성 없음

매개 다양성

확장성

[표15] 사례 8 The White Shirt According to Gianfranco Ferre

페레의 클래식 백색 블라우스 예술작품은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을 이용한 창의적인 전 시로, 작품과 관람자와의 상호 작용을 강조하였다. 특히 관중의 반응이 설치의 창작 속에 포 함되어 있다. 사람들은 설치미술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미지(未知)와 자극을 체험하며, 직접 느낌으로써 창작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사례9 개요

작가

Hussein Chalayan

년도

2015

장소

프랑스

“눈앞에서 사라지는 수용성 패션 드레스” (Water Soluble Fashion Disappears Clothes Before Your Eyes)는 2015년 FALL/WINTER 파리 패션주간에서 모델들이 하얀 외투를 입고 두 개의 거대한 샤워헤드의 아랫부분에 서는 작품이다. 물이 뿌려져 내려와 모델의 의상을 적신 후, 외투가 물에 녹은 뒤 아름다운 레이스 드레스로 바뀐다.

이미지

조형 특징

63)

수용성 방직 과학기술을 응용한 섬유소재의 사용은 패션 예술 디자인 영역에서 살라얀의 혁 명이자, 패션 외관의 디자인 및 창작의 실험이기도 하다. 유행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

http://www.ent.skykiwichina.com

64) http://www.nevalleynews.org

203


기 위해, 패션계는 기존의 전통관념과 방법에 도전하기 시작하였다. 신기술은 의상이 눈앞에 서 사라지도록 만들었는데, 이러한 과정의 효과는 패션 예술창작에 다원화된 창작 기법을 가 져와 창작자의 비범한 예술사상 관념을 나타내었다. 표현 특성 종합

실물성 ●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 ● ● ● ●관련성 높음 ◎다소 관련 ○관련성 없음

매개 다양성

확장성

[표16] 사례 9 “눈앞에서 사라지는 수용성 패션 드레스” (Water Soluble Fashion Disappears Clothes Before Your Eyes)

21세기의 과학기술이 계속해서 진보함에 따라, 방직 섬유 역시 첨단기술과 다양한 기능을 부여받게 되었다. 제각각의 용도에 따라 방직 과학기술 역시 계속해서 새로운 변화가 이루 어지고 시장과 통합되고 있는데, 예컨대 수용성 원단, 방수코팅원단, 적외선 방지 세라믹 섬 유등이 있다. 패션 디자이너는 계속해서 방직 신소재의 한계에 도전하여 재료와 조형의 가 능성을 확장시켜 패션예술의 고유한 의미를 연역하고 있다. 사례10 개요

Iris van Herpen

작가

2016

년도

장소

미국

헤르펜(Iris van Herpen)은 2016년 SPRING/SUMMER 패션쇼 현장에서 공연 게스트에게 나무 그 루터기 위에 눕도록 하여, 금속의 매쉬원단을 그녀의 몸 위에 덮어 마치 거대한 나뭇가지 장 식처럼 보이도록 하였는데, 사실 3D프린팅으로 현장에서 의상을 제작하였다. (그림) 65)

이미지

조형 특징

표현 특성 종합

창작자는 하이 테크놀로지 패션의 고수이다. 특히 3D 레이저 조각 기술에 일가견이 있다. 본 작품은 신비로움과 기묘함, 그리고 다체로움이란 디테일한 실루엣을 만족시켰으며, 인체와 공간의 입체적 구조를 묘하게 장악하였다. 설치미술의 표현수단의 현장성과 관람자와의 상호 작용성을 이용한 것은 현대 과학기술이 비로소 유행의 새로운 체험을 부여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실물성 ●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 ● ● ● ●관련성 높음 ◎다소 관련 ○관련성 없음

매개 다양성

확장성

[표17] 사례 10 3D 레이저 조각기술의 패션

3D 프린팅 기술, 다시 말하면 3D 입체 성형 기술은 3D 제도 프로그램의 스마트 모델링 을 통해 원재료를 입체의 형태로 찍어낼 수 있는 기술이다. 기계는 재료를 융화한 뒤 분출 시키는데, 물건의 매 레이어를 프린팅하여 점진적으로 그 레이어를 쌓아올린다. 패션 예술이 하이 테크놀로지의 가공기술을 응용한 것은 더욱 다원화된 면모를 보이게 되었음을 나타내 며, 더욱 추상적이면서 더욱 상상공간이 풍부한 디자인 개념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3. 분석 결과

65)

http://www.m.huanqiu.com

204


기존의 논문과 실질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패션 예술에서는 창작자, 디자이너, 관람자뿐만 아니라 모델이라는 필수불가결한 참여자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나의 완성된 패션 작품 은 의상, 의상이 놓인 장소라는 특정 공간, 의상과 관련된 스태프(디자이너, 워킹 스태프, 관 중, 표현자)의 상호작용 아래에서 함께 구성되는 것이다. 패션 예술은 현품의 사용 상, 창작 이념의 표현 상, 하이 테크놀로지와 멀티미디어의 종합 재료의 개발 상, 창작자들의 예술관 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의상의 독창성을 전달하며, 이를 통해 패션 작품이 예술의 심미적 가치를 가지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만의 흡입력을 지니게 하여 풍부한 정신적 의미와 시 대적 예술 특징을

나타내게 되었다.

구분

설치 미술 표현 특성 종합

패션 아트 사례

실물성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매개 다양성

확장성

사례1

사례2

사례3

사례4

사례5

사례6

사례7

사례8

사례9

사례10

[표18] 종합 분석

이상 10개의 패션 예술 사례의 실증적 고찰을 통해,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과 가장 관련 도가 높은 특성으로는 실물성(100%), 관념성(100%), 상호 작용성(100%), 매개 다양성(90%), 장소 특정성(80%)이였다. 모두 갖고 있지 않은 특성으로는 시간성(50%)과 확장성(50%)이었 다.

Ⅴ.결론 본 연구는 설치미술의 형태의 집중 분석을 통해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을 뽑아내고, 이 러한 특성과 패션예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설치미술의 실물성, 관념성, 상호 작 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매개 다양성, 확장성이란 7개의 표현적 특성을 뽑아낸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연구결과라 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패션예술의 많은 사례 작품들을 심층 적으로 연구한 뒤, 설치미술의 공통적인 표현적 특성 중 관련도가 가장 높은 특성으로는 실 물성,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그리고 매개 다양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다섯 가지의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과 패션예술을 융합하고, 또 이를 창작의 출발점 으로 삼으면, 패션에 더욱 풍부한 시대적 특징이 담긴 참신함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사회 사상의 형태를 반영하는 변화 능력을 부여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새로운 창작 형식으로 이 어져 당대의 패션문화를 해석할 수 있다. 창작자들을 위해 새로운 예술 각도로 패션을 자세

205


히 살펴보게 되면, 전통적인 사고관념을 부수고, 상상력을 더하며, 창작능력을 폭발시켜 패 션산업과 유행에 더욱 많은 영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문화의 창의적인 산업발전의 촉진이라는 큰 의미를 낳을 수 있다. 첫째, 사회발전과 문화사조의 흐름에 따라 생겨난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 초월은 설치미술 과 패션예술의 융합에 계기를 마련해주어, 소비자들의 패션에 대한 심미성과 예술추구의 정 도와 수준이 매우 높아졌다. 둘째, 설치미술의 창작수단 및 형태적 특징으로는 실물성,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 정성, 시간성, 매개 다양성, 그리고 확장성 이렇게 7가지 표현적 특성이 있다. 셋째, 패션예술은 설치미술의 공통된 표현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관련도가 가장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실물성,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그리고 매개 다양성이다. 넷째,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이 패션예술창작과 패션의 창의적 디자인 영역에서 맞춤형 성격을 지녔다. 이 영역에서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은 더욱 거시적인 사고와 시각을 이용 하여 사람과 패션의 체계적으로 다양화된 차원을 표현할 수 있고, 패션 디자이너에게 디자 인 관념과 예술태도에 맞춤형 지도역할이 있음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이러한 분인의 논문을 더 꾸준히 연구하여, 패션업종과 유행업종, 기업이 브랜드 문화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며 패션을 위한 예술성을 더함과 동시에 브랜드 의 문화 이념을 심어 패션 브랜드 홍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려월,『FROM WHERE FASHION ART 2008 INTERNATIONAL EXHIBITION』, 북경 중국문연 출판사,2008 정연심,『현대공간과 설치미술』, 에이엔씨출판, 2014 서감,『설치미술 Installation』,북경: 인민미술출판사, 2003 월간미술,『세계미술용어사전』,서울: 월간미술, 2001 시사영어사편집부, Random House, INC.『랜덤 영한대사전: The Random HouseDictionary of theEnglish Language』, YBM시사: 2002 박찬국외, 『현대미술의기초개념』, 서울: 재원, 1995, 서성록, 『설치미술 감상법』, 서울: 대원사,1995 고승봉, 하만리,『설치미술』,호남미술출판사, 2003 Robert Atkins. 『예술개강』, (황려연 역), 태북, 예술가출판사, 1996 마크 포스트, 『뉴 미디어의 철학』, 김성기 역, 민음사, 1995 정연심,『현대공간과설치미술』, 에이엔씨출판, 2014 황건성, 『공간전시디자인』, 북경대학교출판사 , 2007

206


Hans Belting. 『Art History After Modernism』, 홍천복 역, 남경대학출판사, 2014 정연심,『현대공간과 설치미술』, 에이엔씨출판, 2014 서루, 『예상우의』, 북경: 중국인민대학출판사, 2009 변향양, 『패션예술판단(Judgement of Fashion Art)』, 상해: 동화대학출판사, 2006 려월, 『패션예술·디자인』, 북경: 중국방직출판사, 2016

류근종,「패션아트의 초현실주의적 표현에 관한 연구」,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5 No.2, 2005 소원.「설치미술의 개념과 그 표현방식」, 중국화남 농업대학학보, 2012 김주미. 「설치미술의 조형적 사고와 표현특성」,한국실내디자인학회.2001 Ronald J. Onorato:Blurring the Boudaring : Installation Art 1969-1996, Museum of Contemporary Art, San Diego,1997 Michael Archer,:Art Since 1960, Thames & Hudson world of Art, 1994 Jump up Penelope Green:BOOKS OF STYLE; Why Knit? The Answers,(New York Times),2003 Melissa Leventon:Artwear, Thames & Hudson, 2005 Washington, D.C:The Kimono Inspiration: Art and Art-to-wear in America ,Textile Museum Joann Goldberg:Art to Wear Visionary,Ornament Vol.10,No.2,1986 George Kubler:The Shape of Time: Remarks on the History of Things, Yale University Press,1965 CalvinTomkins:The World of Marcel Duchamp,NewYork:Time Incorporated,1966 Joseph Kosuth:Art after Philosophy,Studo International,Oct.1969 Michael archer :art since 1960, Thames & Hudson Let, London, 2015 Jean Robertson,Craig McDaniel:Themes of Contemporary Art: Visual Art after 1980,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Harold Osborne:Twentieth Century Art, New York,OxfordUniversity,1981 Hal Foster,ed:The Anti-aesthetic: Essays on Postmondern Culture,Seattle: Bay Press,1983 Charlotte Higgins:Carsten Höller's Slide Show,Guardian,2006 Michael Rush:New Media in Art, Thames &Hudson Let, London, 2005 Roy Ascontt:Theories and Documents of Contemporary Art, By Kristine Stiles, Peter Howard Sel,University of California Pr, 1996 Braddock, Sarah E., Marie O'Mahony:Techno,Thames &Hudson Let,London, 1999 'A-POC MAKING ISSEY MIYAKE & DAI FUJIWARA' Germany, Vitra Design Museum GmnH,1990 http://www.ngv.vic.gov.au http://www.metmuseum.org http:///www.zh.wikipedia.org http://www.rauschenbergfoundation.org http://www.cafa.com.cn http://www.tate.org.uk http://www.annhamiltonstudio.com http://www.switchtalk.wordpress.com http://www.arbus.com http://www.tate.org.uk http://www.mattress.org

207


http://www.crochetcoralreef.org http://www.kenrinaldo.com http://www.ideamsg.com http:///www.wenhua.kantsuu.com http:///www.ucca.org.cn http:///www.fashionforrealwomen.com http://www.kr.pinterest.com http:///www.ent.skykiwichina.com http://www.nevalleynews.org http://www.m.huanqiu.com

208


패션 연출 공간과 설치 미술 형태 특징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fashion communication space and Installation art form

무윈(Mu, Yun) 제1저자 대련공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부교수

김순구(Kim, SoonKu) 제2저자 동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투고일자

게재일자

심사일자

209


국문요약

패션 연출 공간과 설치 미술 형태 특징에 관한 비교 연구

패션은 유행문화의 메신저로, 패션 연출 공간 역시 일반적으로 모두 강한 시대감을 갖고 있으며 지역의 소비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사람들의 소비수준과 품위유지 수준이 높아지면 서 상업적 속성을 지닌 패션 연출 공간이 상품 판매에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공간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의미에서 보면 공공 공간으로서 문화, 예술, 미(美)를 전파하는 책임을 갖게 되었다. 오늘날 소비자는 더 이상 단순히 쇼핑을 목적으로 쇼핑을 하 는 것이 아니라, 여가를 즐기면서 문화, 예술, 미적 감각의 공간 속에서 쇼핑에서 얻는 즐거 움을 체험한다. 따라서 패션 연출 공간의 디자인은 시대감과 스타일의 특색을 강조해야 할 뿐만 아니라 더욱 강한 예술적 감화력을 갖춰야 한다. 본문에서는 이론 및 사례 연구를 통해 설치 미술 형태의 4가지 중요한 특징을 연구했는 데, 그 4가지는; 도시화 예술성 특징, 현품(现品)의 현장성 특징, 관람자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 특징, 그리고 미디어 하이테크놀로지 크로스 오버성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 들과 패션 연출 공간 형태 간의 분석을 통해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 다. 설치 미술의‘예술 관념’을 추출하여 패션 연출 공간 속에서 ‘패션 문화 관념’이 형성되었 는데, 이러한 ‘관념’은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그들의 마음을 움직일 뿐만 아니라 이러 한 관념 특유의 인정하고 동의하는 태도는 브랜드 관념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소비자들의 패션 브랜드에 대한 탐구를 지속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고 사료된 다. 이는 궁극적으로 브랜드 구매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동시에 소비자들에게 정 신적인 즐거움과 만족감을 가져다주어 사회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설치를 이용해 나타난 미술 관념 형태의 특징과 패션 연출 공간을 설계적으로 연결하여, 패션 연출의 미술 형태를 위한 영향력 있는 모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랜드의 다양화된 시각적 이미지를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랜드 경영 기업의 차별화된 브랜 드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디자이너가 디자인 상태의 출발점과 창작 목표를 세 우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로써 참신한 창작 사고 관념을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루트를 개척 하고, 패션 문화의 보급에 깊은 의미를 남길 수 있다.

핵심어 패션 연출 공간, 설치 미술 형태, 예술관념, 패션 문화 관념, 패션브랜드

210


Abstract

In current consumer society, fashion has a growing influence on social life and activities and has become a very important cultural phenomenon in nowadays. So it is called as'fashion culture'. Fashion also means fashion (clothes) in English, so it is undoubtedly the best carrier to reflect fashion. Through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form and comparative study with fashion communication space, we can find that both the art concept of installation art and fashion culture ideal are important mediums to transmit concepts to the public, aslwell as significant leader and founder of popular culture. This article summarizes four important features of installation art form, i.e. urban art, ready-made products on site, viewers’ participating experience, and multi-media interdisciplinary high technology, and studies coupling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mmunication space and installation art form with examples and field researches.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advisable to build diversified visual brand images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expression art concept, which helps fashion enterprises to implement differentiation brand strategy, helps designers to get into design condition and determine creation objectives, provides constructive reference to fashion communication space, and become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and innovation ideas.

Keywords Fashion communication space, Installation art form, Art concept, Fashion culture idea, Fashion brand

211


패션 연출 공간과 설치 미술 형태 특징에 관한 비교 연구

Ⅰ. 서론 Ⅱ. 본론 1. 패션 연출 공간 2. 설치 미술 형태 Ⅲ. 패션 연출 공간과 설치 미술 형태 특징에 관한 비교 분석 1. 도시화 예술성 형태 2. 현품의 현장성 형태 3. 관람자 상호작용성 형태 4. 미디어 하이테크놀로지 크로스 오버성 형태 Ⅳ. 결 론

Ⅰ. 서 론 1. 연구배경과 연구목적 현대 패션 디자인과 설치 미술은 모두 20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Paul Poiret 가 서양 여 성을 300여년 동안 구속하던 몸에 꼭 끼는 옷을 혁명적으로 ‘전복’시켰고, 1926년에 이르러 서는 Gabrielle Chanel이 그 유명한 검은색 미니스커트를 내세워 세계 패션역사에 혁명을 일으켰다.1)저 또한 동시대에 활동했던 Marcel Decamp이 ‘관념 자체가 관념 생성을 통해 나오는 그 어떤 것보다 더욱 흥미로운 것이다’라고 선언하였는데, 이 명언으로 Marcel Decamp는 ‘현품(现品)’의 작품 원천이라 불리게 되었고 이로서 현품(现品) 자체가 최초로 비감상용 대상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고의 매개물로서 작용하게 되어 예술가들이 물건 선택에서 비롯되는 기이함과 즐거움을 처음 맛보게 되었다.2) 다시 말하면, 설치가 서양 현 대 미술의 발전에 혁명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1)

최경원,『디자인 인문학』, 허밍버드, 2004, p.125.

2)

고승봉, 하만리,『설치 예술』, 호남미술출판사, 2003, p.12

212


1960년대 이후, 다양한 전위예술운동에 따라 설치 미술은 당대 예술의 한 항목이자 매 우 중요한 창작기법이 되었다. 사람들이 예술은 일상 생활에서 비롯된다고 말하는 것과 같 이, 설치 미술은 도시화된 현대 대중생활 환경 속에서 발전되었다.3) 패션 역시 마찬가지이 다. 1950년대에는 크리스찬 디올(Dior)의 뉴룩(New Look)이 2차 대전 이후의 여성의 생활방 식을 바꾸면서 형상、구조、스타일이 다양하면서도 쉽게 변화하는 패션이 이미 소비사회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고, 세계 패션 산업에 보급되어 각 지역에서 심미적인 기풍을 불러일으 키게 되면서 패션은 일종의 문화적 힘이 되었다. 이는 100여년의 패션 연출과 중요한 관계 를 맺고 있으며.

패션 상품으로 소비 사회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연출방식을 지니고 있다.

정적인 상태의 판매 공간이나 전시공간, 또는 동적인 상태의 패션쇼나 패션 문화 활동이 모 두 패션 연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패션 연출 공간은 ‘공간 예술 디자인’의 전형적인 대표사례라 볼 수 있다. ‘공간 예술 디자인’이란 단어는 사해(辭海)에서 그 뜻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공간 예술 디자인’이란 공간구조와 내부의 관계를 연구하는 종합학문으로, 건축예술, 환경예술, 공공예 술, 설치 미술 등 예술학의 학술적 범주를 포괄한다.4)

패션 연출 공간은 공간의 적절한 배

치뿐만 아니라 정보전달의 기능을 갖고 있고, 그와 동시에 디자이너의 관념과 패션 브랜드 정보가 사회와 사람에게 미치는 작용을 주시하는 기능까지도 수행하고 있다. 패션 연출 공 간이

패션에 부여한 디자인 관념과 패션의 내적 함의가 선도하고자 하는 생활태도를 어떠

한 방법으로 명확히 전달하고, 미술형태를 이용하여 어떻게 문화와 미(美)의 연출을 이루어 낼 수 있는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여겨졌다. 설치 미술과 패션 연출 공간의 결합은 현대 사회 특유의 신생물로, 패션 및 패션 문화의 미래 발전 방향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설 치 미술은 현대 대중들의 생활 속에서 빈번히 등장하고 있으며, 패션 상품 판매 공간, 쇼윈 도 전시 공간, 패션쇼 공간 및 박람회 공간등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설치 미술 형태 특징을 4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활용하여 패션 연출 공간 디자인에 보기를 제공하여,

설치 미술 형태를 패션 연출 공간에 창의적으로 응용하여 새로운 사유

및 새로운 관념을 제공하는 경로를 개척하고자 한다. 또한 설치 미술의 예술 관념 표현 및 전달의 형태 특징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각기 다른 다양한 ‘패션 연출 공간’을 조성하여 패 션 경영 기업이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을 펼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한다. 설치 미술 의 ‘예술 관념’을 추출하여 패션 연출 공간 내에서 ‘패션 문화 관념’이 형성되었는데, 이러한 ‘관념’은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그들의 마음을 움직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관념 특유 의 인정하고 동의하는 태도는 브랜드 관념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소비자들의 패션 브랜드에 대한 탐구를 지속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는 궁 3)

도선 '대중 생활의 시각 경상-설치미술연구,'호남 사범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2006), p.1

4)

황건성,『공간 전시 디자인』, 북경 대학교 출판사.2007, p. 9

213


극적으로 브랜드 구매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동시에 소비자들에게 정신적인 즐거 움과 만족감을 가져다주어 사회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5)

2. 연구방법과 연구한계성 본문에서는 설치 미술 형태의 관점에서 패션 연출 공간의

형태를 탐색하여, 오늘날 패

션연출공간이 패션문화 선도에 가져오는 사회적 의의를 탐구하고, 이로써 본 영역의 학술적 연구체계를 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연구방법으로는 문현 조사 연구, 인터넷 조사 연구, 현장 조사 촬영, 패션 연출 공간 개념 고찰 사례 분석, 설치 미술의 개념 고 찰 사례 분석, 패션 연출 공간과 설치 미술의 형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인 터넷, 현장촬영 방법만을 사용하였고 비교에 사용된 작품의 수가 극히 한정 되어 있어서 연 구범주의 한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Ⅱ. 본론 1. 패션 연출 공간 미디어학의 원리에 따르면 패션 연출 역시 일정 공간과 시간 내 패션의 가치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패션 연출은 다양화된 연출 활동을 통해 대중에게 그 정보를 전달 하여 대중이 수용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장기적인 효과와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따라서, 패션 연출 공간은 일종의 패션과 유행을 전달하는 활동공간으로, 관람 자의 시각적‧심리적 공명을 얻고, 긍정적 피드백을 부여하는 공간이다. 스벤슨(Lars Svendsen)은 『패션의 철학』에서 “우리는 반드시 일종의 스타일(Style)이 될 생활방식(Life style)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 선택은 기본적으로 심미적 선택이다.” 그리 하며 심미와 정체성은 유기적으로 결부된다고 밝혔다.6) 사람들은 패션을 통해 유행감각과 인지적 체험을 얻게 되어 패션 브랜드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거나, 또는 패션 연출 공간 속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일종의 패션 브랜드와 그 외의 수 많은 경쟁자들을 구분할 수 있게 되고, 그 인지적 태도는 직접적으로 브랜드 관념을 높게 평가하게 되는 태도로 바뀌게 된다. 대량의 광고학 문헌자료에서는 이미 특정 브랜드 관념이 브랜드 구매동기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

5)

Hyun Hee Park, Jung Ok Jeon & Pauline Sullivan. ' How does visual merchandising in fashion

retail stores affect consumer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Vol. 25, No. 1, 87–104,(2015), p. 92-101

6)

Lars Svendsen,『패션의 철학』, 북경대학출판사, 2010, p. 146

214


다는 연구가 나타나고 있다.7)오늘날, 사람들은 단순히 소비만을 위해 소비를 하지 않고, 소 비상품 역시 단순히 소비를 위한 상품이 아니게 되었다. 특히 색채, 스타일, 디자인이 품위 로써 일체화된 패션상품은 일정한 시각적 연출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아이템, 시설, 조명기술을 빌려 패션 상품의 정보를 연출하여 대중에게 심리적•행위적 의식 또는 잠재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결국 패션의 정체성이 형성됨과 동시에 구매동기를 유발할 수 있게 된 다. 본 연구자는 패션 연출 공간 형태를 다음의 4가지로 분류 정리하였다. 1) 패션 상품 판매 공간 패션 연출의 점포 형태는 1858년 워스(Charles Worth)가 파리에서 연 최초의 부띠끄에 서부터 시작되었다. 100년이 지난 뒤, 특히 21세기에 접어들어 사람들이 더욱 신선한 구매 체험을 찾고자 하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 많은 형태의 공간 양식이 형성되었고, 백화점, 패션 전문점, 대리점, 패션 할인점,양판점 등 다양한 패션 상점이 등장하게 되었다.8) 또한 패션 상품 판매 공간는 일반적으로 강렬한 시대감을 갖고 있어 지역의 소비경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패션 상품 판매 공간 내 실내 디자인은 그 시대감과 스타일을 강조하기 때문에 더욱 강한 미술적 흡입력을 갖고 있다.9) 2) 쇼윈도 전시 공간 쇼윈도는 도시 내 상업언어의 매개체로, 호소력이 있는 쇼윈도는 사람들의 걸음을 멈추 어 감상하게 하고, 사람들의 잠재적인 구매 열정과 소비욕구를 최대한으로 발산하도록 해준 다. 오늘날, 사람들의 생활방식은 크게 변화하면서 단순한 필요성을 위해 선택적으로 소비를 함과 동시에, 감각기관과 정신적 욕구를 만족시킬 시각공간을 찾게 되었다.10) 쇼윈도는 모 든 패션 연출 형태 중 가장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한 위치에 있으며, 가장 편리하고 빠르게 시각적인 연출이 가능한 공간이다. 정확하게 오늘날의 패션 흐름, 상황, 정보 등 요소를 전 달하는 것이 쇼윈도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쇼윈도는 도시 대중 생활의 축소판이자, 도 시 내 아름다운 풍경이 되기도 한다. 3) 패션 쇼 공간 7)

Groeppel Klein, A. “Arousal and Consumer InStore Behavior.” Brain Research Bulletin, Vol.

67 , No. 5, (2005), p. 428–437

8)

이전숙, 김용숙,『현대인의 패션』, 교문사, 2003, p. 236-240

9)

황건성,『공간 전시 디자인』, 북경 대학교 출판사 , 2007, p. 29

10)

MuYun,'Exploration on the Form of Installation within Window Design',(ZhuangShi),Vol.

227, No. 3 (Spring, 2012), p. 82

215


패션 쇼는 워스에 의해 생겨났으며. 그는 진짜 사람을 이용하여 패션을 전시한 최초의 사람이며, 이는

모델의 기원이기도 하다.11) 모델을 이용한 의상시연은 소비자를 끌어들리

는 수단이자 형식으로써 오늘날까지 지속되어 왔다. 매년 국제적으로 4대 패션 쇼가 개최되 어 세계 각지의 패션 미디어, 패션 소비자 및 전문 인사들의 이목을 사로잡는다.

패션 쇼

공간의 디자인과 조성 등 방면에서 패션 브랜드는 최대한 자신의 문화적 함의와 패션 철학 을 아낌없이 보여준다. 나날이 증가하는 패션 연출 중, 하이테크놀로지와의 융합은 불가결한 구성부분이 되었다. 이는 패션과 가상의 영상 속에 존재하며, 상호 독립된 공간과 상호 융합 된 공간을 구분한다. 다양화된 패션 연출은 필연적으로 대중에게 더욱 복잡하면서도 풍부한 소비경험을 선사한다. 4) 박람회 공간 ‘세계박람회’는 패션 최초의 박람회 공간으로, 독일의 사상가 벤자민(Walter Benjamin) 은 박람회에 대해 “세계박람회는 상품의 교환가치를 매우 크게 증대시켜준다. 그러나 세계 박람회는 상품의 사용가치를 무대 뒤의 구조로 떨어지게 만든다”라는 독특한 견해를 보이기 도 했다.12) 오늘날, 상업적 프로모션을 목표로 하는 박람회는 극대화된 사회적 효과를 지녔 을 뿐만 아니라 패션 경영자에게 있어서도 막대한 경제적 효과와 이익을 가져다준다. 미술 의 생활화、대중화에 따라 미술의 보급화를 목적으로 하는 패션 박람회의 형태가 나날이 늘 어나고 있다. 대중에게 패션 문화 관념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미술관내에 패션을 도입하고,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을 초청하여 이를 주제로 비정기적인 박람회를 열기도 한다.

2. 설치 미술 형태 설치미술이란 용어가 서구에서 미술사진에 등장한 것도 1970년 이후일 정도로 이 용어는 현대미술 자체에서 생소하게 사용되어 왔었다. 그렇지만‘설치’라는 미술 용어는 이제 대부분 의 미술전문 사진에 등재되어 있으며, 테이트 모던 미술관에서 운영하는 웹에서도‘설치’라는 미술을 1950년대 말 해프닝에 그 뿌리를 둔 채 혼합매체 등을 사용한 현대미술의 한 유형 으로 정의하며 1990년대 이후의 미술에서 주도적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한다.13) 설치 미술 형태은 비효율적 배분(错置), 부동(floating), 집합, 겹쳐쌓기 등 기법을 이용하 여 현품을 재구성하여 이를 새로운 전시공간에 위치시키고, 또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일종의 미술창작과 전시방법 이다.

14)설치

미술의 ‘설치(Installation)’는 조립•장착의 의미를

11)

Didier Grumbach, 『풍습을 직접 접하다』, 호남미술출판사, 2007, p. 20

12)

Water Benjamin『프랑스 19새기의 수도』, 사해인민출판사,2006,p. 13

13)

정연심,『현대공간과 설치미술』, 에이엔씨출판, 2014, p. 60

216


갖고 있다. 이 단어는 공업적으로는 장비, 병치 등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15)설치 미술의 최대 특징은 공간성을 지닌 자유 배치로, 어떤 장소에서도 자유롭게 제작하여 나타낼 수 있 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16) 따라서 설치 미술은 현품에 기대어 환경 전체에 의식을 부여하 는 새로운 미술형태라 볼 수 있다. 곰브리치(Ernst Gombrich)는 『THE STORY OF ART』에서 “미술발전사 전체는 기술숙 련도에 관한 발전사가 아닌, 관념과 욕구의 변화사이다.”라고 밝혔다.17)

예술 관념은 예술

창작의 핵심적인 추진력이라 볼 수 있다. 설치 미술의 부흥기는 바로 당대 사회환경 및 당 대의 예술、관념、사고의 변화에서 시작된 것이다. 설치, 상황, 환경 등의 단어는 미술적으 로 사용 구분이 엄격하지는 않지만, 작가들 사이에서는 각기 다른 의미로 통한다. 설치는 일 반적으로 각기 다른 물체를 조합하여 형성된 모습이고 환경예술과 설치미술은 공통점이 있 다. 이는 또한 환경 전체의 인지적 경향에 영향을 미치면서, 또한 대중의 마음 속에 위치한 장면 예술을 포함하기도 한다.18) 본연구자는 설치미술 형태를 다음의 4가지로 분류 정리 하 였다. 1) 도시화 예술성 형태 특징 도시는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에서 시작된 ‘일상성’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현대미 술에서 중요한 화두로 등장해왔다. 도시라는 특정 장소는 나와 주변과의 관계성 속에서 매 일 반복되는 일상생활을 의미 있게 기억하고 주변부에 머물러 있는 것들을 통합적으로 끌어 내는 행위 속에서 존재한다.19) 설치 미술은 일종의 도시화 예술방식으로, 첫째 대부분의 설 치 작품은 모두 도시 환경 속의 인공 제품을 실질적인 매개체로 사용하며. 둘째, 이러한 형 태는 사회 환경 속의 사람들의 존재방식、생활방식 및 그 문제를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주 로 사람들의 고독함, 병, 인류의 위기의식, 자연 앞에서의 궁핍함 등의 도시정서를 나타내고 14)

하만리,『중국 당대 설치미술사』, 사해서화출판사, 2008, p. 2

15)

고승봉, 하만리,『설치 예술』, 호남미술출판사, 2003, p. 23

16)

김지영,『설치 예술과 환경 디자인』, 광문각, 2004, p. 13

17)

E.H.곰브리치 , 『THE STORY OF ART』, 천진미술출판사, 1998, p. 167-168

18)

Harold Osborne,『 The Oxford companion to twentieth-century art』,England: Oxford Univ.

Press, 1981, p. 13

19)

정연심,『현대공간과 설치미술』, 에이엔씨출판, 2014, p. 241

217


있다.20) 설치 미술은 관념을 주로 표현하는 조형 미술이기 때문에, 설치 미술 자체의 사회 적 속성의 측면에서 보면 도시화 예술성 형태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생활방식의 변화를 가져오고, 도시의 불빛을 번화하게 해줌과 동시에 희망과 우울함, 그리고 실존, 소외 등을 가져오기도 한다. 당대 생활의 도시화 체험은 설치 미술로 하여금 설치의 방식을 통하여 대 중에게 도시화 실존이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심미적 감각과 반성을 표현하도록 한다. 2) 현품의 현장성 형태 특징 설치미술의 특징은 현품과 유리되어서는 안 된다. 현품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설치 미술 이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품을 이용한 설치 미술은 일반적인 일상 생활에서 이 용하는 현품과는 다른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예술이란 명목 아래에서 이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설치 미술은 ‘예술’의 품질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설치방식은 일 반적으로 물체(현품) 자체를 미술품의 기본적인 구조로 삼는다. 만약 물품이 위치해야할 곳 과 떨어져 있거나, 또는 일부 물체를 이동시킨 경우 이 형태는 그 즉시 기존의 미술적 함의 와 현장성을 상실하게 된다.21) 만약 설치 미술작품을 사진으로 찍거나 녹화를 한다면, 이 역시 현장감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치 미술은 관람자에게 예술품을 직면했을 시의 직접적인 체험감과 그 상태 자체의 감촉을 느끼게 해준다. 바로 이것이 설치 등 실물 예술이 일어나게 된 실질적인 사회적 근거이자 설치 미술이 현품의 현장성 특징을 지니게 된 근거이다. 3) 관람자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형태 특징 설치미술은 관람객의 참여를 중심으로 관람객의 체험、경험 등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관 람객과 작품, 작품이 놓인 장소라는 세 요소가 상호관계를 형성하면서 작품의 의미를 생성 한다.22) 그래서 관람자 상호작용성은 설치 미술에서 필요불가결한 부분이다. 설치 미술 작 품은 공간 환경과 관람자를 미술 작품 속으로 끌어들여 관람자의 상상력과 참여 열정을 증 대시킬 뿐만 아니라, 관람자 역시 작품 제작에 참여하는 개입자이자 창조자로 만들어 준다. 실내 설치이든 실외 설치이든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공간과 사람의 상호작용성이다. 관 람자의 활동으로써 특정한 공간 속에 있으면, 시각、청각、후각、촉각 등 감각기관이 이러 한 공간으로 인하여 반응하게 되고, 이로써 정신상의 고무, 기술상의 감탄, 정서의 도야, 마 음의 감동 등 일정한 감각을 얻을 수 있다. 이렇듯 자연스럽게 ‘미술 공간’을 제작한 창작자의 의미가 실현되고, 관람자의 개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활력이 가득차게 된다.23) 관람자의 상호작용성은 사회적으로 더욱 큰 의미 20)

고승봉, 하만리,『설치 예술』,호남미술출판사, 2003, p. 12

21)

고승봉, 하만리, 『설치 예술』, 호남미술출판사, 2003, p. 13

22)

정연심,『현대공간과 설치미술』, 에이엔씨출판, 2014, p. 23

218


로 작용하는데, 강렬한 미술 관념이 지지하는

미술은 더욱 광범위하고 강한 생명력이 부여

된다. 따라서 설치 미술은 관람자 상호작용성을 지니고 있다. 4) 미디어 하이테크놀로지 크로스 오버성 형태 특징 관람자의 작품에 대한 감정은 대부분 작품이 관람자에게 부여한 감정으로, 이러한 맥락 사회 예술의 각 부류 사이에서 미술과 디자인 사이의 넓이와 깊이는 계속해서 확장되어, 심 지어 양자를 구분할 수 없는 경지에 이르게 되었다. 예술과 디자인 사이의 경계가 나날이 모호해지면서, 스타일과 형식 사이도 일이관지(一以貫之)의 경지에 도달하게 되었는데 이러 한 교차와 융합을 ‘크로스오버(crossover)’라 칭한다. 설치 미술에서는 자연재료에서 얻는 새로운 매개체를 포함한 다양한 매개체를 재료로 이용하여 크로스오버함으로써, 놀라운 시 각적、청각적 상호 보완작용을 일으킨다. 이 역시 상업 영역에서 설치미술의 예술 생활화를 이룩할 수 있는 최대 전제이기도 하다.

21세기는 미디어 매체가 공존하는 시대로, 당대 사

회생활과 인류의 실존상황을 주로 표현하고 반성하는 설치미술은 미디어 하이 테크놀로지와 의 크로스 오버를 이용한 미술 형태가 되었고, 시각적、청각적 등 다양한 차원에서 기존에 없는 혁신을 가져다 주었다.

Ⅲ. 패션 연출 공간과 설치 미술 형태 특징에 관한 비교 분석 1.

패션 연출 공간 내의 도시화 예술 형태 1960년대 중반, 나우먼(Bruce Nauman)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네온사인 간판을 찾아

“예술품 같은 예술품이 아닌 소실 가능한 예술품”을 창작하였다. 그가 제작한 빛나는 문자 는 개인 또는 사회의 초조함을 암시하여 관람자를 자극하여 그로부터 공감을 형성하였다. [그림1]24) 1985년 제작된 네온사인 ‘Having Fun, Good Life, Symptoms’을 표현한 것으로, 작품 속에는 다른 형식의‘언어 유희’가 담겨 있어, 강렬한 예술 관념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의 예술가 백남준(NamJune Paik)의 작품은 일반적으로 인공제품인 TV, 버려진 실질적 매 체를 이용하여 창작활동을 한다. 작품 속에는 현대 도시화에 대한 현실 환경의 불만과 반성 이 그대로 드러나 있어, 대중의 자연에 대한 갈망을 일으켜 자연환경에 대한 그리움과 열망 을 표현하고 있다[그림2]25) 디자이너 반검봉(潘剑峰)은 2001년 인터넷 용어인 ‘압박 대박’, ‘다 암’등을 이용하여 독창 적인 폰트와 인공제품인 네온사인의 전시방식을 만들어, Mark Fairwhale브랜드의 쇼윈도 23)

황건성,『공간 전시 디자인』, 북경 대학교 출판사 , 2007, p. 10

24)

http://www.artda.cn

25)

서성록,『설치미술 감상법』,대원사,1995, p. 10-11

219


디자인을 완성하였다[그림3]26) 이를 통해 당대 사회 속 젊은층 고유의 문화현상을 표현하여 대중의 공명을 야기하였다. 특히 브랜드 스타일이 겨냥하고 있는 도시 내 젊은층의 인지를 얻어 그들이 해당 브랜드 이념을 좋아하고 인정하게 되었다. 미국 브랜드 ‘GUESS’에서 가 장 눈길을 끄는 것은 바로 실제 크기의 음료수판매기 모형을 실제 물품 전시도구로 이용하 였다는 점이다. 이 역시 빠른 도시 생활 속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공공시설 중 하나이다.27) 기존 판매기 속에 있던 음료를 해당 계절의 악세서리와 가방으로 바꾸고, 자판기의 오른쪽 상단에는 해당 계절의 패션 상품이 그려진 광고 사진을 부착하여, 인공으로 제작된 제품과 프로모션 중인 상품을 함께 나열함으로써, 브랜드가 나타내고자 한 섹시함, 간결함, 빠름 등 의 생활방식을 시각적으로 전달하였다. 이 두 사례는 모두 패션 레져를 즐기는 젊은 소비층 을 겨냥한 사례로, 젊은층의 생활상태를 시각적 언어로 굳힌 뒤, 설치의 기법을 이용하여 쇼 윈도 또는 점포 내에 위치하게 하여, 소비자의 공명과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였다[그림4].

설치 미술 형태

[그림1]나우먼 설치 작품, 1985. 인공제품

[그림2]백남준 설치 작품, 1974. 인공제품+ 현품

패션 연출 공간

[그림3]MarkFairwhale 브랜드 전문매장의 쇼윈도, 2011. 인공제품 1. 패션 연출 공간에 도시 환경에서 비교 특징 분석

[그림4]GUESS 브랜드 매장 내 “자판기” 전 시도구 설치, 2016. 인공제품

존재하는 대량의 인공제품을 실질적 매개체로 이용

하여, 각기 다른 문화와 스타일이 담고 있는 패션 브랜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2. 패션은 대중생활 속의 대중의 정서와 도시 정서를 연출하고, 압박을 해소하거나 자연 에 대한 갈망을 내적 주제로 삼거나 대중에게 명확한 패션 문화 관념을 부여한다. [표1] 패션 연출 공간 내의 도시화 예술 형태 비교 분석

26)

http://www.shtype.org

27)

필자가 직접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220


2) 패션 연출 공간 내의 현품의 현장성 형태 1995년 시카고의 란돌프가(St. Randolph) 화랑과 뉴욕의 미술 화랑은 설치 작품 ‘wallflower’를 전시하였다[그림5]28) 이 작품은 공업화의 복제가 가져온 미술의 일반화와 대 중화를 나타내어, 특정한 시대의 ‘현장감’을 표현하였고, 이로써 사람들의 심리적、생활적 영향력과 관통력을 야기하였다.29) 미국 조지아주의 예술가 겸 촬영작가인 웰치(David Welch)는 2011년“물질 세계(Material World)”라는 이름의 일련의 설치 예술 작품을 전시하 여 당대 사회도시의 소비행위를 반영하였다.[그림6]30) 이작품은 대량의 현품인 ‘물품 포장상 자’를 이용하여 비현실적인 예술 전시 형태를 표현하여, 당대 사회 속의 사람들의 생활방식 중 물질소비에 관한 논쟁을 구상하였다. 독일의 ‘BOSS’브랜드가 겨냥한 소비자는 도시의 화이트칼라 계층으로, 그 디자인이 함축 적이고 우아하며, 사소한 억지스러움이 보이지 않는다. 또한 과도한 장식을 사용하지 않았지 만, 사회적 인식에 집중하였다[그림7].31) 매장 내의 한 벽면 전체에는 원형 시계를 설치하였 고, 마네킹이 위치한 바닥 역시 큰 원형 시계를 도구로 이용하여, 브랜드의 내적 함의와 더 불어 서로의 장점을 명확히 드러내었다. [그림8]은32) 이탈리아의 ‘MOSCHION’브랜드의 쇼윈 도로, 대량으로 브랜드 logo로 만든 가판대를 이용하여 대중의 소비심리를 가벼운 유머를 이용한 초(超)현실적 시각 수단으로 나타내므로, 브랜드의 패션 유머만의 독특한 디자인 스 타일과 완벽하게 융합되었다.

28)

Edited by Roxana Marcoci, Diana Murphy, and Eve Sinaiko,『 New Art 』,New York: Harry

N.Abrams, 1997, p. 13

29)

하만리,『중국 당대 설치미술사』, 사해서화출판사, 2008, p. 4

30)

http://www.leftfork.net

31)필자가

직접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32)필자가

직접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221


설치 미술 형태

[그림5]‘wallflower’ 설치작품,1995.

[그림6]David Welch, 설치작품, 2011. 현품

현품+인공제품

패션 연출 공간

[그림7] 파리 BOSS브랜드 매장 내부, 2011. 현품+인공제품

[그림8]이탈리아 MOSCHION 브랜드 전문 점 쇼윈도, 2013 .현품

1. 패션 연출 공간은 대량의 현품 도구를

이용하여 브랜드의 시각적 이미지를 전달하고

브랜드 스타일을 부각시킨다. 비교 특징 분석

2. 패션 연출 공간 내의 조명, 상품, 전시도구, 아이템, 환경 모두가 브랜드의 통일된 주 제를

전달한다. 만약 이 중 한 부분이라도 유리된다면, 그 주제의 의미를 상실하여 완전한

독해에 이를 수 없다. 계절과 주제 상품이 다르기 때문에, 표현하는 시각적 화면 역시 다르 다. 따라서 패션 연출 공간 속의 현품은 일회성의 현장성 형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표2] 패션 연출 공간 내의현품의 현장성 형태 비교 분석

3) 패션 연출 공간 내의 관람자 상호작용성 형태 [그림9]은 나우먼의 설치 미술 작품인 ‘녹색등 회랑(Green Light Corridor)’이다.33) 눈부 신 하얀 빛이 계속해서 관람자를 좁은 공간 속을 다니도록 유도하고, 관람자의 실질적 체험 을 녹화하여 어떠한 반응을 하는지 관찰하여 사람들이 이렇게 좁고 불편한 폐쇄된 공간 속 에서 공포감과 불안감을 얻게 한다. 작품은 예술가가 고집해 온 심미적 체험을 실질적 대상 으로 치환하여, 작품 자체의 예술적 관념을 느끼게 한다. 사라세노(Tomás Saraceno)는 베 를린 당대 예술 박물관에서 ‘구름 속 도시(Cloud Cities)’를 전시하였다. 대량의 공기방울을 이용하여 관람자가 직접 느끼게 하였고, 공기방울이 계속해서 떠올랐다가 다시 가라앉으면 서 도시거주공간 등에서의 관성적 사고와 반성을 일으키게 된다[그림10].34) 수 많은 도시의 중심 도로에는 백화점, 쇼핑 센터 등 다양한 대형 매장이 위치해 있다. 33)

http://www.artda.cn

34)

정연심, 『현대공간과 설치미술』, 에이엔씨출판, 2014, p. 253.

222


최대한 소비자를 끌어 모으기 위해, 상호 경쟁 역시 매우 치열하다. 예컨대 항주(杭州)의 은 태(银泰)백화점의 레져 스포츠 전문매장의 경우, 넓은 중심 도로에 미디어 영상기술을 이용 하여 해당 층에서 판매하고 있는 모든 레져 스타일의 주제와 결합하여 젊은 층의 참여를 유 도하고 있다[그림11].35) 대형 패션 연출 공간과 관람자가 상호작용을 일으키면서 큰 인기를 얻게 되고, 상품의 판매에도 훌륭한 효과와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한국의 예술가 이불(Lee Bul)의 설치 미술 작품은 관람자를 그 작품 속으로 빨려들어가게 할 뿐만 아니라, 패션 주 제의 심오함과 체험을 함께 부여한다[그림12].36) 이 작품에서는 사람이 핵심으로, 대중은 관 람자이자 참여자가 된다. 이 작품은 관람자 자신과 자신의 거울에 비친 모습을 비추어, 디올 (Dior) 브랜드의 특수한 미학적 체험을 나타내고 있다.

설치 미술 형태

[그림9]나우만의 설치작품, 1970

[그림10]사라세노의 설치작품, 2011

패션 연출 공간

[그림11]은태백화점의 레져 스포츠 매장,2012.항주

전문

[그림12]프랑스Dior브랜드의

예술패션전시

회, 2014, 베이징

1. 패션 연출 공간 속의 관람자는 즉 소비자이다. 관람자의 개입은 패션이 상품으로서 소 비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과정이다. 어떠한 형태의 패션 연출 공간이던 모 두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이로써 심리적 작용과 감각기관의 정서와 감정적 소통을 일 비교 특징 분석

으켜, 최종적으로 상품의 외적체험을 통한 대중의 인식을 얻게 된다. 2. 관람자의 상호작용성 아래에서 패션 연출 공간은 패션 브랜드 또는

패션 경영자와

관람자의 상호 교류에 유리하다. 따라서 더욱 신속하고 직접적으로 관람자의 인정과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

35)

필자가 직접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36)

http://ucca.org.cn/program/miss-dior

223


[표3] 패션 연출 공간 내의 관람자 상호작용성 형태 비교 분석

4) 패션 연출 공간 내의 미디어 하이테크놀로지 크로스오버 형태 영상 설치 미술의 선구자인 비올라(Bill Viola)는 1970년대에는 신기술과 새로운 관념이 진정으로 미술적 고지에 올라, 순수한 시각적 형태에서 보면 영상(video)이 상업영화와 영화 의 차이를 벌려놓았다. 영상 설치 미술 작품 ‘In Slowly Narrative’는 일종의 방직면 재료로 만든 렌즈로 만든 장면 설치를 계속해서 바꾸어 스스로 흡수하는 정신적 변화를 표현하였다 [그림13].37)

스페인의

개념

예술가

플렌자(Jaume Plensa)가

시카고

밀레니엄

파크

(Millennium Park)에 설치한 공공 미술 설치 작품인 크라운 분수(Crown Fountain)는 사람 들의 내적 관심과 내부 세계의 예술관념을 관철하는 작품이다. 하이테크놀로지의 수치제어 를 통한 LED조명을 이용하여 계속해서 변화하는 표정의 입에서 분수가 나오도록 하여, 시 민과 아이들의 즐거운 휴식을 사로잡았다[그림14].38) 영상화 시대에서 디지털과 미디어는 사회생활의 모든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미술과 디 자인의 크로스오버는 설치 미술이 패션 연출 공간에 응용되는 가장 큰 전제이기도 하다. 영 국의 SPA브랜드 Topshop은 최초로 가상현실기술인 VR(Virtual Reality)39)을 응용하여 소 비자에게 체험하게 하였다. 런던 플래그숍에서 헤드셋(Oculus VR)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3D 의 환경에서 패션 발표회를 관람하도록 하여 그 현장감을 직접 몸으로 느끼게 하였다[그림 15]. 일본의 디자이너 요시오카 도쿠진(吉冈德仁)40)은 2009년 도쿄 HERMES 브랜드 매장에 서 쇼윈도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동적 상태의 영상과 바람의 기류를 이용하여 가벼움과 완 벽함을 해석하여, 스카프가 사람에게 부여하는 가장 아름다운 인상을 표현하였다[그림16].

37)http://www.collections.lacma.org

38)http://www.collections.lacma.org

39)http://www.inition.co.uk/case_study/virtual-reality-catwalk-show-topshop

40)http://www.tokujin.comt

224


설치 미술 형태

[그림13]비올라의 영상 설치 작품, 1993

[그림14]플렌자의 설치 미술 작품, 2013

[그림15]VR기술을 이용한 Topshop패션쇼, 2014 설치 미술 작품, 2013

[그림16]도교 HERMES매장의 쇼윈도, 2009

패션 연출 공간

1. 하이테크놀로지의 막대한 기능과 표현력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미디어의 동적 영상을 활용하였다. 특히 패션 연출의 각종 공간 형태 속에서 이러한 특징이 더욱 부각된다. 이로써 비교 특징 분석

소비자의 관심과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강력한 브랜드 홍보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2. 다양한 미디어의 하이테크놀로지 크로스오버 형태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패션 브랜드의 스타일을 조성하고, 브랜드의 핵심적 함의와 독특한 패션

관념을 전달할 수 있다.

[표4] 패션 연출 공간 내의미디어 하이테크놀로지 크로스 오버성 형태 비교 분석

Ⅳ. 결 론 첫째, 설치 미술 형태는 도시화 예술, 현품의 현상성, 관람자 상호작용성 특징, 미디어 하이테크놀로지 크로스 오버성이라는 4가지 중요한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패션 연출 공간 은 이 4가지 설치 미술 형태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설치 미술의 ‘예술 관념’을 추출하여 패션 연출 공간 속에서 ‘패션 문화 관념’이 형 성되었는데, 이러한 “관념”은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그들의 마음을 움직일 뿐만 아니 라 이러한 관념 특유의 인정하고 동의하는 태도는 브랜드 관념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에 직 접적으로 영향을 하고 소비자들의 패션 브랜드에 대한 탐구를 지속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 고 사료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브랜드 구매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동시에 소비자 들에게 정신적인 즐거움과 만족감을 가져다주어 사회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셋째, 설치를 이용해 나타난 미술 관념 형태의 특징과 패션 연출 공간을 설계적으로 연결 하여, 패션 연출의 미술 형태를 위한 영향력 있는 모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랜 드의 다양화된 시각적 이미지를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랜드 경영 기업의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디자이너가 디자인 상태의 출발점과 창작 목표

225


를 세우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로써 참신한 창작 사고 관념을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루트를 개척하고, 패션 문화의 보급에 깊은 의미를 남길 수 있다. 참고문헌

최경원,『디자인 인문학』, 허밍버드,서울:2014 이전숙, 김용숙,『현대인의 패션』,교문사, 2003, 정연심,『현대공간과 설치미술』,에이엔씨출판, 서울:2014 심낙훈, 이경돈, 민병근, 기문당,『디스플레이:VMD+EVENT+EXHIBITION』기문당, 서울:1999 김지영,『설치 예술과 환경 디자인』,광문각, 서울:2004 서성록,『설치미술 감상법』대원사, 서울:1995 황건성,『공간 전시 디자인』, 북경 대학교 출판사,중국 북경:2007 고승봉, 하만리, 『설치 예술』,호남미술출판사, 중국호남:2003 하만리,『중국 당대 설치미술사』,사해서화출판사,중국사해:2008 Lars Svendsen,『패션의 철학』, 북경: 북경대학출판사, 2010 선전 조각원 ,『다시 패를 섞다: 수묵의 이름으로』,호남미술출판사,중국호남:2001 E.H.곰브리치,『THE STORY OF ART』, 천진미술출판사, 천진:1998 Didier Grumbach,『풍습을 직접 접하다』, 호남미술출판사,중국호남:2007 John Pile,『세계 실내디자인사』,중국건축공업출판사, 중국북경:2007 Water Benjamin,『프랑스 19새기의 수도』,사해인민출판사, 중국사해:2006 이정은,「설치미술 관점에서 패션플래 그쉽 스토어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서울:2013 도선,「대중 생활의 시각 경상 설치미술 연구」,호남 사범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중국호 남:2006 Harold Osborne : The Oxford companion to twentieth-century art, Oxford Univ. Press: England,1981 Edited by Roxana Marcoci, Diana Murphy, and Eve Sinaiko : New Art, Harry N.Abrams: New York,1997 Hyun Hee Park, Jung Ok Jeon & Pauline Sullivan: How does visual merchandising in fashion retail stores affect consumer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Taylor & Francis,2015 MuYun: Exploration on the Form of Installation within Window Design, ZHUANGSHI, BeiJin,2012 Groeppel-Klein, A: Arousal and Consumer In-Store Behavior, Brain Research Bulletin, New York,2005 http://www.shtype.org http://www.websters-online-dictionary.org http://www.zaowuji.songshuhui.net http://www.fashionmodeldirectory.com http://www.medienkunstnetz.de http://www.ideamsg.com

226


http://www.artda.cn http://www.play-scapes.com http://www.collections.lacma.org http://www.cityofchicago.org http:// www.ucca.org.cn http:// www.fashion.sina.com.cn http://www.inition.co.uk

227


228


지역 그래픽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중국 무한(武汉) 지하철 사인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gion Graphic Applied to Metor Sign System in Wuhan

KOREA SCIENCE & ART FORUM 한국과학예술포럼

KOREA SCIENCE & ART FORUM Vol.23_Regular article or full paper * Contribution : 2016.02.19_Examination : 2016.03.2_Revision : 2016.03.11_Publication decision : 2016.03.30

229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I.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II. 그래픽 기호 이론 배경 2.1. 그래픽 기호의 역사적 기원 2.2. 기호학 개념 및 퍼스 기호학 이론 2.3. 지역성 그래픽 기호 Ⅲ. 안내 표지 중 그랙픽 기호의 활용 3.1. 국내외 도시 안내 표지 중 그랙픽 기호의 사례 분석 3.2. 안내 표지 중 그래픽 기호의 활용 가치 IV. 무한(武汉) 사인시스탬의 활용 4.1. 무한(武汉) 도시의 특징 4.2. 도시 역사 문맥 4.3. 지역 문화 특징 4.4. 무한(武汉) 지하철 4호선의 특징 4.5. 설계 방안의 제시 4.6. 무한(武汉)지하철 4호선 역명 그래픽 기호 디자인 모형 V. 결론 및 제언 Reference Endnote

Abstract

China is in the process of high maturity. New and complex environment is in urgent need of sign system, while the related research of China’s sign design is still in its infancy and the corresponding theoretical research is relatively lagging. In general, foreign sign design has more images, less literal data, and is lack of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idea and design method, from practice. The experience taken from practice is very limited. Currently, many Chinese cities do not have a theory of effective sign system on many occasions lead to the use of the sign system are more casual. It even exists many description unexplained problems and so on. Therefore, this paper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of semiotics and graphical,and analysis the typical cases

overseas,and thus proposed a proposal which use sign system in Wuhan Metro Line. Through the model test of use graphical symbols in Wuhan Metro sign system, it is not only can fast and effectively identify the name of the station, but also to highlight the city of Wuhan personalized features.

국문초록

중국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새롭고 복 잡한 환경의 출현은 대량의 안내 표지를 절실히 필요 로 한다. 그러나 중국의 안내 표지 디자인의 관련 연 구는 아직 시작 단계에 처해있고, 이에 대응하는 이론 연구도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다. 중국 도시 상황으로 살펴보면, 효과적인 이론 지도가 없다는 전제하에, 많 은 사인 그래픽 기호의 사용은 모두 체계적이지 않고, 사인디자인의 각도에서는 그래픽 기호를 합리적으로 조직하고 사용하지 않는다. 게다가 승객이 역명을 잘 못 파악하는 등 많은 문제들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본문에서는 그래픽 기호학 이론 연구 방법을 통해서, 해외 저명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중국 무한(武汉) 지 하철 4호선에 그래픽 기호학을 응용하자는 건의를 제 기했다. 이후 실험 모형을 통하여, 그래픽 기호를 무 한 지하철의 사인 시스템에 응용하면, 빠르고 효과적 으로 역명을 식별할 수 있고, 무한 지역의 창의적인 도시 특색을 확연히 드러낼 수 있음을 발견할수 있었 다.

Key Words Convergence(융복합), Region graphic(지역 그래픽), Sign system(안내 표지)

I.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출현한 입체적인 교통은 인 류 공간 질서를 나날이 복잡하게 만들었고, 안내표지 디자인의 중요성은 더욱더 확장 되고 있다. 인류의 문 명이 일정한 정도에 도달한 이후, 사회는 일종의 도구 로 사람들의 모든 활동 구역을 규범화하는 것을 필요 로 했고, 이는 특정한 기능을 구비한 구역이 인류를 위하여 서비스를 발휘하게끔 하였다. 안내 표지 구현 언어의 최종 목적은 대중의 기본적 기능 수요와 공익 성에 대한 고려이며, 따라서 그 특색, 지역에 대한 연 구는 공공 환경의 안내 표지의 발전을 추진하는데 유

230


리하다. 그것은 정보 교류의 상호소통인 동시에 공간 의 미화를 담당하고 문화적 책임을 담당한다. 연구에 서, 시각 그래픽 기호의 전파 과정은 전달해야 하는 정보에 대해 귀납, 여과, 간소화, 전파하는 과정을 말 한다. 지하 철도 교통은 일종의 규칙적인 교통 체계로, 본 문에서는 기호학 이론으로 중국 무한(武汉)지하철 4 호선의 역명 그래픽 기호 디자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 여 표준화된 지역 디자인 구현의 방법을 제안했다. 이 용자들이 지하철 역명에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명 확하게 위치를 판단하도록 개선하고, 더불어 지역 그 래픽 디자인의 요소를 통해 무한(武汉)지역의 인문적 특색을 드러낸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우선 이론 연구를 통해 안내 표지, 그래픽 기호학, 심리학, 도시 공간 형태 등 관련 이론 전문 저서와 논 문을 조사하였다. 안내 표지 디자인 이론은 시각 디 자인 전공에 속하지만, 현장에서는 그래픽 디자인을 설치공간에 도입하여 활용한 여러 방면과 관련된 교 차 학문이다. 따라서 반드시 공간 환경과 시각전달의 각도에서 그래픽과 사인, 공간과 형성의 관계 간에 깊 은 탐구와 연구를 해야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도시 안내 표지 자료를 수집 하여 도시 안내 표지의 공간 환경, 도시 특징과 인문 성격을 총 정리하고 그 지역성, 통일성, 가독성 등 방 면의 우세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무한(武汉)지하철 4호선 각 정류소 주변 환경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무한(武汉) 지하철 4호선 안내 표지에 실행 가능하고 정확한 구상을 제 기했다. 표준화된 규범을 지닌 규제에서, 지역 그래픽 언어의 활용은 노선 이미지 식별의 개성화 이미지를 그래픽화하여 디자인을 강화하고, 그래픽은 문자보다 더 좋은 식별을 지닌다. 그래픽은 현실 물상에 대한 모방이며, 문자는 추상적 기호가 사람의 뇌에서 전환 되어서야 비로소 표현하려는 개념에 반응을 하는 것 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래픽 기호를 통해 지하철 역명을 이해하면 더 좋은 도시 지역 문화를 조성할 수 있고 안내 기능에서도 역명의 유일성을 표현할 수 있다.

Ⅱ. 그래픽 기호 이론 배경 2.1. 그래픽 기호의 역사적 기원

인류 출현 초기에 그래픽은 인류가 세계를 인식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그래픽의 출현은 인류의 식별과 세계의 변화에 대한 수요에서 기원했다. 그래픽의 법 진(法阵)은 인류 사회의 역사 발전과 밀접하게 관련 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사람들이 언어 초기 단계 에 처했을 때, 즉 원시시대에는 사람들은 단순하게 얼 굴을 맞대고 소리 내고 손짓하는 언어 형식으로 교류 를 하였다. 이후 언어 시기가 되어서야 비로소 체계적 인 언어 기호로 전파를 하였다. 인류가 질서 정연한 언어를 표현하지 못할 때, 인류는 모래 위에 나뭇가지 를 사용하고, 암벽에 목탄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 다. 이것은 인류 진화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본능적 인 표현이다. 문자의 출현은 정보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광범 위하고 정확하게 전파하게 하였다. 또 인류 문명이 전 파와 발전을 하도록 이끌었다. “사유(思维)는 형상을 필요로 하고, 형상은 반드시 어느 매개(媒介)에서 획 득된다.”1) 사람들의 그래픽에 공통된 인식이 형성된 기초에서, 사유(思维)는 언어를 통해 그래픽 이미지 를 불러일으키며 이는 최종적으로 문자와 언어 식별 의 인식 조건이 된다. 그래픽 언어가 형성한 공식적인 식별 표준은 모두 개성적인 언어 형식이며, 이것이 공 통으로 인식된 기초에서 그래픽의 형식으로 출현할 것이고 지역의 그래픽 언어는 더 직접적일 것이며, 더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할 것이다.

2.2. 기호학 개념 및 퍼스 기호학 이론 (1)기호학 개념 기호학(semiotics)은 기호를 연구 대상으로 하며, 기호의 성질, 발전 변화 규율, 의의를 연구하고, 기호 와 기호, 기호와 인류 활동, 기호와 사고의 반영, 기 호와 객체 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기호학은 기호의 일 반적인 이론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일반적으로 말해 서, 어떠한 사물이 다른 사물을 대체하여 또 다른 사 물을 대표할 때, 그것의 기능은 기호의 기능이라고 불 린다. 인류는 집단생활 속에서, 단체의 공통된 인식 때문에 늘 어떠한 사물을 사용하여 다른 사물을 나타 내고, 자연계의 인식, 사회의 사고, 인류의 행위에 대 해 이해를 한다. 형상, 문자, 색, 이미지, 재료, 소리, 표정 동작의 총체적인 분석을 통해, 또 다른 사물이 나타내는 의미를 이해한다. 이것은 마치 우리가 빨간 신호등을 보면 멈추고, 초록 신호등을 보면 통행을 해 도 되는 것과도 같다. 사람들은 자신의 경험에 근거하 여 기호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이해한다. 끊임없이 기

231


호를 창조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람과 사람 간의 교류가 형성되며, 사람의 인식은 인위적인 기호의 시 스템에 기초한다.

(2) 퍼스의 기호 이론 퍼스(peirce Charles Sanders)는 미국의 철학가이 며, 실용주의의 창시자이다. 그의 기호학 이론은 의 미, 특징 및 기호의 개념에 기초하여 분석한 철학이 다. 그는 이것을 3단계로 구분했는데, 이는 즉, 기호 (매개체 상관물), 지시 대상(대상 상관물), 해석소(해석 상관물)이며, 이 3단계는 하나의 완성된 기호 관계를 구성했다. 각각의 요소에 대한 이해는 반드시 다른 두 가지 요소를 참고해야 한다. 각 순서들의 상호 관련에 근거하여, 이를 9가지의 하위 기호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1.성질 기호 2. 개별 기호 3.법칙 기호 4.도상 기호 5.지표 기호 6.상 징 기호 7.해석 기호 8.발화기호 9.논항 기호이다. 이 에 본연구에서는 기호 대상의 관점으로부터, 그래픽 기호, 지표 기호와 상징 기호를 포함하여 지역적인 기

화적이고 시대적일 수밖에 없다. 그래픽 지시적 기호 의 지역 특색은 아래의 몇 가지 특징으로 구분할수 있다.

[표-01] 그래픽 지시적 기호의 지역 특색 분류

독특한 지역과 구역은 다른 지역과 차이가 존재하는 독특한 곳을 가리킨다. 예컨대 역사, 경제, 문화, 풍속 습관 지역과 등 특징이 있는 지역을 말한다. 예로, 상해의 외탄, 구역 북경의 왕부정, 복주의 삼방칠항, 남경의 부자묘 등과 같은 특색 있는 지역과 구역이다. 주요 건물의 기본적 특징은 사람이 가장 간단한 형태 와 최소한의 필획으로 그것에 대한 기억을 자아낸다 는 것이다. 이는 북경의 천안문, 상해의 동방명주, 이 집트의 피라미드,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파리의 에펠 탑 등처럼, 세계의 저명한 주요 건물과도 같고, 주요 주요 건물은 그 도시의 명함이기도 하다. 주요 건물과 보통 건물 건물의 차이점은 주요 건물의 건축가가 모든 도시 건 축의 주인공이라는데 있으며, 그 건물 스타일을 그래 픽 지표성 기호 디자인에 융합시키는데 있다. 이는 일 종의 생활 방식이고, 일종의 사고적 체험이며, 문화와 환경, 교육 분위기 등 각종 방면이 힘을 합쳐 디자인 을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문물 고적은 역사적 가치, 과학적 가치, 예 대표적 술적 가치를 지닌 것이며, 사회에 남겨지거나 또는 지 문물 하에 매장되는 지역적 특징을 지닌 역사 문화 유물과 고적 유적이다. 이것의 예로는, 서안의 병마용, 낙양의 용 문석굴, 산서의 평요 고도 등이 있다. 자연 경관은 각종 자연 요인들이 상호 작용을 하여 형성된 자연환경이다. 그것은 명백한 지역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예로 중국의 “북웅남수(北雄南秀)”의 특 징이 남북 자연 경관의 총체적인 차이를 반영하였다. 또 다른 예로, 산성중경(山城重庆), 강성무한(江城武 汉,), 춘성곤명(春城昆明) 등이 있는데, 이는 모두 사 람들로 하여금 감탄하여 마지않게 했다. 독특한 자연 독특한 경관을 지역성 그래픽 지시 기호를 재현하 자연경관 는 것은,이용하여 문자의 직접적인 정보 전달과는 차이가 존재 한다. 그래픽은 문자 전달보다 더 정확하고, 직접적으 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다른 나라, 민족에 한정 된 상황에서 진행되는 정보 교류는 없다. 독특한 자연 경관을 그래픽 지시성 기호 디자인에 응용하는 것은, 더 농후한 지역 문화 정취와 더 강한 예술적 생명력 을 지닌다.

호가 되게끔 만드는 방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3 지역성 그래픽 기호 지역 문화는 지역을 기초로 하고, 역사를 주선(主 线)으로 하며, 경치를 운반체로 하고, 현실을 표상으 로 하는 사회 진행 과정 중에서 작용을 발휘하는 인 류 정신 활동의 총칭이다. 그것은 결코 장면(场景)과 물체 그 자체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며, 그 본질은 경 물 배후(背后)의 것을 지향한다. 즉 경물(景物) 고유 의 함의(含义), 전송한 정보, 감추고 있는 비밀과 가 져온 의미를 말한다2). 아리프 달릭(Dirlik Arif)은 <Post-revolution atmosphere>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 했다: “당대 국제 공간의 교류와 문화의 차용(借取) 사이에 각자 다른 지역 문화의 민족 자신의 상상의 기호 및 전통적 근원이 없었다면, 당대 사회는 어떤 모습이었을까.”3) 시각 기호는 사물과 지각 사이의 중개(中介)이며, 지역 문화 관념의 물화(物化) 형식과 전파 매개체 이다. 지역 문화는 시각 기호의 창의적인 디자인의 기 초이다. 특색 있고 개성적인 시각 기호는 일정한 지역 문화를 전달한다. 그래서 지역이 독특하고 개성적인 그래픽 지표성 기호를 갖추고 있어야만, 분명하고 명백한 지역 이미 지를 구현해낼 수 있다. 그 중 지역 문화 특색 요소를 현대 그래픽 지시 기호 디자인에 융합시키면, 더욱 문

설명

Ⅲ. 안내 표지 중 그랙픽 기호의 활용

3.1 국내외 도시 안내 표지 중 그랙픽 기호의 사 례 분석 (1)독일 뒤셀도르프 도심 안내 표지 [표-02] 독일 뒤셀도르프 도심 안내 표지

232


사례

독일 뒤셀도르프 도심 사인 설명

이미지

설명

분석

뒤셀도르프(Dusseldorf)는 라인강에 위치한,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소재지이다. 얼기설기 얽혀 있 는 골목, 오래되고 역광으로 빛나는 광고 표지 및 도 시의 일련된 시설들은 이 오래된 도시에 오늘날의 총 체적인 외관을 구성했다. 오래된 성 안에는 많은 명승 고적이 있다. 사람들은 걸어서 그곳에 도착할 수 있 다. 이 안내 표지 은 도시 건축에 더 많은 부담을 주 지 않았고 또 명확한 지표의 작용을 했다. 디자이너들 은 시종일관 표현상에는 간결성을 추구하고, 시각 상 에서는 눈길을 끄는 효과를 추구했다. 안내 표지 에는 그래픽 기호 언어를 대량으로 사용했다. 일부 저명한 명소, 박물관, 극장 등등에는, 건축물 그 자체나 혹은 표지성 시각 이미지를 원형으로 하여 그래픽 처리를 하여, 안내 표지 이 더 강한 그래픽 지시 효과를 갖도 록 했다. 이러한 효과는 당신이 어느 국가와 지역에서 왔는지, 당신이 어느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지에 상관 없이, 안내 표지 중에 사용한 이미지 그래픽이 표시 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각독성 지역성 통일성

설명 분석

사례

● ●높음 ◐보통 ○없음

독일 카를 광장 정원 건물 안내 표지 그래픽 기호

이미지

설명

[표-03] 독일 함부르크 도시 항구 지역 안내 표지 그래픽 기호 분석 이미지

[표-04] 독일 카를 광장 정원 건물 안내 표지

● ●높음 ◐보통 ○없음

독일 함부르크 도시항구 지역 안내표지

(3) 독일 카를 광장 정원 건물 안내 표지

(2) 독일 함부르크 도시 항구 지역 안내 표지 사례

이렇게 거대한 항구 구역 면적에 안내 표지 의 구성 요소를 활용하는 것은 매우 특수한 요구이다. 디자인 에서는 그것을 반드시 함부르크 도시의 일부분으로 여겨야 하며, 단순히 하나의 놀이공원이나 레저 센터 혹은 소위 말하는 기술 기지로 디자인해서는 안 되며, 함부르크 밖의 다른 도시에 건설해서는 더욱 안 된다. 그래서 이 디자인은 반드시 전형적인 지역 특징을 갖 추어야 하며, 이렇게 되어야만 비로소 사람들의 함부 르크 이 도시에 대한 연상과 감정을 자아낼 수 있다. 디자이너들이 도로 지시 표시와 위치 측정 시스템에 서 사용하는 지표는 모두 일부의 비현실적인 이미지 이다. 일련의 이미지 그래픽 표지의 사용은 남다른 품 격이 있고, 사람들에게 보기에 세련되고 과장되지 않 은 느낌을 준다. 이러한 디자인은 한 편으로는 도시의 지역성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도시의 안내 표지 을 시 각 상에 통일성을 증가시킨다. 각독성 지역성 통일성

카를 광장 정원 건물은 부퍼탈 시내 상가(商业街)에 위치해있고, 이 도시의 시청과 서로 인접해있다. 실내 공간이 자연적으로 구분이 되도록, 디자이너들은 다른 색상의 안내 표지 을 사용하여 시각상으로(视觉上) 명확한 구분을 주었다. 이것 외에, 건물 내부에는 일 부의 그래픽 기호도 사용했다. 이러한 그래픽은 카를 시내의 유명한 다섯 가지 건축물을 원형으로 간략하 게 만들어, 선으로 된 표현 형식으로 나타냈다. 이러 한 그래픽은 표지판의 장식 요소로 사용되었고, 사람 들에게는 무심결의 친근한 느낌을 주었다. 각독성 지역성 통일성 ● ◐ ● ●높음 ◐보통 ○없음

(4) 멕시코 지하철역의 디자인

[표-05] 멕시코 지하철역의 디자인 사례 이미지

233

멕시코 지하철역의 디자인


멕시코 설명

분석

지하철역의 디자인과 건설은 줄곧 실용성을 목적으로 하여, 과도한 장식을 하지 않았지만, 멕시코 지하철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모든 역에 독특한 logo 의 지하철 시스템을 디자인했다. 각각의 logo의 디자 인은 모두 역 이름과 상응하는 디자인으로 하였다. 예 로 미술궁역의 표지는 미술궁의 실루엣이며, 차뿔떼빽 성(Castillo de Chapultepec) 역의 표지는 한 마리 의 메뚜기이다. 이는 “Castillo de Chapultepec”의 당 대 언어 뜻이 바로 메뚜기이기 때문이며, 이렇게 실용 을 중시한 디자인은 읽기 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승객 들이 역명을 식별하는데도 유리하다. 각독성 지역성 통일성

● ●높음 ◐보통 ○없음

3.2 안내 표지 중 그래픽 기호의 활용 가치 실제로 지역성을 구비한 많은 우수한 안내 표지 그 래픽 기호 디자인은 우리에게 더 많은 계시를 주었다. 예를 들면 그래픽 기호의 형체, 색채, 기능상 특색을 재현할 수도 있고, 다른 지역의 문화, 민속, 지리 특성 등에 근거하여 영감을 발굴할 수도 있다. 더불어 그래 픽 기호와 설치 시설을 결합하여 그래픽 기호 디자인 에 확장을 하는 것도 실현 가능한 방법이다. 안내 표지 디자인의 출현은 질서 있는 공간 환경을 만들었고 그래픽 기호 언어는 사인 시스템 중 몇 가 지 방면의 가치에서 활용되었다. (1) 정보 유도의 가시거리를 확대한다. (2) 활기찬 분위기를 구비한 공간의 작용. (3) 사유(思维)와 기억은 밀접하게 관련된다. 사람들은 그래픽 기호와 그 특징의 실제 물체를 함 께 연결하는 상황에서, 그래픽 기호와 실제 물체는 대 응 관계를 형성한다. 그래픽 기호와 실제 물체를 연결 을 하는 것은 일종의 의식적인 행위이며 몇 차례 반 복하는 과정에서 머릿속에 의식의 사유를 형성할 것 이다.

IV. 무한(武汉) 사인시스탬의 활용 4.1 무한(武汉) 도시의 특징 중국 무한(武汉)을 언급하면 사람들은 모두 약속이 나 한 듯이 “크다” 라는 말로 표현한다. 이 “크다”는 많은 방면에 나타나는데, 이는 지역이 광활하거나 혹 은 역사가 유구하거나, 문화가 많고 복잡함을 표현하 기도 한다. 중국 “중부(中部)”에 위치한 무한(武汉)은 마치 중화 민족의 “중심화(中心化)” 응어리를 극단적으로 발전시

킨 것과도 같다. 무한(武汉)도시는 양강 삼진(무창(武 昌), 한양(汉阳), 한구(汉口)를 말함)으로 7개의 호수가 있다. 수자원은 어느 도시 보다 뛰어나며, 1인 평균 수자원은 전국 1인 평균 수준의 90배에 달하며, 세계 선진국의 10배이다. 무한(武汉)도시의 건설은 강호 (江湖)를 중심선으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도시 는 규칙적이지 않고 조금은 무질서한 느낌을 준다. 양 강(两江)을 뛰어넘는 건설은 확실히 큰 구속을 준다. 특히 교통 건설에 대단히 불리하여, 단절된 도로가 자 주 나타나고, 간선 도로와 강을 건너는 통로에는 대규 모의 교통 혼잡이 발생하며, 이는 중요한 명절에는 더 욱 심각하다. 이것이 무한(武汉)의 단점임을 반드시 인정해야 한다. 비록 현재 대규모로 도로 환경을 개선 하고 있기는 하지만, 철로 교통의 건설을 반드시 재촉 해야 한다.<그림-01>

<그림-01> 무한(武汉)지하철 노선도

4.2 도시 역사 문맥 역사가 유구한 도시는 반드시 깊은 역사적 문맥을 지니고 있으며, 그것은 아무런 기척도 없이 도시의 기 질과 풍채를 재현하고, 도시의 성격과 풍토를 만들고, 도시의 인문 내막과 정신 면모를 보여준다. 그것은 도 시의 거리와 골목에 유동하며, 도시의 리듬에 통달하 고, 도시의 생활 속에 침투해있다. 도시 문맥은 도시 역사의 축적이며, 도시 문화의 침윤(浸入)이고, 도시 정신의 응집이다. 그것은 얻기가 쉽지 않고, 잃기가 어려우니 반드시 더욱 소중히 하고 보호해야 한다. 무 한(武汉)은 이렇게 역사가 유구한 도시이다. 무한(武 汉)은 이미 삼국 시기에 명성을 높였고, 송조에 이르 러 중요한 개항장이 되었으며, 전국 사대 유명한 마을 중 하나가 되었다. 무한(武汉)의 역사는 반룡 고도

234


유적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는데, 지금으로부터 3500 년이 되었고, 이는 전국 더 나아가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것이다. 무한(武汉)의 역사적 문물은 아주 풍부 하며, 국가, 성, 시 3급 문물 보호 단위는 현재 수백 곳에 이른다. 고금대(古琴台) 변두리의 종자기(钟子期) 묘는 고산유수유지음(高山流水有知音)의 출처이다.

4.3 지역 문화 특징 무한(武汉)은 역사가 유구하고 문화의 유래가 깊 다. 북교의 반용성(盘龙城)유적지를 무한(武汉)건설의 발단으로 하여, 현재까지 3500년의 역사가 있다. 청 나라 말년 양무운동(洋务运动)이 무한(武汉)의 근대 공업과 경제 발전을 고무했고, 무한(武汉)을 근대 중 국의 중요한 경제 중심이 되도록 하여, 중외에 명성을 날렸다. 근대의 무한(武汉)은 중국 민주 혁명의 발양 지로서, 수차례 전국 정치의 중심이 되었다. 중화민국 시기 한구(汉口)는 고도로 번영했고, 동방의 시카고라 고 불리었다. 무한(武汉)삼진의 종합 평가 순위는 일 찍이 상해 다음이었고, 아시아에서 선두에 위치했었 다. 무한(武汉)은 중국의 중요한 과학 연구 교육 기 지이다. 2014년에 이르기까지, 단과 대학과 종합 대 학이 98곳이 위치해 있으며, 그중 보통 고등 교육 기 관과 대학 학부의 수는 북경 다음으로 중국 내 2위이 며, 교육부 직속의 국가 중점 대학 수량은 전국 3위 이다. 대학 재학생과 대학원생 수는 총 107.26만 명 에 달해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계획에 따라, 무 한(武汉)은 “1+6”도시 공간 구조를 새롭게 만들 것 이다. 주 도시 건설 기지는 3환선 이내로 통제하고, 6 개 중등 도시 규모의 “위성 도시”가 주 도시를 호위 할 것이다. 각 도시는 경전철과 도시 고속도로가 통하 여, 주 도시와 6개의 신도시에 빠르고 원활한 교통 통로를 설치하여, 녹색 생태 포장길과 개방된 공간을 “1+6”으로 뚜렷하게 공간을 구분할 것이다. 더 많은 주 도시의 인구가 신 도시 거주지로 분산될 것이고, 산업 입지도 빠르게 신도시로 모이게 될 것이다. 녹색 도로 건설, 역사 구역 보호, 도시의 배수 기능 건설, 지하 공공 파이프 랙 건설 방면에서, 연구 계획을 강 화해야 하고, 민생을 확실히 개선하고, 도시 기능과 면모를 높여야 한다. 4.4 무한(武汉) 지하철 4호선의 특징 4호선은 한양(汉阳)과 우창(武昌)을 건너는 여행 노 선이다. 초하한가(楚河汉街), 홍산광장(洪山广场), 수의 광장(首义广场)과 앵무주장강대교(鹦鹉洲长江大桥)에서 하차하면 바로 명승지에 도착한다. 사호공원(沙湖公

园),한양강탄(汉阳江滩),귀원선사(归元禅寺), 고금대(古 琴台),월호공원(月湖公园),구산풍경구(龟山风景区),동호 풍경구이원경구(东湖风景区梨园景区), 황학루공원(黄鹤 楼公园)은 하차 후 보행해야 명승지에 도착할 수 있 다. 하차한 후에 버스로 갈아타면 환락곡(欢乐谷),동호 풍경구(东湖风景区),성박물관(省博物馆),무창강탄장강 대교(武昌江滩长江大桥),한양강탄장강대교(汉阳江滩长 江大桥),청천각(晴川阁),무한(武汉)동물원(武汉动物园) 등의 명소에 도달할 수 있다. 무한(武汉)지하철 4호 선은 우창 기차역과 무한(武汉)기차역 양대 철도 중 추 터미널을 연결했다. 본문은 지리적 위치와 구역 특 성에 의거하여 네 가지 주제 즉, 번화한 상업지구, 여 객 유동 터미널, 동호 신 도시 개발구 및 양춘호(杨春 湖) 도시 부중심으로 구분을 했다.

4.5 설계 방안의 제시 퍼스(Peirce)의 기호 유형 이론에 따라 기호학 대상 의 각도에서 살펴보면, 일정 구역 내의 모든 관찰 대 상이 어떻게 한 가지 대상을 선정하여 어떤 방식으로 부호화하는지는 다음의 세 가지 분류, 도상기호(icon), 지표기호(index)와 상징기호(symbol)의 진화 관계 포 함한다. 위에서 상술한 세 가지 기호 유형에 따라,무한(武 汉)지하철 4호선의 노선 특징 및 도시의 배치 구도 를 구분하여, 랜드마크를 주제로, 각 역명 그 자체의 역사 문화 특징을 보충하고, 역명의 문자 표면적 함의 (含义)및 역이 위치한 주변 환경 등 요소에 종합적인 비교 분석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4호선의 구분된 4 가지의 역명 그래픽 기호는 디자인의 오리지널 기본 모형으로 했다.

[표-06] 정거장 분류표 분류 도상 기호

지표 기호

235

디자인 요소

역명

부흥로(复兴路), 수의로(首义路), 왕가만(王 家湾),종가촌(钟家村) 물 양춘호(杨春湖),매원 주택 단지(梅苑小区), 铁机路), 원림로(园林路), 인화로(仁 현대 건축 철기로( 和路), 공업사로(工业四路), 란강로(拦江路), 중남로(中南路), 역사적 초하한가(楚河汉街), 동정(东亭),홍산광장(洪 전고 山广场), 한양 기차역(汉阳火车站), 무창 기차역(武昌 주변 환경 火车站), 무한 기차역(武汉火车站), 역사적 유


황금구(黄金口), 맹가포(孟家铺), 안당(永安堂), 옥용로(玉龙路), 십리포(十 상 징 민족 문화 영 里铺 ), 칠리묘(七里庙), 오리돈(五里墩), 청어 기호 취(青鱼嘴), 악가취(岳家嘴)

(1)도상기호(图像符号) 도상기호는 이미지 디자인의 유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상 기호와 대상 사이의 이미지에는 유사 관계 가 존재한다. 무한(武汉) 지하철 4호선은 여행 노선 으로서, 정거장은 중요한 접점(节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람들이 낯선 공간에서 목표를 찾는 과정에 그 들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도시 지역 정보를 가지고 지 역의 소재를 판단한다. 예를 들자면 자연 풍경, 특색 있는 산수, 수목, 화초이거나 또는 인조 경관, 대표적 인 건축물, 광장일 수도 있다. 역사적 유물과 랜드마 크의 현대 건축물을 선택하여 디자인 요소로 목표 대 상을 재현하고, 감지할 수 있는 도상을 형성하면 사람 들은 시각적 경험을 통해 매우 쉽게 정거장 기호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고, 방향 식별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림-02>

<그림-02> 무한(武汉)지하철 4호선 유적 분포도

자의 함의로 보면, 모두 명확한 상징기호(象征符号)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역명 의 “용(龙)”,“어(鱼)”, “묘(庙)”, “취(嘴)”는 모두 민족 예술을 빌려 기호 그 자체에 의미를 부여해 표현했다. 도상기호(图像符号) 와 지표기호(指示符号)두 유형의 디자인 요소 결합을 분석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역명에 예술적 가공을 진 행하면, 모든 노선의 표지 안내 시스템 중의 정보 전 달의 합리적 인지 및 시각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통일 될 것이다.

4.6 무한(武汉) 지하철 4호선 역명 그래픽 기호 디자인 모형 무한(武汉)의 지하철 안내 표지는 반드시 가능한 한 자신의 도시 스타일과 특색을 유지해야 한다. 도시의 긴 발전과 역사 변천 과정에서, 독특한 지역 문화 특징을 구비한 안내 표지 디자인은 미래의 도 시 이미지 기능에 도움이 되며, 그것은 도시를 대표하 는 유일성과 독특성을 필요로 한다. 모든 안내 표지 디자인의 조형, 색채, 문자, 그래픽은 모두 도시 지하 철 특색의 연속이어야 하며, 도시의 본질과 문화 차이 를 발굴하고, 도시의 정신 소재(所在)를 재현해야 한 다. 랜드마크 건물은 대부분 정류소의 주변 환경으로서, 지니고 있는 특징이 무한(武汉)지하철 4호선 정류소 기호의 주도 디자인 구상으로 생각된다. 기호 분류의 방법을 활용하여, 고대 유적을 디자인 요소로 예를 들 었다.[표-07] [표-07]

요소로 하는 기호 추출

(2) 지표기호(指示符号)

분류

지표기호(指示符号)는 대상 간에 존재하는 공간상의 접촉 혹은 내재된 인과관계를 가리키며, 논리적 추리 를 통해 도상기호(图形符号)와 대상을 결합할 수 있

수의로(首 义路) 도상 기호

다.

역명

부흥로(复 兴路

(3) 상징기호(象征符号) 기호 유형의 변화에 근거하여, 우리는 상징기호(象 征符号)와 대상이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이 사이에는 일종의 약정된 관계가 존재한다. 지하철 역명 기호 디자인으로 말하자면, 옥용로(玉龙 路), 십리포(十里铺), 칠리묘(七里庙), 오리돈(五里墩), 청어취(青鱼嘴), 악가취(岳家嘴) 등 이러한 역명은 글

지표 무한 기호 기차역(武 汉火车站)

236

이미지

그래픽 기호


상징 기호

분명하게 역명을 식별할 수 있을 것이고, 또한 무한 (武汉)의 지역적인 특징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표-08]

청어취(青 鱼嘴)

V. 결론 및 제언

옥용로(玉 龙路)

[표-08] 표지판에서의 사용

세로형

사인 시스템

표지판에서의 사용

기준 이미지

모형

가호형 사인 시스템

기준 이미지 모형

기준 이미지 인포메이 션표지판

모형

현존하는 무한(武汉) 지하철 4호선의 안내 시스템 과 본문에서 제안한 모형의 비교를 통해, 안내 시스템 에 지역 그래픽 기호의 요인을 가미하여, 더 신속하고

모든 도시는 그 도시만의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 다. 도시 주민은 문화를 누릴 권리가 있고, 디자이너 는 소통의 중요한 책임자이다. 지역 문화와 정신적 내 포를 발굴하고, 상응하는 지역 공간 환경 요소 등을 사용하여 역명 기호의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은 현지 민중의 심리적 수요와 부합하며, 동시에 국제 사용자 의 규범을 확대한다. 본 논문은 외국 도시 안내 표지 중, 언어 그래픽 활용의 우수 사례를 연구하여, 지역성 그래픽 기호의 시각 안내 표지 에서의 활용 가치를 서술했다. 퍼스의 “대상”을 기호 속성의 분류 이론으로 인용하여 28개 역명을 3가지 종류로 구분하고, 지하철 역명 기호 디 자인의 요구를 설명하고, 도시의 지역 문화, 정류장 위치의 유일성을 구현했고, 일반적 심미 이론에 부합 되게 하고, 동시에 기호 어의(语义)의 내포를 잘 드러 냈다. 무한(武汉) 지하철 4호선은 여행 노선으로써,무한 (武汉)도시의 특색을 더 유입해야만 한다. 먼저, 무한(武汉) 지하철 4호선의 역의 주변 환경을 조사한다. 그 다음, 조사에 따라 역명을 3가지 유형으로 구분 한다. 이는 각각 그래픽 기호, 지시 기호와 상징 기호 이다. 마지막으로, 이 3가지 분류에 따라, 지하철 역 명의 주변 환경 요인들을 찾아보고, 그래픽 디자인을 진행한다. 그래픽 디자인을 무한 지하철 안내 시스템 에 융합하면, 지하철 승객이 역명을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고, 또 무한(武汉) 도시의 특색을 효과적으로 드 러낼 수도 있다. 본연구의 제안을 통해서 일정한 정도에서 사람들의 외출 환경을 개선하고, 사람들의 지하철 노선에 대한 이미지를 더욱 가깝게 만들고, 숙지된 식별과 인지는 무한(武汉) 도시의 인문 특색을 잘 드러내는데 양호한 전파 효과를 일으켰다.

Reference [1] Hu Fei. 「Art Design Symbol Basis.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2008. [2] Hou Xiaopan. 「Story of Square-Modern China’s Trademark Art」. Chongqing University Press.

237


2009. Li Youzheng. 「Intruduction to Theoretical Semiotics」. China Renmin University Press. 2005. [4] Lv Jiefeng, Chen Jianxin, Xu Jinbo, 「Human Ergonomics」. Tsinghua University Press. 2009. [5] Lin Shiying. 「Principle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Shanghai People’s Fine Arts Publishing House. 2009. [6] Pogade,Daniela. 「Wayfinding and Signage」.DOM PUBL. 2010. [7] Richardhollis.「Graphic Design」. Thames & Hudson. 2002. [8] Wang Shouzhi. 「A History Of Graphic Design」. China Youth Publishing Group. 2002. [9] Zhang Lili. 「Signs Design in Metropolis」. Shanghai Uniersity Press」. 2005. [10] [Slovenia] Ales.Erjavee. Hu Julan, Zhang Yunpeng translated. 「Toward the Image」. Jilin People’s Publishing House. 2003. [11] [U.S.] Donald. A. Norman. Hejoan. 「The Design of Everyday Things」. Chia Citic Press. 2009. [12] [U.k.] Lakshmi. Bhaskaran. He Jihui translated. 「High-capacity Information Integration Design」. Shanghai People’s Fine Arts Publishing House. 2006. [13]http://baike.baidu.com/link?url=ROjg6PrFDfQHUVlo Ans92DmPoMHn1U-d4O7CSS2ZE1r5PrhuNaUqIq1 ZxpmgyFFcaPgAAgtlZrqGSNWuEttoDd0WtdEy5kbi7 Rz2Dl7NdPu.(2015.06.12)

[3]

Endnote

GB/T, “공공 정보 사인 시스템 설치 원칙과 요구”[S], 배이징, 중국표준출반사, (sequence number)15566-2007. 2) GB/T, “표지중 공공 정보 그랙피요어”[S], 배이징, 중국 표준출반사, (sequence number)10001-2006. 3) GB/T, “그랙피 기호 용어”[S], 배이징, 중국표준출반사, (sequence number)15565-2008.

1)

238


239


240


241


242


243


244


● 높음 ◎ 보통 ○ 없음

245


246


247


248


249


250


새로운 컨셉의 커트러리 케이스 디자인 개발 연구 New Cutlery Case design development

김하미 | Hami Kim1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Design Department, The 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Busan, Korea

강범규 | Bum Kyu Kang2 동서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Dongseo University, Busan, Korea

초록

Abstract

각 가정의 수저통을 살펴보면,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향해 담겨

With respect to the spoon holders of different households,

져 있다. 이유는 입이 닿는 부분이 아래로 향하면, 수저통의 하단

the spoon is positioned with the part that touches the

부분에 물때가 껴서 수저의 입이 닿는 부분이 쉽게 오염 될 수

mouth placed upwards. The reason is that if this part faces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향해 담겨져 있다 면 수저를 꺼낼 때, 입에 들어가는 부분을 손으로 잡아야하는 비위생적인 행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위와 같

downwards, it will be contaminated by the slime that ha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spoon holder. On the other hand, when this part is placed upwards people pick the spoon from the holder by holding the part that goes into

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가정용 수저통 디자인 개발하

the mouth. This is an unsanitary habit. This study aims to

는 것이다.

design a spoon holder to resolve this problem.

연구 진행 방법은 첫째, 사용 환경과 사용자 행태를 관찰

In the research, first the problems of the spoon holder were

(observation)을 통해서 기존 가정용 수저통이 가지고 있는 문

identified based on the household environment and user

제점을 발견하였다. 둘째, 사용자 인터뷰(Interview)와 설문조

behavior.

사를 통해 사용자의 Needs & Wants를 파악하였다. 셋째, 기

questionnaire-based

존의 문제점과 사용자의 Needs & Wants를 고려하여 중요한

identified. Third, important design elements were prioritized

디자인 요소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해결방안의 디자인을 제시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problems and users’

하였다. 넷째, 새롭게 제안된 디자인들을 전문가 집단의 평가

requirements, and a design solution was presented. Fourth,

를 통해서 한 가지 디자인을 선택한다. 다섯째, 선정된 디자인

among the newly suggested designs, one design is selected

을 보다 구체화하여 최종 디자인으로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based on the evaluation of an expert group. Fifth, the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새로운 모듈형 수저통의 디자인 특징

specifications of the selected design were confirmed and it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이 닿는 부분을 잡고 꺼내는 비위생

was further developed into a final design. The features of

적인 행동을 바꿀 수 있다. 둘째, 짝을 맞추려 하나씩 꺼내서

the new modular spoon holder design are as follows: (1)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셋째, 본체가 탈착식 모

The unsanitary habit of holding the part that goes into

듈형으로 디자인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구조로 내부를 나눈 파

mouth by hand can be reduced. (2) The effort of picking

트를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the spoons one by one to pair them can be minimized. (3)

본 연구는 그 동안 디자이너의 손길이 닿지 않았던 수저통이

The body of the spoon holder is designed to be modular;

라는 아이템을 디자이너가 문제점을 도출하고 새로운 해결안

therefore, compartments can be added and removed based

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어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on the use in different households.

Second,

through survey,

users’

interviews

and

requirements

were

Product design, which is the aim of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product is designed and developed.

중심어

Keywords

디자인 개발, 모듈형, 커트러리, 커트러리 케이스

Design Development, Modular, Cutlery case, Cutlery

1

주저자 | 김하미 교신저자 | 강범규 : idesign@dongseo.ac.kr

2

접수일 | Received: June. 11. 2016; 심사일 | Reviewed: Sep. 6. 2014; 채택일 | Accepted: Sep. 28. 2015

251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빅터 파파넥(Victor Papanek)은 디자인과 제품 그리고 기술 의 궁극적인 목표점, 지향점은 인간이라고 하였다. 제품, 디 자인, 기술은 인간을 위해 존재하며, 인간이 없다면 이것들의 존재 의미가 거의 사라진다.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 의 환경과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를 변형시키고, 더 나아가 인간 스스로를 변형시키는 것이라고 얘기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가 아닌 실용적 연구로서 사용자를 관찰 하여 분석한 것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음식을 집을 수 있는 식 기도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식기도구를 보관할 수 있는 제품 인 수저통이 있다. 각 가정의 수저통을 살펴보면, 대부분 입 이 닿는 부분이 위쪽으로 향하게 보관하고 있다. 이렇게 보관 하는 이유는, 수저통 아래쪽에 물이 고이기 때문에 입이 닿는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게 된다면 비위생적이며, 수저의 손 잡이 부분만 보고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종류의 식기도구가 같이 꽂혀있 는 경우가 많아, 수저통에서 수저를 찾아서 꺼낼 때, 수저들

그림 1. 연구방법 설계도

의 짝을 맞추기 위해서 여러 번 넣고 빼고를 반복하게 된다. 또한, 예전에 비해 식기도구별로 손잡이 부분의 디자인이 동

2. 본론

일해지면서 단번에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를 인지하기

2.1. 사용자 조사 및 분석

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

2.1.1 제품 사용 환경 조사 내용과 방법

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커트러리 케이스 디자인 개발이 다.

각 가정에서 수저통 사용 환경과 수저를 꺼내고 꽂을 때의 사용행태에 대해서 관찰조사(Observation Survey)를 실시하 였다. 설문조사 개요는 아래와 같다.

1.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다섯 단계의 연구 과정으로 진행한다. 첫째, 사용 환경과 사용자 행태를 관찰(Observation)하여 기존 가정용 수저통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한다. 둘째, 사용자 인터 뷰(Interview)와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Needs & Wants

조사목적 : 제품 사용 환경과 사용행태 조사 조사기간 : 2016.05.26.-2016.05.28.(3일) 조사장소 : 가정집 조사방법 : 관찰조사(Observation Survey) 참가인원 : 14가구, 9가구

를 파악한다. 셋째, 기존의 문제점과 사용자의 Needs &

Case 1. 김O헌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위치 : 개수대 앞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원통형으로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Case 2. 이O경 주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위치 : 개수대 옆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사각통이며 아래쪽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Wants를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넷째, 새롭게 제안된 디자인들을 디자인 전문가 집단의 평가 를 통해서 한 가지 디자인을 선정한다. 다섯째, 선정된 디자 인을 좀 더 구체적으로 디자인하여 최종 디자인으로 개발, 제안하고자 한다.

252


Case 3. 양O진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위치 : 개수대 위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원통형으로 구멍이 사방으로 뚫려 통풍과 물 빠짐이 쉬움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Case 10. 강O수 주소 : 경상남도 양산시 위치 : 개수대 위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사각통 3개로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Case 11. 임O안 주소 : 부산광역시 남구 위치 : 개수대 옆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원통형으로 구멍이 사방으로 뚫려 물 빠짐이 쉬움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Case 12. 이O민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위치 : 개수대 옆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사각통으로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Case 13. 김O연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위치 : 개수대 앞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사각통 2개로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Case 14. 박O주 주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위치 : 개수대 앞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원통형 3개로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Case 4. 손O민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위치 : 개수대 옆쪽 수저통의 특징 : 원통형으로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Case 5. 손O수 주소 : 부산광역시 진구 위치 : 개수대 옆쪽 수저통의 특징 : 원통형으로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Case 6. 박O준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위치 : 개수대 앞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원통형으로 옆쪽,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Case 7. 채O삼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위치 : 개수대 위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사각통 3개로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표 1. 제품 사용 환경 조사, 출처: 김하미, 강범규 「새로운 가정용 수저통 디자인 개발 연구 2016 KSID&KIDM 봄 학술대회, p9-p12」

Case 8. 황O업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위치 : 개수대 앞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원통형으로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2.1.2. 제품 사용 환경 분석 결과 제품을 사용하는 환경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저통의 위치는 개수대를 기준으로 위쪽, 앞 선반, 옆의 식 기를 수납하는 곳에 위치한다. 둘째, 수저통에는 커트러리 외에 주걱이나 국자 등 평균적으로 4~7개의 여러 식기도구 들이 같이 담겨있었다. 셋째, 커트러리 뿐만 아니라 다른 식

Case 9. 김O란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위치 : 개수대 앞쪽 선반 수저통의 특징 : 원통형으로 옆쪽,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빠짐 수저가 꽂힌 형태 :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옴

기도구도 마찬가지로 손잡이 부분이 수저통의 아래쪽 방향 으로 담겨있었다. 넷째, 통은 보통 1~2개를 사용하거나 3개 가 붙어있는 통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저통은 주방의 개수대 중심으로 위치하였고, 다른 여러 식기도구도 같이 담겨있으며 커트러 리 뿐만 아니라 다른 식기도구 또한 손잡이 부분이 아래쪽으

253


로 향하게 꽂혀있었다.

4>와 같이 정리하였다. 기존의 가정용 수저통을 타입 별로

2.1.3. 제품 사용 행태 조사 내용과 방법

분류한 것을 살펴보면, 스탠드형, 걸이형, 분리형, 물받이 형 으로 나눌 수 있다. 스탠드형은 원통형과 사각통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통 옆면이나 바닥면에 구멍이 뚫려있다. 걸이형은 벽면이나 개수대 위쪽 선반에 걸어서 사용하며 통 옆면과 바닥면에 크고 작은 구멍으로 뚫려 있다. 분리형은 통 2개~4 개 정도가 붙어있거나 따로 분리되어 있어 여러 식기도구를 나눠 담을 수 있고 바닥면에 구멍이 뚫려있거나 뚫려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림 2>에서, 보통 가정집에서 많이 사용 하는 타입은 스탠드 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 사용자의 사용행태 조사, 출처: 김하미, 강범규 「새로운 가정용 수저통 디자인 개발 연구 2016 KSID&KIDM 봄 학술대회, p9-p12」

2.1.4. 제품 사용 행태 분석 결과 사용자의 행태 조사에서 2가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섯 가구는 수저통에서 커트러리를 꺼낼 때, 입이 닿는 부분 을 잡고 꺼낸다는 것이다. 둘째, 네 가구는 수저통에서 커트 러리를 꺼낼 때, 입이 닿는 부분의 아래쪽에 위치한 목 부분 을 잡고 꺼내었다. 도출된 문제점들을 종합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커트러 리의 입이 닿는 부분을 잡고 꺼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4. 가정용 수저통 조사 - 재질별 분류. 출처: http://www.10x10.co.kr, http://www.poom.co.kr, https://www.oxo.com,http://livinghankook.com/sub/prod uct/sub_4_1.asp,http://www.gmarket.co.kr, http://goldenbell.co.kr/shop/main/index.php, 김하미, 강범규 「새로운 가정용 수저통 디자인 개발 연구 2016 KSID&KIDM 봄 학술대회, p9-p12」

2.2. 가정용 수저통 제품 사용 현황 조사 2.2.1. 가정용 수저통 제품 분석 결과

재질은 크게 나무, 플라스틱, 세라믹, 스테인리스로 구분된 다. <그림 5>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재질은 세라믹과 스테 인리스이다. 세라믹 재질은 분리형, 물받이형 타입의 수저통 에서 많이 사용하고, 스테인리스 재질은 분리형과 걸이형, 스탠드형 타입의 수저통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재질은 주로 분리형 타입에서 사용되며 물 빠짐이 용이하 다.

2.3. 문제점 정의 그림 3. 가정용 수저통 조사 - 타입별 분류. 출처: http://www.10x10.co.kr, http://livinghankook.com/sub/product/sub_4_1.asp, http://goldenbell.co.kr/shop/main/index.php, https://www.oxo.com, http://www.poom.co.kr, http://www.gmarket.co.kr, 김하미, 강범규 「새로운 가정용 수저통 디자인 개발 연구 2016 KSID&KIDM 봄 학술대회, p9-p12」

기존의 수저통을 조사해 재질과 타입에 따라 분류하여 <그림

위 문제점들 중에 가장 큰 문제는 커트러리 등의 입이 닿는 부분이 수저통의 위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커트러 리를 꺼내서 옮길 때, 입이 닿는 부분을 손으로 잡고 옮긴다 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춰 디자인 하고자 한다.

2.4. 사용자 Needs & Wants 조사 2.4.1. 사용자 인터뷰

254


사용자의 커트러리에 대해서 느끼는 Needs & Wants를 파악

담겨 있어 사람들의 손에 닿게 된다는 것과 아래쪽에 물이

하기 위해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자의 Needs &

고인다는 점이 불편한 점이었다. 재질의 경우, 너무 가벼우면

Wants

군집분석방법(Affinity

넘어지고 무거우면 세척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이 있었고, 크

Diagram)을 사용해서 조사된 내용 중 중복된 요소를 정리하

기의 경우, 수저통 높이가 너무 낮은 것은 균형을 못 이룬다

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Needs & Wants를 도출하였다. 인

는 의견이었다. 수저구분의 경우, 짝을 맞추려 여러 번 넣고

터뷰 조사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빼고를 반복하고 무늬가 똑같아서 구분이 어렵다는 의견과

조사의

결과는

정성적

여러 식기도구가 한 통에 다 담겨있기 때문에 수저를 찾기가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다.

조사목적 : 사용자의 Needs와 Wants 조사 조사기간 : 2016.06.27. - 2016.06.30.(4일)

• 세척하기가 힘듬

조사방법 : 인터뷰 조사(Interview Survey)

• 아래쪽에 물이 고여 세균 번식

참가인원 : 29명

위생

• 먼지가 쌓이고 벌레의 접촉이 우려 • 한꺼번에 많은 양이 담겨 있어 사람들의

인터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손에 닿게 됨 • 너무 가벼우면 넘어지고 무거우면 세척하기가

Q1. 수저통 사용에 불편함이 있습니까?

재질

어려움 • 오래 사용하지 못함

크기 수저 구분

• 균형을 못 이룸 • 수저통 높이 • 짝을 맞추려 여러 번 넣고 빼고를 반복 • 무늬가 똑같아서 구분이 어려움 • 여러 집기류 혼재로 수저를 찾기가 어려움

그림 5. 질문 1에 대한 결과

표3. 질문 2에 대한 결과

질문에 ‘예’라고 대답한 비율이 58%, ‘아니요’라고 대답한

Q3. 수저통의 어떤 점을 개선하였으면 하십니까?

비율이 42%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저통 사용에 불편함

질문에 크게 4가지로 위생, 재질, 분류, 수저구분으로 분류할

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 있었다. 인터뷰 결과 위생과 관련된 의견이 많았다.

Q1-1. 수저의 입 닿는 부분을 잡아서 꺼낼 때, 찝찝하다는

• 수저통을 씻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알람

생각이 드십니까?

• 밑에 환기가 되거나 먼지 쌓이지 않게

‘아니요’라고 대답한 사람들에게 추가적으로 질문을 하였을 위생

때, 아래와 같은 이유로 찝찝하다고 생각하였다.

건조되었으면 • 살균이 가능 • 세척이 용이

• 내 손이 더러울 수 있으니까 찝찝하다고 생각

• 물이 잘 빠지게

• 먼지가 묻어있을까 찝찝하다고 생각 • 입이 닿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찝찝함

재질

• 세척이 편하고 가볍고 튼튼한 소재

수저

• 크기에 따른 분류

• 찝찝하다보니 숟가락은 목 부분을 잡아서 꺼내고, 젓가락은 가까이 잡지 않음 • 입 닿는 부분이 수저통 아래로 향하면 눈에 보이지 않아서

종류에

찝찝함

표2. 질문 1-1에 대한 결과

• 필요한 수저의 양을 입력하면 필요한 양만큼

따른

분리되게

기능

•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확실하게 구분

Q2. 수저를 사용할 때, 어떤 불편함이 있습니까? 질문에 크게 4가지로 위생, 재질, 크기, 수저구분으로 분류할

표4. 질문 3에 대한 결과

수 있었다. 인터뷰 결과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위생과 수저

이 큰 네 가지 범주에서 사용자가 수저통을 사용할 때, 가장

구분에 가장 많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문제점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진

위생의 경우, 수저통을 세척하기 힘들고 한꺼번에 많은 양이

행하였다. 설문조사 개요는 아래와 같다.

255


조사목적 : 수저통 사용의 문제점 정의

3.2. 1차 아이디어 스케치

조사기간 : 2016.09.08. - 2016.09.10.(3일) 조사방법 : 설문조사(Question Survey) 참가인원 : 30명

Q. 수저통 사용에 있어 어떤 점이 가장 문제라고 생각하십니 까? (2개 중복)

그림 6. 설문조사 결과

2.5. 식문화 트렌드 통계청이 최근에 발표한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에 따 르면 2015년 기준으로 1인 가구 수는 520만 가구로 전체 가구에서 27.2%를 기록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에 기업 은 1인가구의 소비 트렌드에 맞춘 제품, 서비스를 출시하고

표 5. 1차 아이디어 스케치

있다 (홍진희,2016). 하지만, 경기 전망이 어둡고 물가가 높 아 ‘값비싼 외식을 하느니 집에서 싸고 맛있게 만들어보자.’ 는 심리가 깔려 집밥 열풍은 계속 되고 있다 (김해대, 2016).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주방조리도구와 주방기구 보관도구 들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스케치를 통해, 수저통의 주요 문제점인 위생과 수저 구분을 어떤 원리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수저통과는 다른 디자인과 방식으로 접근하 려고 노력했다. 또한, 기존의 수저통과는 다른 새로운 구조의 디자인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를 통해서 제안

3. 디자인 제안

되어진 기존의 6개의 디자인을 디자인학과 교수진으로 구성 되어진 외부 전문가 집단에게 평가를 받았다.

3.1. 디자인 컨셉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첫째, 사용행위 관찰조사에서 얻은

3.3. 전문가 평가

결과는 입이 닿는 부분을 손으로 잡고 꺼내는 행위였다. 둘 째, 사용 환경 관찰조사에서 얻은 결과는 수저통은 개수대를 중심으로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저통을 사 용하며 가장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진행한 설문조 사에서 얻은 결과는 위생, 수저구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종합적으로, 입이 닿는 부분을 손으로 잡고 꺼내는 행위 와 수저통이 개수대 중심으로 위치한 것을 감안하여 설문조 사 결과를 토대로 주요 문제점인 위생의 해결과 수저의 구분 이 되는 디자인 컨셉을 설정하였다. 그림 7. 전문가 집단의 평가

외부 전문가 집단의 평가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기존 제품과 차별화된 디자인이지만, 사용자의 사용성

256


이 보다 향상되어진 디자인이 필요하다. 둘째, 제안 되어진 디자인의 경우 수저와 젓가락 등의 물기가 잘 마르지 않을 것 같다는 의견이 있었다. 위의 의견을 종합하여 좀 더 디자 인을 구체화하고 보완하기 위해 스케치를 더 진행하였다.

3.4. 2차 아이디어 스케치

표 6. 2차 아이디어 스케치

전문가 집단의 피드백 내용을 반영하여 사용자가 기존에 수 저통을 사용할 때의 행동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새로운 경험을 디자인한다는 생각으로 재 디자인 작업을 진 행하였다. 이러한 2차 아이디어 진행을 통해서 도출된 아이 디어를 다시 전문가 집단의 재평가를 거쳐서 최종 디자인을 선정하였다.

3.5. 최종 디자인 본 연구의 결과물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제품이고, 기존의 주 요 문제점인 위생과 수저를 잘 구분할 수 있게 디자인하고자 하였다. 첫째, 최종 디자인의 가장 큰 장점은 커트러리 제품 을 기울일 수 있어 입이 닿는 부분을 잡고 꺼낼 필요가 없어져 위생적인 문제를 해결 했다는 것이다. 또한, 놓는 방법은 스 탠드 형으로 개수대 주변에 세워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내부에 칸을 나눠 수저와 젓가락 등을 구분할 수 있게 디자인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내부를 나누는 공간의 칸의 선택이 가능 하도록 배려하였다. 셋째, 하단에는 받침대 겸 물받이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물 때 등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분리가 편하게 배려하여 디자인하 였다. 넷째, 심플하고 모던한 원통형 디자인이 본 디자인의 특징이다. 그림 8. 3D 렌더링

257


꺼내서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그 동안 연구가 미미했던 ‘수저통’이라는 아이템을 디 자이너가 사용자의 불편함을 직접 관찰하고 분석하여 문제 점을 도출하고 새로운 해결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어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임연웅. (2000). 디자인 방법론 연구 (pp.63-65, pp.218-244). 경기: 미진사.

그림 9. 최종 디자인 출처: https://kr.pinterest.com, www.google.com

4. 결론 빅터 파파넥은 디자인과 제품 그리고 기술의 궁극적인 목표 점, 지향점은 인간이라고 하였다. 제품, 디자인, 기술은 인간 을 위해 존재하며, 인간이 없다면 이것들의 존재 의미가 거의 사라진다.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의 환경과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를 변형시키고, 더 나아가 인간 스스로를 변형 시키는 것이라고 얘기하였다. 이처럼, 새로운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사용자를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환경과 행태를 관찰을 통 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각 가정에서 수저를 통에 꽂을 때, 대부분 입이 닿는 부분이 위로 올라오게 보관하였고, 수 저를 꺼낼 때 입이 닿는 부분을 잡고 꺼내는 문제점을 발견했 다. 여기서 입에 들어가는 부분을 손으로 잡고 꺼내는 비위생 적인 행동을 유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커트러리 케이스 디자인 개발이다. 그 래서 현재 가정에서 사용하는 수저통에 대한 사용자 현황조

Vinyl X(2014, October 6). UX 디자이너들의 필수 용어 사전: Affinity Diagram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Retrieved from http://blog.naver.com/vinylx/220142571752 최선영, 고정욱, 강범규. (2015). 소비자 구매결정요인을 통한 실내분수기 디자인 차별화 전략. 디자인 전략연구, 16(1), 659-669. 디자인덕. (2015, March 17). 인간을 위한 디자인 – 빅터 파파넥 Retrieved from http://designduck.net/220302897289 송창희. (2015, 07월 30일). 한국젓가락 크기·길이 중간...'세계 표준화' 가능성 [청주의 뉴 아이콘 젓가락]④ 한·중·일 젓가락 어떻게 다른가. 출처: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 o=674935 김해대. (2016, 01월 06일). 2016년 식문화 트렌드는 ‘집밥’ 열풍 계속… 웰에이징 시대 ‘건강주스’ 관심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2 59299&subMenu=articletotal 홍진희. (2016, 10월 27일). 1인가구가 대세...싱글족 겨냥에 나선 금융권은행·카드사, 1인가구 소비트렌드에 맞는 서비스·상품 출시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2638 68

사와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사용 행태를 조사 · 분석하여 디자인 개발 방향을 정하였다. 그리 고 본 연구의 결과물인 새로운 수저통 디자인의 대표적인 특징과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을 기울일 수 있어 입이 닿는 부분을 잡고 꺼낼 필요가 없어져 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했다. 둘째,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내부를 나누는 공간은 수저와 젓가락의 양에 따라 선택이 가능 하도록 배려하였다. 셋째, 하단에는 받침대 겸 물받이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물 때 등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분리가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가정용 수저통이 새롭게 디자인된다면, 수 저통에서 수저를 꺼낼 때 수저의 입이 닿는 부분을 잡고 꺼내 는 비위생적인 행동을 줄일 수 있고, 짝을 맞추려고 하나하나

258


공동주택의 범죄예방을 위한 요소 중 영역성이 사용자와 환경 간의 교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A Study of Effects of Territoriality on User-Environment Exchange among the Factors Designed to Prevent Crime in Apartment Dwellings Author

Abstract

Keywords

류허 Liu, He / 정회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석사과정 홍관선 Hong, Kwan-Seon / 정회원, 동서대학교 환경디자인 부교수, 건축학박사* As urban economy rapidly develops, the safety of living environm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territoriality i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on the improvement of apartment dwelling environment and user-environment exchange in apartment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crime by changing apartment dwellers’ behavioral patterns and strengthening social interconnection among them. Some writers such as C. Ray Jeffer and Oscar Newman have proven the specific effects of territoriality on apartment environment in their papers and theories. In this study, three highly related cases were analyzed: Pruitt–Igoe, a large urban housing project in St. Louis, Missouri; Yeomni-dong Salt Street in Seoul; questionnaire survey and individual interview with prisoners in Baoding Prison, Hebei, China.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erritoriality played a role in reducing crime in terms of conditions and goals of crime incidence. At the same time, they facilitate exchange between residents and living environment and form regular and irregular supervision system and sense of territory. As a result, collaborative prevention and its effects were found. 범죄예방 환경설계, 영역성, 공동주택, 환경 CPTED, Territoriality, Common House, Environmen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오늘날 도시 구조의 변천, 경제 수준의 향상, 광범위한 인터넷 사용 등은 사람과 환경, 그리고 환경과 환경간의 '교류(Interflow)'를 약화시키고 있다. 또한 날로 늘어나 고 있는 도시 범죄율과 범죄사건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환경, 환경과 환경 간의 '교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범죄 장소가 늘어나는 반면 사람의 영역성 (Territoriality)은 약화되고 있는 추세라고 판단된다. 영 영성이란 단어는 CPTED 이론의 5 대 요소 중 하나인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에서 비롯되었다. 현대 도시발



*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kshong@gdsu.dongseo.ac.kr **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플러스 해양디자인인력양성사업팀에 의 해 지원 되었습니다.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K21plus Level-up Project for Marine Design ream in Dongseo Universit.

전의 경제적 효과와 사람들의 거주 환경은 경제를 발전 시키는 동시에 범죄 예방을 강화하여 도시 안전성과 중 요성에 더 주목해야 한다. 안전한 생활환경은 도시 발전 의 전제적 조건이고 도시 속의 사람과 환경의 교류를 촉 진하는 기초 조건이기 때문이다. 도시 주택 구역은 범죄 가 자주 발생하는 구역이다. 만약 도시 주민 주택 단지 의 범죄사건 발생률이 높아지면 사람들은 안전감을 잃게 된다.1) 주택 단지는 인류가 생활하는 주요 장소로 안전 이 우선 순위이다. 그래서 공동주택 환경은 주택 사용자 의 안전감과 쾌적도를 결정하고 공동주택 사용자와 공동 주택 환경의 교류는 사용자의 거주 환경에 영향을 준다. Oscar Newman은 자신의 저서《Defens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2)에서 이렇게 밝혔 1) 刘广三(LiuGuangSan), 城市居住环境与犯罪预防, 1994, 法学论坛, pp, 6 2) Oscar Newman.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New York: Macmillan, 1972

259


다. 우리는 사람들의 범행 동기를 억제할 수 없으니까 마 땅히 범죄의 목표와 조건에서 범죄를 제한해야 한다. 다 들 알 듯이 범행 조건과 목표가 없으면 범죄는 일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3) CPTED이론은 범죄를 근본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이론이 아니라 범죄가 발생하는 장소에 대한 조정을 통하여 범죄를 격려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약화하 고 범죄를 억제할 수 있는 요소를 증가함으로써 범죄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는 활용성이 강한 이론이다.4) 위 두 학자의 관점도 본 연구의 목적에 주요 근거이다. 본 연구는 CPTED이론의 영역성이라는 요소를 통해 공 동주택 환경의 사용자와 주택 환경이 서로 교류하는 영향 성을 연구하고자한다. CPTED의 영역성을 공동주택 환경 에서 강화시키므로 공동주택 거주 환경을 개선하고 공동 주택에서 사용자와 환경의 '교류' 및 사용자와 사용자 간 의 '교류'를 증진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공동주택 사용자 의 행동 방식을 바꾸고 상호 간의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 여 범죄 예방의 목적을 달성한다. CPTED의 영역성이 공 동주택 환경에서의 강화를 통해 범죄의 목표와 범죄의 조 건을 억제하는 면에서 “영역 감지력”을 만들어내고 공동 주택 구역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우선, 본문은 CPTED이론이 공동주택 환경에서의 범죄 예방이 도시 환경에서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동시에 CPTED이론 5대 요소 개념의 선행 연구를 서술하고 영역 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론고찰하여 공동주택 환경에서 사용자와 공동주택 환경 ‘교류’의 특수 의미를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그 다음, 본문은 CPTED 중 영역성이라는 요소 를 물리성과 심리성에 치중하여 공동주택 환경에서 사용 자와 환경의 교류가 범죄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다. C. Ray Jeffery, Oscar Newman 등 학자의 문헌 연구를 통해 영역성이 공동주택 환경에서의 구체적인 영향을 실증한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영역성이 공동주택 환경에서 의 구체적인 응용을 연구한다. 영역성이 공동주택 환경에 서의 강화가 사용자와 공동주택 환경 사이의 ‘교류’를 촉 진하여 범죄예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증명한다. 2. 이론적 고찰 2.1. CPTED

CPTED 라는 개념은 19세기 60년대에 Jane Jacobs의

3) 刘广三(LiuGuangSan), 李艳霞(LiYanXia), 犯罪预防的新思路:利 用环境设计预防犯罪-奥斯卡·纽曼的“防卫空间理论‘述评, 2008, 刑法 论丛, 第14卷, pp, 433 4) 赵秉志(ZhaoBingZhi), 金翼翔(JinYiXiang), CPTED理论的历史梳 理及中外对比,2012,青少年犯罪问题, 第3期, pp, 40

저서 《The Life and Death of Great American Cities》 에서 시작되었다.5) Jane Jacobs는 하나의 안전한 환경을 만들려면 자연과 비공식적인 감시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19세기 70년대가 되어 플로리다 주립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의 같은 대학교의 두 학자 C. Ray Jeffery가 그 저 서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6)에 서 처음으로 CPTED 이론을 제기했고 Oscar Newman은 《Defens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을 출판했다. 비록 두 학자의 학술적 관점은 약속한 듯이 일치 했지만, 두 학자가 CPTED 이론에 대한 결정적인 차이는 환경 이란 개념에 대한 서로 다른 정의 및 환경 설계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에 있다.7) 1982년에 미국 학자 James Q. Wilson과 George L. Kelling은 유명한 “Broken Window Theory”를 제 기했다.8) “Broken Window Theory” 이론은 환경을 물리적 의 미와 사회적 의미로 구분했다. 환경 내의 이 둘을 제어하고 유 지하여 통해 범죄를 예방한다. 2.2. CPTED 이론 원리 9)

자연적 감시(Natural Surveillance)가 강조하는 것은 어떤 공간에서든 범죄 발생의 조건을 억제하는 것이다. 자연적 접근 통제(Natural Access Control)는 효과적으 로 공간 혹은 건물 내의 위험 요소를 감소할 수 있고 공 간과 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다. 영역성 (Territoriality)은 공간에서 공간 내 사물과 범위의 소유권을 더 많이 강조한다. 공 간 내의 사물과 범위 소유권의 귀속이 명확하면 범죄 발 생의 리스크가 줄어들고 반대이면 범죄 발생의 리스크가 높아진다. 활용성 증대 (Activity Support)가 강조하는 것은 공간 내의 양호한 광경을 만들고 공간 내에서 합법 적인 행위 활동을 격려하며 공간 내 사람들의 행위 활동 을 크게 증가하여 영역성의 소유권 귀속감을 촉진한다. 유 지관리(Maintenance and Management)가 강조한 것은 공간 내에서 관리와 유지를 통해 소극적이고 타락한 광 경이 나타나는 것을 막는 것이다. 2.3. 영역성의 개념과 정의

영역성이란 어떤 지역에 대해 지역주민들이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점유함으로써 그들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5) Jane Jacobs, The Life and Death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1961 6) C. Ray Jeffer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Beverly Hills, CA: Sage, 1971 7) 赵秉志(ZhaoBingZhi), 金翼翔(JinYiXiang), Op.cit, pp, 35 8) James Q. Wilson & George L. Kelling. "BROKEN WINDOWS: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9) 홍관선, 복합적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의 물리적 환경과 범죄발생의 상관성 연구, 국민대학교, 2013, pp, 56-60, C. Ray Jeffer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1971, pp, 94-97, 赵秉志(ZhaoBingZhi), 金翼翔(JinYiXiang), Op.cit, pp, 38-39에서 재인용

260


가상의 영역을 말한다. 영역성은 실질적이거나 가상적인 경계를 만들어 해당 지역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와 그렇 지 못한 사람들을 구별하고 지역주민들 간에는 공감대를 형성하여 지역공동체를 만들어 낼 수 있다.10) <표 1>11) <표 1> 영역성의 요약과 사용의 원인

영역성 Territoriality 공동주택 중 사람과 사람, 사람과 환경 간 교류에 있어서 일종의 매개이며 커뮤니티 중 사람과 사람, 사람과 환경 간 교류의 기회를 증가한다. 공동주택 환경 중 경찰의 지배가 아닌 주민 스스로의 공동영역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공동주택 주민의 영역 통제감에 유리하여 “공동이익”를 형성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사람들의 물질 중 유형 및 심리 중 무형의 인지를 통하여 공간을 정의함으로써 사람들의 본능적인 영역 방어감을 환기시킨다. 공동주택 거주 환경 중 사람과 사람, 사람과 환경의 교류를 촉진하는 동시에 자발적인 커뮤니티 활동의 소집, 커뮤니티 문화의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교류의 기회를 증가하고 공동주택의 범죄 발생률을 감소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영역성은 물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동시에 심 리적 요소도 강조한다. 즉 공동주택 사물과 범위 소유권 귀 속 문제를 명확히 하는 동시에 영역성은 공동주택에서 사용 자와 환경의 ‘교류’ 영향성도 명확히 했다. 영역성은 공동주 택의 사용자와 사용자 간의 영역 방어 느낌을 증진하는 동시 에 공동주택 사용자와 사용자간의 '교류'에도 영향을 끼친다. 3. CPTED의 영역성과 사람, 환경 간 교류의 연관성

Oscar Newman을 비롯한 연구팀은 3년에 걸쳐 주택 안전 방어 문제 관련 연구를 진행했고 대량의 범죄 기록 으로 총괄한 범죄와 주택 환경의 관계에서는 아래 내용 을 말해줬다. 20세기 때 미국 대도시에는 사회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상황에서 여러 주택 영역 구분이 혼란하 고 경계선이 모호하며 많은 공간은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고 주민과 외부인이 다 영역성의 느낌이 잘 들지 않고 영역성 행위를 나타내기 쉽지 않았으며 주민이 환경을 유지 보호하고 관리하는 열정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웠고 주민들은 서로 모르는 사이인 상황이 존재했다.12) 1961 년에 미국 사회학자 Elizabeth·Wood의 주택 설계에는 도시 거주 구역 저소득 주민에게 신체 단련하고 정식으 로 만남을 가지며 가끔 마주칠 수 있는 특정 장소와 기 타 시설을13) 제공하여 공동주택 환경에서의 주민과 주 민, 주민과 환경이 ‘교류’하는 시간과 공간을 증진했다. 공동주택 영역성의 강화를 통해 사용자와 공동주택 환 경이 교류하는 시간과 공간을 증가하고 범죄를 격려하는 리스크 요소를 줄여서 범죄를 억제하는 안전 요소를 증 10) 홍관선, Op.cit, pp, 57-58 11) 필자가 상관 학자들이 CPTED이론 중 영역성 이론원리에 대한 분석을 참고로 하여 다시 재정리한 영역성의 내용이다. 12) 刘广三(LiuGuangSan), 李艳霞(LiYanXia), Op.cit, pp, 449 13) 刘广三(LiuGuangSan), Op.cit, pp, 8

가시킨다. 이것으로 범죄의 발생을 억제하고 감소시킨다. 이는 아주 강한 적용성이 있는 실제 실시 방법이다. 4. 공동주택 사용자와 환경 교류의 사례분석 4.1 대상지 사례분석

<표 2> Pruitt-lgoe 사례분석 Pruitt-lgoe

Pruitt-lgoe는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시에 있는 공동주택이다. 1957 년에 완공한 건물에서 건축 구조상의 문제로 많은 강도, 집안 침입 절도 와 공공 재산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 70년대 초기에 이곳의 빈집 비율이 개요 80%에 달했고, 1972년 4월에 드디어 Pruitt-lgoe를 폭파 철거했다. 11층인 아파트 빌딩이 총 33개, 주택이 차지하는 땅 면적이 23ha이며 주택이 총 2,870개 있던 그 곳은 그 당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아파트 단지였다. 시기 완공1957 거주 60 년대 주택 환경의 영 지역 범위가 넓 역에 대한 구분 고 공공 감시 조 현상 이 불명확하다. 치가 없다. 시기 쇠퇴 70 년대 폭파 70 년대 공공 유지 보호 소극적인 환경 와 제어가 약해 현상 이미지가 범죄의 졌고 점차 사라 확률을 높였다. 졌다. Pruitt-lgoe에서 거주자는 자신을 위해 반공공적 사용과 반개인적 사용 확정할 수 없었다. 그래서 비정식적인 사회 감독망을 형성할 대상 장소를 수 없었다. 계단 사이의 건물 모양이 빌딩의 주민이 감독하지 못하도 지 록 했다. 사회의 작용이 사라지고 엘리베이터, 계단과 복도가 격 분석 리되었으며 입구에상호정식적이거나 비정식적인 감시를 설립하지 않아 비정식적인 감독이 와해되었다.14)

<표 3> 염리동 소금길 사례분석 서울시 염리동 소금길

개요

이 미 지

대상 지 분석

2012년까지도 서울 마포구 염리동에 있는 좁은 골목 “소금길”은 각종 성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이었다. 여기는 여성과 노인 주민이 아주 많 았고 도로가 낡고 좁아 낮에도 사람이 적었으며, 감시 설비도 장착하지 않았다. 2012년에 서울시는 CPTED의 방법을 도입했고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구역을 연결하여 “소금길”이라는 산책길을 만들었다. 전 눈에 띄는 표지가 없고 구역 전체가 어두운 회색이다. 띄는 표지가 있고 영역을 명확하게 했다. 영역감 후 눈에 을 강화했고 주민과 환경의 상호 “교류”를 촉진했다. 전 지역 주민 간의 연계가 적고 약하다. 대문을 6개를 노란색으로 칠해 “소금길을 수호하는 했다. 주민이 구역 안전에 대한 책임감과 영 후 집”으로 역 감지력을 강화하여 주민과 주택 환경, 주민과 주민 간의 “교류” 욕구를 촉진했다. 거주 환경이 없고 도로가 좁으며 환경에 활기 전 양호한 가 없다. 목적 있게 거주 환경을 개선했다. 벽에 그림을 그렸고 주민의 공공 오락, 공공 휴식 공간을 늘렸으며 주택 후 영역성을 탄탄하게 하는 동시에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진행하는 공공 활동을 늘리는 것을 촉진했고 구역 거 주 문화를 형성했다. 소금길은 CPTED를 구체적으로 응용하여 거기에 실질적인 개선이 일어 나게 했다. 소금길 기존의 어두운 회색 지역 사회 이미지를 타파했고 동시에 주민과 거주 환경을 한 곳으로 아주 잘 연결했다. 각종 구체적 인 조치를 통해 주민의 안전감을 향상했고 거주 구역의 범죄율을 줄였 다. 동시에 공동주택 환경에서 주민들의 자발적인 영역 감지력을 건립 하여 공동 거주하고 공동 감독하며 공동 유지 보호하고 공동 예방한다.

14) 刘广三(LiuGuangSan), Op.cit, pp, 7

261


<표 4> 중국 허베이 성 바오딩 시 감옥에 있는 수감자 34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개별 인터뷰 사례 수감자 34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개별 인터뷰

중국 경제 발전과 도시화 과정이 신속하게 발전하는 큰 배경에서 범죄 예방은 도시 건설의 중요한 연구 영역이다. CPTED 이론의 발전과 실제 응용은 우리에게 아래 내용을 점점 더 많이 알린다. CPTED는 응당 여러 방면과 여러 차원에서 여러 학문과 결합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중국학자 이춘뢰가 CPTED 이론에 관해 반대되는 시 개요 각에서 진행한 중국 허베이 성 바오딩 시 감옥에 있는 수감자 34명에 대 한 설문조사와 개별 인터뷰를 연구 사례로 분석했다. 사례의 수감자 34명은 거주 구역 범죄 기록이 있다. 설문 조사에서는 설 문지 34부를 내보냈고 34부를 회수했다. 무효 설문 1부를 빼면 실제 설 문 유효 회수율이 97.06%다. 인터뷰는 수감자 34명 중에서 대표적인 8명 을 선택했고 2조로 나누어 한 명 한 명씩 인터뷰한 논문을 분석했다.15) 인력구성 안전조치 출입구

분류 수치 분류 수치 분류 수치 아주 54.5 단일 25.9 CCTV 78.1 일반 42.4 복잡 74.3 주택활동 31.3 배제 3.0 거주 구역의 인원 구성이 범행 경향에 대한 영향에 관한 질문에서 단일 한 인원 구성보다 더 많은 수감자는 인원 구성이 복잡한 지역에서 범행 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범행을 할 때 수감자들이 가장 염려하는 주택 대상 구역 안전시설이라는 질문에서 1위가 감시 카메라이고 그다음이 지역 사 지 회 활동이다.16) 범행할 때 수감자는 주택 구역 출입구의 설계가 범죄에 분석 주는 영향 정도라는 질문에서 절반 이상이 아주 큰 영향이 있다고 했다. 이로부터 공동주택 환경의 영역성 강화에서 구역 인원의 구조를 변경하 고, 지역 사회 활동을 강화하며, 영역 특징을 명확히 하면 범죄 조건 측 면에서 범죄의 발생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2 소결

3개의 사례는 각기 20세기 50년대와 21세기 초의 2개 시 대배경이지만, 범죄예방을 위해 영역성이 공동주택환경에 서 어떤 구체적인 응용과 영향력이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3개 나라의 사례는 구체적인 생활에서 범죄예방에 모두 적 극적인 영향을 끼쳤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 5>와 같다.

<표 5> 사례의 분석의 종합 표현 현상 성질 구체적 표현 Pruitt-lgoe 소금길 수감자 34명 작용 와 의의

15) Ibid 16) Ibid

안전시설 주민 생명과 재산의 안전에 보장이 없다. ▲ ▲ ▲ 감시 구조 기타 설비 설비 ◐ ◐ ◐ ● ◐ ◐ ● ◐ ◐ 공동주택환경의 안전 시설을 강화하고, 범 죄자들에 대한 위압 감을 증가하여, 범죄 발생 조건을 감소한 다.

환경광경 영역표시 주민과 공동주택환경 주민은 주택환경과 사이에 ‘교류’가 없다. 공명을 얻지 못한다. ▽ ▽ ▽ ▲ ▽ ▲/▽ 주민 환경 기타 실제 심리 기타 교류 교류 구획 인지 ● ● ◐ ● ● ◐ ● ● ◐ ◐ ● ◐ ● ◐ ◐ ● ● ◐ 공동주택환경의 주택 공동주택환경의 영역 광경을 개선하여, 주 구획을 강화하여, 실 민 사이, 주민과 주 제공간의 택환경 사이의 ‘교류’ 심리인지를물리구획과 통해 범 를 촉진하면서 공동 죄발생의 목표를 감 예방의 영역감과 책 소한다. 임감을 형성한다. ( ▲: 물리성 ▽: 심리성 ●: 직접 영향 ◐: 간접 영향 )

5. 결론

연구를 통해, 공동주택에서 영역성이란 요소가 범죄예 방 방면에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쉽게 발견 할 수 있다. 또한, 영역성이 공동주택의 사용자와 주택환 경의 물리방면과 심리방면에서 ‘교류’를 하게끔 촉진함을 알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이론고찰을 통해 공동주택에서 만약 사용자의 영역이 명확하게 구획된다면 범죄발생의 목표 가 감소됨을 발견하였다. 본문의 Pruitt-lgoe 사례에서, 주민은 거주공간에 대해 명확하게 구획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주민은 거주환경에서 영역감을 형성할 수 없고, 아무도 묻지 않는 소극적인 상황을 초래하여 범죄가 빈 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둘째, 공동주택에서 영역성을 강화하여야만 사용자와 주택환경 사이에 더 많은 ‘교류’가 형성될 수 있고, 주민 사이의 교제를 촉진하면서 자발적으로 주택환경의 공간 구조를 구축하고, 주민활동, 주택문화 등을 파생시킬 수 있다. 장기적으로 유지하면 정식 혹은 비정식적이 감독 망을 형성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데, 이는 아주 좋 은 양성순환 과정이다. 셋째, 공동주택에서 영역성의 물리성과 심리성 두 방 면에 대해 강화를 진행하여 범죄발생 조건과 범죄발생의 목표 두 방면에서 범죄의 발생에 제한작용을 할 수 있 다. 이는 CPTED이론의 핵심에 부합된다.

참고문헌

1. 刘广三(LiuGuangSan), 城市居住环境与犯罪预防, 1994 2. 刘广三(LiuGuangSan), 李艳霞(LiYanXia), 犯罪预防的新思路: 利用环境设计预防犯罪-奥斯卡·纽曼的“防卫空间理论‘述评, 2008 3. 李本森(LiBenSen), 破窗理论与美国的犯罪控制, 中国社会科学, 2010 4. Oscar Newman.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New York: Macmillan, 1972 5. 赵秉志(ZhaoBingZhi), 金翼翔(JinYiXiang), CPTED理论的历史梳 理及中外对比,2012 6. Jane Jacobs, The Life and Death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1961 7. C. Ray Jeffer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Beverly Hills, CA: Sage, 1971 8. James Q. Wilson & George L. Kelling. "BROKEN WINDOWS: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9. 홍관선, 복합적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의 물리적 환경과 범죄발생의 상관성 연구, 국민대학교, 2013 10. North Asylum Hill, America, State of Connecticut 11. 王海涛(WangHaiTao), 试论对犯罪的情境预防-犯罪控制的第三条道路, 2005 12. Prospero (blog), "Why the Pruitt-lgoe housing project failed, 2011 13. 李春雷(LiuChunLei), 姚巍(YaoWei), 城市化进程中我国城市住区犯罪空 间防控探索-基于CPTED理论视角下对我国城市住区的个案考察, 2011 14. https://en.wikipedia.org/wiki/Pruitt%E2%80%93Igoe 15. http://pikicast.tw/#!/menu=landing&content_id=8544

262


도시 친수지역의 경관 디자인 연구 ---칭다오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를 중심으로

,

장징위 윤지영

,

동서대학교 일반 대학원 동서대학교 일반 대학원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in Urban Waterfront ---- Qingdao Coastal Walkway Project as an Example Zhang, jingyu, Yoon Jiyoung General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General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E-mail : 664238779@qq.com

요약

도시의 수변 지역은 도시가 개발중인 중요한 자원으로, 환경의 질적향상을 도와주고 지역의 면모를 풍부하게 해주는 등의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생태환경의 보호와 생태환경의 지속 적인 발전사상 아래에서, 도시의 수변 지역의 독특한 지위는 나날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기 때문에, 수변 지역의 개발은 세계화의 흐름이라 볼 수 있다. 본연구는 칭다오(青岛) 수변 경관 디자인 중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체계를 사례로 삼아, 경관 속의 물, 다리, 제방 등 현황을 분석한다. 마지막은 결론 부분으로 수변 경관 디자인을 위해 참 고할 수 있는 건의사항을 제시한다.

Ⅰ. 서론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논문에서는 칭다오(青岛)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 공정에 대한 전체적인 연구를 통해 도시

1.1 연구 목적 및 의의

수변 지역 경관 디자인 이해하고자 했다.

수변 지역은 도시의 주된 개방 공간이다. 이러한

본 논문에서는 문헌 참고와 실제 고찰의 연구

수변 지역을 구성하는 넓은 수역 면적은 우아하고

방법을 활용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

아름다운 도시 형태와 윤곽을 구성하여 사람들에

번째, 수변 지역의 범주에 대해 이해하여 본 논

게 아름다운 도시 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문에 상관된 이론적 기초를 제공했다; 두 번째,

수변 지역을 성공적으로 개발하는 것은 아름다운

칭다오(青岛) 수변 경관 보행자 도로에 대한 전

도시 이미지를 조성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1]

본고는 칭다오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의 디자인 과 발전모델의 연구를 통해, 칭다오의 해안선의 현 단계의 발전적 특징을 종합하고, 이후의 개선과 수 변 지역의 경관 디자인의 개조를 위해 합리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공한다.

체적인 연구를 통해 각각 시스템 디자인 구상, 방법 및 보행자 도로의 디자인에 관한 분석을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도 시 수변 지역 경관 디자인의 발전 추세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의견을 제시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플러스 해양디자인인 력양성사업팀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263


3.2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의 경관디자인

Ⅱ. 이론 고찰

·수역디자인 칭다오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는 경관 디자인

2.1 도시 수변 지역의 함의

에서 물의 형세를 빌어 만들어져, 해변의 특징인

도시 수변 지역은 어떤 한 도시의 특정한 공간

광활한 시야와 해안의 웅장하고 아름다움을 이

지역으로, “강, 호수, 바다에 인접한 지역 혹은 건

용하였다. 보행자 도로는 바다를 볼 수 있는 시

축물, 물가 근처의 도시 지역”을 가리킨다.

야가 가려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보행 도로 위

미국의 학자 안 브린과 딕 릭비는 용지 성질의

에 서서 광활한 바다 경관을 볼 수 있도록 디자

차이에 따라 도시 수변 지역을 산업 무역 공간, 엔

인되었다.

터테인먼트 및 휴식 공간, 문화 교육 및 환경 공

·교량

간, 주거 공간, 역사 공간, 산업

보행자 도로에 있는 다리는 공간을 이어주는

항구 시설 공간의 6가지로 분류

역할을 하여, 두 해안의 도로를 이어줄 뿐만 아

했다. 그 외에도 도시에서의 수 변 지역의 기능과 수변 도시의 유산

관계에 근거하여 공간을 개조 한

니라 두 해안의 경관을 하나로 묶어준다. 또한

지역과

다리의 이미지는 두 해안의 모습과 환경의 자연

산업

경관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었다.

수변 지

역, 거주 구역과 인접한 수변

·녹화 디자인

그림[1-1]도시 수변 지역의 유형

행및 휴식을 위한 수변 지역, 새롭게 개발한 수변 지역, 생태 보호 목적의 수변 지등으로구분했다.

식물은 칭다오 해변에서 오래 살 수 있는 녹

지역, 시내와 인접한 다용도 수변 지역, 여

엽수와 흑송을 주로 심어 각종 교관목과 어우러 지도록 배치하여 교관과 풀이 합쳐진 이중의 구

[1]

조로 만들어, 최대한으로 녹지 생태의 효과를 발 휘하도록 하였다. 또 그와 동시에 경관 가치가

Ⅲ 칭다오 수변경관건설한 사례

있는 바위를 모두 남겨두고, 각 구간에 맞도록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 공정

돌을 깎아 칭다오의 지역적 특색을 두드러지게

3.1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 공정 디자인의 전체

하였다.

적인 구상

Ⅳ. 결론

칭다오(青岛) 대륙 연안선은 총 730.64kin에 달 한다. 해안선은 전반적으로 굽어진 형태를 띠고 있

수변 지역은 칭다오 도시의 공공 개방공간에

으며, 산골짜기와 연안이 서로 접해 있는 것이 특

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의 해안지역과는 다

징이다.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 건설 공정을 통해

른 특징있는 경관군은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로

상대적으로 완벽한 수준의 수변 지역 경관 관광

나타났다. 이렇게 해안에 설치된 보행도로는 또

지구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경관 자원

해안선 전부와 연결되어 독특한 바다 관광 루트

을 계통적으로 향상시키는 작업으로, 사회적 가치

가 되어 이후의 수변 지역 경관의 건설에 성공

와 경제적 효과를 현저하게 거둘 수 있다는 장점

적인 사례로 보여질 것이다.

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해당 지역에 대한 계통적 계 획과 합리적인 개발을 진행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참고문헌]

완벽한 수변 지역 경관 도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칭다오시(青岛城) 이미지를 향상하는 데 큰 도움을

[1].ZhangTingwei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림[1-3] 수변 지역 보행자 도로 공정 지도

Development

of

Fenghui,Design Urban

and

Waterfront,Tongji

University 2002.03 [2].YengTao, A Study on Landscape Design of Urban Waterfront 2006,6

264


Research on background of Chinese new character and case analysis Cai Chang*, *Dongseo University,Korea, E-mail:ca1chang@hotmail.com,

Lee Dong Hun** ** Dongseo University,Korea papamac@hanmail.net

1. Introduction 1.1 Research background With the advent of network era and continuously increasing information flow, cultural evolution in different countries is speeding up, and it shows the global tendency in the fusion of different culture. Cultural development is manifested in various aspect of social life. Language and character as the way of cultural reorientation and transmission, is sensitive to cultural changes. Through observation, we find new character forms by means of changing character structure, extending character connotation and adding graphic symbols have emerged constantly since from the year of 2000 and been widely used in young people’s cultural circles. 1.2 Research purpose This article firstly organizes the generation process and structural mode of new character, and meanwhile analyzes and summarizes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generation of new character through observing Chinese young people’s cultural circles, and observes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Chinese young people’s world views and values under the influence of network culture. Then the article discusses the influence of cultural change on new character through analyzing cases of new character from aspects of character structure, extension of meaning, and new character’s functions and effects.

2. Development history of Chinese character Pictographic character originates from hieroglyph character. Chinese character has developed into Ideographic character on the basis of pictographic character and added other character creating methods such as six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s. But these new character creating methods must be based on original pictographic characters, joining, adding or deleting symbolic signs. Therefore, we call this period as the stage of symbol. Characters were unified until Qin Dynasty when the First Emperor of Qin has unified China. At that time, Chinese character has preliminarily formed a complete system, called as the stage of Chinese character. With the replacement and transfer of dynasties, Chinese character has changed in its pattern. It was used for the ruling class’s governance and management. Then Chinese character gradually goes through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and stabilization During the period of May Fourth Movement, many people have proposed ways to improve Chinese people’s intellectual level. Intellectual level can only be increased by improving literacy rate which can only be achieved by simplifying complex Chinese characters. So simplification of Chinese character has been approved by many intellectuals. Until now, characters we are learning are still those simplified and standardized character after 1951. The character pattern which is easy to learn and memorize has indeed brought great convenience for people’s nowadays study. Of course, traditional complex form character has its own indispensable position such as in calligraphy.

3. Scope and forming process of new character Character as an important tool for human beings to inherit knowledge and record incident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uman civilization. In different stages, new characters have been produced with the enrichment of culture. Meanwhile, the pattern, meaning and usage of character are evolving constantly. With the advent of information era, new characters under the background of network culture start showing up. This kind of character has reconstructed a new character form on the basis of original characters through ways of pictograms, combination and connotation change, and been endowed with time significance. The generation of new character has gone through three stages as below: stage of symbolic character, stage of leetspeak, and stage of new character. New character is similar with

265


traditional characters in the constitute form but with more time features. There is a very special phenomenon in the application of new character as new character is usually the combination of existing characters and the reuse of ancient rare words.

4.Analysis on new character design cases 4.1Emotional expression function of new character A reason of the generation of new character is its accurate expression of complex emotions. Contemporary Chinese young people are focusing more on detailed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emotions. But traditional characters cannot directly express some subtle emotions, which result in the generation of a series of emotional and sentimental expressive terms in new characters. The more typical case is the new character “embarrassed” to express a series of blended feelings of helpless, awkward, and abashed. The structural way is typical pictographic method to express this kind of complicated feeling through the pictographic simulation of facial expression. This has for the utmost extent made up for the weakness of traditional character’s function of expressing “meaning” but difficult in expressing “feeling”. Especially in nowadays frequently text message communication, this kind of new character has significant supplementary function. When we observing new characters at present, a fairly great part are the re-explanation of ancient rare words. New characters produced based on nowadays popular culture are with very shallow connotation, and to a large degree there are no the aesthetic meanings of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in current new characters. Today’s culture is more inclined to construct and explain characters in a direct and well-perceived way.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e tendency of combining and using external languages. For example, “3Q” formed due to the resemblance of pronunciation with English (means thank you in English), and “Word 天” (pronounced as oh my god in Chinese language) are both the application of English characters or words into new characters. In nowadays China, cultural boundary formed by Chinese characters are collapsing. Although Chinese languages is conservative to external language’s’ joining into language system, it is never rare to see the direct application of foreign languages into the emerging cultural system. 4.2 Interestingness and character combination We can almost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driving force of new character transmission is its interestingness. Especially in the network environment, interestingness of new character easily makes itself become a hotspot of human focus. The interestingness of new character usually comes from the new meaning which is formed by character combination to present some prevailing culture phenomenon among young generation in a metaphoric way. Table1.

5. Conclusion This article firstly organiz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new character and finds that new character has followed the traditional character-creating method in the structure form, but also has added some character-creating methods with time features. Then the article summarizes three characteristics of more emotion concerned, integration of diversified cultures, and the requirement for interestingness when analyzing Chinese contemporary culture especially young generation’s cultural circles. At last, through the analysis on typical cases of new character, the articles observes Chinese character’s change trend and young generation’s cultural appeal under China’s new cultural background.

References [1]张晶晶,“网络新字现象述评”,Sinogram Culture,Beijing,2011, pp. 35-38.

266


[2]唐诺,文字的故事,上海人民出版社,上海,Shanghai [3]刘靖年,“汉字的构成”,Jilin University, Jilin,2011

267


268


태블릿 PC에서 중국 쇼핑 앱의 GUI 디자인 제안 연구 Proposal Research about GUI Design of the Chinese Shopping Application in Tablet PC 루한이 | Hanyi Lu 동서대학교 디자인학과 | Design Department, Dongseo University, Busan, Korea

초록

Abstract

오늘날 인터넷, 모바일 단말기 등 디지털 정보 기술이 빠르

Under the influence of skyrocketing development of

게 발전하면서, 태블릿 PC는 사람들에게 크게 사랑 받는 전

internet,

자 모바일 기기 중 하나가 되었다. 태블릿 PC 사용자가 나날

information technology, tablet PC has become one

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사용자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of people’s favorite mobile devices. To satisfy the

자 다양한 종류의, 각자의 특색을 가진 독특한 앱이 등장하

increasing number of tablet PC users, application

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앱이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삶의 질은

software

훨씬 향상되었고, 현재 사람들은 무수히 많은 앱 속에서 생

characteristics

활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마켓 분야의 앱이 최근 급속도로

accordingly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상황으로 미루어 봤을 때,

improved. People are living a life full of countless

서비스 측면에서나 디자인 측면에서나 현재 사용자들의 수요

application

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앱은 없다. 태블릿 PC 앱의 GUI

shopping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는 목적은 정보 전달의 시각화

studies on GUI design of application software in tablet

그래픽 요소를 충분히 고려한 후 기능성과 디자인성을 골고

PC aim at designing app software for harmonious

루 갖춘 앱을 개발하는 데 있다. 사용자들의 시각적 만족도

reflecting functionality and designability after fully

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각종 응용 수요에 부합하는 앱을 개발

considering

the

하기 위해서는 GUI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한다. 따라

information

expression.

서 반드시 GUI 디자인과 상관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본

satisfaction and develop application meeting user’s

연구에서는 중국의 쇼핑 앱에서 사용하는 GUI 디자인에서

various demands, we should realize the significance

분석해야 하는 항목을 도출해내고, 문헌 조사를 시행하여 그

of GUI deign and thus conduct relevant studies on

결과를 기반으로 미래의 쇼핑 앱과 관련된 디자인 방안을 제

GUI design. This research has derived projects for

시하고자 하였다.

analysis from GUI design used in China’s shopping type

mobile

in

terminal

and

other

numerous

varieties

have

obtained

so

that

software online

application

people’s

To

software,

standard

has

specialized

rapidly.

image

user’s

the

in

Relevant

element

improve

on

different

development

app

developing

visualized

with

living

including

are

electronic

for visual

basis

of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and proposed relevant design scheme of future shopping type application software.

중심어

Keywords

GUI 디자인, 쇼핑 앱, 태블릿 PC, 제안

GUI Design, Shopping Proposal Research

루한이 | First Author 루한이 | Corresponding Author : 1039996911@qq.com

269

Application,

Tablet

PC,


1. 서론

학습 앱을 중심으로

오늘날 디지털 정보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태블릿 PC 열풍이 불기 시작하였다. eMarketer데이터에 따르면

Ryan Cohen, Tao Wang (2014) Michael Risch (2014)

전 세계의 태블릿 PC 사용자 수는 2015년에 10억을 돌파하 였고, 중국의 태블릿 PC 시장은 세계 최대의 규모를 3.28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태블릿 PC를 사용한다고 한다.1) 이러

주예군 (2015)

한 태블릿 PC 사용 환경 속에서 쇼핑 분야에서 쇼핑을 주제 로 하는 앱의 종류가 나날이 많아지고 있다. 이 외에도 쇼핑

GUI Design for Android Apps Functionality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patents GUI 디자인의 사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면세점 쇼핑 앱을 중심으로-

Text, Icon, Window, Animation, Menu, Pointer Menu, Window, Icon, Color, Text 레이아웃, 메뉴, 아이콘, 타이포그래피, 컬러

앱의 기능성과 시각적 효과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 또한 나날 이와 같이 분류한 표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 PC

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상황으로 사용자간에 사용 능력에서의 차 이가 존재함에 따라 앱 사용 측면에서도 어느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쇼핑 앱을 중심으로,

기반의 쇼핑 앱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역할 과 메뉴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 아이콘, 레이블, 컬러를 선정 하여 정리하였다.

기능과 디자인을 모두 갖춘 앱을 개발, 제시하는데 그 목적 을 두고 있다.

3. 중국의 쇼핑 앱 조사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중국 쇼핑 앱을 바탕으로 태블릿 PC의 쇼핑

3.1. 조사 영역 및 분석 방법

소프트웨어 사례를 분석하고, 현재 태블릿 PC 앱을 사용하

본 논문의 조사·분석 영역은 현재 국내외 앱 시장에서 대표

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했으며, 그 결과

되는 ‘Apple Store’ 와 ‘Google play’에서 제공하는 쇼핑분

를 기반으로 디자인 제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아이콘, 레

야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쇼핑 앱으로 선정

이블, 컬러를 중심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

하였다. 2016년도 11월 말을 기준으로 삼아 최종적인 조사

대상은 태블릿 PC의 주요 사용계층인 20~45세 중국 사용자

및 분석을 진행하여 ‘Apple Store’ 와 iOS를 지원하는

50명으로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한 결과를 기반으로

2016년도 3대 쇼핑 앱을 선정하였다(순위는 아래 표22)와

최종 단계에서 연구 결과를 적용하는 방향으로 본 연구를

같다).

진행하였다. 표 2. 2016년 중국내 사용자의 선호도 순위 및 리뉴얼 활성화 순위표

2. 이론적 고찰

순위 1 2 3 4 5

2.1.GUI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요소 본 연구에서 이해와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GUI 디자인 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시각적인 구성요소 중심으로 분류한 선행연구를 통해 표1과 같이 정리하였다.

우근도 (2009) 이혜주 (2012)

제목 사용자 감성형 GUI 개발을 위한 디자인 모델 구축: 터치스크린 모바일 폰을 중심으로 태블릿 PC에서의 애플리케이션 GUI 디자인 연구: 영어단어

순위 6 7 8 9 10

APP 당당(当当) 미리석(美丽说) 1호점(1号店) 지우메유핀(聚美优品) 아마존(亚马逊)

분석방법은 선정한 분야의 앱에 대한 GUI 디자인의 이론적

표 1. GUI 디자인의 구성요소 선행 연구 연구자

APP 타오바오(淘宝) 티몰(天猫) 징동(京东) 웨이핀회(唯品会) 쑤닝닷컴(苏宁易购)

GUI디자인 구성요소 레이아웃, 아이콘, 색상, 텍스트, 동영상, 애니메이션, 윈도, 메뉴, 포인터 아이콘, 레이블, 컬러, 레이아웃, 문자

1) 류해, "eMarketer데이터:10억 명의 태블릿PC 사용자 중 1/3이 중국에 있다" 2015.1.12. http://www.ifanr.com/news/482467

배경을 바탕으로 메인과 쇼핑화면에 있는 아이콘, 레이블, 컬러 3개로 나뉘어 분석을 실행하고 20~45대를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에 대한 설문 조사를 병행 하였다. 각 앱은 디폴 트(Default)로 설정된 레이아웃 구조를 기본으로 하였다.

3.2. 사례 분석 2)

"2016년 중국모바일쇼핑발전현황과 추세분석", 중국비즈니스

산업연구원, 중국비스니스정보닷컴, 2016.05.29. p.1

270


본 항목에서는 앞서 선정된 3개의 앱의 메인과 쇼핑화면을 중심으로 주요 아이콘과 레이블 그리고 컬러를 다음과 같이

표 6. 징동 아이콘&레이블&컬러 분석표

분석하였다.

징동

아이콘과 레이블 분석 항목에서는 다음 표3과 같이 4가지의

내용

아이콘

분석항목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레이블

나의징둥(我的京东), 쇼핑카트(购物车), 查询), 탐색기록(浏览历史), 분류(分类)

컬러

표 3. 아이콘과 레이블의 분석 기준 구분 통일성 기능성 효율성 표준화

내용 아이콘의 도형 이미지 통일 아이콘의 형태가 의도한 기능 연상 콘텐츠의 정보와 레이블 일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레이블

#ffffff

#ff4380

물류조회(物流

#da1052 #c50045 #e00a00

메인 화면 아이콘의 대부분은 도형과 레이블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봤을 때 통일된 모습을 보인다. 아이콘 과 레이블의 컬러는 모두 흰색으로, 전반적으로 통일된 양 상을 보인다. 배경 컬러는 붉은 색을 주로 이룬다. 홈페이지 의 컬러는 흰색 바탕에 여러 컬러가 매칭되어 있는 형상이

컬러 분석 항목에서는 앱의 전체적인 쇼핑에 있어서 컬러의

다.

사용이 일관성 있게 사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3가지 중국 쇼핑 앱에 대한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오직 형태만을 통해 그 기능을 연상할 수 있는 아이콘의 경우

표 4. 타오바오 아이콘&레이블&컬러 분석표 타오바오

레이블 명을 생략하여 쇼핑 앱 메인 홈페이지의 전반적인 기능성과 효율성을 실현할 수 있다. 명도와 밝기가 너무 강

내용

아이콘

렬하지 않은 컬러와 너무 복잡하지 않는 컬러 조합을 사용해

즐겨찾기(收藏夹), 물류정보(物流信息), 주문번호 관리 레이블 (订单管理), 쇼핑카트(购物车), 소식중심(消息中心), 역 사(历史) 컬러

#ffffff #fee4eb

야만 고객들에게 편안함을 주며, 전반적으로 간결하고 일관 성 있는 홈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 다.

#dc2c87 #e53d5a #fc2a62 #f44d00 #ff5f03 #e64359 #c32db3

4. 중국의 쇼핑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제안

메인 화면 아이콘의 대부분은 도형과 레이블을 활용하고 있다. 아이콘과 레이블 컬러는 주로 흰색과 옅은 분홍색이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쇼핑 앱은 “하오고우(好购店)”

다. 배경 컬러는 약간 붉은 톤의 따뜻한 컬러에서 보랏빛

으로, 애플 태블릿 PC의 iOS를 기준으로 삼고 있는 앱이다.

톤의 차가운 컬러로 넘어가는 형태로, 여러 가지 명도와 채

본 논문에서는 주로 쇼핑 앱“하오고우(好购店)”의 메인 GUI

도를 조절하여 표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디자인, 관련 아이콘 및 레이블을 수정, 색상 통일 작업을 진행하였다. 해상도는 1024×768, 폰트는 SimHei 24pt로

표 5. 티몰 아이콘&레이블&컬러 분석표 티몰

설정하였으며, 메인 GUI는 가로 화면과 세로 화면의 두 가

내용

지로 디자인하여 가로 화면과 세로 화면이 자유자재로 교차

아이콘 레이블 컬러

되도록 설정하였다. 아래 그림1와 그림2는 디자인 제안을

나(我), 쇼핑카트(购物车), 티몰생방(天猫直播), 주목(关 注), 티몰(天猫) #ff0300

#ff4407

#ffdbdb #717171 #fee9ec

#ffffff

#fee9ec

나타낸 것이다.

#fff100 #e00016 #ee0858

메인 화면 아이콘 중 일부만 도형과 레이블을 모두 갖추고 있다. 아이콘 컬러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테두리 는 주황색이고 안쪽에는 옅은 분홍색으로 채워져 있다. 아 이콘과 레이블 컬러는 모두 붉은색이다. 아이콘과 레이블 사이의 컬러에도 확실한 차이가 있다. 배경 컬러로는 흰색 과 붉은색이 주로 쓰였다.

그림 1. “하오고우(好购店)” 디자인 제안(가로 화면)

271


메인 GUI의 활발함은 유지하면서 안정감을 잃지 않아, 쇼 핑 앱 사용자들이 색채 조합을 통해 얻는 시각적 편안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5. 결론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쇼핑 앱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중국 시장에서 기 존 디자인 사례의 아이콘, 레이블, 색채의 세 가지 시각적 요소에 대해 분석한 후,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이에 상응하는 디자인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아이콘의 도형 형태는 통일성을 갖춰야 하며, 최대 한 추상적인 도형은 기피해야 한다. 또한 도형의 형태는 세 그림 2. “하오고우(好购店)” 디자인 제안(세로 화면)

세하면서도 복잡하지 않아야 하며, 아이콘의 기능성과 효율 성을 모두 실현해야 한다.

제안된 ‘하오고우’ 메인화면의 아이콘, 레이블, 컬러에 대한

두 번째, 레이블과 아이콘은 통일되어야 하며, 같이 조합하

분석은 다음 표8과 같다.

여 디자인 하는 것이 가장 좋다. 표준화의 기준에 부합하는 레이블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통일된 용어를 사용

표 7. 하오고우 아이콘&레이블&컬러 분석표 항목

내용

해야 한다. 세 번째, 아이콘과 레이블 사이의 색상은 일관성을 유지해 야 하며, 지나치게 강렬한 대비, 선명한 색 차이를 보이는

아이콘

색상 조합은 피해야 한다. 배경 색상은 아이콘과 레이블을 나(我), 쇼핑 카트(购物车), 정보(消息), 분류(分类), 홈페 이지(首页) 하오고우 그룹(好购团), 식품(活色生鲜), 세일(1件包邮), 레이블 수입식품(进口美食), 타임세일(好购闪购), 하오고우 쇼핑 타운(好购商城), 하오고우 직구(好购海购), 고객센터(会 员中心), 신규상품(新品试用), 주문조회(订单查询) 컬러

#757575 #ff3c26 #898989 #ffffff #cf93d9 #98d055 #4dd0e2 #ff8a66 #ffc208 #f06292 #92a7ff

아이콘의 경우 전반적으로 통일된 계열의 도형 형태를 사 용하고 있었으며, 레이블명과 조합되어있었다. “하오고 우”에는 메뉴 링크가 설정되어 있어 메뉴 링크의 아이콘 을 클릭할 경우 다른 쇼핑 GUI로 쉽게 넘어갈 수 있다. 메뉴 링크 또한 아이콘과 레이블이 조합된 형태로 디자인 되어 있으며, 아이콘의 경우 바깥 부분은 원형이고, 안에 는 해당 아이콘의 기능을 나타내는 작은 이미지가 있어 사용자들이 쉽게 기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러한 디자인을 통해 쇼핑 애플리케이션 메인 GUI의 기능 성과 효율성을 실현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아이콘과 레이블이 조합된 형태에 통일된 회 분석 색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홈페이지”라고 명시 되어 있는 아이콘과 레이블은 붉은 색으로 표시하여 이 화면이 현재 “홈페이지” GUI이며, 이 아이콘을 클릭할 시 기타 아이콘과 이에 상응하는 레이블명이 붉은 색으로 바 뀌게 된다. “홈페이지”부분은 회색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메뉴 쪽의 아이콘 색상의 경우 회색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서로 일치하지 않는 다양한 색상을 활용하고 있 다. 아이콘에 대응하는 레이블 명에는 모두 동일하게 회색 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색상 설정은 전체 GUI의 일관 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배경 및 메인 홈페이지의 색상의 경우 흰색을 바탕색으로 활용하여 이 위에 각기 다른 컬러를 매칭하였는데, 이러한 색상 디자인은 전체

강조할 수 있는 색상으로 선택해야 하고, 홈페이지 전반적 으로 복잡한 색채 구성은 피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태블릿 PC 쇼핑 앱의 아이콘, 레이블, 색채 이렇게 세 가지 시각적 구성 요소에만 국한되어 있으 며, 기타 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보다 광범위한 범위에서의 조 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사용자의 조사 범위와 분석 측 면에서도 보다 상세한 조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이희진. (2010). 스마트폰 기반 중국어 교육 애플리케이션 기획 및 제작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p. 15 이헤주, 고은영. (2012). 태블릿 PC에서의 애플리케이션

GUI 디자인 연구: 영어단어 학습 앱(App)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디자인지식저널22. pp. 222-233 엄미선. (2011). 스마트폰뱅킹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통합 뱅킹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연구. 건국대학교. p. 36 Beck H et al. (2009). Business Communication and Technologies in a Changing World. Macmillan Education Australia. pp. 401-402 IT 용어사전. 출처: http://e-words.ne.kr

272


273


274


275


276


Design Concept Value Competitive Research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Receiver

수면무호흡 환자의 양압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발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가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치 비교연구 이 상 기* · 정 주 영** · 이 성 필***

목 차 요약 3. 연구방법

1. 서론

4. 연구내용

1.1 연구배경

4.1 인 서비스맥락(Context)연구

1.2 연구목적

4.2 서비스디자인 모델 구체화

2. 이론적 배경

5. 서비스디자모델분석

2.1 수면무호흡의 특징 및 시장의 추이 2.2 카노(Kano)만족도

5.1 카노(Kano)만족도 분석

2.3 카노(Kano)결과해석

5.2 스코어모델(Score Model)분석 5.3 컨셉포지션(Concept Position)분석

2.4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Potential

6. 연구결과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2.5 스코어모델(Score Model)

7. 결론 및 논의

2.6 컨셉포지션(Concept Position)

참고문헌

2.7 더블다이아몬드(Double Diamond)

Abstract

요약 ㄴ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제공자(개발자)와 서비스 수혜자(고객)집단 간에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치에 대한 비교연 구로서 양압기(CPAP)를 중심으로 진행된 IoT기반 U-헬스케어 및 사용자 환경기반 서비스모델을 제시하여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더블다이아몬드(Double Diamond)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울산에 소재한 U병원 이비인후과와 공동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면 무호흡 수면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부터 구매 후 사용까지 다양한 의미 있는 경험을 발 췌하고 고객 유형별 차이점을 분류 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시한 13개의 서비스 시나리오 모델을 대상으로 고객은 카노 (Kano)만족도와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PCSI)평가를 진행하였고 개발에 참여한 서비스제공자 집단을 대상으로 스 코어모델(+-)평가와 컨셉포지션(Concept Position)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총 12가지 문항 에서 7가지 문항은 수혜자와 공급자 사이에서의 가치적 견해의 일치가 나타났으며 이는 사용자 환경기반 서비스모델 속성 이었으며, 반대로 가치적 견해가 상의한 결과인 5가지 문항은 IoT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속성에 포함 되 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제어: 수면무호흡, U-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 컨셉가치, 만족속성, 컨셉스코어

○ ○○

○ ○○

○ ○○

접수일(2017년 월 일), 수정일(1차: 2017년 월 일), 게재확정일(2017년 월 일) *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서비스디자인루트 석사 ** 한국디자인진흥원 선행디자인PD 주임연구원 ***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서비스디자인루트 부교수

277


서비스연구, 제2권 제1호, 2012. 3 1. 서론

및 만족에 대한 속성을 정리하였으며 서비스 제공자 집단을 대상으로 스코어모델(Score Model)과 컨셉포 지션(Concept Position)을 이용하여 성공가능성 및 매

1.1 연구배경

력도, 실행가능성의 우선순위를 정리하였으며 두 집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디자이너의 역할과 역량도

단의 연구결과를 비교한 내용을 대상으로 상호 느끼

다변화 하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산업에서 새로운

는 컨셉에 대한 가치를 비교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실

시각과 관점으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 할 수 있는

효성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함이 본 연구의 최종 목

디자이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적이다.

기존의 기술 중심적 산업구도에서 경험과 인문학 중

2. 이론적 배경

심적 사고를 요하는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는 현실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2.1 수면무호흡의 특징 및 시장의 추이

사례 연구를 통하여 성공적인 서비스모델을 구현하 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기존의 대부분의 서비스 디자인 연구에 있어 가설을 평가 하는 경우 디자이

수면무호흡 증상은 피로감, 기억력 감퇴를 유발

너들의 직감에 의존하여 진행 하는 경향이 대부분이

시키고 심할 경우 우울증이나 돌연사의 원인이 된

다. 그리고 서비스디자이너, 개발에 참여하는 집단

다. 건강한 수면 생활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그리고 고객이 느끼는 서비스디자인 가설에 대한 가

위해서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치료를 위한 치료기기

치가 상호간 상이한 현상도 대부분으로서 의사 결정

의 개발과 대중화가 필수적이나 수면무호흡 환자 대

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이 전무 한 것도 서비스디자

부분이 자신의 증상에 대한 심각성을 모르고 있고,

인 연구 분야의 현실이다. 따라서 서비스디자이너가

치료기기를 이용한 적극적인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제시한 디자인 컨셉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

인지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초고령화 사

할 수 있는 방법과 기준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

회 진입에 따른 수면무호흡 환자의 지속적 증가하고

실이다.

있고 국내성인 인구 중 대략 1,000만명 정도가 습관 적으로 코를 고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에서 약 10만 명 정도가 수면무호흡 환자로 추정된다. 미

1.2 연구목적

국의 경우 수면과 관련된 질병이 인구의 상당수 (미 본 연구에서는 수면 무호흡환자에게 다양한 IoT

국 통계에 의하면 불면증의 경우 인구의 30%, 무호

기반 U-헬스케어 및 사용자 환경기반 서비스 개발을

흡증은 1% 정도)에 이르고 있는 점에서 수면상태를

사례연구로 진행하고 이에 대한 실효성 있는 서비스

정확하게 분석하고 진단하는 수면관리 시장은 꾸준

디자인 모델을 최종적으로 제시함이 목적이다. 그리

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Statistics on

고 서비스제공자와 서비스수혜자 집단을 나누어 컨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셉 가치평가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과학적이고 객 2.2 카노(Kano)만족도

관적인 컨셉 평가 방법을 제시함이 주요 목적이다. 그리고 서비스 디자인 모델을 최종적으로 제시함에 있어 더블다이아몬드 방법론을 이용하여 서비스 수

Kano(1984)는 모델의 품질 속성요소를 분류하기

혜자에게는 KANO검증방법을 통하여 서비스 품질

위하여 설문조사법을 제안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278


Design Concept Value Competitive Research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Receiver

긍정적 , 부정적 질문으로 구성되어있다. Table. 1은

는 것이며 제품의 성능이나 음식의 맛 같은 서비스

수면무호흡 IoT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설문

의 기본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품질요소이다.

지 조사방법으로 아래의 도표를 기반으로 품질을 평

④ 매력적(Attractive)

가하고 아래와 같이 만족도 속성을 정리한다.

기대를 훨씬 초과하는 만족을 주는 요소로서 감동을

: 기대했던 것이라도 고객의

(Lim, 2010)

이끌어 내는 품질요소 이다.

<Table 1. KANO Questionnaire Design Sample>

일으키거나, 불충족한대도 만족을 주거나 하는 품질

⑤ 역품질 (Station quality) : 충족되었는데도 불만을 요소 이다.

만약 병원에 내원 전 수면 무

긍 정

부 정

⑥ 회의적 (Skeptical) : 고객이 기대하고 있는 속성

호흡 증상을 본인이 직접 진 단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 받 는다면 어떻게 느끼시겠습니

까? 만약 병원에 내원 전 수면 무

좋 연

다 하

호흡 증상을 본인이 직접 진

단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 받

인지 여부가 불분명한 품질요소 이다.

하 는 수 없

2.3 카노(Kano)결과해석

고객만족계수를 이용하여 고객의 요구사항이 충

지 않는다면 어떻게 느끼시겠 습니까?

족되었는지 알 수 있는 만족계수와 요구사항이 충족

<Table 2. KANO Evaluation Table>

되지 않았을 경우 생기는 불만족계수를 분석 한다.

불충족

좋다

충족

좋다

당연

하다

관심

없다

할수

없다 싫다

부정 질문 답변 당연 관심 할수

이는 고객이 제품 및 서비스를 접하였을 때의 만족 도를 알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하여 품질특성 분류

싫다

하다

없다

없다

회의적

매력적

매력적

매력적

일원적

역품질

무관심

무관심

무관심

당연적

역품질

무관심

무관심

무관심

당연적

역품질

무관심

무관심

무관심

당연적

역품질

역품질

역품질

역품질

회의적

표로 보여 주게 된다. (Lim, 2010) <Table 3.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Calculation> A O M I

매력적 일원적 당연적 무관심

품질로 품질로 품질로 품질로

응답한 응답한 응답한 응답한

수 수 수 수

 S(만족계수) =    

① 무관심(Indifferent) : 충족상황이 충족되거나 불충

 D(불만족계수) =      

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만족은 물론 불만도 일으키 지 않는 요소이다.

② 당연적(Must-Be) : 최소한 당연히 있을 것으로 생 각되는 상품의 기본 기대 사항을 의미. 충족 시 당 연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별다른 만족감을 주지 못하는 반면, 불충족시 불만을 일으키는 품질요소 이다.

③ 일원적(One-Dimensional) : 충족도를 높임에 따라 제품의 만족도와 함께 상승. 고객이 항상 원하고 있

279


서비스연구, 제2권 제1호, 2012. 3 표별 가중치를 적용한 점수로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법론이다. (Almaden Design Research, 2016) <Table 5. Weighted Scoring Model Template> 컨셉 구분

아이 디어

1 2 3

<Fig 1.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2.4

가 가 가 가 가 편 중 효 중 비 중 관 중 지 중 의 치 과 치 용 치 리 치 속 치 0.2 0.2 0.2 0.2 0.2

2.6 컨셉포지션(Concept Position)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Potential

컨셉포지션(Concept Position)은 대상의 매력도와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실행가능성에 대한 가중치를 평가하는 방법론으로써 현재의 고객만족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고객만족

해당 서비스에 대한 현실성 및 고객 욕구 충족, 실

계수에 적용시켜 고객의 만족도가 어느 정도 개선될

행 비용, 지속 가능성, 서비스 파급력 등 을 이해관

수 있을 것인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잠재적 고객

계자 입장에서 평가를 하여 실행 난이도 및 시장의

만족지수이다. (Lim, 2010)

매력도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법론이다. (Almaden Design Research, 2016)

<Table 4.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P S D L

Max Min

현재의 만족 위치 만족계수 불만족계수 현재의 만족수준 현재 만족도 수준의 설문 척도 중 가장 큰값 현재 만족도 수준의 설문 척도 중 가장 작은 값

    ×              <Fig 2. Concept Position Template> 2.5 스코어모델(Score Model) 2.7 더블다이아몬드(Double Diamond)연구 Score Model은 간단하며 직관적으로 속성을 평가 더블다이어몬드(Double

할 수 있는 모델로써 대상의 성공 가능성을 전략 목

280

Diamond)는

발견


Design Concept Value Competitive Research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Receiver

(Discover),

정의(Define),

발전(Develope),

4.1 서비스맥락(Context)연구

전달

(Deliver)의 단계로 내용의 확산과 축소를 반복하며 창의적인 해결법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이다.

앞서 연구한 동행관찰법을 통하여 도출한 현상

(IDEO, 2014)

을 기반으로 U병원 이비인후과 수면클리닉 내원환 자를

중심으로

심층인터뷰와

친화도법(Affinity

Diagram)을 이용하여 fig. 4와 같이 서비스청사진 및 사용자 여정지도(Journey Map)를 정리하였다. 도출과 정에서 유형별 환자 분류 및 특징을 알 수 있었는데 유형별로 정보의 부족, 비용의 문제, 자가진단 등의 내용이 주된 이슈로 도출되었다. <Fig 3. Double Diamond Research Method>

3. 연구방법 본 연구는 U병원 이비인후과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더블다이아몬드 방법을 적용하여 발견 단 계에서는 동행관찰법(Ethnography)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필드 리서치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면무 호흡 환자의 Issue 및 Pain Point를 도출하였다. 이것 을 바탕으로 서비스블루프린트 및 사용자 여정지도 (Journey Map)를 작성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수면 무 호흡환자의 특징 및 유형을 정리하고 환자 유형별 Persona를 작성한 뒤 1차 서비스디자인 가설 안을 설정하여 이를 고객 만족도 분석을 위한 카노(Kano)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해관계자들인 공 급자 집단에게도 서비스 가설 안을 통한 스코어모델 (Score Model) 및 컨셉포지션 (Concept Position)을 실시하였고 카노 설문 결과물과 SC설문 결과물을 비 교 분석하여 서비스 제공자 와 서비스 수혜자 간에

<Fig 4. Service Blueprint>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치에 대한 결과를 비교 및 분 석하고 구체적으로 무엇이 유사했으며 무엇이 달랐

4.2 서비스디자인 모델 구체화

는지에 대한 제언을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동행관찰법 및 사용자 여정지도(Journey Map)를

4 연구내용

통하여 도출한 내용을 기반으로 서비스디자이너 5명

281


서비스연구, 제2권 제1호, 2012. 3 은 개념 정립을 위한 키워드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는 “전문 수면클리닉 정보 제공 서비스”, 진료과

디자인을 위한 가설을 구축하기 위함이었다. 구체적

정 안내 문자 서비스 등 12가지 디자인을 제안하였

으로 도출한 키워드는 증상 인지, 정보 전달, 접근,

다. 그리고 IoT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디자인에 관

성, 편의, 위생, 지속적인 고객관리 6가지 이슈의 키

련된 서비스시나리오와 환경기반의 제품-서비스 시

워드를 도출하였으며 각각의 이슈를 잠재 환자, 인

나리오로 구분하여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지환자, 사용성, 의료 환경으로 구분하여 4가지의 관 점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디자인 가설 안 (HMWs(How Might We))을 구축하였다.

<Fig 7. Service Design Hypothesis Model Examples> <Table 6. Service Design Hypothesis Model> <Fig 5. Ideation and HMWs specification >

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Fig 6. Keywords deriving for design direction>

디자인 컨셉 증상인지 체크 서비스 전문 수면클리닉 정보 제공 서비스 진료과정 안내 문자 서비스 양압기 정보 안내 팜플렛 양압기 사용 방법 메뉴얼 개인 맞춤형 호흡 마스크 정리 보관 안내 서비스 휴대성을 극대화 시킨 양압기 가방 세척방법 안내 서비스 쉬운 수면데이터 읽기 서비스 원격진료 서비스 업데이트 제품 안내 서비스

5 서비스디자인 모델분석

디자인 가설안(HMWs)내용을 바탕으로 디자이너 5 명에서 2주간 12가지 디자인을 아래 Fig. 7과 같이 서비스 시나리오 시각화 작업을 진행 하였으며 서비

5.1 카노(Kano)만족도 분석

스디자인 내용으로는 환자 스스로 셀프 진단이 가능

앞서 도출한 디자인 안을 중심으로 2017년 10월

한 “증상인지 체크 서비스, 증상인지 레코딩

17일부터 한 달간 수면카페 동호회 회원 100명을 대

(Recording)서비스”, 주변 병원 정보를 쉽게 알려주

282


Design Concept Value Competitive Research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Receiver

상으로 여성사용자 66명 남성사용자 34명을 대상으 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를 실시한 수면카페 동 호회는 2006년에 개설되었으며 회원 수 20000명으로 하루 방문객 800명에 달하는 한국 최대의 수면무호 흡 카페이며 수면 무호흡 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가장 최신자료들이 올라오는 카페이다.) 문항은 가설에서 제안한 12개 문항으로 긍정과 부정으로 나누어 설문지를 디자인 하였고 각 컨셉의 고객만족계수를 산출하여 PCSI(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결과를 도출하였다. <Fig 8. Weighted Scoring Method Evaluation>

12가지 만족 속성을 평가해본 결과 증상인지 체크 서비스 와 진료과정 안내 문자 서비스의 만족의 매 력지수 및 만족 개선 지수가 높았으며 양압기 정보 안내 팜플렛 서비스 와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업데 이트 제품 안내는 고객들에게 무관심의 요소로 구분 되어 제외 하여 서비스 만족도 유형을 Table 7과 같 이 내용을 정리 하였다. <Table 7. Design Concept Service Attributes By Several Types Of Customer> 품질 1. 증상인지 체크 서비스 2. 전문 수면클리닉 정보 제공 서비스 3. 진료과정 안내 문자 서비스 4. 양압기 정보 안내 팜플렛 5. 양압기 사용 방법 메뉴얼 6. 개인 맞춤형 호흡 마스크 7. 정리 보관 안내 서비스 8. 휴대성을 극대화 시킨 양압기 가방 9. 세척방법 안내 서비스 10.쉬운 수면데이터 읽기 서비스 11.원격진료 서비스 12.업데이트 제품 안내 서비스

요인 매력적 매력적 매력적 무관심 일원적 매력적 매력적 매력적 매력적 매력적 매력적 무관심

<Fig 9.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Fig 10. Customer Satisfaction of coefficient and

283


서비스연구, 제2권 제1호, 2012. 3 <Table 9. Concept Position Evaluation>

Current Satisfaction position>

서비스항목 1 2 3 4 5 6 7 8 9 10 11 12

5.2 스코어모델(Score model)분석 12개의 컨셉을 대상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해 관계자 15명을 대상으로 Scoring Model 평가를 하였 으며 평가 결과 5점(도움이 된다) 이상 점수를 얻은 컨셉을 유효한 컨셉으로 간주하며 컨셉 포지션 맵 평가와 종합하여 활용하기로 하였다. 설문에서 가중 치는 동일하게 0.2로 진행하였으며 스코어의 점수는 강력한 대안이 된다. 9점, 상당히 도움이 된다. 7점,

Benefit 점수 11.3 10.3 11.3 10.8 11 8.4 10 9 10.6 11.4 9.2 10.3

Benefit 가중치 9% 8% 9% 9% 9% 7% 8% 7% 8% 10% 7% 8%

도움이 된다. 5점, 약간 기여 가능하다 3점, 효과가 의심스럽다 1점으로 진행 되었다. 그리고 스코어 모 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연구 내용으로는 컨셉 4번 의 종합 점수가 현저히 낮으며 나머지 11가지 컨셉 은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8. Weighted Scoring Method Evaluation> 컨셉

1 2 3 4 5 6 7 8 9 10 11 12

가 편 중 효 의 치 과 0.2

6.7 6.5 7.3 4.7 5.9 6.3 5.9 6.1 6.7 7.1 7.2 5.8

6.1 5.8 6.5 4.7 5.4 6.1 5.4 5.3 6.2 6.9 6.7 5.2

가 가 가 가 중 비 중 관 중 지 중 종합 치 용 치 리 치 속 치 0.2 0.2 0.2 0.2

5.0 5.4 5.9 3.2 4.9 3.9 4.9 4.0 5.3 5.7 5.0 4.7

5.7 5.0 5.5 2.7 4.7 4.2 4.3 3.7 5.5 5.7 5.1 4.4

4.9 5.1 6.0 3.5 5.1 4.5 4.2 3.4 5.2 5.7 4.7 4.8

5.7 5.6 6.3 3.8 5.2 5.0 5.0 4.5 5.8 6.2 5.8 5.0

<Fig 11. Concept positioning evaluation result> 컨셉포지셔닝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연구 내용으 로는 컨셉 6번 항목의 점수 및 가중치가 현저히 낮 으며 나머지 11가지 컨셉은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3 컨셉포지션(Concept Position)분석

6. 연구결과

12개의 컨셉을 대상으로 컨셉 포지션 맵(Concept Position)평가를 진행 하였다.이를 통해 Benefit 가중

가설로 제시한 12가지의 컨셉을 수혜자(고객)를

치가 산출되었으며 결론은 아래와 같다.

대상으로 카노 만족도제공자(공급자)를 대상으로 스

284


Design Concept Value Competitive Research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Receiver

코어모델 과 컨셉포지셔닝 분석을 진행한 결과“증

정보 안내

서비스

상인지 체크 서비스”, “진료과정 안내 문자 서비

팜플랫

7.전문

스”, “쉬운 수면데이터 읽기 서비스”, “전문 수 면클리닉 정보 제공 서비스”, “업데이트 제품 안

7

내 서비스”5가지 문항은 수혜자와 제공자가 느끼는 가치가 동일한 선상에 있었으며“개인 맞춤형 호흡 8

마스크”, “정리 보관 안내 서비스”, “원격진료 서비스”, “세척방법 안내 서비스”, “휴대성을 극

9

대화 시킨 양압기 가방”, “양압기 사용 방법 매뉴

수면클리닉 정보 제공 서비스 8.세척방법 안내서비스 9.휴대성을 극대화시킨

10.양압기 매력적

집단에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하여 도출

10

한 제언은 사용자 환경기반 서비스모델은 수혜자와

사용 방법

매력적

매력적

헬스케어 서비스 모델은 가치적 견해의 양 집단이

11

대체적으로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트 제품 안내

일원적

무관심

서비스 12.양압기

<Table 10. KANO Questionnaire, SC

12

Questionnaire Comparative Evaluation> 우 선

카노 (Kano)

설문 결과

위 1

1.증상인지 체크서비스

(Kano) 품질 특성

안내 문자

매력적

맞춤형

매력적

수면데이터

매력적

매력적

읽기서비스

보관

매력적

안내서비스 6

6.원격진료

안내 문자

수면데이터

1.증상인지 체크 서비스 8.세척방법 안내 서비스

매력적

수면클리닉 정보 제공 서비스 12.양압기

6.원격진료 서비스

3.개인 맞춤형 호흡 마스크

매력적

매력적

무관심

극대화 시킨

매력적

양압기 가방

특성

본 연구는 양압기 사용자 환자를 대상으로 서비 매력적

스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가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치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 행 하였다. 구체적 연구 방법으로는 더블 다이아몬

매력적

드를 방법을 기준으로 카노(Kano)만족도 평가 및 SC(Score model, Concept Position)만족도 방법을 적 용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매력적

진행하면서 개발 단계에서는 고객이 사용자 환경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서비스에 더욱 많은 가치의 가중 치를 둘 것이라 생각하였으나 IoT기반 U-헬스케어

매력적

기반을 둔 서비스에 더욱 가중치를 둔다는 것을 알

7.전문

5.정리 5

설문 결과

무관심

7. 결론 및 논의

품질

읽기 서비스

호흡마스크 4.쉬운 4

Position)

(Kano)

서비스 4.쉬운

서비스 3.개인 3

model, Concept

제품 안내

매력적

9.휴대성을

팜플랫

2.진료과정

2.진료과정 2

SC (Score

정보 안내

5.정리 보관 안내 서비스 11.업데이트 서비스

매뉴얼 11.업데이

공급자 사이에서의 가치적 견해는 상이한 반면 U-

일원적

매뉴얼

양압기가방 10.양압기

얼”, “양압기 정보 안내 팜플렛”7가지 문항은 양

사용 방법

수 있었고 고객의 유형도 연령이 낮아짐에 따라 일 반적 고령 고객에서 프로슈머(Pro Sumer)형 고객으

매력적

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은 설문에 참여한 개발영역에 따라서

무관심

285


서비스연구, 제2권 제1호, 2012. 3 도 설문결과가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IoT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Management, vol. 38, Issue 2, pp.248-260, 2010

의 중요성에 비중을 둔 반면 마케팅 분야 종사자들

(임성욱 외 1명,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잠재적

의 의견은 환경기반의 다양한 제품 서비스모델을 선

고객만족 개선지수, 품질경영학회지, 2010.).

호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객만

[3] Almaden Design Research, “Korea Institute of

족도 평가 또한 매력적 서비스라고 평가를 하였기에

Design Promotion Changwon Industrial Complex

상위 개념에 있는 환경기반 서비스 내용도 개발의

Service Design Package Model

리스트로 고려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

Case study

Report,”2016

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서비스수혜자와 서비스제

(알마덴디자인, 한국디자인진흥원 창원산업단지

공자의 의견이 구체적으로 동일한 점과 상이한 점을

서비스디자인 패키지 디자인 사례연구 보고서,

서비스디자인 연구 분석 방법에서 새롭게 제시하여

2016.).

과학적으로 검증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4] IDEO, “Design Thinking Toolkit for Educator, ”

고 생각하고 관련한 다양한 연구 노력이 필요 할 것

2014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으로 사료된다.

Reference

2014.). ※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

[1] Statistics 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업 중 수면건강 증진을 위한 IoT 개인맞춤형 헬스케

(식품의약품 안전처 통계자료, 2014.).

어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사업(2017)의 일환으로 진행

[2] SU Lim, YT Park,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되었습니다.

Improvement Index based on Kano Model,”

Lee, SangKi (kodobeasts@naver.com) Lee

SangKi

who

holds

a

Bachelor’s

degree

in

Industrial

design

from

Dongseo

University, he is currently pursuing his Master’s degree majoring in Service Design from the same university as well. During his undergraduate course, he has accomplished various

experiences

and

remarkable

academic

achievements.

In

particular,

he

had

worked with the Radio Security Center in Nampo-dong Busan, the Patent Office, LG Serveone, Ssangyong Motor, KIDP and the list goes on. He seeks to advance his profession by becoming a medical service design expert after achieved his Ph.D.

286


Design Concept Value Competitive Research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Receiver

Chung Joo young (babyrio@kidp.or.kr) She is an assistant manager in KIDP(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She has various research experiences in government R&D project like ‘design strategy 2020’, ‘Design of the Future: future envisioning of robot’, ‘Public service design roadmap R&D for Kyunggi Province’, Through crowd sourcing, developing business model based on consumer needs’. She also participated in the service design project ‘Design Dive’ from 2011 to 2014 as an organizer.

Lee, Sung Pil (sungplee@gdsu.dongseo.ac.kr) He has various practical and research experiences related to Industrial design and Service design. In addition he has made a distinguished career at the design team of Mailing System at USPS - Pitney Bowes, Inc. US Connecticut US and LG Electronics Design Center at both of North America Operation and Seoul, Korea. Since 1998 to 2000, he taught as Adjunct Professor at University of Bridgeport in Industrial Design Major. He received a B.S. of Industrial design and an M.S. of Mechanical Engineering from University of Connecticut, Bridgeport. He completed Ph.D. course from both Chiba University, Japan an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 the major of Design Manufacture Engineering.

287


서비스연구, 제2권 제1호, 2012. 3 Design Concept Value Competitive Research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Receiver

Lee Sang Ki*· Jung Ju Young**· Sung Pil Lee***

ABSTRACT ㄴ

As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lue of design concept between service provider (Developer) and service receiver (Customer) group,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service model focused o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based on U-health care and user environment. Double Diamond-based methods led to a case study that conducted jointly by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in U hospital, Ulsan. By targeted on Sleep Apnea patients from the stage of diagnosis to CPAP treatment, variety of meaningful experiences have been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of customers. In the final analysis of the 13 service scenario models, Kano Satisfaction and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PCSI) were conducted with the customers, yet Score Model and Concept Position were evaluated by the service provider groups who engaged in development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7 items in the total of 12 items reached a consensus of viewpoint on value between service receiver and service provider, which the attributes of the service model are based on user environment. Whereas the other 5 items showed the divergent viewpoint on value which included the attributes of U-healthcare service model.

Keywords: Sleep Apnea, U-Health Care, Service Design, Concept Value, Satisfaction Attributes, Score Model

288


289

Scanned by CamScanner


290

Scanned by CamScanner


20대 여성 싱글족을 위한 스탠드형 무드조명 디자인에 관한 연구 Design ㅇevelopment of Mood Lamp of Stand Type for Singles of Twenties Ladies 윤주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강범규(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산업디자인과 Yun, Ju Yeon_Graduate School of Design in Dongseo University / Kang, Bum Kyu_Graduate School of Design in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싱글족

1.1. 연구배경 및 목적

조명

한국은 싱글족 500만 시대를 앞두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인 가구의 비율은 2016년

인테리어

현재 전체의 27.6%에 달한다. 최근에는 1인가구의 증가로 20~30대에서도 자신만의 공간을 직접 꾸미는 홈 인테리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전월세 비중이 높은 20대는 집 꾸미기에 제약이 있다. DIY 인테리어의 인기로 도배도 셀프로 하는 인구가 늘어나기도 하

Keyword single

지만 큰 인테리어 시공이 부담스럽다면 간단한 소품인 조명을 활용해 인테리어에 큰 변화를 줄 수도 있다. 조명은 큰 돈 들이지 않고도 공간과 집 주인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인테리

lamp

어 소품 중 하나로 좁은 공간을 아늑하고 안락하게 만들어주는 최고의 아이템이다1). 본 연구

interior

에서는 시공을 따로 하지 않고도 인테리어 효과를 낼 수 있는 싱글족을 위한 인테리어 무드 조명을 디자인한다. 조명은 ‘인테리어의 핵심’이라고 불릴 정도로 인테리어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과거에는 주로 조명의 기능적 측면을 고려해 불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했다면 현재 는 조명이 가진 분위기 연출 특성이 주목받고 있다2).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플

1.2. 연구방법 및 범위

러스 해양디자인 인력양성사업

본 연구는 원룸에 거주하는 싱글족 20대 여성을 대

팀에 의해 지원되었습니다.

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싱글족의 라이프스타일과 인테리어 수 요 증가에 대해 알아보고 스탠드형 무드조명 디자인 조사를 하였다. 온라인 시장조사를 통해 기존 제품 분석을 한 뒤, 소비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소비자 욕 구와 구매결정요소를 도출한다. <그림1> 연구 프로세스

2. 이론적 고찰 2.1. 싱글족 Life style 싱글족은 21세기 새로운 소비자 그룹이며 당당한 트렌드 리더이다. 20~30대의 싱글족의 경 우는 현재지향형 소비 성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싱글족의 행동유형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나’를 위한 소비에는 아끼지 않는다. 이들은 자신들을 위한 지출에는 어느 정도 낭 비도 용인하며 새로운 제품을 사서 사용해 보는데 두려움이나 망설임이 적다. 또한 단순히 제 품을 구매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기개발 투자에도 소홀히 하지 않는다. 두 번째, 실용적이지만 계획적이지 않다. 싱글족들은 소비를 하는데 있어서 실용성을 많이 따 지는 편이다. 소형 가전을 선호하는 등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한다. 하지만 일반적 가구에 비해 계획적이지 않다. 쇼핑을 하나의 취미나 문화로 생각하는 싱글족 1) CCTV뉴스, 「인테리어의 완성은 조명! 실내 분위기 반전시켜줄 추천 아이템」, 2015 2) 넥스트 데일리, 「조명은 인테리어의 시작과 끝, 남영전구 “인테리어를 완성하는 조명”」, 2016

291


은 충동적으로 구매하는 성향이 강하다. 세 번째, 유행에 민감하다.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의 트렌드를 이끄는 그룹이 20~30대의 싱글 이다. 즉 트렌드 리더인 싱글족은 그 만큼 유행에 따라서 소비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들은 결 혼을 하여 가정을 꾸린 사람들보다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고 사교활동이 왕성하기 때문에 그 만큼 유행과 패션에 민감 할 수밖에 없다3). 2.2. 인테리어 수요 지난해에는 먹방, 쿡방이 인기였다면 올해는 싱글족, 셀프인테리어족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홈 퍼니싱, 집 인테리어를 주제로 한 방송 ‘집방’이 인기를 끌고 있다. 대표적으로 <내방의 품 격>, <헌집줄게 새집다오>등 저비용 셀프 인테리어에 초점을 맞춘 예능 프로그램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홈퍼니싱은 집을 의미하는 홈(Home)과 단장한다는 의미의 퍼니싱(Furnishing)이 합쳐진 말이며 가구나 조명은 물론 벽지나 침구, 카펫,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집을 꾸미는 것 을 뜻한다. 홈퍼니싱은 셀프 인테리어로 유명한 글로벌 기업 이케아가 국내에 진출한 지난해 부터 주목 받기 시작했고 한샘이나 이마트 등 국내 가구, 유통업체들이 앞 다퉈 홈퍼니싱 시 장에 진출하면서 올해부터 본격적인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홈퍼니싱 시장 이 빠르게 성장한 배경에는 1인 가구, 나홀로족이 증가한 영향이 크다. 3. 스탠드형 무드조명 디자인 조사 3.1. 조명 기구의 종류 <표1>는 조명의 종류를 특징으로 분류하였다. <표1>조명 기구의 분류 및 특징 직접 조명

실링 라이트

펜던트

천장에 딱 붙게 설치하는 조명으로

부분적인 공간에 포인트를 주는

대부분 심플한 디자인이며 방 전체를

조명이다. 천장에 달아 원하는 공간을

밝혀주는데 쓰인다.

비추도록 설치한다.

플로어 스탠드 키가 큰 디자인으로 거실이나 침실 등 넓은 공간에 사용한다.

간접 조명

스포트라이트

테이블 스탠드 스탠드는 테이블 등에 올려놓고 필요한 곳에 부분 조명과 장식 효과를 동시에 노리는 조명이다.

브래킷

노출식 할로겐 조명으로 방향과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벽면의 특정한 곳의

브래킷은 은은한 간접 조명으로 벽에

물체를 비추는 데 쓰이는 장식

장식적인 효과를 주기 위해 사용한다.

조명이다.

조명 기구는 직접조명과 간접조명으로 나눌 수 있다. 20대 싱글족의 주거 형태는 고시형, 원 룸, 오피스텔이 있지만 그 중 원룸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원룸은 인테리어 시공을 하 는데 제약이 많으므로 시공이 필요 없는 플로어 스탠드나 테이블 스탠드가 적절하다. 그 중 간접조명은 안락한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다.

3) 박기준. 「인지심리학적 측면에서 본 드럼 세탁기의 사용편의성에 관한 연구 컨트 롤 패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논문, 2008, pp.33 292


3.2. 전구 종류 <표2>는 전구의 종류와 장단점을 구분하였다. <표2> 전구 분류 및 장단점

백열 전구

장점

가격이 저렴하고 황색 계통으로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의 빛을 낸다.

단점

에너지 소모가 크고, 열이 발생하며 수명이 짧다.

장점 형광등

가격이 저렴하다, 수명이 백열등보다 8배정도 길다, 빛의 색상을 고를 수 있다, 차가운 느낌이 든다.

단점

장점

빛의 흔들림이 있어 눈을 피로하게 할 수 있다. 열에 강하여 높은 온도에서 더 밝은 빛을 내고 백열구에 비해 2~3배의 수명을 갖는다, 크기도 작고 가볍다, 부분조명 및 인테리어 조명으로 많이 사용한다, 전력소모가 적다.

종류 단점

할로겐

장점

발열량이 크고 절전 효과가 없다. 백열램프와 형광램프에 비해 절전효과가 뛰어나고, 더 밝고 깨끗한 빛을 가진다, 수명이 길고 발열량이 적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전원을 켰을 때 약간의 시간이 지나야 100% 빛이 난다,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그

단점

삼파장

소요시간이 짧아진다. 뛰어난 전기세 절감효과와 긴 수명으로 램프의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장점

다양한 형태와 색 온도가 존재한다, 발열이 적다, 빛 떨림 현상이 없어 눈 건강에 좋으며 유해물질이 발산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램프다.

단점

LED램프

초기비용이 비싸다.

침대 옆과 같은 휴식 공간에는 아늑한 오렌지색 조명이 좋고 빛 떨림이 없어야 하며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유용하다. 형광등 불빛을 은은한 LED 간접조명으로 교체하면 집 안 분 위기가 180도 바뀌는 효과가 있어 선호도가 높은 추세다. 3.3. 스탠드형 무드조명 시장조사에 따른 형태 분류 <표3>스탠드형 무드조명 형태 분류 구분

전구

형태 원형 반구 삼각형 사다리꼴 사각형 없음

<표3>는 스탠드형 무드조명 시장조사에 따른 특징

다양한 형태와 재질이 있고

월 27~30일까지 조사하였다. 스탠드형 무드조

있다.

명 시장은 디자인이 매우 다양하게 있어 크게 갓, 전구, 바디(기둥/바닥), 전원의 형태로 구분

대표적으로 백열전구,

반구

삼파장 램프, LED로 나눌

막대형

수 있다.

없음

다양한 재질이 있고 기둥의 유, 무로 나눌 수 있다.

삼각형 바디(바닥)

다양한 형태와 재질이 있다.

사각형

전구는 여러 가지로 호환 가능한 경우가 있으며 그 중 LED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바디는 다양 기둥 없이 바디와 갓이 결합된 조명, 바디만 있 는 조명으로 나눌 수 있다. 전원은 바디에 위치 한 경우와 전기선에 위치한 경우가 있으며 돌려

자유형

전원

전구가 노출되어있는 형태도 있었으며 재질은

한 형태와 재질이 있으며 기둥이 있는 조명과

원형

사다리꼴

되었다. 갓은 형태가 다양하고 갓이 생략되어 패브릭, 아크릴, 메탈, 플라스틱 등 다양하다.

원기둥

바디(기둥)

온라인 위주로 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16년 4

갓의 유, 무로 나눌 수

원형

사각형

디자인 형태 분류를 나타낸 것이다. 시장조사는

원형

전원이 위치한 경우가

타원형

다르며 다양한 전원방식이

사각형

있다.

서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 버튼방식, 터치방식 등의 전원방식이 있다. 따라서 시장에는 다양한 스탠드형 무드조명이 있음을 알 수 있다.

4. 연구조사 결과 4.1. 구매결정요소 조사 결과 스탠드형 무드조명 구매 시 고려하는 요소를 조사하기 위하여 스탠드형 무드조명에 대한 소 비자의 필요성 및 욕구를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6년 5월 4일부 293


터 5일까지 조사대상은 20대 여성 싱글족 7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내용은 컨텐츠 분석을 통하여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을 구체화 하였다. 그 내용은 <표4>와 같다. <표4>소비자 구매결정요소 Key World

구매결정요소 Key World 1.작은 조명 2.빛이 넓게 퍼지는 3.심플한 4.어디에 둬도 어울리는 5.알람 6.녹음 7.DIY 8.예쁘면서 싼 것 9.보통 사이즈 10.무채색 11.저렴한 가격 12.아늑한 13.조명 밝기 14.오래 쓸 수 있는 15.비싸지 않은 16.귀여운 17.인테리어 소품 역할 18.은은한 19.흰색/주황색 빛 20.따뜻한 느낌 21.향기 22.노래 23.책꽂이 24.전기세 25.스칸다니비아 26.깨끗해 보이는 27.밤에 잘 때 필요한 기능 28.넘어져도 깨지지 않는 29.안전한 30.너무 크지 않은 31.엔틱한 32.포근함 33.방이랑 어울리는 34.취침 시 끄고 자기 편한 35.라디오 36.분위기 좋은 37.이동이 쉬운 사이즈 38.너무 싸지도 비싸지도 않은 39.깔끔한 40.파스텔 톤 41.방의 크기에 맞게

4.2. 구매결정요소 군집화결과 구매결정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정성적 군집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구매결 정요소를 군집화한 결과 디자인, 가격, 크기, 내구도, 빛(분위기), 기능요인 6가지로 함축되었 다. <표5>구매결정요소 디자인 가격 크기 내구도 빛(분위기)

방이랑 어울리는, 어디에 둬도 어울리는, 인테리어 소품 역할, 귀여운, 깔끔한, 심플한, 엔틱한, 스칸다니비아, 무채색, 파스텔 톤 너무 싸지도 비싸지도 않은, 전기세, 예쁘면서 싼 것, 저렴한 가격, 비싸지 않은 작은 조명, 보통 사이즈, 이동이 쉬운 사이즈, 방의 크기에 맞게, 너무 크지 않은 넘어져도 깨지지 않은, 안전한, 오래 쓸 수 있는 빛이 넓게 퍼지는, 흰색/주황색 빛, 따뜻한 느낌, 분위기 좋은, 아늑한, 포근함, 은은한, 깨끗해 보이는,

기능

조명 밝기 알람, 녹음, DIY, 노래, 라디오, 향기, 책꽂이, 밤에 잘 때 필요한 기능, 취침 시 끄고 자기 편한

5. 결론 싱글족의 증가로 20~30대에서도 인테리어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전월세 비중이 높은 20대는 큰 시공보다는 간단하면서 효과가 있는 무드조명을 선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심층인터뷰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소을 도출하였다. 도출 되어진 구매결정요소는 다시 한 번 사용자에게 어떤 요소가 더 중요한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기존 스 탠드형 무드조명에 대한 장단점등을 파악하여 새로운 디자인 컨셉을 도출 할 것이다. 이렇게 도출 되어진 디자인 컨셉을 반영한 디자인 구체화 작업을 진행하고, 최종 디자인개발이 이루 어 질 것이다. 참고문헌 아시아경제,「‘셀프 인테리어’시대 활짝, 관련주 동향은?」, 2016 브릿지경제viva100,「‘집방’이 대세…주식시장에 불어오는 홈퍼니싱 열풍」, 2016 NextDaily,「조명은 인테리어의 시작과 끝, 남영전구“인테리어를 완성하는 조명”」,2016 http://ez-design.co.kr/rb/?m=bbs&bid=news&uid=57 http://blog.naver.com/koreafund?Redirect=Log&logNo=220535677528

294


해양 생태계를 고려한 해양 쓰레기 재활용 방안 Marine Debris Recycling Plans Considering Marine Ecosystem 윤주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Yun, Ju Yeon_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Busan, Korea

중심어

1. 서론

해양 쓰레기

1.1. 연구배경 및 목적

폐그물

국가적 차원에서의 바다에 대한 부가가치성이 커짐에 따라 해양에서 얻어지는 많은 기대효과

컵 홀더

를 바라고 있다. 해양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는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

업사이클링

가 크다. 그러한 가치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다에 버려지는 쓰레기가 해양 생태계 를 위협하고 있다. 그 위협은 경제적 피해는 물론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Keyword Marine litter Waste fishing nets Cup Holder Upcycling

미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안에서 발생하는 해양쓰레기는 연간 17만 7000t에 이른다고 발표하였다. 현재 수거되지 않고 수중에 쌓인 쓰레기는 13만 8000t에 달하 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최근 10년간 해양 폐기물 수거량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해양폐기물 은 2005년 1397톤에서 2014년 3432톤으로 2.5배 증가했다고 말하며, 특히 10년 동안 수거 된 폐기물 3만 3357톤 가운데 폐그물이 2만 5242톤으로 전체의 75.7%를 차지할 만큼 폐그 물의 양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폐그물은 분해되기까지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 폐그물 로 인해 해양오염은 물론, 생태계가 파괴되고 여러 인명사고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3조③ 제목과 저자, 소속

본 연구는 해양 생태계를 고려하기 위해 해양쓰레기의 업사이클링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 서

정보는 반드시 한글과 영문으로

비스 제안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양 폐기물 중 비중이 가장 많은 폐그물을 업사이클링 하

작성하며 직위는 생략한다.

여 사람들에게 제공할 것이다. 이로 인해 사람들에게 환경보호에 일조한다는 인식을 심어줄

(영문 저자 정보는 성이름소속

뿐만 아니라 폐그물의 양도 줄이고 해양오염문제와 함께 해양생물, 사람 등 여러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순서로 입력한다.) 제3조④ 영문제목에서 모든 명사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2. 현황 분석 2.1. 폐그물 현황 2.1.1. 정책 대응방안

제3조⑤ 저자가 복수일 경우, 제1저자, 제2저자, 제3저자…

폐그물이란 물고기 잡이나 양식 등의 용도로 사용하다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그물이다. 폐

순서대로 나열한다.

그물은 양심 없는 어부들에 의해 버려지기도 하지만 자연재해나 어업활동 중 유실되는 경우

단, 교신저자일 경우엔 저자명

가 많다. 그물 소재는 대부분 합성수지인 나일론이다. 나일론 등 합성수지가 원료인 그물의

뒤에 (교신저자)로 표기한다. 영문 저자 정보에는 교신저자를 표기하지 않는다.

수명은 반영구적이지만 조업을 하다 보면 엉키거나 끊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실제 그물 의 수명은 짧게 3개월, 길게는 2~3년 정도이다. 그러나 나일론 어구는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는데 수백 년이 걸리고, 연간 국내에서 발생하는

저자가 2명 이상일 경우 로 저자

폐어구 유실량은 4만4천 톤에 달한다고 한다. 이렇게 유실된 어구는 수산 피해와 해양 생태

정보를 구분한다.

계오염을 유발하는 악영향이 크며 어구 등 해양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해 매년 100억 원 이상

이때, 가독성을 고려하여 구분

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하지만 폐그물을 수거한다 하더라도 폐그물 적치장은 혐오시설인

표시자  다음에서 를 눌러 줄바꿈을 해도 된다.

데다 쓰레기가 뒤섞인 폐그물을 쌓아두면 심한 악취를 풍기며 파리가 생기기 때문에 적치장 의 위치선정도 쉽지 않다.

295


2.2. 폐그물로 인한 피해 바다에 버려지는 그물은 골칫거리로 여겨

표 1. 부유물 등에 의한 해양사고 현황 사고종류

조타장치

연도 2011 2012 2013 2014 계

손상 37 37 27 56 157

안전 저해 176 191 151 165 683

추진축계 손상 49 55 35 33 172

진다. 폐그물로 인한 피해는 유령어업, 다 이버 사고, 선박 사고 등 여러 사고가 있 다. 유령어업이란 바다에 버려진 폐어구와 폐어망에 물고기가 걸려 죽는 것을 뜻한 다. 폐그물에 갇힌 물고기가 죽어서 썩으

면 이를 포식하기 위해 다른 개체들이 그물 안으로 들어가 갇히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 뿐 만 아니라 물고기가 부패하면서 바다오염이라는 더 큰 문제를 불러온다. 정부는 유령어업으 로만 매년 약 3천 7백여 억 원의 수산업 피해와 해양 생태계 훼손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간 수산물 어획량의 약 10%가 유령어업으로 사라지는 꼴이다. 또한 폐그물이 암초나 산호초를 덮을 경우 산란장을 파괴할 수 있으며 어린 물고기는 분해되고 있는 폐그물을 먹고 폐사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여름 피서 철마다 스킨스쿠버를 즐기는 다이버들이 증가하 고 있는 가운데 바다 속에 버려져 있는 폐그물이 스킨스쿠버들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 해양 수산부와 지자체는 매년 폐그물 수거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20~30m 가량의 깊은 바다 속의 폐그물 수거작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스킨스쿠버 다이버들 이 해양레저의 묘미를 느끼기 위해 주로 깊이 20~30m 바닷물 속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 스 킨스쿠버 활동 중 해류에 따라 흘러 다니는 폐그물에 발이 걸려 목숨을 잃는 경우가 생겨나 고 있다. 또한 섬 근해 바닷길이 폐그물과 어구 등 ‘바다의 싱크홀’ 때문에 위협받고 있다. 배 의 추진기에 폐어구가 걸리면 갑자기 엔진이 정지하고, 이 순간 측면에서 큰 파도를 맞으면 전복될 위험성이 있어 안전운항에 지장을 주고 있다. 최근 4년간 부유물 등에 의한 해양사고 1012건 가운데 폐그물에 의한 안전사고가 67.5%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폐그물은 여러 생 명을 위협하고 있다. 이로써 제품을 디자인하기보다는 생태계를 구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2.3. 업사이클링 디자인 최근 리사이클의 진화 단계인 업사이클 디자인 제품들이 속속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버려 지는 폐기물이 디자이너의 손을 거쳐 감각적인 아이템으로 재탄생 되는 과정은 ‘버리는 것’에 대한 생각과 인식까지 바꾸고 있다. 또한 환경그림 2. 을 생각하면서도 디자인적인 요소는 뒤처지지

업사이클링 사례. 출처: “쓰레기로 만든 가방이 필리

핀 빈곤 가정에 희망이 됩니다”. 임효정, 2016, 뉴스토마토 / 사회공헌에 앞장서는 COOL한 브랜드들, 착한명품? 케이트

않아 새로운 트렌드 아이템으로 각광받고 있다.스페이드.

2011.(웹 블로그) / 프라이탁 홈페이지

업사이클링 제품은 세상에 단 하나뿐인 타이틀 로 희소가치가 있다. 그리고 업사이클링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환경보호에 대한 책임과 시민 의식을 전파하고 있다. 이렇듯 본 연구는 폐그물을 업사이클링하여 사람들에게 환경보호 의 식을 전파할 것이다. 3. 디자인 제안 3.1. 콘셉트 도출 오늘날 해변 주변에는 테이크아웃 전문 카페들이 많이 생겨났으며 편의점에서도 일회용 플라 스틱 용기에 얼음을 넣어 음료를 판매하는 등 테이크아웃 음료의 소비가 크게 늘고 있다. 다 음 (그림 2.)는 흥국에프엔비 음료 제조업체의 월별 매출액이다. 전문적으로 음료를 판매하는 흥국에프엔비 매장의 월별 매출액 조사에 따르면 카페 음료는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가장 많 이 팔린다. 무더운 해변에서 카페 음료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일회용 테이크아웃 잔의 소비도 늘어난다. 또한 테이크아웃 잔의 소비가 늘면서 종이로 만들어진 컵 홀더의 소비도 만만치 않 다. 이러한 배경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폐그물을 사용하여 사람들이 가

296


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잔의 컵 홀더 디자인을 제안한다. 폐그물 컵홀더를 사용함으 로써

해양 오염과 종이 소비를 줄일 수 있어

환경보호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로써 소비자 에게 환경보호에 일조한다는 인식을 심어줄 뿐 만 아니라 폐그물의 양도 줄이고 해양 생태계를 구할 수 있다. 그림 3. 흥국에프엔비 월별 매출액. 출처: 흥국에프엔비, 카페 문화 수혜주?, 2015, iTOOZA

3.2. 디자인 서비스 과정 폐그물을 이용하여 컵 홀더 제작을 하여 디자인 서비스로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는 과정은 (그림 4.)와 같다. 첫째, 폐그물이 발생하면 직접 수거 를 하는 방법과 어부들에게 전달받는 방법으로 그림 4. 디자인 서비스 과정

폐그물을 수거한다. 둘째, 수거를 하고나서 폐

그물에 붙은 불순물을 제거한 뒤, 압착 틀에 폐그물을 넣어 열을 가해 녹이는 방식으로 솔리 드화 시킨다. 압착 방법으로 컵 홀더를 제작했을 시 폐그물 조각도 활용할 수 있으며 그물의 구멍은 압착으로 인해 매끈해진다. 면에는 프린터가 가능하여 다양한 것을 새길 수 있다. 셋 째, 컵 홀더를 제작하여 해변 인근 카페나 편의점에 배포한다. 넷째, 소비자들은 음료를 구매 하면서 자연스럽게 폐그물 컵 홀더를 접하게 된다. 폐그물 컵 홀더는 기존의 종이 컵 홀더와 는 달리 재사용이 가능하며 소비자는 자신이 음료를 구매함으로써 환경보호에 일조한다는 인 식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를 SNS에 올리는 사람들로 인해 환경보호 인식이 전파되어 여러 사람이 환경보호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렇듯 여러 사람들에게 환경에 대한 인식 을 고취함으로써 해양 오염문제와 함께 해양생물, 사람 등 여러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3.3. 3D 렌더링 다음 (그림 4.)은 최종 디자인의 결과이다. 양끝 쪽에는 폐그물이 빠져나와있어 소비자들은 컵홀 더가 무엇으로 만들어 졌는지 알 수 있다. 그리 고 압착된 부분에는 프린터가 가능하여 카페 로 고 등 여러 가지를 새길 수 있다. 그리고 컵홀 더를 쌓는 방식으로 보관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 일 수 있다.

그림 5. 최종 폐그물 컵홀더 디자인

4. 결론 폐그물은 바다의 골칫거리다. 폐그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해양 생명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그물을 이 용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작한다. 폐그물로 컵홀더를 제작하게 되면 무엇보다 폐그물을 바다에 버리는 어부들이 줄어들면서 바닷속 폐그물의 양도 줄어들 것이 다. 향후 계획으로는 본 연구에서 부족했던 생명에 관한 메시지를 추가하여 컵 홀더를 사용함 으로써 해양생명과 사람을 구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소비자들이 쉽고 빠르게 공감할 수 있도 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전의 컵 홀더는 종이 소비로 인해 나무가 죽어갔다면, 폐그물

297


컵홀더를 사용함으로써 산림보호는 물론, 여러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기대효과를 낼 수 있다. 참고문헌 김두영. (2015, 11월 5일). 폐그물 수거 적치 장소 놓고 어민들 갈등. 제주신보, 출처 :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74523 박다해. (2015, 9월 18일). 폐그물·타이어 등 해양폐기물, 해양사고 위험성 높인다. the 300, 출처 : 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5091817297610691 박상영. (2015, 11월 26일). '친환경 어구' 보급나선 해수부...5년 지나면 물·이산화탄소 분해. 이투데 이, 출처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242020 박수현.

(2012,

10월

31일).

사라지지

않는

‘죽음의

덫’

폐그물.

KPPA,

출처

:

http://home.kppa.or.kr/news/view/?idx=359 박팔령.

(2015,

9월

7일).

바닷길

곳곳

'폐그물

덫'.

문화일보,

출처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090701070527105001 윤정희. (2015, 8월 10일). 올여름 해수욕장 쓰레기 주범은?...테이크아웃 일회용컵 1위. 헤럴드경제, 출처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810000337&md=20150810142254_BL 이해준. (2015, 11월 23일). 정부, '쓰레기 없는 바다'만들기에 3321억 원 투입. 헤럴드경제, 출처 :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51123000144 전주식.

(2016,

4월

20일).

친환경

그물

보급

'유령어업과의

전쟁'.

세계일보,

출처

: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4/20/20160420003058.html?OutUrl=naver 정빛나. (2016, 5월 16일). 폐그물 수거 의무화 추진…‘유령어업’피해 막는다. 연합뉴스, 출처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5/16/0200000000AKR20160516134800030. HTML?input=1195m 좌동철. (2015, 6월 5일). 5년째 폐그물 수거 '청정 바다 지키기' 앞장. 제주신보, 출처 :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33866 홍서표. (2016, 3월 27일). “유령어업 막는다”..어구관리법 제정 추진. 강원도 대표방송G1, 출처 : http://g1tv.co.kr/index.php?type=news820&page=1&nth=-1&viewNum=144243

298


한국의 20대 남성의 선호 이미지를 반영한 기초 화장품 용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Design Development of Fundamental Cosmetics Container Based on Reflection on Image of Korean Twenties Men's Preference. 박지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석사과정 / 강범규(교신저자), 동서대학교 디자인학과 Park, JI Hyeon_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 Kang, Beom Kyu_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남성화장품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용기

현대인들에게 외모는 자신을 표현하고, 외모관리에 대한 노력은 자기개발의 일부분으로 자기

그루밍족

자신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호감을 주는 이미지는 취업의 당락에 영향을 주며, 일에 대한 능력, 원만한 대인관계에도 긍정적인 평가를 만들기 때문에 내수 경기 침체에도 불 구하고 한국 뷰티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그 중 남성 화장품 시장은 매년

Keyword men's cosmetics

10% 안팎으로 성장하며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1). 앞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최근 남성 들 또한 단순히 외모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차별화하기 위하여 외모를 관리하고 이

bottle

것을 비즈니스에 활용하여 남들과 다른 차별성과 경쟁력을 갖고자 한다. 외모는 철저한 자기

grooming

관리의 표상이자 경쟁력이 되었기 때문에 뷰티에 관심을 가지는 남성들이 많아진 것이다. 이 런 남성들을 위해 뷰티시장은 다양한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화장품 품질의 상향평준화가 이루어지면서 화장품 선택에 있어 용기의 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

화장품 용기는 고객의 이목을 끌고 브랜드의 개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브랜드 개성 -

플러스 해양디자인인력양성사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로 미뤄볼 때 화장품 용

업팀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기는 소비자의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남성이 선호 하는 이미지를 반영한 기초 화장품 용기 컨셉 연구로 20대 남성들이 선호하는 이미지는 무엇 인지 도출하고 이를 남성용 화장품 용기에 반영하여 디자인 개발 하는 것이다. 1.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본 연구는 <그림1>과 같이 3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 하였다. 첫째, 그루밍족의 개념 및 배 경 이해, 남성용 화장품 시장조사, 기존 제품을 분석하는 현황조사 단계를 거쳐 남성들이 추 구하는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둘째, 20대 남성들이 선호하는 이미지 도출을 위한 아이템을 선정한다. 이 아이템은 (강범규, 2011) 자아 개념과 시각이미지 추출을 통한 제품 디자인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방법에서 사용한 아이템으로 한다. 전문 디자이너 집단에 의하여 아이템 이미지를 조사하여,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해 각 아이템을 군집화 및 대표 이미지를 선정한다. 선정 된 대표 이미지는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다. 설문조사의 통계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남성을 군집별로 분류시킨다. 세 번째, 군집별로 선호 하는 이미지를 도출하여 디자인을 개발한다. 연구의 범위는 그루밍족의 중심인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지정하고, 남성 과반 이상이 사용 중인 스킨, 로션을 중심으로 한다.

1)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newsid=01220166612613824&SCD=JC21&DCD=A00302

299


<그림1> 연구개발 모형

2. 이론적 고찰 2.1. 그루밍족 그루밍족은 외모가 주요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생긴 신조어로 패션과 미용에 아낌 없이 투자하는 남자들을 일컫는 말이다. 여성의 뷰티(beauty)에 해당하는 남성의 미용용어로, 마부(groom)가 말을 빗질하고 목욕을 시켜주는 데서 유래하였다2). 스스로를 가꾸는 데 아낌 없이 투자하는 남성들이 증가함에 따라 남성 화장품 시장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화장 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령대는 남․녀 모두 20대로 남성은 한 달 평균 15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남성들의 높은 화장품 이용률은 20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3). 2.2. 남성용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필요성 최근 화장품 업계는 화장품 용기와 제품 디자인에 공을 들이고 있다. 과거 내세웠던 천연 성 분과 저 자극 제품 등은 더 이상 타 업체들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승부수로 작용하지 않기 때 문이다4).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을 써보기 이전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 브랜드의 개성을 나타 내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다. 또한 브랜드 개성과 자아 이미지가 일치할수록 브랜드에 대한 구입의향이 증가한다5). 사용자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제품의 이미지가 일치할 때 구매의사결 정에서 중요한 하나의 요소가 된다6). 는 선행연구가 있었다. 그리고 남성은 여성 소비자에 비 해 제품의 충성도가 높기 때문에 용기디자인은 화장품 시장의 남성 고객 선점에 도움이 되는 요소이다. 3. 현황 고찰 <표1> 남성화장품 시장

3.1. 남성화장품 시장 '그루밍족'의 증가로 국내 남성 화장품 시장은 매년 평균 10% 가량 성장을 하고 있으며, 시 장규모는 약10억 달러(1조 2000억 원)에 이른다. 국내 남성화장품 시장의 성장률은 2012년 13.1%, 2013년 7.5%, 2014년 7.2% 등으로 매년 10% 안팎의 성장을 꾸준히 기록하고 있다. <표1>과 같이 유로모니터의 통계에 따르면, 남성화장품 판매규모에서 중국이 1위, 한국이 2 위, 홍콩이 7위를 차지했다. 높은 인구수에 기인해 중국이 1위를 차지한 것에 비하면 한국이 2위를 차지한 것은 미용에 대한 한국 남성들의 관심이 타국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7) 3.2. 남성의 화장품 소비 현황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국내에서 유통되는 72개 화장품 품목에 대한 남성

2)두산백과 doopedia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63367&cid=40942&categoryId=31630 3)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331000053&md=20150331090053_BL 4)http://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602241514266036090_1/article.html 5) 장준수, 「브랜드 개성-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한국광고학회 학술지논문, 2011, P14 6) 강범규, 「자아 개념과 시각이미지 추출을 통한 제품 디자인 접근방법 연구」 ,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P 28 7) 2015 코스모프로프로 본 남성화장품 시장 트렌드

300


<표2>연령별 화장품 소비

소비자 10~50대까지의 연령별 화장품 사용현황을 조사했다. 그 결과 <표2>와 같이 20대 남

현황

성의 화장품 사용량이 한 달 평균 15개로 전 연령층 중 사용수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가장 많이 구매한 화장품은 클렌징 제품을 제외하고 스킨로션이 72.1%로 10~50대 중에 서 20대가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화장품을 구매한 장소로는 라이프스타일에 관계없이 백화 점(37.5%)에서의 구매 빈도가 높고, 동네 소형 매장(19.9%), 쇼핑몰 중대형 매장(17.2%), 인 터넷 통신판매(13.5%), 대형 할인매장(8.2%), 슈퍼마켓/편의점(3.7%)순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3.3 남성 화장품 디자인 요소 남성의 구매율이 높은 화장품을 통해 시장에서 어떤 용기의 디자인이 판매 되는지 알아보고 자 <표3>과 같이 화장품 용기의 디자인적 요소를 형태, 재질, 색깔로 분류 ․ 분석하였다. 이 표는 20대 남성의 화장품 구매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백화점에서 브랜드 총 매출액이 높은 비오템옴므, 랩시리즈, SK-Ⅱ 의 순서로 분류했다. <표3> 남성화장품 브랜드 별 스킨로션 용기 디자인 분석

<표3>을 모두 종합해서 볼 때 남성용 화장품 용기는 원기둥의 형태와, 흰색과 푸른 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며, 플라스틱 재질로 깔끔함과 심플함을 나타내는 디자인이 주를 이루고 있다. 4. 결론 외모가 경쟁력이 되는 시대에 남성들의 화장품 구매율이 증가하고, 남성 화장품 시장은 블루 오션으로 주목 받고 있다. 다양한 남성 화장품들이 출시되면서 화장품의 기능은 상향평준화 되었고, 이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한국의 20 대 남성의 선호이미지를 반영한 화장품 용기 디자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대 남성이 선호 하는 이미지를 도출하기 위해 20대 남성의 이미지를 잘 표현 할 수 있는 아이템을 선정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사용했던 아이템인 자동차, 카페 인테리어, 시 계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20대 남성들이 선호하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20대 남성 의 이미지별 그룹화 작업이 이루어 질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그룹별 이미지는 디자이너에게 8) 이혜주.「 20대 남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속성평가와 구매 및 사용 행동 차이 연구 」, 한국 미용학회 학술지논문, 2011, 7p.

301


직관적인 시각 언어로서 제품디자인 컨셉 결정과 디자인 구현화 작업에서 가이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참고문헌 강범규, 「자아 개념과 시각이미지 추출을 통한 제품 디자인 접근방법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6 장준수, 「브랜드 개성-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011 이혜주, 「 20대 남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속성평가와 구매 및 사용 행동 차 이 연구 」. 한국미용학회, 2011 박은희, 「남성의 유행선도력에 따른 화장품 구매실태와 평가기준」.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3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소비자의 성별 ․ 연령별 사용현황 해회비즈니스정보포털, 2015 코스모프로프로 본 남성화장품 시장 트렌드 슈어매거진, 슈어뷰티어워드, 2016년 1월 25일자 두산백과, 그루밍족 이데일리 2014년 4월 7일자 헤럴드경제 2015년 3월 31일자 글로벌이코노믹 2016년 2월 24일자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BBS_ID=10&MEN U_CD=M10103&UPPER_MENU_CD=M10102&MENU_STEP=3&ARTICLE_ID=5033434&AR TICLE_SE=20302 http://mnbmagazine.joins.com/magazine/Narticle.asp?magazine=203&articleId=3WG BS2BPSS710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63367&cid=40942&categoryId=31630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newsid=01220166612613824&SCD=JC21 &DCD=A00302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331000053&md=20150331090053_BL http://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602241514266036090_1/a rticle.html

302


해녀를 위한 안전장비 디자인 제안 연구 A Design Proposal of The Safety for Haenyeo 박지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석사과정 Park, JI Hyeon_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중심어

1. 서론

해녀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안전장비

최근 해녀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정부는 해녀축제 개최, 해녀 박물관 건립, 해녀

디자인

문화 보존·전승에 관한 조례 제정, 국제학술대회 개최와 함께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 우리나 라의 해녀 문화는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사회적 약자, 양성평등, 자연과의 조화, 사회공헌 등 주요 키워드를 모두 갖추고 있다. 이러한 해녀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Keyword haenyeo

전통 생태적 어업 시스템이며, 전 세계적으로 희소성을 지니는 전승․ 보전 가치가 있는 문화 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고유한 문화유산인 해녀가 고령화와 산업화, 관광개발로

safety device

인해 해마다 급감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에서는 줄어들고 있는 해녀를 보존하기위해 유네

design

스코 문화등재를 신청 종목으로 선정하고, 다양한 정책 지원 사업들을 하고 있지만, 이에 대 한 효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을 통하여 해녀의 수를 유지하고 고령 화된 해녀들의 안전을 위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안전장비를 제안함으로서 우리나라만의 문화인 해녀 전승에 이바지 하고, 안전조업 및 환경개선을 하고자 한다.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 플러스 해양디자인인력양성사

2. 이론적 고찰

업팀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2.1. 해녀에 대한 이해 바닷가 물속에 들어가서 해조류와 패류를 캐는 여인으로 잠녀(潛女)·잠수(潛嫂)라고도 한다. 해녀들은 특별한 장치가 없는 나잠어법(裸潛漁法)으로 제1종 공동어장인 수심 10m 이내의 얕은 바다에서 소라·전복·미역·톳·우뭇가사리 등을 채취하며, 가끔 작살로 물고기를 잡기도 한 다. 해녀는 우리나라와 일본에만 분포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의 해녀는 한반도 각 해안과 여러 섬에 흩어져 있지만, 그 대부분이 제주도에 몰려 있다. 우리나라의 해녀 수는 약 2만 명으로 추산되며, 거의 모두가 제주도 해녀들이다. 해녀의 발상지는 제주도로 보이며, 그 기원은 자 연발생적인 생업수단의 하나로 비롯되었으리라 추측된다. 해녀들에게 특수한 혈통이 있는 것 은 아니고, 오직 어렸을 때부터의 수련에 의하여 그 기량을 배워 익혀서 어로작업을 한다1). 2.2. 해녀의 가치 선진국이나 이웃나라 일본에서 수백 년 동안 이어온 자신들의 전통을 지키고자 많은 노력을 한다. 그들은 전통방식을 고수하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대를 이어 그 전통을 보존 하고자 한다. 이들에게는 '전통' 이 단순한 보존과 전승의 대상이기 이전에 부가 가치의 원천 일지도 모른다. 우리나라의 해녀전통은 떠오르는 블루오션임이 분명하다. 해녀는 제주의 고유 한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직업이며, 그들이 채취하는 해산물이야 말로 항생제나 화학약품에 노출되지 않은 청정 제주의 순수 자연산이기 때문이다2). 제주도는 섬으로서 섬은 언제나 고 립되고 힘든 자연 환경을 갖고 있다. 하지만 제주 해녀들은 다른 지역으로 진출을 통해 제주 경제 영역을 확대하였고 가정을 이끌었다. 또한 해녀들은 개인이 아닌 공동체에 이바지 하였 다. 그들이 갖고 있는 해녀 노래, 물질기술, 자연에 대한 지식, 생태주의 공동체 문화 등은 현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제주신보 2011년 06월 22일자 ‘제주해녀문화의 보존과 전승’

303


대인이 갖고 있는 물질만능주의, 자연고갈, 이기주의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모 델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해녀문화를 보존하는 것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라고 해녀 박물관의 강권용 학예사는 말한다. 해녀문화는 제주 곳곳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리얼리티 문화 <표 1> 제주도 해녀 인구분

이기에 더욱 값진 것이기에 제주해녀 문화를 보존해야만 한다.

포도, (2015) 출처: 제주 해 녀 수 해마다 급감, 재구성

3. 현황고찰 3.1. 해녀현황

연령

인구분포도(명)

30대

9

제주는 해녀의 발상지로 우리나라 해녀 중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고 있다. 조사 결과

40대

47

에 따르면 현직 잠수 4,995명 전직 잠수 5,977명 총 10,972명에 이른다. 해녀는 제주 외 에

50대

313

도 부산, 통영에 분포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986명 통영은 152명이였다. 제주시에 등록된

60대

747

해녀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30~39세 9명0.4%, 40~49세 47명 2.0%, 50~59세

70대

965

313명 13%, 60~69세 747명 31.1%, 70세~79세 965명 40.1%, 80세 이상 323명 13.4% 등

80세 이상

323

70세 이상 고령 해녀가 5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제주시의 2015년 해녀 실태조 사 결과 전년(2485명)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 (81명) 나 줄어든 수치다. 20년 전인 1995년 3452명과 비교하면 1048명, 매년 52.4명씩 감소했다. (그림1)에서 알 수 있듯이 해녀 인구는 2000년 2941명, 2005년 2881명, 2010년 2755명, 2015년 2404명으로 줄어들고 있다4).

<그림 1> 감소하는 제주

3.2. 해녀의 감소

해녀(2015), 출처: 제주 해

3.2.1. 해녀의 감소원인

녀 수 해마다 급감, 재구성

해녀의 감소원인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해녀가 되기 위한 진입장벽이 높다. 현업 해녀가 되기 위해서 해당 수협과 해녀 회에 100~200만원의 돈을 지불해야하며, 어촌계 의 가입 동의를 받아야한다. 두 번째, 해녀의 고령화이다. 해녀의 고령화로 인한 체력저하와 심근경색 등으로 해상에서 물질 중에 숨지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물질작업 중 숨진 해녀는 2011년 11명, 2012년 7명, 2013년 7명, 2014년 9명, 2015년 10명 5년간 44명의 해녀가 물 질 중 익사했다5). 그 중 53.5%는 70대 이상의 고령 해녀가 숨졌다. 또한 제주도에 따르면 최근 3년 사이 물질을 하다 숨진 해녀는 2013년 7명 2014년 9명 2015년 10명으로 해마다 늘었다. 숨진 해녀들은 대부분 70세 이상의 고령 해녀다. 2013년에는 사망자 10명 모두 70세

<그림 2> 최근 5년간 도내 해녀들이 작업 중 사망한 횟수(2015), 출처 : 국가중

이상이었고 2014년에는 전체 사망자의 66%(6명)가, 2015년에는 90%(9명)가 70세 이상의 고 령해녀로 조사됐다6).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해녀의 고령화로 인한 익수 사고가 심각하다는

요어업유산 '제주해녀' 안

것을 알 수 있듯이 고령화 촉진과 해녀 수 감소라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어 우리나라의

전 지원 뒷걸음질, 재구성

고유한 문화가 존폐위기에 처해있다. 3.2.2. 해녀 익수사고 원인 해녀는 평균 수심 10~20m 를 산소호흡장비 없이 1~2분 동안 잠수하며 해산물을 채취하지만 70대 중반부터는 신체적으로 약화되기 때문에 물질을 하기 힘들어진다. 해녀의 고령화로 인 한 체력 저하가 고된 물질 작업 환경을 극복하지 못하고 익사로 연결되는 것이 주된 사고의 원인이다. 따라서 해녀의 문화를 전승하고 고령화된 해녀의 안전을 위해서 안전조업 및 환경 개선이 현재 해녀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4. 디자인 제안 4.1. 안전장비 제안

3) 국민일보 2016년 01월 18일자 ‘제주 해녀 수 해마다 급감, 근본적인 대책 시급’ 4) 국민일보 2016년 01월 18일자 ‘제주 해녀 수 해마다 급감, 근본적인 대책 시급’ 5) 제민일보 2016년 2월 28일자 ‘국가중요어업유산 '제주해녀' 안전 지원 뒷걸음질’ 6) 한라일보 2016년 01월 07일자 ‘제주해녀 고령화에 물질 사고 '비상'’

304


<그림 3> 시스템 맵

노령화가 된 해녀들의 사망사고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어업활동 중 위급한 상황에 놓이게 되 었을 때 빠르게 신고를 할 수 있는 안전장비를 디자인하고자 한다. 이 안전장치의 역할은 해 녀와 인근 어선, 해경을 연결 짓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무리 지어 물질작업을 하는 해녀들을 연결시켜주어 위급상황이 발생 했을 시에 이를 신속하게 알려 주변의 해녀들이 빠르게 대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근 어선과 해경에게도 함께 신고가 되어 위급상황인 해녀를 신속하 게 구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시스템 맵은 (그림 3)과 같다. <표 2> 해녀 안전장비 디자 인 컨셉 구분

컨셉

대상

해녀 원형

형태

해녀를 위한 안전장비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특수한 환경과 연령대가 높은 사용자를 위해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한다. 첫 째, 고령화가 된 해녀들이 이해하

(방향의 제약이

기 쉽고, 조작법이 간편해야한다는 점. 두 번째, 위급상황 시 상황에 대한 판단력이 흐려지기

없다)

때문에 방향에 대한 제약이 없고 직관적이어야 한다. 세 번째, 빛이 부족한 물 밑에서 가시성

오렌지색 색채

4.2. 디자인 컨셉

(물속에서의

이 있어야 한다.

가시성) 소재 구조

플라스틱, 고무

4.3. 최종 디자인

(마찰력을 높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최종 디자인은 (그림

회전구조

4)와 같다. 해녀들이 수면 아래로 쉽게 가라 앉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인 연철과 함께 벨트 에 끼워서 사용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버 튼으로 전원이 켜지는 방식이 아닌 돌리면 전 원이 켜지는 방식으로 직관적인 형태의 디자 인이며, 방향의 제약이 없다. 돌아가는 부분 은 장갑을 착용하고 어업을 하는 해녀들이 쉽 게 돌릴 수 있도록 돌기를 주어 마찰력을 높 였다. <그림 4> 최종결정 디자인

5.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해녀문화를 보존·계승하기 위한 해녀들을 위한 안전장비 디자인을 제 안하였다. 우리나라의 고유의 문화인 해녀를 보전하기위해서 정부는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와 해녀직불제 등 노력을 기하고 있지만 고령화가 진행된 해녀들의 수를 유지하고, 산업화가

305


된 시대에 해녀에 대한 관심을 사람들에게 제고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보존과 전승이 힘들다. 따라서 노령화된 해녀들을 위한 안전장비를 통해 급감하는 해녀의 수를 유지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을 통해 도입한다면 해녀들의 안전사 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작업환경개선과 해녀문화 전승까지 기대할 수 있으리 라 본다. 참고문헌 제민일보 2016년 2월 28일자 ‘국가중요어업유산 '제주해녀' 안전 지원 뒷걸음질’ 한라일보 2016년 01월 07일자 ‘제주해녀 고령화에 물질 사고 '비상'’ 제주신보 2011년 06월 22일자 ‘제주해녀문화의 보존과 전승’ 국민일보 2016년 01월 18일자 ‘제주 해녀 수 해마다 급감, 근본적인 대책 시급’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연도미상), ‘해녀’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6941&cid=46634&categoryId=46634

306


'평면적 쇼트‘ 안에서의 시각적 연출기법 3요소 채수림 동서대학교 디자인학과

Three elements of visual direction method in a 'Planimetric shots' Chai Soolim 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예가

연구는

평면적

석한다. 이를 화

<로얄

인물,

위하여

시각적

웨스

테넌바움>을

카메라를

쇼트의

쇼트의

대하여

앤더슨(Wes Anderson)의

중심으로

시각적으로

평면성을

연출법에

어떻게

유지하는지

메라의

사각의

통하여

공간의

균형성을

안에서

프레임

안에서

배치하고

공간,

연출하여

알아본다. 결론적으로

인물의

배치,

사물의

유지한다. 인물들은

배치를

수직적으

로 배치되어 평면적 이미지를 더 부각시켜야한다. 또한 카메라의 중앙에 인물을 배치하여 관객들의 시선과 인 물의 시선을 맞춰 정면성을 유지함으로써 평면적 쇼트

되는

연출기법 사용한 를

요한지에 본

작하는

않 촬

가장

기지

성,

평면적

쇼트,

시각적

연출,

균형성,

수직

정면성

쇼트의

I. 서론

선정하여 명하려

목 빈번 증 촬 때 름 그

적이

카메라에

대해

쇼트라 수직적

는다.

하게

대표적

평면적

한다.

중간에

분석하기

감독인

테넌바움>을

효과적인

있다.

등장하기

연속을

쇼트라고 더

연출해내려면

사용하는

쇼트

요소들이

영할

연출기법을

띄는

앤더슨이

명하고자

영화<로얄

분석

쇼트의

대상

연출기법

한다.

먼 파악 뒤

테넌바움>에서

특징

나타내고

쇼트

평면적

쇼트를

으로

영화<로얄

영된

눈에

평면적

어떠한

효과적으로

위로,

것을

평면적

통하여

필요함을

있었다.

하게

단 번 촬

앤더슨의

쇼트를

이러한

영된

감상 수

명하는데

작은

하는데

위해

영화에서

연출기법이

영화의

연출기법을

최근

평면적

3가지의

작품을

발견

연출해내려면

대하여

연구는

평면적

키워드:

3가지의

효과적으로

으로

의 시각적 연출이 완성된다.

앤더슨의

3가지를

있는

들이

쇼트를

쇼트를

평면적

쇼트의

평면적으로

보이게

효과를 ,

어떠

하는지

분석한다. 미국의 (David

저명한

Bordwell)은

연구해온

가지

다고

영화학자

결과

유형의

밝혔다.

지난

유럽

데이비드

20년

자주

이미지는

인물들이

늘어서며,

대화하는

“평면적(planimetric)”

점차

평면적 스

많은 많은

쇼트를

쓰는

보여

사용하는

대표적인

Anderson)을 강조를

앤더슨의

기본

어휘로

영화

연출

효과

필터,

사용되고

과정에는 렌즈

택뿐만

아니라

편집,

택까지

포함된다.

학문적

바탕으로

것은 있는

아직

이러한

감독으로는 수

있다.

다른

평면적

구성을

영화에서는

평면적

쇼트가

있다. 앵글(angle),

카메라

세트

연구자는 평면적

1. 공간의 균형성

란 느 쪽 울거 우 〕 질 말 〔 린 절 람 개 운 양옆 크 전 추 운 준 양옆 룸 원근 줄

균형성이 아니한

움직임의

디자인

이러한

쇼트의

조명

배경

선 선

영화연출의

가장

대표적인

한다.

테넌바움>에서

마고의

얄이

고를

들에게

화면의

인물수와 고

구도,

의상,

Ⅱ. 평면적 쇼트의 연출기법 3요소

아니지

위해

숏(short),

효과,

있는 지고

앞에

정면으로

스타일이다.

영화에서

시각적인

반면,

시작한

카메라

마주보고

대하

영화에서

등장하기

영화에서

앤더슨(Wes

감독들은

관객들을

쇼트에

아시아

이미지가

수직으로

엄청나게

동안

영화와

보드웰

있는

으로 서

것을

주인공이

안에서

으로서

적인

데에

있다.

강조되어

효과는

영화

치지

<로얄

이야기

하는

장면이다.

제적인

인물과

보이는

감은

배가된다.

으로

균형을

공간을

주인공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이미지의

위치시키고

데에

인물을

1

기로

그림

마고를

인물들의

배치하고

프레임

307

으로

균형적

배치함으로

효과를

다.

균형을

어들고

평면


〔 4〕 리 듣 항 끝낸 후 그림

,5

만나는

체적인

또한

그림 1. 인물과 공간의 균형적 배치

2. 인물의 수직성 역

대부분의 동적

영화는

법을

공간에서

분의3

주기

위하여

지점에

런방

객들의

원근 4

향 향 받 못

하게

되어

관객이

면에

되어

위치시키

인물이

관객의

정면성을 의

집중할

다.

구에서

되면 하게

우 핵 배

운 였

장에서

화면을

된다.

법으로

시선과

하게

시한부

아와

인물을

하게

효과를

지의

집으로

정면으로

정면으로

평면적으로

장면이다.

카메라의

메라의

치가

해를

고를 고

맞춰

심적인

있게

유지하게

시선이

연기와

되는

되면 수

있게

영화의

장점도

있다.

대각선의

인물을

배치한

킨 전 민증 걸린 손 리 원근 느

수직적으로

다.

때 험 였

다. 반면

앤더슨의

작품에서는

〕 억압

쇼트를

치하여 그림

문에 한

평면적 2

로얄이

놀 역

되어

으면

겠 례 느껴

배치하

앙에

으로

사는

하며

장면의

더 안

아주는

지만

그의

동성과

인물을

부각시

장면이다. 감을

앤더슨은

수직적으로

지게

자들을

채스 고

보통의

생각하여

인물들을

배치하여

영화

인물들

화면의

정중

정도

다.

4

그림

,5. 인물과 카메라의 정면성

Ⅲ. 결론 〔

〕 같

그림 2. 인물의 수직적 배치1

또한

앤더슨은

면의 경

배경에 서에서

배치시

shot)과

3

다.

인물들을

이러한

슷 느낌

사용하는

진 같

(mug

그림

느낄

평면적으로

주어

배치는

보편적이었고

등장하기

있게

영화<로얄 고,

인물의

배치,

원근

지하여

3. 카메라의 정면성

란 9 말덴 크 J H kL 입 능력 개념 란 뜻 정면성이 (

ulius

물을

1

enri

체적인

세기

ange)에

구성으로

의해

예술학자

정의된

이해하는

장의

용어로 을

맞춰

결여된

1

배치를 고

화면의 사

정면성을

결여한

참고문헌 랜 회

, “영화<그

위치

이미지를

인물의

체적인

다.

페 호텔 V 4 4 4 챌린 9~ 4

드부다

논문지,

효과를

연출시

균형성을

시선과

안에서

수직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쇼트를

웨스

나타난

프레임

평면적

2 데이비드 보드웰 , ‘웨스 앤더슨의

308

것을

분석대상으로

평면적인

관객들의

적 쇼트”, 한국콘텐츠학

이다.

감독인

통하여

정중앙에

또한

평면적

[ ]김재 ·김 호 []

자주

효과적으로

가장

카메라의

낮추 진 같

감을

인물들은

시선을

영화에서

필요하다는

대표적인

효과가

결과,

사물의

부각시켜야한다. 그림 3. 인물의 수직적 배치2

쇼트’를

테넌바움>을

평면적인

분석해본

되어

아시아

영화들에서도

연출기법이

사용하는

트들을

다.

‘평면적

정한

쇼트를

앤더슨의 선정하

유럽과

연구이다.

평면적

한다.

현재

70년대부터

시작하는

연출하려면

화면을

연구는

진 머 샷 검증 컷

수직적

용의자의

수직

1

9

스트

>의 평면

ol.1 , p.66, 201

:3

지’ , p.23

2 1


촉각 발달을 위한 중국 영유아 장난감 디자인에 대한 연구

주지화/ 동서대학교 류근옥/ 동서대학교

Ⅰ. 서 론 1.연구 배경 및 목적: 중국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자녀를 위한 학부모의 소비는 매년 늘고 있다. 특히 현재 중국 영유아 장난감 시장에서, 각종 능력 발달에 유익한 영유아 장난감은 학부모 의 주요 소비 항목 중 하나이다. 따라서, 영유아 장난감 산업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 편, 촉각은 영유아의 인지활동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영유아 시기 초기에 그들은 피부와 사물 간 접촉을 통해 환경을 인지하고 사물을 이해한다. 하지만 중국 영 유아 장난감 중 영유아 감각 발달을 위한 제품은 대부분 시각, 청각, 체력 발달을 위주 로 할 뿐, 촉각은 그다지 중시하지 않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촉각 발달을 위한 영유아 장난감 개발 관련 연구는 분명히 연구 가치와 여지가 있다. 또한 이는 소비자의 수요에 따른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영유아의 연령별 성장 발육 상황을 바탕으로 영 유아 촉각 발달 특징을 분석하고, 영유아 장난감 생산 및 디자인 현황을 고려하여, 과학 적이고 합리적인 영유아 장난감 개발 필요성에 대해 서술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촉각 발달을 위한 영유아 장난감에서 촉각적 요소가 재질, 형태, 색깔 등의 측면에서 응용되 는 방법을 도출한다. 이 연구를 통해 영유아 장난감이 더욱 효과적으로 영유아 촉각 발 달을 촉진시키길 바란다.

2.연구방법 : 첫째, 촉각 발달을 위한 영유아 장난감의 디자인 방향 제시를 위해 그에 적합한 연구 계획을 세운다. 둘째, 문헌조사를 통해 중국 영유아의 심신 발달 특징과 촉각 발달 특징 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진행한다. 셋째, 촉각 발달을 기점으로 하여 현재 판매되고 있는 영유아 장난감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진행한다. 넷째, 위의 연구에 근거하여 면담, 설문 조사, 심층 인터뷰, 관찰 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30명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연령대별 장 난감 사용방식과 수요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종합 적인 분석을 진행하여 촉각 발달을 위한 영유아 장난감에서 촉각적 요소가 재질, 형태, 색깔 등의 측면에서 응용되는 방법을 도출한다.

Ⅱ. 본 론 1.촉각 1)촉각 개론 촉각은 전신 피부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세포가 외부의 온도, 습도, 통증, 압력, 진동 등 의 감각을 받는 것을 말한다. 촉각은 감각 경험에서 아주 중요하다. 촉각은 객체 표면의

309


매끄러움과 까칠함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것의 길이와 크기 그리고 형태까지 감지 가 능하다. 영유아가 사물과 환경을 인지하고 대상의 위치 및 형태 확인하며 사물에 대한 인지를 형성하는데 있어, 촉각은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2)촉각의 분류 촉각은 외부에 대한 피부의 감각이지만 인간의 심리가 감각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촉 각은 사람들에게 생리적, 심리적 느낌을 만들어 내는 것에 근거하여 촉각을 생리 촉각 과 심리 촉각으로 분류 할 수 있다1).새리적 촉각은 감각이 환경에 대한 직점적인 촉각 기고.심리적 촉각은 재료로 인한 심적 변화이다.

2.영유아 신체 및 촉각 발달 1)영유아의 정의 영유아는 영아와 유아의 통칭이다. 아이들의 성장 대게 태아기 (0세 이하), 영아기(0-1 세), 유아기(1-3세), 미취학연령기(3-6세), 취학연령기(6세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영유 아의 범위는 0-3세의 아이로 정한다.

3)영유아의 촉각 발전 단계의 특징 영유아의 촉각 발달은 두 단계로 분류한다. 1단계 피동 접촉에서 주동 접촉으로 변하는 데 [2], 그 시간은 0-1세이다. 이 단계에서 영유아의 촉각 자극과 계몽은 빠르면 빠를수 록 그 효과가 좋은데 이는 신생아 피부 촉각이 아주 민감해서 경미한 피부의 자극도 아 이들의 촉각을 일정한 수준까지 발달 시킨다. 2단계 촉각 발달의 특징과 표현은 주로 1-3세 연령대에서 집중 적으로 나타난다. 2 단계는 손과 눈의 부조화된 손동작에서 조 화된 손 동작으로 변한다2). 그 시간은 1-3세이다.이 단계에서 영유아는 스스로 객관적 사물을 체험하고 외부에서 제공하는 촉각 자극에 대해서 자신의 기호에 근거하여 선택 적으로 받아들인다.

3.장난감의 이론적 고찰 1)장난감이란 장난감은 비교적 성숙한 아이가 상당 시간 함께 하는 물건이다. 장난감이 아이에게 주 는 즐거움과 도움은 간과할 수 없다. 장난감을 뜻하는 중국어‘玩具’를 글자의 뜻대로 풀 어보면, 장난감은 사람 특히 아이에게 오락과 놀이를 제공해주는 기구이다3). 장난감은 아이의 영역에 속해 있으며, 성인은 각종 장난감을 살 순 있지만 이를 통해 아이와 같 은 즐거움을 누릴 수는 없다4). 장난감은 영유아와 함께 있는 시간이 많은 물체이고,영 유아에게 기쁭을 가져 주는 동시에 영유아의 성장 발육도 도움 준다.

2)장난감의 작용 장난감은 모방 놀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장난감은 사회와 외부의 사물을 단순화시켜 영유아가 받아들이기 쉽게 한다. 이로써 외부 사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영유아에게 전 달한다. 따라서 장난감은 영유아가 세상을 인지하는 도구일 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주요 놀이 도구이기도 하다. 장난감을 통해 영유아는 각종 놀이를 경험할 수 있으며, 재능 발 달과 사물 인지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1) 리보펑.실내 설게 중 어린이 방의 촉각 설계 체험[J]현대기업교육, 2007(6) 2) 위보.영유아 감각 기관 교육 설계 연구[D].우시:장난대학,2008. 3) 장베이, 왕홍거. 장난감과 혁신적인 디자인[M]. 베이징: 화학공업출판사. 4) 피셔 캐서린(2003). 유아 용품 디자인 전략[M]. 왕동링, 왕훼이민 역. 상하이: 상하이인민미술출 판사.

310


4.영유아 촉각 장난감 조사 1)중국 장난감 트랜드 분석 중국은 0~3세 영유아 장난감 개발이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다. 현재 중국 시장에는 다양 한 종류의 장난감이 판매 중이며, 그 기능 역시 계속 개선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선택 범위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시장에는 영유아의 성장 특징에 맞춰 디자인 된 장난감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이전에는 영유아용 장난감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최근 사회 발달과 국민 생활 수준 향상 그리고 서구 문화의 영향에 따라, 중국의 학부모는 조기교육이 아이의 미래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여러 매체를 통해 알게 되었으며, 이로써 영유아 조기교육을 중시하기 시작했다. 모두 알다시피 영유아 장난감 은 오락을 위한 단순한 놀이 도구에 그치지 않고, 영유아의 각종 능력 발달 및 유도라 는 중요한 임무를 맡게 되었다. 연대

분석 1960년대에는 물질 자원이 부족하여 시장과 백화점에서 생활필수품 외에 장난감을 찾

감각 개발 이 시기의

60년대

아보기 어려웠다. 이 당시 장난감은 수공을 통해 만든 것 위주였으며, 야외활동을 많이

주로 체력 단련과 관

하였다. 또한 장난감의 사용자 역시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았다. 1970년대부터 아동용 장난감의 재질이 변하기 시작했다. 철재 장난감이 시장의 주류가

련 있다. 이 시기의

되었으며, 이 시기의 장난감은 주로 철을 재료로 했다. 또한 장난감의 오락 기능이 부

주로 시각과 청각 체

각되었다. 이 시기의 장난감은 주로 시각과 청각 체험을 위주로 하였다. 1980년대부터 개혁개방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수입 장난감이 중국 시장에 수입되었다.

험을 위주로 하였다. 시각과 청각 외에도,

이 시기에 플라스틱 재질의 장난감이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는 장난감의 대상

재질이

집단이 명확하지 않았으며, 과학적인 연령대 구분 역시 없었다.

따라 촉각 체험이 크

70년대

80년대

90년대

1990년대말, 장난감에 대한 인식이 바뀌기 시작하여, 장난감을 단순한 놀이 도구에서 아동 교육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저연령 영유아를 위한 장난감이 조금씩 출현하기 시작했다.

장난감은

장난감은

풍부해짐에

게 향상되었다. 시각과 청각에

기초

하여

촉각적

요소도

염두

하기 시작하였

다. [표 1 ]중국 장난감 트랜드 분석

장난감의 기능 역시 이에 따라 변하였다. 아이 성장에 유익한 기능이 장난감에 추가되 기 시작햇다. 2003년 10월 ‘국가 장난감 안전 기술 규범’이 발표된 이후, 장난감의 사용 적합 연령을 명확히 하게 되었으며 사용 연령대 구분 세분화 되었다. 또한 영유아 장난 감에 더욱 자세한 기술 규범이 생겼다. 현재 영유아 장난감의 주요 기능은 행동발달기 능, 사고발달기능, 감각기능훈련, 인지발달이다.

2)해외 장난감 트랜드 분석 해외에는 0~3세 영유아의 지각 발달을 위한 장난감 디자인이 중국보다 훨씬 발달해 있 으며, 영유아의 지각 발달을 촉진시키는 장난감은 영유아 장난감 시장에서 매우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에는 0~3세 영유아의 성장을 위한 장난감의 종류가 매우 많다. 유아의 각종 능력 발달을 목적으로 하는 장난감이 주요한 위치에 있다. 또한 장난감의 사용 연령 구분이 세분화 되어있 다. 학부모는 아이의 발달 단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장난감을 구입할 수 있다. 촉각 장난감 한국

을 두고 보면, 영유아의 촉각 발달을 위해 전문적으로 디자인된 장난감이 있다. 이는 주로 원 형이며 재질은 매우 다양하다.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장난감의 기능에 대한 수요 도 더욱 세분화 되며 종류 역시 증가할 것이다. 1940~50년대에

미국의

장난감

시장에는

이미

0~3세

영유아를

위한

‘교육용

장난감

Educational Toy’가 출시되었다. 미국의 최고급 장난감 브랜드 Lamaze는 ‘지각과 지능을 깨 미국

워주세요, 아기를 위해 사용 적합 연령에 맞는 장난감을 선택하세요’라고 말했다. 미국의 대

311


다수 장난감 브랜드에는 영유아 감각 발달을 위한 장난감이 있다. 또한 시각, 청각, 촉각 측 면에서 그 종류도 많아, 영유아의 발달 단계에 따라 구매가 가능하다.

일본 도쿄의 toyroyal은 일본 최대 영유아 장난감 기업으로서, 그들의 디자인 이념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장난감을 통해 아이에게 기쁨을 줄 뿐만 아니라, 아이의 성장과 지능 발달에 도움을 준다. 우리는 장난감의 안전과 사용 연령 분류를 중시한다.’또한, 촉각 발달을 위한 영

일본

유아 장난감의 디자인이 상대적으로 발달하였으며 그 종류도 많다. [표 2]해외 장난감 트랜드 분석

3)장난감 트랜드 분석 결과 중국의 영유아 감각 발달을 위한 장난감의 종류 역시 점차 풍부해지고 있다. 하지만 그 출발점이 늦은 관계로 기타 선진국과 아직 큰 격차를 보이며, 촉각은 그다지 중요시하 지 않아 현재 중국 시장에서 대부분의 경우 아이의 촉각 발달을 위한 장난감을 찾아보 기 어렵다. 종류와 수량이 상대적으로 단편적이며, 기능 역시 세분화되어 있지 않아. 많 지 않은 촉각 발달 장난감도 대부분 해외 수입 제품이며, 중국이 개발한 제품은 적은 편이다. 이와 동시에 사용 연령 구분이 세분화 되어 있지 않아, 학부모는 정확하게 아이 에게 적합한 장난감을 찾기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사용 연령에 맞지 않은 장난감을 구

입하게된다. 사용 연령에 맞지 않은 장난감은 아이에게 안전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 다. 또한 사용 연령에 맞지 않은 장난감은 아이의 감각 발달 훈련 기능을 제대로 수행 할 수 없다. 영유아 장난감의 디자인 과정 중에, 반드시 여러 감각의 조화로운 발달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영유아의 성장 단계에 근거하여, 영유아 성장 과정 중 여러 가지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장난감을 디자인 할 시, 촉각적 요인을 더하는 것은 향후 장난 감 디자인의 한 추세이다.

4)영유아 놀이 분석 30명(0-1살19명,1-2살5명,2-3살6명)영유아의 행동관찰을 통해 0-1살의 영유아는심신 발 육이 르기 때문에 3개월 1단계로 관찰한다. 연령 단계

사진

관찰결과 갓 태어난 아기는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을 통해 주변의 세계를 인식하는

3개월

데, 이러한 단계의 아이들은 자신의 장난감을 손으로 잡지 못하며, 주로

이전

듣거나 보는 방식으로 장난감을 관찰한다. 이 단계의 아이들은 장난감을 두드리는 것과 같이 간단하면서 유용한 동 작을 취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이미 스스로 장난감을 손으로 잡 는 방법을 터득하고 있으며, 장난감을 손으로 잡으면 바로 입으로 가져가

3-6개월

는 행동을 보인다. 손으로 잡고 입에 넣는 것은 이 시기의 아이들이 노는 방법이다. 이 단계의 아이들은 유의성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기어가는 것과 같이 독 립적으로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스스로 앉을 수 있으며, 앉아서 안전하고 간단한 장난감을 가지고 놀 수 있다. 일반적으로

6-9개월

먼저 입에 장난감을 가져간 뒤 손으로 장난감을 밀고 당기거나 옮기기도 한다. 이 단계의 아이들은 걷는 법을 배우기 시작한다. 호기심이 더 강해져서 장난감을 좌우로 움직이고 이동하길 좋아하며, 관심 있는 사물을 오랜 시 간 동안 관찰하기도 한다. 물건을 던지기 좋아한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9-12개월

손이 민첩해지고 힘 또한 세져서 전 단계 아이들처럼 입에 넣는 것 외에

312


도 물건을 움직이거나 뜯기도 한다.

이 단계의 아이들은 운동 능력과 감각 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대다수의 아 이들이 이미 걷기 시작하고 활동 능력 또한 매우 크게 향상된다. 이 시기 에 구강의 민감기가 점차 지나가면서 익숙한 장난감은 더 이상 입에 넣지 않는다. 그러나 신기한 장난감은 우선 입에 넣어 보고 손으로 연구해보기 12-24개월

도 한다. 연구 방법은 보고 뜯는 것을 위주로 한다. 동시에 물, 모래를 가 지고 놀기 좋아하며, 대자연을 좋아한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이미 빠르게 걸을 줄 알게 된다. 또한 더 이상 무언 가를 먹지 않고, 장난감을 뜯는 습관도 점차 없어진다. 손 부분의 정교한

24-36개월

동작이 발전하면서 대자연에 대한 호기심이 더 커지면서 지력 향상 장난 감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표 3] 영유아 놀이 분석

5)촉각 장난감 디자인의 요점 분석 영유아의 촉각 발달의 요구를 출발점으로 하고 영유아 장난감에 촉각 요소를 가미한다. 장난감는 아래 몇 가지 방면에 맞춰 디자인한다.: 재질。장난감는 목재에서 흔한 자극을 비교적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해 비교적 전형적인 촉감 재료를 사용한다. 형태。이 단계의 어린이는 연령이 비교적 어리기 때문에 신체 각 부분의 발달이 아직 완전하지 않다. 그래서 형상은 복잡해서는 안되고 일반적으로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간 단한 형상을 사용한다. 색채。어린이의 지능은 색채의 영향을 받는다. 서로 다른 색채는 어린이의 시각에 영향 을 줌으로써 아이들의 감성지수, 지능지수 그리고 성격에 영향을 준다. 빨강색, 녹색, 파란색 등 단색의 단순하고 화려한 색채를 사용하여 시각 발달에 자극을 주어야 한다.

Ⅲ. 결 론 사회와 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장난감의 종류와 디자인 역시 지속적으로 혁신을 거듭하 고 있다. 장난감은 과학적, 교육적, 오락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촉각 발달을 위해 개발하고 디자인한 장난감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영유아의 심신 성장 특징에 근거하여, 영유아의 성장 단계 특징에 적합한 촉각 발달 장난감을 선택해야지만 장난감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촉각을 발달시킬 수 있다. 행동,사고,감각,인지발달 기능중에서 감각기능훈 년에 초점 맞추어 영유아 잠난간 디자인 개발에 대한연구를 하여야겟다.

 참고문헌 [1]리보펑.실내 설게 중 어린이 방의 촉각 설계 체험[J]현대기업교육, 2007(6) [2]위보.영유아 감각 기관 교육 설계 연구[D].우시:장난대학,2008. [3]장베이,왕홍거.장난감와 설계적 설계[M].베이징(北京):화학공업출판사,2006. [4]리우웨이,하오화치,장시.어린이 심리와 어린이 장난감 설계[5].2004년 공업 설계 국 제 회의 논문집.베이징:기기공업출판사,2004.

313


314


Sympathy Contents Session

유아용 팝업 북에 나타난 그림자극 조형방식 연구 Shadow play Molding method approach in the early childhood class pop-up book binding 류서, 이동훈*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Liu shu, Lee donghun* Dongseo Univ., Dongseo Univ.*

요약 경제의 발전과 함께 서적의 장정 디자인 면에서도 더욱더 많은 민족적 요소들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팝업 북 서적의 장정 디자 인일 경우에는 그림자극의 조형 요소를 많이 차용하고 있다. 그림자극의 조형 요소들은 색채, 이미지, 조각 등의 측면에서 광범 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고는 팝업 북 서적 장정 요소들의 창의적 사용을 연구하고 팝업 북 서적 장정에서의 그림자극 예술조 형의 응용 과정을 분석하고 문헌조사를 통하여 분석과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팝업 북 서적은 이런 방식을 통해 책의 내용을 더욱 실감나게 전달하며 독자를 감동시킬 수 있고 또 주제를 간략하게 요약하여 독창적인 디자인을 보여줄 수 있다. 본고는 민 족적 특색이 짙은 그림자극 예술요소의 사용 현황과 향후 발전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Ⅰ. 서론 현대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유아용 서적의 디자인은 민족적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새로운 독자를 형성할 수 있었고 또 서적 디자인 면에 있어서는 새로운 발전 가능 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유아용 서적의 디자인과정에 추 가된 민족적 요소는 그림자극 조각예술의 범위를 확장시 킬 수 있으며, 특히 팝업 북 예술 디자인은 서적에 대한 독자들의 전면적인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입체 적 디자인은 그림자극 예술의 배경과 분위기를 더욱 잘 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림자극 조각 요소, 그리고 서적 장정에 있 어서의 그림자극 예술 조형 사용을 분석하고, 문헌조사 를 통해 분석과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적 디자인 면에서 그림자극 조형을 충분히 활용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Ⅱ. 그림자극 조형 개요 및 표현형식 그림자극 조형은 흰색 천막을 통해 관객들에게 인형 공연을 보여줌으로써 그림자 예술효과를 보여주는 일종 의 예술형식이다. 그림자극의 예술형식을 차용하는 과정 에서 유아들의 색채 선호도에 따라 순서를 배열하고 색 채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높일 수 있다. 색채 응용 과 정에서는 그림자극 예술의 상징적 요소들을 충분히 활용 하여 유아들과 감정적인 교류를 하며 시각적 측면에서의 감동을 줄 수 있다.

그림자극은 일종의 평면예술이다. 조형적 측면에서는 전지공예와 결합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전통예술의 계승과 발전이 될 수 있다. 그림자극 예술의 발전과정을 보면 그림자극은 평면적 특징이 강한 예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용 팝업 북 서적 장정 디자인은 인형의 투시를 통해 시각적 측면에서 투시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유아들의 이해 과정을 통해 지식을 전달할 수 있 다. 그림자극 조형은 예술적 표현형식이 강하며 예술화 과정에 또한 경극 가면과 연극 복장 요소들을 추가한다. 서적 디자인 과정에 그림자극 예술 형식을 추가하면 유 아들이 책을 보는 과정을 통해 중국 전통예술도 함께 공 부할 수 있으며 유아에 맞는 사고습관도 키울 수 있다. 또한 유아용 팝업 북 장정 디자인 속에 그림자극 조형 요소를 도입하면 상징적인 요소가 추가되어 강렬한 색채 를 표현할 수도 있어 유아들의 상징적 의미나 색채 등에 대한 전면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색채적 상징 요소들 의 사용은 유아용 팝업 북 서적에 있어서 전통적 디자인 특징이 강하게 표현되며 유아들에게 강한 전통적 색채 개념을 인식시켜줄 수도 있다. 그림자극 조형은 과장된 예술적 표현을 사용한다. 추 상과 사실적 표현이 어우러져 인형 이미지나 장식 면에 서 형상적이고도 과장되게 표현할 수 있다. 인형 디자인 은 변형의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인형의 코를 과장 하여 표현한다거나 표현하고자 하는 자연 경치를 두드러 지게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림자극 조형 디 자인은 유아의 시각적 감각을 키울 수 있다.

315


한국콘텐츠학회 2015 춘계종합학술대회

Ⅲ. 팝업 북 장정 요소의 창의적 사용 팝업 북 서적 장정 요소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데 있 어서 핵심적인 것은 디자인 요소의 선택이다. 예를 들면 그림자극의 인형, 전지, 연화, 점토인형, 국화, 서예 등의 형식을 전부 평면 디자인에 사용할 수 있다. 예술 기호를 디자인할 때 중국의 전통문화를 표현할 수 있으며 민간 예술의 조형 수법을 형성할 수 있다. 전통 요소 사용 과 정에서도 전통적 이념을 표현할 수 있으며 현대적 장식 디자인과도 조화를 이루어 새로운 예술적 매력을 형성할 수 있다.

▶▶ 그림 1. 그림자극의 특성을 활용한 팝업북의 예

팝업 북 서적 장정 예술에 있어서 색채는 예술성이 강 한 대표적 요소이다. 옛날부터 오색법이라는 말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즉 흑,백,홍,청,황 등 5가지 색채, 그 중 상징적 의미를 갖는 붉은 색은 행운과 경사를 상징한다. 표현할 때는 국기의 붉은 색과 황색을 많이 사용한다. 이 요소들은 디자인의 선명함과 화려함을 표현할 수 있으며 유아들에게 적극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서적 디자인에 는 또 민간의 미술 요소들도 추가할 수 있다. 민간 미술 요소를 디자인에 사용함으로써 장정 디자인의 효과를 높 일 수 있다. 전통적인 미술 요소의 도입은 시각적 측면에 서 유아를 매료시킬 수 있으며 또 어디서 본 것 같은 느낌 을 줄 수 있고 시각적 측면에서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Ⅳ. 팝업 북 장정의 그림자극 조형 응용 아동 팝업 북 서적 디자인 과정에는 이미지, 문자, 색 채 등의 요소들을 장정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예술적 수양 과 디자인을 전면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독자들에게 잘 이해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며 독자들의 감정적 측면 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 중국 그림자극에는 생명관, 도 덕관, 가치관들이 잘 표현되어 있으며, 그림자극 예술 기 호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고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 그리고 민족문화 정신에 대 한 심미적 가치를 표현할 수 있다. 또 민족적 심미 습관 을 형성할 수 있고 감정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요소들 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림자극 예술을 유아용 팝업 북 도서에 도입하는 과 정은 책의 주제를 요약 표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주

제를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추상주의 를 형성할 수 있고 현대적 미의 요소와 결합하여 이성적 인 귀납과 응용을 형성할 수 있다. 입체적인 형태는 표현 하려는 언어적 내용을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으며 책의 재미도 더해줄 수 있고 어린이들의 예민한 지각 능력을 키울 수도 있다. 그림자극 조형은 디자인과정에서 독자 들과 공감을 형성할 수 있고 정교하게 조판을 하여 배경 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그림자극 요소의 도입은 책의 공간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으며 독자들의 예술 적 감흥을 불러일으키고 디자인 구조와 수준을 전면적으 로 제고할 수 있다. 3D는 입체적 특징의 문화적 산물이다. 예로부터 우리 는 평면적인 표지와 조판을 고수해왔다. 현재 서적의 장 정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는 시대에 서적은 평면에서 입 체로의 비약적 발전을 가져왔다. 장정의 디자인 또한 급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그림자극 조형은 서 적 장정에 민족적 특징을 살릴 수 있으며 민족적 정신을 표현할 수 있고 도덕 기준이나 가치관념 그리고 심미적 요소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민간 미술의 측면에서는 예술 과 사고가 결합하여 최상의 예술적 수단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심미적 가치나 문화적 가치의 측면에서 최대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Ⅴ. 결론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유아용 서적의 디자인은 많은 민족적 요소를 도입하였다. 예를 들면 그림자극 조 형 요소는 서적 디자인 과정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본고는 팝업 북 서적 장정 시장이라는 측면에서 그림자 극 조형 및 그림자극의 표현형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 하여 팝업 북 서적 장정 디자인 요소를 창의적으로 발전 시킬 수 있다. 또한 팝업 북 서적 장정 속에 나타난 그림 자극 예술조형의 활용방식을 적극적으로 분석하고 연구 함으로써 서적 디자인에 있어서의 그 활용 가능성을 발 견할 수 있었다. 본고는 민족적 그림자극 예술 요소가 광 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그 조건을 마련주려는데 연 구 목적이 있다.

참고문헌 [1] 사천, “관중 그림자극 예술 창작의 사의성과 지역 문화 특징”, 2013, “谢迁.关中皮影艺术创作的写意性与地方 文化特色” [2] 풍문박, 화현 “그림자극 조형의 상징성 분석” 비천, 2011, “冯文博.华县皮影造型的象征性分析” [3] 유철휘, “중국 현(당)대 서적 장정 디자인 속의 문화선택서적 장정 디자인에 나타난 희소 문화에 대한 사고”. 출판발행연구,2005, “刘铁薇.中国现(当)代书籍装帧 设计中的文化选择--对书籍装帧设计中弱文化态势的 思考”

316


콘텐츠 공학/콘텐츠 디자인/콘텐츠 응용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혁신저항 요인 연구 -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 중심으로 A study on innovation resistance of voice user interface – With emphasis on mobil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ce service 허 지 에, 자 오 즈 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e jie, Zhao zi-han 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요약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VUI) 사용에 있어서 혁신저항요 인을 연구한다.

1. 서론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VUI)는 음성 인식, 음성 합성, 그리고 자연어 이해를 핵심기술로 하는 음성 언어 인터페이스이다. VUI는 Amazon Echo을 비롯하여 Google, Apple, Microsoft, 삼성 등이 세계적인 IT기업들이 혁신적 VUI 기술 및 서비스를 집중개발하고 있으나 아직 사용자의 수용 및 사용 빈도는 저조한 상황 이다. 아직까지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들은 음성 인식 기술 개발이나 또는 사용성 평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 며, VUI 기술에 대한 수용이나 저항에 관련된 연구는 미 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재호와 김훈태(2016)의 스마 트폰 VUI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Ram(1987)의 소비자 혁 신저항모델을 종합하여,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 에 대해 사용자가 혁신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 는 혁신저항요인을 실증 연구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 VUI가 적용된 대표적 형태는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이다. 대표적인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는 애플의 ‘Siri’, 구글의 ‘Google Now’, 마이크로 소프트의 ‘Cortana’, 아마존의 ‘Alexa’, 삼성전자의 ‘S Voice’, LG전 자의 ‘Q Voice’ 등이 있다. 사용자는 VUI를 이용하여 편 하게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를 제어하여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보내거나, 스케줄 알림을 하거나, 음악을 재생하 거나, 날씨 또는 교통정보 등 온라인 정보나 검색 등 다 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저항에 관한 심리상태를 이해 해야 하는데, 소비자의 저항 심리는 기존 습관과 지각된 위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Ram(1987)은 이를 기반으로 혁신저항모델을 제시하였 다. 그는 혁신저항은 혁신수용의 대립적 개념이 아니라 소비자가 혁신저항을 극복할 때 혁신수용이 생기는 것이 며, 이러한 혁신수용의 발생과 확산에 따라 혁신수용과 혁신저항이 모든 과정에서 공존하는 것이라 여겼다. 혁 신저항은 혁신수용의 태도변수라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지각된 혁신특성, 소비자 특성, 보급 경로 등 3개의 변수 의 영향을 받는다. 그 중 지각된 혁신특성은 소비자 종속 측면의 변수와 소비자 독립측면의 변수로 나뉠 수 있다. 소비자 종속측면의 변수는 상대적 이점, 적합성, 지각된 위험, 복잡성, 혁신수용에 대한 억제효과 등을 포함하고 있다. 소비자 특성은 심리적 변수와 인구통계학 변수로 나뉠 수 있다. 심리적 변수로는 제품의 속성평가, 동기부 여, 개성, 신념, 혁신에 대한 태도, 기존 제품에 대한 태 도 등을 포함한다[3]. 유필화(1994)등은 Ram(1987)의 모델을 개선하였는데 [4], 기존 Ram(1987)의 연구모델에서 보급경로 특성은 신 제품의 확산과정에 있어서 장애요인으로 보았으며, 이를 제외한 지각된 혁신특성과 사용자 특성을 저항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그들은 Rogers (1962)의 수용과정모형 (Rogers는 채택이란 개인이 혁신제품을 처음 접했을 때 부터 수용하기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심리적인 과정 이라고 하였다. 이에 따라 수용과정을 지식-설득-결정-실 행-확신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과 Scheuing (1989)의 수 용과정이론을 바탕으로 "지식-결정"단계의 혁신저항이 “실행-확신”단계에 있는 것 보다 더욱 뚜렷하게 나타남을 밝혔다. 표 1. 혁신저항 요인 단계별로 선행연구 연구자/수용단계

2.2 혁신저항 관련 선행 연구 혁신저항모형(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MIR) 은 혁신저항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이다. 혁신저항에 대 한 개념을 정립한 Sheth(1981)는 심리적인 혁신저항을

317

송선옥(2004) (무역정보기술에 대한) 송희석&김경철

지식-설득-결정단계

실행-확신단계

적합성, 새로운 혁신에 적합성, 지각된 위험성, 대한 억제효과 신뢰성 상대적 이점, 지각된

적합성, 복잡성, 지각된


한국콘텐츠학회 2017 춘계종합학술대회

(2006) 모바일 상거래에 내한)

위험, 기존제품에 대한 태도, 혁신성, 더 좋은 제품에 대한 기대

자기효능, 혁신성, 더 좋은 제품에 대한 기대

송선옥(2004)은 단계별 혁신저항 연구에 있어 무역 e-Marketplace의 특성으로 상대적 이점, 적합성, 지각된 위험, 복잡성 및 혁신수용에 대한 억제효과를 그리고 무 역업체의 특성으로 혁신 성향 신뢰성 및 기존 업무방식 에 대한 태도 등을 요인으로 도출하였다[5]. 송희석, 김 경철(2006)은 모바일 상거래 서비스에 대한 혁신저항 요 인으로 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 지각된 위험, 더 좋 은 제품에 대한 기대, 지각된 자기효능, 혁신성 및 기존 제품에 대한 태도 등을 제시하였다[6]. 선행연구를 바탕 으로 각 단계별 혁신저항요인을 [표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2. 스마트폰 음성 인터페이스에 대한 저항이유 비중

소속 요인

비중

소속요인

15.4%

복잡성, 지각된 자기효능

23.1%

상대적 이점, 복잡성

33.8%

기존 제품에 대한 태도

21.5%

적합성

24.6%

상대적 이점, 적합성

6.2%

혁신성

66.2%

상대적 이점

각된 자기효능과 혁신성을 소비자 특성 요인에 포함하였 다. 따라서, 상대적 이점, 복잡성, 적합성, 기존 제품에 대한 기대, 혁신성, 지각된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활용하 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3.2. 연구과정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각 변인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도출하고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측정항목 중 본 연구에 적합한 일부 문항을 추출하고 수정하여 24개의 연구문항을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2017년 4월10일부터 4월17일까지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를 사용한 적이 있는 사 용자를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142건의 설문답변을 얻었다. 분석과정에서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표 3. 변인 및 측정항목 변수명

혁 신 특 성

최재호 등(2016)은 스마트폰 VUI에 대한 사용자의 인 지반응을 및 활동현황과 사용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을 연구하고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VUI 사용성이 떨어지 는 이유를 정리하였는데, 이를 혁신저항모델 요인에 대 응시키면 [표2]와 같다.

3. 연구문제과 방법

소 비 자 특 성

3.1 연구문제 본 장에서는 VUI 기술 기반의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 서 서비스를 대상으로 사용자 수용(실행-확신)단계에서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기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제시하 였다.

복잡성

출처

상대적 이점

사용상 편리성 효율성 빠른 정보획득

유필화&이승희(1994) Ram(1987) 송희석&김경철(2006) 양윤선&신철호(2010)

복잡성

기능 파악 어려움 사용(조작) 복잡성 사용 조적성

양윤선&신철호(2010) 송희석&김경철(2006)

적합성

일상생활 필요성 이용할 필요성 필요목적 적합성

송희석&김경철(2006) 양윤선&신철호(2010)

기존 제품에 대한 태도

혁신성

지각된 자기효능감

상대적 이점 혁 신 특 성

측정항목

기존 제품에 대한 만 족 송희석&김경철(2006) 호의적 태도 양윤선&신철호(2010) 높은 사용도 앞서 새로운 시도 새로운 방법 시도 손해 예상 불구 시도

Midgley&Dowling(1978) Hirschman(1980)

이용 능숙도 기능 이해 자신감

송희석&김경철(2006)

혁 신 저 항

사용자 혁신저항

낮은 만족도 사용 의지 부재 지속적 이용거부 비판적 생각

유필화&이승희(1994) 송희석&김경철(2006) 양윤선&신철호(2010)

수 용 의 도

사용자 이용의도

계속 이용 이용할 계획

Davis(1989) Melody,et.al.(2004) Venkatesh&Davis(2000)

적합성 혁신저항 사 용 자 특 성

기존 제품에 대한 태도

지속사용 의도

참고문헌

혁신성 지각된 자기효능

▶▶ 그림 1. 사용자 수용단계의 혁신저항 및 수용의도 예측 연구모형

사용자가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에 대한 수용 (실행-확신)단계에서 저항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Ram (1987)의 혁신저항모형을 사용하였고, 혁신 확산 시 저항 요인으로 알려진 보급경로의 특성은 제외하였다. 소비자 특성과 관련하여 Ellen은 지각된 자기효능이 혁신저항을 설명하는 요인임을 실증하였고, 송희석 & 김경철(2006) 은 혁신제품의 수용은 수용자가 얼마나 혁신성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고 지적한 바 있으므로 지

[1] 이윤근 “대화형 자연어 음성인터페이스 기술 및 서비스 현황”, 대한전자공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pp.1847– 1849, 2013. [2] 최재호 & 김훈태. “스마트폰 음성 인터페이스의 사용 현황 및 사용자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전자거래 학회지 21(4), 2016.11, 29-40 [3] Ram,S.,“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Advances in Customer Research,Vol.14,1987, pp.208-212. [4] 유필화, 이승희. “g신제품수용시 소비자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 혁신저항모형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23(3), 1994.5, 217-250 (34 pages) [5] 송선옥. (2005). 무역정보기술의 수용단계별 혁신저항 에 관한 연구: 무역 e-Marketplace를 중심으로. 무역상 무학회지, 25, 211-241. [6] 송희석, 김경철. (2006). 모바일 상거래 서비스의 저항 요인.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1(2), 111-134.

318


도시공원 벤치 이용자의 이용행위 특성에 관한 연구/부산시민공원의 벤치를 중심으로

왕 단1,2, 윤지영1,2 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교 디자인학과

1동서 2동서

Behavioural Characteristics of the Bench Users in Urban Parks/ 1,2 1,2 Focusing on the public Bench in Busan Citizens' Park

Wang Dan , Yoon Jiyoung

1General Graduate School, Dongseo University 2School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요 약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부산시민공원의 벤치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공원내부에 벤치의 종류 및 유형을 파악하고, 벤치 사용 행태에 대해 분석하 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화적 특성이 벤치 사용 자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벤치의 개념, 사용자의 행 태 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려 했으며, 현장조사 을 통해 부산시민공원 벤치의 유형, 위치, 개수 를 파악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은 부산시민공 원의 벤치들을 7가지 벤치유형을 통해 이용 비율 이 비교적 큰 벤치는 A. 단독식, G기타 두 가지 벤치 유형이었다.A.단독식 벤치는 도로 양 측에 설치되어 사람들이 피곤할 때 곧바로 휴식을 취 할 수 있도록 했다. G.기타 이러한 휴식방식은 비교적 자유로우며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키워드: 도시 공원 ,공공 벤치 ,사용자 행위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도시내부 공공 휴식시설의 디자인 영역은, 서 양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그 연구가 일찍 시작되 어 그 시기에 맞는 발전을 이루어 왔다. 오늘날, 도시 공공시설에 관한 연구는 국제적으로 어느 정도의 성과가 존재하며, 실례관련 대량의 문헌 자료가 존재한다. 덴마크의 건축가 얀겔(Jan Gehl)은 1971년에 출판한 자신의 저작 <교류와 공간>에서 물질 환경과 야외 휴식활동 간의 작 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부산시민공원의 벤치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공원내부에 벤치의 종류 및 유형을 파악하고, 벤치 사용 행태에 대해 분석하 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화적 특성이 벤치 사용 자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부산시민공원의 공공 벤치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진행한다. 문헌자료를 참 고하여 공공벤치의 개념, 기능, 사용자 행위 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여, 본고를 위해 실 용적인 이론적 기초로 삼는다. 둘째, 부산시민공 원의 현장조사를 진행하여 부산시민공원 벤치의 유형, 위치, 개수를 파악한다. 셋째, 벤치의 이용 자의 행위를 분석한다, 부산시민공원 벤치이용자 들에 대한 조사는 공원 이용객수가 많은 주중 및 주말에 진행되었다. 조사는 이용자들이 벤치, 파 고라, 캐노피시설을 이용할 경우 사진촬영을 한 후 이를 분석하는 Pictorial analysis 기법을 이용 하였다.

Ⅱ. 이론적 고찰 1. 벤치의 개념

도시 공원에서 앉아서 쉴 수 있는 것으론 벤치 를 가장 자주 볼 수 있다.벤치의 조형, 색채, 질 감, 구조를 포함한 디자인은 환경의 특정 분위기 를 나타내서, 장소의 기능성과 환경의 질을 나타 내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공공벤치는 일상생활 속의 공공시설일 뿐만 아니라 야외 공공환경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 대중들의 사회화를 위해 공간을 제공해준다. 예컨대 기다리거나, 교류하거 나, 바라보거나, 책을 읽거나, 밥을 먹는 등의 공 간을 일컫는다.[2] 2. 사용자의 행태 휴게공간에서 앉는 공간은 사람들의 이용행태 와 장소적 특성, 주변 환경과 관련된다. 앉는 공 간을 구성하는 요소를 크게3가지로 구분하면, 1) 이미 의도되거나 규정된 공간의 형태나 크기, 주 변 환경, 방향성과 시야 확보를 위한 공간의 위 치 및 개방성 등의 정적인 물리적 환경, 2)인간 의 행위에 따른 활동들, 3)공간의 의미와 인간의 활동 및 의도에 부합되도록 지원하는 시설물이 다.[3] 319


III. 부산시민공원의 벤치 유형 및 행태 분석 1. 공원의 개요

부산시민공원은 2011년 8월 공사가 시작되어 2014년 5월 개장하였고, 규모는 530,779㎡ (160,561평)이다. 해방 이후에는 주한미군의 하야 리아 캠프가 자리 잡고 군수물자를 보급하는 기 지로서 군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 2. 부산시민공원의 벤치유형 부산시민공원에서는 약 381개, 29종류의 벤치 가 있는데, 이 벤치들을 단독식 벤치(292개), 점 형식 벤치(39개), 단독 코너식 벤치(5개), 다중 코 너식 벤치(7개), 원형식 벤치(33개), 호형식 벤치 (5개) 및 기타(돗자리) 벤치(46개)이다. 그 다음에 는 이 7가지 벤치유형을 통해 부산시민공원에 있 는 벤치에 대해 주요 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표 1.부산시민공원의 벤치의 유형과 위치분석 벤치 위치 사진

종류

단독식

점형식 단독 코너식 다중 코너식 원형식 호형식 기타(돗자리)

수량 292 39 5 7 33 5

비율(%) 76.6% 10.3% 1.3% 1.8% 8.7% 1.3%

중오후에 이용 비율이 비교적 큰 벤치들을 A.단 독식, B.점형식, C.단독 코너식, D.다중 코너식, E.원형식, F.호형식, G.기타(돗자리). 주말오전에 이용 비율이 비교적 큰 벤치들을 A.단독식, B.점 형식, C.단독 코너식, E.원형식, G.기타(돗자리), 주말오후에 이용 비율이 비교적 큰 벤치들을 A. 단독식, B.점형식, C.단독 코너식, D.다중 코너식, E.원형식, F.호형식, G.기타(돗자리). 8월의 주중 오전에 이용 비율이 비교적 큰 벤치들을 A.단독 식, E.원형식, G.기타(돗자리),주중오후에 이용 비 율이 비교적 큰 벤치들을 A.단독식, B.점형식, C. 단독 코너식, D.다중 코너식, E.원형식, F.호형식, G.기타(돗자리)。주말오전에 이용 비율이 비교적 큰 벤치들을 A.단독식, B.점형식, F.호형식, G.기 타(돗자리),주말오후에 이용 비율이 비교적 큰 벤 치들을 A.단독식, B.점형식, C.단독 코너식, D.다 중 코너식, E.원형식, F.호형식, G.기타(돗자리). 공원 벤치의 사용시간 중 주중 또는 주말 아니 면 오전 또는 오후이든 이용 비율이 비교적 큰 벤치는 A. 단독식, G기타 두가지 벤치 유형이었 다.A.단독식 벤치는 도로 양 측에 설치되어 사람 들이 피곤할 때 곧바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했다. G.기타(돗자리) 이러한 휴식방식은 비교적 자유로우며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하지만 A. 단독식 벤치가 있는 경우에 도 사람들은 G.기타(돗자리) 이러한 잔디에 앉아 휴식을 하는 형식을 선택하기도 한다.

분석결과, 공원에서는 단독 코너식 벤치의 설 치가 비교적 많으며 전체 공원에서 76.6%를 차 지한다. 이는 공원에 각 도로에 설치되어 있어 Ⅳ. 결론 공원의 통일된 모습을 제고했다. 3. 공원벤치 사용행위 분석 공원 환경에서, 사람의 휴식행위와 그 공간 환 공원벤치 사용행위 분석에는 있다. 앉기, 쉬다, 경은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에 속하며, 매 한 가 잠자기, 독서, 미디어이용, 음식 먹기, 교류 등을 지 휴식유형과 그 활동공간은 일정한 구조와 패 포함한 주요한 7가지로 나누어 본 적이 있다. 턴이 있다. 본문에서는 부산시민공원벤치의 유형, 표 2.공원벤치 사용행위 분석 위치, 개수를 파악하고, 벤치의 이용자의 행위 분 석, 벤치 이용자들에 대한 조사는 공원 이용객수 행위분류별 사진 앉기 가 많은 주변의 주중 및 주말에 진행되었다. 문 휴 쉬다 화적 특성이 벤치 사용자 행위의 미치는 영향에 게 잠자기 대해 논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많은 사람들은 휴식할 수 있 문 독서 화 미디어이용 는 공간으로 상태가 양호한 잔디밭을 선택하였 다. 한국의 생활방식인 좌식문화 즉 바닥에 앉는 교 음식 먹기 습관을 지금까지 유지해 왔다. 때문에 한국의 온 제 교류 돌문화에서 온 생활 형태의 차이점이 휴게시설물 표 3. 시간대별 이용 공간 분석 의 디자인 변화에 반드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 4월 8월 인다. 오전 오후 오전 오후 주중 주말

ADG ABCEG

ABCDEFG ABCDEFG

AEG ABFG

ABCDEFG ABCDEFG

주)A.단독식, B.점형식, C.단독 코너식, D.다중 코너식, E.원형 식, F.호형식, G.기타(돗자리) 4월의 주중오전에 이용 비율이 비교적 큰 벤 :A.단독식, D.다중 코너식, G.기타(돗자리), 주

참고문헌

[1]李明星,城市户外公共休憩设施的地域化研究,浙江师范大 学,p2, 05, 2014 [2]李超, 城市户外公共座椅设计研究,江南大学,p11, 04, 2008 [3]이진주, 수목그늘의 정도에 따른 벤치이용에 관한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p.11, 06, 2015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 사무국] 동서대학교 뉴밀레니엄관 703호 051) 320-4833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47011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로 47 (주례동) 051) 313-2001~4 http://uni.dongseo.ac.kr/designcollege www.facebook.com/DSUDesignCollege

331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