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삼척 산양 모니터링 활동보고서
목차
1 개요
4 가. 배경
6
나. 목적
7
다. 조사개요
8
2
10
산양의 생태와
가. 산양이란?
12
서식 현황
나. 세계의 산양, 우리나라의 산양
22
다. 울진·삼척 산양
42
3
48
녹색연합
가. 산양 서식지 현장 조사 활동
50
산양보호활동
나. 산양 구조활동
55
다. 시민참여형 산양보호활동
63
라. 지역주민과 연계한
70
산양보호활동
4 활동 결과
72 가. 울진·삼척 산양 위협요인
74
나. 산양서식지GIS분석
83
94
5 종합 및 제언
3
목차
가. 결론
96
나. 제언
98
1
개요
산양보고서
4
6
가. 개요
7
나. 목적
8
다. 조사 개요 1) 조사 시기 및 지역 2) 조사방법 및 내용
5
1. 개요
1. 개요 가. 배경
산양(학명 : Naemorhedus caudatus 영명 : Amur Goral, Long-tailed goral) 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CITES) - 부속서 Ⅰ에 속하며, 세계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적색목록(Red List)에 취약종(Vulnerable, VU)으로 분류되어 보호하고 있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또한 국내에서 는 멸종위기종 1급, 천연기념물 제217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는 법적보 호종이다. 산양은 세계적으로 시베리아 남동부로부터 미얀마와 태국의 서부지방 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50년대까지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등 고지대의 산악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이었으나 무분별한 포 획, 서식지 파괴 등으로 현재는 일부 지역에 국한하여 서식하고 있다. 남한의 산양 집단 서식지는 크게 강원도 비무장지대, 설악산, 울진·삼 척지역이 남아있다. 비무장지대와 설악산 지역은 현재 멸종위기종 산양에 대한 보호·관리기관 및 시설이 있으나 울진·삼척지역은 산양 집단 서식지임 에도 현재 보호·관리기관 및 시설이 없어 산양의 보호에 있어 열악한 환경에 처해있다.
산양보고서
6
녹색연합은 2000년대 초반부터 울진·삼척 산양보호활동을 진행해왔 다. 2003년 문화재청과 실시한 조사에서 처음으로 울진삼척에 산양이 존재 함에도 보호대책이 전무한 상태임을 알렸다. 이후 2004년부터 2013년 현 재까지 지속적으로 산양서식현황을 모니터링하며 보전대책 수립을 제안해 왔다. 또한, 2010년 이후에는 분변을 통한 서식지 확인 외에 무인카메라와
GIS 등의 기법이 추가되어 좀 더 과학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조사참여자 역 시 초기 활동가 중심에서 일반 대중으로 확대해 2010년부터는 시민 모니터 링단을 구성, 인식의 폭을 넓혔다.
2010년 울진지역의 산양 집단 폐사(25개체 폐사)를 계기로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전문가와 활동가,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2010 봄, 산양 과 놀자’ ‘2011년 야생동물탐사단’ 등의 활동으로 발전해 구체적인 보호계획 을 수립하는 초석이 되었다.
나. 목적 이 보고서에서는 산양의 기본적인 생태와 세계 산양의 분포, 울진·삼척에 서식하고 있는 산양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 그리고 서식 실태를 밝히고자 한다.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보호의 사각지대에 놓 여있는 울진·삼척에서 녹색연합이 그동안 펼쳐온 산양 보호 활동을 소개하 고 그 성과를 서술할 것이다. 또한 울진·삼척 산양보호 활동의 경험을 바탕 으로 바람직한 보호 관리 방안을 제언할 것이다.
7
1. 개요
다. 조사 개요
1) 조사 시기 및 지역 조사 시기는 2011년~2013년까지이며 산양 서식 실태 조사는 과거 2003년,
2007년 조사와 동일한 울진·삼척의 주요 산양 서식지에서 실시하였다. 전체 조사 지역 : 2개도, 1개시, 2개군, 1개읍, 4개면, 18개리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사곡리, 기곡리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동활리, 탕곡리, 오저리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두천리(1리, 2리), 상당리, 덕구리(1리, 2리)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삼근리(1리, 2리), 하원리, 쌍전리(1리,2리), 소광리(1리, 2리), 전곡리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세부구역은 다음과 같다. 행정구역
조사지역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동활리
복두산 (978m) 일대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면산 (1245m), 가곡자연휴양림 일대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오저리, 탕곡리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오저리
중봉산 (739.5m), 보릿골 일대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굉이골 일대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용인등 (770m), 문지골 일대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용소골 일대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사곡리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덕구리
응봉산 (999m) 일대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두천리, 상당리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소광리
대광천, 990봉 일대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소광리
찬물내기, 십이령고개 일대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삼근리
세덕산 (740.8m) 일대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하원리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소광리
장군터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반야골, 강시골 일대
산양보고서
8
2) 조사방법 및 내용
- 산양 흔적 관찰 및 위협요소 모니터링 - 산양 서식지 생태 모니터링 - 산양 서식 현황 GIS분석 - 산양 배설물 흔적조사를 통한 서식범위 조사 - 주민 청문 조사
9
1. 개요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산양보고서
10
12
가. 산양이란? 1) 개요 2) 산양의 주요한 특징 3) 외형적 특징 4) 생태학적 특징
22
나. 세계의 산양, 우리나라의 산양 1) 세계의 산양 2) 우리나라 산양
42
다. 울진·삼척 산양 1) 울진·삼척 지역 특징 2) 울진·삼척 산양 의미
11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가. 산양이란?
1) 개요
• 학명 : Naemorhedus caudatus • 영명 : Amur goral, Long-tailed goral • 생물학적 분류 : 척삭동물문 > 포유강 > 우제목> 소과 > 염소아과 > 산양속
•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급
•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서(Red List) 취약종(VU)으로 분류
• 식성 : 초식성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등급 : I등급
• 분포지 : 한반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등
• 천연기념물 지정번호 : 217호(1968.11.20.)
• 서식장소 : 경사가 높고 암벽으로 이루어진
• 산양에 관한 역사적 기록: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산악산림지대
산양보고서
등에서 찾을 수 있음.1
12
2) 산양의 주요한 특징 산양은 우리나라 야생에서 살고 있는 유일한 우제목 2 소과의 동물이다. 계 통진화학적으로 소과의 조상 형질을 가장 오랜 기간 간직해 오고 있는 원시 적인 현존 동물이며, 약 200만 년 전 지상에 출현한 태초의 모습에서 거의 변화하지 않은 채 원시적인 형질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살아있는 고 대동물’ 또는 ‘화석동물’이라고 불린다. 산양은 보통 다른 짐승들이 오르기 힘든 바위지대, 험준한 산악산림지대에 서 사는 전형적인 짐승으로서 바위, 산악산림의 환경조건에서 자유자재로 활동하기 위해 굵고 짧은 다리, 탄력성 있는 발바닥 등 까다로운 산악산림 서식지에 적합하게 발달하였다.
1 <고려사>에는 궁에서 기르던 진귀한 동물들 중에 산양이 있었다는 기록 이 있음 : (고려사 제6권 정종 4년(1038)) 계미일에 내사 문하성에서 왕 에게 말하기를 “동지(東池)에 있는 백학, 거위(鵝), 오리, 산양들에게 날 마다 곡식을 먹이게 되니 거기에 소비되는 곡식이 적지 않습니다. 옛 문 헌에 개와 말은 그 지방에 맞지 않으면 기르지 않으며 희귀하고 기이한 날짐승이나 길짐승은 나라에서 사양하지 않는다는 말이 있으며 또 거 기에는 날짐승, 길짐승이나 모든 곤충들은 제각기 본성대로 산다고 하 였으니 이것은 대개 사람들의 구경거리를 만들기 위하여 동물들의 본성 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바라옵건대 저 동물들을 바앗섬으로 놓아 보내게 하소서.”라고 하니 왕이 이 제의를 좇았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살아있는 산양이 아니라 주로 ‘산양피(山羊皮)’가 언급되고 있음. 산양피는 평안도, 황해도 등의 공물(貢物)이었다.
2 한국의 우제목(소목) 멧돼지과Suidae
멧돼지Sus scrofa
사슴과Cervidae
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 대륙사슴Cervus nippon 붉은사슴Cervus elaphus 고라니Hydropotes inermis 노루Capreolus pygargus
소과Bovidae
산양Nemorhaedus caudatus
출처: 천연기념물(동물)의 역사적·문화적 가치 정립과 분류학적 특징 분석 최종보고서 (2008 문화재청)
13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3) 외형적 특징
몸 길이(머리-항문) 100 흰색, 갈색, 검은색 털이 섞여 있다. 나일론 실 같은 느낌이며, 길고 가늘고 매끄 러우며 약간 고불거린다. 털은 3~6월에 걸쳐 빠지고, 8~9월에 거쳐 새털이 나기 시작한다. 체중은 25~35kg
꼬리털은 흰색의 다북털 꼬리길이 12~18cm 털 포함 30~40cm
똥은 보통 검고 10~20mm 길이의 타원형이며, 양쪽 끝이 둥근 경우가 많다. 한번에 100~400개의 똥을 눈다.
그림1 산양 외형적 특징
산양보고서
14
10~23cm 활모양의
몸 길이(머리-항문) 100~120cm
약간 휜 원뿔모양 뿔은 빠지지 않고 해마다 조금씩 자란다.
목소리는 평소에 온화한 편이나 부상 당하였을 때는 까치 울음과 같이 찢어지는 듯한 소리를 낸다.
체고 (앞발 끝-어깨) 69~75cm
발자국은 길이5.6cm, 앞다리는 뒷다리보다 짧다.
너비5.1cm, 보폭35~45cm 탄력성이 있는 발바닥을 가지고 있다.
15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그림2 산양 박제
산양보고서
16
그림3 산양 털 그림4 산양 꼬리털
17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그림5 산양 뿔모양 그림6 산양의 발 모양
산양보고서
18
4) 생태학적 특징 표1 산양의 생태학적 특징 번식
평균 2년에 1번
생활 영역
직경 1~2km, 1천 ha당 35~40마리
교미기
9~10월
일일
수백m
행동거리 임신 기간
보통 250~260일 (7~8월)
계절 최대
수km 이내 (정착성, 국소성 강함)
이동거리 출산기
5~6월
수명
야생의 경우 10년 미만이며, 동물원에서 최고 17년 7개월
새끼 수
양육 기간
보통 1마리 (드믈게 2마리)
수유기간 1개월, 새끼는 20일
활동
주행성이며, 이른 아침, 늦은 오후에 먹이
시간대
활동이 활발하다.
생활 습성
먹이 활동을 한 후에는 주로 안전한
이후부터 먹이활동을 한다. 약 1년간 부모 아래에서 생활하며
곳에서 되새김질을 하며 시간을 보낸다. 정착성, 국소성이 강하여 정해진 자리로
3년 정도에 완전히 성숙한다.
돌아와 휴식을 취한다. 여름에는 바위 밑에서 쉬며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겨울에는 산꼭대기에서 사는데 멀리 가지 않고 일정한 곳에서 혼자서 살거나 혹은
2~3마리가 같이 사는 경우가 있다. 먹이
49과 149종으로 다양하다. 주로 연한 잎과 줄기의 식물과 열매, 칡, 버섯, 낙엽, 이끼류, 조릿대, 나무껍질, 침엽수의 잎과 까지 먹는다. 베지 않고 뜯어 먹기 때문에 절단면이 거칠거나 수평이다.
서식 환경
해발 600m 이상 바위 산악 지대의 산림, 마른 지역을 선호하며, 특히 가파르고 바위가 많으며 탁 트여 앞이 잘 보이는 능선 위, 바위 처마 아래 조용한 곳을 은신처로 삼는다.
뿔질행동
지팡이 굵기만한 나무 줄기에 땅 위 30~100cm쯤 되는 높이에서부터 뿔로 비벼 한 뼘쯤 껍질을 벗겨 놓는다. 밤색 혹은 검은색의 짧은 얼굴 털이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뿔질로 영역을 표시하고 의사소통을 한다.
사회 구조
어미와 새끼가 함께 지내며, 수컷은 단독생활을 기본으로 한다. 수컷 한 마리의 영역에 여러 암컷이 생활하지만 암컷들의 영역은 서로 배타적이다.
19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그림7 산양이 주로 서식하는 바위지대 그림8 산양의 은신처(바위 밑 처마)
산양보고서
20
21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나. 세계의 산양, 우리나라 산양
1) 세계의 산양 산양이 속한 소과(Bovidae)는 매우 다양하게 분화된 분기군으로 전세 계에 10개의 아과, 약 140개종이 속해 있으며, 이 중 산양은 염소아과
(Caprinae)에 속한다. 염소아과에는 4개의 족(tribe)이 존재하며, 4개의 족 중 Rupicaprini 족에 속한다. Rupicaprini 족 아래 4개의 속이 있다. 산양 은 Nemorhaedus 속에 속하며, Nemorhaedus 속은 Naemorhedus baileyi,
Naemorhedus caudatus, Naemorhedus goral, Naemorhedus griseus 4종으 로 분류된다. 3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산양은 이 중 Naemorhedus caudatus 종이며, 4
Naemorhedus caudatus (아무르 산양)은 동부 러시아에서부터 중국 북동부 를 거쳐 한반도까지 서식하는 종이다.
과명 Caprinae
족명
속명
종명
일반명
Saigini Caprini Ovibovini Rupicaprini
Oreamnos Rupicapra Capricornis Nemorhaedus
3 Wilson&Reeder’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3판, 2005)
baileyi
Red goral
caudatus
Long-tailed goral, Amur goral
goral
Himalayan goral
griseus
chinese goral
그림9 산양의 계통분류도
4 Neamorhedus caudatus는 다시 N.c Raddeanus, N.c Evansi, N.c Caudatus, N.c Griseus 4개의 아종으로 구분되며 이 중 N.c Raddeanus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산양으로 분류된다고 하나 IUCN의 Redlist (Grubb, 2005)에 의하면 아종의 구분은 아직까지 명확치 않아 본 보고서에서는 Naemorhedus caudatus를 ‘우리나 라 산양’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산양보고서
22
표2 산양의 분류 학명 / 일반명
사진
분포
Naemorhedus baileyi /
티벳 남동부, 중국 운남, 미얀마
Red goral (붉은 산양)
북부, 인도 북동부 등
Naemorhedus caudatus /
한반도, 러시아 남동부, 중국 동부,
Lond-tailed goral, Amur goral
미얀마 동부, 태국 서부 등
(긴꼬리 산양, 아무르 산양)
Naemorhedus goral /
파키스탄 북부, 인도 북동부/북부,
Himalayan goral (히말라야 산양)
네팔, 부탄 등 히말라야 지역
Naemorhedus griseus /
미얀마, 중국 운남과 내몽골, 인도
Chinese goral (중국 산양)
북동부, 태국 북서부, 베트남 북부
23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Naemorhedus Baileyi
Naemorhedus Goral
산양보고서
24
Naemorhedus Caudatus
Naemorhedus Griseus 25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2) 우리나라 산양의 분포와 서식 현황 ① 분포와 서식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산양은 38도선 이북 지역에서는 평안남·북도, 함경남· 북도, 황해남·북도, 자강도와 양강도, 강원도의 높은 산지대와 이남 지역에 서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충청북도의 높은 산지대에 걸쳐 서식하였다. 하지 만 현재 급격한 서식지 감소와 무분별한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6 과거 조사된 전국적인 산양 서식지 분포 조사에 따르면 전국 21곳의 서 식지에 690 ~784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남 지역에서 100개 체 이상이 서식하는 산양의 집단 서식지는 강원도 비무장지대, 설악산, 울 진·삼척·봉화 지역이며, 그 외 강원도 양양 미천골, 동해시 고적대, 평창 오대 산, 경북 영양 지역에 소수의 산양이 잔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산양도 서식 특성 및 생태에 맞게 험한 바위지대, 산악산림지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이며,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에 서식하는 것으 로 보인다.
전국적인 산양 분포도는 다음과 같다. 8
6 1960년대 강원도에 폭설이 내려 민가 주변에 내려와 약 6,000개체 이 상이 포획된 기록이 있으며, 예전에 태백산맥에 15,000마리가 서식하 였다. 7 2002년 환경부 의뢰 하에 진행된 임업연구원 양병국 박사팀의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동물 산양 복원기술 개발』 보고서 8 2002년에 조사된 자료로서 현재 전국적인 산양의 분포로 보기에는 어 려우나, 대략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참고자료로서 활용하였다. 10 년이 지난 지금 전국적인 산양 분포에 대한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 된다.
산양보고서
26
그림10 우리나라 산양 분포
강원도 비무장지대
설악산
울진. 삼척. 봉화
200개체 이상
27
100개체 이상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10개체 이상
10개체 이하
② 무인 카메라 산양 사진 녹색연합은 2010년 산양 폐사 사건 이후 울진·삼척 지역의 산양을 알리기 위해 산양 서식지 현장 조사를 통한 보호활동을 넘어 더욱 발전적인 산양 보호활동을 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2010년 봄 처음으로 시민기금을 활 용하여 무인카메라를 구입하였으며, 지역주민과 함께 최초로 무인카메라를
그림11 해 지기전 산양 모습 그림12 카메라를 쳐다보는 산양
이용한 산양 모니터링을 시작하였다. 무인카메라 운영 초기에는 금강소나무 숲길과 협력하여 주로 울진 지역(금강소나무숲길 인근 지역)에 설치하여 운 영하였다.
산양보고서
28
그림13 뛰어오르는 산양
무인카메라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자료는 산양을 비롯한 야생동물 연 구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며, 더 나아가 울진·삼척 지역 자연환경을 알리고,
그림14 산양 가족
시민들에게 생생한 생태계를 보여주는 중요 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29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그림15 산양(목에 흰 부분이 특징) 그림16 털갈이를 마친 산양
산양보고서
30
그림17 서로 마주보는 산양 가족 그림18 날씬해 보이는 여름 산양
31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그림19 쉬고 있는 모습 그림20 카메라를 뒤돌아보는 산양
산양보고서
32
그림21 새끼 산양과 엄마 산양 그림22 어린 산양
33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그림23 산양(여름) 그림24 어린 산양
산양보고서
34
그림25 한겨울 함께 붙어서 자는 산양 그림26 산양(여름)
35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그림27 대형똥자리로 돌아온 산양 그림28 휴식처에서 잠자는 산양
산양보고서
36
그림29 카메라를 쳐다보는 두 마리 산양 그림30 어린 산양(여름)
37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그림31 무언가 쳐다보는 산양 그림32 쉼터에서 쉬고 있는 산양
산양보고서
38
그림33 산양(겨울) 그림34 아래를 쳐다보는 산양
39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그림35 산양(뿔모양이 선명) 그림36 영역다툼하는 산양
산양보고서
40
그림37 긴 꼬리가 특징인 산양 그림38 산양 가족
41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다. 울진·삼척 산양
1) 울진·삼척 지역 특징 그림39 (GIS) 울진·삼척 지역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및 가곡면, 강원도 태백시, 경상북도 울진군의 서면 및 북면, 봉화군 소천면 및 석포면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면적의 산림지대는 전체적으로 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으며, 응봉산(999m), 삿갓재(1119m), 백병산(1000m), 복두산(978m), 묘봉(1168m), 면산(1245m), 토산령(1072m) 등과 같은 높고 험한 산악지역 및 용소골, 문지골, 괭이골, 덕풍계곡, 동활계 곡과 같은 깊은 계곡이 존재한다. 울진·삼척 산림지역은 지리적·지형적 특성에 의해 사람들의 접근이 쉽지 않아 개발의 손길이 거의 미치지 않은 곳이다. 대단히 넓은 면적의 자연환경 이 훼손되지 않은 채 잘 보전되어서 생태학적 보전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울 진·삼척 지역은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어서, 멸종위기 종 1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산양을 비롯한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울진·삼척의 산림지역은 행정구역으로만 구분할 수 있을 뿐, 방대한 산 림으로 연결된 ‘하나의 거대한 생태계’이다. 또한 환경부 지정 생태경관보전 지역(울진군 서면 왕피천 일대) 9이 있으며,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와 울진군 서면 소광리, 동쪽으로 울진군 북면 두천리로 이어지는 산림 지역은 산림청 지정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울진군 금강소나무 군락지, 삼척시 응 봉산 일대)으로서 산양을 포함하여 수달(이상 멸종위기 1급) 담비, 하늘다 람쥐, 삵(이상 멸종위기 2급) 등의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는 최대의 야생 동물 서식지로서 생물 다양성이 높은 곳이다.
산양보고서
9 왕피천생태경관보전지역은 2005년에 지정되었으며, 울진 군의 왕피천 유역과 통고산, 천 축산을 포함하는 약 3천만평 (102.84㎢)이다. 이는 지금까지 지정된 생태계보전지역 중 최대 규모로 지난 2002년에 지정된 동강 생태계보전지역의 1.6배에 달한다. 왕피천 유역은 녹지자 연도 8등급 이상 지역이 전체의 95%가 넘을 정도로 식생이 우수 하고 계곡과 하천이 어우러진 빼 어난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이다.
42
① 강원도 삼척시 강원도 삼척시의 주요 산양 서식지는 가곡면 동활리, 풍곡리, 원덕읍 사곡 리 일대 지역이며, 복두산(978m)과 중봉산(739.5m), 면산(1245m), 응봉산
(999m) 등의 산봉우리와 용소골, 문지골, 보릿골, 괭이골 등 깊은 계곡이 있 어 산양을 비롯하여 다양한 멸종위기종 야생동식물이 서식 하고 있는 곳 이다. 가곡면 동활리는 서쪽에 복두산(978m)이 자리하고 있으며 복두산과 동활계곡 일대는 2005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입산을 통 제하고 있는 지역이다. 가곡면 풍곡리는 삼척시의 서쪽과 남쪽 끝에 위치하며, 서쪽으로는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소광리와 경계를 이룬다. 서쪽으로는 토산령(1072m), 면산(1245m), 석개재, 묘봉(1168m), 삿 갓재(1119m)로 이어지는 낙동정맥의 산줄기와 남쪽으로는 삿갓재, 동쪽으 로는 응봉산(999m) 능선 안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들 산줄기 안쪽은 거 친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사람의 접근이 쉽지 않아 안정적인 야생동물 서식지로서 역할을 해왔다. 원덕읍 사곡리는 가곡천 남쪽, 사금산과 응봉산을 잇는 산줄기와 응 봉산에서 동해로 뻗어나간 산줄기 사이에 위치하여, 서쪽으로 삼척시 가곡 면 오저리, 남동쪽으로는 울진군 북면 두천리와 인접한다. 특히 가곡면 풍곡리 용소골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의 암벽지대는 산 양의 서식환경으로서 매우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어 가장 높은 산양 서 식 밀도를 나타내고 있는 지역이다. ② 경상북도 울진군 경상북도 울진군의 주요 산양 서식지는 북면 두천리, 서면 소광리, 왕피천 일대 지역으로 석개재, 묘봉(1168m), 삿갓재(1119m) 능선을 따라 강원도 삼척시와 경계를 이루는 지역과 응봉산(999m) 주변 지역이다. 북면 두천리는 동쪽에는 형제봉, 서쪽에는 삿갓봉 산줄기가 내려오며, 남쪽에는 아구산(653m)이 위치하고 있다. 십이령~찬물내기~서면 소광리까 지 임도가 있다. 서면 소광리 주변 지역은 삿갓재(1119m), 백병산(1060m), 경상북도-강원도 경계 능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쪽으로는 두천리와 경 계를 이룬다. 이 주변지역은 산양의 주요 서식지로서 2010년~2012년까지 많은 수의 산양이 폐사한 지역으로서 산양 서식 실태 및 환경에 대해 정밀 조사가 필요한 지역이다.
43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그림40 울진·삼척 산림지대 그림41 삼척시 용소골
산양보고서
44
그림42 삼척시 용소골
45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Naemorhedus Caudatus
그림43 울진삼척 산양 서식 분포
산양보고서
46
2) 울진·삼척 산양 의미 울진·삼척 지역은 2002년 실시된 환경부 전국 산양 분포 조사 결과에 따르 면 강원도 비무장지대, 설악산과 함께 최소존속개체군 50마리를 넘는 100 개체 이상의 산양이 무리를 이뤄 서식하는 ‘집단 서식지’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산양인 Naemorhedus caudatus(영명 : Amur
goral, Long-tailed goral) 종이 집단으로 서식하는 ‘최남단 집단 서식지’는 울진·삼척 지역이다. 환경부 조사 결과와 녹색연합 자체적으로 꾸준하게 현 장 조사 및 모니터링한 결과 산양이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는 ‘최남단 집단 서식지‘는 울진·삼척 지역으로 나타났다. ‘최남단 집단 서식지’라는 것은 우리나라 산양 집단 서식지의 남방한 계선이라고 볼 수 있다. 생태계에서 최남단 서식지, 산양 집단 서식지의 남 방한계선이라는 의미는 우리나라 산양인 Naemorhedus caudatus 종이 어 떤 환경에서 집단으로 살아 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척도(기후변화, 자연환 경 등)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실은 울진·삼척 지역 자연환경과 울진·삼척에 서식하고 있는 산양이 국제적 기준으로 봤을 때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근거가 된다. 게다 가 울진·삼척 산양 주요 서식지는 산림청 지정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산양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1급이자 문화재청 지정 천 연기념물 217호로서 산양과 울진·삼척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이 가지는 국 내적 위상을 고려해봤을 때 서식지 및 산양 보호·관리가 우선적으로 이루 어져야 하는 지역이다. 울진·삼척 지역이 ‘최남단 집단 서식지’로서 건강한 생태계가 유지되어 야만 산양의 개체수가 증가해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 서 앞으로 울진·삼척 지역적 특성에 대한 연구와 적극적인 보호가 이뤄져 야 함을 의미한다. 울진·삼척 지역 산양 서식지 보호·관리를 통해 산양 개체 수를 늘려야 하며 단절된 서식지를 연결시켜 산양이 낙동정맥과 백두대간 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7
2. 산양의 생태와 서식 현황
3
녹색연합 산양보호 활동
산양보고서
48
50
가. 산양 서식지 현장 조사 활동 1) 현장조사 절차 및 방법 2) 산양의 흔적 3) 무인카메라 모니터링 4) 생태학적 특징
55
나. 산양 구조활동 1) 개요 2) 울진·삼척 산양 폐사 현황 3) 울진·삼척 산양 폐사 분석 결과 4) 구조활동 절차 및 방법
49
63
다. 시민참여형 산양보호활동
70
라. 지역주민과 연계한 산양보호활동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가. 산양 서식지 현장조사활동
야생동물 서식지 현장조사활동은 서식지 조사의 기본이 되는 활동으로서 녹색연합은 2002년부터 울진·삼척 지역에서 산양을 중심으로 야생동물 서 식지 현장조사활동을 해왔다. 현장 조사활동의 내용은 산양 배설물과 발 자국 등 흔적조사를 통한 산양 서식실태 조사, 산양 서식지 위협요인 조사 등이 있다.
1) 현장 조사 절차 및 방법
① 현장 조사 대상지 선정 산양 서식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 동안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했 던 산양 서식지를 조사 대상지로 정하고, 그 외 기존 문헌자료와 조사자료 의 분석을 통해 추가로 산양 서식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지역,
그림44 산양의 흔적을 기록하는 모습 그림45 산양 서식지를 사진기록하고 있는 조사자
울진·삼척 지역에 중요 환경 현안과 관련되어 있는 산양 서식지, 지역주민들 의 인터뷰(청문조사)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양 서식지 현장 조사 대 상지를 선정한다. 울진·삼척 지역은 2010년부터 많은 수의 산양이 폐사한 지역으로서 산양의 사체가 발견된 주변지역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조사 지역을 선정하였다. ② 현장 조사 방법 기본적인 조사 장비를 준비하여 산양 서식지 현장조사활동을 한다. 기본 조사 장비로는 GPS, 야장, 지도, 나침반, 카메라, 줄자, 지퍼백 등이 있다. 산양의 흔적을 발견하면 GPS좌표를 입력하고, 주변 식생과 산양 흔 적에 대하여 자세하게 야장을 작성한다. 그리고 산양 서식지 주변 경관과 산양 흔적을 사진 자료로 남긴다. 필요시 산양의 배설물이나 털을 지퍼백 에 담아 보관한다.
산양보고서
50
그림46 산양 똥자리 크기를 재는 조사자 그림47 산양의 휴식처인 바위 절벽 지대에서 흔적 조사하는 모습
2) 산양의 흔적 산양 서식지 현장 조사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산양의 흔적은 4가지 정 도가 있다. ⅰ) 산양의 배설물, ⅱ) 산양의 털, ⅲ) 뿔질 흔적, ⅳ) 발자국이 있으며, 드물지만 산양이 최근까지 머물다간 자리에 가게 되면 염소 냄새가 남아 있을 수도 있다. ① 산양 똥자리 10 고라니의 배설물은 보통 검고 7~12mm 길이의 타원형이며, 노루의 배설물은 9~16mm의 타원형이다. 반면 사향노루의 배 설물은 4~9mm의 타원형이다. (배설물 크기 : 산양>노루≒고라 니>사향노루)
산양의 배설물은 한쪽 끝이 뾰족한 모양으로 크기는 보통 10mm~20mm의 타원형이며 어른 새끼손가락 마지막 마디의 반 만 하고, 계피 냄새가 난다. 고라니·노루·사향노루의 배설물보다 크기가 크다.10 한번에 100 ~ 400개 정도 의 똥을 누고, 산양은 정해놓은 화장실이 있어서 주로 한 곳에서만 배설을 하기 때문에 산양이 사는 곳 주변에서는 배설물 무더기가 쌓여있는걸 발견 할 수 있다. ② 산양의 털 산양은 정착성·국소성이 강하여 정해진 자리로 되돌아오고 한번 정한 자리 에서 잘 움직이지 않는다. 산양은 주위가 잘 보이고 다른 동물이 가까이 할 수 없는 바위 절벽지대 같은 곳에서 되새김질을 하면서 쉬기 때문에 산양 이 주로 머무는 자리에서는 산양의 털을 발견할 수가 있다. 또한 바위 지대 에서는 바위에 있는 이끼들에 산양의 털이 끼어서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51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그림48 산양의 똥 그림49 산양대형 똥자리 그림50 산양의 털
산양보고서
52
③ 뿔질 흔적 산양은 암수 모두 지팡이 굵기만 한 나무줄기에 땅 위 30cm쯤 되는 높이 에 뿔질을 한다. 산양이 뿔질 흔적을 남기는 이유는 영역 확보와 상호 의사 소통을 위한 것으로서 먹이활동과는 관계가 없는 경우가 많다. ④ 발자국 산양의 발자국은 걸을 때 두 개의 발굽이 찍히는데, 발굽 두 개가 나란하거 나 V자를 이룬다. 뛰거나 눈 위를 걸을 때는 며느리 발톱도 같이 찍힌다. 산 양의 발자국 크기는 노루의 것보다 크고 멧돼지 것보다 훨씬 작다.
3) 무인카메라 모니터링 앞서 설명한 산양을 비롯한 야생동물 서식지 현장 조사는 야생동물 서식 실태 조사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과거에는 주로 야생동물의 흔적을 기록 하고, 그에 따라 어느 정도 서식하고 있는지 예상 가능했으며, 운 좋게 산에 서 마주치는 야생동물이 있어야 사진 자료 확보가 가능했다. 하지만 무인 카메라를 이용한 야생동물 모니터링을 도입한 후로 흔적(똥, 발자국 등)을 기록하는 조사활동과 동시에 살아 있는 야생동물의 사진과 동영상 자료 등 객관적인 데이터 축적이 가능해졌다. 무인카메라 모니터링으로 나온 사진과 동영상 자료를 통해 야생동물 행동 패턴 및 생태적 특징에 대해 심도 깊은 연구가 가능해졌고, 현장에서 객관 적인 자료들이 나옴으로써 야생동물 서식 증거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다. 또한 시민들에게 생생한 야생동물의 모습들을 보여줌으로써 야생동물 보 호운동 인식 제고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었다.
53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그림51 뿔질 흔적 그림52 뿔질 흔적 그림53 눈 위에 찍힌 산양 발자국
산양보고서
54
나. 산양 구조활동
1) 개요 11 2010년 울진·삼척지역에서 폐 사한 산양 25개체의 부검 결과 주된 원인은 기아로 인한 탈진으 로 나왔다. 더 심각한 문제는 폐 사한 산양들이 주로 임신한 개체 와 어린 개체로, 이는 개체군 유 지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한다.
울진·삼척 지역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총 35개체의 산양이 폐사하였 다. 과거에는 주로 밀렵으로 인해 죽은 산양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근래에는 겨울철 폭설로 인한 먹이부족11으로 폐사한 산양이 많아졌다. 겨 울철 폭설이 내리면 산양은 종의 특성상 다리가 짧아 움직이기 힘들어 그 로 인해 먹이를 구하지 못하고 탈진하게 된다. 탈진한 산양을 구조한 후 적 절한 응급조치와 치료를 통해 회복시켜야 하지만 울진·삼척 지역에는 산양 을 구조·치료할 만한 시설이 없어 겨울철 폭설에 무방비 상태다.
2010년 겨울철 산양 폐사 사건 이후 녹색연합은 울진·삼척 지역의 산양 보호를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지역주민들과 함께 폐사한 산양이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던 금강소나무숲길에 무인카메라를 설치하 여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매년 초봄에는 집중적으로 산양 구조활동을 하였다.
표3 2010년~2012년 폐사한 산양 개체 현황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폐사
25개체
1개체
9개체
회복중
—
—
2개체
37개체
종합
2) 울진·삼척 산양 폐사 현황 ① 2010년도 산양 폐사 현황
2010년도에 울진·삼척 지역에서는 70년만의 폭설로 인해 산양 25개체 폐사 하였다. 발견한 산양 대부분 계곡 부근에서 폐사했으며 발견 즉시 서면 왕 피리에 위치한 왕피천출장소와 울진군청 문화관광과에 신고하였다. 25개 체 중 1개체는 탈진한 상태로 구조되어 울진읍내에 위치한 천연기념물 지 정병원 ‘대구가축병원’으로 인계하여 응급조치를 하였으며, 경북 영주에 있 는 (사)한국조류보호협회(천연기념물보호센터)로 이송 중 폐사하였다.
55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표4 2010년 폐사한 산양 개체 현황 번호
날짜(2010년)
1
3월 16일
위치
발견 당시상태
금강소나무숲길
폐사
(두천리) 2
3월 23일
금강소나무숲길
탈진–구조–폐사
(두천리) 3
3월 25일
금강소나무숲길
폐사
(두천리) 4
3월 28일
금강소나무숲길
폐사
(두천리) 5
3월 30일
금강소나무숲길
폐사
(두천리) 6
4월 3일
덕구계곡
폐사
(덕구리) 7
4월 7일
금강소나무숲길
탈진–구조–폐사
(두천리) 8
4월 9일
덕구계곡
폐사
(덕구리) 9
덕구계곡
폐사
(덕구리) 10
4월 10일
구수곡
폐사
(상당리) 11
구수곡
폐사
(상당리) 12
금강소나무숲길
폐사
(두천리) 13
4월 11일
구수곡
폐사
(상당리) 14
금강소나무숲길
폐사
(두천리) 15
금강소나무숲길
폐사
(두천리)
산양보고서
56
② 2012년도 산양 폐사 현황
2010년에 이어 2012년에 탈진한 산양 11개체가 발견되었다. 2010년 산양 대량 폐사 사건 이후에 실시해온 녹색연합과 지역주민들의 지속적인 모니 터링 활동과 적극적인 구조활동으로 많은 산양들을 구조할 수 있었다. 11 개체 중 5개체를 탈진한 상태에서 구조하였지만, 울진·삼척 지역에 산양을 치료할 수 있는 기관이 없어 설악종복원센터로 이송하였다. 그 중 3개체는 구조·치료 중 폐사하였고, 2개체는 회복되어 자연방사를 기다리고 있다.
표5 2012년 폐사한 산양 개체 현황 번호
날짜(2012년)
위치
발견 당시상태
현재 상태
1
3월 12일
덕구계곡
탈진–구조–후송
회복중
탈진–구조–폐사
폐사
탈진–구조–후송
폐사
폐사
폐사
폐사
폐사
탈진–구조–후송
폐사
탈진–구조–폐사
폐사
탈진–구조–후송
회복중
폐사
폐사
폐사
폐사
폐사
폐사
(덕구리) 2
3월 22일
삼척덕풍계곡
(풍곡리) 3
3월 25일
금강소나무숲길
(두천리) 4
3월 26일
금강소나무숲길
(두천리) 5
3월 28일
금강소나무숲길
(두천리) 6
3월 29일
금강소나무숲길
(두천리) 7
4월 2일
금강소나무숲길
(두천리) 8
4월 4일
금강소나무숲길
(두천리) 9
4월 14일
금강소나무숲길
(두천리) 10
금강소나무숲길
(두천리) 11
금강소나무숲길
(두천리)
57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그림54 폐사한 산양
산양보고서
58
그림55 금강소나무숲길 임도 근처에서 폐사한 산양 그림56 폐사한 산양 그림57 폐사한 산양
59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3) 울진·삼척 산양 폐사 분석 결과 탈진하거나 폐사 상태로 확인된 산양이 집중적으로 나오는 지역은 울진군 북면 두천리와 상당리, 덕구리이며, 그리고 주민 청문조사 결과 삼척시 가 곡면 풍곡리 용소골, 문지골 지역도 많은 수의 산양이 폐사했다. 산양은 주로 계곡부나 임도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그 이유는 탈진한 산양이 먹이와 물을 찾기 위해 임도 옆 계곡부 쪽으로 이동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탈진하거나 폐사한 산양은 주로 초봄(3월과 4월)에 나타난다는 사실 을 얻을 수 있었으며, 3월~5월까지 집중 산양 구조활동 기간으로 정하여 산 양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58 (GIS) 산양 사체 발견 지점
산양보고서
60
그림59 (GIS) 산양 사체 발견 지점과 주요 탐방로 그림60 (GIS) 산양 사체 발견 지점과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61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4) 구조활동 절차 및 방법 산양 구조활동은 주로 탈진한 산양이 내려오는 계곡, 임도 부근을 중심으 로 이루어진다. 겨울철 폭설이 내렸을 때 산양 서식지로 들어가 구조활동 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안전상의 문제, 그리고 야생에서 살아 갈 수 있는 개체임에도 혹여 강제로 구조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로 눈이 조금 녹은 초봄에 구조활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구조활동 중 산양을 발견하면 산양의 상태를 봐야 한다. 탈진했는지 폐사했는지 파악하고, 탈진한 산양이라면 섣불리 다가가지 말고 일단 멀리 서 지켜본다. 서서히 다가갔을 때 산양이 도망갈 힘이 남아 있다면 야생에 서 살아갈 수 있도록 구조하지 않고 사람이 근처까지 다가갔음에도 움직이 지 못하는 상태라면 구조를 하여야 한다. 조심스럽게 다가가 탈진한 산양의 뿔을 막고 산양을 안정시키고 난 후 산양의 상태를 살펴야 한다. 산양의 체온 상태를 보고 보온을 해주며, 이송 중 겁먹지 않게 산양의 눈을 가려준다. 그리고 겁을 먹은 산양이 날뛸 수 있으니 다리를 묶은 상태에서 이송을 한다. 이송용 케이지(케이지가 없다 면 산양을 담아 옮길 수 있는 포대)에 담아 이송을 하고, 가까운 구조센터 에 연락하여 바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한다.
그림61 탈진한 산양을 구조하는 모습
산양보고서
62
그림62 이동 케이지에 담아 이송한다 그림63 폐사한 산양을 옮기는 모습
다. 시민참여형 산양보호활동
위에서 설명한 산양 서식지 현장조사활동, 무인카메라 모니터링은 사람이 직접 산양 서식지에 가서 흔적 조사를 하고 무인카메라 설치 및 모니터링 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물리적으로 엄청난 부담이 되는 활동이다. 하 지만 녹색연합이 울진·삼척 지역에서 현장 활동을 계속 해나갈 수 있었던 원동력은 자원활동가와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 다. 녹색연합은 시민들과 함께 하는 다양한 형태의 산양보호활동을 적극적 으로 조직하고 홍보하였으며,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울진·삼척 자연환경에 대해 알고 산양을 비롯하여 야생동물에 대해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자 리를 마련하였다.
63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녹색연합은 2000년대 초부터 자원활동가와 녹색연합 시민모임인 ‘녹색친구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울진·삼척 산양 서식지 현장 조사를 해
그림64 산양의 똥을 살펴보는 참가자들
왔다. 최근 대표적인 시민참여형 산양보호활동으로는 2011년에 기획·운 영한 “봄, 산양과 놀자” 야생동물보호캠페인이 있으며, 2011년 여름 울진· 삼척 지역에서 40일간 운영한 “야생동물탐사단”, 2012년 7월에 9박 10일 로 진행한 “야생동물탐사단 2기”, 2013년 1월에 진행한 “야생동물 모니터 링단”이 있다. “봄, 산양과 놀자“ 프로그램은 녹색연합이 10년 넘게 진행해왔던 밀 렵방지활동을 시민참여형 야생동물보호캠페인으로 확대한 것이다. 기 존의 올무 수거 중심 활동에서 산양 서식지에서 직접 산양의 흔적을 찾 고, 기록하는 시민 모니터링 프로그램이었다. 일반 시민들이 직접 산양 서식지를 모니터링 했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으며, 시민들에게 울진·삼척 산양에 대한 이해와 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야생동물탐사단”은 방학기간에 대학생들이 대상으로 하여 울진· 삼척 산양 서식지 현장 조사를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야생동물탐사 단 1기는 2011년 여름 대학생 3명이 방학을 맞아 약 40일간 우천 시를 제외하고 하루 5km~10km이상 산양 서식지와 서식지 위협요인들을 조 사했다. 또한 산양 전문가와 함께 이론교육과 현장 교육을 진행해 참가 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이런 대학생 이야기는 ‘경향신문’, ‘손석희의 시 선집중’, ‘이홍렬의 라디오쇼’에 보도되기도 했다. 야생동물탐사단 2기는
산양보고서
64
그림65 산양 서식지 현장 조사를 하는 참가자들
2012년 여름 9박 10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1기의 결과물을 기반으로 산 양의 핵심 서식지에 무인카메라를 설치하는 활동이었다. 2013년 1월에 진행된 ‘야생동물 모니터링단’은 134명의 지원자 중 총 9명의 인원을 선 발하였고 9박 10일 동안 주로 울진·삼척 지역의 산양 서식지 조사와, 무 인카메라 모니터링 활동을 했다. 시민참여형 산양보호활동은 시민들이 직접 현장 조사를 한다는 의미 도 있지만, 무엇보다 야생동물에 대한 이해와 보호의 필요성을 알리는 가 장 적극적인 방법이라는 것이다.
65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그림66 야생동물탐사단 1기 그림67 산양 서식지 위협요인을 조사하는 모습
산양보고서
66
그림68 야생동물 탐사단 1기 그림69 산양 똥자리를 관찰하는 모습
67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그림70 야생동물 탐사단 1기 신문 보도
산양보고서
68
그림71 산양 서식지 현장 조사를 하는 야생동물 탐사단 2기 그림72 올무를 제거하는 야생동물 모니터링단 참가자
69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그림73 마을 주민을 만나 야생동물에 대해 인터뷰 하는 모습
라. 지역주민과 연계한 산양보호활동
녹색연합은 2000년도부터 울진·삼척 지역과 관계해오면서 지역 주민들과 많은 일들을 해왔다. 산양 보호활동 또한 지역 주민과 연계하여 진행하였 으며, 그 대표적인 활동으로 무인카메라 모니터링 활동이 있다. 2010년 겨 울철 산양 폐사 사건 이후 시민기금을 통해 무인카메라를 구입하였다. 그 당시 지역에서 산양 보호활동에 관심이 많던 지역 주민들과 함께 무인카메 라 모니터링을 시작하였으며, 현재도 꾸준히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그 리고 매 겨울 지역주민들을 선두로 하여 산양 구조활동을 해왔다. 2012년 산양 구조활동의 주체는 지역주민이었으며 산양을 구하고자하는 주민들의 노력은 대단했었다. 지역주민과 연계한 산양 보호활동은 산양 서식지 인근에 살고 있는 지역 주민들의 산양에 대한 인식 증진과 함께 현장에서 지역 주민과 함께 소통하며 결과물을 낼 수 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었다고 본다.
산양보고서
70
그림74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산양서식지 현장조사
71
3. 녹색연합 산양보호활동
4
활동 결과
산양보고서
72
74
가. 울진·삼척 산양 위협요인
83
나. 산양서식지GIS분석 1) 울진·삼척 지역 산양 서식 현황 2) 산양 핵심서식지 3) 고도 4) 경사도 5) 방향 6) 도로로부터의 거리 7) 등산로와의 관계
73
4. 활동 결과
4. 활동 결과 가. 울진·삼척 산양 위협요인12
1) 밀렵 밀렵은 야생동물의 상업적 이용을 위하여 생명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행위다. 총기, 올무, 덫 등으로 암암리에 자행되는 밀렵은 직접적으로 산양 을 죽게 하며, 특히 올무 및 덫은 감각이 예민한 야생동물들도 인지하기 쉽 지 않도록 교묘하게 설치하기 때문에 밀렵꾼들이 제거하기 전까지는 지속 적인 위협을 줄 수 밖에 없다. 과거 울진·삼척 전지역에 걸쳐 밀렵이 광범위하게 벌어졌으며 현재도 주요 야생동물 서식지에는 밀렵도구가 설치되어 있거나 그 흔적이 남아있 다. 최근 조사활동시에도 삼척시 동활리와 사곡리 지역에서 올무를 제거하
12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보 고서에 따르면 산양의 주요 위 협요인을 산림벌채 등에 따른 서식지의 파괴(Habitat Loss/ Degradation), 밀렵(hunting/ gathering), 극한의 온도 (Temperature extremes), 눈 사태· 산사태 등에 의한 자연재해 (Avalanches/landslides) 등 크게 4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였으며, 울진 보부천 일대에서는 밀렵으로 희생된 산양이 가죽만 남은 채 로 발견되기도 하였다. 지역 조사 결과 근래에는 사냥개를 이용한 밀렵도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75 밀렵도구, 덫
산양보고서
74
그림76 올무가 설치된 모습 그림77 올무에 걸려 폐사한 산양
75
4. 활동 결과
2) 서식지 파괴 서식지 파괴는 수 많은 야생동물의 삶의 터전을 없애 버리며, 야생동물들 의 이동을 제약하는 측면에서 야생동물에게 간접적으로 엄청난 위협을 가 하는 행위이다. 대표적으로 광산, 송전탑, 도로 등이 있다. 서식지 파괴는 서 식지 단절과 파편화를 초래하며, 장기적으로 유전적 다양성과 생물종 다양 성을 해치고 야생동물이 살 수 있는 자연환경이 없어져 멸종에 처할 위기 에 놓이게 되는 큰 위협요인으로 자리하고 있다. ① 광산 광산은 자연자원을 채광하기 위해 산을 절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 문에 산림훼손의 주범이 되는 대규모의 개발사업이다. 광산은 산림훼손 뿐 만 아니라 서식지를 파편화하여 야생동물의 이동을 제약하고, 사람의 접 근성을 높여 야생동물의 서식지 안정성을 침해한다. 또한 광산을 운영하는 중에 발생하는 환경오염(공사 소음과 진동, 오염수, 분진, 토양오염)으로 인 해 야생동물에게 2차 피해를 준다. 광산의 가장 큰 문제점은 광산의 휴업 또는 폐업 후에 사후처리를 제 대로 하지 않는 데 있다. 울진·삼척 지역에서 특히 심각한 곳은 강원도와 경 상북도 도경계지(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에 있는 광산으로서 폐광 이후에 복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13 이곳에서 유출된 중금속을 다량 함유한 갱내수는 주변 하천을 오염시켜 생태계에
13 과거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북 서쪽에 위치한 제2연화광업소 (1987년 폐광. 1994년 가곡자 연휴양림 개장하였으나 현재 오 염수 문제로 운영하고 있지 못함) 에서 폐광의 복구가 제대로 이뤄 지지 않은 상태에서 2002년 태 풍 수해를 만나면서 폐석과 광석 잔해물이 무너져 내렸다. 산림훼 손, 주요시설 파괴, 도로 유실, 상수원 오염, 지역주민의 인명 피 해와 재산피해가 나타났다. 최근 까지 폐광산에서 폐석과 침전물 이 가곡천 상류로 유입되어 하천 암반이 황갈색을 띠고 있는 등 하 천 오염이 가속화 되고 있는 현실 이다.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림78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에 위치한 가곡아연광산
산양보고서
76
그림79 광산 현장 사진
77
4. 활동 결과
표6 2012년 폐사한 산양 개체 현황 소재지
광산명
광종
광산현황
삼척시 가곡면
제2연화
연·아연
폐광
장성
운모
가행
금남
운모
가행
대일
석탄
폐광
덕풍
석탄
폐광
삼방
납석
폐광
신일
운모
가행
금곡
석회석
폐광
금국
금, 은, 동, 아연
가행
금국1
금, 은, 동, 아연
휴광
금국2
금, 은, 동, 아연
가행
두천
연, 아연
폐광
울진군 북면 / 서면
풍국
연, 이연, 동
휴광
울진군 서
광명
수정, 규석
가행
삼척시 가곡면 / 봉화군 석포면 울진 북면
② 송전탑 송전탑 건설로 인해 발생하는 산림훼손, 소음, 공사 폐기물로 인해 야생동물 서식지가 훼손되고 악영향을 미친다. 야생동물들은 송전탑 건설 기간 중 건 설소음과 장비출입 등의 서식 방해로 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이 동할 지역이 없는데다가 이미 그 지역에 살고 있던 개체군과 생존경쟁이 심 해져 개체수가 줄어들 수 있고, 번식에 있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송 전탑 진입로로 인해 산양 서식지 내 인간의 간섭과 접근이 높아져 산양 서식 지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송전탑 건설 후 방치한 진입로는 서식지 훼 손 및 사람의 접근으로 인한 산양의 서식지 안정성을 훼손한다. 최근 울진-봉화 154kV송전탑 신설로 산양 서식지가 훼손되었으며, 신울 진원자력발전소 건설 예정으로 신울진-강원 765kV송전선로 건설이 논의 중 에 있다.
산양보고서
78
표7 산양 서식지를 관통하는 송전탑 송전선로명
전압
소재지
울진-신태백T/L
345kV
울진군 북면 덕구리~삼척시 원덕읍 사곡리~ 삼척시 가곡면 오저리~풍곡리~동활리
울진-봉화T/L
154kV
울진군 울진읍 대흥리~울진군 서면 하원리~소광리~쌍전리~광회리
울진-영주T/L
345kV
울진군 울진급 대흥리~서면 소광리~삼근리~쌍전리
울진-신태백T/L
765kV
울진군 북면 주인리~원덕읍 사곡리~가곡면 오저리~동활리
신울진-강원T/L
765kV
신규계획
그림80 산양의 서식지를 관통하는 송전탑 그림81 송전탑
79
4. 활동 결과
③ 도로 도로는 서식지를 단절하고 파편화 시키는 대표적인 개발사업이다. 도로 개 설로 인한 산림훼손을 통해 산사태, 토양침식이 발생하여 야생동물의 서식 지를 파괴한다. 또한 각종 도로는 사람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밀렵, 로드 킬 등의 직접적인 위협요소가 된다. 특히 도로는 2차, 3차 개발로 확산되는 도화선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더욱 위험하다. 울진·삼척 지역은 현재 36번 국도 직선화 공사 중이며, 개발압력 및 산 양 서식지 단절의 위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당-두천리간 917번 도 로는 확포장 공사중에 있으며, 산양 서식지를 관통하여 큰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울진·삼척 지역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임도이다. 임도는 산림의 효율적인 관리와 경영을 위한 기반시설로 건설된다. 하지만 지형과 물길에 대한 이해 없이 건설되는 과정에서 산림훼손, 토사유실, 산사태 등 자연생태계 훼손 을 초래하며 건설된 이후 산림이용을 위한 차량통행, 벌목, 벌채작업 등 사 람의 접근이 지속되기 때문에 산양 서식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림82 울진·삼척 산양 서식지에 있는 임도
산양보고서
80
그림83 도로는 서식지를 파편화 시키고 야생동물 생존에 위협을 준다
표8 산양 서식지 내 도로 현황 도로명
도로 구분
지역
개설 구간
포장재 종류
비고
36번국도
국도
울진군
보령-울진
2차선 아스콘
36번 국도 직선화 공사중
917번 도로
지방도
울진군
석포-원남
일부 2차선
상당-두천리간
아스콘
확포장 공사중
416번 도로
지방도
삼척시
원덕읍-가곡면
2차선 아스콘
910번 도로
지방도
삼척시
가곡면-석포면
2차선 아스콘
임도
울진군 서면
전곡리
1.72km
임도
울진군 서면
소광리-전곡리
34.05km
임도
울진군 서면
소광리
52.49km
임도
울진군 서면
소광리-쌍전리
5.76km
임도
울진군 서면
쌍전리
3.98km
임도
울진군 북면
두천리
3.2km
임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5.0km
81
4. 활동 결과
석개재 단절구간
3) 등산 및 트레킹 인간이 자주 왕래하는 등산로는 사람의 답압에 의한 피해만 받더라도 지 표면의 식생이 전무할 정도로 산림환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등산로 는 산림환경에 대한 피해 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에게 미치는 영향도 심각 한 수준이다. 울진·삼척 지역에서 산양 서식지를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등 산로는 응봉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코스로서 울진군 북면 덕구리의 덕구온 천-응봉산으로 이어지는 코스와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의 덕풍마을-용소 골-응봉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사람의 간섭이 불규칙 적으로 빈번한 주요 등산로 주변의 지역은 산양 서식에 적합한 환경일지라 도 산양의 서식 흔적을 찾기가 어려웠다. 즉, 등산로는 산양 서식지에 직접 적으로 사람의 발길이 닿게 되어 최종적으로 산양 서식지가 단절되는 결과 를 낳게 한다. 사람의 간섭이 야생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증거 를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는 지역이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이다. 비무 장지대 및 인접지역에서는 저지대의 계곡 및 농경지에서도 산양이 서식지 로 이용한 흔적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그림84 산양 서식지의 새로운 위협요인, 무분별한 등산
산양보고서
82
나. 산양서식지GIS분석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는 공간상 위치를 점유하는 지리정보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정보시 스템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산양 서식지 현장 조사를 통해 얻은 산양 서식 흔적 및 다양한 정보를
GPS에 기록하였으며, 그런 자료들이 GIS을 통해 지도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였다. GIS를 통해 얻은 정보들은 울진·삼척 산양의 서식 현황과 서식지 의 특성 및 산양의 습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현재 산양 생태적 특 성 및 습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이런 분석은 큰 성과로 보인다.
1) 울진·삼척 지역 산양 서식 현황
그림85 (GIS) 2003년~2012년 산양 서식 현황
2003년 흔적 2007년 흔적 2011년 흔적 2012년 흔적
83
4. 활동 결과
GIS 분석 결과 낙동정맥을 기준으로 동해안 수계쪽인 경상북도 북부 울 진, 강원도 남부 삼척에 걸쳐서 산양이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낙동정맥 서 쪽 수계인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일대 산림지역은 동해안 수계에 비해 적 은 수의 서식지가 확인되었다. 산양의 기본적 생태와 맞게 울진·삼척 지역 대부분의 산양 서식지도 전체적으로 산림지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주로 강원도 삼척 지역이 울진 지역보다 서식지의 분포가 우세한 것으 로 보인다. 인간의 간섭이 울진보다 삼척이 덜한 것으로 보이나 관광객과 등산객 등 탐방압력의 증가로 인해 가곡면 풍곡리 용소골과 응봉산 일대 는 과거에 비해 서식지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서식지에서 일정한 서식지 단절의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대표적으로 강원도 삼척의 동활리와 풍곡리 사이의 지방도로로 인한 단절 도 뚜렷한 것으로 보인다.
2) 산양 핵심서식지 그림86 (GIS) 산양 핵심 서식지 (Harmonic 분석)
산양보고서
84
울진삼척 산양의 핵심서식지는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를 중심으로 동활리 와 사곡리, 울진 북면 두천리, 서면 소광리 일대로 나타났다. 특히 풍곡리 용소골 지역이 산양이 밀도 있게 사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는 용소골 지 역의 바위 절벽 지대가 산양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지형이라는 것을 의미하 며, 험난한 지리적 특성 덕분에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아 자연환경이 잘 보 전되어 있는 것이 핵심서식지가 된 이유로 보인다. 산양의 핵심 서식지는 산림청 지정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과 대부분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산림지역의 관리, 산양 서식지 관리가 산 양 보호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표9 울진 삼척 산양 서식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현황 위치 :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산128 임형 : 희귀식물 수종 : 소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지정일자 : 2005년 9월 12일 면적 : 7,104ha
위치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두천리 산33, 산67, 산73, 산65, 산72-1 임형 : 진귀한 임상 수종 : 신갈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지정일자 : 2005년 10월 24일 면적 : 1,120ha
위치 :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소광리 산1외 2필 임형 : 원시림 수종 : 금강소나무 지정일자 : 2005년 9월 8일 면적 : 1,978ha
85
4. 활동 결과
3) 고도 산양은 200m~1000m까지 골고루 서식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고도에 크게 영향 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400m~800m까지의 지대가 전체의 63%를 차지함으로써 주요한 산양 서식지로 확인된 다. 울진·삼척 지역의 지형 특 성으로 봤을 때 400m~800m 가 주로 암봉, 암릉, 바위지대 로 구성되어 있어 산양이 서 식하기에 좋은 환경이기 때문 으로 보인다. 또한 400m이하의 지역 은 도로, 민가, 농경지 등 사 람으로 인한 서식지 파편화 요인이 많아 꺼려하는 것으 로 보인다.
그림87 (GIS) 산양 서식지 고도 분석
20%
표10 산양 서식지 고도 분석 비율
17% 15% 12%
11% 10%
9%
5%
1% 200300m
산양보고서
300400m
400500m
500600m
600700m
700800m
800900m
9001000m
86
10001100m
4) 경사도 산양서식지의 경사도는 전체 적으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0°~5°는 주로 능선부에서 발견한 산 양의 흔적을 기록한 것이다. 산양의 은신처, 쉼터, 대형똥 자리는 전체의 41%를 차지 한 30°~ 45°에 위치하는 것 으로 분석된다. 산양은 주로 경사가 있고 바위 지대를 등 진 곳을 휴식처로 삼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88 (GIS) 산양 서식지 경사도 분석 표11 서식지 경사도 분석 비율
20% 18% 15%
9%
8% 7%
7%
7%
6%
2% 1% 05˚
87
510˚
1015˚
1520˚
2025˚
4. 활동 결과
2530˚
3035˚
3540˚
4045˚
4550˚
5055˚
5) 방향 산양 서식지는 주로 북, 북 동, 동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산양은 여름철에는 햇빛이 덜 드는 북향이 여름 철에 남향보다 시원한 조건 을 가졌기 때문에 북향을 더 선호한다. 또한 북향이 습하 고 초본식물이 많기 때문에 산양이 먹이를 구하는데 있 어 쉽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림89 (GIS) 산양 서식지 방향 분석 표12 산양 서식지 방향 분석 비율
19% 18% 16%
11% 9% 8%
7%
7% 5%
향방향 (평지)
산양보고서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88
북서
6) 도로로부터의 거리 산양 서식지의 약 80% 이상이 도로 와 1km 이상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 인된다. 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지역은 산양의 서식지가 1km이상 떨어져 있 었으며, 임도는 개설 과정에서는 회피 하는 경향이 있으나 개설 이후 시간 이 지나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삼척 쪽은 지방도로와 최소 약
1km 이상 이격을 보이며, 울진 쪽은 36번 국도와 최소 약 2km 이상의 이 격을 보인다. 또한 울진지역은 서면, 북면의 산양 서식지와 왕피천생태경 관보전지역 내 산양 서식지가 단절되 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 사 이 위치한 36번 국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림90 (GIS) 산양 서식지 도로로부터의 거리 분석
산양 서식지가 도로와 일정한 이격을 나타내고 있음을 봤을 때 산
표13 산양 서식지 도로로부터의 거리 분석 비율
양은 차량 등 도로에 민감한 것으로 보인다. 20% 17%
16%
12% 9%
9% 7%
5% 2%
2% 1%
0500m
89
5001000m
10001500m
15002000m
20002500m
4. 활동 결과
25003000m
35004000m
40004500m
45005000m
50005500m
55006000m
7) 등산로와의 관계 응봉산 등산로 주변에서는 주로 200m 밖에서부터 산양의 서식 흔적이 나 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금강소나무숲길 주변 산양 서식 흔적과 비교해봤을 때 산양 서식 흔적을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금강소나무숲길 주변은 탐방객들이 다니는 숲길 근처에서도 산양의 서식 흔적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산양의 서식 흔적이 골고루 나타났다. 이 는 예약탐방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산양에게 주는 영향과 스트레스가 적기 때문으로 보인다. 등산 및 트레킹으로 인해 탐방 압력이 많이 높아지는 것이 산양에게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사람이 다니더라도 일정한 시간, 일정한 인 원이 유지가 되는 예약탐방제로 탐방객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산양보고서
90
그림91 (GIS) 산양 서식지와 등산로와의 관계 (금강소나무숲길)
그림92 (GIS) 산양 서식지와 등산로와의 관계 (응봉산 등산로)
91
4. 활동 결과
그림93 (GIS) 응봉산 등산로 주변 산양 서식 현황
그림94 (GIS) 금강소나무숲길 주변 산양 서식 현황
산양보고서
92
그림95 등산로 주변 산양 서식 현황 분석
9 8 7 6 5 4 3
응봉산 등산로 주변 산 양포인트
2 1
금강소나무숲길 주변 산양포인트
0 0100m
93
4. 활동 결과
100 200m
200 300m
300 400m
400 500m
500 600m
5
결론 및 제언
산양보고서
94
95
96
가. 결론
98
나. 제언
5. 결론 및 제언
가. 결론
산양은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제217호이며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 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 부속서 1에 등재되어 있는 국제적· 국내적 법적보호종이다. 전 세계 산양 분포를 봤을 때 울진·삼척 지역은 산 양이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는 ‘최남단 집단 서식지’이다. 이는 울진·삼척 지 역이 산양이 집단으로 살아가기에 적합한 지형과 환경이라는 것을 의미한 다. 또한, 비무장지대, 설악산에 버금갈 정도로 울진·삼척 지역의 자연환경 보전 정도가 우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1) 산양 서식지 GIS분석 결과 이번 GIS 분석 결과 산양은 주변 환경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특히, 이번 연구결과에서 의미 있는 것은 산양서식지의 간섭 요인이 다. 첫 번째로 등산로와의 관계다.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지 않는 삼척 응봉 산 등산로의 경우 최소 200m 밖에서부터 산양 서식 흔적이 발견된 반면, 예약탐방제로 운영되는 울진의 금강소나무숲길의 경우 등산로 바로 옆 인 근에서도 산양 흔적이 발견되었다. 두 번째로 도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 과 산양 서식지는 지방도로와 최소 1km이상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으며 차량의 통행이 비교적 많고 농경지, 민가 등 사람의 간섭이 많은 36번국도 에서는 최소 2km이상 떨어진 곳에서부터 발견되었다. 또한 910번 지방도,
36번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절 현상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산양보고서
96
2) 산양 위협요인 산양서식지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활동들이 전개되고 있으나 산양을 위협 하는 요인들은 여전히 산재해 있다. 삼척시 동활리와 사곡리 일대에서는 산양 서식지 내에 올무가 발견되었으며, 울진군 보부천 일대에서는 밀렵으 로 인해 산양이 가죽만 남은 상태로 발견되었다. 송전탑, 광산개발과 복구, 도로 등 물리적 공간의 훼손 역시 산양을 위협하 는 요소다. 최근 울진 북면·서면을 지나는 울진-봉화 154kV송전탑이 신설 되어 산양 서식지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했으며, 현재 신울진원자력발전 소 건설로 신울진-강원 765kV 송전탑 설치가 논의중이다. 광산 개발 과정에서 오는 서식지 파괴, 진동과 소음 등의 직접적인 영향 외 에도 사후 복구 과정 또한 산양 서식지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삼척시 가곡 면 풍곡리 가곡자연휴양림에 위치한 폐광은 복구 및 정화시설이 제대로 설 치되지 않아 침전물이 가곡천 상류로 유입되어 현재까지 하천오염이 문제 되고 있다. 현재 직선화 공사가 진행중인 울진의 36번 도로는 공사 중 발생하는 소음 과 진동으로 인해 산양 서식지 파괴를 넘어 다른 야생동물의 서식지에까지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확포장 공사중에 있는 울진군 상당-두천 리간 917번 지방도로는 계속 진행될 경우 울진군 북면·서면 일대를 관통해 산양 서식지를 파편화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97
5. 결론 및 제언
나. 제언
1) 각 관계기관의 협력을 통한 현장 관리 조직 건립 산양서식지는 산림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과 거의 일 치하며 문화재청과 환경부도 관리책임이 있다. 그러나 2010년부터 3년간 겨울철에 35개체의 산양이 폐사하는 초유의 사태를 계기로 대구지방환경 청에서 겨울철 먹이주기활동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이 전부다. 궁 극적인 산양서식지 보전을 위해서는 각 기관이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갖추 어 산양 보호에 대한 순차적 계획을 수립해 실질적인 종과 서식지 차원의 통합적인 보호·관리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녹색연합은 울진·삼척 산양 보호·관리방안으로서 정부 및 지자체에 계속적 으로 ‘산양 구조센터’ 건립을 제안해왔다. ‘산양 구조센터’는 지금까지의 야 생동물 구조 및 보호·관리단체와 다른 새로운 모델이다. 정부, 전문가, 민간 단체, 지역 주민이 참여하여 산양 구조와 서식지 관리를 기본으로 하고 전 문가를 중심으로 한 치료활동과 연구활동을 병행하는 것이다.
2) 서식지 복원과 외부 압력 최소화 이미 서식지 파편화를 초래한 송전탑의 경우 훼손된 산림을 복원하고, 송 전탑 진입로를 통제·관리해야 하며 한국전력에서는 신울진원자력건설로 인 해 신울진-강원 765kV 송전선로 신설에 있어 산양 서식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36번국도 직선화 공사의 경우 사회적 합의를 거쳐 기존 36번 도로를 복원 해 통고산과 연결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또한 차량 이용이 적은 석개 재를 복원하여 백두대간과 낙동정맥을 연결해 한반도 생태축 복원에 기틀 을 마련하여야 한다. 산림청과 지자체는 산양 서식지를 관통하는 주변 등산로의 탐방압력을 최 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등산객의 무분별한 출입이 산 양 서식지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예약탐방제 도입 등 예 측 가능한 이용의 범위를 한정지어 산양서식지의 악영향을 단계적으로 줄 여나가야 한다.
산양보고서
98
3) 전문적인 연구활동 울진·삼척 산양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먼저 기본적인 산양 서 식지 모니터링 체계, 틀을 구축해야 한다. 3년마다 전지역을 조사하는 정밀 조사, 매년 하는 일반조사, 특수한 목적으로 진행하는 특별조사 등으로 세 분화하여 울진·삼척 산양 서식지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산양서식 지의 정밀 조사를 통해 지역과 산양의 연관관계를 밝혀내고 개체 유전자 조사, 추적 장치 등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해 울진·삼척 산양의 생태적 연구 가 선행되어야 한다.
4) 사람과 산양의 공생을 추구 울진·삼척 지역은 남쪽 마지막 생태계의 보고다. 산양을 비롯한 수많은 야 생동물이 살고 있는 지역이며, 미래세대가 생태적 꿈을 펼칠 수 있는 공간 이다. 울진·삼척 지역이 최남단 집단 서식지로서 건강한 생태계가 유지되어 야만 산양의 개체수가 증가해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문화 재청, 산림청, 환경부, 지자체 등 부처를 넘어서 서로 협력하여 통합적인 보 전방법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 속에 지역주민, 시민이 참여하여 사람과 산 양의 소통을 통한 공존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99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가람기획
1999. 한반도에서 사라져가는 동식물들
고흥선
2004. 월악산 산양보고서(산양복원증식사업). 국립공원관리공단
김영준 외 3인
2006. 천연기념물(야생동물)의 구조, 치료 및 관리. 문화재청
녹색연합·강원도의회
2000. 울진-신태백간 765kV송전탑 건설 예정부지 자연생태계 조사
녹색연합·문화재청
2003. 울진삼척봉화 지역 산양 서식실태조사 및 보호방안연구
녹색연합·문화재청
2007. 울진삼척봉화 지역 산양 서식실태조사 보고서
녹색연합·울진군청
2001. 왕피천 자연생태·환경종합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2. 천연기념물 산양의 서식 실태 조사연구와 관리 방안
문화재청
2008. 천연기념물(동물)의 역사적·문화적 가치 정립과 분류학적 특징 분석 최종보고서
부산지방국토관리청
2006. 울진 서면-근남 36번국도 4차선 확포장공사 환경영향평가서
삼척시
1997. 삼척시지. 학연문화사. 울진인쇄사
안정화
멸종위기에 처한 산양의 Microsatellite Marker 개발과 특성분석 및 분자계통.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양병국, 조병래 외
2002. 환경생태기술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 복원기술 개발
양병국
2002. 한국산 산양의 분류. 생태 및 개체군 현황. 충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울진군
2001. 울진군지 상
산양보고서
100
원홍구
1968. 조선짐승류지. 과학원출판사
윤명희
1994. 야생동물. 대원사
윤병오 외 5인
2004. 한국의 포유동물. 동방미디어
이배근 외 1인
2002. 월악산국립공원 산양 모니터링 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악산 관리사무소
최태영, 박종화
2004. 설악산국립공원내 산양의 잠재서식지 적합성 모형: 다기준평가기법과 퍼지집합의 도입을 통하여. 한국조경학회지
최태영, 박종화
2005. 설악산국립공원의 산양보호구역 설정기법에 관한 연구: 서식지 적합성 모형, 서식지 수용능력, 최소 존속 개체군 이론을 이용하여. 한국조경학회지. 2005년 2월
최태영
2007. 포유류의 도로횡단 특성과 행동권 분석을 통한 로드킬 저감방안.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최태영, 최현명
2007. 야생동물흔적도감. 돌베게
한상훈 역
2003. 자연학습도감 동물. 은하수미디어
환경부
2004. 울진삼척봉화 산양 서식지역의 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2005.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화보집
환경부
2011. 울진삼척 산양 서식지 보전과 관리방안
101
5. 결론 및 제언
함께하신 분들 녹색연합
후원
배제선, 한만형, 배보람, 김수지, 임태영, 정규석, 이자희, 황인철, 서재철, 윤기돈
문화재청
산림청
두산매거진 얼루어 자원활동가 양시종, 이재곤, 박다예, 김지혜, 김도현, 한원정, 연은지, 이지영 김경란, 이소정, 최대호, 최정환, 신요섭, 신정화, 이예슬, 오한비, 장준영
참여 녹색친구들 야생동물소모임
지역 협조자 김경하, 윤정열, 이희철
지역협력 삼척 119 구조대
자문 응봉산산악구조대 최현명, 이동철, 이항, 박그림, 김영준, 최윤호, 대전동물원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주민들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두천리 주민들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소광리 주민들 금강소나무숲길 안내센터 박은영, 서병희
산양보고서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