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연합 제7회 정기총회 pdf용

Page 1

녹색연합등록번호 01-17-03-01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녹색은 다릅니다

2017. 3. 18. (토) 남산 문학의 집 서울



차 례 제7회 정기회원총회 프로그램 ···················································································································· 5 녹색연합 강령 ················································································································································ 6 녹색연합 정관 ················································································································································ 8 녹색인 수칙 ·················································································································································· 13 총회원 명단 ·················································································································································· 14 단체 구성 ···················································································································································· 26 단체 개요 ···················································································································································· 27

정기회원총회 본회의 본회의 순서 ·················································································································································· 35 지난 정기 회원총회 회의록 ······················································································································ 36 녹색연합 전국운영위원회(총회위임) 회의록 ·························································································· 39 제7기 총회준비위원회 활동 보고 ············································································································ 42 제4기 임원추천위원회 활동 보고 ············································································································ 43

[제1호 안건 2016년 운동 평가와 결산 심의] 2016년 운동 평가 (전국) ··························································································································· 48 2016년 운동 평가 – 본부 사무처 ········································································································· 51 전문위원 / 임원 사업 평가 ·················································································································· 104 운동감사 보고 ·········································································································································· 106 회계감사 보고 ············································································································································ 108 2016년 결산보고 ····································································································································· 109

[제2호 안건 정관개정] 정관개정 배경 / 개정 안 ······················································································································ 127

[제3호 안건 임원선출] 임원 후보 추천서 / 임원후보소개 ········································································································ 130 제8기 전국운영위원회 구성 ···················································································································· 133

[제4호 안건 2017년 운동계획와 예산 심의] 2017년 운동 계획 - 전국 ······················································································································· 138 2017년 운동 계획 - 본부 사무처 ······································································································· 144 2017년 예산보고 ····································································································································· 189

녹색희망나눔 평생길동무상 ·············································································································································· 209 아름다운 지구인상 ···································································································································· 210 감사패 ·························································································································································· 212 녹색의 노래 ················································································································································ 214


4


녹색은 다릅니다

제7회 정기회원총회 프로그램 ○ 때 : 2017년 3월 18일(토) ○ 곳 : 남산 문학의 집 서울 ○ 대상 : 녹색연합 회원 - 지역에 상관없이 녹색연합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어 있으면 누구나 참여 가능 합니다. - 총회 본회의 안건 제안과 심의, 의결 등은 ‘총회원 자격’을 가진 회원만 가능 합니다. (총회원 자격 : 가입 1년이 지나고 2016년 회비를 6개월 이상 낸 회 원) ○ 주요 안건 - 2016년 녹색연합 운동 평가, 결산에 대한 심의와 승인 -

정관 개정에 대한 심의와 승인 임원(공동대표, 감사, 사무처장) 선출 제8기 전국운영위원회 구성 승인 2017년 녹색연합 운동 계획, 예산에 대한 심의와 승인

- 저녁식사와 함께 하는 나눔과 채움 ○ 세부 일정 일시

18 일 (토)

프로그램

장소

세부 내용

오후 3시 ∼ 오후 3시30분

본행사 1부

오후 3시30분∼ 오후 5시

본행사 2부 안건 심의

중앙 홀

운동평가 결산 승인, 정관 개정, 임원선출, 운동 계획 예산 승인, 감사패 시상.

오후 5시 ~ 오후 7시

전국녹색자랑 잔치 소박한 잔치

중앙 홀

조직별 주요 활동 자유롭게 공유 함께 나누는 잔치국수

중앙 홀

2016년 녹색연합과 함께 하신 평생길동무 아름다운지구인 시상 진행

※ 접수 데스크에서 총회원 등록 및 참가 접수를 해주십시오. ※ 응급 상황 발생 시에는 행사장 내 안내담당 활동가에게 말씀해주시거나 접수처로 오시면 구급약품과 차량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 문의 및 연락처 : 녹색연합 이현우 조직팀장 010-8772-9082 녹색연합 허승은 회원더하기팀장 010-8546-4624 녹색연합 김수지 활동가 010-8935-1360

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녹색연합 강령 전 문 자연을 거스르는 문명에는 인류와 생태계의 미래가 없다. 우리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녹색생명운동의 깃발을 들고 뭉쳤다. 녹색은 생명과 평화이다. 녹색은 다양성 존중과 생태계 순환에 바탕을 둔다. 우리는 지구와 생태계, 그 안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를 존중하고 소중히 여긴다. 숲과 나무, 하늘과 바다, 물과 갯벌, 우주에 깃든 존재는 우리와 한 생명이다. 우리는 삶과 삶터를 녹색으로 바꾸기 위해 노력한다. 더불어 시민참여와 생활 자치를 통해 녹색정치의 기틀을 만든다. 우리는 평화를 사랑하며 모든 형태의 폭력과 전쟁에 반대한다. 나아가 자연과 인간, 인간 과 인간이 공존하는 녹색세상을 만들고자 우리의 지혜와 땀을 모은다. 우리는 사회 약자와 미래세대의 권익을 실현하기 위해 연대한다. 또한 모든 생명을 섬기며 평화의 뜻을 나누며, 삶의 터전인 지구를 지키기 위해 헌신한다.

4대 강령 생명 존중 ㅇ 우리는 모든 생명의 가치와 권리를 존중하여 생태계 질서의 보존과 회복을 위해 노력한 다. ㅇ 우리는 자연과 생물의 권리를 인정하고 이들의 서식지인 자연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활 동한다. ㅇ 우리는 다른 생명체에 대한 인간의 간섭과 통제를 거부하며, 생명체가 인간과 시장중심 의 논리로 이용되는 것을 반대한다. ㅇ 우리는 생태계를 교란하고 생명윤리를 위협하는 유전자 조작을 반대하며, 유전자 조작 과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생명안전과 생태계 질서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 ㅇ 우리는 모든 생명을 위해 인간의 욕망을 절제하여 육체, 정신, 영의 건강을 되찾는다.

생태순환형 사회의 건설 ㅇ 우리는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중심의 왜곡된 경제체제를 극복하고 생태순환형 사회를 만 들기 위해 노력한다. ㅇ 우리는 무분별한 도시팽창과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대형 개발사업을 반대하며, 백두대간 6


녹색은 다릅니다

을 비롯한 산림생태계, 갯벌 및 해양생태계의 보전, 생물종 다양성 보전을 위해 노력한 다. ㅇ 우리는 자연과 더불어 사는 문화를 오래된 미래로 존중하며 이를 계승 발전시킨다. ㅇ 우리는 절제된 녹색소비를 통해 소박하고 작은 것이 아름다운 생활양식을 정착시켜 나 간다. ㅇ 우리는 미래세대의 생명과 환경권을 존중하며, 미래세대가 지속가능한 삶을 누릴 수 있 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ㅇ 우리는 핵 발전과 화석연료 중심의 잘못된 에너지체계를 극복하고 재생가능한 에너지 개발과 보급, 에너지 효율화 확산을 위해 노력한다.

비폭력 평화의 실현 ㅇ 우리는 모든 종류의 폭력과 차별을 거부한다. ㅇ 우리는 전쟁의 종식과 평화를 위협하는 핵무기 등 살상무기 폐기, 전쟁위협을 야기하는 군비경쟁과 군수산업 중단을 위해 최선을 다한다. ㅇ 우리는 자연과 인간, 여성과 남성, 그리고 모든 생명들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한반도 의 평화통일을 위해 적극 노력한다. ㅇ 우리는 관용과 열린 마음의 형성, 서로의 귀기울임, 평화의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 력한다.

녹색자치의 실현 ㅇ 우리는 참여민주주의와 자치, 분권을 위해 노력한다. ㅇ 우리는 환경문제로 인한 인권 침해를 방지하고 시민의 환경권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다. ㅇ 우리는 노약자, 청소년, 어린이, 빈민, 여성, 지역 주민 등 사회 약자들의 권익을 신장 하기 위해 노력한다. ㅇ 우리는 환경자치가 실현되는 생태마을, 생태도시, 녹색공동체를 건설하기 위해 노력한 다. ㅇ 우리는 녹색생명운동의 발전을 위해 국내외의 시민단체, 사회운동세력과 연대한다.

강령제정 2000. 4. 1 강령개정 2001. 6. 23

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녹색연합 정관 제 1장

총칙

제1조 (명칭) 이 모임은 ‘녹색연합(Green Korea United)’이라 한다. 제2조 (목적) 녹색연합은 생명존중․생태순환형 사회 건설․비폭력 평화 실현․녹색자치 실현의 4대 강 령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 (소재) 녹색연합은 본부를 서울특별시에 두고 지역마다 조직을 둘 수 있다. 제4조 (구성) 녹색연합은 제2조의 목적에 뜻을 같이하여 가입한 회원들로 구성하며, 회원 스스로의 참여로 운영한다.

제 2장

사업

제5조 (사업) 녹색연합은 제2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아래 사업과 활동을 한다. 1. 시민 스스로 자신의 삶과 삶터를 녹색으로 바꾸는 시민참여운동과 녹색자치를 위한 조직사업, 지역연대사업 2. 생명존중․비폭력평화 사상 확산을 위한 교육․홍보․출판문화사업 3. 사회 약자․미래세대․자연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노력 4. 생태계보전․생태순환사회를 위한 정책개발과 조사연구사업 5. 환경문제로 인한 인권 침해를 막고 시민의 환경권을 찾기 위해 법률을 통한 구조와 대책 마련 6. 기타 녹색연합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국내외 연대 활동과 필요한 사업

제 3장

회원

제6조 (회원) 1. (가입) 녹색연합 목적에 뜻을 같이하여 회원 가입을 신청한 후 첫 회비를 납부한 개인과 단체는 회원이 된다. 2. (권리) 가) 회원은 녹색연합 운영과 의사결정에 참여할 권리를 갖는다. 나) 회원은 내규에 정한 절차에 따라 회원모임을 구성하고, 활동할 권리를 갖는다. 다) 회원이 된지 1년이 경과하고 최근 6개월 이상 회비를 납부한 자에 한하여 총회에서 의결권을 갖는다. 3. (의무) 가) 회원은 자신의 삶과 삶터를 녹색으로 바꾸기 위해 노력할 의무를 지닌다. 나) 회원은 녹색연합의 강령과 수칙, 정관을 지킬 의무를 지닌다. 다) 회원은 회비를 납부할 의무를 지닌다. 라) 회원은 녹색연합 목적을 이루기 위한 사업과 활동에 참여할 의무를 지닌다. 4. (탈퇴) 탈퇴를 원하는 회원은 자신 의사에 따라 탈퇴할 수 있다. 제 4장

8

조직


녹색은 다릅니다

제7조 (총회) 1. (지위) 총회는 녹색연합의 최고 의결기구이다. 2. (성격) 가) 총회는 녹색연합 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공유하는 성찰의 마당이다. 나) 총회는 녹색연합의 운동 목표를 새기고, 자신의 삶에서 실천할 방법을 찾는 논의의 마당이다. 다) 총회는 회원들의 삶을 서로 나누는 대동의 마당이다. 3. (구성) 총회는 녹색연합회원으로 구성한다. 4. (의장) 총회 의장은 상임대표가 한다. 5. (소집) 가) 정기총회는 2년마다 회계연도 시작 세 달 안에 의장이 소집하며, 임시총회는 재적회원 100인 이상의 요구나 전국운영위원회의 결의가 있을 때 소집하여야 한다. 나) 회원들의 의사 표현을 최대한 받아들이기 위해 여러 의견을 다양한 방법으로 모은다. 다) 정기총회가 열리지 않는 해는 전국운영위원회를 통해 제7조 7항 ㉰, ㉳에 해당되는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6. (의결) 총회는 의결권을 갖는 참석회원으로 성립하며, 회원 과반수이상 찬성으로 의결한다. 단 7 항 가), 나)호에 한하여 의결참여 회원 2/3이상 찬성으로 의결한다. 다만, 직접 참석하지 않은 회원은 서면 또는 사이버 총회장에서 의결에 참여할 수 있다. 7. (권한과 의결사항) 총회의 권한과 의결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강령, 정관의 제․개정 나) 녹색연합 해산에 관한 사항 다) 사업결산, 사업계획, 예・결산 승인 라) 공동대표, 감사 선출과 사무처장 승인 마) 전국운영위원회 승인 바) 기타 녹색연합 운영에 필요한 사항 의결 제8조 (공동대표) 1. 공동대표는 5인 안팎으로 하며, 임기는 2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2. 공동대표는 안팎으로 녹색연합을 대표하고, 조직의 모든 업무를 총괄하며 최종인사권과 결재권 을 가진다. 3. 공동대표 가운데 한 사람을 뽑아 상임대표로 한다. 4. 공동대표 가운데 한 사람 이상은 지역조직의 대표로 한다. 5. 상임대표는 총회와 전국운영위원회의 의장이 된다. 상임대표 임기는 2년이며, 중임할 수 있다. 제9조 (감사) 1. 감사는 3인 안쪽으로 하며, 임기는 2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2. 감사는 녹색연합의 사업과 재정에 관한 정기감사를 해마다 한번 이상 하고 그 결과를 총회와 전국운영위원회에 보고한다. 제10조 (고문, 전문위원) 1. (고문) 각 계의 원로 중에서 몇 명의 고문을 세울 수 있다. 2. (전문위원) 녹색생명운동과 단체운영 전반에 관한 지도와 자문을 구하기 위해 전문위원을 세울 수 있다. 제11조 (전국운영위원회) 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1. (지위) 전국운영위원회는 총회의 위임을 받아 다음 총회 때까지 녹색연합 운영 전반에 관한 사 항들을 의결하는 상설의결기구이다. 2. (구성) 전국운영위원회는 공동대표, 지역조직마다 대표 1인, 사무처장, 협동사무처장, 전문기구 마다 대표 1인, 지역조직마다 사무처(국)장 1인, 전국운영위원회가 승인한 모든 활동위원회 위 원장, 전국운영위원회가 추천하여, 총회에서 승인한 몇 명의 사람들로 구성한다. 단, 추천된 운 영위원의 수는 전체 전국운영위원의 1/3을 넘을 수 없다. 3. (의장) 전국운영위원회 의장은 상임대표가 한다. 4. (소집) 분기마다 한번 전국운영위원회의장이 소집하며, 전국운영위원회의장 또는 전국운영위원 회 위원 1/3 이상 요구가 있을 때 임시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5. (의결) 전국운영위원회는 재적의원 과반수이상 참석으로 열리며, 출석 위원 2/3 이상 찬성으로 의결한다. 6. (권한과 의결사항) 전국운영위원회 권한과 의결사항은 아래와 같다. 가) 녹색연합 운영전반에 관한 보고와 주요 일상 사업에 대해 의결 나) 녹색연합 운영과 관련된 내규의 제․개정 다) 임시총회소집 결의 라) 전국운영위원회 위원의 자격 심사, 징계, 복권의 결정 마) 각 위원회, 특별기구 등의 설치․해산 의결 바) 지역조직․전문기구의 가입․구성 인준과 징계․복권의 결정 사) 사무처장 인선, 협동사무처장 선임, 고문과 전문위원 위촉 아) 총회가 위임한 사항 자) 중앙집행위원회, 전국사무처·국장단회의 구성 차) 기타 녹색연합 운영에 필요한 사항 의결 제12조 (중앙집행위원회) 1. (지위) 중앙집행위원회는 녹색연합 본부 업무를 총괄하는 상설집행기구이다. 2. (구성) 공동대표 가운데 2인, 사무처장, 협동사무처장, 전문기구마다 대표자 1인, 모든 활동위원 회 위원장, 시민모임 대표자, 본부 활동가협의회 회장, 중앙집행위원회가 추천하여 전국운영위원 회가 승인한 몇 명의 사람으로 구성한다. 단, 추천된 집행위원의 수는 전체 중앙집행위원의 1/2 을 넘을 수 없다. 3. (위원장) 중앙집행위원회는 위원장 1인을 둔다. 4. (소집) 달마다 한 차례 집행위원장이 소집하며, 집행위원장 또는 집행위원 1/3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임시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5. (의결) 중앙집행위원회는 재적의원 과반수이상 참석으로 개회하며, 출석위원 과반수이상 찬성으 로 의결한다. 6. (기능) 가) 본부 운영전반에 관한 총괄 나) 본부의 구성과 운영에 필요한 각종 내규 제․개정 다) 본부의 위원회, 시민모임, 특별조직 설치나 해산 의결 라) 총회나 전국운영위원회가 위임한 사항 제13조 (사무처) 1. 녹색연합의 원활한 사업수행을 위해 전국운영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사무처를 구성한다.

10


녹색은 다릅니다

2. 사무처의 구성, 운영에 관한 세부사항은 내규로 정한다. 3. 사무처는 녹색연합의 사업 결과, 계획, 재정, 회원 상황을 전국운영위원회와 중앙집행위원회에 보고한다. 제14조 (사무처장) 1. 사무처장 임기는 2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2. 사무처장은 녹색연합 운영 전반에 대한 실무책임을 맡는다. 3. 사무처장은 사무처 구성과 인선을 주관하며, 사무처, 지역조직, 전문기구의 업무를 조정한다. 4. 사무처장은 공동대표의 위임을 받아 인사권과 결재권을 행사할 수 있다. 제15조 (협동사무처장) 1. 협동사무처장은 전국운영위원회의 인준을 받아 활동하며, 임기는 2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2. 협동사무처장은 3인 아래로 두며, 한 사람은 지역조직 실무책임자로 한다. 3. 협동사무처장은 사무처장과 협의하여 업무를 분담 수행한다. 제16조 (전국사무처․국장단회의) 녹색연합이 유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협력체계를 만들고 지역조직․ 전문기관․본부사무처의 통합성을 높이기 위해 상설협의기구로 전국운영위원회 승인을 받아 전국 사무처․국장단회의를 둔다. 제17조 (전문기구) 1. 전문성을 갖추고 효과 있는 활동을 위해 전국운영위원회 승인을 받아 다음과 같이 전문기구를 둔다. 가) 사람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생태순환사회 건설을 위한 연구 활동, 대안제시를 위해 ‘사단법 인 녹색연합부설녹색사회연구소’를 둔다. 나) 사람과 자연을 살리는 삶의 방식과 녹색문화를 일구기 위해 ‘도서출판 작은것이아름답다’를 둔다. 다) 법과 제도가 사람과 자연을 위해 바로 설 수 있도록 ‘녹색법률센터’를 둔다. 라) 녹색세상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 사업을 위해 ‘녹색교육센터’를 둔다. 마) 기타 전국운영위원회에서 필요하다고 인정된 전문기구를 둘 수 있다. 2. 전문기구 성립요건과 구성, 운영에 관한 세부사항은 내규로 정한다. 3. 전문기구는 자체 내규에 의해 조직 인선과 운영의 독립성을 갖는다.

제 5장

지역조직

제18조 (지역조직 구성과 운영) 1. 회원의 삶, 삶터를 변화시키는 운동을 펼치기 위해 전국에 지역조직을 구성할 수 있다. 2. 지역조직 성립요건과 구성, 운영에 관한 세부사항은 내규로 정한다. 3. 지역조직은 자체 정관에 의해 조직 인선과 운영의 독립성을 갖는다. 제19조 (지역조직 명칭) 지역조직 공식 명칭은 지역명을 붙여 “○○녹색연합(GreenKorea ○○)”이 라 한다. 단, 불가피한 경우에는 일정기간 복수의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제 6장

재정

제20조 (재정) 1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1. 녹색연합의 재정은 회원 회비와 후원금, 그리고 재정사업 수익금으로 한다. 2. 녹색연합의 재정은 달마다 공개를 원칙으로 한다. 제21조 (회계년도) 사업연도와 회계년도는 1월 1일부터 같은 해 12월 31일까지로 한다. 제22조 (회계감사) 사무처는 회계연도가 지난 지 두 달 안에 예산회계준칙에 따라 감사로부터 회계 감사를 받아 지난 해 결산 안을 총회(또는 전국운영위원회)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 7장

포상

․ 징계 ․ 복권

제23조 (포상) 녹색연합 목적과 사업에 모범을 보인 회원이나 조직은 내규에 의해 포상할 수 있다. 제24조 (징계) 녹색연합 목적과 사업에 해를 끼치는 행위를 하거나 녹색연합의 공신력을 떨어트린 회원이나 조직은 전국운영위원회의 의결로 징계 할 수 있다. 제25조 (복권) 징계된 회원이나 조직은 내규가 정한 절차에 의해 전국운영위원회의 의결로 복권될 수 있다.

제 8장

보칙

제26조 (정당활동 제한) 전국운영위원회 위원과 본부 사무처 부서장, 전문기구 사무국장은 정당에 가 입하거나 정당 활동(무소속도 포함)을 하려면 사임해야 한다. 제27조 (정관 개정) 정관의 개정은 전국운영위원회 또는 회원 1/10 이상이 의견을 내면 총회에서 다 루며, 총회 참석 회원 2/3 이상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28조 (잔여재산 처분) 단체의 해산 시 잔여재산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유사한 목적을 가진 다른 비영리단체에게 귀속되도록 한다. 제29조 (준용 규정) 이 정관에서 정하지 않은 내용은 내규, 준칙, 민주주의 원칙과 관례에 따른다.

정관제정 1994년 7월 9일 1차 개정 1995년 5월 25일 2차 개정 1996년 4월 27일 3차 개정 1996년 10월 12일 4차 개정 1997년 3월 29일 5차 개정 1998년 3월 21일 6차 개정 1999년 3월 6일 7차 개정 2000년 2월 26일 8차 개정 2001년 6월 23일 9차 개정 2002년 3월 30일 10차 개정 2004년 2월 21일 11차 개정 2006년 2월 24일 12차 개정 2007년 1월 27일 13차 개정 2009년 2월 14일 14차 개정 2011년 2월 26일 15차 개정 2013년 3월 9일

12


녹색은 다릅니다

녹색인 수칙 ○ 모든 생명을 존중한다. ○ 섬김과 나눔, 아낌과 보살핌을 실천한다. ○ 육식을 줄이고, 음식을 절제한다. ○ 단순하고 소박하게 산다. ○ 미래세대와 약자의 입장을 존중한다. ○ 늘 마음의 여유를 가지며 느리게 산다. ○ 명상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마무리한다. ○ 한 달에 한 번 이상 자연에 든다. ○ 열린 마음으로 토론과 과정을 중시한다. ○ 생산자와 소비자의 연대를 만들어간다.

수칙제정 2001. 6. 23

1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총회원 명단 (2017.2.28. 기준 회원이 된 지 1년이 지나고 최근 6개월 이상 회비를 낸 회원)

본부사무처 ㈜고구려 강민경 인쇄기획 강민석 ㈜ 광 동 제 강민석 약 강민성 ㈜도움 과 나눔 강민숙 ㈜돌실 강민우 강민정 나이 ㈜ 디 지 털 강민주 재테크 강민지 ㈜메가 강민후 유니버스 강병화 ㈜바이키 강보람 ㈜자연을 담은집 강보배 ㈜한국 강보석 케이블 강상원 TV북부 강상원 방송 강상윤 ㈜한수인 강상철 CINDY 강석금 SORIANO 강석영 KTBnet 강선아 work

권성문 Roberta Jenkins Wendy Lee Williams 가나연 가나영 가이안 선 강가람 강가웅 강경석 강경숙 강경태 강경호 강구철 강군옥 강금자 강금자 강기대 강노윤 강다혜 강대섬 강대웅 강대윤 강덕준 강동윤 강동환 강래혁 강말순 강명휘 강문주 강미경 강미라 강미림 강미숙 강미영 강미옥 강미자 강민경

14

강선영 강성미 강성철 강성화 강성훈 강수연 강수현 강숙희 강숙희 강승남 강승아 강승아 강승연 강승원 강승훈 강신덕 강신영 강신영 강신영 강신욱 강영경 강영란 강영수 강영식 강영옥 강예슬 강예진 강원경 강유경 강윤경 강윤주 강은미 강은주 강은향 강은화 강임숙 강정림 강정연 강종길 강주화 강주희

강준구 고영현 곽은경 강지숙 고영훈 곽은주 강지영 고예식 곽재석 강지영 고우리 곽정난 강지영 고원석 곽정미 강지영 고유경 곽정인 강지윤 고은서 곽진경 강지현 고은영 곽진영 강지혜 고은이 곽진영 강진영 고은채 곽현숙 강진철 고은희 곽현주 강찬모 고이지선 곽효열 강태군 故임길진 구경모 강태심 고재홍 구경화 강태준 고정록 구경희 강혁신 후코스 구남선 강현숙 코리아 구남주 강현정 고정숙 구대수 강현정 고정엽 구도완 강현희 고정임 구미순 강혜영 고정임 구미영 강혜원 故정회성 구민지 강혜원 고제석 구본미 강혜정 고제희 구성원 강혜정 고종욱 구소영 강호민 고종희 구소영 강호정 고지영 구수인 강홍천 고지원 구영기 강효민 고지환 구영옥 강희민 고진우 구영회 강희자 고철민 구은경 경진주 고해인 구은아 고갑숙 고해찬 구인경 고강 故허병섭 구자균 故강문규 고현영 구자일 고경 고화석 구정서 고경남 공석범 구정화 고경희 공순선 구지현 고광현 공유상 구태은 고권금 공은비 구현 고기종 공지혜 구현지 고나영 공해민 구혜경 고나윤 공혁상 국동근 고동환 공현식 국산호 고명희 공현지 국승란 고미라 공혜원 국태민 고미영 곽나연 국효민 故박권현 곽나향 국효선 故박영숙 곽다은 권경은 고봄이 곽문혁 권구홍 고상현 곽미현 권국희 고석례 곽병섭 권기복 고석삼 곽보선 권기원 고선미 곽봉수 권기윤 고수빈 곽선미 권내현 고순자 곽선애 권대희 고승석 곽수민 권득룡 고아라 곽수진 권명욱 고연경 곽순근 권문경 고연주 곽신행 권문석 고영주 곽예리 권미경 고영진 곽용신 권미영

권민규 권민철 권병섭 권보라 권복희 권선근 권세원 권소영 권수정 권순대 권순문 권순미 권순범 권승문 권승용 권여경 권염구 권영란 권영순 권영완 권영우 권영희 권영희 권오걸 권오경 권오서 권오황 권옥경 권용호 권욱 권윤주 권윤희 권은비 권은희 권장수 박순희 권재욱 권정선 권정순 권정완 권정혁 권정호 권지현 권지희 권철 권태원 권태일 권태호 권평화 권하람 권한나 권혁 권혁우 권혁주 권혁주 권현 권현애 권현조 권혜경 권혜정 권혜준 권황현

권희재 금교진 금동민 금연숙 금용한 기애란 기인선 기주영 기한나 길미경 길현정 길현주 김갑련 김강욱 김강일 김건종 김경란 김경례 김경록 김경민 김경상 김경선 김경수 김경숙 김경순 김경순 김경아 김경연 김경연 김경옥 김경옥 김경옥 김경인 정혜영 김경자 김경주 김경중 김경진 김경태 김경하 김경화 김경환 김경환 김경훈 김경훈 김경희 김경희 김경희 김경희 김경희 김경희 김경희 김계남 김고천 김관중 김광석 김광수 김광숙 김광식 김광옥 강재호 김광윤

김광일 김광현 김권호 김귀선 김귀옥 김귀자 김규미 김규복 김규성 김규성 김규원 김규태 김근수 김금순 김금희 김기국 김기덕 김기돈 김기돈 김기범 김기범 김기봉 김기성 김기수 김기열 김기영 김기영 김기원 김기청 김기택 김기호 김기훈 김기훈 김길화 김나나 김나볏 김나영 김낙규 김낙빈 김남권 김남기 김남돈 김남명 김남진 김남춘 김남형 김남희 김남희 김누리 김다정 김다한 김달 김담희 김대성 김대식 김대연 김대용 김대용 김대진 김대철 김대한 김대홍

김대희 김덕윤 김덕하 김덕희 김도연 김도윤 김도현 김도희 김동건 김동관 김동규 김동규 김동근 김동미 김동미 김동빈 김동석 김동선 김동수 김동식 김동실 김동심 김동심 김동오 김동욱 김동욱 김동욱 김동운 김동원 김동일 김동조 김동주 김동필 김동혁 김동현 김동현 김동호 김동호 김동화 김동흔 김동희 김동현 김두림 김두석 김두환 김두훈 김라경 김란 김란 김리나 김릿다 김만태 김말필 김명남 김명배 김명숙 김명옥 김명준 김명지 김명지 김명서 김호중

김명진 김명진 김명철 김명희 김명희 김세림 김동화 김묘선 김묘정 김묘중 김무영 김문선 김문성 김문정 김미경 김미경 김미경 김미경 김미경 김미경 김미나 김미란 김미령 정명호 김미선 김미선 김미선 김미소 김미수 김미숙 김미숙 김미애 김미애 김미양 김미연 김미영 김미영 김미영 김미영 김미영 김미영 김미영 김미영 김미자 김미자 김미정 김미주 김미진 김미혜 김미화 김미화 김미화 김미희 김민경 김민경 김민경 김민경 김민경 김민서 김민성 김민성 김민성

김민수 김상용 김민수 김상채 김민식 김상철 김민식 김상훈 김민아 김상훈 김민영 김상희 김민우 김새강 김민재 김샛별 김민정 김생현 김민정 김서윤 김민정 김석기 김민지 김석자 김민철 김석현 김민철 김석환 김민철 김선규 김민철 김선길 김민초 김선녀 김민하 김선명 김민혁 김선미 김믿음 김선미 김범민 김선미 김변원정 김선숙 김병수 김선아 김병완 김선애 김병익 김선영 김병호 김선영 김보경 김선영 김보경 김선옥 김보두 김선옥 김보라 김선옥 김보람 김선옥 김보령 김선정 김보리 김선태 김보명 김선형 김보미 김선혜 김보배 김선호 김보성 김선희 김보연 김설아 김보영 김설하 김보현 김설희 김보현 김성권 김보화 김성남 김복례 김성룡 김봄 김성만 김봉균 김성민 김봉근 김성수 김봉래 김성숙 김봉아 김성순 김봉희 김성식 김비애 김성애 김빛나 김성연 김삼농 김성연 김상건 김성열 김상근 김성용 김상기 김미숙 김상도 김성은 김상동 김성은 강은정 김성은 김상문 김성익 김상수 김성재 김상엽 김성제 김상영 김성진

김성진 김수지 김연옥 김성채 김수진 김연옥 김성철 김수진 김연정 김성현 김수진 김연주 김성호 김수진 김연중 김성화 김수철 김연진 김성환 김수현 김연화 김성환 김수형 김연희 김성환 김수홍 김영경 김성훈 김수환 김영관 황은진 김수희 김영군 김성희 김숙 김영기 김성희 김숙자 김영기 김성희 김숙희 김영길 김성희 김숙희 김영남 김세년 김순금 김영대 김세라 김순례 김영덕 김세림 김순봉 김영란 김세연 김순심 김영란 김세영 김순아 김영린 김세원 김순옥 김영미 김세이 김순옥 김영미 김세호 김순희 김영민 김세화 김슬지 김영민 김소리 김승 김영발 김소림 김승리 김영배 김소만 김승만 김영빈 김소연 김승순 김영상 김소연 김승용 김영석 김소영 김승은 김영선 김소영 김승현 김영선 김소영 김승호 김영선 김소원 김승화 김영선 김소현 김시남 김영수 김소형 김시산 김영숙 김소희 김시연 김영순 김솔아 김시현 김영신 김송심 김신 김영애 김송희 김신범 김영우 김수강 김신애 김영웅 김수리 김신옥 김영은 김수림 김신지혜 김영의 김수무지 김신형 김영주 개 김신효 김영주 김수미 김실근 김영준 김수빈 김아현 김영준 김수빈 김애경 김영준 김수빈 김애숙 김영채 김수연 김양기 김영채 김수연 김양수 김영철 김수연 김양진 김영탁 김수영 김양진 김영해 김수영 김양희 김영혁 김수용 김양희 김영호 김수원 김억남 김영환 김수정 김여진 김영환 김수정 김연 김영환 김수정 김연경 김영훈 김수정 김연수 김영희 김수정 김연수 김영희 김수정 김연숙 김영희 김수지 김연실 김영희


녹색은 다릅니다

김영희 김은 김영희 김은경 김영희 김은경 김영희 김은경 김예슬 김은경 김예은 김은경 김예진 김은광 김옥경 김은미 김옥인 김은미 김옥희 김은석 김옥희 김은선 김온누리 김은선 김외광 김은수 김용균 김은수 김용란 김은수 김용미 김은숙 김용분 김은숙 김용삼 김은숙 김용석 김은아 김용석 김은영 김용선 김은영 김용연 김은영 김용자 김은영 김용주 김은옥 김용진 김은자 김용현 김은정 김용현 김은정 김용호 김은정 김용희 김은정 김우란 김은주 김우섭 김은주 김우태 김은주 김우현 김은주 김욱현 김은지 김운남 김은지 김운식 김은지 김웅 김은지 김원묵 김은진 김원학 김은하 김월회 김은하 김유경 김은혜 김유경 김은혜 김유경 김은화 김유나 김은희 김유리 김은희 김유미 김응이 김유미 황춘선 김유미 김의균 김유미 김의중 김유빈 김의태 김유선 김의환 김유신 김이경 김유정 김인선 김유진 김인아 김유진 김인아 김윤경 김인영 김리따 김인정 김윤민 김인정 김윤식 김인정 김윤아 김인하 김윤영 김인현 김윤영 김인화 김윤정 김일곤 김윤정 김일섭 김윤주 김일호 김윤희 김임순 김윤희 김임정 김윤희 김자영 김율희 김장훈 김융동 김재구

김재규 김재명 김재민 김재선 김재연 김재영 김재영 김재용 김재은 김재학 김재호 김재호 김재홍 김전강 김점옥 김정 김정 김정국 김정균 김정님 김정래 김정면 김정미 김정미 김정민 김정민 김정삼 김정선 김정수 김정수 김정숙 김정숙 김정순 김정아 김정아 김정안 김정여 김정옥 김정옥 김정완 김정용 김정욱 김정원 김정은 김정은 김정은 김정은 김정은 김정은 김정은 김정은 김정은 김정자 김정중 김정현 김정현 김정호 김정환 김정희 김제남 김조영 김종근 김종립 김종백 김종복 김종수 김종열 김종예 김종우 김종원

김종윤 김종은 김종일 김종진 김종현 김종화 김종환 김종환 김주규 김주묵 김주민 김주범 김주선 김주연 김주영 김주율 김주진 김주현 김주현 김주현 김주현 김주희 김주희 김준민 김준범 김준석 김준애 김준엽 김준영 김준영 김준태 김준형 김중관 김지미 김지민 김지수 김지석 김지선 김지선 김지선 김지연 김지연 김지연 김지영 김지영 김지영 김지영 김지예 김지예 김지원 김지원 김지원 김지윤 김지윤 김지윤 김지윤 김지윤 김지윤 김지은 김지은 김지은 김지은 김지철 김지태 김지한 김지헌 김지현 김지혜 김지혜 김지홍

김지홍 김지훈 김진 김진미 김진성 김진세 김진숙 김진숙 김진아 김진애 김진영 김진영 김진원 김진이 김진태 김진해 김진호 김진홍 김진환 김진희 김창곤 김창민 김창석 김창연 김창현 김창환 김채영 김채정 김채현 김천수 김천직 김철규 김철록 김철수 김철우 김철한 김철호 김청아 김초롱 김춘선 김춘조 김충식 김치격 김치영 김탁환 김태경 김태림 김태분 김태수 김태언 김태옥 김태용 김태욱 김태웅 김태일 김태청 김태헌 김태현 김태형 김태형 김태형 김태호 김태호 김태환 김태훈 김택무 김하란 김하얀 김하얀 김하연

김하열 김학열 김한나 김한나 김한빛 김한서 김한솔 김한수 김한수 김한순 김한슬 김대현 김한얼 김한울 김해경 김해근 김해랑 김해리 김해선 김해영 김해정 김해진 박미라 김향중 김현 김현 김현 김현량 김현미 김현민 김현석 김현성 윤수현 김현수 김현수 김현수 김현수 김현수 김현아 김현아 김현영 김현우 김현인 김현자 김현재 김현정 김현정 김현정 김현정 김현주 김현주 김현주 김현준 김현지 김현진 김현진 김현철 김현화 김현희 김형래 김형래 김형연 김형오 김형우 김형익 김형정 김형준 김형준 김형진 김형표

김혜강 김혜경 김혜경 김혜경 김혜나 김혜란 김혜민 김혜선 김혜선 김혜숙 김혜애 김혜연 김혜영 김혜영 김혜영 김혜옥 김혜옥 김혜윰 김혜정 김혜정 김혜정 김혜중 김혜진 김혜진 김혜진 김혜진 김호동 김호성 김호용 김호정 김홍근 김홍석 김홍식 김홍영 김홍용 김홍희 김화순 김화진 김황일 김효남 김효선 김효선 김효숙 김효은 김효은 김효정 김효정 김효정 김효진 김효진 김효진 김후자 김흥덕 김희경 김희경 김희경 김희경 김희도 김희란 김희만 김희배 김희선 김희영 김희영 김희영 김희영 김희원 김희윤 김희재 김희정

김희정 노민한 맹보름 민예진 박미나 김희종 노복연 명경미 민우정 박미선 김희주 노복희 명묘희 민율 박미숙 나경원 노상경 명사라나 민은혜 박미연 나경주 노상은 명주휘 민인애 박미영 나경훈 노수진 명진스님 민정미 박미옥 나봉임 노승원 모윤미 민진혜 박미옥 나상혁 노아름 모윤진 민천홍 박미옥 나선 노영진 묘인스님 민철기 박미옥 나순형 노영희 무명 민형관 박미화 나영민 노영희 문건화 민혜경 박민서 나윤주 노윤희 문경례 민혜원 박민서 나정은 노융희 문경진 박갑수 박민선 나진영 노은성 문국현 박건수 박민영 나진현 노은창 문근식 박경미 박범진 나찬호 노의상 문기웅 박경숙 백영미 동은진 노인향 문남희 박경순 박병삼 나혜련 노재승 문대영 박경아 박병오 나희원 노재화 문도운 박경제 박병혜 남공열 노정아 문명미 박경조 박병호 남궁명희 노정호 문명순 박경택 박보미 남궁석 노지영 문미라 박경호 박복임 남궁송 노철 문민영 박경화 박봉규 남궁호삼 노현수 문상기 박경화 박봉희 남궁효 노형수 문서영 박경화 박부건 남기포 노혜정 문선옥 박계용 박상돈 남기형 노호경 문성요 박계현 박상언 남명이 노화순 문성임 박광석 박상언 남미리 도경옥 문성혜 박광수 박상용 남미숙 도경태 문성호 박광열 박상은 남미열 도경화 문성희 박규환 박상일 남미향 도하빈 문수남 박그림 박상준 남보라 도한욱 문수정 박근태 박상철 남봉림 도혜현 문수정 박근호 박상호 남봉우 두레약국 문수환 박금란 박상희 남상민 두은오 문승구 박금옥 박서회 남상우 두원오 문승식 박금화 박서희 남상준 라금주 문영아 박기상 박석준 남상철 라용 문영임 박기서 박선영 남수정 라제수 문은정 박기석 박선영 남숙희 라호주 문은희 박기선 박선영 남승헌 류기석 문의겸 박기선 박선요 남용우 류대곤 문인영 박기영 박선우 남원우 류미향 문일호 박기현 박선자 남유정 류민희 문자영 박기현 박선정 남은님 류병윤 문재형 박길옥 박선향 남인식 류선희 문전안 박꽃님 박선화 이미선 류세현 문정선 박꽃보라 박선희 남인준 류세희 이동문 박나래 박선희 남경원 류수연 문정희 박남규 박성기 남정산 류수호 문종숙 박노봉 박성대 남종영 류승아 문지영 박다람 박성린 남준기 류양선 문지원 박다예 박성만 남준홍 류은숙 문지효 박단비 박성무 남지민 류재원 문진주 박대서 박성미 남지화 류재향 문찬영 박덕란 박성애 남초록 류정훈 문하나 박동준 박성용 남한우 류중욱 문홍표 박동호 박성용 남호근 류진 문환수 박록삼 박성재 육경숙 류진원 문희태 박명수 박성준 남효 류천수 문희태 세환이텍 박성진 남효정 류철우 미야우치 박명숙 박성태 노건 류향미 아키오 박명숙 박성혁 노경미 류혜영 민경진 박명진 박성현 노경실 류홍열 민경환 박명혜 박성현 노경희 류희수 민동욱 박무순 박성현 노덕예 리정영 민마루 박문현 박성현 노두리 마승욱 민서영 박문현 박성현 노민수 마은경 민수홍 박문환 박성호 노민찬 맹민현 민영임 박미나 박성환

박성훈 박성희 박성희 박세람 박세영 박세영 박세진 박세헌 박세화 박세희 박소래 박소미 박소연 박소영 박소영 박소영 박소영 박소운 박소현 박소현 박수경 박수연 박수연 박수옥 박수정 박수진 박수진 박수택 박수향 박수현 박수홍 박숙희 박순남 박순영 박순태 박승규 박승규 박승찬 박양규 박연숙 박연주 박연하 박영 박영권 박영규 박영규 박영덕 박영미 박영미 박영미 박영미 박영미 박영미 박영순 박영신 박영신 박영종 박영진 박영철 박영훈 박영희 박예선 박옥선 박완규 박완철 박용남 박용녀 박용범 박용선 박용철

박용효 박용훈 박용희 박우영 박우현 박우형 박원 박원서 박원재 박원조 박유진 박유진 박유찬 박윤경 박윤경 박윤희 박율 박은경 박은경 박은경 박은비 박은숙 박은숙 박은아 박은연 박은영 박은영 박은정 박은주 박은지 박은진 박은혜 박은화 박은희 박은희 박을남 박이연 박인규 박인숙 박인숙 박인아 박인주 박인준 박인혁 박인호 박인희 박인희 박일수 박일환 정금수 박자람 박자현 박장원 박장헌 박재군 박재범 박재선 박재숙 박재승 박재옥 박재완 박재진 박재혁 박정민 박정민 박정배 박정수 박정순 박정식 박정심

박정심 박정운 박정원 박정유 박정은 박정은 박정이 박정임 박정현 박정화 박종길 정윤미 박종란 박종렬 박종명 박종범 박종서 박종서 박종숙 박종윤 박종인 박종주 박종철 박종춘 박주선 박정호 박주연 박주연 박주영 박주현 박주혜 박주환 박준구 박준규 박준범 박준일 박준표 박준하 박준현 박지민 박지연 박지연 박지연 박지연 박지영 박지영 박지영 박지영 박지영 박지용 박지우 박지수 박지원 박지원 박지은 박지인 박지인 박지현 박지혜 박지혜 박지호 박지훈 박지훈 박진 박진빈 박진석 박진영 박진용 박진호 박진흥

1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박진희 박진희 박찬갑 박찬경 박찬이 박찬정 박찬호 박채윤 박천규 박철우 박철홍 박춘성 박충수 박충희 박태원 박태준 박태진 박태화 박평옥 박하용 박해광 박해심 박해희 박행배 박헌규 박혁 박현곤 박현미 박현미 박현미 박현식 박현아 박현영 박현정 박현정 박현정 박현주 박현준 박현희 박형욱 박형준 박혜명 박혜상 박혜성 박혜숙 박혜연 박혜영 박혜영 박혜옥 박혜원 박혜자 박혜지 박혜진 박호근 박호일 박효경 박효서 박효운 박효진 박효춘 박휘서 박흥만 강복희 박흥수 박희영 박희전 박희춘 반세웅 방성진 방수정

16

방완문 방지수 방지원 방지은 방진의 방천환 방하남 배금희 배난주 배달 배동석 배득용 배문숙 배병두 배보람 배봉기 배석희 배선영 배성륭 배성미 배성심 배소현 배수경 배수희 배순이 배아름 배연주 배연희 배영주 배우식 배우한 배유선 배유진 배윤주 배재만 배정민 배정호 배정훈 배제선 배종문 배종혁 배지호 배채완 배택희 배한경 배해정 배현숙 배형신 배형진 배희자 백광문 백궁선 백규태 백두성 백미연 백미향 백민우 백민우 백복균 백상기 백상윤 백성연 백수연 백수영 백승지 백승훈 백승희 백영기 백인도 백인성

백재웅 서숙희 성경옥 백정애 서순환 성기은 백종문 서애숙 성기철 백종언 서여리 성기철 백주연 서영덕 성덕무 백지연 서영미 성명희 백지원 서영민 성미선 백지혜 서영아 성미연 백지후 서영아 성미영 백진임 서옥희 성민정 백진협 서용대 성복선 백창훈 서용찬 성수경 백향옥 서유민 성양현 백현진 서윤경 성유리 백혜진 서은경 성유심 백혜진 서은석 성윤정 법무법인 서은정 성윤정 봄 서은주 성은주 변상규 서은현 성주용 변수진 서의관 성지아 변승목 서의철 성태윤 변영길 서이향 성현주 변은혜 서인석 성혜연 변인희 서인아 성혜원 변지연 서재원 소권섭 변창우 서정금 김월자 변채호 곽신행 소미자 변택주 서정민 소복이 변현민 서정민갑 소시영 변현숙 서정숙 소열녕 보경 서정아 소재옥 보운스님 서정아 손광운 복꽃순 서정아 손덕삼 봉은사 서정은 손만영 부은경 서정은 손명선 북센스 서정철 손명숙 북스토리 서종원 손문정 비하인드 서주연 손미경 빙근아 서지아 손미영 사미정 서지웅 손민 사승훈 서지원 손민경 삼성안전 서지은 손민하 환경연구 서지은 손병희 소 서지현 손상택 상보규 서지훈 손새롬 상상조형 서찬빈 손성훈 서경덕 서태영 손수정 서경희 서해숙 손승우 서경희 서현석 손아름 서근식 서현선 손언태 서기랑 서현숙 손영미 서기수 서형민 손영숙 서기원 서형순 손영애 서대현 서홍욱 손요한 서동임 서희선 손원표 서명지 서희정 손유나 서문홍 석광훈 손유진 서미경 석보현 손유혜 서미선 석보혜 손육영 서미애 석성경 손윤지 서미정 석은영 손은옥 서민경 선목 손인배 서보성 선수진 주지혜 서상현 선일규 손장섭 서석민 선정수 손재호 서석종 선호승 손종익 서성덕 선휘성 손주희 서수려 설미남 손준호 서수민 설정경 손지은 서수양 설찬희 손태민

손현수 손현수 손현옥 손호석 송경미 송경옥 송기훈 송남숙 송단비 송두리 송명진 송명희 송미근 송민홍 송병렬 송봉연 송선경 송선경 송선민 송선화 송성무 송수나 송수진 송순아 송순창 송연숙 송영경 송영란 송영석 송영인 송영재 송옥진 송우진 송욱 송유강 송유진 송유진 송윤옥 송은경 송일민 송일섭 송재룡 송정남 송정복 송정환 송정희 이종선 송종임 송주미 송준숙 송지선 송지연 송지영 송지원 송지혜 송진 송진경 송치훈 송태재 송해리 송해준 송향숙 송헌석 송현미 송현숙 송현주 송형근 송혜린 송후용 송흥섭

수경스님 신영미 순종현 신영석 시원혜 신영애 시윤 신영은 신경남 신영인 신경섭 신영재 신경애 신영진 신경옥 신영화 신경준 신예현 신경하 신옥 신경희 신옥진 신규종 신요식 신금희 신용남 신기선 표지선 신기창 신재원 신꽃다미 신재영 신단길 신예현 신대건 신용재 신동미 신용주 신동민 신용철 신동식 신웅철 신동우 신유미 신동욱 신윤수 신동주 신윤아 신동철 신윤정 신미령 신은경 신동헌 신은비 신동현 신은순 신동호 신은하 신두병 신은희 신라영 신인섭 신말례 신장욱 신말순 신재순 신명식 신재환 신명식 신재흥 신명철 신정민 신문숙 신정아 신미라 신정아 신미숙 신정욱 신미숙 신정훈 신미영 신종화 신민아 신주연 신민영 신주영 신보경 신준수 신상구 신지선 신상록 신지연 신상숙 신지연 신상은 신지영 신서윤 신진섭 신선미 신진수 신선미 신진호 신선미 신창훈 신선민 신초롱 신선영 신태섭 신선희 신태중 신성심 신평균 신소윤 신항수 신소현 신해수 신송혜 신현돈 신수연 신현미 신수정 신현복 신수정 신현섭 신숙희 신현숙 신승민 신현주 신승연 신혜경 신승우 신혜경 신승철 신혜연 신아영 신혜영 신연숙 신혜정 신연숙 신혜정

신혜정 안수현 신홍섭 안수현 신효재 안숙 신희경 안숙명 신희석 안승율 신희웅 안승찬 심경민 안아람 심규원 안연희 심규혁 안영덕 심규현 안영미 심금미 안영우 심대윤 안영찬 심명관 안영철 심법스님 안옥순 심병곤 안옥이 심상옥 이병현 심상진 안용수 심성훈 안원숙 심소영 안원효 심연보 안윤근 심연보 안윤정 심영희 안윤정 심은정 안윤희 심익섭 안은경 심일석 안은아 심자영 안은주 심재범 안인덕 심재승 안재균 심재열 안재옥 심재왕 안재학 심정순 안재헌 심정애 안재희 심정요 안정근 심정원 안정림 심정주 안정화 심지은 안종범 심차민 안종출 심태섭 안종혁 심태훈 안주현 심현아 안준수 심혜선 안진걸 심혜정 안찬숙 심흥아 안창현 안겨라 안치권 안경숙 안치현 안경아 안평강 안경은 안해인 안광제 안현구 안대현 안혜림 안덕준 안혜미 안동권 안혜인 안면순 안화연 안문자 안효경 안미경 안희복 안민아 안희원 안병학 안희정 안병훈 안희정 안상경 양경모 안상희 양경수 안선모 양경숙 안선영 양규웅 안선영 양다솜 안선준 양동철 안성우 양모석 안성자 양미라 안성준 양미라 안소영 양미정 안소정 양민구 안소현 양민재 안소희 양민주

양병이 양보경 양복순 양봉숙 양석용 양선영 양선진 양선혜 양성민 양성영 양성하 양성희 양세진 양세진 양수진 양승헌 양안나 양영순 양영심 양영은 양용성 양윤승 양은경 양인숙 양자경 양정선 양종관 양지명 양지순 양지우 양진영 양채목 양춘승 양쿠라 양해동 양해영 양향국 양현숙 양현아 양현정 양혜진 양혜진 양희진 어두진 어병회 어지원 엄금주 엄기호 엄남식 엄문회 엄민식 엄선희 엄영노 엄영흠 엄영희 엄용준 엄윤정 엄정애 엄준용 엄현경 엄흥섭 여경희 여광진 여동훈 여명구 여예은 여용수 여성빈 윤미애 여은규

여은재 오재옥 원정스님 유지헌 여이슬 오재훈 원진석 유지혜 여인혁 오재희 원진연 유진규 여주현 오정금 원택스님 유진숙 여해경 오정미 위성현 유진아 연부용 오정열 위정은 유진아 연순흠 오정홍 위효선 유진양 연옥흠 오정화 유경님 유진희 연유정 오정환 유경희 유찬미 연유진 이경선 유광곤 유창주 연은지 오은샘 유광일 유청이 연지혜 오은석 유금숙 유태환 염보아 오종석 유기준 유하나 염수범 오종철 유나래 유현 염승제 오주희 유나영 유현경 염연선 오준영 유남길 유현노 염영숙 오지현 유동휘 유현실 염정희 오지혜 유림 유현주 염태영 오진형 유명희 유현주 염현숙 오진희 유미 유혜선 염형국 오철우 유미정 유혜진 염흥섭 오태석 유미정 유혜진 영은기획 오태섭 유미진 유호연 인쇄사 오한별 유방 유효진 예소영 오현경 최은경 유희선 예현주 오현주 유병찬 육은란 오가영 오현주 유상균 육지인 오경기 오현진 유상오 윤경식 오경훈 오형은 유상진 윤경온 오규동 오혜경 유상훈 윤경은 오기석 오혜민 유석남 윤관주 오대현 오화영 유선숙 윤광빈 오덕성 오희용 유선진 윤구병 오덕흠 옥선자 유성용 윤규용 오미숙 옥세린 유소영 윤금자 오미영 옥순남 유소울 윤금철 오민정 옥영관 유소희 윤기돈 오병갑 옥희정 유수경 윤기현 오봉준 왕민희 유수영 윤남식 오사라 왕성열 유수은 윤남희 오상민 왕영아 유승렬 윤다영 오상열 용지현 유애리 윤다정 오상운 우경희 유언정 윤다휘 오상훈 우동걸 유연순 윤도학 오상희 우미자 유영미 윤만택 오서연 우석균 유영석 윤명한 오서윤 우선정 유영순 윤명현 오서환 우성조 유영아 윤미희 오석동 우성현 유영호 윤민지 오선주 우세윤 유영화 윤병선 오세희 우연광 유유리 윤보라 오송규 우예나 유윤진 윤삼현 오수경 우유니게 유은성 윤상미 오숙희 우정 유은숙 윤상미 오순덕 우정아 유은정 윤상혁 오승은 우정현 유은혜 윤상호 오승이 우종근 유이상 윤상훈 오시원 우종해 유인숙 윤선경 오아라 우종호 유재규 윤선주 오위환 우지혜 유재선 윤성일 오유정 우진 유재운 윤성중 오유진 우진희 유정미 윤성필 오유진 우한울 유정민 윤성현 오유찬 우현미 유정은 윤성혜 오윤근 우혜린 유정혜 윤성환 오은경 우혜윤 유정호 윤성희 오은경 원기정 유정희 윤세미 오은선 원선희 유종순 윤세민 오은하 원유정 유지영 윤세영 오인선 원윤희 유지인 윤세종


녹색은 다릅니다

윤소라 윤소영 윤소희 윤수정 윤순섭 윤순자 윤승민 윤승희 윤승희 윤시내 윤신영 윤아름 윤아름 윤여창 윤여환 윤연심 윤연옥 윤연자 윤연진 윤영근 윤영덕 윤영석 윤영숙 윤영식 윤영욱 윤영자 최광규 윤영조 윤완석 윤운상 윤을순 윤의일 윤인규 윤인숙 윤인숙 윤인자 윤재송 윤재학 윤재한 윤전우 윤정기 윤정문 윤정수 윤정식 윤정임 윤정현 윤정현 윤정희 윤종식 윤종찬 윤주만 윤주성 윤주훈 윤준서 윤준의 윤지연 윤지영 윤지영 윤지영 윤지완 윤지원 윤지혜 윤진병 윤진영 윤진원 윤창영 윤채린 윤천희 윤철종 윤충한

윤태문 윤태현 윤한다 윤혁준 윤현덕 윤혜성 윤홍순 윤효영 윤희경 윤희숙 은수희 음정민 이가영 이가영 이가은 이가은 이강두 이강숙 이강운 이강준 이강진 이강채 이강희 이건숙 이건아 이건우 이건진 이건형 이건희 이경락 이경란 이경래 이경렬 이경미 이경미 이경미 이경미 이경민 이경수 이경수 이경숙 이경숙 이경아 이경원 이경은 이경은 이경주 이경주 이경지 이경찬 이경초 이경훈 이경휴 이경희 이경희 이경희 이경희 이경희 이경희 이계수 이계숙 이계혁 이고운 이관태 이광로 이광준 이광진 이광호 이광호 이귀란

이귀자 이명종 이규용 이명주 이규원 이명주 이규한 이명지 이규홍 이명천 이규화 이명희 이규황 이명희 이규희 이몹쓸 이근규 그립은 이근성 사람아 이근욱 이무순 이근재 이무일 이금재 이문수 이금희 이문숙 이기복 이문종 이기빈 이미경 이기서 이미경 이기선 이미경 이기섭 이미나 이기수 이미녀 이기숙 이미라 이기주 이미숙 이기춘 이미숙 이기호 이미심 이길림 이미애 이길자 이미애 이길호 이미영 이나경 이미영 이나릴래 이미진 이나영 이미화 이남경 이민구 이노원 이민규 이능수 정민경 이다솜 이민영 이다솜 이민영 이다행 이민재 이다희 이민정 이대봉 이민주 이대성 이민주 이대택 이민지 이덕근 이민철 이덕룡 이방연 이덕영 이병걸 이덕주 이병문 이덕형 이병준 이도경 이병철 이동규 이병태 이동민 이병해 이동선 이보나 이동섭 이보람 이동애 이보람 이동엽 이보배 이동영 이보아 이동우 이보은 이동우 이보은 이동철 이봉규 이동하 이봉로 이동현 이봉용 이동현 이봉자 이동호 이부덕 이래주 이빈파 이륜선 이삼희 이림 이상건 이마루 이상록 이만규 이상록 이매남 이상면 이명구 이상미 이명렬 이상미 이명자 이상범 이명정 이상복

이상선 이상순 이상아 이상열 진은정 이수겸 이상엽 이상영 이상온 이상원 이상은 이상일 이상준 이상진 이상진 이상철 이상철 이상춘 이상해 이상헌 이상혁 이상희 이상희 이새롬 이서연 이서은 이서정 이서진 이서희 이석재 이석태 이석호 이석휘 이선로 이선미 이선미 이선민 이선아 이선영 이선영 이선영 이선영 이선용 이선우 이선의 이선이 이선임 이선정 이선주 이선주 이선호 이선화 새림 이선희 이성균 이성동 이성례 이성상 이성수 이성숙 이성애 이성연 이성일 이성준 이성준 이성진 이성형 이성호 이성훈 이성훈

이성희 이세연 이세연 이세영 이세우 이세정 이소담 이소라 이소람 이소민 이소영 이소영 이소윤 이송자 이송화 이수경 이수만 이수미 이수민 이수진 이수빈 이수연 이수영 이수영 이수영 이수영 이수유 이수재 이수정 이수진 이수진 이수진 이수진 이수진 이수진 이수호 이숙경 이숙영 이순숙 이순아 이순자 이순정 이순종 이순종 이순호 이슬기 이승경 김창근 이승기 이승님 이승무 이승민 이승언 이승용 이승윤 이승윤 이승은 이승은 이승일 이승주 이승주 이승준 이승준 이승태 이승현 이승현 이승혜 이승호 이승환 이승훈

이승훈 이영희 이승훈 이예림 이시옥 이예준 이시우 이오섭 이시욱 이옥선 이시원 이옥자 이시은 이옥진 이시진 이온 이신숙 이용관 이신애 이용관 이신재 이용규 이아로 이용남 이아름 이용욱 이아름 이용진 이아미 이용찬 이안서경 이용한 이안소영 이용화 이안자 이용훈 이어진 이용희 이언기 이우상 이엔제이 이우영 이여옥 이우영 이연 이우형 이연서 이욱주 이연수 이욱진 이연숙 이욱현 이연이 이운서 이연재 이웅희 이연주 이원 이연진 이원두 이연진 이원영 남경숙 이유리 이연화 이유리 이연화 이유미 이연훈 이유선 이연희 이유숙 이연희 이유신 이영경 이유정 이영규 이유정 이영규 이유진 이영균 이유진 이영균 이윤경 이영근 이윤경 이영기 이윤미 이영란 이윤복 이영란 이윤서 이영미 이윤수 이영민 이윤숙 이영민 이윤정 이영범 이윤정 이영선 이윤제 이영성 이윤진 이영수 이윤채 이영수 이윤하 이영숙 이윤혜 이영숙 이윤희 이영숙 이은경 이영숙 이은경 이영식 이은경 이영실 이은경 이영심 이은경 이영옥 이은경 이영은 이은규 이영주 이은미 이영준 이은미 이영진 이은샘 이영진 이은숙 이영화 이은숙 이영희 이은숙 이영희 이은순

이은순 오세호 이은아 이은아 이은애 이은영 이은영 이은영 이은영 이은이 이은정 이은정 이은주 이은주 이은주 이은총 이은향 이은혜 이은희 이은희 이은희 이승희 이을부 이의행 이이석 이인규 이인규 이인숙 이인숙 이인영 이인현 이일중 이재명 이재복 이재섭 이재순 이재식 이재연 이재영 이재웅 이재원 이재원 이재익 이재형 이재호 이재홍 이재환 이재훈 이재훈 이재훈 이점호 이정규 이정란 이정란 이정미 이정미 이정미 이정민 이정민 이정석 이정수 이정식 이정아 이정연 이정연 이정영 이정옥 이정우 이정우 이정원

이정원 이정윤 이정은 이정은 이정은 이정은 이정인 이정임 이정자 이정자 이정필 이정현 이정현 이정현 이정현 이정화 이정화 이정환 이정희 이제아 이제훈 이종계 이종구 이종락 이종석 이종섭 이종수 이종욱 이종인 이종준 이종철 이종하 이종한 이종혁 이종홍 이종화 이종훈 이종훈 이종훈 이종흠 이종희 이주민 이주연 이주연 이주연 이주영 이주영 이주영 이주은 이주환 이주희 이주희 이주희 이주희 이준권 이준동 이준석 이준섭 이준영 이준택 이준호 이준희 이중묵 이중민 이지니 이지선 이지성 이지수 이지숙 이지아

이지언 이지연 이지연 이지연 이지연 이지연 이지연 이지연 이채원 이지영 이지영 이지용 이지웅 이지윤 이지은 이지은 이지은 이지은 이지은 이지현 이지현 이지현 이지현 이지형 이지혜 이지훈 이지훈 이직재 이진라 이진미 이진미 이진백 이진선 이진선 이진숙 이진아 이진용 이진욱 이진원 이진향 이진효 이진희 이진희 이찬노 이찬연 이찬희 이창복 이창석 이창용 이창우 이창욱 이창호 이창희 이채민 이천규 이천용 이천호 이철승 이철재 이철학 이철희 이청재 이초희 이충만 이충열 이충일 이태경 이태곤 이태용 이태형

이태호 이태화 이태화 이택준 이하나 이하림 이하영 이하영 이학범 이학범 이학윤 이학이 이한결 이한우 이한진 이항 이해근 이해랑 이해미 이해숙 이해일 이해훈 이향나 이향례 이헌수 이헌준 이현미 이현상 이현서 이현숙 이현숙 이현숙 이현승 이현시 이현애 이현우 이현이 이현이 이현정 이현정 이현정 이현주 이현주 이현주 이현주 이현주 이현주 이현주 이현주 이현주 이현주 이현주 이현지 이현지 이현진 이현희 이현희 이형구 이형규 이형록 이형모 이형우 이형주 이형진 이혜경 이혜경 이혜경 이혜란 이혜련 이혜련

이혜미 이혜민 이혜선 이혜선 이혜선 이혜숙 이혜영 이혜영 이혜원 이혜은 이혜준 이혜진 이혜진 이호 이호선 이호영 이호영 이호원 이호재 이호준 이홍민 이홍비 이홍진 이화순 이화식 이화연 이화정 이화정 이화진 이환규 이환직 이효기 이효연 이효연 이효정 이효진 이훤희 이흥복 이희성 이희송 이희순 이희승 이희연 이희열 이희원 이희정 이희진 이희진 이희찬 이희철 인다미 인정숙 인정은 일상의 실천 임가연 임건석 임건식 임경숙 임경아 임경욱 임경주 임경진 임경택 임경희 임계재 임규태 임근송 임난영 임대환

임동렬 임지현 임동옥 임지희 임명재 임진 임명현 임찬수 임미영 임창희 임민경 임채혁 임민경원 임출환 임밀 임태근 임범수 임태영 임병국 임태훈 임병삼 임택섭 임병암 임해숙 임병은 임해원 임병호 임향수 임상아 임향순 임상혁 임현미 임서희 임현선 임석순 임현숙 임선경 임현식 임선영 임현찬 임선희 권정연 임성준 임현택 임성환 임혜림 임성희 임혜숙 임세원 임회광 임소민 임효선 임소영 임효수 임소희 임효정 임수아 임효진 임수연 임희재 임숙희 임희진 임숙희 자운스님 임순례 작은 임승남 형제회 임승빈 장건 임승현 장경각 임쎄정 원택스님 임아영 장경애 임연우 장경진 임연진 장고은 임영 장규 임영준 장금옥 임옥경 장기은 임옥경 장길석 임용성 장나윤 임용훈 장내일 임윤서 장덕표 임윤옥 장동주 임은숙 장두인 임은숙 장두하 임은영 장미 임은우 장미나 임은지 장미연 임익순 장미옥 임재덕 장미현 임재원 장민경 임재인 장민서 임정남 장믿음 임정미 장병권 임정수 장병섭 임정숙 장병학 임정아 장보리 임정희 장봉균 임종섭 장비오 임종현 장서연 임종훈 장서진 임주연 장석현 임주연 장선경 임지숙 장선영 임지연 장선우

1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장성두 장효인 장성락 장기철 장세균 장효정 장세명 장희수 장세웅 장희수 장세은 장희영 장수봉 전경미 장수연 전기성 장수영 전난희 장수정 전동준 장순해 전라윤 장승현 전명숙 장승화 전문경 장양미 전문영 장언희 전미영 장여진 전미정 장연주 전민규 장영순 전병록 장영옥 전보임 장영주 전부순 장옥녀 전상희 장용기 전선경 장용식 전선미 장용훈 전선희 장우승 전성규 장웅조 전성민 장원 전수경 장윤경 전수경 장윤석 전수영 장윤선 전수옥 장윤수 전양숙 장윤정 전완기 장윤화 전용운 장윤희 전용주 이재근 전우도 장은진 전우자 장일선 전유진 장일식 전은서 장재만 전은숙 장재선 전은현 장재훈 전이형 장정구 전재경 장정애 전재수 장정원 전재한 장정윤 전종덕 장정은 전종식 장정은 전주혜 장조혜자 전준서 장종철 전준석 장주완 전지선 장지수 전지성 장지영 전지현 장지예 전진우 장지원 전창배 장지혜 전창배 장천 전채덕 장철수 전태훈 장태정 전혜련 장하식 전혜선 장한나 전홍연 장현명 전효순 장현재 전희경 장현진 전희섭 장혜경 전희종 장혜란 정강화 장혜미 정경미 장혜연 정경아 장혜영 정경일 장혜정 정경조 장혜진 정경해

18

정경혜 정성래 정경희 정성묵 정계섭 정성연 정계영 정성욱 정관용 정성운 정관택 정성원 정규빈 정성철 정규석 정세경 정규형 정세홍 정길호 정세훈 정난영 정소라 정다와 정소영 정다운 정소현 정다운 정소희 정다정 정송조 정다혜 정수민 정대민 정수원 정대중 정수진 정도상 정수철 정동수 정수현 정동욱 정숙경 정동욱 정순균 정두성 정순선 정만효 정순열 정명선 정순혜 정명선 정슬기 정명순 정승연 정명스님 정승우 정명옥 정승운 정명희 정승호 정명희 정시우 정명희 정애연 정모은 정연주 정미경 정연하 정미경 정연현 정미경 정영규 김용언 정영란 김현지 정영민 김태은 서선임 정미덕 정영서 정미소 정영숙 정미숙 정영신 정미숙 정영애 정미주 정영욱 정민수 정영일 정민수 정영주 정민영 정영진 정민주 정영철 정민희 정영훈 정방영 정오채 정방원 정옥순 정보영 정완묵 정복식 정완영 정봄이 정용미 정봉환 정용욱 정부매 정용철 정사성 정용철 정상규 정용호 정상안 정욱희 정상헌 정운현 정상훈 정원규 정새한 정원석 정서연 정유경 정서혜 정유경 정석희 정유리 정선미 정유수 정선빈 정유진 정선욱 정유진 정선희 정유진 정선희 정유찬

정윤경 정윤미 정윤미 정윤석 정윤숙 정윤정 정윤정 정은경 정은경 정은교 정은서 정은숙 정은영 정은주 정은주 정은주 정은주 정은지 정은혜 정은후 정을호 정응기 정의선 정의진 정인영 정인철 정인화 정일용 정일준 정재우 최소란 정재윤 정재익 김현주 정재철 정재호 정재후 정재훈 정재희 정정오 정정우 정정자 정정희 정제현 정종선 정종호 정주연 정주연 정주원 정주원 정주희 정준현 정준화 정지선 정지영 정지영 정지영 정지영 정지우 정지원 정지윤 정지윤 정지혜 정지희 정진 정진구 정진규 김윤정 정진솔 정진수

정진열 정진영 정진희 정진희 정채윤 정천희 정철수 정철우 정태봉 정태정 정택빈 정택성 정하나 정하라 정하복 정한길 정한나 정한봄 정해순 정해원 정해원 정해윤 정해정 정행섭 정현미 정현솔 정현숙 정현애 정현옥 정현정 정현주 정현진 정현호 정혜경 정혜령 정혜선 정혜영 정혜영 정혜영 정혜원 정호원 정호진 정환국 정황식 정효심 정훈석 정희선 정희영 정희영 정희정 정희지 정희진 제경숙 제종길 조갑만 조강현 조경미 조경숙 조경희 조계호 조관익 조광호 조근영 조기동 조남엽 조남혁 조남흥 조달미 조도순 조동숙

조동찬 조명석 조명선 조명신 조명지 조명진 조명진 조문선 조미라 조미선 조미선 조미숙 조미현 조민기 조민숙 조민영 조범부 조병범 조병주 조부연 조상미 조상복 조상우 조선 조선미 조선영 조선영 조선주 조선희 조성국 조성민 조성숙 조성숙 조성원 조성중 조성철 조성현 조성현 조성형 조성희 조소영 조소희 조수미 조수영 조수호 조숙연 조슬기 조승남 조승연 조승현 조승희 조시범 조아라 조애경 조연아 조연정 조연희 조영미 조영옥 조영운 조영은 조영희 조예은 조용남 조우진 조운호 조원경 조원숙 조원영 조원정

조유선 조윤석 조윤석 남지은 조윤수 조윤숙 조윤용 조율 조은경 조은송 조은숙 조은아 조은영 조은정 조은주 조은희 조의현 조익태 조인경 조인성 조인숙 조일남 조일찬 조장혁 조재은 조재은 조재희 조정래 조정운 조정환 조준영 조준하 조중기 조중현 조지애 조지영 신은아 조명성 조인서 조지희 조진국 조진규 조진상 조진영 조창현 조철호 조충만 조하림 조행민 조현 조현대 조현수 조현영 조현영 조현은 조현정 조현정 조현제 조현철 조현호 조형숙 조형순 조혜경 조혜경 조혜린 조혜수 조혜영 조혜우 조혜정 조혜진

조화영 진성일 최기숙 최승지 조환성 진수빈 최기승 최승호 조회은 진영현 최나리 최승호 조효순 진유식 최남규 김우정 조희선 진은정 최남실 최승환 조희재 진장용 최다영 최승희 조희제 진재화 최대림 최신영 좌경옥 진정완 최돈우 최아란 주광원 진태혁 최동석 최애영 주기현 진혜영 최동식 최연수 주나래 차광민 최동혜 최연율 주덕용 차병호 최동호 최연지 주동현 차유미 최락용 최영 주미영 차은정 최명운 최영덕 주병진 차은주 최명재 최영란 주보은 차익수 최명종 최영란 주상탁 차윤진 최명호 최영신 주성민 차인환 최명훈 최영우 주성식 차장필 최명희 최영주 주숙경 차정민 최문기 최영희 주연우 차지영 최문석 최예은 주연중 차진호 최문숙 최용수 ㈜연진 홍영숙 최문환 최용순 코퍼레이 차혜련 최미경 최용순 션 차혜선 최미란 최용호 주영덕 차희연 최미리암 최우영 주영선 채덕성 최미선 최우준 주영진 채명수 최미정 최웅곤 주영훈 채소라 최민혁 최원길 주우연 채송희 최병윤 최원석 주은희 채승희 최병제 최원선 주재술 채영근 최병주 최원익 주종민 채영숙 최병진 최원일 주한경 채이배 최보윤 최원준 주한나 채인선 최봉경 최원진 주한별 채종현 최봉석 최위환 주현숙 채지희 최상윤 최유리 주현주 채홍기 최상일 최유민 주현진 천경애 신경아 최유정 주형로 천경화 최상훈 최유진 주혜경 천규석 최서연 최윤경 주효진 천다솜 최서현 최윤경 지나워커 천명희 최석원 최윤만 존워커 천상윤 최선녀 최윤석 지민수 천승환 최선미 최윤아 지민희 천승민 최선숙 최윤영 지병용 천애경 최선아 최윤정 지선경 천양순 최성순 최윤정 지선영 천웅소 최성우 최윤정 지수진 천은정 최성윤 최윤정 지숙희 천재현 최성호 최윤지 지승현 천준아 최성호 최윤호 지용태 천하람 최소라 최윤희 지윤정 청범스님 최소영 최윤희 지종순 최경선 최소영 최은경 지현애 최경아 최소희 최원국 지현영 최경애 최솔 최은서 지현자 최경일 최송현 최은숙 지형주 최경필 최수산 최은실 지혜정 최경화 최수임 최은애 지혜진 최계은 최수정 최은영 지호영 최고미 최수진 최은영 지효섭 최광현 최수혁 최은영 진가연 최광훈 최순남 최은영 진경만 최구현 최순애 최은영 진광호 최규량 최순희 최은정 진상수 최규백 최순희 최은주 진상스님 최근영 최승국 최은혜 진상현 최근혜 최승아 최은호 진서연 최기석 최승재 최은화

최을근 최인애 최인영 최인준 최인지 최인철 최인호 최인호 최자윤 최재락 최재홍 최재환 최재희 최재희 최정미 최정민 최정숙 최정숙 최정순 최정예 최정이 최정임 최정임 최정임 최정현 최정훈 최정희 최종덕 최종석 최종석 김귀순 최종식 최종훈 최주희 최준 최준석 최준숙 최준원 최준원 최지영 최지오 최지원 최지현 최지희 최진경 최진동 최진영 최진원 최진원 최진주 최진희 최태우 최태준 최태표 최태환 최판석 최평순 최하림 최하정 최하정 최학민 최학빈 최해동 배미자 최현 최현경 최현경 최현미 최현미 최현식

최현우 최현자 최현주 최현주 최현지 최현태 최형금 최형주 최혜경 최혜경 최혜숙 최혜영 최혜윤 최혜정 최혜진 최호경 최홍근 최홍렬 최홍렬 최효경 최효숙 최휴득 최희경 최희연 최희자 최희정 최희진 추교일 추병호 추승연 추현영 테크노 헬스 표근수 표근영 표민경 하경환 하경희 하민수 하바라 하상범 하세린 하수미 하수정 하숙희 하승창 하승현 하예주 하오영 하용술 하용정 하윤정 하은진 하은희 하인숙 하재숙 하정훈 하지순 하지운 하지철 하진수 하현옥 하현주 한결 한경란 한경민 한경선 한경수 한공순 한국

코카콜라 한귀식 한규상 한규석 한규찬 한기양 한기욱 한기택 한동림 한동욱 한동희 한만형 한면숙 한명근 한문영 한미경 한민 한민석 한백희 한복전 한사현 한상국 한상미 한상우 한상현 한상현 한서경 한선아 한선희 한설희 한성민 한성수 한세훈 한세희 한소영 한손남 한솔토탈 패션 한송이 한송희 한수민 한수아 한수진 한수진 한승수 한승우 한승전 한승희 한아름 한에녹 한영남 한영님 한영선 한영순 한영식 한영자 한옥수 한용외 한원민 한유경 한유정 한윤덕 한윤섭 한은경 한은정 한은희 한인희 한재경 한재석 한재현


녹색은 다릅니다

한재호 한재희 한정배 한정아 한정우 한정은 한정이 한정진 한정현 한정화 한주희 한주희 한준택 한지원 한지혜 한지혜 한지희

한지희 한진영 한창완 이영주 한태근 한태숙 한태영 한태웅 한태희 한학례 한학전 한현숙 한현숙 한현순 한혜영 한혜진 한호전

한홍미 허미령 한희정 허미루 한희진 허미선 함경숙 허민호 함동윤 허성은 함선미 허성희 함수연 허승은 함수초 허승진 함에스더 허시원 함은혜 허양재 함준 허영숙 함추록 허영자 허경은 허영재 허경훈 허우중 허귀엽 허욱 허만웅 최규혜 허만정 허윤

허윤민 허윤정 허윤희 허은경 허자은 허장 허재용 허정아 허정자 허지원 허진만 허태우 허필억 현경애 현대 푸르미 현문숙

현미숙 홍남섭 현병철 홍대춘 현석원 홍라정 현성환 홍란 현승협 홍명희 현영진 홍명희 현용호 홍민선 현은숙 홍사훈 현자경 홍상현 현재덕 홍서아 현효분 홍서연 혜미스님 홍석하 호예원 홍석희 홍경희 홍선 홍금녀 홍선영 홍금주 홍선영 홍기정 홍선희

홍성아 홍성연 홍성원 홍성진 홍세라 홍수경 홍수빈 홍순덕 홍슬기 홍승연 홍영자 홍영주 홍영화 홍예택 홍완의 홍용희 홍욱표

홍원기 홍원기 홍유민 홍윤지 홍은경 홍은서 홍은아 홍은표 홍장희 홍재현 홍정기 홍정순 홍종성 홍주연 홍주은 홍주화 홍지명

홍지숙 이성진 홍진섭 황민혁 이영희 황민혜 홍진주 황병철 홍혜영 황상길 홍호승 황상준 홍훈기 황서진 홍희정 황석일 환경농업 황선미 교육관 황성주 황경태 황성철 황규홍 황세영 황기영 황수연 황동기 황수정 황동은 황수현 황문식 황수화 황미희 황순철

황승언 황애경 황애현 황언구 황연 황연진 황연희 황영미 황옥란 황우선 황원기 황원상 황윤 황윤길 황은식 황은자 황은진

황을숙 황인수 황인이 황인철 황인희 황일심 황재경 황재근 황재삼 황정례 황정매 황정우 황정윤 황정인 황정일 황정준 황종윤

황종하 황주영 황지영 황지향 황지현 황지혜 황지환 황지희 황진기 황현 황현구 황형준 황혜림 황혜성 황혜수 황혜인 황혜정

황혜준 황효선 황희동 황희주 황희창 (5,254 명)

이정화 이준영 이지은 이현지 이혜영 이혜원 이원숙 임희재 장선정 장성애 장주영 전길선 전선미

전성표 김신애 정가영 정금자 정설경 정연옥 정유진 정은경 정주연 정해숙 정현정 정홍상 박선희 조민호 조응현

조중래 차득경 차순정 최강현 최만종 최미영 최미영 최승자 최영경 최정은 최종진 최창혁 최태영 하지은 한미숙

한선경 한홍미 한희수 호종훈 홍성아 황병철 황정희 황태인 (205명)

녹색사회연구소 김정자 박소영 박인규 박준현 박학룡 양승주 유상오 임경수 (8명)

작은것이 아름답다 김기오 김강현 김반석 Ook Kim 김경순 김상미 Mikyung 김경이 김선옥 Song 김경희 김성숙 강대곤 김근오 김성재 강미영 김난 김수미 강바람 김누리 김숙희 강은경 김동남 김순복 강태성 김동언 김승환 강현주 김리다 김시연 강혜지 김명진 김연 고국산 지혜의등 김예숙 고효영 대 김은아 구영옥 김명철 김은정 권오분 김미화 김은주

김의 김재춘 김주덕 김주연 김주희 김준희 김지숙 김창근 김현숙 김현혜 김혜영 김혜영 김홍욱 김효선 김효숙

나 무 와 학 박선경 교조경원 박선영 노 동 당 은 박순미 평

노상은 노영권 류우종 류홍렬 문용포 문은현 문하나 박근태 박문삼 박문희 박병욱 박서빈

박윤미 박은화 박정인 박정현 박주미 박지연 박진아 박혜민 박희경 박희중 방수정 배정희

백병근 송숙영 백수영 송주호 백지연 송추향 변지현 신영은 변창우 신정훈 보덕스님 신차정 부향숙 심경이 서강선 쌍샘자연 서미란 교회 서원심 안도현 성기남 안빛 손미나 안영혁 손정옥 안준선 손현주 안현아 손희자 양은실

엄소현 엄수현 여희숙 오규동 오유정 오찬용 유권옥 유영미 유은정 유정수 유지영 윤경은 윤선미 윤성호 이경옥

마리아 이경희 이길자 이나리 이덕순 이명녀 이미선 이미진 이복자 이산옥 이응걸 이서인 이서준 이서희 이성연

이수정 이수진 이수현 이숙열 이순자 이승아 이신영 이은주 이은주 이의영 이인선 이장임 이재호 이재홍 이재훈

서정일 성수경 성중탁 손정표 송기호 송삼한 신동주 신범호 신정민 심지연 안광석

안지훈 안해숙 안현지 오민석 우경선 우성원 위은진 윤성식 윤세종 윤순진 윤정미

윤정민 이광철 이기범 이기영 이길주 이동희 이명재 이명행 이병일 이상훈 이석우

이선희 이소영 이승현 이영기 이오근 이윤희 이인숙 이일동 이정욱 이종숙 이찬연

이학승 이희진 임민희 임재인 임종일 임태완 장진원 장혁순

전종원 전휴정 정경윤 정규항 정명화 정병욱 정상규 정영미 재단법인 정완기 동천 정준영 전미영 정진석

정해암 조수연 조영진 조윤용 조현준 차승현 차재선 채연선 최성준 최순우 최영동

최영미 최영선 최영숙 최용철 최재홍 최정환 최지원 하인숙 하주희 한상민 함태성

홍순석 황정화 황진한

김동순 김두석 김리나 김미란

김민교 김민수 김민지 김민희

김변원정 김선희 김보애 김성수 김산 김세현 김선 김수민

김수연 김수형 김순길 김시래

김윤수 김은수 김은숙 김은실

김정아 김정아 김정원 김정진

김정태 김정현 김정희 김제남

인천평화 의료사협

녹색법률센터 강성기 김문정 강혜원 김미영 공제훈 김민아 곽수영 김범수 권한준 김병기 금교현 김상우 김경근 김상하 김경미 김새움 김기리다 김선이 김대일 김성수 김명훈 김용국

김재용 김정수 김종철 김주진 김태헌 김혁 김현석 김현수 노미경 노승진 류병욱

류우열 박서진 박한나 문미희 박성연 박희정 미르젠(주) 박양규 반효림 박근용 박양기 배영근 박금란 박연정 배재현 박다혜 박원종 백수영 박명술 박준섭 인천녹색 박명자 박준용 연합 박문선 박지연 서국화 박병채 박지혜 서용구 박상수 박진희 서재범

(155명)

녹색교육센터 강남규 강대중 강문규 강민협

고대현 고제헌 공태식 곽혜영

보험(주)

권순현 권혜진 김광란 권기정 권영두 김강석 김나연 권대원 권철현 김건우 김나윤 권병빈 권혁상 김경호 김도현 교보생명 권순민

김시우 김영미 김옥희 김용상

1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김준수 김준우 김준호 김지은 김채진 김철희 김태연 김태연 김태윤 김태호 김필근 김필자 김한덕 김한수 김현섭 김현준 김혜리 김혜성 김혜애

김호성 김홍룡 김효민 김효선 김희동 나효우 남상민 남승민 노상은 노수빈 류재순 류창선 류태곤 목천고등 학교환경 동아리

문상은 문소연 민유진

민유현 박혜영 소현 박경호 박혜영 손민수 박경화 배한주 손병권 박광열 백마리 손종례 박남주 백수영 송동현 박병희 백인욱 송명규 박상민 서명순 송용덕 박성수 서영대 송일현 박성철 서우성 송정희 박세영 서일석 신경민 박영신 서정옥 신경아 박예진 서정환 신금순 박인옥 석양정 신동철 박제민 설혜연 신린경 박종건 성원 신미라 박주연 디지텍(주) 신소정 박지예라 소준익 신용남 박지원 소진춘 신용희 박형진 소채린 신현욱

신혜정 심성준 안국진 안미경 안성숙 안은산 안정희 안창현 안현숙 양경모 양윤화 양회영

김양구 김양환 김연수 김용수 김용하 김윤아 김윤필 김은형 김이권 김재무 김재흥 김재희 김정태 김종술

김중현 김지영 김진옥 김진홍 김쾌생 김필권 김하림 김혜경 김홍기 남상미 노동진 문정기 박경양 박경오

김대광 김대식 김덕은 김도연 김도윤 김동관 김동찬 김량희 김록성 김명선 김명희 김미라 김미랑 김미숙 김미정 김미정 정인봉 김미향 김민선 김민제 박현정 김민주 김병국 김상윤 김석순 김선미 김선의

김선종 김선희1 김성삼 김성우 박명희 김성인 김성중 박선화 김성호 김성희 김세민 김송희 김수나 김숙자 김숙자 김순정 김승현 김안옥 김애란 김애영 김양미 김연경 김연옥 김연주 김영배 김영선 김영심

울 지점

이단비 이동철 이명숙 이미영 이본영 이상규 이상남 이상훈 이석재 이선구 이수경 이수현 이숙례 이순화 이승우 이승훈 이승훈 이영란 이용성

이용순 이용희 이유광 이유진 이유진 이윤찬 이장수 이정란 이정민 이정인 이주영 이준희 이지섭 이지원 이지현 이지현 이진우 이진호 이진희

이해울 이혜선 이혜영 이환승 이효은 인현주 임규리 임도경 임봉덕 임옥규 임지열 임지영 임홍순 임훈영 장세이 장영준 장은석 장은섭 장혜주

전승빈 전영임 전우현 전은정 전혜지

정혜인 정혜주 정화려 조명진 조복님 정 누 리 마 조수환 루 조영금 정명옥 조영장 정미경 조재은 정보연 조재학 정석현 조주현 정선미 조해경 정수정 조현숙 정영미 조현실 정윤숙 조환희 정은주 주형선 정지향 지명숙 정진영 지홍원 정하나 진길자

차봉준 최명운 최문섭 최상돈 최상명 최상호 최솔 최순희 최윤선 최재형 최종덕 최지은 최진우 최태영 최태인 최현명 최형렬 하태연 한경아

한광희 한기성 한보경 한수경 한윤구 한의근 한지섭 한형철

여남구 여무의 연영화 오복동 오선민

오여주 오옥분 오혜성 우종영 원진희 유새하 유수민 유연주 유재형 육경숙 윤난형 윤주희 윤찬희 이건호 이경자 이광문 이금희 이기수 이나혜

박경자 박경재 박금숙 박다연 박두규 박두례 박명숙 박미연 박발진 박병규 박병길 박병선 박석규 박선영

박성희 박수완 박양훈 박영숙 박점순 박정선 박주식 박준행 박진숙 박찬배 박현조 박환섭 박회경 박훈수

박희순 배연호 백성일 백순옥 백진희 백형석 백희주 변낙현 변만 변한나 서경숙 서명수 서선옥 서영심

서을기 양일혁 서정신 여나경 서진수 원상진 서혜석 유재석 서희원 윤미라 성하철 윤병진 송찬규 윤춘보 신승건 이경재 아침햇살 이광식 안영헌 이광신 안은현 이돈관 안진형 이동원 안화자 이말남 양선비 이미영

이민희 이상희 이승용 이용재 이윤미 이윤섭 이은숙 이재인 이정숙 이정희 이정희 이주노 이평숙 이홍재

이훈휘 임대옥 임동근 임순희 임옥례 임지화 임태섭 임홍주 장경철 장영현 전만수 전선희 전현미 정권화

정금화 정동윤 정민자 정병훈 정상식 정서인 정순기 정용성 정원형 정은아 정은영 정일태 정주섭 정현주

정혜윤 정호용 조성희 조순복 주달성 주성일 진미숙 최기태 최순동 최쌍우 최영민 최원민 최정숙 최진호

한민섭 (193명) 한지숙 함충호 허명국 허선식 허성욱 허윤 허형기 황대환 황미선 황상보 황용기 황임용

김영애 김영애 김영자 김영진 김영진 김영필 김영호

김전근 김종근 김종열 김종필 김종환 김주선 김주희 김지연 김지영 김진숙 고용호 김창규 김창수 김철의 김춘형 김태곤 김태균 김태완 임혜정 김태중 김태호 김한나 김해숙 김현옥 김형남 김형만 김형은

김진수 문병교 김형춘 문상기 김혜진 문우식 김홍범 이미정 김환재 문은미 김회섭 문정국 김희경 문진영 김희송 문채주 김희숙 문형재 나정훈 민형배 나진 박경남 남정 박경희 노경수 권치주 노민영 박경희 노승근 박계순 노원기 박근원 다정스님 박대웅 류수연 박만규 류점용 정인경 마찬영 박미경 마중열 박미순 문광선 박미영 문규열 박민영 문기환 박병주 문다정 박복순 문명식 박비오 문미진 박상순

박중혁 박지유 임정희 박찬동 박치일 박필순 박향순 박헌 박형숙 박형순 박형준 반명환 배숙자 배주연 배상현 백경용 변학섭 서권재 서귀 서민우 서순주 서은주 서정미 서화자 성인섭 성준환 소명자

손경선 손미숙 손원식 손준호 송상진 송시암 박양희 송영진 송정숙 송한내 신덕룡 신미영 신미영 신미향 신석기 신숙자 신순복 신영수 신예정 신정희 옥충호 신현수 신훈 심재형 안경남 안재희 안종윤

안지현 윤미경 안향단 윤복현 안혜정 윤샛별 양미경 윤성곤 양성태 윤세영 양철현 윤영민 양현 윤은주 양회성 윤주식 영조스님 윤창옥 오광현 윤철희 오구균 윤춘성 김미경 윤태원 오득실 윤형구 오사랑 윤희철 오인희 이경 오진희 이경산 오현섭 이경희 손미애 이경희 오혜련 이계일 우승관 이광우 원영보 이국찬 원요셉 이근우 유건상 이금옥 유현덕 이길희 윤남웅 이남례 김지향 이미숙 윤동환 이미옥

에코샵 홀씨(주)

황덕신 황혜림 (322명)

한화생명 보험(주)

허기용 허병철 허영재 현채원 홍선경 홍은미 홍정욱 홍콩상하 이은행서

광양만 (주)동광양 김광배 장례식장 김권일 ㈜모아 김덕심 나눔

강기연 강병섭 강성수 강애란 강영난 경미경 고기영 고영석 구복희 권연임

김동원 김명수 김명순 김문수 김미영 김봉임 김상민 김석경 김성숙 김성태 김성희

광주전남 ㈜녹색 조경

구정우 구창회 장용기 국순욱 ㈜탑인 권동현 프라 권병림 강경범 권영란 강권 권영만 강동우 권준환 강수아 극단 정임정 코스모스 강애란 박석인 그린 기승간 모자이크 김강애 강용주 김경미 강종범 김경수 강현아 김경수 경인조경 김경옥 김재영 김경일 고병주 정인희 김은아 김경자 고선임 김경택 고영신 김광란 고유정 김광재 고윤갑 김기무 롯데관광 고자희 김남중 곽민섭 김다현 구선자 김달자

20

한국기초 안전협회

김옥렬 김옥자 김요섭 김민성 김용근 김용운 김용주 김용준 김원중 김유미 김유정 김윤아 김은경 김은경 김은정 김인수 김재환 최점옥

박상욱 박상현 박새롬 박석곤 박선미 박선영 박성규 박성엽 박수진 박시현 박신영 박영렬 박영숙 박옥미 박요섭 박요한 박원규 박은정 박은지 박을하 박정원 박종미 박종성 고경숙 박주영 박주하 박주호

이병우 이병운 이복실 이상복 이석순 이선하 이성현 이수원 이숙래 이승일 김의숙 이승현 이아침 정은실 이영철 이예원 이용범 이용욱 이은경 이은희 이의충 이재희 이정경 이정난 이정삼 이정실 이정율

이정현 이제선 이종근 이지연 이지영 이창득 이창연 이채수 이철갑 이춘열 이춘희 이춘희1 이취경 이해금 이환행 이효성 연어 임낙평 임명숙 임문택 임미경 임성훈 임양성 임윤화 임종문 임주택 임지영


녹색은 다릅니다

임창곤 임창용 임칠성 김영혜 임현섭 임형칠 장갑수 박효심 장은주 장재구 이순심

장주선 정대하 장하나 정동명 장화선 정두영 전영신부 이은희 전영애 정명애 전현정 정미선 정경아 정미화 정광숙 정민석 정근욱 최옥순 정근하 정민호 정길례 정병국

정명환 정부재 정삼진 정서영 김경이 정숙희 정오승 정유미 정유선 정윤영 정은숙

정은정 정은진 정은희 정이환 정인서 정재희 정정호 김경이 정종문 정춘자 정혜경

정혜선 고형석 정혜정 정회걸 정후식 정희주 조계숙 조계우 조기하 조기홍 조길림

조길예 조대희 조동범 조명대 조미자 조선영 조수진 정진경 조승미 조영숙 조영주

김상길 김석동 김세호 김수봉 김숙자 김영체 김용규 김용숙 김용우 김용환 김은경 김은희 김잠규 김재규 김정호

김정훈 김종백 김종현 김주희 김준수 김창환 김천식 김철우 김태완 김현필 김혜림 김혜숙 김화평 김효진 김흥곤

김희찬 나영일 남광현 남원호 남인수 남정원 남태욱 도건우

박상준 박영규 박영수 박영숙 박용현 박유진 박재일 박정문 마 음 과 마 박종철 음 정 신 건 박지은 강 박해철 의학과의 박현주 원 문로샤 박호철 박광수 박희선 박미진 배관호

배종복 백명희 백종현 서동준 서원교 서재호 서정모

손민기 송의익 송재순 송준기 신광사

이반 권정윤 권종웅 권혁범 권혁숙 권혜주 권호정 권희망 권찬 권미래 권희태 금홍섭 길금례 길인현 길춘현 김건무 김건형 김경래 김경렬 김경범 박명숙 김경수 김경순 김경아 김경옥 김관호 김귀옥 김규복 황선업 김근종 김금철 김기동 김미주

김기쁨 김기홍 김나리 김나영 김남순 김남흥 김도균 김도영 오선영 김동영 강현숙 김동일 김동중 김동필 김동희 김만구 김만기 김면호 김명기 김명순 김명제 김문겸 김미숙 김미숙 김성용 김미옥 김미정 김미희 김민선 김민섭 김민성 이덕순 김민수

김민자 김민정 김민주 김민지 김방현 김병식 김보희 김복순 김분희 김사훈 김산 김산 최지윤 김상기 김상미 김상진 김상진 김상환 김서룡 김서연 김서윤 김서현 김이현 김용우 박소연 김석규 김석윤 김선경 김선근 김선미 김선영 김선태 김성서

김영우 김영주 김영준 김영진 김영진 김영진 김영호 김영호 김영화 김예지 김예진 김오경 김옥 김옥희 김완수 김완형 김용범 김용분 김용욱 김용준 김용표 김용환 김유정 김윤숙 김윤재 김윤정 김은경 김은미 김은아 김민주 김민재 김은영 김은옥

조영주 조오섭 조용준 조은량 조은정 조인경 조정미 조준석 조준혁 조희숙 주연희

주용필 최남순 M.J루카스 최다영 지정남 최동민 진병교 최래오 진주영 최만원 진혜숙 최석장 채성자 이정랑 채지연 최안숙 최경식 장영수 최광선 최연숙 최교숙 최연율

최영길 최요인 최용 최유숙 최은숙 최점숙 최준호 장연례 최준희 최지현 최철

최현 최혜경 최홍엽 하상근 하설매 하태용 한기정 한병곤 정은진 한상민 한순임

한정수 한현묵 허문수 허영길 허용만 홍기복 홍기창 홍덕희 홍란희 홍성관 홍상미

홍인표 백근자 홍정희 홍천 황기승 황민홍 황성숙 (501명)

우병윤 우수영 윤동리 윤진아 이경희

이광률 이근혁 이덕규 이도훈 이동섭 이동운 이동준 이동진 이민정 이병도 이상직 이상헌 이상혁 이숙희 이순동

이신하 이영일 이완섭 이원태 이윤희 이은숙 이은아 이의혁 이재춘 이재혁 이재현 이정수 이정훈 이종현 이지원

이태용 이태우 이필후 이현주 임원숙 임일수 임지향 임태규 장갑수 장말선 장용훈 장응숙 장지욱 전관수 전상복

전종수 전철만 전하석 정규원 정동호 정만우 정성용 정숙희 정승지 정신만 정은호 정태호 정하묵 정현숙 정현아

제상훈 최병재 조경선 최상문 조성민 최영 조승래 최영식 조욱현 최윤정 조재학 최은희 조준석 최정희 조해연 최종수 지민수 하춘수 진용환 하흥수 찬동산림 한경임 기술사사 한상호 무소 한태자 천정구 허태형 최규종 홍경용

김은정 김응현 김인란 김인숙 김인아 김인태 김인호 김일기 김일토 김임선 김자경 김재광 김재구 김정남 김정대 김정동 김정민 김정수 김정열 김정윤 김정현 김종현 박혜숙 김종대 김종서 김종성 김종수 김종술 김종엽 김주성 김주현 김주호 김준혁

이상희 김지미 김지원 김지은 김지훈 김진섭 김진성 김진숙 김진주 김진화 김창섭 김창일 김채민 김채운 김철호 김춘원 김충경 김태명 김태숙 김태욱 김태원 김태형 김태형 김태형 김하영 김학민 김학철 김학출 김현동 김현숙 김현재 김현주 김현지

김현채 김현하 김형배 김형선 김형철 김혜영 김호상 김홍섭 김화중 김환용 김황식 김효종 김휘호 나민화 나백주 나준식 남태경 남태규 남해 김혜영 노경성 노경애 임다정 임예슬 노금선 노기수 노상철 노원호 노은채 노일순 노재봉 노지원 노현균

최명옥 박건수 박소영 노진욱 박건혁 박소정 노현승 박경 박송원 노혜경 황인경 박수빈 대전숲어 박귀순 박수지 린이집 박근영 박순월 도애선 박기정 박순일 류근선 박기홍 박시현 류근영 박길선 여선정 류상태 박나연 박여일 류지현 박나혜 박영례 류희경 박보민 정봉현 명형남 박남기 박영준 문경원 박남미 박영찬 문경환 박남희 박영환 문광연 박란영 박영훈 문기정 박문철 박옥경 문다희 박솔빈 박옥배 문무동 박미라 박완수 문성식 박미순 박용우 문성호 박범계 박용우 문정호 박범준 박용현 문주현 박병준 박윤원 문창기 박봉순 박윤희 문창순 박부도김 박윤희 문현웅 박상목 김예진 민명기 박상은 박은경 민완기 박선아 박은배 민은미 박성은 박은선 민인홍 박성준 박은선 민형식 박성효 박은숙 민홍석 박세훈 박은영 박갑동 박소라 정구철

대구경북 ㈜대원 권영대 프로폴 권예원 ㈜ 디 더 블 권우식 유 권윤혜 (주)서한 ㈜에콘스 권준호 ㈜ 엔 에 이 김구환 김국래 피 ㈜유창 김동근 알앤씨 김두중 ㈜지엔비 김만성

강대식 김명석 강민철 김명희 강상재 김문환 경북불교 김미화 대학 김상규 권보성

안용환 양명모 양병운 양성학 여지은 예태연 온누리 세무법인 유치원

해안대구 우방환경 지점 산업(주)

홍덕률 황영규 황종길 (201명)

대전충남 가성현 강건규 강경숙 강경식 강다은 강도영 강동규 강동섭 강량지 강미영 강민혜 강선란 강선주 강성일 강수나 강수돌 강신관 강신원 강영미 강영삼 강영숙 강정숙 성정아 강정헌 강주현 강채령 주혜진 강철규 강철호 강태련 황윤희 강태수 강혁

강현수 강호 강서은 강희구 강희영 고근보 고민정 고봉선 고선애 고영주 고정헌 고제열 고지현 곽남영 곽정철 구문서 구미경 구본학 구자란 구자정 구진아 권경숙 권미경 권부남 권선학 권성렬 권성현 김아영 권영춘 권오원 권의경 권의진 권재혁

김성수 김성중 김성진 김성훈 김성훈 박현이 김성흠 김세영 김소연 김소현 김솔 김수경 김수경 김수경 옥종화 김수영 김수현 김순주 김승아 김승욱 김승현 김신일 김언좌 김연 신승진 김연수 김영 김영노 김영래 김영미 김영배 김영숙 김영애

박은정 박인호 박인화 박재묵 박재영 박점엽 박정규 박정서 박정현 양윤주 박정호 박제준 박종갑 박종미 박주광 박준경 박준혁 박수현 박중현 박지은 박지현 박진도 박진영 박진우 박찬희 박서윤 박창용 박천오 박하은 박현숙 박혜영 박환주 박희윤

박희춘 방수미 방정석 방효진 배석한 배성유 배용권 배준형 백명기 류귀애 백미정 백승미 백승혜 백승호 백영훈 백은상 백은하 백은희 백해정 김승욱 변산노을 변상규 변수연 변주현 복권승 뿌리와새 싹

서대민 서설화 서승한 서영창 서원균 서정욱

2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서창원 황의정 서진우 서승우 석민 신소영 석은자 오예원 오은혁 선도윤 설예인 설예인 이혜경 성광진 성무경 성미혜 성수미 성주용 성혜련 손대현 손헌선 송당헌 송동호 송민서 송민석 송송이 송숙희 송승원 송영인 송은순 송인옥 송인재 송인준 송인혁 송재주 송정은 송지영 송진환 송채은 송치수 송태범 송태영 송태재 송현희 승광은

신규리 신기용 신대철 신도섭 신동수 신동운 신동윤 신득호 신복주 신성식 신수호 신영은 신영주 신옥영 신율리 구은미 신장욱 신정철 신주현 신현숙 신현정 신희수 심경이 심규상 심진경 심현숙 심현정 안광필 안병호 안상민 안성순 안승범 안시현 안원영 안재준 안점숙 안종대 안지호 안채현 안주현 안혜정 안혜정 안여종 양수철 양승호

양준혁 양현정 양혜정 양희선 양희성 엄주향 엄청나 엄한솔 여정옥 염성철 염한길 박옥주 박염우 박솔 염우진 염현숙 오경록 오광석 오기자 오병남 오성근 오성윤 오세은 오수환 오승근 오승민 오승엽 오완근 오윤석 오인혜 오정아 오종섭 오중빈 오형미 오혜림 옥미량 우미정 우종만 우지원 우희정 원담수 원예나 유경준 유나경 유명화

유병구 유병로 유병연 유병훈 유상현 유승병 유승주 유영희 유예진 유완동 유정준 유지현 유창수 유춘이 유현경 유현준 유가은 육정임 육지만 윤광석 윤석길 윤선 윤성원 윤성윤 윤양식 윤여운 윤영옥 윤원상 윤원옥 윤을례 윤정인 윤종숙 윤준석 윤지문 윤지영 윤찬휘 윤태섭 윤태희 윤현명 윤현숙 윤형권 윤형수 윤혜경 윤희진 이가현

이갑숙 이강혁 이건민 이건희 이경미 이경민 이경민 이계석 이광열 이광훈 이규연 이규호 이근숙 이기동 이기수 이길선 이길우 이남규 이대일 이도희 이동규 이동선 이동원 이동원 이동익 이동인 이동헌 이득규 이명숙 이명자 이명희 이묘인 이무열 이문섭 이문호 이미경 이미경 김대영 김세원 이미란 채봉식 이미선 이미선 이미영 이미자

이민 이민규 이민형 이민형 장원순 이재인 이범규 이병연 이보경 이송영 이사현 이상경 이상덕 이상민 이상봉 이상선 이상수 이상욱 이상은 이상재 이상표 이상학 이석규 이선미 이선이 이재진 이선하 이성숙 이소라 이소라 방예지 이소정 김인순 이수연 이수원 이수정 이숙경 이순실 이슬 이승집 이시형 이시형 이애라 이영 이영구

이영민 이영숙 이영주 이영주 이영희 이예원 이용덕 이용원 이원갑 이원배 이원옥 이원희 이유진 이윤구 이윤옥 이은미 이은성 이은숙 이은숙 이은아 이은영 박성호 이은일 이은재 이은주 이은학 이은화 박별희 이인덕 이인세 이장미 이재근 이재덕 이재면 이재복 이재영 이재영 이재형 이재훈 남문희 이정구 이정민 이정섭 이정우 이승우

이정은 이정임 이정희 이종범 이종선 이종현 이주리 이주현 이주희 이준혁 이준형 이지연 이지향 이진서 이진영 이진우 이진희 이찬현 이창권 이창기 이창용 이채운 이채준 이춘하 정문상 정희준 정송미 이춘희 이태경 이태호 이학재 이한솔 이헌영 이현규 이현순 이현영 이현채 이현호 이형민 이미라 이혜경 이혜린 이혜영 이혜영 이혜종

이호준 이환덕 이효주 이효중 이희경 이희원 인소영 임동균 임소정 임세정 임동훈 임봉빈 임비호 임상교 임상순 임선화 임성규 임속근 임수빈 임아연 임양혁 임연선 임영관 임영석 임우상 임우진 함보현 임원숙 임윤경 임윤식 임은빈 임은진 임을숙 임이슬 임인숙 임재근 임재성 임재우 임정미 임종범 임종윤 임진찬 임채경 임채은 임천규

임학빈 임현아 임화경 장광석 장기영 장동수 장동식 장동재 강석순 장미선 장민창 장선영 장선희 장수경 장수한 장시득 장신재 배순애 장영곤 장용철 장은경 장은실 장인수 장재완 장재원 장종태 장춘순 장하림 임은자 장혜지 전돈수 전동수 전동철 전민희 전병배 전봄이 전선호 전성현 전수봉 전양 전영주 전옥순 전용호 전우광 전인희

전재현 전지현 전진식 전형원 전홍근 정경순 정관성 정권묵 정규리 정기영 정기현 정길호 정다원 정담영 정담은 정동국 정미현 정민걸 정병지 정복희 정선기 정아름 정연정 정완숙 정용남 정윤근 정윤하 정이든 정재학 정정선 정종관 정주영 정지아 정진원 정찬수 정찬호 정창호 정천귀 정태일 정해철 정향순 정혜인 정화순 정환도 정희정

조경숙 조규대 조기한 조남숙 조대현 조동현 조명오 조명옥 김도환 조문정 조미연 조민규 조병민 조선경 전상용 전유건 조선진 조성숙 조성자 김주현 조성행 조세종 김계숙 조숭목 조연미 조연수 조연우 조영탁 조영호 조영희 조예현 홍춘기 조옥자 조우리 고성준 조은아 조인숙 조정미 조정아 조주영 신정섭 신다솜 신벼리 조중현 조혜리

조혜진 조효경 주서령 주석산 주수빈 이미란 주윤희 주지선 지승환 지은주 지정숙 지한얼 지희숙 진동섭 차윤종 채민성 채민준 채연우 채진목 고명선 채희삼 김자인 천영환 최귀만 최규관 최규영 최근영 최미순 최민주 최민진 최민희 최병창 최선희 최성미 최수경 조덕희 최순예 최영규 최영민 최영선 최예린 최예지 최용석 최원진 최윤호

최일 최일현 최장희 최재민 최재필 최재호 최재훈 최정은 최종숙 최지수 최지윤 최창종 최한성 최현섭 최유찬 최유림 최혜정 추명구 추한철 편경석 하동원 하지향 하헌명 한경애 한경이 한규영 한규호 한동수 한상진 한서영 한원규 한지민 한창민 한태호 이현주 한태희 한형규 한형남 한혜진 한화교 함두배 함순례 함승연 허경 허애령

허준범 허찬수 허태정 혜우스님 홍다영 홍다인 홍명숙 홍미애 홍미정 남윤지 홍석인 홍성남 홍성철 홍은숙 황귀일 황미숙 황성길 황진우 황세진 김아린 황억실 최승진 황유미 황윤희 황의대 황의삼 황의필 황정인 황진우 황채운 황현미

권혁준 김경애 김귀순 김극일 김기환 김기훈 김남순 김다영 김동현 김령희 김명길 김명진 김미화 김민서 김민희 김병수 김석훈 김성민

김성호 김수민 김순영 김승각 김신형 김영순 김옥란 김옥순 김옥이 김용운 김윤수 김은경 김은진 김은하 김은희 김재민 김정숙 김정현

김정희 김종근 김종순 김지선 김지선 김지수 김지현 김철수 김태희 김해슬 김현균 김현숙 김홍이 남기성 남우정 노경민 노지혜 도상훈

문재완 문정호 박건우 박경희 박도아 박명진 박민기 박민지 박수진 박유민 박윤희 박은미 박정기 박정석 박종인 박준영 박준희 박중록

박지원 박현성 박혜민 박혜진 배숙희 백선미 서용순 서현도 성은주 손봉주 손성규 손어진 손준형 송명자 송복임 송주배 신명화 신유진

신윤규 신정현 신준용 신지훈 심미숙 안명희 안민 안백합 안재만 양세림 양정환 양지혜 양지훈 엄명희 엄재혁 엄채강 엄혜용 오수자

오승윤 오윤희 옥상곤 우한정 유경숙 유금주 유상순 유우정 육택수 윤경훈 윤명옥 윤상민 윤우정 윤인규 윤인수 윤지민 윤지영 윤충현

윤태경 이민주 윤휘정 이봉우 이가영 이선미 이강욱 이성한 이기홍 이세창 이남근 이수민 이다은 이수빈 이도윤 이수영 이동기 이수현 이동혁 이수현 이동형 이수희 이동훈 이승건 이두기 이연주 이명규 이열 이명록 이영미 이명수 이원동 이미카엘 이원철 이민영 이은선

이은채 이재만 이재삼 이재희 이종규 이종윤 이진용 이학경 이한진 이현종 임은정 장서원 장성윤 장영원 장용주 장인현 장임숙 장한준

장희석 전부희 전소현 전순희 전영현 전은희 전종창 전창현 정다슬 정미영 정민채 정수영 정순호 정유진 정윤현 정인영 정재훈 정주혜

정중효 정지원 정현정 정효원 정희경 조근행 조남이 조성제 조영호 조용원 조우찬 조정화 조진경 조진위 주가현 천선정 천현아 최관우

최다솜 최보승 최봉철 최석재 최소은 최아린 최안숙 최정원 최정홍 최종길 최종석 최준우 하국봉 하수진 하시열 하정연 하호성 한기완

한영순 한유리 허택 홍영현 홍태희 황기철 황주경 (260명)

(1045명)

부산 강경우 강나리 강민재 강수민 강승민 강인옥 강진영 강혜원 고광주 고민수 고병수 공현 곽기영 곽정란 구영기 구현숙 권기수 권세진

22


녹색은 다릅니다

설악 김규미 김만중 김윤희 진형미 무명 박주연 배제선 신경아 이선화 이희진 정명희 차현기 최정화 김기봉 김성화 김은정 김지훈 박병상 박진희 서명순 윤송희 새림 임순례 정연경 채세희 한상민 김두림 김영준 김준필 김현지 박아름 방원욱 손소영 윤지선 이은향 장희수 정진영 최미연 (36명)

원주 강미라 강민서 강성순 강성택 강영구 강영태 강호석 권경이 권경화 권석중 권승복 권오건

김경임 김경현 김경화 김경훈 김광견 김광숙 김광호 김규돈 김미선 김미아 김미양 김미연

김미자 김민자 김보영 김상근 김상덕 김석권 김선기 김세현 김소형 김수영 김연순 김영수

김영예 김영주 김영화 김용겸 김용선 김은수 김은진 김의환 김인수 김인식 김진실 김철용

김충렬 김효실 나무선 노혜정 류만희 류명주 민영원 박경아 박병기 박병락 박선희 박수영

박순희 박용희 박정용 박철주 박현조 박희주 반경순 배하정 변동현 서동하 손범준 손형진

송영섭 신경혜 신재섭 안영춘 안윤희 안진구 양미형 양정열 엄성미 엄인하 엄태원 오영환

오흥기 원복규 원지희 유기영 유돈순 박명숙 유승호 유재성 유해옥 유홍수 윤미경 윤미희

윤영숙 이규삼 이기영 이길주 이길호 이덕노 이동표 이명숙 이명신 이쁜이 이상미 이선호

이승재 이영란 이용구 이용준 이용현 이원숙 이은숙 이일형 이장옥 이종계 이종봉 이종화

이준희 이지윤 이차복 이찬우 이한홍 이현경 이현귀 이현아 이현주 이형섭 이혜진 임재원

임지헌 장경수 장응선 장종수 전덕중 전여름 정설교 정승구 정우홍 정유선 정종숙 조우

조현진 지경진 지덕근 지석용 최기창 최대호 최명주 최연수 최원식 최재석 최혁 최혁진

최현옥 황미숙 최현택 (168명) 추진수 하남숙 하종우 한나정 한순덕 한지연 함명자 홍석환 홍성수 황도근

(재)경기 곽란희 환경과학 곽미영 연구원 곽순규 ㈜디씨알 곽순아 이 ㈜ 와 이 지 곽영자 곽영진 원

김강민 김강현 김건우 김경단 김경란 김경모 김경미 김경숙 김경영 김경은 김경인 김경혜 김경화 김고운 김고은 김고은 김광돈 김권남 김규리 김규림 김규영 김규진 김금전 김기남 김기림 김나경 김나경 김나림 김나림 김나윤 김나은 김남극 김남재 김남희 김다예 김다인 김다인 김다함 김다현 김단아

김단형 김대윤 김대환 김덕순 김덕희 김도영 김도운 김도윤 김도윤 김도헌 김동민 김동완 김동호 김명희 김문영 김문정 김문혁 김미경 김미규 김미금 김미라 김미란 김미선 김미송 김미숙 김미숙 김미애 김미옥 김미은 김미자 김미정 김미현 김미혜 김미희 김민 김민건 김민경 김민섭 김민수 김민수

김민정 김민정 김민주 김민지 김민하 김민후 김범준 김병만 김병순 김병열 김병현 김보경 김보경 김보영 김복수 김복순 김봉빈 김상숙 김상아 김상하 김상희 김상희 김서연 김서원 김서현 김선미 김선옥 김선용 김선우 김성규 김성민 김성빈 김성애 김성엽 김성진 김성환 김성희 김세민 김세연 김세은

김세환 김소영 김소휘 김솔비 김수경 김수빈 김수연 김수연 김수인 김수정 김수진 김수현 김수현 김수희 김순미 김순복 김순주 김순찬 김순희 김승배 김승순 김승현 김승혜 김시연 김시원 김시현 김양경 김연서 김연수 김연우 김연우 김연재 김영경 김영구 김영남 김영선 김영수 김영숙 김영인 김영자

김영재 김영주 김영준 김영태 김영태 김영희 김영희 김예나 김예라 김옥희 김용구 김용래 김용휘 김우정 김우혁 김원희 김유경 김유나 김유빈 김유정 김윤 김윤자 김은빛 김은솔 김은숙 김은영 김은우 김은우 김은정 김은희 김은희 김은희 김은희 김인숙 김장곤 김재경 김재문 김재민 김재성 김재중

김재홍 김점미 김정교 김정미 김정숙 김정숙 김정순 김정여 김정연 김정연 김정우 김정자 김정현 김정현 김정화 김정환 김제민 김종범 김종철 김주수 김주헌 김주현 김주휘 김준의 김지민 김지선 김지섭 김지수 김지수 김지수 김지언 김지영 김지오 김지옥 김지은 김지태 김지현 김지혜 김지효 김진석

김진영 김진옥 김진현 김진호 김진화 김진흥 김찬서 김찬석 김창경 김창규 김채은 김철홍 김태연 김태영 김태우 김태현 김태희 김택유 김택진 김하진 김하희 김해경 김해미 김현균 김현미 김현석 김현정 김현주 김현주 김현준 김현희 김현희 김형길 김형문 김형준 김혜경 김혜민 김혜영 김혜은 김호중

김홍례 김효송 김효숙 김효순 김효정 김효주 김효진 김희 김희건 김희숙 김희영 김희영 김희정 나기수 나병호 나봉길 나수진 나승수 나현수 나희순 남기섭 남상우 남서연 남선정 남솔민 남솔비 남윤정 남윤주 남정수 남중현 남택범 남현미 남희현 노미리 노미연 노숙희 노승민 노승호 노윤숙 노지현

노현안 박근수 박승진 박정옥 당예주 박기무 박승희 박정욱 당현청 박기범 박시은 박정훈 ㈜ 도 영 운 박길한 박신비 박정희 수 박내운 박신우 박종미 류동현 박담서 박어진 박종운 류민형 박명숙 박여미 박주희 류석현 박명숙 박여진 박준성 류신정 박미경 박연숙 박준수 류용성 박미란 박연숙 박지숙 류채원 박미아 박영란 박지연 류호경 박미영 박영배 박지연 류호준 박미정 박영순 박지연 마용덕 박민자 박영호 박지영 맹재흥 박민혁 박오순 박지온 명경아 박범희 박옥희 박지은 문경숙 박병열 박용태 박지해 문병호 박병철 박용호 박지현 문상식 박보경 박용훈 박지현 문상현 박보은 박우현 박지후 문성희 박상미 박원석 박진아 문소현 박상민 박유순 박진호 문수현 박상욱 박윤규 박진화 문영란 박상원 박윤호 박진희 문일순 박상현 박은경 박찬오 문태석 박서연 박은미 박찬호 문희경 박서현 박은아 박찬희 문희원 박선애 박은영 박창화 민경아 박선호 박은주 박태준 민향근 박선희 박은주 박하늘 민혜나 박성욱 박은주 박해민 민혜선 박성호 박은하 박해진 박건석 박세나 박은희 박현미 박건우 박세영 박은희 박현숙 박건희 박세호 박인나 박현숙 박경숙 박소현 박인숙 박현숙 박경아 박수호 박재상 박현심 박경화 박순녀 박재서 박현우 박경화 박순열 박정범 박현주 박규나 박순이 박정심 박혜란

인천

감경아 곽태성 강병국 곽희현 강병수 구도윤 강병욱 구명진 강봉근 구민정 강성주 구본길 강승훈 구정아 강영화 구정자 강윤자 구현지 강은경 구혜원 강은우 권남혁 강인숙 권도연 강종욱 권란숙 강지윤 권미경 강창현 권병순 강하예진 권병주 강호성 권성하 강환히찬 권안나 경가람 권영진 경동휘 권오철 경어진 권옥례 경진영 권은경 계성스님 권지연 고명희 권철현 고은실 권하율 고은화 권회상 고창훈 권회인 기한구 고현 공미정 길면준 공석송 김가성 공소희 김가영 공영미 김가윤 공은택 김가윤 공희정 김갑봉

박혜숙 박희경 반상민 방문길 방상훈 방유성 배광근 배근정 배영희 배정현 배주유 배주형 백경임 백민섭 백소연 백용환 백조은 백지연 백효경 변명선 변숙이 변유정 변해창 봉윤서 봉윤지 서다숙 서다연 서민숙 서석진 서연록 서영수 서우인 서은서 서은찬 서일석 서자영 서정희 서현우 서홍덕 서화숙

2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선은설 선은찬 설화정 성기우 성유현 성은서 성은혜 성점용 성정현 성정훈 성채현 성태경 성현승 손명분 손미현 손민재 손순록 손승기 손예원 손은숙 손정우 손지혜 손창현 송동원 송명훈 송문식 송미선 송민준 송선희 송성호 송소은 송애이 송영길 송영순 송영은 송예원 송예원 송예준 송용석 송윤미 송은하 송은희 송재민 송정로 송준혁 송지유 송지윤 송태원 송향숙 송현서 송호진 송홍규 송희숙

신기환 신나영 신도현 신동원 신만덕 신문정 신민철 신서하 신선희 신선희 신성희 신영희 신용남 신유경 신유정 신윤아 신재원 신주연 신지민 신지섭 신지연 신지환 신진수 신해린 신해준 신현승 신형숙 신혜숙 신희철 심미숙 심유정 심인섭 심지영 안경화 안균희 안근호 안동하 안상천 안상현 안서연 안연희 안예지 안윤주 안진규 안춘희 안해민 안해선 양경모 양경빈 양광범 양대성 양명은 양병철 숲 속 유 치 양성모 원 양순아 신경아 양여정 신국주 양은경

양정혜 유명순 양지예 유미선 양지후 유선이 양진선 유성재 양현식 유성희 양혜민 유소연 어진 유솔찬 엄유정 유승찬 엄인희 유시우 엄정미 유아영 엄혜정 유연정 여남경 유영란 여민주 유은정 여정민 유은찬 염경애 유인아 염기숙 유재덕 염서윤 유종군 염승정 유종반 염정희 유준영 염창렬 유지연 영풍운수 유하영 오만균 유해정 오상윤 유현진 오세영 육현영 오세운 윤경희 오세정 윤대기 오소영 윤미경 오수미 윤민자 오수민 윤삼조 오승권 윤석진 오승준 윤선혜 오신근 윤성경 오영미 윤수임 오영식 윤여심 오예진 윤연정 오윤애 윤영애 오은서 윤예령 오은주 윤유숙 오은지 윤은미 오은하 윤은주 오창길 윤재웅 오태규 윤정식 오현정 윤주영 오현주 윤지선 오현주 윤채영 오형단 윤혜경 오희정 윤혜경 왕성숙 윤혜숙 ㈜ 용 현 운 윤희라 수 ㈜ 우 광 은기범 개발 은기연 우영하 은다예 우예주 은록희 우찬영 은하람 유근일 이가빈 유다해 이가희 유동현 이갑순

이강빈 이건혁 이경미 이경미 이경순 이경아 이경은 이경일 이경해 이경호 이경희 이계분 이계영 이고은 이관형 이귀영 이규원 이금숙 이기라 이길재 이나연 이다미 이다은 이대호 이덕수 이도건 이도현 이동분 이동현 이동환 이루미 이루한 이명 이명애 이명자 이미경 이미남 이미란 이미랑 이미리 이미선 이미숙 이미숙 이미숙 이미영 이미옥 이미정 이미화 이민선 이민아 이민엽 이민영 이민자 이민재 이민정 이병관 이병욱

이상권 이상진 이상혁 이상혜 이서연 이서연 이서윤 이서윤 이서인 이서진 이서진 이서현 이선내 이선아 이선옥 이선옥 이선용 이선자 이선주 이성래 이성호 이성희 이세연 이세영 이소영 이소영 이소현 이송학 이송희 이수경 이수민 이수빈 이수빈 이순미 이승대 이승미 이승호 이승환 이승희 이승희 이시아 이시원 이시현 이언기 이연경 이연화 이영미 이영분 이영신 이영주 이영찬 이영화 이영희 이영희 이예림 이예진 이옥순

이용운 이용호 이우찬 이원빈 이원숙 이원우 이원준 이원준 이유빈 이유진 이유찬 이유호 이윤건 이윤미 이윤정 이윤정 이은경 이은경 이은빈 이은영 이은영 이은표 이은희 이은희 이은희 이의현 이이수 이인명 이자경 이장수 이재인 이재훈 이점숙 이정미 이정아 이정아 이정욱 이정은 이정은 이정일 이정희 이정희 이종록 이종민 이주남 이주미 이주빈 이주영 이주하 이주헌 이주혁 이주환 이주희 이준모 이준섭 이준성 이지수

이지수 이지영 이지욱 이지원 이지원 이지원 이지윤 이지현 이지혜 이지혜 이지호 이지후 이진권 이진미 이진영 이진영 이진우 이진하 이진하 이채연 이채원 이채은 이철재 이철호 이초랑 이충민 이태영 이태헌 이태현 이하령 이학재 이한구 이해솔 이해인 이향경 이현경 이현수 이현숙 이현정 이현주 이현주 이현준 이형구 이혜선 이혜영 이호재 이화숙 이화신 이효정 이희경 이희례 이희성 이희수 이희승 이희준

김경화 김귀옥 김난희 김남혁 김도균 김도형 김동준 김문강

김시형 김영근 김용만 김유나 김인열 김장엽 김재일 김정우

김정은 김정화 김준형 김지후 김태규 김택천 김하생 김한서

김형균 김혜민 김혜숙 노형섭 문강훈 문서경 문유하

연구소

박영호 박영희 박유미 박지현 박진희 박찬경 박창호 박춘자

임규석 임노진 임도연 임동현 임명경 임명아 임병조 임세명 임수연 임승혁 임아란 임영숙 임유민 임은영 임은화 임인숙 임재연 임재훈 임정수 임주함 임찬재 임채승 임태민 임태환 임현선 임현아 임효영 임효원 장기순 장기혁 장동수 장민혁 장선아 장세현 장소윤 장안석 장영록 장영식 장옥희 장용기 장용원 장원석 장유미 장윤미 장윤민 장은서 장은진 장인영 장정구 장정우 장주일 장준호 장채현 장철수 인 천 농 산 장하연 물 주 식 회 장현서

장현순 장혜림 장훈승 장희 장희윤 전경숙 전경순 전미희 전민서 전민성 전민재 전민주 전병구 전상윤 전상희 전소영 전순영 전연우 전예린 전윤선 전은경 전은재 전정옥 전정희 전종문 전주형 전지석 전현태 전혜린 전혜선 전혜진 전호삼 정경민 정금화 정기미 정기영 정기용 정낙식 정다경 정동인 정동주 정두원 정려립 정려민 정미숙 정미숙 정미진 정민선 정민영 정민이 정민준 정민지 정병일 정상빈 정석조 정선 정선우

정선효 정성혜 정수림 정순희 정승은 정승희 정안숙 정연수 정연욱 정연화 정연희 정영미 정영주 정예린 정예진 정용욱 정우현 정유빈 정유진 정윤숙 정윤진 정은경 정은선 정은주 정은주 정은진 정이강 정주연 정주희 정지원 정진서 정진호 정태양 정현빈 정현서 정현우 정혜령 정혜민 정혜원 정혜원 정혜윤 정혜정 정혜주 정화자 정환성 정희영 정희진 조귀님 조규보 조규호 조명숙 조명진 조명희 조미순 조민기 조민혁 조보현

조복순 조복현 조상진 조석규 조성옥 조성찬 조성훈 조세린 조소현 조수민 조수연 조수현 조순숙 조승유 조시완 조안나 조영숙 조영채 조영효 조옥인 조옥임 조운경 조유연 조윤자 조은옥 조은정 조은지 조정애 조주옥 조주은 조진희 조하율 조한륜 조한영 조한이 조현아 조현자 조현주 조형진 조형찬 조회경 주경미 주요한 주은선 주재연 주현경 주혜원 지서오 지영애 지영일 지준구 지창영 진길자 진양걸 진윤호 진은경 진현준

진홍종 최정숙 함세희 차강환 최정우 함윤주 차명순 최정우 허순자 차민경 최정우 허식 차재향 최정임 허이정 참좋은두 최정임 허재영 레생협 최종관 허훈 채민지 최종대 현경환 채석병 최종락 현윤진 채은선 최종학 현윤혜 채지우 최준우 홍경선 채혜진 최지영 홍귀례 채희익 최지완 홍명기 천정숙 최지원 홍민주 천회진 최지율 홍설희 최금숙 최진영 홍성숙 최금예 최치훈 홍세현 최금자 최하은 홍소영 최기명 최한울 홍순옥 최남희 최현석 홍유라 최동민 최현수 홍제의 최명림 최현준 홍주희 최미선 추명선 홍지연 최민성 추민성 황금빛 최민자 추민성 황기선 최서영 추민수 황민옥 최성용 추선희 황복순 최성철 추준혁 황서정 최성호 탁경순 황시현 최숙진 편도준 황영순 최안진 편민기 황영철 최애영 편해라 황원정 최애자 포스코에 황인태 최여진 너지(주) 황재권 최연우 하미란 황정민 최연주 하상교 황정아 최영숙 한규대 황정윤 최영애 한규서 황정현 최영윤 한명운 황정현 최영임 한미숙 황정화 최영훈 한서하 황준서 최예라 한송희 황현숙 최용순 한승필 황혜령 최우석 한용철 황혜림 최우진 한유찬 황혜설 최원길 한인희 최원혁 한재은 (1433명) 최유니 한재희 최유정 한정제 최윤서 한지수 최윤슬 한지아 최윤정 한지희 최윤혁 한채원 최장덕 한현미 최장수 함경미 최장이 함미수 최정록 함세찬

박현정 박훈 최미정 박희진 반석만 방민서 방용승 변무섭

서기쁨 서영대 서옥주 석삼문 소윤재 송미나 송신숙 송지나

송지윤 송필호 신영철 신정은 신진철 심양재 안귀복 안기순

안도현 양수영 양승일 양준화 양하랑 엄경혁 엄성복 오병준

전북 강소영 강신욱 강진석 강호정 고승윤 고지현 고차원 곽동욱

24

곽지은 구자인 국은진 권대택 권진희 임석영 김경숙 김경은

김미정 김민지 김보라 김봉구 김성래 김세란 김수길 김수민

양규서 박선웅 박성수 박성연 박성웅 김은경 민생경제 박영미

오지선 오현경 오형수 유길용 유달리 유미은 유병철 유선순

유영배 유영선 유영준 유인철 유정희 유주리 윤일성 은숙


녹색은 다릅니다

이건민 이경민 이경희 이계철 이기재 이다연 이다원 이명주

이민경 이상현 이서윤 이서진 이석우 이세우 이소영 이수정

이안구 이영미 이영숙 이영희 이우찬 이원식 김수정 이은석

이은주 이지원 이지은 이진희 이채아 이형월 이호범 임경진

임경태 임도환 임상우 임상훈 임소율 임예율 임예지 장갑선

장남훈 소정현 장수영 장정구 장정훈 장철규 장효진 전윤숙

전정일 전형우 전휴정 정동학 정명우 정유선 정주한 정지은

정진숙 정현숙 정현중 정호형 조미정 조영민 조용호 조윤희

조태경 진승섭 최현의 김태숙 조회은 차복훈 최형식 한봄이 주요섭 최갑성 하정옥 한승우 중 앙 반 마 최연숙 하철호 한영수 을 최우순 한광수 한윤제 김형순 최윤성 한광수 한윤희 지만철 최재호 한규석 한재성 지아가 최종수 한명운 한재영

한정하 한정희 임순철 한지은 한혁준 허나겸 허다희 허욱

허재준 (219명) 허정회 현병만 홍상기 황주희 홍성재 회일

※조직별 가나다순

총 회원 10,000명

2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단체 구성

26

(2017.02.28 현재)


녹색은 다릅니다

단체 개요 (2017.02.28.

현재)

녹색연합 창 립 일 고 문

1991년 6월 6일 (재창립 1994년 4월 1일) 노융희 윤경은

공동대표 감 사

유경희 김혜애 박그림 원정 이영기 김종화

본부 사무처 주 전

소 화

전 송 홈페이지 회원현황

02879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9길 15 (성북동 113-34) 02-747-8500(대표전화), 02-745-5001,2(회원전용) 02-766-4180 www.greenkorea.org 대표메일 전체 5776명 총회원 5254명

greenkorea@greenkorea.org

사무처장 윤상훈 협동사무처장 정명희 양흥모 사 무 처 조직팀 / 이현우 노수진 신지선 정명희 정책팀 / 정규석 최위환 박수홍 이용희

시민모임

회원더하기팀 / 허승은 강승남 김수지 한만형 평화생태팀 / 신수연 배보람 배선영 이재구 자연생태팀 / 배제선 임태영 최승혁 서재철 에너지기후팀 / 신근정 김세영 김순남 윤기돈 휴직·녹색휴식년 / 신화자(일반) 문은정(녹색휴식) 황인철(녹색휴식) 산이 좋아하는 사람들 <녹색친구들>

(사)녹색연합부설녹색사회연구소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회원현황 이 사 장 이 사 연구위원 감 사 소 장

02879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9길 15 (성북동 113-34) 02-747-3339 전 송 02-766-4180 www.greenkiss.org 대표메일 kiss@greenkorea.org 전체 8명 총회원 8명 박경조 김대선 김양희 김현호 신영환 이근행 최승국 구태환 김경화 반영운 이상헌 우수영 유현상 정규호 한재각 이숙례 최종덕

2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사무국장

박정운

연 구 원

임성희

작은것이 아름답다 주

전 화 홈페이지 회원현황 창 립 일

02879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9길 15 (성북동 113-34) 02-744-9074~5 전 송 02-766-4180 www.jaga.or.kr 대표메일 jaga@greenkorea.org 전체 762명 총회원 205명 1996년 6월

펴 낸 이(발행인) 윤경은 글틀지기(편집위원) 권혁수 임종길 이일훈 황대권 글모듬지기(편집장) 김기돈 글보듬지기(부편집장) 정은영 글메김꾼(기자) 정현주 살림지기(회계) 읽새지기(총무)

이소영 권효연

녹색법률센터 주

02879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9길 15 (성북동 113-34)

전 화 홈페이지 회원현황 창 립 일

02-747-3753 070-7438-8571 전 송 www.greenlaw.or.kr 대표메일 전체 174명 총회원 155명 1999년 5월

02-766-4180 kelc@greenkorea.org

소 장 부 소 장 운영위원

우경선 이병일 김윤정 김주진 김지혜 박근용 박병채 박서진 박준섭 배영근 서국화 신상배 안지훈 안현지 이소영 이영기 이희영 장혁순 전종원 전휴정 조윤용 최재홍 황정화

사 무 국

신지형(부소장) 이인숙(활동가)

(사)녹색교육센터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회원현황 창 립 일 이 사 장 이 사

28

03068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 13 02-6497-4855,6 전 송 02-6497-4920 www.greeenedu.or.kr 대표메일 greenedu@greenkorea.org 전체 432명 총회원 322명 2007년 11월 16일 박영신 양경모 박그림 유종반 유정길 조재은 김혜애 박그림 정수정 박대근


녹색은 다릅니다

감 사 소 장 사 무 국

송정희 황혜림 서명순 정명희 정미경 나효우 정미경 정미경 이나혜 최윤선 정윤숙 송송이

광양만녹색연합 주 소 전 화 카 페 회원현황 창 립 일

57782 전남 광양시 중동 사동로 21(1366-2번지) 2층 061-795-1123 전 송 061-795-1124 cafe.daum.net/gygreenkorea 대표메일 gwangyang@greenkorea.org 전체 236명 총회원 193명 2010년 11월 23일

고 문 상임대표 공동대표 감 사

박두규 강용재 정용성 이동원 이재민 이평재 송찬규 노동진 허선식

자문위원 운영위원

정선익 성하철 김상민 김인철 조천래 황상보 강기연 강영난 고영석 박찬배 정호용 이돈관 이경재 허명국 임순희 강필성 신승건 주성일 장혜영

사무국장 사 무 국 회원모임

박수완 남상미 자연의 친구들 자람생태학교 녹색교사 바늘살이

광주전남녹색연합 주 소 61980 광주광역시 서구 회운로 130(화정동) 2층 광주전남녹색연합 전 화 062-233-6501 홈페이지 gwangju.greenkorea.org 대표메일 gwangju@greenkorea.org 회원현황 전체 608명 총회원 501명 창 립 일 2000년 7월 7일 고 문 공이송 김창수 다정 리명한 박선홍 정구선 영조 임형칠 전영 공동대표 김영선 연광 전승수 상임공동대표 김영선 감 사 김덕은 김명선 전문위원 권경호 김미향 김영선 김유미 문채주 박계순 박석곤 심재환 양해근 오구균 이학영 임동옥 임형탁 정은진 정혜경 조진상 함순아 운영위원 강경남 강애란 곽민섭 김애란 김태완 노경수 서영주 이정율 장화선 조오섭 최용 사무국장 박경희 사 무 국 김란희 박유미 2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회원모임

남도사랑 숲탐방

대구경북녹색연합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41118 대구광역시 동구 반야월로 110 3층(율하동 129-21) 053-964-1753 전 송 053-964-1754 www.gkdg.org 대표메일 dg@gkdg.org

회원현황 창 립 일 고 문 공동대표 감 사

전체 252명 총회원 201명 2002년 1월 26일 이동섭 김수봉 최병재 이재혁 오진섭 김희찬

자문위원

민영창 류장발 이신하 남효창 이용세 배관호 정현숙 양희규 박선주 송준기 김태욱 최준혁 고웅규 남연희 우수영 임지향 김용원 김수정 김대벽 김정호 김연창 박상준 김재웅 박배일 정규원 최경희 김지훈 김구환 이덕재 남광현 이동운 정우용

운영위원 사무처장 사 무 처 부설기관

직무대행 권예원 녹색상담센터“정담” 한국녹색자치연구소 자원봉사센터 녹색나눔센터

회원모임

녹색친구들(초등) 녹색리더(중등) 에코맘(주부)

대전충남녹색연합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회원현황 창 립 일 고 문 공동대표 감 사 운영위원 사무처장 사 무 처 회원모임

34913 대전광역시 중구 중구 중앙로122번길 17 대일빌딩 3층 042-253-3241 전 송 042-253-3244 www.greendaejeon.org 대표메일 daejeon@greenkorea.org 전체 1613명 총회원 1045명 1997년 10월 30일 간호진 권술룡 김규복 박 경 임상순 정해순 이상덕 이동규 김은정 이대규 이진희 강혁 김민수 김신일 김영진 김종술 김학출 문광연 석은자 송태재 안여종 이영 이재영 이현호 이희준 조문정 최순예 최재호 추명구 양흥모 양흥모 박은영 육정임 고지현 김성중 임종윤 양준혁 마을에너지간사모임 절전소모임 녹색교육자모임 숲육아모임 회원인문학까페 회원소통위원회 야생동물위원회

부산녹색연합 주 30

48535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152-2 한신문화타운 상가 305호


녹색은 다릅니다

전 화 홈페이지 회원현황 창 립 일 공동대표 운영위원

051-623-9220 전 송 051-623-9303 www.greenbusan.org 대표메일 green-busan@hanmail.net 전체 464명 총회원 260명 1997년 6월 17일 남기성 이남근 심미숙 최봉철 장순철 장인현 손성규 최종석

감 사 사 무 처

이봉우 박현호 김수정

원주녹색연합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26331 강원도 원주시 삼광1길 37-4 033-731-7306 전 송 www.greenwonju.org 대표메일

회원현황 창 립 일 공동대표

전체 224명 총회원 168명 2004년 12월 4일 박성율 송덕규 유돈순 이쁜이

감 사 운영위원 사무국장 사 무 국

이규삼 이차복 황도근 엄인하 류명주 임명호 백송이 전덕중 이영란 박정예 직무대행 김민자

시민모임

풀내음 초록샘 오카리나모임 녹색마음대로걷기모임 소품만들기모임

033-731-7388 wonjugp@greenkorea.org

인천녹색연합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회원현황 창 립 일 고 문 공동대표 감 사 자문위원 운영위원 실행위원회 사무처장 사 무 처

21060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새로 65번길 13 태흥프라자 602호 032-548-6274 전 송 032-548-6273 www.greenincheon.org 대표메일 greenic@chol.com 전체 2825명 총회원 1433명 1993년 5월 7일 (재창립일 1996년 7월 6일) 계 성 박춘목 신종철 염정희 유종반 이규학 이현숙 일초스님 조복순 이상권 송정로 이준모 장혜순 서일석 김종철 박창화 김덕희 김영목 김종범 김철호 박 구 배양섭 신현승 윤병조 윤지상 이규원 이성옥 이인철 이장수 최용백 최종관 현인근 강병수 강태무 권옥례 김봉빈 김용래 문태석 박병철 손수정 양광범 오신근 유은정 장안석 장용기 진달래 하상교 황복순 이현주 장정구 박주희 신정은 이미리 서석진 이예은 3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초록교사

김경숙 김현희 이근섭 허순자 김옥희 진길자

김문영 서다숙 이미경 박기순 유미선

김인숙 송윤미 김순자 이영희 이연경

김정환 윤민자 박혜정 강윤자 이영미

박명숙 이미남 권락숙 박은하 장기순

부설기구 시민모임

생태교육센터 성은혜 김순주 울림 초록텃밭 책산책 한남정맥

박유순 이미화 김미숙 이점숙 조명진

송애이 이영분 김미은 장필남 김유경

이미숙 김복순 김수진 정영미 김현정

이영희 장석현 박미아 임순희 조정애

전정옥 박옥희 정환성 강인숙 김은희

전북녹색연합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54999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2길 59. 3층 063-282-0117 전 송 063-282-0129 www.greenjeonbuk.org 대표메일 jeonbuk@greenkorea.org

회원현황 창 립 일 고 문

젠체 278명 총회원 219명 2009년 2월 10일 도 법 이병창 정현숙

공동대표 감 사 자문위원

회일 이세우 이계철 이원식 전정일 종고 전휴정 한혁준 변무섭 오현경 유병철 최종수 양승일 서윤근 김민아 구자인 안도현 정경식 이용규

운영위원 사무국장 사 무 처 시민모임

권대택 박성웅 신영철 엄성복 조미정 지아가 강소영 김용만 조태경 한승우 송지나 호남정맥산악회(산행모임) 번거로운(바느질모임)

설악녹색연합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대 표

32

24904 강원 속초시 중도문길 38 070-8836-1171 goral.tistory.com 대표메일 박그림

goral@paran.com


정기 회원총회 본회의

차례 본회의 순서 전회 회의록 전국운영위원회(총회위임) 회의록 제7기 총회준비위원회 활동 보고 제4기 임원추천위원회 활동 보고


34


녹색은 다릅니다

본회의 순서 개회 선언 서기 지명 성원 보고 강령 전문 낭독 지난 회의록 보고 총회준비위원회 활동 보고 【 제1호 안건_2016년 운동 평가 및 결산 심의 】 본부사무처, 전문기구, 지역조직 보고 2016년도 결산 보고 감사 보고(운동 감사, 회계감사) 운동 평가 및 결산 심의와 의결

【 제2호 안건_정관 개정 】 정관 개정 배경 정관 개정안 심의와 의결

【 제3호 안건_임원 선출 】 임원 후보 추천 보고 임원 선출 (공동대표, 감사, 사무처장) 제8기 전국운영위원회 구성 승인

【 제4호 안건_2017년 운동 계획 및 예산 심의 】 본부사무처, 전문기구, 지역조직 보고 2017년도 예산 보고 운동 계획 및 예산 심의와 의결

【 제5호 안건_기타 안건 】 평생길동무 아름다운지구인 감사패 녹색인 수칙 낭독 폐회 선언 3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지난 정기 회원총회 회의록 ○ 회의명 : 녹색연합 제6회 정기 회원총회 ○ 일 시 : 2015년 3월 7일(토) 오후 4시 ○ 장 소 : 서울시립미술관 세마홀 1. 사회자 양흥모 협동사무처장이 제6회 회원정기총회 본회의 시작을 알리다. 2. 개회선언 박경조 의장이 오후 4시 32분에 개회 선언을 하면서 본회의 시작하다. 2. 서기 지명 박경조 의장이 본부 사무처 황인철 활동가를 서기로 지명하다. 3. 강령 전문 낭독 김태수 회원이 녹색연합 강령 전문을 낭독하다. 4. 성원 보고 윤기돈 사무처장이 정관 7조 6항에 근거하여 총회원 참석 486명 (참석회원 90명, 위 임회원 396명)으로 성원이 확인됨을 보고하다. 5. 지난 회의록 보고 윤기돈 사무처장이 미리 제출된 자료에 따라 지난 2013년 제5회 정기회원총회 회의 록(3월 9일)과 2014년 제1분기 전국운영위원회 회의록(3월 15일)을 보고하고, 박경조 의장이 이의를 물어 이의가 없음을 확인하다. 6. 안건 심의와 승인 [제1호 안건] 2014년 운동평가 및 결산 심의 ○ 본부(전문기구 포함), 지역조직 2014년 활동과 결산 보고 - 윤기돈 사무처장이 미리 제출된 자료와 영상 자료에 따라 전문기구를 포함한 전 국 녹색연합의 2014년 운동 내용을 총괄 보고하다. 이어 전국녹색연합의 2014년 결산 내역을 보고하다. ○ 감사보고 - 이영기 운동 감사(장정구 대독)가 미리 제출된 자료에 따라 2014년 운동에 대해 감사 보고하다. - 김종화 회계 감사가 미리 제출된 자료에 따라 2014년 회계 운영에 대해 감사 보 고하다.

36


녹색은 다릅니다

○ 운동평가 및 결산 심의와 의결 - 의장이 총회원의 동의, 재청에 따라 활동과 결산보고, 감사보고를 승인하여 1호 안건을 의결하다. [제2호 안건] 임원 선출 ○ 임원 후보 추천 보고 -이세우 임원추천위 위원장이 임원추천위원회 활동을 보고하고 자료집과 ppt자료에 따라 임원 후보를 다음과 같이 추천하다. · 공동대표: 정관 7조7항, 8조1항에 따라 유경희, 원정 스님, 김혜애 후보/ 7조7 항, 8조4항에 따라 박그림 후보를 추천함 · 감사후보: 정관 7조7항, 9조1항에 따라 김종화 현 회계감사를 차기 회계감사로, 이영기 현 운동감사를 차기 운동감사로 추천함. · 사무처장 후보: 정관 7조7항, 14조1항에 따라 윤상훈 현 협동사무처장을 사무처 장 후보로 추천함. ○ 임원선출 -의장이 총회원의 동의, 재청에 따라 추천된 후보를 임원으로 승인하여 2호 안건을 의결하다. ○ 신임임원 인사 -신임임원 (유경희 대표, 김혜애 대표, 박그림 대표, 김종화 감사, 윤상훈 사무처장) 들이 인사말을 하다. ○ 제7기 전국운영위원회 구성 승인 -제7기 전국운영위원회의 최종 구성은 총회의 위임을 받아 추후 완료하도록 하다. ○ 상임대표 선임 -김혜애 대표가 신임공동대표단 논의 결과 유경희 대표가 상임대표로 선임되었음을 보고하다. *유경희 신임상임대표가 3호 안건논의부터 의장직을 맡다 [제3호 안건] 2015년 운동계획 및 예산심의 ○ 2015년 운동계획과 예산 보고 - 윤상훈 사무처장이 미리 제출된 자료와 화면 발표자료를 통해 2015년 주요 활동 계획을 보고하다. 이어 미리 제출된 자료에 따라 2015년 예산 내역을 보고하다. ○ 운동계획 및 예산심의와 의결 - 유경희 의장이 참가자의 동의, 재청에 따라 운동계획과 예산을 승인하여 2호 안

3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건을 의결하다. [제4호 안건] 기타 안건 ○ 황윤 회원이 영화 <잡식동물의 딜레마>에 대해 설명하고 많은 시민들이 영화를 볼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다. ○ 김두석 회원이 회원 확대를 위한 적극적 노력을 요청하고, 현장의 가치를 보여줄 수 있도록, 팀을 구성해서 거리캠페인을 진행할 것을 제안하다. ○ 한만형 활동가(활동가협의회 회장)가 정관 제26조에 따른 정당활동 제한의 개정 필요성(민주사회에서 정당가입 자체를 금지하는 것에 대한 부적절성)을 제안하다. - 이에 대해서 참가자들이 의견을 개진하다. · 장정구: 지역활동가는 활동가협의회에 구성원이 아님. 활동가 내에서 충분한 논 의가 필요. 다음 총회에서 공식 안건으로 다룰 것을 제안함. · 김혜애 대표: 총회를 2년에 한 번씩 하는 것이라서 다음 총회까지 미루기에는 제안자 입장에서는 답답할 것으로 보임. 회원 의견도 중요함. 이후 논의과정을 전운위에 위임하여 회원 등의 의견을 수렴해서 전운위에서 위임 처리할 것을 제 안함. · 김두석 회원: 이 문제는 여러차례 논의가 되었음. 정당당원이 아니라 정당의 직 을 맡을 경우 회원을 탈퇴해야 한다고 생각함. - 의장이, 본부를 비롯한 각 회원 등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론의 장을 만들어 의견을 모아서 전국운영위원회 논의를 거쳐 정리할 것을 제안하다. 이 제안에 대해서 동 의, 재청을 거쳐 박수로 통과하다. 7. 심상옥, 양서윤 회원의 선창으로 녹색인 수칙을 함께 나누다. 8. 폐회 선언 - 유경희 의장이 오후 6시 01분에 폐회를 선언하다.

2015년 3월 7일(토) 서기 황인철 끝.

38


녹색은 다릅니다

녹색연합 전국운영위원회(총회위임) 회의록 ○ 회의명 : 2016년 1분기 녹색연합 전국운영위원회(총회위임) ○ 일 시 : 2016년 3월 18일(금) 오후 3시 ○ 장 소 : 아스테리움 상상캔버스 ○ 참 석 : 공동대표 유경희 광양만 박수완 광주전남 박경희 대구경북 이재혁 권예원 대전충남 김은정(위임) 양흥모 본부사무처 윤상훈 인천 이 상권 박주희 원주 이차복(위임) 전북 이세우 녹색법률센터 우경선 사회연구소 최종덕 작은것이아름답다 김기돈(위임) ○ 참관(배석) : 박정운 배영근 정명희 이현우

녹색

[개회선언] -유경희 의장이 3시 26분 개회를 선언하고 묵상과 함께 회의를 시작하다. [안건 심의와 승인] [제1호 안건] 2015년 사업결산과 결산 심의 ◇ 본부, 지역조직, 전문기구 2015년 사업결산보고 - 윤상훈 사무처장이 미리 제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본부사무처 2015년 사업결산 내 용을 보고하다. - 박수완 사무국장이 광양만녹색연합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을 보고하다. - 박경희 사무국장이 광주전남녹색연합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을 보고하다. - 권예원 정책실장이 대구경북녹색연합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을 보고하다. - 양흥모 협동사무처장이 대전충남녹색연합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과 2016년 사업 계획을 보고하다. - 윤상훈 사무처장이 부산녹색연합의 상황에 대해 보고하다. - 설악녹색연합은 설악산케이블카 대응활동으로 갈음하기로 하다. - 이차복 운영위원이 원주녹색연합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을 보고하다. 2016년 4월 9일 예정된 총회를 거쳐 강원녹색연합으로 변경하기로 내부적으로 논의하였음을 보 고하다. - 박주희 사무처장이 인천녹색연합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과 2016년 사업계획을 보 고하다. - 이세우 대표가 전북녹색연합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과 2016년 사업계획을 보고하 다. 제출된 자료 외 GMO 농사 관련 내용을 공유하고 활동계획을 보고하다. 본부에 대응과 관련한 도움과 긴밀한 연대를 요청하다. - 박정운 사무국장이 녹색사회연구소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과 2016년 사업계획을 보고하다. - 김기돈 편집장이 작은것이아름답다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과 2016년 사업계획을 보고하다. - 우경선 소장이 녹색법률사무소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과 2016년 사업계획을 보고

3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하다. - 녹색교육센터의 2015년 사업결산 내용을 서면자료로 대체하기로 하다. - 보고사항 중 원주녹색연합에서 강원녹색연합으로 전환하는 것은 전운위 승인 사항 으로, 원주녹색연합 총회를 거쳐 논의된 사항을 2분기 전운위에 제출해줄 것을 요 청하다. - 자료집에 수록된 본부사무처 감사 내용과 녹색연합 감사의 역할에 대해 의견을 나 누다. - 의장이 운동평가 및 결산 관련하여 질문이 없음을 확인하고 전체동의를 거쳐 승인 하다. [제2호 안건] 2016년 사업계획과 예산 심의 - 2015년 사업결산 보고에 덧붙여 사업계획을 보고하였으므로 누락된 단위만 보고하 다. - 윤상훈 사무처장이 미리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본부사무처의 2015년 결산내용과 2016년 예산안을 보고하다. - 자리에 없는 단위는 자료로 대신할 것을 유경희 대표가 제안하고 전체 동의로 결정 하다. - 김기돈 편집장이 작은것이아름답다의 2015년 결산과 2016년 예산안을 보고하다. - 배영근 부소장이 녹색법률센터의 2016년 예산안을 보고하다. 2015년 결산내역이 잘못 기재되어 자료집 내용을 수정하기로 하다. - 녹색교육센터 2015년 결산보고와 2016년 예산안은 자료로 대신하기로 하다. - 이세우 대표가 나머지 단체들은 지역총회를 거쳤으므로 문서로 대신할 것을 제안하 였고, 전체 동의로 결정하다. - 이재혁 대표가 2015년 결산관련 사업부문에서 예산대비 초과된 지출에 대해 질문

-

하고, 윤상훈 처장이 2015년 3분기 전운위에서 해당 지출내역이 반영된 2015년 추 경예산안이 승인되었다고 답변하다. 녹색사회연구소의 2016년 예산안은 자료로 대신하기로 하다. 박수완 사무국장이 광양만녹색연합 2016년 예산안을 보고하다. 박경희 사무국장이 광주전남녹색연합 2016년 예산안을 보고하다. 권예원 정책실장이 대구경북녹색연합 2016년 예산안을 보고하다. 수정된 내용이 있 으므로 추가 보고하기로 하다. 양흥모 협동처장이 대전충남녹색연합 2016년 예산안을 보고하다. 박주희 사무처장이 인천녹색연합 2016년 예산안을 보고하다. 이세우 대표가 전북녹색연합 2016년 예산안을 보고하다. 의장이 사업계획 및 예산 관련하여 질문이 없음을 확인하고 전체동의를 거쳐 승인 하다.

[제3호 안건] 협동사무처장 선임에 관한 건 - 윤상훈 사무처장이 정명희 활동가의 협동사무처장 선임에 대하여 보고하다. - 전체 동의와 박수로 협동사무처장 선임을 승인하다.

40


녹색은 다릅니다

[제4호 안건] 전문위원 위촉에 관한 건 - 윤상훈 사무처장이 전문위원 위촉에 대하여 보고하다. 이번에 위촉하는 전문위원 명단은 본부사무처에 한정하는 전문위원이므로 검토 후 본부 사무처 중앙집행위원 회에 위임해줄 것을 요청하다. - 전운위 위원 13명 중 찬성 11명, 반대 2명으로 해당안건을 중앙집행위원회로 위임 하기로 결정하다. [제5호 안건] 녹색연합 정치참여 가이드라인에 관한 건 - 미리 제출된 회의자료를 바탕하여 윤상훈 사무처장이 안건에 대해 보고하다. - 본부 사무처 부서장의 정당가입 제한규정(정관 26조)은 과도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에 정관 26조의 개정을 향후 ‘정관개정소위원회’의 정식안건으로 제출하기로 합의 하다. [기타 안건] - 총선관련 설악산케이블카 대응방안에 대하여 윤상훈 사무처장이 공유하다 - 홍보측면이나 이용자 관점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 개편을 고려하기 를 제안하다. - 예상되는 쟁점사항들을 분야별로 잘 정리하여 안건을 상정하기를 요청하다 - 차기 일정 : 6월 셋째 주 금요일 6월 16(목)-17(금) 혹은 17(금)-18(토) 일정 중 선 택하기로 하다 [폐회 선언] - 유경희 의장이 오후 6시 45분에 폐회를 선언하다 2016.3.18.(금) 서기 이현우

4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제7기 총회준비위원회 활동 보고 1. 일시 및 장소 : 2016년 3월 18일 (토) / 남산 문학의 집 2. 제7회 회원정기총회 준비위원회 구성 위원장

유경희 (상임대표)

총괄위원

윤상훈 (본부사무처장)

정관개정소위

김혜애(공동대표), 이소영(녹색법률센터 운영위원), 박주희(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이현우(본부조직팀장)

총회운영소위

윤상훈(본부사무처장), 양흥모(대전충남녹색연합사무처장), 박정운(녹색 사회연구소사무국장), 허승은(본부회원더하기팀장)

3. 소위원회 진행경과 보고 1) 정관개정소위원회 ○ 정관 제 26조(정당활동 제한) 조항 개정의견이 활동가협의회, 회원총회 안건 으로 상정되었고 이후 전국운영위원회(2015년 4분기. 2016년 1분기) 논의 후 정관개정소위원회 정식안건으로 상정됨. 제26조 (정당활동 제한) 전국운영위원회 위원과 본부 사무처 부서장, 전문기구 사무국장은 정당에 가입하거나 정당 활동(무소속도 포함)을 하려면 사임해야 한다. ○ 논의 결과 -> 정관 제 26조 관련하여 대상에서 본부사무처 부서장 항목을 삭제하는 안 을 제 7회 정기 회원총회 정관 개정안건으로 상정. 향후 제기되는 하부 내용이 있을 경우 전국사무처국장단에서 이를 기초 논의하고 심화 내용 을 전국운영위원회와 회원총회를 통해서 다루기로 함. 2) 총회운영소위원회 ○ 본부사무처, 지역조직, 전문기구가 함께 준비하고, 운영하는 총회를 기획하고 자 함. 회원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다양한 의견 수렴 방법을 준비하는 등 총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총 4차례 회의를 진행함.

42


녹색은 다릅니다

제4기 임원추천위원회 활동 보고 1. 활동과정 ○ 2016년 9월 전국운영위원회에서 공동대표, 사무처장, 감사 선임을 위해 제4 기 임원추천위원회 구성을 논의, 제안된 구성안을 바탕으로 나머지 위원 구성 은 본부 사무처에 위임하기로 의결함. ○ 2017년 1월 17일 임원후보 추천 공고를 하고, 현 임원을 포함하여 신규 임 원 후보 검증 과 확인 절차를 거친 후, 2017년 전국운영위원회에 공동대표, 감사, 사무처장 후보 추천결과를 공유하여 승인받고, 최종 추천결과를 2017년 3월 정기회원총회 안건으로 제출함.

2. 위원회 구성 위원장

이상권 (인천녹색연합 상임대표) 최종덕 (녹색사회연구소 소장)

위원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 정미경 (녹색교육센터 소장) 신지선 (본부 사무처 조직팀 활동가/본부 사무처 활동가협의회 추천)

실무

정명희(본부 사무처 협동사무처장)

3. 추천 개요 1) 추천 근거 : 회원총회 운영규정 중 제7조, 제8조에 따라 검토, 추천함 2) 추천 과정 ① 공동대표 - 임원추천위원회가 본부 사무처(사무처장과 협동사무처장)에게 현 대표의 연 임의사 확인을 위임 → 임원추천위원회가 연임 대표의 후보추천을 논의하 고 후보추천 결정. - 신임 공동대표 후보 : 추천서 접수 → 이력사항 등 신상 정보 검토 → 임 원추천위원회 면담 → 임원추천위원회 논의하여 후보 추천 결정 ② 감사 - 현 감사의 사퇴 의사 확인 - 신임 감사 후보 : 추천서 접수 → 이력사항 등 신상 정보 검토 → 임원 추천위원회 논의하여 후보 추천 결정

4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③ 사무처장 임원추천위원회에서 현 사무처장의 연임의사를 확인하고 면담 후 논의하여 후 보 추천 결정 3) 추천 공고 -2017년 1월 17일 ~ 1월 31일 (15일 간)

4. 관련 규정 회원총회 운영규정 중 (정관 제11조 6항 나호에 따라 제정된 전국운영위원회 부설 규정) 제7조(임원추천위원회) 투명하고 올바른 임원(공동대표, 감사, 사무처장) 후보의 추천을 위해, 위 원장을 포함하여 10명 이내로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한다. 임원추천위원회 구성원은 유임하지 않는 공동대표 또는 지역조직 대표 또는 전문기구 대표 중 1인을 위원장으로 하며, 본부․지역조 직․전문기구의 상근․비상근 활동가와 회원 등으로 다양성을 갖춰 구성한다. 제8조(임원추천위원회 활동) 임원추천위원회는 아래 활동을 진행하며, 원활한 후보 추천을 위하 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소위를 둘 수 있다. ① 공동대표, 사무처장 후보 추천안의 논의와 작성 ○ 후보의 자격 기준 - 녹색연합의 4대 강령을 잘 이해하고, 스스로의 삶에서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사람. - 녹색운동의 비전을 모든 녹색연합의 구성원들과 함께 만들고,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사람 - 단, 정관 제26조 규정에 따라 현재 정당 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은 후보가 될 수 없다. ○ 후보 추천 방법 : 별첨 양식에 따라, 이메일․팩스․우편 등으로 추천 가능 ○ 후보 추천 기간 : 총회일 60일전부터 30일전까지 ○ 후보 추천인 자격 : 총회원의 자격을 가진 자 ② 임원추천위원회는 공개 추천된 대상자를 자격 심사하며, 확정된 임원 후보자를 단수 또는 복 수로 회원총회에 추천한다.

44


2016년 운동 평가

차례 2016년 운동 평가 보고 (전국) 2016년 본부 사무처 운동 평가 감사보고 (운동, 회계) 2016년 결산 보고

45


46


2016년 운동 평가 보고

47


□ 2016년 운동 평가 (전국) 녹색연합의 활동가들은 한국 사회의 주목할 만한 환경의 현장에 있습니다. 우리 는 “녹색은 다양성 존중과 생태계 순환에 바탕을 둔다”는 강령에 따라 생각하며 행동합니다. 2016년 녹색연합은 설악산 케이블카를 막았습니다. 설악산 케이블카 구간 현장 조사, 직접행동, 법률대응, 시민캠페인, 국회대응 등 모든 노력을 다하여 케이블 카 사업의 문제점을 알렸고 그 결과 문화재위원회는 케이블카 사업을 부결하였 습니다. 이 결정은 환경운동사의 소중한 자산으로 남을 것입니다. 녹색연합은 핵발전소 위험을 알리고 탈핵을 위한 지역 에너지정책을 제안하였습 니다. 전국 녹색연합은 시민들이 참여하는 물고기 이동권 캠페인을 4대강에서 동시에 실행했으며, 웅담 채취용 곰 사육 정책 종식은 눈 앞에 두고 있습니다. 백두대간 마루금을 빠짐없이 기록하였고 국립공원과 백두대간 보호를 위한 주요 제안으로 조사 자료를 제출하였습니다. 100년 만의 폭염, 고산식물 집단고사 등 기후변화와 생태계 변화의 연관성도 조사하고 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산양 구조센터 건립을 위해 경북 울진군, 문화재청과 함께 예산을 확보하였습니다. 반 환을 앞둔 용산 미군기지의 환경 오염정화 요구도 주요한 활동의 하나입니다. 용 산 걷기 프로그램인 ‘담벼락 투어’를 통해 시민들과 함께 하였고 ‘오염자 부담의 원칙’에 따른 사회적 요구를 제시하였습니다. 녹색 가치를 위해 일하는 활동가들의 노력과 회원들의 지지와 참여로 이룬 값진 성과입니다.

○ 우리 모두의 설악산을 지켰습니다. “2016년 12월 28일, 문화재위원회 부결을 통해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이 중단되 었습니다.” ◦ ◦ ◦ -

48

직접 행동으로 사업의 부당함을 알렸습니다. 강원도청, 원주지방환경청 비박 농성 원주지방환경청 고공 퍼포먼스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장 1인 시위 현장 조사로 설악산의 생태적 가치를 알렸습니다. 설악산 서식 동물, 식물, 매목 현장조사 진행 언론 보도 법적 대응으로 행정절차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설악산국립공원계획변경처분 취소 소송 경제성 보고서 조작 혐의로 양양군수등 형사 고발


녹색은 다릅니다

- 환경영향평가 거짓작성 형사고발 ◦ 정책대응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을 연구했습니다. - 국정감사에서 설악산 케이블카 이슈화 - 국회의원 선거 대응 낙천낙선 운동 - 문화재위원회 심의 집중 대응행동 - 산림규제완화 법률 대응활동 - 산악관광개발 대응연구 -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대안 연구 ◦ 시민들과 함께 행동했습니다. - 설악산 시민탐방 <설악산 천인행동> - 설악산케이블카 취소 1만인 서명운동 - 설악산 사진전 ‘설악산 어머니‘ 개최 - 설악산 양양문화제 진행 - 빅워크 시민 캠페인 진행 - 국립공원위원회 설악산케이블카 건설 조건부허가 1주년 전국 국립공원 동시 캠페인 - 문화재위원회 케이블카 부결 촉구 신문광고 ○ 탈핵사회를 한걸음 이끌어냈습니다. “2017년 2월 7일 월성1호기 수명연장 무효 소송에서 승소했습니다.” ◦잘가라 핵발전소 100만 서명 운동으로 안전하지 않은 핵발전소의 위험성을 알렸습니 다. ◦고리5,6호기 건설반대, 방사능방재구역확대를 위한 전국적 연대, 에너지기본계획 대응으로 에너지 정책의 변화를 만들었습니다.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신규핵발전소 건설을 저지했습니다. (영덕 핵발전소, 부산 기장해수담수화 주민투표 지원) ◦화력발전소 주민피해 지원과 정책 대응활동을 진행했습니다. ○ 절전이 곧 발전, 에너지전환사회를 만들었습니다. ◦ 대전 태양지공 5,6호기 설치로 마을형 기후변화 대안 현장을 만들었습니다. ◦ 서울 성북절전소, 서초구 나비절전소, 광주 녹색 에너지 발전소 조성, 에너지 컨설턴 트 양성, 대전 마을절전소네트워크 운영으로 절전활동을 통한 에너지자립에 한걸음 다가갔습니다.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와 연계한 에너지복지 시범동 운영 및 매뉴얼 제작으로 에너지 복지 문제를 공론화했습니다. ○ 더불어 살아가는 생명을 존중하고 생태계를 지킵니다. ◦ 광양 섬진강 · 대구 망월지 · 계양산 두꺼비 현황을 조사하고 생태이동통로를 만들어 서식지를 보전했습니다. ◦ 대구 대명유수지, 광주 지역 맹꽁이를 조사하고 맹꽁이 서식지를 위협하는 주변 난

4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개발을 막고 시민모니터링을 통한 생태교육을 했습니다. ◦ 인천 계양구·부평구·세종시 장남평야 금개구리 서식지를 모니터링했습니다. ◦ 대전의 백로서식처를 보호하고 생태교육 등을 통해 도심 속 백로 보호방안을 연구 하였습니다. ◦ 인천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활동을 위해 다양한 주체(백령중고, 녹색사회연구소, 인 천녹색, 점박이물범을 사랑하는 시민모임, 자연환경국민신탁)가 보호협약을 체결하였 습니다. ◦ 울진삼척 산양구조치료센터 부지 매입비가 통과 되어 2018년부터 산양구조치료센터 건립이 본격화 됩니다. ○ 4대강이 다시 흐르는 그날까지 현장을 기록합니다. ◦ 금강 녹조항공촬영과 모니터링, 4대강 주민피해 사례조사 등 현장에 집중하여 4대강 재자연화의 필요성을 알렸습니다. ◦ 올해로 3년째 전국녹색연합이 함께 진행하는 ‘하구포럼’에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 과 댐‧보 철거를 위해 해외사례, 정책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하구포럼에서의 연구 결 과로 정부가 강과 기수역 생태계를 복원하도록 촉구했습니다. ◦ 전국녹색연합 공동캠페인 <세계 물고기 이동의 날>을 통해 열린 강과 이동하는(회 귀성) 물고기의 중요성을 전했습니다. ○ 녹색교육과 시민참여로 녹색세상을 만듭니다. ◦ 인천 녹색연합 초록동무 게눈 · 또랑 · 계양산 자연학교, 광양만 자람생태학교 · 두 꺼비생태학교, 전북 청개구리 생태교실 · 호남정맥 청소년캠프, 부산 반딧불이 자연 학교 · 낙동강 하구생명학교, 녹색교육센터 와숲 · 어린이 절기환경탐구단 · 겨울야 생동물학교 , 광주전남 에코티어링 자연학교, 대전 녹색태양학교 · 나는 월평공원 생태박사 , 본부 어린이자연학교 · 생태드로잉 ◦ 광양만권 숲 습지 생태안내전문가 양성, 인천 지속가능한 생태교육활동을 위한 초록 교사, 녹색교육센터 녹색길라잡이 ◦ 녹색직업 가이드북 『그린잡』 출판과 교육활동, 청소년 환경활동 꿈꾸는 초록씨, 청소년 자원봉사단 ‘숲틈’ ◦ 단순소박한 삶의 길잡이 월간 『작은 것이 아름답다』 출판, 재생종이 운동 ○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듭니다. ◦ 용산기지 오염조사결과 ‘정보공개거부처분 취소소송’ 항소심에서 승소해 시민의 건 강권과 정보권의 중요성을 알렸습니다. ◦ 반환예정인 부평미군기지 내부 환경오염현황을 확인하고 대책을 세우도록 요구했습 니다. ◦ 대전 대기오염 시민 모니터링으로 대기질 개선 정책 활동을 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담긴 대기오염지도를 만들었습니다.

50


녹색은 다릅니다

□ 2016년 운동 평가 – 본부 사무처 * 지역조직과 전문기구는 단위별 총회에서 2016년 운동평가를 거쳤으므로 본부 사무처의 운동평가만 싣습니다. * 본부 사무처에서 작성한 결산보고와 전문위원·임원의 사업평가 의견을 함께 싣습니다.

자연생태팀 Ⅰ. 야생동물 1. 울진 산양구조·치료센터 건립 1) 목표 : 울진 산양 구조·치료센터 건립을 위한 문화재청과 울진군 예산 반영 2) 진행상황과 결과 (1) 지역 연대 강화 및 조직 ① 월례회의 진행 : 한국산양보호협회 울진지회와 월례회의 8회 진행, 조사일정 및 산 양구조치료센터 건립 관련 진행상황 공유 및 활동방향 논의 ② 공동조사 진행 - 한국산양보호협회 울진지회와 매월 금강소나무숲길 무인센서카메라 모니터링 진행 - 2~4월 탈진·폐사 산양 구조 및 모니터링 진행 - 1개체 구조 후 종복원기술원 북부센터 치료 중, 3개체 폐사, 1개체 구조·이송 후 폐사 - 관련 보도자료 배포 ③ 울진군 담당자 면담 - 울진군 문화관광과 담당자와 매월 미팅 진행. - 토지매입비 예산 책정 진행 상황 공유 및 토지매입비 책정을 위한 설득 작업 진 행. (2) 시민 참여와 홍보 ① 야생동물탐사단 - 7/13~21(8박9일) 참가자 7명과 함께 울진·삼척 지역에서 진행 - 울진 금강소나무숲길, 삼척 문지골·가곡광산 무인센서카메라 모니터링 - 모니터링 결과 가곡광산 무인센서카메라 2대 분실(도난으로 추정) - 두천리 시시골 신규 무인센서카메라 4대 설치_최현명 전문위원 동행 - 왕피천·금강소나무숲길 생태관광 체험 및 주민간담회 진행 - 발대식 및 활동 내용 정리하여 보도자료 2회 배포 ② 산양 전시회

5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5월, 11월 각 1달간 2회 진행 - 울진 시내 카페 ‘토프레소’에서 진행하였으며 카페 사장님이 무료로 장소 대여. - 5월 전시회 오프닝에 울진군의회 부의장과 의원들, 도의원들 참석. 부의장 인사말 을 통해 산양구조·치료센터 건립 토지맹입비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언. ③다큐멘터리 제작 - 9월 참가자 모집. 2명의 자원활동가와 1명의 촬영 및 편집 경험자 참여. - 촬영 및 관계자 인터뷰 마무리. 검토 및 편집 거쳐 12월 중순 제작 완료 예정 3) 정책간담회 - 4/29 녹색연합, 문화재청, 울진군청 간담회 진행 - 문화재청에서 울진산양구조·치료센터 관련 예산 지원을 내용으로 하는 공문을 발 송키로 확약하고 울진군에서 토지매입비 예산을 책정하기로 함. 4) 법률과 예산 - 문화재청에 산양구조치료센터 건립 필요성 설득하고 협조 요청. - 마을 이장단이 군청 및 군의회에 산양구조·치료센터 건립 민원 제기. - 울진군에서 토지매입비가 편성되어 있으나, 토지소유자의 매매 거절 등으로 토지 매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울진군청에서는 다른 부지를 검토 중. - 울진군에서 문화재청에 2017년 실시설계용역비 예산을 신청한 상태이며 2017년 하반기에 편성될 것으로 예상됨. 3) 평가 - 산양 조사와 구조 활동이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졌음. 다만 현장모니터링 기록이 불충분하여 향후 자료활용이 미흡했음. - 산양구조 후 이송 중 폐사 산양개체비율 정리, 수송열 감염, 스트레스 증가에 따른

-

-

-

-

52

저항력 감소 등을 보도자료로 배포하여 울진에 산양구조·치료센터 건립의 필요성의 근거로 활용함. 마을 주민과의 소통 창구를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녹색연합 주도 하에 간담 회·설명회 등을 정기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음. 산양 전시회가 울진읍 내 카페에서 진행되고 울진군의회, 울진군청, 울진군 각 기 관장이 오픈식에 참여하는 등 지역사회이 여론환기와 산양구조치료센터 필요성을 홍보할 수 있었음. 5월 울진군의회 예산 심의를 앞두고 4월 말 문화재청과 울진군청 간담회를 조직하 여 중간자로서 문화재청과 울진군청의 협의를 이끌어내 울진군 토지매입비 예산 책정에 있어 결정적 역할을 함. 2018년 착공을 위해서는 2017년 4월 문화재청에 공사비 예산 신청을 하여야 하 며, 그 전에 토지매입이 완료되어야 함. 진행상황에 딸라 일정이 늦춰질 가능성이 있으며, 그렇지 않도록 예산 관련 전체 진행 상황들을 수시로 점검하고 확인하여야 함. 이후 산양구조·치료센터의 안정적인 관리·운영을 위해서 특수법인 지정이나 법률 개정을 통한 예산 편성 등 후속 조치가 이루어져야 함.


녹색은 다릅니다

Ⅱ. 백두대간 1. 백두대간 통합데이터 구축 1) 목표 : 백두대간 보호구역 구체적인 관리방안 제시 2) 진행상황과 결과 (1) 보고서 발간 - 4월까지 추가 조사 2회 진행. - 2001년도 조사구간과 결론 도출 방법을 통일시키기 위해 전체 구간 조정 - 조사시 중복 측정되었던 구간 거리 제외 및 시설물 분석 기준 등 조정 (2) 보도자료 배포 및 정책토론회 ① 8/1 보도자료와 요약보고서 배포 -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준하는 전담관리조직 건설과 관리방안 수립을 내용으로 함. - KBS, MBC, YTN 및 주요 일간지 보도 - 8/10 산림청 정부청사 기자브리핑 통해 백두대간 마루금 관리계획 발표 : 녹색연합이 보고서에서 제시한 복구 시급 지역을 연내 조사 후 복구 완료 : 백두대간을 5개 권역으로 나누어 생태관리센터 설립 : 휴식년제 도입 등 적극적인 마루금 관리 및 백두대간 보호 방안 수립 - 정책토론회는 국내 정치 상황에 비추어 2017년 초 진행 예정 : 12/1 기준으로 훼손 등산로의 1차 조사 완료 및 부분 복구가 진행중 : 12/15 산림청과 정책간담회 진행 예정 (3) 탐방문화 개선을 위한 캠페인 및 모금 - 카카오 사옥 백두대간 전시회 개최 (4) 고산침염수 고사 대응 - 서재철 전문위원 협업으로 현안 대응 진행 : 보도자료 배포. KBS, YTN 및 주요 일간지 보도 : 관계기관에 구상나무 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 지정 요청 : 환경부 2017년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조정 시 검토 (5) 서울시 주요산 등산로 조사 및 보고서 발간 - 서울시민 8인과 활동가가 함께 5개산(수락산, 불암산, 관악산, 청계산, 인왕산) 등 산로 조사 - 백두대간 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 결과 분석은 복원 전문가 자문

3) 평가 (1)백두대간 마루금 훼손실태 보고서 발간 - 보고서 발간 후 산림청이 백두대간 전담관리조직을 만들겠다는 관리계획을 이끌어

5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냄. 전담관리조직은 녹색연합이 수 년 동안 주장했던 백두대간보호지역의 통합관 리조직이었으며 본 조사 발표를 통해 산림청이 공식적으로 정책브리핑을 통해 ‘생태관리센터’계획 발표. 이는 운동의 궁극적 단계인 정책 변화까지 접근한 매우 큰 성과임 - 산림청이 발표한 권역별 생태관리센터 설립은 녹색연합이 제안했던 공단보다 높은 수준의 관리조직, 다만, 향후 백두대간보호법 등의 개정 등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산림청이 제대로 된 센터를 조직, 운영할 수 있도록 감시와 협업 관계를 유지해야함 - 2017년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생태관리센터 계획이 무산되지 않도록 개입해야하 며 국회가 안정 되는대로 국회토론회 등 적극적인 대응 필요 - 보고서 발간 후 배포한 보도자료는 많은 지원·예산·노력이 들어간 탐사보도인 만큼 언론의 관심이 많았으나 보호구역에 대한 정부 정책의 미흡함보다 탐방객의 행위에 의한 훼손이라는 점이 더 부각되어 아쉬움. 전반적으로 일반 시민들에게 백두대간 이 보호지역이라는 개념이 매우 부족하며, 이후 시민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이 매 우 시급함 (2) 탐방문화 개선을 위한 캠페인 및 모금 - 당초 계획한 대중캠페인, 지하철 역사 사진전 등이 인력 부족으로 진행하지 못함 - 상반기 백두대간 후원기업인 카카오 사옥에서 상상공작소 협업으로 백두대간 사진 전시회 진행, 카카오 임직원 함백산 탐방 프로그램 진행과정과 참가자 만족도 높 았음. (3) 고산침엽수 고사 대응 - 서재철 전문위원이 의제를 발굴하여 조사 중이던 고산침엽수 고사 보도자료 배포 는 시민들에게 매우 익숙한 기후변화와 한국고육종 멸종이라는 이슈를 연결시켜 잘 진행. 현안 위주의 사업에서 정부보다 의제를 선점한 매우 좋은 사례임. 이후 국립공원과 간담회, 산림청 현장 조사 등이 진행되었으며, 2017년 이후에도 계속 이슈가 될 것으로 판단 - 기후변화에서 생물다양성 의제는 국제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이며 국내에서도 시민들이 관심을 나타내는 이슈로 향후 모니터링을 확대해야 함. (4) 서울시 주요산 등산로 조사 및 보고서 발간 - 서울시는 산지 관리를 지자체에 일임하여 생태적 의미의 관리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어 개선이 시급함. 현재 등산로 상황히 정확히 진단하고 복구 방법을 서울 시에 제시하여 정책적 변화가 필요 - 산지관리 전담밤의 구성 또는 국립공원관리공당 관리 위탁 등 실질적인 방안 필요

Ⅲ. DMZ 1. DMZ 자생식물원 교육프로그램 1) 목표 : DMZ 교육프로그램 기본구상과 활용방안 수립

54


녹색은 다릅니다

2) 진행상황과 결과 1) DMZ교육프로그램 기본구상 및 활용방안 수립 용역과제 진행 - 2016년 10월 19일 DMZ 자생식물원이 개원, 2017년부터 단기·중장기 교육프로그 램안을 제시 - DMZ일대 국내 유사기관 생태체험프로그램과 각종 인증프로그램 문헌조사와 현장 조사 진행 - DMZ자생식물원 내에서 진행할 수 있는 해설·체험 등의 일상 교육 프로그램과 DMZ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철책선 주변의 생태교육(금강소나무숲길과 유사한 생 태관광), 군부대 재해방지 및 교육프로그램 제시 - DMZ생물다양성보전네트워크를 구성하여 DMZ 생태계의 공동조사와 추후 접경 지역의 관리보전 방안에 대한 논의 3) 평가 - 객원연구원 3인과 협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새롭게 외연을 확대하는 기회가 됨 - DMZ연구과제를 통해 DMZ에서 활동하고 있는 많은 기관과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였음 - 고성군, 인제군은 생물권보전지역 등재 활동을 벌이고 있고 다음 정부에서 본격화 될 전망. 녹색엲합의 DMZ생물권보전지역에 대한 입장 정리가 필요하며, 2017년 교육 프로그램 시범운영 등을 진행하여 물리적 공간을 포함한 정보 기반을 구축해 야 함

Ⅳ. 사육곰 1. 환경부 사육곰 중성화 프로그램 모니터링 1) 목표 : 사육곰 증식 종식 선언 2) 진행상황과 결과 (1) 사육곰 중성화 수술 모니터링 - 환경부 사육곰 중성화 수술 진행 상황 모니터렁 등 사육곰 취합 - 2016년 수술 해당 개체 21개체 (기존 36개체에서 1개체 폐사, 14개체 전시관람 전환 예정) - 7월 1-3일 5개 농가 19개체 수술 완료 - 현재(11월 기준), 김포농가 2개체 수술 예정(일정 협의 중) - 2016년 수술 해당 개체였던 봉화농가 14개체는 전시관람 용으로 전환 예정

5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2) WAP 미팅 ① 6월 15일~16일 - 환경부 중성화 수술 계획 확인, 하반기 계획 논의 - 백서발간 내용과 시기 확인 - 법률자문(현행 야생법 상 사육곰 관리 문제점 및 대안 논의) : 전시관람용 곰이 사육곰으로 재전환 될 우려에 관해 법 개정 필요 여부 논의, 현 행 법 조항으로도 재전환은 힘들 것이라 판단, 환경부의 공식적인 입장과 의지를 공 문으로 받는 것으로 대체 ② 8월 30-31일 - 중성화 수술 현황 공유 : 19개체 완료, 2개체 미완료, 14개체 전시 관람전환 검토 중, 1개체 폐사 - 백서 목차 협의 - 중성화 완료에 대한 언론 작업 방법과 시기 논의, 녹색연합은 국내 보도자료 배 포, WAP는 국제 미디어를 통해 언론작업, 내용 협의 통해 작성 - 2017년 계획 협의 : 모니터링 3-4회 진행, 웅담 관련 소비자 수요 설문조사 (3) 사육곰 대책위원회 활동 ① 10차 논의 : 6월 13일 - 중성화 수술 착수 보고 (수술 대상 : 36개체, 시기 : 6-12월) - 용도변경 종료 시점 논의 : 용도변경을 일정 시점에 종료해 사육곰 정책 폐지시점 을 앞당기려 함, 종료 시점을 당기는 만큼 곰의 처리기준을 단축해 농가에 피해가 가지 않게 하려 함. 전국사육곰협회는 웅담 수요 없는 상황에서 처리기준 단축 무 의미하고 용도변경 종료 시점을 못 박을 수 없다 반발, 추후 재논의 - 전국사육곰협회 추가 인센티브 요청 안 : 협약을 어기는 사항이고 사육곰협회를 제외한 나머지 위원들이 모두 반대나 불가능 의사 표시 ② 11차 회의(11월1일) - 중성화 수술 공유 : 19 개체 수술 완료, 2개체 미완료 - 사육시설 안전 관련 전수조사 : 국감 대응으로 전수조사 기회 마련, 멸종위기종관 리 일반사육기준과 안전점검 위주로 우선 조사, 다음 회기에 전수조사 결과 제시 후 적절한 안전점검 틀 마련 - 전국사육곰협회 추가 인센티브 요청 안 : 중성화 이후, 상황을 지켜본 후 재논의 - 전시관람용 DNA 구축 제안 : 전시관람용 곰으로 불법적인 웅담 거래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시관람용 곰 DNA 구축 필요, 모든 위원 동의, 환경부 긍정적으로 검토 의향 (4) 보도자료 및 백서 - 백서 올해 말 발간 목표 - 국내 사육곰 중성화 완료에 대한 보도자료 배포 계획(국내 정치 상황과 수술 일정 고려) 3) 평가

56


녹색은 다릅니다

(1) 사육곰 중성화 수술 모니터링 - 2016년 사육곰 중성화 프로그램 완료에 대한 환경부의 의지는 확인되었으나, 봉화 농가의 중성화 수술 참여 결정 지연으로 전체 일정이 마무리되지 못하고 있음. - 전시관람용곰의 증식도 반드시 사전인공증식허가가 있어야 하나, 현재 무허가 증 식사례가 발생해 수사 진행 중. 유사사례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 등 대책 필요. - 2016년 중성화 완료 이후 사육시설의 안전문제, 사육곰 및 전시관람용 곰의 불법 적 활용 방지 등 남아있는 개체들의 관리와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 (2) 사육곰대책위원회 활동 - 전국사육곰협회과 환경부와 정기적 회의를 통해 사육곰 중성화 진행상황을 협의하 며 사육곰 문제 공론화와 해결에 기여하고 있음. - 국정감사(이정미 의원실)에서 사육시설 안전문제와 전시관람용곰의 잠재적 문제 제 기 이뤄짐. (3) 백서발간 - 백서 발간은 사육곰 정책의 완전한 폐지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해외에 서도 중국과 베트남 등 현재 웅담 산업이 이뤄지고 있는 곳의 모범사례로 활용할 예정, - 환경부에 백서 공동 발간을 요청했으나 거절, 사육곰 종식에 대한 환경부의 의지 와 계획을 공문을 통해 확인하고 공문을 인용하는 것으로 대체 예정.

평화생태팀 Ⅰ. 4대강 1. 물고기이동권보장 1) 목표 - 4대강 보로 인한 강 단절 및 호소화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어류를 중심으로 모니터 링 함. - 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재자연화 콘텐츠, 캠페인을 통해 재자연화 공감대를 형성함. 2) 진행상황과 결과 (1) 모니터링 ① 사업내용 : 보, 하굿둑 등 횡단구조물이 물고기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총 6회 모니터링을 진행하여, 물고기의 이동을 막고 있는 실태를 확인함. 낙 동강, 영산강에서 수생 생물 서식 환경 실태 모니터링(공동 조사)에 3회 참여함.

5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② 일정 - 2월: 낙동강 강준치 기생충 감염 모니터링 - 3∼4월: 회유성 어종 황어 모니터링 2회, 금강 물고기 이동 모니터링 - 5월 : 낙동강 물고기 이동 모니터링 - 6∼7월: 낙동강, 영산강 공동모니터링 각 1회 - 10∼11월: 회유성 어종 연어 모니터링 2회 (2) 콘텐츠 생산과 소통 - 강 단절로 물고기가 이동하기 어려움을 영상, 이미지, 글 등으로 제작해 공유함 - <물고기택시>MV 제작, 황어 모니터링 기고, 녹조 카드뉴스, 연어 모니터링 기고 등 (3) 물고기 이동의 날 캠페인 - 세계 물고기 이동의 날(2016년 5월 21일) 한국 캠페인을 총 7개 지역 조직이 각 지역에서 전개함. 지역조직별로 특색에 맞추어 활동을 진행했으며, 본부는 전국 캠페인 총괄, 정책 활동, 서울지역 캠페인을 진행. - 시민들이 쉽고 편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공공미술 프리즘 팀과 공동기획, 협업. 여 의도 공원에 허들을 설치하고 시민들이 허들을 뛰어넘으며 물고기 이동 단절에 대해 간접적으로 체험 하도록 유도하는 캠페인 진행. 3) 평가 (1) 모니터링 - 물고기 이동, 수계별 어류 건강성 비교 등을 모니터링 주제로 잡은 후 여러 어류 전문가들에게 모니터링의 실행 가능성에 대해 자문을 구한 결과, 4대강 본류에서의 물고기 이동, 수계별 어류 비교 등은 실행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받음. 이에 물고기 의 이동이 제한되는 현 상황 확인 과 기록을 위한 모니터링을 기획. 이동이 자유로 운 곳과 어려운 곳의 비교를 위해 4대강 외 수계인 섬진강과 남대천도 모니터링 지 역으로 포함시킴. 사업 계획단계에서 조사 가능성에 대한 파악이 부족했음. - 4대강 완공 5년차에 접어들며, 생태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여, 물고기 이동권을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의 중요함을 알리고자 하였으나, 4대강 사업의 문 제를 드러내고 재자연화라는 상위목표를 달성하기에 부족했음 (2) 컨텐츠 - 모니터링 내용을 가공한 영상 편집, <물고기택시> 뮤직비디오 제작 등 재미있는 시도를 함. 제작 영상이 수천 건 공유 되는 등 시민들의 호응이 좋았음. 현장성 있 는 자료를 토대로 잘 가공한 콘텐츠의 중요성,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음. (3)캠페인 - 세계물고기 이동의 날 캠페인은 2014년 처음 시작되어 올해 두 번째 행사였음. 하 구포럼(녹색연합 본부, 연구소, 지역조직의 하천영역 활동네트워크) 내부 논의 결 과 사회적으로 물고기 이동권에 대한 담론을 녹색연합이 형성한 것에 대해 긍정적 으로 평가함. 시민들의 관심도와 참가자들의 만족도도 높았음. 세계 물고기 이동의 날은 격년으로 개최되나 전국녹색연합은 매년 행사를 꾸준히 진행하는 것이 제안·

58


녹색은 다릅니다

논의됨. 올 해 행사와 같은 시민 인식증진, 교육 캠페인과 더불어 수생태계 단절의 직접적인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하굿둑 개방과 보 해체 요구와 같은 실질적인 액 션을 취하는 방법도 고려됨. - 본부에서 진행한 물고기 이동의 날 캠페인은 외부 팀과 협업 진행 과정에서 조직 내부에 공유하고, 좀 더 많은 시민들과 회원들이 참여하도록 안내하고 유도하는 역할이 부족했음. 전국 캠페인 총괄 및 지원의 역할과 보도자료 작성, 배포 등 정 책 역할을 함께 맡으며 상대적으로 서울에서 진행한 캠페인에 미흡한 점이 있었 음. 향후 물고기 이동의 날 캠페인이 진행된다면, 본부는 전체 기획과 정책 지원 역할에 집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함.

2. 4대강 기억하고 함께하기 1) 목표 - 2013~2015년과 2016년 4대강 활동 및 이슈를 기록함. - 4대강 재자연화 포럼을 통해 시민사회의 재자연화 담론 마련. 2) 진행상황과 결과 1) 기록하기 - 2013-2015년 4대강 활동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 제작. 2010-2012년 보고서의 목차 에 맞추어 그 이후의 이야기를 기록함. (항목에 따라 2016년의 결과가 포함되기도 함.) 2016년에 진행한 물고기 이동권 활동 이슈리포트 작성. *녹색연합 4대강 현장활동 보고서(2013-2015) 목차 1. 4대강 사업의 개요 2. 이슈로 보는 4대강 사업 2013-2015 (1) 4대강사업과 수질 (2) 4대강사업과 가뭄 (3) 4대강사업과 생태계 (4) 4대강사업과 주민피해 (5) 4대강사 업과 법률 (6) 4대강사업과 내성천, 영주댐 (7) 감사원의 4대강사업 감사 (8) 국무조정실 4대강사업조사평가위원회의 4대강사업 조사 평가 결과보고 3. 활동기록 2013-2015 (1) 남한강 재첩폐사 모니터링 (2) 4대강재자연화포럼 현장조사 (3) 여름 4대강 공동조사 (4) 내성천 수달서 식흔적모니터링 (5)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당사국총회 활동 (6) 제12차 람사르협약당사국총회 활동 (7) 유럽 재자연화 사례 답사 4. 녹색연합 4대강 활동 연표 2013-2015

2) 4대강 재자연화포럼 - 4대강 관련 전문가와 진행되는 포럼으로, 목적은 4대강 재자연화를 위한 자료를 축적하기 위함. 4대강의 생태를 주제한 내부 세미나를 진행. - 어류(2/27 채병수 박사), 저서생물(3/25 박정호 박사), 식생(6/3 김종원 교수), 모 래(8/19 이현정 박사), 12/7 종합 논의 진행됨

5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3) 4대강 현안대응(연대) - 4대강 조사위원회가 주관하는 4대강 공동조사에 참여, 국감 기간에 맞추어 4대강 사업피해자증언대회 활동을 진행. 국회 환노위, 국토위 등 12개 의원실이 참여했으 며 수계별 주민의 피해 사례 발표 및 국회의원 발언, 전문가 발제 등이 진행됨. - 4대강 피해에 대한 전국 상황(어획량 강소, 농경지 침수, 친수사업으로 인한 피해, 수질 악화 등 환경변화 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음 3) 평가 (1) 기록하기 - 흩어져있는 2013년∼2015년의 활동을 기록하고 정리. 4대강 책임자 처벌과 재자 연화를 위해 지금까지의 4대강 관련 활동, 이슈가 계속 기억되어야 하며 정리된 기록물이 필요함. (2) 4대강 재자연화포럼 - 정기적으로 진행됨. 재자연화담론을 만들기 위한 전문가들과의 세미나가 의미있었 음. 이후 재자연화포럼의 내용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 포럼을 통해 생산된 양질의 콘텐츠가 내부에 머물러있던 것은 아쉬움. 자료 축적 과 함께 자료가 잘 활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모임을 진행해야 함. (3) 4대강 현안대응 - 4대강 범대위 논의 결과, 4대강 사업피해 상황에 대해 ‘피해주민 소송’이라는 방식 은 단체가 조직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주민이 의지를 갖고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 다고 판단하여, 범대위 단위에서 소송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함. 대전충남 녹색연 합이 진행하는 금강 지역 피해주민 소송은 당초 예상과 달리 원고가 거의 없어 소 송 진행 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4대강 녹조 정국에서 적극 대응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내년 대선에서는 4대강 사업 책임자 처벌 및 재자연화 입법논의 등에 좀더 역량을 기울여야 함.

Ⅱ. 군 환경 1. 미군기지 환경대응 1) 목표 - 용산 기지 오염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임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한미 정부도에 문제의식을 확산시킴 - 반복 발생하는 미군기지 환경문제를 개선 ·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 2) 진행상황과 결과 1) 용산 미군기지 환경현안 대응/탐색

60


녹색은 다릅니다

① 정보공개 :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용산 미군기지 내부에서 3차례에 걸쳐 오염조 사가 진행되었음. 그동안 확인된 용산 기지의 오염사고가 14차 차례로 단일 기지로 는 최대이며, 사용 중인 기지 내부에 대해 오염조사를 진행한 것은 이례적인 상황 임. 민변과 함께 내부오염조사 결과에 대한 정보공개소송이 진행 중이며 1심에서 승소 판결(6월)을 받았으나 환경부 항소로 2심이 진행 중임. 미 국방부에 FOIA(정 보공개법)을 통한 정보공개를 청구하여 용산 기지 내부 환경사고에 대한 기록물을 확보함. ② 관계기관 대응 협력 : 서울시(물순환정책과, 도시계획국 등) 간담회, 환경부(토양지 하수과) 항의방문 및 면담, 국회(환노위) 업무현안 질의 및 국정감사 자료 공유 ③ 시민참여 및 교육 : 회원(4,5월 현장출동 2회), 시민 및 타 단체(5-10월 총10회) 를 대상으로 담벼락 투어를 진행. 주민 모임과 함께 교육 프로그램(3회) 실시. 연 대단체 공동으로 1인 릴레이시위(8월) 및 집회, 문화제(5회) 개최 2) 미군기지 환경문제 기록/확산 ① 동두천 캠프캐슬 지역, 동양대학교 개교 건 : 지자체, 정부, 대학 재단의 이해관계 가 일치하여 오염된 반환미군기지에 졸속으로 대학이 조성됨. 현장 모니터링, 보도 자료 배포 등을 통해 문제제기함. 언론 보도, 국회에서의 대응, 영주 지역 주민들 의 항의 집회 등이 있었으나 당사자 격인 동두천 주민 및 대학생(학부모)이 조직 되지 않았고 공사가 강행되어 4월에 개교함 ② 부평, 원주 미군기지 반환협상 지연 건 : 반환 예정인 미군기지인 부평 캠프마켓, 원주 캠프 롱이 오염문제에 대한 한미 간의 입장 차이로 협상이 장기간 교착상태 임. 지역 시민단체 일부에서, 현실적으로 미군에게 오염 책임을 묻기 어려우니 협 상을 포기하고 기지를 반환받도록 요구안을 조직하는 것을 확인함. 인천, 원주, 본 부 녹색연합 명의로 반환 협상에 소극적인 주한미군을 규탄하는 취지의 성명 발표. 기지 주변지역 오염보고서 분석 및 지역 언론 대응 ③ 탄저균 반입 건 : 탄저균 반입 사건 이후 그동안의 경과, 생화학무기 실험 및 훈련 이 다른 지역에서 지속되고 있는 점, 제도적 문제와 대안을 다루는 ‘탄저균 반입 1 년’ 토론회 개최함. 탄저균 반입 사건 이후 경기도에서 ‘미군기지 환경 사고 발생 시 지자체에서 직접 조사’하는 내용을 담은 조례가 제정됨. 평택 및 부산 지역 언 론과 단체 등에 관련 자료 배포 (공동) ④ 사드 배치 반대 건: 국방부의 일방적인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해 반대 기자회견, 시 민사회 대응을 위한 준비 워크숍 3회 참석, 사드가 선행 배치된 괌 지역의 환경영 향평가서 확인 후 진행 절차, 위해성 등 자료 비교 검토, ‘사드 한반도 배치 반대 전국공동행동’ 조직/발족 참여 (공동) ⑤ 평택 미군기지 에어쇼 반대 건: 군 소음 문제에 대한 저감 방안, 해결책이 부재한 상황에서 개최된 평택 미군기지 에어쇼 반대 시민캠페인에 참여함. 카드뉴스 제작, 자료 공유, 현장 캠페인 지원 (공동) 3) 평가 (1) 용산 미군기지 환경현안 대응/탐색

6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회원/시민 참여 프로그램 ‘담벼락 투어’는 참여한 사람들 및 타 단체, 기관의 호응 이 좋은 편이어서 학생, 시민들, 해외(오키나와, 미국) 활동가들의 역사·환경 교육 프로그램으로 추가 확대 진행. 현장을 함께 확인하고 경험하는 것이 문제를 알리 는데 가장 효과적다는 걸 확인. - 관계 기관의 정책과 입장 변화 : 용산 기지의 환경오염 및 미군 잔류 문제에 대한 녹색연합(시민사회)의 지속적인 문제제기, 용산 공원 개발계획에 대한 서울시와 국 토부 사이의 입장 차이 등으로 관련 현안이 여러 차례 언론에 보도되었으며, 국정 감사에서도 다루어졌다. 최근 국토부는 ‘용산 공원 내 정부시설물 개발 계획’에 대 해 전면 백지화를 선언하였으며, 2027년 공원 조성 완료 계획에 대해서도 환경오 염문제 조사 및 정화 작업 기간 등으로 인해 기간을 확정하지 않고 열어 두겠다고 태도를 바꾸었다. 서울시 관련 부처에서는 수차례 간담회를 통해 용산 기지 내 환 경오염 문제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인 지자체 입장을 표명하기로 하였으며, 협업을 제안했다. 활동을 통해 관계 기관의 입장과 정책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경험한 계기였다. - 네트워크(불평등한 SOFA개정연대, 주민모임, 지역 시민사회포럼) 단체 공동 기획 과 진행 이뤄짐. 특히 용산 지역 내 단체, 모임이 참여함. - 여론 확산을 위한 다양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용산 기지 환경 문제는 용산 공원을 둘러싼 여러 현안(미군잔류/경계부지, 근현대문화재, 오염, 개발계획)의 하나로 취 급되고 있다. 용산 기지 반환이 마무리되고, 용산 공원 종합계획이 다시 설정되는 2017년에는 여러 현안 중 선결과제인 환경오염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는 점과 생 태 중심의 국가공원 구상에 대한 녹색연합의 목소리를 키울 필요가 있음 (2) 미군기지 환경문제 기록 - 반환된 동두천 캠프캐슬, 탄저균 반입, 사드배치, 반환협상 지연, 평택 에어쇼 등 관련 현장 조사, 캠페인 지원, 자료 분석 및 배포 등의 활동으로 환경문제 기록 - 군 소음 특별법, SOFA 검역조항 개정, 미군기지 환경 사고 발생 시 지자체의 직 접조사 조례제정을 논의하어 경기도에서 실제로 관련 조례 제정을 추진하였다.

2. 한국 군기지 환경대응 1) 목표 : 보령공군사격장 환경피해 해결을 위한 조사(해양정밀조사, 주민건강역학조사) 로 주민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제도적 보상방안의 근거를 마련함 2) 진행상황과 결과 (1) 보령 민관협의체 - 보령 공군사격장은 과거 주한미군기지로 운용되다가 한국 공군이 사용 중임. 과거 미군 송유관 등에서 유류유출 사고가 빈번하였으며 주민들은 1997년까지 지하수 를 식수원으로 음용하였음. 기지에 인접한 마을 주민들의 집단적인 암 발병 문제, 해양오염, 사격소음 등의 분쟁이 10년째 지속되고 있음. 녹색연합, 주민대책위, 노 동환경건강연구소, 지자체(보령시, 충남도)가 민관협의체를 구성하여 문제해결방안

62


녹색은 다릅니다

을 논의 중이며, 올해 해양 정밀조사 및 주민건강역학조사 예산 7억 원을 확보한 상태. - 참고할 만한 선례 없어 조사 항목과 방식 등을 설계하기 위한 '사전연구용역'(충남 발전연구원)을 진행하였음. 실무회의, 3차례의 민관협의회 및 전문가 워크숍을 거 쳐 대략의 조사 설계를 마련. 2017년 본 조사 용역이 실행될 예정. 11월 민관협의 회부터 ‘공군사령부’가 공식 참여하여 향후 ‘민관군협의회’ 형태로 진행될 전망. (2) 이슈리포트 제작 - 보령 주민피해 사례 관련 주민 알권리 및 안전한 주거권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하 여 UN에 권고를 제안하였으며, 이 내용이 담긴 보고서가 UN인권이사회(2016년9 월)에서 채택되었고 정부권고안을 이끌어 냄 (2015년 10월 UN 유해독성물질 담 당 특별보고관이 방한하여 국내 상황을 점검하였음. 당시 보령 방문을 제안하여 주민대책위와 간담회를 진행) 3) 평가 1) 보령 공군사격장 환경피해 대응 활동 - ‘본 조사’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사전연구용역을 진행하여 실제 조사는 2017년 진행될 전망. - 최근 민관협의회에 공군 측에서 참여하기로 하여 ‘민관군협의회’ 형태로 확장되었 으며 내년 본조사가 실시되고 주민피해 보상에 대한 제도가 논의된다면, 군 기지 환경피해 해결책 관련 최초 사례가 될 것. 협의 진행 과정 및 내년도 본 조사 과 정 및 방법에 대한 면밀한 기록이 하다. - UN 유해독성물질 보고관 방한 당시 보령 주민대책위와의 간담회를 진행하고, 관 련 피해내용을 2016년 보고서에 반영시켜 정부 권고안을 이끌어낸 성과를 얻음.

3. 제주강정 연산호 조사(TFT) 1) 목표 : 군사기지건설로 인한 해양생태계 파괴 및 훼손 문제를 알리고 대안 모색 2) 진행상황과 결과 (1) 연산호 정기모니터링 및 콘텐츠 제작 - 제주 해군기지가 올해 2월에 완공되었으며, 해군 측이 공사 지연 보상금 34억에 대한 구상권을 강정 주민 및 활동가들, 단체에게 청구. - 연산호 조사팀 새로 구성하여 해군기지 영향권에 있는 네 곳(강정등대, 서건도, 범 섬, 기차바위)을 계절별 정기 모니터링(5,8,11월). 강정지킴이, 평화활동가, 주민 연 산호 교육 2회 진행. 연산호 사진 중심의 브로슈어를 제작 중(12월) (2) 정책 대응과 국제연대 - 연산호 TFT 활동으로 기지 해상공사 이후 연산호 군락 파괴, 강정천(은어 서식) 및 해양환경 오염 등에 대해 문제제기, 제주도(지자체)에서 '강정 해역의 해양생태

6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조사'를 강정마을회와 제주도가 협의하는 형태로 진행하고 녹색연합도 협의체에 참 여 중. - 연산호 TFT 활동을 5월 오키나와 평화대행진 및 심포지엄, 10월 일본 환경회의에 서 발표하였으며 11월 오키나와 해상조사팀과 함께 헤노코(미군기지 건설지, 현재 매립공사중단상태) 해역에 대한 공동산호조사 워크숍을 개최함 3) 평가 (1) 연산호 TFT 활동 - 연산호 조사는 아름다운 재단 지원 연속사업(3년차/마지막해)이지만, 올해 조사팀 을 새롭게 구성하면서 진행에 어려움 겪음. 해상공사 전후 비교사진, 영상 자료는 여러 경로(국내외 단체 공유, 언론사 배포, 자체 콘텐츠 제작)로 활용하였으나 방 형구 을 활용한 모니터링 자료 분석 전문가가 국내에 없어(해군 관련 기관 제외) 분석에 어려움 있음. - 국내외 단체 뉴스레터 발송, 국제회의(전쟁저항자그룹, 레인보우헤노코/일본환경회 의, 동아시아미군기지문제해결을위한심포지엄 등)참여하여 연산호 TFT 활동과 자 료 공유. 연대 단체와 지역(대만, 필리핀, 중국)을 확대할 계획. - 지속적인 연산호 TFT 활동으로 인해 강정 해상팀(지킴이)의 자체 해양조사 역량 이 강화됨. 마을 주민과 지킴이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기지 완공 이후의 해양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관심이 커지고 자체 모니터링 필요성 공감. 3년 모니터 링 프로젝트 완료 이후 강정 해상팀, 오키나와 팀의 공동조사와 기록과 보호활동 이어나갈 예정. - 최근 10여 년 동안 제주 해군기지 건설로 발생한 환경 문제 제기(독립적 환경영향 평가, 환경조사, 정책대응 등), 해상공사로 인한 연산호 군락 훼손 조사 및 보호활 동(국제성명 조직, 시민인식 증진) 진행하여 연산호 각종 연구 및 활동 자료, 인적 네트워크를 확보함. 이후 연산호라는 해양생물종과 그 변화상, 해양보호구역 관리 방안에 대한 조사로 방향을 전환해야함. 한반도 주변해역은 해양생태계 아열대화 가 급속히 감지되고 있는데, 천연기념물 제442호인 연산호는 우리나라가 서식 북 방한계선이며, 기후변화 지표종이자 생물다양성협약을 통해서도 주목하고 있는 생 물종이다. 연산호를 통해 연안 해양환경의 변화를 추적하고, 보호대상종들의 관리 방안, 해양보호구역의 문제를 짚어볼 수 있음.

에너지기후팀 Ⅰ. 탈핵 1. 탈핵으로 말 걸기

64


녹색은 다릅니다

1) 목표 : 탈핵 관련 콘텐츠의 정기, 비정기적 생산을 통해 회원 및 대중이 탈핵을 자 신과 가깝게 느끼게 한다. 2) 진행상황과 결과 ① 탈핵툰 : [에너지 바로알기] 2월 ~ 12월 총 11회 제작, 절전소 등 매회 20,000명 이상에게 노출되었음 ② 찾아가는 30km 상영회 : 공동체 상영 총 8회 진행, 상영회 참여 인원 누적 90명 - 성대골 2회, 신대방현대힐스테이트, 녹색연합 신입회원모임, 핵맹전 탈핵예술가모 임, 한살림중서부지구, 녹색법률가모임, 꿈틀학교 등 ③ 기타 : 기후변화로 벛꽃 개화 시기 변화 사례 기사화, 카드뉴스 (총 10회), sns에 기사 공유 3) 평가 - ‘탈핵으로 말걸기’는 탈핵을 문화와 결합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쉽게 이해하게 하는 활동이었음. ‘지역에너지’로 만난 수많은 사람들에게 ‘탈핵’이 스며 들게 하기 위해 성북구 절전소 소식지에 탈핵툰을 고정배치하여 정기적으로 실은 후 이후 절전소 행사에 탈핵 부스가 설치되는 등 탈핵 인식 높아짐. 탈핵 홍보단 등 정보 확산 뿐 만 아니라 탈핵시민 조직 시도해야함. - 30km 공동체 상영 : 에너지자립마을, 학생, 법률가등 다양한 그룹과 상영회 진행, 상영 후 간담회와 설문조사로 탈핵을 이야기하는 자리 가짐. 30km 다음 영상을 기획하여 30km라는 브랜드를 확장시킬 필요.

2. 탈핵연대 1) 목표 : 공동행동, 지역단체 탈핵의제 발굴하여 주민실천과제로 정착 2) 진행상황과 결과 (1) 후쿠시마 5주기 : 마로니에 공원에서 5주기 행사 진행함. 녹색연합이 전체 행사 기 획과 부스총괄을 맡고, 회원팀이 녹색연합 부스 운영을 맡아 진행. 무대발언 등 참 여. (2) 현안대응 ① 기장 주민투표 지원 - 기장군의 해수담수화 수돗물공급문제를 주민들이 반대하면서 주민투표실시하여 투 표 지원. - 투표상황실 지원(김세영), 투표소 지원(3월 18-19일, 8인) ② 신고리 5,6호기 - 6, 7월 원자력안전위원회 건설승인심사 대응활동으로 진행 - 원안위 회의때마다 규탄 기자회견(2주에 1회씩), 카드뉴스 제작, 배포.

6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절전소, 에너지자립마을 10개 마을 조직하여 공동입장문 발표, 기자회견 참석독려, 에너지자립마을만의 별도 기자회견 진행. ③ 후쿠시마 과자 시식 행사 - 주한일본대사관이 2월 21일 왕십리역앞에서 후쿠시마 산 과자시식행사를 하려는 계획을 접하고 보도자료를 내고 성동구청 홈페이지 게시판 항의, 시의원과 담당공 무원 항의전화 조직, 행사장 피켓시위 등을 하여 행사가 취소됨. ④ 원자력안전위원 선출 대응 - 각 단위별 의견서 작성, 에너지자립 마을에서 원자력 안전위원회에 공문발송, 해당 지역 국회의원 항의전화 조직하여 김혜정 위원 재 위 촉 성공. ⑤ 경주 지진, 잘 가라 핵발전소 100만 서명운동 - 기자회견, 성북구·서초구·에너지자립마을들 서명 동참 조직. 3) 평가 - 후쿠시마 5주기 행사는 에너지자립마을, 대안학교 학생들, 현안지역 주민(유성, 삼 척등) 등이 참여하면서 탈핵단체, 활동가들이 서로 격려하고, 활동을 공유하는 자 리가 됨. - 탈핵관련 각종 현안에 절전소, 에너지자립마을들이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고 기자 회견, 성명서 발표, 항의전화 등을 하도록 독려하고 지원하여 성과를 거두었음. 후 쿠시마 과자 시식행사는 취소되었고, 원자력안전위원 선출엔 시민사회의견이 관철 되었음. 에너지자립마을이 대안운동에 머무르지 않고 자연스럽게 현안대응에 참여 하게 되었음. - 경주 지진으로 탈핵이슈에 관심이 커지면서 탈핵 현안이 사회적 성과를 거두고 있 음. 영덕시장의 영덕핵발전소 유치반대 선언, 더불어민주당의 신고리 5·6호기 건설 반대 당론채택 등 - 2014년 삼척 신규핵발전소, 2015년 영덕 신규핵발전소, 2016년 기장 해수담수화 등 핵 시설 에 대한 주민투표가 해마다 진행되고 이 과정에 녹색연합이 실무를 지 원하면서 주민들의 현안대응력을 높임. 삼척, 기장은 핵관련 정책이 국가사무라는 이유로 중앙정부로부터 주민투표 의미를 거부당했으나 소송을 통해 주민투표 대상 정책이라는 사업부 판단을 받음.

Ⅱ. 지역에너지 1. 지자체 에너지전환 1) 목표 - 서대문구 에너지전환 마을 발굴, 네트워크 구성 - 서대문구 에너지상담사 양성, 5명 선발 및 활동 지원 - 기초지자체 에너지전환 민관거버넌스 활동매뉴얼 제작

66


녹색은 다릅니다

2) 진행상황과 결과 ① 서대문구 에너지 전환 - 서대문구 에너지자립마을 담당자와 함께 사업방식 기초 설계 및 초기 셋팅 지원. 에너지자립마을 설명회 기획, 강의, 진행, 11개마을 선정. 에너지자립마을 리더 교육 ② 서초구 나비절전소 - 서초구에 나비절전소 사업 건의, 업무협약 체결 - 서초구 정책의제 발굴을 위한 서초구민 컨퍼런스 기획단 참여, 절전소 발굴을 위 한 설명회, 방문설명, 에너지 특강 진행(3회, 서초동, 양재동, 내곡동), 서초구 전 역(18개동) 통장 에너지교육 진행 / 서초2동 5개 아파트단지 에너지교육 진행, - 에너지(탈핵) 교재 세 권 발간 (내가 쓰는 가전제품 (전력기금이야기), 내가 쓰는 전기는 어디서 오나요? (핵발전소는 친환경일까?), 에너지 자립마을이 되어볼까요? (태양광발전을 둘러싼 논란)) - 자연드림 절전소, 내곡동 절전소 구성 / 초기 목표는 15개소였으나 2개소 구성됨. ③ 서울시 원전하나줄이기 실행위원회 공동체복지분과 참여 - 25개 기초자치구 에너지거버넌스 정책 제안, 25개 자치구 통장교육, 포럼, 에너지 축제 등 자치구 행사 기획 및 참여. 3) 평가 - 서울시 원전하나줄이기 실행위원회 활동은 녹색연합 지역에너지운동 기반을 넓히 는 활동이었음. 에너지자립마을 운영위원, 서울 실행위원회활동을 통해 25개 기초 자치구 활동을 제안하고 실행에 참여. 인적기반을 닦음. - 서초구는 성북구와 다르게 에너지 사업추진과 관련된 조례나 근거가 부재한 상태 임. 관의 담당부서, 담당자의 사업에 대한 관심과 추진력이 높지 않은 상태에서 장 기적 목표를 가지고 진행해야하는 절전소 사업은 한계가 있었음. 그러나 한국의 대표적 에너지 다소비 지역인 서초구에서 실험적 사업으로의 성격을 가지고 접근 하였으며 특강의 경우 특정 요일과 서초구내 지역 안배 등 기존에 적용해보지 못 했던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적용하였음, 생협과의 연대와, 내곡동 주민모임 발굴은 서초구 에너지 활동의 거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됨. 서초구는 건물에너지사용량을 중심으로 사업 모색할 필요가 있음.

2. 성북구 에너지전환 1) 목표 : 대도시의 지역에너지 운동과 시민의 정책참여의 모범적 사례 만들기. 2)진행상황과 결과 * 녹색연합은 2012년 성북구와 업무협약을 맺고 ‘온실가스 없는 성북’ 활동을 공동 진 행하기로 한 바 있음. 녹색연합은 2012년 전체 공무원 교육 및 사업내용 수립 워크숍,

6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2013년 온실가스 감축 성북구민 행동계획 연구 및 타운홀 미팅,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 립(20%), 성북구 온실가스 감축 정책 집행시 가장 활동기반이 되는 구민참여활성화를 위해 성북구에 절전소 사업을 제안, 현재 실행중임(2013-4년 서울시 에너지절약실천지 원사업의 일환으로 성북구 절전소 사업 진행, 2015-6년 성북구 주민참여예산확보를 통 한 성북구 절전소 활동 지원), 2013년부터 성북구와 녹색연합, 절전소 주체들은 거버넌 스를 구성하여 성북절전소 기획과 운영을 공동으로 진행중임. (1) 학교절전소 - 6개 학교(초등 2, 중등 4)가 학교절전소 참여 중. 2015년 주민정책제안컨퍼런스 를 통해 학교 교사들이 제안한 학교절전소 사업이 주민참여예산에 선정됨에 따라 성북구 절전소 사업에 학교활동이 포함됨. 전체 내용 및 연간일정 기획(교육 및 절전), 학교섭외 진행(장곡·정덕초등학교, 한성여중) - 교육 : 3월15일 학교절전소 담당교사 워크숍 기획, 진행, 학교절전소 환경·에너지 수업 기획, 교안개발, 강사교육 - 그린 잡_ green job’ 진로교육_‘사람책’ 한마당 기획, 진행 : 업사이클링, 생태, 에너지를 주제로 진행. 사전준비(전문가 섭외 및 간담회, 프로그램 셋팅), 강사 섭 외, 프로그램 진행 : 약 50여명의 중고등학생 참여 - 에너지 절약통장 기획 제작 (2)성북절전소 ① 진행내용 - 절전소 운영 : 1월~12월, - 현안과 대안 만나기 : 9/29 안산시민햇빛발전소, 당진석탄화력발전소 - 공동체워크샵 : 에너지자립마을 실행계획 수립하기(4/18) - 구민컨퍼런스 : 에너지효율화로 관리비내리기 타운홀미팅(6/17) - 에너지길라잡이 보수교육 : 2월 11일(이상훈_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2월 15일(강 신호_대안에너지기술연구소), 2월 16일~19일/ 23일~26일(에너지드림센터_에너지,기 후변화 전문강사양성프로그램), 8월 9일 참여교육기법 - 절전소 평가 : 절전소 평가보고회 사전 워크숍(12/6)/ 절전소 평가보고회 워크숍 (12/19) ② 진행결과 - 하절기 서울시 에너지절약 경진대회에서 성북구가 최다 수상자 배출(6개 아파트 단지) - 서울국제에너지포럼에서 김영배 성북구 구청장이 절전소 사례 발표 - 절전소별 찾아가는 에너지교육 진행 : 10개 동 (강사파견) 3) 평가 - 절전소장의 동기부여와 역량강화를 위해 현안, 대안지역을 방문(당진석탄화력발전 소, 안산시민햇빛발전소)하여 주민들과 성북구 공무원들의 에너지정의 문제의식과

68


녹색은 다릅니다

태양광발전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킴. 이후 탈핵을 위한 활동에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함. - 2016년 성북절전소 활동의 방향은 점진적으로 관주도형에서 주민주도형으로 운영 주체를 전환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서는 가정 외 다른 부문으로의 확장이 필요했 다. 녹색연합이 3년전 진행한 학교 연계 활동은 한동안 진행되지 않다가 2015년 주민정책제안 타운홀미팅을 통해 학교 교사들로부터 다시 사업이 제안되었다. 이 렇게 확보된 주민참여예산을 활용하여 학교절전소 프로그램을 안착시켰으며 성북 구의 실질적인 성과지표에 학교절전소를 포함시킬 수 있었다. 또한 2017년 성북구 의 절전소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학교절전소 추진기반을 닦는 계기가 되었다. 또 한 절전소장 평가워크숍, 연말성과보고회 등을 통해 주민주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3. 지역에너지교육 1) 목표 : 에너지전환 마을주체 발굴, 지역에너지학교 커리큘럼 및 교재 2) 진행상황과 결과 ① 지역에너지학교 ‘지역에너지운동의 정책화와 제도화’ - 7월 20일~22일, 약 20여명 참석 - 에너지활동가를 위한 지역에너지전환활동 지침서 제작. ②제 4회 도시형에너지생활기술공모전 - 도시형에너지생활기술 공모전은 보다 능동적인 에너지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해 2013년 녹색연합이 서울시에 제안하여 시작한 사업으로 서울에너지생활기술네 트워크 단체들이 해마다 돌아가며 맡고 있음. 올해 4회째. - 응모 92건(5월), 1차심사 9건 선정(6월). 멘토와 함께 제품 개발(6-8월)하여 2차 심사(8월), 시상식 및 전시회(10월,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생활기술의 날 프로그램 (11월) 진행 - 학생위주 응모작이 크게 늘었고(특성화고등학교 수행평가, 에너지수호천사단 초등 학생 응모), 적정기술 활동을 하는 과학교사모임(신과람)과 연계를 맺기 시작함. 이후 학생들의 참여를 넓힐 가능성을 발견함 - 전문가 멘토들이 개발과정에 함께 하며 작품의 기능이나 디자인이 크게 개선되었 고, 이후 상품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음. 보다 적극적으로 응모자가 제품 개발의욕이 있다면 이를 지원할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과제가 제안되었음. 3) 평가 - 지방정부 에너지전환정책 정보교류와 정책발표, 지방정부 협의체 등이 활동 중이 나 지역 시민단체의 활동가 들의 관심이 적음. 이에 지역에너지활동의 확산과 정 책화를 위해 정보제공, 인적교류, 행정과의 거버넌스, 행정 평가등을 진행할 필요

6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가 있고, 올해 지역에너지학교와 지역에너지전환 지침서는 그 시작이었음. - 지역에너지 활동 정보를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정보창구 욕구가 높아 블로그 등 을 개설하여 관련 자료 업로드 중. - 지방정부 에너지전환정책이 속도를 내면서 관련하여 거버넌스 구조에 참여중인 활 동가들이 정보교류와 공동활동 대응을 위한 ‘유니온’ 욕구가 있음. 지역에너지네 트워크, 지역에너지학교와 연계하여 녹색연합의 역할을 고민해야 함. - 광역지자체 기후변화대응 평가보고서, 평가지표, 에너지자립마을 가이드 북등 과거 10여년전에 제작한 보고서들을 현재 변화된 상황을 대입하여 2017년 업그레이드 하고 이를 통해 전국 지방 정부 및 민간 영역의 지역에너지전환활동을 진단해야 함. - 도시형에너지생활기술은 적정기술을 통해 소비자에만 머무르던 시민들을 보다 주 체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에너지 전환에서 기술이 갖는 중요성을 홍보하기 위해 시 작되었으나 시민홍보 역할보다는 적정기술 제작자들의 연대와 활동기반을 안착화 하는데 주로 기여하였음. 4년차를 맞아 적정기술 활동가들은 에너지전환활동에 적 극 결합하고 있고 행정의 관심도 (산업, 일자리 측면으로) 크게 높아져 경기도는 적정기술센터를, 서울시는 일본 비전력공방 후지무라 야스유키박사를 초빙한 교육 센터를 2017년 개소할 예정이며, 연관하여 메이커스페이스가 각 구별로 설립되고 있음. 또한 충남 적정기술 활동그룹이 충남에너지전환 논의 및 실행구조에 적극 결합, 농촌형 에너지자립마을(적정기술을 활용한)에 적극 참여중임.

정책팀 Ⅰ. 설악산케이블카대응 1. 설악산 케이블카 대응 1) 목표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 저지 2) 진행상황과 결과

※아래 활동들은 대부분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국민행동과 연대하여 진행한 활동들임. ① 행정/정책/법적 대응 ▪ 문화재위원회 대응 - 문화재 위원 면담, 문화재위원장 학교 앞 1인시위, 문화재위원회 부결 요청 서명운 동 - 보고서 작성, 문화재위 발표 (7월), 의견전달 : 공문 등 => 결과 : 문화재위원회 2차례 보류. ▪ 환경영향평가 대응

70


녹색은 다릅니다

- 초안 대응 (12-1월): 초안 내용 분석, 문제점 언론보도 등 - 본안 대응 (7-11월): 본안 내용 분석, 문제점 언론보도, 국정감사 등 - 환경갈등조정협의회 구성 요구/ 운영: 국회 성명 조직, 1-5차 협의회 진행 => 결과 : 환경영향평가 절차 지연되었으나, 환경부 절차 강행 보완통보. ▪예산 대응 - 기재부, 문체부 의견전달 - 국회 예결위, 교문위 로비 => 결과 : 2017년 예산 반영 되지 않음. ▪국회 대응 - 국정감사 대응 (환노위, 교문위 등): 환경영향평가 거짓작성 문제 등 => 결과 : 국정감사 시 국회 내 중심이슈로 만들었음. ▪ 법적 대응 - 행정소송 :국립공원계획변경 고시 취소소송 => 결과 : 소송 진행 중 - 형사고발 : 양양군 경제성 보고서 조작 건, 환경영향평가 관련 건 => 결과 : 경제성 보고서 조작(공무원2인 기소되어 재판 중, 군수 검찰 재수사 결정), 환경평가 건 (검찰에 기소) - 피고발 : 원주청 고공 퍼포먼스건, 낙천낙선 운동건, 국회 앞 기자회견건, 양양군 퇴거불응 건 등 => 결과 : 재판 진행 중. ② 현장조사 ▪산양 조사 : 케이블카 노선과 그 주변일대 산양 서식 현황 조사 ▪ 식물/식생 조사 : 케이블카 노선 일대의 식물, 식생 조사 ▪ 매목조사 : 2번 지주 지역 40mX40m 매목조사 =>결과 : 양양군 보고서이 문제점을 밝히는데 있어 적절한 내용을 생산함. ③ 직접행동 ▪ 원주지방환경청 비박농성 - 기간: 1/12일~현재 (녹색연합은 2월초까지 집중하여 운영) - 내용: 부실한 환경영향평가서(초안) 반려 및 갈등조정협의회 개최 요구를 주장하였음. ▪ 원주지방환경청 케이블카반대 고공시위 - 기간 : 1/25일 - 박그림 대표 등 구속영장청구 탄원서 조직 => 구속영장 기각 ▪ 국회&광화문 앞 농성장 - 기간 : 3/14~28일, 3/28~4/27일 - 내용 : 총선 시기를 맞아 케이블카 찬성 후보자들의 낙천낙선요구 및 정당들의 케이블카 입장 표 명 요구 ▪ 7월/8월 문화재위원회 비박농성 - 기간 : 7/26~27, 8/24

7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내용 : 문화재위원들의 엄정한 심의를 촉구, 시민필리버스터 진행 ▪ 환경영향평가서 반려촉구 철야정당연설회 - 기간 : 10/13~14 - 내용 : 거짓환경영향평가서에 대해 국회환경노동위원회가 환경부에 반려 및 법적조치 촉구 ④ 시민/참여캠페인 ▪ 1만인 서명 - 총 서명인수 : 약 13,345 명 (온라인 : 2850명/ 오프라인 : 10,495명) - 오프라인 서명 캠페인 : 설악권 주민들, 산악계, 녹색연합 차원에서 진행 - 설악권 주민들은 서명기한이 종료되었음에도 계속 서명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음 ▪ 신문광고모금 - 총 모금목표액 : 1,000만원 / 달성현황: 약 12,924,784원 - 세부내역 : 오프라인 모금(9,175,185원), 네이버해피빈(1,575,400원), 카카오같이가치(2,174,199 원) - 7/26일자 신문광고게시(경향신문, 한겨례신문) ▪ 1인 시위 & 시민캠페인기획단 - 8월 말까지 국민행동 집행위 단위에서 참여함/ 약 123명 참여 - 산악계와 부천녹색시민모임차원에서만 진행하고 있음 ▪ 천인, 설악에 들다. : 매월 2번째 토요일에 진행 ▪ 천인집중문화제(4/9일) - 매주 진행하던 천인행동을 한 달에 한번으로 전환하면서 천인행동참가자 및 시민 대상으로 문화 제 진행 - 설악산 모자이크 사진 만들기, 컵송 부르기, 카드섹션 등 진행 ▪ 설악산 사진전박그림대표 <설악산 어머니> 사진전(8/11~28) ▪ 함께 걷자, 설악산. - 11월 말~12월 말(또는 1월 중순) 진행 예정 - 걸음 기부어플 ‘빅워크’와 함께 협력해 진행 중 ④ 홍보활동 ▪ 언론대응 - 방송, 신문 등 다양한 언론사에서 꾸준히 언론보도 진행 - 오마이뉴스 기고를 통한 설악산케이블카대응 뉴스 자체 생산 (21건) ▪ 홍보활동 - 뉴스레터/다음카페 : 주 1회, 총 29회발송. 주 평균 14,000여통 발송 : 발송대비 약 87% 성공, 오픈률 약 11%, 클릭률: 약 6% : 다음카페: 회원수 254명 : 설악산케이블카 관련 활동소식/내용 축적 중 - 설악산케이블카 유인물 제작 : 문화재위원회 내용 담은 유인물 제작/인쇄

72


녹색은 다릅니다

- SNS활동 :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케이블카 활동내용 수시 공유 (녹색연합과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 국민행동 페이스북 페이지 활동) : 게시글/카드뉴스/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활동 공유 - 케이블카반대 영상메세지 : 유명인들을 대상으로 케이블카반대 릴레이영상인터뷰 촬영 및 편집 (총 7명) - 카카오 스토리펀딩 <우리 가슴 속에는 그 '산'이 있다> 진행 : 5명의 필진 섭외하여 설악산 관련 이야기와 케이블카반대 목소리를 다양한 방식으 로 담아냄. : 설악산사진전 엽서, 산양티셔츠 등 리워드 상품 발송 : 총 모금액 약160만원 달성 - 제14회 '이곳만은 지키자' 대상 수상 (한국내셔널트러스트 주최)

2. 총선 시기 설악산 케이블카 대응과 그 외 의제 대응 1) 목표 : 총선에서 설악산 케이블카 문제를 이슈화/ 녹색연합 의제들이 중앙당 정책의제로 반영

2) 진행상황과 결과 ① 정책 제안과 로비 ▪ 제 정당에 정책 제안 - 원내 4개 정당과 원외 2개 정당에 대한 질의서 발송 - 질의서에 대한 회신 결과를 기자회견 등을 통해 언론에 공표 ▪ 설악산을 망친 국회 6적 선정해 발표 - 설악산 망친 국회 6적 선정해 기자회견 진행 - 초록투표네트워크, 총선시민연대 등 총선 관련 연대기구와 연계해 낙천낙선 운동 으로 확장 - 대상이 되는 더불어민주당과 새누리당을 대상으로 1인시위 진행 ▪ 초록투표네트워크 차원에서 초록후보를 위한 투표참여 캠페인 진행 - 심상정, 은수미, 김제남, 이유진 등 초록후보를 대상으로 집중 캠페인 진행 ▪ 집중행동 진행(심기준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위원장을 대상으로) - 비례공천을 반대하는 낙천촉구 기자회견 2회 진행 - 더불어민주당 중앙위원회를 대상으로 의견서 전달 =>결과: 선정된 6적 중 배재정, 심기준, 정문헌 등 낙천 3) 평가 ▪ 계획수립시 정한 평가 ① 세부계획에서 수립된 개별 프로그램 이행 여부

7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계획으로 수립한 대부분의 프로그램 진행함. - 현안대응 특성상 시의성에 따라 단기계획을 세워 진행하는 경우 많았음. - 외부적인 상황 때문에 사업의 효과가 제한적이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대응/ 홍보/캠페인 등의 활동을 꾸준히 지속함으로써 사업 지연이라는 소기의 성과를 달성 함. ② 설악산케이블카 사업 중단: - 2016년 12월 현재까지 사업 취소 달성되지 못함. 그러나 사업 지연을 통해서 연내 착공을 하지 못한 상황을 만든 것은 성과라고 할 수 있음. 취소시키지 못한 것은 한 계이나 지연을 시킨 것은 성과임. (* 2016년 12월 28일 문화재위원회에서 케이블카 사업 부결.) ▪ 사업 목표의 적합성 : 설악산 케이블카 사업 취소는 2015년 국립공원위원회 조건부 허가 이후, 녹색연합의 지속적인 활동목표로 적합했음. ▪ 사회적 영향력 : -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건설문제는 환경운동과 한국사회 환경정책 전반에 있어서도 중요한 이슈였음. - 국회 환노위 등에서 2015년에 이어 중요한 환경이슈로 끌어올리는 결과를 가져왔 음. 하지만 다른 많은 커다란 사회적 이슈들이 존재하는 상황이어서, 케이블카 문 제를 사회적으로 보다 확장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음. - 녹색연합을 비롯한 운동주체들이 가지는 사회적 영향력의 한계도 있었음. ▪ 사업 진행과정 - 행정절차 대응 과정에서 계기마다 치밀하게 대응하는 것은 적절했음. - 녹색연합 내부적으로 2015년 TF와 2016년 단일부서 단위를 비교했을 때, 2016년 에 보다 기동성 있게 대응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음. 조직 내 케이블카 자원(인력)배치 등이 적절했다고 판단 함. - 녹색연합 활동가들이 설악산케이블카 대응을 조직공동의 운동과제로 인식하고 활 동하였음. - 연대과정(국민행동/강원행동/설악권대책위)에서 특히 강원지역과의 소통과 협력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음. 그리고 그 중심에는 녹색연합 대표들이 있는 상황에서 녹색연합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했었음. - 연대과정에서 녹색연합의 색깔이 너무 짙은 측면이 있었고, 녹색연합에 과중된 업 무와 부담감이 있었음. - 한편 녹색연합이 연대체의 중심역할을 해야 하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음. 녹색연 합이 인력배치 등에서 많은 역량을 투여한 만큼 연대단위에서 많은 역할을 담당하 는 것은 필요했음. - 캠페인과 같은 활동을 함에 있어서 연대단위가 같이 움직이기 보다는 녹색연합 안 에서 겉도는 상황도 있었음. 활동의 기획 단계부터 연대단위가 같이 시작했으면 동력유지가 더 유리했을 것이라고 봄. - 설악산케이블카 활동을 통해, 현안 문제 해결에 있어서 “연대”의 필요성을 일깨우 는 계기가 되었음. - 설악산 케이블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어서, 1)‘지역(양양)에서의 활동’ 2)‘정부

74


녹색은 다릅니다

국회를 대상으로 한 (정치적)영향력’ 이 부족했음. 정치적 영향력에 있어서는 시민 사회/환경운동 진영의 전체적인 영향력의 한계도 작용했을 것임. 향후 활동에 있 어서 보완/개선이 필요하겠음. 이와 관련하여 (국민행동의) 대표, 집행위원장, 상황 실장 등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예상됨. - 한편, 시민사회/환경운동 진영에서의 녹색연합의 영향력도 부족했음. 시민사회/환 경운동 진영을 설악산 케이블카 반대 운동에 참여하도록 추동하는 영향력이 부족 했음. - 설악산케이블카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활동을 이어나갈 필요가 있음. 보호구역 관 련 대안을 만드는 것이 필요함. 국립공원, 보호지역의 난개발 등의 문제가 구조적 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정책, 법, 제도 개선의 활동을 이어나갈 필요가 있겠음.

Ⅱ. 가리왕산과 평창동계올림픽 대응 1. 가리왕산과 평창동계올림픽 대응 1) 목표 : 가리왕산 훼손 과정을 기록해서 국제스포츠행사 유치로 인한 자연훼손을 중대한 증거로 남 기고, 실질적인 가리왕산 사후복원 기틀마련/무분별한 국제스포츠 행사 유치의 심각성을 시민인식 으로 확산

2) 진행상황과 결과 (1)가리왕산 복원계획 수립과정과 현장 모니터링 ① 가리왕산 복원계획 수립 - 복원추진단 회의안건과 결과 모니터링, 원주환경운동연합, 춘천생명의숲을 통해 소 위원회 활동 모니터링도 별도 진행 - 복원추진단 참여 전문가 충원 관련 : 복원추진단장(상지대 김세현 교수)을 통해 이병천 박사 참여를 안건으로 구체화하고 원주지방환경청과 산림과학원 등 정부기관과 간 담회를 통해 이병천 박사 참여여론 확산하였으나 강원도의 반복적인 반대로 이병천 박사 의 복원추진단 참여는 무산됨 (2) 가리왕산 현장 정기 모니터링 - 2016년1월, 9월 등 2차례에 걸친 현장모니터링 진행(드론을 이용한 항공촬영) - 12월 의원실(김현권의원실), 전문가(수목원, 이병천박사), 언론(경향신문) 등과 함께 이식수목 관리를 중심으로 추가적인 현장모니터링 예정 (3) 보도와 연대활동 - 평창동계올림픽 감사원 감사결과에 따른 입장발표,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장 관 련한 기자회견, 국회의 평창동계특위에 의견서 전달 등 4차례에 걸친 대외적인 입 장표명 - 가리왕산의 이식수목 관리를 중심에 둔 사후관리에 대한 기획보도 준비 중

7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개폐회식장 이전을 촉구하는 시민모임 차원의 기자회견 진행 3) 평가 - 가리왕산과 가리왕산 복원에 관한 모니터링은 꾸준히 진행해서 시청각 자료 등 데 이터를 축적하고 있음. 하지만 가리왕산 복원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 등 활동계 획의 부재로 현재 조건에서 어떤 지점에 집중할지 등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부족함 . - 가리왕산 활동백서는 시급성이 떨어질 수 있으나 운동을 정리하는 차원에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과정임. 다시 계획을 잡아 실행해야 함. - 연대활동으로 진행되고 있는 시민모임 활동력이 역동적이지 않고, 토론회 등 시의 성이 중요한 프로그램의 진행이 더딤. 느슨한 연대활동의 단면이기는 해도 중요한 사항에 있어서는 녹색연합이 더욱 적극성을 가져야 함

Ⅲ. 정책 1. 정책 일반 1) 목표 : 연대를 포함한 녹색연합 정책일반에 관련된 업무 수행 2) 진행상황과 결과 ▪ 성명, 논평 등을 통해 일반적인 녹색연합 입장발표 ▪ 국회 대응을 위한 정책 네트워크 활동 - 국회 대응과 협업구조 마련을 위한 한국환경회의 내 TFT를 구성해 국회의원실과 개별면담과 환경노동위원회 차원의 간담회 진행 - 국정감사 대응을 위한 한국환경회의와 20대 환노위 간 공동워크숍 진행 - 향후 20대 국회대응의 기반을 안정적으로 이어가기 위해 국회 내 환경관련 연구모 임 구성을 추동하고 그와 함께 협업하는 구조를 이어갈 계획 ▪ 국회 대응을 위한 정책 네트워크 활동 - 국회 대응과 협업구조 마련을 위한 한국환경회의 내 TFT를 구성해 국회의원실과 개별면담과 환경노동위원회 차원의 간담회 진행 - 국정감사 대응을 위한 한국환경회의와 20대 환노위 간 공동워크숍 진행 ▪ 반GMO국민행동 참여 - 새롭게 구성된 반GMO국민행동 발족에 참여 - 회의 및 서명캠페인 등 연대활동 참여 ▪ 도시공원일몰제 워킹그룹 활동 - 생명의숲, 환경정의, 녹색미래 등과 함께 도시공원일몰제 문제를 환경단체 차원에 서 대응하기 위해 도시공원일몰제 워킹그룹 구성

76


녹색은 다릅니다

- 전문가(서울연구원, 경기연구원), 국회(민홍철, 이원욱 등 국토위 국회의원), 법조계 (최재홍 변호사), 언론(한겨레신문 음성원 기자) 등과 함께 워크숍 등을 진행해 향 후 대응방향 모색 - 내년 3월 국회 토론회, 언론작업 등을 통해 워킹그룹의 실행프로그램 기획 중 ▪ 박근혜 퇴진을 위한 활동 전개 - 녹색연합 내 사무처장과 정책팀을 중심으로 TFT구성 - 마로니에 공원에서 평일에 시민행동 프로그램 기획해 진행 - 시민사회 전체와 연결점을 형성하고 주말 집중 집회 참여 ▪ 국회의원실 정책연구과제 진행 - DMZ관리법제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과제 진행 3) 평가

- 도시공원일몰제 문제는 도시공원이라 하면 시민들에게 시사점을 쉽기 주지 못함. 시민들과 접점을 강화할 수 있도록 슬로건 자체를 새롭게 해볼 필요가 있음. 도시 생태계의 핵심, 녹지공공성, 기후변화 적응정책으로써 녹지의 중요성 등 도시공원 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며 도시공원일몰제 에 대해 이야기를 할 필요가 있음 - 박근혜 퇴진을 위한 시민사회 활동이 단기간에 끝날 것 같지가 않음. 이에 녹색연 합 차원에서도 TFT의 운영을 기획해서 활동가들 참여를 독려해야 함 - 국회 대응을 위한 활동은 20대 국회내 안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구조를 고민해 서 협업해 나가야 할 것임

2. 녹색연합과 연구소와의 협업구조 마련을 위한 TFT 활동(그린테이블) 1) 목표 : 녹색연합운동을 녹색사회연구소가 상시적으로 지원해서 녹색운동의 이론적, 정책적 역량을 강화. 대부분의 시민사회 연구소들과 마찬가지로 녹색사회연구소가 처한 어려움(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소극적인 연구활동을 할 수 밖에 없는 어려움 등)을 협업으로 극복방안 마련 2) 진행상황과 결과 (1) 그린테이블 참여 - 연구소 운영전반을 공유하고 점검하며 본부사무처와의 정책영역 협업을 위한 정기 적인 회의구조인 그린테이블에 참여 - 최종덕 녹색사회연구소장, 박정운 녹색사회연구소 사무국장, 임성희 연구원, 윤상 훈 사무처장, 정규석 정책팀장이 구성원으로 참여 (2) 공동 프로그램 진행 및 녹색사회연구소의 개별프로그램에 있어 협업 - ‘국내 산림보호지역 관리제도의 한계 및 제도개선 방안’토론회 협업 - 20대 국회 녹색입법 과제 발표(녹색사회연구소, 녹색법률센터, 정책팀 협업구조로 진행)

7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공익법조모임 나우’의 입법 연구과제로 GMO관련 입법연구과제 공동으로 진행(녹 색사회연구소, 녹색법률센터, 정책팀 협업구조로 진행)

3) 평가 - 본부 사무처의 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협업이 구체적인 공통 프로그램으로 진행되 어 긍정적 평가. 그러나 본부사무처가 녹색사회연구소에 재정지원을 진행한 것 이 외에 그린테이블이 현재 녹색사회연구소가 직면한 여러 문제들(재정확대, 외연확대 등)의 해결에 적극적인 역할과 논의를 이어갔냐는 부분은 회의적임 - 향후 본부사무처가 녹색사회연구소의 재정지원을 이어가는 것과 함께 이와 관련한 그린테이블의 구체적인 역할에 대한 사무처 내 논의가 필요해 보임

회원더하기팀 Ⅰ. 회원개발 1. 사업명 : 회원확대 1) 목표 : 녹색연합 활동 가치에 공감하는 후원 회원 증가, 후원회원의 양적 성장을 위 한 잠재후원자 10만 명 확보 2) 진행상황과 결과 (1) 회원확대 캠페인(목표 : 600명/연) ① 거리홍보캠페인 - 2월/3월/4월/6월/9월/10월 총 8회 거리캠페인 진행함 - 설악산 케이블카와 탈핵이슈로 서명을 받아 회원가입 3명, 잠재회원 데이터 1,134 명 확보함 - 신규회원 확대보다는 잠재회원 확대를 목표로 진행함으로써 회원확대 측면에서 한 계를 보였음 - 회원확대를 위한 방법으로 새로운 방법이 제안되지 않는다면 녹색연합 활동 관련 서명보다는 직접회원확대 메세지를 전할 수 있는 역량과 준비를 갖추어 거리캠페 인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② 온라인 회원확대캠페인 - ‘피할 수 없다면 녹색하라’ 캠페인 기획 및 실행 - 시의성 있는 활동 홍보를 통한 회원가입 요청 메시지 SNS 업로드

78


녹색은 다릅니다

- 의미있는 활동성과 홍보를 통한 회원가입 요청 진행 ③ 회원에 의한 회원확대캠페인 - 일정 : 연중캠페인으로 진행함. (4/22~6/30 집중캠페인, 11월 정보변경캠페인과 함께 진행) - 내용 : 카드지갑을 회원 권유 선물로 활용, 목표 인원 100명 대비 현재 총 54명이 회원권유를 통해 신규 가입함.(12월 6일 기준) - 홍보 : 녹색연합 홍보 매체 활용하여 진행함. 상반기 캠페인시 녹색순례등으로 집

-

④ -

-

중하기 어려웠고, 이후 다른 업무로 인해 우선순위에서 밀려 홍보 활동이 계획대 로 진행되지 못함. 평가 : 회원권유에 선물이 동력이 되는 것은 아니나 고마움을 표현하는 선물로 적 절했고, 회원들의 반응도 좋았음. 2016년 권유 회원 중 30대, 40대가 가장 많았 고, 추천대상의 연령대는 다양했음. 권유 회원의 연차는 올해 가입한 회원 10명, 1~2년회원 10명등 신규회원들의 영향력(권유회원의 50%)을 고려한다면 웰컴전화 시 회원 권유를 적극적으로 제안함. 또한 일상에서 접하는 홍보물을 통해 회원권 유 활동을 시도함. (예: 녹색희망 발송 봉투에 회원권유캠페인 노출, 웰컴팩에 동 봉할 회원권유 포스트잇 제작, 1년 감사카드내 체크리스트에 회원권유 항목 추가 등을 활용) 활동가에 의한 회원확대 활동가들의 직접대면으로 목표 인원 270명(활동가1인 10명) 대비 현재 총 120명 이 활동가 권유를 통해 신규 가입함. 활동가 1인 평균 3명 정도임.(12월 6일 기 준) 매달 최고의 활동가를 포상하여 격려하고, 당해연도 가장 많은 회원을 권유한 활

동가 및 팀 회식비 지원등을 통한 포상을 진행함. - 활동가들에게 업무적인 칭찬이라기보다는 당신이 노력해줘서 고맙다라는 메시지를 ⑤ -

전달하고 누군가에게는 팁이 될 수 있도록 활동가들과 사례공유의 기회를 만듦. 탈퇴회원 재후원 요청 일정 : 2016년 6월 15일~ 7월 31일 결과 : 회원가입 16명, 월회비 145,000원 증액 효과, 실통화 대비 회원 가입률 : 5.2% 평가 : 낮은 실통화율(40%), 대상자의 특징에 따른 영향(대상자의 70%가 거리홍 보캠페인을 통한 가입, 대상자의 57%가 20-30대 연령대로 학생이거나 미취업자 가 다수임), 일정의 비효과성(지연되면서 휴가기간 포함)등의 내외부요건이 열악했 음. 그럼에도 2017년에도 탈퇴일 기준 1년 경과 대상자를 선별하여 재후원 요청 및 준회원대상 후원재개를 진행하는 등 연중 업무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함.

(2) 잠재회원 확보 전략 수립 및 실행 - 활동 : 거리서명캠페인, SNS 이벤트 기획, 뉴스레터 구독자, #0422참여요청, 방문 신청자등 - 연 목표 10,000명에서 2,500명으로 수정 변경하고 목표대비 86% 달성. - 뉴스레터 발송 채널 변경 및 내용/디자인 보완

7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페이스북 광고전략은 뉴스레터와 일시후원에 대한 요청을 진행한 후 컨텐츠와 전 략을 수립 중이며 12월 진행 예정임. 녹색연합 회원정보를 활용한 페이스북 광고 활용 계획에 대해서는 부적절하다는 판단을 했고, 다른 방법을 모색 중임. 시민에 게 다가가는 접근에 더 초점이 맞춰진 고민과 기획이 필요함. - 활동 결과 각 유입 채널별 목표가 별도로 수립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 됨. (3) 잠재회원 관계 관리 ① 내용 : 유입채널별, 대상별 후원요청 메시지 발송 - 홈페이지 일시후원자 : 즉시 통화 연결 시도, 뉴스레터 구독과 회원가입 요청. 회 원가입 문자 발송 - #0422 : 2015년 참가자 가입, 지구의날 온/오프 집중 요청, 이후 미진. 전체 참여 자 중 회원비율 26% - 서명 : 서명 관련내용(환영메일)과 회원가입 요청, 펀딩 참여 요청, 뉴스레터 구독. 발송율(정보 정확도) 낮음. - 명함관계자 : 지구의날 회원가입, 후원행사 모금 요청 - 행사 : 관련 행사 문자 홍보, 회원가입 요청, 뉴스레터 구독 - 방문신청 : 현장 회원가입 요청, 뉴스레터 구독. - 온라인이벤트 : 관련 내용 메일과 회원가입요청, 뉴스레터 구독. 전체 참여자 중 회원비율 19% ② 결과 : - 명함은 후원행사 모금 요청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별도 회원가입 요청 TM은 진 행할 수 없었음. - 문자후원은 2015년 참여자 대상에게 회원가입 요청 문자 발송 후 2명이 회원 가 입하는 성과가 있었음. (335명 대비 2명, 0.6%). 월별 관계관리 진행으로 시기를 놓쳐 메일 주소 요청 응답이 낮았음. 휴대전화 번호는 즉각적인 대응이 반응을 높 일 수 있도록 때문에 즉각적인 피드백 고려 필요함. 문자후원 내역 실시간 홈페이 지 연동 불안정. 보완 필요함. - 서명 참여자의 유효성 높일 수 있는 방안 및 관계관리 프로세스를 원활히 진행하 기 위해 플랫폼 변경(스티비)에 대한 계획 필요함. - 문자후원이나 온라인 이벤트등의 참여자중 회원인 경우가 있음. 잠재회원 양적 확 대 측면에서는 더 많은 시민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식, 경로, 내용에 대한 보 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함. - 일시후원과 문자후원은 회원유무를 확인하면 세부적인 전략 수립이 가능할 수 있 다고 평가함. 명함, 서명은 회원유무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활동목표를 데이터 를 확대하는 방법을 확인하는 것으로 할 수 있을 것임. 유입 채널

2016년 수집 데이터 건수 (11/30 기준)

회원 가입 전환

홈페이지 일시후원

29

1

명함

431

1

#0422 문자후원

255

2

80


녹색은 다릅니다

서명

1076

0

행사참여

130

0

방문신청

32

0

온라인 이벤트

192

0

2,145

4

3) 평가 - 회원확대 캠페인 활동은 목표 대비 70% 달성함. - 회원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직접요청(제안된 회원확대방안)과 간접요청(잠재회원대 상활동) 방식을 진행했으나 향후 대면을 통한 직접 요청에 대한 비중을 높이는 것 이 필요할것으로 보임. 회원행사, 강좌기획등을 통한 대면의 기회를 높이고, 이 기 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역량을 키우고, 활동할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잠재회원 데이터 확보와 관계관리 활동은 지속적으로 해오던 활동이었으나 올해 프로세스를 안착시키는 과정에 역량을 쏟음. 꼭 필요한 활동이나 양적확대냐 질적 관리냐등 활동 전략의 차이가 있음. 각 대상별, 관심사별, 유입채널별로 컨텐츠와 요청내용을 다르게 적용하고 꼼꼼하게 데이터 관리를 해야함. 타부서 활동가들의 협력이 보완되고, 프로세스가 안착된다면 입체감있는 활동으로 정립될 것으로 보 임. ○ 2016년 신규회원 현황_ 가입동기 가입동기 거리홍보캠페인

2014년

2015년

2016년

인원

인원

인원

1

-

3

활동가권유

61

126

117

회원권유

36

41

45

지인권유

6

9

13

시민모임

1

2

5

자원활동

16

8

14

행사참여

32

53

29

작아

10

14

9

2

10

7

53

70

78

언론

8

15

17

광고

1

4

9

재가입

61

25

44

기타

42

42

72

330

419

462

출판물 인터넷검색

8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2016년 신규회원 현황_ 가입경로 가입경로 대면 방문

2014년

2015년

2016년

인원

인원

인원

122

101

10

13

101

인터넷

175

241

235

모바일

0

11

69

전화

48

30

43

우편

1

1

1

기타

5

4

0

330

419

462

○ 2016년 탈회회원 현황_ 가입동기 2014년

2015년

2016년

인원

인원

인원

거리홍보캠페인(F2F)

966

563

409

회원확대캠페인

20

29

19

활동가권유

61

79

61

회원권유

40

37

45

지인권유

8

18

9

전화권유

3

3

4

시민모임

7

2

3

자원활동

22

6

7

행사참여

15

16

30

작아

19

18

15

2

6

7

81

71

65

언론

9

12

10

광고

12

3

2

재가입

15

18

18

가입동기

출판물 인터넷검색

기타 계

82

53

49

50

1,333

930

754


녹색은 다릅니다

○ 2016년 탈퇴회원 현황_ 탈퇴이유 2014년

2015년

2016년

인원

인원

인원

경제적이유

391

239

175

개인적이유

228

92

89

타단체후원

77

43

49

해외거주

44

18

28

활동불만족

31

17

8

7

21

10

26

26

25

528

473

370

1,333

930

754

탈퇴이유

지역이관 기타 임의처리 계

Ⅱ. 회원관계 1. 회원관계 1) 목표 - 녹색희망은 격월 주제별로 기획하고, 표현방법에 있어 다양한 방식을 시도함으로 써 좀 더 매력적인 소통통로로서의 역할을 함. - 녹색연합의 활동방향에 관한 회원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이의 객관적 분석을 통해 회원이 직접 녹색연합의 활동과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 - 회원생애주기 서비스의 부분적 보완을 통해 회원만족도를 높이고, 녹색연합의 활 동성과를 공유함. 2) 진행상황과 결과 (1) 녹색희망 - 격월로 해당시기에 적절한 주제 선정: 3월(에너지)/5월(설악산)/7월(4대강)/9월(백 두대간)/11월(군기지) - 회원 소통을 강화하는 장치로 회원들의 행사참여 지면을 늘림. - 설문을 통해 사진과 재정보고를 눈여겨본다는 회원들이 많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해당 호 주제관련 이외의 활동은 활동사진으로 충분히 소개하기 위해 노력하였음. - 해당 주제 담당부서, 작은것이아름답다, 상상공작소와 협력하여 더 다양한 기획으 로 안정적으로 운영됨 - 각 담당파트의 원고와 사진을 전체 맥락에서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담당자가 부 재하여 아쉬운 부분이 남음.

8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2017년에는 녹색희망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회원들을 구성하여 적극적인 소통의 창구로 활용하는 것, 기획 꼭지의 비중을 조금 낮추고 환경 일반에 대한 컨텐츠를 보완,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치(퍼즐,퀴즈, 만평)등을 보완하자는 의견이 있음. (2) 회원생애주기관계관리 - 1년 회원 감사 카드 : 대상 341명, 감사카드 리뉴얼 진행, 반송율 낮음(5명 이하) - 3년 회원 감사 전화 : 대상 546명, 통화 완료 260 (52%), 카드발송 237 (43%) - 5년 회원 감사 전화 : 대상 346명, 통화완료 130 (42%), 부재 170, 카드발송(연락 처부재대상) 5(1.5%) - 10년 회원 감사 선물 : 대상 101명, 손편지, 양말세트, 리플렛등 발송 - 15년 회원 감사 선물 : 대상 329명, 옻칠수저, 감사엽서, 리플렛등 발송함. 하반기 사무처장 편지를 추가하여 발송함. 회원들의 피드백(직접연락, 문자등) 이 더 높음. 3) 평가 - 녹색희망 발행과 생애주기관계관리를 통한 회원소통이 여전히 유의미하나 일방적 인 전달의 측면도 있음. 회원의 참여도를 높이고, 의견을 묻는 과정들이 활동과정 속에 반영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함.

2. 회원행사 1) 목표 : - 행사를 통해 200인 이상의 회원과 오프라인에서 소통함. - 녹색의 가치를 가장 효과적이고 깊이 있게 알릴 수 있는 방법은 대면임. 연차별, 연령별 등 다양한 회원 층별 대면프로그램을 통해 활동가-회원, 녹색연합-회원 관 계를 강화하고 녹색연합 활동의 이해를 높이도록 함. 2) 진행상황과 결과 ① 회원나들이 - 성곽을 따라 이뤄진 생태축, 서울 성곽으로 회원나들이 3회(3월, 6월, 9월) 진행함. - 서울에서 생태 감수성을 높이고 녹색연합-회원 관계를 만들 수 있는 행사로 자리 매김함. - 가족단위등 다양한 연령대 참가자에게 녹색연합 이해를 높이기 좋은, 활동이었음 ② 신입회원모임 - 계절적인 요소를 반영하여 봄(3월), 여름(7월), 가을(10월) 세 차례에 걸쳐 진행함. - 직접 사무실을 방문함으로서, 녹색연합의 활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회원활동가, 회원 - 회원 간의 친밀감과 신뢰를 쌓을 수 있는 시간으로 자리매김함. 녹색연합소개, 활동 이야기와 더불어 진행되는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와 만족도가 높음. - 회원이 비회원인 동반인과 함께 참가하여 그들의 회원가입에 계기가 됨. ③ 송년행사 - 녹색연합의 가치와 잘 맞닿아 있고, 시의성 있는 프로그램인 밀랍초와 천연치약 만

84


녹색은 다릅니다

들기를 통해 회원들의 흥미를 유발. 행사에 대한 만족도 높았음. - 사무실에서 진행함으로써 활동가들의 참여도를 높였고, 회원과 활동가들이 자연스럽 게 섞여 이야기 나눌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관계 형성 및 소통에 적절했음. ④ 현장 출동 - 용산 담벼락투어를 주제로 현장출동 2회(5월, 9월) 진행, 울진 금강소나무숲길은 우천으로 전날 취소함 - 서울/경기 지역 회원수가 많은 본부 행사로 용산 현장은 환경 문제를 직접 만나보 ⑤ ⑥ ⑦ -

고 싶은 회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적절한 장소였음. 어린이자연학교 DMZ 평화생명동산에서 DMZ라는 장소의 특수성을 활용하여 어린이자연학교 진 행하였으며 36명의 회원자녀, 어린이 회원이 참가함. 회원 서비스와 회원확대 계기가 될 수 있는 행사로 참가신청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10년회원모임 10년 후원회원의 고마움을 전하며 함께 식사하는 기회로 삼음. 참석한 회원들에게 10년의 녹색연합 활동의 성과를 공유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음. 언론노출(한겨레 신문 홍보)을 통해 녹색연합과 시민단체후원에 대한 긍정적인 마 인드를 확산, 신규회원확대에도 기여함. (행사참여 2명, 언론을 통한 7명) 회원모임 지원 녹색희망배달부 운영 : 회원 7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녹색희망 50권, 작아 16권을 배달하고 있음. 녹색친구들 : 유일한 회원모임으로 있으며 시산제, 현안대응(설악산천인행동), 후원 행사등을 통해 연대하고 있음.

○ 2016년 회원 행사 참여인원 행사 설악산 천인행동 봄_신입회원모임 설악산 천인행동 현장출동_용산담벼락투어1 회원나들이_서울성곽_백악산 청소년자원활동 현장출동_용산담벼락투어2 10년회원모임 회원나들이_서울성곽_남산 여름_신입회원모임 어린이자연학교 회원나들이_서울성곽_인왕산 가을_신입회원모임 하반기_청소년자원활동 송년행사 합계

진행일

회원

비회원

총인원수

1/30 3/26 4/9 4/23 4/30 5/28 5/28 6/11 6/25 7/2 8/10-12 9/24 10/8 10/29 12/2

6 11 1 4 9 6 2 13 7 13 36 10 9 7 11 145

9 2 1 10 8 13 9 2 8 6 0 11 6 18 12 115

15 13 2 14 17 19 11 15 15 19 36 21 15 25 23 260

8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3) 평가 - 참가자 연령대는 40대> 30대> 20대 순서로 많으며 소수의 50대 참가자 인원이 포 함되어 있음. 송년행사가 다른 행사에 비해 20대의 참가 비율이 낮음. - 회원더하기팀에서 소통하는 경로로는 메일이 가장 높으며, SNS 중에서는 카카오톡 으로 인한 신청자수가 페이스북을 능가함. 카카오톡 이용자 연령대가 넓으므로 행 사 안내 채널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 - 참가신청 경로의 경우 회원들이 행사를 참가하면서 지인과 함께 동행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동반인으로 인한 지인 추천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올해 행사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설문결과 <자연에 드는 행사>, <활동현장>, <체험 활동>,<회원간 친목행사> 순으로 관심이 높음. (신입회원모임의 경우 설문항목이 없었기에 회원간 친목모임에 대한 의견이 추가될 수 있음)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시도를 고민해볼 필요가 있고, 회원들의 관심사별로 모임을 구성, 진행해볼 필요가 있음. - 행사참여를 통한 회원가입의 비율이 전년도 대비 낮은 것은 회원행사외 다른 참여 행사가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으로 보여짐. 비회원들의 참여한 회원행사에서도 회원가입 요청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하고, 이후 관심사별 후속작업 을 통해 회원가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함. - 봄시기에 진행되는 행사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섬세한 대응방안이 필요함.

3. 시민참여 1) 목표 - 자원활동 : 다양한 방식의 자원활동을 기획하여 실행하고 자원봉사 1365와 연계하 여 실질적이고 안정적인 청소년 봉사단체로서의 입지를 마련함. - 방문안내 : 녹색연합을 방문하는 모든 방문자를 대상으로 방문대장을 작성하고, 잠 재회원으로 관리함. 2) 진행상황과 결과 ① 청소년 자원활동 - 기간 : 상반기(5/28), 하반기(10/29) 두 차례 진행함. - 내용 : 녹색연합소개, 기후변화 및 에너지 관련 교육, 밀랍초만들기, 모듬별 캠페 인 준비활동, 에너지절약 실천 홍보캠페인 진행(마로니에공원) - 참여 : 상반기 19명, 하반기 25명등 총 44명의 청소년이 참가함. ② 방문안내 - 홈페이지를 통한 방문신청 건수는 20건(2015년 30건), 기관 단체 방문건수를 제외 하고 46명(2015년 30명)이 방문함. - 환경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들의 방문이 21명으로 비율이 가장 높았고, 과제수행을 위해 대학생뿐만 아니라 초, 중, 고등학생의 개인적인 방문 신청이 있었고, 담당선

86


녹색은 다릅니다

생님을 동반한 단체 방문요구가 있음. 특히, 길음중학교는 2013년 이후 매년 방문 하고 있음. - 수동적인 방문일지라도 녹색연합을 접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적극적으로 응대하며 방문 대장을 작성하여 녹색연합 활동소식을 전할 수 있도록 함. - 방문신청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홈페이지 방문접수 배너는 수정하기로 했으나 다른 배너가 교체되며 진행되지 못함. 총신청건수

실방문자수

회원 가입수

49

46

4

비고 21명이 대학생으로 과제수행으로 방문함

3) 평가 ① 청소년 자원활동 - 1365자원봉사포탈과 연계하여 녹색연합 회원자녀와 청소년회원 뿐 아니라 일반 청 소년들까지 폭넓은 호응이 있었고, 다양한 프로그램기획과 캠페인 진행으로 만족 도 높은 청소년 자원봉사프로그램으로 평가받음. 녹색연합의 활동을 일반시민들에 게 폭넓게 알리는 역할과 신규회원가입의 계기가 되는 것을 기대해 볼 수 있음. - 상반기 참가자들 에 서로 관계를 맺고, 상반기 참가자가 하반기에 친구들과 같이 온 경우 등 만족도가 높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보여짐. 유의미한 자원활동 ② -

에 열망이 있다는 것을 확인함. 단시간 자원활동에 국한되지 않고, 환경 및 시민단체에 대한 관심까지 확장될 수 있는 활동이므로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볼 필요가 있음. 방문안내 시민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전환, 단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적극적인 응대를 하고자 했음. 그러나 업무 우선순위에 비해 과정에 드는 품이 많이 듦. 신청과정과 응대과정을 간소화 할 수 있도록 보완하도록 함. 방문하는 시민들을 만나는데 있어 활동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협 력이 필요함.

상상공작소 Ⅰ. 홍보 1. 콘텐츠 홍보 1)목표 : 온라인 채널마다 영향력 있는 구독자 확보

8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2)진행상황과 결과 - 콘텐츠 기획회의에 따라 콘텐츠 수집, 가공과 발행을 계획에 따라 진행하고자 했 으나 녹색순례 이후 잘 진행되지 못함. 1달에 1개 혹은 이슈의 필요성에 따라 카 드뉴스를 제작하는 정도로 운영함 - “녹색연합 콘텐츠”라는 홍보물의 차별성과 통합성을 마련하기 위해 <일상의실천> 과 논의 후 패턴을 디자인하고 피켓을 제작, 사진촬영을 진행함. 각 부서에서 활용 할 수 있도록 디자인 변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함 - 콘텐츠의 질을 높이고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고민이 더 필요함을 인식하고 페이스북 광고 교육, 유투브 채널 운영 전략 교육, 이메일마켓팅 교육, 구글 애너 리틱스 입문 교육 등 관련 교육에 참여함. 3) 평가 - 콘텐츠 기획회의를 통한 꾸준한 콘텐츠 제작이 이뤄지지 않고 킬러 콘텐츠 제작 역량의 부족으로 구독자 증가라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 녹색연합의 콘텐츠는 무엇인가, 녹색연합의 콘텐츠 구독자는 누구인가, 녹색연합 콘텐츠의 목적은 무엇인가에 대한 방향 설정과 이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전략 없이 단순히 구독자 수를 증가시킨다는 목표를 설정한 것은 부적합했다. 채널의 누적된 구독자 수보다 개별 콘텐츠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실행방안을 사업계획으로 마련했어야 한다. - 사업계획이 치밀하지 못하고 준비는 부족했지만 홍보를 관할하는 역할이 새롭게 생겼기에 시도를 통해서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전망과 발전방향을 그려볼 수 있었다. 녹색연합의 사업이라는 것에 국한하여 홍보를 하는 것이 아니라 녹색연합 이라는 브랜드를 만들어가고 그 신뢰를 쌓아갈 수 있는 방향으로 콘텐츠를 제작하 여 이슈 확산, 일시후원, 회원가입 등의 행동으로 이어지는 전략을 마련해야하겠 다. - 사업을 진행하면서 목표가 부적합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모색하기 위해 필요 한 교육에 참여한 것은 적절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판단이나 이해가 부서 전체에 서 이뤄지기보다는 담당자에게 머무른 한계가 있다. 이는 홍보 업무가 다른 더 급 한 일감에 밀려 제대로 진행되지 못한 부분에 따른 것이다.

2. 캠페인 1)목표 : 캠페인을 통한 시민 인식 확산 2) 진행상황과결과 - 로드킬 제로 캠페인은 남한산성에서 진행하기로 하고 남한산성면사무소와 로드킬 을 줄이는 협약식을 맺음. 남한산성에서 10차례 로드킬 모니터링 진행하여 총 17

88


녹색은 다릅니다

개체를 확인함 - 예술가복지재단의 예술가 파견사업을 통해 로드킬 제로 캠페인을 함께 진행함. 파 견예술인 5인, 시각디자이너 1인이 함께 워크샵과 기획회의를 통해 온/오프라인 캠페인의 내용을 구성 - 온라인으로는 스토리펀딩을 연재하고 예술인들이 제작한 작품들로 스토리펀딩의 내용과 굿즈를 제작함. 오프라인 캠페인은 남한산성면사무소, 지역주민들이 참여하 여 남한산성 내 ‘청와정’ 마당에서 로드킬 제로 캠페인을 진행함. 설문조사 및 로 드킬 문제를 알리는 홍보부스, 예술인들이 만든 작품들을 전시하는 전시부스, 로드 킬 굿즈(키링, 책갈피 등)를 만드는 체험부스 그리고 퍼포먼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들과 소통함. 같은 내용으로 대학로에서 짧은 캠페인을 진행함 3) 평가 - 남한산성면사무소와 협약을 맺고, 예술인들과 함께 기획되어진 캠페인은 온라인으 로는 스토리펀딩을 통해, 오프라인으로는 남한산성과 대학로에서 시민들에게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 시민인식확산에는 어느 정도 달성했다고 봄. 두 차례 거리캠페인에서 400명 정도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온라인 스토리펀딩에 서는 목표액의 140%를 달성하였음. 다만 두 번의 오프라인 캠페인은 조금 아쉬운 면이 있음. 갖춰진 프로그램으로 꾸준히 캠페인을 진행하면 더 효과적일 수 있음. - 남한산성이 로드킬 집중지역이 아니라서 캠페인의 장소선정이 충분한 설득력을 가 지지 못함. . 그럼에도 많은 시민들에게 홍보를 할 수 있는 장소이고, 로드킬은 전 국 어느 도로에서나 일어나기 때문에 남한산성에 대한 이야기와 사업내용을 좀 더 보완한다면 충분히 설득력을 가질 것임. 또한 남한산성면사무소와 협약식을 맺고 하는 첫 사업이라서, 아직 지역의 충분한 지원이 없음. 꾸준히 활동한다면 지역과 의 연계를 통한 캠페인의 영향력이 발휘되리라 생각함. 남한산성면에서 나아가 광 주시와의 협력까지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임 - 현재는 로드킬의 실태와 운전자의 과속방지 등 일차원적인 문제해결에 머물지만, 더 나아가 지역에 사는 야생동물과 생태통로 등 다각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된 다면 사회적 영향력을 좀 더 발휘할 수 있으리라 봄. 광양만 등 지역녹색연합에서 도 로드킬 관련 활동이 있으므로 로드킬 로고와 캠페인 형식을 전국으로 넓혀보는 것도 좋은 방향이라 생각됨

3. 콘텐츠 모금 디자인 1) 목표 - 모금과 홍보, 캠페인이 연계되는 기획 모금을 실행하여 상승효과를 이끈다. - 기업 협력을 위한 매력적인 콘텐츠 모금을 시도한다. - 2016년 활동 경과를 토대로 내년 활동을 위한 연차 별 모금을 시도한다. 2) 진행상황과 결과

8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① 기업협력 모금 - 기존 진행하는 CJ대한통운과 도로공사의 탄소상쇄프로젝트, 카카오 다가치펀드 다 시걷는 백두대간 활동 결과 피드백 진행함. 2017년 사업 진행 논의 남아 있음 - 얼루어 그린캠페인, 소니코리아 아트캠페인 진행하고 야생동물 보호활동 기금 확 보함. 올해 사업 진행 결과 보고와 2017년 진행 논의 남아 있음 - 그 외 목표한 신규 기업협력 아이템 발굴하지 못함. 가능한 리스트 확보와 검토 충분히 실행하지 못함 ② 온라인 진행 - 사업계획 수립 완료 후 부서별 회의를 통해 온라인 모금 가능성 있는 사업 아이템 을 논의하고 결정함. - 같이가치 플랫폼을 통해 산양보호활동, 환경운동가 미디어 교육, 설악산 케이블카 대응, 시민캠페인 4개 활동영역 모금 완료 - 해피빈 플랫폼을 통해 어린이 자연학교, 물고기 이동권, 산양보호활동에 대한 3개 활동 영역 모금 완료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모금 시도함, 빅워크, 캐시카우와 함께 백두대간, 설악산, 멸 종위기야생동식물 보호 모금 시행함 ③ 후원행사 모금 - 협동사무처장 총괄 아래 조직팀, 회원더하기팀, 상상공작소 협업으로 모금과 행사 를 기획하고 실행함 - ‘피할 수 없다면 녹색하라’는 내용으로 1억원 후원행사 모금 기획함 - 본부와 전문기구의 전현직임원, 회원을 중심으로 총 32인의 모금위원을 꾸리고, 직 접 대면을 통해 초청자로서 모금 역할 요청함 - 행사 참석자 후원자 195명, 현직 임원과 본부 전문기구 활동가 43명, 공연관계자 10명 포함 총 248명 참석함 - 12월 현재 후원금 90,938,000원, 총 후원건수 298건 완료됨. 후원약정자 미입금분 은 요청 중지함 - 회원 특별회비와 회비증액 193명 참여함, 12월 현재 회비 한번 더 내기 128명 참 여로 1,918,000원 입금 완료됨, 총 후원행사 모금액은 92,856,000원임. 20주년을 제외하고 역대 최고 모금액 달성함 - 후원행사 후원요청 전화와 행사 참석을 통해 회원가입 8건(김미화, 손상훈, 이규철, 박항주, 신경준, 세무법인동안, 공공미술프리즘) 3) 평가 - 사업부서, 담당자와 적극적인 면담을 통해 모금 가능 아이템을 논의하는 것은 목 표와 미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과정이었음. 앞으로도 모금하기 좋은 아이템 vs. 모금할 수 있는 사업계획 사이의 균형을 잡기 위해서도 모금과 활동영역의 긴밀한 사전 논의는 반드시 필요함. - 얼루어, CJ대한통운, 도로공사, 카카오의 경우 지속적인 소통으로 경과를 공유하

90


녹색은 다릅니다

고, 방향을 논의하고 있음. 다만, 탄소상쇄프로젝트의 경우 모금을 위한 사업으로 활동부서가 없어 적극적인 방향제시의 한계가 있음 - 온라인 모금에서 스토리 펀딩 같이 컨텐츠 홍보와 모금이 결합된 플랫폼의 활용은 매우 고무적임. 잘 기획된 컨텐츠를 다양한 홍보물로 활용할 수 있고, 새로운 인적 자원 유입, 리워드를 매개로 확실한 소통이 가능해 지속적으로 진행할 필요 있음. - 온라인 모금은 포털과 모바일을 활용한 현존하는 강력의 홍보수단임. 그러나 이는 컨텐츠로 잘 가공되었을 때의 효과임. 컨텐츠 고민 없이 사업의 당위성과 사업비 필요성만으로 모금 실행을 계획하는 것은 지양해야 함 - 후원자와 지속적인 소통은 협력기업과 후원행사 후원자를 대상으로 문자, 이메일, 전화, 일부 면담을 통해 진행되고 있음. 온라인은 익명성, 개인정보 활용 동의 등 의 문제로 같이가치 또는 해피빈과 같은 모금 플랫폼을 통한 직접적인 소통은 불 가함. - 기업협력은 모금 인력 부족으로 진행하기 어려움. 기업협력의 경우 정치 이슈를 배제하고 매력도 높은 사업으로 재가공하거나 사업계획을 수정해야 함. 또 실행의 의지도 있어야 함. 모금과 사업파트가 함께 기획부터 진행, 피드백과 리워드, 관계 유지까지 긴밀히 협력해야 함. 그 과정없이 모금 영역에서 단독으로 사업을 견인 해 나가는 것은 불가능함. 얼루어 그린캠페인이 왜 장기 협력 프로젝트로 이어지 고 있는지 시사점을 잘 살펴야 함 ○ 후원행사 모금 - 행사 모금으로 1억원의 목표는 가능성과 현실을 고려한 적당한 수준임. 또한 고액 을 후원하는 기업 후원자를 늘리는 방식이 아니라 소액 개인후원자를 늘리는 목표 역시 단체의 정체성과 역량과 고려한 매우 적절한 방식임. 다만, 개인 후원자 확대 를 목표로 한 10~50만원 후원자수 현실화는 약 87%의 달성율로 어느 정도 현실 화 되고 있으나 20만원 후원자는 목표 대비 56%에 그친데다 수도 지난해 보다 줄 -

-

-

-

고 있어 구체적인 모금전략이 필요함 부정청탁금지법과 최순실 게이트 영향으로 고액 후원하는 기존 기업후원자가 줄었 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후원자 의존도가 높음. 지난해 전/현직 임원들이 추천한 후 원자들이 올해도 이어졌기 때문임. 전/현직 임원들- 현재 기업의 경영윤리 문제가 공론화되는 지금, 녹색연합 후원행사 모금 목표와 방향, 요청수준은 상반기 기획 TF를 통해 논의할 것을 제안함. 모금위원을 통한 모금방식 : 모금위원들의 요청과 홍보 노력이 어느해보다 돋보였 음. 총 후원자 수 289명 중 모금위원이 본인을 포함해 추천한 후원자수는 82명으 로 전체 후원자의 약 28.4%에 달함. 많은 외부 인사들을 모금위원으로 모시고, 그 를 통해 개인후원자를 확대하는 직접적인 노력이 필요함 모금 기획과 실행 : 후원행사 TF가 모금과 행사 기획과 진행에 대한 점검과 논의 로 이끌어짐. 다양한 경험의 시너지를 충분히 내지 못했음. 모금기획 TF는 상반기 별도 구성해 후원행사 모금의 방향과 명분, 모금위원 구성, 후원행사 날짜에 관한 건을 논의 결정하고, 행사 3개월 전에 행사실무팀과 모금실무팀을 별도로 꾸려 실 무를 나누는 것을 제안함. 역할 분담 : 초청자 리스트 작성과 관리, 모금제안서 준비, 프리젠테이션 준비, 많

9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은 실무가 집중되어 상반기 후원행사 기획 TF에서 두 사무처장과, 대표, 조직팀, 상상공작소의 역할을 분명히 나눌 필요가 있음. - 모금 목표 : 기존 후원기업은 큰 변수가 있지 않는 한 후원을 유지하고 있고, 후 원행사를 앞두고 후원의사를 철회하더라도 설득하기 어려움. 기존 후원기업과의 관계는 유지하되 신규 모금 목표는 기업이 아닌 10~50만원 후원하는 개인후원자 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되, 이에 맞는 실행 목표를 잡아야 함.

조직팀 Ⅰ. 인사 1. 활동가교육 1) 목표 - 실질적인 직무역량향상 - 정확하고 세심한 인사기록 관리를 통한 개개인의 커리어 관리 2) 진행상황과결과 - 인사기록카드 교육 내용 보완함. 활동가의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조직에서 적절히 개입하고자 했던 계획은 상반기 평가에서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평가했으며 각각 하고 있는 교육현황 파악에 중점을 두기로 함. - 전체교육으로 환경회의 주최 활동가교육 진행함. - 신입활동가교육, 중견활동가워크숍 진행함. 중견활동가워크숍은 프로그램 기획 심 화 과정으로 계획하였으나, 시기가 늦어지며 목표한 성과에는 미치지 못함. - 스스로프로젝트 6팀(16명) 진행, 오!만원 프로젝트 3팀 진행함, 3) 평가 - 직무와 관련된 실질적인 교육을 목표로 삼았으며, 이에 따른 교육이 진행됨. - 사업계획 수립 시 정했던 평가방법에 따른 평가를 진행하지 못함.(위 참조) - 개별 활동가의 교육/성장을 조직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관리하는 것은 관리를 넘어 활동가들에게 이런 분위기가 전해지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임. 이에 대해 활동가 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평가가 필요함. - 실제로 개별 프로그램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보다 조직이 활동가의 성장에 관심 을 가지고 관여하는 것이 중요함. - 올해는 직무관련 교육만 계획하였으나, 조직문화를 만드는 교육이 필요함. 녹색연

92


녹색은 다릅니다

합이 필요로 하는 조직적 역량, 그 역량을 조직차원에서 키울 수 있는 방법/교육 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운영하는 차원이 아니라 활동가와 조직이 함께 자라고 녹 색연합의 조직문화를 가꿔가는 방향으로 고민해야 함. 그러기 위하여 조직의 사무 처장/협동사무처장이 방향설정의 큰 역할을 맡아주는 것이 필요함.

2. 사업명 : 우리사이상담소 1) 목표 - 우리사이상담소의 실질적인 운영 : 상담소로서의 역할 수행 - 상시적으로 조직 내의 다양한 갈등을 감지하고 조정 2) 진행상황과 결과 - 공식기구로써 상담소운영안을 확정하였으며, 그에 따라 상담소 구성함.(활협추천 1 인, 인사담당추천 1인, 인사담당) - 우리사이 상담소의 사업은 아니나 목표로 한 조직 내의 다양한 갈등을 감지하고 조정하기 위한 활동으로 중견활동가워크숍 진행하였으며 지속가능성평가(보고서) 워크숍 진행 중임. - 정기적인 설문조사 진행하지 않음. 지속가능성평가 과정에서 해당 내용의 설문/워 크숍 진행예정임. 3) 평가 - 우리사이상담소는 조직 내 갈등을 상시적으로 감지하고 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 였음. - 드러난 문제 뿐 아니라, 사소한 갈등이라도 드러내고 이것이 성숙하고 민주적인 조직문화로 발전하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기대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전담자가 아 닌 이상 업무우선순위에서 절대적으로 밀리게 됨. 역량배분, 구성원의 고유 업무 현황을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어려운 목표였다고 평가함. - 상설기구로써 매년 상담소를 구성하되, 역할은 실질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 생했을 때 이에 필요한 활동을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함. 상시적으로 조직문 화를 점검하고 개선하는 역할은 조직팀 고유의 역할로서, 앞으로도 조직팀에서 실 무를 맡는 것이 적합함. - <우리사이 상담소> 내부 평가내용 : 조직문화개선, 갈등조정 창구로써 상담소의 역할은 필요함. : 상담소 구성원이 기존업무에 추가되어 상담소를 운영하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있음. 올해 계획된 사업에서 교육과 워크숍은 조직팀의 고유 업무로 가져가는 것이 적절 함. : 상담소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에 필요한 활동을

9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상담소가 제 기능을 하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고유 프로그램 이 필요함. 상담소 구성원 역시 프로그램이 없을 경우 역할 인지가 어려움. : 조직현황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상담소에서 진행하되, 업무량을 고려해 진행 방법 등은 상담소 구성 후 논의하고, 상담소 활동내용, 활용방법 등을 연초에 전체 활동가 대상 공유할 것을 제안함.

3. 사업명 : 인사노무관리 1) 목표 : - 정확한 업무수행 - 인사담당자 역량강화를 통한 경계 없는 인사관리 : 활동가에게 발생하는 모든 사 안의 1차적 지원 담당 2) 진행상황과 결과 -

연간 계획된 업무 진행됨 업무매뉴얼 보완작성 인사위원회 : 활동가 채용, 녹색휴식년선정, 휴직 심사 수시근로감독 : 활동가복지, 근무와 관련한 각종 서류 보완.

3) 평가 - 인사노무업무는 우선순위 업무로서 실제 업무의 중요도 높으며 시간소요가 상당히 많음. 업무배치, 업무계획수립 때 실질적인 업무량과 소요시간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 - 인사노무관리업무는 시간을 들일수록 완성도가 높아지는 업무임. 인원배치 등을 고려해 한계를 미리 설정하고 공유하는 것이 필요함. - 올해 녹색휴식년, 해외연수 등 녹색휴식년활동가의 복리후생, 휴직자에 대한 관리 등 세심하게 진행되었음. 인사관리에 있어 조직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것은 세세 한 부분들을 잘 챙기는 것에 있다고 보며, 향후 지속적으로 업무방향성을 유지해 야 함. - 사단법인으로써 갖춰야 할 내용들을 상시 점검하고 필요한 부분들을 보완해야 함.

Ⅱ. 조직운영 1. 총무 1) 목표 - 녹색연합발간 주요보고서 업로드

94


녹색은 다릅니다

- 자료관리 가이드라인마련 및 정기점검 - 건물시설 안전점검 방안 마련 및 진행 2) 진행상황과결과 - 녹색도서관 도서목록 정리(상반기 진행 / 연말 진행 예정) - 부서별 관리 물품 목록 정리(연말) - 옥상방수 및 건물 옹벽 견적이후 진행 못함 - 신규 명함발급 / 메일 계정 관리 - 차량 타이어교환/하이패스단말기&블랙박스 설치/네비게이션 교체/브레이크라이닝 수선 - 녹색연합 서버이전 및 관리(아마존) 3) 평가 - 녹색도서관 및 자료실 정리를 상반기(5월)에 진행하였으며 2차(연말) 정리가 필요 함. - 자료 DATA PC 내 사진 및 문서자료 관리 필요함. - 건물 안전대책 관련 예산을 2017년도에는 우선 배정해서 진행할 수 있도록 예산 계획을 짜야 함. 건물 안전은 미리 준비해야하는 사항이므로 2017년도에는 반드시 진행하도록 노력해야함. 2016년 12월 1일 현재 3층 계단 옆 균열 정도는 3mm 로 유지되고 있음. - 총무 분야를 전담하는 활동가가 없는 상태에서 조직팀에서 나눠서 누수 없이 진행 함. 하지만 한계가 있음을 확인함.

2. 협업과 공유 1) 목표 : 협업과 공유 안정화 및 다양성 증대 2) 진행상황과결과 - 2016년 공간 개편 마무리(조직팀 자리 고정, 소회의실 마련, 무선전화기 3기 설치) - 구글 앱스 관리 (계정 관리) - 녹색연합 전.현직 활동가가 함께 하는 홈커밍데이 진행.(2016. 6. 25) 3) 평가 - 15년부터 시작된 공간개편을 마무리함 - 구글 앱스 내 프로그램 중 Gmail과 드라이브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프로 그램을 사용하고 있지 않음. - 2017년도에는 전국사무처국장단회의에서 Hangout으로 화상회의 진행 계획 검토.

9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구글 드라이브에 올라간 자료(회의록 등)의 공유가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는 방 법이 필요함. - 홈커밍데이는 성황리에 진행되었으며 향후 5년 정도 후 시즌2 진행하면 좋을 것으 로 평가, OB활동가들과의 교류를 위한 사업계획을 고려해야함.

3. 사업명 : 지속가능성 보고서 1) 목표 : 녹색연합의 고유목적, 조직건강성, 사업효과성을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평가하 여 이해관계자에게 보고함. 2) 진행상황과 결과 - 지속가능성 체인지모듈 워크숍(5월~10월)에 참여하여 지속가능성평가 과정 학습 - 서울시 NPO 센터의 지속가능성 보고서 주치의 지원사업에 공모하여 선정됨. 보고 서 제작비 200만원과 주치의 지원받음 - 11월부터 지속가능성평가 과정을 알트랩 박정호 대표와 함께 진행 : 지속가능성이 슈선정을 위한 활동가·회원설문조사, 이슈리스트 진단과 대안모색을 위한 워크샵 3 회, 조직문화 강의와 간담회, 이해관계자(회원, 후원자) 인터뷰, 전문위원의 사업보 고 모니터링. - 11월~2007년 1월 지속가능성 평가과정을 거친 뒤 2017년 2월에 지속가능성평가 보고서 발간 3) 평가 - 서울시 엔피오지원센터에서 진행한 지속가능성 체인지모듈 워크숍에 참여하며 조 직내외부의 지속가능성 이슈에 대해 점검하고 조직 내의 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 었음. - 이해관계자분석, 이해관계자별 이슈리스트 설문을 통해 조직이 중요하게 다뤄야 할 이슈로 (1)고유목적-과 조직가치 합치고, 성과연계 (2) 새로운 사업/프로그램 발굴 평가 (3) 프로그램 성과의 모니터링과 평가 (4) 활동가-노동권리, 차별금지, 일과 삶의 조화, 직원의 성장과 자기계발 + 지배구조(의결체계, 소통구조) (5) 재 정운영의 건전성, 회계투명성을 선정함. - 선정된 이슈를 이해관계자와 함께 진단, 평가, 개선해 가는 과정을 통해 조직의 지 속가능성을 높여갈 수 있음.

Ⅲ. 전국조직운영 1. 사단법인

96


녹색은 다릅니다

1) 목표 : 법인 관련 업무 누수없이 진행 2) 진행상황과 결과 - 상반기 사단법인 총회 진행. - 사단법인 관련 행정업무 진행. 3) 평가 - 기존처럼 진행하던 사단법인 업무 외에 사단법인 녹색연합 내 본부와 지부들을 통 합관리 하는 방향을 2017년도에 모색할지 아니면 독립법인으로 진행할 지에 대해 서 TF를 구성하여 워크숍을 진행 예정.

2. 전국조직 1) 목표 : 전국 녹색연합 교류 활성화 2) 진행상황과 결과 - 신년워크숍(1월 7일~8일, 만해마을) - 여름수련회(8월 25일 ~ 26일, 한국여성수련원) 3) 평가 - 기존처럼 진행하던 사단법인 업무 외에 사단법인 내 본부와 지부들을 통합관리 하 는 방향을 2017년도에 모색할지 독립법인으로 진행할 지에 대해서 녹색연합 각 조직이 모여 워크숍을 진행하여 방향을 결정할 예정임. - 홈페이지 리뉴얼로 홈페이지 구성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었으나 목표처럼 교류가 원활하지 않았음.

3. 의결체계 1) 목표 : 의결체계 실효성있는 구성 및 진행, 누수없는 조직운영 및 관련 정보 관리 2) 진행상황과결과 (1) 전국운영위원회 <주요안건> - 2015년 운동 평가 및 결산 심의 / 2016년 운동계획 및 예산 심의 / 협동사무처장 선임에 관 한 건 / 녹색연합 정치참여 가이드라인에 관한 건 / 전문위원 위촉에 관한 건 / 1~2분기 주요 활동보고 / 원주녹색연합 명칭변경에 관한 건 / 농촌진 흥청 GM작물 개발 대응에 관한 건 / 제 7회 정기회원 총회 준비에 관한 건 / 하

9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반기 주요 활동계획 보고 / 3~4분기 주요 활동보고 / 신규지역조직 설립 신청에 관한 건 (2) 중앙집행위원회 (8회 개최) <주요안건> - 2015년 운동 평가 및 결산 보고 / 매월 활동경과 및 계획 보고 / 매월 재정(수입 지출결산, 회원현황) 보고 / 본부사무처 전문위원 위촉에 관한 건(전운위 위임) / 19회 녹색순례 보고 / 전문위원 운영 가이드라인에 관한 건 / 2016년 추경예산안 보고 및 심의/ 전문위원 추가 위촉자 및 대면식 보고 / 공익활동가 사회적협동조 합 ‘동행’ 가입관련 보고 / 2016년 후원행사 모금 기획안 보고 / 25주년 녹색연합 후원의밤 행사 기획안 보고 / 2017년도 활동가 인력변동 예상안 보고 / 25주년 후원행사 모금 결과 보고 (3) 전국사무처국장단회의(6회 개최) <주요안건> - 설악산케이블카 대응 공동행동 제안에 관한 건 / 녹색연합 조직별 운영현황 조사 에 관한 건 / 3% 공동기금 운영에 관한 건 / 지정기부금 단체 등록에 관한 건 / 녹색연합 정치참여가이드라인에 관한 건 / 산악관광 개발 대응 정책 연구 진행상 황 공유 / MRM 사용 비용에 관한 건 / 3% 공동기금 해외연수 대상자 선발에 관한 건 / 원주 녹색연합 명칭변경에 관한 건 / 2016년 중견활동가 워크숍에 관 한 건 / 3% 공동기금 품앗이 공모사업 선정에 관한 건 / 재활용폐기물 유해성 여 부 및 관련 법규 등 규제필요성에 대한 녹색연합의 대응에 관한 건 / 2017년 정 기회원총회 준비에 관한 건 / 3% 공동기금 상반기 결산 보고 / 지정기부금 단체 등록 이후에 관한 건 / 신규 지역조직 설립 신청에 관한 건 / 녹색연합 신년워크 숍에 관한 건 (4) 7회 회원총회 준비 위원회 소집 및 소위 활동 진행 - 총회준비위원회 구성. ○ 위원장 유경희 상임대표 ○ 위원(당연직) 윤상훈 사무처장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박정운 녹색사회연구소 사무국장 ○ 위원(위촉직) 회원그룹 미정 / 전문위원 미정 ○ 실무 본부사무처 이현우 조직팀장, 허승은 회원더하기팀장, 박효경 상상 공작소 팀장 산하 정관개정소위원회 구성 ○ 위원장 김혜애 공동대표 ○ 위원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이소영 녹색법률센터 운영위원, 이 현우 조직팀장 산하 총회운영소위원회 구성 ○ 위원장 윤상훈 사무처장

98


녹색은 다릅니다

○ 위원

양흥모 대전녹색연합 사무처장, 박정운 녹색사회연구소, 회원그룹, 허승은 회원더하기팀장, 박효경 상상공작소 팀장 - 임원추천위원회 구성 ○ 위원장 이상권 인천녹색연합 상임대표 ○ 위원 최종덕 녹색사회연구소장, 정미경 녹색교육센터장, 양흥모 대전녹색 연합 사무처장, 신지선 활동가협의회장, 정명희 본부사무처 협동사무처장 (5) 전문위원 위촉 - 각 부서별 추천과 기존 전문위원 중 후보를 전운위에 보고하고, 중집이 위임받아 전문위원 위촉함. - 실효성 있는 전문위원 제도 운영을 위해 본부 전문위원 운영내규 및 운영계획 수 립함. - 전문위원 위촉 및 대면식 진행함. - 현 전문위원 임기 : 2016년~2018년 12월 이름

소속

활동분야

김영준

국립생태원 동물병원부

야생동물(육상포유류/ 수의사)

오기석

ASAP

행사기획자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시스템학과

백두대간(산림자원, 숲길)

우수영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이원두

커피리닷컴

홍보전문가

최송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백두대간(환경생태, 조경)

최승국

태양과바람에너지협동조합

재생에너지

이유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지역에너지 전문가

김제남

정의당 생태에너지본부

핵, 에너지 정책

남상민

UNESCAP

기후에너지 국제

석광훈

이화여대

에너지정책 전문가

권승문

세종대학교

에너지정책

윤전우

서울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추진반(TF)

도시재생, 건물에너지 전문가

홍기정

(주) 유니원 비티엘

기획 홍보

한상민

협치서울추진단

모금

임상혁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보건환경영역전문가

이병천

산과자연의친구우이령사람들

산림생태

정용철

서강대학교, 체육시민연대

스포츠, 문화

이대택

국민대학교, 스포츠문화연구소

스포츠, 문화

송주영

북센스 대표

홍보/출판/기획

박경화

작가, 녹색연합 OB

홍보/출판/기획

최현명

야생동물

서재철

녹색연합

자연생태

김진홍

중앙대

건설환경공학과

4 대강

3) 평가

9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중집 구성을 보완하고자 함. 회원 및 전문위원 중집위원으로 참가하도록 중집 내 논의와 실무적인 준비가 필요하고 이를 진행 예정. - 전년 대비 올해 전국사무처국장단회의와 전국운영위원회에 지역조직 참석률이 저 조하였음. 참석률을 높여 실효성 있게 진행할 방안 필요.(화상회의_전국사무처국장 단회의) - 조직팀장이 실무로 의결체계를 담당함에 있어서 협동사무처장의 분담이 큰 도움이 되었음. - 의결체계의 회의 내용과 결과를 녹색연합 구성원에게 효과적으로 공유하도록 노력 해야함. 올해는 원활하지 못하였음.

Ⅳ. 재정운영 1. 사업명 : 재정관리/재정보고 1) 목표 - 재정관리 운영 효율화 및 투명성 - 회계결재의 효율성위해 전자결제 방안 검토 - 녹색연합 회계양식 통일성 확보 및 재정보고 정확성 2) 진행상황과결과 -

일상 재정업무와 재정보고 업무 진행. 공익법인 자료공시 진행. 지역조직, 전문기구 회계 처리지침 교육 (회원팀전국워크샵) 환경부 및 세무서 보고 지부 및 법인자료 관리업무 진행

3) 평가 - 지역조직/전문기구 결산내용 취합 및 점검과정에 어려움이 있음. 결산자료를 세무 사사무실에 아웃소싱하지 못하는 조직은 대차대조표 등의 제출이 용이하지 않으므 로 각 조직 현실에 맞는 지원방안이 필요. - 공익법인공시에 기초한 본부와 전문기구와 지역조직의 통합 재무재표 작성을 위한 김종화 감사 협의 및 진행. - 사단법인 운영에 맞는 지역조직/전문기구 재정교육 및 실무지원이 필요함.

100


녹색은 다릅니다

TF - 미디어팀 1)목표 - 전문 작가가 사진제작에 참여하여 콘텐츠의 질을 높인다. - 맞춤별 교육과 기획 콘텐츠 제작으로 활동가 역량을 강화한다. - 미디어 자료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 및 활용을 위한 시스템을 안착시킨다. 2) 진행상황과결과 - 이재구, 김수지, 박효경, 한만형 4인으로 TF팀을 구성함 - 카카오 ‘모두의 IT’ 모금함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520만원 예산을 확보함으로써 소 셜미디어 교육을 년 7회 진행하는 계획을 세움. 드론, 페이스북, 인포그래픽, 랩만 들기, 사진 2회, 영상 1회의 강좌를 역할을 나눠 진행함 - 이재구 활동가는 사진을 촬영하여 녹색희망 사진뉴스와 인스타그램에 연재함 (www.instagram.com/greenkorea) - 영상제작은 정기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상반기에 상상공작소의 콘텐츠 제작사업 과 연계하여 진행했으나 하반기에는 거의 진행하지 못함. 아이맥 구입으로 영상제 작을 할 수 있는 장비를 마련하여 활동가들의 영상편집 업무를 독려함 - 자료화는 구비장비에 차질이 있고 운영방안이 잘 기획되지 않아 실행하지 못했음 3) 평가 - 소셜미디어 교육으로 인해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해와 접근을 높였음. 아직 양 적, 질적으로 늘어나지는 못했으나 꾸준한 활용으로 그 역량을 키워가는 것이 필 요함. - TF단위로 운영되는 것의 한계가 있음. 실제로 예산이 배정되어 있어 꼭 해야만 되 는 소셜미디어교육 외에는 점검이나 진행이 잘 되지 않음. - 하지만 미디어 콘텐츠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특정 부서의 업무로 배정되면 활동 가들의 다양한 참여를 이끌어내지는 못할 것이므로 장단점이 있다. 여러 다양한 부서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접근하고 활용하며,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활동의 내용 을 표현할 수 있는 역량을 높여주는 적절한 운영방식을 찾는 게 필요하다.

TF - 매일녹색팀 1) 목표 - 회원/시민들에게 일상적이고 낮은 문턱의 활동들을 제시하고 녹색실천 방법을 공 유한다.

10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일상 속 녹색 콘텐츠를 아카이빙하고, 쉽게 접근/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2) 진행상황과결과 (1)한 번 해봐요 -일상 속 녹색 실천이 필요한 주제를 선정해 단기 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함 - <계면활성제 안 쓰기 한 번 해봐요> 참가자 모집 : 신청자 16명(비회원 13 / 회 원 3 / 참가 후 회원가입 1) - 오프라인 행사로 천연치약 만들기를 진행한 후 온라인으로 천연치약 사용 과정과 후기를 지속적으로 업로드 -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실천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지만 페이스북 그룹이라는 채널이 가진 불편함과 한계가 있었음. (2) 왜냐면 그 술에는 - 아름다운 재단 ‘변화의 시나리오’ 공모전 제안 - 세부 사업의 기획 방향과 내용을 보완, 확장하여 공모전 제안서를 작성했으나 단 체 중복 신청 제한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함 (3) 일상콘텐츠 - 녹색생활 관련 글을 녹색희망에 기고함 - 0506호 ‘불편한게 뭐, 어때서?’, 0708호 ‘안전하게 치카치카(치약 속 유해화학성 분)’, 0910 ‘혼술시대, 건강하자 아프지 말고(술과 GMO)’, 1112호 ‘그러니 와인 사라지지 말아라(기후변화와 와인)’ 3) 평가 - 생활 밀착형 의제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와 TFT 활동가들의 문제의식이 잘 맞물렸 으나 꾸준히 진행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음 (생활밀착형 의제 : 우리가 먹고 마시 고 입는 것과 관련된 활동. ‘몸’과 심리적 거리가 아닌 직접적 거리가 가까운 사안 에 대한 의제를 이룸) - 목표 자체는 문제해결 또는 문제확산을 위해 적절히 수립 되었으나 TFT의 방식으 로 진행함에 있어 실행에 무리가 있었음 - 본연의 업무에 밀려 계획대로 진행 될 수 없는 한계가 있었음 - 문제 인식에 대한 공감과 확산에 있어 시민 또는 타 단체/매체와 연계할 수 있는 확장성이 확인 됨 - 생활밀착형 의제는 시민참여, 회원 확대를 위한 기회를 적극적으로 확보할 수 있 다는 점에서 녹색연합에 꼭 필요하다고 평가함. - TFT형식이 아닌 본격적인 팀 구성이 구체화 된다면 1차적으로 우리 생활을 변화 시키는 것(계면활성제 안쓰기 등) 뿐 아니라 더 큰 관점에서의 활동(유해화학물질 등 큰 카테고리의 사업)까지 전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함.

102


녹색은 다릅니다

TF - 녹색시민팀 1) 목표 - 생태드로잉 수업을 통해 생태와 예술적 감수성을 높이고 모임을 구성한다. - 책읽는 지구인 프로그램을 통해 정기적으로 환경책을 읽고 대화하는 모임을 구성 하며 격월로 저자와의 대화를 진행한다. 2) 진행상황과결과 ① 생태드로잉 - 2016년 4월 27일~5월7일 제7기 봄 강좌 진행, 19명 참여(회원 7명, 비회원 12명) - 2017년 10월 13일~11월 6일 제8기 가을 강좌 진행, 23명 참여(회원 11명, 비회 원 12명) - 2018년 3월 11일~3월20일 성북동 작은 갤러리, 생태드로잉 작품 전시회 개최 예 정 ② 책읽는 지구인 - 1월 9일 서재철 작가와 ‘지구상 마지만 DMZ을 걷다’ - 3월 29일 이정모 작가와 ‘공생, 멸종, 진화’ 3) 평가 - 녹색시민 영역의 전담팀과 인력이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소한의 계획과 실행 이 이뤄짐. - 생태드로잉 강좌는 8기까지 이어지며 녹색연합의 고정 강좌로 자리매김하였고 회 원과 비회원의 참여도, 만족도가 높은 사업으로 지속되어야 함. - 책읽는 지구인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기획과 실행이 담보되지 않으며 하반기 사업이 진행되지 못함. - 녹색연합은 시민들이 녹색시민으로 성장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여러 접점을 만들어 야 함. 현재 최소한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들을 확장해야 함.

10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전문위원 / 임원 사업결과 평가 녹색연합 2016 사업결과보고 워크숍 _ 전문위원 및 임원 - 참석자 : 이병천, 박경화, 유경희, 한상민, 김제남, 송주영 - 사회 : 정명희 협동사무처장 - 서기 : 문은정, 박효경 ○ 서울시 주요 등산로 조사 사업 - 조사 결과가 서울시의 등산로 관리 업무에 실제 영향을 미치도록 이후 사업연속성 마련 요청. 서울시 내 숲탐방, 나무 탐방 같이 서울시민들이 가까이에서 숲을 느낄 수 있는 프로 그램이 필요함 ○

산양구조센터

- 산양 구조 센터 건립 이후 구조치료에 필요한 예산 부분에 대한 계획 세워야 함. 이 계 획 세우는 데 녹색연합의 역할 필요. (법적, 제도적 지원장치 검토 중) - 지역주민들의 이해를 구하는 과정에 집중해야 함. ○ 사육곰 정책 폐지활동 - 중성화를 선택한 이유에 대한 설명이 부족함. ○ 사업 성과 홍보와 기록 부족 - 녹색연합의 성과를 세상에 제대로 알리지 못함. 울진숲길에 가도 녹색연합의 기여를 확인 할 수 없음. - 울진 숲길 사업에 대한 기록을 제대로 남겨 이후 마을만들기의 교본으로 사용해야 함 - 사업 성과를 세상에 알리는 것은 회원가입과 시민참여로 연결된 지점이므로 중요하게 다 뤄야 함. - 단체가 제기한 의혹들이 사실로 드러남. 우리 생각 우리 가치를 가지고 직접 이야기해야 함. 완벽하지 않아도 시민에게 직접 전달하는 기회를 더 많아야 함. ○ 시의적절한 활동의 부족 - 청와대 샥스핀 논란처럼 사회에서 환경문제와 연결짓는 이슈가 떠오를 때 경우 바로 단 체의 입장이 나와야 함. 시기 적절한 개입도 환경단체의 역할임. - 시국의 흐름에서 녹색연합의 역할, 녹색연합의 메시지가 드러나야 하는데 부족함. - 녹색연합의 사회적 영향력을 높이는 활동이 더 필요함. ○ 국제연대 - 환경문제는 글로벌하다. 글로벌한 주제로 우리 활동을 어떻게 접목시킬지 고민해야 할 시 기이다. 백두대간은 남북이 나뉘어져 있어 남쪽만 했는데, 조금 과감하게 진출해서 백두대 간 문제를 국제적인 문제로, 유네스코에 등재한다든지, 우리가 갖고 있는 주제를 국제적으 로 가져가고 그러기 위해 활동가들의 국제적인 연대 역량을 키울 수 있게 해야 함.

○ 에너지기후변화 분야

104


녹색은 다릅니다

- 정책이 자연생태 영역에 집중되어 있음. 에너지기후 영역쪽 정책 역량이 강화되어야 함. ○ 4대강 사업 -

어류 이동에 촛점을 맞추어 활동하는 것은 의미가 있음. 보로 인한 어류이동 제한은 누

구나 아는 사실이며, 좀더 구체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함. 자연화를 위한 보 철거는 어떤 보 부터 철거할 것인지, 우선 순위가 무엇이고 어떤 방향으로 재자연화 할 것인지 고민이 있 어야 함. <DMZ> - DMZ 관련 활동에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활동으로의 모색이 필요함. 녹색연합은 다 년간의 활동을 통해 국내에서 DMZ 관련 가장 많은 지식과 경험을 구축하고 있는 시민단체 로 이와 같은 역량을 연구사업 외에도 앞으로 활동의 폭을 교육, 참여, 답사 등으로 확대하 고 군부대의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활동과도 연계하는 것이 필요함. ○ 생활이슈 - 녹색연합 이슈가 일상생활로 더 들어와야 함.

일상생활 이슈를 중요하게 다뤄 회원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야 함. ○ 사업평가방식과 내용 - 정성적 평가는 잘하는데 정량적 평가는 없음. 한 페이지로 잘 정리된 도식화 자료가 시 민들이 이해하기 더 쉬움. - 평가서를 보면 각각의 팀이 각각의 일을 하고 있음. 서로 협업하는 모습이 평가서에 담 겨야 함.

박근혜 탄핵 시국에 녹색연합은 어떤 역할을 할 것이며 어떤 메시지를 줄 것이

- 녹색연합이 우리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냐를 한 눈에 볼 수 있었야 함. 우리 사회가 어 떻게 변했는지, 그 변화에서 녹색연합이 무엇을 했고 하는 것이 평가에 담겨야 하고 그 점 을 홍보해야 함. 회원들은 그 언어로 이해할 수 있음. - 실시간으로 소식을 받을 수 있는 시대다. 활동 결과, 성과를 주기적으로 알려야 함. 시민 들에게 바로 피드백 받아야 한다. 활동은 모두 동영상으로 제작한다, 기록한다는 원칙을 세 우고 성과의 지표로 삼아보자. 나중에는 하나의 다큐가 될 수 있다. ○ 조직운영 - 십대 이십대와 어떻게 함께 할지 고민해야 함. 지지자 그룹, 십대 청소년 그룹, 미래를 함께 할 파트너쉽을 가져야 함. 그렇지 않으면 노쇠한 조직으로 간다. 노쇠한 조직의 단점 은 완결구조를 가져야만 내보내는 것. 과정을 내보이는 것도 필요함. 그럴 때 생동감이 있 기도 하다. 변화를 가져와야. 너무 무거운 조직, 안심할 수 있어야 진행되는 것이 아쉽다. 가볍고 생동감 있는 활동이 필요하다.

10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감사 보고

운동감사 보고 회원 및 전국운영위원회 귀중 2016년 말부터 시작된 박근혜 게이트는 우리나라의 현재와 미래를 좌우할 중대 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이게 나라냐’고 한탄하면서 추위에도 불구하고 매주 주말마다 촛불을 들고 거리에 나섰고, 촛불 민심의 힘으로 드디 어 박근혜를 탄핵하고 말았습니다. 이제 바야흐로 촛불 혁명이 일어나야 할 때입니다. 적폐를 청산하고 건강한 정 권을 세워야 할 일입니다. 환경 분야에서도 촛불 혁명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우선 이명박 정권이 파괴한 4대강은 기필코 복원되어야 합니다. 드디어 4대강 재자연화의 여건이 도래했다고 봅니다. 녹색연합은 2016년도에 물고기이동권보 장투쟁 및 기억하고 함께하기 운동 등을 통해 4대강 재자연화사업의 불을 지펴 온바, 앞으로 4대강 재자연화포럼의 간사 단체인 녹색연합이 4대강 재자연화 운 동에 적극 앞장서서 나갈 것을 기대합니다. 백두대간의 통합데이터 구축 등 생태축 복원 활동과 산양구조치료센터 건립 활동 등 야생동물보호활동, 비무장지대 교육프로그램 수립 등, 환경부 사육곰 중성화 프로그램 모니터링 등 생태계 보호활동에서 그간 녹색연합이 이룩한 꾸 준한 성과는 2016년에도 괄목할 만한 분야입니다. 앞으로도 더욱 알찬 활동이 기대됩니다. 최근 법원은 1심에서 월성1호기 수명연장를 취소하는 획기적인 판결을 선고 하였습니다. 이제 탈핵운동이 탄력을 받을 수 있는 결정적 계기가 마련되었습니 다. 녹색연합은 지역차원 및 일상차원에서 꾸준히 탈핵운동을 전개해 온바, 앞 으로도 이를 바탕으로 탈핵운동의 최전선에서 활발한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합 니다. 녹색연합이 2016년도에 거둔 가장 큰 성과는 설악산케이블카 사업을 저지한 것입니다.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앞두고 문화재청 앞에서의 무기한 농성과 홍 보활동 등 전방위적 압박의 결과로 문화재위원회 심의에서 문화재 현상변경안에 대하여 부결의 결과를 가져온 것은 녹색연합의 지대한 공로라 할 것입니다. 백

106


녹색은 다릅니다

두대간을 보호하기 위한 녹색연합의 열정과 헌신에 아낌없는 찬사를 보냅니다. 미군기지의 환경오염문제, 보령공군사격장 문제, 군사기지건설로 인한 제주강 정연산호의 해양생태계 파괴에 대한 대응활동 등 분야에서도 녹색연합의 두드러 진 활동이 돋보인 한 해였습니다. 이런 성과들을 계속해서 쌓아나갈 필요가 있 습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회원 확대 목표의 상당부분을 달성한 점과 기부금 모금은 높이 평가할 만한 일입니다. 한편 녹색연합의 2016년도 활동가교육은 일정한 성 과를 이룬 부분도 있으나 활동가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개발이 더욱 필요합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의 파급력에 비추어 녹색연합이 소 셜미디어 콘텐츠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을 꾸준히 펼쳐나가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17년, 너무도 중요한 한 해입니다. 박근혜 게이트를 통해 드러난 사회 곳곳의 부패를 뿌리채 뽑아내야 할 의무가 시민사회단체의 어깨 위에 놓여 있습니다. 다른 어느 해보다 더 높은 긴장감을 가지고 환경 분야에서의 진정한 민주주의를 이룩할 수 있도록 녹색연합 동지들의 꿋꿋한 투쟁을 기대합니다.

2017년 3월 1일 감 사·변 호 사

이 영 기

10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회계감사 보고

회원 및 전국운영위원회 귀중 본 감사인은 사단법인 녹색연합 본부사무처가 201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 월 31일까지의 기간에 생명존중·생태순환형 사회의 건설·비폭력 평화의 실현· 녹색자치의 실현을 위하여 자금의 집행과 수지 운영의 적정성 여부를 검증하 고, 동기간의 수입·지출 결산서, 재무상태표, 운영성과표 및 부속명세서를 감사 하였습니다. 본인은 감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회계감사기준을 준용하여 증빙대조 등 필요 한 감사절차를 이행하였으며, 감사 중 발견된 사항은 재무제표에 수정 반영 되 었습니다. 본 감사인의 의견으로 사단법인 녹색연합 본무사무처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의 수입과 지출을 적정하게 집행하고 있으며, 별첨의 재 무제표는 동 회계연도의 수입과 지출 상황, 자산 및 부채 상태 및 운영 상황을 사단법인 녹색연합 본부사무처의 정관 및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원칙에 따 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습니다.

2017년 3월 1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로 285-1 무림빌딩 3층 감 사·공 인 회 계 사

108

김 종 화


녹색은 다릅니다

2016년 결산보고016년 결산보고

2016년 결산 보고

10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결산서 제 26 기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단법인 녹색연합 본부사무처 과

Ⅰ.수입총계 [1]사업수입 1. 기부금수입 2. 시민참여운동수입 3. 자연생태보전운동수입 4. 연안생태계보호운동수입

( 단위 : 원 ) 예산액

집행액

증감액

1,502,972,520

1,615,837,349

112,864,829

1,237,780,000

1,338,100,819

100,320,819

1,042,480,000 14,500,000

1,125,035,231 16,079,239

82,555,231 1,579,239

22,600,000

26,911,669

4,311,669

0

400,000

400,000

5. 야생동물보호운동수입

40,000,000

61,621,924

21,621,924

6. 군기지환경감시운동 수입

34,900,000

30,012,718

(4,887,282)

7. 접경지역보전운동수입

50,000,000

48,185,599

(1,814,401)

8. 에너지기후변화대응운동수입

25,000,000

29,854,439

4,854,439

8,000,000

0

(8,000,000)

10. 홍보운동

300,000

0

(300,000)

[2]사업외수입

12,040,000

18,135,787

6,095,787

1. 녹색순례수입

2,000,000

2,310,000

310,000

2. 잡이익(출판인세포함)

5,000,000

9,624,597

4,624,597

9. 정책운동수입

3. 이자수입

40,000

73,350

33,350

5,000,000

6,127,840

1,127,840

4,757,525

11,205,748

6,448,223

1. 예수금

0

2,455,665

2,455,665

2. 미수금

1,897,600

1,699,840

(197,760)

3. 단기대여금

2,760,200

2,760,200

0

99,725

0

(99,725)

0

4,290,043

4,290,043

[4]전기이월액

248,394,995

248,394,995

0

1.전기이월액

248,394,995

248,394,995

0

1,502,972,520

1,366,756,426

(136,216,094)

534,720,000

502,825,734

(31,894,266)

39,400,000

35,358,042

(4,041,958)

229,970,000

211,977,898

(17,992,102)

42,700,000

49,481,778

6,781,778

3,300,000

4,164,528

864,528

5. 야생동물보호운동비

31,500,000

31,372,494

(127,506)

6. 군기지환경감시운동비

30,550,000

28,521,390

(2,028,610)

7. 접경지역보전운동비

38,000,000

35,777,974

(2,222,026)

8. 에너지기후변화대응운동비

61,200,000

60,010,050

(1,189,950)

9. 정책운동비

34,400,000

32,887,000

(1,513,000)

14,200,000

10,440,560

(3,759,440)

4,500,000

2,834,020

(1,665,980)

4. 지부 및 지역분담금수입 [3]자산부채수입

4. 선급금 5. 감가상각누계액

Ⅱ.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기부금개발비 2. 시민참여운동비 3. 자연생태보전운동비 4. 연안생태계보호운동비

10. 홍보운동 11. 대외협력비

110


녹색은 다릅니다

12. 예비비

예산액

집행액

증감액

5,000,000

0

(5,000,000)

823,591,427

807,567,797

(16,023,630)

662,380,000

646,481,998

(15,898,002)

2. 복리후생비

51,500,000

53,951,586

2,451,586

3. 교육훈련비

22,900,000

27,674,726

4,774,726

4. 회의비

12,500,000

9,737,250

(2,762,750)

5,000,000

6,868,095

1,868,095

6. 여비교통비

500,000

752,469

252,469

7. 통신운반비

4,000,000

2,214,435

(1,785,565)

8. 차량유지비

3,000,000

2,263,400

(736,600)

9. 수도광열비

7,000,000

4,242,914

(2,757,086)

10. 수선비

5,000,000

929,700

(4,070,300)

11. 자료비

1,000,000

778,712

(221,288)

12. 접대비

1,000,000

315,200

(684,800)

13. 세금과공과

2,000,000

1,313,640

(686,360)

14. 지급임차료

8,100,000

11,206,274

3,106,274

15. 지급수수료

6,500,000

5,072,415

(1,427,585)

16. 보험료

2,000,000

1,854,100

(145,900)

17. 전산운영비

5,000,000

8,351,660

3,351,660

18,000,000

15,307,100

(2,692,900)

711,427

122,080

(589,347)

5,500,000

3,840,000

(1,660,000)

[2]운영비 1. 인건비

5. 사무용품비/소모품비

18. 지역조직지원비 19. 잡비 20. 기부금 21. 감가상각비

0

4,290,043

4,290,043

500,000

0

(500,000)

0

0

0

500,000

0

(500,000)

[4]자산부채지출

144,161,093

56,362,895

(87,798,198)

1. 미지급비용

105,906,480

55,590,395

(50,316,085)

[3]사업외비용 1. 이자비용 2. 잡손실/유형자산처분손실

2. 예수금

38,254,613

(38,254,613)

3. 소모품

0

772,500

772,500

Ⅲ.차기이월액

0

249,080,923

249,080,923

11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결산서 제 7 기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광양만녹색연합 과

(단위 : 원 ) 예산

집행

82,629,064 61,260,000 32,760,000 10,000,000 16,500,000 2,000,000 0 20,000 20,000 5,000,000 5,000,000 16,349,064 16,349,064 82,629,064 43,524,064 5,000,000 12,000,000 9,500,000 8,000,000 500,000 5,000,000 2,500,000 1,024,064 예산 39,105,000 1,200,000 1,600,000 1,800,000 400,000 2,000,000 1,000,000 3,000,000 1,000,000 2,000,000 500,000 22,000,000 2,000,000 605,000 0 0

76,368,649 59,999,420 29,680,000 10,986,000 17,230,000 1,000,000 1,103,420 20,165 20,165 0 0 16,349,064 16,349,064 62,246,068 28,873,488 3,074,570 6,482,120 8,761,210 7,772,268 54,000 0 2,729,320 0 집행 31,372,580 120,000 1,596,170 1,800,000 363,000 0 316,910 1,688,670 736,580 665,000 265,150 22,200,000 1,238,700 382,400 0 0

(1,260,415) (1,260,580) (3,080,000) 986,000 730,000 (1,000,000) 1,103,420 165 165 (5,000,000) (5,000,000) 0 0 (22,382,996) (14,650,576) (1,925,430) (5,517,880) (738,790) (227,732) (446,000) (5,000,000) 229,320 (1,024,064) 증감 (7,732,420) (1,080,000) (3,830) 0 (37,000) (2,000,000) (683,090) (1,311,330) (263,420) (1,335,000) (234,850) 200,000 (761,300) (222,600) 0 0

[4]자산부채지출

0

2,000,000

2,000,000

1. 보증금 3.차기이월액

0 0

2,000,000 14,122,581

2,000,000 14,122,581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회비수입 2. 후원수입 3. 교육사업수입 4. 행사수입 5. 기타수입 [2]사업외수입 1. 이자수입 [3]자산부채수입 1. 보증금 [4]전기이월액 1. 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교육사업비 2. 회원사업비 3. 숲습지생태교육 4. 섬진강두꺼비보호활동 3. 백운산보호활동 4. 생태보전보호사업비 5. 연대사업비 6. 예비비 과 목 [2]운영비 1. 시설관리비 2. 제세공과금 3. 임차료 4. 회원관리비(mrm 비용) 2. 비품비 3. 사무용품비 4. 복리후생비 5. 회의비 6. 경조사비 7. 도서구입및인쇄비 8. 급여 9. 여비교통비 10. 지급수수료 [3]사업외비용 1. 잡손실

112

증감


녹색은 다릅니다

수입 · 지출 결산서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대구경북녹색연합 과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일반회비 2. 후원회비 [2]영업외수입 1. 이자수입 2. 기타수입 [3]자산부채수입 1. 미수금 [4]전기이월액 1. 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회원사업비 2. 생활환경운동비 3. 교육사업비 4. 생태보전사업비 [2]운영비 1. 인건비 2. 복리후생비 3. 사회보험부담금 4. 교육훈련비 5. 사무용품비 6. 여비교통비 7. 통신운반비 8. 수도광열비 9. 임차료 10. 전산운영비 11. 지급수수료 12. 세금과공과 13. 도서구입및인쇄비 14. 잡비 [3]영업외비용 1. 수수료 2. 3%기금 [4]자산부채지출 1. 미지급비용 3.차기이월액

(단위 : 원 ) 예산 128,437,270 122,000,000 102,000,000 20,000,000 0 0 0 0 0 6,437,270 6,437,270 131,934,770 47,000,000 12,824,900 27,175,100 3,000,000 4,000,000 84,075,570 56,500,000 1,600,000 5,000,000 3,000,000 3,858,070 3,000,000 1,240,000 1,600,000 4,850,000 973,500 1,874,000 130,000 150,000 300,000 780,000 60,000 720,000 79,200 79,200 (3,497,500)

집행

증감

104,356,480 97,864,900 79,145,000 18,719,900 2,296 2,296

(24,080,790) (24,135,100) (22,855,000) (1,280,100) 2,296 2,296 0 52,014 52,014 0 0 (30,511,912) (22,424,606) (5,510,750) (14,049,974) (1,283,112) (1,580,770) (8,827,306) (4,164,603) (112,080)

52,014 52,014 6,437,270 6,437,270 101,422,858 24,575,394 7,314,150 13,125,126 1,716,888 2,419,230 75,248,264 52,335,397 1,487,920 6,880,800 2,000,000 1,512,310 915,690 822,147 1,351,440 4,850,000 1,073,500 1,611,560 62,500 340,000 5,000 1,520,000 0 1,520,000 79,200 79,200 2,933,622

(1,000,000) (2,345,760) (2,084,310) (417,853) (248,560) 0 100,000 (262,440) 190,000 (295,000) 740,000 (60,000) 800,000 0 0 6,431,122

11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결산서 제 26 기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대전충남녹색연합 과

(단위 : 원) 예산

집행

증감

1.수입총계

383,112,698

406,655,449

23,542,751

[1]사업수입

326,550,000

319,525,494

(7,024,506)

1. 회원회비

138,000,000

135,706,589

(2,293,411)

2. 후원회비

4,000,000

2,391,240

(1,608,760)

3. 후원행사

55,000,000

50,423,231

(4,576,769)

4. 기획사업

5,500,000

6,726,485

1,226,485

5. 참가비

9,200,000

10,932,000

1,732,000

5. 생태도시

32,200,000

42,665,000

10,465,000

6. 4 대강사업대응운동

6,000,000

4,360,720

(1,639,280)

7. 야생동물보호운동

5,150,000

0

(5,150,000)

8. 에너지기후변화운동

31,500,000

24,400,000

(7,100,000)

9. 교육사업

40,000,000

41,920,229

1,920,229

500,000

9,165,160

8,665,160

500,000

7,365,160

6,865,160

2. 고용지원금

0

1,800,000

1,800,000

3. 협동사무처장활동지원비

0

0

0

0

21,902,097

21,902,097

1. 퇴직적립예치금

0

18,019,877

18,019,877

2. 비품

0

3,882,220

3,882,220

56,062,698

56,062,698

0

56,062,698

56,062,698

0

2.지출총계

383,112,698

366,350,752

(16,761,946)

[1]목적사업비

182,723,579

151,928,988

(30,794,591)

1. 회원사업

22,450,000

19,016,394

(3,433,606)

2. 후원행사

5,500,000

4,300,040

(1,199,960)

3. 생태도시

21,588,000

32,335,581

10,747,581

4. 4 대강사업대응운동

6,000,000

2,499,794

(3,500,206)

5. 야생동물보호운동

5,150,000

572,636

(4,577,364)

6. 에너지기후변화운동

55,535,579

40,365,332

(15,170,247)

7. 교육사업

59,000,000

44,154,874

(14,845,126)

1,000,000

930,305

(69,695)

500,000

209,400

(290,600)

6,000,000

7,544,632

1,544,632

186,326,100

211,805,333

25,479,233

1. 사무용품비

4,000,000

2,260,858

(1,739,142)

2. 전화통신비

1,800,000

1,055,455

(744,545)

3. 차량유지비

1,750,000

1,046,880

(703,120)

600,000

607,500

7,500

2,000,000

2,830,950

830,950

[2]영업외수입 1. 기타수입

[3]자산부채수입

[4]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8. 하천보전운동 9. 현안대응 10. 연대운동 [2]운영비

4. 자료비 5. 세금과공과

114


녹색은 다릅니다

과 목 6. 임차관리비

예산액 11,880,000

집행액 12,017,500

증감액 137,500

1,500,000

745,260

(754,740)

8. 업무추진비

500,000

1,199,000

699,000

9. 교육훈련비

4,000,000

6,590,610

2,590,610

128,796,100

144,559,430

15,763,330

12,700,000

10,160,000

(2,540,000)

12. 기타인건비

0

200,000

200,000

13. 사회보험료

12,000,000

14,737,630

2,737,630

14. 명절비

3,200,000

3,400,000

200,000

15. 휴가비

1,600,000

1,800,000

200,000

16. 감가상각비

0

3,882,220

3,882,220

17. 퇴직금

0

4,712,040

4,712,040

5,353,019

2,616,431

(2,736,588)

1. 기타지출

5,353,019

2,616,431

(2,736,588)

[4]자산부채지출

8,710,000

0

(8,710,000)

8,710,000

0

(8,710,000)

0

40,304,697

40,304,697

7. 회의비

10. 급여 11. 상여금

[3]영업외비용

1. 퇴직적립예치금 3.차기이월액

11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결산서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광주전남녹색연합 과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회비수입 2, 후원금 3. 회원사업수입 4. 교육사업수입 5. 자연생태수입 6. 에너지전환수입 7. 연대활동수입 [3]사업외수익 1. 기타수입 2. 이자수입 3. 판매수입 [4]자산부채수입 1. 미지급급료 2. 미지급퇴직금 [5]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회원사업비 2. 교육사업비 3. 에너지운동 4. 자연생태보전활동 5. 연대사업비 6. 예비비 [2]운영비 1. 인건비 2. 상여금 3. 복리후생비 4. 업무추진비 5. 임차료 6. 제세공과금 7. 통신비 7. 수선비 8. 사무용품비 9. 지급수수료 10. 회의비 11. 사회보험부담금 12. 퇴직금 13. 잡비 14. 교육훈련비 15. 자료비 [3]사업외비용 1. 기타지출 [4]자산부채지출 1. 비품 3.차기이월액

116

예산 117,796,898 103,200,000 68,200,000 18,000,000 2,000,000 6,000,000 4,000,000 5,000,000 0 1,200,000 1,200,000 0 0 0 0 0 13,396,898 13,396,898 117,796,898 35,624,062 10,000,000 7,000,000 4,000,000 5,000,000 2,000,000 7,624,062 81,172,836 56,415,260 5,080,000 500,000 800,000 4,800,000 1,600,000 0 0 1,000,000 100,000 1,500,000 5,337,576 2,540,000 500,000 500,000 500,000 0 0 1,000,000 1,000,000 0

(단위 : 원 ) 집행 132,983,409 111,494,740 65,196,760 16,407,980 40,000 700,000 10,300,000 550,000 18,300,000 1,881,991 1,810,450 17,541 54,000 6,209,780 3,623,780 2,586,000 13,396,898 13,396,898 132,496,045 44,196,190 9,430,330 942,680 636,500 10,941,700 22,244,980 0 88,239,855 60,690,290 5,080,000 296,400 749,000 4,800,000 704,660 691,060 150,000 1,278,240 12,400 740,280 7,294,070 4,665,000 163,455 905,000 20,000 0 0 60,000 60,000 487,364

증감 15,186,511 8,294,740 (3,003,240) (1,592,020) (1,960,000) (5,300,000) 6,300,000 (4,450,000) 18,300,000 681,991 610,450 17,541 54,000 6,209,780 3,623,780 2,586,000 0 0 14,699,147 8,572,128 (569,670) (6,057,320) (3,363,500) 5,941,700 20,244,980 (7,624,062) 7,067,019 4,275,030 0 (203,600) (51,000) 0 (895,340) 691,060 150,000 278,240 (87,600) (759,720) 1,956,494 2,125,000 (336,545) 405,000 (480,000) 0 0 (940,000) (940,000) 487,364


녹색은 다릅니다

수입 · 지출 결산서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부산녹색연합 과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회원 및 시민참여사업 2. 교육사업 3. 외부지원사업 4. 회비 및 후원금 [2]사업외수입 1. 이자수익 2. 기타수입 [4]자산부채지출 1. 기타임의적립금 [3]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회원사업 2. 생태계보전사업 3. 연안생태보전활동 4. 환경교육사업 5. 외부지원사업 6. 연대회비 7. 반핵활동 [2]운영비 1. 세금과공과 2. 수선유지비 3. 사무용품비 4. 여비교통비 5. 도서인쇄비 6. 통신비 7. 급여 8. 복리후생비 9. 사회보험부담금 10. 퇴직급여 11. 잡비 [3]사업외비용 1. 기타지출 [4]자산부채지출 1. 기타임의적립금 3.차기이월액

(단위 : 원) 예산 124,064,052 91,000,000 3,000,000 5,000,000 20,000,000 63,000,000 2,000,000 0 2,000,000 0 0 31,064,052 31,064,052 124,064,052 53,000,000 6,000,000 3,000,000 3,000,000 15,000,000 20,000,000 0 6,000,000 67,064,052 2,200,000 2,000,000 3,000,000 3,000,000 2,000,000 3,500,000 30,000,000 3,000,000 3,000,000 13,000,000 2,364,052 4,000,000 4,000,000 0 0 0

집행 74,658,825 41,997,998 0 3,250,000 0 38,747,998 1,396,499 340,499 1,056,000 200,276 200,276 31,064,052 31,064,052 55,149,853 12,436,300 4,445,870 3,592,330 0 3,594,600 0 803,500 0 39,713,553 1,187,260 1,120,800 3,220,100 807,900 314,500 1,096,470 18,192,200 691,320 2,891,627 9,698,076 493,300 3,000,000 3,000,000 0 0 19,508,972

증감 (49,405,227) (49,002,002) (3,000,000) (1,750,000) (20,000,000) (24,252,002) (603,501) 340,499 (944,000) 200,276 200,276 0 0 (68,914,199) (40,563,700) (1,554,130) 592,330 (3,000,000) (11,405,400) (20,000,000) 803,500 (6,000,000) (27,350,499) (1,012,740) (879,200) 220,100 (2,192,100) (1,685,500) (2,403,530) (11,807,800) (2,308,680) (108,373) (3,301,924) (1,870,752) (1,000,000) (1,000,000) 0 0 19,508,972

11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결산서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인천녹색연합 과 1.수입총계 [1]회비수입 (1) 회원회비 (2) 후원금 (3) 후원행사 [2]목적사업수입 (1) 녹색교육사업

(2) 생태보전사업 (3) 시민참여사업 (4) 연대활동사업 (5) 생태교육센터(숲해설가교육) [3]사업외수입 (1) 잡이익 [4]자산부채수입 (1) 예수금 [5]전기이월액 (1) 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녹색교육사업 (2) 생태보전사업 (3) 시민참여사업 (4) 연대활동사업 (5) 생태교육센터(숲해설가교육) (6) 예비비 [2]운영비 (1) 활동가급여 (2) 여비교통비 (3) 자료구입비 (4) 세금공과금 (5) 수도광열비 (6) 차량유지비 (7) 문자발송비 (8) 소식지제작비 (9) 회의비 (10) 사무용품비 (11) 소모품비 (12) 기부금출금수수료 (13) 경조비 (14) 전산운영비 (15) 홍보비 (16) 회원관리프로그램 (17) 소식지발송비 (18) 작아구입비

118

(단위 : 원) 예산 369,359,039 213,000,000 180,000,000 10,000,000 23,000,000 123,000,000 23,000,000

집행 357,160,771 195,402,000 165,750,000 3,441,000 26,211,000 125,653,039 19,495,431

증감 (12,198,268) (17,598,000) (14,250,000) (6,559,000) 3,211,000 2,653,039 (3,504,569)

15,000,000 10,000,000 0 75,000,000 5,000,000 5,000,000 0 0 28,359,039 28,359,039 369,359,039 159,359,039 25,000,000 17,000,000 10,000,000 4,000,000 75,000,000 28,359,039 205,000,000 135,000,000 1,500,000 1,000,000 1,500,000 5,200,000 500,000 2,500,000 5,000,000 2,000,000 500,000 300,000 2,500,000 500,000 2,000,000 2,000,000 600,000 5,000,000 3,000,000

30,809,700 12,684,806 1,445,900 61,217,202 7,746,693 7,746,693 0 0 28,359,039 28,359,039 337,768,691 126,746,299 21,021,681 27,083,084 9,801,510 4,605,400 64,234,624

15,809,700 2,684,806 1,445,900 (13,782,798) 2,746,693 2,746,693 0 0 0 0 (31,590,348) (32,612,740) (3,978,319) 10,083,084 (198,490) 605,400 (10,765,376) (28,359,039) 5,965,892 2,360,778 (317,046) (296,500) (1,405,750) (352,680) 1,621,280 123,500 (96,000) 474,880 (206,500) 198,190 (685,580) (500,000) (806,160) (1,204,200) 24,200 (1,525,410) 109,600

210,965,892 137,360,778 1,182,954 703,500 94,250 4,847,320 2,121,280 2,623,500 4,904,000 2,474,880 293,500 498,190 1,814,420 1,193,840 795,800 624,200 3,474,590 3,109,600


녹색은 다릅니다

과 목 (19) 기타인쇄물 (20) 후원행사 (21) 회원총회 (22) 교육훈련비 (23) 식비 (24) 4 대보험 (25) 통신운반비 (26) 조직지원비(생태교육센터) (27) 잡비 (28) 수선비 [3]사업외비용 (1) 대출상환 (2) 은행수수료 (2) 회비환불 [4]자산부채지출 (1) 예수금 3.차기이월액

예산액 3,000,000 2,000,000 1,400,000 7,500,000 15,000,000 2,500,000 2,500,000 500,000 5,000,000 5,000,000 0 0 0 0 0

집행액 110,000 2,574,050 2,003,300 1,371,100 5,685,830 19,805,450 2,567,580 8,637,980 28,500 65,500 56,500 0 0 56,500 0 0 19,392,080

증감액 110,000 (425,950) 3,300 (28,900) (1,814,170) 4,805,450 67,580 6,137,980 (471,500) 65,500 (4,943,500) (5,000,000) 0 56,500 0 0 19,392,080

11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결산서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원주녹색연합 과

(단위 : 원) 목

1.수입총계 [1]목적사업수입 1. 일반회비 2. 후원회비 3. 특별후원 4. 교육사업 5. 기획사업 [2]사업외수입 1. 이자수입 2. 기타 [3]자산부채수입 1. 차입금 [4]전기이월액 1. 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교육사업비 2. 기획사업비 3. 연대사업비 4 .회원사업비 5. 설악산케이블카대응 6. 소모임운영비 [2]운영비 1. 임대료 2. 인쇄비 3. 집기비품비 4. 자료구입비 5. 발송비 6. 출장회의비 7. 업무추진비 8. 제세공과금 9. 소모품비 10. 신문구독료 11. 수선비 12. 교통비 13. 복리후생식비 14. 4 대보험료 15. 인건비 16. 예비비 [3]사업외비용 1. 결산소득,지방세 3.차기이월액

120

예산

집행

38,331,288 35,800,000 35,000,000 500,000

31,483,619 27,263,200 24,402,680 760,000 960,000 600,000 540,520 95,131 1,231 93,900 1,600,000 1,600,000 2,525,288 2,525,288 31,483,390 1,439,700 0 0 625,250 449,150 350,000 15,300 30,043,510 4,442,200 1,070,000 0 0 877,960 111,840 5,615,410 1,654,460 309,980 282,000 34,400 185,400 0 2,155,060 13,010,900 293,900 180 180 229

300,000 6,000 6,000 0 2,525,288 2,525,288 38,331,288 4,000,000 500,000 1,000,000 300,000 2,000,000 200,000 34,330,288 4,800,000 1,200,000 200,000 100,000 1,200,000 100,000 6,000,000 1,500,000 300,000 360,000 200,000 400,000 100,000 1,600,000 15,600,000 670,288 1,000 1,000 0

증감 (6,847,669) (8,536,800) (10,597,320) 260,000 960,000 600,000 240,520 89,131 256 93,900 1,600,000 1,600,000 0 0 (6,847,898) (2,560,300) (500,000) (1,000,000) 325,250 (1,550,850) 350,000 (184,700) (4,286,778) (357,800) (130,000) (200,000) (100,000) (322,040) 11,840 (384,590) 154,460 9,980 (78,000) (165,600) (214,600) (100,000) 555,060 (2,589,100) (376,388) (820) (820) 229


녹색은 다릅니다

수입 · 지출 결산서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전북녹색연합 과 목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회비 2. 후원금 3. 녹색교육 4. 시민참여 5. 연대활동 [2]사업외수입 1. 이자수입 2. 잡이익 [3]자산부채수입 1. 미수금 [4]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녹색교육 2. 시민참여 3. 후원회 4. 탈핵에너지전환운동 5. 새만금보전운동 6. 백석제보전운동 7. 정책대응활동 8. 연대활동사업 [2]운영비 1. 급여 2. 사회보험부담금 3. 교육훈련비 4. 복리후생비 5. 기부금 6. 회의비 7. 사무용품비 10. 여비교통비 11. 도서인쇄비 12. 차량유지비 13. 통신비 14. 수도광열비 15. 세금과공과 16. 수선비 17. 지급수수료 18. 지급임차료 19. 시스템관리비 20. 예비비 [4]사업외비용 1. 기타지출 [5]자산부채지출 1. 임대보증금 3.차기이월액

(단위 : 원) 예산 78,144,496 71,000,000 40,000,000 15,000,000 15,000,000 1,000,000 0 0 0 0 0 0 7,144,496 7,144,496 78,144,496 24,500,000 15,000,000 1,500,000 3,000,000 500,000 1,000,000 500,000 2,000,000 1,000,000 53,644,496 25,855,560 2,370,840 2,400,000 200,000 300,000 250,000 500,000 2,000,000 1,000,000 1,200,000 1,000,000 100,000 100,000 100,000 3,120,000 500,000 12,648,096 0 0 0 0

집행 61,276,910 54,001,890 39,474,240 0 13,122,650 0 1,405,000 130,524 6,976 123,548 0 7,144,496 7,144,496 57,182,167 19,181,542 12,583,757 2,438,480 0 157,000 681,605 210,000 2,640,600 470,100 37,881,625 25,926,720 4,635,740 30,000 1,785,900 200,000 498,990 102,900 98,625 230,000 0 372,600 395,000 0 459,250 25,900 3,120,000 0 0 119,000 119,000 0 0 4,094,743

증감 (16,867,586) (16,998,110) (525,760) (15,000,000) (1,877,350) (1,000,000) 1,405,000 130,524 6,976 123,548 0 0 0 0 (20,962,329) (5,318,458) (2,416,243) 938,480 (3,000,000) (343,000) (318,395) (290,000) 640,600 (529,900) (15,762,871) 71,160 2,264,900 30,000 (614,100) 0 198,990 (147,100) (401,375) (1,770,000) (1,000,000) (827,400) (605,000) (100,000) 359,250 (74,100) 0 (500,000) (12,648,096) 119,000 119,000 0 0 4,094,743

12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결산서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부설녹색사회연구소 과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연구사업 2. 도서출판사업 3. 정책연대 사업 4. 회비 및 후원금 [2]사업외수입 1. 잡수익 2. 이자수익 [3]자산부채수입 1. 미지급비용 2. 예수금 [4]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회원사업비 2. 정책연대사업 3. 연구사업 4. 교육/출판사업 5. 조직운영사업 6. 예비비 [2]운영비 1. 인건비 2. 회의비 3. 복리후생비 4. 사무용품비/소모품비 5. 여비교통비 6. 통신운반비 7. 수도광열비 8. 접대비 9. 도서인쇄비 10. 지급임차료 11. 잡비 12. 홍보비 13. 지급수수료 14. 세금과공과 15. 보험료 16. 교육훈련비 [3]사업외비용 1. 이자비용 [4]자산부채지출 1. 단기차입금 3.차기이월액

122

(단위 : 원 ) 예산 202,442,726 202,000,000 134,000,000 5,000,000 63,000,000 310,000 300,000 10,000 0 132,726 132,726 202,442,726 96,802,726 6,000,000 5,000,000 53,000,000 3,000,000 29,802,726 39,190,000 25,740,000 500,000 5,800,000 150,000 100,000 200,000 600,000 100,000 100,000 0 100,000 700,000 2,800,000 2,200,000 0 100,000 950,000 950,000 65,500,000 65,500,000 0

집행 150,717,515 138,267,312 102,839,660

증감 (51,725,211) (63,732,688) (31,160,340) (5,000,000) 0 (27,572,348) 10,452,231 (299,898) 10,752,129 1,555,246 1,048,530 506,716 0 0 (61,722,837) (13,954,706) (1,926,720) (5,000,000) 24,978,740

35,427,652 10,762,231 102 10,762,129 1,555,246 1,048,530 506,716 132,726 132,726 140,719,889 82,848,020 4,073,280 0 77,978,740 0 796,000 0 38,677,339 25,140,000 59,600 2,591,180 125,000 188,530 659,887 577,587 0 109,500 700,000 31,085 0 5,798,000 2,139,820 433,670 123,480 11,498,530 11,498,530 7,696,000 7,696,000 9,997,626

796,000 (512,661) (600,000) (440,400) (3,208,820) (25,000) 88,530 459,887 (22,413) (100,000) 9,500 700,000 (68,915) (700,000) 2,998,000 (60,180) 433,670 23,480 10,548,530 10,548,530 (57,804,000) (57,804,000) 9,997,626


녹색은 다릅니다

수입 · 지출 결산서 제 8 기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녹색법률센터 과 목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후원수입 2. 회원사업 3. 환경법률대응 4. GMO 법률대응사업 5. 교육사업 [2]영업외수입 1. 이자수입 2. 잡이익 [3]자산부채수입 1. 예수금 [4]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사육곰 법률연구 2. 군소음 특별법 3. GMO 법률대응 4. 4 대강 법률대응 5. 일반환경 법률대응 6. 조사사업 7. 교육사업 8. 회원사업 9. 제도개선운동 [2]운영비 1. 인건비 2. 복리후생비 3. 교육훈련비 4. 회의비 5. 사무용품비 6. 소모품비 7. 여비교통비 8. 통신운반비 9. 차량유지비 10. 수도광열비 11. 수선비 12. 세금과공과 13. 지급임차료 14. 지급수수료 15. 보험료 16. 도서인쇄비 17. 접대비 18. 전산운영비 19. 예비비 [3]영업외비용 1. 잡손실 [4]자산부채지출 1. 예수금 3.차기이월액

예산 67,261,654 59,000,000 39,000,000 0 0 0 20,000,000 0

집행 73,466,276 64,945,760 40,369,520 0 0 2,500,000 22,076,240 6,912 6,864 48 251,950 251,950 8,261,654 8,261,654 70,367,305 29,545,080 0 0 1,694,150 200,000 3,500 0 23,377,050 4,270,380 0 40,751,675 13,888,337 411,340 30,000 594,000 93,600 0 43,800 177,868 0 1,200,000 0 514,390 0 22,642,400 168,850 49,000 46,500 891,590 0 0

0 0 8,261,654 8,261,654 67,261,654 30,000,000 0 0 0 0 1,000,000 0 22,000,000 6,000,000 1,000,000 37,191,104 11,730,000 500,000 300,000 600,000 200,000 0 0 250,000 0 1,200,000 0 500,000 0 21,000,000 200,000 200,000 0 300,000 211,104 0

70,550 70,550 0

70,550 70,550 3,098,971

(단위 : 원 ) 증감 6,204,622 5,945,760 1,369,520 0 0 2,500,000 2,076,240 6,912 6,864 48 251,950 251,950 0 3,105,651 -454,920 0 0 1,694,150 200,000 -996,500 0 1,377,050 -1,729,620 -1,000,000 3,560,571 2,158,337 -88,660 -270,000 -6,000 -106,400 0 43,800 -72,132 0 0 0 14,390 0 1,642,400 -31,150 -151,000 46,500 591,590 -211,104 0 0 0 0 3,098,971

12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결산서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작은것이아름답다 과

(단위 : 원)

예산

집행

증감

1.수입총계

247,816,646

263,170,082

15,353,436

[1]사업수입

207,000,000

194,362,433

-12,637,567

1. 작아구독료

40,000,000

22,493,799

-17,506,201

2. 작아판매금

72,000,000

68,692,620

-3,307,380

3. 광고비수입

14,000,000

0

-14,000,000

4. 편집외주수익

37,000,000

24,982,657

-12,017,343

5. 물품판매금

40,000,000

54,383,631

14,383,631

6. 행사수익금

3,000,000

335,052

-2,664,948

7. 단행본판매수익금

1,000,000

23,474,674

22,474,674

27,000,000

28,453,735

1,453,735

27,000,000

25,647,700

-1,352,300

2,806,035

2,806,035

86,095

86,095

[2]고유목적사업수입 1. 정기후원금 2. 비정기후원금

[3]사업외수입

0

1. 이자수입

7,476

7,476

2. 잡이익

78,619

78,619

26,451,173

26,451,173

[4]자산부채수입

0

1. 예수금

13,960

13,960

2. 미지급금

24,254,631

24,254,631

3. 단기대여금

1,000,000

1,000,000

4. 선급금

269,500

269,500

5. 부가세예수금

875,544

875,544

6. 매출채권

37,538

37,538

13,816,646

13,816,646

0

13,816,646

13,816,646

0

2.지출총계

247,816,646

259,692,750

11,876,104

[1]목적사업비

119,300,000

145,881,424

26,581,424

80,000,000 9,000,000 1,300,000 1,000,000 7,000,000 6,000,000 1,000,000 1,000,000 13,000,000 0

76,174,193 11,320,543 984,950 625,067 36,816,805 1,177,867 58,126 6,257,481 11,083,428 1,382,964

-3,825,807 2,320,543 -315,050 -374,933 29,816,805 -4,822,133 -941,874 5,257,481 -1,916,572 1,382,964

109,516,646

102,460,653

-7,055,993

70,000,000

74,248,800

4,248,800

[5]전기이월액 1. 전기이월액

1. 작아제작비 2. 외주제작비 3. 행사비 4. 홍보비 5. 물품제작비 6. 단행본제작비 7. 취재비 8. 원고료 9. 발송비 10. 기부금 [2]운영비 1. 인건비

124


녹색은 다릅니다

예산

집행

증감

2. 복리후생비

2,400,000

4,184,170

1,784,170

3. 우편비

5,200,000

3,934,000

-1,266,000

4. 회의비

500,000

530,900

30,900

5. 사무용품비

100,000

52,200

-47,800

6. 소모품비

100,000

691,820

591,820

7. 여비교통비

100,000

228,500

128,500

8. 통신운반비

1,900,000

5,858,059

3,958,059

9. 수도광열비

1,200,000

2,400,000

1,200,000

10. 수선비

100,000

180,000

80,000

11. 도서인쇄비

200,000

1,100

-198,900

12. 세금과공과

3,000,000

3,575,740

575,740

13. 지급임차료

3,300,000

1,035,000

-2,265,000

14. 지급수수료

4,000,000

3,460,084

-539,916

15. 보험료

1,600,000

1,712,280

112,280

16. 잡비

100,000

120,000

20,000

17. 접대비

300,000

238,000

-62,000

18. 예비비

14,816,646

0

-14,816,646

19. 교육훈련비

600,000

10,000

-590,000

[3]고유목적사업비

19,000,000

11,340,600

-7,659,400

18,000,000

10,930,000

-7,070,000

1,000,000

410,600

-589,400

0

1,225

1,225

1,225

1,225

8,848

8,848

8,848

0 8,848 0

3,477,332

3,477,332

1. 급여 2. 캠페인 [4]사업외비용 1. 잡손실

[5]자산부채지출 1. 매출채권 2. 가수금 3. 단기대여금 3.차기이월액

0

0

12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사)녹색교육센터

(단위 : 원 )

운 영 성 과 표 제 7 기 : 201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Ⅰ. (1) (2) (3) (4) (5) (6) (7) (8) (9) (10) Ⅱ. (1) (2) (3) (4) (5) (6) (7) (8) (9) (10) Ⅳ.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Ⅴ. Ⅵ. (1) (2) (3) Ⅶ. (1) Ⅷ.

126

사 미 녹 녹 사 녹 녹 회 대 개 법 목 미 녹 녹 사 녹 녹 회 법 회 대 운 인 복 회 사 소 여 통 차 수 수 자 퇴 세 지 지 보 잡 홍 광 운 교 이 영 영 이 강 잡 업 이 당

과 목 업 수 래 녹 색 지 킴 이 사 색 시 민 교 육 사 색 교 육 자 양 성 사 회 환 경 교 육 지 원 사 색 교 육 연 구 및 출 판 사 색 연 합 교 육 사 원 사 외 협 력 사 인 기 부 인 기 부 적 사 업 래 세 대 녹 색 지 킴 이 사 색 시 민 교 육 사 색 교 육 자 양 성 사 회 환 경 교 육 지 원 사 색 교 육 연 구 및 출 색 연 합 교 육 사 원 사 인 기 부 금 사 원 관 외 협 력 사 영 건 리 후 생 의 무 용 품 모 품 비 교 통 신 량 유 지 도 광 열 선 료 직 급 여 ( 연 금 금 과 공 급 임 차 급 수 수 험 보 선 반 훈 수

고 육 체 업 업

관 이 외

자 기

련 수

외 자 대

수 수 료

수 비

비 순

금 입 업 업 업 업 업 업 업 업 금 금 비 업 업 업 업 판 업 업 업 리 업 비 비 비 비 비 비 비 비 비 비 비 비 ) 과 료 료 료 비 비 비 비 비 료 익 익 입 입 익 용 용 익

액 445,033,221

302,037,852 2,000,000 8,756,156 69,541,633 16,276,000 773,400 1,935,000 39,713,180 4,000,000 259,623,215 198,751,843 286,800 8,166,717 31,361,732 11,039,270 2,631,900 3,186,493 4,198,460 189,022,940 121,820,825 10,705,007 1,783,380 523,260 1,549,970 2,280,037 1,154,182 1,278,080 1,646,400 526,270 11,989,680 6,001,520 23,540,000 871,039 1,972,860 5,000 624,420 38,300 382,110 330,000 600 (3,612,934) 3,481,648 112,632 300,000 3,069,016 1,279,975 1,279,975 (1,411,261)


정관 개정

차례 정관 개정 배경 정관 개정안

12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1. 정관 개정 배경 - 2015년 3월 제6회 정기 회원총회에서 본부사무처 활동가협의회 회장이 기타 안건으로 정관 제 26조에 따른 정당 활동 제한 조항 개정 필요성을 제안하여 이후 논의 과정을 전국운영위 원회로 위임함(지난 회의록 참조) - 2015년 4분기 전국운영위원회는 본부 사무처 부서장의 정당가입 제한을 재검토하기로 함. - 2016년 1분기 전국운영위원회는 본부 사무처 부서장의 정당가입 제한은 과도한 것으로 판단

하여 정관 26조의 적용 대상에 대한 개정을 정관개정소위원회의 정식안건으로 제출하기로 함. - 2016년~2017년 제7기 총회준비위원회 및 정관개정소위원회는 적용 대상에 대한 논의를 진 행함.

2. 정관 개정안 원문

개정안

제26조 (정당활동 제한)

제26조 (정당활동 제한)

전국운영위원회 위원과 본부 사무처 부서장, 전문기구 사무국장은 정당에 가입하거나 정당 활동(무소속도 포함)을 하려면 사임해야 한다.

전국운영위원회 위원과 전문기구 사무국장은 정당에 가입하거나 정당 활동(무소속도 포함) 을 하려면 사임해야 한다.

▶ 적용 대상 중 본부 사무처 부서장을 삭제함

3. 정관 개정 근거 - 정관 제 26조로 본부사무처 부서장까지 정당 가입이나 정당 활동을 제한하는 것은 부적 절하다고 판단함. - 정관 제 26조 하위 조항을 둘 수도 있으나 정당 가입, 정당 활동, 정치 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를 담을 수 없음으로 전국사무처국장단에서 녹색연합 정치참여 가이드 라인 수정을 보완하여 적용하도록 함.

128


임원 선출

차례 임원 후보 추천서 임원 후보 소개 제8기 전국운영위원회 구성

12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임원 후보 추천서 녹색연합 제 4기 임원추천위원회는 정관과 회원총회 운영규정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2017~2018년 녹색연합 공동대표와 감사, 사무처장 후보를 추천합니다. 1. 공동대표 후보추천 정관 제7조7항, 8조1항에 따라 김혜애 박그림 원정 현 공동대표를 차기 공동대표로 추천합니다. 윤정숙과 조현철을 차기 공동대표 후보로 추천합니다. 2. 감사 후보 추천 정관 제7조7항, 9조1항에 따라 배영근을 차기 운동감사 김현민을 차기 회계감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3. 사무처장 후보추천 정관 7조7항, 제9조1항에 따라 윤상훈을 차기 사무처장 후보로 추천합니다.

제4기 임원추천위원회 위원장 이상권

130


녹색은 다릅니다

임원 후보 소개 공동대표 후보 김혜애 1964년생 전 녹색연합 협동사무처장 전 녹색연합 녹색교육센터 소장 현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센터장 현 녹색연합 공동대표

박그림 1948년생 전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 전문조사원 현 산양똥을 먹는 사람 저자 현 설악녹색연합대표 현 녹색연합 공동대표

원정 1956년생 전 경남 창원 성주사 주지 현 중앙승가대학교 총 동창회장 현 맑고 향기롭게 경남지회장 현 녹색연합 공동대표

윤정숙 1958년생 전 한국여성민우회 공동대표 전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

조현철 1959년생 현 탈핵천주교연대 공동대표 현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국민행동 공동대표 현 사단법인 꿀잠(비정규노동자의 집) 이사장 현 서강대학교 교수(신학대학원)

13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감사 후보 배영근 1976년생 전 녹색법률센터 부소장 현 법무법인 자연 변호사

김현민 1964년생 공인회계사/세무사 전 PwC 컨설팅 회계 자문 전 삼일제약/상아제약 회계 감사 현 한국에너지재단 회계/세무 자문 현 (사)우리들의 눈 감사 현 안세회계법인 이사

사무처장 후보 윤상훈 1972년생 전 부산비엔날레 사무국 홍보팀장 전 녹색연합 정책실장 전 녹색습지교육원 사무국장 전 녹색연합 협동사무처장 현 녹색연합 사무처장

132


녹색은 다릅니다

제8기 전국운영위원회 구성 정관 제11조 2항에 따라 제8기 전국운영위원회를 다음과 같이 구성합니다. 정관 제11조 2항 (구성) 전국운영위원회는 공동대표, 지역조직마다 대표 1인, 사무처장, 협동사무처장, 전문기구마다 대표 1인, 지역 조직마다 사무처(국)장 1인, 전국운영위원회가 승인한 모든 활동위원회 위원장, 전국운영위원회가 추천하여, 총회 에서 승인한 몇 명의 사람들로 구성한다. 단, 추천된 운영위원의 수는 전체 전국운영위원의 1/3을 넘을 수 없다.

공동대표

지역조직

조현철 김혜애 박그림 원정 윤정숙 광양만

이재민 박수완

광주전남

김영선 박경희

대구경북

이재혁 권예원

대전충남

김은정 양흥모

부산

이남근 김수정

설악

박그림

원주

*총회 후 결정

인천

장혜순 박주희

전북

회 일 송지나

녹색사회연구소

최종덕

도서출판 작은것이 아름답다

윤경은

녹색법률센터

우경선

녹색교육센터

박영신

전문기구

사무처장

윤상훈

협동사무처장

양흥모 정명희

133


134


2017년 운동 계획

차 례

2017년 운동 계획 보고 2017년 예산 보고



2017년 운동계획 보고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2017년 운동 계획 (전국)

생명존중 자연의 권리를 인정하고 야생동식물의 서식지 자연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활동합니다.

○ 산양 보호 - 법률과 예산 울진 산양구조·치료센터 건립을 위해 문화재청·울진군과 협업하여 2년차 부지매입비를 확보 하고 관련 법 개정활동을 합니다. - 현장 조사와 대안 모색 산양 서식지 주변에 도로 건설 같은 산양을 위협하는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울진· 삼척지역 산양 전수조사로 세부적인 위협요인을 찾습니다. 조사 후 위협요인을 제거하여 산 양이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 사육곰 정책 폐지 - 사육곰 사육시설과 전수조사 결과 점검 ‘사육곰 증식금지 사업’ 이후 증식용 곰이 완전히 사라지도록 모니터링 합니다. - 시민 인식 설문조사 곰을 비롯한 야생동물 제품에 관한 설문조사로 시민 인식과 제품 수요를 확인합니다. 웅담 수요가 적다면 농가의 사육곰 불법 증식이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 입니다. - 기록 사육곰 백서를 만들어 더 이상 유사한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기록하고 홍보합니다. ○ 로드킬 줄이기 - 어플리케이션 ‘굿 로드’ 제작 및 실행 GPS기반 로드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굿로드’를 제작하여 전국 도로에서 일어나는 로드킬 사고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인식 개선 어플리케이션으로 수집된 전국 로드킬 데이터를 인포그래픽 자료로 제작·홍보하여 시민들의 로드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합니다. - 대안 마련 로드킬 사고 다발지역은 사고를 줄이는 대안을 찾아 로드킬 제로 캠페인을 확대하겠습니다. ○ 점박이물범 보호 138


녹색은 다릅니다

- 백령도 점박이 물범을 보호하기 위해 백령도에서 교육과 홍보활동을 이어갑니다. 백령도 청소년 동아리 운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 사회 중심의 물범 보호활동을 전개 ○ 금개구리/맹꽁이 시민모니터링 - 금개구리와 맹꽁이 서식지 보전활동으로 도심 속 생태 공간 · 공원을 보전합니다. ○ 양서류 보호 - 망월지 두꺼비와 대명유수지 맹꽁이를 보호 합니다 망월지와 대명 유수지 생태모니터링, 로드킬 방지 펜스 설치, 양서류 생태공원 추진

평화 모든 종류의 폭력과 차별을 거부하고 모든 생명이 공존하는 한반도 평화를 위해 노력합니다.

○ 군사기지 환경오염 대응 - 현장조사 제주도의 연산호 서식 현황을 확인하고 연산호 보호구역 정책을 입안합니다. 보령지역 공군사격장 주변 환경오염과 주민 건강 역학조사(민관협의체)에 참여합니다. - 정책 대안 마련 반환 미군기지 환경정책보고서를 제작하여 정책 대안을 마련합니다. - 인식 증진 용산 미군기지 내 환경문제를 알리는 시민 참여프로그램을 이어갑니다. 연산호 모니터링 결과를 보도하여 군기지 건설로 발생하는 생태계 파괴 실태를 알립니다. ○ 대구공항과 K2군공항 이전사업 - 통합신공항 이전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합니다. 이전예비후보지 소통간담회 실시 (국방부, 국토부, 대구시와 협력) 이전예비후보지 주민과 무원 교육 (군위군, 의성군 등) 통합신공항 이전에 따른 주민지원사업 내용 검증과 대안 모색 ○ 군소음 특별법 제정 추진 - 군소음특별법을 제정하고 군소음 현황을 조사합니다. 국방위원회 공청회 참여 (군소음특별법 필요성 발표) 군소음피해 직접국가배상 요구

13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생태순환형사회 모든 생명의 가치와 권리를 존중하여 생태계 질서 보전과 회복을 위해 노력합니다.

○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저지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 영구 취소 설악산 지역 난개발을 모니터링하여 현재 보호구역의 관리 실태를 고발합니다. 국립공원과 보호구역의 올바른 관리를 위해 제도를 개선합니다. 설악권 지역 주민들과 함께 지역발전 대안모델을 만듭니다.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대응 운동 경험을 전국의 케이블카반대 단체들과 공유합니다. ○ 마이산 케이블카 반대 활동 - 진안군에서 추진하는 마이산 케이블카 사업 반대운동을 합니다. 마이산이 국립공원(지질공원)으로 지정되도록 합니다. ○ 백두대간 보전 - 정책 개선 백두대간 구역 내 전시 행정으로 빚어지는 예산낭비 사례를 조사하여 백두대간 보호구역 관 리방안 제도를 개선합니다. - 현장조사 고산침엽수와 한국 기후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종을 조사하고 기록합니다. - 인식 증진 백두대간 훼손 지도를 발간합니다. 탐방문화 개선을 위하여 시민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고산침엽수와 기후변화 지표종 다큐 영상과 홍보 영상을 제작합니다. ○ 비무장지대(DMZ)보전 - 현장조사 DMZ 환경실태조사로 DMZ 10년 간의 변화를 파악하고, 보전과 관리의 필요성을 알립니다. - 인식증진 시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핵심 생태축 DMZ의 생태적 가치를 재조명 합니다. ○ 4대강 재 자연화 - 제도개선 4대강 재자연화를 위해 관련 법·제도를 검토하고 제도가 개선되도록 합니다. 140


녹색은 다릅니다

- 시민인식 증진 전국 ‘물고기 이동의 날’ 캠페인으로 온/오프라인에서 4대강 재자연화 공감대를 만듭니다. ○ 새만금 복원 - 2020년 새만금 수질개선사업 종료 뒤를 준비합니다. 새만금 수질생태계 복원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새만금 복원 연대기구를 만듭니다.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새만금 복원이 정책공약이 되도록 제안합니다. ○ 그린 스포츠 구축 - 대형스포츠 행사 개최 대응 가리왕산 보호구역 내 평창동계올림픽 활강스키장을 모니터링하고 복원계획이 실행되도록 합 니다. 대형 스포츠행사 개최로 생태계가 파괴되지 않도록 그린스포츠 개념을 제안합니다. ○ 탈핵 - 인식 확산과 참여 정부의 핵발전소 정책을 깨고 새로운 에너지정책을 제안합니다. 중등교육과정 교과서로 핵 발전을 홍보하는 원자력문화재단의 운영비와 숨어있는 핵발전소 운영비용(폐로비용, 사고비용, 핵 쓰레기 처리비용 등)을 찾아 핵발전소의 비경제성을 시민 에게 알립니다. 2016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탈핵 백만인 서명운동이 정부 정책에 반영되도록 합니다. ○ 지역에너지 전환 - 탈핵 의미 홍보, 절전소 확대 지역절전소 소장과 회원들에게 에너지 교육과 캠페인을 합니다. - 지역/학교 절전소 지원 활동 ‘에너지 절감이 곧 발전’입니다. 지역사회와 학교가 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스스로 절감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도록 지원합니다. 미래세대 에너지 교육을 위해 공공 교육기관에 태양광발전기를 만듭니다. ○ 생활 환경 - 제도 개선 미세먼지 시민모니터링을 진행하고 관련기관에 대책 마련을 촉구합니다. 카페 1회용컵 사용을 줄이는 제도를 만듭니다. 폐기물 관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을 만듭니다. - 인식증진 미세먼지, GMO, 유해화학물질, 폐기물 등 생활환경을 위협하는 문제를 시민들이 알 수 있도 록 콘텐츠를 제작하여 배포합니다.

○ 반GMO - GMO 완전표시제, 학교 급식 조례제정, 국회 입법 제정으로 안전한 먹거리운동을 합니다.

14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재생종이 - 재생종이 문화의 확산을 위해 캠페인 (‘10퍼센트만 재생복사지’ ‘한 장에서 한 그루로’)을 전 개하고 재생종이 문구를 개발합니다. 재생종이 함유율 표시 로고 개발과 홍보 재생종이 관련 국제 환경단체 회원가입 진행

녹색자치 환경문제로 생기는 인권침해를 막고 녹색자치가 실현되는 녹색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 환경 정책과 제도 개선 - 연대와 교육 녹색사회연구소와 협업하여 환경 정책 이슈리포트를 발행합니다. 20대 국회대응 입법 활동을 진행합니다. 환경단체 활동가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공동 교육프로그램을 만듭니다. 한국환경회의와 환경의제를 확산하고 환경 갈등을 해결하는 활동을 합니다. ○ 녹색사회 연구 - 남북환경협력 포럼으로 통일한반도 그린벨트 프로젝트, 통일 녹색운동을 중장기 과제로 준비 합니다. - 2017년 한국환경보고서를 출판하여 2016년 환경이슈를 분석하고 2017년 환경정책, 환경운동 전망을 살핍니다. - 생태도시를 위한 공간구조조정 프로젝트. 도시 공간 내 자동차 도로와 주차공간의 배타적 점 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민티켓, 생태성·공공성· 사회적 연대가 구현되는 대중교통활성화 방안을 연구합니다. ○ 환경 소송 - 설악산 케이블카 무효 소송 - 용인 콘크리트혼화제연구소 소송 대응 - 월성1호기 수명연장 무효확인 소송 - 용산미군기지 내부 토양오염 조사 실시와 정화 요구 소송 - 화력발전소 미세먼지로 인한 손해배상소송 ○ 회원 참여 - 회원 확대 녹색연합을 지지하고 응원하는 회원들과의 접점을 높이는 활동을 강화합니다. - 회원 관계 강화

142


녹색은 다릅니다

온라인 설문조사와 다양한 행사를 마련하여 회원의 다양한 생각을 함께 나누고 소통합니다. 녹색연합 활동과 운영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고 함께 참여하고 행동하는 회원들을 만납니다. ○ 녹색 교육 - 미래세대와 함께 자연을 만납니다. <와숲> <어린이자연학교> <초록동무/게눈/또랑/계양산 자연학교><어린이 절기환경탐구단> <청개구리생태교실><겨울야생동물학교> <자람생태학교><두꺼비생태학교><반딧불이자연학교> <환경멘토멘티_꿈꾸는 초록씨> <점박이 물범 보호 동아리> <연안해안정화활동_큰물결’랑’> <새만금 저어새탐사단> <청소년 환경봉사단_숨틈> <호남정맥 청소년캠프> <낙동강하구 생명 학교> <에코티어링 자연학교> <청소년해외환경연수><녹색태양학교><나는월평공원생태박사> - 녹색이 낯선 어른들이 자연을 만납니다. <녹색길라잡이> <숲습지생태안내전문가양성> <초록교사><사계절나무여행><생태드로잉> <서울성곽나들이><회원현장출동>

14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2017년 운동 계획 – 본부 사무처 * 지역조직과 전문기구는 단위별 총회에서 2017년 운동 계획 심의를 거쳤으므로 본부 사무처의 운 동계획만 싣습니다.

상상공작소 2017년 키워드 : 통 크게 도전하고 확장하라. 폼나는 기획력으로 생명력있는 스토리로 녹 색다움을 담은 컨텐츠로 10억을 콜투 액션! Ⅰ. 홍보 1. 녹색다움(브랜딩) 1) 선정 근거 브랜딩은 홍보와 모금의 근간이다. 브랜딩은 사람들이 녹색연합에 호감을 갖고, 신뢰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우리가 우리를 모르고, 우리를 좋아하지 않는다면, 브랜딩은 가능하 지 않다. 녹색연합의 브랜딩을 “녹색다움”이라고 하고 녹색다움을 질문과 시도로 찾아보고자 한 다. 향후 5년의 장기적인 전망에서 “녹색다움”을 정의하고, 함께 즐기는 “녹색다움”을 통해 홍보 와 모금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2) 목표 Ÿ

목표 –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인터뷰와 시도를 통해 “녹색다움”을 찾고 회고해서 기록한 다.

Ÿ

목표가설 – “녹색다움”에 대해 열린 질문(떠오르는 이미지, 표현, 사진, 추억, 보람 등등)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던져보고, 그것들을 활동과정에서 시도하고 표현해보면 그 괴리감과 어울림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괴리감과 어울림을 회고하여 “녹색다움”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3) 내용 (1) 녹색다움 찾아보기 Ÿ

활동가를 포함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우리 안의 녹색다움, 우리를 바라보는 녹색다움, 진행했던 캠페인이나 사업에서 녹색답다고 생각한 것들, 시도한 것에 대한 의견 등등을 온·오 프라인 설문조사, 인터뷰 조사 등을 통해 녹색다움의 키워드 또는 이미지를 질문한다.

Ÿ

상상공작소 부서원들 각각의 방식, 각각의 형식, 각각의 내용, 각각의 대상을 정해 실행계획 (일상적으로 또는 집중적으로)을 2월말까지 세워 함께 검토하고 실행계획을 조정한다.

Ÿ

144

분기별로 진행된 내용을 공유하여 회고하고, 상상공작소 안에서 시도할만한 버킷리스트를 작


녹색은 다릅니다

성한다. (2) 녹색다움 시도하기 Ÿ

사업별 패턴 디자인 적용

- 홈페이지, 페이스북, 카드뉴스, 현수막 제작 시 제공된 패턴 디자인을 모두가 사용하도록 매뉴 얼함 - 패턴으로 티셔츠 제작하여 티셔츠 형태의 피켓으로 집회나 퍼포먼스 등에 활용함(스토리펀딩 리워드로 연계함) Ÿ

녹색다움 버킷리스트 중에서 꼭 하나 시도하기 ex) 개성있는 활동가들의 모습 드러내기 -> 사원증 만들기 / 녹색연합 홍보 영상 만들기

2. 콘텐츠 회원확대 1) 선정 근거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온라인(SNS 등)으로 관계를 맺는다. 앞으로 온라인상의 관계가 훨씬 더 많아질 것이며, 소셜미디어는 기존의 미디어보다 훨씬 더 영향력이 커질 것이다. 그러면서 시장 의 많은 마케팅들이 온라인과 소셜미디어를 기반한 콘텐츠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이제 사람들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대신, 사람들을 끌어들여야 한다. 그렇게 끌어 들인 사람들이 후원을 하고, 회원이 되기까지 신뢰를 쌓아가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이 적절했는지 데이터로 확인하고, 개선방향을 찾아야 한다. ‘좋아요’에서 바로 ‘회원가입’으 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장기적으로 그 과정을 설계하고, 시도하면서 점검해야 한다. 1차로 관심을 가진 사람들(리드 : lead)을 어떻게 발굴해서 좋은 관계를 유지할 것이냐를 찾고, 2차로 관심 있 는 사람들을 어떻게 잠재적 회원으로 전환시킬지 설득력 있는 행동유도버튼(콜투액션 : call to action, CTA)이 담긴 콘텐츠를 제작해야한다. 이는 진행한 과정을 데이터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의미 있는 성과들을 달성해가는 것이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Ÿ

리드를 창출하고, 질 좋은 리드를 육성하는 매력적인 콘텐츠

Ÿ

설득력 있는 콜투액션(CTA: call to action : 링크된 버튼)

Ÿ

대량 메시지가 아닌, ‘그 사람’에게 보내는 개인화된 메세지

Ÿ

구글애널리틱스(GA) : 데이터 분석을 통한 더 나은 의사결정

2) 목표 Ÿ

목표 - 리드를 창출하기 위해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고 분석한다. 그래서 그 전략을 찾는다. - 리드의 질을 높이고 우수한 리드로 육성하는 콘텐츠를 시도한다. 그래서 그 콘텐츠 역량을 높 인다.

Ÿ

목표가설 – 녹색연합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필요하고 특별한 메시지를 통해 녹색연합과 신 뢰성 있는 관계가 쌓인다면, 회원가입 요청에 응답할 것이다.

3) 사업내용 ① 이메일마케팅 14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명함

Ÿ

- 수집 : 활동가들은 명함을 받으면 사진을 찍어 전송할 것. 상상공작소에서 이틀 안에 명함목 록 작성(이름, 연락처, 주소, 직장, 직책, 미팅장소와 목적, 관심사항, 미팅한 활동가, 미팅날 짜, 기입날짜) - 환영인사 : 일주일 내로 대상에 따라, 문자 또는 메일로, 뉴스레터 구독 신청 받음 - 입력된 정보와 환영인사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여 관계를 지속하고, 기록함. 2회 이상 의 요청(회원가입, 후원행사 참석 등) 후 반응이 없으면 정기뉴스레터 신청자로 통합함 홈페이지 일시후원, #0422, 온라인모금함

Ÿ

- 수집 : 일주일 단위로 일시후원, #0422 문자후원 발생 여부를 확인함. - 환영인사 : 대상에 따라, 문자 또는 메일로, 뉴스레터 구독 신청을 받는다. 온라인모금함 개설 후 한 달 이내에 새로운 소식과 함께 뉴스레터 구독을 요청한다. - 입력된 정보와 환영인사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여 관계를 지속하고, 기록함 - 2 회 이상의 요청(회원가입, 후원행사 참석 등) 후 반응이 없으면 정기뉴스레터 신청자로 통합함 대상별, 목적별 뉴스레터 제작

Ÿ

- 환영인사 : 처음 관계를 맺고 1주일 안에 발송. 계속 관계를 지속할 수 있도록 유도. 뉴스레 터 구독 신청을 통해 관계를 이어감 - 활동뉴스레터 / 정기뉴스레터 : 뉴스레터는 월 2회 격주로 발송하나, 월 1회는 활동 뉴스레 터를(자연생태 / 야생동물 / 기후변화와 에너지 / 녹색생활 돌아가며 콘텐츠 제작), 다른 1회 는 정기뉴스레터(활동소식과 행사참여소식)를 발송함 => 구독자 리스트에 맞게 변형하여 발 송하고 분석함 - 뉴스레터의 내용을 미리 기획하고, 콘텐츠와 연계된 CTA를 설계하여, 행동참여를 유도함. 구독자의 행동 히스토리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시기에 따라 회원가입을 요청함 ② 페이스북 마케팅 회원확대 캠페인

Ÿ

- ‘지구의 날’, ‘물고기 이동의 날 캠페인’, ‘로드킬 제로 캠페인’ 콘텐츠와 연계하여 행동을 요 청하는(뉴스레터 신청 / 일시후원 / #0422 문자후원) 광고 진행. 잠재회원확보 후 이메일마 케팅 진행 - 타겟에 맞는 회원가입요청 광고 진행(친환경 캠페인을 하는 기업에 다니는 직장인 30-35세 여성 / 생일을 1주일 앞두고 있는 28-33세 여성, 남성)으로 잠재회원확보 후 이메일마케팅 진행 ③ 기획요청 TM

Ÿ

- 3월~4월말까지 2개월 동안 리드를 수집하기(2016년 확보된 데이터 중에서 선별포함) - 5월~6월 초 기간 동안 관계를 유지하고, 매력적인 콘텐츠로 행동참여를 요청 - 6월 중순까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TM 대상자를 500명 확보한 후 6월말까지 TM 진행 - TM결과를 분석하여, #0422 문자후원을 지속할지 판단함 편지보내기

Ÿ

- 관계를 맺어온 리드 중 대상자를 판단하여 리워드(ex 설악산 사진엽서) 발송 신청을 받는다. - 리워드 상품은 기존에 제작된 것을 활용하고, 문자후원 등으로 최소한의 우편 발송비 모금함 146


녹색은 다릅니다

- 우수한 리드 중에 회원가입 요청을 거부한 사람을 대상으로 선정 Ÿ

새로운 시도는 구성원들에게 잘 공유되고, 독려가 되었는가?

3. 로드킬 제로 캠페인 1) 선정 근거 로드킬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문제해결방법을 찾기 위해 캠페인을 통해 여론 확산을 하고자 함. 이를 위해 로드킬 사고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근거와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Ÿ

2016년 로드킬 제로 캠페인으로 ‘로드킬 없는 남한산성 만들기’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안 함으로써 남한산성면과의 협력과 참여를 이끌어냄.

Ÿ

파견예술인의 다양한 로드킬 굿즈 제작으로 캠페인 홍보물이 확보 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하 여 온/오프라인 캠페인을 지속하여 진행하기에 용이함

Ÿ

소셜이노베이션 캠프 참여로 로드킬 신고지도 앱을 제작,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로드킬 사고 데이터를 보다 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됨.

Ÿ

홍보할 수 있는 콘텐츠가 다양하고, 모금과 온라인회원확대캠페인으로 연계 가눙성이 높음

2) 목표 Ÿ

목표 – 남한산성면과의 협력으로 ‘로드킬 제로 구간’의 시범 사례를 만들어 내고 이를 근거 로 광주시와 협약을 체결한다.

Ÿ

목표가설 – 로드킬 주의 표지판 설치 및 캠페인을 진행하고, 로드킬 신고지도 앱을 활용 시 스템을 구축하여 남한산성면의 로드킬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남한산성면과 긴밀히 로드킬 제 로 캠페인을 진행하고 홍보하면 다른 지자체와의 협력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3) 사업내용 (1) 로드킬 없는 남한산성 만들기 Ÿ

소셜이노베이션캠프를 통해 ‘로드킬 신고지도 앱’ 제작 후 남한산성 내 로드킬 데이터 확보

Ÿ

남한산성면에서 로드킬이 많이 발생하는 지점에 로드킬 저감 표지판을 설치, 모니터링과 인터 뷰 등을 통해 작년과 비교 분석

Ÿ

로드킬 제로 캠페인을 남한산성면사무소, 지역주민과 함께 남한산성 근처에서 진행 (2) 로드킬 제로 구간 확산

Ÿ

로드킬 앱 서비스 데이터 자료 시각화 및 캠페인 활동성과 정리

Ÿ

광주시에 로드킬 제로 캠페인 제안

Ÿ

온라인 회원확대와 연계하여 진행

Ⅱ. 콘텐츠 모금 디자인 1. 온라인 모금 1) 선정 근거 ○ 문제해결 : 온라인 모금 플랫폼을 통해 필요한 사업비 일부를 확보하고, 관련 콘텐츠와 연 14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계하여 모금의 상승효과를 꾀함 2) 목표 ○ 사업영역별로 1개의 온라인 모금을 시도하고, 전체 온라인 모금 목표 4,000만원을 달성한 다.(사업별 모금목표 검토 후 재설정 예정임) - 가설 : 모바일 활용과 문제해결을 위한 모금, 두 가지를 고려한 콘텐츠 가공과 확산은 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하고자 하는 시민들의 더 많은 관심을 이끌고, 모금의 상승효과로 이어질 것이다. ○ 모금 대상에 따라 모금, 사용, 완료, 보고 과정에 대한 내부 기준을 정비하여 실무를 간소화 한다. - 가설 : 기부금품법에 따른 모금 등록, 사업실행, 완료 보고, 회계 처리 체계를 정비하여, 과 도한 실무 처리와 법적 불이익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다. 3) 사업내용 (1) 온라인 모금함 • 포털사이트 모금 플랫폼 : 카카오 같이가치와 네이버 해피빈 모금 플랫폼을 기본으로 하여 특성에 따라 모금함을 구성 개설함 • 홈페이지 모금함 : 기본 모금 플랫폼에 따라 모금 내용을 같이 구성하되, 사업내용을 재정 비함 (2) 스토리펀딩 • 카카오 같이가치 스토리펀딩 플랫폼을 통해 스토리를 담은 연재용 콘텐츠를 기획하고, 예술 창작활동과 홍보, 모금을 연계함. • 리워드 기획, 제작, 발송비용을 제외한 모금액은 모두 운영을 위한 수입으로 처리함 • 참여자에게는 리워드 발송시 회원 가입 요청 편지를 동봉함

2. 기업협력 모금 1) 선정 근거 ○ 문제해결 : 후원기업과 지속적인 파트너십 유지로 목표 달성 가능성 높임 2) 목표 ○ 기존 협력사업의 성과를 정리하고, 발전된 목표로 지속적인 협력 파트너 관계를 유지한다. - 가설 :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목표, 지속적이고 의미있는 변화는 협력 파트너와의 신뢰와 관 계를 단단하게 다질 것이다. 이는 지속적인 협력으로 이어지고, 사회변화를 이끈 좋은 협력모 델이 될 것이다. ○ 후원 협약을 맺은 후원자(기업)와 관계 유지 상황을 점검하고 전략을 재정비한다. 3) 사업내용 (1) 얼루어 그린캠페인 • 울진 산양보호활동 사업비 마련을 위한 얼루어 그린캠페인 기획 진행 148


녹색은 다릅니다

• 산양보호활동 경과와 계획 브리핑 (2) 카카오 다가치펀드 • 카카오 기업과 임직원이 매칭 그랜트 방식으로 후원하는 펀드로 지난해 후원완료 된 2천50 만원에 해당되는 사업을 제안하고 실행함. 2개 사업을 제안함 • 사업별로 후원자 대상 리워드 프로그램을 1회 이상 진행함 (3) 그 외 기업 협력 사업 • 지구를 위한 1% 기금 사업 : 파타고니아 코리아에 신규 사업 제안과 관계 관리 • 탄소상쇄 프로젝트 : 한국도로공사와 CJ대한통운과 함께 올해 사업지속 여부와 방향 결정, 기금관리 (4) 모금 플랫폼 관리 • 모금 플랫폼이 있는 협력 기업, 과거 협력 사업을 진행한 기업을 우선 대상으로 모금 확대 를 위한 홍보 전략 정비함 • 하나카드(온라인 페이지), 신한아름인(온라인 페이지), 캐시카우(앱), 소니코리아(아름다운 가 게 일일 매장), 키엘(매장 동전 모금함)이 우선 대상임

3. 후원행사 1) 선정 근거 : 하반기 안정적인 운영비 확보 2) 목표 ○ 모금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하여 10~50만원을 후원하는 신규 후원자를 지난해대비 150% 확대한다. ○ 후원행사 참여자 목표 250명, 모금 목표 1억원 3) 사업내용 가. 모금위원회 운영 ○ 작년 모금위원 중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핵심 모금위원’을 꾸려 2017년 모 금명분과 방향을 기획한다. (협동사무처장이 역할 할 수 있도록 상상공작소에서 지원) ○ 새로운 모금위원을 포함하여 2017년 모금위원을 구성한다. ○ 모금위원들이 후원행사에서 신규 후원자를 추천하도록 독려하고, 모금에 참여하도록 한다. 나. 후원행사 ○ 활동 콘텐츠를 모금 명분으로 하여 후원 행사를 통해 1억 원 마련 ○ 후원행사 : 2017년 9월 20일(수) 예정됨 ○ 전체 총괄은 협동사무처장이, 행사 기획과 모금 기획은 상상공작소(회원더하기팀은 모금기 획 중 회원대상 모금기획과 실행 요청)가 실무를 총괄하되 별도의 실무 TF를 꾸려 진행함 ○ 대상(추천자, 직업군별 구분)에 따라 적절한 요청이 진행되었는가.

14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회원더하기팀 2017년 키워드 : 너도 나도 녹색연합.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Ⅰ. 회원개발 1. 회원개발 1) 선정 근거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 후원회원 감소로 인한 재정 위기 극복 - 녹색연합의 가치에 공감하는 시민의 양적 증가 도모 ○ 문제의 원인: - 경제 불황, 정치적 영향력 축소, 부진한 기부 문화 확산 등으로 전반적인 기부 위축 - 개인정보보호법 강화/ 금융결제원 정보관리 강화등으로 인해 후원정보 외부해지 증가 - 탈퇴회원 대비 신규 회원 수 감소 2) 목표 : 녹색연합 활동 가치에 공감하는 후원 회원 증가 3) 사업내용 (1) 회원확대 캠페인 ○ 목표: 600명/연 ○ 대상별 회원확대 캠페인을 연중으로 진행하되, 0422~0630 기간은 회원확대 집중캠페인기간 으로 각 분야의 활동을 집중 홍보하여 진행함. ① 온라인 회원확대캠페인 - 60명 / 연 회원확대 - 환경기념일이 많은 4월~6월 사이 온라인을 통해 집중회원확대캠페인을 진행함. - 캠페인방법, 내용 등을 상상공작소와 추후 논의, 협력하여 진행함. ② 회원에 의한 회원확대캠페인 - 100명/ 연 회원확대 - ‘너도나도녹색연합’ 이라는 슬로건으로 회원을 대상으로 신규회원 권유 캠페인을 진행함. - 회원권유자에게는 선물을 제공하고 다수 권유자의 사례를 컨텐츠화하여 회원 권유의 필요성 을 알림. - 회원설문을 통해 회원들의 권유시 어려운 점들을 확인하여 회원권유가 어렵지 않은 환경으 로 개선함. ③ 활동가에 의한 회원확대캠페인 – 290명/연 회원확대. 활동가 1인당 10명의 회원만들기 - 칭찬하는 조직문화 조성을 통한 회원확대 기조는 유지함. 150


녹색은 다릅니다

- 활동가 회원확대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구성,진행함 ① 활동가의 회원확대 사례 경험을 공유하고 ② 활동가 개인별로 활동설명(회원확대) 스크립트 작성을 지원함. - 회원확대를 독려하고 개인별 회원확대 목표를 확인하는 장치를 마련함(활동가별 회원확대 쿠폰 발행) ④ 회비증액 요청 및 탈퇴회원 재후원요청 - 기준회비의 인상을 위해 전체회원대상으로 회비증액을 요청함. - 탈퇴한지 1년 이상 된 회원대상으로 재후원요청을 진행함. ⑤ 기타 - 150명 / 연 회원확대 - 회원행사, 소모임을 통한 회원확대, 방문응대를 통한 회원확대 등을 진행함. 2) 미납회비 관리 ○ 준회원 대상 후원요청 ○ 미납회비 관리 - 미출금계좌 확인, 카드 오류 및 해지, 만료 확인 관리, 계좌 해지 관리 ○ 데이터 관리 - 연회비 안내, 월별 일시중지 정보확인, 월별 지로 발송, 월별 임의탈퇴 처리 진행

Ⅱ.회원관계 1. 회원관계 - 회원소통 - 회원생애주기관계관리 1) 선정 근거 - 회원으로서 정기적으로 활동에 대해 이해를 돕고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필 요함. - 회원이 활동과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 - 안정적인 회원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긍정적인 회원관계를 유지함. 2) 목표 - 녹색희망을 통해 회원들이 활동을 충분히 이해 할 수 있게 쉽게 전달하고 참여를 유도하여 활발하게 소통할 수 있는 창구로 활용할 수 있는 채널로 역할함. - 녹색연합의 활동방향에 관한 회원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이의 객관적 분석을 통해 회원이 직 접 녹색연합의 활동과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 - 회원생애주기 서비스의 부분적 보완을 통해 회원만족도를 높이고, 녹색연합의 활동성과를 공 유함. 3) 사업내용 (1) 녹색희망 15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회원과 소통하는 녹색희망을 발간함. - 매호 활동 주제를 선정하여 활동 진행 상황 및 녹색생활과 같은 정보성 글과 회원들의 참여 컨텐츠로 격월로 발행함. - 환경 관련 통계 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하여 흥미로운 정보를 쉽게 전달함 - 회원 에세이, 인터뷰, 회원후기 등 회원활동 참여 컨텐츠의 지속적인 진행을 통한 회원들의 목소리를 듣는 창구로서의 역할로 자리매김함. - ‘녹색연합 재정보고’는 재정 관련 부서 간 협의를 통해 회원들의 이해를 돕는 방식을 모색하 여 보고하도록 함. - 녹색희망과 관련하여 회원의 의견수렴을 위한 방안을 강구하여 시도하고자 함 - 격월로 진행, 일년에 6차례 발행하여 발송함. (2) 회원 소통 - 적극적으로 활동 공 유: 예) 투명성, 회계성을 강조하기 위해 이메일 등을 통해 예산 집행내 역을 공유. 녹색희망 등에 결산내역을 좀 더 친절한 설명을 보완하여 수록함. - 전화, 홈페이지, 문자, 메일, 대면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피드백이 가능한 문자를 활용한 소통을 강화함. (3) 회원생애주기관계관리 ○ 연차별 회원예우 · 신입회원: 작아 1년 무료구독 · 1년 감사: 후원생일 감사카드 발송 (2016년 가입회원 435명) · 3년 감사: 활동안내 및 감사전화, 부재시 리마인드 카드발송 (2014년 가입회원 231명) · 5년 감사: 활동안내 및 감사전화 (2012년 가입회원 475명) · 10년회원감사: 같이 뛰어주십사 하는 의미의 양말 세트와 손편지 발송, 10년의 활동성과 리플 렛 (2007년 가입회원 163명) · 15년회원감사: 평생길동무로 한솥밥 먹는사이라는 의미의 수저세트, 사무처장 감사편지, 10년 의 활동성과 리플렛 (2002년 가입회원 274명) ○ 회원서비스의 보완: 녹색연합의 최근 10년의 활동성과를 담은 리플렛을 제작, 1년회원, 10 년회원, 15년회원에게 해당되는 예우에 포함하여 발송함.

Ⅲ. 행사 참여 1.회원행사 1)선정 근거 - 회원행사는 회원이 녹색연합 활동에 공감, 행동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자리임. - 참석했던 회원들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회원서비스로서 회원의 기대와 요구가 있음. 2)목표 - 녹색의 가치를 가장 효과적이고 깊이 있게 알릴 수 있는 방법은 대면임. 연차별, 연령별 등 다양한 회원 층별 대면프로그램을 통해 활동가-회원, 녹색연합-회원 관계를 강화하고 녹색

152


녹색은 다릅니다

연합 활동의 이해를 높이도록 함. - 회원으로 유입 가능성 높은 연령대와 특징을 반영한 시민참여 행사를 기획하여 진행함.

3)사업 내용 (1) 회원나들이 - 도심 숲을 느낄 수 있는 나들이에 문화와 놀이를 접목시킨 프로그램으로 생태감수성을 풍부 하게 할 수 있는 활동으로 진행함. - 녹색연합의 활동이해를 높일 수 있는 자연스러운 기회 제공함. (2) 신입회원 모임 - 신입회원이 활동 이해를 돕고 녹색연합과 관계의 지속할 수 있는 자리로 진행함. - 녹색연합 활동소개, 집중하고 있는 현안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녹색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시의적절하게 기획하여 진행함. - 참가대상의 폭(비회원포함)을 넓혀 녹색연합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회원가입의 계기 로 마련함. (3) 송년행사 - 매해 고정 운영으로 정착된 행사로 회원의 기대가 있는 행사이며, 활동가와 회원의 대면기회 를 만들어 긴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 - ‘녹색연말(녹색연합X연말)’이라는 컨셉에 맞는 프로그램을 기획/진행 함. - 20대 참가비율이 낮은 점에 대해 보완 방안을 마련하도록 함. (4) 현장 출동 -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싶은 회원과 시민의 요구가 확인됨 - 녹색연합 현장 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활동임. (5) 어린이자연학교 - 10세~13세 초등학생 회원자녀 또는 어린이 회원을 대상으로 생태감수성을 높이는 생태 캠 프를 진행함. - 생태교육으로부터 소외된 저소득층 어린이들에게 기회를 제공함. - 온라인 모금과 협력파트너(현대자동차등)을 통한 안정적 재정 확보함. (6) 아이컨택- 어른과 아이가 함께 해요 - 녹색연합 회원 구성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가진 4050대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기획/진행 이 필요 함. 따라서 자녀를 둔 4050대 남성을 대상으로 녹색연합 활동을 알리고, 관계를 확 장하는 프로그램 만들어 시도함. - ‘아빠와 아이가 함께 하는 백두대간 걷기 / 태양광충전기 만들기’ 등 녹색연합 활동영역과 연관지어 진행하도록 함. (7) 생태드로잉 - 회원들의 생태감수성과 예술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강좌와 정기모임 진행 - 생태드로잉 9기 (4~5월), 생태드로잉 10기(10~11월) 진행 - 3월 생태드로잉 전시회 진행(성북갤러리) (8) 소모임/ 회원모임 지원 - 새로운 시민을 만나는 가벼운 시도로서 ‘필사모임’과 ‘느낌이 있는 수요일’을 기획하여 진행

15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하여 소모임 구성 시도함. 녹색연합의 공간을 시민들에게 열어둠으로써 다양한 시민들과의 관계형성을 위한 자리로 마련함. - 회원모임으로 녹색희망배달부, 녹색친구들의 활동을 지원하며 회원과의 교류를 강화함. ○ 녹색을 쓰다 (필사모임) ■ 배경 : '디지털 디톡스’라는 새로운 용어가 생겨날 만큼 현대인의 아날로그 감성을 불러 일으키 는 필사가 유행함. 시민들이 함께 환경/생태 관련 도서를 읽고, 공유하면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소모임을 구성해 운영하고자 함. 출판사와 동네책방과의 협력을 통해 외연을 확장함. ■ 장소: 각 지역의 동네책방 ■ 내용: 환경/생태책 선정 후 선정된 책을 읽고 매월 1회씩 모여 구절 공유, 필사를 진행하고, 문화활동(저자와의 만남, 강연회, 활동소개등)을 진행함.

Ⅳ. 시민참여 1. 사업명 : 시민참여 1)선정 근거 ○ 자원활동 - 청소년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자원활동의 장을 만들어 줌으로써 미래세대의 건강한 환경인식 증진을 꾀함. - 가치 있는 자원활동을 경험한 청소년은 그 경험을 계기로 녹색연합의 앞으로의 활동에 깊이 있는 고민과 참여, 후원을 하는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 - 자원활동을 통해 관계 맺는 청소년과 교사, 학부모들에게 녹색연합이라는 브랜드에 대한 호 감을 형성함으로써, 우리의 활동을 지지하는 기반을 넓혀 갈 수 있음. ○ 방문안내 -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한 회원가입요청보다 훨씬 현실적인 방안으로서의 방문자응대에 대 한 좀 더 성실하고 적극적인 안내가 필요함. - 시민들에게 녹색연합 활동 이해와 신뢰의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 2) 목표 ○ 자원활동 - 다양한 방식의 자원활동을 기획하여 실행하고 자원봉사 1365와 연계하여 실질적이고 안정적 인 청소년 봉사단체로서의 입지를 마련함. ○ 방문안내 : 녹색연합을 방문하는 모든 방문자를 대상으로 방문대장을 작성하고, 잠재회원으 로 관리함. 3) 사업내용 (1) 자원활동 - 2016년에 진행되었던 에너지관련활동외에 청소년들이 관심있어하는 다양한 분야(야생동물 보호, 녹색생활등)의 청소년 자원활동을 기획, 진행함.

154


녹색은 다릅니다

- 체험활동이나 캠페인등을 통해 청소년들의 호기심과 재미, 의미를 이끌어낼 수 있는 형식으 로 기존의 다른 자원활동과 차별화함. - 자원활동의 후속작업으로 녹색연합 활동에 청소년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예: 활동후기 게시, 참여청소년 인터뷰등) - 녹색연합 회원이나 회원자녀 뿐만 아니라 일반 청소년들에게도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녹색연 합이라는 브랜드와 활동을 홍보함. (2) 방문안내 - 녹색연합 홈페이지 상단에 방문접수 배너를 다시 게시하고, 방문접수에 적극적으로 임하도록 함. - 방문시 인터뷰하고자 하는 내용에 맞는 활동가들을 적극 연결하도록 함. - 활동가 개인 활동설명 스크립트를 연습을 통해 방문자 대상 회원확대를 시도하고, 모든 방문 자들이 방문대장을 작성하도록 안내 함.

조직팀 2017년 키워드 : 튼튼한 녹색연합. 든든한 조직팀 Ⅰ. 인사영역 1. 활동가교육 1) 목표 : - 활동가 개인별 인사기록 관리를 통한 활동가의 커리어 관리 - 교육의 효과가 조직문화의 긍정적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함 2) 사업내용 (1) 개별교육 - 인사기록카드 작성 : 인사기록 카드 보완 작성하여 개인별 교육 현황 파악 - 인사기록 관리를 바탕으로 적절한 외부 교육기회 권유 (2) 전체교육 - 조직문화에 관한 교육, 법정의무교육을 전체교육으로 진행함. - ‘녹색연합 활동가 멋있게 멋있게’ - 유리멘탈강화교육 / 말하기듣기쓰기 등 기본업무 강화 교육 - ‘세대별 교육 시즌 2’ - 중고활동가 리더십교육 (부서장을 포함한 고연차 활동가 대상) - 환경회의 활동가교육과 연계하여 진행. 필요시 내부에서 심화과정 진행. 3) 스스로프로젝트 - 활동가 스스로 기획하여 공부하고 활동하는 프로젝트로서 2016년의 활동에서 확대 진행

15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연초에 계획이 쉽지 않은 것을 고려하여 상 하반기 나누어 택일 1회 예산 지원

2. 우리사이상담소 1)선정 근거 - 2017년에는 우리사이상담소 구성원들에게 상담교육 등을 통한 역량강화로 더 든든한 상담소 로 자리잡을 필요가 있음. - 상담소가 상시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업무 외의 일이고 분명히 담당활동가들에겐 부 담으로 느껴질 수 있음. 상담분야에 대한 교육과 상담진행 등으로 특혜를 부여하여 상담원 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음. 2) 목표 : - 활동가들이 상담소를 필요로 하는 즉시 우리사이상담소가 훌륭하게 가동될 수 있도록 상담 원의 역량 강화 - 활동가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놓치고 가기 쉬운 문제들을 감지하고 함께 풀어나가는 상담소 로서의 역할 확립 3) 사업내용 - 상담소 구성 후 구성원을 중심으로 상담소의 역할과 한계를 확립 후 3기 출범 - 상담소 구성원 2인이 상담소장과 부소장의 역할, 인사담당자는 지원 간사 역할을 담당. - 상담소 구성원들의 역량증진을 위해 상담교육을 이수 및 직접 상담을 받으며 감각 키움

3. 인사노무관리 1) 목표 - 정확하고 누수 없는 업무 수행 - 활동가들이 활동에 전념할 수 있게 활동가에게 발생하는 모든 사안의 1차적 지원 2) 사업내용 (1) 인사노무 상시업무 - 인사위원회운영 : 활동가 채용/휴직/녹색휴식년 - 인사기록관리 : 연도별 인사기록카드 작성 및 보관 / 증명서 발급과 관리 - 노무 관리 : a. 호봉표 / 연차관리 (6월과 10월에 연차독려) - 출결기록부는 월말에 인사담당자에게 제출 b. 급여 : 급여변동내역확인, 자료전달, 급여명세 발급 및 결재 c. 4대보험 :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 자격상실신고 관련 신고 및 확인 d. 각종 지원금제도 진행 : 출산 육아기 고용안정지원금, 사업훈련비 지원, 청년취업인턴 제,시간 선택제 일자리 지원사업, 고용촉진지원금, 고용유지 지원금

156


녹색은 다릅니다

e. 연말정산 : 세무법인 선명의 안내에 따라 진행. 전체 활동가에게 연말정산 안내, 취합, 발송. f. 건강검진 : 상반기까지 건강검진을 개별적으로 받도록 안내. 비검진자는 9월중 일괄 검진. g. 법정 의무교육 진행 : 개인정보보호교육,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퇴직연금 교육 진 행과 증빙자료 관리

Ⅱ. 조직운영 영역 1. 협업과 공유 1) 목표 - 녹색연합 활동 데이터 축적과 용이한 자료 검색 데이터베이스 마련. - 활동을 위한 시스템(구글 앱스)과 사무공간 조성 - 사업계획수립 / 사업결과보고 진행 2) 사업내용 (1) 협업 시스템 구축 관리 / 데이터 관리 가. 구글앱스 관리 ○ 업무 효율성 증대 - 드라이브/캘린더/행아웃(전국사무처국장단회의) 등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 나. 데이터 관리 - 녹색연합 데이터 관리는 현재 미비함. 분산되어 있는 여러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효율적으 로 관리하여 자료의 보관 / 검색 / 사용이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함. - 구글 드라이브와 자료PC 데이터 정리. - 인수인계 / 자료 정리가 제대로 될 수 있도록 조직팀장이 직접 관리. - 문서자료 / 사진 및 영상자료 정리. (2) 사업계획수립 / 사업결과보고 - 정성적/정량적 평가내용이 같이 담기도록 함. - 전문위원과 임원이 함께 참여하고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함. - 지속가능성평가보고서(2016~2017)의 진행 결과를 반영하여 수립/결과보고 방향과 틀을 보 완. - 부서별 사업 계획 수립 / 결과 보고 워크숍(전문위원 의견 반영) / 부서장 워크숍 / 전체 워 크숍 진행. - 1월 중앙집행위원회 / 3월 회원총회(총회 위임 전국운영위원회) 최종승인

2. 총무

15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1) 목표 - 건물 안전 진단 및 관리 : 건물 내부 균열 수시 점검하고 최우선으로 대책 마련. - 조직물품관리 : 각 부서별로 물품목록 현황대장 제출(조직팀), 부서별로 물품관리 담당자 정 하여 관리하며 상반기 및 연말 사업결과보고 시 부서별 사업결과보고서작성에 물품관리 현 황대장 점검하여 제출. - 신입활동가나 컴퓨터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 조직에서 구입하여 지급하고 퇴사 시 반납. - 차량 관리 / 청소 관리 / 활동가 연락망 / 명함

3. 지속가능성보고서 1) 선정 근거 - 이해관계자 보고 : 2017년 총회 보고, 이해관계자 (회원, 후원자그룹) 보고를 위한 보고서 제작 - 녹색연합의 지속가능성 향상 : 이해관계자 설문을 통해 선정된 녹색연합의 지속가능성 이슈 리스트와 해당 이슈에 대한 내부 이해관계자들의 진단결과로 나타난 문제들 해결 2) 목표 - 녹색연합의 활동과 운영을 사회적, 환경적, 프로그램의 성과적 측면에서 종합 검토하여 지 속가능성보고서를 제작. 3) 사업내용 (1) 지속가능성보고서 제작 - 녹색연합의 고유목적, 2016년 활동결과, 지속가능성 진단결과와 개선과제 등을 담은 보고서 제작 - 지속가능성보고서 회원, 후원자 배포 - PDF 파일 공개 (2) 지속가능성 워크샵 - 녹색연합 지속가능성 이슈리스트에 따른 진단과 개선을 위한 워크샵 진행, 워크샵의 규모와 방식, 시기는 이슈에 따라 선택 - 워크샵 결과 조직 내/외부 반영

Ⅲ. 전국조직 영역 1. 의결체계 1) 선정 근거 것이 필요. 2) 목표 :

158

: 녹색연합의 본부사무처와 지역기구/전문기구의 실효성 있는 관계를 이어나가는


녹색은 다릅니다

- 녹색연합 조직운영 관련 정보 관리 및 효과적 공유 - 녹색연합 의결체계의 실효성있는 구성 및 진행. 3) 사업내용 (1) 의결체계 운영 ○ 안정적인 조직운영을 위해 현재의 틀을 점검하고 유지 보완하여 운영. ○ 회원총회 : 회원총회는 녹색연합 최고 의결기구로 회원들의 의견을 다양한 방법으로 모아 비 전을 공감하며 진행과정을 공유하는 장임. 회원총회 준비와 운영과정에 조직전체가 참여하도 록 총회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함. 조직팀/회원더하기팀/상상공작소가 사무처장, 협동사무 처장과 함께 회원총회를 준비할 수 있도록 조율하는 역할을 함. ○ 전국운영위원회 - 녹색연합 전체의 비전과 방향성(운동내용의 이슈, 운영의 흐름)을 정함. - 2017년 전국 단위별로 전국운영위원회 위원 변경 다수. - 2017년 2월 23일 총회 준비 전국운영위원회가 열릴 예정. ○ 중앙집행위원회 - 2017년 중집구성안을 마련하여 회원, 전문위원 그룹 중 적절한 위원을 추대하여 구성하도 록 함. - 중앙집행위원회 실효성 있게 지원하며 본부사무처와 상호의견 교환이 원활하게 되도록 함. ○ 전국사무처국장단회의 - 녹색연합 지역조직/전문기구/본부사무처가 유기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함. - 화상회의 도입(구글앱스_행아웃) - 3% 기금 기획과 집행 ○ 전문위원 - 녹색연합 본부사무처 전문위원과 업무 교류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적극장려 - 실행방안 : 전문위원 활동가 대상 강의 진행(연 4~5회), 부서별 전문위원 교류 활성화방안 점검(사업계획수립/결과보고)

2. 사단법인 1)사업내용 (1) 사단법인 관련 행정업무 진행. ○ 결산 보고 : 회계연도 종료 3개월 이내 공익법인 결산 보고 및 공시 ○ 사단법인 총회 : 2016년 사업, 재정결산 보고 / 2017년 사업 및 예산계획 승인 / 임원 승인 및 변경 2017년 3월 18일 총회(등기 / 임원 임기 변경)/ 최소 연 2회 이사회 진행(등기외 주요 변경 사항 진행) 3. 전국조직 1) 사업내용 15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신년워크숍, 하계워크숍, 전국사무처국장단 워크숍 - 신년워크숍 : 2017년 1월 3일~4일 남산유스호스텔 55명 참석. - 하계워크숍 : 2017년 8월 중 2박 3일 진행 예정. - 전국사무처국장단 워크숍 : 2년에 1회 진행. 2017년 개최일정과 장소는 미정. - 법정의무교육 : 직장성희롱예방교육, 개인정보보호교육, 퇴직연금교육

Ⅳ. 재정운영 영역 1. 재정운영 1)목표 : 재정관리 및 운영 효율화, 통합된 법인 재정양식 도입 및 활용 2) 사업내용 (1) 재정운영관리 가. 재정관리 - 연간 예산 및 추경예산 취합 : 연간 예산 내용 취합, 분석, 계획 수립(1~2월중), 연간집행점검 : 2017년 예상 예산계획 수립(1분기) : 추경예산 수립/확정(7월) - 회계프로그램 계정조정 업무 진행. - 법인세 신고 및 납부 - 매해 세법 개정사항 확인하여 업무적용 / 세무사와 국세청 확인 후 업무 진행. - 공모사업별 양식에 맞춰 재정현황 작성 및 계약서 작성 및 진행 내용 점검. - 통장 / 체크카드 관리 및 분실 시 신고 및 재발급 - 지역조직/ 전문기구 사업장 주소 변경 시 등기 변경 진행(법인관련 매뉴얼 참고하여 법무사 에게 의뢰하고 은행거래 관련 서류 요청 시 발송) - 회원총회에서 대표자 변경 시 등기변경 진행. 나. 재정보고 - 월/ 분기/ 연 단위 결산자료 홈페이지 게시 - 사단법인 지부별 법인자료 취합하여 환경부 법인보고자료 작성 및 송부(~2월말까지) - 공익법인 결산 공시(~3월말까지) 다. 회계 감사 - 연 중 1회 진행함(1~2월) - 1월 중 하나은행 포함한 5개 거래은행과의 거래내역 및 잔고증명서 발급. - 2월 중순 회계감사에게 자료 발송, 2월말까지 감사 진행.

160


녹색은 다릅니다

정책팀 2017년 키워드 : 협동과 연대로 현안 이슈를 커넥트하여 여의도로! Ⅰ. 정책 대응 1. 그린테이블 1) 선정 근거 - 녹색사회연구소와 녹색연합은 녹색사회연구소의 재정안정화 도모, 녹색연합의 정책역량 강 화, 그리고 정책센터로의 장기비전 수립 등의 이유로 상시적인 협업구조(그린테이블)를 갖추 기로 2015년에 결정하고 2016년에 이어 2016년에 이어 2017년에도 지속하기로 함 2) 목표 - 녹색연합과 녹색사회연구소의 상시적인 정책협업으로 녹색운동의 이론적, 정책적 역량강화 - 녹색사회연구소의 장기적인 안정화를 위해 재정지원 등을 포함한 방안 마련 3) 사업내용 - 그린테이블 운영 : 연구소와 녹색연합의 장기적인 협업구조를 위한 상시적인 기초논의 진행 : 공동의 단기 과제를 도출하고 함께 실행방안 마련 : 녹색사회연구소와 본부 녹색연합을 기본으로 하고 녹색법률센터 참여 등 열린 구조로 운영 - 이슈브리핑 진행 : 월례회의를 기본으로 그린테이블에서 생성한 정책 이슈리포트를 활동가들과 공유 - 20대국회 입법과제 후속 프로그램 진행 : 20대 국회 개원 당시 녹색연합 차원의 우선 입법과제를 선정한바 있고, 이에 대한 후속 프로 그램임 - 정책협업 코디 : 녹색연합의 역할과 과제 속에서 필요에 따라 각 부서에서 요구되는 정책전략이 나올 수 있도 록 지원 역할. - GMO입법 연구과제 등 개별 협업프로그램 진행

2. 정책일반 1) 선정 근거 - 입법, 예산, 행정 등 환경운동과 관련된 정부 정책의 계획과 실행에 대한 모니터링과 그에 대응하는 정책의제 수립이 필요함 - 환경진영에 국한되지 않는 노동, 여성, 시민 등 다양한 운동주체들과의 상시적인 연대와 특

16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정의제 협력에 대한 대내외적인 요구가 예상됨 2) 사업 내용 - 언론, 정부 정책동향 등을 직접 모니터링하고 정당, 시민사회 등 네트워크를 활용한 모니터 링 진행 - 그린테이블의 이슈브리핑과 각 부서와의 상시적인 공유(부서장회의 등)로 조직 내 정책의제 공유 - 모니터링을 토대로 녹색연합 차원에서 입법부, 행정부 등에 의견을 개진하고 필요시 운동의 제로 제안 - 정당, 시민사회 등과 정책 네트워크를 구축 및 유지하고, 다양한 운동주체들과의 상시적인 연대 - 일반적인 녹색연합 입장발표 ※ 한국환경회의의 정책대응 소위원회 활동과 연계해서 진행

Ⅱ. 한국환경회의 1. 한국환경회의 1) 선정 근거 : - 한국환경회의 정보교류와 소통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강화 필요 - 2016년 구성된 정책공동대응모임 강화로 환경의제 입법화와 사회적 의제 확산 - 신입활동가 교육, 환경활동가 워크샵, 공통교육을 통한 역랑강화에 대한 요구와 필요 2) 목표 : - 환경회의 안정적 운영과 온라인아카이브 기획제작 - 연차별, 직능별 교류와 교육을 통해 경험과 노하우 공유 - 국회와 환경의제 공동대응을 통한 사회적 의제 확산과 문제해결 3)사업내용 (1) 환경활동가 공통교육 - 교육소위원회 : 환경활동가 교육을 기획, 실행하는 기획단 - 신입활동가 교육 : 신입활동가 교류와 교육 - 핵심역량 교육 : 핵심적으로 역량강화가 필요한 집중교육 - 서로배움학교 : 각 직능별 교류를 통한 경험과 노하우 공유 - 환경활동가 워크샵 : 전국환경운동가의 교류 (2) 환경회의 운영 - 한국환경회의 정기회의 운영 - 환경운동정보 아카이브 구축 (3) 정책공동대응

162


녹색은 다릅니다

- 의제별 지속적 정책 대응과 의정 모니터링 - 일상적 대응채널의 안착화 - 자료 공유 및 비정기 간담회 - 의제별 워크숍 및 현장방문 - 월별 주요 환경 의제 정책 토론 및 간담회 - 주요 국회 일정에 맞춘 공동 정책 대응 및 모니터링

Ⅲ.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대응 1. 케이블카 사업 ‘굳히기와 다지기’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완전취소! 케이블카 완전종식!) 1)선정 근거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이 문화재위원회의 부결로 사실 상 무산되었으나 양양군은 문화재 위원회 재심의 요구와 함께 노선을 변경하여 재신청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환경영향평가는 계 속 진행되고 있음 - 향후 케이블카 문제를 근본적으로 종식하고 보호지역의 올바른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법, 제도, 정책마련 활동이 필요함 2) 목표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의 최종 취소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반대운동이 법, 제도, 정책변화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교두보 마련 : 설악산 지역 난개발 모니터링을 통한 현 보호지역관리방안의 실태고발 : 설악권 주민들의 대안모델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 형성 : 전국 케이블카 현안지역과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운동의 경험과 노하우 공유 3) 사업내용 (1) 후속 행정절차 대응 - 환경부가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중지하도록 하는 압력·로비활동 진행 - 양양군의 문화재위원회 재심의 상정시도에 따른 문화재위원회 로비활동 진행 ※ 양양군, 환경부, 문화재청, 문화재위윈회 등 관련 동향 수시 모니터링 ※ 주요한 국회 일정과 이슈에 맞춰 입장발표, 언론 대응 등 대응활동 진행 (2) 설악산 국립공원 난개발 모니터링 ① 사업내용 - 현장조사와 문헌조사를 토대로 설악산을 사례로 한 국내 국립공원 관리실태 분석 보고서 제 작 : 설악산 국립공원 난개발 및 부실관리 사례 조사, 국내보호지역 관련 법·제도·정책현황 분석작 업 등을 토대로 함/ 웹 형태의 제작물로 구현함 - 위의 결과물을 활용한 정책제안간담회 진행

16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② 추진일정 - 선행 연구자료 수집 및 분석, 해외보호지역 사례 조사: 2 ~ 3월 - 국내보호지역 관련 법, 제도, 정책현황 분석: 4월 ~ 6월 - 설악산 현장조사: 4월 ~ 10월 - 분석 보고서 작성 및 웹 기반 구현 작업: 10월~11월 - 조사결과 발표 및 이를 활용한 정책제안간담회 진행: 11월 ~ 12월 (3) 보호지역과 지역주민 간 상생(대안)모델 마련을 위한 활동 - 상생(대안)모델관련 내·외부 간담회 진행 : 상생(대안)모델 개발을 위한 스터디 및 새로운 DB구축 - 설악권 주민을 대상으로 한 공청회 진행 - 기획기사 발행 : 설악권 주민, 행정, 전문가 등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토대로 함 (4)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반대운동의 노하우 공유를 위한 활동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반대 활동백서 제작 : 오색케이블카 사업 추진경위에 따른 활동자료의 정리 작업을 토대로 함 - 케이블카 현안지역 반대운동 단위들과의 간담회 진행

Ⅳ. 4대강사업 대응 1. Return! 4대강 ‘생명의 이동권’ 1) 선정 근거 - 완공 3년째를 넘긴 4대강사업은 수질악화, 생태계 오염 등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는 환경재 앙이 되어 버렸음 - 16개 보로 모든 생명의 이동권이 막혀버린 4대강을 하루빨리 생명이 흐르는 강으로 되돌려 놓아야 함 - 이를 위해 생명의 이동권을 중심으로 한 4대강 재자연화의 여론과 입법토대를 만들 필요가 있음 2) 목표 - 4대강 재자연화의 필요성과 4대강 보 상시개방 촉구에 대한 여론 형성 - 친수구역특별법 폐기, 4대강 재자연화법 공론화 등 4대강을 망가뜨린 법제도 정비 3) 사업내용 (1) 물고기 이동의 날 캠페인 - 세계 물고기 이동의 날 캠페인(5월 셋째 주 토요일)은 2년 마다 개최, 2016년 한국에서 처 음으로 진행한 것을 안착화 시키기 위해 향후 5년 정도 매년 캠페인을 진행하되 규모는 조 정함 - 하구포럼에서 전국 각 조직의 참여의사 확인과 진행규모를 논의하되 녹색순례 일정을 고려

164


녹색은 다릅니다

하여 5월 둘째 주 토요일(5월 13일 – 가안)에 ‘물고기 이동의 날’ 캠페인을 전국 녹색연합 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것을 제안함. - 본부는 ‘물고기 이동의 날’ 캠페인 조직 및 사전-사후 보도자료 배포, 공통의 슬로건과 디자 인 제작을 담당, 4대강 이슈를 확산하고 회원확대 홍보 캠페인과 연계하여 진행하도록 함 - 전국 단위의 캠페인 규모가 정해지면 상상공작소와 협의하여 역할 나눔 (2) 국회를 통한 법제도 정비 및 입법 활동 - 국회와 4대강 대응활동을 지속해온 시민사회와의 협력구조 마련 - 친수구역특별법 폐기, 4대강 재자연화법 제정 등 4대강 재자연화를 위한 법제도를 정비활동 진행 - 입법부를 중심으로 우선 철거해야할 보에 대한 검토 시작 (3) 4대강 재자연화와 4대강 보 상시개방에 대한 시민여론 확산을 위한 활동 - 시민여론 형성을 위해 일간지, 방송 등과 함께 기획기사 발행 - 4대강사업의 폐해와 재자연화를 주제로 시민 대상으로한 웹 형태의 제작물 제작 : 현재까지 발행된 4대강 관련 녹색연합 보고서를 축약 및 추가해서 리뉴얼 하는 수준으로 제 작

Ⅴ. 연대활동 1. 도시공원일몰제 워킹그룹, 평창올림픽 대응 시민모임 등 연대활동 참여 1) 선정 근거 - 지난해 도시공원일몰제 대응을 위해 녹색연합, 녹색미래, 생명의숲, 환경정의 등을 중심으로 워킹그룹 구성해 내부 워크숍 등을 진행해왔고 2017년 공동 대응을 목표로 하고 있음 - 평창동계올림픽을 1년 여 앞둔 시점에서 녹색연합이 참여하고 있는 평창동계올림픽 대응 시 민모임의 활동이 요구되는 시점임 - 이 외에도 개별 부서와 직접 연관이 없는 운동의제에 대한 내외부의 연대요구가 있을 가능 성이 있고, 이는 정책팀에서 우선 대응이 필요함 2) 사업 내용 - 도시공원일몰제에 대한 시민여론 환기를 위해 연대단위 프로그램 진행 - 평창동계올림픽 등 대규모 국제스포츠행사에 대한 시민여론 환기를 위해 연대단위 프로그램 진행 - 이 외에 요구되는 연대활동에 참여해 녹색연합 목소리 개진

에너지기후팀 2017년 키워드 : 에너지권리를 깨달은 시민이 일상 속 참여를 통해 함께 만들어 16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가는 탈핵, 탈석탄 에너지 전환 에너지기후팀은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사람에게 전달한다], [시민의 책임과 권리를 인식해 보편적 가치로 만든다], [국가가 떠받드는 시스템을 깬다], [에너지정책 결정권한을 분산화한다]를 핵발전에서 안전한 에너 지로 전환을 위한 4가지 핵심 과제로 선정함.

Ⅰ. 탈핵탈석탄 정보 제공 1. 탈핵 컨텐츠 제작 홍보 1) 선정 근거 : ▸ 탈핵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가 이곳저곳에 흩어져 있어서,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 탈핵과 관련한 정책이 수립되기 위해서, 시민들에게 필요한 정보가 알기 쉽고, 접근하기 쉽 게 관리되어야 시민들의 공감대를 확산할 수 있다. 2) 목표 : ▸ 탈핵에 필요한 컨텐츠를 활용 목적에 맞게 제작하여 배포한다. 3) 사업내용 (1) 후쿠시마 인포그래픽 제작 ① 제안 배경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가 일어난 지 6년째, 후쿠시마의 내용을 간명하게 전달하는 자료가 부재하다. ▸후쿠시마의 주요 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고리, 영광, 울진, 월성 과 비교하는 자료를 3.11에 맞춰 제작 배포한다. ② 목표 ▸후쿠시마 인포그래픽을 통해 고리, 월성, 울진, 영광이 후쿠시마가 된다면 어떤 상황이 벌어 질 것인지를 시민들이, 지역주민들이 상상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진행과정 ▸후쿠시마 주요 데이터(건강, 경제, 환경, 생활방식 등) 취합, 고리・월성・울진・영광과 비교 분석 : 2월 말까지 ▸인포그래픽 디자이너 섭외 : 2월 중순까지 ▸제작 배포 : 3.11주간 (2) 100만시민의 요구, 탈핵현장을 간다 ① 제안배경 ▸ 탈핵, 에너지전환의 입장을 가진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의 일환으로 탈핵 6대 요구사항을 담은 100만인 서명운동이 진행 중이나, 6대 요구안이 핵발전의 수많은 문제점 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어 이해를 높이고 적극적인 행동으로 나아가기 위한 활동이 필요하 다.

166


녹색은 다릅니다

▸ 시민들이 탈핵 요구 서명에서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장이 필요하다. ② 목표 ▸ 절전소, 에너지자립마을 등 도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탈핵 시민들이 현장을 방문하고 연대함 으로써 탈핵의제를 생활운동으로 체감하고 주체가 되도록 돕는다. ▸ 현장 방문 – 기사/카드뉴스 - 뉴스레터를 통해 탈핵 후보에게 요구하는 6가지 탈핵 이슈 를 더 쉽게 더 널리 확산시킨다. ▸ 대선일정에 맞춰 멈추는 행동이 아니라 더 구체적인 정책 변화를 만드는 활동의 발판을 마 련한다. ③ 사업내용 ▸ 탈핵후보 6대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현장 방문, 연대. (주요 참가자 : 성북절전소장, 절전소 회원 등 도시에서 에너지 운동을 하고 있는 주민들 및 적극적인 관심이 있는 탈핵시민) ▸ 방문현장 (안) · 신규원전 : 삼척, 영덕/ 노후원전 : 부산 월성/ 고준위 : 영광/ 탈핵 에너지기본법 : 서울, 경기, 충남, 제주/ 재생에너지확대 : 재생에너지 한 살림 안성 400kw ▸ 관련 내용을 기사, 카드뉴스 등의 형태로 정리, 홍보. 100만인 서명운동에 시민 참여를 확 대한다. ▸ ‘19대 대선, 그후’ 라운드 테이블. 100만인서명운동과 19대 대선 이후 새로운 대통령에게 바라는 구체적인 정책 결정과 그 실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생활 운동으로 확산. (3) 탈핵컨텐츠 제작 ① 제안배경 ▸ 정보취합/ 재가공 컨텐츠를 통해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대상(절전소, 에너지자립마을 등 에 너지 운동그룹 및 일반 시민)에게 적절한 형태의 정보전달 필요. ② 목표 - 다양한 형태로 핵발전, 에너지 정책의 문제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함. ③ 사업내용 - 에너지 컨텐츠 개발, 제작 : 연중 계획과 시기에 따른 이슈를 알기 쉽게 정리, 알려냄. : 형태 : 동영상, 웹툰, 카드뉴스 등 기획/실무단 구성 시 구체 논의 - 월 1회 해당월의 컨텐츠와 관련 발행한 기사 등을 묶어 뉴스레터 발행

2. 석탄화력발전 오염지도 제작 1) 선정 근거 ▸ 석탄화력발전에 대한 녹색연합 자체 기본 정보가 너무 없어서, 석탄화력발전 폐쇄운동에 사 용할 기본 정보를 축적한다. ▸ 오염지도 제작 과정을 통해 에너지기후팀의 석탄화력발전소를 공부하고 이해하는 계기로 삼 는다. 2) 목표

16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가동연도, 전기생산량, 온실가스배출량, 대기오염물질배출량 등 기본 정보를 담은 오염지도를 제작한다. ▸ 정보를 취합, 분석하는 과정에서 향후 석탄화력발전소 대응운동의 방향을 잡는다. 3) 사업내용 (1) 석탄화력발전 오염지도 제작 ▸ 전국 석탄화력발전의 현황 조사 ▸ 석탄화력발전의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가스 배출량 데이터 분석 ▸ 석탄화력발전의 운영 실적 분석 ▸ 미세먼지주의보 발령일수의 변화, 화력발전 운영실적의 변화, 호흡계 질환자 수의 변화 등 의 상관관계 여부 조사

Ⅱ. 에너지정책 권한의 분산화 1.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공론화를 위한 지역포럼 1) 선정 근거 - 현재 에너지 공급 및 수요관리는 국가 주도의 ‘국가에너지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결 정되어 핵발전, 석탄발전 등 낮은 가격의 에너지공급 정책을 펼치고 있음. 피해가 발생하는 각 발전소가 위치한 지방정부는 에너지시설의 건립, 유지, 철거과정에 거의 개입할 수 없으며, 피 해 주민들이 직접 진행하는 주민투표조차 ‘국가사무라 주민투표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국가 로부터 무시당하고 방해받고 있음. - 그러나, 서울, 경기, 충남, 제주등이 탈핵, 탈석탄, 온실가스 저감의 방향성을 갖고 지역에너 지계획을 수립했고, 광주, 전북, 강원등도 에너지전환 정책을 적극 수립, 실행하고 있음. - 2017년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18년 제 3차 국가에너지계획수립등이 예정되어 있어, 국가주도 에너지계획에 지방정부의 에너지수요관리, 재생에너지정책등이 반영되도록 해야 함. - 이에 2017-8년은 국가에너지계획 수립과정에 지방정부의 의견 및 정책이 반영되어 분산형 에너지정책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초를 닦을 좋은 기회임. 2) 목표 : 지자체, 마을의 생활의제가 국가에너지계획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공론화 : 국가 전력, 에너지계획에서의 지역별 에너지 현안발굴, 쟁점화 3)사업내용 (1)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공론화를 위한 지역포럼 - 서울(재생에너지와 수요관리), 대전충남(석탄화력), 광주전남(온실가스), 부산(핵발전) 지역녹 색연합이 주관하여 8차전력수급기본계획 현안을 발굴할 포럼 개최 - 포럼에서 제기된 쟁점을 지역에너지전환 활동 및 국가에너지계획 전환 제안활동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논의 협의체 구성.

168


녹색은 다릅니다

- 서울) 에너지시민이 바라는 국가전력정책 라운드테이블 2차포럼(미트쉐어) / 서울시 원전하 나줄이기 정책과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서울에너지포럼 주제 제안)

2. 지방정부협의체 활성화 1) 선정 근거 2016년 12월 서울, 충남등 광역지자체 2곳과 23개 기초지자체가 ‘국가에너지계획 전환을 위한 지방정부 협의체’를 구성, 국가주도의 핵발전, 석탄발전 확장에 문제제기를 하며, 에너지정책 결 정과정에 지방정부도 참여하기 위한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함. 2) 목표 : 지방정부의 정책을 반영한 국가에너지계획 제안 3) 사업내용 (1) 지자체 활동제안 및 모범사례 확산 - 조례, 계획, 예산, 부서, 거버넌스 등 협의체 가입지자체 활동 제안 - 사무국(당진)의 전문위원 및 협의체 민관거버넌스 제안 - 모범사례 발굴 홍보 - 지방정부협의체 가입 확산 촉구 캠페인 - 지역에너지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네트워크 : 협의체 가입지역 시민사회단체 정보공유, 공동사업등 (2) 국가에너지계획과 지역에너지계획 관련성 연구 - 지역별 쟁점 및 지역에너지계획 취합, 항목별 대체효과 분석 (에너지원별 생산, 수요관리, 송 배전관리) - 2차 국가에너지계획,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비교분석 -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및 3차 국가에너지계획 반영제안 : 에너지원별 비중 조정, 총수요예측치 조정 - 연구결과 발표 및 제안 토론회 진행 - 연구결과는 2018년 국가에너지계획(3차) 수립시 참고자료가 될수 있도록 제안, 각 지방정부 의 에너지정책현황은 2018 지방정부 선거시 에너지관련 정책 제안 또는 이슈화의 기초자료 로 배포.

3. 서울시 생태발자국 수준 평가 및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 가능성 연구 1) 선정 근거 : ▸녹색연합은 2006년까지 설문 조사와 진보재정의협회의 산출식을 토대로 한국의 생태발자국 을 발표하여왔다. 생태발자국은 시민들이 스스로 지속가능한 삶을 살아가는지를 체감할 수 있 는 지표로 개발되어 활용되었으나, 시민 개인은 자신의 소비량만을 가지고 판단하는 한계가 존재하며, 계산식에 대한 타당성 논란 등으로 그 활용이 줄어들고 있다.

16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지속가능한 삶은 단순히 소비의 양을 줄이는 것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자연(생태계)과 미래세대, 지역, 사회 약자 등을 고려한 생산방식과 교환 및 분배방식, 관계맺음의 변화까지 고려해야 가능하다. ▸따라서 서울시 녹색위가 시민들 삶의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생태발자국을 새롭게 도입 하는 과정에서 녹색연합은 2000년대 초반 생태발자국을 발표한 경험을 토대로 서울시 빅데이 터 캠퍼스 등을 통해 현재 확보가능한 서울시 데이터와 국가통계자료를 활용해 기본으로 2017년 서울시의 생태발자국을 측정하고자 한다. ▸여기에 덧붙여 서울시의 원전하나줄이기 정책, 맑은하늘서울만들기시민운동본부, 쓰레기제로 화시민운동본부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들과 그렇지 않은 시민들 사이의 생태발자국 차이 여부를 측정비교함으로써 서울시가 펴는 정책이 시민들의 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변곡점 이 될 수 있는 지점을 찾고자 한다. ▸17대 목표와 169개의 세부목표로 구성된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와 해비타트Ⅲ에서 논의한 새로운 도시 의제(New Urban Agenda, 이하 NUA) 등은 거대도시 서울이 지향해야 할 변화 목표로 매우 중요하며, 생태발자국이 이런 목 표의 달성과정에서 유의미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석과 보완 과정이 필요하다. 2) 목표 : ▸서울시의 지속가능성을 시민들에게 쉽게 전달하는 지표로서 생태발자국 척도 개발 및 적용 ▸원전하나줄이기 등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서울시 주요 정책 및 SDGs, NUA 달성을 시 민들과 함께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써 생태발자국 재설계 3) 사업내용

세부사업명 (프로그램명)

활동내용 및 추진방법

사업기간

국내외 생태발자국 활용 동향 조사

• 영국 런던, 캐나다 밴쿠버 등 생태발자국을 발표하는 도시의 동향 조사 연구 3월∼4월 • 생태발자국 관련 국내 사례 조사

서울시 생태발자국 조사 및 홍보

• 진보재정의협회 산출식을 토대로 서울시 생태발자국 계 산식 수립 및 산출 5월∼6월 • 다양한 준거집단을 상대로 생태발자국 설문 조사 실시

생태발자국과 SDGs 연계가능성 연구

서울시 생태발자국 지표 설정

170

• 서울시가 SDGs 달성을 위한 이행 과정을 점검하는 지 표로 생태발자국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며, SDGs를 활 용하기 위한 시민사회의 다양한 사례 연구 분석 3월~10월 • 서울시의 주요 환경 정책의 측정지표로 생태발자국 활 용가능성 연구 • 서울시 주요 정책이 메가시티 서울이 지향해야 할 변화 목표인 SDGs와 NUA의 달성 과정에서 제대로 펼쳐지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도구로 생태발자국이 유의미하게 활 9월∼10월 용될 수 있도록 생태발자국을 재구성하며, 그 결과를 시 민의 눈높이로 재해석


녹색은 다릅니다

Ⅲ. 에너지 권리찾기 - 에너지를 삶의 보편적 가치로 만들고, 시민의 책임과 권리를 높인다. 1. 내가 만드는 에너지(전기/가스 등) 요금 고지서 공모전 1) 선정 근거 : ▸계약용량이 자신이 사용하는 전기량보다 월등히 많아 불필요한 돈을 지불하는 점포가 상당 수 있어서, 이를 알기 쉽게 표기해야 한다는 문제제기가 있었다. ▸일부 아파트단지에서 관리비 청구서에 내가 사용하는 전기량 등이 같은 평수의 다른 세대와 비교해줌으로써 자신의 전기 사용량을 가늠할 수 있다. ▸독일의 일부 민영전력회사는 자신이 사용하는 전기가 어느 정도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보여준다. ▸시민들이 직접 자신이 사용하는 에너지원의 요금 고지서를 통해 알고 싶은 사항을 요금고지 서에 표기되도록 디자인을 한다면 이를 통해 단순히 가격을 통보받는 것이 아니라, 현대 생 활에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에너지에 대해 다시 한번 상기할 수 있다면, 에너지 절약 뿐만 아니라, 올바른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2) 목표 : ▸에너지 요금 고지서 디자인 공모전을 통해 나온 시민들의 아이디어를 한국전력이나 도시가 스회사, 서울에너지공사 등에 반영한다. 3) 사업내용 ▸협업 추진 : 서울에너지공사, 에너지드림센터, 슬로우워크, 일상의 실천 등 협의 3~4월 ▸해외 사례 조사 : 전기요금고지서나 난방요금 고지서의 해외사례 취합 5~6월 ▸시민 공모전 진행 : 7~9월 ※ 시민공모전 이후 실제 요금고지서에 반영하기 위한 절차와 시민여론화 방안 미비

3. 에너지시민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밀착형 에너지 협치 1) 선정 근거 : 서울시가 원전하나줄이기 정책을 통해 발굴하고 육성한 에너지시민(에너지 현안을 자각하고, 실천하는 시민)은 3만여명에 이름. 그러나, 이들 중 대부분은 서울시의 지원정책이 사라지면 에너지시민으로써의 활동도 중단할 것으로 짐작됨. : 그러나, 기초지자체와 마을 곳곳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생활의제에 ‘에너지’를 접목할 수 있다 면 의식과 실천력을 갖춘 에너지시민들을 필요로 하는 현장이 많아져 이들의 활동이 지속될 수 있고, 에너지 전환활동이 시민들 생활속 보편적 문제로 인식될 수 있을 것임. : 에너지시민역량 강화를 통해 복지, 교육, 주거개선, 마을공동체, 청년주거, 먹을거리, 교통 등 다양한 생활의제와 에너지를 어떻게 접목할 수 있을지, 자치구별 활동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17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지역에너지활동가를 선발, 육성해 시범활동을 실시, 에너지전환활동을 확장한다. 2) 목표 : 생활의제 중 5가지 영역을 선정해 에너지를 접목하는 사업을 발굴하고, 이를 수행할 활동가 를 육성하며, 이들이 기초자치단체와 시범활동을 접목하도록 한다. (서울시 협치사업) 3) 사업내용 (1) 지역에너지협치 민관협의체 참여 및 포럼 운영 - 서울시 – 서울에너지공사 – 에너지전문가 – 녹색연합 공동으로 민관협의체 구성 - 생활의제와 에너지를 접목해 지역에너지전환 활동영역 발굴, 제안하는 포럼 운영(5회) - 에너지활동가 육성 및 비젼수립 지원 - 에너지활동가 인재풀과 자치구 에너지전환활동과의 연계방안 마련 (2) 에너지활동가 인재pool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역량 분석 - 서울시 및 기초지자체, 에너지관련 시민단체 활동 및 활동에 직, 간접적으로 지속하여 참여 중인 에너지 시민들의 참여경로, 참여형태, 역량, 활동의지 등을 인터뷰, 조사해 에너지 활동 가 pool 구축. - 지속적 활동이 가능하고 활동력 확장이 가능한 시민들을 따로 분류, 활동 사례분석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시민역량을 정리, 분석해 활동단계별 성장 비전 및 필요한 교육, 활동 가능한 분야 등을 제시

4. 성북구 에너지전환 1) 선정 근거 : ○ 일방적인 정부의 에너지정책에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지자체들이 ‘에너지정책 전환을 위한 지방정부 협의체’를 구성하였으며 COP21이후 온실가스 감축 의무와 기후변화, 미세먼지 등 에너지 현안에 대한 당면한 문제들로 해법을 찾고 있다. ○ 지역 중심 에너지 전환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거버넌스 구조의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한 사

례를 만든다. ○ 기후변화, 사용후 핵연료 처분장, 고리 5,6호기 등 앞으로 당면할 에너지 문제들은 시민들 눈 높이에 맞게, 생활속에서 공론화해야 하며, 이에 대한 시민인식을 증진시킬 필요성이 있다. 2) 목표 : ○ 기후변화 완화와 핵발전소 계획의 근거가 되는 전기사용 피크치를 관리하기 위한 주민참여 프 로그램을 통해 지자체와 주민들의 에너지 문제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킨다. ○ 지자체의 탈핵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 정책 추진을 독려한다. ○ 시민이 에너지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행동하는 것이 정부의 일방적인 신규 핵발전소 정책 추 진에 압박으로 느끼도록 한다. ○ 절전소의 적극적인 양적 확대로 성북구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성과를 낸다.

172


녹색은 다릅니다

3) 사업내용 (1) 성북절전소 지원 - 학교절전소 : 올해 학교 동아리를 중심으로 절전소 길라잡이를 파견하고 교육안을 지원한다. - 절전소장 및 회원 에너지교육 : 영화‘판도라’ 공동상영회 : 탈핵 운동가와 질의&응답으로 절전활동 동기부여

: 매월 절전소

소식지 [에너지바로 알기]를 통해 탈핵 이슈와 정보를 알린다. 절전소 확대와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코마일리지, 탈핵 홍보를 위한 캠페인을 지원한다. - 공동체워크샵 : 변경된 누진제를 주제로 전기요금의 문제점과 탈핵에 대한 전기요금 개편의 필요성을 강의한다. 절전소 확대와 절전소 회원 홍보 방안을 논의한 후 2017년 절감 목표를 설정한다. - 구민컨퍼런스 : 2018년 성북구 에너지절감을 위한 실천 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그린리더, 학 교,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 등 모둠별로 논의하여 발표한다. - 절전소 길라잡이 선발 및 보수교육 : 에너지 정책관련 정보제공, 커리큘럼 지원 (2) 성북절전소 활동 정리 - 시민참여 절전소 활동의 에너지문제 해결을 위한 실효성(성북구 절전소 협치사례를 중심으 로) 연구, 정리 - 성북절전소 활동으로 인한 주민들의 에너지 전환에 대한 인식 변화를 정리한다. - 성북절전소의 활동으로 인한 활동 성과를 정리한다. - 성북절전소 운영에 있어 민과 관의 역할과 제도적 시스템을 정리한다. - 관련 주체들과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민과 관의 담당자들을 모아 토론회를 통해 성북 절전소의 거버넌스 발전방향과 과제들을 논의한다.

Ⅳ. 국가가 핵발전소를 떠받치는 구조를 깬다. 1. 사업명 : 전기요금으로 이뤄지는 원전 홍보 STOP! 1) 선정 근거 : - 1992년 설립된 원자력문화재단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재단법인으로 ‘원자력의 평화적 이 용에 대한 국민의 이해 증진을 목적’이라는 설립목적으로 설립되었으나, 교과서 개정, 각종 경시대회와 강연 등을 통해 원전의 일방적인 홍보활동을 추진하고 있음. - 2002년부터 전 국민이 내는 전기요금의 3.7%에 해당하는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부터 전 운 영재원을 출연받아 운영하고 있음. 전력산업기반기금(전기사업법 제48조)은 전력산업의 지속 적인 발전과 전력산업의 기반조성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2001년 설치 된 기금으 로 특정 에너지만을 홍보하기 위한 재단에 재원을 지원하는 것은 당초 목적에 어긋남. - ‘발전소주변지역지원에 관한 법률’ 제11조 3항에서 ‘원자력 홍보를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 즉 원자력문화재단을 명시, 전력기금으로부터 재원 지원의 근거가 됨. - 국민의 전기요금으로 재정을 지원하고 정책전원인 핵발전의 일방적인 홍보를 위해 존재하는 원자력문화재단의 해산을 위한 일환으로 재원지원의 근거가 되는 발주변법 11조 개정운동을 펼치고자 함.

17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2) 목표 - 일방적인 핵발전소 홍보를 위한 재원이 국민이 내는 전기요금으로 마련된다는 사실을 널리 알림. - ‘국회 톡톡’을 매개로 시민의 목소리, 녹색연합, 국회의원 공조를 통한 발주변법 11조 개정, 원자력문화재단 해산 3) 사업내용 (1) ‘국회톡톡’을 통한 입법 운동 - 국회톡톡 : 제안된 법안에 시민 1천 명의 참여가 이뤄지면 관련 상임위 의원들에게 전달된 후 입법이 추진되는 시스템. - 국회톡톡 1000명 달성 보도자료 및 토론회, 국감질의 - 국회톡톡 입법제안 및 홍보(1000인 참여자) 시작 : 7월~9월 - 원자력문화재단 토론회 : 9월 (2) ‘교과서속 핵노답을 찾아라’ -

교사, 교과서 속 핵발전 홍보 실태를 포함한 찬핵홍보활동을 파악, 분석하여 원자력문화재 단의 문제점을 알려낸다.

- 기획(5월~6월) : 협력 그룹 사전 논의 - 교사(교과서속 핵노답 협력)

2. 탈핵 연대활동 1) 목표 - 탄핵과 대선 등 시기에 탈핵 운동 대중화 및 정책전환 계기 만들기 - 월성 1호기 폐쇄 2) 사업내용 (1) 대선 후보의 탈핵, 에너지정책 입장을 듣는다 - [대선후보 예비주자 질의]

: 대선 예비주자(대선 출마 의사를 밝힌 사람들)들에게 노후핵발

전소, 신규핵발전소 탈핵 등에 대한 기본입장 확인, 보도자료 배포 - [토론회] - 예비주자 질의 결과를 바탕으로 변별력 있는 후보를 대상으로 진행 - 3.11, 100만인 서명운동 결과를 바탕으로 대선 후보에게 의견을 듣는다 - 3월까지 대선일정 미정시 예비 대선후보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2) 후쿠시마 6주기 ‘나비행진’ - 2011년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6주기를 맞아 탈핵에너지 전환을 이야 기하는 행사 - 퍼레이드 준비부터 참여 그리고 이후의 과정을 통해 시민주도형 참가를 만들고, 공동체가 지 속적으로 탈핵운동을 이어나갈 수 있는 과정을 만들어 간다 [개요] 174


녹색은 다릅니다

- 행사명: “잘가라 핵발전소”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6주기 탈핵 행사 (미정) - 주요프로그램: 퍼레이드 및 집회 - 일시: 2017년 3월 11일 (토) 14:00~17:00 - 장소: 서울광장 및 광화문일대 행진 - 참가목표: 1만 명

3. 에너지 세제개편 골든타임 1) 선정 근거 : ▸ 현 에너지 세제의 문제점은 전문가라면 모두 알고 있으나, 이를 시민들의 눈높이에서 재가공 하여 홍보하는 작업은 거의 미비함. ▸ 3년 연장된 교통에너지환경세가 2018년 일몰제로 폐지되어야하나 다시 연장될 가능성이 높 음. 따라서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함. ▸ 에너지세제가 가지는 불합리성과 석탄화력발전, 핵발전이 가지는 문제점을 핵심만 짚어내어 시민의 눈높이에서 재가공함으로서 시민공감대 형성 필요(예를 들어 현 에너지 세제는 수송 용, 개인에게 부담이 편중, 발전용은 거의 미비함으로써 불합리한 에너지원 선택을 조장하는 한계 노출) 2) 목표 : ▸ 에너지 세제 개편의 필요성에 대한 시민 여론 확산 ▸ 교통에너지환경세 일몰 폐지, 후속 조치로 새로운 에너지세제의 부과 기준과 세금 사용처에 대한 시민합의 과정에 필요한 내용 생산 3) 사업내용 (1) 에너지 세제 개편의 프레임 잡기 ① 사업내용과 추진 과정 ▸ 에너지 세제 개편 프레임 확정을 위한 라운드테이블 : 에너지 세제 개편의 프레임을 누구 의 관점을 가지고 어떤 내용으로 다가갈 때 시민들의 공감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을지를 정 하는 과정을 라운드테이블 형식을 빌려 진행 ▸ 프레임을 토대로 시민 홍보물(카드 뉴스 또는 인포그랙픽 등) 제작 :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확정된 프레임을 토대로 에너지세제개편의 필요성을 시민들과 공감할 수 있는 홍보물 제작 (2) 에너지 세제 개편안의 기본 원칙과 방향 정하기 ① 사업내용과 추진 과정 ▸ 일몰제 폐지에 따른 에너지 세제 개편에서 고려할 사항의 우선 순위와 중요도, 가중치 등을 쌍대비교척도(AHP) 전문가와 일반 시민 설문을 통해 확정 ▸ 국회 토론회 추진 : 설문을 통해 나온 결과를 토대로 ‘교통에너지환경세 일몰 집행의 필요 성과 후속조치로 에너지세제 개편안의 원칙’이라는 주제로 9월 국회 토론 추진

17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평화생태팀 2017년 키워드 : 요람에서 무덤까지. 일상의 더 나은 삶. 평화를 위한 새로운 시도! Ⅰ. 군 기지 환경 영역 1. 용산 미군기지 환경대응 1) 선정 근거 - 군사기지, 특히 미군기지 내의 환경오염 문제는 전국 곳곳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지만 오염 원/인자에 대한 정보접근권이 차단되어 있으며 ‘오염자 부담의 원칙’도 적용하지 못하는 상황 임. 특히 단일 미군기지로서는 가장 많은 환경사고(본체 부지 내부에 확인된 것만 14건)가 발생한 용산 미군 기지를 중심으로 알권리 및 오염자의 정화 책임 요구, 지자체 권한 강화 나아가 한미SOFA 환경조항을 실효성 있게 개정하는 활동이 필요함 - 용산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이전하고, 반환 협상을 준비하는 2017년은 그동안의 미군기지 환 경오염문제와 제도적 해결에 대해 사회적으로 공론화할 적기임 2) 목표 - 용산기지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 (ex. 2017 대선 국면, 후보/공약 반영) - 반복되어 발생하는 미군기지 환경문제를 개선·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 제시 3) 사업내용 (1) 용산 미군기지 환경 현안 - 용산 미군기지를 둘러싼 환경 문제를 사회적으로 공론화하기 위한 활동에 집중 - 용산 미군기지 내부오염원 정보공개소송(현재 2심 승소, 대법 계류) 및 미국정보공개 청구자 료 활용 - 지자체 및 국회 협업: 서울시 포럼, 국회 정책토론회, 전문가 간담회, 대정부 질의/압력 - 시민/활동가 직접행동 정례화: 1인 릴레이시위, 세미나, 담벼락 투어 기획/진행 - 용산 관련 기획물 연재 및 모금 진행, 리워드를 위한 자료 제작 (홍보용 소책자, 사진집 등) - 온라인 연중 캠페인: ‘그래도 되는 땅은 없다’ (예시. 항의 청원 팩스보내기) (2) 반환미군기지 환경문제, 현황과 대안 (정책보고서 제작) - 사업내용 : 미군기지 재배치 사업(2003-2018) 과정에서 드러난 미군기지 환경문제 및 사 고 정보, 기록 취합, 반복되는 환경오염 문제를 개선을 위한 제도 점검 등의 내용을 담은 정 책보고서 제작 - 지역 현황조사, 환경오염 사고·피해·정화비용에 대한 기록정리, 한미SOFA 환경조항의 유효 성 점검 (3) 세부사업명 : 기타 현안 및 연대(국내외) - 사드배치 현안 공동 대응, 동아시아 미군기지 환경문제에 대한 정보공유 및 교육사업, 심포 지엄 개최 176


녹색은 다릅니다

- 사드 배치: 일방적 결정, 추진 절차상(롯데와 부지 맞교환,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적용 등)의 문제에 공동 대응 (사드저지 전국행동) - 평택미군기지 에어쇼 반대 캠페인 - 연대: 트럼프 정부 및 주한미군 평택 거점 시대에 대한 논의, 한미SOFA 전체 조항 점검, 오키나와 평화대행진, 동아시아 심포지엄 개최(일본 본토 예정/ 기지평화네트워크 )

2. 한국군기지 환경 대응 1) 선정 근거 - 보령 공군사격장 운용(유류 유출, 오염지하수 음용, 소음, 해양오염 등)으로 인해 주변 갓배 마을 주민들에게 전국 평균보다 현저하게 높은 빈도로 암이 발병되는 것으로 추정됨. 지역의 갈등 현안이자 피해 주민들은 현 제도 하에서 구제받기 어려운 상황임 - 지난 3년여 간 문제 해결을 위해 민관협의체 구성(주민대책위, 녹색연합, 노동환경건강연구 소/충청남도, 보령시), 오염 및 주민건강역학조사를 위한 지자체 예산(7억) 확보, 조사 방법 및 항목에 대한 논의 단계를 거쳤으며 2017년에는 실제 조사가 시행될 예정임. - 조사를 통해 군 사격장, 비행장 등 군 시설물의 운용으로 인한 피해 주민을 구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면 유사한 지역의 현안에 대한 해결 사례로 활용할 수 있음 (군 사격장 등 군 시설물 주변 주민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거주할 권리 요구/ 피해저감 방안 제도 마련 등) 2) 목표 : - 보령공군사격장 지역 및 주민 건강조사를 통해, 주민 피해 상황과 그 인과 관계를 확인함 - 군사지역 주변 주민들의 환경 피해에 대해 제도적 대책 방안(군 공항, 군사격장 등 신규 건 설시 주민수용성 고려, 군 소음 특별법 제정, 보상 체계 등)의 필요 제기 3) 사업내용 (1) 보령 민관(군) 협의체 활동 - 보령 공군사격장 환경피해해결을 위한 민관(군) 협의체의 조사(해양, 주민건강)가 원인 규명 과 문제 해결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협의체 내에서 역할을 주도하도록 함. - 조사 과정 및 방식에 대한 기록, 협의체 내에서의 의견 조율 - 이슈리포트 : 보령 공군사격장 환경피해 사례 기록 정리, 국내외 관련 법률/제도 등을 조사 하여 이슈리포트로 제작. 군 시설물로 인한 피해 지역 주민들, 지자체, 국회 등에 공유

3. ‘제주 바당, 연산호 무사게?’ : 강정 앞바다 연산호 모니터링 1) 선정 근거: - 녹색연합은 지난 2007년부터 제주해군기지 사업대상지인 강정 앞바다와 그 인근에 대한 연 산호 모니터링을 진행해오고 있으며 2016년, 아름다운재단의 지원사업의 3년차 사업을 마무 리 함.

17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지난 2016년 제주해군기지 완공 이후, 지속적인 해양 모니터링 활동은 해군기지로 인한 생 태계 파괴의 인과를 설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임. - 녹색연합 차원에서는 강정 앞바다 연산호 모니터링을 통해 해양보호구역 및 기후변화에 따 른 생물종다양성 문제를 제기,

생물종다양성 보전 활동이나 해양영역의 모색의 가능성을 확

인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함. 2) 목표 : - 아름다운 재단의 지원이 없는 상황에서 강정마을의 주민과 활동가들이 연산호 조사를 정례 적으로 진행 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고 공동으로 해군기지 완공 이후 연산호 서식 변화 모 니터링을 진행 - 강정앞바다를 중심으로 진행해온 모니터링 활동은 제주 서귀포 남측해안 전지역에 대한 조 사로 확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물종 다양성 보전운동 혹은 해양보호활동의 가능성을 타진 함. 3) 사업내용 (1) 제주해군기지 주변 연산호 조사 기획 및 모니터링 - 강정마을 활동가 및 주민과 2017년 모니터링 공동계획, 전국대책회의 및 제주평화센터 등과 공동 활동 방안을 모색함 - 6월, 8월 9월 총 3회에 걸친 해양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강정마 을 활동가 지역주민과 결과 보고를 진행함. - 2016년까지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인식 증진을 위한 연산호 리플릿, 활동보고서를 제 작하여 배포, 2017년 조사 결과에 대한 결과보고서 작성 및 간담회 (2) 제주 남부 연산호 모니터링 - 제주 남부 해안 연산호 조사를 위한 문헌조사를 통해, 해상생태계 위협요인을 확인하고 용머 리해안~화순항~범섬~문섬일대에 대한 사전 답사를 통해 연산호 모니터링에 대한 주요 활동 방향을 수립함 - 강정 해군기지 연산호 조사와 연결하여, 용머리해안~문섬 일대에 대한 해양 조사를 진행하 며 사진, 동영상등을 확보하여 이 일대에 대한 연산호 현황을 파악 하며 해상 보호구역에 대 한 점검 . - 보고서의 형태로 제주 남측 해안의 주요 연산호 훼손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며 지역, 전문가 등과 함께 해양보호활동의 필요성 및 가능성을 타진하도로 함.

4. 제20회 녹색순례 1) 선정 근거 - 녹색연합 연속사업: 1998년부터 해마다 봄에 녹색연합은 일을 잠시 멈추고, 배낭을 메고 온 몸을 자연에 의지한 채 열흘간 도보순례 진행, 환경 현장을 두 발로 걸으며 주민들의 생생한 증언을 듣고, 환경문제의 대안과 공존의 방법을 찾음 - 녹색활동가 교육프로그램: 단순하고 소박한 식생활, 함께 하는 공동생활, 환경현장을 이해하 고 대안을 제시하는 토론과 교육, 일상의 삶을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을 보냄 178


녹색은 다릅니다

2) 목표 - 군사기지 건설/확장으로 인한 분쟁 지역의 현안(주민 생활상, 환경문제) 톺아보기 - 지금·여기에서 '생명존중, 비폭력 평화의 실현' 강령 의미 되새기기 - 연대 3) 사업내용 : 제20회 녹색순례 -평화발자국(안) - 오키나와: 1997년부터 군 소음, 범죄, 환경오염, 주민인권, 육상·해상 생태계 훼손, 평화 등 을 이유로 미군기지 이전·확장 반대활동의 정점에 있는 오키나와를 걷는다. 분쟁 지역의 군사 기지, 생태 보호구역 등지를 걸으며 ‘오키나와 민중연대’와의 교류를 통해 연대의 의미를 되 새긴다.

Ⅱ. 생활환경 1. 연대단체(반GMO 국민행동,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활동/ 현안 대응 1) 선정 근거: - 2010년대 이후 가습기 살균제, 구미불산 누출 등 생활환경제품부터 화학사고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의 안전망을 의심하게 만드는 사건사고들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음. 이에 대한 시민 들의 관심이 크며, 관련 쟁점 및 현안에 대한 녹색연합의 사회적 발언과 행동이 필요함 2) 목표 : - 생활환경 영역의 현안, 쟁점에 대한 녹색연합의 구체적인 역할 수립 - 생활환경 영역의 현안, 쟁점에 대한 녹색연합의 사회적 발언 3) 사업내용 (1) 연대단체 (반GMO 국민행동, 발암물질없는 사회만들기 국민행동 등) 공동 활동 및

현안

대응 -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생산단계부터 유통, 소비, 폐기되는 전 과정의 유해물 질에 대해 감시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활동 (월1회 운영위원회 회의, 유해물질 저 감을 위한 공동의제 발굴, 생활환경 유해물질 조사와 캠페인, 해외 활동사례 및 국내외 관련 법규 공부, 정책대응) - 반GMO 국민행동: 대선 대응(GMO 입장 확인/발표, 정책토론회), 리플릿 및 소개책자 제 작, 온라인 홍보, 식품위생법 개정 및 소비자 알권리 보장 운동(GMO표시제), 학교급식 GMO농산물 퇴출 (2) 유해화학물질 사고시 대응매뉴얼 진단 - 구미불산 누출사고 당시 화학사고 대응에 있어 관계 부처 간 소관 다툼·늦장 대응 등의 문 제 발생. 이를 계기로 정부는 화학 안전체계를 재정비함(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화학물질안전 원 신설 등)

17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구미불산 사고 5년차, 최일선 방재기관인 소방서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사고 시 어떠한 매뉴 얼과 장비를 갖추고 있는지 환경권(안전할 권리, 건강할 권리)의 관점으로 특정지역(예. 구미, 울산)을 점검/진단함

2. 미세먼지 미세요. 1) 선정 근거: - 2016년 OECD의 ‘더 나은 삶 지수’ 조사에 따르면 전체 38개국 중 환경부문의 대기오염분 야에서 38위를 차지, WHO는 2008년 한국의 대기 오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주요 12개국 중에서 중국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발표. - 미세먼지 발생일수가 증가하고, 초미세먼지로 인한 시민건강 위협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는 외출자제, 마스크 착용 등 미세먼지에 대한 대응과 책임을 개인들에 전가, 특히 미세먼지의 원인을 중국으로 돌리며 국가 차원의 대책마련과 규제에 대한 책임을 방기하고 있는 상황임. 2) 목표 : - 시민들이 미세먼지 모니터링을 통해 시민참여 조사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발생원 저감의 필 요성을 사회적으로 공감하고, 이를 실현 할 수 있는 방안을 시민들과 함께 도출함 - 이러한 활동을 통해 서울시 등 관계 기관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변화를 이 끌어 내도록 함. 3) 사업내용 (1) 미세먼지 시민 모니터링 - 시민모니터링단을 100명 규모로 구성하여, 조사단의 주거지 인근, 주요 간선도로 인근(미세 먼지 고농도지역), 초등학교 등 약 120곳 에서 3월~4월 중, 1일씩 2회, 이산화질소(No) 조 사 키트와 미세먼지(PM) 조사키트 부착을 통해 미세먼지 모니터링 조사 진행. - 시민모니터링 참가자는 사전 워크숍과 조사결과 워크숍에 참석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 탕으로 시민캠페인 방안을 공동으로 논의 함 - 전국 녹색연합(대전, 인천)등과의 공동 조사 모니터링을 타진함. (2) 미세먼지 결과 분석 및 민감군 대응 - 모니터링단이 조사한 미세먼지 키트를 4월 중 대전대학교 대기환경연구소에 보내, 미세먼지 고농도지역에서 민감군에 대한 자료를 확보함 - 환경부가 발표하는 미세먼지 대응과 농도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환경부의 미세먼지 조사의 한계와 문제점, 정책적 개선 방안을 도출함 - 주거지 인근의 학교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환경부 발표 자료와 비교,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되었을 시 각 학교에서 미세먼지 대처 조치가 적절했는지 시민, 전문가들과 검 토하며 이는 모니터링단의 사후워크숍의 일부로 진행함. (3) 세부사업명 : 미세먼지 미세요! 시민캠페인 - 모니터링 과정을 영상으로 제작, 이를 온라인 캠페인에 활용하며, 조사 결과, 의미, 미세먼지 대응요령 등을 담은 ‘미세먼지 대응 시민 매뉴얼’을 제작하여 온/오프라인으로 배포함 - 미세먼지 주의보 발생시 미세먼지 민감군을 대상으로 특별대책을 마련·적용할 것을 각 시도 180


녹색은 다릅니다

교육청에 요구하는 정책제안 캠페인 진행 -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석탄화력발전소 단계적 폐쇄를 요구할 수 있도록 에너지기후 팀과 협력을 타진함

3. 폐기물과 자원순환 1) 선정 근거 - 상품의 생산과 유통, 재활용과 폐기의 자원순환의 관점에서, 1회용품의 대량 생산과 사용은 자원의 순환에 있어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키며,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일회용품은 환경보건의 관점에서는 화학물질 등으로 인한 안전의 문제와도 연결됨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해 1회용품 사용은 규제 되고 있지만 ‘사용 억제’ 또는 ‘무상제공 금지’ 정도의 수준으로 강력한 제도적 규제가 없는 상황임 - 녹색연합은 지난 98년 이와 관련하여, 우유병 되살리기 운동, 화장품 용기 재활용, 쓰레기 제로 운동을 진행하였음. 당시 생활폐기물은 일평균 44,583톤 발생되었으나, 2015년 현재 51,247톤(인당 하루 0.97kg 발생)까지 증가, 건설폐기물을 포함한 전체 폐기물의 양 또한 계 속 증가하고 있음 - 환경부에 의하면, 2016년 1회용컵 사용은 전년대비 7.7% 증가(약 6억7천개)한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 이는 환경부가 커피전문업체 12곳, 패스트푸드점 5곳에 대한 조사를 기업의 자료 를 바탕으로 조사한 내용으로 실제 사용량은 훨씬 많을 것으로 추측 가능 - 제도적으로는 2008년 MB정부 시절 기업프렌들리 정책으로 종이컵 보증금 제도가 폐지되고 텀블러 할인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이후 매장 내 1회용품 사용률이 급격히 증가. - 이에 폐기물의 생산과 유통, 소비, 폐기·재활용의 전 과정에 나타나는 환경문제에 개입하여 이에 대한 사회적 개선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음 2) 목표 - 중/장기적 목표로 폐기물 생애주기 즉, ‘제조-유통-소비-폐기-재활용’이라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들을 타진한다. - 단기적 목표로 1회용품 소비가 가장 많은 카페를 대상으로 매장 내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자 체적인 내부 환경관련 규정을 수립할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한다. (가설: 1회용품 관련 정책 이 변화하면 시민들은 자연스럽게 1회용컵 사용을 줄일 것이다.) 또한 소비 이후 발생하는 쓰레기 경로를 탐색하여 생활 쓰레기-폐기/재활용 과정의 환경문제를 진단하여 정책 과제를 도출한다. 3) 사업내용 (1) 불편해도 괜찮은 카페 (제조-유통-소비-폐기-재활용) - 카페에서 사용 되고 버려지는 1회용컵(종이, 플라스틱) 사용 저감 및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 해 현재의 문제를 인식할 수 있는 이슈리포트를 제작하고 적극적인 제도 개선을 요구 - 10대 카페의 자원순환과 친환경 경영의 목표설정 실행 여부 등에 대해 평가하는 이슈리포트 를 제작하고, 여기에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적용의 한계와 문제점, 기업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한 오염 책임, 폐기물 처리 부담 비용에 대한 책임이 사회적으로 전가 18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되는 것 등에 대한 내용을 담도록 함. - 자원순환과 폐기물 관련 전문가, 단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관련 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이를 사회적으로 제기하며 국정감사를 적극적으로 활용 (2)내가 버린 쓰레기는 어디로 가나요? (제조-유통-소비-폐기-재활용) ○ 쓰레기 추적 시민조사 ① 사전조사를 통한 활동기획(2 월~3 월) • 다양한 형태의 생활쓰레기의 이동경로 사례를 실제 조사해보고 파악하여 그 과정에서 발생되 는 문제점은 없는지 미리 확인 • 사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와 논의하여 쓰레기 추척 시민조사단 활동과정을 점검하 고, 참가대상자를 위한 교육자료를 제작 ② 참가자 모집과 교육(4 월~5 월) • 생활쓰레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쓰레기, 지정폐기물 총4 종류의 폐기물을 추척하며 10 명이 1 팀으로, 총5 개조 50 명의 시민을 모집 • 5개 권역 정도로 지역별로 묶어 조사교육워크숍을 3회 진행, 참가자들이 각자 맡은 지역에 대한 이해와 의견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독려 ③ 쓰레기추적조사(6 월~7 월) • 시민조사단은 25개 지역 쓰레기의 이동경로, 배출량, 그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 등 쓰레기를 둘러싼 정보 조사 • 진행 과정은 영상, 사진 등 시각자료로 기록 • 시민조사단에서 조사 항목 이외의 폐기물 관련 정부정책과 지자체 활동 등의 자료를 수집 ○ 쓰레기 추적 지도 만들기 ① 데이터수집, 정리, 분석(8 월~10 월) • 시민조사단의 데이터를 검증하고 쓰레기와 관련한 환경문제(매립, 소각, 투기 등)의 이슈 정 리 ② 시각자료 형태의 지도 만들고 홍보(11 월~12 월) • 지도형태에서 조사데이터를 입체적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시각자료 기획 • 일상에서 너무 많은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 쓰레기들은 사라지지 않고 고스란히 되돌 아온다는 과정을 쓰레기추적지도를 통해 시민들에게 알리고 그 대책을 강구하도록 관련 기관 에 제안 ○ 카카오 임직원 참여 프로그램 ‘불편해도 괜찮은 여행’ ① 카카오 임직원 대상 1 회용컵 줄이기 캠페인 - 카카오 판교 오피스에 있는 카페 공간에서 ‘내가 버린 쓰레기는 어디로 갔을까?’에 관한 홍 보 전시물을 게시하고, 환경의 날(6월 5일)을 맞아 ‘1회용컵 줄이기’참여를 독려함 - 개인컵으로 구매시 녹색연합에서 제작한 쿠폰스탬프 발행, 스탬프 10개를 모은 임직원에게 워크숍 참여자격을 부여함 ② ‘불편해도 괜찮은 여행키트’제작워크숍 - 지구를 위해 좀 불편해도 마음이 더 괜찮아지는 여행을 위한 키트를 제작하는 워크숍 진행 - 천연치약, 잘 썩는 친환경 대나무 칫솔, 폐우산으로 만드는 생활 아이템 등을 직접 만들어보 고 불편해도 괜찮은 여행계획을 세움

182


녹색은 다릅니다

4. 타인보다 민감한 사람들의 도시생활 GUIDE 1) 선정 근거: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 서, 시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보다 쉽게 제공하고 올바른 대처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제 시하는 활동이 필요함 2) 목표: - 시민의 건강을 해치는 유해물질(미세먼지, GMO, 화학물질, 폐기물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증진을 위한 콘텐츠 제작 3) 사업내용 (1) 생활환경 콘텐츠 발행 <유해 탈출 넘버원> ① 사업내용 - 생활환경(유해화학물질, 자원순환과 폐기물 등) 관련 이슈를기획 콘텐츠로 개발, 정기적 발행 - 시민들이 정보성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포그래픽 형식으로 제작하여 배포 - 2월 : 미세먼지 ­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에 대처하기 위한 우리의 행동 - 3월 : 학용품에서 노출 되는 유해화학물질 (새 학기 초등학교 가기 전 학용품 점검하기 5가지 팁) - 4월 : 운동할 때 노출 되는 유해한 대기오염 물질 (운동중독인 당신, 환경운동도 해야 할 때) - 5월 : 한 번 샤워할 때 노출 되는 유해물질 (나에게 좋은 샤워가 지구에게도 좋다) - 6월 : 환경의 달 집중, 쓰레기 배출 관련 내용 (당신은 분리수거를 잘못하고 있습니다. 분리 배출할 수 없는 당황스러운 쓰레기 10위) - 7월 : 여행지 or 무더위 가운데에서 노출되는 유해화학물질 - 아이스커피 빨대를 질겅질겅 씹는 당신은 위험합니다 - 한여름 길에서 만나는 유해화학물질 (아스팔트?) - 8월 : 비닐의 종류 : 열을 가하면 안되는 비닐 - 9월 : 페트병의 종류 - 다시 써도 되는 플라스틱, 열에 가하면 안 되는 플라스틱 - 10월 : 혼밥족의 유해화학물질 - 집밥 백선생 VS Lab밥 배선생 - 11월 : 직장에서 노출 되는 유해화학물질 - 12월 : 겨울철 길에서 만나는 유해화학물질 - 하얀 눈 대신 염화칼슘 기타 : 패스트패션, 업싸이클링, 동물털 vs. fake fur

자연생태팀 2017년 키워드 : 전문위원의 선도로 등산화를 신고 기후변화 현장 모니터링을 통 해 사육곰도 뛰어놀 수 있는 야생의 자연생태를 복원한다. 18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Ⅰ. 야생동물 1. 울진 산양 구조·치료 센터 건립 1) 선정 근거 : 녹색연합은 15 년 동안 울진·삼척 지역의 산양 보호·조사 활동을 진행하였고, 이 를 바탕으로 울진 산양 구조·치료 센터를 건립하는 것이 최종 목표임. 2) 목표 : 울진 산양 구조·치료센터 건립을 위한 문화재청과 울진군 예산 반영 - 목표 달성을 위한 가설 : 2016년 5월 울진군의회에서 1차 부지 매입 예산 편성이 되었고, 2017년 1월 현재 산양구조·치료센터 부지 확정이 되었음. 이후 추가 예산 편성을 통하여 사 업을 단계별로 추진할 수 있을 것임. 문화재청이 산양 구조·치료 센터의 운영비를 반영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하면 산양 구조·치료센터가 지자체 예산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 영될 수 있을 것임. 3) 사업내용 (1) 지역 연대 및 조직 강화 - 월례회의 진행(한국산양보호협회울진지회 및 울진군청), 공동조사 및 무인센서카메라 모니터 링(한국산양보호협회울진지회), 마을 간담회 진행 (2) 시민 참여 및 홍보 - 제3회 산양 전시회(온·오프라인 - 산양 다큐 상영회 : 울진 상영회 진행. 열린채널 공모, 다양한 버전으로 편집하여 유투브 및 SNS 홍보 (3) 연구조사활동 - 울진·삼척 산양 서식지 전수 조사 (4) 법률·예산 대응 - 울진군의원 및 문화재청 로비(3월 울진군 추경예산 반영, 실시설계용역 진행시 생태전문가 참여), 타 기관 사례 비교·검토(예:천연기념물센터)

Ⅱ. 백두대간 1. 백두대간 관리조직 건설 1) 선정 근거 : 2016년 마루금 등산로 훼손실태조사 보도자료 배포 후속 작업 - 산림청은 백두대간 생태관리센터 설립 등 중장기 백두대간 보호구역 관리방안을 발표하였으 나 그 실행이 매우 미진. 2017년 현재 마루금 등산로 복원에 대한 예산 미배정, 법 근거 마 련을 위한 용역 진행 중, 법 정비 이후 사업 진행 등으로 매우 느슨한 계획 수립 2) 목표 : 백두대간 생태관리센터 관리조직 건설 기반 마련(정부 예산 반영 등) - 목표 달성을 위한 가설 184


녹색은 다릅니다

: 백두대간 보전지역의 불필요한 예산 낭비 사례의 지속적인 보도를 통해 산림청 압박 : 백두대간 훼손지도 발간을 통한 대국민 홍보, 캠페인을 통한 탐방 문화 개선 3) 사업내용 (1) 기획 보도자료 - 생태축 잇기 사업, 생태교육장 사업, 백두대간 보호구역 안내판 사업 등 전시 행정으로 예산 낭비된 사례 보도 - 야생동물 이동통로에 불과한 산림청의 생태축 사업 잇기 예산낭비 사례 언론 보도 (2) 백두대간 훼손 지도 발간 - 탐방문화 개선을 위한 대중 캠페인으로 산악회, 장비점 등을 통한 대중 캠페인 - 언론 홍보 및 캠페인(공동 보도자료 배포)

2. 기후변화 대응 1) 선정 근거 :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을 하나의 통합적 관점에서 접근, 기후변화로 사라지는 생태계와 생물다양 성의 실상을 시민들에게 전파 2) 목표 - 목표 : 기후변화 적응변화를 한국의 환경의제로 자리매김 - 목표 달성을 위한 가설 : 16년 기후변화 고산침엽수 발표 및 이슈화로 정부가 기후변화 적 응분야에 움직이는 단초를 마련, 감축 중심의 기후변화 대응에서 적응으로 확장, 확산의 변화 를 마련 3) 사업내용 (1) 기후변화 고산침엽수 모니터링 및 보고서 발간 - 기후변화 침엽수보고서 발간, 시민참여(현장모니터링, 결과보고서) (2) 카카오 임직원 참여 프로그램 - 함백산, 오대산, 백운산 등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여 전문가, 시민이 함께 진행 - 온라인을 통한 사전 교육 자료 배포, 교육

3. 현안 대응 1) 사업 내용: - 백두대간 복원 : 백두대간보전지역은 행위 제한에 대한 법률 근거만 있을 뿐, 복원에 대한 규정이 없음. 따라서, 자병산, 스키장, 군부대 등 훼손 이후 복원에 대한 근거 마련과 보전지 역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청사진 필요. - 숲길 : 녹색연합의 사업 영역에서 사라졌으나 현재 태백산숲길과 영덕둘레길이 조성 진행 중에 있음.

18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 풍력단지 : 백두대간을 넘어 정맥까지 풍력단지에 건설과 지역주민과의 갈등 심화 - 서울시 산지관리 : 2016년 완료된 서울시 공모사업으로 사업 진행 결과 서울시의 산지 관리 가 지자체 주체로 되어 있어 거의 방치 수준. 정책간담회 등을 통한 관리 방안 제시. - 가리왕산 복원 :

당초 경기 이후 복원을 위하여 생태복원센터를 설립할 계획이었으나 예산

배정 등의 문제로 추진단에서 그침, 현재 복원 계획을 강원도에 맡겨 놓은 상황 - 기타 백두대간 관통 철도(터널), 대관령 삼양목장(일부 대부지 반환/복원 예정), 스키장(마산 봉, 오투리조트) 등

Ⅲ. 사육곰 1. 사육곰 정책 폐지 운동 1) 선정 근거 : 사육곰 증식 종식 대책으로 중성화 수술을 지난 3년간 진행, 완료를 앞두고 있 음. 중성화 수술 이후에도 농가의 불법적인 증식 방지나 기존 사육곰 관리에 있어 꾸준한 모니터 링과 대책 마련이 필요함. 2) 목표 : 사육곰 증식금지사업 이후 농가 현황 파악과 시민 인식 조사 -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불법 증식 및 용도전환 방지 - 시민 인식 조사 결과 웅담 수요가 적다면 사육곰 불법 증식이나 증식 요구가 줄어들 것 3) 사업내용 (1) 백서 발간 및 보도자료 배포 - 사육곰 운동 역사를 정리하는 백서 발간. 2016년 완료 예정이었으나 중성화 수술 미완료로 2017년으로 연기. 봉화 농가 협의 완료 후 즉시 진행 (2) 중성화 프로그램 이후 농가 모니터링 - 농가 모니터링, 모니터링 기록 및 정리, 사육곰 대책위원회 참여 (3) 소비자 수요 설문조사 및 리서치 진행 - 곰 및 기타야생동물 제품에 관한 소비자 수요 설문조사, 대웅제약 인터넷 리서치

Ⅳ. DMZ 1. DMZ 통합데이터 구축 1) 선정 근거 :

DMZ는 3대 핵심 생태축임에도 불구하고 보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함. 대선 이후 새 정부의 남북관계 개선을 대비해 DMZ일원에 대한 의제선점이 중요. 녹색연 합 DMZ 조사(2007) 10년을 맞아 DMZ환경실태조사를 통해 DMZ현황을 파악 2) 목표 : DMZ 환경실태조사보고서 발간과 교육프로그램 진행을 통해 DMZ 생태적 가치 재조 명

186


녹색은 다릅니다

3) 사업내용 (1) DMZ환경실태조사보고서 발간 - 기존 자료 조사 및 정리, 참가자 모집 및 교육, 현장조사 및 자료분석, 보고서 작성 (2) DMZ생물다양성보전네트워크 기본교육프로그램 시범운영 - 바이오블리츠, 군간부 대상 DMZ환경 및 재해재난 교육 등(DMZ생물다양성보전네트워크 내 3개 단체 개별 진행)

Ⅵ. 전문위원 1.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1)선정 근거

: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를 하나의 통합적 관점에서 접근, 기후변화로 사라지는 생

태계와 생물다양성의 실상을 시민들에게 전파 2) 사업내용 (1) 기후변화 고산침엽수 보고서 및 영상제작 (2) 기후변화 생물종 조사 - 한국 기후변화 생물종 변화 실태조사 사업으로 한반도 차원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변화 하는 생물종의 리스트를 조사 발표. - 지난 10년간 정부보고서, 학술논문, 어업 및 농업 백서 및 동향 보고서 등의 자료를 광범위 게 수집 분류 정리 한 것을 기반으로 직접 어업과 농업의 변화 현장을 전수 조사하여 실태 지도 및 보고서 작성 - 현장은 동해, 남해, 서해 등을 비롯한 바다와 백두대간 및 국립공원, 강원도 경남북, 전남북 등 농업의 현장까지 답사 및 탐사를 병행하여 실태를 파악함 - 보고서 발간과 동시에 환경의 날 또는 특정시점에서 기자회견을 실시하고, 하반기에 토론 회를 개최하며 보고서 컨텐츠를 기반으로

투 트랙으로 대국민인식증진을 위한 교육홍보영상

을 제작하여 방송, 유튜부에 연결하여 시사회를 개최함 (3) 기후변화 국제협력 및 동향조사 - 일본 등 동아시아 기후변화 고산침엽수 실태 조사 및 국제협력, 독일 등 유럽의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동향조사 및 국제협력 - 일본은 상반기 현지 답사 조사, 독일은 6-10월에 현지 답사 (4) 상근전문위원 싱크탱크 활동 - 상근전문위원의 조직에 대한 전문성 제고 및 기여를 위하여 연구보고서 제출

전통산림스

토리텔링보고서, 언론기고(르포 및 특집 등 3건) (5) 자원활동가 프로그램 구축 : 청년 자원활동가 등을 조직, 다양한 사업 및 활동 구현, 그린뉴 스제작단 등 (6) 금강소나무숲길의 확산 및 정착 - 울진 생태관광보고서 발간, 금강소나무숲길 자원활동(7월-8월), 신규숲길사업을 통한 지역모 델개발, 대국민언론홍보

18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188


2017년 예산 보고 2017년 예산보고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예산 제 27 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단법인 녹색연합 본부사무처 과

( 단위 : 원 )

Ⅰ.수입총계 [1]사업수입 1. 기부금수입 2. 시민참여운동수입 3. 자연생태보전운동수입 4. 연안생태계보호운동수입 5. 야생동물보호운동수입 6. 생활환경운동수입 7. 군기지환경감시운동 수입 8. 접경지역보전운동수입

190

1,660,618,408 1,386,800,000 941,000,000 23,300,000 45,000,000 10,000,000 78,000,000 42,000,000 23,000,000 40,000,000 168,500,000 0 7,000,000 9,000,000

9. 에너지기후변화대응운동수입

10. 정책운동수입 11. 홍보운동수입 12. 대외협력수입 [2]사업외수입 1. 잡이익 2. 이자수입 3. 지부 및 지역분담금수입 [3]자산부채수입 1. 미수금 1. 선급금 [4]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Ⅱ.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기부금개발운동비 2. 시민참여운동비 3. 자연생태보전운동비 4. 연안생태계보호운동비 5. 야생동물보호운동비 6. 생활환경운동비 7. 군기지환경감시운동비 8. 접경지역보전운동비 9. 에너지기후변화대응운동비 10. 정책운동비 11. 홍보운동비 12. 대외협력비 13. 예비비 [2]운영비 1. 인건비 2. 사회보험부담금 3. 복리후생비 4. 교육훈련비 5. 회의비

24,440,000 19,400,000 40,000 5,000,000

297,485 197,760 99,725

249,080,923 249,080,923

1,660,618,408 649,810,000 57,960,000 236,800,000 63,400,000 6,000,000 41,000,000 32,100,000 13,200,000 34,000,000 116,000,000 36,000,000 3,850,000 4,500,000 5,000,000

732,400,000 50,000,000 3,000,000 21,700,000 17,000,000

920,256,477


녹색은 다릅니다

6. 사무용품비 7. 업무추진비 8. 여비교통비 9. 통신비 10. 차량유지비 11. 수도광열비 12. 수선비 13. 도서구입 및 인쇄비 14. 접대비 15. 세금과공과 16. 임차료 17. 지급수수료 18. 보험료 19. 외주비 18. 3%공동기금 19. 잡비 20. 기부금 [3]사업외비용 1. 잡손실 [4]자산부채지출 1. 예수금 2. 미지급비용 Ⅲ.차기이월액 수입예산총계 1,660,618,408

5,000,000 1,000,000 500,000 10,000,000 3,000,000 5,000,000 26,856,477 1,000,000 1,000,000 2,000,000 11,300,000 6,000,000 2,000,000 2,000,000 15,000,000 500,000 4,000,000

500,000 500,000

90,051,931 39,735,846 50,316,085

0 지출예산총계 1,660,618,408

수입지출예산차액 0

19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예산 제 8 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광양만녹색연합 과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회비수입 2. 후원수입 3. 사업수입 4. 행사수입 [2]사업외수입 1. 이자수입 [3]자산부채수입 1. 미수금 [4]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일반사업비 2. 회원사업비 3. 야생동물보호사업비 4. 교육사업비 5. 생태보전보호사업비 6. 연대사업비 7. 예비비 [2]운영비 1. 급여 2. 제세공과금 3. 임차료 4. 수선비 5. 사무용품비 6. 복리후생비 7. 회의비 8. 업무추진비 9. 통신비 10. 구독료 11. 통장소득세 [3]사업외비용 1. 잡손실 [4]자산부채지출 1. 미지급비용 3.차기이월액 수입예산총계 83,222,581

192

( 단위 : 원 ) 금

83,222,581 69,080,000 34,080,000 11,000,000 22,000,000 2,000,000

20,000 20,000

0 0

14,122,581 14,122,581 83,222,581 41,017,581

2,500,000 8,400,000 15,000,000 4,500,000 5,000,000 3,000,000 2,617,581

28,600,000 1,600,000 1,800,000 1,200,000 2,000,000 3,000,000 1,000,000 2,000,000 500,000 500,000 5,000

42,205,000

0 0 0 0

0 지출예산총계 83,222,581

수입지출예산차액 0


녹색은 다릅니다

수입 · 지출예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대구경북녹색연합 과

(단위 :원)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일반회비 2. 후원회비 [2]영업외수입 1. 잡이익 [3]자산부채수입 1. 미수금 [4]전기이월액 1. 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회원사업비 2. 생활환경운동비 3. 교육사업비 4. 생태보전사업 [2]운영비 1. 인건비 2. 복리후생비 3. 사회보험부담금 4. 교육훈련비 5. 사무용품비 6. 여비교통비 7. 통신운반비 8. 수도광열비 9. 임차료 10. 전산운영비 11. 지급수수료 12. 세금과공과 13. 도서구입및인쇄비 14. 잡비 [3]영업외비용 1. 수수료 2. 3%기금 [4]자산부채지출 1. 미지급비용 2. 차입금 3.차기이월액 수입예산총계 112,933,622

112,933,622 110,000,000 90,000,000 20,000,000

0 0

0 0

2,933,622 2,933,622

112,933,622 50,000,000 12,000,000 28,000,000 5,000,000 5,000,000

40,800,000 1,500,000 4,500,000 2,000,000 1,500,000 1,500,000 1,000,000 1,400,000 4,200,000 1,100,000 1,413,622 100,000 300,000 100,000

61,413,622

1,520,000

1,520,000

0 0 지출예산총계 112,933,622

수입지출예산차액 0

19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예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광주전남녹색연합 과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회비수입 2. 후원수입 3. 회원사업수입 4. 교육사업수입 5. 자연생태보전활동수입 6. 에너지전환활동수입 [2]사업외수입 1. 기타수입 [3]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회원사업비 2. 교육사업비 3. 자연생태보전활동비 4. 에너지전환활동비 4. 연대사업비 5. 예비비 [2]운영비 1. 인건비 2. 상여금 3. 복리후생비 4. 경조비 5. 임대료 6. 세금과공과 7. 자료비 8. 교육훈련비 9. 사무용품비 10. 비품비 11. 사회보험부담금 12. 회의비 13. 통신비 12. 잡비 [3]사업외비용 1. 잡손실 [4]자산부채지출 1. 미지급급료 3.차기이월액 수입예산총계 133,887,364

194

(단위 :원) 금

133,887,364 129,400,000 71,400,000 21,500,000 500,000 14,000,000 9,200,000 12,800,000

4,000,000

4,000,000

487,364 487,364 133,887,364 47,663,464

10,300,000 13,200,000 9,200,000 12,800,000 2,000,000 163,464

61,072,800 6,831,100 250,000 600,000 4,800,000 800,000 50,000 400,000 400,000 800,000 5,550,000 700,000 800,000 200,000

83,253,900

0

0 2,970,000 2,970,000

0 지출예산총계 133,887,364

수입지출예산차액 0


녹색은 다릅니다

수입 · 지출 예산 제 8 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부산녹색연합 과

( 단위 : 원 )

1.수입총계

[1]

사업수익 1. 회비 2. 후원금 3. 교육사업 4. 외부지원사업 5. 회원 및 시민참여 사업 [2] 기타 수익 1. 기타수입 [3]전기이월액

93,808,972

50,000,000 3,000,000 5,000,000 14,000,000 2,000,000 300,000

1.전기이월액

19,508,972

2.지출총계

목적사업비 낙동강보전사업 환경교육사업 회원 및 시민참여사업 자연생태보전사업 반핵 및 에너지 외부지원사업 [2] 운영비 1. 세금과공과 2. 여비교통비 3. 수선비 4. 도서인쇄비 5. 사무용품비 6. 통신비 7. 사회보험부담금 8. 급여 9. 복리후생비 10. 잡비 11. 예비비 [3]사업외비용

74,000,000 300,000 19,508,972

[1]

1. 2. 3. 4. 5. 6.

93,808,972

2,000,000 15,000,000 5,000,000 5,000,000 2,000,000 14,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3,000,000 2,000,000 2,000,000 3,000,000 27,000,000 3,000,000 2,000,000 2,808,972

43,000,000 50,808,972 0

1. 잡손실

0

3.차기이월액

0

수입예산총계

지출예산총계

수입지출예산차액

93,808,972

93,808,972

0

19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지출예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대전충남녹색연합 과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일반회비 2. 후원회비 3. 후원행사 4. 기획사업 5. 생태도시 6. 시민참여운동 7. 4 대강사업대응운동 8. 야생동물보호운동 9. 하천보전운동 7. 에너지기후변화운동 8. 교육운동 9. 연대운동 [2]사업외수입 1. 기타수입 2. 고용지원금 등 [3]자산부채수입 1. 퇴직충당금 [4]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시민참여운동 2. 후원행사 3. 생태도시 4. 4 대강사업대응운동 5. 야생동물보호운동 6. 하천보전운동 7. 에너지기후변화운동 8. 교육운동 9. 충남세종현안대응운동 10. 연대운동 [2]운영비 1. 사무용품비 2. 전화통신비 3. 차량유지비 4. 자료비 5. 세금과공과 6. 임차관리비 7. 회의비 8. 업무추진비 9. 교육훈련비 196

( 단위 : 원 ) 금

436,093,020 378,050,000 150,000,000 8,550,000 75,000,000 27,500,000 10,500,000 19,000,000 5,600,000 2,200,000 2,000,000 29,900,000 42,800,000 5,000,000

22,738,323 6,658,323 16,080,000

0 0

35,304,697 35,304,697

436,093,020 159,441,020 28,700,000 5,000,000 9,200,000 5,674,059 800,000 1,000,000 34,571,061 68,195,900 300,000 6,000,000

3,000,000 1,500,000 1,800,000 300,000 2,800,000 11,880,000 500,000 500,000 4,440,000

250,322,000


녹색은 다릅니다

10. 급여 11. 상여금 12. 복리후생비 13. 사회보험료 14. 예비비 [3]사업외비용 1. 잡손실 [4]자산부채지출 1. 퇴직예치금 3.차기이월액 수입예산총계 436,093,020

175,728,000 16,224,000 6,400,000 14,400,000 10,850,000

0 0

26,330,000 26,330,000

0 지출예산총계 436,093,020

수입지출예산차액 0

197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예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인천녹색연합 과

1.수입총계 [1]회비수입 (1) 회원회비 (2) 후원금 (3) 후원행사 (4) 기타 [2]목적사업수입 (1) 녹색교육사업 (2) 생태보전사업 (3) 시민참여사업 (4) 연대활동사업 (5) 생태교육센터(숲해설가교육) [3]영업외수입 (1) 잡이익 [4]전기이월액 (1) 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녹색교육사업 (2) 생태보전사업 (3) 시민참여사업 (4) 연대활동사업 (5) 생태교육센터(숲해설가교육) (6) 예비비 [2]운영비 (1) 활동가급여 (2) 여비교통비 (3) 자료구입비 (4) 세금공과금 (5) 수도광열비 (6) 차량유지비 (7) 문자발송비 (8) 소식지제작비 과 목 (9) 회의비 (10) 사무용품비 (11) 소모품비 (12) 기부금출금수수료 (13) 경조비 (14) 전산운영비 (15) 홍보비 (16) 회원관리프로그램 (17) 소식지발송비 (18) 작아구입비

198

( 단위 : 원 ) 금 액

363,392,080 210,000,000 175,000,000 5,000,000 30,000,000 0

23,000,000 30,000,000 14,000,000 1,000,000 60,000,000

128,000,000

6,000,000 6,000,000

19,392,080 19,392,080

363,392,080 145,092,080 25,000,000 24,000,000 14,000,000 2,000,000 60,000,000 20,092,080

142,000,000 1,200,000 700,000 100,000 5,000,000 1,500,000 3,000,000 7,000,000 금 2,500,000 300,000 500,000 2,000,000 0 1,500,000 0 1,000,000 3,500,000 2,500,000

218,300,000


녹색은 다릅니다

(19) 기타인쇄물 (20) 후원행사 (21) 회원총회 (22) 교육훈련비 (23) 식비 (24) 4 대보험 (25) 통신운반비 (26) 조직지원비(생태교육센터) (27) 잡비 (28) 수선비 [3]영업외비용 (1) 은행수수료 [4]자산부채지출 (1) 대출금 상환 3.차기이월액 수입예산총계 363,392,080

0 2,500,000 2,000,000 2,000,000 5,500,000 21,000,000 3,000,000 8,000,000 0 0

0 0

0 0

0 지출예산총계 363,392,080

수입지출예산차액 0

수 입·지 출 예산 19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전북녹색연합 과

( 단위 : 원 )

1.수입총계 [1] 사업수익 1.기부금(회비)수입 2.후원금 3.녹색교육 4.시민참여 [2]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78,594,743

50,000,000 20,000,000 2,500,000 2,000,000 4,094,743

74,500,000 4,094,743

78,594,743

2,000,000 1,500,000 1,500,000 1,000,000 600,000 500,000 1,000,000 1,000,000 1,500,000 1,000,000 3,000,000 41,453,520 2,360,000 7,200,000 3,000,000 1,000,000 500,000 1,200,000 1,000,000 3,120,000 200,000 700,000 200,000 500,000 800,000 100,000 500,000 161,223 0

9,100,000 5,500,000 63,994,743

2.지출총계 [1] 목적사업비 1.녹색교육 2.시민참여 3.GM 작물개발반대 4.새만금보전운동 5.케이블카반대 6.탈핵에너지전환운동 7.정책대응활동 8.연대활동사업 [2]회원관리비 1.회원_도서구입 및 인쇄비 2.회원총회 3.후원행사 [3] 운영비 1.급여 2.퇴직급여 3.사회보험부담금 4.복리후생비 5.회의비 6.여비교통비 7.통신비 8.수도광열비 9.임차료 10.세금과 공과 11.수선비 12.교육훈련비 13.도서구입 및 인쇄비 14.사무용품비 15.지급수수료 16.기부금 17.예비비 [4]사업외비용 1.잡손실

0

3.차기이월액

0

수입예산총계 78,594,743

지출예산총계 78,594,743

수입 · 지출 예산 200

수입지출예산차액 0


녹색은 다릅니다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원주녹색연합 과

( 단위 : 원) 목

1.수입총계

35,506,229

[1] 사업수익

35,500,000

35,000,000

2.특별후원

500,000

3.기획사업

1.회비

[2]기타수익

6,000

6,000

229

229

2.지출총계

35,506,229

[1] 목적사업비

2,500,000

1. 교육사업비

500,000

2. 기획사업비

500,000

3. 연대사업비

300,000

4 .회원사업비

1,000,000

200,000

1.예금이자 [3]전기이월액 1.전기이월액

5. 소모임운영비 [2] 운영비

33,005,729

1. 임대료

5,000,000

2. 인쇄비

1,200,000

3. 집기비품비

100,000

4. 자료구입비

100,000

1,200,000

6. 출장회의비

100,000

7. 업무추진비

6,000,000

8. 제세공과금

1,700,000

9. 소모품비

300,000

10. 신문구독료

360,000

11. 수선비

100,000

12. 교통비

400,000

13. 복리후생비

100,000

2,100,000

15. 인건비

14,000,000

16. 예비비

245,729

500

500

0

5. 발송비

14.

4 대보험료

[3]사업외비용 1. 결산소득세 3.차기이월액 수입예산총계 35,506,229

지출예산총계

수입지출예산차액 35,506,229

0

20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지출예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작은것이아름답다 과

1.수입총계 [1]사업수입 1. 작아구독료 2. 작아판매금 3. 광고비수입 4. 편집외주수익 5. 물품판매금 6. 행사수익금 7. 단행본판매수익금 [2]고유목적사업수입 1. 정기후원금 2. 비정기후원금 [2]사업외수입 1. 이자수입 2. 잡이익 [4]전기이월액 1. 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목적사업비 1. 작아제작비 2. 외주제작비 3. 행사비 4. 홍보비 5. 물품제작비 6. 단행본제작비 7. 취재교육비 8. 원고료 9. 발송비 10. 운반비 [2]고유목적사업비 1. 급여 2. 캠페인 [3]운영비 1. 인건비 2. 복리후생비 3. 우편비 4. 회의비 5. 사무용품비 6. 소모품비 7. 여비교통비 8. 통신운반비 9. 차량유지비 10. 수도광열비 11. 수선비

202

( 단위 : 원 ) 금

293,487,332 241,000,000 32,000,000 75,000,000 16,000,000 37,000,000 58,000,000 6,000,000 17,000,000

44,000,000 32,000,000 12,000,000

5,010,000 10,000 5,000,000

3,477,332 3,477,332

293,487,332 166,000,000 77,000,000 12,000,000 5,000,000 3,000,000 37,000,000 14,000,000 2,000,000 4,000,000 12,000,000

20,000,000 18,000,000 2,000,000

107,487,332 75,200,000 4,000,000 4,100,000 500,000 200,000 700,000 500,000 6,000,000 0 2,500,000 200,000


녹색은 다릅니다

12. 도서인쇄비 13. 교육훈련비 14. 세금과공과 15. 지급임차료 16. 지급수수료 17. 보험료 18. 잡비 19. 접대비 20. 예비비 [4]사업외비용 1. 이자비용 3.차기이월액 수입예산총계 293,487,332

200,000 600,000 3,600,000 2,400,000 3,500,000 1,800,000 150,000 250,000 1,087,332

0 0

지출예산총계 293,487,332

수입지출예산차액 0

20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 예산 제 11 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부설녹색사회연구소 과

1.수입총계 [1] 사업수익 1. 회비및후원금 2. 시민환경운동연구사업 3. 환경관련도서출판사업 [2] 사업외 수익 1. 잡이익 2. 이자수익 3. 분담금 [3] 전기이월액 1. 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 목적사업비 1.회원사업비 2.정책연대사업 3.연구사업 4.교육/출판사업 5.예비비 [2] 운영비 1. 급료 2. 회의비 3. 복리후생비 4. 사무용품비/소모품비 5. 여비교통비 6. 통신운반비 7. 수도광열비 8. 접대비 9. 홍보비 10. 자료비 과 목 11. 잡비

20,000,000 124,000,000 6,000,000 10,000 10,800,000 9,997,626 1,000,000 3,000,000 75,500,000 6,000,000 27,127,626 26,200,000 100,000 2,800,000 100,000 200,000 200,000 1,200,000 100,000 100,000 100,000 금 30,000

170,807,626 150,000,000 10,810,000 9,997,626 170,807,626 112,627,626 38,680,000 액

12. 교육훈련비

150,000

13. 세금과공과 14. 지급수수료 [3] 영엽외 비용 1. 이자비용 [4] 자산부채지출 1. 차입금 3.차기이월액

2,300,000 5,100,000 11,500,000 8,000,000

11,500,000 8,000,000 0

수입예산총계 170,807,626

204

(단위 : 원)

지출예산총계 170,807,626

수입지출예산차액 0


녹색은 다릅니다

수입· 지출 예산 제 9(당)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연합 지부 녹색법률센터 과

( 단위 : 원 )

1.수입총계 [1] 사업수익 1. 일반회비 2. 후원회비 3. 제도개선운동 4. 환경법률대응 5. 교육사업 [2] 기타 수익 1. 예금이자 [3]자산부채수입 1. 미수금 [4]전기이월액 1. 전기이월액 2.지출총계 [1] 목적사업비 1. 회원사업 2. 제도개선운동 3. 환경법률대응 4. 교육사업 [2] 운영비 1. 인건비 2. 퇴직급여 3. 세금과공과금 4. 복리후생비 5. 보험료 6. 통신운반비 7. 수도광열비 8. 교육훈련비 9. 사무용품비/소모품비 10. 도서인쇄비 11. 전산운영비 12. 회의비 13. 지급수수료 14. 기타 잡비 [3]영업외비용 1. 수수료 [4]자산부채지출 1. 예수금 3.차기이월액 수입예산총계 61,700,921

38,000,000 4,500,000 0 2,500,000 13,601,950 0 0 3,098,971 5,000,000 1,000,000 2,500,000 13,350,000 30,340,000 2,550,000 1,300,000 500,000 500,000 200,000 1,200,000 300,000 108,971 100,000 300,000 700,000 1,500,000

61,700,921 58,601,950 0 0 3,098,971 61,700,921 21,850,000 39,598,971 0

0

251,950 251,950 지출예산총계 61,700,921

0 수입지출예산차액 0

205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수입 · 지출예산 2017 년 1 월 1 일부터 2017 년 12 월 31 일까지 사)녹색교육센터 과

( 단위 : 원 ) 목

Ⅰ. 수입총계 [1]사업수입 1. 미래세대녹색지킴이사업

금액

470,800,000 140,000,000

2. 녹색시민교육사업

3,000,000

3. 녹색교육자양성사업

5,000,000

4. 사회녹색교육지원사업

50,000,000

5. 녹색연구출판

45,000,000

6. 기타사업

20,000,000

7. 회원사업

2,000,000

40,000,000

8. 개인기부금 [2]사업외수입 1. 이자수익 2. 잡이익 1. 전기 이월액 Ⅱ. 지출총계

100,000

1,678,969

1,578,969

164,121,031

164,121,031

[1]목적사업비 1. 미래세대녹색지킴이사업

[3] 전기 이월액

470,800,000 280,800,000

200,000,000

2. 녹색시민교육사업

5,000,000

3. 녹색교육자양성사업

8,000,000

4. 사회녹색교육지원사업

40,000,000

5. 녹색연구출판

10,000,000

6. 기타사업

10,000,000

7. 회원관리/회원사업비

8,000,000

8. 대외협력사업비

2,000,000

[2]운영비 1. 인건비

188,000,000 130,000,000

2. 사무국운영비

20,000,000

3. 세금과공과금

9,000,000

4. 지급임차료

26,000,000

5. 지급수수료

4,000,000

[3]사업외비용 1. 이자비용 Ⅲ. 차기 이월액

206

305,000,000

2,000,000 2,000,000

0


녹색희망나눔

차 례

평생길동무상 아름다운 지구인상 감사패 녹색인 수칙


208


녹색은 다릅니다

평생길동무상 15년 이상 녹색연합의 회원으로 꾸준히 후원, 참여해주신 회원께 드리는 감사의 마음 입니다.

녹색 평생 길동무 마음드림 녹색마음 기운찬 넝쿨로 뻗어 늠름하고 아름답습니다. 녹색생명 가득한 세상 꿈꾸는 평생 길동무가 계셔 힘이 됩니다. 처음마음 그대로 함께 걸어온 15년 걸음 참 고맙습니다. 2017. 03. 18 우리 모두의 녹색연합 드림

강말순 강민석 강성훈 강영식 강지현 강홍천 고경 고상현 고순자 고영주 고종희 고현영 곽순근 곽효열 구경모 구미순 국승란 권대희 권민철 권정완 권태원 김갑련 김건종 김귀선 김규원 김기원 김남명 김남진 김남희 김동관 김동근 김동선 김동운 김두환 김미경

김미란 김미숙 김민수 김민철 김보경 김보성 김비애 김석환 김선옥 김선옥 김성애 김성재 김순옥 김슬지 김애숙 김용란 김윤아 김은숙 김은혜 김재규 김재학 김정민 김정선 김정숙 김종진 김종환 김주현 김지연 김진원 김창연 김철록 김태분 김태옥 김하란 김해정

김현아 김현자 김현정 김형준 김혜경 김혜진 김호용 김황일 김효선 김희영 나진영 나희원 남인준 남경원 노윤희 류기석 문명미 문선옥 박광석 박록삼 박명진 박미숙 박미영 박미옥 박상돈 박성기 박용희 박정수 박진호 박태화 박해광 박현정 박혜진 박흥만 강복희

백승희 백진임 서성덕 서승만 서정금 곽신행 서지웅 석은영 선일규 성윤정 소권섭 김월자 손유진 손재호 송명진 송봉연 송지영 시원혜 신꽃다미 신영석 신재순 신정아 신주영 신해수 심정주 심태섭 안문자 안성우 안영덕 안재헌 양경수 양미라 양영은 양종관 양지순

양진영 엄영흠 여동훈 여용수 여성빈 윤미애 염흥섭 오미숙 오아라 유상균 유재운 유지영 윤선경 윤선주 윤성현 윤인숙 윤정기 윤정현 윤종찬 윤주성 윤준의 윤천희 이계혁 이규한 이덕주 이림 이명렬 이몹쓸 그립은 사람아 이미심 이민철 이상진 이서정 이선로

이선영 이수연 이순아 이승무 이승윤 이연숙 이연진 남경숙 이영규 이영수 이영수 이용찬 이원영 이은경 이은주 이일중 이재웅 이종구 이종인 이종한 이준호 이진용 이진욱 이창석 이창용 이청재 이태화 이하영 이현정 이환규 임경아 임숙희 임아영 임은숙 장내일

장성두 장세웅 장정애 장정윤 장철수 장혜란 전수영 전준서 정경희 정두성 정명선 정명옥 정부매 정세훈 정욱희 정재익 김현주 정주원 정진구 정철수 정혜영 조상복 조선 조수영 조시범 조원정 조은정 조재은 조진국 조현정 주한경 지윤정 진은정 진정완 채홍기

천재현 최미선 최순애 최순희 최아란 최원준 최은서 최은실 최은영 최인준 최종훈 최태우 최효숙 최희경 하정훈 한경민 한공순 한면숙 한원민 한윤섭 한학례 한희진 현용호 홍금녀 홍명희 홍사훈 홍성진 홍장희 홍호승 황애경 황인이

209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아름다운 지구인상 지난 두 해 동안 녹색세상을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하신 분들에게 녹색연합 회원 모두 의 마음을 담아 아름다운 지구인 상을 드립니다.

아름다운 지구인 당신이 지구별 모든 생명의 든든한 친구가 되어 주어, 그 따사로움으로 땅이 녹고 새 잎이 돋아납니다. 생명과 평화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을 대신하여 고마움을 전합니다. 2017. 03. 18 우리 모두의 녹색연합 드림

●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국민행동 케이블카 광풍에서 설악산국립공원을 온전히 지키기 위해 만든 연대기구입니다. 종교, 환경, 노동, 문화, 장애인, 산악계 등 사회각계 120여개 단체와 300여 명의 개인으로 구성되었습니 다. 각 단위들이 협력하며 힘을 모았기에 명실상부한 설악산 케이블카 반대 운동 대표단체 로 활동할 수 있었습니다. ●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강원행동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국민행동의 소속단체이면서 특히 강원도 내 시민홍보와 관할청인 원주 지방환경청 대응활동에 집중했습니다. 강원도민들이 직접 외치는 설악산케이블카 반대는 지역에서 강력한 반향을 일으켜 설악산을 지키는데 큰 힘이 되었습니다. ● 케이블카반대설악권주민대책위원회 속초, 양양 등 설악산 권역 주민의 목소리는 무엇보다 소중했습니다. 매주 설악산 소공원 앞 에서 시민들을 만나 케이블카 반대 목소리를 모으고 양양군청을 직접 상대했습니다. 위협적 인 케이블카 찬성파의 위세를 온몸으로 막았습니다. 설악산국립공원을 지킨 주역 중의 주역 입니다. ● 양세진 회원 (본부 회원) 2008년 녹색연합 에너지기후팀 인턴으로 활동하며 국내 광역지자체 기후변화대응계획 대응, 에너지자립마을만들기에 참여하였습니다. 2012년부터 현재까지 웅담용 곰 사육 종식 캠페인

210


녹색은 다릅니다

의 국영문 번역 자원활동과 곰 사육 종식 캠페인 한국 컨설턴트로서 WAP(World Animal Protection) 와 녹색연합의

커뮤니케이션, 리서치, 컨설팅을 담당하며 곰사육정책폐지에 중

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

유현노 회원 (본부 녹색연합 회원)

1999년 녹색순례 때 대절한 관광버스 기사님으로 인연을 맺은 후 회원이 되셨습니다. 새만 금, 천성산, 4대강, 설악산 등 주요 활동현장에 활동가와 시민들이 안전하게 다녀올 수 있도 록 안내해 주셨으며 녹색순례, 어린이자연학교 등 역사 깊은 녹색연합 주요 행사에 늘 함께 하며 도움을 주셨습니다. ●

박항주 회원 (본부 녹색연합 회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의원의 보좌관으로 일하며 4대강 재자연화, 사육곰정책폐지, 설악 산케이블카 저지, 가습기살균제 피해 등의 환경현안을 깊게 조사하고 분석하여 국회에서 이 문제가 제대로 다뤄지도록 하였습니다. 국정감사, 입법활동을 통해 다양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양경모 회원 (녹색교육센터 평생회원, 본부 녹색연합 평생회원)

녹색연합에서 환경교육사업이 자리 잡도록 작은 씨앗을 뿌려 2007년 녹색교육센터가 첫 출 발을 내딛을 때부터 10년이 지난 지금 나무로 무럭무럭 자라는 토대를 만들었습니다. 사회 에서도 녹색철학을 반영한 (주)에코샵홀씨를 운영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 노력 하고 있습니다.

211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감사패 전국 녹색연합 회원, 임원, 활동가, 전문가들 중 녹색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어려운 자리를 도맡아 애써 주신 분들에게 특별한 고마움을 전합니다.

녹색 고마움 담아드림 한 뜻, 한 걸음 모든 생명의 벗이 되어 녹색으로 함께 하셨습니다. 보여주신 애정과 올곧음으로 녹색연합이 바로 서 나갈 수 있었습니다. 소중한 인연, 참 고맙습니다. 2017. 03. 18 우리 모두의 녹색연합 드림

● 유경희 전국 녹색연합 상임대표 - 2013년 3월부터 전국 녹색연합 공동대표로, 2015년부터는 상임대표로서 전국 녹 색연합을 대표해 왔습니다. 격동의 시기였던 지난 4년 동안 활동의 든든한 버팀목 이자 따뜻한 품이 되어주셨습니다. ● 이영기 본부 녹색연합 운동감사 - 2009년 5월부터 녹색연합 본부사무처 운동감사로 활동하였습니다. 녹색운동이 강 령에 맞춰 사회적 소명을 다하며 올곧게 나아갈 수 있는 나침반이 되어주었습니다. ● 김종화 본부 녹색연합 회계 감사 - 2007년 3월부터 2016년까지 녹색연합 본부사무처 회계감사로 활동하였습니다. 투 명한 회계와 건전한 재정 구조를 만드는 기준을 마련하여 녹색연합이 투명하고 신 뢰받는 조직이 되도록 힘써 주었습니다. ● 이동원 전 광양만 공동대표 -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광양만녹색연합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사무국 기틀을 만들었습니다. 2011년 창립 이후 2016년까지 공동대표로 운영에 참여하며, 동호안 폐기물 매립지 붕괴사고 복구추진에 앞장서고 포스코 산단 협력업체의 환경훼손에 적극 대응 하였습니다.

212


녹색은 다릅니다

● 한승우 전 전북녹색연합 사무국장 -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인천녹색연합에서 활동하다 2008년 전주로 내려가 전북 녹색연합을 창립하고 2016년까지 사무처장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새만금간척사업대 응, 호남정맥 탐사, 청개구리 생태교육, GMO 시험재배 반대 등 전북지역의 환경운 동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 육경숙 전 녹색교육센터 소장 - 1997년부터 2002년까지 본부 녹색연합에서 활동, 2007년 녹색교육센터 창립부터 2016년까지 10년 동안 교육팀장을 거쳐 소장으로 활동하였습니다. 녹색교육 영역을 다각화하며 교육센터가 성장하도록 해 녹색교육운동을 널리 퍼뜨리는데 크게 역할 하였습니다. ● 배영근 전 녹색법률센터 부소장 - 2009년부터 2016년까지 녹색법률센터 부소장으로 활동하였습니다. 미군비행장 소 음소송, 강원도 골프장 소송, 밀양송전탑 주민소송, 월성1호기 수명연장 무효확인소 송 등을 진행하며 환경문제로 고통 받는 분쟁지역의 주민들, 환경활동가들의 편에 서서 법적싸움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213


2017 녹색연합 제7회 정기회원총회

녹색의 노래

배달녹색연합 작사 안정준 작곡

바라보면 밤하늘 보석처럼 빛나고 돌아보면 진달래 지천으로 피는 곳 그 들녘 그 하늘이 그리웁거든 내 가슴에 생명나무 씨앗을 심자 녹색의 바람으로 다시 태어나 침묵의 대지 위를 휘몰아가세 아 - 우리들 노래는 생명의 깃발 아 - 우리들 노래는 늘 푸르다

214


215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9길 15(성북동) www.greenkorea.org 전화 02-747-8500 ․ 전송 02-766-4180

216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