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동물인 인간의 집단은 각양각색의 사람의 모음이다. 맘 카페, 예비군 모이면 이를 실감한다. 같은 배에서 나온 형제들과 사회적 교류를 시작한다. 유년기부터 고등교육 기관까지 거치고 사회의 여러 집단의 분모 속 분자가 된다. 1960년대에 실시된 심리학자 Stanley Milgram은 6 사람을 거치면 모두 아는 사람이라고 했다. 그러나 아무리 발이 넓은 사람이라도 진정한 사회적 관계를 맺는 사람은 150명에 불과하다. 1993년 발표된 Robin Dunbar 교수의 ‘던바의 수’다. 적정한 인간 사회 집단의 크기를 의미한다. 시간이 흐르면 바뀌지만, 어느 시점에서도 핵심 절친은 4명 정도다. 특히 청소년 시절에 맺어진 관계는 평생 간다. 대부분 우리는 고등학교 동창과 맺은 관계는 다른 관계와 비교할 수 없이 다르다는 사실에 부인하지 못한다. 격동의 청소년기 경험을 통해 함께했기 때문에 영원한 추억으로 남을 특별한 유대 관계를 공유한다. 평생 친구로 남게 되는 이유를 Populistic 편집진이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