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 Plastic Planet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

Page 1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


신은 아담을 창조했고 아담은 플라스틱을 창조했다. 그것도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을 흉내내서… 벌받아도 싸다. JHL

아담(‫)אדם‬은 히브리어로 사람을 의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 지구

약 8848m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수심 1만1000m 가장 깊은 바다 태평양 마리아나 해구, 최근엔 대기권 하층인 대류권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다. Antonio Guterres 유엔 사무총장은 전 세계가 해양 비상사태에 직면했다며 과감한 조치가 없으면 2050년쯤에는 플라스틱이 모든 바다의 물고기를 짓누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장수 만세 플라스틱

플라스틱 쓰레기 매립/소각 시 토양/대기/해양을 오염시킨다. 자연에서 분해되는 데 최장 500년이 넘게 소요된다고 알려졌다. 심지어 사라지지 않고 점점 더 작은 조각으로 부서지고 쪼개져 초미세플라스틱이 되어 생태계에 끊임없이 영향을 끼친다. 특히 기저귀, 커피 캡슐, 칫솔은 500년 간다.


플라스틱 시대 인류는 석기, 청동기, 철기로 시대별로 구분했다. 현대는 혁신적인 플라스틱시대다.


플라스틱

빚어낸다(금형, 성형, 주조)를 뜻하는 그리스어 플라스티코스(πλαστικός)에서 유래되었다.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으로 고무, 송진, 옻나무 진 캐슈 등의 천연수지(레진)를 흉내내어 만든 물질이다. 합성 수지라고 한다. 강철, 금, 유리를 녹이는 강산에도 끄떡없고 강염기인 수산화나트륨에도 견딘다. 그러나 아세톤, 시너 등 유기용매에 매우 취약하며 일반 플라스틱은 불에 녹아 내린다. 화재 시 진압이 어렵고 유독성 가스가 발생한다.


혁신의 주역 플라스틱       

나노 반도체 소자 얇고 화려한 색감의 LCD 유기발광소자디스플레이(OLED) 고성능 2차전지 초극세사 기능성 섬유 자동차 내장재


최초 천연수지(Resin) 플라스틱  Christian Schönbein 1846년 질산섬유소 합성 성공  Alexander Parkes 질산섬유소를 용해, 건조시켜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 수 있는 Parkesine 개발  비싸고 귀한 당구공 재료 코끼리의 상아의 대체 물질을 찾던 John Hyatt가 1869년 최초 천연수지 플라스틱 셀룰로이드 개발. 깨지기 쉬워 당구공이 아닌 틀니, 단추, 만년필 등의 용도로 사용했다.


기적의 소재 합성수지(Synthetic Resin)

38세 나이에 사진 인화지 개발로 백만장자가 된 Leo Baekeland는 1907년 열과 압력으로 성형한 뒤 다시 열을 가해도 물러지지 않는 합성수지를 개발하여 Bakelite라 불렀다. 값싸고 단단하고 부식도 안 되고 절연성이 뛰어나 전자제품에 널리 쓰여 실용화에 성공한 기적의 소재가 되었다.


널리 쓰이는 폴리에틸렌 발견

1933년 포장용 비닐봉지, 음료수병, 전선용 피복 등 현재도 일상생활에 가장 많이,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 폴리에틸렌(PE)이 탄생했다. Hans von Pechmann과 William Fawcett+Reginald Gibson이 독일, 영국에서 각각 우연한 기회에 재발견했다. 1953년 Karl Waldemar Ziegler는 단단하고 고열에도 강해 파이프, 연료탱크에 쓰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발견했다.


나일론, 대환장 파티 1937년 미국 듀퐁의 Wallace Carothers가 거미줄보다 가늘고 강철보다 질긴 기적의 실, 합성섬유 나일론을 개발했다. 나일론 스타킹은 첫 날 미국에서 400만 켤레가 팔렸다. 전세계가 난리가 났다. 방수, 방풍, 기능 덕에 낙하산, 텐트, 군용 제품, 어망, 로프 등 제조하는 데 널리 사용됐다. 아이젠하워는 나일론 군복을 디자인하여 아이크 재킷이라 소개했다. 나일론 전성시대는 오래 갔다.


고기능 플라스틱

Hideki Shirakawa, Alan MacDiarmid, Alan J. Heeger 팀은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을 개발해 200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광학재료, 유기물질을 이용한 전기발광소자(OLED), 플랙시블/폴더블 디스플레이, 박막형 태양광전지, 인공피부, 인공 연골과 장기 등 다양한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미래 플라스틱의 도전 과제

Honda는 초고열에 견디는 플라스틱으로 경주용 자동차 엔진까지 제작했다. 듀퐁은 가위로 끊어지지 않는 초경량 케블라(Kevlar) 섬유, 고온에 변형 되지 않는 항공기 골격, 방탄복용 아라미드 섬유를 개발했다. 미래 응용 범위나 시장은 한계가 없다. 문제는 환경 오염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분해성/천연 소재 플라스틱 개발이 매우 중요한 과제다. 원료인 원유의 고갈도 플라스틱이 처한 위기다.


매주 신용 카드 한 장을 먹는 인류

세계자연기금(WWF)은 2019년 사람 한 명이 미세 플라스틱을 매주 5g (약 2000개 조각) 정도 먹고 있다고 발표했다. 신용 카드 한 장 분량과 맞먹는 양이다. 한 달로 계산하면 21g, 연간 250g을 약간 넘는 양이 된다.


플라스틱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 증가

OECD 글로벌 플라스틱 전망(2022.02.22)에 따르면 플라스틱 산업은 지난 20년 GDP보다 40% 더 증가하여 연간 온실효과가스(GHG) 배출은 4.6 기가톤, OECD 국가는 연 1일당 156kg, 기타국은 39kg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플라스틱 생산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 기준으로 보면, 포장재/용기 40.5%, 건물 건설 20.4%, 자동차 8.8% 전기/전자 제품 6.2%, 가구/레저/스포츠 4.3%, 농업 3.2%, 기타 16.7%다.(RICS, 2022.02.02)


한국은?

미국 국립과학공학의학원(2021.12)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당 연간 플라스틱 배출량은 88kg로 세계 주요 21개국 중 3위에 해당한다. 플라스틱 배달 용기 사용량은 국민 1인당 연간 플라스틱 사용량의 약 12%에 해당한다.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는 보통 심각한 게 아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0년 공공선별시설에서 처리한 플라스틱 폐기물은 923만t으로 18.9% 증가했다.


쓰레기 유출

2019년 한해 배출량은 3.53억 톤으로 포장재 40%, 소비재 12%. 섬유 11%, 기타 37%였다. 재활용 비율은 8%에 불과하다. 직경이 5mm보다 작은 미세 플라스틱은 전체 플라스틱 쓰레기 중 12%로 강에 1.9억 톤, 해양에 3천만 톤이 축적돼 있고, 한 해에 610만 톤이 강, 호수, 바다로 유출되고 있다.


쓰레기 해양 유출

Roland Geyer 교수팀에 따르면, 1950년~2015년까지 인류가 만든 플라스틱의 총량은 89억 톤, 이 가운데 2015년 기준으로 63억 톤 플라스틱이 폐기되었다. 6억 톤은 재활용, 8억 톤은 소각, 전체의 77%인 나머지 49억 톤은 매립되거나 방치되었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매년 800만 톤 이상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고의적으로 버리거나, 강 또는 배수구 등을 타고 흘러간다. 폭우, 태풍으로 일시에 대량이 휩쓸려 가기도 한다.


한국 코비드-19 팬데믹 영향

환경부에 따르면 2020년 택배 이용률과 음식 배달 이용률은 2019년 대비 각각 19.8%, 75.1% 증가했다. 폐플라스틱과 폐비닐의 양도 각각 14.6%와 11% 증가했다. 한국소비자원(2022.02.23)의 ‘플라스틱 배달용기 사용실태’에 비대면 소비로 배달앱 주문/배달 시장이 크게 성장하여,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량도 급증했다. 배달음식 서비스는 2017년 2.7조 원 규모에서 2020년 17.4조 원으로 6.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의 민족 한국 맞다.

조사 결과 배달음식 매뉴당 플라스틱 용기는 평균 18.3개, 무게는 147.7g. 이용자가 일주일 평균 2.8회 주문한다는 서베이 결과를 반영하면, 배달음식 이용자 1인당 연간 약 10.8kg의 플라스틱을 사용한 셈이다. 재활용이 불가능한 재질이나 밀봉 용기 등을 제외하면 전체 중량의 최대 45.5%만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린피스 2019년 12월 보고서 ‘플라스틱 대한민국: 1분마다 트럭 한 대 분량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쏟아져 들어가고 있고 그 중 상당량을 플라스틱 포장재가 차지하고 있다.


해양 생태 위협

해양 생태계의 직접적 위협도 심각하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따르면 해안 쓰레기(2008~2018년) 42%는 플라스틱 쓰레기 포장재이고, 21.5%는 어구, 13.8%는 기타 플라스틱, 10.6%는 플라스틱 노끈, 7.8%는 플라스틱 부표 등 약 70%가 플라스틱이 차지하고 있다. 2024년 플라스틱 국제협약에서 ‘보고(Reporting) 의무’가 논의되고 있는 강력한 이유다.


한국 음식 속 플라스틱

안전성평가연구소에 따르면 가리비 1g당 1.0개, 젓갈 6.6개, 티백 4.6개, 홍합 0.84개 등 한국인 음식 대부분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음식 섭취량을 토대로 계산해 보면 1인당 하루 16.3개씩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초미세플라스틱이 복합 오염 토양의 상추, 당근, 배, 사과 등에서 5만 2,000~22만 3, 000개의 초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다.(2022.07.30 기사)


식수나 공기 속에도

생수, 수돗물, 종이컵 음료에도 공기중 호흡을 통해서도 미세 플라스틱을 흡수할 수 있다. 건강한 성인 22명 중 17명의 혈액 표본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수술 중 채취한 폐 조직 13개 중 11개서 39개의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됐다는 보고도 있다. 장내 조직 찰과상, 유전자 손상, 독성 유해물질 흡수 경로 등 피해를 볼 수 있다. 설치류 실험에서는 위암과 인지장애, 유전자 변이로 인한 ADHD 등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놀라운 연구

국내 연구진이 물속에 존재하는 미세 플라스틱만을 걸러내 제거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한철 박사팀과 대구경북과학 기술원 이주혁 교수팀은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는 물론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초미세 플라스틱도 물에서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필터를 개발했다고 2022년 지난달 6일 밝혔다.


실용화? 암튼 대단한 도전이다 먹어도 되는 소재로 저비용 고효율 나노발전소자 대량 생산

연구팀에 따르면, 플라스틱은 그 자체로 아주 미세한 음극(-)을 띠고 있다. 물속에 발전기를 넣고 전류를 흘리면 전기적 성질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되며 흩어져 있던 미세 플라스틱이 필터의 양극(+) 쪽 기판에 달라붙는다. 그러면 미세 플라스틱만을 걸러낸다. 전류는 발전기 내부 소자의 마찰을 통해 만들어지므로 별도 외부 전원이 필요 없다. 그래서 마찰대전 발전소자라 한다. 마찰대전으로 만들어지는 전류는 물속 생물에 영향을 주지 않을 만큼 낮은 전류라 해양 생태계를 해치지 않고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한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나노에너지에 실렸다. 모든 강과 바다를 다 걸러야 하나?


그러나 당장 더 중요한 것은 각 개인이 후대를 위해 덜 쓰고, 덜 버리는 것이 최고다.


Mail: mci9306@naver.com Facebook: Jaheelee.33 Blog: naver.com/mci9306 Slideshare: jaheelee Linkedin: jahee-lee-2521b512

JHL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