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해변과 차박 자리에는 쓰레기로 현지 마을 분들이 골머리를 앓는다. 약 8848m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수심 1만 1000m 가장 깊은 바다 태평양 마리아나 해구, 최근엔 대기권 하층인 대류권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석기, 청동기, 철기를 지나 가히 플라스틱 시대가 맞다. 혁신의 상징인 플라스틱은 나노 반도체까지 가능하게 해주었다. 세계자연기금(WWF)은 2019년 사람 한 명이 미세 플라스틱을 매주 5g 정도 먹고 있다고 발표했다. 신용 카드 한 장 분량과 맞먹는 양이다. 한 달로 계산하면 21g, 연간 250g을 약간 넘는 양이 된다. 팬데믹으로 음식 배달 포장도 급격히 늘었다. 배달의 민족 한국도 예외 없다. 1분마다 트럭 한 대 분량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쏟아져 들어간다. 마스크, 생리대, 기저귀, 커피 캡슐, 칫솔은 자연에서 분해되는데 500~800년이 걸린다. 스티로폼은 영원히 썩지 않는다. 일부 학자들은 플라스틱 발명 후 아직 1세기가 안 지나 검증이 안 되어 1천 년이 넘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