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의 시대 Metaverse
현실은 실제로 존재하는 세계다
가상 현실 VR(Virtual Reality)
컴퓨터를 통해서 가상을 현실처럼 체험하는 첨단 영상 기술로 HDM 기기를 머리에 쓰고 체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시간 스스로 판단하여 원하는 방향대로 제어 한다. 게임뿐만 아니라 의료 실습, 건축, 교육 등 다양한 콘텐츠가 있다.
증강 현실 AR(Augmented Reality) VR은 가상 이미지를 사용하지만 AR은 현실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의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 서로 비슷하지만 하나는 가상, 즉 허상이고 증강현실은 실상이다. 인터넷 지도검색, 위치 검색 등도 넓은 의미에서 증강현실이라고 한다. 홀로 렌즈 등 장치를 이용한다.
혼합 현실 MR(Mixed/Merged Reality) VR과 AR의 장점을 합친 영상 기술이다. 가상과 현실 정보를 결합해 융합시켜 공간을 만들어낸다.
확장 현실 XR(eXtended Reality)
VR, AR, MR을 포괄(아우르는)하는 기술로 미래에 나타날 새로운 기술도 포괄한다. 360도 뷰, 공간 음향, 자세 추적 등을 통해 실제와 같은 자연스러운 체험이 가능하다. 마치 러닝 머신 위에서 마추픽추를 걷는 경험. 새로운 핵심 역할로서 의료, 교육, 제조, 문화,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세계 5G 콘텐츠 연합체 Global XR Content Telco Alliance XR기술을 활용한 컨텐츠 공유를 위해 전세계 기업에서 회원국과 기업의 모집 동맹
메타버스 Metaverse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 영화 상상하면 이해가 쉽다
메타버스 용어 Neal Stephenson 1992년 소설 Snow Crash에서 온 것이다. 완전히 몰입되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현실 업무 뒤에 놓인 비전을 기술하는 데 널리 쓰인다. 가상공간의 서로 다른 등장인물이 사회적/경제적으로 소프트웨어의 대리자(아바타)와 인간적 교류를 한다. 은유를 사용하지만 물리적인 제한은 없다
포트나이트에서는 팝콘을 먹으며 공연을 보고 네이버 제트의 제페토에서 블랙핑크 사인회에 참가해서 굿즈를 살 수도 있다
메타버스 4종
4종 분류 기술연구 단체인 ASF(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는 메타버스를 크게 4가지로 나누었다.
증강현실 세계(Augmented
Reality): Digital Reality
포캣몬고를 해보았는가? 헤드업디스플레이(HUD를 사용해 보았는가? 책에 있는 마커를 스마트폰 앱으로 찍었더니 움직이는 동물이 나오는 것을 보았나? 그럼 증강현실 세계를 경험한 것이다
라이프로깅(Lifelogging):
Digital Me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에 오늘 있었던 일, 오늘 먹은 음식 사진을 올려봤는가? 운동하는 자신의 모습을, 다이어트 하는 브이로그를 유튜브에 올려봤는가? 그럼 라이프로깅을 경험한 것이다.
라이프로깅(Lifelogging):
Digital Me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에 오늘 있었던 일, 오늘 먹은 음식 사진을 올려봤는가? 운동하는 자신의 모습을, 다이어트 하는 브이로그를 유튜브에 올려봤는가? 그럼 라이프로깅을 경험한 것이다.
거울 세계(Mirror
World): Digital Twin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의 모습, 정보, 구조 등을 가져가서 복사하듯이 만든다. 아이돌 팬카페에 가입해서 활동해 보았는가? 화상회의, 원격 수업을 해 보았는가? 배민이나 요기요에서 음식을 주문해 보거나 에어비앤비로 숙소를 예약해 보았는가? 그럼 거울 세계를 경험한 것이다.
가상 세계(Virtual
Reality): Digital Reality
헤드셋을 온라인 게임을 해봤는가? 예전에 싸이월드에서 도토리를 모아보았는가? 다시 재개하지만 계속 살아있었다면 세계를 선도하는 메타버스가 되어 있었을 지도 모른다. 내 캐릭터를 만들고 도토리를 가지고 아바타에게 옷도 입히고 방도 꾸미고 친구 초대도 하고 소통하면서 마치 사람들이 실제 생활하는 모습을 아바타를 통해 이입시켜 활동했다. 메타버스의 중요한 활동 중 하나는 경제 활동이다. .
세컨드라이프 일종의 가상 셰계로 소설에 영감을 받아 Philip Rosedale의 Linden Lab이 2003년 공개한 가상현실 플랫폼이다. 사이월드는 멈추었지만 발전하여 개인 관계는 물론 사업까지 할 수 있다. 실제 큰 돈을 번 사업가도 생겼다. 이용자 제작 콘텐츠(UGC)가 상품이 되고 가상 화폐로 거래한다. 한때 IBM 등 기업, 정당, 대학교 등이 입주하고 부동산 취득과 매매도 이루어지며 열풍을 일으켜 메타버스 관심을 자극했다.
메타버스는 미래 플랫폼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 메타버스는 인터넷 다음 세대의 플랫폼이며 더 깊은 몰입감, 더 뛰어난 상호작용을 가능케하여 미래 헤게모니를 쥐는 승리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는 메타버스 확장 입구 가상 현실 분야 세계적 석학인 Bob Stone 교수는 의료, 군사 기술로 시작됐던 가상 현실의 첨단 기술들이 현재 전 산업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고 우리는 지금 메타버스가 빠르게 확장하는 시대의 입구에 서 있다
메타버스의 특징 ① ② ③ ④ ⑤
실감(Realistic) 몰입감(Immersive), 무중력감(한 듯 안 한 듯: Weightless) 상호작용(Interactive) 실시간(Real-Time)
현실 수준의 몰입감 조건 ① 일단 방대한 양의 데이터 처리 ② 거의 실시간으로 상호작용 ③ 가상과 현실의 물리적 이질감이 최소화
메타버스 뭐가 필요한가? 실제 현실과 가상 현실이 상호작용하는 초현실 사회를 제대로 구현하려면 위해선 VR(가상 현실), AR(증강 현실)과 같은 그래픽 기술, 클라우드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술, 5세대 통신(5G)과 같은 초고속 통신망 기술이 전방위로 투입돼야 한다.
1
2
3
메타버스 뭐가 필요한가? 가상 세계에서 공을 던지면 중력과 무관하게 끝없이 나아갈 수 있다. 비현실적 사태를 막으려면 중력, 관성, 반작용 등 물리 법칙이 작용해야 한다. 그래픽처리장치(GPU)가 꼭 필수다. NVIDIA CEO, Jensen Huang은 GTC2020에서 메타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 Omniverse를 공개했다. 현실과 똑같은 가상 세계, 그 안에 가상 자율 주행차 수만대가 각자 목적지를 향해 스스로 달리면서 서로 교신하고, 갑자기 나타나는 보행자나 자전거, 동물 등에 대처하는 훈련도 해볼 수 있다.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다.
1
클라우드 데이터 처리 모바일 기기에 매번 수십GB 프로그램을 깔고 지우면 비효율적. 클라우드 프로그램 접속으로 수행하면 간편하다. 예로, MS의 혼합 현실(MR) 기기 HoloLens2 사용자가 늘수록 Azure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성도가 높아진다.
2
5G 방대한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 Genvid Technologies CEO Jacob Navok는 초현실 사회 참가자가 완전 실시간 소통을 하려면 최소 5G, 또는 6G 초고속 통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3
이질감 탈출에 5G/6G 속도 최초의 메타버스 게임 세컨드라이프 개발자 Philip Rosedale도 초고속 통신으로 현실 속 인간의 움직임을 가상 세계로 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0.05초 미만으로 낮출 수 있다면, 가상과 현실 간 이질감은 대부분 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3
메타버스 활용 무궁무진 페이스북 오큘러스 퀘스트2를 통해 가상 현실 사무실, 피트니스 센터를 구현. 몸은 집, 정신은 일터. 재택 근무와 출근 구분 끝. 유튜브로 피트니스 따라하기도 가상 현실 속에서 다른 사람과 함께 땀 흘리며 운동하는 경험이 가능해진다.
전투 훈련 미국은 VR 헬멧을 쓰고 메타버스 속에서 훈련 중 가상 현실 속에서 실제 전투 체험과 무기 성능을 점검. 미군이 VR 훈련에 쓰는 예산은 5년 전 16억달러에서 현재는 30억달러로 2배 가까이로 늘었다.
영화도 메타버스 제작 메타버스로 영화도 만들 수 있을 전망이다. 가상 현실 전문가이자 세컨드라이프 만들기의 저자 James Wagner Au는 이미 3D 게임 엔진의 기술 수준은 현실과 매우 흡사하다. SF 영화/드라마 촬영이라면 이제 별도의 세트장을 구현할 필요 없다고 한다. 배우 역할을 할 아바타를 모아놓고 연기를 시키면 된다.
메타버스 진화 방향
1
하나로 모든 경험 연결
여러 서비스 사용은, 매번 로그인>사용> 다른 디바이스/ 프로그램 켜고 새로 로그인. 메타버스는 모든 과정을 하나의 경험으로 연결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게임, 파티, 업무 처리, 쇼핑을 동시 처리 가능하게 될 것이다.
2
더 많은 데이터/정보 수용
페이스북 새로운 광고물, 내가 사려던 물건이어서 놀란다. 이런 현상이 더욱더 심화할 것이다. 단일 메타버스가 많은 경험을 담고 시간이 갈수록 나, 우리, 사회의 다양한 데이터를 메타버스는 더 많이 담고, 더 깊게 해석할 것이다.
3
물리적 세계와 연결 강화
“그거 한다고 밥이 나오냐?” 그러나 앞으로는 실제 밥이 나오는 상황이 가속화 한다. 메타버스의 활동이 현실 세계의 업무 흐름, 사회 구조, 경제 등에 다양하게 연결되기 때문이다.
컴퓨터 그래픽, 냄새, 소리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혼합하여 상호작용과 정보의 효율성이 점점 극대화될 것이다. 결국 메타버스 시대의 큰 변화 중 하나는 소비에서 창조로의 무게 이동이다
Mail: mci9306@naver.com Facebook: Jaheelee.33 Blog: naver.com/mci9306 Slideshare: jaheelee Linkedin: jahee-lee-2521b512
JH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