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보호 9가지 징후
Overprotecting
과잉보호? 연상 단어 집착, 막장, 울타리, 민폐, 부모의 스토킹, 극성, 외아들, 외동딸, X대 독자, 장손, 산만한 아이, 나잇값, 잔소리, 버릇, 대리 실현, 비행 청소년, 말썽, 포기, 쪽팔림, 응석받이, 헬리콥터 부모, 캥거루 맘, 몬스터 페어런츠(モンスターペアレント), 딸/아들/손주 바보, 마마 보이, 공주병, 왕자병, 이 결혼 반대, 다 너 잘되라고, 내가 어떻게 키웠는데, 존속 범죄, 보상심리, 뒤통수, 사회적 시계 멈춤, 부모 등골 빼기, 강요, 들들 볶기, 모태 신앙, 과잉 육아, 일방통행, 의존, 막무가내, 생떼, 과열 경쟁, 무질서, 독, 강박…
과잉보호 자녀를 만드는 보호와 의미로
지나치게 보호하는 양육태도로, 신경증적(응석) 생활양식을 주 원인. 아동에게 질식할 정도로 많은 사랑과 세심한 지나친 배려를 한다. 흔히 온실의 열대기후에서 자랐다는 익애(溺愛)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엄마의 과잉보호 2방식 성장하면서 사랑을 받지 못한 엄마는 자녀를 과잉보호하게 되는데 어떤 엄마는 힘을 휘두르는 방식으로 또 어떤 엄마는 지나치게 방임하는 방식으로 자녀를 과잉보호한다. - David Levy, 가족치료사
인생 세 과제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살아가면서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3가지 과제가 있다. 일, 우정, 사랑이다. 개별적인 존재로서 각자에게 부과되며, 타인과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Alfred Adler, 정신의학자 가족, 연인, 배우자, 부모 자식 등 지속적
학업, 업무, 가사, 육아, 지역사회 활동, 자원봉사 등
사랑
우정
일
운명 공동체
친구, 동료, 동문 지역사회 돈독한 인간 관계 일시적
이 세 가지 과제에 모두 충분히 협력하고 참여할 수 있는 용기 있는 사람들에게, 삶이란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는 것, 전체의 부분이 되는 것, 인류의 복지에 공헌하는 것을 의미한다. - Alfred Adler, 정신의학자
문제는 문제 과잉보호를 받은 아동들은 자기 중심적, 이기적, 의존적 성격을 지니게 된다. 그들은 어려서부터 스스로 자신의 열등성을 극복하고, 공동체감을 형성하도록 훈련받지 못하여, 건강하고 바른 자아를 형성하지 못할 뿐 아니라, 나아가 신경증적이고, 정신병리적인 성격을 형성할 경향이 강하다. 그들은 Adler가 말하는 세 가지 삶의 과제를 해결하는데도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아동발달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잉보호적 양육방식의 폐해는 한 개인이나 한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문제이다. - 김춘경 교수 논문,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교수
양육의 4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 법륜
태어나서 3살까지, 다른 사람에게 맡기지 말고 극진하게 돌봐주고, 4~14세 부모 행동을 보고 배우는 시기이기에 모범을 보여야 하며, 15~19세 도와주지 말고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성장할 수 있게 지켜보고, 20세 되면 정을 끊고 알아서 살 수 있게 하라고 한다. 스님
과잉보호 부모의 9가지 징후 9 Characteristic Signs of an Overprotective Parent Apryl Duncan 작가, Verywell Family 기고 기사
이미지: Jay P. Morgan / Getty Images
모든 것에 사사건건 참견 Micromanaging Everything for Your Kids
아이들을 너무 밀착하지는 않는지? 아이 삶의 모든 측면을 다스리는 것은 아이나 부모에게 다 좋지 않다. 자녀가 자기 길을 가는 것을 막고, 추구하고 싶은 관심사를 결국 찾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마음을 열고 새로운 취미 생활, 친구 집에서 하루 밤 보내기 등 하고 싶을 일들을 알려주는 것이 좋다.
항상 실패 사전 차단 Keeping Your Child From Failing
아무도 실패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완전/온전하게 만들어 주려는 부모의 욕망 때문에 자신에게 의문을 품게 된다. 실패의 두려움으로 막아 서면 자신의 길을 벗어나게 된다. 현실적으로 실패하더라도 괜찮다. 경험하고 다시 제자리로 되돌아 오는 것을 지켜 본다면 아마 그런 모습에 적잖이 놀라게 될 것이다. 축구가 아니라면 육상 선수로 두각을 나타낼 수도 있고 숙제를 대신 해주지 않으면 할 방법을 찾게 된다
책임감 교육 소홀 Not Teaching Your Child Responsibility
침구와 방을 청소하고, 옷과 양말을 정리해준다? 모든 것을 스스로 하는 것이 더 쉽고 빠르다. 책임감을 가르치는 것은 중요하다. 막내 아이조차도 책임감을 배우면 오히려 남에게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청소하고 정리하는 방법을 가르쳐라. 사진을 찍어 방이 깨끗해지면 어떤 모습인지 기억하도록 하라. 모든 사람이 공정한 자기 몫을 할 수 있도록 가족 구성원 각자에게 맞는 일을 정하라.
지나친 위로 Overly-Consoling Your Child
아이가 실수를 하거나 다른 아이에게 당하는 것을 보는 것은 마음 아픈 일이다. 상처받은 감정을 고쳐주고 싶고 달래주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아진다. 너무 달래면 기분은 나아지게 할 수 있지만 자칫 자녀를 망칠 수도 있다. 스스로를 감정을 겪고 이기도록 해야 한다. 모른 척은 아니다. 실수하거나 싸워도 한 일에 대해 이야기하며 따뜻하게 안아주는 것이 좋다. 사소한 것은 신경을 쓰지 말고 맡겨라.
친구 관계 간섭 Managing Your Child's Friendships
정말 좋은 친구만 사귀도록 바란다. 골라서 친구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즉, 부모가 골라서 사귀게 한다면 단호히 거부한다. 때때로 부모가 보기에 마음에 차지 않는 친구를 사귈 수 있다. 부모가 친구 자녀들을 소개하여 우정을 강요하는 것도 문제가 된다. 충분한 이유가 있을 때만 중재한다. 신체 또는 정신적으로 아주 해로운 경우는 의심의 여지없이 해결에 나서야 하지만 그 외에는 알아서 사귀게 하라.
위험만 자꾸 강조 Reminding Him of Danger...Constantly
안전하게 보살피는 것이 항상 최우선 과제다. 하지만 사소한 일마다 아이를 잡는 것은 최선이 아니다. 계속해서 "하지 마, 안돼, 그만" 소리치지 말고 스스로가 중단 하도록 결정할 수 있게 노력하라. 항상 부정적인 다그침만 듣다 보면 더욱 부정적이 되기 쉽다. 놀이터에서도 무조건 하지 말라고 소리치지 말고 지켜 봐주면 아이는 쉴 때 쉬고 위험한 것은 피한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새로운 시도 금지 Stopping Your Child From Branching Out
야구를 원하는데 축구 자질이 아깝다. 음악을 한다는 데 그림에 소질이 있다. 4년 동안 참여했던 수학 캠프 대신 다른 캠프에 가고 싶어한다. 때때로 우리는 무심코 아이가 스스로 가고자 하는 길을 막는다. 야구를 못해도 음악을 못해도 중요하지 않다. 새로운 모험과 탐험을 도전한다면 멋진 일이다. 관심사와 추구하는 것을 스스로 결정하게 하면 자유로움도 누리고 더 독립적으로 커갈 것이다.
줄기찬 확인 Continually Checking up on Him
지도 교사는 정보를 수시로 학부모에게 전해준다. 매 시간마다 전화하지 않아도 아이가 괜찮은지, 부모가 해줄 수 있는 일이 있는지 알려준다. 지나치게 애지중지하여 매번 확인하다 보면 아이는 질식한다. 눈에서 벗어나면 놀라 기절초풍하지 말고 지도 교사나 가깝게 시간을 보내는 사람과 연락하라. 어떻게 지내는지 자녀와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나누는 것이 좋다. 지나친 확인은 자신과 주변 사람만 미치게 만든다
현실과 격리 조치 Placing Your Child in a Bubble Away From the Real World
예전에는 동화 같았다면 요즘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슈팅 게임 비디오 게임을 한다. 자정 넘어 야동에 노출되는 위험에도 직면한다. 해로운 것으로부터 단절시키길 원한다. 현실 환경을 차단하여 비누방울 속에서 자라게 하고 싶지만 불가능하다. 친구와 사회에서 배워가며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모른다. 가혹한 현실에 대해 가르치는 것이 차라리 낫다. 사랑의 울타리 속에서 주변 세상에 대해 가르쳐주어야 한다.
헬리콥터 부모의 장단점 Related: Pros and Cons of Helicopter Parenting
아이들은 성장하고 발달하며 실수도 저지르면서 자연스러운 결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과잉 보호라면 한 발 물러서라. 아이에게 더 많은 공간을 주어야 한다. 길을 따라 안내하되 모든 것으로부터 보호하려고 마라. 이탈하려고 기를 쓴다면 정신 건강 전문가, 아동 심리 전문가 등과 상담하면 책임감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공간을 부모가 제공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Mail: mci9306@naver.com Facebook: Jaheelee.33 Blog: naver.com/mci9306 Slideshare: jaheelee Linkedin: jahee-lee-2521b512
JH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