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w of Curiosity 호기심으로 성장하는 인간

Page 1

호기심으로 성장하는 인간 The Law of Curiosity



15가지 불변의 성장 법칙 의도성

환경

내려놓음

인지

계획

호기심

거울

고통

본보기

되돌아보기

사다리

확장

끈기

고무줄

공헌


호기심의 강물은 절대 마르지 않는다 The Curiosity Never Runs Dry JHL


인생을 신기한 것이 가득한 곳으로 만드는 것은 호기심이다. 호기심이 많은 사람은 늘 목말라 하며 끊임없이 '왜?'라고 묻는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나 깨나 스스로 질문하고 탐구를 그칠 줄 모른다. 발견의 결과도 가슴 뛰게 하지만 과정 또한 그만큼 설렌다는 사실을 잘 안다. 발견에 이르는 길에는 감탄하며 배울 만한 것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평범함을 넘어 비범한 존재로 호기심이 있으면 평범함 너머의 가능성을 생각하고 그것을 확장하게 된다. 왜?'라는 물음은 상상력에 불을 지피고 우리를 발견으로 이끈다. 나아가 여기저기에 있는 기회의 문을 열어준다.


"의미 있고 오래 가는 변화는 먼저 질문과 상상력에서 시작되어 바깥으로 나온다." Albert Einstein


자신도 호기심을 기를 수 있다고 믿어라 Believe You Can Be Curious

호기심은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새로운 생각과 경험에 궁금증을 참지 마라. 질문하고, 마음을 열고, 더 많은 것을 배우려는 열망을 유지하면 호기심을 기 르는데 도움이 된다. 지식, 이해, 지혜가 찾아오기를 기다리기만 해서는 안 된 다. 직접 손에 넣어야 한다. 그럴 때 가장 유용한 수단이 호기심이다.


"어떤 사람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면서 왜 그런지 묻는다. 어떤 사람은 현실에 없는 걸 꿈꾸면서 안될 게 뭐가 있느냐고 묻는다." George Bernard Shaw

호기심만큼 자발적인 학습을 촉진하는 것도 없다. 호기심이 많은 사람은 늘 지식에 목말라 한다. 정규 교육은 보통 질문보다 답변을 중시한다.


초보자의 마음 자세를 가져라 Have a Beginner’s Mindset

호기심은 모든 것에 대해 질문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마치 초보자인 것처럼 질문하는 태도를 키워라. 마치 엄마에게 쉴 틈 없이 질문하는 꼬마처럼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라. 자신을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 여겨 아는 체 하는 사람은 질문과 경청보다 말하고 답변을 더 늘어놓는다. 자신도 모르게 성장의 기회를 놓치는 태도다.


"컨설턴트로서 내 가장 큰 장점은 아는 척하지 않고 이것저것 물어보는 것이다." Peter Drucker

호기심만큼 자발적인 학습을 촉진하는 것도 없다. 호기심이 많은 사람은 늘 지식에 목말라 한다. 정규 교육은 보통 질문보다 답변을 중시한다.


'왜?'를 즐겨 써라 Make Why Your Favorite Word

이유를 가장 좋아하는 단어로 만들어라. 답을 주는 것보다 왜? 묻는 것이 성숙함과 지혜를 얻는 좋은 방법이다. 모든 답을 다 안다는 것은 올바른 질문이 아니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질문을 멈추지 않는 것이다. 호기심은 그 자체만으로도 존재 이유가 있다. 영원성, 생명, 현실의 놀라운 구조를 숙고하는 사람은 경외감을 느낀다. 매일 비밀의 실타래를 한 가닥씩 푸는 것으로 족하다. 신성한 호기심을 절대 잃지 말라." Albert Einstein

대답하는 기계가 되어 무엇을 묻든 자신만만한 표정으로 모두 정답을 낸다면 잘못된 질문이다. 성숙한 사람은 대답보다 질문을 더 많이 한다. 초점이 있는 질문은 흔히 '왜?' 로 시작한다. 핵심을 꿰뚫기 때문이다.


호기심 많은 사람과 어울려라 Spend time with other curious people

호기심을 기르고 성장을 촉진하려면 호기심 많은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이다. 호기심이 많은 사람과 함께 있으면 호기심이 전염된다. 호기심, 성장, 배움은 정규교육? 저학년 벗어나면 아니다. 대학 교수도 진도를 나가려고 질문보다 답변을 중시한다. 탐구보다 정보 전달에 비중을 두기 때문이다.


"끝없는 호기심은 주변의 모든 사람에게 전염된다. 오늘날 우리는 모든 것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 세대에 학교에 간다는 것은 답을 배우는 것을 의미했다. 오늘날 교육은 올바른 질문이 무엇인지 아는 것 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 답변은 무료로 제공된다." John Sculley


매일 새로운 것을 배워라 Learn something new every day

매일 적어도 새로운 것을 하라도 배우려면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열린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둘째, 낮에는 눈과 귀를 열어두고 하루를 마치며 있었던 일에 대해 반성하고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라. 최고의 스승은 단순한 경험이 아니라 평가된 경험이다.


"창조적 사고에 가장 좋은 자극제는 초점이 있는 질문이다. 짜임새 있는 질문은 문제의 핵심을 꿰뚫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통찰을 부르는 힘이 있다." Brian Tracy

실패자는 하루를 무심히 보내고 그냥 살아가면서 별 탈 없기를 바란다. 성공자는 하루를 꽉 휘어잡고 집중하면서 주의를 빼앗는 것을 무시해 버린다. 성장하는 사람은 집중력을 유지하면서도 민감하게 주변을 살펴 언제든 새로운 경험을 받아들인다.


실패의 열매를 음미하라 Partake in the fruit of failure

실패와 실수를 나약함으로 보지 마라. 실패했다고 거리를 두지 마라. 실패도 친구다. 대신에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이를 통해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 따져라. 빨리 실패할수록, 빨리 배우고, 빨리 다시 시도하게 된다. 그것이 미래의 성장과 발전으로 이어진다.


지난 실수를 잊어라. 실패도 잊어라. 자신이 할 것을 빼놓고 전부 잊어라. 그리고 할 것을 실행하라. William Durant


정답에 연연하지 마라 Stop looking for the right answer

규칙을 받아들이지 말고 하나의 정확하고 절대적인 답을 찾지 마라. 유일한 해법을 찾으려 하면 배우고 성장하는 데 차질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어떤 문제 든 해법이 하나만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완벽한 아이디어는 없다.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도 언제나 개선의 여지가 있기 마련이다.


"예술, 요리, 의약, 농사, 공학, 마케팅, 정치, 교육, 디자인에서 발전이 있었던 것은 대부분 누군가가 기존의 규칙에 반발해 다른 시도를 했을 때였다." Roger von Oech


"풍요의 열쇠 중 하나는 해법 지향 자세로 살아가는 것이다. 사람들은 보통 자신이 긍정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다지 해법 지향적이지는 않다." Brian Klemmer

이런 말을 들어봤을 지 모른다. 호기심이 많은 사람들은 끊임없이 질문하고 배우는 자세로 힘과 자극, 영감을 받는다. 현실에 안주하는 이런 것을 성가시다고 여긴다.


잘난 척은 그만해라 Get over yourself

답을 찾는 동안 실패를 개의치 않고 끊임없이 질문을 하면 때로 어리석은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다. 종종 걸림돌이 되기도 하지만, 어리석은 것처럼 보이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Roger von Oech는 "우리가 우습게 보일 수 있다고 그 어떤 것도 시도하지 않았다면 여전히 동굴에 살고 있을 것이다.”


"모르는 것처럼 보이는 게 정말로 모르는 것보다 낫다. 자존심을 누르고 끊임없이 질문하라." Richard Thalheimer

정말 그렇다. 호기심을 품으면 온 세상이 활짝 열려 아무런 꺼리낌 없이 무제한 배우고 자기계발을 할 수 있다.


틀에서 벗어나라. Get out of the box

에디슨은 "정해진 규칙은 없다. 우리는 성취를 위해 땀 흘릴 뿐이다."고 했다. 혁명적인 아이디어는 대부분 기존 규칙을 깨고 오래된 질서를 뒤흔든다. 혁신적인 사고가중요하다. 좋은 아이디어는 어디에나 있지만 틀 안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틀만 벗어나면 여기저기에서 아이디어를 찾아낼 수 있다. 결핍이 아닌 풍요의 마음 자세가 필요하다. 나태한 정신을 일깨우려면 무엇보다 기존의 질서를 뒤흔들어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


"인생은 실험이다. 실험은 많이 할수록 좋다." Ralph Waldo Emerson 자기가 만든 틀에서 벗어나려 하지 않는 사람을 보면 답답해진다. 누군가가 지금까지 그렇게 한 적이 없고 그건 자기 소관이 아니라고 말하면 그냥 관을 하나 짜주고 싶다. 그런 사람은 이미 죽은 것과 다름 없고, 변화 의지가 없기 때문이다.


인생을 즐겨라 Enjoy your life

왕성한 호기심으로 계속 성장하려면 인생을 즐겨야 한다. 톰 피터스 호기심 많고, 살짝 미치고, 채워지지 않는 배움의 열정이 있으며, 물불 가리지 않는 사람이 승자가 된다고 했다. 즐기고 잘 산다는 것은? 위험을 감수하며 실패도 하고 성공도 하면서 늘 배우는 것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고 그 일을 사랑하면 일과 놀이의 경계가 사라진다. 모든 경험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권태의 약은 호기심이다. 호기심은 치료할 방법이 없다." Dorothy Parker


인생을 신기한 것이 가득한 곳으로 만들어라. IQ 125. 20대 맨해튼 프로젝트 합류 원자폭탄 발명. 비결은 만족을 모르는 호기심. 11세 전기회로 실험으로 동네 라디오를 고칠 줄 아는 아이로 소문이 났다. 질문이 그의 트레이드 마크. 초등학교 때 대수학, 15세에 삼각법, 미분,적분을 다 뗐다. MIT, 프린스턴 재학 시 점심 시간에 다른 과 대학원생과 질의와 토론을 했다. 결국 철학, 생물학 박사과정까지 밟았다. 호기심은 평생 유지되었고, 그는 평생 배우는 사람이었다.

Richard Feynman


John C. Maxwell 세계적 리더십 전문가/베스트셀러 작가. 리더십 컨설팅 그룹 Injoy와 EQUIP을 설립 30년 넘게 포춘 500대 기업과 각국 정부 지도자들을 상대로 활발한 강연. 미국만 2천 만부, 아마존 10주년 명예의 전당에 오름.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비즈니스위크 등이 최고 저자로, 리더십구루스닷넷이 최고 리더십 지도자로 선정한 바 있다. 저서: 리더십의 21가지 불변의 법칙, 모든 리더들이 알아야 할 리더십 101,생각의 법칙 10+1, 함께 승리하는 신뢰의 법칙, 리더십 골드, 작은 혁신, 작은 성과 등


Mail: mci9306@naver.com Facebook: Jaheelee.33 Blog: naver.com/mci9306 Slideshare: jaheelee Linkedin: jahee-lee-2521b512

JHL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