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cond Mountain 두 번째 산을 오르세요

Page 1

두 번째 산에 오르세요

David Brooks 1


누구에게나 고통의 시기는 찾아온다. 삶의 위기가 닥쳤을 때 인생은 부조리하고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부와 명성이 아무리 높다고 하더라도 위안과 회복이 되어 주진 않는다. 고통에 맞닥뜨리면 우린 과도하게 움츠러든다. 2


겁에 질려 영원히 치유되지 않는 슬픔을 끌어안고 평생을 살아가고 갈수록 더 쪼그라들고 더 외로워진다. 그러나 또 어떤 사람은 이런 고통을 온전히 받아들이려고 노력한다

3


용기를 내어 익숙한 것들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본다면, 마침내 고통을 자기 발견과 성장의 계기가 된다. 삶은 가장 큰 역경의 순간에 자기가 대응하는 방식에 따라 제각기 다르게 규정된다. 4


고통을 통해 한층 더 성장하는 사람들은 두 가지 작은 반란 단계로 나아간다. 5


자기의 이상적 자아에 반기를 든다. 자아의 욕구는 자신이 발견한 깊은 영역을 결코 만족시키지 못할 것임을 깨닫는다.

6


주류 문화에 반기를 들고 진정으로 가치가 있는 것을 자신이 바라기를 원한다. 자기 욕구의 수준을 한층 높인다.

7


첫 번째 산     

경력 성공의 목표 지점을 품고 있는 곳. 자아의 욕구에 중심을 둔 개인주의적 산. 자아를 세우고 자기를 규정하는 것. 무언가를 획득하는 것. 계층 상승의 엘리트 의식 같은 것.


능력주의는 사람들로 하여금 사회는 사랑하지만 정작 본인은 사랑하지 않는 삶에 빠지도록 조장한다. 이 세대는 의미 있는 도덕적 가치관이라고는 아무것도 유산으로 물려받지 못한 세대이다.


지난 60년간 지나치게 강조해 온 개인의 행복, 독립성, 자율성. 모두 허울 좋은 가치다. 공동체 해체, 개인간의 결속 단절. 외로움의 확산으로 사회적 고립은 삶의 고통을 더욱 심화시킬 뿐 자기 발견과 성장을 한층 더 어렵게 만든다.


누구나 과업을 수행한다.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부모에게서 독립하고, 재능을 키우고, 자신의 족적을 남기려고 노력한다. 시간을 들여 평판 관리에 신경 쓰고 세상이 이야기하는 자신을 자기의 참모습이라고 여긴다. 좋은 집, 화목한 가정, 멋진 휴가, 맛있는 음식, 좋은 친구처럼 자신이 속한 문화권에서 규정하는 통상적인 목표를 추종한다


정상에 올라 성공을 맛보지만, 만족하지 못한다. 이게 내가 바라던 전부인가? 오르는 도중 호된 실패의 시련으로 나가떨어진다. 전혀 예기치 않던 옆길로 빠지는 사람도 있다.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더는 산에 머물고 싶지 않다.


누구에게나 고통의 시기는 찾아온다. 고통은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일, 건강, 사람을 잃는 슬픔은 무기력, 우울증, 탈진으로 서서히 위기로 변모한다. 삶이 부조리하고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부와 명성이 위안과 회복이 되지 않는다.


극심한 고통에 맞닥뜨리면 과도하게 움츠러든다. 겁에 질려 영원히 치유되지 않는 슬픔을 끌어안고 평생을 산다. 삶이 갈수록 더 쪼그라들고 더 외로워진다.


두 번째 산     

자아를 버리고 자기를 내려놓는 것. 무언가를 남에게 주는 것. 무언가 부족한 사람들 사이에 자기 자신을 단단히 뿌리내리고 그들과 손잡고 나란히 걷는 것.


첫 번째 산 정상에서 길을 잃고 고통의 시기를 겪으며 삶의 태도를 다시 정립한다.


다시 시작하려면 개인과 사회 차원에서 삶을 대하는 태도가 근본적으로 달라져야 한다.


사회를 지배하는 개인주의라는 덫에 걸려 사람보다는 시간을, 인간관계보다 생산성을 중시하며 전혀 만족스럽지 않은 삶에 이별을 고해야 한다.


좌절의 계곡을 자기 발견과 성장의 계기 삼아야 한다. 계곡은 새로운 산을 만날 수 있는 지점이다. 낡은 자기를 버리고 새로운 자기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고통이 가르치는 내용을 직시하고 귀를 기울일 때, 비로소 성공이 아닌 성장을, 물질적 행복이 아닌 정신적 기쁨을 얻는다.


고뇌의 계곡에서 사막의 정화를 거쳐 통찰의 산봉우리에 이르는 것이다.


세상은 독립, 개인적 자유, 세속적 성공을 요구하지만, 상호 의존, 이타적 헌신, 정신적 기쁨으로 시선을 돌린다. 동기를 자기중심적인 것에서 타인중심적인 것으로 바꾼다. 좋은 인격이란 자기 자신을 내려놓는 과정의 부산물이다.


첫 두 첫 두 첫 두

번째 번째 번째 번째 번째 번째

산이 자아를 세우고 자기를 규정하는 것이라면 산은 자아를 버리고 자기를 내려놓는 것이다. 산이 무언가를 획득하는 것이라면 산은 무언가를 남에게 주는 것이다. 산이 계층 상승의 엘리트적인 것이라면 산은 부족한 사람이 자신을 단단히 뿌리내리고 함께 손잡고 나란히 걷는 평등주의적인 것이다.


신체적 기쁨

기쁨의 6가지 층 도적적 생태계

집단적 열광 감정적 기쁨 정신적 기쁨 초월적 기쁨

도덕적 기쁨

영원한 기쁨은 온갖 시달림과 파란만장한 삶 속에서 나온다


영원한 기쁨은 온갖 시달림과 파란만장한 삶 속에서 나온다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깊은 헌신 헌신이 당신에게 주는 것은? 1. 2. 3. 4.

정체성 목적의식 더 높은 차원의 자유 도덕적 인격


새로운 인생은 행복한 추락 위에 온다 우리의 감정이 우리를 인도한다. 우리의 감정은 각각의 사물에 가치를 부여하고, 바랄 가치가 있는 것이 무엇인지 일러 준다. 열정은 이성의 반대말이 아니다. 열정은 이성의 토대이며, 분석적인 뇌가 닿을 수 없는 지혜를 가지고 있다. 심장이 바라는 궁극적인 욕구는 어떤 것 또는 어떤 사람에게 자기를 몽땅 내놓고자 하는 욕구이다.


궁극적 욕구 궁극적인 욕구는 사랑하는 사람과 하나 되기, 나-너 사이의 유대, 모든 것을 진정으로 내려놓기, 순수한 결합, 공포를 초월하는 친밀함을 성취하겠다는 욕구이다


소명으로서의 직업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우리가 인생에서 기대하는 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았다. 중요한 것은 인생이 우리에게서 기대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인생의 의미에 대한 질문을 멈출 필요가 있었다. 대신, 매시간 인생이 던지는 질문을 받는 존재라고 생각할 필요가 있었다. 우리의 대답은 대화나 명상이 아니라 올바른 행동과 올바른 처신 이어야 한다. 인생이란 궁극적으로 인생이 던지는 문제에 대해 올바른 해답을 찾고 각 개인에게 끊임없이 부여하는 과제들을 수행하는 의무를 지는 것이다. Viktor Frankl


소명으로서의 직업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우리가 인생에서 기대하는 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았다. 중요한 것은 인생이 우리에게서 기대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인생의 의미에 대한 질문을 멈출 필요가 있었다. 대신, 매시간 인생이 던지는 질문을 받는 존재라고 생각할 필요가 있었다. 우리의 대답은 대화나 명상이 아니라 올바른 행동과 올바른 처신 이어야 한다. 인생이란 궁극적으로 인생이 던지는 문제에 대해 올바른 해답을 찾고 각 개인에게 끊임없이 부여하는 과제들을 수행하는 의무를 지는 것이다. Viktor Frankl


과연 조화로운 삶이란 어떤 것일까? 1. 관계주의자는 자신을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 스스로를 활짝 열어 어떤 소명이라도 응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소명은 흔히 사랑이라는 형태로 찾아온다. 배우자, 아이, 이웃, 소명, 신과 사랑에 빠지는 것이다. 영원히 사랑하고, 봉사하고 곁에 있고… 3. 소명은 필요의 형태로 찾아오기도 한다. 책임감을 느끼고 잘못된 것을 바로잡기 위해 싸우겠다고 약속한다. 4. 소명을 느끼고 약속을 했을 때 헌신의 결단이 이루어진다. 삶의 질과 충족 정도는 무엇에 헌신했는지 어느 정도 했는지로 정의된다.


5. 헌신은 사랑으로 맺은 약속이다. 대가도 바라지 않는 약속이며 헌신적 인간관계는 서로간의 약속이다.

6. 헌신하는 사람은 최대치가 되도록 노력한다. 7. 날마다 헌신의 의무를 다하며 살아감으로써 일관성 있게 스스로를 통합시킨다. 헌신은 인생의 매 순간을 만든다. 인격은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향한 습관적인 봉사 행동을 통해 형성된다. 8. 관계주의자는 헌신을 심화하고 인간관계를 일구고, 또 인간의 존엄성을 높이는 일들을 우선시한다.


9. 헌신하는 삶은 함께 하는 노력이다. 10. 사람 내면 깊은 곳까지 보려는 것 역시 끊임없는 노력에 속한다. 11. 의사소통을 잘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에 속한다. 12. 재능을 효과적으로 주고받으며 살아가려는 끊임없는 노력에 속한다. 13. 도덕적인 관점으로 삶을 바라보는 것 역시 끊임없는 노력에 속한다.


14. 이러한 노력들은 다른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싸움이 아니다. 대부분 날마다 자기 몰두로 뒷걸음질치고 지위에 대한 갈망에 무릎 꿇지만, 그 사실을 확실히 깨닫고 다시 인간관계 속으로 돌아가야만 한다. 15. 관계주의 세계관은 악한 힘에 대적하는 선한 힘에 대한 것이 아니다. 언제나 개인과 사회 사이에서 진화하는 대화이며 균형 잡힌 긴장이다. 또한 균형 있는 삶을 살아가려는 노력이다. 16. 관계 중심의 삶은 쉽지 않은 여러 도전과제를 안고 살지만, 궁극적으로는 기쁜 삶이다. 사랑, 애착, 보살핌으로 깊게 얽혀 있으며 도덕적인 기쁨으로 보답 받는 삶이기 때문이다.


David Brooks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예리한 분석과 풍자적인 문체로 사랑을 받는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저널리스트 겸 작가다. Newswe다, Atlanta Monthly 객원 편집자, NPR의 All Things Considered와 PBS의 The Newshour with Jim Lehrer 시사 해설자. 시카고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한 후 시티뉴스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해 월스트리트저널에서 9년간 근무하며 유럽 특파원과 수석 기자를 지냈다. 대표 저작으로 내면의 결함을 딛고 위대한 성취를 이룬 사람들을 탐구한 인간의 품격을 비롯해 소셜 애니멀, 보보스 등이 있다.

35


Mail: mci9306@naver.com Facebook: Jaheelee.33 Blog: naver.com/mci9306 Slideshare: jaheelee Linkedin: jahee-lee-2521b512

JHL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