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도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 국문 보고서

Page 1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 2014 연차보고서

JESUIT MISSION IN CAMBODIA ANNUAL REPORT 2014


Contents

03

인사말

04

예수회 캄보디아 미션

06

반티에이쁘리업 장애인 기술 교육 센터

12

지역 일반 사업

24

특수 사업

34

예수회 미션 사도직

있었습니다.

40

시소폰 하비에르 학교

예수회 봉사단(Jesuit Service Cambodia)은 국제 NGO로 캄보디아에 정착한

46

재무 보고

2014년은

이후 처음으로 캄보디아의 전문 개발 컨설팅 NGO로부터 전체 프로젝트의

48

협력사업 | 바탐방지목구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의

대대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는 그 간의 활동을 돌아보고 더욱 발전적인

인사말

주님의 평화! 2014년은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의 많은 도전들이 시작되고 또 결실을 맺었던 한 해였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이어져 온 캄보디아 바탐방 지목구와 예수회의 협력은 10여명이 넘는 예수회원의 파견과 바탐방 지목구 내 캄보디아 예수회 봉사단(Jesuit Service Cambodia)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 더욱 공고해질 수

미래를 계획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많은 도전들이 시작되고

2013년 말, 오랜 식별의 과정 끝에 결정된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건립은

또 결실을 맺었던

2014년, 드디어 본격적으로 활기를 띄기 시작했습니다. 16헥타르 규모의

한 해였습니다.

부지에 학교의 도로를 건설하고 건물을 올리는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교육 프로젝트 팀 역시 여름학교, 데이로 유치원 운영 등의 활발한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또한 영성 및 지성 사도직에 있어서는, 예수회 영성에 필수적인 서적 ‘영신수련’이 캄보디아어로 번역/출판되는 결실을 맺었습니다. 또한 예수회원이 캄보디아 왕립 대학의 철학 과목 강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고, 바탐방 승가 대학으로의 출강을 기반으로 하여 불교와의 대화를 위한 지적 교류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사도직이 새롭게 수행되고 그 결실을 맺을 수 있었던 건 많은 후원자 분들의 끊임없는 기도와 정성이 있었던 덕분입니다. 이 지면을 통해 다시 한 번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에 도움 주신 많은 기관과 개인 후원자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여러분들의 노고 안에서 하느님의 더 큰 영광을 봅니다.

발행인

오인돈

편집

정다운

사진

JSC

Daun Jeong

Gwanseok Lee

오인돈 프란치스꼬 신부

디자인

김자움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 한국 관구장 대리

감사합니다. 2015년 7월

3


예수회 캄보디아 미션

예수회 캄보디아 미션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은 1980년 예수회 난민 봉사단(Jesuit Refuge Service, 이하 JRS)이 처음 태국 국경의 난민 캠프에 있는 캄보디아인들을 위해 일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캄보디아는 계속된 내전으로 인해 아파하고 있었습니다. JRS는 전쟁으로 인한 질병과 가난 속에서 고통받는 캄보디아인들을 위해 봉사하기로 결의했습니다. 1990년, 예수회 미션은 본격적으로 이 땅의 가난한 이들을 위한 봉사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지난 20년 간, 캄보디아는 첨예한 사회적 대립, 불공정한 분배, 만연한 부정부패, 급진적인 도시화로 인한 환경문제와 빈부 격차 등으로 시름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높은 문맹률로 대변되는 교육문제 역시 심각합니다.

아직까지 지난 날의 내전과 시대적 폭력의 상처들로 얼룩져있는 캄보디아 사회 속에서

캄보디아 예수회 봉사단

예수회 미션은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그들이 스스로 더 나은 미래를 꾸릴 수

4

있도록 공동체 발전을 위한 활동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이들의 아픔을 끌어안으면서

캄보디아 예수회 봉사단(Jesuit Service in Cambodia, 이하 JSC)은 1994년 공식

동시에 이들이 캄보디아의 긍정적인 가치를 회복하고 지켜나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출범했습니다. JSC는 캄보디아의 사람들, 특히 사회적으로 소외된 이들에게 봉사하고 그들을 후원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오늘날 JSC는 캄보디아 외무부로부터 정식 인가를 받은 비정구기구(NGO)로서 농촌의 가난한 이들을 비롯하여 장애인, 전쟁 피해자, 피난민 등 캄보디아의 모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2014년 JSC는 프놈펜, 시엠립, 깜퐁톰, 바탐방, 반티민쩨이, 깜퐁스푸, 깜퐁츠낭, 깐달 총 8개 지역에서 활동했습니다.

JSC의 활동은 지역 일반 사업(메타 까루나 사업)과 특수사업으로 나뉩니다. 특수사업에는 생태환경 사업, 귀 진료소 사업, 출판 사업, 앙스눌 지역개발 사업(RDAS), 자비의 빛 센터 그리고 반티에이쁘리업 장애인 기술교육 센터가 있습니다. 깐달 주에 있는 반티에이 쁘리업 장애인 기술교육센터에는 메콩 휠체어와 RDAS사무소, 생태환경 팀이 함께 자리하고 있습니다.

5


지역 일반 사업

반티에이 쁘리업 7

시엠립

6

장애인 기술 교육 센터


반티에이 쁘리업

8

반티에이 쁘리업

장애인 기술 교육 센터

장애 현황 소아마비

67

다리 절단

19

내반족

11

하지 마비

5

탈구

4

다리 길이 불일치

3

이분척추

3

지적장애반 준비 시작

아웃리치 팀 내 새로운 여성 스태프 채용

시력 장애

3

지뢰 피해자 및 지체장애인의 수가 줄어드는 캄보디아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반영하여

2014년 아웃리치 팀은 여성 졸업생들에게 더욱 적절한 지원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수지 절단

2

반티에이쁘리업은 2015년부터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재활 교육을 확장하기로

여성스태프를 채용했습니다. 새 스태프는 2008년 봉사자로서 센터와 인연을 맺은 이후

근육 문제

2

결정했습니다. 2014년에는 지적장애인 교육반의 준비를 위한 정기적인 스태프 워크샵을

프로덕션 직원으로 일했기 때문에 센터에 대한 이해도가 높습니다. 또한, 현재 프놈펜

시행했습니다. 워크샵은 지적 장애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지적장애 학생들을 돕기 위한 생활

왕립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석사과정을 공부하는 재원입니다. 그녀의 경험과 지식을 통해

관리 교육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아웃리치 팀이 보다 더 전문성을 갖출 수 있기를 바랍니다.

반신 불수 합계

2

2014년 소식

121 입학생

99 졸업생

121

재학생 최종학력 무학력

15

1~6

50

7~9 10~12

32

이전했습니다. 새로운 카페는 센터에서 차로 30분, 예수회본부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습니다. 크래프트 피스카페는 반티에이쁘리업 제품들을 만날 수 있는 샵이면서 식사와

수업에 비해 보다 전문성을 요하는 기술입니다. 이와 같은 변화를 통해 학생들이 더 넓고 나은

음료를 즐길 수 있는 카페이자 다양한 전시와 워크샵을 진행할 수 있는 문화공간입니다.

환경 속에서 수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해봅니다.

20

8

졸업생 취업 지원

33

반티에이쁘리업 센터

7

직업 훈련 연장 지원

45

반티에이쁘리업 프로덕션

2

창업자 광고 지원

44

타 기관 프로덕션

1

생활 지원

55

24~29

50

기타

9

사회복지사 가정방문

357

30~35

36

직업 훈련

7

합계

618

36~41

20

합계 ✽2015년 3월 기준 자료

휴대폰 수리반의 교실 확장이 결정되었습니다. 6월, 교실의 전기공사를 비롯해 기자재 및 수업 교재들의 재정비가 이루어졌습니다. 전자반의 심화 과정이기도 한 휴대폰 수리반은 다른

공장

66

반티에이 쁘리업이 운영하는 크래프트 피스카페가 공항과 가까운 프놈펜트마이 지역으로

84

36

15

크래프트 피스 카페 이전

2014년 1월, 반티에이 쁘리업 직원 및 스태프들을 대상으로 한 공간 만족도 조사 결과에 따라

졸업생 창업 자금 지원

가축 관리사

재학생 연령대 18~23

아웃리치 프로그램

졸업생 취업 현황

휴대폰 수리반 교실 확장

학교 외부 농장 준비

새로운 기술을 시작한 조각 워크샵 최근 조각 워크샵은 고객들의 다양한 취향에 맞는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2014년 5월부터 학교 근처 부지에 6 헥타르 규모의 새로운 농장을 짓기 위한 준비가

채택했습니다. ‘폴리크로미’는 목공예 제품에 천연 라카를 이용해 색을 칠하고 모래 혹은 계란

시작되었습니다. 새 농장은 농업반 졸업생들에게 보다 좋은 기술 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장이

껍데기로 장식을 하는 기술입니다. 올 해 5월부터 두 달 간 4명의 목공예 워크샵 스태프는

될 것입니다. 올 해 가축 관리와 농작물 재배를 위해 필요한 관개 시스템을 갖추었습니다.

앙코르 아트워크라는시엠립 소재의 사회적 기업에 방문하여 폴리크로미 기술을 배웠습니다.

농업반 선생님과 3명의 농업반 졸업생이 농장 스태프로 고용되었습니다.

9


반티에이 쁘리업

interview

팔라 반티에이 쁘리업 지적장애반 교사

10

한국에서 특수교육을 공부했다고 들었어요. 어땠나요?

현재 지적장애 반에 몇명의 학생이 들어올 계획인가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에서 1년 간 한국어를 배우고

계획 상으로는2015년 처음 파일럿 프로그램 형식으로

2년 간 특수교육을 공부했어요. 학,석사 통합과정이여서

시작하면서 열명 남짓의 학생을 받을 예정입니다.

아침에는 학사과정을 공부하고 오후에는 석사과정을

확실하게는 먼저 6~8명의 학생이 들어와 공부합니다.

공부했습니다. 이전에 장애 아동들을 가르친 경험이 있기는

함께 공부할 친구들은 대부분 적절한 돌봄을 받지 못한

하지만 정식으로 배워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처음엔 많이

채 집에서만 지내왔습니다. 때문에 스스로 옷을 입고 벗는

힘들었습니다. 학사 과정 때 장애복지 기관을 찾아가

일이나 씻는것 조차 하나씩 가르쳐야 하는 학생이 2명 정도

현장체험을 했던 수업을 통해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있습니다.

캄보디아에서 특수교육 분야의 상황은 어떤가요?

지적장애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면서 행복할 때는

캄보디아에는 특수교육을 가르치는 대학이 아직 없습니다.

언제인가요?

캄보디아 전체를 통틀어서 특수 교육을 전공한 교사는

학생들이 발전하는 모습을 볼 때 가장 행복합니다.

저를 포함해 4명 뿐이고요. 지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NGO역시 반티에이 쁘리업 포함 총 3 곳이 있습니다. 많이

반대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열악한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적장애 프로그램은 우리 센터에서 처음 시작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때문에 모두에게 새로운 일이지요.

지적장애 학생들을 가르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직까지 지적장애를 이해하고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는

무엇인가요?

역량을 지닌 선생님이 많지 않다는 것이 가장 어려운 점 중

학생 개개인을 자세히 관찰하여 각각의 특성이 무엇인지

하나입니다.

interview

파악하고 그에 맞게 교육 계획을 짜는 것입니다. 학생 개개인에 맞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이 발전할 수

마지막으로, 지적장애 프로그램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있게 돕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티에이 쁘리업에서 지내는 일년 동안 학생이 스스로를 돌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11


지역 일반 사업

지역 일반 사업

12

13

프놈펜 시엠립 반티민쩨이 시엠립

깜퐁톰 바탐방 학생센터


지역 일반 사업

프놈펜 메타까루나 프놈펜 사무소는 프놈펜의 외곽 지역인 깜퐁 스푸, 깐달, 깜퐁 츠낭을 포함한 지역 개발 사업을 전개합니다. 우리의 주요 타겟은 언제나 사회에서 가장

8 집 8채

합니다. 사회사업은 주택과 화장실, 우물과 같은 생활 인프라를 개발해주는 등,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16

환경을 마련해주기 위해 일합니다. 메타까루나 프놈펜의 교육 사업은 학생들과 선생님 모두를 위한 교육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119명의 주민들을 위한

화장실 16곳

특히 학교 수가 부족한 농촌 지역에 정규 교육을 보완하는 ‘미니스쿨’과 이동도서관은 메타까루나 프놈펜 사무소의

14

가장 주된 사업 중 하나입니다. 특히 미니스쿨의 교사 및 이동도서관 사서들을 지원하고 교육하는 일은 지역의

11 307명의 주민들을 위한

우물 11개

8 40명의 주민들을 위한

응급 의료 용품 8개

3 프놈펜

126명의 학생들을 위한

학교 신축 1곳

4 151명의 학생들을 위한

기존 학교 보수 4곳

1 206명의 학생들을 위한

도서관 건축 1곳

미래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기도 합니다.

응급 환자

3명 진료

20 이동도서관 관리를 위한

56명의 가족들을 위한

소외받은 이들입니다. JSC 메타까루나 사업은 농촌 마을에서도 가장 가난한 이들, 장애인들을 위해 일하고자

1

512 512명의 학생들을 위한

학용품 팩 512개

42 42명의 학생을 위한

통학 자전거 42대

사서 20명 지원

3 328명의 아이들을 위한

이동도서관 3곳

2880 2142명의 아이들을 위한

도서 지원 2880권

59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지원 59명

18 지역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교사 지원 18명

15


지역 일반 사업

시엠립 메타까루나 시엠립은 사회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시엠립 외곽 시골 마을에 사는 가난한 이들의 생활 환경 개선을 위한 다리와 도로, 우물, 집 등을 지어주는 활동을 합니다.

14 집 14채

무엇보다 크고 작은 산과 똔레삽 호수로 둘러싸여 있는 시엠립의 지리적 특성 탓에 이 지역의 많은 아이들이

17

통학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우리는 아이들의 통학 및 학습환경을 개선하고자 장학금, 학용품 및 교복 지원, 통학자전거 지원 사업 등을 수행하며 마땅히 학교가

16

특별히 학용품과 교재 및 통학을 위한 장학금을 지원합니다. 특별히 메타까루나 시엠립 센터의 스태프들

92명의 주민들을 위한

화장실 17곳

13

자세로 휠체어 및 장애인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대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243명의 주민들을 위한

300 518명의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지원 26명

786 학용품 786개

81 81가구를 위한

154 154명의 학생들을 위한

교복지원 154벌

9 교사 지원 9명

관광객들로 붐빕니다. 그러나 관광지역을 벗어난 보통의

쏙 이어이

시엠립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가난한 농민들입니다.

메타까루나 시엠립 사무소 교육 사업 분야 후원 주민

둘러싸인 시엠립의 지형은 농사 짓기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농촌 가구가 주를 이루는 캄보디아에서 산이 많고 호수로

시엠립 도심으로부터 48km 떨어진 외곽에 ‘프놈쿨렌’이라는

산길을 따라 차로 1시간 쯤 달려가면 숲속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 보입니다. 마을의 이름은 ‘삼롱마을’입니다. 올 해, JSC는 이 마을 가운데 초등학교를 세웠습니다. 이 학교를 세우기 직전, 우리에게 이 마을에 끊임없이 학교의 필요성을 피력하고 나아가 자신의 땅을 학교부지로 내놓은 한 아주머니가 계십니다.

35 가난한 지역 아이들을 위한

쌀 장학금 35명

6 이동도서관 관리를 위한

사서 6명 지원

117

20

8100

117명의 장애인을 위한

통학 자전거 20대

20명의 학생을 위한

1397명의 아이들을 위한

휠체어 지원 117대

고급 호텔과 상점들이 빽빽하게 늘어선 시엠립은 언제나

이름의 산이 있습니다. 나무들로 둘러싸여있는 꾸불꾸불한

학교 식수 300그루

우물 13개

81마리의 소 대출 서비스

시엠립

학교 신축 2곳

786명의 학생들을 위한

대부분은 장애인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들은 가난하고 장애를 지닌 사람들을 마음 깊이 존중하고 공감하는

561명의 학생들을 위한

지역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없거나 열악한 지역에는 새로이 학교를 짓습니다. 특히 호수 위에 집을 짓고 사는 수상마을 아이들에게는

26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84명의 가족들을 위한

화려한 관광 구역을 벗어나 바라본 시엠립 외곽의 풍경은 캄보디아의 여느 가난한 농촌 지역 과 다르지 않습니다.

2

story

도서 지원 8100권

쏙 이어이(52) 씨는 2002년 삼롱 마을로 이사를 와

만나 자신의 농장 뒤에 있는 땅을 학교를 짓는데 사용하고

작물을 기르며 살고 있습니다. 전에 그녀는 지금보다 큰

싶다고 말했습니다.

마을에서 살았습니다. 그러나 그 곳에서는 농사를 지을

“JSC가 도와 준 덕분에 우리 마을에도 아이들이 공부를 하러

땅을 갖기 어려운 탓에 보다 도심에서 떨어진 오지마을로

오는 학교가 생겨서 참 좋아요. 하지만 문제는 선생님들이

이사했습니다. 이곳 산악 지대는 쌀농사를 짓기에 매우

너무 부족하다는거에요. 지금은 학교의 두 명의 선생님이

열악한 환경입니다. 때문에 대부분의 마을 사람들은

계세요. 한 명은 JSC의 지원을 받고, 또 한 명은 정부로부터

과일이나 기타 작물들을 기르며 근근히 생활합니다.

지원을 받고 있어요. 좋은 분들이지만 영어나 다른 과목

하지만 마을 사람들을 가장 어렵게 하는 건 이 마을의 외딴

선생님들이 안계셔서 아직 기초적인 크메르어 수업밖에

위치입니다. 시장이나 병원, 학교와 같은 필수적인 생활

할 수가 없는게 아쉬워요.” 올 해, 87명의 아이들이 학교에

시설들에 접근하기 힘든 탓에 마을 사람들이 기본적인

왔습니다. 그녀는 매일 아침 마을 아이들이 학교에 가는

생활을 영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모습을 보는 일이 가장 행복하다고 말합니다.

“이 마을에서 가장 가까운 학교가 2시간이 걸려요. 비가 오는

“확실한 건 사람이 땅보다 중요하다는 거에요. 우리가 학교를

날이면 가는 길 마저도 물에 잠겨 아이들이 학교를 아예 갈

위한 땅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선생님이 없으면 아이들을

수가 없어요. 그래서 이 마을엔 초등학교 3학년이 되기 전에

가르칠 수가 없죠. 예, 부족한건 사람이지 제가 가진 땅이

학업을 포기하는 아이들이 태반이에요.” 그녀는 오래 전부터

아니었어요. 그래서 저는 이 마을에 더 좋은 사람들이

매 주 마을에 방문하는 JSC 시엠립 사무소의 코디네이터

많이 올 수 있는 길이 제일 먼저 생겼으면 좋겠어요.

스레이 몸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고민 끝에 스레이 몸을

의사든 선생님이든 모든 사람은 길이 있어야 오니까요.”

17


지역 일반 사업

반티민쩨이 반티민쩨이는 캄보디아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로 알려져있습니다. 가난에 지친 이 지역 많은 청년들이 국경을 넘어 불법체류 노동자가 되는 것을 꿈꾸며 어렵게

13 93명의 가족들을 위한

집 13채

살아갑니다. 과거 반티민쩨이의 주도 시소폰에 위치한 JSC 사무소는 주로 장애인을 비롯한 가난한 이들의 기초 생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개발 사업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기초적인

17

사회 인프라를 개선하는 사업을 줄이면서 교육 사업에 주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지역의 교육자로 이름을 알린JSC반티민쩨이 사무소의 코디네이터 소켕 씨는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함에 있어서 우리는 학생들이 단순히 지성만을 갖추는 인재가 되기를 바라지 않는다고

18

말합니다. “아이들은 공부만 해서는 안됩니다. 몸의 건강, 머리의 건강, 마음의 건강이 함께 이루어질 때 이 나라의 미래를 그릴 수 있을 겁니다.”

22명의 주민들을 위한

화장실 4곳

1 65명의 주민들을 위한

연못 1개

19 81가구를 위한

19마리의 소 대출 서비스

반티민쩨이

18,278 283명의 농부들을 위한

$18,278 규모의 농업 대출

250

16

250명의 학생들이 참여한

1941명의 아이들을 위한

나무심기 프로젝트

100 학용품 100개

39 자전거 39대

40 장학금 40명

224 위생비누 224개

9 4명의 환자를 위한

의료 지원 9회

이동도서관 16곳

10

분야입니다. 2013년도 이래 이 곳 사무소에서는 독자적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젝트를 추진했습니다. 그렇게 탄생한 반티민쩨이 사무소의 새로운 두 프로젝트는 각각 ‘어린이 나무심기 프로젝트’와 ‘라디오 캠페인 프로젝트’입니다.

어린이 나무심기 프로젝트

도서관 사서 10명 지원

이 프로젝트를 통해 아이들은 자신들의 학교에 직접 나무를

4

관찰하고 돌보면서 아이들은 환경에 대한 의식, 공동체 의식,

20명의 사서들을 위한

나무가 685명의 아이들 손으로 뿌리내렸습니다. 매일 학교

독서지도자 교육 4회

심습니다. 그룹 별로 심은 나무들이 자라나는 과정을 꼼꼼히

성취감 그리고 생물학적 지식까지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습니다. 올 해에는 4번의 나무심기 활동을 통해 137그루의

수업이 끝나 쉬는 시간이 되면 그 날의 당번을 맡은 아이들은

4

나무가 있는 곳으로 달려갑니다. 아이들은 어제보다 한 뼘

지역 보편 교육을 위한

느리게 자라기도, 빠르게 자라기도 하는 서로의 나무들을

라디오캠페인 방송 4회

19

자란 나무를 신기한 얼굴로 바라보며 물을 줍니다. 나무들은 그 종류에 따라 모양도 크기도 제각각입니다. 아이들은

비교하지 않고 각자의 나무들을 아낍니다. ‘이 나무는 왜 이렇게 작아요?’ 라는 물음에 한 아이가 대답했습니다.

194 194명의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지원 194대

4

4

21명의 가족들을 위한

4명의 장애인을 위한

의료용품팩 4개

Jsc 반티민쩨이 사무소가 최근 가장 강조하는 것은 교육

목발 4대

“얘는 나중에 더 크고 좋은 나무가 될 수 있을거에요.”

라디오 캠페인 프로젝트 JSC반티민쩨이 사무소는 지역 사회의 보편적인 교육을 위해 지역 라디오를 통한 캠페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4년도 총 6회 전파를 탄 캠페인은 각각 지뢰퇴치, 여성인권, 아동인권, 환경, 장애인의 권리, 인권 이라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JSC의 교육방송 반티민쩨이, 시엠립, 바탐방 북부 지역에서 방송됩니다.


지역 일반 사업

깜퐁톰 메타까루나 깜퐁톰 사무소는 JSC 관할 구역 중 가장 규모가 작은 곳입니다. 그러나 깜퐁톰 사무소는 그 규모에 구애받지 않은 채 메콩 휠체어 제공 사업을 중심으로 한

5

15

21명의 가족들을 위한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집 5채

장학금 지원 15명

story

400 경제활동가구 대상 소액대출

츳 로익 경제활동 가구 대상 소액 대출 은행 고객

4 가구에 400$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시엠립 사무소 직원 중 하나로 일해왔던 봉 팀씨는2005년 깜퐁톰 사무소의 코디네이터로서 처음 일을 시작했습니다. 봉팀씨는 매주 4일 씩 홀로 마을을 돌며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을 살핍니다. 메타까루나 깜퐁톰 사무소의 주 대상은 내전 및 지뢰 피해 장애인입니다. 하지만 사회에서 소외받는 이들이라면 모두에게 사무소의 문을

20 80명의 주민들을 위한

봉 팀 씨는 이 곳에서 시행되는 소액 대출, 사회 기반

20

사람들이 장애와 가난을 딛고 희망을 찾는 모습을 볼 때 고된 업무를 보상받는 기분이 든다고 말합니다.

학생들의 통학을 위한

자전거 10대

19

81 81명의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지원 81대

1 5명의 가족들을 위한

깜퐁톰

수도펌프 1곳

가난한 가정을 위한

1 40명의 주민들이 이용 가능한

배 1척 지원

228명의 주민들을 위한

우물 19개

15 쌀 지원 15회

화장실 20곳

열어둡니다.

사업, 소 은행, 농업 지원 등의 다양한 사업을 통해 실제로

10

172 기존 휠체어 이용자들을 위한

휠체어 수리 172대

25년 전, JSC의 소개로 ‘c-war’라는 NGO가 깜퐁톰을

쌓은 새 삶이 무너지는 기분이었습니다. 그래서 다시금

방문해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기술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JSC를 찾아왔습니다. 하지만 이제 그는 더이상 도움을

깜퐁톰에 있는 많은 장애인들이 교육에 참여했지만 많은

받는 수혜자가 아닌 수익을 창출하며 JSC로부터 소액 대출

이들이 중도 포기를 한 탓에 그들 중 몇몇 만이 전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으로 우리와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과정을 이수할 수 있었습니다. JSC 메콩 휠체어 수혜자 츳 로익(Chith Loch) 씨는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매우

JSC로부터 대출을 받은 그는 이전 위치의 맞은 편에

성실하게 모든 과정을 이수한 사람들 중 하나입니다.

새로운 샵을 오픈했습니다. 장성한 네 명의 자녀들 중 둘째

2000년도에 처음 자전거 수리샵을 열고 운영하던

딸이 그의 가게 한 켠에서 화장품과 옷을 판매하며 함께

그는 2002년 ‘c-war’의 교육과정을 수료한 뒤 자전거와

일하고 있습니다. 그에 가게에는 꾸준히 찾아오는 단골

오토바이 수리샵으로 사업을 키웠고 지금껏 자신의 가게를

손님이 많습니다. 가게를 찾은 손님들은 츳 로익씨가 일

운영중입니다.

할 땐 과묵하지만 평소에는 웃음도 많고 말도 많은 수리공 아저씨라며 입을 모아 말합니다. 실력 역시 좋아서 그가 못

전쟁으로 두 다리를 잃고 매일을 술에 취해 지내던 그는

고치는 오토바이는 없다며 엄지를 치켜 세웁니다.

다시금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였지만 쉽지

아니나 다를까, 오토바이를 고치는 그의 얼굴은 사뭇

않았다고 말합니다. 2005년, C-war의 지원이 중단된 뒤

진지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일이 아직까지 늘 즐겁다고

많은 졸업생들이 가게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의

말합니다. 그는 더 이상 절망에 싸인 전쟁 피해자가 아닌

가게는 마을에서 실력이 좋기로 소문이 나 비교적 꾸준히

가족 앞에 자랑스러운 아버지로, 지역 사회의 당당한

수입을 창출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작년, 가게 임대인이 큰

일원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건물을 지으려 하니 가게를 비우라 했습니다. 그는 어렵게

21


지역 일반 사업

바탐방 학생센터 JSC는 바탐방에 있는 두 군데의 학생 센터를 운영합니다.

+

학생 센터의 직접적인 운영은 섭리 수녀회의 세실 수녀님이 맡고 계십니다. 깜퐁톰의 가톨릭 집안에서

=

종교 탄압을 고스란히 겪어냈습니다. 그녀는 스무살이

돌아와 고향의 어려운 이들과 함께 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수녀님은 1997년 이래 계속해서 학생센터에서 일해왔습니다. 바탐방 학생센터는 가난한 외곽 지역의 아이들이 학업을 계속 할 수 있도록 도울 뿐 아니라 지역 전체의 교육을 확장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같은 노력에 힘 입어 이 곳 센터에는 비교적 고학년의

22

82

(2015.3월 기준)

태어난 세실 수녀님은 내전 시기 정권에 의해 행해진

되던 해에 프랑스의 수도회로 입회했지만곧 캄보디아로

interview

2014년도 학년별 학생 현황

32

남학생

50

여학생

12학년

12

11학년

11

10학년

6

9학년

11

8학년

12

7학년

12

6학년

13

1-2학년

9

바탐방 학생센터 아이들의 꿈

싸봣(19)

키딴 (15)

제 이름은 싸봣입니다.

제 이름은 키딴입니다.

올 해 11학년이 되었어요.

올 해 8학년이 되었습니다.

저는 자라서 저희 마을의

전 이 곳에 와서 친구들과 산으로

영어선생님이 되고 싶어요.

나들이 갔던 게 제일 좋았어요.

그리고 우리나라가 많은

저의 꿈은 영어선생님입니다.

아이들이 학교와 병원에 쉽게

캄보디아에 아이들을 위한

갈 수 있는 나라가 되었으면

학교와 어른들을 위한 일자리가

좋겠습니다.

많았으면 좋겠어요.

보파 (15)

싸렌 (18)

제 이름은 보파입니다.

제 이름은 싸렌, 저는 4형제

저의 꿈은 크메르어

가운데 막내입니다. 형들은 모두

선생님이에요. 저의 친한 고향

공장에서 일합니다. 저는 이

아이들이 많습니다. 2014년, 학생들은 정규 교육과정

친구들은 대부분 학교를 그만

곳에서 공부를 할 수 있게 되어

이외에 센터에서 시행된 영어수업, 발표수업, 원예 활동,

두고 일을 합니다. 제 친구들도

좋아요. 제 꿈은 IT전문가입니다.

컴퓨터 수업에 참여했습니다.

공부를 계속 할 수 있도록 시골

전 우리나라가 교육을 통해

마을에 학교가, 특히 상급학교가

더욱더 강해지길 바라요.

바탐방 학생센터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어요.

스레이 뻐으 (15)

싸오 리응 (15)

제 이름은 스레이 뻐으입니다.

제 이름은 싸오리응 입니다.

저는 쉬는 날 친구들과 앉아

저는 은행원이 되고 싶어요.

수다를 즐기는 시간이 좋아요.

캄보디아의 시골에는 은행이

제 꿈은 의사입니다. 캄보디아에

많지 않은데 만약 시골에도

병원이 보다 많아져서 사람들이

은행이 생기면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시골 마을 가까운 곳에서도

대출이나 적금을 통해서 돈을

병원을 이용할 수 있었으면

모을 수 있지 않을까요?

좋겠어요.

23


지역 일반 사업

특수 사업

24

25

환경 프로젝트 자비의 빛 센터 앙스눌지역개발프로젝트(RDAS) 시엠립

귀 진료소 동화책 출판 사업


특수 사업

환경 프로젝트

interview

대부분의 개발 도상국 및 중간 소득 국가들에서 국민들이

판 짠다

가장 많이 사망하는 원인으로 꼽히는 것은 영양 실조도,

환경팀 스태프

폐결핵이나 말라리아 혹은 에이즈와 같은 질병도 아닙니다. 그 어느 질병보다도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이르게 하는 것은 바로 환경오염입니다.

2013년 처음 이 곳에 둥지를 튼 ECOLOGY팀의 사무실은 반티 교실동 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세계 보건 기구의 발표에 따르면, 매년 7백만명 이상의

캄보디아의 전통 식물들과 메콩강의 물고기 들이 그려진 ECOLOGY팀의 사무실에 들어서자마자

사람들이 오로지 대기 오염이 원인이 되어 사망한다고

우리를 반기는 한 캄보디아 소녀가 있습니다. 판 짠다(22)는 ECOLOGY팀에서 환경 연구와 사무실 운영, 그리고 캄보디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환경 실태 교육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합니다. 다시 말하면, 매일 19,000여명이 대기 오염으로

26

인해 운명을 달리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들 중 90%가

환경팀의 새로운 묘목장

아시아인입니다. 요리를 할 때나 목탄이나 석탄, 나무

2014년 1월, 반티에이 쁘리업 내에 위치한 묘목장이 이전의

소개를 부탁드려요.

환경팀 일을 하면서 어떤 점이 가장 좋았나요?

실시했어요. 현재 프레이랑 프로젝트는 그 지역 마을

등을 태울 때 나는 연기를 마시고 공장이나 자동차의

2배 규모로 확장되었습니다. 캄보디아의 토종 식물이나

안녕하세요. 판 짠다입니다. 저는 깜뽓에서 태어났고

저는 이 일이 참 좋아요. 이 일은 저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사람들이 직접 나무를 심고 그들의 숲을 스스로 지킬 수

매연 등으로 가득찬 바깥 공기를 마시는 우리들의 생활

멸종 위기에 놓인 묘목을 키우는 묘목장의 규모가 커지면서

10년 간 짬짜오의 사랑의 선교회에서 지냈어요. 2013년

모두를 위해 하는 일이거든요. 환경을 지키고 사람들을

있도록 주도권을 넘겨주었고 우리는 그들을 도와주는

속에 환경 오염이라는 위험이 만연해 있기 때문입니다.

더욱더 많은 묘목과 채소를 기를 수 있게 되었습니다.

6월, 처음 가비신부님께서 제게 이 곳 환경팀에서 일하는

지킬 수 있는 일이라는 게 제 마음을 기쁘게 해요. 그리고 이

역할을 하고 있어요.

것이 어떨지에 대해 물어보셨고 3개월 실습을 한 뒤

곳에서 저는 많은 경험을 쌓을 수 있어요. 캄보디아의 환경에

도시화, 개발, 산업화와 같은 과정 속에서 가장 많이 파괴되는 영역은 가난한 지역 사람들의 삶의 기반이 되는

프로젝트 전 스태프 회의

정식으로 일하게 되었어요. 이 곳에 오기 전까지 돈보스코

대해 공부할 수 있었고, 사람들에게 환경에 대해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환경에 관해 꼭 전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기초적인 1차 산업 입니다. 이 같은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JSC의 생태 환경팀을 위해 일하고 있는 모든 스태프들이

기술학교에서 회계 공부를 하면서 저는 언젠가 일반

일을 경험할 수 있었어요. 특히 마을사람들에게 환경 교육을

No plastic! (플라스틱은 안돼요!) 어릴 땐 사람들이 물건을

관심을 토대로 2013년, JSC의 생태 환경 프로젝트가

참여하는 회의가 츠녹뜨루 수상 마을에서 열렸습니다.

회사에서 사무업무를 하게 될 줄 알았어요. 반티에 살면서

하는 일이 제일 재미있어요. 제가 설명을 하고 사람들이

포장할 때 바나나 잎이나 끄로마 천을 이용하는 것을 자주

시작되었습니다.

회의 기간 동안 환경팀 스태프들은 벙 츠마 지역에서

환경과 관련된 일을 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했죠. 사실 어릴

질문을 하고, 제가 다시 대답하는 과정 속에서 저 역시 더

보았어요. 하지만 요즘은 모두들 플라스틱, 비닐을 이용하고

캄보디아 환경부 직원들과의 만남을 갖고 함께 JSC 환경

적엔 환경에 대해 잘 몰랐어요. 그렇지만 산이나 바다는 늘

배울 수 있거든요.

아무데나 버리죠. 하지만 캄보디아에는 친환경적으로 물건을

프로젝트의 전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습니다.

좋아했어요. 제 고향 깜뽓에는 산도 있고 바다도 있고 자연이 정말 아름답거든요.

환경 프로젝트

올 해의 묘목 여행

포장할 수 있는 전통적인 방법이 정말 많거든요.

그럼 가장 힘들었던 경험은요?

그런 방법들이 보기에도 더욱 아름답구요. 그런 사실을 더

‘프레이랑 프로젝트’를 할 때엔 몸과 마음이 정말 힘들었어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실천해줬으면 좋겠어요.

2014년 생태 환경 팀은 캄보디아의 8개 지역(쁘레이벵,

함께 일하는 환경은 어때요?

‘프레이랑 프로젝트’는 최근 개발로 인해 ‘프레이랑’이라는

스텅센, 쁘레이랑, 끄로압, 앙스눌, 바탐방, 프레아비히어,

우리 팀은 늘 가족처럼 일해요. 일반 회사에서는 상상 할 수

거대한 숲이 어마어마하게 파괴되는 현실에 반대하는

짠다의 꿈은 뭔가요?

시엠립)에서 나무심기 활동을 실시했습니다. 6월에서

없는 환경이죠. 우리는 모두가 공동체 모두를 위해 일하고

운동이었는데, 100년도 더 된 거대한 나무들이 무참하게

제 꿈은 우리 ECOLOGY팀이 더욱 성장해서 환경을 지키기

8월은 나무를 심기에 가장 좋은 시기입니다. 올 해

있다는 책임감을 기반으로 함께 일해요. 그래서 누군가

훼손되는 걸 두 눈으로 직접 보면서 마음이 너무 아팠어요.

위한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거에요. 더 많은 나무를

4421그루의 나무가 묘목 여행을 통해 뿌리내렸습니다.

실수를 한다고 해도 늘 배려하고 이해해주죠. 이런 팀과 함께

우리는 ‘프레이 랑은 우리의 숲입니다.’ 라는 슬로건이 담긴

심고, 더 많은 지역을 찾아가 알리고 더 많은 마을 사람들이

일하는 건 정말 즐거운 일이에요.

배너를 만들고 마을 사람들과 함께 나무 심기 캠페인을

우리와 함께 일 할 수 있기를 바라요.

27


특수 사업

자비의 빛 센터

학생 현황

프놈펜에 위치한 자비의 빛 아동센터는 장애를 지닌

+

아이들에게 집과 교육센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곳에는 주로 시청각 장애아동들이 살고 있습니다.

=

아이들은 센터에서 학교를 다니고 방과 후 혹은 주말을

36

청각 장애

14

시각 장애

9

신체 장애

6

빈곤 가정

7

이용해 음악 및 미술 활동 등의 다양한 예체능 수업, 원예와 만들기 활동, 전통 무용 교육, 영어 및 컴퓨터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을재능을 키웁니다.

17 남학생

또한 비슷한 장애를 지닌 친구들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법을 배웁니다. 이 곳에서 받는 다양한 기술 및 예체능 교육은 아이들이 스스로의 독립된 삶을 이끌어나가는 데

19 여학생

학교 현황

있어 좋은 준비 과정이 됩니다.

18

28

끄루사 트마이

영어 수업 예체능 활동 원예 활동 수공예품 만들기 올 해, 자비의 빛 센터는 아이들의 특기를 살려주고 정서 자비의 빛 센터

및 감성을 발달, 형성시키기 위해 방과 후 교실을 활발하게 운영했습니다. 아이들은 개인의 성격 및 재능과 환경 및 장애 정도에 따른 신체적 특성에 따라 각자에게 걸맞는 활동을 찾아 적극 참여했습니다.

9 일반 학교

2

2

Smile of 개별 음악 children 과외

2

1

1

1

센터 내 교육

라발라 학교

PSE

DDP

29


특수 사업

앙스눌 지역개발 사업 RDAS

1st CYCLE

먼저 최소 10인 이상으로 이루어진 연합회 대표 조직이 세워지면 각각의 마을에서 소액대출을 필요로 하는

RDAS

회원을 모집합니다. 회원들의 수요 금액을 산출하여 RDAS로부터 1기 자금을 대출받습니다. 대출금은 2%의 이율로 1년 뒤 상환하는 것이 규칙입니다. 다음 해 생겨난

PFSA

RDAS의 주요 프로젝트는 농촌 마을 사람들의 연대와

2%의 이율은 PFSA에서 독자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대출

지역 커뮤니티의 자립을 위한 주민 자체조직의

자금이 됩니다. 그렇게 몇 해가 지난 뒤 PFSA는 완전히

운영입니다. 우리는 빈농연대협의회 PFSA(Poor

독립적인 주민협동조합의 대출은행으로써 운영됩니다.

Group Leaders

Farmers Solidarity Association)와 크메르여성연합회

2014년도, RDAS의 소액대출을 이용하는 7,141가구 중

KWA(Khmer Woman Association)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PFSA는 농민들 스스로 공동체 의식을 통해 스스로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RDAS의 소액대출은행 프로젝트의 일환인 농업자금 대출, 생업자금 대출 등의

47%가 RDAS로부터 직접 대출 받고 53%는 PFSA로부터 Members

2

nd

대출을 받습니다. 현재 13개의 PFSA조직이 완전 독립 운영

CYCLE

PFSA

활동을 담당합니다. 현재 PFSA는 178개의 연합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FSA를 통한 RDAS의 소액대출

30

중입니다.

15개 지역의 여성 대표 16명으로 이루어진 크메르여성연합회 KWA는 여성과 어린이들의 문맹퇴치

프로그램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육, 성교육, 보건 위생 교육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KWA는 마을 도서관과 쌀은행, 보건 사업, 생태환경 프로그램의 책임 역시 맡고 있습니다. 올 해, KWA는 올 해 93개의 쌀 은행을 운영하며 97개 마을의 1,293명의 주민들을 도왔고, 마을 아이들을 위한 from RDAS

또한 33곳의 학교에 학용품을 지원하기도 했습니다.

3nd CYCLE

PFSA 앙스눌 지역개발 사업 RDAS

도서관 68곳을 운영하며 3,591권의 책을 제공했습니다.

from PFSA

from RDAS

31


열악한 위생환경으로 인해 귀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캄보디아인들을 위해 JSC는 프놈펜과 바탐방 각각 두 곳에서 무료 귀 진료소를 운영합니다. 귀 진료소는 전문 의료진 스태프가 상주하며 매일 환자들의 귀 상태를 체크하고 청력 검사, 이경 검사, 보청기 적합 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마을을 다니며 이동 귀 진료소를 운영하고 귀 관리 방법 교육 및 청각 테스트를 실시합니다.

6,226

초진

1,476

초진

1,451

재진

1,363

재진

1,507

아웃리치

3,659

아웃리치

합계

6,226

정상 진단

2,699

OM

1,322

OC

2,478

수술 환자

63

합계

3,262 바탐방

정상 진단

2014 Book List 1

304 3,262

1

2

3

4

5

196

장난꾸러기 쥐

2

나쁜 꿈

3

엄마는 저를 사랑해요 특별한 친구

좋은 선생님이 됩니다. JSC는 캄보디아의 어린이들에게

5

어디로 가야하지?

건전한 사고방식과 가치관을 전달하기 위해 캄보디아의

6

병원이 무섭지 않아요

1,690

7

작은 참새 세 마리

OC

1,376

8

오렌지 정원의 작은 주인

9

실수를 아는 손

6

7

8

9

10

16

프놈펜

11

12

13

14

15

32 16

17

18

19

아이들에게 책은 학교 밖에서 언제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4

OM

수술 환자

동화책 출판 사업

특수 사업

특수 사업

귀 진료소

정서와 문화적 이해가 온전히 깃든 동화책을 출판하고 있습니다. JSC에서 출판된 도서들은 보건, 위생, 환경, 인권, 공동체 의식 등 캄보디아 실정에 맞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 결과 캄보디아 내 NGO

10

우리는 좋은 친구가 될거야

11

셍의 큰 배꼽

커뮤니티 및 캄보디아의 교육부로부터 교육적 가치에

12

니타와 학교

대한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2014년, 19권의 동화책이

13

뚝뚝 거북이

출판되었습니다.

14

용감한 소녀

15

다섯 병아리

16

학교에 가고픈 아기 돼지

17

뚱보 라타나

18

배고픈 휴지통

19

맛있는 망고

33

Place to Distribute 캄보디아 전역

JSC

JS 귀 진료소

프놈펜, 바탐방 주

JSC

바탐방 교구

바탐방 주

가톨릭 커뮤니티

프라니 수녀

뿌삿 주

가톨릭 커뮤니티

캄보디아 전역

NGO

EDMD

프놈펜

NGO

귀 진료소

Room to Read Cambodia 본도스코마

프놈펜

NGO

복도속마

프놈펜

NGO

Childfund

프놈펜

NGO

티어리

프놈펜

개인 출판

롬랏

프놈펜

개인 출판

웨이 웨이

프놈펜

개인 출판

19 2014년 19권의 동화책 출판 동화책 출판 사업

JS 지역 도서관


지역 일반 사업

예수회 미션 사도직

34

예수회 미션 장학 프로그램 시엠립

영성 사도직 지성 사도직

35


서강 장학금 프로그램은 두가지 종류로 나뉘어집니다. 하나는 서강대학교에서 지원 받는 서강대학교 장학금이고 또 하나는 자연과학계열 학부 교수진들에 의해 직접

영성 위원회

강인근 신부

권오창 신부

Vision 접 신부

김태진 신부

훗날 캄보디아 사회를 이끌고 나아 갈 우수한 인재들을

선출되고 지원받는 서강 자연과학대 장학기금입니다.

캄보디아 예수회는 개개인의 존엄성이 존중되고 지켜지는

양성하기 위해 예수회 미션은 특별히 캄보디아 학생들을

서강 장학금 수혜 학생들은 한국의 서강대학교에서

사회를 바랍니다.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이 필요한 교육을

위한 여러 장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장학

공부하는 기회를 얻습니다. 인문대 지원 학생들은 일정

통해 사회적 권력을 부여받기를 바라며, 서로 다른 종교를

프로그램들은 학부 및 대학원을 진학하는 고등 교육

수준 이상의 한국어 성적이 있어야만 한국에서의 학업 이수

인재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일반 JSC메타까루나

지닌 이들이 서로 다른 영성을 통해 좋은 영감을 받아

기회가 주어집니다.

지역 사무소에서 행해지는 장학금과 그 성격을 달리

2014년, 서강 장학금 혜택을 받은 학생은 3명입니다.

합니다.

자연과학대 장학생 쑴 비스나(Soum Vesasna)군은 2015년 3월 한국의 서강대학교로 떠나 석사과정을 공부합니다. 두명의 인문 사회 계열 학생, 찬 푸티(Chan Puthy) 양과 멩 리다(Meng Lida) 양은 장학금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36

영성 사도직

서강 장학금

캄보디아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을 이수 중입니다.

예수회 미션 사도직

예수회 미션 사도직

예수회 미션 장학 프로그램

영적 동반 및 지도 활동

강인근 신부

바탐방 수녀회 영적 동반과 한국 외방 선교회 신학생

영적 지도를 담당하고 있으며 프놈펜 한인 가톨릭

커뮤니티의 사목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김태진 신부

섭리회 수녀님들과 ‘이냐시오 영신수련’을 통한

영적 동반을 담당합니다. 또한 프놈펜 신학교에서

섭리수녀회 수련 수녀들을 상대로 영성 과목을 가르칩니다.

이경용 신부

갈멜 수녀원의 영적 지도를 담당합니다.

성장하기를 바랍니다. 또한 캄보디아 뿐 아니라 전 세계의 경제적 정의가 실현되고 평화가 구현될 수 있도록 사회 구성원 전체가 함께 노력하는 사회를 꿈꿉니다.

Mission 영성 사도직의 미션은 우리의 사회개발과 교육, 사목

37

분야에서의 활동을 하나의 영성 지도 프로그램으로

나에 노암 장학금(Nae Noam) 나에 노암 장학금은 캄보디아 내 가톨릭 커뮤니티를 위한

매리놀 수녀회, 사랑의 선교회의 영적 동반 및

예수회 파견 수사들의 영적 지도를 담당합니다.

또뗏 신부

살레시오 수녀회의 영적 동반을 담당합니다.

통합시키는 것입니다. 영성지도 프로그램은 이냐시오 영성의 전통과 다른 종교적 전통, 특히 상좌 불교 사이의 대화를 바탕으로 종교마다 다르고 변화무쌍한 영성을

젊은이들을 발굴하여 그들의 리더십을 함양, 캄보디아

보다 더 장려하기 위함입니다. 영성사도직의 주요

사회를 위한 지성과 인성을 두루 갖춘 인재로 양성하기

업무는 캄보디아 사회 및 교회 내 영성과 도덕에 대한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현재 프놈펜에서 공부 중인 13명의

요구가 시급해진데에 대해 보다 더 창조적으로 답변하는

대학생이 나에노암 장학금의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일입니다. 영성사도직의 목표는 피정 지도, 연구, 청년지도

아니라 수혜 학생들의 정기적인 모임을 마련하여 함께 할 수 있는 나눔 및 성찰, 워크숍, 피정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이와 같은 활동은 전도 유망한 캄보디아

등의 활동을 통해 예수회 미션 전체에 지성과 영성의

예수회원

토대를 제공하는 일입니다.

양성 캄보디아인 예수회 수사

학생들이 올바른 신앙과 인성을 함께 키우며 성숙한 사회 구성원으로 자라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함 뜨은 S.J. (Ham Touen)

다모 추 S.J. (Damo Chour)

영성 사도직

나에노암 장학금은 단순한 학업 지원에서 그치는 것이 예수회 미션 장학 프로그램

존메이스 신부


캄보디아 마지스 위원회는2014년 1월, 3주 동안

번역 / 대학 강의

종교 간의 대화

한국의 서강대학교 학생들과 함께하는 마지스 활동을 준비했습니다. 2014년도의 마지스 주제는 “Simple is

김태진 S.J. 신부

강인근 신부는 현재 캄보디아에서 종교간의 대화

캄보디아 예수회는 캄보디아 교회를 위한 새로운

better(좋은 것은 단순하다)”였습니다. 마지스 팀은 한국과

김태진 신부는 프놈펜의 가톨릭 신학교에서 교회사를,

사도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불교는 캄보디아의 인구

사목활동으로 영성 사도직 분야에 큰 관심을 두고

캄보디아의 젊은 대학생들로 이루어졌습니다. 프로그램에

프놈펜 왕립 대학교에서 철학 과목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95% 이상이 믿는 최대 기성 종교입니다. 강 신부는

있습니다. 캄보디아 교회의 필요에 답하기 위해

앞서 한국 학생들은 프놈펜의 가톨릭 성당에 모여 캄보디아

김태진 신부는 근 몇 년 간 신학생들에게 교재를 제공하기

캄보디아 가톨릭 미션이 평화롭게 조화될 수 있도록

예수회는2013년 5월 영성 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학생들에게 크메르어를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위한 목적으로 가톨릭 서적들을 번역해오고 있습니다.

승려들을 비롯한 불교지도자들과 함께 서로의 문화와

영성위원회의 설립은 캄보디아 교회를 위한 사도직의

또한 반티에이 쁘리업에서 함께 문화교류의 시간을 가졌고

2010년, 김 신부는 독일 교회사학자 어거스트 프란츤의

지식을 나눕니다. 2014 년 종교 간의 대화 미션은 다음의

새로운 장을 써내려가는 그 시작점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주말에는 수상마을 ‘츠녹뜨루’에서 함께 시간을 보냈습니다.

『가톨릭 교회사』를 캄보디아어로 번역했습니다.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새로운 변화의 가장 큰 목표이자 이유는

캄보디아와 한국의 학생들은 마지스 프로그램을 통해

그리고 드디어 2014년, 김 신부는 예수회의 가장 핵심적

캄보디아의 청년들이 올바른 영성을 키워낼 수 있도록

서로의 문화를 교류하고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문헌인 『영신수련』을 번역 및 출판까지 완료하여 지난 3년

하기 위함입니다. 청년들을 위한 영성 프로그램은 교회의

있었습니다. 한 학생은 가난한 이들에 대한 사랑을 체험했던

간의 작업의 결실을 맺었습니다. 『영신수련』의 번역작업은

한 명으로 참가했습니다. ‘종교적 관용’을 주제로 열린 이번

미래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기억을 안고 돌아갈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습니다.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의 영성 사도직에 있어 필수적인

포럼에는 6명의 캄보디안 종교 지도자 (불교 2인, 가톨릭 2인,

작업이었습니다.

지성 사도직

예수회 미션 사도직

예수회 미션 사도직

MAGIS

• 강인근 신부는 2014 년 9 월 태국에서 열린 ‘제 1 회 아세안 종교 평화를 위한 종교 지도자 대화 포럼’에 캄보디아 대표 중

이슬람 2인) 가 참여했습니다. • 2014 년 10 월, 캄보디아 예수회 주관의 종교간의

38

대화 세미나가 바탐방과 시엠립 지역에서 열렸습니다.

2014년 3월 21-23일 시엠립의 피정센터에서 열린 침묵

강인근 S.J. 신부

피정에 캄보디아 마지스 팀원들이 참가했습니다.

2013년도에 스리랑카와 영국에서 불교 및 아시아 철학을

비롯하여 밥 맛(Mr. Bob Matt)씨, 데니스 수녀(Sr.Denis),

이번 피정에는 총 4명의 캄보디아인들이 참여했습니다.

공부하고 돌아온 강인근 신부는 현재 바탐방

접 신부(Fr.Jub), 시비치 스님(Ven.Sivichea)까지 총 5인이

이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마지스 활동에 꾸준히 참여해온

승가 대학에서 종교철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들입니다.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프로젝트에서 일하고

2014년, 강 신부는 프놈펜 왕립 대학교 철학과

있는 폰 소나이 (Ms. Phon Sonai)양은 2007년 캄보디아

교수진과 협력하여 『옥스포드 철학 사전』의 번역 작업을

시엠립에서의 침묵 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게 온

마지스가 시작되던 해 부터 꾸준히 참여해 왔습니다.

시작했습니다.

것만으로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꼭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리 소반나 (Mr. Ly Sovanna)씨는 현재 캄보디아 가톨릭

이번 침묵 피정은 제 삶과 신앙에 풍요를 더해주는

사회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로서 일하고 있습니다.

시간이었어요. 저 자신에 대해 더 많이 알아갈 수 있었고,

그는 2013년 한국으로 떠난 마지스 여정에 참여했습니다.

하느님께 제가 받은 선물을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놈 섬낭(Ms. Nom Samnang) 양은 2013년 브라질에서 열린

제게 그런 시간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세계청년대회와 마지스대회의 세 리더 중 한명이었으며

여러나라에서 모인 젊은 이들을 위해 강인근 신부를

39

종교간의 대화에 대한 강연을 실시했습니다. • 강인근 신부의 초대로 바탐방 지역의 승려 지도자들이 바탐방 교구 롯 신부의 사제 서품식에 참석했습니다. 전통적인 캄보디아 불교집안에서 자라온 롯 신부님은 지역 스님들의 축하를 받고 크게 기뻐했습니다.

리 소반나 캄보디아 가톨릭 커뮤니티 소셜 커뮤니케이션 담당자

마지스에 참여해 서강대학교 학생들과 함께한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지성 사도직

영성 사도직

린 파니(Ms. Lin Phanny)양은 2014년 1월에 열린 캄보디아


시엠립

지역 일반 사업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41 40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의 4가지 요소

지난 20여년 간 캄보디아 예수회봉사단(JSC)은 전쟁으로 인한 장애와 질병 등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비롯하여 캄보디아 사회에서 소외받는 다양한 사람들을 위해 봉사했습니다. 이제 예수회봉사단은 캄보디아가 스스로 더 나은 미래를 꾸릴 수 있도록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일에 보다 더 집중하고자 합니다. 이와 같은 변화에

중/고등학교

많은 캄보디아 아이들이 기초 문해 수준에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에 있어 가장 중요한

도달하기 전에 초등학교를 그만두곤 합니다.

도전은 취약한 중등 교육을 상향 평준화하는

우리는 아이들이 일정 수준의 문해실력을

일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학년 당 두개

갖출 수 있기를 바랍니다. 초등학교는 학년 당

학급으로 이루어진 중학교 수업을 제공하고자

시행합니다. 반티민쩨이 주의 주도 시소폰에 위치한

2개 반의 작은 규모로 운영되며 6년의 교육

합니다. 중등 교육의 안정화는 캄보디아의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는 커뮤니티 교육센터, 교사 양성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이 12학년까지 학업을

자라나는 청년들이 더 나은 교육을 통해

센터, 그리고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건물로 이루어져

이어갈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성실한 인재로 성장하기에 있어 필수적인

따라 예수회는 4가지 요소로 구성된 교육 프로젝트를

42

초등학교

있습니다. 새로이 지어질 학교는 단순히 학교 및 여러

43

역할을 할 것입니다.

센터의 건물만을 지어주고 운영하는 것에 그치지 않을 것입니다.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의 역할은 지역사회의 아이들을 사회의 부정부패로부터 보호하고 아이들에게 남을 배려하고 함께 살아가는 법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는 특히 암기 위주의 학습보다 탐구 중심의 응용 과학 교육을 강조할 것입니다.

커뮤니티 교육 센터

교사 양성 센터

학교의 첫번 째 건물이 될 커뮤니티 교육

많은 캄보디아의 교사 인력들이 과도한

센터는 학교와 지역 사회의 연결 고리의

업무와 재교육 기회의 부족 등으로 인해 교육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학생들에게는 보충

기술의 부족을 겪습니다. 좋은 지역 기반

수업의 기회를, 지역 청년들에게는 직업

교사를 양성하는 일은 지역의 교육수준을

교육 및 기초 문해 교육을 제공하며 더 높은

높이기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하는

연령대의 주민들을 위한 문해 및 보건 교육을

일입니다. 하비에르 교사 양성 센터는

제공할 것입니다.

캄보디아의 교사들이 새 교육철학에 대한 실용적인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학교는 아이들을 위한 희망의 장이 되고 아이들은 우리 사회의 미래가 될 것입니다


제 이름은 티 리헹입니다. 저는 올 해 11살이고 뜩틀라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습니다. 이번 여름학교에

여름학교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News

참여하면서 저는 수학과 과학 등의 과목에서 제 실력이 보다 나아진 것을 느꼈어요. 처음에 저희 부모님께서는 제가 여름학교를 다니는 것을 반대하셨습니다. 이제 방학을 맞았으니 부모님의 일을 도와야 한다고 하셨거든요. 그렇지만 저는 공부를 더 하고 싶었고 이 여름학교는 무료이기 때문에 놓치고 싶지 않았어요. 결국 부모님께서 허락을 해 주셨습니다. 매일 저는 부모님께 제가 학교에서 배운 것들과 받아온 칭찬 스티커들을 보여드립니다. 그리고 저를 가르쳐 주신

2014년 3월 11일, 16헥타르의 새 학교 부지에 대한 캄보디아

첫번 째 건물인 지역교육센터의 공사가 진행중입니다.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의 건립 후원을 위한 클래식 음악회가

국토부의 토지측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지역 교육센터는 2015년 8월 완공 예정입니다.

열렸습니다. 첼리스트 마크 코소버씨와 피아니스트 오지원

선생님들이 얼마나 좋은지 한참을 이야기하곤 합니다.

2014년 5월 10일, 새로운 학교 프로젝트의 토지 마스터 플랜에

2014년 12월 8일, 미래에 초등학교가 세워질 자리의

씨의 아름다운 선율을 담은 이번 음악회는 2014년 6월 3일

이젠 부모님께서도 제가 무엇을 배우고 왔는지 아시니까

따라 학교로 향하는 길을 닦는 첫 공사가 이루어졌습니다.

토지공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서울에서, 그리고 같은 달 9일과 10일 두 차례 프놈펜에서

저를 더욱 자랑스러워 해 주세요. 이번 여름학교에는

성황리에 공연되었습니다.

저희학교 학생들 뿐만 아니라 근처에 있는 3개의 학교

44

“우리는 학생들에게 함께 살아가는 법을 가르칠 것입니다. 그리하여 우리 아이들이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의 교육을 통해 지역 사회에 행복을 전달하는 인재로 자라기를 바랍니다.”

45

학생들이 다 함께 참가했습니다. 처음 보는 친구들이

소나이 폰

많았지만 우리는 금방 친해졌고 덕분에 좋은 친구들을

학교 프로젝트 매니저

많이 얻은 것 같아 기뻐요. 내년에도 다시 참가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다시 한 번 자랑스러운 모습으로 부모님들을 기쁘게 해드리고 싶어요.

“우리 예수회는 언제나 가난한 아이들을 위해 봉사할 것을

티 리헹

최우선으로 여깁니다.”

2014년 7월 23일, 캄보디아의 민중궁전에서 노로돔

2014년 8월, 하비에르 학교 교육 팀이 주관한 ‘여름학교’가

2014년 12월,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팀은 시소폰의 빈민촌

시하모니 국왕과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프로젝트 팀의 만남이

시소폰의 뜩틀라 중학교에서 열렸습니다. 하비에르 학교의

‘데이로’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교육 책임을 맡게

이루어졌습니다. 시하모니 국왕은 자국의 가난하고 소외된

이름으로 열린 첫 ‘여름학교’에는 이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되었습니다. 2년 뒤 데이로 어린이집은 교구 본당이 다시

이들을 보살펴온 예수회 미션에 큰 감명을 받았으며 하비에르

학생 203명이 참가했습니다. 여름학교는 2014년 9월

관리하게 됩니다. 하비에르 학교 팀은 이 기간동안 좋은 교사를

학교 프로젝트의 성공적 건설을 바란다는 인사를 전했습니다.

11일까지 한 달간 진행되었습니다.

양성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전달할 것입니다.

News

오인돈 S.J.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 관구장 대리

여름학교

2014 여름학교 참가학생


2014 재무 보고

2014 지출내역

2014 수입내역 내역

점유율

내역

금액

점유율

가톨릭 커뮤니티

$179,229.14

금액

9.76%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575,960.02

28.64%

예수회 네트워크

$717,433.49

39.06%

장애인 지원

$380,395.35

18.92%

재단 후원

$329,692.20

17.95%

교육 지원

$236,144.96

11.74%

$82,463.93

4.49%

관리 운영

$159,093.44

7.91%

기타

$283,297.72

15.43%

지역 개발

$106,491.52

5.30%

반티에이쁘리업 프로덕션

$374,482.02

20.39%

보건

$56,859.74

2.83%

$49,221.19

2.68%

학생센터

$56,350.00

2.80%

$2,015,819.69

100.00%

환경

$24,031.58

1.19%

출판

$20,056.36

1.00%

$382,115.59

19.00%

개인 후원

지역 협조 합계

$2,015,819.69

46

$2,011,047.49

프로덕션 기타

$13,548.93

0.67%

합계

$2,011,047.49

100.00%

█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 장애인 지원 █ 교육 지원 █ 관리 운영 █ 가톨릭 커뮤니티

█ 지역 개발

█ 예수회 네트워크

█ 보건

█ 재단 후원

█ 학생센터

█ 개인 후원

█ 환경

█ 기타

█ 출판

█ 반티에이쁘리업 프로덕션

█ 프로덕션

█ 지역 협조

█ 기타

47


바| 탐 방 지 목 구

2014 지출내역

2014 재무 보고

협력사업

48 49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

바탐방 교구

40여년 간 이어져 온 갈등과 폴포츠 학살 정권이 가져온

저희 바탐방 지목구는 지난 14년 동안 이 곳 캄보디아에서

피난 시기 이후, 삶의 안식처를 찾기 위한 캄보디아인들의

부활의 신비에 대해 깊이 나누어 왔습니다. 이 모든 것을

길고 긴 여정이 있었습니다. 많은 이들에게 그 것은 그들의

실현하시고, 이끌어주시고, 그 결실을 맺는 신비를 보여주신

뿌리였던 자리를 되찾기 위한 순례였고, 다른 이들에게는

하느님의 복되심에 다시금 감사드립니다. 바탐방 지목구는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일구어 낼 땅을 찾는 일이었습니다.

어린이들과 청소년의 양성을 통해 공동체 모두의 평안을

캄보디아 난민 봉사단(JRS)과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의

실현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곳의 가톨릭 인구 중 41.9%가

바탐방 지목구 내에서 예수회의 관여와 지도력은

이 같은 경험을 토대로 바탐방 지목구는 전쟁 이후

15세 이하의 어린이들이며, 75%가 25세 이하 청년입니다.

2000년 7월 2일, 예수회원인 키케 피가르도 주교

그들의 삶을 다시금 채우는 일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2014년, 저희는 끊임없이 저희 공동체의 염원과 희망의

(Msgr. Kike Figaredo, SJ)의 취임을 통해 결정적 전환을

맞췄습니다. 그 것은 그 어떤 죽음과 증오의 힘보다도

나눔을 실천했습니다. 저희들이 공동으로 나누는 비전과

맞이했습니다. 예수회 신부들과 수사들을 비롯해 여러

강한 하느님에게서 나오는 사랑과 자비, 연민의 힘을

미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혜와 자애로운 마음으로

봉사자, 조력자들의 활발한 참여에 힘입어 캄보디아인을

증언하는 일이었습니다. 그 결과, 집들이 다시 지어졌고,

어린이들, 청년들과 함께 동반하며 특별히 가난한 이들

위한 봉사와 그들과의 동반은 더욱더 깊은 뿌리를 내리게

학교가 시작되었습니다. 병원과 교회는 다시 제 자리를

중에서도 가장 가난한 이들과 함께 한다. 또한 그들의

되었고, 캄보디아 사회와 교회에 더욱더 헌신할 수

찾았고, 땅이 갈리고 작물들이 심어졌습니다. 또한 그들의

교육과 양성을 위해, 우리의 미래이기도 한 그들의 미래를

있었습니다.

삶으로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이 생겼습니다. 가장 도움을

위해 끊임없이 일한다.”

“주님의 행복이 저희의 힘입니다”

필요로하는 이들은 보살핌을 받았으며 전례가 행해지고

50

그 것이 문화화 되었습니다. 이 모든 것은 바로 공동체의 재건이었습니다. 오늘날 바탐방 지목구 내 가톨릭 신자 수는 8,000여명입니다. 하지만 저희들의 사명은 가톨릭 공동체를 넘어서 누군가의 종교와 신념에 대한 어떠한

바탐방 교구

편견도 없이 가난한 이들의 요구에 답하는 것입니다.

51


캄보디아 예수회 미션

4가지 사목 전략 방향

교육

리더십 함양

52

주요 사목 지역

가치 양성

신양 양성

이 같은 비전과 저희들의 소망은 4가지 필수 요소 안에서

1. 기초 교육 실시

청년들의 발전으로 이어집니다. 4가지 필수 요소란 가치관,

2. 농업 및 지역 사회 개발

교육, 신앙, 리더십을 말합니다. 이 4가지 요소들은 저희의

3. 장애인 지원

이야기가 지속되어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중점적인 사목

4. 보건

전략으로 뻗어나갈 수 있게 하는 줄기가 되고 있습니다.

5. 캄보디아 문화 예술 홍보

바탐방 교구는 저희의 교구 센터, 아웃리치 마을, 본당,

6. 종교간의 대화 및 협력

공동체 안에서 다음의 활동들을 통해 보편적인 사목 전략

7. 사목적 동반

방향을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8. 미사 및 전례

바탐방 지역

앙코르 지역

바탐방 주

바탐방 시

시엠립 주

시엠립 시

따헨

총 크니어

똠풍

깜뽕 클레앙

크낙 로미어

쁘렉 또알

니끔

피억 스나엥

랍 비엘

반티민쩨이 주

따옴

치띠엘

스베이 시소폰

스눙

포이펫

빠일린 주

빠일린 시

쩜나옴

똔레삽 지역

바탐방 교구

53

깜뽕톰 지역

뿌삿 주

뿌삿 시

깜뽕톰 주

깜뽕꼬

깜뽕 루옹

프레악 스바우

깜뽕츠낭 주

깜뽕츠낭 시

므니브

깜뽕 루옹

뿜빵

땅꼭

깜뽕 로떼


CONTACT US

JSC 예수회 봉사단 이메일

jesecam@gmail.com

웹사이트 페이스북

54

전화

주소

www.jscambodia.org www.facebook.com/jesuitservicecambodia 855+12 24 21 30 #376, Kouk Khleang Village, Phnom Penh Thmey, Khan Sen Sok, Phnom Penh #880, Phnom Penh

사서함주소

반티에이 쁘리업 장애인 기술학교 이메일

banteayprieb@gmail.com

페이스북

www.facebook.com/banteayprieb

전화

855+17 41 61 68

주소

Trapneg Veng Village, Chhorkchernieng Commune, Angsnoul District, Kandal

하비에르 예수회 학교 이메일

xjs.cambodia.director@gmail.com

웹사이트 전화

www.jesuitschoolcam.org

페이스북

855+78 40 50 92 www.facebook.com/xavier.jesuit.school.cambodia (영문)

주소

www.facebook.com/xavier.jesuit.school.kor (한글)

Teuk Thla Commune, Serei Sisophon City, Banteay Meanchey #0133, Serei Sisophon

사서함주소

55


예수회 캄보디아 미션 Jesuit Mission Cambodia

Addresss JSC PO Box 880, Phnom Penh, Cambobia Homepage www.jscambodia.org E-mail

jesecam@gmail.co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