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성명 축일에 로마 제수 성당에서 하신 프란치스코 교황 강론 2014년 1월 3일 금요일 우리는 바오로 사도의 다음 말씀을 들었습니다. “그리스도 예수님께서 지니셨던 바로 그 마 음을 여러분 안에 간직하십시오 . 그분께서는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셨지만 하느님과 같음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으시고 오히려 당신 자신을 비우시어 종의 모습을 취하시고 사람들 과 같이 되셨습니다 .”(필립 2,5-7). 우리 예수회원들은 그분의 이름을 받고 그분 십자가의 깃발 아래에서 싸우기를 원합니다 . 이것은 우리가 그리스도와 똑같은 감정을 갖기를 원한다 는 것입니다 . 이 말은 그분처럼 생각하고, 그분처럼 사랑하고 , 그분처럼 바라보고 , 그분처럼 걷겠다는 것입니다. 바로 그분이 행하신 대로 행하고 그분과 같은 감정 , 그분의 성심이 지 니셨던 감정으로 행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마음은 사랑 때문에 자신을 “ 비우신 ” 하느님의 마음입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우 리 예수회원 각자는 자신을 기꺼이 비워야 합니다 . 우리는 이 낮춤으로 불렸습니다. “비우 신 분 ”의 것이 되도록 불린 것입니다 . 자신이 중심이 되어 살지 않는 사람으로 불린 겁니 다. 예수회의 중심은 그리스도요 그분의 교회입니다. 하느님은 “언제나 더 크신 분 ”(Deus
semper maior), 언제나 우리를 놀라게 하시는 분입니다. 이 놀라우신 하느님을 중심에 두 지 않으면 예수회는 방향을 잃게 됩니다. 그러므로 예수회원이 된다는 것은 불완전한 사고, 열린 사고를 지닌 사람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왜냐하면 예수회원은 우리를 끊임없이 놀 라게 하시는 하느님의 더 큰 영광의 지평을 바라보며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우리의 공허에서 오는 불안정이며 거룩하고 아름다운 조바심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죄인들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자문해 볼 수 있습니다 . 우리의 조바심은 뭔 가를 추구하는 데에서 오는 것인가 , 아니면 위축되어서 그런 것인가 ? 우리 마음은 늘 긴장 상태에 있는가 ? 다시 말해서 어느 한 곳에 정착하지 않고 자신 안에 갇혀 있지 않으며 하느 님의 모든 충실한 백성과 함께 걸어가는 여정의 박자로 고동치는 마음인가 ? 우리는 하느님 을 발견하기 위해 하느님을 찾아나서야 하고 다시금 언제나 하느님을 찾아나서기 위해 그분 을 발견해야 합니다. 오직 이런 조바심만이 예수회원의 마음에 평화를 줍니다 . 또 이 조바 심은 우리를 사도적으로 만들어서 케리그마 선포나 용기가 필요한 복음화 작업에 싫증나지 않게 해줍니다 . 이런 조바심이야말로 사도적 결실이라는 선물을 받을 수 있는 준비가 됩니 다. 조바심이 없다면 우리는 불모지가 되고 맙니다 . 또 다른 다니엘이자 위대한 열망의 사람인 베드로 파브르는 이런 조바심을 지닌 사람입니 다. 파브르는 “ 겸손하고 섬세한 사람으로서 삶의 내적 깊이가 있으며 어떤 부류의 사람과도 친구가 되는 재능을 선사받은 사람”( 베네딕토 16세, 예수회원들에게 한 연설 , 2006년 4월 22일)이었습니다. 그는 또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다시금 물음을 던지며 결코 만족을 모르 는 정신의 소유자였습니다 . 파브르는 이냐시오 성인의 지도 아래 조바심 가운데에서도 차분 하고 세련된 자신의 감수성과 결단을 내리는 능력을 한데 결합시키는 법을 배웠습니다. 그 는 위대한 열망을 지닌 사람이었습니다 . 그는 자신의 열망을 감당하고자 했고 그 열망들을 인정했습니다. 사실 파브르가 어려운 일들을 직면했을 때야말로 그를 행동으로 이끈 참된 정신이 무엇인지가 드러났습니다.(cf. Memoriale , 30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