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31일 로 마 제 수 성 당 에 서 아 침 8시 미 사 때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예수회원들에게 하신 강론
이냐시오 로욜라 대축일
사부 성 이냐시오를 경축하는 이 미사에서 방금 들은 독서에 비추어서 다음 세 가지 표현에 따라 세 가지 간단한 생각들을 나누고 싶습니다. 그리스도와 교회를 중심에 두기; 봉사를 위 해서 그리스도께서 나를 차지하시게 두기; 우리의 한계와 죄를 부끄러워하며 그분과 형제들 앞에서 겸손해지기. 1. “인류의 구원자 예수”(Iesus hominum Salvator)의 대문자 약자(IHS)는 우리 예수회원들 의 상징입니다. 여러분은 모두 그것을 잘 알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겁니다. 이 문장(紋章)은 우리가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사실 곧 우리 각자와 전체 예수회의 그리스도 중심성을 상기시 켜 줍니다. 성 이냐시오는 이 수도회를 판단할 기준으로 삼기 위해 “예수”회라는 명칭을 원 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성 이냐시오는 영신수련을 시작하려는 우리 앞에 창조주요 구세주 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내세웁니다.(영신수련, 5) 이는 모든 회원과 전체 예수회로 하 여금 “중심을 벗어나고” 끊임없이 우리 자신 밖으로 나가며 우리 앞에 “더욱 더 그리스도”를, “항상 더 크신 하느님”, “나의 내면보다 더 친밀하신 분”을 모심으로써 어떤 비허(kenosis), 곧 “자기 사랑과 자기 의지와 자기 이권에서 벗어나게”(영신수련, 189) 합니다. “그리스도가 내 삶의 중심인가? 나는 정말로 그리스도를 내 삶의 중심에 모시는가?” 이것은 명백히 우리들, 우리 모두를 향한 질문이 아니겠습니까? 우리에게는 늘 자기를 중심에 두려 는 유혹이 있습니다. 그리스도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중심에 두면 우리는 길을 잃게 됩니다. 제1독서에서 모세는 백성들에게 주님을 사랑하고 주님의 길을 걸으라고 강력하게 호소합니 다. “주님이 너희의 생명이시기 때문이다.”(신명 30,16-20). 그리스도가 우리의 생명입니다! 그리스도 중심성은 또한 교회 중심성과도 상응합니다. 이 두 가지 틀은 따로 떼어놓을 수 없 습니다. 교회 안에서 교회와 함께 하지 않으면 그리스도를 따를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 경우 에도 우리와 예수회가 중심이 아니며, 말하자면 우리는 “난민”으로 그리스도와 그분의 배필 이신 우리의 거룩한 어머니인 교계 교회(영신수련, 353 참조)에 봉사할 뿐입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교회에 뿌리내리고 토대를 둔 사람이 되기를 바라십니다. 교회와 나란히 가거나 따로 난 길은 있을 수 없습니다. 물론 이 길은 찾아가는 길, 창의적인 길입니다. 중요한 것은 변두 리로, 여러 변두리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창의력이 필요한데 언제나 공동체 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