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학교⋅사회 예술강사 연수과정을 중심으로
등록 KACES-○○○○-○○○○
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학교⋅사회 예술강사 연수과정을 중심으로
발행인 박재은 발행일 2013.10.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교육진흥본부장 정연희 인력양성팀 팀장 김하원 인력양성팀 대리 김주리 등록 KACES-1331-R001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5999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 배을규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공동연구자 김대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이호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수료
연구보조원 이민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과정 김추강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과정 최지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과정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표 목차 ···················································································································································· ⅲ 그림 목차 ··················································································································································· ⅴ 요약 ·························································································································································· ⅵ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 내용 ······································································································································· 4 3. 연구 방법 및 절차 ························································································································ 5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관련 대내외 환경 변화 ·························································· 9 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및 교육체계 현황 ·································································· 12 2.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체계 현황 ········································································· 12 2.2 2013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분석 ·············································································· 38 2.3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교육과정 매트릭스 ························································· 54 2.4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경력개발 현황 ··········································································· 60 3. 타 기관 인력 양성 사례 ············································································································ 66 3.1 대학 문화예술교육원의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 분석 ········································ 66 3.2 링컨센터 인스티튜트 예술 전문 인력 양성 현황 ···························································· 70 3.3 평생교육사 양성 현황 ·········································································································· 73 4. 요약 및 시사점 ··························································································································· 87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성장 유형 및 발달 단계 ································································ 93 1.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성장 유형 설정 ········································································· 93 1.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설정 ········································································· 94 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에 따른 역량 체계 ························································ 99 3.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로드맵 ··················································································· 102 4.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 105
목차|i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 新교육체계 기반 교육과정 구성방안 ····················································································· 111 2. 新교육체계의 전략적 운영 방안 ···························································································· 147 2.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관련 제도 정비 ······································································· 147 2.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역할 및 기능 재구조화 ······················································ 151 2.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향후 연구 과제 및 사업 요구 ·········································· 154
참고문헌 ········································································································································ 159 부록 1. 기존 심화 과정 분류 ······································································································ 165 부록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본 연수와 대학 문화예술교육원 교육과정 비교 ······ 166
ii|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목차
<표 Ⅰ-1> 연구 방법, 절차 및 단계별 세부 내용 ·············································································· 6
<표 Ⅱ-1> '05~'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 양성 추진 현황 ·················································· 9 <표 Ⅱ-2>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28조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지정 교육기관 ··············· 10 <표 Ⅱ-3> 예술강사 역량모델(2007) ··································································································· 13 <표 Ⅱ-4> 기관·단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모델(2007) ····················································· 14 <표 Ⅱ-5> 예술강사의 역량 모델(2009) ····························································································· 15 <표 Ⅱ-6> 예술강사의 역할과 역량 매트릭스(2009) ········································································ 18 <표 Ⅱ-7> 기관단체 실무자 역량 ········································································································ 21 <표 Ⅱ-8> 예술강사 역량 pool 조정 내용 ························································································· 24 <표 Ⅱ-9> 예술강사의 역량모델(2010) ······························································································· 26 <표 Ⅱ-10> 예술강사의 역할과 역량 매트릭스(2010) ······································································ 28 <표 Ⅱ-11> 문화예술교육사 역량모델 ································································································· 30 <표 Ⅱ-12> 예술강사 역량 모델과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모델의 차이점 ····································· 36 <표 Ⅱ-13> 2013 아르떼 아카데미 프로그램 ···················································································· 39 <표 Ⅱ-14> 문화예술교육 컬처펍 ········································································································ 40 <표 Ⅱ-15>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 41 <표 Ⅱ-16> 사회 실무자 연수 ·············································································································· 43 <표 Ⅱ-17> 학교·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 ·························································································· 45 <표 Ⅱ-18>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 49 <표 Ⅱ-19> 아르떼 지식공유 CoP ······································································································ 52 <표 Ⅱ-20>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 53 <표 Ⅱ-21> 교육 프로그램 역량 매트릭스 ························································································· 55 <표 Ⅱ-22> 기본 연수 프로그램 역량 매트릭스 ··············································································· 57 <표 Ⅱ-23> Feldman의 경력단계와 경력관심사 ················································································ 60 <표 Ⅱ-24> 일반 조직에서 적용되는 경력개발 유형 ········································································ 62 <표 Ⅱ-25> 예술강사 직군의 경력단계별 역할 및 인력양성 초점 ················································ 63 <표 Ⅱ-26> 사회기관·단체 실무자 직군의 경력단계별 역할 및 인력양성 초점 ·························· 64 <표 Ⅱ-27>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 지정 현황 ············································································· 67 <표 Ⅱ-28>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 ························································································· 68
목차|iii
<표 Ⅱ-29> 예술 관련 분야별 교수역량 교과목 ··············································································· 68 <표 Ⅱ-30> 상상력 함양을 위한 단계적 실천방안(Holzer, 2007) ················································· 71 <표 Ⅱ-31> 평생교육사 등급별 자격요건 ··························································································· 74 <표 Ⅱ-32> 평생교육 관련 과목 ·········································································································· 76 <표 Ⅱ-33> 승급과정 진입 요건 ·········································································································· 76 <표 Ⅱ-34> 평생교육사 1급 승급과정 ································································································ 77 <표 Ⅱ-35> 평생교육사 2급 승급과정 ································································································ 78 <표 Ⅱ-36> 평생교육 현장실습 유형 ·································································································· 79 <표 Ⅱ-37> 평생교육 실습기관 유형 ·································································································· 80 <표 Ⅱ-38> 평생교육사 직무별 과업 ·································································································· 82 <표 Ⅱ-39> 평생교육사 과업 - 교육과정 매트릭스 ········································································· 85
<표 Ⅲ-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성장 유형 설정 절차 ······························································ 93 <표 Ⅲ-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설정 절차 ······························································ 94 <표 Ⅲ-3> 전문가 전문성 발달단계 이론 분석 ················································································· 95 <표 Ⅲ-4>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및 단계별 특성 ···················································· 97 <표 Ⅲ-5>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역량 체계 ··········································································· 101
<표 Ⅳ-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신설 교육과정 ·················································· 112
iv|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그림 목차
[그림 Ⅱ-1] '05~'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 양성 추진 현황 ············································· 10 [그림 Ⅱ-2] 예술강사 ART 역량 모델(2009) ···················································································· 18 [그림 Ⅱ-3] 기관단체 실무자 역량모델 ······························································································ 21 [그림 Ⅱ-4] 예술강사 ART 역량 모델(2010) ···················································································· 25 [그림 Ⅱ-5] 평생교육사 이수과정 ········································································································ 75 [그림 Ⅱ-6]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분석 결과 ···························································· 88
[그림 Ⅲ-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별 역량 체계 구조 ············································ 100 [그림 Ⅲ-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한 PRM ······························································ 103 [그림 Ⅲ-3]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 106
[그림 Ⅳ-1] 신교육체계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전략적 방안 ························································ 147
목차|v
요약
□ 연구 목적 및 내용 1) 연구의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의 성장 단계별 필요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 운영 방 안을 제시하는 것임.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인적, 물적, 제도적 현실성을 반영하 고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효과적·효율적으로 실행하 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임.
2) 연구의 내용 ○ 첫째, 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의 기반이 되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의 전문 영역별, 성장 단계별로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의 역량 및 교육체계와 관련된 내부 문헌을 수집, 분석함.
○ 둘째,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및 역량 향상에 요구되는 교육체계를 도출하고,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와 문화예술교육 전 문 인력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워크숍을 실시함.
○ 셋째,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목적과 유사한 목적을 갖고 해당 분야 인력의 전문성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체계를 실행하고 있는 타 기관의 교육체계 및 교육과 정 운영 방안을 벤치마킹하여 그 현황과 시사점을 제시함.
○ 넷째,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및 교육체계 관련 문헌 분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인터뷰 및 워크숍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성장 유형과 발달 단계, 新역량체계를 도출하고 발달 단계에 따라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로드맵을 제시함.
○ 다섯째, 이상에서 조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와 교육 과정 구성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전문 인력 관련 제도 정비, vi|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역할 및 기능 재구조화, 향후 연구 과제 및 사업 요구 등의 전략 적 방안에 대해 제언함.
□ 연구 절차 및 방법 1) 연구의 절차 ○ 이 연구는 ‘문헌 분석 → 요구분석 → 벤치마킹 → 新교육체계 도출 및 교육과정 운영 방 안 제시’의 절차에 따라 진행됨.
2) 연구의 방법 ○ 문헌연구 및 자료조사 - 대상: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 자료 및 기존 연구 자료, 타 기관 전문 인력 양성 현황 관련 자료, 전문성 발달 단계 관련 문헌 등 - 내용: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및 교육체계 분석,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현황 분석, 타 기관(대학 문화예술교육원, 링컨센터 인스티튜트,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교육체계 및 운영 방안,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성장 유형 및 발달 단계
○ 워크숍 - 대상: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 내용: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성장 유형 및 발달 단계(안),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 역량체계(안),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로드맵(안),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안) 검토 및 수정
□ 연구 결과 및 제언 1) 연구의 결과 ○ 문헌 분석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양적 확대와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하여 전문성과 역량에 기반 한 육성 체계 및 교육과정 개선 등의 활동으로 新교육체계 수립이 필요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성장 유형과 전문성 발달 단계를 규명하고, 발달 단계별로 개발해야 할 역량을 규명하여 체계적인 교육체계 구축의 기반으로 활용해야 함.
요약|vii
- 현재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은 특정 역량의 개발에 편중되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모든 역량의 개발이 어려움. 따라서 아르떼 아 카데미의 단위 프로그램들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역량 체계 에 기반하여 재배치 및 신설하는 것이 필요함. -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이수하고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을 취득 한 이들을 대상으로 하며 실무 중심의 내용을 다루는 보수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 - 무분별한 자격의 양산을 방지하여 문화예술교육사 1급 자격이 지니는 위상을 높이고 자 격 제도의 질적 관리를 위해 현재 ‘교육과정 이수형’에서 ‘평가 인증형’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현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지속적인 전문성 및 역량 개발을 위 하여 자격 취득 이후의 의무적인 보수교육 실행이 필요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체계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개발, 운영, 평가, 문화예술 관련 사업 기획 및 운영 등의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함.
○ 워크숍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성장 유형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 보고서 및 연구물 분석으로 도출된 전문 직무 유형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 교수자’와 ‘문화예술교육 기 획자’ 유형을 최종적으로 설정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는 Arte Master / Arte Expert / Arte Craftsman / Arte Journeyman / Arte Apprentice의 5수준으로 설정하였고, 발달 단계에 대한 정의 및 특징을 설정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 역량 체계는 기존의 3개 역량군(ART 역량군)을 한 축으로 하고 다른 한 축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의 5단계로 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별로 3개 역량군에 속한 세부 역량들을 제시하였음. - 교육과정-역량 매트릭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교육과정을 통합 및 세분화하고 누락된 역량들을 개발할 수 있는 신설 필요 교육과정을 도출하였음. 도출된 교육과정들 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성장 유형과 발달 단계에 근거하여 배치함으로써 문화예 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한 PRM(Program Roadmap)을 구성함. - 발달 단계와 성장 유형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하여 제 공되어야 할 교육 과정을 수정·보완 및 신설하고, 의무 및 선택 과정을 구분하여 문화 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를 수립하고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제시함.
viii|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 연구의 제언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체계적 육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역량에 근거한 선발과 육성, 평 가가 이루어져야 함.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관련된 내용을 어떻게 확인하는지에 대한 가이드가 제시되어야 하며,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모델에 포함 된 세부 역량별 역량 정의 및 행동 지표를 활용하여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Assessment Center, BEI(Behavioral Event Interview) 등과 같이 평가 대상자의 성과를 비교적 정확하 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함. 이를 위해 문화예술 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인지하고, 신뢰로운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판단 기준 적용 및 평가 방법에 관한 지침을 제시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개 발해 나가기 위해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제공하는 교육 경험과 자격 제도를 연계 시킬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해서 新교육체계에서 제시한 심화, 고급, 전문 과정 이수를 의 무화할 필요가 있음(학점 또는 시간 이수제).
○ 새롭게 도출된 2014년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는 학교․사회 예술강사를 포함한 문화예술교육 관련 사업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새로운 역량 및 교육 체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도 함께 이루어져야 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체계적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 력양성팀의 인력을 충원하고 본 연구에서 도출된 新교육체계에 따라 역할과 책임을 재정 립할 필요가 있음.
○ 다양한 기관 및 조직에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개발과 교육체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 그러나 연구진들의 역량에 대한 관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 양성 사업에 대한 이해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고 연구들 간 연계성 부족으로 연구 결과의 적용 및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따라서 향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전문성, 교육 체계 구축 관련 연구 진행시에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인력 양성 사업에 대한 이해 도가 높은 전문가들을 연구자 pool로 구성하고, 이들에게 연구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연구 의 연속성과 연구 결과 실행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임.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들을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를 양성하고, 문화예술교육사 자 격 제도의 질적 수준을 관리하기 위해 인증 및 평가를 전담하는 자격 평가 센터 설립을 요약|ix
추진할 필요가 있음. 구체적으로, 1급 자격의 경우 2급 자격증 소지자 중 희망자에 한해 1차 자격 심사를 실시하고, 심사 통과자를 대상으로 역량 평가 센터(Assessment Center) 를 적용하는 것임. 현실적으로 2급 과정의 경우 예산의 한계로 역량 평가 센터를 운영하 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므로 1차 자격 심사와 2차 면접 심사를 통해 자격을 인증할 것을 권장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들은 전국에 널리 퍼져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이 시행되는 장 소에 따라 접근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CoP 참여 인원도 제한적인 상황임. 따라서 단 기적으로는 많은 전문 인력들이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장기적으 로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노하우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지식 관리 시스템을 구 축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발달 단계별로 제시한 역량을 기반으로 문 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각 개인이 역량을 진단하고 그 결과로 역량별 수준을 파악하여 어 떠한 역량부터 우선적으로 개발 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할 수 있는 역량 진단 시스템을 구 축해야 함.
○ 일반적으로 역량은 차이 역량(differentiating competencies) 관점에서 ‘우수한 직무 수행자 와 평균적인 직무 수행자를 구분하는 특성’(Spencer & Spencer, 1993)으로 정의됨. 그러 나 현재의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모델은 한계 역량(threshold competencies) 관점 에서 직무 수행자가 최소한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 능력을 도출한 것임. 이것만으로는 우 수한 직무 수행자와 평범한 업무 수행자를 구별하기 어려우며, 현재 역량 모델은 역량 간 정의 구분이 명확치 않고, 도출되어 있는 역량의 숫자가 과다하다고 판단됨. 따라서 문화 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성장 단계별 특성에 기반을 두고, 검증된 역량 모델 개발 방법을 활용하여 우수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새로운 문화예 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
○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인적, 물적 자원과 인프라를 고려하고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특 성과 양성 목적이 반영된 고유의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과 프로세스를 수립하여 문화예술 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실행, 평가에 반영해야 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사업추진 기본계획(2013)에 의하면 기 수행된 사업(‘05년 ~ ’12년) 실적을 분석하여 성과 및 개선점을 도출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나,
x|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014년 이후의 전략 로드맵이 불명확하고, 추진 전략에 따른 세부 추진과제가 부재한 상 황이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전략을 구체화하고, 전략 실행을 위한 세부 추진 과제 및 추진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임.
요약|xi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및 절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과 관계된 문화교육예술사 양성 기관(대학 및 전문기관 등)이 확대되는 한편 각 양성 기관마다의 전문성 및 의지 차이로 인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의 통합적인 수준 관리가 요구되고 있음.
□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이후 문화예술교육 현장 매개자의 지속적인 수요와 요구 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양적인 증대(2012년 현재까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약 3만 6천여 명 양성)를 가져왔으나, 그들의 전문성과 역량 차원의 질적 관리는 지속적인 문제점으 로 지적되고 있음(백령, 이예림, 백종훈, 고영주, 2013).
□ 더불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학교⋅사회 예술강사의 교수자 역할 수행뿐만 아니라 문 화예술교육과 관련된 기관, 단체에서 기획, 운영, 관리자로써의 역할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해당 직무 수행 전문가 육성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체계 구축이 필요함.
□ 다시 말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경력이 수평·수직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전문성이 요구 되는 전문가 영역을 선정하고, 전문성 발달 단계를 도출하여 영역별, 단계별로 요구되는 역 량을 규명하고 이를 체계화한 역량 기반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정책변화 대응과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 구되는 전문성 향상 및 질 관리를 위해 전문 영역별 전문성과 역량에 기반을 둔 경력 성장 단계별 경로를 수립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 임.
□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인적, 물적, 제도적 현실성을 반영하고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효과적·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 것임.
I. 서론 |3
2. 연구 내용 □ 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구축을 위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내용은 아래와 같음.
□ 첫째, 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의 기반이 되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영역별․단계별로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역량 및 교육체계와 관련된 내부 문헌을 수집, 분석함.
□ 둘째,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및 역량 향상에 요구되는 교육체계를 도출하고, 교 육과정 운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 력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워크숍을 실시함.
□ 셋째,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목적과 유사한 목적을 갖고 해당 분야 인력의 전문성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체계를 실행하고 있는 타 기관의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 운 영 방안을 벤치마킹하여 그 현황과 시사점을 제시함.
□ 이상에서 분석,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2014 아르떼 아카데미 新교육체계를 수립하고 교육과 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한 운영 방안을 제시함.
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3. 연구 방법 및 절차 □ 이 연구는 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구축을 위해 현황 및 문헌 분석, 요구 분석, 벤치마킹, 新교육체계 도출 및 교육과정 운영 방안 제시의 연구 절차를 거침.
□ 첫째, 문헌 분석 단계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수 행한 연구 결과물과 내부 자료를 분석함. 이 단계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역량, 교 육체계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그 현황을 파악함.
□ 둘째, 요구 분석 단계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대상으 로 인터뷰와 워크숍을 실시함. 이 단계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진행된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체계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함.
□ 셋째, 벤치마킹 단계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목적과 유사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대학 문화예술교육원, 링컨센터 인스티튜트,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교육 및 자격 제도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교육체계 개선의 시사점을 제시함.
□ 넷째, 新교육체계 수립 단계는 앞서 실시된 문헌 분석, 요구 분석, 벤치마킹 결과에 기초하 여 수립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발달 단계(안),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안)을 도 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실 시하여 검토 및 수정⋅보완함.
□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제시 단계는 상기 문헌 분석, 요 구 분석, 벤치마킹, 워크숍 결과로 수립된 新교육체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
□ 이상의 연구 방법, 절차 및 단계별 세부 내용을 정리하면 제시된 <표 Ⅰ-1>과 같음.
I. 서론 |5
<표 Ⅰ-1> 연구 방법, 절차 및 단계별 세부 내용 연구 방법
목적
및 절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문헌
전문성 및 역량 발달 단계,
분석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 현황 파악
현황 분석
요구 분석
교육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
(FGI)
도출
벤치 마킹
新 교육 체계 수립 및 실행 방안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 교육 체계 수립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유사 사업의 교육체계 및 운영 방안 분석, 시사점 도출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수립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 제시
주요 내용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및 교육체계 관련 연구 분석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 운영 현황 분석
방안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교육과정 운영 방안 제시
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진흥원 내부 문헌 § 전문성 연구 자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진행된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체계의 현황 파악 및 문제점 도출
흥원 인력양성팀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 대학 문화예술교육원, 링컨센터 인스티튜트,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교육 및 자격 제도 운영 현황 분석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교육체계 개선의 시사점을 제시
§ 대학 문화예술교육원 § 링컨센터 인스티튜트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등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안)수립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안)제시 § 워크숍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안) 검토 및 수정, 보완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교육과정 운영 방안 제시
실행
대상(자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역할 및 기능 재구조화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관련 제도 정비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향후 연구 과제 및 사업 요구
§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인력양성팀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 연구진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관련 대내외 환경 변화 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및 교육체계 현황 3. 타 기관 인력 양성 사례 4. 요약 및 시사점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관련 대내외 환경 변화 □ 급변하는 사회․경제․문화 속에서 전문성 및 역량 개발은 국가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었고 이로 인해 민간기업, 공공기관 종사자뿐만 아니라 전문 프리랜서까지 다양한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경력 관련 전문성 및 역량 개발에 투자할 것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문화예술교육 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이에 따라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이후 문화예술관련 지원 사업이 대폭 확대되었 으며, 문화예술교육 현장 매개자의 지속적인 수요와 요구로 2013년 현재까지 예술강사, 에듀 케이터, 교원, 공무원 등 약 3만6천여 명이 직무 연수 및 인식 개선 연수를 받았음.
- 다음에 제시된 <표 Ⅱ-1>은 2005년 이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인력 양성 추진 현황 임.
- 인력 양성 현황을 살펴보면,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교육시수와 교육인원 모두 전반적으 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 교육시간은 2010년 3.015시간을 정점으로 조금씩 감소하고 있으나, 교육인원 수는 2010년 7,462명에서 2011년 4,521명으로 급감하였다가 2012년 다시 6,774명으로 증가되었음.
<표 Ⅱ-1> '05~'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 양성 추진 현황 구분 교육시수 (단위:시간) 교육인원 (단위:명)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계
79
582
1,691.5
1,542
1,930.5
3,015
2,680
1,925
13,445
323
2,068
5,886
3,035
5,975
7,462
4,521
6,774
36,044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9
[그림 Ⅱ-1] '05~'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 양성 추진 현황
□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으로 문화체육관광부는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등 전국 13개 기관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28조의 규정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기관으로 지정 고시(문화체육관광부 ‘13. 2. 1) 하였으며, 국공립 공연장·박물관·미술관·도서 관, 문화의 집, 전수회관 등 국공립 문화예술교육 시설에는 2016년 2월까지 1명 이상의 문 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하도록 하였음.
<표 Ⅱ-2>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제28조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지정 교육기관 소재지(13개) 서울(2개) 인천(1)
교육기관명 중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하대학교
대구․부산(2개)
계명대학교, 부산대학교
충남(1개)
중부대학교, 한서대학교
경북(2개)
경일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광주(2개)
호남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2개)
예원예술대학교, 백제예술대학교
1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위와 같은 변화 속에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사업의 중 추적인 공공기관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정책 변화와 학교․사회 기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의 요 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전문성 및 역량 개발 관련 연구, 이에 기반을 육성 체계 및 교육과정 개선 등의 활동을 추진해나가고 있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12년까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시범 사업을 추진하 였으며, 대상별, 내용별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해왔음.
- 13년에는 아르떼 아카데미 통합 운영 및 교육과정 체계화를 위해 심화, 고급 단계의 연수 를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사 1급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였음. 또한 현업 활용도 제고를 위한 평가 체계를 구축, 시행하고 통합적 연수 데이터(연수생, 교육강사, 교 육 실적 등) 집적을 통해 업무 효율화를 제고할 수 있도록 연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 축하였음.
- 나아가 14년부터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기관의 역할 모델이 되고 선도적인 역할 을 수행하기 위해 아르떼 아카데미를 확대 운영하고,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 개발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연수 평가 체계의 안정화 및 체제적인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문화예 술교육 인력 양성의 ‘사업-연구-연수-현장’ 간 선순환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우수한 문화 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고자 함.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11
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및 교육체계 현황 2.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체계 현황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체계 현황 분석 단계에서는 『2007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2009 역량기반 예술강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2009 역 량기반 기관단체 실무자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2010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핵심역 량 모델 구축연구』,『2012 문화예술교육사 등급별 교육과정 개발 연구』등의 자료들을 토 대로 기존의 예술강사와 기관단체 실무자,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 모델을 분석하였음.
2.1.1 2007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
□ PSI컨설팅에서 수행한 『2007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는 문화예술 교육 전문 인력의 의미 및 역할 정의를 바탕으로 예술 전문 인력(예술강사와 기관·단체 문화 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직무를 분류·분석하여 예술강사와 기관·단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에게 필요한 단위별 역량 모델을 수립하였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수행하는 직무 정의 및 역할, 필요 요건을 제시하였으며, 개인의 직무 경험에 기초하여 조직과 개인이 함께 계획하여 관리해나가는 취지로써 CDP(Career Development Plan)를 수립하였음.
- 직무 조사와 병행하여 실시한 역량 조사 결과 예술강사와 기관·단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 력 직군/직렬에 필요한 역량으로 최종 10개 역량을 도출하였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 대한 직무분석과 역량 모델링, CDP 설계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전문 인력 육성과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먼저 예술강사의 경력개발을 위한 제언 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개선과 예술강사의 직업적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들이 필요함을 제시함. 또한 기관·단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들에게 체계적인 경력경로와 경력개발 단계를 설정해주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음.
-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예술강사’와 ‘기관·단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역량 모델은 다 음의 <표 Ⅱ-3>, <표 Ⅱ-4>와 같음.
1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Ⅱ-3> 예술강사 역량모델(2007) 역량명
정의
1. 일에 대한 사명감
예술강사로서의 직업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소신있게 임한다.
2. 창의적 사고
새롭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안, 적용한다.
3. 순발력
4. 자기개발 및 학습
5.
상황이나 대상에 맞게 유연하게 대처하고 변화요인에 즉각적으로 대응한다.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잘 알고 지속적으로 분야에 맞는 전문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자 한다.
의사소통 및
교육 대상뿐만 아니라 주변 관련자들과 정확하게 의사소통하고 표
의사표현력
현하고자 하는 바를 원활하게 표현한다.
6. 교육 효과성 추구
7. 대인친밀성 8. 적극성/능동성 9. 자기통제력 10. 정보수집 및 활용
교육 목표에 맞게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끊임없이 점검하고 교 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적용한다. 사람들을 친근하고 편하게 대하며, 수업 대상 및 교사, 시설 관련자 등과 관계형성을 잘 한다. 매사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업무를 처리한다. 스트레스 상황이나 과도한 업무 혹은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자 신의 감정을 잘 다스리고 대처한다.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입수하고 적절히 활용한다.
- 예술강사 직군의 역량모델을 살펴보면 직업에 대한 소신과 자부심을 의미하는 일에 대한 사명감이 학교, 사회 예술강사 모두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선택되었음. 다음으로는 창 의적 사고가 필요한 역량으로 선택되었으며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교육 프로그램 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역량이 많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세 번째로 선택된 것은 순발력으 로 성인보다 통제하기 힘든 유아, 청소년 등의 교육 대상에 대해 눈높이를 맞추고 돌발적 인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역량을 의미함.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13
<표 Ⅱ-4> 기관·단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모델(2007) 역량명 1. 일에 대한 사명감 2. 적극성/능동성 3. 기획능력 4.
정의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으로서의 직업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소신 있게 임한다. 매사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업무를 처리한다. 목적과 대상에 맞게 적합한 아이디어와 핵심을 도출하고 실행계획 으로 구체화한다.
의사소통 및
교육 대상뿐만 아니라 주변 관련자들과 정확하게 의사소통하고 표
의사표현력
현하고자 하는 바를 원활하게 표현한다.
5. 순발력 6. 창의적 사고 7. 대인친밀성 8. 전체적 시각 9. 업무관리 및 조정 10. 자기개발 및 학습
상황이나 대상에 맞게 유연하게 대처하고 변화요인에 즉각적으로 대응한다. 새롭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안, 적용한다. 사람들을 친근하고 편하게 대하며, 수업 대상 및 교사, 기관ㆍ단체 관련자 등과 관계형성을 잘 한다. 업무 혹은 조직 전반을 보면서 일을 추진, 도모한다. 계획에 맞춰 적절히 업무를 배분, 조정하면서 업무가 제대로 완결되 도록 관리한다.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잘 알고 지속적으로 분야에 맞는 전문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자 한다.
- 기관·단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직군의 역량을 살펴보면 예술강사와 마찬가지로 직업에 대한 소신과 자부심을 의미하는 일에 대한 사명감이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선택되었음. 그 다음으로 적극성/능동성, 기획능력, 의사소통 및 의사표현력이 선택되었음. 예술강사와 달 리 전체적 시각, 기획능력, 업무 관리 및 조정과 같은 역량이 선택되었으며 이는 조직 내 에 상시 근무하면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역량으로서 예술강 사와 차별되는 부분이 반영된 것으로 예상됨.
□ 『2007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 점을 도출할 수 있음.
-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직군별 직무의 정의 및 역할, 필요 요건을 제시하였 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직무 분석과 CDP를 수립하였음. 그러나 문화예술 교육 전문 인력의 경력경로와 단계별 필요 역량을 연결하여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문 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경력이 발달함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이고, 그에 따라 필요 1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한 교육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음.
2.1.2 2009 역량기반 예술강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아그막에서 수행한 『2009 역량기반 예술강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는 기존의 직무 분석 및 CDP수립 보고서와 예술강사 Focus Group 워크숍, 교육위원회 연수 소위원회의 최 종 검증 등을 바탕으로 예술강사의 분야별 직무 미션을 설정하고, 예술강사의 역할을 문화실 천가, 교육기획자, 교육매개자, 교육평가자의 네 가지로 정의하였음.
- 이에 예술강사의 직무 미션 달성 및 역할 수행에 필요한 공통역량과 전문역량 총 32개를 도출하였고, 예술강사 역할별 역량 매트릭스를 제시하였음.
- 예술강사의 역량을 그 목적성에 따라 Art Specialty(예술전문성) 역량군, Relationship & Management(관계 및 관리) 역량군, Teaching(교육전문성) 역량군 등 크게 세 개의 역량군 으로 분류하고, 각 역량군의 영문 머리글자를 따서 ‘ART 역량 모델’이라 명명하였음.
- 예술강사 ART 역량 모델의 하위 역량 개발을 위한 영역별/분야별 공통 교과목과 고유 교 과목을 제시하였으며, 연차별로 공통역량강화, 핵심역량강화, 전문역량강화로 분류하여 제 시하였음.
-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예술강사 ART 역량 모델의 구성과 정의는 <표 Ⅱ-5>, [그림 Ⅱ-1] 과 같음.
<표 Ⅱ-5> 예술강사의 역량 모델(2009) 역량명 1.
2.
3.
4.
정의
국악분야
국악 전문가로서 국악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전문성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만화/애니메이션 만화애니메이션 전문가로서 만화애니메이션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분야 전문성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무용분야
무용 전문가로서 무용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전문성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미술분야
미술 전문가로서 미술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전문성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15
역량명 5.
6.
7.
8.
9.
10.
11.
12.
연극분야
연극 전문가로서 연극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전문성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영화분야
영화 전문가로서 영화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
전문성
적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음악분야
음악 전문가로서 음악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전문성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타 예술분야
타 예술 장르에 대한 열린 사고와 적극적인 수용을 바탕으로 학습 대상
통합능력
자에게 적절한 통합교육을 제공하는 능력
교육요구
학습대상자 및 이해관계자들의 교육적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교육과정
분석능력
개발 및 단위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는 능력
교육인프라
수업 자료, 교육 일지, 활동사진, 결과물 등의 자료를 시스템으로 구축
구축능력
관리하는 능력
교육프로그램
학습대상자의 특성과 교육필요점을 고려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능력
개발하는 능력
교육효과
교육목표에 맞게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끊임없이 점검하고 교육효
평가능력
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능력
13. 수업실행능력 14.
15.
16.
17.
20.
수업계획안을 작성하여 효과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능력
역량개발
학생들의 수준에 대한 진단과 부족한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상담능력
방법을 안내, 조언 및 지도하는 능력
정보수집 및
다양한 채널을 통해 가치 있는 정보를 수집 및 학습하고 이를 체계화
활용능력
하여 교육 개발에 활용하는 능력
창의적 교수법
수업을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획기적인 교수법을 설계
개발능력
및 개발할 수 있는 능력
컴퓨터 활용능력
18. 코칭능력
19.
정의
학 습 의 성 과 를 향 상 시 키 기 위 하 여 각 종 S/W 를 효 과 적 으 로 사 용 하 는 능 력 타 예술강사들의 능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장학지도 피드백, 관련 정 보 제공, 교육적인 지원 등 체계적 육성활동을 전개하는 능력
프리젠테이션
적절한 시각적, 청각적 수단을 활용하여 강사가 의도하는 바를 학생에
능력
게 전달 이해시키는 능력.
학습대상자
학습대상자의 인적 환경적 특성을 이해하며 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파악
이해력
하는 능력
1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1.
22.
역량명
정의
학습대상자
학습대상자들의 업무수행 과정과 결과에 대해 객관적인 기준에 의거하
평가능력
여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평가하는 능력
학습자잠재력
학습대상자에게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향상할 수
개발능력
있도록 촉진하는 능력
23. 대인친화력
24. 동기부여능력 25. 문제해결능력 26.
29.
30.
학습대상자나 다른 강사들에게 예술 분야에 대한 미래 비전을 갖게하고 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능력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능력 학습자들이 자신과 다른 가치관, 문화적 배경 관점을 지닌 사람들의 다
융합능력
양성을 인정하고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촉진하는 능력
업무관리 및 조정능력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현황과 비전, 이념 및 철학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통하여 교육 성과 달성에 기여하는 능력 관계 기관(시설 및 학교, 진흥원)과 예술강사간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주어진 행정업무를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고 업무를 조정하는 능력
의사소통
다른 사람의 생각을 수용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함
능력
으로써 상호간에게 바람직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능력
일에 대한
예술 강사로서의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고 소신
사명감
있게 임하는 능력
31. 자기통제력
32.
게 대하며 인간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
문화적 다양성
27. 사업이해력
28.
학습대상자 교사, 시설 또는 학교, 진흥원 관계자들에게 친근하고 편하
스트레스 상황이나 과도한 업무 혹은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잘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파트너십
시설 또는 학교, 예술강사, 진흥원 등 관련 조직 및 사람들과 상호협조
구축능력
적이며 지원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신뢰를 구축하는 능력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17
[그림 Ⅱ-2] 예술강사 ART 역량 모델(2009)
- 예술강사의 ART 역량 모델을 기반으로 예술강사의 네 가지 역할의 정의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교육위원회 자문위원의 검증, 인력양성팀과의 협의 및 수정 보완 과정을 거쳐서 확정된 역할별 역량의 매트릭스는 다음 <표 Ⅱ-6>과 같음.
<표 Ⅱ-6> 예술강사의 역할과 역량 매트릭스(2009) 역할명 역량명 문화실천가 교육요구 분석능력
교육기획자
교육매개자
교육평가자
○
교육인프라 구축능력
○
교육프로그램 개발능력
○
○
교육효과 평가능력
○
국악분야 전문성
○
대인친화력
○
1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 ○
○
역할명 역량명 문화실천가
교육기획자
교육매개자
교육평가자
동기부여능력
○
만화애니메이션분야 전문성
○
○
○
○
무용분야 전문성
○
○
○
○
○
○
문제해결능력
○
문화적다양성 융합능력
○
○
미술분야 전문성
○
○
○
사업이해력
○
○
○
수업실행능력
○
업무관리 및 조정능력
○
역량개발 상담능력
○
○
○
연극분야 전문성
○
○
○
○
영화분야 전문성
○
○
○
○
음악분야 전문성
○
○
○
○
의사소통능력
○
○
○
○
일에 대한 사명감
○
○
파트너십 구축능력
○
프리젠테이션 능력
○
학습대상자 이해력
○
○
학습대상자 평가능력 학습자잠재력 개발능력
○ ○
○
□ 『2009 역량기반 예술강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음.
-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실행을 위한 예술강사의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역량에 기반한 예술 강사 연수 기본 교육과정을 개발하였음. 그러나 예술강사의 발달 단계별로 요구되는 역량 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없고 역량과 교과목의 연결 또한 명확하지 않다는 한계를 지님.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19
2.1.3 2009 역량기반 기관단체 실무자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 Impact Consulting Korea에서 수행한 『2009 역량기반 기관단체 실무자 연수 교육과정 개 발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 실무자라는 직무에 대해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 여 기관단체 실무자 인터뷰, 워크샵을 실시하였고,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 실무자의 역할과 역할에 따른 능력 요소를 도출하였음.
- 도출된 능력요소를 내용적 측면에서 유사하거나 활용적 측면에서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 는 것들끼리 Grouping을 실시하고, 이것들을 대표할 수 있는 역량의 Naming 작업을 거쳐 19개 역량을 도출하였음.
- 다음으로 연수 참여자를 대상으로 on-line설문을 통해 도출된 역량을 검증하였음. 분석 결 과 기관단체 실무자의 역량모델은 크게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대외환경 이해능력과 같은 기본 역량과 교육전문성, 대외 관계 역량, 업무수행관리 등의 전문 역량으로 제시하였 음.
- 도출된 역량의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을 계열화 및 체계화하여 기관단체 실무자의 연차별 역량 요구 수준과 교과목, 교육 시기 등을 제시하였음.
-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 실무자 역량 모델의 구성과 정의는 [그림 Ⅱ-2]와 <표 Ⅱ-7>와 같 음.
2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그림 Ⅱ-3] 기관단체 실무자 역량모델
<표 Ⅱ-7> 기관단체 실무자 역량 역량명 1.
교육기획력
정의 소속기관 및 지역사회의 성격에 부합하고, 정부지원사업 및 진행예 정인 사업과 연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역량
2.
학습환경
소속기관 및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론, 참가자의 심리적인
분석능력
특성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목적, 내용, 방법 및 유형, 평가를 계획하고 수립하는 역량
3. 교육 전문성 4. 역량
행사기획 및 소속기관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목적에 부합하고, 교육프로그램을 부 운영능력
각시키기 위한 행사 및 전시를 기획하여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역량
교육효과
진단 및 평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종 교육프로그램이나 후원
분석능력
사업, 공모사업 등에 대한 진단과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정성적 및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평가하는 역량
5.
멀티미디어 매체활용 능력
6.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 자료로 전환하여 제공 또는 필요시 가공할 수 있는 역량
Contents
학습설계서에 의거하여 강의용 자료를 제작하여 효과적으로 가르칠
전달력
수 있는 역량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21
역량명 7. 8.
정의
교육홍보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의 홍보를 위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매체를
기획력
선정하는 역량
마케팅
후원사업의 특성에 맞추어 소속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이 원활히 진행
기획력
될 수 있도록 기존의 후원기관 (기업, 지자체, 지역사회 기관 등)을 관리하고, 신규 기관을 발굴하는 기획을 하는 역량
대외
9.
프 리 젠 테 이 션 적절한 시청각 수단을 활용하여 자신이 의도하는 바를 상대에게 전
관계
능력
역량
10. 조정 및 의사결정력
달, 이해시키는 역량 사람들 사이의 아이디어나 정보의 교환을 촉진시키고, 다양한 아이 디어나 의견을 중재하여 신속, 정확한 결정 이끌어 낼 수 있는 역량
11. 커 뮤 니 케 이 션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고, 말로서 자신의 의견을 정확하고 논리적 능력 12. 파트너십 구축력 13. 사업정보
으로 표현하여 타인을 이해시키는 역량 관련 조직 또는 사람들과 상호협조적이면서 지원적인 관계를 통해 win-win의 관계를 맺어나가는 역량 다양한 경로를 활용하여 공모사업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
수 집 및 활 용 보를 바탕으로 업무에 활용하는 역량 14. 컴퓨터 업무 수행 관리 역량
활용능력 15. 프로젝트 추진력
컴퓨터를 활용하여 문서나 자료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보관하거나 분석하는 업무에 활용하는 역량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가용 가능한 자원을 적절히 배 분하고 일정대로 추진하는 역량
16. 예산관리
소속기관의 회계기준, 지방자치 단체 등 사업위탁기관의 처리 기준
능력
등 경리집행관련 업무처리 방법 및 절차를 명확히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역량
17. 문서작성 능력 18. 문화예술
문서작성의 절차와 방법, 기준 등에 따라 의도한 바를 논리정연하게 문서로 표현할 수 있는 역량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직업인으로서 문화예술 저변확대를 위해 스스로
교육에 대한 먼저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참가자들의 정서적 성장 기본 역량
사명감
에 기여하고자 노력하는 역량
19. 대외환경
중장기 및 당해연도 정부정책의 방향을 이해하고, 정부정책과 관련
이해능력
법률이 소속기관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강구하는 역량
□ 『2009 역량기반 기관단체 실무자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음.
-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을 전담하는 기관단체 실무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고, 이 에 따른 교육체계를 수립하였음. 그러나 교육체계 수립의 기준으로 연차만을 고려하였기
2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때문에 기관단체 실무자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 를 지님.
2.1.4 2010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핵심역량 모델 구축연구
□ 숭실대학교에서 수행한 『2010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핵심역량 모델 구축연구』는 2009년 도출된 ‘예술강사 ART 역량 모델’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예술강사의 역량을 진단과 예술강 사 관리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예술강사의 역할과 그에 따른 역량을 재규명하였음.
- 『2009 예술강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서 도출된 예술강사 ART 역량모델의 32개 역량 pool을 토대로 예술강사의 미션과 역할에 비추어 23개 역량 pool을 재구성하였음. 재 구성된 역량 pool을 토대로 분야별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예술강사들을 대상으로 현장 모 니터링과 인터뷰, 문화예술교육 핵심이해관계자 서면질의 등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 역량 모델을 확정하였음.
- 예술강사의 경력단계를 기반강화(신규 강사), 전문화(2~4년차), 통합화(5년차 이상), 공통 단계로 구분하여 경력단계별로 요구되는 중점 역량을 분류하고, 각 경력단계에 따라 어느 역량을 집중 개발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음.
- 또한 역량 평가의 관점에서 평가항목의 우선순위와 평가 역량별 비중을 설정하여 예술강사 역량평가체계를 제안하였음.
- 먼저 기존 ‘예술강사 ART 역량모델’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조정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 Ⅱ-8>과 같음.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23
<표 Ⅱ-8> 예술강사 역량 pool 조정 내용 역량군
기존 역량 (32개)
조정 내용
조정 후 역량(23개)
국악분야전문성 Art specialty (예술 역량군) 8개 ↓ 2개
만화애니메이션분야 전문성
통합
무용분야전문성
00분야전문성
미술분야전문성
↓
연극분야전문성
자기예술분야
영화분야전문성
전문성
자기예술분야전문성 타예술분야통합능력
음악분야전문성 타예술분야통합능력
Relationship & Management (관계&관리 역량군) 10개 ↓ 8개
대인친화력 동기부여능력 문제해결능력 문화적다양성융합능력 사업이해력 업무관리 및 조정능력 의사소통능력 일에 대한 사명감 자기통제력 파트너십구축능력
통합, 문화적다양성 융합능력 ↓ 문제해결능력 분할, 흡수, 통합 파트너십구축능력 ↓ 업무관리 및 조정능력,
14개 ↓ 13개
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창의적교수법개발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코칭능력 프리젠테이션능력 학습대상자이해력 학습대상자평가능력 학습자잠재력개발능력
2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업무관리 및 조정능력 의사소통능력 일에 대한 사명감 자기통제력
교육프로그램개발능력
교육효과평가능력
(교수 역량군)
사업이해력
교육인프라구축능력
교육프로그램개발능력
역량개발상담능력
문제해결능력
교육요구분석능력
교육인프라구축능력
Teaching
동기부여능력
대인친화력
교육요구분석능력
수업실행능력
대인친화력
교육효과평가능력 분할, 흡수, 통합
수업실행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역량개발상담능력
↓
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프리젠테이션능력,
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교육인프라
창의적교수법개발능력
구축능력
코칭능력 프리젠테이션능력 학습대상자이해력 학습대상자평가능력 학습자잠재력개발능력
- 다음으로 조정내용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제시한 역량모델의 구성과 정의는 다음의 [그 림 Ⅱ-3]과 <표 Ⅱ-9>와 같음.
[그림 Ⅱ-4] 예술강사 ART 역량 모델(2010)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25
<표 Ⅱ-9> 예술강사의 역량모델(2010) 역량군
하위 역량군
역량명
역량의 정의
자기예술분야 1. 자기예술분야 해당 예술분야의 전문가로서 해당 예술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지식을 갖추고 Art specialty
전문성
전문성
(예술역량군)
타예술분야
2. 타예술분야
전문성
통합능력 3. 대인친화력
전문적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타 예술장르에 대한 열린 사고와 적극적인 수용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적절한 통합교육을 제공하는 능력 학습자, 교사, 학교나 시설, 진흥원 관계자들에게 친근하고 편하게 대하며 인간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
관계형성능력
4. 의사소통능력 다른 사람의 생각을 수용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상호간에게 바람직한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능력 5. 코칭능력
타 예술강사들의 능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장학지도 피드백, 관련 정보 제공, 교육적인 지원 등 체계적 육성활동을 전개하는 능력
Relationship & Development
6. 문제해결능력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능력 문제해결능력 7.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상황이나 과도한 업무 혹은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잘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관계&관리역량
8. 업무관리 및
군) 행정관리능력
조정능력 9. 교육인프라 구축능력 10. 사업이해력
일에 대한 사명감
관계 기관(학교나 시설, 진흥원)과 예술강사 간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주어진 행정업무를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고 업무를 조정하는 능력 수업 자료, 교육 일지, 활동사진, 결과물 등의 자료를 시스템으로 구축 관리하는 능력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현황과 비전, 이념 및 철학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통하여 교육 성과 달성에 기여하는 능력
11. 일에 대한 사명감
2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예술 강사로서의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고 소신 있게 임하는 능력
역량군
하위 역량군
역량명 12. 교육요구 분석능력 13. 교육프로그램 개발능력 14. 교육효과
교육기획능력
평가능력 15. 역량개발 상담능력 16. 학습대상자 이해력 17. 학습대상자
Teaching
평가능력
(교수역량군)
역량의 정의 학습자 및 이해관계자들의 교육적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발 및 단위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는 능력 학습대상자의 특성과 교육 필요점을 고려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능력 교육목표에 맞게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끊임없이 점검하고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능력 학생들의 수준에 대한 진단과 부족한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방법을 안내, 조언 및 지도하는 능력 학습자의 인적, 환경적 특성을 이해하며 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파악하는 능력 학습자들의 업무수행 과정과 결과에 대해 객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평가하는 능력
18. 수업실행능력 수업계획안을 작성하여 효과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능력 19. 동기부여능력 학습대상자나 다른 강사들에게 예술 분야에 대한 미래 비전을 갖게 하고 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능력 수업실행능력 20. 프리젠테이션 적절한 시각적, 청각적 수단을 활용하여 강사가 의도하는 바를 학생에게 전달 능력
이해시키는 능력
21. 학습자잠재력 학습자에게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향상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개발능력
능력
22. 창의적교수법 수업을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획기적인 교수법을 설계 및 개발할 수 창의적교수법
개발능력
개발능력
23. 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있는 능력 다양한 채널을 통해 가치 있는 정보를 수집 및 학습하고 이를 체계화 하여 교육 개발에 활용하는 능력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27
- 또한 『2010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핵심역량 모델 구축연구』에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내부 연구문헌과 외부 연구문헌 분석과 유사 및 관련 기관 벤치마킹을 통하여 예술강 사의 역할을 예술가, 교육자, 사업가로 재정의하였고, 그에 따른 역량 매트릭스를 제시하였 음. 이는 다음의 <표 Ⅱ-10>과 같음.
<표 Ⅱ-10> 예술강사의 역할과 역량 매트릭스(2010) 역량명
역할명 예술가
자기예술분야전문성
○
타예술분야통합능력
○
교육자
사업가
교육요구분석능력
○
교육인프라구축능력
○
교육프로그램개발능력
○
교육효과평가능력
○
대인친화력
○
○
동기부여능력
○
○
문제해결능력
○
○
사업이해력 수업실행능력
○ ○
업무관리 및 조정능력
○
역량개발상담능력
○
의사소통능력
○
○
일에 대한 사명감
○
○
프리젠테이션능력
○
학습대상자이해력
○
학습대상자평가능력
○
학습자잠재력개발능력
○
자기통제력
○
○
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
○
창의적교수법개발능력
○
코칭능력
○
2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2010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핵심역량 모델 구축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 점을 도출할 수 있음.
- 이 연구는 2009년 예술강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도출된 ‘예술강사 ART역량 모델’ 을 개선하여 예술강사의 역량을 재규명하고 보다 정교한 행동지표를 제시하였음. 예술강사 의 역량에 기반한 예술강사 평가 및 관리제도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경력단계별로 요구되는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음.
2.1.5 2012 문화예술교육사 등급별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숭실대학교에서 수행한 『2012 문화예술교육사 등급별 교육과정 개발 연구』는 기존 2007 년, 2009년, 2010년에 수행된 예술강사와 기관단체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역량모델링 연구 들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여 ‘문화예술교육사’라는 새로운 직무에 부합하는 역량 모델을 제 시하였음.
- 분야별 예술강사와 기관단체실무자의 직무를 문화예술교육사라는 하나의 직무로 새롭게 재 정의하고, 직무과업단위를 정의하였음.
- 기존 역량 pool을 분석하여 영역별 과업 수행에 필요한 역량 규명을 위한 워크숍을 실시하 고, 대학교 문화예술전공 관련 교과목을 조사하여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모델을 수립하였 음.
- 다음으로 교육단계 구분기준을 활동기간(연차별)이 아닌 등급별 교육단계로 재편성하였고, 예술강사 교과목을 기반으로 기관단체실무자의 직무영역에 필요한 교과목을 재편성하였음.
- 도출된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군을 살펴보면 크게 3개의 역량군과 9개의 하위 역량군으로 분류되고 총 41개의 세부 역량들로 구성되며, 그 내용과 정의는 다음의 <표 Ⅱ-11>과 같 음.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29
<표 Ⅱ-11> 문화예술교육사 역량모델 역량군
하위
역량명
역량군
1. 공예분야전문성 2. 국악분야전문성 3. 디자인분야전문성 4. 만화/애니메이션분야전문성 전공 Art specialty (예술역량군)
5. 무용분야전문성
영역 전문성
6. 미술분야전문성 7. 사진분야전문성 8. 연극분야전문성 9. 영화분야전문성 10. 음악분야전문성
타 영역 전문성
11. 타 영역전문성
3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역량 정의 공예 전문가로서 공예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국악 전문가로서 국악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디자인 전문가로서 디자인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 문적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만화/애니메이션 전문가로서 만화/애니메이션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무용 전문가로서 무용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미술 전문가로서 미술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사진 전문가로서 사진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연극 전문가로서 연극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영화 전문가로서 영화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음악 전문가로서 음악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 인 실기능력을 발휘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타 예술장르에 대한 열린 사고와 적극적인 수용을 바탕으로 학습대상자에 게 적절한 통합교육을 제공하는 능력
역량군
하위 역량군
역량명 12. 교육기획력
역량 정의 소속기관 및 지역사회의 성격에 부합하고, 정부지원사업 및 진행예정인 사 업과 연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능력 진단 및 평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종 교육프로그램이나 후원사업,
13. 교육요구 및 성과분석력
공모사업 등에 대한 진단과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정성적 및 정량적 데이 터를 수집하여 분석, 평가하는 능력
14. 교육정보 수집 및 분석능력 교육과정 Teaching
개발 및
(교수 역량군)
교육 기획 역량
15. 교육프로그램 개발능력 16. 학습자역량 개발 및 상담능력 17. 학습대상자 이해력
다양한 채널을 통해 가치 있는 정보를 수집 및 학습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교육개발에 활용하는 능력 학습 대상자의 특성과 환경, 교육요구를 고려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 고 개발하는 능력 학생들의 수준에 대한 진단과 부족한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방 법을 안내, 조언 및 지도하는 능력 학습대상자의 인적, 환경적 특성을 이해하며 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파악하 는 능력 소속기관 및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론, 참가자의 심리적인 특성에
18. 학습환경 분석능력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목적, 내용, 방법 및 유형, 평가를 계획하 고 수립하는 능력
19. 행사기획 및 운영능력
소속기관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목적에 부합 하고 교육프로그램을 부각시키 기 위한 행사 및 전시를 기획하여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능력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31
역량군
하위
역량명
역량군
20. 동기부여능력 21. 문화적 다양성 융합능력 22. 수업실제 운행능력 교수 -학습 운영 역량
23. 프리젠테이션 능력 24. 학습대상자 평가능력 25. 학습자잠재력 개발능력
Teaching (교수 역량군)
26. 학습효과 평가능력
역량 정의 학습대상자나 다른 강사들에게 예술분야에 대한 미래비전을 갖게하고 교육 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능력 학습자들이 자신과 다른 가치관, 문화적 배경, 관점을 지닌 사람들의 다양 성을 인정하고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촉진하는 능력 수업계획안을 작성하여 효과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능력 적절한 시각적, 청각적 수단을 활용하여 강사가 의도하는 바를 학생에게 전달, 이해시키는 능력 학습대상자들의 업무수행 과정과 결과에 대해 객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평가하는 능력 학습대상자에게 잠재되어있는 능력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향상할 수 있도 록 촉진하는 능력 교육목표에 맞게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끊임 없이 점검하고 교육효과 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능력 새로운 현상이나 견해에 개방적이고 수용적이며 심미적 안목을 갖고 호기
27. 창의성
심과 상상력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기존의 현상을 재해석하고 독창적이 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발현할 수 있는 능력
창의
28. 창의적교수법 개발능력
역량 29.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30. 창의프로그램 개발능력
3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수업을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획기적인 교수법을 설계 및 개발할 수 있는 능력 문제를 발견하고 탐구하며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역량을 발휘하는 한편 최적의 대안을 탐색하고 선정하여 추진해 가는 능력 학습자의 창의적 특성 및 역량을 이해하고,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며, 문화예술 각 분야에 적절한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능력
역량군
하위 역량군
역량명 31. 대인친화력
관계 Relationship &
32. 의사소통능력
형성 역량
Management
33. 코칭 능력 34. 파트너십 구축력
(관계&관리
35. 문제해결능력
역량군) 문제 해결 역량
36. 자기통제력 37. 조정 및 의사결정력
역량 정의 학습대상자, 교사, 시설 또는 학교, 진흥원 관계자들과 인간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 다른 사람의 생각을 수용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함으 로써 상호간에게 바람직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능력 타 문화예술교육사들의 능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장학지도, 피드백, 관 련 정보 제공, 교육적인 지원 등 체계적 육성활동을 전개하는 능력 시설 또는 학교 ,문화예술교육사, 진흥원 등 관련 조직 및 사람들과 상호 협조적이며 지원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신뢰를 구축하는 능력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 스트레스 상황이나 과도한 업무 혹은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잘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사람들 사이의 아이디어나 정보 의 교환을 촉진시키고, 다양한 아이디어나 의견을 중재하여 신속, 정확한 결정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력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33
역량군
하위
역량명
역량군
38. 교육 홍보 기획력
역량 정의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의 홍보를 위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매체를 선정하 는 역량 중장기 및 당해 연도정부정책의 방향을 이해하고, 정부정책과 관련 법률이
39. 대외환경 이해능력
소속기관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강 구하는 능력 후원사업의 특성에 맞추어 소속 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이 원활히 진행될 수
Relationship &
사업
Management
추진
(관계&관리
역량
40. 마케팅기획력
있도록 기존의 후원기관(기업, 지자체, 지역사회 기관 등)을 관리하고, 신 규기관을 발굴하는 기획을 하는 능력
41.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역량군) 42. 사업이해력 43. 사업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44. 프로젝트 추진력
3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고 소신 있게 임하는 능력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현황과 비전, 이념 및 철학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통 하여 교육성과 달성에 기여하는 능력 다양한 경로를 활용하여 공모사업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업무에 활용하는 능력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가용한 자원을 적절히 배분하고 일정 대로 추진하는 능력
역량군
하위 역량군
역량명 45. 교육인프라 구축능력 46. 멀티미디어매체 활용능력
Relationship &
행정
Management
관리
(관계&관리
역량
47. 문서작성능력
역량 정의 수업 자료, 교육 일지, 활동사진, 결과물 등의 자료를 시스템으로 구축, 관 리하는 능력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 자료로 전환하여 제공 또는 필요 시 가공할 수 있는 능력 문서작성의 절차와 방법, 기준 등에 따라 의도한 바를 논리정연하게 문서 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관계기관(시설또는학교,진흥원) 과 문화예술교육사간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
48. 수업행정업무관리능력
히 인식하고 주어진 행정업무를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고 업무를 조정하는 능력
역량군)
소속 기관의 회계 기준, 지방자치단체 등 사업 위탁기관의 처리 기준 등 49. 예산관리능력
경리집행 관련 업무 처리방법 및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
는 능력 50. 컴퓨터활용능력
학습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 S/W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35
- 예술강사와 기관단체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새롭게 도출된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 모델 과 기존의 예술강사 ART 역량 모델과 비교해보면 다음의 <표 Ⅱ-12>와 같음.
<표 Ⅱ-12> 예술강사 역량 모델과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모델의 차이점 역량군
예술강사 역량 모델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모델
차이점
Art Specialty (예술 전문성
•전공영역전문성(분야별)
•전공영역전문성(분야별)
•타 영역전문성(분야별)
•타 영역전문성(분야별)
1. 교육기획역량
1. 교육과정개발 및 교육기획력 -5개 역량 신설
-동일함
역량군) •교육요구분석능력
(수정)
•교육정보수집및분석능력 •교육정보수집및분석능력 •교육요구및성과분석력(수정)
•역량개발상담능력
•교육프로그램개발능력
•창의적교수법개발능력
•학습자역량개발상담능력(수정)
•창의성
•학습대상자이해력
•학습대상자이해력
•창의적
•행사기획 및 운영능력(신규)
(교수 역량군)
분석능력
•교육프로그램개발능력
•학습환경분석능력(신규)
Teaching
•학습환경 •행사기획 및 운영능력
문제해결능력 •창의프로그램
2. 수업실행역량
2. 교수-학습운영역량
•동기부여능력
•동기부여능력
•문화적다양성융합능력
•문화적다양성융합능력
•수업실행능력
•수업실제운행능력(수정)
•프레젠테이션능력
•프레젠테이션능력(수정)
•교육기획력
•학습대상자평가능력
•학습대상자평가능력
•교육요구 및
•학습자잠재력개발능력
•학습자잠재력개발능력
•학습효과평가능력
•학습효과평가능력 3. 창의역량(신규) •창의성(신규) •창의적교수법개발능력 •창의적문제해결능력(신규) •창의프로그램개발능력(신규)
3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개발능력 -6개 역량 명칭 수 정
성과분석력 •학습자역량 개발상담능력 •수업실제 운행능력 •프레젠테이션 능력
역량군
예술강사 역량 모델
1. 관계형성역량
-8개 역량 신설
•대인친화력
•대인친화력
•교육홍보기획력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외환경
•코칭능력
•코칭능력
•파트너십구축력
•파트너십구축력
•마케팅기획력
2. 문제해결역량
•사업정보수집
•문제해결능력 •자기통제력 3. 행정관리역량 Relations •교육인프라구축능력 •사업이해력
Managem •업무관리 및 조정능력 ent (관계 &
차이점
1. 관계형성역량
2. 문제해결역량
hip &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모델
•일에 대한 사명감 •컴퓨터활용능력
관리 역량군)
이해능력
•문제해결능력
활용능력
•자기통제력
•프로젝트
•조정 및 의사결정력(수정) 3. 사업추진역량(신규)
추진능력 •멀티미디어매체
•교육홍보기획력(신규)
활용능력
•대외환경이해능력(신규)
•문서작성능력
•마케팅기획력(신규)
•예산관리능력
•문화예술교육에
및
대한
사명감 -3개 역량 수정
(수정)
•조정 및
•사업이해력
의사결정력
•사업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신규)
•문화예술교육 대한 사명감
•프로젝트추진능력(신규) 4. 행정관리역량
•수업행정업무 관리능력
•교육인프라구축능력 •멀티미디어 매체활용능력 (신규) •문서작성능력(신규) •수업행정업무관리능력(수정) •예산관리능력(신규) •컴퓨터활용능력 □ 『2012 문화예술교육사 등급별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음.
-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의 등급별 교육과정 및 운영체계 수립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의 직무분석, 역량 모델링을 실시하여 교육과정체계를 수립하였음. 그러나 도출된 역량 모 델을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하여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교과목들을 자 격 등급과 전공, 분야별로 구분하여 정리해 놓은 수준에 그쳐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문성 발 달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님.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37
2.2 2013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분석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아르떼 아카데미(Arte Academy)는 학교와 사회 기관 에 출강하는 예술강사, 기관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등 문화예술교육의 핵심 매개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 프로그램으로 이들의 문화적 역량과 전문성을 함양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창의적 리더와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임.
- 2013년 아르떼 아카데미는 문화예술교육 예비 인력 양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컬처펍 (Culture P.U.B.)>, 예술강사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 수>, <학교·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및 협력자들의 역량 개발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자발적 학습을 유도하는 <아르떼 지식공유 CoP>,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전문 강사 양성을 위한 <아르떼강사 양성과 정> 등이 통합되어 구성되어 있음.
- 2013년 아르떼 아카데미는 강사 그룹, 교육기획자 그룹 등으로 이루어진 문화예술교육 직 접 매개자, 정책 그룹, 학교 그룹, 지역 그룹, 문화기반시설 그룹, 기업 그룹 등으로 이루어 진 문화예술교육 협력자와 일반인, 학부모, 예비 문화예술교육인력 등으로 이루어진 문화 예술교육 잠재인력을 주요 교육대상으로 함.
- 2013년 아르떼 아카데미는 교육단계별로 문화예술교육 이해와 문화예술교육 인물탐구, 현 장 기본 소양의 이해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 기초 단계, 직무 관련 기본교육과 문화예술 교육의 이해 및 체험 중심 연수로 이루어진 기본 단계, 현장인력 교육역량 및 전문성 강화 를 위한 심화 연수와 분야 융합을 위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 심화 단계, 문화예술교육 리더 양성과 문화적 리더십 배양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 고급 단계로 이루어짐.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제시하는 2013 아르떼 아카데미의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의 <표 Ⅱ-13>과 같음.
3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Ⅱ-13> 2013 아르떼 아카데미 프로그램 교육단계
프로그램
주요내용
명칭
기초
컬쳐펍
- 이해: 문화예술교육 사업 및 현장이해
(Pre-Basic
(Culture
- 실행: 모둠별 현장탐방 및 기획서 작성
Program)
P.U.B.)
- 공유: 과제 수행 결과 발표 및 피드백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기본 (BP, Basic Program)
- 상반기: 예술강사론, 교육대상의 이해, 교안작성 실습 워크숍, 교육현장 사례공유 세미나, 커리어맵 작성 등 - 하반기: 연간수업계획서 컨설팅, 모의수업 및 피드백, 프로그램 기획 워크숍 등 - 의무과정: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을 담은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사회단체
- 선택과정: 공감과 설득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스킬, SNS를 활용
실무자
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전략 탐구, 문화예술교육 단
연수
체 역량강화를 위한 보조금 정산의 이해, 사회문화예술교육 콘 텐츠개발 프로젝트 - 특수학교 배치 예술강사 연수, 심리극을 활용한 교육대상의 이해
학교·사회 - 교수역량강화(수업분석, 마이크로티칭) 예술강사
- 분야별 전공실기지도법, 상담기법(아동, 노인)
심화연수
- 분야별 우수 교수학습지도안 탐구, 프로그램 기획, 학습분위기 조성 콘텐츠 개발, 교보재 개발 워크숍, 재미있는 수업 만들기 등
심화 (HP, Highpotential Program)
- 인문키움: 매체활용 인문학 표현 사례 탐구 문화 예술교육 키움
- 창의키움: 문화예술교육 창의놀이 개발 - 교원 역량키움: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획인력 역량키움: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 만들기
- 행정인력 역량키움: 문화예술교육 조직의 지속성장을 꿈꾸다 아르떼 지식공유 CoP 고급 (EP, Executive Program)
아르떼 강사 양성과정
-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컨텐츠 체험 워크숍 - 문화예술교육 자원지도(Contents Map) 만들기 - 1기: 프로젝트 운영, 학습자 요구 분석, 교육평가, 교재 및 교육매체 개발 등 프로그램 개발 실기 - 2기: 전문강사 역할 이해, 성인 대상 프로그램 기획, 강의 스킬 등 프로그램 운영 이론
- 아르떼 아카데미는 기초-기본-심화-고급의 4가지 교육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프로그램 및 내용과 프로그램별 주요 관련 역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39
2.2.1 기초단계 프로그램
□ 아르떼 아카데미의 기초 교육단계는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문화예술교육 인물탐구와 현장 기 본 소양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함. 기초단계는 「문화예술교육 컬처펍(Culture P.U.B.)」프로 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다양한 사례를 이해하고 교육 현장을 방문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문화예술교육 컬처펍 프로그램의 관련 역량으로는 관계·관리역량군의 문제해결능력을 제시 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 컬처펍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의 <표 Ⅱ-14>와 같음.
<표 Ⅱ-14> 문화예술교육 컬처펍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관련역량
STEP 1 이해(1차 워크숍) : 오리엔테이션 및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효과적 기획발상 및 정보분석, 모둠구성 문화예술교육 문화
‘문 화 예 술 교 육
예술교육
기 획 ’에 관 심 이
컬처펍
있는 대학생 및
(45H)
대학원생
체험워크숍, 현장탐방기관 선정 및 과제수행계 획발표 STEP 2 실행(2차 워크숍) : 모둠별 현장 탐방 및 기획자 만남, 문화예술교 육 기획서 작성 실습, 과제 수행계획발표 및 피
Ÿ
관 계 ·관 리 역량군 -문제 해결능력
드백, 모둠별 자율모임 STEP 3 공유(결과발표회) : 과제 결과 발표 및 공유
2.2.2 기본단계 프로그램
□ 아르떼 아카데미의 기본 교육단계는 직무 관련 기본교육, 문화예술교육 이해 및 체험 중심의 연수로서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와 「사회 실무자 연수」로 구성되어 있음. 각 교 육과정의 주요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4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가)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는 사업별(학교, 사회), 교급/교과별(A, B, C 코스)로 예술강사 들이 지녀야 할 ‘분석, 기획, 운영, 평가’의 4가지 직무 역할과 ‘예술 전문성, 관계·관리 역 량, 교수역량’의 3가지 필수 핵심역량을 습득할 수 있도록 체계가 구축되어 있음.
- 또한 예술강사들이 현장 교육 활동과 병행하여 이수해야 하는 상황이기에, 예술강사가 연 수를 이수해야 하는 시수를 기준으로 코스가 구분되고 상반기, 하반기 방학 기간을 이용하 여 최소 3년에 걸쳐 총 140시수를 이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의 <표 Ⅱ-15>와 같다.
<표 Ⅱ-15>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관련역량
상반기(40시간): -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예술강사의 역할 이해 - 사례기반 교육현장 및 교육대상의 이해 - 멘토와 함께하는 테마트래킹 등 체험 및 Ÿ
예술역량군 -자 기 예 술 분 야
네트워킹
전문성
- 교안읽기 세미나 학 교 ·사 회
- 대상별, 분야별 교안체험 워크숍
A코스
예술강사
- 현장기반 스피치 기초
(60H)
60시 수 미 만
- 분야별 문화예술교육방법 이해
역량군
이수자
- 현장 문제해결사례 공유 세미나
-문 제 해 결 능 력
Ÿ
관계&관리
- 연간교육계획서 컨설팅 하반기(20시간):
Ÿ
- (대상별) 교육현장 사례공유 세미나
교수역량군 -교 육 기 획 능 력
- 연간수업계획 설계 - 연간수업계획서 작성 - 발표 및 피드백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41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관련역량
상반기(40시간): - 현장사례 공유 세미나
Ÿ
-자 기 예 술 분 야
- 멘토와 함께하는 테마트래킹 등 체험 및
전문성
네트워킹 학 교 ·사 회
- 효과적인 교수법
B코스
예술강사
- 분야별 효과적인 교수법 사례 탐구
(60H)
120시 수 미 만 이수자
예술역량군
Ÿ
관계&관리
- 효과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교안실행 워크숍
역량군
- 대상별, 분야별 모의수업
-문 제 해 결 능 력
하반기(20시간): - 수업분석론 이해와 실습
Ÿ
- (대상별) 모의수업 및 평가
교수역량군 -수업실행능 력
- 동기유발을 위한 수업노하우 공 유 세 미 나 Ÿ
예술역량군 -자 기 예 술 분 야 전문성
학 교 ·사 회
- 예술강사 커리어맵 작성 및 발표
C코스
예술강사
- 교수학습 전략 및 설계
(60H)
140시 수 미 만 이수자
Ÿ
관계&관리 역량군
- 프로그램 기획 실습
-일에 대한
- 프로그램 기획안 발표 및 피드백
사명감 Ÿ
교수역량군 -교 육 기 획 능 력
나) 사회 실무자 연수
- 사회 실무자 연수는 2013 범 부처 협력 지원사업 단체 실무자 및 사회문화예술교육 기획 자 등을 대상으로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목적과 추진방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사업 추진에 필요한 행정 실무역량 강화를 목표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음.
- 이를 위해 사회 실무자를 대상으로 의무교육과정(32시수)과 선택교육과정(총 71시수)을 운 영하고 있으며, 사회 실무자 연수와 관련된 역량으로서 경영/행정, 교수(교육기획)을 제시 하고 있음. 사회 실무자 연수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의 <표 Ⅱ-16>과 같음.
4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Ⅱ-16> 사회 실무자 연수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관련역량
- 팀빌딩 워크숍 -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이해 -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 - 기획의 이해 의무
- 공문서 작성 방법
(32H)
- 정보수집 노하우
Ÿ
경영/행정
Ÿ
교수 (교수기획)
- 아이디어 기획 - 기획서 차별화 방법 - 모둠별 기획서 작성 실습, 발표 및 피드백 - 개인별 기획서 작성 실습, 발표 및 피드백
- 과정소개 및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의 이해 - 텍스트 규칙 - 기본적인 드로잉 작업과 편집
[선택 1] 공감과 설득을
범부처
위한
협력사업
프리젠테이션
참여 단체
스킬
기획자 등
(25H)
- 도식화 슬라이드 실습 - 드로잉에 입체 효과 적용하기 - 개체삽입
Ÿ
경 영 /행 정
Ÿ
경 영 /행 정
- 외부프로그램 사용 - 제목, 목차, 내용, 동적인 슬라이드 작성 - 마스터 개념 - 나만의 디자인 서식 만들기 - 개별과제 작성, 발표 및 피드백
[선택 2] SNS를 활용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전략 탐구
- SNS 마케팅 개요 - 마케팅 우수사례 소개 - SNS 마케팅 시작하기 - SNS 마케팅 실전
(13H)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43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관련역량
[선택 3] 문화예술교육
- 국가예산과 보조금의 이해
단체
- 보조금 관리 시스템의 이해
역량강화를
-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예산의 이해
위한 보조금
- 사례를 통한 정산의 이해
정산의 이해 (10H) [선택 4] 사회
범부처 협력사업 참여 단체 기획자 등
문화예술교육 콘텐츠개발 프로젝트 (23H)
Ÿ
경 영 /행 정
Ÿ
교육기획
- 사업운영을 위한 세무 이해 - 팀빌딩 워크숍 - 교육 콘텐츠 사례 공유 - 교육기획과 설계 - 정보수집과 구성을 통한 교육 설계 - 아이디어 발상법 - 발상을 통한 콘텐츠 제작 사례공유 및 실습 - 콘텐츠개발 실습 워크숍 - 발표 및 피드백
2.2.3 심화단계 프로그램
□ 아르떼 아카데미의 심화 교육단계는 대상별로 심화 역량의 개발과 보수교육차원의 현장인력 교육역량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 「학교·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 「문화 예술교육 키움(Key-um)」, 「아르떼 지식공유 CoP」로 구성되어 있음. 각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가) 학교·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
- 학교·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는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를 수료한 예술강사를 대상으 로 지속적인 교육 역량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보수 교육으로 진행되는 교육임.
- 학교·사회 기본연수와 달리 예술강사가 스스로 연수과정을 선택하여 참여하는 과정이며, 하 반기 기간을 활용하여 상시, 집체연수로 병행하여 운영되고 있음.
- 학교·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와 관련되는 역량으로서 ‘예술 전문성, 관계·관리 역량, 교수역
4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량’의 3가지 핵심 역량군과 하위 역량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연수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의 <표 Ⅱ-17>과 같음.
<표 Ⅱ-17> 학교·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 프로그램명
대상
교과연계
내용 - 교육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
문화예술교육
- 교과서 탐구
프로그램 개발
- 프로그램 기획
워크숍
- 프로그램 발표 및 피드백
(20H) 수업분석을
- 수업분석의 개념
통한 수업의
- 수업분석의 실제
달인 되기
-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수업분석하기
(20H)
학교
우수 교수 학습
기본연수
지도안
수료
탐구(공예,
예술강사
만화, 연극) (20H) 심리극을 통한 학교교육 대상의 이해 (20H)
관련역량
- 분석한 결과 컨설팅 - 우수 교수 학습지도안 개발 소개 - 교육대상별 지도안 탐구
Ÿ
교수역량군 - 교육 기획능력
- 대표 학습지도안 실습 - 나의 학습지도안 설계 - 발표 및 피드백 - 소아 청소년 심리발달의 이해 - 사이코 드라마 - 사이코 드라마 시연 - 사이코 드라마 집단 프로그램 체험 - 심리극 정리 후 토론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45
프로그램명
대상
특수교육
특수학교
대상의 이해
배치 학교
(20H)
예술강사
내용
관련역량
- 특수교육 대상의 이해 - 개별 장애 특징의 이해 - 특수교육 현장의 이해 - 우수 수업사례 활용 워크숍 - 프로그램 우수 사례 공유 - 우수 프로그램 체험 워크숍
프로그램 기획
- 프로그램 기획 워크숍(프로그램 기획 방법
워크숍 과정
론, 브레인스토밍 및 프로그램 기획, 프로
(20H)
그램 기획서 작성) - 기획 프로그램 발표 및 피드백 - 학습 분위기 조성 사례 공유
학습 분위기
- 콘텐츠 개발 워크숍(콘텐츠 개발을 위한
조성을 위한
사회
콘텐츠 개발
기본연수
(20H)
수료
콘텐츠 개발)
예술강사
- 발표 및 피드백
조사방법, 모둠별 토의 및 콘텐츠 기획,
우수 수업사례
- 수업사례 공유
공유와 저작권
- 저작권의 이해
이해를 통한 교보재 개발워크숍 (20H)
- 저작권 관련 법령 - 교보재 개발 워크숍(교보재 개발 방법론, 모둠별 토의 및 연구, 교보재 개발) - 발표 및 피드백
4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Ÿ
교수역량군 - 교육 기획능력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마이크로티칭을
- 마이크로티칭의 이해
활용한 학교
- 마이크로티칭 교수법
예술강사 교수
- 마이크로티칭 워크숍: 교안 공유
역량 강화
학교
- 마이크로티칭 종합토의
(20H)
기본연수
- 모의수업 촬영 및 분석
미디어를 활용한
관련역량
수료 예술강사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 소개 - 제작실습(제작 기획, 촬영 실습, 편집
재미있는 수업
프로그램 실습)
만들기
- 모둠별 제작 결과물 발표 및 피드백
(20H) 예술강사
- 액션러닝 교수법 이해
전문성 개발을
- 액션러닝 실행 방법 습득
위한 액션러닝
- 액션러닝 수업운영 설계
- 수업
교수법
- 수업 실행능력 향상
실행능력
(20H)
- 강의계획서 공유 및 피드백
스토리 텔링을 활용한 다양한 영상 만들기 (20H)
사회
- 편집의 이해 및 실습
기본연수
- 픽실레이션 기법 습득
수료 예술강사
- 우수교안 방향토의 - 모의수업 촬영 및 분석
역량 강화
- 동영상 리뷰, 자가진단 피드백
(20H)
- 교안 공유 및 피드백
무용분야
- 교급별 신체활동 특성의 이해
실기 지도법
(12H) 연극분야 실기 지도법 (12H)
시사 및 수업 마무리 - 마이크로티칭 교수법
예술강사 교수
실기 지도법
- 뮤직비디오 스토리텔링 기획, 촬영, 편집, - 마이크로티칭 이해
활용한 사회
국악분야
교수역량군
- 영상 언어와 원리
마이크로티칭을
(12H)
Ÿ
- 무용 실기지도법 이해 학교 기본연수 수료 예술강사
- 무용 실기지도 우수 사례공유 - 소금 연주 실기지도법
Ÿ
예술역량군 - 자기
- 국악 감상 지도법
예술분야
- 전래놀이 실기지도법 - 교급별 신체활동 특성의 이해
전문성
- 연극실기지도법 - 교급별 1차시 연극지도안 시연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47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관련역량
- 난타 이해 - 다양한 연주법 익히기 난타 실기교육
- 동선을 통한 타악 표현
지도법
- 기존 음악을 통한 타악 연주
(20H)
- 다양한 리듬 익히기
Ÿ
예술역량군 - 타 예술분야 전문성
- 발달거리 리듬 익히기 - 기본자세, 타법 익히기 - 아동상담의 기초 - 아동상담 이론 및 적용 아동상담
- 놀이치료에 대한 이해
&
- 놀이치료 과정
놀이치료
- 놀이치료의 다양한 적용법
기법
- 놀이치료 기법 활용
(20H)
- 놀이치료 관련 사례 소개 - 치료놀이의 원리와 기법
소시오 드라마 체험을 통한 교육대상 및 현장의 이해 (20H)
커뮤니케이션 스킬 (20H)
사회 기본연수 수료 예술강사
- 관계형성을 위한 치료적인 반응 기법 실습 - 심리극과 사회극의 이해 - Warm - up 실습 - 심리극 실습
역량군
- 미션극 발표
- 관계
- 커뮤니케이션 이해/구성
형성능력
- 이미지메이킹, 비즈니스 매너
- 문제
- 전화예절, 전화응대 커뮤니케이션
해결능력
- DISC 유형별 갈등관리 - 감성 커뮤니케이션 - 회의기법 - 노인의 신체변화 및 건강관리
이해를 통한 상담기법 (20H)
관계&관리
- 사회극 실습
- 유머기술(특강)
노인의 특성과
Ÿ
- 노년기 심리사회적 변화 - 노인 정신장애 및 치매, 우울과 자살, 노인 생애 체험 - 노인상담이론, 노인상담의 특징 및 과정 - 노인상담기법 토론 - 노인상담기법 발표 및 피드백
4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나)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 문화예술교육 키움 프로그램은 학교·사회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등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및 교원, 공무원, 광역센터 담당자 등 문화예술교육 협력자를 대상으로 필요한 핵심 교육내용 에 따라 단계별 연수 프로그램을 모듈화한 교육과정의 공식 브랜드명임.
- 각 대상별 필요 교육내용에 따라 ‘인문, 문화, 예술, 창의, 역량, 융합, 생각’의 7가지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음.
- 문화예술교육 키움과 관련되는 역량으로서 교육기획, 창의적 교수법 개발, 관계 형성, 문제 해결, 행정관리 등의 역량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2013년 아르떼 아카데미에서 운영하는 문 화예술교육 키움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의 <표 Ⅱ-18>과 같음.
<표 Ⅱ-18>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프로그램명
대상 예술강사,
인문 키움 (11H)
교육기획자 등 문화예술교육 관련 프로그램 유경험자
내용
관련역량
- 철학적 탐구공동체와 문화예술교육 - 영화철학과 문화예술교육 - 아방가르드와 문화예술교육
Ÿ
교수역량군 - 교육
- 인문학 매체 활용 토론 실습
기획능력
- 인문학 매체 활 용 예술 교육적 표현 사 례 탐구 - 표현사례 발표 및 공유 - 창의성 이해 - 창의성과 협업, 팀워크를 통한 창의 시너지 효과 사례 분석 - LXD 교수법 이해 및 사례 탐구
창의 키움 (40H)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등
Ÿ
교수역량군
- 창의·인성 교육 과 문 화예술 교육 관계 이해
- 교육
- 창의키움 Season1 사례 공유
기획능력
- 놀이와 교육 관계 탐구
- 창의적
- 게임디자인 구조와 방법 이해
교수법개발
- 놀이와 스토리텔링 기법 이해
능력
- 게임디자인 체험 - 창의놀이 개발 실습 - 창의놀이 기획서 발표 및 피드백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49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관련역량
-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사례 탐구 및 토론
교원 역량 키움
초등 교원
(15H)
Ÿ
- 교 과 연 계 문 화 예 술 교 육 기 획 워 크 숍 (기 획 주
교수역량군 - 창의적
제 선정, 자료조사, 기획안 작성 및 발표)
교수법
-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실습 워크숍(콘텐
개발능력
츠 제작 실습 및 피드백) - 협동조합 이해 - 놀이/영화 활용 협동조합 체험워크숍 기획인력 역량 키움 (35H)
3년 이 상
-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Ÿ
관계&관리
경력이 있는
- 협동조합 조직방법
역량군
문화예술교육
- 모둠별 기획안 작성, 발표
- 관계
- 모둠별 현장 방문
형성능력
기획자
- 협동조합 운영방법론 공유 및 최종기획 안 작성, 발표, 피드백 (공통) - 문화예술교육 정책 흐름 및 파트너십 구축방법 탐구 - 문화예술교육 현장 솔루션 탐구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체험 워크숍 선택 행정인력
16개 광 역 센 터 ,
역량 키움
국악운영단체
(25H)
실무자 등
Ÿ
경영·행정
Ÿ
관계&관리 역량군
(선택)
- 문제
- 1~2년차: 핵심이 보이는 보고서,
해결능력
기획서 작성법
- 행정
- 3~5년차: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관리능력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기법 - 6년차 이상: 원활한 회의 진행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기법 - 미디어아트, SNS 활용기법 등
Ÿ
- 인문학, 경영학 등 타분야 학문과 예술의 융합교육 모델 도출 융합 키움
공무원
- 업무에 문화적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Ÿ 교육과정 - 새로운 융합적 시각으로 정책과제 들여 다보기
5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예술역량군 -타분야 예술 전문성 교수역량군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관련역량 Ÿ
역량군
- 최근 문화예술분야 트렌드와 새로운 정 학 교 ·사 회 생각 키움
예술강사 및 교육기획인력
- 의사소통
보 및 다양한 사례 - 기존 문화예술교육 경직성 타파를 위한 체험형 교육과정
관계&관리
능력 Ÿ
교수역량군 - 교육정보
- 아르떼 공유 및 공감세미나
수집 및 분석 능력 Ÿ
역량군
- 문화예술과 문화적 다양성 이해
- 의사소통
- 문화적 리더십 함양 과정 감성 키움
공무원
- 우수 문화예술교육 현장답사 및 렉쳐 콘서트
관계&관리
능력 Ÿ
교수역량군 - 문화적
- 문화예술 미니토크: 사람책읽기
다양성 융합 능력 Ÿ
- 타인, 타 문화, 타 분야에 대한 공감 소통 키움
광역센터 실무자
- 공존과 상생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 -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형성하기
관계&관리 역량군 - 대인 친화력 - 파트너십 구축 능력
다) 아르떼 지식공유 CoP
- 아르떼 지식공유 CoP 프로그램은 교육기획자, 학교·사회 예술강사, 교원 등을 대상으로 문 화예술교육 현장에 필요한 실용적인 과제를 제시하여 자발적인 학습과 건강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교육과정임.
- 특정 지식분야에 대해 관심을 같이하는 구성원들이 on/off-line을 통해 지식을 공유·학습· 창출하는 실천적 지식 동아리 형태로 운영되며, CoP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새로운 문화 예술 콘텐츠를 발굴 및 학습하고 그 결과를 현장에서 활용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멘토-멘 티간 밀착형 학습공동체’를 지향하고 있음.
- 아르떼 지식공유 CoP와 관련되는 역량으로서 관계·관리 역량군의 일에 대한 사명감을 제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51
시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의 <표 Ⅱ-19>와 같음.
<표 Ⅱ-19> 아르떼 지식공유 CoP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역량
- CoP의 이해 - CoP 운영을 위한 제언 - 커뮤니케이션 이해 팀빌딩 체험 - CoP를 위한 컨셉 도출법 아르떼
예술강사,
지식공유 CoP
교육기획자,
(60H)
교원 등
- CoP를 위한 정보 수집법 - CoP를 위한 퍼실리테이팅 스킬 - 운영계획서 작성, 발표 - 모둠별 자율모임 및 전문가 멘토링
Ÿ
관계&관리 역량군 - 일에 대한 사명감
- 학습설계 전략 - 학습설계 및 표현 실습 - 모둠별 최종 학습결과 발표
2.2.4 고급단계 프로그램
□ 아르떼 아카데미의 고급 교육단계는 문화예술교육 리더 양성과 그에 따른 문화적 리더십 배 양을 목표로 하며, 「아르떼강사 양성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음. 「아르떼강사 양성과정」의 주요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아르떼강사’란 예술강사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기획 및 교수활동이 가능한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전문강사를 뜻함.
- 아르떼강사 양성과정은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이수자 중 최종 선발자를 대상으로 성인대상 전문 교육 강사로서의 역할 이해 및 교육현장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강의설계·전 달·실행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됨.
- 아르떼강사 양성과정과 관련되는 역량으로서 ‘예술 전문성, 관계·관리, 교수’의 3가지 핵심 역량군과 하위 역량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의 <표 Ⅱ-20>과 같음.
5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Ⅱ-20>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프로그램명
대상
내용
관련역량 Ÿ
예술 역량군 -자기예술분야 전문성
- 아르떼강사의 이해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STEP 1 (40H)
2013년 선발된 아르떼강사
- 성인학습의 이해
Ÿ
관계&관리 역량군
- 프로그램 기획
-관계형성능력
- 교육운영 스킬
-일에 대한 사명감
- 강의 스킬 - 관계·관리 스킬
Ÿ
교수 역량군 -교육 기획능력 -수업 실행능력
- 학습조직(CoP)의 이해 및 운영
Ÿ
-자기예술분야 전문성
의 실제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STEP 2 (60H)
-타 예술분야 전문성
- 프로그램 설계 2012년
- CoP별 프로그램 개발 실습
선발된
- CoP별 프로그램 중간발표
아르떼 강사
Ÿ
결과 최종발표 및 피드백 (전문가, 동료 평가)
관계&관리 역량군 -행정관리능력
및 피드백 - CoP별 개발 프로그램 운영
예술 역량군
Ÿ
교수 역량군 -교육 기획능력 -창 의 적 교 수 법 개 발 능 력
□ 2013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음.
-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단위 프로그램들에서 다루는 역량이 기존 역량 모델 의 하위 역량들을 부분적으로만 반영하고 있음. 즉,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이 특정 역 량의 개발에 편중되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으로서 요구되는 역량들을 모두 수용하고 있 지 못하다는 것임. 따라서 아르떼 아카데미의 단위 프로그램들을 역량에 기반하여 재배치 및 신설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 아르떼 아카데미는 교육단계별로 과정을 구분하고 있지만, 그 기준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와 연계하여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나아가 발달 단계에 따라 갖추어야 할 세부 역량도 도출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별 요구 역량을 규명하고 교육체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음.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53
2.3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교육과정 매트릭스 □ 기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역량 체계와 2013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의 단위 프로그 램들이 제시하는 관련 역량을 연결시켜 분석하였음.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갖 추어야 할 모든 역량들이 실제로 아르떼 아카데미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개발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함.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교육과정 매트릭스는 다음의 <표 Ⅱ-21>, <표 Ⅱ-22>와 같음.
- 분석결과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단위 프로그램들이 개발하는 역량이 교수 역량에 치중 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특정 역량들의 경우 관련 프로그램을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함. 따라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모든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기존 프로그 램의 재배치 및 신설이 요구됨.
- 또한 역량이 개발되어야 할 시기와 단계가 규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는 역량에 기 반을 둔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받을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하고 있음. 문화예술교육 전 문 인력의 발달 단계에 따라 개발되어야 할 역량을 제시하고, 이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체 계를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5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Ⅱ-21> 교육 프로그램 역량 매트릭스 Art
Relationship & Management 관계 형성 역량
구분
프로그램명
문제 해결 역량
문화 전공 타 조정 파트 교육 대외 예술 영역 영역 대인 의사 문제 자기 및 마케 사업 전문 전문 친화 소통 코칭 너십 해결 통제 의사 홍보 환경 팅기 교육 이해 능력 구축 기획 이해 에대 성 성 력 능력 능력 력 결정 획력 력 능력
Pre-BP
대학생, 대학원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컬처펍
BP 02
사회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담은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력
O
력 능력
O
한사 명감
O
Teaching 행정 관리 역량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공감과 설득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스킬
O
O
SNS를 활용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전략 탐구
O
O
O O
O O
학습 대상 자이 해력
교수-학습 운영 역량
행사 문화 학습 수업 기획 동기 적다 환경 실제 및 부여 양성 분석 운행 운영 능력 융합 능력 능력 역량 능력
창의 역량
학습 학습 창의 창의 창의 프리 학습 대상 자잠 적교 적 프로 젠테 효과 창의 자평 재개 수법 문제 그램 이션 평가 성 가능 발능 개발 해결 개발 능력 능력 력 력 능력 능력 능력
O
O
O
O
O
O
O
사회 문화예술교육 콘텐츠개발 프로젝트
교육과정개발 및 교육기획 역량
멀티 교육 교육 학습 교육 수업 교육 프로 미디 컴퓨 요구 정보 자역 인프 문서 행정 예산 교육 프로 젝트 어매 터활 및 수집 량개 라 작성 업무 관리 기획 그램 추진 체활 용능 성과 및 발및 구축 능력 관리 능력 력 개발 력 용능 력 분석 분석 상담 능력 능력 능력 력 력 능력 능력
O
문화예술교육 단체 역량강화를 위한 보조금 정산의 이해
HP 01
사업 추진 역량
O O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O
미디어를 활용한 재미있는 수업만들기
O
O
무용분야 실기 지도법
O
O
국악분야 실기 지도법
O
O
연극분야 실기 지도법
O
O O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의 달인되기
O
우수 교수 학습지도안 탐구 심리극을 통한 학교교육 대상의 이해
O
O
특수교육대상의 이해
O
O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학교 예술강사 교수역량 강화
O
O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사회 예술강사 교수역량 강화
O
O
프로그램 기획 워크숍 과정
O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콘텐츠 개발 워크숍
O
아동상담 & 놀이치료 기법
O O
O
O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55
Art
Relationship & Management 관계 형성 역량
구분
프로그램명
문제 해결 역량
문화 전공 타 조정 파트 교육 대외 예술 영역 영역 대인 의사 문제 자기 및 마케 사업 코칭 너십 홍보 환경 교육 전문 전문 친화 소통 해결 통제 의사 팅기 이해 능력 구축 기획 이해 에대 성 성 력 능력 능력 력 결정 획력 력 능력
난타 실기교육 지도법
력 능력
한사 명감
행정 관리 역량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교육 프로 인프 젝트 라 추진 구축 력 능력
교육과정개발 및 교육기획 역량
멀티 교육 교육 학습 수업 교육 미디 컴퓨 요구 정보 자역 문서 행정 예산 교육 프로 어매 터활 및 수집 량개 작성 업무 관리 기획 그램 체활 용능 성과 및 발및 능력 관리 능력 력 개발 용능 력 분석 분석 상담 능력 능력 력 력 능력 능력
O
예술강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액션러닝 교수법
행사 문화 학습 수업 기획 동기 적다 환경 실제 및 부여 양성 분석 운행 운영 능력 융합 능력 능력 역량 능력
창의 역량
학습 학습 창의 창의 창의 프리 학습 대상 자잠 적교 적 프로 젠테 효과 창의 자평 재개 수법 문제 그램 이션 평가 성 가능 발능 개발 해결 개발 능력 능력 력 력 능력 능력 능력
O O
O
O O O O
커뮤니케이션 스킬
O
O
O
O
O
우수수업 사례 공유와 저작권 이해를 통한 교보재 개발 워크숍
O O
노인의 특성과 이해를 통한 상담기법 CP 01
학습 대상 자이 해력
교수-학습 운영 역량
O O
소시오 드라마 체험을 통한 교육대상 및 현장의 이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다양한 영상 만들기
력
Teaching
사업 추진 역량
O
인문키움 : 문화예술교육 매체활용 인문학 표현 사례 탐구'
O
창의키움 : 문화예술교육 창의놀이 개발 프로젝트'
O
O
교욱 역량키움 :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체험 워크숍 기획인력 역량키움 :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 만들기'
O
행정인력 역량키움 : 문화예술교육 조직의 지속성장을 꿈꾸다
O
융합키움
O O
O
O
O
O
O
O
O
O
생각키움
O
감성키움
O
소통키움 CP 02
O
O
아르떼 지식공유 COP : 문화예술교육 자원 지도 만들기
주) 기본 연수(BP 01) 프로그램은 별도 제시함.
5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O O O
O
O
O
O
<표 Ⅱ-22> 기본 연수 프로그램 역량 매트릭스 Art
Relationship & Management 관계 형성 역량
구분
프로그램명
문제 해결 역량
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예술강사의 역할 이해
BP 01
O O
한사 명감
교육 프로 인프 젝트 라 추진 구축 력 능력
교육과정개발 및 교육기획 역량
멀티 교육 교육 학습 수업 교육 미디 컴퓨 요구 정보 자역 문서 행정 예산 교육 프로 어매 터활 및 수집 량개 작성 업무 관리 기획 그램 체활 용능 성과 및 발및 능력 관리 능력 력 개발 용능 력 분석 분석 상담 능력 능력 력 력 능력 능력
학습 대상 자이 해력
O
O
O
O
사례 기반 교육 대상의 이해
O
대상별, 분야별 교안 읽기 세미나
분야별 실기 지도법
O
학습 학습 창의 창의 창의 프리 학습 대상 자잠 적교 적 프로 젠테 효과 창의 자평 재개 수법 문제 그램 이션 평가 성 가능 발능 개발 해결 개발 능력 능력 력 력 능력 능력 능력
O
O
O
O
O O O
교육현장 기반 말하기 기초
O O O
스피치 기초
O
분야별 교육현장 사례 공유 세미나
O O
멘토와 함께하는 테마 트래킹
O
문화예술 현장 체험 & 네트워킹
행사 문화 학습 수업 기획 동기 적다 환경 실제 및 부여 양성 분석 운행 운영 능력 융합 능력 능력 역량 능력
창의 역량
O
대상별, 분야별 교안체험 워크숍
문화예술 현장 체험 & 네트워킹
교수-학습 운영 역량
O
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멘토와 함께하는 테마 트래킹
상반기 학교· 사회 대상 B코스
력 능력
행정 관리 역량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O
사례 기반 학교 교육현장의 이해
상반기 학교· 사회 대상 A코스
사업 추진 역량
문화 전공 타 조정 파트 교육 대외 예술 영역 영역 대인 의사 문제 자기 및 마케 사업 전문 전문 친화 소통 코칭 너십 해결 통제 의사 홍보 환경 팅기 교육 이해 능력 구축 기획 이해 에대 성 성 력 능력 능력 력 결정 획력 력 능력
Teaching
O O O O
O
O O
O
효과적인 교수법 이해 및 사례 탐구
O
교안 적용 및 실행 워크숍
O
O
O
O O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57
Art
Relationship & Management 관계 형성 역량
구분
프로그램명
전공 타 영역 영역 전문 전문 성 성
문제 해결 역량
사업 추진 역량
Teaching 행정 관리 역량
교육과정개발 및 교육기획 역량
문화 사업 멀티 교육 교육 학습 조정 교육 수업 교육 파트 교육 대외 예술 정보 프로 미디 컴퓨 요구 정보 자역 대인 의사 문제 자기 및 마케 사업 인프 문서 행정 예산 교육 프로 코칭 너십 홍보 환경 교육 수집 젝트 어매 터활 및 수집 량개 친화 소통 해결 통제 의사 팅기 이해 라 작성 업무 관리 기획 그램 능력 구축 기획 이해 에대 및 추진 체활 용능 성과 및 발및 력 능력 능력 력 결정 획력 력 구축 능력 관리 능력 력 개발 능력 력 능력 한사 활용 력 용능 력 분석 분석 상담 력 능력 능력 능력 명감 능력 력 력 능력 능력
교수학습전략 방법 상반기 학교· 교수학습지도안 기획 워크숍 사회 예술강사 커리어맵 대상 그리기(멘토와 C코스 함께하는 테마 트래킹) 학교 현장의 이해 1
하반기 학교 대상 B코스
O O
O
O
O
O O
O
O O O
명예교사 특강
O O
연간수업계획서 및 감상교육 수업안 작성 실습
O
O O
모둠별 발표 및 피드백
O
O O
O O
O
O
O
O
감상교육을 통한 동기유발 사례 공유
O
수업분석 이해와 실습 명예교사 특강 모의 수업 컨설팅
O
O O O O O O
O
교수학습전략 하반기 학교 대상 C코스
학습 학습 창의 창의 창의 프리 학습 대상 자잠 적교 적 프로 젠테 효과 창의 자평 재개 수법 문제 그램 이션 평가 성 가능 발능 개발 해결 개발 능력 능력 력 력 능력 능력 능력
O
수업 설계
학교 현장의 이해 2
행사 문화 학습 수업 기획 동기 적다 환경 실제 및 부여 양성 분석 운행 운영 능력 융합 능력 능력 역량 능력
창의 역량
O
교육현장 사례 공유 세미나 하반기 학교 대상 A코스
학습 대상 자이 해력
교수-학습 운영 역량
O
프로그램 기획 실습
O O O
O
모둠별 발표 및 피드백
O O O
O
예술강사 커리어맵 작성 및 발표
5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O
O
Art
Relationship & Management 관계 형성 역량
구분
프로그램명
전공 타 영역 영역 전문 전문 성 성
문제 해결 역량
사업 추진 역량
Teaching 행정 관리 역량
교육과정개발 및 교육기획 역량
문화 사업 멀티 교육 교육 학습 조정 교육 수업 교육 파트 교육 대외 예술 정보 프로 미디 컴퓨 요구 정보 자역 대인 의사 문제 자기 및 마케 사업 인프 문서 행정 예산 교육 프로 코칭 너십 홍보 환경 교육 수집 젝트 어매 터활 및 수집 량개 친화 소통 해결 통제 의사 팅기 이해 라 작성 업무 관리 기획 그램 능력 구축 기획 이해 에대 및 추진 체활 용능 성과 및 발및 력 능력 능력 력 결정 획력 력 구축 능력 관리 능력 력 개발 능력 력 능력 한사 활용 력 용능 력 분석 분석 상담 력 능력 능력 능력 명감 능력 력 력 능력 능력
교육대상 및 현장 이해를 위한 교육심리
O
연간교육계획서 설계 방법 이해
O
O
연간교육계획서 작성 실습 및 발표
O
O
명예교사 특강
O
O
학습참여를 높이는 동기유발 전략 이해
O
수업분석론 이해
O
O
O O O
대상별 심리 및 교수법 이해 심화
O
하반기 사회 대상별 자기수업 분석 및 진단(모의수업) 대상 B코스 대상별 동기유발을 위한 수업 노하우 공유 세미나
O O
O
O
O O
O O
아동, 청소년 성폭력 예방교육
O
교수학습 전략 및 설계 하반기 사회 대상 C코스
학습 학습 창의 창의 창의 프리 학습 대상 자잠 적교 적 프로 젠테 효과 창의 자평 재개 수법 문제 그램 이션 평가 성 가능 발능 개발 해결 개발 능력 능력 력 력 능력 능력 능력
O O
아동, 청소년 성폭력 예방교육
명예교사 특강
행사 문화 학습 수업 기획 동기 적다 환경 실제 및 부여 양성 분석 운행 운영 능력 융합 능력 능력 역량 능력
창의 역량
O
대상별 교육현장 사례 공유 세미나 하반기 사회 대상 A코스
학습 대상 자이 해력
교수-학습 운영 역량
O
교육프로그램 기획 실습
O O O
O
예술강사 커리어맵 명예교사 특강 아동, 청소년 성폭력 예방교육
O O O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59
2.4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경력개발 현황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경력개발 현황 분석은 PSI컨설팅에서 수행한 『2007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을 토대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경력 단계 및 경력 개발 유형을 분석하였음.
- 통상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경우 조직에 속해서 체계적인 단계를 밟아 가는 직 무 구조가 아니므로 일반적인 조직 차원의 경력개발 형태를 갖추는 데는 한계가 있음. 따 라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향후 개인적인 비전을 갖고 직업적으로 안정감 있게 일하 기 위해 미래 경력개발 및 장기적 차원의 인력 양성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
-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실시하여 경력개발 유형을 정의하고,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인터 뷰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각 직군별 이동가능 직무와 주요 경력경로를 설계함.
가) 경력단계 및 경력개발 유형
- 경력단계 설정은 Feldman이 제시한 경력단계 모형을 고려하여 설정함. 예술강사와 기관·단 체 실무자를 구분하여 설정하였으며, 경력단계를 3단계(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차별화 된 역할을 제시함.
- Feldman의 경력단계에 비추면 초기는 주로 시도기에 해당되며, 중기는 확립기와 전환기에 걸쳐지고, 최종 단계인 후기는 전환기와 발전기에 걸쳐져 있음.
<표 Ⅱ-23> Feldman의 경력단계와 경력관심사 연령 15-22
22-30
경력단계
경력과제
경력 이전: Ÿ 올바른 경력의 발견 탐색기
경력 초기: 시도기
Ÿ 적절한 교육 받음 Ÿ 첫 번째의 적합한 직장에 취업 Ÿ 매일의 일상 업무와 상사에 대한 적응
6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심리적 이슈 Ÿ 자기 자신의 욕구와 흥미 발견 Ÿ 자신의 능력에 대한 현실적 자기 평가 Ÿ 경험부족에 따른 불안정의 극복 및 자신감의 개발 Ÿ 직장에서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는 방법 학습
연령
경력단계
경력과제
심리적 이슈 Ÿ 직업과 조직에 대한 몰입수준의
30-38
경력 초기: Ÿ 특정한 역량분야의 선택 확립기
Ÿ 조직에 독립적 기여자가 됨
결정 Ÿ 최초의 독립적 프로젝트 또는 도전에서의 실패로 인한 감정의 처리
Ÿ 자신의 진정한 경력 관련 능력, Ÿ 자신의 야망과 비교한 실제 38-45
경력 중기: 전환기
재능 및 흥미의 재평가 Ÿ 자신의 멘토로부터의 독립 및 타인에 대한 멘토가 될 준비
진행의 재평가 Ÿ 직장생활과 개인생활 사이의 갈등 해결 Ÿ 고속 승진경로에 있는 젊은 사람
45-55
경력 중기: 발전기
Ÿ 멘토가 됨
들의 경쟁과 공격성향의 처리
Ÿ 일반관리자로서의 더 많은 책임을 Ÿ 당면한 기술적 스킬을 지혜에 맡김
기초한 경험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학습
Ÿ 기업의 미래에 대한 전략적 의사 Ÿ 자기자신의 경력보다 55-62
경력 후기: 유지기
결정 Ÿ 조직의 정치적 장에서의 역할 확대에 관심
62-70
경력 후기: 쇠퇴기
Ÿ 핵심부하들 중에서 미래 지도자 후보를 선발하여 개발 Ÿ 권력 및 책임수준의 감소를 수용
조직의 발전에 일차적 관심을 둠 Ÿ 정치적 또는 중요한 결정문제를 감정적 격앙 없이 처리 Ÿ 직무 이외에서 삶의 만족을 주는 새로운 원천을 발견 Ÿ 일자리 없이 자기 가치의 느낌 유지
출처: Feldman, D. C.(1988). Managing careers in organizations. IL: ScottForesman & Co.
- 경력개발 유형을 설정하기 위해 일반 조직에서 적용되는 경력개발 유형을 조사한 결과, 하 나의 직무를 살려서 계속 심화·발전시켜 나가야 할 경우에는 Expert Track을 따르고, 다양 한 직무를 경험하여 관리자를 육성하는 것이 목적일 경우에는 Managerial Track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임.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경우 자신의 전문성을 보다 심화·발전시켜야 하는 직업이므로 Expert Track을 따르며, 이에 상향직선형 경력경로에 맞춰 역할을 설정함.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61
<표 Ⅱ-24> 일반 조직에서 적용되는 경력개발 유형 구분
Managerial Track
Track Ÿ 직무 운영
전문화
Professional Track
추구하나, Ÿ 해 당 전 문 기 능 별 직 무
보다 교차기능적 이동
원칙
발달에 따른 전문화 추구
Expert Track Ÿ 해당 전문기능별 또는 직무별 전문화 심화
Ÿ 동일 직렬 내 이동 권장
경력 성장 경로
Ÿ 관 리 자 육 성 차 원 에 서 유 Ÿ 전문기능별 전문화를 원 Ÿ 전문기능 또는 직무 경력
사 기 능 /직 무 에 대 한 풍 부
칙으로 하되, 하위 직급
전문화 원칙의 상향 직선
경로
한 경험을 유도하는 교차
에서는 육성 차원의
형 경력 경로
성격
적 경력 경로
유연한 이동이 가능한 혼 합형 경력 경로
Ÿ 전략적 사고, 풍부한 경 Ÿ 해 당 직 무 /기 능 분 야 에 대 Ÿ 해당 경력
험, 탁월한 리더십 배양
비전
을 통해 조직의 리더그룹 Ÿ Managerial Track 혹은 을 지향
한 일반적 수준의 전문가
직무/기능
분야에
대한 사내외 최고의 가치를 인정받는 전문가
Expert Track 선택
나) 직군별 경력경로 설계
- 경력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전체 경력단계를 3단계(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주요 역할과 초점을 차별화하여 제시함. 초기 단계는 직무에 진입하는 시기로서 경력이 5 년 차 미만에 해당되며, 중기 개발단계는 5년에서 15년차에 해당되는 10년간을, 그리고 후 기 개발단계는 15년차 이상의 경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함. 이는 개인의 생애 개발단계 와 타 직무로의 이동 단계를 고려하여 설정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중 예술강사 직군 경력경로의 단계별 역할 및 중점 육성내용에 대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음.
6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Ⅱ-25> 예술강사 직군의 경력단계별 역할 및 인력양성 초점 경력개발단계
주요역할
필요교육사항 Ÿ 학 교 행 정 의 이 해 /사 회 시 설 의 이 해 Ÿ 교육이론 기초 Ÿ 수업안 작성기법
초기개발 단계 : 전문 직무 진입기 (1~ 5년 차 미만)
Ÿ 수업시 활용할 수 있는 응용놀이 - 예술강사의 초기단계로 강의에 충실하면서 전문예술강사로서의
예술강사 기본
능력배양에 초점
Ÿ 예술강사로서 올바른 가치관 정립 Ÿ 교육 기자재 활용법 Ÿ 특수 교육 이해 Ÿ 동영상 매체 등의
- 명칭: Junior 예술강사
컴퓨터 프로그램 활용법 Ÿ 교수기법 기초 Ÿ 아동심리 이해 사고 개발 Ÿ 기획력 기초 과정
중기개발 단계 : 전문성 집중 발휘기 (5~ 15년 차 미만)
Ÿ 예술강사 기본 과정의 심화 내용
- Junior 단 계 예 술 강 사 들 을 장르/지역별로 나누어 관리하는 예술강사 중간관리자 역할 수행
초기개발 단계의 심화 내용
- 멘토로서 코칭 역할 수행 및 연수 시 강의 일부 진행 - 명칭: Senior 예술강사
후기개발 단계 : 경력목표 달성기 (15년 차 이상)
- 중기개발단계에 속하는 예술강사들과 함께 워크숍
Ÿ 통합예술영역 사례 (해외사례 연구 포함) Ÿ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발굴 Ÿ Junior 예술강사 육성을 위한 강의 Tips
조직 관리 Ÿ 조직 이론 기본
- 예술강사 최상위 관리자 역할 수행
Ÿ 창의적 사고
Ÿ 코칭&멘토링 기법 Ÿ 학교, 사회 예술교육의 주요 현안
중기개발
및 대응방안
단계의
Ÿ 해외 사례/이슈
심화 내용 Ÿ Senior 예술강사 육성을 위한
등을 진행
강의 Tips
-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의견 개진 및 방향 제안 - 예술강사 심화 교육 등에 강사로서 활동
조직 관리 Ÿ 리더십 심화
Ÿ 성과평가관리 등의 경영관리 내용
- 명칭: 예술강사 Leader 출처 : 김기덕, 장정임, 김수정 (2007).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연구자 재정리.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중 사회기관·단체 실무자 직군 경력경로의 단계별 역할 및 중점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63
육성 내용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음.
<표 Ⅱ-26> 사회기관·단체 실무자 직군의 경력단계별 역할 및 인력양성 초점 경력개발단계
주요역할
필요교육사항 Ÿ 프로그램 기획방법 교육
초기개발 단계 : 전문 직무 진입기 (1~ 5년 차 미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프로그램
초기단계로 교육기획 및
기획 및
운영, 진행 등에 초점
운영
- 명칭:Junior 기관·단체 행정 실무 부문 - Junior 단 계 문 화 예 술 교 육
중기개발
전문 인력들을 시설유형/
단계 :
지역별로 나누어 관리하는
전문성
중간관리자 역할 수행
집중 발휘기 (5~ 15년 차 미만)
- 멘토로서 코칭 역할 수행 및 연수 시 강의 일부 진행 - 명칭: Senior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초기개발 단계의 심화 과정
향상 및
단계 : 경력목표 달성기 (15년 차 이상)
예술강사들과 함께 워크숍 등을 진행
실무
Ÿ 대인관계 기초/관계형성방법 Ÿ 기획서 등의 공문서 작성 방법 Ÿ 회계 기초 Ÿ 통합예술사례(해외 사례 중심) Ÿ 기획력 심화 Ÿ 전시기획과 교육의 연계 Ÿ 문화예술 정책 방향 Ÿ 조직 및 인력관리 기법 Ÿ 네트워킹 형성 사례
중기개발
Ÿ 선진형 예술교육 모델 연구
단계의
Ÿ 문화예술교육 정책적 방향성
심화 과정 Ÿ 문 화 예 술 기 관 ·단 체 의 전 략 적 방 향 성 Ÿ 타 기반시설과의 네트워킹 형성을 위한 워크숍 Ÿ 기업가적 마인드 형성을 위한
- 예술강사 심화 교육 등에
Leader
Ÿ 예술경영 기초
Ÿ 문화기관·단체 운영사례
의견 개진 및 방향 제안
- 명칭: 문 화 예 술 교 육 전 문 인 력
Ÿ 타 시설의 프로그램 성공사례
Ÿ 예술경영 심화
-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강사로서 활동
Ÿ 교육 방법론
조직 운영 Ÿ 법/제도(문화예술관련, 상법, 세법)
최상위 관리자 역할 수행 - 중기개발단계에 속하는
Ÿ 아동심리 기초/상담기법
업무 스킬 Ÿ 효과적인 회의/워크숍 진행법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후기개발
Ÿ 전시기획 이해
(현장학습 병행)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Ÿ 기획을 위한 창의적 사고
조직 관리
경영관리 기본 Ÿ 팀구성원 동기부여 및 리더십 Ÿ 조직원의 역량개발
출처 : 김기덕, 장정임, 김수정 (2007).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연구자 재정리.
6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2007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 점을 도출할 수 있음.
- 분석한 자료는 문화예술 전문인력의 경력경로를 상향직선형으로 설정하여 직무 전문성을 심화·발전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음.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역할 요구가 확대 됨에 따라 교수자와 실무자 간 경력 경로가 단절이 아닌 하나의 연계선 상에서 다뤄질 필 요가 있음. 따라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경력을 보다 수평·수직적인 발달 과정으로 보고 이를 개발하기 위한 새로운 역량과 교육체계를 수립해야 함.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65
3. 타 기관 인력 양성 사례 3.1 대학 문화예술교육원의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 분석 □ 문화예술교육사 2급 취득을 위한 경로로는 대학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실시하는 교육과정의 이수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하는 학교·사회 예술강사 연수, 그리고 중요무형문 화재 전수교육의 이수가 있음. 그 중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실시하는 2급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문화예술교육사는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획·진행·분석·평가 및 교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국가자격제도로 부여되며, 2012년 2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의 개정으로 문 화예술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 등을 위하여 ‘문화예 술교육사’ 제도가 도입되었음.
- 문화체육관광부는 2013년 2월에 전국의 13개 기관을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으로 지정, 고시하였음. 지정된 교육기관은 2급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되며, 일정한 요 건을 가진 사람이 이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음.
-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 방법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운영하는 학교·사 회 예술강사 연수를 140시간 이상 이수하고 3년의 예술강사 경력을 지니거나, 중요무형문 화재 전수교육을 3년간 이수하는 것임.
- 2013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발급이 시작된 이후, 2013년 10월 현재 2차례의 발급이 이 루어졌으며, 약 2,700명이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하였음.
-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고시한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의 현황은 다음의 <표 Ⅱ-27>과 같음.
6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Ⅱ-27>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 지정 현황 교육 분야 교육기관명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이화여자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인하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계명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부산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소재지
서울
○
서울
○
칠곡
경일대학교
경북
문화예술교육원
경산
한서대학교
충남
문화예술교육원
서산
중부대학교
충남
문화예술교육원
금산
예원예술대학교
전북
문화예술교육원
전주
문화예술교육원 전북문화예술교육원
○
○
○
○
○
○
○
○
○
광주 전북 완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화 ○
○
○
영
○
○
○
○
광주
○
○
○
애니메 이션
○
○
○
사진 무용 음악 미술 공예
○
대구 부산
만화·
○
○
문화예술교육원
전남대학교
○
○
경북
문화예술교육원
○
인
인천
대구예술대학교
호남대학교
국악 연극
디자
○
○
○
○
○
○
○
○
○
○
○
○
○
○
○
- 2급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거나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는 사람이 교수역량, 직무소양 및 예술전문성에 관한 19개 교과목을 720시간 이상 이수하거 나, 관련 대학·대학원 등 학교에서 미술·음악 등 예술관련 10개 분야 중 어느 하나를 전공 하여 졸업한 사람이 교수역량 및 직무소양에 관한 9개 교과목을 270시간 이상 이수하여 취득할 수 있음.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67
-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자격요건을 갖춘 사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에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요건 심사 및 자격증 교부 신청서」를 제출하여 자격증을 발 급받을 수 있음.
- 현재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시행령에서 제시하는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은 다음의 <표 Ⅱ-28>과 같음.
<표 Ⅱ-28>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 교과영역
최저 이수
교과목
시간 또는 학점
가) 교육학개론, 교육심리, 교육평가(선택 2과목) 교수역량
나) 예술 관련 분야(미술, 음악, 무용, 연극, 영화, 국악, 사진,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공예)별로 문화체육관광부 령이 정하는 교수역량 교과목(선택 5과목) 가) 문화정책 및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문화행사기획
직무소양
(선택 1과목)
60시간 (4학점) 150시간 (10학점) 30시간 (2학점)
나) 커뮤니케이션기법, 예술교육 상담(선택 1과목) 예술전문성 예술 관련 분야별 해당 분야의 전공 과목(10과목 이상)
30시간 (2학점) 450시간 (30학점)
*단, 예술 관련 분야를 전공하여 졸업한 사람은 ‘예술전문성’ 교과영역 제외
-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시행규칙에서 제시하는 예술관련 분야별 교수역량 교과목은 다음의 <표 Ⅱ-39>와 같음.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시행규칙은 대학 등에서 여러 분야를 통합하여 개설·운영하는 교과목(예시: 미술·디자인 교육론)도 인정함.
<표 Ⅱ-29> 예술 관련 분야별 교수역량 교과목 분야
교과목 국악 교육론, 국악 교수학습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반), 국악 감상 및 비평,
국악
창의적 방법을 통한 국악 교수법, 국악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국악 교육교재 ㆍ교구 개발 및 활용,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ㆍ제작 및 시연 연극 교육론, 연극 교수학습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반), 연극 감상 및 비평,
연극
창의적 방법을 통한 연극 교수법, 연극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극 교육교재 ㆍ교구 개발 및 활용,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ㆍ제작 및 시연
6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분야
교과목 디자인 교육론, 디자인 교수학습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반), 디자인 감상 및
디자인
비평, 창의적 방법을 통한 디자인 교수법, 디자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디 자인 교육교재ㆍ교구 개발 및 활용,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ㆍ제작 및 시연 사진 교육론, 사진 교수학습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반), 사진 감상 및 비평,
사진
창의적 방법을 통한 사진 교수법, 사진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사진 교육교재 ㆍ교구 개발 및 활용,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ㆍ제작 및 시연 무용 교육론, 무용 교수학습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반), 무용 감상 및 비평,
무용
창의적 방법을 통한 무용 교수법, 무용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무용 교육교재 ㆍ교구 개발 및 활용,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ㆍ제작 및 시연 음악 교육론, 음악 교수학습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반), 음악 감상 및 비평,
음악
창의적 방법을 통한 음악 교수법, 음악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음악 교육교재 ㆍ교구 개발 및 활용,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ㆍ제작 및 시연 미술 교육론, 미술 교수학습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반), 미술 감상 및 비평,
미술
창의적 방법을 통한 미술 교수법, 미술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미술 교육교재 ㆍ교구 개발 및 활용,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ㆍ제작 및 시현 공예 교육론, 공예 교수학습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반), 공예 감상 및 비평,
공예
창의적 방법을 통한 공예 교수법, 공예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공예 교육교재 ㆍ교구 개발 및 활용,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ㆍ제작 및 시현 만화ㆍ애니메이션 교육론, 만화ㆍ애니메이션 교수학습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
만화ㆍ애니
반), 만화ㆍ애니메이션 감상 및 비평, 창의적 방법을 통한 만화ㆍ애니메이션 교
메이션
수법, 만화ㆍ애니메이션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만화ㆍ애니메이션 교육교재ㆍ 교구 개발 및 활용,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ㆍ제작 및 시현 영화 교육론, 영화 교수학습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반), 영화 감상 및 비평,
영화
창의적 방법을 통한 영화 교수법, 영화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영화 교육교재 ㆍ교구 개발 및 활용,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ㆍ제작 및 시연
□ 대학 문화예술교육원의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음.
- 문화예술교육사 2급 취득을 위해 현재 대학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육과정은 이론 중심의 교육에 치중하여 실무적인 부분과의 연계가 부족함. 따라서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의 기본연수 과정을 거쳐 2급을 취득한 문화예술교육사와 수준의 균형을 맞추기 위 하여 실무적 내용 중심의 보수교육 과정이 요구됨.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69
3.2 링컨센터 인스티튜트 예술 전문 인력 양성 현황
□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을 연구함에 있어 우수 사례로서 뉴욕의 링컨센터 인스티튜트 (Lincoln Center Institute: 이하 LCI)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음.
- LCI는 1975년 설립된 이래 약 30년 동안, 미국의 철학자 John Dewey와 미학교육의 대표 적 학자 Maxine Greene 등의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성장한 전문 예술강사 양성 기관임.
- LCI는 학교와의 연계를 통한 예술교육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지금까지 줄곧 뉴욕시 지 역의 유치원부터 초·중·고등학교, 또한 대학의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연결하여 다양한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 왔음.
- LCI의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예술강사들이 모든 교육 활동의 중심이 되며, 100여명이 넘는 예술강사들이 LCI에서 활동하여 협력 학교의 교사들과 함께 학습자가 생생한 경험을 토대 로 예술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이끌고 있음.
3.2.1 링컨센터 인스티튜트의 교육 내용
□ LCI 교육의 목표는 예술작품을 통하여 인지, 지각, 감정, 상상의 향상, 특히 상상력을 함양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음.
- LCI 교육의 핵심인 상상력은 창의성과 혁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원동력으로, 상상력 학습을 단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나와 타인을 새롭게 이해하고 세상과 교감할 수 있는 심미안을 갖출 수 있게 됨.
- 다음 <표 Ⅱ-30>은 상상력 함양을 위한 단계적 실천방안임.
7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Ⅱ-30> 상상력 함양을 위한 단계적 실천방안(Holzer, 2007) 통찰하기 Step 1
체험하기 질문하기 패턴찾기
Step 2
관계맺기 공감하기 모호함 인정하기
Step 3
의미만들기 표현하기
장기적으로 계속적인 교류를 통해 예술작품이나 그 외 학습대상에 대 해 자세히 탐구하고 알아가는 것 감각 및 감정을 통해 예술작품이나 그 외 학습대상에 대해 경험하고, 이런 경험을 신체적으로 보이는 것 자신의 학습을 깊게 하기 위해 탐구기간 내내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것. ‘만약’이라는 의문을 품는 것 관찰한 세부 사항 사이의 관계를 찾고, 분류하고, 유형을 인식하는 것 새로 발견한 것을 자신의 이전 지식과 경험, 다른 사람의 지식과 경 험, 그리고 문헌이나 멀티미디어 자료에 연관 지어 보는 것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는 것, 다른 사람의 경험을 감정 적, 인지적으로 이해하기 문제는 하나 이상의 해석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모든 문제에 당장 명백한 해답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인내를 가지고 탐구해보는 것 이전 역랑에 기초하여 자신만의 해석법을 만들고, 다른 사람의 것과 비교해보며 통합해보고 자신의 의견을 나누는 것 탐구를 통해 배운 것을 통합하여 너무 쉽지도, 너무 어렵지도 않은 범위 내에서 새로운 아이디어, 행동, 상황 등을 시도해보는 것 학습에 대해 되돌아보기 위해 계속적으로 평가하고, 해결되지 않은
Step 4
반성 및
문제를 찾아내고, 무엇을 더 배워야 하는지 찾기, 이는 학습경험의
평가하기
끝에만 일어난 것이 아니며, 경험의 한 부분으로 계속되어야 함(다른 학습의 시작)
□ LCI의 교육 방법은 실제 예술작품 감상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예술창작, 질문, 성찰,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연구 활동으로 진행됨.
- 예술 창작은 학습자들이 실제로 원작품과 유사한 형식의 작품을 만들어 보는 것으로, 학습 자는 직접 공연을 보고 미술 작품을 만드는 활동을 하며 예술가가 경험하는 과정과 동일한 체험을 함. 이후 학습자는 예술가의 실제 작품을 접하고, 예술 작품에 대한 사회적·역사적 정보를 탐색하면서 예술 작품에 대해 보다 총체적으로 이해하게 됨. 그리고 다각적인 질문 과 성찰을 통해 예술 작품을 만들며 느꼈던 감정과 감동을 내면화하고 공감각적인 학습 활 동에 임할 수 있음.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71
3.2.2 링컨센터 인스티튜트의 교육 운영
□ 뉴욕 내 파트너십 학교(공립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상상력 학습 교육과정을 운영함.
- 뉴욕시의 사범 학교가 상상력 학습 수업을 직접 기획하고 링컨센터의 자료를 유연하게 활 용하도록 함. 또한 뉴욕 내 학생들에게 상상력 학습 교육과정을 채택한 공적자금 기반 설 립학교 수업에 참여기회를 제공함.
□ 지역 파트너 단체를 대상으로 교육의 재료가 되는 주요 작품의 정보를 공유함.
- 무용, 음악, 연극, 시각예술, 그림책 연구 등의 자료를 지역예술교육단체와 적극 공유하고, 링컨센터와 파트너십을 맺지 않은 뉴욕 외곽지역의 교육가를 대상으로 양질의 디지털 예술 작품, 그림책, 포스터와 상상력 학습 수업 계획 자료를 제공함.
□ 예술강사를 양성하여 관련 업무에 파견을 보냄.
- 주요 워크숍 및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교육철학 및 교육실습 연 수를 실행함. 양성된 예술강사는 센터와 파트너십을 맺은 학교 교사와 적극 협력하여, 상상 력 학습의 수업 계획 활용법을 공유하고 ‘국제교육가워크숍’의 강사 혹은 교육자 대상 연 구자 개발에 컨설팅, 연구보조 등을 담당함.
□ 링컨센터 인스티튜트 예술 전문 인력 양성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음.
- LCI는 상상력 함양을 주된 목표로 하여 발달 단계별 역량을 제시함. 그리고 이러한 발달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을 구성하며,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교육체계를 갖춤.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교육체계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 지 않고 구성되어 각 단계별 요구되는 역량이 중복 또는 누락된 부분이 존재함. 따라서 문 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구체적 발달 단계 수립과 그에 따른 역량 도 출이 요구되는 상황임.
- LCI는 이론과 실무를 통합하는 관점에서 직접적인 예술 창작 활동, 질문 및 성찰, 매체를 활용한 예술 연구 등 다양한 체험 학습 중심의 교육 방법을 활용하고 있음. 한국문화예술
7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교육진흥원도 이와 마찬가지로 이론과 실무를 통합하기 위한 교육 방법을 추구하고 있으 나,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은 주로 이론에 초점을 두고 있음. 따라 서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이수하고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을 취득 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수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 교육은 실무 중심의 내용을 다루어야 할 것임.
3.3 평생교육사 양성 현황 □ 본 분석결과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체계와 유사한 사례로서 평생교육사 자격제도를 선 정하여 작성하였음.
- 평생교육사는 평생교육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기획·진행·분석·평가 및 교수업무 등 평생교육 관련업무의 전반적인 영역을 담당하는 현장 전문가임. 문화예술교육사의 법적 근거가 2011 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의결로 시작된 것에 비해, 평생교육사자격제도는 1982년 「사 회교육법」제정으로 시작하여 상대적으로 오래된 역사를 지님.
- 현재 평생교육사 자격 등급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와 비교해볼 때, 1·2급 외에 추가 적으로 3급이 있으며, 양성 교육 기관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외에 대학, 지정양성기관, 학 점은행기관 등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 기관보다 다양함.
- 평생교육사 자격 제도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와 내용이나 방법론에 있어서 유사하면서 도 더 구조화된 모습을 보임.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를 다룸에 있어 평생교육사 자격 등급 체계 및 취득 과정을 분석하여 참고할 필요가 있음.
3.3.1 평생교육사 자격 등급 체계
□ 평생교육사 자격증은 평생교육 관련업무의 전문적인 수행을 위해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 에게 부여하는 국가자격증으로, 1·2·3급으로 구분되며 등급별로 자격 요건 및 취득 절차가 상이함.
- 2007년 완전 개정 및 이후 일부 개정된 평생교육법에 근거한 등급별 자격체계 및 요건은 다음과 같음.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73
<표 Ⅱ-31> 평생교육사 등급별 자격요건 구분 1급
학
대상자
이수학점
비고
평생교육사 2급 취득 후
1급
국가평생교육진흥원
+ 평생교육 관련업무 5년 이상
승급과정
운영
15학점
2009년 이후
(필수 5)
입학생부터 적용
대학원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
위 과 정 2급
대학(시간제등록) 대학 졸업생
위 과 정
3급
비
2009. 8. 9 이후
(필수5/
학위취득자부터 적용
선택5)
2008년 이후 양성과정
학점은행기관
진입자부터 적용 2급 승급과정
입학생부터 적용 2009. 8. 9 이후
학점은행기관 상 학위취득 과정생
대학 졸업생
학 위
평생교육업무
과
2년 이상 경력자
정
공 무 원 (평 생 교 육 업 무 1년 이 상 )
2010년 시범운영 2009년 이후
대학 재학생
위 정
30학점
지정양성기관
평생교육사 3급 + 평생교육업무 3년 이상
학 과
학위취득자부터 적용
학점은행기관 학위취득 과정생
비 학
2009. 8. 9 이후
대학 재학생
학위취득자부터 적용
대학(시간제등록)
21학점
지정양성기관
(필수5/
학점은행기관
선택2)
2008년 이후 양성과정
지정양성기관
진입자부터 적용
교원
- 취득 절차와 관련하여, 평생교육사 자격 이수방법에 따라 승급과정과 양성과정으로 구분됨. 승급과정은 일정 자격요건을 갖춘 평생교육사 자격증 소지자가 상위 급수로 승급하기 위해 이수하는 연수과정(1급 승급과정, 2급 승급과정)이고, 양성과정은 대학, 학점은행기관 등 평생교육사 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관련과목을 이수하여 일정 학점 이상 취득하는 과정(2 급, 3급 진입가능)임.
7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그림 Ⅱ-5] 평생교육사 이수과정
3.3.2 평생교육사 자격 취득 방법
□ 평생교육사 이수과정 중 양성과정 교육은 대학원, 대학, 학점은행기관 등을 통해 다양한 형 태로 이뤄짐.
- 자격증 신청 관련 과목이수 조건과 관련하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이수과목은 과목당 3학 점으로 하고 성적은 각 과목을 100점 만점으로 하여 평균 80점 이상이어야 함.
- 평생교육사 2·3급 공통으로 필수과목은 15학점(평생교육실습 포함)을 이수해야 하며, 2급의 경우는 필수과목 15학점을 포함하여 30학점 이상, 3급의 경우는 필수과목 15학점을 포함 하여 21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 평생교육 관련과목 중 선택과목은 평생교육 실천영역 8과목과 평생교육 방법영역 13과목 가운데 각 1과목 이상씩 반드시 이수해야 함.
- 한편, 평생교육사 관련과목 유사과목 인정은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유사과목 인정위원회를 통해서 선정된 『평생교육 관련과목 유사과목 인정 교과목』 에 한하며, 법령과목명 또는 유사인정 과목명과 교과목 명칭이 다른 경우 자격증 취득 관련과목으로 인정이 불가함.
- 다음은 평생교육법 시행규칙(2008. 2. 18 전부개정)에 근거한 평생교육 관련과목임.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75
<표 Ⅱ-32> 평생교육 관련 과목 구분
과목명 Ÿ 평생교육론
필수과목(5)
Ÿ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Ÿ 평생교육방법론
Ÿ 평생교육실습(4주간)
Ÿ 평생교육경영론
실천영역 (8)
선택과목 (21)
비고
Ÿ 아동교육론
Ÿ 시민교육론
Ÿ 청소년교육론
Ÿ 문자해득교육론
Ÿ 여성교육론
Ÿ 특수교육론
Ÿ 노인교육론
Ÿ 성인학습 및 상담
과목당
※ 1과목 이상 선택하여야 함
3학점 평균
Ÿ 교육사회학
80점 이상의
Ÿ 원격(이러닝, 사이버)
Ÿ 교육공학
교육론
Ÿ 교육복지론
학습 성적
Ÿ 기업교육론
방법영역 Ÿ 지역사회교육론 Ÿ 문화예술교육론 (13)
Ÿ 환경교육론 Ÿ 교수설계
Ÿ 인적자원개발론
Ÿ 교육조사방법론
Ÿ 직업·진로설계
Ÿ 상담심리학
※ 1과목 이상 선택하여야 함
□ 평생교육사 이수 과정 중 승급과정 교육은 평생교육사 1급 및 2급 취득 시 평생교육 관련 업무 수행자를 대상으로 이뤄지는 교육으로,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향상과 인적 자원을 효율 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운영되고 있음.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리더십과 전문성이 뛰어나고 평생교육문화 조성에 공헌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평생교육에 대한 포괄적, 심층적 이해를 통해 평생교육 전문 역량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과정임.
- 평생교육사 승급과정의 진입 요건은 다음 <표 Ⅱ-33>과 같음.
<표 Ⅱ-33> 승급과정 진입 요건 급수 1급 2급
진입 요건 평생교육사 2급 자격증 취득 후, 평생교육 관련 업무에 5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 는 자(2급 취득 후 경력만 인정) 평생교육사 3급 자격증을 보유하고, 평생교육 관련업무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 는 자(3급 취득 전후 경력 모두 인정)
7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승급과정의 대상 선정은 승급과정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1차 자격심사(1급·2급 공통)와 2차 면접심사(1급)를 통해 이뤄짐. 승급과정 운영 인원(1·2급 각 20명 기준)을 고려하여 경력심 사로 진행되며 평균점수 80점 미만 시 불합격임. 최종 합격자는 승급과정 이수 후 영역 및 종합 평가를 받게 되며, 자격 심사를 거쳐 자격증이 발급됨.
- 평생교육사 등급별로 교육내용을 살펴보면, 평생교육사 1급의 경우 총 105시간의 교육이 12주에 걸쳐 진행되며 구체적인 교육 내용은 아래 <표 Ⅱ-34>와 같음.
<표 Ⅱ-34> 평생교육사 1급 승급과정 영역
교육내용
교육과목
Ÿ 평생교육 관련 기본소양 등 1
일반과정
특강 구성
- 평생교육 특강(8개과목, 22H)
Ÿ 조별 (Acting learning) 프로젝트 - 조별프로젝트 운영(9H) 계획 및 운영 Ÿ 학습자 정보수집 Ÿ 성인발달의 이해
2
평생학습 상담 Ÿ 상담기법 및 컨설팅
- 생애발달과 교육(3H) - 평생학습 상담 및 컨설팅(3H)
Ÿ 비전코칭
- 진로상담 및 경력개발(3H)
Ÿ 학습자 진단평가
- 개인 프로젝트 발표(3H)
Ÿ 진로상담 등
3
Ÿ 프로그램 요구분석
- 조직이론 및 평생교육(3H)
교육프로그램
Ÿ 실행계획 수립
- 교수학습 기법 실습(3H)
기획 및 개발
Ÿ 통계 테이터 분석 및 활용
- 대상별 학습자 분석 및 교수설계(6H)
Ÿ 실적평가 등
- 개인별 프로젝트 발표(3H)
Ÿ 비전과 전략수립 Ÿ 중장기 계획수립 4
평생교육기관
Ÿ 조직커뮤니케이션 촉진
경영 및 관리
Ÿ 사업파트너쉽 촉진 Ÿ 평생학습 SWOT 분석 Ÿ 기관 및 프로그램 마케팅 등 Ÿ 자생적 평생교육 조직 만들기
5
변화촉진 및
Ÿ 평생학습 마을리더 양성
지역활성화
Ÿ 평생교육사 임파워먼트 Ÿ 전문가 멘토링 등
- 평생교육기관 경영 및 재정운영(3H) - 조직분석 및 기관역량 분석(3H) - 마케팅 및 기관홍보전략 수립(3H) - 조직학습 및 학습조직(3H) - 개인별 프로젝트 발표(3H) - 지역사회 네트워크 파트너쉽 구축(3H) - 지역 평생학습기관 컨설팅(3H) - 개인별 프로젝트 발표(3H)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77
영역
교육내용
교육과목
Ÿ 목표선정 평생교육 6
교수학습 및 평가
Ÿ 학습자 집단별 교수법 개발 Ÿ 강의방식 Ÿ 강의 모니터링
- 평생학습 지원체제 개발(3H) - 평생학습 평가체제 개발(6H)
Ÿ 사후평가 등 - 오리엔테이션, 종강식(2H) 7
기 타
- 종합시험(3H) - 평생교육기관 및 행사 견학(9H)
- 평생교육사 2급의 경우 총 170시간의 교육이 8주에 걸쳐 진행되며 구체적인 교육 내용은 아래 <표 Ⅱ-35>와 같음.
<표 Ⅱ-35> 평생교육사 2급 승급과정 영역
교육내용
교육과목
Ÿ 지역 환경 및 기관 환경 분석하기 1
평생학습 환경분석
Ÿ 평생교육법 및 국가평생교육정책 이해하기 Ÿ 요구조사 및 분석의 필요성과
- 지역동향 및 기관역량 분석(3H) - 평생교육(법)과 정책의 이해(3H) - 요구조사 분석(6H)
방법의 이해하기 Ÿ 평생교육의 가치와 철학 2
평생학습 기획
이해하기 Ÿ 평생학습 중장기계획 수립하기
- 평생교육철학(3H) - 사업기획의 실제(3H)
및 내부사업 기획하기 Ÿ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법의 이해와 프로그램 개발하기 3
평생교육
Ÿ 운영담당자 역할, 강사 관리하기
-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6H)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운영기법 이해하기
-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3H)
운영 평가
Ÿ 평생교육프로그램 평가기법 및
- 평생교육프로그램 평가(9H)
유형 이해하기 Ÿ 평가도구 개발하기
7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영역
교육내용
교육과목
Ÿ 마케팅 개념 및 전략 이해하기 Ÿ 홍보의 유형 및 제작하기
- 평생교육프로그램 마케팅 및
Ÿ 단체육성, 관리하기 4
지역네트워크
Ÿ 파트너십 및 네트워크 개념 및 필요성 이해하기
홍보(6H) - 학습공동체론(3H) - 사업파트너십의 이해(3H)
Ÿ 네트워크의 성공요인 및 장애요인 분석하기 Ÿ 성인학습자의 이해 및 성인학습자 교수법의 이해하기 5
교수학습 기법
Ÿ 스팟이나 교육적 문제제기
및 상담
Ÿ 아이스브레이킹 실습하기 Ÿ 상담스킬 및 멘토링기법
- 성인학습자의 이해(3H) - 교수학습기법실습(6H) - 학습자 상담 이해(3H)
이해하기 - 오리엔테이션, 종강식(2H) 6
기 타
- 종합시험(2H) - 조별프로젝트 논의 (3H)
□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필수과목 중 하나인 평생교육실습은 현장실습에 대한 기초 지식을 함 양하는데 중점을 두어, 오리엔테이션, 현장실습 과정과 내용, 실습생의 자세와 태도 등 실습 전 숙지해야 할 내용을 이해하는 교과임. 또한 실습기관의 이해, 업무 분석, 기관 운영 프로 그램 분석과 모의 프로그램 기획 등 실질적인 평생교육실습과 다양한 실습 후 활동(실습평 가회, 향후 비전 세우기 활동 등)을 통해 예비평생교육사로서의 실무능력과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교과이기도 함.
- 실습기간은 4주 160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실습 유형은 <표 Ⅱ-36>과 같음.
<표 Ⅱ-36> 평생교육 현장실습 유형 구분
비고 Ÿ 학기 중 특정요일을 지정하여 이루어지는 실습 유형
학기중 실습 Ÿ 평생교육 실습과목은 필수과목으로 성적산출이 되어야 하므로 반드시 과목 신청한 학기 안에 수행해야 함. 방학중 실습
Ÿ 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실습 유형 Ÿ 필요한 경우 토, 일요일 대체 실습이 가능함.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79
구분
비고 Ÿ 직장이나 특별한 사정으로 인해 야간이나 특정 요일, 특정 시간을 이용하여
시간제 실습
실습기회를 갖는 실습 유형 Ÿ 기관에서 담당하는 업무내용 중 특정한 부분을 선정하여 실습지도 교수와 상의하여 실습목표를 세우고 컨설팅을 받으면서 실시하는 것을 의미함. Ÿ 평생교육기관 종사자가 가능한 실습유형으로 현 직장에서 실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편의를 도모하고 질적인 실습을 제공함.
근무지 실습
Ÿ 자신의 업무가 그대로 실습으로 인정되는 의미가 아님. Ÿ 근무지에서 담당하는 업무내용 중 특정부분이나, 평소에 관심이 있는 부서의 업무를 선정하고, 실습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실습목표 및 일정을 세우고 지속 적으로 컨설팅을 받으면서 실습의 형태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함.
- 다음으로 평생교육 실습기관 유형은 다음 <표 Ⅱ-37>과 같음.
<표 Ⅱ-37> 평생교육 실습기관 유형 구분
유형
기관 평생교육진흥원
1유형 평생교육법 상의 평생교육기관
3대 평생교육 전담기구
시 · 도 평생교육진흥원 시 · 군 · 구 평생학습관
2유형
문자해득교육프로그램 지정기관 평생학습도시
3유형
국가 · 지자체 평생학습 추진기구
4유형
평생교육 관련사업 수행학교
5유형
평생교육시설 신고 · 인가 기관
6유형
평생직업교육학원 주민자치기관 문화시설기관 아동관련시설
다른 법령 상의 평생교육기관
여성관련시설 7유형
기관형 교육기관
청소년관련시설 노인관련시설 장애인관련시설 다문화가족관련시설 사회복지시설
8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구분
유형 8유형
기관 직업훈련기관
훈련 · 연수형 교육기관
연수기관 비영리민간단체
다른 법령
비영리 사(재)단법인
상의 평생교육기관
9유형
청소년단체
시민사회 단체형 교육기관
여성단체 노인단체 시민단체
□ 한국평생교육진흥원에서는 평생교육사 1·2급 승급과정 및 현장실습 면제(구 평생교육법 적 용)시 요구되는 평생교육 관련 업무에 대한 경력산정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평생교육 경력 산정 기준을 마련함. 산정 원칙은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 관련 업무1)를 담당한 경력에 한함.
- 경력산정 적용 단계 및 기준은 총 3단계로 나뉨. 1단계에서는 평생교육 관련 업무 수행이 가능한 평생교육기관의 유형을 확인함. 2단계에서는 평생교육법에 의거하여 인가·등록·신고 된 시설·법인 또는 단체(1군)인지 타 법령에 의해 설립된 기관 중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 로 하는 시설·법인 또는 단체(2군)인지 여부를 확인함. 3단계에서는 1·2단계 적용 이후 동 일 기관 내 근로유형에 따라 경력을 산정함.
3.3.3 평생교육사 교과과정 편성의 기본 원리
□ 평생교육사 교과과정 편성의 첫 번째 기본 원리로, 직무 중심의 교육과정을 따름.
- 평생교육사의 직무는 평생교육사업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조사·분석·기획·설계·운영·지원·교 수·평가하고, 다양한 학습주체자에 대한 변화 촉진과 평생학습 상담 및 컨설팅을 수행하며, 평생학습사회의 실현을 위해 기관 및 시설 간 네트워킹을 촉진시키고, 평생학습 성과를 창 출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 수행을 위한 직무 중심의 구체적인 교과목 구성이 필 요함. 따라서 기존의 이론, 개론 중심의 교과목에서 탈피하여 교수설계, 조사방법론 등의 핵심 직무능력 배양 중심의 교육내용으로 구성하도록 함. 1) 평생교육의 기획·진행·분석·평가 및 교수업무(평생교육법 제24조제2항)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분 석·개발·운영·평가·컨설팅, 학습자에 대한 학습정보 제공, 생애능력개발 상담·교수 및 그 밖에 평생교육 진흥 관련 사업계획 등의 업무 (평생교육법 시행령 제17조)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81
□ 평생교육사 교과과정 편성의 두 번째 기본 원리로, 현장 적응력 확보를 위한 교육과정을 따 름.
-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을 이수하고 자격증을 취득한 평생교육사가 평생교육 현장에 배치되었 을 때 양성과정을 통해 길러진 역량을 발휘하여 단기간에 평생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 도록 해야 함. 특히, 평생교육 관련과목 중 「평생교육실습」이 내실 있게 운영될 때, 평생 교육사의 실무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
□ 평생교육사 교과과정 편성의 세 번째 기본 원리로, 과목영역별 선택과 집중으로 선택 과목 영역 구분과 선택의 폭이 확대됨.
- 사회변화에 따라 평생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한 요구가 등장하면서 현장에 적합한 전문가 양 성이 필요해짐. 이에 평생교육 관련과목(선택과목)은 실천영역과 방법영역으로 구분되고, 영역별로 다양한 교과 구성, 즉 교과목을 확대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현장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함.
3.3.4 평생교육사 직무, 과업별 세부 활동
- 평생교육사의 직무, 과업별 새부 활동 체계는 다음과 같음.
<표 Ⅱ-38> 평생교육사 직무별 과업 과업
세부 활동
과업
세부 활동
① 학습자 특성 및 요구조사 분석하기 ② 평생학습 참여율 조사분석하기
① 학습동기화 촉진하기
③ 평생학습 자원 조사분석하기
② 강의 원고 및 교안작성하기
④ 평생학습권역 매핑하기
③ 단위 프로그램 강의하기
조사
⑤ 평생학습 SWOT 분석하기
교수
④ 평생교육사업 설명회 및 교육하기
분석
⑥ 평생학습 프로그램 조사분석하기
학습
⑤ 평생교육 관계자 직무교육하기
⑦ 평생학습 통계자료 작성하기
⑥ 평생교육사 실습 지도하기
⑧ 평 생 학 습 자 원 및 정 보 D B구 축 하 기
⑦ 평생교육 매체 및 자료 개발하기
※ 평생학습자원: 인구, 교육, 시설,
⑧ 평생교육사 학습역량 개발하기
산업구조, 문화현황
8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과업
세부 활동
과업
① 평생학습 네트워크체제 만들기
① 평생학습 비전과 전략 수립하기
② 인 적 ·물 적 자 원 네 트 워 크 실 행 하 기
② 평생학습 추진체제 설계하기
③ 사업 파트너십 형성 및 실행하기
③ 중 ․장기 및 연간 계획수립하기 기획
④ 단위사업 계획수립하기
네트
계획
⑤ 평생학습 축제 기획하기
워킹
⑥ 공모사업 기획서 작성하기
개발
① 프로그램 목표설정 및 진술하기
① 학습자 상황 분석하기
② 학습자 요구사정 및 확인하기
② 학습장애 및 수준 진단·처방하기
③ 프로그램 내용 선정․조직하기
③ 평생학습 상담사례 분석하기
④ 프로그램 매체 선정 및 개발하기
④ 생애주기별 커리어 설계하기
⑤ 프로그램 운영 적합성 확인하기 ⑥ 프로그램 벤치마킹하기
상담
⑤ 평생학습 ON/OFF 라인 정보 제
컨 설 팅 공하기
⑦ 프로그램 특성화 및 전문화하기
⑥ 평생학습 상담실 운영하기
⑧ 프로그램 교재 및 매뉴얼 개발하기
⑦ 학습자 사후관리 및 추수지도하기
⑨ 프로그램 분류 및 유의가 창출
⑧ 의뢰기관 평생학습 자문 및 컨설팅
⑩ 프로그램 지적, 문화적 자산화
하기 ① 성과지표 창출하기 ② 목표대비 실적 평가하기
② 인적자원 역량 개발하기
③ 평생학습 영향력 평가하기
③ 학습동아리 발굴 및 지원하기
촉진
화시키기
⑧ 평생교육사 임파워먼트 실행하기
① 평생학습 참여 및 능력 촉진하기
변화
⑤ 조직 내 · 외부 커뮤니케이션 활성
⑦ 지원세력 확보 및 설득하기
⑧ 실행계획서 수립하기
그램
④ 온라인 네트워크 형성 및 촉진하기
⑥ 협의회 및 위원회 활동 촉진하기
⑦ 예산계획 수립 및 편성하기
프로
세부 활동
④ 평생교육실천 지도자 양성하기 ⑤ 평생교육 단체 육성하기 ⑥ 평생교육 자원봉사활동 촉진하기 ⑦ 평생학습 관계자 및 리더 멘토링 하기 ⑧ 평생학습문화 조성하기
④ 평가보고서 작성하기 평가
⑤ 평가발표자료 제작하기
보고
⑥ 우수사례 분석 및 확산하기 ⑦ 공모사업 기획서 평가하기 ⑧ 평 생 학 습 성 과 관 리 및 D B구 축 하 기 ⑨ 프로그램 프로파일 생성 ⑩ 지식창출 성과 정리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83
과업
운영 지원
세부 활동
과업
세부 활동
① 프로그램 홍보·마케팅하기
① 국가 및 지방정부 평생학습 공문
② 프로그램관리 및 모니터링하기
생성
③ 평생학습 인증체제 운영하기
② 평생학습 공문 회람 및 협조
④ 강사 지원 및 강사풀 관리하기 ⑤ 학습자 지원 및 관리하기 ⑥ 교육시설 및 환경 관리하기
행정 경영
③ 평생학습기관 및 담당부서 업무보고 ④ 광 역 /기 초 단 체 장 지 침 과 관 심 반 영 ⑤ 평생학습 감사자료 생성과 보관
⑦ 홈페이지 관리·운영하기
⑥ 평생학습관 모니터링 및 감사
⑧ 평생학습 기금조성 및 예산 집행
⑦ 평생학습기관 효율적 경영전략 추진
하기
⑧ 평생학습관련 기관의 경영수지 개선
출처: 국가평생교육진흥원 (http://www.nile.or.kr)
- 앞서 살펴본 평생교육 관련 교과목은 평생교육사의 직무, 과업과 연계되어 있음. 평생교육 사 과업과 관련 교과목 매트릭스는 다음과 같음.
8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Ⅱ-39> 평생교육사 과업 - 교육과정 매트릭스 필수 평 생 교 육 론 과업
선택
평 생 교 육
평 생 교 육
평 생 교 육
평 생 교 육
방 법 론
경 영 론
프 로 그 램
실 습
아 동 교 육 론
청 소 년 교 육 론
여 성 교 육 론
노 인 교 육 론
시 민 교 육 론
문 자 해 득 교 육 론
특 수 교 육 론
성 인 학 습
상 담
교 육 론
문 화 예 술 교 육 론
인 적 자 원 개 발 론
○
○
○
및
교 육 사 회 학
교 육 공 학
교 육 복 지 론
지 역 사 회
직 업 및 진 로
원 격 교 육 론
기 업 교 육 론
환 경 교 육 론
교 수 설 계
교 육 조 사
○
○
○
○
○ ○
방 법 론
설 계
상 담 심 리 학
개 발 론 조사 분석
○
○
○
○
○
○
○
○
○
○
○
○
○
기획 및 계획
○
○
○
○
○
○
○
○
○
○
○
○
○
프로그램 개발
○
○
○
○
○
○
○
○
○
○
○
○
변화 촉진
○
○
○
○
○
○
○
○
○
○
○
운영 지원
○
○
○
○
교수 학습
○
○
네트워킹
○
○ ○
○
○
평가 보고
○
○
행정 경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담 및 컨설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85
□ 평생교육사 자격 제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음.
- 평생교육사 1급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하는 승급과정 교육 이수를 통해서만 취득 가능함. 즉, 하나의 기관에서 일관된 교육체계를 가지고 1급 승급 대상을 선발, 양성하고 엄격한 심사를 거쳐 자격을 부여하고 있음. 이는 문화예술교육사 1급 대상자의 육성과 관 리가 여러 교육기관에 분산되어 이루어지기 보다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이루어 질 때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양성 체계가 구축될 수 있음을 시사함. 이를 통해 무분별한 자격 의 양산을 방지하여 문화예술교육사 1급 자격 취득자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자격이 지니는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나아가 자격 제도의 질적 관리를 위해 현재 ‘교육과 정 이수형’에서 ‘평가 인증형’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함.
- 평생교육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의 기본 원리는 직무 중심의 교육, 현장 적응력 확 보, 선택 과목 영역 확대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체계 역시 실제 현장에서 의 직무 수행 시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하나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 이에 더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각 개인들이 현장에서 조우하는 상황은 다양하므로, 개인들이 당 면한 상황에 필요한 능력을 자기주도적으로 개발해나갈 수 있도록 선택 과목의 영역을 확 대하는 것이 필요함.
- 평생교육사 양성 과정은 직무별 과업과 교과목을 연계시켜 개설, 운영되고 있음. 즉, 교육 을 통해 각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음. 따라 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체계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개발, 운영, 평가, 문화예술 관련 사업 기획 및 운영 등의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역량을 도 출하고 이를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함.
- 한편, 평생교육사 교육과정은 자격증 취득 이후 별도의 보수교육이 마련되어있지 않음. 마 찬가지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도 교육과정상 보수 교육이 없음. 그러나 지속적인 전문 성 보유 및 개발을 위하여 자격 취득 이후의 의무적인 보수교육을 구상하고 실행할 수 있 어야 함.
8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4. 요약 및 시사점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육성 현황 분석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관련 외 부 환경 변화에서부터 기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관련 역량 연구 및 교육체계 현황, 타 기관 양성 사례를 분석하였음.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에 관한 주요 시사점들을 정리하면 다음의 [그림 Ⅱ-5]와 같음
- 첫째,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사업 관련 정책 변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사 업 이해관계자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양적 확대와 질적 수준 제고가 요구되고 있음. 따라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하여 이해관계 기관과의 육성 체계 통합과 조정, 전문성과 역량에 기 반한 육성 체계 및 교육과정 개선 등의 활동으로 新교육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 둘째, 기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연구들은 각기 다른 방법론과 관점으로 역량 체 계를 수립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발달 단계와 성장 유형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 따라서 역량에 기반한 교육체계를 수립함에 있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성장 유형과 전문성 발달 단계 설정이 선행되고, 단계별로 개발해야 할 역량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함.
- 셋째, 기존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의 프로그램들은 기존 역량 모델의 하위 역량들을 부 분적으로만 다루고 있음. 즉,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들은 특정 역량 개발에 편중되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으로서 요구되는 역량들을 모두 수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 따라 서 新교육체계에 포함될 아르떼 아카데미의 단위 프로그램들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역량 체계에 기반하여 재배치 및 신설하는 것이 필요함.
- 넷째, LCI는 이론과 실무를 통합하는 관점에서 직접적인 예술 창작 활동, 질문 및 성찰, 매체를 활용한 예술 연구 등 다양한 체험 학습 중심의 교육 방법을 활용하고 있음. 한국문 화예술교육진흥원도 이와 마찬가지로 이론과 실무를 통합하기 위한 교육 방법을 추구하고 있으나,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은 주로 이론에 초점을 두고 있음. 따라서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이수하고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을 취득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수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 교육은 실무 중 심의 내용을 다루어야 할 것임.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87
[그림 Ⅱ-6]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분석 결과
8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다섯째, 평생교육사 1급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하는 승급과정 교육 이수를 통해서 만 취득 가능함. 즉, 하나의 기관에서 일관된 교육체계를 가지고 1급 승급 대상을 선발, 양 성하고 엄격한 심사를 거쳐 자격을 부여하고 있음. 이는 문화예술교육사 1급 대상자의 육 성과 관리가 여러 교육기관에 분산되어 이루어지기 보다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이 루어 질 때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양성 체계가 구축될 수 있음을 시사함. 이를 통해 무분별 한 자격의 양산을 방지하여 문화예술교육사 1급 자격 취득자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자격이 지니는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나아가 자격 제도의 질적 관리를 위해 현재 ‘교육과정 이수형’에서 ‘평가 인증형’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현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지속적인 전문성 및 역량 개발을 위하여 자격 취득 이후의 의무적인 보수교육 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함(문화예술교육사 1, 2급 공통 적용 필요).
- 여섯째, 평생교육사 양성 과정은 직무별 과업과 교과목을 연계시켜 개설, 운영되고 있음. 즉, 교육을 통해 각 과업 수행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음. 따라 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체계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개발, 운영, 평가, 문화예술 관련 사업 기획 및 운영 등의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역량을 도 출하고 이를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함.
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현황 |89
[Key point]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양적 확대와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하여 전문성과 역량 1
에 기반한 육성 체계 및 교육과정 개선 등의 활동으로 新교육체계 수립이 필요 함.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성장 유형과 전문성 발달 단계를 규명하고, 발달 단계
2
별로 개발해야 할 역량을 규명하여 체계적인 교육체계 구축의 기반으로 활용해 야 함. 현재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은 특정 역량의 개발에 편중되어 운영되고 있기
3
때문에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모든 역량의 개발이 어려움. 따라 서 아르떼 아카데미의 단위 프로그램들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 를 고려한 역량 체계에 기반하여 재배치 및 신설하는 것이 필요함.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이수하고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
4
을 취득한 이들을 대상으로 하며 실무 중심의 내용을 다루는 보수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 무분별한 자격의 양산을 방지하여 문화예술교육사 1급 자격이 지니는 위상을 높
5
이고 자격 제도의 질적 관리를 위해 현재 ‘교육과정 이수형’에서 ‘평가 인증형’으 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현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지속적인 전문성 및 역량 개발을 위하여 자격 취득 이후의 의무적인 보수교육 실행이 필요함.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체계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개발,
6
운영, 평가, 문화예술 관련 사업 기획 및 운영 등의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 요한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함.
9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성장 유형 및 발달 단계 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에 따른 역량 체계 3.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로드맵 4.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성장 유형 및 발달 단계 1.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성장 유형 설정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성장 유형은 3단계 절차에 의해 ‘문화예술교육 교수자’와 ‘문화예술 교육 기획자’로 선정되었음. 선정 절차를 살펴보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훙원 내부 보고서 및 연구물 분석으로 도출된 전문 직무 유형(예술강사, 프로그램 연구자, 에듀케이터, 예술기획 자, 컨설턴트 등)을 기반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대 상 인터뷰 및 워크숍을 통하여 ‘문화예술교육 교수자’와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유형을 최종 적으로 설정함.
<표 Ⅲ-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성장 유형 설정 절차 구분
1단계(문헌분석) § 내부 문서 - 아르떼 아카데미
주요
팜플렛 외 16건
내용
§ 연구물 - 등급별 교육과정 개발 연구(2012) 외 10건 § 연구진
대상자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설정
2단계(인터뷰)
3단계(워크숍)
§ 문화예술교육사의
§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와 직무능력은
전문성을 기반으로 향후
무엇인가? § 문화예술교육사의 성장 지향점은 무엇인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 문화예술교육 교수자
육성되어야 하는 직무와 직무능력은 무엇인가?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93
1.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설정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설정은 『2007 예술전문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 최 종보고서』외 내부 문헌과 전문가 발달단계 외부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대상 인터뷰 및 워크숍을 통해 설정됨.
<표 Ⅲ-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설정 절차 구분
1단계(문헌분석)
2단계(워크숍)
3단계(확정)
§ F․G․I § 내부 문헌(28건)
- 문화예술 전문 인력
- 문화예술 전문 인력
성장 단계별(경험, 역량,
단계 보완 및 확정
직무분석 및 CDP 수립
전문영역, 교육과정 등)
- 5단계: Arte Master
주요
최종보고서(2007) 외
특성은 무엇인가?
- 4단계: Arte Expert
내용
§ 외부 문헌(8편)
§ 워크숍
- 3단계: Arte Craftsman
- 전문성 연구 문헌의
- 문화예술 전문 인력
- 2단계: Arte Journeyman
비판적 고찰(배을규,
성장 단계별 특성(수준,
- 1단계: Arte Apprentice
이호진, 2011) 외
정의 및 특징)에 대한
- 0단계: Arte Novice
§ 5단계 전문성 발달
검토 및 의견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대상자
§ 연구진
인력양성팀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 연구진
- 먼저 전문가 발달단계 문헌연구는 『2007 예술전문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 최종보고 서』2)외 내부 문헌과「전문성 연구 문헌의 비판적 고찰」(배을규, 이호진, 2011)문헌을 기 반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EBSCO’에서 ‘전문가’ 및 ‘전문성’ 발달과 관계된 외부 문헌 8편을 검색하여 전문가의 전문성 발달 단계별 특징을 분석하였음.
2)Ⅱ. 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및 교육체계 현황에서 제시됨 9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Ⅲ-3> 전문가 전문성 발달단계 이론 분석 이론
내용
단계 초보자 (novice) 상급 입문자
Dreyfus와
전문성은
Dreyfus
문제에 대해
(1986)
질적으로 다른
5단계론
인식단계를
(5 stage theory)
거쳐 발달됨
비보편성 이론 (Nonuniversal theory)
유능자
§ 다양한 경험으로 상황적 지식 증가
(competent
§ 객관적․보편적 절차 무시
performer)
§ 위계적 절차에 의한 의사결정
숙달자
§ 과업에 몰입
(proficient
§ 직관적 이해
performer)
§ 상황의 일부특성에 집중
최고 전문가
§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 판단, 결정
(culminating
§ 비판적 성찰
expert)
§ 상황의 단순화, 유연한 행동
초보자
§ 보편적(universial) 단계
보편적
숙련자
영역에서
(journeymen)
비보편적
발달 단계를 거쳐 발달됨
§ 고차적 문제해결 규칙 적용,
§ 보편적 지식보다 상황적 지식 고려
(apprentice)
연속적
§ 풍부하고 실제적인 경험 뒤 진입
beginner)
전문성은
영역으로의
§ 단순한 문제해결 규칙 적용
§ 개념의 확장적 이해
견습생
(1994)
§ 속한 분야의 객관적 특성 이해
(advanced
(novice)
Feldman
특징 § 교육을 통해 보편적 지식과 기술 습득
장인 (craftsman)
전문가 (expert)
대가(master)
§ 누구나 습득 가능 § 범문화적(pancultural) 단계 § 주변인들과의 상호작용으로 발달 § 문화적(cultural) 단계 § 구성원 모두에게 습득 기대 § 영역적(discipline) 단계 § 학문과 지식 체계에 입문 § 해당 영역의 보편적 지식 체계 습득 § 개성적(idiosyncratic) 단계 § 영역 내 전문분야로 세분화 § 강도 높은 교육 필요 § 독자적(unique) 단계 § 영역의 한계를 뛰어넘는 성취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95
이론
내용 전문성
단계 순응 (acclimation)
Alexander
발달요인인
(2003)
지식, 전략적
유능
영역학습모형
처리, 흥미가
(competence)
(Model of
상호 영향을
Domain Learning)
미치는 가운데
숙달
전문성 발달
(proficiency)
특징 § 제한된 지식 습득 § 초보적 수준 문제해결 § 상황적 흥미가 개인의 관심과 성과 유발 § 학습자의 지식에 양적, 질적 변화 필요 § 초보적-심층적 수준 문제해결 혼용 § 광범위하고 심층적 지식 § 새로운 지식에 기여 § 심층적 수준 문제해결 § 개인적 흥미에 의해 오랜 시간 관여
자료: 배을규, 이호진(2011)의 내용을 토대로 연구진 재구성.
- 내․ 외부 문헌 분석 결과 첫째, 전문성 및 경력 발달은 보편적, 일반적 수준으로 부터 영역 (직무, 직업) 및 단계(연차, 경험) 마다 일정 수준의 전문성이 확대되고 있음. 둘째, 매 단 계별 상황에 대한 구체적 경험과 지식이 상위 단계로의 전문성 및 경력발달 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발달 단계별 확연하게 드러나는 특징(경력 연차, 문제해결 및 지식 수 준, 영역 등)이 있음. 셋째, 탁월한 수준의 전문성 및 경력 발달은 의도적인 노력 즉, 교육 과 학습, 해당분야 경험을 통해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능력의 결과임.
- 2단계 인터뷰 및 워크숍에서는 1차, 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 전문 인력 성장 단계별(경험, 역량, 전문영역, 교육과정 등)의 특성을 확인하고 문화예술 전문 인력 성장 단계별 특성(수준, 정의 및 특징)의 초안을 작성하고 2차, 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 문화예술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1차 초안에 대한 검토 및 의견 워크숍을 실시함.
- 3단계 확정은 2단계 워크숍에서 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 문화예술 전문 인력이 제시한 검토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문화예술 전문 인력 성장 단계별 특성(수준, 정의 및 특징)을 보완 후 재검토를 받음.
- 상기 문헌 분석, 인터뷰 및 워크숍을 통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및 단계별 특성은 다음과 같이 설정됨.
9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Ⅲ-4>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및 단계별 특성 정의 및 특징 수준 초안
확정
§ 분야 및 영역에 대한 독자적(unique) 단계 Level 5 (Arte Master)
§ 이해관계자 요구 해결 § 비판적 성찰을 통한 경험적 지식, 암묵적 지식 증대 § 상황의 단순화, 유연한 행동 §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분야 및 지식
§ 분야 및 영역에 대한 독자적(unique) 전문성 단계 § 비판적 성찰을 통한 경험적 지식, 암묵적 지식 증대 § 대내․외 환경 이해를 통한 경영마인드 제고
창출 § 분야 및 영역에 대한 개성적(idiosyncratic) 전문성 § 분야 및 영역에 대한 Level 4 (Arte Expert)
개성적(idiosyncratic) 단계 § 이해관계자와의 긴밀한 상호작용
단계 § 타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분야 및 지식 창출
§ 타 분야와의 융복합 추구 (위로)
§ 창의성 증진 및 적용
§ 직관, 통찰력에 의한 문제 해결 및
§ 이해관계자의 요구 해결 및
의사결정
긴밀한 상호 작용 § 주도적인 코칭 및 리더십 스킬 발현
§ 영역적(discipline) 단계 Level 3 (Arte Craftsman)
§ 보편적 지식보다 상황적 지식 및 스킬 형성 § 문화예술교육 현장 상황 맥락에 적합한 창의적 문제 해결 § 심화, 전문화된 지식, 스킬 배양 §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Level 2 (Arte Journeyman)
기본적인 문제 해결 § 이해관계자와의 관계 형성 § 객관적, 보편적 업무 절차 준수 § 분야의 전문성에 대한 확신과 열정 발휘
§ 다양한, 보다 폭 넓은 지식 체계를 습득하는 영역적(discipline) 전문성 단계 § 보편적 지식보다 상황적 지식 및 스킬 형성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 교수/사업 기획력 증대 § 심화, 전문화된 지식/스킬 배양 §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 §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대한 이해 확립 § 이해관계자와의 관계 형성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97
정의 및 특징 수준 초안 §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초적 지식과 Level 1 (Arte Apprentice)
기술 습득 §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객관적 특성 이해 §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필요한 기본 역량 습득
Level 0 (Novice)
§ 일반적인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이해 § 문화예술교육 인력으로서 누구나 습득 가능한 역량 개발
9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확정 § 문화예술교육 기초 지식/기술 습득 §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기본적인 문제 해결 § 기초적인 업무처리 능력 § 학습자 이해 및 수업 운영 능력 배양 § 일반적인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이해 § 문화예술교육 인력으로서 누구나 습득 가능한 역량 개발
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에 따른 역량 체계 □ 기존 역량 체계 분석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에 따라 新역량 체계 를 수립하였음.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발달 단계의 어느 시점에서 어떤 역량 이 더욱 요구되는지, 어떤 역량 개발에 더욱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해 제시하였음.
- 수립 절차를 살펴보면 예술강사, 기관단체 실무자의 역량과 관련된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선행 연구물을 분석하고,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체계에서 제시된 역량의 정의 및 행동 지표 를 검토하였음. 기존 역량 체계는 3개 역량군, 9개 하위 역량군, 41개 세부 역량을 제시하 고 있으나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지 않고 있음.
- 41개의 세부 역량을 입직 초기 기본연수를 통해 모두 배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 며, 역량은 교육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직무 수행 경험, 대인 간 상호작용을 통해 개발됨.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문화예술교육사 역량의 정의 및 행동 지표를 면밀히 검토하고, 앞 서 설정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및 특성을 고려하여 각 시기에 집중적으로 개발해야 할 역량들을 구분하여 제시함.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별 특성에 따라 역량 체계에서 제 시하는 하위 역량을 연결시키고 수준을 구분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新역량 체계 (안)을 도출하였음. 기존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체계를 전문 인력 발달 단계별 특성에 따라 구분한 결과는 다음의 [그림 Ⅲ-1]과 같음.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99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체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역량 체계
[그림 Ⅲ-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별 역량 체계 구조
-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新역량 체계(안)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인력양성팀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과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수정 및 보완 사항 을 반영하여 역량 체계를 확정하였음. 확정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역량 체계는 다음 의 <표 Ⅲ-5>와 같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역량 체계는 기존의 3개 역량군(ART 역량군)을 한 축으로 하고 다른 한 축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의 5단계로 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 달 단계별로 3개 역량군에 속한 세부 역량들을 제시하였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는 제시되어 있는 세부 역량들을 갖추는 단계로 해석 하기 보다는 해당 역량들이 갖추어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발달 단계별 정의 및 특성을 나타내는 수준이라고 보아야 함.
10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표 Ⅲ-5>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역량 체계 수준 Level 5. (Arte Master)
Level 4. (Arte Expert)
Level 3. (Arte Craftsman)
Level 2. (Arte Journeyman)
Level 1. (Arte Apprentice)
예술 역량군
교수 역량군
관계&관리 역량군
§ 1-1. 전공 영역 전문성 § 1-2. 타 영역 전문성
§ 2-1. § 2-1. § 2-2. § 2-3.
교육 요구 및 성과 분석력 학습자 역량 개발 및 상담 능력 동기 부여 능력 창의성
§ 3-1. § 3-1. § 3-3. § 3-3. § 3-3.
코칭 능력 파트너십구축력 대외 환경 이해 능력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사명감 사업 이해력
§ 1-1. 전공 영역 전문성 § 1-2. 타 영역 전문성
§ 2-1. § 2-1. § 2-3. § 2-3. § 2-3.
교육 요구 및 성과 분석력 학습자 역량 개발 및 상담 능력 창의성 창의적 교수법 개발 능력 창의 프로그램 개발 능력
§ 3-1. § 3-2. § 3-3. § 3-3. § 3-3.
코칭 능력 조정 및 의사 결정력 대외 환경 이해 능력 마케팅 기획력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사명감
§ 1-1. 전공 영역 전문성 § 1-2. 타 영역 전문성
§ 2-1. § 2-1. § 2-2. § 2-3.
교육 기획력 행사 기획 및 운영 능력 학습자 잠재력 개발 능력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 3-3. § 3-3. § 3-3. § 3-3.
교육 홍보 기획력 대외 환경 이해 능력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사명감 프로젝트 추진력
§ 1-1. 전공 영역 전문성 § 1-2. 타 영역 전문성
§ 2-1. § 2-1. § 2-1. § 2-2. § 2-2.
교육 정보 수집 및 분석 능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능력 행사 기획 및 운영 능력 문화적 다양성 융합 능력 학습 효과 평가 능력
§ 3-1. § 3-2. § 3-2. § 3-3. § 3-3. § 3-4.
대인 친화력 문제 해결 능력 자기통제력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사명감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수업 행정 업무 관리 능력
§ 1-1. 전공 영역 전문성
§ 2-1. § 2-1. § 2-2. § 2-2. § 2-2.
학습 대상자 이해력 학습 환경 분석 능력 수업 실제 운행 능력 프리젠테이션 능력 학습 대상자 평가 능력
§ 3-1. § 3-3. § 3-4. § 3-4. § 3-4. § 3-4. § 3-4.
의사 소통 능력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사명감 교육 인프라 구축 능력 멀티미디어 매체 활용 능력 문서 작성 능력 예산 관리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
주) 역량명 앞에 제시된 번호는 하위 역량군을 구분하기 위한 것임(1-1. 전공 영역 전문성, 1-2. 타 영역 전문성, 2-1,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기획 역량, 2-2. 교수-학습 운영 역량, 2-3. 창의 역량, 3-1. 관계 형성 역량, 3-2. 문제 해결 역량, 3-3. 사업 추진 역량, 3-4. 행정 관리 역량)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101
3.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로드맵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달 단계 및 新역량 체계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한 로드맵을 도출하였음.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성장 유형과 발달 단계에 따라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하여 학습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과정들을 체계화하였 고, 신설되어야 할 교육과정들을 제시하였음.
- 도출 방법을 살펴보면 기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아르떼 아카데미의 교육 과정과 내부 교육과정 기획 보고 문서를 검토하여 단위 프로그램별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관련 역량 등을 분석하였음. 현재 운영 중인 교육과정과 해당 교육과정과 관계되는 역량의 매트릭스를 작성하여 프로그램 관계 역량에서 누락된 역량을 검토하였음.
- 교육과정-역량 매트릭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교육과정을 통합 및 세분화하고 누락 된 역량들을 개발할 수 있는 신설 필요 교육과정을 도출하였음. 도출된 교육과정들을 문화 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성장 유형과 발달 단계에 근거하여 배치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한 PRM(Program Road Map)을 구성하였음.
-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육성 로드맵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인력양성팀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과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수정 및 보완 사항을 반영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로드맵를 확정하였음. 확정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로드맵은 다음의 [그림 Ⅲ-2]와 같음.
10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공통
문화예술교육 교수자
[그림 Ⅲ-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한 PRM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103
- 기존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육성 로드맵에서 신설되거나 수정된 사 항은 다음과 같음.
-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 교육 이수, 주요 무형문화재로서 전수 교육을 3년 이상 이수함으로 써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을 취득한 자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사 2급 보수교육 과정’ 신설하였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성장유형에 따라 설정된 경력을 변경하고자 하는 자(기획자 ↔ 교수자)를 위한 ‘유형별 Anchoring 과정’을 신설하였음.
- 기본 연수의 교육 내용 재수강 희망자 및 하위 평가자들(예술강사 현장 평가)을 위한 ‘보수 교육 과정’을 신설하였음.
- 기본 연수 이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지속적인 역량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계속 전 문 교육(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이하 CPD) 과정’을 신설하였음(심화, 고 급, 전문, 마스터 과정). 이 과정들은 각 발달 단계에 배양해야 할 역량에 대한 심층적 학 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발달 단계 중 5단계(마스터 단계)에서 기획자들에게는 특히 경영 마인드 향상, 교수자들에게는 전문 교수자로서 후배 강사 육성을 위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함.
10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4.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발단 단계와 新역량 체계, 육성 로드맵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안)를 수립하였음. 즉, 발달 단계와 성장 유형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하여 제공되어야 할 교육 과정을 수정·보완 및 신설하고, 필 수 및 선택 과정을 구분하여 체계를 수립하였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안)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 성팀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과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수정 및 보완 사항을 반영하여 문 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를 확정하였음. 확정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 계는 다음의 [그림 Ⅲ-3]과 같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에서 제시하는 발달 단계별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과 주 요 운영 방안은 다음과 같음.
○ Level 1 -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 연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사용하던 기존 교육 운영 방식을 유지하되, 교육 내용 측면에 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41개 역량을 광범위하게 모두 다룰 수 있도록 수정, 보완 필요함.
- 문화예술교육사 2급 보수교육 과정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 교육 이수, 주요 무형문화재로서 전수 교육을 3년 이상 이수하여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을 취득한 자들에게 제공되는 교육으로서 학교․사회 예술교육 현 장 및 학습 대상에 대한 이해, 교수 스킬, 수업 기획 능력 등 현업 수행을 위해 반드시 필 요한 능력을 배양할 수 있어야 함.
○ Level 2~3 - CoP, 키움 과정 기존의 형식을 유지하되 입과 기준을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 연수 또는 문화예술교육사 2급 보수교육 과정 이수자로 한정함. 또한 기관단체 실무자의 경우 별도의 입과 기준 설정 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105
[그림 Ⅲ-3]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10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아르떼 선택 과정 기존의 심화 연수들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교수 매체 활용, 교수법의 이해, 교육 대상 이 해, 사업 수행 실무, 실기 지도법,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프레젠테이션 & 커뮤니케이션 과 정으로 분류하였음.3)또한 일시적·단발적으로 진행되는 기존 과정들을 정규 프로그램化하여 선택 과목으로 운영해야 할 필요성 있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보수 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보수 교육은 기본 연수 A, B, C 코스를 모두 이수하고 현장에서 활동 중인 예술강사 중, 기본 연수의 내용을 재수강하고 싶은 자에게 제공되는 교육과정과 예술강사 현장 평가 결과, 하위 평가자로 판명된 자들에게 제공되는 교육과정의 두 가지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운영될 수 있음.
- 기획 심화/고급 및 교수 심화/고급 과정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및 교수자들을 위한 계속 전문 교육(CPD)으로서 문화예술교육 기획 자, 교수자들의 각 발달 단계(Level 2, 3)에 요구되는 역량들을 지속적으로 개발, 강화하기 위한 교육임. 필수 과정으로 구분하나, 다양한 하위 프로그램 중 자신에게 보다 필요한 몇 가지를 선택하여 이수하되 특정한 의무 이수 시간을 설정하여 운영함(예: 연간 2개 프로그 램 이상 이수 또는 연간 20시간 교육 이수 등).
- 기획자 및 교수자 Anchoring 과정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자신의 경력을 기획자에서 교수자로(기획자 Anchoring 과정), 또는 교수자에서 기획자로(교수자 Anchoring 과정) 전환하길 희망하는 자들을 위해 제공되 는 교육으로서 기획자 또는 교수자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들에 대해 다룸.
○ Level 4 - 문화예술교육사 1급 과정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 취득 후 5년 이상의 현장 경력을 보유한 자들에게 제공되는 교 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사 1급 자격 취득을 위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교육임. 선행 연구『문화예술교육사 1급 교육과정 연구』를 통해 제시된 교육임.
- 기획 및 교수 전문 과정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및 교수자들을 위한 계속 전문 교육(CPD)으로서 문화예술교육 기획
3) [부록1] 기존 심화 과정 분류 참조 Ⅲ.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 |107
자와 교수자들의 각 발달 단계(Level 4)에 요구되는 역량들을 지속적으로 개발, 강화하기 위한 교육임. 필수 과정으로 구분하나, 다양한 하위 프로그램 중 자신에게 보다 필요한 몇 가지를 선택하여 이수하되 특정한 의무 이수 시간을 설정하여 운영함(예: 연간 2개 프로그 램 이상 이수 또는 연간 20시간 교육 이수 등).
○ Level 5 - 선진 문화예술교육 기관 벤치마킹 문화예술교육 기획자(컨설턴트, 기관 실무자 및 책임자, 경영자) 및 교수자(전문 교수 인력) 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안목과 식견을 넓힘으로써 창조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 획 및 개발의 기반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임. 해외 선진 기관 방문 및 네트워킹 형성 등을 그 내용으로 볼 수 있음.
- 기획 및 교수 마스터 과정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및 교수자들을 위한 계속 전문 교육(CPD)으로서 문화예술교육 기획 자, 교수자들의 각 발달 단계(Level 5)에 요구되는 역량들을 지속적으로 개발, 강화하기 위 한 교육임. 특히 기획자들에게는 경영 마인드를 향상시키고, 교수자들에게는 전문 교수자로 서 후배 강사 육성을 위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 제공함. 또한 기획 및 교수 마스터 과정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1급 유지(갱신)를 위한 필수 과정으로 구분하나4), 다양한 하 위 프로그램 중 자신에게 보다 필요한 몇 가지를 선택하여 이수하되 특정한 의무 이수 시 간을 설정하여 운영함(예: 연간 2개 프로그램 이상 이수 또는 연간 20시간 교육 이수 등).
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과의 추후 논의 및 정책적 결정 필요 10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 新교육체계 기반 교육과정 구성방안 2. 新교육체계의 전략적 운영 방안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 新교육체계 기반 교육과정 구성방안 □ 본 절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가(문화예술교육 교수자,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발달 단계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목 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것임.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에서 제시된 신설 과정은 기획 심화 과정, 교수 심화 과정, 기획 고급 과정, 교수 고급 과정, 기획 전문 과정, 교수 전문 과정, 아르떼 기획 마스 터 과정, 아르떼 교수 마스터 과정,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보수교육 과정, 문화예술교육 사 2급 보수교육 과정, 기획자 Anchoring 과정, 교수자 Anchoring 과정임.
- 신설된 교육과정의 세부 과목과 내용은 연구진에 의해 제시된 표준(안)이므로 교육과정 실 행 전에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여건에 따라서 수정·보완될 수 있 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의 신설 과정은 전문가 유형에 따른 발달 단계별 해당 과정, 과목, 역량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다음의 <표 Ⅳ-1>과 같음.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11
<표 Ⅳ-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신설 교육과정 구분
교수자 과목명
기획자 관련 역량
Ÿ
과목명
교육 프로그램 개발
Ÿ
능력 Ÿ 교육 프로그램 개발 Ⅰ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Ÿ
문화적 다양성 융합 능력
Ÿ 심화
공통 관련 역량
과목명 Ÿ
교육 프로그램 개발
Ÿ
기획자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교육 정보 수집 및
교육 정보 수집 및
문화예술교육
분석 능력
사업에 대한
Ÿ
학습 효과 평가 능력
Ÿ
문화적 다양성 융합
이해 Ⅰ
과정
Ÿ Ÿ
학습 효과 평가 능력
기획력 Ⅰ
Ÿ
퍼실리테이팅 기법
Ÿ
Ÿ
수업 행정 업무 관리 능력 행사 기획 및 운영
사업 정보 수집 및
셀프리더십
Ÿ
대인친화력
Ÿ
문제 해결 능력
Ÿ
자기통제력
문제 해결 능력
문화적 다양성 융합 능력
Ÿ
활용 능력
행사 기획 및 운영
활용 능력 Ÿ
사업 정보 수집 및
능력
능력 프로그램 평가
Ÿ
Ÿ
능력
분석 능력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사명감
능력 문화예술교육
관련 역량
대인 친화력
11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
-
-
구분
교수자 과목명
기획자 관련 역량
과목명
공통 관련 역량
과목명
관련 역량 Ÿ
창의적
Ÿ
문제해결기법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교육사업
Ÿ
프로젝트 추진력
문화예술교육
사명감
프로젝트
Ÿ
교육 홍보 기획력
사업에 대한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매니지먼트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이해 Ⅱ
Ÿ
행사 기획 및 운영 능력
고급 과정
과정개발 프로젝트
Ÿ
프로젝트 추진력
-
-
매니지먼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Ⅱ
Ÿ
교육 기획력
Ÿ
교육 홍보 기획력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Ÿ
학습자 잠재력 개발 능력
문화예술교육
Ÿ
교수학습법
학습자 잠재력 개발 능력
Ÿ
-
-
프로그램 마케팅 Ⅰ
Ÿ
교육 홍보 기획력
Ÿ
타 영역 전문성
Ÿ
창의성
Ÿ
학습자 역량 개발 및
창의적 교수법 개발 능력
Ÿ 창의적 전문
교수법(특강)
과정
창의 프로그램 개발 능력
Ÿ
교육 요구 및 성과 분석력
Ÿ
신사업 발굴 방법론
Ÿ
창의성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Ÿ
조정 및 의사결정력
Ÿ
조정 및 의사결정력
인문학 특강
학습자 역량 개발 및 상담 능력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
Ÿ
창의성
Ÿ
창의 프로그램 개발 능력
전략적 협상 스킬
학습 상담 기법
상담 능력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13
구분
교수자 과목명 창의적 교수법
기획자 관련 역량
Ÿ
클리닉
창의적 교수법 개발 능력
-
-
공통
과목명
관련 역량
과목명
-
-
의사 결정 기법
-
-
문화예술교육 트렌드 이해 Ⅰ
(계속) 전문 과정
-
-
-
-
마케팅 전략 수립 로직 모델을
-
-
-
-
활용한
관련 역량 Ÿ
조정 및 의사결정력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Ÿ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Ÿ
마케팅 기획력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Ÿ
조정 및 의사결정력
Ÿ
교육 요구 및 성과 분석력
프로그램 평가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스킬 마스터 과정
-
Ÿ
파트너십 구축력
Ÿ
코칭 능력
Ÿ
학습자 역량 개발 및
문화예술경영 특강
-
Ÿ
사업 이해력
Ÿ
코칭 능력
Ÿ
사업 이해력
변화와 혁신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특강
Ÿ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상담 능력 -
사명감 경영 전략 수립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Executive
Ÿ
사업 이해력
Coaching
문화예술교육기 -
코칭 리더십
-
관 경영자를 위한 재무·회계
11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Ÿ
사업 이해력
Ÿ
코칭 능력
Ÿ
문화 예술 교육에
문화예술교육
대한 사명감
트렌드 이해 Ⅱ Ÿ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사업 이해력
구분
교수자 과목명
기획자 관련 역량
과목명
관련 역량 Ÿ
-
-
문화예술교육기 관 컨설팅
(계속) 마스터 과정
-
-
조직 관리 특강
공통 과목명
관련 역량
교육 요구 및 성과 분석력
Ÿ
코칭 능력
Ÿ
파트너십 구축력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Ÿ
동기 부여 능력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인문학 특강
Ÿ
타 영역 전문성
-
-
-
-
문화예술교육기 -
-
관 경영 사례 분석
마스터 선택
해외 선진 -
-
-
-
과정
Ÿ
사업 이해력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문화예술교육기 Ÿ 관 탐방
Ÿ
파트너십 구축력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사명감
문화 예술 교육사 2급 보수 교육 과정
문화예술교육 -
-
-
-
현장에 대한 이해
Ÿ
대인친화력
Ÿ
의사소통능력
Ÿ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Ÿ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15
구분
교수자 과목명
기획자 관련 역량
과목명
공통 관련 역량
과목명
관련 역량 Ÿ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기획 역량군
-
-
-
-
문화
하위 평가자 보수
예술 교육 전문 인력
과정
교수-학습 운영 역량군
Ÿ
관계 형성 역량군
Ÿ
문제 해결 역량군
Ÿ
전공 영역 전문성
Ÿ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기획 역량군
보수 교육
Ÿ
교육5)
기본 연수 -
-
-
-
Ÿ
재수강 희망자 교육6)
교수-학습 운영 역량군
Ÿ
창의 역량군
Ÿ
관계 형성 역량군
Ÿ
사업 추진 역량군
Ÿ
행정 관리 역량군
5) 현장 평가 결과, 하위 20% 범주에 속하는 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임. 6) 기본 연수 A, B, C 코스를 모두 이수하고 현장 활동 중인 예술강사 중, 기본 연수의 내용을 재수강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임. 11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구분
교수자 과목명
기획자 관련 역량
Ÿ
과목명
교육 프로그램 개발 능력
Ÿ Anchoring 과정
교수자 Anchoring 과정7)
문화적 다양성 융합 능력
Ÿ
교육 정보 수집 및 분석 능력
Ÿ
학습자 잠재력 개발 능력
Ÿ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공통 관련 역량
Ÿ
학습 효과 평가 능력
Ÿ
행사 기획 및 운영
과목명
관련 역량
-
-
능력 기획자
Ÿ
Anchoring 과정8)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Ÿ
문제 해결 능력
Ÿ
프로젝트 추진력
Ÿ
교육 홍보 기획력
Ÿ
대외 환경 이해 능력
7)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중 자신의 커리어를 기획자에서 교수자로 전환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임. 8)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중 자신의 커리어를 교수자에서 기획자로 전환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임.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17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신설 교육과정의 과목 명세서는 아래와 같음.
가) 교수 심화 과정
(1) 교육프로그램 개발 I 목적
학습자 특성과 요구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시간
18H
관련 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이해
교육프로그램 개발 능력,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교육 정보 수집 및 분석 능력 Ÿ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목적과 구성요소
Ÿ
학습이론의 이해
Ÿ
교수설계이론의 이해
Ÿ
학습자분석, 과제분석, 직무분석, 역량분석, 수행문제분석, 전-단 분석(front-end analysis)
주
교육요구분석
Ÿ
교육목표 설정
요
Ÿ
교육 제한요소 파악
내
Ÿ
교육 우선순위 파악
용
Ÿ
학습목표 위계화
Ÿ
학습목표 계열화
Ÿ
교육형태, 교수방법 선정
Ÿ
교재개발의 실제
Ÿ
교수 매뉴얼, 교육매체 개발
교수설계
교재/매체 개발
11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 프로그램 평가 목적
프로그램 평가의 단계를 알고 평가결과를 분석·활용할 수 있다.
시간
16H
관련 역량 프로그램 평가의 이해
학습 효과 평가 능력 Ÿ
프로그램 평가 모형/이론
Ÿ
프로그램 평가 설계의 이해
Ÿ
프로그램 평가 분석 방법
Ÿ
반응(1단계), 학습(2단계) 평가 설계
주
프로그램 평가의
Ÿ
현업적용도(3단계), 현업적용도 평가 설계
요
단계
Ÿ
조직기여도(4단계)평가, ROI, CBA 평가
Ÿ
학습목표와 평가 문항의 연계
Ÿ
SCM 평가 기법
Ÿ
교육결과보고
사례분석/
Ÿ
평가도구 개발
분석실습
Ÿ
분석실습
내 용
사례발표
(3) 퍼실리테이팅 기법 목적 시간 관련 역량
16H 문화적 다양성 융합 능력, 대인친화력 교수자의 역할변화
Ÿ
퍼실리테이팅의 중요성
Ÿ
퍼실리테이팅 사례연구
퍼실리테이팅
Ÿ
퍼실리테이터의 핵심역량
기법
Ÿ
퍼실리테이터의 역할
Ÿ
스토리텔링 기법
Ÿ
학습자 대상별, 상황별, 단계별 적합한 토의 기법
Ÿ
게임 및 아이스브레이킹 기법
Ÿ
퍼실리테이팅 4단계 화법(발제, 질문, 스트로크, 요약)
Ÿ
퍼실리테이팅 평가 및 그룹 피드백
Ÿ
퍼실리테이팅 실습
개념
요
익히고, 이를 상황별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Ÿ
퍼실리테이팅
주
퍼실리테이터로서 학습 촉진 및 토의 활성화를 위한 역량과 스킬을
내
학습자
용
동기부여 퍼실리테이팅 실습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19
나) 기획 심화 과정
(1) 문화예술교육 기획자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목적 시간 관련 역량
주 요
있다. 24H 교육프로그램 개발 능력,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학습 효과 평가 능력, 문화적 다양성 융합능력 Ÿ
교육 요구 분석의 개념
문화예술교육
Ÿ
교육 요구 분석의 접근 방법
요구분석
Ÿ
교육 요구분석의 절차
Ÿ
교육 요구 분석의 도구
Ÿ
학습 목표의 설정
Ÿ
교육 프로그램 프로파일 작성
Ÿ
교육 프로그램 평가 방법의 설계
문화예술교육
Ÿ
교육 프로그램 세부 내용 작성
개발
Ÿ
강의 슬라이드, 활동지, 미디어 등의 개발
Ÿ
교육 프로그램 주제 선정
Ÿ
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설계, 개발 실습
Ÿ
발표 및 피드백
문화예술교육 설계
내 용
문화예술교육 요구분석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현업 과제 적용 실습
12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 기획력Ⅰ 목적
성공적인 기획 수행을 위한 방법을 이해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시간
16H
관련 역량
기획의 개념과 주요 구조도
Ÿ
성공적인 기획의 핵심 요소 이해
Ÿ
트렌드 분석과 현상 매치
Ÿ
기획의 프로세스
Ÿ
기획 테마의 설정과 점검
Ÿ
정보 수집 및 활용의 기본 원칙과 방법
Ÿ
내·외부 환경 분석
Ÿ
의사결정 단계
Ÿ
의사결정자가 원하는 기획서
기획서
Ÿ
기획서의 기본 구성도
작성
Ÿ
기획서 작성 스킬
Ÿ
기획서 작성 실습
Ÿ
성공적인 프리젠테이션의 핵심 요소
Ÿ
프리젠테이션 스킬
Ÿ
프리젠테이션 실습/피드백
이해
기획 프로세스
요 내 용
능력 Ÿ
기획의
주
행사 기획 및 운영 능력,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문제 해결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
다) 공통 심화 과정
(1)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대한 이해Ⅰ 목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이해하고 사업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시간
8H
관련 역량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능력, 학습 효 과 평가 능력
문화예술교육
Ÿ
문화예술교육 사업 정책
사업 이해
Ÿ
문화예술교육 사업 비전
주
경영환경과
Ÿ
성공적인 경영전략의 조건
요
경영전략
Ÿ
경영전략수립과 경쟁우위 창출 방안
내
전략적 사고와
Ÿ
전략적 사고의 개념
용
문제해결형 사고
Ÿ
Mckinsey식 문제해결방법
현장 이슈 해결을 Ÿ 위한 사례분석
Ÿ
조직 환경 변화 동인 사례분석 성공적 경영전략 사례분석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21
(2) 셀프리더십 목적 시간 관련 역량
자기관리를 통해 주인의식을 가지고 삶을 이끌어가는 셀프 리더가 될 수 있다. 24H 대인친화력, 문제 해결 능력, 자기 통제력 Ÿ
새로운 트렌드의 이해
Ÿ
변화 시대에서 나의 역할 찾기
Ÿ
나의 변화, 경쟁에 대한 패러다임
Ÿ
인생의 의미 이해
Ÿ
자신감에 대한 진단 및 실습
Ÿ
자신감 부여 활동
주
Ÿ
성공의 의미 이해
요
프로의 삶 엿보기 Ÿ
내
Ÿ
자신과의 비교를 통한 목표설정
용
Ÿ
팀의 의미와 역할
팀 파워와
Ÿ
팀 파워를 위한 스킬1. 대화스킬
‘나’ 업그레이드
Ÿ
팀 파워를 위한 스킬2. 인간관계역량스킬
Ÿ
성공에 필요한 스킬 체득
Ÿ
행복의 정의
Ÿ
나의 버킷리스트 작성
Ÿ
변화를 위한 새 출발
리더의 패러다임 리더의 자아탐험
위대함에 대한 도전
성공한 사람의 특성
12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라) 교수 고급 과정
(1)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 목적 시간 관련 역량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를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16H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
Ÿ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의 개념
개요
Ÿ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의 필요성
창의적
Ÿ
제로베이스 사고 / MECE 사고 / Logic Tree / 가설지향 사고 /
문제해결의 사고방식
복수지향 사고 Ÿ
문제해결의 맥락 분석
Ÿ
Step 1 : 문제의 정의 프로세스
Ÿ
Step 2 : 원인분석
문제해결
Ÿ
Step 3 : 해결안 선정
프로세스
Ÿ
Step 4 : 실행계획 수립 및 실행 단계
Ÿ
문제해결을 통한 업무개선 / Risk Management
Ÿ
추가 Step : 결과 피드백
창의적 문제해결
Ÿ
현업과제를 대상 문제해결 실습
실습
Ÿ
조별 발표 및 피드백
주 요 내 용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23
(2) 과정개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과정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익히고 각 단계별 목적
로 필요한 역량 및 스킬을 습득하여 효율적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
시간 관련 역량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이해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핵심 주 요 내
성공적인 착수와
용
계획
이해관계자 대응역량 개발
24H 프로젝트 추진력 Ÿ
과정개발에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역할
Ÿ
과정개발에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중요성
Ÿ
프로젝트 관리/영역
Ÿ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할
Ÿ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및 사례 실습
Ÿ
프로젝트 성공/실패요인
Ÿ
프로젝트 착수 프로세스
Ÿ
프로젝트 경제적 타당성 분석 기법 및 사례 실습
Ÿ
프로젝트 기본 계획서
Ÿ
프로젝트 목적, 목표, 범위 분석
Ÿ
프로젝트 제약, 산출물, 이해관계자 분석
Ÿ
과업명세서구조(WBS)
Ÿ
프로젝트 구조분석 사례 실습
Ÿ
프로젝트 매니저의 상황대응 리더십
Ÿ
커뮤니케이션 계획
Ÿ
효율적 프로젝트 회의
Ÿ
갈등관리의 유형
Ÿ
협상력 개발
12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3) 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법 목적 시간 관련 역량
교과의 성격, 목표, 내용, 대상 등에 따라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법을 사용할 수 있다. 16H 학습자 잠재력 개발 능력 Ÿ
교수학습법의 개념
교수학습법의
Ÿ
교수학습법의 조건
일반적 이해
Ÿ
교수학습법의 유형
Ÿ
교수학습법의 선정
주 요 내
교수학습자료
Ÿ
교수학습법 설계의 기본 방향
용
개발전략
Ÿ
교수학습법의 위계적 접근
교수학습평가자료 Ÿ
학습과정안에 따른 평가방법
개발과 활용방안
대상별에 따른 평가자료 활용방법
Ÿ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25
마) 기획 고급 과정
(1) 교육사업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교육사업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익히고 각 단계별 목적
로 필요한 역량 및 스킬을 습득하여 효율적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
시간 관련 역량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이해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핵심
주 요
성공적인 착수와
내
계획
용
이해관계자 대응역량 개발
프로젝트 관리
40H 프로젝트 추진력, 교육 홍보 기획력, 대외 환경 이해 능력 Ÿ
교육사업에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역할
Ÿ
교육사업에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중요성
Ÿ
프로젝트 관리/영역
Ÿ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할
Ÿ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및 사례 실습
Ÿ
프로젝트 성공/실패요인
Ÿ
프로젝트 착수 프로세스
Ÿ
프로젝트 경제적 타당성 분석 기법 및 사례 실습
Ÿ
프로젝트 기본 계획서
Ÿ
프로젝트 목적, 목표, 범위 분석
Ÿ
프로젝트 제약, 산출물, 이해관계자 분석
Ÿ
과업명세서구조(WBS)
Ÿ
프로젝트 구조분석 사례 실습
Ÿ
프로젝트 매니저의 상황대응 리더십
Ÿ
커뮤니케이션 계획
Ÿ
효율적 프로젝트 회의
Ÿ
갈등관리의 유형
Ÿ
협상력 개발
Ÿ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10가지 원칙
10가지 성공원칙 Ÿ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점검
12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바) 공통 고급 과정
(1)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대한 이해Ⅱ 목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이해하고 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
시간
8H
관련 역량
주 요 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대외 환경 이해 능력
문화예술교육
Ÿ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개요
사업의 이해
Ÿ
문화예술교육 사업 관련 주요 이슈
Ÿ
거시 환경 분석
Ÿ
산업 구조 분석
Ÿ
경쟁 환경 분석
Ÿ
산업 구조 분석
Ÿ
전략집단도 분석
Ÿ
벤치마킹
문화예술교육 사업 내외부 분석
용 대응 전략 도출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27
(2) 교육 프로그램 개발Ⅱ 목적 시간 관련 역량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습득하고 요구 분석을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다. 16H 교육 기획력, 교육 홍보 기획력, 대외 환경 이해 능력, 행사 기획 및 운영 능력
프로그램개발의
Ÿ
프로그램 개발의 제방법론
제 방법론
Ÿ
프로그램 개발에 요구되는 역할과 역량
Ÿ
요구분석의 개념
프로그램
Ÿ
요구분석의 접근방법 및 절차
요구분석
Ÿ
요구분석의 방법 및 도구 결정하기
Ÿ
요구분석 계획 수립하기
Ÿ
학습목표의 설정
주
프로그램
Ÿ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의 설계
요
설계
Ÿ
교수방법 및 매체의 설계
내
Ÿ
평가방법의 설계
용
Ÿ
교육과정 세부 내용 집필
프로그램
Ÿ
교재 양식 디자인 및 제작
개발
Ÿ
교수학습 전략에 따른 활동에 필요한 도구 제작
Ÿ
강의 슬라이드, 활동지 등의 개발
Ÿ
프로그램 개발 주제 선정
현업 과제
Ÿ
요구 분석
적용 실습
Ÿ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계획 수립
Ÿ
발표 및 피드백
12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3) 프로그램 마케팅Ⅰ 목적
프로그램 마케팅을 이해하고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시간
16H
관련 역량 프로그램
Ÿ
프로그램 마케팅의 개념과 필요성 이해
마케팅의 개념
Ÿ
프로그램 마케팅 관리의 내용과 변화
Ÿ
학습자 및 수요자 행동 이해
Ÿ
학습자 및 수요자 유형과 접근 방법
Ÿ
조사방법론 및 사례연구
Ÿ
제품 전략
Ÿ
가격 전략
Ÿ
유통 전략
Ÿ
판매 촉진 전략
Ÿ
수요자 행동
Ÿ
세분화 및 프로그램 포지셔닝 전략
Ÿ
4P 믹스
학습자 및 수요자 주
분석
요 내 용
교육 홍보 기획력
4P 믹스 전략
프로그램 마케팅 보고서 작성 실습
사) 교수 전문 과정
(1) 창의적 교수법(특강) 목적
교수 상황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한 기법을 습득할 수 있다.
시간
4H
관련 역량
창의적 교수법 개발 능력, 창의 프로그램 개발 능력, 교육 요구 및 성과 분석력, 학습자 역량 개발 및 상담 능력, 창의성 Ÿ
창의력의 개요
Ÿ
창의력의 전제와 장애요소
아이디어 발산을
Ÿ
사고의 단계
위한 기법
Ÿ
아이디어 발산 기법
내
아이디어 수렴을
Ÿ
아이디어의 정리와 평가
용
위한 기법
Ÿ
아이디어 수렴 기법
아이디어 실행을
Ÿ
아이디어 실행을 위한 사고 행동 유형
위한 기획기법
Ÿ
아이디어 실행을 위한 기법
창의력의 이해
주 요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29
(2)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 목적
문화예술 각 분야에 적절한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시간
16H
관련 역량
창의 프로그램 개발 능력
창의성 프로그램
Ÿ
창의적 신사고의 이해
개발의 이해
Ÿ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
창의성 프로그램
Ÿ
새로운 기회 포착과 적용
설계
Ÿ
장애 요인 극복 및 도전
내
코칭과
Ÿ
코치의 역할
용
퍼실리테이팅
Ÿ
창의적 학습 촉진을 위한 퍼실리테이팅 기법
창의성 프로그램
Ÿ
효과적인 창의성 프로그램 사례분석
사례분석
Ÿ
토론 및 피드백
주 요
(3) 창의적 교수법 클리닉 목적 시간 관련 역량
및 개발할 수 있다. 8H 창의적 교수법 개발 능력 Ÿ
교수학습법의 개념
교수학습법의
Ÿ
교수학습법의 조건
이해
Ÿ
교수학습법의 유형
Ÿ
교수학습법의 선정
Ÿ
교수학습법 설계의 기본 방향
Ÿ
창의적 교수 설계를 위한 마인드
Ÿ
창의적 교수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도출
Ÿ
창의적 교수 개발의 실행전략 구체화
Ÿ
발표 및 피드백
주 요
수업을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창의적 교수법을 설계
창의적 교수 설계
내 용 창의적 교수 개발 창의적 교수법 사례 공유
13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아) 기획 전문 과정
(1) 신사업 발굴 방법론 목적
신사업 발굴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시간
8H
관련 역량
Ÿ
글로벌 환경 변화와 성장 경영
Ÿ
성장 경영을 위한 혁신 실행
Ÿ
지속 성장을 위한 기반 사업 구축
Ÿ
신사업개발과 시너지 창출
Ÿ
신사업기회 탐색
Ÿ
신사업기회 평가
Ÿ
신사업 성공 진입 진략
Ÿ
신사업개발 현황과 시사점
신사업개발
Ÿ
신사업개발 사례분석
사례분석
Ÿ
유망아이템 분석
성장을 위한 혁신과 기반 구축
주
신사업개발전략
요 내 용
창의성, 대외 환경 이해 능력, 조정 및 의사결정력
신사업개발 현황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31
(2) 전략적 협상 스킬 목적 시간 관련 역량
조정 및 의사결정력 Ÿ
입장적/원칙척 협상 시뮬레이션
Ÿ
협상의 성과를 높이는 전략
Ÿ
협상 상황에 대한 SWOT 분석
전략적 협상의
Ÿ
협상 계획을 위한 주제 선정, 이슈 분석, 이해관계 정의
준비
Ÿ
필요사항과 우선순위 작성하기
Ÿ
자원과 제약 분석
Ÿ
원칙적 협상 프로세스
Ÿ
이해관계 도출 실습
Ÿ
선택안 개발 실습
Ÿ
협상 실습 준비를 위한 Action Plan 작성
Ÿ
협상 실습
Ÿ
상호 피드백
내 용
8H
협상능력 자가진단
이해와 기본원칙
요
있다.
Ÿ
전략적 협상의
주
협상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각 단계별 전략을 습득 및 활용할 수
전략적 협상의 진행 전략적 협상의 실제
자) 공통 전문 과정
(1) 인문학 특강 목적
문화예술교육과 타 분야를 융합하는 통섭의 사고를 할 수 있다.
시간
3H
관련 역량
타 영역 전문성, 창의성
주 요 내
인문학 명사 특강
Ÿ
인문학 명사 특강 - 미술, 음악, 고전의 이해
용
13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 학습 상담 기법 목적
학습자의 학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담 기법을 습득할 수 있다.
시간
8H
관련 역량
학습자 역량 개발 및 상담 능력 Ÿ
학습 상담의 이해 Ÿ 주 요
학습양식 분석
내 용
학습 전략
학습동기유발
학습 상담의 개념 학습 상담 실전 사례
Ÿ
학습 상담의 기법과 실전 트레이닝
Ÿ
학습양식 진단
Ÿ
학습특성 이해
Ÿ
학습전략 Ⅰ(목표관리)
Ÿ
학습전략 Ⅱ(시간관리)
Ÿ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동기유발 기법
Ÿ
선진국에서의 학습동기유발 사례 분석
(3) 의사결정 기법 목적 시간 관련 역량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의사결정 기법을 습득할 수 있 다. 8H 조정 및 의사결정력, 대외 환경 이해 능력 Ÿ
문제해결 상황 정의
Ÿ
문제해결 리스트 작성
Ÿ
우선순위 결정
Ÿ
문제 관련 정보의 명확화
Ÿ
핵심 문제의 구체화
요
Ÿ
문제 재조명
내
Ÿ
문제 기술문 작성
Ÿ
원인 열거
Ÿ
근본 원인 규명
Ÿ
대안 평가
Ÿ
최적안 도출
우선순위 정하기
주
용
문제의 명확화
문제 원인규명
해결안 도출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33
(4) 문화예술 교육 트렌드 이해Ⅰ 목적 시간 관련 역량 이해 및 접근 주 요
기획 및 홍보
사회 흐름 및 환경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4H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대외 환경 이해 능력 Ÿ
문화예술교육 대상에 대한 이해
Ÿ
문화예술교육 대상 접근 방법
Ÿ
문화예술교육 매개자의 역할 이해 및 비전
Ÿ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기획
Ÿ
언론 매체를 활용한 홍보 전략
Ÿ
문화예술교육 담당자 네트워킹
Ÿ
평가 프로세스 이해
Ÿ
문화예술교육 기관 및 단체 파트너십 코칭
내 용
운영 및 제안
평가 및 보고
(5) 마케팅 전략 수립 목적 시간 관련 역량
주
있다. 8H 마케팅 기획력, 대외 환경 이해 능력, 조정 및 의사결정력 Ÿ
소비자 요구와 트렌드 분석
시장 분석 및
Ÿ
문화예술교육 SWOT 분석
소비자 분석
Ÿ
소비자 구매결정 5단계의 이해
Ÿ
포지셔닝 전략 수립
Ÿ
아이디어 및 컨셉 개발
Ÿ
제품과 제품수명주기 전략
Ÿ
상품화 단계의 제품 테스트 방법
Ÿ
효과적인 4P Mix 전략
Ÿ
브랜드 진단과 브랜드 전략 수립
Ÿ
합리적인 가격결정과 가격관리전략
Ÿ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Ÿ
광고와 PR전략
Case-Study 및
Ÿ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마케팅전략 수립 실습
워크숍
Ÿ
토론 및 피드백
상품기획전략
요 내 용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마케팅믹스의 설계
13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6) 로직 모델을 활용한 프로그램 평가 목적 시간 관련 역량
요 내 용
있다. 8H 교육 요구 및 성과 분석력 Ÿ
평가의 개념과 활용
Ÿ
로직 모델의 사용
로직 모델의
Ÿ
로직 모델의 구성 요소
구성 요소
Ÿ
로직 모델에서의 연결성
Ÿ
평가 지원을 위한 로직 모델 개발
Ÿ
평가 질문 확인을 위한 로직 모델 사용
프로그램
Ÿ
복잡한 프로그램을 위한 로직 모델 개발
집단평가
Ÿ
발표 및 피드백
평가와 로직 모델
주
로직 모델의 설계 및 방법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평가를 실시할 수
로직 모델의 활용
(7) 코칭 리더십 목적
코칭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지식과 태도를 이해할 수 있다.
시간
16H
관련 역량 코칭리더십
주
코칭 프로세스
요 내 용
코칭 스타일
현장에서의 코칭 리더십 적용
코칭 능력 Ÿ
코칭과 리더십의 이해
Ÿ
코칭 리더십의 개념과 사례
Ÿ
코칭 모델
Ÿ
코칭 프로세스 경험
Ÿ
현장에서의 코칭 적용
Ÿ
에고그램 이해
Ÿ
자기와 타인 이해
Ÿ
코칭 플랜 작성
Ÿ
코칭 사례 피드백
Ÿ
현장 내 코칭 적용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35
차) 교수 마스터 과정
(1)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스킬 목적 시간 관련 역량
8H 파트너십 구축력, 코칭 능력, 학습자 역량 개발 및 상담 능력 Ÿ
삭제, 왜곡, 일반화의 법칙
커뮤니케이션의
Ÿ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자원 구축
전제
Ÿ
표상적 커뮤니케이션: 선호 표상의 특징과 활용
Ÿ
적극적 경청과 나 주장법
Ÿ
공감대 형성과 흐름도
Ÿ
논리적 커뮤니케이션
설득적
Ÿ
역지사지 프레임과 리프레이밍
커뮤니케이션
Ÿ
메타포와 스토리텔링
액션전략 수립
Ÿ
커뮤니케이션 향상을 위한 액션전략 수립
감성적
요
커뮤니케이션
용
있다.
탁월한
주 내
조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을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카) 기획 마스터 과정
(1) 문화예술경영 특강 목적
문화예술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시간
4H
관련 역량
사업 이해력
주 요
문화예술경영
내
콘서트
Ÿ
문화예술기관경영자 초청 특강 - 문화예술경영의 성공·실패 사례
용
13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 경영 전략 수립 목적
성공적인 문화예술 경영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시간
16H
관련 역량
주
경영 전략과
Ÿ
경쟁 우위의 확보와 활용
기업 전략
Ÿ
다각화 전략과 전략적 제휴
Ÿ
기업 사례를 통한 성장 유형 이해
Ÿ
신사업 추진 위험요소
Ÿ
사업 확장과 M&A 전략
Ÿ
시나리오 플래닝 전략
경영 전략과
Ÿ
전략적 브랜드 관리
조직의 조화
Ÿ
전사 리스크 관리
Ÿ
경쟁력 확보를 위한 경영 혁신 전략
Ÿ
지속적 혁신을 위한 변화 관리 전략
Ÿ
현장 경영과 리더십 전략
성장 전략
요 내 용
대외 환경 이해 능력, 사업 이해력
경영 혁신 전략
(3) 문화예술교육기관 경영자를 위한 재무·회계 목적 시간 관련 역량
회계 기초 개념과 재무제표의 이해
조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다원화된 재무관리 접근법을 학습할 수 있다. 16H 사업 이해력 Ÿ
회계의 의의와 종류
Ÿ
재무제표의 의의와 종류
Ÿ
재무제표 유용성 및 한계점
Ÿ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구성요소 해설과 읽는 법
주 요
재무제표 분석
Ÿ
문화예술교육기관 재무 및 회계 관리 사례 분석
내
실무
Ÿ
문화예술교육기관 재무 및 회계 관리 방법
Ÿ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간의 상호관계
Ÿ
현금흐름 비율 분석의 의의와 종류
Ÿ
현금흐름분석 지표의 해석 방안
재무제표 분식과
Ÿ
재무분식의 의의와 유형
발견 기법
Ÿ
재무분식의 발견기법
용
현금흐름표 분석 실무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37
(4) 문화예술교육기관 컨설팅 목적 시간 관련 역량
문화예술교육기관 컨설팅 수행에 필요한 지식, 스킬, 방법론을 학습 할 수 있다. 40H 교육 요구 및 성과 분석력, 코칭 능력, 파트너십 구축력 Ÿ
Kick-off 기법
Ÿ
비즈니스 전략 수립 사례 학습
Ÿ
경영환경 및 사업 분석
Ÿ
직무 분석 프로세스 및 방법
요
Ÿ
성과 지향 직무 체계 구축
내
Ÿ
조직 진단 개요, 진단 툴
Ÿ
조직개발에 범위 및 모델, 경쟁가치 모형
Ÿ
조직 전체 진단, 조직 문화 진단, 성과 문제 진단
Ÿ
전략 수립 프로세스, 솔루션 도출
Ÿ
중장기 전략 수립
Ÿ
전략과 제별 실행계획 수립
컨설팅 현황 분석
사업 및 주
용
직무 분석
조직 진단
전략 수립
(5) 조직 관리 특강 목적
조직의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한 조직 관리를 할 수 있다.
시간
8H
관련 역량 경영 환경 구성요소 및 환경 특성 이해
대외 환경 이해 능력, 동기 부여 능력 Ÿ
5 force analysis
Ÿ
미션 / 비전 / 전략 - 전략 맵 작성
주
조직 구조 진단
Ÿ
조직 구성 형태 유형 분석
요
및 문제점 분석
Ÿ
조직 특성 및 장·단점 분석
조직 문화 진단
Ÿ
조직 문화 정의 및 조직 문화 중요성
및 조직 활성화
Ÿ
조직 문화 활성화 방안
조직 변화 관리
Ÿ
조직 변화의 중요성과 조직의 생존
전략
Ÿ
조직 변화를 위한 전략
내 용
13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6) 문화예술교육기관 경영 사례 분석 목적
문화예술교육기관의 경영 사례를 분석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시간
8H
관련 역량 사례 분석 개요 주
방법론
요 내 용
분석 요소
시사점 도출
대외 환경 이해 능력 Ÿ
경영 사례 분석 개요
Ÿ
경영 사례 선정
Ÿ
경영 사례 분석 연구 방법론
Ÿ
경영 분석 툴 선정
Ÿ
경영 사례 분석 요소 설정
Ÿ
경영 사례 분석 요소 적용
Ÿ
사례 분석 결과의 시사점 도출
Ÿ
사례 분석 결과 활용 방법
타) 공통 마스터 과정
(1) 변화와 혁신 특강 목적
조직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시간
4H
관련 역량 변화와 혁신의 기회 포착
사업 이해력, 대외 환경 이해 능력,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Ÿ
변화 관리 프로세스
Ÿ
변화와 전이
Ÿ
변화 과정과 이해관계자
주
변화와 혁신을
Ÿ
변화 관리 스타일 진단
요
위한 준비
Ÿ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전략
변화와 혁신의
Ÿ
저항의 요인
실행
Ÿ
변화와 혁신을 위한 코칭
변화와 혁신의
Ÿ
변화와 혁신의 결과 측정 및 유지
측정 및 유지
Ÿ
변화의 제도화
내 용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39
(2) Executive Coaching 목적 시간 관련 역량 코칭요구 분석
주
코칭계획 수립
요 내 용
코칭
Follow-Up 코칭
개인의 리더십 개발과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하여 코치와 대상자가 협력하여 코칭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24H 코칭 능력 Ÿ
조직성과/리더십 진단결과 분석
Ÿ
360도 인터뷰
Ÿ
Leadership Assessment
Ÿ
진단결과 피드백
Ÿ
맞춤형 코칭 Plan 수립
Ÿ
Plan에 대한 합의
Ÿ
코칭 영역에서의 행동적 스킬 개발
Ÿ
Contents Coaching, Skill Training, Reflection
Ÿ
변화된 행동지속
Ÿ
변화된 행동의 검토 및 피드백
(3) 문화예술교육 트렌드 이해Ⅱ 목적 시간 관련 역량 트렌드 분석의 이해
주 요 내 용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시장변화 예측방법
사업타당성 분석
문화예술교육 트렌드 변화를 읽고 이를 통해 대외 환경 및 수요자 분석과 사업기회를 예측할 수 있다. 4H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대외 환경 이해 능력, 사업 이해력 Ÿ
트렌드의 이해
Ÿ
트렌드 분석의 필요성
Ÿ
트렌드 분석 프로세스
Ÿ
활용가능한 자료 수집 및 정리방법
Ÿ
트렌드 키워드 도출 및 분석방법
Ÿ
핵심변화요인 도출
Ÿ
핵심변화요인에 따른 시장의 변화
Ÿ
타겟 학습자의 변화 분석
Ÿ
학습자 라이프스타일 변화 및 요구사항 분석
Ÿ
비즈니스 기회 도출 및 구체화
Ÿ
사업타당성 분석 방법론 이해
14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4) 인문학 특강 목적
문화예술교육과 타분야를 융합하는 통섭의 관점을 가질 수 있다.
시간
3H
관련 역량
타 영역 전문성
주 요 내
인문학 콘서트
Ÿ
인문학 명사 특강 - 미술, 음악, 고전의 이해
용
파) 아르떼 마스터 선택과정
(1) 해외 선진 문화예술교육기관 탐방 목적
해외 선진 문화예술교육기관을 탐방하고 벤치마크 할 수 있다.
시간
80H
관련 역량 선진
사업 이해력, 대외 환경 이해 능력, 파트너십 구축력,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Ÿ
문화예술교육기관 Ÿ 선정 주
선진
요
문화예술교육기관
내
탐방
용
선진 문화예술교육기관 벤치마크
선진 문화예술교육기관 사례 분석 및 주요 시사점 선정 탐방기관 선정
Ÿ
탐방계획서 작성
Ÿ
선진 문화예술교육기관 방문 및 체험
Ÿ
선진 문화예술교육기관 이해관계자 워크숍
Ÿ
소감문 작성
Ÿ
발표 및 시사점 도출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41
하)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보수 교육
(1) 하위 평가자 보수 교육9) 목적 시간 관련 역량
자기 성찰
주
수업 클리닉
요 내 용
대인관계 스킬
경력개발 워크숍
자신의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문화 예술교육 활동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24H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기획 역량, 교수-학습 운영 역량, 관계 형성 역량, 문제 해결 역량 Ÿ
주요 사건 기법을 활용한 자신의 성공 사례, 실패 사례 발굴
Ÿ
성공/실패 사례 발생의 원인 탐색
Ÿ
대응 방안 모색
Ÿ
수업 실연(본인의 수업 자료 활용)
Ÿ
동료 및 전문가 피드백
Ÿ
강의 역량 강화를 위한 Action Plan 수립
Ÿ
신뢰 및 관계 형성
Ÿ
기관 관계자와의 효과적 의사소통 기법 (언어 및 비언어적 전략)
Ÿ
학습자 동기부여 스킬
Ÿ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경력 목표 설정
Ÿ
자가 진단 및 peer coaching을 통한 개발 필요 역량 도출
Ÿ
자기 개발 계획 수립
9) 현장 평가 결과, 하위 20% 범주에 속하는 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 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임. 14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 기본 연수 재수강 희망자 교육10) 목적 시간
교육 대상 및 현장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력 및 수업 실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0H 전공 영역 전문성,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기획 역량, 교수-학습 운
관련 역량
영 역량, 창의 역량, 관계 형성 역량, 문제 해결 역량, 사업 추진 역 량, 행정 관리 역량
교육 대상 및
Ÿ
현장 이해를 위한 Ÿ 교수-학습 방법
Facilitating 기법
Ÿ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습
Ÿ
프로그램 기획 및 설계 실습
Ÿ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실습
Ÿ
교수-학습 매체 개발 실습
Ÿ
교육 평가 전략 수립 실습
Ÿ
수업 실연(상기 실습 결과 활용)
Ÿ
동료 및 전문가 피드백
Ÿ
강의 역량 강화를 위한 Action Plan 수립
Ÿ
현장 사례 공유(우수 사례 및 실패 사례)
현장 사례 공유
Ÿ
우수 사례 및 실패 사례의 각 공통점 도출
세미나
Ÿ
문제점 발굴 및 해결 방안 도출
Ÿ
경력개발을 위한 자기 개발 계획 수립
개발 실습
요 내 용
상황별 교수-학습 전략 및 기법
Ÿ
교육 프로그램 주
교육 대상별 특징 이해
수업 클리닉
10) 기본 연수 A, B, C 코스를 모두 이수하고 현장 활동 중인 예술강사 중, 기본 연수의 내용을 재수강하 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임.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43
거) 문화예술교육사 2급 보수교육과정11)
(1) 문화예술교육사 2급 보수교육 목적 시간 관련 역량
주 요 내 용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실천적 이해를 통하여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높 일 수 있다. 24H 대인친화력, 의사소통능력, 사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문화예술교 육에 대한 사명감
문화예술교육의
Ÿ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이해
이해
Ÿ
문화예술교육 사례 탐구 및 공유 세미나
Ÿ
현장관계자와의 네트워크 구축 방법론
Ÿ
네트워크 사례 연구
Ÿ
현장관계자의 특강 및 질의응답
Ÿ
현장 방문에 대한 개념과 방법
Ÿ
모둠별 현장 방문과 프로그램 참관
Ÿ
모둠별 디브리핑 및 토론, 피드백
현장관계자와의 네트워킹 문화예술교육 현장 체험
11)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 이수, 주요 무형문화재로서 전수교육을 3년 이상 이수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을 취득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교육과정임. 14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너) Anchoring 과정
(1) 기획자 Anchoring 과정12) 목적 시간
문화예술교육 기획자로서 요구되는 기본 역량을 습득, 발휘할 수 있 다. 40H 학습 효과 평가 능력, 행사 기획 및 운영 능력, 사업 정보 수집 및
관련 역량
활용 능력, 문제 해결 능력, 프로젝트 추진력, 교육 홍보 기획력, 대 외 환경 이해 능력 Ÿ
중장기 경영계획과 신규 사업
Ÿ
사업 예산 타당성 검토, 예산 수립 및 배정
Ÿ
사업 계획 수립 및 사업 계획서 작성
Ÿ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개요 및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할
Ÿ
프로젝트 계획 수립
문화예술교육
Ÿ
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 프로젝트
Ÿ
프로젝트 일정 관리, 범위 관리, 시간 관리, 자원 관리 및
문화예술교육 사업 기획력
주 요 내
매니지먼트
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마케팅
품질 관리 Ÿ
프로젝트 리더십
Ÿ
액션 플랜 수립
Ÿ
프로그램 마케킹의 이해
Ÿ
프로그램 브랜드 구축을 위한 마케팅 믹스
Ÿ
프로그램 브랜드 구축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믹스 전략
Ÿ
전략적 브랜딩 계획의 수립
Ÿ
액션 플랜 수립
12)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중 자신의 커리어를 교수자에서 기획자로 전환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교육 과정임.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45
(2) 교수자 Anchoring 과정13) 목적 시간 관련 역량
교육 프로그램 개발 능력, 문화적 다양성 융합 능력, 교육 정보 수집 및 분석 능력, 학습자 잠재력 개발 능력,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Ÿ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습
Ÿ
프로그램 기획 및 설계 실습
Ÿ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실습
Ÿ
교수-학습 매체 개발 실습
Ÿ
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이해
문화예술교육
Ÿ
교육 프로그램 평가 모형
프로그램 평가
Ÿ
교육 프로그램 평가 사례 분석
Ÿ
교육 평가 전략 수립 실습
Ÿ
교육 대상별 특징 이해
Ÿ
상황별 교수-학습 전략 및 기법
Ÿ
퍼실리테이팅 기법
Ÿ
수업 실연 및 전문가 피드백
Ÿ
문제 분석
Ÿ
해결 대안 도출
요 용
40H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해
프로그램 개발
내
다.
Ÿ 문화예술교육
주
문화예술교육 교수자로서 요구되는 기본 역량을 습득, 발휘할 수 있
강의 및 퍼실리테이팅 기법
창의적 문제 해결 Ÿ
대안 선택 및 이익 분석
Ÿ
대안 리스크 분석
Ÿ
결론 및 실행 계획 수립
13)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중 자신의 커리어를 기획자에서 교수자로 전환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교육 과정임. 14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 新교육체계의 전략적 운영 방안 □ 본 절에서는 새롭게 도출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 다음의 [그림 IV-1]과 같이 문화예 술교육 전문 인력 관련 제도 정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역할 및 기능 재구조화, 향후 연 구 과제 및 사업 요구를 제시하였음. 그리고 각 항에서 세부 추진 과제를 제시함.
[그림 Ⅳ-1] 신교육체계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전략적 방안
2.1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관련 제도 정비
전략적 운영 방안
세부 추진 과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체계에 근거한 선발, 육성, 평가 실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관련 제도 정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을 위한 법적 의무 교육 化 추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및 교육체계 설명회 개최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47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체계에 근거한 선발, 육성, 평가 실시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특히 학교․사회 예술강사의 체계적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그 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역량에 근 거한 선발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 역량 중심의 선발은 직무 요건과 개인 역량의 연계성 이 높을수록 직무 성과와 개인의 직무 및 경력 만족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함 (Caldwell & O'Reilly, 1990). 즉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문화예술교육 기획, 설계, 개 발, 운영 및 평가와 관련된 수행․성과를 향상시키고,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으로서 자신의 경력에 대한 만족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인력을 선발하는 것이 필요함.
-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사회 예술강사 모집 및 선발 방법을 살펴보면, 지원 분야(국악, 연극, 영화, 무용 등) 및 교육과정(관련 교과/창의적 체험 활동, 토요 동아리 등)에 따라 신 청 자격, 선발 절차, 실기 심사 및 면접 심사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관련 전공 이 수자(4년제 대학, 대학원 또는 2년제 대학 졸업자), 2~10년 이상의 현장 경력 보유자에게 신청 자격을 부여하고, 서류 심사, 실기 심사(이론 시험 포함 가능)와 면접 심사의 절차를 거쳐 선발하고 있음.
- 실기 심사와 면접 심사는 주로 분야 전문성에 대해 다루고 있지만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관련된 내용을 어떻게 확인하는지에 대한 가이드가 명확하게 제시되 고 있지 않음. 다시 말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게 필요한 역량 중 예술 역량, 특히 자 기 분야 전문성 외 교수 역량(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기획 역량, 교수-학습 운영 역량, 창 의 역량), 관계 및 관리 역량(관계 형성 역량, 문제 해결 역량, 사업 추진 역량, 행정 관리 역량)에 대해 어떻게 평가할 것이고 선발에 관한 의사결정 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 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될 필요가 있음.
- 또한 학교․사회 예술강사의 문화예술교육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사회 예술강사 평가를 위해 평가 위원, 사회 기관 담당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수혜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평가에 참여하고 있음. 평가의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학습자 이해 및 상호작용, 수업 목표 및 내용 적절성, 수업 실행 및 교수 학습 방법, 예술강사 사명감 및 시설과의 협력도(이상 평가 위원), 강사 활동 및 교육 철학에 대한 사명감, 참여자 대상 교육적 기여도, 수업 운영의 태도, 참여자들과의 소통, 기관과의 협력도(이상 기관 담당자), 수업 준비, 참여 학생 동기부여, 타인 추천 의향, 재신청 희망, 수업 만족도(이상 수혜자),
14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수업 일지 등록 성실도, 예술강사 사업 참여 협조도(이상 진흥원) 등임. 그리고 학교 예술 강사 평가를 위해 학교의 담당 교사, 학생, 평가 위원, 지역 운영 기관이 평가에 참여하고 있으며, 평가의 세부 항목은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적 기여도, 근무 태도, 학생과의 관계, 학교 이해관계자와의 관계(이상 담당 교사), 수업 준비, 수업 만족도, 상호작용, 재신청 희 망(이상 학생) 등임. 지역 운영 기관은 사업 운영 협력 및 협조 수준에 대해, 평가 위원은 통합운영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수업 계획 및 수업 일지를 평가함.
-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한 평가를 포 함하고 있지만, 다루지 못하는 역량들도 상당 부분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 예를 들면, 교 육과정 개발 및 교육 기획 역량군 중 교육 정보 수집 및 분석 능력, 학습 환경 분석 능력, 행사 기획 및 운영 능력, 교수-학습 운영 역량군 중 문화적 다양성 융합 능력, 학습 대상 자 평가 능력, 학습 효과 평가 능력, 창의 역량 중 창의성,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관계 형성 역량 중 코칭 능력, 문제 해결 역량군 중 문제 해결 능력, 자기 통제력, 조정 및 의사 결정력, 사업 추진 역량군 중 교육 홍보 기획력, 대외 환경 이해 능력, 마케팅 기획력, 사 업 정보 수집 및 활용 능력, 행정 관리 역량군 중 멀티미디어 매체 활용 능력, 문서 작성 능력, 예산 관리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 등에 대한 평가는 세부적으로 다루고 있지 못함.
- 특히 상기에서 살펴본 학교․사회 예술강사 선발 및 평가 방법들은 생애 자료(과거 이력) 검 토, 선발/평가 위원과의 면담, 관계자들에 의한 평정 등을 활용하고 있음. 그러나 이러한 평가 방법은 평가 대상자의 성과를 2~16% 정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Spencer & Spencer, 1993). 그리고 현재의 선발 및 평가 절차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모델에 제시된 역량의 정의 및 행동 지표와 다소 다른 평가 항목 및 질문을 활용하 고 있음. 따라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모델에 포함된 세부 역량별 역량 정의 및 행동 지표를 활용하여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Assessment Center, BEI(Behavioral Event Interview) 등과 같이 평가 대상자의 성과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 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함.14) 또한 예술강사 평가 중 관계자들에 의한 평정을 실시할 때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모델에 제시된 행동 지표를 활용함으로써 평가 의 정확도 및 교육 성과에 대한 예측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임. 이를 위해서는 선
14) Assessment Center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나타나는 행동을 관찰, 평가하는 방법이고, BEI는 가장 중대한 업무 상황에서 경험한 내용을 토대로 평가 대상자의 역량을 파악하는 방 법이다. Assessment Center와 BEI는 평가 대상자의 직무 성과를 약 40% 이상 예측할 수 있지만, 이러 한 방법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평가자가 고도의 훈련을 받을 필요가 있다(Spencer & Spencer, 1993). Assessment Center, BEI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내용은 Spencer와 Spencer(1993)의 저서 「Competence at work」를 참조하기 바란다.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49
발 및 평가를 담당하는 관계자들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정확히 인지하고, 신뢰로운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들에게 판단 기준 적용 및 평가 방법에 관한 지침을 제시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을 위한 법적 의무 교육化 추진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개 발해 나가기 위해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제공하는 교육 경험과 자격 제도를 연계 시킬 필요가 있음.
- 현재로서는 3년 간 예술강사로 활동을 하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제공하는 기본 연수 140시간을 이수하거나,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720시간 이수하거나, 주요 무형 문화재로서 3년 간 전수 교육을 이수한 자들에게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을 인정하고 있음. 또한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 취득 후 현장 경력을 5년 이상 쌓은 자들에 게 문화예술교육사 1급 교육과정에 입과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며, 1급 교육과정 이수 시 문화예술교육사 1급 자격을 인정하고 있음.
-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사 1급 및 2급 자격 취득 후 해당 자격을 유지 및 갱신하기 위해 관 련 교육에 지속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규정은 현재 존재하지 않고 있음. 아무리 일정 자 격을 보유하고 있는 개인이라고 할지라도 분야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자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자격 취득 시점에 보유하고 있던 지식, 스킬, 태도 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수준은 저하될 수 있음. 또한 전문직일수록 의무적으로 보수 교육을 실시하여 전 문성을 향상시키고 있음(예: 의사, 변호사, 회계사, 기술사 등)
- 따라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들은 문화예술교육사 1급 또는 2급을 취득한 이후 지속적으 로 전문성을 개발해 나가기 위해,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사 1급 또는 2급 자격의 엄정한 인 정 및 관리를 위해 자격 취득 후에도 일정 시간(학점) 및 수준 이상의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함. 즉, 新교육체계에서 제시한 심화, 고급, 전문 과정의 일부 도는 전체 학점(시간)을 법정 의무화할 필요가 있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및 교육체계 설명회 개최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체계적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도출된 2014년 아르
15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떼 아카데미 교육과정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학교․사회 예술강사를 포함한 문화예 술교육 관련 사업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새로운 역량 및 교육 체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도 함께 이루어져야 함(설명회 개최).
-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들은 새로운 역량 및 교육 체계에 대한 정보를 습득함으 로써 개인의 경력개발 방향성을 설정하고, 개인의 발달 단계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 인지 파악하며, 그와 관련된 교육 정보를 수집하여 자기 개발 계획(individual development plan)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음.
- 또한 새로운 역량 및 교육 체계에 대한 설명회는 역량 및 교육 체계 개편의 목적, 각 교육 과정의 운영 방안, 관련 제도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단 체, 16개 시도교육청의 문화예술교육 담당 장학사, 대학 문화예술교육원의 담당 직원들의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및 교육 체계에 대한 이해도를 증가시켜 그들이 문화 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성장과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할 것임.
2.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역할 및 기능 재구조화
전략적 운영 방안
세부 추진 과제 新교육체계에 따른 인력양성팀 역할과 책임 재정립 및 인력 충원
한국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평가 센터 설립 추진
진흥원의 역할 및 기능 재구조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지식 공유 시스템 구축 및 컨퍼런스 개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경력개발 센터 구축
□ 新교육체계에 따른 인력양성팀 역할과 책임 재정립 및 인력 충원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인력양성팀은 문화예술분야 전문인력 양성, 연수사업 기획 및 운영, 인력양성 관련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교육기관과의 협력망 구축, 예술강사 양성 및 재교육/학교 경영자 연수/관련시설 및 단체연수, 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대상별 주제별 특별연수/e-아카데미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51
- 현재 인력양성팀의 인력은 총 7명으로 팀장 1명, 대리 1명, 사원 4명, 인턴 1명으로 구성 되어 있음. 상기 제시한 사업에 따라 팀원별로 역할과 책임을 부여하고 있으나, 실제 사업 실행 시 인력 부족으로 인해 모든 인력이 총 동원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음. 외주 운영 인력 고용 등으로 인력 문제를 해소하고 있으나 미봉책으로 판단되며, 외주 인력은 사업 전후 맥락에 대한 이해가 전무하기 때문에 또 다른 문제를 양산하고 있음.
- 따라서 인력양성팀의 인력을 충원하고 본 연구에서 도출된 新교육체계에 따라 역할과 책임 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음. 구체적으로, 인력양성팀 내 파트제를 도입하여 기획자 교육, 교 수자 교육, 공통 교육 및 그 밖의 사업에 대한 파트로 분류하고 파트장 및 파트원을 구성 하는 방안을 들 수 있음.
□ 역량 개발 및 교육체계 연구 전문가 pool 구성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개발 및 교육 체계 관련 연구는 2007 예술전문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PSI컨설팅), 2009 역량기반 예술강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주)아그막), 2009 역량기반 기관단체 실무자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Impact Consulting Korea), 2010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핵심역량 모델 구축연구(숭 실대학교), 2012 문화예술교육사 등급별 교육과정 개발 연구(숭실대학교)등이 있음.
- 이처럼 다양한 기관 및 조직에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개발과 교육 체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다보니, 연구별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대한 이해도의 깊이가 서로 다 르고 연구들의 연속성이 떨어짐. 이에 따라 연구 결과 적용 및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 음.
- 향후 관련 연구 진행시에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역량 개발 및 교육 체계 관련 전문가 pool을 구성하고 진흥원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연구진들에게 연구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연 구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또한 전문가 pool에 속한 연구자들에게 연구 결과물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전문가 pool을 유지할 필요가 있음.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평가 센터 설립 추진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과정은 현재 교육과정 이수형으로 진행되고 있음.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에서는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A, B, C 코스로 140 시간을 진행하고 있으며,
15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11개 지정 대학에서는 720 시간(교수 역량 210 시간, 직무소양 60 시간, 예술전문성 450 시간)의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그리고 1급 과정의 경우 직무 소양(90 시간 이상)과 예술 교육 전문성(90 시간 이상) 과정을 운영할 예정임.
- 평생교육사의 경우 기존에는 법정 교육 이수와 학위 취득을 통해 자격증을 발급하였으나, 2007년 개정 이후 승급과정의 대상 선정은 승급과정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1차 자격심사(1 급·2급 공통)와 2차 면접심사(1급)를 통해 이루어짐. 승급과정 운영 인원(1·2급 각 20명 기 준)을 고려하여 경력심사로 진행되며 평균점수 80점미만 시 불합격임. 최종 합격자는 승급 과정 이수 후 영역 및 종합 평가를 받게 되며, 자격 심사를 거쳐 자격증이 발급됨.
- 문화예술교육사의 경우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전문가를 양성하고, 자격제도의 질적 수준 관리를 위해 인증 및 평가를 전담하는 자격 평가 센터 설립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구체적 으로, 1급 자격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사 1급 과정 이수자 중 희망자에 한해 1차 자격심사를 실시하고, 심사 통과자를 대상으로 역량 평가 센터(Assessment Center)를 적용하는 것임. 현실적으로 2급 과정의 경우 예산의 한계로 역량 평가 센터를 운영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므로 1차 자격 심사와 2차 면접 심사를 통해 자격을 인증할 것을 권장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지식 공유 시스템 구축 및 컨퍼런스 개최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기본 연수, 심화 연수 등의 형식적 교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CoP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제도를 도 입하고 있음.
-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전국에 산재하여 있기 때문에 교육이 시행되는 장소에 따라 접근성 문제가 발생하며, 일부 프로그램(예: CoP)등에 대한 참여 인원은 제한적인 것 으로 나타남. 장기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노하우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지 식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단기적으로는 많은 전문 인력들이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컨퍼런스’를 개최할 필요가 있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식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정보를 표준화하여 관리할 수 있어야 함. 그리고 기존 내부 시스템(인사관리 시스템, LMS 등)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통합적으로 지식이 관리될 수 있어야 함.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53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컨퍼런스는 창의적 교수법 발표 및 수업 경진대회로 구성하여 연 간 1~2회 개최함으로써 전문 인력들의 참여와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다양한 분야와의 융 합을 통해 그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경력개발 센터 구축
- 경력개발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 는 단순히 일회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들의 지속 적인 전문성 개발을 촉진하고 경력 성공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환경 구축이 필요함 (김기덕 외, 2007; 배을규, 김대영, 이호진, 이민영, 이형우, 2013).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경우, 교수자는 대부분 조직 구성원이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에 이들의 전문성 향상을 지원해 줄 수 있는 경력개발 센터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구체적인 방안으로, 경력개발 센터 내 경력 상담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경력개발 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코칭 및 멘토링을 제공하여 지속적으로 경력개발 활동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촉진할 필요가 있음.
2.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향후 연구 과제 및 사업 요구
전략적 운영 방안
세부 추진 과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新역량모델 개발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역량 진단 시스템 구축
연구 과제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프로세스 구축
사업 요구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新역량모델 개발
- 금번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수립』에서 제시된 역량은 기존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이 수행한 개별 연구 결과물과 내부 자료를 통합한 결과물이라 볼 수 있음. 즉,
154|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기존 역량모델링 연구 결과물과 내부 자료는 이를 개별적으로 수행한 연구자들과 실무자에 의한 각기 다른 역량모델링 방법론과 절차, 관점에서 개발된 결과임.
- 또한 이전 역량모델들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 능력을 규정한 것이기 때문에 우수 성과자들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문화예 술교육 전문 인력이 전문성을 개발하는 데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됨.
- 따라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전문 직무(문화예술교육 교수자, 문화예술교육 기획자)에서 Arte Master로 성장하기 위한 전문성 발달 단계별로 체계적인 방법론과 절차가 적용된 新 역량모델을 개발해야 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역량 진단 시스템 구축
- 본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발달 단계별로 제시한 역량을 기반으로 문 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각 개인이 역량을 진단하고 그 결과로 역량별 수준을 파악하여 어떠 한 역량부터 우선적으로 개발 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할 수 있는 역량진단 시스템을 구축해 야함.
- 이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개인적 측면에서 역량 진단 결과 수준에 근거한 개인개발 계 획을 수립 할 수 있으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측면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역량 개발 관리를 위한 해당 역량의 교육과정 개발, 수정, 보완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음.
- 또한 교육 전 역량 진단 결과 수준과 교육 후 역량 진단 결과 수준의 향상 정도를 분석·제 시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사업에 대한 객관적 성과 지 표로 활용할 수 있음.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프로세스 구축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기존 교육과정 개발은 문화예술 전문 인력의 요구를 반영하거나, 해당 교육과정 교육 강사의 직관에 의해 도출된 내용에 기반을 두고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 담당자의 개별 기획력에 의해 수행되어 왔음.
- 다시 말해 역량15)
및 직무16)에 기반한 체계적인 교육과정개발 방법이 적용되어 있지 못
Ⅳ.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新교육체계 운영 방안 |155
하거나 통일된 교육과정 개발 절차가 부재하여 교육과정의 품질 유지와 개발 절차의 효율 성이 담보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됨.
-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인적, 물적 자원과 인프라를 고려하고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 력 의 특성과 양성 목적이 반영된 고유의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과 프로세스를 수립하여 문 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실행, 평가에 반영해야 함.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
-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사업추진 기본계획(2013)에 의하면 기 수행된 사업(‘05년 ~ ’12년) 실적을 분석하여 성과 및 개선점을 도출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나, 2014년 이후의 전략 로드맵이 불명확하고, 추진 전략에 따른 세부 추진과제가 부재한 상 태임.
- 따라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사업추진 기본계획(2013)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2014년 이후 단기(3년 이내), 중기(3~5년), 장기(5~7년)적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 력 양성을 위한 전략을 구체화하고, 전략 실행을 위한 세부 추진 과제 및 추진 방안을 제 시해야 할 것임.
15) Competence Based Curriculum(CBC): 역량 모델링에 기반한 교육훈련체계 수립 및 교육과정 개발 방법 16) Developing A Curriculum(DACUM): 직무분석에 기반한 교육훈련체계 수립 및 교육과정 개발 방법 15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참고문헌
참고문헌
□ 문화예술교육사 관련 문헌
김기덕, 장정임, 김수정 (2007).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직무분석 및 CDP 수립. 한국문화예술교 육진흥원 인력양성팀. 배을규, 김대영, 이호진, 이민영, 이형우 (2013). 교육훈련 평가모형을 활용한 연수 평가체계 구 축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백령(2013). 문화예술교육사 1급 교육과정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신동필, 최오성, 홍준영, 송장호 (2009). 역량기반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 실무자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이경화, 김재춘, 오세곤, 윤명원, 이기성, 차수정, 강성룡, 김병선, 김영길 (2012). 문화예술교육 사 등급별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이기성, 강성룡, 김기혁, 서혜란 (2010). 예술강사 핵심역량 모델 구축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인력양성팀. 이주연, 김석범, 이유정, 황지영, 신상미 (2011). 2010 예술강사 연수 체계화 및 개선 방안 연 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이창준, 강성룡, 이상아, 정수경 (2009). 역량기반 예술강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임학순, 백령 (2011).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도입 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 성팀. 홍성만, 박소연, 김서용, 류호철, 임채홍, 박상현, 장혜윤 (2012). 2012 문화예술교육사 중장기 발전방안 및 실행로드맵 구축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2급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안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Arte Academy program book.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2013 상반기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추진계획(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사업추진 기본계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기본연수 추진계획(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하반기 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추진계획 보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학교 예술 강사대상 심화연수 추진계획(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학교 예술강사 심화연수 추진계획(교과연계 프로그램 개 발 워크숍, 수업분석, 수업말하기).
참고문헌|15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학교 예술강사 심화연수 추진계획(우수교수학습지도안, 실기지도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학교 예술강사 심화연수 추진계획(마이크로티칭, 재미있 는 수업만들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 세부계획 수립 보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참여 단체 실무자 연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창의키움 연수 추진계획 보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행정인력 대상 역량키움 연수 추진계획 보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교원대상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체험 워크숍 추 진계획(안) 보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인문키움’ 세부 추진계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기획인력 대상 ‘역량키움’ 세부 추진계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대학(원)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컬처펍(Culture P.U.B.) 추 진계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아르떼강사 1기 양성과정 추진계획(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아르떼강사 2기 양성과정 추진계획(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아르떼 온라인 아카데미 추진계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예술강사 지원사업예술강사 신청 및 활동 가이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2013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안내사항(예술강사용)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회예술강사/복지기관 평가 추진계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평가 안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예술강사 교육활동 및 운영학교 협조도 평가 안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국가별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해외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가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학교·사회 예술강사 연수 추진체계 보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문화예술교육 포럼 - 문화예술교육의 지난 10년, 앞으로 의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문화예술 대토론회 - 예술정책, 현장과 소통하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2). 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자격증 취득 길라잡이.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2). 평생교육사 양성기관 운영 길라잡이.
16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기타 참고문헌 및 자료
배을규, 이호진 (2011). 전문성 연구 문헌의 비판적 고찰 - 성과, 한계, 그리고 HRD 함의 -. HRD연구, (13)1. 1-26. 염준규, 정은경, 손영우 (2013).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 진단 도구 개발 연구: IT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0(4). 291-315. 오헌석, 최지영, 최윤미, 권귀헌 (2007).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 발달과정에서의 영향 요인 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학회지, (27)9. 907-918. 오헌석 (2006). 전문성 개발과정 및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9(2). 193-216. 오헌석, 김정아 (2007).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과 전망. 기업교육연구, 9(1). 143-168. 오헌석, 성은모, 배진현, 성문주 (2009). 최고 수준 전문가와 보통 수준 전문가의 특성 비교 분 석. 아시아교육연구, 10(4). 105-135. 박혜연 (2013).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링컨센터 인스티튜트의 교육방법론 탐색. 한국무용기록학회, 28. 79-99. Alexander, P. A. (2003).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The journey from acclimation to proficiency. Educational Researcher, 32(8). 10-14. Caldwell,
D.
F.,
&
O'Reilly,
C.
A.
(1990).
Measuring
person-job
fit
with
a
profile-comparison pro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6), 648-657. Dreyfus, H. L., & Dreyfus, S. E. (1986). Mind over machine : The power of human
intuition and expertise in the area of the computer. 16-51. NY: Free Press. Feldman, D. C. (1988). Managing careers in organizations. IL: Scott Foresman & Co. Feldman, D. H. (1955). Learning development in nonuniversal theory. Human Development,
38(6). 315-321. Holzer,
M.
F.
(2007).
Aesthetic
education,
inquiry,
and
the
imagination,
http://www.lcinstitute.org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Y: John Wiley &Sons.
참고문헌|161
부 록
부록
부록 1. 기존 심화 과정 분류
구분
과정명
BP 02
공감과 설득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스킬
BP 02
SNS를 활용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전략 탐구
HP 01
커뮤니케이션 스킬
HP 01
미디어를 활용한 재미있는 수업만들기
HP 0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다양한 영상 만들기
HP 01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의 달인되기
HP 01
우수 교수 학습지도안 탐구
HP 01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학교 예술강사 교수역량 강화
HP 01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사회 예술강사 교수역량 강화
HP 01
아동상담 & 놀이치료 기법
HP 01
예술강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액션러닝 교수법
HP 01
심리극을 통한 학교교육 대상의 이해
HP 01
특수교육대상의 이해
HP 01
소시오 드라마 체험을 통한 교육대상 및 현장의 이해
HP 01
노인의 특성과 이해를 통한 상담기법
BP 02
사회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담은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BP 02
문화예술교육 단체 역량강화를 위한 보조금 정산의 이해
HP 01
무용분야 실기 지도법
HP 01
국악분야 실기 지도법
HP 01
연극분야 실기 지도법
HP 01
난타 실기교육 지도법
BP 02
사회 문화예술교육 콘텐츠개발 프로젝트
HP 01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HP 01
프로그램 기획 워크숍 과정
HP 01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콘텐츠 개발 워크숍
HP 01
우수수업 사례 공유와 저작권 이해를 통한 교보재 개발 워크숍
과정 분류 PT&Comm.
교수매체
교수법
교육대상이해
사업이해
실기지도법
프로그램개발
부록|165
부록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본 연수와 대학 문화예술교육원 교육과정 비교
□ 진흥원 기본연수 교과목 분
학교·사회대상
류 Ÿ Ÿ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교수학습전략 방법
예술강사의 역할 이해
유 세미나
교수학습지도안
사례 기반 학교 교육현장 Ÿ
멘토와 함께하는 테마 트
의 이해
래킹
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Ÿ
사례 기반 교육 대상의 이 해
Ÿ
Ÿ Ÿ
대상별, 분야별 교안 읽기
A
세미나
코 Ÿ
대상별,
스
워크숍 Ÿ
사회대상
분야별 교육현장 사례 공 Ÿ
Ÿ
Ÿ
학교대상
분야별
Ÿ
기획
워크숍 Ÿ
예술강사 커리어맵 그
문화예술 현장 체험 & 네
리기
트워킹
(멘토와 함께하는 테마
효과적인 교수법 이해 및
트래킹)
사례 탐구 Ÿ
교안 적용 및 실행 워크숍
Ÿ
학교 현장의 이해 2
교안체험
멘토와 함께하는 테마 트 래킹
Ÿ
분야별 실기 지도법
Ÿ
문화예술 현장 체험 & 네 트워킹
Ÿ
교육현장 기반 말하기 기 초
B 코 스
Ÿ
스피치 기초
Ÿ
학교 현장의 이해 1
Ÿ
교육현장 사례 공유 세미 Ÿ
감상교육을 통한 동기유발 Ÿ
프로그램 기획 실습
나
사례 공유
Ÿ
모둠별 발표 및 피드백
Ÿ
예술강사 커리어맵 작
Ÿ
수업 설계
Ÿ
수업분석 이해와 실습
Ÿ
명예교사 특강
Ÿ
명예교사 특강
Ÿ
연간수업계획서 및 감상교 Ÿ
모의 수업 컨설팅
육 수업안 작성 실습 Ÿ
모둠별 발표 및 피드백
166|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Ÿ
교수학습전략
성 및 발표
분
학교·사회대상
류 Ÿ Ÿ
C 코 스
Ÿ
사회대상
교육대상 및 현장 이해를 Ÿ
학습참여를 높이는 동기유 Ÿ
교수학습 전략 및 설계
위한 교육심리
발 전략 이해
교육프로그램 기획 실
대상별 교육현장 사례 공 Ÿ
수업분석론 이해
유 세미나
대상별 심리 및 교수법
Ÿ
예술강사 커리어맵
이해 심화
Ÿ
명예교사 특강
Ÿ
연간교육계획서 설계 방법 이해
Ÿ
학교대상
Ÿ
연간교육계획서 작성 실습 및 발표
Ÿ
Ÿ
습
대상별 자기수업 분석 및 Ÿ
아동,
진단(모의수업)
예방교육
대상별
동기유발을
성폭력
위한
Ÿ
명예교사 특강
수업 노하우 공유 세미나
Ÿ
아동, 청소년 성폭력 예방 Ÿ
명예교사 특강
교육
아동, 청소년 성폭력 예방
Ÿ
청소년
교육 □ 대학 2급 양성 과정 교과목 교과영역
교수역량
교과목 Ÿ
교육학개론
Ÿ
교육심리
Ÿ
교육평가
Ÿ
통합 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기획 ㆍ제작 및 시연
직무소양 예술전문성
Ÿ
(전공분야)교수학습방법
Ÿ
(전공분야)감상 및 비평
Ÿ
창의적 방법을 통한 (전공분야) 교 수법
Ÿ
(전공분야)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Ÿ
(전공분야)교육교재ㆍ교구 개발 및
Ÿ
(전공분야) 교육론
Ÿ
문화정책 및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Ÿ
커뮤니케이션기법
Ÿ
문화행사기획
Ÿ
예술교육 상담
Ÿ
예술 관련 분야별 해당 분야의 전공 과목
활용
부록|167
□ 과목별 비교 결과에 따라 요구되는 교육 내용 대학 720시간 교과목의 문제점
요구되는 교육 내용
1. 교수역량 교과목의 상당수가 전공분야만을 타 전공분야에 대한 이해 확대와 체험 필요 대상으로 함
ex) 문화예술교육 이해 심화 타 전공분야 현장 체험
2. 문화예술관련 이론 강의에 치중
현장 감각을 키울 수 있는 교육 필요 ex) 전공분야 현장 체험 사례공유세미나 모의 수업
3. 대학 외부의 문화예술 현장 종사자들과의 타기관의 현장 종사자들(실무자, 예술강사)과 교류 부족
네트워크 구축 필요 ex) 문화예술 네트워킹 명예교사 특강
168|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역량 - 대학교육 및 기본연수 매트릭스 역량군
하위 역량군 전공 영역
예술역량군
전문성
역량명 전공분야전문성
대학
기본연수
O
O
타 영역 전문성 타 영역전문성 교육기획력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기획 역량
O O
O
교육정보 수집 및 분석능력
O
교육프로그램 개발능력
O
O
학습자역량 개발 및 상담능력
O
O
학습대상자 이해력
O
O
학습환경 분석능력
교수역량군
O
교육요구 및 성과분석력
O
행사기획 및 운영능력
O
동기부여능력
O
문화적 다양성 융합능력 교수 -학습 운영역량
수업실제 운행능력
O
프리젠테이션 능력 학습대상자 평가능력
O O
O
학습자잠재력 개발능력 학습효과 평가능력
O
창의성 창의역량
창의적교수법 개발능력
O O
O
O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창의프로그램 개발능력
O
부록|169
역량군
하위 역량군
역량명
대학
대인친화력 관계형성역량
문제해결역량
의사소통능력
기본연수 O
O
O
코칭능력 파트너십 구축력
O
문제해결능력
O
자기통제력
O
조정 및 의사결정력 교육 홍보 기획력
O
대외환경 이해능력 관계&관리 역량군
마케팅기획력 사업추진역량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감 사업이해력
O O
사업정보수집 및 활용능력 프로젝트 추진력 교육인프라 구축능력 멀티미디어매체 활용능력 행정관리역량
O
문서작성능력 수업행정업무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컴퓨터활용능력
170|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O
□ 역량 Mapping 결과에 따라 요구되는 교육 내용 대학 720시간 교육 역량의 문제점
요구되는 교육 내용
1. 타 영역전문성 역량이 전혀 다뤄지지 않음
타 영역을 접하고 학습할 수 있는 교육 필요
2. 교수역량군에만 치우침(70%이상)
관계&관리역량을 개발하는 교육 확대 필요
□ 대학교육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역량들의 역량별 프로그램명(기본연수 프로그램 기준) 역량군
하위역량
역량명
군
예술
타영역
역량군
전문성
1. 타 영역전문성
2. 교육요구 및 성과분석력
기본연수 해당 프로그램명 Ÿ
문화예술 현장 체험 & 네트워킹
Ÿ
수업 설계
Ÿ
수업분석 이해와 실습
Ÿ
프로그램 기획 실습
Ÿ
모둠별 발표 및 피드백
Ÿ
수업분석론 이해
Ÿ
연간수업계획서 및 감상교육 수업안 작 성 실습
교육과정
Ÿ
연간교육계획서 설계 방법 이해
개발 및
Ÿ
연간교육계획서 작성 실습 및 발표
교육기획 3. 교육정보 수집 및 분석능력 Ÿ 역량
(수업 설계)
Ÿ
(모둠별 발표 및 피드백)
교수
Ÿ
(수업분석 이해와 실습)
역량군
Ÿ
(프로그램 기획 실습)
Ÿ
(수업분석론 이해)
Ÿ
대상별 동기유발을 위한 수업 노하우
4. 학습환경 분석능력
교수학습 운영역량
5. 프리젠테이션 능력 6. 창의성
창의역량
7. 창의프로그램 개발능력
공유 Ÿ
(프로그램 기획 실습)
Ÿ
(모둠별 발표 및 피드백)
Ÿ
스피치 기초
Ÿ
교안 적용 및 실행 워크숍
Ÿ
문화예술 현장 체험 & 네트워킹
Ÿ
효과적인 교수법 이해 및 사례 탐구
Ÿ
감상교육을 통한 동기유발사례 공유
Ÿ
학습참여를 높이는 동기유발 전략 이해
부록|171
역량군
하위역량
역량명
군
관계형성
8. 대인친화력
역량 9. 파트너십 구축력
관계 & 관리 역량군
문제해결 역량
10. 문제해결능력 11. 자기통제력
사업추진 12.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명 역량 감
기본연수 해당 프로그램명 Ÿ
사례 기반 학교 교육현장의 이해
Ÿ
교육현장 기반 말하기 기초
Ÿ
분야별 교육현장 사례 공유 세미나
Ÿ
학교 현장의 이해 1, 2
Ÿ
(사례 기반 학교 교육현장의 이해)
Ÿ
(학교 현장의 이해 1, 2)
Ÿ
명예교사 특강
Ÿ
(사례 기반 학교 교육현장의 이해)
Ÿ
(명예교사 특강)
Ÿ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예술강사의
역할 이해 Ÿ
아동, 청소년 성폭력 예방교육
Ÿ
효과적인 교수법 이해 및 사례 탐구
Ÿ
교안 적용 및 실행 워크숍
Ÿ
모의 수업 컨설팅
Ÿ
학습참여를 높이는 동기유발 전략 이해
Ÿ
대상별 동기유발을 위한 수업 노하우
행정관리
13. 멀티미디어매체 활용능력
역량
공유 세미나 14. 수업행정업무관리능력 주) (프로그램명): 역량군 내 중복되는 프로그램
172|2014 아르떼 아카데미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Ÿ
(사례 기반 학교 교육현장의 이해)
Ÿ
(학교 현장의 이해 1, 2)
자문위원
< 외부 전문가 > 문지영
연극분야 아르떼강사
박지영
국악분야 아르떼강사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김하원
인력양성팀 팀장
김주리
인력양성팀 대리
정진원
인력양성팀 사원
권재현
인력양성팀 사원
이주영
인력양성팀 사원
박진아
인력양성팀 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