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무용

Page 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 -무용

발행인 박재은 발행일 2011.09.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교육진흥본부장 정연희 교육개발팀장 황지영 교육개발팀 노현정 등록 KACES-1140-R007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5999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년 9월

2011

연구진

연구책임자

서예원 청주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공동연구자

문 영 국민대학교 무용과 교수 조은숙 중앙대학교 무용과 교수 김윤진 국민대학교 무용과 겸임교수 연구보조원

김율희 경희대학교 무용과 강사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향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과정 5. 연구의 기대효과 1.

·················································· 3

······················································ 6

······································································ 7 ······································································ 9 ···························································· 10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 무용교육의 개념 및 가치 2. 무용교육표준의 국내외 사례 3. 무용교육 모형 1.

················· 11

············································ 13 ······································· 19

································································ 37

·························································································

Ⅲ.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실제 무용교육표준 사례 분석 2. 심층면담 3.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방향 1.

······························· 41

·············································· 43

·········································································· 49

Ⅳ.

무용교육표준 개발 목표 2. 영역 3. 수준(단계) 4. 학제별 목표 5. 학년별 기대수준 1.

·········································· 52

·············································· 57

·················································································· 59 ················································································ 60 ······································································· 62 ···································································· 64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65

························································ 71

·············································································· 75

목차 | i


표목차 <표 1> 무용의 교육적 가치 ············································································································· 15 <표 2> 초등학교 표현활동 영역 구성 ···························································································· 20 <표 3> 3-10 학년별 무용 구성 내용 ······························································································ 21 <표 4> 초등학교 3-6학년별 표현활동 내용 ··················································································· 23 <표 5> 중등학교 7-10학년별 표현활동 내용 ················································································· 23 <표 6> 국립 무용협회 무용교육기준에 제시된 범주 ···································································· 27 <표 7> 미네소타 예술교육 기준에 제시된 요소와 기준 ······························································· 30 <표 8> 온타리오 주, 예술교육 과정에 제시된 창조적 과정과 비판 분석적 과정 ····················· 31 <표 9> 온타리오 주, 1-8학년 무용 영역에 제시된 부제와 종합적인 기대 ································ 32 <표 10> 온타리오 주, 9-10/11-12학년 무용교육과정에 제시된 요소와 종합적인 기대 ············ 32 <표 11> 퀘벡 주, 초중고등학교 무용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역량 ············································· 34 <표 12> 호주 국가 수준 교육과정, 예술영역에 제시된 세 가지의 요소 ···································· 35 <표 13>태즈메이니아 주의 예술교육과정 기준과 단계 ································································· 36 <표 14> 무용예술모형 특성 ············································································································· 38 <표 15> 국외 무용교육 기준 및 영역 분석 ··················································································· 47 <표 16> 무용교육모형 비교 ············································································································· 48 <표 17> 심층면담 대상자 ················································································································· 49

ii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요약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 개념과 가치를 규명하고 체계적인 교육표준을 제 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용 영역별, 단계별 교육표준을 제시하였으며, 교육의 연계성과 계열성을 고려하여 학년별 기대수준을 제시하였다. 무용교육표준은 댄스 리터러시(Dance Literacy) 계발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리터러 시는 글을 읽고, 쓰고, 이해하는 전반적인 능력을 뜻한다. 댄스 리터러시는 무용의 전반 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풀어내는 통합능력을 의미한다. 즉 무용을 체험하 고, 탐구하고, 확장하는 과정을 통해 말하고, 쓰고, 보고, 읽는 종합적인 능력을 계발하 는 것이 무용교육표준의 목표인 것이다. 그러므로 댄스 리터러시는 다양한 춤 움직임 속의 상징과 의미를 이해하고 자기 자 신을 표현하는 움직임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와 함께 무용 의미를 분석, 이해, 감상, 비판하는 총체적인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의 개념과 가치를 규명하고 체계적인 교육표준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루어야 할 연구의 내용과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교육으로서 무용의 개념 및 가치를 규명하고, 무용교육표준의 국내외 사례 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현행 교육과정안에서의 무용교육 내용과 미국, 영국, 호주 등 외국의 무용교육표준 사례들을 분석한다. 또한 교육표준 개발의 일반적 원리 및 방법 을 탐색한다. 둘째,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표준 개발의 범위와 수준을 탐색 하고 이에 따른 심층면담을 실시한다. 무용교육 전문가, 무용교수, 교사를 대상으로 하 요약 l iii


는 심층면담은 인터뷰를 통해 기술되며, 분석을 통해 교육표준의 실제적 요구를 수렴 하고 반영한다. 또한 전문가 협의회와 연구진들의 집중작업을 통해 무용교육표준의 구 조 및 체계, 교육표준별 기대수준, 무용교육표준 활용 방안 등이 탐색되고 제시될 것이 다. 3. 연구의 기대효과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는 무용교육표준을 제시함으로서 예술교 육으로서 무용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둘째, 공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사교육현장에서의 무용교육표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셋째, 무용교육 영역별, 단계별로 제시된 교육표준은 무용교육 현장의 연계성과 계 열성을 보장할 수 있다. 넷째, 무용교육표준은 교육내용 및 교보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iv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Abstract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Standards - Dance Education Standar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and values of dance as part of arts education and to present systematic education standards. First, to explore the concept and values of dance as part of arts education, the authors analyzed the local and international dance education standards, such as the cases in the U.S. the U.K. and Australia. Second, to set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dance education standards, the scope and levels of standards were suggested, which was also reflected in the high-impact interviews carried out subsequently. The high-impact interviews conducted with dance education specialists, dance professors and teachers were explained in details, and the requests made during the interviews with regard to education standards were reflected in the analysis process. In addition, through the intensive work by the council of experts and researchers, we were able to look into the structure/system of dance education standards, level of expectation for each standard item, plan for implementing dance education standards, and etc.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 the following dance education standards were presented: Dance education standards aim at the enlightenment of dance literacy. Here, literacy means the overall ability to read, write and comprehend/understand. Dance literacy means the integrated ability to understand the overall aspects of dance and present them in various ways. That is, to improve the comprehensive ability to speak, write, see and read through the course of experiencing, exploring and expanding the domain of dance as the objective of dance education standards. In light of this, dance literacy enables the learners to understand symbols and meanings in various dance movements and create movements of their own as a means to express 요약 l v


themselves. In addition, it can be viewed as a concept of overall "understanding of dance," which is to analyze, understand, appreciate and criticize the meaning of dance. Dance education standards are classified into the areas of production-execution and creation as well as response-appreciation and communication. Here, execution (dancing) touches upon the physical perception, coordination, understanding of movement elements, learning of performance principles and etc. Creation (making dance) is related to creating or composing movements, understanding expressional or creative principles, and etc. Appreciation (reading dance) encompasses the observation, analysis, interpretation, understanding of dance and etc. Communication (sharing dance) means the interchange, combination, sharing with other areas, understanding of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and the link to local society, and etc. Such areas of dance education standards lead to an in-depth course development based on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study. In other words, through a 3-step process of experience/understanding, study/discovery and extension/application, dance literacy can be obtained,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dance education as par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Here, experience/understanding is a step to experience movements through senses and cognitive understanding. Study/discovery is about experiencing, making comparisons of and

analyzing

various

experience/understanding.

movements

by

further

Extension/application

refers

developing to

the

executing

first dance

step

of

education

standards in connection and combination with other fields and other forms of arts by further developing the second step of study/discovery. Through this process, da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educational system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ere presented, respectively. Moreover, based on the 3-step process, the levels of expectation were been sugges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and links between different areas, courses and educational systems. The dance education standards can be used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by providing the standards for dance education that helps realize the valu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e identity of dance education as part of arts education can

vi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take a firm root. Second, the standards can be applied both in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fields. Third, the standards presented by area and level can guarantee the connection and links in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Fourth, the standard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content and support materials.

요약 l vii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향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과정 5. 연구의 기대효과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창의, 인성을 중시하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변화

세기 교육의 모토는 ‘창의’, ‘인성’이며 이는 모든 정책, 문화, 교육현장에서 핵심 가 치로 표명되어 왔다.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학기술부는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 중등 예술교육활성화 기본방안’을 공동 발표한 바 있다. 주요 내용은 교과활동에 서의 예술교육 강화, 예술 체육중점학교 활성화 및 확대, 각급 교육기관의 예술심화교육 지원 확대, 과학과 예술의 통합 교육 실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예술교육 강화, 예술교육 지원 협력체계 구축 등이다. 이 방안은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2010.5.25~28, 서울) 개최 등으로 예술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만들어졌다. 이는 우리나라의 교육정책과 문화정책을 관장하고 있는 양 부처가 협력하여 ‘유네스코 서울선언(Seoul Agenda) ’에 대한 실천과 창의 인성 함양의 핵심 분야인 예술교육의 활성화를 기하고자 하는 정책적 의지가 표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1

·

·

1)

·

▶ 학교 예술교육의 위기

그러나 이러한 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도 불구하고 초 중등학교에서는 주지교과 위주 의 수업으로 인해서, 고등학교에서는 수능 위주의 수업으로 인해서 예술교과 수업이 파 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의 교육과정은 학교 예술교육의 어려움 을 더욱 배가시키고 있는 현실이다. 교육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성을 증진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으면서도 공교육 현장 ·

1)

목표1. 심도 있는 교육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 지속적 요소로서 예술교육의 접근성을 확대한다. 목표2. 예술교육 활동 및 프로그램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실행 단계에 이르기까지 양질의 수준을 유지한 다. 목표3. 오늘날 세계가 직면한 사회적, 문화적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예술교육의 원리 와 실천을 적용한다. Ⅰ. 서론|3


에서 예술교육이 점차 소외되어가고 있고 학생들은 예술교육을 받을 기회조차 없어지고 있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사교육에서의 예술교육은 학교교육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개발하는 기능 을 담당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학교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충수업의 역할만을 하고 있 다. 예술기능 향상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개발하기 보다는 예술기능 훈련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예술교육이 기능개발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 생들의 상상력을 개발하고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본연의 가치를 되찾고 교육 안에서 이를 실현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예술교육은 모든 사람들에게 세상을 보는 눈으로서, 삶의 소중한 보석으로서 삶을 관조할 수 있는 지혜를 주며 더불어 나누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예술교육은 지식교육의 한계를 넘어서서 풍요로운 삶을 누 릴 수 있는 수단으로, 시민 정신의 문화적 접근으로, 다문화 교육의 수단으로, 새로운 형 태의 복지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새로운 미래사회를 선도적으로 이끌고 갈 창의적 인재 육성이 절실하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창의, 인성 교육은 자신을 드러냄으로써 타인과 상호 소통하는 예술교 육을 통해서 가능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세상을 보는 눈으로서, 삶을 관조할 수 있는 지혜 를 주며 더불어 나누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지식교육의 한계를 넘어서서 풍요로운 삶 을 누릴 수 있는 수단으로, 시민 정신의 문화적 접근으로, 새로운 형태의 복지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2)

▶ 예술교육으로서 무용의 정체성 회복

무용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예술교과가 아닌 체육의 한 영역으로 가르쳐지고 있다. 무 용이 기능 위주의 교육이 아닌 예술교육으로서의 가치를 회복하고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 는 예술교육으로서의 개념 및 가치 정립과 내용표준을 제시하는 일이 선결되어야 한다. 무용교육은 무용 그 자체의 창작과 감상 그리고 기술을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미적 체험을 통해 보다 풍부한 미적 경험과 감수성을 가지게 하여 인성교육을 가능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의 가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 2)

김화숙 외(2010), 무용교육의 힘 . 서울:댄스뷰. p.92. 『

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화적 측면에서 개인의 성장을 지향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 사회의 발전을 이룩하 는 데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의 가치를 규명하고 그에 따른 교육 목표와 내용을 선정하는 작업은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 ▶ 예술교육의 세계적 흐름

현재 미국, 프랑스, 뉴질랜드, 캐나다, 호주, 스웨덴 등에서는 예술교육이 국가의 핵심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으며, 뱀포드의 세계 37개국 예술교육 사례연구(2006)에 의하면 70% 이상의 국가에서 무용, 드라마, 조각을 예술교육에 포함시키고 있다. 또한 각 예술영 역들은 단계별 교육목표와 교육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용을 포함한 각 예술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교육표준을 제시하는 일은 창 의, 인성교육을 지향하고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가장 필요한 작업이라고 하 겠다. 3)

▶ 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확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예술교육 관련 지원사업은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 예술강사 사업 중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전국 초 중 고등학교(특수 및 대안학교 포함) 5,772 개교 대상, 8개 분야(국악, 연극, 무용, 만화 애니메이션, 공예, 디자인, 사진)에서 시행되 고 있으며, 무용의 경우 2005년 100학교에 110명의 강사 지원에서 2011년에는 1,500학교 에 840명의 강사를 지원하는 것으로 사업이 확대되었다. 또한 소규모 초등학교 전교생 대 상 문화예술교육 환경조성을 위한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을 통해 전국 초등학교 15 개교의 연간 활동을 위한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학교 예술교육 지원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각 영역에 대한 교육표준을 제시 하고 영역별, 단계별 차별화된 기준과 내용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

·

▶ 연구의 목적

그러므로 본 연구는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 개념과 가치를 규명하고 체계적인 교육표 준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용 영역별, 단계별 교육표준을 제시하며, 교육의 연계성과 계열성을 고려하여 학년별 기대수준을 제시할 것이다. 3)

뱀포드, M.(2006). 세계예술교육현장 리포트,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백령(역) 서울: 한길아 트. 재인용. Ⅰ. 서론|5


2. 연구의 내용 및 방향

본 연구는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의 개념과 가치를 규명하고 체계적인 교육표준을 제 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루어야 할 연구의 내용들은 다 음과 같다. 첫째, 예술교육으로서 무용의 개념 및 가치를 규명하고, 무용교육표준이 개발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안에서의 무용교육 내용과 미국, 영국, 호 주 등 외국의 무용교육표준 사례들을 분석한다. 또한 교육표준 개발의 일반적 원리 및 방 법을 탐색한다. 둘째,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표준 개발의 범위와 수준을 탐색하 고 이에 따른 심층면담을 실시한다. 무용교육 전문가, 무용교수,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심 층면담은 인터뷰를 통해 기술되며, 분석을 통해 교육표준의 실제적 요구를 수렴하고 반 영한다. 또한 전문가 협의회와 연구진들의 집중작업을 통해 무용교육표준의 구조 및 체 계, 교육표준별 기대수준, 무용교육표준 활용 방안 등이 탐색되고 제시될 것이다.

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3.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 개념과 가치를 탐색하고 수준별, 영역별 성취기 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 연구와 심층면담 및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한다. 1) 관련 문헌분석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의 개념과 가치를 탐색하기 위해서 예술교육과 무용교육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미국, 영국, 호주를 비롯한 다른 나라의 무용교육표준 사례를 분석한다. ․ ․ ․ ․

무용교육 관련 문헌 분석 문화예술교육 관련 문헌 분석 교육과정 관련 문헌 분석 국내외 무용교육 사례 분석

2) 심층면담

면담은 대상이 정보나 의견, 신념 등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대화 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지각과 해석을 획득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기본적인 인간 상호작 용의 방식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대화가 전제되는 면담은 면담대상의 관점과 생활세계, 그들의 의식, 주관성, 감정 등을 이해하기 위한 자연스럽고 목적적인 방법이다. 이에 무용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무용교육표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교육표 준에 대한 실제적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한다. 4)

․ ․ ․

4)

대상 : 무용교수 및 무용교사 6명 면담지 : 무용교육표준 목표, 영역, 기대수준에 대한 면담지 자료처리 및 결과 논의

이용숙 외(2005). 실행연구방법 , 서울:학지사, 『

p.193 Ⅰ. 서론|7


3) 전문가 협의회

무용교육표준과 성취 기준을 개발하고 검토, 수정하는 과정에 무용교육 전문가, 현장 교사 등 다양한 전문가 집단과의 협의회를 실시한다. 먼저 공동 연구진, 개발진과의 전체 협의회를 통해 표준과 성취 기준의 의미를 논의하고, 기준 개발 영역의 범위, 수준 등을 논의한다. 또한 표준 개발 이후에는 표준의 타당성, 적절성, 효과성을 검토하여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 ․ ․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방향, 의미 논의 무용교육표준 개발 영역의 범위, 수준 논의 무용교육표준의 타당성, 적절성, 효과성 검토

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4. 연구의 과정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의 개념 및 가치분석 ․ 국내외 무용교육표준 사례 분석

문헌연구

․ 교육표준 개발 원리 및 방법 탐색

무용교육 전문가 대상 협의회 ․ 무용교육표준, 기준의 의미

1차 전문가 협의회

․ 영역별 범위, 수준 논의

심층 면담

무용교사 및 교수 대상

․ 무용교육표준에 관한 심층면담지 개발 ․ 인터뷰를 통한 심층 면담 실시 ․ 수집된 자료의 분석

․ 심층 면담 결과에 대한 토의 2차 전문가 협의회

․ 무용교육표준에 대한 검토 및 확인 ․ 무용교육표준의 타당성, 적절성 검토

무용교육표준 개발

․ 무용교육표준의 목표, 영역, 과정 제시 ․ 영역별, 단계별 기대수준 제시

Ⅰ. 서론|9


5. 연구의 기대효과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는 무용교육표준을 제시함으로서 예술교육 으로서 무용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둘째, 공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사교육도 아우르는 무용교육표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셋째, 무용교육 영역별, 단계별로 제시된 교육표준은 무용교육 현장의 연계성과 계열성 을 보장할 수 있다. 넷째, 무용교육표준은 교육내용 및 교보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1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II.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

1. 무용교육의 개념 및 가치 2. 무용교육표준의 국내외 사례 3. 무용교육 모형



II.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

1. 무용교육의 개념 및 가치

1) 무용교육의 개념

무용은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무용은 단순한 움직임 기능의 습득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무 엇인가를 표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가치가 있다. 음악이 악기나 음성으로, 미술 이 그림이나 조각으로, 시나 소설이 글로써 자신을 표현한다면 무용은 신체를 통해 자신 을 표현한다. 그러나 어떤 분야보다도 무용은 자신의 신체를 매개로 하기 때문에 더욱 근 원적이라고 할 수 있다. 움직임은 모태어이며 근원적인 사고라고 한 한나(Hanna) 의 지 적대로 무용은 가장 기본적인 자신의 표현방법이다. 콜링우드(Collingwood, 1983)는 예술을 ‘인간의 정서 표현활동’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인간은 자신이 경험하는 세계에서 느끼는 정서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데, 언어, 소 리, 색체, 몸동작으로 표현하는 것이 대표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예술 활동들은 교육을 통해 경험되고 그럼으로써 풍부한 미적 경험과 감수성을 가지며, 정서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 많은 학자들이 학교교육에서 예술교육 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아이스너(Eisner)는 학생들이 과학적인 시야뿐만 아니라 예술적 시야로도 세계를 볼 수 있어야 이 세계의 실체에 바르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예술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는 인간의 내면적인 경험과 상상을 외형적인 것으로 드러내기 위해 고안된 것을 ‘표현형식’이라고 보았으며, 다양한 유형의 표현형식 들은 세계를 다른 시각에서 보는 길을 열어주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이러한 표현형식들을 통하여 다양한 의식의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술교육은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좁은 의미에서 보면 ‘예술 그 5)

6)

7)

5) Hanna, L. Judith(2001). The Language of Dance, JOPERD, Vol. 72 No.4. p.40 6) 7)

황연주 외(2004).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교육인적자원부. p.14 재인용 황연주 외(2004). 위의 글, p.14 재인용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13


자체의 창작과 감상 그리고 기예를 가르치는 행위’로 규정될 수 있고, 넓은 의미에서 ‘예 술적 정신이나 기법이 활용되는 모든 형태의 교육을 포괄하는 미적 체험을 통한 인격교 육’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가 예술 그 자체를 가르치는 데에 목적을 두는 ‘예술의 교육’ 이라고 한다면, 후자의 예술교육은 감수성이나 인간성 함양 등에 목적을 두는 ‘예술을 통 한 교육’이다. 도블러(Doubler)는 모든 예술형식 가운데 개성을 완성시키는 일에 특히 적합한 것이 바로 무용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가장 이상적으로 발달된 인간이란 자신의 모든 능력을 똑같이 중시하고 발달시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또한 정서적으로 통합 된 인간을 말하며 무용은 이러한 개인 성장을 위한 모든 목적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또한 Literacy Arts Task Force Report는 다음과 같이 무용을 설명한다. ‘인간이 시작한 어떤 다른 행위보다도 매우 근원적인 면에서 무용만큼 자기 자신을 창조하기 좋은 도구 는 없을 것이다. 자기 창조의 경험은 우리의 모든 아동들에게 길러져야 하고, 아마 우리 가 무용이라고 부르는 언어를 통해 가장 강력하게 성취될 것이다.’ 그러므로 무용교육의 가치는 단순한 신체적, 기능적인 면을 넘어서 예술적 측면에서 조명되어야 한다. 김화숙이 지적했듯이 무용은 지적인 활동을 동반한 창조적 표현활동이 며 신체 움직임에 의해 자기를 나타내는 자기실현의 표현교육이다. 이러한 무용의 교육 적 가치는 크게 5가지 측면–예술적 미적교육, 문화적 교육, 개인적 사회적 교육, 신체적 움직임 교육, 통합교육과정 학습, 취업 전 교육 - 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그것은 다음과 같다(Brinson, 1991). 8)

9)

10)

11)

8)

황연주 외(2004). 위의 글, p.12 재인용 성미숙 역 창조적 경험으로서의 춤. 서울: 현대미학사. p.75 어린이들을 위한 무용교육, 김두련(역), 서울: 금광. p.22 재인용 김화숙 초등학교의 창작무용학습을 위한 내용구성과 지도모형,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재인용

9) (1994). 10) Purcell, M. Theresa(2001). 11) (2000). p.3.

1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표 1> 무용의 교육적 가치 분야

내용 지각적 기술개발 창조적 사고와 행동 그리고 창조적 표현능력 개발

예술적 ․ 미적교육

비평적 사고와 분석적 기술 개발 예술형식을 창조하고 감상할 기회 제공 삶을 관조하는 태도 양성 문화유산의 가치와 보존에 대한 인식 다양한 문화형태의 접근을 통한 문화의 다양성 이해

문화적 교육

문화의 전승과 변화과정 소개 문화적 능력향상 현재의 가치관과 역사적 힘의 관련을 통한 문화적 시각의 확대 자아인식, 자아표현, 자기존중의 기회 제공 활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 육성

개인적 ․ 사회적 교육

개인과 집단 작업을 통한 자신감과 자긍심 함양 협동과 팀웍 개발 공동사회의 이해 증진 신체와 움직임 자각을 통한 동작의 지각력 조절 신체적 자신감과 가능성 습득

신체적 ․ 움직임 교육

움직임을 통한 감정 전달 문제 해결력 향상 자신의 생활과 체력을 통제하는 능력 개발 움직임과 시각 이미지를 통한 의사소통 기술 개발 협동적 교수와 학습전략의 장려

통합교육과정 학습

활동적이고 독립적인 학습 발달 언어발달 강화 사회적 태도와 가치 고려 평생활동으로서의 가능성 제시 지역사회에서의 무용 방법을 제시

취업 전 교육

무용과 공연예술, 오락과 여가산업에 있어서 전문 훈련의 방법을 제시 학교교육을 통한 창조적 충동을 실생활에 활용하고 유지하는 방법 제시 바람직한 사회적 관계 개발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15


이러한 브린슨(Brinson)의 분류는 무용교육은 신체적, 정신적, 지적, 정신적 발달과 함 께 사회적 발달을 가져오며 또한 이 전체를 통합하는 전체성에 기여한다는 도블러 (Doubler)의 견해와 다른 학자들(Mcfee, Gilbert, Purcell)의 의견을 잘 대변하고 있다. 이상의 의견을 종합해 볼 때, 무용교육은 무용 그 자체의 창작과 감상 그리고 기술을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미적 체험을 통해 보다 풍부한 미적 경험과 감수성을 가 지게 하여 인성교육을 가능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의 가 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개인의 성장을 지향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 사회의 발전을 이룩하는 데 있다고 하겠다. 2) 예술교육으로서의 가치

교육은 인간의 성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계발 또는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도적인 활동 이며 그 궁극적인 지향점은 지 덕 체의 균형적 발달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 서 전인적 교육을 위한 무용교육의 가치는 가중된다. 또한 지식과 감성, 개인과 사회, 학 문과 예술이 융합되고 통합되는 컨버전스 시대의 예술교육에서 무용교육의 핵심은 소통 과 개성 창출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신체적, 정신적 발달이 가장 큰 시기인 초 중 고 학교시기의 무용교육은 매 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무용은 인지적, 정의적, 기능적으로 각 활동들을 통합하고 있 다. 아동은 자발적으로 움직이고, 생각하고, 느낀다. 무용을 통해서 학생들은 역사, 음악, 미술, 국어, 과학, 사회와 건강에 대해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과 또 세 계와 관계를 맺는 방법에 대하여 인간으로서 움직이고, 생각하고, 느끼면서 배울 수 있다. 그러므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가치는 신체기능적인 면을 넘어서 문화예술 적 측면에서 조명되어야 한다. 무용은 지적인 활동을 동반한 정서적, 창조적 표현활동이 며 신체움직임에 의해 자기를 나타내는 자기실현의 표현교육이다. 따라서 무용교육은 단 순한 움직임 교육이 아니라 아이들의 문화교육, 예술교육, 감성교육으로서의 역할을 담당 함으로써 그 본래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타인과 자신의 움직임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타인의 움직임 감성 을 이해하고, 창작과정을 통해 예술적 감성을 자극하는 무용교육은 창의적 인재를 양성 하고, 세계시민으로서 문화예술적 소양을 배양하는 데 그 가치가 있다. ․

1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세기는 지식기반의 사회이자 문화 경쟁의 시대이다. 지식은 국가경쟁력의 원천이 자, 미래자본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문화는 국가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창의력 있 는 인재 양성과 잠재된 인간의 다양한 가능성을 이끌어내는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문화와 사회는 더욱더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으며, 첨단 기술과 디자인, 몸 과 환경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세계 선진각국에서는 이를 인식하고 자국의 문화, 예술 교육, 그리고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전폭적인 재정투자와 정책을 지 원하고 있다. 이는 예술교육이 미래의 핵심 키워드가 될‘창의적 문제해결’에 궁극적인 토대가 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모든 선진국들이 적극적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시도하 는 것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21세기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국가적 지원이 활발해지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최근의 정책적 지원은 교육을 통해서 문 화예술의 가치를 모든 사람들이 알고 체험하고 소중히 여길 수 있도록 하려는 중요한 조 처인 것이다. 이러한 범세계적 변화를 수용하고 국제화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우리의 교육 환경에서 도 새로운 문화예술적 소양을 갖춘 인재상이 요구된다.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은 기존의 기능중심 예술교육에서 벗어나, 유연하고 통합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아 이디어와 예술적 성취 및 새로운 문화를 주도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나아 가고 있다. 위에서 살펴볼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 분야에서 비교적 새로운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하게 말해서, 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작품, 공연, 순수예술 위주의 전문 적 예술중심 교육에서 탈피하여 예술을 문화현상, 또는 문화활동의 차원에서 이해하고 실천하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과 생활의 일부분으로 문화 활동과 문화현상을 부담 없이 받아들이자는‘문화교육’의 개념을‘예술교육’의 영역까지 확 장하고 포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문화예술교육은 작품예술, 공연예술이 아니라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한 상식 적 예술중심의 예술교육이라고 말할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일상품이 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경험은 일반대중들도 기존의 소비자적 입장에서 나아가 예술작품을 만드는 예 술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진정한 의미로 문화예술의 가치를 몸으로 체험 하고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21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17


현재 전 세계적으로 추구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은 바로 이러한 혁신적인 예술 교육관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소수를 위한 예술에서 모두를 위한 예술을 도모하는 것 이라 말할 수 있다. 물론, 작품을 감상하고 공연을 보는 것만으로도 예술을 즐길 수는 있 지만, 직접 스스로 체험함으로써 얻는 느낌이나 감동과는 비교할 수 없을 것이다. 예술적 체험을 본인이 해보고 예술적 작품을 만들어봄으로써 예술을 참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개 인적 바탕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반인을 문화예술적 소양을 지닌 사람(culture and art literate)으로 성장토 록 돕는 것이 현시대 문화예술교육의 가장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의 장을 제공하고 문화적 소양을 갖춘 인재들을 창출해내며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는 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된다. 다시 말해 현대가 요구하는 지식기반의 교육에서 나아가 감성 영역까지 확장할 수 있 는 무용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는 것이다. 문화예술교육의 한 분야로서 무용 교육도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여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무 용교육의 전 측면에 대한 다각적인 탐색이 실시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술교육의 추세로 볼 때, 무엇보다 무용은 기본적인 교육매체로서 개인을 하 나의 완전한 전체로 다루고 있으며, 테크닉만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와 인성, 그리고 현대교육의 패러다임인 감성까지 요구한다는 점에서 무용이 전인교육으로서의 기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변화는 무용교육에 있어서도 새로운 전기 를 마련해줄 수 있다. 일반인들이 무용을 스스로 체험함으로써 무용의 소중함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무용의 잠재된 가치를 깨닫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 적으로 무용을 하게 될 예비전문인들도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으로 무용을 이해하고 연습 하고 공연함으로써 무용이 우리 생활과 삶에 얼마나 소중한 문화활동이 될 수 있는가를 몸소 체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문인이 되었을 때 문화예술로서의 무용을 전파시키 고 활용할 수 있는 자질을 충분히 갖게 된다. 그러므로 모든 예술 형식 가운데에서 개성을 완성시키고, 타인과 소통하는 일에 적합 한 무용 영역을 문화예술차원으로 통합하고, 새로운 무용교육철학의 패러다임을 세우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12)

12)

최의창(2011). 댄스 리터러시 또는 무용소양, 한국무용기록학회, 제 21권, p.140

1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2. 무용교육표준의 국내외 사례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사례는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례를 나누어 제시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국가차원의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체육과 교육과정안의 한 영역으로서 무용 의 기준들을 제시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무용교육표준과 관련되어 국가차원, 주(State)차원, 협회차원 등 다양한 차 원 차원에서 개발되었으며 실제로 무용 교육에 접목되어 실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외국의 무용교육표준을 제시하였다. 1) 국내 사례

(1) 2007 개정 교육과정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무용교육과정의 내용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체육과 영역 중 표현 활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 체육과 영역 중 하나인 표현 활동은 생각과 느낌을 신체 움직임으로 표현하고, 자신 및 타인의 움직임을 감상할 수 있는 신체 활동을 말한다. 표현 활동의 내용은 움직임 표현, 리듬 표현, 민속 표현, 주제 및 창작 표현으로 구분된다. 움직임 표현은 모든 움직임 표현의 기초가 되는 움직임 언어와 표현 요소를 이해하고 체험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리듬 표현은 여러 가지 스포츠와 무용에 존재하는 다양한 리 듬 유형과 특성에 관한 즉흥 표현과 감상, 리듬 체조 등의 표현 방법과 감상을 포함하며, 민속 표현은 우리나라와 외국의 민족성을 담고 있는 움직임 표현 형태를 포함한다. 주제와 창작 표현은 신체 움직임의 정형화된 형식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기 보다는, 창의적인 과정을 통해 개인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신체 활동에 초점을 둔다. 주제 및 창작 표현 내용은 창작 원리의 이해와 창작 과정 체험을 기초로, 신체 활동에 존 재하는 여러 가지 주제 또는 소재, 전통 표현 및 현대 표현, 심미적 특성과 예술적 특성의 표현 방법을 습득하고, 창의적으로 발표하고 감상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초등학교에서는 표현 활동의 가장 기초가 되는 움직임 표현에서 주제 표현까지 모든 13)

13)

교육과학기술부(2008). 체육과 교육과정 해설, pp52-101.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19


표현 과정을 포함한다. 중등학교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학습한 내용을 기초로, 전통 표현과 현대 표현에 대한 학습과 함께 창작의 과정 및 절차를 이해하고 실제 움직임 예술을 발표 하고 감상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표 2> 초등학교 표현 활동 영역 구성

표현 활동

움직임 표현

리듬 표현

민속 표현

주제 및 창작 표현

(2) 표현 활동 구성의 특징

첫째, 표현 활동의 내용 소재를 확대하였다. 지금까지 표현 활동은 무용에만 국한되어 있었으나, 이를 보완하여 무용과 같이 예술적 성격이 강하고 신체 표현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신체활동(리듬체조, 꾸미기 체조, 음악 줄넘기 등)으로 확대하였다. 둘째, 다양한 신체 표현 방식의 이해와 습득을 통한 창작 및 감상 교육을 강화하였다. 지금까지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무용 영역이 필수로 지정되어 왔음에도 불구 하고, 감상교육 내용이 공식적으로 제시되지 못했다. 따라서 이번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움직임 표현, 리듬 표현, 민속 표현 및 주제 표현 등의 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이를 발표하며 상호 감상할 수 있는 내용을 확대하였다. 셋째, 표현 활동의 계열성을 강조하였다. 움직임 언어를 중심으로 표현 활동의 기초를 다지는 움직임 표현은 모든 표현 활동의 기본이 되기 때문에 3학년 과정에 배치하였고, 움직임 언어를 바탕으로 리듬감을 익히는 리듬 표현은 4학년, 리듬에 더하여 문화적 의미 를 고양할 수 있는 민속 표현은 5학년, 표현 활동의 창작 요소를 강조한 주제 표현은 6학 년 과정에 포함시킴으로써, 표현 활동이 전체적인 계열성의 측면에서 3학년부터 6학년까 지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2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3) 학년별 내용 <표 3> 3-10 학년별 무용 구성 내용 학년

중영역

세부영역

신체 활동의 선택 예시

3

움직임 표현

움직임 표현

4

리듬 표현

리듬 표현

즉흥 표현, 리듬 체조, 음악 줄넘기 등

5

민속 표현

민속 표현

우리나라 민속 무용, 외국의 민속 무용 등

6

주제 표현

주제 표현

꾸미기 체조, 창작 무용 등

7

창작 표현

심미표현과 창작

창작 체조, 음악 줄넘기, 피겨 스케이팅 등

8

창작표현

현대표현과 창작

리듬 체조, 현대 무용, 댄스 스포츠 등

9

창작 표현

전통 표현과 창작

우리나라의 민속 무용, 외국의 민속 무용, 클래식 발레 등

10

창작 표현

움직임 예술과 창작

ㆍ이동 움직임, 비이동 움직임, 조작 움직임 등 ㆍ신체, 공간, 시간, 에너지, 관계 등의 요소에 따른 움직임

한국 무용, 발레, 현대 무용, 댄스 스포츠, 창작 운동 등

<3학년: 움직임 표 현> ㈎

㈏ ㈐ ㈑

움직임 언어(이동 움직임, 비이동 움직임, 조작 움직임 등)와 표현 요소 (신체, 공간, 시간, 에너지, 관계 등)를 이해한다. 움직임 언어와 표현 요소를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 방법을 습득한다. 개인 또는 모둠별 움직임 표현을 발표하고 서로 감상한다. 움직임 표현과 감상 활동을 통해 신체 인식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4학년: 리듬 표현 > ㈎ ㈏ ㈐

신체 활동에 나타나는 리듬의 유형과 요소를 이해한다. 음악 또는 도구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리듬 표현 방법을 습득한다. 개인 또는 모둠별 리듬 표현을 발표하고 서로 감상한다.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21


리듬 표현과 감상활동에 참여하면서 적응력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5학년: 민속 표현 > ㈎ ㈏ ㈐ ㈑

민속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한다. 민속 표현 활동의 다양한 표현 방법을 습득한다. 개인 또는 모둠별로 민속 표현을 발표하고 서로 감상한다. 민속 표현과 감상활동에 참여하면서 자기 확신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한다.

<6학 년: 주 제 표현> ㈎ ㈏ ㈐ ㈑

주제 표현의 구성 원리와 창작 과정을 이해한다. 상상력을 발휘하여 특정 주제나 소재의 특징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개인 또는 모둠별 주제 표현을 발표하고 서로 감상한다. 주제 표현과 감상활동에 참여하면서 창의력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한다.

<7학년: 창작 표현 > ㈎ ㈏ ㈐

신체 활동에 나타나는 심미 표현의 특성과 유형을 이해한다. 심미 표현 활동의 다양한 표현 방법을 습득한다. 다양한 심미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창작 및 발표하고, 자신 및 타인의 작품을 감상한다. 심미 표현 및 감상활동에 참여하면서 심미적 태도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8학 년: 창 작 표현> ㈎ ㈏ ㈐

신체활동에 나타나는 현대 표현 활동의 역사와 유형을 이해한다. 우리나라 또는 외국의 대표적인 현대 표현 방법을 습득한다. 다양한 현대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창작 및 발표하고, 자신 및 타인의 작품을 감상한다. 현대 표현 및 감상활동에 참여하면서 대인 관계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2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9학 년: 창 작 표현> ㈎ ㈏ ㈐

신체활동에 나타나는 전통 표현 활동의 역사와 유형을 이해한다. 우리나라 또는 외국의 대표적인 전통 표현 방법을 습득한다. 다양한 전통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창작 및 발표하고, 자신 및 타인의 작품을 감상한다. 전통 표현 및 감상활동에 참여하면서 전통 의식과 예절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10학년: 창작 표현 > ㈎ ㈏ ㈐ ㈑

움직임 예술과 창작의 관계를 이해한다. 우리나라 또는 외국 움직임의 예술적인 표현 방법을 습득한다. 개인 또는 모둠별 움직임 창작을 발표하고 서로 감상한다. 창작 표현과 감상활동에 창의적 태도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표 4> 초등학교 3-6 학년별 표현 활동 내용

영 역

초등학교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움직임 표현

리듬 표현

민속 표현

주제 표현

표 ○ 움직임 표현 ○ 리듬 표현 현 • 움직임 언어와 • 유형과 요소 활 표현 요소 • 표현 방법 및 감상 동 • 표현 방법 및 감상 • 적응력 • 신체 인식

○ 민속 표현 • 종류와 특징 • 표현 방법 및 감상 • 자기 확신

○ 주제 표현 • 구성 원리와 창작 과정 • 표현 방법 및 감상 • 창의력

<표 5> 중등학교 7-10 학년별 표현 활동 내용 중등학교

영역 7학년

8학년

9학년

10학년

창작 표현

창작 표현

창작 표현

창작 표현

○ 심미 표현과 창작 • 특성과 유형 표현 • 표현 방법, 창작, 활동 감상 • 심미적 태도

○ 현대 표현과 창작 • 역사와 유형 • 표현 방법, 창작, 감상 • 대인 관계

○ 전통 표현과 창작 ○ 움직임 예술과 창작 • 역사와 유형 • 움직임 예술과 • 표현 방법, 창작, 감상 창작의 관계 • 전통 의식과 예절 • 표현 방법, 창작, 감상 • 창의적 태도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23


2) 무용예술강사 교수-학습 자료14)

(1) 가치정향

무용은 예술교육의 핵심으로서 개인의 감성을 표현하고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개개인의 창의적, 감성적 역량을 발전시킨다. 예술형식으로서의 무용을 체험하고 이해하 고, 사회와의 소통 능력을 이끌어냄으로써 예술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한다. 또한 문화 로서 무용의 가치를 경험하고 이해함으로써 개인과 이웃, 사회와의 문화적 소통을 지향 한다. (2) 목표

• 신체 움직임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 무용경험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을 확대시킨다. •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면서 상호존중과 다양성을 이해한다. • 무용을 통해 타인, 사물, 환경들과 새롭게 상호작용 할 수 있다. • 문화, 예술매체로서의 무용을 이해하고 경험한다. • 무용의 표현방식을 통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움직임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다. (3) 구성 원리

체험: 타 예술 및 교과와의 통합체험, 놀이체험, 감상체험 체험은 놀이와 감상을 학습방법으로 사용하여, 놀이체험을 통한 감각과 신체언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보기 듣기 말하기 읽기를 통한 감상체험을 목표로 한다. 이해: 예술매체로서의 무용의 가치, 역사, 형식 등의 메타적 이해 및 기능적 이해 이해는 무용예술의 기능적 이해와 메타적 이해로 구성된다. - 기능적 이해는 움직임 소리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심미적 이해와 기능적 ․

14)

무용교재연구회(2011). 무용 교수-학습 자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습득을 통해 심화된 무용예술을 구체화시킨다. - 메타적 이해는 무용과 타 장르, 타학문, 무용과 인간 삶의 관계를 예술성, 문화성, 실용성, 심미성과 연계하여 이해한다. 소통: 무용을 통해 자신과 타인, 환경, 삶, 문화와의 소통 소통은 창작과 가치구현을 통해 예술, 사회, 자아와의 소통을 완성시킨다. 가치구현은 예술적 가치구현 뿐만 아니라 무용을 통해 시대, 가족, 사회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목적으로 한다.

(4) 구성

체험-이해-소통을 기반으로 초등학교에서는 체험 중심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고, 중학교에서는 이해 중심으로, 고등학교에서는 소통 중심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한다. 즉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제별 무용교육 내용이 선정되었으며, 각 학제별 내용은 무용교육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연계성과 계열성을 갖는다. 학제별 무용교육의 영역은 다음과 같다. ․

초등학교 예술만나기/춤 이야기/즐거운 춤/우리 민속춤/외국 민속춤 중학교 무용탐색/무용창작/한국 민속무용/외국 민속무용 고등학교 창작과 구성/무용 문화탐구(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생활무용)

(5) 학제별 목표 ① 초등학교

초등학교에서의 무용교육은 무용과 타 예술장르, 타 영역 및 생활과의 통합된 경험으 로서의 무용을 다루며 즉흥성과 놀이, 문화로서의 무용을 체험하고 이해하는 내용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진다.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25


• 즉흥적이고 창의적인 놀이를 통해 신체 언어를 체험하고 이해한다. • 시각, 청각, 움직임 등의 통합적 표현을 통해 다양한 감각을 발달시킨다. • 움직임을 탐색하고 발견하는 과정에서 창의력과 인지력을 개발한다. • 문화로서의 무용을 체험함으로써 무용과 문화의 관계를 이해한다. 중학교 중학교에서의 무용교육은 문화유산으로서의 무용을 체험하고 이해하며, 예술매체로서 의 무용의 기능적 이해 뿐 아니라 가치, 역사, 형식 등 메타적 이해의 내용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진다. ②

• 문화유산으로서의 무용을 체험하고 이해한다. • 무용의 기능 및 가치, 역사, 형식 등을 이해할 수 있다. •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다양한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움직임 표현을 통해 타인과 의사소통 할 수 있다. 고등학교 고등학교에서의 무용교육은 예술형식으로서의 무용을 경험하며, 무용을 통해 자신과 타인, 환경, 문화, 삶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들과 소통하기 위한 내용들로 구성되며 다음 과 같은 목표를 가진다. ③

• 예술형식으로서의 무용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킨다. • 무용과 타예술의 통합작업을 통해 작품을 기획, 창작할 수 있다. • 무용교육을 통해 자아를 개발하고 자기 치유적 기능을 실현한다. • 무용을 통해 나와 가족, 사회, 문화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들과 소통할 수 있다. 3) 해외 사례

(1) 미국 - 미국 국립 무용교육협회

2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국립 무용교육협회 기준(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NDEO] Standards)은 미국 국립 무용교육협회에서 2005년 개발하여 2007년 개정되었다. 국립 무용교육협회 기 준은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라 ‘영 유아기(0-5세)를 위한 무용기준(Standards for dance in early childhood)’과 4학년: 9-10세, 8학년: 13-14세, 12학년: 17-18세의 표준 연령 학습 자를 중심으로 한 ‘예술안의 무용학습과 교수를 위한 기준: 5-18세[유아기-청소년 기](Standards for learning and teaching dance in the arts: Ages 5-18)’이 있다. NDEO기준은 네 가지의 기본적인 ‘범주(Categories): 예술 창조의 과정’과 그것에 대 한 내용을 모든 연령 단위를 포괄하여 일관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연령 단위의 진행에 따라 범주의 내용에 따른 성취기준을 심화시켰다. 성취기준에 대한 수행 및 탐구기술 수 준의 예시, 예를 들어, 분류/정의/선택/연결/반복/이해/증명/발표/비교/연계하다 등의 다양한 인지적 과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래의 <표 6>은 국립 무용교육협회의 무용(교육)기준에 제시된 ‘범주(Categories): 예술 창조의 과정’과 그것에 대한 내용이다. ·

<표 6〉국립 무용협회 무용(교육)기준에 제시된‘범주(Categories): 예술 창조의 과정’ 범주(Categories) 1. 실행하다 (Performing) 2. 창조[창작]하다 (Creating) 3. 반응[감상]하다 (Responding) 4. 상호 연결하다 (Inter-Connecting)

범주의 내용 무용의 요소와 기술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또는 현존하는 예술적인 무용 움직임 또는, 예술 작품(창작품)을 실행한다. 창조적이고 예술적인 안무(무용)에서 생각, 경험, 느낌 및 인상을 표현한다.

춤에 대한 예술적 반응에 있어 비평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능력을 증명한다. 다른 학문과 지식 영역으로 부터의 생각과 경험의 의미를 무용 및 움직임 경험에 관련시키거나 전이 시킨다; 무용과 움직임 경험을 다른 학문과 지식 영역에 관련시키거나 전이시킨다.

- 뉴욕주 (Blue Print)

뉴욕 시 교육부는 뉴욕시의 모든 공립학교 학생들(preK-12학년)에게 질 높은 예술교육 을 제공하기 위해 교육부 내, 예술과 특수 계획 부서에서 주관하여 예술 교수와 학습을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27


위한 ‘블루프린트(Bluepri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rts, Grades PreK-12)’를 개발하였다. ‘블루프린트’는 무용, 음악, 연극, 시각 예술, 영상-필름(The moving image-film)예술영역에 대한 교육과정의 틀(frame work)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예술 교수에 있어서 학생 개개인의 창의력과 깊이 있고, 폭넓은 지식을 자극하는 방법을 제안 해주는 기본 틀의 역할을 한다. ‘무용 교수와 학습을 위한 블루프린트, preK-12학년(Bluepri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dance, Grades PreK-12)’은 2005년에 개발되었다. ‘블루프린트’에서 제시하고 있는 무용교육과정은 2, 5, 8, 12학년을 기준으로 하며, 체계적인 무용 경험을 통한 신체 적, 사회 정서적, 인지적, 미적, 초인지적(Metacognitive)기술과 이해의 계발에 초점을 두 고 있다. ‘블루 프린트’는 다섯 가지의 무용학습 요소(영역)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것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무용 만들기(Dance Making) 2. 무용 문해력 계발(Developing Dance Literacy) 3. 관련성 만들기(Making Connections) 4. 지역사회와 문화적 자원과의 협력(Working with Community and Cultural 1.

Resource)

5.

경력(직업)탐구와 평생학습(Exploring Careers and Lifelong Learning)

위의 제시된 다섯 가지의 무용학습 요소는 ‘무용 만들기’로부터 시작되어진 상호 연계 된 요소이다. 즉, ‘무용 만들기’는 깊이 있는 무용학습의 제공을 위해 2번부터 5번까지의 네 가지 요소를 내재하고 있으며, 그것은 다시 각각의 요소로 분류되어 학생들에게 다음 과 같은 의미를 제공한다. ■ 무용을 통해 표현하기 위해 무용에 대한 소양을 갖추고 비판적인 통찰력을 기르는 것. ■ 무용을 통해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인 관련성을 만들어 내는 것. ■ 다른 예술이나 학문 분야, 과학 기술 그리고, 건강을 무용을 통해 창의적으로 연결 하는 것. 2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 학교 교직원 및 뉴욕 시, 다른 지역의 무용 문화 단체와 함께 무용학습에 참여해 보는 것. ■ 평생 학습자로서 무용에 참여하고, 무용을 지지하는 것. 미네소타 주 미네소타 학문적 기준, 예술 K-12(Minnesota Academic Standards, Arts K-12)는 2008 년 개정되어 2010-2011학년도부터 미네소타의 공립학교(유치원-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다. 예술교육 과정에서는 무용, 음악, 시각 예술, 매체 예술이 제공되며, 예술교육 기준 은 학년군의 아이디어를 도입하여 K-3, 4-5, 6-8, 9-12학년으로 학년군 단위를 설정하고 있 다. 미네소타의 예술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예술적 문해력’ 계발에 초점을 두어 개발되었으 며 예술교육 기준은 네 가지의 ‘요소(Strand)’를 토대로 각 ‘요소’에 따른 ‘기준(Standard)’ 을 제시한다. 네 가지의 ‘요소’ 및 그에 따른 ‘기준’은 모든 예술영역과 학년군을 포괄하여 그것의 내용이 일관되게 제시되어 있으며, 각 학년군 종료 시에 학생의 도달 정도에 대한 ‘기준점(Benchmark)’이 예술 영역별로 세분화되어 제시된다. 다음의 표 7 은 미네소타 예술교육 기준에 제시 된 네 가지의 ‘요소’와 그에 따른 ‘기준’의 내용이다. -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29


〈표 7〉 미네소타 예술교육 기준에 제시된‘요소’와‘기준’ 요소(Strand)

기준(Standards)

기준점(Benchmark)

1. 예술영역의 기초 지식을 증명한다. 2. 예술형식의 지식과 전문적 기술의 사 용을 증명하고, 해당 되는 경우 과학적 1. 예술적 기초

기술과 연계한다. 3. 예술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 회적, 문화적, 그리고 역사적 배경(맥

각 학년군 종료 시, 각각의 ‘기준’에 대한 학

락)에 대한 이해를 증명한다.

생의 도달 정도 2. 예술적 과정: 창조하기 또 는 만들기 3. 예술적 과정: 실행하기 또 는 발표하기[시연하기] 4. 예술적 과정: 반응하기 [감상하기] 또는 비평하기

1. 예술적 기초를 사용하여 예술 영역의 다양한 내용을 창조하고 만든다.

(성취

기준)를

제시한

예술 영역별 기준점

1. 예술적 기초를 사용하여 예술 영역의

(Benchmark)

다양한 내용을 실행하고 시연한다. 1. 예술적 기초를 사용하여 다양한 창조 또는 수행에 대해 반응[감상]하거나 비 평한다.

(2) 캐나다 - 온타리오 주

캐나다 온타리오 주(The Ontario Curriculum)의 예술교육 과정은 1998년 개발되어 2009년(1-8학년), 2010년(9-10/11-12학년)에 각각 개정되었다. 1-8학년 과정에서는 무용, 드라마, 음악 및 시각 예술 교육이 제공되며, 9-10학년 과정에서는 무용, 드라마, 통합 예 술, 매체 예술, 음악, 시각 예술이, 11-12학년 과정에서는 무용, 드라마, 예술 안의 탐구와 창작, 매체 예술, 음악, 시각 예술이 각각 제공된다. 예술 교육 과정은 ‘창조적 과정’과 ‘비 판 분석적 과정’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것의 내용은 아래의 표 8 과 같다. 〈

3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표 8〉온타리오 주, 예술교육 과정에 제시된‘창조적 과정’과‘비판 분석적 과정’ 도전과 영감 → 상상과 발생 → 계획과 초점 → 탐구와 실험→ 창조적 과정

예비 작품의 제작 → 수정 및 다듬기 → 표현, 실행과 공유 → 반영 및 평가

비판 분석적 과정

초기 반응 → 분석과 해석 → 문화적 배경[맥락]고찰 → 미학적 판단의 표현 → 반성의 연속

예술교육 내용은 학년별로 개관되며, 학생의 학습도달 정도에 대한 기대치를 ‘종합적인 기대(Overall Expectations)’와 ‘구체적인 기대(Specific Expectations)’로 분류하였다. 1-8학 년 무용영역의‘종합적인 기대(Overall Expectations)’는 세 가지 ‘부제(subheading)’에 의 거하여 그것의 내용이 제시되며, ‘구체적인 기대(Specific Expectations)’는 ‘종합적인 기 대’에 대한 구체적인 성취목표 및 목표를 통한 수업활동에 대한 예시이다. 아래의 표 9 는 1-8학년 무용영역의 ‘부제’와 ‘부제’에 대한 ‘종합적인 기대’의 내용이다. 〈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31


〈표 9〉온타리오(Ontario) 주, 1-8학년 무용 영역에 제시된‘부제’와‘종합적인 기대’ 부제(subheading)

‘부제’에 대한 ‘종합적인 기대’

창조적 과정 을 적용하여 다양한 무용작품을

1. 창작[창조]과 발표/실행

구성하고, 무용의 요소를 사용하여 감정과 생각을

(Creating and Presenting/Performing)

전달한다.

비판 분석적 과정 을 적용하여 감정과 생각을

2. 반영, 반응[감상]과 분석 (Reflecting, Responding, and Analysing)

전달하고, 다양한 무용작품 및 경험에 대한 이해를 증명한다.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다양한 무용의 형태, 전통,

3. 형식 및 문화적 배경[맥락]탐구 (Exploring Forms and Cultural Contexts)

스타일 및 무용의 사회문화적, 역사적 배경[맥락]에 대한 이해를 증명한다.

학년을 위한 무용 교육과정은 아래 표 10 의 세 가지 요소(Strand)에 의 거하여 ‘종합적인 기대(Overall Expectations)’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세 가지 ‘요소’는 1-8학년 무용 영역에 제시된 ‘부제’와 연계되어 있으며, 각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기대’는 각각 3~4개의 하위 영역들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인 기대(Specific Expectations)’는 종 합적인 기대에 대한 구체적인 성취목표 및 수업활동에 대한 예시이다. 9-10, 11-12

〈표 10〉온타리오(Ontario) 주, 9-10/11-12학년 무용교육과정에 제시된 ‘요소’와‘종합적인 기대’ 요소(Strands)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기대 1. 창조[창작]적 과정 ■ 움직임 어휘를 개발하기 위해 창조[창작]적 과정, 무용의 요소, 그 외의 다양한 자료들을 사용한다. 2. 안무와 구성

1. 창작[창조], 발표와 실행 (Creating, Presenting, and Performing)

■ 개인 및 단체 무용을 창작함에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무용을 결합한다. 3. 무용 기술 ■ 세계 각국으로부터의 무용 형식의 다양한 기술과 움직임 어휘에 대한 이해를 증명한다. 4. 실행 ■ 다양한 배경[맥락]과 공연을 통해 무용을 발표하는 기술을 적용한다.

3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요소(Strands)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기대 1. 비판 분석적 과정 ■ 비판적 분석과정을 사용하여 자신과 다른 이의 무용작품 및 활동을 평가하고 반성한다. 2. 무용과 사회

2. 반영, 반응[감상]과 분석

■ 현재와 과거의 사회에서 어떻게 무용이 이용되고 있거나,

(Reflecting, Responding,

이용 되었는지, 또한 무용 창작 및 감상이 개인, 단체

and Analysing)

그리고 사회에 미친 긍정적 영향에 대한 이해를 증명한다. 3. 교실을 넘은 연결 ■ 무용예술에 지속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목적과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증명한다. 1. 생리학과 무용전문 용어 ■ 무용과 관련 된 신체적 움직임을 언급할 때,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증명한다. 2. 배경(맥락)과 영향 ■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역사적 기원과 무용 형식의 발전 및

3. 기초 (foundations)

그것들의 상호적 관계, 또한 그것들이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이해를 증명한다. 3. 책임성 있는 실행 ■ 무용 활동을 할 때의 안전과 도덕성, 그리고 개인 또는 대인관계에서의 책임감에 대한 이해를 증명한다.

- 퀘벡(Quebec) 주

퀘벡 교육과정: 초 중등학교 학습의 진행, 무용(Quebec

·

education program:

은 2010년 개정되었으 며, 학년의 진행 과정은 ‘주기(Cycle)’로 정립되어 초등과정(1-6학년): 1-2년[Cycle one], 3-4년[Cycle two], 5-6년[Cycle three], 중등과정(7-11학년): 1-2년[Cycle one], 3-5년[Cycle two]의 구조로 제시된다. 퀘벡 주의 예술교육과정에서는 드라마, 시각 예술, 무용, 음악이 제공되며 각 예술교과 고유의 맥락에서 함양되어야 하는 지식과 그것을 적용하는 역량에 초점을 두었다. 무용 교과의 핵심 ‘역량’은 초 중등과정에서 각각 세 가지씩 제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역량에 따라 구체적인 목표들이 제시된다. 목표들은 ‘주기’의 진행 단계에 따라 그것의 내용 즉, progression of learning in elementary, secondary school, dance)’

·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33


수행 및 탐구기술에 대한 수준이 순차적으로 확대 및 심화된다. 다음의 표 11 은 초등 학교와 중학교 무용교육 과정에 제시된 핵심 ‘역량(Competency)’의 내용이다. 〈

〈표 11〉 퀘벡 주, 초·중등학교 무용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역량’ 단계

지식 무용의 언어 움직임 기술

초등학교

그룹 움직임의 규칙 구성절차 체계 무용 감상 레퍼토리

지식의 적용: 역량 역량 1 춤[무용]을 창조 역량 2 춤[무용]을 해석 역량 3 안무 작품, 개인의 혹은 반 친구들의 작품 감상 역량 1

중학교

무용 움직임 기술

춤[무용]을 창조

무용의 언어

역량 2

안무의 원리

춤[무용]을 수행

무용의 관습(conventions of dance)

역량 3 춤[무용]을 감상

(3) 호주 - 호주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 예술

호주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Draft Shape of the Australian Curriculum: The Arts)은 호 주 교육과정 평가 보고 당국(The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ACARA])에 의해 2008년부터 초안의 개발이 시작되어 2013년 모든 교육과정 영역의 최종안 작성이 완료 될 예정이다. 예술교육 과정은 2012년 최종안의 작성이 완료 될 예정이며, 예술학습 영역에는 무용, 드라마, 매체 예술, 음악, 시각 예술이 있다. 예술교육 과정은 학년군 단위로 제시되며, 학년군 단위는 K-2, 3-8, 9-10, 11-12학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호주의 예술교육 과정은 “(우리는)예술에 참여할 때 어떤 일들을 하는 가?”에 대한 핵심 질문을 통해 세 가지의 ‘요소(strand): 상호작용 과정’을 모든 예술영역 3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에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표 12 는 세 가지의 ‘요소(strand): 상호작용 과정’과 그 것의 대한 해설이다. 〈

〈표 12〉 호주 국가 수준 교육과정, 예술 영역에 제시된 세 가지의‘요소(strand): 상호작용 과정’ ‘요소: 상호작용 과정’

1. 발생시키다(Generating): (예술가가)

‘요소: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해설 ‘발생 시키다’는 예술 형식의 요소를 사용해 상상하는 일과 표현적 이고 상상력의 자극에 의한 예술작업 형식을 설계하는 것, 생각 또 는 이와 흡사한 의도나 시도를 하는 일, 또는 자극을 의미한다.

2. 실현하다(Realizing):

‘실현하다'는 상상력을 사용해 재료를 다루는 것, 예술형식의 도구

(예술가가/ 관객과

와 표현수단, 관객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예술 형식을 소통하게

의사소통하기 위해)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하다'는 두 가지의 보완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예술 작품을 파

3. 반응하다(Responding):

악하고 이해하다. 학생들은 예술 작품을 세 가지 관점의 통찰과 경

(관객들, 예술가/들 자신,

험을 통해 이해하기에 이르게 되며 제3의 세계와 연관짓게 된다.

그 외의 사람들에 의한)

학생들은 자신의 관점에 반영되는 핵심적 질문들을 통해 예술적 경험 또는 작품을 이해한다.

- 태즈메이니아(Tasmanian) 주

호주 태즈메이니아 주의 예술교육 과정(The Tasmanian Curriculum Arts Curriculum Area K-10)에서는 무용, 드라마, 매체, 음악, 시각 예술을 제공하며, 교육과정은 유치원에 서부터 10학년까지의 예술교육 내용을 포함한다. 예술교육 내용에서는 여덟 가지의 ‘수행 기준(Performance criteria)’을 강조하며 그것의 내용을 학년을 포괄하여 일관되게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인 교육내용과 목표는 각각의 ‘수행 기준’에 의거해 기준1부터 기준5까지의 수준으로 묶이고, 다시 15단계로 세분화되 어 예술 영역별로 제시된다. 아래의 내용은 태즈메이니아 주, 예술교육 과정에 제시된 예 술 공통 ‘수행 기준(Performance criteria)’에 관한 것이다. 1. 새로운 작품을 상상하고 창조[창작]한다. 2. 기능, 기술과 과정을 사용한다. 3. 규약(Code)과 관습(Conventions)을 사용한다.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35


다른 이의 작품을 해석하고 평가한다. 5. 미적인 결정을 내린다. 6. 문화적, 사회적 그리고 역사적 배경[맥락]을 반영한다. 7. 목적이 있는 발표를 한다. 8. 개인적 의견(Personal voice)을 표현한다. 4.

기준1-5’와 ‘단계1-15’의 구조를 도식화 하면 아래의 <표 13>과 같다.

<표 13> 태즈메이니아 주의 예술교육과정‘기준’과‘단계’

기준 단계

기준 1 1

2

기준 2 3

4

5

기준 3 6

7

8

기준 4 9

10

11

기준 5 12

13

14

15

위 <표 13>의 ‘기준’과 ‘단계’를 바탕으로 유치원 과정은 1-4단계, 1-2학년은 3-6단계, 3-4학년은 5-9단계, 5-6학년은 7-11단계, 7-8학년은 9-13단계, 9-10학년은 11-15단계의 수준 으로 세분화 되어 구체적인 교육내용과 목표를 서술하고 있다. (4)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예술교육과정(The New Zealand Curriculum, The Arts)에서는 무용, 드라 마, 음악-음향[소리]예술, 시각 예술이 제공된다. 1-8학년까지는 위의 네 가지 영역의 예술 과정이 모두 필수 이수 과정으로 편성, 9-10학년에서는 최소 두 가지 영역을, 11-13학년에 서는 최소 한 가지 영역을 이수해야 하는 선택과정으로 제시된다. 무용교육 과정을 포함 한 모든 예술교육 과정은 그것의 내용을 1부터 8단계의 수준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교육 내용은 아래의 네 가지 요소(Strand)에 의거하여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목표에 초점을 두 어 제시된다. 예술의 배경[맥락]이해 2. 예술에 대한 실제적 지식 계발 3. 예술에 대한 발상(Idea) 계발 4. 예술안의 의사소통과 해석 1.

3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3. 무용교육 모형

무용을 제대로 가르치기 위해 만들어진 무용교육의 모형들이 있다. 이 모형들은 어떠 한 목적을 위하여, 어떠한 내용을 가지고, 어떠한 방식으로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하나의 “총체적 틀”을 제공한다. 무엇을 어떻게 왜 가르칠 것인지를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생 각하고 실행하도록 돕는다. 무용교육의 목적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내용 및 방법과 연 계되어 고려되어야만 한다. 그래야만 하나의 무용교육 “모형”이라고 불릴 수 있게 된 다 . 15)

1) 무용예술모형 (The Art Of Dance Model)

현재 영국을 비롯한 외국의 무용교육과정은 ‘무용예술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1990년대 초 Smith Autard가 과정 중심의 교육적 모델(Educational Model)과 훈련과 기 술을 중시하는 전문적 모델(Professional Model)의 요소들을 절충하는 새로운 ‘무용예술 모델(Art of Dance Model)’을 제시한데서 비롯되었다. 이 모델은 1980년 Gulbenkian재단 보고서 ‘Dance Education and Training in Britain’에서 강력히 주장되었고 National Curriculum에서도 지지되고 있다. 이 모델은 교육적 모델과 전문적 모델의 요소들을 절 충했다는 의미에서 ‘절충적 모델(Midway Model)’이라고 한다 . 영국에서 이러한 ‘절충적 모델’을 지향하는 추세는 지난 20년 동안 중등학교에 재직 하고 있는 무용교사들이 절충적 모형에 근거한 방식으로 교육을 받아왔으며, GCSE(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및 A레벨(18세 이상의 학생들이 상급 수준으로 올라가기 위한 시험)의 시험과정이 그와 같은 변화의 토대를 강화함으로써 널 리 그 입지를 구축하게 되었다 . 이 모형의 특징은 교육에서 예술로서의 무용 개념을 정립하고 예술적 교육, 미적 교육, 문화적 교육을 지향한다는 데 있다. Autard는 절충적 모형의 개념적 기초로서 창작 (Creating), 공연(Performing), 감상(Appreciation)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감상은 대상 의 특징을 인지하고 가치를 매기는 능력으로 정의되며, 창작, 공연, 무용보기의 총체적 결 16)

17)

최의창 이희선

댄스 리터러시 또는 무용소양 한국무용기록학회지 제 권 무용교수계획 및 평가의 기준 한국무용교육학회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7집. p. 26 재인용

15) (2011). , 21 , p.143 16) Smith Autard(1994). The Art of Dance in Education. London: A&C Black. p.3-4 17) (1997). , ,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37


과로 나타난다. 그녀는 무용작품의 완벽한 감상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무용을 창작하고 공연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무용창작과 무용공연으로 얻어지 는 지식, 이해, 예술적 감각들은 무용보기로 얻어지는 지식과 이해를 보강하고 증진시킨 다. 이러한 무용예술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표 14> 무용예술모델의 특징18) 교육적 모형 (Educational Model) 과정

절충적 모형 (Midway Model)

전문적 모형 (Professional Model)

과정 + 결과

창의력

창의력

상상력

상상력

개성

개성

결과

대중예술 +

인습적

무대무용과 레파토리에 관한 지식

지식

감정

감정 + 기능

기능획득

주관성

주관성 + 테크닉

객관성

원리 + 테크닉

테크닉

원리 개방적 방법

개방적 + 폐쇄적

폐쇄적 방법

창작(만들기) 창작(만들기)

공연(춤추기)

공연(춤추기)

감상

2) 코너스톤 모형(Cornerstone Model)

최근에 McCutcheon(2006)은 자신의 저서 ‘Teaching Dance as Art in Education’를 통 해 무용에서 가장 핵심적이고 필수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네 영역을 제시하였다. 무용 교육자들이 학생들로 하여금 제대로 된 무용체험을 겪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공해 야 되는 과정적 체험들이 바로 코너스톤이다. 네 가지 중핵적 주춧돌은 춤추기와 공연하 기(Performing-수행하기), 만들기와 안무하기(Creating-창작하기), 역사와 문화와 상황알 기(Knowing About-지식갖기), 분석하기와 비판하기(Responding-반응하기)이다. 18) Smith Autard(1994). The Art of Dance in Education. London: A&C Black. p.26 3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수행하기에는 기본 테크닉, 장르별 무용기능, 신체컨디셔닝 기술 등 기능적 차원의 내 용과 활동들이 포함되며, 이 기능적 차원의 내용에 관한 과학적 지식들까지도 포함된다. 창작하기에는 즉흥동작, 안무하기, 새로 만들기, 문제해결과정, 새로운 동작의 실험과 세 련화 등의 내용이 다루어진다. 지식갖기는 다양한 장르에 대해서 알기, 클래식, 전통적, 다문화적, 민속적 무용장르들에 대한 문화적 지식을 아는 것을 말하며, 유명한 무용가, 핵 심적 안무가와 비평가, 중요한 무용작품들에 대한 역사적인 지식을 다룬다. 반응하기는 무용을 관람하고 평가를 내린 후 철학적으로 사고하고 반성적으로 생각하며 자료를 수집 해 평가를 내리는 등의 과정을 말한다. 19)

19)

최의창(2011). 위의 글, p. 145-146 Ⅱ.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39



III.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실제

1. 무용교육표준 사례 분석 2. 심층면담 3.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방향



III.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실제

1. 무용교육표준 사례 분석 1) 국내 무용 교육과정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경우, 무용은 체육교과의 한 영역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교육과정 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분석될 수 있다. 첫째, 무용의 영역이 나누어져 있지 않고 ‘표현하기’의 용어로 통일되어 있다. 이 ‘표현 하기’는 초등학교에서 무용이 ‘움직임을 통한 자신의 생각이나 아이디어의 표현’이라는 개념적 정의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표현하기’ 영역은 각 학년별로 초등 3학년 부터 고등학교 2학년에 걸쳐 표현의 대상을 중심으로 영역을 제시하고 있다(움직임 표현, 리듬표현, 민속표현, 주제표현, 심미표현과 창작, 현대표현과 창작, 전통표현과 창작, 움직 임예술과 창작 등). 둘째, 학년별 내용을 보면 각 학년별 무용 학습 경험을 통해 습득해야 하는 주요 개념 들이 제시되었다. 학년별 목표는 춤추고, 창작하고, 감상하는 활동을 통해 인지적, 기능 적, 정의적 측면의 목표들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목표나 내용에서 무용의 중요한 가치이자 역할인 ‘소통’의 부분이 제시되지 않았 다. 타교육과정이나 타교육 영역간의 연계성이나 지역사회나 평생학습의 가능성도 언급 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학년별 영역이나 목표, 내용을 살펴보면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심화되거나 수준 별로 제시되기보다는 각각의 내용과 기준들이 독립적으로 제시가 가능해서, 학년별 영역, 목표의 연계성은 있으나 계열성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Ⅲ.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실제|43


2) 해외 무용 교육과정

외국의 무용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및 수업 구성을 위한 큰 틀을 제시하며 그 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요소와 그에 따른 내용 및 결과에 대한 기준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 다. 이에 앞서 살펴본 외국의 무용 교육과정 사례를 근거로 무용교육표준 개발에 참고할 만한 사항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표 15>. (1) 핵심 요소

외국의 무용교육 기준을 비교 분석해보면 몇 가지의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교육 내용 및 기준을 조직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핵심 요소는 국가마다 3개에서부터 8개까지로 구분되어 제시되었으며, 핵심 요소를 일컫는 용어 또한 매우 다양하여 범주(Categories), 요소/영역(Strand), 부제(sub-heading), 수행 기준(Performance criteria) 등의 용어로 표현 되어 있다. 핵심 요소의 내용은 각 국가의 예술 교육적 지향점 즉, 교육과정 성격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육과정에서 무용 수행에 필요한 관련 지식, 창 작 및 감상에 필요한 창의적 사고 및 소통 해석능력, 타 영역과의 상호 연계를 통한 다양 성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핵심 요소들은 서로 분절된 내용이 아닌 무용 학습 내에 서 상호 유기적으로 관련된 각 영역의 관계성 및 연관성을 드러내고 있다. ·

(2) 무용교육의 내용

앞서 살펴 본 외국의 무용교육 과정에서는 ‘내용 기준(Content Standards)’이라는 구체 적인 용어를 통해 교육 내용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진 않지만, 체계적인 무용 학습의 경험을 강조하며, 그것이 구현될 수 있도록 무용학습을 통해 <알아야 할 것>에 대한 내 용 지식으로서의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무용교육의 내용에는 무용의 요소, 안무의 원리, 사회 문화 역사적 관점에 서의 무용 배경지식 등 무용학습 경험을 통해 습득해야 하는 주요 개념이나 원리, 기술 및 배경지식 등이 제시된다. 교육내용은 학습자의 수준 혹은 연령 및 학년군의 진행에 따 라 심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요학습 내용을 위계화 하여 순차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특히 캐나다 퀘벡주의 교육과정 문서는 각 학년별로 다루는 개념의 위계도를 쉽 ·

4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


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구성하였다. 더불어 내용적 위계는 학습 주제 및 개념에 대한 난이도를 심화하는 측면에서의 설계 뿐만이 아닌 그것들을 이해하고 활용함에 있어서의 심화된 인지적 과정을 요구하며 그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어 교육과정의 내용 수준이 모색되었다. 또한, 타 교육과정 혹은 타 교육영역과의 연계성 및 내용의 공통성 확보하며 간학문적 또는 다 학문적 접근을 통한 학제 간 접근이 용이하도록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로는 미국 미네소타 주의 예술교육 기준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사회와의 교류 및 평생학습으로서의 무용교 육을 강조하며 이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3) 성취 기준의 진술

무용 교육의 내용 기준이 무용 학습 경험을 통해 학습자가 ‘알아야 할 것’에 대한 내용 이라면 성취 기준은 무용 학습 경험을 통해 달성되고, 학습자가 획득하여 ‘할 수 있을 것’ 에 대한 능력 및 기능에 대한 기준 제시이다. 이에 외국 무용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에 대 한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1. 요소/영역 성취 기준

요소/영역 성취 기준은 수준별, 연령별 또는 학년별, 학년군별 교육내용 및 성취기준에 대한 큰 틀로써 학습 내용 및 그에 따른 성취기준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이와 관련한 좋 은 예로써 미국의 NDEO, 미네소타 주 기준, 캐나다 온타리오 주 및 호주의 성취 기준을 들 수 있는데, 이들 교육과정에서는 각 ‘요소/영역’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통해 각 ‘요소/ 영역’별로 다루게 될 아이디어(ideas)를 제시한 후, 그에 따른 교육내용이나 성취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3-2. 학습내용 성취 기준

학습내용 성취 기준은 교육과정에서 의도한 단계별 성취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이는 교육과정의 학습 결과에 도달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이 학습하는 동안 혹은 학습이 끝날 무렵, 그들에게 기대되는 결과에 대한 내용을 <행동-무용기술, 소통 및 표현 기술, 사고능 Ⅲ.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실제|45


력 등의 수행 능력>을 중심으로 진술한 것이다. 학습내용 성취기준에 제시된 ‘학습자의 행동’은 대부분 관찰 가능한 행동 동사가 사용 되었으며 특히, 미국 NDEO의 무용교육 기준은 각 범주(요소/영역) 내에서 학습자들에게 기대되는 ‘행동’을 교육과정 문서 상단에 제시하며 강조하고 있다. 뉴욕 시의 ‘블루 프린 트’, 캐나다 퀘벡주의 교육과정 또한 교사들이 학생들의 기대수준을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문서 체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이나 연령 혹은, 학년이나 학년군별 진행 에 따라 성취기준의 내용 및 수준이 심화되어 체계적인 학습으로서의 무용 교육과 질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4) 교육 방법 및 평가 4-1. 다양한 수업 예시의 제시

앞서 살펴본 대부분의 교육과정에서는 교수 측면에 있어서 교육과정의 실행 방법과 유 의점 및 이에 따른 구체적인 수업활동 예시들을 포함하며 무용 교수와 관련 된 기본적인 사항들을 안내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 및 활용, 학습 자료에 관한 사항들은 그 내 용이 교육과정 문서에 포함되어 있거나 인터넷상의 관련 사이트에 기재되어 있다. 4-2. 평가 기준

기준의 경우 성취기준과 그것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예시들을 제시하며 평가 에 활용하는데, 평가에 대한 결과는 세 단계(발전 필요/기준에 충족/뛰어남)로 구분되어 제시된다. NDEO

4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표 15> 해외 무용교육 기준 및 영역 분석 국 가

주체

명칭

강조점

국립 무용교육협 국립 회 기준 예술안의 무용학습과 교수를 무용 (National Dance 교육 위한 기준을 ‘예술창조의 과 Education 협회 정’4단계로 범주화 함 Organization [NDEO] Standards)

미 국

주요 영역

적용 대상

실행하다 (Performing) 창작하다 (Creating) 반응[감상]하다 (Responding) 상호 연결하다 (Inter­Connecting)

0-5세 9-10세 13-14세 17-18세

preK-12학 년 2학년 5학년 8학년 12학년

K1-3학년 K4-5학년 K6-8학년 K9-12학년

뉴욕주

블루프린트 (Bluepri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rts, Grades PreK-12)

예술영역에 대한 교육과정의 틀 (frame work)을 제시한 교육 기준임 체계적인 무용 경험을 통한 신 체적, 사회·정서적, 인지적, 미 적, 초인지적(Metacognitive)기 술과 이해의 계발에 초점

무용 만들기 (Dance Making) 무용 문해력 계발 (Developing Dance Literacy) 관련성 만들기 (Making Connections) 지역사회와 문화적 자원과의 협력 (Working with Community and Cultural Resource) 직업탐구와 평생학습 (Exploring Careers and Lifelong Learning)

미네 소타주

학문적 기준, 예술 K-12 (Minnesota Academic Standards, Arts K-12)

예술적 문해력(Literacy) 계 발에 초점 학년별에 따른 최소한의 기 준-성취기준에 대한 기준점 (Benchmark)이 세분화되어 제시됨

예술적 기초 예술적 과정: 창조하기 예술적 과정: 실행하기 또는 발표하기 예술적 과정: 반응하기[감상] 또는 비평하기

온타 리오주

창작[창조]과 발표/실행 (Creating and Presenting/Performing) 반영, 반응[감상]과 분석 온타리오주 예술 ‘창조적 과정’과 ‘비판 분석 (Reflecting, Responding, and 교육과정 (The Ontario 적 과정’을 강조 Analysing) Curriculum) 형식 및 문화적 배경탐구 (Exploring Forms and Cultural Contexts)

1-8학년 9-10학년 11-12학년

퀘벡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학습 의 진행 (Quebec education program: progression of learning in elementary, secondary school)

초1-2년 초3-4년 초5-6년 중1-2년 중3-5년

캐 나 다

퀘벡주

초등 각 예술교과 고유의 맥락에서 함양되어야 하는 지식과 그것을 무용을 창조 적용하는 역량Competency)에 무용을 해석 초점 안무된 작품의 감상

중등 무용을 창조 무용을 수행 무용을 감상

Ⅲ.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실제|47


발생시키다 국가 수준 교육과 “예술에 참여할 때 어떤 일들 (예술가가 Generating) 교육과정평 가보고당국 [ACARA]

정 (Draft the

을 하는가?”에 대한 핵심 질 실현하다 Shape

K1-2

of 문을 통해 세 가지의 ‘요소 (예술가가 관객과 소통하기

Australian (strand): 상호작용 과정’을 위해 Realizing)

Curriculum: Arts)

K9-10

The 모든 예술영역에 공통적으로 반응하다 제시

K3-8 K11-12

(관객, 예술가들에 의한 Responding

호 주

예술교육

과정에

제시된 새로운 작품을 상상하고 창조

예술 공통 8가지 ‘수행기준 [창작]한다. 태 즈 메 이 니 아 주 (Performance 예술교육 과정 태즈메이니 (The 아주

강조

/ 규약과 관습을 사용한다.

Tasmanian 구체적인

Curriculum

교육내용과 1-5까지의 예술

9-10학년

영역별로 목적이 있는 발표를 한다. / 개

제시 예술교육과정 뉴 (The New 질 뉴질랜드교 Zealand 랜 육당국 Curriculum, 드 The Arts)

5-6학년

수준 문화, 사회, 역사적 배경을 반 7-8학년

으로 묶여, 다시 15단계로 영한다. 세분화되어

1-2학년

목표 다른 이의 작품을 해석하고 평가 3-4학년

Arts 는 각각의 ‘수행 기준’에 한다. / 미적 결정을 내린다.

C u r r i c u l u m 의거하여 Area K-10)

criteria)’을 기능, 기술과 과정을 사용한다. 유치원

인적 의견을 표현한다.

1-8 단계의 수준으로 구분, 예술의 배경[맥락]이해 교육내용은 4가지 요소에 의 예술에 대한 실제적 지식계발 거하여 학생들이 성취해야할 예술에 대한 발상 계발 목표에 초점을 둠

예술안의 의사소통과 해석

1-8학년 9-10학년 11-13학년

<표 16> 무용교육 기준 및 영역 분석모형 비교 모형이름 The Art of Dance Model

Cornerstone Model

연구자

영역

Jacquline Smith-Autard

Performing Creating Viewing

Brenda P. McCutchen

Performing Creating Knowing About Responding

4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비고 Appreciation이란 창작·공연·보기 이 세 가지가 하나로 묶여 이루어지 는 활동 또는 능력


2. 심층면담

전문가 심층면담은 무용교육표준의 개념적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구체적으 로 무용교육표준의 영역구분과 단계별 방법론의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의 견을 청취하고 이를 수렴하여 후반 연구의 방향과 향후 연구 결과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1) 조사 대상

무용교육표준의 개념적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전문가 심층면담은 총 6인의 무용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선정된 전문가는 남자 1명, 여자 5명으로 모두 무용 을 전공하였고 현재 대학 및 고등학교와 전문무용교육기관에서 무용교육을 담당하는 전 문가들로 선정하였다. 전문적인 교육 경험과 공연예술창작, 무용학 이론 등의 다양한 무 용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평균 무용경력은 35년, 평균 무용교육 경력은 19년으로 나타났다. <표 17> 심층면담 대상자 이름

직업

무용경력

교육경력

1

신00

대학교수

40년

22년

2

최00

대학교수

35년

20년

3

유00

대학교수

30년

18년

4

석00

고등학교 교사

30년

16년

5

김00

고등학교 교사

45년

27년

6

이00

전문무용교육가

25년

10년

2) 조사 절차

전문가 심층면담은 7월 26일부터 8월 10일까지 연구진 5인이 면담 대상자로 선정된 6 인의 무용교육전문가를 일대일로 만나서 진행하였다. 면담방법으로는 전문가의 자유로운 의견 개진과 청취를 위하여 준표준화된 면접(semi-standardized interview)을 활용하였는 데 이것은 연구자가 어느 정도 설정된 질문들을 체계적인 순서로 제시하고 이후에 피면 Ⅲ.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실제|49


담자가 질문 내용을 초월하는 영역까지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것을 유도하는 기법이다. 질문의 내용은 무용교육표준의 목표와 영역, 단계별 방법론에 대한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7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면담과정은 준비한 연구 자료를 건네주고 연구에 대한 소개와 주요개념을 설명한 뒤 본격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피면담자의 동의를 구한 뒤 인터뷰의 모든 내용을 녹음기로 녹음하여 자료화하였다. 3) 분석 결과

무용교육표준의 목표와 영역, 단계별 방법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한 전문가 심층면담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육표준의 목표로 제시된 댄스 리터러시에 대한 의견은 이 용어와 개념을 대부분 어렵고 낯설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해력(Literacy)을 기존의 언어교육의 범위 내에서 이해하는 경향이 있어서 무용교육영역에서의 리터러시 개념을 매우 낯설어하였 다. 또한 학교 현장의 교육환경과 관련한 문제도 제기되었는데 이는 학교무용교육에서의 부족한 무용시수, 예술교과에 대한 무관심 등 차후에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 기되었다. 이러한 점은 댄스 리터러시의 개념과 가치정향이 보다 더 명확하게 제시, 보완 되어야 하며, 현재 대두되고 있는 Cultural Literacy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댄스 리터러시 의 개념과 방향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무용교육표준의 영역으로서 춤추기/춤만들기/감상하기 등의 영역별 설정에 대 해서는 대체적으로 타당하다는 의견이었다. 전문가들은 세 영역 외에 보강되어야 할 영 역으로 라반 동작 분석이론에 근거한 동작 읽기, 타 교과와의 연계와 통합을 강조하는 춤 과 교류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무용을 보다 확장시켜 인문학, 문화적 접근, 과학적 이해 등과 접목시켜 교육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필요도 제시되었다. 이러한 의견은 무용 교육 영역을 타 교과, 타 학문, 타 예술분야 등 외부 영역과의 연계하여 교류해야 할 필요 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통합 통섭의 시대적 조류를 무용전문가들도 민감하게 수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셋째, 무용교육표준의 단계별 방법으로서 제시된 체험/탐구/확장/소통에 관한 의견은 5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대체적으로 타당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현재 교육 환경에서는 심도 있는 탐구와 타 교과와의 연계 확장 등의 수업 적용은 어렵다는 의견 또한 제시되었다. 이것은 실제 학교현장의 부족한 무용시수, 예술교과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현실 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것은 전문가들이 무용교육표준의 적용과 활용을 학교무용 교육과 연계시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상적인 무용교육표준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그 실현에 있어서 실제교육 현장과의 괴리를 지적하는 것이다. ․

넷째, 무용교육표준 학제별 목표의 타당성에 대해서는 목표의 학제별 연계와 통일성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제별 목표가 그 내용 과 수준에 있어 실제적 연계성과 통일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제별 목 표의 진술 수준이 지나치게 구체화되고 행동적 수준으로 제시된다면 문화예술교육으로 서의 무용교육표준의 가치, 목표 등과 다소 상충될 수 있어 차후 연구에서 심도 있게 논 의할 필요성이 있다. 이외에도 무용교육 전문가들의 무용교육표준 개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은 연구에서 제 시한 개념과 용어에 대해 보다 더 명확하고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며, 용어의 통일과 단 계별 수준에 맞는 목표 진술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무용교육표준에 따른 평가 기준의 제 시와 무용의 사회적, 문화적 역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도 제안하였다. 이상의 심층면담 에서 제기된 문제들과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해서 향후 연구과정에서 이를 반영하는 과정 이 필요할 것이다.

Ⅲ.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실제|51


3.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방향 1) 무용교육표준의 의미

교육표준 개발을 위해서는 기준, 표준의 의미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 선행 연구에 의하 면, 전문가들은 교육에서 ‘기준’이 갖는 의미를 여러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 첫째, 국가 수준에서 교과별로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을 상세화한 것으로 해당 학년에서 배워야 할 국가 수준의 교육기준(educational standards)을 뜻하며 이는 내용기준, 수행기준, 학 습기회수준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둘째, 무엇을 평가할 것이며 어떤 관점을 중시하고 무 엇에 초점을 두고 어떤 점을 강조하여 평가할 것인가를 구체화한 것으로서 평가준거의 의미를 지니는 기준이다. 셋째, 평가 실시 이후 능력 수준 구분을 위해 평가를 나눌 때의 기준이다. 넷째, 평가 자체의 가치와 질을 결정하기 위해 널리 받아들여진 원칙으로서의 기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표준을 전술한 개념 중 첫 번째 개념인 ‘국가 수준의 교육기준’의 의미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무용교육표준은 ‘학습자가 무용수업을 통해 도달해 야 할 무용 능력의 내적, 외적 특성’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20)

2)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범위

무용교육표준이 ‘학습자가 무용수업을 통해 도달해야 할 무용능력의 내적, 외적 특성’ 이라고 했을 때, 여기서의 무용수업은 초, 중, 고등학교와 같은 공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 는 수업뿐만 아니라 학원, 동아리, 기타 사회적 공간에서 행해지는 모든 무용교육 수업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무용교육표준은 공교육과 사교육 현장에서의 교육표준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표준이나 교육목표를 설정할 때는 국가 이념과 사회문화의 요구, 학문 적인 요구, 학생의 발달 요구사항 등을 수렴해야 한다. 특별히 무용교육표준은 단순한 신 체적, 기능적 수준의 개발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가치를 구현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하여 교육표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교육표준은 교육목표에 따른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 술교육의 개방성과 유연성을 고려하여 학습자가 학습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기대수준을 20)

남민우 외(2008). 국어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p.9, 재인용

5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제시할 것이다. (1) 무용교육표준의 설정 준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무용교육표준을 설정하는 데 준거가 될 수 있다. • 구체성(명료성) : 표준을 읽는 모든 사람이 똑같은 의미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명료한 용어로 진술되어야 한다. • 일관성 : 표준의 설정은 논리적으로 조직된 응집성을 견지해야 하며, 주기적으로 재검토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설정된 목표들은 철학적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 • 실현가능성 : 학습자 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아야할 뿐만 아니라 교육적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 • 포괄성 : 무용교육 상황에서 추구하는 행동의 변화를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포괄적이어야 한다. • 타당성 : 학습자들에게 현재 또는 미래의 삶에서도 가치 있는 필수적인 내용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표준 설정의 준거로서 계열성과 연계성의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 계열성 : 계열성은 학습자가 어떤 기준을 내용을 먼저 배우고 어떤 내용을 나중에 배우는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 연계성 : 연계성은 교육표준들 간 상호관계를 의미한다. 관계는 종적일 수도 횡적일 수도 있다. 종적 차원의 연계성을 수직적 연계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계속성의 문제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3) 무용교육표준의 설정 (1) 목표의 선정

포스트모던적 입장에서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이나 가치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최근 주 목받고 있는 용어 중에 ‘리터러시’(literacy)가 있다. 리터러시는 사전적 의미로 ‘글자를 읽 Ⅲ.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실제|53


고 쓸 수 있는 기능 또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그래서 통상적으로 문해력( ) 또는 문 식성( )이라고 번역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미디어 리터러시, 컬처럴 리터러시, 디지 털 리터러시 등 기존에는 활용되지 않았던 맥락에서 새롭게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런 경우에 리터러시는 기존의 개념에서 나아가 포괄적인 의미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종합적 이해력과 실행력’을 뜻한다 . 리터러시의 아이디어는 무용교육에도 적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댄스 리터러시’(dance literacy)란 용어를 학술적으로 규정하고 사용하는 무용교육학자들이 생겨나는 추세이다. Dils(2007)는 댄스 리터러시를 “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자, 무 용에 대해서 말하고 글 쓰며, 무용을 만들고 관찰하는 과정을 통해서 키워지는 기술”이라 고 정의한다. 그녀는 기존에 많이 활용되던 종합적 무용능력으로서 ‘어프리시에이 션’(appreciation 감별, 감정, 감상)이라는 표현보다는 ‘리터러시’가 보다 구체적이라고 주 장한다. 댄스 리터러시는 이같은 다양한 핵심 체험들이 하나로 융합되어 학습자에게 전 해졌을 때 부르는 통합명칭이다. 이것은 마치 신체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들이 하나로 통 합된 상태를 ‘전인성’(wholeness)이라고 부르고, 그러한 상태의 사람을 ‘전인’(whole person)이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무용의 수행, 창작, 감상 측면들, 즉 무용을 기 능적으로 인지적으로 정의적으로 통합하는 능력과 자질을 갖춘 상태를 댄스 리터러시, 그러한 사람을 ‘댄스 리터릿’(dance literate)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 무용교육의 문화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무용만이 지니고 있는 개성적 움직 임 창출, 무언어적인 의사소통, 창조적 움직임의 발현, 타인과 나의 공감 등 무용교육의 특성을 주장하는 한편, 보편적인 컬처럴 리터러시 안에서 댄스 리터러시의 가치를 추구 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무용교육의 지향점을 댄스 리터러시로 집중시켜 전인적인 예술 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독보적인 의미를 재정립해야 하는 이유가 될 것이다. 文解力

文識性

21)

22)

(2) 영역의 선정

무용교육 모형이나 외국의 무용교육표준에 관한 사례들을 살펴보면, 그 핵심 영역들을 제시할 때 ‘Performing’과 ‘Creating’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언급이 되고 있으며, 나머지 요소들로는 Responding, Viewing, Generating, Reflecting, Analysing, Inter-connecting 21) 22)

최의창(2011). 위의 글, p.149 재인용. 최의창(2011). 위의 글, p.152

5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등이 언급되고 있다. 무용을 자신의 신체를 통해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때, 춤을 추고 만드는 작업은 예술을 하는 과정에서 가장 근원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무용교육표준의 영역은 ‘실행(춤추기)’, ‘창작(춤만들기)’의 영역이 선정되었고 ‘감 상(춤읽기)’, ‘소통(춤나누기)’의 영역이 첨가되었다. 여기서 ‘실행’은 단순히 무용 움직임 이나 기술의 숙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 지각, 협응, 움직임의 요소 이해, 수행 원리 습득 등을 의미한다. 또한 ‘창작’은 춤만들기를 통한 움직임 창안, 동작 구성, 표현, 창작원리 이해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감상’의 영역은 단순한 춤보기 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춤을 관찰하고, 분석하 고, 해석함으로써 작품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소통’의 영역은 우리나라 무용교육과정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영역으로서, 춤을 통한 타인과의 교감과 교류를 중요시하고, 문화적 사회적 연계성을 필요한 현대사 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선정되었다. 그러므로 ‘소통’의 영역은 춤을 통한 교감과 타 영역과의 교류, 통합, 공유, 사회문화적 의미 이해,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을 의 미한다. (3) 수준의 선정

이러한 ‘생성 - 춤만들기와 춤추기’, ‘감응 - 춤읽기와 춤나누기’의 영역들은 예술경험에 서 인지되고 체험되는 과정에 따라 발전하는 단계,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처음에는 가 장 기본적인 ‘체험/이해’의 수준에서 ‘탐구/발견’의 수준으로, 그리고 ‘확장/응용’의 심화 된 수준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것은 예술경험이 발전, 심화되는 단계이기도 하다. 가장 기초적인 ‘체험/이해’의 수준은 감각을 통한 움직임 체험과 인지적 이해의 단계이 다. 이 단계에서는 신체를 지각하고 움직임을 경험하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움직임으 로 표현하며 무용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단계이다. ‘탐구/발견’의 수준은 ‘체험/이해’의 단계를 심화 발전시켜 다양한 움직임을 경험하 고, 비교 분석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움직임 원리를 이해하고 조화롭게 움직이 며, 무용의 다양한 창작원리를 탐구하고 독창적인 방법으로 구성한다. 또한 무용을 감상 하고 비교 분석하며 무용경험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단계이다. ․

Ⅲ.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실제|55


마지막 ‘확장/응용’ 수준은 ‘탐구/발견’의 단계를 심화 발전시켜서 타 분야, 타 예술 과 연계 통합하여 실행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타 분야와 연계하여 움직임 경험 을 확장시키며, 타 분야의 지식과 방법론을 응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창작한다. 또한 무 용의 예술적 특성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계하여 해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위계는 학습 주제 및 개념에 대한 난이도를 심화하는 측면에서의 설계뿐만이 아닌 그것들을 이해하고 활용함에 있어서의 심화된 인지적 과정을 요구한다. 이러한 수 준의 위계성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확장/응용 ▲ 탐구/발견 ▲ 체험/이해

5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IV. 무용교육표준 개발

1. 목표 2. 영역 3. 수준(단계) 4. 학제별 목표 5. 학년별 기대수준



IV. 무용교육표준 개발

1. 목표

무용교육표준은 댄스 리터러시(Dance Literacy)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리터러시 는 글을 읽고, 쓰고, 이해하는 전반적인 능력을 뜻한다. 모든 사물과 현상은 주어진 것, 결 정된 것이 아니라 체험 당사자의 주관성과 개인성의 적극적 관여를 통하여 끊임없이 새 롭게 해석되고 발견된다.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은 이러한 세계와 대상의 텍스트성에 기초 하여 주장되고 있다. 댄스 리터러시는 무용 전반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풀어내는 통합능력을 의 미한다. 즉 무용을 체험하고, 탐구하고, 확장하는 과정을 통해 말하고, 쓰고, 보고, 읽는 종합적인 능력을 계발하는 것이 무용교육표준의 목표인 것이다. 그러므로 댄스 리터러시는 다양한 춤 움직임 속의 상징과 의미를 이해하고 자기 자신 을 표현하는 움직임을 창조하는 능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무용의미를 분석, 이해, 감상, 비판하는 총체적인 ‘무용알기’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Dance Literacy 무용의 전반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풀어내는 통합능력 무용에 대해 예술적, 심미적, 문화적으로 이해하고 실행하는 능력 무용의 현상을 타 예술, 인접 학문 등과 연계하여 사고할 수 있는 능력

Ⅳ. 무용교육표준 개발|59


2. 영역

1) 실행 - 춤추기

신체 지각, 협응, 움직임의 요소 이해, 수행원리 습득 • 신체를 지각하고 조화롭게 움직인다. • 움직임의 요소와 원리를 이해한다. • 발달단계와 동작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무용동작을 습득한다. • 다양한 문화의 양식화된 무용 동작을 체험한다.

2) 창작 - 춤만들기

움직임 창안, 동작 구성, 표현, 창작원리 이해 •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를 관찰, 발견한다. • 발견과 상상을 통해 움직임을 창안한다. • 무용의 다양한 창작기법을 탐구한다. • 무용창작 원리와 과정을 이해한다. 3) 감상 - 춤읽기

관찰, 분석, 해석, 작품이해 • 다양한 무용을 관찰하고 반응을 경험한다. • 무용을 감상하고 소재, 기법, 형식과 관련된 예술적 특성을 확인한다. • 토론을 통해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심층적으로 해석한다. • 무용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인 맥락을 이해한다. 6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4) 소통 - 춤나누기

타 영역과의 교류, 통합, 공유, 사회문화적 의미 이해, 지역사회와의 연계 • 타 예술, 타 학문과 연계하여 무용을 탐색한다. •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무용의 기능을 확장시킨다. • 일상의 삶속에서 무용의 가치를 발견하고 고양시킨다. • 사회문화적 교류를 통해 무용을 통합적으로 이해한다.

Ⅳ. 무용교육표준 개발|61


3. 수준(단계)

무용교육표준은 학습내용과 방법에 따라 심화, 발전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체험 /이해 - 탐구/발견 - 확장/응용의 3단계를 거쳐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이 궁극 적으로 지향하는 댄스 리터러시에 도달하는 것이다. 1) 체험/이해

감각을 통한 움직임 체험과 인지적 이해의 단계이다. • 신체를 지각하고 움직임을 경험한다. •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움직임으로 표현한다. • 무용을 관찰하고 이해한다. • 무용경험을 통해 상호반응한다. 2) 탐구/발견

체험/이해의 단계를 심화 발전시켜 다양한 움직임을 경험하고, 비교 분석하는 단계 이다. • 움직임 원리를 이해하고 조화롭게 움직인다. • 무용의 다양한 창작원리를 탐구하고, 독창적인 방법으로 구성한다. • 무용을 감상하고 비교, 분석한다. • 무용경험을 통해 의사소통한다. ․

3) 확장/응용

탐구/발견의 단계를 심화 발전시켜 타 분야, 타 예술과 연계 통합하여 실행하는 단 계이다. ․

6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 타 분야와 연계하여 움직임경험을 확장시킨다. • 타 분야의 지식과 방법론을 응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창작한다. • 무용의 예술적 특성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계하여 해석한다. •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무용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공유한다.

Ⅳ. 무용교육표준 개발|63


4. 학제별 목표 1) 목표 목 표 - 폭넓은 움직임 경험을 통한 신체발달을 촉진한다. - 신체인지, 신체정렬, 공간인지 능력을 향상시킨다. 초등학교

- 표현능력과 창조적 움직임 능력을 발달시킨다. - 모둠활동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기른다. - 무용 움직임으로 성취감과 자신감을 증진한다. - 자기 숙달과 기초 동작습득을 통해 개인적 무용수행 기능을 증진한다.

중학교

- 다양한 경험을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안목을 증진한다. - 타인배려, 소속감, 문화이해를 통해 사회성을 발달시킨다. - 무용과 타 예술과의 교류를 통해 통합적 사고 능력을 배양한다. - 신체적 안정과 유지에 필요한 능력을 증진하여 동작의 기능적 확대를 도모한다.

고등학교

- 무용의 사회적 역할을 이해하여 사회 문화적 소통능력을 배양한다. - 무용동작인지 및 표현능력을 신장한다. - 타 학문과의 교류를 통해 움직임 창작과 표현 역량을 강화한다.

2) 학년별 강조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1-2

3-4

5-6

1

2

3

1

2

3

체험/ 이해

체험/ 이해

체험/ 이해

체험/ 이해

체험/ 이해

체험/ 이해

체험/ 이해

체험/ 이해

체험/ 이해

탐구/ 발견

탐구/ 발견

탐구/ 발견

탐구/ 발견

탐구/ 발견

탐구/ 발견

탐구/ 발견

탐구/ 발견

탐구/ 발견

확장/ 응용

확장/ 응용

확장/ 응용

확장/ 응용

확장/ 응용

확장/ 응용

확장/ 응용

확장/ 응용

확장/ 응용

6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5. 학년별 기대수준 1) 초등학교 1-2 단계

영역

실행

1 level (초등 1-2학년 만7-8세)

창작

감상

소통

목표

수준

신체를 인식하고 움직 일 수 있다. 자신의 생각을 움직임 으로 표현할 수 있다. 무용을 관찰하고 느낀 점을 이야기한다. 무용을

통해

타인과

교감한다.

체험/이해

체험/이해

체험/이해

체험/이해

기대수준 신체의 여러 부위를 인식한다. 신체 여러 부위를 사용해서 춤출 수 있다. 자신의 무용아이디어를 말할 수 있다. 자신의 무용아이디어를 움직임으로 표현한다. 다른 사람의 무용을 관찰한다. 다른 사람의 무용을 보고 느낀 점을 이야기한다. 다른 사람들 앞에서 춤출 수 있다. 춤추는 사람과 관객의 관계를 이해한다.

2) 초등학교 3-4 단계

영역

실행

창작 2 level (초등 3-4학년 만9-10세)

목표 신체부위를 인식하고 춤출 수 있다.

오감을 활용하여

수준

기대수준

체험/이해 신체를 인식하고 다양한 움직임을 할 수 있다. 탐구/발견 움직임 요소를 이해하며 춤출 수 있다.

체험/이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즉흥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움직임을 표현한다. 탐구/발견 움직임의 연결과정을 이해하며 표현할 수 있다.

무용을 관찰하고 주제나 감상 느낀 점을 이야기 한다.

체험/이해

다양한 무용을 관찰하고 느낀 점을 이야기할 수 있다.

탐구/발견 다양한 무용을 관찰하고 주제를 발견할 수 있다.

친구들과 모둠활동을 할 소통 수 있다

체험/이해 모둠활동을 통해 친구와 교감할 수 있다. 탐구/발견 모둠활동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다.

Ⅳ. 무용교육표준 개발|65


3) 초등학교 5-6

단계

영역

실행

창작 3 level (초등 5-6학년 만11-12세)

감상

소통

목표 다양한 양식의 무용 동작을 할 수 있다.

주제를 무용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무용을 감상하고 형식과 특징을 발견한다.

움직임을 통해 의사 소통 할 수 있다.

수준

기대수준

체험/이해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인지하고 움직일 수 있다.

탐구/발견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하며 춤출 수 있다.

확장/응용

다양한 양식의 무용움직임을 할 수 있다.

체험/이해

주제를 선정하고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탐구/발견

주제를 탐구하고 움직임을 발전시킬 수 있다.

확장/응용

타교과와 연계하여 움직임을 확장할 수 있다.

체험/이해

다양한 무용을 감상하고 느낀 점을 토론할 수 있다.

탐구/발견

다양한 무용을 감상하고 무용의 형식과 특징을 탐구 할 수 있다.

확장/응용

타교과 속에 나타난 무용을 해석할 수 있다.

체험/이해

움직임을 통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다.

탐구/발견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움직임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확장/응용

생활 속에서 무용의 기능을 발견할 수 있다.

4) 중학교 1-3학년 단계

영역

실행

목표

움직임의 원리를

수준

기대수준

체험/이해

움직임의 요소와 원리를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다.

탐구/발견

다양한 무용형식을 경험하고, 그 특성을 탐구 할 수 있다.

확장/응용

무용움직임의 원리를 적용하여 유연하고 효율 적인 동작으로 확장할 수 있다.

체험/이해

다양한 움직임의 의미를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탐구/발견

창작 과정을 탐구하고, 작품을 독창적으로 구 성할 수 있다.

확장/응용

동시대적 매체를 활용하여 무용을 창작할 수 있다.

이해하며 춤춘다.

4 level (중등 1-3학년 13-15세) 창작과정을 탐구하고 창작

창의적으로 무용을 구성한다.

6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감상

무용을 관찰하고 비교분석한다.

타예술, 삶과의 관계 소통

속에서

무용을

한다.

체험/이해

무용표현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감상의 관점 의 차이를 토론할 수 있다.

탐구/발견

주제 및 형식을 관찰, 분석하여 사회문화적 맥 락으로 작품을 해석할 수 있다.

확장/응용

무용을 비교분석하여 역사적, 사회적 이해할 수 있다.

체험/이해

타예술과 연계하여 무용을 탐색하고, 그 의미 를 공유할 수 있다.

맥락을

이해 탐구/발견 사회문화적 교류를 통해 무용을 통합적으로 이 해할 수 있다. 확장/응용 일상 삶 속에서 무용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5) 고등학교 1-3학년 단계

영역

실행

창작 5level (고등 1-3학년 16-18세)

목표

조화로운 방법으로 춤출 수 있다.

독창적인 자신만의 방식으로 무용을 만든다.

수준

기대수준

체험/이해

연속적이고 조화로운 방법을 통해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탐구/발견

움직임의 원리를 적용하여 유창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확장/응용

다양한 영역의 자극을 활용하여 움직임을 확장할 수 있다.

체험/이해

개인의 성향을 반영하여 즉흥적으로 움직임을 표현 할 수 있다.

탐구/발견

무용을 만드는 과정을 이해하고 동작을 구성할 수 있다.

확장/응용

다양한 영역의 자극을 활용하여 무용을 창작할 수 있다.

체험/이해 무용을 감상하고 예술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감상

무용의 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탐구한다.

탐구/발견

무용을 감상하고 무용의 예술적 가치를 탐구할 수 있다.

확장/응용 무용의 사회문화적 역할을 발견할 수 있다.

소통

문화와 역사, 지역사회 에서의 무용의 관계를 이해한다.

체험/이해

다양한 민족의 무용을 경험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다.

탐구/발견

무용의 역사적 배경을 탐구하여 무용의 사회적 기능 을 이해할 수 있다.

확장/응용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무용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Ⅳ. 무용교육표준 개발|67



V. 결론 및 제언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예술교육으로서 무용의 가치를 규명하고 체계적인 교육표준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의 개념 및 가치를 탐색하고, 무 용교육모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및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외국의 무 용교육표준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둘째, 무용교육표준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표준 개발의 범위와 수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무용교육 전문가, 무 용교수,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담은 인터뷰를 통해 기술되었으며, 분석을 통해 교 육표준의 실제적 요구를 수렴하고 반영하였다. 또한 전문가 협의회와 연구진들의 집중작 업을 통해 무용교육표준의 구조 및 체계, 교육표준별 기대수준, 무용교육표준 활용 방안 등이 탐색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무용교육표준이 제시되었다. 무용교육표준은 댄스 리터러시(Dance Literacy) 계발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리터러시 는 글을 읽고, 쓰고, 이해하는 전반적인 능력을 뜻한다. 댄스 리터러시는 무용의 전반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풀어내는 통합능력을 의미한다. 즉 무용을 체험하고, 탐 구하고, 확장하는 과정을 통해 말하고, 쓰고, 보고, 읽는 종합적인 능력을 계발하는 것이 무용교육표준의 목표인 것이다. 그러므로 댄스 리터러시는 다양한 춤움직임 속의 상징과 의미를 이해하고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움직임을 창조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무용의미를 분석, 이해, 감상, 비판하는 총체적인 ‘무용알기’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무용교육표준은 실행, 창작, 감상, 소통의 영역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실행(춤추 기)은 신체 지각, 협응, 움직임의 요소 이해, 수행원리 습득 등과 관련되며, 창작(춤만들 기)은 움직임 창안, 동작 구성, 표현, 창작원리 이해 등과 관련된다. 감상(춤읽기)은 관찰, 분석, 해석, 작품이해 등과 관련되며, 소통(춤나누기)은 타 영역과의 교류, 통합, 공유, 사 회문화적 의미 이해,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과 관련된다. Ⅴ. 결론 및 제언|71


이러한 무용교육표준의 영역들은 학습내용과 방법에 따라 심화, 발전되는 과정을 거치 게 된다. 즉, 체험/이해 - 탐구/발견 - 확장/응용의 3단계를 거쳐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댄스 리터러시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체험/이해는 감각을 통한 움직임 체험과 인지적 이해의 단계이며, 탐구/발견 단계는 체험/이해의 단계를 심화 발전시켜 다양한 움직임을 경험하고, 비교 분석하 는 단계이다. 확장/응용의 단계는 탐구/발견의 단계를 심화 발전시켜 타 분야, 타 예 술과 연계 통합하여 실행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초중등 학제별 무용교육표준이 제시되었는데, 영역별 3가지 과정 을 거쳐 각각의 기대수준이 제시되었다. 기대수준은 영역 간, 과정별, 학제별 연계성과 계 열성을 고려하여 제시되었다. ․

이러한 무용교육표준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는 무용교육표준을 제시함으로서 예술교육 으로서 무용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둘째, 공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사교육현장에서의 무용교육표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셋째, 무용교육 영역별, 단계별로 제시된 교육표준은 무용교육 현장의 연계성과 계열성 을 보장할 수 있다. 넷째, 무용교육표준은 교육내용 및 교보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무용교육표준은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고 공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사교육에서도 교육기준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이는 무용의 교육적 가치가 현 대사회에서 점점 부각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다. 많은 학자들이 창의성, 감성의 교육으로서 예술교육을 주장하고 있지만, 입시위주의 우 리나라 교육현장에서는 그 본래의 가치를 찾기가 매우 힘든 실정이다. 더욱이 신체움직 임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무용은 현대인이 타인과 의사소통하는 중요 한 표현방법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렇듯 교육현장에서 무용교육의 미래는 그리 밝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의식은 무용교육 전반에 대한 반성과 함께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7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하는 노력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교육을 통해 무용이 움직임 기술 위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인간과 인간이 움직임을 통해 표현하고 소통하는 교육으로 서, 가장 기본적인 의사소통의 방법으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연계성과 계열성이 고 려된 무용교육표준의 적용을 통해 보다 합리적인 무용교육의 계획과 실행이 반복됨으로 써 무용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73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200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______________(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체육. 김화숙(2000). 초등학교의 창작무용학습을 위한 내용구성과 지도모형, 한국무용교육학 회,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______(2002). 제7차 교육과정 무용의 내용분석, 한국무용교육학회, 한국무용교육학회 지 제13권 제2호. 김화숙 외(2010). 무용교육의 힘, 서울: 댄스뷰. 남민우 외(2008). 국어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로버트 루트번스타인(2007). 생각의 탄생, 박종성(역), 서울: 에코의 서재. 무용교재연구회(2011). 무용 교수-학습 자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박은종(2007).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 및 발전적 모형.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뱀포드, M.(2006). 세계예술교육현장 리포트,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백령 (역) 서울: 한길아트. 재인용: 김화숙. 서예원(2000).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과정 연구”, 청주교대 논문집 제37권. 서예원 외(2011). 2011 무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신은경(1995). 학문 기반 예술교육 이론에 기초한 중학교 무용교육과정 모형 개발에 관 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윤정민(2010). ‘무용 교수-학습을 위한 뉴욕시 블루프린트’. 출처: 무용교육의 힘(2010). 한국무용교육발전추진위원회. 서울: 댄스뷰. 이성호(2006).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서울: 학지사. 이용숙 외(2005).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이희선(1993). 개인의미 교육과정 모형에 기초한 무용교육 목표와 내용에 대한 요구사 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______(1997). 무용교수계획 및 평가의 기준, 한국무용교육학회,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7집. 최경희(2002). 무용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한국과 미국의 교육내용 구성을 중 참고문헌|75


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13집 1호. 최경희(2002). 무용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제13권 제1호. 최의창(2011). 댄스 리터러시 또는 무용소양, 한국무용기록학회, 제 21권. 황연주 외(2004).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교육인적자원부. 황연주, 정연희, 서예원, 김용희, 이병준(2004). 초 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황준욱외 5인(2005). 무용 전문인력 형성 구조분석과 지원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예술 정책보고서. Gilbert, Anne.(2002). 다함께 즐기는 창작무용, 변재경외(역), 서울: 대한미디어. H'Doubler, Margaret(1957). 창조적 경험으로서의 춤, 성미숙(역), 서울: 현대미학사. Purcell, M. Theresa(2001). 어린이들을 위한 무용교육, 김두련(역), 서울: 금광. Barret, R. Kate(1984),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Phiadelphia : Lea&Febiger. Hanna, L. Judith(2001), The Language of Dance, JOPERD, Vol. 72 No.4. Ministère de l'Éducation, du Loisir et du Sport(2010a). Quebec education program: progression of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Dance. Québec, Canada. Ministère de l'Éducation, du Loisir et du Sport(2010b). Quebec education program: progression of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Dance. Québec, Canada. Minnesota Department of Education(2008). Minnesota Academic Standards, Arts K-12. MN, USA.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2005a). Standards for dance in early childhood. Bethesda, MD, USA.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2005b). Standards for learning and teaching dance in the arts: Ages 5-18. Bethesda, MD, USA. New York City Department of Education(2005). Bluepri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dance, grades prek-12. New York, NY.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____). The New Zealand curriculum, the arts. New Zealand.

76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NDA(1994), National Standards for Dance Education, Reston,Veirginia:A Dance Horizons book.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2009a).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8, the arts. ONT, Canada.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2010b).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9&10, the arts. ONT, Canada.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2010c).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1&12, the arts. ONT, Canada. Smith Autard(1994). The Art of Dance in Education. London: A&C Black. The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2010). Draft shape of the Australian curriculum: The arts. Austria. Tasmanian Department of Education(2008). The Tasmanian Curriculum Arts Curriculum Area K-10. TAS, Austria.

참고문헌|77


붙임자료 1 * 심층면담 내용 분석

무용교육표준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한 심층면담의 내용을 목표타당성, 영역 별 타당성, 단계별 방법 타당성, 학제별 목표 타당성, 기타 의견 등의 5개 항목으로 분 류하여 정리하였다. 면담 내용 중에서 전문가의 세부전공 영역이나 재직하고 있는 기 관의 실제 교육 상황과 연결시켜 진술한 의견이 많았는데 이중에서 무용교육표준연구 와 관련하여 유의미한 의견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 무용교육표준의 목표 타당성

무용교육표준의 목표로 제시된 댄스 리터러시의 타당성에 관한 의견은 대체로 댄스 리터러시 라는 용어와 개념을 대부분 어렵고 낯설어 하는 경향을 보였다. Cultural Literacy 로서의 댄스리터러시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였고 또한 현재 교육 환경과 관련시켜 차후에 현장 적용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동시에 무용 교육표준의 목표로서 신체 기능향상, 창작경험, 타인과의 소통, 창의적인 소통능력 등 을 제시하였다. 신○○ - 한국말로 충분히 설명 가능하게 설명해줬으면 좋겠어요. 댄스 리터러시라 고 하면 확 와닿지 않아요. ( ) 왜냐하면 이 내용이 예술교육에도 어려울 것 같아요. 과거에 영재 교육 연구에 자문을 한 경우가 있었는데, 이것은 일반교육인데 너무 어렵게 느껴져요. 나는 일반사람에게는 댄스 리터러 시 문해력 정도까지 가는 것이 조금 어렵다고 생각해요. 일반 사람들에 게는 무용을 즐기고 무용을 좋아하게 되고 같이 놀고 그런 거지 목표로서 문해력까지 갈 필요가 있나 생각 되요. 특히 이런 어려운 용어를 쓸 필요 가 있나요? ( ) 오락을 하면서도 자신의 신체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그 러면서 새로운 뭔가를 창조할 수 있고 ( ) …

,

.

78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석○○ - 저는 사실은 ( ) 어려워요. 한참 봐도 무슨 말인지 사실 잘 모르겠어요 ( ) 이런 목표는 간략할수록 좋지요. 저는 고등학교 위주로 살펴보았는데 그렇다면, 이 연구는 현실성이 전혀 없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저도 이렇 게는 못하고 있구요. 연구원 - 학제별 영역이나 성취기준은 초등학교 때부터 체계적으로 무용수업을 받 아온 아이들이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이 정도까지는 무용에서 다루어져야 한다는 가이드라인 ( ) 기준을 제시한 것이에요 석○○ - 그렇다면 이해가 가네요 ( )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 ) 더 중요한 것은 무 용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많은 사람들에게 무용을 하는 게 아니라 무 용을 좋아하게 하고, 그 문화에 접해져야 하고, 이를 감상할 수 있는 눈이 길러져야 하고, 내 삶속에서, 솔직히 말해 이 아이들은 졸업하고 나가면 이 제 일반인 이예요. 일반인이면 내 삶속에서 발레를, 한국무용을 하는 게 아 니고, 내 생활을 좀 더 풍요롭게 하는 문화예술로서 무용이 자리 잡아야 한 다고 저는 생각하는데, ( ) 그러니까 문화예술로서의 무용 다른 장르와 도 만날 수 있는 거 다른 사람과 만날 수 있는 것 춤이라는 것은 소통 이잖아요 여러 사람이서 춤을 추는 것.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만나는 것. 유○○ - 일반적으로 언어학에서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을 사용하는데, 나도 정확 한 개념은 모르겠는데 그것을 교육하고 전달하는 방법을 리터러시라고 얘기하잖아 동영상도 될 수 있고 시각적인 것도 될 수 있잖아 여기서는 어떤 걸 얘기하는지 ( ) 여기서는 무용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이해하고 풀어내는 능력만을 얘기하는지 ( ) 여기서는 어떤 걸 얘기하는지 ( ) …

.

,

,

,

.

최○○ - 대 전제에 통합능력 보다는 창의적 통합능력으로 창의적 역량의 중요 성이 부각되었으면 합니다. 다시 말해서 목표의 대전제 중에서, ‘무용의 전반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풀어내는 통합능력’을 ‘무용의 전반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풀어내는 창의적 통합능력으로 수정하여 Creativity가 부각이 되는 그런 형식으로 취하는 것이 좋겠다 고 생각됩니다.

참고문헌|79


(2) 무용교육표준의 영역별 타당성

무용교육표준의 영역으로서 춤추기/춤만들기/창작하기 등의 영역별 설정에 대해서 는 대체적으로 타당하다는 의견이었다. 그러나 세 영역 외에 라반 동작 분석이론에 근 거한 동작 읽기, 타 교과와의 연계와 통합을 강조하는 춤과 교류하기 등을 제안하였 다. 또한 무용을 보다 확장시켜 인문학, 문화적 접근, 과학적 이해 등과 접목시켜 교육 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필요도 제시되었다. 이와 관련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신○○ - 만약에 리터러시를 강조한다면 뭔가 춤 언어 읽기라는 영역이 있어야 될 것 같아요. 동작 읽기라고도 할 수 있겠죠. 춤을 출 줄도 알아야겠지만 동작 을 읽을 수도 있어야죠. ( ) 예를 들면 감정표현을 했을 적에 그 감정표현이 희극적인지 비극적인지 이런 것을 주제에 따라서 달라지는 걸 이해할 줄 알아야 해요. 이것은 아주 기초가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움직임의 원리라 고 합니다. 여기에서도 움직임의 원리, 규칙 이런 말을 쓰고 있더군요. 춤추 기도 중요하지만 춤동작 읽기도 굉장히 중요해요. 동작의 의미를 읽을 줄 알아야 춤추기도 잘할 수 있지, 나는 동작의 원리를 잘 알아야 춤을 잘 출수 있다고 학생들에게 설명해요. ( ) 그래서 나는 리터러시 정도가 나왔 으면 적어도 무용용어 같은 것은 기초적으로 배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 서 영역에서 하나의 영역을 (동작읽기) 더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

최○○- 매우 타당하고 잘 정리되었다고 판단됩니다. 춤과 교류하기 라는 새로운 하위 단위가 추가 되어 일반 지식교과와 춤을 연계하여 무용영역간의 통합 접목의 시도가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다이어그램에 나타난 춤추 기, 춤만들기, 춤감상하기 등의 영역이 있잖아요? 거기에 ‘춤과 교류하기’라 고 해서 일반지식 교과와 이런 것들을 연계하는 것이 필요해요. ( ) 요즘 통합 교육이 주된 것이고, 시대적 흐름이고 교육의 화두가 되고 있는데 무용과 일반 지식 교과하고 연계해서 일반 교과 또는 지식과 무용을 교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그게 맞을 것 같다는 판단이 듭니다. 하나의 영역이 추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거죠. ‘

80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석○○- 네 이런 영역분류는 아주 좋아요. 단, 1년 과정은 무용시수가 충분히 확 보해야겠지요. 무용시간이 일주일에 1시간 1년, 2년이면 더 좋지만, 1년 과정 동안 할 수 있지요. 이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한 것은 좋고, 개념 의미도 명확한 것 같아요. 이○○ - 감상 영역 안에 다 포함 될 수 있을지 새로운 이론 영역을 만들어야 할 지에 대해서 확신은 없으나 인문학 문화 사회 역사 배경 안에서 무 용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을 제공할 수 있는 영역이 있었으면 합니 다. ,

,

,

유○○ - 이 용어를 감상하기로만 하지 말고 그런 부분들이 같이 들어갈 수 있는 다른 용어로 바꿔도 될 거 같은데 ( ) 주어진 작품만 감상하고 토론 하는 게 아니라 리서치를 하고 아니면 자기가 직접 가서 무용이 이루 어지는 과정을 보고 하나의 보고서 형식으로 사람을 인터뷰 할 수도 있고 힙합하는 사람들을 인터뷰 할 수도 있고 말이야 단지 감상하기 이러면 작품 감상하기만 한다고 생각할 수 있잖아. 그게 아니라 이런 것들을 아우르는 용어가 필요하지 ( ) 다른 용어가 들어가면 감상하기 와 함께 춤을 만드는 거는 작품을 하면서 알 수 있지만 아이들이 과정 을 통해 알 수 있지만 아이들에게 소재를 주든 리포터를 주든 자기가 만나고 싶은 사람을 인터뷰해서 그 사람들이 살아온 과정이나 춤을 만 드는 과정을 춤을 보고 전반적인 것을 이해하는 기회가 되잖아. ( ) 김○○ - 너무 용어가 많이 쓴 것들 이예요. ( ) 새로운 것 한다면서요? 몸을 통 한 과학적 이해, 철학이 먼저 되고 이것이 건강과 연결되는 패러다임을 만들어야 해요. 이 시대에 춤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에 대한 연구진 들의 성찰이 더 깊어야 할 것 같구요. ( ) 그리고 이러한 단계가 아니 라 몸의 이해 → 예술적 이해 → 과학적 이해 이러한 단계로 무용수 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먼저 몸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고 나서, 움직임의 예술성을 이해하고 그것이 갖는 인문사회과학적 의미, 생물과학적 의미 등을 이해하는 것으로 나아가야 하지요. …

참고문헌|81


(3) 무용교육표준의 단계별 방법 타당성

무용교육표준의 단계별 방법으로서 제시된 체험/탐구/확장/소통에 관한 의견은 대 체적으로 타당하다는 의견과 함께 현재 교육 환경에서는 무용수업 시수 부족으로 인 한 탐구와 확장의 단계에 맞는 수업운영이 어렵다는 의견이 있었다. 무용교육표준의 방법으로서 제시된 체험/탐구/확장/소통의 단계는 타당한가라는 질문에 관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신○○ - 세 영역이 삼박자잖아요, 아까 말한 동작읽기가 춤추기에 정확하게 들 어간다면 모르겠는데 ( ) 난 동작읽기가 따로 있으면 어떨까 해요. 예 를 들면 춤언어 체험은 기본동작 습득, 움직임 단어, movement word 의 단계가 되고 춤언어 탐구는 기본동작의 발전, 움직임 구문, movement phrase의 단계로, 춤언어 확장은 다른 교과와의 연계, 움직 임 문장 movement sentence의 단계이고 춤언어 소통은 의미맥락이해, 움직임 단락, movement paragraph의 단계로 설명할 수 있죠. …

석○○ - 분류된 단계는 좋아요..그러나 현실성 있냐고 물어보면. 현실적으로는 그렇게 못하고 있어요. 수업시간이 그만큼 확보되지 않은 것이지요. 저 도 체험이 가장 첫째라고 생각해요. 무용을 체험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어려워하고 싫어하고 좋아할 수 없는 것이니까요. 그런데 현실적으로 1 번 체험만으로도 춤 출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해요. 제 상황으로는 체험 과 소통은 하고 있어요. 그러나 탐구와 확장은 못하고 있는 실정이지 요. 특히 탐구 단계는 거의 못하고 있어요. 탐구하니 관찰하니 뭐하다 보면 정말 몸을 움직여 춤 출 수 있는 시간이 너무 줄어들거든요. 소통 은 마지막 단계에서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요

82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4) 무용교육표준의 학제별 목표 타당성

무용교육표준의 학제별 목표의 타당성에 대한 의견은 목표의 학제별 연계와 통일성 에 대한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이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제별 목표가 그 내용과 수준에 있어 연계성과 통일된 방향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관한 전 문가 의견은 다음과 같다. 신○○ - 네, 맥락은 같다고 봐요. 네 단계가 목표에서도 구체적으로 진술되면 좋 겠어요. 초중고가 단계별로 발전되는 것이 보여 졌으면 좋겠어요. 예를 들어 초등학교 춤추기의 체험 이 중학교 춤추기의 체험 의 내용과 연계되어 발전된 모습이 보여졌으면 좋겠어요. 1

1

유○○ - 이거를 통일시키면 좋을 거 같아. 다 통일 할 수는 없지만 어느 부분에 가서는 뭐라고 얘기해야 하지, 고등학교에서 움직임의 개인적 의미추구 이러면 뭔가 커졌다가 축소되는 느낌이거든. ( ) 이거는 움직임에 대해 사회적인 가치를 이해하게 되는 거고 이거는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거지. ( ) 이것보다는 좀 더 깊이가 있는 개념인 거지 그런 의미로 썼거 든요 움직임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 ) 아니면 말을 바꿔서, 좀 더 확장 된 개념으로 써주면 ( ) 여기서는 잘 나가다가 여기서는 갑자기 소박해 져. …

최○○ - 고등학교 춤만들기에서 작품 창작과정을 이해하고 수준별 창작 표현을 통한 창작 경험 획득이 좀 더 부각 되었으면 하는 생각됩니다. 학제별 목표에서 예를 들어 고등학교 춤만들기를 보시면 체험, 탐구, 확장, 소통 이 안에서 창작과정을 이해하고 아이들의 수준별에 맞게 창작 표현된 것들을, 그런 것들이 창작 경험이라는 것이 좀 더 부각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생각은 중, 고등학교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죠. 참고문헌|83


연구원 - 같은 내용이 초, 중, 고에 적절하게 적용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말씀 하시는 거죠? 최○○ - 네. 춤만들기에서 작품 창작과정을 이해하고 예술창작의 경험을 직접적 으로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고 그들의 수준별 창작표현을 통해서 창작 경험 획득이라는 그 내용들이 좀 더 부각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 - 초등학교는 성장별 움직임 교육을 통하여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육성 하는 내용도 포함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중학생은 사회성발달과 타 예술과의 교류 및 통합적 사고교육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실 질적으로 개발되어 강사들에게 먼저 교육시키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고등학교는 무용의 사회적 역할 이해와 사회문화적 소통 능력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강사 교육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5) 무용교육표준에 관한 기타 의견

무용교육 전문가들의 무용교육표준 개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은 정확한 개념 및 명 확한 용어의 설명과 용어의 통일과 단계별 수준에 맞는 목표 진술 등을 요구하였다. 또한 무용교육표준에 따른 평가 기준의 제시와 질 높은 삶에 도움이 되는 무용, 무용 의 사회적, 문화적 역할에 대해서 지속적인 연구도 제안하였다. 현장의 무용교육전문 가로서 무용교육표준 개발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신○○ - 첫째 개념과 어휘의 의미를 정확하게 제시하고 둘째 용어의 통일과 단 계별 위계에 맞게 진술되었으면 합니다. 김○○ - 무용은 “공유어!”라는 최고의 장점을 지니고 있어요. 이 세상에 이 시대 에 가장 필요한 공존에 있어서 중요한 과목인 것이지요. 즉 바디 랭귀 지가 기본 교육 아니겠어요. 84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 바라는 점은 초등학교 교육에 무용교육을 집중하라는 것 이고, 10학년제로 학제를 변경하라는 것이에요. 그리고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먹힐 수 있는 춤의 기능을 춤교육의 가치를 쉽고 간단하고 명확하게 설 명해내는 표준이 만들어지길 바랍니다. 주어진 조건에서 벗어나, 무용의 문화 적 역할을 뽑아내라는 것이지요. 무용을 해서 뭐가 좋은지에 관한 내용이 목표 에 삽입되어야 합니다. 이 과목을 해서 학생들은 어떠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

최○○ - 평가는 왜 언급이 안 되었나요? 이런 무용교육표준에 맞춰서 평가 기 준을 제시해줘야 하지 않나요? 이번 프로젝트에서 연구가 안된다면 future study에서 무용교육표준에 준한 평가와 방법이 무엇인지 연구 해야 할 것 같은데 ( ) 어떻게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지 제시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 것들을 수치화 할 수 있 는 그런 모델이 필요할 것 같네요. 삶의 만족에 도움이 되는 순 기능 으로서 무용의 역할에 관한 부분이 조금 더 포함 되었으면 하는 개인 적 생각이 듭니다. 학교무용교육에 있어서 그것이 궁극적으로 질 높 은 삶에 도움이 되는 역할로서의 무용이 부각이 되었으면 좋겠다. ‘무용교육이 삶의 만족에 도움이 된다’무용 관람이나 체험을 통해서 무용교육이 삶의 만족에 도움이 된다 등이 목표에서 제시되면 좋겠습 니다. ‘질높은 삶을 추구하는 기능으로서의 무용?’ 이런 것이 대전제 에 포함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 - 표준가치를 제공하는 것 자체가 무용계에 지표를 제시하는 아주 중요하 고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일반 인문계에서의 교양 교육 으로서 지표를 시작해서 이제는 전공자들의 교육프로그램에까지 표준 가치들이 확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직도 어려워하는 창작(춤만들기)과 사회적, 이론적 측면인 소통영역은 그 자체 교육 프 로그램이 깊이 연구되어져 강사들에게 먼저 충분한 교육이 제공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 무용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서 더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참고문헌|85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