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02
contents 기관소개
사업소개
기관장 인사말
0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07
기관운영 성과
08
기관 예산서
09
부서 및 주요업무 소개
10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Chapter 01.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16
Chapter 0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20
Chapter 0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4
Chapter 02. 범 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7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30
Chapter 04. 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및 지역 확산
32
Chapter 05.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
33
Chapter 0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운영
34
Chapter 07. 소외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교육 지원사업
39
Chapter 08.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41
Chapter 09. 기업사회공헌 사업
42
Chapter 10. 문화 간 상호교류 및 소통 활성화 사업
43
Chapter 01. 예술강사 연수 운영
48
Chapter 02. 사회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운영
51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선택연수 운영
52
Chapter 04. 문화행정인력 연수 운영
55
Chapter 05.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56
Chapter 01. 연구 및 조사 사업
62
Chapter 02. 연구서비스화 사업
63
Chapter 03. 출판사업
66
Chapter 04.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 기반 조성 사업
67
Chapter 01.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70
Chapter 02. 해외 한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72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ODA사업
73
Chapter 04. 아·태지역 문화예술교육 정보구축 사업
75
Chapter 05. 해외 온·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축
77
Chapter 06.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DB관리 및 재가공
77
대외협력사업
Chapter 01.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80
2013 세계문화예술 교육주간
Chapter 01.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86
Chapter 02.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기념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90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아르떼 바로가기
목차
91
03
04
기관소개 Introduction of KACES
기관장 인사말
0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07
기관운영 성과
08
기관 예산서
09
부서 및 주요업무 소개
10
05
기관장 인사말 President’s Message
안녕하십니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박재은입니다. 2013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하루하루는 국민의 관심과 사랑 속에 그 어느 해보다 바쁜 날들이었습니다.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통해 전국 7,254개 교 초·중·고등학교 220만 명의 학생이 학교생활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만나고,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으로 농산어촌 등 문화소외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30개 교에는 문화예술꽃의 씨앗이 심어졌습니다. 제2의 인생을 꿈꾸는 5,300여명의 복지관 어르신들은 연극과 음악, 미술, 무용, 사진 수업을 통해 새로운 청춘을 마주하고, 멋진 음악가를 꿈꾸는 전국 30개의 “꿈의 오케스트라” 친구들은 베네수엘라에서 온 친구들과 즐거운 선율을 함께 연주했습니다. 가족과 함께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아이들에게 엄마 아빠와의 시간을 되찾아 주었고, “무지개다리 사업”은 어색하기만 하던 이주민과 선주민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다리가 되었습니다. 한편 예술강사 및 예술가, 전문인력 등 6,794개 일자리 창출,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강화를 위한 121회 연수 추진, 3,469명의 문화예술 교육사 배출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저변을 확대하였으며, 5월 4째주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에서는 387개의 프로그램으로 약 4만 명의 국민들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장을 열었습니다. 진흥원 안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오랫동안 정들었던 옛 청사를 떠나 새롭게 마포에 터를 잡고 기존 2본부 1실 7팀 1센터에서 3본부 1실 11팀으로 조직체계도 재편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앞으로 진흥원이 보다 전문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든든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한 해의 끝에는 언제나 현장에서 만난 한 분 한 분의 웃음과 열정, 응원의 메시지가 큰 행복으로 남아있음을 발견합니다. 이 행복의 에너지를 밑거름 삼아 국민 모두가 일상 가운데 문화예술을 즐기고, 문화예술교육의 활동주체가 되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이 문화로 풍요롭고 행복한 나라가 될 수 있도록 2014년에도 문화예술교육으로 여러분을 찾아가겠습니다. 문화로 풍요롭고 행복한 대한민국이 되는 그날까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06
박재은
기관장 인사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Introduction of KACES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의거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입니다. 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을 통해 개개인의 문화예술 향유능력 및 창의력을 함양시키고, 전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교육진흥원에서는 학교문화예술교육지원, 사회문화예술교육지원, 문화예술 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문화예술교육 학술연구 및 조사,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업무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CORE VALUES
문 화 예 술
핵심가치
통한
VISION 비전
생 상
교
C
을 생
축
N
한 위
구
C O-ED
U -I N F R A
문화예 술교 육 선 순환 적
원 의문 화 예술교 육 지
체계
협력 CO-O 체 PE 계 R AT IO
공존
술
구축
과
위한 문화예
협력 체계
E ENC T S I EX 교육 강화 O
향
생
육
실현
삶의 질 상
을
축 구
문화예 술체 험을
미션
상
강화 교육 술 예 문화
계층 대,
MISSION
감 증진 해공 간이
창의 CO-C 성 RE 함 A TI 창의 VI 성 고양 T
Y
세 한 CY 통 RA 을 ITE 고 -L 용력 재 CO 문화수
양
상
교육기반 질적 제고 문화예술 교육 인프라 강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07
기관운영 성과 2013 Results
문화예술교육 부문의
우리 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 됨에 따라 매년
지속적인 성장
문화예술교육분야의 예산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총 예산 798억에 비해 2013년에는 처음으로 1천억원을 넘어 1,089억원이 편성되어 국민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와 진흥기반 조성을 위하여 투입하였습니다.
마포 신청사 이전을 통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05년 설립이후 국가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중추 기관으로서 국민의
업무 및 교육공간 확보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 문화역량 강화에 기여해 왔습니다. 진흥원은 2005년 경복궁 내 임시 청사에서 첫 업무를 시작하여 2006년 삼성동, 2008년 구로구 청사를 거쳐 2013년 9월 마포구에 새 둥지를 틀게 되었습니다. 청사 이전을 통해 업무공간 확대 및 교육·연수 공간의 확보로 새로운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아울러 보다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사업 수행을 위하여 기존 2본부 1실 7팀에서 3본부 1실 11팀으로 조직개편을 추진하였습니다.
문화예술 일자리 확대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및 사회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예술가, 전문인력 등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2013년에는 총 6,794개의 일자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학교 문화예술교육
매년 학교 교육현장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전국 17개 시·도청
활성화
및 시·도 교육청, 16개 시도 운영기관과 함께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3년 에는 전년 대비 85억 원이 증액된 616억 원을 투입하여 전국 7,284개 교 약 220만 명의 학생이 문화예술교육을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지난 해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개정 이후, 2013년부터 국가자격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자격제도 시행
3,469명이 취득하였습니다.
08
기관운영 성과
기관 예산서 Budget Plan
※ 단위: 백만 원
79,873
2012
108,941
2013 0
50
사업 구분
학교문화 예술교육 활성화
100
사업 명
2012년
2013년
예술강사지원
50,256
58,846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
2,500
2,500
250
-
창의경영학교
70
300
53,076
61,646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
12,000
16,526
생활문화공동체 지원
1,200
1,180
소외아동 오케스트라 지원
3,608
4,308
직장인 동아리 활동 지원
120
-
사회문화예술교육 기획
380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소계
사회문화 예술교육 활성화
오케스트라 기반조성 소계
-
300
17,308
22,314
토요문화학교운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
5,000
18,000
문화다양성 증진 및 정책환경 개선사업
문화다양성 기반조성·소통 활성화 지원
420
2,510
문화부 공무원 연수
문화부 공무원 연수
22
11
문화예술교육 ODA
문화예술교육 ODA
-
100
관광자원 활성화
강변문화과 주말체험 프로그램
90
-
진흥원운영비
진흥원운영비
총계
기관 예산서
150
3,957
4,360
79,873
108,941
09
부서 및 주요업무 소개 Divisions
조직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 진흥 기반을 확충하고 업무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3본부 1실 11팀 2TFT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장
대외협력팀
학교문화예술교육본부
사회문화예술교육본부
교육진흥본부
기획전략실
학교교육팀
사회교육팀
인력양성팀
경영기획팀
창의사업팀
융합사업팀
국제교류팀
재무회계팀
정책연구팀
꿈의오케스트라 TFT
문화예술교육사 TFT
정보화팀
학교문화예술교육본부
10
팀 구성
세부 내용
주요업무
학교교육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문화의 창조자로 성장시키고, 지역과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지역여건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산 시킵니다.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
창의사업팀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 모델 발굴과 확산을 위해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 예술강사 신규분야 시범운영,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지원사업 등을 추진합니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 예술강사 신규분야 시범운영, 문화 다양성 증진 및 정책환경 개선사업
정책연구팀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지원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질적 향상을 위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연구 및 조사 사업을 수행합니다.
연구 및 조사 사업, 연구서비스화 사업, 출판 사업
부서 및 주요업무 소개
사회문화예술교육본부 팀 구성
세부 내용
주요업무
사회교육팀
문화예술교육이 누구에게나 행복하고 즐거운 일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주체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만들어갑니다.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 범 부처 협력 문화 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 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운영, 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및 지역 확산, 생활문화 공동체 만들기 사업 운영
융합사업팀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파트너들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문화예술교육 모델을 발굴하고 시도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이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합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운영,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특별한 하루>운영, 기업 사회공헌 사업 운영
꿈의 오케스트라 TFT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상호학습과 협력을 통한 다면적 성장을 돕고, 지속적으로 양질의 콘텐츠와 인재양성을 위한 기반을 구축합니다.
지역 거점형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오케스트라 교육 전문 인력 양성, 해외 전문가 초청 워크숍
팀 구성
세부 내용
주요업무
인력양성팀
문화예술교육의 창의적 리더와 인재를 육성하고, 다양하고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 그램을 기획·운영합니다.
문화예술교육 ArtE Academy: AA 운영, 학교·사회 예술강사 연수 운영,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 아르떼 동아리 / 문화도담 운영,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연수 운영 / 문화행정인력 연수 운영
국제교류팀
국내·외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례, 예술교육 철학 및 방법론 등을 교류하며 국제 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하고 있습니다.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해외 한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아·태 지역 문화예술교육 정보구축 사업, 해외 네트워크 구축 및 콘텐츠 관리
문화예술교육사 TFT
문화예술교육인력의 질적 제고 및 사회적 공신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를 도입·운영합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위탁운영,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 운영기반 조성
교육진흥본부
대외협력팀 팀 구성
세부 내용
주요업무
대외협력팀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목표로 대중과의 소통에 중점을 둔 정책공감 사업을 추진, 소통과 상생의 문화예술교육을 만들어갑니다.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정책사업 홍보, 문화예술교육 홍보 캠페인 기획·운영,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기념 행사 기획· 운영, 아르떼365 제작·운영, 온오프라인 홍보물 제작 및 확산
팀 구성
세부 내용
주요업무
경영기획팀
기관 비전 및 미션에 따른 경영계획 수립과 이에 따른 성과관리를 통해 효과적인 조직운영방향을 제시하고, 조직 핵심역량 강화를 통해 정책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업무를 수행합니다.
기관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및 혁신업무, 기관 경영·성과 관리 평가 및 관리, 대정부·대외업무, 인사 노무 관리 업무, 계약 및 구매, 입찰 업무, 청사 및 자산 관리
재무회계팀
예산총괄, 집행 등의 회계업무를 통해 진흥원의 예산 수립과 집행, 사업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각 팀의 업무를 지원합니다.
예산관리 및 운영, 회계결산 및 감사, 각종 세무신고 및 제세 납부 관리
정보화팀
전 국민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상시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문화예술교육 허브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응용시스템 및 IT인프라를 운영, 지원합니다.
정보화 기획 및 구축, IT인프라 운영 및 관리, 각 팀 정보화 관련 업무 지원
기획전략실
부서 및 주요업무 소개
11
12
사업소개 Introduction of Business Activities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15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47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61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69
대외협력사업
79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85
13
14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Project for School Arts & Culture Education
Annual Report 2013
Chapter 01.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16
Chapter 0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20
15
Chapter 01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사업내용 전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감수성을 기르고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문화예술교육활동을 지원합니다. 2013년에는 8개 분야 4,485명의 예술강사가 전국 7,254개 교에서 교육활동에 참여하였습니다.
세부실적
추진체계도
문화체육관광부
사업계획 수립
사업지원총괄
교육부 사업지원
국고보조
시·도 자치단체 사업지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운영총괄
사업비 재교부 <국고 50%, 지방비 50%>
사업비 재교부
16개 국악운영단체 국악 강사 선발 및 배치, 지원
지방교육 재정교부 <사업비 50% 보조>
시·도 교육청 지원학교 선정
16개 광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7개 분야 선발 및 배치, 지원
전국 초·중·고등학교 - 선정 학교 예술강사 교육활동 진행
16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전국 17개 시도 7,254개 교에 국악 등 8개분야 예술강사 4,485명 지원
2% 4%
1%
3%
4%
9,669
17%
42%
4,485
19%
학교 수 5%
40%
1,323,506
19%
강사 수
45%
수업 시수 4%
5%
15%
17%
16%
구분
학교 수
강사 수
국악
4,090
1,799
600,549
연극
1,541
767
193,899
영화
445
245
57,834
무용
1,678
851
254,670
만화·애니메이션
1,083
466
132,043
공예
378
167
37,760
사진
208
66
16,843
디자인
246
124
29,908
9,669
4,485
1,323,506
※ 단위: 개 교·명·시수
계
지원학교는 7,254개 교임
교육기자재 지원
10%
10%
11%
※ 교육 분야별 복수지원 제외시
1% 3% 2%
3%
수업 시수
사업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을 위해 분야별 신규 운영학교에는 수업에 필요한 교육기자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13년에는 연극, 영화, 무용 등 총 7개 분야의 내실 있는 교육을 위해 전국 1,824개 교에 교육기자재를 지원하였습니다.
세부실적 분야
교육과정
지원품목
연극
창의적 체험활동
조명세트
270
영화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동아리
촬영세트
178
초,중,특수학교
탈춤한삼, 스피커
393
고등학교
부채, 스피커
11
무용
※ 단위: 개
Annual Report 2013
지원 학교 수
만화·애니메이션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동아리
조트로프, 만화큐브 등
423
공예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동아리
청자토(10kg), 한지제작세트
240
사진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동아리
포토프린터기
150
디자인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동아리
버튼제작기
159
계
1,824
17
예술강사 교육활동 및
사업내용
운영학교 협조도 평가
예술강사 교수 능력 평가를 통한 전문성 강화 및 교육현장에
1% 4%
3%
10%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지원을 위해 8개 분야 예술강사 4,115명을 대상으로 교육활동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19%
세부실적
41%
4,115 예술강사 5% 17%
※ 단위: 명
교육위원회 운영
구분
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메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
계
예술강사
1,675
693
210
797
420
151
59
110
4,115
사업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이 현장을 기반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해당 분야별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교육위원회를 운영합니다. 국악, 연극, 무용, 미술, 미디어, 음악, 인사·노무 등 총 26명을 위촉하여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선발·심의, 학교선정, 기자재 지원, 교육활동 평가, 예술강사 처우개선 등에 대한 사항 의결 및 자문 역할을 수행합니다.
세부실적 제5기 교육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운영기간(임기): 2013년 7월~2014년 7월, 1년간 <교육위원회 구성>
※ 단위: 명
교육위원
국악
연극
무용
미술
미디어
음악
인사노무
계
계
3
3
3
6
6
3
2
26
<교육위원회 운영>
18
구분
날짜
4기 교육위원회 이임식
4월 8일(월)
5기 교육위원회 위촉식
6월 21일(금)
2014 예술강사 지원사업 계획수립을 위한 교육위원회 정례회의
10월 2일(수)
2014 예술강사 지원사업 강사 심사 관련 무용분야 교육위원회 회의
10월 18일(금)
2014 예술강사 지원사업 강사 심사 관련 국악분야 교육위원회 회의
10월 29일(화)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관계기관 협력 강화
사업내용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17개 시도 교육청 및 자치단체, 16개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및 국악운영단체 등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주체 간의 인식 공유와 협력 강화를 위한 워크숍을 운영하여 지속적인 소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세부실적 예술강사지원사업 관계자워크숍 2~11월, 총 3회 구분
날짜
장소
1차 관계자워크숍
2월 25일~2월 26일
서울
2차 관계자워크숍
6월 3일~6월 5일
제주
3차 관계자워크숍
9월 30일~10월 1일
서울
예술강사지원사업
사업내용
제도개선
예술강사지원사업의 운영기관 순차이관 과정에 있어, 세부운영체계 마련을 위한 업무매뉴얼을 제작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예술강사지원사업 실무매뉴얼 제작 운영기관, 예술강사, 운영학교 등 매뉴얼 제작을 통해 기본적인 운영관리 등 주요사항 안내
신규분야 시범사업
사업내용 학교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수요 증가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문화예술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관현악, 미디어아트, 미술 분야를 시범 운영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단위: 명
Annual Report 2013
구분
관현악
미디어아트
미술
계
학교 수
86
10
22
118
강사
80
11
19
110
수혜자
1,414
129
358
1,901
19
Chapter 0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내용
운영 지원
전국 30개 소규모 초등학교 전교생이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교육환경을 지원하여 공교육 내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우수 모델을 창출·확산하여 지역사회 내 문화예술교육 거점기관으로 육성하는 지원사업 입니다. · 2~4기 지역 및 분야 구분
4,000
2기 3,000
1,988
2기
2,000
3기
1,457
670
3기
0
전교생 수 총계
4기
20
학교 명 서상초등학교
전교생 수 48
강원
공연
인제남초등학교
265
경기
국악
만선초등학교
104
경기
음악
옥천초등학교
281
경남
서양악
남포초등학교
42
경북
시각
백원초등학교
68
대전
국악
대전대신초등학교
85
대전
공연
동명초등학교
85
부산
국악
배영초등학교
58
전남
공연
한천초등학교
54
전남
음악
현산초등학교
61
전북
국악
간중초등학교
95
전북
국악
남원초등학교
400
제주
서양악
영평초등학교
142
충남
통합
거산초등학교
119
충북
서양악
칠성초등학교
81
경기
통합
수남초등학교
55
경남
국악
거류초등학교
132
경남
서양악
창호초등학교
55
대구
서양악
대구덕성초등학교
311
대전
국악
남선초등학교
59
부산
통합
서명초등학교
230
서울
통합
서울개화초등학교
242
전남
공연
고서초등학교
138
전북
국악
당북초등학교
170
충남
공연
성남초등학교
1,988
65 1,457
소계
4,115
※ 단위: 명
분야 시각
소계
1,000
4기
지역 강원
서울
공연
서울창천초등학교
220
울산
서양악
함월초등학교
308
제주
공연
북촌초등학교
70
충북
음악
오선초등학교
72
소계
670
총계
4,115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충북 충남 강원 제주 세종
2011~2014 학교 수(2기)
-
1
-
-
-
2
-
2
2012~2015 학교 수(3기)
1
1
1
-
-
2013~2015 학교 수(4기)
1
-
-
-
-
계
2
2
1
0
0
1
1
2
2
1
-
-
1
1
-
2
1
-
-
-
-
3
1
3
1
3
3
2
계
-
16
-
-
10
1
-
4
0
30
1
1
1
1
-
1
-
-
1
-
-
3
2
2
2
2
분야
음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메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
뮤지컬
기타
계
2011~2014 학교 수(2기)
10
1
-
-
-
1
-
1
1
2
16
2012~2015 학교 수(3기)
5
1
-
-
-
-
-
-
1
3
10
2013~2015 학교 수(4기)
2
-
-
-
-
-
-
-
2
-
4
계
17
2
0
0
0
1
0
1
4
5
30
※ 위 제시된 분야 중 음악분야는 서양악 / 국악 / 합창 등을 포함 / 기타분야: 생태 등
세부실적 · 신규 예술꽃 씨앗학교 4개 교 선정(2011: 16개 교, 2012: 10개 교, 2013: 4개 교 선정 / 2008: 10개 교) · 전문가 컨설팅 진행(2013.1~2 / 2013.6) ① 옥천초(경기) ② 한천초(전남) ③ 남원초(전북) ④ 배영초(부산)
·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관계자 대상 워크숍 실시(연간 총 2회 개최) · 1기 예술꽃 씨앗학교 실태조사 연구(2013.9~12) · 예술꽃 씨앗학교 성과평가 연구(2013.8~12) ·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 대외홍보(홈페이지 개선, 홍보영상 및 브로슈어 제작 등)
①
②
③
④
“친구들과 더 많이 친해지게 되고 대화도 많이 할 수 있게 되었어요” | 만선초 5학년 최용문 학생 |
수혜자 피드백
“예술꽃 수업을 통해 마음도 차분해지고 안정화됨을 느꼈고, 친구들과도 더욱 친하게 지내게 되었습니다” | 서명초 5학년 황이슬 학생 | “우리의 작은 재능으로 다른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는 것과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 현산초 6학년 윤하민 | ※ 예술꽃 씨앗학교 홈페이지: http://flower.arte.or.kr
Annual Report 2013
21
2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Project for Community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nual Report 2013
Chapter 0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4
Chapter 02. 범 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7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30
Chapter 04. 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및 지역 확산
32
Chapter 05.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
33
Chapter 0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운영
34
Chapter 07. 소외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교육 지원사업
39
Chapter 08.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41
Chapter 09. 기업사회공헌 사업
42
Chapter 10. 문화 간 상호교류 및 소통 활성화 사업
43
23
Chapter 0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아동양육시설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지원
아동양육시설의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6개 분야(국악, 무용, 미술, 연극, 영화, 음악)의 문화 예술교육을 체험 및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복지기관 내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연 30회, 60시수의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교육지원금 및 교육기자재를 지원합니다.
세부실적 · 160개 복지기관 대상 교보재 및 현장학습, 교육기자재 지원 · 분야별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2013.8~10)
※ 실제 아동복지시설 수는 160개로 분야별로 산출한 수치로 기입함
구분
수혜기관 수
수혜반 수
수혜인원 수
예술강사 수
국악
33
58
646
33
무용
22
33
413
16
미술
51
82
897
38
연극
28
44
570
29
영화
40
64
755
36
음악
56
98
1,142
36
총계
230
379
4,423
188
노인복지관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지원
복지관 내 노인을 대상으로 5개 분야(연극, 무용, 음악, 미술, 사진)의 문화예술교육을 체험 및 창작,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와 협력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세부실적 · 169개 노인복지관 대상 교보재 및 현장학습, 교육기자재 지원 · 분야별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2013.8 ~10)
※ 실제 노인복지관 수는 169개로 분야별로 산출한 수치로 기입함
24
구분
수혜기관 수
수혜반 수
수혜인원 수
예술강사 수
무용
50
51
1,196
24
미술
43
43
1,060
15
연극
70
70
1,600
43
음악
74
74
1,680
26
사진
33
33
860
10
총계
270
271
6,396
118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청춘제 운영
사업내용 노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한 어르신들이 가족과 시민들과 함께하는 축제를 기획 운영하였습니다. 2013년부터는 지원 프로그램 전 분야로 범위를 확대하여 더 많은 참여자에게 무대 공연 경험 및 작품발표의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세부 사업실적 | 청춘제 운영(2013.11.16~17,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 · 참여자: 22개 복지관 387명(공연 13개팀 211명, 전시 9개팀 176명) · 관객: 120명
“지금 제가 도전하는 것 자체만으로 삶의 행복을 느끼고 있습니다.”
어르신 한마디
| 사하 사랑채 노인복지관 박청자 어르신 | “함께 연습하고 도와주는 동료들이 있어 포기하지 않고 여기까지 왔습니다.” | 중마 노인복지기관 박혜숙 어르신 | ※ 청춘제 홈페이지: http://artesenior.or.kr/
장애인복지관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지원
복지관 내 장애인을 대상으로 4개 분야(무용, 음악, 미술, 영화)의 문화예술교육을 체험 및 창작,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와 협력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신규 분야 시범사업으로 방학 프로그램 지원사업과 예술가 연계 장애인 생활 공동체 사업을 실시 하였습니다.
세부 사업실적 · 96개 장애인복지관 대상 교보재 및 현장학습, 교육기자재 지원 ·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시범사업 운영 · 분야별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2013.8~10)
※ 실제 장애인복지관 수는 96개로 분야별로 산출한 수치로 기입함
Annual Report 2013
구분
수혜기관 수
수혜반 수
수혜인원 수
예술강사 수
무용
48
48
530
34
미술
47
47
490
14
영화
18
18
187
6
음악
24
24
250
13
총계
137
137
1,457
67
25
아동 문화예술교육
사업내용
시범사업
평소 문화예술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운 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학, 미디어 등 새로운 문화예술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세부 사업실적 · 지역아동센터 희망분야 수요조사 및 공모 실시(2013.4~5) · 지역아동센터 교육 현장 모니터링 실시: 운영단체·전문가(2013.8~12) · 지원사업 운영단체 중간 및 결과 공유회 개최(2013.9, 12)
26
구분
지원건수
수혜시설
수혜인원
예술강사
지역아동센터
14
336
6,154
274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Chapter 02
범 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군 체험형 문화예술교육
사업내용
지원사업
장병들의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군대생활 적응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자기 개발과 취미생활로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정책 사업입니다. 매년 국방부와 협력하여 군부대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지원 하고 있습니다.
세부 사업실적 · 군부대 희망분야 수요조사 및 공모 실시(2013.1~2) · 군 장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특강(2013.11 / 국방대학교)
구분
지원건수
수혜시설
수혜인원
예술강사
군부대
102
180
3,939
226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
사업내용
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은 사회복귀를 준비하는 교정시설 수형자와 소년원학교 재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스스로를 돌아보는 계기를 부여하고, 교정에서 자율적인 교화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세부 사업실적 · 교정시설·소년원학교 희망분야 수요조사 및 공모 실시(2013.1~2)
Annual Report 2013
구분
지원건수
수혜시설
수혜인원
예술강사
교정시설
36
42
573
40
소년원학교
10
10
215
18
총계
46
52
788
58
27
청소년비행예방센터·
사업내용
치료감호소 문화예술교육
비행 초기 인성교육이 필요한 청소년 및 정신질환 재소자 등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감성
지원사업
증진과 사회성 개발, 올바른 인성교육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세부 사업실적 · 청소년비행예방센터·치료감호소 희망분야 수요조사 및 공모 실시(2013.1~2)
구분
지원건수
수혜시설 수
수혜인원 수
예술강사 수
청소년비행 예방센터
9
9
127
20
치료감호소
4
1
95
7
총계
13
10
222
27
산업단지 문화예술
사업내용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사업
산업단지 입주기업 CEO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노·사간 화합 및 산업단지에 대한 소속감과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한국산업단지공단과 협력하여 진행되여, 교육 참가자들은 산업단지에서 제공되는 활동공간과 기자재를 통해 동아리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받게 되며, 연말에는 종합발표회에 참여하게 됩니다.
세부 사업실적 · 국가산업단지 희망분야 수요조사 및 공모 실시(2013.1~2) · 제 3회 산업단지 아티스트 행복 페스티벌 개최(2013.11 / 시화비즈니스센터)
28
구분
지원건수
수혜시설
수혜인원
예술강사
산업단지
17
9
795
33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방과 후 문화예술교육
사업내용
지원사업
청소년수련관·청소년문화의집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방과 후 활동을 통해 예술 분야에 대한 감성을 키우고 예술가가 되어 직접 무대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공연을 만드는 과정에서 다양한 관계를 경험하며 타인과의 소통, 미래에 대한 뚜렷한 목표설정과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부 사업실적 · 청소년수련시설 희망분야 수요조사 및 공모 실시(2013.1~2) · 공연화 사업 결과발표회(2013.9~11 / 총 10개 권역별 발표회 개최)
구분
지원건수
수혜시설
수혜인원
예술강사
청소년 수련시설
11
46
4,632
23
학교 밖 청소년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학교 밖 청소년(가출·자립·탈학교 등)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을 체험 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의 치유와 자신감 회복뿐만 아니라, 사회구성원으로써의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세부 사업실적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쉼터 희망분야 수요조사 및 공모 실시(2013.1~2)
Annual Report 2013
구분
지원건수
수혜시설
수혜인원
예술강사
청소년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비인가대안학교 등
30
31
774
55
29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사업내용
(友樂部落) 기획 운영
창의예술캠프는 11~13세 아동들이 방학기간동안 일상을 벗어나 낯선 공간에서 “예술가”와 함께 놀며, 예술작업을 하는 행위를 통해,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고 예술적 감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세부 사업실적 · 우락부락 season 7 ‘노란잠수함’(2013.8.8~8.12 / 숲체원)
※ 단위: 회 / 개 / 명
구분
회차
프로그램
참가자 수
우락부락 season 7 ‘노란잠수함’
1
12
174
2
12
170
“아쉽고 더 놀고 싶어요~ ㅠㅠ 좋은 것은 자유롭다는 것!! 정말 좋아요♡!!”
캠프 후기
“수업과 파티 모든 것이 특별했다.” “다음에는 못 오지만 다른 동생들한테 분명히 말해줄 것이다.” “재밌고, 다시 첫째 날로 돌아가고 싶고, 웰컴파티가 좋았다.” <학교 밖에서 배운다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창의캠프 ‘우락부락’> - 서울신문, 2013.8.13 게재 · 숲속을 다니며 짧은 영화를 만드는 ‘짬뽕잠수함’에 올랐던 임준혁군은 “학교가 아닌 숲에서 영화를 찍는게 정말 재밌었다. 2박3일이 너무 짧다”고 웃었다.
※ 우락부락 홈페이지: http://www.woorockboorock.or.kr/ ※ 우락부락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woorockboorock
30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내용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평소 문화예술 혜택에서 소외된 지역의 아동 및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문화예술교육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통합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심미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부 사업실적 · 참여기관 현황 구분
아동복지시설
지역아동센터
분교
노인복지시설
경로당
총계
기관수
25
26
1
18
43
113
프로그램
비추어락
우리지금만나
별빛정거장
상상공작소
춤마실고고
수혜자 수
163
165
204
219
1,406
· 수혜자 현황 대상
※ 단위: 명
Annual Report 2013
아동
노인
총계 2,157
31
Chapter 04
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및 지역 확산
시민 문화예술교육
사업내용
대상 확대 사업
사회적기업과 시민문화공간을 대상으로 문화적 공공성에 근거하여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생활권 내에서 주체적으로 문화를 생산하고,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민간 주체의 자율성과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사업 전략 개발, 인적 역량 강화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세부 사업실적 · 운영단체 사업설명회 개최(2013.7) · 시민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기초 연구(2013.7~12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시민 문화예술교육 컨설팅단 운영(2013.9~12 / 희망제작소) · 시민 창조조직 발굴 사업 추진(2013.7~2014.2 / 한국과학기술원) - 시민 문화예술교육 커리큘럼 개발: 총 3개 분과, 7인 기획단 운영 - 시민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운영: 총 20개팀, 40명 참여 · 시민 문화예술교육 정책 포럼 ‘시민과 예술가의 협업과 공감을 통한 일상의 재구성’ 진행 (2013.12 / 예술가의집 / 총 120명 참석)
구분
지원건수
수혜시설
수혜인원
예술강사
사회적기업 시민문화공간
12
23
2,395
23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사업내용
지원사업
문화지원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상을 중심으로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문화자원을 고려하여, 지역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기획·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 17개 지방자치단체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16개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협력하여 지원사업의 효율적 사업관리체계를 확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세부 사업실적 · 광역센터 관계자 워크숍 개최(2013.3, 7, 11 / 총 3회 개최) · 지원사업 전략 컨설팅 지원(2013.6~12 / 문화다움) ·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협력(9개) 운영단체 시리즈 워크숍 개최 (2013.7~9 / 강원권, 경상권, 전라권, 충청권 등 총 4회, 286명 참석)
3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Chapter 05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 사업내용 복권기금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임대아파트, 서민 단독주택 밀집지역, 농산어촌 등 전국의 문화 소외지역에서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이웃과 소통하고 마을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주민공동체 만들기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세부 사업실적
※ 생활문화공동체 홈페이지 www.facebook.com/livingcultures ※ 생활문화공동체 블로그 www.livingcultures.tistory.com/
Annual Report 2013
· 성과지표 개발 및 평가 (2013.7~12 / 코뮤니타스)
· 수행단체 통합워크숍 개최 (2013.9,11 / 총 2회 개최, 69명 참석)
· 수행단체 컨설팅 지원 (2013.9~12 / 총 6개 단체 지원)
· 수행단체 케이스스터디 개최 (2013.10~11 / 총 3회 개최)
구분
지원 활동 수
수혜인원 수
참여예술인 수
문화예술창작집단 울림
220
418
15
예술과마을네트워크
105
1,360
106
지역문화자원연구회
85
480
11
우리동네나무그늘
110
3,092
21
함께사는 성북마을 문화학교
274
3,410
14
너른고을생협
43
915
17
문화숨
108
256
15
커뮤니티스페이스리트머스
87
332
30
우각로 문화마을
189
2,080
20
농소1동 주민자치위원회
38
1,300
8
금샘마을공동체
200
1,704
11
성공회원주나눔의집
302
2,160
189
춘천시문화재단
300
6,040
3
경남독립영화협회
111
550
7
문화예술교육연구소 사람과삶
90
783
9
(재)부천문화재단
64
854
17
감골주민회
216
900
16
부래미축제학교
71
575
9
(사)문화공간 빈빈
65
653
0
희망세상
144
511
5
사회적기업 꿈꾸는씨어터
102
1,513
62
만촌해피타운운영협의회
288
125
3
(사)서곡생태마을
64
806
15
솔마당 마을
24
535
7
(사)간디공동체
50
190
15
(사)보성소리마당
35
160
4
학산종합사회복지관
173
2,935
15
총계
3,558
34,637
644
33
Chapter 0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운영 사업내용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 등이 함께 주관하는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주5일 수업제를 맞이하여 매주 토요일 아동·청소년이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가족 간 소통할 수 있는 여가문화를 조성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세부실적 · 전국 537개 문화예술기관·단체에서 프로그램 운영 · 광역센터 연계사업(311개 프로그램)과 교육진흥원 직접 기획사업(국·공립기관 연계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그램, 해외유수프로그램 연계 프로그램/226개 프로그램) 운영 · 아동·청소년 및 가족 29,116명 프로그램 참여 · 사업의 성과 확산을 위한 성과평가, 기획자·강사 대상 연수 프로그램(꿈다락 기획학교) 운영, 홍보물/계간지/방송콘텐츠 제작·발행
광역센터 연계사업
사업내용 16개 시·도별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연계하여 지역 내 문화예술기관·단체와 협력, 주말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여가문화 창출과 또래·가족 간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전국 311개 프로그램 운영 · 아동·청소년 및 그를 포함한 가족 18,136명 참여 · 지역별 프로그램 모니터링, 컨설팅, 워크숍 등을 통한 사업추진 현황 공유 및 운영 관리
34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단위: 개 / 명
순번
운영기관명
프로그램 수
참여자 수
1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31
1,666
2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9
921
3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8
1,604
4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7
1,770
5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5
630
6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
963
7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6
1,009
8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34
2,181
9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5
713
10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4
717
11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
701
12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8
520
13
전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8
948
14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
687
15
경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4
2,490
16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2
616
총계
-
311
18,136
국·공립기관 연계
사업내용
프로그램
문화예술분야 국·공립기관과 협력하여 해당 기관 고유의 자원 및 특성을 살린 선도적 토요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8개 국·공립문화예술기관, 총 24개 프로그램 운영 · 아동·청소년 및 그를 포함한 가족 1,414명 참여
※ 단위: 명
Annual Report 2013
순번
기관명
교육분야
참여자 수
1
국립고궁박물관
전통문화
40
2
국립중앙극장
무용
64
3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
155
4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전통문화
240
5
소마미술관
미술
85
6
정동극장
무용
53
7
한국영화박물관·영상자료원
영화
62
8
국립중앙박물관
역사
715
총계
-
-
1,414
35
가족오케스트라 프로그램
사업내용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가족이 함께 참여하여 음악을 통해 소통하고 화합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세부실적 · 전국 19개 프로그램 운영 · 아동·청소년 및 그를 포함한 가족 1,052명 참여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순번
지역
기관명
참여자 수
1
대구
대구그랜드심포니오케스트라
35
2
대구
대구현대음악오케스트라
39
3
광주
아시아공연예술위원회
43
4
경기
광명심포니오케스트라
45
5
경기
부천문화재단
85
6
경기
성남문화재단
49
7
경기
세종국악관현악단
69
8
강원
강릉문화재단
37
9
강원
원주문화재단
73
10
강원
춘천시문화재단
64
11
충남
당진문화재단
65
12
전북
부안아리울오케스트라
98
13
전북
익산문화재단
82
14
전북
한국소리문화의전당
37
15
전남
무안희망의오케스트라
100
16
전남
목포시장애인오케스트라
30
17
경북
영남음악진흥원
29
18
경남
포항아트챔버오케스트라
45
19
경남
아름나라
27
총계
-
-
1,052
사업내용 전국 공공 및 작은도서관에서 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학을 중심으로 미술, 음악, 사진, 연극 등 다양한 예술장르와 융합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전국 도서관 104개, 8~13세 아동 6,322명 참여 · 초등 저학년 및 고학년 대상 기본·심화 프로그램 개발·진행
36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사업내용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가족이 함께 소통하고 성장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과 여행이 결합된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입니다.
세부실적 · 총 4개 권역(서울·경기, 부산, 강원, 전북), 20개 프로그램 운영 · 아동·청소년 및 그를 포함한 가족 1,142명 참여
※ 단위: 명
순번
지역
교육분야
참여자 수
1
서울·경기
사진, 연극, 영상, 건축, 그림
292
2
부산
디자인, 요리, 사진, 리싸이클링, 일상예술
294
3
강원
연극, 미술, 생활문화, 영상, 사진
278
4
전북
놀이, 소리, 음식, 상상, 영상
278
총계
-
-
1,142
청소년 문화예술
사업내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청소년들이 문화예술 전반의 다양한 직업군을 모색하고, 해당 분야의 감상은 물론 운영과정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여 본인의 소질을 발견하고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세부실적 · 총 12개 운영기관, 45개 프로그램 운영 · 만 13세 이상~18세 미만 청소년 871명 참여
※ 단위: 명
Annual Report 2013
순번
운영기관명
교육분야
참여자 수
1
강릉문화재단
영상
53
2
달란트연극마을
뮤지컬
69
3
대동문화재단
잡지제작
221
4
안은미컴퍼니
무용
33
5
시민자치문화센터
음악
48
6
한국사립미술관협회
미술
114
7
다음세대재단
영상
110
8
문화프로덕션도모
연극
28
9
이다엔터테인먼트
뮤지컬
109
10
명로진
문학
39
11
공연예술창작센터 예술창고
밴드
24
12
Ithinking
만화·애니매이션
23
총계
-
-
871
37
해외유수프로그램 연계
사업내용
프로그램
해외 유수프로그램을 토대로 국내 정서와 환경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주말 문화예술교육의 우수사례 발굴 및 추후 국내 확산의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 뉴욕필과 협력하여 음악을 통한 창작 프로그램「꼬마작곡가」운영 및 최종 결과발표회 진행 · 독일 little ART의 프로그램을 토대로 교육·전시가 병행하는 새로운 창의미술교육 프로그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기획·운영 및 통합 결과전시회 개최
세부실적 · 뉴욕필 협력 프로그램「꼬마작곡가」: 4개 지역에서 총 8개 프로그램 운영, 아동 96명 참여 · 기획프로그램「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5개 운영기관에서 아동 83명 참여 순번
※ 단위: 명
사업성과확산
프로그램명
교육분야
참여자 수
1
뉴욕필 협력 프로그램「꼬마작곡가」
음악창작(작곡)
96
2
기획프로그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창의미술
83
총계
-
-
179
사업내용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질적 제고 및 인지도 확대를 위한 사업 성과평가, 기획자·강사 대상 연수 프로그램(꿈다락 기획학교) 운영 및 계간지·방송콘텐츠 제작·발행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사업평가: 성과·평가 개념정립 및 체계·지표개발, 참여자 대상 만족도조사 실시 · 기획자·강사 대상 연수 프로그램: 16개 시·도별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실무담당자 대상(2회) 및 지역 내 프로그램 운영기관 담당자 대상(8회) 연수 프로그램 진행 · 홍보물 제작: 계간지(3회) 발간, 온·오프라인 홍보물(인포그라픽 등) 및 방송콘텐츠 제작 등 진행
<학교 밖에서 배운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서울신문, 2013.8.6 게재 “토요일이면 집에서 온라인 게임만 7~8시간씩 했다. 딱히 꿈이 없었는데 프로그램을 통해 나의
수혜자
장점을 발견하게 됐다. 또래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것도 재밌다”
| 프로그램 참여자 |
피드백 “아이에게 많은 변화가 있었고, 미래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좋은 시간이었다. 어렸을 때부터 영화에 관심이 많던 아이가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카메라 기술을 배웠고, 모든 일에 있어 적극적으로 변했다”
| 프로그램 참여자 학부모 |
<“난생 처음 친구들과 오두막 짓기 성공...공부가 지루했는데 목표가 생겼어요”> ※ 꿈다락 홈페이지: toyo.arte.or.kr ※ 꿈다락 페이스북: www.facebook.com/ toyoschool (좋아요수: 1,399명)
38
- 경향신문, 2013.11.24 게재 “한옥 오두막을 지으면서 상처가 나고 했지만 뭉치면 안되는게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서로 다른 점을 이해하고, 학교나 집에서 얻을 수 없었던 문제해결 방안을 찾아내면서 자긍심을 가질 수 있었다”
| 프로그램 참여자 |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Chapter 07
소외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교육 지원사업
지역 거점기관 운영
사업내용 공모를 통해 선정된 사업 주관 단체들이 해당 지역 아동·청소년 선발(취약계층과 소외계층 아동을 7:3의 비율로 선발) 및 합주 중심의 엘시스테마 교육을 추진하고, 해당 지역내 엘시스테마 교육의 중심기관으로서 다른 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기관과 네트워크 형성 및 교류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30개 거점기관 지원 및 관리 17개 연속기관, 13개 신규기관 예산교부 및 지원 / 아동 1,521명 대상 오케스트라 교육 실행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교육기관 참여자(기관) 수 추이>
※ 단위: 개소 / 명
연도
거점기관 수
교육아동 수
참여강사 수
2011
9
425
98
2012
19
979
191
2013
30
1,521
325
· 캠프 및 공연 지원 -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 800여명 대상 문화예술교육 ‘이음캠프’ 진행(8월) - 꿈의 오케스트라 & 카라카스 유스 오케스트라 합동공연 개최(10월) · 거점기관 현장점검 및 컨설팅 - 꿈의 오케스트라 1·2년차 거점기관 22개소 현장점검 진행(10월~12월) -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평가 컨설팅 진행(9월~2014.1월)
전문강사 선발 및 지원
사업내용
(엘시스테마 전문가 양성)
엘시스테마 교육 취지와 방향을 이해하고 본 사업에 동참하고자 하는 의지와 열정을 지닌 오케스트라 교육 관련 전문가를 선발, 국내·외 연수를 통해 국내 엘시테마 교육을 이끌어 갈 현장 전문가 양성 하여 향후 ‘엘시스테마 교육철학 및 교수법’을 연구·개발하고 꿈의 오케스트라 관계자 및 일반인에게 전파함으로써 국내 엘시스테마 교육 보급 활성화에 일조하였습니다.
세부실적 <2013년 꿈의 오케스트라 전문강사 선발 및 활동 현황> 구분
2011년도
2012년도
2013년도
선발 인원
8명
8명
8명 이내 선발 예정
연수 내용
· 수업설계 및 운영기법 등 · 해외 엘시스테마 기관 방문 (미국 마이애미)
· 아동 발달심리 이해 등 · 해외 엘시스테마 기관 방문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등)
· 엘시스테마 교육철학 및 교육사례 공유 · 거점기관 현장방문 · 해외 엘시스테마 기관 방문 (캐나다 뉴브런스 윅 및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활동 내용
· 마스터클래스 등 다수 강의 진행
· 꿈의 오케스트라 입문교재 연구·개발 참여
· 꿈의 오케스트라 레퍼토리 연구 및 지역별 CoP 구성
Annual Report 2013
39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내용
기획프로그램
우리나라 ‘꿈의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엘시스테마의 뿌리 ‘카라카스 유스 오케스트라’의 교류를 통해 아동들에게 성취동기를 부여하며 교육성과를 높이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데 일조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카라카스 유스오케스트라 내한공연 - 일시/장소: 2013년 10월 19일(금) 20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연주: 카라카스 유스오케스트라 170여명 (지휘: 디트리히 파레데스) - 참석: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 및 가족, 일반 시민 등 1,600여명 · 꿈의 오케스트라 - 카라카스 유스오케스트라 합동공연 - 일시/장소: 2013년 10월 20일(일) 17시/ 덕수궁 중화전 특설무대 - 연주: 꿈의 오케스트라, 카라카스 유스오케스트라 단원 190여명 (지휘: 채은석, 디트리히 파레데스) - 참석: 꿈의 오케스트라 주요관계자, 문화계 주요인사, 일반시민 등 1,300여명
우산형 지원체계 구축
사업내용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철학의 전파·확산을 위하여 엘시스테마 교육 경험과 노하우를 외부 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 및 관련 기관에도 공유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마스터클래스 개최(3개 권역) - 전라권역(전주, 12.17), 경상권역(부산, 12.18), 수도권역(서울, 12.20) ·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개최 - 상반기(5월): 캐나다 뉴브런스윅 대표 및 음악감독 워크숍 - 하반기(10월): 미국 엘시스테마 교육자(에릭 부스) 강사 간담회 · 교류공연 개최 - 거점기관 23개소 연말 교류공연 개최(2013.9~2014.2)
“오케스트라는 나에게 즐거움을 주었다. 음악의 즐거움, 배움의 즐거움, 그리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수혜자 피드백
즐거움을 주었다. 무대 위에 서 있는 내가 너무 멋져 보였다....(중략)...아름다운 하모니가 세상을 행복하게 해줄 것이다. 오케스트라를 하면서 자꾸 ‘우리’라는 말을 많이 쓰게 되었다.” | ‘꿈의 오케스트라 전주’ 송윤아 _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소감문 中 |
※ 꿈의 오케스트라 홈페이지: http://www.orchestrakids.or.kr ※ 꿈의 오케스트라 페이스북: www.facebook.com/orchestrakid
40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Chapter 08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사업내용
<특별한 하루>
문화계 저명인사 및 예술인으로 이루어진 문화예술 명예교사의 창작 작업과 연계된 문화예술 교육을 시도하여, 새로운 유형 및 내용의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고, 잠재적 수혜자 발굴·확산에 기여합니다.
세부실적 · 27명의 명예교사를 신규 위촉하여, 총 125명의 명예교사가 사업에 참여 · 102회차 프로그램 운영, 4,099명 프로그램에 참여 · 명예교사 네트워크 행사 개최 · 명예교사 남자학교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제작 · 명예교사 사업 사례집 제작
<남자다움은 사내다움 아닌 삶에 대한 자신> - 한겨레, 2013.9.23 게재 -
수혜자 피드백
“살면서 새로운 자극을 주고 싶어서 남자학교에 들어왔다. 학교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딱딱한데, 이곳은 성적과 상관없이 사람 대 사람으로 편하게 대해준다. 동네형처럼 궁금한게 있으면 언제든 물어보면서 배우는 것도 많고 내가 성장한다는 걸 느낀다” | 남자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 <이명세 감독과 영화 만드니..학생들, 창의성 솟아나요> - 한국경제, 2013.7.16 게재 “영화와 방송 사이에서 진로를 고민했는데, ‘탐라는 영화’에 참여 하고 난 뒤에는 영화로 마음을 굳혔습니다” | 제주 영주고 학생 |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팀워크가 얼마나 중요한지 학생들이 스스로 깨닫게 된다는 점에서 영화나 연극을 실제로 만들어 보는 교육은 단순한 예술체험이 아니라 인성교육의 의미가 있다” | 영화감독 이명세 명예교사 | ※ 특별한 하루 페이스북: www.facebook.com/arteday(좋아요: 1,399명) ※ 특별한 하루 유투브: www.youtube.com/arteday(조회수: 47,189회) ※ 특별한 하루 블로그: arteday.tistory.com(방문자수: 12,970명)
Annual Report 2013
41
Chapter 09
기업사회공헌 사업
사노피-아벤티스
사업내용
코리아 협력
만성희귀난치성 질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여 참여자의 자존감 형성 및
초록산타 상상학교
잠재력 실현을 돕고, 정서적·신체적 건강한 성장에 기여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세부실적 · 제 1형 당뇨병 아동 대상 봄학기 교육 프로그램 운영(총 14회) · 제 1형 당뇨병 및 담도폐쇄증 아동 대상 가을학기 교육 프로그램 운영(총 28회) · 병원 및 관련 단체와 연계하여 문화예술교육 체험 워크숍 진행(총 4회) · 만성희귀난치성 질환 아동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에 대한 효과성 연구 진행
KB국민은행 협력
사업내용
예술꽃 새싹학교
‘예술꽃씨앗학교’ 사업에 참여하고 지원이 종료된 학교를 대상으로, 소외·취약지역의 초등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세부실적 · 2013 예술꽃 새싹학교 6개 교 선정·지원 지역
학교명
분야
전교생
경남
삼동초등학교
음악(챔버오케스트라)
57
경북
송라초등학교
종합예술교육
52
광주
광주지산초등학교
음악(국악)
137
부산
금성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 중심 교과통합교육과정 운영
124
경북
봉화초등학교
지역사회와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142
전남
여수북초등학교
퓨전오케스트라/윈드오케스트라 평생교육 및 사회 참여
93
KB금융그룹, POSCO,
사업내용
(주)시몬느 협력
아동·청소년들이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상호학습과 협력을 배우고 다면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꿈의오케스트라 -
교육 지원 기반을 전국에 조성합니다.
카라카스 유스 오케스트라 합동공연
세부실적 ·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 대상 오디션 및 1~4차 리허설캠프 추진 (2013.7.24~25, 2013.8.12~15, 2013.9.26~28, 2013.10.17~20 / 총 88명 참여) · 꿈의 오케스트라-카라카스 유스오케스트라 합동공연 개최(2013.10.20 / 총 1,500여명 참여) · 카라카스 유스오케스트라 단독 내한공연 개최(2013.10.18 / 총 1,800여명 참여)
4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Chapter 10 무지개 다리 사업
문화 간 상호교류 및 소통 활성화 사업 사업내용 문화다양성 관점에서 지역사회 내 이주민, 지역주민 간 활동을 지원하고, 능동적 문화주체로서의 이주민 역할을 확대시키며, 나아가 이주민 단체와 지역사회 기반 문화예술 분야에 특화된 문화 다양성 네트워크 구축, 지역사회의 문화다양성 자원발굴 및 문화 간 상호교류를 장려하고자 합니다.
세부실적
※ 단위: 개 / 명
순번
구분
주관기관
컨소시엄 기관
사업명
세부프로그램 수
참여자 수
1
기초
성북문화재단
구로문화재단
지역기반 문화다양성 확산과 공존을 위한 성북, 구로지역 문화다양성 발굴+공유+교류
12
1,836
2
기초
부천문화재단
경기다양성 다다(多多) G-Diversity
25
12,240
3
광역
인천문화재단
천 개의 마을, 천 개의 문화
12
2,540
4
광역
대전문화재단
대전이주외국인종합복지관
더 피플(The People)
5
593
5
광역
대구문화재단
-
다울림(다양성·어울림) 예술지원 사업
9
25,242
춘천시문화재단 / 원주문화재단 / 강릉문화재단 / 평창문화예술재단 / YMCA철원평화센터
5가지 감동 프로젝트
12
4,359
성남문화재단 / 화성시문화재단 / 의정부예술의 전당 / 안양문화예술재단 / 용인문화재단 / 오산문화재단 인천영상위원회 / 인천여성의전화 / 홍예문컴퍼니 / 인천이주노동자미디어교육기획단 / 부평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
6
광역
강원문화재단
7
광역
부산문화재단
-
다섯손가락
13
67,451
2013년 문화다양성 확산을 위한 경남 다누리 차! 차! 차!
14
3,586
느영나영 다マ치(多價値)
3
191
우리누리(URI-N-URI)
9
5,494
문화예술로 잇는 오색조각보
14
797
남도 오작교에서 만난 일곱빛깔 풍류
10
363
138
124,692
8
광역
경남문화예술진흥원
경남다문화가족지원센터 / 경남이주민노동복지센터
9
광역
제주문화예술재단
-
10
광역
광주문화재단
11
기초
익산문화재단
12
광역
전남문화예술재단
계
Annual Report 2013
광주광역시 광산구청 /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전주문화재단 /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목포문화재단 / 영암문화재단
총 12개 주관기관(광역 9개, 기초 3개)
43
무지개 네트워크 워크숍
사업내용 지역·관계기관별 사업 운영주체 간 인식 공유 및 협력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하여 지역 문화다양성 활성화 기반을 마련합니다.
세부실적 워크숍명
일시
장소
참석자 수
1차 워크숍
2013.5.9(목)~5.10(금)
해빛(서울 안국동)·서머셋 비즈니스센터 세미나실
49명
2차 워크숍
2013.7.4(목)~7.5(금)
부산 호텔호메르스
49명
3차 워크숍
2013.9.27(금)
대한민국역사박물관 6층 강의실
44명
4차 워크숍
2013.12.5(목)~6(금)
국립대구박물관·아트팩토리 청춘
37명
무지개 다리 사업 컨설팅
사업내용
및 성과평가 연구
무지개 다리 지원사업의 주관기관을 대상으로 컨설팅 및 평가를 통한 현황 분석 및 중장기적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지역별 지원 및 교육, 네트워크 구축 사례 등을 분석하여 후속 사업 및 정책 개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세부실적 · 2012년부터 추진된 동 사업의 컨설팅 및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무지개 다리 지원사업의 지역별 유형, 현황 분석 도출 · 2013년도 무지개 다리 지원사업의 전반적인 운영에 대한 성과평가, 컨설팅 지원, 추진방안 제시
44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다양성 정책공감 및
사업내용
성과공유 행사
문화다양성 정책 공감 포럼과 우수 사례 및 사업 성과를 공유하는 행사를 통해 문화다양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책의 실천 전략과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통해 문화다양성에 대한 의미를 창조하고자 합니다.
세부실적 · 2013 문화다양성 공유공감(共有共感) / 문화역서울284 RTO공연장 · 1일차: 문화다양성 정책의 기대와 실천 (2013.10.16 / 110명) · 2일차: ‘일상의 문화다양성 - 우리들의 이야기’ (2013.10.17 / 90명)
“문화다양성 개념에 대한 다양한 층위를 전문가들의 설명으로 들을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참여자 소감
| 문화예술교육 기관 실무자 | “문화다양성에 대한 ‘다문화’의 협소한 이해가 아닌 보편적인 문화다양성에 이해가 중요하다는 내용이 좋았으며, 이러한 정책적 방향을 공유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 대학생 참여자 | “문화다양성을 둘러싸는 논의의 확장이라는 차원에서의 내용이라는 점이 반가웠습니다.” | 문화예술단체 담당자 |
※ 문화다양성 아카이브: www.cda.or.kr ※ 문화다양성 페이스북: www.facebook.com/arteRBP ※ 문화다양성 블로그: www.blog.naver.com/artebp
Annual Report 2013
45
46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nual Report 2013
Chapter 01. 예술강사 연수 운영
48
Chapter 02. 사회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운영
51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선택연수 운영
52
Chapter 04. 문화행정인력 연수 운영
55
Chapter 05.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56
47
아르떼 아카데미, AA ArtE Academy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아르떼 아카데미는 문화예술 트렌드 및 현장 사례의 맥락의존적(context-dependent; contextual) 분석으로 핵심테마를 추출하여 각 대상별 예술기반 창의·인성교육 및 문화적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을 기획하여 문화 예술교육 매개자 및 협력자, 예비인력에게 필요한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 심화연수를 비롯하여, 문화예술교육 키움, 아르떼 동아리, 문화 도담, 사회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연수, 문화행정인력 연수 등 대상별, 단계별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운영하였습니다. ※ 아르떼 아카데미 페이스북: www.facebook.com/aakeyum
Chapter 01
예술강사 연수 운영
학교·사회 예술강사
사업내용
기본연수 운영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예술강사로 선발된 예술강사의 교육활동을 위해서 최소한의 직무교육인 예술강사 기본연수에 참여해야 합니다. 총 140시수로 이루어진 예술강사 기본연수는 ‘예술전문성’, ‘교수역량’, ‘관계&관리역량’의 세가지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예술강사로서 교육현장을 이해하고, 문화예술교육을 잘 실행하며, 기획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매년 상·하반기 방학기간에 진행되는 코스별, 분야별 교급별 집체연수와 원격연수를 통해 문화 예술교육 전문성 및 교수 역량을 키워 나가고 있습니다. 연간 총 1,535시수 운영으로 총 2,720명이 참여하였으며, 교육만족도 평균 3.77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세부실적
※ 단위: 명 구분 학교
사회
연번
과정명
일시
시간
인원
만족도(5점척도)
1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기본연수
2013.1.24~2.27
940
1,401
3.95
2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기본연수
2013.7.29~8.10
260
604
3.67
3
상반기 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2013.2.28~3.4
260
186
3.85
4
하반기 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2013.8.8~10
60
119
3.62
학교·사회
5
교육학 온라인 원격연수
2013.8.26~10.13
15
410
-
계
-
-
-
1,535
2,720
3.77
48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학교·사회 예술강사
사업내용
심화연수 운영
예술강사 기본연수를 수료하고, 교육활동 연차가 오래된 강사는 자신의 역량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수교육인 심화연수에 스스로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습니다.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기획 워크숍,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교수 역량 강화, 분야별 우수 교수학습지도안 학습, 실기교육지도법 실습,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였습니다. 연간 총 906시수 연수 운영으로 998명이 참여하였고, 교육만족도 평균 4.30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세부실적
구분
연번
과정명
1
특수교육대상의 이해
2
학교
심리극을 활용한 교육대상의 이해
일시
시수(H)
인원(명)
만족도(5점척도)
2013.6.28~30
20
17
4.1
2013.8.12~14
20
27
3.9
2013.8.12~14
20
24
4.4
2013.6.28~30
20
17
4.7
2013.7.19~21
20
38
4.3
2013.7.19~21
20
32
4.5
2013.8.12~14
20
26
3.8
3
교과연계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2013.8.12~14
20
27
4.1
4
수업말하기
2013.8.12~14
20
21
4.2
5
수업분석을 활용하여 수업의 달인 되기
2013.8.12~14
20
29
3.9
6
우수 교수-학습지도안 탐구(연극)
2013.8.16~18
20
21
4.1
7
우수 교수-학습지도안 탐구(만화·애니메이션)
2013.8.16~18
20
25
3.9
8
무용교수법의 실제
2013.8.16~17
12
46
4.5
9
실기지도법(국악)
2013.8.19~20
12
65
4.4
10
실기지도법(연극-초등)
2013.8.19~20
12
23
3.7
11
실기지도법(연극-중등)
2013.8.19~20
12
17
4.2
12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교수능력 향상
2013.8.22~24
20
10
4.8
13
재미있는 수업 만들기(동영상 제작 실습)
2013.8.22~24
20
32
4.2
Annual Report 2013
49
14 15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사회 예술강사 교수역량강화
프로그램 기획 워크숍 과정
16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콘텐츠 개발 워크숍
17
아동상담 & 놀이치료 기법
18
실기교육 지도법 - 난타
사회 19 20
소시오(Socio Drama) 드라마 체험을 통한 교육대상 및 현장의 이해
사회 예술강사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액션러닝 워크숍
2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다양한 영상 만들기
22
커뮤니케이션 스킬
23
프리젠테이션 스킬
24
노인의 특성과 이해를 통한 상담기법
25
라디오 드라마로 시작하는 저작권
2013.7.22~24
20
22
4.7
2013.7.29~31
20
22
4.3
2013.7.22~24
20
16
4.6
2013.7.29~31
20
19
3.7
2013.7.25~27
20
21
4.2
2013.8.16~18
20
14
4.2
2013.7.25~27
20
25
4.4
2013.8.16~18
20
20
4.3
2013.8.05~07
20
25
4.6
2013.8.12~14
20
22
4.6
2013.8.22~24
20
24
4.7
2013.8.26~28
20
24
4.6
2013.8.05~07
20
22
4.7
2013.8.12~14
20
19
4.2
2013.8.05~07
20
13
4.7
2013.8.19~21
20
8
4.6
2013.8.05~07
20
21
4.1
2013.8.19~21
20
13
4.5
2013.8.19~21
20
10
4
2013.8.19~21
20
13
4.5
2013.8.19~21
20
14
4.4
2013.7.29~31
20
22
3.9
2013.8.16~18
20
10
3.7
2013.8.01~03
20
15
4
38
27
-
2013.6.15~16 학교·사회
26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1기 STEP2 (CoP)
2013.7.6~07 2013.8.19
27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2기 STEP1
2013.8.19~23
계
40
9
4.7
906
998
4.3
<기본연수>
수혜자 피드백
“국악은 교과서에 있는 내용이 계속 바뀌거든요. 그에 맞는 연수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도움이 되고 있어요. 제가 전공하지 않은 악기가 교과서에 나오면 개인적으로 준비할 때도 있지만, 연수과정에 있는 걸 선택해서 들을 땐 확실히 도움이 되죠.”
| 김서은 예술강사 |
<심화연수> “연수를 듣고 나면 힘이 많이 생겨요. 전과는 다른 내가 되는 거죠. 1학기에는 대처하지 못했던 상황을 2학기에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기도 하구요.”
| 정은숙 예술강사 |
“알고 있는 것을 다시 들어도 좋아요. 알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반성하고 재정비 할 수 있게 해주니까요. 또한 물과 기름처럼 서로 다른 배움의 요소가 나(연극)를 통해서 연결이 될 수도 있어요.”
50
| 강애란 예술강사 |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Chapter 02
사회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운영
사회 실무자 대상 의무,
사업내용
선택교육 운영
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장의 실무자의 창의적인 실무 역량과 문화예술교육 전문성이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단체 소속 기획자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현장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는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양질의 프로그램이 풍부해 질 수 있도록 다양한 역량강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3년에는 총 135시수 운영으로 총 182명이 참여하였으며, 교육만족도 평균 4.02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세부실적
구분
연번 1
의무 2 3 4 선택 5 6
과정명 사회 실무자 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담은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1차 연수 사회 실무자 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담은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2차 연수 사회 실무자 대상 ‘공감과 설득을 위한 프레젠테이션 스킬’ 선택연수 사회 실무자 대상 ‘SNS를 활용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전략 탐구’ 선택연수 사회 실무자 대상 ‘문화예술교육 단체 역량강화를 위한 보조금 정산의 의해’ 선택연수 사회 실무자 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콘텐츠개발 프로젝트’ 선택연수
계
※ 단위: 명
일시
시수
인원
만족도 (5점척도)
2013.7.1~4
32
34
3.9
2013.8.1~4
32
57
4
2013.6.28~30
25
12
4.5
2013.7.5~6
13
20
3.9
2013.8.22~23
10
30
3.9
2013.9.2~4
23
29
3.9
135
182
4.02
“실제 업무에서 어려운 점을 구체적인 사례와 방법을 통해 알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어요” | 보조금 정산의 이해 연수 참여자 |
수혜자 피드백
“연수에서 교육하고자 하는 목적이 뚜렷하여 배우는 사람들이나 가르치는 분들이나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했고,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어요.” |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연수 참여자 |
Annual Report 2013
51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선택연수 운영
문화예술교육 키움
사업내용
(Key-Um)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문화예술교육 핵심인력 양성과 문화예술교육 주요 관계자의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합니다. 문화예술 현장 트렌드를 기반으로 주제별 심화 과정인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시리즈는 인문키움, 창의키움, 대상별 역량키움 등 다양한 기획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됩니다. 2013년에는 총 170시수 운영으로 총 298명 참여하여, 평균 4.25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세부실적
연번
일시
시수
인원
1
2013.6.28~29
11
14
4
2
2013.7.6~7
11
40
4.2
3
과정명
인문키움 ‘문화예술교육 매체활용 인문학 표현사례 탐구’
4 5 6 7 8 9 10 ※ 단위: 명
52
계
행정인력 대상 역량키움 ‘문화예술교육 조직의 지속성장을 꿈꾸다’ 창의키움 ‘문화예술교육 창의놀이 개발 프로젝트 season2’ 교원대상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체험 워크숍’ 기획인력 대상 역량키움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 만들기’ 1차 워크숍
만족도(5점척도)
2013.7.8~9
11
24
3.6
2013.8.23~24
11
24
4.3
2013.7.11~12
12
67
4.1
2013.7.25~26
12
14
4.2
2013.7.22~26
40
34
4.6
2013.7.22~23
15
20
4.52
2013.8.8~9
15
33
4.84
2013.7.8~10
21
2013.8.12~13
11
28
4.1
298
4.25
170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학습공동체,
사업내용
아르떼 동아리(CoP)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자발적인 학습을 유도하며, 문화예술교육 인력의 자생적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공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하여 학습공동체(CoP, Community of Practice), 아르떼 동아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3년에는 ‘문화예술교육 자원지도(Contents Map) 만들기’라는 주제로 4개월간 진행하였으며, 총 98명이 참여, 4.1점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세부실적 연번
과정명
일시
시수
1
오프닝 워크숍
2013.08.29~31
21
2
중간점검 워크숍
2013.10.12~13
11
3
지식공유 네트워크 모임
2013.12.1
4
55
36
98
계
인원
만족도(5점척도)
43
4.1
4.1
연번
모둠명
1
5樂
CoP 주제
2
8 group art company
3
함께하는 공책
4
노름마치
통합 예술 모델 탐방을 통한 직장인 대상 1박 2일 프로그램 연구 개발 (통합예술, 심리, 치유, 통합예술치유, 명상, 상담)
5
뫼비우스
자연에서 얻은 순환과 반복을 통한 예술체험 놀이(기업연수, 교원연수, 가족형 체험캠프)
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소소한 문화유산 바로 알기’ (공예, 디자인, 연극, 영화)
6
삼색껌딱지
7
신바람 찰칵찰칵
맛있는 문화예술을 찾아서(미술, 인문학, 심리학, 연극, 성교육, 동화) 문화예술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물’ 소스북 제작(다양한 문화예술과 디자인분야)
세대공감! 아버지와 문화예술로 소통해요~(국악, 미술, 영화) 풀뿌리 문화예술 체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김밥’ 프로젝트(사진, 문화예술)
8
용~쏭!
초등교급 예술강사 대상 디자인 프로그램 통합교육활용 MAP 제시 (초등 교급 디자인 통합예술교육)
9
팔보채
충청지역 초등고학년 대상 문화예술을 활용한 캠프 프로그램 개발(연극, 무용, 음악)
예비 문화예술교육
사업내용
기획인력 양성과정,
다양하고 풍부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기획인력 양성을 위해 예비인력 양성과정인 문화도담
문화도담
연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있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지역 현장 전문가와 함께 문화예술교육 사업 현장 탐방을 하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창의적 기획 활동을 해볼 수 있는 과정입니다. 2013년에는 총 35시간 교육으로 69명이 참여하여 4.3점의 높은 교육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세부실적 연번
과정명
일시
시수
1
문화도담 1차 워크숍
2013.7.5~7
20
2
문화도담 2차 워크숍
2013.8.2~3
11
3
문화도담 결과발표회
2013.8.28
4
35
35
69
계
Annual Report 2013
인원 34
만족도(5점척도)
4.3
4.3
53
<기획인력 역량키움> | 박근애 예술강사 |
수혜자
“2013 기획인력 역량키움 2차 연수,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실행을 위한 ‘다움’팀! 처음 1차
피드백
워크숍에서의 우리의 별이 2차 연수를 통해 더욱 발전하고 변화하였다. 이제 더 아름다운 별이 되었고 반짝임을 잃지 않기 위해 다함께 불을 밝히고 파이팅을 외쳤다.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를 위하여 ‘다움’ 파이팅!” <문화도담> | 정은주 대학생 | “이번 1차 연수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방향성에 확신을 얻어오고 싶었는데 반은 성공이고 반은 여전히 미궁 속이다. 애초부터 확신이란 건 내 스스로 굳건히 하지 않으면 얻을 수 없는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중략) 가장 마음이 이끌릴 때, 원하는 방향 대로 철로를 둘 수 있을 때, 문화예술교육 연수를 받고 현실에 한발짝 다가간 것 같아 앞으로의 활동에 더욱 기대가 된다.” | 김주연 대학생 | “문화예술교육이 프로그램화 되어 다양한 곳애서 실행되는 것에 있어 이론적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번 상상학교지원사업을 수행 중인 센터 현장 탐방을 통해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인문키움> | 김영전 예술강사 | (인문키움 2차 연수에서) 제가 받은 카드내용 공유합니다. “다른 분야의 선생님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고, 의견을 공유하며 많이 배우고 간다. 예술은 분야를 넘어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을 것 같다. 앞으로도 좋은분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그를 통해 더 좋은 예술교육자가 되길 희망한다. 수고하셨습니다!” 참여하셨던 선생님들과 연수를 담당하셨던 강사님들, 사진과 동영상 촬영 그리고 진행을 담당 하셨던 스탭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창의키움> | 유효정 예술강사 | “건강한 표현을 한다는 것이 건강한 게임이라고 생각해요. 그것을 연극놀이와 접목시켜 수업에도 활용하고자 참여하게 되었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 신성숙 교사(중학교 미술교사) | “저는 그 과정이 굉장히 발전적인것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런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저희는 더 단단해지고 더 열정적이게 되었다.” | 김혜옥 예술강사 | “완벽한 해답을 찾는다기보다 계속 탐색해나가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타 분야와 내 영역을 접목시키는 것을 실험해보는 것,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에도 즐거움을 많이 느껴졌다.”
54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Chapter 04
문화행정인력 연수 운영 사업내용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문화정책 기획역량 강화 및 문화적 리더십 함양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융합의 이해, 문화예술교육 정책현장 탐방 등 문화정책 전반의 교육과정을 기획·운영합니다. 연간 총 23시수 운영으로 51명 참여하였고, 교육만족도 4.2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세부실적 연번
과정명
일시
시수
인원
만족도(5점척도)
1
문화예술융합과 문화정책
2013.6.13~14
10
25
4.2
2
문화예술현장과 문화정책
2013.11.14~15
계
Annual Report 2013
13
26
4.2
23
51
4.2
55
문화예술교육사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문화예술교육사는 인성과 자질을 겸비한 우수한 문화예술 교육 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자격제도입니다.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에서는 차별화된 역량으로 수준 높은 문화예술 교육을 실현하는 국가공인의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를 배출 합니다.
Chapter 05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문화예술교육사
사업내용
자격제도 위탁운영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시행령 제21조(업무의 위탁) 제2항에 의거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문화예술교육사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자격요건의 심사 및 자격증의 발급업무,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적합여부의 확인에 관한 업무를 운영합니다.
세부실적 · 문화예술교육사 운영위원회 추진실적 추진명
일시
장소
제3회 문화예술교육사 운영위원회
2013.3.22
서울 중구 정동 회의실
제4회 문화예술교육사 운영위원회
2013.6.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제5회 문화예술교육사 운영위원회
2013.9.2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제6회 문화예술교육사 운영위원회
2013.12.1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발급 실적
※ 단위: 개소 / 명
구분
1분기(3.22)
2분기(6.19)
3분기(10.8)
4분기(12..26)
합계
인원
2,223
485
502
259
3,469
· 교육과정 적합여부 확인 실적
56
구분
접수대학 수
검토 교과 수
인정
조건부 인정
불인정
보류
1월~11월
303
2,523
225
591
1,675
32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문화예술교육사
사업내용
운영기반 조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사 운영기반 조성 연구를 통하여 질 높은 문화예술교육사를 양성하고 문화예술교육사
연구사업
자격 취득 후 진로 방향을 제시하고자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 평가척도 개발 연구’, ‘문화예술교육사 활용모델 개발 연구’, ‘문화예술교육사 진로 및 취업지도 프로그램개발’ 등의 연구를 실시하였습니다.
세부실적 연구과제명
기간
수행단체
문화예술교육사 활용모델 개발 연구
2013.7~9
서울시립대 산학협력단
문화예술교육사 진로 및 취업지도 프로그램 개발
2013.7~9
CNP 컨설팅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 평가척도 개발 연구
2013.9~12
중앙대 산학협력단
문화예술교육사 활용
사업내용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사의 사회진출과 자격제도의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자 문화예술교육사 활용 운영 모델을 발굴하고 지원하였습니다.
세부실적 지원단체명
Annual Report 2013
소재지
프로그램명
기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북
라온소리 예술캠프
2013.10~12
행복한 우리복지관
대전
행음(幸音)오케스트라
2013.10~12
극단비천
서울
차! 차! 차!
2013.10~12
문화예술교육사협동조합
전북
자연의 색으로 소통하다
2013.11~12
대동문화재단
전남
역사로 두 걸음!
2013.11~12
대구문화예술창작공간
경북
엄마,아빠는 우리마을 예술가
2013.11~12
청주지역자활센터
충북
“마음을 두드려, 흩날리다”
2013.11~12
CLC다문화지역아동센터
부산
“움직여라 마음이여, 너와 나의 눈 속으로”
2014.1~2
예술문화교육연구소 아우름
경기
예술로 다시 태어난 작은 가계들
2014.1~2
극단 창조공감
인천
성인 지적장애인의 사회기술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2014.1~2
문화소통연대이야기
부산
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이해 프로그램 ‘동화 속 엄마 나라’ 개발 및 보급
2014.1~2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북
라온소리 가족캠프
2014.1~2
교육연극연구소 ‘해맞이’
충북
오락실(五樂室)에서 피어나는 예술향기
2014.1~2
57
문화예술교육사
사업내용
자격제도 사회적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안정적인 제도운영과 사회 공감대 형성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인식 제고
활용이 가능한 기관 및 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설명회를 실시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총 10회 설명회 개최, 약 700명 참여 대상
사회복지시설 및 청소년시설 관계자
일시
권역
장소
9.25
영남권 북부
대구문예회관 달구벌홀
9.26
충청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컨벤션홀
10.15
호남권 북부
전주소리문화의전당
10.16
호남권 남부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0.21
영남권 남부
부산디자인센터
자활센터 관계자
10.22
서울
여의도 그랜드홀
사회복지시설 및 청소년시설 관계자
10.24
수도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업 인사담당자
10.26
서울
서울 EMDEC
자활센터 관계자
11.5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문화예술교육인력
12.7
전북 전주
전주소리문화의전당
문화예술교육사
사업내용
교육기관 운영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28조,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시행령 제17조 및 제18조에 의거,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13개의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을 지정, 문화예술
① ② ③
교육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세부실적 |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 현황 ⑧ ⑨
④ ⑤ ⑥ ⑦ ⑩ ⑪ ⑫ ⑬
58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지정번호
기관명
지역
교육 분야
연락처
제2013-1호
①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서울
국악, 연극, 디자인, 사진, 무용, 음악, 미술, 공예, 만화·애니메이션, 영화
제2013-2호
②
이화여자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서울
국악, 디자인, 무용, 음악, 미술, 공예
제2013-3호
③
인하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인천
연극, 디자인, 무용, 미술, 만화·애니메이션, 영화
제2013-4호
④
계명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대구
연극, 디자인, 사진, 무용, 음악, 미술, 공예, 만화·애니메이션
053)620-2120
제2013-5호
⑤
부산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부산
국악, 디자인, 무용, 음악, 미술, 공예, 만화·애니메이션, 영화
051)510-1734
제2013-6호
⑥
대구예술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경북 칠곡
무용, 음악, 미술, 만화·애니메이션
054)970-3105, 3172
제2013-7호
⑦
경일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경북 경산
디자인, 사진, 공예
053)850-7730, 7075
제2013-8호
⑧
한서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충남 서산
연극, 디자인, 음악, 미술, 공예, 만화·애니메이션, 영화
041)660-1404, 1406
제2013-9호
⑨
중부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충남 금산
연극, 사진, 만화·애니메이션, 영화
제2013-10호
⑩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전북 전주
연극, 디자인, 무용, 미술, 공예, 만화·애니메이션
063)253-7071, 1616
제2013-11호
⑪
호남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광주
연극, 디자인, 미술, 공예, 만화·애니메이션, 영화
062)380-8400
제2013-12호
⑫
전남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광주
국악, 디자인, 음악, 미술, 공예
062)530-3005
제2013-13호
⑬
전북문화예술교육원 백제예술대학교·(사)전통문화마을
전북 완주
국악, 사진, 음악, 영화
063)232-1902
Annual Report 2013
02)820-6726, 6727 02)3277-3112 032)860-8006, 8007
041)750-6504
59
60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Arts and Culture Education R&D
Annual Report 2013
Chapter 01. 연구 및 조사 사업
62
Chapter 02. 연구서비스화 사업
63
Chapter 03. 출판사업
66
Chapter 04.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 기반 조성 사업
67
61
Chapter 01
연구 및 조사 사업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지원사업 추진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정책 연구, 콘텐츠 개발 연구, 평가·통계 연구를 추진합니다.
정책연구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사회적으로 창출해내는 가치를 구체적 으로 제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의 필요성과 의미를 분석하고 문화예술교육의 거시적 차원의 사회·경제적 측면을 검토
평가통계 연구
예술강사 지원사업 수요조사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대표사업인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대하여 관련 운영학교 및 비운영학교 대상으로 수요 및 의견을 수렴하여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발전·확대시키고, 문화예술교육 정책 발전에 필요한 기초 자료 확보 및 공유
예술강사 지원사업 효과분석 연구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객관적이고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참여 주체와 대상별 효과 측정을 통해, 본 지원사업의 체계적인 자료 축적 및 보다 실효성있는 발전방안 검토
융합적 접근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방법론의 다양화 및 과학화할 필요성이 증가, 실증적 분석을 위해 뇌 반응 변화를 적용한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분석
토요문화학교의 사회적 효과 연구 토요문화학교 사업과 관련하여 아동·청소년, 가족단위의 문화예술 소양과 또래·가족 간 여가문화 조성 확대 및 소통 증진 등 사회적 측면에서의 효과성 분석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 매뉴얼 발간 예술강사 교육활동과 운영학교 협조도 평가 등에 대한 매뉴얼 발간을 통해 구체적인 평가 방법 및 내용을 제시하고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자료로 활용
62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콘텐츠 개발 연구
예술강사 지원사업 관련 교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 교과교육과정(기본·선택교과), 창의적 체험 활동, 토요동아리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교육과정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수업의 기준을 제시
학교 문화예술교육 우수 교수 - 학습지도안 개발 연구(국악 분야)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콘텐츠 제공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고 강사 연수와 연동될 수 있는 국악분야의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
Chapter 02
연구서비스화 사업
아르떼 인포그래픽스 및
사업내용
영상보고서
문화예술교육의 연구 및 지원사업의 주요 성과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양적 데이터 및 질적 자료를 기반으로 핵심내용을 추출하여 정보 기반 그래픽(인포그래픽스) 및 영상으로 시각화하여 제공합니다.
세부실적 | 아르떼 인포그래픽스 5건, 영상보고서 2건(조선닷컴에 뉴스콘텐츠 게재) | 인포그래픽스 | 미래의 인재상, 그 핵심에 문화예술교육이 있다 | 인포그래픽스 | 한국, OECD 36개국 중 행복순위 27위, 오늘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 영상보고서
| ‘조용한 가족’에서 ‘통(通)하는 가족’으로
| 인포그래픽스 | 마음을 이어주는 문화 재능 나눔 ‘소통의 씨앗되다’ | 영상보고서
| 아이들의 새로운 놀이터, 미디어 아트
| 인포그래픽스 | 21세기 예술가? 혁신가의 탄생 | 인포그래픽스 | 창의력이 곧 경쟁력, 잠자는 창의성을 깨워라!
Annual Report 2013
63
영상보고서 아이들의 새로운 놀이터, 미디어 아트
‘조용한 가족’에서 ‘통(通)하는 가족’으로
| 2013.12.18 조선닷컴 게재 |
| 2013.2.7 조선닷컴 게재 |
인포그래픽스 미래의 인재상, 그 핵심에 문화예술교육이 있다
한국, OECD 36개국 중 행복순위 27위, 오늘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 2013.10.30 조선닷컴 게재 |
| 2013.11.26 조선닷컴 게재 |
마음을 이어주는 문화 재능 나눔 ‘소통의 씨앗되다’
21세기 예술가? 혁신가의 탄생
| 2014.1.6 조선닷컴 게재 |
| 2014.1.28 조선닷컴 게재 |
64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문화예술교육 포럼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의 추진 추이와 성과, 현재의 동향과 미래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전망을 검토하기 위해, 각계의 학계·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는 포럼을 기획·운영합니다.
세부실적 | “문화예술교육의 지난 10년, 앞으로의 10년”(2013.5.24 / 300명 참석) · Session 1: 문화예술교육 10년을 되돌아보다 · Session 2: 문화예술교육, 현재를 바라보다 · Session 3: 문화예술교육, 미래를 전망하다
문화예술교육 토론회
사업내용 2004년 발표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 및 2007년 ‘문화관광부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중장기 전략’에 이어, 향후 5년간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관련 정책 밑그림과 비전 및 세부전략을 모색하는 장을 마련,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들과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미래 비전과 구체적인 전략을 검토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토론회”(2013.12.17 / 100명 참석) · 발표 1: 문화예술교육 국내외 트렌드 · 발표 2: 문화예술교육의 중장기 비전과 정책방향
Annual Report 2013
65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총서
출판 사업 사업내용 일반 국민 및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인식 확산을 위해 문화예술교육 총서 Arte Library를 기획·발간합니다.
세부실적 2013 문화예술교육 총서 Arte Library 「사회 참여 예술이란 무엇인가」발간 Education for Socially Engaged Art
문화예술교육 관련
문화예술교육 효과와 영향 자료집
자료집 발간
·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성과와 사업의 필요성·중요성을 보여줄 수 있는 효과 및 영향에 대한 기존의 자료와 사례를 수집정리한 자료집을 발간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문화 예술교육 효과와 영향에 대한 근거자료로 제공 · ch.1. 삶이 행복해집니다 · ch.2. 지역사회가 변합니다 · ch.3. 예술로 하나됩니다 · ch.4. 창의력이 피어납니다 · ch.5. 밝은 미래를 꿈꿉니다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디렉토리북 · 국내의 대표적인 문화예술기관(10개 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형태의 문화예술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가 손쉽게 찾아 참고할 수 있도록 체계화 · 34,000여 개의 콘텐츠 중 문화예술 분야와 관련된 콘텐츠 6,800여 개를 선별하고 15개 분야로 분류하여 제공 (‘문화포털’과 연계)
66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Chapter 04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 기반 조성 사업
문화다양성 교육 연수
사업내용
기획·운영사업
문화의 다양성과 조화는 한 사회의 건강함을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문화기반시설, 문화재단, 초·중등교원, 방송 및 언론 미디어 종사자를 대상으로 사회 전반에 문화다양성 가치 확산 및 문화 다양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세부실적
구분
연수기관
한국 도서관 협회 문화기반시설 관계자 연수 프로그램 한국 문화의집 협회
※ 단위: 시간 / 명
Annual Report 2013
프로그램명
참여대상
사서직 교육훈련 시 연계 문화다양성 교과목 운영
도서관 사서직 수강생 등
2013.9.4(수)
19
전국도서관대회 연계 ‘문화다양성 역량 강화 연수’
도서관 사서 및 공무원 등
2013.10.23(수) ~24(목)
142
1차
문화의집운영자, 강사, 플레이숍 참여자 등
2013.10.16(수) ~17(목)
34
2차
서울·경기·강원·경상지역 문화의집운영자, 강사 등
2013.11.6(수) ~7(목)
28
3차
충청·전라지역 문화의집 운영자, 강사 등
2013.12.5(목) ~6(금)
61
문화의 집 운영자 대상 문화다양성 연수
연수일시
참여인원
문화재단 관계자 연수 프로그램
전국지역 문화재단 연합회
지식공유포럼 ‘문화다양성 역량 강화’
전국 기초문화재단 관계자 및 담당 지자체 공무원 등
2013.11.7(목) ~8(금)
119
언론미디어 종사자 연수 프로그램
KBS 심의실
PD, 심의위원 등 방송미디어 관계자 대상 문화다양성 세미나
KBS 심의실 소속 심의위원
2013.10.21(월)
17
계
420
67
문화다양성 교육
사업내용
연구 사업
우리 사회 핵심 인력 대상 문화다양성 역량 강화 및 사회 전반의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해, 문화 다양성 교육 추진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교육대상별 특성·수준을 고려한 체계적 교육단계를 제시 및 시범 연수를 운영하여 현장성 있는 교육 콘텐츠 활용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세부실적 연구과제명 기업종사자를 위한 문화다양성 교육 커리큘럼 개발 및 시범연수 운영
행정인력을 위한 문화다양성 교육 커리큘럼 개발 및 시범연수 운영
세부내용 기업 종사자들 요구에 부합하는 실천적 차원의 문화다양성 교육 커리큘럼 개발 기업종사자 대상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변화와 수용력 증진, 나아가 기업 문화 및 사업 전략의 변화를 진작시켜 사회문화전반의 문화다양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로드맵 제시 공공차원에서 문화적 다양성이 구현될 수 있도록 행정인력(5급·7급 공무원) 대상 문화다양성 교육 커리큘럼 개발 행정인력의 특성과 문화예술적 방법을 고려한 체계적인 문화다양성 교육으로 문화다양성 인식 제고 및 수용력 강화 기대
문화다양성 콘텐츠 제작
사업내용
지원사업
우리 사회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슈를 고민하고, 사회 전반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문화다양성 관점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다양성이 존중받는 사회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세부실적 · 문화다양성 영상콘텐츠 제작 지원사업 - 일상 속 문화다양성 사례를 취재, 고찰하는 다큐멘터리 제작 - 공영방송 KBS와 협력, 영상콘텐츠 제작 방영(2014.5) · 문화다양성 출판 제작 지원사업 - 교양서 3종, 이론서 2종 제작 - 이주민과 이주노동자의 삶, 방송·미디어 분야의 문화다양성, 일상생활 속의 문화다양성, 10대 청소년 문화까지 다양한 주제로 접근
68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International Exchange
Annual Report 2013
Chapter 01.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70
Chapter 02. 해외 한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72
Chapter 03. 문화예술 ODA사업
73
Chapter 04. 아·태지역 문화예술교육 정보구축 사업
75
Chapter 05. 해외 온·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축
77
Chapter 06.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DB관리 및 재가공
77
69
Chapter 01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사업내용 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다양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방법론을 공유하고, 교육현장의 이슈를 중심으로 참가자들이 초청강사와 함께 체험·시연, 관련 분야에 대해 토론하는 쌍방향 참여형 워크숍입니다. 또한 광역센터와 연계하여 서울 및 지역 순회 워크숍을 개최, 각 지역 참가자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세부실적 차수
29차
지역
서울
제주
일시
7.2(화)
7.3(수)
7.4(목), 5(금)
초청 기관·소속
(전) 미국 시카고 대학부설 병원 활동치료 감독 및 학교 사회복지사
호주정부 승인 심리치료 상담 전문가
이스라엘 창의적 무용·동작 치료 전문가
초청 강사
팸 매귤러스 (Pam Margules)
릴리안 티오 카플란 (Lillian Thio Kaplan)
힐다 웬그로웨 (Hilda Wengrower)
주제
아동 스트레스 완화·분노 조절을 위한 무용·동작 프로그램 설계 및 실습
노인·치매환자 대상 무용·동작 프로그램 기획 및 평가 실습
무용·동작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성 개발효과 및 행동장애 아동 대상 프로그램 공유
참가 인원
53명
45명
50명
만족도 결과
만족 이상 (65.7%)
만족 이상(91.6%)
만족 이상(94.4%)
차수
30차
지역
서울
대전
일시
9.9(월), 10(화)
9.12(목), 13(금) 핀란드 피푸 문화센터 이사
초청 기관·소속
소셜 서커스 연극감독 겸 예술강사 필비 쿠이투(Pilvi Kuitu)
초청 강사 야르모 스콘(Jarmo Skon)
70
주제
핀란드 주요 문화예술교육 및 소셜 서커스 교육방법·운영사례 공유
핀란드 문화예술 기반 학습 효과성 연구결과 공유 및 서커스 교육실습
참가 인원
63명
43명
만족도 결과
만족 이상(100%)
만족 이상 (100.0%)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29차 워크숍> 제주 참가자
수혜자
“무용 전공자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피드백
참여하였으며, 평소 이런 워크숍 참여 기회가 부족한 제주 지역 워크숍이라 지역 예술강사 및 전문가에게 매우 뜻깊은 경험이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제주 지역 예술강사 간의 네트워 크도 자연스럽게 확장된 것 같다.”
<30차 워크숍> 서울 참가자 “첫 만남부터 마음 열기, 프로그램 전개 과정, 완성에 이르는 단계별 체험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서커스를 통해 참가 아동과 교류 하는 방법을 직접 몸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였다.”
Annual Report 2013
71
Chapter 02
해외 한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업내용 해외 주요 문화예술기관의 현지 인프라를 활용하여 현지인 대상 한국 문화예술교육을 실시 함으로써 참가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심도깊은 이해를 도모함과 동시에 한국문화예술교육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현지에 파견할 국내 문화예술교육 단체를 선발하여,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기관 및 단체간 교류에 기반한 쌍방향적 소통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및 강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세부실적 지역
프로그램명
일시
대상
내용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MoMA)
‘Knock Project’ 마음을 두드리다
2013.12.11(수) ~12.13(금)
뉴욕 거주 (치매) 노인 77명
‘달항아리’라는 한국전통문화를 모티브로 현대미술작품을 완성하는 체험형 교육
“한국 문화예술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저만의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좋았고,
수혜자
이런 문화 관련 프로그램이 계속 있기를 희망합니다.”
피드백
“I liked the idea of Korean arts and making my own artwork. Please continue it, Wish to have these cultural program more often.”
72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베트남 라오까이성 사진
사업내용
교육 프로그램
문화존중 및 쌍방향적 소통이 강화된 문화예술교육 ODA를 실행하고자 기획된 사업입니다. 초·중등학생 대상 현지수요 및 문화와 접목되는 문화예술교육의 시행과 지속가능 기반 조성을 위한 매개자 교육이 함께 제공됩니다.
세부실적 · 매개자교육 (총 8차시 운영) - 기간: 2013.11.27(수)~12.3(화) (주중 13:30~16:30, 토요일 08:00~11:00, 일요일 2차시 연속 진행 09:00~12:00/13:00~15:00) - 대상: 베트남 라오까이성 사범대 교수 및 학생 20명 - 주요내용: 문화예술교육 방법론 및 사례 공유, 사진을 통한 나와 내 지역 표현, 사진의 역사, 사진기 활용법, 사진 읽기, 포토에세이 제작, 개인 포트폴리오 완성 등 · 초등학생 수혜자 교육 (총 15차시 운영) - 기간: 2013.12.12(목)~2014.2.13(목) (매주 목요일 13:30~16:30, 토요일 08:00~11:00) - 대상: 베트남 라오까이성 사파현 사파초등학교 학생 20명 - 주요내용: 다양한 주제 (타자의 시선으로 세상 보기, 우리 마을 이야기 찍기, 나의 가족 이야기 찍기 등)와 방법으로 사진 찍고 의견 나누기, 개인 포토북과 액자 디자인·제작 등 · 중등학생 수혜자 교육 (총 15차시 운영) - 기간: 2013.12.10(화)~2014.2.11(화) (매주 화요일 13:30~16:30, 토요일 13:30~16:30) - 대상: 베트남 라오까이성 사파현 낌동중학교 학생 20명 - 주요내용: 인터뷰를 접목한 움직이는 사진관, 찾아가는 사진관 프로젝트 등 주변 환경을 주제로 나의 마을과 친구, 가족을 촬영, 사진과 글을 함께 실은 포트폴리오와 마을지도 제작 등 · 현지 전시회 - 베트남 라오까이성 사파현 전시 | 2014.2.10(월) - 베트남 하노이 한국문화원 전시 | 2014.2.15(토)~2.19(수)
Annual Report 2013
73
“선생님들과 학생들이 함께 지냈던 시간, 열심히 노력했던 마음, 양국이 하나 되는 에너지로
수혜자
넘쳤던 수업들, 그리고 선생님들과 헤어지던 날의 웃음과 눈물을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피드백
| 바 응웬 띠 쏭 하, 매개자교육 참여자 |
“모든 사진에는 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사진을 읽을 수 있게 되니 사진을 통해 내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어 좋았어요. 새로운 앵글을 발견할 때 기뻤습니다.” “카메라는 나에게 기쁨, 행복, 그리고 항상 웃음을 만들어줍니다. 이번 교육을 통해 다른 각도와 다른 시각에서 세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 응웬 뚜안 비엣, 수혜자교육 참여자 |
※ 페이스북 페이지 “A Story of Vietnam”: https://www.facebook.com/gemmyproject
74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Chapter 04
아·태지역 문화예술교육 정보구축 사업
옵저버토리 웹사이트
사업내용
운영 및 관리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문화예술교육 옵저버토리의 6개 회원기관 정보 공유 웹사이트(APAH, www.apah.info)를 운영하고 웹사이트 상에 한국 문화예술교육 주요 정책 및 사례, 연구결과물을 주기적으로 업로드 함으로써 아·태 지역 주요 문화예술교육 정보 교류를 활성화하고 누구나 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공개합니다.
세부실적 · 연간 정보 업로드 건 수: 총 49건 · 회원기관 현황: 총 6개 (2013.12월 기준) 국가
회원 기관
뉴질랜드(New Zealand)
아츠온라인(Arts Online)
호주(Australia)
멜번대학교(Univ. of Melbourne)
싱가포르(Singapore)
난양대학교 국립교육원 예술교육연구센터(UNESCO-NIIE CARE)
카자흐스탄(Kazakhstan)
알마티 카스테예프 미술디자인학교 (Almaty School of Fine Arts & Technical Design)
중국/홍콩(Hong Kong, China SAR)
홍콩교육원(HKIE) 문화·창의예술부
한국(Republic of Korea)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옵저버토리 영문
사업내용
뉴스레터(Arts Talk)
아·태 지역 주요 문화예술교육 이슈와 옵저버토리 회원기관의 우수
기획 및 제작
사례를 소개하고, 주요 행사 및 인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온라인 기반 영문 뉴스레터를 제작하여 옵저버토리 웹사이트에 게시하고 아·태 지역 주요 문화예술교육 및 관계자에게 메일로 배포합니다.
세부실적 · 발행건수: 1건(2013.10.22) · 배포대상자: 총 66명
| 옵저버토리 영문 뉴스레터(Arts Talk) 창간호 |
Annual Report 2013
75
2013 아·태지역 문화
사업내용
예술교육 심포지엄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문화예술교육 옵저버토리 네트워크의 성과를 소개하고 아·태지역 국가별
(APACE/Asia-
우수 예술교육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국내 주요 관계자에게는 해외 주요 정책 동향 및 사업에
Pacific Regional
대한 정보 수집 기회를 제공하고 옵저버토리 회원기관-유네스코 간의 지속적 네트워크 관리 및
Arts & Culture
활성화 전략을 구축합니다.
Education Symposium) 운영 및 관리
세부실적 · 일시: 2013.10.30(수) 14:00~17:30 · 장소: 서울 페럼타워 페럼홀 · 주요 발제자: 유네스코 방콕, 옵저버토리 회원기관 대표 10여명 · 참가자: 국내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관계자 132명 · 주요내용 - 옵저버토리 네트워크 사업 소개 및 주요성과 발표 - 아·태지역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례 비교연구 결과 발표 -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례 발표(호주, 홍콩, 싱가포르)
76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Chapter 05
해외 온·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축 사업내용 해외 주요 문화예술교육 기관, 단체, 전문가와 온·오프라인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주요 국제동향을 파악하고 해외 협력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갑니다.
세부실적 · 해외 온라인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 - 기관 영문홈페이지 콘텐츠 관리 및 운영(http://eng.arte.or.kr/) - 기관 영문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KACES.ARTE): 총 33건의 주요행사 및 성과 업로드 - 기관 영문 대표메일(kaces@arte.or.kr) 관리: 총 1,412건 수신 · 해외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 - 해외 내방객 관리: 총 22명 (북미,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 주요 문화예술교육 인사와의 면담, 향후 협력사업 방향 논의 등) - 주요 국제행사 참가지원: 총 2건 ① 뉴욕 링컨센터 세계교육자워크숍 (2013.7 / 인력양성팀) ② 2013 아시아예술교육기관연맹(ALIA) 컨퍼런스 (2013.12.19~20 / 기관장)
Chapter 06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DB 관리 및 재가공 사업내용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주요 동향(정책, 우수사례, 연구결과 등)을 수집, 재가공하여 국내·외 주요 관계자에게 효과적으로 공유합니다.
세부실적 · 국외 DB 관리: 총 114개 해외 문화예술교육 자료 보유 · 국내 DB 관리: 총 183개 국내 문화예술교육 자료 보유 · 향후 활용방안: 월간 해외동향 보고서 및 관련 연구보고서 제작, 국내 주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디렉토리북 제작 등
Annual Report 2013
77
78
대외협력사업 Public Relations
Chapter 01.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Annual Report 2013
80
79
Chapter 01 대외성과 확산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사업내용 사회적 가치 향상에 기여하는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인식 제고를 위해 언론매체를 통해 홍보합니다. SNS, 모바일 앱, E-book, 아카이빙 플랫폼 등 디지털 미디어 환경 기반으로 현장소식과 성과사례를 공유하고, 대중과의 소통 채널을 다각화하여 가치를 확산합니다. 또한 홍보성과평가 지표 개발을 통해 대중들의 실질적인 공감대 형성에 대한 효과성 입증과 더불어 효율적인 홍보 활동을 전개해나갑니다.
세부실적 · 교육진흥원 추진 정책사업 관련 언론보도 실적 총 3,017건 (전년대비 126.6% 증가) 분류
학교본부
사회본부
교육진흥본부
주간행사
기타
계
건수
342
2,098
88
353
141
3,017
· 주요일간지 및 기획기사 60건 / 주요 일간지(서울신문, 중앙일보, 한겨레 등) - 서울신문 협력 기획보도 (총 8회) · 방송 37건 / SBS스페셜, 지상파 3사 정보교양 및 보도국 등 - 주요일간지 기획보도
| 중앙일보(2013.10.22) |
| 서울신문(2013.8.13) |
| 서울신문(2013.9.10) |
| 서울신문(2013.8.6) |
| 경향신문(2013.8.12) |
| SBS 8시 뉴스(2013.10.18) |
| KBS 뉴스9(2013.4.20) |
80
| 조선일보(2013.10.18) |
대외협력사업
아르떼 365
사업내용
www.arte365.kr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보와 자료를 정기적으로 서비스하는 문화예술교육 분야 온라인 전문 매체 ‘아르떼365’를 운영합니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흥미로운 과정과 이야기를 소개하여 정책 사업의 홍보 효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세부실적 · 사진·영상, 칼럼, 인터뷰, 사업 현장, 해외 소식 등 요일별로 주제를 차별화하여 주 5회 기획 기사 게재 및 뉴스레터 발송 · 연간 누적 기사 289건 제공, 웹진 페이지 뷰 월 47,197여회 ·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반응형 플랫폼 개발(모바일 접속률 20% → 30.24%, 전년대비 150%이상 증가) · 주요 정책사업별 리포터 배치(4명) 및 해외리포터(6개국 10명) 운영 ·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로 정보 확산 및 쌍방향 소통
| 아르떼 365 웹페이지 |
| 뉴스레터 |
<함께하는 목요일>
참여자
“국내 현장의 목소리, 아이들과 교감하고 노력하는 분들의 이야기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예술
피드백
교육을 들여다 볼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기사 많이 부탁드립니다.”
| 이기현 독자 |
<소통의 월요일> “어릴 때는 정말 무한한 상상력 덕분에 즐겁고 웃을 일이 많았던 것 같은데 시간이 지날수록 상상하는 시간보다 획일화된 생활 속에서 순수하게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이 줄어든 것 같아요. 앞으로 제 주변의 작은 것들이라도 유심히 살펴보고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Annual Report 2013
| 정세향 독자 |
81
온·오프라인
사업내용
홍보물 제작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및 대중의 수요를 적극 반영한 온오프라인 홍보물을 제작합니다. 문화예술 교육 정책 및 현장사례를 다양한 채널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기관의 위상 제고 및 대중과의 공감대를 확산하고 있습니다.
세부실적 · 아카이브 플랫폼 개발, 관계자 및 일반 시민 대상 홍보콘텐츠 서비스 · 모바일 앱 개발을 통해 지면 홍보물 제작 비용 절감 및 일반 시민 대상 양질의 콘텐츠 제공 · 주요 정책사업의 인포그래픽스(2D) 및 모션 인포그래픽스 등 최신 트렌드 반영한 홍보물 제작
인포그래픽스
| 아르떼북 앱 |
| IOS |
| 안드로이드 |
· 아르떼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rtejockey (팬수 3,669명) · 아르떼 트위터 | www.twitter.com/artejockey (팔로워 2,015명) · 아르떼 아카이브 | http://www.artearchive.kr
82
대외협력사업
SNS 운영
사업내용 뉴미디어의 특성을 활용하여 양방향 소통형 정책공감을 진행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등 SNS를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정책 및 현장사례를 친근한 콘텐츠로 재가공하여 전달합니다.
세부실적 · SNS용 기관 캐릭터 개발 · 페이스북(팬수 3,669명, 콘텐츠 394건), 트위터(팔로워 2,015명, 콘텐츠 347건), 블로그(월 평균 방문자수 10,557회, 콘텐츠 289건) · 비메오, 플리커 등 SNS플랫폼을 활용하여 사진·영상 아카이빙, 정보 공유 활성화
블로그, 비메오, 플리커
| 블로그 blog.naver.com/artezine |
| 비메오 vimeo.com/artejockey |
Annual Report 2013
| 플리커 flickr.com/arte365photo |
83
84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International Arts Education Week 2013
Annual Report 2013
Chapter 01.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86
Chapter 02.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기념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90
85
Chapter 01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사업내용 유네스코·한국정부가 공동 주최한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 대회>의 성공 개최를 발판으로 유네스코 총회에서 대회 개최 기간이었던 5월 4주를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으로 선포(2011.11.4)함에 따라, 2012년 첫 번째 행사에 이어 2013년 두 번째의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세부실적 · 기간: 2013.5.19(일)~25(토) · 장소: 서울 시내 주요거점(개막 및 기획행사) 및 전국 문화기반시설과 학교 등 · 참여대상: 어린이 및 초·중·고등학생, 학부모, 일반시민, 문화예술교육계 전문가 등 · 주요내용: 전국 단위 문화예술교육 관련 행사(개막식, 학술세미나, 교육 포럼 및 워크숍, 공연, 체험 교육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 주제(슬로건): 문화예술교육, 말을 걸다 - 총 운영 프로그램: 총 387건 - 총 참여인원: 약 39,103명 - 언론보도: 총 353건 · 홈페이지: www.arteweek.kr
<주요 프로그램별 개요 및 참여인원>
모두에게, 말을 걸다
핵심과제
행사명
주변에게, 말을 걸다
장소
세부내용
참여인원
· 개막 선언, 축하공연, 국내외 연사 강연(김영하, Dr.Ernst Wagner), 축사 ·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학계·예술계 인사 등 300여 명 참석
293
① 개막식
5.20(월), 17:00~18:30
남산국악당
② 시민들의 특별한 공연_ 몸 SNS를 위한 전무후무
5.19(일), 16:00~20:00
서울시청 8층다목적홀
· 40여명의 사전 선발된 시민들이 직접 연출하고 기획한 80분간 공연 · 대상: 일반시민 등
353
③ 특별한 초대
5.19(일)~24(금)
서울지역 공연장·미술관
· 홍보의 목적 뿐 아니라 주간행사기간 공연과 전시를 접할 수 없었던 시민들에게 SNS 통해 기회 제공
96
④ 문화예술교육 성과 전시
5.19(일)~25(토) *월요일 휴관
서울시민청 시민플라자
· 국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학교· 사회 문화예술 현장사례 및 주요 정책 사업 공유 · 대상: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및 일반시민 등
6,125
5.24(금), 13:10~15:40
경남 합천/용주초교 (강병인 명예교사)
5.24(금), 19:00~21:00
강원 춘천/대풍이네헌책방 (노익상 명예교사)
· 명예교사가 소외지역을 찾아가 대상에 맞춰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기획하고 그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 프로그램
50
5.19(일)~24(금)
군포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500
5.25(토)~26(일)
서울시민청 활짝라운지
· 예술을 통해 소통하는 김봉준 작가가 시민들의 소망을 받아 소망과 함께 초상화 전시 · 대상: 일반시민 등
5.23(목), 20:00
서울/성동고
· 성동고의 40여명의 남자고등학교 학생들의 억압의 표출(외치고 싶은 말, 표정, 몸짓)을 사진, 인터뷰 다큐 영상에 담음 · 대상: 중고생, 학부모 및 교사 등
100
⑤ 문화예술 명예교사
86
일시
① 이웃의 이야기를 그리다_ 마울아리랑(총2회)
② 특별한 인터뷰_고함, 내 안에 소리치는 울림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일상에게, 말을 걸다
5.19(일), 13:00~17:00
서울/어린이대공원
5.19(일), 13:00~16:00
대전/청소년문화마당
5.19(일), 13:00~16:00
춘천/춘천교육대학교
5.22(수), 13:00~16:00
광주/아시아문화마루
5.25(토), 13:00~16:00
부산/궁리마루
5.25(토), 13:00~17:00
서울/광화문광장
5.25(토), 9:00~20:00
전국 16개시·군·구
5.19(일)~25(토), 9:00~20:00
전국 사립미술관
5.19(일), 11:00~13:00
서울/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5.20(월), 16:00~20:00
대전/국제연극연구소‘휴’
5.21(화), 18:00~20:00
서울/Thinkcafe with Cafe the way
5.22(수), 18:00~20:00
전주/부채문화관
5.23(목), 18:00~21:00
인천/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5.24(금), 18:00~20:00
서울/ 난지공원 캠핑장D구역
5.24(금), 16:30~20:00
부산/카페 티티카카 키친
5.25(금), 16:00~18:00
경기/고양아람누리
5.20(월), 9:00~12:00
경북/매화초
5.20(월), 10:00~12:30
경남/외암초
5.21(화), 9:00~12:00
경북/와룡초
5.21(화), 10:00~12:30
경남/대병초
5.23(목), 9:00~11:30
경북/화령초
5.23(목), 14:00~16:30
경북/아포초
5.23(목), 9:00~12:00
경북/남성현초
5.24(금), 9:00~12:00
경남/칠서초
5.25(토), 9:30~12:00
경남/함안중
5.27(토), 10:00~12:30
경남/지족초
① 시장에 흐르는 인문과 예술_ 시장과 사람들
5.19~25
충북 청주/ 가경터미널시장
② 시장에 흐르는 인문과 예술_ 황학동별곡: 100인 이야기
5.19~25
서울/중앙시장
③ 시장에 흐르는 인문과 예술_ 지역생산과 그들의 이야기
5.19~25
서울/남문시장
① 워크숍 박람회, 링크 (총6회)
②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140회)
세상에게, 말을 걸다
서로에게, 말을 걸다
서로에게, 말을 걸다
③ 뮤지엄페스티벌
① 예술강사 미니 컨퍼런스 (총8회)
② 예술체험 원정대(총10회)
Annual Report 2013
· 음악, 미술, 생활문화 등 관련 문화예술교육 체험프로그램 진행 · 대상: 어린이, 학부모, 대학생 및 일반 시민 등
4,720
· 주간행사 기간 동안 전국의 140여 개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서 일반인들 참여 기회 제공 · 대상: 어린이, 학부모, 대학생 및 일반 시민 등
8,836
· 전국의 사립미술관(61개)에서 주간행사를 맞이하여 각 미술관에 맞는 전시 및 연계 프로그램 개설, 주간의 의미 되새김 · 대상: 어린이, 학부모, 대학생 및 일반 시민 등
9,276
· 각각의 8명의 예술강사가 직접 예술강사를 위한 이야기 마당 개최 · 대상: 예술강사 등
196
· 기존 예술체험원정대 우수 프로그램 5개 선정, 문화소외지역 학교 10개곳에서 실행 · 대상: 해당 학교 학생들 등
734
· 시장 상인들과 지역민간의 소통을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 · 대상: 해당 시장 상인 및 지역 주민 등
2,000
87
내일에게, 말을 걸다
꿈에게, 말을 걸다
① 밴드의 리어카, 광화문을 굴리다
5.25(토), 13:00~17:00
광화문광장
5.19(일), 13:00~15:30
두타쇼핑몰 앞 광장
5.21(화), 12:00~14:30
광화문광장
5.22(수), 12:00~14:30
광화문광장
5.23(목), 12:00~14:30
광화문광장
5.24(금), 14:00~16:30
광화문광장
③ 예술꽃씨앗학교 공연(4회)
5.22(수), 25(토), 13:00~16:00
광주/부산
① 국외 입주작가 포럼_ 토크쇼, 말을 넘어서: 해외작가가 바라보는 한국의 문화예술교육과 대중문화
5.22(수), 14:00~17:00
스페이스 노아
5.22(수), 14:00~17:00
서울/페럼타워3층 페럼홀
· 오케스트라에 관련된 전문강사, 지원기관, 실무자 대상으로 시스테마의 혁신의 사례 공유 · 대상: 국내음악·오케스트라 교육자·음대학생, 예비교육자
5.23(목), 13:00~17:00
대전/무형문화재전수회관
· 전문가 대상으로 마스터클래스 운영 · 대상: 거점 기관 관계자
③ 한중일 심포지엄_ 미래를 대비하는 문화예술교육
5.22(수), 10:00~17:00
서울/한국언론진흥재단 20층 국제회의장
· 한국, 중국, 일본 아시아 3국의 문화예술교육 사례들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 · 대상: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등
300
④ 문화예술교육 포럼_ 문화예술교육의 지난 10년, 앞으로의 10년
5.24(금), 13:00~16:30
서울/한국언론진흥재단 20층 국제회의장
· 문화예술교육의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를 함께 고민 하는 자리 · 대상: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예술강사, 교사, 정책 담당자, 관계자 등
300
⑤ 폐막식
5.25(토), 17:00~18:00
서울/페럼타워3층 페럼홀
· 주간행사 성과 공유, 폐막기념 공연, 시상식, 축사 등 · 대상: 문화예술교육 기관 관계자 및 전문가 100여명
119
② 광화문의 거리악사들
② 꿈의 오케스트라 <엘시스테마 오픈 포럼>_ 시스테마 혁신 (오케스트라 교육의 변화): 캐나다 뉴브런스윅
2,000
· 생활 예술가들 및 아마추어 밴드를 발굴하여 시민들과 호흡할 수 있는 공연의 장 마련과 싱글CD 제작 지원 · 대상: 일반시민 등
2,500
· 워크숍 박람회와 연계한 예술꽃씨앗학교 공연
200
· 해외작가가 보는 한국의 대중문화와 문화예술교육을 짚어보고 토론하는 열린 포럼 · 대상: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및 일반시민
①
②
③
④
⑤
⑥
60
345
① 개막식, ② 개막극_시민들의 특별한 공연, ③ 워크숍 박람회_서울, ④ 광화문의 거리악사들·밴드의 리어카, ⑤ 시장에 흐르는 인문과 예술, ⑥ 문화예술교육 성과전시
88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나의 생각을 표현하고 내 힘으로 생각하고 또 그것을 누군가에게 보여주었다는 사실에 정말로 감격스러웠다”
참여자 피드백
| <시민들의 특별한 공연_몸 SNS를 위한 전무후무> 참가자 | “평소에 나만 알고 있던 것들을 이렇게 함께 나눌 수 있어 좋았고 참가한 아이들이 정말 즐거워했는데, 나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함께 즐겼다” | <워크숍박람회_블어볼까? 르떼의 흥미진진한 이야기>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강사 | “집 가까운 곳에서 이렇게 재밌는 행사가 있어서 너무나 좋았다. 매년 이런 행사가 열려 참여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많아서 너무 좋다” | <워크숍박람회_블어볼까? 르떼의 흥미진진한 이야기> 참여자 학부모 |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앱
안드로이드
※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홈페이지: www.arteweek.kr
⑦
⑧
⑨
⑩
⑪
⑫
⑦ 고함, 내 안에 소리치는 울림, ⑧ 예술체험 원정대, ⑨ 예술강사의 이야기 마당, ⑩ 미래를 대비하는 문화예술교육_한중일 포럼, ⑪ 문화예술교육 지난 10년, 앞으로의 10년, ⑫ 폐막식
Annual Report 2013
89
Chapter 02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기념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사업내용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문화예술교육 주간에 한·중·일 3국 포럼을 개최함으로써 문화예술 교육을 통한 아시아의 미래적 가치 재창조 및 상생·발전을 위한 창의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3국 간 문화예술교육 분야 정보·자원의 교류협력을 활성화합니다.
세부실적 · 일시: 2013.5.22(수) 10:00~17:00 · 장소: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 · 주요 발제자: 한·중·일 문화부 관계자 및 학계 전문가 10여명 · 참가자: 한·중·일 및 아·태지역 기관·단체 관계자, 교수, 활동가, 예술가 등 300여명 · 주요내용 - 한·중·일 문화예술교육의 위치와 초점 논의(Locus & Focus) -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정책 우수 사례 공유(Best Practice) ① 아동·청소년 창의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② 일반시민의 문화적 삶과 공동체 형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③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양성을 위한 정책 - 토론 ‘미래의 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공통과제와 협력방안’
90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SNS
아르떼 바로가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www.arte.or.kr
청춘연극제
온라인 아카데미
artesenior.or.kr
lms.arte.or.kr
꿈의 오케스트라 아르떼AA 아카데미
eng.arte.or.kr
www.orchestrakids.or.kr m.arte.or.kr www.facebook.com/ orchestrakid www.facebook.com/ artejockey
www.facebook.com/ aakeyum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통합운영시스템
생활문화공동체 ums.arte.or.kr twitter.com/artejockey
www.facebook.com/ livingcultures
아르떼365
예술꽃씨앗학교
www.arte365.kr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www.livingcultures. tistory.com
flower.arte.or.kr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창의교육센터
toyo.arte.or.kr
www.arteweek.kr ecc.arte.or.kr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友樂部落)
특별한 하루(명예교사 프로그램)
www.woorockboorock. or.kr
www.facebook.com/ arteday
www.facebook.com/#!/ woorockboorock
arteday.tistory.com
Annual Report 2013
유네스코 아·태지역 문화예술교육 옵저버토리 네트워크 웹사이트(APAH)
www.apah.info
91
본 자료집은 저작자와 출처를 표시하면 자유이용을 허락합니다. 단, 영리적 이용과 2차적 저작들의 작성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발행일
2014.01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www.arte.or.kr / www.arte365.kr
문의
02 6209 5900
기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경영기획팀
등록번호
KACES - 1390 - C001
ISBN
978 - 89 - 6748 - 074 - 5
비매품 03370
9 788967 480745
ISBN 978-89-6748-0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