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예술꽃 씨앗학교 브로슈어

Page 1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작은 학교에서 싹트는 예술의 씨앗, 지역 사회에 피어나는 희망

문화예술 소외지역의 작은 학교에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합니다. 전교생 모두가 다채로운 문화예술교육을 체험하며 따뜻한 감수성과 톡톡 튀는 창의력을 키워갑니다. 문화예술교육이 학교의 일상이 되어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끊이질 않습니다. 아이들의 즐거운 노랫소리가 학교 담장을 넘어 지역사회로 울려 퍼집니다. 학교는 문화예술교육의 꿈과 희망을 지역사회와 함께 나누며, 예술꽃 향기를 널리 퍼트립니다.

작은 학교가 품은 커다란 희망의 씨앗, 예술꽃 씨앗학교입니다


목 차

예술꽃, 씨앗을 품다 작은 학교, 예술꽃 피우다 예술꽃 씨앗학교를 만드는 사람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예술꽃 씨앗학교 연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전국 예술꽃 씨앗학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예술꽃 향기, 널리 퍼져나가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걸어온 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예술꽃 씨앗학교 이야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성과 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부록 ‘예술꽃 씨앗학교’ 연계사업 - ‘예술꽃 새싹학교’ 예술꽃 씨앗학교 소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경기 옥천초등학교 음악 수업


3

예술꽃, 씨앗을 품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400명 이하 소규모 학교 전교생이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통해 문화적 감수성과 표현력을 키우고, 창의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지난 2008년부터 문화예술교육 운영의지가 높은 학교를 예술꽃 씨앗학교로 지정하여 국악, 서양악, 영화, 연극, 뮤지컬, 디자인, 공예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교육환경 기반을 다지는 것에서부터 교사와 강사의 역량 강화,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조성에 이르기까지 통합적 운영을 체계적으로 지원합니다. 지원이 종료된 후에도 학교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기업 사회공헌활동 연계 등 다양한 형태로 돕습니다.


4

작은 학교, 예술꽃 피우다 누구나 꽃이 될 수 있는 예술꽃 씨앗학교 문화예술의 향기가 퍼지기 어려운 전교생 400명 이하의 작은 학교를 찾아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정성을 다해 작은 꽃을 키우는 학교 최대 4년 동안 집중된 지원을 통해 일상에서 누리는 문화예술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운영합니다.

지역 사회와 함께 만드는 학교 학교를 중심으로 특화된 문화예술교육이 지역의 활동에 활력을 불어 넣습니다.

작지만 홀로 설 수 있는 꽃을 피우는 학교 지역과 함께 학교 스스로 예술꽃을 키우고 퍼트려 나갈 수 있도록 성장을 돕습니다.


5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 방향 설정

학교 선정 및 사업 운영 지원

사업운영

운영 추진체계 마련

연구 및 평가, 컨설팅 워크숍 운영

교육과정 연계

예술꽃 씨앗학교 지정

성과박람회 운영 및 대외홍보

운영 분야 특성화

※ 17개 시・도 교육청 협조


6

예술꽃 씨앗학교 연혁

2008

제 1기 10개 초등학교 선정

2011

전국 예술꽃 씨앗학교

서울 / 경기 / 인천

강원

세종 / 충청 / 대전

경북 / 대구

제 2기 16개 초등학교 선정 성과 박람회 ‘어울림 뜨락’ 개최

2012

제 3기 10개 초등학교 선정

2013

전북

제 4기

경남 / 부산 / 울산

4개 초등학교 선정

2014

제 5기

전남 / 광주

13개 학교 선정 - 10개 초등학교 - 3개 중・고등학교

제주


7

서울/경기/인천

서울개화초등학교 서울창천초등학교 만선초등학교 옥천초등학교 수남초등학교 조안초등학교 하점초등학교

경북

봉화초등학교 송라초등학교 백원초등학교 경북항공고등학교

전북

간중초등학교 남원초등학교 당북초등학교 옥구중・군산남고

세종

장기초등학교

대구

대구덕성초등학교 대구월성초등학교

전남

승주초등학교 여수북초등학교 한천초등학교 현산초등학교 고서초등학교

충북

칠성초등학교 오선초등학교 수안보초등학교

경남

삼동초등학교 남포초등학교 거류초등학교 창호초등학교 고제초등학교 성포중학교

광주

광주지산초등학교

충남

거산초등학교 성남초등학교 송남초등학교

부산

금성초등학교 배영초등학교 서명초등학교 칠암초등학교

강원

대포초등학교 서상초등학교 인제남초등학교

대전

대전대신초등학교 동명초등학교 남선초등학교 산서초등학교

울산

반천초등학교 함월초등학교

제주

남원초등학교 영평초등학교 북촌초등학교 애월초등학교

1기 2기 3기 4기 5기


8

선정 절차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방법

공모

선정 심사

공모 홈페이지 공고 및 교육청 협조를 통한 공개 모집

심사

서류 심사 현장 심사 최종 심사

씨앗학교 운영 전문가 컨설팅

선정

문화예술교육 의지가 높은 학교 선정

전문가 컨설팅

중점 분야 및 교육 전문가 컨설팅단을 통한 운영계획 보강

씨앗학교 운영

운영 로드맵 단계별 적용 3년 확정 지원 ※ 교육 성과에 따른 1년 추가 지원


운영 로드맵

기반조성기

정착기

확산기

성장기

1차년도 : 예술꽃 씨앗 뿌리기

2차년도 : 예술꽃 씨앗 물주기

3차년도 : 예술꽃 피우기

4차년도 : 예술꽃 열매 맺기

문화예술교육과의 첫 만남.

다양한 체험을 통해 발견한 아이들의

학교와 지역사회에 뿌려진 예술꽃

4년간 쑥쑥 자라난 예술꽃이 지역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문화

예술꽃 씨앗이 꽃을 피울 수 있도록

씨앗이 다양한 꽃을 피웁니다.

사회 안에서 열매를 맺습니다.

예술교육 활동을 체험하며 아이들

성장시킵니다.

아이들이 갈고 닦은 실력을 선보이는

문화예술교육이 일상과 함께하는

안에 잠재되어 있는 예술꽃 씨앗을

아이들이 가진 개성과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공연과 마을 축제가 열리는

삶의 친구가 됩니다.

발견합니다.

문화예술교육을 보강하고 집중 지원

등 예술꽃이 활짝 피어납니다.

지원이 끝난 후에도 학교가 자립할

차후, 학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문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 기반을 닦는 단계입니다. - 문화예술교육 기반 조성

- 교사・강사 워크숍 및 연구모임 운영

-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교수법

- 학교별 특성화 모델 구축

및 커리큘럼 개발 적용

및 프로그램 강화

- 「문화예술교육캠프」 기획・운영

- 문화예술교육 교재 및 워크북 개발

- 지역사회 문화예술

- 지역사회 문화예술 유관기관과

유관기관 조사 등 기반 마련 - 예술꽃 씨앗학교 자문위원회 구성 등

연계활동 강화 및 협력 체결 - 학부모 대상 연수 프로그램 운영 - 문화예술 동아리 활동 강화 등

예술꽃이 품은 향기와 아름다움은 학교 담장을 넘어 지역사회로 퍼져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해, 지역사회와 더불어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지속할

나갑니다.

수 있도록 합니다.

- 학교별 특성화 모델 구축

- 학교별 특성화 모델 정착

및 프로그램 심화 - 지역주민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운영

- 교사・강사 워크숍 및 연구모임 심화 -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자립화 방안 마련 ・ 졸업생 멘토 - 멘티 운영

-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나눔 활동

・ 예술꽃 씨앗학교 간 자원 공유

- 학부모와 네트워크 강화

・ 지역사회 예술꽃 씨앗학교 후원회 구성 등

- 지속운영을 위한 자립화 방안 논의 등

※ 3년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4차년도 지원이 확정됩니다.


10

운영 내용

특성화된 문화예술교육 학교 교육과정 연계 문화예술교육 캠프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공연 및 발표회 사업종료 후 지역, 기업과 연계한 자립 운영 방안 구축

지역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거점 역할

교육 프로그램 연구 및 개발


11

예술꽃 씨앗학교 분포

29 24

13

14

11

15

14

10

8

8

8

공연예술

시각예술

통합예술

5 대도시

중소도시

읍지역

도시 유형별 분포

면지역

도서벽지

음악예술

운영 분야별 분포

50명 이상 100명 미만

100명 이상 200명 미만

200명 이상 400명 미만

학생 규모별 분포


왼쪽상단부터 시계방향 경기 옥천초등학교 음악 수업 서울 서울창천초등학교 뮤지컬 수업 강원 서상초등학교 디자인 작품 지역장터 판매 수업 대전 남선초등학교 음악 수업 전북 남원초등학교 통합 프로젝트 수업


13

예술꽃 향기, 널리 퍼져나가다

예술꽃 씨앗학교로부터 시작된 문화예술교육의 향기는 학교 담장을 넘어 지역 사회로 널리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학생과 교사, 학부모 그리고 지역주민들은 일상을 문화예술교육으로 채워가는 경험을 통해 창의성과 자존감이 높아지고,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며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감과 애향심 또한 높아졌습니다. 전국의 예술꽃 씨앗학교가 거두고 있는 성과는 지속적으로 언론에 보도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 소외지역의 작은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이 특화된 학교로 성장하여 지역을 넘어 멀리 해외까지 퍼트리고 있습니다.


14

예술꽃 씨앗학교가 걸어온 길 청와대에 울려퍼진 천사들의 아카펠라

학교 폭력, 해결 방법은 있다! [ 강원일보 2013 - 10 - 29 ]

[한겨레 2012 - 04 - 02 ]

인제남초 아카펠라 그룹 한샘가온

부산 금성초, 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폭력 뛰어넘기

청와대 안뜰인 녹지원에서 아리랑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1주년을 축하하기

2006년 폐교 위기에 처한 부산 금성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운영 후

위해 마련된 공연의 첫무대에 올라 홀로아리랑을 선보여 관객들로부터 찬사!

전교생 120명으로 증가!

소규모 학교의 놀라운 변화

‘못해요 못해요’하던 아이들 ・・・ 그 상처난 마음의 ‘못’을 뺏지요

[ 대전시티저널 2012 - 06 - 29 ]

[ 문화일보 2011 - 11 - 23 ]

미래의 뮤지컬 스타가 나올 동명초

초등학생 문화예술교육 지원 ‘예술꽃 씨앗학교’

학교에서 배워 갈고 닦은 실력으로 학교폭력, 금연 등의 주제를 가지고 뮤지컬 제작!

한부모・다문화・농어촌 가정 등 배움 어려운 초등생들 집중지원 받아 음악・미술・영화 등 배우며

공연 특성화 교육프로그램 덕분에 현재 운영되고 있는 통학버스가 모두 갈 수 없을 정도로

자신감 쑥~ 장애인 시설 찾아가 연주회 열기도

멀리서도 학교를 찾아와

우리 아이들 입에서 욕설이 사라졌어요

음악 먹고 자란 아이들… 하늘 높이 날았다 [ 조선일보 2011 - 10 - 05 ]

[ 국민일보 2010 - 12 - 14 ]

‘예술꽃 씨앗학교 효과성 연구’에서 그 희망을 보았다

남해 삼동초등학교 교육 역전 드라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학부모와 지역 주민들을 면담하는 가운데 예상 밖으로 공통으로

작은 시골학교 어린이들이 음악을 통해 신나는 교육 역전드라마를 펼치고 있다.

듣는 증언은 “아이들에게서 욕설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풍물반, 가야금반, 뮤지컬반 개설! 5학년 김준현 군은 “도시에서 이곳으로 전학 오고 싶어 하는 친구들도 많고, 전국에서 저희 학교를 배우기 위해 사람들이 많이 찾아와요!”라며 뽐낸다.


15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초청 공연에 가다

배영초등학교 태평소 연주자 허 예 원

언젠가 파리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지만 이렇게 빨리 그 꿈이 이루어질 줄은 몰랐어요. 2012년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을 맞아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리는 공연에 예술꽃 씨앗학교인 우리학교가 참여하게 된거에요! 무척 떨렸지만 태평소를 연주 하면서 웃음이 났어요. 예상보다 큰 박수소리와 기립박수를 치는 사람들을 보면서 두근거렸던 경험을 잊지 못할 것 같아요. 꿈과 감성을 키우는 섬마을의 메아리

창호초등학교 교사 노 두 환

가조도 섬 안에 있는 창호초등학교는 학교의 존립을 걱정할 만큼 학생 수가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예술꽃 씨앗학교 선정 이후 학교가 변화했어요. 거제시의 지원을 받아 음악당 ‘예술꽃자리’를 건립했고, 이제는 다양한 공연을 개최하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학생들이 자신감이 생겨 ‘나도 할 수 있다’라는 생각을 갖게 된 것이 기뻐요. 엄마들도 함께해요

당북초등학교 김보미 학부모 신 정 아

아이들이 평소에 접하기 힘들었던 국악을 하게 되어서 너무나 기뻤습니다. 엄마들도 함께 배울 수 있어 더욱 의미가 깊습니다. 마음과 달리 손과 마음이 따로 움직여서 힘들기도 하지만 일주일에 한 번씩 우리나라 악기인 가야금을 조금씩 배워 나가면서 다른 학부모님들과 함께 즐거운 마음으로 하고 있어서 제 삶의 활력소가 되었어요. 나눔을 실천하는 현산초

현산초등학교 교사 김 춘 자

예술꽃 씨앗학교가 주민들도 함께할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지역 문화밴드도 생겨났고, 학부모들은 ‘예꽃 땅끝 합창단’을 결성했어요. 우리 지역 뿐 아니라 타 지역에 공연을 가기도 하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답니다.

예술꽃 씨앗학교 이야기


16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성과 연구

지역사회

학생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 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 는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1기인 10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08년부터 2012년에 이르는 4년차 지원을 마무리하며 그 결과와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사업 확산과 진행에 발판이 되고자 합니다.


17

성과 1. 학생들의 인성과 예술적 역량 발달 학생들의 표현력, 창의성, 협동심, 사회성 향상 자존감, 행복감은 사업 연차가 계속 될수록 높아져 단기적 성과가 아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양질의 교육 필요

9% 도움안됨

10% 변화없음 24% 변화없음

10% 교과학습 36% 소질계발

20% 진로설정

31% 학교생활흥미

43% 애교심

11% 협동심 25% 표현력신장

개인적 성과 (1기 학생)

23% 애향심 26%

지역문화 시설인식

16% 봉사심

5% 봉사심

학교생활 성과 (1기 학생)

11% 지역친교

지역생활 성과 (1기 학생)


18

성과 2. 학교 문화예술교육 환경 개선 교사가 학생의 다양한 예술적 재능을 발견하고 육성할 수 있어 학교 전반적 교육력 증대 학생 중심, 체험 활동 중심의 교육으로 예술교육의 질 향상 돌봄, 나눔과 배려, 협동을 강조한 교육 통해 행동 교정과 정서적 안정 치유 효과 교사 전문성 향상, 지역사회의 기대 향상으로 전학생 유입 교육행정기관 관심과 지원 확대 7% 기능향상

41%

커뮤니티 구축

9% 정서창의성

26%

커뮤니티 구축

3% 정서창의성

48% 학부모 유대강화

40% 문화참여

3% 유대강화

교사 성과 (1기 교사)

23% 문화참여

학부모 성과 (1기 학부모)


19

성과 3. 지역 문화예술 환경 개선 낙후된 지역 문화 자본의 확충 및 활용 / 예술강사 일자리 창출 지역사회에 전문 예술인의 공연 확대 주민 예술적 역량 증진

타지역과 문화교류 문화참여 32% 기회확대 10%

3% 변화없음

26%

32% 예술관심증가 28%

문화적 공동체구축

4% 공동체의식강화

문화참여 기회확대

23% 정서함양 및 여가

개인적 성과 (1기 지역주민)

지역사회 기여 (1기 지역주민)

31% 예술관심증가

11% 예술특성강화 및 홍보


20

‘예술꽃 씨앗학교’ 연계사업 - ‘예술꽃 새싹학교’ 예술꽃 새싹학교는 4년간의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종료된 학교를 대상으로 기업 사회 공헌활동과 연계하여, 자생력을 갖고 문화예술교육을 이어나가고 있는 학교를 지칭합니다. KB국민은행 후원을 통해 지원이 종료된 1기 예술꽃 씨앗학교(2008 ~ 2011) 중 2012년 3개교, 2014년 6개교가 ‘예술꽃 새싹학교’로 지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예술꽃 씨앗학교

예술꽃 새싹학교

4년간 연속 운영 교육 성과 축적

운영 경험 바탕으로 자생력 확보

학교 및 지역사회로 성과 확산

문화예술교육 기반 환경 조성

조성된 환경을 활용한 심화 교육

지역사회와의 연계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

2012/2014 : 부산 금성초등학교 ・ 경북 봉화초등학교 ・ 전남 여수북초등학교 2014 : 광주 광주지산초등학교 ・ 경남 삼동초등학교 ・ 경북 송라초등학교


22

2011 성과박람회 어울림뜨락 행사 _ 대전 동명초등학교 디지털 뮤지컬 전경


예술꽃 씨앗학교 소개

예술꽃 씨앗학교 공식 홈페이지 flower.arte.or.kr

1기 10개 학교 (2008 - 2011)

2기 16개 학교 (2011 - 2014)

학교명 광주지산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남원초등학교 대포초등학교 반천초등학교 봉화초등학교 삼동초등학교 송라초등학교 승주초등학교 여수북초등학교

지역 광주 부산 제주 강원 울산 경북 경남 경북기준 2014.1. 전남 전남

분야 음악 / 국악 통합 / 프로젝트형 시각・미디어 / 영화 음악 / 국악 음악 / 서양악 시각・미디어 / 영화 음악 / 서양악 음악 / 서양악 음악 / 서양악 음악 / 서양악

전화번호 062-570-9500 051-517-5400 064-764-4191 033-635-4253 052-262-9988 054-673-3252 055-867-2733 054-243-5505 061-754-5002 061-651-9395

홈페이지 k-jisan.es.kr gumseang.es.kr jjnamwon.es.kr daepo.es.kr banchon.es.kr bongwha.es.kr samdong-p.gne.go.kr songla.es.kr seungju.es.jne.kr ysbuk.es.jne.kr

학교명 간중초등학교 거산초등학교 남원초등학교 남포초등학교 대전대신초등학교 동명초등학교 만선초등학교 배영초등학교 백원초등학교 서상초등학교 영평초등학교 옥천초등학교 인제남초등학교 칠성초등학교 한천초등학교 현산초등학교

지역 전북 충남 전북 경남 대전 대전 경기 부산 경북 강원 제주 경기 강원 충북 전남 전남

분야 음악 / 국악 통합 / 프로젝트형 음악 / 국악 음악 / 서양악 음악 / 국악 공연 / 디지털뮤지컬 음악 / 국악 음악 / 농악 시각・미디어 / 도・공예 시각・미디어 / 디 자 인 음악 / 서양악 음악 / 퓨전 공연 / 음악극 음악 / 서양악 공연 / 연극・영화 음악 / 국악

전화번호 063-243-7012 041-542-9152 063-630-8800 055-649-9773 042-253-3847 042-274-2044 031-763-0382 051-971-4428 054-532-8526 033-244-2177 064-702-1305 031-772-5014 033-461-2208 043-832-5711 061-373-0022 061-533-7963

홈페이지 ganjung.es.kr keosan.cnees.kr namwon.es.kr nampo.es.kr djdaesin.es.kr djdm.es.kr manseon.es.kr baeyeong.es.kr backwonschool.gyo6.net seosang.es.kr yeongpyeong.es.kr oc.es.kr injenam.es.kr chilseong.es.kr hs-hancheon.es.jne.kr hyeonsan.es.kr


학교명 거류초등학교 고서초등학교 남선초등학교 당북초등학교 대구덕성초등학교 서명초등학교 서울개화초등학교 성남초등학교 수남초등학교 창호초등학교

지역 경남 전남 대전 전북 대구 부산 서울 충남 경기 경남

분야 음악 / 국악 공연 / 뮤지컬 음악 / 국악 음악 / 국악 음악 / 서양악 통합 / 총체극 통합 / 음악・미술 공연 / 뮤페라 통합 / 프로젝트형 음악 / 서양악

전화번호 055-672-1014 061-382-3024 042-825-0895 063-462-8983 053-939-7011 051-529-6598 02-2662-0492 041-553-0032 031-987-3690 055-633-9608

홈페이지 georyu.es.kr goseo.es.jne.kr namsun.es.kr danbuk.es.kr dg-deokseong.es.kr seomyeong.es.kr gaehwa.es.kr snam.caees.kr ksunam.es.kr changho-p.gne.go.kr

학교명 북촌초등학교 서울창천초등학교 오선초등학교 함월초등학교

지역 제주 서울 충북 울산

분야 공연 /제주신화뮤지컬 공연 / 뮤지컬 음악 / 합창 음악 / 서양악

전화번호 064-783-9932 02-715-4667 043-877-0595 052-297-1221

홈페이지 bukchon.es.kr changchon.es.kr oson.es.kr hamwol.es.kr

학교명 경북항공고등학교 고제초등학교 대구월성초등학교 산서초등학교 성포중학교 송남초등학교 수안보초등학교 애월초등학교 장기초등학교 조안초등학교 칠암초등학교 옥구중/군산남고 하점초등학교

지역 경북 경남 대구 대전 경남 충남 충북 제주 세종 경기 부산 전북 인천

분야 음악 / 서양악 시각・미디어 /공예 음악 / 서양악 시각・미디어 /환경예술 음악 / 퓨전 통합 / 생태・영화 음악 / 퓨전 통합 / 제주전통문화 음악 / 서양악 통합 / 프로젝트형 시각・미디어 / 영화 공연 / 뮤지컬 시각・미디어/디자인・공예

전화번호 054-636-2702 055-942-7066 053-234-2584 042-285-7221 055-632-5108 041-543-3907 043-846-2104 064-799-0005 044-857-4066 031-576-8145 051-727-0760

홈페이지 gag.school.gyo6.net goje.es.kr weolsung.es.kr djsanseo.es.kr seongpo.ms.kr songname.cnees.kr suanbo.es.kr aewol.es.kr janggi.es.kr joan.es.kr chilam.es.kr

032-933-5180

hajeom.es.kr

063-451-2915(군) / 2946(옥) okgu.ms.kr / kunsannam.hs.kr

3기 10개 학교

(2012 - 2015)

4기 4개 학교

(2013 - 2016)

5기 13개 학교

(2014 - 2017)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어갑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의거하여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입니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실현”을 목표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을 통해 개개인의 문화예술 향유능력 및 창의력을 함양시키고, 전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학교문화예술교육지원, 사회문화예술교육지원,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문화예술 교육 학술연구 및 조사, 창의사업 발굴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 대외 협력 및 국제교류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발행인ㅣ박재은 발 행 일 ㅣ 2014.1. 발

행 ㅣ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등록번호 ㅣ KACES-1370-C005 121-848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로 128 Tel . 02-6209-5900 ㅣ Fax . 02-6209-1393 ㅣ e-mail . contact@arte.or.kr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ㅣ www.arte.or.kr 예술꽃 씨앗학교 ㅣ flower.arte.or.kr

저작자와 출처 등을 표시하면 자유이용을 허락합니다. 단, 영리적 이용과 2차적 저작물의 작성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