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발행인 주성혜 발행일 2015.12.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창의교육지원본부장 정연희 창의교육팀장 임선영 창의교육팀 주임 김유정 등록 KACES-1570-R002
ISBN 978-89-6748-163-6(93370)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1392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 정문성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공동연구자 석문주 김혁진 전영은
경인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어린이문화원 예술감독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연구보조원 박새롬 이바름 한혜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자문진 오지향 이욱상 정재은 최미영
전남대학교 교수 부산영상예고 교사 서원대학교 교수 대구교육대학교 교수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 내용
5
4. 기대 효과
6
5. 연구 방법
6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9
1. 예술기반 학교운영 개념과 유형 분석
11
2. 국내·외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
26
3. 예술꽃 씨앗학교 모델 구안에 주는 시사점
38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41
1. 예술꽃 씨앗학교 연구물 주요 내용 분석
44
2.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계획서 및 보고서 분석
65
3.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 평가보고서 및 면접조사 분석
76
4.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 설문조사 분석
84
5. 예술꽃 씨앗학교의 개념 분석과 특성
105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13
1. 개념 정의
115
2. 운영모델의 제안 개요
116
3. 운영모델1 : 사업 관리 모델
127
4. 운영모델2 : 학교운영지침 모델
133
i|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Ⅴ.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147
1. 종합적인 지원 관리 체계의 활성화 방안
149
2. 운영성과의 확산과 지속 방안
154
참고문헌
159
목차|ii
표 목차
<표Ⅱ-1>
서울문화재단 예술로 플러스 사업 운영현황
18
<표Ⅱ-2>
2013년 예술로 플러스-사회로 예술하기 수업 계획
19
<표Ⅱ-3>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의 6가지 유형
25
<표Ⅱ-4>
예술꽃 씨앗학교 문화예술분야별 현황
33
<표Ⅱ-5>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별 특성(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
39
<표Ⅲ-1>
연구 영역 및 조사대상
45
<표Ⅲ-2>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 평가 지표
45
<표Ⅲ-3>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의 효과
47
<표Ⅲ-4>
예술꽃 씨앗학교 교육운영 계획
49
<표Ⅲ-5>
예술꽃 씨앗학교 세부 실행과제 편성 현황
50
<표Ⅲ-6>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내용에 따른 대상별 효과성 지표
51
<표Ⅲ-7>
효과성 분석의 기초자료 양식(측정지표별 종합분석표)
52
<표Ⅲ-8>
효과분석 연구 영역 및 조사대상
53
<표Ⅲ-9>
2기 1차 년도 변인별 측정 결과
54
<표Ⅲ-10> 예술꽃 씨앗학교 연차별 시행과제
55
<표Ⅲ-11> 예술꽃 씨앗학교 교육과정 설계 가이드(교과 통합)
56
<표Ⅲ-12> 거점학교로서 예술꽃 씨앗학교의 상
58
<표Ⅲ-13> 2014 예술꽃 씨앗학교 로드맵
59
<표Ⅲ-14>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에서 다루어진 중요 요소: 7가지 특성을 중심으로
61
<표Ⅲ-15>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에서 나타난 특성
64
<표Ⅲ-16> 예술꽃 씨앗학교(1기-6기) 사업계획서 및 실적보고서 일반적 특성
65
<표Ⅲ-17> 강사확보
67
<표Ⅲ-18> 교육진행
67
<표Ⅲ-19> 시간 확보
68
<표Ⅲ-20> 교육과정
69
iii|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21> 전통적 형식과 다른 교수·학습 방식
69
<표Ⅲ-22> 학생프로그램
70
<표Ⅲ-23> 지역사회 연계
70
<표Ⅲ-24> 성인프로그램(학부모 지역사회)
71
<표Ⅲ-25> 홍보활동
72
<표Ⅲ-26> 자체평가활동
72
<표Ⅲ-27> 연계프로그램
73
<표Ⅲ-28> 프로그램 관리
74
<표Ⅲ-29> 예산 사용
74
<표Ⅲ-30> 예산 확보
75
<표Ⅲ-31>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계획서 및 보고서 분석에 나타난 특성
76
<표Ⅲ-32> 컨설팅 평가 운영 내용
77
<표Ⅲ-33>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 평가보고서 및 면접조사 분석에 나타난 특성
84
<표Ⅲ-34>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의 일반적 특성
86
<표Ⅲ-35> 우리 지역 출신 예술강사가 많다.
87
<표Ⅲ-36> 관리자와 교사의 상호작용의 정도
88
<표Ⅲ-37> 관리자와 예술강사의 상호작용의 정도
88
<표Ⅲ-38> 관리자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
89
<표Ⅲ-39> 관리자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정도
89
<표Ⅲ-40> 관리자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
89
<표Ⅲ-41> 교사와 예술강사의 상호작용의 정도
90
<표Ⅲ-42> 교사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
90
<표Ⅲ-43>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정도
91
<표Ⅲ-44> 교사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
91
<표Ⅲ-45> 예술강사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
92
<표Ⅲ-46> 예술강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정도
92
<표Ⅲ-47> 예술강사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
92
<표Ⅲ-48> 학생과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
93
목차|iv
<표Ⅲ-49> 학생과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
93
<표Ⅲ-50>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
94
<표Ⅲ-51> 예술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94
<표Ⅲ-52> 모든 학생을 위한 교양차원의 예술프로그램을 실시한다.
95
<표Ⅲ-53> 예술에 소질과 적성이 있는 학생을 위한 심화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95
<표Ⅲ-54> 가능한 교과통합 수업을 한다.
95
<표Ⅲ-55> 예술을 활용한 프로젝트형 수업을 한다.
96
<표Ⅲ-56> 예술프로그램은 방과후 학교를 활용한다.
96
<표Ⅲ-57> 모든 교과 수업의 기반으로 예술을 활용한다.
97
<표Ⅲ-58>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간다.
97
<표Ⅲ-59> 학생의 감성과 신체발달을 최대한 고려해서 예술교육을 한다.
98
<표Ⅲ-60> 수업 목표에 반영하는 비율
98
<표Ⅲ-61> 수업 내용에 반영하는 비율
99
<표Ⅲ-62> 수업 평가 반영하는 비율
99
<표Ⅲ-63> 교수-학습 방법에 반영하는 비율
99
<표Ⅲ-64> 우리 학교에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교과 수업의 분량 정도
100
<표Ⅲ-65> 우리 학교에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방과후 학교의 분량 정도
100
<표Ⅲ-66> 우리 학교에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분량 정도
101
<표Ⅲ-67> 지역사회에서 공연할 기회가 많다.
101
<표Ⅲ-68> 학부모가 학교에서 배우는 예술프로그램이 많다.
102
<표Ⅲ-69> 지역주민이 학교에서 배우는 예술프로그램이 많다.
102
<표Ⅲ-70> 경영 비전에서 예술을 강조하는 비율
103
<표Ⅲ-71> 경영 미션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비율
103
<표Ⅲ-72> 경영 전략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비율
104
<표Ⅲ-73> 경영 체제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비율
104
<표Ⅳ-1>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기준별 운영유형
125
<표Ⅳ-2>
기본형 운영지침 설정을 위한 준거 분석
137
v|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Ⅳ-3>
운영지침 모델의 영역 및 기준의 수정
141
<표Ⅳ-4>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지침의 편성
143
목차|vi
그림 목차
[그림Ⅱ-1]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유형
13
[그림Ⅱ-2]
예술교육 선도를 통한 창의인성 역량
17
[그림Ⅱ-3]
서울문화재단 예술로 플러스 사업 프로세스
20
[그림Ⅱ-4]
한국의 문화정책 패러다임 변화
29
[그림Ⅱ-5]
예술꽃 씨앗학교 문화예술분야별 현황
34
[그림Ⅲ-1]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관련 특성 요인
43
[그림Ⅲ-2]
예술꽃 씨앗학교 교육과정 설계 프로세스
56
[그림Ⅲ-3]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
85
[그림Ⅳ-1]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개발과정 체계도
vii|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119
요약
1.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의 목적과 연구내용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그 동안 이루어 온 긍정적 효과에 힘입어 중, 고등학교로 확장되 고, 지원 학교 수도 확대되었다. 이에 국내·외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유형을 검토하고, 그 간의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현황, 성과, 지향해온 방향을 확인하고, 한국형 지속가능한 학교문화예술 교육의 전형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표준적 모델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예술꽃 씨앗학 교 지원사업의 결과로서 도달할 학교운영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내용을 수행하였다. ○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 검토와 국내·외 동향 분석 ○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 검토, 사업계획서 및 실적보고서 분석 ○ 예술꽃 씨앗학교의 컨설팅 보고서 및 현장의 논의 분석 ○ 예술꽃 씨앗학교의 담당교사에 대한 설문조사 ○ 예술꽃 씨앗학교 정의 및 특성 재확인, 사업관리 모델과 운영지침 모델의 제안
2.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예술기반 학교운영 개념과 유형 분석에서 볼 때 예술꽃 씨앗학교는 다음의 특징이 있다. ○ 지원 주체와 교육 주체를 기준으로 할 때, 예술꽃 씨앗학교는 외부지원 내부교육주체의 유 형이며, 외부지원과 내부교육주체의 컨설팅과 평가를 통한 협력을 기반으로 함 ○ 문화예술가치, 학교교육반영, 성취목표를 기준으로 할 때, 다음의 6가지 예술기반 학교운 영유형이 도출됨 교육 성격 및 반영 수준 구 분
교육활동의 수단 교육내용에 반영
문화예술중심 교육 교육내용에 반영
문화예술중심 교육 학교운영체제 개편
예술교육의
기능-전문성
A 예술기능 지원형
C 예술기량 전문형
E 예술교육 특화형
가치/목표
향유-체험성
B 예술체험 지원형
D 예술체험 전문형
F 통합예술 특화형
교과교육 중심으로 교육활동에 반영
문화예술중심 학교로서의 전문성 지향
학교의 목표와 환경을 예술 활동에 특화
※유형별 참고사항
○ 예술꽃 씨앗학교는 6가지 하위 유형의 요소나 유형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지향 하는 목표나 취지, 가치, 특성에 가장 적합한 유형은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학교환경을 개편하면 서 기능향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의 통합형 체험과정을 통해 일상과 졸업 후에도 예술 활동
요약 |viii
을 향유케 하는 유형임
국내·외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이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구안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일반교과와 융합교육과정이 일반화되어야 함 ○ 문화예술분야가 다양화되면서 분야 간 통합교육도 활성화되어야 함 ○ 지원주체와 학교운영주체의 협력과 조화가 제도화되어야 함 ○ 마을 단위의 지역 거점 문화예술교육학교의 지위와 역할을 확고히 해야 함 ○ 문화예술 소외지역을 집중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교육복지의 의미가 강조됨 ○ 문화예술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이 핵심이 되어야 하고, 예술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활 용, 방과 후 학교 등도 활성화되어야 함 ○ 팀티칭, 워크북 제작 등 교사와 예술강사의 공동연구와 협업이 중요함 ○ 혁신학교 등 최근의 자율형 학교 확대 등 학교의 구조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3. 예술꽃 씨앗학교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 분석, 8년 동안 수행된 예술꽃 씨앗학교의 사업계획서와 실적보고서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과정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에 대한 설문조사 등 현황과 성과분석에서 나타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문화예술교육이 공급자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기능중심보다는 종합적인 향유 의 일상화교육으로 확대되고 있음 ○ 기수가 더할수록 우수한 성과를 골고루 내고 있지만 분명한 비전, 미션, 전략, 체제 등 체 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모델의 재정립이 필요함 ○ 학교마다 다양한 수준에서 시작하므로 절차형의 로드맵형 모델보다는 누적형의 도달형 표 준 모델이 필요함 ○ 지원기간이 끝나도 그 동안 이룬 성과를 지속할 수 있는 자립형 예술꽃 씨앗학교가 될 수 있는 안정된 모델이 필요함 ○ 지역연계 부분이 여전히 취약하여 마을 차원의 문화예술 거점학교의 지위와 역할 강화 방 안이 필요함 ○ 창의적 체험활동, 예술교과와 방과후 학교 중심의 운영이 많아 교과에 스며들 수 있는 융 합교육과정의 재구성이 필요함 ○ 교사와 예술강사의 공동 연구와 협력, 워크북 제작 등 교사의 역량 향상 및 교사와 강사 가 바뀌어도 교육의 일관성이 유지되는 방안이 필요함
ix|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이러한 연구를 통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개념을 분석한 결과와 7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예술꽃 씨앗학교의 ‘씨앗’의 개념분석 - 씨앗의 주체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 학교 및 마을, 그리고 사업 자체가 문화예술교육의 씨앗이 될 수 있다. - 씨앗의 특성으로 씨앗은 시작을 의미하며 과정을 중심으로 하고 내부에서 외부로의 발현을 지향한다. - 씨앗의 속성이자 중요한 기능은 씨앗의 전파이며 지속성과 확장성을 특징으로 한다.
○ 예술꽃 씨앗학교의 접근방향의 개념분석 - 이념적 관점에서 씨앗학교는 예술적 감성과 창의성 씨앗이 자라는 성장의 장이다. - 교육적 관점에서 씨앗학교는 통합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경험과 개발의 장이다. - 운영의 관점에서 씨앗학교는 학교-지역자원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교류의 장이다.
○ 예술꽃 씨앗학교의 7가지 특성 운영관련 특성 요인의 체계를 기존의 사업계획과 운영성과, 관련 연구보고 및 평가결과 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다음의 7가지 특성으로 정리가 되었다. 이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속성 관점 에서 개념 정의에 반영하게 된다. (1) 사업의 정체성 : 예술기반 학교의 전형적 사례-문화예술중심 학교운영 지향 (2) 목표의 방향성 : 학생·교사·학교·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향유와 문화적 성장 (3) 대상의 차별성 : 문화 소외지역의 소규모 학교로 정책적 차별화 (4) 기간의 지속성 : 4년간 집중 지원과 사후 관리를 통한 집중관리 시스템 (5) 내용의 통합성 : 교육활동과 연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6) 자원의 연계성 : 학교 및 지역자원의 체계적 연계와 활용(학교환경 개선 포함) (7) 운영의 효과성 :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지속화와 확산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4.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예술꽃 씨앗학교는 앞에서 논의한 접근 관점과 핵심 개념 그리고 7가지 특성을 기초로 다음 과 같이 정의할 것을 제안한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문화 소외지역 소규모 학교의 학생들이 학교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기반으로 예술적 감성과 창의성의 씨앗을 싹 틔워 꽃을 피우고 열매로 맺어 문화 적 역량을 증진시키고 일상 속에서 문화를 향유할 수 있기까지 지속적으로 돕는 과정을 통해 학생과 학 교, 지역사회의 문화적 성장과 문화예술 활동의 지속과 확산을 주도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인큐베이터이자 지역문화 활성화를 돕는 문화거점학교를 의미한다.”
이러한 종합적인 정의는 여러 가지 하위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키워드 중심으로 속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문화 소외지역: 대상의 차별화 측면에서 지역적 요소도 개념 설정의 근거로 활용됨. 다만, 구체적인 지역의 요건을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문화소외 수준이 상대적인 점을 고려함
요약 |x
○ 소규모 학교: 사업선정 시 전교생이 400명 이하인 소규모 학교를 대상으로 함으로써 구체적 인 범위를 설정함. 본질적 요소는 아니나 정책적 요소로서 개념 설정에 중요함 ○ 학생: 정책의 대상이자 활동의 주체로서 학생 요소가 개념 정의의 출발점이 됨 ○ 학교, 지역사회: 학생과 함께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주요 변수임 ○ 문화자원: 학교와 지역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학교 내에서 또는 지역과의 연계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총칭함 ○ 문화예술교육 활동: 사업의 내용 측면에서 개념 정의의 기초가 되는 중요 요소임. 학교의 교 육활동을 통해 수행되는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운영 전체를 총칭함 ○ 감성과 창의성: 문화예술교육의 일반적인 목표와 방향으로 개념 정의에 핵심 요소가 됨 ○ 씨앗, 꽃, 열매: 씨앗이라는 잠재성을 꽃 또는 열매로 성장시키는 과정을 상징하는 용어로 사업의 본질적인 개념에 해당됨 ○ 문화적 역량과 향유: 예술기능중심의 기량을 포함하여 감성과 창의성, 문화적 친화성과 태도 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문화역량과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를 향유하는 사업 특성을 반영함 ○ 성장, 지속, 확산: 사업의 효과 측면에서 지향하는 가치이자 효과성의 구성 요인임 ○ 문화예술교육 인큐베이터: 씨앗의 성장 관점에서 관련 주체와 요인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기능적인 측면의 표현임 ○ 문화거점학교: 마을 단위 지역사회 연계와 지역문화 활성화를 전제로 하는 학교의 역할을 바탕으로 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성격을 의미함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델은 연차별 관리모델 중심에서 통합적인 사업 관리 모델과 학교운영지 침 모델로 구분하여 제안한다. 두 모델의 특징, 모델 제안의 목표와 추진전략은 다음과 같다. ○운영모델1-사업 관리 모델: 종합적인 사업관리 관점에서 학교를 중심으로 관련 주체들과의 연계를 통 해 수행되는 과업의 편성과 관계의 체계 ○운영모델2-학교운영지침 모델: 개별 예술꽃 씨앗학교의 차원에서 사업의 목표와 취지를 근거로 적용해 야 하는 운영기준을 유형화한 지침으로서의 운영 체계 목표1.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전형으로 예술꽃 씨앗학교의 정체성 확보 목표2. 예술꽃 씨앗학교 목표에 따른 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타당성 강화 목표3.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문화정책과 교육정책이 융합되는 운영체계 제안 전략1. 전략2. 전략3. 전략4. 전략5. 전략6. 전략7.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운영모델로서의 정체성 강화 지역 및 학교의 목표, 여건 상황에 따른 가변성 제고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으로서 교육적 효과성 증진 학교 단위의 경영목표 및 계획 설정의 타당성 확보 학교와 지역사회 네트워크 중심의 지역성 강화 개인, 학교 및 지역사회 문화 활성화의 지속성 확보 유사 문화예술 관련 정책 프로그램과의 차별성 확보
xi|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델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개발의 토대 분석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 유형 분석 -접근방향과 유형별 시사점-
예술꽃 씨앗학교 개념과 특성 분석 -개념 요소와 운영특성-
예술꽃 씨앗학교 개념 정의
모델 설정 요소의 선정과 편성
운영모델1. 사업 관리 모델
운영모델2. 학교운영지침 모델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제안
운영기준의 설정 근거를 전술한 7가지 특성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유형화하였다.
특성영역
사업의 정체성
목표의 방향성
대상의 차별성
기간의 지속성
운영기준
운영유형(관리모델 및 운영지침 설정의 근거)
사업성격
교육활동수단형 / 문화예술중심형
경영목표
일반교육활동 활용형 / 문화예술교육 특화형 / 문화예술중심 학교형
운영계획
통합계획형(문화예술중심 연간계획) / 개별계획형(별도 운영계획)
평가관리
종합평가형/개별평가형, 연간/분기/월간평가, 정기평가/수시평가 등
개선관리
종합개선형/부분개선형, 정기개선/수시개선
성취유형
기능습득형 / 단순경험형 / 지속향유형 / 자기개발형
목표수준
상위목표/하위목표, 일반목표/세부목표, 추상목표/구체목표
내용연계
목표-내용 타당성( 목표-내용 일치 / 부분 일치 )
교급유형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지역범위
농산어촌 지역 / 도-농복합지역 / 도시-농촌경계지역 / 도시지역
학교규모
100명 이하 / 200명 이하 / 300명 이하 / 400명 이하
학생범위
전교생 참여(사업의 전제 조건) / 부분 참여
구성주체
학생 / 교사 / 강사 / 부모 / 지역주민 / 지역기관 /중앙기관
지원기간
기본형(4년) / 준비기간포함 / 후속기간 지원 / 통합(준비-본운영-후속)
단계관리
발전단계형 / 연차관리형 / 결합형(단계+연차)
진행관리
체크리스트 관리 / 추진일정관리 / 과업현황관리 / 과업경로관리
요약 |xii
내용의 통합성
자원의 연계성
운영의 효과성
반영수준
교육내용-부분반영 / 교육내용-전체반영 / 학교운영체제 개편
개발유형
교사중심형 / 학생참여형 / 강사개발형 / 전문기관 의뢰형 / 전문가 의뢰 / 관련 기존 프로그램 활용 등
교육활동
교과중심형 / 창의적체험활동중심형 / 방과후 교육중심형 / 통합과정형
교과연계
교과무관형 / 교과내용연계형 / 예술교과형 / 교과통합과정형
분야편성
개별분야형(분야특화, 분야선택) / 통합분야형(분야연계, 분야융합, 주제중심)
선택주체
학생주도형 / 학교주도형 / 학생참여형(학생-교사 파트너십)
운영단위
개인별 자율 선택 / 학급 단위 / 동아리 조직 /프로젝트 팀 등
참여수준
학생/교사/강사/부모 등의 참여 수준 - 적극-보통-미흡 관리
운영방법
강사중심 강좌수업 / 예술분야별 기능실습 / 체험과정 중심 / 관람중심 발표․전시중심 / 작품제작 중심 / 통합활동형
체험유형
현장체험형 / 체험놀이형 / 제작실습형 / 작품창작형 /복합형
활동유형
학생/교사/강사/부모/주민을 대상으로 한 활동의 유형: 교육활동(일반)/강좌/ 동아리 / 관람/ 축제/ 캠프 / 행사 등
교육자료
활동교재(워크북) / 교안(매뉴얼) / 시청각자료 등
학교환경
기존 공간 개선 활용 / 필수 공간 확보 / 학교의 예술공간화
공간활용
교내중심 활동 / 지역중심 활동 / 학교-지역 복합활동
인적자원
교사중심 / 외부 강사중심 / 지역전문가 활용 / 외부전문가 활용
역량개발
전문연수 / 실습체험 / 연구개발 / 연구발표 / 현장사례조사 / 교육파견 등
자원연계
학교자원 활용 중심 / 지역자원 활용 중심 / 자원 복합형의 네트워크
연계유형
개별 접촉형, 일상 모임형, 단순 협의형, 협약체결형, 공식적인 협의체형, 공동사업형 등
기관자원
문화기관 / 어린이․청소년기관 / 교육자원 시설
행정자원
지방자치단체 / 지역 교육지원청 등
재정자원
사업보조금 / 학교 자체 예산 / 지역 행정기관 지원금 / 기타 후원금 / 수 익자 부담 등
실습도구
분야별 교육활동 도구, 시청각 매체 등
주민지원
참여지원형(지역행사지원, 학교시설 제공, 문화예술교육/체험활동 참여지원, 마을행사의 공동기획), 지역봉사형(나눔활동, 찾아가는 문화봉사 등)
주민참여
의견제안형(공동기획위원회 운영, 마을주민 의견조사, 공동 회의), 지원형 (학교 후원회 등)
성과관리
사업관련 운영결과물, 성과지표 관리
품질관리
프로그램 우수성 내부 평가 / 외부 평가
만족관리
학생, 교사, 부모, 지역주민 만족도 관리
홍보관리
홍보 시스템, 인지도 제고, 우수사례 전파 등
자립유형
자립형 / 지원형 / 자립-지원 복합형
자립내용
교육과정 자립 / 재정자립 / 운영관리 자립
xiii|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 운영모델 1: 사업 관리 모델 사업 관리 모델의 목표체계도, 기본 프레임, 개념도는 다음과 같다. 비 전 예술로 꿈꾸는 학생, 문화로 꽃 피는 학교, 문화를 향유하는 지역사회
미 션 지역사회 중심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과 네트워크의 플랫폼
사업목적 지역자원 연계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경험과 여건이 부족한 문화 소외지역 학교의 학생 들이 학교교육과정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문화적 역량을 개발하고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 활성화를 통해 문화거점학교로 발전
사업목표 목표1 (학생측면) 예술적 감성․창의성 증진 및 문화예술 향유를 통한 문화적 역량 증진
목표2 (학교측면) 문화예술교육 중심의 자립 형 학교교육 운영시스템의 지속
목표3 (지역측면) 문화예술교육 거점으로 지 역사회 문화예술 환경 조성 과 지원․연계 활성화
전략2 (전문화 전략) 특화된 교육체계 구축을 통 해 문화예술교육에 전문화 된 학교로 정착
전략3 (지역화 전략) 마을-지역사회 속 학교로 서의 인지도 제고와 실제적 협력 기능 강화
추진전략 전략1 (역량화 전략) 문화예술교육 체험과 성장 을 통한 성과 기반의 핵심 역량 개발
추진과제 과제1. 학교 내 창의적 문 화예술교육 활동의 일상적 운영 및 확대
과제3. 문화예술교육 중심 학교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시스템 개선
과제5. 지역사회 구성원 연 계 중심 문화예술교육 활동 및 참여 확대
과제2. 학생들의 문화적 역 량 개발과 제고를 위한 지 원-관리 체제 운영
과제4. 문화예술교육 특화 학교로 지속 및 확산을 위 한 자립기반 확대
과제6. 지역자원 연계-협 력을 위한 동반자형 네트워 크 확대
요약 |xiv
정책지원기반 1(중앙)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사회
운영관리1(교육활동) -학교교육과정 운영-
학 교
운영관리2(지역자원연계) 협력기관
정책지원기반 2(지역) -시·군·구/교육지원청 등-
xv|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공공․민간 문화기관-
교육부문 정책협력
문화체육관광부
관계부처 협력
교육부
여성가족부
교육관련기관
농식품부 등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정책지원기반1(중앙)
운영관리1(학교)
[지역사회 운영체계 관리] 학
계획성과
교육과정
평가개선
지역활동
운영기반
생
예술꽃 씨앗학교
읍·면·동 회 행정조직 지 역 협 력 전 담 기관
운영관리2(지역)
학부모 지역사 문화시설
지역주민 지역단체 후원모임
(공공/민간) 문화예술기관 지역(시·군·구) 지원협의체 어린이․청소년 문화시설단체
지역기반 평생교육시설
정책지원기반2(지역)
(시·군·구) 교육지원청
지역행정지원 협의 모임
(시·군·구) (문화담당)
시·군·구 의회 (교육위원회)
요약 |xvi
○ 운영모델 2: 학교운영지침 모델 학교운영지침 모델의 목표체계도, 운영체계도(학교 단위 업무 영역 기준), 개념도는 다음과 같 다. <목표 체계도> 비 전 예술로 꿈꾸는 학생, 문화로 꽃 피는 학교, 문화를 향유하는 지역사회
미 션 지역사회 중심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과 네트워크의 플랫폼
사업목적 지역자원 연계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경험과 여건이 부족한 문화 소외지역 학교의 학 생들이 학교교육과정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문화적 역량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와 함께하는 문화예술 활성화를 통해 문화거점학교로 발전
사업목표 목표2 (학교측면) 문화예술교육 중심의 자립 형 학교교육 운영시스템의 지속
목표3 (지역측면) 문화예술교육 거점으로 지 역사회 문화예술 환경 조성 과 지원․연계 활성화
전략2 (전문화 전략) 특화된 교육체계 구축을 통 해 문화예술교육에 전문화 된 학교로 정착
전략3 (지역화 전략) 마을-지역사회 속 학교로 서의 인지도 제고와 실제적 협력 기능 강화
과제1. 학교 내 창의적 문 화예술교육 활동의 일상적 운영 및 확대
과제3. 문화예술교육 중심 학교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시스템 개선
과제5. 지역사회 구성원 연 계 중심 문화예술교육 활동 및 참여 확대
과제2. 학생들의 문화적 역 량 개발과 제고를 위한 지 원-관리 체제 운영
과제4. 문화예술교육 특화 학교로 지속 및 확산을 위 한 자립기반 확대
과제6. 지역자원 연계-협 력을 위한 동반자형 네트워 크 확대
목표1 (학생측면) 예술적 감성․창의성 증진 및 문화예술 향유를 통한 문화적 역량 증진
추진전략 전략1 (역량화 전략) 문화예술교육 체험과 성장 을 통한 성과 기반의 핵심 역량 개발
추진과제
xvii|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운영 체계도>
계획 일정관리
계획-성과 관리시스템
현황․성과관리
추진일정
성과자료관리
과업점검
홍보-인지도
진척도 관리
계획․성과 보고 관리
참여-만족도
운영계획-성과관리
교육과정 개발․운영
지역사회 연계관리 예술꽃 씨앗학교
과정연구 과정설계 매체개발
교육평가 교육운영 교육자료
[통합관리] 교 육 활 종 합 평 문 화 거 동 가 점 종 합 관 개 선 관 기 능 관 리 리 리
지역자원 연계망 (협의체 등) 지 역 협 력 전 담 기관 주민참여활동 (요구/교육)
마을연계활동 (시설/행사)
운영기반 유지 강화
인적자원 확보 전문성 개발
교육공간 환경 교육장비 물품
재원 확보 예산 관리
자립운영 기반
요약 |xviii
학교운영지침(기본형) 선정을 위해서 가능한 유형과 준거의 분석은 다음과 같다.
특성
사업의 정체성
운영기준
기간의
기본형 운영지침용 준거
사업성격
①교육활동수단형 ②문화예술중심형
-문화예술중심 사업으로서의 정체성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 개념 반영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방향 반영
경영목표
①일반교육활동 활용형 ②문화예술교육 특화형 -문화예술중심 학교형
-문화예술중심 학교로서의 성격과 방 향에 따른 문화예술중심 목표 지향
운영계획
①통합계획형(문화예술중심연간계획) ②개별계획형(별도 운영계획)
-문화예술교육 기반의 통합형 연간교 육운영계획 수립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기초한 교육내 용을 포함한 운영계획 전반 대상
평가관리
-①종합평가형/②개별평가형 -①연간/분기/②월간평가 -①정기평가/②수시평가 등
-통합계획에 기초한 종합평가 실시 -평가시기 및 방법의 다양성 확보
개선관리
-①종합개선형/②부분개선형 -①정기개선/②수시개선
-종합평가에 따른 종합적인 개선 -정기 또는 수시의 개선 관리
성취유형
①기능습득형 ②단순경험형 ③지속향유형 ④자기개발형
-문화예술의 지속적인 향유 지향
목표수준
①상위목표/하위목표 ②일반목표/세부목표 ③추상목표/구체목표
-다양한 수준에 의한 목표설정 관리 -목표 진술의 다양한 기준을 적용
내용연계
-목표-내용 타당성 (①목표-내용 일치 / ②부분 일치 )
-목표에 따른 내용 연계성 필수
교급유형
①초등학교 ②중학교 ③고등학교
-교급별 특성에 기초한 계획 운영
지역범위
①농산어촌 지역 ②도-농 복합지역 ③도시-농촌경계지역 ④도시지역
-지역적 특성에 기초한 과정 운영 (선정 시 농산어촌 중심 취지 반영) -필수요소 :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교규모
①100명 ②200명 ③300명 ④400명
-학생 규모에 따른 특성 반영 -활동의 집중도, 예산배분에 차이
학생범위
①전교생 참여(사업의 전제 조건) ②부분 참여
-전교생 참여를 전제로 함
구성주체
①학생 ②교사/강사 ③부모/지역주민 ④지역기관/중앙기관
-학교 내 중점 주체는 학생, 교사임 -관계자 전체의 참여 관계망을 통해 구성주체는 다양화 및 연계화
지원기간
①기본형(4년)
-행정적으로는 기본 4년 과정 집중
목표의 방향성
대상의 차별성
운영유형(선택 대상 하위유형)
xix|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지속성
내용의 통합성
단계관리
②준비기간 포함형 ③후속기간 지원연계형 ④통합과정형(준비-본운영-후속) ①발전단계형 ②연차관리형 ③결합형(단계+연차)
-학교운영은 준비-운영(4년)-후속과정 을 토대로 지속적 운영에 기반 -운영기간 관리는 발전단계를 기준으 로 연차요소를 연계한 결합형 반영
진행관리
①체크리스트 ②추진일정 ③과업현황 ④과업경로 관리
-진행관리 기법은 필요에 따라 활용 -기간을 중심으로 통합적인 운영관리 를 위해 경로형 관리 기법 권장
반영수준
①교육내용-부분반영 ②교육내용-전체반영 ③학교운영체제 개편
-문화예술중심 학교운영을 위해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학교운영체제 개편
개발유형
①교사중심 ②학생참여 ③강사개발 ④전문기관 의뢰 ⑤전문가 의뢰 ⑥관련 기존 프로그램 활용 등
-목표는 학생참여를 바탕으로 한 교 사중심의 개발 체제 지향 -개발 자원은 다양하게 활용
교육활동
①교과중심형 ②창의적체험활동중심형 ③방과후교육중심형 ④통합과정형
-학교교육활동 전체과정(정규/비정규) 을 통합한 교육과정 편성
교과연계
①교과무관형 ②교과내용연계형 ③예술교과형 ④교과통합과정형
-교과과정과 문화예술교육의 내용/방 법을 융합한 통합과정형 적용
분야편성
①개별분야형(분야특화,분야선택) ②통합분야형(분야연계,분야융합,주제 중심) *대안 유형:분야형/주제형/경험형
-지향점은 통합분야형을 기준으로 주 제중심의 융합과정 운영 -분야의 다양성을 기초로 특정분야 외에 관련 또는 복수의 분야 편성
선택주체
①학생주도형 ②학교주도형 ③학생참여형(학생-교사 파트너십)
-현실적으로는 학교주도형 적용 -파트너십에 의한 학생참여형 지향
운영단위
①개인별 자율 선택/②학급 단위 ③동아리 조직 ④프로젝트 팀 등
-교육내용 및 편성단위에 따라 다양 한 형태의 운영단위 조직 및 편성
참여수준
-학생/교사/강사/부모 등의 참여수준: 적극-보통-미흡 관리
-모든 구성주체의 적극적 참여 노력
운영방법
①강사중심 강좌수업 ②예술분야별 기능실습 ③체험과정 중심 ④관람중 심 ⑤발표․전시중심 ⑥작품제작 중심 ⑦통합활동형
-통합활동에 따른 다양한 방법 활용 -다양한 방법이 목표나 내용에 따라 선정되는 다양성과 적합성 중요 -적절한 방법이 교육효과성에 영향
체험유형
①현장체험형 ②체험놀이형 ③제작실습형 ④작품창작형 ⑤복합형
-복합형에 따른 다양한 방법 활용 -일상적인 교육활동 운영과정 중에는 놀이관점의 체험학습 방법 활용
활동유형
-대상유형: ①학생 ②교사 ③강사 ④ 부모 ⑤주민 -활동방법:①교육활동(일반)②강좌③ 동아리④관람⑤축제⑥캠프⑦행사 등
-강사중심 강좌 중심이 아닌 목표와 내용에 따른 다양한 유형 편성 -대상별 특성에 따른 유형 적용(교․강 사-체험중심의 연수과정에 적용) -학부모, 주민 대상의 과정은 강좌에 도 지역행사에 따른 유형 반영
요약 |xx
자원의 연계성
운영의 효과성
교육자료
①활동교재(워크북) ②교안(매뉴얼) ③시청각자료 등
-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 활용
학교환경
①기존 공간 개선 활용 ②필수 공간 확보 ③학교의 예술 공간화
-학교 자체를 예술적 공간으로 조성
공간활용
①교내중심 활동 ②지역중심 활동 ③학교-지역 복합활동
-학교와 지역 공간의 복합적 활용 -현실적으로 학교 내 환경 확보 집중
인적자원
①교사 중심 ②외부 강사중심 ③지역전문가 활용 ④외부전문가 활용
-예술분야 교육-전문강사 인력확보 -교과연계 교육활동-교사의 전문성
역량개발
-전문연수/실습체험/연구개발/연구발 표/현장사례조사/교육파견 등
-교사, 강사 대상의 다양한 연수지원 -전문성, 참여도 제고의 기반
자원연계
①학교자원 활용 중심 ②지역자원 활용 중심 ③자원 복합형의 네트워크
-학교자원과 지역자원의 네트워크 구 축을 중심으로 운영
연계유형
①개별 접촉형 ②일상 모임형 ③단순 협의형 ④협약 체결형 ⑤공식 협의체형 ⑥공동사업형
-공동사업을 통한 협력관계 구축의 실효성 제고 지향 -MOU 및 협의체를 기반으로 활용
기관자원
①문화기관/②어린이․청소년기관/②교 육자원 시설
-지역 내 협력전담 문화기관 필수화 -다양한 지역 기관과의 연계 확대
행정자원
①지방자치단체 ②지역교육지원청 등
-행정 기관과의 정책지원 협력 운영
재정자원
①사업보조금 ②학교 자체예산 ③지역 행정기관 지원금 ④기타 후원금 등
-지원기간 중 보조금 집행 관리 -학교 자체의 예산 및 연계 사업 공 모 등을 통한 자체예산 확보 노력
실습도구
①분야별 교육활동도구 ②시청각매체 등
-분야별 특성에 따른 도구의 확보 (각종 기자재 및 수업용 도구) -교육 자료와 연계한 기본적인 자원임
주민지원
①참여지원형(지역행사지원, 학교시 설 제공, 문화예술교육/체험활동 참 여지원, 마을행사의 공동기획) ②지역봉사형(나눔활동, 찾아가는 문 화 봉사 등)
-주민 대상의 다양한 문화예술관련 프로그램 지원활동 편성 (학교 방문형 + 지역 방문형)
주민참여
①의견제안형(공동기획위원회 운영, 마을주민 의견조사, 공동 회의) ②지원형(학교 후원회 등)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에 대한 참여 유도 -예술꽃 씨앗학교 후원회 조직 권장
성과관리
-운영성과물 관리(운영과정 전반) -성과지표 관리/성과평가 관리
-운영과정 중 자료 관리의 체계화 -성과관리 및 환류(자체평가 연동)
품질관리
-프로그램 우수성 내․외부평가
-프로그램 품질 현황 및 개선 관리 (자체평가 연동)
만족관리
-학생, 교사, 부모, 지역주민 만족도 관리
-만족도 제고관리 시스템 운영 -만족도 조사 및 개선 관리
홍보관리
-홍보계획/홍보활동/홍보 네트워크 -인지도 제고/우수사례 전파 등
-홍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필수과정) -인지도 제고 노력 및 성과 관리
자립유형
①자립형
-목표는 지원기간 종료 후 자립체제
xxi|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자립내용
②지원형 ③자립-지원 복합형
구축 및 지속적 운영에 둠
①교육과정 ②재정확보 ③운영관리 등
-문화예술중심 교육과정의 안정화 -다양한 재원을 통한 운영기반 확보 -계획~환류 개선까지 독자운영 역량
이를 토대로 학교운영지침(기본형)의 편성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단, 운영기준 도출의 근거가 된 예술꽃 씨앗학교의 7개 특성은 학교의 운영지침으로 성격을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7개의 기본영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사업의 정체성⇒계획·평가
목표의 방향성⇒목표관리
대상의 차별성⇒참여대상,
기간의 지속성⇒운영기간
내용의 통합성⇒교육활동
자원의 연계성⇒자원관리,
운영의 효과성⇒성과관리
기본영역
운영기준
운영지침
지침 내용(개요)
기본형 운영지침의 준거
운영계획
1-1 예술기 반 학교운영 모델로서의 운영계획 수 립
1-1 지역문화예술 거 점학교로 통합문화예술 교육의 이념 및 예술기 반 학교운영모델에 적 합한 운영계획을 수립 하여 예술꽃 씨앗학교 의 정체성을 유지해야 한다.
-문화예술중심 사업으로서의 정체성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 개념 반영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방향 반영 -문화예술중심 학교로서의 성격과 방 향에 따른 문화예술중심 목표 지향 -문화예술교육 기반의 통합형 연간 교육운영계획 수립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기초한 교육 내용을 포함한 운영계획 전반 대상
평가개선
1-2 자체평 가 시스템을 통한 개선관 리
1-2 체계적인 자체평 가 시스템에 의한 종합 평가를 통해 개선관리 체계를 운영한다.
-통합계획에 기초한 종합평가 실시 -평가시기 및 방법의 다양성 확보 -종합평가에 따른 종합적인 개선 -정기 또는 수시의 개선 관리
성취유형
2-1 문화예 술향유를 통 한 문화역량 개발 목표 수립
2-1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기반으로 예술적 기량․ 감성․창의성 증진 및 지속적인 문화예술 향 유를 통해 문화적 역량 증진을 목표로 한다.
-문화예술의 지속적인 향유 지향
목표연계
2-2 문화예 술향유 목표 에 따른 계 획내용의 연 계
2-2 문화예술 향유를 지향하는 구체적인 목 표에 따라 운영계획의 세부내용과 방법이 수 립되어야 한다.
-다양한 수준에 의한 목표설정 관리 -목표 진술의 다양한 기준을 적용 -목표에 따른 내용 연계성 필수
대상범위
3-1 문화예 술 소외지역 학교의 전교 생 참여
3-1 문화예술에 소외 된 지역의 정원 400명 이하 전교생이 참여하 는 학교단위 문화예술 교육 활동을 운영한다.
-교급별 특성에 기초한 계획 운영 -지역적 특성에 기초한 과정 운영 (선정 시 농산어촌 중심 취지 반영) -필수요소 :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 규모에 따른 특성 반영
1.계획·평가
2.목표관리
3.참여대상
요약 |xxii
-활동의 집중도, 예산배분에 차이 -전교생 참여를 전제로 함(선정조건) 3-2 학생-교 사-강사-부 모-주민-지 역관계자 연 계 운영
3-2 핵심대상인 학생 을 중심으로 교사-강사 -부모-주민-지역관계자 로 이어지는 복합적인 운영체계를 운영한다.
-학교 내 중점 주체는 학생, 교사임 -관계자 전체의 참여 관계망을 통해 구성주체는 다양화 및 연계화
지원기간
4-1 준비-운 영-후속기간 의 연계 운 영
4-1 발전단계에 따른 연차별 관리체계를 활 용하여 예술꽃 씨앗학 교 준비과정-본운영과 정(4년)-후속운영과정 을 연계한 통합적인 운 영기간 관리체제를 마 련한다.
-행정적으로는 기본 4년 과정 집중 -학교운영은 준비-운영(4년)-후속과 정을 토대로 지속적 운영에 기반 -운영기간 관리는 발전단계를 기준으 로 연차요소를 연계한 결합형 반영
진행관리
4-2 관리기 법을 활용한 체계적 추진 일정 관리
4-2 사업기간의 특성 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일정관리기법을 활용하 여 과업의 경로를 체계 적으로 관리한다.
-진행관리 기법은 필요에 따라 활용 -기간을 중심으로 통합적인 운영관 리를 위해 경로형 관리 기법 권장
5-1 정규교 육과정 기반 의 통합문화 예술교육 운 영
5-1 예술분야 간 통합 및 교과와 분야 간의 융합적인 통합을 중심 으로 정규교육과정 기 반의 문화예술교육 활 동체제를 운영한다.
-문화예술중심 학교운영을 위해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학교운영체제 개편 -목표는 학생참여를 바탕으로 한 교 사중심의 개발 체제 지향 -개발 자원은 다양하게 활용 -학교교육활동 전체과정(정규/비정 규)을 통합한 교육과정 편성 -교과과정과 문화예술교육의 내용/방 법을 융합한 통합과정형 적용 -지향점은 분야통합형을 기준으로 주제중심의 융합과정 운영 -분야의 다양성을 기초로 특정분야 외에 관련 또는 복수의 분야 편성
교육단위
5-2 구성원 들의 과정선 택과 활동 집단의 다양 화를 통한 참여 유도
5-2 학생, 부모, 교사, 강사, 주민 등 구성원 들의 의견과 참여에 의 한 과정 선택을 바탕으 로 프로그램 특성에 따 른 다양한 유형의 활동 집단 단위를 편성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한다.
-현실적으로는 학교주도형 적용 -파트너십에 의한 학생참여형 지향 -교육내용 및 편성단위에 따라 다양 한 형태의 운영단위 조직 및 편성 -모든 구성주체의 적극적 참여 노력
교육방법
5-3 통합문 화예술교육 에 적합한 다양한 방법 적용
5-3 통합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이념 과 취지에 적합한 체험 활동형 방법을 중심으 로 내용에 따라 적절하
-통합활동에 따른 다양한 방법 활용 -다양한 방법이 목표나 내용에 따라 선정되는 다양성과 적합성 중요 -적절한 방법이 교육효과성에 영향 -복합형에 따른 다양한 방법 활용
구성주체
4.운영기간
교육과정
5.교육활동
xxiii|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고 다양한 운영기법을 적용한다.
-일상적인 교육활동 운영과정 중에 는 놀이관점의 체험학습 방법 활용 -강사중심 강좌 중심이 아닌 목표와 내용에 따른 다양한 유형 편성 -대상별 특성에 따른 유형 적용(교․ 강사-체험중심의 연수과정에 적용) -학부모, 주민 대상의 과정은 강좌에 도 지역행사에 따른 유형 반영
교육재료
5-4 교육자 료․기자재를 활용한 효 과, 흥미도, 참여도 제고
5-4 교육활동에 필요 한 자료와 매체, 기자 재, 도구를 연구․개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 와 참가자의 흥미도․참 여도를 높인다.
-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 활용 -각종 기자재 및 수업용 도구의 확보 -교육 자료와 연계한 기본적인 자원임
공간조성
6-1 학교의 예술 공간화 및 지역과 상호이용
6-1 예술 공간으로 학 교환경을 조성하고 지역 과의 연계를 통해 학교 와 지역의 문화공간을 유기적으로 활용한다.
-학교 자체를 예술적 공간으로 조성 -학교와 지역 공간의 복합적 활용 -현실적으로 학교 내 환경 확보 집중 -교육 관련 기자재 구비
6-2 교사․강 사의 문화예 술교육 역량 개발
6-2 예술 전문 인력 (강사, 전문가)의 확보․ 연계․협력을 바탕으로 교사․강사의 문화예술 교육 관련 전문성 신장 을 위해 다양한 역량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 한다.
-예술분야 교육-전문강사 인력확보 -교과연계 교육활동-교사의 전문성 -교사, 강사 대상의 다양한 연수지원 -전문성, 참여도 제고의 기반
자원연계
6-3 학교-지 역 간 공동 사업 및 자 원 공동이용 활성화
6-3 학교자원-지역자원 의 복합적인 연계망을 바탕으로 협의체와 공 동사업이 가능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보유 자원의 공동이용을 활 성화한다.
-학교자원과 지역자원의 네트워크 구축을 중심으로 운영 -공동사업을 통한 협력관계 구축의 실효성 제고 지향 -MOU 및 협의체를 기반으로 활용 -지역 내 협력전담 문화기관 필수화 -다양한 지역 기관과의 연계 확대 -행정 기관과의 정책지원 협력 운영
재정자원
6-4 수입재 원의 체계적 관리 및 자 립 준비
6-4 운영계획 및 지침 에 따른 보조금 예산관 리 체제를 갖추고 수입 재원의 다각화에 노력 하여 자립적인 운영을 준비한다.
-지원기간 중 보조금 집행 관리 -학교 자체의 예산 및 연계 사업 공 모 등을 통한 자체예산 확보 노력
교육재료
6-5 주민과 함께하는 프 로그램으로 마을 문화학 교 조성
6-5 지역주민의 예술 꽃 씨앗학교 운영과정 후원․참여를 바탕으로 주민의 학교 방문 및 지역 대상 이동형 프로 그램을 통해 주민과 함 께 마을중심 문화학교
-주민 대상의 다양한 문화예술관련 프로그램 지원활동 편성 (학교 방문형 + 지역 방문형)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에 대한 참여 유도 -예술꽃 씨앗학교 후원회 조직 권장
인력개발
6.자원관리
요약 |xxiv
를 조성한다.
주민연계
7-1 운영자 료/품질․만족 도 개선 관 리를 통해 성과수준 제 고
7-1 기획 단계부터 현 황 및 성과물 자료 관 리를 체계화하고 프로 그램 품질 개선, 참가 자 만족도, 성과 평가개선 관리를 통해 성과 를 제고한다.
-운영과정 중 자료 관리의 체계화 -성과관리 및 환류(자체평가 연동) -프로그램 품질 현황 및 개선 관리 (자체평가 연동) -만족도 제고 관리 시스템 운영 -만족도 조사 및 개선 관리
운영성과
7-2 홍보를 통한 지역의 인지도․참여 도 제고
7-2 홍보시스템 구축․ 운영 및 지역사회 홍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인지도를 제고하여 지 지기반과 참여수준을 향상시킨다.
-홍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필수과정) -인지도 제고 노력 및 성과 관리
홍보관리
7-3 교육과 정․재원․운영 체제를 통한 자립기반 구 축
7-3 지원기간 전 기간 을 통해 교육과정 재구 성, 다양한 재원 확보, 전문적인 운영관리 체 제를 통해 자체적인 자 립 기반을 구축한다.
-목표는 지원기간 종료 후 자립체제 구축 및 지속적 운영에 둠 -문화예술중심 교육과정의 안정화 -다양한 재원을 통한 운영기반 확보 -계획~환류 개선까지 독자운영 역량
7.성과관리
선택형은 임의적이고 자율적인 모델의 개념이 아니라 기본형을 전제로 이에 도달하는 중간과 정의 의미로 접근한다. 궁극적으로는 예술꽃 씨앗학교는 발전과정을 통해 기본형 요소를 충족해 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즉 운영기준에 따른 여러 하위 운영유형 중 적합한 유형을 선택하 고 이에 따른 운영지침을 편성하게 된다. 따라서 유형별로 요소의 변화를 통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미리 유형화된 모델의 제안보다는 학교별로 선택의 자율성을 제공하며 현실 적합성과 창의적인 운영 방안을 도출케 된다. 즉 기본형의 응용 또는 기본형으로 가는 과도기에서 사용하 기를 추천한다.
5.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 종합적인 지원 관리 체계의 활성화 방안 이를 위해 전제되어야 할 가치 요소는 다음의 다섯 가지이다. 문화적 가치성, 사회적 필요성, 정책적 타당성, 교육적 의미성 즉 이러한 가치가 유의미함을 인정받아야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정책 추진기반을 강화해야 한다. 즉 운영지원 기반 체계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1) 발전 계획 또는 중장기 전략 시스템의 재정비
xxv|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2) 운영관리 측면에서 발전계획 및 운영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지침 및 매뉴얼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역량 증진 (3) 정책과제로서 또한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한 실행 과제로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평가관리를 통한 실제적인 운영 역량의 향상 (4) 지역을 배경으로 거버넌스형 시스템을 통해 사업 추진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
관리기관의 지원 시스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지역기반의 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적 지원 기능 강화 (2) 문화예술교육 관련 공공부문 자원과의 연계를 위한 지원시스템 운영 (3) 컨설팅 기반의 집중 관리 체제를 통한 조기 정착 지원 강화 (4) 정보 아카이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자원화 및 활용 시스템 운영 (5) 다양한 재원 확보를 통한 재정의 안정화 및 지속 운영 지원
단위 학교의 사업운영 역량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학교교육정책 방향을 연계한 운영전략 추진 (2) 교사와 학생들이 직접 운영이 가능한 프로그램 확대 (3) 자료 공유와 기자재 공동 이용을 통한 교육자원 연계 (4) 나눔활동을 바탕으로 한 지역사회 참여중심 운영 확대 (5) 자립화를 위한 마스터 플랜의 조기 도입 및 추진
○ 운영 성과의 확산과 지속 방안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1) 관련 문화예술교육과의 차별성을 통한 운영 타당성을 확보 (2) 자율․자립형 운영 기반을 통한 문화예술 향유의 지속성을 확보 (3) 문화예술교육 기반의 확산을 위한 연계·교류망을 구축·운영
요약 |xxvi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내용 4. 기대 효과 5. 연구 방법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대표적 성공사례이다. 2008년 10개 초등학교로 시작되어 계속 발전과 확대를 거듭, 2017년에는 100개 학교로 확대 시행될 예정에 있다. 이러한 성공이유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교육 복지 차원의 접근이 유효했다, 문화예술교육 기회는 물론 교육적으로 열악한 소외지역 농․산․어 촌의 소규모 초등학교에 거액의 예산을 4년간 집중 투자하여 학교는 물론 지역의 큰 반향을 불 러일으켰다. 풍부한 예산확보로 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는 악기 등의 기자재 및 시설이 확보되 고, 전문성을 가진 우수한 예술강사를 초빙하는 등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물적, 인적 자원을 동원하여 교육환경과 전반적인 교육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컨설팅, 평가, 자문, 예술꽃 씨앗학교 네트워크 지원 등 지속적인 소프트웨어적 지원, 그리고 관리자(교 장·교감) 및 교사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학생들의 호응, 그리고 학부모의 협력 등으로 침체된 학 교환경이 급속히 향상되었다. 셋째, 신문 및 방송 등 언론에 보도되는 등 홍보가 활성화되면서 폐교직전의 학교에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몰려들면서 학교와 지역사회에 활기가 넘치고 지역주 민의 문화예술 접근이 쉬워지고, 관심과 협력이 활성화되어 지역사회가 재건되는 분위기를 유도 하였다. 이처럼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기본적으로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이지만 학교 울타리를 넘어 문화예술을 통해 소외된 작은 지역사회 환경을 전반적으로 활성화시킨 새로운 모델을 보여주었다. 물론 모든 예술꽃 씨앗학교가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장기범 외, 2011). 단순 히 학교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한 것에 그치기도 하고, 방과후 학교활동의 활성화에만 그친 경우도 있었다. 또한 관리자 및 담당교사가 자주 바뀌면서 인수인계의 미비로 혼란을 겪고, 정체되는 경우도 있었다. 교사와 예술강사의 의사소통 및 협력의 부족으로 갈등을 빚기도 했다. 또한 학 생들도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그 동안 배운 문화예술교육을 계속할 수 없 는 환경에 좌절하는 후유증도 있었다(장기범 외, 2011; 정문성 외, 2013). 이처럼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집중적 문화예술교육이 줄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보여 준 반면, 잘못 운영되었을 때는 투자한 만큼의 교육적, 교육외적 효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그 동안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효과성(정문성 외, 2011, 2012)등의 연구와 컨설팅 및 평가(장현선 외, 2014), 그리고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매뉴 얼(정문성 외, 2012), 운영 가이드(민경훈·정민룡, 2013) 등을 제공하면서 성공적인 예술꽃 씨앗 학교의 모습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와 지원을 해왔다. 2기 이후 선정된 후속 예술꽃 씨앗학교들은 주로 언론 및 방송에 주목을 받거나 컨설팅 또는 평가에서 우수모델로 추천된 학
Ⅰ. 서론 |3
교들을 벤치마킹하면서 개별 학교의 특성을 살려서 나름대로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델을 만들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처음부터 명확한 이념형 모델을 제시한 것이 아니었다. 다만 문화예술 소외지역, 소규모 학교, 문화예술중심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 연계 등의 새로운 특징만 보여주었다. 2008년 10개교를 문화예술교육 집중학교로 지정하여 ‘예술꽃 씨앗학교’라는 명칭을 부여하면서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시작되었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언론매체에 소 개되면서 관심을 끌게 되었고, 단순히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넘어 조그만 지역사회에 큰 변화 를 가져오는 사업으로 성장하였다. 정민룡(2014)은 그 간의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전개 및 발전과정을 분석하고 지원방식을 개선하거나 장기목표를 재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에 예술꽃 씨앗학교의 추상적 목표로 그려졌던 모습을 좀 더 구체화하여 중기적 로드맵을 제안 하였다. 원래 로드맵(road map)이란, 말 그대로 도로지도를 말한다. 목적지가 있고, 그 목적지 에 도착하는 가장 효율적인 길을 안내한 것이다. 그런데 예술꽃 씨앗학교는 여전히 그 ‘목적지’ 가 불분명하다. 여기서 ‘목적지’란 결과물로서 예술꽃 씨앗학교의 이념형 모델을 의미한다. 이 모델에 대한 구체적 모습을 그리기 전에 그 동안 예술꽃 씨앗학교는 막연한 목적지를 향해 가 는 길을 보여주는 데에만 치중하였다고 볼 수 있다. 즉 모델이 있는 터라 그 근처는 갔지만 모 델이라는 성을 정복하지는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동안 예술꽃 씨앗학교는 학교교 육 차원의 운영에 치중하면서 원래 예술꽃 씨앗학교가 표방한 유사 지원사업과 차별성을 보여 주었던 ‘지역 연계’ 부분, 즉 마을 단위의 작은 지역의 문화예술거점학교로서의 역할에서는 미 약함을 보여 온 것도 사실이다(김광명, 2011, p. 132; 임학순, 2007, pp. 18-20; 최현묵, 2011). 기존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하고, 방과후 학교활동에서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이 많은 학교의 정도에 그치는, 그래서 4년간의 예산지원이 끊어지면 다시 원래의 학교로 돌아가 버리는 우려가 제기되어왔다. 이에 8년간 성공적인 예술교육 정책 사업이라는 평 가를 들으면서도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그 동안 이루어 온 긍정적 효과에 힘입어 학교 급이 중, 고등학 교로 확장되고, 지원 학교 수도 확대되었다. 이에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개념과 유형을 분석하고, 그 간의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현황과 성과를 분석하여, 예술꽃 씨앗학교를 정의하고 특성을 재확인하여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모델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2. 연구의 목적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결과로서 도달할 운영모델(model; 模型)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 구의 목적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한다. 하나는 종합적인 사업관리 관점에서 학교를 중심으로 관련 주체들과의 연계를 통해 수행되는 과업의 편성과 관계의 체계라 할 수 있는 ‘사 업 관리 모델’이고, 다른 하나는 개별 예술꽃 씨앗학교의 차원에서 사업의 목표와 취지를 근거
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로 적용해야 하는 ‘학교운영지침 모델’이다. 모델이란 완성된 작품을 줄여서 만든 본보기를 말 한다. 즉 예술꽃 씨앗학교의 이념형을 단순화시켜서 보여주는 본보기이다. 그 동안 예술꽃 씨앗 학교 지원사업과 관련한 유사한 연구에서 사용된 효과성 평가모델, 평가 지표, 로드맵 등은 운 영모델과는 차이가 있다. 효과성 평가모델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학생, 학교, 지역사회의 성취 를 기준으로 제안된 평가를 위한 준거이지 운영모델은 아니다. 평가 지표나 로드맵은 예술꽃 씨 앗학교의 완성체로서 운영모델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수행해야 될, 또는 도달해야 될 시기별 준 거이지 운영모델은 아니다. 운영모델은 다양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통일된 정체성을 보여주는 도 달점을 보여주는 본보기이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지원사업 취지에 맞는 공통적인 학교운영지침 모델을 가지고 있어야겠지 만 문화예술분야, 학교급, 학교의 규모나 문화에 따른 학교환경, 지역환경, 프로그램 등 다양한 변인에 따라 나름대로의 장점을 극대화한 독창적이고 자율적인 운영도 권장 받고 있다. 따라서 학교운영지침 모델의 기본형으로 가는 과정으로서 일부 요소를 차선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형 모델의 방안과 예시도 제안한다. 그러나 선택형 모델은 도착점으로서의 기본형으로 가기 힘 든 상황에서 잠정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과도기적 요소이지 도착점 모델은 아니다.
3. 연구 내용 이러한 목적에 입각하여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꽃 씨앗학교의 전제라고 할 수 있는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개념과 유형을 분석한다. 유형은 지원과 교육주체에 따른 분류, 관점에 따른 운영기준에 따른 분류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국내·외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과 사례를 검토하여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방향 과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한 시사점을 검토한다. 둘째,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현황과 성과분석을 통한 정의 및 특성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네 가지 분석을 수행한다. (1)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선행 연구 분석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대표적 사례인 예술꽃 씨앗학교는 성공한 사업으로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으며, 이 사업관련 많은 연구를 통해 지원사업이 수정 보완된 것도 크게 기여하였 다. 이에 그 간의 관련 연구의 결과들을 분석, 정리하여 특성을 찾아낸다. (2)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계획서 및 실적보고서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체적 모델 없이 스스로 진화해왔다고 볼 수 있다. 1 기에서부터 현재 진행 중인 예술꽃 씨앗학교의 사업계획서와 실적보고서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 실태를 가장 적절하게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분석을 통해 예술꽃 씨앗학교의 특 성을 분석한다. (3) 예술꽃 씨앗학교의 컨설팅 현장에서 논의 분석 Ⅰ. 서론 |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관리자와 담당교사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학교의 고민과 문제점을 상담하고, 조언해준다. 또한 각 학교가 잘하고 있는 점들을 발굴 하고 이를 다른 학교와 공유하는 역할도 한다. 이 과정에서 논의되는 내용들은 구체적인 예술꽃 씨앗학교의 특성들이다. (4)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의 설문조사 분석 현재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을 담당하는 실무자의 의견은 살아있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습을 대변할 수 있다. 그 의견들을 분석하여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실과 당면한 문제들을 확인하고 예 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방향과 구체화에 반영한다. 셋째, 위의 방법과 내용을 토대로 예술꽃 씨앗학교의 정의 및 특성 확인, 그리고 학교의 과업 운영 체계를 중심으로 사업 관리 모델과 학교의 운영자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운영업무 중심의 지침 모델을 제안한다.
4. 기대 효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첫째, 학술적으로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모델을 통해 한국의 독특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모델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학교교육 차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한 학교 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모델을 보여준다. 학교교육의 차원을 벗어나기 때문이다. 둘째, 정책적으로는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 대상 학교의 방향, 방법, 평가 등에서 예술꽃 씨앗 학교의 운영모델을 기초로 표준적이고 체계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기본 운영모델은 모든 예술꽃 씨앗학교의 계획과 실천, 점검의 등대 역할을 할 것이며, 수단으로서의 로드맵과 가이드의 목표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최소한의 예술꽃 씨앗학교의 목표 달성을 할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할 것이다. 넷째, 선택 운영모델은 각 예술꽃 씨앗학교가 궁극적인 도달점인 기본 운영모델로 가는 과정 에서 각 학교상황에 따라 과도기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요소들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개별 학교의 상황을 고려해서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현실 가능한 모델이 될 것이다.
5.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해 다음의 네 가지 주요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예술꽃 씨앗학교의 전제라 할 수 있는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개념을 논리적으로 확인하 고 유형을 분석하고, 국·내외 관련 연구와 동향을 확인하여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방향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연구의 초점을 예술꽃 씨앗학교에 맞추어 관련 보고서를 집중 분석하였다. 8년 동안 꾸
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준히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수행되었으므로 이를 대상으로 한 적지 않은 연구가 수행되 었다. 이를 분석하는 것은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경향을 가능하면 수용하면서 큰 변화를 주지 않고 공을 확인하고 과를 수정·보완하면서 축적된 노하우를 발굴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 기 때문이다. 셋째, 8년간 진행된 예술꽃 씨앗학교의 사업계획서와 설적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신규 예술꽃 씨앗학교는 대부분 기존의 우수 사례를 가진 예술꽃 씨앗학교를 벤치마킹하면서 자신들의 강점 을 추구 보완하였으므로 유사한 공통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분석한 것은 공통적 모델 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모델을 도출할 수 있는 공통 요소들을 찾아낼 필요 가 있다. 넷째, 예술꽃 씨앗학교의 관리자와 담당교사와 컨설턴트의 논의에 참여 관찰하여 예술꽃 씨앗 학교 지원사업의 수행모습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논의는 곧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의 고민을 반영하는 것이며 컨설팅 되는 내용들이 운영의 대안이기도 하다. 여기서 나오는 공통적 요소들 이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다섯째, 현재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인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모습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들의 인식과 사업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여섯째,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델 확정을 위한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연구진은 중요 영역별 연 구결과를 발표하고, 교차 검토 및 토의·토론을 통해 운영모델의 정교화를 도모하였다. 일곱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의 자문과정을 진행하였다. 도출된 모델을 제공하고 자문진들의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Ⅰ. 서론 |7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1. 예술기반 학교운영 개념과 유형 분석 2. 국내·외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 3. 예술꽃 씨앗학교 모델 구안에 주는 시사점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문화예술교육은 사회문화예술교육과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선진국들은 다양하 고 풍부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공간을 가지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도 문화예술 그 자체가 학교시설이나 교육프로그램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보 다 의도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해야 할 만큼 열악한 상황에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술꽃 씨앗학 교 지원사업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중요한 모델이 되고 있는 바, 상위 모델이라 할 수 있는 예 술기반 학교운영의 개념과 유형 분석, 국내·외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을 살펴보고 예술꽃 씨 앗학교 운영모델 구안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기로 한다.
1. 예술기반 학교운영 개념과 유형 분석 1.1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개념 Davis(2008)는 ‘예술기반 교육’을 예술을 비예술교과를 탐구하는 창을 제공하는 교육으로 정 의한다. 이와 유사한 여러 형태의 예술관련 교육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예술통합교육’은 비 예술교과와 교육과정으로 밀접하게 엮어있는 교육을 말한다. ‘예술주입 교육’은 비예술교과교육 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예술을 외부에서 내부로 주입하는 교육을 말한다. 예술포함 교육은 예술 교과가 비예술교과와 동등하게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말하며, 예술확장 교육은 박물 관 견학 등 학교 밖의 공간까지 확대해서 예술교육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 예술전문 교육은 예 술인을 만들기 위해 전문적인 예술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말하며, 교과외 예술교육은 교육과정 밖에 따로 예술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경우를 말한다. Greene으로 대표되는 미적 교육은 예술작 품을 통한 미적 자각을 얻게 해서 예술에 대한 공감능력을 신장하려 한다. 아츠 쿨투라(arts cutura)는 개인에서부터 인류에 이르기까지 경험하는 문화예술의 연결된 의미를 인식하는 예술 교육을 지향한다(Davis, 2008. pp. 30-44). 그러나 학교운영의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정의해 보면 ‘예술기반 학교운영’이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는 학교운영을 말한다. 그 스펙트럼은 예술을 학교교육의 중요자원으로 활용하는 수준에서부터 예술체험 자체를 교육의 목표로 하게 되는 수준까지 다양한 범위를 가 진다. 반면에 ‘학교기반 예술교육’이라 할 경우에는 학교의 교육자원을 활용하는 예술교육을 의 미한다. 실제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은 유사하더라도 접근 방식의 출발점에 큰 차이가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교와 예술 간의 관계로부터 시작한다. 우리나라 학교에서는 음악, 미술 을 중심으로 하는 예술관련 교과를 정규교육과정에 편성하고 있다. 학교 예술교육이 예술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에 시수나 내용면에서 턱없이 부족하고, 기능중심의 교육으로만 진행되어 예술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11
적 감성과 창의성을 위한 체험과정도 충분치 않다. 학교 입장에서는 일반교과의 현실적 중요성 때문에 예술관련 교과의 시수편성의 한계가 있고, 수요자인 학생과 부모의 요구 등으로 인해 적 극적으로 예술교과를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사회변화에 따른 시대적 요구는 학교에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학생들의 창의성이나 인성계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예술기반 학교운영은 예술 활동을 어떤 수준으로 반영하는가에 따라 세 가지 유형의 학교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예술교육을 목표로 하는 전문학교형으로 예술계 특성화 학교가 해당된 다. 둘째는 예술교육을 중요한 자원이자 내용으로 반영하는 예술과정형으로 다양한 교육활동에 반영한다. 셋째는 별도의 예술 활동을 편성하기 보다는 기존의 시수에 따라 음악, 미술 등의 교 과 수업을 진행하는 예술교과형이 있다. 본 연구에서 생각하는 예술기반 학교운영은 설립목표 자체가 예술교육을 목표로 하는 예술학교나 정해진 시수 범위에서 예술교육 교과를 운영하는 일반학교의 경우를 제외하고 정규교육활동과 비정규교육활동을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화예 술교육을 실행하는 학교를 말한다. 즉 첫째 유형은 예술학교이므로 예술기반이라는 표현을 사용 할 필요가 없고, 셋째 학교는 일반학교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예술기반 학교운영은 문화예술교 육을 통한 예술적 감성과 창의성 신장을 바탕으로 인성교육 실현을 지향하는 학교운영으로 정 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술교육 자체를 학교경영의 핵심목표로 설정할 수도 있고 학교교육에 중요한 수단이자 과정으로 편성하여 운영할 수도 있다. 예술기반 학교운영이란 이를 위한 학교 경영목표 수립과 환경 조성, 교육과정의 선정과 편성, 자원 확보와 연계, 실행과 관리, 운영성과 에 평가와 개선 등 학교교육과 관련된 변수들이 하나로 연계되고 진행되는 과정과 체계를 의미 한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이러한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1.2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유형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두 가지 접근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나는 문화예술교육 지원과 교육의 주체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왜냐하면 예 술기반 학교운영을 외부 지원사업으로 하는지 자체 사업으로 하는지에 따라 문화예술교육 분야 와 교육계획 및 실천의 내용과 범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문화예술교육을 학교운 영에서 보는 관점에 따라 분류한다. 외부 지원여부에 관계없이 문화예술교육을 학교운영에 어떻 게 실천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모습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분류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델의 특징을 드러내는 배경이 된다.
1.2.1 문화예술교육의 지원과 주체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선진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예술기반 학교운영을 지원 하고 있다. Day와 Hurwitz(2012)는 미국의 경우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가치들이 부각되 1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었지만 유독 예술교육의 가치는 예외였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최근 예술교육의 가치가 급부상 하면서 많은 학교들이 예술교육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이는 정부나 지방자 치단체가 직접적으로 나서는 경우도 있지만 자발적인 예술중심학교들도 나타나고 있다. 외부 지 원에 의존한 예술기반 학교가 많아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이 나타나고 있 다. 이에 따른 지원의 주체와 교육의 주체를 기준으로 [그림Ⅱ-1]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A유 형은 학교 자체 예산으로 학교교육과정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예술기반 학교를 운영하는 유형이 다. 독일의 헬레네 랑에 학교나 발도르프 학교처럼 주로 대안학교의 성격을 띤 사례가 많다. B 유형은 외부로부터 지원을 받되 자신들이 만든 학교교육과정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문화예술교육 을 하는 유형으로 예술교육 선도학교가 여기에 해당된다. C유형은 예산과 교육프로그램 모두 외부에서 지원받아 문화예술교육을 하는 유형으로 예술강사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다. 선진국의 많은 문화예술교육이 여기에 해당된다. D유형은 학교예산 또는 일부 수혜자 부담으로 외부의 교육프로그램을 학교로 들여와서 문화예술교육을 하는 유형이다. 방과후 학교활동 프로그램이 전형적인 사례이다.
예산(외부)
B유형
C유형
교육주체(내부)
교육주체(외부) A유형
D유형
예산(자체)
[그림Ⅱ-1]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유형
(1) A유형: 자체 예산-자체 프로그램 A유형은 자체 예산으로 자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모델이다. 대표적인 모델이 헬레네 랑에 학교(Helene Lange Schule)이다. 이 학교는 1847년 여성교육의 목적으로 대안학교 로 설립하였으나 1, 2차 세계대전 이후 김나지움(인문계중등학교, 5학년-13학년)이 되었고, 1985년 통합적 종합학교(5학년-10학년)로 바뀌었다. 11학년-13학년은 다른 고등학교에 통합되 었다. 이 학교는 교육 전반에 모든 감각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예술을 모든 교과활동의 기반으 로 활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프로젝트 수업을 잘 활용한다. 예술기반 학교운영을 하면서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13
도 PISA 2000 결과 발표에서 독일 학교 중 우수한 성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2007년에 로 버트 보쉬(Robert Bosch) 장학재단에서 실시하는 ‘독일학교수상(Der Deutsche Schulpreis)’에 선정되었다. 헬레네 랑에 학교가 다른 일반학교와 다르게 운영되는 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행정구조는 관리자가 존재하지만 가능한 민주적이고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학년단위 구조로 운영된다. 둘째, 생활공동체 학교를 추구하여 전일제 수업을 한다. 그러므로 학교는 생활공간으로써 이 해된다. 독일 교육학자 볼노(Bollnow)가 ‘학습공간은 아늑하게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한 것을 받아드려 학교의 공간을 학생들이 아늑하게 느낄 수 있도록 공간을 배치한다. 또한 많은 공간들 이 모둠작업을 하기에 적합하며, 복도에는 학년 전체가 나와서 공동과제를 할 수 있도록 개방한 다. 소위 열린 수업을 지향하여 학습과정과 학습결과가 항상 열려 있다.
“독일 비스바덴에 위치한 헬레네 랑에 학교의 문은 항상 열려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학생들이 무엇을 하는지 알 수 있다. 학생들은 항상 수업에 열중한다. 그들은 책임감을 가지고 모둠활동에 임한다. 금요 일마다 학급회의가 열린다. 학급회의에서는 예를 들어 학급에서 결정해야 할 일에 대해서 의논한다. 그리고 매일 학생들은 자기들 스스로 교실 청소를 한다. 또한 그들은 프로젝트 수업을 해야 한다. 자 기들만의 연극 작품을 만들어야 하며, 학교 공부를 위해 정말 많은 일과 노력을 한다. 선생님들이 공 부하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 스스로 배움을 위해 채찍질한다. 헬레네 랑에 학교는 종합학교이다. 점수는 우선 7학년서부터 있다. 10학년부터는 김나지움으로 가야 한다(출처: http://www.spiegel.de/ schulspiegel/deutschlands-beste-schulen-lernen-wie-in-hildesheim-a-522462-6.html).”
셋째, 모든 수업은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된다. 오전에는 수업을 하고, 오후에는 공동과제 혹 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그리고 프로젝트는 예술이 포함되는 융합과제가 대부분이다. 연극프로 젝트의 경우 국어, 역사, 예술, 노동, 놀이, 언어 같은 영역과 관련시켜 진행된다. 프로젝트 수업 은 특정한 주제에 대해 교사와 학생이 함께 고민하며, 매 학년마다 두 달 가량 지속되는 두 개 의 프로젝트 수업이 있다. 프로젝트 수업으로 매주 월요일 수업내용을 함께 조율하면서 시간표 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학생들 시간표에 ‘주중 계획표’라는 것이 있는데, 이때는 프로젝트를 위한 개인 공부 또는 모둠 활동을 한다. 보통 생태학적, 사회적, 예술적 영역에서 프로젝트 수 업이 진행된다. 넷째, 4시간이 한 단위의 수업이다. 교과의 경계를 유지하면서도 다른 교과와 서로 연관 짓는 작업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는 실천적 지식 학습을 강화하려는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4시간 동 안 담임교사와 교과전담 교사가 함께 담당한다.
예시: 5-6학년의 경우 학교, 동물, 연극, 숲, 학급여행, 건강식, 놀이, 세계의 어린이, 원시사회, 인디언 의 주제가 선택됨. 7-8학년의 경우 자전거, 물, 로마인, 쓰레기, 청소년, 건강식, 옷이 사람을 만든다/사
1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람이 옷을 만든다, 정보매체, 도시의 주제가 선택됨 예시: ‘영어연극프로젝트’- 선생님은 영국에 초대된 저명한 연극인이다. 여기에서 연극을 하려면 학생들 은 영어로만 얘기해야 한다. 학생들은 1주일의 프로젝트 기간 동안에 영어로 연극을 만든다. 이 프로젝 트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연극과 영어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다. 학생들은 연극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영어를 배우게 된다. http://www.hela-frankfurt.de/html/kunstklasse.html http://helene-lange-schule.templ2.evision.net/index.php?id=57 http://helene-lange-schule.templ2.evision.net/index.php?id=14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으로 헬레네 랑에 학교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정기섭, 2013). 첫째, 자율에 따른 책임감 및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학년단위의 학교운영구조로 교사의 재량 권을 부여하여 자율적 재량권을 갖는 학교 안의 작은 학교로 운영하여 교사 및 학생들의 책임 감과 만족도를 높여준다.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동기를 극대화시켜준다(켈러·송상호, 2014). 예술꽃 씨앗학교도 학교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사업추진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는 학생들의 학 습동기 극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학부모, 학생이 참여하는 생활공동체 학교 문화로 학교만족도를 제고한다. 학교의 담을 헐고, 학부모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를 지향한 다. 이는 ‘내 학교’라는 생각을 갖게 하고, 학교에 대한 애교심을 갖게 한다. 예술꽃 씨앗학교도 학부모와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기본적으로 작은 학교를 대상으 로 하는 만큼 대도시의 학교에 비해서 애교심과 애향심이 많은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 가 있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 중심으로 수업과 교육활동에 녹아 있는 역량중심의 교육을 수행한다. 최 근 가장 활발하게 관심을 받고 학교현장에서 강조되는 수업방법 중의 하나가 프로젝트 수업이 다. 프로젝트(project) 수업은 Dewey와 함께 진보주의 교육학자였던 Kilpatrick(1918)이 ‘The project method’책에서 강조하면서 알려졌다. 프로젝트(project)란 ‘pro(앞으로)’와 ‘ject(던지다)’ 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형상화하는 학습이 다. 자발적으로 주제를 선택하여 목표수립-계획-수행-평가하는 학습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하는 체계적 지식과 기능의 습득 방식의 학습을 보완한다. 프로젝트 수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 고 있다(정문성·전영은, 2016 출판예정; 홍순옥·임영심·김창숙, 2013). 따라서 예술꽃 씨앗학교 의 문화예술 활동은 프로젝트 수업에 가깝다.
-목적이 분명하다. 따라서 구체적 계획이 세워진다. -학생의 관심을 반영한다. 이는 학생의 흥미, 능력, 욕구에서 나오는 것이다.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15
-전인적 수행이다. 단순히 지적 활동에 그치지 않고 기능과 태도를 반영한다. -일정한 기간이 필요하다. 일정한 수준의 복잡하고 종합적인 과제이기 때문이다. -관련 사람들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혼자 할 수도 집단이 할 수도 있으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관 련된 많은 사람들의 협력을 얻어내어야 한다. -스스로 주제를 선택하고 계획을 세우는 등 자발적 의사결정을 한다. -탐구와 표현을 함께 한다. -종합적 사고와 기능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협력적 관계를 지양한다. 단순히 수업이 재미있고, 학교가 재미 있다가 아니라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학생들의 역량을 제고한다. 학교문화예술교육도 문화예술 의 결핍을 채우거나 단순한 문화예술의 감상 및 표현기회의 확대라는 막연한 접근보다는 문화 예술의 교육적 효과를 의도적으로 구현하려는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2) B유형: 외부 예산-자체 프로그램 B유형은 외부 예산지원으로 자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모델이다.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가 대표적인 모델이다. 최근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드림학교도 선정된 학교에 예산 지원을 해서 문화예술교육을 특성화하는 유사한 모델이다. 이 외에도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학 교도 유사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 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의지를 가진 우수 학교를 발굴, 지원하여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중심학교로 육성함으로써 B유형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특히 학교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연도
2007
2008
2009
2010
학교 수
39
64
200
30
수혜자 수
13,794
20,311
52,956
11,083
*2010년 선정 학교: 2009년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 수혜를 받은 학교 중 우수 학교 30개 선정, 지원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직접 체험한다. 이전까지 예술교육은 박물관, 미술관 등 간접 체험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은 학교를 문화예술적 환경으로 조성하여 학생들의 문 화예술 향유능력을 촉진시키며, 문화예술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게 한다. 둘째, 문화예술의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지 않는다.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은 학생들 에게 문화예술의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1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긍정적인 태도와 가짐으로 통해 창의성, 인성, 사회성, 전인적 성장 등을 성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셋째, 통합적인 사고력을 강조한다. 21세기는 창의적인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이 중요시 되는 시대이다. 단순히 암기를 통한 지식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수단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이 요 구된다.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예술 향유를 통해 문화예술을 답습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이며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림Ⅱ-2] 예술교육 선도를 통한 창의인성 역량(정현주 외, 2011)
또한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을 하는 학교는 교육과정을 자체적으로 개정함으로 각 교과에 문화예술적 요소를 집어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의 속성에 대해 배울 때, 과학교과 와 음악교과를 통합할 수 있다. 또한 공간/도형에 대해 배울 때, 미술교과와 수학교과를 통합할 수 있다. 즉 여러 교과의 공통 주제를 중심으로 교과내용을 융합하는 것이다(정현주 외, 2011).
융합의 예시 1: 교과-음악/ 교과-미술 융합의 예시 2: 교과+음악+미술 융합의 예시 3: 교과1+교과2+음악+미술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는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으로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보여준다. 이는 예술꽃 씨앗학교가 지향하는 바와 같다. 첫째, 일반교과와 융합함으로써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실현을 보여주었다.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17
둘째, 기능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이 아니라, 정서적 안정, 창의성 배양, 사회성 강화 등을 목적 으로 하였다. 셋째,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지역사회 내 문화예술의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3) C유형: 외부 예산-외부 프로그램 C유형은 외부 지원으로 외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모델이다. 예술강사 지원사 업이 학교가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서울문화재단의 예술로 플러스를 활용한 학교의 경 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서울문화재단은 2009년부터 2015년 현재까지 모든 어린이가 스스로 깨 우치는 학교, 움직이며 배우는 재미난 수업, 신바람 나는 학습을 위한 초등교과 연계 창의예술 수업 지원사업인 예술로 플러스를 운영하고 있다. 학교교사와 서울문화재단 예술가 교사(TA: Teaching Artist)가 협력하여 8회기(16차시)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하고, 실제 학교현장의 일반교 과시간에 수업으로 운영한다. 이를 테면 일반교과를 통합하는 방식을 논의하여 적용하여 실행하 는 방식이다. 예술로 플러스 모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과와 예술을 통합 재구성하여 다양한 예술적 자극 및 체험 활동을 통해 교과 지 식을 내면화하는 동시에 창의적으로 응용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연극, 무용, 음악, 시각예술을 전공한 예술가 교사(TA)가 프로그램과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여, 담임교사와 협의하여 수정․보완한다. 셋째, 서울문화재단 소속 예술가 교사 2인이 팀티칭 형식으로 학교로 파견되어 학생들의 참 여활동이 용이한 블록수업의 형태로 진행한다. 1회 80분 블록수업, 총 8회(16차시)의 수업을 직 접 실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매년마다 다른 교과 및 학년으로 진행되며 그 간 운영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Ⅱ-1> 서울문화재단 예술로 플러스 사업 운영현황 연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지원 학교 수
5학교 5학급
6학교 20학급
20학교 40학급
16학교 61학급
15학교 61학급
30학교 122학급
30학교 127학급 예정
5학년2학 기 국어
3학년2학 기 사회
2학년2학 기 통합
2학년1학 기 국어
3학년 1,2학기 수학
개발 교과
2학년 2학기 즐거운 생활 (5,6단원)
1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Ⅱ-2> 2013년 예술로 플러스-사회로 예술하기 수업 계획 제목 1회
손으로 만나 는 문화
신발 신고 세 2회 계 속으로
3회
4회
조선시대 화 원이 되다
1. 우리들이 살 아가는 모습
2. 변화하는 전 통의례
전통 알리미 사진전
다른 나라에 도 한가위와 5회 비슷한 명절 이 있을까요? 6회
단원 제제
강강술래 한 가위
세상 밖에서 만나는 동그 7회 라미, 세모, 네모 달라서 좋은 8회 동그라미, 세 모, 네모
3. 세계 여러 나 라의 명절과 기 념일
4. 서로 배우고 존중하는 문화
단원목표
창의예술목표
문화에 따른 생각과 행동의 차이를 이해하 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옛날과 오늘날의 혼 례, 상례, 제례를 비교 하여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명 절의 뜻과 의미를 이 해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과 기념일에 담긴 의미와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삶의 모습을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 를 서로 배우고 존중 하는 태도를 기른다.
손동작 속에 들어있는 공통점과 차 이점, 더 나아가 문화의 차이점을 생각하고 정리한다. 다양한 신발을 살펴보면서 환경에 따라 모양과 기능이 달라짐을 이해 하고, 여러 나라의 신발을 통해 문 화의 차이를 탐색한다. 연극적 상황 안에서 조선시대의 화 원의 역할을 맡아 서민들의 삶을 궁금해 하는 임금님께 혼례, 제례, 장례 그림을 설명하면서 옛날의 전 통의례에 대해 알아본다. 옛날과 오늘날의 혼례, 장례, 제례 를 비교해보고, 그 특징을 찾아 사 진전으로 표현해본다. 우리나라의 한가위와 비슷한 필리 핀, 태국, 중국, 일본의 축제나 명 절을 알아보고, 특징적인 활동을 체험한다. 우리나라의 명절 한가위를 이해하 고, 강강술래 춤을 추면서 우리 문 화의 의미를 알아본다. 동그라미, 세모, 네모의 이야기로 각 나라의 문화를 비교하여 서로 다름의 소중함을 알고 존중한다.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한 눈에 살 펴볼 수 있는 전시회를 꾸미고 감 상한다.
넷째, 세 모둠으로 나누어 활동을 할 때 3인의 교사가 각 모둠을 맡아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하고 공유하기 좋은 구조이다. 가까이에서 진행되는 교사의 발문에 학생들의 생각이 보다 촉진되며 심도 깊은 발견과 관찰, 토론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해당 주요 교과 목표를 예술적 방법론을 통해 달성하는 과정을 추구한다. 예를 들어 2012년에 시행된 <예술로 사회하기> 사업의 경우, 예술과 사회가 병렬적인 통합이 아니라 예술 을 통해 사회과 내용을 그들의 삶과 통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학생들은 예술체험을 통해서 ‘다양성을 수용하고 차이를 인정하기’, ‘서로 공감하고 함께 창조하기’, ‘충분히 느끼고 몸으로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19
표현하기’ 등을 체험한다.
준비단계
수업 단계
8회 분량의 프로그램 개발 (서울문화재단 연구팀 +프로그램 참여 교사 자문)
→
8회(16차시) 분량 수업 (예술가 교사(TA)2인+담임교사 팀티칭)
반성 단계
→
팀티칭 수업 후 성찰 및 반성
[그림Ⅱ-3] 서울문화재단 예술로 플러스 사업 프로세스
이 유형이 보여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와 밀접하게 연계하여 일반교과시간에 수업으로 운용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적합성 및 지속적인 실행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문화예술을 일반교과와 연계하는 것이 쉽지 않 지만 그 가능성과 효과를 증명해보였다. 예술꽃 씨앗학교도 예술교과와 방과후 학교활동만으로 는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다. 상당부분 일반교과와의 통합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한데 그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프로젝트 중심 수업 운용을 통해 학생 역량 중심의 교육의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제중심 프로젝트 수업은 문화예술의 다양한 분야를 통합할 수 있는 수업방법이며, 이를 증명 해 보였다. 셋째, 교사와의 공동연구, 팀티칭을 통해 학교 내 활용 가능성 및 학습대상자의 참여도 제고 를 가져온다. 학생을 잘 알고 있는 교사와 문화예술 전공자의 능력과 기능이 결합하여 수준 높 은 내용과 기능 및 경험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높은 호응을 얻어내었다. 예술꽃 씨앗학교에서 교사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예술강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들의 공동연구와 소통 및 팀티칭의 중요성을 시사해준다. 넷째, 교과내용을 예술분야로 풀어내어 학습대상자가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습득하도록 구성 한다. 교과내용을 예술분야로 풀어내는 것은 예술전문가의 몫이다. 이때 교사의 도움이 필수적 이다. 예술꽃 씨앗학교에서 교사와 예술강사의 협업이 중시되는 이유이다. (4) D유형: 자체 예산-외부 프로그램 D유형은 자체 예산으로 외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모델이다. 방과후 학교가 대 표적인 사례이다. 기존의 ‘특기·적성 교육’으로 시행되어 온 방과후 학교활동은 2005년 1월에 ‘방과후 학교’라는 명칭으로 대치하였다. 명칭만 바뀌었을 뿐 그 뿌리는 1995년 교육개혁 531조 치에 의해 ‘특기·적성 교육’이 시행되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김경서, 2008). 이는 사교육 비 경감과 개인의 소질·적성 및 취미 특기 신장을 위함이었다. 방과후 학교는 정규교육과정 이
2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외의 시간에 학교에서 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육체제를 말한다. 방과후 학교 운영모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고, 프로그램에 대 한 홍보 및 상담을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권을 보장한다. 둘째, 학교급별 특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보통 초등의 경우는 교과보다는 인성·창의성 함 양을 위한 특기·적성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셋째, 중등의 경우는 진로, 특기·적성, 예·체능, 문화 활동, 교과 등의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개 개인의 강좌 선택 기회를 부여한다. 방과후 학교 운영유형이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학교는 정규교육과정을 통해 성취하기 어려운 학생들의 다양한 특기·적성 및 인 성, 창의력을 개발하고 함양하는데 기여하였다. 학교교육과정만으로는 학생들의 다양한 잠재력 을 계발하기 힘들고, 보통교육과정에서 이런 개별적 요구들을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에 방과후 학교는 이러한 수요에 대한 대처수단으로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그런 면에서 예술꽃 씨앗학 교에서 방과후 학교를 적극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학교, 고등학교 방과후 수준별 보충학습 등에 활용되었다. 이 는 계층·지역 간 교육격차 확대와 사교육비 증가, 맞벌이 부부의 육아부담 증가, 공교육의 질적 저하에 대한 대안 등으로 활용되었다(신현석·이경호, 2010). 예술꽃 씨앗학교에서 방과후 학교를 통해 문화예술의 심화교육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강화로 인한 다른 부 분에서의 결핍을 방과후 학교에서 보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1.2.2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에 따른 유형 학교운영에서 문화예술을 보는 관점에서는 예술기반 학교운영에 예술 활동의 가치를 어떻게 보는가, 예술 활동의 내용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 예술 활동을 학교 운영에 어느 수준까지 반영 할 것인가의 관점에서의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예술 활동의 가치를 어떻게 보는가? 학교교육과 관련하여 예술 활동이 어떠한 위상과 성격을 갖고 있는가에 따라 소극적 관점과 적극적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수단의 관점에서 예술 활동을 학교의 인성교육을 위한 활동 또는 교과교육 등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수단으로서 보는 것이다. 후자는 목표의 관점에서 학교운영의 목표로서 예술 활동이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거나 예술교육 활동이 교육과정 구성 의 중핵으로(core) 위상을 갖는 것을 말한다. 곽덕주 외(2014)는 보통 사람을 위한 예술교육은 기술 익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느끼고, 지각하며, 표현할 줄 알고, 질문할 줄 알게 되는 교육 이며, 교육의 핵심과업이 인간의 변화라면 예술교육은 교육작업의 중심에 놓여야 한다고 하였 다.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21
둘째, 예술 활동 내용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 어떠한 형태의 예술기반 학교운영이 되든지 교육내용은 예술 활동이 기본이다. 교육활동을 구 성하는 내용은 다양한 교과나 다양한 분야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문화예술교육 활동이 모든 교과에 스며들어 있다. 예술분야의 반영은 두 가지 차원에서 학교운영모델에 영향을 미친다. 하 나는 예술적 성취를 위한 기능의 전문성을 목표로 할 수도 있고 다른 하나는 문화적 감수성과 일상의 향유를 목표로 할 수도 있다. 전자는 기능 습득에 중점을 두게 되고 후자는 다양한 체험 과 과정에 초점을 둔다. 또 다양성은 분야의 특성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분과형으로 분야별 교육을 할 수도 있고 분야 간 연계나 융합을 통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을 할 수도 있다. 이는 학교입장에서는 선택 사항일 수 있으나 시대적 요구는 기능중심의 예술교육을 넘어서 미적체험 또는 과정중심의 문화감수성, 창의성교육 관점에서 문화역량 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의 요구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셋째, 예술 활동을 학교 운영에 어느 수준까지 반영할 것인가? 예술기반 학교운영을 개념화하고 유형화하는 것은 정책적 측면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 부를 통해 관련 사업들이 제안되고 사업화된다는 점에서 정책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이론적 기 반이 되기도 한다. 이는 예술 활동이 학교운영 자체를 개편하는데 까지 반영한다. 또 단위 학교 의 측면에서는 예술 활동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수준에서 그칠 수 있다. 즉 학교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범위, 구체화의 모델이 된다.
(1) 운영기준·기본요소·운영내용 전술한 운영 기준의 세 가지 측면, 즉 문화예술교육의 성격, 예술적 목표 내용, 학교운영 반 영 수준에서 각 운영기준의 기본 요소와 운영 내용을 상세하면 다음과 같다. 운영기준
기본요소
운영 내용
A-교육활동의 수단
-학교 운영 입장에서 문화예술교육은 그 자체가 목표나 본 질적으로 중요한 요인이 아니라 학교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운영하는데 활용되는 교육내용이나 방법의 하나라는 점에서 수단적인 가치를 강조함
B-문화예술중심 교육
-예술 활동이 학교의 비전과 경영목표 달성과 관련하여 수 단적 가치도 있으나 문화예술 활동의 경험 자체의 가치를 존중하면서 학교운영계획 및 실제 교육활동을 예술적 경험 과 성취를 중심으로 편성하고 운영함
가-교육내용에 반영
-정규교육과정에 편성된 예술교과 시수 외에 추가적인 시수 를 편성하는 수준에서부터 교과와 연계된 예술 활동, 예술 동아리 등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예술 활동 운영 및 방 과후 학교를 활용한 예술교육 시간을 운영함
나-학교운영체제 개편
-문화예술중심의 교육을 경영목표와 운영계획에 반영하면서 학교 자체를 문화예술교육 자원 및 환경 중심으로 개편하고
문화예술교육 의 성격 측면
학교운영 반영 수준 측면
2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이를 기반으로 교육활동(정규/비정규)의 예술교육 및 기타 자율적인 예술체험 운영함 -학교운영 시스템은 학교 내 시스템과 학교 밖 지역연계 시 스템 전체를 포함함
1-예술기능중심 전문성
-예술교육 또는 예술 기반의 체험활동이 지향하는 성취의 가치를 학생들이 분야별 목표 중심의 기능습득과 이를 기반 으로 하는 전문성 신장에 두고 지속적으로 기능을 발전시키 고 즐길 수 있는데 필요한 예술 활동 역량을 성장시키는데 필요한 교육활동을 제공함
2-예술향유중심 체험성
-분야 중심형 활동이거나 융합형 활동이든지, 또는 기능을 강조하거나 그렇지 않거나 관계없이 기능의 성취나 양적 효 과만을 강조하기보다는 다양한 체험을 통해 학생들이 예술 활동 자체에 친밀해지고 일상 속에서도 예술 활동 참여를 지속해가도록 학생들의 통합적인 문화역량의 성장을 지원하 는데 초점을 둠. 단, 예술적 기능 향상 자체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님
예술적 목표 내용 측면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화를 위해 3개 운영기준별 2개 요소를 연계하여 경우의 수에 따라 총 8개의 유형이 도출된다.
○ 운영기준별 요소 간의 연계 구조 문화예술교육 성격 측면 A-교육활동의 수단 B-문화예술중심 교육
학교운영 반영 수준 측면 X
가-교육내용에 반영 나-학교운영체제 개편
예술적 목표 방향 측면 X
1-예술기능중심 전문성 2-예술향유중심 체험성
○ 8가지 유형의 분류 운영유형
문화예술교육 성격 측면
기본유형1 기본유형2 기본유형3
가-교육내용에 반영 A-교육활동의 수단 나-학교운영체제 개편
기본유형4 기본유형5 기본유형6 기본유형7
학교운영 반영 수준 측면
가-교육내용에 반영 B-문화예술중심 교육
기본유형8
나-학교운영체제 개편
예술적 목표 방향 측면 1-예술기능중심 전문성 2-예술향유중심 체험성 1-예술기능중심 전문성 2-예술향유중심 체험성 1-예술기능중심 전문성 2-예술향유중심 체험성 1-예술기능중심 전문성 2-예술향유중심 체험성
(2) 8가지 유형의 특성 학교 단위에서 실제 적용하게 될 이념적인 유형은 요소 간 결합을 통해 내용의 타당성이나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23
현실성을 고려하여 비논리적/비현실적인 연계는 제외한다. 세 가지 기준요인을 비교한다면 성격 측면의 요인과 반영 수준의 요인은 병행하는 구조가 될 가능성이 높다. 예술교육을 교육활동의 수단으로 본다면 전체 학교 운영체계를 개편하기보다 교육과정 내용 반영중심으로 운영하게 된 다. 반대로 문화예술중심의 학교경영목표를 설정했다면 운영체제 자체를 개편하고자 할 것이다. 따라서 유형3과 유형4는 제외된다. <표Ⅱ-3>과 같이 6가지의 경우에 따른 운영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운영유형
기본요소 구성
운영 특성
적용 방안
유형1 A-가-1
교육활동의 수단 교육내용에 반영 예술기능중심 전문성
현실적으로 적용에 용이 일반적인 예술교육형으로 활용 전문강사 자원 확보와 향상 관리 중요
운영유형에 반영
유형2 A-가-2
교육활동의 수단 교육내용에 반영 예술향유중심 체험성
교육과정 중심의 시수 편성 용이 체험중심 활동의 가치 공유 필요 실제 운영을 위한 학교내부 역량 필요
운영유형에 반영
유형3 A-나-1
교육활동의 수단 학교운영체제 개편 예술기능중심 전문성
교과 등 교육활동 수단으로 활용시 학교 운영체계 전체의 개편은 어려움
운영유형에서 제외
유형4 A-나-2
교육활동의 수단 학교운영체제 개편 예술향유중심 체험성
교과 등 교육활동 수단으로 활용시 학교 운영체계 전체의 개편은 어려움
운영유형에서 제외
유형5 B-가-1
문화예술중심 교육 교육내용에 반영 예술기능중심 전문성
목표는 적극적. 수단은 소극적(불일치) 학교 한계에 따른 현실성 반영 일반적인 예술교육 중심 과정 운영
운영유형에 반영
유형6 B-가-2
문화예술중심 교육 교육내용에 반영 예술향유중심 체험성
목표는 적극적. 수단은 소극적(불일치) 학교 개편의 한계에 따른 현실성 반영 통합적 문화체험을 위한 중간과정
운영유형에 반영
유형7 B-나-1
문화예술중심 교육 학교운영체제 개편 예술기능중심 전문성
목표와 수단의 적극성 예술기반 학교로 운영체제 확보 예술기능 교육과 기량 신장에 집중
운영유형에 반영
유형8 B-나-2
문화예술중심 교육 학교운영체제 개편 예술향유중심 체험성
목표와 수단의 적극성 예술기반 학교의 가치와 취지 반영 일상적인 체험과 통합적 문화역량 초점
운영유형에 반영
2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Ⅱ-3>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의 6가지 유형 교육 성격 및 반영 수준 구 분
교육활동의 수단 교육내용에 반영
문화예술중심 교육 교육내용에 반영
문화예술중심 교육 학교운영체제 개편
예술교육의
기능-전문성
A 예술기능지원형
C 예술기량전문형
E 예술교육특화형
가치/목표
향유-체험성
B 예술체험지원형
D 예술체험전문형
F 통합예술특화형
교과교육 중심으로 교육활동에 반영
문화예술중심 학교로서의 전문성 지향
학교의 목표와 환경을 예술 활동에 특화
※유형별 참고사항
1.3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로서 예술꽃 씨앗학교의 특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관점에서 예술꽃 씨앗학교의 특징을 정리한다면 다른 유사 사업과 비교할 때 개념적 정의나 운영유형의 포괄성 측면에서 가장 전형적인 사업 또는 운영체계에 해 당한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학교의 문화예술 환경 조성 및 학교 내 자원과 지역자원을 통합적으로 연 계하면서 교육과정 기반의 재설계와 학교 운영기반의 조성을 통해 문화예술중심의 학교를 지향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예술기반학교로서의 성격과 예술기반의 학교운영의 성격을 모두 담고 있으며 일반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예술중심 학교교육 프로그램에 해당된다. 문화예술교육이 지 향하는 목표 중 예술적 감수성이나 창의성 신장의 경우에도 예술꽃 씨앗학교는 기본 요소로 포 함되며 학교교육의 재설계와 경영목표 반영을 통해 인성교육의 중요한 매개로 기능을 하게 된 다. 학교의 운영관련 요인들이 계획단계부터 평가와 환류과정까지 유기체적인 관계를 맺고 반영 이 되어야 하는 원리를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단순한 프로젝트 또는 일회성 프로그램이 아닌 4년간의 장기적 지원을 토대로 학교의 교육운영 시스템을 재편하는 수준까지 통합적인 관리 요 소를 요구하고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예술 활동을 목표로 하거나 또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관 점을 모두 반영할 수 있다. 특히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문 화예술교육 사업의 하나로서 예술분야 기반의 운영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분야의 적용 방법 도 분야별 운영부터 통합형 운영까지 전반적인 운영기준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분야별로 특화된 운영학교 경우에도 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법을 통한 체험성을 강화할 수 있고 교과와의 연계나 다른 분야 내용을 연계한 통합형 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 다만 예술꽃 씨앗학교는 구체적인 요소의 다양성과 포괄성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문화예술중심의 학교경영목표 설정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예술 활동이 융합된 과정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지향 하고 있다.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의 다양한 유형을 6가지로 추출하였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모든 하위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25
유형을 포괄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운영학교의 목표나 성장의 수준, 여건에 따라 다양성 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4년간의 운영과정을 통해 지속적인 변화와 성장 그리고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을 전제로 하는 사업의 특성상 발전단계나 여건에 따라 예술꽃 씨앗학교는 학교별 로 운영의 목표나 반영 수준이 다르다. 다만, 지향하는 목표나 취지, 가치, 특성에 가장 적합한 모델 유형은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학교환경을 개편하면서 기능향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의 통합형 체험과정을 통해 일상과 졸업 후에도 예술 활동을 향유케 하는 유형(통합예술체험형)이 다.
2. 국내·외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 여기서는 국내·외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을 살펴보고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구안의 방 향을 정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먼저 선진국 중심으로 외국 사례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국내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2.1 선진국의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 예술가와 감상자의 관계에서 보면 두 가지 질문을 할 수 있다. 첫째 동기의 측면에서 왜 예 술가는 예술을 창조하고, 감상자는 왜 감상하고 싶은가? 둘째 인지의 측면에서 예술가는 어떤 인지적 기제로 예술을 창조하고, 감상자는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 어떤 인지적 기술을 사용하는 가? 이는 예술심리학의 핵심적 질문인데 이것이 예술교육의 이론적 출발이 된다(Winner, 1982). 최근의 예술교육은 예술가를 발굴하고 키우는 것을 넘어서 모든 사람들이 예술을 감상 하고 표현하는 예술의 생활화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예술은 학교의 보통교육 기능의 핵심 에 있어야 하고, 예술은 멀리 있지 않고 생활 가까이에 접근해 있어야 한다. 선진국의 경우는 학교교육에 예술이 기반으로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정현주(2011)가 여러 자료들을 종합하여 일본, 미국, 유럽의 학교 예술교육을 개관한 것에서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2.1.1 일본 일본의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가장 큰 특징은 지역사회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첫째, 지역사회의 공공기관의 활용을 강조한다. 학교 내에서 체험할 수 없는 문화예술을 지역 사회의 시설에서 체험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지역문화시설에서 공연을 감상한다든가, 지 역에서 운영하는 전통문화관 등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한다. 둘째, 지역의 인적 자원을 활용한다. 지역의 전문가를 초청할 수 있게 지원한다든가 퇴직 교 사, 회사원은 물론이고 지역의 대학생들을 강사로 지원한다. 2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셋째, 평생학습도시만들기 정책을 통해서 지역사회에서 스스로 프로그램을 만들고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제정을 등을 통해 법적, 제도적 문화예술진흥을 도모하고 있다. 일본은 지방자치제의 역사가 길고 발달되어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예술교육기능을 강 조하고 있다. 한국도 지방자치제가 정착되고 있는 만큼 지역사회를 학교문화예술교육에 연계시 키는 방향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2.1.2 미국 미국은 국토가 넓은 만큼 매우 다양한 예술교육을 지원한다. 몇 가지 중요한 특징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NEA(National Endowment Agency)는 예술교육사업을 주도하였다(임학순, 2007). 첫째, 교육청 차원에서 학교예술교육 지원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악기 대여, 전문교사 파견, 연주단체 운영 및 파견 연주 등이다. 둘째, 주(state)와 대도시에 예술교육센터를 설립하여 학교의 예술교육을 적극 지원한다. 셋째, 지역사회 문화예술기관과의 적극적인 연계를 지원한다. 미술관, 박물관, 공연시설 등을 활용해서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박물 관교육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 넷째, 통합적 예술교육을 추구한다. 낙오학생방지법이 시행되면서 예술교육이 다소 소외되자 예술교육을 일반교과에 통합하는 방법의 문화예술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다섯째, 다문화사회의 통합을 위해 문화예술을 다문화교육에 활용하는 노력을 한다.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문화예술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현명한 방향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한국이 융합 또는 통합을 강조하는 흐름과 궤를 같이 하며, 다문화사회가 시작된 오늘날 문화예술 활용 다문화교육의 경향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2.1.3 유럽 유럽은 문화예술이 워낙 발달해 있고, 생활화 되어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국가들이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첫째, 예술교과의 의무교육 시수의 차이가 크다. 적게 할당한 국가도 있고, 많이 할당한 국가 도 있다. 둘째, 하나가 된 유럽이므로 이웃국가를 방문하여 문화예술적 체험을 하는 프로그램들이 많이 활용된다. 셋째, 방과후 예술교육이 활발하며 지역사회가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영국의 경우 지역예술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27
센터(Arts Center)에서는 문화민주주의 차원에서 지역주민예술교육사업을 운영한다. 프랑스의 경우도 지자체 관련 기관과의 예술교육협력을 강조하고 있다(임학순, 2007, pp. 18-20). 그 이 외 많은 국가들이 정부의 지원으로 무상으로 예술교육을 방과후에 받을 수 있다. 넷째, 예술과 관련된 다채로운 행사들이 있으므로 학생들은 쉽게 예술을 생활화 할 수 있다. 다섯째, 유럽은 많은 박물과, 미술관들이 있으며 학교교육과정과 연관시켜 학생들이 교육과정 의 일환으로 방문하도록 되어 있다. 여섯째, 영국의 CCE(Creativity, Culture and Education)기관처럼 국가차원에서 창의성개발을 위해 예술과 과학 등의 분야 전문가를 학교에 파견하여 창의적 학습이 가능한 교육환경을 만드 는 정책들을 많이 시도한다. CCE의 대표적 사업인 창의적 파트너십(Creative Partnerships)은 전국 2,700개가 넘는 학교에서 8,0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석문주 외, 2011). 유럽통합 이후 유럽의 학생들은 문화예술관련 시설이나 프로그램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 는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으로 문화예술이 풍부하고 생활화되어 있으므로 영국의 경우처럼 대형 프로젝트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어서 우리와는 상황이 다르다고 하겠다. 무 엇보다 지역사회의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이 큰 것으로 보인다.
2.2 국내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 국내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변화를 통해 알 수 있다. 대부분 의 예술기반 학교운영은 공교육 정책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2.2.1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시대적 흐름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2000년 중반 이후 문화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이 공급자 중 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바뀌었다. 우리나라 문화정책은 1970년대 말까지 전통문화의 보존을 강조했으며, 1980년대에는 전문예술인의 예술 활동을 지원하였다(1972년 8월 「문화예술진흥 법」 제정). 그러나 시대적 변화에 따라 문화복지라는 개념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 화정책이 등장하게 되었다(전영은, 2012).
2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그림Ⅱ-4] 한국의 문화정책 패러다임 변화 출처: 문화관광부, 2007; 전영은, 2012
1999년 제30회 유네스코 정기총회에서 ‘예술과 교육의 접합이 어린이의 지적능력을 향상시키 고 문화다양성 증진에도 기여한다.’는 내용을 ‘학교에서의 예술교육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국제 적 호소(International Appeal for the Promotion of Arts Education and Creativity at school)’ 에 발표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장현선, 2013). 2003년 6월 문화관광부 내에 문화예술교육과가 신설되고, 2004년 ‘창의 한국: 21세기 새로운 문화비전’과 ‘예술의 힘: 새로운 한국의 예술정책(2004-2008)’을 발표하고, 2004년 11 월 문화관광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공동으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하였다. 2005년 2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이 설립되고, 2005년 12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이 제정 되면서 문화예술교육 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은 문화예술교육 지 원의 범주를 학교와 사회로 분류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이라 불렀다. 특히 정 부는 모든 학생이 균등한 문화예술교육의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공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하였다. 정부는 2010년 7월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학기술부는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 한 초·중등 예술교육활성화 기본방안’ 발표를 통해 ① 교과활동에서의 예술교육 강화 ② 예술· 체육중점학교 활성화 및 확대 ③ 각급 교육기관의 예술심화교육 지원 확대 ④ 과학과 예술의 통합교육 실시 ⑤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예술교육 강화 ⑥ 예술교육 지원 협력체계 구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29
축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또 2015년 11월 교육부는 ‘학교체육·예술교육 강화 지원계획’ 발표 를 통해 ① 학교체육활동 지원 강화 ② 학교예술교육 지원 강화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러 한 일련의 정책은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수요자 중심으로 바뀌고, 일반 학생 누구나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표현하는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문화예술의 생활화를 강조하는 세계적 흐름을 반영하 는 것이다.
2.2.2 시기별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부터 강사풀제라 는 이름으로 시작해서 지금까지 꾸준히 그 영역을 확장시켜 온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이 있다. 둘째, 2004년에는 학교 연계 지역 시범사업과 전국 아동복지 시설 및 문예회관 대상 문화예술 지원사업이 있다. 셋째, 2005년에는 학교-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 예술치유 시범 사업이 있다. 넷째, 2006년에는 예술강사 지원사업, 학교-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시범사 업, 문화예술분야 교원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원사업, 문화예술분야 교사 자율연구 모임 사업, 교육행정 간부 연수 지원, 방과후 학교 시범사업 등이 있다. 다섯째, 2007년에는 예술강 사 지원사업, 지역사회연계 학교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운영 지원사업, 문화예술분야 교원 전문성 강화 지원(교사 자율연구 모임 지원사업, 학교경영자 연수프로그램 운영사업) 등이 있다. 여섯째, 2008년에는 문화예술분야 교원 전문성 강화 지원,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운영 지원사업,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강사 지원사업 평가,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 업, 문화예술교육기회 확대사업(방과후 학교문화예술강사 지원,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 원, 유아 문화예술교육지원), 초등학교 바둑교실 지원사업 등이 있다. 일곱째, 2009년에는 예술 강사 지원사업(예술강사 지원사업, 교육기자재 지원,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 지역문화예술교육 파트너 교류사업), 학교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선도학 교 지원사업, 예술강사 지원사업 신규분야 개발 및 시범사업), 지역사회 연계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명예교사 활용 문화예술교육 지원, 글로벌 이슈 대응 문화예술교육 지원, 소외계층 아동·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등이 있다. 여덟째, 2010년에는 예 술강사 지원사업(예술강사 지원, 교육기자재 지원,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 16개 시·도교육청과 협력 추진, 지역문화예술교육 파트너 교류사업), 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육기회 확대사업(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문화 예술교육 명예교사 활동 지원,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등이 있다. 아홉째, 2011년에는 예 술강사 지원사업(초·중등학교 예술강사 지원,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 교육기자재 지원, 신규분 야 시범사업, 교육위원회 운영 및 지역교육 활성화), 예술꽃 씨앗학교운영사업(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지원, 예술꽃 씨앗학교 성과박람회), 문화예술기관 문화학교운영사업(기관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이 있다. 열째, 2012년에는 예술강사 지원사원(예술강사 지원, 교육기자재 지
3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원,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 신규분야 시범사업, 교육위원회 운영, 관계기관 협력 강화 및 지역 교육활성화),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지원, 예술꽃 씨앗학교 주제발표 학술포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운영, 컨설팅 운영), 교육과정혁 신형(예술중점) 창의경영학교 등이 있다. 열한 번째, 2013년에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학교 예술강사 지원, 교육기자재 지원, 예술강사 교육활동 및 운영학교 협조도 평가, 교육위원회 운 영, 관계기관 협력 강화, 예술강사 지원사업 제도 개선, 신규분야 시범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등이 있다. 열두 번째, 2014년에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학교 예술강사 지원, 교육 기자재 지원, 예술강사 교육활동 및 운영학교 협조도 평가, 교육위원회 운영, 관계기관 협력 강 화,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기관 컨설팅 지원, 예술강사 지원사업 콜센터 운영, 신규분야 시범사 업, 예술상상 체험대, 예술강사 컨퍼런스 ‘예술강사의 발’),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예술꽃 씨 앗학교 운영 지원),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 시범사업, 유아 문화예 술교육 우수 프로그램 발굴 및 확산), 고3·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등이 있다. 열세 번째, 2015년에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신규분야 시범사업 및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 등이 있다.
2.2.3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는 2008년부터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받기 에 열악한 지역에 있는 소규모 학교(초기; 100명 이하, 현재: 400명 이하로 확대)를 4년간 지 속적으로 지원함으로 문화예술적 환경 조성을 지원해 주는 사업이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이 독특한 것은 예술교육 선도학교, 예술중점학교(창의경영학교에서 운영) 등 학교들이 주로 학 교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특성화하는 데에 비하여 예술꽃 씨앗학교는 마을 단위의 지역사회 와 연계를 통해서 그 지역의 문화예술의 생활화의 씨앗을 뿌렸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그 결과 문화예술을 통해 폐교직전의 학교가 부활하고, 학생들의 예술성과 인성이 함양되고, 지역 사회가 활성화되고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등 학교의 성공이 지역의 성공으로 이어 져서 새로운 학교의 위상을 만드는 성공한 사업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목적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목적은 첫째, 전교생이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도록 문화예술 환경을 조성하고, 공교육에서의 문화예술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다. 둘째, 문화예술의 소외지역이 라 할 수 있는 농·산·어촌의 소규모 학교에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학 교를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거점학교로 육성하여 지역의 문화예술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2008년 10개의 예술꽃 씨앗학교가 선정되어 2015년 현재까지 총 73개교가 지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31
원을 받았다(1기: 10개, 2기: 16개, 3기: 10개, 4기: 4개, 5기: 13개, 6기: 20개).
(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특징 예술꽃 씨앗학교는 모든 학생이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으로 창의·인성을 계발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나아가 학교를 중심으로 학부모, 지역주민 모두가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독특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다음과 같 은 특징이 있다. 첫째, 전교생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및 집중 지원으로 공교육에서 문화 예술교육 효과 및 활용도를 증대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모델을 창조하고 보급하였다.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성공을 검증하였다. 이는 교육부의 오케스트라 사업이나 드림학교 사업과 같은 유사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촉발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농·산·어촌 등 소외․취약지역 초등학교를 지원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드라마틱 하게 보여주었고, 소외지역 문화예술교육 격차를 해소함으로써 복지사업의 효과도 동시에 추구 한다. 셋째, 예술꽃 씨앗학교 모델은 마을 단위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거점학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 여 지역주민의 삶에 문화예술의 생활화를 가능하게 하고, 지역의 발전을 가져옴으로써 문화예술 교육의 파급효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넷째, 발달심리의 이론적 근거에 기반 하여 감성, 신체 발달이 급성장하는 초등학교에 집중 지원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문화예술이 주된 콘텐츠였지만 이를 통해 학생 간, 교사 와 학생 간, 학부모와 학생 간, 지역주민과 학교 및 학생 간 소통의 극대화를 가능하게 하고, 이는 애향심과 활기, 삶의 만족도를 높여준 모델이 되었다. 즉 학교라는 장소를 통해서 학생,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이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주체가 되도록 하였다. 다섯째, 취약한 소규모 학교임을 고려하여 연차별 수행 모델을 제공하여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도달점을 가도록 지원하였다.
(3)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현황 예술꽃 씨앗학교 문화예술분야를 살펴보면, 음악/서양악(26.0%)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국 악(13.8%), 뮤지컬(8.2%), 영화(6.8%), 프로젝트(5.4%), 디자인(5.4%), 도·공예(5.4%), 연극 (2.7%), 전통문화(2.7%), 음악극(2.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다양한 문화예술분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음악, 시각, 공연, 통합 등으로 문화예술교육 범주를 구분하였을 때, 음악이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서양악이 가장 많았다. 예술꽃 씨앗학교 문화예술분야 별 현황을 정리하면 <표Ⅱ-4>, [그림Ⅱ-5]와 같다.
3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Ⅱ-4> 예술꽃 씨앗학교 문화예술분야별 현황 문화예술교육 분야
학교 수(1기-6기)
비율
국악
10
13.8
합창
1
1.4
농악
1
1.4
음악
퓨전
2
2.7
19
26.0
퓨전관현악
1
1.4
영화
5
6.8
미술
1
1.4
사진
1
1.4
디자인
4
5.4
도·공예
4
5.4
뉴미디어아트
1
1.4
영상·애니메이션
1
1.4
연극
2
2.7
연극·영화
1
1.4
뮤지컬
6
8.2
음악극
2
2.7
뮤페라
1
1.4
총체극
1
1.4
연극·미술
1
1.4
음악·미술
1
1.4
전통문화
2
2.7
프로젝트
4
5.4
서양악
시각
공연
통합
커뮤니티아트 계
1
1.4
73
100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33
[그림Ⅱ-5] 예술꽃 씨앗학교 문화예술분야별 현황
기수 별 예술꽃 씨앗학교의 분야 현황은 다음과 같다. 1기를 보면, 국악, 서양악, 영화, 전통문화 등 4개의 문화예술분야가 있으며, 서양악(50.0%)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국악(20.0%), 영화(20.0%), 프로젝트(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2기를 보면, 국악, 농악, 퓨전, 서양악, 디자인, 도·공예, 연극·영화, 뮤지컬, 음악극, 프로젝트 등 10개의 문화예술분야가 있으며, 국악(31.6%)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서양악(18.8%), 농악 (6.2%), 퓨전(6.2%), 디자인(6.2%), 도·공예(6.2%), 연극·영화(6.2%), 뮤지컬(6.2%), 음악극 (6.2%), 프로젝트(6.2%)의 순으로 나타났다. 3기를 보면, 국악, 서양악, 음악극, 뮤페라, 총체극, 음악·미술, 프로젝트 등 7개의 문화예술분 야가 있으며, 국악(30.0%)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서양악(20.0%), 음악극(10.0%), 뮤페라 (10.0%), 총체극(10.0%), 음악·미술(10.0%), 프로젝트(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4기를 보면, 합창, 서양악, 뮤지컬 등 3개의 문화예술분야가 있으며, 뮤지컬(50.0%)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서양악(25.0%), 농악(25.0%)의 순으로 나타났다. 5기를 보면, 서양악, 퓨전관현악, 영화, 디자인, 도·공예, 뮤지컬, 전통문화, 프로젝트 등 8개의 문화예술분야가 있으며, 서양악(30.7%)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영화(15.4%), 디자인(15.4%), 퓨전관현악(7.7%), 뉴미디어아트(7.7%), 뮤지컬(7.7%), 전통문화(7.7%), 프로젝트(7.7%)의 순으 로 나타났다. 6기를 보면, 서양악, 퓨전관현악, 영화, 미술, 사진, 디자인, 도·공예, 뉴미디어아트, 영상·애니 메이션, 연극, 뮤지컬, 연극·미술, 전통문화, 커뮤니티아트 등 14개의 문화예술분야가 있으며, 서 양악(20.0%)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도·공예(10.0%), 연극(10.0%), 뮤지컬(10.0%), 퓨전관현 악(5.0%), 영화(5.0%), 미술(5.0%), 사진(5.0%), 디자인(5.0%), 뉴미디어아트(5.0%), 영상·애니
3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메이션(5.0%), 연극·미술(5.0%), 전통문화(5.0%), 커뮤니티아트(5.0%)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수 별 예술꽃 씨앗학교의 문화예술분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문화예술분야 중 서양악이 가장 많았다. 1기, 2기, 3기, 5기, 6기 등 4기를 제외하고는 서양악이 가장 많았다. 1기의 경우 10개 학교 중 5개 학교가 서양악을 선택했다. 그러나 2기 부터는 서양악을 선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둘째, 문화예술의 분야가 다양해졌다. 1기 예술꽃 씨앗학교에서는 국악, 서양악, 영화, 전통문 화 등 4개의 문화예술분야만 있다. 그러나 2기 부터는 농악, 퓨전, 디자인, 도·공예, 뮤지컬, 음 악극, 뉴미디어아트, 커뮤니티아트 등 다양한 분야가 있다.
(4)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특징 첫째, 예술교육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제공하였다. 악기 등 예술교육을 위한 기 자재를 구비할 수 있게 하였고, 교육과정의 재구성과 방과후 학교의 확대를 가능하게 하였다. 예술교육 측면에서 보면 일반 학교가 구조적으로 하기 힘든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시수확보와 내실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여기에는 지역주민과 학부모도 주체로 끌어드림으로써 문화예술 지 역거점학교를 지향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기도 했다. 이는 개인, 학교, 지역의 문화예술 자원의 연계를 이끌어내어 이 지원사업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아울러 예술의 성격을 교 육활동의 수단이 아니라 목적을 삼았다는 것, 예술교육의 목표를 기능이 아니라 향유 중심으로 확대했다는 것, 그리고 예술의 반영을 교육전반과 학교운영체제에까지 미치게 했다는 의미도 있 다. 둘째, 기능중심의 예술교육을 넘어서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창조하는 감성과 표현을 함께 추구 함으로써 문화예술의 생활화를 실현하였다. 이러한 문화예술의 외연 확대는 필연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의 통합교육을 유도하였다. 아울러 교육 주체들 간의 소통이 활성화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문화예술의 씨앗을 뿌렸다는 상징적이고 실질적인 의미가 있다. 소외지역 소규모 학교 에 4년간 문화예술교육의 파격적 지원으로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면서 지 속성을 부여하여 씨앗이 뿌리를 내리도록 지원했다. 이 혜택을 받은 주체들이 궁극적으로는 또 다른 곳에서 씨앗을 뿌리는 결과를 가져오는 역량을 키웠다. 4년 동안 충분한 기회를 통해, 학 생,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의 문화예술적 역량이 향상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해당 학교 교사들이 문화예술교육 연수와 연구 및 워크숍에 참여하면서 교육역량과 함께 문화예술교육 역량이 향상되고, 또 다른 학교에 전파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넷째, 연차별 지향하는 목표와 과업 기준을 전제로 구성된 학교교육과정 중심의 운영 시스템 을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면서 성공적으로 추진기반을 확대하였다. 1기 학교부 터의 운영성과 사례와 매뉴얼(가이드), 시스템 사례를 바탕으로 신규 시행학교도 조기 정착이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35
가능한 수준으로 사업관리 체제도 발전하였다. 다섯째, 대부분 연차별 목표 중심의 로드맵 모델과 학교 내 교육과정 편성 및 실행 중심의 운영을 함으로써 지역연계 부분의 약화를 가져와서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취지가 일부 무 뎌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기존의 운영 가이드는 학교 내 분야 기반의 표준화된 교육과정 운영체제 중심으로 제안되어 지역사회의 문화예술거점의 역할은 점차 약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활동 지원 중심의 단순 학교대상 재정 지원사업이 아닌 지역사회의 일원 으로서 학교가 지역자원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중심 문화융성 정책 사업으로 성격을 재정립 할 필요가 있다. 2.2.4 시사점 국내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동향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적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새로운 융합 인재상에 문화예술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21세기는 지식·정보화 시대, 세계화 시대, 민주 자율화 시대, 다원화 시대, 문화의 시대로 창 의성과 인성을 고루 갖춘 인재,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민주시민 양성, 예술교육을 통한 다양성, 감수성, 융·복합적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요구에 문화예술의 역할이 새롭게 부각되 고 있다. 듀이도 인간은 예술을 통하여 풍부한 경험을 하며, 우리가 살고 있는 문화와 세상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며, 우리 사회는 지성을 재구축할 수 있다고 하였다(김영순·전영은, 2011).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교육 등 과학과 예술, 이성, 감성 등이 함께 강조되는 융합, 통합, 통섭 교육이 유행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2015 새 로 고시된 교육과정에서도 이를 강조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보면, ‘가. 전인적 성장을 바탕으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자주적인 사 람 나.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교양 있는 사람 라.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이다. 이에 정부에서도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등 다양 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통해 자주적 인간, 창의적 인간, 문화적 인간, 민주적 인간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이 확대되었다.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과 한국문 화예술교육진흥원의 설립 이후,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본격화되었다. 2005년 한국문화예 술교육진흥원의 총 예산은 8,840백만 원이었으며, 이 중 5,510백만 원(62.3%)이 학교문화예술 교육 지원사업으로 지출되었다. 2014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총 예산은 115,244백만 원이 며, 이 중 69,555백만 원(60.4%)이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지출되었다. 한국문화예술교 육진흥원의 전체 예산은 2014년 기준 2005년에 비해 13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학교문화예술교
3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육 지원사업 예산도 12배 가까이 증가했다. 셋째, 학교문화예술교육 대상 영역이 확대되었다.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경우, 2005년 지 원 대상학교는 3,214개였다. 2014년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은 학교는 7,809개로 10년 동안 2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의 경우도 1기 10개의 초등 학교에서 2017년에는 100개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5기부터는 중·고등학교로 지원대상을 확대하 였다. 넷째, 학교문화예술교육 분야가 다양해졌다.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경우, 2000년 국악강 사풀제가 시작된 이래 2002년에 연극 분야, 2004년에 영화 분야, 2005년에 무용 분야와 만화· 애니메이션 분야, 2010년에 공예 분야, 디자인 분야, 사진 분야가 추가되었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경우, 1기에는 국악, 서양악, 영화, 전통문화 등 4개의 문화예술분야만 있었으나, 2 기 부터는 디자인, 도·공예, 연극, 음악극, 뮤지컬, 뮤페라, 전통문화, 뉴미디어아트, 커뮤니티아 트 등 다양한 문화예술분야가 추가되었다. 다섯째, 예술강사의 교육 역량이 강화되었다.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27조, 제28조, 제29 조, 제30조, 제31조, 제32조는 문화예술교육사에 관련된 조항이다. 문화예술교육사가 되고 싶으 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각 지역문화예술교육센터, 국·공립 교육시설, 대학 및 관련 전문 기관에서 일정기간 문화예술교육을 받아야 한다.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예술강사의 역 량 강화를 위해 매년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아르떼 아카데미). 여섯째, 인력풀 활용이 확대되었다. 예술꽃 씨앗학교의 경우,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예술강 사 뿐만 아니라, 씨앗가꿈이를 활용한다. 예술강사는 문화예술분야 교육(혹은 교과과정 연계 팀 티칭)을 하며, 씨앗가꿈이는 예술강사와 학교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일곱째,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지속성이 강조되었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종료된 학교 의 경우 우수한 학교를 선발하여 예술꽃 새싹학교로 지정하였다. 2012년-2013년에는 KB국민은 행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MOU를 맺었으며, 2015년에는 신한은행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과 MOU를 맺었다. 여덟째, 소외계층, 소외지역으로 확대되어 운영되었다.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정부의 지원 사업으로 문화복지 차원에서 소외계층, 소외지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문화 향유의 기회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은 문화예술 소외지역에 있는 학교를 지원 함으로 학생, 교사, 지역주민들에게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문화예술교육 선도학 교 지원사업의 확장이라 할 수 있는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도 문화예술 소외지역에 있는 학 교를 지원하였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학생, 교직원뿐만 아니라, 학부모, 지역주민들까지 문화예 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주민의 문화적 감수성 및 문화 향유 기회 확 대,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37
3. 예술꽃 씨앗학교 모델 구안에 주는 시사점 예술꽃 씨앗학교 모델 구안에서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방향과 모델의 특성화 방안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양성에 부응하여 지속 강화할 것과 개선해야 할 것을 분 명히 해야 하며, 사업으로서의 예술꽃 씨앗학교 특성화도 구축해야 한다. 첫째, 일반교과와 문화예술의 융합교육과정이 일반화되어야 한다. 융합인재의 강조는 2015교 육과정의 개정에도 반영되었으며, 예술꽃 씨앗학교는 더욱 선도적으로 융합교육과정의 실천에 앞장서야 한다. 선진국의 예술기반 학교운영 사례에서도 융합교육과정이 강조되고 있다. 심광현 (2009)은 비환원주의적 통섭을 강조하였다. 예술가는 감각과 의미의 확장 또는 감각과 의미를 두텁게 하기 위해 과학기술에 의해 축적된 새로운 지식과 미디어 기술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밖에 없고, 과학기술은 예술적 경험에 숨겨진 감각과 의미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예술 창작과 수용과정 속으로 파고들어갈 것이기에 이 교집합은 더 확대해질 것이라 예측하였다. 둘째, 문화예술분야가 다양화되는 만큼 분야의 교과의 통합 못지않게 통합교육과정 노력도 필 요하다. 외국 사례에서도 강조되었듯이 분야의 통합은 다양한 재능과 적성을 가진 학생들의 참 여를 이끌어내는데 도움이 된다. 셋째, 지원주체와 운영주체의 협력과 조화가 제도화되어야 한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그림Ⅱ -1]의 B유형에 해당되는 것으로 외부 지원과 예술교육 주체가 분리된 독특한 예술기반학교이 다. 그러나 그 동안 예산의 지원은 물론 컨설팅, 평가 등을 통해 소프트웨어적인 지원과 협력의 제도화가 진행되었지만 보다 더 정교한 제도화가 필요하다. 학교 자체적인 노력에 의한 컨설팅 과 네트워크화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지원기관의 적극적인 개입과 조정기능이 제도화될 필요가 있다. 참여 학교가 더 늘어날수록 초기의 제도화의 정착이 필요하다. 넷째, 마을 단위의 지역 거점 문화예술교육학교의 지위와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김광명 (2011)은 예술은 우리의 삶을 표현하는 것이고, 거기에는 꿈, 이미지, 스토리가 있고, 그것은 지 역화가 바탕이라 하였다. 특히 아이들은 마을에서 삶을 시작하고, 소통하고, 성장한다(노순규, 2009; 이주헌, 2013). 그러므로 아이들에게 예술의 생활화는 지역친화적인 문화예술교육에서 비 롯된다(최현묵, 2011). 외국 사례에서도 특히 일본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예술교육지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과 거 지방자치제도의 부활을 풀뿌리 민주주의의 부활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처럼 소외된 조그만 지역의 학교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혜택을 지역주민이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한 점에서 문 화예술의 일상화를 풀뿌리부터 시도하는 독특한 정책이다. 작은 마을의 학교가 전통적으로 가져 왔던 그 마을의 역사요, 동문이요, 신문명의 보급처요, 자녀들의 희망이자 놀이터요, 주민의 마 음의 고향이었던 지위와 역할을 현대에 되살렸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사업이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공동체의 유대감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지역의 문화예술 거점의 역할을 안착시키고 자립 지속화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의의가 크다. 미국과 유럽에서
3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처럼 지역의 박물관이나 미술관 연계프로그램도 활성화해야 한다. 다섯째, 문화예술 소외지역을 집중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교육복지의 의미를 계속 살릴 필요가 있다. 아울러 문화예술 소외지역에서 문화예술의 소재와 인재를 발굴, 활용한다는 점에서 문화예술의 기회확대와 저변을 넓히는데 공헌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런 기회가 아니면 경 험하지 못할 학부모, 지역사회, 학교의 벽을 허물면서 문화예술의 생활화를 실천하는 경험을 제 공한다는 것도 의의가 크다, 이는 단순한 문화예술교육의 향유 결핍해소를 넘어 표현, 창작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자존감을 높여주는데도 기여한다. 여섯째, 팀티칭을 비롯한 교사와 예술강사의 협업이 필요하다. 예술로 플러스에서 보여준 팀 티칭이 좋은 사례이다. 또한 프로젝트 수업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 자체가 거 대한 프로젝트이며, 구체적 프로그램도 작은 프로젝트로 구현할 수 있다. 프로젝트 수업의 장점 들을 잘 살릴 필요가 있다. 또한 방과후 학교를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문화예술분야 의 선호가 다르고 능력 또한 다르므로 기초과정의 보완이나 심화과정을 방과후 학교에서 잘 살 릴 필요가 있다. 일곱째, 학교의 교육과정 자율화가 확대되고 있어서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경기도에 서 시작된 혁신학교 모델이 교육청마다 약간 이름은 다르지만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혁신 학교는 기존의 전통적인 학교운영 체계를 전향적으로 바꾸어 교사는 수업연구와 실천에만 전념 할 수 있게 운영한다. 이를 위해 학교의 자율적 경영을 상당부분 허용하고 있다(김성천, 2012). 혁신학교 지정을 받았던 학교나 근무를 경험한 교사들도 이러한 교육과정의 재구성이나 실천에 익숙하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예술기반 학교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자율성과 교사의 경험 이 큰 도움이 된다. 여덟째,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의 하위유형별로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과 관련하여 예술꽃 씨 앗학교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나 고려해야 할 시사점은 <표Ⅱ-5>와 같다.
<표Ⅱ-5>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별 특성(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 운영유형
기본요소 구성
A 예술기능 지원형
교육활동의 수단 교육내용에 반영 예술기능중심 전문성
B 예술체험 지원형
교육활동의 수단 교육내용에 반영
유형기준 예술꽃 씨앗학교의 특성 및 시사점 분석 -학교의 교과교육 또는 예술교육의 한 과정으로 예술꽃 씨앗학교 를 활용하는 경우에 해당 되는 유형임 -전형적인 기능중심 예술교육 프로그램 원리 반영 -예술교육을 학교교육의 운영과정에 도입하는 초기단계 또는 준 비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형임 -교과교육 연계도 가능하나 개별적인 분야와 이를 위한 분야의 전문가를 통한 수업활동이 주를 이루게 됨. 기능중심 교육의 특 성상 교과의 경우는 예술교과 시수 증배와 같이 전문화된 교과 수업을 주로 이용함 -분야별 기량 향상이 주된 목표로 설정된 경우 또는 특성상 기능 교육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 적용함 -예술꽃 씨앗학교를 통해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고 이를 교육활동에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함
Ⅱ.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의 검토와 시사점 |39
예술향유중심 체험성
C 예술기량 전문형
문화예술중심 교육 교육내용에 반영 예술기능중심 전문성
D 예술체험 전문형
문화예술중심 교육 교육내용에 반영 예술향유중심 체험성
E 예술교육 특화형
문화예술중심 교육 학교운영체제 개편 예술기능중심 전문성
F 통합예술 특화형
문화예술중심 교육 학교운영체제 개편 예술향유중심 체험성
4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예술분야의 특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분야를 기초로 교 육내용을 편성하고 필요한 기능습득 반영 -예술분야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기량향상을 기본요소 로 포함하게 되지만 기능 습득과 성과 발표와 같은 성취수준 도 달자체에 초점을 두지 않음 -분야 특성에 따른 예술기능중심의 운영이 중심이 아니므로 교과 활동과 연계한 교과통합형 과정도 가능함(예: 연극놀이를 활용한 국어 수업의 스토리 극 활동) -교과 수업/창의적 체험활동 연계, 분야 간 연계에 의한 융합형 프로그램, 단순 관람과 실습을 넘어서서 일상 속에서 예술에 관 심을 갖고 즐기게 하는 동기유발형 활동이나 자율적인 창작활동 을 과정에 반영 -예술꽃 씨앗학교를 통해 학교의 경영목표와 교육계획 체계를 문 화예술중심의 학교로 발전시키고자 하나 실제적인 여건 또는 과 정 단계의 특성을 고려한 경우임 -문화예술 활동을 지향하는 경영목표에 따라 전문적인 지원 시스 템을 갖추도록 노력함 -분야 중심의 예술적 기능 향상을 교육과정에 편성함 -교육내용 반영은 예술교과의 편성 시수 증배도 있지만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동아리 활동, 방과후 학교를 통한 각종 강좌형 프로그램이 도입될 수도 있음 -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을 정착시키면서 학교의 중 요 교육목표와 영역으로 확대하는 중간 과정으로 유형을 적용할 수 있음 -예술꽃 씨앗학교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중심으로 학교경영목표나 교육과정을 편성하나 여건 및 운영 단계 특성상 전체적인 학교 운영 체제까지 개편하지는 못하는 경우임 -경영목표의 특성이나 의지에 따라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예술체 험 기회를 제공하고 운영할 수 있음 -예술교육 또는 예술 활동의 목표와 가치를 예술향유에 두면서 분야별 체험이나 분야 간 연계에 의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 주제별 체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편성하고 운영할 수 있음 -예술꽃 씨앗학교의 목표와 취지를 반영하여 문화예술중심의 학 교경영 시스템과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학교의 환경과 자원을 개편하고자 하는 경우임 -학교의 자원을 문화예술교육에 투입하고 지원하면서 전문적인 운영체계를 갖출 수 있고 학교의 교육과정 전반에 예술교육 프 로그램을 연계하거나 도입함 -다만, 예술교육에 대한 가치 설정이나 학교에서 선택한 분야의 특성, 수요자 요구 및 개인 역량관점에서 분야 중심의 기량 향상 을 핵심적인 교육내용으로 운영함(음악연주, 공연발표 등은 기량 습득 필요) -예술꽃 씨앗학교의 목표와 취지를 중심으로 학교의 경영목표를 재수립하고 문화예술중심 학교로서의 운영계획을 통해 예술체험 중심학교로 특성화하는 경우임 -학교의 문화적 환경 조성뿐만 아니라 전체 자원을 예술 활동을 위해 재구조화하고 교육활동의 경우에도 교과를 포함하여 전체 과정을 활용하게 됨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취지를 살리면서 학생들의 문화체험 기 회확대와 지속적인 향유의 기반을 강화함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 분석, 정의 및 특성
1. 예술꽃 씨앗학교 연구물 주요 내용 분석 2.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계획서 및 보고서 분석 3.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 평가보고서 및 면접조사 분석 4.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 설문조사 분석 5. 예술꽃 씨앗학교의 개념 분석과 특성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예술기반 학교운영으로서 예술꽃 씨앗학교는 [그림Ⅲ-1]처럼 7가지 특성으로 설명된다.
2.목표의 방향성
1.사업의 정체성
3.대상의 차별성
예술꽃 씨앗학교
5.내용의 통합성
6.자원의 연계성
4.기간의 지속성
7.운영의 효과성
[그림Ⅲ-1]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관련 특성 요인
첫째, 사업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밝혀야 한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한 사 례이다. 전술한 6가지 유형(<표Ⅱ-5> 참조)이 어떻게 적용되지 있는지를 비롯해서 학교운영의 외부적 특성까지 포함해서 명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유사한 다른 사업과 어떻게 다른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가 드러나야 한다. 둘째, 목표의 방향성을 밝혀야 한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또는 부수적인 목표들은 무엇인지 명시해야 한다. 셋째, 대상의 차별성이다. 예술꽃 씨앗학교를 운영함으로써 누가 예술교육의 혜택을 받는지도 밝혀야 한다. 학교의 구성원으로 제한되는지, 아니면 더 확장되는지도 명시해야 한다. 넷째, 기간의 지속성여부이다. 일회적인지, 중장기적인지, 기간이 의도하는 것은 무엇인지도 밝혀야 한다. 다섯째, 예술교육 내용의 통합성이다.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한 일반교과와의 통합을 추구하 는지, 예술교육내의 통합인지, 단순히 예술교육만 강화한 것인지도 밝혀야 한다. 여섯째, 자원의 연계성이다.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물적 또는 인적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도 밝혀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자원이 학교 내에서 제한되어 있는지 학교를 넘어 마을 단위의 지역사회 또는 그 이상으로 확산되거나 네트워크화 되는지도 밝혀야 한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43
일곱째, 운영의 효과성이다.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으로 어떤 효과를 기대하는지도 밝혀야 한다. 효과의 내용과 범위도 어디까지인지 확인해야 한다. 7가지 특성은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로서의 예술꽃 씨앗학교만의 차별화된 속성을 고려하여 선정한 것이다. 이 특성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정의와 특성을 도출하고 운영모델을 도출하기 위 해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난 8년간 예술꽃 씨앗학교를 운영하면서 나타난 현황과 성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장에서는 네 가지 방법으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의 분석이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8년 동안 수행되 면서 관련 연구가 비교적 많이 수행되었다. 이 중에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델과 관련된 연구는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 ‘2011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 업학교 평가 연구’, ‘201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효과측정 매뉴얼 및 가이드 개발연구’, ‘2013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예술꽃 씨앗학교’, ‘2013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가이드’, ‘2014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컨설팅 및 평가단 운영’, ‘2014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중 장기 사업전략’ 등이 있다. 이들 연구가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모델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효과성 측정을 위한 모델과 로드맵 모델을 제안한 바가 있다. 이들 연구에서 그 동안 수행되었 던 예술꽃 씨앗학교의 중요한 특성들을 추출할 수 있다. 둘째, 8년 동안 수행된 예술꽃 씨앗학교의 사업계획서와 실적보고서를 분석한다. 이 서류들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과거와 오늘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근거자료이다. 이를 통해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의 요소들을 추출할 수 있다. 셋째,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과정에서 논의된 내용 분석이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예 술꽃 씨앗학교 관리자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컨설팅을 해 왔다. 여기서 논의되는 내용은 곧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의 지침이 된다. 따라서 그 내용은 곧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요 소가 된다. 넷째,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에 대한 설문조사이다. 현재 담당하고 있는 예술꽃 씨앗학교 교사를 통해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운영모델을 제안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시사 점을 얻고자 한다.
1. 예술꽃 씨앗학교 연구물 주요 내용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예 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에 대한 적지 않은 직접적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 사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성과를 확인하며, 이를 토대로 운영을 표준화하고 매뉴얼화하여 일 정한 성과를 담보하고, 한편으로는 시행착오를 개선하며 학교마다 자신의 환경에 맞는 독창적이 고 다양한 운영을 자극하려는 목적이었다. 여기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개관하여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4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1.1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정문성 외, 2011) 1.1.1 연구의 개요 예술꽃 씨앗학교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최초의 연구로는 정문성 외(2011)의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를 들 수 있다. 해당 연구는 1기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종료되는 해에 해당 지원사업의 체계적, 과학적 조사 연구가 부재하다 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지원사업 자체 평가보다는 지원사업 결과에 대한 평가 방안을 연 구한 것이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① 학생, ② 학교, ③ 지역 사회 차원으로 분류하여 각각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효 과성을 체계적으로 밝혀내고,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의 지속 및 확대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 련하고자 하였다. 조사에 활용된 연구 영역 및 평가 도구, 평가 지표를 정리하면 <표 Ⅲ-1>, <표 Ⅲ-2>와 같다.
<표Ⅲ-1> 연구 영역 및 조사대상(정문성 외, 2011) 영역
조사 대상
평가도구
평가 지표
양적 검사 도구(설문 지)
·인성적 효과성 -자존/행복 -표현/창의 -협동/사회 ·문화예술적 효과성 -음악 -미술 -공연
학교효과성
1기(4년차) 예술꽃 씨앗학교 3개교 및 2기(1년차) 예술꽃 씨앗학교 5개 교 관리자, 담당교사, 학부모
준 표준화 면접 도구
-문화예술 환경 개선 -문화예술 역량 증진 -전반적 교육력 향상 -대외적 효과 증진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인프라 활용
지역사회 효과성
선정된 학교 소재의 지역주민 및 문 화예술강사
준 표준화 면접 도구
-문화예술 환경 개선 -문화예술 역량 증진 -지역의 환경 개선 -지역의 문화적 인프라 활용
학생효과성
1기(4년차) 예술꽃 씨앗학교 10개 교 및 2기(1년차) 예술꽃 씨앗학교 16개교 학생 통제집단 5개교 학생 (4-6학년)
<표Ⅲ-2>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 평가 지표(정문성 외, 2011) 영역
구분
세부영역
분류
자존/행복감 학생 효과성
인성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45
1.자기효능감 2.기능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4.리더십 음악 5.교과학습태도 6.정서통제 7.자기표현/발표력 8.사회성 1.자기효능감 2.기능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문화 예술성
4.리더십 미술 5.교과학습태도 6.정서통제 7.자기표현/발표력 8.사회성 1.자기효능감 2.기능 3.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4.리더십 공연 5.교과학습태도 6.정서통제 7.자기표현/발표력 8.사회성 1) 물적․인적 자본 확충
1. 학교의 문화예술 환경 개선
2) 기관 내 사회 자본 형성 3) 학교의 대외적 네트워크 형성
학교 효과성
1) 문화예술 향유 2. 학교 구성원의 문화예술적 역량증진
2) 문화예술교육 3) 문화예술 창작 1) 학교 연간 운영 계획의 변화
3. 학교의 전반적 교육력 향상 2) 학교교육과정의 변화
4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3) 학교운영 목표 중점 사업 변화 4) 교내 문제 해결 효과 5) 교사의 전문성 향상 1) 학교에 대한 대외 이미지 개선 4. 대외적 효과 증진 2) 학교에 대한 상위 교육 행정 기관의 관심과 지원 1) 지역 기반 시설 활용 5.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인프라 활용
2) 지역문화의 역사성과 전통을 반영한 문화예술작 품 창조 1) 물적․인적 자본 확충
1. 지역의 문화예술 환경 개선
2) 지역사회 내 사회 자본 형성 3) 대외적 네트워크 형성 1) 문화예술 향유
2. 지역주민의 문화예술적 역량증진
2) 문화예술교육 3) 문화예술 창작
지역사회 효과성
1) 물리적 환경 개선 2) 사회 자본 향상 3. 지역의 환경 개선 3) 지역사회 문제 해결 4) 대외적 효과 1) 지역사회 내 전시장, 공연장, 박물관, 도서관 활용 4. 지역의 문화예술 인프라 활용
2) 지역사회 내 문화유산-설화, 유적지, 사찰, 위인 등-활용
<표Ⅲ-3>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의 효과(정문성 외, 2011) 영역
세부 영역 인성적 효과성
문화예술적 효과성 학생효과성
기타
학교효과성
문화예술 환경 개선
연구결과 -표현력, 창의성, 협동심, 사회성 함양에 효과 -음악 관련 역량(음악 효능감, 음악 기능, 음악 교과에 대한 태도, 음악 창의성, 음악 표현력, 음악 리더십, 음악 사회성) 함양에 효과 -미술 관련 역량(미술 기능, 미술 창의성. 미술 리더십, 미술과 학 습태도, 미술표현력, 미술 사회성) 함양에 효과 -특히 공연 관련 역량(공연 효능감, 공연 기능, 공연 창의성, 공연 리더십, 공연 학습 태도, 공연 정서통제, 공연 표현력, 공연 사회 성)에 있어 효과 -경제적 수준이 중인 집단에서 높은 효과 -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 집단에서 높은 효과 -4년차 된 예술꽃 씨앗학교가 1년차보다 높은 효과 -문화예술수업 시수나 공연 기회가 많을수록 높은 효과 -학교의 물적‧인적 자본의 확충 -학생, 학부모, 문화예술 전문강사, 지역사회를 연결하여 학교의 사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47
회적 자본의 육성을 촉진 문화예술 역량 증진
-학교 구성원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 -문화교육 측면에서 학생중심, 체험중심, 활동중심의 통합형 교육이 가능
전반적 교육력 향상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다양화 -교사들로 하여금 자기 성찰과 교수법 개발의 계기를 제공함으로써 전문성 신장 -학생들의 다양한 문화예술적 재능을 발견
대외적 효과 증진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 교사의 전문성 향상, 지역사회의 기대 향 상 등으로 인해 전학생 증가 -교육행정 기관 및 상위 기관의 관심과 지원 확대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인프라 활용
-지역사회의 기반 시설이나 문화예술 인적 자원의 활용도 향상 -지역사회의 지원과 관심을 제고함으로써 학교의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극대화
문화예술 환경 개선
-지역사회의 문화예술적 인프라 확충에 기여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 형성의 기초 제공
문화예술 역량 증진
-지역주민들의 문화예술 전반에 대한 관심과 참여 증대 -지역주민들의 예술적 감수성과 역량 향상 -평생교육 차원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지평이 확대되는 효과
지역사회 효과성 지역의 환경 개선
지역의 문화적 인프라 활용
-학교시설이 문화예술 공간으로 재탄생하면서 지역사회에 문화예술 설비 확충 -학교 및 학생에 대한 지역사회, 지역 기업, 행정 기관 및 각 급 학 교의 관심과 협력 증가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인프라 활용 노력 증대 -지역 축제 등 문화적 환경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동기 제공
이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기존의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일관성 있게 평가하 는 도구가 없었던 상황에서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최초로 적용했다는 점이다(<표Ⅲ-2>).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취지 및 목적을 분석하여 학생, 학교, 지역사회 측면을 기본 영역으로 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는데,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일면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각 평가도구는 추후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평가 혹은 프로그램 개선에 있어 기본 틀로서 활 용되었다.
1.1.2 시사점 이 연구는 효과성 연구인 만큼 효과성의 대상과 범위를 구체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효 과성 평가 모형과 지표는 나머지 7가지 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효과성의 범위를 학생, 학교 (관리자,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지역주민, 예술강사)의 세 범주로 동일하게 취급함으로써 이 세 주체가 학교운영의 기준이 됨을 말하고 있다. 문화예술을 통로로 지역사회를 개입시킴으로써 이전에는 없었던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었기 때문에 사업의 정체성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4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그러므로 학교운영 목표의 방향성도 뚜렷할 수밖에 없고, 대상의 차별성도 보여주었으며, 학교 와 지역사회의 자원 연계, 효과성의 확장까지 보여주었다. 또한 이것이 가능한 것은 4년이라는 중장기적 지원이 있다는 점도 놓칠 수 없다. 4년차 1기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도 이 때문 이다. 효과성의 내용도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에 그치지 않고 종합적인 인성의 영역까지 고려했으며, 학교의 환경개선과 문화예술역량은 물론 전반적 교육력 향상, 지역의 환경개선 및 문화예술 인 프라 구축 및 대외이미지까지 개선하고자 하였다. 즉 이처럼 학교를 중심으로 그 울타리를 넘어 문화예술교육 거점으로 역할을 확대한 사업의 정체성을 보여주었다. 이를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 세 주체의 네트워크화와 협력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1.2 201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효과측정 매뉴얼 및 가이드 개발 연구(정문성 외, 2012) 1.2.1 연구의 개관 정문성 외(2011) 연구를 토대로 하여 본격적으로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 확대에 대비할 수 있 도록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 중에서 ‘201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효과측정 매뉴얼 및 가이드 개발 연구(정문성 외, 2012)’는 표준화된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지침 및 효과성 측정 지표 연구이다. 이는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에 익숙하지 않은 학교에서 실제적으 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1) 교육운영계획, 2) 효과성 측정 방법 안내로 구분되어 제시되어 있다. 교육운영계획 측면에서는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을 처음 시작하는 학교들도 운영계획을 체계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특히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특 징이 4년간의 중기적인 지원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연차별 비전과 목표(기반조성-성장-확산-정 착)를 제시하였다. 또한 예술꽃 씨앗학교를 구성하는 4개의 핵심가치요소(SEED)를 도출하고 중 점 영역별로 핵심적인 과제를 체계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표Ⅲ-4> 예술꽃 씨앗학교 교육운영 계획(정문성 외, 2012) 영역 목표
연차별 목표
계획 유형
내용 ▪목표1. 교육기획부터 평가-환류까지 체계적인 교육운영 시스템 구축 ▪목표2. 중장기적인 문화예술교육 추진을 통한 안정적인 교육기반 확보 ▪목표3. 문화 소외지역의 문화예술 지원 여건 개선의 사업모델로 보급 1차 년도
-학생들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친화적 태도와 경험에 초점
2차 년도
-분야의 차별화 및 운영체제를 브랜드화 할 수 있는 과정 정착
3차 년도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 지역사회 속으로 들어가는 활동 확대
4차 년도
-문화예술의 생활화와 지속적 운영을 위한 지원 기반 구축
기본계획
-사업 신청서에 첨부하는 기본방향 및 과제 중심의 계획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49
실행과제
발전계획
-종합운영계획서로 지원기간(4년간) 및 이후 운영 계획 포함
실행계획
-연차별 교육운영계획서 작성-제출(보조금 교부신청서에 첨부)
교육과정 개발
-교과통합과정, 특화된 프로그램, 교재/강사/자원 개발
문화예술 체험
-학교 내 교육활동 및 지역사회 활동을 통한 다양한 체험
지역사회 연계
-지역주민 교육, 지역기관 연계 프로그램 , 지역축제 참여
운영기반 구축
-운영기반 구축
<표Ⅲ-5> 예술꽃 씨앗학교 세부 실행과제 편성 현황(정문성 외, 2012) 연차
1차 년도
2차 년도
3차 년도
4차 년도
연차 목표
[만남] -기반조성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나 는 문화예술
[특성] -성장기특성화된 우리 학교 문화예술 누리기
[함께] -확산기지역과 함께하 는 문화예술 꿈 키우기
[지속] -정착기삶의 친구이자 동반자인 문화 예술
교육활동 운영기반조성 -연구 개발 -자원 확보 -교육 환경 -부모 연계
교사 연구 모임 교·강사 워크숍 학부모 네트워킹
-교육기자재 구입 -우수강사 및 코 디네이터 확보 -국내·외 문화예 술교육 사례 벤 치마킹 -문화예술 교재개발 -인식변화를 위한 교·강사 워크숍 및 연구회 발족
학교별 특성화 모델 개발(ex. 교육과정, 콘텐 츠, 네트워크) 워크북 제작 학부모 대상 문 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체 험활동 -학교 내 활동 -학교 밖 활동
소규모 발표회 문화예술 캠프
영역
공통과제
지역연계활동 -학부모 -주민 -지역기관
운영지원체제 및 기반 강화 -협의체 운영 -지역지원기반 -홍보/기록
문화예술 교재 활용 문화예술 동아 리 활동 강화
지역문화예술 유 관기관과 MOU 체결
-예술꽃 씨앗학 교 알리기 활 동(홍보활동) -지속적인 예술 꽃 씨앗학교 활 동 기록(활동/운 영과정전체관리)
-지역 교육청과 의 연계 -예술꽃 씨앗학교 자문위원회 구성
5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지역문화예술 유관기관과 연 계활동 강화
예술꽃 씨앗학 교 동문회 멘 토/멘티 운영 -평생교육 차원 의 학교 개방 지역문화예술 유 관기관과 연계 프로그램 수행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 참여 지역사회 문화 예술 나눔 활동 -주변 학교 대 상 초청 워크숍
마을 학교축제 기획
-예술꽃 씨앗 학교 간 자원 공유 -지역사회 예 술꽃 씨앗학교 후원회 구성 -예술꽃 씨앗
학교 지속을 위한 재능펀드 시스템 구축
효과성 측정 방법 안내 측면에서는 예술꽃 씨앗학교 효과성 평가 지표를 구체화시켜 제시함 으로써 실제로 단위 학교에서 사업의 효과성을 다각도로 측정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앞서 제시한 정문성 외(2011)의 연구에서 개발한 예술꽃 씨앗학교 평가 지표에 대한 검토-수정 의견을 토대로 효과성 지표를 보다 세분화시켜 <표 Ⅲ-6>과 같이 제시하였다. 측정 대상(학생, 학교, 지역사회)별로 효과성 지표와 측정 방법을 다르게 제시하였던 이전 연구에 비해, 학생, 학 교, 지역사회 모두 교육활동 운영 기반 조성 측면, 문화예술교육 체험활동 운영 측면, 지역연계 활동 측면, 운영지원체계 및 기반 강화 측면에서 관련 문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사업이 학 생, 학교, 지역사회 차원에서 연속성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하위 영역의 중복 문 제를 해결하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변화에 따른 객관형 문항 개발의 필요성을 반영한 것이다(정 문성, 2013). 이밖에도 학생뿐 아니라 교사, 강사, 학부모, 지역주민, 지역관계자 대상의 설문 문 항을 제시하였으며, 관련 측정 양식까지 제시함으로써 해당 사업이 연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 록 하였다. <표Ⅲ-6>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내용에 따른 대상별 효과성 지표(정문성 외, 2012) 종속변수 (측정대상) 독립변수 (과업내용)
학
생
학
교
지역사회
예술 사교육비 수준 예술 사교육 도움 정도 학교수업 참여 적극성 학업성취 연계 수준 학교생활 만족도 학교생활 흥미도 학교에 대한 자긍심
사업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달성수준 학교교육 만족도(관계자) 학교에 대한 신뢰성 학생 유입 효과수준
교육활동 운영기반조성
학교환경에의 친밀감 교육자료 활용수준 기자재의 효용도
학교환경의 문화공간화 학교 내 문화 자본 확충 학교연간운영계획 변화 교과교육과정 연계 수준 학교교육행사 연계 수준 학교교육중점 변화 수준 교사의 전문성 향상 교사의 유대감 향상 학부모 문화예술 이해도 학부모 교육 참여도 문화예술교육 체계성
-
문화예술교육체험활동 운영
자기효능감(자신감) 창의성
문화예술 향유 문화예술교육 지원
-
[공통부문]
지역 이미지 개선 효과 지역발전과 문제해결 지역주민 거주 만족도 문화소외 극복 수준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51
자기조절력(공격성) 자기표현력(발표력) 협동성(사회성) 행복감 (분야별) 교육 효과 예술수업 참여도 문화예술 감수성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문화예술 생활화 수준 문화예술 활동 지속성
지역연계 활동
운영지원체제 및 기반 강화
문화예술창작 활동 문화예술교육 특성화 동아리 조직화 수준 동아리 활동 활성화 학생 생활지도 연계수준
지역주민 정체성 지역사회 관심도 지역문화환경 인지도 지역문화활동 참여도 지역나눔활동 참여도 지역참여의 주도성
대외적 네트워크 형성 학교의 지역친화적 이미지 학교의 지역 인지도 제고 지역문화공간의 교육 활용 지역문화유산의 교육 활용 학교의 지역문화 거점화
지역 내 문화 자본 확충 문화예술자원 연계 수준 문화예술 향유 문화예술교육 지원 문화예술창작 활동 지역문화공간 활용 수준 지역문화유산 활용 수준 문화예술교육 보편화 지역 학교의 교육수용도
활동기록 관리 역량
문화예술교육의 제도화 교육기획-평가관리 역량 지자체 지원 수준 교육행정기관 지원 수준 지역자원의 조직적 지원 자체 운영예산 확보 수준 학교 홍보의 효과성 포트폴리오 활용 다양성
학교연계에 대한 관심도 학교지원 체제의 제도화
<표Ⅲ-7> 효과성 분석의 기초자료 양식(측정지표별 종합분석표)(정문성 외, 2012) 영역
내용
분석대상 (측정대상)
분석지표 (측정지표) 조사시기별 측정결과(문항의 평균점수) 조사대상자별 결과
1차 년도 사전
효과성 측정자료
학생 교사 강사 학부모 지역주민 지역관계자
1.2.2 시사점
5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2차 년도 사후
사전 (기초)
사후 (정기)
3차 년도
4차 년도
정기
정기
예술꽃 씨앗학교 모델 구안을 위해 이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표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인 평가 메 뉴얼을 위한 상세화 된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것은 예술꽃 씨앗학교가 다양하게 운영될 수 있지만 일정한 수준에서는 표준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독자적 운영의 자 율성을 준만큼 수준차이가 발생하는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둘째, 예술꽃 씨앗을 구성하는 4개의 핵심가치요소(SEED)를 도출하고 중점 영역별로 핵심적 인 과제를 연차별 비전과 목표(기반조성: 예술의 만남 – 성장: 예술의 특성화 – 확산: 예술의 지역화 – 정착: 예술의 일상화)와 함께 제시하여 지속성을 위한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예 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일회적인 사업이 아니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일정 궤도에 올려 놓은 뒤 지원이 종료되더라도 그 동안 일구어 놓은 자생력으로 지속적인 사업으로 유지해야 한 다는 점을 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강조하였다. 그렇지 않다면 이 사업의 의미는 퇴색될 뿐만 아 니라 소모적이고 비효율적인 사업이 되고 만다. 셋째, 지역연계와 지역관련활동을 평가 지표에 강조함으로써 대상의 차별성과 효과성의 범위 를 분명히 하였다. 또한 자원의 연계성, 학생, 학교, 지역사회가 무엇을 해야 할지 교육활동 운 영 목표의 방향성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사교육비 등 문화예술교육 기회균등의 교육복지 측면 도 강조하였다.
1.3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예술꽃 씨앗학교(정문성 외, 2013) 1.3.1. 연구의 개관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예술꽃 씨앗학교(정문성 외, 2013)’는 정문성 외(2011)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를 개선하여 2012년 신규로 선정된 1년차 초등학교 10개의 지난 1년간 사업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 대상 및 연구 결과는 <표Ⅲ-8>과 같다.
<표Ⅲ-8> 효과분석 연구 영역 및 조사대상(정문성 외, 2013) 영역
조사 대상
학생효과성
2012년 신규 지정 예술 꽃 씨앗학교 10개교 3, 4, 5, 6학년 전수조사
학교효과성
2012년 신규 지정 예술 꽃 씨앗학교 10개교 교 사 및 강사 전체
평가도구
양적 검사 도구
평가 지표
정문성 외(2011)와 차이점
-자기 효능감 -문화예술 감수성 -창의성 -자기 조절력(공격성) -자기표현과 발표력 -협동과 사회성
인성과 예술성 통합하여 구성
-문화예술 환경 개선 -문화예술 역량 증진 -전반적 교육력 향상
준 표준화 면접 도구 ⇒ 양적 지표화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53
-대외적 효과 증진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인프 라 활용 지역사회 효과성
-문화예술 환경 개선 -문화예술 역량 증진 -지역의 환경 개선 -지역의 문화적 인프라 활용
2012년 신규 지정 예술 꽃 씨앗학교 10개교 각 각 주민 10명 내외
준 표준화 면접 도구 ⇒ 양적 지표화
조사 결과, 1년간의 사업만으로는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 시 조사 시기가 중요하며, 저학년을 위한 별도의 평가 문항지 제작의 필요성, 지역주민과의 교 류 및 인프라 조성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표Ⅲ-9> 2기 1차 년도 변인별 측정 결과(정문성 외, 2013) 영역
세부 영역
연구결과
학생효과성
-자기 효능감 -문화예술 감수성 -창의성 -자기 조절력(공격성) -자기표현과 발표력 -협동과 사회성
아직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첫 해이기 때문에 전반적 으로 3.5-4점대의 점수로 나타났으며 저학년일수록, 사교육 을 받거나 경제환경이 좋을수록 높은 점수를 보임
학교효과성
-문화예술 환경 개선 -문화예술 역량 증진 -전반적 교육력 향상 -대외적 효과 증진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인 프라 활용
교사와 강사들은 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환경에 대해 매우 긍 정적 태도와 기대감을 보여줌. 특히 교육학 전공자가 예술학 전공자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기대치의 차이를 보여주었 지만 전반적으로 시작하는 첫 해라는 점과 악기 구입 등 가 시적인 환경의 변화를 높이 평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지역사회 효과성
-문화예술 환경 개선 -문화예술 역량 증진 -지역의 환경 개선 -지역의 문화적 인프라 활용
지역주민들은 비교적 중립적 태도를 보였다. 예술꽃 씨앗학 교 지원사업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아직 가시적인 혜택이나 참여의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음
이처럼 이 연구는 예술꽃 씨앗학교 평가 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여 통일적으로 적용할 수 있 는 평가 도구를 제작하여 검증하고, 실제 평가 시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는지를 도출했다는 점 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각 예술꽃 씨앗학교의 다양한 특색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도 있 다. 모든 예술꽃 씨앗학교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소 추상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1.3.2. 시사점 예술꽃 씨앗학교 모델 구안을 위해 이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5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첫째, 기본 운영모델과 선택 운영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이 연구는 이전 의 평가 모델을 개선한 것으로 의의가 있으나 예술꽃 씨앗학교의 다양한 특색을 일정하게 유형 화시켜 운영기준 및 평가 방안을 만든다는 것이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초기 예술꽃 씨앗학교는 주로 음악 분야 중심의 단조로운 분야에 국한되었으나 이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 었다. 그러므로 표준모델이 기본적 운영의 기준은 될 수 있으나 보다 다양한 운영의 확산을 유 도하지는 못한다. 둘째, 여전히 지역사회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정문성 외(2011) 연구에서 학교효과성 과 지역사회효과성은 면접조사를 하였으나 정문성 외(2013) 연구에서는 측정 가능한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지역사회의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에서 지역사회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1.4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가이드(민경훈 외, 2013) 1.4.1 연구의 개요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가이드’는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효과측정 매뉴얼 및 가이드 개 발 연구(정문성 외, 2012)’와 더불어 단위학교에서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세부 과제 추진을 본격화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크게 ‘사업 개요’, ‘지원 및 운영’, ‘예산 관리 가이 드’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학교 공모 및 선정기준을 제시하여 사업운영 및 예산 관리 가이드를 각각 제안하였다. 특히 <표Ⅲ-10>처럼 1기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 진행상황을 검토하여 예술꽃 씨앗학교 연차별 시행과제를 목록화하여 제시하였다는 점, <그림Ⅲ-2>와 <표Ⅲ-11>처럼 교육 과정 설계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하였다는 점 등에서 의의가 있다.
<표Ⅲ-10> 예술꽃 씨앗학교 연차별 시행과제(민경훈 외, 2013) 연차별
중점 실행과제
세부 실행과제
1차 년도
·교수법 및 커리큘럼의 개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체 험활동
·예술꽃 씨앗학교의 인식 강화를 위한 교사와 예술강사 워크숍 및 연구회 발족 ·교육 기자재 구입 ·우수 강사 및 코디네이터 확보 ·문화예술교육 교재 개발 및 학습 평가 자료 개발 ·예술꽃 씨앗학교 자문위원회 및 후원회 구성 ·지역문화예술 관련 유관기관과 MOU 체결
2차 년도
·통합교육 및 특별모듈프 로그램 운영 ·특화된 체험활동 강화
·학교별 운영(교육과정, 콘텐츠, 네트워크 등)에 대한 특성화 모델 개발 및 워크북 제작 ·지역문화예술 관련 유관기관과의 연계활동 강화 ·학부모 대상 문화예술교육 강화(동아리 활성화 등)
3차 년도
·지역사회와 네트워크 구 축 및 확대 ·지역문화예술 선도
·평생교육 차원의 학교 개방 ·주변 학교 대상 예술꽃 씨앗학교 홍보 및 초청 워크숍 운영 ·지역문화예술 관련 유관기관과의 연계 프로그램 수행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55
4차 년도
·지속적인 사업 수립을 위한 자립화 방안 구축 ·예술꽃 씨앗학교 동문회 멘토 멘티 운영
·지역사회와 연계한 지역 축제 프로그램 및 공연 참여 ·지역사회와 연계한 나눔 프로그램 운영 ·마을 학교축제 기획 ·지역사회 예술꽃 씨앗학교 후원회 구성 강화 ·지역문화예술 관련 MOU 기관과 협력 내실화 ·예술꽃 씨앗학교 간 자원 공유 ·예술꽃 씨앗학교 지속사업을 위한 펀드 시스템 구축
[그림Ⅲ-2] 예술꽃 씨앗학교 교육과정 설계 프로세스(민경훈 외, 2013)
<표Ⅲ-11> 예술꽃 씨앗학교 교육과정 설계 가이드(교과 통합)(민경훈 외, 2013) 영역
하위 영역
내용
개별 분야중심 교육 설계
·일반적으로 각 분야 간 구별을 강화하여 통합보다는 분야 전문성 을 기를 수 있도록 함(예: 학교파견 예술강사의 분야 영역에 따라 기초, 심화 과정으로 예술분야교육 중심의 설계) ·예술교육에 있어서는 각 분야의 특성을 유지한 채 관련 분야를 서 로 엮어내는 방식의 통합 설계로 구성할 수 있음(예: 시각 예술이 라는 큰 분야 범주 하에 미디어교육, 미술, 디자인, 공예 등 기능 을 중심으로 분과를 나누는 식의 교육 설계. 동시에 여러 분야를 배우는 것도 가능함)
분야 결합형 설계
·예술분야(교과목)는 분명하게 나누지만 서로 연관 지어 상관이 있 는 것을 가르치는 설계임 ·이 설계 방식은 특히 일반 교과와 예술분야를 통합하여 설계하는 유형이 될 수 있음. 특히 단원의 주제를 추출하여 이와 관련 있는 예술분야를 접목하여 가르치는 형태가 그 예임 ·대부분의 교과 간, 예술분야 간 통합 수업이 그 사례임 ·교과 단원 중에 문화예술교육 관련 요소를 추출하여 교사, 예술강 사 간 협력 수업을 할 수 있음
분야중심 설계 (교과중심 설계)
5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분야 융합형 설계
·특히 원리에 있어서 상관이 있는 요소를 통해 예술분야와 통합하 는 수업을 설계할 수 있음 ·단순히 교수 학습 활동에 있어 보조 교재로서 예술분야를 제한적 으로 활용하는 사례도 있음(예: 1학년 수업 중 ‘바른 자세 단원’에 서 영화 동영상 자료를 활용함) ·분야 융합은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 원리, 감각을 중심으로 통합하 는 교육 설계 ·각 분야의 독립성보다는 전적으로 개별 감각을 기초로 통합된 감 각, 공감각을 이끌어 내는 것이 목적 ·공감각을 중심으로 한 예술 감상(미술․음악) 융합 모델
주제중심형 통합 설계
·한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를 하나로 묶는 것을 의미함 ·주제중심 통합 설계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1~2학년의 통합교과 사례를 참조 하면 도움이 됨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소규모 학교에서 2개 학년을 묶어 복식 학급을 운영 할 수 있고, 학년 간 교육과정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음 ·공동의 주제나 과제를 선별하여 주제중심 교과통합으로 편성할 수 있음 ·이를 응용한다면 각 예술꽃 씨앗학교 만의 통합 교과 설계 모델을 만들 수 있음(※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1~2학년 통합교과의 사례는 공간을 기준으로 나눈 ‘학교 와 나, 가족, 이웃, 우리나라’, 그리고 시간을 기준으로 나눈 ‘봄, 여름, 가을, 겨울’의 8가지 대주제로 교과를 통합한 사례임) ·예술분야를 매개로 주제중심 교과통합을 시도해 볼 수 있음 ·주제중심 통합 설계는 주로 영상미디어, 연극, 시각예술분야에서 시도해 볼 수 있음
경험중심형 통합 설계
·경험중심 통합 설계는 교과중심의 교육과정과는 차별화된 독립적인 교육과정을 추 구함 ·학생들의 흥미, 경험, 활동, 생활을 중시함(예: 캠프, 소풍, 체험 활동 등 교외 활동 을 중시함) ·예술꽃 씨앗학교 만의 특성화된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해 경험중심 통합 설계 방식 을 적용해 볼 수 있음
이밖에도 운영지침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예술꽃 씨앗학교를 운영할 때 우려되는 점들을 제안 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관리자 및 담당교사의 임기, 지역사회 의지 및 인식 미흡, 학교의 문 화예술교육적 역량 부족 등을 지역거점학교 성장 장애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그러나 이는 다소 추상적인 수준으로 학교나 지역사회의 특성별로 구체적인 요인들에 대해서는 제언하지 않아 추 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1.4.2 시사점 예술꽃 씨앗학교 모델 구안을 위해 이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차별 시행과제를 제안하면서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주로 강조하였다. 예술꽃 씨앗학교 가 추구해야 할 목표의 방향성을 실천하는 구체적 방안들을 제시하였고, 지역사회가 중요한 대 상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4년간의 로드맵을 강조함으로써 기간의 지속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예술교육 내용의 통합성을 강조하였다. 분야의 다양한 방식의 통합을 제시함으로써 예 술꽃 씨앗학교의 정체성이 통합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예술교육의 효과성을 보다 잘 드러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57
내기 위한 방안이기도 하다. 또한 다양한 통합의 선택을 제시한 것은 각 학교가 처한 환경을 고 려하여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운영 전략을 만드는데 유용한 가이드가 될 수 있다.
1.5 2014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중장기 사업전략(정민룡, 2014) 1.5.1. 연구의 개관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좋은 효과를 거두자 문화체육관광부(2014)에서는 예술꽃 씨앗학 교를 2013년 30개교에서, 2014년 43개교, 2017년 100개교로 확대하기로 하였다. 더불어, 그 동 안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상급학교와의 단절을 해결하기 위해 초등-중등 간의 연계성을 위해 기존 초등학교 중심 지원에서 상급학교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 사업에 대한 보다 중장기적인 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지원사업의 공모뿐 아니라 종료 후 자립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정민룡(2014)은 기존의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운영 과제 관련 연구(정문성 외, 2012; 민경훈 외, 2013)를 토대로 중장기적인 차원에 서 지원사업의 목표 및 과제를 보완하고, 연차별 로드맵을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목적이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집중 학교 우수 모 델 구축에서 중장기적으로는 성과의 확장과 지역거점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시한 거점학교로서의 예술꽃 씨앗학교의 상과 이를 위한 중장기적인 사업전략은 <표Ⅲ-12>와 같다.
<표Ⅲ-12> 거점학교로서 예술꽃 씨앗학교의 상(정민룡, 2014) 영역
내용
사람중심(교사의 문화예술교육 역량 양성)의 거점
·교사자율연구 동아리, 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 운영, 문화예술교 육 교수학습법 시범교실 운영 등
공간중심(마을 단위의 지역사회)학교로서의 거점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마을학교 ·학부모 예술동아리, 마을강사, 지역문화예술그룹 및 전문 인력의 운영 참여, 마을행사의 콘텐츠 제공,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 마을문화센터로서 역할 등
문화예술교육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거점
·교과 연계, 동아리 활동, 방과후 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등 탄력 적으로 운영되는 특성화된 교육과정
특히 해당 연구에서 추진 로드맵에서 성장 로드맵으로의 전환을 시도했다는 점과 공통 추진 과제를 설정했다는 점 등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사업 추구 방향성을 명료화하여 사업의 연속성 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5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13> 2014 예술꽃 씨앗학교 로드맵(정민룡, 2014)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목표와 방향에 부합하는 ‘학교별 추진과제’ 기획•운영 연차별
1년차
2년차
3~4년차
기반조성기
성장기
확산 및 정착기
목표 공통 추진 과제 기반조성
교육 과정 연계
학교교육과정과 문화예술교육 연계
학교별 문화예술분야 특화 운영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정착화 및 지역연계 강화
○문화예술교육기반조성 -기자재 및 강사확보 -전문가 및 자문단 구성
○문화예술교육 기반 구축 -우수 강사 확보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문화예술교육 기반 확립 -우수 강사 활용 -전문가 네트워크 활용
○정규교육과정재구성 -교육과정설계 및 재편성 -콘텐츠 발굴 등
○정규교육과정 시범운영, 보완 -교안 및 워크북개발 -콘텐츠 개발, 운영전략 수립 등
○정규교육과정 운영 -교안 및 워크북 활용 -콘텐츠 활용, 연계교육설계 등
○연계교육활용 -교·강사 워크숍, 연구 모임, 동아리 운영 등 – 문화예술체험활동, 동아리, 캠프기획·운영 등 ○지역문화예술교육 기반 조성 -지역문화예술단체 및 유관 기관 연계•협력방안 마련 -동일지역 예술꽃 씨앗학교 간 네트워크 구축
○지역문화예술교육기반구축 -지역문화예술단체 및 유관 기관 협력체결(MOU) 등 -동일지역 예술꽃 씨앗학교 간 연계활동 -학부모·지역사회 네트워크구축 ○지역문화예술교육 협의체 구성·운영
○지역문화예술교육활성화 -지역사회 연계 나눔 활동 -동일지역 예술꽃 씨앗학교 간 연계 활동 -학부모·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 기 회·운영 등 ○지역문화예술교육협의체운영
성과 관리 (지속성)
○홍보 관련 네트워크구축 ○연간활동기록(글·사진·영 상 등) ○자체평가 방안 수립
○관련 홍보활동 ○연간활동기록(글·사진·영상 등) ○자체평가 방안 활용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자립화 방안 마련 등
○관련 홍보활동(교육과정) ○연간활동기록(글·사진·영상 등) ○자체평가 방안 활용 ○구체적 자립화를 위한 연계활동 -동문회 협조 -예술꽃 씨앗학교 간 자원 공유 -졸업생 멘토·멘티 구성 등
한국문화 예술교육 진흥원 연계·협 력 사항
○사업계획 및 운영관련컨 설팅 ○사업성과평가 ○연수 및 관계자 워크숍 ○주요 사업성과 축적·활용 ○대외홍보
○사업계획 및 운영관련 컨 설팅 ○사업 성과평가 ○연수 및 관계자 워크숍 ○주요 사업성과 축적·활용 ○대외홍보
○사업계획 및 운영관련 컨설팅 ○사업 성과평가 ○연수 및 관계자 워크숍 ○주요 사업성과 축적•활용 ○대외홍보 ○예술꽃 씨앗학교 성과발표회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방안모색
지역 사회 연계
이밖에도 교사, 예술강사, 코디네이터의 역할의 중요성을 환기하면서 역량 강화를 위한 아르 떼 아카데미(AA)와 연계한 연수 프로그램도 제안하였으며 예술꽃 씨앗학교 자체 연구나 다양한 컨설팅을 통한 성과관리 방안도 제안하였다. 더불어 문화예술 커뮤니티 활성화, 지역문화예술교 육 지원센터, 지역 교육청과의 연계 방안, 지역사회 사회공헌 프로젝트 공동 추진 등을 제안하 였다. 이는 ‘예산이 교부되지 않아도 문화예술교육이 지속ㆍ일상화되는 거점학교 구성’을 제안한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59
것이지만, 실제적인 데이터나 구체적인 내용이 다소 부족하다는 제한점이 있다.
1.5.2. 시사점 예술꽃 씨앗학교 모델 구안을 위해 이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꽃 씨앗학교의 지속성 방안을 강조하였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4년 동안 작은 학교 의 입장에서 보면 파격적인 예산지원을 받는다. 그 이유는 이 사업이 일회성이 되어서는 안 된 다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말 그대로 씨앗을 심고, 꽃과 열매를 피우는 다년생 나무가 되어야 한 다는 것이다. 그래서 황무지에 좋은 흙과 영양분을 집중 보급하여 옥토를 만들려고 하는 것이 다. 즉 씨앗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다. 그러므로 하드웨어적으로나 소프트웨어적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기반조성을 위한 기자 재 및 우수 강사 확보, 전문가와 자문진, 전문가 네트워크 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과 정의 재구성, 교사와 강사의 연구동아리, 워크북 제작 등을 제안하였고, 지역연계로서는 지역문 화예술교육협의체 구성, 지역유관기관과 MOU, 예술꽃 씨앗학교 협의체 등을 강조하였다. 지속 성을 위한 직접적 노력으로 자립화 방안 구축, 홍보, 성과관리 등을 제안하였다. 그 만큼 기존 의 예술꽃 씨앗학교의 지속성의 어려움이 심각한 문제점이라는 점을 반증한다. 둘째, 연차에 관계없이 공동추진과제를 제시했다. 기반조성-교육과정연계-지역연계-성과관리 가 그것이다. 이는 연차별 로드맵의 일괄적용이 문제점이 많기 때문이다. 로드맵은 개별 학교마 다 달라져야 한다. 어떤 학교는 새로 황무지를 개관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어떤 학교는 이미 옥토여서 씨앗만 뿌리면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로드맵보다는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완성된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모델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셋째, 지역사회 연계성을 중시하였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단순히 문화예술교육을 중점으로 하 는 학교에 머물러 있지 않다. 이는 교육부 차원의 지원사업으로 충분하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그 이상을 요구한다. 동시에 그 혜택은 학생만 받는 것이 아니라 학부모와 지역주민이 함께 향 유하는 것이다. 또한 교직원도 함께 문화예술교육 역량을 얻게 되는 운영모델이 필요하다.
1.6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에서 나타난 특성 이상의 연구 개관에서 7가지 특성과 관련되어 다루어진 중요 요소를 정리하면 <표Ⅲ-14>와 같다.
6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14>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에서 다루어진 중요 요소: 7가지 특성을 중심으로 출판 연도
연구명
연구목적
2011
2011 문화예술 교육 효과성 연 구 –예술꽃 씨 앗학교를 중심 으로
예술꽃 씨앗 학교 지원사 업의 효과성 조사 및 지속 및 확대를 위 한 이론적 근 거 마련
사업의 정체성
·문화예술교육 의 효과성(인 성+문화예술 성)
목표의 방향성
대상의 차별성
·문화예술향유 +기능습득
·연구대상: 학 생, 교사, 강 사, 학부모, 지역주민
2012
예술꽃 씨앗학 교 지원사업 효 과측정 매뉴얼 및 가이드 개발 연구
표준화된 예 술꽃 씨앗학 교 운영지침 및 효과성 측 정 지표 제공
·문화 소외지 역 문화예술 지원 ·평가 관리(연 간평가, 정기 평가)
·교육과정 개 발(교과통합과 정, 특화된 프 로그램)
·연구대상: 학 생, 교사, 강 사, 학부모, 지역주민, 지 역관계자
2013
2012 문화예술 교육 효과분석 연구 –예술꽃 씨앗학교
2011년 효과 성 연구 지표 수정, 보완(인 성적 효과)
·문화예술교육 의 효과성(학 생+학교+지역 사회 지표)
·문화예술교육 의 기본적 가 치: 문화예술 +학습자+사회
·연구대상: 학 생(3, 4, 5, 6학년), 학교 (교사, 강사),
특성 기간의 지속성
·연차별 효과 성 측정
·연차 목표(기 반조성, 성장 기, 확산기, 정착기) ·연차별 세부 실행과제 편 성
내용의 통합성
·학교에 대한 효과성 평가 (학교의 전반 적 교육력 향 상)
·예술꽃 씨앗 학교 사업내 용에 따른 대 상별 효과성 지표 제시(교 육활동 운영 기반조성, 문 화예술교육-체 험활동 운영, 지역연계 활 동, 운영지원 체제 및 기반 강화) ·학교에 대한 효과성 지표 (문화예술 역 량증진, 교육
자원의 연계성 ·지역사회에 대한 효과성 평가(지역의 문화예술 환 경 개선, 지역 주민의 문화 예술적 역량 증진, 지역의 환경 개선, 지 역의 문화예 술 인프라 활 용)
운영의 효과성
·학생은 검사 지, 교사/강사 및 지역주민 은 면접조사 로 검증
·지역연계활동 (학부모, 주 민, 지역기관) -지역유관기관 과 MOU체 결, 연계활동 강화, 연계 프 로그램 수행, 지역사회 축 제 프로그램 참여, 마을 학 교축제 기획
·운영지원체제 및 기반 강화 (협의체 운영, 지역지원기반, 홍보/기록)
·지역사회에 대한 효과성 지표(문화예술 환경개선(물
·학교에 대한 효과성 지표 (대외적 효과 증진, 지역인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61
및 조사(학교 와 지역사회 효과조사문항 개발)
적 가치(인성 교육 강조)
2014
예술꽃 씨앗학 교 운영 가이드
예술꽃 씨앗 학교 지원사 업의 세부 과 제 추진
·분야 별 예술 활동 또는 통 합 예술 활동
2014
2014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 사업 중장기 사 업전략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 업 운영을 위 한 쟁점 분석
·실행목표(체 제목표중심)+ 실행목표(사회 적목표중심)+
6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연차별 목표 (1년차: 학교 교육과정과 문화예술교육
지역사회(지역 주민)
령 향상)
·소규모 초등 학교
·연차별 시행 과제(1년차: 예술꽃 씨앗 학교 인프라 구축, 2년차: 예술꽃 씨앗 학교 시스템 정착, 3년차: 예술꽃 씨앗 학교 위상 정 립, 4년차: 예 술꽃 씨앗학 교 모델 확립)
·문화소외·취 약지역 소규 모 학교(전교 생 400명 이
·연차별 로드 맵(1년차: 기 반조성기, 2 년차: 성장기,
·예술꽃 씨앗 학교 교육과 정 설계 프로 세스 ·예술꽃 씨앗 학교 교육과 정 설계 가이 드(장르중심 설계, 주제중 심형 통합 설 계, 경험중심 형 통합 설계) ·창의적 체험 활동과 연계 ·교육과정연계 (정규교육과정 재구성, 정규 교육과정시범
적·인적자본, 사회자본 형 성, 네트워 크), 문화예술 역량증진(향 유, 교육, 창 작), 지역의 환경개선(물리 적 환경, 사회 자본 향상, 지 역문제해결, 대외적 효과), 인프라 활용 (시설활용, 문 화유산활용))
프라 활용) ·예술꽃 씨앗 학교 효과성 모형(학생, 학 교, 지역사회 지표)
·지역문화예술 관련 유관기 관과 MOU 체결, 연계활 동 강화, 프로 그램 수행 및 강화
·지역사회연계 (지역문화예술 교육기반조성, 지역문화예술
·성과관리 및 지속화 방안 (평가 및 컨설 팅을 통한 성
및 추진방향 도출과 운영 학교의 연차 별 로드맵 재 구성
공식목표(가치 목표중심)
연계, 2년차: 학교별 문화 예술분야 특 화 운영, 3년 차: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지역연계 강 화, 4년차: 학 교 내 문화예 술교육 정착 화)
하)
3~4년차: 확 산 및 정착기)
운영·보완, 정 규교육과정 운영, 연계교 육활동)
교육기반구축, 지역문화예술 교육 협의체 구성·운영, 지 역문화예술교 육활성화, 지 역문화예술교 육협의체운영)
과관리, 예술 꽃 씨앗학교 연구를 통한 성과관리, 후 속관리(자립 화) 방안)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63
이들 연구들이 각각 상정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델이 엄격하게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공통 적으로 다룬 요소들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이념형 모델의 공통요소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러한 요소들이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델 구안에 반영되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예술꽃 씨앗학 교의 특성을 정리하면 <표Ⅲ-15>와 같다. 종합하면 예술꽃 씨앗학교가 다른 유사한 예술기반 학교와 다른 점은 마을 단위 지역의 문화 예술교육 거점학교의 속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7개의 특성 중에 지역 연계가 목 표의 방향성, 대상의 차별성, 기간의 지속성의 동력, 통합교육의 가능성, 자원의 연계성 모두와 관련이 있고, 이것이 사업의 정체성을 이룬다.
<표Ⅲ-15>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에서 나타난 특성 특성
기본
선택
사업의 정체성
·문화예술기반 학교운영
목표의 방향성
·문화예술의 생활화 ·문화예술 기반의 교육력 제고 ·지역의 문화예술거점학교 기능과 역할
대상의 차별성
·소외지역 ·400명 이하 소규모 학교 ·학생, 학교, 학부모, 지역사회
·초등과 중등 연계 ·대상이자 주체
기간의 지속성
·4년 로드맵 지원 ·4년 후 자립 후 지속력
·일부 자립 ·일부 추가 지원
·통합교육과정 지향 ·교사와 예술강사의 협력 (공동 연구, 워크북 제작, 팀티칭 등)
·다양한 통합 유형 인정 ·창의적 체험활동 활용 ·방과후 학교 활용
자원의 연계성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지역 예술 인적, 물적 자원 활용 ·지역 행사에 참여 ·학교의 평생교육 기능
·마을 단위이상의 지역화 ·문화예술기관과의 협력
운영의 효과성
·효과의 범위(인적) -학생의 예술성과 인성 -교사의 예술교육역량 -학부모의 예술역량 -지역주민의 예술열량 ·효과의 범위(물적) -악기 등 예술기자재 활용 -학교의 예술 환경 개선 -지역의 예술 환경 개선
·지역사회의 활력 ·홍보 효과 ·학교 및 지역의 이미지 제고
예술교육 내용의 통합성
6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2.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계획서 및 보고서 분석 그 동안 예술꽃 씨앗학교는 1기 10개교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26개교가 4년간 지원을 받았고, 2015년 현재 47개교가 사업을 운영하고 있고, 향후 100개교까지 사업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그 동안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예술꽃 씨앗학교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해 여러 모양으로 많은 학교들이 협력하여 모델을 만들어 왔다. 바람직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 델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많은 학교들의 구체적 노력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통 해 시사점들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계획서 및 실적보고서를 분 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1기에서 6기까지의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계획서 및 실적보고서 278개이 다. 기수별로 보면, 2기(39.2%), 3기(24.8%), 5기(14.0%), 6기(7.9%), 4기(7.2%), 1기(6.8%)의 순으로 나타났다. 차수를 보면, 1차 년도(42.1%), 2차 년도(22.3%), 3차 년도(21.2%), 4차 년도 (14.4%)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을 보면, 초등학교(96.8%), 중학교(2.2%), 고등학교(1.1%) 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야를 보면, 음악(서양악)(23.4%), 음악(국악)(19.1%), 공연(뮤지 컬)(8.3%), 통합(프로젝트)(8.3%), 음악(퓨전)(7.6%), 공연(연극)(5.8%), 공연(음악극)(4.3%), 시 각(도·공예)(4.3%), 시각(디자인)(4.0%), 시각(영화)(3.6%), 음악(농악)(2.5%), 음악(합창)(1.8%), 음악(퓨전관현악)(1.4%), 통합(전통문화)(1.4%), 통합(음악미술)(0.7%), 시각(뉴미디어아 트)(0.7%), 시각(영상·애니메이션)(0.7%), 공연(뮤페라)(0.7%), 통합(연극미술)(0.4%), 통합(커뮤 니티아트)(0.4%), 시각(미술)(0.4%), 시각(사진)(0.4%)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Ⅲ-16> 예술꽃 씨앗학교(1기-6기) 사업계획서 및 실적보고서 일반적 특성 구분
기수
차수
학교 급
분야
1기 2기 3기 4기 5기 6기 1차 년도 2차 년도 3차 년도 4차 년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음악(국악) 음악(서양악) 음악(농악) 음악(퓨전)
빈도 19 109 69 20 39 22 117 62 59 40 269 6 3 53 65 7 21
비율 6.8 39.2 24.8 7.2 14.0 7.9 42.1 22.3 21.2 14.4 96.8 2.2 1.1 19.1 23.4 2.5 7.6
음악(합창)
5
1.8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65
음악(퓨전관현악) 시각(영화) 시각(디자인) 시각(도·공예) 시각(사진) 시각(영상애니메이션) 시각(미술) 공연(뮤지컬) 공연(음악극) 공연(뮤페라) 공연(연극) 통합(연극미술) 통합(커뮤니티아트) 통합(전통문화) 통합(프로젝트) 통합(음악미술) 시각(뉴미디어아트) 합계
4 10 11 12 1 2 1 23 12 2 16 1 1 4 23 2 2 278
1.4 3.6 4.0 4.3 0.4 0.7 0.4 8.3 4.3 0.7 5.8 0.4 0.4 1.4 8.3 0.7 0.7 100.0
결과분석은 정민룡(2014)이 제안한 공동추진과제, 즉 운영기반조성, 문화예술교육과정 운영, 지역연계 문화예술 향유, 운영지원체제로 나누어 살펴보고, 전술한 7가지 특성별로 시사점을 정 리한다.
2.1 운영기반조성 운영기반조성에 관한 분석을 위해 강사확보, 교육진행에 대한 것을 조사하였다. 첫째, 강사확보의 경우를 보면 유관기관(33.4%)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지역예술인(32.8%), 지역대학(12.5%), 문화재단(11.5%)의 순으로 나타났다. 운영기반조성을 위해서 유관기관에서 안 정적 강사를 확보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역예술인이 32.8%로 두 번째로 많 은 것은 지역연계를 위한 노력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업계획서를 분석한 것이므로 실제 확보했 는지는 확인하기 힘들다. 지역대학이 12.5%로 다소 부족하지만 이는 전문성의 확보와 지역연계 의 좋은 사례이므로 보다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문화재단도 11.5% 인데, 이 역시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6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17> 강사확보 구분 지역대학 문화재단 유관기관 지역예술인 시·도 교육청 기타 합계
빈도 74 68 197 194 16 42 591
비율 12.5 11.5 33.4 32.8 2.7 7.1 100
둘째, 교육진행의 경우를 보면 예술강사(60.1%)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교직원(31.5%), 지 역대학생(4.5%), 학부모(3.4%)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술을 전공한 강사가 교육진행을 가장 많이 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종료 후, 학교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자체적으로 예술강사 강 사비를 충당해야 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에 대비해 교사들이 예술꽃 씨앗학교를 운영하면서 예 술강사와 공동연구를 하거나 연수를 통해 예술교육역량을 기를 필요가 있다. 지역대학생의 비율이 4.5%로 매우 낮은 것은 지역대학생의 공급이 적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 러나 지역대학생을 잘 활용하는 것도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종료 후 지속적인 문화예술교 육의 장을 만들어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표Ⅲ-18> 교육진행 구분 예술강사 교직원 지역대학생 지역주민 학부모 합계
빈도 267 140 20 2 15 444
비율 60.1 31.5 4.5 0.5 3.4 100
2.2. 문화예술교육과정 운영 문화예술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분석을 위해 시간 확보, 교육과정, 전통적 형식과 다른 교수· 학습 방식, 학생프로그램에 대한 것을 조사하였다. 첫째, 시간 확보에 대한 것을 보면 방과후 학교(19.6%)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19.2%), 계절캠프(18.7%), 예·체능교과활용(16.2%), 기타(9.8%), 교육과정통합(7.2%), 예술 꽃데이(4.0%), 예·체능교과증배(3.2%), 방학 중 예술꽃 학교(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 확 보를 위해서 방과후 학교가 가장 많은 것은 예술강사가 주로 방과후 학교에서 활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예·체능교과증배 및 교육과정통합 등의 교육과정을 재구성 작업을 하지 않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67
아도 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창의적 체험활동이 두 번째로 많은 것은 교사가 예술강사와 함께 팀티칭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일반 학교의 경우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담당교사가 담당하거나 학교 에서 지정해준 프로그램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예술꽃 씨앗학교의 경우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교사가 예술강사와 팀티칭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창의적 체험활동 시 간이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여 진다. 그러나 방과후 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외에, 예·체능교과활용, 교육과정통합 등 문화예술을 활용하여 교과 수업을 하는 것도 좋은 사례 이므로 시간 확보를 위해 좀 더 적극적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표Ⅲ-19> 시간 확보 구분 예·체능교과증배 예·체능교과활용 계절캠프(여름, 겨울) 교육과정통합 방과후 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방학 중 예술꽃 학교 예술꽃데이 기타 합계
빈도 35 177 205 79 215 210 23 44 107 1095
비율 3.2 16.2 18.7 7.2 19.6 19.2 2.1 4.0 9.8 100
둘째, 교육과정에 대한 것을 보면 연간 교육과정 재구성(61.4%)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워 크북 제작(19.5%), 기타(13.6%), 교육과정 개발(5.5%)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 원사업 운영을 위해 연간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교육과정 이 교과중심형 및 통합과정형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업계획서를 분석한 것이므로 실제 교육과정을 재구성했는지 확인하기 힘들다. 왜냐하면 시간 확보에 대한 것(<표 Ⅲ-19> 참고)을 분석한 결과, 예·체능교과활용(16.2%), 교육과정통합(7.2%), 예·체능교과증배 (3.2%) 등 교육과정 재구성과 관련 있는 것이 26.6%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워크북 제작이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종료 후, 문화예술교육의 지속 성을 위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예술꽃 씨앗학교 학교 수에 비해 워크북 제작 비율 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워크북 제작을 더 적극적으로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6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20> 교육과정 구분 연간 교육과정 재구성(교과 연계 등) 교육과정 개발 워크북 제작 기타 합계
빈도 189 17 60 42 308
비율 61.4 5.5 19.5 13.6 100
셋째, 전통적 형식과 다른 교수·학습에 대한 것을 보면 표현, 공연 또는 발표(27.5%)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체험학습(23.4%), 견학 또는 관람(20.7%), 프로젝트(14.1%), 기타(11.4%), 창 작활동(2.9%)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지역의 문화생활 공간 및 지역 거점으로의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표현, 공연 또는 발표를 하는 것은 바람직 한 것으로 보인다. 문화 예술의 특성상 공연 및 발표를 통해 예술적 감수성을 표현하는 것은 중요하기 때문이다. 체험학습이 23.4%로 두 번째로 많은 것은 문화예술의 특성상 실제로 감상하고, 온 몸으로 느 끼고 표현해야 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문화예술을 다루는 자체 가 수업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표Ⅲ-21> 전통적 형식과 다른 교수·학습 방식 구분 프로젝트 체험학습 창작활동 견학 또는 관람 표현, 공연 또는 발표 기타 합계
빈도 100 166 21 147 195 81 710
비율 14.1 23.4 2.9 20.7 27.5 11.4 100
넷째, 학생프로그램에 대한 것을 보면 동아리(38.6%)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방과후 학교 (30.6%), 특별활동(22.2%), 주말(7.4%), 기타(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학 교가 주체가 되어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을 시키기 때문에 동아리 활동을 통해 문화예술을 경험하게 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학생프로그램으로 방과후 학교가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 Ⅲ-19>에 의 하면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시간 확보를 위해 방과후 학교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그 다 음으로 동아리(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69
<표Ⅲ-22> 학생프로그램 구분 동아리 특별활동 방과후 학교 주말 기타 합계
빈도 224 129 178 43 7 581
비율 38.6 22.2 30.6 7.4 1.2 100
2.3 지역연계 문화예술 향유 지역연계 문화예술 향유에 관한 분석을 위해 지역사회 연계, 성인프로그램(학부모 지역사회) 에 대한 것을 조사하였다. 첫째,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것을 보면 시·도 교육청(23.8%)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지역문 화 단체(22.7%), 시·도·군·구청(14.4%), 문화재단(12.3%), 지역대학(12.2%), 학부모회(8.9%), 타 초·중·고등학교(3.6%), 동창회 등 친목기관(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시·도 교육청과 우선 연계를 맺는 것은 상위 기관으로서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시·도 교육청이 추구하 는 예술교육 정책에 호응하고, 지역의 예술교육에 기여하며 나아가 추가적인 지원을 받기위한 초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교가 지역 내 문화예술 활동을 할 때에도 시·도 교육청의 협력과 지원은 필수적이다. 지역문화 단체가 22.7%로 두 번째 많은 것은 지역의 문화예술단체와 예술꽃 씨앗학교의 협 력을 강조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화예술인이 예술꽃 씨앗학교 에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도 이유이다. <표 Ⅲ-17>에 의하면, 예술꽃 씨앗학교가 강사확보를 위해서 유관기관(33.4%)과 지역예술인(32.8%)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문화예술단 체는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종료 후에 해당 학교가 자립적으로 예술교육을 지속하기 위한 멘토의 역할과 여러 가지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표Ⅲ-23> 지역사회 연계 구분 시·도 교육청 지역문화 단체 동창회 등 친목기관 문화재단 지역대학 시·도·군·구청 학부모회 타 초·중·고등학교 합계
7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빈도 242 231 21 125 124 147 91 37 1018
비율 23.8 22.7 2.1 12.3 12.2 14.4 8.9 3.6 100
둘째, 성인프로그램(학부모 지역사회)에 대한 것을 보면 동아리(50.2%)가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기타(36.8%), 특별활동(12.1%), 방과후 집중 연습(0.9%)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아리는 그 특성상 단순히 예술 작품을 감상하거나 기능을 배우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자발적이고 자율적 인 참여와 운영을 통해 문화예술에 대한 공감과 함께 배우는 즐거움도 제공해준다. 이는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과 관계없이 지역주민으로 하여금 학교의 예술교육 활동과 발걸음을 같이 하 면서 지속적으로 문화예술을 생활화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인프로그램에 기타 부분이 36.8%로 두 번째로 많은 것은 학교의 지역적 특성, 주된 예술분 야, 학교의 환경 등의 다양성에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다만 이런 다양한 프로그램이 일회적 인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운영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특별활동이 세 번째로 많은 것은 예술꽃 씨앗학교가 학교를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센 터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표Ⅲ-24> 성인프로그램(학부모 지역사회) 구분 동아리 특별활동 방과후 집중 연습 기타 합계
빈도 162 39 3 119 323
비율 50.2 12.1 0.9 36.8 100
2.4 운영지원체제 운영지원체제 관한 분석을 위해 홍보활동, 자체평가활동, 연계프로그램, 프로그램 관리, 예산 사용, 예산 확보에 대한 것을 조사하였다. 첫째, 홍보활동의 경우를 보면 지역 언론매체(19.3%)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발표회, 공연 (15.0%), 학교 홈페이지(14.1%), 교내 발표회(13.9%)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지 역사회의 문화예술 거점학교가 되기 위해서 지역의 언론매체를 활용해 홍보활동을 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주민이 가장 쉽게 지역의 소식을 접할 수 있는 수단이며 지역사회 의 공동관심사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지역주민은 예술꽃 씨앗학교에 대해 알고, 문화 예술에 대해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계기가 된다. 홍보활동에 발표회, 공연이 15.0%로 두 번째 많은 것은 예술꽃 씨앗학교가 문화예술을 통해 지역주민들과 소통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주민들에게 발표회, 공연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예술꽃 씨앗학교 학생들 및 교직원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지역주민들에게도 열려 있다는 것 을 보여주는 의미도 있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71
<표Ⅲ-25> 홍보활동 구분 시·도 교육청 지역 언론매체 예술꽃 씨앗학교 홈페이지 소식지 발행 발표회, 공연 학교 홈페이지 대회 출전 리플렛 제작 예술꽃 씨앗학교 신문 제작 교내 발표회 기타 합계
빈도 146 260 27 64 203 191 64 108 45 188 54 1350
비율 10.8 19.3 2.0 4.7 15.0 14.1 4.8 8.0 3.4 13.9 4.0 100
둘째, 자체평가활동에 대한 것을 보면 평가회(39.0%)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설문지 (45.6%), 면담(7.7%), 관찰(7.7%)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가회가 가장 많은 것은 예술꽃 씨앗학 교가 매년 말(12월) 평가회를 개최해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평가회에서 학생들은 문화 예술 활동을 하며 학교 친구, 동네 친구, 지역주민, 학부모 등에게 문화예술을 통한 즐거움을 제공해준다. 또한 지역주민과 학부모들이 문화예술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설문지가 두 번째로 많은 것은 매년 말 실적보고서를 작성해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제 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예술꽃 씨앗학교는 자체적으로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고 있다. 설문지는 내년도 사업계획서를 작성 및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 예술꽃 씨앗학교에 대한 효과성 평가를 위해서는 관중들 앞에 보여 지는 평가회 나, 단답형으로 응답할 수 있게 한 설문지보다는 구체적으로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수혜 를 받고 있는 학생들의 내면을 파악하기 위한 면담 및 관찰 등이 더 적극적으로 진행되어야 한 다고 생각한다.
<표Ⅲ-26> 자체평가활동 구분 평가회 면담 관찰 설문지 합계
7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빈도 158 31 31 185 405
비율 39.0 7.7 7.7 45.6 100
셋째, 연계프로그램에 대한 것을 보면 교직원 연수(24.6%)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교직원 워크숍(20.2%), 캠프(15.7%), 교직원 체험 연수(14.0%)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비교적 다 양한 연계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교 직원들의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성을 높일 필요가 있고, 가장 좋은 방법은 교직원 연수라고 생각 된다. 또한 교직원 워크숍과 캠프, 체험 연수가 많은 것은 교직원사이의 의사소통기회를 확대할 것으로 보여 함께 연구하고, 의논하고, 도움을 주고받을 뿐 아니라 팀워크를 형성하는 데에도 유익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계프로그램은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이라는 분명한 목표를 위한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참여하는 태도도 남다를 것으로 생각되어 프로그램의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표Ⅲ-27> 연계프로그램 구분 교직원 워크숍 교직원 연수 컨설팅 교직원 체험 연수 축제 캠프 교육과정 개발 합계
빈도 213 259 81 147 120 165 67 1052
비율 20.2 24.6 7.7 14.0 11.4 15.7 6.4 100
넷째, 프로그램 관리에 대한 것을 보면 자체 평가 시행(43.2%)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컨설 팅(17.9%), 교직원 연구회 조직·운영(16.1%), 교·강사 동아리 조직·운영(10.0%)의 순으로 나타 났다. 교사들은 비교적 다양한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술꽃 씨앗 학교의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를 위해서 자체적으로 하는 평가가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 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매년 말 실적보고서 작성을 위해 자체적으로 평가를 해야 한다. 이를 통 해 예술꽃 씨앗학교가 문화예술적으로 전문성을 갖추고, 학생 및 교직원, 학부모, 지역주민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컨설팅이 두 번째로 많은 것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사업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매년 컨설팅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컨설턴트들은 담당 예술꽃 씨앗학교를 방문해, 프로그 램을 점검 및 평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전반에 대해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해 상담하기 때문에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73
<표Ⅲ-28> 프로그램 관리 구분 교직원 연구회 조직·운영 교·강사 연구회 조직·운영 교·강사 동아리 조직·운영 공개수업 실시 자체 평가 시행 컨설팅 합계
빈도 80 34 50 30 215 89 498
비율 16.1 6.8 10.0 6.0 43.2 17.9 100
다섯 번째, 예산 사용에 대한 것을 보면 예술강사(20.5%)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기자재 구 입(19.6%), 학생 체험활동(18.2%), 공연 관람 및 전시회, 박물관 견학(16.0%)의 순으로 나타났 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예산에서 예술강사가 가장 많이 차지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프로 그램을 예술강사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종료 후 많은 학교 들이 문화예술교육을 지속적으로 하고 싶지만, 예술강사비를 감당하는 것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자재 구입이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을 시작할 때, 분야별 필요한 기자재를 갖추고 있는 학교가 많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표Ⅲ-29> 예산 사용 구분 예술강사 씨앗가꿈이 기자재 구입 교·강사 워크숍 및 연수 활동 학생 체험활동 공연 관람 및 전시회, 박물관 견학 지역 축제 합계
빈도 269 63 258 179 240 211 96 1316
비율 20.5 4.8 19.6 13.6 18.2 16.0 7.3 100
여섯째, 예산 확보에 대한 것을 보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88.5%)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 로 시·도 교육청(8.2%), 시·도·군·구청(2.3%), 지역단체(0.7%)의 순으로 나타났다. 1기에서 6기 까지의 사업계획서를 분석한 것이기 때문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예산을 가장 많이 확 보한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시·도 교육청이 두 번째로 많은 것은 몇 개의 예술꽃 씨앗학교가 시·도 지정 자율형 학교 또는 혁신학교 등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사업계 획서를 분석한 것이므로 직접 학교를 방문해서 면담을 하거나,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을 해 야 한다.
7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30> 예산 확보 구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시·도 교육청 시·도·군·구청 지역 단체 지역 기관 지역 기업 학부모회 대기업 합계
빈도 269 25 7 2 0 1 0 0 304
비율 88.5 8.2 2.3 0.7 0 0.3 0 0 100
2.6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계획서 및 보고서 분석에서 나타난 특성 이상의 분석에서 나타난 예술꽃 씨앗학교의 특성을 정리하면 <표Ⅲ-31>과 같다. 예술꽃 씨앗학교의 좋은 선례 학교들이 있으므로 각 학교들은 자발적으로 취사선택해서 나름 대로 로드맵을 만들고 예술기반 학교운영을 하고 있다. 사업계획서와 보고서 분석에서 나타난 7 가지 특성은 관련 연구 분석의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 문화예술역량신장과 생활화를 위해 학생과 학부모 등의 동아리 활동이 활발하고, 교사의 연수 및 캠프 등 교육역량을 기르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목표의 방향성의 한 단면 을 보여준다. 지속성을 담보하기 위한 로드맵을 중시하고 있으며, 예술강사와 교사의 협업의 노 력이 강조되었다. 예술교육 내용의 통합성을 교육과정재구성,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후 학교 등 에서 추구하였다. 지역의 연계성을 위해 지역의 예술인, 대학, 교육청과 교류를 하였다. 지역 거 점 문화예술교육학교로서 표현, 공연 또는 발표하는 기회를 많이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보여주 기 위한 행사라는 비판도 있으나 실제 참여한 사람들에게는 문화예술의 미적 체험, 소통, 그리 고 자신감과 자존감 등 유의미한 교육적 체험을 갖게 된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75
<표Ⅲ-31>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계획서 및 보고서 분석에 나타난 특성 특성
기본
선택
사업 정체성
·문화예술기반 학교운영
목표의 방향성
·문화예술의 생활화와 문화예술역량강화 위해 동아리 활동 강조 ·교사연수, 캠프 등 역량향상 노력 활발
대상의 차별성
·소외지역 ·400명 이하 소규모 학교 ·학생, 학교, 학부모, 지역사회
·초등과 중등 연계 ·대상이자 주체
기간의 지속성
·로드맵 활용 ·예술강사와 교사의 전문성을 결합한 워크 북 제작 등으로 인적 자원 교체 후에도 지속성 유지 노력필요
·자립을 위한 자구책 ·일부 추가 지원 기대
예술교육 내용의 통합성
·일반교과와 통합교육과정 지향하나 창의 적 체험활동 및 방과후 학교활용이 중심
·다양한 통합 유형 인정 ·창의적 체험활동 활용 ·방과후 학교 활용
자원의 연계성
·지역 대학, 지역문화재단, 지역예술인 활 용하는 비율이 낮음 ·지역사회에 발표기회 많이 가짐 ·교육청을 비롯한 지역 유관기관과 협력 ·지역 언론 등에 홍보 활발
·마을 단위이상의 지역화 ·문화예술기관과의 협력
운영의 효과성
·효과의 범위(인적) -학생의 예술성과 인성 -교사의 예술교육역량 -학부모의 예술역량 -지역주민의 예술열량 ·효과의 범위(물적) -악기 등 예술기자재 활용 -학교의 예술 환경 개선 -지역의 예술 환경 개선
·지역사회의 활력 ·홍보 효과 ·학교 및 지역의 이미지 제고
3.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 평가보고서 및 면접조사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에 대한 컨설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학교의 의사소통에 큰 도움을 주고, 지원과 운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기회가 된다. 컨설팅은 <표Ⅲ-32>와 같이 운 영된다.
7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32> 컨설팅 평가 운영 내용(장현선 외, 2014) 세부 과업
도출 내용
(1)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풀 구성 및 매뉴얼 제작
·컨설팅단 구성(총 13명) -학교 중점 분야별 전문가와 기획 전문가 매칭 구성 -학교별 2인 1조 운영 ·컨설팅 매뉴얼 개발 -2010년, 2011년, 2013년 평가 지표 재구성 -평가 지표별 매뉴얼 개발
(2) 예술꽃 씨앗학교 현장방문 컨설팅 및 평가 진행(총 27개교 전수)
·사업계획서 및 서면평가서에 따른 현황 진단 -학교별 상황 파악 및 컨설팅 주제 명확화 ·현장 컨설팅 및 평가 진행 -시범조사(Pilot Test): 지표/매뉴얼 타당성 검증 -본 조사 진행: 성과 종합 분석 및 우수 사례 발굴
(3) 차 년도 사업 운영에 필요한 발전 방향 제시
·차 년도 사업계획 컨설팅 운영 -현장 방문한 동일 학교 사업계획서 검토 및 의견서 작성
2015년 실시된 컨설팅 과정에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1 운영기반조성 3.1.1 예술강사 섭외 예술강사는 예술 기능의 전문가이기 전에 예술교육에 대한 의지와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을 잘 이해하고 교사와 잘 협업할 수 있는 이를 섭외해야 한다. -예술강사 섭외는 교육계획을 수립할 때부터 필요하며 당해에 섭외하기보다는 직전 해 12월경부터 본 격적인 섭외가 이루어져야 1년간의 원활한 운영이 가능함 -교사가 큰 커리큘럼을 계획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이를 적극 지원할 수 있는 예술강사를 섭외하여 활 동의 체계성과 연속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 -기능적인 것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측면을 끊임없이 고민하는 예술강사를 섭외해야 함. 예술가를 섭외 하더라도 예술교육을 할 의지가 있는 이를 섭외해야 함 -예술강사 섭외 시 예술기능적인 실력 측면보다는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을 잘 이해하고 문화예술의 교 육적 의미를 함께 만들어나갈 수 있는 의지가 있는지가 중요할 수 있음
3.1.2 예술강사 관리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은 학교교육에 기반 해서 교사가 기획, 관리해야 하며 교육진행은 예술강사가 하더라도 충분한 협의와 의사소통이 전제되어야 한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77
-학년 초, 학교와 예술강사 간의 소통과 협의를 위해 논의 구조를 마련해야 함 -예술강사에게 학교교육 커리큘럼을 이용하면 차후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려줘야 함 -예술강사가 예술기능적인 측면만이 아닌 교육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여 수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 차원에서 자세하게 안내해주어야 하며 긴밀한 소통 구조 일종의 컨트롤 타워 구축 이 필요함 -예술강사가 진행하더라도 학교 안에서 행해지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교과 수업과 맞아야 함. 이를 위해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의 교육적 기획 전반은 교육과정 및 수업의 전문가인 교사가 담당 해야 하고, 예술강사에게 자세하게 안내 및 요구하며 소통하는 것이 중요함
3.1.3 교육과정 계획 교육과정은 전체와 부분 계획이 체계성과 유연성이 함께 있어서 방향성을 잃지 않고, 시의 적 절하게 대처하여 변경할 수도 있도록 유기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다양한 상황들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너무 상세한 계획보다 분기나 학기별로 나누어서 큰 계획을 세워 운영하는 것이 좋음 -하나의 커다란 주제나 방향을 정하고 학년별로 조금씩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좋음(예: 1년차에서 기능 습득에 주력하였다면, 2년차에는 하나의 주제를 학년별로 어떻게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할 것인지를 생 각하는 것이 좋음)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과 관련하여 학교경영에 있어 중점적인 인성 덕목도 녹아 낼 수 있음(예: 1인 1 악기 장비 대여 관련 서약, 예술꽃 씨앗학교 문화예술 미션 완수 책임감 등)
3.1.4 장비 관리 매뉴얼 마련 지속적 예술교육을 위해 장비관리도 중요한 역할로 강조되어야 한다. -꾸준한 사업 운영을 위해서 장비 관리가 중요(예: 카메라는 촬영 후 바로 장비 체크하고 관리에 신경 을 써야 하며 장비 사용에 대한 매뉴얼 반드시 필요)
3.1.5 학생 능력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시도 학생의 예술적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해 다양하고 자율적 활동을 지도하되 기록 활동을 많이 활용해야 한다. -한두 가지의 예술적 기능 습득을 목표로 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표현력, 의사소통력, 예술적 심미안을 기 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체험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는 학생 능력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함 -학생들의 단순 예술 활동 참여 뿐 아니라 활동 콘텐츠를 기록하고 편집하는 미디어 편집도 함께 시도 해 볼 필요 있음
7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3.1.6 고학년-저학년 학생 간 협력적 분위기 조성 교사나 예술강사만이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할 것이 아니라 고학년-저학년 간의 동료교수와 협력을 통한 배움의 기회도 극대화 할 필요가 있다. -학년 간 서로 간에 활동을 지원하며 결과물을 공유하는 등 협력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 -최근 각광받고 있는 미술계 아카이브성 작품들의 제작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차용하여, 학년별로 다른 학년 학생들이 작업하는 과정을 촬영하고, 제작 과정 자체를 작품화하는 활동을 서로 간에 진행할 수도 있음
3.2 문화예술교육과정(교과+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3.2.1 학년별 차별화된 통합교육과정 운용 학생들의 발달심리이론과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여 효율적인 문화예술교육 진행이 필요하다. -학년 수준과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특색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함(예: 1-2학년 활동/놀이중심, 3-4 학년 기초, 5-6학년 심화/표현) -각 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과별 창의적 교육방법론을 찾아 예술과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음
3.2.2 정규 수업 시간 내 통합형 프로젝트 활동 운용 가능한 정규 수업내의 교과통합형 프로젝트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성과 효과 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방과후가 아닌 정규 수업 시간 내에 교과 통합형 프로젝트 활동을 운용한다면, 예술교육을 다른 교과 와 접목하여 다양한 예술교육적 방법을 모색할 수 있으면서도 아이들 관리 측면에서도 효율적임(예: ‘상 상력 프로젝트’를 주제로 미술, 음악, 과학 통합 수업을 운영하였으며, 공연 관람 후 공연에 사용된 악 기 분석 및 느낌 표현 등의 체험 활동을 진행)
3.2.3 학생 개별화 지도 방안 모색 학생들에 따라 예술에 대한 적성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한 운영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행복한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해당 악기나 활동에 관심 없는 학생을 위한 지도 방안을 따 로 마련해야 함(예: 학교가 선정한 분야가 아닌 다른 예술분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자율 권을 보장해야 함. 또는 예술 매니저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여 역할을 부여하는 것도 좋은 방안)
3.2.4 예술 영역 간 통합 수업 시도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79
예술 영역(분야) 간 통합 수업을 통해 예술교육의 효율성, 창의성, 그리고 기능보다는 예술적 융합적 감성을 개발하는 프로그램도 필요하다. -(미디어+미술) 다양한 매체를 사용해서 심리적, 정서적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중요(예: 빛 또는 소리, 카메라 등을 활용하여 예술작품화 함. 비닐에 사람을 그리고 그에 어울리는 배경은 디지 털 카메라로 찾아 삽입하는 방식 등) -(음악 내 통합) 합창의 스토리를 구성하여 아카펠라 등 접목하여 통합적으로 구성
3.2.5 익숙하면서도 새롭고 다양한 예술 체험의 기회 제공 전통 예술만 고집하지 말고 현대 예술의 장점을 살린 다양한 실험들도 예술교육체험으로 제 공할 필요가 있다. -현대미술적인 요소를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실행(예: 대지미술에 대해 교육을 시도할 때, 땅에 홍두깨, 골동품시장에서 나올법한 것, 중국 작가가 쓰다 남은 붓, 아날로그 코닥 필름 등을 묻고 접근금지, 발 굴중이라고 써놓고 이에 대해 신문기사를 만들도록 함) -일상적인 공간을 새롭게 볼 수 있는 안목을 형성시켜줄 수 있음(예: 일상적으로 접하는 ‘항구 소리’의 내재적 가치 새롭게 발견) -색을 가르칠 때, 색의 이름을 아는 것뿐 아니라 해당 색에 대한 느낌이나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음 -예술꽃 씨앗학교 과정을 가공하여 연극 및 영상으로 만들어 발표할 수 있음 -세팅(연습) 발표가 아니라 즉흥적으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놀이 공연도 가능
3.3 지역연계 문화예술 향유 3.3.1 지역문화센터 및 관련 기관 및 단체와 연계 기획에서부터 지역문화예술 관련 기관과의 협조를 고려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학교를 벗어 나 다양한 배움과 공연활동을 할 수 있고, 시설 등의 편의를 활용할 수 있다. -단위 학교 내에서 독자적으로 하는 방식만으로는 분명한 한계가 있으며,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부터 운영-평가 단계에서까지 관련 문화예술 기관 및 단체와 협력하여 운영하는 일종의 네트워크 체계가 사 업의 지속성 및 성공을 결정하는 요소임 -지역문화예술센터 및 관련 단체들과 연계하여 공연, 프로그램, 강사 정보 등 공유하고 소통하는 것이 필요 -지역문화예술센터에서 진행하는 관련 사업과 연결하면 교사 업무 부담 경감에도 도움 됨 (예: 인천문화재단의 음악 바우처 사업 활용하여 관련 캠프 운영 가능 전주 전통문화전당에서 개발한 교재교구 지원 가능 부산문화재단에서 초등 3~4학년 대상으로 개발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계) -박물관과 MOU를 맺어 프로젝트 활동 시 도움을 받을 수 있음 -지역문화예술 공연 강당 대여 협조가 유용함
8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3.3.2 지역 예술가 인력 연계 지역 예술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서 네트워크도 만들고 지속적 예술교육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지역 예술가 자원을 활용해야 해당 지역사회 문화예술가들의 네트워크와의 협력도 용이해질 수 있으며, 예 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종료이후에도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단위학교차원 → 지역차원) -해당 지역 출신의 예술강사가 해당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여 예술 활동을 전개하는 것에 유리할 수 있음
3.3.3 지역주민에게 다양한 예술 참여의 장(예: 축제 등) 제공 지역 축제, 봉사 등 지역의 각종 행사에 중요한 역할로 많이 참여하는 것이 좋다. -학생뿐 아니라, 지역주민, 해당 학교 동창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개발(예: 동문과 연계하 여 활동 운영할 수 있음) -지역사회에서 축제를 개최하여 지역사회의 관심과 학부모님의 참여 유도(예: 의귀의 지역축제의 경우 학교축제가 지역축제로 되었음. 학부모회와 연계하여 ‘One day 민박’ 운영) -축제 기획 때, 학부모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사전 미션 부여(예: 학생들이 사전 미션으로 집에서 가 져온 오래된 천을 새롭게 제작하여 축제에 작품으로 전시) -연 1-2회 이상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을 지역봉사 활동과 연계하여 진행(예: 독거노인 생일 축하 활동(악기 연주, 합창, 예술 작품 등 증정))
3.3.4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의 지역화 시도 프로그램 자체를 지역화 할 필요가 있다. -지역의 지형지물을 활용하여 이를 예술 작품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 제공(예: 바닷가라는 특유의 지 형지물을 활용한 공예교육, 우리 마을에만 있는 것을 촬영하여 편집하기(고향에 대한 ‘기억화’ 작업), 학 교 및 지역사회 공간 및 사물 각각에 담긴 이야기를 찾아 표현하기 등) -자매결연 학교에 지역 특산물을 선물하거나, 지역에 초대해 문화교류 시도
3.4 운영지원체제 3.4.1 교사 연수 교사와 예술강사 모두 동료교수(peer tutoring)의 기회가 많아짐으로 이를 적극 활용해서 교사 와 예술강사 모두 시너지효과를 통해 예술교육역량을 신장하는데 적극 활용해야 한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81
-교사 스스로 문화예술에 대한 의식이 변화되어 다른 학교에 가서도 문화예술의 작은 씨앗이 될 수 있 어야 함 -예술교육을 전담하는 교사가 따로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되며, 장기적으로는 교사 스스로 직접 다양한 예술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교사 스스로 직접 예술을 느끼고 체험해 봐야 지도가 가능하며 문화예술과 친밀해지도록 교육받아야 함(예: 악기나 공예 활동 등을 통해 교사 스스로 감성 표현을 체험할 수 있어야 함) -연구회나 연수를 통해 교사 전문성에 관한 별도의 노력을 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함(예: 방학 때 연극 연수를 직무연수 형태로 운영하거나 학기 중에 연구회를 구성하여 연수를 할 수도 있음) -예술강사가 교사 연수 강사로 참여하는 것도 가능함 -교사는 문화예술 활동의 의미를 단순히 ‘학생들이 예술 활동에 즐겁게 참여한다.’에서 찾을 뿐 아니라, 교육적 차원으로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함. 해당 예술 활동이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지닐지, 혹시 놓치고 있는 부분은 없을지 문제점을 보완하고 교육적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후속적인 노 력이 필요할 지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할 필요가 있음
3.4.2 교사 연구 모임 조직 교사는 교육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사 간의 협업이나 공동연구는 시너지 효과를 가 질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 연구 모임을 활성화하고 그 기록을 남기는 것이 교사가 바뀌더라도 예술교육을 지속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연구 모임에 예술강사의 자문을 받도록 한다. -연구 모임의 취지와 목표를 정확하게 알고 참여하는 교사를 중심으로 모임을 조직할 수 있음 -교사 간 운영상의 어려움, 문화예술교육 관련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정기적인 연구 모임, 소동아리 모임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 -연구 모임에서 자문위원으로 씨앗가꿈이나 교육대학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전문가 등이 할 수 있음
3.4.3 교사-예술강사 워크숍 조직 교사와 예술강사의 협력은 각자의 교육역량을 신장시켜줄 뿐만 아니라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기대 이상의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워크숍 등으로 협력의 기회를 많이 가져야 한다. - 교사 뿐 아니라 예술강사들도 사업의 주체로서 교사와 더불어 사업 과제 및 목표를 만들어갈 수 있 도록 협의할 수 있는 워크숍을 정기적으로 운영한다면 보다 밀도 있는 기획 및 운영이 가능함 -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 목표를 교사와 예술강사가 공유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협의체를 마련해야함
3.4.4 상시적 컨설팅 전문가의 상시적 컨설팅이 필요하다. 안에서 보는 것과 밖에서 보는 것이 다르므로 교사와 예 술강사는 자신의 교육행위를 반성하는 계기도 되고, 전문가는 현장을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 또
8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한 이 과정에서 유사 다른 학교의 사례를 공유하는 기회도 된다. -중점 영역 전담 자문위원의 꾸준한 컨설팅이 필요 -자문위원으로 해당 지역 대학 교수를 활용할 수 있음 -과거 예술꽃 씨앗학교 선생님들과의 소통 및 컨설팅 일정부분 필요
3.4.5 씨앗가꿈이 인력 활용 프로그램 기획을 돕고, 예술강사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며 확보하고, 교사와 예술강사의 소통 역할을 하며 교사의 교육활동을 돕는 역할을 하는 씨앗가꿈이의 활용을 극대화한다. -씨앗가꿈이와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능력이 결합되면 문화 네트워크(센터, 재단과의 네트워크)가 형성 될 수 있음 -예술강사 채용이 예술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현실에서, 씨앗가꿈이는 학교와 예술강사 간 중요한 소통의 통로임 -씨앗가꿈이 인력을 교사 연구회나 연수에 참여시킴으로써 해당 예술꽃 씨앗학교의 목표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안내
3.4.6 워크북 제작 및 활용 연간 교육활동과 교육방법, 주요 결과 등을 기록하고, 지속적으로 보완·개선하여 학교만의 교 재, 교안제작을 적극 권장한다. -예술강사와 교사 활동을 관찰하여 기록해야 함(이유: 추후 예측 가능한 수업을 위해 필요한 작업임) -뮤지컬 등 종합예술 활동의 경우 예술꽃 씨앗학교 때, 만들어놓은 곡이나 율동, 대본 등이 지원이 끝 난 이후에 추후 공연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3.4.7 아카이빙의 중요성 문화예술교육 결과를 기록하고 공유할 아카이빙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아카이빙은 복잡한 설계가 아닌 순간을 기록하는 것으로, 촬영, 녹음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 가능 -예술꽃 씨앗학교는 4년간의 한시적인 기간 동안 진행되기 때문에 아카이빙이 반드시 필요(이유: 아카 이빙이 잘 되어 있으면 사업 종류 이후에도 사업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음) -아카이빙에 학생, 학부모도 참여하게 함으로써 교사의 업무 경감뿐 아니라 다양한 체험의 기회 제공 가능 -아카이빙을 해 놓은 그 자체가 학교 홍보자료로서 기능할 수 있음
3.5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 평가보고서 및 면접 조사 분석에서 나타난 특성 이상의 분석에서 나타난 예술꽃 씨앗학교의 특성을 정리하면 <표Ⅲ-33>과 같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83
컨설팅인 만큼 매우 구체적이고 정교한 논의들이 많았다. 특히 목표의 방향성을 분명하기 위 해 예술강사의 채용에서부터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이 강조되었다. 대상에 대한 구체적 활동이나 노하우 등도 많이 논의되었다. 지속성을 위해서는 교사와 예술강사의 협력 및 교육력 신장의 기 회로 삼아야 한다는 논의가 많았다. 통합성을 강조하였고, 통합의 방법도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자원의 연계성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많은 조언이 있었다. 운영의 효과성을 위해 상시적 컨설 팅과 장비관리 매뉴얼 활용도 조언하였다.
<표Ⅲ-33>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 평가보고서 및 면접조사 분석에 나타난 특성 특성 사업 정체성
기본
선택
·문화예술기반 학교운영
목표의 방향성
·문화예술의 생활화와 문화예술역량강화 위해 예술강사 적극 활용
대상의 차별성
·고학년-저학년의 협력과 배움 활용 ·학생 개별화 지도
·씨앗가꿈이 인력 활용
기간의 지속성
·예술강사와 만남의 일상화를 최대한 이용 교사의 역량신장 ·교사 연구 모임 조직 ·워크북 제작 및 활용
·예술강사의 섭외의 중요성 -예술꽃 씨앗학교 이해도 -교사와 협업 가능
예술교육 내용의 통합성
·일반교과와 통합교육과정 지향 ·예술분야 간 통합 수업 ·교사와 예술강사의 워크숍으로 통합교육 과정 구성
자원의 연계성
·지역문화센터 및 ·지역예술가 인력 ·지역주민의 참여 ·프로그램 자체의 ·아카이빙 활용
관련 기관 단체와 연계 연계 극대화하는 장을 마련 지역화
운영의 효과성
·상시적 컨설팅 ·장비관리 매뉴얼 ·학생의 향유와 표현의 기회 보장
·외부 전문가의 협조
4.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 설문조사 분석 여기서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현황을 조사 분석해서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구안에 필 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현재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상황은 그림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 다. 학교, 가정, 지역사회의 벽을 허물고 소통하며 학교에서는 학교교육과정은 물론 평생교육기 관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과 연계하여 문화예술을 일상적으로 향유하여 전인적 발달을 도모한다. 이에 예술꽃 씨앗학교는 마을 단위의 지역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의 거 점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초창기에는 운영기반을 조성하고, 4년차에는 운영지원체제를 완성하
8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여 지원사업이 종료되어도 자립적이고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 거점학교의 위상을 유지한다.
예술교육 지역 거점학교
운 영 기 반 조 성
문화예술교육과정 운영 지역연계 문화예술 향유
소외된 지역 소규모 학교 4년간의 지속적 지원으로 자생력 신장 지역사회와 함께 만드는 예술기반학교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으로 생활화
운 영 지 원 체 제
문화예술중심교육으로 전인적 발달과 소통 [그림Ⅲ-4]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운영 계획에서부터 관련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강사 섭외, 프 로그램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교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은 학교교육 과정 및 수업의 전문가이지만 예술분야를 전공한 경우는 거의 없다. 이에 따라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가 프로그램 운영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어떠한 영역에서 다소간의 어려움을 느끼는 지를 이해하는 것은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절에서는 현재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41명을 대상으로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의 교직경력을 보면, 16년 이상 (43.9%), 6년 이상 16년 미만(36.6%), 6년 미만(14.6)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여자 (61.0%), 남자(39.0%)로 여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별로 보면, 초등학교(87.8%), 중 등학교(12.2%)로 나타났다. 담당하게 된 시기를 보면, 예술꽃 씨앗학교를 1차 년도부터 담당하 게 된 경우가 48.8%, 중간부터 담당 51.2%로 나타났다. 분야별로 보면, 음악(서양악)(26.8%), 시각(도·공예)(7.3%), 음악(국악)(4.9%), 음악(퓨전관현악)(4.9%), 시각(영화)(4.9%), 시각(영상·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85
애니메이션)(4.9%), 시각(미술)(4.9%), 통합(전통문화)(4.9%), 통합(총체극)(4.9%), 음악(합 창)(2.4%), 시각(디자인)(2.4%), 시각(사진)(2.4%), 공연(뮤지컬)(2.4%), 통합(연극미술)(2.4%), 통합(커뮤니케이션)(2.4%), 통합(프로젝트)(2.4%), 시각(뉴미디어아트)(2.4%)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술꽃 씨앗학교를 운영하는 이유에 대한 응답은 예술교육의 결핍을 보완(48.8%), 창의·인성교 육에 도움(41.5%), 기타(5.4%), 예술적 재능 발굴(2.4%)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Ⅲ-34>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의 일반적 특성 단위: 백분율(%) 구분 6년 미만 6년 이상 16년 미만 16년 이상 남자 여자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음악(국악) 음악(서양악) 음악(합창) 음악(퓨전관현악) 시각(영화) 시각(디자인) 시각(도·공예) 시각(사진) 시각(영상·애니메이션) 시각(미술) 공연(뮤지컬) 공연(연극) 통합(연극미술) 통합(커뮤니티아트) 통합(전통문화) 통합(프로젝트) 통합(총체극) 시각(뉴미디어아트) 예술교육의 결핍을 보완 창의·인성교육에 도움 예술적 재능 발굴 기타
교직경력 성별 학교급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
분야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이유 합계
비율 14.6 36.6 43.9 39.0 61.0 87,8 12.2 48.8 51.2 4.9 26.8 2.4 4.9 4.9 2.4 7.3 2.4 4.9 4.9 4.9 2.4 4.9 2.4 4.9 2.4 4.9 2.4 48.8 41.5 2.4 4.9 100.0
결과분석은 운영기반조성, 문화예술교육운영, 지역연계 문화예술 향유, 운영지원체제로 나누어 살펴본다.
8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4.1 운영기반조성 4.1.1 지역 출신 예술강사 섭외 운영기반조성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우리 지역 출신 예술강사가 많다.’에 대한 응답 을 보면 36.6%가 긍정적이었지만, 부정적인 경우도 똑 같이 36.6%나 되었다. 상당수의 예술꽃 씨앗학교가 지역 출신 예술강사를 활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해당 지역 출신의 예술강사를 섭외하는 것은 이들이 해당 지역예술단체 및 협회 등과의 연계 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 예술교육 실행 시 지역화 소재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지원사업 종료 후에도 참여 가능성이 높다는 점 여러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에 따라 예술꽃 씨앗학교 가 지역거점형 예술교육학교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역 출신 예술강사를 보다 적극적으로 채용할 필요가 있다.
<표Ⅲ-35> 우리 지역 출신 예술강사가 많다.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8.3 0.0 15.0 0.0 7.3
아니다
보통
그렇다
25.0 60.0 35.0 23.8 29.3
27.8 20.0 15.0 38.1 26.8
25.0 0.0 20.0 23.8 22.0
매우 그렇다 13.9 20.0 15.0 14.3 14.6
계 100 100 100 100 100
통계치 p= .446 p= .259
4.1.2 운영 주체(관리자,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 강사) 간의 상호작용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목표달성은 관리자의 의지만으로, 담당교사의 열정만으로, 학부 모나 지역주민의 요구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다. 서로 간의 유기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이 중요 한 요소이며, 이를 알아보기 위해 담당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정도를 살펴보았다.
○ 관리자 ↔ 교사 우선 관리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관리자와 교사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응답을 보 면 긍정적 대답이 95.1%였다. 즉 관리자와 교사의 상호작용은 매우 긍정적으로 활발하게 이루 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87
<표Ⅲ-36> 관리자와 교사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5.6 0.0 5.0 4.8 4.9
25.0 20.0 30.0 19.0 24.4
매우 그렇다 69.4 80.0 65.0 76.2 70.7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822 p= .710
○ 관리자 ↔ 예술강사 ‘관리자와 예술강사의 상호작용’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도 78.0%로 대체적으로 원활하게 진행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응답은 7.3%로, 1차 년도부터 예술꽃 씨앗학교를 담당한 교사들 중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관리자와 예술강사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표Ⅲ-37> 관리자와 예술강사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2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5.6 0.0 15.0 0.0 7.3
16.7 0.0 20.0 9.5 14.6
36.1 0.0 20.0 42.9 31.7
매우 그렇다 41.7 80.0 45.0 47.6 46.3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152 p= .132
○ 관리자 ↔ 학부모 ‘관리자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응답 또한 긍정적인 응답이 90.2%로 매우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자와 학부모 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관리자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 할 수 있다.
8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38> 관리자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학교급 담당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11.1 0.0 5.0 14.3 9.8
38.9 40.0 55.0 23.8 39.0
매우 그렇다 50.0 60.0 40.0 61.9 51.2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725 p= .110
○ 관리자 ↔ 학생 ‘관리자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대한 긍정적 응답 또한 9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즉 관리 자와 학생의 상호작용도 매우 긍정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Ⅲ-39> 관리자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학교급 담당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2.8 0.0 5.0 0.0 2.4
33.3 40.0 35.0 33.3 34.1
매우 그렇다 63.9 60.0 60.0 66.7 63.4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902 p= .568
○ 관리자 ↔ 지역주민 ‘관리자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응답을 보면 긍정적인 대답이 70.8%로 대체 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응답은 2.4%로, 1차 년도부터 예술꽃 씨앗학교를 담당 한 초등교사들 중 일부가 관리자와 지역주민 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응답 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관리자와 지역주민 간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 다고 보았다. <표Ⅲ-40> 관리자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2.8 0.0 5.0 0.0 2.4
27.8 20.0 20.0 33.3 26.8
44.4 20.0 45.0 38.1 41.5
매우 그렇다 25.0 60.0 30.0 28.6 29.3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439 p= .603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89
○ 교사 ↔ 예술강사 ‘교사와 예술강사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답변이 97.6% 매 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교사와 예술강사 간의 상호작용이 매우 긍정적으로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리자와 예술강사와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비율(78%)보다 높은 편이었다.
<표Ⅲ-41> 교사와 예술강사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2.8 0.0 5.0 0.0 2.4
0.0 0.0 0.0 0.0 0.0
19.4 40.0 25.0 19.0 22.0
매우 그렇다 77.8 60.0 70.0 81.0 75.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558 p= .502
○ 교사 ↔ 학부모 ‘교사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응답 또한 긍정적인 답변이 87.8%로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대체적으로 교사와 학부모와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 식하고 있었다.
<표Ⅲ-42> 교사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2.8 0.0 5.0 0.0 2.4
8.3 20.0 5.0 14.3 9.8
47.2 20.0 50.0 38.1 43.9
매우 그렇다 41.7 60.0 40.0 47.6 43.9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609 p= .490
○ 교사 ↔ 학생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97.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 간 의 상호작용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가 중등학 교 교사에 비해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9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43>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0.0 20.0 0.0 4.8 2.4
8.3 20.0 10.0 9.5 9.8
매우 그렇다 91.7 60.0 90.0 85.7 87.8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016 p= .614
○ 교사 ↔ 지역주민 이에 비해 ‘교사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63.4%로 다른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에 비해 낮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리자와 지역주민 간의 상호작용에 대 한 긍정적인 응답 비율(70.8%)보다도 낮은 편이어서 교사와 지역주민 간의 소통의 필요성을 제 기한다.
<표Ⅲ-44> 교사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5.6 20.0 10.0 4.8 7.3
30.6 20.0 25.0 33.3 29.3
47.2 40.0 40.0 52.4 46.3
매우 그렇다 16.7 20.0 25.0 9.5 17.1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683 p= .493
○ 예술강사 ↔ 학부모 ‘예술강사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응답을 보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51.3%에 불과했다. 이는 예술강사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97.6%, 예술강사와 관리자와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78.0%였던 것에 비해 다소 낮은 수치이다. 즉 예술강사는 주로 학부모보다는 학교 교사나 관리자들과 소통하는 경향 성이 분명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점은 예술강사가 학부모와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확보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91
<표Ⅲ-45> 예술강사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아니다
보통
그렇다
11.1 0.0 15.0 4.8 9.8
38.9 40,0 35.0 42.9 39.0
27.8 40.0 30.0 28.6 29.3
매우 그렇다 22.2 20.0 20.0 23.8 22.0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852 p= .720
○ 예술강사 ↔ 학생 ‘예술강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92.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예 술강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Ⅲ-46> 예술강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5.6 20.0 10.0 4.8 7.3
11.1 20.0 10.0 14.3 12.2
매우 그렇다 83.3 60.0 80.0 81.0 80.5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400 p= .764
○ 예술강사 ↔ 지역주민 이에 비해 ‘예술강사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응답은 긍정적 응답이 41.5%에 불과했다. 이는 관리자와 지역주민 70.8%, 교사와 지역주민 63.4%에 비해 낮은 수치로서, 예술 강사와 지역주민 간의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설계되고 실행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표Ⅲ-47> 예술강사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9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아니다
보통
그렇다
16.7 20.0 15.0 19.0 17.1
44.4 20.0 30.0 42.9 41.5
27.8 40.0 25.0 33.3 29.3
매우 그렇다 11.1 20.0 20.0 4.8 12.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760 p= .510
○ 학생 ↔ 학부모 ‘학생과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응답을 분석했을 때, 긍정적인 답변이 92.7%로 매 우 높게 나타났다. 즉 학생과 학부모의 상호작용은 긍정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표Ⅲ-48> 학생과 학부모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5.6 20.0 5.0 9.5 7.3
41.7 20.0 50.0 28.6 39.0
매우 그렇다 52.8 60.0 45.0 61.9 53.7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402 p= .361
○ 학생 ↔ 지역주민 이에 비해 ‘학생과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51.2%에 불과했다. 이 는 관리자와 지역주민 70.8%, 교사와 지역주민 63.4%에 비해 낮은 수치이며, 예술강사와 지역 주민 41.5%에 비해서는 약간 높은 수치이다.
<표Ⅲ-49> 학생과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5.6 20.0 5.0 9.5 7.3
44.4 20.0 50.0 33.3 41.5
36.1 40.0 25.0 47.6 36.6
매우 그렇다 13.9 20.0 20.0 9.5 14.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569 p= .366
○ 학부모 ↔ 지역주민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에 대한 긍정적 응답 또한 58.6%에 불과한 것으로 나 타났다. 이처럼 지역주민과 다른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주체(학부모, 교사, 관리자)들 간의 상호 작용은 전반적으로 다른 상호작용 유형에 비해 부정적인 응답이 다소 높은 편이었다. 이는 예술 꽃 씨앗학교가 지역거점 교육학교로 자리 잡는 데 있어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향후 사업 의 지속성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비하여 지역민과의 다양한 소통의 기회 를 적극적으로 마련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93
<표Ⅲ-50>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의 정도 단위: 백분율(%)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아니다
보통
그렇다
11.1 0.0 5.0 14.3 9.8
30.6 40.0 35.0 28.6 31.7
30.6 20.0 30.0 28.6 29.3
매우 그렇다 27.8 40.0 30.0 28.6 29.3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784 p= .788
4.2 문화예술교육과정 운영 예술꽃 씨앗학교는 가장 효과적인 학교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의 정착을 목표로 하 고 있으며 기존의 교육과정 중심 운영 시스템을 공고히 하면서도 문화예술교육 다양성 확대 및 지속가능성을 모색한다. 또한 예술의 내재적 가치의 외연과 내포를 학교교육을 통해 심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이 현실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예술꽃 씨앗학교 에서 문화예술교육과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4.2.1 예술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예술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90.2%로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경우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을 통해 예술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Ⅲ-51> 예술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5.6 0.0 5.0 4.8 4.9
2.8 20.0 0.0 9.5 4.9
25.0 40.0 35.0 19.0 26.8
매우 그렇다 66.7 40.0 60.0 66.7 63.4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283 p= .399
4.2.2 교양 차원의 예술프로그램 실시 ‘모든 학생을 위한 교양차원의 예술프로그램을 실시한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95.1%로 매 우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경우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을 통해 모든 학생을 위한 교양차원 의 예술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9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52> 모든 학생을 위한 교양차원의 예술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단위: 백분율(%)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아니다
보통
그렇다
5.6 0.0 5.0 4.8 4.9
0.0 0.0 0.0 0.0 0.0
22.2 40.0 15.0 33.3 24.4
매우 그렇다 72.2 60.0 80.0 61.9 70.7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625 p= .389
4.2.3 심화 프로그램 도입 이에 비해 ‘예술에 소질과 적성이 있는 학생을 위한 심화 프로그램을 실시한다.’에 대한 긍정 적 응답은 63.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응답은 26.8%로 일부 학교에서 별도의 심화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Ⅲ-53> 예술에 소질과 적성이 있는 학생을 위한 심화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단위: 백분율(%) 전혀 아니다 8.3 0.0 10.0 4.8 7.3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아니다
보통
그렇다
19.4 20.0 30.0 9.5 19.5
8.3 20.0 10.0 9.5 9.8
30.6 0.0 25.0 28.6 26.8
매우 그렇다 33.3 60.0 25.0 47.6 36.6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492 p= .397
4.2.4 통합교과 수업 실시 ‘가능한 교과통합 수업을 한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68.3%로 나타났다. 부정적 응답 비율 은 9.8%로 특히 중등학교 교사들 중 20%가 교과통합 수업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초 등교사보다 어려움을 겪는 경향성이 드러났지만, 통계적 유의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Ⅲ-54> 가능한 교과통합 수업을 한다.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8.3 20.0 5.0 14.3 9.8
22.2 20.0 15.0 28.6 22.0
27.8 60.0 40.0 23.8 31.7
매우 그렇다 41.7 0.0 40.0 33.3 36.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246 p= .434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95
4.2.5 프로젝트형 수업 실시 ‘예술을 활용한 프로젝트형 수업을 한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65.9%였다. 특히 중등학교 교사의 경우 프로젝트형 수업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40%에 불과하여 중등학교에서 프 로젝트 수업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향성이 일부 드러났지만, 통계적 유의도는 나타나 지 않았다. <표Ⅲ-55> 예술을 활용한 프로젝트형 수업을 한다. 단위: 백분율(%)
초등학교
전혀 아니다 0.0
8.3
22.2
27.8
매우 그렇다 41.7
중등학교
0.0
20.0
40.0
40.0
0.0
100.0
처음부터
0.0
5.0
25.0
30.0
40.0
100.0
중간부터
0.0
14.3
23.8
28.6
33.3
100.0
0.0
9.8
24.4
29.3
36.6
100.0
구분 학교급 담당
계
아니다
보통
그렇다
계
통계치
100.0
p= .322 p= .791
4.2.6 방과후 학교 활용 ‘예술프로그램은 방과후 학교를 활용한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6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 났다. 부정적인 응답은 26.8%로 예술프로그램을 방과후 학교로 진행하지 않는 경우도 일부 있 었다.
<표Ⅲ-56> 예술프로그램은 방과후 학교를 활용한다.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13.9 20.0 25.0 4.8
14.6
27.8 0.0 15.0 33.3
매우 그렇다 30.6 80.0 35.0 36.6
100.0 100.0 100.0 100.0
24.4
36.6
10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13.9 0.0 5.0 19.0
13.9 0.0 20.0 4.8
12.2
12.2
계
통계치 p= .213 p= .095
4.2.7 교과 수업 기반으로서 예술프로그램 운용 ‘모든 교과 수업의 기반으로 예술을 활용한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4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당수의 예술꽃 씨앗학교에서 교과 수업을 기반으로서 예술을 활용하는 것에 어 려움을 겪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술프로그램이 전 교과교육과정과 긴밀하게 연계되지 못한다 면 예술의 내재적 가치를 예술 기능적 측면에서만 소극적으로 활용할 위험이 있다는 제한점이
9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있다.
<표Ⅲ-57> 모든 교과 수업의 기반으로 예술을 활용한다.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20.0 5.0 0.0 2.4
아니다
보통
그렇다
16.7 0.0 15.0 14.3 14.6
36.1 80.0 45.0 38.1 41.5
27.8 0.0 20.0 28.6 24.4
매우 그렇다 19.4 0.0 15.0 19.0 17.1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014 p= .813
4.2.8 학생과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간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70.7%였다. 이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은 4.8%로 특히 중등학교 교사들이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 향성이 나타났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과정의 내용은 절대적이거나 고정된 것이 아니며 수업을 통해 학생들과 함께 다양한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어갈 수 있다는 식의 안 내와 사례들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표Ⅲ-58>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간다.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 20.0 5.0 0.0 2.4
아니다
보통
그렇다
2.8 0.0 5.0 0.0 2.4
25.0 20.0 25.0 23.8 24.4
41.7 60.0 40.0 47.6 43.9
매우 그렇다 30.6 0.0 25.0 28.6 26.8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055 p= .683
4.2.9 감성과 신체발달을 고려한 예술교육 ‘학생의 감성과 신체발달을 최대한 고려해서 예술교육을 한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90.2% 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등학교 교사들에 비해 학생의 감성과 신체발달을 고려한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경향성이 나타났다(p<.05).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97
<표Ⅲ-59> 학생의 감성과 신체발달을 최대한 고려해서 예술교육을 한다.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2.8 0.0 5.0 0.0 2.4
2.8 40.0 5.0 9.5 7.3
47.2 20.0 45.0 42.9 43.9
매우 그렇다 47.2 40.0 45.0 47.6 46.3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026 p= .714
4.2.10 수업 목표에 반영하는 비율 ‘수업 목표에 반영하는 비율’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78%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은 2.4%로 1차 년도부터 예술꽃 씨앗학교를 담당한 초등학교 교사들 중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프로그램을 수업 목표에 반영하고 있다고 인식하 고 있었다.
<표Ⅲ-60> 수업 목표에 반영하는 비율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2.8 0.0 5.0 0.0 2.4
19.4 20.0 20.0 19.0 19.5
61.1 80.0 70.0 57.1 63.4
매우 그렇다 16.7 0.0 5.0 23.8 14.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748 p= .284
4.2.11 수업 내용에 반영하는 비율 ‘수업 내용에 반영하는 비율’에 대한 응답은 긍정적인 답변이 85.4%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은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체로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을 수 업 내용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9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Ⅲ-61> 수업 내용에 반영하는 비율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11.1 40.0 20.0 9.5 14.6
66.7 40.0 60.0 66.7 63.4
매우 그렇다 22.2 20.0 20.0 23.8 22.0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222 p= .635
4.2.12 수업 평가에 반영하는 비율 이에 비해 ‘수업 평가 반영하는 비율’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61.0%로 수업 목표, 수업 내용 에 반영하는 비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을 수업 설계 단 계에서는 고려하지만 이를 평가단계에까지 고려하는 데에는 다소간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 악할 수 있다. <표Ⅲ-62> 수업 평가 반영하는 비율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5.6 0.0 5.0 4.8 4.9
33.3 40.0 40.0 28.6 34.1
52.8 60.0 50.0 57.1 53.7
매우 그렇다 8.3 0.0 5.0 9.5 7.3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851 p= .855
4.2.13 교수-학습 방법에 반영하는 비율 ‘교수-학습 방법에 반영하는 비율’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75.6%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은 2.4%로 1차 년도부터 예술꽃 씨앗학교를 담당한 초등학교 교사들 중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프로그램을 교수-학습 방법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Ⅲ-63> 교수-학습 방법에 반영하는 비율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2.8 0.0 5.0 0.0 2.4
19.4 40.0 15.0 28.6 22.0
58.3 60.0 60.0 57.1 58.5
매우 그렇다 19.4 0.0 20.0 14.3 17.1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581 p= .548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99
4.2.14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교과 수업의 분량 ‘우리 학교에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교과 수업의 분량 정도’에 대한 응답은 긍정적인 답변 이 73.1%로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부정적인 응답은 7.3%로 1차 년도부터 예술꽃 씨앗학 교를 담당한 교사들 중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교과 수업의 분 량에 대해서 대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Ⅲ-64> 우리 학교에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교과 수업의 분량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5.6 20.0 15.0 0.0 7.3
16.7 40.0 15.0 23.8 19.5
41.7 20.0 40.0 38.1 39.0
매우 그렇다 36.1 20.0 30.0 38.1 34.1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342 p= .288
4.2.15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방과후 학교의 분량 ‘우리 학교에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방과후 학교의 분량 정도’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85.3%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과 수업의 분량 정도 73.1%에 비해서 높은 수치이다. 부정적인 응답은 9.7%로 1차 년도부터 예술꽃 씨앗학교를 담당한 교사들 중 일부를 제외하고 는 대개의 경우 방과후 학교의 분량에 있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Ⅲ-65> 우리 학교에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방과후 학교의 분량 정도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5.6 20.0 15.0 0.0 7.3
아니다
보통
그렇다
2.8 0.0 5.0 0.0 2.4
5.6 0.0 10.0 0.0 4.9
44.4 0.0 30.0 47.6 39.0
매우 그렇다 41.7 80.0 40.0 52.4 46.3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259 p= .114
4.2.16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분량 ‘우리 학교에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분량 정도’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95.2%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즉 예술교육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통해서 매우 활발하게 이
10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Ⅲ-66> 우리 학교에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분량 정도 단위: 백분율(%)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5.6 0.0 0.0 9.5 4.9
38.9 60.0 50.0 33.3 41.5
매우 그렇다 55.6 40.0 50.0 57.1 53.7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623 p= .261
4.3 지역연계 예술꽃 씨앗학교는 단위 학교가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의 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단위학교 차원의 교육적 효과 그 이상의 지역 전체의 문화예술 활성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것이 현실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예술꽃 씨앗학교의 지 역과의 연계 측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4.3.1 지역사회 내 공연 ‘지역사회에서 공연할 기회가 많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63.4%였다. 부정적인 응답은 4.8%로 중간부터 예술꽃 씨앗학교를 담당한 초등교사들 중 일부가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응답 하였으며, ‘보통’이라고 답한 경우는 31.7%였다.
<표Ⅲ-67> 지역사회에서 공연할 기회가 많다.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2.8 0.0 0.0 4.8 2.4
아니다
보통
그렇다
2.8 0.0 0.0 4.8 2.4
30.6 40.0 40.0 23.8 31.7
36.1 20.0 40.0 28.6 34.1
매우 그렇다 27.8 40.0 20.0 38.1 29.3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916 p= .368
4.3.2 학부모 대상 예술프로그램 ‘학부모가 학교에서 배우는 예술프로그램이 많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61.0%였다. 보통 29.3%, 부정적인 응답은 9.8%로, 학부모 대상 예술프로그램이 보다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101
<표Ⅲ-68> 학부모가 학교에서 배우는 예술프로그램이 많다.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8.3 20.0 10.0 9.5 9.8
30.6 20.0 25.0 33.3 29.3
55.6 40.0 60.0 47.6 53.7
매우 그렇다 5.6 20.0 5.0 9.5 7.3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526 p= .844
4.3.3 지역주민 대상 예술프로그램 ‘지역주민이 학교에서 배우는 예술프로그램이 많다.’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39%에 불과한 것 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응답은 26.8%나 되었으며, 상당수의 예술꽃 씨앗학교에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예술프로그램을 운용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지역거점 예술교육학교로 자리매김하는 데 약점이 될 수 있다.
<표Ⅲ-69> 지역주민이 학교에서 배우는 예술프로그램이 많다.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27.8 20.0 35.0 19.0 26.8
36.1 20.0 20.0 47.6 34.1
36.1 40.0 40.0 33.3 36.6
매우 그렇다 0.0 20.0 5.0 0.0 2.4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054 p= .218
4.4 운영지원 체제 예술꽃 씨앗학교는 단위 교과 수업/창의적 체험활동이나 방과후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경영 차원에서 ‘문화예술’을 고려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여 나갈 수 있도 록 하는 운영지원체제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것이 현실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교경영(비전, 미션, 전략, 체제)에서 예술을 강조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 다.
4.4.1 경영 비전 ‘경영 비전에서 예술을 강조하는 비율’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97.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10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즉 대부분의 예술꽃 씨앗학교에서 학교경영 비전 수립에서부터 예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 중등학교 교사에 비해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는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표Ⅲ-70> 경영 비전에서 예술을 강조하는 비율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0.0 20.0 5.0 0.0 2.4
47.2 20.0 60.0 28.6 43.9
매우 그렇다 52.8 60.0 35.0 71.4 53.7
계
통계치
100.0 100.0 100.0 100.0 100.0
p= .018* p= .053
4.4.2 경영 미션 ‘경영 미션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100%로 나타났다. 모든 예술꽃 씨앗 학교에서 예술을 중요한 경영 미션으로서 여기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Ⅲ-71> 경영 미션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비율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47.2 60.0 60.0 38.1 48.8
매우 그렇다 52.8 40.0 40.0 61.9 51.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592 p= .161
4.4.3 경영 전략 ‘경영 전략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응답에서도 긍정적인 답변이 100%로 나타났 다. 즉 모든 예술꽃 씨앗학교에서 예술 중심의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 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103
<표Ⅲ-72> 경영 전략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비율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2.8 0.0 5.0 0.0 2.4
55.6 60.0 60.0 52.4 56.1
매우 그렇다 41.7 40.0 35.0 47.6 41.5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924 p= .461
4.4.4. 경영 체제 ‘경영 체제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92.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즉 대부분의 예술꽃 씨앗학교에서 학교경영체제 전반에 걸쳐 예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Ⅲ-73> 경영 체제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비율 단위: 백분율(%) 구분 학교급 담당
초등학교 중등학교 처음부터 중간부터 계
전혀 아니다 0.0 0.0 0.0 0.0 0.0
아니다
보통
그렇다
0.0 0.0 0.0 0.0 0.0
8.3 0.0 10.0 4.8 7.3
50.0 80.0 60.0 47.6 53.7
매우 그렇다 41.7 20.0 30.0 47.6 39.0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통계치 p= .431 p= .474
4.5 예술꽃 씨앗학교 담당교사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특성 이상의 분석에서 나타난 예술꽃 씨앗학교의 모델 구안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지역자원과의 연계성이 필요하다.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학교별로 지역출신 의 예술강사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출신 예술강사의 활용 자 체가 예술꽃 씨앗학교가 지역 거점학교로 자리 잡고, 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하는 데에 크게 기여 하기 때문이다. 예술교육 주체들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에서 지역주민과 예술강사 41.5%, 학생 51.2%로 다른 운영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에 비해 잘 이루어지지 않는 편인 것으로 나타난 것 도 예술강사를 지역출신으로 많이 활용하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예술꽃 씨앗학교의 목표가 학생·교사·학교·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향유와 문화적 성장이라 면 방향성이 좀 더 분명해지도록 소통이 강화되어야 한다. 예술교육주체, 즉 교육과 향유 당사 자들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에서 지역주민과의 소통이 좀 더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10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는 관리자, 교사, 예술강사, 학생과의 관계는 90%대로 매우 긍정적이다. 반면에 지역주민들은 관리자(70.8%)를 제외하고는 41.5%∼63.4%의 긍정적 상호작용에 그치고 있다. 그 만큼 지역연 계가 다소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학부모와 지역주민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는 생각보 다 낮았다. 예술은 소통을 강조한다. 대안교육으로 유명한 그랜지 초등학교는 교육과정 구성의 네 가지 핵심요소로 의사소통, 사업, 문화, 웰빙을 설정했는데, 의사소통을 최우선으로 두었다 (Gerver, 2010). 이주영(2007)도 예술은 인간이 세계와 정서적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일종의 커 뮤니케이션이라 하였다. 김동일(2010)은 예술은 사회를 유혹하고 사회는 예술을 유혹한다고 하 였다. 예술의 사회성을 강조한 것이다. 셋째, 예술교육을 위한 운영지원체제를 설계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대부분 하는 것으로 응답 하였으나 교과 수업에 스며드는 융합교육과정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규 수 업시간에 하더라도 교양차원의 예술프로그램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교육이 이 루어지는 방과후 학교의 분량이 많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분량도 많아서 이 두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문화예술을 통해 교과 수업을 하는 방안 등 정규 수업시간 내에서 다양한 교육적 시도를 할 수 있는 통합예술교육적 방안이 보다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필요 가 있다.
5. 예술꽃 씨앗학교의 개념 분석과 특성 앞서 예술기반 학교운영유형화를 위한 분석에서 예술꽃 씨앗학교는 목표, 내용, 운영체계, 방 법 측면에서 다양한 유형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는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전 형적인 사례모델에 해당된다고 했다. 그러한 다양성과 포괄성이 예술꽃 씨앗학교가 본래 지향하 고자 하는 궁극적인 비전, 목표, 사업취지를 전제하지 않고 개별성에만 초점을 둔다면 다른 문 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의 차별성이나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예술꽃 씨앗학교 관 련 연구와 계획서 및 보고서, 컨설팅 및 면접과 설문조사에서 예술꽃 씨앗학교의 특성을 7가지 로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술꽃 씨앗학교의 개념을 재정의하기 위한 분석을 해 보기로 한다.
5.1 개념 분석 개념 정의를 위해 예술꽃 씨앗학교에 접근하는 관점과 핵심개념의 구체적 의미를 확인할 필 요가 있다.
5.1.1 접근 관점 : 통합적 관점의 필요성 예술꽃 씨앗학교의 바라보는 주체의 입장에 따라서 그 모습은 다양하게 보이며 이를 정의하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105
는 기준도 달라진다. 첫째, 학생의 입장에서 보면 예술꽃 씨앗학교는 예술적 감성과 창의성 씨앗이 자라는 성장의 장이다. 이는 지원사업의 이념적 관점이라 볼 수 있다. 둘째, 학교의 입장에서 보면 예술꽃 씨앗학교는 통합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경험과 개발의 장이 다. 이는 교육적 관점이라 볼 수 있다. 셋째, 지역사회의 입장에서 보면 예술꽃 씨앗학교는 학교-지역자원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교 류의 장이다. 이는 운영의 관점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예술꽃 씨앗학교는 이 세 가지 관점이 분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관점, 학교 의 관점, 지역의 관점이 상호 연계되어 시너지 효과를 얻는 통합적 접근 관점을 가지고 있다.
5.1.2 핵심 개념 : “씨앗” 예술꽃 씨앗학교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한 핵심 키워드는 ‘씨앗’이다. 지원사업 명칭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예술’ + ‘꽃’ + ‘씨앗’ + ‘학교’의 4가지 요소로 복합 개념이 구성된다. 예술이 중심 내용이 되며, 꽃은 예술적 성장을 상징하는 목표이며, 학교는 예술로 자라고 꽃을 피우는 기반을 의미한다. 이는 사실상 다른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또는 프로그램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는 요소이다. 다른 사업들과 다른 가장 중요한 개념적 요소는 ‘씨앗’이다. 씨앗이 가지 고 있는 의미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차원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씨앗의 주체는 학생, 교사, 학교 그리고 지역이다. 그리고 지원사업 자체도 문화예술교 육의 씨앗이 될 수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에서 씨앗은 문화적 감성과 창의성을 가진 학생을 전 제로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씨앗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 도록 지원하는 것이 사업의 목표이다. 교육을 계획하고 담당하는 교사도 문화예술교육을 확산시 키는 씨앗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학교 또한 모범적인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운영을 통해 다른 학 교나 지역으로 문화예술을 전파할 수 있다. 아울러 학교가 속한 마을 단위 지역사회도 학교와 함께 문화적으로 성장하면서 다른 지역의 사례가 될 수도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자체 도 유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는 다른 역할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효과를 사회적으 로 공감시키면서 학교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예술의 저변을 확산시키는 씨앗이 된다. 둘째, 씨앗은 시작을 의미하며 과정을 중심으로 하고 내부에서 외부로의 발현을 지향한다. 시 작이란 완성된 개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잠재성을 갖고 있는 미완의 씨앗을 전제로 한다는 것이며 씨앗으로서의 학생에게 완성된 작품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 활동을 통한 문화적 인 성장을 자극하는 것이다. 훌륭한 연주만 요구하는 것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속성을 충분히 반 영하지 못한 것이다. 예술 활동의 시작을 통해 훌륭한 연주를 위한 동기를 부여받게 할 수 있지 만 예술꽃 씨앗학교의 교육활동 기간을 통해 요구하는 것은 연주 자체의 완성도가 핵심이 아니 라는 것이다. 과정이란 완결된 구조와 완료 후 중지를 전제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성장을
10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전제로 하는 것이며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과정을 통해 학생, 교사, 학교 및 지역사회 모두 점 진적으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중요시 한다. 내부에서 외부로의 발현이란 씨앗이 가지고 있는 기 본적인 특징으로 씨앗이 싹을 틔우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기까지 씨앗으로서의 학생이 자신의 잠재된 욕구, 능력, 적성, 역량을 외부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4년간의 지원이 끝난 학교 중에 ‘새싹’학교를 선정하여 계속 지원하는 것도 예술꽃 씨앗학교의 가장 중 심은 시작을 의미한다는 반증이다. 셋째, 씨앗은 전파의 기능이 있다. 씨앗은 한 곳에서 자라기도 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다른 곳으로 전파되는 과정을 통해 그 범위를 확장한다. 전파는 지속성과 확장성의 두 가지 속성을 갖고 있다. 지속성은 시간적인 종적 전파를 의미하며 확장성은 공간적인 횡적 전파를 의미한다. 씨앗이 열매를 맺어 자라기까지의 시간적인 흐름도 있고 열매의 씨가 다시 씨가 되어 다른 열 매를 맺는 과정을 통해 생명의 흐름을 지속하게 된다. 학생 개인으로 본다면 자신이 갖고 있는 예술의 씨앗을 열매 맺기도 하고 그 열매를 다른 후배에게 나누어 주면서 씨앗을 성장시킬 수 도 있다. 또한 스스로 정해진 과정을 마친 후에도 열매를 맺기 위한 경험을 지속하면서 또 다른 씨앗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학교의 입장에서 본다면 학생들은 변화하고 이동하지만 학교 자체 가 씨앗이 되어 다음 단계로 이어지고 또 다른 예술적 씨앗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확장성이란 공간의 확장과 같이 예술의 씨앗이 다른 곳으로 흘러가 다른 곳에서 또 다른 예술의 열매를 맺 게 하는 것이다. 학생의 입장에서는 본인의 이동이나 다른 동료들에게로의 전파도 있고 교사의 경우에는 다른 학교로의 전근이 또 다른 씨앗의 전파 계기가 될 수 있다. 씨앗으로서의 교사가 옮겨갈 때마다 또 다른 예술꽃 씨앗학교가 만들어지고 성장하는 것이다. 이는 학교 자체를 씨앗 으로 볼 때에도 씨앗의 성과가 다른 후속 학교로 전파되기도 하지만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의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취지나 우수한 성과, 운영 시스템이 다른 학교의 사례가 되고 적용이 된다면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확산을 위한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5.2 특성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연구, 컨설팅, 면접 및 설문조사 결과를 7가지 특성으로 분석해 보았 다. 이 7가지 특성을 자세히 살펴보고 개념분석에서 나타난 의미를 토대로 예술꽃 씨앗학교 개 념을 정의해보기로 한다.
5.2.1 사업의 정체성 : 예술기반 학교의 전형적 사례-문화예술중심 학교운영 지향 예술꽃 씨앗학교는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의 전형적 사례로 문화예술중심의 학교교육 운영 체제를 지향하고 있다. 초기 단계에서는 사업취지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학교 여건에 따 라 부분적으로 교과 외 교육활동의 일부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학교의 경영목표와 운영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107
계획을 문화예술교육 중심으로 수립하지 않았거나 실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문화예술 교육이란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의 상호보완적 개념이다. 문화교육은 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한 것이고, 예술교육은 그것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문화적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 다(이동연, 2008). 특히 중장기계획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수립하는 연간교육계획은 당해 연도에 예술기반 학교 운영의 관점에서 예술꽃 씨앗학교가 지향하는 목표나 취지를 어떻게 반영하고 실천하는가에 대 한 구체적인 전략을 포함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교의 운영체제를 문화예술 활동 중심으로 개편 하고 정립하게 된다. 문제는 실제 개별 학교에서 제출하는 신청계획 단계부터 이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단순한 문화예술교육 보조사업으로 이해하고 방과후 학교에 만 편성하는 사례의 경우와 같이 사업취지에 대한 이해부족이나 학교의 준비여건이 미흡한 경 우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
5.2.2 목표의 방향성 : 학생·교사·학교·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향유와 문화적 성장 예술꽃 씨앗학교는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운영체계와 과정이 편성되는 예술 활동 기 반의 사업이다. 따라서 예술 활동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예술 활동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 가 무엇을 지향하는 지에 따라 실천 과정도 달라진다. 예술분야에 기반을 두는 특성상 예술적 기능중심의 기량 습득과 성장도 필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는 다양한 예술분야를 활용 한 교육활동을 통해 문화적인 감수성과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이는 기량적인 측 면을 포함하되 기량의 전문성 수준 정도에 관계없이 문화예술에 친화적이며 일상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종합적인 문화역량 개발을 지향하며 이를 통해 문화적인 성장을 돕는데 목표를 두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뿐만이 아니라 운영주체로서의 교사, 운영기반으로서의 학교, 연계자원으로 서의 지역사회 모두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표현하는 동반자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 로 한다. 문화예술 향유와 발표를 위해서는 예술적 기능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문제는 기능 습 득에만 초점을 두거나 공연을 전제로 운영되는 경우이다. 일상의 향유보다는 발표를 위한 수단 으로 학생들의 참여가 이루어질 때 기능은 습득되겠지만,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얻으려고 하는 더 높은 가치를 잃게 된다. 목표-내용 타당성 관점에서 교육활동의 목표 의식을 명확히 하되 이를 실제 가능하게 할 내용과 수단이 연계성을 확보해야 한다.
5.2.3 대상의 차별성 : 문화예술 소외지역의 소규모 학교 대상 사업으로 정책적 차별화 예술꽃 씨앗학교의 정책적 차별성으로 가장 두드러진 요소는 대상의 측면이다. 학교문화예술 교육 또는 사회문화예술교육 관련 지원사업이나 지원 프로그램들이 다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목표나 내용이 다르지 않을 수도 있다. 문화예술중심의 문화역량 개발이라는 점은 사실 일반적 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지향하는 공통의 목표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에서 개별적 10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으로 시행하는 사업 중 목표, 내용, 운영체계 등에서 유사하거나 중복된 경우가 발생할 수 있 다. 그러나 중복사업의 경우는 내용이 유사하더라도 대상이나 지역의 차별화를 통해 역할을 분 담할 수도 있다. 특히 예술꽃 씨앗학교는 당초 농·산·어촌이나 경계 지역의 소규모 학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는 점에서 차별화 요소를 갖고 있다. 문화적인 혜택을 받기 어려운 지역과 학교를 대상으로 하 는 것은 지역 차원에서 문화복지 사업으로 근거를 갖고 있다. 다만, 교육부에서 추진하는 ‘학교 체육․예술교육 강화 지원계획(2015년 11월 18일자 보도자료 기준)’에 의한 예술드림(Dream)학 교의 경우 대상 지역기준에서 중복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외지역 학교․학생을 대상 으로 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으나 동일 지역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점 대상의 구분이 상호 필요하다. 중복은 동일 대상에 2개 이상의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문 제지만 유사한 경우라도 대상을 차별화하는 것은 역할 분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전 교생 400명 이하 학교를 대상으로 한정함으로써 유사 지원사업과 차별화 요소를 갖고 있다. 도 시 내 학교도 포함이 되기는 하였지만 경계선 상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혜택을 받기 어려운 지역이나 학교를 주된 대상으로 한정하여 핵심 타깃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5.2.4 기간의 지속성 : 4년간 집중 지원과 성장 관리를 통한 유지관리 시스템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중요한 특징은 일회성이나 단 년도 사업이 아닌 4년간의 중기적 지원을 통한 성장과 발전을 단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특히 지원 기간은 직접적인 사업 참여 주체인 학생과 학교뿐만 아니라 연계 대상인 지역사회도 포함된다. 지속성은 학생 개인에 따라 서는 1년 내지 4년으로 편차가 있으나 종료 후에도 지속적인 문화예술 활동 참여를 위한 지원 을 전제로 하여 예술향유의 지속성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학교 측면에서는 4년간 컨설 팅 및 평가와 운영지원, 성과발표 등을 통해 성장 관리 체제를 갖추어 집중관리형 운영체제를 지향하고 있다. 아울러 교육과정 편성이나 자원연계를 바탕으로 자립을 위한 기반조성을 위해 장기간 지원을 활용하여 준비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 지원사업과 같이 장 기간 지원을 하되 특정 분야에 집중하는 사업과 비교하여 다양한 분야를 배경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차별성을 갖고 있다.
5.2.5 내용의 통합성 : 학교 정규교육과정 기반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운영 교육과정에는 내용, 내용의 배경논리와 철학, 교수-학습방법의 세 가지가 동등하게 다루어져 야 한다(Prince, 2008; Danto, 1999). 우선 예술꽃 씨앗학교는 예술체험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기반으로 한다. 학교 입장에서 보면 교육활동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을 운영한다. 예술교육 활동 시간 확보를 위해 예술 교과 수업시간을 증배하거나 교과연계 시수 를 편성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에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프로그램을 배치하는 등 학교에서는 교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109
육과정 운영 체계를 재편성하게 된다. 운영결과 보고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표Ⅲ-20>에 따르면 교과 연계 등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경우가 61.4%로 나타났다. 정규교육과정은 교과활 동과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이루어지며 지향점은 교과활동 중심 또는 교과활동과 통합된 안정적 인 문화예술교육 과정의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3장의 현황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 듯이 현재의 예술꽃 씨앗학교에서는 교과 내 편성에 집중하지 못하고 방과후 학교 등 비정규과 정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비교과 활동의 비중이 높은 것이 현실이다. 교과와 예술 활동의 통합도 중요하지만 예술분야 간의 통합이나 주제중심형 운영을 통한 통 합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지향한다. 이는 예술기능을 강조하는 분야 중심의 예술교육을 넘어서 감 성과 창의성 등 인성 계발이 포함된 종합적인 문화역량 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권해수 외, 2010). 다만, 현실적으로 학교의 선택에 따라 음악, 연극, 영화 등 분야 중심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과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다행히 최근에는 커뮤니티 아트나 프로젝트 수업 등 주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예술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관한 문제도 중요 요인으로 부각되어야 한다. 기능활동 중심 교육의 경우에도 체험적 수업방법이나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제고할 수 있다. 그러나 기 운영 사업의 결과를 토대로 한 현황 분석 결과를 보면 <표Ⅲ-2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표현, 공연 또는 발표’가 27.5%, 체험학습이 23.4%, 견학 또는 관람이 20.7%인 반면에 창작활동은 2.9%에 머물고 있다. 발표 중심 수업은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제공하는 반면 부담감을 주고 견학형 방법은 수동적 참여에 머물게 한다. 체험학습의 경우에도 야외 현장체험학습을 주로 의미하게 되는데 단순 참가 시 학생들은 일회적인 경험으 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학교 안에서 다양한 체험적 학습방법을 문화예술의 특성에 맞추어 새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5.2.6 자원의 연계성 : 학교 및 지역자원의 확보를 바탕으로 체계적 연계와 활용 예술꽃 씨앗학교는 지역사회와 함께 운영하는 것을 목표와 특성으로 설정하고 있다. 학교의 환경 개선을 포함하여 학교의 가용 자원과 학교 밖 마을 단위 지역의 문화예술자원의 연계와 활용을 통한 운영 기반 구축을 전제로 한다. 자원의 연계는 우선 자원의 확보를 전제로 한다. 자원은 인적자원, 물적 자원을 중심으로 기관자원, 재정자원, 환경자원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이 된다. 학교 내 가장 중요한 자원인 교사 등 운영인력의 전문성 신장과 물적 환경자원인 학교환 경을 문화예술 활동을 위해 개선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공간 환경은 운영의 기반이기 도 하지만 학교 내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여부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 요한 자원이다. 예술꽃 씨앗학교의 선정과정이나 운영과정에서 환경 조성은 필수적인 요소로 반 영이 되어야 한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다른 유사 사업과 차별화되는 중요한 지점은 지역중심 학교문화예술교육
11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이라는 점이다. 지역자원의 경우 강사자원의 연계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외에도 지속적인 운영기반조성과 지원체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기관, 행정기관과의 협조도 필요하다. 아울러 예술꽃 씨앗학교의 지역사회 문화거점화를 위한 과정이자 방법으로 중점적으로 추진된 사항은 학부모를 포함한 지역주민과의 연계와 지역주민 대상 교육 프로그램, 마을축제 연계 프 로그램과 같은 지역주민 참여형 활동이었다(거창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08; 최현묵, 2011).
5.2.7 운영의 효과성 :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지속화와 확산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 체제 및 성과와 관련하여 장기적인 방향은 자립을 기반으로 하는 지 속성과 확장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장기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은 단기간 성과보다 장기적 관점 에서 운영의 효과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사업기간 종료 이후에도 교육과정 측면이나 재정 측면에서 자립이나 자체 운영기반을 갖추고 학생 개인이나 학교의 자율적인 운영역량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지속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자원 연계를 바탕으로 다른 학생, 다른 학교, 지역주민과 지역기관으로의 확산을 통한 지역사회 중심의 문화예술 활성화를 지향하고 있 다. 지역연계를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는 지속성과 확장성 증진의 기반이 된다. 이처럼 예술꽃 씨앗학교가 다른 사업들과 비교하여 운영 목표나 기대효과 측면에서 차이점을 갖는 요인 중의 하나는 자립적인 운영을 전제로 하며 이를 위한 후속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학교 대상 집중 지원사업은 유사한 방식이 가능하나 운영기간과 연계되어 장기간 지원을 통해 지속성과 확장성 확보를 지향한다는 점도 정책적인 타당성의 근거로 이 요소를 더 욱 더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Ⅲ. 예술꽃 씨앗학교의 현황, 성과분석, 정의 및 특성 |111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 개념 정의 2. 운영모델의 제안 개요 3. 운영모델1: 사업 관리 모델 4. 운영모델2: 학교운영지침 모델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 개념 정의 예술꽃 씨앗학교는 앞에서 논의한 접근 관점과 핵심 개념 그리고 7가지 특성을 기초로 다음 과 같이 정의할 것을 제안한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문화 소외지역 소규모 학교의 학생들이 학교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기반으로 예술적 감성과 창의성의 씨앗을 싹 틔워 꽃을 피우고 열매로 맺어 문화 적 역량을 증진시키고 일상 속에서 문화를 향유할 수 있기까지 지속적으로 돕는 과정을 통해 학생과 학교, 지역사회의 문화적 성장과 문화예술 활동의 지속과 확산을 주도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인큐베이터 이자 지역문화 활성화를 돕는 문화거점학교를 의미한다.”
이러한 종합적인 정의는 여러 가지 하위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속성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문화 소외지역: 대상의 차별화 측면에서 지역적 요소도 개념 설정의 근거로 활용됨. 다만, 구체적인 지역의 요건을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문화소외 수준이 상대적인 점을 고려함 ○ 소규모 학교: 사업선정 시 전교생이 400명 이하인 소규모 학교를 대상으로 함으로써 구체적 인 범위를 설정함. 본질적 요소는 아니나 정책적 요소로서 개념 설정에 중요함 ○ 학생: 정책의 대상이자 활동의 주체로서 학생 요소가 개념 정의의 출발점이 됨 ○ 학교, 지역사회: 학생과 함께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주요 변수임 ○ 문화자원: 학교와 지역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학교 내에서 또는 지역과의 연계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총칭함 ○ 문화예술교육 활동: 사업의 내용 측면에서 개념 정의의 기초가 되는 중요 요소임. 학교의 교 육활동을 통해 수행되는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운영 전체를 총칭함 ○ 감성과 창의성: 문화예술교육의 일반적인 목표와 방향으로 개념 정의에 핵심 요소가 됨 ○ 씨앗, 꽃, 열매: 씨앗이라는 잠재성을 꽃 또는 열매로 성장시키는 과정을 상징하는 용어로 사업의 본질적인 개념에 해당됨 ○ 문화적 역량과 향유: 예술기능중심의 기량을 포함하여 감성과 창의성, 문화적 친화성과 태도 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문화역량과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를 향유하는 사업 특성을 반영함 ○ 성장, 지속, 확산: 사업의 효과 측면에서 지향하는 가치이자 효과성의 구성 요인임 ○ 문화예술교육 인큐베이터: 씨앗의 성장 관점에서 관련 주체와 요인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기능적인 측면의 표현임 ○ 문화거점학교: 마을 단위 지역사회 연계와 지역문화 활성화를 전제로 하는 학교의 역할을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15
바탕으로 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성격을 의미함
2. 운영모델의 제안 개요 2.1 배경·목표·과정 2.1.1 배경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4년간의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효과적인 학교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정착되었다. 기존의 운영모델은 연차별로 목표와 과업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설계되었다. 1기 학교부터의 운영성과 사례, 운영 매뉴얼(가이드), 컨설팅 및 평가관 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신규 시행학교도 조기 정착이 가능한 수준으로 사업관리 체제도 발전해 왔다. 이처럼 현행 운영모델의 특징은 연차별 목표 중심의 로드맵 모델에 기초하고 있으며, 학 교 내 교육과정 편성 및 실행 중심의 운영체제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2008년 이후 단계적인 발전과정을 통해 운영모델이 안정화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 도 있지만 사회적인 변화나 정책적인 방향의 전환에 따른 대응전략과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첫째, 로드맵형 운영모델의 경우 로드맵의 개념에 비추어 볼 때 현행 운영체계는 사실 연차별 추진목표와 과업의 일정표에 머물러 통합적인 운영체계를 제시하는 모델로 보기는 어렵다. 운영 모델이란 다양한 요소와 요소들 간의 연계체제를 통해 구성되는 하나의 이념형적인 체계구조를 말한다. 연차별 관리모델은 이를 위한 하나의 하위모델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로드맵이라 할 경우에도 다양한 경로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종합적인 체계를 전제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 만, 사업의 시작과 함께 4년간 학교에서 수행해야 할 과업을 연차별로 제시함으로써 단계적인 발전전략으로 활용한 점에 의미가 있다. 둘째, 예술꽃 씨앗학교마다 편차는 있으나 대체로 교육과정 기반의 운영체계를 택하고 있다. 학교의 경우 교육과정 운영체계의 전면적 조정의 요구는 개별 학교의 상황 때문에 수용의 한계 가 있고 시간과 노력의 낭비 요소가 클 것이다. 그러나 학교경영자 및 운영자의 사전 이해도나 준비 수준에 따라 예술꽃 씨앗학교의 사업목표와 취지를 반영하는 수준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운영기준에 대한 재정리는 필요하다. 특히 학교 선정단계에서부터 1차 년도의 초기단계에서 사 업취지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운영하는 경우 이후의 과정을 변경하기 어려워진다. 사업취지 를 반영한 실제적인 운영기준을 토대로 학교단위의 운영모델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때 업무 의 편성 체계 차원보다는 운영의 방향성 차원이 중요하다. 셋째, 예술꽃 씨앗학교는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의 거점으로서의 학교의 기능과 역할을 요구 받고 있다. ‘지역사회와 함께 만드는 학교’로서 지역문화예술교육의 거점화를 통한 지역문화 활 성화는 중요한 사업목적의 하나이다. 따라서 기존의 학교의 교육과정 중심 운영 시스템을 공고 히 하면서 학교-지역 연계 강화 및 거점화의 요구와 사회적인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운영체
11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제의 개편 방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예술꽃 씨앗학교의 지역사회 문화거점으로의 성장은 정책적인 지원이나 예산 지원 종료 후에도 개인이나 학교가 문화예술교육을 지속할 수 있는 기 반이 될 것이다. 이에 기존의 연차별 관리모델 중심에서 통합적인 운영모델의 체계를 재정립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주체와 요소의 통합적 체계라는 관점에서 종합 적인 운영관리 체계 모델을 제안한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활동 재정 지원이 아니다.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학교가 지역자원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중심 문 화융성 정책 사업으로 자리를 잡도록 성격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중장기 전략 연 구나 성과평가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현실성을 담보하면서도 새로운 요구를 선제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운영체계 중심의 거시적 운영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매우 현실적인 측면에서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모델로서 예술꽃 씨앗학교가 지향하는 가 치와 목표를 중심으로 개별 학교단위에서 사업의 전체 운영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운영지침 모 델을 제안한다. 운영지침은 대상 학교가 지원사업의 취지와 방향성을 이해하고 사업에 참여하게 하는 데 필요하다. 구체적인 예술중심 교육과정의 재구성은 교육내용 선정과 편성에 따른 기술 적인 요인도 필요하지만 근본적으로는 가치와 관점이 바탕이 된다. 특히 예술 활동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성취 목표에 대한 관점의 차이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미적체험교육, 과정중심의 예 술교육, 통합문화예술교육 등 기량의 성취보다는 예술적 감성과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 학교에서 이를 반영하는 데에는 목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편성-운영에 관련된 전문성 을 갖출 필요가 있다. 분야별 기능 교육은 해당 전문가에게 맡길 수 있다고 하지만 주제 중심의 통합 분야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은 기획자의 상당한 역량을 필요로 하기 때 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교단위의 운영모델은 업무체계 중심보다는 방향에 기초한 지침 형태 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2.1.2. 목표와 전략 운영모델의 제안목적은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을 기반으로 학교와 지역사회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운영 체계를 구축하고 학교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운영기준 을 세움으로써 지역중심 문화활성화의 거점으로서 예술꽃 씨앗학교의 기능을 강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목표1.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전형으로 예술꽃 씨앗학교의 정체성 확보 목표2. 예술꽃 씨앗학교 목표에 따른 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타당성 강화 목표3.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문화정책과 교육정책이 융합되는 운영체계 제안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17
운영모델의 개발을 위해서는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등 장기적인 방향을 토대로 현행모델(As Is)과 개선모델(To Be)을 제안한다. 종합적인 운영모델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실행과 관련된 하 위모델을 분류하고 향후 이를 기반으로 실행지침과 매뉴얼 개발시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지침 과 매뉴얼은 평가관리를 위한 평가 지표의 내용 기준이 된다. 특히 단순한 연차별 관리중심의 로드맵이 아닌 누적형 성장목표와 통합적인 관리모델을 도출한다. 개발의 접근방법은 이론, 요 구, 환경, 성과 요소를 토대로 귀납적인 운영기준을 도출하는 귀납적 접근과 정책적인 목표와 방향을 근거로 한 당위적 접근방법에 토대를 둔다. 또한 이념형으로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 본-표준형과 함께 학교단위의 목표나 여건, 운영방향과 특성을 반영하여 구체적인 기준요소를 자율적으로 편성하는 임의-선택형 방식을 함께 적용한다. 모델개발의 제안을 위한 과업의 추진 전략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전략1. 전략2. 전략3. 전략4. 전략5. 전략6. 전략7.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운영모델로서의 정체성 강화 지역 및 학교의 목표, 여건 상황에 따른 가변성 제고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으로서 교육적 효과성 증진 학교 단위의 경영목표 및 계획 설정의 타당성 확보 학교와 지역사회 네트워크 중심의 지역성 강화 개인, 학교 및 지역사회 문화 활성화의 지속성 확보 유사 문화예술 관련 정책 프로그램과의 차별성 확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운영모델은 목적과 목표, 제안방향을 기초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관리 모델과 학교단위별 특성을 반영한 지침모델로 구분한다. 단 두 모델 모두 개별 학교에서의 적용 을 전제로 학교를 중심으로 체계화한다. ○운영모델1-사업 관리 모델: 종합적인 사업관리 관점에서 학교를 중심으로 관련 주체들과의 연계를 통 해 수행되는 과업의 편성과 관계의 체계 ○운영모델2-학교운영지침 모델: 개별 예술꽃 씨앗학교의 차원에서 사업의 목표와 취지를 근거로 적용해 야 하는 운영기준을 유형화한 지침으로서의 운영 체계
2.1.3 모델 개발 과정 예술꽃 씨앗학교의 개념 정의와 운영의 7가지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2가지 차원 의 운영모델을 재정립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하나는 사업 관리 모델이고 다른 하나 는 학교운영지침 모델이다. 이 과정을 정리하면 [그림Ⅳ-1]과 같다.
11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개발의 토대 분석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 유형 분석
예술꽃 씨앗학교 개념과 특성 분석
-접근방향과 유형별 시사점-
-개념 요소와 운영특성-
예술꽃 씨앗학교 개념 정의
모델 설정 요소의 선정과 편성
운영모델1.
운영모델2.
사업 관리 모델
학교운영지침 모델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제안
[그림Ⅳ-1]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개발과정 체계도
2.2 운영요소의 구성 2.2.1 운영요소 선정의 근거와 활용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은 관리기관과 학교가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업무편성 중심의 ‘사업 관리 모델’과 개별 학교단위에서 사업계획 수립과 운영을 위한 ‘학교 지 침 모델’로 구분한다. 모델 구성은 운영의 특성, 운영의 기준, 요소들의 편성으로 이루어진다. 모델 구성 요소의 추출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7가지 특성에서 운영기준을 추출하고 이에 따라 운영유형을 추출한다. 실제 운영모델 설계를 위한 운영기준은 가장 전형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추출하여 편성한다. 이 과정에서 구체적인 요소 중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지만 간접적 또는 개 별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도출될 수 있으나 관련성이 높은 영역에 배치하도록 한다. 7가지 예술꽃 씨앗학교의 특성을 기준으로 한 운영기준과 유형들은 모델 유형에 따라 적용되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19
는 방법이 달라진다. 이들이 모든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대표적인 사례나 특징을 유형화 한 것이며 그 자체가 업무 내용이 되지는 않는다. 또한 각각의 요소들은 학교의 운영 현장에서 는 공통적으로 지켜야 할 기준의 내용도 되지만 선택하여 재구성할 수도 있다. 사업 관리 모델 은 각 기준과 요소들이 통합된 이념형이며 이에 따른 하위모델 설정 시 각각의 기준들이 분류 의 기준이나 하위모델의 요소로 활용된다. 그러나 학교 지침 모델의 경우, 표준으로 활용하는 기본형을 설정할 경우에는 모델 요소분류표를 활용하여 운영기준과 유형 중 예술꽃 씨앗학교의 개념과 취지에 가장 적합한 연계를 통한 운영기준을 선택하여 운영모델을 제안할 수 있다. 그러 나 학교의 목표와 여건에 따라 부분적으로 운영기준별 요소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학교 나름 대로의 운영지침을 재구성할 수 있다.
2.2.2 운영기준 설정의 근거 (1) 사업의 정체성 : 학교경영목표와 계획을 통한 예술기반 학교운영 체제의 강화 ○ 기준 설정의 근거 예술꽃 씨앗학교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상의 정의와 분류를 기준으로 할 때 학교문화예 술교육에 해당된다. 또한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의 전형적인 사례가 된다. 문화체육관광부의 문 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라는 점과 학교에 적용하는 교육정책 연계사업의 정체성을 동시에 필요 로 하기 때문이다. 두 가지 근거를 학교에서 실현시키기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정은 학교교육계획 을 통한 실효성과 실천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학교에서는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취지와 방향을 토대로 학교운영계획과 수행에 대한 평가관리를 통해 정체성을 유지 및 관리해야 한다.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학교의 자체 또는 외부 평가관리는 사업의 정체성이나 성격을 어떻게 유 지하고 발전시켜가고 있는지 진단하고 개선하는 기반이 된다.
○ 운영기준의 구성방안 사업의 정체성 확보와 관련하여 전제가 되는 것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또는 예술기반 학교운영 의 모델로서의 사업의 성격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이를 학교현장에서 뒷받침할 제 도적 틀을 갖추는 것이다. 정책 수립과 재정 지원의 주관은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에서 담당하지만 실제 정책이 집행되는 현장은 학교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학교경영 시스템 을 반영하여 학교경영목표의 설정, 목표에 따른 운영계획의 수립, 계획의 전 과정과 성과에 대 한 평가 체계 운영, 평가결과의 환류를 통한 운영시스템의 개선을 운영기준으로 설정한다.
(2) 목표의 방향성 :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취지의 반영 전략과 실행과제 설정 ○ 기준 설정의 근거
12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기능중심의 교육을 넘어서 ‘예술교육과 문화교육의 결합을 통한 종합적 교육’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기능중심의 예술교육이나 예술적 감성, 창의성 중심의 예술교육을 넘어서 미학적 교육을 포함하면서 종합적인 문화 역량의 개발을 돕 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적인 내용은 예술이고 그 방법은 교육이지만 예술 과 교육이 결합되면 보다 융합적인 관점에서 문화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를 만들 고 창조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한다(정문성 외, 2011, pp. 13-16; Ehrenzweig, 1967). 전문가 양성이 아닌 일반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결과로서의 작품이나 기량의 우수성보다 예술 체험과 그 과정 속에서의 미적 체험 자체를 중요시한다. 예술분야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분야적 특성 보다는 융합적인 관점에서 분야 간 통합교육을 지향한다.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이나 법적 정의는 이러한 관점이 반영된 것이며, 통합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예술꽃 씨앗 학교는 이러한 개념과 방향성을 목표설정의 전제로 한다. 따라서 목표의 방향성이나 교육 프로 그램 운영성과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이 직업적인 문화예술가 로서의 전문성보다는 문화예술 자체를 향유하면서 문화적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기량이나 체 험을 통합하는데 초점을 두게 된다. 이와 함께 교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각종 지원사업에서 목표와 관련하여 평가의 주요 요소 로 포함되는 내용은 목표에 따른 전략과 내용의 일치성 또는 타당성에 관한 것이다. 예술꽃 씨 앗학교의 목표에 대한 방향이 타당하더라도 실행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방법이 일 치하지 않는다면 목표의 실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학교의 운영계획을 통해 설정되는 목표가 추상적인 미사여구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목표의 적절성도 필요하지만 목표의 구체화를 바탕으로 실행 내용과 방법을 설정해야 한다.
○ 운영기준의 구성방안 예술꽃 씨앗학교를 통한 참여 주체들의 성장을 위한 목표 설정 시 우선적으로 반영해야 하는 기준은 목표의 방향에 관한 것이다. 목표의 방향을 보다 세분화하여 개인의 관점에서 예술교육 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성취의 유형도 중요한 기준이 된다. 또한 목표의 수준에 따라 다소 추상 적인 일반목표와 구체적인 세부목표로 나누거나 상위목표와 하위목표로 계층화하기도 한다. 목 표 설정 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목표가 실제 교육전략과 내용에 반영이 되어 있는가에 관한 것으로 목표-내용 타당성 또는 내용 연계 수준은 운영지침의 기준이 된다.
(3) 대상의 차별성 : 지원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 대상 범위 설정 ○ 기준 설정의 근거 교육 관련 각종 지원사업은 중복의 문제를 안고 있다. 지원사업의 내용이 중복되거나, 대상이 중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내용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대상의 차별화를 통해 역할을 분담할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21
수 있다. 따라서 사업의 타당성, 차별성, 효율성 확보 차원에서 대상 범위의 설정은 사업을 지 원하는 기관이나 운영하는 학교 모두에게 중요하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다른 유사 지 원사업과 차별화될 수 있는 것 중의 하나도 지원 대상의 범위에 관한 것이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갖는 대상의 차별성은 학교와 지역을 동시에 대상 범주로 하였 다는 점이다. 아울러 전교생 400명 이하의 소규모 학교로 제한하였다. 문화 소외지역이나 문화 예술 활동기회가 부족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문화복지적 측면을 고려한 것이다.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들 중에서 지원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할 것을 제안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사업은 대개 지역사회가 학교를 지원하는 방식을 요구한다. 반면에 예술꽃 씨앗학교 지 원사업은 학교에서 출발하여 학교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활성화를 추구하는 방식이 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예술꽃 씨앗학교는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거점학교의 역할을 요구 하는 것이다.
○ 운영기준의 구성방안 당초 초등학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2015년 현재 중학교와 고등학교까지 확대하여 운영하 고 있다. 차별화의 요소로 대상 지역의 조건은 학교 규모(학생 수 기준), 실제 프로그램에 참여 하는 학생의 전교생 여부 등이다.
(4) 기간의 지속성 : 지원기간 및 후속기간을 연계한 집중적인 지원 관리 ○ 기준 설정의 근거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기간의 측면에서 차별화되는 것은 한 학교를 대상으로 4년간의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는 것이다. 일부 지원사업은 3년 단위 사업도 있으나, 대부분 공모방식에 의해 일회성 또는 단 년도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비해 예술꽃 씨앗학교는 4년간 지속적으 로 집중관리를 받아 자립화의 기반을 갖추게 한다. 또한 4년의 지원기간 중, 재학생은 모든 프 로그램 참여의 주체 또는 대상이 된다. 이는 지원대상 기준과 연계하여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기간의 지속성은 학교운영의 자립 정착뿐만 아니라 학생 개인의 성장조건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지원 기간 종료 후에도 다른 기관을 통해 후속적인 지원을 받도록 권장하거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 또한 지원방식의 차별화 요소가 된다. 아울러 프로그램 운영과정 및 체계에도 경영관리 기법이나 일정관리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 운영기준의 구성방안 가장 중요한 기준은 지원기간이다. 4년 기간을 기준으로 하여 사전 사후단계 기간 여부에 따 라 유형을 구분한다. 지원 기간 내 과업 관리의 목표나 방향, 내용관리의 방식을 어떻게 할 것 인가에 따라 기관 내 과정관리의 요소나 방법이 달라진다. 운영기법 측면에서 기간 내 목표나
12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과업의 일정관리 방법이 달라진다는 점도 기관관련 업무의 기준이 된다.
(5) 내용의 통합성 : 교육과정 재구성을 중심으로 한 교육활동의 편성과 운영 ○ 기준 설정의 근거 예술꽃 씨앗학교의 가장 중요한 콘텐츠 자원은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정 이다. 그리고 시대는 ‘창의융합적 인재’를 요구하고, 이를 위한 교육방법으로 융합교육과정을 지 향하고 있다(2015년 교육과정 총론 참조). 따라서 예술꽃 씨앗학교는 문화예술중심의 교육과정 으로 재구성하되, 통합교육과정을 추구해야 한다. 문화예술중심 교육과정은 일반교과와의 통합과 예술분야 간의 통합을 지향한다. 이는 단순한 연합 또는 병렬이 아니라 융합 수준의 통합으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목적적, 유의미 한, 실현 가능한 수준의 통합교육과정을 권장한다. 이를 위해 교사-예술강사 간 연계에 의한 교 육과정의 재구성 및 실천을 위한 팀 티칭도 기법으로 제안한다. 국어와 연극을 결합하거나 미술 을 활용한 수학 수업을 하거나 뮤지컬 등과 같은 예술분야 간 통합도 지향한다.
○ 운영기준의 구성방안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과 관련된 제반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우선 예술 활동이 학교교육 전반에 걸쳐 어떠한 방향 또는 수준으로 반영되었으며, 교육활동의 영역, 교과와의 연계 유형에 따른 기준을 정리한다. 특히 교육활동의 핵심적인 요소인 예술분야별 편성과 운영 방식이 중요 한 변수가 된다. 교육활동의 내용에 따른 주된 교육방법이나 예술체험활동을 위한 방법적 요소 와 함께 프로그램 개발의 주체나 방법을 기준으로 한 개발유형이나 운영주체들의 교육활동 운 영 참여유형도 운영에 주요한 변수가 된다.
(6) 자원의 연계성 : 자원의 확보와 연계를 통한 교육 운영지원 체계 ○ 기준 설정의 근거 예술꽃 씨앗학교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변수는 실제 활용 가능한 자원의 확보와 수준 에 관한 문제이다. 주로 운영기반에 관련된 요소들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여부나 품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형의 자 원을 확보해야 하며 특히 운영기간 중 초기 기반 조성에 집중하게 된다. 아울러 각 자원별로 강 점을 특화하고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교사 및 강사 등 교육활동 운영과 관련된 인적 요인 의 비중은 매우 크며 연수나 워크숍, 연구 개발과정을 통한 역량 신장의 기회가 필요하다. 시설 측면에서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가능한 필수 공간을 확보하는 수준부터 학교 자체를 문화예술 교육 운영을 위한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수준까지 학교의 공간 확보부터 시작해야 한다. 문화예 술 프로그램 운영에 학생들이 친밀감을 갖고 참여하기 위해서는 공간 자체도 예술 공간이 될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23
때 자연스럽게 참여하게 된다. 특히 지역 시설자원과의 유기적 연계구조가 매우 중요하다. 최대 한 지역의 물적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지역연계의 특성을 살리는데 큰 역할을 한다.
○ 운영기준의 구성방안 문화예술교육의 장으로서 학교의 공간적 환경 조성을 기반으로 학교 내·외의 인적 자원을 활 용한 교육전문 인력을 확보한다. 인적 자원의 역량개발을 위한 운영체제는 교육의 품질을 좌우 하는 요소가 된다.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각종 도구형 자원을 확보한다. 기반자원으로 재정, 다양한 협력기 관 및 행정기관과의 연계도 필요하다. 지역기관 자원과의 연계방식은 수준과 협력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요소를 추출하고 지역주민의 지원과 참여 방안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7) 운영의 효과성 :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지속과 확산 효과의 담보 ○ 기준 설정의 근거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의 효과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운영과정, 운영성과, 지원종료 후의 운영 여부 등 다양한 측면의 기준이 있다. 참가 학생을 비롯한 주체들의 만족도 수준은 과정상의 효 과가 된다. 운영성과는 학생, 학교, 지역사회의 문화적 성장 지표로 문화예술 활동의 활성화 정 도로 파악할 수 있다. 운영의 지속 여부는 학생의 경우 졸업 후에도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사례가 된다. 학교의 경우에는 교육과정 통합을 통한 재구성이나 재정 자립을 통한 지속 운영 기반확보가 사례가 된다. 특히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이 타당성과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성과 확산성이 필 요하다. 문화 소외지역 학생 대상이라는 대상의 타당성도 효과가 있지만 국가 지원에 의한 지원 이 지속되거나 확대되기 위해서는 재정 지원의 효과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는 참가자 만족도만 으로 확인할 수 없고 사업의 효과가 다른 학생, 다른 학교, 다른 지역으로 얼마나 확산이 되었 거나 사업의 성과에 대한 의의가 지역주민들에게 잘 홍보되어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했고 참 여하는 지 등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다.
○ 운영기준의 구성방안 효과성 검증을 위한 운영결과 중심의 성과 관리, 교육 프로그램 품질 관리, 관계자의 만족도, 운영성과 홍보를 통한 확산, 학생과 학교의 지속 운영 여부, 그리고 학교의 자립정도 등이 기준 요인이 된다.
12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Ⅳ-1>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기준별 운영유형 특성영역
사업의 정체성
목표의 방향성
대상의 차별성
기간의 지속성
내용의 통합성
자원의 연계성
운영기준
운영유형(관리모델 및 운영지침 설정의 근거)
사업성격
교육활동수단형 / 문화예술중심형
경영목표
일반교육활동 활용형 / 문화예술교육 특화형 / 문화예술중심 학교형
운영계획
통합계획형(문화예술중심 연간계획) / 개별계획형(별도 운영계획)
평가관리
종합평가형/개별평가형, 연간/분기/월간평가, 정기평가/수시평가 등
개선관리
종합개선형/부분개선형, 정기개선/수시개선
성취유형
기능습득형 / 단순경험형 / 지속향유형 / 자기개발형
목표수준
상위목표/하위목표, 일반목표/세부목표, 추상목표/구체목표
내용연계
목표-내용 타당성( 목표-내용 일치 / 부분 일치 )
교급유형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지역범위
농산어촌 지역 / 도-농복합지역 / 도시-농촌경계지역 / 도시지역
학교규모
100명 이하 / 200명 이하 / 300명 이하 / 400명 이하
학생범위
전교생 참여(사업의 전제 조건) / 부분 참여
구성주체
학생 / 교사 / 강사 / 부모 / 지역주민 / 지역기관 /중앙기관
지원기간
기본형(4년) / 준비기간포함 / 후속기간 지원 / 통합(준비-본운영-후속)
단계관리
발전단계형 / 연차관리형 / 결합형(단계+연차)
진행관리
체크리스트 관리 / 추진일정관리 / 과업현황관리 / 과업경로관리
반영수준
교육내용-부분반영 / 교육내용-전체반영 / 학교운영체제 개편
개발유형
교사중심형 / 학생참여형 / 강사개발형 / 전문기관 의뢰형 / 전문가 의뢰 / 관련 기존 프로그램 활용 등
교육활동
교과중심형 / 창의적 체험활동중심형 / 방과후 학교중심형 / 통합과정형
교과연계
교과무관형 / 교과내용연계형 / 예술교과형 / 교과통합과정형
분야편성
개별분야형(분야특화,분야선택) / 통합분야형(분야연계, 분야융합, 주제중심)
선택주체
학생주도형 / 학교주도형 / 학생참여형(학생-교사 파트너십)
운영단위
개인별 자율 선택 / 학급 단위 / 동아리 조직 /프로젝트 팀 등
참여수준
학생/교사/강사/부모 등의 참여 수준 - 적극-보통-미흡 관리
운영방법
강사중심 강좌수업 / 예술분야별 기능실습 / 체험과정 중심 / 관람중심 발표․전시중심 / 작품제작 중심 / 통합활동형
체험유형
현장체험형 / 체험놀이형 / 제작실습형 / 작품창작형 /복합형
활동유형
학생/교사/강사/부모/주민을 대상으로 한 활동의 유형: 교육활동(일반)/강좌/ 동아리 / 관람/ 축제/ 캠프 / 행사 등
교육자료
활동교재(워크북) / 교안(매뉴얼) / 시청각자료 등
학교환경
기존 공간 개선 활용 / 필수 공간 확보 / 학교의 예술공간화
공간활용
교내중심 활동 / 지역중심 활동 / 학교-지역 복합활동
인적자원
교사중심 / 외부 강사중심 / 지역전문가 활용 / 외부전문가 활용
역량개발
전문연수 / 실습체험 / 연구개발 / 연구발표 / 현장사례조사 / 교육파견 등
자원연계
학교자원 활용 중심 / 지역자원 활용 중심 / 자원 복합형의 네트워크
연계유형
개별 접촉형, 일상 모임형, 단순 협의형, 협약체결형, 공식적인 협의체형, 공 동사업형 등
기관자원
문화기관 / 어린이․청소년기관 / 교육자원 시설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25
운영의 효과성
행정자원
지방자치단체 / 지역 교육지원청 등
재정자원
사업보조금 / 학교 자체 예산 / 지역 행정기관 지원금 / 기타 후원금 / 수익 자부담 등
실습도구
분야별 교육활동 도구, 시청각 매체 등
주민지원
참여지원형(지역행사지원, 학교시설 제공, 문화예술교육/체험활동 참여지원, 지역행사의 공동기획), 지역봉사형(나눔활동, 찾아가는 문화봉사 등)
주민참여
의견제안형(공동기획위원회 운영, 지역주민 의견조사, 공동 회의), 지원형(학 교 후원회 등)
성과관리
사업관련 운영결과물, 성과지표 관리
품질관리
프로그램 우수성 내부 평가 / 외부 평가
만족관리
학생, 교사, 부모, 지역주민 만족도 관리
홍보관리
홍보 시스템, 인지도 제고, 우수사례 전파 등
자립유형
자립형 / 지원형 / 자립-지원 복합형
자립내용
교육과정 자립 / 재정자립 / 운영관리 자립
12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3. 운영모델1 : 사업 관리 모델 3.1 모델 체계 및 운영기준 3.1.1 목표체계도(지원사업 운영기준) 비 전 예술로 꿈꾸는 학생, 문화로 꽃 피는 학교, 문화를 향유하는 지역사회
미 션 지역사회 중심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과 네트워크의 플랫폼
사업목적 문화 소외지역의 소규모 학교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예술적 감성․창의성 증진 및 문화 예술 향유를 위한 문화예술중심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함께 만드는 문화 예술교육 거점학교를 조성하여 지역문화예술 활성화에 기여함
사업목표 목표2. 마을기반 문화예술교육 거 점으로서 학교의 기능정립 과 성장
목표3. 지역사회 자원연계를 통한 문화향유의 생활화를 위한 환경 조성
전략2 (브랜딩 전략) 문화 소외지역의 변화를 선도하는 문화 거점 이미 지 확보
전략3 (연계형 전략) 지역자원을 활용한 문화 환경의 지속적 확산과 자 립 기반 강화
과제1. 학교별로 특성화된 문화예술교육과정 운영체 계 정착
과제3. 학교중심 문화 소 외지역 맞춤형 문화 프로 그램 운영
과제5. 지역자원 간 협력 을 위한 통합 네트워크 구 축․운영
과제2. 문화예술교육 운영 기반조성을 위한 지원 체 제 강화
과제4. 주민 연계-참여를 통한 마을형 문화거점학교 운영
과제6. 지역기반 자립형 문화학교 시스템 구축 지 원
목표1. 예술기반 학교운영을 위한 학교의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추진전략 전략1 (특성화 전략) 소규모형 문화예술교육 특 성화 학교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지원
추진과제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27
3.1.2 사업 관리 모델의 구성 요소 운영모델은 목표 체계도에 기초하여 구성한다. 목표 체계도는 비전, 미션, 목적, 목표, 전략,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비전(vision)은 원래 상상력, 직감력, 통찰력 등을 뜻하지만 사업의 경우 궁극적인 미래상 또는 미래의 전망을 표현한 것이다(진중권, 2003). 미션(mission)은 주어진 임 무 또는 과업을 의미한다.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구체적 임무라고 할 수 있 다. 비전과 미션은 전술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개념정의에 기초하여 진술하였고, 목적, 목표, 전 략, 과제도 이에 준하되 사업 관리 모델과 학교운영지침 모델의 주체를 고려하여 표현의 차이를 두었다. 모델의 구성요소는 담당 과업의 편성을 중심으로 연계 체제를 제시한다. 운영 주체 또는 적용 대상은 정책주관 기관이나 개별 학교 모두를 전제로 하며 각각의 입장에서 수행해야 할 과업의 체계를 종합적인 모델로 유형화한다. 관리 업무의 중심에 예술꽃 씨앗학교를 배치하고 이와 관 련된 구성 주체를 연계한다. 즉 학교에서 수행해야 하는 사업관리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주체 또는 과업의 내용을 구조화 한다. 관리모델에 따른 과업내용은 지침모델 개발 시 운영방향 설정 을 위한 내용 기준이 된다. 다음은 모델을 구성 요인별로 학교 및 운영지원 기관에서 수행해야 할 과업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대부분의 과업이 개별 학교에서 수행해야 하는 것에 해당되며 운영지침 개발을 위한 운영기준의 요소가 된다(3.1.4에서 운영기준 재정리, 각각의 과업에 대해 학교나 주관기관에서 추진 및 지원 실시).
○ 지역사회 운영기반(학교 + 마을 중심 지역사회) -학교와 학교가 입지한 지역사회(읍·면·동)를 기준으로 지역단위 기반 조성 -실제 학교의 직접 활동 대상 지역은 마을을 단위로 하여 지역 친화성 확보 -지역사회 내에서 긴밀한 협력이 가능한 특정 단체/시설과 협약을 통해 파트너십 확보 ○ 정책지원기반1(중앙행정) -국가 수준의 정책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정책적 기반과 현장 지원 체계 확대 -문화체육관광부: 정책 계획․제도적 지원, 교육부 및 관련부처, 지자체 협력체계 구축 지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실행의 주관 기관으로 전체 과정의 관리와 학교대상 지원 총괄 ○ 정책지원기반2(지역행정) -지역(시·군·구) 행정지원 및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지역자원 활용 및 지속적 운영 지원 -학교가 입지한 시·군·구의 담당 부서를 중심으로 업무 협의 및 의회와의 관계 유지 -학교의 행정지원을 담당하는 교육지원청과 상시적인 협의와 지원을 위한 협의회 운영 ○ 운영관리1(학교교육활동) -본 사업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로서 학교단위의 교육활동 등 사업 운영 체계 정립 -학교의 운영계획과 전략을 바탕으로 예술꽃 씨앗학교의 내부적인 운영 시스템을 구축
12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교육과정 편성 및 실행체계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과업과 내용 선정 ○ 운영관리2(지역자원연계) -지역(시·군·구) 내 문화자원과의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지역중심의 운영기반 확대 -공공 부문의 시설, 단체(문화원, 문화예술회관 등) 및 민간 부문의 자원, 전문가 연계 -어린이, 청소년시설을 중심으로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졸업 및 지원종료 후 지속운영 3.1.3 운영체계도 : 종합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체계 ○ 기본 프레임
정책지원기반 1(중앙)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사회
운영관리1(교육활동) -학교교육과정 운영-
학 교
협력기관
운영관리2(지역자원연계) -공공․민간 문화기관-
정책지원기반 2(지역) -시·군·구/교육지원청 등-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29
○ 사업 관리 모델의 개념도 : 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 한 운영모델
교육부문 정책협력
문화체육관광부
관계부처 협력
교육부
여성가족부 농식품부 등
교육관련기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정책지원기반1(중앙)
운영관리1(학교) 계획성과
교육과정
평가개선
[지역사회 운영체계 관리]
학 지역활동
운영기반
생
예술꽃 씨앗학교
읍·면·동 지 역 협 회 력 전 담 행정조직 기관
학부모 지역사
운영관리2(지역) (공공/민간) 문화예술기관 지역(시·군·구) 지원협의체
문화시설
지역주민 지역단체 후원모임
어린이․청소년 문화시설단체
정책지원기반2(지역)
(시·군·구) 교육지원청
지역행정지원 협의 모임
시·군·구 의회 (교육위원회)
13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시·군·구) (문화담당)
지역기반 평생교육시설
3.1.4 사업 관리 모델의 작동원리(운영주체 기준)
(1) 정책-사업관리자의 운영기준 ○ 정책 수행체계에 따른 담당 조직 - 정책·사업관리 총괄적인 기능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담당 - 구체적인 정책수행과 학교 관련 직접적인 과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담당 ○ 문화체육관광부의 업무운영기준 - 기본업무: 예술꽃 씨앗학교 관련 정책 계획의 수립과 예산 확보 및 보조금 교부와 정산 관리 등 일반적인 지원사업의 수행에 필요한 총괄적이고 종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 협력업무: 사업의 특성상 본 프로그램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의 문화예술정책과 교육 정책이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교육부 협력관계를 통해 통합적인 정책을 수행한다. - 연계업무: 대상의 특성이나 중점 지역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관련성이 높은 중앙부처와의 협력이 필요한 경우 부처 간 연계에 필요한 제반 사항을 추진하고 관리한다. - 지원업무: 실제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학교 단위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지방자치단체 및 지 역별 교육지원청 등 지방행정기관이나 지역의 문화 관련 기관들과의 연계와 협력사업 수 행에 필요한 행정적인 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 관리업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대한 관리와 감독 기능을 통해 사업의 수행과정을 관리하고 연간 성과와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운영체제와 지원체제를 개선한다.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업무운영기준 - 문화체육관광부와 협력을 통한 지원사업의 기획과 운영업무를 총괄한다. - 예술꽃 씨앗학교의 선정에서부터 종료, 후속 지원까지 개별 학교에 대한 전체 과정을 대 상으로 각종 지원 및 관리 업무를 수행한다(컨설팅, 사업기획, 예산관리, 평가 관리 등). - 개별 학교에서 수행한 성과나 운영과정에 대한 집중적이고 직접적인 관리 기능뿐만 아니 라 개별 학교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연계나 협력업무와 관련하여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 운영학교 간의 상호 정보 공유, 연계와 협력을 위한 협의모임이나 공동 프로그램 운영 지 원 등 학교 간 네트워크 구축과 운영에 관한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 지역사회 문화기관 등 공공분야의 협력이 필요한 경우나 다른 부처 산하의 정책수행기관 과의 협력이 필요한 경우 정보를 제공하거나 연계 기능을 수행한다. - 운영학교와 교사 등 관련 인적 자원의 역량 개발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 학교별 성과의 공유와 누적을 통한 확산, 예술꽃 씨앗학교에 대한 통합적인 홍보기능을 담당한다.
(2) 개별 학교 단위에서의 운영기준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31
○ 종합모델의 기능: 학교의 운영지침 도출과 설정의 근거 - 종합모델은 그 중심에 예술꽃 씨앗학교 중심으로 관련된 주체와 기능이 어떻게 조직화되 고 사업을 어떻게 운영하는지에 대한 요소와 관계의 체계이다. - 단순한 사업 흐름도나 연계표가 아니라 학교단위 운영모델 개발 차원에서 운영지침의 선 정 시 반영해야 할 운영내용의 핵심 요소와 운영방향의 기준을 내포하고 있다. - 정책 집행 관리자 차원의 운영체계만이 아닌 개별 학교 단위에서 수행해야 할 사업관리의 내용과 운영체계를 유형화한 모델로 이를 토대로 운영지침의 모델체계를 개발한다. ○ 운영기준1-마을 중심의 지역사회 운영체계 구축과 운영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단체나 시설 중 지속적 협력이 가능한 기관과 MOU 체결 을 통해 상시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지역사회 주민 연계, 문화시설 연계, 문화전문가 연 계. 지역행정 자원 연계 등 지역자원 연계와 관련된 업무의 지원을 받도록 한다. - 학교가 입지한 지역을 중심으로 학생-학부모-지역주민으로 이어지는 구성원과 행정기관문화시설-지역단체로 이어지는 기관자원을 중심으로 운영기반을 조성해간다. ○ 운영기준2-사업의 핵심 요인으로 교육활동 중심의 운영관리 전문화 - 학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자 과업은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과 유형에 토대를 두고 통합 문화예술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에 적합한 학교 내 운영체제를 갖추는 것이다. - 평가관리를 중심으로 학교운영계획에서 개선 관리에 이르는 전 과정을 통합적이고 체계적 으로 연계할 수 있는 운영시스템을 갖추고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실행한다. ○ 운영기준3-운영지원 기반 확대와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자원 협력 - 상시협력기관을 중심으로 지역의 주요기관과 연계망을 맺고 지역전문가, 기관들의 참여와 상호협력, 지원을 위한 지원협의체를 조직하여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연계망을 구축한다. - 학생들의 일상 속 또는 종료 후에도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기관-시설 연계를 확대한다. ○ 운영기준4-문화예술교육 정책과제 사업으로서의 운영관리 체제 협력 - 학교는 기본적으로 교육정책 분야에 속하여 있고 교육행정 관리 시스템을 근거로 운영이 되고 각종 교육지원사업의 경우에도 교육정책 관련 방식에 익숙하다. -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도 증진과 수용, 학교교육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진흥원 등 주관기관과 협력한다. ○ 운영기준5-지역기반 행정-정책 관련 기관연계를 통한 지원 기반 확장 - 시·군·구 및 교육지원청의 행․재정적 지원을 위한 지원 모임을 협의회 방식으로 운영한다. - 지자체 등의 운영계획에 학교운영에 필요한 지원 사항을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정책협의를 요청하고 의회를 통해 제도적인 지원 기반을 강화한다(관련 조례나 예산 책정 등).
13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4. 운영모델2 : 학교운영지침 모델 4.1 목표 및 운영체계 4.2.1 목표체계도(학교단위 운영기준) 비 전 예술로 꿈꾸는 학생, 문화로 꽃 피는 학교, 문화를 향유하는 지역사회
미 션 지역사회 중심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과 네트워크의 플랫폼
사업목적 지역자원 연계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경험과 여건이 부족한 문화 소외지역 학교의 학생들이 학교교육과정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문화적 역량을 개발하고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 활성화를 통해 문화거점학교로 발전
사업목표 목표2.(학교측면) 문화예술교육 중심의 자립 형 학교교육 운영시스템의 지속
목표3.(지역측면) 문화예술교육 거점으로 지 역사회 문화예술 환경 조 성과 지원․연계 활성화
전략2 (전문화 전략) 특화된 교육체계 구축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전문 화된 학교로 정착
전략3 (지역화 전략) 마을-지역사회 속 학교로 서의 인지도 제고와 실제 적 협력 기능 강화
과제1. 학교 내 창의적 문 화예술교육 활동의 일상적 운영 및 확대
과제3. 문화예술교육 중심 학교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시스템 개선
과제5. 지역사회 구성원 연계 중심 문화예술교육 활동 및 참여 확대
과제2.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개발과 제고를 위한 지원-관리 체제 운영
과제4. 문화예술교육 특화 학교로 지속 및 확산을 위 한 자립기반 확대
과제6. 지역자원 연계-협 력을 위한 동반자형 네트 워크 확대
목표1.(학생측면) 예술적 감성․창의성 증진 및 문화예술 향유를 통한 문화적 역량 증진
추진전략 전략1 (역량화 전략) 문화예술교육 체험과 성장 을 통한 성과 기반의 핵심 역량 개발
추진과제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33
4.2.2 운영체계도: 학교단위 업무 영역 기준
계획 일정관리
계획-성과 관리시스템
현황․성과관리
추진일정
성과자료관리
과업점검
홍보-인지도 계획․성과 보고 관리
진척도 관리
참여-만족도
운영계획-성과관리
교육과정 개발․운영
지역사회 연계관리 예술꽃 씨앗학교
과정연구 과정설계 매체개발
교육평가 교육운영 교육자료
[통합관리] 교 육 활 종 합 평 문 화 거 동 가 점 종 합 관 개 선 관 기 능 관 리 리 리
지역자원 연계망 (협의체 등) 지 역 협 력 전 담 기관 주민참여활동 (요구/교육)
운영기반 유지 강화
인적자원 확보 전문성 개발
교육공간 환경 교육장비 물품
자립운영 기반
13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재원 확보 예산 관리
지역연계활동 (시설/행사)
4.1.3 학교운영지침 모델의 작동원리(업무영역 기준) ○ 학교단위 운영모델의 기능 : 학교단위에서 수행하는 관리업무 및 운영지침 도출의 기반 - 학교단위 운영모델은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학교에서 수행하는 업무가 어떻게 구성되고 상 호 연계되어 작동하게 되는지 보여주는 요소와 요소 간 체계의 개념도이다. - 추진과제, 운영체계도 및 운영지침은 분류 기준에 따라 영역 설정 방식이나 명칭은 차이 가 있으나 각각의 기준에 따라 운영 구조를 체계화한 것이다. - 운영모델의 과제는 목표에 따라 변동이 될 수 있고 운영지침도 유동성은 있으나 기본취지 와 방향에 따른 핵심적인 기준은 유지가 되어야 한다. ○ 운영기반-통합관리 대상 업무 -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학교에서는 사업 운영 및 학교의 교육활동 운영과 관련된 제반 기능 을 조정하고 업무를 편성하면서 개별화된 업무의 통합적 관리를 통해 과업을 추진한다. - 전체적인 통합관리를 전제로 중요한 통합관리 업무 대상으로는 교육활동, 종합평가, 문화 거점 기능이 있으며 각 관리업무는 분야별 과업영역과 연계되어 있다. ○ 운영기준1-운영계획․성과관리 -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운영을 위한 계획의 수립과 일정관리를 통한 과정관리를 비롯하여 중간 및 최종 단계에서의 산출물이나 종합적인 성과물 관리 업무가 편성된다. - 성과는 평가시스템과 연동이 되며 주로 추진과정에서 확보된 각종 현황자료의 관리부터 운영에 따른 만족도나 인지도, 품질 등 효과성에 관련된 요소도 포함된다. ○ 운영기준2-교육과정 개발․운영 - 실제적인 콘텐츠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학교의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기반으로 다양한 수준 과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 된다. - 일반적인 교육과정 운영 시스템을 토대로 하며 운영계획, 교육활동 관리, 교육환경 및 예 산 집행, 운영평가 및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활동 지원 업무와 연계되어 운영된다. ○ 운영기준3-지역사회 연계관리 - 지역사회를 배경으로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지향하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취지에 따라 주민참여 활동, 지역중심 문화예술의 거점화, 자원 연계 기능을 체계화한다. -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하여 교육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거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설 자원 협력, 자립운영을 위한 지역의 중요 자원과의 연계 등 관련 업무와 연동된다. ○ 운영기준4-운영기반 유지․강화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을 중심으로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에 필요한 각종 자원의 확보와 조성과 관련된 요소로 운영기반 체계를 갖추고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킨다. - 장기적으로 지원기관 이후 지속적 운영을 위한 자원 확보를 통해 자립기반을 강화한다.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35
4.2 학교운영지침 선정 및 편성 4.2.1 운영지침 모델 설정의 과정 운영지침 모델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과 관련된 핵심요소들이 선정 되어야 한다. 이 요소들의 결합과 재구성을 통해 다양한 운영유형을 도출하고 사업 목표와 취지 에 적합한 하위유형을 선택하여 운영지침을 구성한다. 요소나 기준을 선정하는 근거는 목표체계 도에 제시된 추진과제나 업무체계도에 따른 업무영역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 하는 추진과제는 목표에 따른 핵심내용을 과제로 설정한 것이지만 과제의 포괄성과 유동성을 고려할 때 사업내용 전체를 모두 반영하지는 못한다. 또한 업무체계도의 업무영역은 기존의 로 드맵형 운영모델의 영역에 바탕을 둔 것이고 운영지침 내용 편성의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장점 이 있다. 다만, 연계되어야 할 업무가 영역의 편성 방식에 따라 분산되기도 하고 사업의 방향성 보다는 업무 간의 평면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모델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업의 취지나 차별 성을 드러내기 어렵고 운영자 입장에서 운영의 절차나 흐름에 따른 업무의 유기적 관계를 표현 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운영자 관점에서 운영관리 지침의 체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영모델로서 목표체계와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하되 전체 사업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7가지의 특성내용을 활용하고자 한다. <표Ⅳ-1>을 통해 정리된 7가지 특성영역별 운영기 준과 운영기준에 따른 운영유형들은 운영지침 모델 구성을 위한 내용이자 대안들이 된다. 대안 은 원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대상이다. 그러나 모든 대안들이 동등한 것이 아니라 우선순위가 있고 적절성이나 타당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술꽃 씨앗학교는 예술 기반 학교운영의 모델로서 다양한 특성을 수용할 수도 있지만 동 사업이 지향하는 가치나 목표 를 유지하고 정책적으로나 내용적으로 다른 문화예술교육 사업들과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는 기본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기준도 필요하다. 이 기준이 유형 선택의 준거와 지침 모델 구성 의 기반이 되며 기준과 유형의 재편 과정을 통해 정리된 운영지침의 체계가 기본형이 된다. 즉 운영기준별로 선택 가능한 유형 중 기본형 개발을 위한 준거를 선택하고 기준과 유형들 간의 연계와 수정을 통해 운영지침을 모델로 체계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정된 운영지 침은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에 필요한 세부적인 방안 도출의 근거가 된다.
학교단위에서 적용할 운영지침 모델 설정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예술꽃 씨앗학교 성격과 정체성 설정 -예술꽃 씨앗학교 추진목표 정립 -운영모델의 체계 구조 설정(목표체계도, 운영체계도, 영역편성기준 등) -모델 설정을 위한 운영유형의 선택 (<표Ⅳ-1> 운영기준별 운영유형의 체계)
13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운영기준별 유형을 근거로 특성-운영기준별 핵심적인 준거 정리 -운영기준의 재분류 및 준거를 기준으로 운영지침 설정 -운영지침의 편성 표 작성을 통해 지침의 구성을 체계화 -운영지침에 따라 세부적인 적용 방안 도출
4.2.2 운영유형을 통한 기본형 지침의 준거 설정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을 운영하는 학교에서 적용해야 하는 운영지침 모델은 기본형을 전 제로 한다. 기본형은 가장 전형적인 기준과 요소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모델이다. ‘기본’이라는 용어 그대로 사업을 운영하면서 준수해야 할 기준의 체계로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을 위한 바탕 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예술꽃 씨앗학교의 개념 정의에 토대를 두고 운영기준별로 가장 타당한 운영유형을 선택하고 운영기준과 운영유형들 간의 수정과 재편성에 의해 하나의 지침 체계를 설정한다. 개별 학교에서는 선정 심사에서부터 전체 지원사업 기간 중 각종 계획과 운영과정에 반영해야 하는 지침이 된다. 아울러 운영지침은 사업 실행을 위한 매뉴얼의 개요에 해당하며 예 술꽃 씨앗학교에 대한 평가 지표와 연계된다. <표Ⅳ-2>는 <표Ⅳ-1>의 운영유형을 기준으로, 기 본형 운영지침 설정을 위한 준거이다. 이 준거들은 운영기준과 운영유형의 재분류 과정을 통해 운영지침을 설정하거나 적용하기 위한 근거가 된다.
<표Ⅳ-2> 기본형 운영지침 설정을 위한 준거 분석 특성
사업의 정체성
목표의 방향성
운영기준
운영유형(선택 대상 하위유형)
기본형 운영지침용 준거
사업성격
①교육활동수단형 ②문화예술중심형
-문화예술중심 사업으로서의 정체성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 개념 반영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방향 반영
경영목표
①일반교육활동 활용형 ②문화예술교육 특화형 -문화예술중심 학교형
-문화예술중심 학교로서의 성격과 방 향에 따른 문화예술중심 목표 지향
운영계획
①통합계획형(문화예술중심연간계획) ②개별계획형(별도 운영계획)
-문화예술교육 기반의 통합형 연간교 육운영계획 수립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기초한 교육내 용을 포함한 운영계획 전반 대상
평가관리
-①종합평가형/②개별평가형 -①연간/분기/②월간평가 -①정기평가/②수시평가 등
-통합계획에 기초한 종합평가 실시 -평가시기 및 방법의 다양성 확보
개선관리
-①종합개선형/②부분개선형 -①정기개선/②수시개선
-종합평가에 따른 종합적인 개선 -정기 또는 수시의 개선 관리
성취유형
①기능습득형 ②단순경험형 ③지속향유형 ④자기개발형
-문화예술의 지속적인 향유 지향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37
대상의 차별성
기간의 지속성
내용의 통합성
목표수준
①상위목표/하위목표 ②일반목표/세부목표 ③추상목표/구체목표
-다양한 수준에 의한 목표설정 관리 -목표 진술의 다양한 기준을 적용
내용연계
-목표-내용 타당성 (①목표-내용 일치 / ②부분 일치 )
-목표에 따른 내용 연계성 필수
교급유형
①초등학교 ②중학교 ③고등학교
-교급별 특성에 기초한 계획 운영
지역범위
①농산어촌 지역 ②도-농 복합지역 ③도시-농촌경계지역 ④도시지역
-지역적 특성에 기초한 과정 운영 (선정 시 농산어촌 중심 취지 반영) -필수요소 :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교규모
①100명 ②200명 ③300명 ④400명
-학생 규모에 따른 특성 반영 -활동의 집중도, 예산배분에 차이
학생범위
①전교생 참여(사업의 전제 조건) ②부분 참여
-전교생 참여를 전제로 함
구성주체
①학생 ②교사/강사 ③부모/지역주민 ④지역기관/중앙기관
-학교 내 중점 주체는 학생, 교사임 -관계자 전체의 참여 관계망을 통해 구성주체는 다양화 및 연계화
지원기간
①기본형(4년) ②준비기간 포함형 ③후속기간 지원연계형 ④통합과정형(준비-본운영-후속)
-행정적으로는 기본 4년 과정 집중 -학교운영은 준비-운영(4년)-후속과정 을 토대로 지속적 운영에 기반
단계관리
①발전단계형 ②연차관리형 ③결합형(단계+연차)
-운영기간 관리는 발전단계를 기준으 로 연차요소를 연계한 결합형 반영
진행관리
①체크리스트 ②추진일정 ③과업현황 ④과업경로 관리
-진행관리 기법은 필요에 따라 활용 -기간을 중심으로 통합적인 운영관리 를 위해 경로형 관리 기법 권장
반영수준
①교육내용-부분반영 ②교육내용-전체반영 ③학교운영체제 개편
-문화예술중심 학교운영을 위해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학교운영체제 개편
개발유형
①교사중심 ②학생참여 ③강사개발 ④전문기관 의뢰 ⑤전문가 의뢰 ⑥관련 기존 프로그램 활용 등
-목표는 학생참여를 바탕으로 한 교 사중심의 개발 체제 지향 -개발 자원은 다양하게 활용
교육활동
①교과중심형 ②창의적 체험활동중심형 ③방과후 학교중심형 ④통합과정형
-학교교육활동 전체과정(정규/비정규) 을 통합한 교육과정 편성
교과연계
①교과무관형 ②교과내용연계형 ③예술교과형 ④교과통합과정형
-교과과정과 문화예술교육의 내용/방 법을 융합한 통합과정형 적용
분야편성
①개별분야형(분야특화,분야선택)
-지향점은 통합분야형을 기준으로 주
이하 이하 이하 이하
138|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자원의 연계성
②통합분야형(분야연계,분야융합,주제 중심) *대안 유형:분야형/주제형/경험형
제중심의 융합과정 운영 -분야의 다양성을 기초로 특정분야 외에 관련 또는 복수의 분야 편성
선택주체
①학생주도형 ②학교주도형 ③학생참여형(학생-교사 파트너십)
-현실적으로는 학교주도형 적용 -파트너십에 의한 학생참여형 지향
운영단위
①개인별 자율 선택/②학급 단위 ③동아리 조직 ④프로젝트 팀 등
-교육내용 및 편성단위에 따라 다양 한 형태의 운영단위 조직 및 편성
참여수준
-학생/교사/강사/부모 등의 참여수준: 적극-보통-미흡 관리
-모든 구성주체의 적극적 참여 노력
운영방법
①강사중심 강좌수업 ②예술분야별 기능실습 ③체험과정 중심 ④관람중 심 ⑤발표․전시중심 ⑥작품제작 중심 ⑦통합활동형
-통합활동에 따른 다양한 방법 활용 -다양한 방법이 목표나 내용에 따라 선정되는 다양성과 적합성 중요 -적절한 방법이 교육효과성에 영향
체험유형
①현장체험형 ②체험놀이형 ③제작실습형 ④작품창작형 ⑤복합형
-복합형에 따른 다양한 방법 활용 -일상적인 교육활동 운영과정 중에는 놀이관점의 체험학습 방법 활용
활동유형
-대상유형: ①학생 ②교사 ③강사 ④ 부모 ⑤주민 -활동방법:①교육활동(일반)②강좌③ 동아리④관람⑤축제⑥캠프⑦행사 등
-강사중심 강좌 중심이 아닌 목표와 내용에 따른 다양한 유형 편성 -대상별 특성에 따른 유형 적용(교․강 사-체험중심의 연수과정에 적용) -학부모, 주민 대상의 과정은 강좌에 도 지역행사에 따른 유형 반영
교육자료
①활동교재(워크북) ②교안(매뉴얼) ③시청각자료 등
-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 활용
학교환경
①기존 공간 개선 활용 ②필수 공간 확보 ③학교의 예술 공간화
-학교 자체를 예술적 공간으로 조성
공간활용
①교내중심 활동 ②지역중심 활동 ③학교-지역 복합활동
-학교와 지역 공간의 복합적 활용 -현실적으로 학교 내 환경 확보 집중
인적자원
①교사 중심 ②외부 강사중심 ③지역전문가 활용 ④외부전문가 활용
-예술분야 교육-전문강사 인력확보 -교과연계 교육활동-교사의 전문성
역량개발
-전문연수/실습체험/연구개발/연구발 표/현장사례조사/교육파견 등
-교사, 강사 대상의 다양한 연수지원 -전문성, 참여도 제고의 기반
자원연계
①학교자원 활용 중심 ②지역자원 활용 중심 ③자원 복합형의 네트워크
-학교자원과 지역자원의 네트워크 구 축을 중심으로 운영
연계유형
①개별 접촉형 ②일상 모임형 ③단순 협의형 ④협약 체결형 ⑤공식 협의체형 ⑥공동사업형
-공동사업을 통한 협력관계 구축의 실효성 제고 지향 -MOU 및 협의체를 기반으로 활용
기관자원
①문화기관/②어린이․청소년기관/③교 육자원 시설
-지역 내 협력전담 문화기관 필수화 -다양한 지역 기관과의 연계 확대
행정자원
①지방자치단체 ②지역교육지원청 등
-행정 기관과의 정책지원 협력 운영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39
운영의 효과성
재정자원
①사업보조금 ②학교 자체예산 ③지역 행정기관 지원금 ④기타 후원금 등
-지원기간 중 보조금 집행 관리 -학교 자체의 예산 및 연계 사업 공 모 등을 통한 자체예산 확보 노력
실습도구
①분야별 교육활동도구 ②시청각매체 등
-분야별 특성에 따른 도구의 확보 (각종 기자재 및 수업용 도구) -교육 자료와 연계한 기본적인 자원임
주민지원
①참여지원형(지역행사지원, 학교시 설 제공, 문화예술교육/체험활동 참 여지원, 지역행사의 공동기획) ②지역봉사형(나눔활동, 찾아가는 문 화 봉사 등)
-주민 대상의 다양한 문화예술관련 프로그램 지원활동 편성 (학교 방문형 + 지역 방문형)
주민참여
①의견제안형(공동기획위원회 운영, 지역주민 의견조사, 공동 회의) ②지원형(학교 후원회 등)
-예술꽃 씨앗학교운영에 대한 참여 유도 -예술꽃 씨앗학교 후원회 조직 권장
성과관리
-운영성과물 관리(운영과정 전반) -성과지표 관리/성과평가 관리
-운영과정 중 자료 관리의 체계화 -성과관리 및 환류(자체평가 연동)
품질관리
-프로그램 우수성 내․외부평가
-프로그램 품질 현황 및 개선 관리 (자체평가 연동)
만족관리
-학생, 교사, 부모, 지역주민 만족도 관리
-만족도 제고관리 시스템 운영 -만족도 조사 및 개선 관리
홍보관리
-홍보계획/홍보활동/홍보 네트워크 -인지도 제고/우수사례 전파 등
-홍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필수과정) -인지도 제고 노력 및 성과 관리
자립유형
①자립형 ②지원형 ③자립-지원 복합형
-목표는 지원기간 종료 후 자립체제 구축 및 지속적 운영에 둠
자립내용
①교육과정 ②재정확보 ③운영관리 등
-문화예술중심 교육과정의 안정화 -다양한 재원을 통한 운영기반 확보 -계획~환류 개선까지 독자운영 역량
4.2.3 운영지침 선정 준거에 따른 운영모델 구성(안)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중 개별 학교 단위에서 계획 수립과 실행과정의 기준으로 사용되 는 운영지침 모델은 내용 설정 범위의 수준 측면에서 일정한 수준의 대표성과 포괄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지나치게 추상적인 경우는 기본방향에 머물고 지나치게 구체적일 경우에는 매뉴얼 에 해당된다. 지침 간의 편성과 관계를 통해 운영모델의 기본형 체계를 제시하게 되는데 모델화 를 위해서도 운영지침은 핵심지침을 중심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형 모델 개 발을 위해 선정한 운영기준별 준거요소를 바탕으로 운영기준 자체를 재분류할 필요가 있다.
(1) 1단계 : 영역 명칭의 조정 운영지침의 선정은 이념적인 방향을 바탕으로 하되 실제 예술꽃 씨앗학교가 운영되는 실천과 정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운영모델을 구성하는 과업형 명칭을 적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
14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러한 점을 고려하여 특성영역은 기본영역으로 영역 명칭을 수정한다. 명칭 설정은 Ⅲ의 5에서 정리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7가지 특성에 따른 운영방향과 기준의 내용을 근거로 한다. 이를 위 해 특성의 운영기준을 대표하는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고 이를 기본영역의 명칭으로 적용한다. 예를 들어 ‘사업의 정체성’의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경영목표, 운영계획을 통한 실행전략 수립과 평가를 통한 관리가 그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계획․평가’를 키워드로 기본영역 명칭을 정한다.
(2) 2단계 : 운영기준의 통합 및 수정 1단계는 사업의 운영특성에 기반을 둔 운영기준을 바탕으로 실제 운영에 필요한 지침의 성격 을 살릴 수 있는 기본영역으로 명칭을 설정하였다. 2단계는 운영기준의 내용 중 상호 연계나 통합이 적절한 기준으로 재분류하고 통합된 기준 영역의 명칭을 재설정한다. 3단계에서 통합된 수정 운영기준별로 준거를 참조하여 운영지침을 설정한다.
<표Ⅳ-3> 운영지침 모델의 영역 및 기준의 수정 사업의 특성영역
수정된 기본영역
운영기준
수정된 운영기준
사업성격 경영목표 사업의 정체성
계획․평가
평가관리 개선관리 성취유형 목표의 방향성
목표관리
운영계획
운영계획
목표수준 내용연계
평가개선 성취유형 목표연계
교급유형 지역범위 대상의 차별성
참여대상
학교규모
대상범위
학생범위
기간의 지속성
운영기간
구성주체
구성주체
지원기간
지원기간
단계관리 진행관리
진행관리
반영수준 개발유형 교육활동 내용의 통합성
교육활동
교육과정
교과연계 장르편성 선택주체
교육단위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41
운영단위 참여수준 운영방법 체험유형
교육방법
활동유형 교육자료 학교환경 공간활용 인적자원 역량개발
교육재료 공간조성 인력개발
자원연계 자원의 연계성
자원관리
연계유형 기관자원
자원연계
행정자원 재정자원
재정자원
실습도구
교육재료
주민지원 주민참여
주민연계
성과관리 품질관리 운영의 효과성
성과관리
운영성과
만족관리 홍보관리 자립유형 자립내용
홍보관리 자립운영
(3) 3단계 : 수정된 운영기준에 따른 운영지침 설정 기본영역의 방향에 따라 기존의 운영기준을 재분류하되 운영모델 개발을 위한 기본형의 준거 는 수정전의 각 운영기준을 모두 목록화 하고 지침 설정에 반영한다. 운영지침은 각 기준별로 지향해야 할 방향이나 반영이 필요한 요소의 내용을 통합하여 대표적이고 종합적인 지침으로 작성한다. 위의 3단계 과정을 거쳐 수정된 영역 및 운영기준에 따른 준거를 기반으로 도출된 운영지침 의 내용은 <표Ⅳ-4>와 같다. 전술한 선정과정을 거쳐 총 20개의 지침으로 편성한 모델을 제시 하였다. 각 지침은 대표성과 포괄성을 전제로 기본영역의 운영기준에 따라 다양한 준거를 통합 하여 설정하였으며 지침별 내용의 개요 자료는 각 지침의 하위 요소 도출의 기준이 된다.
14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표Ⅳ-4>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지침의 편성 기본영역
운영기준
운영지침
지침 내용(개요)
운영계획
1-1 예술기 반 학교운영 모델로서의 운영계획 수 립
1-1 지역문화예술 거 점학교로 통합문화예술 교육의 이념 및 예술기 반 학교운영모델에 적 합한 운영계획을 수립 하여 예술꽃 씨앗학교 의 정체성을 유지해야 한다.
평가개선
1-2 자체평 가 시스템을 통한 개선관 리
성취유형
2-1 문화예 술향유를 통 한 문화역량 개발 목표 수립
목표연계
2-2 문화예 술향유 목표 에 따른 계 획내용의 연 계
1.계획·평가
2.목표관리
대상범위
3-1 문화예 술 소외지역 학교의 전교 생 참여
구성주체
3-2 학생-교 사-강사-부 모-주민-지 역관계자 연 계 운영
지원기간
4-1 준비-운 영-후속기간 의 연계 운 영
진행관리
4-2 관리기 법을 활용한
3.참여대상
4.운영기간
1-2 체계적인 자체평 가 시스템에 의한 종합 평가를 통해 개선관리 체계를 운영한다. 2-1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기반으로 예술적 기량․ 감성․창의성 증진 및 지속적인 문화예술 향 유를 통해 문화적 역량 증진을 목표로 한다. 2-2 문화예술 향유를 지향하는 구체적인 목 표에 따라 운영계획의 세부내용과 방법이 수 립되어야 한다. 3-1 문화예술에 소외 된 지역의 정원 400명 이하 전교생이 참여하 는 학교단위 문화예술 교육 활동을 운영한다. 3-2 핵심대상인 학생 을 중심으로 교사-강사 -부모-주민-지역관계자 로 이어지는 복합적인 운영체계를 운영한다. 4-1 발전단계에 따른 연차별 관리체계를 활 용하여 예술꽃 씨앗학 교 준비과정-본운영과 정(4년)-후속운영과정 을 연계한 통합적인 운 영기간 관리체제를 마 련한다. 4-2 사업기간의 특성 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기본형 운영지침의 준거 -문화예술중심 사업으로서의 정체성 -예술기반 학교운영모델 개념 반영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방향 반영 -문화예술중심 학교로서의 성격과 방향에 따른 문화예술중심 목표 지 향 -문화예술교육 기반의 통합형 연간 교육운영계획 수립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기초한 교육 내용을 포함한 운영계획 전반 대상 -통합계획에 기초한 종합평가 실시 -평가시기 및 방법의 다양성 확보 -종합평가에 따른 종합적인 개선 -정기 또는 수시의 개선 관리
-문화예술의 지속적인 향유 지향
-다양한 수준에 의한 목표설정 관리 -목표 진술의 다양한 기준을 적용 -목표에 따른 내용 연계성 필수 -교급별 특성에 기초한 계획 운영 -지역적 특성에 기초한 과정 운영 (선정 시 농산어촌 중심 취지 반영) -필수요소 :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 규모에 따른 특성 반영 -활동의 집중도, 예산배분에 차이 -전교생 참여를 전제로 함(선정조건) -학교 내 중점 주체는 학생, 교사임 -관계자 전체의 참여 관계망을 통해 구성주체는 다양화 및 연계화
-행정적으로는 기본 4년 과정 집중 -학교운영은 준비-운영(4년)-후속과 정을 토대로 지속적 운영에 기반 -운영기간 관리는 발전단계를 기준 으로 연차요소를 연계한 결합형 반 영 -진행관리 기법은 필요에 따라 활용 -기간을 중심으로 통합적인 운영관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43
일정관리기법을 활용하 여 과업의 경로를 체계 적으로 관리한다.
리를 위해 경로형 관리 기법 권장
5-1 정규교 육과정 기반 의 통합문화 예술교육 운 영
5-1 예술분야 간 통합 및 교과와 분야 간의 융합적인 통합을 중심 으로 정규교육과정 기 반의 문화예술교육 활 동체제를 운영한다.
-문화예술중심 학교운영을 위해 교 육과정을 기반으로 학교운영체제 개 편 -목표는 학생참여를 바탕으로 한 교 사중심의 개발 체제 지향 -개발 자원은 다양하게 활용 -학교교육활동 전체과정(정규/비정 규)을 통합한 교육과정 편성 -교과과정과 문화예술교육의 내용/방 법을 융합한 통합과정형 적용 -지향점은 분야통합형을 기준으로 주제중심의 융합과정 운영 -분야의 다양성을 기초로 특정분야 외에 관련 또는 복수의 분야 편성
5-2 구성원 들의 과정선 택과 활동 집단의 다양 화를 통한 참여 유도
5-2 학생, 부모, 교사, 강사, 주민 등 구성원 들의 의견과 참여에 의 한 과정 선택을 바탕으 로 프로그램 특성에 따 른 다양한 유형의 활동 집단 단위를 편성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한다.
-현실적으로는 학교주도형 적용 -파트너십에 의한 학생참여형 지향 -교육내용 및 편성단위에 따라 다양 한 형태의 운영단위 조직 및 편성 -모든 구성주체의 적극적 참여 노력
교육방법
5-3 통합문 화예술교육 에 적합한 다양한 방법 적용
5-3 통합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이념 과 취지에 적합한 체험 활동형 방법을 중심으 로 내용에 따라 적절하 고 다양한 운영기법을 적용한다.
-통합활동에 따른 다양한 방법 활용 -다양한 방법이 목표나 내용에 따라 선정되는 다양성과 적합성 중요 -적절한 방법이 교육효과성에 영향 -복합형에 따른 다양한 방법 활용 -일상적인 교육활동 운영과정 중에 는 놀이관점의 체험학습 방법 활용 -강사중심 강좌 중심이 아닌 목표와 내용에 따른 다양한 유형 편성 -대상별 특성에 따른 유형 적용(교․ 강사-체험중심의 연수과정에 적용) -학부모, 주민 대상의 과정은 강좌에 도 지역행사에 따른 유형 반영
교육재료
5-4 교육자 료․기자재를 활용한 효 과, 흥미도, 참여도 제고
5-4 교육활동에 필요 한 자료와 매체, 기자 재, 도구를 연구․개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 와 참가자의 흥미도․참 여도를 높인다.
-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 활용 -각종 기자재 및 수업용 도구의 확 보 -교육 자료와 연계한 기본적인 자원 임
공간조성
6-1 학교의 예술 공간화 및 지역과 상호이용
6-1 예술 공간으로 학 교환경을 조성하고 지 역과의 연계를 통해 학 교와 지역의 문화공간 을 유기적으로 활용한
-학교 자체를 예술적 공간으로 조성 -학교와 지역 공간의 복합적 활용 -현실적으로 학교 내 환경 확보 집 중 -교육 관련 기자재 구비
체계적 추진 일정 관리
교육과정
교육단위 5.교육활동
6.자원관리
14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인력개발
7.성과관리
6-2 교사․강 사의 문화예 술교육 역량 개발
자원연계
6-3 학교-지 역 간 공동 사업 및 자 원 공동이용 활성화
재정자원
6-4 수입재 원의 체계적 관리 및 자 립 준비
교육재료
6-5 주민과 함께하는 프 로그램으로 마을 문화학 교 조성
주민연계
7-1 운영자 료/품질․만족 도 개선 관 리를 통해 성과수준 제 고
운영성과
7-2 홍보를 통한 지역의 인지도․참여 도 제고
홍보관리
7-3 교육과 정․재원․운영 체제를 통한 자립기반 구 축
다. 6-2 예술 전문 인력 (강사, 전문가)의 확보․ 연계․협력을 바탕으로 교사․강사의 문화예술 교육 관련 전문성 신장 을 위해 다양한 역량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 한다. 6-3 학교자원-지역자원 의 복합적인 연계망을 바탕으로 협의체와 공 동사업이 가능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보유 자원의 공동이용을 활 성화한다. 6-4 운영계획 및 지침 에 따른 보조금 예산관 리 체제를 갖추고 수입 재원의 다각화에 노력 하여 자립적인 운영을 준비한다. 6-5 지역주민의 예술 꽃 씨앗학교 운영과정 후원․참여를 바탕으로 주민의 학교 방문 및 지역 대상 이동형 프로 그램을 통해 주민과 함 께 마을중심 문화학교 를 조성한다. 7-1 기획 단계부터 현 황 및 성과물 자료 관 리를 체계화하고 프로 그램 품질 개선, 참가 자 만족도, 성과 평가개선 관리를 통해 성과 를 제고한다. 7-2 홍보시스템 구축․ 운영 및 지역사회 홍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인지도를 제고하여 지 지기반과 참여수준을 향상시킨다. 7-3 지원기간 전 기간 을 통해 교육과정 재구 성, 다양한 재원 확보, 전문적인 운영관리 체 제를 통해 자체적인 자 립 기반을 구축한다.
-예술분야 교육-전문강사 인력확보 -교과연계 교육활동-교사의 전문성 -교사, 강사 대상의 다양한 연수지원 -전문성, 참여도 제고의 기반
-학교자원과 지역자원의 네트워크 구축을 중심으로 운영 -공동사업을 통한 협력관계 구축의 실효성 제고 지향 -MOU 및 협의체를 기반으로 활용 -지역 내 협력전담 문화기관 필수화 -다양한 지역 기관과의 연계 확대 -행정 기관과의 정책지원 협력 운영 -지원기간 중 보조금 집행 관리 -학교 자체의 예산 및 연계 사업 공 모 등을 통한 자체예산 확보 노력
-주민 대상의 다양한 문화예술관련 프로그램 지원활동 편성 (학교 방문형 + 지역 방문형)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에 대한 참여 유도 -예술꽃 씨앗학교 후원회 조직 권장 -운영과정 중 자료 관리의 체계화 -성과관리 및 환류(자체평가 연동) -프로그램 품질 현황 및 개선 관리 (자체평가 연동) -만족도 제고 관리 시스템 운영 -만족도 조사 및 개선 관리
-홍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필수과정) -인지도 제고 노력 및 성과 관리
-목표는 지원기간 종료 후 자립체제 구축 및 지속적 운영에 둠 -문화예술중심 교육과정의 안정화 -다양한 재원을 통한 운영기반 확보 -계획~환류 개선까지 독자운영 역량
Ⅳ.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의 재정립 |145
4.2.4 선택형 운영지침 모델의 적용 전술한 기본형 모델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도달점이다. 다만, 실제 학교단위에서 운영되는 과 정은 개별적인 목표와 여건에 따른 차별화 또는 현실적 여건에 따른 수정사항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선택형 방식이 사용된다. 선택형은 실제 운영체계나 방향, 모델의 구성요소의 변화를 통 해 학교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선택형 운영지침 모델의 구성 방법은 별도로 개발하여 미리 체계화한 다수의 모델 중에서 선택하는 방법과 학교가 주체가 되어 학교의 목표나 방향, 여건과 특성을 고려하여 기본형 운영지침 모델의 다양한 하위 운영유형 중에서 대안을 선택하여 모델 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그 자체로 완성된 체제를 갖고 있으며 어떠한 유형을 선택 하든지 일정한 기준에 따라야 한다. 이는 선택의 표준화는 가능하겠지만 개별 학교를 고려하는 자율성, 창의성과 융통성은 떨어진다. 이에 비해 후자는 사전에 정해진 운영기준을 제시하는 것 이 아니라 학교별로 운영기준에 따른 여러 하위 운영유형 중 적합한 유형을 선택하고 이에 따 른 운영지침을 편성하게 된다. 따라서 유형별로 요소의 변화를 통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미리 유형화된 모델의 제안보다는 학교별로 선택의 자율성을 제공하며 현실 적합성과 창의적인 운영 방안을 도출케 된다. 즉 기본형의 응용 또는 기본형으로 가는 과도기에서 사용하기를 추천 한다. 선택형은 임의적이고 자율적인 모델의 개념이 아니라 기본형을 전제로 이에 도달하는 중간과 정의 의미로 접근해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예술꽃 씨앗학교는 발전과정을 통해 기본형 요소를 충족해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지역이나 학교의 자원을 활용한 테마 소재의 자율적인 선정 은 선택형이라기보다는 콘텐츠의 특성화로서 문제가 되는 것은 지역의 여건이나 학교의 현실적 한계를 이유로 문화예술 향유나 지역사회 연계, 공간의 확보와 같은 기본적인 취지나 운영내용 을 실제 운영계획에 반영하지 않는 경우이다. 선택형이 잘못 이해될 경우 현실성이나 운영의 창 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준수해야 할 필수적인 운영방향이나 내용, 방법을 회피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학교 차원에서 다양한 하위 유형을 활용한 선택을 통해 자체적 인 운영지침 모델을 설정하는 경우 컨설팅과 평가관리 과정을 통해 예술꽃 씨앗학교의 본래적 인 취지나 정책적인 목표가 유지․발전되고 있는지 진단하고 개선하는 관리체제의 적용이 필요하 다.
14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Ⅴ.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1. 종합적인 지원 관리 체계의 활성화 방안 2. 운영성과의 확산과 지속 방안
Ⅴ.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1. 종합적인 지원 관리 체계의 활성화 방안 1.1 전제되어야 할 가치 요소 예술꽃 씨앗학교의 발전방안을 위한 과제의 설정에 앞서 전제되어야 할 가치 요소를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가치성이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이념과 목표, 가치, 원리를 전제로 한다. 예술이 교육의 중심에 있고 예술적인 기량이나 감성이 바탕이 되겠지만 예술가를 위한 과정이 아니라 학생을 위한 과정으로 보다 폭 넓은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 서 예술과 교육이 만나 문화를 만드는 기반이 되어야 한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문화 창조자로서 학생과 교사가 문화예술의 가치를 바탕으로 문화공간과 문화 환경을 만들어가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적 필요성이다. 예술꽃 씨앗학교를 사회에서 필요로 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지금은 문화예술이 전문가의 영역이 아니라 누구나 일상 속에서 보편화되면서 ‘향유’의 관점에서 문화를 즐기고, 그 과정에서 창조적인 경험과 콘텐츠를 창조하는 문화기반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문화예술 자체의 필요성은 당위적인 것이 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가 모 두에게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문화 복지의 접근도 필요하고, 문화가 추상적인 구호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일상을 살아가는 지역사회-마을-가정이라는 구체적인 공간을 전제로 해야 한다. 문화 복지적 관점에서 생활중심 문화예술의 향유를 지향하는 예술꽃 씨앗학교가 사회적인 필요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매우 중요한 기반이자 매개가 된다는 점을 인정받아야 한다. 셋째, 정책적 타당성이다. 국가 수준의 정책과제로 추진하는데 있어서 타당성을 확보해야 하 며 특히 문화정책으로서의 가치와 필요성, 차별성을 우선 확보해야 한다. 동시에 지역사회를 배 경으로 하는 지역정책 사업으로서의 관점과 학교 대상의 사업으로 교육정책과의 연계를 통한 타당성 확보가 요구된다. 정책적 타당성은 정책과제로서의 위상 제고 등을 통해 제도적인 측면 이나 예산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넷째, 교육적 의미성이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문화예술 측면에서나 또는 학교교육 측면에서 교육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부터 시작해야 한다. 예술기반 학교운영의 관점에서도 문화예술중심의 교육으로 전형적인 사례가 된다는 점도 중요하다. 아울러 학교교육 입장에서는 단순한 예술 활동 경험이 아닌 교육과정 속에 통합되어 학교 자체를 문화예술을 매 개로 감성, 창의성을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연계할 수 있는 중요한 교육적 가치가 있다.
Ⅴ.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149
1.2 정책 추진기반 강화 : 운영지원 기반 체계의 고도화 예술꽃 씨앗학교가 2008년 이후 매년 발전과정을 통해 계획과 운영 시스템이 점차 안정화되 고 발전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확장을 위해서는 운영지원 기반체계가 더욱 고도화되어야 한다. 단순한 교육지원 프로그램이 아니라 법과 정책 계획이라는 제도적 틀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지 원사업으로서 체계성, 효과성, 효율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발전적인 운영-관리 시스템을 갖추어 야 한다. 이를 위한 기반 과제를 몇 가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전 계획 또는 중장기 전략 시스템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기초적인 중장기 전략 수립 과정은 있었으나 대상 교급의 확대 등 변화요인을 반영하여 종합적인 발전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기준이 되어야 할 부분은 발전계획 또는 전략의 운영주체나 범위에 관한 사 항이다. 현재 관련 자료들은 주체별 역할이 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학교단위의 기능과 전체적 인 운영 부문이 혼재된 경우가 있다. 학교운영을 중심으로 사업 개념을 설정한 측면도 있으나 향후 전략 수립 시는 총괄적인 체계를 기준으로 학교 단위의 전략을 먼저 수립해야 한다. 이 단 계에서는 학교가 할 내부적인 전략이 아닌 정책 운영주체의 관점에서 계획이나 모델을 정립하 고 이를 근거로 단위 학교에서 학교가 주체가 되는 전략개발이나 모델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지 원한다. 둘째, 운영관리 측면에서 발전계획 및 운영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지침 및 매뉴얼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역량을 증진시킨다. 모델은 하나의 이념적 체계 또는 운영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형상수준의 체계도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학교에서 수행할 기준으로 운영지침형 모델을 제안하 였으나 모델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는 모델의 재검증 후 실천방안을 문서로 구체화해야 한다. 셋째, 정책과제 또한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한 실행 과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평가 관리를 통한 실제적인 운영 역량의 향상 효과가 있어야 한다. 이 과정도 지원기관 입장의 평가 시스템과 학교 단위의 자체평가 시스템으로 구분되고 각 평가가 유기적인 관계를 가져야 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평가 사업을 근간으로 하되 평가 결과가 실제 개선 및 발전에 활용되는 환 류체계를 중심으로 평가 기능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을 배경으로 거버넌스형 시스템을 통해 사업 추진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해야 한다. 사업의 목적 측면이나 시스템 기반의 운영관리 모델의 체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예술꽃 씨앗학교는 지역과 학교의 연계를 중요한 기반으로 한다. 행정기관과의 협력이나 지역사회 문화 자원 기관 등 사회적 자원들과의 연계가 전제로 되어야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단기적으로나 소극적으로는 학교 내 교육활동으로 운영이 될 수 있지만 사업취지나 차별화 측면에서 지역 기 반 사업으로 특화가 불가피하다. 이를 위한 정책 시스템의 추진 방향은 단순한 지역문화시설 연 계와 협력을 넘어 지방 행정-정책 기관과 지역 민간 자원이 네트워크와 공동사업을 통해 협력 하기 위한 거버넌스형 운영 체제를 준비해야 한다.
150|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1.3 제안1 : 관리기관의 지원 시스템 개선 방안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의 정책적인 총괄 기능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담당하지만 정책의 수행 과 관련된 계획부터 운영 관리 기능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담당하고 있다. 관리기관은 두 기관이 해당이 되며 사업의 총괄 및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 기능을 다음 과 같은 과제로 제안하고자 한다.
(1) 지역기반의 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적 지원 기능 강화 일반적으로 제도는 법과 행정 시스템을 전제로 하며 정책 계획을 통해 상호 연계되면서 정책 기반을 갖추게 된다. 예술꽃 씨앗학교의 근거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이나 관련 정책 계획에 두고 있고 담당 조직과 수행 기관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사업대상의 특성상 교육부와의 연계, 관련 부처, 기관과의 협조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교육정책과의 연계는 단순한 협력이 아 니라 유사사업(예: 교육부의 예술드림학교 사업 등)과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 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실제 사업이 수행되는 현장을 중심으로 지역 차원에서 필요한 행정적인 지원체제의 제도화나 운영모델을 근거로 한 운영 규정이나 매뉴얼 등 실행기준을 향후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지원청과의 협력을 통한 제도적 지원 기반 구축을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지원 기능(재정 보조, 행정적 지원 등)을 강화해야 한다.
(2) 문화예술교육 관련 공공부문 자원과의 연계를 위한 지원시스템 운영 관리기관의 주요 기능 중 한 가지는 정책의 계획과 집행관리 뿐만 아니라 학교를 대상으로 한 지원 기능이다. 지원의 범주는 다양하게 있지만 기본적인 사업추진과 예산 지원 외에 개별학 교 단위나 지역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다른 기관 및 학교 등과의 연계-매개 기능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구축은 이를 필요로 하는 주체들 간의 협의와 협약에 의해 구성되고 운영 이 되며 지역에서 단위학교별로 자체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기존 네트워크에 편입해야 한 다. 그러나 협력이 필요한 다른 중앙부처나 관련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행정기관에 대한 연계는 단위 학교에서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중앙의 전국단위에서 관련 기관들 간의 협 력이나 지원을 유도하는 네트워크의 허브역할을 수행하고 지역단위에서는 지역의 협력 대상기 관에 대한 연계와 지원을 위한 협의, 설명회, 지역모임 구성 및 관련 정보 제공 등 연계에 필요 한 지원업무를 수행한다. 다만, 문제는 관리기관인 진흥원에서 개별 지역을 직접 담당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학교단위로 지역의 지역연계 기능을 지원할 전담기관이나 지원협의체를 구 성하도록 권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인적자원 확보의 경우 전국 단위의 지원 자문을 위한 전문인력 풀을 연계하고 지역에서는 강사자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시스템을 운 영할 수 있다.
Ⅴ.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151
(3) 컨설팅 기반의 집중 관리 체제를 통한 조기 정착 지원 강화 운영모델 개발과정에서 중요하게 제시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정체성이나 목적, 취지의 반영과 실천을 위해서는 사업참여 초기 단계에 컨설팅 등 지원이 집중되어야 한다. 운영관리 및 운영지 침 모델을 통해 제시한 기간운영의 특성 및 방향과 관련하여 지원사업 기간 전후를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4년간의 운영기간의 과정을 기존의 연차별 로드맵 모형이나 수정된 일 정체계인 1년차-2년차-3~4년차 단계 외에 1년차 기간과 이후의 2년~4년은 학교 상황에 따른 유동성을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자의 경우는 사업의 정체성이나 목표관리 지침과 연계 하여 사전에 충분한 이해가 된 후 신청을 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 때문이다. 이를 위해 1년 전에 본 사업에 신청하는 학교에서는 사전설명회에 참석하고 준비에 필요한 컨설팅이나 기 타 사례학교 방문 등 지원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는 학교에 따라 운영 여건이나 문 화예술교육 참여 준비 수준이 많이 다르고 4년간 연차별 진도도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자율적 인 목표설정과 운영 내용의 다양화를 인정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단위 학교별 과정의 유동성에 도 불구하고 문화예술교육 사업으로서의 취지나 목적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학교의 준비 수준에 관계없이 1년차에 집중적인 컨설팅과 지원, 계획 수립의 과정 관리가 필요하다. 이후의 운영과 정은 평가관리를 통해 당초 계획의 유지와 발전 정도를 확인하고 개선케 한다.
(4) 정보 아카이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자원화 및 활용 시스템 운영 사업운영과 관련하여 학교에서 생성된 자료의 아카이빙 시스템을 구축한다.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시스템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기간의 수준’으로 기본 지원사업 기간이 4년이며 기수별 로 운영 기간이 중복 되면서 시작단계 학교와 종료단계 학교가 교차가 된다. 이 과정에서 새로 운 학교의 경우는 기존의 정보를 필요로 하고 이를 잘 활용할 경우 개선된 계획과 성과를 가져 오게 된다. 또한 사업의 준비나 운영 기간 중 관련 사례나 자료를 필요로 하는 학교 교사들을 위한 지원이 상시화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공된 정보뿐만 아니라 기초적인 원 자료까지 충실하게 DB화하고 학교별로도 자료를 관리하고 상시로 이용하게 할 필요가 있다.
(5) 다양한 재원 확보를 통한 재정의 안정화 및 지속 운영 지원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기준 및 방향과 관련하여 중요한 영역의 하나는 사업기간 종료 후에 도 학교에서 지속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학교교육과정 자체 의 재구성을 통한 교육과정 반영도 필요하지만 실제 프로그램 운영이나 인력 활용을 위해서는 재원의 안정적 확보가 필요하다. 연차별 지원예산의 조정을 통한 기간 종료 후 지원과 같은 총 액 내 조정 방법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재정확보를 위한 재원의 다양화를 통해 운영 기금을 확보하는 것이다. 학교별로 자체 예산 편성 및 보조금 추가 확보 노력을 전제로 하여 관련 부처
15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및 공공재원의 연계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하며 이를 위해 정부기관 간 협력이 요구된다.
1.4 제안2 : 단위 학교의 사업운영 역량 개발 방안 (1) 학교교육정책 방향을 연계한 운영전략 추진 초등학교 외에 중․고등학교까지 확대되는 현황을 고려하여 교급별 특성화 방안이나 학교의 자 유학기제나 예술교육, 진로교육, 인성교육 등 교육정책의 주요 과제와 연계된 방안을 학교운영 계획에 반영한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문화정책이면서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목표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역으로 학교의 정책방향을 활용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중학교는 자유학기제 특화형, 고등학교는 문화예술 관련 직업을 활용한 진로체험 특화형을 적용할 수 있다.
(2) 교사와 학생들이 직접 운영이 가능한 프로그램 확대 학교에서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예술 기능 전문강사의 안정 적인 수급 관리이다. 특히 농어촌 지역에서 필요한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 를 위한 대안으로 악기 연주 등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분야가 아닌 통합형 과정 등을 활 용할 수도 있고 학생이나 교사들이 일정한 준비만 거치면 직접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형 을 개발하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다. 고학년-저학년 학생 간의 또래 코칭 나눔 교육을 실시 하거나 학생의 자율적 참여가 중심이 되는 다양한 동아리 형태 등의 방식 등도 활용할 수 있다. 이는 구성원의 참여도 증진에 도움이 된다.
(3) 자료 공유와 기자재 공동 이용을 통한 교육자원 연계 정보 아카이빙 시스템 구축 이전에라도 학교별 자료의 공유 시스템을 운영하여 자료를 공유 하되 저작권 및 내용의 차별성을 고려하여 참고로만 활용하게 한다. 구입이나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기자재는 지역 단위로 공동이용제를 운영하고 도구의 개발을 위한 공모제나 개발을 통해 공동개발을 통한 공동 이용 시스템을 운영한다.
(4) 나눔 활동을 바탕으로 한 지역사회 참여중심 운영 확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사업이지만 현실적으로 추진에 어려움이 많다. 주민모임의 기획회 의 참여나 전담 협력기관의 확보를 통한 파트너십과 공동 운영 방식도 고려한다. 이와 함께 문 화봉사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을 찾아가는 문화체험활동으로 친밀도와 관심도를 높이는 방법이 지역사회연계를 위한 방안으로 효과적이며 지역 내에서의 지지와 인지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Ⅴ.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153
(5) 자립화를 위한 마스터 플랜의 조기 도입 및 추진 학교 차원의 자립화 전략은 4년차가 아닌 시작 단계부터 기반 조성과 준비를 시작해야 하며 신청계획 이후 1년차 단계에 마스터 플랜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관리자 및 교사의 변경에도 대비하며 전담조직 또는 담당자를 지정하여 지역자원 확보나 재원 관리 기능을 담당케 한다.
2. 운영성과의 확산과 지속 방안 2.1 관련 문화예술교육과의 차별성을 통한 운영 타당성 확보 예술꽃 씨앗학교의 지속성과 확산을 담보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 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사업 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을 담당하는 교육부 차원에서도 기존 예술교과가 아닌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추진하면서 사업 간의 유사성이나 중복성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복은 동일한 대상자에게 유사한 지원이 중복되는가 아니면 대상은 다르지만 지원사업의 내용이 유사한 것인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전자는 운영상의 문제이지만 후자는 역할이나 수행범위의 차별화를 통해 공존할 수 있는 대안이 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재원 규모 및 참여 의 자율성 면에서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지원사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업 자체가 방향이나 취지, 수행되는 내용과 대상 기준이 유사하다면 예산 정책담당 입장에서 는 우선 지원사업으로 통합할 수도 있으며, 실제 이러한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의 차별성 요소는 사업 초기단계와 현재를 비교할 때 변화하는 상황 속에 있 다. 문화예술교육 관련 사업 자체가 확대되었고 문화체육관광부의 주도뿐만 아니라 교육부 차원 의 지원사업 계획이 시행되기 때문이다. 특히 대상의 차별성도 중요한 요소였으나 지원사업의 대부분이 예산 확보의 용이성이나 지지를 위해 소외계층이나 저소득 계층에 집중하는 경향이 많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이 정착되면서 기존의 기능 습득 중심의 실습형 교육에서 벗어 나 감성과 창의성을 중심으로 과정체험과 융합에 의한 통합문화예술교육이 강조되면서 사업의 방향도 유사해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차별성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브랜딩 화하는 이미지 전략과 실제 차별화 방안을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나 실제로 어려움이 많다. 학교 입장에서는 다양한 지원 사업 중에서 선택하여 참여하게 되고, 대외적인 방향은 원론적이고 이념적인 방향으로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기 때문에 차별화 요소도 크지 않다. 그러나 실제로 개별 사업들의 내용을 분석해 보면 통합문화예술교육의 취지를 살리는 경우가 많지 않고 지역이나 대상 범위에서 구분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예술꽃 씨앗학교는 문화예술 향유의 이념과 목표를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마을과 함께 하는 학교라는 특성과 본질을 더 강조하고 이에 따른 실천 사례와 효과를 전국적 으로 인지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업의 타당성 확보와 지원의 기반은 사업 내용 자체의 유사
154|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성보다 실제 현장에 얼마나 파급력이 있고 인지도를 갖고 있는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특 히 본래의 취지에 충실한 운영을 통해 지역중심의 사례로 특화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다.
2.2 자율․자립형 운영 기반을 통한 문화예술 향유의 지속성 확보 예술꽃 씨앗학교의 지속적 운영은 개인의 측면도 있고 학교의 측면도 있다. 개인은 공간적으 로는 학교 안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예술을 즐길 수 있고 졸업 후에도 지속할 수 있 어야 한다. 학교는 지원사업 종료 이후에도 지속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기본적 인 접근의 개념에 대한 전환이 필요한데 우선 학생의 경우 음악과 같이 기능을 필요로 하는 분 야의 경우 악기나 기타 지원이 없으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개인적으로는 필요한 여건을 갖추 기 어렵지만 학교의 단기형 동아리가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선-후배로 연계되는 동아리나 지역 의 청소년시설을 연계한 상시 지원과 같이 지원 주체의 다양화로 접근한 방안이 있다. 학교의 경우에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사업의 초기단계부터 자립화를 위한 계획을 수 립해야 한다. 특히 지원사업 기간 중에 교육과정 운영도 중요하지만 향후의 지속적 운영을 위해 서는 학교자체가 문화예술중심 공간의 구조와 디자인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는 학교의 이미지 차원이 아니라 학교의 경영목표와 철학, 중심적인 교육방향을 보여주고 지속적인 운영이 필요하 다는 인식을 공유케 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외부 강사중심의 운영이 아닌 교사가 진행할 수 있 는 체험형 프로그램의 개발과 동아리 형태로 학생 중심 운영이 가능한 형태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 또한 마을 문화거점학교로서 지역의 지지와 필요성이 인정될 때 지자체 등의 지원 가능성 이 높아지고 지역의 자원 확보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지역연계 프로그램 비중을 점차 늘려나가 야 한다. 지역의 입장에서는 단순한 마을 행사 지원이나 주민 프로그램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지역사회 주민들의 일상 속으로 연계되는 것이 필요하고, 특히 문화나눔-문화봉사의 개념에서 지역의 구 성원이기도 한 학생(자녀)들이 지역을 찾아가는 방식이 지역 내 파급력을 높이게 된다. 이를 통 해 지역 내에서 인지도나 친밀감이 높아지고 정책적 지원 확보 측면에서 지원 집단이 된다. 또 한 학교 내에서만이 아니라 지역을 기반으로 마을의 주요 공간을 연습이나 체험장으로 활용하 면서 지역의 행사와 연계하는 방안은 학교자원-지역자원 공동이용의 운영지침을 적용하는 것이 다. 이는 학교와 지역의 유대관계를 높이고 지역 내에서의 지속적 운영에 대한 요구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2.3 문화예술교육 기반의 확산을 위한 연계․교류 망 구축․운영 예술꽃 씨앗학교의 확산을 위한 가장 중요한 기반은 교류 망을 갖추는 것이다. 교류는 상호 간 호혜 차원으로 접근하며 내용과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른 부처와의 교류를 통
Ⅴ.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155
한 프로그램 제공이나 정보제공도 가능하다. 지역 간 또는 학교 간 교류도 본 사업의 확산에 중 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관련 사업 간에도 상호 연계를 통해 공동 행사를 운영함으로써 상호 교 류와 연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술꽃 씨앗학교의 확산의 주체는 학생, 교사, 학교, 지역이 모두 해당되며 특히 교사들 은 학교 간 전파의 중심이 될 수 있다. 학교를 옮길 때 새로운 학교에서 문화예술 프로그램 도 입 및 운영 시 인센티브나 지원을 실시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또한 홍보 강화는 인지도와 참여 도를 높이는 기반이 된다. 예술꽃 씨앗학교에 전학해 오는 학생들의 상당수가 언론매체 보도가 계기가 된 경우이다. 행사를 통한 홍보도 있으나 모바일 기반의 상시 홍보도 필요하다. 성과의 공유와 보급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가치를 전파하고 사업의 의미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는데 효 과성에 관한 통계적 수치도 필요하나 실제 사례가 파급력이 큰 경우가 많고 기사나 방송 프로 그램으로 연계하는 방법도 의미가 있다. 더 넓게는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 적개발원조) 사업과의 연계를 통한 해외에 운영 시스템을 보급하는 방안도 사업의 가치를 확인 시키고 타당성을 높이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모델 정립도 중요하나 이것이 실제 실천의 기반이 되기 위해서는 제 도나 계획, 매뉴얼과 같은 구체적인 기준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아울러 다양한 대안을 통해 정 책의 타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학생과 교사 등 구성원들로부터의 만족과 참여를 통한 지지와 지역사회에서의 지원 기반 확산이 그 근거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향을 전제로 하되 종합적인 운영관리 측면에서 시스템의 구조에 관한 모델을 정리하고 학교에서 직접 사업을 운 영하는데 필요한 업무를 중심으로 운영지침의 도출을 통한 모델 체계를 제안하였다. 모델은 하 나의 이상적 개념으로 현실과 다를 수 있으나 현실의 기준을 하나의 틀로 제시하는 효과가 있 다. 앞으로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모델의 현실성을 높이면서 모델을 활용한 중장기 전략이나 구체적인 운영 매뉴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학교 운영에 필요한 지침 형태로 제안된 모델의 경우에는 운영기준 뿐만 아니라 평가 지표와도 연계가 될 수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가 다른 문화예술교육 사업 또는 프로그램과 차별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양하 게 제시할 수 있으나 본래의 사업취지를 살리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학교 자체의 문화예술 공간화 및 교육과정 통합 기반의 운영 체제는 완성된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가장 표준화된 이 상적인 체제의 개발도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교육과정 중심으로 학교교육의 경영목표와 운영 계획을 통합한 사례들은 다른 학교에도 도움이 된다. 아울러 지역을 기반으로 함께 만들어간다 는 개념이 차별화 및 타당성 확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문화 소외지역으로 지 역적 특성화를 추진하지만 사각지대를 찾아 지원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공간적인 측면에서 환경 자원이 되는 학교는 문화예술로 우수한 학교 공간 만들기에 대한 투자와 공모와 같은 지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에 환경이 미치는 영향도 크지만 학교자체의 지속 적 운영을 위한 환경 자원으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예술꽃 씨앗학교를 통한 지역 인구의 유입이
156|2015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모델 연구
나 지역주민-부모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학교의 사례는 지역문화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이러 한 관점에서 관련 사례의 발굴과 유형화는 모델의 개발과 운영기준의 적용에 필요한 과업이 될 것이며 앞으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자료가 될 것이다.
Ⅴ. 예술꽃 씨앗학교 발전방안 |157
참고문헌
참고문헌 거창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2008). 학교문화예술교육 지도매뉴얼. 서울: 연극과인간. 곽덕주 외(2014). 미적체험과 예술교육. 서울: 이음스토리. 권해수·김민성·강영신(2010).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경성(2008).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양적·질적 평가 지표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광명(2011). 인간의 삶과 예술. 서울: 학연문화사. 김동일(2010). 예술을 유학하는 사회학: 부르디외 사회이론으로 문화읽기. 서울: 갈무리. 김영순·전영은(2011).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내용 계열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6(4), 87-110. 김성천(2012).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서울: 맘에드림. 노순규(2009). 학교운영의 리더십과 갈등관리. 서울: 한국기업경영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미래사회와 문화예술교육. 문화 예술교육의 국제 동향과 실천과제. 민경훈·정민룡(2013).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가이드.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박소연·홍성만·임채홍(2011).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정책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탐색. 문화예술 교육연구, 6(4), 111-132. 석문주 외(2011). 창의인성을 위한 초중등음악수업방법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신승환(2007). 문화예술교육론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신현석·이경호(2010). 방과후학교 정책의 운영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분석과 진단을 통한 정책 방향 의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16(3), 225-250. 심광현(2009). 유비쿼터스 시대의 지식생산과 문화정치: 예술-학문-사회의 수평적 통섭을 위하여. 서 울: 문화과학사. 엄태동(2010).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통해 본 현대의 병과 아동 현존재를 위한 교육. 초등교육연구, 23(3), 153-172. 이동연(2008). 예술교육을 넘어서. 서울: 한길아트. 이윤식·윤종현(2013). 학교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의 성과평가: 평가 지표를 사용한 시스템모형 활용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3(3), 65-91. 이주영(2007). 예술론 특강. 서울: 미술문화. 이주헌(2013). 창조의 미술관. 서울: 21세기북스. 임학순(2007). 문화예술교육사업과 파트너십. 서울: 북코리아. 장기범 외(2011). 2011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학교 평가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장현선 외(2014). 2011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우수사례집.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______ 외(2014). 2014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컨설팅 및 평가단 운영.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참고문헌|161
전영은(2012).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정책범주 및 계열성을 중심으로. 인하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문성 외(2011). 방과후 학교 돌봄교실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 서울: 서울문화재단. ______ 외(2012). 2011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효과측정 매뉴얼 및 가이드 개발 연구. 서울: 한국문 화예술교육진흥원. ______ 외(2012).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예술꽃 씨앗학교.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______ 외(2013).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문화예술교 육진흥원. 정문성·전영은(2016). 다문화사회 교수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정민룡(2014). 2014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중장기 사업전략.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정현주 외(2011). 예술교육 선도학교운영모델 개발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진중권(2003). 오딧세이 1. 서울: 휴머니스트. 최현묵(2011).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 정책. 서울: 해조음. 켈러·송상호(2014). 매력적인 수업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홍순옥·임영심·김창숙(2013).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에서의 프로젝트 이야기. 서울: 창지사. Beal, N.(2001). The art of teaching art to children in school and at home. NY: Farrar, Straus and Giroux. Danto, A. C.(1999). Philosophizing art.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정용도 역(2007). 『철학하는 예술』. 서울: 미술문화. Davis, J. H.(2008). Why our schools need the arts. NY: Teacher’s college press. 백경미 역(2013). 『왜 학교는 예술이 필요한가?』. 서울: 열린책들. Day, M. & Hurwitz, A.(2012). Children and their art: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Ehrenzweig, A.(1967). The hidden order of art by Anton Ehrenzweig. UK: The Orion Publishing Group. 김재은·김진현 역(2002). 『예술창조의 심리학-예술의 숨겨진 질서』. 서울: 창지사. Eisner, E. et. al.(1996). Evaluating and assessing the visual arts in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김형숙 외(2006). 『시각예술교육에서 평가란 무엇인가?』. 서울: 교육과학사. Evans, J. & Skelton, T.(2001). Teaching art to children. CA: Evan-Moor. Freedman, K.(2003). Teaching visual culture: Curriculum, awsthetics and the social life of art. NY: Teachers college press. Gelinuea, R. P.(2012). Integrating the arts across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Gerver, R.(2010). Creating tomorrow’s schools today. 안진희 역(2013). 『오늘 만드는 내일의 학교』. 서 울: 열린책들. Prince, E. S.(2008). Art is fundamental: Teaching the elements and Elementary school. IL: Zephyr Press. Robinson, K.(2015). Creative schools. NY: Penguin Groups Inc. 정미나 역(2015). 『아이의 미래를 바꾸 는 학교혁명』. 서울: 21세기북스.
162|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 교정시설/소년원학교를 중심으로
Winner, E.(1982). Invented world the psychology of the arts. 이모영·이재준 역(2004). 『예술심리학』. 서울: 학지사.
참고문헌|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