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당선작 모음집

Page 1

2015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당선작 모음집


2015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당선작 모음집 2015년 12월 발행인 주성혜 발행일 2015.12.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예술교육기반본부장 김세린 정책연구팀장 홍유진 정책연구팀 박수아

등록 KACES-1540-C010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1392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2015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2015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사업은 전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감성을 기르고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우수한 프로그램을 발굴하 기 위하여 추진되었습니다. 본 사업에서는 학교 교·강사를 대상으로 하여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공모하였고, 두 차례의 엄정한 심사를 거쳤습니다. 이를 통해 기획성, 실험성, 전문성이 돋보이는 총 21건의 프로그램이 선정되었습니다. 「2015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당선작 모음집」은 전문가 컨설팅을 거친 21개의 당선작을 수록한 결과물입니다. 본 모음집이 학교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보다 다양하고 유익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 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선정작 컨설팅 ㅇ 공예_모인순(남서울대학교 교수) ㅇ 국악_권덕원(경인교육대학교 교수) ㅇ 디자인_김선아(한양대학교 교수) ㅇ 만화/애니메이션_김재웅(중앙대학교 교수) ㅇ 무용_이강순(경인교육대학교 교수) ㅇ 사진_현혜연(중부대학교 교수) ㅇ 연극_김병주(서울교육대학교 교수) ㅇ 영화_이아람찬(목원대학교 교수)



목 분야

공예

국악

디자인

입상구분

프로그램명

출품자

대상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 제작

한경원

최우수상

사라진 탈을 찾아 떠나는 탐험여행

서은정, 이영미

31

우수상

어린왕자와 무지개 여행을 떠나볼까!!!

이민혜, 허인열

43

입선

내가 21세기 왕이 된다면!

강희은

57

최우수상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

이정민

69

우수상

훈민정음 국악

황세희

85

입선

종묘로 떠나는 5월의 국악여행

박은수, 이미하

103

우수상

내 안의 또다른 나를 찾아서

이강미

119

이모티콘의 무한변신!

장경희

131

티끌모아 태산!

곽주영, 이미영

145

최우수상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 이야기

이경윤

155

우수상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심금란, 정다정

169

입선

표현예술활동_인간의 심리탐구

이윤주

187

최우수상

빛나게 놀자

전현구

199

입선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정연희

209

최우수상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김현희

223

우수상

마음이 춤 ‘추상!’

김혜영

241

입선

너랑 나랑, 오래오래

권선혜, 이슬이

255

최우수상

드림 팩토리: 영화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주영상

267

우수상

재미있게 배우는 영화 기술

문정현, 정승언

283

입선

감정콘트롤본부

고은진, 박혜정

295

우수상 만화/ 애니메이션 입선

무용

사진

연극

영화

7



공예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 제작

한 경 원



공예분야 - 대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 제작

관련 장르

공예, 역사, 과학, 놀이, 스토리텔링, 영화

대상연령

초등학교 4~6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80분 (각 차시별)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이야기로 풀어보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공예 이야기 ■ 프로그램 개관 및 개발 배경 공예는 유연한 융합수업이 가능하다. 공예수업 안에는 타임 머신과 같이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며, 역사이야기와 조 상의 지혜가 함께 한다. 본 프로그램 연구는 교과 수업과 창 의적 체험활동을 단순한 미술시간이라고 여기는 학교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지적에서 시작되었다. 본 프로그램 개발을 통 해 수업 주제에 얽힌 연구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동기를 유발시키는 수업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과거의 그 리기, 만들기에서 탈피하여 이야기가 있는 융합수업을 제시 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내용 요약

■ 프로그램 특성 및 강점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기술 이슈가 되는 수업! ‘명량’은 끝없이 펼쳐지는 이야기 주 머니이다. 이순신 장군의 지혜가 번득이는 전략과 전술, 과학 과 공예 이야기를 담고 있는 흥미로운 주제다. 명량해전이 임진왜란이 아닌 정유재란 때 일어난 사건임을 인지시키며 공예 이야기를 풀어가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은 영화 명량을 통하여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각각의 역사를 알고, 두루마리그림을 이용하여 전술을 놀이 로 재해석하며 한지공예 및 도자공예의 기법을 활용하여, 조 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하나의 전술이야기를 풀어가는 융합공 예교육이다. 본 4차시 수업으로 연계되는 이 수업은 초등 3,4 학년 및 5,6학년을 대상으로 사회교과,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수업을 전개할 수 있다.

9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난중일기를 통하여 본 이순신 장군의 지혜와 전략 - 영화『명량』티저 감상 해보기

1차시

-영화『명량』감상을 통하여 이 - 이순신 장군의 업적과 난중일기 스토리텔링으 순신장군의 지혜와 절개를 이 로 이야기해보기 야기 할 수 있다. -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알기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를 이야 - 『난중일기』‘나만의 일기장’ 한지책 만들 기하고 나만의 한지책을 만들어 어보기 볼 수 있다.

명량해전과 거북선 토기제작-1

2차시

- 나도 선박전문가 “거북선 디자인 및 설계” - 워크지이용 -이순신 장군의 전술과 해전의 - 코일링 기법과 핀칭 기법 배우기 특징을 이야기하고 나만의 거북 - 거북선 토기를 제작 해보기 선을 디자인&설계 할 수 있다. - 건조& 소성(토기는 초벌 소성)의 과정 -이순신 장군의 전술과 거북선의 활약을 이야기 하고 거북선 토 *도자공예는 건조와 소성 과정에 시간이 소요된 기를 제작 할 수 있다. 다. 이 시간 동안, 3차시 한지두루마리 그림을 제작한다.

충무공이야기와 지혜와 전술 이용놀이제작.

3차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애를 - 명량해전 이야기 스토리텔링으로 이야기해보기 되돌아보고 그분의 이야기를 한 - 명량해전 이야기 한지 두루마리 그림제작해보기 지 두루마리 그림으로 제작 할 - 학익진 및 일자진 전술 이용 놀이 해보기 수 있다. -이순신 장군의 전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놀이로 만들어 볼 수 있다.

거북선 토기이용 명량해전 재 현 -2 - 거북선 토기 (초벌된 토기)채색 및 완성하기

4차시

10

-거북선과 판옥선의 초벌 토기를 - 모둠별 “명량해 ”바다 제작해보기 이용하여 명량해의 전술에 맞게 - 과학교과 연계 ‘조수간만의 차’ 이용 채색 할 수 있다. 『명량해』 재현해보기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이순신장 - 학익진 전술과 전략 펼치기 군의 전술을 이해하고 울돌목의 명량해전을 재현 해 볼 수 있다.


공예분야 - 대상

2. 세부내용 단원의 개관: 본 프로그램을 통해 영화 명량을 통하여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각각의 역사를 바로 알고, 스토리텔링을 통한 난중일기, 나만의 한지책 제작과 한지두루마 리그림을 통한 이순신장군의 전술을 이야기 할 수 있다. 또한, 그 전술을 놀이화하 여, 거북선과 판옥선의 원리를 이용하여 거북선 토기를 제작하고 명량해를 만들어 <과학>교과와 <사회>교과를 연계하여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울돌목의 전술을 재 현해본다. 본 4차시 수업으로 연계되는 이 수업은 초등 3,4학년 및 5,6학년을 대상 으로 사회, 과학, 미술교과와 통합하여 수업을 전개할 수 있다. 단원의 목표: 1차시: 난중일기를 통하여본 이순신장군의 지혜와 전략 - 영화『명량』감상을 통하여 이순신 장군의 지혜와 절개를 이야기할 수 있다. -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를 이야기하고 나만의 한지책을 만들어볼 수 있다. 2차시: 명량해전과 거북선 토기제작-1 - 이순신 장군의 전술과 해전의 특징을 이야기하고 나만의 거북선을 디자인, 설계할 수 있다. - 이순신 장군의 전술과 거북선의 활약을 이야기 하고 거북선 토기를 제작할 수 있다. 3차시: 충무공의 지혜와 전술이용 두루마리그림과 놀이제작 -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애를 되돌아보고 그 이야기를 한지두루마리 그림으로 제 작할 수 있다. - 이순신 장군의 전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놀이로 만들어볼 수 있다. 4차시: 거북선 토기이용 명량해전 재현-2 - 거북선과 판옥선의 초벌 토기를 이용하여 명량해의 전술에 맞게 채색할 수 있다. -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이순신 장군의 전술을 이해하고 울돌목의 명량해전을 재현해 볼 수 있다. 단원의 계열: <1차시 :난중일기를 통하여본 이순신 장군의 지혜와 전략> 영화 명량과 난중일기를 통하여 이순신 장군의 지혜를 이야기하고, 한지로 옛날 책 과 나만의 일기장을 제작하였다. <2차시 :명량해전과 거북선 토기제작-1> 거북선과 판옥선의 과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우리나라 지형에 맞게 설계된 우리의 선박을 디자인&설계하여 옹기토를 이용한 자신만의 거북선&판옥선을 제작하였다.

11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3차시: 충무공의 지혜와 전술이용 두루마리그림과 놀이제작> 앞 차시 토기의 건조와 소성 동안, 본 3차시수업에서는 이순신 장군의 전술을 스토 리텔링하여 한지 두루마리그림을 제작해보고 전술이용 놀이를 모둠별로 펼쳐 보았 다. 전술 이용 놀이는 일자진 전술과 학익진 전술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었다. <4차시: 거북선 토기이용 명량해전 재현 –2> 본 4차시에는 2차시에 제작한 초벌 소성된 거북선과 판옥선 토기를 채색해 보고 명 량 바다를 제작하여 명량해전을 재현해 보는 시간이다. 본 수업을 통하여 사회교과 연계 남해안의 지형과 해류를 살펴보고, 과학교과와 연계 조수간만 의차의 원리를 학습하였다.

12


공예분야 - 대상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프로그램

난중일기로 본 이순신 장군의 지혜와 전략

개요 분 야

1 차시

공예, 영화, 역사, 스토리텔링

차 시

1 / 4

1. 영화『명량』감상을 통하여 이순신 장군의 지혜와 절개를 이야기 할 수 있다.

교육목표

2.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를 이야기하고 나만의 한지책을 만들어볼 수 있다. 기대효과

영화『명량』을 통하여 이순신 장군의 업적과 생애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준 비 물

영화『명량』티저, 난중일기 DVD, 색한지, 풀, 가위, 실, 펀칭 ⏏정직 ⏏책임

인성요소

⏏존중 ☑배려

☑공감 ☑소통 ☑협동

⏏(

)

수업 내용 도 입 1. 새로운 프로젝트에 따른 동기부여; -영화『명량』은 누구의 이야기인가? -영화『명량』명량의 티저(요약본)감상 <6분> -난중일기 DVD 감상 <10분> 2. 이순신장군의 생애 및 업적을 이야기해보자. 3. 명량해전의 시기 바로알기 ① 임진왜란 ② 정유재란 ***이순신의

<사진> 영화 명량 포스터 ▲

3대첩-한산도대첩·명량대첩·노량대첩 / 거북선이 최초로 출현한 전투-사천해전

임진왜란의3대첩 (매일경제, 매경닷컴)

전 개 1. 이번 시간 활동 소개; -난중일기 스토리텔링 -나만의 한지 일기장제작 <사진> 난중일기▶

2. 난중일기란 무엇인가? (전쟁의 난) 국난을 극복해낸 수군사령관으로서 충무공의 엄격하고도 지적인 진중생 활을 평이한 문장으로 기록하고 있다. 유비무환의 진중생활, 인간 이순신의 적나라한 모습과 생각, 부하를 사랑하고 백성을 아끼는 마음, 국정에 대한 솔직한 간언, 군사 13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행동에 있어서의 비밀 엄수, 전투상황의 정확한 기록, 가족·친지·부하장졸·내외 요인들의 내왕 관계, 정치·군사에 관한 서신교환 등이 수록된 일기형식의 글이다. - 난중일기 [亂中日記] (두산백과)

3.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를 기억하며 나만의 한지책을 제작해보자. ⦁ 한지책 만드는 방법을 시연한다. - 속지로 사용될 A4 한지를 각각 10장씩 맞추어 반으로 접는다. - 겉지로 사용될 한지는 좋아하는 색상을 골라 속지와 같이 반으로 접는다. - 겉지를 속지 위에 올린 후 끈을 꿸 구멍을 펀칭으로 뚫는다. - 구멍이 뚫린 부분은 색한지로 구멍을 덮어준 후 연필로 다시 구멍을 뚫고 실을 꿰어준다. - 옛날방식의 실을 꿰어도 좋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꿰매어 준 후 매듭짓는 방법 을 배워 책이 풀리지 않게 묶어준다. ⦁옛 서책을 보여주며, 한지의 특징과 한지책의 꿰매는 방법 등을 함께 이야기한다.

<사진> 한지 일기책 만들기 ▲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76호로 지정되었다. 지정 명칭은 이충무공난중일기부서간첩임진장초 (李忠武公亂中日記附書簡帖壬辰狀草)이다. 부록으로 서간첩 1책, 임진장초 1책, 합 9책이다. 충청 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白岩里) 현충사(顯忠祠)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역사적 사실과 학술연 구 자료로서 높은 가치가 인정될 뿐 아니라, 유례를 찾기 힘든 전쟁 중 지휘관이 직접 기록한 사 례인 점을 들어 2013년 6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1) 난중일기 : ① 임진일기(壬辰日記):27매, ② 계사일기(癸巳日記) : 30매, ③ 갑오일기(甲午日 記) : 52매, ④ 병신일기(丙申日記) : 41매, ⑤ 정유일기(丁酉日記) : 27매, ⑥ 속정유일기(續丁酉 日記) : 20매, 겉장이 없고 첫장에 '丁酉'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일기 내용은 정유에서 무술 정 초에 이르고 있고, ⑤의 정유일기와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데, 그 이유는 알 수 없다. 난중일기 [亂中日記] (두산백과)

14


공예분야 - 대상

정 리 1.명량해전은 임진왜란인가 정유재란인가를 다시 알기 2.명량은 난중일기편의 정유일기 내용임을 기억해두기 3.한지공예를 활용하여 제작한 한지일기장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하기 4.서로 작품에 대한 칭찬나누기 5.다음 시간 활동 내용 소개; 거북선&판옥선 토기제작 기대효과와 활용방안 -명량해전이 임진왜란 때 일어났다고 잘못 알고 있는 아이들이 많았다. 이번 명량 영 화를 통하여 이순신 장군의 전술과 활약상을 알고 명량해전은 정유년에 일어난 사건 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난중일기를 통하여 제작해본 한지책 제작은 아이 들에게 일기형식의 글로 자신의 이야기를 재미있게 적을 수 있는 스토리북이 되었다. -한지책은 책을 만든 순간부터 다양한 책이 된다. 어떤 아이에게는 한자 책이 되고 어떤 아이는 알림장, 또 어떤 아이는 할머니와 동생에게 줄 재미있는 동화책이 된다. 책만큼 다양한 이야기 거리는 없을 것이다. 사극에서 보았던 옛날 책을 집에 가서 다시 만들어 본다는 아이들도 있다. 난중일기를 통한 한지책 제작으로 옛것을 돌아보고 생각하는 시 간을 주었다.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프로그램 개요 분 야

2 차시

명량해전과 거북선 토기제작-1 공예, 역사, 스토리텔링, 디자인, 과학, 사회

차 시

2 / 4

-이순신 장군의 전술과 해전의 특징을 이야기하고 나만의 거북선을 디 교육목표

기대효과 준 비 물 인성요소

자인&설계할 수 있다. -이순신 장군의 전술과 거북선의 활약을 이야기하고 거북선 토기를 제작할 수 있다. 명량해전에 출전한 판옥선과 출전하지 못했던 거북선 이야기를 통하여 이순신장군의 백의종군과 칠전량 해전의 상황을 되돌아볼 수 있다. 옹기토 10키로, 찰흙판, 워크지 ⏏정직 ⏏책임

⏏존중 ☑배려

☑공감 ☑소통 ☑협동

⏏(

) 15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수업 내용 도 입 1.지난 시간 이야기 & 인사 2.도자기 공예란 무엇인가? : 도자기 이야기-스토리텔링 3.거북선&판옥선 설계 모형과 우리나라의 지형 이야기 4.『명량해전』에 출전하지 못한 우리 거북선 이야기.

전 개 1.거북선&판옥선의 활약과 특징 알아보기. ① 우리나라의 지형: 사회교과 연계 ② 거북선 & 판옥선의 특징 <사진> 판옥선&거북선

<그림> 평저선의 구조(판옥선과 거북선의 구조)

<그림> 첨저선의 구조 (일본 선박)

**거북선&판옥선은 평저선으로 되어있다. 평저선은 , 조수간만의 차가 큰 남해, 서해에서 활동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물이 빠진 썰물에 서도 배가 쓰러지지 않고 그대로 있고, 밀물 때 다시 항해가 가능 할 정도로 당시 연안 함선으로 최고의 성 능을 지니고 있었다. 현대 배들처럼 배 밑바닥이 뾰족한 첨저선은 물살을 가르기 쉬워 속도가 빠르나 방향을 틀 때 회전반경이 큰 것이 단점인 반면, 평저선은 첨저선과 반대로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도 회전반경이 아 주 작은 장점이 있어 섬이 많은 리아시스식 남해안에서 용이하다.

2. 거북선 설계 및 디자인 :`나도 선박전문가` ① 거북선과 판옥선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② 자신이 제작할 토기를 디자인해보자.

16


공예분야 - 대상

3. 거북선&판옥선 토기 제작하기-1 ①다양한 기법 시연: 핀칭, 판, 코일링기법 ②코일링 기법을 응용하여 도자기 거북선 토기 시연을 통해 기법을 숙지한다. -코일링은 가래떡 모양으로 쌓아가는 기법이다. -코일을 넓힐 때는 바깥쪽으로, 좁힐 때는 안쪽으로 말아가며 제작한다.

③코일링 기법을 응용하여 토기를 제작한다. <사진> 거북선&판옥선 디자인 워크지▶

<사진> 거북선&판옥선 토기제작 ▲

17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거북배의 과학적인 구조계획 및 조선

우리나라의 전통 선박인 한선의 조선기술을 기본으로 건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1795년 식 거북배의 과학적설계 및 구조계획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충무공전서]의 권두에 게재 되어 있는 ‘통제영귀선’의 안설의 내용 중에 있는 1795년식 거북배의 치수를 가지고 전통한선의 설계기법을 응용하여 풀이하면 아래와 같다. 1. 설계의 기본 치수는 3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3이라는 수는 단군의 천부경에 나오는 천=1 지=2 인=3의 수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설계의 기본 계획은 서양의 [피타고라스의 정리]즉 직각삼각형의 양변의 면적의 합은 사변의 면 적과 같다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다시 말하면 루트=1.414의 공식을 이용하여 설계를 한 것으로 서 현대의 과학으로 증명하여도 손색이 업는 우수한 설계를 계획하였다. 3. 재료인 목재의 가공은 자연형태를 그대로 이용하여 힘의 역학적인 고려를 하였다. 즉 구부러진 나무가 필요한 곳에는 자연스럽게 구부러진 나무를 그대로 썼다. 4. 배를 유선형으로 설계하였다. 흔히 전통한선은 보기에 투박하고 속력이 느리다고 하는데 이것은 모르고 하는 말이다. 이물비우의 측면 곡선, 저판의 평면곡선, 저판의 측면곡선, 선체의 평면곡 선, 현호(샤-)의 곡선 등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고 조선 공작에 있어서 모가 나지 않고 둥글둥글 하게 모(날카로운 모서리)를 죽여 놓았다. 5. 1795년식 거북배의 45도 투시도를 제도 기법으로 풀이하여 전개도를 그려보면 곡선을 잘 이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충무공 이순신:http://www.choongmoogongleesoonsin.co.kr/

정 리 1. 명량해전에서 사용된 판옥선의 특징을 이야기해보자. 2. 명량해전에서 거북선이 왜 출전하지 못하였는지 이야기해보자. 3. 토기 제작 시 흙의 느낌과 제작방법을 이야기해보자. 4. 이번 수업의 아쉬웠던 점과 재미있었던 부분을 이야기하자. 5. 토기 건조 시 유의사항과 다음 시간 수업 공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 거북선과 판옥선을 나무가 아닌 도자기 토기로 제작함으로써 재료의 다른 느낌을 경험해 보는 시간이었다. 또한, 명량해전에서의 거북선이 출전하지 못하였던 이야기와 판옥선의 활약, 그리고 우리나라지형에 맞는 배의 설계 등은 지혜로운 선조의 전술이었음을 인지시 킬 수 있었다. 이에 다양한 재료의 활용으로 과학적인 거북선을 제작 및 연구할 수 있다.

18


공예분야 - 대상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3 차시

충무공이야기와 지혜와 전술이용놀이제작 공예, 역사, 스토리텔링, 놀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애를 되돌아보고 그 이야기를 한지두루마리 그림으로 제작 할 수 있다. -이순신 장군의 전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놀이로 만들어볼 수 있다. -이순신 장군의 다양한 전술을 응용한 놀이를 제작하여 역사를 되돌아 볼 수 있다. 색한지, 화선지(속지), 풀, 가위, 그리기도구, 나무젓가락, 양면테잎, 털실 ⏏정직 ⏏책임 ⏏존중

☑배려

☑공감

☑소통

☑협동

⏏(

)

도 입 1.지난 시간 이야기: 거북선 토기제작 관련 건조시 문제점 2.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이야기와 전술 3.오늘 제작할 두루마리 그림의 원리와 내용 PPT, DVD감상

<ex 장택단의 ‘청명상하도’>

①한지 두루마리 그림 이야기 (동기유발) ex) 사극 TV드라마 활용 VCR - 임금님께 올리던 상소문 아십니까? - 어떤 드라마에 나오는지 이야기해봅시다. - 왕이 나오는 드라마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②한지 두루마리 그림의

특징은 무엇 입니까? (학습문제 인식)

-모양은 어떤 모양입니까? : 두루마리는 휴지처럼 말려 있습니다. : 책이 길어요. -색상이 다양한가요? : 비단 같은 화려한색도 있습니다. -글씨는 어떻게 썼습니까? : 한자가 쓰여 있습니다. : 글씨가 세로로 쓰여 있습니다.

19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전 개 1. 한지두루마리 감상

<그림> 장택단 청명상하도 ▲

<그림> 두루마리 서 [Makimono] - 잇쇼 하나부사 (프랑스국립박물관연합(RMN)) ▲

2. 한지두루마리 시연 ① 한지 두루마리 그림 만들기 - 외형에 두를 한지(겉지)를 원하는 두루마리의 길이만큼 자른다. - 내형에 사용할 화선지도 겉지에 맞게 조절하여 잘라준다. - 두루마리 겉지에 화선지 내지를 배접하여 붙인다. - 양쪽 끝에 양면 테잎을 붙인 후 나무젓가락을 붙여 말아둔다. - 이순신장군의 전술이 담긴 자기만의 스토리텔링을 그림으로 옮겨 한지 두루마리

20

그림을 완성한다.


공예분야 - 대상

② 이순신장군의 전술이용 스토리텔링 그림그리기

<그림> 이순신장군 전술이용 한지두루마리그림 제작 ▲

*화선지가 얇아서 풀칠하기에 불편하기 때문에 내형지를 붙일때는 겉지에 풀칠하도록 한다.

3. 이순신장군의 전술이용 놀이 ① 두루마리 그림이 완성된 모둠부터 자리를 정리하고 놀이를 시작한다. ② 게임의 룰을 익히고 주사위를 던진다. ③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수만큼 칸을 이동하고 일자진 전술에서는 일자진으로 학익진 전술에서는 학의 날개 모양으로 펼친다. ④ ex)돌격 – 노량해전- 삼천포해전-좌천(뒤로2칸)-명량해전 –백의종군(뒤로 5칸) 등 주사위를 던져 삼도수군통제사까지 먼저 가는 팀이 놀이를 마무리 할 수 있다. **본 수업은 한 모둠원 전체가 치우침 없이 참여하여 이순신장군의 전술처럼 하나가 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정 리 1. 이순신장군의 전술을 이야기해보자. 2. 서로의 작품에 대해 생각과 느낌 이야기해보자. 3. 한지두루마리 그림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한다. 4. 이순신장군의 전술이용 놀이는 재미있었는지 이야기해보자. 5. 정리&정돈과 다음 차시 예고

21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기대효과와 활용방안 한지 두루마리그림은 고학년 아이들은 상소문의 형식으로 제작하고, 저학년 아이들은 스토리 텔링을 활용한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그림을 그리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두루마리 그림은 마 력을 내뿜는다. 긴 한지위에 꼬리에 꼬리를 무는 스토리텔링이 바로 그 마력이다. 고학년 아 이들의 상소문은 이순신장군께서 선조께 보낸 상소문과 부모님께 보냈던 서신을 예로, 담임 선생님과 부모님께 올리는 재미있는 서신과 상소문을 제작해 보는 시간이 되었다. 한지 두루마리그림을 정리한 모둠부터 시작된 이순신장군의 전술 놀이는 미술과 공예라는 예술 활동에 멀어진 아이들을 놀이로 풀어, 보다 친근한 수업으로 이끌 수 있는 계기가 되었 다. 본 수업은 역사를 통한 공예융합 수업이 예술을 통한 아이들의 놀이 및 친구로 표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세부활동 내용

전 개 : 전술이용 놀이 원리 이해 .

*학익진 전술은 화력을 집중 시킬 수 있다. <그림> 세계 속의 영웅, 이순신 장군 동영상 캡쳐

<그림> 충무공 이순신 전술이용 놀이 전개도

22


공예분야 - 대상

◈ 이순신 전술 놀이의 법칙

1. 두루마리 그림이 완성되고 정리된 모둠부터 전술 놀이를 시작한다. 2. 긴 전개도에 할핀을 끼워 놀이판을 준비한다. 3. 두 팀 거북선팀과 판옥선팀으로 나뉘어 양쪽 끝에서 시작한다. 4. 가위-바위-보를 통해서 이긴 팀이 먼저 주사위를 던진다.

5. 연결된 놀이는 처음 『일자진』 전략에서 시작하고, 중간에 『학익진』이 나오 면 학익진 전술로 바꾸어 구부린다. 6. 각 칸의 문구(<이순신장군의 출전한 해전> 노량해전, 좌천, 백의종군, 구루지마 섬 포로등)에 맞추어 `삼도수군통제사`까지 먼저 가는 팀이 이긴다.

<그림> 이순신전술 놀이1: 『일자진』 전술 ▲

<그림> 이순신전술 놀이2: 『학익진』 전술 ▲

23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 란체스터의 법칙도 같은 원리= 집중타격하면 공격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학익진의 원 리는 20세기에 유럽에서 ‘란체스터의 법칙’이라는 이름으로 정교해진다. 이 원리는 영국 항공공학 엔지니어인 프레드릭 란체스터가 1차대전 공중전 결과를 분석 해 이론으로 만들어냈으며 전력은 화력 차이의 제곱과 비례한다는 내용이다. 예컨대 아 군과 적군의 전투기가 3대 1로 공중전을 벌이면 전력 차이는 9대 1이 된다는 것이다. 왜 냐하면 적기가 아군 전투기 3대에 각각 기관총을 한 번씩 발사하는 동안 아군 전투기는 세 번씩 모두 아홉 차례 공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합군은 이 원리를 바탕으로 적기가 아군기보다 3배 이상이면 무조건 전투를 피하는 전술을 써서 전과를 높였다. 이순신 장군은 병선 수에서 13대 133으로 절대 열세였던 명량해전에서 란체스터 법칙을 역으로 활용해 승리를 거뒀다. 장군은 좁은 울돌목으로 왜군을 유인했다. 왜군은 많아야 세 척씩 해협을 통과했고 조선 수군은 13대 3으로 판세를 뒤집어 일본 함대를 격파했다. -아시아경제신문

24


공예분야 - 대상

학교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차시] 거북선 토기이용 명량해전 재현 -2 공예, 역사, 과학 1. 거북선과 판옥선의 초벌 토기를 이용하여 명량해의 전술에 맞게 채 색 할 수 있다. 2.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명량해의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이순신 장군 의 전술을 이해하고 울돌목의 명량해전을 재현 해 볼 수 있다. 명량해 제작을 통하여 조수 간만의 차를 재현해 볼 수 있다. 전지(마분지200g)모둠당 2장, 아크릴 물감, 붓, 닛스(바니쉬), 스카치테잎 ⏏정직

⏏책임

⏏존중 ☑배려

☑공감 ☑소통

☑협동 ⏏(

)

도 입 1.지난시간 이야기 & 인사 2.초벌 소성된 거북선&판옥선 감상 3.소성된 거북선&판옥선 토기의 느낌이야기 전 개 1.거북선 토기 만들기-2 (토기채색) ①건조된 도자기 거북선을 관찰하고 혹시 떨어진 부분은 오공본드를 이용하여 붙여두자. ②채색 시연 : *건조된 도자기의 채색은 초벌 소성된 기물이기 때문에 물이 많이 스며든다. 그러므로 아크릴물감에 물을 거의 섞지 않고 채색해주는 것이 좋다. ③색이 다 칠해진 친구들은 말리고 물감이 건조된 후 창문을 열고 닛스를 칠해준다.

25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2.과학교과 연계: 명량해의 전술 ① 울돌목 유인 : *전라남도 진도군 맹골수도: 유속2.0 m/s~ 3.5 m /s 울돌목은 명량 대첩이 일어난 곳이자, 우리나라에서 물살이 가장 빠른 곳이며,'물이 울면서 돌아나가는 곳'이라 하여 울돌목입니다.

② 조수간만의 차이용 밀물이 되어 바닷물의 높이가 가장 높아졌을 때를 '만조', 썰물이 되어 바닷물의 높이가 가장 낮아 졌을 때를 '간조'라 한다. 이때 높이 차를 '간만의 차' 또는 '조차'라고 한다. 조류는 모든 바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수심이 얕은 남서해안 지역에서는 이러한 간만 의 차가 다른 지역에 비해 더 크다.[살아있는 과학 교과서, 2011. 6. 20., 휴머니스트]

3.명량해 제작 : 명량해의 전술 재현 ① 채색을 마친 모둠원은 앞으로 나와서 펼쳐진 도화지 전지에 명량을 상상하며 바다를 칠해 나간다. ② 명량해 위에 나만의 거북선&판옥선을 띄운다. **이순신 장군은 전략의 기본에 충실하였다. 이순신 장군은 물리적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남해안의 복잡한 지형과 조류를 철저히 파악하였다. 삼도수군통제사라는 최고 지휘관의 입장에 있 으면서도 현장답사를 게으르게 하지 않았다. 명량대첩의 싸움터인 울돌목도 오래 전에 직접 답사하 여 위급한 상황에서 적을 막을 수 있는 천혜의 요지임을 이미 알고 있었다. 그 당시 우리 수군 중 에는 어부들이 많았고, 이들은 자기들의 생활터전인 남해안의 지형과 조류를 미세한 부분까지도 잘 알고 있었다. 이순신 장군은 비록 지위가 낮은 어부들이었지만 이들의 말을 귀담아 듣고 작전수립 에 활용하였다. 충무공 이순신:http://www.choongmoogongleesoonsin.co.kr/

정 리 -

명량 바다의 느낌을 이야기해보자. 아크릴 채색 시 제작방법을 이야기해보자. 이번 수업의 아쉬웠던 점을 이야기하자. 다음 시간 이야기와 준비물 공지한다. 기대효과와 활용방안

거북선&판옥선 제작하는 즐거움보다 그 배경인 명량해가 더 인기가 좋았다. 명량은 아이 들의 놀이터가 된 동시에, 역사의 한 장면으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보인다. 이순신 장군의 활약과 지혜를 이야기하고 충무공의 업적을 기리는 시간이었다.

26


공예분야 - 대상

전 개 :

<사진> 명량해 재현

27


󰡔명량󰡕으로 풀어본 거북선 토기제작

<사진> 서울 용강초등학교 4학년 수업 모습

28


공예분야 - 대상

29



공예

최 우 수 상 사라진 탈을 찾아 떠나는 탐험여행

서 은 정, 이 영 미



공예분야 - 최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사라진 탈을 찾아 떠나는 탐험여행

관련 장르

무용, 미술, 문학

대상연령

고등학교 1학년

연관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50분 하회탈 : 사라진 탈(총각, 별채, 떡다리탈)을 찾아서 현재 전해 내려오는 무형문화재의 종류는 다양하다. 당시의 미의식을 반영한 유형 혹은 무형의 문화재는 지금도 박물관에 서 역사의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 문화재를 통해 당시의 사 회, 문화, 가치를 알게 되는데 역사적으로 아직 발굴되지 못해 사라진 문화도 많다. 이 프로그램은 국보 제121호로 지정된 하회탈의 문화적 가치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하회탈 은 하회마을에서 전해져 온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하회탈 은 우리나라의 많은 탈 가운데 유일하게 국보로 지정된 귀중 한 문화적 유산이며 가면미술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프로그램 내용 요약

하회탈은 양반, 선비, 중, 백정, 초랭이, 할미, 이매, 부네, 각 시, 총각, 떡다리, 별채탈 등 12개와 동물형상의 주지2개(암주 지 숫주지)가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총각’,‘떡다리’,‘별 채’탈은 분실된 채 전해지지 않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사라져가는 탈을 찾아 떠나는 탐험형식의 프로 그램으로 하회탈의 유래를 살펴보고 아이디어 스케치를 통해 표현해보는 시간과 본격적으로 사라진 탈을 직접 착용할 수 있도록 표현해보는 시간으로 구성된다. 탈의 이름을 힌트로 구체적인 형상을 상상하여 표현하거나, 자신이 직접 만든 탈 에 새로운 이름을 붙여주고, 탈을 주제로 하여 이야기를 만들 며 몸으로 표현한다. 우리나라에는 기록의 사료가 없어 복원조차 불가능한 유무형의 문화재가 많이 있다. 현재의 우리 삶 속에 전해 내려오는 것들 에 대한 보존의 필요성을 생각해보고, 발견되지 못하거나 사라 져가는 것을 상상을 통해 복원하여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과 정을 통해 우리의 소중한 가치를 일깨우는 시간이 될 것이다. 33


사라진 탈을 찾아 떠나는 탐험여행

【사라진 탈을 찾아 떠나는 탐험여행】 1. 개요 구 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 하회탈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 하회탈의 전설과 하회별신굿이 행해지고 있는 지역에 대 -하회탈의 제작 동기와 유 해 이해한다. 현재 이어져 내려오는 하회탈과 독특한 마당극의 형식을 래를 살펴보고 상상하여 이해한다. 도출된 아이디어를 스케치 - 아트북을 만든다. 할 수 있다. - 자신의 생각을 담아 탈의 모양을 스케치한다.

탐험가와 하회탈의 만남

1 차 시

사라진

탈의

존재와

2 발견 차 -사라진 탈(총각,별채,떡다 시 리탈)을 상상하여 개성있 게 표현할 수 있다. 사라진 탈을 복원하다!

- 현재 전해지지 않는 총각, 별채, 떡다리탈을 상상해 본다. - 이들의 이름을 힌트로 상상한 것을 표현한다.

- 탈의 모양을 구상한 활동지를 바탕으로 탈의 뼈대를 만들어 본다.

-사라진 탈을 상상하여 개 - 바탕판을 만들고 이름(총각, 별채, 떡다리살)에 어울리는

3 차

성 있게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재료를 오브제 로 사용하여 독창적으로

시 꾸밀 수 있다.

이목구비를 붙여 만든다. - 빨대, 이쑤시개, 플라스틱 조각, 단추, 나무젓가락 등 다 양한 재료를 오브제로 사용하여 독창적으로 만든다. - 내가 만든 탈에 이름을 다시 지어보고 탈의 캐릭터의 이 야기를 만든다.

-내가 만든 탈에 이름을 - ‘ㅇㅇ탈의 하루’라는 제목으로 전개될 탈의 대사를 만 지어보고 이야기를 만든다. 들어 본다. 아트북에 개요를 잡고 이야기를 만든다.

새롭게 재구성한 스토리

4 (ㅇㅇ탈의 하루) 차 -내가 만든 탈을 쓰고

- 내가 만든 탈을 쓰고 몸으로 표현한다. - 내가 구상한 이야기를 소개하고 발표한다. -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서로의 생각을 공유한다.

시 몸으로 표현하여 탈의 - 수업에 대한 자기평가서(상장)를 작성하고 정리한다. 스토리를 발표한다.

34


공예분야 - 최우수상

2. 세부내용 1차시 : 탐험가와 하회탈의 만남! 개요 수업의 주제 학습목표 준비물 참고자료

탐험가와 하회탈의 만남 <1차시> 하회탈의 제작동기와 유래를 살펴보고 상상할 수 있다. 아이디어스케치, 필기도구, 색지, 가위, 풀 <하회별신굿> 동영상, <하회탈 다큐멘터리> 동영상 - 하회탈춤을 몸으로 익히고 친근하게 수업을 열 수 있는 계기를

기대효과

마련한다. - 탈의 모양을 나만의 방식으로 상상할 수 있다.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학습내용 - 오늘 학습할 주제를 안내하고, 하회탈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 발문한다. - 하회별신굿이 전해져 내려오는 지역과 하회마을의 지형적인 특징 을 이해한다. - 하회탈의 전설 이야기를 들려준다.

도입

<허도령이야기> - 탈을 만들게 된 배경 - 흠모하던 여인으로 인해 탈을 만들다가 사라짐 - 이때 만들고 있던 이매탈의 미완성 이야기

35


사라진 탈을 찾아 떠나는 탐험여행

- <하회별신굿> 동영상을 시청하고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에 대해 이야기 한다. - 하회탈의 특징을 이해하고 마당극의 형식과 극의 생동감을 이해한다. - 탈의 유래와 하회탈이 유일하게 국보로 지정된 우수성을 알려준다. "하회탈"은 하회마을에서 전해져 온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하회탈은 우리나라의 많은 탈 가운데 유일하게 국보(국보 전개

제121호)로 지정된 귀중한 우리의 문화적 유산이며 가면미 술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회탈은

양반, 선비, 중, 백정, 초랭이, 할미, 이매, 부네,

각시, 총각, 떡다리, 별채탈 등 12개와 동물형상의 주지2개 (암주지 숫주지)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언제부터인지 "총각", "떡다리", "별채" 탈은 분실된 채 전해지지 않고 있다.

36


공예분야 - 최우수상

- 하회탈은 사람의 계층과 직업 뿐만 아니라 성격까지 담아내어 예술적 인 우수성을 갖추고 있고, 턱이 움직일 수 있게 만들어져 역동적이며 생동감있는 탈임을 소개한다. - PPT자료를 보면서 남아있는 9가지 탈을 직접 살펴보고 ‘백정탈’과 ‘양반 탈’의 웃음의 느낌을 비교해본다. 웃 는 얼굴의 모양뿐만 아니라 감정과 인 상을 달리 표현하여 사람의 성격까지 섬세하게 드러내고 있다. 37


사라진 탈을 찾아 떠나는 탐험여행

- 구체적인 비교내용보다 탈의 첫인상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돕는다. - 색지를 접어 아트북을 만들고 속지에 아이디어 스케치를 한다. 8등분을 하고 T자형으로 오리고 번갈아가면서 접어준다. - 사라지고 아직도 복원되지 못하고 있는 ‘총각, 별채, 떡다리 탈’을 상상하고 과연 어떤 모습일지 아트북에 간단하게 아이디 어 스케치를 한다.

- 이름을 통해 연상되어지는 것을 자유롭게 상상하여 디자인한다. - 탈의 생김새와 세부적인 모양에 대해 전해 내려오지 않으므로 탈의 이름을 근거로 자유롭게 상상하도록 한다. - 사라진 탈을 상상하여 스케치한다. - 어떤 점을 부각시켜 표현하였는지 이야기 한다. - 탈의 생김새를 부각시킨 것인지, 탈의 이름을 변형한 것인지, 탈의 새 정리

로운 계급과 직업을 연관시킨 것인지 자신이 강조한 의도를 발표한다. -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잘된 점은 칭찬한다. - 수업을 정리하고 다음 차시를 예고한다.

2차시 : 사라진 탈의 존재와 발견 개요 수업의 주제 학습목표 준비물 참고자료 기대효과 38

사라진 탈의 존재와 발견

차시

사라진 탈 총각 별채 떡다리탈 을 상상하여 개성있게 표현할 수 있다 빈상자, 색종이, 가위, 풀, 테이프, 천, 점토, 채색도구, 아크릴물감, 고무줄, 펀치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는 하회탈의 사진자료 하회탈춤 공연장면 사진, 하회탈의 배역의상 사진자료 - 아이디어 스케치 한 상상속의 사라진 탈을 직접 재현할 수 있다.


공예분야 - 최우수상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학습내용 - 표현계획단계의 설계과정임을 알고 충분히 시각화시켜 표현하도

도입

록 준비한다. - 아이디어 스케치를 바탕으로 하여 탈의 뼈대를 만들기 위한 준비 를 한다. - 가소성이 있는 재료인 점토를 사용하여 하회탈을 환조의 형식으 로 다양하게 상상하여 표현하는 것을 인식시킨다. - 탈의 원형의 모양을 기초로 바가지나 플라스틱 통 위에 점토를 붙여 주거나 천을 덧대어 주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한다.

전개

빈상자나 통을 재활용할 수 있다. - 이름을 통해 연상되어지는 것을 자유롭게 상상하여 디자인한다. - 탈의 생김새와 세부적인 모양에 대해 전해 내려오지 않는 탈의 이름을 근거로 자유롭게 상상하도록 한다. 자신의 개성과 상징 을 담아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 어떤 점을 부각시켜 표현하였는지 이야기한다. - 탈의 생김새를 부각시킨 것인지, 탈의 이름을 변형한 것인지, 탈의

정리

새로운 계급과 직업을 연관시킨 것인지 자신이 강조한 의도를 발 표한다. -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잘된 점은 칭찬한다. - 차시예고 후 수업을 정리한다.

3차시 : 사라진 탈을 복원하다! 개요 수업의 주제 학습목표 준비물 참고자료 기대효과

사라진 탈을 복원하다! <3차시> 사라진 탈을 상상하여 점토나 다양한 재료를 오브제로 사용하여 로 개성있고 독창적으로 꾸밀 수 있다. 빈상자, 색종이, 가위, 풀, 테이프, 천, 점토, 채색도구, 아크릴물감, 고무줄, 펀치 세계 다양한 탈 자료 - 점토와 천 등 다양한 재료를 직접 사용하여 구체적인 묘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39


사라진 탈을 찾아 떠나는 탐험여행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학습내용

도입

- 이전 차시에 제작한 탈의 뼈대위에 구체적으로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을 계획한다. - 나의 의도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는 재료는 무엇이 있을지 생각한다.

전개

- 점토나 종이죽, 천 등 탈의 뼈대 위에 점토 등으로 이목구비를 개성있게 만든다. 아이디어 스케치한 것을 참고하여 밑그림을 그리고 살붙임을 한다. 조소도구로 얼굴판위에 간단히 스케치를 하고 점토를 붙여준다. - 단추, 플라스틱 뚜껑, 이쑤시개, 빨대, 나무젓가락, 돌, 나뭇가지 등 다양한 재료를 오브제로 사용하여 탈을 꾸민다. - 좀 더 구체적인 탈의 성격이 드러날 수 있도록 노력한다. - 이름을 통해 연상되어지는 것을 자유롭게 상상하여 디자인한다. - 점토를 사용하면 가장자리를 잘 정리한다. 무늬를 찍어서 표현 하는 등 질감을 다양하게 나타나도록 하며 재료를 위에 꽂아 재 미있게 표현한다.

- 내가 만든 탈의 이름을 붙여준다. - 총각, 별채, 떡다리탈의 사라진 탈의 이름 외에 자기가 별칭을 지어준다. - 별칭을 이름으로 한 ‘ㅇㅇ탈의 하루’라는 제목으로 이야기를 만든다. - 주인공의 성격을 파악하고 전체적인 개요를 짜고 이야기를 만든다. 정리

주인공의 대사를 창작할 수도 있다. 아트북에 이야기를 적어본다. - 간단한 단편소설의 형식을 빌려 표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한 다. 일기형식도 무방하며 글의 형태에 틀을 두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돕는다. - 수업을 통해 배울 느낀점을 말해보고 - 차시예고를 하고 수업을 정리한다.

40

마무리한다.


공예분야 - 최우수상

4차시 : 새롭게 재구성한 스토리 (ㅇㅇ탈의 하루) 개요 수업의 주제 학습목표 준비물 참고자료

새롭게 재구성한 스토리

탈의 하루

차시

내가 만든 탈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필기도구, 아트북, 편한복장, 본인이 만든 탈 작품 - 사라진 탈을 재현하는 능력을 확인하고 이야기로 풀어내고 발표를

기대효과

할 수 있다. - 전체 주제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학습내용

도입

- 하회탈의 전설과 발견되지 않은 사라진 탈의 존재를 다시 확인하 고 내가 직접 만든 상상 속의 탈을 보면서 느낀 점을 자유롭게 이 야기 나눈다. - 탈의 생김새와 춤사위가 인물의 성격과 특성을 드러내고 있는지 살펴본다.

- 내가 만든 탈의 이름을 붙여준다. - 총각, 별채, 떡다리탈의 사라진 탈의 이름 외에 자기가 별칭을 지 어준다. 전개

- 몸의 긴장을 풀고 탈춤의 기본 스텝과 팔의 동작을 자연스럽게 표 현한다. 장구소리에 몸을 맡기며 자연스럽게 표현하고자 노력한다. - 짝을 지어 서로의 동작을 따라 해보고 가장 유쾌한 동작을 과장하 여 재미있게 표현한다. - 춤동작을 정리하고 직접 동작을 따라하면서 느낀 점을 이야기 한다.

- 내가 지은 이야기와 기본 동작을 익히는 가운데 발표하고 서로 다 정리

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진다. - 나의 작품과 이야기를 함께 소개하는 뜻 깊은 수업의 소감을 이야 기하고 정리한다. 41


사라진 탈을 찾아 떠나는 탐험여행

- 본 수업의 평가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자기평가지를 나누어주고 잘된 점을 평가하도록 돕는다. 프로그램을 참여하면서 가장 우수 하한 점을 ‘상장’에 적는다.

자기평가서 양식예시

- 수업이 끝나고 탈은 교내 벽면에 차례대로 설치하여 환경 조형물 로 제작되도록 돕는다. □ 수업의 발전 방향 □ 1. 사라진 문화에 대한 성찰, 복원과 상상의 기회 제공 2. 각 지방의 설화와 사라진 탈을 조사, 다양성의 기회 제공 (모둠수업으로 적용 가능) 3.

42

사회교과 등, 타 학문의 융합의 기회 제공


공예

우 수 상 어 린 왕 자 와 무 지 개 여 행 을 떠 나 볼 까 !!!

이 민 혜, 허 인 열



공예분야 - 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어린왕자와 무지개 여행을 떠나볼까!!!

관련 장르

공예, 문학

대상연령

특수학급 고1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창의적 체험활동 50분(차시별) 문학작품을 이용한 칠보 모자이크(조각그림) 본 프로그램은 특수교육 기본교과 과정인 국어(문학)과에서 다루는 문학작품(어린왕자)을 칠보공예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통합교육이다. 1~2차시는 미적체험과 감상의 시간으로 주제 선정하기와 칠보공예에 대한 기본 개념 이해하기로 진행되고, 3~4차시는 표현과 감상의 시간으로 칠보를 이용한 작품 제작 과 감상으로 이루어진다. ■ 프로그램의 개발배경

프로그램 내용 요약

장애청소년들(고등학교 특수학급)은 비장애청소년들과 마찬가 지로 ‘미’를 추구하고 자신들만의 표현방식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소통과 자신의 감정표현의 어려움, 자존감의 부족 등 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학습자들을 위하 여 국어(문학)의 상상의 즐거움 중 어린왕자와 연계한 프로그 램을 통하여 표현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고, 긍정적이고 즐 거운 경험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조형감각과 자신감, 감상능 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동 작업을 통해 협동심과 책임감을 키우고 타인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자 한다. 칠보 공예는 칠보공예의 아름다움을 통해 미적 감각의 향상에 도움을 주고 평소에 쉽게 접하지 못하는 매체로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완성도가 높고, 고도의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학습자들에게 성취감과 긍정적 자아 개념 형성에 도움을 주고 집중력을 키울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보는 경험은 적성에 맞는 기능과 소질을 개발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45


어린왕자와 무지개 여행을 떠나볼까!!!

어린왕자와 무지개 여행을 떠나볼까!!! 1. 개요 구분 1차시

학습목표 어린왕자를 읽고 느낀 점을 표현한다. 칠보공예에

2차시

주요 활동내용 -가장 기억에 남는 별 표현하기 -자신이 좋아하는 장면 그리기(선정하기)

필요한

재료와 -칠보공예 작품 감상하기

도구에 대하여 알아보고 칠 -칠보 공예의 재료와 도구에 대하여 알아보기 보 장신구를 만든다.

3차시

-자신이 읽은 내용 중 최고의 문장 뽑기

-칠보 장신구 만들기

칠보 모자이크(조각그림)를 제작한다.

-도안 그리기 -순서 정하기 -작품 제작하기(모자이크 만들기)

공동으로 협력하여 칠보 모

4차시

자이크를

완성하고

작품을 -칠보 모자이크(조각그림) 완성하기

함께 감상하며 느낌을 이야 -감상하기 기한다.

2. 세부내용 차시 개요 1차시

“어린왕자”와의 첫 만남

주제

어린왕자를 읽고 느낀 점을 표현한다. 자신이 읽은 내용 중 최고의 문장을 뽑는다.

학습목표

어린왕자가 만난 이들에 대해 말하고 느낌을 표현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장면을 선정하여 그린다.

기대효과 준비물·참고자료 46

문학을 통해 자신의 느낌을 표현한다. 상상을 발휘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과 서로 감상을 나눈다. A4용지, 색연필, 사인펜, 연필, 지우개


공예분야 - 우수상

개요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시간

1. 어린왕자 골든벨 게임을 함께 하며 어린왕자 줄거리를 떠올린다. 예) 어린왕자가 사는 별 이름은?

생각 열기

10 2. 준비물을 준비한다. 3. 오늘 수업에 대해 소개한다.

1. 책을 읽고 자신이 생각하는 최고의 문장을 A4 용지에 적는다.

10

(문해능력이 없는 경우, 말로 표현한다.) 예 나는 우리

해가 지는 풍경이 좋아 해지는 거 구경하러 가

그렇지만 기다려야 해 뭘 기다려 해가 지길 기다려야 한단 말이야

2. 별나라 여행을 떠나보자! 활동

-어린 왕자의 여정을 함께 해보자. 어린왕자가 다녔던 별들의

하기

모습을 상상해 본다.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거나 말하기 어려운 학생은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이해를 돕는다. 예) 1) 왕의 별 - 왕의 모습이 어떠했는지 알고 느낌을 말한다. 2)술주정뱅이의 별

10

-술주정뱅이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알고 느낌을 말한다. 3) 지리학자의 별 -지리학자의 별은 어떠했는지 알고 느낌을 말한다.

47


어린왕자와 무지개 여행을 떠나볼까!!!

<수업활동사진> 3. 책을 읽고 기억에 남는 장면을 그려본다.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그린다.

10

1. 학생들이 뽑은 최고의 문장들을 모아 전시한다. 마무리 하기

2. 별나라 여행에서 여행마다 느낀 점을 모은다. 3. 최고의 장면을 그린 그림들 중 하나를 선정한다.

10

4. 다음 시간에 수업할 내용을 공지한다. -어린왕자 최고의 장면을 만들 칠보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참고자료 및 유의점 참고자료: 어린왕자(2009). 책있는 마을, 아투안 드 생텍쥐베리. 색칠로 하는 고전읽기 1 (어린왕자)편(2013)

정글짐북스,

김재운

유의점 ▲ 흔히 알고 있는 내용이 아닌 장애 학생만의 답이 나오더라도 지지한다.

48


공예분야 - 우수상

차시 개요 차시

칠보공예의 기본 개념 이해하기 장신구 만들기 칠보공예의 의미와 칠보공예에 필요한 재료와 도구에 대하여 알

주제

아보고 칠보 장신구를 만든다 칠보공예의 아름다움을 탐색하고 재료와 도구에 대하여 안다

학습목표

칠보 장신구를 만든다 칠보공예의 아름다움을 탐색하며 미적 정서를 키운다

기대효과

칠보 장신구를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성취감을 갖는다

준비물 참고자료

자료 칠보 유약 동판 칠보가마

스틱 붓

철망 집

게 휴지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교수 학습활동

시간

1.선수학습 회상하기 -지난시간 선정한 어린왕자 최고의 장면을 보며 지난 수업에 대하 여 간략히 설명한다. 2.칠보공예의 경험나누기 -칠보공예 실제작품을 제시하며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발문한다.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돌아가며 작품을 만져보고 관찰 하도록 한다.) 생각 열기

<칠보 작품> 3.수업 소개하기. -어린왕자의 최고의 장면을 그릴 칠보공예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칠보로 장신구를 만들어 봅시다. 활동 하기

1. 칠보공예란 무엇인지 설명한다. -칠보란 유약을 이용하여 바탕재료 위에 그림을 그린 후 가마에서 구워내 아름다운 색채효과를 내는 기법을 말하며 칠보란 7가지 보 석을 의미한다. 49


어린왕자와 무지개 여행을 떠나볼까!!!

2. 칠보공예 작품 감상하기 -다양한 칠보 작품을 감상하며 아름다움을 탐색한다. (작품 감상은 본 단원과 연계하여 모자이크 작품과 본 수업과 관 련된 여러 가지 장신구를 감상한다.) 예시)

<작품: 노용숙/향원II>

<학생작품>

칠보공예에 필요한 도구와 재료 설명하기 칠보공예에 필요한 기본이 되는 바탕재료 유약 가마에 대하여 설명한다 칠보 장신구 만들기 디자인에 따라 칠보 유약을 동판에 올린다 올린 유약을 건조시킨다 차 소성한다 소성한 동판의 옆면을 다듬어 정리한다 경우에 따라 차 유약을 올리고 소성한 후 옆면을 다듬어 정리한다 준비된 판에 동판을 붙여 완성한다

수업활동사진 느낌 나누기 만든 작품을 직접 착용하고 느낌을 이야기한다 마무리 하기

작업 과정시 재미있었던 점 어려웠던 점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정리하기 주변을 정리한다 다음 시간에 수업할 내용을 공지한다 칠보 모자이크 조각그림 을 만듭시다

50


공예분야 - 우수상

참고자료 및 유의점 칠보 도구와 재료 칠보유약 주성분은 석영이다 투명도에 따라 투명 유약 불투명 유약으로 나뉜다 가루 알갱이 선 상태의 유약이 있다 바탕재료 금속 유리 점토 등을 사용 칠보가마 칠보유약을 구워내는 역할을 한다

칠보 재료와 도구

유약의 종류

참고문헌 교재 칠보공예실기 한국산업인력공단 미진사 노용숙 지음 아름다운 빛깔구이 칠보예술 유의점 한명씩 말하도록 이름을 부르며 발표의 기회를 준다 도구와 재료 설명은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실물을 보며 설명한다 작품제작 시 가마 사용으로 인한 철저한 안전에 주의가 필요하다 유약사용 시 유약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차시 개요 차시

칠보 모자이크 조각그림 만들기

주제

도안에 따라 개인별로 칠보 모자이크를 만든다

학습목표

칠보를 이용하여 모자이크 조각그림 를 만든다 칠보 모자이크를 만들며 표현력을 향상시킨다

기대효과

칠보 작업을 통하여 집중력을 기른다 칠보 작업을 통하여 협응력을 키운다

준비물 참고자료

칠보 유약 동판 칠보가마

스틱 붓

철망 집게 휴지 51


어린왕자와 무지개 여행을 떠나볼까!!!

세부활동 내용 학습

교수 학습활동

단계 선수학습 회상하기

생각

칠보란 무엇인가요 칠보에 필요한 도구와 재료는 무엇인가요

열기 수업 소개하기 어린왕자 최고의 장면을 다함께 칠보 모자이크 조각그림 으로 만 들어 봅시다 작품 제작하기 작품 제작에 앞서 도안을 학생 수에 맞게 조각을 내고 개인별 작업 디자인을 결정한 후 색상에 맞는 유약을 선택한다 예시

개인별 선택한 모자이크를 제작한다 활 동 하 기

도안을 먹지에 대고 뒷면 처리된 동판에 그린다 수성사인펜을 이용하여 동판의 도안을 선명하게 한다 올리기 기법을 이용하여 도안에 맞는 색을 선택하여 유약을 올린다

정도

유약의 물기를 제거한다 굽는다

정도

꺼내어 옆면 처리한다

52

시간


공예분야 - 우수상

수업사진 느낌 나누기 작업과정에 대한 느낌을 이야기한다 작업을 하며 어려웠던 점 재미있었던 점에 대하여 이야기 나 마 무 리 눈다 하기 정리정돈 및 다음 차시 예고 주변을 정리 정돈하고 다음 차시에 대하여 예고한다 칠보 모자이크를 완성합시다 참고자료 및 유의점 칠보 올리기 기법 올리기 기법은 세척한 분말 유약을 세필을 이용하여 바탕재료에 올려 제작하는 칠 보 기법이다 칠보 유약을 올릴 때는 수분의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수분이 너무 많으면 색과 색의 경계면이 섞여 흐트러지게 되고 너무 적으면 칠보 유약이 부서져서 고르게 바르기 어렵다 올리기가 완성되면 가마에 넣기 전에 칠보를 완전히 건조시켜야 한다 수분이 남 아 있는 채로 가마에 구우면 유약이 튀거나 끓어오를 수 있다 참고문헌 쉽고 재미있게 배우는 칠보공예

재 한국공예문화진흥원

유의점 개인별 작업시 디자인 조각 선정은 학습자들이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나 학습자 들의 능력에 따라 디자인 난이도를 고려하여 제작하도록 유도한다 작품제작 시 가마 사용으로 인한 철저한 안전에 주의가 필요하다 유약사용 시 유약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적색이나 오렌지 색 유약은 다른 색상 유약에 비해 두껍게 올려야 타지 않는다

53


어린왕자와 무지개 여행을 떠나볼까!!!

차시 개요 차시

칠보 모자이크 완성하기

주제

개인별 칠보 모자이크를 조합하여 완성한다

학습목표

칠보 모자이크를 완성하고 함께 감상하며 느낌을 이야기한다 공동 작업을 하며 협동심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 형성에 도움을 준다

기대효과

작품에 대한 느낌을 이야기하며 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작품 완성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 긍정적 자아감을 형성한다 칠보 유약 알갱이 유약 선유약

준비물 참고자료

보가마 드

스틱 붓

검정 회화칠보 유약 동판 칠

철망 집게 휴지 본드 배경판 하드보

세부활동 내용 학습

교수 학습활동

단계

선수학습 회상하기 지난 수업 내용에 대하여 질문하며 간략하게 설명한다 생각

칠보 만드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열기 수업 소개하기 칠보모자이크를 완성해 봅시다 작품 피드백 수정 보완하기 제작한 작품에 대하여 피드백하며 부족한 부분을 수정 보완한다 세부 묘사를 위하여 회화 칠보 유약이나 알갱이 유약 선유약 활동 하기

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작품 조합하기 각자 만든 작품을 조합한다 각자 만든 작품을 도안에 맞게 조합하여 배경판에 붙인다

54

시간


공예분야 - 우수상

완성 작품 감상하기 도안과 칠보 작품을 비교하며 다른 점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마무리 하기

자신들의 작품이 모여 하나의 커다란 작품이 된 것을 보며 느 낌을 이야기하고 서로 격려하며 박수를 쳐준다 정리정돈하기 주변을 함께 정리한다

참고자료 및 유의점 작품제작 시 가마 사용으로 인한 철저한 안전에 주의가 필요하다 수정 보완 시 알갱이 유약이나 선 유약은 시엠시

가 완전히 건조된 후 구워

야 튀지 않는다 회화칠보유약은

정도에서 유약이 반짝거리면 가마에서 꺼낸다 금방 녹는다

배경판은 작품크기를 참조하여 미리 준비한다

55



공예

내 가 21세 기 왕 이 된 다 면 !

강 희 은



공예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내가 21세기 왕이 된다면!

관련 장르

공예

대상연령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교 1~3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45분 21세기 왕의 문양을 찾아 왕의 물건 만들기

■ 프로그램 배경

프로그램 내용 요약

이 프로그램은 우리가 전통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라는 생각 및 재미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전통에 다가가고 싶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 우리 전통에 대 해 배워왔다. 하지만 우리가 기억하는 것은 무엇이며 누군 가에게 설명을 해준다면 어떻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수 있을까? 학생들과 전통에 대해 특히 문양과 궁궐에 대해 이 야기를 나누어봤을 때, 학생들은 우리의 전통을 어렵게 생 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경험에서 공예와 전통을 접목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는 생각에서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 프로그램 개관 본 프로그램은 한국 전통문양의 역사, 미적인 감각과 특징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 영화 등의 매체를 통해 전통적인 것 은 지루하다라는 인식을 개선한다. 또한, 21세기 현재 내가 왕이 된다면 어떤 전통문양을 만들지, 이 문양을 이용해 왕 의 물건을 만든다면 어떤 것들을 만들지 표현해본다.

59


내가 21세기 왕이 된다면!

내가 21세기 왕이 된다면 1.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1차시

-한국의 전통문양의 역사와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문양 속에 있는 미적인 요소에 대 해 이야기 할 수 있다. -전통문양, 21세기 특징과 접 목을 한 후 내가 왕이 된다 면 21세기에 적합한 문양이 무엇인지에 대해 아이디어 스케치를 할 수 있다. -아이디어 스케치를 보며

2차시

21세기에 적합한 왕의 문양 을 제작 할 수 있다.

-전통문양 역사에 관한 시각자료 감상(영화 속 장면) -문양 속 색에 관해 이야기하기 -전통문양과 21세기 사회의 특징을 접목시켜 생각하기 -21세기의 왕이 된다면 그 시대에 적합한 문양 에 대해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아이디어 스케치를 보며 클레이를 이용해 21 세기에 적합한 왕의 문양 제작하기 -서로의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기

-옛날 왕들이 소유했던 물건 에 대한 시각자료를 보고 물 건의 특징에 대해 알 수 있다. -21세기 물건에 대한 시각

3차시

자료를 보고 물건의 특징에 대해 알 수 있다. -문양에 대입하여 물건을 스

-왕의 물건의 이미지와 특징에 대해 학습하기 -2차시때 만든 문양을 적용하여 물건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도자 흙 특징에 대해 시작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케치 할 수 있다. -도자의 특징에 대해 알 수 있다. -아이디어

스케치를

보면서

도자의 특징에 맞게 21세기

4차시

문양이 들어간 물건의 모형 을 만들 수 있다.

60

-21세기 문양이 들어간 물건의 모형 만들기


공예분야 - 입선

2. 세부내용 차시 개요 수업 주제

● 21세기 왕의 문양을 찾아서 ① -전통문양의 역사와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문양 속에 있는 미적인 요

학습 목표

소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전통무늬와 21세기와 접목을 한 후 내가 왕이 된다면 21세기에 맞는 전통 문양이 무엇인지에 대해 아이디어 스케치를 할 수 있다.

준비물, 기타

PPT자료, A4용지, 연필, 색연필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인사 ·학생의 출결사항 확인

(동기 유발) 5분

▶학습주제 파악하기 ·‘21세기 왕의 문양을 찾아서’주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 이 주제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 추억 속에서 기억나는 전통 문양이 어떤 것이 있는지 이야기한다. 학생들은 기억나는 전통 문양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전통 문양을 본 적 있나요? 언제 어디에서 봤나요? -기억나는 전통 문양이 있다면 친구들에게 이야기해 줄 수 있나요? ▶전통 문양에 대한 시각자료를 본 후 이야기 나누기 ·전통 문양의 역사에 대한 시각자료를 제시한다. - 역사에 관한 영상물은 전통 문양이 얼마나 많은 역사가 있고 그 문양들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게 하고, 지루함 을 느끼지 않도록 곳곳에 퀴즈 등 흥미를 끌 수 있는 요소를 삽입한다.

(영상물 감상) 15분

·전통 문양의 특징과 모양에 대한 시각 자료를 제시한다. -유명한 영화 중 전통 문양이 등장하는 장면을 보여 주어 학생들로 하여금 친숙하게 받아들이도록 한다. ·영상물에 대해 학생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눈다. -영상물을 본 후 어떤 느낌이 들었나요? -전통 문양에 대해 어떤 것을 알게 되었나요? -어떤 문양이 제일 생각이 나나요? -각 계층마다 사용하는 문양이 다른데 왜 다른 걸까요? 61


내가 21세기 왕이 된다면!

▶21세기 왕의 문양 색 정하기 ·내가 왕이 되서 21세기에 어울리는 문양을 만든다면 어떤 문양이 좋을 지 생각한다.

전개

-여러분이 21세기 왕이 된다면 어떤 문양을 만들면 좋을지 생각해 볼까요?

(실습 과정)

▶ 세기의 왕이 된다면

20분

어떤 문양이 좋을지에

대해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각자 생각한 문양에 대해 아이디어 스케치를 한다. -여러 가지 문양을 스케치하여 각자 원하는 문양을 결정한다.

정 리 (학습정리 작품감상) 5분

▶결정한 21세기 문양에 대해 발표하기 ·발표가 끝난 후 질문하는 시간을 가진다. ▶질문 마무리 및 다음 차시예고 후 수업 종료

차시 활동모습 전개순서

활동내용

활동모습

전통문양에 대 1

영상물 감상

한 영상자료를 본 후

이야기

나눈다.

21세기 문양 2

아이디어 스케치하 기

62

학생들이 생각 한 문양에

해 아이디어스 케치를 한다.


공예분야 - 입선

차시 개요 수업 주제

● 21세기 왕의 문양을 찾아서 ② 문양 만들기 -전 수업에 정한 아이디어 스케치를 문양 크기에 맞게 그려준 후 색을

학습 목표

정할 수 있다. -색을 칠한 스케치를 보며 21세기에 맞는 문양을 만들 수 있다. -서로의 작품에 대해 이야기 나눌 수 있다.

준비물, 기타

ohp필름, 클레이, 네임펜, 한지, 목공풀, 스카치 테잎, 끈, A4용지, 연필, 색연필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인사 ·학생의 출결사항 확인

(동기 유발) 5분

▶학습 활동 파악하기 ·‘21세기 왕의 문양 만들기에 대해 학습 활동에 대해 이야기한다. - 우리가 어떤 방법으로 문양을 만들면 좋을까요? ·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공예재료와 도구를 알려준 후 간단하게 공예 재료에 관해 질문을 하여 학생들에게 호기심을 유발시킨다. - 클레이를 사용해본 적 있나요? - 전통 한지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고 있나요? ·실습 시간에 주의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문양 색정하기) 10분

▶21세기 왕의 문양 색 정하기 ·이전 차시에 완성한 스케치에 따라 정해진 규격의 용지의 크기에 맞 게 문양을 그린 후 색칠한다. ①이전 차시에 정한 아이디어 스케치를 문양 크기에 맞게 A4용지에 그린다. (문양크기 5×5cm,10×10cm 총 두 개를 크기에 맞게 그린다. ) ② 스케치 위에 색연필을 이용하여 색을 칠한다. ·선택한 색상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갖는다. - 왜 왕의 문양을 이 색으로 선택했는지 이야기해볼까요?

전개 (문양 만들기) (25분)

▶21세기 왕의 문양 만들기 ·미리 준비한 시각자료를 통해 작업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과정 ①스케치한 문양을 바닥에 깔고 그 위에 투명필름(OHP 필름)을 투명테 잎을 이용해 고정시킨다. ②네임펜을 이용하여 투명필름 위에 스케치를 따라 그려 준다. ③문양을 클레이를 이용하여 꾸며준다. 63


내가 21세기 왕이 된다면!

·클레이와 한지를 이용해 꾸며주는 방법 - 클레이로 꾸며줄 부분을 정해 클레이를 붙인다. - 한지로 꾸며줄 부분은 한지를 찢은 후 입체적으로 구겨준 후 목공 풀을 이용하여 붙인다. (목공 풀을 칠할 때는 한지가 아닌 필름 면에 칠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④작업이 끝나면 햇빛이 잘 두는 곳에 말린다. (마르는 동안 문양의 제목을 구상하고, 그 이유에 대해 적어 본다. ) ⑤필름에 붙어져 있는 문양을 떼어낸다. ⑥문양을 떼어낸 후, 5×5cm크기의 문양은 잘 보관하고, 10×10cm크기의 문양은 귀에 끈을 달아 액자나 모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정리하기 ·사용했던 도구를 정리 후 다 같이 주변정리도 한다.

정 리 (학습정리 작품 감상) 5분

▶21세기 왕의 문양 작품 감상하기 ·만든 문양의 제목과 이유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갖는다. - 21세기의 왕이 왜 이 문양을 사용해야 된다고 생각하였나요? ▶질문 마무리 및 차시예고 후 수업 종료

차시 활동모습 전개순서 21세기 1

왕 문양 색 정하기

2

64

활동내용 전 수업에 문양 색에 대해 생각 한 후 스케치한 문양에 색을 정 해 준다.

21세기

만드는 방법을

왕 문양

통해 21세기 왕

만들기

문양을 만든다.

활동모습


공예분야 - 입선

차시 개요 수업 주제

● 21세기 왕의 문양 물건 만들기 ① 옛날 왕들이 갖고 있던 물건들에 대한 시각 자료를 보고 물건의 특징을 파악한다

학습 목표

세기 물건에 대한 시각 자료를 보고 물건의 특징에 대해 알 수 있다 문양을 이용하여 물건에 대해 아이디어 스케치를 할 수 있다 도자라는 재료의 특징에 대해 알 수 있다

준비물, 기타

PPT자료, A4용지, 연필,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인사 ·학생의 출결사항 확인

(동기 유발) 10분

▶학습주제 파악하기 ·‘21세기 왕의 문양 물건 만들기’주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 주제의 의미가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 같나요? ·21세기 왕의 문양 물건은 어떤 것이 좋을지 이야기한다. - 21세기 왕이 된다면 정말 필요한 물건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21세기 왕이 된다면 어떤 모양의 물건을 만들까요? ·학생들과 여러 가지의 질문을 통해 수업에 대한 긴장감도 풀어줄 뿐 만 아니라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갈 수 있다. ▶옛날 왕들이 사용했던 물건에 대한 특징과 영상물에 대해 알아보기 ·옛날 왕들의 물건 특징 종류에 대한 영상물을 제시한다. (PPT)

(영상물 감상) 10분

- 옛날 왕들이 사용한 것들에는 어떠한 문양들이 있었는지 시각자 료로 보여주여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게 도와 줄 수 있다. ·21세기 물건에 대한 시각자료를 보여준다. (영화 한 장면.PPT) - 현재에는 어떤 식으로 물건들의 종류와 모양이 바뀌었는지 알아보면서 옛스러움과 현재의 아름다움을 살리는 물건들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전개

▶21세기 문양을 대입하여 21세기 문양과 맞는 물건에 대해 아이디어 스케치 하기

(실습

·21세기 왕이 사용할 만한 물건이 무엇인지 생각하여 아이디어 스케치를 한다,

과정)

(전통의 아름다움과 현대적인 아름다움이 잘 어우러지도록 한다.)

15분

·여러 가지 종류와 모양으로 스케치한 후 한 가지를 선택한다. 65


내가 21세기 왕이 된다면!

전개

▶도자 공예특징에 대해 알아보기

(PPT)

·도자의 특징 종류 등에 대해 시각자료를 통해 알아본다.

정 리 (학습정리 ▶결정한 21세기 궁궐에 대해 발표하기 작품

·발표가 끝난 후 질문하는 시간 가진다.

감상)

▶질문 마무리 및 다음 차시예고 후 수업 종료

5분

차시 활동내용 전개순서

1

활동내용

옛 왕의

옛 왕의 물건

물건에

에 대한 영상

대해

자료를 본 후

이해하기 이야기 나눈다.

2

21세기

21세기 물건에

물건에

대한 영상자료

대해

를 본 후 이야

이해하기 기 나눈다.

도자 공예에 3

대해

도자 공예에 대 한

시각자료를

감상한 후 이야

이해하기 기 나눈다.

66

활동모습


공예분야 - 입선

차시 개요 수업 주제

학습 목표

준비물, 기타

● 21세기 왕의 물건 만들기 ②

아이디어 스케치를 보면서 도자의 특징에 맞게

세기 문양이 들어간 물

건의 모형을 만들 수 있다

도자 흙, 도자도구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인사 ·학생의 출결사항 확인

(동기 유발) 3분

▶학습활동 파악하기 ·‘21세기 왕의 물건 만들기의 학습 활동에 대해 이야기한다. - 21세기 왕의 문양을 물건에 넣어 보면 어떨까요? ·만들기를 할 때 사용할 재료에 대해서 이야기해준다. - 우리는 왜 도자 흙 이용해서 만들까요? - 도자공예는 흙을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어려운 모양 또한 자유 롭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이다. ·다른 부가적인 재료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준다. ·실습 시간에 주의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21세기 왕의 물건 만들기

(21세기 왕의 제품

·3차시 때 아이디어 스케치를 보고 도자 공예의 특징에 맞추어 제품 모형을 만들어 준다. ▶21세기 왕의 물건 만들기 도자 기법종류

만들기

·학생들에게 시각자료를 통해 작업 과정 대해 설명한다.

(40분)

·종이 사용 하는 방법 ① 속파기 성형 ② 코일링 ③ 석고 틀 성형 ④ 판 성형

67


내가 21세기 왕이 된다면!

▶21세기 왕의 물건 만들기 순서 ① 아이디어 스케치를 보며 21세기 제품을 만들 때 적당한 도자 기법 을 골라준다. ② 선택한 도자기법을 이용하여 성형한다. ③ 완성된 작품에 2차시 때 만든 문양을 도자 도구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학습정리하기 ·사용했던 도구를 정리 후 다 같이 주변을 정리한다.

정 리 (학습정리 작품 감상) 5분

▶21세기 왕의 물건 만들기 작품 감상하기 ·만든 물건의 제목과 이유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갖는다. -21세기의 왕이 왜 이 물건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였나요? -문양과 물건이 어울리나요? ▶질문 마무리 및 차시예고 후 수업 종료

차시 활동내용 전개순서

활동내용

도자공예 시각자료를 1

기법에

해 도자 공예

대해

기법에 대해 알

알아보기 아본다.

68

활동모습


국악

최 우 수 상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

이 정 민



국악분야 - 최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

관련 장르

국악 창작 교육

대상연령

초등학교 5~6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40분 다양한 창작활동을 통한 시조창 표현하기 시조창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에 훌륭한 정서교육 교재가 될 수 있다. 시조창의 느리고 긴 발성법은 폐활량과 집중력을 길러준다. 또한, 자신이 만든 시를 음악으로 표현해 보면서 선조들이 갖고 있는 철학적인 부분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활 동을 통해 음악을 삶에서 즐기는 방법을 익힐 수 있다. 시조창은 6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고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 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지도 방법에 대한 어려움이 따라 감상의 관점에서 지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요즘 어린이 들은 빠른 음악에 익숙해져 있고, 흥미와 관심은 대중음악에 편중되어 있다. 이러한 음악 취향에 균형을 찾기 위해서 느

프로그램 내용 요약

린 호흡의 음악을 학교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다루는 것이 필 요하다. 이를 위해서 흥미로운 활동을 통해 시조창을 표현할 수 있 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양반문화를 체험하면서 배경적 이해를 돕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선율선 그리기 활동으로 선율을 표현하며 게임형태로 복식호흡을 한다. 말장단을 활 용하여 5박·8박 장단의 구조를 이해한다. 또한 시조창을 빠 르게 노래 부른 후에 자신이 가진 호흡과 표현으로 느리게 부르며 완성하는 방법으로 시조창의 난이도를 학생들의 수 준에 맞추었다. 시조시를 만들고 시조창 발표회를 통해 다양 한 관점에서 비교하고 보완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느린 음악과 빠른 음악이 가진 정 서적 특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초등학생들이 생활에서 음악으로 감정과 마음을 다스리는 정서적인 활동을 스스로 표현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71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 1. 개요 구 분 1 차 시

학습목표 1. 선비문화 체험을 통해 시조창의 배경을 알 수 있다.

주요 활동내용 - 산수화에 어울리는 음악 찾기 - 독서성 부르며 선비문화 체험하기

2. 시조창 가락의 선율선으로 이야기를 - 시조창 감상하며 선율선 표현하기 만들어 발표할 수 있다.

- 선율 그림으로 스토리텔링 만들기 - 말장단으로 시조장단 구조 익히기

2 1. 시조창의 장단 구조를 알고 말장단을 - 말장단 만들어 게임하기 만들 수 있다. 차 시 2. 시조창을 빠르게 부를 수 있다.

- 시조창 빠르게 부르기

- 5박・8박 장단 치며 노래 부르기 - 게임으로 복식호흡 익히기

3 1. 시김새를 표현하며 시조창의 초장을 - 시김새 표현하며 시조창 부르기 부를 수 있다. 차 - 나만의 시조창 악보 만들기

시 2. 나만의 시조창 악보를 만들 수 있다. - 자연 속에서 시조창 불러보기 4 차 시

1. 시조를 만들어 나의 노래로 표현 할 - 나의 이야기로 시조창 만들기 수 있다.

- 악보, 선율그림, 사진 진열하기

2. 친구들과 음악회를 준비하고 발표할 - 시조창 음악회 준비하기 수 있다.

- 시조창 발표하고 평가하기

1) 차시별 주제 1차시

시조창의 음악적 배경과 선율 이해하기

2차시

시조창 장단 익히고 빠르게 불러보기

3차시

시김새 표현하며 시조창 부르고 악보 만들기

4차시

72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발표회


국악분야 - 최우수상

2. 세부내용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는 시조창을 주제로 다양한 창작 활동을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생활에서 음악으로 감정과 마음을 다스리는 정서적인 활동을 스 스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각각의 차시와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활동 속에도 단계별 학습 단계의 의미가 들어 있다 차시는 학습 단계의 도입에 해당하는 단계로 악곡의 이해를 돕는다 차시와 차시는 전개에 해당하며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한 음악적 체험 활동을 한다 차시 는 정리의 단계로 발표와 평가로 내면화 한다 교사의 발문

학생의 답변 예시

차시 개요 차시는 시조창에 대한 배경과 악곡의 이해를 돕는데 목적을 둔다 선비문화를 체험 하면서 악곡의 특징과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시조창 선율 그리기를 통해 선율 의 모양이 자연의 배경이 될 수 있음을 알고 이를 통해 자연과 닮아 있는 의미를 생각 하게 한다. 지도상의 유의점 1. 산수화에 어울리는 음악 찾기 활동에서는 현장상황에 맞는 음악을 사용한다. 2. 선율선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리는 동안 배경음악으로 시조창을 들려주어 음악의 분위기가 그림에 담길 수 있도록 한다. 3. 선율선 그림을 그릴 때는 교사가 직접 불러주는 것이 좋으나 감상용 음원을 사용해도 좋다. 4. 선율 창작활동에 학생들이 구체화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충분한 예시를 통해 시조라는 음악을 이해하는데 본연의 목적을 다 할 수 있도록 한다. 구분

교수-학습 자료

독 서 성 악 보

73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

풍 속 화 서당

독서여가

시화환상간

고사관폭

김홍도,국립중앙박물관

정선, 간송미술관

정선, 간송미술관

정선, 간송 미술관

선 율 그 림 이 야 기

시조창 감상하며

선율선을 바탕으로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그림그리기

그림 완성하기

만들어 완성하기

세부 활동 내용 학습 주제

시조창의 음악적 배경과 선율 이해하기

대상

5~6학년

학습

1. 선비문화 체험을 통해 시조창의 배경을 알 수 있다.

목표

2. 시조창 가락의 선율선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발표 할 수 있다.

학습 자료

교사 학생

차시

1/4

풍속화, 산수화 ppt자료, 시조창음원, 독서성 음원(대학장구서, 사자소학), 가요음원 독서성 악보, 도화지(A4용지), 색연필, 싸인펜, 연필

학습

교수-학습활동 내용

단계

1. 선비문화 이해하기 1) 친구들의 여가시간 활용 방법 이야기하기 S: 핸드폰, 컴퓨터를 하거나 음악을 들어요. 2) 선비문화 이해하기 (※풍속화 참조) 도입

-풍속화‘서당’을 보며 서당에서 공부하던 모습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선비들이 자연 속에서 시조를 짓고 노래를 불렀던 문화에 대해 이야기한다. 3) 그림과 어울리는 음악 찾고 특징 이야기하기 - 풍속화‘서당’과 어울리는 음악을 찾는다. - 선비들의 모습이 담긴 산수화에 어울리는 음악을 찾는다.

74


국악분야 - 최우수상

2. 선비 문화 체험하기 1) 독서성 부르기 -‘사자소학’에 대해 알아본다. (사자소학이란 생활규범과 어른 공경법에 대한 네 글자로 된 글로 옛날 서당에서 공부할 때 배웠다.) - 선생님을 따라서‘사자소학’을 불러본다. (※독서성 악보) 2) 시조창을 들으며 선비처럼 느리게 걸어보기 3. 선율선을 이용한 그림 그리기 1) 시조창 선율 탐색하기 (※선율 그림이야기) - 시조창을 들으며 손가락으로 선율선을 그려본다. 2) 선율선 그림 그리는 방법 알아보기 ① 시조창의 초장 부분을 감상하며 선율선을 그린다. ② 바탕 선율선을 배경으로 그림을 완성 한다. 전개

③ 그림에 대한 설명이나 이야기를 만들어 완성한다. 4. 그림으로 이야기 만들어 발표하기 1) 완성된 그림 발표하기 - 완성된 그림과 이야기를 친구들에게 발표한다.

5. 발표 및 정리 1) 선비 체험과 선율 그림이야기를 해 본 느낌 발표하기 정리

S: 한자가 어려웠는데 노래로 배우니 쉽게 배울 수 있고 신기했어요. S: 선율의 모습이 바다, 강, 나무 등 자연의 모습이 되었어요. S: 음악 속에 우리들의 이야기도 있어요.

차시 개요 차시의 주제는 시조창의 장단을 익히고 빠르게 불러보기이다. 말장단놀이를 활용하여 시 조창의 5박・8박 장단 구조를 익힌다. 또한 악곡의 빠르기를 변화시켜 난이도를 맞추는 방 법으로 시조창을 빠르게 불러본다. 이를 통해 시조창을 부르며 장단을 칠 수 있게 된다. 75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

지도상의 유의점 1. 말장단 만들기 활동에서 8박을 만들 때는 3글자+3글자+2글자 만들기 활동으로 적용 한다. 시조창의 8박 장단은 3박・2박・3박의 혼합박자이지만, 학생들의 장단 치는 습관과 교육적인 효과를 위해서 중간 사이 음절이 긴

○ ㉦ ○ 바

,

○ ㉦ ○ 팥

등의

세 글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말장단 게임으로 장단을 충분히 익힌 후에 빠르게 부르는 시조창을 부르면서 장단을 치며 노래 부르는 활동으로 연결한다. 3. 시조창을 빠르게 부르는 원리는 노랫가락의 장단구조와 같음을 이용한 것이므로 ♪=120을 기준으로 하고 현장 상황에 따라 전래동요 빠르기(♪=100~120)정도로 부른다. 교수-학습 자료 및 활동 모습

<빠르게 부르는 시조창 악보 >

말장단 만들기 활동 교구>

<말장단 만들어 놀이하기>

세부활동 내용 학습 주제 학습 목표 학습 자료

76

시조창 장단 익히고 빠르게 불러보기

대상

5~6학년

1. 시조창의 장단 구조를 알고 말장단을 만들 수 있다. 2. 시조창을 빠르게 부를 수 있다. 교사

장구, 악보, 정간보 칠판, 정간보 교구판, 장단꼴 카드, 말붙임새 카드, 빠르게 부르는 시조창 악보

학생

정간보 카드, 말붙임새 카드, 활동지, 보드 마카펜, 빠르게 부르는 시조창 악보

차시

2/4


국악분야 - 최우수상

학습

교수-학습활동 내용

단계

1. 전차시 확인 1) 선생님을 따라 ‘사자소학’을 부르고 활동 확인하기 도입

T: 지난시간에 알게 된 사실은 무엇인가요? S: 옛날에는 서당에서 공부를 할 때 노래로 글을 익혔습니다. 선비들은 여가시간이나 마음을 달랠 때 느린 음악을 사용했습니다. 시조창에는 자연과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2. 시조창 장단 익히기 1) 구음 익히기 - 선생님이 제시하는 카드를 보며 구음을 익힌다. - 구음에 따른 연주 방법을 알아본다.

|

짚고

2) 5박 ・8박 구음 읽으며 장단 치기

3) 말장단 읽으며 장단 치기 전개

|

|

|

|

- 5박 8박 팀으로 나누어 주고 받으며 무릎장단을 친다. - 느리게 → 점점 빠르게 장단 게임을 한다. 6) 시조장단 빠르기에 맞춰 장단 치기 - 말장단을 아주 느리게 늘여 읽으면서 무릎장단을 친다. 3. 말장단 만들어 놀이하기 1) 5박 8박 말장단 만드는 방법 알기 - 5박: 세 글자+두 글자 단어사용, 8박: 세 글자+세 글자+두 글자 사용한다 2) 모둠끼리 말장단 만들어 발표한다.

77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

3) ‘말장단 놀이1’ 하기 ➀ 모둠별로 순서대로 돌아가며 만든 말장단을 외치며 무릎장단을 친다. ➁ 틀리는 친구들은 한명씩 빠지고 가장 많이 남은 모둠이 이긴다. 4) ‘말장단 놀이2’하기 ➀ 5박과 8박을 나누어 메기고 받는 소리로 주고받는다. ➁ 5박에 연결되는 8박 말장단을 외치는 모둠이 이긴다. 4. 시조창 빠르게 부르기 1) 말붙임새 읽기 - 장단을 치며 말붙임새를 읽는다. ⦶ ㉦

○ 이

○ 로

태 산

⦶ ㉦ 뫼 이

⦶ ㉦ 높 다

○ ㉦ ○ 하 되

⦶ ㉦

○ ㉦ ○

⦶ ㉦ 하 늘

○ ㉦ ○ 아 래

-빠르기 조절하여 활동한다.

2) 시조창을 빠르게 부르기 (오선악보 참조) - 교사의 장단에 맞춰 한 소절씩 따라 부른다.

정리

- 5박・8박 장단을 치며 노래 부른다. 5. 장단 치며 노래 부르고 느낀 점 발표하기 1) 5박 8박 장단을 치며 노래 부르고 느낀점 발표하기 - 무릎장단을 치며 시조창을 빠르게 부른다. S: 시조창을 빠르게 부르니 재미있는 느낌이었어요. 꼬불거리는 선율이 없어졌어요. 차분한 느낌이 없어졌어요. 2) 느리게 부르면서 다음 차시 예고하기

차시 개요 차시의 주제는 자신이 가능한 호흡과 표현으로 시김새를 살려 시조창을 부르는 것에 목적을 둔다. 느린 음악이 가진 시김새의 특징을 찾아 표현하고 연결해서 하나의 곡으 로 완성한다. 또한 시조창의 선율 모양과 시김새를 구체화 하고 그에 따른 장단을 표 기하여 악보로 완성하여 음악적 이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도 알 수 있다 지도상의 유의점 1. 시조창을 부를 때 긴 호흡과 자세를 통해 심신수양에 도움이 되는 것을 느낄 수 있 도록 진행한다. 78


국악분야 - 최우수상

2. 악보 만들기를 할 때 교사가 다양한 모양의 시김새를 제시하여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3. 시조창 가창 활동이 끝나면 다음 차시를 위해‘자연을 속에서 시조창 부르기’의 사진을 찍고 간단한 감상 글을 준비해 오도록 하는데, 모둠별로 점심시간이나 쉬는 시간을 활용해도 좋다. 교수-학습 자료 및 활동모습

가창용 악보

악보 만들기 골격악보

세부활동 내용 학습 주제

시김새 표현하며 시조창 부르고 악보 만들기

대상

5~6학년

학습

1. 시김새를 표현하며 시조창의 초장을 노래 부를 수 있다.

목표

2. 나만의 시조창 악보를 만들 수 있다.

학습

교사

장구, 시조창 악보, 시김새 카드,

자료

학생

정간보 카드, 보드 펜, 활동지, 필기도구, 시조창 골격악보

학습

차시

3/4

교수-학습활동 내용

단계

1. 복식호흡하기 1) 복식 호흡하는 방법 알기 2) 게임으로 복식호흡 하기 (현장에 맞게 한두 가지 활동을 한다) - 게임1: 모둠 대표 학생이‘아~’소리 내는 동안 컵을 쌓는다. - 게임2: ‘아~’소리 내는 동안 짝이 숫자를 세다. - 게임3: 휴지를 걸고 펄럭이거나 날아가지 않게 일정한 숨을 쉰다. 도입

- 게임4: 서로의 배 위에 올려 배의 움직임을 느끼며 일정한 숨을 쉰다.

79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

2. 시조창 가창 준비하기 1) 시조창 ‘태산이’를 감상하고 느낌 발표하기 S: 마음이 차분해져요. 한 단어를 길게 소리 내다가 시김새를 표현합니다. T: 시조창은 선비들이 시조에 가락을 얹어 부르던 노래로 여가활동이나 심신수양을 위해 불렀습니다. 2) 시김새 연습하기 - 1단계 ~ 3단계로 소리 낸다.

→ →

- 각 각의 시김새를 신체표현하며 소리 내 본다.

전개

3. 시조창 부르기 1) 한 장단씩 따라 부르기 - 연습한 시김새를 연결해서 따라 부른다. 3) 평시조 ‘태산이’ 초장 부르기 - 손으로 시김새를 표현하며 노래 부른다. - 무릎장단 치며 평시조‘태산이’를 부른다. 4. 시조창 악보 만들기 1) 악보 기보에 필요한 것 발표하기 S: 선율 장단, 시김새, 숨 쉬는 자리가 필요합니다. 2) 활동지에 장단에 따른 선율 모양을 그려 넣기 3) 나만의 시김새 그려 넣기 - 시김새가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표시 한다. - 시김새에 따른 나만의 표현 방법을 그린다. 4) 노래를 불러보고 쉼표를 그려 넣어 완성하기

정리

80

5. 발표 및 차시 예고 1) 친구들 앞에서 완성된 악보를 발표하기 2) 시조창을 불러본 느낌 발표하기 S: 마음이 차분해져요. 여유로워지는 것 같아요. ※ 활동 과제 1) 자연 속에서 시조창을 부른 사진 찍어오기 2) 자연(바람과 나무 하늘..)을 느끼며 시조창을 부른 느낌 적어오기


국악분야 - 최우수상

차시 개요 차시는 자신이 만든 시조창을 발표하고 그것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둔다. 자신의 생 각과 감정을 노래에 담아 부르면서 시조창의 음악철학과 악곡의 원리를 이해하게 된 다. 또한 발표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게 되고 다양한 관점에 서 비교하고 보완하면서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생활에서 음악으로 감정과 마음을 다스리는 정서적인 활동을 스스로 표현할 수 있고, 현재 살아있는 자신 의 음악으로 만들 수 있음을 경험할 수 있다. 지도상의 유의점 1.‘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기사 정리는 자연 속에서 시조창을 불렀던 상황을 충분히 이야기 나누어 감정과 느낌을 충분히 담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2. 시조 창작 활동은 제시 된 두 가지 방법 중 학생들 상황에 맞추어 선택해서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3. 평가는 활동 과정에서 관찰되는 행동과 태도 등에 대해 지필평가, 관찰평가를 적절 히 활용한다.

교수-학습 자료 및 활동 모습

시조 만들기 활동지

음악회 계획 활동지

<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기사 정리해서 발표하기 >

81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

세부활동 내용 학습 주제 학습 목표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발표회

대상

5~6학년

차시

4/4

1. 자연 속에서 시조창을 불러 본 경험을 정리하고 발표할 수 있다. 2. 시조를 만들어 나의 노래로 표현할 수 있다. 3. 친구들과 음악회를 준비하고 발표할 수 있다.

학습

교사

자료

학생

시조(태산이), 만든 예시 시조, 정간보 칠판, 장구, 색지 시조창작 활동지, 필기도구, 시조창 부르는 모습사진, 평가 활동지

학습

교수-학습활동 내용

단계

1. 자연과 음악 이야기 도입

1) 자연 속에서 시조창 부른 경험 발표하기 S : 마음이 차분해져서 선비들의 마음이 이해가 되었다. S: 화가 날 때 시조창을 불러야겠다. 자연과 한 몸이 된 것 같았다. 2. ‘개구쟁이 내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기사 정리하기 1) 자연 속에서 시조창 부르는 사진과 느낀 점 정리하기 - 모둠별로 도화지에 활동한 사진을 붙이고 느낀 점을 쓰면서 정리한다, 2) 모둠별로 발표하기 - 완정된 활동지를 모둠별로 발표한다. 3. 시조 만들기 1) 시조‘태산이’를 4음보로 읽고 특징과 뜻 알기 S: 태산이 / 높다 하되 // 하늘아래 / 뫼이로다. 오르고 / 또 오르면 // 못 오를리 / 없건마는

전개

사람이 / 제 아니 오르고 // 뫼만 높다 / 하더라 S: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형식입니다. S: 힘든 일이라도 포기하지 말고 노력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2) 나만의 시조 만들고 4음보로 읽으며 확인하기 - 주제를 정하고 6구 형식을 사용해서 만든다. - 주제에 어울리는 빈칸 채우기로 완성한다. 초장

(기말고사) 다가오니

내 마음이 (콩닥콩닥)

중장

(매일매일) 예습하고

꾸준히 (복습하고)

종장

열심히 (공부해서)

(내 꿈을) 이뤄보세

2) 완성된 시조 발표하기 - 시간 활용을 위해 모둠 원들에게 발표한다.

82


국악분야 - 최우수상

4) 내가 만든 시조로 노래 부르기 -초장 부분을 시조창 가락에 얹어 노래 부른다. 4. 시조창 음악회 준비하기 1) 친구 들이 만든 시조창 중에서 발표할 곡을 선택하기 2) 활동지를 사용하여 모둠별 역할과 순서 정하기 3) ‘개구쟁이 내 친구, 선비 만들기 대작전’기사 전시하기

5. 시조창 음악회 참여 및 감상하기 1) 계획된 순서대로 혼자 또는 모둠끼리 발표하고 바른 자세로 감상하기

6. 평가하기 1) 연주회에 참여하고 감상하며 평가하기 정리

- 평가지를 이용해서 자기평가와 모둠평가를 한다. 2) 소감 발표하기 S: 처음엔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해 보니 재미있었다. 마음이 더 넓어진 것 같다. 나의 이야기가 음악이 된다는 게 특별했다.

83



국악

우 수 상 훈민정음 국악

황 세 희



국악분야 - 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훈민정음 국악

관련 장르

통합예술 (국악(음악) / 국어 / 사회 / 미술 )

대상연령

초등학교 4~6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160분 (40분) 국악과 함께하는 한글 통합예술체험 ■ 제재의 개발배경과 개관

프로그램 내용 요약

필자의 한국어교육, 한글교육에 대한 개인적 관심과 학교현 장에서 국악동요 수업구성과 교수경험을 바탕으로 본 프로그 램이 개발·수정되었다. 본 제재는 훈민정음을 비롯한 한글의 역사를 국악을 통해 배우고 창의적으로 예술활동 하도록 설계 된 통합수업이다. 1차시에는 역사적인 맥락에서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 고 반포한 시대 상황과 훈민정음 서문에 담긴 한글의 목적을 국악동요로 배우고, 한글이 과거의 유산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한국을 알리는 컨텐츠로 활용되는 것을 2,3차 시에 체험하도록 했다. K-POP 대중가요 랩에서 한글관련 음 악들을 감상하고 판소리 휘모리와 랩을 접목하여 창작하고 읊 어보는 활동과 글자 자체로 그림의 역할이 가능한 한글 캘리 그래피와 레터링 디자인을 수행해 보며 한글디자이너도 되어 보는 활동이 포함되어 있다. 4차시에는 해례본에 설명된 한글 제자원리를 살펴보고 관련 학습노래를 부르며 마친다. 한글역사에 대한 정보와 함께 예술을 통한 국어, 음악, 사회, 미술 과목의 통합교과적 체험을 목적으로 진행한다. 교과과목으로는 6학년 국어> 5단원 언어의 세계>훈민정음 창 제에 담긴 뜻 알기, 6학년 미술> 한글서체의 조형미를 활용한 작품의 아름다움, 6학년 사회> 조선시대 문화의 발달과 백성 들의 생활모습 단원과 직접 관련이 있지만 한글은 2학년 바른 생활부터 3,4,5학년 도덕, 국어 과목에 걸쳐 나선형으로 교과 에서 소개되고 있기 떄문에 내용을 조금 쉽게 다듬어 초등 4,5 학년 대상으로도 가능하다. 87


훈민정음 음악

훈민정음 국악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글자창제가 백성에게 미친 영향 생각하기

1차시

훈민정음 서문

-국악동요 <나랏말씀이> 가사로 훈민정음 서 문에 담긴 세종대왕의 의도 파악하기 -국악동요 <나랏말씀이> 노래 익히기

-‘가나다’를 활용한 K-POP 랩 감상하기

2차시

한글과 K-POP, 랩과 판소리

-판소리 ‘흥보가 좋아라고’ 감상하기 -랩 가사를 쓰고 휘모리로 읊어보기

-한글 레터링디자인 감상하기

3차시

한글과 디자인

-캘리그라피 감상하기 -한글디자이너가 되어 국악기 소개하기

-훈민정음 해례본의 역사 알아보기

4차시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제자원리 이해하기 -국악동요 <가갸거겨> 노래 익히기

88


국악분야 - 우수상

2. 세부내용 3-1. 1차시 [개요]

<1단원> 1차시 – 훈민정음 서문 ◎ 차시개관 본 차시에서 훈민정음의 역사를 다룬다. 글자 창제가 백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 훈민정음 서문 노래를 통해 가사의 내용과 세종대왕의 의도를 파악하도록 한다. ◎ 준비물  교

사 ; 교사장구, 학습 활동지, 영상자료, 음원 자료 - mp3파일

 학습자 ; 필기도구 단 원

훈민정음 국악

일시

2015.00.00

차시

1/4

장소

oo초교

학습

가창활동중심 지식탐구 학습모형

제재

학습

훈민정음 서문

주제

지도교사

형태

국악강사 000

- 글자창제가 백성에게 미친 영향 생각하기 학습 - 국악동요 <나랏말씀이> 가사로 훈민정음 서문에 담긴 도 파악하기 목표 - 국악동요 <나랏말씀이> 노래 익히기 단

교수 ․ 학습 활동

학습의 흐름

세종대왕의 의

교 사

학 생

<도입> 동기 * 국악인사 노래하기 흥미

자료

(분)

5‘ ▶vod파

유발 * 드라마 한 장면 감상하기

요소 찾기

<뿌리깊은나무 한글반포씬> 문제

- 한글날을 알고 있습니까? - 10월 9일입니다. - 세종대왕이 만든 우

찾기

- 한글이 무엇입니까?

학습

기초

리나라의 글자입니다.

오늘은 한글의 역사에 대해

기능

알아보겠습니다.

파악 <전개> 학습 목표 확인

훈민정음 서문 <활동1> 글자창제가 백성에게 미친 영향 생각하기

5‘ ▶ 관 련 89


훈민정음 음악

감각적

∙인류의 역사에서 문자가 가 -문자는 통치의 도구이

자료

지는 의미 생각해보기

며 권력과 지위의 상

<읽기교

징이었습니다. 문자를

과서

감지 -인류의

역사에서

문자가

가지는 의미를 무엇입니까?

소유한 자는 그 사회 를

통치하고

이끌어

125-127

가는 힘을 가질 수 있 었지만

그렇지

쪽>

못한

자는 어떤 힘도 없이 지배를

당할

뿐입니

다. 글을 알게 되면 ∙훈민정음

창제가

백성에게

미친 영향 생각해보기

세상의 이치를 깨우치 고

세상을

살아갈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지혜롭게

힘을

가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가 백성에게 미친 영향은 무엇입니까?

-자 신 의 생 각 을 글 로 나타낼 수 있어 억울 한 일을 당하지 않고

-훈민정음

서문에서

밝힌

세상을 살아갈 수 있

훈민정음을 창제한 까닭을

고, 양반들만 누려왔

알아보겠습니다.

던 문화를 함께 누릴

▶ 학 습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자료

표현

3‘ <활동2> 국악동요 <나랏말씀이> 가사로

방법

훈민정음 서문에 담긴

탐색

세종대왕의 의도 파악하기

∙ 훈민정음 서문의 모습보기 ∙ 가사의 내용 살피기 -가사를 해석해준다. <활동3> 국악동요 <나랏말씀이> 노래 익히기

25 ‘

다 양 ∙음악듣고 따라하기 -교사 범창 한 창조적 활동 표현

하기

-교사가 먼저 부르고 한 장 -교사의 단씩 듣고 따라하기 -남녀 윤창으로 부르기 -반주에 맞춰 부르기

90

지도에

따라

<나랏말씀이> 부르기


국악분야 - 우수상

∙학습정리 -이번 시간에 학습한

2’

내용에 대하여 발표해 보고

학습

느낀 점을 이야기

정리

해봅시다. <정리> 느낌 내면화 나 누 기

∙다음차시예고 K-pop에 활용된 한글을 알아 보겠습니다.

차시 예고

∙국악인사

◎지도상 유의할 점 훈민정음 서문 국악노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6학년 지학사(정길선)에 감상으로 소개 된 정가풍의 창작 국악곡도 있고, 국악뮤지컬 ‘아!세종’ 에 소개된 이병욱 작곡의 굿 거리장단 훈민정음 서문도 있다. 이 교안에 소개된 훈민정음 서문노래는 2002년 국립국악원 창작국악동요제에서 입선 한 곡인데 필자가 여러 가지 훈민정음서문 노래를 수업해 본 결과 학생들에게 가장 반 응이 좋았고 장단이 세마치 장단으로 빠르고 윤창형식이 있어 학생들이 즐겁게 부르며 외울 수 있다. 중학교에 진학하여 국어시간 수행평가 훈민정음 서문 외우기 과제를 수 월하게 했다는 학생들의 피드백도 들은 적이 있다. 고 문자체로 나온 옛 한글의 모습을 보고 흥미를 갖고 노래 부르며 윤창으로 주고받 다 보면 재미있게 훈민정음 서문을 학습하고 장기기억 할 수 있다.

91


훈민정음 음악

국악 학습지

훈민정음 서문 노래

학년 이름

나랏말씀이(나랏말씀이) 중국에 달라(중국에 달라) 문자와로 서로 사맞지 아니할세 (아니할세) 이런 전차로 어린백성이 이르고자 할배이셔도 마침내 제 뜻을 시러 펴지 못할 놈이 하니라 내 이를 위하야 어엿비 여겨 새로 스물 여덟자를 맹가노니 (맹가노니) 사람마다 하여 수이 익혀 날로 씀에 편안케 (편안케) 하고자할 따름 이니라 -----------------------------------------------------------------------------------------------------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끼리 서로 통하지 않는다.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자가 많으니라. 내가 이것을 가엽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 여덟 자를 만드노니,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쓰는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 이니라

92


국악분야 - 우수상

3-2. 2차시 [개요]

<1단원> 2차시 – 한글과 K-POP, 랩과 판소리 ◎ 차시개관 본 차시에서 판소리 휘모리를 감상해보고 현재 K-POP 래퍼들이 훈민정음을 활용 해서 지은 가사들을 살펴보고 자신이 만든 가사를 휘모리에 맞춰 랩 해본다. ◎ 준비물  교

사 ; 교사장구, 학습 활동지, 음원 자료 - mp3파일

 학습자 ; 필기도구 단 원 및 제재

훈민정음 국악

일시

2015.00.00

학습

한글과 K-POP,

차시

2/4

주제 학습 목표 단

랩과 판소리 지도교사 -‘가나다’를 활용한 K-POP 랩 감상하기

장소

oo초교

학습

감상활동중심 문제해결 학습모형

형태

국악강사 000

-판소리 ‘흥보가 좋아라고’ 감상하기 -랩 가사를 쓰고 휘모리로 읊어보기 교수 ․ 학습 활동 학습의 교 사

흐름

학 생

자료

(분)

* 국악인사 노래하기 <도입> 동기 * 기습곡 부르기 흥미 유발 - <나랏말씀이>를 불러봅시다. 요소 - 오늘은 K-POP가사에 나 찾기 학습

3‘ ▶ 최 대 한 흥미

문제

온 훈민정음을 알아보고 국

를 유발

찾기

악랩을 해보겠습니다.

한다.

기초

한글과

기능

학습

1 0

파악

목표 <활동1> ‘가나다’를 활용한 K-POP 랩 감상하기 확인 ∙ 음악 감상

<전개>

- 음악장르 랩에 관해 알 아봅시다. - 드렁큰 타이거의 ‘위대

감각적 감지

한 탄생’ 노래를 감상

▶ 학 습 지자료

하고 가사를 살펴봅시다.

93


훈민정음 음악

- 위너의

랩을

들어보고

가사를 살펴봅시다. <활동2> 판소리 ‘흥보가 좋아라고’ 감상하기 ∙ 휘모리 장단 설명

1 0

- 우리나라 음악 판소리에

도 급박하고 긴장감 있는 장면에서는 휘모리장단에 랩처럼 노래를 합니다. 표현

∙ 박타령 듣기

방법 탐색

다 양 한 활동 하기

- 박타령 중에서 휘모리 부 분 ‘흥보가 좋아라고’ 를 들어 봅시다. - 느낌이 어떻습니까?

- 빠릅니다. - 우리나라의 랩 같습니다.

- 교사가 휘모리 장단을 쳐준다. <활동3> 랩 가사를 쓰고 휘모리로 읊어보기 ∙ 가사만들기

창조적 표현

- 주제를 정하고 글을

-ㄱㄴㄷ를 활용하여 랩 가 짓는다.

15

사를 만들어 봅시다.

‘ ▶ 재 미 있게 발

∙음악 만들어 부르기

-교사의 휘모리 장단에

표 하 도

<정리> 학습

-지은 가사를 휘모리 박자 맞춰 자기가 만든 가사

록 유도

내면화 정리

에 랩 해봅시다.

한다.

차시 ∙학습정리 예고 ∙다음 차시 예고 ∙국악인사

를 가장 빠르게 읊는다.

다음 시간에는 한글디자 인을 해 보겠습니다. 2‘

94


국악분야 - 우수상

국악 학습지

한글과

랩과 판소리

학년 이름

1. 음악을 감상하고 가사를 잘 살펴봅시다.

-드렁큰 타이거, 위대한 탄생가장 아름답고 소중한 그것을 위해

가위 눌리는 현실에서 깨어나고 싶어

나는 지난 겨울처럼 또 다시 나타나

나는나너는너 그들을 따라가기싫어 모두

다가가고 있어 그곳으로 가고있어

다 의지를 버리지말고 앞으로밀고나가봐

라샬락 붐 터지고 있는 나의슬픔

라일락 향기보다 달콤한 독을 알아봐

마지막까지 포기할 수 없는 나의 마음

마구 입을 놀리는 너는 내 주먹의맛을봐

바라만 보지마 다 같이 외쳐봐

바람과 함께 사라지는 있는 우리인생들

사고 팔고 떠도는 너의 영혼을 그들은

사슬에 묶여 함께 끌려가는 인생들

아 그 귀신처럼 덤벼보고 되고있어

아무리 외쳐봐도 듣지않는 그이들

자존심까지 화장으로 지워버려

자신의 노예 속박에서 뛰어나와서

차별과 가식으로 너를 묻어버려

차가워진 마음 녹여 모두다 다가와 더

카마카마 카마카마 make a million

카마카마카마카마 make a million

타오르는 열망으로 취한 나의 타령

타오르는 열망으로 깨달음으로

파란 하늘 향해 겨뤄 babylon

파란 하늘 향해 겨뤄 babylon

하늘을 향해 주먹을 질러봐

하늘을 향해 주먹을 질러봐

-winner, 걔 세 (I’M HIM)ㄱ 기어코 해내고 말아 ㄴ 넌 아무것도 아냐 ㄷ 뒤끝 장난 아냐 난 ㄹ Real? (Yeah I'm that real uh!) ㅁ 미움 사도 남을 팔진 않아 ㅂ 비흡연자처럼 연기는 안 해 매사를 솔직히, 가짜는 안 돼 ㅅ Show time is now uh! 2. 나의 ㄱㄴㄷ가사를 쓰고 선생님의 휘모리 장단에 맞춰 불러봅시다. ㄱ ㄴ ㄷ ㄹ

95


훈민정음 음악

◎ 교사참고자료 - 국악감상 휘모리 : 국악에서 쓰이는 장단의 하나로 매우 빠르게 휘몰아치는 장단이다. 민속악에 주로 쓰이며 판소리에서는 급하고 분주한 부분, 절정의 대목에 쓰인다. 흥보가 中 박타는 대목 : 흥보가(興甫歌)또는 흥부가(興夫歌), 박타령(-打令(鈴)), 흥부타 령은 흥부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판소리 다섯 마당 중의 하나로 작자미상 이며 욕심 많고 심술궂은 형 놀보(놀부)와 마음씨 착하고 우애 있는 아우 흥보(흥부) 사이의 갈등이 주된 내용이다. - 랩용어 랩 : Rhyme And Poem의 약자. 댄스 비트에 맞춰 빠른 어조로 리드미컬하게 말하는 스타일의 음악을 가리킨다. 단순한 음악 장르가 아닌 흑인들의 삶의 방식이자 그들 특 유의 정신세계를 대변해주는 창구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랩은 주로 각운의 단어 를 리듬에 맞춰 발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라임(rhyme): 랩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각운,두운에 맞춰 랩에 운율을 더하는 기술 펀치라인(punch line): 언어유희, 하나의 말이 다양한 뜻으로 해석이 되는 기술 스웨그(swag): 허세, 자유로움, 가벼움, 멋을 뜻하는 단어 - 위대한 탄생 LA에서 힙합으로 활동하던 두 명의 랩퍼가 미국에서 결성해 한국에서 데뷔한 그룹 드 렁큰 타이거의 2집 타이틀 곡. 당시 한국어에 미숙하였지만 영어가사 위주의 1집과 차 별되게 한국어 랩을 많이 넣어서 발매한 앨범으로 가나다를 활용하여 타이틀곡의 가사 를 썼고 실제 가사에서는 ‘카’와 ‘타’순서가 바뀌어있다 카마 : 인도 신화에 나오는 신. 쾌락의 여신인 라티(Rati)의 남편으로, 활과 화살을 들 고 뻐꾸기와 꿀벌 등을 거느리는 아름다운 청년으로 묘사된다. make a million : 수익을 올리다 babylon : 바빌로니아의 수도로서 번영한 고대 도시. 바벨탑으로 유명하다. 바벨에 사 는 노아의 후손들이 대홍수 후 하늘에 닿는 탑을 쌓기 시작하였으나 신이 노하여 그 사람들 사이에 방언을 쓰게 하니, 서로 말이 통하지 아니하여 공사를 마치지 못하였다 한다. - 걔 세 가사 펀치라인 미움 사도 남을 팔진 않아 (미움 사다 : 안 해도 좋을 일을 일부러 하다.) (물건을 사다/팔다) 연기는 안 해 (불에 탈 때에 생기는 연기 / 배우가 하는 역할 연기)

96


국악분야 - 우수상

3-3. 3차시 [개요]

<1단원> 3차시 – 한글과 디자인 ◎ 차시개관 본 차시에서 의미전달 기능 뿐 만 아니라 조형적 아름다움까지 전달할 수 있는 글 자의 기능을 가진 한글의 아름다움에 대해 알아본다. 한글의 조형적 우수성을 느끼 고 실제로 한글 디자인을 수행해 본다. ◎ 준비물  교

사 ; 교사장구, 학습 활동지, 영상자료, 개인 도화지

 학습자 ; 필기도구 단 원 및 제재

훈민정음 국악

학습

한글과 디자인

주제

일시

2015.00.00

차시

3/4

지도교사 학습 목표 단

장소

oo초교

학습

창작활동중심 문제해결 학습모형

형태

국악강사 000

-한글 레터링디자인 감상하기 -캘리그라피 감상하기 -한글디자이너가 되어 국악기 소개하기 교수 ․ 학습 활동 학습의 교 사

흐름

학 생

자료

(분)

학습 * 국악인사 노래하기 <도입> 문제 * 기습곡 부르기 흥미

찾기

3‘

- <나랏말씀이>를 불러봅시다.

요소 찾기

- 오늘은 훈민정음 디자인 학습

을 해 보겠습니다.

목표 기초

확인

한글과 디자인

기능 파악 <전개>

<활동1> 한글 레터링디자인 감상하기 ∙ 글자의 기능 알아보기 -글자가 무엇입니까

감각적

가지는

기능은

- 1.의미전달

▶관련자 8‘ 료 <미술 교 과 서

- 2.조형적 아름다움 전

∙ 한글 레터링 디자인 감상 <활동2> 캘리그라피 감상하기 ∙ 한글 캘리그라피 감상 -

70P>

달 7‘

97


훈민정음 음악

감지

- 손글씨로 디자인된 글자 들을 감상해봅시다. - 글자가 의미하는 정보전달 뿐만 아니라 그 이미지도 함께 전달할 수 있습니다. <활동3> 한글디자이너가 되어 국악기 소개하기

20 ‘

∙ 스토리텔링 도입 다 양

- 예전에 책에 아쟁과 해금

표현

의 사진이 서로 바뀌어

방법

활동

인쇄 된 적이 있었는데

▶ 광 범

탐색

하기

그 이후 많은 사람들이

위한 창

아직도 아쟁과 해금을 서

작 범위

로 바꿔서 알고 있다고

를 제한

합니다.

하여 생

- ‘해금’글자 한글 디자

각할 수

인을 보고 기억한다면 쉽

있게 해

게 헷갈리지 않을텐데요.

준다.

- 여러분이 국악기 이름을

창조적 표현

헷갈리는 어른들에게 국

▶ 악 기

악기를 설명하고 그 이름

사 진 을

도 한글로 써 있어서 기

많이 준

억하기 쉽게 알려주고 싶

비 하 고

습니다. 디자인을 해볼까요? - 꽹과리, 북, 장구,징.

이 름 을 잘 설명

사물놀이 등 ∙ 국악기 알아보기

<정리> 내면화 학습

- 국악기 사진보고 이름 맞추기

하여 소

- 가야금, 거문고, 대금,

스를 제

피리, 해금 등

정리

공한다. ∙ 한글 디자인하기 - 지금본 사진들 중에서 악 기 하나를 골라 글자디자 - 디자인한 작품을 전시 인을 해봅시다. 한다. ∙ 발표하기

98

2‘


국악분야 - 우수상

<학생작품 예> ∙학습정리 - 지금까지 훈민정음 국악 여행수업이었습니다. ∙국악인사

◎ 교사참고자료 -레터링 : 광고 등 에서,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문자를 도안하는 일. 또는 그 문자. -한글 레터링 디자인 감상의 예 (출처 : http://yurae.co.cc)

<연아> -캘리그라피 :

<한글>

<독도>

캘리그라피 뜻은 '손으로 그린 그림문자'라는 뜻이나 조형상으로는 의

미전달의 수단이라는 문자의 본뜻을 떠나 유연하고 동적인 선, 글자 자체의 독특한 번 짐, 살짝 스쳐가는 효과, 여백의 균형미등 순수 조형의 관점에서 보는 것을 뜻한다. 개성적인 표현과 우연성이 중시되는 캘리그라피(Calligraphy)는 기계적인 표현이 아닌 손으로 쓴 아름답고 개성 있는 글자체를 말하는 것이다. -캘리그라피 감상의 예 (출처 : http://blog.naver.com/paran100479)

99


훈민정음 음악

3-4. 4차시 [개요]

<1단원> 4차시 – 훈민정음 해례본 ◎ 차시개관 본 차시에서 훈민정음의 서문에 이어 해례본에 설명된 자음의 창제 원리와 <가갸 거겨> 노래를 배운다. ◎ 준비물  교

사 ; 교사장구, 학습 활동지, 영상자료, 음원 자료 - mp3파일

 학습자 ; 필기도구 단 원 및 제재

훈민정음 국악

학습

훈민정음 해례본

주제

일시

2015.00.00

차시

4/4

지도교사 학습 목표 단

장소

oo초교

학습

가창활동중심 직접지도 학습모형

형태

국악강사 000

-훈민정음 해례본의 역사 알아보기 -훈민정음 제자원리 이해하기 -국악동요 <가갸거겨> 노래 익히기 교수 ․ 학습 활동 학습의 교 사

흐름

학 생

자료

(분)

* 국악인사 노래하기 <도입>

* 기습곡 부르기

흥미

동기

요소

유발

찾기

기초 기능

- <나랏말씀이>를 불러봅시다.

3‘

- 오늘은 훈민정음 글자의 학습

과학적 원리에 대해 알아보

문제

겠습니다.

찾기

훈민정음 해례본 ▶ 관 련

학습 <활동1> 훈민정음 해례본의 역사 알아보기 자료 -우리 문화유산을 수집 목표 ∙ 동영상 감상 http://w 하는데 헌신했던 전형필 <전개> 확인 1 0 ww.k-he -문화유산채널 7분 다큐 "훈 이 훈민정음을 찾아내 ‘ ritage.tv 민정음 3부, 훈민정음을 지 지켜내기까지의 과정을 켜낸 간송 전형필" 편 감상 알아본다. ▶ 학 습 <활동2> 훈민정음 제자원리 이해하기 감각적 지 자료 ∙ ㄱㄴㅁㅅㅇ 글자원리 알아 감지 1 0 보기 파악

100


국악분야 - 우수상

- 해례본에 소개된 설명을 바 - 학습지 자료를 읽는다. ‘ 탕으로 한글발음기관 구조를 알아봅시다.

- 발음기관 그림에 ㄱㄴ

- 실제로 발음을 해보고 입 ㅁㅅㅇ5글자를 실제 발 안 어디에서 소리가 나는 음해보고 지 표시해봅시다.

발음

원리를

그려본다.

▶ 알 기 쉽 게 획

∙ 나머지 글자들의 원리보기

추가로

- 훈민정음 해례본 덕분에 - ㄱ – ㅋ(ㄲ)

된소리

표현

그 전까지는 몰랐던 ㄱ - ㄴ- ㄷㄹㅌ(ㄸ)

거 센 소

방법

ㄴ ㄷ의 과학적인 창제 - ㅁ- ㅂ(ㅃ)ㅍ

리 발 음

탐색

원리를 알게 되었습니다. - ㅅ- (ㅆ)ㅈㅊ(ㅉ)

이 되는

다 양

발음 구조에 대한 연구를 - ㅇ- ㅎ

점을 설

바탕으로 기본자음이 만 - 획을 더해 글자가 됨

명한다.

활동

들어지고 거기에 획을 더

하기

해 나머지 글자들이 만들

을 확인한다.

어졌습니다. <활동3> 국악동요 <가갸거겨> 노래 익히기 ∙가사내용 살피기 -‘라’부분에서 두음법 -ㄱ부터 ㅎ까지 순서대로 칙에 의해 ‘어울리고’ 15 가사가 어떻게 사용되었는 ‘ 로 바뀌게 되었다. 지 알아봅시다.

창조적 표현

∙음악 듣고 따라하기 -교사 범창 -교사가 먼저 부르고 한 장 <정리> 학습 내면화 정리

단씩 듣고 따라하기 -반주에 맞춰 부르기

-교사의

지도에

따라

<가갸거겨>를 부른다.

∙학습정리 차시 예고 ∙국악인사

101


훈민정음 음악

국악 학습지

학년 이름

훈민정음 해례본

1. 훈민정음 해례본의 ‘자음 제자원리 설명’을 읽어봅시다.

어금니 소리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 뜨고, 혓 소리 ‘ㄴ’은 혀(끝)가 윗 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 뜨고, 입술소리 ‘ㅁ’은 입모양을 본 뜨고, 잇 소리 ‘ㅅ’은 이빨 모양을 본 뜨고, 목구멍 소리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 뜬 것이다.

2. 직접발음해보고 표시해봅시다.

3. 국악동요 <가갸겨겨>를 불러 봅시다.

가갸거겨 글자배워 나냐너녀 널리쓰니 다댜더뎌 더욱좋다 라랴러려 *어울리고 마먀머며 마음대로 바뱌버벼 바른대로 사샤서셔 쉽게배워 아야어여 익혀보자 자쟈저져 자랑스런 차챠처쳐 찾아내서 카캬커켜 크게서서 타탸터텨 타올라서 파퍄퍼펴 펼쳐보니 하햐허혀 한글일세 세종임금 한글일세 *한글 맞춤법 두음법칙 : 국어에서 ㄹ은 첫머리에 올 수 없으므로 ㄴ이나 ㅇ으로 바뀌게 된다.

102


국악

종 묘 로 떠 나 는 5월 의 국 악 여 행

박 은 수, 이 미 하



국악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종묘로 떠나는 5월의 국악여행

관련 장르

음악(국악)

대상연령

초등학교 6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기본교과 40분 악기카드를 이용하여 종묘제례의 특징을 알고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알기 ■ 프로그램 개관 본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무형문화제 제1호로 지정된 ‘종묘 제례악’의 문화적 가치를 알고, ‘종묘제례악’에 쓰이는 악 기를 카드놀이화 하여 학습 이해를 높인다. [음악]교과와 [미 술]교과를 접목한 통합예술교육으로 자칫 어려울 수 있는‘종 묘제례악’의 의식순서와 악기배치를‘작은 종묘’만들기 활 동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인다. ‘종묘제례악’의 가치를 알고 직접 만들어 봄으로써 우리나라 전통 제례음악에 자긍심과 흥 미를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프로그램 내용 요약

■ 프로그램 계열 학생들은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에 대해 하나의 의 미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에 1차시에는 ‘종묘제례악’에 대 한 명확한 개념과 유래에 대해 알고 의식순서를 이해하는 시 간을 갖는다. 2차시에는 ‘종묘제례악’에 쓰이는 악기에 대 해 알고 등가와 헌가로 구분하는 활동을 갖는다. 또한 악기카 드를 활용하여 음악을 듣고 음색을 구별하는 활동을 한다. 3 차시에는‘종묘제례악’의 일무에 대해 감상하고,‘종묘제례 악’에 맞춰 직접 일무를 표현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마지막 으로 4차시에서는 ‘작은 종묘’를 만들고 ‘종묘제례악’을 재현해봄으로써 문화적 가치를 알게 한다.

105


종묘로 떠나는 5월의 국악여행

종묘로 떠나는 5월의 국악여행 1. 개요 구분

1차시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1.‘종묘제례악’의 음악적 -‘종묘’와‘종묘제례’에 대해 알기 특징을 알 수 있다.

-‘종묘제례악’의 특징에 대해 알기

1.‘종묘제례악’연주에 사용 -‘종묘제례악’에 사용되는 악기 알아보기 되는 악기를 알 수 있다. - 등가와 헌가로 나누어 악기 구별하기

2차시

2.‘종묘제례악’연주에 사용 -‘종묘제례악’의 음악을 듣고 악기 음색 구별하기 되는 악기의 음색을 구별 할 수 있다.

3차시

1.‘종묘제례악’의 일무에 대해 알 수 있다.

- 악기카드 놀이하기

- 일무 감상하기 - 문무와 무무에 대해 알아보기 -‘종묘제례악’에 맞추어 일무 해보기.

1.‘종묘제례악’을 재현하고 - 작은 종묘 만들기

4차시

문화적 가치에 대해 알 - 등가, 헌가, 일무, 악장, 배치하기 수 있다.

106

-‘종묘제례악’의 문화적 가치 알기


국악분야 - 입선

2. 세부내용 1차시

우리나라 제례 음악에 대해 알기

1. 본시 주제 우리나라 제례 음악에 대해 알기 2. 학습 목표 1)‘종묘’와 ‘종묘제례’에 대해 알 수 있다. 2)‘종묘제례악’을 감상하고 음악적 특징을 이야기할 수 있다. 3. 수업 자료 ppt자료, 영상자료, 사진자료 4. 교수 학습 단 계

과정안

학습 내용 동기 유발

교수

학습 활동

▣‘종묘’에 가본 경험 이야기하기

시간

자료

분 5′

유의점

∙ 지하철노선표를 보며 종묘에 가본 경험을 이야기해본다. ∙ 왕의 무덤을 본 경험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 제사를 지내 본 경험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도

자료 지하철노선표 오늘날의 제사 모습과 전통적인 제사모습을 비교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학습 목표 확인

입 학습 문제 확인하기

1)‘종묘제례악’의 음악적 특징을 알 수 있다. 2)‘종묘제례악’을 감상하고 음악적 특징을 이야기할 수 있다. 학습 활동 안내 활동1 ‘종묘’와 ‘종묘제례’에 대해 알기 활동2 ‘종묘제례악’의 특징에 대해 알기

‘종묘’와

활동1 ‘종묘’와 ‘종묘제례’에 대해 알기

10′

‘종묘제례악’에 전 개

대해 알기

∙‘종묘’에 대해 이야기한다. -‘종묘’의 사진을 보면서 어떤 장소인지 이야기 해 본다. ( 방이 많다. 궁궐 같다. 조 선시대 왕과 왕비의 위패를 모셔 놓은 곳이다. )

종묘사진

107


종묘로 떠나는 5월의 국악여행

∙‘종묘제례’에 대해 알아본다.

종묘제례사진

-‘종묘제례’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 조선시대의 왕과 왕비의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 ∙‘종묘제례악’에 대해 알아본다.

종묘제례악

-‘종묘’에서 제사를 올릴 때 의식을

사진

치르기 위하여 행하는 종합예술임을 안다. 국악아카데미

∙‘종묘제례악’의 유래에 대해 알아본다.

종묘제례악 편

- <세종대왕의 한 말씀>을 감상한다.

‘종묘제례악’의 특징에 대해 알기

활동

영상자료

‘종묘제례악’의 특징에 대해 알기

10′

∙‘종묘제례악’의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희문

-‘종묘제례악’의 희문을 듣고 느낌을

영상자료

이야기해본다. ( 장엄하다, 엄숙하다 ) -‘종묘제례악’의 구성에 대해 이야기 한다. ( 노래와 음악과 춤이 모두 있다. ) 학습내용 정리하기

정 리

▣ ‘종묘제례악’의 음악적 특징 정리하기

5′

∙‘종묘제례악’에 특징에 대해 발표한다. -‘종묘제례악’의 특징에 대해 발표해본다. -‘종묘제례악’의 의식순서에 대해 발표 해 본다.

5. 평가 평가계획

1.‘종묘제례악’의 음악적 특징을 알 수 있는가?

108

평가기준 상 ‘종묘제례악’의

중 ‘종묘제례악’의

평가방법

‘종묘제례악’의

특징에 따른 음악 개념을 특징에 따른 음악 개념을 특징에 따른 음악 개념을 대체적으로 잘 인지 일부분 인지하고

인지하고 발표하는

하고 발표할 수 있다. 발표할 수 있다.

것이 미흡하다.

관찰평가


국악분야 - 입선

2차시

‘종묘제례악’의 악기 탐색하기

1. 본시 주제 ‘종묘제례악’의 악기 탐색하기 2. 학습 목표 1) ‘종묘제례악’ 연주에 사용되는 악기를 알 수 있다. 2) ‘종묘제례악’ 연주에 사용되는 악기의 음색을 구별할 수 있다. 3. 수업 자료 ppt자료, 영상자료, 사진자료, 악기카드 4. 교수 학습 단 계

과정안

학습 내용 동기유발

교수

학습 활동

▣ 지난 시간에 배운 ‘종묘제례악’ 중 ‘희문’을 듣고 감상하기 ∙ 음악의 느낌에 대해 이야기한다.

시간

자료

분 5′

유의점 자료

희문 음원 자료

- 음악의 느낌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 느리다, 장엄하다, 경건하다 ) - 음악의 구성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노래 , 기악, 춤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학습 문제 도 입

확인하기

▣ 학습 목표 확인 1)‘종묘제례악’ 연주에 사용되는 악기를 알 수 있다. 2)‘종묘제례악’ 연주에 사용되는 악기의 음색을 구별할 수 있다. ▣ 학습 활동 안내 활동1

‘종묘제례악’에 사용되는 악기 알아보기

활동2

‘종묘제례악’의 음악을 듣고 악기 음색 구별하기

활동3

악기카드 놀이하기

109


종묘로 떠나는 5월의 국악여행

‘종묘제례악’에 사용되는 악기 알아보기

‘종묘제례악’의

활동1

사용되는 악기

∙‘종묘제례악’의 사용되는 악기에 대해

알아보기

5′ 종묘제례

알아본다.

편경

편종

악 악기카드 방향

태평소

당피리

교사가 소

절고

지하고 있는 아쟁

해금

대금

장구

악기는 실물

진고

로 직접 보

- 제례악에 사용하는 악기는 팔음(八音)에

여준다

따라 쇠, 돌, 실, 대나무, 바가지, 흙, 가죽,

‘종묘제례악’의 음악을 듣고 악기 음색 전

구별하기

나무의 여덟 가지 재료로 분류된다. ‘종묘제례악’의 음악을 듣고 악기 활동3 음색 구별하기

10′

∙‘종묘제례악’ 음악을 듣고 악기음색을

악기음원자료

구별해본다.

악기카드

- 악기 사진을 보고 악기 소리를 듣는다. 활동4 악기카드 놀이하기

10′

∙ 악기카드 놀이 방법을 알아본다. - 카드 뒤집기 놀이 악기카드 놀이하기

① 모둠 (2~4명)으로 나눈다. ② 악기카드를 교실바닥에 뒤집어 놓는다.

○ 놀이 시작 전에

③ 뒤집기 순서를 정하고 순서대로 뒤집기를 한다.

규칙에 대해 충분히

④ 같은 악기카드를 뒤집으면 가져가고, 한번

설명한다.

더 뒤집기를 한다.

○뒤집은 악기의

⑤ 악기카드를 많이 가져가는 모둠이 이긴다.

이름을 이야기한 악기카드 만들기

후 가져갈 수 있

종묘제례악에 사용되는 악기를 찾는다

도록 지도한다.

악기사진을 가로

세로

정도 크

기로 인쇄한다 인쇄한 카드를 코팅하여 사용한다 정

학습내용

정리하기

110

▣‘종묘제례악’에 연주되는 악기 이야기 하기 ∙ 악기카드놀이를 통해 자신들이 가져간 악기를 모둠별로 설명한다.

5′

활동지


국악분야 - 입선

5. 평가 평가계획

평가기준 중

평가방법

1.‘종묘제례악’연주 ‘ 종 묘 제 례 악 ’ 의 ‘ 종 묘 제 례 악 ’ 의 ‘ 종 묘 제 례 악 ’ 의 에 사용 되는 악기 악기를 등가와 헌가로 악기를 등가와 헌가로 악기를 등가와 헌가로

활동지

를 알 수 있는가? 나누는 것이 가능하다. 나누는 것이 보통이다. 나누는 것이 미흡하다. 2.‘종묘제례악’연주 ‘ 종 묘 제 례 악 ’ 에 ‘ 종 묘 제 례 악 ’ 에 ‘ 종 묘 제 례 악 ’ 에 에 사용되는 악기 사용되는 악기 소리를 사용되는 악기 소리를 사용되는 악기 소리를 의 음색을 구별 듣고 대체적으로 구별 듣고 일부분 구별 듣고 구분하는 것이 할 수 있는가?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지필평가

미흡하다.

6. 활동 자료 활동순서

활동 4

활동사진

활동내용

악기 카드놀이 준비과정

악기 카드놀이 활동모습

111


종묘로 떠나는 5월의 국악여행

3차시

‘종묘제례악’의 일무 표현해보기

1. 본시 주제 ‘종묘제례악’의 일무 표현해보기 2. 학습 목표 1)‘종묘제례악’의 일무에 대해 알 수 있다. 3. 수업 자료 ppt자료, 영상자료, 사진자료 4. 교수 학습 단 계

과정안

학습 내용

동기 유발

교수

학습 활동

▣‘종묘제례악’의 ‘천지인’에 대해 알기

(‘종묘제례악’의 헌가를 뜻한다. ) -‘종묘제례악’에서 ‘인’을 뜻 하는 것은 무엇인지 이야기해본다. (‘종묘제례악’의 일무를 뜻한다. )

▣ 학습 목표 확인 1)‘종묘제례악’의 일무에 대해 알 수 있다. ▣ 학습 활동 안내 활동1

일무 감상하기

활동2

문무와 무무에 대해 알아보기

활동3 ‘종묘제례악’에 맞추어 일무 해 보기

112

자료 의 뜻에 대해

무엇인지 이야기해본다.

확인하기

유의점

-‘종묘제례악’에서 ‘천’을 뜻 하는 것은

-‘종묘제례악’에서 ‘지’를 뜻 하는 것은

학습 문제

5′

○‘천,지,인’

(‘종묘제례악’의 등가를 뜻한다. )

자료

∙‘종묘제례악’의‘천지인’에 대해 알아본다. 무엇인지 이야기해본다.

시간

설명한다.


국악분야 - 입선

일무 감상하기

활동1 일무 감상하기

5′

∙ 일무에 대해 알아본다.

◆‘종묘제례악’ 일무 동영상

- 일무는 전후좌우 줄을 지어 춘다고 하여

자료

일무라고 일컫는다는 것을 안다. - 8명씩 8명이 서서 64명이 팔일무를 춘다. 활동2 문무와 무무에 대해 알아보기 문무와 무무에 대해 알아보기

10′ ○모둠별 활동이 될 수 있도록

∙ 영상을 보고 문무와 무무에 대해 이야기

지도한다.

한다. - 보태평에 맞추어 문무를 춰본다. - 정대업에 맞추어 무무를 춰본다.

○문무와 무무의

∙ 문무와 무무의 동작을 비교해보고

개념을 이해 하기 쉽도록

이야기한다. 문무

무무

연주노래

보태평

정대업

춤의느낌

부드럽다.

각이 느껴진다.

사용도구

약,적

칼,창,활과 화살

설명한다.

일무

전 계

‘종묘제례악’에 맞추어 일무 해보기

활동3

‘종묘제례악’에 맞추어 일무 해보기

∙ 일무의 동작에 대해 알아본다.

10′

- 두 손을 가슴 가운데에 붙이고 오른손이 왼손을 덮고 윗몸을 약 40도로 숙인다. - 오른손 또는 왼손을 아래로 내렸다가

◆일무영상

몸에서 약 40도 정도 옆으로 뗀다.

자료 참조

- 윗몸을 펴며 오른손 또는 왼손을 옆으 로 차차 들어 올리되 어깨에서 약6센티 가량 처뜨린다. - 교사는 춤을 추고 학생은 따라한다. ∙ 각각의 음악에 맞추어 일무를 춰본다. 정

학습내용

정리하기

▣ 모둠별로 일무 동작 발표하기

10′

∙ 문무와 무무로 나누어 음악에 맞추어 모둠별로 발표한다. 113


종묘로 떠나는 5월의 국악여행

5. 평가 평가기준

평가계획

1.‘종묘제례악’의 일무에 대해 알수 있는가?

평가방법

문무와 무무의 개념을 문무와 무무의 개념을 문무와 무무의 개념을 잘 인지하고 동작 대체적으로 알고

인지하고 신체표현

으로 표현할 수

동작으로 일부분

하는 것이 미흡하다.

있다.

표현할 수 있다.

실기평가

6. 활동 자료 활동순서

활동 3

활동사진

활동내용

114

문무 동작 모습

문무 동작 모습

무무 동작 모습


국악분야 - 입선

4차시

‘작은 종묘’를 만들고 ‘종묘제례악’ 재현 해 보기

1. 본시 주제 ‘작은 종묘’를 만들고 ‘종묘제례악’ 재현 해 보기 2. 학습 목표 1)‘종묘제례악’을 재현하고 문화적 가치에 대해 알 수 있다. 3. 수업 자료 ppt자료, 영상자료, 사진자료, 만들기 재료(박스, 문구용품, 한지, 나무젓가락, 악기카드) 4. 교수 학습 단 계

과정안

학습 내용 동기 유발

교수 ․ 학습 활동 ▣ 유네스코에 등재된 우리나라 무형문화재 에 대해 이야기하기 ∙ 자신이 알고 있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우 리나라 무형문화재에 대해 이야기한다.

강강술래

남사당 놀이

농악

아리랑

줄타기

판소리

시간

자료( ) 및

(분)

유의점( )

5′

자료 무형문화재 사진자료

도 입

학습 문제 확인하기

작은 종묘 전 계

만들기

▣ 학습 목표 확인 1.‘종묘제례악’을 재현하고 문화적 가치에 대해 알 수 있다. ▣ 학습 활동 안내 활동 ‘작은 종묘’ 만들기 활동 등가, 헌가, 일무, 악장, 배치하기 활동 ‘종묘제례악’의 문화적 가치 알기 활동

‘작은 종묘’ 만들기

∙‘종묘’에서‘종묘제례’를 지내는 사진을 보고 이야기한다. - 악기는 어디서 연주하는지 이야기해본다. ( 등가와 헌가로 나누어 연주한다. )

15′ ◆‘종묘’사진 ◆‘종묘제례’ 사진

115


종묘로 떠나는 5월의 국악여행

- 악장은 어디서 노래하는지 알아본다. ( 오른쪽 헌가에서 노래한다. ) - 일무는 어디서 추는지 알아본다. ( 왼쪽 헌가 맨 앞에 위치한다. ) ◆‘종묘제례악’ 악기 배치도

◆만들기 재료 <종묘제례악 악기 배치도>

○만들기 전에

∙‘작은 종묘’만들기를 한다. - 박스를 활용하여 모둠별로 작은 종묘를 만든다. -‘작은 종묘’만들기 순서

예시 작품을 보며 순서를 알려 준다.

① 박스를 잘라 종묘 사진을 붙이고 꾸민다. ② 스티로폼을 활용하여 등가와 헌가로 나눈다. ③ 악기카드를 꽂을 수 있도록 칼집을 내준다.

○모둠별 활동이

④ 신문을 기준으로 등가와 헌가로 나누어 악기

이루어 지도록

카드를 꽂아본다.

한다.

⑤ 일무, 악장, 집사를 배치한다.

등가, 헌가, 일무, 악장, 배치하기

활동

등가, 헌가, 일무, 악장, 배치하기

문화적 가치 알기

116

제시한다.

∙ 등가에 쓰이는 악기를 배치한다. ∙ 헌가에 쓰이는 악기를 배치한다. - 악기카드를 활용하여 배치해본다. ∙ 일무의 자리를 배치한다. ∙ 악장의 자리를 배치한다. - 각 악기들의 자리를 찾아 배치해본다. 활동3 ‘종묘제례악’의 문화적 가치 알기

‘종묘제례악’의

10′ ○악기배치도를

∙‘종묘제례악’의 문화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이야기한다. (‘종묘제례악’은 1964년 우리나라 중요 무형문화제 제1호로 지정되어있다. ) (2001년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악, 가, 무를 모두 갖춘 총체적인 종합 예술이다. ) ∙ 모둠별로‘종묘제례악’에 대해 이야기하기 -‘종묘제례악’을 보존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이야기해본다.

5′


국악분야 - 입선

학습내용

정리하기

▣ 소감 이야기하기 - 모둠별 소감을 발표한다. -‘종묘제례악’의 특징을 정리한다.

5′

5. 평가 평가계획 1.‘종묘제례악’을 재현하고 문화적 가치에 대해 알 수 있는가?

평가기준 중

상 만들기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종묘제례악’의 문화적 가치를 설명 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평가방법 하 만들기 활동에 소극적 만들기 활동에 참여 으로 참여하고, 관찰평가 하고 ‘종묘제례악’의 ‘종묘제례악’의 / 문화적 가치를 일부분 문화적 가치를 설명 실기평가 설명한다. 하는데 미흡하다.

6. 활동 자료 활동순서

활동 1

활동 2

작은 종묘 만들기

악기 배치 활동모습

활동사진

활동내용 참고자료

∙ 영상출처 ( e국악아카데미 http://academy.gugak.go.kr ) ∙ 그림출처 ( e국악아카데미 http://academy.gugak.go.kr ) ∙ 사진출처 ( 네이버사전 http://www.naver.com ) ∙ 활동지 ( 초등학교 음악 5~6학년 지학사 지도서 참조 )

117



디자인

우 수 상 내 안의 또 다른 나를 찾아서

이 강 미



디자인분야 - 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내 안의 또 다른 나를 찾아서

관련 장르

미술, 애니메이션, 국어, 수학

대상연령

중학교 1~2학년

연관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90분

사춘기 학생들의 마음속 이야기와 만난 예술

■ 프로그램 개관 - 도형과 사물을 다른 시각으로 탐색하여 캐릭터화하고 모둠별로 스토리를 만들고 동영상을 만든다. - 인터뷰를 통해 친구들에게 비쳐진 나를 바라본다. - 내가 보는 나와 인터뷰한 내용에서 비쳐진 나의 두 얼굴의 자화상을 팝업북에 표현하여본다. - 자신의 감정을 코믹하고 과장되게 만화 캐리커쳐로

프로그램 내용 요약

표현하여 본다. - 자신의 꿈과 미래를 담은 피규어를 만들고 모둠별로 스톱 에니메이션을 제작한다.

■ 개발 배경 - 사춘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의 드러내지 못하는 감정을 재미있는 예술활동으로 접근하여 그 과정을 통하여 자신도 몰랐던 내적 감정을 표현하여 보고, 꿈과 미래까지 확장시켜보도록 돕는다.

121


내 안의 또 다른 나를 찾아서

내 안의 또 다른 나를 찾아서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여러 가지 도형과 주변 사물을 탐색한다. -도형과 사물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스케치한다.

1차시

도형과 사물을 다른 시각으 -눈, 코, 입, 팔, 다리 등을 붙여 캐릭터화 로 탐색하여 캐릭터화 하기.

시켜본다. -모둠별로 스토리를 만들고 동영상를 찍는다. -다른 작품을 감상하며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2차시

인터뷰를 통해 친구들에게 비쳐진 나를 바라본다.

-인터뷰 질문지를 작성한다. -친구에게 비쳐진 나의 모습을 인터뷰한다. -내가 보는 나와 인터뷰한 내용에서 비쳐진 나의 두 얼굴의 자화상을 팝업북 형태의 도화지에 그려본다. -자신의 모습과 자화상을 비교해보며 감상한다. -1차시와 2차시를 활용하여 자신의 특징,

자신의 감정을 코믹하고 과

3차시

장된 만화 캐리커쳐로 표현 하여 본다.

감정 등을 탐색한다. -자신이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코믹하게 강조하여 만화 캐리커쳐를 그려본다. -다른 학생들의 작품을 감상하며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3차시를 활용하여 자신의 꿈과 미래를 스케치하여본다.

4차시

자신의 꿈과 미래를 담은

-스케치한 대로 피규어를 만들어본다.

피규어를 만들어 본다.

-피규어를 이용하여 스톱 애니메이션을 만든다. -다른 학생들의 작품을 감상하여본다.

122


디자인분야 - 우수상

2. 세부내용 차시 분야 주제

학습목표 학습

디자인 나도 너처럼 (페이퍼 차일드) 캐릭터 디자인

대상

중등 1, 2학년

수준 심화

차시

1차시

시간 90분

도형과 사물을 다른 시각으로 탐색한다 사물을 캐릭터화하고 동영상을 찍는다 - 친구들의 작품을 감상한다. 8절 도화지, 연필, 지우개, A4용지, 색연필, 싸인펜, 눈알 스티커, 가위,

준비물 각종 사물, 양면테이프, 휴대폰 학습단계 학습과정 교수 • 학습활동

시간

‣ 여러가지 도형과 주변 사물을 탐색한다. - 도형과 사물에서 느껴지는 감정에 대하여 관찰한다. - 자신의 외모와 성격을 닮은 사물들을 찾아보며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도입

동기유발

T :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도형이나 사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야기해보세요. S : ○,△,□요, 연필이요, 가방이요, 청소기요~ T : 그런 것들에서는 어떤 감정이 느껴지나요? S : △는 예민한 성격이요, 지우개는 남을 잘 도와주고 친절 할 것 같아요, 빨간 고추는 화를 잘 낼 것 같아요~ T : 자신의 성격과 닮은 사물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야기해 볼까요? S : 저는 잘 삐치기 때문에 각진 네모같아요, 저는 약속을 잘 지켜서 시계같아요~

10“

‣ 나눈 이야기를 스케치하여본다. ‣ 탐색한 도형과 사물을 캐릭터화시켜본다 - 사물을 통해 느껴진 감정을 표정이나 동작 등으로 표현하여본다. - 눈 코 입 팔 다리 등을 붙여 완성한다 전개 활동하기

T : 사물에 사람처럼 표정, 팔, 다리 등을 넣어 자신을 닮은 캐릭터로 디자인 해볼까요? 캐릭터에 기쁨, 슬픔, 분노, 우울 등의 감 정과 어울리는 동작, 색등도 넣어보세요. ‣ 모둠별로 스토리를 만든다. - 각자 완성된 캐릭터를 이용하여 모둠별로 하나의 스토리를 만든다.

65“

123


내 안의 또 다른 나를 찾아서

- 완성된 스토리로 동영상을 찍어본다. T : 각자 다른 모습의 캐릭터이지만 공통된 하 나의 스토리를 만들어 보세요. 말 주머니나 어 울리는 배경과 함께 동영상을 찍어보세요.

마무리

감상 및 정리정돈

평가

124

‣ 친구들의 작품을 감상한다. ‣ 주변을 정리하고 차시를 예고한다.

사물에서 느껴지는 감정과 자신과의 연결성을 찾아보며 표현한다.

15“


디자인분야 - 우수상

차시 분야 주제

디자인 내 안에 또 다른 나 (팝업북에 자화상 그리기)

대상

중등 1, 2학년

수준

심화

차시

2차시

시간

90분

팝업북 디자인 내가 나를 탐색한다 학습목표

친구들에게 비쳐진 나에 대한 질문지를 직접 만들어 인터뷰를 한다 - 팝업북을 디자인한다. - 다른 친구들의 작품을 감상한다.

학습 준비물 학습단계

8절 도화지, A 4용지, 색연필, 싸인펜, 연필, 지우개, 손거울 학습과정

교수 • 학습활동

시간

‣ 자신의 얼굴에 드러나는 감정에 대해 이야기 를 나누어본다. 도입

동기유발

‣ 자신의 얼굴의 특징과 성격 등을 탐색한다.

10“

T : 거울을 보면서 자신의 외모와 내적인 면 등 특징들을 자유롭게 적어보세요. ‣ 인터뷰 질문지를 작성하여 친구에게 비쳐진 나의 모습은 어떤지 인터뷰한다 T : 직접 만든 질문지를 짝과 바꾸어 작성해 보고, 자유롭게 3분 인터뷰를 해보세요. 65“ (교사는 1분 간격으로 남은 시간을 알려준다.) ‣ 내가 보는 나와 인터뷰한 내용에서 비쳐진 전개

활동하기

나의 두 얼굴의 자화상을 정리한다 T : 인터뷰한 내용을 참고로 내가 알고 있는 나와 친구가 알고 있는 나의 두 가지 얼굴 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구상하여 보세요. ‣ 팝업북을 접어 접혀진 면에는 내 관점의 자화상을 그려 넣고 펼쳐진 면에는 친구들에 게 비쳐진 자화상을 그린다 ‣ 얼굴을 그려 넣은 주변과 겉표지를 디자인 한다. 125


내 안의 또 다른 나를 찾아서

‣ 색칠도구를 이용하여 색칠하여 완성한다.

‣ 서로 다른 두 가지 모습의 자화상을 비교해 감상 마무리

보며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 다른 친구들의 작품을 감상한다.

정리정돈 ‣ 차시를 예고한다.

평가

126

‣ 인터뷰의 과정과 두 얼굴의 자화상을 그리는 과정을 통하여 또 다른 나를 발견하여본다.

15“


디자인분야 - 우수상

차시 분야 주제

디자인 나를 사랑한 나 (만화 캐리커쳐) 캐리커쳐 그리기

대상

중등 1, 2학년

수준

심화

차시

3차시

시간

90분

나와 유명인을 연결지어 보며 만화 캐리커쳐를 탐색한다 학습목표

1차시, 2차시 활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코믹하고 과장된 만화 캐리커쳐로 표현하여 본다 - 친구들의 작품을 감상한다.

학습 준비물 학습단계

8절 도화지, A4용지, 색연필, 싸인펜, 연필, 지우개, 학습과정

교수 • 학습활동

시간

‣ 다양한 기법의 캐리커쳐를 보며 누구의 캐리커쳐인지 맞춰보면서 탐색한다. T : 캐리커쳐가 무엇인지 알고 있나요? 아는대로 이야기해보세요. S : TV에서 봤어요~ T : 이 사진은 누구의 캐리커쳐일까요? 누구를 그린 캐리커쳐인지 맞춰보세요. ‣ 자신과 닮은 유명인은 누구인지 찾아보고 도입

동기유발

자신의 특징 감정 등을 재탐색한다

10“

(유명인과 나를 탐색하는 과정 속에서 나의 단 점 같은 특징들을 드러내어 표현하는데 자유로 워지도록 유도한다.) T : 유명인 중에서 나는 누구를 닮았는지 찾아 볼까요. 그리고 유명인과 나의 어느 부분 혹은 어떤 모습이 닮았는지 이야기해 보세요.

‣ 어떤 부분에 특징을 두고 그릴 것인지 구상을 한다. 전개

‣ 1차시와 2차시를 활용하여 자신이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과장되고 코믹하게 표현하여 본다. 127


내 안의 또 다른 나를 찾아서

‣ 과장된 부분에 만화의 재미있는 표현 등을 넣어 캐리커쳐를 그려본다 활동하기

감상 마무리

및 정리정돈

평가

128

‣ 완성된 그림을 감상하며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T : 자신과 가장 닮게 그린 캐리커쳐를 찾아볼 까요? T : 가장 재미있게 그려진 작품은 어떤 작품인 가요? ‣ 사용한 도구를 제자리에 놓고 주변을 정리한다. ‣ 다음 차시를 예고한다. 단점이거나 드러내고 싶지 않은 감정들이 캐리 커쳐를 통하여 코믹하게 표현되도록 한다.

65“

15“


디자인분야 - 우수상

차시 분야

디자인 꿈꾸는 나

주제

(피규어 디자인)

대상

중등 1, 2학년

수준

심화

차시

4차시

시간

90분

피규어 디자인 차시를 활용하여 자신의 꿈을 디자인한다 학습목표

꿈을 이룬 미래의 내 모습을 피규어로 디자인한다 피규어로 스톱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 - 친구들 작품을 감상한다.

학습물

클레이 점토, 8절 도화지, A4용지, 색연필, 싸인펜, 연필, 지우개, 휴대폰,

준비

관절목각인형

학습단계

학습과정

교수 • 학습활동

시간

‣ 어떤 모습의 어른이 되고 싶은지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T : 10년 후, 20년 후에 자신은 무엇을 하고 있을지 혹은 어떤 일을 하고 있을지 상상 도입

동기유발

해 볼까요? T : 하고 싶은 일, 좋아하는 일 등을 적어보고

15“

이야기해보세요. ‣ 상상속의 자신의 헤어스타일, 옷차림, 직업등 을 상상하며 스케치하여본다.

차시를 활용하여 자신의 꿈과 미래를 구체화

한다 ‣ 스케치한 대로 관절목각에 클레이 점토를 붙 여서 피규어를 만들어본다

전개

65“

관절부분에 점토를 붙이면 깔끔하기는 하지만 활동하기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점토를 붙이지 않도록 주의를 준다

129


내 안의 또 다른 나를 찾아서

‣ 완성된 피규어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을 한다. ‣ 스토리에 맞는 배경을 만들고, 피규어를 이용 하여

컷 이내의 스톱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감상 및

‣ 다른 친구들의 작품을 감상한다.

정리정돈

‣ 사용한 도구를 제자리에 놓고 주변을 정리한다.

마무리 1차시부터 4차시를 진행하는 동안 자신의 감정 평가

이나 모습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이야기를 나누 어본다.

130

10“


만화/애니메이션

우 수 상 이모티콘의 무한변신!

장 경 희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이모티콘의 무한변신!

관련 장르 대상연령

만화/애니메이션 중학교 1~2학년

연관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토요동아리 소요시간(차시별) 45분 주제 이모티콘과 다양한 예술매체와의 만남을 통한 마음소통하기 ■ 프로그램 개발 배경 오늘날 메신저에서 단순히 감정표현의 전달로 시작된 이모티콘 은 그 영향력이 날로 커져가고 있으며 청소년들에 끼치는 영향은 더욱 크다. 이모티콘이 말로 전하는 것보다 감정전달에 효과적인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쩌면 사람과의 대화를 회피하게 만드 는, 즉 직접소통을 방해하는 부작용의 우려가 있는 것도 분명하다.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고 학생들의 관계 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도 울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예술매체와 이모티콘의 만남으로 마 음을 나누고 서로 소통하고자 기획하였다.

■ 프로그램 특성과 강점

프로그램 내용 요약

1) 학습자들의 창의적 이모티콘과 함께 기존 이모티콘의 활용으로 그림 표현에 서툰 학생들도 부담감을 떨치고 배치와 조합만으로 도 창의성을 얼마든지 표현할 수 있다. 2) 자신의 얼굴을 이모티콘과 접목하여 감정전달과 소통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는 과정을 통해 친구의 감정과 마음도 함께 알아 보고 이해하며 사춘기 정서를 교감하고 서로 격려할 수 있다. 3) 옛 민화의 자유로운 해학의 유머를 현대인의 정서를 전달하는 이모티콘과의 만남으로 감정전달을 함께 어울려 나타내어 본다. 또한 스마트앱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 프로그램 차시별 주제 1) 내 마음을 알아줘 : 캘리그라피와 이모티콘 2) 나도 스타 : 내 얼굴로 꾸미는 꼴라쥬 이모티콘 3) 호랑이야 너도 이모티콘 : 민화 속 동물과 이모티콘의 만남 4) 네 마음을 보여줘 : 이모티콘 감정전달 애니메이션

133


이모티콘의 무한변신!

이모티콘의 무한변신! 1. 개요 구분

학습주제

주요 활동내용 - 이모티콘의 시작과 발전과정 - 캘리그라피란?

차시

내 마음을 알아줘 : 캘리그라피와 이모티콘

- 이모티콘 미래 예측하기 - 내게 힘을 주는 캘리그라피 글귀와 어울리는 이모티콘 꾸미기로 내 마음 나타내기 - 전 시간에 미리 촬영하여 인쇄한 학생들의 다양한 얼굴표정을 (5~6개) 준비.

차시

나도 스타 : 내 얼굴로 꾸미는 꼴라쥬 이모티콘

- 인쇄된 다양한 얼굴표정을 이모티콘에 꼴라쥬하여 자기감정 나타내기. - 완성된 작품을 발표하며 자기감정에 대해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타인과 소통하기. - 민화란 무엇인가?

차시

호랑이야 너도 이모티콘:

- 민화와 이모티콘의 닮은 점과 다른 점은?

민화 속 동물과

- 옛 서민들의 정서와 유머가 나타난 민화와

이모티콘의 만남

이모티콘의 만남으로 옛 것과 현대 것의 대중적 정서를 함께 어울리게 표현하기. - 다양한 이모티콘들을 활용하여 마음소통에 대한 스토리를 만들고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네 마음을 보여줘! : 차시

이모티콘 감정전달 애니메이션

스마트앱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 - 모둠별 수업으로 각자의 역할을 정하기. 스토리, 동작, 스마트 기기 활용 등. - 스마트 기기의 앱 Clayframes-stop motion의 실행기법을 익히고 실행하기. - 모둠별 작품 시사회

134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2. 세부내용 차시 개요 학습주제 학습목표

학습효과 학습자료

내 마음을 알아줘! - 캘리그라피와 이모티콘 이모티콘과 캘리그라피의 어울림으로 자기마음을 나타내는 이모티콘과 캘리그라피의 글귀로 자기 마음을 표현하며 전달할 수 있다. 자기에게 힘이 되고 위로가 되는 글귀와 이모티콘을 꾸미는 과정을 통 해 자기마음을 전달하고 이해받으며 타인의 마음까지 이해할 수 있다. 이모티콘 발전과정 ppt, 프로젝터, 종이, 연필, 지우개, 붓 펜, 라이너 펜, 색연필 등 채색도구, 가위, 풀. 다양한 이모티콘 샘플 인쇄물

세부활동 내용 기본 준비물

학습단계

종이 연필 지우개 라이너펜 색연필 등 다양한 채색도구

시간

학습내용

준비물 유의점

[동기유발] ■ 이모티콘의 시작과 발전과정 - 이모티콘이란, 감정을 의미하는 영어‘emotion' 과 유사기호를 의미하는‘icon’을 합쳐서 만든 말로 문자를 이용하여 감정을 표시하는 기호들 이다.(아스키 문자) - 채팅과 이메일, 인터넷 게시판, 휴대전화를 이 용한 문자 메세지가 보편화 되면서 표현하기 힘 도입

든 감정을 편리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10분

- 이모티콘은 우리의 감정이나 처한 상황을 상대 에게 말보다 더 정확하게 전달해주는 힘이 있으 며 청소년들의 이모티콘 사용빈도는 어느 세대 보다 더욱 크고 폭발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시각자료, 다양한 이모티콘 샘플, 다양한 캘리그라피 샘플들.

■ 캘리그라피란? - 캘리그라피란? 아름다운 서체, 손으로 그린 그림문자, 아름다운 화풍, 서풍이란 뜻으로 우연성과 개성적 표현이 중시 되는 손으로 쓴 아름다운 글씨체를 말한다. 135


이모티콘의 무한변신!

- 캘리그라피가 주는 위로와 힘 캘리그라피와 이모티콘이 특히 청소년들에게 주는 감정소통의 효과와 위로의 힘에 대해 이야기하며 현대인의 감정을 대신 전달해 주는 이모티콘의 역 할이 더욱 다양하게 발전될 것임을 알 수 있다.

■ [표현활동] <내게 힘이 되는 이모티콘과 캘리그라피 > 1. 자신에게 힘이 되는 글귀 여러 개를 종이에 예쁘게 써본다. - 글귀나 문장을 기존에 있는 것을 써도 좋고 새로운 글귀를 만들면 더욱 좋다. - 캘리그라피를 쓸 때 글귀를 그리거나 붓 펜 이나 다양한 필기구를 이용하여 개성 있는 글씨로 독특하게 나타내 본다.

-

그림을

그리는 것보다 자기마음을 전 달하는 이모티 콘과 캘리그라 피를

전개

25분

2. 어울리는 이모티콘 넣기 - 캘리그라피로 써 놓은 글귀와 어울리는 이모티 콘 캐릭터를 배치하여 넣는다. - 이 때, 창작 이모티콘을 그려 넣기 어려운 학습자들은 기존의 이모티콘을 보고 그리거 나, 인쇄된 이모티콘 중에 오려 붙여 넣어도 좋다. 3. 배경과 함께 분위기에 맞게 채색을 완성한다. - 연필, 색연필이나 형광 펜, 파스텔 등 다양 한 채색 도구를 이용하여 완성도 높게 마무 리 한다. ■ 발표

정리 [피드백]

- 완성된 작품을 발표하면서 가장 공감이 가는 10분

작품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 캘리그라피와 이모티콘이 주는 위로와 힘에 대해 이해하고 그 효과와 역할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136

만드는

것이 중요하므 로 그림 표현 에 서툰

학습

자들도

부담

없이 표현활동 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준다.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 캘리그라피는 우리에게 항상 똑같은 활자체가 주는 경직성에서 기대효과 (문화예술교육 표준에 의한)

벗어난 해방감을 안겨준다. 자유롭고 즉흥적인 필체와 따뜻한 글 귀로 쓰는 사람 내면의 기운이나 감정이 그대로 솔직하게 전달되 는 것이 이모티콘의 억압되지 않은 감정표현과 닮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둘을 활용하여 자기감정을 나타내어 보면서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경험할 수 있다. -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친숙한 이모티콘 캐릭터를 활용하여 수업 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으며, 이모티콘 캐릭터를 학습자가

수업의 강점과 활용방법

직접 만들 수도 있고 또 기존의 것을 활용할 수도 있어 그림에 대 한 부담감을 갖지 않아 모두 즐겁게 수업에 집중할 수 있다. 이 수 업의 활용으로는 이모티콘 전, 후 상황을 상상한 4컷 만화 그리기 나 클레이로 직접 이모티콘을 만들어 보거나 연극수업으로 짧은 상황 극을 연출할 수 있다.

137


이모티콘의 무한변신!

차시 개요 학습주제

나도 스타! - 내 얼굴로 꾸미는 꼴라쥬 이모티콘

학습목표

이모티콘 캐릭터에 인쇄된 자기 얼굴을 붙이고 어울리는 글귀를 적어 넣어, 꼴라쥬 이모티콘으로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

학습효과

인쇄된 자기 얼굴을 이모티콘으로 활용하면서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과 자긍심을 높일 수 있다.

학습자료

전 시간에 촬영한 학생들 얼굴사진 인쇄물, A4에 인쇄된 이모티콘 여러 장, 프로젝터, 종이, 연필, 지우개, 붓 펜, 라이너 펜, 색연필 등 채색도 구, 가위, 풀.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시간

학습내용

준비물 유의점

[동기유발] ■‘나도 스타!’ - 다양한 꼴라쥬 이모티콘 감상 - 영상준비 - 인기 스타들은 이모티콘에 자기의 얼굴을 붙인 꼴라쥬 이모티콘을 제작한다.

도입

10분

시각자료,

- 미래에 대중의 사랑을 받는 유명인이 되어 자신 다양한 의 얼굴로 꼴라쥬 이모티콘을 만드는 것을 이모티콘 샘플, 상상하며 작품을 진행하여본다. 전 시간에 ■ 자신의 얼굴을 붙였을 때 어울리는 이모티콘과 매칭. - 마음에 드는 이모티콘 캐릭터를 골라, 인쇄된 자신의 얼굴을 매칭시켜보며 어울리는 대사나

촬영한 학생들 얼굴사진인쇄 물, 가위, 풀, 그림도구.

글을 넣어 상황을 연출해본다.

■ [표현활동] 전개

25분

< 나도 스타! 내 얼굴 꼴라쥬 이모티콘 만들기>

티콘을 만들면

1. A4에 준비된 다양한 이모티콘을 학생들이 고른다. 서 이모티콘의 (한 학생당 2장 정도 고를 수 있도록 준비한다)

138

- 꼴라쥬 이모

동작을 새롭게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이모티콘 얼굴과 학생들 사진 인쇄물의 얼굴크 기를 맞춰 준비한다) 2. 자신의 얼굴표정과 어울리는 이모티콘을 오려 만드는 새로운 얼굴부분에 붙여 넣는다.

이모티콘 동작

3. 캐릭터와 얼굴을 매칭한 후 놓았으면 거기에 을 창작하도록 어울리는 감정전달 대사를 넣어 상황 이모티콘 유도 할 수 도 을 완성한다.

있다.

4. 이 때, 상황이 서로 연계되도록 꾸미면 하나의 스토리가 되도록 연출할 수 있다.

■ 발표 - 꼴라쥬 이모티콘을 발표하면서 얼굴 표정과 대 정리 [피드백]

사로 어떤 상황인지 설명하여 보고 피드백 받는 10분

다. - 자신의 얼굴을 직접 대입하여 꼴라쥬 이모티콘 을 꾸며 완성하면서 어떤 느낌이 들었는지 함께 이야기하여 본다.

- 피드백은 긍정적으로, 발표하는 학습자에 진정성있는 관심과 칭찬이 전달되도록 한다.

다양한 이모티콘 중에 꼴라쥬 이모티콘은 주로 대중의 사랑을 받 는 유명인들이 표현되고 있다. 이처럼 학생들이 자기 얼굴을 이모 기대효과

티콘에 붙여 나타내어 보면서 스스로 모두에게 사랑받는 자랑스러 운 인물이 되었음을 상상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스스로에 대한 자기애와 자기 긍정성을 높이며 또한 타인에 대한 존중과 긍정성을 키울 수 있다. 내 얼굴 꼴라쥬 이모티콘 수업의 확장으로, 친구의 얼굴을 함께 넣

수업의 강점과 활용방법

어 다양한 꼴라쥬 이모티콘을 연출할 수도 있고 한 반 친구 전체의 얼굴 사진을 넣은 단체 꼴라쥬 이모티콘 장면을 꾸며볼 수 있다. 또 한 하나의 스토리를 만들어 짧은 역할극을 만드는 연극수업이나 사 진을 활용한 사진수업으로도 얼마든지 확장하여 활용할 수 있다.

139


이모티콘의 무한변신!

차시 개요 학습주제 학습목표

호랑이야 너도 이모티콘! - 이모티콘과 민화의 닮은 점. 옛 서민들의 정서와 유머가 나타난 민화와 이모티콘의 만남으로 옛 것과 현대 것의 대중적 정서를 한 화면에 표현할 수 있다. 우리나라 민중들의 정서전달 그림인 민화와 현 청소년들이 자기표현으

학습효과

로 가장 대중적으로 쓰고 있는 이모티콘 캐릭터의 만남으로 옛 이모티 콘과 오늘의 이모티콘을 함께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민화그림 자료, 다양한 민화 호랑이 인쇄물, 다양한 이모티콘 캐

학습자료

릭터 인쇄물. 프로젝터, 도화지, 연필, 지우개, 붓 펜, 라이너 펜, 색연필 등 채색 도구, 가위, 풀.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시간

학습내용

준비물 유의점

[동기유발] ■ 민화란? - 옛 민중들의 생각이 그대로 반영된 가장 한국적 인 그림으로 한 민족이나 개인이 전통적으로 이어 - 시각자료, 온 생활습관에 따라 제작한 그 시대 민주의 정서 다양한 와 유머가 나타난 생활 속 실용그림이다.

이모티콘과

- 한국 민화의 특징은 소박함 단순함, 솔직함, 사 민화 그림 도입

10분

랑, 낙천적 표현이 잘 나타나있다.

샘플,

■ 민화와 이모티콘의 닮은 점과 다른 점.

- 옛사람들과

- 민화와 이모티콘은 감정전달 소통 표현과 유머 현대인들 모두 적 표현이 닮아있다. 단순함. 솔직함, 유머, 감정 사람들과의 표현이 직설적이며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서적 교감과 것이 강점이다.

소통을 하고자

- 민화는 전파되는 데에 질적, 시간적, 공간적 한 했음을 이해한다. 계가 있었으나, 지금의 이모티콘은 스마트기기가 있는 누구에게나 한 순간에 대중에게 폭발적으로 전파되는 동시다발적 파급력이 매우 크다 140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 이모티콘 표정과 어울리는 민화 연결해 보기 - 민화 속 호랑이의 다양한 얼굴과 어떤 이모티콘 캐릭터를 넣으면 서로의 감정이 어울릴까요? 매칭한 후, 상황을 알 수 있는 대사나 글귀를 넣어 서로의 감정을 표현해 본다.

■ [표현활동] < 민화야 같이 놀자!-민화와 이모티콘의 만남 > 1. 다양한 민화 그림 중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민화 를 선택한다. 2. 민화 속 상황을 표현할 이모티콘 캐릭터를 골라 전개

25분

오려 붙이거나 종이에 직접 그려 표현한다. 3. 민화 속 이모티콘 그림에 어울릴 말풍선이나 대사를 만들어 그림 속 상황을 연출한다. (이 때, 말풍선 없이도 상황이 연출되면 굳이 대사를 넣지 않아도 좋다) (하나의 민화 속에 여러 명의 이모티콘 캐릭터 가 들어가도 좋다) ■ 발표

정리 [피드백]

- 가장 잘 표현된 작품을 선정하여 모두 즐겁게 10분

피드백하여보자. - 민화와 이모티콘의 닮은 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유머적 표현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민화그림을 A4에 칼라 복사한 그림으로 준비한다. - 민화 속에 적당히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다양한 이모티콘 캐릭터를 준비한다.

- 가능한 작품들의 장점을 보고 피드백 한다.

옛 민화 속 호랑이와 오늘날의 이모티콘을 함께 표현하면서 학생 들은 민화 또한 옛 민중들의 해학과 정서를 표현한 이모티콘임을 알 수 있다. 민화에 나타난 다양한 호랑이의 표정을 보면서 옛 사 기대효과

람들이 민화를 통해 그 시대의 대중적 감정을 전달하고 공유했음 을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느 시대든지 사람들은 서로의 감 정을 알고자 했고 함께 공유하고 전달하며 소통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141


이모티콘의 무한변신!

민화와 이모티콘을 접목하여 옛 사람들과 현대인들의 대중적 정 수업의 강점과 활용방법

서를 알아보고 우리민족의 해학과 유머의 전통을 이을 소통매체 를 새롭게 표현할 수 있는 수업이다. 민화와 이모티콘의 표현은 미술과 역사 수업으로 응용할 수 있으며 국악과 함께 하는 악극 공연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142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차시 개요 학습주제 학습목표 학습효과 학습자료

네 마음을 보여줘! - 이모티콘 감정전달 애니메이션 다양한 이모티콘 캐릭터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의 앱을

활용하여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자기마음을 대변해 주는 이모티콘들을 스마트기기 앱을 활용하여 애니 메이션을 완성하며 이 과정을 통해 협동심과 자긍심을 높일 수 있다. 스마트기기, 다양한 이모티콘, 종이, 연필, 지우개, 붓 펜, 라이너 펜, 색 연필

등 채색도구, 가위, 풀.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시간

학습내용

준비물 유의점

[동기유발] ■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만든 애니메이션 감상. - 스마트 앱을 활용하여 만든 다양한 기법의 짧은 애니메이션 감상하기 - 인터넷 : 유투브의 다양한 영상물.

도입

-애니메이션 만드는 앱이 깔 린 스마트기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다양한 ■ 스마트기기 무료 앱을 깔고 사용방법 익히기 이모티콘 - <Clayframes-stop motion> 10분 Clayframes로 손쉽게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캐릭터인쇄물. - 스마트 앱의 활용방법을 자유롭게 사용해보고 - 가능한 모든 학습자들이 스 기법을 익힌다. 마트 앱을 활 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표현활동] = 모둠활동 (2~4명) < 이모티콘 캐릭터 애니메이션 만들기>

- 모둠토의 : 촬영 시간보다

1. 인쇄된 이모티콘 캐릭터들을 골라 어떤 움직임 촬영 준비하는 전개

25분

을 나타낼 것인지 모둠토의를 통해 결정한다.

시간이 더

- 짧은 수업시간 안에 만들 수 있는 움직임을‘감 많을 수 있다. 정 전달’을 쉽게 알 수 있는 스토리를 만든다.

이 때,

- 이모티콘 캐릭터들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촬영하 역할분담과 되, 그 안에 전달하고자 하는 상황과 감정이 나 함께 143


이모티콘의 무한변신!

타날 수

있도록 한다.

2. 역할분담

작업순서에 따른 역할을

- 이모티콘 캐릭터 오리고 준비하기, 배경 꾸미기, 모둠원이 함께 동작 연출하기, 전체감독, 촬영담당.. 등 각자 역 하여 주어진 할 분담을 하고 기동성 있게 진행한다. 3. 촬영 도중에도 자주 플레이시켜 움직임을 확인한다.

시간을 유용하게

4. 함께 보며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원하는 움직임 활용하도록 을 촬영하고 작품을 마무리한다.

한다.

■ 감상 - 완성된 이모티콘 감정전달 애니메이션을 함께 감 상하며 어느 작품이 의도하고자 한 주제를 잘 전 달했는지 함께 이야기하며 피드백한다. 정리 [피드백]

- 감정전달이 영상물로 표현했을 때 기존의 표현과 10분

어떤 차이점과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한다. - 스마트 앱을 활용하여 영상물을 어렵지 않게 만 들 수 있음을 알고, 앞으로 더 발전되어 나타날 스마트 앱의 활용으로 어떤 영상물까지 만들 수

- 스마트기기와 교실 TV화면을 케이블로 연결 하여 각 모둠 작품을 쉽게 연 결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있을지 함께 예측하며 이야기해본다. 감정을 나타내고자 한 전체 4차시 수업의 마무리로 영상물을 통한 감정전달이 기존 다른 수업과 비교하여 어떤 효과가 있는지에 대 기대효과

해서 함께 이야기하며 영상물의 소통의 방법과 영향력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간을 통해 어렵지 않게 영상제작에 대

해 알 수 있으며 전체 과정을 통해 학생들 간의 소통과 이해, 결속 력을 높일 수 있다.

수업의 강점과 활용방법

144

이 수업은 만화애니메이션 수업뿐만 아니라, 영상을 이용한 영화 수업이나 사진 수업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연극의 배 경이나 효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만화/애니메이션

티끌모아 태산!

곽 주 영, 이 미 영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티끌모아 태산!

관련 장르

애니메이션 제작 실습

대상연령

초등학교 1~3학년

연관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프로그램 내용 요약

40분 점(픽셀)들이 모여 세상을 이룬다! ■ 개관 및 개발 배경: 본 만화 애니메이션수업은 예술적이며 창의적인 표현을 할 수 있는 하나의 매개체로서 미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창작에 대한 흥미를 높여주기 위한 수업이다. 수업을 통하 여 나도 예술작품의 작가가 되어 보는 창의 예술 교육이다. 학교 예술강사로서 수업을 진행하며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 이나 기본교과 수업에서는, 그림을 그리거나 애니메이션 제 작이라는 과정을 한 반의 학생 모두가 좋아하지는 않는다 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을 참고 자료로 활용하여도 지루해하는 학생이 한두 명씩은 있어서, 학생들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제작 수업에 대해 고민 하게 되었다. ■ 특성 및 강점: 본 프로그램 “티끌모아 태산!” 은 기획, 제작, 촬영, 편 집에 이르는 전 과정을 접하기 쉬운 스마트 폰을 이용해 참 여해 보는 저학년 어린이를 위한 실험 애니메이션 수업이다. 그림을 그리기 주저하는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자 여럿이서 자신의 감정을 점으로 완성된 색이나 도형 등 의 단순화된 그림들로 표현하여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고, 계 란 판에 과자로 직접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봄으 로써, 협동심과 놀이의 즐거움을 알게 한다. 특히 완성된 작품이 요구되는 어려운 미술이 아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단순화된 접근으로,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감수성과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결과를 기대한다.

147


티끌모아 태산!

티끌모아 태산!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애니메이션이란 무엇일까 알

1차시

아본다. (Stop motion Animation과 픽셀아 트 이해하기)

주요 활동내용

- 픽셀을 이용하여 만든 작품과 예술가 알아보기 - 애니메이션의 원리 알아보기 - 포스트잇으로 간단한 Stop motion Animation 완성해보기

- 스토리보드란 무엇인지 알아보기

2차시

점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 - 일주일동안 느꼈던 감정을 점으로 표현해보기 해본다. (픽셀아트의 제작)

- 모둠이 된 친구들과 순서를 정해서 작업한 점들을 스토리보드로 만들기

티끌모아 태산! 애니메이션 - 준비된 계란 판에 지난차시에 제작한 감정

3차시 을 촬영해본다. (계란판 애니메이션 제작)

점 스토리보드에 맞춰 과자를 놓고 애니메 이션을 촬영해보기

- 가편집된 애니메이션을 보고 효과음과 대

4차시

티끌모아 태산! 애니메이션 을 편집해본다.

사를 생각해보기 - 직접 쓴 대사를 녹음하기 - 애니메이션에 들어갈 제목과 만든 사람들 꾸며보기

148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2. 세부내용 차시 [개요] 주제

애니메이션의 원리를 알아보고 제작방식 이해하기

목표

애니메이션이란 무엇일까 알아본다. (Stop motion Animation과 픽셀아트 이해하기)

준비물, 기타

포스트잇, 스마트 폰, 촬영 어플, 참고 영상(여러 가지 제작기법의 애니 메이션, 포스트잇으로 제작된 광고영상)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학습목표 제시 - 픽셀이란 무엇일까? 에 대한 질문으로 흥미 유발  이론수업 - 픽셀의 뜻을 이해하고 픽셀을 이용한 예술작품과 예술가를 알아본다. - 픽셀 작품 제작의 배경과 작품의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스페이스 인베이더 타일 작품> ※ 스페이스 인베이더 - 얼굴을 공개하지 않고 활동하는 거리의 아티스트

- 여러 가지 종류의 애니메이션을 보여주며 2D, 3D 애니메이션 이외의 149


티끌모아 태산!

Stop motion 애니메이션에 대해 알아보고 픽셀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 픽셀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수업을 통해 나도 예술작가가 되어보기 로 한다.  실습수업 - 5~6인의 모둠을 나눠 포스트잇을 이용해 벽에 여러 가지 모양을 붙 여보고 스마트 폰의 `Stop Motion Maker' 어플을 이용해 짧은 애니메 이션을 완성해본다. *창문틀이나 타일 벽처럼 규격이 정해진 벽을 정해주고, 미리 완성해 야할 프레임을 정해준다. 학생들은 정해진 틀과 타이밍으로 스톱모션 의 기초를 익혀본다.

<학생작품>  수업요약 정

- 친구들의 애니메이션을 감상하고 느낀 점을 이야기해본다.  차시예고 - 점으로 스토리보드 그리기

150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차시 개요 주제 목표 준비물, 기타

스토리보드란 무엇인지 이해하고, 픽셀아트로 애니메이션의 스토리보드 를 완성하기 점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해본다

픽셀아트의 제작

교사가 준비한 모눈종이, 스마트 폰, 촬영 어플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지난 수업 내용 확인하기 - 애니메이션이란 무엇일까? 에 대한 질문

 학습목표 제시  이론 및 감상 수업 애니메이션 제작과정 이해하기 스토리보드란 무엇인지 알아보기 예술가들의 감정이 느껴지는 작품 감상하고 느낀 점 이야기해보기

<키스헤링, 뭉크, 피카소의 그림 등> 5~6인으로 모둠을 나눠 일주일동안 느꼈던 감정들에 대해 이야기 나 눠보기

151


티끌모아 태산!

 실습수업 일주일동안 느꼈던 감정을 점으로 표현해보기 반드시 이모티콘이나 표정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닌 색이나 모양 등의 조형요소로 표현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모둠이 된 친구들과 순서를 정해서 작업한 점들을 스토리보드로 만들기

<학생작품> * 교사는 스토리보드를 모아 촬영해 애니메틱 영상으로 만들어준다.  수업요약 정

- 애니메틱 영상을 감상하고 느낀 점이나 아쉬운 점을 이야기해본다.  차시예고 - 티끌모아 태산 애니메이션 제작(계란판 애니메이션)

152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차시 개요 주제 목표 준비물, 기타

준비된 계란 판에 지난 차시에 제작한 감정 점 스토리보드에 맞춰 과자 를 놓고 애니메이션을 촬영해보기 티끌모아 태산 애니메이션을 촬영해본다 (계란판 애니메이션 제작) 계란판, 뻥튀기과자(종류상관 없음), 스마트 폰, 촬영 어플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지난 수업 내용 확인하기 - 스토리보드란 무엇일까? 에 대한 질문

 학습목표 제시  실습수업 - 준비된 계란판에 지난 시간에 완성한 스토리보드에 맞춰 과자를 놓 고 애니메이션을 촬영해보기 스토리보드가 계란판보다 클 경우 계란판을 여러 개 쓴다

<학생작품> * 교사는 학생들이 촬영한 영상을 모아 가편집을 한다.  수업요약 정

- 애니메이션 촬영의 어려움과 아쉬운 점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 차시예고 - 티끌모아 태산 애니메이션 편집하기

153


티끌모아 태산!

차시 개요 주제 목표 준비물, 기타

가편집된 영상에 사운드와 타이틀, 크레딧을 제작해 최종 애니메이션을 완성해 작가가 되어 보기 티끌모아 태산 애니메이션을 편집해본다 편집용 유인물, 필기구, 색지, 색연필, 스마트 폰(녹음용)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지난 수업 내용 확인하기  학습목표 제시  실습수업 - 가편집된 애니메이션을 보고 효과음과 대사를 생각해보기 직접 쓴 대사를 녹음하기 애니메이션에 들어갈 제목과 만든 사람들 색지에 꾸며보기

<학생작품> 완성된 애니메이션 감상하기 저학년임을 고려하여 최종 편집은 교사가 도와서 마무리한다  수업요약 - 4차시의 수업을 마무리하며 각각의 감상과 생각을 이야기해본다. 정

- 겉으로 표현하지 못했던 자신의 감정을 예술 활동으로 표현할 수 있고, 우리가 하는 모든 행위가 예술 활동이 될 수 있음을 학생들에게 알려주며 수업을 정리한다.

154


무용

최 우 수 상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 이야기

이 경 윤



무용분야 - 최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이야기

관련 장르

초등학교 무용수업

대상연령

초등학교 3~4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40분 감정으로 표현하는 창작활동 ■ 프로그램 개관 및 개발 배경 1. 생각없이 하는 말과 행동 수업을 하면서 학생들이 친구의 감정을 생각하지 않고 하는 말이나 행동 때문에 수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친구의 감정을 소중히 생각하지 않고 하는 행동들 때문에 수업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고 싸움으로까지 이어지는 일 이 많았다. 이러한 상황을 보면서 친구의 감정을 알 수 있 는 감정에 대한 수업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프로그램 내용 요약

2.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학생들이 주어진 주제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은 많지만 움직 임으로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하였고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발표로 이어지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고 표현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해 움직임 요소를 배우고 표 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모둠활동을 즐겁게 완성하기 위해 학생들이 움직임을 표현할 때 혼자 하는 활동보다 모둠활동 을 좋아하지만 모둠활동을 완성시키는데 변수와 어려움이 많았다. 모둠활동을 즐겁게 완성하기 위해 모둠의 구성원들 이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협동학습 구조 를 넣은 수업을 개발하게 되었다. ■ 프로그램 특성 및 강점 ①협동학습구조를 통해 감정에 대한 느낌을 경험으로 이야기 를 나누고 공유함으로써 이해를 쉽게 하였다. ②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도록 박자를 알고 움직임 단 어를 찾아 움직임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③움직임 요소를 배워 단순 표현이 아닌 작품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④협동학습 구조를 통해 모둠 구성원들의 참여를 극대화 시켜 모둠활동을 적극적, 긍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157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 이야기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이야기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제탐색

주요 활동내용 -감정카드로 이야기 나누기

감정카드를 보고 친구와 감 -󰡔협동학습구조“3단계인터뷰”󰡕로 친구의 경험

1차시

정에 대한 경험을 나누고 움 직임 단어를 찾을 수 있다.

공유하기 -친구의 감정경험을 듣고 움직임단어 찾기 -교사와 움직임단어로 움직이기 -음악을 듣고 간단한 동작으로 박자 익히기

※박자, 방향 익히기

-󰡔협동학습구조“짝 점검”󰡕로 친구와 박자 익히기

음악의 빠르기를 알고 박자 -스폰지 판(EVA) 위에서 다양한 박자로 점프하기

2차시

를 세며 다양한 방향으로 자 -스폰지 판 색을 이용하여 다양한 박자와 방 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향으로 점프하기 -교사와 스폰지 판의 색을 이용하여 간단한 감정움직임 해보기

※움직임 만들기 모둠으로 감정에 대한 움직

3차시

임단어를 찾고 박자와 방향 을 넣어 움직임을 만들 수 있다.

-1차시 모둠활동지로 감정의 경험 이해하기 -선택한 친구경험 󰡔협동학습구조“돌아가며 쓰기”󰡕 감정상황에 맞는 움직임단어 찾기 -모둠으로 “돌아가며 쓰기” 활동지를 보며 움직임 만들기 -만든 움직임에 8박자를 넣어 움직임 해보기 -󰡔협동학습구조“그리기-짝-바꾸기”󰡕를 이용

※대형 만들고 발표하기

해 대형 생각해보기

감정으로 만든 움직임에 대 -일어서서 활동지를 보며 스폰지 판을 이용

4차시

형을 만들어 작품으로 만들 어 발표할 수 있다.

해 대형을 만들기 -스폰지 판으로 만든 대형 위에서 순서정하 여 해보기 -모둠으로 발표하기

158


무용분야 - 최우수상

2. 세부내용 3-1. 1차 활동명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이야기 Ⅰ

소주제

1. “나의 기분은 ~요”

교육과정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3~4학년

소요시간

40분

교육대상

1. 감정카드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 나눌 수 있다. 활동목표

2. 협동학습구조로 친구의 경험을 인터뷰할 수 있다. 3. 감정에 따른 동작단어를 찾을 수 있다.

활동자료

“3단계인터뷰 활동지” 학습 단계

도 입

“모둠일기 활동지”

“감정카드”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1. 감정카드로 이야기 나누기 -4가지 감정카드로 상황에 맞는 표정, 소리를 내어 본다. 교사가 상황에 맞는 감정들을 설명하며 표정, 소리를 내어보며 이야기 나눈다. 2. 감정카드로 속도를 다양하게 움직이기 -개인공간으로 감정카드를 속도를 다르게 움직여본다. -전체공간으로 돌아다니며 감정카드로 속도를 다르게 움직여본다. (기쁨-빠르게 슬픔-아주 느리게 놀람-멈춤, 아주 빠르게 편안함-느리게) 감정카드에 따른 속도를 이야기 나누고 다양한 동작으로 빠르기를 다르게 하며 움직여 본다.

1. 모둠정하기 󰡔협동학습구조 “섞기-얼음-모둠”󰡕 -교실전체를 감정단어의 속도에 따라 움직이며 돌아다닌다. -교사의 “얼음”이라고 외치면 학생은 제자리에 멈춘다. -교사의 신호를 듣고 멈추면 손을 잡을 수 있는 4명이 모둠을 만든다. 전 개

2. 모둠으로 감정카드로 경험공유하기 󰡔협동학습구조 “3단계 인터뷰”󰡕 -1번은 2번에게 3번은 4번에게 “기쁨” “슬픔” "놀람“ “편안함”에 대해 인터뷰한다. (자신의 정보를 털어놓고 긍정적인 반응을 받아야 신뢰감이 형성되므로 이 끔말과 칭찬하는 말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활동 전에 강조한다.) -바꾸어 2번은 1번에게 4번은 3번에게“기쁨”“슬픔”“놀람”“편안함”에 159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 이야기

대해 인터뷰를 한다. -인터뷰하는 친구는 인터뷰한 내용을 활동지에 적어 모둠구성원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뷰한 학생이 인터뷰한 내용을 돌아가며 읽고 공유한다. 3. 감정들의 동작단어 찾아 움직이기 -인터뷰한 활동지를 돌아가며 동작단어를 찾아본다. -기쁨에 대한 동작단어 찾아 움직여보기 -찾은 동작단어를 해본다. -기쁨- 뛰기, 팔 뻗기, 박수치기...등 슬픔-내려앉기, 고개 숙이기, 눈감기...등 놀람- 눈감기, 넘어지기, 입 가리기...등 편안함- 손가락 까딱거리기, 고개 흔들기...등 4. 의견모아 선택하기 󰡔협동학습구조 “다 같이 하나둘 셋”󰡕 -모둠에서 가장 공감되는 것을 협동학습 구조 “다 같이 하나둘 셋”으로 선택한다. 1. 모둠으로 안마해주기 -모둠끼리 한 줄로 앉아 안마해주기 (손바닥으로 등에 올리고 돌리기, 쓸어내리기, 손가락으로 피아노치기...등) 2. 다 같이 느낌 나누기 정

-친구의 경험을 듣고 친구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었나요?

-나의 감정과 친구의 감정이 같았나요? -친구의 이야기를 긍정적으로 듣고 전달할 수 있었나요? 3. 모둠일기쓰기 󰡔협동학습구조 “모둠일기쓰기”󰡕 -모둠원이 돌아가며 그날 모둠활동에서 인상 깊었던 일 쓰기 -다른 모둠 원들은 일기를 읽고 댓글을 달기 -감정이 단순한 느낌이 아니라 경험에서 나오는 상황을 이야기할 수

활동의 유의점

있도록 유도해야하며 움직임 단어가 나올 수 있게 이야기하도록 한다. 협동학습을 잘하기 위해 시간이 된다면 모둠 명을 정하도록 하고 모둠 의 의사소통을 긍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사회적 기술을 이야기해주면 좋다.

1차시 협동학습구조

“3단계인터뷰”구 조란? 160

“3단계 인터뷰”구조는 모둠원간의 정보를 인터뷰를 통해 나 누는 방식으로 3단계를 거쳐 상대방 내용을 기억하며 다른 모 둠 원에게 말해주는 활동입니다.


무용분야 - 최우수상

“다 같이 하나둘 모둠원들이 서로의 생각을 말하고 그 중에 하나의 모둠 의견을 셋”구조란?

정하며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섞기-얼음-모 둠”이란?

학생들이 교실 전체를 돌아다니다가 교사가 “얼음”하면 그 자리에 멈추고, 몇 명이 모둠을 만들어야할지 교사가 단서를 말 하면 그 숫자만큼 모둠을 만드는 활동입니다.

“모둠일기쓰기” 는?

모둠원이 하루씩 돌아가며 그날 모둠이나 학급에서 있었던 인 상 깊었던 일을 모둠별로 쓰고 나머지 모둠원은 댓글을 달아주 는 활동입니다.

차시 활동명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이야기Ⅱ

소주제

2. “나의 소리는~요”

교육과정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3~4학년

소요시간

40분

교육대상

1. 음악의 빠르기를 알고 음악에 맞춰 박자를 세며 움직일 수 있다. 활동목표

2. 다양한 방향을 알고 움직일 수 있다. 3 박자에 따라 방향을 바꾸며 움직일 수 있다.

활동자료

스펀지 판(EVA): 스펀지 판은 바닥에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 아 아이들이 다칠 위험이 없으며 색이 아주 잘 표현되어 있어 감정표현에 색을 이용할 수 있다. 박자음악(박자를 셀 수 있는 음악으로 4/4박자음악) 느린 음악, 빠른 음악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1. 1차시 때 찾았던 움직임 단어로 몸 풀기 -음악에 맞춰 1차시에 찾은 움직임단어를 음악에 맞춰 움직인다. -빠른 음악에-“기쁨” “슬픔” “놀람” “편안함”해보기 -느린 음악에-“기쁨” “슬픔” “놀람” “편안함”해보기 도 (“기쁨”- 뛰기, 팔 뻗기, 박수치기...등) 입 (“놀람”- 눈감기, 넘어지기, 입 가리기...등) (“슬픔”-내려앉기, 고개 숙이기, 눈감기...등) (“편안함”- 손가락 까딱거리기, 고개 흔들기...등) (교사는 1차시 때 나온 감정에 따른 움직임 단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1. 4/4박자 음악에 맞춰 움직이기 -4/4박자 음악에 맞춰 박수치며 박자를 익힌다. 전 -4/4박자 음악에 맞춰 신체 돌리기 박자를 익힌다. 개 (팔, 어깨, 팔목, 발목, 허리, 머리..등) -4/4박자 음악에 맞춰 신체 흔들기 박자를 익힌다. 161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 이야기

(손, 어깨, 머리..등) -음악 없이 박자를 기억하고 박수치기, 돌리기, 흔들기를 움직여 본다. 2. 음악에 맞춰 스펀지 판을 박자를 다르게 하며 움직이기(협동학습구조“짝 점검”) -모둠별로 짝을 이루어 “짝 점검”으로 박자 외운다. -한 줄로 서서 4/4박자 음악에 맞춰 이동한다. 스펀지 판을 8박자동안 박수치고 이동한다. 4박자동안 박수치고 이동한다. 2박자동안 박수치고 이동한다. (판위에서 박자를 세며 박수치고 이동하며 박자를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스펀지 판의 색으로 점프를 다르게 하며 이동한다. 스펀지 판의 빨강은 8박자로 개구리점프 한다. 노랑은 4박자로 발바닥점프 한다. 파랑은 2박자로 박수치며 점프 한다. (짝으로 한사람이 점프를 외우면 다른 짝이 점검해주고 서로 역할을 바꾸 어 외우고 점검한다.) -짝으로 나와서 판의 색에 따라 점프한다.

3. 음악에 맞춰 여러 방향으로 점프해보기 󰡔협동구조 “짝 점검”󰡕 - 스펀지 판의 색으로 방향을 바꾸어 점프해보기 빨강은 앞으로 점프한다. 파랑은 왼쪽으로 점프한다. 노랑은 뒤로 점프한다. (짝으로 한사람이 방향을 외우면 다른 짝이 점검해주고 서로 역할을 바꾸어 외우고 점검한다.) 6. 음악에 맞춰 스펀지 판의 색으로 감정 움직임 단어로 움직이기 󰡔협동학 습구조 “짝점검”󰡕 -노랑-“기쁨”-4박자로 점프하기, 만세 부르기 주황-“슬픔”-4박자로 주저앉기, 고개 숙이기 빨강-“놀람”-4박자로 눈 가리기, 고개 돌리기 파랑-“편안함”-4박자로 흔들기, 고개 들기 (정해진 움직임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과 이야기 나눈 움직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62


무용분야 - 최우수상

1. 원으로 앉아 박자로 호흡하기 -2박자 마시고 2박자 내쉬기 -4박자 마시고 4박자 내쉬기 -6박자 마시고 6박자 내쉬기

리 2. 모둠일기쓰기 󰡔협동학습구조 “모둠일기쓰기”󰡕 -모둠원이 돌아가며 그날 모둠활동에서 인상 깊었던 일 쓰기 -다른 모둠원들은 일기를 읽고 댓글을 달기

활동의 유의점

음악의 박자를 익히도록 신체 여러 부위를 움직이며 박자를 익힌다. 색에 따른 약속을 기억할 수 있도록 모둠별 짝 점검의 시간을 충분히 준다.

2차시 협동학습구조 두 명이 학습내용을 가지고 한 사람이 문제를 풀면 다른 짝은 “짝점검”이란?

도움을 주거나 점검을 해주고, 또 서로 역할을 바꿔 문제를 풀 고 점검하거나 가르치는 활동입니다.

“모둠일기쓰기” 는?

모둠원이 하루씩 돌아가며 그날 모둠이나 학급에서 있었던 인상 깊었던 일을 모둠별로 쓰고 나머지 모둠원은 댓글을 달아주는 활동입니다.

차시 활동명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이야기Ⅲ

소주제

3. “나의 몸짓은~요”

교육과정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3~4학년

소요시간

40분

교육대상

1. 모둠으로 의견을 모아 협동학습구조로 움직임을 만들 수 있다. 활동목표

2. 친구의 감정경험으로 움직임단어를 찾을 수 있다. 3. 다양한 박자와 방향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할 수 있다.

활동자료 “돌아가며 쓰기” 활동지, 4/4박자음악 학습 단계 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1. 4/4박자음악으로 몸 풀기 󰡔협동학습구조 “일어서서 나누기”󰡕 163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 이야기

-2차시 때 배운 박자를 기억하며 박수친다. -일어서서 4/4박자 음악에 맞춰 상체만 움직이기 -몸통을 좌우로 움직이기, 상체만 흔들기 입

-일어서서 4/4박자 음악에 맞춰 하체만 움직이기 -무릎을 좌우로 움직이기, 하체만 흔들기 -일어서서 4/4박자 음악에 맞춰 몸 전체 움직이기 -온 몸을 좌우로 움직이기, 온 몸을 흔들기 1. 1차시 감정경험 이해하기 -모둠끼리 활동지 보며 읽어본다. -선택된 문장의 학생은 자신의 상황을 자세히 이야기 한다. (선택한 학생은 경험의 전 상황 후 상황까지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친구의 감정경험 이야기를 듣고 상황에서 일어날 움직임을 상상해 본다. 2. 모둠별로 감정별 상황에 맞는 움직임 단어 생각해보기 󰡔협동학습구조“돌 아가며 쓰기”󰡕

-모둠별로 “돌아가며 쓰기”활동지에 가운데 선택된 경험 문장 쓴다. -모둠 구성원들은 “기쁨” “슬픔” “놀람” “편안함”에 관한 활동지 전 개

문장을 보고 상상되는 움직임을 돌아가며 움직임을 써본다. -1번이 기쁨활동지에 문장을 보고 상상되는 움직임을 쓰면 2번이 1번이 쓴 글을 읽고 덧붙여 쓴다. 다음 3번이 덧붙이고 4번이 덧붙여 쓴다. (활동지가 총4장으로 돌아가며 쓸 수 있도록 하며 친구의 움직임 단어를 모고 덧 붙여 쓸 수 있도록 한다.) -2번→3번→4번→1번으로 돌아가며 쓴다. -3번→4번→1번→2번으로 돌아가며 쓴다. -4번→1번→2번→3번으로 돌아가며 쓴다. (교사는 학생들이 상상되는 모습은 움직임 단어가 들어가게 쓰도록 유도한다.) 3.일어서서 활동지로 움직임 만들기 -각 “기쁨”“슬픔”“놀람”“편안함” 활동지를 보며 움직임을 8박자로 만 들어 본다. -신체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각 감정들을 발동, 손동작, 빠르기, 표정까지 만들도록 한다. -박자를 세어보며 움직임을 해본다.

164


무용분야 - 최우수상

(교사가 돌아다니며 박자와 움직임을 연결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4. 4/4박자 음악에 맞춰 해보기 -음악에 맞춰 8박자씩 감정 단어로 만든 움직임을 해 본다. 1. 누워서 바람 느끼기 -제자리에 누워 눈을 창문을 열고 바람이 어디서 부는지 느껴본다. -앉아서 바람이 불었던 방향으로 내 몸을 쓰다듬어본다. 정

(위에서 아래, 아래서 위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등 교사가 신체부위를 이

야기해주며 쓰다듬어본다.) 2. 모둠일기쓰기 -모둠원이 돌아가며 그날 모둠활동에서 인상 깊었던 일 쓰기 -다른 모둠원들은 일기를 읽고 댓글을 달기

활동의 유의점

돌아가며 쓰기 활동지를 할 때 친구의 의견을 보고 덧붙이는 내용을 쓸 수 있도록 하며 8박자로 움직임을 만들 수 있도록 교사가 중간 중 간 검토한다. 3차시 협동학습구조

모둠 안 학생들이 답을 적은 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내용을 “돌아가며쓰기”란? 덧붙이는 방법입니다. 브레인스토밍, 문제해결방법 찾기, 뒷이야 기꾸미기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모둠원이 하루씩 돌아가며 그날 모둠이나 학급에서 있었던 인상 “모둠일기쓰기”는? 깊었던 일을 모둠별로 쓰고 나머지 모둠원은 댓글을 달아주는 활동입니다. 3-4. 4차시 활동명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이야기Ⅳ

소주제

4. “나의 기분을 알겠니~?”

교육과정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3~4학년

소요시간

40분

교육대상

1. 감정단어로 만든 동작으로 스펀지 판을 이용해 대형을 만들 수 있다. 활동목표

2. 대형을 만들고 감정 움직임을 해볼 수 있다. 3. 음악에 맞춰 완성된 움직임을 발표할 수 있다.

활동자료 학습 단계 도 입

스폰지 판, 박자음악, A4용지, 펜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1. 모둠으로 음악에 맞춰 3차시 때 만든 움직임으로 몸 풀기 -모둠으로 원으로 서서 감정으로 만든 움직임을 한다. -음악에 맞춰 8박자로 “기쁨”“슬픔”“놀람”“편안함” 순서대로 움직임을 해본다. 165


협동으로 표현하는 감정 이야기

1. 모둠으로 대형 만들기 󰡔협동학습구조 “그리기-짝-바꾸기”󰡕 -모둠원 각자 대형을 표현하는 그림을 하나 그린다. -모둠의 짝에게 그림을 보여주고 설명하면 듣고 있던 짝은 질문을 하거나 피드백을 한다. -짝의 질문과 피드백을 바탕으로 그림을 다시 검점 한다. -짝을 바꿔서 이전 짝의 그림을 새로운 짝에게 설명한다.

전 개

2. 다 같이 대형 선택하기 󰡔협동학습구조 “하나둘 셋”󰡕 -짝에게 피드백을 받고 고친 대형그림을 모둠에게 설명한다. -모둠원 모두의 설명이 끝나면 “하나둘 셋‘으로 선택한다. 3. 선택된 대형으로 스펀지 판 순서 정하기 -선택된 대형으로 감정움직임의 순서를 정하는데 규칙, 또는 불규칙으로 만든다. -스펀지 판 위에 올라가 이동하며 움직임을 해본다. 4. 발표하기 -모둠으로 발표하고 어떠한 경험과 느낌으로 움직임을 만들었는지 설명한다. 원으로 앉아 박자 마시고 박자 마시고 박자 마시고

정 리

박자로 호흡하기 박자 내쉬기 박자 내쉬기 박자 내쉬기

원으로 앉아서 느낌 나누기 모둠활동이 즐거웠나요 움직임을 만드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나요 감정 속에 움직임을 찾을 수 있었나요 모둠일기쓰기 모둠원이 돌아가며 그날 모둠활동에서 인상 깊었던 일 쓰기 다른 모둠 들은 일기를 읽고 댓글을 달기

활동의

대형을 만들 때 동작에 대한 연결성을 보고 만들 수 있도록 지도한다

유의점

모둠원이 정확한 순서와 박자를 알고 발표할 수 있도록 교사가 검토한다

166


무용분야 - 최우수상

4차시 협동학습구조 “그리기-짝-바꾸 기”구조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다음 그 생각이나 의견을 친구들과의 상 호작용을 통해 더 발전시켜나가고 통합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 같이 하나둘 모둠원이 서로의 생각을 말하고 그 중에 하나의 모둠 의견을 정 하며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셋”구조란? “모둠일기쓰기” 는?

모둠원이 하루씩 돌아가며 그날 모둠이나 학급에서 있었던 인상 깊었던 일을 모둠별로 쓰고 나머지 모둠원은 댓글을 달아주는 활동입니다.

167



무용

우 수 상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심 금 란, 정 다 정



무용분야 - 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관련 장르

무용, 과학

대상연령

초등학교 6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 주제

기본교과 차시별 40분 신체를 활용한 과학교과의 [실험관찰] 구현 및 창작 ■ 프로그램의 목표 1. 과학 교과과정에 해당하는 차시별 실험을 신체를 이용한 과학지식습득 2. 과학의 실험원리를 신체로 표현하며 창의융합역량 향상 3.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는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고취 4. 친구들과 함께 신체로 표현하며 의사소통능력 향상 및 유대감 강화 ■ 프로그램 구성요소 6학년 1·2학기 개정 과학 교과서의 교과를 기반으로 한 통합 예술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용 요약

과학 1학기 – 03. 렌즈의 이용 – 05) 오목/볼록 렌즈로 보는 물체 1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이동경로를 표현·창작, 이동움직임과 대열의 변화 창작 과학 1학기 – 06. 소리의 성질 – 05) 소리 전달의 원리

2

소리의 전달 과정을 매질의 차이에 따라 표현·창작, 동작의 전달과 시간차 움직임 과학 2학기 - 02. 전기의 작용 – 07. 전자석의 성질

3

전자석의 원리를 이해하고 자석과 철가루를 표현·창작 비틀기와 상상을 움직임으로 구체화하여 창작 6학년 2학기 -02. 전기의 작용- 04. 전동기의 속도와 연결방법

4

전류의 연결방법에 따른 전동기의 속도변화 표현 신체기술인 <돌기(Turn)>를 신체부위별, 친구들과 함께 움직임 창작

171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오목·볼록렌즈를 통과하는 - 오목·볼록렌즈의 이해와 신체 적용

1차시

빛의

이동

경로를

이용한 - 오목·볼록렌즈의 빛의 이동경로를 표현

대열 발견과 움직임 창작

- 친구들과의 대열을 이용한 이동움직임 창작

매질(고체, 액체, 기체)로 인 - 매질로 인해 전달되는 소리의 전달을 이해 해 전달되는 소리의 원리를 - 고체, 액체, 기체의 분자의 특징을 살려 동

2차시

이해하고 각 매질의 특징을 작으로 표현 이해하여 움직임을 전달하는 - 매질 별로 소리의 전달을 신체로 전달 캐논 움직임* 창작

3차시

- 캐논 움직임과 움직임 시간차의 이해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철가루와

자석의

움직임을

비틀기로 표현하며 즉흥창작

- 전자석의 원리를 이해 - 비틀기로 철가루의 변화를 표현 - 친구들과 자석의 위치이동을 상상하며 상상 움직임을 즉흥·창작

전동기의 움직임 특징을 이 - 전동기의 속도 변화를 몸으로 표현 용하여 신체 부위별 원형 움 - 신체기술인 <돌기(Turn)>의 유형을 창작하

4차시

직임을 파악, 전류의 연결 고 신체부위별 원형의 움직임을 발견 방법에 따른 속도변화를 신 - 에너지의 세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과 움 체로 표현

직임 창작 구현

캐논움직임* : 동작을 순서를 바꿔 반복하거나 같은 동작을 타인이 변형하며 재구성하는 것 ex. A라는 동작과 B라는 동작이 있다고 가정할 때 움직임의 순서를 A-B-A/ A-A-B로 하는 것

172


무용분야 - 우수상

2. 세부내용 차시 개요 6학년 무용창작 1차시 학습주제

오목·볼록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경로를 움직임으로 탐색

대영역

무용창작

교수형태

■수업지원형태 □기능보완형태 □수업분담형태 □학습자분할형태

중영역

이동 경로 - 교과통합 □예술강사 주도형

교수비중 ■공동주도형 □교사주도형

∎오목·볼록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경로 형태 차이 이해 학습목표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형태를 리듬과 함께 움직임 표현 ∎모둠별 창작과정에서 이동경로의 다양한 차이점 표현 ∎친구들과 함께 창작해가며 타인의 의견을 존중·경청·수렴

학습개요 관련교과 준비물

오목·볼록 렌즈의 원리 방법을 이해 오목·볼록 렌즈의 빛의 이동경로를 움직임으로 탐색 및 새로운 대열 창작 6학년 1학기 과학 <03. 렌즈의 이용> 05) 오목/볼록 렌즈로 보는 물체 빔 프로젝트. 관련 사진. 발언마이크, 관련음악

[세부활동내용] 학습 단계

도입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시간 (분)

- 인사 - 학생들의 출결 및 건강상태 확인 - 전시학습 상기 및 오늘의 학습 목표 확인

1

- 스트레칭 머리-어깨-가슴-골반-무릎-발목 순 음악에 맞추어 천천히 진행

3

- 오목·볼록렌즈의 차이점 설명 - 렌즈에 따른 빛의 이동경로에 대한 기존학습내용 상기 및 호기심자극

1

- 각 렌즈를 통과하는 빛에 대한 토론

4

173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볼록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구조

오목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구조

[출처 : http://www.i-scream.co.kr]

- 오목·볼록렌즈의 원리에 대해 발언마이크를 활용한 토론 * 발언마이크 : 학생들이 스스로 의견을 설명할 때 순서를 위한 도 구로 토론을 하는 기본적인 개념인 주장과 그 이유에 대해 설명을 간 결하게 할 수 있을 때 사용 - 렌즈의 형태 표현

- 위와 같은 선 위에서 손을 잡고 기립

4

- 선생님의 신호와 음악에 맞추어 볼록- 오목대열 변환 - 확장한 볼록렌즈, 수축한 오목렌즈를 다양하고 생동감 있게 동작을 창작 - 확장하는 과정, 수축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표현 - 렌즈 팀과 빛 팀으로 나눠 빛의 이동 경로를 리듬과 함께 표현

전개 - 상상유도

5

∎ 빛에 리듬이 있다면 어떻게 움직일까? ∎ 빛은 통과할 때 어떤 동작을 이동할까? ∎ 오목·볼록 렌즈는 빛이 통과될 때 어떤 동작을 할 수 있을까? ∎ 통과된 빛들은 오목·볼록렌즈로 인해 가운데로 모일 때 이동의 움직임 변화의 차이는 어떠할까?

- 오목·볼록렌즈의 움직임 대열에 따라 빛의 이동 경로 표현 - 친구들과 움직임 연결이 자연스러울 수 있는 신체 연결동작을 더함 - 개인별 수축·확장을 주제로 부피의 차이를 신체움직임 창작 - 수축은 천천히 2박자 약하게, 확장은 강하고 빠르게 4박자 반복 - 박자 안에서 빛의 이동경로를 표현 174

6


무용분야 - 우수상

- 그룹 분할 - 수축과 확장을 주제로 한 군무 창작 - 렌즈의 통과과정처럼 대열이동이 드러나는 움직임 창작 - 음악은 느림과 빠름이 잘 드러나는 곡을 선택적 이용 10

군무 대열 창작 예시1

군무 대열 창작 예시2

- 발표 - 다른 그룹의 작품을 진지한 마음으로 관찰

5

- 생각나누기 - 오목·볼록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이동경로와 리듬의 차이점 - 렌즈를 통과한 빛의 이동처럼 친구들과 함께 이동을 하는 대열 창작의 느낌 정리

5

- 친구들의 발표에서 칭찬하고 싶은 말 또는 발표를 하면서 느낀 점 공유 - 호흡과 마무리 스트레칭 <Cooling Dawn> - 다음 차시 예고 및 인사

2

- 학생들의 창작을 위해 강사는 다양한 생각을 하게 하는 질문이 필요 TIP

- 전체의 대형을 위해서는 협동심과 전체를 보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 - 박자에 따른 동작 구성의 설명을 첨가 - 무용은 (시간 + 공간) 이라는 개념을 강조

175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3-2. 2차시 [개요] 6학년 무용창작 2차시 학습주제

소리를 전달하는 과정을 매질의 성질에 따른 움직임으로 창작

대영역

무용창작

교수형태

■수업지원형태 □기능보완형태 □수업분담형태 □학습자분할형태

중영역

신체활용 - 교과통합 □예술강사 주도형

교수비중 ■공동주도형 □교사주도형

∎소리의 전달의 원리 이해 학습목표

∎고체·기체·액체의 특징을 표현 및 캐논 형식의 창작과정 경험 ∎신체부위별 감정표현을 하며 세부 신체부위의 움직임 표현방법 발견 ∎친구의 동작에 리듬을 더해서 춤 하모니 형성 소리를 전달하는 매질(고체·기체·액체)로 전달되는 소리의 특징 이해

학습개요

및 소리의 전달방법원리를 이용한 춤 창작 친구에게 동작을 전달하며 춤 몰입과 감정을 신체부위를 활용 표현

관련교과 준비물

6학년 1학기 과학 <06. 소리의 성질> 05) 소리 전달의 원리 빔 프로젝트, 관련사진, 감정카드, 신체카드, 발언마이크, 관련음악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도입

176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시간 (분)

- 인사 - 학생들의 출결 및 건강상태 확인 - 전시학습 상기 및 오늘의 학습 목표 확인

1

- 스트레칭 머리-어깨-가슴-골반-무릎-발목 순 음악에 맞추어 천천히 진행

3

- 소리의 전달원리 기존 학습내용 상기 및 호기심 자극 - 동영상 자료 감상(1분) http://www.i-scream.co.kr/pTVplayer/player.asp?tableName=V_CONTEN TS_MOV&contents_no=2141008u743203&codeId=223519&preNext=undefi ned&fs=500 - 신체부위가 적힌 신체카드를 1인당 3장씩 준비 - 신체카드에 적혀있는 자신의 신체부위를 움직여 짝이 유추 - 이때 상대가 한 번에 맞추지 못하도록 여러 부위를 동시에 움직임 - 신체부위를 골고루 움직일 수 있도록 실행

1

2


무용분야 - 우수상

- 감정카드(슬픔, 우울함, 분노, 행복함 등)를 1인당 3장씩 준비 -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우주라는 공간에서 대화를 나눈다는 전제

3

- 짝과 함께 상대의 감정카드를 동작만으로 유추 - 매질(고체, 액체, 기체)의 차이점 기존학습내용 상기 및 호기심자극

고체

고체형태표현예시

액체

액체형태표현예시

기체

기체형태표현예시

- 상상유도

3

- 상상유도 ∎매질(고체, 액체, 기체)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매질에 따라 소리의 전달 속도는 어떻게 다를까? - 분자가 촘촘한 순으로 고체>액체>기체이다. ∎매질이 전달할 때 어떻게 움직일까? - 모든 매질은 미세한 떨림을 갖고 있다.

- 물질의 특징을 나타내는 움직임 창작 - 선생님이 외치는 단어 제시에 따라 분자의 형태 움직임 - 확산적 사고를 위해‘다양한 음악’에 따라 제시단어를 움직임으로 표현 전개

[ 제시 단어 ] 의자, 책, 물, 음료수 등 학생들이 흔하게 알고 있는 물질들

2

고체표현→ 고체의 분자형태 가까이 모여 있는 상태로 정지 액체표현→ 고체보다는 서로 떨어진 관계를 유지하며 움직임 기체표현→ 자유분방하게 움직임 [ 다양한 음악 ] “할아버지 11개월”, “Bubble love”등등

- 고체 분자형태에서의 감정 전달 움직임 - 친구에게 표정으로 2박에 무겁고 느린 리듬에 맞춰 감정전달

3

- 마지막에 전달받은 학생은 어떤 감정을 친구가 전달했을지 유추 - 액체의 소리전달 움직임 - 액체는 흘러가는 특징을 춤 창작 - 학생이 액체처럼 4박자 부드러운 리듬에 맞춰 춤추고 다른 학생에게 이동

3

- 전달받은 친구는 친구의 움직임과 같은 움직임으로 다른 친구에게 전달 - 기체의 소리전달 움직임 - 공기 중에서 활발하게 8박자 가볍고 약한 리듬에 맞춰 춤을 춘 후

3 177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자유롭게 이동 - 선생님이 이름을 부르면 이름이 불린 학생의 동작을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부터 따라하며 계속 확장 - 캐논 움직임의 개념 설명 및 동작 구현 *캐논 움직임 : 동작 순서를 바꿔 반복하거나 같은 동작을 타인이 변형하며 재구성하는 것 A-B-A/ A-A-B로 구성

- 캐논 움직임을 활용하여 반 전체를 3그룹으로 분배 - 기체 움직임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A그룹 8박자로 움직인 후에 B그

4

룹 8박자, C그룹 8박자를 차례로 같은 동작을 형성 - A그룹과 C그룹이 동시 8박자로 움직인 후에 B그룹의 8박자 움직임 - C그룹이 4박자가 될 때 A, B가 시작하여 8박자로 움직임 - 그룹 분배 - 그룹별 우리주변에 있는 물질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소리를 전달하 는 과정을 몸으로 표현·창작

10

- 총 64박자로 구성된 캐논움직임이 포함된 작품 창작 - 발표 - 다른 그룹의 작품을 진지한 마음으로 관찰

3

- 다른 그룹이 한 작품이 어떤 물질을 표현한 것인지 유추 - 생각나누기 - 소리의 전달과 움직임 상상의 경험 발언마이크를 통해 공유 - 각 매질의 소리 전달을 표현할 때의 차이점 공유 정리

5

- 먼 곳에서 시작한 움직임이 나에게까지 전달되어 올 때 소감발표 - 작품을 통해 캐논움직임으로 앞으로 할 수 있는 움직임 모색 - 호흡과 마무리 스트레칭 <Cooling Dawn> - 다음 차시 예고 및 인사

2

- 강사가 각각 다른 분자에 대해 설명하고, 분자들의 특징에 대해 상상할 수 있도록 명확한 시각자료 필요 * 물질의 특성은 초등학교 3학년>1학기>1.우리 생활과 물질>3. 물질의 상태 참조 * TIP

- 모둠별 창작 과정에서 학생들이 힘들어할 때 강사가 “물”이라는 주제를 활용, 얼음-물-수증기 순으로 창작주제 제시 - 꿀, 바닷물, 시냇물, 과일즙물, 잼 등 다양한 점도의 차이를 예로 설명하며 활발한 액체와 다소 움직임 느린 액체 표현 - 액체는 소리 전달과정에서 파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진동하는 모습을 표현

178


무용분야 - 우수상

3-3. 3차시 [개요] 6학년 무용창작 3차시 학습주제

자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철가루의 움직임을 신체를 활용하여 구현

대영역

무용창작

교수형태

■수업지원형태 □기능보완형태 □수업분담형태 □학습자분할형태

중영역

공간탐색 - 교과통합 □예술강사 주도형

교수비중 ■공동주도형 □교사주도형

∎전자석의 원리이해 학습목표

학습개요 관련교과 준비물

∎비틀기로 즉흥 상상하여 철가루의 변화 표현 ∎친구들과 전자석의 위치이동을 상상하며 상상움직임을 창작 전자석의 움직임을 탐색과 자석에 따른 철가루의 변화과정을 상상움직 임으로 탐색 나아가 창의적인 상상을 움직임으로 표현 6학년 2학기 과학 <02. 전기의 작용> 07. 전자석의 성질 발언마이크, 관련음악

[세부활동 내용] 학습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단계

- 인사 - 학생들의 출결 및 건강상태 확인 - 전시학습 상기 및 오늘의 학습 목표 확인 도입

시간 (분)

1

방향의 전환 신체움직임 8박 마다 원스텝과 투스텝을 바꿔가며 이동 움직임 선생님이 언급하는 방향으로 옮김 움직일 때 신체부위를 이용할 수 있도록 ‘목을 움직이며 오른쪽!’ 등의 구체적인 지시어를 제시 - 좌우상하앞뒤의 방향전환에 목적을 두고 박자를 조금씩 늘리며 진행

2

- 방향의 전환 + 접촉 움직임 - 두 명씩 신체부위가 맞닿은 상태에서 움직임을 하며 방향전환을 함께 진행 - 16박자에 맞추어 짝을 바꿔가며 진행

2

- 방향의 전환 + 반대 움직임 - 두 명씩 서로의 동작의 반대가 되는 것을 생각하며 동작 실행

3

179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 예시 ] A 앞으로 오른발부터 걸어감

↔ B 뒤를 향해 누워서 기어감 다른 방향으로 걸어감 왼발부터 걸어감

- 자기장의 과학원리 기존학습내용 상기 및 호기심자극

- 자기장의 원리 동영상 감상 (1분 2초) http://www.i-scream.co.kr/pTVplayer/player.asp?tableName=V_CONTENTS_MO

4

V&contents_no=2010418o5944523&codeId=108511&preNext=undefined&fs=500 - 상상유도 ∎ 자기장처럼 둥글게 늘어서는 것을 신체로 표현한다면 어떻게 할 수 있 을까? ∎ 자석이 철가루를 당기는 것을 신체로는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 자석들이 정지되었다가 자석 때문에 움직일 때는 어떻게 움직일까? ∎ 빠른 속도의 이동을 하는 철가루가 만약 느리게 움직인다면 어떨까? 전개

- 오른손을 자석의 S극, 왼손을 자석의 N극이라 하였을 때 대열구성

- 한 사람씩 움직여보며 전체의 대열 변화를 관찰 [ 예시 ]

3

가장 끝 쪽에 있는 사람이 움직였을 때 대열의 변화

- 자석과 철가루 - 강사가 교실의 중간에 누워 머리가 S극, 다리가 N극인 자석 제시 - 학생들이 철가루이 되어 자기장에 의해 변화하는 철가루를 표현 - 빠른/ 느린 8박자에 맞추어 번갈아 자석의 방향전환 180

7


무용분야 - 우수상

철가루와 자석 표현

철가루 자석 표현 예시

자석의 이동과 철가루의 변화

철가루 이동변화 예시

- 자석의 역할을 교대로 진행 - 철가루가 이동할 때 어떻게 움직일지 상상하며 이동 - 신체부위 비틀기를 활용하여 비틀어지며 이동하는 것을 강조 - 그룹 분할 - 확산적 사고를 위해 박자가 들어가 있는 관련음악 사용 - 자기장과 철가루를 이용한 그룹별 작품제작 - 48박자에 맞추어 창의적인 동작 형성 - 비틀기를 이용한 창의적 동작 형성을 위한 즉흥 동작 - 상상유도 질문을 통해 그룹별 아이디어와 함께 작품창작 - 상상유도

10

∎ 자석이 직립보행을 한다면 자기장은 어떻게 이동할까? ∎ 자석이 데구르르 구른다면 철가루의 움직임은 어떻게 변화할까? ∎ 날아다니는 철가루에 자석이 지나가면 붙는 것의 속도는 어떻게 표현할 까? ∎ 자기장이 벽에 붙어있다면 철가루 세기는 어떻게 될까? ∎ 자석이 손과 발을 움직이면 철가루들은 리듬은 어떻게 이동이 될까?

- 우리 그룹의 자기장은 어떻게 형성되어있는지 어떻게 움직일 것인 지 발언마이크를 통해 발표 전 설명 - 발표

5

- 다른 그룹의 작품을 진지한 마음으로 관찰 181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 생각 나누기 - 전자석의 원리를 이해 - 전자석 과학원리를 몸으로 표현하며 느낀 점 공유 정리

5

- 비틀기 동작을 즉흥 상상을 통해 표현한 것에 대한 소감 공유 - 다른 그룹의 발표를 소감 혹은 의견 공유 - 호흡과 마무리 스트레칭 <Cooling Dawn> - 다음 차시 예고 및 인사

2

- 학생들의 창작을 위해 다양한 생각을 하게 하는 질문이 필요 - 다른 학생들이 자신의 그룹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간단한 작품설명이 필 TIP

요함을 인식하며 실제 학생이 공연을 보러 갔을 때 팜플렛의 공연소개와 공연구조의 관찰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 필요 - 동영상을 보는 것보다 과학실험도구를 직접 가져와 설명하는 것을 권장

182


무용분야 - 우수상

차시 개요 6학년 무용창작 4차시 학습주제 대영역 교수형태

돌기<Turn>를 이용한 에너지의 세기에 따른 스토리텔링과 움직임 창작 무용창작

중영역

■수업지원형태 □기능보완형태 □수업분담형태 □학습자분할형태

신체기술 - 교과통합 □예술강사 주도형

교수비중 ■공동주도형

□교사주도형 ∎전류의 연결방법에 따른 전동기 속도 변화를 이해 ∎신체기술인 <돌기(Turn)>의 유형을 창작 학습목표

∎신체부위별 원형의 움직임을 발견 ∎직렬·병렬 구조를 이용 대열과 원형의 움직임 접목 ∎실생활에서 느끼는 감정을 활용한 작품을 구성 ∎작품제작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 전동기의 Fan의 특징을 이용한 신체 부위별 원형 움직임을 파악, 전류의

학습개요

연결 방법에 따른 속도변화를 이용하여 에너지라는 주제를 이용한 자신 의 이야기를 활용한 표현

관련교과 준비물

6학년 2학기 과학 <2. 전기의 작용> 04) 전동기의 속도와 연결방법 발언마이크, 관련음악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인사 - 학생들의 출결 및 건강상태 확인 - 전시학습 상기 및 오늘의 학습 목표 확인

시간 (분)

1

- 전동기 전지에 연결하는 전류실험 기존학습내용 상기 및 호기심자극

1

도입

- 전지의 연결방법에 따른 전동기의 속도 변화 동 영 상 감 상 http://www.i-scream.co.kr/pTVplayer/player.asp?tableName=V_CONTENTS_MO

3

V&contents_no=2010222n173296&codeId=108423&preNext=undefined&fs=500 183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연결방법에 따른 전동기 세기 비교

전지의 직렬연결 일 때의 전동기의 세기

- 박자가 드러나는 관련 음악사용 - 신체를 부위 별로 원을 그려 돌리는 움직임 창작 눈-입-머리-어깨-손목-손가락-등-허리-엉덩이-무릎-발 - 누워서 16박자의 돌리는 움직임 [ 예시 ] 옆으로 구르기, 등을 바닥에 댄 채로 다리를 들어 돌리기

- 두 명씩 할 수 있는 전동기의 8박자 움직임

5

[ 예시 ] 손을 잡고 이동하며 돌기, 등을 맞댄 채 팔짱을 끼고 돌기

- 세 명씩 할 수 있는 전동기의 8박자 움직임 [ 예시 ] 손을 잡고 이동하며 돌기, 한 명은 가운데 들어가고 나머지 두 명이 감싸 돌기,

- 그룹형성 - 직렬병렬을 이용한 대열변화 - 6명이 한 그룹이 되어 짝꿍과 각각 전지역할 설정 [ 상상유도 ]

전개

전력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상상하며 전기를 생성하는 건 어떻게 표현할까?

- 전지 안의 +와 –의 상상움직임 표현 8박자 - 전동기 움직임 창작 16박자 - 전동기의 회전 속도는 병렬의 대열에서 직렬보다 빠름 회전의 템포 이해 - 직렬 병렬을 교대로 움직임

184

10


무용분야 - 우수상

[ 그림 설명 ]

직렬대열의 변화 예

병렬대열의 변화 예

- 에너지의 차이에 대한 토론 - 에너지가 있는 표현과 에너지가 없는 표현의 차이 - 실생활에서 나의 에너지를 없애는 것과 생기게 하는 것을 토론

7

- 우리를 힘들게 하는 것과 행복하게 하는 것을 토론 - 발언마이크를 활용하여 서로 토론 - 그룹별 직렬· 병렬 대열과 전동기의 움직임을 활용한 학생들의 창작 - 전 토론에서 나온 의견들을 바탕으로 한 스토리가 있는 작품 제작 - 개인별 turn을 활용한 움직임 창작 8박자 - 속도의 차이를 표현하는 16박자 - 전체의 turn을 창의적 움직임을 16박자 - 위의 순서와 필수적인 박자로 구성하여 작품 구성

13

[ 예시 ]

학생들의 창작모형 예시

- 우리 그룹의 주제, 우리의 에너지는 어떠한 것이 있었는지 어떤 식 정리

으로 표현할지 작품설명 - 발표

3

- 다른 그룹의 작품을 진지한 마음으로 관찰 185


몸으로 이해하는 과학원리

- 생각 나누기 - 전동기를 활용한 turn의 움직임의 소감공유 - 직렬과 병렬을 활용한 우리를 힘들게 했던 것들을 직접 표현해본 감상

5

- 친구들을 에너지를 낮게 만드는 것의 원인에 대한 토론 - 나에게 에너지를 잃게 했던 것을 직접 작품화했을 때의 감정 변화 - 호흡과 마무리 스트레칭 <Cooling Dawn> - 다음 차시 예고 및 인사

2

- 학생들의 창작을 위해 다양한 생각을 하게 하는 질문이 필요 TIP

- 학생들이 자신을 힘들게 하는 것을 이야기하지 않으려고 할 때도 게임이나 숙제, 학교생활 등의 공통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하며 토론이 필요 - 춤으로 스트레스를 승화할 수 있도록 공감의 표현과 피드백이 필요

186


무용

표 현 예 술 활 동 _인 간 의 심 리 탐 구

이 윤 주



무용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표현예술활동 -인간의 심리탐구

관련 장르

통합예술 (무용 + 미술 + 연극)

대상연령

초등학교 3~4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토요동아리 80분 (미술활동(30분), 움직임표현활동(50분) 감정인형과 춤추기 ■ 프로그램 개관 및 개발 배경 교육학자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중

6가지 이상의 지능을 발달 시키는데 도움이 됨.

프로그램 내용 요약

■ 프로그램 특성 및 기대효과

나의 감정을 이해해야 타인의 감정을 이해. 감정은 삶 속에서 만족을 경험하고 다른 사람들과 바람직한 관계를 맺는 시작점이 될 수 있음. 공감능력 향상

189


표현예술활동_인간의 심리탐구

감정인형과 춤추기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나의 image

1차시

& 마리오네트 인형이 되어보자

-내 안에 있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을 이해하고 가 면으로 표현 할 수 있다. -마리오네트 인형극의 요소 (수동. 능동)을 이해하 고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나만의 감정카드

2차시

주요 활동내용

&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인간의 주요 6가지 감정을 탐색하고 표정과 움직 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감정을 이해하고 움직임으로 연상 할 수 있다.

선으로 분노 표현하기

3차시

& 몸으로 분노 표현하기

나만의 행복인형 만들기

4차시

& 행복의 징검다리 건너기

190

-다양한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할 수 있다. -분노와 연상되는 이미지를 상상하고 몸의 변화에 대해 떠올리며 움직임으로 연상할 수 있다.

-행복인형을 만들고 감정과 이미지를 색으로 표 현할 수 있다. -행복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행복에 연상된 움직임 을 창작할 수 있다.


무용분야 - 입선

1차시 (80분) 수업주제 나의

마리오네트 인형이 되어보자

내 안에 있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을 이해하고 가면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업개

수업목표

마리오네트 인형극의 요소 수동 능동 을 이해하고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종이 가면틀 색종이 풀 가위 파스넷 크레파스 싸인펜 꼴라주 할

준비물

잡지나 사진 등

음악

호두까기 인형 음악 인형극 관련 효과음 시계테엽 오르골등 교수 학습 과정안 학습활동 교사

단계

학생

시간

인사를 하고 수업주제에 대해 모둠별로

설명한다 도입

나의 이미지에 대해 남이 보는 나의 이미지와 내가 알고 있는

명씩 원으로 둘러 앉는다

앞에 준비물을 놓고 교사의 말을 듣고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생각한다

이미지에 대해 이야기 한다 【1】가면꾸미기 각각의 재료를 이용하여 가면틀에 나를 표현한 이미지를 자유롭게 꾸며본다 겉 속

전개

종료

분 전과

분 전에는

학생들에게 마무리 시간을

【2】이야기하기

알려준다

완성된 가면을 각자 조원들 앞에서

스스로 마무리 과정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움 조별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각조를 돌아가면서 살펴본다

동기 유발

준비

나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남들이 말하는 나의 모습 나의 외향적 모습 나만 아는 나의 모습 나의 장점 들키기 싫은 모습

체코의 마리오네트 인형극 동영상을 보여준다

발표한다 겉과 속 중 어떤 것을 선택했으며 어떤 모습을 표현했고 활동 후 드는 생각이나 느낌을 과정에 따라 설명한다 발표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동영상을 보고 인형의 움직임과 사람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그밖에 다양한 사진들도 보여준다 인형이 되었다고 상상하고 학생들과 인형이 되었다고 상상하며 온몸의 함께 움직인다

움직임 음악에 맞춰 다음과 같은 리듬에 따라 움직인다

관절을 움직인다 어깨 팔꿈치 가슴 등 무릎 발목 등을

하나씩 움직이기 191


표현예술활동_인간의 심리탐구

천천히 느리게 움직이기 점점 빨라지다가 정지하기 작게 점점 크게 크게 점점 작게 스타카토 처럼 딱딱 끊어 움직이기

온몸의 관절을 움직이기

【1】인형과 사람되기 둘씩 짝이 되어 눕기 앉기 서기 등 다양한 자세로 시작한다 인형 줄이 있다고 상상하고 사람이 조정하는 대로 움직임 사람 인형을 바라보도 의도대로 조정 【2】초능력 장풍쏘기 순서를 정해 돌아가면서 사람이 되고 움직임 탐색 및 춤추기

천천히 느리게 움직이기 점점 빨라지다가 정지하기 작게 점점 크게 크게 점점 작게 스타카토 처럼 딱딱 끊어 움직이기

나머지는 인형이 된다 주문과 함께 온몸을 이용해 장풍을 쏜다 직접적인 터치나 접촉이 있어서는 안된다

회오리가 일어난다 내 장풍을 받아라 다양한 음악에 맞춰 리듬에 따라 움직인다

【3】내가 지휘자 마찬가지로 한사람씩 돌아가며 지휘자가 된다 나머지 인형들은 모두 쓰러져 있다가 한명씩 지휘자의 주문에 맞춰 일어나고 쓰러진다 지휘자는 쓰러져 있는 인형을 앉고 일어나고 돌고 뛰게 할 수 있다 원칙 한사람당 움직임을 개로 제한

오늘 해본 활동과 표현에 대해 이야기 자신이 느낀 감정이나 재밌었던 하기

부분을 돌아가면서 발표해보도록 한다

192

다른 친구들의 기발했던 생각이나 표현들도 이야기해본다 한사람씩 돌아가며 발표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경청한다


무용분야 - 입선

2차시 (80분) 수업주제 나만의 감정카드

수업개

수업목표

인간의 주요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가지 감정을 탐색하고 표정과 움직임으로 표현 할 수 있다

다양한 감정을 이해하고 움직임으로 연상 할 수 있다

요 준비물 음악

용지 가위 색연필 볼펜 경쾌한 음악 잔잔한 음악 교수 학습 과정안 학습활동 교사

단계

인사를 하고 수업주제에 대해 도입

설명한다 기쁨 슬픔 화남 놀람 부끄러움 무서움 가지 감정에 대해 설명한다

전개

앞면 얼굴표정

학생 모둠별로

시간

명씩 원으로 둘러 앉는다

앞에 준비물을 놓고 교사의 말을 듣고

가지 감정에 대한 표정을 지어본다

뒷면-감정과 어울리는 이미지

【1】감정카드 만들기 -A4용지를 6분할로 나누어 6개의 이미지 표현은 자신이 생각나는 대로 감정카드를 만든다. 형식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하도록 【2】이야기하기 한다

자신이 만든 이미지를 보여주고 어떨 조별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각조를 돌아가면서 살펴본다

때왜 이런 표현을 했는지 이야기 해본다 발표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으로 학생들을 세운다 다음과 같은 리듬을 사용한다 준비 움직임

기쁨을 빠르게 느리게 정지 슬픔을 빠르게 느리게 정지 화남을 빠르게 느리게 정지 놀람을 빠르게 느리게 정지 부끄러움을 빠르게 느리게 정지 무서움을 빠르게 느리게 정지 랜덤으로 움직이기

다음의 순서로 제자리에서 움직인다 기쁨 슬픔 화남 놀람 부끄러움 무서움 감정을 느꼈던 상황을 떠올리며 표정과

움직임으로 표현해본다

193


표현예술활동_인간의 심리탐구

학생들이 돌아가면서 조별활동을 잘 수행하는지 살펴보고 조언을 해준다 우리가 평소에 느끼는 감정이지만

움직임 탐색 및 춤추기

자주 접할 수 없었던 단어카드를

【1】침묵의 카드게임

제시한다

놀람 기쁨 기쁨 슬픔 등 가지 이상의

끔찍하다 상처입었다 편안하다 긴장된다 자신있다 좋아진다 답답하다 생기발랄하다 사랑한다 단호하다 희망차다 뿌듯하다

감정을 선택해서 움직임을 만든다 한명씩 돌아가면서 자신이 만든 움직임을 발표한다 나머지 학생들은 움직임을 보고 카드로 대신 답을 한다

【2】감정카드 표현하기 각 조의 조장이 카드를 가져온다 선택한 감정카드 상황을 상상하고 움직임을 만든다

학생들에게 하나하나 설명한 후 각 조의 조장이 뒤집힌 카드를 임의로 뽑게 한다 오늘 해 본 활동과 표현에 대해 이야기 자신이 느낀 감정이나 재밌었던 하기

부분을 돌아가면서 발표해 보도록 한다

194

다른 친구들의 기발했던 생각이나 표현들도 이야기 해본다 한 사람씩 돌아가며 발표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경청한다


무용분야 - 입선

3차시 (80분) 수업주제 선으로 분노 표현하기

몸으로 분노 표현하기

다양한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할 수 있다 수업

수업목표

분노와 연상되는 이미지를 상상하고 몸의 변화에 대해 떠올리며 움직임으로 연상할 수 있다

개요 준비물 음악

절지 필기도구 파스넷 싸인펜 등 효과음 앰뷸런스 굉음 천둥번개 폭우소리

빠른 음악 느린 음악

교수 학습 과정안 학습활동 단계

교사 인사를 하고 수업주제에 대해 설명한다 손으로 난화를 그리기에 앞서 몸의 각 부분을 이용해서 난화를 그려보게 한다

도입

학생들에게 신체의 각 부분을 이용해 자신 만의 리듬을 만들도록 해본다 빠르게 느리게 느리게 빠르게 자 그리기 나선형 모양 그리기

학생 모둠별로

시간

명씩 원으로 둘러 앉는다

앞에 준비물을 놓고 몸을 자유롭게 풀 수 있는 공간으로 선다 【1】 몸으로 난화 그리기

손끝 발끝 머리 어깨 팔꿈치 등 시계추처럼 힘을 빼고 팔 다리를 왔다갔다 해보기도 하고 흐느적 거리기를 해본다

손으로 난화 그리기 주어진 재료를 이용하여 조별로 각각의 영역을 정하고 각자의 색을 정하여 분노를 상상하여 선으로

전개

그린다 자유롭게 몸을 푼 후 자기 자리로 돌아가서 앉게 하고 각자 상상하는 선이나 형태 색깔을 표현해 보도록 제안한다 분노의 감정을 느낄 때 나타나는

흥미 유발

신체의 변화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한다 분노 와 연상되는 단어를 이야기 해보도록 한다

다 그린 후 다른 사람이 그린 영역의 형태를 찾아 색칠해본다

분노의 이미지 연상하기 각자 분노의 감정을 느꼈던 경험을 상상해 보고 선생님의 질문에 대답해 본다

얼굴이 빨개져요 가슴이 쿵쾅쿵쾅 뛰어요 숨이 씩씩 쉬어져요 195


표현예술활동_인간의 심리탐구

불꽃이요 화산폭발 뾰족한 송곳 마녀 악당 천둥번개 폭탄 팝콘 등등 단계 몸으로 표현해 보기

【1

구름 비 천둥번개 옥수수 냄비 팝콘 연상된 단어를 단계로 다음과 같이 움직여 보고 리듬의 변화를 몸으로

폭탄 불꽃 폭발 마그마 화산폭발 화산암

표현하도록 제안한다 【2】긴급상황 작게 점점 크게 크게 점점 작게 제자리 이동하면서 뛰다가 정지

이야기

효과음을 들려준다 앰뷸런스 소리 화산폭발 소리 천둥번개 소리

움직임 이야기 만들고 표현할 때 다음의

조원들끼리 주어진 단어를 사용하여

탐색

리듬이 포함되도록 만들어 보라고

긴급상황 주제에 맞춰 이야기를

권한다

만든다

춤추기 이야기 표현하기가 끝난 후 모두 하나가 되어 그동안 했던 움직임을

이용해 작품을 만들어본다

각조의 이야기에 따라 긴급하게

이야기 표현하기

움직인다 1.도미노 움직임 2.1-5조까지 동작으로 캐논움직임 3.음악이 꺼지면 순간 얼음 하고 모두 외치고 정지 4.도미노. 캐논. 정지를 랜덤으로

화산이 당장이라도 폭발할 것 같아요 모두 서둘러요 결국 터졌어요 비가 내려요 우르릉 쾅쾅 천둥이 치고 번개도 쳐요 나는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마녀 악당 도깨비예요

오늘 해 본 활동과 표현에 대해 이야기 재밌었던 부분을 이야기 해보도록 하고 하기

평소에 분노의 감정을 얼마나 자주 느끼는 지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한다

196

내가 평소에 분노의 감정을 얼마나 자주 느끼는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 분노를 표현하기 전과 후의 느낌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한사람씩 조별로 이야기해본다


무용분야 - 입선

4차시 (80분) 수업주제 행복인형 만들기

수업

수업목표

행복의 징검다리

행복 인형을 만들고 감정과 이미지를 색으로 표현 할 수 있다 행복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행복에 연상된 움직임을 창작 할 수 있다

개요 준비물 음악

석고붕대 바세린 일회용 쟁반 종이컵 물 가위 싸인펜 징검다리 애니메이션 음악 이웃집 토토로 캐리비안 해적 등 교수 학습 과정안 학습활동

단계

교사

학생

시간

인사를 하고 수업주제에 대해 설명한다 둘씩 짝을 지어 앉는다 앞에 준비물을 놓고 두 손가락 마디로 석고붕대를 자른다

도입

둘 중 누가 할 건지 순서를 정하고

먼저 하기로 한 친구의 손가락에 바세린을 꼼꼼히 발라준다 바세린을 꼼꼼이 바를 것을 주의하도록 시킨다 【1

인형틀 만들기

친구와 짝을 이루어 손가락에 바세린을 꼼꼼히 바르고 석고붕대를 두 손가락 마디로 잘라 물을 적셔 겹겹이 바른다 손가락에 겹겹이 바르고 어느 정도 틈이 생기면 떼어내고 굳을 때까지 기다린다 완성된 틀에 싸인펜으로 표정과 캐릭터를 정한다

전개

【2

캐릭터 정하기

캐릭터는 자신이 평소에 자주 느끼는 행복한 감정에 우선해서 정한다 엄마 아빠와 놀이동산에 간 나 신남이 종료 분 전과 분 전에는 학생들에게 마무리 시간을 알려준다 스스로 마무리 과정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움

맛있는 음식을 먹고 행복한 나 먹순이 동생을 잘 돌보고 부모님 말씀을 잘들어 칭찬받는 나 착한이 197


표현예술활동_인간의 심리탐구

내가 느낀 행복한 감정을 떠올리며 캐릭터를 정해보고 색깔은 다르게 선택한다

【1】징검다리 건너기 교사는 음악에 맞춰 스텝과 리듬에 변화를 주며 움직임을 유도한다

앞에 놓인 징검다리를 선생님의 지시대로 걷고 뛰어본다 스텝과 리듬에 변화를 주며 뛰어본다 【2】행복의 징검다리 건너기 아까 만들었던 행복 인형들의 순간을 떠올리고 행복할 때 연상되는 몸의 변화를 이야기해본다

움직임

각자 자신만의 행복 키워드를 가지

탐색

생각하고 동작을 만들어본다 음악에 맞춰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및 춤추기

리듬의 변화 작게 점점 크게 크게 점점 작게 제자리 이동하면서 뛰다가 정지

자신의 키워드를 외치고 동작을 한다 한 칸에 한 동작만 할 수 있으며 앞 사람이 모두 건너기 전까지 뒷 사람은 출발할 수 없다

스텝의 변화 【3】행복 릴레이 조별활동 걷기 뛰기

한칸, 두칸(뛰지 않기) 한발로, 두발모아, 한발들고, 옆으로 갤로핑스텝

한 사람이 건너고 반대편으로 뛰어와 다음 사람에게 하이파이브한다 팀씩 토너먼트 방식

모두 둘러앉아 행복했던 순간을 이야기 하기

떠올렸을 때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이야기 해보고 스스로의 노력으로 행복해 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을 해보고 수업을 마무리 한다

198

질문에 대해 생각하고 나의 생각을 조원들에게 발표한다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사진

최 우 수 상 빛나게 놀자

전 현 구



사진분야 - 최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빛나게 놀자

관련 장르

영화 사진 애니메이션

대상연령

초등학교 3~6학년,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교 1~3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창의적 체험활동 80분 사진과 영상의 원리를 이해하고 빛을 이용한 창작 활동을 통해 예술적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 ■ 프로그램 개관 - 빛으로 구현되는 애니메이션, 사진, 영상을 체험할 수 있다. - 라이트페인팅이란 수업도구를 이용하여 예술의 창작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 생각을 예술로 표현하며 창작의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 개발 배경 - 예술 매체의 원리와 감수성을 놀이를 통해 좀더 쉽게 전달해 보고자 개발하게 되었다

프로그램 내용 요약

- 사진, 영화, 애니메이션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가 ‘빛’이라고 생각하였고 이를 통해 통합예술교육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 특징및 강점 - 학생들의 수업 참여용 프로그램이다. - 일상적인 재료와 도구를 이용하여 드라마틱한 예술놀이를 경 험할 수 있다. - 준비과정과 수업내용이 체계화 되어 있어 쉽게 수업과정에 적 용가능하다. - 다년간 많은 학교와 시설, 그리고 ‘예술상상체험대’

3년

간의 참가를 통해 수업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완성도 높은 수업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201


빛나게 놀자

빛나게 놀자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 사진,영화,애니메이션에 주제표현 방법

1차시

프레이밍 <프레이밍 속 세상>

* 프레이밍: 생각의틀 이해하기 - 사각틀을 이용하여 프레이밍 하기 - 작품 발표 하기 - 풍경사진, 인물사진 등 다양항 사진의

2차시

주제 담기

표현법 이해하기

<작품 사진>

- 팀별 작품 구상하기 - 작품 제작 후 발표 및 감상 - 카메라의 원리 이해하기 - 빛이 만드는 착시 현상‘잔상현상’이해

3차시

잔상현상의 이해 및 라이트페인팅

- 렌턴과 카메라를 이용한 라이트제작법 이해

<빛으로 그리는 세상-라이트 페인팅> - 팀별 작품 구상하기 : 밑그림 그리기 및 역할 나누기 - 라이트 페인팅 촬영 및 발표 - 색, 점, 선, 면만을 이용한 라이트페인팅 작품 감상하기 - 장소를 찾고 장소의 의미 찾아보기

4차시

매체의 활용 <빛나게 놀자-예술가 되어보기>

- 장소에 어울리는 작품 구상하기 - 팀별 다양한 빛도구 만들기 : 휴대폰, 렌턴, 셀로판지, PT 병등 - <빛나게 놀자> 작품 만들기 : 제작과정 동영상과 사진 작품 동시 촬영 - <빛나게 놀자> 작품 감상

202


사진분야 - 최우수상

2. 세부내용 3-1. 1차시 [개요] 1.학습주제 프레이밍 <프레이밍 속 세상> 2.학습목표 프레이밍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틀을 만들어 세상을 프레이밍 해보기 3.준비물 도화지, 나무 젓가락, 풀, 가위, 컴퓨터, 프로젝터 [세부활동 내용] <프레이밍 이해하기> 1. 작품에 생각 담기 – 프레이밍 (생각의 틀) 이해하기 1) <하늘의자> 사진 작품 감상하기 - 작품명을 통해 작가의 생각 맞춰보기 - 다양한 생각들과 이유들 나누기

작품 <하늘의자> 󰋼

2) 작품 <하늘의자>의 밖 모습 상상해보기 - 의자가 있는 곳, 그곳의 모습 등을 유추하며 이야기 하기 - 작품 <하늘의자> 실제 촬영 장소의 모습 감상하기 - 프레이밍(생각의 틀)의 과정과 의미 이해하기

<하늘의자> 제작 사진 󰋼

203


빛나게 놀자

<프레이밍 속 세상> - 자신만의 프레이밍 틀 만들기 1. 프레이밍 속 세상 1) 다양한 프레이밍 틀 감상하기 2) 각자 개성적인 프레이밍 틀 제작하기 3) 틀을 이용하여 학교의 여러 풍경에 프레이밍 해보기 4) 함께 학교를 돌아다니며 작품 감상하기

<프레이밍 속 세상 예시 작품>

3-2. 2차시 [개요] 1.학습주제 주제 담기 <작품 사진> 2.학습목표 다양한 사진의 주제표현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해볼 수 있다. 3.준비물 컴퓨터, 프로젝터, A4 용지, 휴대폰 [세부활동 내용] <작품 사진> - 사진 속 주제표현 1. 풍경사진, 인물 사진들 다양한 사진의 주제 표현 배우기 1) 작가의 의도 이해하기 2) 표현방법과 주제의 연관성 이해하기 3) 작품 구상하기 (콘티그리기) – 주제와 표현법 생각해보기 4) 작품을 촬영하고 함께 감상하기 204


사진분야 - 최우수상

<작품 사진 예시작품>

3-3. 3차시 [개요] 1.학습주제 잔상현상의 이해 및 라이트페인팅 <빛으로 그리는 세상-라이트 페인팅> 2.학습목표 영상의 원리인 잔상현상을 알고 라이트페인팅 작품 만들기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3.준비물 컴퓨터, 프로젝터, LED렌턴, 카메라, 셀로판지, A4용지, 색연필 [세부활동 내용] <빛으로 그리는 세상>-라이트 페인팅 1. 잔상현상의 이해 1) 카메라의 원리 이해하기 - 조리개, 셔터 카메라의 구성과 원리 이해하기 - 카메라의 원리를 이용한 다양한 표현법 감상하기 (피사계심도, 셔터스피드 등을 이용한 사진 감상하기) 2) 잔상현상 이해하기 - 잔상현상 예시 사진 감상하기

<

<잔상현상의 이해>

205


빛나게 놀자

3) 잔상현상의 활용 - 영화, 애니메이션의 원리 이해하기 - 스톱애니메이션 감상하기 2. 라이트 페인팅 작품 만들기 1) 라이트 페인팅 제작과정 이해하기 - 카메라의 장노출과 렌턴을 이용하여 라이트페인팅이 만들어지는 과정 이해하기 2) 모둠별 라이트 페인팅 작품 기획하기 - A4 용지에 밑그림 그리기 - 촬영, 페인팅 등의 역할나누기 - 셀로판지를 이용하여 원하는 색 만들기 - 렌턴을 이용하여 라이트페인팅 연습하기 3. 라이트 페인팅 작품 완성하기 1) 모둠별 학교내 어두운 곳 찾기 2) 라이트 페인팅 작품 촬영하기

<라이트페인팅 제작과정>

<라이트페인팅 제작과정>

4. 라이트페인팅 작품 감상 및 이야기 나누기

206


사진분야 - 최우수상

<라이트 페인팅 예시작품>

3-4. 4차시 [개요] 1.학습주제 매체의 활용 <빛나게 놀자-예술가 되어보기> 2.학습목표 지난 3차시 동안의 과정을 이해하고 빛이란 도구를 이용하여 자유로운 작품을 만들 어낼 수 있다. 3.준비물 컴퓨터, 프로젝터, LED렌턴, 카메라, 셀로판지, PT병, 핸드폰 [세부활동 내용] <빛나게 놀자> 1. 빛나게 놀자 이해하기 1) 색, 점, 선, 면만을 이용한 라이트페인팅 작품 감상하기

<단체 라이트 페인팅 예시작품> 207


빛나게 놀자

2. 빛나게 놀자 기획하기 1) 팀별 다양한 빛 도구 만들기 - 주변의 도구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의 빛 도구 만들기 (휴대폰, 렌턴, 셀로판지, PT 병 등) 2) 빛나게 놀자가 가능한 장소 선정하기 3 <빛나게 놀자> 작품 만들기 1) 강당에 모여 모둠별 자리 배정 받기 2) 모든 모둠이 동시 빛 도구를 이용하여 프레임 가득 채우기 3) 제작과정 동영상과 사진 작품 동시 촬영 4. <빛나게 놀자> 작품 감상 – 동영상첨부

<빛나게 놀자 예시>

208


사진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정 연 희



사진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관련 장르

사진

대상연령

중학교 1~2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토요동아리 45분 주변을 관찰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그림틀 안에 다양한 배경 채우기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는 다양한 동, 식물의 형태가 뚫 려있는 그림틀 안에 적절한 피사체를 넣어 촬영하는 활동이 다. 사진 수업에서 프레이밍(화면의 구도와 구성을 정하는 것) 능력을 키우기 위해 '사진 속 사진 찍기' 활동을 많이 실행하 는데, 빈 액자틀에 피사체를 적절히 배치시키는 것에서 나아 가 특정 피사체와 동일한 질감을 찾아내고, 전혀 다른 질감도 입혀보는 활동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사각형의 틀에서 다양한 동, 식물의 틀로 변경하여 시각적으로 더욱 새로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프로그램 내용 요약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활동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는 관찰력과 창의력을 키우고 상상력을 실현하는 것이 다. 예를 들어, 코끼리와 가장 비슷한 회색의 피사체를 찾도록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틀을 보고 스스로 코끼리라고 유추 한 뒤, 그에 맞는 색과 질감을 찾기 때문에 자발적이고 능동 적으로 관찰활동을 할 수 있다. 학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나 무, 벽돌 등으로 그림틀을 채웠을 때 느끼는 시각적 새로움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워줄 수 있다. 동, 식물의 외곽선만 존재 하는 그림틀을 이용해 무늬를 입혀 촬영해 본 후, 마찬가지로 자신의 자화상을 외곽선만을 이용해 표현하고 다양한 무늬와 색감을 입혀 감정을 나타내보며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시 간을 갖고 감정을 표출하는 기회가 될 수 있으며 그림과 사진 을 결합하여 자신만의 테마파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상력 을 실현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가까이에 있는 그림틀과 배 경이 되는 피사체 간의 거리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피사계 심도와 노출에 대한 이해과정을 다룰 수 있고, 카메라를 다루 는 기계적 테크닉이 부족하더라도 심미성이 뛰어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어 성취감을 높일 수 있다.

211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1차시

-학교의 건물 내·외부를 세 심하게 관찰하고 촬영 대상 을 찾아낼 수 있다. -가운데를 오려낸 활동지를 이용해 피사체가 부각되도록 촬영할 수 있다.

-사각형 등의 도형이 그려진 활동지를 반으 로 접어 선을 따라 오려낸다. -주변을 관찰하며 꽃, 운동기구, 친구 등 다 양한 피사체를 도형 안에 담아본다. -활동지를 카메라 앞에 대고 도형 안에 피사 체를 배치시켜 촬영한다.

-그림틀의 형태를 보며 무엇 인지 유추하여 비슷한 질감

2차시

을 대입해 촬영해보고, 전혀 다른 새로운 대상도 넣어 촬 영할 수 있다.

-다양한 동물 등의 형태를 뚫어 놓은 그림틀 을 나누어준 뒤 무엇의 형태인지 유추해본다. -주변을 관찰하여 자신이 생각한 대상과 가 장 유사한 색과 질감을 찾아 그림틀 안에 넣 어 촬영한다. -하늘과 구름, 나무와 꽃, 아스팔트와 대리석 등 학교 안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색상과 질감들을 그림틀 안에 대입하여 촬영한다.

3차시

-촬영한 사진을 가지고 가상의 테마파크를 만들기 전 과정으로, 2차시에 사용한 그림틀 을 외곽선만 그린 후, 여러 처럼 외곽선만으로 얼굴을 그리고 자신이 현 가지 무늬와 색감으로 자신 재 느끼고 있는 감정을 패턴이나 질감, 색상 의 감정을 나타낼 수 있다. 등으로 표현한다.

4차시

-3차시에 그린 자화상 위로 자신이 가고 싶 은 상상 속 테마파크를 꾸민다. -동물원, 행성, 꿈 등의 테마를 정하고 2차시 에 촬영한 그림틀 속 동, 식물 사진을 오려 붙여 완성한다. -완성된 결과물에 자신의 이름, 사슴, 코끼리 등 동물의 이름이 아닌 새로운 이름을 붙여 준다.

-그림틀과 같이 자신의 얼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 자화 상 위에 2차시에 촬영한 동, 식물 사진을 오려 붙여 상상 속 테마파크를 꾸밀 수 있다.

212


사진분야 - 입선

2. 세부내용 차시 개요 수업 주제

사진 속 사진 찍기 -학교의 건물 내, 외부를 세심하게 관찰하고 촬영 대상을

학습목표

찾아낼 수 있다. -가운데를 오려낸 활동지를 이용해 피사체가 부각되도록 촬영할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준비물

활동지 안에 다양한 피사체를 대입해보며 익숙한 교실과 학교를 관찰하는 시간을 갖고, 피사체를 화면 안에 적절히 배치시키는 프레이밍 연습을 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좌, 우가 대칭되는 도형의 외곽선이 그려진 활동지, 가위

-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의 도형 외곽선이 프린 트된 A4 사이즈의 활동지와 가위를 나누어준다. -활동지를 반으로 접은 후 실선을 따라 오려낸다. -한 쪽 눈을 감은 채 다른 눈으로 활동지의 뚫린 부분 안 활동 내용

에 다양한 사물과 사람을 넣어본다. -활동지를 카메라 앞에 대고 도형 안에 피사체를 배치시켜 촬영한다. (조리개의 특성에 대한 수업이 전제된 경우 조리개우선 모 드를 이용하여 피사계심도를 조절한다.)

213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세부활동 내용 활동지를 1인 당 2장 씩 받고 가운데를 오려내어 빈 프레임을 만든다. 활동지 안을 들 여다보며 여러 가지 피사체를 담아보고 한 손으로 카메라를 잡고 촬영한다. 각 도형의 모양에 따라 피사체의 위치를 달리하며 어떤 위치에서 가장 안정적인지 고민해보는 과 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프레이밍 연습을 할 수 있다. ①

[1차시 활동지 제작 과정]

[1차시 사진 속 사진 찍기 결과물] ※ 한 손으로 활동지를 들고 나머지 손으로 촬영을 하는 과정에서 종이가 깨끗하게 펴 지지 않아 원하는 이미지를 얻지 못할 수 있다. 도형을 직접 잘라내는 과정에서 종이 를 반으로 접었기 때문인데, 종이의 아래 부분을 잡지 말고 접하는 부분(중앙)의 위쪽 을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이용해 가볍게 들고 촬영하면 원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214


사진분야 - 입선

차시 개요 수업 주제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그림틀의 형태를 보며 무엇인지 유추하고, 실제와 가장

학습목표

가까운 질감을 대입하여 촬영할 수 있다. -그림틀 안에 자유롭게 대상을 넣어 촬영할 수 있다. -주변을 관찰하고 특정 대상을 찾아내는 안목을 키울 수 있다.

기대효과 /

-그림틀 안에 자유롭게 담고 싶은 풍경을 넣어 촬영하여

수업의 효과

상상력을 실현하고, 예술 창작 활동에 대한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준비물

디지털 카메라, 그림틀

-서로 다른 형태의 그림틀을 받고 무엇이 그려진 그림틀인 지 유추해본다. -주변을 관찰하여 자신이 생각한 그림틀 속 대상과 유사한 색이나 질감을 가진 피사체를 대입하여 촬영한다. -하늘과 구름, 나무와 꽃, 아스팔트와 대리석, 자동차 등 활동 내용

학교 안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색상과 질감들을 그림틀 안에 대입하여 촬영한다. -벽지와 같이 특정한 패턴이 배경이 되도록 촬영할 수도 있고, 그림틀의 대상에 상관없이 원하는 피사체를 넣어 촬 영할 수도 있다. -그림틀을 서로 바꾸어 가며 촬영한다.

215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세부활동 내용 2차시에 사용되는 그림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칼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상의 이유로 강사가 사전에 제작하였다. A4용지를 이용하여 제작해도 무관하지만 바람이 불 면 종이가 날려서 촬영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찢어지기 쉽게 때문에 단단한 종이 를 이용하였다.

[그림틀과 그림조각] ※그림틀은 인터넷에서 적절한 그림 파일을 찾아 외곽선을 따라 그린 후, 단단하고 내구 성이 좋은 로얄지를 이용해 레이저 커팅을 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비 약 20,000원 소요) 그림틀 속 대상과 가장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색이나 질감을 찾고 그림틀 안에 넣어서 촬영한다. 구름과 나무의 경우 실제 하늘이나 풀잎을 넣어 촬영해도 무관하고 학교에 서 찾을 수 없는 동물 등은 관찰을 통해 흡사한 색이나 질감을 찾아 촬영한다. 비슷한 색과 질감을 찾아 촬영해본 후에는 자유롭게 학교 안에 있는 자연물과 인공물 들을 대입하여 촬영해본다. 한손에 그림틀을 들고 나머지 손으로 촬영하는 것에 한계 를 느끼는 경우 친구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촬영한다. 다양한 피사체를 넣어 촬영하는 과정에서 회화와 다른 사진의 특성과 한계(실제로 존재하는 것만 담을 수 있는 점)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벽지를 입히듯 여러 가지 피사체를 담아보며 심 미성이 뛰어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216


사진분야 - 입선

[2차시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결과물]

※ 그림틀에서 떨어져 나온 그림조각은 다양한 촬영 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피사 체간의 거리를 이용한 ‘원근감이 있는 사진’ 활동과 빛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그림자 촬영’ 활동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림조각 활용 예시]

217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차시 개요 수업 주제

학습목표

내 마음에 상상력 채우기

그림틀과 같이 자신의 얼굴을 외곽선만으로 그리고 여러 가지 무늬와 색감으로 자신의 감정을 나타낼 수 있다 -감정을 자화상에 나타내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내면을 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여다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무늬를 만들어내고 색으로 감정을 표현하며 미 적 감각을 키운다.

준비물

8절 도화지, 연필, 지우개, 사인펜, 색연필, 크레파스 등

다양한 무늬가 주는 느낌 색상에서 전해지는 감정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절 도화지 위에

차시에 사용한 그림틀과 마찬가지로 외

곽선만 가진 자신의 자화상을 그린다 이때 머리카락 눈 활동 내용

코 입을 따로 표현할 수 없고 오로지 외곽선만 표현한다 자신이 현재 느끼고 있는 감정을 패턴이나 질감 색상 등 으로 표현한다

직선과 곡선의 느낌 물방울무늬 바둑판무

늬 등의 반복되는 형태 차갑고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상 등을 이용하여 표현

218


사진분야 - 입선

세부활동 내용 활동을 시작하기 전 다양한 무늬(패턴)가 주는 느낌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는다. 체크무 늬에서 느껴지는 복잡함과 정돈된 느낌, 직선 스프라이프가 주는 경쾌함 등을 고려하 며 자신의 자화상에 입힐 무늬를 고민한다. 또한, 차가운 느낌을 주는 색, 따뜻한 느낌 을 주는 색 등에 대한 질문을 주고받으며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파악하고 자화상 제작 에 반영한다. 얼굴의 외곽선을 그리는 과정은 자신의 그림자를 상상하며 그릴 수 있도 록 하고 머리모양 등을 묘사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측면의 모습을 그리거나 머리카락을 생략하도록 한다. ‘내 마음에 상상력 채우기’는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결과물과 함께 4차시에 상상 속 테마파크를 제작하기 위한 사전 과정이기 때문에 사진을 붙일 공간을 남겨두 고 하단에 얼굴을 그릴 수 있도록 한다.

[3차시 내 마음에 상상력 채우기 결과물]

219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

차시 개요 수업 주제

학습목표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준비물

채움을 모아 테마파크 만들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 자화상 위에

차시에 촬영한 동 식

물 사진을 오려 붙여 상상 속 테마파크를 꾸밀 수 있다

-자신의 머리 위로 펼쳐지는 상상 속 테마파크를 제작해보 며 상상력을 실현한다.

3차시 결과물, 포토프린터, 테이프, 유성매직, 색연필 등

차시에 촬영한 동 식물 사진을 인화한다 차시에 그린 자화상 위로 자신이 가고 싶은 상상 속 테 마파크를 꾸민다 동물원 행성 꿈 등의 테마를 정하고 활동 내용

차시에 촬영한 그

림틀 속 동 식물 사진을 오려 붙여 완성한다 테마를 정할 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 자화상과 이질감이 없도록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테마를 정하도록 한다 완성된 결과물에 자신의 이름 사슴 코끼리 등 동물의 이 름이 아닌 새로운 이름을 붙여준다

220


사진분야 - 입선

세부활동 내용 2차시 ‘그림틀에 상상력 채우기’결과물 중 마음에 드는 사진을 골라 1인당 5장 씩 인화한다. 각자 자신의 테마파크 콘셉트를 정하는데, 자화상 속에 투영된 자신의 감정 을 생각하며 어울리는 콘셉트를 생각한다. 슬픔, 두려움 등의 감정일지라도 그에 맞는 테마를 정한다.(어미를 잃은 사슴이 사는 동물원, 양육강식의 사파리 등) 테마파크의 콘셉트는 행성, 가상 세계, 꿈 속 세상 등 자신이 가보고 싶은 곳으로 정한다. 완성 단 계에서 ①테마파크의 콘셉트를 알 수 있는 제목, ②촬영한 동, 식물의 특징이 드러나는 이름, ③자신의 실제 이름이 아닌 감정을 담은 자화상의 이름을 꼭 적도록 한다.

[4차시 채움을 모아 테마파크 만들기 결과물]

221



연극

최 우 수 상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김 현 희



연극분야 - 최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관련 장르

연극, 음악, 미술, 무용, 영상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고등학교 1~2학년 토요동아리 150분 창의적인 방법으로 연극 감상 표현하기 ■ 프로그램 개관 및 개발 배경

“다양한 지능에 적합한 창의적인 연극 감상 표현방법 필요”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1983)의 다중지능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지능은 서로 독립적이고 다른 9가지 유형 언어 지능, 논 리-수학적 지능, 공간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음악 지능, 대인 관계 지능, 개인 내 지능, 자연주의적 지능, 실존 지능의 능력 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능을 강화할 수 있는 학습 또는 교육 이 이루어져야함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육은 연극공연 감상 후

프로그램 내용 요약

감상 표현방법 또는 활동은 작품에 대한 줄거리, 기억에 남거 나 인상적인 연기와 장면 등에 대해‘느낌 발표’또는‘쓰 기’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9가 지 영역 중 언어 지능과 논리-수학적 지능만을 중심으로 진 행되고 있으며,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강점 지능영 역을 개발하고 발달시키는데 한계 및 문제점으로 작용된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본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는 방법 으로서 개인의 강점 지능영역을 가능한 다양하게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가 활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더불어 연극작 품 감상 후 감상 표현하기에서 나아가 감상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창작물을 창작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의 방향을 제 시하고자 한다.

225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연극놀이를 통해 친구들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 눈만 보고 그려요!

1차

․미적 태도와 비평적 태도로 감상하

- 감상 표현하기가 뭐예요?!

기의 차이를 알고 연습할 수 있다.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1

․연극 관람 후 다양한 악기를 활용

: 다양한 악기를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

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술가와 점토 역할을 나누어 맡 고 다양한 사물과 기호 등을 신체

2차 시

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연극 관람 후의 생각과 느낌을 신 체를활용하여 정지장면과 즉흥극으로

- 나도 예술가!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2 : 신체를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

표현 할 수 있다. ․내가 바라는 등교 길, 하교 길의

3차 시

모습을 상상하고 이미지카드를 활용

- 학교 오는 길, 하교 하는 길!

하여 스토리텔링 할 수 있다.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3

․연극 관람 후 다양한 그리기와 만 들기 재료를 활용하여 감상을 표현

: 그림 그리기와 조형물 만들기를 통한 감상 표현하기

할 수 있다. ․오브제의 다양한 쓰임새에 대해 생각해보고, 오브제와 함께 신체의 움직임을 활용하여 오브제의 다른

4차 시

쓰임을 변형하여 표현할 수 있다. ․내가 좋아하는 재료(노래, 춤, 움직 임, 회화, 영상, 악기연주, 만들기, 스 마트앱 등)를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 으로 연극 감상을 표현할 수 있다.

226

- 오브제를 활용한 변형놀이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 창의적인 방법으로 연극 감상 표현하기


연극분야 - 최우수상

교육과정 차

수업주제

연 극

대 상

고 등 학 교 1~2학년

학생수

학급별 20명

토요동아리

시 간

블록타임 (150분)

1차시

교육장소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1 : 다양한 악기를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 ▪ 연극놀이를 통해 친구들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수업목표

▪ 미적 태도와 비평적 태도로 감상하기의 차이를 알고 연습할 수 있다. ▪ 연극 관람 후 다양한 악기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교사 : 강의용 시각자료, 출석부, A4용지 (학생 1명당 3장 분량), 싸인펜,

준비물

제작 배경(페레네의 성, 절규) 및 르네 마크리트, 에드바르 뭉크에 대한 문서 자료 학생 : 컬러 펜

학습 단계

수업내용

■ 오늘의 활동 주제와 활동순서 소개하기 ■ ▶ 눈만 보고 그려요! ▶ 감상 표현하기가 뭐예요?!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1 : 다양한 악기를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

■ 동기유발 및 수업분위기 만들기 ▸ 눈만 보고 그려요! 도

(30분)

1) 1명 당 3장의 A4용지를 나누어 갖습니다. 2) 선생님이 준비한 싸인 펜, 또는 본인이 준비한 컬러 펜 1개를 선택합니다. 3) 2명씩 짝을 이룹니다. 서로의 눈만 보고 동시에 A4용지에 짝의 모습을 그려봅니다. ※ 이 때 그림을 그리는 것을 보지 않아야 합니다. 오로지 상대방의 눈 만 보고 그림을 그리기 때문에 내가 그리는 그림이 어떤 모습인지 확인할 수 없습니다. 4) 그림을 완성하면 친구의 이름은 쓰지 않고 장점을 그림 뒷면에 씁니다. 5) 선생님이 “체인지”라고 외치면 활동을 멈추고 새로운 짝을 만나 3),4)활동을 반복합니다. 6) 3)~5)활동을 1번 더 반복하여 1명당 3장의 친구그림을 완성하도록 합니다. 7) 그림이 완성 되면 그림의 원래 주인을 찾아 “만나서 반가웠어!”라는 227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인사와 함께 그림을 전달합니다. 8) 친구들로부터 받은 3장의 그림을 확인합니다. 3장의 작품 중 그림과 쓰 여 진 자신의 장점을 고려하여 맘에 드는 작품 1개를 선택하여 선생 님께 제출합니다. 9) 전체로부터 받은 작품을 고루 섞습니다. 10) 섞은 작품 중 5개 정도 선정하여 그림의 특징과 장점, 좋은 점, 특징 만으로 작품속의 주인공인 친구가 누구인지 맞춰봅니다. ※ 학급의 인원수가 20명 이하일 경우, 전체 인원을 맞춰볼 수 있도록 진행하고, 서로의 장점과 특징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진행합니다. ■ 감상 표현하기가 뭐예요?! ▸회화를 활용한 예시활동을 통해 ‘미적 태도와 비평적 태도’를 활 용한 감상 표현의 차이를 알고 연습해본다.

(105분)

사례1) 르네 마크리트 1959년 作, 페레네의 성

사례2) 에드바르 뭉크 1910 作, 절규

1) 사례 1, 2의 회화 관찰하기 2) 작품의 전체적인 느낌과 분위기에 대해 말하여봅시다. 3) 시각적으로 발견되는 것들에 대해 말해 봅시다. 4) 청각적으로 발견되는 것들에 대해서도 말해 봅시다. 5) 공감각적인 감각으로 표현된 것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말해 봅시다. 6) 작품에 ‘공감’하고 ‘몰입’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활동들을 하면 좋을지 생각해봅시다. 7) 2~5번까지의 활동이 ‘미적 태도’를 활용한 감상하기 방법임을 설명합니다. 8) 이번에는 작품을 관찰하고 작품과 관련하여 질문을 만들어봅시다. ∙ 사례1 : 바위성이 공중에 떠 있는 이유는 왜일까요? ∙ 사례2 : 뭉크의 절규 속 인물은 왜 놀라고 있는 걸까요? 228


연극분야 - 최우수상

9) 각 작품의 인상적인 부분을 얘기해봅시다. 그렇게 생각한 이유에 대해서도 함께 발표해봅시다. 10) 각 작품의 아쉬운 점, 보완할 점에 대해서도 말해봅시다. 그렇게 생각한 이유에 대해서도 함께 발표해봅시다. 11) 작품 속에 표현하고자 했던 주제 및 화가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요? 그렇게 생각한 이유에 대해서도 함께 발표해봅시다. 12) 각 작품의 제작 배경 및 화가들 (르네 마크리트, 에드바르 뭉크) 에 대한 자료를 탐색할 수 있는 시간을 갖습니다. ※ 강사가 미리 준비한 문서자료를 활용하여 탐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 13) 8~11번까지의 활동이 ‘비평적 태도’를 활용한 감상하기 방법임을 설명합니다. ‘비평적 태도’를 활용한 감상하기는 ‘질문하기’를 통해 작품의 강점과 약점을 함께 논하여 평가하는 것임을 설명합니다. 14) ‘미적 태도’를 활용한 감상하기와 ‘비평적 태도’를 활용한 감상하기의 차이점에 대해 발표해 봅시다. ■ 악기를 활용하여 연극 감상 표현하기 ▸ 연극공연 감상 후 언어지능 능력과 음악 지능 능력, 신체ㆍ운동 표현 지능 능력을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 ▸ 다양한 악기를 감상 표현의 수단, 도구(TOOL)로 활용하여 표현 한다. 이때 악기는 기존의 악기들 외에 소리가 나는 사물들 또는 자연 물로도 표현 가능하다. 1) 공연작품 감상하기 (작품 영상 15~20분) ※ 학교의 주어진 환경에 따라 공연작품 감상하기는 실제 공연장 을 방문하여 공연작품을 관람(현장체험 학습) 하거나, 작품의 영상 을 주요 장면별로 선별하여 감상할 수 있습니다. 2) 관람 후 구체적인 작품의 전체적인 느낌과 인상적인 표현(무대장 치, 음향효과, 조명, 배우, 분장, 의상 등)들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나눠봅시다. ※ 전체 연극 수업 중 본 차시 전 사전 수업을 통해 연극의 구성요 소 (무대, 무대장치, 음향효과, 조명, 배우, 분장, 의상 등)의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3) 모둠나누기. (한 모둠 당 5~6명) 4) 자신의 경험 속에서 의미 있는(또는 기억에 남는) 소리나 음악, 노 래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5) 구체적인 장면을 예시로 하여 관람 작품 속에 표현 된 인상적인 229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소리들에 대하여 말해봅시다. 그렇게 생각한 이유도 함께 말해 봅시다. 아쉬운 점과 보완할 점도 구체적 사례를 들고 함께 이야기해봅시다. 6) 공유한 내용 중 작품 속에 표현된 공통 '분위기' 발견하기와 토론하기 7) 작품 속에 표현된 주요 음향(배경음햑, 효과음악)효과에서 느껴지 는 작품의 주제 및 연출의 의도에 대해 본인의 생각을 바탕으로 모 둠별로 토론합니다. 8) 작품의 제작 배경, 개요 및 이슈, 연출의 의도 등을 자료 탐색을 통해 대해 알아봅니다. ※ 강사가 미리 준비한 유인물 활용 및 학습자 개인 스마트 폰을 이용 하여 자료를 검색하고 탐색할 수 있는 시간을 갖습니다. 9) 분석, 토론, 자료 탐색을 통해 확인된 내용을 바탕으로 모둠별 작품의 '분위기' 선정하기 10) '분위기'를 반영할 수 있는 개인 악기 선택하기 ※ 이때 악기는 기존의 악기들 외에 소리가 나는 사물들 또는 자연 물로도 표현 가능하며, 참여자의 신체를 활용하여 표현한 소리도 활 용 가능합니다. 11) 모둠별로 지휘자 1인과 연주자로 역할 정하기 12) 자신이 정한 악기를 이용해 지휘자의 지휘에 따라 모둠이 선정한 작품의 '분위기' 연주하기 및 발표하기를 통해 전체 공유하기 13) 지휘자 역할과 연주자 역할을 바꾸어 교대로 체험하기 14) 지휘자의 변화에 따라 연주되는 '분위기' 의 변화를 발견하고, 그 것에 대한 자신의 느낌, 생각 발표하기 ■ 눈만 보고 그려요! 활동을 통해 익숙했던 친구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거나 발견한 점이 있다면 말해봅시다. 정 리 및 평 가 (15분)

■ 연극을 감상하고 악기를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 활동을 한 후의 느 낌이나 생각들을 ‘자신의 악기’를 활용하여 표현해봅시다. ■ 공연 작품과 우리의 삶 속에서 소리와 음악, 노래 등이 어떠한 기능 을 하는지 생각해보고 발표해봅시다. ■ 다음 차시 및 준비물 예고

230


연극분야 - 최우수상

교육과정 차

연 극

대 상

고 등 학 교 1~2학년

학생수

학급별 20명

토요동아리

시 간

블록타임 (150분)

2차시

교육장소

수업주제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2 : 신체를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 ▪ 예술가와 점토 역할을 나누어 맡고 다양한 사물과 기호 등을 신체를 활용

수업목표

하여 표현할 수 있다. ▪ 연극 관람 후의 생각과 느낌을 신체를 활용하여 정지장면과 즉흥극으 로 표현할 수 있다.

준비물

교사 : 강의용 시각자료, 출석부, 나도 예술가 미션(단어, 이미지)카드 학생 : 없음

학습 단계

수업내용

■ 오늘의 활동 주제와 활동순서 소개하기 ▶ 나도 예술가!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2 : 신체를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

■ 동기유발 및 수업분위기 만들기 ▸ 나도 예술가! 1) 우리의 신체를 활용해서 표현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말해 봅시다. 2) 말 한 것들을 자리에서 각자 표현해봅니다. 도

(20분)

3) 2명씩 짝을 이룹니다. 4) 가위, 바위, 보로 조각가와 찰흙으로 역할을 나눕니다. 찰흙 역할을 맡 은 친구는 자신이 어떤 작품으로 변형되는 지 알 수 없게 눈을 감거나 안대를 씁니다. 5) 선생님이 표현해야할 모습 또는 내용이 담긴 카드(단어, 이미지)를 조 각가들에게만 공개 합니다. (미션카드 예 : 사물이나 예술작품 또는 기호, 도형)

사례1) 로뎅, 생각하는 사람

사례2) 주전자

231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6) 조각가는 찰흙 역할을 한 친구의 신체를 움직여 미션카드의 모습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때 찰흙 역할의 친구들은 자신이 어떤 모 습으로 표현되는지 알 수 없습니다. ※ 신체접촉이 있는 활동이므로 남녀 합반인 경우, 같은 성별끼리 활 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7) 주어진 시간 안에 만들기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8) 완성되면 조각가 역할을 맡은 친구들은 완성된 찰흙 작품만 자리에 두 고 지정된 관객석으로 모입니다. 다른 팀과는 어떤 점이 다르게 표현되 었는지 관찰해봅니다. 찰흙 역할의 친구들도 눈을 뜨고 자신이 무엇으로 표현되었는지 확인하고 맞춰봅니다. 9) 역할을 바꾸어 활동해 봅니다. ( 조각가 → 찰흙, 찰흙 → 조각가 ) ■ 신체를 활용하여 연극 감상 표현하기 ■ ▸ 연극공연 감상 후 언어지능 능력과 신체ㆍ운동 표현 지능 능력을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 ▸ 학습자의 신체가 감상 표현의 수단, 도구(TOOL)로 활용하여 표현한다 1) 공연작품 감상하기 (작품 영상 15~20분) ※ 학교의 주어진 환경에 따라 공연작품 감상하기는 실제 공연 장을 방문하여 공연작품을 관람(현장체험 학습) 하거나, 작품의 영상을 주요 장면별로 선별하여 감상할 수 있습니다. 2) 공연관람 후 작품 속의 배우들의 인상적인 움직임, 몸짓들을 떠올 리고 개인별 정지 동작으로 표현하기, 움직임으로도 표현 해보기 전

(110분)

※ 전 차시 수업에서 실제 공연장을 방문하여 공연관람을 한 경 우, .본 차시에는 동일 공연작품의 주요 장면들을 영상자료를 통 해 감상하고 직접관람 했을 때와 영상자료를 통해 감상할 때 구 체적으로 어떤 점들이 다르게 느껴지는지에 대해 생각하고 발표 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3) 친구들의 모습을 관찰하고 공통적인 움직임이나 몸짓 발견하기 4) 연출가가 작품 속에서 공통의 움직임과 몸짓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바를 생각하고 그 이유에 대해 발표해봅시다. 5) 이유를 생각하며 몸으로도 표현해봅시다. 이유를 생각하기 전과 후, 몸으로 표현하기의 차이점에 대해 생각하고 말해봅시다. 6) 모둠나누기. (한 모둠 당 5~6명) 7) 구체적인 장면을 예로 기억에 남는 주요 내용과 인상적인 장면에 대해 토론하기

232


연극분야 - 최우수상

8) 공유한 내용 중 공통점 찾기 9) 시작, 중간, 마무리가 있는 이야기로 만들기 10) 7)번의 완성한 이야기를 시작, 중간, 마무리에 어울리는 3개의 ‘정지장면’ (타블로, 정지된 행동으로 재현해 보여주는 것)으로 만들기 11) 발표를 통한 전체 공유하기 12) 새롭게 만든 이야기의 주제를 정하고, 3개의 ‘정지장면’을 발 전시켜 인물들의 연속적인 움직임과 대화가 있는 ‘즉흥극’으로 만들기 13) 발표를 통한 전체 공유하기

■ 우리의 신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사물과 기호들을 표현해보았습니다. 활동 중 인상적이거나 새롭게 발견한 점이 있다면 이야기 나눠봅시다. ■ ‘신체를 활용하여 감상 표현하기’ 활동이 작품을 이해하는데 어떠한 정

리 및

기능을 했는지 생각하고 말해봅시다. ■ 관람 작품 속에 강조 되었던 비언어적 요소들(움직임, 몸짓, 표정, 제

평 가

스춰 등)과 모둠이 표현한 비언어적 요소들을 비교해보고 차이점과 그

(20분)

이유에 대해 말 해봅시다. ■ 공연작품을 감상하는 매체(직접 관람과 영상자료를 통한 감상)에 따라 작품의 감상(해석)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말해봅시다. ■ 다음 차시 및 준비물 예고

233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연 극

교육과정 차

수업주제

대 상

고 등 학 교 1~2학년

학생수

학급별 20명

토요동아리

시 간

블록타임 (150분)

3차시

교육장소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3 : 그림 그리기와 조형물 만들기를 통한 감상 표현하기

▪ 내가 바라는 학교 오는 길, 하교 하는 나의 모습을 상상하고 이미지 수업목표

카드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 할 수 있다. ▪ 연극 관람 후 다양한 그리기와 만들기 재료를 활용하여 감상을 표 현할 수 있다. 교사 : 강의용 시각자료, 출석부, 이미지카드, 점토(모둠당 3~4개), 파스텔, 크레파스,

준비물

색종이, A4 용지(100매), 사절지(20장), 전지(10장), 칼, 박스 테잎, 종이 테잎 학생 : 택배박스, 물감, 싸인 펜, 가위, 풀

학습 단계

수업내용

■ 오늘의 활동 주제와 활동순서 소개하기 ▶ 학교 오는 길, 하교 하는 길 ! : 그림(이미지)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하기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3 : 그림 그리기와 조형물 만들기를 통한 감상 표현하기

■ 동기유발 및 수업분위기 만들기 ▸ 학교 오는 길, 하교 하는 길 !

(20분)

1) 2) 3) 4)

학교 오는 길, 오늘은 어떤 마음이었는지 자유롭게 얘기해봅니다. 모둠을 나눕니다. (5~6명 정도) 모둠별로 다양한 느낌의 이미지 카드를 (20장씩) 나눠 갖습니다. 어떤 상황, 느낌의 이미지들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사례1)

234

사례2)


연극분야 - 최우수상

5) 1)번에서 했던 등교 길에 들었던 생각, 마음과 유사한 느낌의 이미지 카드를 찾아봅니다. 친구들에게 1명씩 돌아가며 선택한 이미지 카드를 보여 주며 선택한 이유에 대해 이야기해봅니다. 6) 내가 바라는 등교 길, 하교 길을 상상해봅시다. 상상한 내용을 이미지 카드를 활용하여 한 사람씩 돌아가며 스토리텔 링합니다.

사례1,2) 이미지카드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활동 모습

■ 그림 그리기와 조형물 만들기를 통한 감상 표현하기 ▸ 연극공연 감상 후 그림그리기, 조형물 만들기를 활용하여 감상 표 현하기 해본다. ▸ 언어 지능, 공간 지능, 신체 표현 지능, 개인 이해지능, 자연주의적 지 능영역 등 본인의 강점 지능 영역을 활용하여 표현 가능하도록 한다. 1) 공연작품 감상하기 (작품 영상 15~20분) ※ 학교의 주어진 환경에 따라 공연작품 감상하기는 실제 공연장 을 방문하여 공연작품을 관람(현장체험 학습) 하거나, 작품의 영상 전

(115분)

을 주요 장면별로 선별하여 감상할 수 있습니다. 2) 공연관람 후 작품 속의 배우들의 인상적인 대사나 상황을 떠올리 고 개인별로 문장으로 정리해 표현 해봅시다. 3) 글쓰기 한 내용의 주제를 정하고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재료 (택배박스, 점토, 물감, 파스텔, 크레파스, 싸인 펜, 색연필, 색종이) 를 선택하여 주제가 잘 표현될 수 있도록 만들기 합니다. ※ 각자의 선호 재료를 1개 또는 1개 이상 선택하여 표현할 수 있으 며, 학습자들의 성향 및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개인 활동 또는 모둠활동(5~6명) 중 선택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235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사례1) 그리기와 만들기 활동모습

사례2) 점토를 활용하여 완성한 작품

4) 완성된 작품 전시하기 ※ 교실 안 원하는 공간에 자신의 작품을 배치하여 전시할 수 있습니다. 5) 전시관람 역할놀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전체 인원을 2팀으로 나누어 1팀은 예술가 팀, 나머지 1팀은 관람 객 팀으로 나누기 6) 예술가 팀은 교실 안 자신이 전시한 작품 앞에 서고, 관람객 팀 은 교실 복도에 1줄로 섭니다. 강사는 작품 전시장 큐레이터가 되어 교실에 입장하는 순간부터 관람을 안내하는 안내자(교사 역할입기)가 됩니다. 7) 교실 안 예술가들은 자신의 작품 곁에 서 있다가 관람객들이 오면 자신의 작품에 대해(제목, 주제, 의도 등) 설명해줍니다. 8) 6), 7)번의 활동을 팀을 바꾸어 교대로 역할을 체험합니다. ■ 스토리텔링을 할 때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말해 봅시다. 도움이 되었다면 어떤 부분에서 좋았는지도 얘기해봅시다. ■ 친구들의 작품 중 인상적인 작품(그림, 조형물)을 선정하고 그 이유에 정 리 및 평 가 (15분)

대해서 말해봅시다. ■ 다양한 그리기와 만들기 재료들을 활용하여 공연 감상을 표현한 후, 관람 작품에 대해 새롭게 발견하거나 느낀 점이 있다면 이야기 나눠봅시다. ■ 내가 또는 모둠이 완성한 창작품을 관람한 공연에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떻 게 적용 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구체적인 장면을 예로 들어 발표해봅시다. ■ 다음 차시 및 준비물 예고

236


연극분야 - 최우수상

교육과정 차

수업주제

연 극

대 상

고 등 학 교 1~2학년

학생수

학급별 20명

토요동아리

시 간

블록타임 (150분)

4차시

교육장소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4 : 창의적인 방법으로 감상 표현하기

▪ 오브제의 다양한 쓰임새에 대해 생각해보고, 오브제와 함께 신체의 수업목표

움직임을 활용하여 오브제의 다른 쓰임을 변형하여 표현할 수 있다. ▪ 내가 좋아하는 재료(노래, 춤, 움직임, 회화, 영상, 악기연주, 만들기, 스마트 앱 등)를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연극 감상을 표현할 수 있다.

준비물

교사 : 강의 PPT, 출석부, A4, 점토, 크레파스, 색연필, 색종이, 칼, 박스 테잎, 종이 테잎 학생 : 택배박스, 악기, 물감, 파스텔, 싸인 펜, 가위, 풀, 나만의 의미 있는 오브제

학습 단계

수업내용

■ 오늘의 활동 주제와 활동순서 소개하기 ▶ 오브제를 활용한 변형놀이 ! ▶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4 : 창의적인 방법으로 감상 표현하기

■ 동기유발 및 수업분위기 만들기 ▸ 오브제를 활용한 변형놀이 도

(30분)

1) 교실안의 사물들, 개인 가방속의 사물들을 교실 가운데 무대 공간에 모아둡니다. 2) 사물들의 이름과 본래의 쓰임에 대해서 말 해봅니다. 3) 상상을 통해 동일한 사물의 다른 쓰임에 대해서도 생각해봅시다. 4) 사물을 활용하여 1명씩 돌아가며 원래의 쓰임과 다르게 변형하여 표 현해봅시다. 5) 2명씩 짝을 이룹니다. 6) 1개의 상황을 정하고 1개 이상의 사물을 선택하여 상황을 표현해봅니다. 7) 모둠을 나눕니다. (5~6명 정도) 8) 모둠별로 이야기를 만들고 여러 개의 사물을 활용하여 표현합니다. 9) 모둠별로 완성된 장면을 발표합니다. 237


창의적인 연극 감상과 비평

■ 창의적인 방법으로 감상 표현하기 ▸ 연극공연 감상 후 본인의 강점 지능 영역을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 는 재료 (그리기, 만들기, 움직임, 댄스, 말하기, 노래, 사진 등)를 선 택하여 감상 표현하기 ▸ 스마트 앱 ‘스톱모션 메이커’, ‘비디오 쇼’를 활용하여 감상 표 현하기 1) 공연작품 감상하기 (작품 영상 15~20분) ※ 학교의 주어진 환경에 따라 공연작품 감상하기는 실제 공연장 을 방문하여 공연작품을 관람(현장체험 학습) 하거나, 작품의 영상 을 주요 장면별로 선별하여 감상할 수 있습니다. 2) 공연관람 후 인상적인 대사, 상황, 소품, 의상, 조명, 무대장치 등에 대해 말해봅시다. 3) 모둠 나누기 (5~6명) 4) 모둠별로 작품의 주제에 대해 토론하기 5) 공통된 주제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야기 만들기 전

(105분)

※ 3차시에 체험했었던 이미지 카드를 활용하여 주제에 맞는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6) 기ㆍ승ㆍ전ㆍ결에 맞게 이야기 수정 및 정리하기 7) 완성된 이야기를 바탕으로 새로운 창작물 만들기 8) 1~3차시에 학습했던 감상 표현하기 방법들에 대해 상기해봅니다. ▸ 1차시 : 다양한 악기로 표현하기, ▸ 2차시 : 신체를 활용하여 표현하기 ▸ 3차시 : 그림 그리기와 조형물 만들기를 활용하여 표현하기 9) 위의 감상 표현하기 방법 외에 활용 가능한 표현방법에 대해 토 론하고 모둠별로 활용하고 싶은 표현방법을 선택해봅시다. 10) 모둠별 선택한 표현방법으로 창작물 만들기. 새로이 완성한 이야기를 모둠별로 선택한 표현방법으로 새로운 창작물(창작품)을 만들어봅시다. ※ 모둠별 선택한 재료(표현방법)의 특성에 따라 '스톱모션 메이커‘ 앱과 ’비디오 쇼‘앱 등 스마트 앱을 추가로 활용하여 감상표현하 기 할 수 있습니다. 11) 모둠의 특성에 따라 노래, 춤, 움직임, 회화, 등으로 완성된 창 작물(결과물)은 발표 순서를 정하고 발표해봅니다.

238


연극분야 - 최우수상

용어설명

☆ 스톱모션 메이커 앱 ☆ 영화에서 단일 프레임을 계속 반복 재생하여 마치 화면을 정지 사진처럼 보 이게 하는 정지 화면 효과. 시간의 흐름 속에서 행위를 정지시켜 화면을 고 정시키므로 특정 시간을 강조하거나 극적인 충격 효과를 줄 수 있게 고안 된 스마트 앱. ☆ 비디오 쇼 앱 ☆ 스마트 폰으로 촬영한 사진과 동영상을 간단하게 자막, 더빙, BGM 등의 효 과를 적용하여 편집이 가능한 스마트 앱. [네이버 지식백과]

■ 창의적인 방법으로 감상 표현하기 완성 작품 및 활동모습

■ 기존의 느낌 발표 및 쓰기 형태의 감상 표현법과 창의적 방법으로 감상 표현하기 활동을 비교하고 본인에게 적합한 감상 표현 활동은 어떤 것인지 말해봅시다. 그렇게 생각한 이유에 대해서도 발표해봅시다. 정 리 (15분)

■ 친구 또는 모둠이 완성한 창작품 중 인상적인 작품을 선정하고, 그 이유에 대해서 말해봅시다. ■ 오늘 활동을 통해 완성한 각각의 작품을 활용하여 공연작품을 만든다 면 어떠한 형태의 공연작품을 만들 수 있을 지 생각하고 발표해봅니다. ■ 다음 차시 및 준비물 예고 239



연극

우 수 상 마 음 이 춤 ‘추 상 !’

김 혜 영



연극분야 - 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마음이 춤 ‘추상!’

관련 장르

미술, 음악, 무용, 연극(인형극)

대상연령

초등학교 4학년

연관 교육과정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소요시간(차시별)

총 4차시 / 80분(각 차시별)

주제

다양한 공감각적 예술놀이(체험) 활동으로 만나는 마음의‘추상’ ■ 프로그램 개관 및 개발 배경

프로그램

현대의 다양한 개념예술들은 ‘추상’을 빼놓고 얘기하기 어 렵다. 직관적 표현으로 보이는 ‘추상’은 이 시대를 바라보 는 작가의 분석적인 발견과 정신 작용이며, 수많은 철학적 질 문들을 던진다. 앞으로도 ‘추상’은 미술사의 한 표현 기법 을 넘어서 다양한 분야로 계속 승화되리라 여겨진다. 예술 전 공자들에게도 모호하게 다가오는 ‘추상’을 특히 초등학생들 이 이해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고민해 왔었다. 추상의 아버지 ‘칸딘스키’가 느꼈던 직관적 감정의 표현과 ‘추 상’의 발견과정을 추측해 보고, 다양한 공감각적 놀이(체험) 를 통해 직관적 표현 속에 내재된 철학적 관념에 쉽고 가볍게 다가갈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실 제로 이 프로그램의 80%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수업 에서 진행을 해 보았던 활동들이며, 학생들이 낯설어 하면서 도 즐겁게 참여하고, 보람 있던 프로그램이었다.

내용 요약

■ 프로그램 특성 및 강점 추상그림의 감상▷ 무용으로 표현 / 음악 감상 ▷ 추상 그림으로 표현/ 음악 감상을 통한 추상그림 감상 ▷ 연극적인 소리와 대사로 표현 / 음악 감상 ▷ 창작 이야기로 표현 / 추상 그림 ▷ 추상 캐릭터인형으로 표현 ※ 다양한 분야 간의 체험들은‘추상화 캐릭터 인형극’으로 응집된다.

◾미술 + 음악 + 무용 + 연극(인형극) 등 다양한 예술분야의 유기적인 공감각적 체험 활동을 통해 추상의 대한 이해를 좀 더 쉽게 접근해 볼 수 있는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장르를 넘나드는 표현활동들은 추상의 미적 요소들을 학생 들의 시각에서 분석 및 발견하고, 또 다른 추상적 활동들로 표현해 보는 미적체험놀이이다. ▷미적체험놀이 활동은 예술작품을 즐겁게 감상하는 과정이며, 대상의 눈높이에 맞춘 ‘추상 발견!’ 놀이이기도 하다.

◾매 차시의 마무리는 각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직관적인 느낌 (마음)을 추상적으로 표현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43


마음이 춤 ‘추상!’

마음이 춤‘추상!’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추상’의 즐거운 발견!

주요 활동내용 추상의 발견 : 스토리텔링으로 ‘추상’의 탄생과정 이해와 ‘칸딘스키’처럼 거꾸로 된 이미지를 통해

1차시

-추상의 탄생 스토리텔링과 액션 ‘추상’을 발견해 보기. 페인팅을 통해 추상을 발견하고, 춤추는 추상화 : 추상화를 감상하고, 그림 속 나타나

(80분) 움직임으로 표현해봄으로서 ‘추 있는 화가의 액션(행동)과 감정을 유추해 보며 음악에 맞춰 상’의 개념을 좀 더 쉽게 이해 해볼 수 있다.

춤으로 표현하기.

색깔로 이야기하는 나의마음! : 1차시 활동의 직관적 느낌을 칸딘스키처럼 색깔로 표현하기.

다양한 공감각 놀이로 만나는 어둠속의 춤 ‘추상’: 짝꿍이 리드하는대로 눈을 감 ‘추상’하기! 고 음악과 공간을 느끼며, 공간에 그림을 그리듯 온몸으로

2차시 (80분)

-다양한 음악을 통해 상상공간을 온몸으로 느껴보는 공감각적 활동을 해볼 수 있다. -추상의 아버지 ‘칸딘스키’처 럼 음악(피터와 늑대) 감상의 심상을 ‘추상 그림 과 소리’로 놀이처럼 표현해 볼 수 있다. ‘피터와 늑대’음악 감상을 통한 이야기 창작!

3차시 (80분)

-긍정 과 부정의 캐릭터를 활용 해‘반전’있는 내용으로 창의적 인 이야기 짓기 워밍업을 해볼 수 있다. -‘피터와 늑대’의 마지막 곡 을 감상하고 이 곡과 어울리는 뒷이야기를 새롭게 창작해 볼 수 있다. (인형극 대본으로 만들기) 추상화 캐릭터인형극 만들기!

4차시 (80분)

느끼는 대로! (춤추는 손) : ‘칸딘스키’처럼「피터와 늑대」음악의 심상을 도화지 위에 춤추듯 그림으로 표현하기.

내 멋대로 그림 연주회! : 그린 그림의 직관적 느낌 을 소리, 감정, 대사로 표현해보기.

은유법(비유)으로 이야기하는 나의마음! : 2차시 활동에 대한 직관적 감정을 시적인 관념 언어로 표현해보기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어보아요! : 베스트셀러 작가들에 재미있는 이야기의 공통점을 발견해보기.

「사랑이와 삐딱이」의 이야기 짓기! : 사랑이(긍정) 와 삐딱이(부정)라는 캐릭터로 ‘반전’있는 이야기 짓기.

「피터와 늑대」애니메이션 감상 : 마지막 장면은 보여주지 않고 감상하며, 퀴즈를 활용한 감상 이해.

「피터와 늑대」뒷이야기 창작 : 보지 못한 ‘마지막 장면의 음악’만을 듣고 음악과 어울리는 뒷이야기를 창작해보기.

몸으로 이야기하는 나의마음! : 3차시 활동의 ‘발견’을 몸으로 표현하는 조각상 되어보기.

「피터와 늑대」의 그림자 막대인형극 감상 : 영상 을 감상하며 ‘인형극의 형식’을 이해하기.

-내가 그린 추상화를 활용하여 추상화 캐릭터인형 만들기(분절막대인형): 2차시 움직이는 ‘추상화 캐릭터인형 에 내가 그렸던 추상화로, 3차시에 창작한 뒷이야기의 캐 (분절막대인형)’을 만들 수 있다.

244

표현해보기(공감각 활동)

릭터인형(분절막대 인형) 제작.


연극분야 - 우수상

-‘피터와

늑대’의 새롭게

창작한 뒷이야기를 추상화 캐 릭터인형극으로 발표해볼 수 있다.

추상화 캐릭터인형극 장면연습 과 발표 : ‘장 면 만들기 활동지’를 활용한 인형극 연습 과 발표.

내가 만든 인형이 나에게 하고 싶은 말은?(소감인터뷰)

※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준비되었지만, 난이도 조절에 따라 성인까지도 진행이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추상에 대한 체험활동을 좀 더 유연하고 적극적으로 흡수하는 대상은 초등학생이다. 성인을 위한 프로그램이라면 이해를 돕기 위한 활동이 더 필요할 것이다.

2. 세부내용  1차시 (80분) [개요] 활동 주제 : ‘추상’의 즐거운 발견! 활동 목표 : 추상의 탄생 스토리텔링과 액션페인팅을 통해 추상을 발견하고, 움직임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추상’의 개념을 좀 더 쉽게 이해해볼 수 있다.  준비물 : 지구의 사진, 칸딘스키 그림(시각자료), 잭슨폴록&배석빈 그림(시각자료, 인쇄물), 4박자 음악, 색종이 참고자료 : 칸딘스키<문화체육관광부_도란도란 문화놀이터> 자료의 작가소개 인용

▣ 도입 1. 추상의 발견! - 추상의 아버지 칸딘스키 화가처럼 거꾸로 된 이미지를 보며 느낌 나누기를 해 보고, 스토리텔링을 통해 어렵지 않게 추상화의 탄생과 의미를 살펴보는 활동.

그림330 <항공에서 찍은 실제 지구의 모습>

245


마음이 춤 ‘추상!’

① 작가와 작품명, 그리고 거꾸로 된 이미지라는 것을 비밀로 한 채 감상하기를 한다. (PPT) ② 이미지를 보고 떠오는 느낌을 이야기 나누어 본다. ③ 마치 추상화 같은 위 이미지는 항공에서 찍은 실제 지구의 이미지 이며 원본을 소개한다. ④ 이렇게 일상 속에서 거꾸로 된 자신의 그림을 보며‘추상’의 아름다움을 발견한 ※ Wassily Kandinsky _ Storytelling 칸딘스키는 어느날 자신의 스튜디오에 들어서면서 거꾸로 놓여있는 그림을 보면서 참 아름답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순간 그는 그림이 무엇을 그렸느냐와 관계없이 ‘색채’와 ‘선’만으로도 강렬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확신을 갖게 되었어요. 언뜻, 아무런 의미와 감정도 없어 보이지만, 칸딘스키는 이런 추상화 속에 '영혼을 울리는 감동'이 담겨져 있다고 말했답니다. 또한 칸딘스키는 음악이 화음만으로 청중의 심금을 울릴 수 있는 것처럼 그림의 "색채는 건반이며, 눈은 망치이고, 영혼은 그림2 <칸딘스키_ 연속>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줄을 가진 피아노이다. 예술가란 그 건반을 이것저것 두드려 목적에 부합시켜 사람들의 영혼을 진동시키는 사람이다."라고 말했답니다!

<문화체육관광부_도란도란 문화놀이터 자료 참고>

⑤ 추상의 의미 정리 : 뽑아낼‘추(抽)’+ 코끼리‘상(象모양의 의미)’의 한자어 ◾직역 : 모양을 뽑아냄

예)‘피카소’도 사물의 특징을

◾의역 : 실제하는 사물에서 특징을 발견하는 것 ▷일상 속 의미 있는 패턴(특징)의 발견!

뽑아서(발견해서) 그렸기 때문에 ‘추상화’라고 말합니다.

▣ 전개 1. 춤추는 추상화 - 그림을 감상하고, 그림 속 나타나 있는 화가의 액션(행동)을 상상해 보며 음악에 맞춰 춤으로 표현해 보는 활동. ① 추상화 감상1 ◾이 그림을 보면 어떤 느낌(직관)이 드나요? ◾특히 그림 속 어떤 부분이 그런 느낌을 갖게 한 것 같나요? ◾그림 속에서 어떤 부분이 가장 눈에 띄나요? (발견)

② 추상화 감상2 ◾화가는 그림을 그리면서 어떤 행동을 했을 까요? ▷화가가 그림 재료를 가지고 그리기 위해 한 행위 찾기 예: 구불구불 흔들기 / 휙 쓸어버리기 그림3 <잭슨폴록_ 액션페인팅>

<배석빈_ 등1>

점찍기 / 떨어뜨리기 / 섞기=혼합 ◾왜 그런 행동을 했을까요?

246


연극분야 - 우수상 (※행위 찾기를 어려워 할 경우 그림에 어떤 선이 보이는지를 먼저 물어보고 이 선을 그리기 위해 화가들은 어떻게 움직였는지로 끌어 낼 수 있다.)

③ 그림 속에서 우리가 발견한 화가의 행위들을 음악에 맞춰 춤으로 표현해보아요. 단, 화가의 행위(붓놀림)에서 느껴졌던 감정도 생각하면서 춤으로 만들어 보아요. (※6인1조 모둠활동 / 몇 가지의 감정이 느껴지는 음악 또는 리듬만 있는 음악을 들려주고 선택)

8카운트 안무▷ 구불구불 흔들기 / 휙 쓸어버리기 / 점찍기 / 섞기=혼합... 등의 행위 중에 4가지를 선택하여 8카운트 안무 만들기 (안무동작 만들기의 예시를 알려준다.)

④ 발표하는 모둠은 위 그림을 교실의 마음에 드는 공간에 붙이고, 그림 앞에서 모둠별 발표회를 한다. ◾모둠 발표 후, 4가지 동작 순서 와 그림의 어느 부분 보고 연상하였고, 어떤 감정을 담아 안무를 만들었을 지 추측해 보기. ◾발표한 모둠의 인터뷰 (친구들이 추측한 생각이 맞는지, 발표한 모둠의 생각 물어보기)

▣ 마무리 1. 색깔로 이야기하는 나의 마음! - 주어진 다양한 색종이(색깔)를 활용하여 오늘 활동에 대한 자신의 느낌(직관)을 이야기 해 본다. (색종이를 구기거나 찢는 등 변형하여 자신의 느낌을 표현해도 좋다.)

 2차시 (80분) [개요] 활동 주제: 다양한 공감각 놀이로 만나는‘추상’하기! 활동 목표: -다양한 음악을 통해 상상공간을 몸으로 느껴보는 공감각적 활동을 해볼 수 있다. -추상의 아버지‘칸딘스키’처럼 음악(피터와 늑대) 감상의 심상을‘추상 그림 과 소리’로 놀이처럼 표현해 볼 수 있다.  준비물 : 다양한 감정의 음악, 피터와 늑대 음악, 도화지, 채색도구, 안대 참고자료 : 찬의 cy-pen 블로그 http://blog.naver.com/lkintl?Redirect=Log&logNo=220400390029 ‘피터와 늑대’

▣ 도입 1. 어둠속의 춤‘추상’ (Blind Dancing) - 눈을 감고 음악과 공간을 느끼며, 몸으로 표현해 보는‘공감각’적 활동. ① 2인 1조가 되어 서로 마주보고 두 손을 잡는다. 손이 위로 올라간 짝꿍을 A, 손이 아래에 있는 짝꿍을 B라 칭한다. ② A는 눈을 감고 B가 음악에 맞춰 리드하는 대로 움직이면서 스스로 춤을 추기도 한다. (B는 리듬을 타며 음악에 어울리는 선을 그리듯 공간 바닥을 이동한다. 단, A를 다른 학생과 부딪히지 않도록 안전하게 리드한다. / A는 리드하는 짝꿍과 어둠속 공간을 느끼며 상상해 본다)

③ A 와 B의 역할을 바꿔 춤을 춘다. 247


마음이 춤 ‘추상!’

④ 활동에 대한 소감 나누기를 한다. ▷ 음악을 듣고 공간 바닥에 어떤 선을 그리며 짝꿍을 리드했나요? ▷ 춤을 췄을 때 어떤 공간처럼 느껴졌나요? (어떤 공간을 상상하였나요?) ▷ 나를 리드해준 짝꿍은 어떤 사람처럼 느껴졌나요? ※이 프로그램에서「어둠속의 춤 추상」활동은, 다음 전개활동‘피터와 늑대’음악 감상을 추상그림으로 표현하는 「느끼는 대로!」활동을 돕기 위해 웜업으로 구성하였다.

하지만,「어둠속의 춤 추상」에서 사

용됐던 음악의 느낌을 그대로 추상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진행해도 좋다.

▣ 전개 1. 느끼는 대로! (춤추는 손) -‘칸딘스키’처럼「프로코피에프-피터와 늑대」음악을 듣고 난 느낌(직관)을 도화지 위에 손이 춤을 추듯 그림으로 표현해 보는 활동. (※도입활동이 음악을 온몸으로 표현했기 때문에 손으로 춤추듯 그리는 활동은 수월하게 진행이 된다.)

① 두꺼운 도화지에 4가지를 그려 넣을 것이다. 그림의 위치나 크기는 상관이 없으나 될 수 있으면 4가지가 서로 겹치지 않게 분할하여 그리도록 한다. (들려주는 음악의 순서대로 그린 그림 옆에 작게 번호를 적어 표시해 둔다.)

②「프로코피에프-피터와 늑대」음악을 듣고 난 느낌을 화가의 행동 (구불구불 흔들기, 휙 쓸어버리기, 점찍기, 떨어뜨리기, 섞기=혼합 등)을 활용해 추상적인 그림을 그려 본다.

▷ 피터와 늑대의 이야기에 나오는 7캐릭터(할아버지, 늑대, 피터, 오리, 고양이, 새, 사냥꾼)의 음악 중 4곡을 선곡하여 들려준다. (7 캐릭터와 스토리는 미리 알려주지 않는다.) ▷ 음악을 듣고 그림을 그리기 위해 오래 생각하지 않는다.

③ 다 그린 그림들은 같은 형태의 그림끼리 묶어 전시하고 다 같이 감상한다.

그림4

※참여대상이 추상적 그림을 그리는 것을 어려워할 여지가 보인다면 추상미술의 다양한 그림을 나눠 주고 그림 안에서 음악 감상을 통해 느껴지는 부분을 오려서 붙이기를 해도 좋다. ※지적 발달이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초등학생 시기에는 형식적인 추론과 추상화를 하는 능력이 아직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느낌이 가는대로(직관) 그릴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2. 내 멋대로 그림 연주회! -‘느끼는 대로’활동 그림을 감상해보고, 그린 그림의 느낌을 소리, 감정, 대사로 표현해 보는 활동. ① 전시된 그림을 보고 어떤 소리가 떠오르나요? ▷ 그림 하나를 지목하고 연상되는 소리를 학생 전원이 입으로 소리내어 보게 한다. 248


연극분야 - 우수상

② 이 형태의 그림은 어떤 감정이 느껴지나요? ③ 이 형태의 그림이 말(대사)을 한다면 어떤 말을 할까요? ④「프로코피에프-피터와 늑대」의 4곡 과 연결지어 4개의 모둠으로 나누고‘그림 연주회’를 발표한다. ▷ 각 모둠별로 모여서 자신의 그림을 들고 연주할 순서를 정하고, 소리 또는 감정이 들어간 대사를 연습한다.

▷ 한 모둠씩 그림 연주회를 발표하고, 감상 소감을 나눈다. (※ 실제 수업에서는 위 활동을 오케스트라처럼 배치하고 모둠별 지휘자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 마무리 1. 감상한 음악「프로코피에프-피터와 늑대」의 간단한 소개 - 음악의 제목 과 작곡가의 소개를 한다. 음악 속에 숨겨진 재미난 이야기는 다음시간에 소개.

2. 시적인 말로 표현하는 나의 마음! -‘시 언어’의 추상적 은유(비유) 표현법으로 오늘 수업 활동의 느낌(직관)을 표현해 본다. ‘내 멋대로 그림 연주회’는 (

)이예요! 왜냐하면 (

)때문 이예요.

예:‘어둠속의 춤’은 (타임머신) 이예요! 왜냐하면 (음악의 속도에 따라 이곳저곳으로 공간여행을 갈 수 있기)때문이예요.

3. 다음 시간 안내 -“다음 시간에는 여러분이 그린 그림을 활용해서 관절막대인형을 만들어 보고 인형극 발표도 해볼 예정입니다. 그린 그림은 제출해 주세요.”

 3차시 (80분) [개요] 활동 주제:‘피터와 늑대’음악 감상을 통한 이야기 창작! 활동 목표: -긍정 과 부정의 캐릭터를 활용해‘반전’있는 내용으로 창의적인 이야기 짓기 의 워밍업을 해볼 수 있다. -‘피터와 늑대’의 마지막 곡을 감상하고 이 곡과 어울리는 뒷이야기를 새롭게 창작해 볼 수 있다. (인형극 대본으로 만들기)  준비물 : ‘피터와 늑대’애니메이션, 퀴즈활동의 악기소리 및 사진 PPT, 카드자료 색깔 스티커, 장면 만들기 활동지 참고자료 : 애니메이션 자료

: http://tvpot.daum.net/v/ZIbC-AZGjJk$

249


마음이 춤 ‘추상!’

▣ 도입 1.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어보아요! - 베스트셀러 작가들에 재미있는 이야기의 공통점을 발견해보고 이야기 나눠보는 활동. ① 내가 읽었던 동화, 또는 영화, 만화...등 가장 재미있었던 작품은 어떤 것이 있었나요? ② 왜 재미있다고 여겨졌나요?(특히 어떤 부분이 재미있거나 인상 깊었나요?) 캐릭터?, 생각지 못한 사건? 스토리 속 배경?, 상황?... 등등 ③ 스토리 진행에 대해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④ 예측할 수 없고, 반전이 있는 스토리는 우리에게 어떤 느낌과 생각을 갖게 하나요? 2.「사랑이 와 삐딱이」의 이야기 잇기! - 사랑이 와 삐딱이 라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긍정과 부정적인 이야기를 오가는 내용으로 반전 이야기를 만들어 보는(브레인스토밍) 활동. ① 베스트셀러 작가처럼 학급 전원이 재미있는 반전 릴레이 이야기를 만들어본다. ▷ 앞 사람의 이야기에 집중해야 다음 이야기를 잇는 사람이 맥락에 맞게 만들어 갈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반전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②‘사랑이’와‘삐딱이’ 2개의 모둠으로 나눈다. ‘사랑이’모둠은 이야기의 모든 상황을 긍정적(행복)인 이야기로 바꾸어주고 ‘삐딱이’모둠은 모든 상황을 부정적(불행)인 이야기로 바꾼다. ④ 첫 이야기의 시작은 강사가 제시하고 학급 전원이 순서대로 이야기를 이어간다. 예) ○○초등학교 학생들이 숲으로 체험학습활동을 갔어요. 주인공과 친구들은 숲을 산책하다가 안타깝게도 길을 잃어버리게 됐어요, 날은 어두워지고 지쳐 가는데 다행이 멀리서 불이 켜져 있는 집을 발견했습니다. 그런데 어디선가 으스스한 소리가 들렸어요. 하지만 그 소리는 알고 보니... (‘사랑이’모둠에게 바턴을 넘겨)--> 한 친구가 뒤에서 장난을 친 것이었다. 모두들 재미있다고 깔깔깔 웃었어요. ※ 사랑이 : 긍정적, 행복을 의미 / 삐딱이 : 부정적, 불행을 의미

▣ 전개 1. 음악과 이야기가 어우러진「프로코피에프-피터와 늑대」 영상(애니메이션) 감상 ① 전 시간(1차시)에 감상했던「프로코피에프-피터 와 늑대」는 동화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한 곡입니다. 이 음악 속에 재미난 이야기가 숨겨져 있답니다.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진‘피터와 늑대 ’이야기를 함께 감상해 보아요. ▷7캐릭터(할아버지, 늑대, 피터, 오리, 고양이, 새, 사냥꾼)의 등장과 함께 어우러진 악기의 소리(음색)를 잘 들어본다.

② 마지막 장면(음악)은 보여주지 않는다. 그림5 영상출처 : http://tvpot.daum.net/v/ZIbC-AZGjJk$ (※ 피터와 늑대는 다양한 애니메이션 및 영화 등 영상자료가 온라인에 있다. 대상과 상황에 맞게 활용.) 250


연극분야 - 우수상

③ 감상활동 퀴즈! (악기소리 및 사진 PPT, 카드자료 활용) ▷ 6인1조로 모둠을 나눠 앉는다. (색깔 스티커 활용 외 간단한 방법으로 모둠나누기) 각 모둠별로 악기 와 등장인물 이미지가 담긴 카드 1세트를 나눠준다. 퀴즈 문제를 듣고 모둠별 논의 후 해당 카드를 들어 정답을 맞춰본다.

▷ 할아버지가 등장했을 때 연주되었던 악기는 무엇인가요? (여러 악기 소리만 들려준다) ▷ 피터가 등장했을 때 연주 되었던 악기는 무엇인가요? (여러 악기의 사진을 보여준다) ▷ 클라리넷은 어떤 인물이 등장했을 때 연주 되었나요? (클라리넷 악기 사진과 소리) ▷ 늑대가 등장했을 때의 음악 느낌은 어떠했나요? 등 2.「피터와 늑대」뒷이야기 창작 - 영상으로 보여주지 않았던 ‘마지막 장면’의 음악만을 들려주고 음악과 어우러지도록 재미있는 반전(사랑이 와 삐딱이 처럼)을 상상하며 뒷이야기를 창작해 보는 모둠활동. ① 6인1조로 모둠을 나눠 앉는다. (색깔 스티커 활용 외 간단한 방법으로 모둠나누기) ② 마지막 곡을 감상하고 각 모둠별로 상상되는 장면을 이야기 나눈다. ③ 창작한 이야기의 등장인물 대사를 만든다. (장면 만들기 활동지 활용) ④ 등장인물의 역할을 나눈다. ▷음향 담당도 정한다. (마지막 곡이 뒷이야기의 어느 부분에 연주되어지면 좋을지를 정한다. 들려주는 음악 외에 주변의 악기나 사물을 이용하여 효과음을 만들어 마지막 곡과 어울리게 연주해도 좋다.)

⑤ 이야기의 제목도 새롭게 바꿔본다. (※ 4학년 대상으로 ‘피터와 늑대’ 뒷이야기 만들기를 제시했는데, 고학년이라면 새롭게 전체 이야 기 를 창 작 해 도 좋 다 .)

▣ 마무리 1.「프로코피에프-피터와 늑대」의 보지 못한 애니메이션의 마지막 장면을 감상한다. ▷ 감상 후 애니메이션과 우리 모둠이 만든 마지막 장면의 공통점 &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본다.

2. 조각상으로 표현해 보는 나의 마음! - 오늘 수업한 내용에 대해 느낀 것(직관) 또는 발견한 것을 몸으로 표현해보기. (언어사용 안하기) ▷각 모둠별로 정지동작(타블로) 또는 5초 움직임 활동을 활용하여 느낌을 간단히 몸으로 표현해 본다.

 4차시 (80분) [개요] 활동 주제: 추상화 캐릭터인형극 만들기! 활동 목표: -내가 그린 추상화를 활용하여 움직이는 추상화 인형(분절막대인형)을 만들 수 있다. -‘피터와 늑대’의 새롭게 창작한 뒷이야기를 내가 만든 추상화 인형으로 추상화 캐릭터인형극을 발표해볼 수 있다. 251


마음이 춤 ‘추상!’

 준비물 :‘피터와 늑대’그림자극 영상,‘느끼는 대로!’활동의 추상화, 가위, 할핀, 칼, 싸인펜, 테이프, 막대, 색종이, 장면 만들기 활동지, 흰 천, 책상  참고자료 :‘피터와 늑대’막대그림자인형극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4XoxDOC9VHI

▣ 도입 1.「프로코피에프-피터와 늑대」의 그림자 인형(막대인형)극을 감상하며 인형극의 이해를 돕는다. - 이미 이야기를 알고 있으므로 영상을 감상하며 인형극의 형식을 이해해보는 활동. ① 음악과 대사가 나올 때 인형들의 움직임을 살펴보아요. ② 여러 인형들이 등장 했을 때 서로 겹치지 않고 등퇴장을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아요. ③ 대사를 하지 않고 등장해 있는 인형들의 움직임도 살펴보아요. 동영상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4XoxDOC9VHI

그림6

▣ 전개 1. 추상화 캐릭터인형 만들기(분절막대 인형) - 2차시‘느끼는 대로!(춤추는 손)’활동에서「프로코피에프-피터와 늑대」 감상을 통해 그렸던 추상화를 활용하여, 3차시에 창작한 뒷이야기의 등장인물들에 어울리는 추상화 캐릭터인형(분절막대 인형)을 만든다.

그림7 <참고이미지 : 키즈키즈 매거진>

<실제 수업용 ‘늑대’추상화 캐릭터인형 제작>

① 등장인물 중 늑대 캐릭터인형을 만든다면, 지난 시간 그린 추상화 그림의 어느 부분을 오리면 늑대 같은 느낌을 표현할 수 있을지 생각해본다. ▷ 그림을 늑대모양대로 오리는 것이 아니라, 늑대 같은 느낌(직관)을 주는 새로운 형태 (비 형태적인)의 캐릭터를 만들어 본다. (그림의 선에서 느낌을 찾아본다)

② 감상했던「프로코피에프-피터와 늑대」그림자 인형극처럼 등장인물을 크게 2군데로 분절하여 움직일 수 있는 막대 인형으로 만들어 본다. ▷ 예: 머리&몸통/ 몸통&팔 / 몸통&다리 / 몸통&움직이는 입...등으로 나누고‘할핀’으로 고정 하여 막대로 움직임을 조정한다. 252


연극분야 - 우수상

※ 대상의 연령 수준에 적합하도록 간단히 2개로 분절되는 막대인형 형태로 인형극을 진행 하였으나, 고학년 이상이라면 팔과 다리 등 더 많은 관절을 만들어 인형극을 진행해도 좋다. 「마음이 ‘춤’ 추상」의 전체 활동은 ‘추상의 발견’처럼 음악이나 그림을 통해 발견한 것을 뽑아내어 구체화 및 입체화한 놀이 형태이다.

하지만, 학생들이 그린 추상화를 다양한 입체적인

재료를 활용하여 ‘비 형태적’인 결과물로 만들어 보는 등의 추상적인 활동으로만 진행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인형극 외에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강사의 추상에 관련된 발문이 중요하겠다.

2. 추상화 캐릭터인형극 장면연습 과 발표 - 3차시 활동에서「피터와 늑대」의 뒷이야기를 창작했던 ‘장면 만들기 활동지’를 활용하여 모둠별로 등장인물의 대사와 움직임 등을 연습해보고 발표해 보는 활동. ① 지난시간 나눈 6인1조 모둠으로 앉아 ‘장면 만들기 활동지’내용을 상기해 본다. ②‘장면 만들기 활동지’에 기록해 두었던 대사를 맡은 역할대로 함께 읽어보며 암기한다. ③ 도입 활동에서 보았던 「프로코피에프-피터와 늑대」의 그림자 인형(막대인형)극을 떠올리며, 실제 인형의 움직임과 함께 인형의 위치, 등퇴장 및 동선을 약속하며 장면을 연습한다. ④ 관람 예절 및 무대에서의 약속들에 대해 간단히 이해하는 시간을 갖는다. ⑤ 흰색 천 과 책상을 활용하여 추상화 캐릭터인형극의 무대를 설치하고 모둠별 발표의 시간을 갖는다.

▣ 마무리 1. 1~4차시 활동의 중요 과정을 정리하며, 인상 깊었던 활동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2.‘추상화 캐릭터인형을 통해 본 나의 마음! - 내가 만든‘추상화 캐릭터인형’이 나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일까요? ▷ 소감 인터뷰 활동 : 각자가 만든 추상화 캐릭터인형의 입장에서 자신에게 하고 싶은 말을 생각해보고 인형극을 하듯 대사한다. 강사는 장난감 마이크를 준비하여 대사하는 인형과

인터뷰를 하듯 소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253



연극

너랑 나랑, 오래오래

권 선 혜, 이 슬 이



연극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너랑 나랑, 오래오래

관련 장르

과학, 연극

대상연령

초등학교 6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기본교과 45분 모든 살아있는 생명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가져야한다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2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한 과학 기본교과와 연관된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이다. 학습자의 과학교과 학습은 교과서의 이론을 배우 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학습자의 실제 삶에서 교과 내용 을 적용하고 응용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한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간접적인 체험이 가능한 문화예술교육과 과 학 교과와의 다양한 접목 시도를 고려할 수 있다.

프로그램 내용 요약

학습자의 감성과 창의적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다양 한 문화예술교육 방법을 4차시의 수업에 적절하게 배치하 여 모든 살아있는 생물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배울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핫시팅, 타블로(조각상 만들기), 즉 흥대사와 움직임, 역할이 되어 인터뷰하기 등의 예술을 매 개로 학습을 한 학습자는 몸으로 교과 내용을 체험하게 되 고 이론이 경험으로 확장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문 화예술교육은 학생들의 감성을 자극함으로써 학습 내용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여러 명 이 공동으로 작업하는 ‘연극’ 이 가진 예술적 특성은 학 습자에게 협동과 공동체의 가치를 내면화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257


너랑 나랑, 오래오래

너랑 나랑, 오래오래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다양한 동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1차시

동물들이

살아가는 -모둠활동 : 점을 이어 멸종 위기 동물 그림

환경이 각기 다름을 알 수 완성하기 있다.

멸종

위기

동물이 -모방하기 : 멸종 위기 동물의 소리와 몸동작

많음을 인지하고 문제의식 으로 자기소개 하기 을 가질 수 있다. 친숙한 동물인 거북이의 여 행 이야기를 통해 생존하기 -바다거북의 험난한 여행 이야기 읽기

2차시

어려운 환경에 놓인 동물의 -모둠활동 : 이야기 듣고 정지장면(타블로) 처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 만들기, 얼음 땡 (대사) 다.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이

3차시

안전한 환경에서 살기 위해 서 우리가 어떤 실천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연극놀이 : 위기에 처한 바다거북, 비닐봉지, 공사현장의 사람 등 이야기 속의 다양한 역 할을 학습자 모두 하나씩 맡아 즉흥대사와 움직임이 있는 연극으로 만든다.

-모둠 인터뷰 활동 : 연극놀이에서 맡았던 역 우리들의 실천으로 동물들과

4차시

더불어 사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할로서 인터뷰에 임한다. 역할에 좀 더 깊이 있게 들어가 보는 시간이다. - ‘만약에’를 사용하여 이야기 수정하기 -영상 편지 : 바다거북에게 하고 싶은 말을 전한다.

258


연극분야 - 입선

2. 세부내용 3-1. 1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 더불어 살아가는 다른 생명체에 대해 알아보기 학습목표 : 다양한 동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동물들이 살아가는 환경이 각기 다름을 알 수 있 다. 멸종 위기 동물이 많음을 인지하고 문제의식을 가질 수 있다. 준비물 :

멸종 위기 동물 점선 그림, 멸종 위기 동물 영상, 스케치북, 멀티미디어 기

기, 색연필, 크레파스, 가위 참고자료 : ‘작은 것이 아름답다‘의 재생 종이 공책(http://jaga.or.kr/?p=3861), 『영화 교과목 교육의 이해와 실제』(김형주 저, 배재대학교 출판 지원실, 2010) 지도 시 유의사항 : 동물에 관해 이야기 할 때 학습자의 실제 경험을 이끌어내 친밀하 게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동물을 키워 본 경험이 있나요?’, ‘동물원에 가본 적이 있나요? 그곳에서 어떤 동물을 볼 수 있었나요?’ 등. 세부활동 내용 세부활동 내용 1. 도입 [흥미유발&동기부여] 일상 속에서 동물과 함께 했던 경험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동물원에 갔던 경험, 동물을 키워본 경험 등의 일상에서 자주 만날 수 있거나 우리에게 친숙한 동물들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다.

유의점 1)동물의 이름뿐 아니라 다양한 동물들의 생김새와 사는 환경 등 구체적인 영역을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사고력과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질문을 유도한다. 2)학습자의 경험을 이야기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적절한 질문을 유도한다.

2. 전개 1)점 그림을 완성시키기 전까지 [호기심 유발 & 학습 주제 제시] 는 동물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 1)점을 이어 동물 그림 완성하기 (일락꼬리마도요, 남생이, 지 않고 그림 그리기에만 집중 할 수 있도록 한다. 사향노루, 삵, 표범장지뱀, 구렁이 등) *준비물 : 다양한 채색도구, 점으로 이루어진 동물 밑그림

259


너랑 나랑, 오래오래

▼멸종위기동물 그림 공책

‘일락꼬리마도요’

[교과접목 프로그램] 2)교과서 읽기(연계) [6-1 과학 5단원. 주변의 생물 - 멸종 위기의 동물]

2)교과서를 읽고 이 그림이 멸 종위기 동물인 것을 자연스럽 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

3)점선그림과 연관시켜 우리나라의 멸종 위기 동물들을 멸종위기 동물이 어떤 한 가지 생물군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알아본다.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동물이나 우리에게 친숙한 것이 아니라 포유류, 바다생물 동물 외에도 다양한 멸종위기의 동물들이 있다는 것을 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등 여러 생물군에서 전반적으로 활동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시킨다. 4)점선으로 그린 멸종위기 동물 관련 영상 시청 5)모방하기

멸종 위기 동물의 소리와 몸동작으로 자기

소개 하기 3. 마무리 [호기심 유발&다음 차시 예고] 1)바다거북 그림자 사진 보기

1) 바다와 육지를 오갈 수 있 는 생물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다음 시간에는 '바다와 육지를 오갈 수 있는 ‘멸종 설명하여 사진을 보기 전 ‘거 위기 동물의 이야기를 들려줄 것이다.

북이’를 유추할 수 있도록 돕

-그림자로만 나타나 있는 바다거북 의 형체 이미지를 는다. 함께 보고 수업을 마무리 한다. *준비물 : 멀티미디어 기기, 바다거북 그림자 사진 자료

260


연극분야 - 입선

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학습목표

문제적 상황을 인식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기

친숙한 동물인 거북이의 여행 이야기를 통해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한

동물의 처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준비물

바다거북 이야기 자료 다양한 재질과 색깔의 천 타악기 다양한 소품 비닐

과자봉지 상자 등 차임벨 채색도구 등 참고자료 파차마마

파차마마 책표지 이미지 출처 전 세계 어린이 지음 햇살과 나무꾼 역 바다 어린이 출판사

실리 오닐의 교육연극 수업 중에 연극하자 지도시 유의사항

필립 테일러 크리스틴 워너 저 연극과 인간 출판사 구민정 권재원 공저 다른 출판사

놀이 활동 시 안전 공간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바다거북의 험

난한 여행 이야기를 읽을 때 감정을 넣어 생동감 있게 읽을 수 있도록 한다 타블로 기법 활동 시 학습자 전원이 빠짐없이 장면 속에서 역할을 맡을 수 있도록 하고 몸을 다양하게 움직여볼 수 있도록 돕는다 세부활동 내용 세부활동 내용

유의점

1)모둠을 나누는 과정에 있어 서 아이들 기분이 상하지 않 [흥미유발&워밍업] 도록 주의한다. 객관적 위치인 1)모둠 나누기 선생님이 조를 나눠주거나 서 - 5~6명을 한 조로 하여 4모둠으로 나눈다. 로 협의를 통해 결정할 수 있 -총 네 모둠으로 나눈다. 게 한다. 지난 시간에 그렸던 -지난 시간을 상기하며 멸종 위기동물로 모둠명을 정 점선 그림을 벽이나 칠판 등 에 붙여 놓아 멸종 위기동물 하고 조장을 정한다. 을 상기하는 것을 돕는다. 1. 도입

2. 전개 [학습 주제 제시] 1) ‘바다거북의 험난한 여행’이야기 읽기

1)이야기를 읽을 때 감정을 넣

-모둠별로 한 문단씩 맡아 이야기를 소리내어 읽는다. 어 생동감 있게 표현하여 아 이들이 집중할 수 있도록 한 *준비물 : 이야기 자료

다.

261


너랑 나랑, 오래오래

▼바다거북의 험난한 여행 이야기가 실린 책

2)타블로 기법 활동 시 모든 학생들이 한 가지 역할을 꼭 <바다거북의 험난한 여행-줄거리> - 아래 참조 [이야기 되새기기&움직임과 즉흥] 2)모둠활동 : 이야기 듣고 타블로(정지장면) 만들기 -이야기를 4가지 장면으로 나누어 모둠별 토의 후 정 지장면을 만들고 한 모둠씩 돌아가며 발표 한다. -얼음 땡!을 외치며 교사가 차임벨을 누르면 학생들은 정지 동작을 풀고 한마디씩 ‘즉흥 대사’를 하거나 ‘소리’를 낼 수 있다. *준비물 : 천, 다양한 소품, 차임벨 ▼타블로 활동 사진

262

맡을 수 있도록 장면 구성을 돕는다. 몸을 다양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면 구성을 돕는다.


연극분야 - 입선

3. 마무리

1)타블로를 보기 전에 이미 이

[활동 되짚기&다음 차시 예고]

야기를 글로 접한 상태이기

1)타블로 발표를 끝낸 후 4가지 장면을 본 느낌에 대해 때문에 타블로가 끝난 후 에 이야기를 나눈다.

는 이야기 내용을 되풀이 하

2)다음 차시 예고

는 것이 아니라 ‘장면을 본

오늘 살펴본 이야기 속 바다 거북이야기 속으로 우리가 자신의 느낌’을 말할 수 있 들어가 보는 시간을 갖는다는 것을 예고한다. 참조

도록 지도한다.

바다거북의 험난한 여행 이야기 줄거리

바다거북이 길고 험난한 여행 끝에 고향에 가까워졌다 그 과정 속에서 사람들이 던진 작살로 인해 친구를 잃고 상처를 입게 된다 또 바다 속에 버려진 쓰레기로 인해 생명 의 위협을 받는다 막상 고향에 도착했지만 예전에 좋아하던 산호초가 가득했던 모습 은 온데간데없고 칙칙한 산호가지들과 쓰레기들이 가득한 고향을 마주하게 된다 그 후 사람들이 던진 그물에 걸려 몸부림치고 벗어나 모래사장으로 올라왔지만 모래에 박혀 있던 유리에 배어 피를 흘리게 된다 있는 힘을 다해 구덩이를 파서 알을 낳고 쉬다가 바다로 돌아간다 피를 흘려 기운이 없는 바다거북은 바다 속 비닐봉지에 머리 가 감겼지만 그것을 벗을 기운조차 없다 맥박이 점점 느려지며 어둠 속으로 빠져 들 어간다 한편 바닷가 모래밭에서는 파라다이스 관광 휴양지가 건설되고 있다 그 모래 속에 바다거북의 알이 있다는 것은 아무도 몰랐다

263


너랑 나랑, 오래오래

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학습목표

다른 생명체의 입장을 공감하고 배려하는 마음 갖기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살기 위해서 우리가 어떤 실

천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준비물

다양한 소품 신문지 천 등

참고자료

미적체험과 예술교육

교육연극으로 여는 국어수업 지도시 유의사항

의자 마킹 테잎 등 전미숙

최우정 저

이음스토리 출판사

전국초등국어교과모임 나라말 출판사

비생물체 역할을 맡은 학습자가 상상력을 발휘하여 역할을 잘 수행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세부활동 내용 세부활동 내용

유의점

1. 도입 [흥미유발] 1) 바다거북의 험난한 이야기 속 인물들을 역할 분담한다.

1)작은 배역이라도 모두가

-모든 학습자가 이야기 속의 인물을 하나씩 맡는다.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2) 천, 신문지, 다양한 소품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상상력을 끌어내는 시간을 갖는다. -신문지와 천을 이용하여 자신이 연기할 인물에게 필요한 소품을 만들 수 있다.

2. 전개 [문제 확인하기]

1)학습자가 본인의 역할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1)연극놀이 -지난 시간의 타블로를 기반으로 연극놀이를 진행한다. -타블로의 4장면을 이어서 연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264

비생물체 역할을 맡은 학 습자가 상상력을 발휘하여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 록 돕는다.


연극분야 - 입선

3. 마무리 [공감&활동 되짚기] 1)연극놀이 후 각자 어떤 생각과 느낌이 들었는지 이야기 나누기 2)다음 차시 예고 : ‘만약에’를 사용하여 우리가 원하는 이야기로 수정하기 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학습목표 준비물

우리들의 실천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배우기

우리들의 실천을 통해 동물들과 함께 더불어 사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인터뷰 질문지 카메라

지도 시 유의사항 : 대사를 정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학습자의 경우에는 ‘대사를 듣는 사람은 누구인가’, ‘역할로서의 바람은 무엇인가’ 등의 적절한 질문을 던진다. 세부활동 내용 세부활동 내용

유의점

도입

1)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할 수 있도록

지난 시간 연극 놀이 내용 상기시키기

지도한다.

전개 문제 해결 방법 적용하기 모둠 인터뷰 활동

연극놀이에서 맡았던 역할로서 인터

뷰에 임한다 역할에 좀 더 깊이 있게 들어가 보는 시간이 다

2)대사를 정하는 것을 어려 워하는 학습자의 경우에는 만약에 를 사용하여 이야기 수정하기

서 했던 대사 이외의

가지를 정하고 다시 한 번 장면을 인가’, ‘역할로서의 바람

연기 한다 준비물

차시 연극놀이에 ‘대사를 듣는 사람은 누구 은 무엇인가’ 등의 적절한

인터뷰 질문지

질문을 던진다.

265


너랑 나랑, 오래오래

마무리 영상 편지

역할로서 바다거북에게 하고 싶은 말과 표정

을 전달한다 바다거북 역할을 맡았던 학습자는 다른 역할을 맡은 친구 들의 말을 들은 후 그들에게 하고 싶은 말과 표정을 전달 한다. 준비물

266

카메라


영화

최 우 수 상 드림 팩토리 : 영화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주 영 상



영화분야 - 최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관련 장르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드림 팩토리 : 영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영화 중학교 1~3학년 창의적 체험활동 1차시 블록타임(45분*3T=135분), 총4차시 영화 문화예술 교육에 기반을 둔 진로 탐색 프로그램

[영화로 꿈을 찍자!] 우리는 영화를 봅니다, 우리 자신의 정체감과 자존감, 그리고 흥미, 재능, 성향을 다시 발견합니다. 우리는 영화를 만듭니다, 꿈의 직업을 체험하고, 미래의 나를 만나며, 행복의 여정을 짜봅니다. ■ 완득이를 위하여 : 학교에서 사고뭉치였다가 자기가 잘할 수 있고 정말 하고 싶은 일을 찾으면서 딴 사람이 되는 영화 <완득이>의 도완득처럼 학생들에게 중요한 것은 진로탐색의 기 회를 갖는 것으로, 학생들의 삶을 변화시킨다.

프로그램 내용 요약

■ 영화는 학생들이 살아 갈 미래의 직업을 보여준다: 영화는 미래 사회의 3가지 이슈(기계화, 이미지, 스토리)를 가장 잘 접목 한 장르로서 영화는 글로 표현할 수 없는 미래 사회의 모습을 이미지로 표현한다. <인터스텔라>, <트랜센던스>, <그래비티>, <인셉션>, <아바타> 등 영화는 시공간을 뛰어넘어 수많은 정보 를 얻게 해주는, 재미있고 유익한 도구이다. 영화 속엔 수많은 직업정보가 있으며 그 안에는 미래사회의 진로정보도 있다. ■ 영화 감상 활동은 학생들의 진로탐색활동에 효과적인 수단 이 된다: 영화는 동일시를 통해 진짜 같은 간접 체험 제공하기 에 어느 매체보다도 몰입도가 높다. 그만큼에 관객에게 정서적 으로 인지적으로 강한 영향을 끼친다. ■ 영화 제작 활동은 학생들의 진로활동을 좀 더 활동적으로 만들 수 있다: 제작, 시나리오 쓰기, 연기, 촬영, 사운드, 편집, 배급과 마케팅 등 다양한 전문직업의 협업으로 학생들의 다양 한 적성과 재능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영화 의 소재와 표현 방식의 선택을 통해 다양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이 가능하다. 이를테면 자기를 소개하는 영상물 만들기, 롤 모 델에 대한 UCC, 직업적인 멘토가 되는 사람과 인터뷰 다큐, 미 래의 자기 모습을 역할로 연기하는 롤 플레이 등

269


드림 팩토리 : 영화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드림 팩토리 : 영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 꿈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완득이>, <버킷 리스

1차시

버킷 리스트

트> 등 - 평생 이루고 싶은 꿈 목록 만들기 - 나의 버킷 리스트 사진 뮤직 비디오 제작 - 실제 삶에서 그리고 캐릭터 설정에서 직업 설정 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영화에서 직업적 장소에 갖는 기능을 이해한다.

2차시

금발이 너무해

- ‘물 밖 물고기’ 스토리(인물이 직업적으로 전 혀 다른 장소에 벌이는 스토리)를 기획할 수 있다. - 직업과 장소를 중심으로 진로를 탐색하는 자세 를 가진다. - 미래의 명함 만들기 혹은 이력서 영화 제작 : 원하는 학과/회사에 지원하기 위한 자기소개 동영

3차시

나의 아름다운 명함 영화

상 (예 <금발이 너무해> 법학과 진학용 영상) 희망 직업을 갖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모의 입학 사정관 활동 - 롤 모델 찾기

4차시

리틀 빅 히어로

- <나의 영웅을 찾아서> UCC 제작 : 롤 모델에 대 한 자료 조사·수집 후 영상으로 구성한다. 기대효과

협동 학습의 모둠활동 기반, 놀이와 상상력에 중심이 있는 진로 탐색 프로그램 – 놀다보면 내가 누구인지, 어떤 일을 하면 좋은지 알 수 있다. 균형 잡힌 진로탐색 활동이 가능한 프로그램 - 자기이해 활동ㆍ진로 정보 탐색ㆍ진로 계획ㆍ진로 체험 활동 등 4개 영역의 순서로 구성 영화 제작 프로그램 : 자기소개 영상, 이력서 영상, 롤 모델 UCC, 멘토 인터뷰 다큐멘 터리, 미래

역할로 연기하는 롤 플레이, 블루 스크린 합성 통한 상황극, 사진 구성 뮤

직비디오, 영상 에세이 등 다양한 영화 감상 활동 : 핫 시팅, 상황극, 포토스탠딩 토론과 가치수직선 토론 등

270


영화분야 - 최우수상

2. 세부내용 개요 : [1차시] 주 제

버킷 리스트

창의적 체험 동아리활동/문화예술활동 진로활 ☑자기 이해 활동 □ 진로정보 탐색 활동 활동영역 진로활동 동영역 □진로 계획 활동 □ 진로 체험 활동 ▶ 인생에서 꼭 하고 싶은 일이 상상해서 버킷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 버킷 리스트를 토대로 스토리보드 형태로 한 편의 이야기를 형태로 학습 목표

만들 수 있다. ▶ 스토리보드를 토대로 사진, 자막, 사운드를 구성하여 영화를 만들 수 있다.

준 비 물 참고자료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wifi 환경, 스토리보드 용지, 버킷 리스트 UCC 샘플 버킷 리스트 관련 영화들 세부 활동 내용

도 입 1. 오늘의 수업 내용 소개

① 영상들의 공통점 찾기 : 영화 예고편, 편집한 영화 클립, 영화 스틸장면 이용 2-3편 소개 ※ 꿈과 직간접 관련된 영화들 : <버킷 리스트>(2007), <라스트 홀리데 이>(2006), <셀마>(2015), <완득이>(2011) 등 학생 연령 고려 선택한다. ② 버킷 리스트 빙고 - 영화 <버킷 리스트>의 목록에 있는 것은? - <버킷 리스트> 예고편 보고 모둠별로 빙고판(예-3*3)을 채운다. - 모둠 간 빙고를 시작한다. 몸짓 퀴즈 혹은 초성 퀴즈 등 으로 다양하게 한다. - [버킷 리스트 작성하는 요령을 알 수 있게 한다] 영화 <버킷 리스트>의 목록

271


드림 팩토리 : 영화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전 개 1. 버킷 리스트 만들기 ① 학생들에게 학생 버킷 리스트 활동지를 배부한다. ② 학생들은 학생 활동지 ‘버킷 리스트’ 항목을 작성한다. ③ 학생들에게 ‘나에게 가치 있는 일로 죽기 전에 꼭 해보고 싶은 일’이 어떤 것 인지 생각해보고 구체적으로 작성하도록 유도한다. 2.‘나의 버킷 리스트, 하얀 거짓말을 찾아라! 퀴즈(모둠 발표 활동) ① 학생들에게 ‘하얀 거짓말’ 활동지를 배부한다. ② 각 모둠원들은 활동지에 자신의 버킷 리스트 2개와 거짓 꿈 1개를 적는다. ③ 모든 모둠원들이 다 썼으면 차례를 정하여 한명씩 쓴 문장을 읽는다. 읽은 것을 나머지 모둠원들은 잘 듣고 어떤 내용이 거짓인지를 생각을 해 보도록 한다. ④ 모둠원들은 하얀 거짓을 찾기 위해 의논한다. ⑤ 모둠원들은 서로 의논한 결과를 이야기한다. 버킷 리스트 - 하얀 거짓말을 찾아라! 번호

내가 낸 문제

1 2 3 4

3. 스토리보드 만들기 4. 나의 판타스틱 데뷔작 만들기

272

진실에 ○ 하얀 거짓말에 X


영화분야 - 최우수상

정 리 1. 제작 장비를 잘 정리한다. 2. 경험 나누기: 편집한 동영상 리뷰하면서 꿈에 대해 이야기한다.

사례 박우영 학생의 버킷 리스트 동영상

기타 사항 - 항상 보면서 꿈을 이루는 노력을 할 수 있게 스마트폰에 보관할 수 있게 한다. - 기술적인 문제와 제한된 시간의 관계상 편집은 교사가 진행할 수 있다. - 버킷 리스트 작성은 생각하는 시간을 요하는 바 수업 상황에 따라 개수를 제한해야 한다. - 학생들이 버킷 리스트를 진지하게 발표하고 경청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273


드림 팩토리 : 영화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요 : [2차시] 주 제

금발이 너무해

창의적 체험 문화 예술활동 활동영역

진로활 □자기 이해 활동 ☑ 진로정보 탐색 활동

진로 활동

동영역 □진로 계획 활동 □ 진로 체험 활동

▶ 실제 삶과 캐릭터 설정에서 직업 정하기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영화에서 직업적 장소에 갖는 기능을 이해한다. ▶‘물 밖 물고기’ 스토리(인물이 직업적으로 전혀 다른 장소에 벌이 학습 목표

는 스토리)를 기획할 수 있다. ▶ 물 밖 물고기 스토리를 바탕으로 영화 포스터를 만들 수 있다. ▶ 물 밖의 물고기 기획하면서 직업과 장소를 중심으로 진로를 탐색하 는 자세를 가진다.

준 비 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wifi 환경, 스토리보드 용지, 물 밖 물고기 동영상샘플, 영화 예고편, 모둠 활동지, 색도화지, 물과 가위, 칠판 자석  버킷 리스트 관련 영화들

참고자료

·준비물: 직업카드, 자신이 선호하는 직업탐색 관련자료 ·활동 전에 미리 학생들이 직업카드에서 자신의 미래직업을 선택하고 사전 정보를 조사하거나 고민하게 한다. 세부 활동 내용

도 입 1. 오늘의 수업 내용 소개 ① 영화 공통점 찾기 : 영화 예고편, 편집한 영화 클립, 영화 스틸장면 이용 2-3편 소개 ※ 주인공과 장소가 대조가 되는 ‘물 밖 물고기’ 설정의 영화들 혹은 인물 에게 직업적 장소가 중요한 영화들의 목록 : <금발이 너무해>, <미스 에이전 트>

274

등 학생 연령 고려 선택한다.


영화분야 - 최우수상

② 영화 속 직업 빙고 - 앞의 영화예고편들에 보인 인물들의 직업명을 모둠 빙고판(예-5*5)에 채운다. 예) 변호사, 경찰관, 모델, 디자이너, 용접공 등 - 모둠 빙고를 시작한다. 이때 단어 이외 몸짓 퀴즈 혹은 초성 퀴즈 등으로 다양 하게 한다. - [앞으로 영화를 볼 때 인물의 직업을 고려할 수 있다] ③ 영화 속 직장 빙고 - 앞의 영화예고편들에 보인 모든 직업적 장소들을 모둠 빙고판(예-5*5)에 채운다. 예) 법정, 절, 미인대회 무대, 국회 등 - 모둠 빙고를 시작한다. 이때 단어 이외 몸짓 퀴즈 혹은 초성 퀴즈 등으로 다양하게 한다. - [앞으로 영화를 볼 때 인물의 직업을 고려할 수 있다]

전 개 ■ 캐릭터 직업인 카드, 직장 카드 만들기 - 직업 빙고판을 칸별로 오린다. 뒷면에 자료조사를 통해 하는 일, 업무수행 능력, 되는 길 등을 적는다. - 장소 빙고판을 칸별로 올린다. - 추가로 모둠 구성원들이 각자 자신이 선호하는 직업 각 4개씩을 작성한다. - 추가로 모둠 구성원들이 각자 자신이

직업 카드 사례 출처: <청소년용 직업카드 매뉴얼> 고

가고 싶은 직업적 사회적 장소를 4개씩용정보원

2009

작성한다.

“직업인, 직장에 가다” 스토리 아이디어 정하기 - 모둠원은 각자 직업 카드와 직장 카드 무작위 섞어 “캐릭터, 직장에 가다” 정하기 - 이때 직업 카드 혹은 직장 카드 중의 하나는 선호하는 것을 고르고 다른 카드는 무작위로 선택한다.

275


드림 팩토리 : 영화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 “캐릭터, 장소에 가다” 스토리 아이디어 – 시나리오 줄거리 쓰기 “캐릭터는 본래 어디에 있다가 어떻게 그 장소를 갔을까?” “캐릭터는 그 장소에서 성공하려면 무엇해야 하는가?” “캐릭터가 성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캐릭터가 하려고 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들은 무엇인가?” “캐릭터는 방해하는 것들은 어떻게 해결하는가?” ■ 물 밖의 물고기- 트리트먼트 쓰기 ■ 전람회 구조 - 발표와 리뷰를 돌아가며 적게 한다.

동대부여고 박유진 학생의 작품 사례 외

정 리 ■ 물 밖의 물고기 트리트먼트 발표 ■ 물 밖의 물고기 리뷰 ■ 다음 차시학습 내용과 활동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한다. ■ 인사하고 수업을 종료한다. 기타 사항 ■ 최종 인물의 직업과 장소를 선택할 때 자신이 탐색하고 싶은 것을 선택할 것 ■ 전람회 구조 - 발표와 리뷰를 돌아가며 적게 한다.

276


영화분야 - 최우수상

개요 : [3차시] 주 제

나의 아름다운 명함 영화

창의적 체험 문화 예술 활동 활동영역

진로 활동

진로활 □자기 이해 활동 □ 진로정보 탐색 활동 동영역 ☑진로 계획 활동 □ 진로 체험 활동

▶ 자기소개 동영상을 만들기 위해 시나리오, 스토리보드 등을 작성하고 제작해 봄으로써 진로 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한다. ▶ 입학사정관 혹은 입사 채용관이 되어 친구의 진로 자료와 자기소개 동영상을 보면서 진로 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을 돕는다. 학습 목표

▶ 본인의 미래직업을 구하기 위한 취업 준비 UCC제작을 위해 활동지 활용하여 시나리오를 구상해 본다. ▶ 이력서 영화 제작 : 원하는 학과/회사에 지원하기 위해 자기소개 동 영상 만들기 : (예 <금발이 너무해> 법학과 진학용 영상) ▶ 희망 직업을 갖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준 비 물

참고자료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wifi 환경, 스토리보드 용지, UCC 샘플 영화 예고편, 모둠 활동지, 색도화지, 물과 가위, 칠판 자석 ·자기소개

영상물 수업 내용

도 입 1. 오늘의 수업 내용 소개 ① 영화 퀴즈: 우리의 주인공은 어느 학과에 지원했을까? 학생들은 <금발이 너무해>의 자기소개 부분을 보면서 등장인물이 어느 학과에 지원 했는지 맞춰본다. ② 수업 목표 제시 본인의 미래직업을 구하기 위한 취업 준비 명함 영화를 제작한다.

전 개 ① 본인이 선호하는 직업을 선택하여 선택한 직업명을 활동지에 기입한다. 277


드림 팩토리 : 영화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② 직업 관련 사이트를 조사하여 직업설명 내용을 기입한다. * 이 때, 워크넷에 있는 직업흥미검사, 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을 통해 더 많은 직업정보를 탐색하도록 하거나, 사전에 조사해오도록 하는 등의 활동 추가는 교사가 판단 ③ 시나리오작성 전에 미래희망직업에 필요한 능력 및 자질과 자신을 비교해볼 수 있는 활동으로 모둠별 혹은 짝꿍과 함께 진행한다. * “잘하는 것->좋아하는 것->희망직업 업무수행능력 평가->그 외 장점”을 친구와 함께 적어보면서 자신의 희망직업을 위해 내가 노력할 부분을 다시 한 번 생각한다.

④ 스토리보드를 작성한다.

278


영화분야 - 최우수상

입학사정관이 되어 명함 영화를 본다면? 출처: <금발이 너무해> 입학사정회의 모습

⑤모둠별로 필요한 것들을 촬영한다. - 모둠별 또는 짝꿍과 자신의 활동지를 비교한다. - 같은 직업카드를 선택한 학생들끼리 활동지를 비교한다. -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3분가량의 동영상 촬영을 한다.

정 리 - 입학 사정관이 되어 영화 함께 보기 : 입학 사정관 활동 입사 채용관이 되어 보자. 내가 사정관이라면 자료와 명함 영화를 보고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 제작 장비를 잘 정리한다. - 경험 나누기

279


드림 팩토리 : 영화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요 : [4차시] 주 제 창의적 체험 활동영역

리틀 빅 히어로 문화 예술 활동 진로 활동

진로활동 □자기 이해 활동□ 진로정보 탐색 활동 영역

☑진로 계획 활동 ☑ 진로 체험 활동

▶나의 영웅을 찾아서 UCC 제작 활동 ▶롤 모델에 대한 자료 조사·수집 후 영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학습 목표

▶롤 모델에 대해 사람들이 궁금할 것 같은 내용으로 인터뷰 계획서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롤 모델 다큐멘터리’를 만들 수 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을 조사하여 영상 장면을 구성할 수 있다.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wifi 환경, 스토리보드 용지, 유명인

준 비 물

동영상샘플, 영화 예고편, 모둠 활동지, 색도화지, 물과 가위, 칠판 자석

참고자료

조앤 롤링을 다룬 EBS 지식 채널 <그녀 이야기> 외 수업 내용

도 입 1. 영화 퀴즈 : 영상물의 주인공은 누구일까? 조앤 롤링을 다룬 EBS 지식 채널 <그녀 이야기>의 앞부분만 보여 주고 영상물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알 아 맞혀 보게 한다.

2. 수업 목표 제시: 롤 모델에 대한 자료 조사·수집 후 영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 개 1. 롤 모델(가능하면 동영상 속 인물 가운데)을 찾아 인물 이미지 퀴즈 내기 - “이 사람은 누구일까요?” 예) “쓰러질지언정 무릎 꿇지 않는다” ‘아시아에서 온 티셔츠 판매원’-> 박지성 선수

280


영화분야 - 최우수상

2. 조사를 통해 롤 모델 관련 활동지를 작성한다.

3. 구성안과 스토리보드를 작성한다. 4. 인물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모아 롤 모델 영상 제작한다.

281


드림 팩토리 : 영화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정 리 : 롤 모델 영상 함께 보며 경험 나누기

282


영화

우 수 상 재미있게 배우는 영화 기술

문 정 현, 정 승 언



영화분야 - 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재미있게 배우는 영화 기술 -1)영화(movie)와 기술(film)이 만나다.

관련 장르

영화

대상연령

중학교 1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프로그램 내용 요약

창의적 체험활동 45분(1차시)x4차시=총180분(총 4차시) - 영화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적 기법들에 대한 실습을 통하 여 원리와 방법을 이해한다. - 예술과 기술의 결합으로 영화제작이 이루어짐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 영화 수업 특성상 실습에 따른 기자재와 교보재가 큰 비중 을 차지하고, 출강하는 대부분의 학교들이 학예제를 통해 학 습자들의 작품 상영을 목표로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영화 는 카메라만 있다고 해서 작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 아니 다. 영화제작에 필요한 체계적인 교육을 비롯하여 영화제작의 3단계(pre-production, production, post-production)에 따라 일 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많은 시간과 노동이 압축된 예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수업 방식에서 파생되는 단발성 영화제작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들의 지속적인 영화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였다. 그리하여 제작 의 측면, 특히 기술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춰 원리와 방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수업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이 프로그 램은 학습자들에게 움직이는 시각예술이라는 영화의 강점을 활용하여 카메라에 대한 원리와 방법을 호기심 있고 흥미 있 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이 프로그램이 학습자와 예술 강사에게 가지는 강점은 다음과 같다. ①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하였으며 1회용이 아닌 지속적으로 교육활동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② 실 습 교육의 참여 결과 가시화를 통해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 하고,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③ 영화와 기술의 융합 교육을 지향하고 있으며 영화 수업뿐만 아니라 과학, 공예, 애 니메이션 등의 수업들과 협조적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④ 실제 학습자들이 영화 제작 시, 활용가능하다.

1) MOVIE : 영화의 상업적, 오락적인 경제적 측면을 지칭한다. FILM : 영화의 대표성(집합)을 띄는 용어, 영화작품 혹은 기술적(영화의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현상)인 영화를 일컫기도 한다. CINEMA : 영화의 예술적이고 미학적인 측면을 일컫기 위해 쓰는 용어이다.

285


재미있게 배우는 영화 기술

재미있게 배우는 영화 기술

-영화(movie)와 기술(film)이 만나다.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 빛이 카메라로 들어오는 원리와 방법을 설 명한다.(강의, 참여)

1차시

핀홀 카메라 제작을 통해 카 - 핀홀 카메라의 제작 방법을 함께 실습한다. 메라의 원리 이해하기

- 학습자는 결과물을 보며 직접 체험한다. - 자신에게 처음 카메라가 주어졌다면 어떠 한 것을 담고 싶은지 발표한다. - 스마트폰에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렌즈들 에 대해 설명하고 부가 장비에 대한 교육을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다양한

2차시

렌즈의 특성 이해하기 (어안렌즈, 접사렌즈, 와이드 렌즈 등을 활용)

실시한다. - 다양한 렌즈를 자신의 스마트 폰에 장착하 여 직접 실습을 진행한다. 예) 방수비닐과 어안렌즈를 사용하여 직접 물 고기의 시점 촬영하기, 접사를 통한 익스트림 클로즈업 촬영하기 - 결과물을 함께 감상한다. - 조리개의 특성과 원리를 설명한다.

보케 필터를 통해 ‘나’를

3차시

표현하기

- 조리개의 착란원을 이용한 보케필터의 영 상을 보여준다. - 학습자들에게 제작 방법 시범을 통하여 알려 주고 실습한다.(미술, 애니매이션과 결합가능) - 결과물을 함께 감상한다. - 셔터 스피드란 무엇이며 그에 따라 이미지 가 어떻게 보여지는지 교육한다.

4차시

셔터 스피드 조절을 통한 창 - 학습자는 카메라를 가지고 직접 실습한다. 의적 영상 만들기

예) 복도의 수많은 사람들의 잔상과 이미지가 명확한 주인공, 공포영화에서의 귀신이미지 - 결과물을 함께 감상한다.

286


영화분야 - 우수상

2. 세부내용 차시 개요 1차시는 학습자들이 핀홀 카메라를 직접 제작하면서 카메라의 원리와 방법을 보다 실증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수업이다. 기존의 카메라 교육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개인별 실습이 어려웠다. 따라서 1차시는 카메라의 원리와 방법을 핀홀 카메라를 통한 1인 1제작 교육으로 직접 만지고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기본적인 카메라의 이론교육은 교수자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조리개나 셔터 스피드에 대한 부분은 이후의 수업과정에서 진행한다. 시간제약상 이론 교육은 핀홀 카메라가 현재 카메라의 기원이자 가장 원시적인 형태인 점을 중심으로 간략히 한다. 1. 학습주제 핀홀 카메라 제작을 통한 카메라의 원리 이해하기 2. 학습목표 카메라의 원리를 알고 핀홀 카메라를 제작할 수 있다. 3. 준비물 시청각자료, 핀홀 카메라 도안, 제작 매뉴얼, 완성 한 핀홀 카메라 모델, 칼, 가위, 자, 바늘 4. 참고자료 -카메라 옵스큐라:https://www.youtube.com/watch?v=hLqWDy6qUUk -핀홀 카메라 도안(무료다운로드/PDF파일제공):http://corbis.readymech.com -핀홀 카메라 제작과정:http://blog.naver.com/dal_jh(‘2015학교문화예술교육참고자료’ 게시판) -핀홀 카메라 제작, 현상:https://www.youtube.com/watch?v=hBpydAIE_Sc

287


재미있게 배우는 영화 기술

세부 활동 내용 학습단계

도입

시간

수업내용

- 인사를 하고 출석을 확인한다. - 학습자들에게 호기심과 동기부여를 위해 핀홀 카메라와 관련된 10분 영상을 보여준다. - 학습자들에게 오늘 수업할 내용이 핀홀 카메라의 원리를 이용한 핀홀 카메라 제작임을 알려준다.

- 핀홀 카메라의 원리를 이론적으로 설명한다.(영상을 보여줄 수도 있다. - 핀홀카메라를 제작하는 방법을 교수자를 통해 학습한다.

전개

30분

< 핀 홀 카메라 제작의 다양한 예시 > - 활동1. 핀홀 카메라의 제작 방법을 함께 실습한다. (교수자는 공 예작업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에 한해 도움을 준다.) - 활동2. 학습자들이 직접 만든 핀홀 카메라를 통해 세상을 바라본다.

- 핀홀 카메라의 원리를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진다. 정리

5분

- 다음 차시 수업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다양한 렌즈의 특성 이 해하기’임을 예고한다. - 인사를 하고 수업을 마친다.

288


영화분야 - 우수상

5. 지도상 유의점 4차시로 구성된 ‘재미있게 배우는 영화 기술 -영화(movie)와 기술(film)이 만나다.’ 는 교수자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출강학교 담당교사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 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이 교육 구성이 4차시 이므로 영화제작실습까지 이어지기에는 필수적으로 물리적인 시간의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출강 학교 담당교사는 교수자(예 술 강사)와 협력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종강 이후에 학습자와 소통하여 영화제작실습 을 위한 기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교수자 또 한 학습자와의 소통을 통해 반응을 살피고 창의적인 발상과 실천을 위해 지나친 개입 을 삼가며 학습자 스스로가 체험, 학습할 수 있도록 도우미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차시 개요 2차시는 학습자들에게 대중화 되어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영상을 접하고 영 화제작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의미가 있다. 우선적으로 학습자에게 렌즈에 따른 차이를 교육하기 위해서 그 특성에 따른 이론교육을 실시하고 일반적인 스마트 폰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촬영하도록 한다. 이어 와이드 렌즈를 통해 이미지가 어떠한 화각의 차이를 보이는지 실감할 수 있도록 하며, 어안렌즈를 통해 이미지가 어떻게 왜 곡 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학교에서 구할 수 있는 대야에 물을 받아와 스 마트 폰 방수 팩에 어안렌즈를 장착한 스마트 폰을 넣어 물속에서 물고기의 시선을 촬 영하여 더욱 흥미를 배가 시킨다. 마지막으로 접사렌즈를 통해 평소에는 소홀히 지나 칠 수 있었던 사물들(꽃이나 개미)을 촬영함으로서 렌즈의 특성을 반영한 흥미로운 접 근 방법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1. 학습주제 스마트폰을 활용한 다양한 렌즈의 특성 이해하기 2. 학습목표 다양한 렌즈의 특성을 알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3. 준비물 시청각자료, 스마트 기기, 스마트폰 렌즈, 거치대, 셀카봉, 삼각대, 방수 팩 4. 참고자료 -스마트폰 렌즈 실습과정:http://blog.naver.com/dal_jh(‘2015학교문화예술교육참고자료’ 게시판)

289


재미있게 배우는 영화 기술

세부 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수업내용 - 인사를 하고 출석을 확인한다.

도입

15분

- 학습자에게 다양한 렌즈로 촬영한 스마트폰 영상자료를 보여준 후 렌즈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설명한다.

- 활동1. 학습자에게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촬영 하도록 한다. 이어 와이드 렌즈, 어안렌즈 장착으로 화각의 차이와 이미지의 왜곡을 알아본다. - 활동2. 스마트폰 방수 팩에 어안렌즈를 장착한 스마트 폰을 물에 넣어 물고기가 보는 사람의 모습을 촬영한다. - 활동3. 접사렌즈를 이용하여 사물들(꽃이나 개미)을 촬영한다.

전개

25분

< 스마트 폰 렌즈 장착 예시 > - 학습자들이 촬영한 결과물을 확인한다.

- 렌즈의 특성에 따라 구현되는 이미지가 다르다는 사실을 정리하 고 질의응답을 한다. 정리

5분

- 다음 차시 수업은 ‘보케 필터를 통해 나를 표현하기’임을 예 고한다. - 인사를 하고 수업을 마친다.

290


영화분야 - 우수상

지도상 유의점 학습자의 준비물은 스마트폰이며 여건이 마땅치 않은 소수의 학습자를 위한 학교 측 의 스마트 패드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일반적인 학교의 경우 스마트 패드가 구비되어 있다.) 교수자는 기본적인 렌즈의 특성에 따른 이론 교육을 위한 PPT 자료와 시청각자 료 및 스마트폰용 거치대 혹은 삼각대와 셀카봉, 스마트폰 방수 팩, 스마트폰용 렌즈가 필요하다. 교수자의 이러한 준비물 또한 시중에 가격대가 크게 부담되지 않는 선에 형 성되어 있고 이 품목들이 1회용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차시 개요 3차시는 조리개의 착란원을 활용한 이미지 제작 수업이다. 이미 1차시에서 학습자들 은 ‘카메라에 빛이 들어와 어떻게 상이 맺히게 되는가’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진행 하였다. 이 수업에서는 카메라 렌즈에서 빛을 가장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조리개에 대 한 간단한 이론 교육을 통해 ‘조리개가 어떠한 구조로 작동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 어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수업은 카메라에 빛이 흡수되는 전 과정(렌즈 표면→조리개 →셔터→촬상면)을 점층적으로 이해 할 수 있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후 셔터를 위한 수 업과정은 4차시에 이루어질 것이다. 1. 학습주제 보케 필터를 통해 ‘나’를 표현하기 2. 학습목표 조리개의 원리와 착란원의 발생 원인을 알고 보케 필터를 제작을 통해 ‘나’를 표현 할 수 있다. 3. 준비물 PPT, 시청각자료, HDSLR, 삼각대, 보케필터 도안, 필기구, 콤파스, 가위 4. 참고자료 -보케필터 도안(무료다운로드/JPG파일제공):http://blog.naver.com/se798/220200295258 -보케필터 제작과정:http://blog.naver.com/dal_jh(‘2015학교문화예술교육참고자료’게시판)

291


재미있게 배우는 영화 기술

세부 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수업내용 - 인사를 하고 출석을 확인한다. - 학습자들에게 1차시에 학습한 카메라에 빛이 들어와 어떻게 상

도입

15분 에 맺히게 되는지에 대해 질문하고 빛을 조절하는 장치-조리개에 대해 설명한다. 더불어 보케필터를 이용한 영상을 참고하며 착락원 에 대해 설명한다.

- 활동1. 각기 다른 모양의 보케필터 도안을 받는 학습자들은 절 취 후 조리개에 장착 후 어두운 장소에서 스마트 폰 플래시를 이 용하여 착란원을 촬영한다.

전개

25분

<보케필터 제작 및 착란원 촬영 예시> - 학습자들이 촬영한 결과물을 확인한다.(각기 다른 보케필터 모양 에 따라 착란원이 어떠한 모습으로 보이는지 이야기 한다.)

- 조리개와 착락원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 질의응답을 한다. 정리

5분

- 다음 차시 수업은 ‘셔터 스피드 조절을 통한 창의적 영상 제 작’임을 예고한다. - 인사를 하고 수업을 마친다.

292


영화분야 - 우수상

5. 지도상 유의점 ①이전 수업과 같이 영화라는 예술적 매체와 과학적 원리, 기술의 결합으로 진행되며 동시에 보케 필터의 이미지를 통한 자신의 표현과정, 다시 말해 미술, 애니메이션 교과 와의 연계도 가능할 것이다. ②보케 필터가 카메라의 광량에 영향을 미치고 빛의 대비를 통해 좀 더 가시화되는 경 향이 있다는 사실을 문제점으로 지적하면서 교실이나 강당의 커튼을 활용하여 빛을 차 단하고 스마트 폰의 플래시를 이용한 결과물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지도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 플래시를 든 인물들이 정지해있기보다는 다양한 형태로 움 직이며 이미지를 좀 더 역동적으로 만들게 되면 학습효과가 더욱 배가될 것이다. 차시 개요 4차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메라에 빛이 들어오는 과정을 학습하는 것으로 이 프로그램의 마지막 수업이다. 이 수업을 끝으로 학습자들은 카메라의 원리와 방법을 단계별로 학습하게 된다 피사체에 반사된 빛이 최초 렌즈로부터 들어와 원시적이지만 가장 직접적으로 빛을 컨트롤하는 조리개를 지나게 되며 셔터를 통해 노출 시간을 결 정하고 그 빛이 촬상면 에 닿게 되면서 이미지가 촬영된다 본 수업은 이 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단순히 강의식으로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후 이어지게 될 영화제작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각 단계 렌즈 조리개 셔터 에서 행해질 수 있는 특징들을 내세워 창의적인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학습자들의 영화제작에 있어 기술적인 환경은 매우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를 기록하는 카 메라를 한정하지 않고 캠코더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하게 활용하여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1. 학습주제 셔터 스피드 조절을 통한 창의적 영상제작 2. 학습목표 셔터 스피드의 변화가 이미지에 끼치는 영향을 알고 그에 따른 영상들을 촬영 할 수 있다. 3. 준비물 시청각자료, 캠코더, 삼각대 4. 참고자료 -셔터 스피드에 따른 차이 비교:https://youtu.be/aPWiP2J3-Z4 -올림푸스 셔터스피드 광고:https://youtu.be/dLfb0UZRoUI

293


재미있게 배우는 영화 기술

세부 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수업내용 - 인사를 하고 출석을 확인한다.

도입

15분 - 학습자들에게 셔터 스피드 조절에 따라 변화하는 이미지를 담은 영상을 보여준 후 셔터 스피드의 개념을 설명한다. - 학습자들에게 셔터 스피드 차이에 따른 이미지를 제시하고 셔터 스피드 조절 방법과 함께 제작시범을 보여준다. - 활동1. 셔터 스피드에 차이를 주며 촬영한다.(복도의 수많은 사

전개

25분 람들의 잔상과 이미지가 명확한 주인공의 이미지나 공포영화에서 의 귀신이미지 등의 제안) - 학습자들이 촬영한 결과물을 확인한다.(셔터 스피드 차이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보이는지 이야기한다.)

정리

5분

- 셔터 스피드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 질의응답을 한다. - 인사를 하고 마친다.

5. 지도상 유의점 학습자의 실습은 자유롭고 창의적인 방향으로 지향해야 할 것이다. 필요한 경우 교수 자는 어느 정도의 개입이 이루어진다. 단순히 셔터 스피드 조절을 통한 이미지의 생산 이 1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후 학습자들의 영화제작실습에 활용 가능한(복도의 수많은 학생들의 잔상과 명확한 주인공의 이미지, 공포영화에서의 귀신이미지 등) 제안 을 통해 좀 더 학습자들이 흥미롭게 영화제작에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294


영화

감정 콘트롤 본부

고 은 진, 박 혜 정



영화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감정 콘트롤 본부

관련 장르

영화

대상연령

중학교 1~2학년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창의적 체험활동, 토요동아리 차시별 총 4차시, 차시당 블록타임 90분. 미디어 융합 영상 스토리텔링 하기 본 프로그램은 영화 예술강사로 활동하면서 영화를 다양한 분야와 접목시키고 싶다는 생각에서 개발되었다. 대부분의 영화 예술강사들은 여건상 학생을 대신하여 편집 을 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히 생긴다. 수업 후 편집 과정을 통 한 결과물이 온전히 학생들의 결과물로 봐야할지,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여줄 수 있는 방안인지에 대한 고민을 공유한다. 학교 현장에서 편집 수업을 배제한 다양한 융합교육을 시도해

프로그램

본 경험을 바탕으로 최근 여러 예술장르에서 각광받는 ‘미디 어 융합’을 선택하였다.

내용 요약 본 미디어 융합 프로그램은 질풍노도의 시기인 중학교 1~2 학년 학생들이 애니메이션<인사이드 아웃>의 소재인 다양한 감정에 스스로 이입하고 느낄 수 있는 감성치유적인 프로그램 이다. 학생들의 예술적 창의력을 자극하여 대사와 사운드로 감정 변화를 표현하고, 공연과 영상이 융합된 하나의 영상 스토리 텔링적 방법으로 채워갈 수 있도록 진행하고자 한다.

297


감정 콘트롤 본부

미디어 융합_감정 콘트롤 본부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①미디어 놀이를 통해 다양한 표정을 관찰하고 감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1차시 ②열린 마음을 유도하여 <인사이드 아 웃>의 인물들처럼 본인이 느꼈던 다양 한 감정들을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주요 활동내용 -사진 속 사람들의 감정을 추측하기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 소개와 클립 감상하기 -다양한 감정을 단어로 표현하기 -아바타와 시나리오 담당자 역할 정하기 -아바타 시놉시스 작성하기

①<인사이드아웃>의 한 장면을 보고 -한 씬으로 이야기 만들기 경험이나 상상력을 통해 하나의 이야 -아바타 시선의 에피소드 피드백과 수정

2차시 기로 만들 수 있다.

-촬영 기법에 대한 이해와 리허설 진행

②영화 촬영 기법인 1인칭 시점을 이 -촬영 진행하기 해하고 촬영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①사건의 흐름을 이해하고 감정 변화

3차시

를 분석할 수 있다. ②아바타 내면의 감정 변화를 대사와 사운드로 표현할 수 있다.

-촬영본 모니터링 및 감정 배분하기 -감정 흐름 정리 및 모둠별 감정 선택 -미디어 융합 공연 예시 감상 -모둠별 대사와 사운드 만들기 -리허설 진행 -초대장 제작 및 소품 체크 -공연장 준비하기 -공연 총리허설

①한 사건에서 느낄 수 있는 나와 너 -관객 입장과 공연 시작 의 서로 다른 감정을, 준비한 공연을 -무대 둘러보기

4차시 통해 표현할 수 있다.

·결과물 감상하기

②결과물을 감상하고 감정에 따른 다양

·무대 둘러보기

한 표현 방법을 비교·관찰할 수 있다.

·5가지 감정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포스트잇에 작성하기 -결과물을 보고 비교 관찰하기

298


영화분야 - 입선

2. 세부 수업 교안 1차시 미션1. 숨겨진 감정 단서를 찾아라 대상

중등

수준

1~2학년

차시

1

교수형태

■수업지원 형태

시간 교수

블록타임 90분 ■예술강사 주도형

비중

□공동 주도형 □ 교사 주도형

활동영역

■이해 ■창작 ■감상

□체험

◉학습 주제 다양한 감정 관찰하기 ①미디어 놀이를 통해 다양한 표정을 관찰하고 감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②열린 마음을 유도하여 <인사이드 아웃>의 인물들처럼 본인이 느꼈던 다양한 감정들을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학습 자료 PPT, 관련 영상, 포스트잇, 필기도구, 관련 활동지 1. 개요 학습단계

주요 활동내용

도입

1. 인사 나누기 2. 이전 차시 학습 확인 3. 학습목표 전달

전개

1. 2. 3. 4. 5.

정리

수업 정리 및 활동 소감 나누기

감정을 추측해보아요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 소개와 클립 감상하기 다양한 감정을 단어로 표현하기 아바타와 시나리오 담당자 역할 정하기 아바타 시놉시스 작성하기

세부활동 내용 ◉도입 1. 인사 나누기 2. 전차시 학습 확인 3. 학습목표 전달 ①미디어 놀이를 통해 다양한 표정을 관찰하고 감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②열린 마음을 유도하여 <인사이드 아웃>의 인물들처럼 본인이 느꼈던 다양한 감정들을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299


감정 콘트롤 본부

4. 이야기 제작 놀이 ①아이디어가 보이는 광고 사진 한 장을 보고 어떤 상황인지 추측해보자. ②비명 소리를 같이 들려주고 어떤 상황인지 추측 해보자. ③결혼 행진곡을 들려주고 어떤 상황인지 추측해 보자. [사진]

◉전개 1. 감정을 추측해보아요 ①감정이란 무엇일까? ②사진을 보며 등장한 사진 속 인물에게 무슨 상황이 생겨서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추측해보아요

[사진 1] 2.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

[사진 2] 소개와 클립 감상하기 ◉<인사이드 아웃> (2015) / 102분/ 애니메이션 ◉간단한 줄거리 모든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하는 감정 컨트롤 본부 . 그곳에서 불철주야 열심히 일하는 기쁨, 슬픔, 버럭, 까칠, 소심 다섯 감정들. 이사 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라일리’를 위해 그 어느 때 보다 바쁘게 감정의 신호를 보내지만 우연한 실수로 ‘기쁨’과 ‘슬픔’이 본부를 이 탈하게 되면서 '라일리’의 마음속에 큰 변화가 찾아오면서 다양한 감정의 소중함을 알려주는 애니메이션. 출처 네이버 영화소개

300


영화분야 - 입선

①<인사이드 아웃> 영화 클립 감상 · 영화 클립 :48초~ 7분 19초 · 예고편 감상:

https://www.youtube.com/watch?v=1UieozYEuH8

②영화 속에는 몇 가지의 감정들이 있었나요? 3. 다양한 감정을 단어로 표현하기 ①<인사이드 아웃>영화 속에 등장했던 기쁨, 버럭, 소심, 슬픔, 까칠 5가지 감정을 제시 ②5가지의 감정 단어를 듣고 떠올려지는 색, 사건 등등 자유롭게 나눠진 포스트잇 작성하기 ③학생이 작성하는 동안 교사는 5가지 감정에 해당하는 음악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집중할 수 있도록 분위기 조성하기 4. 아바타와 시나리오 담당자 역할 정하기 ①앞으로 진행할 수업에 대해 설명 ②아바타(총감독)와 시나리오 담당자 역할 정하기 5. 아바타 시놉시스 작성하기 ①<인사이드 아웃>의 클립 감상하기 ②제시한 영화 속 내용과 비슷하게 자신이 경험을 했거나 상상하여 시놉시스를 함께 완성하기 <인사이드 아웃> 한 씬 감상 아바타는 ‘라일리’ 이사 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시기 전학 온 첫날 자신 있게 소개를 하다가 갑자기 눈물이 나는 장면

[사진 3] ◉수업 정리 및 활동 소감 나누기 1. 본인들이 생각한 감정에 대한 의미와 영화 클립 속에 등장한 캐릭터 감정들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이야기해보아요. 2. 5가지 감정 외 느낄 수 있는 감정은 무엇이며 어떤 성격의 캐릭터일까요? 3. 현재 나의 감정 콘트롤 본부의 상태에 대해서 묘사해 보아요.

301


감정 콘트롤 본부

2차시 미션2. 팔로우, 팔로우 미 대상

중등

수준

1~2학년

차시

2

교수형태

■수업지원 형태

시간 교수

블록타임 90분 ■예술강사 주도형

비중

□공동 주도형 □ 교사 주도형

활동영역

■이해 ■창작 ■감상 ■체험

◉학습 주제 1인칭 시점으로 감정 표현하기 ①<인사이드아웃>의 한 장면을 보고 경험이나 상상력을 통해 하나의 이야기 로 만들 수 있다. ◉학습 목표 ②영화 촬영 기법인 1인칭 시점을 이해하고 촬영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학습 자료 관련 PPT, 캠코더, (고릴라) 삼각대, 영상, 활동지 1. 개요 학습단계

주요 활동내용

도입

1. 인사 나누기 2. 이전 차시 학습 확인 3. 학습목표 전달

전개

1. 2. 3. 4. 5.

정리

수업 정리 및 활동 소감 나누기

한 씬으로 이야기 만들기 아바타 시선의 에피소드 피드백과 수정 촬영 기법에 대한 이해와 리허설 진행 촬영 진행하기 촬영본 모니터링 및 감정 배분하기

2. 세부활동 내용 ◉도입 1. 인사 나누기 2. 이전 차시 학습 확인 3. 학습목표 전달 인사이드아웃 의 한 장면을 보고 경험이나 상상력을 통해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 수 있다 영화 촬영 기법인

302

인칭 시점을 이해하고 촬영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영화분야 - 입선

◉전개 1. 한 씬으로 이야기 만들기 ①영상 클립 감상 <인사이드 아웃> 한 씬 감상 아바타는 ‘라일리’ 이사 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시기 전학 온 첫날 자신 있게 소개를 하다가 갑자기 눈 물이 나는 장면 [사진 1] ②작성된 에피소드에서 등장할 배역 정하기 [예시]‘라일리’가 감정 변화를 일으키면서 바라보는 친구들

[사진 2]

[사진 3]

[사진 4]

③ 상상력을 활용하여 에피소드 완성하기 2. 에피소드 피드백 및 수정 ①아바타 시선은 1인칭 시점 : 작품 안에 등장하는 '나'이면 1인칭 시점 ②정해진 배역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에피소드를 수정, 보완하여 완성하기 3. 촬영 기법에 대한 이해와 리허설 진행 ①롱테이크 기법 설명 · 롱테이크는 카메라를 한번 작동시켜 편집 없이 촬영이 진행되는 것 ②1인칭 시점으로 촬영을 진행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 · 시점 쇼트는 등장인물의 시선을 따라 촬영하는 것 4. 촬영 진행하기 ①카메라의 시점은 아바타의 시선 ②배정된 역할을 아바타가 적당한 위치에 배정하기 ③삼각대 및 머리띠를 활용하여 아바타 머리 위치에 카메라를 고정하기

303


감정 콘트롤 본부

5. 촬영본 모니터링 및 감정 배분하기 ①촬영본 모니터링 ②5가지 (기쁨, 버럭, 소심, 슬픔, 까칠) 감정을 제시된 표와 같이 완성된 촬영본 배분하기 [예시] 사진

상황

예상되는 감정

학교 문앞

소심이, 기쁨이

교실안 두시 방향 쿨걸

까칠이, 기쁨이

선생님이 소개를 해보라함

소심이, 기쁨이

미네소타 소개하다가 울어버림

슬픔이, 소심이

◉수업 정리 및 활동 소감 나누기 1. 1인칭 시점 쇼트로 촬영을 진행하면서 느낀 편했던 점과 불편했던 점은 무엇이 있었나요? 2. 촬영본 모니터링을 통해 연기한 인물의 입장에 대해서 느낀 점을 발표해보자. 아바타가 느낀 여러 가지 감정들은 어떤 것이 있었나요

304


영화분야 - 입선

3차시 미션3. 감정 콘트롤 본부 이탈 사건 대상

중등

수준

1~2학년

차시

3

시간

블록타임 90분

교수형태

■수업지원 형태

교수

■예술강사 주도형

비중

□공동 주도형 □ 교사 주도형

활동영역

■이해 ■창작 ■감상

■체험

◉학습 주제 감정별 사건 재구성하기 ◉학습 목표 ◉학습 자료

①사건의 흐름을 이해하고 감정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②아바타 내면의 감정 변화를 대사와 사운드로 표현할 수 있다. 관련 시각자료, 활동지, 소리 낼 수 있는 소품들(페트병, 냄비 뚜껑등), 2차시 에 촬영한 영상, 초대장 만들 재료들(색상지, 색깔 매직등)

1. 개요 학습단계

주요 활동내용

도입

1. 2. 3. 4.

인사 나누기 이전 차시 학습 확인 학습목표 전달 모둠 구성 발표

전개

1. 2. 3. 4. 5.

감정 흐름 정리 및 모둠별 감정 선택하기 미디어 융합 공연 예시 감상 모둠별 대사와 사운드 만들기 리허설 진행 초대장 제작 및 소품 체크

정리

수업 정리 및 수업 활동 소감 나누기

2. 세부활동 내용 ◉도입 1. 인사 나누기 2. 이전 차시 학습 확인 3. 학습목표 전달 ①사건의 흐름을 이해하고 감정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②아바타 내면의 감정 변화를 대사와 사운드로 표현할 수 있다.

305


감정 콘트롤 본부

4. 모둠 구성 발표 ①이전 차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성향을 기록, 파악한 후 적당한 선에서 교사가 모둠을 구성한다. ②아바타 촬영에 몰입할 수 있도록 자세한 설명은 모둠 수업 진행시 설명한다. ③구성된 모둠은 감정별 대사와 사운드를 제작할 모둠이라는 것을 언급 ◉전개 1. 감정 흐름 정리 및 모둠별 감정 선택하기 ①이전 차시에 이어서 촬영본을 감상하고 시간대별로 감정의 흐름을 정리하기 ②모둠을 대표할 5가지 감정들 중 한 가지 감정을 선택하기 2. 미디어융합 공연 예시 감상 ①예시 영상 감상

[사진 1]

②그림으로 표현된 공연장 모습

[사진 2]

3. 모둠별 대사와 사운드 만들기 ①모둠별로 아바타 마음속 대사를 작성하기 ②아바타 감정의 깊이(감정의 폭발정도)를 ‘북’이라는 매개체를 활용하여 사운드 로 표현하기 ③다양한 사물을 사용하여 사운드 만들기

306


영화분야 - 입선

[사진 3] 4. 리허설 진행 ①모둠별로 구성한 대사와 사운드 연습하기 ②모둠별 발표 및 피드백 ③통합 리허설 진행 ④리허설을 통해 시간 계산한 후 공연 시작 시간 정하기 5. 초대장 제작 및 소품 체크 ①간단한 초대장을 제작하여 친구들 및 선생님들을 초대하기 ②모둠별 체크하여 빠짐없이 챙길 수 있도록 지도하기

◉수업 정리 및 활동 소감 나누기 1. 모둠별로 감정을 표현하면서 느낀 점은 무엇인가요? 2. 리허설을 통해 무엇을 느꼈나요?

307


감정 콘트롤 본부

4차시 미션 완성. 감정 콘트롤 본부 ‘진짜 나를 만날 시간’ 대상 중등 수준 1~2학년 차시 4 시간 블록타임 90분 교수 ■예술강사 주도형 교수형태 ■수업지원 형태 비중 □공동 주도형 □ 교사 주도형 활동영역 ■이해 ■창작 ■감상 ■체험 ◉학습 주제 진짜 나를 만날 시간 ①한 사건에서 느낄 수 있는 나와 너의 서로 다른 감정을 준비한 공연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학습 목표 ②결과물을 감상하고 감정에 따른 다양한 표현 방법을 비교 관찰 할 수 있다.

◉학습 자료 영상, 공연 소품들, 포스트잇, 카메라, 삼각대, 마스킹 테잎, 프로젝터 1. 개요 학습단계

주요 활동내용

도입

1. 인사 나누기 2. 이전 차시 학습 확인 3. 학습목표 전달

전개

1. 2. 3. 4. 5.

정리

방명록 감상 및 수업에 대해 소감 나누기

공연장 준비 공연 총리허설 관객 입장과 공연 시작 무대 둘러보기 결과물 감상 후 비교 관찰하기

2. 세부활동 내용 ◉도입 1. 인사 나누기 2. 이전 차시 학습 확인 3. 학습목표 전달 ①한 사건에서 느낄 수 있는 나와 너의 서로 다른 감정을 준비한 공연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②결과물을 감상하고 감정에 따른 다양한 표현 방법을 비교 관찰 할 수 있다.

308


영화분야 - 입선

◉전개 1. 공연장 준비 ①무대 및 친구들이 입장할 공간을 꾸며보자.

- 영화 포스터 붙이기 - 입장할 공간 꾸미기 - 모둠별 위치 체크 - 기자재 체크

2. 공연 총리허설 ①모둠별 위치 및 소품 체크 ②공연 총리허설 진행하기 ③공연 시간 체크 3. 관객 입장 및 공연 시작 ①친구들이 편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쉬는 시간에 공연 진행 ②쉬는 시간에 관객이 어느 정도 입장한(약 쉬는 시간 3분) 후 진행 ③공연이 끝난 후 관객은 방명록 작성 후 퇴장 4. 무대 둘러보기 ①결과물(미디어 융합 공연 영상) 감상 ②공연한 학생들이 무대를 둘러보면서 다른 모둠의 대사와 사운드 표현 방법 이해하기 ③4차시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느꼈던 5가지 감정(기쁨, 버럭, 소심, 슬픔, 까칠)에 대해 자유롭게 포스트잇에 작성하기 5. 결과물 감상 후 비교 관찰하기 ①결과물(미디어 융합 공연 영상)을 다시 감상 ②다른 모둠의 사운드로 아바타의 감정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었는지 토론하기 ③다른 모둠의 대사가 아바타의 감정의 변화를 잘 표현했는지 토론하기

309


감정 콘트롤 본부

◉수업 정리 및 활동 소감 나누기

1. 공연이 끝난 후 느낀 점은 무엇이 있나요? 2. 관객들이 본인들이 의도한 흐름으로 감정을 이해했나요? 3. 관객의 시선으로 촬영된 영상을 감상하였을 때 느껴지는 감정을 1분 스피치 형 식으로 발표해보아요 4. 방명록 감상 및 1~4차시 수업에 대한 수업 소감을 이야기해보아요

310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