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결과자료집

Page 1

K A C E S-1540-C 009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결과자료집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결과공유회 일시 : 2015년 12월 18일(금) 15:00~18:00 장소 : 세종문화회관 예인홀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세부일정 구분

시간

세부내용

등록

14:30~15:00 (30‘)

‣참석 확인

개회

15:00~15:15 (15‘)

‣사업 소개 및 결과공유회 일정 안내 ‣발표자 및 토론자 소개

비고

‣탐방조사 결과발표(팀별 20분) - 팀별 해외탐방조사 결과 발표 후 질의응답 구분

참여행사

미국팀1

세션1

15:15~16:55 (100‘)

미국팀2

영국팀1

호주팀1 호주팀2 휴식

제 78회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 연례컨퍼런스 (78th Annual Conference for Community Arts Education)

2015 인게이지 국제컨퍼런스 (2015 Engage International Conference)

2015 예술교육포럼 (Arts Learning Forum 2015)

16:55~17:05 (10‘)

방문기관

발표자

뉴욕공립도서관(New York Public Library, NYPL) 외

이보늬 예술강사

필라델피아 예술교육 파트너십(Philadelphia Arts in Education Partnership, PAEP) 외

변미섭 예술강사

컨템포러리 아트센터(Centre for Contemporary Arts, CCA) 외

김진형 예술강사

아트플레이(ArtPlay) 외

구본정 예술강사

멜버른 아트 센터 (Art Centre Melbourne)

박은수 예술강사

휴 식 ‣종합토론

세션2

17:05~18:05 (60‘)

1) ‘동료 주도적(peer-led)’ 활동과 다양한 학제, 혹은 분야를 아우르는 협업의 중요성 2)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과 ‘학교-예술기관’ 협업 방법 논의 3)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접근방식 및 프로그램 사례 비교 - 질의응답

폐회

18:05~18:15 (10‘)

‣폐회 및 자유 네트워킹

(※당일 진행 상황에 따라 일부 일정순서 및 소요시간이 변동될 수 있음)

- 1 -

토론자

팀대표 예술강사 5인, 이상민(가톨릭대학교 교수), 최보연(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팀별 결과보고서 1. 미국팀_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 5 2. 미국팀_변미섭, 전인혁, 정혜영 ···························································· 49 3. 영국팀_김진형, 권혜진, 정혜영 ···························································· 91 4. 호주팀_구본정, 윤혜성, 최은영 ·························································· 127 5. 호주팀_박은수, 이미하, 원지예 ·························································· 155

개별 활동보고서 1. 호주_구본정(연극) ················································································· 183 2. 영국_권혜진(사진) ················································································· 191 3. 영국_김진형(사진) ················································································· 209 4. 호주_박은수(국악) ················································································· 224 5. 미국_변미섭(만화‧애니메이션) ······························································ 234 6. 호주_원지예(국악) ················································································· 242 7. 호주_윤혜성(국악) ················································································· 250 8. 호주_이미하(국악) ················································································· 260 9. 미국_이보늬(연극) ················································································· 267 10. 미국_이현지(만화‧애니메이션) ·························································· 275 11. 미국_전인혁(연극) ··············································································· 290 12. 영국_정은경(사진) ··············································································· 300 13. 미국_정혜영(영화) ··············································································· 318 14. 호주_최은영(영화) ··············································································· 325 15. 미국_최현주(무용) ··············································································· 335

- 3 -



팀별 결과보고서 - 미 국 1팀 -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78th Annual Conference for

Community Arts Education 이 보 늬 / 이 현 지 / 최 현 주

- 7 -


- 차 례 Ⅰ 개

탐방 · 조사 목적 탐방 · 조사 개요

Ⅱ 일

Ⅲ 주요활동 내용 1. 컨퍼런스 참여 2. 기관방문 및 조사 - NYPL - Mark Morris Dance Center - Mural Arts Program

Ⅳ 시사점 · 주요 성과 Ⅴ 활용계획

- 첨

부 -

1. 회의록 2. 인터뷰 내용 3. 기타수집자료

- 8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결과 보고

Ⅰ 개

탐방 · 조사 목적 주요 이슈 ▪뉴욕·필라델피아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지역연계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성 및 커뮤니티 형성

에 참여한 각 기관 에 대한 정보와 그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및 운영 방안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통해 현재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방향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뉴욕 필라델피아 현지 기관 방문을 하여 지역사회와 관련하여 문화예술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설계되어지며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사례를 조사한다 국제사회에 대한 문화적 인식 향상 및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창의적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탐방 · 조사 개요 탐방 국가 미 국 ▪국

명 : 아메리카합중국(United States of America, USA)

▪위

치 : 북아메리카 대륙 중부

▪수

도 : 워싱턴 D.C

- 9 -


▪언

어 : 영어

▪면

적 : 9,826,675㎢ 세계3위 (CIA 기준)

▪인

구 : 약 318,892,103명 세계3위 (2014.07. est. CIA 기준)

▪G D P : 18조 1,247억$ 세계1위 (2015 IMF 기준)

뉴 욕 ▪면

적 : 1,213 ㎢

▪인

구 : 약 8,491,079명 (2014년)

STATE & CITY REQUIREMENTS AND GUIDELINES 기준 학년

목표 이수시간

주요내용 아동의 연령 관심 필요성에 따라 적합한 예술교육프로그램의 기준을 제공 연극 창작 수업 음악활동 진행

학년

수업시간의 주 단위 약 시간

뉴욕 초등 교육 표준 에 따른 무용 음악 연극 영화 시각미술 분야의 학습목표 달성 촉진

학년

수업시간의 주 단위 약 시간

뉴욕 초등 교육 표준 에 따른 무용 음악 연극 영화 시각미술 분야의 학습목표 달성 촉진

학년

한 학기 내 약 시간

성취감을 위한 무용 음악 연극 영화 시각미술 분야의 뉴욕중등교육표준 지원 전문예술교사인력 활용

학년

한 학기 내 약 시간

미취학아동

뉴욕 졸업 요건 에 무용 음악 연극 영화 시각미술 분야의 예술교육 요건을 포함 전문예술교사인력 활용

필라델피아 ▪면

적 : 369 ㎢

▪인

구 : 약 1,560,297명 (2014년)

▪역

사 : 세계 1차 대전 이후 인종차별을 피해 아프리카계 흑인 이주 및 정착

▪기

타 : 경제와 문화 예술의 중심지. City of Philadelphia : The City of Brotherly Love, "brotherly love"는 philos (φίλος) "loving"와 adelphos (ἀδελφός) "brother"의 합성어.

- 10 -


탐방 개요

▪기

간 : 2015년 11월 10일 (화) ~ 11월 15일 (일)

▪참 여 자 :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주요활동 : 1. <78th Annual Conference for Community Arts Education> 참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동향 파악 2. 미국 현지기관 New York Public Library (NYPL)을 방문하여 도서관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조사 3. Mark Morris Dance Center를 방문하여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Mural Mile arts program의 과정 공유 및 협력 기반 구축 방법에 대한 여러 방향 모색

- 11 -


Ⅱ 일 일 11/10 (화)

11/11

정 시간

프로그램

11:00

미국 JFK 공항 도착

15:00-16:30

New York Public Library (NYPL) 도서관 투어 및 인터뷰

NYPL

14:00-16:30

Mark Morris Dance Center 방문 PD 프로그램 수업 참여 PD 강사, 환자 인터뷰

Mark Morris Dance Center

(수) 19:00-23:00

장소

참여자 및 역할

이 보 늬 (연극강사)

필라델피아 이동

: 현지활동 09:00-12:00

11/12 (목)

14:30-15:30

Reclaiming Main Street: How We

및 매개자

Can Authentically Do Good CoCre8: Reimagining Spaces for

최 현 주

Collaborative Arts

(무용강사) Teaching Artist Professional 16:00-17:30

09:00-10:00

10:15-11:45

Development: Spotlight on Five

: 5D Mark

Effective Models

예술교육 엑스포 (Arts Education Expo) A Love Note to Justice: Building Hope and Healing in Urban America

Philadelphi

카메라를

a Marriott

이용한

Downtown

영상촬영

치유의 전략으로서 강사활동

11/13

이 현 지

(금)

동시다발세션(Breakout Sessions) 14:00-15:30

(만화·애니

The Real Work: New Practices for a New Era in the Arts

메이션 강사) :

16:00-17:30

11/14 (토)

15:00-18:00

예술교육 엑스포

문서기록

(Arts Education Expo)

Mural Mile arts program

Mural Mile

Mural Mile Walking Tours

North

- 12 -


Ⅲ 주요활동 내용 컨퍼런스 참여

예술 교육의 리더로서 우리 각자는 개인을 격려하고 우리 사회의 시민 생활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 우리는 일을 완수하려고 하지만 종종 봉사하는 사 람들에게 보다는 우리 자신의 조직에 초점을 돌린다 이 생각을 자극하는 기조연 설에서 하워드는 더 큰 영향의 핵심은 조직의 벽을 넘어 지역 사회의 포부와 비 전 목표 주요 서비스를 정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강연자

는 메릴랜드에 본사를 둔 국가 비영리 조직의 설립자이

자 하워드 연구소의 사장이다 연구소에서 코치들과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를 함께 변화 시킨다 하워드의 시도는 작은 도시에서 큰 도시로 지역 사회에서 전국 적으로 국내에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하워드 리치는 공공 혁신 교육 기 관

개와

만 명의 공공 혁신 봉사단을 모집하고 있으며

온라인 포럼

에 통해 자신의 지역 사회에 대한 사람들의 열망을 수집하고 있다

▪참여목적 : 전체 컨퍼런스의 목적과 개요 이해 ▪참여일시 : 2015년 11월 12일 (목) / 09:00 - 12:00 AM ▪주요내용 : 강연자의 주요 핵심 강연 내용 우리 미국인들은 함께 협력하여 일을 진행합니 다 하지만 우리 지역 사회 관계자들과 지도자와 기업들은 자신의 이기심에 초 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우리는 혼자 할 수 없습니다 공동 사회가 필요합니다 세 가지 해야 할 일 우리 공동 사회의 포부에 초점을 둔다 공동 사회에서 강력한 관계를 만들어간다 우리는 공동 사회의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 13 -


프로젝트는

년도에

모델에 대해 논의하고 예술가 고

등학교 교사와 학생 예술 관리자들에 의해서 공동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파트 너십은 기존의 학습 계층 구조를 해체하고 학습자 교육자 및 기관 등 여러 역할 을 수용하여 예술 학습의 연결을 심화한다

▪참여목적 :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하여 문화기관, 예술가, 교육자, 학생이 어떤 방식으로 협력하여 진행 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참여일시 : 2015년 11월 12일 (목) / 02:00 - 15:30 PM ▪주요내용 : 프로젝트는 도시 예술 교육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탐구하기 위해 개 발된 혁신적인 플랫폼이다 예술가 교육자 및 관리자 집단과 프로젝트를 수행 하기 위해 사우스 사이드 고등학교

에서 학생과 교

사와 협력하는 참여자 스스로 작품을 통해 표현하는 매체이다 실제

서 활용하는 워크숍을 컨퍼런스에서 진행하여 직접 학생이 되어 프로그램을 참여할 수 있었다 ▪워크숍 활동내용 : 에서

명의 강사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돌아가며 진행하였다 수업 전

강사들은 공간 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의 그림을 붙여 놓았다 그리고는

워크숍에 참여했던 참여자들에게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선택하여 그림 앞에 서라고 했다 진행자들은

개의 그림을 제거하기 위해 각 팀별로 다른 팀의 사

람을 설득시켜 자신들의 그림으로 이동하게 하였다 총

개 그림으로 팀이 정

해졌다 진행자는 팀에게 다양한 소품을 주었다 그리고는 팀끼리 의논하여 그 림의 느낌을 장르와 상관없이 표현해 달라고 했다 첫 번째 팀은 소품을 활용하지 않고 움직임만으로 그림을 표현하였다 두 번째 팀은 소품을 활용하여 하나의 인물을 꾸며주고 그 인물에게 하나씩 물건들을 빼앗아갔다 세 번째 팀은 터키탕의 그림과 같은 형태의 조각상을 표현하였다 네 번째 팀은 태양이 떠오른 장면을 천을 활용하여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다섯 번째 팀은 두 명이 춤을 추며 다른 참여자들은 노래 부르고 악기를 연주하였다 각 팀 발표 후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자유롭게 소감을 나누었다

- 14 -


CoCre8 워크숍 : 그림을 보고 각자 다양한 방법의 예술로 표현

토크 스타일 쇼케이스로 다섯 단체의 대표들이 교육 예술가 전문 개발에 대해 강력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공유했다 자신의 능력 향상 링컨 센터 교육 벽 화 예술 프로그램 조안 미첼 재단 지역 사회 워드 프로젝트 교육 예술가의 이 해 증진 전문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감독인 은 교육 인턴쉽 지역 사회 워드 프로 를 실행하고 있다 링 젝트에서 교육 아티스트 교육 및 인턴쉽 프로그램 컨 센터 연구소에서 그녀는 연구 학습 사회를 위한 극장 및 프로그램 관리자 로 재직 중이다 는 특히 사회 정의를 위한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년 이상 예술가와 교육자 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는 자신이 가르치고 있는 젊은이들과 교육자 및 관리자의 전문적 인 개발을 위해 예술과 사회 정의 프로그래밍을 지시하는 사우스 브롱스에서 아트센터의 임시 이사를 맡고 있다 그녀는 뉴욕시에서 근본적인 불평등 교육자 이며 수많은 교육자와 부모 그룹을 대상으로 뉴욕 집단에 대한 반 인종 차별 교육 및 워크숍을 실시하고 있다 는 거의 년 동안 미첼 재단의 예술 교육 감독으로 예술가 교 사의 전문성 개발 구현 및 감독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샬롯 노스 캐롤라 이나 대안 고등학교에서 가르쳤다 는 년 동안 필라델피아에서 벽화 예술 프로그램 진행하며 현재 이사로 봉사하고 있다 학교와 학교 밖 그리고 지역 사회 현장에서 참가자들은 주요 벽화 프로젝트에 자신의 재능과 관점을 가지고 도시에서 지역 사회와 공 동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 15 -


는 자신의 로컬 프로그램과 국제 컨설팅에서 광범위하게 일을 하며 링컨 센터의 교육 예술가이다 은 드라마의 와 프로그램에 대해 가르치고 가장 최근에 컬럼비아 대학에서 세계 경제포럼 의 글로벌 리더십 프로그램에서 강의를 하였다 그녀 는 교육 아티스트 저널의 편집위원회의 구성원이며 링컨 센터 이사를 맡고 있다

▪참여목적 : 문화예술교육 5개의 기관에 대한 정보 및 예술교육가로서 전문적인 발전 방안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을 얻고자 한다. ▪참여일시 : 2015년 11월 12일 (목) / 04:00 - 05:30 PM ▪주요내용 : 예술교육가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방법 안은 다음과 같다 예술교육의 우수성과 지속가능성을 개발하는 최선의 방법은 재정적 지원이다 정부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핵심 주제를 잡아야 한다 예술교육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도전과 모험이 필요하다 섬에만 머물지 말고 섬 밖으로 헤엄쳐 나와야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처럼 새로운 경험이 쌓여야 예술교육가로 발전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혹은 단체와 단체 가 만나 함께 작업하는 것을 두려워 하지마라

강연자

의 저자로 저서의 내용에 기반을 두고 강연을 진행했다

의 대담하고 세

심한 기조는 도시 사회의 구조적 폭력으로 인한 희망의 침식에 대해 수행 피해를 복구하고자 하는 새로운 운동을 제안한다 그는 우리의 교육과 정치 전략의 중심에 치유와 희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강연자

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청소년 청소년 운동 청소년 개발에

선도적인 전문가이다

박사는 현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공

공 정책 세자르 차베스 연구소 수석 연구원이며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에서 아프 리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16 -


▪참여목적 : 치유에 대한 근본적 이해와 치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참여일시 : 2015년 11월 13일 (금) / 10:15 - 11:45 AM ▪주요내용 : 질문에서 시작되는 희망과 치유의 도시교육 어떻게 커뮤니티 속에 희망의 공간을 만들 것인가? 어떻게 선생님과 커뮤니티의 직원들은 반응하는가? 어디에서 실존적 질문에 대한 해결방안을 얻을 수 있는가? 도시 사회의 구조적 폭력으로 인해 희망의 침식에 대한 수행 피해를 복구 하는 치유의 방법은 사랑이다 사랑이 없는 힘은 폭력적이고 모욕적이다 힘없는 사랑은 감상적이고 무기력하다 최상의 힘은 정의로운 사랑을 필 요로 하고 최상의 정의는 사랑을 바탕으로 하는 힘이다 의사는 아파서 소리 지르거나 피를 많이 흘리는 환자를 보고 놀라거나 두 려워하지 않는다 교육자들도 마찬가지 이다 대상자들의 표면적인 행동만 을 보고 반응하지 않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그 원인을 주의 깊게 살펴 봐야 할 것이다 또한 그 밑바탕에는 사랑이 있어야 한다

강연자 Shawn Ginwrignt와 그의 저서 Hope and Healing

- 17 -


지역 사회 예술 교육의 리더로서 직면한 복잡한 과제를 식별한다 당신은 뿌 리 깊은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 대해 최선의 생각을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방향을 개발하기 위해 함께 적극적으로 생각한다 이 과정 에서 참가자는 생산적인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자신의 조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응적 사고를 자극하는 강력한 프레임 워크를 배울 것입니다 강연자 는 프로그램과의 전략적 제휴를 주장한다 그의 최근 연구 프로그램 설계 및 촉진 혁신의 중점은 적응 조직의 변화 그리고 문화 예술 분야에서 이 분야에 대한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 안하고 있다 는 전국의 도시에서 활성화되어 지역 사회에 기반을 둔 혁신 프 로그램의 일련의 설계 및 새로운 진학의 구현을 이끌고 있다 는 문화 정책과 예술의 새로운 관행 사이의 관계에 대해 강연한다 자신의 과거 연구 및 분석 전문 지식은 미국과 영국에서 많은 현장 연구에 게재되었다

▪참여목적 : 문화예술교육의 리더로서 조직의 방향 및 설계방안에 대한 모델연구사례를 조사하기 위하여 참여 ▪참여일시 : 2015년 11월 13일 (금) / 14:00 - 15:30 PM ▪주요내용 : 자신에 문제점을 보지 말고 당신에 분야를 봐야한다 기술 변화 인구통계학 적 변화 그리고 경쟁을 통해 예술 교육의 사회에서 생긴 문제점들을 볼 필 요가 있다 문제 안에 가지에 문맥이 있다 단순함 복잡함 콤플렉스 혼돈 단순함 복잡함

콤플렉스

혼돈

당신이 한 번 했다는 게 미래에 다시 그것을 할 수 있는 방 법의 예측이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긴밀한 관계가 있다 단순함과 별 다름이 없다 원인과 결과는 더 떨어져 시간과 공간에 있지만 당신이 해결책을 찾을 방법과 선형 논리는 여전히 존재한다 어떤 하나의 상황이 작동했던 일이 다른 일에 작동하 지 않습니다 초기 조건은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당신이 거꾸로 볼 때까지 원인과 결과 사이의 관계를 볼 수 없습니다 어떤 공식도 어떤 방법도 없다 당 신은 탐구하고 실험 할 필요가 있다 원인과 결과 사이의 관계는 절대적으로 없다 원인과 결과

- 18 -


는 이 네 가지 영역에서 다른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도전에 따라 반응이 달라져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이러한 문제에 대응해야 하나 단순함 우리는 최고의 인정된 사례를 통해 수행해야 한다 복잡함 우리는 전문분석가에게 가서 그들의 정보를 확보해야 한다 콤플렉스 탐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험한다 혼돈 혼돈의 상황에서 당신이 할 수 있는 일은 개입과 긴급 상황 에 대한 대처를 안정하게 하는 것이다

기관 방문 및 조사

▪기관소개 : 1895년 설립되었으며, 뉴욕 시민을 위한 무료 도서, 정보, 교육, 아이디어, 공연, 워크숍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200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방문목적 : 뉴욕에서 가장 큰 규모로 운영되고 있는 링컨센터에 있는 도서관 을 방문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도서관과 연계하여 운영하 는 방식과 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에 대한 사례를 듣고자 한다. ▪방문일시 : 2015년 11월 10일 (화) / 03:00 - 05:00 p.m ▪면 담 자 : Barbara Cohen-Stratyner, Evan Leslie ▪주요내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한 개의 프

로그램을 기획 운영하는데

년이라는 기간을 두고 진행된다 프로그램에 참여

하는 시민들은

개의 프로그램 중 자신이 듣고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참여 할 수 있다 또한 시민들은 전문가들에게 배우기도 하고 전문 아티스트 와 함께 공연 전시 등을 할 수 있다

- 19 -


전시와 문화예술교육의 긴밀한 연계를 위해 2년여의 기간 동안 기획을 진행한다.

▪기관소개 : 2001년부터 오픈하였으며 리허설 댄스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 되고 있다. 지역아동 및 지역 주민을 위한 봉사활동 프로그램뿐 만 아니라 모든 연령의 학생들에게 댄스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다. 파킨슨을 위한 댄스

파킨슨 위한 댄스는 브루클린 파킨슨 그룹 마크 모

리스 댄스 그룹이 협력하여 파킨슨병을 가진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댄스 워크숍을 제공하는 파트너 프로그램이다 무료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간 워 크숍의 다양한 춤은 여러 교육 예술가와 음악가에 의해 주도된다 이 프로 그램은 댄스 센터에서

년에 시작되었고 지금은

개 클래스로 운영되

고 있다 ▪방문목적 : 파킨스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직접 참여 하여 경험해 보고 담당자를 만나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과 참여 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문일시 : 2015년 11월 11일 (수) / 02:15 - 04:30 p.m ▪면 담 자 : Leonore Gordon (대상자), 유토 타카모라 (강사) ▪주요내용 프로그램은 매주 수요일

시간

분 정도 진행되고 있다 파킨스 환자를 위 - 20 -


한 무용프로그램은

년도에

명의 강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마크 모리

스의 후원을 받아 환자들에게 무료로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

년 넘게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참가자들이 있다

PD 무용수업 두 명의 강사와 다수의 자원봉사자가 수업을 돕는다.

▪기관소개 : 도시의 낙서를 근절하기 위해 필라델피아 안티 그래피티 네트워 크의 노력의 일환으로 1984년 설립되었다. 낙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 외에도 벽화 예술을 도입하여 그래피티 아티스트들의 창의성 을 부각시켜 도시 안에 벽화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또한 벽화 예 술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변화와 경제 활성화를 촉발시켰으며, 사회적 책임 프로그램을 만들어 길드 프로그램으로 설립되었다. ▪방문목적 : 벽화 프로그램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이 무엇이 며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들과 어떤 방식으로 만나며, 어떻게 수업을 진행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문일시 : 2015년 11월 14일 (목) / 11:00 - 04:00 PM

- 21 -


▪면 담 자 : Eurhi Jones (Mural Artis) ▪주요내용 벽화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현재 벽화 프 로젝트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 정부의 재정지원뿐만 아니라 많은 민간단체들 의 후원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벽화작업은 사업의 목적과 실행하는 작가들 마다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벽화작업이 지역사회에서 진행되었을 경우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지 원자 모집하여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시키고 있다

Mural arts tour

Mutal artist

- 22 -

Eurhi Jones


Ⅳ 시사점 · 주요성과 컨퍼런스 주요이슈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자 발전방안 대상을 향한 편견 없는 시선 지역과 교육기관의 연계

컨퍼런스 주요이슈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자 발전방안 예술교육가로 발전하기 위해서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시간과 그것의 효과를 관찰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만큼 자신의 시간을 투자해야한다. 또한, 변화에 두려워하지 마라! 도전과 모험이 있어

시 사 점

야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고 그 경험을 통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 개인의 협력 뿐 아니라 단체와 단체들 간의 협력을 통해 서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컨퍼런스 주요이슈

대상을 향한 편견 없는 시선 우리는 문제점을 먼저 바라본다. 그리고 그 문제점에만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그 대상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한 소년이 길에서 방황을 한다. 왜 집을 나왔는지 물 어 보지 않는다. 우선 그 소년에게 다가가서 '배고프지? 우리 피자

시 사 점

나 먹으러 갈까?'하며 그에게 다가간다. 그는 현재 배가 고프다. 먼저 그가 처한 상황에서 무엇이 필요하지를 우선적으로 알아차려 야 한다. 그리고 그가 필요한 것을 도와줘야 한다. 문화예술 교육 도 마찬가지다. 미국에는 아직도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한 곳이 많 다. 하지만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곳에는 많은 기관이 배치되어 있 지 못하고 편중되어 있다.

- 23 -


컨퍼런스 주요이슈

지역과 교육기관의 연계

CoCre8 프로젝트는 문화기관, 교사, 예술가 학생들이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문화예술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CoCre8 기관뿐만 아니 시 사 점

라 다른 기관들 역시 각 지역의 교육기관과 협력하여 프로그램 개 발, 실행한다. 그러면서 지역에 대한 이해와 지역민들과의 커뮤니 티를 형성해 가고 있다.

방문기관 주요이슈

프로그램 기획 프로세스 참여자들 간의 네트워크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의 연계의 필요성

방문기관 주요이슈

프로그램 기획 프로세스 는

년 동안 프로그램을 개발한

다 그만큼 프로그램의 구성과 질적 수준이 높은 편이다 가 이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지역의 보조도 있지만 각 지역 의 자치단체나 기업의 후원과 센터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후원이 있 어 가능하다 하지만 그에 반해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어려움 시 사 점

이 많다 재정지원을 주로 재단의 지원 사업에 의지하고 있는 실정 이다 보니 지원 사업의 목적에 맞춰 프로그램을 단기간에 기획 실 행할 수밖에 없다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단체가 양질의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하기 위 해서는 자생력을 가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협력 기관과의 네트 워크를 구축하고 후원 제도를 설계해 나아가야 한다

- 24 -


방문기관 주요이슈

참여자들 간의 네트워크

파킨스 환자들이 지속적으로 센터를 방문하여 수업에 참여할 수 있 는 환경은 센터의 지속적인 관심 홍보 연락 도 있지만 참여자들끼리 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다 참여자들은 참석하지 못하는 다른 시 사 점

참여자들에게 직접 전화를 걸거나 엽서를 써서 그들의 안부를 묻고 함께 하고자하는 의사를 전달한다 이는 참여자들의 유대감 형성 및 동료의식을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갖게 하 는 원동력이 되었다

방문기관 주요이슈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 연계의 필요성 벽화작업은 주로 수감자 사회 부적응 청소년의 사회화를 돕는 과 정인 길드 프로그램으로 설계되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 프로젝 트는 벽화 아티스트가 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대상자들에게 긍정 적 경험을 하게 하여 사회로 다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계기를 마련

시 사 점

해 주는 것이 주요목적이다 그 사회화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다양 한 프로그램의 연계이며 잡 카운슬링 심리상담 이력서 작성 등이 바로 그 것이다 문화예술교육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가교역할을 하고 다양한 협력프로그램이 긴밀 하게 연계될 때 효과적인 문제의 해결을 이룰 수 있다

- 25 -


Ⅴ 활용계획 지역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

일상의 모든 행위들이 모여 일상의 공간에서 예술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인식하게 하며, 스스로 거리공연을 기획하고 실행함에 있어 개인의 특기 와 재능이 창작과정에서 활동으로 이어지도록 유도한다. 이 모든 활동이 예술적 경험으로 이해되고 예술과 삶이 하나라는 것을 확인하게 한다.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 ▪ 걷고 생각하며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의 ‘나’를 찾자! 교육대상자인 청소년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이곳저곳을 걸어 다니 며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나와 지역의 관계를 이해하고 역사를 통해 역사적 존재로서 ‘나’를 찾아본다.

▪ 내가 찾아낸 최고의 명소 청소년들의 시각에서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이미지들을 사진과 영 상, 그리고 이야기(연극, 공연)로 표현해 보고자 한다.

▪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 어디든 공연장 또는 전시장이 된다. 수업과정에서 만들어진 영상과 사진 자료, 말하고자하는 메시지들을 청 소년들의 자발적인 기획을 통해서 찾아낸 지역의 공원, 길거리, 공연장 로비 등을 활용하여 전시와 퍼포먼스(행위예술)를 하는 장소로 새롭게 변 화시키며, 청소년들과 시민이 소통할 수 있는 연결 고리를 마련한다.

- 26 -


기 대 효 과 문화예술 교류를 통해 지역의 문화를 이해한다. 한국의 청소년과 이주청소년들의 문화 교류 및 네트워크 형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구 과정 1. 2. 3. 4.

지역에 대한 조사 (문화, 역사, 주변 환경 등) 프로그램 참가자에 대한 이해 (나이, 관심사, 커리큘럼 등) 탐구 질문지 작성 (연구자) 탐구에 기반한 교안 작성

주 요 활 동 안산과 연천의 청소년 교류 프로그램 계획안 대 상 : 안산 이주아동청소년 15세 ~ 22세 / 연천 꿈의 학교 14~18세 1. 미디어를 활용한 통합예술(연극, 만화/애니메이션, 무용) 프로그램 진행 2. 연합 문화예술 여름 캠프 진행 3. 합동 공연 및 지역 이동 공연

- 27 -


NYPL Performing Arts INTERVIEW 2015.11.10

NYPL Executive Director Barbara Cohen-Stratyner NYPL Artist Producer Evan

"우리는 사람들을 모으기 위해 노력 하지 않습니다. 좋은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퍼포먼스와 교육, 커뮤니티의 연계를 위해 오랜 기간(2년 이상) 동안 기획을 진행합니다.”

링컨센터 도서관에는 다양한 전문정보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찾기 어려운 전문자료도 이곳에 보관되어 있어 누구든 쉽게 자료를 열람하여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문화예술 교육은 무료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주변 대학들에게도 도서관 투어 프로그램을 열어줍니 다. 뉴욕 안에 있는 5개의 도시 있습니다. 링컨센터에서는 그 도시의 공간을 빌려 링컨센 터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그 곳에서도 진행하기도 합니다.

Q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것 같은데요, 평균적으로 몇 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되 고 있습니까?

A

Workshop, Performance, Film 등 연간 200개 정도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Q

일반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공연에 참여하기도 하나요?

A

가끔 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공연에 참여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공연은 전문가들이 중심 이 되어 진행합니다. 공연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일반인을 위해 진행하고 있 습니다.

Q

지금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28 -


A

우선 전시는 3개월에 한번 씩 테마를 바꾸어가면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중에 는 대중적으로 유명한 것에서 착안하여 진행하기도합니다. 예를 들어 <겨울왕국>을 주 제로 해서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출간 150주년을 맞이했기 때문입니다. NYPL뿐 만아니라 세계적인 관심이 있는 이슈에 맞추어 기획한 것입니다. 하나의 예술이 어떻게 다채롭게 표현되는지를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전시품들을 구성하였습니다. (연극대본, 영화포스터, 뮤지컬음악 악보, 다양한 소품 등 전시)

Q

프로그램의 시민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습니까? 성공적인 홍보 방법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A

우리도 많은 참여자가 오길 희망합니다. 신문 광고 웹 사이트, 브로슈어, 소식지, 이메일 소셜 미디어, 도서관 내에서 홍보를 합니다. 하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좋은 프로그 램을 기획하는 것입니다. 이곳은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시민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해야합니다.

Q

도서관에서 언제부터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했습니까? 또 이렇게 다양하고 우수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기 위한 운영비는 어떻게 지원되고 있습니까?

A

1964년 링컨센터 오픈과 동시에 도서관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했습니다. 뉴욕시의 지 원을 받기도 하고 각 프로그램별로 시민이나 기업으로부터 후원을 받기도 합니다.

Q

퍼포먼스와 커뮤니티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연계가 잘 이루어 질 수 있는 바탕은 무엇입니까?

A

운영기관, 학교, 학생, 전문예술인 간의 협력이 잘 이루러지고 있습니다. 또한 그런 협력 을 위해 2년의 기간 동안 프로그램을 함께 기획합니다.

Q

NYPL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을 어디에 두고있습니까? 그 성과에 대한 조사 (참여자의 평가지 작성)를 진행하고 있습니까?

A

참여 시민의 만족도가 가장 중요한 목표입니다. 성과지표를 위한 설문지를 진행하고는 있지만 그것으로 프로그램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Q

웹사이트에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니, 청소년들의 흥미를 끌만한 프로그 램이 많이 보입니다. 청소년들이 가장 흥미 있어하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기획에 중 요하게 고려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습니까?

A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음악, 춤, 게임, 영화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청소년 들에게 이곳에는 너희들이 좋아 하는 것들 있음을 알리고, 다양한 콘텐츠로 흥미를 유 발 시키고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 29 -


PD Teacher / Uta Takemura

"대상자의 특징을 반영하여 수업을 진행합니다. 차근차근 하나씩 단계를 생각하며 프로그램을 기획합니다.” “수업 이상으로 좋은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면, 수업에 참여 하지 않는 사람에게 커뮤니티가 카드를 보내는 등 자발적인 지속성을 형성합니다.” Q

안녕하세요. 저희 한국에서 온 문화예술 교육자입니다. 선생님 수업 매우 인상적이었습니 다. 우선 선생님의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Uta Takemura입니다. 마크모리스의 전문 댄서이며 매우 수요일에 1 회씩 PD 댄스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Q

전문 댄서라고 하셨는데, 어떤 경로로 PD 댄스 선생님이 되셨나요? 마크모리스의 댄서 들은 의무적으로 PD강사가 되어야 하나요?

A

어떤 강사들은 무용수를 은퇴하고 PD강사가 되기도 합니다. PD강사가 되는 것은 의무가 아닙니다. 저의 경우는 PD수업에 관심이 있어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Q

마크모리스의 PD프로그램은 언제 시작되었는지 어떻게 운영되는지 궁금합니다.

A

이 프로그램은 2000년에 3인의 강사에 의해서 개발되었으며, 마크모리스의 후원을 받아 환자들에게 무료로 수업을 제공합니다. 많은 환자들이 마크모리스 PD프로그램에 참여하 며, 몇 분의 참여자들은 10년이 넘게 지속적으로 참여할 정도로 인기가 많습니다.

Q

PD 강사로서 프로그램을 기획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이 무엇입니까?

A

환자들 특성상 기초 동작부터 차근 차근 발전시켜 나가야합니다. 특히, 기억하는 것에 어 려움을 겪을 때가 많고 잘 따라오지 못하는 환자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수업할 때에 이런 점을 유연하게 대처 하며 지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스텝이 수업의 진행을 돕습 니다. 스텝은 무용단원도 있고, 일반 자원봉사자들도 있습니다.

Q

PD 수업의 참여자가 매우 많습니다. 환자들의 특징상 꾸준한 참여가 쉽지 않을 텐데 어떻게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습니까?

A

환자들은 우선 댄스 센터에 오는 것조차 많은 장애물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공동체 를 형성하게 되면, 자주 오지 못하는 분에게 커뮤니티가 자발적으로 카드를 보내는 등 친 목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 30 -


Participant / Leonore Gordon

"춤을 추면서 우리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치료이상의 가치가 있습 니다.” “파킨슨병은 외로운 병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춤추는 것 이상으로 커뮤니티를 만들고 그 속에서 함께하는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Q

마크 모리스 댄스 센터에 다닌지는 얼마나 되셨나요? 또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수 업을 어떻게 알고 참여하게 되었습니까?

A

저는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 수업에 다닌지는 10년이 넘었습니다. 저는 무용센터에 서 가장 나이가 많은 참여자입니다. 저의 경우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볼 수 있었습니다. 마크모리스 댄스 센터에서 참여하는 여러 사람들 중에는 지인의 소개로 오게된 경우. 부부가 함께 오는 경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무용 수업을 참여를 시작하게 됩니다.

Q

상당히 오랜 시간 마크모리스 댄스 클래스를 참여하셨군요. 그렇다면 이 무용 수업이 파킨슨병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A

댄싱 클래스에서는 음악과 여러 동작을 통해 몸을 계속 움직이게 합니다. 그것은 병원치 료와 비슷하지만, 우리는 춤을 추면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은 외로운 병 입니다. 점점 굳어가는 근육 때문에 외부로 나와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 자체가 어렵기 때 문이죠. 우리는 여기서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통해 지속적으로 뇌를 활성화 시키고 사용 하게 하며 심리적인 지지의 커뮤니티를 형성합니다.

- 31 -


Mural Artist Eurhi Jones

"벽화작업은 문제의 해결책은 아닙니다. 긍정적인 경험의 시작이며, 실질적인 도움을 위해 잡 카운슬링 등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의 연계가 필요합니다.“ “작업의 시작은 대화입니다. 벽화작업을 할 때 사람을 모으고 서로 이해하고 그 들의 필요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합니다.” Q

벽화작업이 수감자, 또는 문제청소년의 사회화를 돕는다고 하는데, 벽화 활동을 통해서 어떻게 사회화 되는지 구체적인 방법이 무엇입니까?

A

장기적으로 벽화 아티스트가 되기 위한 과정은 아닙니다. 벽화작업은 그들에게 해결책 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어떤 것을 경험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벽화 작업과 동시에 잡 카운슬러들이 참여해서 이력서 작성 등의 취업컨설팅이 이루어집니 다. 실질적으로 삶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벽화 프로그램이 후 사회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제가 경험한 일을 이야기하자면, 동물원에 벽화작업을 할 때 출소자 10명과 함께 작업을 했는데, 이 중 몇 명은 직업을 구했고 몇 명은 다시 범죄를 저지르기도 하였습니다. 벽화작업은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 이 아니라 해결로 나아가는 다리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Q

벽화작업에 수감자부터 청소년, 또는 일반 시민까지 참여하는데, 간단한 작업이라고는 하지만 작가로서 완성도면에서 부족함을 어떻게 커버하시나요?

A

아무래도 비전문가의 작업이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제가 따로 보수하거 나 수정을 진행합니다.

Q A

벽화작업의 프로세스가 궁금합니다. 시작부터 실행의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벽화작업은 실행하는 사업이 매우 다양합니다. 그 사업의 목적과 그것을 실행하는 작가 들마다 매우 다양한 형태로 진행됩니다. 제 경우에는 환경을 주제로 활동하고 있습니 다. 전체적으로 두 달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는데, 가장먼저 커뮤니티로 직접 들어가서 인터뷰를 통해 그 지역사회가 주로 고민하는 이슈를 바탕으로 디자인 하는 것으로 시작 합니다. 작업을 하는 방법은 컴퓨터로 다자인을 한 것을 프로젝터로 벽에 비추고 참여 자들은 지정된 자리에 지정된 색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참여합니다.

Q

시민들과 의견조율부터 제작참여까지 다방면으로 연계되어있는데, 시민들은 어떻게 적 극적으로 참여하는지 궁금합니다.

A

현재는 필라델피아 벽화작업의 위상이 높고 대중에게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특별한 노력 없이도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먼저 지역 의 센터나 필요한 기관에서 먼저 연락이 오기 때문에 벽화작업을 설득하거나 참여를 위

- 32 -


해 노력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처음에는 필라델피아 시의 적극적인 지원과 지 지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Q A

학교나 센터와 함께 교육으로 벽화작업을 진행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학교에서 벽화아트를 작업하기 위해 활동한 적이 있는데 80명의 아이들이 모였습니다. 저는 자연과 관련된 벽화작업을 하는 작가로 학생들과도 환경과 자연을 주제로 하여 작 업을 진행하였는데, 학생들에게 동물들에 관해 조사를 하게하고 그 자료를 제가 직접 디자인해주면 학생들이 그 그림을 바탕으로 벽화제작에 참여하게 하였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의 사회문제 해결 벽화 예술의 경험을 통해 긍정적 가치관 적립과 실절적인 사회화를 돕는 다양한 프로 그램의 협력 필요. 지역사회 연계 충분한 사전조사와 긴밀한 대화를 통한 지역의 이해와 필요성 확립. 보다 정확한 문제 해결도출

- 33 -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회의일지 NO. 1 회의 일시 회의 장소

2015. 10. 17. (토) 6:00 p.m ~ 9:00 p.m

참여자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사당역 근처 카페 1. 면접예상 질문 목록 작성

주요 안건

2. 자료목록 작성 3. 역할 분담 1. 면접예상 질문 목록 작성 * 예상질문 * ① 컨퍼런스를 통해 참여하고 싶은 이유는 무엇인가? ② 컨퍼런스를 통한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③ 벽화 프로그램 방문을 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벽화 프로젝트를 범죄자들과 진행했다고 들었다. 어떤 믿음과 근거로 진행 할 수 있었는지 궁금하다. - 최근 실행한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무엇이지 궁금하다. ④ 컨퍼런스 참여 후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는가? ⑤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가?

회의 내용

2. 자료목록 작성 - 사전 방문지 조사 :

많은 미술관/ 박물관/ 뉴욕센터

- 방문지에 메일 보내기 : 사전 미팅신청 - 방문 세부일정 조사 - 교통편 : 지역 이동을 위해 이동 교통편 조사 3. 역할분담 이보늬 : 매개자 활동 시안 정리 전체 취합하여 활동 계획서 만들기 이현지 : 방문 세부 일정 정리 최현주 : 회의에서 나온 예상 질문 목록 정리

- 34 -


활동계획서 컨퍼런스 강연 스터디 컨퍼런스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와 행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 해 사전 자료조사

1단계 실행 프로세스 / 일정 계획

통역과의 소통 - 지역사회문화에 대한 자료 전달 - 전문용어 방문지 협조요청 - City of Philadephia Mural Arts Program, Barnes Foundation 방문 신청 (메일) 과정 기록 및 실행 - 이보늬 (연극) : 현지 활동 및 매개자

2단계 현지에서의 실행

(전래놀이 진행) - 최현주 (무용) : 5D Mark Ⅱ 카멜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 이현지 (만화-애니메이션) : 카툰을 활용한 일지작성

3단계 과정 공유 및 평가 4단계 참여 후 활동 계획 및 실행

- 자체평가 - 결과보고 및 성과공유 - 프로그램 관련 회의 및 프로그램 계획안 만들기 - 이주아동청소년센터와의 협의 - 연천지역의 청소년 사업과 연계

- 35 -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회의일지 NO. 2 회의 일시 회의 장소

2015. 11. 2. (월) 7:00 p.m ~ 1:00 a.m

참여자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이현지 선생님 자택 1. 컨퍼런스 일정 조정

주요 안건

2. 방문지 조사 및 인터뷰내용 정리 3. 리플릿 제작 4. 역할분담

1. 컨퍼런스 일정 조정 - 컨퍼런스 홈페이지 접속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내용 확인 후 각 기관에 대한 사전 조사를 한다. - 컨퍼런스에 참여하는 기관에 대한 정보 수집 2. 방문지 조사 및 인터뷰 내용 5가지 정리 - TRUCEㆍThe Renaissance University for Community Education - Mural Mile arts program - moma의 learning 프로그램

회의 내용

- New York Public Library (NYPL) 3. 리플릿 제작 - 11월 8일 : 영문으로 소개글 정리 11월 9일 : 리플릿 인쇄 4. 역할분담 이보늬 : 11월 10일까지 리플릿 내용 영문으로 정리 이현지 : 11월 3일 컨퍼런스 일정 정리하여 진흥원 메일 보냄 최현주 : 11월 7일까지 방문 기관 추가 조사

- 36 -


< 방문지 조사 및 인터뷰 내용 5가지 정리 >

1. TRUCEㆍThe Renaissance University for Community Education 희망 방문시간 : 11/11 수 10:00-1300 http://hcz.org/our-programs/ 할렘의 시민들에게 무료로 예술프로그램을 교육하고 있다. 할렘예술연합과 비슷한 형태인데 현재까지도 원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청소년 교육 뿐 만 아니라 가족 교육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또 효과적인 결과물 도출과 시각화를 이루고 있다. Q. 참여자를 어떻게 프로그램 참여시킬 수 있었는가? Q. 삶에 여유가 없는 시민들을 어떻게 프로그램 참여에 어떤 동기를 부여했나요? Q. 대상자들에게 어떻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였는가? Q. 프로그램 이 후 참가자들의 삶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Q.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결과 지표를 어떻게 도출하는가?

대표 e-mail : info@hcz.org

2. Mural Mile arts program 희망 방문시간 : 11/14 토 15:00-1800

Mural Mile Walking Tours http://www.muralarts.org/

벽화 프로그램 Q. 다양한 예술 분야 중 벽화를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Q. 범죄자가 어떻게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었나요? Q. 프로젝트 이후에 어떤 삶을 살고 있나요? 이후의 삶에 대한 제도가 있나요? Q. 범죄자의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시민들의 반응은 어땠나요? Philip Asbury phil.asbury@muralarts.org (215) 685-0726 James Burns Staff Artist james.burns@muralarts.org

(215) 520-2206 - 37 -


3. moma의 learning 프로그램 희망 방문시간 : 11/11 수 15:00-1800 http://www.moma.org/learn/moma_learning/blog/messy-chaotic-and-strange-understanding-the-value-of-moma-tee n-programs 대부분의 현대미술관 교육은 전문가 혹은 취미 예술 활동 위주이다. 그들은 테크닉을 가르치지만 모마의 러닝프로그램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활동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Q. 지역사회에 가장 많은 변화를 가져온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Q. 청소년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변화를 가져온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Q. 프로그램대상에 따라 어떻게 프로그램을 기획 & 적용 하십니까? Q. 어떤철학을 가지고 문화예술교육을 하고 있습니까? Phone (212) 333-1252 Fax (212) 333-1118 teenprograms@moma.org

4. New York Public Library (NYPL) 희망 방문시간 : 11/12 목 10:00-1500 http://www.nypl.org/learn/teens/going-on 게임과 추리 등 다양한 청소년들이 쉬면서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운영 되고 있고 그 속에 다양한 도서관들과의 연계가 이루어진다. Q. 도서관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니까? Q. 도서관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효율성은 무엇입니까? Q. 청소년들이 능동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Q. 가장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도서관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교육담당자 teachandlearn@nypl.org 212-576-0037

- 38 -


<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 연례컨퍼런스 참여 일정 >

2015.11.11.(수) ~ 2015.11.14..(토) 일

시간

10:00-13:00

프로그램

TRUCE : The Renaissance University for Community Education

참여자 및

장소

역할

TRUCE

11/11 (수) 15:00-18:00

09:00-12:00

11/12 (목)

14:30-15:30

Lincoln center

Lincoln center

Reclaiming Main Street: How We Can

이 보 늬 (연

Authentically Do Good

극강사)

CoCre8: Reimagining Spaces for

:

Collaborative Arts Teaching Artist Professional

16:00-17:30

현지활동

및 매개자

Development: Spotlight on Five Effective Models

09:00-10:00

10:15-11:45

A Love Note to Justice: Building Hope and Healing in Urban America

동시다발세션(Breakout Sessions) 14:00-15:30

16:00-17:30

용강사)

(Arts Education Expo)

치유의 전략으로서 강사활동 11/13 (금)

최 현 주 (무

예술교육 엑스포

: 5D Mark Philadelphia Marriott Downtown

The Real Work: New Practices for a New Era in the Arts

Ⅱ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촬영

이 현 지 (만 화·애니메이

예술교육 엑스포

(Arts Education Expo)

강사)

문서기록

9:00 - 12:00

필라델피아 젊은 극작가 Philadelphia Young Playwrights: Embracing Technology to Enhance Arts Learning 혁신적인 연극 글쓰기/ 기관방문

11/14 (토)

15:00-18:00

Mural Mile arts program

Mural Mile

Mural Mile Walking Tours

North

- 39 -

: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회의일지 NO. 3 회의 일시 회의 장소

2015. 11. 9. (수) 6:00 p.m ~ 11:00 p.m

참여자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이현지 선생님 자택 1. 방문지 최종결정

주요 안건

2. 인터뷰 내용 정리 (영작) 3. 준비목록 정리

1. 방문지 최종결정 - 11월 10일 오후 3시 방문 New York Public Library (NYPL) - 11월 11일 오후 2시 방문 Mark Morris Dance Center - 11월 14일 오전 11시 방문 Mural Mile arts program 2. 인터뷰 내용 최종 정리

회의 내용

- 인터뷰 영작 내용 정검 및 프린트 3. 준비목록 정리 - 뉴욕, 필라델피아 숙박 최종 결정 - 현금 환전 완료 - 삼각대 2개, 노트북 2대, 카메라 2대, 외장하드 2개 - 리플릿 10개, 명함 - 여권, 미국허가증 신청완료

- 40 -


< 인터뷰 내용 최종 정리 > New York Public Library (NYPL) 도서관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한지는 얼마 되었나요? Please tell me how long you have done this cultural art education in the library? 처음 도서관에서 이것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뭔가요? what made you do this program first in the library? 도서관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 장점은 무엇인가요? What is the best benefit for doing this in the library?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What is the basic value for choosing the program?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교육대상은 누구인가? Who is this program specifically aimed at? 대상모집은 어떻게 하시나요? Which way do you use to collect the people? 주로 도서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What is the main program among these cultural art educations? 문화예술 운영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과 기대효과는 무엇인가요? What are the main purpose of it and the anticipated effect? 프로그램 과정에서 주요 관심사는 무엇인가요? What is the best concern during this course?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단기인지, 장기인지가 궁금합니다. How long does it run, short term or long term? 대상자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동기를 부여하나요? How can this program inspire learning people? 협력단체가 있나요? 만약 있다면 어떤 방식으로 협력을 하고 계신가요? Does it have any cooperating organization? If so, what is the way to collaborate each other? 프로그램의 목적, 기대효과와 같은 결과 등 단계별 지표를 어떻게 도출하나요? How can this program extract the outcomes such as goals, anticipated effects when it runs?

- 41 -


성과 공유는 어떤 방식으로 하나요? How is sharing outcomes done?

Mural Mile arts program (시민) 범죄자들이 마을 벽화 프로젝트에 참여한다고 했을 때 어땠나요? What is the reactions among villagers when the criminals would participate in the wall-painting project? 혹시 반대하지 않으셨나요? Were you against or for it? 벽화 프로젝트 이후 마을 분위기에 변화가 있었나요? Is there any change about the surroundings and the mood in the town? 변화가 있었다면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If so, what has mainly changed after the project?

Mural Mile arts program (단체) 벽화 프로젝트를 이곳 이외에도 다른 곳에서도 운영 하고 있나요? I’m wondering if it has been done somewhere else. 프로젝트를 운영하는데 있어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Could you tell me What could be one of the best difficulties during this project?

- 42 -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회의일지 NO. 4 회의 일지 회의 장소

2015. 11. 10. (화) 10:00 p.m ~ 1:00 a.m

참여자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뉴욕 숙소 1. New York Public Library (NYPL) 방문에 대한 의견 나누기

주요 안건

2. Mark Morris Dance Center 방문 준비 3. 필라델피아 이동 경로 및 위치 파악 4. 11월 11일 일정정리 1. New York Public Library (NYPL) 방문에 대한 의견 나누기 - 인터뷰 영상 정리 - 방문지에 대한 소감 : : 통역(최다희)이 있어 인터뷰 진행에 도움이 되었다. : 당일 바로 방문하는 일은 쉽지 않았으나 링컨센터를 방문해서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어서 좋았다. : 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있어 예술가, 교육가, 참여대상자들의 협력관 계가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높이는 효과를 주었다. 2. Mark Morris Dance Center 방문 준비 - 통역 일정 조율 - 질문 내용 수정

회의 내용

: 프로그램 운영자 또는 진행강사, 참여자 인터뷰 내용이 좀 더 구체적 일 필요가 있다. 무엇을 어떻게 물어 보는 것이 좋을까? 한국의 사례를 들어 질문을 유도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3. 필라델피아 이동 경로 및 위치 파악 - 메가버스 8:40 p.m 예매 완료 - 숙소 위치 파악 및 예약 확인 4. 11월 11일 일정정리 오전 : 개별 시간 보내기 (박물관 또는 주변 탐방) 오후 : 1시 전철 이용하여 Mark Morris Dance Center로 이동 4시 이후 저녁 식사 및 짐을 챙겨 megabus 승차장으로 이동 8시 40분 megabus 승차

- 43 -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회의일지 NO. 5 회의 일시 회의 장소

2015. 11. 11. (수) 11:00 p.m ~ 2:00 a.m

참여자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필라델피아 숙소 1. Mark Morris Dance Center 의견 나누기

주요 안건

2. 컨퍼런스 참관 준비하기 3. 역할 분담하기 1. Mark Morris Dance Center 의견 나누기 - 인터뷰 영상 정리 - 방문지에 대한 소감 : 직접 수업에 참여할 수 있어 프로그램에 대한 느낌과 참여자들의 반응 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어 좋았다. : 몸이 많이 불편한 참여자들이지만 커뮤니티가 잘 형성 되어 있어 오 랜 기간 지속이 가능한 거 같다. : Mark Morris 개인이 시작하였지만 이 프로그램으로 예술가, 봉사자들 , 참여자들의 커뮤니티가 이 지역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모습을 볼 수 있 었다.

회의 내용

2. 컨퍼런스 참관 준비 - 참관할 강연 정리하기 : 9시~12시 a.m :

Reclaiming Main Street: How We Can Authentically Do Good

: 2시~3시30분 p.m : CoCre8 : Space for Collaborative Arts Learning : 4시~5시30분 p.m : Teaching Artist Professional Development; Spotlight on Five Effective Models 3. 역할 분담하기 이보늬 : 중요 내용 녹음하기 이현지 : 영상 촬영하기 최현주 : 사진 촬영하기

- 44 -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회의일지 NO. 6 회의 일시 회의 장소

2015. 11. 12. (목) 11:00 p.m ~ 2:00 a.m

참여자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필라델피아 숙소 1. 컨퍼런스 참관 의견 나누기

주요 안건

2. 내일 일정 준비하기 3. 역할 분담하기 4. 현지 통역 및 매개자 유지연(현지 무용치료사) 미팅

1. 컨퍼런스 참관 의견 나누기 - CoCre8는 도시 예술 교육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탐구하기 위해 개발 된 혁신적인 플랫폼이고 예술가, 교육자 및 관리자가 프로젝트를 수행하 기 위해 사우스 사이드 고등학교 (South Side High School) 에서 학생 과 교사와 협력하여 자신 스스로 작품을 통해 표현하였다고 사례발표를 하였고 이 강연이 인상적이었다. 2. 내일 일정 준비하기 - 녹음 작업의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 지 좀 더 고민해 보기로 하였다. - 사진 촬영은 PPT 위주로 촬영하기로 하였다.

회의 내용

3. 역할 분담하기 이보늬 : 준비한 리플릿과 명함으로 우리에 대해 소개하기 이현지 : 촬영과 녹음 최현주 : 전체 사진, 중요 사진 찍기 4. 무용 치료사 유지연씨와의 미팅 - 필라델피아의 역사와 요즘 사회의 문제, 그 배경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 기와 유학생의 생활을 거쳐 직장을 갖고 현지인으로써의 삶을 살게 되면 서 느끼게 된 필라델피아 문화의 여러 가지를 듣고 우리가 궁금해 하는 것들을 물었다. 그래서 마지막 일정인 벽화 투어를 모두가 참여하기로 결정하였다.

- 45 -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회의일지 NO. 7 회의 일시 회의 장소

2015. 11. 13. (금) 11:00 p.m ~ 2:00 a.m

참여자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필라델피아 숙소 1. 컨퍼런스 참관 의견 나누기

주요 안건

2. 내일 일정 준비하기 3. 그 동안의 일정 재정리하기

회의 내용

1. 컨퍼런스 참관 의견 나누기 - Arts Education Expo : 우리의 예상과는 다르게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육운영에 대한 엑스포가 아닌 교육매체를 연결해 주는 온라인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엑스포였다. 한국에서는 취약한 부분이라 흥미로 왔고 한국도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과 수요가 커진다면 필요한 부분이 될 거 같다. - A Love Note to Justice : Building Hope and Healing in Urban America : 너무나 감동적인 강연 이였다. 사랑이 가장 중요한 키워드이며 도움이 정말 필요한 사회적 계층에 연합해서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 동시다발세션(Breakout Sessions) The Real Work: New Practices for a New Era in the Arts : 라운드 테이블에서 서로 논의 하는 강연이었다. 문제 안에는 단순한, 복잡한, 콤플렉스, 혼돈이라는 4가지의 문맥이 있고 원인과 결과 는 이 네 가지 영역 에서 다른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명제 안에서 주제를 정해 서로 논의하였다. 영어라는 장벽 때문에 너무 힘들었던 시간 이였다. 2. 내일 일정 준비하기 - 벽화 투어 전에 짐 싸고 숙소 정리하기 - 현지 매개자와 함께 벽화 투어하고 벽화 투어 후 바로 담당자와 만나 인터뷰 하기로 함 - 인터뷰 장소 확인하기 3. 그 동안의 일정 다시 정리하기 이보늬 : 사진과 회계정리하기 이현지 : 촬영한 영상과 녹음 파일 정리하기 최현주 : 일지 정리하기

- 46 -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회의일지 NO. 8 회의 일시 회의 장소

2015. 11. 14. (토) 11:00 p.m ~ 2:00 a.m

참여자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뉴욕 숙소 1. 벽화 투어 의견 나누기

주요 안건

2. 벽화 담당자 인터뷰 정리하기 3. 이 후 일정 조율하기 1. 벽화 투어 의견 나누기 - 인터뷰 영상, 소리 파일 정리 : 상태가 안 좋아 거의 활용 불가능 - 벽화 투어에 대한 소감 : 장소 선택, 벽화의 내용, 그리는 방법, 참여자, 진행한 예술가 등 모두 다르지만 모든 벽화가 다 의미가 있고 가치가 있었다. : 우리 모두가 인상적인 벽화가 다르고 기억에 남는 벽화가 다를 만큼 다 훌륭했다.

회의 내용

2. 벽화 담당자 인터뷰 정리 - 벽화 기획자와의 인터뷰를 요청했지만 벽화 예술가인 Eurhi Jones가 인 터뷰자로 나왔다. - "작업의 시작은 대화입니다. 벽화작업을 할 때 사람을 모으고 서로 이해 하고 그들의 필요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합니다."가 너무나 인상적인 인 터뷰 내용이었다. - 너무나 적극적이고 열정적으로 인터뷰에 응해 주셔서 감사했다. 3. 이후 일정 조율하기 이보늬 : 진흥원과 긴밀하게 연락하기, 앞으로의 일정 잡기 이현지 : 번역하기 최현주 : 영상, 소리파일, 사진 정리하기

- 47 -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회의일지 NO. 9 회의 일시 회의 장소

2015. 11. 19. (목) 1:00 p.m ~ 6:00 p.m

참여자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이현지 선생님 자택 1. 정리된 내용 취합하기

주요 안건

2. 부족한 부분 정리하기 3. 보고서 정리하기 4. 이 후 일정 조율하기

1. 정리된 내용 취합하기 - 인터뷰 영상, 소리 파일 번역본 정리하기 - 정확한 번역을 위해 좀 더 연구해 보기로 함 2. 부족한 부분 정리하기 - 인터뷰 영상, 소리 파일 완성된 번역본은 보고서 형식에 맞게 정리하기 - 결과지 우수사례인 인도네시아사업 메타자료 참고하기로 함

회의 내용

3. 보고서 쓰기 - 형식과 내용에 맞게 정리하기 - 부족한 부분 멜로 수정하기 이보늬 : 보고서 쓰기 이현지 : 전체 틀 만들고 다듬기 최현주 : 회의록 정리 4. 이 후 일정 조율하기 - 개인 보고서 작성하기

- 48 -


팀별 결과보고서 - 미 국 2팀 -

변미섭, 전인혁, 정혜영



미국팀 변미섭 전인혁 정혜영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 조사 결과 보고

□ 탐방·조사 목적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 조사를 통해 결과물을 발표한다 예술강사의 선진화된 다양한 교수법 습득 기회를 갖고 이를 토대로 교안의 재개발을 통하여 역량 강화의 기회로 삼는다 해외 탐방 조사를 통한 교육 내용을 공유하여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수 준을 높인다

□ 탐방·조사 개요 파견국가 미국 기

참 여 자

전인혁 연극

정혜영 영화

변미섭 만화 애니메이션

주요활동 예술교육활동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기관 방문 및 인터뷰 컨퍼런스를 통한 예술강사와의 만남 인터뷰 컨퍼런스를 통한 참여자의 설문 조사 설문지 참고 컨퍼런스 참석

- 51 -


일 일

정 시

비고

기관 방문 필라델피아 예술교육 파트너십

기관장 인터뷰

예술강사 컨설턴트 인터뷰

컨퍼런스장 내 설문지

컨퍼런스장 내 설문지 토

- 52 -


주요 활동 내용

1. (행사 참여) □ 제 78회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 연례 컨퍼런스 행사 소개 예술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변화 촉진 의 주제로 전미 문화예술교육 단체 리더 예술강사들이 참여하는 교류의 장 참여 목적 미국 컨퍼런스의 참관을 통해 운영시스템을 이해 컨퍼런스 내 기관 관계자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작성 예술교육을 통한 변화를 느낄 수 있었던 경험 공유 참여 일자 목

주요 내용 첫날부터 마지막 날까지 모든 요일을 참가하여 컨퍼런스의 실제적인 운 영 시스템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박

일 동안 이루어진 일정 중에 사전 컨퍼런스를 만들어 예술강사들의

주제에 맞는 내용을 취합하고

일 진행되는 세션별로 취합한 내용을 가지

고 컨퍼런스를 진행함 아침 점심 저녁의 브레이크 타임을 주어 강사 기획자 기관 관계자들과 의 교류의 자리를 마련함 컨퍼런스 장내 홍보 부스를 설치하여 기관 및 단체 홍보 편의 제공 전미에서 이루진 일 년 동안의 예술교육 활동 중 훌륭한 업적을 남긴 인 물들을 선정하여 수상함 여장의 설문지를 통하여 객관화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당초 계획하였던 변화 촉진의 요소를 자료화 할 수 있다 컨퍼런스 장내의 예술가 예술강사 기관 관계자 하여 아래와 같은 통계를 얻을 수 있었다 - 53 -

명의 설문지 작성을 통


우리가 준비한 설문지는 이번 해외문화탐방을 통하여 알고자하는 예술교육을 통해 변화 될 수 있는 변화촉진 요소 가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객관화하기 위해 준비하였다 이번 설문지에 다년간 예술교육을 통해 알게 된 변화촉진요소 들로 직접 또는 간접적인 요소들을 나열함과 동시에 기타 란을 두어 미국 내 기관에서의 의견을 듣고 차후 우리에게 필요한 요소로 활용하기 하기 위해 준 비하였다

- 54 -


- 55 -


설문지 대상자 중 대부분이 예술교육기관의 관계자였으며 그들이 생각하는 예 술교육이 변화 시킬 수 있는 부분을 감정이라고 답하였으며 또 다른 의견으로는 학업까지도 영향을 미침

커뮤니티 만들기

사회적감성

자아 이해

교양교육

사회적연결

긍정적인 태도 책임감 자아존중

대화

자신감

지성

자기정체성 가치

공감하기

위험을 감수할 수있는 능력 인내 창의성과 비판적사고

자기인식 자아존중 집단에서의 감각이 있었다

예술교육을 통한 변화 촉진 요소로 상호작용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밖에 변화 촉진 요소로

재정지원

질의 개발 예술강사의 지원 한다 정지원

공동으로 작업하기

사랑

인간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추진력 양 예술은 반드시 비예술 그룹과 소통해야

대화 협동

가정지원

희망과 사랑가 있었다

- 56 -

커뮤니티지원 공간확보 재


일정별 주요내용

우리가 살고 있는 리더십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보상을 받으려고 더욱 열심히 일하고 더 빨리 일하고 의사 결정도 더 빠르게 하면서 남들에게 자신이 그 자질 을 증명하고 있는 세상이다 사람들이 제대로 듣고 믿고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위해서 그들이 지금까지 유지해 온 습관과 태도를 다 잊어버리고 우리의 습관을 인지하는 것을 시작으로 사람들의 업무와 지역을 활발하게 만들 수 있다 자신 의 평소 습관과 행동을 잊어야 한다는 것을 메모해 두며 항상 보는 것이 우리가 할 수 방법이다 그 다음 우리가 사회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 을 스스로 던져 보아야 한다 우리가 사회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이 사회와 지 역의 누구를 알고 있으며 실천을 위해서 누구와 만나고 누구와 이야기를 나눠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사람들은 보통 자기가 가장 친하고 편한 사 람하고만 이야기하려는 성향이 있다는 것이다 예술가들과 이야기를 할 때도 그 렇고 박물관 관계자들 도서관 관계자들과 이야기를 할 때 똑같은 현상이 드러 난다는 것이다 각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예술교육의 장점은 사람들이 창의력과 상상력을 활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점이다 스스로 표현하기 어려워하고 두려워하는 감 정들과 생각들을 끄집어내며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개인의 장점과 능력을 찾도록 도와준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하지만 지역예술교육자들은 이러한 부재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려고 노력한다

예술을 이용해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예술이 모든 사람들에게 접 할 수 있는 존재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일 사전 컨퍼런스를 통

하여 이루어진 미국의 교육예술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개의 새롭고 실현

가능한 프로젝트이다 예술교육에 혁신을 나누다 우리의 일과 업무의 본질을 탐험하며 다양한 기관들과 일하면서 내 진정한 목표는 무엇이고 나는 어떻게 맞 춰가야 하는지에 대한 예술교육가들의 문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예술교육 분 야에 대해서 얘기를 나누며 어른들의 참여로

세대가 모두 예술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 자신의 인생 그리고 커리어에 있어 꿈을 펼치고자 하는 사람들과 예 - 57 -


술을 가르치며 예술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그룹 등에서 나온 중요 아이 디어에 대한 피드백을 한다

학교에서의 괴롭힘과 왕따를 당하고 닫혀 있던 아이들에게 예술을 가르치며 함께 활동을 했습니다 그러면서 아이들이 서로를 도와주며 격려하고 마음을 여 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아이들이 백악관에서 공연을 하고 크게 감동 을 받을 수 있었다

개월 전에 아이들을 만났을 때 모두 상처받은 아이들이었

는데 이제는 자신감있는 모습으로 새롭게 변한 아이들의 모습을 보고 너무 감격 기관이라는 기관과 학교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이루어진 성과

스러웠다 이다

기관의 도움으로 학교의 불우한 아이들에게 악기가 생겼고 그로인해 아

이들이 질 좋은 예술 교육을 받을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변화 될 수 있었던 좋 은 사례가 되었다

2. (기관 방문 및 조사) □ ART WELL 기관 소개 필라델피아 지역 내 빈곤층과 소외 계층의 청소년들에게 예술교육을 중심 으로 문맹 퇴치 및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년도부터 활동을 시

작한 기관이다 방문 목적 담당자 인터뷰를 통하여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소외 계층 빈곤층 대상의 수 업 및 사례 공유 방문 일자 수 면담자 외 명

- 58 -


주요 인터뷰 내용 에서 이루어진 예술교육의 사례 몇 년 전에 우리는

징계 고등학교에서

학년 학생들과 일했어

요 거기에 있는 학생들은 많은 문제를 일으켜서 이미 한번만 더 문제가 생 길경우 바로 감옥에 가야하는 그런 학교 학생들이였죠 우리는 그곳의 모든 학년 학생들을 가르쳤어요 몇몇은

시 를 무척 흥미로워했고 방과 후엔 라고 이름

시 수업에 참여하고 싶어 했습니다

도 만들었어요 이 학교는 필라델피아 내 빈곤율이 굉장히 높은 지역에서조 차 평판이 좋지 않았어요 그 동네 문제아들조차 이 학교 학생들을 무서워했 어요 길가에서 그 학교의 학생이 걸어오는걸 보면 그 학생과 마주치지 않기 위해 바로 길을 건너갔죠 다시 시 클럽 이야기로 돌아와서 한번은 우리가 학생들이 본인 목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전문 녹음실로 데려갔어요 녹음실 아시죠 라디오 스튜디오 같은 곳이죠 우리가 그곳에 갔을 때 신문사 기자 가 있었어요 그 기자는 한 학생을 데려와서 물었어요 다고 뭐가 달라지니

그 학생의 이름은

왜 시를 쓰니 이런

였어요

는 자기 티셔츠를 들어 올리며 말 했어요

사실 나는 총에 맞았어

요 형을 시켜 그를 죽일 수도 있었지만 전 오히려 그것에 대한 시를 썼어 요

만약 그 기자가

에게 그때 물어보지 않았다면 저희도 아마 몰

랐을 것입니다 그 아이가 쓰는 시가 여러 생명을 살린 것이죠 본인도 살리 고 형도 살리고 또 그 형이 죽일 수도 있는 그 누군가도 살렸죠 이 사례는 아이들이 어떻게 엄청난 도전을 하고 있는지 말해줍니다 머릿속에 무슨 생 각을 하고 있는지 가슴 속에 뭘 담고 있는지 어떤 생각 감정인지 뭐가 제일 짜증나는지

존중과 배려 관심을 가지고 아이들 얘기를 들어준다면 사실

그들은 굉장히 잘 자라요 성공적인 수업을 이끈 요소는 무엇인가 수업들 중 예술강사의 수업들은 아이들에게 강요를 하지 않아요 그러므 로 학생들은 그들의 예술과 생각을 엮을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몇몇 학생 들은 준비를 하고 마음을 열고 바른 길로 가죠 몇몇 학생들은 몇 주의 시간 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이것에 관한 이야기는 너무도 많은데 책상에 머리를 숙이고 있거나 아무하고나 이야기를 한다던가 하지만 몇 주가 지난 후 이들 은 편안함을 느껴요 내 생각에 학생들에게 화를 냈다면 그들은 편안함을 느 끼지 못 했을 것이고 그들은 이야기의 문을 열지 못했을 겁니다 어쨌든 누 - 59 -


구라도 이 일을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그들에게 이 공간이 안전한 공간이며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어야하는데 큰 힘을 쏟아야하죠 더불어 그 공간이 안 전한 공간이라는 문화적 인식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해요 강사들의 능력은 예술작업을 통하여 공유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죠 가 령강사들이 음악을 가르친다면 드럼을 치는 방법을 배우게 되든지 벽화를 그리게 된다면 창의적인 그림을 시를 쓰는 방법 또한 마찬가지죠 강사를 통하여 공유하는 법을 익힌 아이들은 만들어진 작품을 보고 차이점이 무엇 인지 깨닫게 되는 것이죠 선생님들은 스스로 재능이 많다고 생각해요 예술을 가르치는 것을 굉장 히

흥미로워하고 학생들에게 귀 기울이고 싶어 해요 선생님들은 항상 학

생들을 위해서 있습니다 학생들은 그것을 잘 알고 있어요 수업이 일주일 에 한 번 한 시간씩 우리가 수업에 가고 그렇게 우리는 학생들을 위해 그 자리에 섭니다 학생들을 항상 우선 생각하고 위하는 선생님들은 정말 대단 하다고 생각해요 좀 부족하거나 느리거나 학생들의 페이스에 맞게 천천히 또는 기다려 주기도 하고 학생들이 다른 것들에 준비되어있으면 또 그것에 맞게 변화를 주거나 다음단계로 움직이죠 특별히 필라델피아로 예를 들면 특정한 문화의 배경을 가지고 있는 필라델피아에선 선생님들이 학생들의 적응을 위해 변화하기도 합니다 학생들이 뭔가 특별한 것을 원한다면 선생 님들은 그것에 적응하고 학생들을 위해 항상 함께 합니다 그것이 우리의 힘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진 예술교육의 결실을 확인 할 수 있는 시간 이었으며 교육은 대상자에 따라 접근방식이 달라야하며 깊은 고민을 동반하 여야 한다는 것을 인터뷰를 통하여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직접적인 예술 활동을 통하여 아이들의 변화를 끌어내는 것이 인상적이다 보통 우리가 문 제아라고 말하는 아이들도 존중을 통하여 교감이 가능하다는 것을 다시 확인하는 자리가 되었다

- 60 -


□ 필라델피아 예술교육 파트너십(Philadelphia Arts in Education Partnership, PAEP) 기관 소개 예술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필라델피아 박물관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같은

여개의 필라델피아 문화예술 그룹과 함께 하고 있는 기관이 다 펜실베니아

주 예술위원회와 함께 연계하여 지역의 아이들에게 예술교육을 제공하기도 한다 주에서 지원을 받아 학교의 정규 교과 과학 기술 수학 등 와 예술을 연결 하여 교 육을 하거나 방과 후 시간에 예술교육을 실행한다 또한 하루 시간씩 주 회 아이 들의 숙제를 돕고 교육서비스를 지원한다 그 밖에 도서관과 연계하여 책을 이용한 예술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시낭송 대회를 주관하고 있다 방문 목적 관계자 인터뷰를 통하여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및 사례 공유 에서 이루어지는 강사육성 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 과정 인터뷰 방문 일자 수 면담자 외 5명

주요 내용 에서 이루어진 성공적인 교육 사례 수업 내용은 과학 기술 수학 등의 학문을 예술과 연결시키는 거죠 많은 학생들을 과학과 수학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이것을 주제에 맞게 예술 수업으로 연결 하는 것이죠 예를 들면 미술 수업은 건축과 측량 도안 대 칭과 연결 할 수 있고 무용은 신체구조 음악은 색다른 패턴을 이러한 내 용들은 모두 수학과 과학 안에 접목할 수 있는 내용들이고 우리는 그것을 연결하고 있어요 학생들은 페인팅 작업 등과 같은 예술을 통하여 수학을 공부하는 거죠 이 프로그램을

년간 경험한 아이들이 있어요 이 학생들은

매년 학년이 올라 갈 때마다 시험을 치르게 되는데 다른 지역의 아이들보 다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도가

점 가량 높게 측정되었어요 학생들이 배

움을 행하는 데 있어 예술은 매우 강력한 도구가 된 것이죠 이것은 연극만 을 가르치지 말라는 뜻이 아니에요 미술을 가르치지 말라는 뜻이 아니에 - 61 -


요 왜 연극을 가르치는지 아이들에게 어떠한 것을 전달 할 수 있는지 고 민해야한다는 거예요 가령 건물세트들을 가정해보죠 만약 연극 제작소를 만든다면 이것은 수학이 필요하죠 이것들을 아이들에게 설명 할 수 있어야 하죠 비율을 측정하여 작은 무대를 그리고 세우고 무대 주변에 필요한 것 들을 만들어야 해요 마치 모형과도 같이 말이죠 역사 과학 지리 이 모든 것들의 중심에 예술이 있어요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요 나라 안에 모든 예술들이 존재하고 그 예술들은 도시 문명 들과 대 화하잖아요 이것이 역사 아닌가요

우리가 드린 자료를 보면 우리가 어떻

게 진행해왔는지 알아볼 수 있어요 그 안에는 자세한 설명들이 함께 되어 있어요 그것을 가지고 이야기를 나눠 볼 수도 있을 거예요 우리가 방금 마 친 프로젝트에 관한 내용도 함께 실려 있어요 여름방학에 실행 된 프로그램은 모든 교과목과 연계가 되어 있어 방학동안 낙오자가 발생하지 않게 만들었죠 도서관을 이용한 프로그램들은 이야기들 을 예술과 연결시키는 것이었어요 예술가가 책을 선정하고 아이들은 그 책 을 읽고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아보죠 그리고 도서관과 예술가는 그 책 을 읽음으로 어떻게 아이들이 예술과공감할 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 나누었 어요 결과는 성공적이었고 학교를 마치고 난 이후나 토요일 아침에 활동들 을 하였죠 예술교육을 통하여 학습자가 변화 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우리는 체벌을 하지 않아요 체벌을 믿지도 않죠 그들이 변화 할 수 있게 학생들에게 존중을 주어야합니다 그들이 잘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해 요 그리고 그들이 한 실수나 잘 못된 점이 있다면 그림으로 그려보 거나 글로 써봄으로 자부심이나 자존심을 지킬 수 있게 하죠 그리하 여 그들이 긍정적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게 하는 거예요 이것 은 굉장히 중요한 이야기이죠 만약 아이들이 실수를 저질렀다면 우리는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해야만 해요 그러기 위해 우리는 하나씩 차근차근 진행해 나갈 수 있는 진정 한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당신들은 예술가이기도 하죠 사실 당신들은 변화시키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어요 이 말의 의미는 당신들은 창의적 인 사람들이고 엄청난 아이디어들을 만들어내는 사람들이라는 말 이예 요 그렇게 아이들의 감각을 키워주는 방법 중에 하나를 하고 있는 거 죠 연극을 만들거나 만화를 그리는 것이 이러한 감각을 만들어 내는 - 62 -


거예요 영화를 만드는 작업은 기승전결로 이야기를 꾸며야 하는 작업 이기도 하죠 예술가들은 이런 작업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 어요 현장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는 거예요 이것은 아이 들이

난 뭐든지 할 수 있어

라는 말을 할 수 있게 만들고 사람들에

게 무대 위에서 연기를 하거나 미술품을 전시하고 영화를 상영하여 표 현하고 보여주려는 의지를 만들어 어떻게 사람들을 모아 나 혹은 나의 작품을 이해시킬지에 대한 기회를 결심하게 만들죠 그리고 사람들은 감상 후

대단하네

라는 말을 하게 되는 거구요 아까 말했듯이 당신

들은 이미 알고 있어요 당신들은 항상 예술가예요 당신들이 이러한 과정들을 거듭한다면 전 장담할 수 있어요 아이들은 엄청난 창의성과 생각 가르침 그리고 스스로 좋아졌다는 믿음을 가지고 학교 내에서 행 동 또한 달라질 것이라는 걸요 당신과 교감하는 것 예술가에게 예술 을 배운다는 것 아이들은 이런 것을 학습하는 겁니다 왜냐하면 당신 은 예술작업을 할 때 어떤 마음으로 임해야하는지 이미 알고 있기 때 문이죠 내가 말할 수 있는 것은 깊은 고민과 함께 아이들을 가르치고 당신들과 함께 예술작업을 한다면 그리고 인내심이 함께한다면 그들에 게 성공 혹은 실패를 경험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거예요 그렇다면 상황에 맞게 그들을 인솔하세요 그렇다면 변화를 불러올 것이고 더 나 아 질 거예요 기관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예술강사를 관리하고 있는가 전화 이메일 면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만납니다 먼저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우리는 예술강사들을 훈련시킨다는 것입니다 단 우리는 예술적인 부분은 절 대 이야기하지 않아요 우리가 훈련하는 것은 어떻게 학교 안에서 수업을 진 행하고 어떻게 계획하고 관계자들과 어떻게 대화하는 지를 알려주죠 또한 수 업시간에 교사와 어떻게 협동해야하는지 한 반에

명가량 되는 아이들과

어떻게 교감 할 수 있는지 간혹 몇몇 아이들은 끔찍한 상황들을 만들기도 하 니까요 예술강사와 학기 당

회 정도 만납니다 보통

년에

번 정도라

고 생각하면 되요 만나게 되면 학기가 어떻게 진행 되고 있는지 무엇을 진행 중인지 아이들의 반응과 변화 된 점 등을 이야기 하죠 그들과 일대일로 면담 을 하면서 질문도 받고 새로운 아이디어들도 공유하구요 양질의 프로그램은 보다 체계적인 시스템에서 나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는 예술강사들과 항상 소통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있으며 다양한 프로 - 63 -


그램들을 개발하기 위해 적지 않은 시간을 예술강사들과 함께 한다 다

무엇보

는 예술의 힘을 믿고 강사들을 신뢰함으로 그들이 이루고자하는 목

표 프로젝트 프로그램 등 를 이룬다 또한 교안의 개발 영역은 무궁무진하며 다양한 접근방식을 통하여 아이들에게 흡수된다

가령 학과 수학

과학

역사

등등 수업에 예술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방식이 눈여겨 볼만하다

□ Life Time 기관 소개 년도에 설립된 노인 예술 봉사 단체로 변화하는 노인 사회에 필요한 예술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힘없고 가난한 노인 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예술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노 화 를 지지 방문 목적 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노인 수업 인터뷰 노인예술교육을 통한 변화 사례 공유 방문 일자 목 면담자

주요 내용 는 어떤 곳이고 왜 예술을 통하여 노인교육을 하는가 우리기관은 창의적인 노후를 촉진하는 비영리 기관입니다 창의적인 노후라 함은 노인들을 상대로 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지요 미국과 세계 전반적인 추세를 보면 전체인구 중 노인인구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회에서도 이러한 수요를 인정하고 여러 프로그 램을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는 시각 미술 공연예술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또한 우리는 일반적인 기관들이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알 려주고 도움을 주며 능력을 길러주는 일을 하지요 대부분의 기관들은 예술

- 64 -


가들과 함께 일하는 방법을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노인을 위한 프 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을 돕기 위해 프로그램을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우리 는 강사를 훈련하고 노인들과 연결하고 있습니다 이 노인들은 터

세 이상부

세 미만의 분들인데 모두 음악 무용 등 여러 분야의 예술 활동을 예

술강사들과 하고 있어요 또한 우리 기관은 스텝이

명뿐인 매우 작은 기관

이기 때문에 우리의 자원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훈련을 하지요 정기 적으로 링컨센터에서 훈련과 프로그램을 개발을 하는데 아무리 좋은 프로그 램이 있어도 노인을 상대하는 프로그램은 다르기 마련입니다 우리는 그것 을 훈련하고 코치하는 것이지요 왜 강사들을 훈련시키는가 왜 우리가 예술강사를 훈련 하느냐

인구의 거대한 변화에 새로운 프로그

램들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강사들이 노인을 가르치는 것과 아이들을 가르 치는 것은 매우 달라요 그래서 우리는 강사들에게 어떻게 교육과정을 개발 하는지 훈련하지 않아요 우리가 훈련하는 건 노인교육에 관련된 문제들 어떻게 노인들이 배우고 어떻게 지역사회를 만들어서 노인 서비스 조직 협 회 와 파트너가 되는지 어떻게 하면 노인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교실 환경을 만들 수 있는지 또 어떻게 참여하고 어떻게 활동을 해야 사람들이 같이 모여 배울 수 있는지 훈련해요 보통 강사들은 노인들과 일해 본 경험 도 없고 잘 몰라요 그래서 우리가 훈련을 시킵니다 다른 큰 이슈는 한국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미국은 고령화차별

굉장히 심각한 문제에요 노인에 대한 편견이죠 사실 사람들은 고령화차별 이 심하죠 특정 연령이 되면 창의적이 않고 생각도 못하고 배우지도 못하 고 가치가 없다고 가정하죠 인종차별 성차별 그리고 고령화차별 고령화 차별이 굉장히 강해요 그래서 훈련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합니다 그리고 노인들과 일할 수 있는 기회 는 사실 노화 나이 먹는 것에 대해 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죠 저는 몇 달 안에

이 되요 제가 어렸을 때

은요 너무 늙었죠 이미 아

무것도 할 수 없는 나이라고 생각했어요 저는 지금 게임에서 최고 위치에 있는 느낌이에요 내가 하는 일에 만족하고 신이 나고 내가 은퇴 하는 게 상상이 안 되고 전 그렇게 그냥 전형적인 미국 노인이에요

년의 큰 범위

안에서 사람들은 다른 배경들과 다른 경험들을 가지고 있어요 강사들은 노인들이 어떻게 배우는지 이 큰 그룹 안에서 다른 모든 세대들에 - 65 -


맞게 강사들이 훈련을 받을 필요가 있어요 그래서 양질의 프로그램을 위해 강사들을 훈련시키죠 강사들이 노인들에게 의미 있는 프로그램들을 제공할 수 있게 훈련하죠 덧붙이자면 지역사회 기관들은 노인들에게 프로그램을 제 공하지만 어떻게 강사들과 일 해야 하는지 몰라요 보통 노인 서비스들은 혜 택보다 노인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 또는 의료 문제를 기반으로 합니다 우리 의 훈련은 코칭 멘토링 마스터 강사와의 작업 그래서 젊은 강사들은 마스 터 강사를 따라서 그 일을 배우고 적용하죠 사실 일을 하면서 피드백을 받 고 어떻게 무엇이 영향을 미치는지 수용 할 수도 있지요 한국도 이제 고령화 사회가 되었다 그리고 정부도 이미 이것이 큰 문제가 될 것을 예상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사람들의 수명이 길어졌다는 거예요 맞이하다가 이젠

세 가까이 살게 되면서

세 부근에서 죽음을

년의 시간이 생겨버린 거죠

당신 말이 맞아요 그래서 정부나 많은 조직 협회 들이 이 큰 문제를 예상 하죠 그렇지만 그들은 인식하지 않고 노인들의 교육에 대해 혜택을 찾아 보지 않아요 고령화 사회에서 오는 큰 혜택들이 있어요 우리의 일의 일부 는 노인 인구의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춥니다 노인들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세대 간의 벽을 허무는 프로그램까지요 노인과 아이들

대와

대 굉장히 다르죠 우리의 일의 일부는 사람들이 고령인구에 긍정적인 면을 바라볼 수 있게 돕는 것이에요 그리고 미국이나 다른 나라들에서 신체적 정서적 이점에 대해 많은 연구결과들이 나왔어요 우리는 예술 전문가로써 예술은 당신에게 좋다고 항상 얘기해요 특히 노인들에게 더 좋아요 새로운 것들을 배우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고 연구결과에서 보여주지만 정말 중요한 건 새롭게 사회와 연결을 만드는 기회가 중요한 거죠 우리가 지원하는 일 은 모든 학생들 배우는 자들 이 그런 새로운 연결을 만드는 것 배우는 사람 이 된다는 것은 세상과 연결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 교육도 그 흐름에 발맞추어 반응해야하고 정확 하게 현실을 인식해야만 한다 아직 우리나라에선 익숙하지 않은 고령화차별 은 이미 우리나라에도 존재했었지만 인식하지 못 할 뿐이었다 교육이 해야 하는 역할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거나 기능을 전달하는 것만이 아니라 이 슈화 된 사회문제점을 교정하고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들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한 교육에 예술을 이용하는 것과 대상자의 특징을 고려하여 접근하는 방법이 인상적이다 - 66 -


시사점·주요 성과

□ 예술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향한 지속성 예술교육은 지속적이어야 한다 단기 활동으로 끝나는 교육이 아닌 장기적으로 혹은 특정한 목표를 두고 학습자와 예술강사와의 만남을 지속적으로 후원함으로 학습자가 만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야 한다 예 전시장에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서 교실에서 정규적인 학습으로서 경험과 수업을 제공

□ 예술교육은 모든 매체를 포괄적으로 수용함 학교는 수업의 모든 교육과정에 예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통합적인 예술교과 과정은 서로에게 큰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예술은 다른 교과 과목과 연결하여 가르쳐야 한다 예술교육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경을 일깨울 수 있는 중요한 수 단이다

□ 예술단체의 역할의 중요성을 일깨워 줌 예술단체

예술가

학교의 연계는 양질의 프로그램을 위한 자료를 제공

하고 기준을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술가의 역량강화

예술가는 학습자를 가르치기 위한 훈련이 필요하다

그들의 분야 음악 영화 무용 미술 에만 신경을 써 왔지 교습 방법을 배우 지는 못하였다 그들은 학습자들의 연령대에 맞는 재료와 활동을 선택하기 위한 도움이 필요하다 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학교의 요구와 맞아 떨어져야한다 예술단체는 학교 의 요구를 잘 들어야하며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예

학교희망 예술교육과목과 강사를 매칭 하는 것이 아닌 예술

강사 프로필집을 제공하여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희망 강사를 선택한다

- 67 -


활용계획

□ 공유회를 통한 공유와 공감의 장 마련 해외문화탐방을 준비하는 과정과 탐방을 통하여 얻은 결과물에 대한 공유 추후 탐방 목적 주제 선정의 과정과 탐방에 가서 얻은 주제에 대한 결과 물을 강사들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

□ 기관과 예술강사의 협업 방법 제시 추후 전문성 강화를 위한 워크숍 및 소모임 구성 분야별 모임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강사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소모임을 구성 추후 예술강사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 모색 자신의 예술강사 강점을 최대한 부각하여 진행할 수 있는 자신만의 프로필을 만들어 학교 혹은 지역에서 강사풀을 제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68 -


Susan, Megan, Meghan,

PAEP

이름 모를 관계자1, 이름 모를 관계자2

인혁 : PAEP가 어떤 곳인지 설명 부탁드린다. Pearl : 이곳은 모든 예술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필라델피아 박물관과 필라델피 아 오케스트라와 같은 90여개의 필라델피아 문화예술 그룹과 함께 하고 있다. 펜실 베니아 주 예술위원회와 함께 이 지역의 아이들에게 예술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가령 예를 들면 학교에 Mr. Jeon 이 연극 수업을 한다면 영어 선생님을 함께 배정 하여 좋은 연극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Ms. Jeong 과 Ms. Byun 도 마찬가지이 다. 학교에 미술 선생님은 있지만 만화 선생님은 없다. 그럴 경우 PAEP의 이름으로 위원회에 강사료를 요구하여 당신들을 배정한다. 더불어 우리는 300여명의 예술강 사와 함께 일한다. 우리는 책으로 만들어진 여러 행정 군의 예술강사 목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책을 이 각 지역의 학교로 보내고 책에 적힌 강사의 이름과 어떠한 것을 가르치는지, 어떠한 활동과 목표를 가지는지 설명해 놓은 내용을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어떤 강사를 원하는지 확인한다. 이렇게 직업을 구할 수 있게 연 결 한다. 한 프로그램을 설명하자면 주에서 우리에게 자금을 내려주면 정규 교과시간과 방과 후 시간에 예술프로그램을 지원한다. Meghan : 일주일에 4일 하루에 3시간 씩 아이들에게 간단한 음식들과 함께 숙제를 돕고 교육서비스를 지원한다. 4개의 예술 분야가 투입 되는데 연극, 음악, 춤, 미술 분야 선생님들이 각 학교마다 배치된다. 현재 9개 학교에서 시행 중이다. Pearl : 수업 내용은 과학, 기술, 수학 등의 학문을 예술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많은 학생들을 과학과 수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것을 주제에 맞게 예술 수업으로 연 결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미술 수업은 건축과, 측량, 도안, 대칭과 연결 할 수 있 으며 무용은 신체구조, 음악은 색다른 패턴을, 이러한 내용들은 모두 수학과 과학 안에 접목할 수 있는 내용들이고 우리는 그것을 연결하고 있다. 학생들은 페인팅 작업 등과 같은 예술을 통하여 수학을 공부하는 것이다. 인혁 : 이게 가능한가? 모두 : 가능하다. Pearl : 이 프로그램을 4년간 경험한 아이들이 있다. 이 학생들은 매년 학년이 올라 갈 때마다 시험을 치르게 되는데 다른 지역의 아이들보다 수학 과목의 학업 성취도가 105점 가량 높게 측정되었다. 학생들이 배움을 행하는 데 있어 예술은 매우 강력한 도구 인 것이다. 이것은 연극 만을 가르치지 말라는 뜻이 아니다. 미술을 가르치지 말라는 뜻이 아니다. 왜 연극 을 가르치는지, 아이들에게 어떠한 것을 전달 할 수 있는지 고민해야한다. 가령 건 물세트들을 가정해보자, 만약 연극 제작소를 만든다면 이것은 수학이 필요하다. 이 것들을 아이들에게 설명 할 수 있어야 한다. 비울을 측정하여 작은 무대를 그리고 - 69 -


세운다. 그리고 무대 주변에 필요한 것들을 만든다. 마치 모형과도 같이 말이다. 그 리고 실제 큰 무대를 보고 자신이 만든 작은 무대가 큰 사이즈로 확대 된 것을 보 고 수학의 원리인 비율과 측량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당신도 알다시피 대칭, 각, 기하학 이와 같은 것들로 인하여 아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 Ms.변은 애니메이션 강사이므로 피규어들을 만들었을 것이다. 이것 들은 수학수업의 진행 과정에 있는 요소이다. 여러분들은 모든 과목에서 이러한 연 결되는 과정과 내용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역사, 과학, 지리, 이 모든 것들의 중 심에 예술이 있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 나라 안에 모든 예술들이 존재하고 그 예 술들은 도시(문명)들과 대화한다. 이것이 역사(history) 아닌가? 우리가 드린 자료 를 보면 우리가 어떻게 진행 해왔는지 알아볼 수 있다. 그 안에는 자세한 설명들이 함께 되어있다. 그것을 가지고 이야기를 나눠 볼 수 도 있을 것이다. 우리가 방금 마친 프로젝트에 관한 내용도 함께 실려 있다. 여름방학에 실행 된 프로그램은 모든 교과목과 연계가 되어 있어 방학동안 낙오자 가 발생하지 않게 만들었다. 또 다른 대표적인 프로그램들로는 도서관들과 함께한 프로그램들이 있다. 담당자인 Megan 이 설명해 줄 수 있을 것 같다. Megan : 도서관을 이용한 프로그램들은 이야기들을 예술과 연결시키는 것 이였다. 예술가가 책을 선정하고 아이들은 그 책을 읽고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그 리고 도서관과 예술가는 그 책을 읽음으로 어떻게 아이들이 예술과 공감할 지에 대 해 함께 이야기 나누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고 학교를 마치고 난 이후나 토요일 아 침에 활동들을 하였다. Pearl : 이것이 그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Smart Readers" 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독서를 돕는 프로그램이지만 그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미섭 : 이 안에 도서관이 있는 것이 아니라 도서관을 직접 찾아가서 이 프로그램을 받아야 하나? Pearl : 필라델피아의 모든 도서관을 통하여 이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다. 이 도 시는 매우 큰 도시이다. 외곽지역에서 이 곳 까지 오려면 55분에서 한 시간 가량 걸 린다. Megan 이 이야기 했듯 이 프로젝트는 아이들에게 책과 예술을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작업이었다. 예를들만한 이야기를 Megan 이 알고 있을 것이다. Megan : 사실 너무 많은데, 문제가 많은 원숭이 이야기가 있었다.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하자 그 상황을 바로 잡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그들은 생각하였다. Pearl : 그러자 아이들은 원숭이 그림을 그리지 않고 ‘그들이 과연 이렇게 하였다 면?’ 이라는 주제로 그림을 그렸다. 이러한 과정들이 책을 보다 잘 읽을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이며 책과 예술이 함께하 는 방법이다. 이것은 아주 큰 규모의 프로그램이었다. 또 어떤 프로그램들이 설명 할 수 있을까요? Megan이 시와 관련 된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해 볼까요? - 70 -


Megan : 시 낭송 대회가 있다. 이 대회는 펜실베니아 예술 위원회가 직접 관여하는 행사이다. 각 지역에서 행사가 열리게 되고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연극선생님 들이 지도하기도 하며 주로 영어선생님이 지도를 하기도 한다. 학생들은 시집을 구해 그 중 한 시를 암기하여 공연화한다. 이 대회를 PAEP 가 주관하고 있으며 21명의 학 생들이 이건물의 대학교에서 5~6명의 심사위원들 앞에서 발표를 했다. 이렇게 각 지 역의 우승자들이 다시 모여 더 큰 행사로 각 주에서 우승자를 뽑게 된다. 각 주에서 뽑힌 우승자들은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엄청난 규모의 전미대회에 출전하게 된다. Pearl : 우리가 관리하는 아이들 중에서도 전미대회에 출전한 학생이 있었다. 비록 우승은 하지 못했지만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이 외에도 미술과 문학 분야 대회도 있 다. 미술 분야는 작품을 운반하기가 어려워 사진으로 웹사이트에 올리고 우선 심사 를 받는다. 이 대회의 우승자는 대학입학에 필요한 장학금을 수혜 받는 특전이 있으 며 뉴욕시에서 열리는 큰 축하연에 참가하게 된다. 내 생각엔 이것들은 아주 큰 프 로그램들이고 우리들은 다양한 조사활동도 함께하고 있다. 학기 중 과연 아이들이 보다 나은 생각과 배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예술 작업은 무엇인가 이다. 우리는 워싱턴에 있는 미국 교육부와 함께 일하고 있으며 다양한 프 로그램들을 제시하고 아이들에게 예술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을 고민 중이다. 인혁 : 예술교육을 통하여 학습자가 변화 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Pearl : 먼저, 여기에 있는 우리가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이다. 예술을 믿는다. 분 명히 모든 아이들의 행동은 변화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 할 것이다. 이것은 더 나은 학생을 만들고 더 나은 생각을 만들고 더 나은 창의성을 만들며 독창적이게 만들어 보다 나은 그룹에서 일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간혹 모든 사람이 리더가 될 순 없지만 어떤 때에는 이끌고 어떤 때에는 팀의 일부가 되어 영리함을 꾀한다. 또 어떤 것이 있을까? 이것들이 무엇을 가르치게 되는가? 인내심, 존중과 같은 가치 가 있다. Someone1 : 지금 이 사람의 질문은 학생이 변화하기 위해 교수자가 선택해야하는 방법인 것 같다. Someone2 : 우리는 체벌을 하지 않는다. 체벌을 믿지도 않는다. 그들이 변화 할 수 있게 우리는 학생들에게 존중을 주어야한다. Someone1 : 그들이 잘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들이 한 실수나 잘 못된 점이 있다면 그림으로 그려보거나 글로 써봄으로 자부심이나 자존심을 지킬 수 있게 한다. 그리하여 그들이 긍정적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굉장히 중요한 이야기이다. 당신들은 선생님이지 않는가? Pearl : 만약 아이들이 실수를 저질렀다면 우리는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해야만 한 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하나씩 차근차근 진행해 나갈 수 있는 진정한 인내심이 필 요하다. - 71 -


당신들은 예술가이기도 하다. 사실 당신들은 변화 시키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다. 이 말의 의미는 당신들은 창의적인 사람들이고 엄청난 아이디어들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이다. 그렇게 아이들의 감각을 키워주는 방법 중에 하나를 하고 있는 것이다. 연극을 만들거나 만화를 그리는 것이 이러한 감각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영화를 만 드는 작업은 기승전결로 이야기를 꾸며야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예술가들은 이런 작 업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다. 현장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아이들이 “난 뭐든지 할 수 있어!” 라는 말을 할 수 있게 만들고 사 람들에게 무대 위에서 연기를 하거나 미술품을 전시하고 영화를 상영하여 표현하고 보여주려는 의지를 만들어 어떻게 사람들을 모아 나 혹은 나의 작품을 이해시킬지 에 대한 기회를 결심하게 된다. 그리고 사람들은 감상 후 “대단하네!” 라는 말을 하 게 된다. 전에 말했듯이 당신들은 이미 알고 있다. 당신들은 항상 예술가이다. 당신 들이 이러한 과정들을 거듭한다면 전 장담합니다. 아이들은 엄청난 창의성과 생각, 가르침 그리고 스스로 좋아졌다는 믿음을 가지고 학교 내에서 행동 또한 달라질 것 입니다. 당신과 교감하는 것, 예술가에게 예술을 배운다는 것, 아이들은 이런 것을 학습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당신은 예술작업을 할 때 어떤 마음으로 임해야하는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말할 수 있는 것은 깊은 고민과 함께 아이들을 가르 치고 당신들과 함께 예술작업을 한다면 그리고 인내심이 함께한다면 그들에게 성공 혹은 실패를 경험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이다. 그렇다면 상황에 맞게 그들을 인 솔해라. 그렇다면 변화를 불러올 것이고 더 나아 질 것이다. 제공한 자료에 수업일지가 포함 되어 있다. 참고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매 차시 의 수업 계획표이며 상세히 기록 되어 있다. Someone1 : 당신들은 어떻게 수업을 진행하고 있나? Pearl : 연극 공연을 만드는가? 인혁 :

그렇다.

Pearl : 우리는 연극에 필요한 이야기를 아이들이 만들고 캐릭터를 만들어서 공연을 한다. 인혁 : 우리도 비슷한 방법으로 만들고 있다. Pearl : 그렇다면 이미 당신들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로 변화를 꾀하고 있는 것이다. 공연을 마치고 난 후 부모님들은 반드시 이렇게 말할 것이다. 우리 아 이가 변했다고. 자신들의 아이가 변했다는 것은 매우 흥분되고 자랑스러운 일이다. Someone1 : 공연을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기억하느냐는 그들에게 긍정적인 일이다. 새로운 것을 배운 것이지 않나? 이것이 학생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 할 수 있는 방법라고 생각한다. Pearl : 당신들이 원하는 대답을 했는가. 인혁 : 그렇다. 우리가 원하는 대답이다. Pearl : 아니라고 말해도 된다. 인혁 : 그렇지 않다. 예술강사들과 어떤 방법으로 대화하나? - 72 -


Pearl : 전화, 이메일, 면담등 다양한 방법으로 만난다. 먼저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우리는 예술강사들을 훈련시킨다. 단 우리는 예술적인 부분은 절대 이야기하지 않는다. 우리가 훈련하는 것은 어떻게 학교 안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어떻게 계획하고 관계자들과 어떻게 대화하는 지를 알려준다. 또한 수업시간에 교사와 어떻게 협동해야하는지 한 반에 2~30명가량 되 는 아이들과 어떻게 교감 할 수 있는지 간혹 몇몇 아이들은 끔찍한 상황들을 만들 기도 한다. 이것은 매우 힘든 일이기도 하다. 인혁 : 예술강사와 얼마나 자주 이야기를 하는가? Meghan : 학기 당 3~4회 정도 만난다. 보통 1년에 12번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나게 되면 학기가 어떻게 진행 되고 있는지 무엇을 진행 중인지 아이들의 반응과 변화 된 점 등을 이야기 한다. 그리고 다른 프로그램들도 존재한다. 그들과 일대일 로 면담을 하면서 질문도 받고 새로운 아이디어들도 공유한다. 그래서 수많은 강사 들과 매일 면담하는 일만으로도 무척 바쁘다. Life Time Arts

Maura O'malley

인혁 : Lifetime이 어떠한 기관인지 설명해 달라. Maura : 우리기관은 창의적인 노후를 촉진하는 비영리 기관이다. 창의적인 노후라 함은 노인들을 상대로 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과 세계 전반 적인 추세가 전체인구에서 노인인구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사회에서도 이러한 수 요를 인정하고 여러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다. 우리가 하는 일은 시각, 미술, 공연예 술의 프로그램을 구조화한다. 또한 우리는 일반적인 기관들은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알려주고 도움을 주며 능력을 길러주는 일을 한다. 대부분의 기 관들은 예술가들과 함께 일하는 방법을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주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훈련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노인들을 위한 프로그 램들을 도입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프로그램을 설명해주고 있다. 미국 내에서 큰 규 모로 진행되는 프로그램 중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는 것들이 있다. 노인들은 도서관 을 많이 찾는다. 왜냐하면 나이제한이 없는 공간이며 누구나 갈 수 있는 공간이다. 더불어 문호, 경험, 사회적인 다양한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 서 우리는 도서관에서 프로그램들을 실험하고 새로운 프로그램들을 디자인 하거나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가늠해본다. 이 작업은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며 여러 번의 워크숍을 진행하여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게 한다. 우리는 강사들을 훈련시키고 노 인들과 연결해주는데 이 노인들은 55세 이상부터 100세 미만의 분들인데 모두 음 악, 무용 등 여러 분야의 예술활동을 예술강사들과 하고 있다. 우리는 무엇을 해야 - 73 -


하나? 우리 기관은 매우 작은 기관이다. 스텝도 4명뿐이다. 그래서 우리의 자원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훈련을 한다. 정기적으로 링컨센터에서 훈련과 프로그램 을 개발을 하는데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이 있어도 노인을 상대하는 프로그램은 다 르기 마련이다. 우리는 그것을 훈련하고 코치하는 것이다. 인혁 : 왜 강사를 훈련시키나? Maura : 인구구조가 바뀌면서 새로운 프로그램이 필요했다. 그리고 노인들을 가르 친다는 것은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커리큘럼을 만드는지 에 대한 것을 훈련하지 않는다. 노인들을 어떠한 과정으로 이 해하는지, 어떠한 환경에서 노인들이 편안함을 느끼는지, 사람들과 어떻게 어울려 활동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거다. 대부분의 예술강사들은 노인분야의 경험이 없 다. 또 다른 쟁점으로 미국의 고령화는 심각한 문제이다. ‘아마 생각을 잘 못하겠 지?’ ‘창의적이지 못할 거야.’ ‘매우지 못 하겠지?’ 등등의 사람들의 인식도 존재한다. 인종차별, 성차별에 이어 고령화 차별이 가장 최근에 생겨났다. 늦게 나타났지만 실 로 굉장한 힘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하는 일들로 이러한 인식이 바뀔 수 있는 기회 가 되었으면 한다. 나도 실은 한 달 뒤 60이 된다. 내가 어린 소녀였을 때 60살의 내 모습은 이미 한물갔거나 너무 늙었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지금의 나는 너무 좋게 느껴진다. 다른 사람들과 다를 것 하나 없는 평범한 미국인인 것이다. 긴 시간 동안 다른 문화와 환경에서 생활 했기에 예술강사에게 어떻게 알려야 하는 지가 필 요한 것이다. 그래서 우리 프로그램의 시도는 무척 좋을 것이다. 더불어 대부분의 기관들이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강사들을 구하기가 어렵다. 이는 고령층에 대한 안 좋은 인식들이 존재하기 때문인데 그렇기에 우리 프로그램은 코치 멘토링 시스템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더불어 젊은 예술강사와 마스터급의 예술강사를 함께 일하게 하여 젊은 예술강사가 도움을 받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인혁 : 한국도 이제 고령화 사회가 되었다. 그리고 정부도 이미 이것이 큰 문제가 될 것을 예상하고 있다. Maura : 중요한 것은 사람들의 수명이 길어졌다는 것이다. 70세 부근에서 죽음을 맞아하다가 100세 가까이 살게 되면서 30년의 시간이 생겨버린 것이다. 정부가 정 확히 본 것이다. 그래서 우린 주목해야한다. 노인들이 더욱 행복한 인구 속에 들어 갈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혜택들이 생기면 더 나은 고령화 사회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고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노인들의 긍정적인 면을 집중하여 프로그램을 만드 는 것이다. 노인들이 자신들이 살았던 시대를 아이들에게 이야기 해주는 마치 세대 를 뛰어넘는 프로그램 같은 것이다. 두 세대가 살았던 시대는 매우 다르다. 이처럼 사람들이 노인들의 좋은 면을 인식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우리 일인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예술교육은 엄청난 이점이 있다. 육체적, 감성적 이점은 예술교육으 로 얻을 수 있다. 우리기관이 하는 일은 더 많은 학습자를 찾아 환경을 제공해야 하 - 74 -


는 것이다. 인혁 : 연습실이나 교육 공간이 있는가? Maura : 우리는 단지 사무실만 있다. 어떻게 설명할까. 예를 들면 도서관 프로젝트 같은 경우 우리가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으면 미국 전역의 20여개 정도의 도서관 과 연계를 한다. 큰 도서관 같은 경우는 산디아고 미네소타 등 몇몇의 도서관이 있 다. 우리가 도서관에 돈을 주면 도서관은 예술강사를 고용해서 그 지역을 담당한다. 그런 연유로 우리는 따로 공간을 가지고 있지 않다. 간혹 예술강사와 파트너십을 맺 고 있는 다른 기관 사람들과의 만남과 훈련이 필요할 경우 링컨센터를 이용한다. 이 번 달 11월 말부터 12월 초까지 우리가 주관하는 며칠간의 프로젝트를 진행 할 예 정이다. 뉴욕시 예술기관 관계자들과 예술강사들이 함께 모이며 링컨센터에서 공간 을 제공하면 답례로 우리는 훈련을 시킨다. 어떠한 금전적인 거래 없이 그들은 공간 을 우리는 훈련을 하는 시스템이다. 다른 프로그램 또한 도서관의 공간을 제공해주 면 우리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혁 : 어떻게 예술강사들을 찾고 관리 하는가? Maura : 우리가 관리 하는 것은 단지 프로그램 지원업무이다. 하지만 우리 기관은 인터넷을 통하여 예술강사 리스트를 갖고 있기는 하다. 그들을 영입하기 위해 전문 지식 수준과 수업경력, 수업계획, 추천서 등을 본다. 이곳에 와이파이가 된다면 내가 웹 사이트에 목록 자료들을 보여줄 수 있을 텐데 아쉽다. 그곳에서 강사를 클릭하면 강사의 교육 분야, 거주지, 언어능력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다. 만약 도서관 같은 곳 에서 프로그램을 원한다면 Lifetime arts 사이트로 접속해 지역과 분야를 선택하면 강사의 목록을 볼 수 있고 도서관은 그들을 고용할 수 있다. 사실 우리는 많은 강사 를 고용하는 편인데 우리가 강사를 훈련하는 것은 이 강사가 또 다른 강사를 훈련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훈련을 목적으로 하기에는 미국이 너무 넓기 때문이다. 우리는 15명가량의 마스터급 예술강사 그룹을 구성하고 있으며 항상 함께 일한다. 그리고 그들을 필요한 지역으로 보내 훈련을 시키는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미국 전역에 4~500명가량의 강사들을 훈련시키고 있는 것으로 안다. Artwell

Susan, Kris, Alyson

인혁 : 이곳은 어떠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곳인가? Susan : 우리 프로그램들은 재미를 유발한다. 강사들은 아이들과 연결 되는 방법 을 알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부적응하는 아이들이나 삶에 적응 못 하는 아이들을 돕는다. 몇 가지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을 것 같다. 몇 년 전 우리 는 disciplinary(징계) 고등학교에서 8학년 학생들과 일했어요. 거기에 있는 학생 들은 많은 문제를 일으켜서 이미 한번만 더 문제가 생길경우 바로 감옥에 가야하 는 그런 학교학생들이였죠. 우리는 그곳의 모든 8학년 학생들을 가르쳤어요. 몇몇 은 “시”에 무척 흥미로워했고 방과 후엔 시 수업에 참여하고 싶어 했어요. 이름도 만들었어요. “For the Love with Wosdom” - 75 -


이 학교는 필라델피아에서도 빈곤율이 굉장히 높은 지역에서조차 평판이 좋지 않 았어요. 그 동네 문제아들조차 이 학교 학생들을 무서워했어요. 길가에서 학교의 학생이 걸어오는걸 보면 그 학생과 마주치지 않기 위해 바로 길을 건너갔죠. 다시 시 클럽으로 돌아와서, 한번은 우리가 학생들이 본인 목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전문 녹음실로 데려갔어요. 녹음실아시죠 라디오 스튜디오 같은 곳이죠. 우리가 그곳에 갔을 때 신문사 기자가 있었어요. 그 기자는 한 학생을 데려와서 물었어요. “왜 시를 쓰니? 이런다고 뭐가 달라지 니?” 그 학생의 이름은 Terrance였어요. Terrance는 자기 티셔츠를 들여 올리며 말했어요. “사실 나는 총에 맞았어요. 형을 시켜 그를 죽일 수 도 있었지만,, 전 그것에 대해 시를 썼어요.” 만약 그 기자가 Terrance에게 그때 물어보지 않았다 면 저희도 아마 몰랐을 거예요. 그 아이가 쓰는 시가 여러 생명을 살린거죠. 본인 도 살리고 형도 살리고 또 그 형이 죽일 수도 있는 그 누군가도 살렸죠. 이 사례 는 아이들이 어떻게 엄청난 도전을 하고 있는지 말해줍니다. 머릿속에 무슨 생각 을 하고 있는지 가슴속에 뭘 담고 있는지 어떤 생각, 감정인지 뭐가 제일 짜증나 는지… 존중과 배려, 관심을 가지고 아이들 얘기를 들어준다면 사실 그들은 굉장 히 잘 자라요. 사실 우리는 수업에 참여를 원치 않는 학생들에게 제일 관심을 갖게 선생님들을 격 려합니다. 초반에 참여하고 싶지 않아했던 아이들이 끝에 가선 참여하죠. 학생들이 피하는 것들이나 연결할 수 없는 것들로부터 예술의 진행 과정은 참 다르거든요. 제 생각엔 많은 수업들은 아이들을 억지로 등 떠밀지 않아요. 그래서 학생들은 레벨이나 실력에 상관없이 그냥 시작할 수 있어요. 어떤 학생들은 준비되어있고 오픈되어있어서 바로 같이 참여할 수 있지만 어떤 학생들은 시간이 좀 필요해요. 수업초반에는 책상에 고개를 푹 숙이거나, 말도 안하고 참여도 안 하고,,, 그치만 몇 주후엔 좀 편안해지게 되요. 자기 페이스(속도)대로 하면 되요. 학생들은 그냥 편안하게, 또 하고 싶지 않으면 말을 자주 안 해도 괜찮아요. 그들이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게 선생님들은 정말 열심히 일해요. 그냥 자기 방식대로 속도, 시간에 맞춰 한다면 도움이 될 거에요. Kris : 우리도 어린 학생들이나 나이가 많은 학생들에게 적응할 수 있다. 인생의 과 도기(전환) 때문이죠. 우리가 말하는 통과의례(인간의 성장 과정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서 치러야 하는 의례) “인생에서 갑자기 달라지는 것, 인생에서 다음단계로 변화고 있는 것, 학교 졸업이나 결혼, 미국에선 또 특정한 나이가 되면,,, 16살이 되 면 어떤 가족들은 그들만의 특별하나 축하를 해주거나 기념해주죠. (다른 특정지역 은 15세가 되면 기념해주죠.)” 그래서 우리는 어린 학생 그룹들이나 나이 있는 학생 들에게 적응 돼있어요. 우리의 시 프로그램은 보통 K-8th 학년과 같이 일해요. 나이가 13살인 것 같아요 (한국나이로 14). 하지만 우리는 앞으로 고등학교 9th 학년부터 12th 학년까지 수 - 76 -


업에 넣을 거예요. 아, 맞아요. slam poetry도 할거에요~ Slam poetry라고 알아요? 청중들 앞에서 하는 퍼포먼스 같은 거죠. Slam poerty란 ? (사람들 앞에서 몸짓으 로 하는, 랩처럼 낭독하는 시) Alyson : 내 생각엔 수많은 수업들 중 예술강사의 수업들은 아이들에게 강요를 하 지 않는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그들의 예술과 생각을 엮을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몇몇 학생들은 준비를 하고 마음을 열고 바른 길로 간다. 몇몇 학생들은 몇 주의 시 간이 필요하기도 하다. 이것에 관한 이야기는 너무도 많은데 책상에 머리를 숙이고 있거나 아무하고나 이야기를 한다던가. 하지만 몇 주가 지난 후 이들은 편안함을 느 낀다. 내 생각에 학생들에게 화를 냈다면 그들은 편안함을 느끼지 못 했을 것이고 그들은 이야기의 문을 열지 못했을 것이다. 어쨌든 누구라도 이 일을 시작하는 사람 이라면 그들에게 이 공간이 안전한 공간이며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어야하는데 큰 힘을 쏟아야한다. 더불어 그 공간이 안전한 공간이라는 문화적 인식을 조성하는 것 이 중요하다. Susan : 그리고 강사들의 능력은 예술작업을 통하여 공유하는 법을 가르친다. 가령 강사들이 음악을 가르친다면 드럼을 치는 방법을 배우게 되든지 벽화를 그리게 된 다면 창의적인 그림을, 시를 쓰는 방법 또한 마찬가지이다. 강사를 통하여 공유하는 법을 익힌 아이들은 만들어진 작품을 보고 차이점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인혁 :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 Alyson : 물론 모든 이야기에 공감한다. 내 생각엔 예술강사는 그들 스스로 대단한 능력이 있고 예술강의에 큰 재미를 느낀다. 또한 강사들은 진정으로 아이들의 이야 기를 귀담아 듣는다. 내 말은 강사들이 아이들을 존중하고 아이들은 그런 강사의 모 습을 보는 것이다. 일주일에 한 시간 딱 아이들만을 위한 시간인 것이다. 일주일간 의 아이들의 단계를 보면 느리거나, 기다리거나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강사가 무 엇을 하던 간에 그런 모습들이 보일 수 있다. 그런 모습

조차도 존중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후라면 그들의 변화를 볼 수 있다. 교실이라는 공간에서 그들이 무엇을 원하고 무엇이 필요한지 그렇게 아이들이 학습을 원한다면 가령 시에 관한 요구가 있다면 시에 관한 수업을 열어주거나 그 이상을 해주고 그들이 무엇을 하던 간에 아이들을 만나기 위한 변화가 있어야한다. 아이들이 특정한 선생님의 시도를 원한다 면 아이들이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진정한 강점이다. Susan : 사실 제법 괜찮은 프로그램을 마쳤다. 수업계획에 관한 프로젝트였는데 지 난 2년간 3개의 전문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그것을 확장한 하나의 새로운 프로그램 을 만들어 내었다. 우리가 갖고 있는 프로그램들 중 방법을 모색해 새로운 프로그램 을 만든 것이다. 그 중 핵심 프로그램은 보다 많은 아이들이 다른 아이들과 함께 그 리고 학교에서 심도 있게 작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한해 건너 한해 지속적으 로 가능하다보니 서로 따라하는 것이 가능해 졌고 같은 학교에서 하는 것이 가능해 졌으며 한 아이는 6살에 작업을 같이해 7살도 참여를 하고 그리고 지금은 8살이 되 - 77 -


었다. 왜냐하면 수많은 학기 몇 년을 거쳐 학생들이 작업을 하면서 같이 작업한 사 람들을 다시 만나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우리가 조사를 통하여 긍정적인 변 화를 발견하게 된 사례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것이 지속되지 못하거나 지속 되는 것이 변하는 순간 그들은 머물고 싶어 하지 않았다. 그래서 아이들을 지원하는 것은 1년 이상이어야 한다. 우리가 이것들을 측정하려 시도하는 것은 큰 금융적 제한이 있는 다른 비영리 단체 들과 마찬가지로 금전적인 지원을 늘리려는 것이다. 우리는 올해 모든 학교 서비스 에 거의 100퍼센트 가까이 예산을 증액했다. 왜냐하면 학교 측은 우리의 서비스를 금전적으로 지불할 만 한 돈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재정적으로 더욱 강해 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 78 -


해외문화탐방 미국/ 르네상스팀-변미섭, 전인혁, 정혜영

- 79 -


해외문화탐방 미국/ 르네상스팀-변미섭, 전인혁, 정혜영

- 80 -


첨부1)

- 81 -


- 82 -


첨부2)

- 83 -


해외문화탐방 미국/ 르네상스팀-변미섭, 전인혁, 정혜영

- 84 -


첨부1) 기관일정 변동에 따른 이메일 내용

답변이메일

- 85 -


해외문화탐방 미국/ 르네상스팀-변미섭, 전인혁, 정혜영

- 86 -


첨부1)

We're Teaching artist from South Korea. We're researching for factors promoting change through the arts education. Hold on second, please check the most appropriate thing on this items.

1. What's your gender? ⓐ Male ⓑ Female

2. How old are you? ⓐ 10s ⓑ 20s ⓒ 30s ⓓ 40s ⓔ 50s ⓕ 60s ⓖ Etc (

)

3. What's your job? ⓐ Artist ⓑ Art Teacher ⓒ Administration ⓓ Etc (

)

4. What's your major? (Teaching part) ⓐ Drawing arts ⓑ Crafts ⓒ Photos ⓓ Dance ⓔ Folk Music ⓕ A capella ⓖ The other music (

)

ⓗ Theater ⓘ Design ⓙ Film ⓚ Cartoon / Animation ⓛ Etc (

)

5. Where is the place where you work? (

)

6. Do you think art education makes changes of student? ⓐYES ⓑNO

7. If you think "Yes", what changes do you think bestows? ⓐ Behavior ⓑ Emotion ⓒ Sensitivity ⓓ Relationship ⓔETC (

)

8. What is needed to promote change through the arts education? ⓐ interaction ⓑ creative thinking ⓒ ability of teacher ⓓ will of student ⓔ study environment ⓕEtc (

)

- 87 -


해외문화탐방 미국/ 르네상스팀-변미섭,전인혁,정혜영

- 88 -


해외문화탐방 미국/ 르네상스팀-변미섭, 전인혁, 정혜영

- 89 -


해외문화탐방 미국/ 르네상스팀-변미섭, 전인혁, 정혜영

- 90 -


팀별 결과보고서 - 영 국 팀 -

김진형, 권혜진, 정혜영



영국팀_김진형, 권혜진, 정은경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결과 보고

개 요

□ 탐방·조사 목적 창의적 시각예술, 지역기반 문화예술교육, 다자간 협력 구조와 네트워크 등, 세 가지 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컨퍼런스 참가, 탐방과 인터뷰, 사진 영상 취재 등을 진행한다. 영국 현지, 특히 글래스고(Glasgow)와 에든버러(Edinburgh)의 특수한 지역성을 기반 으로 생산되는 문화예술의 주요 이슈와 실천의 구체적인 지형들을 컨퍼런스 행사와 기 타 관련 기관탐방을 중심으로 취재한다. 컨퍼런스 주요 참가자, 관련 기관 관계자들의 인터뷰를 진행해서 구체적인 현황과 운영 체계들을 조사한다. 현장에서 직접 보고 느 끼고 경험한 취재 결과물들을 정리해서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장에서 확산,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논의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탐방·조사 개요 ㅇ 파견국가

영국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에든버러)

ㅇ 기

2015년 11월 16일 ~ 11월 22일

ㅇ 참 여 자

권혜진, 김진형, 정은경

ㅇ 주요활동

The 2015 Engage International Conference 참가 및 참여자 인터뷰 Tramway ‘2015 터너 프라이즈’ 행사 참여 연계 행사 참여 (워크숍, 에든버러 지역 문화예술시설 탐방) 글래스고 지역 내 문화예술 관련기관 탐방 및 인터뷰 스코틀랜드 국립미술관 탐방

- 93 -


일 정 일

11.16 월요일

08:55

한국 인천공항 출발

비고 인천

Glasgow Women’s Library 기관 탐방과 취재 10:00~13:00 ► 기관 투어 11.17 화요일

글래스고

► 기관 특성과 지역기반 프로그램 인터뷰

14:00~17:00

12:00~17:00 11.18 수요일 18:00~19:30

Kelvingrove Art Museum 미술관 탐방

Conference Fringe – 에든버러의 미술관 탐방 The Fruitmarket Gallery& Jupiter Artland 방문

Tramway 방문 ‘2015 터너 프라이즈’ 행사 참여

글래스고

에든버러

글래스고

CCA (Centre for Contemporary Arts) 기관 탐방과 취재 10:00~12:00

글래스고

► 기관 투어 ► 전시연계, 지역기반 프로그램& 운영관리 인터뷰

11.19 목요일

The 2015 Engage International Conference 참관 (Day-1) 글래스고

12:30~18:30 ► 기조연설 및 패널 프레젠테이션 ► 2015 The Marsh Awards 미술관 교육 우수상 수여 행사 Breakout Session – 2개 워크숍 참관

10:00~11:30 11.20 금요일

► 권혜진, 정은경 브레이크아웃 세션 7 : 청소년의 주도적인 실행 전략

글래스고

► 김진형 브레이크아웃 세션 1 : 협업의 지형, 초지역성 해독하기 컨퍼런스 참여자 인터뷰 진행 글래스고

12:00~13:00 ► Lucia Harley(Art Educator) 참여자 인터뷰 - 94 -


The 2015 Engage International Conference 참관 (Day-2)

13:00~16:00

글래스고

► 패널 프레젠테이션 및 토론회 Conference Fringe – 시각예술 중점 스코틀랜드 미술관 투어 11.21 토요일

10:00~19:00

►스코틀랜드 미술관(Scottish National Gallery)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현대미술관(Scottish National Gallery of Modern Art) ►스코틀랜드 초상화미술관(Scottish National Portrait Gallery)

11.22 일요일

08:55~

영국 글래스고공항 출발

글래스고

Ⅲ 주요 활동 내용 1. 행사 참여 The 2015 Engage International Conference ㅇ 행사 소개 2015 인게이지 국제 컨퍼런스 ( The 2015 Engage International Conference ) 다른 게임, 예술 및 예술가와 작업하는 젊은 세대 ( A Different Game, Young people working with art and artists ) ㅇ 참여 목적 주최 기관인 인게이지(Engage)는 1989년 미술관(gallery) 교육을 위한 국립 협회로 설립되어 영국 및 전 세계 20개국 이상의 미술관 및 시각예술교육 전문가들의 회원 모임이다. 인게이지는 현재 런던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미술관 교육을 통해 시각예술 에 대한 접근과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 및 지지를 하는 단체이다. 주로 다양한 교육 활동 연구, 컨퍼런스 및 세미나를 통한 전문성 개발, 교육 전문가들 을 위한 네트워크의 장을 제공, 직접 또는 온라인을 통해 개개인의 경험, 생각, 자원을 나누고 저널, 전자 게시물 등을 출판하여 최근의 이슈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 95 -


미술관 교육을 중심으로 시각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연구와 성과를 축적해온 인게이 지(Engage)의 2015년 컨퍼런스 참여는 영국의 시각예술교육 관련 현황을 생생하게 경험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1) 영국 현지에서 논의되고 있는 시각예술교육의 최신 이슈들은 무엇이며, 2) 그들의 교육 활동과 접근 방법의 구체적인의 사례들은 어떤 것이 있으며, 3) 해외의 예술교육 전문가들과의 직접적인 만남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의 가능성을 모 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ㅇ 참여 일시 2015년 11월18일~21일 ( 컨퍼런스: 11월 19일~21일 / 연계행사 Fringe : 11월 18일과 21일 ) 컨퍼런스 1일차

2015. 11.19. 목요일 13:00~17:00

2015년 컨퍼런스의 제목은 ‘다른 게임: 예술 및 예술가와 작업하는 젊은 세대들’이다. 국내외 교육활동의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젊은 세대들이 예술 및 예술가들과 협업하 는 새로운 방식, 즉 ∙기존의 위계 구조를 무너뜨리는 젊은이들과 ∙학습과 참여에 학제 및 교차 접근 방식을 통해 ∙좀 더 심도 깊은 차원의 협업을 논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협업 효과와 젊은 세대들의 잠재된 창의성 계발을 모색하 여, 그들의 삶에 변화를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1) 기조연설 ∙ 기조연설자: 대런 오도넬(Darren O’Donnell) Artist and Director, Mammalian Diving Reflex

∙ 주요 내용 Mammalian

Succession

Model

of

Youth

Labour

Engagement

(the

Mammalian

SMYLE) 프로젝트를 통해 아동과 청소년 노동의 동등한 권리에 관련된 이야기를 하였다. ∙ 핵심 아이디어 - 아이들이 모든 레벨에서 사회의 한 부분이 되어야한다. : 젊은 세대의 동등한 권리를 위해 동료로서 인식하는 새로운 사회적 구조를 만들어 야 한다. 모든 사람이 바로 어른이 되지 않는다. 사회적 구조에서 어른은 자연스럽 게 나이가 들어 어른이 되었을 뿐, 어리다고 하여 불평등할 이유가 없다. - 신뢰와 존중이 매우 중요하다. - 장기간에 걸쳐 관계를 맺는 것(commitment)을 강조했다. : 대런도 10여년에 걸쳐 젊은 세대들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해왔고, 지속성, 영속성

- 96 -


(permanence)이 그들의 참여를 보장함을 이야기했다. - 프로젝트 안에서 젊은 세대들 이 동질성을 찾을 수 있도록 하 여야 한다. : 예술과 예술이 행해지는 장소 들(갤러리, 대학교, 박물관, 학교 등)은 그 문화적 기 준 바깥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동질성을 찾을 수가 없다. 그래서 어떤 프로젝트를 참여할 때, 자신들과 동질성을 전혀 볼 수 없다면, 프로젝트 참

Haircuts by Children

여가 얼마나 어려울 수 있는지를 말했다. 2) 패널 프레젠테이션

① 총회 1: 갤러리는 학교인가? - 교육과 그것의 용도 다시 생각하기 갤러리 교육이 정규 교육의 교수법을 따를 때와 급진적인 교육방법으로 진행할 때 어느 쪽이 더 효과적인가? 라는 질문을 토대로 갤러리의 기능 혹은 용도에 대한 논의 를 진행했다. 각각의 발제자들은 자신들의 아트 프로젝트를 사례로 들며, 갤러리가 학 교의 기능을 따라야 할지를 발표하였다. ∙ 발제자1: 헤이드린 게라드(Hadrian Garrard) Director, Create London - Create는 Assemble과 함께 동쪽 글래스고의 Dalmarnock(어린이의 55%가 여전히 빈곤선 아래에 있는 곳)에 탐험, 실험, 그리고 놀이를 통해 어린이들이 배울 수 있 는 야외 교실인 새로운 놀이터를 만들었다. - 발틱 거리 모험 놀이터

를 사례로 젊은 세

대의 자신감 형성과 기량 향상에 관련된 논의 : 지역 어린이들이 함께 공간을 만들도록 격려되고 First Steps Future Skills Centre

학생들이 더 나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기술적 지원을 하였다. - 지역사회에 유용한 예술, 그리고 지역주민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 97 -


“발틱 거리 모험 놀이터”

※ 갤러리와 달리, Create는 고정된 공공 공간을 가지고 있지 않고, 사람들이 매일의 일상에서 마주치는 곳들에서 작업하는 것을 선호한다. Create는 공공 소유의 예술에 의뢰받는, 예술가들, 예술 기관들과 비예술 단체들과 직접적으로 작업한다.

∙ 발제자2: 테레사 시스네로스(Teresa Cisneros) Co-Director, Agency For Agency - 갤러리는 학교가 아니다 : 갤러리는 다른 생각들, 다른 접근들, 참여와 기회의 다른 방법들이 있는 공간이다. : 갤러리는 실험, 크리틱, 실패, 나누기 및 배움을 위한 공간이다. : 갤러리는 학교의 시스템을 모방해서는 안 된다. - 집단적 의사 결정을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에서 젊은 세대들의 자율적 의사결정이 중요하다. ∙ 발제자3: 콜레트 베일리(Collette Bailey) Artistic Director, Metal - 메탈(Metal)은 소통과 아이디어 개발을 위한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사람과 공간들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젝트를 만들어 간다. - 공원, 마을 광장, 커뮤니티 센터, 창고, 때로는 전통적인 갤러리 공간에서도 작품을 보여주면서, 메탈(Metal)은 매 해 약 10,000명의 젊은 세대들과 함께 작업한다. - 학교 연계 프로그램, 온라인 프로그램(웹 워크숍), 외부 프로그램(village green), 차세대를 위한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 최근 지은 Metal Art School을 기반으로 배움의 지속성, 전문성, 창의성, 자율성을 목표로 한다. : 프로젝트 기반을 줄이고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늘려서 젊은 세대와 어른들이 일 년 내내, 발전적인 관계를 맺도록 하며, 젊은 세대들이 전문 실무자들을 만나고, 이 야기하고 창조할 수 있는 장소, 아이디어와 실험 작업이 격려 받는 장소, 그리고 배 움이라는 것이 활발한 발견을 통해서 비형식적이고 스스로 시작하는 것임을 깨닫는 장소를 운영하고 있다.

- 98 -


- 1200여명의 아티스트가 함께 만든 Net-Park project를 통해 디지털 학습의 가치를 알 수 있다. “Net Park” project 2015년 10월 영국 사우스엔드 척웰 공원에 시작한 세계 최초의 디지털 공원으로 스마트 폰과 이어폰, 그리고 앱을 이용하여 공원의 작품과 방문자의 경험을 연결한다.

∙ 발제자4: 안젤라 로저스(Angela Rogers) Development coordinator, engage Cymru - Momentum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예로 갤러리의 기능과 예술가의 역할을 분석 - 갤러리는 학교의 기능을 가진 곳이 아니라 학생들의 잠재력을 폭발시키는 곳이다. : 예술가들의 작업방식을 이해하고, 경험한 후, 맞춤학습을 통해 발전시킨다. - 수준 높은 결과물을 성취하기 위해 적절하고 정확한 ‘발전적 피드백’을 제시하여 젊은 세대에게 기회(아트 상, 일자리, 자아 성취 등)를 제공할 수 있다. ※“Momentum” - 의욕을 상실하고, NEET(교육, 고용, 훈련을 받지 못한) 또는 가정 내 불우한 젊은 세대와 함 께한 프로그램 - 예술과 문화의 기회를 증대시켜 빈곤에 대응하려는 웨일스 정부와 웨일즈 예술 위원회가 추 진한 광범위한 정책의 맥락 속에서 진행됨 - 수준 높은 결과물 성취를 목표로 함과 동시에, 참가한 모든 젊은 세대들은 Bronze Arts Award에 도전하는 것도 목표로 하였다.

② 총회 2: 학제간 참여의 중요성 학제간(cross-disciplinary) 참여의 가치를 탐색하였던 이번 논의에서는 문화 생산을 위한 예술가와 젊은 세대들의 공동 작업의 가치와 예술가와 이해 관계자들과의 협력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 발제자1: 팻 코크란(Pat Cochrane) CEO, CapeUK - 학교/지역사회 설정에서 아동/청소년 관련 일을 하는 사람들과 예술가와의 협업에 대한 논의

- 99 -


- 600개 이상의 학교와 협업을 통해 프로그램을 진행 : 예술가가 학교와 협업을 하게 되면, 교사와 함께 전통적인 수업방식으로 진행하기 보다는 아이들 스스로 이끌도록 하여 더 활기차고, 역동적이고, 흥미진진한 학습의 기회를 아이들에게 줄 수 있다. -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정책, 리서치, 실행의 조화 :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무엇을 하고 싶은지 학생들에게 물어본 후, 리서치를 하고,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발제자2: 로스 싱클레어(Ross Sinclair) Artist, 케이트 그레이(Kate Grey) CEO&Artistic Director, Collective - 젊은 세대와 예술가간의 협업에 관한 가치 - GENERATION에 의해 지원을 받아 Colletive와 아티스트 로스 싱클레어가 만든, ‘Real Life’: Free Instruments for Teenagers (청소년들을 위한 무료 악기 프로젝트) - 공통의 원칙을 가지되 한계 없이 젊은 세대와 작업 - 학제간 작업의 가치가 무엇인지 아티스트의 경험을 토대로 통찰 : 젊은 세대와의 음악, 디자인, 퍼포먼스 등을 아우르는 학제간 작업을 통해 젊은 세대에게 오히려 자신이 영감을 받았음을 이야기함. ※“Real Life” - 로스 싱클레어가 1994년부터 다양한 예술 매체를 활용하여 작업하고 있는 프로젝트

∙ 발제자3: 제시카 고간(Jessica Gogan) Director, Instituto MESA -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간의 협업에 관한 가치 - MESA와 Colleivo E가 리오 데 자니로의 Casa Daros와 협력과정으로 만든 “현대 실험실: 예술이 무엇인가에 관한 제안과 발견들”을 사례로 제시 ※“현대 실험실: 예술이 무엇인가에 관한 제안과 발견들” 개요 - 70년대 브라질의 전위 예술가 루벤스 게르만의 실험적이고 다차원적인 작업에 영감을 받음. - 2014년 10월부터 12월까지 다른 매체를 사용하는 17명의 젊은 예술가들이 참여. - 70년대 예술의 이슈와 반문화를 리서치하여 다양한 분야의 젊은 예술가들이 함께한 프로그램.

- 100 -


컨퍼런스 2일차

2015. 11.20. 금요일 13:00~16:00

1) 패널 프레젠테이션 ① 총회 3: 동료-주도(peer-led) 활동의 윤리 갤러리 환경에서 젊은 세대의 동료 주도적 활동을 검토하였다. 제도권의 보이지 않는 위계 구조를 무너뜨리는 젊은 세대들의 역할, 저자성, 자율성의 문제를 탐색하였다. ∙ 발제자1: 에스더 세이어스(Esther Sayers) Lecturer, 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 - 동료 주도적 활동은 계층 간의 균등을 추구 : 젊은 세대들에도 사회적 계층(social hierachy) – 배경, 환경, 교육, 성별, 나이, 인 종 등이 존재함으로 참여자간의 차이와 다름을 동료 주도적 활동을 통해 해결 - 계층 간의 균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예술이 필요하다. : 다문화의 장벽을 깨부수는 게 필요한데, 그것을 위해 예술이 필요하다. - 예술이 등한시 되는 정치적 경제적 환경에서, 학교를 통한 미적 경험이 감소하는 추 세이기 때문에 갤러리 등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 발제자2: 로빈 베일리(Robin Baillie) Outreach Officer, National Galleries of Scotland - 현대예술의 방법론으로 젊은 세대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갤러리의 혁신적 방법 모색 : 스코틀랜드 국립 미술관의 GENERATION에 영감을 받아 젊은 세대가 현대 예술 실천에 참여한 작업인 The UNTITLED 프로젝트를 다시 보기 - 로빈은 젊은 세대들에게 갤러리가 모방하게 하는 작업을 하지 말고 그들이 진정으 로 보기 원하는 예술을 하도록 요청했다. - 그는 그들 작품에 대한 ‘미학적’ 으로 해석할 수 있는 비평적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 예술가들의 작품에 대한 비평적 평가와 비교해서 젊은 세대가 만든 작품들의 가치 의 ‘다름’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The UNTITLED” ‘GENERATION: 스코틀랜드 현대예술 25년’에 영감을 받아 시행된 국가적 차원의 프로그램으로 - 101 -


3개의 지역사회를 바탕으로 젊은 세대의 창의성, 커뮤니케이션 기술, 그리고 자신감에 중점을 두 고 개발되었다. 참여자들은 그들이 참여한 프로젝트의 과정을 결정하고 THE UNTITILED의 공동 제작자로 작업하였다. 각 영역에서 그들은 스코틀랜드 예술 대학의

학생들과 함께 단체와 협력

그룹의 일부로서 동등하게 일했다. 전문 예술가, 예술대학 직원, 홍보 임원 등 사회 각 부문의 전문가가 멘토가 되어 젊은 세대들 이현대 예술 작업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인식하고, 더 넓은 지역 사회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 발제자3: 마크 밀러(Mark Miller) Circuit National Lead & Convenor Young People’s Programmes, Tate Modern and Tate Britain

- 젊은 세대가 변화, 자율성, 다양성의 맥락에서 작업하는 동안, 그리고 갤러리에서 학제간 문화 생산과 활동을 주도하고 배우는 동안, 동료 주도적 활동을 통해 생기 는 도전, 동기와 기회를 탐색했다. : 젊은 세대는 청년 문화, 반문화 등 개인의 관심을 참조하여 동기를 찾고, 작업을 하는 동안 자신의 동기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예술가/갤러리는 젊은 세대들에게 자율성과 유기적 구조에 다가가는데 방향을 설 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가이드 할 필요가 있다. - 젊은 세대들과 작업할 때, 예술가/갤러리의 동기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Circuit” 15~25세의 젊은 세대들을 갤러리와 미술관을 거점으로 예술과 그들을 연결 짓는 4년 국가 예술 프로그램이다. 그들이 자발적인 배움의 기회에 참여하고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문화적 활동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Paul Hamlyn Foundation에서 지원받고 Tate에서 시행하였다.

∙ 발제자4: 아네트 크라우스(Annette Krauss) Freelance Artist - 폐기학습(unlearning)의 가치를 통해 젊은 세대가 기존의 학습 구조를 타파할 방법 에 대해 논의하였다. : 학습에 의해 인지되는 어떤 것이 관습이 되어 그것의 다른 면을 보지 못하는 것 을 젊은 세대가 폐기학습 과정을 통해 그러한 관습을 깰 수 있을까? - 학교라는 기관에서 갤러리라는 기관으로, 그리고 다시 “Hidden Curriculum” project 중학교 의자의 위계구조 설명 “의자를 보면서 단순히 의자로 인식하는 관습에서 벗어나, 다르게 보게 되면 그 안에 위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학생들의 의자는 작고 딱딱하지만 선생님의 의자는 빙빙 돌아가는 푹신한 의자이고 교장선생님의 의자는 선생님들 것보다 더 크고 좋다.”

- 102 -


※“Hidden Curriculum” project 2007년부터 베를린, 드레스덴, 파리, 뮌헨, 런던 등에서 계속되고 있는 프로젝트로 학교의 일상과 학습 과정의 일부분으로 의도치 않고 인식하지 않은 형태의 지식, 가치, 믿음을 탐구하고 있다. ② 총회 4: 참여적인 활동 평가에 혁신적인 방법론 참여적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을 짧게 살펴 본 이번 총회는 테이트의 Circuit, 콜렉티브의 All Sided Games, 그리고 스코틀랜드의 GENERATION이 제시되었다. ∙ 발제자1: 로즈 홀(Roz Hall) Freelance Researcher & Critical Friend for the Circuit programme, Tate

- 평가대상: 테이트의 “Circuit” 프로그램 - 접근방법: 참여적 액션 리서치(action research) 접근법을 사용 *액션

리서치: 실천 활동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과학적 연구 방법

∙ 발제자2: 쥴리 크로우쇼(Julie Crawshaw) Researcher, Independent/University of Gothenburg - 평가대상: 콜렉티브의 “All Sided Games” 프로그램(2014년 기획된 스코틀랜드 Commonwealth Games를 위해 주최 장소 안과 주변에 예술가를 배치한 커미션 프로그램) - 접근방법: 기획자 및 인류학자인 그녀는 참여자-관찰자로서 일부 참여하여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주는 ‘자기민속지학(Autoethnographic)’ 설명을 개발 *Autoethnography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탐구하고 더 넓은,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의미와 이해로 자전적 이야기를 연결하는 자기반성 형식의 글쓰기이다.

∙ 발제자3: 빅토리아 할로우스(Victoria Hollows) Museum Manager, Gallery of Modern Art, Glasgow Museums, Glasgow Life

- 평가대상: GENERATION의 공동 제작 프로그램 - 접근방법: 젊은 세대와 참여 기관에 모두 적용하여 그것의 사회적 영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사회적 평가(social accounting)’과정을 적용 *사회적 평가: 사회적인 가치기준 아래서 평가

※“GENERATION” 지난 25년 동안 스코틀랜드 전역에서 전시된 가장 좋고 중요한 현대 예술 중 몇몇을 보여주는 국가적 차원의 전시 프로그램이었다. 12-25세의 젊은 세대들이 경험을 개발하는데 특히 초점을 맞추었고, 현대 예술에 대중 참여의 수준을 더 깊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컨퍼런스는 각각의 주제에 대한 발제가 끝날 때마다 패널 토론과 참여자들의 원탁 토론 활동을 통해 나온 질의응답을 하는 구조로 진행되었다. 영국뿐만 아니라 해외 발

- 103 -


표자들은 활발한 토론을 펼쳤고, 핵심 주제에 대해 폭넓은 관점의 범위를 제공했다. 우리 탐방조사팀은 원탁 토론에서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던 예술 교육자이자 예술가 인 루시아 할리(Lucia Harley)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창의성과 이번 컨퍼런스 의 제에 대한 생각을 상세히 들을 수 있었다. 이외에도 컨퍼런스 중간에 배치된 브레이크 아웃 세션은 디지털 미디어, 참여 프로젝 트, 동료 주도의 실천 전략, 지역성을 해독해 협업의 지형을 탐색하는 등 여덟 가지의 소주제로 글래스고 여러 지역에서 동시에 진행되었다. 우리팀은 두 모둠으로 나눠 ‘브레 이크 아웃 세션 1: 협업의 지형, 초지역성 해독하기’ 워크숍에 김진형이 참여하고, ‘브레 이크 아웃 세션 7: 청소년의 주도적 실행전략’ 워크숍에 권혜진, 정은경이 참여하였다. 또한 연계 행사로 트램웨이 갤러리에서 터너 프라이즈 후보작가 작품 전시와 리셉션 에 참여하였다. 또한 우수 미술관 교육 사례에 주어지는 마쉬 어워드(The Marsh Awards) 행사에 참여해 컨퍼런스 참가자들과의 자유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었다.

2. 기관 방문 및 조사 □ Glasgow Women’s Library ㅇ 기관소개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Glasgow Women’s Library)는 도서관, 아카이브, 그리고 2010년 공인 인증 및 수상 경력을 가진 박물관이기도 하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동부 글래스고에 위치하여 지역의 역동적인 학습 및 문화 예술 허브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도서관은 발전 과정을 거치는 동안 내내 예술가들과 협력해 왔고 다양한 그룹들과 문화적 지평을 확장하는 것을 전문으로 해 왔다. ㅇ 방문목적

지역 문화 예술 시설 탐방과 관계자 인터뷰

ㅇ 방문일시

2015년 11월 17일 10:00~13:00

ㅇ 면담자

모락 스미스(Morag Smith), 국립 평생교육 개발자(National Lifelong Learning Development Worker)

ㅇ 주요내용 GWL의 새로운 건물과 시설을 탐방할 수 있었던 투어는 1층에 보관된 영국 및 영연방 국가의 여성 저자들의 책과 학습과 커뮤니티를 위한 아담한 공간, 그리고 서프레제 (Suffragette: 20세기 초 영국과 미국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와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 된 공간이 공존하였다. 여성 도서관이지만 남성도 이용할 수 있으며, 서프레제와 관련 된 재미있는 일화들을 들을 수 있었다. 2층과 3층에는 각각 커뮤니티 공간과 전시 공 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펀딩과 자선사업 모금을 통한으로 새 공간의 리노베이션으로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 록 했으며, 습도와 온도 조절이 되는 아카이브 시설을 만들었다. GWL은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정치적인 맥락에서 여성의 삶과 성취, 그리고 사회적

- 104 -


공헌을 재인식하여 스코틀랜드 전역에 잔재한 눈에 보이지 않는 불평등을 없애려고 노 력하고 있다. 불평등의 예로 남성 못지않은 능력을 가졌지만 여성 작가, 예술가들이 덜 주목 받는 현실을 이야기하였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이곳 영국에도 ‘유리천장(glass ceiling)’이 존재하고 있음이 흥미로웠다. 독특하고 혁신적인 수많은 프로그램 중 여성 예술가들과 지역 여성 및 지역 공동체와 의 협업을 통해 이뤄낸 ‘블루 스파인(Blue Spine)’ 프로젝트와 ‘여성들의 행진(March of Women)’ 프로젝트를 소개하였다. 여성 예술가들이 초대되어 이러한 프로젝트를 수 행하지만, 동시에 지역의 주민들도 참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GWL는 많은 자원봉사자의 도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또한 동시에 자원 봉사자를 임 파워먼트(emopowerment)하는 도서관의 가치와 관련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도서관은 그들이 해보지 않은 것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며, 그들은 경험을 쌓고, 자신감을 얻 고, 그들의 삶을 결정할 수 있게 만드는 것임을 설명하였다.

□ Kelvingrove Art Gallery and Museum ㅇ 기관소개 글래스고의 서부지역에 위치한 켈빈그로브 공원 안에 있는 박물관이자 미술관이다. 박 물관이자 미술관이라 불리는 이유는 자연사, 고고학, 민속학 등의 전시와 함께 인상주 의 작품, 17세기 네덜란드 지방의 작품, 초현실주의 작품, 글래스고 역사 전시물 등 폭 넓은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는 공간이다. ㅇ 방문목적

지역 내 뮤지엄 투어 및 교육 프로그램 사례조사

ㅇ 방문일시

2015년 11월 17일 14:00~17:00

ㅇ 면담자

뮤지엄 투어에 한정

ㅇ 주요내용 각 섹션별로 나눠 자연사, 고고학, 민속학 전시를 1층에서 감상할 수 있고, 2층에는 루 벤스, 반고흐, 살바도르 달리 등 유명 컬렉션이 전시 중이다. 매우 포괄적인 영역이 한 뮤지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인상 적었고, 교육적으로 매우 특화되어 있다. 큰 텍 스트로 된 전시 설명은 기본이고 작품의 스토리를 풀어 다양한 이미지를 제시하여 해 석의 폭을 넓히고, 살바도르 달리의 ‘십자가 위의 성 요한 그리스도(Christ of St John of the Cross)’ 작품의 경우는 복원 과정에 대한 정보를 동영상으로 상세히 볼 수 있 다. 2층에 마련된 스터디 센터(Study Centre) 전시 공간은 작품의 세부 이미지를 확대 하여 살펴보는 터치스크린, 3D입체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 The Fruitmarket Gallery ㅇ 기관소개 1938년에 과일시장이었던 건물은 현재 후르츠마켓 갤러리(Fruitmarket Gallery)로 변 모하였다. 국제적으로 유명한 예술가들의 작품이 전시되는 동시에 스코틀랜드 지역의 - 105 -


예술가들에게 개인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내 예술가들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고 있다. ㅇ 방문목적

지역 문화예술 기관탐방과 프로그램 조사 (컨퍼런스 연계 행사 참여)

ㅇ 방문일시

2015년 11월 18일, 12:00~13:00

ㅇ 면담자

케이틀린 페이지(Caitlin Page), 교육 프로그램 매니저(Learning Programme

Manager) ㅇ 주요내용 컨퍼런스 연계행사로 진행된 옵션 투어 중 하나로 교육 프로그램 매니저인 케이틀린이 15인의 투어 참가자를 초대한 자리에서 갤러리의 전반적인 운영 현황과 교육 프로그 램을 소개하였다. 후르츠마켓 갤러리는 일 년에 4~5개정도의 전시가 이루어지는데 보 통 그룹전, 역사성을 띈 전시, 스코틀랜드 지역작가전, 해외 예술가의 전시를 포함하고 있다. “예술이 삶을 변경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갤러리는 컨템포러리 아트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열린 공간임을 설명하였다. 또한 그들의 교육프로그램인 Fresh Fruit 은 학교 밖 청소년을 12-15세/ 16-25세 대상으로 나누어 현대미술을 청소년에게 적 절하고 흥미로운 콘텐츠로 스스로 만들어나가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현재 전시중인 ‘또 다른 미니멀리즘’에 참여한 작가 1인이 자신의 작품에 대해 설명을 이어갔다. 에든버러 웨이블리(Edinburgh Waverly)역에서 1분거리로 도심에서 현대 미술작품을 만날 수 있었다. 전시, 간행물,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대중과의 적극적인 교류 및 에든버러의 문화발전에 힘쓰고 있었다. 학교, 청소년 단체, 지역사회 단체 등 비예술단 체와 파트너십을 맺어 현대 예술과 결합한 창의적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 Jupiter Artland ㅇ 기관소개 에든버러 외각 위키스톤(Wikieston)에 위치한 100 에이커 넓이의 대규모 예술공원이 다. 로버트 윌슨, 니키 윌슨(Robert & Nicky Wilson)의 개인 사유지로서 1999년부터 수집한 현대 예술가들의 작품들이 야외 정원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쥬피터 아트랜드 (Jupiter Artland)는 학교를 대상으로 공원을 무료 관람할 수 있도록 개방하며 자연친 화적, 체험형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ㅇ 방문목적

지역 문화예술 기관탐방과 프로그램 조사 (컨퍼런스 연계 행사 참여)

ㅇ 방문일시

2015년 11월 18일, 14:00~17:00

ㅇ 면담자

헬렌 바렛(Helena Barrett)외 다수

ㅇ 주요내용 컨퍼런스 연계행사로 진행된 옵션 투어 중 하나로 내부에 있는 카페에서 참여자들과 함께 점심식사를 한 후 2개 그룹으로 나눠 야외 설치작품을 관람하였다. 유기농으로 마련된 점심식사를 함께 먹으며 상근 스텝으로부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간략한 설명 - 106 -


을 들을 수 있었다. 서로의 소개를 하는 와중에 ‘예술강사’라는 명칭이 영국에는 없다 는 것을 알게 되었고, 다소 보수적인 학교 교육에 대해 서로 공감하는 이야기가 오고 갔다. 쥬피터 아트랜드는 자연과 예술작품이라는 자원을 활용한 자연친화적인 프로그램이 중 점이다.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은 학기중, 휴일으로 나눠져 운영되며, 교사를 위한 창 의적인 자연학습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었다. 상근 스텝이 함께 동행하여 숲 속을 걸으며 총 8개의 설치작품을 볼 수 있다. 현대 예 술가들의 작품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해 있었다.

작품1) NATHAN COLEY, You Imagine What You Desire

작품3) CORNELIA PARKER, Landscape with Gun and Tree

작품5) Shane Waltener, OVER HERE

작품2) Anya Gallaccio, THE LIGHT POURS OUT OF ME

작품4) Laura Ford, WEEPING GIRLS

작품6) Andy Goldsworthy, STONE HOUSE BONNINGTON

- 107 -


작품8) Antony Gormley, FIRMAMENT

작품7) Andy Goldsworthy, STONE COPPICE

작품9) Charles Jencks, CELLS OF LIFE

□ Tramway ㅇ 기관소개 글래스고의 민간 문화예술 운영단체로, 1893년 전차 창고로 만들어진 이 역사적인 건 물은 글래스고의 상공업 쇠락으로 철거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1989년 영국의 설치예술 가 앤디 골즈워디가 전시공간으로 사용하면서 현재 트램웨이(Tramway)가 운영하는 갤러리로 변모했다. 트램웨이는 글래스고 라이프와 스코틀랜드 크리에이티브로부터 자 금을 지원받는다. ㅇ 방문목적

지역 내 기관탐방 및 리셉션 참석 ( 2015 Tuner Prize 행사 참여 )

ㅇ 방문일시

2015년 11월 18일, 18:00~21:00

ㅇ 면담자

탐방과 관람에 한정

ㅇ 주요내용 유럽에서 권위있는 시각예술상인 터너 프라이즈(The Tuner Prize)와 글래스고의 문화 단체 트램웨이가 주관해 진행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처음으로 개최되었는데 ‘Show Me Something New’를 타이틀로 4인의 작가들이(Assemble, Bonnie Camplin, Janice Kerbel and Nicole Wermers) 전시 중이다. 이 장소에 컨퍼런스 연계행사로 리셉션에 참석하여 전시 관람에 참여했다. 첨예한 시 대정신으로 무장한 신진 현대미술작가들의 경합의 장을 직접 목격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 108 -


□ Centre for Contemporary Arts (CCA) ㅇ 기관소개 글래스고 도시의 문화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문화예술 허브 공간이다. 스코 틀랜드 크리에이티브의 지원금과 자체 수익금으로 운영되는 민간기관으로 스코틀랜드 의 흥미로운 예술 현장 중 한 곳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시, 영화, 음악, 문학, 퍼포 먼스, 페스티벌, 레지던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ㅇ 방문목적

지역 문화예술시설 탐방과 운영자 인터뷰

ㅇ 방문일시

2015년 11월 19일, 10:00~12:00

ㅇ 면담자

앤슬리 로딕(Ainslie Roddick), 어시스턴트 큐레이터(Assistant Curator)

ㅇ 주요내용 미술 작품을 위한 전시 연계 교육에 대해 물어보았으나, 일반적인 도슨트나 아티스트 토크가 주된 구성이어서 적극적으로 참가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은 없었다. ‘Paying artist campaign’는 기관 예산의 17~20%를 작가가 전시를 끝낸 뒤 소정의 지 원금으로 지급하는 작가지원 제도로, CCA가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현재 800개 이상의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고, 모든 이벤트나 프로그램은 외부기관이나 전문가와 협력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현재 오케스트라 페스티벌을 준비 중이고, 앞으로 퀴어페스티벌 행사도 있을 예정이다. 프로그램 참여자가 다양한 이슈를 접할 수 있도 록 구성되어 있다. 대중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글래스고 지역문화 발전에 노력하고 있지만, 직장인이나 근로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따로 마련되어 있지는 않다. 단체와 학교의 협력 그리고 지역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 Trongate 103 : A centre for the arts and creativity ㅇ 기관소개 글래스고 지역의 민간 문화예술 운영 단체가 입주해있는 복합 문화시설이다. 카페, 문 화센터, 갤러리, 극장, 워크숍, 실습실 등이 상주하고, 시민들이 예술 교육을 받고 실행 하는 장소이다. 이곳에는 Street Level Photoworks, Transmission Gallery 등이 80년 대부터

자리를

잡아

시각예술

분야의

사업을

펼쳐왔다.

3층의

Project

Ability

Workshops, 5층의 Glasgow Media Access Centre(GMAC)에서 각각 브레이크 아웃 세션 참가하면서 시설을 둘러볼 수 있었다. ㅇ 방문목적

브레이크 아웃 세션으로 워크숍 참가 (컨퍼런스 연계 행사 참여)

ㅇ 방문일시

2015년 11월 20일, 10:00~12:00

ㅇ 면담자

워크숍 참여에 한정

ㅇ 주요내용 팀 구성원 권혜진, 정은경이 ‘브레이크 아웃 7: 청소년의 주도적 실행전략’ 세션에 참 석했고, 팀 구성원 김진형이 ‘Break out Session 1: 협업의 지형, 초지역성 해독하기’ - 109 -


세션에 참석하면서 자연스럽게 탐방이 이루어졌다. Break out Session 1: <협업의 지형, 초지역성 해독하기>는 2명의 청년예술가, Patrik Farrell과 Jamil Keating가 강연을 주도하고, 교육운영자 Andrew Vaughan과 노팅엄 대학 연구자 Nicola Sim이 보조 강연으로 나서 총 6개의 테이블에 각각 4~6명의 참 가자가 둘러앉아 토론과 강의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우선 글래스고를 방문한 참가자들이 곳곳을 다니며 촬영한 지역 이미지를 주최자의 블로그에 올리거나 핸드폰 에 담아와 보여주고 토론했다. 그 후 미술관 근처에 거주하는 청소년들과 어울리며 협 업하는 방법론에 대해 두 강연자가 자신의 예술 실행 경험을 풀어놓았다. 언어 소통의 문제로 자세하게 내용을 청취할 수 없었지만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었던 것은 예술가, 미술관, 예술기관이 청년 세대와 지역 사회와 직접 교류하면서 자신의 예 술적 역량들을 긍정적 방식으로 확산시킨다는 것이었다. 비좁은 영역에 한정해서 관객 을 기다리는 전략이 아닌 어울리고 가치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예술적 소통을 이루어낸 다는 것이 눈여겨 볼만한 점이었다. Break out Session 7: <청소년의 주도적 실천 전략>의 워크숍에서는 만디 로버츠 (Mandy Roberts)와 아이삭 제임스(Issc James)가 청소년과 함께 실행한 프로젝트를 소개하였는데, 이는 짧은 단어와 댄스를 융합한 교육이었다. 예를 들어 참여자가 릴렉 스(Relax)라는 단어를 선택하면 그 단어에 대한 느낌을 몸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방식 으로 여러 참여자들이 다양한 단어에 따른 댄스를 영상으로 촬영한 하나의 프로젝트였 다. 워크숍을 통해 직접 체험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한국 청소년의 경우 상대적으 로 조용하고 소극적인 청소년이 많은 편이라 몸으로 표현하는 것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지가 의문이 들기도 하였다. 참여를 이끌어내는 도입부분에서의 강사역할이 중요할 듯 하다.

□ Scottish National Gallery ㅇ 기관소개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국립미술관으로서 에든버러 시내에 세 갤러리로 나눠져 있다. 스코틀랜드 National

미술관(Scottish

Portrait

Gallery),

National

Gallery),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

현대미술관(Scottish

초상미술관(Scottish National

Gallery

of

Modern Art)은 National Gallery Scotland라는 이름으로 통합 운영되고 있다. ㅇ 방문목적

지역 문화예술시설 현황과 교육 프로그램 탐방 조사

ㅇ 방문일시

2015년 11월 21일, 11:00~13:00

ㅇ 면담자

탐방과 관람에 한정

ㅇ 주요내용 도심 가운데 위치하고 있고 주로 근대미술 작품을 수집해 전시하는 미술관이기 때문에 에든버러의 관객층과 관람 문화, 규모와 시설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많은 수집 작품들이 상설 혹은 기획전으로 진행되고 있었는데 인물, 정물, 풍경, 역사 - 110 -


등 다양한 소장르의 작품들이 섹션별로 전시되어 시민들의 문화교양을 충족시키는 현 장이었다. 교육 프로그램은 올해 리플릿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는데 성인 교육과정에는 미술의 기본이 되는 드로잉, 스케치부터 시즌별 전시와 연계한 콘텐츠가 구성되어 있다. 초심 자를 위한 실습 과정, 동서양의 화법을 비교할 수 있는 중국 수묵화 수업이 진행 중이 었다. 이틀 동안 진행되는 프로그램들도 있었는데 해부학을 바탕으로 하는 드로잉이나 전시와 연계한 인물사진 수업 등이 진행 중이었다. 기법과 매체별로 분류한다면 드로 잉, 회화, 파스텔, 콜라주, 사진, 복합매체 등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은 전시 작가, 기법과 사조를 좀 더 이해하기 위해 전시 기간 동안 구성되기 마련인데 이것은 국내의 미술관 교육과 크게 다를 바 없었다. 한편으로 누구나 접근하기 쉬운 1층에 강의실이 배치되어 있고 다양한 홍보물이 적극 적인 방식으로 소개되고 있다. 유아부터 청소년, 학교 연계, 가족, 성인, 지역사회에 이 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층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 준비되어 있어 미술관교육이 미술관 전체 프로그램에서 비중 있게 자리 잡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 Scottish National Gallery of Modern Art (MOD) ㅇ 기관소개 국립현대미술관으로서 One, Two 두 개로 분리된 건물과 부속 부지로 되어있으나 인접 해있고 통합해 운영 관리하고 있다. ㅇ 방문목적

지역 문화예술시설 현황과 교육 프로그램 탐방 조사

ㅇ 방문일시

2015년 11월 21일, 14:00~15:30

ㅇ 면담자

탐방과 관람에 한정

ㅇ 주요내용 우리가 방문한 곳은 두 곳의 전시장중 Modern One이었다. 넓은 부지에 환상적인 대지 미술 작품이 조성되어 있어 자연과 예술 공간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장소였다. 방문했 을 때 미술관은 ‘예술가의 방, 로이 리히텐슈타인’, ‘성찰, 현대미술의 변화를 표시하는 시리즈’ 등 현대 작가들의 기획전과 상설전이 진행 중이었다. 전시 작가의 지명도에 걸 맞게 전시 규모도 충분하게 지원되고 있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았다. 근대 미술과 컨텐포러리 아트를 주로 다루는 운영 방침에 맞게 미술관의 다양한 프로 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주요 사례로는 4살부터 12살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예술 가 방’이란 교육 프로그램은 두 명의 예술가들이 창의적인 흥미를 이끌어내는 내용으로 예정 중이었다. 비정기로 무료로 개방되는데 후원단체인 ‘스코틀랜드 국립미술관의 친 구들’을 통해 지원되는 구조였다. 또한 자료실이 특이할만한 것이었는데 아담한 크기의 자료실이 관객들에게 개방되어 있었다. 안락의자,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테블릿 컴퓨터, 휴대폰 전원 공급 장치 등이 방문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들이었고, 미술관 아카이브 자료 역시 교체되면서 제 - 111 -


공된다. 이곳 역시 스코틀랜드 지방의 문화예술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자리였다.

□ Scottish National Portrait Gallery ㅇ 기관소개

Scottish National Portrait Gallery (PG)

인물화를 중심으로 회화와 사진을 다루는 국립미술관으로 스코틀랜드 지역, 현대미술, 도서관 등의 운영 영역들을 인물이라는 하나의 주제로 묶고 있다. ㅇ 방문목적

지역 문화예술시설 현황과 교육 프로그램 탐방 조사

ㅇ 방문일시

2015년 11월 21일, 16:00~18:00

ㅇ 면담자

탐방과 관람에 한정

ㅇ 주요내용 포트레이트는 미술에서 소장르인데 그 작품들만으로 국립미술관급 규모를 운영하는 것 은 국내의 미술관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만만치 않다. 탐방조사팀이 4개 층을 운영하고 있는 미술관의 면모를 직접 체험한 후에 비로소 이해할 수 있었다. 우선 17,8세기 전후해 스코틀랜드 지역의 귀족과 명망가들의 포트레이트 상설전과 수많 은 장서들을 보유한 도서관이 2층에 자리 잡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물화에 대한 전통을 잇기 위한 노력으로 현대적 해석과 실천에 대한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노력은 전시장 곳곳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2층 Robert Mapplethrope 전 시장에서는 지역 기록 사진가들을 선별, 제작 지원을 해서 그 결과물을 전시한 기획전 ‘Document Scotland’이 진행 중이었고 같은 층에 전시중인 BP Portrait Award 2015 역시 회화 작가들의 인물화 작업을 장려하고 지원하는 전시가 관객을 모으고 있었다. 이 시상제도는 매해 운영되는 전시로서 추상표현부터 극사실주의, 포토리얼리즘 경향 의 작품들까지 폭넓은 기법과 주제들이 포트레이트 형식으로 수용되고 있었다. 과거 작품부터 현대미술에 이르기까지 예술가의 창작을 지원하고 장려하는 다양한 방 법으로 매해 차곡차곡 축적하는 문화의 저력을 실감할 수 있었다.

시사점과 주요 성과

기획 단계에서 창의적 시각예술, 지역기반 문화예술교육, 다자간 협력 구조와 네트워 크, 이 세 가지의 주제를 설정하고 3인이 각각 하나씩 주제를 중점으로 탐방조사를 계 획했었다. 탐방조사의 주요 목적지인 글래스고와 에든버러는 켈트문화 혹은 스코틀랜 드의 지역성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는 곳이다. 런던을 중심으로 한 잉글랜드에 비해 문화예술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판단했던 곳이었다. 하지만 탐방 후 느낀 결과는 앞선 판단과 달랐다. 두 도시에서 참여 관찰한 문화예술 의 수준과 지형은 오랫동안 축적된 역사성과 역동성, 다양함과 구조적 견고함을 지니고 있었다. 이번 탐방조사의 첫 번째 주요한 성과는 이렇게 현장에서 생생하게 이루어지고 - 112 -


있는 미세하고 사회 곳곳에서 진행되는 혁신의 움직임을 발견하고 목격한 것이다. 우선 글래스고는 역사적으로 상공업 도시로서 일찍이 발달했으나 20세기 들어 쇠락 의 길을 걸으면서 자구의 노력을 펼쳐왔고,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꾸준한 혁신을 이루 어왔다고 한다. 사전 리서치를 하면서 문서로만 살펴보았던 내용을 현지에서 직접 보 고 들으면서 그 혁신의 현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예술의 창의적 관계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 여기서 언급하는 ‘예술의 창의적 관계성’이란 예술이 인간의 삶과 사회로부터 기원하 여 오랫동안 그것과 관계를 맺어왔으나 매체와 창작, 혹은 관념에 몰두한 예술이 인간 의 삶 자체에 크게 주목하지 못해온 것이다. 일상의 삶과 타협하지 않는 엘리트 예술, 혹은 천재 예술가의 신화가 아직 유효한지는 모르겠으나 다시 인간의 삶이나 사회에 눈을 돌려 구석구석을 살피고 그것을 어루만지며 보듬는 작업이 다양하게 전개되어왔 다. 서구사회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이러한 다양한 화해의 작업을 진행했다면 국내의 상황은 아직 시작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아무튼 이러한 관계들을 맺고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글래스고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 지역과 대중사업을 기반으로 한 CCA(Centre for Contemporary Arts), Trongate 103, Tramway 등의 문화예술 조직과 민간시설들이 그 사례이다. 그들은 글 래스고 지역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우리가 만난 CCA 운영자의 인터뷰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내부 운영진이 이벤트나 프로그램 모두를 전담하는 닫힌 방식이 아니라, 관심과 역량 있는 외부단체를 끌어들 이고 외부 인력을 지원하거나 협력하는 열린 방식으로 지역 문화가 활성화 되도록 하 고 있다. 이것은 국내 갤러리나 민간시설이 소유자 운영 방식 혹은 임대료 운영 방식 으로 안주하는 형편과 비교되는 점이다. 지역 문화와 시민들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내고 그들의 개성과 역량을 발화시키는 운영과 정책의 태도는 과거부터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글래스고에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동부 글래스고에서 예술 문화의 허브 역할을 하는 Glasgow Women’s Library는 도서관이자 동시에 박물관, 아카이브이다. 여성의 삶, 여성의 권한 신장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는 이곳은 지역의 예술가들과 주민들 의 협업을 통한 프로그램이 꾸준히 운영되고 있으며, 또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수업처럼, 여성들에게 학습의 기회를 주어 그들 스스로 성 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서관도 지역 주민들에게 비슷한 기능을 하기 도 하지만, GWL은 여성 도서관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높은 수준의 예술 관련 프로젝 트를 운영하는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또한 다양한 이력을 가진 자원 봉사자들의 절 대적인 도움이 더 생생하고 혁신적일 수 있는 GWL만의 원동력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리고 과거에 전차 창고였던 Tramway는 그 장소성을 다시 바꾸고 다듬어 새롭게 문화예술의 장으로 탈바꿈한 현장이었다. 낡고 오래된 도시의 그늘에서 혁신과 창조의

- 113 -


장소로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지만 Tramway가 민간 운영 시설이란 점을 고려할 때 관 주도 예산의 국내 사정과 비교한다면 시사하는 점이 크다. Trongate 103은 카페, 러시안 문화센터, 갤러리, 극장, 워크숍 실습실 등 다양한 사 업장이 상주하고, 그 현장엔 시민들이 드나들며 예술을 학습하고 실행하고 있었다. 시 민의 접근이 쉽고 충분한 여유 공간으로 예술작업의 안정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면모가 돋보였다. 젠트리피케이션의 결과일지는 모르겠으나 사업장이 파편적으로 분산 되어 협력 혹은 협업을 시도하기 힘든 민간 문화시설, 소규모 갤러리가 대다수인 국내 형편과 비교해볼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에든버러의 경우 3개 국립미술관은 서로 분명한 정체성과 방향을 가지고 운영된다고 할 수 있다. 근대미술, 동시대 미술, 포트레이트 이렇게 3개 범주로 나누어 각자의 위 상과 역할을 꾸준하게 추구하며 축적시켜왔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았다. 이러한 인상은 방문한 미술관 곳곳에서 발견되었다. 시민 모두에게 무료로 제공되고 휴일 없이 언제나 개방되어 있다는 것이 첫 번째 인 상이다. 전시장 곳곳에 배치되어 여유 있는 휴식을 제공하는 안락의자, 어린이와 노인 을 배려하여 따로 비치된 Large size 전시설명문, 문화시민의 자발성을 이끌어내는 기 부함 등은 관람자에게 심리적 안정과 물리적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배려의 수사법이다. 또한 민간에서 운영하는 미술관 Jupiter Artland, The Fruitmarket Gallery 두 곳 역 시 매우 인상적이었다. Jupiter Artland는 개인 사유지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의 넓은 전원 부지를 확보해 자연과 화합하며 녹아드는 설치미술을 곳곳에 배치했다. 그리고 유아부터 청소년, 성인까지, 학교부터 단체, 결혼파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과 목 적의 참여자에게 제공해왔다. 이와 대조적으로 The Fruitmarket Gallery는 에든버러 역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매우 높고 시민과 밀착한 다양한 기획과 프로그 램을 제공해왔다. 이 두 곳은 고유의 장소성을 최대한 창의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곳이 었다. 문화시설 밀집 지역에 안주하려는 국내 미술관, 갤러리의 운영과 비교해볼 수 있 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탐방조사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였던

The

2015

Engage

International Conference 사례에서 주목할 점은 해마다 지속적으로 주요 의제에 대해 진지하게 토론하는 문화와 실행 능력을 갖춘 네트워크 구조를 손꼽을 수 있겠다. 89년 에 설립되어 미술관 교육과 시각예술의 영역들을 연구개발하고 지원해온 Engage는 전 국 각 지역에 회원 조직을 보유하고 있고 20여개 국가, 유수한 스폰서, 공공 기관들과 연계되고 있다. 헤아려 보건데 컨퍼런스 당시 200여명이 넘는 전국적 단위에서 모인 예술가, 예술 교육자, 활동가들이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을 할애해 한 장소에 모였다. 이러한 열성과 분위기만으로도 컨퍼런스의 주요 의제와 담화 내용들을 압도하기에 충 분한 것이었다. 그들이 시종일관 진지한 자세로 컨퍼런스에 참여하는 분위기를 목격하 면서 이러한 태도들이 그간의 시간과 집단적 노력으로 축적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팀은 국내의 예술강사뿐만 아니라 모든 문화예술교육 활동가와

- 114 -


조직들이 수행해야할 다양한 과업들이 예상되기 산적해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 자신이 발 딛고 선 지역을 기반으로 그 삶의 구체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개선해나 가는 것은 비단 예술만이 수행하는 역할은 아니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미래에 닥칠 문제들은 훨씬 복잡하고 어려운 해결을 요구할 것이다. 지금의 세대가 서로 어울려 협 력하고 머리를 맞대는 작업이 필요한 이유는 바로 이것이고, 이것을 바탕으로 미래 세 대의 창의성들이 발휘되어 미래를 책임질 것이다. 지금 우리가 지역성, 협력, 창의성을 논의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지 않을까?

활용 계획

우선 성과공유회를 거친 자료와 문건들을 주변 동료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애초의 기획보다 좀 더 확실한 키워드를 소재로 공유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각예술, 청 소년 세대, 지역 기반 문화예술, 협업과 네트워크, 도시재생과 예술의 관계성 등인데 팀 내 김진형의 경우는 2월 19일 한국사진교육학회 상반기 학술대회에 상정해 발표할 계획이고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지원하고 있는 자유학기제 기획단에서도 그 성과들을 공유할 계획이다. 권혜진의 경우 사진분야 예술강사협의회를 통해 경험과 자 료 공유를 하며, 활동 지역인 부산에서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논의하여 지역의 강사 들과 성과를 나눌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정은경의 경우 울산 지역문화에 기여하고자 글래스고의 지역 특성과 프로그램 사례를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웹진에 글을 투고 하여 공유할 예정이다. The 2015 Engage International Conference의 경우는 올해뿐만 아니라 역대 논의 주제들과 연구 성과들을 검색해 영국의 문화예술의 지형들을 살펴볼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이 부분에 관심을 두고 검토할 예정이다. 한편 아직 논의되지 않았으나 성과공유 과정을 통해 미국, 호주의 탐방조사 성과와 그 사례들을 비교, 논의, 종합하는 작업도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115 -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Glasgow Women’s Library) 탐방과 인터뷰

모락 스미스(Morag Smith) 국립 평생교육 개발자 (National Lifelong Learning Development Worker)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Glasgow Women’s Library)는 글래스고의 동부 지역에 있다. 동부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경제적으로 낙후된 지역이라는 정보를 이미 들어서, 이곳에서 혁신적이고 생생한 프로그 램을 진행하고 있는 GWL가 어떤 곳일지 더욱 궁금해졌다. GWL는 도서관이자 아카이브이며 박물관이 다. 수많은 성과를 낸 이 곳의 규모는 예상외로 크진 않았지만 오랜된 건물을 잘 보수하여 현대적 시설 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곳이었다. 글래스고에서 처음으로 진행하는 기관 탐방 및 인터뷰라 많이 긴장되 었지만, 따뜻한 환대와 여성 도서관이라는 특유의 공간에 대한 편안함을 곧 느낄 수 있었다. 먼저 1층의 공간들에 대한 소개를 받았다. 그곳은 규모는 작지만 책을 볼 수 있는 도서관이고, 학습 공간 이며, 서프레제 관련 뱃지, 카드, 장신구 등이 전시된 작은 박물관이기도 하였다. 서프레제와 관련된 흥 미로운 이야기를 들은 후 곧 새로 지은 공간으로 이동하였다. 콘서트홀처럼 천장이 높고, 공연, 강연, 전 시 등 상황에 따라 용도가 변경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이었다.

A : 우리가 여기에 이사 왔을 때는 매우 안 좋은 상태였어요. 여기는 원래 나이든 사 람들을 위한 클럽이었어요. 상태가 매우 안 좋았지만 헤리티지 로터리 펀드(Heritage Lottery Fund)를 받아서 지금의 모습을 갖출 수 있었어요. Q : 어떻게 펀드를 받나요? A : 굉장히 어려워요. 헤리티지 로터리 펀드는 아주 큰 지원처인데 거기에 지원서를 내 서 몇 년이 걸려 지원금을 받았어요. 50만 파운드를 받았지만 그것으로는 모자라서, 자 선 사업과 다른 펀딩을 통해 50만 파운드를 더 모금했습니다. 어쨌든 그 펀딩으로 건물 의 새 층과 아카이브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아카이브는 습도, 온도 조절이 되어 있어 보 존에 용이하도록 지어졌습니다. 우리 아카이브 공간을 한 번 보실래요? - 116 -


아카이브 공간을 둘러보러 가는 길에 새 층에 지어진 커뮤니티 공 간엔 오래된 책 냄새와 가지런히 놓인 쿠션, 일렬로 나열된 긴 책 상과 의자가 있었다. 이곳에서 한나절 머물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마음을 끄는 공간이었다. 21 Revolution 관련 작품, 그리 고 프린트들이 소장되어 있는 ‘플란 체스트’를 소개받은 후, 아카 이브 공간으로 들어섰다. 아카이브 공간은 규모는 작지만 여느 박 물관 못지않게 잘 정리 되어있었다.

Q : 어떤 것들이 보존되고 있나요? A : 다른 것들이 아주 많아요. 우리는 서프레제 관련된 것들, 1960년~70년대 여성 해방 운동 관련된 것들, 예를 들어 캠페인 뱃지, 손으로 직접 만든 그린 잡지(zines), 뉴스 레터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여성 개인의 유품들도 가지고 있어요. 또한 사람들이 기부한 책 등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제인 오스틴의 아주 초기 에디션과 버지니아 울프의 초판을 가지고 있습니다. Q : 홈페이지에서 스코틀랜드 사회의 불평등에 대한 글을 보았습니다. 구체적인 예를 들 어 줄 수 있나요? A : 법으로는 물론 영국 전역과 스코틀랜드에서는 남녀는 평등합니다. 임금도 똑같아요. 하지만 현실은 매우 다르고, 아직도 다릅니다. 여성은 평균 약 20%의 임금을 덜 받습니 다. 그리고 대다수의 여성이 클리닝과 집안일 같은 임금이 낮은 일자리에 종사합니다. 기 회의 불평등이 있어요. 아이들을 돌보고 집안일을 하는 것은 여성이 대부분 다합니다. 우리 도서관은 여성작가, 예술가의 경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그들의 프로필은 남 자들 못지않지만 정확한 통계인지는 모르겠지만 영국의 경우 신문기사의 68%는 남자 기자가 쓰고 있어요. 법적 불평등은 아니지만 불평등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우리 도서 관은 여성과 관련된 이슈들을 조명하여 그들이 더 나은 기회를 가질 수 있을 필요를 강하게 느낍니다. 한국도 비슷한 실정인가요? Q : 한국도 거의 같습니다. ‘유리 천장(glass ceiling)’이 존재합니다. 여기 도서관은 여성이나 동부 글래스고 사람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많은데 예술관련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A : 너무 많아요. 우리는 개인 여성 아티스트들과 많은 일을 합니다. 그들이 여기로 와서 공동 작업으로 아트 프로젝트를 하는데, 여성 및 지역 공동체와 관련된 작업을 합니다. - 117 -


예를 들면, “making space”라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4년 전에 글래스고 미술대학의 조 각가인 쇼나 맥멀린이 스코틀랜드 전역의 여성들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하였어요. ‘Blue Spine’이라는 프로젝트인데, 여성이 쓴 책 중에 Blue Spine을 가진 책을 보내도록 했어 요. 그래서 그것으로 설치 미술 작품을 만들었고, 여기 라이브러리에서 전시를 했어요. 스코틀랜드 전역의 여성들이 와서 그 전시를 보았습니다. 이렇게 우리는 지역 여성들과 그리고 스코틀랜드 전역의 여성들을 수반하는 프로젝트를 합니다. ‘march of women’이 라는 프로젝트도 있었는데, 이것은 20세기 초 서프레제(Surffragette)의 쓰인 탄원서에 기반을 둔 프로젝트였어요. 지역 여성, 스태프, 스코틀랜드 전역 여성들이 서프레제처럼 차려입고 탄원하는 퍼포먼스를 했어요. 그 때 지역의 많은 사람들이 관람을 하였으며, 서프레제와 관련된 띠, 꽃장 식, 배너 등을 만들었습니다. 이 도서관에서 글래스고 그린 공원(Glasgow Green Park)까지 행진을 했습니다. 이것과 관련된 영화도 있어요. Q : 재미있었겠어요! 그리고 지역 주민과 함께 하는 것이 정말 좋아 보입니다. A : 그래요. 정말 멋졌어요! 우리는 많은 프로젝트들이 그래요. 전문 예술가들을 초청해 서 아름다운 것들을 만들지만 동시에 지역 사람들도 참여해 뭔가를 할 수 있게 합니다. Q : 가장 기억에 남는 또는 가장 효과적이었던 프로그램은 어떤 것이었다고 생각하나요? A : 내 생각에는 좀 전에 말했던 ‘March of Women’이에요. 지역 주민들이 와서 코스 튬, 관련 용품을 만들고 퍼포먼스를 위해 다시 연습을 하고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어요. Q : 그렇다면 누가 그러한 프로젝트를 기획하며 어떻게 예술가들과 협업을 하나요? A : 우리에게는 창의적이고 열심히 일하는 빅 팀(Big team)이 있습니다. 두 명의 시니어 매니저가 있는데 수 존과 데일 패트릭입니다. 데일 패트릭은 글래스고 미술대학 교수였 고 그 자신이 예술가이며 많은 예술가들을 움직입니다. 우리는 글래스고 미술대학과 다 른 대학들과 함께 일하는 등 아주 좋은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굉장히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있는데, 대학원생, 예술가들, 그리고 경험을 원하는 자원봉사자들 등 다 양한 범위의 자원봉사자들의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Q : 그렇게 많은 자원 봉사자가 있다면 이 사회에서 자원 봉사를 할 수 있게 하는 원동 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A : 질문의 의도가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도서관으로서 우리는 돈이 없어요. 19명의 스태 프가 있는데 굉장히 많은 일을 하고 있어요. 우리는 자원봉사자들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자원봉사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려고 합니다. 그들이 여기 오면 우리는 그들이 경 험을 쌓고 기술을 배우고 자신감을 얻고 그들이 해본 적 없는 것을 할 기회를 주려고 합 니다. 이 도서관이 하려는 일의 많은 부분은 여성들에게 권한을 주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의 삶을 바꾸고 그들의 방식으로 결정하게 만들려고 합니다. 답이 되었는지요?

- 118 -


Q : 동부 글래스고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문화예술적으로 취약하다고 들었습니다. A : 맞아요. 글래스고 서부와 중심에 비해 가난한 지역입니다. 하지만 많은 새로운 것들 이 생겨나고 있고 아티스트들이 와서 작업을 하며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요.

Q : 롤러 더비(Roller Derby), 그것은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스포츠인데, 그것과 여성해방운동이 관계가 있는지 말해줄 수 있나요? A : 1960~70년대 여성해방 운동 때에는 롤러 더비는 없었는데 스코틀랜드에서는 1990 년대에 롤러 더비가 시작되었고, 그래서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21 Revolution’ project에 관련 예술작품이 있어요. 앨리 헤리슨이 롤러 더비 관련 작업을 하였고, 롤러 더비 헬멧이 아카이브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Q : ‘21 Revolution’ project 작품들을 인상적으로 보았습니다. 그것의 비전이나 목표는 무엇입니까? A : 그 프로젝트의 비전은 우선 현대 여성 예술가들을 포함시켜서, 그들에게 자신들의 작업을 전시, 소개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또한 이 도서관을 소개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예술가들이 다 이 도서관에 와서 아카이브를 보기 때문이에 요. 우리 도서관과 아카이브가 사람들에게 어떤 영감을 줄 수 있는지를 보려고 했어요. 더불어 도서관 기금을 위한 사회적 기업 프로젝트이기도 했습니다. 책 출판과 프린트를 통해 그것을 판매하여 운영비를 커버할 수 있게 하려는 목표도 있어요. Q : 인터뷰와 방문 안내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 119 -


C.C.A. ( Centre for Contemporary Arts ) 탐방과 인터뷰

앤슬리 로딕(Ainslie Roddick) 어시스턴트 큐레이터(Assistant Curator)

Q : CCA 기관에 전반적인 소개를 부탁합니다. A : CCA는 글래스고에서 예술을 위한 허브 같은 공간입니다. 글래스고에는 3가지 큰 기관들이 있습니다. GOMA(Gallery of Modern Art), CCA, Tramway입니다. 저 3가지 기관들이 글래스고에서 30~40년 정도 된 오래된 공간입니다. 글래스고 시에서 운영되 는 GOMA와 달리 저희 기관은 시에서 운영되지 않는 기관 중 하나입니다. 주로 전시 와 프로그램, 레지던시, 워크숍, 실험적인 퍼포먼스 등 현대예술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고, 카페와 영화상영관이 함께 있습니다. 이처럼 저희 기관은 사람들에게 만남의 장소 가 되어주기도 합니다. Q : 전시와 연계하여 대중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교육프로그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있다면 어떤 프로그램인지 소개 부탁합니다. A : CCA에서는 컨템포러리 아트에 속한 회화, 사진, 퍼포먼스 등이 주로 전시되어지기 때 문에 대중이 작품과 소통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주로 전시에 대한 설명을 전달하는 도슨 트나 아티스트 토크로 대중과 만나고 있으며, 다른 특별한 전시연계 교육은 없습니다. Q : ‘Paying Artist Campaign’을 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 캠페인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시겠습니까? A : 네, 우리는 예산의 17~20퍼센트 정도를 아티스트들에게 돈을 지급하는데 사용합 니다. 저희의 전시장에서 전시하는 작가에 한해서 전시가 끝난 뒤 소정의 지원금을 전 달해주는 캠페인이라 할 수 있어요. 글래스고에는 큰 예술 시장이 없어요. 그래서 만약 아티스트들이 CCA에서 전시회를 가진다면 당연히 그 값을 우리가 치러줘야 한다고 생 - 120 -


각합니다. 아티스트들이 예술시장에서 적당한 페이를 지급받지 못한다거나 적응하지 못하는 부분을 안타깝게 생각하였고 몇 년 전 디렉터들의 동의 아래 진행되고 있습니 다. 이 캠페인은 아티스트들이 지속적으로 작업을 해나갈 수 있는 하나의 원동력이 된 다고 생각합니다. Q : 혹시 기관 내 자원봉사자들이 활동을 합니까? A : 아뇨, 저희 기관 내 자원봉사자들은 안계십니다. 저희가 국공립기관이 아니고 예산도 적은 편이지만 사람들에게 절대 무료로 일해 달라고 하지 않습니다. 우리를 위해 일하는 분들에게 꼭 임금을 확실하게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외로 자원봉사자가 속해있는 다른 기관들과 협력하여 진행되는 프로그램은 있습니다. 또 대학교에서 짧은 기관 인턴 십으로 기관을 찾은 경우도 임금이 지급되지는 않습니다. Q : 많은 프로그램들을 홈페이지를 통해 볼 수 있었는데요. CCA의 프로그램 중 당신이 특별히 기억하는 프로그램이 있습니까? A : 우리 기관에서는 800개 이상의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어서 어렵네요. 정확히 말하면 우리의 이벤트가 아니라 외부기관이나 외부전문가와 함께 협력하는 이벤트이긴 합니 다. 우리는 현재 Glasgow and provisor’s orchestra라 불리는 페스티벌을 준비 중입니 다. 페스티벌 기간 동안 CCA의 공간에서 세계적으로 훌륭한 뮤지션들을 초대해 공연 이 이루어집니다. 이와 더불어 워크숍과 토크도 할 예정입니다. 저희의 모든 이벤트나 프로그램은 대중과 사회활동을 연결하고 있습니다. 저번 주에는 소닉아트에 대한 페스 티벌이 끝났고, 앞으로 퀴어페스티벌도 있을 예정입니다. Q : 글래스고는 역사적으로 상공업이 크게 흥했다가 쇠락하면서 현재는 문화도시로서 자 리를 잡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느낀 글래스고는 관광객과 지역주민들이 공 존하는 도시로 보입니다. 혹시 지역 내 일반직장인이나 근로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 련되어 있나요? A : 그렇습니다. 글래스고는 지역 문화예술에 굉장히 발전이 되어졌는데요. 그 중 글래스 고 출신인 건축가이자 디자이너인 맥킨토시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아티스트 들이 글래스고에 있지만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많습니다. 저는 글래스고가 다른 여 느 도시들과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해요. 저희 기관에서는 대중 참여적 프로그램을 통해 변화를 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다른 단체나 기관에서 함께 협력해야 합니 다. 불행하게도, 예산은 한정적이고 대중 참여적 프로그램이 첫 번째로 줄어들게 되는 경 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대중들의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기 때문이죠. 대중들이 적극적 으로 참여하길 바라며 다른 단체나 학교, 아티스트들 모두가 함께 협력하길 바랍니다.

- 121 -


Q : 전반적인 연간예산 운영에 대해 물어봐도 될까요? 앞서 이야기한 것 처럼 아티스트를 위해 17~20퍼센트를 제공하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A : 예산의 60~70퍼센트가량 ‘크리에 이티브 스코틀랜드’에서 펀딩을 받고, 나머지 예산은 해당시설을 다른 기관 을 위해 렌트해 주었을 때나 1층 카 페 임대료 등으로 채웁니다. CCA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많은 대중에게 열 려있지만 한편으로는 민간기관으로서 운영을 위해 소정의 사용료가 생길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은 굉장히 작습니다. 예산 중 많은 부분이 스태프 임금이나 관리비등 유지비로 나가죠. 전시회나 프로그램으로 얻는 수익이 크지 않기 때 문에 항상 자금을 모으고 있습니다. Q : 마지막으로 한국 아티스트들에게 짧은 코멘트를 남겨주세요. A : 한국의 아티스트들과 글래스고의 아티스트들이 어느 정도 비슷한 상황에 있다고 생 각이 들어요. 예술시장이 작은 도시지만, 예술이 아닌 다른 다양한 콘텐츠가 풍부한 도시 라면 이곳에서 구현된 예술은 매우 흥미롭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게 예술이 만 들어 낼 수 있는 것 중 최고인 것이죠. 글래스고는 큰 도시도 아니고, 런던과도 분명 달 라요. 그래서 아마 사람들도 다를 겁니다. 그것이 우리만의 하나의 예술 장면을 만들어 냅니다.

- 122 -


2015 인게이지 컨퍼런스 참여자 인터뷰

루시아 헤일리 (Lucia Harley) 예술교육자 (Art Educator) 예술가 (Artist) 큐레이터 (Curator)

Q : 예술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점으로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A : 나는 조각가인데 프로젝트에 따라 다양한 매체를 이용합니다. 기본적으로 저는 프 리랜서 아티스트라서 어떤 특정한 갤러리를 위해 일을 하지는 않고 기관들을 통해 일 하며, 예술교육 기관을 운영합니다. 그 예로서 ‘Foreground’라는 기관을 위해 진행한 일이 있는데 그 기관은 프롬 지역(서 머셋 지방)에서 유명한 예술기획 기관(curatorial organization)입니다. 남서부 동네에 서는 카니발이 전통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는데요. 예술가와 청년들이 커뮤니티를 함께 함으로써 예술가들은 영감을 얻게 되고 이를 예술작품으로 만들어 냈습니다. 커뮤니티 그룹들은 프롬 지역의 카니발을 위해 서로 협력해가며 예술작품을 만들어나갔죠. 그 예술 작품은 예술가와 젊은 사람을 상징합니다. 서로 다른 부류의 두 집단이 협력해 만드는 예술은 정말 대단합니다. 예를 들어, 워크숍을 통해 어린이들, 젊은 엄마들, 여러 커뮤니티 그룹들이 예술가들과 도 직접 일하고 함께 카니발 의상을 만들었습니다. 아이들이 카니발 때 입는 날개의상, 토끼 머리 등등을 같이 만들었습니다. 또 다른 프로젝트로 매트 스토크스와 협업한 프 로젝트가 있는데 이 사람은 조각을 통해 커뮤니티의 구성원을 하나로 묶는 작업으로 유명한 사람입니다. 함께 대장간 작업도 했고, 헤비메탈 밴드도 왔었어요. 그래서 다 같이 조각 작업을 했 고 그 조각 작품이 프롬 카니발 때 퍼레이드 소품으로 쓰이도록 했어요. 그 조각을 만 들 때 ‘이것은 어떤 것이라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작업했어요. 나는 이러한 협업 과정 중에서 내 학생들을 멘토링해야 했는데, 그들은 이 과정에서 나온 결과물로 자기 작품을 만들었고, 포트폴리오에도 그것을 넣었습니다. 또 하나의 사례가 있습니다. 제가 운영하는 기관인 ‘Breakthrough’는 Engage의 일부인 기관인데 학교들과 많은 협업을 했습니다. 이 근처 마을들엔 School–Running Partnership이 있습니다. 학교들은 보통 정부로부터 - 123 -


‘학생들이 수학을 잘 하게 해야 한다’라는 말을 듣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되 지?’라고 합니다. 그래서 예술가와 수학 전문가들 사이에 접촉과 대화가 이루어졌습 니다. 두 기관이 협력하는 데에는 의견 차이가 생기기도 합니다. 서로 너무나도 다르지 만 하나의 아이디어로 이벤트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수학자들이 제시한 아이디어는 아 이들에게 재미있을 것 같지 않았기 때문에 예술가들이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아이디어 를 냈고 상호협력적인 이벤트가 기획되고 만들어졌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학교들을 순 회했는데 3주간은 프롬에서 전시되었고, 2천명이 와서 체험하기도 했습니다. 커다란 커브 스티칭(curve stitching)이 있었는데 못을 박아서 두 개의 축을 라인에 따 라서 연결해 나가서 커다란 커브를 만들었습니다. 실험 가운, 안경, 커다란 칠판 같은 것도 있었습니다. 피보나치수열도 살펴보았습니다. 이 이벤트가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누구나 수학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단 순히 좋은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그것을 프로 젝트에 녹여 넣는 것이죠. 혹은 또 다른 시각에서 무언가가 나올 수도 있다는 가능성 도 열어둡니다. 이 프로젝트들은 관계(relationship)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선생님이 필요한 것과 아이들 이 필요한 것, 수학자와 예술가들의 관점 등 그런 것들을 다른 시각에서 살펴 보는 것 에 관한 것들이었습니다. Q : 종합해 보면 당신이 예술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cross disciplinary) 문화 생산과 참여가 되겠군요. 맞습니까? A : 네, 맞아요. 이는 굉장히 훌륭한 자극제라고 생각해요. 단순히 자극제에 불과한 것 이 아니라 세상을 발견하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술작품을 본다라는 것이 그냥 단순 히 예술작품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세계와 만물을 보는 것처럼 말입니다. 예술 작품에는 이미 많은 것들이 내포되어 있어요. 수학, 영어, 과학 등 다른 분야를 예술작 품을 위해 불러오는 것은 거창한 일이 아니고, 이미 예술 안에 다 들어 있는 것들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끄집어 내느냐하는 문제일 뿐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예술을 세계와 더욱 가깝게 접근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Q : 당신은 ‘창의성’을 어떻게 정의 내리시겠습니까? A : 그것 참 어려운 질문인데요, 어떤 사람들은 그 사람의 인생의 이른 시기에 마음의 문을 닫아버리고 창의성을 멀리하며 다른 누군가가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매일 아침 무슨 양말을 신을까 생각하는 것도 전부 창의성의 일부입니다. 그것은 당신 이 누구인가에 관한 것이기도 합니다. 우리처럼 예술교육 분야에서는 사람들을 이미 자기 마음 안에 있는 창의성과 재연결 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 124 -


Q : 사람들이 예술작품과 갤러리에 연관될 때 자신의 창의성과 재연결된다는 이야기인 가요? A : 네, 그렇게 생각합니다. 프로젝트를 만드는 방식에 그것은 다 담겨있습니다. 어떤 프로젝트에는 굉장히 수학적으로 뛰어난 사람이 있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Metal의 인 터렉티브 프로젝트처럼 GPS를 이용해 공원을 돌아다니는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처럼요. 아이패드를 들고 공원을 돌아다니며 인터렉티브한 활동을 하는 것이 흥미롭지 않을 수 가 없잖아요? ‘being creative’라는 것은 ‘학습한다’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 서 자연스럽게 배우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것이 창의성의 핵심이라 생각해요. 예술, 과 학, 음악 그 무엇이던 간에 창의성에 이를 수 있는 길은 모두에게 있습니다. 이를 연결 하는 것이 우리가 할 일입니다.

- 125 -


회 의 록 일 자

장 소

회의 주요 내용 ►탐방조사에서 다룰 주요 의제 점검하기 창의적 시각예술, 지역 기반 사업, 협력적 네트워크

10월 30일 17~20시

서울

►기획안 수정과 변경 사항 검토

종로구

Breakout Session 1. 협업의 지형

율곡로

►컨퍼런스 패널 발제 내용과 질의 내용 점검

까페 아몬디에

►인터뷰 시 역할과 장비 리허설 카메라 2대, 비디오 카메라 2대와 삼각대 렌탈 ►탐방조사 성과 활용 계획 논의 ►인터뷰이 선물 준비하기

►17일 우먼스 갤러리 인터뷰 내용 팀원간 공유 ►당일 탐방 예정 문화예술 시설 사전 점검 11월 18일

에딘버러행

10~11시

기차

The Fruitmarket Gallery, Jupiter Artland, Tramway ►컨퍼런스 주요 의제에 대한 논의 ►컨퍼런스 진행 절차와 순서 확인 ►CCA 탐방과 실무자 인터뷰 관련 준비 통역자 섭외 상황, 약속과 질문 내용 점검

►컨퍼런스 주요 발제 내용 번역 수정과 재검토 글래스고 11월 20일

Mercure

19~22시

Hotel Lobby

►컨퍼런스 토론 내용 번역 확인과 재검토 ►인터뷰 내용 번역 수정과 재검토 ►Breakout Session 번역 검토 ►21일 에든버러 탐방 준비 3개 국립미술관외 기타 시설 위치와 기본정보 파악 이동 경로 계획

- 126 -


팀별 결과보고서 - 호 주 1팀 -

구본정, 윤혜성, 최은영



호주팀_구본정, 윤혜성, 최은영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결과 보고

□ 탐방·조사 목적 예술 교육을 통한 창의력 촉진 활동의 교수 학습법과 주요 프로그램을 알 아본다 호주의 문화예술 기관 아트 플레이 키즈 오운 퍼블리싱 성공사례를 참고하 여 한국의 상황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다문화 가정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예술교육의 효과와 파급력을 알아보 고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방법을 모색한다

□ 탐방·조사 개요 파견국가 기

참 여 자

호 주 년

일화

일금

구본정 윤혜성 최은영

주요활동

참가 아트플레이

키즈

오운

- 129 -

퍼블리싱

기관 방문 및 탐방

멜버른

대학의


일 일

비고

AM11:00 아트 플레이, 키즈 오운 퍼블리싱, 멜버른 대학의 ELC 방문 및 실무자들과 기관탐방 ~4:00PM 의 인터뷰 AM10:00 OPTIONAL ADD ON WORKSHOPS < Let’s Get Digital> workshops 11월 25일 ~6:00PM 개회행사 리셉션 <Feature Speaker: Katherine Zeserson> 참여 AM9:30 Workshop 200: Building Our Connections, Children in Creative workshops, 11월 26일 ~4:00PM Control, Feature Speaker, Using Children and Young People as Researchers 참여 panel 11월24일

11월 27일

AM9:00 Singing with Katherine Zeserson, ~5:00PM Activate Articulate Animate, Working Groups, The Wrap 참여

workshops, networking

주요활동 내용

1. (행사 참여) □ 2015 예술교육포럼(Arts Learning Forum) 행사소개 올해 예술포럼의 주제는 문화예술로 풍요로워지는 일상의 배움 이다 호주 예술 위원회 주관으로

일간 열리는 이 포럼은 예술 교육 분야

전문가 유관 기관 관계자 예술가 등을 대상으로 예술교육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접근 및 해석 장르 교육 대상의 연령 및 배경을 아우르는 예술교육 실행의 전략적 비전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그램 콘텐츠 교수법 방법론 공유 예술 교육과 관 련된 최근 국제 동향 및 주요 이슈를 논의한다

참여목적 1. 아이들과 함께하는 예술 활동이 더 넓은 사회와 문화, 교육적 목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물음과 사례를 통해 현재 하고 있는 예술교육에 구체적 인 방향을 잡고, 적용을 하고자 한다. 2. 예술과 교육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창의적이 콘텐츠가 개발이 되는지 또한 세계적 으로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교육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방법론과 교수법을 공유한다.

참여일시 주요내용

일금

워크숍 패널토론 기조연설 문화 예술분야 정보 및 자료 공유 네트워킹

- 130 -


포럼 참여 일자별 정리 월

일 화

OPTIONAL ADD ON WORKSHOPS < Let’s Get Digital> (10:00AM~3:00PM)

▻ 워크숍을 준비하며 각자 이름표를 착용하고, 서로 소개하는 모습이다. 핵심주제: 참가자들에게 디지털업무를 학습프로그램과 엮어서 짜는 것의 필요 성을 상기하기 발표자 내 용: 디지털 전문가 Stuart Buchanan은 학습, 교육, 프로그램 참여에서 디지 털 업무가 왜 필요한지, 이것이 어떻게 학습자들을 위한 질적이고 양적인 경험을 증가시키는지를 연구했다. 이 워크숍은 디지털 업무전략을 설계하는 것과 당신의 학습자가 누구인지, 어떻게 그들과 교류해야 하는지를 이해하도록 하였다.(디지털 콘텐츠를 계획하고 스케쥴링 하는 것, 웹, 모바일, 앱, 소셜 미디어를 포함한 채널 들에 의한 기획들을 분석) 2) Feature Speaker: Katherine Zeserson (4:00PM~6:00PM)

▻ Katherine Zeserson이 주요 스피커로 개회사를 전하고 있다.

- 131 -


핵심주제: 참여, 서로 다른 문화 학습자들의 에이전시, 아트 러닝에 전체 기관을 아우르는 방법 발표자 Katherine Zeserson, Tony Grybowski, Uncle Larry Walsh 내 용: Uncle Larry의 환영사와 오스트리아 의회의 CEO인 Tony의 환영사. 예술 가이자 교육가이자 평생 교육 지지자인 Katherine이 자신의 살아온 삶과 예술철학 을 나누었다. Katherine은 어릴 적부터 뮤지션인 부모님과 음악을 하는 두 오빠와 함께 자연스럽게 음악을 가까이 하는 생활이었고, 음악과 더불어 심리학을 공부하 였다. 심리학은 음악의 기본 바탕이 되어 사람과 세계에 대한 이해와 같은 것을 바라보아도 다른 렌즈로 바꾸어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 주었다. 이후 우연한 기 회로 길에서 만난 소녀들에게 음악을 가르쳐달라는 제의를 받고 시작한 음악 수 업은 그녀에게 강력하고 놀라운 경험을 주었다. 그렇게 14년간 예술교육 기관의 창립감독으로 일하며 전문가로 성장한 그녀는 이제 세계의 곳곳을 다니며 배우고 공유하며 가르치는 삶을 살고 있다. 예술이란 예술을 하는 것으로 배우는 것이 아 닌 우리 자체가 예술이며, 예술은 아름다움이고 본질이기에 마치 투명한 유리컵을 으로 보는 것처럼 이것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아름다움을 투영하여 볼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Musical Social Work은 예술, 음악, 사람들, 참여를 불러일으 켜 그녀가 꾸준한 열정을 가지고 이 시대에 스피커로, 예술가로, 교육자로서 길을 걸을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11월 26일 (수) 1) Workshop 200: Building Our Connections (9:30AM~11:30AM)

▻ 이번 포럼을 통해 스스로가 얻고 싶은 것을 종이에 적어 붙였다. 핵심주제: 우리의 축적된 지식, 배움, 함께 필요로 하는 것을 나누고 탐험하기 발표자 내 용: 전체 그룹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에게 부여된 주제에 대하여 생각을 창조하고, 공유하며 나온 결과물을 프로젝트, 이벤트로 준비하여 금요일 오후 <The Wrap> 세션에 나누도록 한다. - 132 -


2) Children in Creative Control (12:00PM~1:00PM)

▻ 스크린 앞에 있는 패널들이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나누고 있다. 핵심주제: 창의적인 공간에서의 아이들 발표자 내 용: 우리팀이 인터뷰했던 Victoria Ryle이 패널로 참여한 세션으로, 여러 인 사들이 모여 학생들이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에 대해서 토론하고 효과적으로 창의력을 이끌어내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었다. 주로 출판이 나 영상으로 기록되는 결과물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아이들이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서 스스로 사유하도록 하고 그것을 창작물로 만드는 과정에서 내용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여줄 적절한 표현기법을 제안하는 정도로 촉진자의 역할을 최소화 하는 것이 창의력을 이끌어내는 방법에 대한 공통적인 의견이었다. 3) Feature Speaker : Deborah Cheetham (2:00pm~3:00pm)

▻스피커인 Deborah Cheetham 이 그녀의 주요 사업인 <Short Black Opera>를 설 명하고 있다. 핵심주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파급효과 발표자 Deborah Cheetham

- 133 -


내 용: 호주 국립원주민오페라 컴퍼니 예술 감독 겸 소프라노인 Deborah Cheetham은 아트러닝의 전체적인 전망과 독자적인 지역 사회의 영향력을 공유했 다. <Short Black Opera>는 아이들이 음악이라는 예술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과 무대 위에서 익혀야 할 기술을 갖추도록 도와주는 예술 단체이다. 이 프로그램은 하루에 세 시간씩, 일주일에 사일동안 진행되며 다섯 번째 날에는 무대 위에서 공연을 한다. Deborah Cheetham은 노래는 단지 노래가 아닌 내가 누구고 어디에 속해있는지 이해시켜주는 도구이며, 아이들에게 자신감과 정체성, 성취감을 느끼 도록 한다고 말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이들은 오페라를 통해 호주 원주민 이야기와 원주민 문화에 대하여 배우기 때문에 그들의 뿌리에 대한 긍정적인 자 부심과 정체성을 느끼게 된다. 아이들이 음악이라는 도구를 통해 새로운 것을 매 우 잘 수용하고, 그것을 바라볼 때 놀랍다고 표현한 그녀를 보며 진정한 문화예 술교육의 필요성과 긍정적인 모범사례를

볼 수 있게 되었다.

4) Using Children and Young People as Researchers (3:00PM~ 4:00PM)

▻ 퍼실리테이터가 다양한 시각자료를 보여주며 창조적 학습방법론에 대한 원리를 전달하고 있다. 핵심주제: 아이들과 젊은이들을 연구원으로 사용하기 (창조적 학습방법론) 발표자 내 용: 퍼실리테이터 Mathilda는 수많은 기관과 호주 학교들 내에서 아이들과 젊 은이들이 연구자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창의적 학습방법론을 사용한 다면 10살 정도의 아이들도 양질의 조사를 실행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창의적인 학습 방법 중 일부를 실습하였다. (예를 들어 ‘하루 중 언제 당신은 영감이 떠오르나요?’라는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한 예시의 답으로 ‘음악을 들을 때, 잠을 잘 때, 산책을 할 때’등의 대답을 이용하여 참가자들이 스스로 가 장 많고, 적은 경우의 비율을 정한다. 이 때 다이아몬드 형태의 모양으로 질문에 대한 다양한 답을 만들어 정리한 후, 순위를 정하도록 하는 형식이다.) - 134 -


11월 27일 (목) 1) Singing with Katherine Zeserson (10:30AM~11:30AM)

▻ 실제 노래 배우기 이전, 간단한 몸 풀기로 신체를 이완하고 있다. 핵심주제: 노래 배우기 발표자 Katherine Zeserson 내 용: 아주 단순하고 쉬운 멜로디와 가사로 이루어진 노래를 함께 부르고, 그 노 래를 4개의 화음으로 나누어 연습한 후 다시 불러 보았다. 화음을 만들면서 노래 를 부른 후 자리를 움직이며 계속 활동을 이어갔다. 참여자들로 하여금 스스로 이 세션을 통하여 노래를 통해 함께 하는 성장, 이해, 관계를 느끼도록 하였다. 2) Activate Articulate Animate (12:00PM~1:00PM) 핵심주제: 개인의 사명 선언서 쓰기 발표자 내 용: 줄리의 교수법을 통해 자신이 열정을 가지고 있는 것, 무엇을 할 때 좋은지, 관심사와 자부심을 가질 때는 언제인지를 자유롭게 글로 써보고, 그 중 3개의 키워 드를 뽑아 함께 공유하였다. 이것을 통해 자신이 생각하고 바라는 핵심 가치를 뚜 렷이 알게 되고, 또한 앞으로의 주요한 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도왔다.

- 135 -


3) Working Groups (2:00PM~3:30PM)

▻ 각 주제별로 논의된 결과를 퍼포먼스 형식으로 준비하는 모습이다. 사진의 그룹 주제는 <Arts Partnership & Collaboration> 이다. 핵심주제: 그룹별 주제를 체계화하여 프리젠테이션 준비하기 발표자 내 용: 첫 날 포럼의 모임 이후로 발전적으로 진행된 각 그룹의 아이디어, 논의를 주제별로

그룹이

모여

나눴다.

우리팀의

주제는

<Arts

Partnership

&

Collaboration> 이었고, 첫 날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와 내용을 정리한 것을 바탕 으로 간단한 퍼포먼스를 하도록 하였다. 사진 속 보이는 의자들은 예술 공동경영 과 협력을 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장애물들을 상징한 것이다. 처음에는 퍼포먼 스를 한 팀만이 이 장애물을 치우는 것으로 시작되고, 이후 지켜보고 있던 다른 참여자들도 장애물을 함께 치우며 결국 공동의 협력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게 된다 는 내용이다. 4) The Wrap (4:00PM~5:00PM)

▻ 각 그룹의 주제를 퍼포먼스로 표현하고 있는 모습이다 핵심주제: 지난 이틀간의 포럼을 마무리하기

- 136 -


발표자 내 용: 아트 러닝 포럼의 완성단계로 그동안 모인 아이디어, 프로젝트, 이벤트와 그룹별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였다. 각각 그룹은 첫 날 주어진 주제를 가장 효과 적으로 나타낼 적합한 도구를 이용하여 발표하였다. 대부분 퍼포먼스를 통하여 나타내었는데 그 중 두 마을에서 4000명의 사람들이 10주간‘art drop’이라는 프 로그램을 참여하여 벌어지게 되는 일을 tv show형식으로 꾸민 것 이 인상적이었 다. 보는 이들에게는 하나의 지역이 예술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 하고 가치 있는 것인지를 느낄 수 있게 하였다. 2. (기관 방문 및 조사) □ 아트 플레이 (ArtPLAY) 기관소개 아트 플레이는 멜버른의 도시 개발 과정에서 철거가 예정된 건물이 있던 멜버른 중 앙 조차장을 복합 문화예술 센터로 탈바꿈한 공간이다 도시계획 담당자와 지방 정부 의원 예술가들이 뜻을 모아 이곳을 아동 및 가족을 위한 공간 예술을 통해 함께 창작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하자는 아이디어를 모았고 이를 기반으로 아트플레이가 탄 생되었다 프로그램 대상자와 기간은 미취학 아동부터 기

세션

장기

세 아이들을 위한 일회적 단

학기 년 로 나뉜다 예술 유형에는 음악 비주얼 아트 드라마와

연극 무용 복합유형 뉴 미디어가 있다 방문목적 어린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지역사회의 연계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문일시

면담자

일 화 오후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아트플레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주요내용 아트 플레이 기관 탐방과 인터뷰 □ 키즈 오운 퍼블리싱 (Kids’ Own Publishing) 기관소개 아이들이 쓰고 그린 글과 그림이 담긴 책을 출판하며 어린이에 의한 어린이를 위한 책을 출판하는 세계 최초의 어린이 전문 출판사이다 어린이들 특히 소외아동들은 직 접 자신의 글을 쓰게 되면서 책 속에 반영된 그들의 모습 그들의 문화 언어를 바라보 고 자신이 만든 책이 출판되어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자존감이 향상된다 어 린이의 손으로 만들어진 책은 지역사회 간 연결고리의 역할을 한다 대상은 아이들과 가족 젊은 부부 방문목적

세 들이 있다 다문화 가정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예술교육의 효과와 파급력을

알아보고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방법을 모색한다 방문일시 면담자 주요내용

일 화 오후

시 분

공동 설립자 키즈 오운 퍼블리싱 기관탐방 인터뷰 - 137 -


시사점·주요성과

□ 예술강사 의무연수에서 예술전반에 대한 인문과목 도입 예술강사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내에 교수법이나 방법론이 아닌 생각을 기를 수 있는 힘과 생각의 지구력을 키우는 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그리고 그 과정을 거쳐 도출된 생각을 나누고 교육적인 활용법을 적용하다보면 창의적인 교수법 이나 방법론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고 생각함 □ 수업의 연구 개발에 앞서 예술에 대한 가치관과 예술 교육에 대한 자신만의 철학을 정립할 기회가 필요함 지금 한국의 제도권 내의 문화예술 교육은 예술강사 정책에 의존하고 있음 국가 적인 재정지원을 받아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예술가들의 경제활동의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 현실임 호주의 예술교육 사례를 접하고 온 결과 예술에 대한 근 본적인 생각과 교육철학을 가지고 있지 않은 한 학생들에게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예술 교육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함 □ 예술교육을 운영하는 공간과 운영주체에 대한 인식 변화가 시급함 학생들이 생각의 틀에서 벗어나 자유로움을 느끼고 창의력을 촉진할 수 있는 공간 에서 예술교육을 해야 한다고 생각함 또한 예술교육의 운영주체가 학교의 담당교사인 이상 학생들이 평가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경쟁의식을 피할 수 없음 담당교사는 예술 강사에게 예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기획 운영 성과에 대한 전체 과정을 맡기고 지역 의 예술단체나 아동센터와의 교류를 도와서 학생들에게 양적 질적으로 향상된 예술교 육을 제공해야함 □ 다른 예술 분야와의 협업 또한 다문화 교육의 일부 호주의 예술교육에서 다문화란 다른 인종과 나라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정을 뜻하는 표현이 아님 나와는 다른 생각을 가진 개인 다른 기법을 가진 예술적인 표현 다른 결과물을 내는 공동체의 행동이나 표현방식을 보고 창의적인 자극과 영감을 받는 것이 다문화 예술교육이라고 생각함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예술분야를 접하도록 하 고 시각예술분야 영화 미술 공예 사진 와 공연예술분야 국악 연극 무용 의 협업으로 자신의 생각을 예술적인 표현으로 이끌어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 138 -


활용계획

□ 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소통하고, 노력하는 예술강사 예술활동의 시범을 보여줄 때 예술강사 본인이 자신감이 없고 학생들의 평가나 시 선을 의식해서 소극적인 표현을 하게 되면 학생들의 창의력과 예술적인 자극에 혼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함 풍부한 예술교육을 위해서는 꾸준하게 실기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생들과의 소통에 솔직하고 적극적으로 임하고 자신이 생각한 교수법을 끝까지 일관 성 있게 유지해야겠다고 생각함 □ 다문화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 사회 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문화라는 표현이 다소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개인의 생각과 현실 안에서 재해석되어 역차별을 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고 생각함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모든 것들을 유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예술강사 스스로가 언행에 유의해야하고 학생들을 대하는 태도에서도 결과나 성과 위주의 수업보다는 소 수의 의견을 존중하고 학생 모두에게 역할을 주어서 함께 참여하는 과정에 의미를 느 낄 수 있는 수업방법을 연구할 것임 □ 다문화가정과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사회적 공유 한국에도 다문화가정이 많이 있으며 현재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에 수업 프로그램으로 다문화 가정의 부모와 자녀가 서로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창작할 수 있는 스토리 북을 제작할 것임 이렇게 수집된 다양한 스토리 북을 영상으로 제작하여 일반 교육기관 학교와 지역아동센터 에 배포하고 이를 통해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상대의 문화를 수용하여 소통할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되도록 할 것임

▻아트 플레이 인터뷰 주제 아트플레이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 139 -


학교와 아트플레이의 예술교육은 질적인 양적인 부분에서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우리는 학교와 매우 다릅니다 멜버른 학교에서는 예술가들이 상주하는 프로그램 들이 있고 크리에이티브 빅토리아 기관이 예술가가 학교에서 일할 수 있도록 지 원합니다 매 해년마다 예술가들이 각 학교를 이동하며

일 동안 일을 하고 있

습니다 때때로 학교에서는 전문적인 예술강사들이 있지만 물론 모든 학교가 그 런 것은 아닙니다 학교는 정해진 커리큘럼에 따라서 수업을 하기 때문에 아트플레 이처럼 전문적이지는 않습니다 아트플레이 예술가들은 각 예술의 영역에서 전문 가들이며 그들은 소그룹 어린이들과도 작업을 하는데 소그룹과의 활동이 프로그 램에 더욱 활발한 자극을 주기 때문입니다 때때로 학교에서도 오기는 하지만 이 곳은 학교와는 또 다른 경험을 주는 곳입니다 호주는 아트플레이 이전에 어떤 문화 예술 공간이 있었는지요 한국의 경우 신도 시가 생겨나면 외식업과 쇼핑몰이 들어서는데요 이런 상황은 외국도 같겠죠 한 국은 키즈카페와 같은 공간이 만들어지고 있는데요 실제 키즈카페는 아이들이 아 닌 부모들을 위한 거예요 키즈카페는 부모들이 모여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휴식하 는 것을 도와요 그곳에는 부모와 함께 참여하는 어떤 교육 프로그램이 없어요 단지 놀이공간이죠 저는 한국이 키즈카페 단계 이상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요 지금의 아트플레이와 같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요 호주도 한국과 같습니다 전에는 새로운 집들이나 지역 센터가 들어서면 그곳에

서관 같은 공간이 들어오는데 예술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새로운 도서관이 생 기는 경우에 그 곳에서 워크숍이나 예술 프로그램을 합니다 얼마나 많은 아트센터가 멜버른에 있냐면 거의 없습니다 아트플레이가 유일한 곳이에요 우리에게는

가지

핵심요소가 있는데요 첫 번째는 전문적인 예술가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재정적인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예술가들에게 그들이 일한 것에 대한 임금을 줘야하니까요 두 번째는 예술가들을 지원하는 매우 좋은 스텝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예술강사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차이가 있는데 스탭들은 이러한 부분을 배워서 도울 수 있죠 세 번째로 우리에겐 멋진 공간이 있습니다 정말 흥미로운 공간이지요 이곳에 온 사람들이 오 이런 공간에서는 무언가 특별 한 것이 만들어 질 거야 라고 말합니다 네 번째는 이 공간을 운영하는 운영진이 죠 사람들이 몇 명 올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이곳에 수용할 수 있을지 걱정하 지 않고 오직 예술가들을 신뢰합니다 이런

가지 요소가 우리의 정체성이며

이러한 일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이죠

특히 재정은 매우 중요한데 그러한 부분에서 우리는 행운입니다 이곳은 완전한 정부지원의 빌딩이구요 정부의 재정으로 이루어집니다 멜버른에서도 이러한 곳은 없습니다 우리가 다음 생각하는 것은 멜버른의 다른 장소에서도 이러한 아트센터 를 세우도록 하는 것입니다

- 140 -


아트플레이의 향후

년 계획은 무엇입니까

우리는 이곳의 프로그램들을 발전시켜서 다른 장소에서도 동일하게 실행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새로운 프로그램은 정부소유의 건물에서 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굳이 이곳에 오지 않아도 아트플레이의 좋은 프로그램을 그들도 경험 할 수 있게 됩니다 멜버른은

만의 작은 도시이고 중심도시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기는 장소가 많이 없고 어린이도 적어요 는 것이 필요하겠죠 왜냐하면

그 다음은 예술가들을 지원하

년 전 아트플레이가 시작할 때만 해도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적었는데 지금은 모든 갤러리에 가면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그래서 나의 직업이 바뀌게 되었죠 지금은 예술가들을 발전시키고 그들 이 새로운 작업을 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아트플레이로 인해 예술가의 지위 신분은 어떻게 바뀌게 되었습니까 예술강사 는 호주 사람들이 잘 모르는 단어입니다 우리는 사람들이 예술강사 라 는 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또한 많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예술 작업과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을 나누었는데요 우리는 이들이 이 두 가지를 함께 하도록 도와줍니다 그들은 자신이 한 예술 작 업을 이곳에서 볼 수 있고 임금을 받고 아이디어를 나눌 수 있습니다 이전에 아이들과 작업한 경험이 없었던 예술 가들이 왔었는데요 우리는 그런 예술가들이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는 실력을 기 르도록 도왔고 그들의 예술활동을 아이들과 같이 나눌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되 면 예술가들이 예술에 대한 생각을 달리하게 됩니다 미국의 한 리서치에 의하면 이러한 방식으로 아이들과 작업한 경험이 있는 예술가들이 그들이 혼자 예술작업 을 했을 때보다 더욱 많은 것을 배우게 된다고 합니다 ▻키즈 오운 퍼블리싱 인터뷰 주제 기관 수혜자들의 다양한 대상과 현재 이루어지는 프로그램들 멜버른 대학의

의 특별한 점은 무엇입니까

예술에 많은 포커스를 맞추고 있습니다 예술 강사들이 시각예술 드라마 수업 합 창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 141 -


사이먼과 빅토리아는 처음 아일랜드에 키즈 오운을 설립하였는데요 왜 두 분은 아이들과 그들의 작업에 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나요 사이먼은 예술강사였고 나는 교사였습니다 우리는 함께 아이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나는 항상 책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아이들이 문학을 읽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었어요 영어는 어려운 언어이기 때문에 우리는 아이들이 그들의 이야기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결국 그 들은 최고의 학생들이 되었습니다 주안점을 두는 것은 아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 울이는 것과 그것에 대한 문학적인 지지를 하며 그들의 가족 지역사회와 연계를 하 도록 하고 좀 더 큰 커뮤니티와 구체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가족이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어떤 점에서 중요한가요 은 매우 어린 나이의 엄마들이 아이들의 책을 읽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몇 개의 프로젝트 중 인디아 엄 마들도 한국의 엄마들과 같은 압박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들은 아이들이 얼마나 잘 하는지 보여주기를 원하고 바랍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저 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부모님과 함께 놀고

술 작업을 하도록 합니다 아이들이 부모님과 함께 시간을 보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문화 아동이나 그 가족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습니까 멜버른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그 중 한가지의 책을 보여줄게요 이후 빅토리아는 사무 실에 있던 다문화 아동이 참여한 책을 보여주며 설명해 주었다 그 책은 남아프리 카에서 온 학생이 자신과 그들의 형제 부모님이 함께 자신의 이야기를 책으로 제 작한 것이었다

- 142 -


해외탐방조사 회의록 구본정, 윤혜성, 최은영 --------------- 2015년 10월 7일 수요일 --------------◎탐방기획서 작성 논의 및 역할분담 논의 - 진흥원 담당자 통화 내용(11/24-28 확정, 면접 시 팀 전체가 면접에 들어감. 영어질문은 영어가능자가 대답, 유관기관 방문 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있는 것이 보고서 작성 시 유리함) - 대외일정 확정(주변 학교 예술교육현장 참관 및 인터뷰, 설문조사 실시) - 학교섭외논의(예술교육이 특화된 주변학교 탐색 후 이메일로 담당자에게 방문의사 전달) - 역할분담 영상기록, 편집: 최은영 자료수집, 보고서정리: 미정 예약, 회계: 미정 ◎ 다음회의 안건: 현지 학교 방문 시 인터뷰 내용 및 설문내용(한 달 문화비 지출액, 하루 예술 활동 소요시간, 정부의 예술교육 지원 형태(부모, 자녀) 등) 선정해서 각자 작성 후 공유

--------------- 2015년 10월 8일 목요일 --------------◎ 탐방기획서 자료수집 및 작성논의 - 자료수집결과 EBS 특별기획 <세계의 예술교육, 그 현장을 가다 호주편> 호주 다문화예술교육 사례자료 http://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fflinefeel&logNo=80139466280 아트플레이 관련자료 http://m.blog.naver.com/roh0511/220225559323 http://m.blog.naver.com/artezine/90184731340 아츠포럼 홈페이지 http://www.australiacouncil.gov.au/strategies-and-frameworks/arts-learning-forum/ - 143 -


--------------- 2015년 10월 10일 토요일 --------------- 수도권 선생님(윤혜성, 구본정) 미팅날짜 결정(10/13 강남역 3시 스터디카페 363) - 탐방기획서 초안 작성 --------------- 2015년 10월 12일 월요일 --------------- 진흥원 담당자 통화 내용전달: 지원서 작성 시 아츠 포럼 프로그램과 자신의 분야의 활동과 연계하여 작성 - 번역작업

우리가 아이들의 목소리를 듣기위해서 우리의 공동체에서 어떠한 창의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 을까. 그리고 어떻게 아이들이 창의적인 상태가 지속되도록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이 논의 속에서 우리는 아이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왜 중요한지 생각해봐야 한다. 예술 공동체 어느 곳에서 아 이들이 잘 적응 하는가. 창의적인 장소가 배운 경험을 강화시키는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아이들과 함께하는 창의적인 행위들이 어떻게 보일 것인가.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하는 예술 활동 이 더 넓은 사회와 문화적인 것과 교육적인 목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

--------------- 2015년 10월 13일 화요일 ----------------개별일정변경(학교방문은 일정상 무리여서 추천기관 방문(아트플레이, 키즈 오운 퍼블리싱, 멜버른아트센터로 변경) -역할분담 완료 최은영(영상기록 및 편집) 윤혜성(자료수집 및 보고서 정리) 구본정(항공권․숙소 예약 및 회계․정산) 오프라인 미팅(강남역 3시, 구본정, 윤혜성 참가) - 144 -


-탐방계획서 수정본 작성완료 (내용추가 및 보완) --------------- 2015년 10월 14일 수요일 ---------------개인 참가지원신청서 작성완료 및 접수완료 --------------- 2015년 10월 20일 화요일 --------------- 1차 서류합격 및 면접일정 확인`

- 부산지역 최은영 선생님 교통편 확인 및 예약 - 면접 예상 질문(프로그램 참여 동기, 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 일 하면서 보람된 기억, 예술교육의 중요성, 교육철학 등) 리스트 뽑아서 취합하기로 함 - 첫 완전체 모임: 면접 당일 9시 30분 명동역 --------------- 2015년 10월 22일 목요일 ---------------- 진흥원 담당자 통화 내용전달: 면접시간 15분, 진흥원 강의경력증명서 제출하지 않아도 됨 - 면접 예상 리스트 초안 작성 - 면접 시 제출할 포트폴리오 자료수집 및 작성논의 --------------- 2015년 10월 23일 금요일 ---------------- 포트폴리오 내용(참가지원신청서, 탐방계획서, 설문지, 회의내용) 및 제목완성 - 면접 예상 질문 정리

- 145 -


- 진흥원 담당자 통화 내용전달: 면접순서 영국팀 다음 10시20분까지 도착요망

면접날 약속

장소 확정: 명동역 1번 출구 9시 30분 --------------- 2015년 10월 27일 화요일 ---------------- 최종발표: 합격 --------------- 2015년 10월 28일 수요일 ---------------- 오리엔테이션 일정공지 (10/31 오전10시) --------------- 2015년 10월 29일 목요일 ---------------오리엔테이션 준비사항 - 금요일 점심까지 기관탐방 인터뷰 내용확정 - 현지 영상촬영 진행(최은영) - 내용(3-7분 내외): 인터뷰, 아트포럼, 멜버른 스케치 영상 - 탐방 계획서 수정 및 설문지 추가 작성 - 노트북 지참(윤혜성) --------------- 2015년 10월 30일 금요일 ----------------호주 탐방팀 두 팀 확정 - 오리엔테이션 발표자료 작성완료 --------------- 2015년 10월 31일 토요일 ---------------해외탐방 사전 오리엔테이션 (진흥원,10시) - 인터뷰 일정 및 질문지, 포럼 선택세션 선택, 여권정보 전달: 화 오전까지 취합, 수요일 제출 - 성과공유회 형식 : 팀별 발표 후 질의응답 (key question, finding) - 제도나 지원정책의 분석, 녹취 영상기록 인터뷰 최대한 활용(결과물의 퀼리티 중요) - 146 -


--------------- 2015년 11월 1일 일요일 ---------------- 포럼 선택세션 논의 - 숙소 잠정 결정: 멜버른 사보이 바이브 - 부산회의 일정 수립(토요일 3시 부산 화명동) - 명함제작 논의 - 부산행 차편 결정: 여주-부산: 버스(8시35분발), 오산-부산: 버스 (8시45분발) --------------- 2015년 11월 2일 월요일 --------------- 호텔정보 조사 및 논의 - 명함 디자인 결정 (예) 앞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마크 삽입 Bella (Hye sung Yoon) Art Facilitator - 147 -


comet8513@gmail.com 사진 삽입 및 큐알코드로 페이스북 연동 - 포럼 선택세션 결정 후 국악 호주팀 공유 25일 10:00-15:00 Great Partnerships: Your Art in Their School 26일 12:00-13:00 Children in Creative Control 26일 15:00-16:00 Using Children and Young People as Researchers 27일 10:30-11:30 Singing with Katherine Zeserson(윤혜성) Learning

Digitally(최은영)

27일 12:00-13:00 Activate Articulate Animate --------------- 2015년 11월 3일 화요일 --------------- 방문기관 아트플레이 인터뷰 질문 작성 및 취합 - 아트플레이 질문 1. 아트 플레이는 정부의 어떤 지원을 받고 운영되고 있는가? 2. 한국에는 학교에서 예술을 가르치는 전문적인 강사가 존재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 학교에서 전문적인 아트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3. 아이들이 아트플레이에서 체험함으로써 변화가 된 사례나 모델로 삼을 수 있는 케이스가 있는가? 4. 매번 프로그램이 바뀌는가?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는가? 5. 창의적 체험을 정의하자면? 6. 아이들이 책을 스스로 제작한다고 알고 있다. 책 제작에 참여 하려면 어떠한 조건들이 있는 가? 7. 아트플레이 워크숍에 일회성인 프로그램들이 있던데, 그 프로그램들이 서로 연계가 되는 것 인가? 8. 당신이 생각하는 창의력이란 무엇인지? 9. 학생들에게 가장 반응이 좋은 프로그램과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10.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특별히 쓰지 말아야 할 용어나 호칭이 있다면?

11. 학생들로 하여금 따듯하고 지지를 받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 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영어 번역 질문 1. 아트플레이에서 다양한 아이들을 만날 때 무엇을 느낍니까? what do you feel when you meet a various children in art play? 2. 아트플레이의 교육철학을 3단어로 말한다면? tell me about art play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ree words? 3. 다문화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있나요? Do you have a program for the multiculture's children? 4. 아트플레이의 5~10년 향후 계획은 무엇입니까? what is a short and long plan from now on 5~10years in art play? 6. 한 아이의 인터뷰를 보았다 그는 아티스트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게 될 때까지 - 148 -


이해시키고 결코 화를 내지 않았다. 그저 자, 이렇게 해보자'라고 했다. 무엇이 이 아이의 인터뷰를 가능하도록 만들었습니까? I read about a children's interview , he said 'artists never have been angry. what to do until I can understand it can be carving on my mind and artists said 'well come on, let's do it like this' I want to know what can make this children interview? - 진흥원 담당자 통화 내용전달: 1. 숙박비 실비상한(77$)과 할인정액(65$) 중 선택요망 2. 실비상한으로 (77*3=총 924달러)안에서 대표 한분이 결재 후 추후 영수증첨부 - 숙박 장소 결정 (바이브 사보이 호텔) - 빅하트 정보공유: 호주의 비영리단체 빅하트(BighART)는 1992년부터 예술가 및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예술 활동을 기획하고 있다. 빅하트의 주요 활용 예술분야 는 영화, 연극, 음악 등이다. 빅하트는 소외계층 안에서 지속적인 변화를 추구한다. 또한, 폭력, 청소년 임신, 총기사고, 토착민 언어 상실, 마약, 술, 노숙, 기수변화, 인종 갈등과 같 은 주요 이슈를 가시화하고 있다. 이로써 사회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 어 개인적‧지역적 발전을 유도하는 양질의 문화 활동을 기획하고 있다. - 빅하트 예상 질문 1. 참가자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느끼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 라고 생각합니까? 2. 예술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서 수혜자가 아닌 제공자가 될 수 있기까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3. 우리나라의 전통노래는 노동의 피로를 잊기 위해 부른 노동요와 농악 등의 민중예술이 존 재합니다. 그들의 문화 속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한 음악과 예술형태는 지금까지 전해지고 여 러 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강강술래, 풍물놀이 등) 호주의 전통문화에 도 그러한 배경을 가진 노래, 예술형태가 존재하는지와 어떤 예술 프로그램과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까? --------------- 2015년 11월 4일 수요일 --------------- 호텔예약완료 - 항공편 일정 논의 - 인터뷰 번역작업 논의 및 빅하트 질문 취합 1. 참가자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느끼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 라고 생각합니까? 2. 예술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서 수혜자가 아닌 제공자가 될 수 있기까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예. 베네수엘라 ‘엘 시스테마’) 3. 우리나라에는 노동의 피로를 잊거나 함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기능의 노동요와 전래놀 이 등 민중예술이 그들의 삶 속에 있었습니다. 그들의 문화 속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한 음악 과 예술형태는 지금까지 전해지고 여러 예술교육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강강 술래, 풍물놀이 등) 호주의 전통문화에도 그러한 배경을 가진 노래, 예술형태가 존재하는지 와 존재한다면 어떤 예술 프로그램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까? - 149 -


4. 참가자들이 서로 마음의 벽을 허물고 공동체를 만들고 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큰 힘 은 어디에서 온다고 생각합니까? - 통장사본 진흥원 전달요망 - 호주 인터뷰 질문지 1차 확정 --------------- 2015년 11월 5일 목요일 --------------- 진흥원 연락 전달: 항공편 확정 월욜 오전출발 일욜 새벽 도착 - 빅하트 질문 번역 완성 2. 나는 예술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혜자가 미래에는 제공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리고 이런 선순환 구조가 예술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빅하트에는 이러 한 예가 있나요? I think it's important beneficiaries who participate in art program is to be providers later. Then such a virtuous circle system can revitalize arts activities. Does Big hart have good examples like this? 3. 참가자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느끼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 라고 생각합니까? What do you think the participants as an important factor that has to feel that it serves as a member of society? 4. 이잘라얄라 프로젝트는 토착민을 대상으로 하여 전통의 의미를 일깨우게 한 성공적인 프로 그램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통예술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특히 자위 따비 프로그램이 인상적 이었는데요, 전통 민요를 젊은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요? I know Yijala Yala Project was to target indigenous people recognizing a successful programs the traditional meaning. Jawi Tjaabi project was impressive, I've educ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chool.

What are effective ways

to

communicate

traditional songs for young people? Could you sing a traditional song a little? --------------- 2015년 11월 6일 금요일 --------------- 포럼 첫날 선택세션 변경: let's get digital - 최은영 선생님 부산발 홍콩행 항공편 잠정 확정 - 탐방계획서, 인터뷰 질문지 완성 --------------- 2015년 11월 7일 토요일 --------------부산 오프라인 회의 - 해외탐방 목적 수립 ㅇ 예술 교육을 통한 창의력 촉진 활동의 교수, 학습법과 주요 프로그램을 알아본다. ㅇ 호주의 문화예술 기관(아트 플레이, 키즈 오운 퍼블리싱) 성공사례를 참고하여 한국의 상황 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ㅇ 다문화 가정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예술교육의 효과와 파급력을 알아보고 한국의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방법을 모색한다. - 참가자 설문지 질문 논의 당신이 생각하는 다문화란 무엇입니까? - 150 -


당신은 어떻게 예술교육을 시작하게 되었습니까? 당신이 생각하는 창의력이란 무엇입니까? --------------- 2015년 11월 9일 화요일 --------------- 진흥원 담당자 전달내용: 첫날 선택세션 ‘open your eyes'로 의견 취합 후 전달, 호주 비자발급용 주소 전달 - 포럼 프로그램 내용 번역본 완성 (추후첨부) - 전통악기 소개 및 설문방식 의견조율(연주 후에 대본대로 설명하고 참가자들에게 설문 받는 방식)

--------------- 2015년 11월 10일 화요일 --------------- 빅하트 심층 인터뷰 자료 공유 http://www.arte365.kr/?p=46527 - 명함제작: 큐알코드 추가삽입 -------------- 2015년 11월 11일 수요일 --------------- 진흥원 담당자 전달내용: 오프닝 세션 현지사정으로 let's get digital로 변경확정 비행기 티켓 일정 변경 발권 및 확정 - 참가자 설문 내용 수립: 다문화 관련 설문으로 잠정 확정 -------------- 2015년 11월 12일 목요일 --------------- 진흥원 팀장님 전달내용: 1. 인터뷰내용 수정 보완 필요 : 기관장과의 인터뷰에 맞는 내용(단체에 대한 조직, 설계, 운영 관련된 심층 질문으로) 2. 아트플레이 키즈오운, 빅하트 이외에 대안으로 방문할 기관 선정 및 전달요함 3. 포럼 참가자들 설문에 대한 자료 제출 요망 4. 자료정리 담당자(윤혜성)가 탐방기관에 대한 자료 정리 및 정보 수집, 포럼 준비 내용 작성 후 전달요망 - 인터뷰 내용 보완 업무분담: 아트플레이(구본정), 키즈오운(최은영), 빅하트(윤혜성) - 호주 초등학교 탐방으로 의견취합 -------------- 2015년 11월 13일 금요일 --------------- 호텔 예약 및 결재완료 - 명함작업에 필요한 정보(사진, 영문이름, 직함) 전달 --------------- 2015년 11월 15일 일요일 --------------- 탐방목적 수정: 3. 멜버른의 지역발전과 문화예술 발전의 연계성을 알아본다. -------------- 2015년 11월 16일 월요일 --------------- 호주달러 환전(최은영) - 151 -


- 명함 1차 시안 수정 및 보완 후 인쇄 진행 탐방기관 인터뷰 내용 수립 아트플레이 1. 호주는 아트플레이 이전에 어떤 문화예술공간이 있었는지? 우리나라 경우, 신도시가 생겨나 면 외식업과 쇼핑몰이 들어선다. 아이들을 위한 키즈카페 이상의 발전이 필요하다. 2. 아트플레이가 생긴 후 학교 예술교육의 운영 변화?, 문화예술 공간의 혜택을 받는 아동과 그 렇지 않은 지역의 차이?, 아트플레이가 가정 내에 여가 시간 및 비용에 어떤 변화를 주는가? 3. 아트플레이로 인해 예술가의 지위, 처우, 신분 어떻게 바뀌었는가? (예술가는 그 지역에 어 떤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는가?) 키즈오운 질문 1. 아이들이 책을 스스로 제작한다고 알고 있다. 책 제작에 참여 하려면 어떠한 조건들이 있는가? The children believe that they are making a book. What kind of requirement are necessary to join in this project? 2. 키즈오운의 수업방식과 강사는 어떻게 배치되는가? 3. 어린이를 위한 공간인 키즈오운은 지역발전에 어떠한 기여를 하였는가? 4. 아트플레이와 키즈오운이 함께 할 수있는 프로그램이 있는가? 5. 출판은 지역단체에서 지원을 받아 책을 만드는 것인가?, 책은 어떻게 공유되고 있는가? 6. 키즈오운이 지역사회에 끼친 파급효과와 기대효과는? 7. 지역사회의 어른을 위한 예술교육이나 공간은 없는가? 8. 학생들로 하여금 따듯하고 지지를 받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 엇이라고 생각하는가? What do you think are the most important ways to make the students feel cared for and supported? - 디지털 카메라(기록용) 준비 윤혜성 - 진흥원 담당자 전달내용 1. 빅하트 사정상 인터뷰 불가, 키즈오운은 24일 2시 방문가능 아트플레이는 연락 후 답변 기 다리는 상태 2. 초등학교 섭외 가능 (학교이름과 인터뷰방식 전달 요망) - 자료 검색 후

Footscray north primary school 로 의견 취합, 설문 방식은 학교방문해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인 학생들 인터뷰 및 전통악기 소개 -------------- 2015년 11월 17일 화요일 --------------- 학교 방문시 학생들에게 전달할 기념품(전통약과) 주문 - 전통악기 소개 선곡 확정 소금: 아리랑(전통민요) 섬집아기(한국 자장가) 넬라판타지아(서양음악) 프론티어, 날으는 밤나 무(창작음악) 얼씨구야(서울 지하철 배경음악) 전통음악 연주곡 정악대금: 청성곡 산조대금: 자진모리 단소: 천년만세

- 152 -


-------------- 2015년 11월 18일 수요일 --------------- 준비물 체크리스트 작성 - 일비, 식비 입금 확인 - 추가환전 -------------- 2015년 11월 19일 목요일 --------------- 명함 제작 완료 - 진흥원 전달 사항: 학교방문 불발, 로밍비 지원(사업수행날짜 내) - 기념품(약과) 도착완료 -------------- 2015년 11월 21일 토요일 --------------- 방문기관 연락 전달: 키즈오운퍼블리싱 방문 후 멜버른대학 부설 유치원 견학 확정 - 아트플레이 약속시간 변경요청: 12시 - 홍콩 경유 약속장소 확정: 2층 맥도날드

- 153 -



팀별 결과보고서 - 호 주 2팀 -

박은수, 이미하, 원지예



호주팀 박은수 이미하 원지예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결과 보고

□ 탐방·조사 목적 호주 예술위원회

에서 매년 개최하는 아츠 러닝 포럼

일부터

일까지 호주 멜버른 푸츠크레이 커뮤니티 아트센

에서 열린다

아츠 러닝 포럼 은 모든 예술 형식

연령 지역을 넘어 학습이나 참여 예술교육에 관심이나 전문성을 가진 예술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매년 일간 개최된다 올해 주제는 문화예술로 풍요로워 지는 일상의 배움 이다 이 포럼은 예술교육

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접근과 해석을 통해 장

르 교육 대상의 연령 및 배경을 아우르는 예술교육 실행의 전략적 비전 창의적 예술 교육프로그램 콘텐츠 교수법 방법론을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 탐방·조사 개요 파견국가 기

호주 빅토리아 주

참 여 자

박은수 원지예 이미하

주요활동

멜버른 아트센터 조사 및 아츠 러닝 포럼 참가

일 일

11am-1pm

멜버른 아트센터 가이드 투어 Theatres and Exhibition Tour 참가, 가이드 인터뷰

2pm-4pm

멜버른 아트센터 담당자 인터뷰 담당자 인터뷰, 아트센터 학생 프로그램 견학

24일

- 157 -

비고


Great Partnerships: Your Art in Their School - Heather Marsh 10am-3pm 예술가 헤더 마쉬와 함께 예술과 교육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대해 탐구 워크숍 진행자 : 헤더 습지

25일

Launch of the Forum featuring international guest, Katherine Zeserson 4pm-6pm (UK) / FEATURE SPEAKER 예술교육포럼 시작 및 캐서린 지저슨 연사 듣기 9am 9.30am-11.30am

등록 Workshop 200: Building Our Connections 네트워크 구축 및 프로젝트 공유 및 아이디어 공유

11.30am-12pm Morning Tea 12pm-1pm BREAKOUT SESSIONS A / Learning on Country / WORKSHOP 1pm-2pm Lunch

26일

Feature Speaker Deborah Cheetham AO 2pm-3pm 원주민 예술 감독과 소프라노 데보라 Cheetham AO 예술 학습과 개인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녀의 관점을 공유 3pm-4pm

BREAKOUT SESSIONS B / Determning Taboo 젊은 사람들과 예술을 할 때 예술가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에 대한 토론

4pm-4.30pm Afternoon Tea 5pm-6pm

Network Leaning 네트워크 모임

Anna Cutler in conversation with Margie Moore OAM 9am-10am 안나 커틀러와 마기 모레와 함께 예술교육이 무엇이며 그것이 뚜렷이 다른 무엇을 만드는 것에 대한 이야기 10am-10.30am Get Ready for Day Two 10.30am-11.30

BREAKOUT SESSIONS A / Singing with Katherine Zeserson 초보자도 함께 할 수 있는 노래 시간

11.30am-12pm Morning Tea

27일

1pm-2pm Lunch // Optinonl Launch of Australia Council Engaaed Communities E-Book Family Working Groups 2pm-3.30pm 주제별로 워킹 그룹에서 토론과 아이디어를 진행하고 마지막 세션에서 전체 포럼에 프레젠테이션하기 4pm-5pm

5pm-6.30pm

Family Group Presentations and Forum Wrap 그동안 나누었던 아이디어와 프로젝트를 프레젠테이션 Closing Reception 리셉션 마치기

- 158 -

비고


주요활동 내용

1. (행사 참여) □ Arts Learning Forum 2015 행사소개 예술 교육 포럼은 모든 예술 형태 연령과 지역 사회에서 예술 교육 학습 참여의 역할에 관심 있는 예술 전문가를 위한

일간의 이벤트이다 각 나라 참가자는 통찰력

사례 공유 및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호주 및 국제 지도자와의 대화의 장을 열 고 영감을 얻을 수 있다 모든 호주인들에게 예술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 을 주기 위한 호주위원회의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인 것이다

아츠 러닝 포럼 은

년 주요 공연 예술 회사에 의해 설립된 예술 교육 포럼의 사업 확장으로 다양한 예술 분야에 걸쳐 워크숍 세션 패널 토론 열린 공간 촉진 등이 열린다

일 동안 참가자

공유 등 예술 학습 방법을 공유하고 논의 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된다 전략적 비전 프 로그램과 전달 참여 방법론 및 기타 문제를 예술 교육 포럼에서 넓고 다양한 토론과 함께 예술 학습이 무엇인지 무엇을 달성 할 수 있을지 토론한다 참여목적 예술교육

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접근과 해석을 통해 장르

교육 대상의 연령 및 배경을 아우르는 예술교육 실행의 전략적 비전 창의적 예술교육프로그램 콘텐츠 교수법 방법론을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참여일시 년

일 까지 일간

주요내용 가

일 포럼 주요내용

일시

Great Partnerships: Your Art in Their School - Heather Marsh 예술가 헤더 마쉬와 함께 예술과 교육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대해 탐구 워크숍 진행자 : 헤더 마쉬

25일

크리에이티브 빅토리아의 자원을 기반으로 교육활동을 하고 있는 Herther Marsh와 함께 호주예술교육과정을 교실 안에서 어떻게 풀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Heather는 예술교육을 통한 교육을 주장하면서 다양한 분야의 과목을 예 술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법을 탐구하도록 하였다.

- 159 -


Heather Marsh의 인터뷰 질문1. 당신이 생각하는 예술교육은 무엇입니까? Heather Marsh : 예술교육에는 두 가지 다른 방법이 있 다. 예술을 위한 교육에서의 예술교육은 예술을 만드는 방법과 다른 아티스트들의 활동내용들을 통해 예술을 배울 수 있는 점이 있다. 또 하나로는 나는 예술을 활용 하여 다른 것 들을 배우는 것에 관심이 많다. 예를 들어 춤을 통해 자연에 대해 배울 수 있고, 미술을 통해 수학 을 배울 수 있다. 나는 그런 교차되는 것들로 배울 수 있는 것에 대해 관심이 있다. 질문2. 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일상에서 할 수 있는 <Heather Marsh>

것은 무엇입니까?

Heather Marsh : 학생들은 예술을 통해 호기심을 가질 수 있고, 예술은 호기심을 유발하는 좋은 촉매제라고 생각한다. 앉아서 지식에 대해 듣고 흡수하는 것 보다는 왜 우리가 이렇게 해야 하지? 왜 이렇게 됐을까? 라는 궁금증을 유발 시킬 수 있다. 학생들은 그 어떤 것보다도 예술을 통해 삶 에 대해 알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 질문3. 학교에서 예술강사가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Heather Marsh : 물론이다. 내가 고등학생 때 우리학교에 코스튬 디자이너로 활동하는 예술가가 왔었다. 그녀는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며 대화하는 법을 알았고 방법을 알려주었으며, 사람들의 아이 디어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알려주었다. 그래서 나는 학교 밖에서의 일들도 중요한 것들이 많이 있 고 더 알고 싶었다. 그 당시 우리 고등학교에서는 대학교에 진학하는 사람이 많지 않았고 나 또한 우리 집안에서 대학을 나온 첫 번째 사람이었다. 예술이 학교로 찾아왔고 그녀는 나의 생각을 더 크게 만들 수 있도록 해주었다. 질문4. 학교나 기관에 예술강사를 파견하는 사업이 있습니까? Heather Marsh : 크리에이티브 빅토리아라는 기관에서는 교사들을 위해 리소스를 만들고 필름을 만든다. 교사들이 어떻게 교육 할 것인지에 대해 만들고 방향성을 제시한다. 크리에이티브 퀸즈랜 드 등 여러 주에서도 비슷한 활동들이 있다. - 160 -


일시

Launch of the Forum featuring international guest, Katherine Zeserson (UK) / FEATURE SPEAKER 예술교육포럼 시작 및 캐서린 지저슨 연사 듣기 Katherine Zeserson 의 연설을 들으며 포럼의 문을 여는 시간. 캐서린은 예술교육에 있어서 예술교육자들이 어디서 왔는지 무엇을 전공하는지 상관없다 고 생각하며, 단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예술적 영감을 나누는 것이 예술교육의 미래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25일

Katherine Zeserson과의 인터뷰 질문1. 당신이 생각하는 예술교육은 무엇입니까? Katherine Zeserson : 사실, 나는 Arts Education 이라 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영어에서

Arts Education

이라는 단어는 혼용을 주고 포괄적이다. 그것은 예술 의 기술적인 부분을 배우는 것과 예술을 통해 무엇인 가를 배우는 것을 나타내기도 하기 때문이다. (캐서린 은 learning 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그래서 나는 주 로

learning

이라는

단어를

선호한다.

왜냐하면

learning 은 함께 무엇인가 행동하고 협력하여 배우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창의적인 교육은 무엇인가를 만드는 것을 연습하고 발명해낼 수 있다. 그것이 예술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Katherine Zeserson>

질문2. 예술교육을 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Katherine Zeserson : 관계다.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서로 신뢰하고, 친절하게 대하고 항상 흥미

- 161 -


롭게 생각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좋은 관계를 만들면 학생들을 서포터 해 줄 수 있고, 교사 또한 학생과의 관계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이 있다고 생각한다. 질문3. 문화예술을 통해 풍요로워 지는 것들이 있다면 무엇이 있습니까? Katherine Zeserson : 엄청난 것이다. 문화예술을 통해 우리 스스로를 알 수 있고 발전해 나갈 수 있다. 교육에 참가하면서 서로 연결이 되고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고, 기술도 늘어날 것이고, 뭔가 아름다운 것을 만들 수 있다. 사실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모든 커리큘럼을 예술을 통 해 교육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질문4. 다문화 학생들을 교육할 때 가장 중요히 생각하고 교육해야 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Katherine Zeserson : 다문화 학생들을 교육할 때는 우리와 다른 커뮤니티, 다른 관계들에 대해 매우 고려해야하고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다름에 대해 분명히 이해하고 시작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다른 문화에서 온 사람들을 하 나로 모으려고 할 때,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해서 존중 할 줄 알아야 하고, 고유의 문화를 잃지 않 도록 해야 한다. 서로의 문화 가치를 존중하고 무엇인가를 활동할 때 더 좋은 것을 발견할 수 있 다. 매우 예민한 부분이다.

나 일시

일 포럼 주요내용 내

Workshop 200: Building Our Connections 네트워크 구축, 프로젝트 공유 및 아이디어의 공유 워킹 그룹으로 진행, 6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하나의 주제에 관한 아이디어를 구축하기 위해 파트너를 정하여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의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26일

- 162 -


일시

Learning on Country / WORKSHOP 원주민 출신인 Curtis Taylor는 교육을 받은 후 자신들의 부족이 살고 있는 땅으로 돌아가 서 원주민들에게 예술교육을 실천하였다. 미국의 서부 카우보이처럼 호주에서도 소를 몰 고 지키는 부족들이 있었는데 그들에게 교육을 하기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벌였다. 그 중에서도 ‘공중전화 프로젝트’는 상대방과 통화를 한다는 설정을 한 후 전화를 하는 연기를 하면서 아주 사소한 것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감정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이다. 우리에게는 매우 일상적이며 단순한 행동이지만 원주민들에게는 연기라는 예술적 활동을 통한 기본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가자들도 전화기를 가지고 연 기를 하는 활동을 가져보았다.

26일

일시

Feature Speaker Deborah Cheetham AO 원주민 예술 감독과 소프라노 데보라 Cheetham AO 예술 학습과 개인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녀의 관점을 공유 데보라는 원주민 출신의 음악 예술 감독이다. 그녀가 원주민 출신으로써 겪은 다양한 에 피소드들과 원주민 학생들을 위한 교육 활동에 대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녀가 설립한 단체에서 하는 주요활동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고, 데보라가 느꼈던 교육 신념에 대해 들 을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26일

- 163 -


일시

Determning Taboo 젊은 사람들과 예술을 할 때 예술가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에 대한 토론 학생들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 학생들을 위한 최선이 무엇인지 교육자 가 어떻게 정할 것이며 그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금기시 되고 있는 것들을 예술을 통해 어떻게 교육을 할 것인가에 대한 참가자들의 아이디어 공 유시간을 가졌다.

26일

일시

Network Leaning 네트워크 모임 포럼에서 준비한 작은 다과회장에서 참가자들끼리 의견을 나누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 참가자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 시간을 가졌다.

26일

- 164 -


일 포럼 주요내용

일시

Anna Cutler in conversation with Margie Moore OAM 안나 커틀러와 마기 모레와 함께 예술교육이 무엇이며 그것이 뚜렷이 다른 무엇을 만드는 것에 대한 이야기 영국의 Tate에서 예술 교육가이자 프로듀서로 있는 안나 커틀러와 함께 예술교육은 무엇 인지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안나 커틀러가 직첩 참여 하지는 않고 마기모 레와 안나커틀러의 인터뷰 영상을 보았다.

27일

일시

BREAKOUT SESSIONS A / Singing with Katherine Zeserson 초보자도 함께 할 수 있는 노래 시간 캐서린과 참가자들이 함께 노래부르는 시간." I sing because I sing" 이라는 가사를 가지 고 다양한 화음을 만들며 음을 이용하는 방법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 졌다.

27일

- 165 -


일시

Family Working Groups 주제별로 워킹 그룹에서 토론과 아이디어를 진행하고 마지막 세션에서 전체 포럼에 프레젠테이션하기 각자 정한 주제를 다시 취합하여 하나의 큰 주제를 만들었다. 우리 그룹의 큰 주제는 콜 라보레이션 하는 것이었는데 예술교육을 통해 다른 예술, 이방인들과 어떻게 융합될 것인 지에 대해 토론하고 아이디어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27일

일시

Family Group Presentations and Forum Wrap 그동안 나누었던 아이디어와 프로젝트를 프레젠테이션 그동안 나누었던 자신들의 주제를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 그룹은 콜라보레이션을 의미하는 큰 산을 만들었는데, 포럼장에 있는 의자들을 이용 하여 큰 산을 만들고 짧은 동화를 만들어 발표하는 중에 참가자들이 서로 힘을 모아 의 자를 모두 옮기는 퍼포먼스를 연출 하였다.

27일

- 166 -


일시

Closing Reception 리셉션 마치기 그동안 가장 즐거웠던 점은 무엇인지, 포럼에서 얻어가는 것, 가장 좋았던 부분에 대해 참 가자들이 서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27일

2. (기관 방문 및 조사) □

멜버른 아트센터 (Art Centre Melbourne) 기관소개

원래는 빅토리안 아트센터 로 알려졌던 아트센터 멜버른 간단히는 아트센터

호주 멜버른 아트센터 지역의 중심부에 위치한 복합공연장이다 호주 빅토리아 주 정 부기관인 아츠 빅토리아 산하 문화 복합 단지로 지역 공연예술의 활성화 일반 시민 의 예술적 경험 증대 및 문화예술 활동으로의 접근성 강화를 목적으로 시작하여

년 조성을

년 완공되었으며 멜버른의 랜드마크이자 도시의 문화적 상징일 뿐만 아

니라 호주에서 가장 크고 분주한 아트센터이기도 하다 연과 공공행사들을 세 개의 공연장에서 열었으며

년 기준으로

번의 공

백 십만 명의 관객을 불러 모았다

음악 춤 연극 코미디 카바레 페스티벌 등의 다양한 장르의 국내 해외 공연을 열 고 있으며 등의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공연장 중 하나인 극장

의 콘서트 극장인 야외극장인

석의

석의 연극 공간

와 이 있으며

의 재건축이 완공되었다 역시 관리하고 있다 - 167 -

석의 연극 전용

년엔

명이 수용 가능한


방문목적 호주 빅토리아 시의 가장 큰 복합 문화 예술 공간인 멜버른 아트센터의

개의 전용

극장을 둘러보고 지역 학교와 연계되어 있는 초 중학교 교육 프로그램을 탐방 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모색 다양한 방법론을 연구할 수 있 는 기회를 갖는다 방문일시 년

일 화요일

면담자

- 168 -


주요내용 가 멜버른 아트센터의

전용극장을 둘러보는 시간을 가졌다

시부터 약 한 시간 동안

가이드의 설명과 함께 극장을 둘러보며 학생들이 주 무대로 갖는 극장을 탐방해 보았 다 세계에서 가장 큰 공연장 중 하나인 극장 콘서트 극장인 인

석의

석의 연극 공간

와 이 있으며

의 재건축이 완공되었다

석의 연극전용 년엔

석의

명이 수용 가능한 야외극장

역시 멜버른 아트센터에서 관리 하고 있다

The Fairfax 스튜디오는 아레나 형식의 극장 형태를 갖고 있다. 여러 방면에서 무대가 잘 보이도 록 만들어졌다. 멜버른 아트센터에 있는 모든 극장들은 조금씩 색이 다르다고 한다. 이유는 색감의 작은 차이가 분위기의 큰 변화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한 건축가의 재미난 발상덕분에 각 극장은 고 유의 색을 가지고 있는데, The Fairfax 경우 빨간색이 상징이다.

Harmar Hall은 멜버른 아트센터 안에 있는 전용 극장 중 가장 큰 극장이다. 주로 멜버른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주 무대로 쓰인다. 이곳의 색은 주황색이 특징인데 이것은 가장 오스트리아의 색이라 고 한다. 원주민의 색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객석의 양 옆에는 발코니 좌석이 있는데 이곳은 객 석으로 사용되지 않고 주로 음향이나 조명을 비추는 역할을 하기위해 비워둔다고 한다.

- 169 -


playhouse 내부의 모든 그림과 색은 호주의 원주민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원주민 화가의 그 림을 전시하고 있으며 다른 극장보다 비교적 작은 객석을 가지고 있다. 주로 어린이들의 공연을 올리고 있으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놀이터에서 편안하게 놀듯이 공연을 관람하고 무대를 준비 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가이드 인터뷰 질문1. 멜버른 아트센터에서 가이드 투어를 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가이드 : 아트센터 멜버른에 오고 싶지만 선뜻 찾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가이드 투어가 개설 되었다. 빌 딩과 극장에 대해 배우고 큰 건물에 혼동이 오는 사람 들에게 건물의 구조나 각 극장이 무엇을 하는지 알려 줄 수 있다. 극장경영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도움 이 되고, 멜버른 아트센터에서 한 번도 공연을 본 적 없는 관객들은 투어를 통해 관심을 갖고 이곳에서의 공연을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질문2. 가이드 투어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연령대는? 가이드 : 매우 다양하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단체 관람도 오고, 나이가 많은 사람들, 극장을 공부하는 사람들 등 다양하다. 질문3.다양한 프로그램 중에서 참여자들의 선호도가 가장 좋았던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가이드 : Backstage Tour 이다. 일요일 오전 11시에 진행 된다. 20명의 정원이 항상 가득 찬다. 건물의 극장 뿐 아니라, 분장실 드레스룸 등 세세히 볼 수 있어 가장 인기가 좋다

- 170 -


멜버른 아트센터의 창작 워크숍 장소로써 지역행사 및 학교 가족 학생들의 창의적 인 음악 활동을 지원해 주는 곳이며 주로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와 연계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그리고 담임교사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프 로그램을 선택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예술교육프로그램 Workshops (Program Primary/Secondary) 프로그램

세부 내용 The Art of Foley – Theatrical Sound Design 폴리의 마술 연극 사운드 디자인 요일 On Demand 장소 The Channel 가격 학생 $24

연극 사운드 스케이프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기술을 탐구하는 2015년 몰입 활동 및 워크숍의 범위를 제공, 학생들은 내레이션과 대화, 소스 음향 효과를 기록하고 사운드 디자인을 완료뿐만 아니라 라이브 라디오 플레이를 위한 음향 효과를 수행 할 수 있는 기회

Into the Music: Federation Bells 음악 속으로 요일 On demand (subject to availability) 장소 The Channel 가격 학생 $24 / 최소 요금은 15명

Birrarung 마르의 상징적인 연맹 벨을 위한 음악을 발견하고 작곡한 드문 기회를 구성 Into the Music: Composition 요일 On demand (subject to availability) 재생시간 Primary 1시간 30분 / Secondary 1시간 30분 또는 3시간 장소 The Channel 가격 학생 $16 (1시간 30분) / $24 (3시간) 학생들에게 음악 제작 및 생산 과정에 대한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 Into the Music: Simple Sampling 음악 속으로 : 단순 샘플링 요일 On demand (subject to availability) 재생시간 1시간 30분 장소 The Channel 가격 학생 $16 샘플링 및 오디오를 트리거의 예술에 대해 알기

- 171 -


Arts Ads: Creating a Bill Poster 예술광고 : 빌 포스터 만들기 요일 On demand (subject to availability) 재생시간 Primary (1시간 30분) / Secondary (1시간 30분 또는 3시간) 장소 The Channel 가격 학생 $16 (1시간 30분) / $24 (3시간) 라이브 성능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눈에 띄고 유익한 법안 포스터에 의존 Director's Cut : Better Films in 90 minutes 90분 더 좋은 영화 요일 On demand (subject to availability) 재생시간 1시간 30분 장소 The Channel 가격 학생 $16 학생들이 BYOD 워크숍과 더 나은 영화 또는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데 도움 Director's Cut : Editing a Video to Music 음악 비디오 편집 요일 On demand (subject to availability) 재생시간 1시간 30분 장소 The Channel 가격 학생 $16 음악 트랙을 선택 재고 영상을 절단 및 시각 효과를 추가하여 비디오 편집 기술을 알아보기 Arts Ads: Creating a Radio Ad 라디오 광고 만들기 요일 On demand (subject to availability) 재생시간 1시간 30분 장소 The Channel 가격 학생 $16 자신이 선택한 제품이나 이벤트에 대해 학생들과 함께 라디오 광고 만들기

이 중 가장 인기프로그램은

이다 학생들에게 음악 제작

및 생산 과정에 대한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자신만의 뮤직비디오를 만들 수 있다 Into the Music: Composition 요일 On demand (subject to availability) 재생시간 Primary 1시간 30분 / Secondary 1시간 30분 또는 3시간 장소 The Channel 가격 학생 $16 (1시간 30분) / $24 (3시간) 학생들에게 음악 제작 및 생산 과정에 대한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

- 172 -


학교교육과 연계된 과정으로 학생들이 직접 자신의 음악을 만들어보고 편집할 수 있는 공간이다.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활용하며 음악을 편집 한 후 뮤직비디오도 만들고,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 할 수 도 있다고 한다.

사운드 스테이지 Sound Stage: Scripted 학생들이 자신의 노래를 직접 녹음 및 편집 하는 활동을 한다. 전문가와 함께 노래를 편집 녹음 하면서 사운드 디자인을 터득한다.

the channel 안의 작은 무대이다. 학생들이 자신이 만든 음악을 연주하거나 공연을 하는 장소이다. 뮤지션을 초청하여 공연을 관람하고 토론하는 장으로 쓰인다.

- 173 -


Creative Learning Producer, Amy Bennett 인터뷰 질문1. 멜버른 아트센터는 무엇을 하는 곳입니까? Amy Bennett : 예술적 퍼포먼스, 댄스, 노래, 코미디, 연 극 등 다양한 공연이 있다. 유명 뮤지션들을 초청하여 공연을 하기도 한다. 2가지 타입의 쇼가 있는데 홀을 이 용한 쇼가 있다 예를 들어 오케스트라와 같은 홀 안에 서 진행되는 공연이 있고, 야외에서 사람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질문2.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Amy Bennett : Channel이라는 장소에서 교육을 한다.

<Amy Bennett>

학생들이 와서 쇼를 보고,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음악을 만들고 (컴퓨터를 이용)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창조물을 만들도록 도와주고 있다. 질문3. 멜버른 아트센터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무엇입니까? Amy Bennett : 학생들에게 영감을 주고 무엇인가 창조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질문4. 이곳에서 가장 인기 있는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Amy Bennett : Making Music 이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음악을 만든다. 이 프로그램은 매우 인기 있다. 왜냐하면 어린 아이부터 청소년까지 모두 할 수 있고, 그들은 클래식, 팝, 락 등 다양한 음악장르를 활용하여 뮤직비디오도 만들고 음악을 만들 수 있다. 질문5. Term 1,2,3,4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Amy Bennett : 빅토리아 학교 교육 커리큘럼에 따라 나누어져 있다. 질문6. 프로그램은 매년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져있는가? Amy Bennett : 워크숍은 비슷할 때도 있고 바뀔 때도 있다. 주로 2년마다 새로 만들고 있고 아트 센터에서 열리는 쇼는 매일 바뀐다. 질문7. 선생들을 위한 프로그램도 있다고 하던데 ? Amy Bennett : 프로패셔널 러닝 이라고 부른다. (profecinal Running) 쇼에대해 배우고, 쇼를 이용하여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도 배운다. 컴퓨터 뮤직에 대해서 도 배우고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무엇을 선택 할 지 정할 수 있다. 질문8. 다문화에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이 있는가? Amy Bennett :

과거에 원주민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매우 나쁘게 다루었던 것이 사실이고 유감

스럽게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협력해 나가려고 노력한다. “Secreat reva" 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을 통해 강을 걸으며 원주민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그들의 스토리를 듣 는 프로그램이 있다.

- 174 -


시사점·주요 성과

□ Arts Learning Forum 2015 이 아닌 호주 국가 안에서의 예술교육에 대한 포럼이므로 호주 교육 과정을 알지 못하면 포럼 활동에 어려움이 있다

□ Art Centre Melbourne 호주 정부는 모든 학생들에 대한 교육을 통해 예술을 진흥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갖 고 있다 이 분야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뒷받침하기 위해 현재 많은 활동이 시행되고 있으며 학교와 기관간의 밀접한 관계로 학생들이 체계화된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 다 무대 무대기술 연기 카메라 의상디자인 편집 각본 시나리오 음향까지 다양한 과정들의 교육 프로그램이 있어 각 부분의 총체적인 기본 지식과 관심영역의 전문적 학습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과정들은 실습을 위주로 하는 실용적 프로그램이며 몇몇 학교들은 인턴십 과정을 포함시켜 학생들을 직접 현장에서 일하여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구체적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시사점 우리나라는 전반적으로 교육 흐름이 적성이나 잠재력 관심분야를 집중 개발하고 찾 아내기 보단 어렸을 때부터 일방향의 주입식교육과 입시위주로 가고 있다 예술교육과 국어 영어 수학 등의 교과목이 중학교 때까지 통합으로 이어지다가 고등학교 때가 되 면 인문과 실업 예능계열로 나뉘어 통합적이고 전반적이 예술교육은 대학진학과 함께 그 교육의 방향이 나뉘며 분리된다 예술교육은 대학 진로와 전공을 위한 선택과목으 로 유치원 초 중학교 때까지만 학교 수업으로 이어지며 고등학교 때는 사교육기관과 개인 교습 등에만 치중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대학과 대학원 과정을 통해 입시에 서 벗어난 조금은 낯설고 익숙하지 않은 실제적인 예술교육과 함께 잠재력 독창성을 개발하며 현장경험학습을 하고 다양한 문화경험과 교육현장을 경험하고 배우게 된다 예술교육의 폭과 다양성이 예전보다 많이 좋아지고 그 기회는 늘었지만 현장경험이나 실습 예술인과의 만남 등은 어렸을 때의 교육기관으로부터 접해지지는 않는 것 같다 이러한 예술교육 기관과 프로그램도 아직은 미비하고 부족한 것이 실태이다 우리나라 는 입시위주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자신의 적성과 잠재력 관심분야 재능을 발견하고 경험하는 다양한 인지교육 예술교육을 통해 그 전공분야와 시야를 넓혀 보 다 나은 예술교육의 현장이 되도록 더 많은 관심과 발전에 힘을 가해야 할 것이다

- 175 -


활용계획

□ 학교와 예술기관이 연계된 예술교육 프로그램 멜버른 아트센터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있 다 그 구성이 매우 조직적이고 완성도가 높아 학교안의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자리 잡 을 수 있었다 현재 한국의 예술교육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현장체험학습으로 이루 어져 있어 단발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학교와 예술기관이 협력하여 장기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예술교육 커리큘럼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자율학기제가 실시되고 있는 학교와 전문 예술교육기관이 협력하여 한 학기 일 년 계획을 잡아 학생들이 단계별 전문 예술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예술교육 프로그램

현재 입시위주의 공교육으로 문화 감수성을 길러낼 수 있는 문화예술분야 교육프로 그램이 부족하며 점차 개인성이 강화되는 사회에서 차이와 다양성의 인정을 체득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도 부족하다 문화예술교육은 개념과 방향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도 부족하다고 본다 앞으로 학생들의 창의성 증진과 풍부한 예술적 경험에 목적을 두고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 176 -


회 의 록 □ 해외탐방 1차 회의록 회의명 일

참석자

멜버른 아트센터 담당자 인터뷰 및 가이드 투어 2015. 11. 24 (화) 박은수, 원지예, 이미하 ■ 일정 확인 일

내 용 멜버른 아트센터 가이드 투어 11am-1pm Theatres and Exhibition Tour 참가, 가이드 인터뷰 24일 멜버른 아트센터 담당자 인터뷰 2pm-4pm 담당자 인터뷰, 아트센터 학생 프로그램 견학

회의 내용

■ 멜버른 아트센터 담당자 인터뷰 점검 ⦁ 준비물 : 인터뷰자료, 카메라, 캠코더, 녹음기 ⦁ 진행순서 : 사전연락 → 만남약속 → 인터뷰진행 → 견학 ■ 멜버른 아트센터 가이드 투어 인터뷰 점검 ⦁ 준비물 : 인터뷰자료, 카메라, 캠코더, 녹음기 ⦁ 진행 순서 : 투어예약 → 가이드 만남 → 가이드 투어 → 인터뷰 ■ 가이드 인터뷰 질문1. 멜버른 아트센터에서 가이드 투어를 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질문2. 가이드 투어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연령대는? 질문3. 다양한 프로그램 중에서 참여자들의 선호도가 가장 좋았던 프로그램은? ■ Creative Learning Producer, Amy Bennett 인터뷰 질문1. 멜버른 아트센터는 무엇을 하는 곳입니까?

인터뷰 내용

질문2.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질문3. 멜버른 아트센터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무엇입니까? 질문4. 이곳에서 가장 인기 있는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질문5. Term 1,2,3,4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질문6. 프로그램은 매년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져있는가? 질문7. 선생들을 위한 프로그램도 있다고 하던데 ? 질문8. 다문화에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이 있는가?

기타 사항

없음

- 177 -


□ 해외탐방 2차 회의록 회의명 일

참석자

아츠 러닝 포럼 관련 내용 2015. 11. 25 (수) 박은수, 원지예, 이미하 ■ 포럼 일정 확인 일

Great Partnerships: Your Art in Their School - Heather Marsh 10am-3pm 예술가 헤더 마쉬와 함께 예술과 교육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대해 탐구 워크숍 진행자 : 헤더 습지 25일 Launch of the Forum featuring international guest, Katherine Zeserson 4pm-6pm (UK) / FEATURE SPEAKER 예술교육포럼 시작 및 캐서린 지저슨 연사 듣기

회의 내용

■ 구성원별 역할나누기 ⦁박은수 : 내용 정리 및 통역 ⦁원지예 : 사진촬영 및 참여 ⦁이미하 : 영상촬영 및 보고서 작성 ■ Heather Marsh와의 인터뷰 여부 확인

질문1. 당신이 생각하는 예술교육은 무엇입니까?

인터뷰 내용

질문2. 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일상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질문3. 학교에서 예술강사가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질문4. 학교나 기관에 예술강사를 파견하는 사업이 있습니까?

기타 사항

없음

- 178 -


□ 탐방 3차 회의록 회의명

아츠 러닝 포럼 관련 내용

2015. 11. 26 (목)

참석자

박은수, 원지예, 이미하 ■ 포럼 일정 확인 일

시 9am

9.30am-11.30am

등록 Workshop 200: Building Our Connections 네트워크 구축 및 프로젝트 공유 및 아이디어 공유

11.30am-12pm Morning Tea 12pm-1pm BREAKOUT SESSIONS A / Learning on Country / WORKSHOP 1pm-2pm Lunch 26일

회의 내용

Feature Speaker Deborah Cheetham AO 2pm-3pm 원주민 예술 감독과 소프라노 데보라 Cheetham AO 예술 학습과 개인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녀의 관점을 공유 3pm-4pm

BREAKOUT SESSIONS B / Determning Taboo 젊은 사람들과 예술을 할 때 예술가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에 대한 토론

4pm-4.30pm Afternoon Tea 5pm-6pm

Network Leaning 네트워크 모임

■ 구성원별 역할나누기 ⦁박은수 : 내용 정리 및 통역 ⦁원지예 : 사진촬영 및 참여 ⦁이미하 : 영상촬영 및 보고서 작성 ■ Katherine Zeserson와의 인터뷰 여부 확인

질문1. 당신이 생각하는 예술교육은 무엇입니까? 질문2. 예술교육을 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인터뷰 내용

질문3. 문화예술을 통해 풍요로워 지는 것들이 있다면 무엇이 있습니까? 질문4. 다문화 학생들을 교육할 때 가장 중요히 생각하고 교육해야 하는 것이 무엇이라 고 생각합니까?

기타 사항

없음

- 179 -


□탐방 4차 회의록 회의명

아츠 러닝 포럼 관련 내용

2015. 11. 27 (금)

참석자

박은수, 원지예, 이미하 ■ 포럼 일정 확인 일

Anna Cutler in conversation with Margie Moore OAM 9am-10am 안나커틀러와 마기 모레와 함께 예술교육이 무엇이며 그것이 뚜렷이 다른 무엇을 만드는 것에 대한 이야기 10am-10.30am Get Ready for Day Two 10.30am-11.30

BREAKOUT SESSIONS A / Singing with Katherine Zeserson 초보자도 함께 할 수 있는 노래 시간

11.30am-12pm Morning Tea 27일

1pm-2pm Lunch // Optinonl Launch of Australia Council Engaaed Communities E-Book Family Working Groups 2pm-3.30pm 주제별로 워킹 그룹에서 토론과 아이디어를 진행하고 마지막 세션에서 전체 포럼에 프레젠테이션하기

회의 내용

4pm-5pm

5pm-6.30pm

Family Group Presentations and Forum Wrap 그동안 나누었던 아이디어와 프로젝트를 프레젠테이션 Closing Reception 리셉션 마치기

■ 구성원별 역할나누기 ⦁박은수 : 내용 정리 및 통역 ⦁원지예 : 사진촬영 및 참여 ⦁이미하 : 영상촬영 및 보고서 작성 ■ 설문지 배포에 관한 이야기

기타 사항

없음

- 180 -


개별 결과보고서

1. 호주_구본정(연극) “나의 호주 문화예술 답사기!” 2. 영국_권혜진(사진) “다른 말, 같은 생각: 영국 미술관 교육의 흐름과 동향” 3. 영국_김진형(사진) “미래를 기약하는 토론의 장” 4. 호주_박은수(국악) “호주의 예술교육, 예술가를 만나다” 5. 미국_변미섭(만화‧애니메이션) “꾸준히 변화하고 진행되어지는 예술교육” 6. 호주_원지예(국악) “더 큰 꿈을 꾸게 해준 호주 멜버른 예술교육” 7. 호주_윤혜성(국악) “살아 숨쉬는 Multiculture와 마주하다” 8. 호주_이미하(국악) “예술과 교육이 함께하는 곳” 9. 미국_이보늬(연극) “미국탐방 활동보고서” 10. 미국_이현지(만화‧애니메이션) “대상자로부터 시작하는 교육” 11. 미국_전인혁(연극) “다양한 환경에 따라 변화해야하는 예술교육의 역할” 12. 영국_정은경(사진) “안에서 안으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 13. 미국_정혜영(영화) “미국 예술교육의 현장을 다녀오다” 14. 호주_최은영(영화) “멜버른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15. 미국_최현주(무용) “첫 번째 해외탐방 도전기”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나의 호주 문화예술 답사기 성 명

구 본 정 연극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연극분야 예술 강사로

년 일을 하면서 보람 있던 순간도 아쉬운 순간도 있었는데

문득 문화예술교육을 하며 나는 과연 이 길을 잘 걸어가고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었

다 외국의 예술교육의 교육 방향과 목표는 어떤 운영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을까? 하 는 궁금증과 나 자신의 변화에 대한 목마름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러던 중 진흥원 공 지에서 ‘해외 문화매개자 탐방 지원서’를 보게 되었고, 이번 문화 매개자 해외탐방 은 우물 안에 갇혀있는 나에게도 변화에 도전을 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지원 하게 되었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우리 팀원들은 서로 아는 사이가 아니라 이번 매개자 해외 탐방을 위해 모인 팀원들이다 처음부터 친교가 목적이 아니었기에 이 활동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자 모 인 부분을 장점과 특이사항으로 생각하고 있다 각자 지역이 멀리 떨어져 있어서 대부 분의 경우 온라인상에서 회의를 할 수 있었고 항상 회의를 한 부분을 정리하여 회의록 에 기록하였다 그렇게 회의를 진행하는 동안 면접에서 필요한 질문을 서로 나누고 공 유하여 준비 하였고 자기 소개서 작성은 각자가 작성하여 팀원끼리 함께 공유하며 피 드백을 하였다 자기소개서는 각자가 실제로 해외 탐방을 기대하고 원하는 필요와 목적 에 따라 솔직히 기록하여 작성하였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각자가 궁금해 하고 알고 싶었던 주제를 정하였고 그 이후에 모여 함께 나눈 의견에 따라 범위를 축소하여 주제를 정하게 되었다 특히 기관 탐방으로 가게 된 이와 고

키즈 오운 퍼블리싱 의 예상하였던

기관

아트 플레

년 진흥원자료집은 데스크리서치에 큰 도움이 되었

이외에도

빅토리아

라일이

소개해

도 탐방 할 수 있어서 감사했다

- 183 -

멜버른

대학의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아트플레이 아동 예술 및 놀이를 위한 공간이며 아동 친화적 도시인 멜버른의 예 술적이고 창의적인 문화발전에 기여하는 학교 밖 프로젝트다 키즈 오운 퍼블리싱 어린이에 의한 어린이를 위한 책을 출판하는 세계 최초의 어린이 전문 출판사이다 멜버른 대학의

창조적이고 유능하며 호기심 많은 아이들의 모습을 지향하는 멜

버른 대학의 부설 유치원이다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아트 플레이 아트플레이가 지역사회 학교 예술가의 지위와 신분 한국의 키즈카페 와 비교하여 아트플레이가 주는 교훈 에 미치는 영향 인터뷰 주제 키즈 오운 퍼블리싱 기관 투어 및 아이패드로 책이 만들어 지는 과정 체험 기관 수혜자들의 다양한 대상과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활동들 인터뷰 주제 멜버른 대학의

탐방과 아이들의 수업 참여 팀 내의 전통음악 연주자

윤혜성 선생님의 한국 전통 음악 설명과 연주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아트 러닝 포럼은 매년 진행되는 호주 국내의 예술 포럼으로 올해의 주제는

문화예술로 풍요로워지는 일상의 배움 이다 호주 예술 위원회 주관으로

일간

열리는 이 포럼은 예술 교육 분야 전문가 유관 기관 관계자 예술가 등을 대상 으로 예술교육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접근 및 해석 장르 교육 대상의 연령 및 배 경을 아우르는 예술교육 실행의 전략적 비전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그램 콘텐츠 교수 법 방법론 공유 예술 교육과 관련된 최근 국제 동향 및 주요 이슈를 논의한다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아트 플레이 사진 속으로만 보았던 아트 플레이는 멜버른 시내의 주요문화 단지 안에 자리해 있 었다 주변에 자리 잡고 있던

호주 공중파방송국

트센터 사이에 돋보이는 이 공간은 방문한 날

영화 박물관

멜버른 아

해당 프로그램 리허설로 인해 실내의

공간을 제대로 볼 수는 없었다 당시에 리허설 중인 프로그램은 아이들이 참여하여 나온 결과물을 가지고 예술가들이 - 184 -


작업하였고 그것을 다시 아이들에게 선보이는 프로그램이라고 하였다 또한 인상적인 공 간은 현재 전시실로 사용되는 곳인데 주제는 나의 잃어버린 물건 즉 자신이 쓰던 물건 중 잃어버려서 더 이상 못쓰게 되는 물건을 재구성한 작품들 이었다 남은 한 짝의 양말 이 날아다니는 새나 배트맨이 되기도 하고 작은 미니어쳐 인형들이 그들이 사는 마을이 나 집들이 되는 공간을 만들었다 각 작품에는 아이들의 이름들이 붙여 있었고 마치 공 연장의 소품실처럼 매우 다양하고 이색적인 재료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입구 쪽에는 상 하반기 프로그램 브로셔들이 안내되어 있었는데 이 기관에서 얼마나 다양하고 활발히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아트 플레이 공간 뒤에는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놀이시설이 있었고 우리가 방문한 시간에도 한 가족이 아트 플 레이를 견학 중이었다 무엇보다 부담 없이 언제든 방문 할 수 있다는 위치적 장점이 있 고 어린이 대상 외에도 여러 연령대를 위한 다양한 커리큘럼 프로그램이 있다는 점에서 한국도 이와 같은 시설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키즈 오운 퍼블리싱 빅토리아의 안내로 사무실 안을 볼 수 있었다 사무실은 생각보다 매우 아담한 공 간이었고 사무실에 함께 일하는 동료들이 매우 따뜻하고 밝은 분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빅토리아는 아이들이 직접 제작한 작은 책부터 인쇄된 책들까지 다양한 종류의 책들을 보여주며 설명해 주었다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호주에 사는

남 수단

의 한 아이가 스스로 이야기 속 인물에 빗대어 이야기를 창작한 동화였다 이 아이는 책 속에 인물에 빗대어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그렸고 아이의 친 형제와 부모들이 각 자 자신의 이야기를 창작하여 함께 공동 작업을 하였다 마치 가족 한 권의 역사가 담긴 가보처럼 함께 만든 이들의 사진들과 설명이 있었는데 행복한 모습의 가족들의 얼굴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이전에는 이 기관이 아동을 대상으로 주력하여 활동 을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는데 막상 방문 후 아동 뿐 만 아니라 그들의 부모와 가 족 다양한 연령대에게 포커스를 맞추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 다 문화예술교육은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수혜 당사자 뿐 아니라 그들과 연결되어 있는 가족 지역 공동체 등과 유대관계를 잘 이끌 수 있도록 돕고 결국에는 한 지역 과 사회가 혜택을 받고 구성원들의 인식을 변화시킨다 이런 측면에서 키즈 오운 퍼 블리싱은 시사점을 준다고 생각되었다 멜버른 대학교의 는 키즈 오운 퍼블리싱과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해있었고 총 면적은 크지 않 지만 한 눈에 보아도 자연 친화적인 곳임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주위에 아기자기 한 미니 정원들과 나무 오두막들로 꾸며져 있었다 이곳에서 아이들은 정규 수업 외에도 음악 시각 예술 드라마 댄스 등의 다양한 문화 예술 교육을 받고 있었다 그 공간 에는 아이들이 수업을 통해 창작한 것이 전시되어 있었다 한 쪽에 사람의 뼈 모형과

- 185 -


처럼 된 사진이 있고 그것과 관련되어 브레인스토밍 된 종이들이 보였다 주제가 몸 이라면 다양한 물음들이 나오고 그 질문들과 연계하여 수업을 준비하고 체험하도록 커리큘럼이 설계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그 공간에 미로 라는 주제로 아 이들이 그린 그림들이 있었고 빅토리아가 사진을 찍어서 아이 패드로 책을 만드는 과 정을 보여주었는데 아이들의 그림을 찍고 이름을 적는 과정에서 빅토리아가

의 담

당자께 누구의 것인지를 묻자 바로 그림이 누구누구의 그림이라고 학생의 이름을 말해 서 놀라웠다 그것만으로도

교사들이 아이들과 그들의 활동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얼

마나 깊은 지를 느낄 수 있었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개인적으로

의 워크샵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같

은 시간대에 진행되는 세션 중에서도

참여자들이 가장 많았지만 진행되는 공간이 매

우 협소하다고 느껴질 만큼 작았다

도 이 작은 공간에서 이렇게 많은 사람

들과 함께 음악 수업을 하는 것이 처음이라고 하였다 음악수업이지만 이 공간에는 어 떠한

악보도

악기도

연주자도

없었다

아주

간단한

이 알려준 노래가사를 몇 번 함께 불렀다 이후

동작들로

워밍업을

하고

파트로 나누어 화음을 구분

하고 다시 함께 화음으로 노래를 하였는데 이 짧은 시간에 이렇게 간단하고 쉽게 멋진 화음이 만들어 진다는 것에 대해 매우 흥미로웠고 놀라웠다 물론 나에게 이러한 노래 수업은 처음이기도 하였지만 아주 단순한 가사와 멜로디를 반복하는 것이라 부담감은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무엇보다 악보를 볼 줄 몰라도 누구나 함께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 나에겐 좋았다 수업을 마무리하면서 질문을 우리에게 하였다 짧은

왜 음악인가 라는 근원적인

시간이지만 음악에 거의 문외한인 내가 노래 부르기를

흥미롭고 재미있다고 느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음악이 주는 힘이라 생각된다 또한 합창은 나 혼자가 아닌 다른 누군가의 협력이 필요하고 그렇게 서로가 주고받 은 반응과 반응들이 매우 큰 에너지를 만들기에 워크숍을 통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서 작은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서로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마치 이러한 합창의 하모니처럼 서로에게 귀 기울이며 네트워킹하고 또한 각자 자기의 파트와 같 은 자리에서 해야 하는 일을 꾸준히 묵묵히 해야 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 날 불렀던 가사의 내용은 나는 좋아요 당신도 좋아요 당신이 좋다면 나도 좋아요 당신이 듣는 다면 나도 들어요 우리가 좋다면 세상도 좋아요 인데 가사 내용의 함축이 바로 이 워 크숍 안에 그대로 녹아져 있었던 것 같다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 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우리 팀은 처음 아트 플레이와 키즈 오운 퍼블리싱 외에 탐방과 인터뷰를 하고 싶었 던

빅하트 라는 기관이 있었는데 포럼에 참가하면서 우연히 만나게 된 여성분이

- 186 -


하트 의 프로듀서 히도 자주 만났던

여서 매우 놀라웠다 각 세션 장소를 이동하여 유난 와 대화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었다 그녀는

년 전 부

천 판타스틱 영화제 참여로 한국을 처음 방문했었는데 그 때 처음 눈을 보았다고 했 다 처음 본 눈을 설명하는 그녀의 얼굴에서 아이와 같은 천진함이 느껴졌다 또한 한 국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이 무엇이었냐는 나의 질문에 영화관이라고 말했다

영화

관에 갔는데 의자가 흔들리고 향기가 나는 의자의 다양한 기능을 떠올리며 당시의 기 분을 몸으로 표현했다 빅하트가 처음 어떻게 시작되었느냐는 질문에 처음에는 단 한가지의 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고 하였다 작은 한 가지의 프로그램이 지금의 다양한 지역과 사회 문제를 대변하고 그들의 소리를 내는 단체로 발전하였다는 부분에서 놀라웠다 그 외에도 여 러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유쾌한 시간을 보냈다 또한 그녀에게 들려주기로 한 한국 음악 연주 약속이 변경되어서 마지막 마무리 시 간에 모인 모든 사람들 앞에서 발표 한 것도 기억에 남는다 팀원 중 한국 음악을 하 시는 윤혜성 선생님이 악기를 갖고 가셨고 마지막 날 포럼 마무리 시간에 우리 팀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한국 전통음악을 그곳에 모인 분들 앞에서 선보였다 음악이 시작 되자 그들의 태도와 집중 음악이 끝나고 이어진 박수소리로 얼마나 크게 관심과 감탄 이 집중되었던 것인지 알 수 있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서 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박

일간 참여하였던 아트 러닝 포럼을 통해서 예술가와 관계자 기관의 상호 커뮤

니케이션이 얼마나 중요하고 필요한가를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다 그동안 강사로 활 동해 오면서 시간을 내어 진지하게 스스로 생각하고 고찰했던 시간들이 많이 없었던 것 같았는데 이번 포럼을 통해 그러한 시간을 갖게 되었던 것 같아서 감사했다 포럼 세션 중에 자신의 사명 계획서를 작성해 보는 시간이 있었다 강사의 다양한 질문에 스스로 글을 적고 나중에

가지의 키워드를 선택하는 시간이 있었는데 나는 을 적었다 이 세 가지 키워드는 이번 포럼을 통해서

내 안에 더욱 동기 부여가 된 부분들이기도 하고 그동안 문화예술교육을 하면서 내 안에 나도 모르게 자리 잡은 핵심 요소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이 세 가지의 키워드는 중점적으로 더욱 힘차게 뻗어나가야 할 앞으로의 방향표지판 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처음 진흥원의 공고를 보고 함께 탐방을 할 팀원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우리팀은 다른 팀과는 다른 부분들이 있었다 이전에 서로 몰랐던 분들이기에 처음 준비하는 과정부터 친교의 목적보다 전문적인 역할 측면이 강하게 부각되었다 함께 아이디어를 내고 피

- 187 -


드백을 하는 과정들 즉각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과정들이 많이 있었는데 그 때마다 다 른 팀원들이 서로 적절한 조언과 협력를 하였기에 짧은 과정을 준비하였지만 순탄히 진 행될 수 있었지 않나 생각된다 한국에서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느꼈던 부분이지만 실 제 외국에 나가 활동하면서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었고 협력하였던 순간들이 많이 있었다 활동하면서 자칫 각자의 생각들이 복잡히 얽힐 수 있는 부분이 있을 때에도 의견을 주고받으며 공동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들이 있어서 팀워크 측면으로 볼 때 매우 탁월 한 팀 구성이었다고 생각한다 향후 계획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

후 본인의 계획 이번 해외 탐방 조사를 통해서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만났던 경험은

스스로 매우

소중한 경험과 자산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기관인터뷰를 통하여 만났던 분들은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오랫동안 작업을 하였던 분들이라 그분들과 대화를 통해 많은 인사이트를 얻게 되었다 이전에 그러한 선배와 같은 롤 모델을 쉽게 만날 수 없었기 에 스스로 일에 대한 자세나 안목 시각이 부족하였던 부분들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얻게 된 네트워킹으로 인해 나 또한 그 분들과 같이 내가 하는 일들에 있어서 순수한 열정과 애정을 가지고 대해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앞으로도 이 러한 국제무대에서 열리는 다양한 문화 예술 현장을 꾸준히 참가하여 네트워킹하며 배우고 싶고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한국과 연결된 해외 국가와 꾸준히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고 싶다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제 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현장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과 네트워킹 자리에 참여하기에 언어실력의 부족함을 많이 느꼈기에 이 부분을 업그레이드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현장에서 활 동하고 있는 많은 예술 강사분들 또한 저와 같은 해외 문화예술교육에 많은 관심 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현지 언어를 이해하는 일은 결코 만만치 않다 마음 은 그렇지 않지만 언어가 숙련되지 않다보니 참여를 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할 수 없었던 부분들이 있어서 매우 아쉽게 느껴졌다 예술 강사들을 대상으로 언어 프로그램을 배우고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실제로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된다 단 기 어학 코스 동영상 강좌 지원 등 언어가 유창하다면 정말 무궁무진한 가능성 이 있으므로 이 부분을 보완하는 체계가 성립되었으면 한다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될 경우 포럼이나 컨퍼런스의 형식보다는 나라별로 문화 예술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지 기관 교육 센터 을 밀도 있게 탐방 하는 것이 더욱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그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프

- 188 -


로그램과 워크숍에 직접 참여하여 배울 수 있는 형태나 그 안에서 직접 설계하고 진행하는 프로듀서 매니저 예술 강사들과 더욱 연계하여 진행하는 과정이 있다면 좋을 것 같다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포럼과 기관탐방을 위해 리서치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소 시간적인 여유가 없었 는데 사전 준비의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면 좋을 것 같다

[※사진 첨부]

아트플레이: 프로그램 후 아이들이 만든 작품을 한 곳에 모아 전시하였다. 이 물건은 모두 아이들의 실제 물건으로 버려지거나 잃어버리고 남게 된

아트플레이: 인터뷰 하면서 면담자인 simon이 기관 홍보 브로슈어를 보여주면서 설명해주는 모습이다.

물건을 재구성하여 꾸민 것 이다.

키즈 오운 퍼블리싱: 사무실에 방문하여

멜버른 대학의 ELC: 타악기 수업 후 아이들이

빅토리아가 아이들이 제작한 다양한 책들을

한국 전통 연주를 듣기 위해 자리에 앉아

보여주고 있다.

기다리는 모습.

- 189 -


멜버른 대학의 ELC: 한국전통 음악을 전공하신

2015 포럼 세션 중 Children in creative

윤혜성 선생님이 악기 소개와 연주를 하는 모습.

control (panel) 토론자들의 활동 모습.

우리 조가 포럼 마지막 날 working groups

포럼 세션 중 ‘building our connection’에서

시간에 발표한 퍼포먼스 (Arts partnership &

각자 포럼이 끝난 시기에 스스로 얻고 싶은 것을

collaboration 을 주제로 토의 후 발표되는 모습)

적어 벽에 전시하였다.

포럼 세션 중 DEBORAH CHEETHAM의 마지막 날 working groups 시간에 발표한 다른

발표하는 모습 (SHORT BLACK OPERA라는

모둠의 퍼포먼스

프로그램으로 문화소외 아이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함)

- 190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 “다른 말, 같은 생각”: 영국 미술관 교육의 흐름과 동향 권 혜 진(사진분야 학교예술강사) 1.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준비하며 1)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아르떼 홈페이지에서 이번 사업의 공고를 보고, 어떤 사업인지 알고 있었다. 관심은 있었지만 거기까지였다. 남의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동료 선생님의 제안으로 용기 를 내어 지원하게 되었고, 예술강사 6년차에 처음 지원하여 이번 사업을 함께 하게 되 어 기쁘기도 하고 얼떨떨하기도 하였다. 영국 탐방에 지원한 이유는 2015 인게이지 컨 퍼런스가 시각 예술과 미술관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었다 현재 사진분야 학 교예술강사이자 미술관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나에게 이번 탐방이 커다란 변화가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지원하게 되었다 지원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지원을 하며 자기 소개서는 내가 무엇을 했으며, 무엇을 잘 할 수 있으며, 이 탐방을 통해 얻은 것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를 진솔하고 구체적으로, 그리고 실천 가능한 것 위주로 작성하였다. 면접 및 지원을 위하여 우리 팀은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지역성에 기반을 둔 기관의 협력 과정, 최신 이슈 등에 맞춰 면접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영어 면 접에 대한 예상되는 부분을 영작하여 외웠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면접 경험이 거의 없다보니 그것에 대한 압박감이 매우 커 긴장이 많이 되었다. 영어 준비도 중요하지만 마인드 컨트롤을 더 잘 해야 할 것 같았다. 3)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탐방할 기관을 정하고, 홈페이지를 보며 주제와 질문을 선정하였다. 아무래도 인터뷰를 영어로 진행해야 하다 보니 관련 용어에 대한 조사도 하게 되었다. 탐방 및 인터뷰를 위해 ‘Street Level Photoworks’외 컨퍼런스 발제자 4명과 사전 연락을 진흥원 쪽에서 시도하 였으나 탐방 떠나기 전까지 연락되지 않아서 마음을 졸였던 부분이 어려웠다. 반대로 내가 사전 연락을 시도했던 Glasgow Women’s Library와 MANY Studio는 보내자마자 답변이 와 서 나를 흥분하게 만들었다. 두 기관 모두 아주 친절했고, Glasgow Women’s Library는 별 무리 없이 탐방 및 인터뷰 날짜를 잡았던 반면, MANY Studio는 새로 이사 갈 건물이 마무 리가 덜 된 상태인데다가, 레지던시 작가들도 막 뽑은 상태라 그들과 인터뷰하기에도 적절 한 시점이 아니어서 방문을 포기하게 된 것이 기억에 남는다. - 191 -


2.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1) 방문 기관 소개 ① Glasgow Women’s Library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GWL)는 스코틀랜드 지역 유일의 여성 도서관이며, 공 인 인증 및 수상 경력을 가진 박물관이기도 하다. 여성의 삶, 역사, 업적과 관련된 역 사적이고 현대적인 유물들(artefacts)이 보존(archive)되어 있다. 그리고 지역의 학습 및 문화예술 허브의 역할을 하고 있다. ∙ 도서관 : 여성에 관한 스토리, 여성 저자 등 여성과 관련된 책 대출, 리서치 등 ∙ 아카이브 및 박물관 : 서프레제(Suffragette) 컬렉션, 영국 여성해방 운동과 관련된 뉴스레터 및 여성의 삶과 연관된 유물들. 여성 아티스트의 작품들 등 ∙ 다양한 학습 및 예술 프로그램 : 문학 교육, 리터러시 교육, 예술가와의 아트 프로젝트, GWL의 아카이브와 뮤지엄 컬렉션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 커뮤니티 연계 프로그램 등 ∙ 출판 및 수익 사업 : 출판, 온라인/오프라인 샵 운영, 헤리티지 워크 오디오 투어(Heritage walk audio tour), 맞춤형 워크숍 트레이닝 및 이벤트 등 이곳은 도서관이자 박물관이지만, 실질적으로 여성들이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고 자 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곳이다. 모든 사람에 대해 개방적 이고 존중하는 태도로 여성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를 강조한다. 특히 교육 (Learning)을 통해 자신을 발견해 나갈 수 있도록 신선하고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많이 운영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대부분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남성들도 함 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있으며, 기관의 이용은 누구나 가능하다. http://womenslibrary.org.uk

(사진1)(사진2)

② Kelvingrove Art Gallery and Museum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 있는 미술관 겸 박물관이다. 1901년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관, 3개 층에 걸쳐 22개 테마의 갤러리에 유럽 예술, 무기와 갑옷, 자연사, 고고학, 민속학 등 8,000점 이상의 다양하고 방대한 컬렉션을 갖추고 있다. 또한 스코틀랜드와 글래스고의 역 사를 보여주는 전시물을 감상할 수 있다. ∙ 상설 전시와 기획 전시 ∙ 디스커버리 센터 - 192 -


: Art/ History/ Environment Discovery Centre ∙ 박물관 교육 : 도슨트와의 투어, 캠벨 헌터 에듀케이션 윙(Campbell Hunter Education Wing), 퍼블릭 프로그램 등 ∙ 스터디 센터 : 글래스고의 역사와 뮤지엄 컬렉션에 관한 리서치의 장을 제공 ∙ 아트 샵 과 카페 중앙 홀의 역사성이 있는 파이프 오르간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예술품들은 동쪽 관 에, 역사, 자연사, 산업 미술 등은 서쪽 관에서 볼 수 있다. 특히 살바도르 달리의 ‘십 자가 위의 성 요한 그리스도(Christ of St John of the Cross)’와 건축가이자 디자이너 인 찰스 레니 매킨토시의 ‘매킨토시와 글래스고 스타일’은 이곳의 하이라이트이다. 캘 빈그로브는 굉장히 관람 친화형이고, 접근성이 용이하고, 인터랙티브한 미술관 겸 박물 관이다. 큰 텍스트와 쉬운 문장 구조의 전시 설명글, 주제의 이해 설명을 돕는 스토리 텔링 및 활동 스페이스, 터치스크린, 3D 입체영상 등, 특히 디스커버리 센터들은 유물 과 미술품의 단순한 전시뿐만 아니라 유물과 예술작품을 어떻게 보아야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어른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이곳의 퍼블릭 프로그램 중 중요한 부분으로, 예술 및 박물관 감상 수업을 리셉션 같은 형태의 친목 이벤트로 만들어서 어른들도 이곳을 계속 방문하고 싶은 장소로 만들려 한다. http://www.glasgowlife.org.uk/museums

(사진3)

③ The Fruitmarket Gallery 에든버러 웨이블리

역 바로 옆에 위치한 이곳은 컨템포러리 아

트를 전시하는 갤러리이다 세계적으로 명성 있는 예술가들의 작품을 스코틀랜드에 가 져와 전시해 왔을 뿐만 아니라 스코틀랜드 지역 예술가들의 작품도 함께 기획 전시하 고 있다 ∙ 기획 전시 : 예술가와 직접 협업하여 전시를 하고, 작품 의뢰를 하고 출판을 한다. ∙ 교육 프로그램 : 현대 예술 및 예술 활동에 모든 대상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The Fruitmarket Gallery는 교육 프로그램을 장기간 프로젝트, 워크숍, 강연 및 이벤트 등의 형태로 운영한다. 학교, 청소년 단체, 커뮤니티 그룹, 고등교육 기관, 예술 및 비예술 파트 너, 아동 교육 프로그램, 학교연계 프로그램 등 ∙ 갤러리 투어 및 그룹 투어 : 일반적인 투어뿐만 아니라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투어도 있다. ∙ 카페와 갤러리 샵 운영 - 193 -


1938년 과일야채 시장이었던 건물은 1974년부터 갤러리로 운영되고 있다. 이곳은 일 년에 4~5개 정도의 전시를 하는데, 보통 그룹 전시, 역사성이 있는 전시, 스코틀랜드 지역 예술가의 전시, 그리고 해외 예술가의 전시를 포함하고 있다. “예술이 삶을 변경 할 수 있다”라는 생각으로 새로운 생각과 컨템포러리 아트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들 에게 열려있는 공간이다. Creative Scotland에서 갤러리 운영의 50%를 지원받고 있다. http://www.fruitmarket.co.uk

④ Jupiter Artland 로버트 & 니키 윌슨(Robert & Nicky Wilson)이 쟈코비안(Jacobean: 영국왕 제임스 1세의 통치기) 영주의 저택을 포함한 100에이커의 넓이의 땅을 사들여 조성한 조각 공 원이다. 그들이 매 해 몇 명의 예술가를 초청하여 풍경에 대한 예술가의 표현을 자유롭 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풍경과 조각/설치 예술의 멋진 콜라보레이션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또한 학교를 대상으로 공원을 무료 관람할 수 있도록 개방하며 자연친화적, 체 험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조각 작품 및 갤러리 전시 ∙ 쥬피터 교육 재단(Jupiter Education Foundation) : 학교 연계 프로그램, 어린이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학기 중 및 휴일 프로그램, 커뮤니티 그룹 방문 프로그램, 교사를 위한 자연 친화형 학습 프로그램, 자체 ‘앱’ 을 활용한 디지털 교육 활동 등 ∙ 강연 및 투어 ∙ 아트샵 및 카페, 이벤트 : 다양한 아트 상품과 웨딩과 같은 이벤트 장소 대여 쥬피터 아트랜드는 관람자들이 설치된 예술 작품을 자신들이 정한 루트를 따라 찾아가면 서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감상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쥬피터는 교육의 중요성을 매우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데, 쥬피터 교육 재단을 설립하여 모든 수익을 스코틀랜드의 모든 학 생들이 이곳을 무료로 방문하는데 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https://www.jupiterartland.org

(사진4)(사진5)

⑤ Tramway 트램웨이(Tramway)는 관객과 예술가를 연결하여 오늘날의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 해를 증진시키고 영감을 주기 위한 컨템포러리 시각 공연 예술 공간이다. 이곳은 스코 틀랜드 및 국제적으로 가장 혁신적인 예술가들을 선정하여 전시하며, 특히 공연 공간 으로 유명하다.

- 194 -


∙ 연중 기획 전시 ∙ 2개의 아트 갤러리와 2개의 공연장, 커뮤니티와 예술 프로젝트를 위한 시설 제공 ∙ 카페 바와 인접한 옥외공간 히든 가든(Hidden Garden)이 유명하다. ∙ 교육 프로그램 : 전시 및 공연 연계 프로그램, 다양한 연령대와 가족 프로그램 1893년 말 전차 창고(horse tram depot)로 지어진 이 역사적인 건물은 교통 박물관 을 거쳐, 1989년 전시공간으로 사용되면서 지금의 트램웨이(Tramway)라는 공간으로 변모했다. 2008년부터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사라 몬로(Sarah Munro)에 의해 시각 및 공연 예술 프로그램과 관객과의 관계 형성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

자금을 지원 받고 글래스고 라이프

로부터

에 의해 운영 프로그램 되고 있다

http://tramway.org

⑥ CCA (Centre for Contemporary Arts) 창작 활동을 위한 복합 문화예술 허브이다. 여러 건물이 모여서 이루어진 이곳에는 아트 갤러리, 공연장, 영화관, 카페가 있고, 또한 문화예술 기관의 사무실들과 아티스 트 거주 공간이 있다. 1973년 극작가 톰 맥그래스가 세운 “Third Eye Centre”를 전신 으로, 1992년부터 글래스고의 문화예술의 랜드 마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예술가들을 위한 인프라 제공 : 작업 공간 제공, 작가들의 전시 홍보와 작품집 출판 등 ∙ 공간 임대 사업 : 문화예술기관 사무실, 아티스트 레지던시 & 플랫, 아트 샵, 커피 바 등 ∙ 문화적 임차인 프로그램(cultural tenants program) : 다큐멘트 필름 페스티벌, 크립틱(Cryptic)에서 운영하는 SONIC 프로그램 등 주변 대학들과 연계한 공간 제공 전시, 영화, 음악, 문학, 퍼포먼스, 페스티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레지던시, 그리고 다양한 예술적 프로그램을 자체 또는 위탁 운영되고 있다. CCA는 예술가들이 서로 만나서 생각을 공유할 수 있고, 서로 영감을 줄 수 있는 곳이며, 예술 가들의 활동 및 작품에 대한 정당한 보수를 지급하려고 노력하는 곳이다. 현재 대중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강화하려 노력하고 있고,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의 지원금과 자체 수익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http://www.cca-glasgow.com/programme

- 195 -


National Galleries Scotland라는 이름으로 통합 운영되고 있는 이 세 미술관은 모두 에딘버러안에 위치해 있고, 각 미술관을 이동하기 위한 갤러리 버스가 운행되고있다. 국립 스코틀랜드 미술관은 스코틀랜드 정부 예산으로 운영된다. 스코틀랜드 국립 미술관(Scottish National Gallery) 스코틀랜드 현대 미술관(Scottish National Gallery of Modern Art) 스코틀랜드 초상화 미술관(Scottish National Portrait Gallery)

∙ 상설 전시 및 특별 전시 ∙ 미술관 교육 ∙ 리서치 : 각 갤러리마다 라이브러리와 아카이브, 프린트 룸이 있다. ∙ 보존 및 출판 ∙ 카페 & 아트 샵 및 부대시설 국립 스코틀랜드 미술관은 국립 미술관답게 최고의 미술관 교육을 목표로 많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각각의 미술관의 특성에 맞게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통합 운영되고 있다. 다양한 그룹 – 학교, 가족, 아동, 성인, 커뮤니티 –을 위한 프로그 램, 복지 프로그램, 국가적 차원의 아트 프로젝트, 기업후원 아트 상, 그리고 인터랙티 브한 온라인 활동도 운영하고 있다. 라이브러리, 아카이브, 프린트 룸은 대중들도 이용 할 수 있게 하여 그들의 리서치를 돕고 있다. ⑦ Scottish National Gallery 스코틀랜드 국립 미술관은 1859년에 개관한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전시관이 다. 14~19세기 영국과 유럽의 다양한 예술작품과 앨런 램지(Allan Ramsay), 헨리 레 이번(Henry Raeburn) 같은 스코틀랜드 대표 예술가들의 작품도 함께 볼 수 있는 곳이 다. 이곳의 리서치 라이브러리는 1300년대부터 1900년대까지의 자료들을 아카이브하 고 있다. ⑧ Scottish National Gallery of Modern Art 스코틀랜드 국립 현대 미술관은 근대 및 현대 미술을 볼 수 있는 미술관으로 Modern One과 Modern Two 두 개로 분리된 건물과, 그 건물들이 위치한 확장된 조각 공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의 리서치 라이브러리는 Modern Two에 있으며 50,000여점의 자료들이 아카이브 되고 있고, 주로 1900년 이후의 근대, 현대 자료 중 다다, 초현실주의, 현대 스코틀랜 드의 예술 관련 자료들을 많이 소장하고 있다.

- 196 -


⑨ Scottish National Portrait Gallery 스코틀랜드 국립 초상화 미술관은 500년에 걸친 과거와 현재의 스코틀랜드의 초상들 을 대면할 수 있다. 퀸 메리, 에드워드 스튜어트 같은 역사적 인물의 초상화들과 최근 과학, 스포츠, 예술 등의 초상화들을 통해 스코틀랜드와 그곳 사람들의 다양하고 다른 면을 탐구할 수 있다. 또한 현대 사진 전시 공간도 갖추고 있다. 이곳의 리서치 라이브 러리는 스코틀랜드의 역사와 스코틀랜드 사회, 특히 그 곳 사람들의 전기와 초상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https://www.nationalgalleries.org

(사진6)(사진7)

2) 인터뷰/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① 기관 인터뷰: Glasgow Women’s Library 모락 스미스(Morag Smith)

국립 평생교육 개발자(National Lifelong Learning Development Worker)

도서관이지만 박물관 공인 인증을 받은 이곳은 어떤 곳일까? 박물관이니 규모는 상 당하겠지? 라고 기대하고 갔다. 하지만 생각보다 크지 않은 규모로 조금 의아하기는 했지만 곧 도서관이 이뤄낸 많은 일들을 들으며, 낙후된 동부 글래스고의 변화의 주축 이며, 주민들의 생생한 참여의 장이라는 것이 느껴졌다. 인터뷰를 통해 나눈 이야기는 지역 주민 참여의 아트 프로젝트와 학습 및 문화예술 참여를 통한 여성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에 대한 것이었다. 모락이 말한 아트 프 로젝트 중 “March of Women”은 지역 주민과 서프레제(Surffragette) 퍼포먼스를 준 비하면서 생긴 여성들의 자신감과 문화 참여의 성공적인 사례였다. 도서관 운영에 꼭 필요한 자원봉사자들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경험을 쌓을 수 있고 해 볼 수 없는 것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그들이 자신감을 얻고, 자신의 소중한 가치를 깨닫게 해 주는 것으로 여성의 임파워먼트와 관련지어 이야기한 점이 인상적이었다. 이곳의 책, 소장품, 그리고 예술품 등은 모두 여성, 그리고 그들의 삶과 관련된 것들 이다. 버지니아 울프의 초판같이 귀한 책뿐만 아니라 독거 여성의 유품도 소중한 자료 로 아카이브하는 이곳에서, 하찮게 느껴지는 것들도 소중히 보존하고 거기서 스토리텔 링을 만들 수 있는 영국 문화의 힘이 느껴졌다. 지역의, 19명의 스텝과 자원 봉사자들 이 운영하는 도서관에서, 예술가와 수준 높은 협업을 통해, 여성의 임파워먼트를 실천 하고 있다는 것이 내게는 매우 놀라운 현장이었다.

- 197 -


② 기관 인터뷰: CCA(Centre for Contemporary Arts) 앤슬리 로딕(Ainslie Roddick)

어시스턴트 큐레이터(Assistant Curator)

CCA를 방문하기 전, 이곳의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 사례에 대해 알고 싶었었다. 하 지만 이곳은 자체 프로그램보다는 외부 기관과 협력하는 이벤트들이 대부분이었다. CCA에 대해 사전 리서치를 했지만, 조금 애매모호했던 부분이 이번 인터뷰를 통해 명 확해졌다. 한마디로 예술을 위한, 그리고 예술가를 위한 복합 문화예술 공간이다. 특히 ‘Paying Artist’ 캠페인에 대한 답변이 인상 깊었는데, 작업 또는 작품에 대해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예술가들을 위해 지원금을 주는 캠페인이었다. CCA의 예 산에서 적지 않은 부분(17~20%)을 예술가 지원금으로 책정하고 있다는 점은 생활고 때 문에 자신의 작업을 포기하는 많은 우리 예술가들이 부러워 할 일이다. 우리도 국가 기관 또는 공공 기관에서의 예술가 지원금이 있기는 하지만, 민간 기관의 지원금은 쉽 지 않은 부분이다. 그래서 이러한 기관을 운영하기 위한 자금에 대한 이야기도 오고 갔다. 그리고 지역의 예술가들이 자신의 작업을 위해 지역의 콘텐츠에 집중하라는 마 지막 코멘트는 우리나라 지역 작가들에게 힘이 될 만한 이야기였고, 지역의 작가들이 협업을 통해 자신의 예술관 또는 예술 실천을 대중들과 나눌 수 있는 노력과 네트워크 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③ 2015 인게이지 컨퍼런스 참여자 인터뷰 루시아 헤일리(Lucia Harley)

예술교육자(Art Educator), 예술가(Artist), 큐레이터(Curator)

컨퍼런스 참여자 중 라운드 테이블에서 같이 논의를 나눈 루시아와의 인터뷰에서 중 점적으로 나눈 이야기는 학제간 참여에 기반을 둔 협업 사례와 창의성에 대한 그녀의 생각이었다. 조각이 전공이지만 프로젝트에 따라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고 있는 그녀는 예술 교육뿐만 아니라 스스로가 예술 기관을 운영하고도 있었다. 그녀는 아티스트와 참여자, 아티스트와 아티스트, 그리고 다른 전문가와 아티스트 간의 협업을 통한 그녀 의 프로그램들을 소개하였다. 그 중 수학자와 그녀와의 협업을 통한 프로그램이 인상 적이었는데, 학생들이 수학을 미적 활동을 통해 재미있게 여기게 하는 것이었다. 학교 분야 예술강사로서 이러한 활동을 학교의 교과와 좀 더 적극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 법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 같았다. 또한 학제간 참여(Cross-disciplinary)에 대한 그녀의 시각은 ‘다양한 것들이 이미 예술 (작품) 안에 있기 때문에’ 예술 활동을 하기 위해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이었다. 우리도 꿈다락토요문화학교나 외부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실천들이 종종 적극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학교 예술 강사로서는 제도적인 제약이 있는 상태이다. 이 러한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 개방성이 필요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 198 -


루시아는 ‘Creativity’는 우리 모두에게 있는 것이며 ‘Being Creative’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덧붙여 모두에게 있는 창의성이라는 것을 다양한 시각으로 재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며 바로 예술 교육자들이 할 일이라고 하였다. 간단했지만 루시아의 말은 평소 창의성에 대한 생각에 작은 울림이 되는 답변이었다. 3) 참여 행사 소개: 참여내용 2015 인게이지 컨퍼런스 영국 탐방의 주요 행사였던 ‘2015 인게이지 컨퍼런스’는 젊은 세대들이 예술 및 예술가와 함께 협업하는 새로운 방식에 대해 논하는 장으로 3가지 핵심주제로 나누어 이야기되었다. 첫째, 기존의 위계구조 무너뜨리기, 둘째, 학습과 참여에 학제간 접근 방식 탐구하기, 셋째, 더 심도 있는 협업의 수준 만들기로 논의되었다. 마지막 총회는 위의 아이디어를 설명하기 위해 보여준 몇몇의 프로젝트를 발제자의 특별한 평가방법으로 평가한 것으로 평가 방법 자체가 낯설어 무슨 내용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먼저 기조 발제자인 대런 오도넬(Darren O’Donnell)은 자신의 성공적인 프로젝트인 the Mammalian SMYLE을 통해 청소년 노동의 동등한 권리를 이야기하였다. 젊은 세대와의 협업에서 신뢰와 존중이 아주 중요하며, 장기간에 걸친 연속성이 그들 의 참여를 보장한다고 하였다. 청소년들 대상의 프로그램에서 꾸준한 참여가 얼마나 힘든지 아는 나는 더 많은 노력을 해야겠다는 것을 깨달았다. 총회1 에서는 갤러리가 학교인가, 즉 갤러리가 학교의 기능을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오고 갔다. 대부분의 발제자들이 갤러리는 학교와 다르며, 학교와 다른 공간에서의 특별한 교육의 가치에 대해 각각 말하였다. 특히 배움의 지속성, 전문성, 창의성, 자율성을 위해 스스로 학교(Metal School)를 운영하고 있는 사례가 인상적이었다. 총회2 에서는 학제간 참여의 중요성을, 예술가 사이의 협업과 젊은 세대와 예술가 사이의 협업 두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이 학제간 참여는 예술가들 간의 창의적 실천을 확장하게 하고, 젊은 세대들이 창의적인 접근 방식으로 더 광범위한 문화 생산에 참여할 수 있게 함을 이야기했다. 총회3 에서는 동료 주도적 참여 학습을 했을 때 더 심도 있는 수준의 협업이 이루어진다는 아이디어로 발표되었다. 젊은 세대들이,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그들의 자율성과 저자성이 보장되어야 하고, 예술교육자/예술가들의 권위가 아닌 조언자로서의 책임을 강조하였다.

- 199 -


각각의 총회가 끝날 때마다, 참여자들이 원탁회의(5분)를 하였고, 참여자들과 패널과 의 질의응답이 오고 갔지만, 딱히 결론은 없었던 듯하다. 이번 핵심 주제들은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논의되고 있고, 선생님들도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었던 것 같다. 동료 주도적 학습에서 선생님이 어느 정도 관여할 것인지, 그리고 그 안에서 어떤 원칙이 지켜져야 하는지는 매우 중요하다. 학교예술강사로서 아직은 제약이 있지만 학제간 참여 방식 접근을 통한 프로젝트식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 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미술관 교육에서 현재 내가 운영하고 있는 감상 프로 그램이 항상 전시 연계로 진행하다 보니 한 번씩 한계가 느껴질 때가 있었는데, 조금 다른 시각에서 프로그램을 다시 한번 돌아봐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컨퍼런스는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그리고 그 중 실천적인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거 나 체험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사례를 통해 나올 수 있는 아이디어를 논하는 장이었다.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워크샵 형태를 기대했었지만, 주제 발표와 열린 결론이라는 모호한 형식이 내게는 꽤 어렵게 느껴졌다. 게다가 언어 소통의 어려움이 있으니 더 힘들었던 것 같다. 함께 테이블에 앉았던 영국 참여자들도 이번 컨퍼런스에서 너무 많은 정보를 줘서 정신이 없고, 자신들조차도 힘들다고 하였다. 그리고 나와 마찬가지로 여러 구체적인 사례 에 대한 자료나 설명을 좀 더 보았으면 하는 바램을 내비추었다. (사진8)

4)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이번 탐방을 통해 여러 기관을 방문하게 되었는데, 그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곳은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Glasgow Women’s Library)와 쥬피터 아트랜드(Jupiter Artland)였다.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는 비행기 티켓 때문에 영국 탐방 일정이 하루 늘어서 급하게 추가한 곳으로, 사전 조사를 통해서 도서관이 어떻게 박물관일지 내심 궁금했다. 작은 규모이지만 서프레제(20세기 초 여성 참정권 운동) 오브제들을 소중히 보존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여성의 삶과 성취에 관련된 자료를 모으고 아카이브하며, 또 그것을 바탕으로 예술가와 협업하여 뛰어난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정말 알찬 기관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 여성들의 삶은 어찌보면 더 굴곡지고, 더 많은 스토리텔링을 가지고 있다. 그 중 우리 지역과, 우리 지역의 여성의 삶과 관련된 어떤 것을 모티브로 여러 예술가들 또는 예술 강사들이 협업한다면 좋은 콘텐츠의 참여형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으며 여러 선생님들과 꼭 나누고 싶은 부분이기도 하다. 쥬피터 아트랜드는 개인이 엄청난 규모의 조각공원을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충격적이었다. 게다가 모든 사람들이 스코틀랜드의 자연과 조각의 콜라보레이션을 즐길 수 있도록 예술 활동 프로그램을 만들고, 자체 재단을 통해 생긴 수익을 다시 예술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모든 학생이 무료로 관람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것이 놀라웠다. 좀 더 관람객의 자율성과 상호작용적 감상을 위해 디지털 매체를 개발 - 200 -


활용하고 있는 점도 흥미로웠다. 후르츠마켓 갤러리(The Fruitmarket Gallery)를 방문했을 때, 갤러리 및 교육 프로그램 소개, 그리고 현재 전시되고 있는 ‘Another Minimalism’ 작가의 전시 소개가 짧게 진행되었다. 그래서 큰

감흥을 처음엔 받지 못했지만, 탐방을 돌아온 후 조사를

통해 이 갤러리의 진짜 면모를 알게 되었다. 지역의 민간 갤러리들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한다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에든버러시의 작은 이 갤러리는 연 중 한 번씩 유명 해외 작가들의 전시를 하며, 또한 지역의 예술가들에게도 전시를 할 기회를 주고 있다. 또한 올 해 마쉬 어워드를 수상한 이 곳의 교육 프로그램, Art Works는 16~19세의 취약 계층(NEET: 교육, 고용, 훈련의 기회를 잃은) 젊은 세대와의 일년 내내 계속된 프로젝트로 갤러리가 사회에 어떻게 공헌할 수 있는지를, 그리고 이 갤러리가 추구하는 컨템포러리 아트와 젊은 세대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말해 주었다. 또한 갤러리 교육에 대한 나의 시각을 더 확장시켜 주었다. 트램웨이(Tramway)는 2015년 터너 프라이즈 주최 기관으로 말 전차 창고였던 역사적 건물을 멋진 전시 공연 공간으로 탈바꿈시켜 활용하고 있는 것이 부러웠다. 우리는 역사적으로 많은 침략을 받았고, 그 영향으로 옛 건물들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부산에는 근대 건축물들, 일제 강점기에 지은 건물들이 있긴 하지만, 그것이 잘 활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한 공간을 잘 보존, 활용하여 우리 젊은 세대들에게 새로운 깨달음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시키는 프로젝트 또는 공간을 통해 근대 역사를 살펴 볼 수 있는 루트를 만들어 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CCA (Centre for Contemporary Arts)는 예술가에게 창작을 위한 많은 것을 지원해주 고, 여러 예술가들의 레지던시와 예술 관련 기관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CCA의 지원으 로 예술가들이 힘든 창작 활동을 이어 나갈 수 있고, 가까운 공간에서 자주 만나며 서 로 아이디어를 나누고 긍정적 영향을 주며, 대중 참여 워크샵 또는 프로그램으로 사회 에 환원하고 있다. 부산에도 성공적인 작가 지원 사업인 원도심 창작공간 ‘또따또가’가 있다. 하지만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이 아니라 40계단 반경 500m 내 중앙동·동광동 곳곳에 흩어져 있어, CCA의 사례를 살피면 지금보다 더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캘빈그로브 미술관 겸 박물관(Kelvingrove Art Gallery and Museum)의 전시와 디 자인은 클래식하였지만 어느 박물관보다도 큰 글자크기와 친근한 설명 문구가 눈에 띄 었다. 또한 3D 영상, 디지털 터치 패널, 갤러리 중간 중간에 활동 영역을 만들어 감상 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디지털 방식은 아니지만, Armour관에서 본 것처럼, 그 것을 어떻게 봐야하는지, 무엇을 보고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구 가 갑옷을 중심으로 360도로 바닥에 써져 있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감상자가 예술작품을 관찰하여 자신의 감상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었다. 이곳은 아이가 있는 가족이 휴일에 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으며, 교육적 기능이 강조된

- 201 -


미술관 겸 박물관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국립 스코틀랜드 미술관(National Galleries Scotland)은 스코틀랜드 국립 미술관 (Scottish National Gallery), 스코틀랜드 현대 미술관(Scottish National Gallery of Modern Art), 스코틀랜드 초상화 미술관(Scottish National Portrait Gallery)으로 따 로 분리되어 있지만, 통합 운영되고 있다. 처음 방문한 국립 미술관에 다양한 시대의 예술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유달리 한 작품에 관심을 가지는 게 눈에 띄었다. 그 작품은 19세기 후반 지역 화가의 작품으로 에든버러 시가 묘사된 작 품이었다. 멀리 칼튼 힐(Caton Hill)이 보이는 그림을 보며, 자신들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보면서 미술관이 지역 사람들과 나눌 수 있는 지점을 잘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3개의 미술관 중 개인적으로 초상화 미술관이 가장 흥미로웠다. 초상화라는 하나 의 소주제로 스코틀랜드의 역사와 스코틀랜드의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하려는 접근 방 식이 매우 신선했다. 갤러리 중간 중간 캐비닛을 열어 보게 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옛 초상화를 보고 영감을 받은 현대 초상화를 함께 전시하는 방식 등이 혁신적이었다 그리고 사진 전문 갤러리를 갖추어 스코틀랜드의 지금의 초상들을 생동감 있게 전달하고 있었다. BP Portrait Award 2015의 작품들을 보는 즐거움도 남달랐다. 특히 어린이 관람 자를 위한 감상 포인트를 질문 형식으로 작품 옆에 적어놓은 것이 인상적이었다. 5)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정은경 선생님과 함께 참여한 ‘브레이크아웃 세션 7: 청소년의 주도적 실행전략’에서 처음으로 주제 발표 형식이 아닌 체험 형식의 워크숍이 짧게 진행되었다. Firstsite의 두 예술가가 함께 진행한 이 짧은 워크숍은 시각 예술과 퍼포먼스 융합으로 단어를 보고 반응하여 춤으로 만드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활동과 비슷한 ‘형용사 몸으로 표현하기’를 미술관에서 진행했었던 내게는, 좀 더 깊이 있는 협업의 과정을 느끼게 하였다. 내가 진행했을 때는 감상 수업 연계로 단어를 단순한 몸짓으로 표현하는 정도였고 동시에 흥미 유발의 차원이었던 반면, 쉽고 간단한 춤 동작을 배움으로써 단어와의 관계, 감각의 전이, 미적 체험, 그리고 실행 후의 뿌듯함이 동시에 느껴졌다. 또한 흥미로웠던 점 중 하나는 Y.A.K의 아이삭(Issac)이 이러한 문화예술 활동을 함께 하게 된 계기였다. ‘친구 따라 강남 간다’는 말처럼, 친구가 참여하는 것을 보고, 자신도 같이 참여하게 되었고, 앞으로 춤을 가르칠 수 있는 작은 공간을 갖고 싶다고 했다. 학교 또는 학교 밖에서 우리의 젊은 세대들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참으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진9)

Firstsite 모든 사람들이 현대 예술과 관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시각 예술 기관이다.

영국 콜체스터(Colchester)와 에섹스(Essex)

에 기반을 두고 있다. Y.A.K (Young Art Kommunity)는 Firstsite의 사회 문화 탐구 활동 및 이벤트를 주도하는 젊은 세대들의 모임이다.

- 202 -


6)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컨퍼런스 연계 행사로 진행된 프린지(Fringe) 행사에서 점심을 먹기 전 서로 자신을 소개하였다. 이 자리에서 영국 참여자들이 “TA(Teaching Artist)”라는 호칭에 호기심 을 보였다. 영국에서는 그런 호칭이 낯설며, 자신들은 자신들을 부르는 정해진 한 가지 호칭이 없다고 하였다. 또한 국가 기관에서 우리 같은 예술강사를 학교 또는 기관에 파견하는 것을 굉장히 흥미로워했다. 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모든 활동에 있어 이곳 예 술가 또는 예술강사들도 운영에 필요한 자금이 큰 문제인 듯 했다. 우리 선생님들도 좋은 아이디어와 뜻은 있지만 자금이라는 문 앞에 무너지기 일쑤인데, 어떤 펀딩 시스 템이 있는지, 또 그렇게 실천할 수 있는 원동력이 무엇인지 궁금했었다. 컨퍼런스에서 원탁 토의를 할 때, 듣고만 있던 나에게 말할 수 있도록 쉽게 질문해 주고, 의견을 경청해 주었던 참여자들의 배려가 고마웠다. 특히 우리와 인터뷰를 했던 루시아가 자신의 친척들이 있는 브라질에 가면 자신도 언어 소통의 힘든 점이 있다며 나를 격려해줬던 것이 참 큰 힘이 되었었다. 3.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다녀와서 1)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이번 탐방을 통해 갤러리 환경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교육의 현장에서 예술교육과 예술의 가치에 대해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였다. 젊은 세대들이 자기 자신을 투영하여,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 세상을 보는 한 가지 지각 방식을 변화시키고, 사회를 그리고 더 나아가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프로젝트가 지속성을 가지고 장기간 운영될 때, 참여자가 주도적,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때, 다양한 분야가 어우러질 때 보다 효과적이며 창의적일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많은 민간 예술 기관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갤러리와의 협업으로 좋은 프로그램을 운영 할 수 있는 배경에는 문화예술에 대한 공공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함께 있으며, 그들의 수준 높은 시민 참여 의식도 한 몫을 하고 있음을 알았다. 그리고 이번 탐방에서 자주 들었던 ‘러닝(learning)’이라는 단어도 깨달음을 주었다. ‘가르침(teaching)’과 ‘배움(learning)’은 같은 과정 중에 있지만 어떤 입장에서 말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나도 항상 ‘배움’의 과정에서 학생 또는 참여자와 협력하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겠다. 2)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탐방 계획시 서로 자신의 역할을 나누었지만, 구분하기 보다는 서로 잘 할 수 있는 부분을 자발적으로 다들 열심히 하였다. 나는 주로 현장 진행을 하였고, 정은경 선생님은 사진 촬영, 그리고 김진형 선생님은 사진 및 영상촬영을 주로 하셨다. 자료

- 203 -


조사는 모두 다 함께 하였고, 서로 도와가며 성공적인 탐방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런데 팀 활동을 하다보면, 상대 또는 어떤 상황이 내 생각과 같지 않을 때가 있다. 나는 감정을 잘 숨기지 못하는 성격이라 말은 안해도 내 마음이 바로 얼굴에 드러나 버린다. 순간의 감정을 들켜버려 상대가 혹시 기분이 상하지 않았을까 하는 걱정도 되었다. 하지만 어떤 상황이든 긍정적으로 보려하는 선생님들을 통해 나 또한 그들을 닮아가야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3) 향후 계획: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후 본인의 계획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이번 참여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 먼저 주변의 선생님들, 대학의 학생들과 경험을 나누고, 사진분야 예술강사협의회를 통해 경험과 자료 공유를 할 계획이다.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 이번 탐방에 대한 경험을 지역의 선생님들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자고 제안해 둔 상태이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참여를 통해 알게 된 여러 기관들과 사례들을 좀 더 리서치하여 우리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할 것이다. 또한 다른 분야의 선생님과의 협업을 통한 프로젝트 수업의 가능성을 모색해 볼 것이다. 미술관 교육에서 참여자들이 보다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들, 체험 및 경험 활동보다는 장기간 프로젝트를 통해 참여자들이 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해 보고 싶기도 하다. 학교의 지역적 특수성, 학생들의 요구 등을 잘 분석하여 각 학교의 환경에 맞도록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도록 할 것이다. 4)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 국제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이번 사업에 참여하면서 우리 예술강사들도 해외의 예술강사들 못지않게 훌륭한 역 량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지속성이 중요한 것 같다. 지금의 역량을 단순히 지속시키는 것이 아니라, 주변을 돌아보며 개발하고 발전시키려는 지속 성이 있어야한다. 그리고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국제무대에 진출하게 되면 아무래도 언어의 장벽에 부딪히게 되는데, 거기에 대한 두려움 보다는 소통이 안 되는 상황을 다른 것으로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물론 언어 소 통을 위해 어학 공부도 평소에 열심히 하시면 더 좋을 것 같다.

- 204 -


사진2)서프레제(Suffragette) 관련 소장품들

사진1)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Glasgow Women’s Library)

사진3)캘빈그로브 미술관 및 박물관과 (Kelvingrove Art Gallery & Museum) 인터렉티브 디지털 터치 패널

- 205 -


NATHAN COLEY You Imagine What You Desire 사진4)쥬피터 아트랜드(Jupiter Artland) 입구의 설치 작품

사진5) 쥬피터 아트랜드(Jupiter Artland)의 '앱(app)' 사용해 보고 있다.

- 206 -


사진6) 스코틀랜드 현대 미술관(Scottish National Gallery of Modern Art) 모던 ONE

사진7) 스코틀랜드 초상화 미술관(Scottish National Portrait Gallery)에 있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캐비닛 전시 공간

- 207 -


사진8) 2015 인게이지 컨퍼런스

사진9) ‘브레이크아웃 세션 7: 청소년의 주도적 실행전략’에서 참여자들이 춤으로 표현하기 위해 단어를 고르고 있다.

- 208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미래를 기약하는 토론의 장 성 명

김 진 형 사진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알게 된 배경 지원 동기 이번에 참가하게 된 해외탐방조사는 추석 연휴 직전 진흥원 홈페이지를 검색하다 우 연히 발견해서 지원하게 되었지만 이미 예전부터 문화예술의 해외사업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다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예술의 역할에 대해 이전부터 고민해왔다 가깝게는 지 난 월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간담회를 통해 앞으로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의 정치적 갈등을 완화하고 사회적 동반 관계 유지와 민간 협력을 도모하 기 위한 기획안을 제출하기도 한 상태였다 이외에도 유럽 내 문화예술기관의 선진적 사례를 접해왔고 스스로 다른 동료들과 함 께 사회적 경제 공공성과 예술과의 관계 다자간 협력 등 다양한 주제들을 세미나를 통해 숙지하던 터였기에 이번 기회는 본인 스스로 자연스레 지원할 수 있었던 동기가 있었다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여 인문학적 소양을 키우고 대학원에서 예술사진을 전공 작가 수업과 전시 작업까지 수행했던 내가 이런 공모안을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사 진분야 교안연구 개발 연구원 중 일원으로 집중해야할 업무가 바로 눈앞에 있었으나 개인적 관심뿐만 아니라 사진 분야에서도 공유할 성과물이 분명히 있을 것이란 확신이 있었다 다른 연구원들에게 눈치가 보이긴 했지만 마치 좀 더 큰 그림이 머리속에서 그려지면서 공모에 지원할 수 있었다 지원과 선발과정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공지사항을 본 직후 이 탐방조사 사업은 내가 오랫동안 기다려온 사업임을 직감적으 로 깨달았다 시각예술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는 영국의 행사가 가장 눈에 띄었다 하필이면 영국 일정이 있는 주에 수업이 잔뜩 있어 분명 대거 미루거나 휴강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그러나 매혹적일 정도의 컨퍼런스 주제와 두 도시를 오가며 탐방하는 일정은 그것들을 압도하기에 충분했다 추석연휴 내내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한 것은 누구와 함께 팀을 꾸릴 것인가 고민했 다 사진분야

기 선배로서 책임지고 진행해야 하는 위치 때문에 총괄기획의 역할을

스스로 내가 맡아야한다고 애초부터 결정했다 지원서를 꾸미고 계획을 세우는 일은 - 209 -


나에게 익숙한 것이었으므로 처음부터 어려움을 갖지 않았다 공모의 경쟁적 방식을 알고 있기에 판단은 빠를수록 좋았다 영어 능통자와 공모 주 제에 적합한 인물로 구성하는 것이 최대의 고려 사항이었다 나 역시 영문학사 자격이 있지만 회화 능력이 미천했고 현지의 영국영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영어 구사력이 충 분한 인물이 필요했다 곧 바로 머릿속에 한 인물을 떠올렸다 예술강사 동기이자 부산 지역 대표로 활동하시는 권혜진 선생이었다 대학원 과정을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 서 미술교육으로 공부하신 분이었다 내가 사진분야 전국예술강사협의회 대표를 맡으 며

년간 지역대표와의 회의 등으로 종종 이야기 나누었던 분 중에 한 분이었고 그 스

펙은 충분히 들어서 알고 있었던 상황이었다 연휴 마지막 날 부산에 계신 권혜진 선 생에게 연락을 해서 함께 팀을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나머지 또 다른 멤버는 정말 신의 한수처럼 우여곡절 끝에 선정하게 된다 아주 가 끔 우연히 만나게 되면 모든 이에게 상냥하며 쾌활한 미소로 응대하던 이었다 사진분 야 동기로서 멀리 울산지역에서 혈혈단신 활동하며 국제사진페스티벌에서 어린이 전시 를 기획하고 서울의 대학원을 오가며 예술기획을 공부한 정은경 선생 그에게 참여를 권유하였다 정 선생 역시 듣자마자 흔쾌히 수락하며

명의 팀 멤버는 비로소 완성되

었다 일사천리로 해외탐방조사의 주제와 역할을 선정하고 지원서 준비를 진행했다 이렇듯 선발 전 기억에 남을만한 과정은 단연 멤버 구성이었다 돌이켜 보건데 이것 은 기획자로서 그 역량이 평가되는 과정이었다 친분이나 관계를 떠나 공적 업무 혹은 문화예술교육의 적합성을 다시 한 번 떠올리게 된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앞서 밝혔듯이 권혜진 선생을 선정한 이후로 주변의 여러 동료들을 물망에 올리며 선택해야 하는 복잡한 기로에 있었다 오랫동안 신뢰와 친분을 쌓아온 동료도 있었고 역량이 나름 검증된 동료도 있었다 그러나 맨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공모안을 재차 읽으면서 그 공모안을 제시한 분의 의도와 심정을 상상해보기도 했다 또한 이번 해외 탐방조사에 본인이 빠진다면 정말 안타까워하거나 아쉬워할만한 분이 정말 내 주변에 있지 않을까 하고 살펴보게 되었다 심사숙고 끝에 머리를 관통하듯 한 인물이 생각났고 결국 정은경 선생으로 결정하게 되었다 이미 전화연락이나 직접 대면을 통해 교섭 중이었던 분들께는 거듭 양해의 말 을 올려 다음번의 또 다른 기회를 기약했다 분야별 인원이 가장 적은 사진분야 인적자원만으로 훌륭하게 탐방조사를 마쳤으니 지 금으로서도 그 과정은 매우 신중한 과정이었고 적절한 판단이었다고 자평한다 이것은 앞으로의 기획과 다양한 사업을 준비하는 것에 대한 좋은 지침이 될 것 같다 면접에 대비하기 위해서 여러 번 긴 시간의 대화를 진행했다 매주말 서울로 상경하는 정은경 선생과는 두 번 만나 회의를 진행했다 그리고 이에 앞서 정은경 선생은 부산의 권혜진 선생과 상시적으로 주요한 면접 대책을 논의했다 그리고 이렇게 논의들이 정리되 면 다시 팀원 모두가 참여하는 카카오톡 그룹콜로 대화를 진행했다 짧은 시간 안에 일정 - 210 -


을 계속 맞추어 가며 머리를 맞댄 덕분에 심사에 통과하지 않았나 생각하게 된다 모든 일엔 사람이 중심이다 라는 말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과정이었고 내가 이제 까지 해온 모든 경험을 다시 검토하고 숙고하는 과정이었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는 처음 접하는 해외 행사였다 그러나 아주 낯선 의 제들은 아니었다 몇몇 생소한 단어를 빼곤 수년간 활동해온 시각예술교육 매개자라면 접해볼 법한 의제들이었다 그래서 우리보다 문화예술에서 앞선 영국에서도 우리와 비 슷한 고민을 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 주변 선후배 작가 중에서 영국 유학 출신자들이 몇 명 있고 친분 있거나 안면 있는 후배도 있다 에든버러 예술대학 글래스고 예술대학 출신이었고 그들을 직접 만 나 사전에 현지 문화예술의 환경들을 직접 입수할 수 있었다 그 악명 높은 기후부터 지역과 학교의 환경까지 상세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인터넷 검색자료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카카오톡의 그룹콜로 팀원 간의 담화를 여러 차례 진행해 세 세한 정보들을 종합해 수집할 수 있었다 이렇게 구축된 현지 정보의 기반 위에 탐방 조사의 주제와 역할들이 설정될 수 있었다 창의적 시각예술과 미술관 교육 지역 기반 문화예술 사업 다자간 협력과 네트워크 이렇게 세 가지 키워드로 탐방조사 주제를 압축했다 각각의 관심 영역과 경력들을 종 합해서 나온 것이었다 세 사람 모두 각각 미술관 교육을 경험해왔고 수도권 부산 울 산에서 지역사업을 진행해왔기 때문에 지역성에 대한 관심은 애초부터 존재했다 사회 적 경제와 다자간 협력 사례 운영 기반과 구조는 내가 이전부터 관심을 기울여온 영 역이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과 꿈다락토요문화학교 강의를 진행하는 권혜진 선생이 자연스레 창의성 미술관 교육을 주제로 탐방조사를 준비하게 된다 정은경 선생의 활 동지역인 울산은 컨퍼런스 행사가 개최되는 글래스고와 어딘가 닮아있는 지점이 있었 다 상공업 도시로서 쇠락했다 재생으로 거듭 나고 있는 글래스고 국내 굴지의 공업도 시이나 장기불황이나 해체가 불가피한 울산 이 두 도시를 연결할 수 있는 키워드를 찾기 시작했다 여기에서 두 도시의 문화예술은 번영과 쇠락 창조와 재생의 매개가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자연스레 정은경 선생이 지역 기반 문화예술을 탐방조사 테 마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세 사람이 각각 탐방조사에서 귀 기울이고 눈여겨볼 주제가 확정되었다 만 만치 않은 탐방조사 활동에서 구성원들 각각의 관심사가 그들의 능력 그 이상을 이끌 어낼 것을 확신했다 내가 나름 상상력을 발휘해 주도적으로 설정했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꽤나 적절한 선택이었다고 생각하고 사전 준비 단계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다

- 211 -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⓵ 년에 과일시장이었던 건물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미술관으로 변모하였다 국 내외 예술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스코틀랜드 지역의 예술가들에게 개인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예술가들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기회의 장소이다 에든버러 기차역 입구에 위치해 있어 바로 전시장의 미술작품을 만날 수 있었다 지 역을 기반으로 하는 전시장으로서는 최적의 장소라 생각한다 전시 간행물 교육프로 그램을 운영하며 대중과의 적극적인 교류와 에든버러의 문화발전에 힘쓰고 있었다 학 교 청소년 단체 지역사회 단체 등 비예술단체와 파트너십을 맺어 현대 예술과 결합한 창의적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⓶ 에든버러 외각 위키스톤

에 위치한

에이커 넓이의 대규모 예술 공원이

다 로버트 윌슨 니키 윌슨

의 개인 사유지로서

년부터 수

집된 현대 예술가들의 작품들이 야외 정원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쥬피터 아트랜드 는 학교를 대상으로 공원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도록 개방하며 자연친 화적 체험형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자연과 예술작품이라는 자원을 활용한 자 연친화적인 프로그램이 중점이다 어린이를 위한 학기 중 휴일 프로그램과 교사를 위 한 창의적인 자연학습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상근 직원이 함께 동행해 숲속 길을 걸어

개의 설치작품을 볼 수 있었다 현대 예술가들의 작품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

해 있었다 컨퍼런스 연계행사로 진행된 옵션 투어 중 하나로 내부에 있는 카페에서 참여들과 함께 점심식사를 후

개 그룹으로 나눠 야외의 설치작품을 관람하였다 유기

농으로 마련된 점심식사는 이곳의 장소성과 문화를 상징적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⓷ 글래스고의 민간 문화예술 운영단체로

년 전차 창고로 만들어진 이 역사적인

건물은 글라스고의 상공업 쇠락으로 철거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년 영국의 설치예

술가 앤디 골즈워디가 전시 공간으로 사용하면서 현재 민간단체인 트램웨이가 운영하 는 갤러리 극장과 기타 시설 공간으로 변모했다 트램웨이는 글래스고 라이프와 스코 틀랜드 크리에이티브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다 유럽에서도 권위 있는 시각예술상인 터너 프라이즈 트램웨이가

주관해

스코틀랜드에서는

를 타이틀로

이번에

인의 작가들이

전시 중이었다 - 212 -

처음으로

와 글래스고의 개최되었다


한국과 비슷한 규모의 전시장과 비교한다면 잘 다듬어지진 않았지만 관객을 배려하 는 장치와 시설들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컨퍼런스 연계행사로 리셉션과 전시 관람에 참여했는데 현대미술의 최전선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소 중한 자리였다 ⓸ 이 시설은 글래스고 도시의 문화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문화예술 허브이 다 스코틀랜드 크리에이티브의 지원금과 자체 수익금으로 운영되는 민간기관으로 스 코틀랜드의 흥미로운 예술 현장 중 한 곳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전시 영화 음악 문학 퍼포먼스 페스티벌 레지던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는 작가가 전시를 마치면 기관 예산의 로 지급하는 작가지원 제도로서

를 지원금으

가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현재 많은 이벤트

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벤트나 프로그램은 외부기관이나 전문가와 협력하는 형태로 진 행된다 단체 학교의 협력 지역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 어 기획자 시민 참가자들이 다양한 콘텐츠를 가지고 이곳으로 들어와 진행할 수 있도 록 열려있다 이렇게 대중 참여적 프로그램을 통해 글래스고 지역문화 발전에 노력하고 있다 ⓹ 글래스고 지역의 민간 문화예술 운영 단체가 입주해있는 복합 문화시설이다 카페 문화센터 갤러리 극장 워크숍 실습실 등이 상주하고 시민들이 예술 교육을 받고 실 행하는 장소이다 시각예술을 다루는

등이

자리를 잡아 청소년과 시민들의 전시 교육 사업을 펼쳐왔다

년대부터

층의

는 장애인 노인 취약계층의 예술 활동을 돕고 있다 5층의 Glasgow Media Access Centre(GMAC)에서 브레이크 아웃 세션 참가하면서 시설을 둘러볼 수 있었다.

스코틀랜드 국립미술관으로서 에든버러 시내에 세 갤러리로 나눠져 있다 스코틀랜드 미술관

스코틀랜드 초상미술관 스코틀랜드 현대미술관

라는 이름으로 통합 운영되고 있다 도심 가운데 위치하고 있고 주로 근대미술을 수집해 전시한 공간이었기에 관람문화 관객층 규모와 시설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 213 -


교육 프로그램은 유아부터 청소년 학교 연계 가족 성인 지역사회에 이르기까지 다 양한 대상층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 준비되어 있어 미술관교육이 미술관 전체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올해 리플릿을 통해 다양한 교육 과정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성인 과정에는 미술의 기본이 되는 드로잉 스케치부터 시즌별 전시와 연계한 콘텐츠가 구성되어 있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은 전시 작가 기법과 사조를 좀 더 이해하기 위해 전시 기간 동안 구성되는 것인데 국내의 미술관 교육과 큰 차이는 없었다 시민들의 수요를 고려한 초심자를 위한 실습 과정 주말 이틀을 활용한 프로그램들 이 있었다 기법과 매체별로 분류한다면 드로잉 회화 파스텔 콜라주 사진 복합매체 등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여기서 눈에 띄는 것은 동서양의 화법을 비교할 수 있 는 중국 수묵화 수업이었다 수많은 수집 작품들이 상설 혹은 시즌별 기획전으로 진행되고 있었는데 인물 정물 풍 경 역사 등 다양한 소장르의 작품들이 섹션별로 전시되어 시민들의 문화적 장소였다 ⓺ 국립현대미술관으로서

두 개로 분리된 건물과 부속 부지로 되어있으나

인접해있고 통합해 운영 관리하고 있다 도심에서 살짝 벗어난 곳에 있어 전원의 여유 를 만끽할 수 있는 공간이다 우리팀이 찾은 현대미술관

은 마침 미국 팝아티스트 로이 리히텐슈타인 개인전

과 그룹전 성찰 현대미술의 변화를 표시하는 시리즈 가 전시되고 있었다 국내 주요 미술관에서도 쉽게 보지 못할 규모였다 전시장은 이전부터 수준 높은 기획전을 진행 해왔다 전시장은 동시대 미술품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수집한다 이런 운영 목적에 맞 게 교육 프로그램과 자료실을 구성하고 있는데 대상층은 통합 운영하는 다른

개 갤러

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⓻ 인물화를 중심으로 회화와 사진을 다루는 국립미술관으로 스코틀랜드 지역 현대미 술 도서관 등의 운영 영역들을 인물이라는 하나의 주제로 묶고 있다 이곳 역시 다른 개 갤러리와 통합 운영되고 있어 관객층은 거의 동일하다 과거 스코틀랜드인들의 인물화 전시장 수많은 장서들을 보유한 도서관 동시대 작품 전시장 아트숍 등은 인물화에 대한 전통을 계승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인다 과거의 작 품뿐만이 아니라 이 지역 기록 사진가들을 선별 제작 지원을 해서 그 작품들을 전시 한 기획전

가 진행 중이었다

또한 같은 층에서

가 전시되고 있었다 시상과 함께 전시되는 이 연례행사는 인물화를 중심 으로 창작을 장려하고 있다 표현성이 강한 회화부터 극사실주의 혹은 포토리얼리즘 경향의 작품들까지 다양한 기법과 주제들이 포트레이트 형식으로 수용되고 있다 - 214 -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⓵

앤슬리 로딕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인터뷰 요약

는 글라스고에서 예술을 위한 허브 공간이다 주로 전시와 프로그램 레지던시 워 크숍 실험적인 퍼포먼스 등 현대예술이 이루어지는 공간이고 카페와 영화상영관이 있 다 이처럼 사람들에게 만남의 장소가 되어주기도 한다 에서는 컨템포러리 아트에 속한 회화 사진 퍼포먼스 등이 주로 전시되어지기 때문에 대중이 작품과 소통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주로 전시에 대한 설명을 전달하는 도슨트나 아티스트 토크로 대중과 만나고 있으며 다른 특별한 전시연계 교육은 없다 예산의

퍼센트 정도를 아티스트들에게 돈을 지급하는데 사용한다 전시 작가에

게 소정의 지원금을 전달해주는 캠페인이다 글라스고는 예술 시장이 작다 아티스트들 이 예술시장에서 적당한 급료를 지급받지 못한다거나 적응하지 못하는 부분을 안타깝 게 생각하고 몇 년 전 디렉터들의 동의 아래 진행되고 있다 이 캠페인은 아티스트들 이 지속적으로 작업을 해나갈 수 있는 하나의 원동력이 된다고 생각한다 개 이상의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어서 외부기관이나 외부전문가와 함께 협력하는 이벤트이다 저희의 모든 이벤트나 프로그램은 대중과 사회활동을 연결하고 있다 특히 글라스고 출신 건축가이자 디자이너인 맥킨토시의 영향을 받으며 지역 문화예술 발전 이 이루어졌다 에서는 대중 참여적 프로그램으로 변화를 주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많은 다 른 단체나 기관에서 함께 협력해야 한고 생각한다 예산은 한정되어 있는데 대중 참여 적 프로그램이 가장 먼저 줄어들게 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대중들의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중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길 바라며 다른 단체나 학교 아 티스트들 모두가 함께 협력하길 바란다 예산의

퍼센트 가량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 에서 펀딩을 받고 나머지 예산

은 해당시설을 다른 기관을 위해 렌트해 주었을 때나

층 카페 임대료로 충당한다

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많은 대중에게 열려있지만 한편으로는 민간기관으로서 운영 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사용료를 받을 수밖에 없는 것 같다 특히 프로그램에 대한 예 산은 굉장히 작다 예산 중 많은 부분이 스태프 임금이나 관리비 등 유지비로 나간다 전시회나 프로그램으로 얻는 수익이 크지 않기 때문에 항상 자금을 모으고 있다 한국의 아티스트들이나 글라스고의 아티스트들 역시 비슷한 상황에 있다는 생각이 든다 예술시장이 작은 도시지만 예술이 아닌 다른 다양한 콘텐츠가 풍부한 도시라면 이곳에서 구현된 예술은 매우 흥미롭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그게 예술이 만들어 낼 수 있는 것 중 최고인 것이다 글라스고는 큰 도시도 아니고 런던과도 분명 다르 다 그래서 아마도 사람들도 다를 것이다 그것이 그 지역 고유한 예술 장면을 만들어 낸다 - 215 -


인게이지 컨퍼런스 참가자 예술교육자 예술가 큐레이터 인터뷰

루시아 헤일리

나는 조각가인데 프로젝트에 따라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다 기본적으로 프리랜서 아 티스트라서 어떤 특정한 갤러리를 위해 일을 하지는 않고 기관들을 통해 일하며 예술 교육 기관을 운영한다 그 예로서 기관

라는 기관을 위해 진행한 일이 있는데 그 기관은 예술기획 으로 프롬 지역 서머셋 지방 에 잘 알려진 곳이다 남서부

동네에서 카니발이 전통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는데 예술가와 청년들이 커뮤니티를 함께 하며 예술가들은 영감을 얻게 되고 이를 예술작품으로 만들어낸다 커뮤니티 그룹들은 프롬 지역의 카니발을 위해 서로 협력해가며 예술작품을 만들어나가며 그 예술 작품들 은 예술가와 젊은 사람을 상징한다 서로 다른 두 집단이 협력해 만드는 예술은 정말 대단하다 또 다른 예는 매트 스토크스와 협업한 프로젝트가 있는데 이 사람은 조각을 통해 커 뮤니티의 구성원을 하나로 묶는 작업으로 유명한 사람이다 함께 대장간 작업도 하고 헤비메탈 밴드도 왔다 다 같이 조각 작업을 했고 그 조각 작품이 프롬 카니발 때 퍼레 이드 소품으로 쓰이도록 했다 그 조각을 만들 때 이것은 어떤 것이라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가지고 작업을 진행했다 나는 이러한 협업 과정 중에서 내 학생들을 멘토링해 야 했는데 그들은 이 과정에서 나온 결과물로 작품도 만들었고 포트폴리오에도 그것 을 넣었다 또 하나의 사례가 있다 내가 운영하는 기관인

의 일부 기관인데 학교들과 협업을 많이 한다 근처 마을들에는

이 있다

학교들은 보통 정부로부터

학생들이 수학을 잘 하게 해야한다 라는 말을 듣는다 이러한 연유로 예술가와 수학 전문가들 사이에서 대화가 이루어지는데 두 기관 간의 의견 차이가 발생했다 인식의 차이가 컸는데 아이디어로 떠올려 이벤트를 만들었다 수학자들은 그들의 아이디어를 제시했는데 아이들한테는 재미있을 것 같지 않았고 예술가들은 이것을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아이디어로 제안했다 그래서 상호작용적인 이벤트가 기획되고 만들어졌다 이 프로젝트는 학교들을 순회하며 진행됐는데

주간은 프롬에서 전시되었고

서 체험하기도 한다 커다란 커브 스티칭

천명이 와

으로 못을 박아서 두 개의

축을 라인에 따라서 연결해 나가서 커다란 커브를 만들었고 실험 가운 안경 커다란 칠판도 설치하고 피보나치수열도 살펴보았다 이 이벤트가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누구나 수학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단순 히 좋은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그것을 프로젝 트에 녹여 넣는 것이다 또한 이 프로젝트들은 관계

에 관한 것이다 선생님이 필요한 것과 아이

들이 필요한 것 수학자와 예술가들의 관점 등 그런 것들을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는 것에 관한 것들이었다

- 216 -


예술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문화

생산과 참여일 것이다 이것은 훌륭한 자극제이다 단순히 자극제에 불과한 것이 아니 라 세상을 발견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예술작품을 그냥 단순히 예술작품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 속에서 세계와 만물을 보는 것처럼 말이다 예술작품에는 이미 많은 것들이 내포되어 있다 수학 영어 과학 등 다른 분야를 예술작품을 위해 불러오 는 것은 거창한 일이 아니다 이미 예술 안에 다 들어 있는 것들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끄집어 내느냐하는 문제일 뿐이다 이러한 과정은 예술을 세계와 더욱 가깝게 접근시 키는데 도움을 준다 창의성을 정의 내리는 것은 참 어려운 문제인데 어떤 사람들은 그 사람의 인생의 이 른 시기에 마음의 문을 닫아버리고 창의성을 멀리하며 다른 누군가가 하는 것이라고 생 각한다 하지만 매일 아침 무슨 양말을 신을까 생각하는 것도 창의성의 일부이다 그것 은 당신이 누구인가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미 자기 마음 안에 있는 창의성과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다시 연결되도록 미술관이나 예술교육에서 우리들은 노력하고 있다 라는 것은 학습한다 라는 것을 인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배우는 상태를 말한다 그것이 창의성의 핵심이라 생각한다 예술 과학 음악 그 무엇 이던 간에 창의성에 이를 수 있는 길은 모두에게 있고 이를 연결하는 것이 우리가 할 일이다 참여 행사 소개와 내용 행사소개

인게이지 국제 컨퍼런스 다른 게임 예술 및 예술가와 작업하는 젊은 세대

참여목적 주최 기관인 인게이지 설립되어 영국 및 전 세계

년 미술관

교육을 위한 국립 협회로

개국 이상의 미술관 및 시각예술교육 전문가들의 회원

모임이다 인게이지는 현재 런던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미술관 교육을 통해 시각예술 에 대한 접근과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 및 지지를 하는 단체이다 주로 다양한 교육 활동 연구 컨퍼런스 및 세미나를 통한 전문성 개발 교육 전문가 들을 위한 네트워크의 장을 제공 직접 또는 온라인을 통해 개개인의 경험 생각 자원 을 나누고 저널 전자 게시물 등을 출판하여 최근의 이슈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미술관 교육을 중심으로 시각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연구와 성과를 축적해온 인게이 지

년 컨퍼런스 참여를 통해 영국 현지에서 논의되고 있는 시각예술

교육의 최신 이슈들은 무엇이며 그들의 교육 활동과 접근 방법의 구체적인 사례들은 무엇이고 해외의 예술교육 전문가들과의 직접적인 만남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의 가능 성을 모색하는 것을 탐방조사팀의 참가 목적이다 올해의 컨퍼런스의 타이틀은 다른 게임 예술 및 예술가와 작업하는 젊은 세대들 이다

- 217 -


국내외 교육활동의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젊은 세대들이 예술 및 예술가들과 협업하 는 새로운 방식 즉 기존의 위계 구조를 무너뜨리는 젊은이들과의 새로운 작업 방식을 통해 좀 더 심도 깊는 차원의 협업을 논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협업 효 과와 젊은 세대들의 잠재된 창의성 계발을 모색하여 그들의 삶에 변화를 만들 수 있 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기조 연설자 대런 오도넬

ʼ

년 시작하여 계속 발전시켜온

프로젝트인 을 소개하며 아동과 청소년 노동의 동등한 권리에 관련된 이야기 를 하였다 다수의 원칙 동료의식 사회적 자본 우정 연속성 수행성 에 뿌리를 두고 젊은 세 대들이 예술에 참여해야하고 다른 기관과 협업할 경우에도 이 원칙들이 준수되고 기 관의 헌신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용기 역시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의제는 아 래 가지 핵심 주제로 나누어 토론이 진행됐다 갤러리는 학교인가 갤러리 교육이 정규 교육의 교수법을 따를 때와 급진적인 교육방법으로 진행할 때 어느 쪽이 더 효과적인가

라는 질문을 토대로 갤러리의 기능 혹은 용도에 대한 논의

를 진행했다 각각의 발제자들은 자신들의 아트 프로젝트를 사례로 들며 갤러리가 학 교의 기능을 따라야 할지를 발표하였다 발제자 헤이드린 게라드 지속적으로

지원할

는 지역사회에 유용한 그리고 지역주민을 있는

공간의

역할에

대해서

테레사

시스네로스

는 갤러리가 학교가 아님을 강조하며 참여자의 자율적 의사결정을 통해 창조 되는 공간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콜레트 베일리

이라는 독자적 공간을 확보하여 젊은 세대의 전문적이고 교육적인 발전을 위한 디지털 학습의 가치를 그리고 안젤라 로저스

이라는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예로 갤러리의 기능과 예술가의 역할을 분 석하였다 학제간 참여의 중요성 참여의 가치를 탐색하였던 이번 논의는 문화 생산에 있

학제간

어 예술가와 젊은 세대들의 공동 작업의 가치와 예술가와 이해 관계자들과의 협력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발제자 팻 코크란

은 학교와 지역사회 기반 아동 청소년과의 협업을

통해 기회의 창출에 대해 이야기하였고 제시카 고간

라는 아

티스트 랩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간의 협업에 대한 사례를 들었다 로스 싱클 레어

와 케이트 그레이

는 청소년들을 위한 무료 악기 프로

- 218 -


젝트를 통해 음악 디자인 퍼포먼스 등의 학제간의 가치와 청소년들과의 협업을 통해 아티스트 자신이 영감을 받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진행하였다 동료 주도

활동의 윤리

갤러리 환경에서 동료 주도적 활동을 논의하면서 제도권의 암시적 위계 구조를 무너 뜨리는 젊은 세대들의 역할 저자성 자율성의 문제를 탐색하였다 발제자 에스더 세이어스

는 동료 주도적 활동의 장단점을 탐구하고

젊은 세대들에게도 존재하는 계층간의 균등을 추구하기 위해 예술이 필요함을 강조하 였다 로빈 베일리

는 현대예술의 방법론으로써 동료 주도적 활동 젊은

세대의 창의성 개발과 그들의 작품에 대한 미학적 해석의 방법론의 개발을 제안하였 다 마크 밀러

는 젊은 세대가 학제간 그리고 다양한 맥락의 예술 활동

중 동료 주도적 활동을 통해 생기는 변화 자율성 등을 이야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네 트 크라우스

는 폐기학습

의 가치를 통해 젊은 세대가 기

존의 학습 구조를 타파할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적인 활동 평가에 혁신적인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각각의 평가 방법을 통해 테이트

프로그램

명의 발제자들은

콜렉티브

프로젝트 그리고 국가적 프로젝트였던

의 평가 개요

를 설명하였다 컨퍼런스는 각각의 주제에 대한 발제가 끝날 때마다 패널 토론과 참여자들의 원탁 토론 활동을 통해 나온 질의응답을 하는 구조로 진행되었다 영국뿐만 아니라 해외 발 표자들은 활발한 토론을 펼쳤고 핵심 주제에 대해 폭넓은 관점의 범위를 제공했다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우선 글래스고는 역사적으로 상공업 도시로서 일찍이 발달했으나

세기 들어 쇠락

의 길을 걸으면서 자구의 노력을 펼쳐왔고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꾸준한 혁신을 이루 어왔다고 한다 사전 리서치를 하면서 문서로만 살펴보았던 내용을 현지에서 직접 보 고 들으면서 그 혁신의 현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예술의 창의적 관계성을 새삼 실감할 수 있었다

이 지역과 대중사업을 기반으로 등 문화예술 조직과 시설들이 지역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우리가 만난

관계자의 인터뷰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내부관계자가 모든 이벤

트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식이 아니라 외부단체나 전문가의 협력으로 이를 지원하 는 열린 방식으로 지역 내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운영되어 그들만의 문화를 이끌어내고 발화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미술시상제도 중 하나인 터너 프라이즈의 개최를 의욕적으

- 219 -


로 추진해 스코틀랜드에서 첫 개최 장소가 된 트램웨이는 과거에 전차 창고로 만들어 진 장소였다고 한다 이러한 장소를 다시 가꾸고 다듬어 새롭게 문화예술의 장소로 탈 바꿈한 현장을 경험한 것은 한국의 문화예술의 지형과 비교할 때 매우 각별하다고 할 수 있다 컨퍼런스의 브레이크 아웃 세션으로 방문한

은 도심에 위치해

개 층에

걸쳐 다양한 사업장이 있는 복합문화시설이다 카페 러시안 문화센터 갤러리 극장 워크 숍 실습실 등이 상주해 있고 그 현장엔 그곳 시민들이 드나들며 예술을 학습하고 실행하 고 있었다 시민의 접근이 용이하고 충분한 여유 공간으로 예술작업의 안정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면모가 돋보인 장소였다 개별적으로 사업장이 파편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흔한 국내의 문화예술 시설과 비교해볼 때 시사한 바가 크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특강 등 중 인상 깊었던 부분 민간에서 운영하는 미술관 두 곳 역시 매우 인상적이었다 개인 사유지라고 믿기 어 려울 정도의 넓은 전원 부지를 확보해 자연과 화합하며 녹아드는 설치미술을 유아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참여자에게 선사하는

에든버러 역 바로 앞

에 위치해 대중적 활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기획과 프로그램을 강점으로 확보하는 이 두 곳은 미술관 이동 라인이나 군집촌에 안주하려는 국내 미 술관 전략과 비교해볼만한 장소를 선택하고 있었다 는 인물화를 중심으로 회화와 사진을 다루는 국립미술관으로 스코틀랜드 지역 현대미술 도서관 등의 운영 영역들을 인물이라는 하 나의 주제로 묶고 있다 포트레이트는 미술에서 소장르이다 소장르의 작품만으로 국립미술관의 규모를 운영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탐방조사팀이

개층을 운영하고 있는 미술관의 면

모를 직접 체험한 후에 비로소 이해할 수 있었다 우선

세기 전후해 스코틀랜드 지역의 귀족과 명망가들의 포트레이트 상설전과

수많은 장서들을 보유한 도서관이 층에 자리잡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물화에 대한 전통을 잇기 위한 노력으로 현대적 해석과 실천에 대한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었다 이 지역 기록 사진가들을 선별

제작 지원을 해서 그 작품들을 전시한 기획전

가 진행 중이었다

또한 같은 층에서 전시중인

역시 작가들의 인물화 작업을 장려하고자 하는 의도가 분명한 시상제도 로 해석되었다 매해 진행되는 전시로서 추상표현부터 극사실주의 포토리얼리즘 경향 의 작품들까지 폭넓은 기법과 주제들이 포트레이트 형식으로 수용되고 있었다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 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컨퍼런스 중간에 배치된 브레이크 아웃 세션은 여덟 가지의 소주제로 글래스고 여러

- 220 -


지역에서 동시에 진행되었다 우리팀은 두 모둠으로 나눠 브레이크 아웃 세션 의 지형 초지역성 해독하기 워크숍에 내가 혼자 참여하고

브레이크 아웃 세션

협업 청

소년의 주도적 실행전략 워크숍에 권혜진 정은경이 참여하였다 내 경우는 아무래도 언어 장벽이 있는지라 네트워킹을 원활하게 진행하진 못했다 브레이크 아웃 세션에 나와 함께 동석한 여성은 글래스고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왔 다고 소개했다 먼저 악수로서 인사를 청하는 그녀에게 간단한 소개와 대화를 이을 수 있었지만 정작 본 강연과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논의에 말 붙이기가 불가능했다 예전 부터 기대했던 토론 기회에서 결국 내 영어 능력의 한계를 뼈저리게 절감했던 것이 가 장 기억에 남는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

서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매우 개인적인 경험을 먼저 말하고 싶다

년 작가로서 중국 서안예술대학에서

개최된 학원의 빛 전시와 컨퍼런스는 인상적인 경험이었다 중국에서 매우 지명도 높 은 예술대학들이 협력해 주관한 전국적 행사로서 한국팀 일원으로 참여한 바 있다 전 국 각지에서 모인 예술대학 학생들과 교수들이 수일동안 대학 강당에서 매우 진지하고 열정적인 태도로 현대미술에 대해 토론을 벌였고 나 역시 참가자로 참여했었다 중국 어로 진행된 자리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전혀 이해할 수 없었지만 그 태도와 열의를 목 격한 것은 지금도 생생하고 강렬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그 인상적인 경험이 이번

에서 오랜만에 다

시 재생되었다 이번에는 인상적인 경험 외에도 실천적 담론의 내용들이 나뿐만 아니 라 국내 문화예술교육에 신선한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있다 분명히 오 랜 시간동안 고민하고 다듬어온 과정이 그들에게 있었을 것이다 의제 역시 우리들에 게 낯선 것은 아니었지만 진중한 무게감을 가진 것들이었다 토론

주제어로서

가장

눈에

단어는

등이었는데 이 주제어가 끌어내오고 있는 내용 역시 우리가 눈여겨볼 것들이었다 아무튼 여기서 확산 가능한 것으로 다듬어 국내 문화예술에 몸담고 계신 분들과 공유하고 논의하고 싶다 그 기대감의 작은 씨앗을 경험한 것이 아무래도 가장 큰 성과일 것이다 이번 탐방조사의 모든 과정은 교수자로서의 역량을 넘어서 기획 실행을 수행하는 역량을 스스로 확인하는 시간이었다 서로 무관한 요소들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해 관 계 맺는 것이 현재의 시점이 정의내리는 창의성이라면 탐방조사의 과정은 이러한 창 의적 사건 들이 다양하게 펼쳐지는 현장을 목격하는 과정이었다 동시에 여러 역할을 어색하게 맡았던 이를테면 창작자 예술강사 기획자로서의 다 면적인 나의 역할들이 서로 충돌하는 요소들이 아니라 내 안에서 융합되어 멋지게 발

- 221 -


휘할 수 있을 것이란 자신감과 전망을 가지게 되었다 새로운 길과 관계를 모색하는 나에게 이번 탐방조사는 좀 더 세심하고 꾸준한 실천과 확장된 혁신을 스스로에게 요 구하는 기회였고 꽤 오랫동안 이 미션은 지속될 것이다 팀 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예전부터 혼자 하는 일의 장점도 잘 알고 있었지만 분명한 한계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여러 사람이 의기투합해 일으키는 협력의 장점을 여러 모임을 통해 모색해왔 다 개별 작업이 대부분인 사진작업 그리고 생업이었던 영화작업 예술강사로서 관심을 쏟고 있는 통합 융합 수업의 참여 과정을 통해 익히 알고 있었다 시작 단계의 의견 조정과 진행과정 전체에서 문제될 것이 없는 팀 워크였다 우리 모두 이성적이고 논리적이면서도 협력에 익숙한 품성들이다 그리고

개의 주제와 더

불어 각자 맡았던 역할은 남보다 더 잘 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한 것이어서 팀워크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었던 기반이 되었다 기획단계에서 기획자로서 내가 주도했다면 영국 현지 탐방조사에서는 여성멤버 두 분이 긴밀하게 운영했다 오히려 영국현지에서는 내가 수용하는 과정이었다 원래 친분 이 두터웠고 공항 출입국부터 숙소 생활까지 매시간 같이 생활했기에 모든 일들을 조 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상태에 있었으리라 맡은 역할을 넘어서 능동적으로 진행하신 두 분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후 계획 이번 해외탐방조사는 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성과 장점을 점검하고 확인하는 계기 가 되었다 일단 영어회화 공부를 열심히 하고자 한다 앞으로 확장될 활동을 위해 영 어 소통 능력을 위한 계획을 잡고 있다 수년 내에 담화나 회의 내용을 익숙하게 듣고 의사를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목표하고 있다 또한 기획 활동을 의욕적으로 펼칠 수 있으리란 자신감과 방향성도 마련했다 앞으 로 다양한 기획 실행을 진행할 계획인데 나의 미래 활동 리스트에는 사진교육과 전시 기획 시각예술간의 교류와 통합 활동 주제 혹은 프로젝트 사업 해외 활동과 사업 등 이 오를 것 같다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 제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내 주변엔 깊은 안목과 철학을 가진 동료 예술강사들이 있고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이들 역시 좋은 경험과 성과들을 거두어 동료들과 공유했으면 한다 진흥원은 적지 않은 국제교류사업을 해오고 있다 당부할 것은 국가 간 협력은 선진 후진 모두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기에 우리보다 앞선 서구사회뿐만 아니라 아시아 이웃나라나 제

세계 여러 나라와도 문화예술로써 협력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여기서

- 222 -


중요한 것은 관계성을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고 기획하느냐이다 정치 사회문화 경제 역사 등 다양한 관계성을 어떻게 매칭 하느냐에 따라 이 사업의 성패가 달려있지 않을 까 생각한다 이러한 관계성은 지속적이고 깊은 관심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국 내에만 매몰되는 것이 아닌 인류사회에 대해 관심을 확장하는 스스로의 노력과 혁신이 필요하다 해외사업에 뜻을 둔 예술강사라면 이러한 맥락을 충분히 파악하고 기획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언어 소통 능력은 필수이니 늘 공부했으면 한다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시각자료를 얻어야 하는 경우 사진 동영상 촬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과업 에서 중요한 일이다 사진 전공자인 우리팀에겐 자신 있는 업무 형태였다 앞으로도 갖 추어야할 역량이고 우리의 시각 혹은 교육 문화에서 실제로 필요한 작업이다 이것에 대한 능력을 구비하면 좋을 듯하다 또한 관심분야를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의 폭을 넓히는 독서와 토론을 깊이 있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진행했으면 한다 내가 기준이 될 순 없겠지만 나의 경험을 돌이켜본다면 이러한 과정은 절대적인 것이었다 국제무대에서 의제를 중심으로 의견 을 교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은 한 순간에 나오는 역량이 아니니 만큼 독서와 토 론 문화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다소 거창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문화예술교육을 시민교육 더 나아가 세계시민교육과 장기적 차원에서 연계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기능 기예 차원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주제 중심 주제 융합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궁극의 목표를 국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좀 더 거시적 목표를 두고 설정했으면 한 다 그 이유는 지금 교실 혹은 지역에서 우리와 함께하는 아이들이 결국 가파른 사회 변화에 부딪히며 수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 223 -

세기 주역이기 때문이다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호주의 예술교육 예술가를 만나다 성 명

박 은 수 국악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현재 예술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강원도에는 작은 시골마을에 전교생이

명도 되지

않는 학교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농촌의 작은 학교에는 다문화 학생들이 도시에 비해 많이 있는데 학생들에게 사물놀이와 가야금과 같은 한국의 전통문화가 제일가는 문화 라고 설명 하는 것이 과연 맞는 것일까 라는 생각을 하면서 캐나다의 유학시절 배웠던 문화예술교육이 생각났다

우리문화 뿐 아니라 외국의 문화

그리고 그것을

라고 생각하며 그것 또한 하나의 자신들의 문화로 인식하는 그들을 보며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그래서 외국의 여러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에 대해 살펴 봤는데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살고 있으며 원주민 문화를 갖고 있는 호주의 예술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다민족 국가인 호주와 단일민족에서 다문화 시대로 접어드는 우 리나라의 현 시점에서 우리가 나아갈 바람직한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고 방법을 모색하다가 이번 해외탐방조사 참가자 모집 공고를 보게 되어 지원하게 되었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사실 면접을 보고 나와서는 좋은 결과를 기대 하지 않았다 면접관들의 질문에서 우 리가 큰 실수를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문화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이미 여러 문화가 섞여있는 호주에서 배워 올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면접을 준비하고 계획서를 썼는데 이번 호주 포럼의 주제는 다문화가 아닌 일상 이였 기 때문이다 최종선발 소식을 접해듣고 오리엔테이션을 다녀온 후 효율적인 탐방조사 가 되기 위해 각자의 역할을 나누고 포럼의 주제에 적합한 인터뷰 질문을 만들기에 돌 입했다 인터뷰 할 사람들의 약력을 살펴보고 포럼 프로그램을 살펴보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과 궁금한 점에 대해 정리하며 차근히 준비를 해 나갔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탐방기관과 연락이 닿지 않아 마음을 많이 졸였었다

크리에이티브 빅토리아

와 멜버른 아트센터를 방문할 계획 이였으나

- 224 -

크리에이티브


빅토리아는 연락이 전혀 닿지 않았고 아트센터는 비행기를 경유하는 홍콩에서 최종 연락이 닿았다 멜버른에 도착하기까지 계속 이메일을 주고받으며 시간을 정했고 몇 번의 담당자가 바뀐 끝에 만날 수 있었다 빅토리아 국립 미술관과도 연락을 하였으나 결국 연락이 닿지 않아 만날 수는 없었다 나중에 포럼에서 크리에이티브 빅토리아 관계자를 만나서 알게 된 사실이지만 지금 크리에이티브 빅토리아 기관 내부에서 구조조정이 일어나고 있어 담당자가 매일 바뀌 는 과정이라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연락이 되지 않았다고 한다 사실 인터뷰 내용을 만드는 것도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인터뷰어의 약력과 포럼에서의 내용을 확실히 숙지하지 못한 채 질문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으나 지속적인 연락 을 하면서 내용을 구축해 나갔으며 우리가 원하는 정보는 무엇이며 돌아와서 잘 활용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는지 팀원들과 이야기 해 나가며 만들어 나갔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등 멜버른 아트센터 원래는 빅토리안 아트센터 로 알려졌던 아트센터 멜버른 간단히는 아트센터 은 호주 멜버른 아트센터 지역의 중심부에 위치한 복합공연장이다 호주 빅토리아 주 정부기관인 아츠 빅토리아 산하 문화 복합 단지로 지역 공연예술의 활성화 일반 시민의 예술적 경 험 증대 및 문화예술 활동으로의 접근성 강화를 목적으로

년 조성을 시작하여

년 완공되었으며 멜버른의 랜드마크이자 도시의 문화적 상징일 뿐만 아니라 호주에서 가 장 크고 분주한 아트센터이기도 하다 세 개의 공연장에서 열었으며

년 기준으로

번의 공연과 공공행사들을

백 십만 명의 관객을 불러 모았다

음악 춤 연극 코미디 캬바레 페스티벌 등의 다양한 장르의 국내 해외 공연을 열 고 있으며 등의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공 연장 중 하나인 석의 연극공간

석의

석의 연극전용극장

이 있으며

의 재건축이 완공되었다

년엔

석의 콘서트 극장인

명이 수용 가능한 야외극장인

역시 관리하고 있다 주로 공연을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라는 장소에서 교육을 진행한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이며 가족단위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도 열리고 있다

- 225 -


멜버른 아트센터의 전경

멜버른아트센터의 극장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멜버른 아트센터 와 인터뷰를 하고 극장투어의 가이드 인

가 매우 친절하게 인터뷰에 응해 주었다

시부터

시까지

가이드와 함께 극장을 둘러보았다 사실 참가자 인터뷰도 준비했으나 그 날 투어의 참가자는 우리가 전부였다

개의

다양한 극장은 각각의 테마를 가지고 있었고 우리가 방문했던 날은 극단의 시험이 진 행 중 이었다 아트센터 내부의 기둥 하나에도 건축가가 의도하는 예술이 담겨있어 매 우 흥미로웠다 되었다

시에 아트센터 앞에 있는 야외 카페에서 교육담당자와 인터뷰가 진행 이라는 곳에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 되고 있어 직접 둘러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학생들이 교육받고 있는

실을 방문하여 둘러보았다 작은 무대

가 있는 공간이 있었는데 그 곳은 학생들이 직접 공연을 하거나 뮤지션들을 초청하여 공연을 하고 학생들과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갖는다고 하였다 극장 투어 가이드 및 교육담당자 인터뷰 질문

멜버른 아트센터에서 가이드 투어를 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가이드 아트센터 멜버른에 오고 싶지만 선뜻 찾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가이드 투어가 개설 되었 다 빌딩과 극장에 대해 배우고 큰 건물에 혼동이 오는 사람들에게 건물의 구조나 각 극장이 무엇을 하는지 알려 줄 수 있다 극장경영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고 멜버른 아 트센터에서 한번도 공연을 본 적 없는 관객들은 투어를 통해 관심을 갖고 이곳에서의 공연 을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질문

가이드 투어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연령대는

가이드 매우 다양하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단체 관람도 오고 나이가 많은 사람들 극장을 공부하는 사람들 등 다양하다 질문 다양한 프로그램 중에서 참여자들의 선호도가 가장 좋았던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 226 -


가이드

이다 일요일 오전

시에 진행 된다

명의 정원이 항상 가득 찬다 건물

의 극장 뿐 아니라 분장실 드레스룸 등 세세히 볼 수 있어 가장 인기가 좋다

인터뷰 질문

멜버른 아트센터는 무엇을 하는 곳입니까 예술적 퍼포먼스 댄스 노래 코미디 연극 등 다양한 공연이 있다 유명 뮤지션들을 초청하여 공연을 하기도 한다

가지 타입의 쇼가 있는데 홀을 이용한 쇼가 있다 예

를 들어 오케스트라와 같은 홀 안에서 진행되는 공연이 있고 야외에서 사람들이 참 여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질문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라는 장소에서 교육을 한다 학생들이 와서 쇼를 보고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음악을 만들고 컴퓨터를 이용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창조물을 만들도록 도 와주고 있다

질문

멜버른 아트센터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무엇입니까 학생들에게 영감을 주고 무엇인가 창조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질문

이 곳에서 가장 인기있는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이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음악을 만든다 이 프로그램은 매 우 인기 있다 왜냐하면 어린 아이부터 청소년까지 모두 할 수 있고 그들은 클래식 팝 락 등 다양한 음악장르를 활용하여 뮤직비디오도 만들고 음악을 만들 수 있다

질문

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빅토리아 학교 교육 커리큘럼에 따라 나누어져 있다

질문

프로그램은 매년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져있는가 워크숍은 비슷할 때도 있고 바뀔 때도 있다 주로

년마다 새로 만들고 있고 아트센

터에서 열리는 쇼는 매일 바뀐다 질문

선생들을 위한 프로그램도 있다고 하던데 프로패셔널 러닝 이라고 부른다

쇼에 대해 배우고 쇼를 이용

하여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도 배운다 컴퓨터 뮤직에 대해서도 배우고 학생 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무엇을 선택 할지 정할 수 있다 질문

다문화에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이 있는가 과거에 원주민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매우 나쁘게 다루었던 것이 사실이고 유감스럽 게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협력해 나가려고 노력한다 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을 통해 강을 걸으며 원주민들과 이야기를 나 누고 그들의 스토리를 듣는 프로그램이 있다

- 227 -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아츠러닝포럼 포럼 등록하는 모습

등록 후 각자 사진을 전시한 모습

포럼일정 및 활동모습 일시

예술교육포럼 시작 및 캐서린 지저슨 연사 듣기

일시

의 연설을 들으며 포럼의 문을 여는 시간 캐서리는은 예술교육에 있어서 예술교육자들이 어디서 왔는지 무엇을 전공하는지 상관 없다고 생각하며 단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예술적 영감을 나누는 것이 예술교육의 미래 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네트워크 구축 프로젝트 공유 및 아이디어의 공유 워킹 그룹으로 진행 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하나의 주제에 관한 아이디어를 구축하기 위해 파트너를 정하여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의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 228 -


일시

안나커틀러와 마기 모레와 함께 예술교육이 무엇이며 그것이 뚜렷이 다른 무엇을 만드는 것에 대한 이야기 영국의 에서 예술교육가이자 프로듀서로 있는 안나 커틀러와 함께 예술교육은 무엇 인지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안나커틀러가 직첩 참여 하지 않고 마기모레 와 안나커틀러의 인터뷰 영상을 보았다

일시

초보자도 함께 할 수 있는 노래 시간 캐서린과 참가자들이 함께 노래 부르는 시간 이라는 가사를 가지고 다양한 화음을 만들며 음을 이용하는 방법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시간 을 가졌다

일시

주제별로 워킹 그룹에서 토론과 아이디어를 진행하고 마지막 세션에서 전체 포럼에 프레젠테이션하기 각자 정한 주제를 다시 취합하여 하나의 큰 주제를 만들었다 우리 그룹의 큰 주제는 콜 라보레이션 하였는데 예술교육을 통해 다른 예술 이방인들과 어떻게 융합될 것인지에 대 해 토론하고 아이디어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 229 -


인터뷰내용 의 인터뷰 질문

당신이 생각하는 예술교육은 무엇입니까

예술교육에는 두 가지 다른 방법이 있다 예술을 위한 교육에서의 예술교육은 예술을 만드는 방법과 다른 아 티스트들의 활동내용들을 통해 예술을 배울 수 있는 점 이 있다 또 하나로는 나는 예술을 활용하여 다른 것 들 을 배우는 것에 관심이 많다 예를 들어 춤을 통해 자연 에 대해 배울 수 있고 미술을 통해 수학을 배울 수 있 다 나는 그런 교차되는 것들로 배울 수 있는 것에 대해 관심이 있다 질문

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일상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학생들은 예술을 통해 호기심을 가질 수 있고 예술은 호기심을 유발하는 좋은 촉매제 라고 생각한 다 앉아서 지식에 대해 듣고 흡수하는 것 보다는 왜 우리가 이렇게 해야하지

왜 이렇게 됬을까

라는 궁금증을 유발 시킬 수 있다 학생들은 그 어떤 것보다도 예술을 통해 삶에 대해 알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 질문

학교에서 예술강사가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물론이다 내가 고등학생때 우리학교에 코스튬 디자이너로 활동하는 예술가가 왔었다 그녀는 학생 들과 상호작용하며 대화하는 법을 알았고 방법을 알려주었으며 사람들의 아이디어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알려주었다 그래서 나는 학교밖에서의 일들도 중요한 것들이 많이있고 더 알고 싶었다

그 당

시 우리 고등학교에서는 대학교에 진학하는 사람이 많지 않았고 나 또한 우리 집안에서 대학을 나온 첫 번째 사람 이었다

예술이 학교로 찾아왔고 그녀는 나의 생각을 더 크게 만들 수 있도록 해주었

다 질문

학교나 기관에 예술강사를 파견하는 사업이 있습니까

크리에이티브 빅토리아 라는 기관에서는 교사들을 위해 리소스를 만들고 필름을 만든다 교사들이 어떻게 교육 할 것인지에 대해 만들고 방향성을 제시한다 크리에이티브 퀸즈랜드 등 여러 주에서도 비슷한 활동들이 있다

과의 인터뷰 질문

당신이 생각하는 예술교육은 무엇입니까

사실 나는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

는다 영어에서

이라는 단어는 혼용을

주고 포괄적이다 그것은 예술의 기술적인 부분을 배우 는 것과 예술을 통해 무엇인가를 배우는 것을 나타내기 도 하기 때문이다 사용했다

캐서리는

그래서 나는 주로

선호한다 왜나햐면

이라는 단어를 이라는 단어를

은 함께 무엇인가 행동하

고 협력하여 배우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창의적인 교 육은 무엇인가를 만드는 것을 연습하고 발명해낼 수 있 다 그것이 예술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질문

예술교육을 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 230 -


관계다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서로 신뢰하고

친철하게 대하고 항상 흥미롭게 생각해야한다고 생

각한다 좋은 관계를 만들면 학생들을 서포터 해 줄 수 있고 교사 또한 학생과의 관계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이 있다고 생각한다 질문

문화예술을 통해 풍요로워 지는 것들이 있다면 무엇이 있습니까

엄청난 것이다 문화예술을 통해 우리 스스로를 알 수 있고 발전해 나갈 수 있다 교육에 참가하면 서 서로 연걸이 되고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고 기술도 늘어날 것이고 뭔가 아름다운 것을 만들 수 있다 사실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모든 커리큘럼을 예술을 통해 교육 할 수 있다고 생각 한다 질문

다문화 학생들을 교육할 때 가장 중요히 생각하고 교육해야 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다문화 학생들을 교육 할때는 우리와 다른 커뮤니티 다른 관계들에 대해 매우 고려해야하고 주의 를 기울어야 한다 다름에 대해 분명히 이해하고 시작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다른 문화에서 온 사람들을 하나 로 모으려고 할때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해서 존중 할 줄 알아야 하고 고유의 문화를 잃지 않도록 해 야 한다 서로의 문화 가치를 존중하고 무엇인가를 활동할 때 더 좋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매우 예 민한 부분이다

기관 방문 내용 멜버른 아트센터 우리나라에서의 예술교육은 학교와 기관은 별개로 이루어진다 이 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기관을 방문하는 교육은 단발성으로 진행된다 현장학습체험정도 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이 하루

시간 방문하여 만들어보거나 배우는 것이다

하지만 멜버른 아트센터 같은 경우 학교와 기관간의 협력이 매우 긴밀하게 되어있어 하나의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되어 있다 기관은 철저하게 학교교육과정에 맞추어 프 로그램을 짜고 오랜 시간을 거쳐 커리큘럼을 완성해 나갔다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교 교사들을 위한 프로그램도 진행하여 교사가 먼저 프로그램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한 후 학생들에게 지도할 수 있도록 체계화 되어 있었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캐서린의 연설을 듣고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예술교육을 하는 데 있어서 어디 에서 왔는지 무엇을 전공을 하는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고 교육자의 신념이 중요하다 는 그녀의 연설을 들으면서 나의 교육적 신념은 무엇인지 가치관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많이 들었다 예술을 도구로 삼아 예술을 통한 교육 을 할 것인지 예술 그 자 체가 목표가 되어 예술을 위한 교육 을 할 것인지에 대해 예술교육가로 활동 하면서 항상 고민을 하고 있었다 나의 확실한 예술 가치관을 확립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호주로 떠났던 것도 사실이다 다양한 분야의 참가자들을 만나고 이 야기를 나누는데 있어 나의 고민에 대한 방향성을 많은 부분 찾을 수 있었던 좋은 시 간이 되었다 또 워킹그룹시간에 우리를 배려해주는 멋진 사람들과 함께 대화하고 팀 - 231 -


이 될 수 있어서 감사했다 갑작스럽게 함께 나가서 발표하자고 해서 당황하긴 했지만 우리의 뜻을 조금이나마 전달 할 수 있었던 멋진 자리였다 작은 그룹별로 취합한 의견을 프레젠테이션 하는

워킹그룹시간 의견 나누는 모습

모습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포럼에서 만난

가 많은 도움을 주었다

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우리를 위해 천천히 내용에 대해 이야기해주었고 세션 중간 중간 호주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는 발레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는데 그녀의 학생이 만든 동화책

을 주기도 하였다 멜리사는 영국에서 건너온 멋진 교육컨설턴트였다 시드니와 브리즈 번 전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녀는 자신의 생각을 나누는데 거리낌이 없으며 이야기 나누기를 좋아하였다 포럼 마지막 날 그녀는 우리 팀에게 멜버른에서 열리는 음악 공 연에 초청하였다 공연을 마치고 호텔까지 데려다 주겠다는 그녀의 호의가 너무 감사 했으나 남은 포럼일정을 위해기약 없는 다음을 기약해야만 했다 포럼에서 만난 kate : 그녀는 발레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Melisa: 교육 컨설턴트로 일하고있는 참가자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서 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해외탐방조사를 떠나기 전 사전 조사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나 막상 현장에 가보니 부족한 것투성이였다 많은 예술가들이예술과 교육의 발전에 힘쓰 는 모습을 보면서 한국에서도 비슷한 국제무대가 생긴다면

경험을 토대로 잘 준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예술교육이 목적으로써 또는 도구적 가치로써 쓰이는 것에 대한 혼자만의 고민이 많았는데 이번 탐방에서 여러 사람을 만나고 이야기를 나 - 232 -


누며 나만의 교육적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나는 우리 팀에서 주로 인터뷰를 맡거나 영어로 전개되는 일을 맡았다 동영상과 사 진 촬영을 분담하고 부족한 영어실력을 위해 모든 것을 리코딩하며 엄청난 집중력을 쏟아 부었다 우리 모두가 처음이고 낯선 자리여서 첫날은 적응하는 것에도 큰 에너지 를 소모했다 하지만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고 했던가

여러 번 얼굴을 마주친 사람

들과 눈인사를 나누고 가볍게 대화를 풀어나가면서 각자의 역할에 충실 할 수 있었다 혼자였다면 할 수 없는 일을 팀원들과 함께 해서 해 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향후 계획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

후 본인의 계획 포럼장 에서 만난 좋은 사람들과 계속적으로 인연을 이어나가고 있다 대학원 진학 을 위한 좋은 정보도 얻고 있으며 앞으로 영어공부를 좀 더 열심히 하고 해외의 좋은 예술교육 사례들을 찾아보며 예술강사이자 교육컨설턴트로 발전해 나가려고한다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 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 제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이외 추가적으로 공

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개인의 외국어 능력이나 현지 코디네이터 지원이 절실하다 사실 외국의 포럼이나 컨퍼런스 같은 경우 자신들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토론과 대화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 많다 언어가 되지 않으면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제대로 표현 할 수 없기 때문에 탐방조사를 나가는 모든 팀원들이 언어능력이 뛰어나야한다고 생각한다

- 233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꾸준히 변화하고 진행되어지는 예술교육 성 명

변 미 섭 만화 애니메이션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공고문을 통해 알게 되었다 강원도 학교예술교육 강사로 강의를 하시는 선생님들과 이번 탐방을 통해 우리가 나아가라 할 방향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자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을 지원하게 되었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선발과정 이미 홈페이지에 선발과정이 공지 되어있듯이 류를 중점으로 뽑는

차와

차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서

차 선발과정에서는 제안서를 중심으로 우리가 왜 여러 나라 중에

미국을 선정했는지 그리고 탐방이후 어떻게 활동할 것인지에 대한 서술공간이 있었다 이는 우리가 탐방이후 더욱 활발한 활동을 원하는 것 같았다 ② 면접 준비 방법 차 합격자 발표이후 더욱 바빠진 우리 팀은 제안서를 토대로 우리가 진정 문화 예술교육 해외탐방을 나선 이유를 좀 더 구체화 시키고 질문사항에 있을 지도 모를 자신만의 질문지를 만들어 답변을 준비하였다 면접 준비 내내 들뜬 맘으로 면접 준비 를 하였다 또한 영어면접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우리의 생각과 목적을 잘 전달 수 있도록 사전 연습을 진행하였고 또한 미리 오픈 되어있는 컨퍼런스의 홈페이지를 통해 많은 정보를 조사해가며 면접에 준비하였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내가 처음 예술교육 강사 일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직접 예술 활동을 하

면서 얻을 수 있었던 행복 만족감을 통하여 예술 활동이 얼마나 삶에 기쁨을 주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얼마나 많은 변화가 있는지를 알 수 있었기에

고민 없이 예술교육

강사라는 일을 시작하였다 이번 탐방조사 주제 또한 우리의 예술교육을 통해 변화 될 수 있는 변화촉진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우리가 있는 이 자리를 다시 되돌아보자 라는 생각으로 이번 탐방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 234 -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과정이라고 한다면 기관들의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나는 내 심 그들이 솔직하게 답변하지 않을 것 같다고 단정 짓고 있었다 하지만 우리 팀이 그 들의 노하우나 진행하였던 프로젝트의 핵심요소 무엇인지에 대한 인터뷰를 요청했을 때 예상외로 그들은 적극적으로 정보 공유를 희망했고 만남을 기대한다는 의사를 전해 주었다 긍정적인 반응에 그들에 대해 옹졸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던 내 자신이 조금 아니 아주 많이 창피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등 기관명 예술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필라델피아 박물관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같은 여개의 필라델피아 문화예술 그룹과 함께 하고 있다 펜실베니아 주 예술위원회와 함께 연계하여 지역의 아이들에게 예술교육을 제공하기도 한다 주에서 지원을 받아 학교의 정규 교과 과학 기술 수학 등 에 예술과 연결시켜 교육 을 하거나 방과 후 시간에 예술교육을 실행한다 또한 하루

시간씩 주

회 아이들에

게 숙제를 돕고 교육서비스를 지원한다 그 밖에 도서관과 연계하여 책을 이용한 예술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시낭송 대회를 주관하고 있다 기관명 필라델피아 외곽에 위치한

은 예술교육을 통하여 지역 내 소외계층 및

빈곤층의 문맹퇴치와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학교와 지역사회 단체와 의 협력을 통하여 지역 내 소외계층의 아동과 청소년에게 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며 음악 시 벽화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술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의 장기적 프로그램 중 하나인

는 읽기 쓰기능력과 더 나

아가 자기표현의 수업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관명 미국 뉴욕에 위치한 기관으로 실버세대를 위한 예술교육을 지원하고 있는 비영리 단 체이다 기존의

가난하고 힘없는 노인 의 정의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노화 를 지지하

고 노인이 가질 수 있는 창조적인 표현을 도울 수 있는 수업을 프로그램화 하고 컨설 팅 서비스하는 단체 이다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인터뷰 교과과정인 수학 과학 기술등의 수업에 예술교육 접목이 가능한가

- 235 -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을

년간 경험한 아이들이 있다

를 통하여 예술수업을

받는 과정 중에 과학 수학 기술 등과 같은 수업에 예술을 접목하여 수업 한 결과 매 학년 올라갈 때마다 치르게 되는 수학 과목의 성취도가

점 가량 높게 측정되었다

학생들이 배움을 행하는데 있어 예술은 강력한 도구 인 것이다 예술교육을 통하여 학습자가 변화 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아이들이 잘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아이 들이 한 실수나 잘못된 점이 있다면 그림으로 그려보거나 글로 써봄으로 자부심이나 자존심을 지킬 수 있게 한다 아이들이

난 뭐든지 할 수 있어 라는 말을 할 수 있게

만들고 무대 위에서 연기를 하거나 미술품을 전시하고 영화 상영을 통하여 나를 표현 하고 보여주려는 의지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아이들에게

대단

하네 라는 말을 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아이들은 엄청난 가르침과 창의성을 가지고 스스로 좋아졌다는 믿음으로 학교에서 행동부터 달라 질 것이다 기관에서는

여명의 강사들과 어떤 방법으로 대화를 하는가

전화 이메일 면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만난다 일 년에

번 정도 만나며 일대일

면담을 통하여 질문도 받고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공유한다 우리는 예술강사들을 훈련 시킨다 단 우리는 예술적인 부분은 절대 이야기하지 않는다 우리가 훈련하는 것은 어 떻게 학교 안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어떻게

명의 학생들과 교감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이다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우리가 참여한 전미 커뮤니티 컨퍼런스의 경우

예술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변화 촉

진 요소 라는 주제로 다채로운 강연과 소모임이 있었다 예술교육과 관련한 기관부터 정부부처 예술강사 예술가 등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주제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비즈 니스적인 부분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우리가 한국에서부터 궁금했던 예술강사의 역량 과 관련된 주제 강연들이 있었고 그 자료들은 동영상자료와 도표로 확인 할 수 있었 다 또한 많은 기관관계자들과 예술강사들의 만남을 통한 설문지는 우리 스스로 자료 화 할 수 있는 증거가 되었다

※설문자료참고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우리가 방문한 기관 모두 친절하게 맞이해 주었으며 사전 이메일을 통하여 전한 질 문에 명쾌한 답을 내려 주었다

한국에서 방문 기관 조사를 하던 중에 알게 된

은 우리가 처음 방문한 기관이기도 하고 홈페이지를 통한 각종 프로그램들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궁금증을 갖게 만든 기관이었다 기존의 원단공장으로 쓰이던 건물 을 개조하여 만든

건물내부에는 교육을 직접 할 수 있는 공간과 관계자들이

- 236 -


기획하고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이 있어서 더할 나위 없이 좋아보였다 다음에 찾아간 또한 우리를 너무 반갑게 맞아 주었으며 직원들이 모두 함께 자리에 앉아서 기 관 소개에서부터 우리의 질문에 대하여 친절하게 답해 주어 인상 깊었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내가 만들어 놓을 틀을 깬 기회로 이번 현장방문 이야기를 하고 싶다 우리가 기관 을 방문한 시간은 분주한 오전 시간과 하루의 일과를 마무리할 퇴근시간 무렵 이였다 하지만 그 누구도 귀찮아하지 않았고 현재 우리가 예술교육활동을 한다는 것을 알고 더 관심을 보이며 많은 이야기를 하길 원했다 이러한 기관관계자들의 모습은 신선하 게 다가왔다

의 다양한 프로그램 중 인상적이었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작은 마을 몇 명의 아이들에게 교육사업 중에 어떤 수업을 하고 싶은지 의견을 묻자 시를 만들고 싶다고 하였기에 자연스럽게 시 교육을 진행했어요. 여러 차시의 수업 과 정 중에 직접 목소리를 녹음하는 시간을 갖게 되어 전문 녹음실을 찾아갔는데 그곳에 기자 한분이 의아하다는 표정으로 너희들이 “시 수업을 한다고?”하며 우리 학생에게 질문을 던졌어요. “왜 시를 좋아하죠? 그런다고 뭐가 달라지니?” 그 학생의 이름은 Terrance였어요. Terrance는 자기 티셔츠를 들어 올리며 말했어요 “사실 나는 총에 맞았어요. 형을 시켜 그를 죽일 수도 있었지만, 전 그것에 대해 시를 썼어요.” 만약 그 기자가 Terrance에게 물어보지 않았다면 교육하는 우리들도 아마 몰랐을 것이라는 말도 하였 습니다. 그 아이가 쓰는 시가 여러 생명을 살린 거죠. 본인도 살리고 형도 살리고 또 그 형이 죽일 수도 있는 그 누군가도 살렸죠. 아이들 머릿속에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지 가슴속에 뭘 담고 있고 어떤 생각, 감정인지 뭐가 제일 짜증나는지 등 관심을 가지 고 아이들 얘기를 들어준다면 사실 그들은 굉장히 잘 자라요. 비뚤어 질 수 있는 아이 가 시를 쓰면서 변하게 되고 그 변함은 외부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야기 할 수 있 다. 이번 방문 기관을 통해 아이들을 바라보는 시각이 바뀌었고, 이제부터라도 학생들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싶어 졌습니다.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 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예술교육을 진행하고 계획하는 사람들은 먼저 낯선 이들을 두려워하지 않고 정보를 나누는 것에 소극적이지 않았다 기관에 방문 전에 우리의 방문목적과 질문 주제를 미 리 알려 주었기에 여러 관계자가 아닌 한 명의 담당자가 나와 단숨에 설명하고 끝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모든 직원 우리가 질의를 했던 부분의 답 을 해 줄 수 있는 담당자 일듯 이 우리와 함께 이야기하려고 했으며 적극적으로 설명 해주려고 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 237 -


은 예술교육강사의 모임을 적극적으로 응원해주고 지원해주는 기관이다 자 주 예술강사끼리 만날 수 있도록 연수 혹은 연구모임을 진행하고 있었고 이야기를 나 눌 수 있는 전화 혹은 이메일 상담으로 강사의 고민이나 고충을 함께 풀어나가려는 기 관의 노력은 예술교육강사로서 살아가는 보람을 느끼게 하고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 도록 하는 원동력일 것 같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내가 하고 있는 예술교육이 세상에서 얼마나 중요한 가치를 갖는지 다시 확인 할 수 있었다 예술교육은 직접체험을 통해 감각기능을 발달시켜 개념구조의 복합성을 이해 시켜주 며 감수성과 창의성을 길러준다 이러한 교육을 받은 학습자들은 이를 교육현장에서 끝내 것이 아닌 지역사회 더 나아가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주요인물로 키우는 중요 한 밑거름인 것이다 전문이 되어야 한다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좀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예술적 소양이 풍부 한 학생 학습자 을 만나는 행운도 있겠지만 내가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을 위해 예술을 진정으로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예술과정 자체를 즐길 수 있도록 또한 예술적인 힘을 지닐 때까지 충분하고 지속적 으로 기회를 주어야 한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새로움에 도전해보자 현재 학교예술교육의 프로그램에는 다양한 장르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와 의 융합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융합으로 더욱 다양한 연령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자 한다 모든 예술교육활동이 지속적으로 다른 과목 혹은 프로그램과 융합하여 진행 되었을 때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수준의 차이와 프로그램을 개발의 중요성을 느 낄 수 있었고 단발성교육에 벗어난 지속적 교육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역할을 나누어 진행하는 것은 전문성의 특징도 있겠지만 일을 해결해 나아가는 방 향을 좀 더 빠르고 순조롭게 진행하기 위해서이다 우린 각자의 역할을 정함에 있어 책임보다는 협동을 중요시 했다 짧은 기간에 준비를 하다보면 실수를 체크 못 할 때 가 있다 우린 컨퍼런스 전에는 몰랐던 설문지의 실수를 컨퍼런스 중에 알게 되었고 이런 한 점을 호텔에서 부랴부랴 수정을 하면서 서로가 있어야 함을 확인 할 수 있었 다 실수한 부분을 찾아내는 사람 보완을 할 수 있는 사람 거기에 외국어를 능숙하게 할 수 있는 사람이 모여서 서로의 장

단점을 보완해주며 이번 해외탐방조사를 무사히

- 238 -


수행할 수 있었다고 말하고 싶다 향후 계획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

후 본인의 계획 해외탐방의 준비단계와 성과를 해외탐방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예술 공유회

강사들과의 공유할 수 있는 기회 선진화된 해외문화탐방에서 얻을 수 있었던 직간접적인 정보 공유하 기

프로그램개발

수업기획안 작성

미국에서 선 학습으로 진행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바탕 으로 우리나라에서 실현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을 한다 현재 학교예술교육강사로 활동 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와의 융 합 선진국의 학습을 바탕으로 다양한 수업기획안을 만들어보겠다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교육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제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해외문화탐방 혹은 선진화된 학습을 진행하는 지역으로 참석 혹은 참관 할 수 있는 기회가 온다면 또 도전 할 것 같다 역량강화라고 한다면 언어의 장벽이 없도록 지금 이라도 철저히 준비 해야겠다는 것과 소모임을 만들어 함께 의견을 나누고 공유 할 수 있는 자리가 있었으면 한다 이번 문화예술교육 해외탐방을 도전 할 수 있었던 것은 늘 함께 예술교육을 고민하고 함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던 지금의 팀원이 있었기에 가 능 했던 것처럼 크고 작은 모임에 함께 하면 더욱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예술교육을 주관하고 있는 단체와 강사와의 관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공유하고 싶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예시

우리가 직간접적으로 얻을 수 있었던 다양한 프로그램의

공유의 장이 있으면 좋겠다

- 239 -


월 일

처음 방문한

인터뷰 중에

알려준

월 일 컨퍼런스첫날의 모습

벽화거리를 걷는 중

11월12일)Lifetime의 Maura O’Malley와 인터뷰 후 촬영

월 일 기관방문 간단한 다과와 차를 미리 준비했다며 배려해주는 모습에 어색함도 금새 사라짐

컨퍼런스장내 네트워크타임을 활용한 캐리커처및 홍보부스 체험장

- 240 -


한국에서 준비해간 답례품

기관방문을 통한 인터뷰후 기념촬영하기

월 일

많이 준비 못해서 인터뷰

를 해준 기관장에게만 전달

전체모임에서

더욱 작은 모임을 만들어 계속 진행되어지는 네트워킹

월 일 공연도 함께 진행되었다

- 241 -

시상식과 축하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 더 큰 꿈을 꾸게 해준 호주 멜버른 예술교육 - Melbourne 해외탐방조사 보고서 이름 : 원 지 예(국악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예전부터 우리나라의 음악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우리문화를 다른 나라에 알리고자 하는 꿈이 있었다

년 본격적인 국악 예술강사 활동을 시작하면서 우리나라의 주

입식 교육과 입시위주로 흘러가는 교육방법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하였다 예술교육을 보다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교육하는 방법과 방향을 모색하다가 이번 해외탐방조사 지원사업을 보게 되어 지원하게 되었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 요령 해외탐방조사의 참가자로 선발이 된 후 우리 팀 각자의 맡은바 역할을 정하였다 면 접 준비는 예상 질문들을 생각하여 답변도 해보고 혹 영어로 질문을 할까 짧게나마 영 어준비도 하였다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는 강원도는 지역특성상 다문화가정이 많이 분포 되어있는 지 역이라 호주의 다양한 문화들이 공존하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그 지역의 문화 를 탐방해보면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 그 점을 반영하여 작성하였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예술교육에 대한 포괄적이고 창의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이에 관련된 예술분야의 사람들과 소통하여 교수법 방법론을 공유하기 위하여 호주에서 진행되는 연례포럼과 멜버른에서 유명한 멜버른 아트센터에 참가하기로 하였다 우선 이 포럼과 멜버른 아트센터에서 진행되고 있는 과정을 사이트를 통하여 알아본 후 미리 일정표를 계획하고 궁금했던 내용 등을 인터뷰를 통하여 알아볼 수 있도록 인터뷰 질문지를 만 들고 더 나아가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팀 내 영어 능통자가

인이 가능하다는 문구를

보고 한명은 통역담당 한명은 모든 문서작성 한명은 사진과 영상에 있어 모든 촬영을 담당하여 준비하였다 해외탐방조사에 선정이 되고 해외탐방조사의 보고서와 각각의 방문기관 일정표를 세 우고 일정표에 맞게 사진촬영과 영상촬영은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웠다 열심히 준비를 하였는데 호주가기 - 242 -

일전에 미리 컨택하고 조사했던 기


관방문이 취소됨을 알게 되었다 열심히 한 만큼 후회가 가득했고 우울한 맘으로 비행 기에 올랐다 2.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멜버른아트센터 기관소개 원래는‘빅토리안 아트센터’로 알려졌던 아트센터 멜버른은 호주 멜버른 아트센터 지역의 중심부에 위치한 복합공연장이다. 호주 빅토리아 주 정부기관인 ‘아츠 빅토리 아’ 산하 문화 복합 단지로, 지역 공연예술의 활성화, 일반 시민의 예술적 경험 증대 및, 문화예술 활동으로의 접근성 강화를 목적으로 1973년 조성을 시작하여 1984년 완공되었으며 멜버른의 랜드마크이자 도시의 문화적 상징일 뿐만 아니라, 호주에서 가장 크고 분주한 아트센터이기도 하다. 2012년 기준으로 4,400번의 공연과 공공행 사들을 세 개의 공연장에서 열었으며, 2백3십만 명의 관객을 불러 모았다. 음악, 춤, 연극, 코미디, 캬바레, 페스티벌 등의 다양한 장르의 국내/해외 공연을 열고

있으며,

Opera

Australia,

The

Australian

Ballet,

Melbourne

Theatre

Company, Melbourne Symphony Orchestra 등의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공연장 중 하나인 2,085 석의 State Theatre와 884석의 연극전 용극장

Playhouse,

376석의

연극공간

The

Fairfax

Studio이

있으며,

2012년엔

2,464 석의 콘서트 극장인 Hamer Hall의 재건축이 완공되었다. 12,000명이 수용 가 능한 야외극장인 Sidney Myer Music Bowl 역시 관리하고 있다.

- 243 -


일 화요일

Art center Melbourne

▼ Theatres and Exhibition Tour 참가, 가이드 인터뷰

멜버른 아트센터의

전용극장을 둘러보는 시간을 가졌다. 11시부터 약 한 시간 동안

가이드의 설명과 함께 극장을 둘러보며, 학생들이 주무대로 갖는 극장을 탐방 해 보 았다. 세계에서 가장 큰 공연장 중 하나인 2,085 석의 State Theatre와 884석의 연극전용 극장 Playhouse, 376석의 연극공간 The Fairfax Studio이 있으며, 2012년엔 2,464 석의 콘서트 극장인 Hamer Hall의 재건축이 완공되었다. 12,000명이 수용 가능한 야외극장인 Sidney Myer Music Bowl 역시 멜버른 아트센터에서 관리 하고 있다.

- 244 -


▼ Theatres and Exhibition Tour / The Fairfax The Fairfax 스튜디오는 아레나 형식의 극장 형태를 갖고 있다. 여러 방면에서 무대가 잘 보이도록 만들어졌다. 멜버른 아트센터에 있 는 모든 극장들은 조금씩 색이 다르다고 한 다. 이유는 색감의 작은 차이가 분위기의 큰 변화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한 건축가의 재미 난 발상이므로 인해 각 극장은 고유의 색을 가지고 있는데, The Fairfax 경우 빨간색이 상징이다. ▼ Theatres and Exhibition Tour / Harmar Hall 멜버른 아트센터 안에 있는 전용극장 중 가 장 큰 극장이다. 주로 멜버른 심포니 오케스 트라의 주 무대로 쓰인다. 이곳의 색은 주황 색이 특징인데 이것은 가장 오스트리아의 색 이라고 한다. 원주민의 색을 나타낸 것이라 고 한다. 객석의 양 옆에는 발코니 좌석이 있는데 이곳은 객석으로 사용되지 않고 주로 음향이나 조명을 비추는 역할을 하기위해 비 워 둔다고 한다. ▼ Theatres and Exhibition Tour / Playhouse 모든 그림과 색은 호주의 원주민 문화를 고 스란히 담고 있다. 원주민 화가의 그림을 전 시하고 있으며 다른 극장보다 비교적 작은 객석을 가지고 있다. 주로 어린이들의 공연 을 올리고 있으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놀 이터에서 편안하게 놀듯이 공연을 관람하고 무대를 준비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름이 지 어졌다고 한다.

- 245 -


▼ 담당자 인터뷰

멜버른 아트센터의 창작 워크숍 장소로써 지역행사 및 학교 가족 학생들의 창의적 인 음악 활동을 지원해 주는 곳 이다 주로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와 연계된 프로그 램이 진행된다 담임교사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학교교육과 연계된 과정으로 학생들이 직접 자신의 음악을 만들어보고 편집할 수 있는 공간이다.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활용하며 음악을 편집 한 후 뮤직비디오도 만들고,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 할

The channel 안의 작은 학생들이 자신의 노래를

무대이다. 학생들이

직접 녹음 및 편집 하는

자신이 만든 음악을

활동을 한다. 전문가와

연주하거나 공연을 하는

함께 노래를 편집 녹음

장소이다. 뮤지션을

하면서 사운드 디자인을

초청하여 공연을 관람하고

터득한다.

토론하는 이야기장으로 쓰인다.

수 도 있다고 한다.

- 246 -


Art center Melbourne ▼ 멜버른아트센터 방문 후, 문화의 도시인 멜버른을 더욱더 빛나게 해주는 곳이 아닌가 싶다. 가이드투어를 통하여 각각의 공연장을 둘러보고 살펴보니 보이지 않는 미로의 문들이 되게 많았다. 공연을 하고 있는 공연자로써 이번 가이드투어를 통하여 공연장의 새로운 모습들을 많이 볼 수 있었고 빡빡한 일정으로 인해 그 좋은 아트센터를 방문해서도 공연하나를 못보고 돌아온 것이 조금 후회로 밀려왔다. 이라는 프로그램 탐방 후 학교와 멜버른 아트센터만의 긴밀한 교류 가 있어 학생들이 예술을 더 자주 접할 수 있고 경험할 수 있는 점에 있어 부럽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교류가 이어진다면 학생들에게 더 멋진 예술 교육 프로그램으로 다가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Singing with Katherine Zeserson 초보자도 함께 할 수 있는 노래 시간에서

영어로의 의사소통이 완벽하지 않아 힘든 점도 있었지만, 15명 정도의 사람들로 이루어진 소규모 그룹 사람들과 잘 어울릴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내가 참여할 수 있 는,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고 함께 노래로서 소통할 수 있었기에 더 뜻 깊은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 행사의 진행되는 방식은 돌림노래나 화음을 쌓아서 노래를 부르는 형식이었다. 서 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고 느끼는 대로 노래를 불러서인지 행사의 분위기가 딱딱한 분위기가 아니었다. 그래서인지 내가 알고 있는 우리나라 전통 노래를 알려주고 싶었 지만 능숙하지 못한 영어 때문에 알려주지 못한 것이 많이 아쉬웠다.

- 247 -


▼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 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하루는

에서 인터뷰하는 날이었다 서로 인사를 나누며 안부를

나눌 때 영어를 잘 하지 못해 미안하다고 말을 건넸더니 나와 대화 하던 사람들이 대다수가 나도 한국말을 못해서 너무 너무 미안하다며 그러지 않아도 된다 라고 하며 오히려 다독여준 행동들이 인상 깊었다 동양인에게 가지고 있는 선입견이 많다는 소리를 들어서인지 걱정이 많았지만 그 한 마디에 걱정은 사라지고 인터뷰에 몰두할 수 있게 해준 그들이 너무 고마웠다 아츠러닝을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 등의 질문으로 인터뷰 를 꾸려갔다 각자 다른 답변이 나왔지만 공통적으로 표현했던 단어는 등등 이었다 3.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다녀와서 1)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 서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국악 예술강사로 활동하면서 교수법에 대해 많이 고민하게 되어 호주의 예술교육 프 로그램은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어떤 방법으로 교육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우 리나라 실정에 맞게 적용해보려고 간 포럼에서는 내가 생각했던 커리큘럼과는 매우 달 랐다. 호주의 문화예술을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끼리의 공유하는 장이었기 때문 에 함께 토론을 하기엔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한 나로서는 힘든 포럼이었다. 2)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탐방을 다녀오면서 팀원들의 도움(영어소통, 문서작성)없이는 배울 수가 없었을 것 이라고 느꼈다. 서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각자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팀워크란 무엇인 가를 배울 수 있었다. 의견이 서로 충돌되어 맞지 않을 때도 있었지만 타협하고 계속 해서 대화를 해나감으로써 해결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팀별 활동이 많을 텐데 이번 탐방을 계기로 우리 팀이 하나가 되면 해결하지 못할 문제는 없을 것이라 느꼈다.

- 248 -


3) 향후 계획: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후 본인의 계획 해외탐방을 통하여 작성된 보고서를 가지고 내가 생각하고 있는 예술교육과 비교를 하고 습득하여 올바른 예술교육을 학생들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노력할거다. 호주의 예술과 관련된 관계자들의 인터뷰를 토대로 호주의 문화예술과 다문화예술이 어떻게 공존이 되고 융합이 되었는지를 다른 예술 강사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다. 이번 해외탐 방조사를 시작점으로 삼아 여러 나라의 예술 교육,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고 예술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할 것이다. 4)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 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제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신입 강사로서 이번 탐방을 통해 추후 탐방을 준비하는 강사들은 예술 교육을 많이 접해보고, 다양한 활동을 경험해본 선생님들이 참여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경험을 토대로 의견을 공유하고 다른 활동과 비교하며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제무대 진출을 위해 필요한 것 중 하나는 공용 언어에 대한 것이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 공부를 꾸준히 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5)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아츠러닝포럼을 탐방하는 것도 좋은 생각이지만 다른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있는 기관 을 여러 곳 방문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아츠러닝포럼은 호주의 예 술을 전문적으로 알고 종사하는 사람들이 모여 호주의 예술 특성에 맞게 자리 잡혀진 포럼이었다. 호주의 문화예술을 확실히 이해하고 가지 못했던 나로써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한 게 너무 아쉬웠다.

- 249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살아 숨쉬는

와 마주하다 성 명

윤 혜 성 국악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저는 지난여름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최한 하계연수에서 창의학습과 촉진기술 이 라는 워크숍에 참여하게 되었고 문화선진국인 영국의 교육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예 술교육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불필요하게 의식했던 것들에서 벗어나 경직된 감각을 깨우고 잠재해있던 재능을 자연스럽게 끌어내는 접근법과 협업 활동으로 공동체의식 을 도모하는 방법 예술활동의 결과물을 평가하지 않고 과정에 의미를 두는 발상의 전 환 등 그들의 방법론과 교수법은 제가

년 동안 국악예술강사로 활동하면서 고민하던

점의 대안이 될 수 있는 많은 것들을 실현하고 있었고 이전까지는 흐릿했던 창의력이 라는 개념을 인지하게 된 경험이자 저에게는 예술교육가로서의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다가왔습니다 그러던 중 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해외탐방조사 지원 사업 모집 글을 발 견하게 되었고 호주의 문화예술교육의 흐름과 경향을 파악하고 창의력을 촉진하는 다 양한 교수법을 참고하여 제가 꿈꿔오던 통합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실현시키고 나아가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문화예술교육가가 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 지원하 게 되었습니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팀 구성 자체가

를 지향하고 있는 우리 팀은 모두 다른 예술분야 전통

음악 연극 영화 에서 활동하고 있고 사는 지역도 모두 다르지만 비슷한 시기에 예 술강사를 시작하여 공통된 고민과 문제의식을 가진 지적 호기심이 왕성한

특별한 여

자 셋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희가 이번 해외 탐방조사를 계기로 인연을 맺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만나자마자 편하고 진실되게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밝고 긍정적 인 에너지와 서로의 생각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그 생각을 존중하는 유연한 사고 그리 고 결정된 사안을 실천으로 옮기는 빠른 추진력 덕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지원과정을 앞두고 서로에 대해서 아는 점이 없어서 걱정되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지원서와 탐방 계획서 작성을 위해 처음으로 온라인 회의를 진행하자마자 그런 걱정이 눈 녹듯이 사 라졌던 것도 우리 팀의 강점인 정신적인 강인함 덕분이라는 걸 직감적으로 느꼈기 때 문이었습니다 지원서를 작성할 때도 평소에 예술교육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생각과 - 250 -


고민을 글로 정리하고 해외탐방을 통해서 고민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상상하며 써내려 가다보니 더욱 의지가 확고해지고 스스로에게 동기부여가 되는 무척 설레고 가 슴이 뜨거워지는 과정이었습니다 우리가 지원한 호주라는 나라는 한 번도 가보지 않 은 곳이었지만 그곳의 문화예술이 원주민과 이주민의 문화와 어우러져 무척 특이하고 자유로운 형식과 창의적인 표현방식을 가지고 있을 것을 상상하면서 작성하다보니 벌 써 호주를 여행하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서류심사가 통과 되고나서 일주일 가량 면접 준비를 할 때 가장 걱정했던 부분이 언어 능력 이었지만 그 역시 우리가 가 진 강한 정신력과 순발력으로 극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기본적인 예술에 대한 가 치관과 교육철학을 영작하고 암기해서 면접에 임했습니다 예상보다 어렵고 깊이 있는 내용으로 진행된 면접을 정신없이 치루고 나와 생각하니 우리가 간과했던 부분들이 있 어서 정리해 보았는데 아무래도 영어 인터뷰를 처음 경험하게 되어서 그 부분에 치중 한 나머지 우리 꼭 한 팀이 되어야 하는 이유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 목적을 가시적인 결과물로 도출해 낼 수 있는가에 대한 실행력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이 부족했다는 결론이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최 종 선발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분야가 모인 팀이라 다양한 활약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 진지하고 열의있는 태도와 말투 예술교육에 대한 근본적이고 철학적인 접근을 하려고 한 노력 때문이지 않았을까하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여러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우리 팀원들의 특성상 처음부터 학교 예술교육기관 사회적 기업 등 여러 가능성을 두고 의욕적으로 탐방기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 다 활발한 논의를 거쳐 교육 현장에서의 예술교육과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사가 공 통적으로 발견되어 포럼 장소인 풋츠크레이 주변 학교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던 중 함 께 진행되던 항공편 일정이 확정되었고 현지일정상 학교 방문은 무리라고 판단되어서 진흥원 측에서 주신 추천 방문 기관 아트플레이 키즈오운 퍼블리싱 을 방문하기로 방 향을 수정했습니다 그동안 진흥원에서 탐방기관과 교류해온 결과물과 자료가 마련되 어 있어서 비교적 좋은 환경에서 탐방기관에 대한 사전조사가 가능했고 프로그램 운 영자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터뷰 질문지를 작성하기 시작했습니다 한편으로는 예술강사 개인자격으로 뿐만 아니라 한국을 대표하는 예술교육가로서의 책임감을 가지 고 질문지를 작성하다보니 지금까지의 결과물보다 심층적인 질문이 이루어져야한다고

- 251 -


생각해서 부담이 되기도 하였지만 그들의 교육철학과 프로그램 운영으로 인한 파급효 과를 한국의 교육상황과 연결시켜 질문내용을 만드는데 심혈을 기울였고 번역작업을 하는 순간까지 수정에 보완을 거듭하고 서로에게 조언을 구하면서 열정적으로 진행해 왔다고 생각합니다 그 과정에서 방문기관이 가진 철학과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알 수 있었고 우리 팀원들의 생각과도 공감되는 부분이 많아서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분들과 이미 같은 생각을 공유하고 있다는 유대감을 느 끼게 되었고 실제로 그들을 만났을 때에도 언어의 장벽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오래 알고지낸 사람들처럼 아주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인터뷰가 진행되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멜버른의 남쪽을 따라 흐르는 아름다운 야라 강변에 위치한 복합 문화예 술 센터인 아트플레이는 햇살이 따뜻한 시간에 방문해서 그런지 공간은 더욱 밝고 활 기차 보였습니다

의 안내로 학생들이 재활용품을 모아서 제작한 결과물

들을 전시한 갤러리를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쓰다버린 우산과 종이박스 신발 등이 앙 증맞은 미니어쳐 피규어를 활용하여 스키장의 슬로프와 아늑한 집으로 변신한 작품을 바라보며 어린 아이들의 상상력과 기발함에 감탄하며 아트플레이 작업물의 높은 수준 을 알 수 있는 순간이었습니다 우리가 방문했을 때는 마침 갤러리 옆 블랙박스에서 숲을 주제로 한 연극의 리허설이 진행되고 있었는데 암전상태에서 하는 퍼포먼스에 감 각을 세우고 진지하게 임하는 아티스트의 예술성을 볼 수 있었습니다 야외의 놀이공 간에는 학생들이 만든 미래의 낮과 밤 이라는 한 쌍의 모자이크 타일 작품이 빛을 받 아 반짝거리고 있었는데 학생들의 협업작품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정교하고 화 려한 문양들이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인터뷰를 진행한 사무실에서는 책자로 정리되 어있는 그동안의 작업들을 볼 수 있었는데 최근 우리나라의 국립현대미술관과 함께한 교육 프로그램이 눈에 띄었고 인터뷰를 하는 동안

은 시종 친근하게 대

해주시면서도 질문에는 진지하고 깊이있게 대답해주셔서 무척 의미있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왔습니다

- 252 -


<별첨사진 1> 아트플레이 야외공간 학생들의 작품

<별첨사진1> 아트플레이 사무실에서 인터뷰 마치고 기념촬영

멜버른에서 동쪽으로 자동차로

분 정도 떨어진

은 오래된 수녀원을 개조해서 만든 예술마을 안에 자리 잡고 있습니 다 고전적인 건물양식과 아름드리나무들은 들어서자마자 아늑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 었고 야외 카페에서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자유로움과 여유가 느 껴졌습니다

의 안내로 내부에 들어서자

주전에 공연했다는 무대 설치물들이

전시되어 있었고 사무실을 각종 레터링 장식과 그림들로 밝고 활기있는 모습이었습니 다 열심히 작업중인 직원들의 인사를 받고 아이들의 출판물들을 감상하고 책이 만들 어지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들었습니다

<별첨사진2>키즈오운퍼블리싱 사무실에서 출판예정인 책의 내용을 설명해주시는 Victoria Ryle

멜버른 대학의

<별첨사진3> 멜버른 대학 부설 유치원에서 대금연주를 감상하는 아이들의 모습

의 소개로 방문하게 된 멜버른 대학의 부설 유치원으

로 창조적이고 유능하며 호기심 많은 아이들의 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교육기관입니다 저희가 방문했을 때는 미로를 주제로 자유롭고 다양한 패 턴과 문양을 만들어 자신만의 작품으로 확장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과의 협업을 통해 스마트폰 어플로 원아들의 그림을 책으로 만 드는 작업을 하고 있었고 담당선생님께서 작품만 보고도 학생의 이름을 기억할정도로 - 253 -


애정을 가지고 교육현장에 임하는 모습이 무척 인상적이었습니다

의 제안으로

리듬악기 수업을 마친 학생들에게 우리나라의 전통악기인 대금과 소금을 소개하고 간 단히 워크샵을 할 기회를 얻게 되었는데

여명의 학생들과

여명의 교사들로 가득

찬 작은 방은 아리랑의 가락을 함께 노래하고 제가 연주하는 창작곡에 손뼉으로 박자 를 맞추며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했습니다 또한 아이들이 답가로 불러준 자장가 는 천사들의 합창처럼 달콤했던 기억이 납니다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아트플레이에서의

과의 인터뷰는 그들이 기획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운영과 파급효과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나눴는데 지역의 아티스트와 연계해서 끊임없 이 단기 장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을 육성한다는 것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성 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고 느껴졌습니다 또한 학교에서의 예술교육이 아닌 흥미를 유 발시키고 동기부여가 가능한 공간에서의 예술교육이 더 자연스럽고 창의성을 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년 후의 계획을 여쭤봤을 때 확신에 찬 눈빛으로 자신들

이 개발한 시스템과 교육 프로그램을 다른 지역에서 벤치마킹하여 호주 전역에서 문화 예술의 저변이 확대되고 지역사회 발전에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하셨고 교육 시스템 의 선순환 구조를 묻는 질문에는 이 프로그램을 경험한 학생들이 나중에 부모가 되어 서 자신의 자녀들을 다시 이곳에 보내서 예술교육을 향유하는 계층이 확대되면 좋겠다 는 멋진 말을 남기셨습니다 과 부부이기도한

과의 인터뷰는 그야말로 평화로움과

여유가 가득한 공간에서 햇살을 받으며 아주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진행되었습니다 사 랑이 넘치는 인자한 인상과 그녀의 교육철학은 일치하는 부분이 굉장히 많았고 과연 왜 이 부부가 멜버른의 예술교육의 중심에 있는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이 만 든 책을 일일이 보여주시며 내용을 설명해주실 때는 만든 이들에 대한 애정이 가득했 고 원주민과 이주민의 자녀들이 만든 책에서는 그들의 문화와 생활양식을 볼 수 있어 흥미로웠습니다 원주민의 자녀여서 집단에서 소외된 한 아이의 그림일기 책에서는 내 면의 슬픔이 느껴지는 것 같아서 울컥한 순간도 있었습니다 참여 행사 소개 우리가 참여한

아츠러닝포럼 은 호주내의 다양한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모여서

예술교육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교수법과 방법론을 공유하는 장으로서

문화예술 풍요

로워지는 일상의 배움 을 주제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포럼 첫날 오픈 세션으로 참여한

은 최근 대부분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마케팅 활용

법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공유와 방법론을 이야기하는 자리였는데 굉장히 체계적이고 자세하게 정리한

자료와 맨투맨으로 이루어진 강의자의 세심한 코멘트가 인상적이

었습니다

- 254 -


은 등록 절차와 함께 관심사를 골라 추후 세션에서 모일 그룹을 정하는 작업을 하였고 즉석사진을 찍어서 포토월을 장식하는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개 회행사로 이번행사를 개최한 주요인사들의 기조연설이 있었는데 말투가 다소 빠르고 어려운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예술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진정성 예술을 통해 바라본 세계관과 통찰로 얻어낸 경험을 이야기를 하는 그들의 표정과 말투가 무척 감동적이었 습니다 둘째

날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포럼의

이라는 세션은 간단한 아이스 브레이킹과 함께 첫날 정한 그룹으로 모여서 서로의 교육철학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이었는데

우리가 속한 그룹은

제한된 시간내에서 깊이있는 이야기를

나누고 듣는 그들의 세심한 접근법을 알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패널토크로 이 루어진

세션은 우리가 인터뷰했던

도 참

여해서 관심 있게 들었는데 여러 인사들이 학생들에게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에 대 해서 토론하고 효과적으로 창의력을 이끌어내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이어진 세션은 숏 블랙 오페라라는 음악교육단체를 운영하는

교육철학과 운영방법 결과물을 공유하는 자리로 소외된 계층의 아이들이 음악으로 어 떻게 사회화를 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모범적인 사례였습니다 포럼장 외부에 작은 교회에서 진행된

라는 세션은 어

린이를 조사자로 활용하는 방법론을 공유하는 자리였는데 참가자들이 직접 예술적인 이슈에 대해서 조사하는 방법을 익히며 소수의 의견까지도 결과물에 포함시키는 창의 적인 접근이 돋보인 세션이었습니다 제가 가장 기대했던 셋째 날의 던

은 기조연설을 맡았

의 카리스마 있는 진행이 돋보인 워크숍으로 단순한 멜로디를

돌림노래로 점진적으로 발전시키고

성부로 중첩시켜서 마지막에 엄청난 화음을 이루

어내는 무척 흥분되고 열기가 가득한 시간이었습니다 각자의 역할에 충실할 뿐 아니 라 다른 사람의 소리를 들어야만 조화를 이루는 화음의 특징을 구성원간의 유대감과 공동체의식으로 활동 안에 그녀의 교육철학을 담아내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합창 을 통한 전율은 참가자들의 환호를 이끌어내었고 이번 포럼의 가장 주목할 만한 워크 숍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세션은 예술과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이 매우 흥미로웠는데 일련의 질문들을 통해서 내재되어 있던 예술에 대한 생각을 끌 어내고 그중에 핵심 키워드를 뽑아서 자신의 교육철학의 선언문으로 공표하는 자리로 예 술에 대한 열정과 순수한 동기를 다시 돌아보게 만드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세션은 둘째 날 모였던 그룹의 주제인

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취합한 의견을 시각적인 결과물로 어떻게 만 - 255 -


들것인지를 토론하고 실제로 퍼포먼스를 발표하는 자리였는데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 하고 시설물을 이용해서 하나의 설치작품을 만드는 그들의 기발함에 감탄했던 세션이 었습니다 퍼포먼스의 리허설과 그룹별 프레젠테이션인

세션 사이에 짧

게나마 우리나라의 전통악기인 대금과 소금을 소개하는 기회를 갖게 되어 연주를 할 수 있었고 그들의 감상태도와 반응에 큰 감동을 받은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세션에서는 노래 워크숍을 진행했던

과 그분의 실

제 남편분의 사회로 각 팀별 주제를 공연형태로 감상하였는데 적절하면서도 기발한 표 현기법이 다양한 예술을 담고 있는 호주의 예술을 한자리에서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별첨사진4>

<별첨사진4> 2015 아츠러닝포럼 중

2015 아츠러닝포럼 중 패널토크 섹션의

엉클래리킹의 기조연설 장면

Victoria

Ryle

기관 방문 내용 새벽에 멜버른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숙소에 짐만 맡기고 떠났던 세 군데의 기관탐방은 장시간 비행으로 인해 피로가 누적되어서 무척 힘들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멜버른 의 온화한 날씨와 방문기관의 쾌적한 공간과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들은 의무적인 업무가 아닌 재충전의 공간으로 느껴지기에 충분했습니다 인터뷰에 응해주셨던

은 처음 본 우리들을 친근하고 따뜻하게 대해주시고 조금이라도 더 알찬 답 사와 인터뷰를 위해서 노력해주셨는데 이 보고서를 통해서 진심어린 감사의 말씀을 전하 고 싶습니다 특히

포럼 마지막 세션에서 제가 했던 게릴라 연주를 듣고 인

터뷰했던 저를 기억하고 다가오셔서 무척 좋았다며 언어가 통하지 않아서 힘들었을텐데 그런 용기를 내어서 멋졌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으셨습니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예술교육에 대한 내용 뿐 아니라 호주 사람들의 음식문화까지도 알 수 있었던 이번 포럼에서는 애프터눈 티와 모닝티를 통해 유대감을 강화하고 여러나라 음식으로 이루

- 256 -


어진 핑거푸드로 서로의 음식문화에 대한 이야기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장이 마련 되어 있어 인상적이었고 무엇보다도 정말 맛있었습니다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포럼장소에서 만난 여러 사람들 중에 제가 꼭 인터뷰하고 싶었던 빅하트의 프로듀서 을 만나게 되었는데 빅하트의 기관탐방이 무산되고 나서 우연히 만나게 되어서 더욱 반가웠습니다 그녀는 굉장히 활달하고 생기가 넘쳤는데 저에게 활동분야 가 무엇인지 물어보시더니 악기연주를 듣고 싶다고 하셨습니다 포럼 마지막 날 다시 만난

가 언제 악기연주를 들을 수 있냐고 하셔서 마땅한 장소나 기회가

없다고 하자 바로 포럼의 총 감독 분에게 제의를 하셔서 즉석에서 게릴라 연주가 마련 되었습니다 곧바로 이어진

발표회에서 그녀는 발랄한 끼가 넘치고

굉장히 외향적인 모습 그대로 퍼포먼스를 하였는데 깊은 대화를 나누지는 못했지만 매사에 열린 자세로 임하며 쾌활하고 적극적인 감정표현이 굉장히 매력적이어서 배울 점이 많다고 느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열심히 언어능력을 향상시켜서 계속 인연을 이어가고 싶습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처음으로 오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외국인들을 관찰하고 그들의 사고방식을 알 수 있었는데 우선 예술하는 사람들이 모인 장소여서인지 패션에도 예술적인 감각을 표현 한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대부분의 참가자가 스타일리시하고 각자의 개성과 표정에 잘 어울리는 옷을 입고 있었습니다

보여지는 겉모습과 보여지지 않는 성격과 성향이 거

의 일치해서 거짓없고 솔직한 표현이 내재된 그들의 문화를 한눈에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한 면에서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열린 사고방식으로 남을 의식하지 도 평가하지도 않는 자유롭고 유연한 가치관을 피부로 느끼고 온 점이 가장 보람되었 습니다 제가 관찰한 그들은 모드를 전환하는 속도가 무척 빨라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할 기회가 생기면 아주 솔직하고 정확하게 의견을 이야기 하다가도 남의 생각을 들을 기회가 생기면 경청해주는 성향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습니다 또한 절도 있는 감 정표현이 몸에 베어있어서 저의 연주를 감상할 때는 숨소리도 안 들릴 정도로 집중하 다가 연주가 끝나면 에너지를 전달받을 정도로 환호를 해줬고 그 현상은 멜버른 대학 부설 유치원에서

세 아이들에게 연주를 들려줄 때도 똑같이 느껴진 특징이었습니

다 이는 그들이 가진 문화적 배경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고 생각하는데 다문화 국가인 만큼 이질적이라 하더라고 다른 문화에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문화적으로 소외되거나 감각이 떨어지는 경험이 그들의 선진화된 의식을 만들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의식과 문화적인 배경 안에서의 예술교육은 현장에서 예술교육을 하는 우리에 게 충분한 자극이 되었고 앞으로 다문화란 나라나 인종간의 섞여있는 큰 개념의 문화 뿐이 아니라 개인과 개인 가족이나 공동체끼리의 문화도 다문화라는 것을 깨달았습니 - 257 -


다 이를 기반으로 제가 생각한 주제에 방향을 잡고 발전시킬 수 있게 된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우연한 기회에 접하게 되어 운명처럼 팀을 꾸리게 되고 호주까지 해외탐방을 무사히 마칠 수 있게 된 데에는 결과를 의식하지 않고 과정에 의미를 두는 팀원들과의 암묵적 인 합의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그 과정에서 현실적으로 어려운 한계도 있었는데 각자의 지역이 너무 멀리 떨어져있어서 온라인으로만 회의를 하는 어려움이 오리엔테이션 이후부터 실감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고심 끝에 면접과 오리엔테이션을 위해서 이미 부산에서 서울을 두 번이나 왕복하시고 육아를 병행하고 계신 최은영 선 생님이 계신 부산에서 오프라인 회의와 친목도모를 하기로 했고 주말 스케줄을 조정해 서 망설임 없이 부산행을 감행했습니다 멀리까지 왔다며 집에서 흔쾌히 숙식을 해결 해 주시고 남편분의 배려로 부산의 맛집과 명소를 돌며 각자의 장점과 성향을 파악했 고 그로인해 팀워크가 형성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탐방 중에도 의견대립없이 서로 배려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수월하게 잘 진행된 것 같습니다 특히 팀의 대표이 신 구본정 선생님은 유창한 언어능력과 사교성으로 만나는 사람마다 호감을 이끌어내 셨고 최은영 선생님은 시간절약이 핵심인 주어진 일정 안에서 빠른 의사결정과 추진 력 실행력으로 효율적인 시간관리를 해주셨습니다 또한 저는 매 순간을 기록하는 습 관으로 위기 시 빠르게 대처 할 수 있었고 문화적인 특수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악기 연주로 참가자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도록 어필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비록 원래 부터 알던 사이가 아니었을지라도 공동의 목표를 바라보면서 각자의 역할에 충실했던 우리 팀은 탁월한 팀 구성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이 길에서 함께할 동반자를 얻었다는 생각에 더없이 감사하고 기쁜 마음입니다

<별첨사진5> 부산에서 회의 마치고 집에 돌아가기 전

<별첨사진 5> 2015 아츠러닝포럼 개회행사 전 기념촬영

기념촬영

- 258 -


향후 계획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

후 본인의 계획 이번 해외탐방을 통해서 맺게 된 인연들을 더욱 심화된 형태로 확대시켜 서로의 예 술교육과 철학에 대한 공유와 교류의 기회로 확장시키고 진흥원에서 주최하는

상호

교류 워크숍에도 문화적인 특수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깊이 있는 비중으로 참여하고 싶습니다 또한 다문화 교육의 기본이 되는 영어의 언어능력 부족이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한 만큼 이번 탐방을 동기로 삼아 조금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 록 예술교육 안에 언어부문도 포함하여 서로의 언어 속에서 문화를 배울 수 있는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싶습니다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제 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이번 아츠러닝 포럼을 경험하면서 가장 크게 느꼈던 것은 호주의 예술교육가들은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정확한 인지와 이유가 있을 때에만 실행에 옮기고

이유에는 반드시 자신이 가진 철학과 가치관이 맞닿아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자신이 예술을 통해서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통찰 예술교 육을 하는 과정에서 수없이 되뇌이는 생각들을 정리하다보면 자신의 철학과 가치관이 정립되어 간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국제적인 예술 흐름에 대한 감각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주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예술 프로그램이나 문화 프로그램을 유심히 살펴보고 참여하면서 보편적인 것 안에서 특수한 우리만의 문화적 인 이슈를 적용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국제적인 감각 을 기르는 데에는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는 열린 사고와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할 만큼의 언어능력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해외탐방 지원 사업을 처음으로 진행하는 만큼 일정조율의 문제와 인터뷰어 섭외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시간이 지나면 차츰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본 예술강 사들 대부분은 시간활용이 자유로운 만큼 자기관리가 철저하고 계획성 있게 생활하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일정조율의 부분에서는 예산 범위 내에서 항공편 숙 박 현장일정 등을 자유롭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질적으로 풍부하고 열정적인 탐방이 되지 않을까 제안해봅니다 또한 이번 호주 아츠러닝포럼의 경우 적어도 아시 아 태평양 지역까지 참가대상에 포함된 포럼인줄 알았는데 참가해보니 순수한 호주 국내 포럼이어서 외국인이 적응하기에는 언어적으로 큰 어려움이 있었고 외국인에 대 한 배려가 부족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내용이 호주 내의 예술교육에 대한 논의만 이루어져서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사전에 참가대상에 대한 조사와 조금 더 치 밀한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 259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예술과 교육이 함께 하는 곳

성 명

이 미 하 국악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우리나라는 입시위주의 공교육으로 문화 감수성을 길러낼 수 있는 문화예술분야 교 육 프로그램이 많이 부족한 실태다 문화예술은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교육이 기도 하지만 현재 교육기관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학생들의 자율성과 표현능력을 향상 시켜 전인적인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국 악강사라는 직업으로

년을 활동하면서 예술을 교육하는 사람으로서의 자질에 대한 고

민을 하게 되었다 지금 내가 학생들에게 올바른 예술교육을 전달하고 있는 걸까 교수법은 학생들에게 맞는 것일까

라는 고민들을 가지고 생활을 하다 보니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에서의 다양한 예술활동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게 되었다 예술교육을 교육하는 사람으로서 호주의 예술교육을 현장에서 직접 경험해보고 싶어 이번 해외탐 방조사에 지원하였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지원과정

박은수 선생님이 제안해서 함께 지원하게 되었음

면접 준비 방법

제출한 기획안을 토대로 준비하였음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진흥원에서 기관을 추천해 준 이유가 있을 것 같아

서 추천 기관 탐방조사를 선택하게 되었으며 기관에 다양한 정보를 먼저 찾아보 고 그에 따른 필요한 부분들을 검토하여 준비하였음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진흥원에서 추천 해준 기관에서 연락이 오지 않아

사전에 준비해 놓은 것들이 출국을 일주일 남겨두고 원점으로 돌아가서 일주일 안 에 새롭게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는 것 항공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어 박

일이 아닌

일로 숙소를 포함한 모든 일정을 맞추어 놓았으나 출국 일

주일 전에 처음 제시한

일로 다시 바뀌게 된 점 바쁜 일정에도 모든 사전준

비를 해놓고 출국 할 수 있도록 한 점

- 260 -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등 멜버른 아트센터 원래는 빅토리안 아트센터 로 알려졌던 아트센터 멜버른 간단히는 아트센터 은 호 주 멜버른 아트센터 지역의 중심부에 위치한 복합공연장이다 호주 빅토리아 주 정부 기관인 아츠 빅토리아 산하 문화 복합 단지로 지역 공연예술의 활성화 일반 시민의 예술적 경험 증대 및 문화예술 활동으로의 접근성 강화를 목적으로 시작하여

년 조성을

년 완공되었으며 멜번의 랜드마크이자 도시의 문화적 상징일 뿐만 아니

라 호주에서 가장 크고 분주한 아트센터이기도 하다 연과 공공행사들을 세 개의 공연장에서 열었으며

년 기준으로

번의 공

백 십만 명의 관객을 불러 모았다

음악 춤 연극 코미디 캬바레 페스티벌 등의 다양한 장르의 국내 해외 공연을 열 고 있으며 등의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공연장 중 하나인 용극장

석의

석의 콘서트 극장인 능한 야외극장인

석의

연극공간

와 이

의 재건축이 완공되었다 역시 관리하고 있다

< 멜버른 아트센터>

- 261 -

석의 연극전

있으며

년엔

명이 수용 가


2) 인터뷰/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가. Creative Learning Producer, Amy Bennett 인터뷰

질문1. 멜버른 아트센터는 무엇을 하는 곳입니까? 예술적 퍼포먼스, 댄스, 노래, 코미디, 연극 등 다양한 공연이 있다. 유명 뮤 지션들을 초청하여 공연을 하기도 한다. 2가지 타입의 쇼가 있는데 홀을 이용 한 쇼가 있다 예를 들어 오케스트라와 같은 홀 안에서 진행되는 공연이 있고, 야외에서 사람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질문2.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Channel 이라는 장소에서 교육을 한다. 학생들이 와서 쇼를 보고, 다양한 프 로그램에 참여하고, 음악을 만들고(컴퓨터를 이용)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작품 을 만들도록 도와주고 있다. 질문3. 멜버른 아트센터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무엇입니까? 학생들에게 영감을 주고 무엇인가 창조적인 것을 만들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질문4. 이곳에서 가장 인기 있는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Making Music 이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음악을 만든다. 이 프로 그램은 매우 인기 있다. 왜냐하면 어린 아이부터 청소년까지 모두 할 수 있고, 그들은 클래식, 팝, 락 등 다양한 음악장르를 활용하여 뮤직비디오도 만들고 음악을 만들 수 있다. 질문5. Term 1,2,3,4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빅토리아 학교 교육 커리큘럼에 따라 나누어져 있다. 질문6. 프로그램은 매년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져있는가? 워크숍은 비슷할 때도 있고 바뀔 때도 있다. 주로 2년마다 새로 만들고 있고 아트센터에서 열리는 쇼는 매일 바뀐다. 질문7. 선생들을 위한 프로그램도 있다고 하던데? 프로패셔널 러닝 이라고 부른다. (Professional Running) 쇼에 대해 배우고, 쇼 를 이용하여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도 배운다. 컴퓨터 뮤직에 대해서도 배우고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무엇을 선택 할지 정할 수 있다. 질문8. 다문화에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이 있는가? 과거에 원주민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매우 나쁘게 다루었던 것이 사실이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협력해 나가려고 노력한다. “Secreat reva" 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을 통해 강을 걸으며 원주민들 과 이야기를 나누고 그들의 스토리를 듣는 프로그램이 있다.

- 262 -


나. 가이드 인터뷰 질문1. 멜버른 아트센터에서 가이드 투어를 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아트센터 멜버른에 오고 싶지만 선뜻 찾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가이드 투 어가 개설 되었다. 빌딩과 극장에 대해 배우고 큰 건물에 혼동이 오는 사람들 에게 건물의 구조나 각 극장이 무엇을 하는지 알려 줄 수 있다. 극장경영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고, 멜버른 아트센터에서 한 번도 공연을 본 적 없는 관객들은 투어를 통해 관심을 갖고 이곳에서의 공연을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질문2. 가이드 투어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연령대는? 매우 다양하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단체 관람도 오고, 나이가 많은 사람들, 극장을 공부하는 사람들 등 다양하다. 질문3. 다양한 프로그램 중에서 참여자들의 선호도가 가장 좋았던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Backstage Tour 이다. 일요일 오전 11시에 진행 된다. 20명의 정원이 항상 가득 찬다. 건물의 극장 뿐 아니라, 분장실 드레스룸 등 세세히 볼 수 있어 가 장 인기가 좋다.

3)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일

25일

Great Partnerships: Your Art in Their School - Heather Marsh 10am-3pm 예술가 헤더 마쉬와 함께 예술과 교육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대해 탐구 워크숍 진행자 : 헤더 습지 Launch of the Forum featuring international guest, Katherine Zeserson 4pm-6pm (UK) / FEATURE SPEAKER 예술교육포럼 시작 및 캐서린 지저슨 연사 듣기 9am 9.30am-11.30am

등록 Workshop 200: Building Our Connections 네트워크 구축 및 프로젝트 공유 및 아이디어 공유

11.30am-12pm Morning Tea 12pm-1pm BREAKOUT SESSIONS A / Learning on Country / WORKSHOP

26일 1pm-2pm Lunch Feature Speaker Deborah Cheetham AO 2pm-3pm 원주민 예술 감독과 소프라노 데보라 Cheetham AO 예술 학습과 개인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녀의 관점을 공유 3pm-4pm

BREAKOUT SESSIONS B / Determning Taboo 젊은 사람들과 예술을 할 때 예술가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에 대한 토론

4pm-4.30pm Afternoon Tea - 263 -

비고


5pm-6pm

Network Leaning 네트워크 모임

Anna Cutler in conversation with Margie Moore OAM 9am-10am 안나커틀러와 마기 모레와 함께 예술교육이 무엇이며 그것이 뚜렷이 다른 무엇을 만드는 것에 대한 이야기 10am-10.30am Get Ready for Day Two

10.30am-11.30

27일

BREAKOUT SESSIONS A / Singing with Katherine Zeserson 초보자도 함께 할 수 있는 노래 시간

11.30am-12pm Morning Tea 1pm-2pm Lunch // Optinonl Launch of Australia Council Engaaed Communities E-Book Family Working Groups 2pm-3.30pm 주제별로 워킹 그룹에서 토론과 아이디어를 진행하고 마지막 세션에서 전체 포럼에 프레젠테이션하기 4pm-5pm

5pm-6.30pm

Family Group Presentations and Forum Wrap 그동안 나누었던 아이디어와 프로젝트를 프레젠테이션 Closing Reception 리셉션 마치기

4)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 -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는 점 5)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 교육자로서 생각하지 말고 예술가로서 접근 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 - 자유롭게 앉아서 서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며 소통할 수 있는 부분 - 발제자들의 강의하는 방법(헤더 마쉬, 캐서린 등) 6)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

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 데보라 치쌈이 강연을 할 때 옆에서 아 이패드로 그림을 그리는 분

- 264 -


- 헤더 마쉬의 강연 중, 모임으로 나누어 활동하는 부분에서 발레 하는 케이트를 만나 연락처를 주고받았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춤에 대한 자료를 보내주겠다고 약 속했음. - 성함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계속 우리에 게“lovely”라는 말을 하셨던 분에게 나는 영어소통능력이 부족해서 미안하다고 이 야기 했다. 하지만 그 분께서 내가 한국 어를 못 해서 더 미안하다고 하시면서 우리가 이곳에서 만난 것이 인연이라고 하셨다는 말이 계속 기억에 남는다. 3.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다녀와서 1)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 서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호주의 교육 기관들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놓고 있다. 대부분의 과정들 은 실습을 위주로 하는 실용적 프로그램이며 몇몇 학교들은 인턴십 과정을 포함시켜 학생들을 직접 현장에서 일하여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구체적 지식을 얻을 수 있도 록 한다. 또한 예술과 교육이 각 민족의 주체성을 가지고 함께 경험하고 존중하기에 호 주인의 예술교육은 더 실제적인 교육이 될 것 같다. 특별한 현지 강사를 초청하지 않아도 또, 현장실습경험을 통해 몸소 다양성과 각 민 족의 고유성을 공유하고 함께 경험함으로 더 생동감 있는 교육효과를 얻게 되는 것 같 다. 앞으로 예술강사 활동을 하면서 이번 탐방조사가 나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 을지 글로 표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확실한건 다른 나라의 예술과 예술교 육에 대해 알고 싶고 그 사람들이 예술교육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고 싶어졌다. 그 이 유는 현재 내 교수법을 다양한 방법으로 바꾸어 현장에서 지도하고 더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싶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결과가 궁금하다. 2)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혼자 해외탐방조사를 진행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우리 팀은 각자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부족한 부분을 함께 채워 나가서 이번 해외탐방조사를 마무리 할 수 있었다 고 본다. 비록, 서로 시간에 쫓겨 체력적으로 많이 힘들어 예민해진 부분도 있었지만 셋이 함께 하였기 때문에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고 본다. 나에 부족한 부분은 채워주어서 너무 고맙고 미안하게 생각한다. - 265 -


3) 향후 계획: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후 본인의 계획 다음 달 일본 초등학교의 교육탐방조사를 가게 되었다. 이번 호주탐방조사에서 얻은 결과와 일본의 예술교육을 비교하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예술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알아 볼 생각이다. 또한 앞으로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강의를 계획하 고 있다. 강의계획안에 이번 탐방조사의 다양한 교육방법과 이야기들을 넣을 생각이다. 4)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 제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1인의 영어소통능력자로는 무리가 있다. 전문용어를 알아들을 수 있는 분들만 신청 하기를 바란다. 하지만 영어소통능력이 조금은 부족하더라고 함께 채워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5)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이번 탐방조사를 통해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이번 탐방조사를 다녀오신 모든 강사 분들께 물어보고 싶다(각 분야별로).

- 266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미국탐방 활동보고서 성명

이 보 늬 연극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올해 초 저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인도네시아 문화예술교육 국제 실행 매뉴얼 사업 에 참여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제가 경험한 것은 문화예술을 통해 언어가 아닌 문 화 교류를 통해 서로를 이해를 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저는 현재 안산 이주아동청 소년 센터에서 이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극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안산은 여러 나라에서 온 민족들이 함께 어울려 살며 그들만의 문화를 만들어가는 흥미롭고 재미있 는 도시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안산을 무섭고 위험한 도시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안산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역시 이웃 주민인 이주민들을 차가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저는 문화예술 교육을 통해 국적은 다르지만 서로 다른 문화를 편 견 없이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싶습니다 특히 한국 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아동청소년들이 또래 한국 친구들과 서로 어울릴 수 있는 장이 마련되기를 희망합니다 이런 목표를 갖고 어떻게 하면 실현할 수 있을지 고민하던 중 해외탐방조사 모집을 보게 되었습니다 미국은 다양한 인종이 섞여 살고 있으며 다문 화로 인한 인종차별 인권문제 청소년 문제 등 사회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습니다 컨 퍼런스의 주제 역시 지역사회와 청소년 인종 다문화 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어 그 미국사회는 어떤 방식으로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는지 알고 싶어 지원하게 되었 습니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지원과정은 미국 컨퍼런스 주제가 우리의 주요 관심사인 지역사회와 청소년에 대한 컨퍼런스였다 우리는 컨퍼런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목적에 대해 우리가 꼭 가야하는 이유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그런 다음 자기소개서는 각자가 참여하고자 하는 이유 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작성하기로 하였다 차 서류 심사 통과 후 우리는

차 면접을 준비하기 위해 두 번째 모임을 가졌다

두번째 모임에서는 심사위원들이 우리게 어떤 질문을 할지에 대한 예상 질문을 준비 하였으며 각자가 생각하는 교육적 철학과 우리 공통의 목표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어 면접을 위해 짧은 영어 실력이지만 최선을 다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우리는 - 267 -


각자 자신의 전문분야와 가고자 하는 이유에 대해 영어로 자기소개를 준비해갔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탐방조사의 주제

지역사회와 청소년

준비과정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눠 진행되었다 첫 번째는 지역사회와 청소년 관련하여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에서부터 기획과 정 프로그램 대상자들을 지속적으로 참여 할 수 있게 하는 동기 등 주제와 관련하여 질문목록을 만들었다 두 번째는 지역사화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 기관 을 조사하기 위해 아르떼

구글 포털사이트를 참조하였다 세 번째는 에 은 방문 날짜가 정해졌으

메일을 보내 방문요청을 하였다 며 그 밖에 센터에는 우리 팀의 계획대로 되지 않았다 는

일 수요일에 방문을 원했으나

일이 공휴일이라 어렵다고 하여 다

른 날짜를 잡을 수밖에 없었는데 뉴욕에 머무는 시간이 짧아 우리는

일 미국

을 착하는 날 방문을 요청하였다 답신이 오지 않아 미국으로 출발하기

시간까지 결

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었던 상황에서

에서 답신을

받아 출국

시간 전에 방문지를 결정할 수 있었다

우리 팀과는 맞지 않는 다는 평가가 나왔으며

는 진흥원에서 는

달 전 요청을 하지 못 하면

방문을 할 수 없다고 답신을 받았다 이튿날 방문한

무용 최현주 선생님의 지인의 소개로 방문지로 선택하였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등 기관소개

년 설립되었으며 뉴욕 시민을 위한 무료 도서 정보 교육 아이디어

공연 워크숍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프로그

램 참여 대상은 유아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이 참여하고 있다 기관소개

년부터 오픈하였으며 리허설 댄스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

다 지역아동 및 지역 주민을 위한 봉사활동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의 학 생들에게 댄스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다 파킨슨을 위한 댄스 프로그램은 댄스센터 에서 기관소개

년에 시작되었고 현재까지 개 클래스로 운영되고 있다 도시의 낙서를 근절하기 위해 필라델피아 안티 그래피티 네트워크의 노

력의 일환으로

년 설립되었다 낙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 외에도 벽화 예술을

- 268 -


도입하여 그래피티 아티스트들의 창의성을 부각시켜 도시 안에 벽화를 제작하기 시 작했다 또한 벽화 예술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변화와 경제 활성화를 촉발시켰으 며 사회적 책임 프로그램을 만들어 길드 프로그램으로 설립되었다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파킨슨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직접 참여하고 담당자를 만나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과 참자들의 반응을 알 아보고자 한다 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 개의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는데

년이

라는 시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또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많이 보유하고 있어 누 구나 쉽게 자신들이 원하는 자료를 찾아 볼 수 있다 한 가지 예로 디자인에 관심 이 있는 학생들은 그와 관련된 책 비디오 등 자료를 찾아보고 직접 전문가를 만나 조언을 듣는다 그리고 자신들이 직접 만든 옷을

에 전

시한다 시민들은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듣고 배우기도 하고 전문 아티스트와 함께 공연 전시 등을 할 수 있다 파킨슨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직접 참여하여 경험해 보고 담당자를 만나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과 참여자들의 반 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프로그램은 매주 수요일

시간

프로그램은

명의 강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마크 모리스의 후원을

년도에

분 정도 진행되고 있다 파킨슨 환자를 위한 무용

받아 환자들에게 무료로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 프 로그램에

년 넘게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분들도 있다 벽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이 무엇이며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들과 어떤 방식으로 만나며 어떻

게 수업을 진행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벽화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현재 벽화 프로젝트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 정부의 재정지원뿐만 아니라 많은 민간단체들의 후원을 받고 있 다 벽화 작업 진행방식은 목적과 실행하는 작가들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 고 있는데 한 가지 예로 벽화작업이 지역사회에서 진행되었을 경우 지역주민들을 대 상으로 지원자를 모집하여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시키는 방식을 선택하여 진행한다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행사소개

예술 교육의 리더로서 우리 각자는 개인을 격려하고 우리 사회의 시민

생활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 우리는 일을 완수하려고 하지만 종종 봉사하 는 사람들에게 보다는 우리 자신의 조직에 초점을 돌린다 이 생각을 자극하는 기

- 269 -


조연설에서 하워드는 더 큰 영향의 핵심은 조직의 벽을 넘어 지역 사회의 포부와 비전 목표 주요 서비스를 정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강연자

는 메릴랜드에 본사를 둔 국가 비영리 조직의 설립자이자

하워드 연구소의 사장이다 연구소에서 코치들과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를 함께 변화 시킨다 하워드의 시도는 작은 도시에서 큰 도시로 지역 사회에서 전국적으로 국내에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하워드 리치는 공공 혁신 교육 기관 만 명의 공공 혁신 봉사단을 모집하고 있으며 온라인 포럼

에 통해

자신의 지역 사회에 대한 사람들의 열망을 수집하고 있다 참여목적

전체 컨퍼런스의 목적과 개요를 알고자

강연에 참여 하

였다 행사소개

프로젝트는

년도에

공동으로

모델에 대해 이야기

를 하고 예술가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 예술 관리자들과 함께 공동으로 개발하였 다 이러한 파트너는 기존의 학습 계층 구조를 해체하고 학습자 교육자 및 기관 등 여러 역할을 수용하여 예술 학습에 연결을 심화한다 참여목적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하여 문화기관 예술가 교육자 학생이 어떤

방식으로 협력하여 진행되는 알아보고자 한다 행사소개 이 강연은

토크 스타일 쇼케이스로 다섯 단체의 대표들이 교육

예술가 전문개발에 대해 강력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공유한다 자신의 능력 향상 링컨센터 교육 벽화 예술 프로그램 조안 미첼 재단 지역 사회 워드 프로젝트 교육 예술가의 이해를 증진 전문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감독인

교육

인턴십 지역 사회 워드 프로젝 를 실행하고 있다 링컨

트에서 교육 아티스트 교육 및 인턴쉽 프로그램 센터 연구소에서 연구 학습 사회를 위한 극장 이다

및 프로그램 관리자로 재직 중

는 특히 사회 정의를 위한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년 이상 예술가

와 교육자 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개발을 하고 있다

는 자신이 가르치고 있는 젊은이들과 교육자 및 관리자의 전문적 개발을

위해

예술과

사회

정의

프로그래밍을

지시하는

사우스

브롱스에서

아트센터의 임시 이사를 맡고 있다 그녀는 뉴욕시에서 근본적인 불 평등 교육자

이며 수많은 교육자와 부모 그룹을 대상으로 뉴욕 집단에

대한 반 인종 차별 교육 및 워크숍을 실시하고 있다

는 거의

년 동안 미첼 재단의 예술 교육 감독으로 예술가 교사

의 전문성 개발 구현 및 감독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샬롯 노스캐롤라이나 대안 고등학교에서 가르쳤다

- 270 -


년 동안 필라델피아에서 벽화 예술 프로그램 진행하며 현재 이

사로 봉사하고 있다 학교와 학교 밖 그리고 지역 사회 현장에서 참가자들은 주요 벽화 프로젝트에 자신의 재능과 관점을 가지고 도시에서 지역 사회와 공동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는 자신의 로컬 프로그램과 국제 컨설팅에서 광범위하게 일을 하 며 링컨 센터 교육을 위한 교육 예술가이다

은 드라마의

프로그램에 대해 가르치고 가장 최근에 컬럼비아 대학에서 세계경제포럼 의 글로벌 리더십 프로그램에서 강의를 하였다 그녀는 교육 아티스트 저널의 편집위원회의 구성원이며 링컨 센터 이사이다 참여목적

문화예술교육

개의 기관에 대한 정보 및 전문 개발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을 얻고자 한다 행사소개

강연자

의 저자로 저서의 내용에 기반을 두고 강연을 진행했다 의 대담하고 세심한 기조는 도시 사회의 구조적 폭력으로 인한 희망의 침식에 대 해 수행 피해를 복구하고자 하는 새로운 운동을 제안한다 그는 우리의 교육과 정 치 전략의 중심에 치유와 희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강연자

는 아프리

카계 미국인 청소년 청소년 운동 청소년 개발에 선도적인 전문가이다 박사는 현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공공 정책 세자르 차베스 연구소 수석 연구원이며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에서 아프리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참여목적

치유에 대한 근본적 이해와 치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행사소개

지역 사회 예술 교육의 리더로서 직면한 복잡한 과제를 식별한다 당신

은 뿌리 깊은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 대해 최선의 생각을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방향을 개발하기 위해 함께 적극적으로 생각한다 이 과정에 서 참가자는 생산적인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자신의 조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응 적 사고를 자극하는 강력한 프레임 워크를 배울 것입니다 강연자 는

프로그램과의 전략적 제휴를 주장한다 그의 최근 연구 프로그램 설

계 및 촉진 혁신의 중점은 적응 조직의 변화 그리고 문화 예술 분야에서 이 분야 에 대한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는 전국의 도시에서 활성화되어 지역 사회에 기반을 둔 혁신 프로그램의 일련의 설계 및 새로운 진학의 구현을 이끌고 있다 새로운 관행 사이의 관계에 대해 강연한다

는 문화 정책과 예술의

자신의 과거 연구 및 분석 전문 지식

은 미국과 영국에서 많은 현장 연구에 게재되었다 참여목적

문화예술교육의 리더로서 조직의 방향 및 설계방안에 대한 모델연구

사례를 조사하기 위하여 참여

- 271 -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참여

미국 탐방을 통해 뿐만 아니라

을 방문하였다 기관 방문은 문화예술교육을 어떤 방식으로 바라보고 그 안에서 현재의 나를 바라 볼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올해로

년차 예술강사 활동하면

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고민을 했었다 하지만 기관 방문을 통해 내가 깨닫게 된 것은 수혜 대상자들에게 문화예술을 가르치고 경험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 그들이 현재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가 우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방문한 기관 들의 공통점은 수혜 대상자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해주고 그것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었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는 파킨슨 환자를 위한 댄스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으며

년부터

개의 클래스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 팀은 센터를 방문하여 직접 파킨

슨 환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수업에 참여하였다 수업이 진행되면서 모든 참여자들이 의자에 앉아 강사님의 동작을 따라했는데 그때마다 피아노 연주자가 분위기에 맞춰 반 주를 해주었다 그리고 서서히 의자에서 일어나 상체 움직임에서 하체 움직임까지 움 직임을 확장시켰다 수업 후반부에는 한편의 연극과 같이 공간을 설정하여 파티장을 표현하였는데 참여자들은 모두가 파티에 손님이 되어 파티를 즐겼다 와인과 과일을 먹으며 상상의 음식 파티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과 어울려 춤을 추 었다 어느덧 파티는 끝나고 우리 모두는 손을 잡고 도미도로 눈을 마주치며 인사를 나누었다 수업에 참여하면서 그 순간이 가장 행복하고 따뜻하게 느껴졌다 사람과 사 람이 만나 서로의 체온을 느끼며 친구이자 동료가 될 수 있도록 서로를 이끌어 주는 곳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이 클래스가 왜 인기가 있는지 그리고 오랫동안 이곳을 찾는 분들이 왜 이곳을 오게 되는지 알 것 같았다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 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컨퍼런스 참여를 위해 기관을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우리에게 많은 도움을 주신 분 이 계신다 바로 유지연 선생님이다 유지연 선생님은 현재는 필라델피아 해 있는 주립정신병원에서

에 속

활동을 하고 계신다 유지연 선생

님을 통해 필라델피아의 사회적 문제와 역사 미국인들이 바라보는 문화예술에 대한 생각들을 들을 수 있었다 컨퍼런스와 기관 방문을 통해 의문이 들었던 것이 있었다 대부분의 기관들은 프로그램 참여자를 모집하거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는데 있어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동기부여에 어려움을 겪지 않는 이유가 궁금했었는데 유지

- 272 -


연 선생님을 만나면서 그 의문점들이 풀렸다 한국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에 관심이 없 는 대상자들도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모두가 같이 경험해야한다 라는 전제를 바탕

으로 싫든 좋든 강좌가 열리면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한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자 신들이 원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게 한다 이미 동기가 있는 참여자들을 대상으 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그리고 미국이라는 사회가 워낙 인종차별이 있다 보니 같은 잘못을 했다하더라도 흑인에게 불리하게 적용되어 어느 날 범죄자가 되기도 한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범죄자에 대한 인식이 한국과는 다르다 범죄자가 특별한 누군가 가 아닌 내 이웃 가족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부분의 의문을 풀리면서 문화 예술을 접근하는 방식에 차이를 알게 되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서 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해외 탐방을 하면서 느낀 점은 세상을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었다는 점 입니 다 그동안 늘 밖에서만 내 것을 찾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미국은 짧은 역사를 가 지고 있지만 그 만큼 역사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그 역사를 기반으로 지역사회 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설계하는 것을 봤습니다 저는 제가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잘 모릅니다 한국의 문화 역시 잘 모릅니다 이제부터라고 한국의 문화와 역사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부터 시작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지역주민들과 함께 공유하려고 합니다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우리 팀은 세 개의 분야인 연극 무용 애니메이션 강사 모여 만들어진 팀이다 탐방 전부터 같이 활동을 해 오기는 했지만 이렇게 오랜 시간을 같이 있어 본적이 없었다 우리는 미국 탐방을 통해 서로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되었다 특히 서로의 장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이번 탐방을 계기로 우리는 서로를 더 신뢰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같은 꿈을 꾸게 되었다 최현주 선생님 이현지 선생님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향후 계획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

후 본인의 계획 지역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년 프로젝트 개발 및 실행 예정 프로그램 주요 목적

프로젝트 팀 이보늬 이현지 최현주 우종필

일상의 모든 행위들이 모여 일상의 공간에서 예술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인식하게 하며

스스로 거리공연을 기획하고 실행함에 있어 개인의 특기

와 재능이 창작과정에서 활동으로 이어지도록 유도한다

이 모든 활동이 예술적 경

험으로 이해되고 예술과 삶이 하나라는 것을 확인하게 한다

- 273 -


○ 걷고 생각하며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의 나 를 찾자 교육대상자인 청소년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이곳저곳을 걸어 다니며 내가 살 고 있는 지역에서 나와 지역의 관계를 이해하고 역사를 통해 역사적 존재로서 나 를 찾아본다 ○ 내가 찾아낸 최고의 명소 청소년들의 시각에서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이미지들을 사진과 영상 그리고 이야기 연극 공연 로 표현해 보고자 한다 ○ 미디어를 활용한 그림자극 나와 마을 사람들의 모습 이라는 주제로 일상적인 동작을 연결하여 큰 움직임으로 완성시켜 본다 이러한 움직임과 언어가 결합하여 이야기가 만들어지고 그것을 빛이라 는 오브제와 영상이 덧입혀 미디어 그림자극으로 완성해 본다 ○ 사람들이 모이는 곳 어디든 공연장 또는 전시장이 된다 수업과정에서 만들어진 영상과 사진 자료 말하고자하는 메시지들을 청소년들의 자 발적인 기획을 통해서 찾아낸 지역의 공원 길거리 공연장 로비 등을 전시와 퍼포먼스 행위예술 를 하는 장소로 새롭게 변화시키며 청소년들과 시민이 소통할 수 있는 연결 고리를 마련한다 기대효과 문화예술 교류를 통해 지역의 문화를 이해한다 한국의 청소년과 이주청소년들의 문화 교류 및 네트워크 형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구 과정 지역에 대한 조사 문화 역사 주변 환경 등 프로그램 참가자에 대한 이해 나이 관심사 커리큘럼 등 탐구 질문지 작성 연구자 탐구에 기반한 교안 작성 주요 활동 안산과 연천의 청소년 교류 프로그램 계획안 대상

안산 이주아동청소년

연천 꿈의 학교

미디어를 활용한 통합예술 연극 만화 애니메이션 무용 프로그램 진행 문화예술 연합 여름캠프 합동 공연 및 지역 이동 공연

- 274 -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 제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새로운 도전에 두려워하지 마라 우리는 늘 도전한다 이번 탐방 역시 나에게는 도전이었다 영어도 못하는 내가 어떻게 갈 수 있었는지 지금도 신기하다 하지만 나에게는 도전에 대한 두려움이 없었다 영어를 못하기 때문에 통역을 해줄 사람 이 필요했다 다행히 지인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지만 만약에 없다면 비용은 들 겠지만 통역을 구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두 가지를 말하고 싶습니다 첫 번째는 해외탐방의 경우에는 현지 매개자 필요하다 아무리 사전 조사를 했 다 하더라도 현지 매개자에게 듣는 정보만큼 정확한 것은 없다 아는 만큼 더 많 은 것을 얻게 될 것이다 두 번째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미국 탐방의 경우에는 사전 준비시간뿐 만 아니라 방문일정도 짧아 팀원끼리 탐방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나누거나 자 체 평가를 할 시간적인 여유도 없이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만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런 점들이 보완되었으면 합니다

- 275 -


□ 사진 첨부

Hope and Healing 저자 Shawn Ginwright

Mark Morris

NYPL 방문

NYPL 프로그램 안내

컨퍼런스 Shawn Ginwrignt 질의 응답

- 276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대상자로부터 시작하는 교육 성 명

이 현 지 만화 애니메이션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단편적인 지식의 공유가 아닌 다면적 이해를 위한 해외탐방조사 대한민국은 문화예술교육의 중심지로서 현재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각지에 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성 과라는 것이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입시위주의 교육의 경쟁중 심의 문화, 또 결과 중시의 사회적 분위기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이러한 국내 문 화예술교육의 문제점을 해외의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를 보고 그 해결점을 찾고자 했다. 따라서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해외문화예술교육사례를 접할 수 있는 컨퍼런스, 워 크샵, 연수프로그램 등을 꾸준히 참여하고 있었다. 국내에서 진행하는 컨퍼런스와 워크 샵 등도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를 알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지만, 짧은 시간과 한정 적인 정보의 공유로 부족함을 느낀 것이 사실이다. 해외 탐방조사는 단편적인 지식을 일방적으로 듣게 되는 것이 아니라 다면적으로 진행되는 교육 속에서 보다 복합적인 정보를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한국의 상황과 유사하거나 도움이 되는 사례 연구를 통하여 보다 적극적인 형태의 연구가 진행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탐방목 적을 바탕에 두고 컨퍼런스 개최지인 필라델피아에서 실행한 문화예술교육기관이나 프 로그램 중 직접 탐방하고자하는 곳은 선택하였다. 필라델피아는 벽화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필라델피아 뿐만 아니라 한국 역 시 벽화가 문화 예술 활동의 일환으로 대대적으로 시행되었지만 지역주민과의 소통의 부재, 밤·낮 없는 관광객의 고성방가로 소리 높은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또한 소통 없는 결과물로 찍어 내기 식 벽화마을은 환경미화라기 보다는 오염에 가깝다. 하지만 필라델피아의 벽화는 달랐는데, 무엇보다도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전범자에게 벽화활동 을 맡겼다는 점이다. 그로인해 높았던 범죄율이 낮아지고 지역에 거대한 문화예술의 효과를 불러 일으켰다. 두 문화예술교육의 차이점을 알아내어, 이것을 대한민국의 문화 예술교육에 적용시켜 변화를 불러일으키고자 필라델피아벽화프로그램을 주된 탐방 기 관으로 선정하였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 277 -


중심이슈와 국가의 선정 그 이후 사전조사 준비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은 국가의 선정이었다. 2015 해외탐방조 사의 경우 탐방 대상 국가는 미국, 영국, 호주였는데, 각 팀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 심이슈에 따라 국가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사전조사를 통해서 가치 있는 탐방조사를 위해서 준비하였다. 본 팀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이슈는 지역사회와 문화예술교 육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어떤 방식으 로 긴밀하게 소통되는지, 커뮤니티와는 어떤 방식으로 협업이 이루어지는지를 연구하 는 것이 한국문화예술교육의 형식적 한계를 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 이다.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탐방국가를 미국으로 선정하게 되었고, 국가를 선정한 이 후에는 컨퍼런스 이외에 탐방 기관 조사를 진행하였다. 한정적인 시간이 주어진 사업 에서 어떤 기관이 가장 도움이 되는 기관일지 어떤 사업이 한국 문화예술교육에 발전 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킬지 팀원들 간에 다양한 기관에 대한 정보를 나눈 뒤 세 곳을 선정하였다. 탐방조사 선정 기관

Philadelphia Mural Arts

New York Public Library

Program

Mark Morris Dance Center

수감자 및 청소년 참여

도서관의 문화예술교육 기획 PD프로그램

지역연계 문화예술교육

공연예술과

지역사회 연계

커뮤니티간의 협력

문화예술교육의 협력

진문기관의 문화예술교육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주제 선정 기준

탐방 조사 주제

대상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효과적인 프로그램 기획 프로세스

지역연계 프로그램 기획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성 및 커뮤니티 형성

지역사회와 문화예술교육 협력 참여자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

한국문화예술교육의 시급한 해결과제인 결과 중심이 아닌 진정으로 사회문제를 해 결하고 한국시민과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할 수 있는가를 목적으로 하여 탐방 - 278 -


조사 주제를 선정하였다 예술 강사로서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가

지역사회와 긴밀하게 협력을 시작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또한 문

화예술교육이 단편적인 경험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지속적으로 개인 과 사회에 발전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가를 고민하여 탐방 조사 주제에 적합한 기관 을 선정하고 인터뷰 준비를 진행 하였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등 방문기관

New York Public Library (NYPL)

소 재 지

40 Lincoln Center Plaza, New York, NY 10023

Web Site 전화번호

www.nypl.org 212 - 870 - 1644 E-mail evanleslie@nypl.org 1895년 설립되었으며, 100여년 이상 뉴욕 시민을 위한 무료 도 서, 정보, 교육, 아이디어, 공연, 워크샵을 제공하고 있다. 뉴욕시 공립학교는 학생들의 숙제를 돕고, 도시의 이미지 커뮤니티는

기관소개

NYPL에서 영어와 문학을 습득할 수 있다. 도서관은 유아에서부터 십대, 노인에 이르기 까지 전 연령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매년 67,000가지의 무료프로그램을 운 영.

NYPL Performing Arts

전시, 공연을 포함한 다양한 Performing Arts 프로그램이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과 연계되어 기획되는데, 사회적 이슈 와 트렌드에 맞추어 공연예술을 기획하고 그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이 동시에 기획되어 효과적인 연계프로그램을 실행한다.

- 279 -


방문기관

Mark Morris Dance Center

소 재 지

3 Lafayette Avenue Brooklyn, New York 11217

Web Site 전화번호

markmorrisdancegroup.org 718 - 624 - 8400

E-mail

info@mmdg.org

2001년부터 오픈하였으며 리허설 댄스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 기관소개

되고 있다. 지역아동 및 지역 주민을 위한 봉사활동 프로그램뿐 만 아니라 모든 연령층의 학생들에게 댄스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다.

PD 프로그램 (Dance for Parkinson's program)

마크모리스 댄스그룹과 브루클린 파킨슨 그룹의 협력으로 11개국 에서 100개 이상의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다. PD 클래스에서 참 가자들은 즐겁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움직임과 음악을 탐구한다. 또 마크모리스 안무 레퍼토리를 운동에 통합시키기도 한다. PD프로그 램은 세계클래스를 육성하기 위해서 교사훈련을 제공한다.

방문기관

Mural Mile Arts Program

소 재 지

1727-29 Mt. Vernon Street Philadelphia, PA 19130

Web Site 전화번호

www.muralarts.org 215 - 925 - 3633 E-mail info@muralarts.org 도시의 낙서를 근절하기 위해 필라델피아 안티 그래피티 네트워 크 노력의 일환으로 1984년 설립되었다. 낙서 문제를 해결하 는 것 외에도 벽화 예술을 도입하여 그래피티 아티스트들의 창

기관소개

의성을 부각시켜 도시 안에 벽화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또한 벽 화 예술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변화와 경제 활성화를 촉진시켰 으며, 사회적 책임 프로그램을 만들어 길드 프로그램으로 설립 되었다. 30년 이상 벽화예술은 공공의 공간과 개인의 삶을 변화시켜 왔

Mural arts program

다. 현재 50~100여 가지의 공공예술 프로젝트가 매년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술교육, 수감자를 위한 회복프로그램, 공간 복원 등 이 다양한 방향으로 지역사회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 진행 하고 있다.

- 280 -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방문기관 면 담 자

New York Public Library (NYPL) Executive Director Barbara Cohen-Stratyner, Artist Producer Evan ·도서관 기반의 프로그램 기획

인터뷰 목적

·공연예술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계 ·프로그램 홍보와 지속성 ·200여개의 프로그램 진행

인터뷰

·공연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계를 위해 약 2년간 프로그램 기획

요약

·프로그램 홍보와 만족도 지속성을 위한 노력보다는 양질의 콘텐 츠 기획을 통해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유지

도서관을 전체적으로 둘러본 후 NYPL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 설명 및 인터뷰 진행

- 281 -


방문기관

Mark Morris Dance Center

면 담 자

유토 타카모라 (강사), Leonore Gordon (대상자)

인터뷰 목적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기획 ·지속적인 참여와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방안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기획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수업 단계의 설계이다. 앉아서도 할 수 있는 쉽고 간단한 동작부터, 나중에는 두뇌에도 자극을 줄 수 있는 복합적인 동작으로 발전 한다. 인터뷰

·지속적인 참여를 위해서 참여자들간의 네트워크 형성이 중요

요약

하다. 생일 파티, 결석자에게 카드보내기 등 자발적인 네트워 크 형성이 지속적인 참여를 돕는다. ·마크모리스 댄스 그룹은 무용공연으로 세계무대를 활동할 때 PD프로그램을 홍보한다. 다양하고 많은 국가와 지역사회의 구 성원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PD수업에 직접 참여 하여 PD프로그램을 체험 후 인터뷰를 진행

- 282 -


방문기관

Mural Mile Arts Program

면 담 자

Eurhi Jones (Mural Artis)

인터뷰 목적

·Mural Arts Program의 사회문제를 해결방법 ·지역사회와의 커뮤니케이션

· 벽화예술은 사회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지 않지만 간단하고 긍정적인 예술적 체험을 통해서 사회화 과정을 체험하고, 잡 카운슬러, 이력서 작성, 직업소개 등의 다양한 연계프로그램이 인터뷰 요약

병행되어 협력함 · 사업의 실행 기간 동안 지역주민과 지속적인 협력을 진행한 다. 벽화예술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요구가 적절히 반영될 수 있도록 기획 단계부터 함께 진행하며, 벽화 제작 때도 지역주 민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진다.

Mural arts tour

Mutal artist Eurhi Jones

- 283 -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Teaching Artist Professional Deveolpment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자 발전방안 예술교육가로 발전하기 위해서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시간과 그것의 효과 를 관찰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만큼 자신의 시간을 투자해야한다. 또한, 변화 에 두려워하지 마라! 도전과 모험이 있어야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고 그 경험 을 통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 개인의 협력 뿐 아니라 단체와 단체들 간 의 협력을 통해서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A Love Note to Justice 대상을 향한 편견 없는 시선 우리는 문제점을 먼저 바라본다. 그리고 그 문제점에만 초점을 맞춘다. 하지 만 그 대상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한 소년이 길에서 방황을 한다. 왜 집을 나왔는지 물어 보지 않고 우선 그 소년에게 다가 가서 '배고프지? 우리 피자나 먹으러 갈까?'하며 그에게 다가간다. 그는 현재 배가 고프다. 먼저 그가 처한 상황에서 무엇이 필요하지를 우선적으로 알아차 려야 한다. 그리고 그가 필요한 것을 도와줘야 한다. 문화예술 교육도 마찬가 지다. 미국에는 아직도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한 곳이 많다. 하지만 진정으로 필 요로 하는 곳에는 많은 기관이 배치되어 있지 못하고 편중되어 있다.

CoCre8 : Reimagining Spaces for Collaborative Arts 지역과 교육기관의 연계 CoCre8은 문화기관, 교사, 예술가 학생들과 같은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문화 예술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CoCre8 기관뿐만 아니라 다른 기관들 역시 각 지역의 교육기관과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다. 그러면서 지역 에 대한 이해와 지역민들과의 커뮤니티를 형성해 가고 있다.

- 284 -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기관방문 주

Mark Morris Dance center ·우수한 문화예술 기반 위에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이 있다. ·마크모리스 댄스센터, NYPL, Mural Arts 이 세 곳의 문화예술 교육이 지역사회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효과적인 교육이 시행 될 수 있었던 가장 분명한 기반은 문화예술교육이 혼자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었다. 댄스센터는 세계적인 무용그룹

으로 활발한 무용공연 그룹의 명성과 함께 PD프로그램을 성 장시키고 있다. 따라서 참여자들의 관심이 높고 적극적인 참 여가 가능한 것이다. ·한국에서도 우수한 공연예술 팀과 교육 팀이 협력하여 문화예 술교육을 진행한다면 참여자의 적극성과 질적 완성도가 달라 질 것이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컨퍼런스

A Love Note to Justice

강 연 자

Shawn Ginwrignt ·문제 상황의 청소년을 대하는 태도

상황에 대해서 집중하지 않고 먼저 마음을 열기를 우선한다. 상처와 반응에 당황하지 않고 문제의 근원을 살펴야한다. ·‘사랑’으로 대하라고 하지만 문제 상황에 놓인 청소년을 대하는 것이 말처럼 쉽지는 않다. 때문에 연설이 끝나고 질의응답시 간에 한 TA로부터 문제 상황의 청소년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 가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이에 Shawn은 의사의 예를 들어 답을 이어나갔는데, ‘의사는 피가 나거나 상처 입은 환자를 보

고 당황하느냐?’는 질문이었다. 의사는 환자가 무엇 때문에 아 픈가에 집중 한다. 그처럼 우리도 상처와 반응에 당황하지 않 고 그렇게 거칠어진 근원은 살펴야 한다고 피력했다. · 또한 문제에 집중해서 ‘어쩌다 이렇게 되었니?’, ‘지금 어떤 상 태니?’ 와 같은 질문을 늘어놓기 보다는 ‘배고프지 않니?’, ‘피 자나 먹자’ 같은 일상적인 질문으로 마음열기를 우선해야한다.

- 285 -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컨퍼런스

Teaching Artist Professional Deveolpment

면 담 자

Ama Codjoe

·저명한 인사의 협력

·Ama Codjoe는 문화예술교육기관 DreamYard 의 디렉터이다. 그녀는 지명한 인사의 도움으로 지금의 DreamYard가 유명 해 졌다고 설명했다. 그 저명한 인사는 언어학자이자 사회운동가 인 행동하는 비판적 지식인<Avram Noam Chomsky>였다. 문화예술교육단체로서 양질의 콘텐츠를 기획하여 진행하는 내

것도 중요하지만 대상자가 그 문화예술교육에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알리고, 성장하는 것도 중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DreamYard가 어떻게 저명인사의 영향력을 센터에 접근하게 할 수 있었는지 직접 찾아가 질문을 하였다. 그녀의 대답은 의외로 간단했다. 홈페이지에 있는 주소로 도움을 요청하는 메일을 보낸 것이다. 그와 함께 덧붙인 그녀의 조언은 안 된 다고 생각하지 말고 도전하라는 것이었다.

Ama Codjoe

Dreamyard Website

- 286 -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순서 재설정 한국문화예술교육에서 대상자의 모집과 교육의 지속성과 효과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미국의 사례를 탐방조사하면서 느낀 가장 중요한 시사점은 프로그램 기획의 순서가 거꾸로 되어있다는 점이었다 가장 중요한 대상자는 기획에서 배제되고 기획 따로 대 상자 따로 구성되어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진행이 어렵다 사업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이 아니라 대상자 중심의 프로그램 기획 프로세스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프로그램 기획 프로세스 기 존

사업 중심의 프로그램

개선방향

대상자 중심의 프로그램

사업의 공고

대상자 및 지역의 필요성 인식

사업의 내용에 적합한 프로그램 기획

대상자에 적합한 프로그램 기획

대상자 모집 및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 실행

팀워크 각 팀원의 전문성 연극 만화 애니메이션 무용의 다양한 분야의 선생님들이 참여한 본 현지탐방조 사는

퍼포먼스

벽화 미술

마크모리스댄스센터 무용 을 기반으로 한 현지기

관 이었습니다 다양한 전공 분야의 선생님이 참여하여 각 기관에 더욱 효과적인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었고 각각의 분야에 전문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각 참여자별로 현지에서의 전문적인 활동을 구분하였는데 생각보다 빠듯한 일정으로 촉박하게 진행된 현지탐방조사에서 역할의 구분과 긴밀한 협력은 효과적 인 현지 활동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 보 늬 (연극)

탐방 조사 역할 구분 이 현 지 (만화·애니메이션)

현지 활동

텍스트 기록

최 현 주 (무용) DSLR을 활용한 영상촬영

현지매개자와 효과적인 협력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의 상황을 이해하고 있으면서 미국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를 안내해준 현지매개자의 협력으로 효과적인 탐방조사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현지매개자는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을 이해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주한

여년이상 거

로 필라델피아의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뿐 만아니라 과

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기반으로 한 정보를 통해서 한국문화예술교육의 발 전방향까지 협력적으로 논의할 수 있었습니다

- 287 -


향후 계획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후 본인의 계획 지역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사업에서 시작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아니라 지역에서부터 시작 하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기획하고자한다. 본 교육 팀에서 사전에 알고 있던 지역에서부터 출발하여 지역의 필요와 대상자의 목소리에서부터 출 발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및 실행 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구 과정 1. 2. 3. 4.

지역에 대한 조사 (문화, 역사, 주변 환경 등) 프로그램 참가자에 대한 이해 (나이, 관심사, 커리큘럼 등) 탐구 질문지 작성 (연구자) 탐구에 기반한 교안 작성

대상 선정 계획 안산과 연천의 지역연계프로그램 개발 대 상 : 안산 이주아동청소년 15세 ~ 22세 연천 꿈의 학교 14~18세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 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 강사의 국제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우수한 문화예술교육기관 인턴쉽 제도 실행 국내 예술강사의 국제무대 진출의 가장 우선적인 과제는 국내 문화 예술 교육 활동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함이다 지역사회의 이해와 프로그램의 과정을 다면적으 로 이해할 수 있었던 이번

해외 탐방 조사 는 한국 문화 예술 교육의 한계를 이해하

고 개선방향을 설정하는데 열린 시각을 가지게 해주었다 하지만 우수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의 정보를 알게 되어도 국내에 적용하는 자세한 프로세스는 직접 해보지 않으면 습득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을 먼저 인식한 후 적합한 국 제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인턴쉽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우수한 문화예술교육 의 사례를 습득하여 한국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인재육성이 필요하다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해외 탐방 조사

실행 시 현지매개자의 필요성과 역할

해외의 문화 예술 콘텐츠는 상세하게 조사하고 준비한다고 하여도 웹사이트 내의 정 보 이외에는 조사가 어렵다 문화예술교육은 교육자체 뿐 만 아니라 교육대상자의 환 경인 지역사회의 이해 정치적 행정적 이해까지 다면적인 정보의 교류가 필요하다 한 국과 해외의 문화 예술 콘텐츠를 복합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전문매개자의 역할은 성 공적인 조사를 이끌어가는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 288 -


해외 탐방 조사

실행 시 사전조사의 중요성

한국의 문화예술 콘텐츠 사례를 연구하는데도 회의와 조사를 병행하는 많은 시간의 투자가 필요하다 해외의 경우 특히 사전조사가 중요하다 한정적인 시간동안 효율적인 경험을 하기 위해서는 목적에 맞는 기관선정과 인터뷰이 선정이 중요한데 이것은 충 분한 사전조사에서 결정되는 것이다 사전조사 기간이 즉 해외탐방조사의 성과를 결정 한다고 볼 수 있다 충분한 사전조사 기간의 설정으로 양질의 성과를 도출 할 수 있도 록 해야 할 것이다

[※사진 첨부]

엑스포

컨퍼런스 COCRE8 활동 참여

현지 활동 예술가와 캐리커쳐 서로 그려주기

NYPL 방문 및 프로그램 안내

- 289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다양한 환경에 따라 변화해야하는 예술교육의 역할 성 명

전 인 혁 연극분야 예술강사

1.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준비하며 1) 지원동기,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변화는 무엇인가? 우리는 변화를 위하여 학습하고 교육받으며 다양한 활동을 영위하 며 성장을 거듭한다. 이렇듯 변화는 우리 삶의 궁극적 가치에 필요한 그 무언가일 것 이다. 누군가에게 변화는 성장의 또 다른 표현이며 또 누군가에겐 새로운 출발을, 또 어떤 이에겐 새로운 기회에 대한 도구 일 수 있다. 누군가는 실패의 결과, 혹은 변질 된 가치에 대한 모순적 덩어리에 불과할 수 있지만, 나는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올 바른 변화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을 해보기로 하였다. 과연 변화는 우리 삶에 어떠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들은 나에게 어떠한 에너지를 만들어 주는 지 말이다. 긍정적 변화의 의미와 범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변화는 어디서부터 출발하고 또한 필요한 요소들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공부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변화 를 위한 교안 연구와 필요성을 실감하려한다. 또한 선진화된 운영과 시스템을 벤치마 킹하여 다양한 커뮤니티를 조직하고 소통의 창구를 넓혀 많은 예술교육자들이 교육과 변화의 고민을 함께 나누고 공유할 수 있는 채널을 만들고자 하였다. 2)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지원 가능한 탐방국가를 확인하고 국가별 특징과 프로그램을 확인하여 탐방 주제를 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최우선 되어야 한다. 탐방 주제는 제한적인 일정을 소화 할 수 있을 만큼의 범주로 정하는 것이 좋으며 거시적인 내용 보다는 하나의 주제로 집중되 는 목표점이 효율적이다. 지원서는 간략하면서도 정확하게 기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원 동기는 탐방의 매력 을 어디서 찾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짚어낼 수 있으면 된다. 불필요한 내 용은 쓰는 사람도 읽는 사람도 고달프기만 하다. 만약 힘들다면 팀원들에게 감수를 받 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다.

3)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탐방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진흥원의 자료를 읽고 또 읽었다. 거시적인 이야기들을 - 290 -


정할 순 있었지만 세부적인 내용을 정하기엔 너무나도 어려움이 컸다. 우린 탐방기관 을 정확히 알 수 없었기에 팀원 모두에게 접근할 수 있는 공통적인 주제를 정하다 보 니 시간이 오래 걸렸다. 늦은 시간임에도 매일 회의에 참석해준 팀원들이 기억에 남고 아침 이슬을 밟으며 집에 들어가는 하루의 일과들도 오래 기억 될 듯하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등 기관명 예술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필라델피아 박물관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같은 여개의 필라델피아 문화예술 그룹과 함께 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주 예술위원회와 함께 연계하여 지역의 아이들에게 예술교육을 제공하기도 한다 주에서 지원을 받아 학교의 정규 교과 과학 기술 수학 등 에 예술과 연결시켜 교육 을 하거나 방과 후 시간에 예술교육을 실행한다 또한 하루

시간씩 주

회 아이들에

게 숙제를 돕고 교육서비스를 지원한다 그 밖에 도서관과 연계하여 책을 이용한 예술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시낭송 대회를 주관하고 있다 기관명 필라델피아 외곽에 위치한

은 예술교육을 통하여 지역 내 소외계층 및

빈곤층의 문맹퇴치와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학교와 지역사회 단체와

의 협력을 통하여 지역 내 소외계층의 아동과 청소년에게 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며 음악 시 벽화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술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의 장기적 프로그램 중 하나인 ❛

❜는 읽기 쓰기능력과 더 나아가

자기표현이라는 수업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관명 미국 뉴욕에 위치한 기관으로 실버세대를 위한 예술교육을 지원하고 있는 비영리 단 체이다 기존의

가난하고 힘없는 노인 의 정의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노화 를 지지하

고 노인이 가질 수 있는 창조적인 표현을 도울 수 있는 수업을 프로그램화 하고 컨설 팅 서비스하는 단체 이다

- 291 -


2) 인터뷰/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PAEP 인터뷰

PAEP 방문 후 인터뷰 준비를 하고 있다. 가장 왼쪽에 앉아있는 사람이 PAEP 의 총괄 책임자 Pearl 이다.

인터뷰를 마친 후 단체사진을 함께 찍고 Meghan이 SNS를 통하여 관계를 맺자는 제의를 해주었다.

Q1. 교과과정인 수학, 과학, 기술 등의 수업에 예술교육을 접목할 수 있는가? A1. 가능합니다. 이 프로그램을 4년간 경험한 아이들이 있다. PAEP 를 통하여 예술수 업을 하면서 과학, 수학, 기술 등과 같은 수업에 예술을 접목한 결과, 매 학년 올라갈 때마다 치르게 되는 수학 과목의 성취도가 105점 가량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이것을 볼 때, 학생을 교육할 때 예술을 접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Q2. 예술교육을 통하여 학습자가 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A2. 아이들이 잘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들이 실수를 하거나 잘못을 할 때, 그 것을 그림으로 그리거나 글로 쓰면서 자부심이나 자존심을 지킬 수 있게 합니다. 또한, 아이들이 “난 뭐든지 할 수 있어!”라는 말을 하게끔 무대 위에서 연기를 하게 하거나 미술품을 전시하고 영화를 상영하면서 나를 표현하고 보여주려는 의지를 만들어 주어야 하는 것이지요.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아이들에게 “대단하네!”라 는 말을 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아이들은 엄청난 교훈과 창의성을 얻습니다. 또한 스스로 좋아졌다는 믿음을 가지고 학교에서 다르게 행동할 것입니다.

- 292 -


Q3. 기관에서는 300여명의 강사들과 어떤 방법으로 대화를 하는가? A3. 전화, 이메일, 면담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합니다. 일 년에 12번 정도 만나며 일 대일로 면담을 하면서 질문을 받고 새로운 아이디어도 공유하지요. 우리는 예술강사를 훈련하면서 예술적인 부분은 절대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학교 안에서 어떻게 수업을 진행하고 2~30명의 학생과 교감을 하는 지에 대해서만 교육합니다. Art Well 인터뷰 Q1. 기관에서 이루어진 수업성공사례 A2. 몇 년 전에 우리는 disciplinary(징계) 고등학교에서 8학년 학생들과 일했어요. 거 기에 있는 학생들은 많은 문제를 일으켜서 이미 한번만 더 문제가 생길경우 바로 감옥 에 가야하는 그런 학교 학생들이였죠. 우리는 그곳의 모든 8학년 학생들을 가르쳤어 요. 몇몇은 “시”를 무척 흥미로워했고 방과 후엔 시 수업에 참여하고 싶어 했습니다. 이름도 만들었어요. “For the love with wisdom”이 학교는 필라델피아 내 빈곤율이 굉 장히 높은 지역에서조차 평판이 좋지 않았어요. 그 동네 문제아들조차 이 학교 학생들 을 무서워했어요. 길가에서 그 학교의 학생이 걸어오는걸 보면 그 학생과 마주치지 않 기 위해 바로 길을 건너갔죠. 다시 시 클럽 이야기로 돌아와서, 한번은 우리가 학생들 이 본인 목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전문 녹음실로 데려갔어요. 녹음실아시죠? 라디오 스튜디오 같은 곳이죠. 우리가 그곳에 갔을 때 신문사 기자가 있었어요. 그 기자는 한 학생을 데려와서 물었어요. “왜 시를 쓰니? 이런다고 뭐가 달라지니?” 그 학생의 이름 은 Terrance였어요. Terrance는 자기 티셔츠를 들어 올리며 말 했어요. “사실 나는 총에 맞았어요. 형을 시 켜 그를 죽일 수도 있었지만 전 오히려 그것에 대한 시를 썼어요.” 만약 그 기자가 Terrance에게 그때 물어보지 않았다면 저희도 아마 몰랐을 것입니다. 그 아이가 쓰는 시가 여러 생명을 살린 것이죠. 본인도 살리고 형도 살리고 또 그 형이 죽일 수도 있 는 그 누군가도 살렸죠. 이 사례는 아이들이 어떻게 엄청난 도전을 하고 있는지 말해 줍니다. 머릿속에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가슴 속에 뭘 담고 있는지 어떤 생각, 감정 인지 뭐가 제일 짜증나는지… 존중과 배려, 관심을 가지고 아이들 얘기를 들어준다면 사실 그들은 굉장히 잘 자라요. Q2. 성공요소 A2. 수많은 수업들 중 예술강사의 수업은 아이들에게 강요를 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그들의 예술과 생각을 엮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몇몇 학생들은 준비를 하고 마음을 열고 바른 길로 갈 수 있습니다. A2. 좀 부족하거나 느리거나 학생들의 페이스에 맞게 천천히 또는 기다려 주기도하고 학생들이 다른 것들에 준비되어있으면 또 그것에 맞게 변화를 주거나 다음단계로 움직 이죠. 특별히 필라델피아로 예를 들면, 특정한 문화의 배경을 가지고 있는 필라델피아

- 293 -


에선 선생님들이 학생들의 적응을 위해 변화하기도 합니다. 학생들이 뭔가 특별한 것 을 원한다면 선생님들은 그것에 적응하고 학생들을 위해 항상 함께 합니다. 그것이 우 리의 힘,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Art Well에서 인터뷰를 마치고 함께 인증샷을 찍었다. 왼쪽부터 Alyson, Susan(대표), Kris

Lifetime Arts 인터뷰 Q1. Lifetime Arts 기관에서는 어떤 일들을 하는가? A1. 우리기관은 창의적인 노후를 촉진하는 비영리 기관입니다. 창의적인 노후라 함은 노인들을 상대로 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지요. 미국과 세계 전반적인 추세를 보면 전체인구 중 노인인구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회에서도 이러한 수요를 인정하고 여러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는 시각, 미술, 공연예술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또한 우리는 일반적인 기관들이 이러한 프로그램 들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알려주고 도움을 주며 능력을 길러주는 일을 하지요. 대부분 의 기관들은 예술가들과 함께 일하는 방법을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프로그램을 발전 시키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노인을 위한 프로그 램을 도입하는 것을 돕기 위해 프로그램을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강사를 훈련

- 294 -


하고 노인들과 연결하고 있습니다. 이 노인들은 55세 이상부터 100세 미만의 분들인 데 모두 음악, 무용 등 여러 분야의 예술 활동을 예술강사들과 하고 있어요. 또한 우리 기관은 스탭이 4명뿐인 매우 작은 기관이기 때문에 우리의 자원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훈련을 하지요. 정기적으로 링컨센터에서 훈련과 프로그램을 개발을 하는데 아 무리 좋은 프로그램이 있어도 노인을 상대하는 프로그램은 다르기 마련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훈련하고 코치하는 것이지요. Q2. 한국도 이제 고령화 사회다. 그리고 정부도 이미 이것이 큰 문제가 될 것을 예상 하고 있다. A2. 중요한 것은 사람들의 수명이 길어졌다는 거예요. 70세 부근에서 죽음을 맞이하다 가 이젠 100세 가까이 살게 되면서 30년의 시간이 생겨버린 거죠. 당신 말이 맞아요. 그래서 정부나 많은 조직(협회)들이 이 큰 문제를 예상하죠. 그렇지만, 그들은 인식하 지 않고 노인들의 교육에 대해 혜택을 찾아보지 않아요. 고령화 사회에서 오는 큰 혜 택들이 있어요. 우리의 일의 일부는 노인 인구의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춥니다. 노인 들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세대 간의 벽을 허무는 프로그램까지 도요. 노인과 아이 들, 십대와 60살, 굉장히 다르죠. 우리의 일의 일부는 사람들이 고령인구에 긍정적인 면을 바라볼 수 있게 돕는 것이에요. 그리고 미국이나 다른 나라들에서 신체적 정서적 이점에 대해 많은 연구결과들이 나왔어요. 우리는 예술 전문가로써 예술은 당신에게 좋다고 항상 얘기해요. 특히 노인들에게 더 좋아요. 새로운 것들을 배우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고 연구결과에서 보여주지만 정말 중요한 건 새롭게 사회와 연결을 만드는 기 회가 중요한 거죠. 우리가 지원하는 일은 모든 학생들(배우는 자들)이 그런 새로운 연 결을 만드는 것. 배우는 사람이 된다는 것은 세상과 연결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중이다

대표와 인터뷰

인터뷰를 마치고 단체사진을 찍었다

3)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76th Annual Conference for Community Arts Education 미국 내 많은 예술교육 기관 관계자들과 예술 강사들이 모였다. 이렇게 모인 자리에 - 295 -


서 그들은 서로의 이야기와 환경, 사례들을 공유하며 커뮤니티를 만들어 간다. 모든 만 남에서 명함을 주고받으며 자신들이 작업하는 곳의 목적을 나누고 서로에게서 마치 힌 트를 얻어간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심지어 나는 정부 관계자와도 이야기를 나누 어 봤는데, 그 관계자는 아시아, 한국뿐만이 아니라 일본과 중국의 예술교육 환경에도 지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티타임과 런치 시간에는 모르는 사람임에도 인 사를 나누고 서로 악수를 청하며 교류하는 모습이 인상적 이었다. 행사 기간 중 행사의 운영방법이 궁금하여 운영부스를 어떻게 운영하는지 세션룸에서 는 어떠한 활동들을 하는지 보았으며 최대한 시간을 쪼개어 준비한 설문지를 행사 참 여자들에게 요청했다. 4)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환대를 해준 기관들에게 감사함을 느낀다. PAEP의 Pearl 은 영어에 능숙치 못한 우 리들을 위해 천천히 그리고 어렵지 않은 단어들로 이해를 도우며 인터뷰에 응해 주었 다. 이런 부분에서 교육자의 세심함을 느꼈다. 그리고 모든 직원들이 함께 인터뷰 자리 에 함께 해주고 각 기관의 자료들을 아낌없이 전해주는 그들의 배려에 많은 감사를 느 낀다. 사실 미국인들의 사무적이고 무뚝뚝함이 우리 발목을 잡진 않을까 고민을 많이 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전혀 문제없이 그들은 우리의 인터뷰와 방문을 환영 하였 다. 모든 인터뷰가 끝나고 Pearl이 했던 말이 기억난다. “우리가, 한국에서 온 여러분 그리고 우리 관계자들이 여기 모여 있습니다. 이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우리가 만났다 는 것.” 5)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Joining

the

Momentum:

Actionable

Projects

to

Advance

the

Teaching

Artist

Field> 예술강사로서의 자아를 찾아가는 세션에서 마인드맵과 리스트 메이킹을 이용하여 자 신의 위치와 고민 그리고 예술강사로서의 자존감을 되새기는 활동이 인상적이었다. 어느 한사람 빠지지 않고 한 방에서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져 전혀 다른 방법의 토론과 활동으로 각자의 자아를 찾아갔다. 이 작업으로 현장의 예술강사들은 아마도 본인들의 소명의식을 다시 한 번 깨닫는 시간이 되었을 것이다.

- 296 -


더불어 Eric Booth 라는 예술강사 컨설턴트를 만났는데 이 강연자는 이미 한국에서 진흥 원과 연을 맺어 오케스트라 프로젝트 컨설팅을 한 적이 있었다. 한국에 대해 잘 알고 있었 고 이런 저런 질문들에 성심 성의껏 친절히 대답을 해주었던 점이 기억에 남는다. 6)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 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컨퍼런스 첫날 저녁 오프닝 환영식이 있었다. 참여자들은 마치 약속이라도 하고 만 난 사람들 마냥 반가이 인사하며 서로의 이야기를 꺼내어 갔다. 다행스럽게도 우리에 게도 준수한 외모의 인디언 총각과 무용 연극 강사 레이첼이 함께하였다. 인디언 총각 은 예술 기관의 관리자였고 레이첼은 필라델피아로부터 3~4시간이나 멀리 떨어진 곳 에서 온 예술강사였다. 우리는 어떤 분야의 예술강사인지 어떻게 이곳에 오게 되었는 지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별것 아닌 것 같은 우리의 대화에도 예술강사로서의 동질감과 유대 관계를 느낄 수 있었다. 한편 둘째 날 컨퍼런스장에서 PAEP 와 Art Well에서 만난 Meghan과 Susan을 다시 만날 수 있었다. 인터뷰를 통해 느꼈던 유대 관계를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너무나도 반 가운 인사를 나누었고 서로의 일정을 물었으며 우리는 그렇게 같은 공간에 있었다. ‘이러한 만남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혹시나 어떤 일들이 벌어질 수 있을까.’ 불현 듯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 사람들과 자주 이야기를 나누었으면 하는 바람과 동시에 한국 에서도 이런 분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열어야겠다는 생각도 함께 들었다. - 297 -


3.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다녀와서 1)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서 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전체적인 탐방의 느낌은 이곳에서 만난 교육자들의 인상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들은 끊임없이 이야기를 하고 있으며 이야기를 듣고 있다. 기관 인터뷰에서 교사는 항상 학생들 의 말을 귀기울여주며 존중하여준다. 사실 이 존중이라는 단어는 미국에 있는 내내 들었던 말이었다. 대상자가 어린 학생이던 빈민가의 거친 학생이던 나이가 많이 든 노인이던 그들 은 서로를 존중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말로는 참 쉽고 진부한 이야기지만 그들은 실천 함으로 서로의 대화를 유지 하는 힘을 만들었다. 반대로 자신들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피드 백을 받으며 대화 속에서 힌트를 얻고자하는 유연함은 서구의 합리적사상과 일치해 보인 다. 그 누구든 간에 대화로 풀어나가는 사고방식이 인상적이다. 기관은 강사와 대화를 하기 위해 9시~5시까지 문을 항시 열어둔다. 학생은 선생님과 대화하기 위해 자신들이 배우고 싶은 예술분야를 요구한다. 노인예술교육 기관은 노인들과 대화하는 법을 강사들에게 알려준다. 이번 탐방을 통하여 알게 된 점이라면 대화의 방식과 효과가 교육에서 얼마나 큰 힘을 갖느냐 이다. 2)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여자 두 분과 함께 하다 보니 약간의 책임감이 생겼다.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지만 혹시나 모를 사고나 돌발 상황이 발생할까 내심 신경이 쓰이기도 했던 것 같다. 같이 지내면서 서로 의 야식을 챙겨주고 시차적응에 실패한 멤버의 컨디션과 체력을 걱정하며 하루하루를 보냈 었다. 혜영 선생님은 영상, 미섭 선생님은 공유회 발표를 고민하면서 각자 맡은 일에 대해 고민하며 이야기 나누었던 필라델피아의 마지막 밤이 따듯한 봄처럼 느껴진다. 3) 향후 계획: <2015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후 본인의 계획 - 해외탐방 준비과정과 결과를 해외탐방을 기획하고 준비하 공유회

는 예술강사들과의 공유 - 선진화된 해외문화탐방에서 얻을 수 있었던 직간접적인 정 보 공유

프로그램개발

수업기획안 작성

미국에서 선 학습으로 진행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실현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을 한다. 현재 학교 예술강사로 활동 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선진국의 학습을 바탕으로 다양한 수업기획안을 만들 어보겠다.

- 298 -


4)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제 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어느 정도의 영어를 구사하는 것도 좋겠지만 기왕이면 팀에 네이티브가 함께하는 것 이 훨씬 유리하다. 컨퍼런스나 컨퍼런스 내의 다양한 세션들을 깊이 있게 참여하고 모 든 것을 뽑아내려면 고민해 보는 것이 좋다. 또한 현지의 정보는 미리 챙겨 놓는 것이 좋다. 시간에 맞추어 팀이 함께 움직이는 것은 혼자 다니는 것보다 항상 오래 걸리고 돌발 상황이 생기기 마련이다. 5)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지역이 만들어지고 문화가 자리 잡는 데에는 그 지역의 역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가 갔던 뉴욕과 필라델피아도 각각의 역사로 인하여 다른 문화와 배경이 있음을 느꼈다. 가령 필라델피아에는 미국 내에서도 높은 빈곤율을 자랑하는 도시이다. 대부분 은 흑인들이며 이는 많은 흑인들이 노예제도를 피해 필라델피아로 이주하였기 때문인 데 그런 이유로 인하여 흑인들의 거리벽화를 비롯한 문화들을 쉽게 접할 수 있었다. 또한 Art Well 과 같은 빈곤층을 위한 예술교육기관이 생겨났으며 그들을 위한 전문전 인 프로그램들이 만들어 진 것이다. 나도 많이 부족한 면이 있겠지만 지금의 내용과 같이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선 표면적인 관찰을 넘어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려는 시 도가 중요하다.

- 299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안에서 안으로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문화예술 성 명

정 은 경 사진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처음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것은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의 홈페이지에 공지된 글을 통해서였다 예술강사로 현장에서 사진 문화예술을 교육하며 동시에 학생으로 대학원에서 예술기획과 미술관교육을 공부하며 해당 분야 에 대한 더 넓고 깊은 이해의 필요성을 절감하던 중 현재 팀원인 김진형 선생님의 적 극적인 제안에 힘입어 함께 지원하게 되었다 특히 해당공모에 제시된 국가 중 영국 인게이지 컨퍼런스의 논의주제인 전통적인 체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작업방식의 교육을 탐구하는 점에서 매우 흥미를 느꼈다 평소 현장실무와 이론공부를 병행하면서 이들 사이에서 오는 격차에 대해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 교육은 창의적이고 학 습자중심의 열린 교육을 지향한다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육장소가 보수적인 성향을 띈 학교나 단체기관에서는 아직 학습위주의 교육 과정보 다는 결과중심인 시각예술교육을 원하였고 그들의 이러한 인식은 쉽게 변할 것 같지 않았다 나의 이러한 고민은 영국 인게이지 컨퍼런스를 더욱 참관하고 싶게 하였고 내 심 분명한 지원동기가 되어주었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먼저 서류합격이 우선이었기에 지원서작성에 집중하였다 개인별 참가 지원서는 개 별로 작성한 뒤 팀별 기획서는 여러 차례 회의 과정을 통해 구성원별 주요역할을 분 담하고 현지에서 일정을 세부적으로 정해 나갔다 개인별 참가지원서의 경우 활동경 력은 주요경력만 추려내고 수행계획서는 진솔하고 꾸밈없이 작성하려 노력하였고 특 히 참여 후 활용 계획은 차후 실행가능성이 높은 방안위주로 제시하였다 합격 후 면접을 준비하였다 서류합격 발표시점에서 면접 일까지

차 서류

일정도의 시간이

주어졌는데 특별한 면접준비보다는 기존의 탐방기획서를 바탕으로 보다 세부적으로 일정을 수정보완하는 회의를 가졌고 전체탐방소개 담당 인 영어질문 담당

세부일정소개 담당 인

인으로 나눠 면접 당시 예상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였다 실은 이

보다 면접준비에 있어서 중요시 되었던 부분은 탐방조사에 대한 열의와 태도였고 회 - 300 -


의 내내 가장 기본으로 이야기 되었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탐방조사 주제는 구성원별 역할을 분담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전공과 관심분야 내에 서 역할과 주제가 동시에 자연스럽게 선정되었다 미술관에서 교육을 진행 중인 팀원 권혜진은 미술관과 시각예술 교육에 대한 사례 조사 평소 예술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팀원 김진형은 파트너십과 예술정책에 대한 기관조사 울산지역에서 활동 중 인 본인 정은경은 지역사회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 사례조사 등 이렇게 총

개의 큰 탐방주제가 공유되었다 그리고 서울 부산 울산의 각 지역에서 활동 중

인 우리 팀은 사전준비과정에서 온라인으로 그룹콜을 활용하여 일주일에 시간이 훌쩍 넘는 회의를 진행했고 부족한 부분은 오프라인으로 서울에서

번 가량 차례 회

의가 진행되었다 회의 주요내용은 기관 컨택과 리서치 인터뷰 방향 설정과 세부질문 취합 현지숙소예약에 대한 공유였다 사전조사 중 기억에 남는 내용으로 그 첫 번째는 글라스고와 울산지역의 도시특성 의 유사성이다 글라스고의 도시특성에 대해 사전조사 중 공업도시에서 문화창조도시 로 발돋움하여

년에는 유럽의 문화도시로 지정된 사실을 알게 되었고 현재 울산

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중공업의 위기와 문화창조도시에 대한 노력 등이 글라스고의 사례와 비슷하였다 글라스고의 탐방조사가 울산지역에 좋은 사례들이 되어줄 것이라 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고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 사전 방문하여 박은정 팀장과 지역문화예술 담당자와 인터뷰를 진행하여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와 문 제점들에 대해 조언을 구하였다 그리고 스트리트 레벨 포토워크

에 대한 기억도 잊히지

않는다 해당기관은 사진예술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갤러리이고 많은 사진교육 프로그 램이 홈페이지에 소개되어있어 방문을 희망하게 되었다 하지만 여러 차례 메일을 보 내 컨택을 시도하였지만 끝내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하였다 이후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의 기관에 메일을 보내었고 이들로부터는 매우 상반되게 도 방문을 환영한다는 친절한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스트리트 레벨 포토워크와는 서로 같은 사진분야 아래 많은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을 거라 생각되어 방문하지 못함에 아쉬움이 남는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등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 기관정보 소 재 지

영국 스코틀랜드 동부지역 글래스고

- 301 -


기관성격

도서관이자 미술관 민간기관

도서관 전시 아카이브 교육을 중점으로 운영되는 기관으로

년 공인 인증 및

수상 경력을 가진 박물관이기도 하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동부 글래스고 지역 내에서 역동적인 교육 및 문화 예술 허브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도서관은 발전 과정을 거 치는 동안 내내 예술가들과 협력해 왔고 다양한 그룹들과 문화적 지평을 확장하는 것 을 전문으로 해 왔다 기관특성 및 활동 은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정치적인 맥락에서 여성의 삶과 성취 그리고 사회 적 공헌을 재인식하여 스코틀랜드 전역에 퍼져있는 암시적 불평등을 없애려고 노력 하고 있다 의

층에는 여성 저자들의 책과 학습

제트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 그리고 서프레

세기 초 영국과 미국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 와 관련된 유물들

이 전시된 공간이 공존한다

층과

층에는 각각 커뮤니티 공간과 전시 공간이 마

련되어 있다 펀딩과 자선사업 모금 등으로 현재 새 공간의 리노베이션이 진행 중이 이다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경험과 기술을 배워 자존감을 키우고 새로운 영역에 대한 기회를 제공한다 그들의 삶에 변화를 주고 자신의 방식으로 결정을 하 게 만들려는

의 추구 가치가 명확한 기관이다

켈빈그로브 미술관 및 박물관 기관정보 소 재 지

영국 스코틀랜드 서부지역 글래스고

기관성격

박물관 공공기관

글래스고의 서부지역에 위치한 켈빈그로브 공원 안에 있는 박물관이자 미술관이다 박물관이자 미술관이라 불리는 이유는 자연사 고고학 민속학 등의 전시와 함께 인 상주의 작품과

세기 네덜란드 지방의 작품 초현실주의 작품 등 모두가 전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글래스고의 역사 전시물까지 매우 포괄적으로 전시하는 공간이다 기관특성 및 활동 각 섹션별로 나눠 자연사 고고학 민속학 전시를

층에서 감상할 수 있고

층에는

루벤스 반고흐 살바도르 달리 등 유명한 컬렉션이 전시 중이다 매우 포괄적인 영 역이 한 뮤지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고 교육적으로 매우 특화되어 있다 큰 텍스트로 된 전시설명글은 기본이고 작품의 스토리를 풀어 다양한 이미지를 제 시하여 해석의 폭을 넓히고 살바도르 달리의 십자가위의 성 요한 그리스도 작품의 경우는 복원과정에 대한 정보를 동영상으로 상

- 302 -


세히 볼 수 있다 층에 마련된 스터디 센터 여 살펴보는 터치스크린

전시공간은 작품의 세부이미지를 확대하 입체영상 등의 멀티미디어와 함께 소장품을 전시하고

있다 후르츠마켓 갤러리 기관정보 소 재 지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기관성격

갤러리 민간기관

년에 과일시장이었던 건물은 현재 후르츠마켓 갤러리

변모하였다 국제적으로 유명한 예술가들의 작품이 전시되는 동시에 스코틀랜드 지역 의 예술가들에게 개인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내 예술가들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어주고 있다 기관특성 및 활동 에든버러 기차역에서

분 거리로 도시중심에 위치한 후르츠마켓 갤러리는 현대미술

을 중점으로 전시 간행물 교육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고 있다 위치의 특성상 에든 버러 내 지역시민 뿐만 아니라 관광객도 방문이 용이하다 층에 작은 카페와 도서를 판매하고 있어 갤러리는 찾는 관람객들에게 친근하고 편 안한 공간이 되어준다 또한 학교나 청소년 단체 지역사회 단체 등과 파트너십을 맺어 난해할 수 있는 현대미술작품을 창의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체험형 감상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쥬피터 아트랜드 기관정보 소 재 지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외각 위키스톤

기관성격

예술공원 공공기관

로버트

니키 윌슨

의 개인 사유지로

년부터 수집

된 현대 예술가들의 작품들이 야외 정원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쥬피터 아트랜드 는 학교를 대상으로 공원을 무료 관람할 수 있도록 개방하며 자연친 화적 체험형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기관특성 및 활동 에이커 넓이의 대단지 안에 현대미술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야외정원이 있었다 이 현대미술 설치작품들을 자원으로 하여 자연스럽게 숲속을 산책하며 유명 한 현대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는 공원이다 교사를 위한 창의적 자연학습 프로그램 어린이와 가족을 대상으로

주차로 구성

된 지속적인 프로그램 학기 중과 휴일로 나눠 진행되는 프로그램 등 모두 사전 예

- 303 -


약하여 운영되는 자연친화적 프로그램이 중점이다 뿐만 아니라 결혼식 기관 행사 등에 임대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트램웨이 기관정보 소 재 지

영국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기관성격

복합예술센터 민간기관

년 전차 창고로 만들어진 역사적인 건물에 위치하며 이곳은 글라스고의 상공 업 쇠락으로 폐공간이 되면서 철거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앤디 골즈워디가 전시공간으로 사용하면서 현재 트램웨이

년 영국의 설치예술가 의 운영아래 갤

러리로 변모했다 트램웨이는 글라스고 라이프와 스코틀랜드 크리에이티브로부터 자 금을 지원받는다 기관특성 및 활동 유럽의 권위 있는 시각예술상인 터너 프라이즈

와 글래스고의 문

화단체 트램웨이가 주관해 진행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처음으로 개최되는 만큼 글 라스고에서도 관심이 높아보였고

를 타이틀로

작가들이

인의 전시

중이다 년 터너 프라이즈를 수상한 사이먼 스탈링을 비롯하여 최근 많은 글래스고 출 신 예술가들이 활동하면서 트램웨이의 위상을 더욱 높였고 신진 작가들의 중요한 활동 터전으로 자리잡고 있다 컨템포러리 아트 센터 기관정보 소 재 지

영국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기관성격

복합예술센터 민간기관

글래스고 도시의 문화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문화예술 허브 공간이다 스 코틀랜드 크리에이티브의 지원금과 자체 수익금으로 운영되는 민간기관으로 스코틀랜 드의 흥미로운 예술 현장 중 한 곳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시 영화 음악 문학 퍼포먼스 페스티벌 레지던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기관특성 및 활동 에서 자체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의 예산

라는 캠페인은 기관

를 작가가 전시를 끝낸 뒤 소정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작가지원제

도이다 현재

개 이상의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고 모든 이벤트나 프로그램은 외부기관이

나 전문가와 협력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프로그램 참여자가 다양한 이슈와 사회에

- 304 -


직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중 참여적 프로그램을 통해 글래스고의 문화발전에 노력하고 단체와 학교의 협력 그리고 지역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대해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 내셔널 갤러리 스코틀랜드 기관정보 소 재 지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기관성격

국립미술관 공공기관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국립미술관으로서 에든버러 도시 안에 세 갤러리로 나눠져 있 스코틀랜드

미술관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

초상화미술관

현대미술관

로 통합 운영되고 있다

기관특성 및 활동 스코틀랜드 미술관

에든버러 도심 한 가운데 위치하고

주로 근대미술 작품을 소장하여 전시한다 인물 정물 풍경 역사 등 다양한 소장르 의 작품들을 테마별로 전시하여 전시 관람에 편리함을 더하고 있다 스코틀랜드를 여행하는 관광객이나 지역시민들에게 지역 내 역사적 작품과 유명 예술작품들을 감 상하여 문화예술에 대한 소양을 넓힐 수 있는 공간이다 스코틀랜드 초상화미술관

인물화라는 하나의

주제아래 회화 사진 장르를 주로 다룬다 전시 교육 도서관 카페 샵 등을 운영한 다 전시에는 스코틀랜드의 왕족을 비롯한 철학자 데이비드 흄 가 월트 스콧

등 역사적 인물 전시

와 작

포트레이트 어워드 전시 스코

틀랜드 다큐멘터리 작가지원 사진전 등 폭넓게 인물화를 수용하고 있다 스코틀랜드 현대미술관

에든버러 뉴타운에 과

서 도보로 걸어 들어가면 스 젠스크

로 나눠진 두 모던아트 갤러리가 위치해있다

의 랜드폼 우에다

에 자리 잡고 있고 로이 리히텐슈타인 다

호수정원이 미술관 중앙 의 팝아트 작품이 전시 중이었

세 아이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유모차 전시투어 프로그램이 있었고 이곳에서부

터 스코틀랜드 미술관과 스코틀랜드 초상화미술관까지 순회하는 셔틀버스를 운행하는 등 지역시민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인상 깊었다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글래스고 우먼 라이브러리 보존하고 공유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 서부 글래스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부 글래스고는 문화예술에 취약한 지역으로 동 네분위기 또한 차갑고 조용하며 날카로운 인상을 받았다 이곳에 위치한 글래스고 우

- 305 -


먼 라이브러리는 여성의 사회 불평등에 반대하며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적으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다양한 여성 작가들의 도서들을 아카이빙하여 대중이 열람 가능하도록 하고 여성과 관련된 역사적 유물들을 전시하여 고발하고 공유한다 또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역주민과 함께 진행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쏟고 있다 지역주민과 함께 풀어나가는 문화예술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는 공간 안팎으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역주민과 함께 실천해 나가고 있다 이는 지역 내 여성들에게 경험과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하고 그들 스스로 자존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들의 삶에 변화를 주고 그들의 방식으로 삶을 만들어 나가게끔 하는 것이 기관의 목적이기도 하다 사례 프로젝트는

세기 초 서프레제

에 쓰여진 탄원서에 기반하여 지역 여

성들과 서프레제를 직접 만들고 이를 입고 행렬을 하는 퍼포먼스 프로젝트였다 까지 행진을 하며 역사적 사실을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여성들이 문제의식을 가지고 함께 만들어낸 프로젝트였다 컨템포러리 아트 센터 외부단체와의 협업 컨템포러리 아트센터에서 진행되는 이벤트와 프로그램은 외부기관 전문가와 함께 협력하여 기획되어진다 외부단체와의 협업은 보다 창의적이고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 는 프로그램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사례 세의 영유아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워크숍으로 어린 아이들이 음악을 만들어 나가는 탐험 같은 시간이다 점 선 면과 같은 표지판을 보고 어린 아이들이 즉흥적 으로 음악을 연주한다 실험적으로 표현과정과 모두의 창조적 행위를 인정하고 동등 한 경험을 제공한다 워크숍은 무료로 운영되고 있다 사례 개인과 환경에 따른 서로간의 스코틀랜드의 음식 문화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프로그 램이다 영국의 영양결핍 음식을 줄이기 위한 여러 보건 캠페인에서 영향을 받아 스 코틀랜드에서의 식량 위기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이유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코틀랜드 요리의 역사 지역 음식 영양 결핍 개선 등에 참여자들이 논의하여 건강 하고 지속가능한 식품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이다 아티스트를 위한 지원 는 런던보다 상대적으로 예술시장이 작은 글래스고 내 예술가들에게 지원을 아 끼지 않는다 시각예술가들을 그들이 지속적으로 작업을 해 나갈 수 있도록 기관의 예산

퍼센트를 작가 지원금으로 사용하는 캠페인을 실행 중이다

사례

- 306 -


영국의 시각 예술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수수료를 받지 못하고 전시하고 있는 것으 명의 시각예술가 회원 단체

로 예상하고 이에 반대하는 영국 전역의

를 설립하여 만든 캠페인이다 예술가의 가치를 미술관에서 전 시회가 끝난 뒤 그에 따른 보수를 지급하는 방식을 가진다 이는 가치 있는 영국의 문화사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아티스트 및 아트 에듀케이터

개별 인터뷰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문화예술의 중요성

그녀는 이번 컨퍼런스 의제 중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문화예술을 중요하게 여겼 다 자신이 프롬지역 서머셋 지방 의 전통적인 카니발에서 예술가로서 젊은 사람들과 협업했었던 경험을 빗대어 보았을 때 서로 다른 부류의 두 집단이 협력해 만들어내는 예술은 큰 힘을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또 수학교과와 통합한 인터렉티브한 아트프로 젝트를 기획하여 누구나 수학자가 될 수 있고 혹은 참여자가 넓은 해석이 가능하도 록 하였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관계

에 관한 것이며 서로 다른 시각에

서 살펴보고 관찰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한다 아트 에듀케이터로서 우리의 역할 우리는 참여자의 잠재되어 있는 창의성을 예술로써 이끌어내고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창의성이란 어느 특정한 사람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각자 모두에게 내재 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라는 것은 학습한다 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

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배우는 상태로 과정이 즐겁고 흥미로운 예술교육을 해야 한 다 그것이 창의성의 핵심이라 여기며 이를 연결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이라 이 야기한다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행 사 명

인게이지 국제 컨퍼런스 다른 게임 예술 및 예술가와 작업하는 젊은 세대

행사소개

주최 기관인 인게이지

년 미술관

한 국립 협회로 설립되어 영국 및 전 세계

교육을 위

개국 이상의 미술관

및 시각예술교육 전문가들의 회원 모임이다 인게이지는 현재 런던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미술관 교육을 통해 시각예술에 대한 접 근과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 및 지지를 하는 단체이 다 주로 다양한 교육 활동 연구 컨퍼런스 및 세미나를 통한 전문성 개발 교육 전문가들을 위한 네트워크의 장을 제공 직접 또는 온라인 을 통해 개개인의 경험

생각

자원을 나누고 저널

전자 게시물

등을 출판하여 최근의 이슈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

- 307 -


다 참여일시 참여장소

컨퍼런스

연계 행사

컨퍼런스

글래스고 로열 콘서트 홀

연계행사

후르츠마켓 갤러리 쥬피터 아트랜드 트램웨이

브레이크아웃 세션

트롱게이트

주요내용 컨퍼런스의 제목은 다른 게임 예술 및 예술가와 작업하는 젊은 세대들 이다 국내외 교육활동의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젊은 세대들이 예술 및 예술가들과 협업 하는 새로운 방식 즉 기존의 위계 구조를 무너뜨리는 젊은이들과의 새로운 작업 방 식을 통해 더 심도있는 차원의 협업을 논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협업 의 효과와 젊은 세대들의 잠재된 창의성 계발을 모색하여 그들의 삶에 변화를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기조연설자 대런 오도넬

ʼ

년 시작하여 계속 발전시켜온

프로젝트인 을 소개하며 아동 청소년 노동의 동등한 권리에 관련된 이야기 를 하였다 자신의 프로젝트에 있어서 다수의 원칙들 동료의식 사회적 자본 우정 연 속성 수행성 을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 컨퍼런스는 가지 핵심 주제로 나뉘어 발표 및 토론되었다 갤러리는 학교인가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

갤러리 교육이 정규 교육의 교수법을 따랐을 때와 급진적인 교육방법론으로 진행할 때 중 어느 쪽이 더 효과적인가라는 질문을 토대로 갤러리의 기능 용도 에 대한 논의 를 하였다 발제자

주요내용

의 디렉터 하드리안 개러드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을 위한 지속적인 공간의 역할 논의 사례 어셈블 발트 거리 놀이터

공동디렉터 테레사 시스네로스

의 예술 감독 콜래트 베일리

갤러리는 학교와 다름을 주장 갤러리는 실험적이고 실패가 허용되는 과정중심의 공간이자 참여자의 자율적 의사결정을 통해 창조되는 공간 이라는 독자적 공간을 확보하여 젊은 세대의 전문적이고 교육적인 발전을 위한 디지털 학습의 가치분석

의 코디네이터 안젤라 로저스

이라는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예로 취약계층 청소년을 위한 갤러리의 기능과 예술가의 역할을 분석

- 308 -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협업의 중요성 를 아우르는 협업의 가치를 탐색하였던 이번 논의

다양한 분야

는 문화생산에 있어 예술가와 젊은 세대들의 공동 작업의 가치와 예술가와 이해 관 계자들과의 협력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발제자

주요내용

예술가와 학교 및 지역사회 기반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파트너십 탐색 협업을 통해 기회 창출

팻 코크런

제시카 고간

의 디렉터

라는 아티스트 랩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간의 협업에 대한 사례연구

제시카 고간

로 부터 현대연구소

사례

아티스트 로스 싱클레어 와

청소년들을 위한 무료 악기 프로젝트를 통해 음악 디자인

의 디렉터 케이트

퍼포먼스 등의 융합으로 협업의 가치탐구

그레이

동료 주도

활동의 이슈와 윤리

갤러리 환경에서 동료 주도적 활동을 논의하면서 제도권의 암시적 위계 구조를 무 너뜨리는 젊은 세대들의 역할 저자성 자율성의 문제를 탐색하였다 발제자

주요내용

골드스미스대학교의 강사 에스더 세이어스(Esther Sayers)

동료 주도적 활동의 장단점을 탐구, 젊은 세대들에게 존재하는 계층 간의 균등을 추구하기 위해 예술이 필요함을 강조

스코틀랜드 국립 미술관

현대예술의 방법론으로써 동료 주도적 활동, 젊은 세대의

수석 지원 활동 책임자

창의성 개발과 그들의 작품에 대한 ‘미학적’ 해석의 방법론의

로빈 베일리(Robin Baillie)

개발을 제안

Tate&Circuit의 Programme 담당자 마크 밀러(Mark Miller) 예술가 아네트 크라우스(Annette

젊은 세대가 학제간 그리고 다양한 맥락의 예술 활동 중 동료 주도적 활동을 통해 생기는 변화, 자율성 폐기학습(unlearning)의 가치를 통해 젊은 세대가 기존의 학습 구조를 타파할 방법에 대해 논의

Krauss)

마지막으로 참여적인 활동 평가에 혁신적인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은 각각의 평가 방법을 통해 테이트 의

프로그램 콜렉티브

프로젝트 그리고 내셔널 갤러리 스코틀랜드 의

의 평가 개요를 설명하였다

- 309 -

명의 발제자들


우리팀은 원탁 토론에 함께 이야기 나누었던 예술 교육자이자 예술가인 루시아 할 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창의성과 이번 컨퍼런스 의제에 대한 생

각을 상세하게 들어보았다 이외에도 컨퍼런스 중간에 배치된 브레이크 아웃 세션 청소년의 주도적 실행전략 워크숍에 참여하였다 또 컨퍼런스 연계 행사로 트램웨이 갤러리에서 터너 프라이즈 후보작가 작품 전시관람과 리셉션에 참석 후르츠마켓 갤 러리

쥬피터 아트랜드를 방문하여 현장탐방을 하였다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는 기관의 정체성이 확실한 공간이었다 문화취약 지 역인 동부 글래스고 안에서 지역주민에게 특히 여성 전시와 교육 그리고 도서관을 제공하여 차갑고 조용했던 동부 글래스고 지역 내에서 분명한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현장 방문과 인터뷰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과 진정성이 곳곳에 묻 어났다

층에 마련된 도서관공간과 여성관련 유물전시 때 마침 그 옆 원형 테이블에

서 지역주민들과 언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새 층에 마련된 커뮤니케이션 공간 갤러리 등은 이번 인게이지 컨퍼런스에서 우먼스 라이브러리 기관을 방문기관으로 손 꼽는 이유를 알 수 있게 했다 기관의 명확한 정체성과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프로젝트 들은 한국의 여러 여성단체들과 비교하게끔 하였고 뒤처지지 않을 만큼 한국의 여성 단체들도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지만 그 노력이 기관의 실이익보다 기관의 정체성 대 상에 조금 더 초점이 맞춰지길 바란다 켈빈그로브 미술관 및 박물관은 매우 교육에 특화된 뮤지엄이었다 미술관을 방문 하여 처음 관찰된 것은 가족 단위의 관람객이 유독 많아 보였다 미술관을 모두 관람 한 후 그 이유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었다 지하에는 교육 세미나룸 자연사 고고학 민속학 등의 전시되고 있으며

층에는

층에는 근현대미술작품이 전시되고 있

었다 모든 전시는 관람객을 위한 풍부한 교육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데 하나의 작품 을 현대사회와 연결하여 해석하여 폭넓은 전시설명을 제공하고 터디 센터에는 터치스크린과

층에 따로 마련된 스

입체로 작품 감상이 가능한 아이패드 등 최신 멀티미

디어장비를 적극 활용하여 교육의 이해도를 높이고 있었다 한국의 지역 내 미술관박 물관에서도 소장품전시 관리운영이라는 영역에서 보다 확장하여 뮤지엄 교육의 중요성 을 높게 보고 교육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길 바란다 지역주민들이

번 재방문

하는 진정한 동네미술관이 되어야 한다 쥬피터 아트랜드를 방문 후 느낀 것은 너무도 큰 대단지 내에 영국의 유명한 현 대예술가의 설치 작품들이 자연과 공존해 잘 관리되어 운영된다는 점과 이 놀라운 아 트공원이 개인사유지라는 것이었다 우리가 방문한 시기에는 공원이 휴식기였는데 그 들은 일정기관 공원의 휴식기를 가지며 숲 조경과 작품관리에 시간을 보낸다 또 가 족단위의 방문이 많은 만큼 안적수칙을 철저히 제시하여 작품과 개인의 안전을 중요 시하고 있었다 이곳에서는 자연과 예술이라는 멋진 조합아래 자연친화적인 프로그램

- 310 -


을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었다 도시적인 한국의 여러 공원 풍경보다 자연 있는 그대 로 숲과 예술작품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는 쥬피터 아트랜드는 영국 내 자연보존과 인간의 화합이 정신을 엿볼 수 있었다 컨템포러리 아트 센터

를 방문한 후 지역 내에서 작가를 지원하고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카페와 전시를 운영하는 문화예술 허브공간의 필요성 과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기관은 지역 내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해내기 때문에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만의 트렌드를 만드는 것이 다 글라스고는 런던보다 큰 도시는 아니지만 런던과는 분명 다른 그들만의 예술장면 이 있다는 인터뷰 답변에 울산의 경우가 떠올랐고 울산의 예술장면은 무엇인지 고민 하게 하였다 지역 내 문화예술의 허브가 되는 공간은 결국 지역 내 예술가를 연결하 고 문화예술을 이끌고 하나의 문화장면을 만들어 내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내셔널 갤러리 스코틀랜드는 에든버러 안에 세 갤러리로 나눠져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었 는데 번거롭게 세 갤러리를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에도 방문 후 세 갤러리의 특성이 분명하여 오히려 따로 나눠서 관람했던 것이 테마별로 작품을 집중하여 감상할 수 있게 했다 세 갤러리로 나눌 수밖에 없는 큰 규모의 갤러리들이었고 그중 스코틀랜드 현대미술관 로 다시 나눠져 있었다 스코틀랜드 미술관은 근대미술을 중점으로 스코틀랜드 현대미술관 은 현대미술을 중점으로 전시 운영되고 있었는데 그 중 현대미술관에서 진행되던

사이 부모를 위한 유모차를 동반한 전시투어가 인상 깊다 문화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놓일 수밖에 없는

세 부모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존재한다는 것만으로도 인근 뉴타운에

사는 지역주민들을 배려한 교육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세 갤러리 중 특히 인상 깊었던 곳은 스코틀랜드 초상화미술관이다 인물이라는 테마로만 한 건물에 전시된다면 쉽사리 지루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던 내 걱정과는 달리 매우 다양한 세부테마들을 나눠져 있어 흥미로운 전시들이었다 스코틀랜드 작가지원전시로 그들의 역사와 현재를 볼 수 있었고

포트레이트 어워드 수상작 전시를 통해 현대적인 인물화들을 감상할 수 있었으

며 기획전으로 스코틀랜드의 역사적 인물화들을 현대작가가 새롭게 해석 재작업한 인터렉 티브한 전시

들이 진행 중이었다 작품이 캐비닛 속에

있어 관람자가 직접 캐비닛을 열어서 작품을 감상하게끔 디스플레이한 점과 어린이를 위한 전시감상설명문이 대화형으로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작품을 해석해보는 형식으로 캡션이 붙어 있는 것이 인상 깊었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인게이지 컨퍼런스의 현장 분위기는 매우 자연스럽고 친절하였고 그리고 진지한 태도로 진행되었다 논의되었던 예술가와 젊은 세대의 협업 동료주도적 교육 방향등 모두가

활동 갤러리의

세기 지향해야 하는 문화예술교육 방향에 대해 고찰하게 하였다 그

중 폐기학습과 창의성의 연결에 대한 내용은 인상 깊다 교육은 학습되어야 한다는 고정관 념에서 벗어나 학습을 위한 교육이 아닌 과정을 열어두고 참여자들로 인해 변화와 실험을

- 311 -


인정하였을 때 새로운 창의적인 교육형태가 실현가능하다는 것이다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 고 새로운 방식을 추구한다는 것은 불안하고 실험적일 수 있느나 그만한 가치와 창의적 교 육방식을 모색하게끔 할 것이다 그리고 트램웨이에서의 터너 상 후보 그룹의

중 어셈블

전시로 쇠락해가는 마을을 지역주민들과 예술작업

으로 협업하여 마을을 살린 프로젝트를 워크숍 형태로 그들과 작업한 과정과 그들이 만든 여러 예술작품을 전시해두었다 프로젝트

은 지역사회와 예술작업을

협업으로 풀어나가는 작업으로 런던에 본부를 둔

명의 건축가 디자이너 예술집단인 어셈

블 프로젝트이다 오래된 공공주택 단지를 지역주민들과 마을을 지키기 위해 빈집을 실내 정원으로 버려진 주요소를 극장으로 제당소 건물을 예술가들의 공공 작업장으로 바꾸는 등 지역주민들과 함께 협업하여 개조해 내었다 그랜비 포 스트리츠 프로젝트는 동시대의 예술 활동과 사회에 시사 하는 바가 크다 예술가뿐만 아니라 지역주민과 협업의 형태로 작업을 하는 것은 예술이 일상 속에서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것으로 문화예술교육자로서 지향하는 내용이며 쇠락해가는 도시를 단순한 시각예술 예를 들어 벽화 로 보기 좋게 만드는 마을이 아니라 지역주민이 지속적으로 예술활동을 행해갈 수 있는 곳으로 개조를 하고 실용적인 형태로 변형해 낸 것은 지역사회를 진정으로 살리는 길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 최근 지난 어셈블이

월 일 그랜비 포 스트리츠 프로젝트는 터너상의

년 역사상 처음으로 단체인

터너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심사위원들은 젠트리피케이션

과 맞서

는 도시재생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이라 하며 예술과 디자인 건축으로 지역주민과 공동 작업을 통해 공동체가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 보여준 훌륭한 대안 라고 평가하였다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컨퍼런스 연계 행사로 쥬피터 아트랜드에 참여한 참여자 관계자들이 함께 점심식사를 하며 나눈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우리를 소개하며 예술강사

에 대한

이야기와 쥬피터 아트랜드의 스탭이 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하며 학교연계교육에 대한 서로의 이야기를 공유했었다 먼저 영국의 참여자 관계자들은 예술강사

에 대한

단어를 생소하게 받아들였다 영국에서도 많은 아티스트들이 강사로서 활동하고 있지만 예술강사 진흥원에서 예술강사

로 따로 불리는 단어가 없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한국문화예술교육 로 불리는 많은 강사들은 아트 에듀케이터과 티칭

아티스트를 혼용하여 포괄적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이에 따른 구분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학교연계교육에 대한 이야기로 쥬피터 아트랜드에서 학기 중 휴일로 나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도 토요문화학교라는 프로그램이 있음을 이야기하면서 학교 안과 학교 밖의 교육환경에 대한 이야기가 오고갔다 영국에서도 학교교육을 다소 보수적이라 말하며 학생들이 쥬피터 아트랜드에서 교육에 참여를 하지만 학교시험이나 학교교

- 312 -


육 안에서는 교과공부를 우선을 생각한다며 한국과 다들 바 없는 학교환경을 들을 수 있었다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했던 경험을 떠올려보면 특히 청소년 참여자들은 참여자모집에 서부터 어려움이 많았고 학교교육제도아래 그들의 일상이 맞춰져 있어 아쉬웠던 기억이 났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서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글래스고의 문화와 울산지역의 문화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고 울산지역 내 에서 문화예술교육기획자로서 취해야할 사고와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안에서 밖으로 나가기 위함이 아닌 안에서 안의 소리에 집중하는 지역의 문화 역사 시민을 고려한 프로그램 기획에 힘쓰고자 한다 년 간 사진분야 예술강사로서 활동하면서 학교제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예술교육에 대한 한계에 부딪히며 창의적이고 새로운 예술교육 방법론을 고민하였는데 이번 컨퍼 런스의 논의주제는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는데 큰 힘이 되었다 참여자가 주도적으 로 프로그램을 이끌어나가고 실험적이더라도 과정을 열어주어 그들이 만들어가는 형 태의 프로젝트 그리고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예술교육은 창의적이고 폭넓은 예술 교육 방법론을 모색하게 해주었다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사전준비에서부터 현지활동 그리고 결과보고서까지 모두 팀원들과 함께였기에 이번 탐방조사가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시각예술 미술관교육 지역기반 프로그램 다자간 협력 네트워크 등 팀원 각각 관심주제가 분명하게 있었고 이를 함께 공유하면서 본 인의 시야에서 더 폭넓게 바라볼 수 있었다 각자의 관심주제 아래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을 각 각 준비해 취합하였고 브레이크아웃세션의 경우는

개의 세션을 경험할

수 있었고 컨퍼런스와 투어를 함께 했지만 서로의 다른 느낀 내용을 공유하여 더욱 풍부한 탐방조사를 할 수 있었다 특히 현장에서 기관탐방과 인터뷰 진행에 있어서도 촬영자 인터뷰어 자료수집 및 번역 등의 팀원 역할에 맞춰 진행하였기에 순조롭게 탐방을 마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향후 계획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후 본인의 계획 현장탐방조사를 토대로 국내에서의 효과적인 교육활용 방안을 모색해 본다 해외탐방 교육사례를 국내에 맞게 재해석하여 내년 출강하는 초등학교 대상으로 지 역기반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행한다 스코틀랜드 내셔널 갤러리 탐방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사진분야에 활용 가능한 미

- 313 -


술 감상 교육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년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웹진에 글을 투고하여 스코틀랜드 지역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들을 공유한다 이를 기반으로 글래스고 지역특성과 비슷한 공업도시 인 울산 지역 내에서 실현가능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제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이번 해외탐방은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문화예술 안팎으로 일 어나는 이슈와 현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어주었다 평소 문화예술매개자로 활동하면서 본인이 느끼는 고민과 이슈들에 대한 관심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준비한 만큼 얻게 되는 것도 풍부할거라 생각되며 본인의 관심사와 현재 문 화예술교육 이슈를 조사하는 습관이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다

<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 인터뷰–march of women에 대한 설명중이면 뒤에 보이는 보라색티가 참여여성들이 만들었던 작품>

< 글래스고 우먼스 라이브러리 인터뷰–1층에 위치한 유물대 위 전시품Suffragette >

< 켈빈그로브 미술관 및 박물관–스터디 센터 안에 3D입체작품감상이 가능한 아이패드> < 켈빈그로브 미술관 및 박물관 – 1층 전시품중 아름다운 조각상에 대한 설명 중 클래오파트라와 브래드 피트를 함께 비교설명하는 설명문 >

- 314 -


< 후르츠마켓 갤러리 – 갤러리에 소개, 교육 프리젠테이션 및 질의응답 >

< 후르츠마켓 갤러리 – 전시장 둘러보기 >

< 쥬피터 아트랜드–점심식사 시간에 프로그램소개와 서로간의 대화시간, 학교연계&예술강사에 대한 논의 >

< 쥬피터 아트랜드–야외정원 걸으며 곳곳에 있는 설치작품 감상및 투어하기 >

< 트램웨이–터너프라이즈 전시와 컨퍼런스 리셉션 참석>

< 트램웨이- 어셈블의 전시로 지역주민들과 마을 내 버려진 돌로 만든 염색무늬 작품들& 작업중인 영상>

- 315 -


< CCA –컨템포러리 아트 센터 면담자와 현지 통역자의 도움을 받아 인터뷰 진행>

< CCA –컨템포러리 아트 센터 외관 >

<

트롱게이트–브레이크

아웃세션7:청소년의

주도적참여

워크숍참여 >

< 인게이지 컨퍼런스 – 컨퍼런스 참여자 인터뷰 >

< 인게이지 컨퍼런스 –컨퍼런스 행사장 모습>

< 스코틀랜드 미술관 – 전시장 내부 풍경 >

- 316 -


< 스코틀랜드 현대미술관 – 전시장 내 유모차를 동반한 부모 전시관람모습 >

< 스코틀랜드 현대미술관 – 건물 외관 기념사진 >

< 스코틀랜드 초상화미술관 – 교육적 장치중 하나로 작품의 상세정보를 확대하여 볼수 있는 미디어 >

< 스코틀랜드 초상화미술관 – 스코틀랜드 작가지원 다큐멘터리 전시 >

< 스코틀랜드 초상화미술관 – 어린이를 위한 질문과 대화형으로 된 미술감상 캡션 >

< 스코틀랜드 초상화미술관 – 캐비넷 열어서 감상해야하는 독특한 형식의 전시 디스플래이 >

- 317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미국 예술교육의 현장을 다녀오다 성 명

정 혜 영 영화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다른 분야의 예술강사들과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해오던 중 한 강 사분께서 인터넷으로 통해 올라온 공지사항을 소개해 주었다 짧지 않은 기간 동안 예 술을 가르치고 교육사업의 기획을 맡으면서 지금 내가 예술교육을 잘하고 있는 것인 지 어떤 방법이 더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지에 대한 생각은 강사가 되던 순간부터 지 금까지 해결 되지 않은 질문이었다 로 변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예술교육을 통하여 아이들이 진심으

라는 의문을 가지고

생각하던 시기에 미국에서 열리는

변화를 도표화 하여 볼 수는 없을까

예술교육의 긍정적인 변화 촉진 요소

하는

라는 컨퍼

런스 주제는 우리가 생각하는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게 되었고 같은 생각 을 가지고 있던 강사들과 주제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고 지원하게 되었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지원과정부터 팀을 이룬 강사들과 함께 회의하면서 주제에 대하여 수많은 이야기를 나 눌 수 있었다 각자 얻고자 하는 목적과 팀이 함께 얻어야 할 부분에서 공통점이 있어 지 원 서류 작성에는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못했다 면접 준비 또한 각자 준비할 수 있는 역 할에 대하여 숙지를 하고 방문 주제와 목적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이야기를 하고 면접에 임하였다 짧은 시간동안 진행된 부분인 만큼 서로가 가지고 있는 목적에 대하여 진솔하게 이야기를 하고 이를 취합하고 만나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준 비 과 정

차모임 차모임 차모임 차모임 차모임

차 발표

면 접 준 비

차모임 차모임

- 318 -

차 발표

출국전 준비 컨 설 팅 이후 차모임 차모임 차모임 차모임 차모임


선발과정 준 비 과 정

공지를 통한 해외문화탐방 기획준비과정

1차모임

해외문화탐방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의 - 해외문화 탐방을 통한 고민 해결 방안 모색

2차모임

의견의 공통 주제에 맞는 해외탐방지역 선정 - 개별 주제에 따른 공통점 모색 및 목표 설정

3차모임

<미국>지역에서 열리는 컨퍼런스의 특징 조사 - 탐방주제와 어울리는 컨퍼런스 선정 - 탐방기획서 작성(1차)

4차모임

주제와 목표달성을 위한 기관 탐색 - 다수의 기관 선정 후, 기관의 특징 분석 - 탐방기획서 작성(2차)

5차모임

탐방기간 중 역할 분담 및 세분화 탐방기획안 최종 수정 및 접수

면접 준비 방법 면접준비

미국) 해외탐방 면접 준비

1차모임

지원목적과 향후 활동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

2차모임

(온라인)세부적 개별 역할 분담 -일정에 따른 세부적인 의견을 정리 및 방문지(기관)에 대한 정보 공유

- 319 -


사전를 준비 사전연수이후 (컨설팅)

컨설팅을 통한 사전준비 및 협의

1차모임

미국탐방 기획에 따른 설문지 작성 및 일정 세분화 / 기관조사(1차)

2차모임

팀명 확정/ 답례품 및 비즈니스카드 주문 -설문지 내용 보완 및 수정

3차모임

숙박 및 교통편 확인하기(예약) / 기관조사(2차)

4차모임

컨퍼런스 일정 변동에 따른 계획 수정 / 기관조사(3차)

5차모임

일정정리 및 설문지 준비/ 답례품, 비지니스카드 확인/ /기관 확정에 따른 세부일정 정리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해외탐방조사의 목적과 자신의 역할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좋다 팀워크를 요구함으로 각자 능력의 맞추어 역할을 세부화하고 구체적으로 설명 한다 해외문화탐방 후에 실현 가능성 있는 목표를 제시한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다년간 예술강사로 교육을 하면서 느꼈던 권태와 불안이 우리를 자극하였고 그것을 확인 하고 싶었기 때문에 쉽게 탐방조사 주제를 선택할 수 있었다 우리보다 먼저 예 술교육을 실시하고

회 컨퍼런스를 주최하고 있는 미국이라면 우리가 갈구하고 있는

해답에 가까운 답을 찾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였다 팀원 강사들 각자 학교예술교육 이외의 강원도 지역 여기저기에서 예술교육을 진행하 고 있는 터라 회의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늦은 저녁 밖에 되지 않았다 출발하기 며칠 전 부터는 한번 시작하면 새벽

시는 되어야 회의를 마무리 할 수 있었고 다음날

피곤한 몸을 이끌고 각자의 수업현장으로 나가야만 했다 미국에 도착해서도 매번 이 런 식의 회의를 매일 진행 하였다

- 320 -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등 기관명 예술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필라델피아 박물관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같은 여개의 필라델피아 문화예술 그룹과 함께 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주 예술위원회와 함께 연계하여 지역의 아이들에게 예술교육을 제공한다 주에서 지원을 받아 학교의 정규 교과 과학 기술 수학 등 를 예술과 연결하여 교육을 하거나 방과 후 시간에 예 술교육을 실행한다 또한 하루

시간씩 주

회 아이들의 숙제를 돕고 교육서비스를 지

원한다 그 밖에 도서관과 연계하여 책을 이용한 예술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시 낭송 대회를 주관하고 있다 기관명 필라델피아 외곽에 위치한

은 예술교육을 통하여 지역 내 소외계층과 빈

곤층의 문맹퇴치를 위해 노력하고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학교와 지역 사회 단체의 협력을 통하여 지역 내 소외계층의 아동과 청소년에게 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며 음악 시 벽화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술교육을 하고 있다 의 장기적 프로그램 중 하나인

는 읽기 쓰기능력과 더불어 자기표

현의 수업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관명 미국 뉴욕에 위치해 있으며 실버세대를 위한 예술교육을 지원하고 있는 비영리 단체 이다 기존의 가난하고 힘없는 노인 의 정의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노화 를 지지하고 노인이 가지고 있는 창조적인 표현을 도울 수 있는 수업을 프로그램화 하고 컨설팅 서 비스제공한다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기관명 교과과정인 수학 과학 기술등의 수업에 예술교육 접목이 가능한가 예술교육을 통하여 학습자가 변화 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기관에서는

여명의 강사들과 어떤 방법으로 대화를 하는가

기관명 에서 이루어진 예술교육의 사례 성공적인 수업을 이끈 요소는 무엇인가

- 321 -


기관명 는 어떤 곳이고 왜 예술을 통하여 노인교육을 하는가 왜 강사들을 훈련시키는가 한국도 이제 고령화 사회가 되었다 그리고 정부도 이미 이것이 큰 문제가 될 것 을 예상하고 있다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우리가 참여한 전미컨퍼런스의 경우

예술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변화 촉진 요소 라

는 주제로 다채로운 강연과 소모임이 있었다 예술교육과 관련한 기관부터 정부부처 예술강사 예술가등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주제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비즈니스적인 부 분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우리가 한국에서부터 의문을 갖고 있었던 예술강사의 역량 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 할 수 있는 주제의 강연들이 있었고 그 자료들은 동영상자료와 도표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많은 기관관계자들과 예술강사들의 만남을 통한 설문 지는 우리 스스로 자료화 할 수 있는 증거가 되었다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우리가 방문한 기관 모두 우리를 친절하게 맞아주었으며 사전에 이메일을 통하여 전 한 질문에 명쾌한 답을 내려 주었다 한국에서 방문 기관을 조사 하던 중에 알게 된 은 우리가 처음 방문한 기관이기도 하고 홈페이지를 통한 각종 프로그램들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궁금증을 갖게 한 기관이었다 기존에 원단공장으로 쓰이던 건물을 개조하여 만든

건물내부에는 교육을 직접 할 수 있는 공간과 관계자들이 기

획하고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이 있어서 더할 나위 없이 좋아보였던 기관이었다 다음 에 찾아간

또한 우리를 너무 반갑게 맞아 주었으며 직원들이 모두 함께 자리에

앉아서 기관 소개에서부터 우리의 질문에 대하여 친절하게 답을 주어 인상 깊었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예술교육을 하고 아이들의 정학율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컨퍼런스 중에 한 주제

의 강연에서 들은 말이다 학교에서 의미를 찾지 못하고 학교를 멀리하던 아이들이 예 술교육을 통하여 학교가 재미있는 곳이며 꿈이 생기는 공간이 되었다는 것에 감동 받 았다 우리가 하고 있는 예술교육이 얼마나 학생들에게 변화를 주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고 자부심을 느낄 수 도 있었다 미국은 특성상 다양한 인종과 계층이 어울려 있 고 우리나라의 예술교육과 분명 다르게 접근하고 진행해 왔을 터지만 예술이 가지고 있는 본질에 대한 교육은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가 지 금 하고 있는 예술교육에 더 뜻을 품고 자긍심을 가지고 있어도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322 -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 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예술교육기관의 관계자들을 유독 컨퍼런스 자리에서 많이 만날 수 있었다 아마도 그만 큼 예술교육에 관심이 많고 지지를 해주는 것 같았다 우리가 준비한 설문지 문항 중 예술 교육이 중요한가라는 질문에는 누구보다도 무한한 긍정을 표하고 그밖에 왜 필요한지에 대하여 많은 이야기를 해 주었다 아이들이 변한 사례들도 거침없이 이야기 할 만큼 그들에 게는 예술교육이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들을 믿어 의심치 않는 것 같았다 이번 컨퍼런스의 자리를 통하여 주제의 내용을 함께 공유를 하기도 했지만 비즈니스적인 부분으 로 교류를 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컨퍼런스에 참여한 다양한 예술강사 전문가들과 미 국 국가부처의 관계자들은 한국의 예술교육과 처우에 대하여 질문을 하며 관심을 가졌고 한국에서 온 우리들을 환대해 주었고 대부분의 예술 강사들이 자기가 하고 있는 예술활동 에 대하여 자신 있게 이야기를 하고 있었고 그런 모습들을 보면서 영화 예술강사로 작품 활동을 게을리 하던 나에게 반성이 되기도 하고 자극이 되었다 필라델피아에서 만난 기관 사람들과 컨퍼런스장에서 본 많은 강사들과 기관관계자들 은 우리에게 대부분 호의적이었으며 적극적으로 우리의 설문에 임해 주었고 원하는 답 들을 망설임 없이 제시해 주었다 떠나는 날 마지막 까지 따로 인사를 하러 우리를 찾 아와 준 무용예술강사

이 기억에 많이 남는다 예술분야에서도 최선을 다하고

교육에도 힘을 쏟는 미국의 예술강사와 지원기관 관계자들이 있으니까 지금의 미국 예 술 교육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서 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예술교육을 통한 변화 촉진 요소 에 대한 궁금증으로 시작한 이번 해외탐방을 통 하여 많은 것을 느꼈다 우선 학교나 지역의 기관에서 진행되어 지고 있는 예술교육은 단기간에 끝나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예술교육 사업은 일 년 단위로 진행하기 때문에 변화의 요소나 과정을 살피기에 시간이 부족하다 아무 런 변화를 찾지 못한 채 단발적 보여주기 식으로 수업이 끝나는 것에 대해 우려스럽 다 예술교육을 하는 나 예술을 하는 나를 구분 짓기 보다는 함께 해 내갈 수 있는 방 법을 찾아보고 노력해야한다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해외탐방이전에도 이런 저런 일로 친분을 가지고 있던 터라 사전회의를 하는 동안 큰 갈등 없이 진행하였다 자기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진솔하게 이야기를 할 수 있었고 늦은 시간까지 회의를 진행할 때에는 서로 여담도 나누면서 즐겁게 회의를 진행 할 수 있었다

- 323 -


각자의 역할 분담을 확실히 하였고 그 부분에 대하여는 크게 관여하지 않고 서로 조심스럽 게 조언을 아껴 주지 않았다 팀원 중에 미국을 다녀온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어서 걱정 반 기대 반으로 일정을 체크 하였고 미국에 도착해서 첫 일정을 소화하고 안도의 숨을 돌릴 쯤 숙소예약 담당이었던 내가 실수로 일정을 다른 날짜로 예약을 하였고 호텔에서 예약을 확인하던 과정에서 그 사실을 알 게 되었다 순전히 내 실수로 이루어진 일이니 이 숙소가 되지 않을 경우 다른 숙소를 빠르게 구해야 했고 앞일이 막막해 팀원들에게 미안함을 감출 수 없었다 그때 팀원들이 괜찮다고 다독여 주었고 우리가 예약한 숙소에서도 예약 일정을 앞당겨서 머물 수 있게 해 주었다 이 일로 팀원들에게 미안함 맘도 들었지만 이런 실수를 감싸 안아 주는 팀원들에게 무한한 고마움을 느낄 수 있었다 미국에서의 일 일정이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우리의 팀워크가 한 몫을 했다고 생각하고 한국으로 돌아와서 도 팀원들에 대하여 고마움을 가지고 있다 향후 계획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

후 본인의 계획 해외탐방의 준비과정과 성과를 추후 해외탐방을 기획하고 공유회

준비하는 예술강사들과 공유 선진화된 해외문화탐방에서 얻을 수 있었던 직간접적인 정 보 공유하기

프로그램개발

수업기획안 작성

미국에서 선 학습으로 진행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실현가능한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하는 선진국의 학습을 참고하여 학 교에서 예술강사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수업기획안을 만들어 보겠다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제 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이번 해외탐방조사를 통하여 크고 작은 변화라고 한다면 나만의 만족감에서 진행되었 던 예술수업이 지역을 넘어 국가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더욱이 예 술교육가로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철저한 수업준비 여러 프로그램개발 등이 중요하다 는 것을 깨달았다 추후에도 해외탐방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강사들의 국제적 역 량강화 기회로 삼고 수집된 자료들을 공유하는 자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예술교육을 주관하고 있는 단체와 강사와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공유하고 싶다 - 324 -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멜버른과 함께 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성 명

최 은 영 영화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평상시 외국의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저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에서 해외 탐방 조사를 공모한다고 하여 더 할 나위 없이 좋은 기회라 생각하여 지원 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지원을 하고 싶었지만 혼자서 감당하기엔 너무 힘들 것 같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이트에서 저와 공감대가 형성되는 선생님들과 팀을 이 룰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많은 갈등이 있었습니다 영화 강사

년차인 저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회의감에 빠져있었고 수업 내용에 대한 부족함도 느끼고 있었습니다 또한 다른 나라 보다 호주 멜버른의 문화예술 교육을 직접 보고 느끼고 싶었습니다 호주 멜버른은 세 계에서 살기 좋은 나라의

순위 안에 드는 도시였고 어떻게 그 나라에서 아이들이

어떤 문화를 보고 느끼는지 직접 눈으로 보고 체험해보고 관련 센터의 정보를 얻고 싶 었기 때문입니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저희 팀원은 서로 다른 지역에서 출강하는 강사들이었습니다 이번 해외 탐방을 위 하여 모였고 영화 연극 국악 분야의 예술강사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활 용하였습니다 저희 팀은 모두 사는 지역이 달라서 대부분의 회의 내용은 인터넷과 카 카오톡을 주로 이용하여 회의를 하고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출국 전 부산에서 만나고 박 일 동안 회의를 하고 탐방목적과 질문지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 니다 또한 회의 내용은 항상 일지로 작성하였습니다 자기소개서는 팀원 각자가 자신 이 왜 해외탐방을 원하는지 왜 가고자 하는지 활용 계획에 대해서 작성하였습니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현지 기관 조사는 주로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인터넷만을 통해선 멜버른에 어떤 문화예술교육 기관들이 있는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저희가 처 음 방문을 하고자 했던 기관은 멜버른에 위치한 고등학교였습니다 하지만 고등학교의 - 325 -


세부적인 커리큘럼을 알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방향을 바꾸어

아트센터로 전환하여 조사를 시작하였습니다 다행히도 와

년도에 한국에서 워크숍을 진행하였던 점 덕분에 다

른 기관보다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트센터의 경우 다른 호주팀과 중복되는 과정에서 저희가

기관방문을 하는 것으로

결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두 군데 기관만 방문하는 것이 아쉬웠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조사를 하여 방 문하고자 했던 기관이 바로 호주의

였습니다

는 아이들과 영화작업을

하는 곳으로 영화를 가르치고 있는 저에게는 꼭 가보고 싶은 매력적인 기관이었습니 다 하지만

와 연락이 닿지 않아 결국에는 기관방문을 했고 영화 수업을 진행

하는 저는

방문을 하지 못한다는 점이 가장 아쉬웠습니다 기관을 조사하는데

있어서 시간이 촉박했던 이루어 졌던 점이 아쉬웠습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등 아트 플레이

아일랜드 더블린의 아동예술센터인 더 아크로부터 영감을 얻어 설립된 예술교육 공간 전문 예술가 부모 아이들이 함께 예술작품을 만들어보고 실외 공간에서 시간을 보 낼 수 있는 센터 대상은 주로 미취학 아동과 부모 또는 보호자 장기프로그램은 미취학아동 만 세 아동을 대상으로 함 주요 운영사업은 음악 시각 연극 인형극 등 참여수업과 학습으로 이루어짐 키즈 오운 퍼블리싱

- 326 -


아이들이 쓰고 그린 그림을 이용하여 책을 만드는 세계 최초의 어린이 전문 출판사 태블릿을 이용한 책 만들기 멜버른 대학의

일종의 유치원 자연친화적인 분위기 속에 수업이 진행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의 전반적인 공간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둘러보고 설명 및 인터뷰 의

과의 대화중에 인상 깊었던 내용은 아트플레이가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한국의 경우 새로운 도시가 생기면 거의 아파트나 마트 등 생활에 필요한 건물들이 생겨나지만 아트플레이의 경우 아주 특별하고 유 일하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가지를 중요하게 얘기 하였습니다 첫 번째 전문적인

예술가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일하게 하라는 것 두 번째는 아티스트를 도와주는 팀 또는 스텝이 필요하다는 것 세 번째는 좋은 장소에서 일하게 하라는 것 마지막 네 번째는 그 기관을 운영하는 운영진은 어떠한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었습 니다 예술을 교육하는 저로서도

이었습니다 - 327 -

가지 요소는 깊이 공감을 형성하는 것


아이패드를 이용하여 직접 책을 만들어 봄 의 만들어진 배경 에서 작업했던 아이들의 책 훑어보기 및 작업 진행에 대해 설명듣기 키즈오운퍼블리싱은 아이들의 책을 제작하는 곳이어서인지 아주 평화로움이 느 껴지는 곳이었습니다 빅토리아의 소개로 키즈오운퍼블리싱을 둘러보며 그녀의 교 육철학은 물론이요 아이들에 대한 애정이 남달라 보였습니다 특히 아프리카 가족 의 책을 소개 해주시면서 매우 뿌듯해 하기도 하였습니다 빅토리아를 보면서 든 생각은 내가 수업하고 있는 모든 아이들에게 엄마와 같은 마음으로 가르치고 사랑 해 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다문화에 관심이 많았던 저희 팀원들에게 아프리카 학생의 이야기는 매우 감동적이었고 부모와의 시간이 정말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년 아츠 포럼은 문화예술로 풍요로워지는 일상의 배움 이라는 주제로 열렸습니 다 주로 호주의 문화예술교육에 종사하거나 워크숍지도자 관련된 전문가들 등이 모 였습니다 아츠 포럼은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세션 선택하여 들을 수 있는 세션으로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선택프로그램의 경우 한국에서 미리 신청하여 들을 수 있었습니 다 포럼 첫날 참여하게 된 다

각자가

일하고

있는

은 마케팅 활용법에 관한 포럼이었습니 곳의

케이스를

공유하고

토론하였습니다

은 엉클 래리와 캐서린 등 자신의 예술에 대한 생각들을 대외적으로 이야 기 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모든 사람들이 정말 자유롭게 그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받아들인다는 것이었습니다 우리팀이 호주를 가기 전 관심이 많았 던 것은 다문화였습니다 호주는 다문화로 이루어진 나라이고 엉클 래리는 원주민임에 도 많은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소통을 하는 모습이 한국과는 정말 다르구나를 느끼게 하였습니다 - 328 -


두 번째 날의

은 모두 한곳에 모여 주디의 사회로 각자가 관심이 있

는 세션별로 모여 교육철학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 그림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상대 방에게 이야기 해주는 시간을 가지기도 하였습니다 서로 모르는 사이임에도 자연스럽 게 이야기를 나누었고 정보를 공유하기도 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이 시간은 한국에 서 아이들과 수업시간에도 활용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세션의 경우는 특이하게 포럼 장소에 서 동떨어진 교회에서 포럼을 진행하였습니다 덕분에 저희는

분 정도 걸어가는 포

럼 장소 주변을 구경할 수 있었고 참여하는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시 간이 되어서 좋았습니다 이 세션의 경우 아이들의 생각을 직접 체험해보는 시간을 가 지기도 하였습니다 세 번째 날은 저 뿐만이 아니라 저희 팀원들에게는 특별한 날이었습니다 은 작은방에서 많은 사람들이 둘러서서 캐서린과 함께 화음 을 만들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처음 불러보는 음악에 그 방에 있는 사람들과 화 음을 맞추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시간은 서로에 대해 알지 못해도 음악 하나로 유대감 을 형성 시킬 수 있었습니다

아츠 포럼에서 가장 뜻 깊은 시간이었고

간에도 캐서린과 아츠 포럼에 참석한 많은 사람들과 함께 화음을 맞추는 시간을 가지 기도 하였습니다 간으로

는 두 번째 날에 모였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시 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퍼포먼스 계획을

의논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마지막 세션인

은 각 그룹별로 준비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시간을 가

졌습니다 각 그룹의 창의성을 볼 수 있는 시간이었고 더욱 뜻 깊었던 점은 저희팀의 윤혜성 선생님께서 직접 대금과 소금을 연주 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 뿌듯하였습니다

- 329 -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아트 플레이

는 들어서자마자 감탄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바로 앞에는 강이 흐르고 있었고 평일임에도 놀이터에는 부모와 아이들이 그네에 앉아서 책을 읽고 같이 모래 로 장난을 치며 놀고 있었습니다 내부로 들어선

는 따뜻한 느낌이 들었고 아

이들의 창의력이 빛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쪽에는 아이들이

잃어버린 물건을 가지고 다양한 작품을 만들어 놓은 곳이 있었습니다 어떻게 이런 생 각을 했을까 했을 정도로 작품은 정말 아름다웠고 창의력이 뛰어난 작품들이 많았습 니다 사이먼의 소개로

를 견학 할 수 있었는데 놀이터 바로 옆 공간에 세워진

돌에 아이들이 타일을 이용하여 작품을 만들어 놓은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그야 말로 아이들만의 공간이었고 그 속에서 뛰어 논다면 정말 창의력이 키워질 수밖 에 없는 시설이었습니다

- 330 -


키즈 오운 퍼블리싱

은 정말 이곳은 아름답다 라는 말을 계속 연발하게 되는 장소 였습니다

은 옛날의 수도원을 개조하여 카페와 세미나를 할 수

있는 곳으로 탈바꿈 한 장소였습니다 자연과 어우러져 아이들이 책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이 장소는 누구나 뛰어놀 수 있는 장소였고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곳이었습니 다 우리는

의 대표인 빅토리아를 통해서도 그곳이 얼마나 따뜻한

곳인지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그곳에서 접한 가장 인상 깊었던 책 중 하나는 아프 리카 가족이 만든 책이었습니다 가족들이 직접 시나리오를 구상하여 책을 만들어 내 었고 직접 그림을 그려 그들만의 책을 만들었다는 것이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내 아 이에게 그런 책 한권을 만들어 준다는 것 자체가 정말 뜻 깊은 일이 아닐까 싶었습니 다

은 책을 통해 아이들이 스스로를 인내심과 상상력을 성장하

게 하는 공간이었습니다 멜버른

우리나라의 유치원이기도 한 멜버른

개월 아기를 둔 나에게는 정말 인상 깊

었던 장소이기도 하였습니다 우리가 방문하였을 때 유치원 아이들이 모두 모여 음악 에 맞춰 리듬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사진 속 남자선생님은 모든 아이들에 게 관심이 많아 아이들의 그림을 보며 누구의 그림인지 척척 알아 - 331 -

보았습니다 또한


이곳에서도 창의력 수업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잃어버린 열쇠를 이용하여 그 림을 그리고 미로 그림을 보고 자신의 미로를 그려보는 시간을 가지는 등 독특한 아 이디어의 프로그램으로 틀에 박히지 않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가장 인상 깊었던 워크숍 프로그램은

이었습니다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 모여 함께 하나의 노래를 합창하였고 단합이 되었다는 것과 작 은 공간 안에서 다른 문화를 가진 우리들 역시 하나가 되었습니다 다들 처음 들어보 는 노래를 불렀고 반복되는 멜로디로 화음을 만들었으며 타 수업보다 부담감을 내려 놓고 편안한 마음으로 수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 수업을 들으면서 협력이란 무엇 인지 단합이란 무엇인지를 알게 하였고 말이 통하지 않아도 사람들의 표정으로 이 수 업이 정말 흥미 있고 즐겁다는 것이 느껴지는 세션이었습니다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 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당초 우리가 방문기관으로 계획했었던 만나는 것이 우리의 목표였으나 아쉽게도 아츠 포럼에

에서

는 방문 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의 빅토리아의 소개로

- 332 -


관계자를 뜻하지 않게 만나게 되었습니다

정말 유쾌하고 밝고 행복한 미소를 가진 여성이었습니다 그녀는 처음 본 우리에게 정 말 매일 친절하게 인사하였고 대화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에 대한 이

야기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한국에 매우 관심이 많았고 특히 음악에 관심이 많아 윤 혜성 선생님의 연주를 듣고자 하였고 그녀의 소개로 인해 클로징 세션에서 우리나라 음악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얻기도 하였습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강사로서 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이번 해외탐방으로 느낀 점은 우리 예술 강사들이 너무 국내에서만 머무르고 있지는 않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 니다 나만의 분야에만 몰두하지 말고 타분야와의 교류하는 것도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예술강사들이 더욱더 견문을 넓혀 아이들과의 수업을 진행해야 한 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멜버른 아츠포럼에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의 분야에 대해 소통하는 모습을 보고 우리랑 너무 다르다라는 생각이 들 었습니다 또한 내 자신이 더 많이 발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지금의 현실에 너무 안주하지 말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업과 모든 생활에 자신감을 가지고 항상 노력 하며 행복한 생각을 해야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에게도 그런 기운이 전달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술강사로서 나만의 분야에만 치우지지 않고 모든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보고 느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짧은 시간에 팀원들을 만나고 호주 멜버른에 대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다행히도 큰 갈 등 없이 정말 서로의 부족한 점을 채워가며 이끌어주고 의지 할 수 있는 팀이었습니다 다른 팀에 비해 서로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했지만 이번 해외탐방을 통해서 서로의 분야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고 공감대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아쉬웠던 점은 시 간이었습니다 조금 더 시간이 많았다면 더 많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었을 것이고 서 로를 피드백 할 시간이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번 해외탐방을 기회로 다른 분야 선생님들과 함께 작업 할 수 있어서 너무 행복했고 서로 다른 분야가 만나서 정말 최 상의 해외탐방을 하고 오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향후 계획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

후 본인의 계획 이번 해외 탐방을 계기로 내가 우물 안 개구리였다는 생각이 들었고 앞으로 내 수 업에 이번 아츠포럼에서의 경험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가령 팀워크를 중시하는 영화

- 333 -


작업에서 아이들은 서로 친해지지 못한 상태이거나 자신의 역할에 만족하지 못한 채 수업이 진행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전에 서로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나 누는 시간을 가져 친분을 쌓은 후 수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다시 한 번 호주 멜버른을 방문해보고 싶습니다 아쉬웠던 것은 뒤늦 게 멜버른에

라는 곳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곳은 말하자면 영상을 배울 수 있는

곳으로 아이들이 직접 영화를 만들기도 하였고 일반인이 영상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직접

를 방문하여 그들과 함께 수업을 들어보고 함

께 워크숍에 참여해 볼 생각이다 또한 국내외의 많은 네트워킹에 참여하여 견문을 넓 히고 싶다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제 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국제무대에 진출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 언어인 것 같습니다 해외탐방을 하면서 가장 절실했던 것이 언어의 장벽이었습니다 소통과 공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언어가 통해야 무엇이든 이루어 질 것 같습니다 단기 어학코스 등의 영어공 부에 최선을 다해야 이런 좋은 기회가 왔을 때 나의 생각과 그들의 생각 정도는 소통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지금 현재 한국에서도 많은 국제포럼들 이 열리고 있습니다 그런 포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굳이 외국에 나가지 않아도 세 계 각국의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만드는 것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시간적인 여유가 조금 더 주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관조사 인터뷰 내용 구상 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등의 준비를 위해서는 출국 전에 적어도 한 달 정 도의 시간이 확보되었으면 합니다 또한 외국에서도 시간이 너무 촉박했던 것 같습니 다 한 기관 당 하루 정도의 시간을 준다면 천천히 둘러 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 고 기관의 프로그램도 참여해 볼 수 있는 여유도 있을 것입니다 두 번째는 팀원들 모 두가 언어의 장애가 없어야 할 것 같습니다 포럼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의견 정도는 이야기 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시간 낭비를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또한 포럼보다는 기관방문이 예술 강사들에게는 훨씬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가령 예 를 들면 영화분야는 멜버른에

의 프로그램을 같이 듣는다던지

과 함께 영화제작에 참여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334 -

의 아이들


2015 문화예술교육 해외 탐방조사 활동보고서 제목

첫 번째 해외탐방 도전기 성 명

최 현 주 무용분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준비하며 지원동기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알게 된 배경 지원 이유

및 계기 문화 예술 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사업에 대한 공지를 진흥원 홈페이지에서 보게 되었다 처음에는 다른 능력 있는 강사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엄두도 못 내고 있 었는데 함께 활동하고 있는 지구촌 문화예술 연구소

보늬 의 동료 강사에게 함께 지

원해 보자는 전화를 받게 되었다 년부터 서

년 동안 학교 예술 강사로서 다양한 지역에서 많은 학생들을 만나면

많은 성장을 할 수 있었지만 교사로서 부족하다는 것을 항상 느끼고 있었다 시대

의 변화보다 더 빠르게 변화하는 학생들을 만나면서 이 학생들이 느끼는 예술교육의 의미와 예술 강사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었다 다행히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선생님들을 만나면서 함께 고민하고 있던 시기에 공 지를 보게 된 것이다 해외탐방조사는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목적성과 방향 성을 정하는 데 질 높은 자양분이 되리라는 기대를 하게 되어 지원을 하게 되었다 지원과정 선발과정 및 면접 준비 방법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과정 및 작성요령 해외 탐방에 공모를 하기로 한 첫 번째 이유가 우리의 주 관심사인 지역 사회 및 청 소년이 주제로 컨퍼런스가 열리기 때문에 망설임 없이 미국에 지원을 하였다

차 서

류 심사에 통과 한 후 우리 팀은 다시 모여 회의를 하였다 면접 시의 예상 질문을 준 비하면서 필라델피아가 어떤 도시인지 그 도시의 문화는 어떤지 예술은 어떤 방향으로 흐르는지 무엇에 관심을 갖는지의 얘기부터 탐방을 가서 각자의 역할 어떤 단체와 교 류를 할 건지 많은 이야기가 오고 가면서 탐방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것 알고 싶은 것들을 좀 더 명확히 알아가는 시간이 되기도 하였다 개인적으로는 영어의 부담감이 점점 더 커져 처음과는 달리 자신이 없어졌지만 일단 면접을 위해 영어로 간단한 자기 소개서를 작성하고 면접을 준비하였다 탐방조사 주제 및 준비 과정 기타 기억에 남는 사전준비 내용 등 미국 특히 뉴욕은 문화예술의 도시로 잘 알려져 있어서 일정을 짤 때부터 다들 기대 에 부풀어 있었다 많은 미술관 박물관과 링컨센터가 얘기가 되었다 아르떼 해외전문 - 335 -


가 초청워크숍에서 링컨 센터 관계자가 와서 강연을 하였는데 일정 때문에 듣지를 못 했다 참여했던 강사들이 많은 공부가 되었다는 뒷이야기에 링컨센터를 꼭 방문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다 더구나 요즘 우리나라도 도서관에서 많은 문화예술교육을 시작 하고 있어서 오랜 기간

문화예술교육을 하고 있는

방문을 하기로 하였다 영어를 잘 하는 이현지 선생님이이 방문지에 메일을 보내고 회신을 기다렸지만 시차 때문인지 진흥원 우리 팀 미국현지 이렇게

팀이 조

율을 하는 게 쉽지가 않았다 이 외에도 몇 군데

더 메일

을 보냈지만

시간이 안 맞거나 휴관이거나 하는 등 뉴욕에 도착하는 날에 겨우 일

정이 나올 정도로 일정을 조율하는 게 어려웠다 통역을 구하는 일도 계획 되로 진행 되지 않아 이것 역시 뉴욕에 도착해서야 정확해 질 정도로 쉽지가 않았다 사전 준비 를 하면서 좀 더 현지 상황을 정확히 알고 싶어서 지인들에게 연락을 하였는데 너무나 에서 무용움직임치료사로 일하고 있는 선배와 연결이 되어

다행히 필라델피아에

통역과 현지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해 주시기로 하셨다 이 외에도 숙소 교통편 식사 등의 많은 것들은 블로그 등 인터넷을 활용하여 정보를 알아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현지 활동

방문 기관 소개 기관의 기본정보 주요 운영 사업 대상 기관문화 등 뉴욕

교육부

예술프로젝트

사무국

필라델피아

예술교육

파트너십

외 참여를 통해 문화예술 교육의 동향 파악 기대 미국 현지기관 방문하여 도서관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조사 년부터 오픈하였으며 리허설 댄스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 되고 있으며 지역아동 및 지역 주민을 위한 봉사활동 프로그램뿐 만 아니라 모든 연령의 학 생들에게 댄스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는 단체 탐방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 과정 공유 및 협력 기반 구축 방법에 대한 여러 방향 모색 기대 인터뷰 간담회 진행 내용 주제 및 내용 요약 뉴욕에 도착하자마자 우리는 맨해튼 숙소에 짐을 풀고 로 달려갔다 비바람이 불고 날씨가 너무 추워 다들 추위에 덜덜 떨면서 겨우 링컨센터에 도착했다 여기는 도서관 뿐 아니라 발레단 극장 등 여러 단체가 함께 있 는 큰 건물이여서 약속장소를 찾는 데 고생을 많이 했다 다행히 시간에 늦지 않게 도

- 336 -


착해서

이곳에서

와 를 만났다 뉴욕에서 태어났지만 한국어도 능통한 현지 통역의

도움으로 인터뷰는 잘 진행 되었다 이곳에서

여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운

영되고 있으며 한 개의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소요된다고 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시민들은

년이라는 시간이

개의 프로그램 중 자신이 듣고

자 하는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고 시민들은 전문가들에게 배우기도 하지만 전문 아티스트와 함께 공연 전시 등을 할 수 있다고 한다 다음 날 맨해튼과는 분위기가 완전히 다른 도시인 블루클린에 있는 로 직행 지하철을 타고 갔다 센터는 다행히 지하철 근처에 있어 많이 헤매지 않고 약속시간에 맞춰 도착할 수 있었다 담당자를 어떻게 만나나 걱정했지만 그 쪽에서 먼저 알아봐 주어서 별 문제 없이 진행되었고 담당자가 먼저 수업 후에 인 터뷰는 할 것이고 무용 수업답게 참관할 때는 같이 춤을 추어야 한다고 요청해서 우리 팀 모두 수업에 직접 참여하여 어르신들과 함께 손을 잡고 춤을 추었다 프로그램은 매주 수요일 년도에

시간

분 정도 진행되고 있고 이 파킨슨 환자를 위한 무용프로그램은

명의 강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마크 모리스의 후원을 받아 환자들에게

무료로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고 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환자들 중에는

년 넘게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분들도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 날에는 벽화 탐방을 하였다 이 날도 날씨가 너무나 나빠서 추 위에 덜덜 떨며 탐방을 하였다 영어가 짧다 보니 가이드의 설명을 다 이해를 못했지 만 벽화가 너무나 아름답고 표현이 잘 되어 벽화마다의 의미와 가치를 느낄 수 있었 다 탐방 후

에 대해

와 인터뷰

를 진행했다 벽화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현재 벽화 프로젝트에 대해 인지도가 높아 정부의 재정지원뿐만 아니라 많은 민간단체들의 후원 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벽화작업은 사업의 목적과 실행하는 작가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으며 벽화작업이 지역사회에서 진행되었을 경우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원자 모집하여 프 로젝트에 함께 참여시키고 있다고 한다 참여 행사 소개 참여 내용 첫 번째 강연은 였다 예술 교육의 리더로서 우리 각자는 개인을 격려하고 우리 사회의 시민 생활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 우리가 일을 완수하려고 하지만 종종 봉사하는 사람들 에게 보다는 우리 자신의 조직에 초점을 돌린다고 한다 이 문제에 대해 하워드는

우리 미국인들은 함께 협력하여 일을 진행 합니다 하지만

우리 지역 사회 관계자들과 지도자와 기업들은 자신의 이기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

- 337 -


다 우리는 혼자 할 수 없습니다 공동 사회가 필요합니다 할 일 있는데 첫 번째는

우리에게는 세 가지 해야

우리 공동 사회의 포부에 초점을 둔다

회에서 강력한 관계를 만들어간다

세 번째는

두 번째는

공동 사

우리의 공동 사회의 어떤 일이 일어나

는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였다 두 번째 참여한 강연은

였다

도시 예술 교육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탐구하기 위해 개발된 혁신적인 플랫폼 이다 예술가 교육자 및 관리자 집단과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사우스 사이드 고등 학교

에서 학생과 교사와 협력하고 그것은 참여자 스스로 작

품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었다 실제

에서 활용하는 워크숍을 컨퍼런스에서 진

행하여 직접 학생이 되어 프로그램을 참여할 수 있었다 워크숍 활동내용은 에서 명의 강사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돌아가면서 진행하였다 수업 전 강사들은 공간 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의 그림을 붙여 놓았다 그리고

는 워크숍에 참여했던 참여자들에게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선택하여 그림 앞에 서라고 했고 진행자들은

개의 그림을 제거하기 위해 각 팀 별로 다른 팀의 사람을 설득시켜

자신들의 그림으로 이동하게 하였다 총

개 그림으로 팀이 정해졌고 진행자는 팀에게

다양한 소품을 주었다 그리고는 팀끼리 의논하여 그림의 느낌을 장르와 상관없이 표 현해 달라고 했다 첫 번째 팀은 소품을 활용하지 않고 움직임만으로 그림을 표현하였 다 두 번째 팀은 소품을 활용하여 하나의 인물을 꾸며주고 그 인물에게 하나씩 물건 들을 빼앗아갔다 세 번째 팀은 터키탕의 그림과 같은 형태의 조각상을 표현하였다 네 번째 팀은 태양이 떠오른 장면을 천을 활용하여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다섯 번째 팀은 두 명이 춤을 추며 다른 참여자들은 노래 부르고 악기를 연주하였다 마지막 활동으로 각 팀 발표 후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자유롭게 소감을 나누었다 세 번째 참여한 강연은 였다

토크 스타일 쇼케이스로 다섯 단체의 대표들이 교육

예술가 전문 개발에 대해 강력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공유했다 자신의 능력 향상 링컨 센터 교육 벽화 예술 프로그램 조안 미첼 재단 지역 사회 워드 프로젝트 교육 예술 가의 이해를 증진 전문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예술교육가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 법을 제시하였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술교육의 우수성과 지속가능성을 개발하는 최선의 방법은 재정적 지원이다 정부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핵심 주제를 잡아야 하 고 예술교육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도전과 모험이 필요하다 섬에만 머물지 말고 섬 밖으로 헤엄쳐 나와야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처럼 새로운 경험이 쌓여야 예 술교육가로 발전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혹은 단체와 단체가 만나 함께 작업하는 것을 두려워 하지마라 였다 네 번째 강연은 였다

강연자

의 저자로 저서의 내용에 기반을 둔 강연이었다

- 338 -

의 대담하고


세심한 기조는 도시 사회의 구조적 폭력으로 인한 희망의 침식의 피해를 복구하고자 하는 새로운 운동을 제안했다 그는 우리의 교육과 정치 전략의 중심에 치유와 희망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도시 사회의 구조적 폭력으로 인한 피해의 치유의 방법은 사랑이 며 사랑이 없는 힘은 폭력적이고 모욕적이라 했다 힘없는 사랑은 감상적이고 무기력 하며 최상의 힘은 정의로운 사랑을 필요로 하고 최상의 정의는 사랑을 바탕으로 하는 힘이다 의사는 아파서 소리 지르거나 피를 많이 흘리는 환자를 보고 놀라거나 두려워 하지 않는다 학생들도 마찬가지 이다 그들의 행동보다는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유 를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영어가 약한 저에게도 내용이 전달될 정도로 강연자는 인상적 이였고 감동적이었다 다섯 번째 강연은 였다 강연의 참가자들은 지역 사회 예술 교육의 리더로서 당신이 해결해야하는 복잡 한 과제를 식별해야 한다고 했다 당신은 뿌리 깊은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 대해 최선의 생각을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방향을 개발하기 위해 함께 적극적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는 생산적인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자신의 조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응적 사고를 자극하는 강력한 프레임 워크를 배울 것이라고 했다 자신의 문제점을 보지 말고 당신의 분야를 볼 필요가 있다고 한다 문제 안에

가지에 단어가 있는데 단순함

복잡함

이다 단순함

콤플렉스

혼돈

은 당신이 한 번 했다는

게 미래에 다시 그것을 할 수 있는 방법의 예측이고 원인과 결과 사이에 긴밀한 관계 가 있고 복잡함

은 단순함과 별 다름이 없는데 원인과 결과는 더 떨어져

시간과 공간에 있지만 당신이 해결책을 찾을 방법과 선형 논리는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이고 콤플렉스

는 어떤 하나의 상황이 작동했던 일이 다른 일에 작동하지

않지만 초기 조건은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당신이 거꾸로 볼 때까지 원

인과 결과 사이의 관계를 볼 수 없습니다 어떤 공식도 어떤 방법도 없다 당신은 탐 구하고 실험 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강연이 토론식의 수업이었는데 너무나 용어가 어 려워서 정말 힘들었다 테이블의 다른 참여자들의 배려가 있었지만 극복하기 힘들 정 도로 당황스럽고 식은땀이 흐르는 순간 이였다 기관 방문 내용 느낀 점 는

년 동안 프로그램을 개발한다고 한다 그만

큼 프로그램의 구성과 질적 수준이 높은 편이다

가 이렇게 할 수 있

는 이유는 지역의 보조도 있지만 각 지역의 자치단체나 기업의 후원과 센터를 이용하 는 시민들의 후원이 있어 가능하다 하지만 그에 반해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어 려움이 많다 재정지원을 주로 재단의 지원 사업에 의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다보 니 지원 사업의 목적에 맞춰 프로그램을 단기간에 기획하고 실행할 수밖에 없다 한국 의 문화예술교육 단체가 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하기 위해서는 자생력을 가져야

- 339 -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협력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후원 제도를 설계해 나아 은 주로 수감자 사회부적응 청소년의 사회화를

가야 한다

돕는 과정인 길드 프로그램으로 설계되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벽화 아티스트가 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대상자들에게 긍정적 경험을 하게 하여 사회로 다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 주요목적이다 그 사회화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다양한 프로그램의 연계이며 잡 카운슬링 심리상담 이력서 작성 등이 바로 그 것이다 문화예술교육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가교역할을 하고 다양한 협력프로그램이 긴밀하게 연계될 때 효과적인 문제의 해 결을 이룰 수 있다 현장 방문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운영장 특강 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 년부터 오픈하였으며 리허설 댄스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 되고 있다는 있는 지역아동 및 지역 주민을 위한 봉사활동 프로그램뿐 만 아니라 모든 연령의 학생들에게 댄스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파킨슨환자를 위 한 댄스는 브루클린 파킨슨 그룹 마크 모리스 댄스 그룹이 협력하여 파킨슨병을 가진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댄스 워크숍을 제공하는 파트너 프로그램이며 무료로 운영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주간 워크숍은 춤은 여러 교육 예술가와 음악가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의미 있고 좋은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이 프로그램은 춥고 지쳐있는 나에게 따뜻 한 홀에서 아름다운 음악에 맞춰 가볍게 움직이면서 온 몸과 마음이 행복해 지는 경험 을 하게 했다 아마도 분명 아픈 환자들임에도 바들바들 떨면서도 행복한 미소로 춤을 추는 참여자들의 행복 바이러스가 이방인인 나에게 전해져서 더 행복했던 거 같다 참 여자의 말이 너무나 인상적이었다 것은 치료이상의 가치가 있습니다

춤을 추면서 우리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 즐겁고 행복해 지는 것이 예술인 거 같다

네트워킹 등 기타 활동 내용 현지에서 만난 예술강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통 해 느낀 점 또는 특별히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 사전 준비를 하면서 도움을 청할 곳이 많지가 않아서 너무나 죄송하게도 졸업하고 한 번도 연락을 안 했던 선배에게 까지 도움을 청하게 되었다 간혹 소식을 듣기는 했 지만 선배가 필라델피아에서 살고 있는 줄은 몰랐다 더구나 정신병원에서

에 속해 있는 주립

로 일하고 있는 줄은 더욱 몰랐다 다행히도 선

배의 병원에서도 내년에 마약환자들과

을 계획하고 있어 우

리의 관심사와 딱 맞아서 너무나 열성적으로 도와주셨다 필라델피아의 역사와 요즘 사회의 문제 그 배경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와 유학생활을 거쳐 직장을 갖고 현지인 으로써의 생활을 하면서 느끼고 있는 필라델피아 문화와 다른 여러 이야기들이

강연

에도 인터뷰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무엇보다 마약환자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들이 춤을 춤으로 자신의 병을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는 선배의 일이 대단하고

- 340 -


가치 있게 느껴졌다 환자들을 향한 선배의 애정을 느낄 수 있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다녀와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를 통해 느낀 점 및 성과 예술 강사로서 의 가치관 커리어에 미친 영향 등 이번 탐방을 통해 느낀 점은 크게

가지이다 첫 번째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

하기 위해 협력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함께 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문화예술 교육은 교사 혼자만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두 번째는 프로그램이 지속성을 갖기 위해서는 물론 수준 높은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지만 참여자들 간의 네트워크도 형 성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이 이 사회에서 자신의 역 할을 해내기 위해서 다양한 협력프로그램과 연계가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내게 있어서 이번 해외탐방조사는 예술 강사로서의 시야가 넓어졌다는 점이다 항상 먼저 생각한 게 수업 프로그램 이였고 마지막도 수업 프로그램 이였다 질 높은 프로 그램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제는 전체를 볼 수 있고 흐름을 읽을 수 있어야 우리나라에 필요한 문화예술을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을 거 같다 기관 참여자 교사가 서로 대 화하고 협력해서 함께 이루어 가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다 팀워크 다른 팀원들과 협력한 내용과 그로부터 느낀 점 우리 팀원들은 나이차이도 많이 나고 지내온 환경도 다르고 전공도 다르다 더구나 보는 관점도 다르고 장점도 다 다르다 보는 관점이 다른 덕에 한 가지 문제에 대해서 도 여러 이야기가 나올 수 있었고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어 문제가 발생해도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각자의 장점이 달라 역할 분담도 쉬웠다 지도를 잘 보거나 물건을 잘 챙기거나 하는 사소한 것에서 부터 시작해서 마지막 보고서를 쓰는 과정까지 큰 틀 잡기 내용 정리 편집하기 등 각자 자신의 역할을 나누어 진행 하였고 각자가 맡은 부분은 최선 을 다 할 수 있도록 신뢰하였다 이렇게 서로를 믿고 일을 진행하기 못 했다면 이 많 은 일들을 무사히 해내지는 못했을 것이다 향후 계획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한 향

후 본인의 계획 지구촌 문화예술 연구소

보늬 의 일원으로 현재 논의되고 있는 사업은 안산과 연

천 지역 연계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하고 시행할 예정이다 교육대상자인 청소년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이곳저곳을 걸어 다니며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나와 지역 의 관계를 이해하고 역사를 통해 역사적 존재로서 나 를 찾아보는 프로그램이다 청소 년들의 시각에서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이미지들을 사진과 영상 그리고 이야기 로 표현해 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현재 수업하고 있는 안산과 연천의 청소년 교류 할 수 있는 미디어를 활용한 통합예술 연극 만화 애니메이션 무용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다 - 341 -


추후 유사 사업에 참여할 예술강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 또는 국내 예술강사의 국제 무대 진출 혹은 국제적 역량강화를 위한 의견 및 제안 너무나 식상한 말일 수 있지만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하라고 얘기하고 싶다 그리고 기간이 너무나 짧아서 내가 보고 느끼고 온 것이 진짜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역량강화를 위해서 하는 사업이라면 좀 더 기간이 길고 더 생각하고 논의 할 수 있는 여유가 있으면 한다 이외 추가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일차

프로젝트 전시 중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링컨센터

이 분이 키가 너무 커서 정말 사진 찍기가 어려웠다 지금은 며 전시관등을 보고 있다 가운데 분은 현지 통역관

일차

을 탐방하

파킨슨 환자들 봉사자들과 함께 춤을 추었다 마지막인사는 아름다운 피아노 선율과 함께 전원 이 손을 잡고 한 명씩 돌아가며 인사하며 끝났다

- 342 -


주강사

일차

컨퍼런스 장에서 영상 찍으랴 사진 찍으랴 바쁘기도 했지만 내가 사진을 이렇게 못 찍는 줄 이 제야 알았다 사진사들이 왜 그리 많이 찍는 줄도 이제야 알았다 자료

그림을 보고 주어진 소품으로 활동 중 수업 후에 물어 봤는데 소품은 랜덤으로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신기하게도 참여자들의 활동을 보면 꼭 맞춤으로 나누어 준 거처럼 사용되어졌다 일차

설정이 아니다 이제는 모든 곳이 회의 장소이다

- 343 -


감동적인 강연자이며 저자 와 함께 너무나 감동적인 강연 이였다 사랑이 가장 중요 한 키워드이며 도움이 정말 필요한 사회적 계층에 연합해서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엑스포현장 우리의 예상과는 다르게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육운영에 대한 엑스포가 아닌 교육매체를 연 결해 주는 온라인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엑스포였다 한국에서는 취약한 부분이라 흥미로웠고 한국도 문 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커진다면 필요한 부분이 될 거 같다

일차 벽화 투어 벽화로 인해 도시 곳곳이 아름다운 예술작품이 되었고 벽화의 뒷이야기를 들으니 그 자체만으로 얼마나 훌륭한지 알 수 있었다

- 344 -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결과자료집

발행인

주성혜

발행

2015 12.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정책연구팀

등록번호 KACES-1540-C009 문의

Tel : 02)6209-5900 Fax : 02)6209-1393 E-mail : kaces@arte.or.kr www.arte.or.kr

Ⓒ 본 자료집을 인용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자료집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