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발행인 주성혜 발행일 2017.1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예술교육사업본부장 노준석 가족문화팀장
최지윤
가족문화팀
김민지
등록 KACES-1760-R001 ISBN 978-89-6748-207-7 (93370)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1392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 양혜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박종웅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공동연구자 정민룡 광주 북구 문화의집 관장 최보연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연구보조원 김미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위촉연구원(성균관대 예술학 협동과정 박사) 한민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위촉연구원(서울여대 행정학 학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3
1. 연구배경 및 목적
3
2. 연구범위 및 방법
6
1) 연구범위
6
2) 연구방법
7
Ⅱ.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전개과정
15 15
1) 2012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전개과정
15
2) 2013년~2015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전개과정
16
3)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18
2.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21
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22
2)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38
3)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40
3. 국내외 사례 분석
49
1) 국내 사례 분석
53
2) 국외 사례 분석
72
3) 시사점
117
Ⅲ.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129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의 만족도와 효과
129
1) 설문조사 개요
129
2) 참여양태 및 특성
133
3) 만족도
144
4) 효과
158
5) 요구사항
174
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단체 및 협회의 만족도 1) 설문조사 개요
176 176 목차 | i
2) 참여경험
177
3) 참여 동기 및 협회의 역할에 대한 인식
182
4) 홍보방식
183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한 만족도
186
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
192
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식
194
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한 요구사항
202
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비참여자 수요 분석
204
1) 설문조사 개요
204
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한 인지도
205
3) 비 참여 이유 및 특성
207
4) 문화여가활동 및 문화예술교육 경험
210
5)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
221
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수요
226
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238
1) 문화예술교육 대상의 확대
238
2) 문화예술교육 범주(스펙트럼)의 확대
240
3) 문화예술교육 공간의 확대 : 문화예술 거점공간의 발굴 및 형성
246
4) 밀도 높고 수준 높은 주말문화 프로그램으로 브랜드 가치 구축
247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통한 꿈다락 세대의 발아
249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한계
250
1) 사업구조 및 체계
250
2) 대상
251
3) 교육방식․내용
253
4) 공간
254
5) 운영
255
6) 홍보
259
ii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Ⅳ.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263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263
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개선방안
266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정체성의 공유와 확산
266
2) 수요에 부응하는 홍보전략 수립 및 운영 개선
280
3) 토요문화학교사업 통합지원체계 구축
284
참고문헌
289
부 록
295
1. 설문지 1)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 조사 (참여자 – 아동) 2)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 조사 (참여자 – 청소년) 3)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 조사 (참여자 – 가족) 4)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 조사 (참여자 – 단체) 5)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 조사 (참여자 – 협회) 6)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참여자 – 아동) 7)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참여자 – 청소년) 8)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참여자 – 가족) 9)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참여자 – 단체) 10) 2016 문화예술교육 수요조사 (비참여자) 2. FGI 질문지
375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FGI 질문지 2) 예술교육이 바뀐다 FGI 질문지 3) 비참여자 FGI 질문지(학부모, 학생)
목차 | iii
표 목차
<표 Ⅰ-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구조의 변화
4
<표 Ⅰ-2>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직접 운영 사업)
6
<표 Ⅰ-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단체 및 협회 만족도 조사
8
<표 Ⅰ-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교육참여자(아동, 청소년, 학부모) 만족도 조사
9
<표 Ⅰ-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비참여자 조사
9
<표 Ⅰ-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관계자 인터뷰 및 FGI
10
<표 Ⅰ-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비참여자 FGI
11
<표 Ⅰ-8>
현장조사 및 관계자 인터뷰 진행
11
<표 Ⅱ-1>
2012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추진 체계
16
<표 Ⅱ-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추진방식 및 운영프로그램의 변화(2012~2016)
18
<표 Ⅱ-3>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21
<표 Ⅱ-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교육대상 그룹
25
<표 Ⅱ-5>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개요
37
<표 Ⅱ-6>
예술감상교육의 성과
39
<표 Ⅱ-7>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주요성과
42
<표 Ⅱ-8>
2016년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참여인원과 회차비교
47
<표 Ⅱ-9>
국내외 사례분석 종합표
49
<표 Ⅱ-10>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성과
56
<표 Ⅱ-11>
초등돌봄교실 참여 규모 변화 (2004-2015)
59
<표 Ⅱ-12>
‘예술로 플러스’ 운영 현황
60
<표 Ⅱ-13>
2015 광주창의예술학교의 구성
71
<표 Ⅱ-14>
몽트뢰이 대중의 집 주요 프로그램
93
<표 Ⅱ-15>
라 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 청소년 프로그램
96
<표 Ⅱ-16>
국내외 사례분석 시사점 종합표
117
<표 Ⅲ-1>
참여 프로그램별 응답자 통계
129
<표 Ⅲ-2>
학부모 응답자 기초 통계
130
<표 Ⅲ-3>
아동 응답자 기초 통계
131
<표 Ⅲ-4>
청소년 응답자 기초 통계
132
<표 Ⅲ-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
133
iv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Ⅲ-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경험률
133
<표 Ⅲ-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인지 경로
134
<표 Ⅲ-8>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인지 경로
135
<표 Ⅲ-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경험 여부
136
<표 Ⅲ-1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
136
<표 Ⅲ-1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동기
137
<표 Ⅲ-12>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동기
138
<표 Ⅲ-1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한 이들
139
<표 Ⅲ-14>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꿈다락토요문화학교 참여자)
140
<표 Ⅲ-15>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예술교육이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140
<표 Ⅲ-16>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141
<표 Ⅲ-17>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142
<표 Ⅲ-18>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반자
143
<표 Ⅲ-1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만족도
144
<표 Ⅲ-2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아노바 분석 결과)
147
<표 Ⅲ-21>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
148
<표 Ⅲ-2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과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151
<표 Ⅲ-2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적정 회차 수
152
<표 Ⅲ-24>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장르(청소년)
153
<표 Ⅲ-25>
향후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154
<표 Ⅲ-26>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157
<표 Ⅲ-27>
연간 문화예술공연 직접 관람 횟수
158
<표 Ⅲ-28>
연간 전시 직접 관람 횟수
159
<표 Ⅲ-29>
연간 가족과 함께 문화생활을 한 횟수
160
<표 Ⅲ-30>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참여자)
161
<표 Ⅲ-31>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161
<표 Ⅲ-32>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비참여자)
162
<표 Ⅲ-33>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162
<표 Ⅲ-34>
주말에 주로 하는 여가활동(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163
목차 | v
<표 Ⅲ-35>
주말에 주로 하는 여가활동(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164
<표 Ⅲ-36>
주말에 주로 하는 여가활동(비참여자)
165
<표 Ⅲ-37>
여가행태(참여자)
166
<표 Ⅲ-38>
여가행태(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166
<표 Ⅲ-39>
여가행태(비참여자)
166
<표 Ⅲ-40>
여가행태(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교)
167
<표 Ⅲ-41>
긍정적 태도와 자기표현, 학교생활(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168
<표 Ⅲ-42>
긍정적 태도와 자기표현, 학교생활(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168
<표 Ⅲ-43>
긍정적 태도와 자기표현, 학교생활(비참여자)
168
<표 Ⅲ-44>
긍정적 태도와 자기표현, 학교생활(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교)
169
<표 Ⅲ-45>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참여자)
170
<표 Ⅲ-46>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170
<표 Ⅲ-47>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비참여자)
171
<표 Ⅲ-48>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171
<표 Ⅲ-49>
가족관계(참여자)
172
<표 Ⅲ-50>
가족관계(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172
<표 Ⅲ-51>
가족관계(비참여자)
172
<표 Ⅲ-52>
가족관계(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교)
173
<표 Ⅲ-5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바라는 점
174
<표 Ⅲ-54>
참여 프로그램별 응답자 통계
176
<표 Ⅲ-55>
참여 활동장르 및 소재지역
177
<표 Ⅲ-5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경험률
177
<표 Ⅲ-57>
2016년 이전에 참여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단체)
178
<표 Ⅲ-58>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경험률
179
<표 Ⅲ-59>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179
<표 Ⅲ-60>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주관기관
180
<표 Ⅲ-61>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명
181
<표 Ⅲ-6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및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동기
182
<표 Ⅲ-63>
단체 및 협회의 홍보 방식
183
vi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Ⅲ-6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 겅험
184
<표 Ⅲ-65>
꿈다락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에 대한 인식
185
<표 Ⅲ-6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1)
186
<표 Ⅲ-6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2)
188
<표 Ⅲ-6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3)
189
<표 Ⅲ-69>
협회 지원에 대한 만족도
190
<표 Ⅲ-7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협회 만족도
191
<표 Ⅲ-71>
단체가 느끼는 교육수혜자의 변화
192
<표 Ⅲ-72>
협회가 느끼는 변화
193
<표 Ⅲ-7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적정 회차 수
194
<표 Ⅲ-74>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195
<표 Ⅲ-7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수 프로그램 이수 경험 및 참여의향
197
<표 Ⅲ-76>
참여한 연수 프로그램
198
<표 Ⅲ-77>
희망하는 연수 프로그램
199
<표 Ⅲ-7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201
<표 Ⅲ-79>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한 이미지
202
<표 Ⅲ-8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한 요구사항
202
<표 Ⅲ-81>
비참여자(성인) 응답자 통계
204
<표 Ⅲ-82>
비참여자(청소년) 응답자 통계
205
<표 Ⅲ-8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지도
206
<표 Ⅲ-84>
학부모 비참여 이유 및 특성
207
<표 Ⅲ-85>
청소년 비참여 이유 및 특성
208
<표 Ⅲ-86>
주말 여가활동
210
<표 Ⅲ-87>
문화예술 향유 및 참여
212
<표 Ⅲ-88>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212
<표 Ⅲ-89>
학부모(자녀)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경험률
213
<표 Ⅲ-90>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경험률
215
<표 Ⅲ-9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동반자
217
<표 Ⅲ-92>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야
218
목차 | vii
<표 Ⅲ-93>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219
<표 Ⅲ-94>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좋았던 점
219
<표 Ⅲ-95>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선택 시 우선순위
221
<표 Ⅲ-96>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유형)에 대한 수요
223
<표 Ⅲ-97>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장르)에 대한 수요
224
<표 Ⅲ-98>
학부모(자녀)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의향
226
<표 Ⅲ-99>
청소년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의향
227
<표 Ⅲ-10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의향
227
<표 Ⅲ-101>
학부모(자녀)의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228
<표 Ⅲ-102>
청소년의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229
<표 Ⅲ-10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의향 없는 이유
230
<표 Ⅲ-104>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습득 채널
231
<표 Ⅲ-10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이미지
232
<표 Ⅲ-106>
학부모가 바라는 문화예술교육
233
<표 Ⅲ-107>
청소년이 바라는 문화예술교육
236
<표 Ⅲ-108>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직업운영사업 중 특별프로그램 제외)
238
<표 Ⅳ-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기획사업 구조개편안(1안) : 목표/주제 중심
269
<표 Ⅳ-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기획사업 구조개편안 : 장르/분야 중심
274
viii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목차 <그림 Ⅱ-1>
2013년-2015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추진체계
18
<그림 Ⅱ-2>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추진체계
23
<그림 Ⅱ-3>
박물관연계 프로그램 추진체계
24
<그림 Ⅱ-4>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추진체계
25
<그림 Ⅱ-5>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추진체계
27
<그림 Ⅱ-6>
작은도서관 기획사업 역할분담
27
<그림 Ⅱ-7>
건축문화 프로그램 추진체계
29
<그림 Ⅱ-8>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추진체계
30
<그림 Ⅱ-9>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역할분담
30
<그림 Ⅱ-10>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추진체계
32
<그림 Ⅱ-11>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역할분담
33
<그림 Ⅱ-12>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추진체계
34
<그림 Ⅱ-13>
아리랑 프로그램 추진체계
35
<그림 Ⅱ-14>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추진체계
36
<그림 Ⅱ-15>
예술감상교육 추진체계
39
<그림 Ⅱ-16>
2012-2016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예산
40
<그림 Ⅱ-17>
2016년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추진체계
41
<그림 Ⅱ-18>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참여대상과 교육장르(2016 상반기)
42
<그림 Ⅱ-19>
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총225개 프로그램 기준)
44
<그림 Ⅱ-20>
2016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총762개 프로그램 기준)
44
<그림 Ⅱ-21>
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총225개 프로그램 기준)
45
<그림 Ⅱ-22>
2016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총762개 프로그램 기준)
45
<그림 Ⅱ-23>
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기획사업(총225개 프로그램 기준)
46
<그림 Ⅱ-24>
2016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총762개 프로그램 기준)
46
<그림 Ⅱ-25>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추진체계
54
<그림 Ⅱ-26>
2013년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 추진체계
57
<그림 Ⅱ-27>
무한상상실 내부 및 뱀로봇 작업과정 사진
62
<그림 Ⅱ-28>
‘춤바람 커뮤니티(FUN DANCE)’ 및 ‘게릴라춤판 : 빙글뱅글 서울유랑’
63
<그림 Ⅱ-29>
2015-2016 복작복작 예술로 프로젝트 프로그램 및 페스티벌(극단 해-나의 이 야기 극장, 후즈살롱-행화탕, 에스꼴라알레그리아-기쁨의 동네북 수색작전)
64
목차 | ix
<그림 Ⅱ-30>
‘거꾸로 놀이터’와 ‘동물원 놀이터’ 문화놀이 현장체험 프로그램
65
<그림 Ⅱ-31>
순천시 기적의 놀이터
66
<그림 Ⅱ-32>
부산 방과후행복카드
67
<그림 Ⅱ-33>
‘예술작업장 꼬물’과 ‘따듯한 바다’를 주제로 작품을 만드는 학생들
68
<그림 Ⅱ-34>
11기 수업 ‘친구에게 하고 싶은 말-팔찌만들기’,‘시를 읽고 놀이하기’
69
<그림 Ⅱ-35>
Saturday Arts Lab(1-8) 학생 작품(Collage) 및 활동사진
72
<그림 Ⅱ-36>
Living History와 Storytelling Benches 프로그램
74
<그림 Ⅱ-37>
African Dance와 Magic and Illusion
75
<그림 Ⅱ-38>
울프트랩(Wolf Trap)의 기관 내 프로그램과 가족참여워크숍
77
<그림 Ⅱ-39>
메이커 페어 작품 및 KID Museum’s Maker Studio작품
79
<그림 Ⅱ-40>
런던방문(The London visit) 및 정규수업(Classes)
81
<그림 Ⅱ-41>
아동‧청소년 작곡가 이니셔티브(Youth Music Initiative)프로그램
83
<그림 Ⅱ-42>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
84
<그림 Ⅱ-43>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프로그램
85
<그림 Ⅱ-44>
발틱 어드벤처 놀이터(Baltic Street Adventure Playground)활동 사진
86
<그림 Ⅱ-45>
리옹 오페라(Opéra de Lyon)의 초‧중‧고교생을 위한 아틀리에(Ateliers: écoles, collèges, lycées)
88
<그림 Ⅱ-46>
디지털 아트 창작 센터 르큐브(Le Cube)
90
<그림 Ⅱ-47>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의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famille)
92
<그림 Ⅱ-48>
몽트뢰이 대중의 집
93
<그림 Ⅱ-49>
이민사 박물관의 어린이 프로그램
95
<그림 Ⅱ-50>
라 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
97
<그림 Ⅱ-51>
슈트트가르트 청소년 극단
99
<그림 Ⅱ-52>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
100
<그림 Ⅱ-53>
크르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
101
<그림 Ⅱ-54>
WePUBLISH로 제작한 책과 키즈 오운 북커버
102
<그림 Ⅱ-55>
아트플레이(Art Play)의 전경 및 Studio Fantasy프로그램
104
<그림 Ⅱ-56>
호주국립미술관 전경 및 Learning Art lessons 수업자료로 소개된 James Gleeson의 ‘The Citadel(1945)’
106
<그림 Ⅱ-57>
가족프로그램과 오페라하우스 투어
107
x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58>
맬번 시의 2014-2017 예술전략
108
<그림 Ⅱ-59>
시그널(Signal) 전경과 Evolution program과 Signal street art 진행
109
<그림 Ⅱ-60>
ABC스튜디오 내부 및 카미시바이 연극박스
111
<그림 Ⅱ-61>
시앙세 예술센터 프로그램
113
<그림 Ⅱ-62>
Circus Cirkör Train Circus
114
<그림 Ⅱ-63>
서커스 트레이닝 프로그램
115
<그림 Ⅱ-64>
The Ark의 전경 및 5Day Animating Camp과 프로그램
117
<그림 Ⅲ-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
133
<그림 Ⅲ-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인지 경로
134
<그림 Ⅲ-3>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인지 경로
135
<그림 Ⅲ-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경험 여부
136
<그림 Ⅲ-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
137
<그림 Ⅲ-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동기
138
<그림 Ⅲ-7>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동기
139
<그림 Ⅲ-8>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꿈다락토요문화학교 참여자)
140
<그림 Ⅲ-9>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예슐교육이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141
<그림 Ⅲ-10>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142
<그림 Ⅲ-11>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143
<그림 Ⅲ-12>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반자
143
<그림 Ⅲ-1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만족도
145
<그림 Ⅲ-1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강사에 대한 만족도
145
<그림 Ⅲ-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장소에 대한 만족도
145
<그림 Ⅲ-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요일 및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
146
<그림 Ⅲ-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만족도
146
<그림 Ⅲ-1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146
<그림 Ⅲ-19>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내용 만족도
149
<그림 Ⅲ-20>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강사에 대한 만족도
149
<그림 Ⅲ-21>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장소에 대한 만족도
149
<그림 Ⅲ-22>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요일 및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
150
목차 | xi
<그림 Ⅲ-23>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효과에 대한 만족도
150
<그림 Ⅲ-24>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50
<그림 Ⅲ-2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과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비교
151
<그림 Ⅲ-2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적정 회차 수
152
<그림 Ⅲ-27>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장르(청소년)
153
<그림 Ⅲ-28>
향후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155
<그림 Ⅲ-29>
향후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예술교육이바뀐다 참여자)
156
<그림 Ⅲ-30>
연간 문화예술공연 직접 관람 횟수
159
<그림 Ⅲ-31>
연간 전시 직접 관람 횟수
160
<그림 Ⅲ-32>
연간 가족과 함께 문화생활을 한 횟수
161
<그림 Ⅲ-33>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선호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162
<그림 Ⅲ-34>
여가행태(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교)
167
<그림 Ⅲ-35>
긍정적 태도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169
<그림 Ⅲ-36>
자기표현 및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170
<그림 Ⅲ-37>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171
<그림 Ⅲ-38>
가족관계(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교)
173
<그림 Ⅲ-3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경험률
178
<그림 Ⅲ-40>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179
<그림 Ⅲ-41>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주관기관
180
<그림 Ⅲ-42>
단체 및 협회의 홍보 방식
184
<그림 Ⅲ-4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 겅험
185
<그림 Ⅲ-44>
꿈다락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에 대한 인식
185
<그림 Ⅲ-4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1)
187
<그림 Ⅲ-4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2)
188
<그림 Ⅲ-4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3)
189
<그림 Ⅲ-48>
협회 지원에 대한 만족도
190
<그림 Ⅲ-4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협회 만족도
191
<그림 Ⅲ-50>
단체가 느끼는 교육수혜자의 변화
192
<그림 Ⅲ-51>
협회가 느끼는 변화
193
xii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5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적정 회차 수
195
<그림 Ⅲ-53>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196
<그림 Ⅲ-5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수 프로그램 이수 경험 및 참여의향
197
<그림 Ⅲ-55>
참여한 연수 프로그램
198
<그림 Ⅲ-56>
희망하는 연수 프로그램
200
<그림 Ⅲ-5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201
<그림 Ⅲ-58>
학부모 비참여 이유 및 특성
208
<그림 Ⅲ-59>
청소년 비참여 이유 및 특성
209
<그림 Ⅲ-60>
주말 여가활동(학부모)
211
<그림 Ⅲ-61>
주말 여가활동(청소년)
211
<그림 Ⅲ-62>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213
<그림 Ⅲ-63>
학부모(자녀)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경험률
215
<그림 Ⅲ-64>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경험률
216
<그림 Ⅲ-65>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동반자
217
<그림 Ⅲ-66>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야
218
<그림 Ⅲ-67>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219
<그림 Ⅲ-68>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좋았던 점
220
<그림 Ⅲ-69>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선택 시 우선순위(학부모)
221
<그림 Ⅲ-70>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선택 시 우선순위(청소년)
222
<그림 Ⅲ-71>
믄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유형)에 대한 수요
223
<그림 Ⅲ-7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장르)에 대한 수요(학부모)
225
<그림 Ⅲ-73>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장르)에 대한 수요(청소년)
225
<그림 Ⅲ-7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의향
227
<그림 Ⅲ-75>
학부모(자녀)의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228
<그림 Ⅲ-76>
청소년의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229
<그림 Ⅲ-7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의향 없는 이유
230
<그림 Ⅲ-78>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습득 채널
231
<그림 Ⅲ-7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이미지
232
<그림 Ⅳ-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목표와 추진과제 (안)
265
목차 | xiii
<그림 Ⅳ-2>
중앙과 지역 간 역할 재조정(안)
267
<그림 Ⅳ-3>
꿈다락 음악학교의 구성(안)
276
<그림 Ⅳ-4>
꿈다락 미술학교 구성(안)
277
<그림 Ⅳ-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통합홍보체계(안)
281
<그림 Ⅳ-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홍보 브랜딩 전략의 주요요소(안)
282
<그림 Ⅳ-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단체 담당자들이 희망하는 연수 프로그램
286
xiv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요약 1) 연구배경 및 목적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2012년 주5일 수업제가 전면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매주 토요 일 아동ᐧ청소년이 가족과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문 화예술소양을 함양하고 또래 간, 가족 간 소통할 수 있는 여가문화조성을 목표로 시작됨 ○ 동 사업은 학교 수업이 없는 토요일에 아동․청소년들이 학교 밖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아동․청소년에만 국한되지 않고 ‘가족’으로까지 대상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현대 사회의 가족문제 해결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며, 또한 지역의 문화기반시설과 문화예술교육단체들이 지역의 주민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장 을 마련하는 등의 장점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 그러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유형 및 전달체계가 다원화되어 있고, 각 사업유형간 관계 또는 역할 배분 등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효과적․통합 적 추진에 한계로 작용하고 있음 ○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직접 운영사업의 경우 다양한 신규 프로그램이 개발․시행되 고 있으나 사업의 방향성이나 사업별 핵심 개념 정립은 다소 미흡하며, 차별적 브랜딩 전 략의 미흡으로 인한 홍보 부족 및 국민 인식 저조 등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추진현황 진단 및 사업 분석을 통 해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향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나아가야 할 추진방향 및 각 사업별 추진전략, 그리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또한 동 사업에 대한 효 과적 홍보 및 대내외적 국민 인식 확산 도모를 위해 사업전략 또한 함께 제시하고자 함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본 연구의 주요 분석대상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중에서도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에서 직접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12개 단위사업(공간기반 프로그램 5개,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7개)과 특별프로그램으로 포함되어 있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으로 총 13개의 단위사업임 ○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음 - 2012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전개과정 및 추진현황을 분석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국내외 유사사업에 대한 사례
요약 | xv
분석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아동, 청소년, 가족(성인))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사업 관계자에 대한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와 초점집단면접(FGI, Focused Group Interview)을 통해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도출 - 향후 참여가능성이 있는 아동․청소년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인식 및 수요조사 및 사업 비 참여자(아동․청소년과 학부모 등)에 대한 초점집단면접(FGI)을 통해 사업에 대한 인식, 미참여 이유, 사업에 대한 요구 및 기대사항을 파악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방향성 및 지향점을 제시하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홍보 프레임 도출 및 사업 브랜딩 전략을 수립 ○ 본 연구에서 활용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음 - 기존의 내부 행정자료, 연구보고서, 논문 등 학술자료, 통계자료 등에 대한 문헌분석 (literature review)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 및 비참여자의 ‘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와 ‘비참여 자의 인식 및 수요조사’ 설문조사(survey method) - 13개 세부 단위사업별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현장방문(field study) - 사업 관계자(사업 참여아동ᐧ청소년, 참여가족, 운영담당자, 강사, 협회담당자)에 대한 심 층인터뷰(in-depth interview) - 사업관계자, 프로그램 참여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 : Focused Group Interview)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관련 현장전문가,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자문회의
3) 국내외 유사사례의 분석 및 시사점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발전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국내외 사례를 다음과 같이 분 석함 <표 1> 국내외 사례분석 시사점 종합표 구분
국가 영국
토요일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미국 한국
장르적 범주의 확장과 체험/창작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확대
미국 영국
프로그램/주관기관 국립 미술‧디자인 토요클럽(National Art&Design Saturday Club) : 소렐재단 (The Sorrel Foundation) 토요예술실험실(Saturday Arts Lab) : 뉴욕주립대학교 예술대학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교육부) 토요방과후 프로그램(교육부) 토요문화예술동아리(교육부) 토요돌봄교실(초등돌봄교실)(교육부) 토요예술실험실(Saturday Arts Lab) : 뉴욕주립대학교 예술대학 아동‧청소년 음악 이니셔티브(Youth Music Initiative) : 크리에이티브 스코 틀랜드(Creative Scotland)
xvi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Shakespeare Schools Festival) : 셰익스피어 재단 (Shakespeare Foundation) 댄스 매직 댄스(Dance Magic Dance) : 크리에이티브 에이징(Creative Ageing) 독일 노르웨이 프랑스
가족 프로그램의 확대
아일랜드 호주 벨기에 한국 미국 호주 프랑스 스웨덴
STEM과목과 연계된 통합예술교육 및 주제중심교육 강조
미국 한국 한국
메이커 프로젝트 열풍
예술가 레지던시와 결합한 공간 기반 예술교육프로그램
영국
프랑스
독일 벨기에 미국
지역의 역사 및 콘텐츠와 결합한 공공예술 프로젝트로서의 예술교육
영국
한국
문화예술교육 전달수단의 다양화 : 온라인 교육, 바우처 활용 탈학교 청소년 및 이민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호주 한국 호주 프랑스
슈트르가르트 청소년극단 프로그램(Junges Ensemble Stuttgart)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HIP HOP ACADEMY HAMBURG) : 쿨투어팔라 스트 함부르크(KulturPalast Hamburg) 메아리연극(Echo theater) : 시앙세 예술센터(Seanse Art Center) 초‧중‧고교생을 위한 아틀리에(Ateliers: écoles, collèges, lycées) : 리옹 오 페라(Opéra de Lyon) 디지털 아트 창작 센터 르큐브(Le Cube – Centre de création numérique) 5Day Animation Camp: Making the Films : 디 아크(The Ark) 키즈 오운 퍼블리싱 (Kids’s Own Publishing) 프로젝트 ABC하우스 : ABC(Art Basics for Children) 서울댄스프로젝트 ‘춤바람 커뮤니티’(서울문화재단) 가족워크숍(Family workshop) : 뉴 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 스튜디오 판타지(Studio Fantasy) : 아트플레이(Art Play)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famille) :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 학교과목과 서커스(School Subjects and Circus) : 서커스 시스쾨르(Circus Cirkör) 유아예술교육 인스티튜트(Early Learning Institute through Arts) : 울프트랩 (Wolf Trap) 예술로 플러스(서울문화재단) 삶의 학교(고무신학교) 무한상상실 ‘영메이커 프로젝트’(과천과학관) 메이커 스튜디오 프로그램(Maker Studio program) : 키즈 뮤지엄(KID Museum) 및 메이커페어(Maker Faire) 몽트뢰이 대중의 집(Maison populaire à Montreuil)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famille) :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 라 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La Coursive scène nationale La Rochelle)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 센터 (Kinderkreativzentrum Krokoseum) ABC하우스 : ABC(Art Basics for Children) ‘옛날 옛적 필라델피아에서는’(Once Upon a Nation in Philadelphia) : Historic Philadelphia 발틱 스트리트 어드벤처 놀이터(Baltic Street Adventure Playground) : 어셈블(Assemble) 문화놀이터(서울문화재단) ‘기적의 놀이터’ 제 1호 엉뚱발뚱(순천시) 복작복작 예술로 골목길 프로젝트 “복작복작 예술로(路)”(서울문화재단)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온라인 예술교육(Learning Art lessons) : 호주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디지털 창의교육 프로그램(Digital Creative Learning Program)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방과후행복카드 (舊 부산 토요스쿨패스카드) 에볼루션 프로그램(Evolution program) : 시그널(Signal) 이민사 박물관(Musée de l’histoire de l’immigration)
요약 | xvii
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분석 ○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한 아동ᐧ청소년 및 가족, 운영 담당자 및 강사, 협회 관계자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다음의 표와 같음. <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 설문조사 결과요약
참여자의 만족도와 효과
참여단체 및 협회의 만족도
• 참여경험률 : 학부모(100%), 아동(20%), 청소년(23%) • 인지경로 : 학부모 (지인을 통해 34.5%, 가족/친척 12.6%, 인터넷검색 10.7%) 청소년 (학교안내 31.8%, 친구/지인 29.3%, 가족/친척 26.4%)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경험률 : 14.7% • 참여동기 : 유익할 것 같아서 > 가족이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체험하기 위해 >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어서 • 참여경험이 있는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 학부모(문화시설 > 방과후 학교), 청소년 (문화시설, 학교동아리 프로그램 >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 91.7점 (타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 83.3점) • 향후 참여하고 싶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 주말문화여행 > 미술관 연계 > 가족오케스 트라․합창의 순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 재미와 즐거움 > 문화예술교육 > 토요일 > 체험 > 가족 • 효과 : 비참여자에 비해 참여자의 연간 문화예술공연 직접 관람 횟수, 전시 관람 횟수, 가족과 함 께 문화생활을 한 횟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남. 또한 비참여자에 비해 참여자가 긍정적 태도, 자기표현, 학교생활, 친구관계, 사회적 자본, 가족관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남. • 참여경험률 : 단체(73.8%), 협회(100%) •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 : 단체(57.3%), 협회(75%) • 참여동기 : 기관 고유목적과 관련 > 문화예술교육사업에 대한 관심 > 기관운영에 도움 • 홍보방식 : 현수막․홍보자료 > 눈 > 인터넷 홈페이지 > 학교․교육청 공문 등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경험률 : 단체(73.8%), 협회(100%)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 단체(77.8점), 협회(79.1점) • 사업 효과 : 교육 참여자들의 표정이 밝아지고,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게 되었고, 성격이 긍정 적으로 변했고, 자신감이 생기고,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다른사람을 더 배려하고 이해 하게 된 것으로 인식 • 향후 참여하고 싶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 지역연계 꿈다 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 주말문화여행 > 박물관 연계 등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수 프로그램 이수경험률 : 37.9%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수 프로그램 참여의향 : 94.2% • 희망하는 연수프로그램 : 기획능력개발 > 통합워크숍 > 소통능력 개발 > 대상에 대한 이해 등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 문화예술교육 > 재미와 즐거움 > 토요일 등 • • • •
비참여자의 수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지도 : 학부모(18.9%), 청소년(15.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비참여이유 : 몰라서 > 시간이 없어서 > 문화예술에 관심이 없어서 문화예술교육경험률 : 학부모(32.6%), 청소년(22.8%)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장르 : 학부모(연극/뮤지컬 > 음악 > 미술), 청소년(음악 > 연극/뮤 지컬< 미술)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선택 시 우선순위 :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 > 장소의 접근성 > 요일 및 시간 > 비용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 - 체험/창작 > 관람/감상 > 기능심화/기술 > 지식/이론 - 기분전환/스트레스 해소 > 자신감/자존감 향상 > 상상력/창의력 증진 > 사회성 향상 - 놀이 중심 > 신체활동 중심/가족과 함께 참여
xviii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원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장르 - 학부모 : 음악 > 연극/뮤지컬 > 미술 > 영화/영상/미디어 > 문학/인문학 - 청소년 : 음악 > 영화/영상/미디어 > 연극/뮤지컬 > 문학/인문학 >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의향 : 학부모(86.4%), 청소년(58.6%) • 향후 참여하고 싶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 학부모 : 주말문화여행 >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 미술관 연계 - 청소년 :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 미술관 연계 > 주말문화여행 • 향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의향이 없는 이유 - 학부모 : 시간이 없어서 >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없어서 > 문화예술에 관심이 없어서 - 청소년 : 시간이 없어서 > 문화예술에 관심이 없어서 >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없어서 •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습득 채널 - 학부모 : 인터넷 검색 > 학교 안내 > 친구/지인 > 눈 - 청소년 : 학교 안내(42.8%) > 인터넷 검색 > 눈 > 친구/지인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 학부모 : 문화예술교육 > 체험 > 재미와 즐거움 - 청소년 : 문화예술교육 > 체험 > 꿈
○ 그간 진행되어 온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성과는 다음과 같음 - 문화예술대상의 확대 - 문화예술교육 범주(스펙트럼)의 확대 - 문화예술교육 공간의 확대 : 문화예술 거점공간의 발굴 및 형성 - 밀도 높고 수준 높은 주말문화프로그램으로 브랜드 가치 구축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통한 꿈다락 세대의 발아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가지고 있는 한계는 다음과 같음 - 사업의 차별적 정체성과 가치․목표의 공유, 구조적․체계적 정합성 미흡 - 통합적 전략기획 및 성과관리 미흡 - 특정집단에 의한 중복 수혜, 소외게층 모집에 애로 - 강사 중심의 프로그램 진행, 프로그램의 차별성 확보에 어려움 - 학교 문화예술교육과의 연계 및 협력체계 미흡 - 문화예술교육 공간 확보의 어려움 - 토요일 운영의 어려움, 사업 준비기간의 부족 -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 대한 워크숍 참여 기회 부족 - 내부 담당자의 적극적 참여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 부족 및 외부 강사 중심의 프로그 램 운영 - 무료 수업 운영으로 인한 참여자 출석률 저조 및 책임의식 부재 - 사업 인지도 저조, 공식 홈페이지 인지도 및 활용률 저조, 통합홍보체계의 취약성, 학교 를 통한 홍보 미흡
요약 | xix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이상의 분석을 통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 시함 <그림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목표와 추진과제(안)
비전
예술의 무한한 잠재력을 경험하는 배움의 광장, 토요문화학교 : 문화예술로 생각하고 꿈꾸고 표현하라 학교에서는 할 수 없었던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목표
▪문화예술 향유 범위/수준의 확장을 통한 예술의 가치 체감과 예술적 통찰력의 체득 ▪창작을 통한 자기 표현과 꿈의 모색 ▪타인과의 교감 및 공동체의식 함양 ▪예술특화교육으로서의 토요문화예술교육 - 예술적 수월성의 확보, 예술가와의 결합을 통한 예술적 작업방식과 통찰력 체험 ▪과정(철학)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 참여자 주도성 확대 : 교육(education)에서 배움(learning)으로
핵심전략
- 장르기반 교육에서 통합예술교육으로 - 삶과 유리된 예술교육에서 삶에 밀착된 예술교육으로 (생활의제, 지역의제와 연계) ▪혁신적․실험적 프로그램의 발굴과 보급 - 프로젝트적 성격의 강화 ▪연계․공유 프로그램의 확대
추진과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수요에 부응하는
토요문화학교사업
정체성의 공유와 확산
홍보전략 수립 및 운영개선
통합지원체계 구축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네트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통합워크숍 추진
세부추진 과제
▪ 중앙단위 기획사업과 지역연계 사업간 역할․ 기능 재조정 ▪ 연계․공유 프로그램 확대 ▪ 기획사업 구조 개편
xx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워크
▪통합홍보체계 구축 ▪운영방식의 유연성 제고 ▪인센티브 시스템 마련 ▪공간 및 기자재 지원 확대
허브로서의
리더십
확보 ▪연구기능 강화(프로그램 개 발 랩(lab)실 설치) ▪성과관리 및 평가체계 구축 ▪기획관리자 및 강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확대
Abstract
An evaluation study of Kumdarak Toyo culture school Project
Yang, Hye-won Research Fellow,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Jung, Min-ryong Director, Gwangju Buk-gu Cultural Center
Choi, Bo-yeon Associate Research Fellow,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Park, Jong-woog Fellow,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 Youth groups started to develop cultural art knowledge with their families during the weekends after Korean schools started the five -study-day week in 2012; this program was initiated to develop communication to thereby improve leisure culture development between families and friends. ○ This program has been continuously spread thanks to its advantages of offering a variety of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s for youth groups to enjoy outside of school, its expansion of youth group’s “family”
participation, and its linking of local
cultural infrastructure with local residents. ○ However, the types and delivery systems of Kumdarak Toyo Culture School projects are diversifi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s and the allocation of roles are not clearly defined. ○ In addition, the lack of publicity was noted due to lack of a discriminative brand strateg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of Kumdarak Toyo Culture School; thus, we intend to draw up the direction of the Kumdarak Toyo Culture School project and the promotion and branding strategies for each future project .
Abstract | xxi
□ Scope and Methodology ○ This study studies 13 projects, including 12 unit projects that are directly operated by the Korea Culture & Arts Promotion Agency, and a special program (the “arts education is changed” program). ○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the analytical review of existing internal administrative data, research reports, and articles; surveys of both project participants and non- participants; visiting 13 projects; in-depth interviews with project-related people: Focus group interviews(FGI) with project-related people, program participants, and
experts;
an
advisory
conference
with
Kumdarak
Toyo
Cultural
School
Project-related field experts and academic experts.
□ Analysis of similar cases ○ 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Saturday ○ The expansion of the genre category and experience/creation–centered cultural arts education ○ The expansion of family programs ○ The emphasis on integrated art education related to STEM subjects and subjectoriented education ○ The fervor
for the maker project
○ Space-based arts education program combined with artist residency ○ Arts education based on public art projects combined with local history and content ○ The diversification of cultural art education: online education and voucher utilization ○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youth groups who left the school system and immigrated to Korea
□ Analysis of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 Achievements - Expansion of cultural arts targets - Expansion of the cultural arts education category - Space expansion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Development and formation of
xxii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spaces for cultural art - Developing brand value with high-quality weekend culture programs - The germination of Kumdarak generation through the Kumdarak Toyo culture school ○ Limitations - It is difficult to manage integrated strategic planning and performance due to the heavy work load of the Korea Culture & Arts Promotion Agency. - Problems with duplicate benefits to specific groups and difficulties in recruiting underprivileged youth groups. - Inadequacy of differentiation from other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lack of cooperation with school cultural arts education,
and the lack of effective
cooperation systems. - Strict application of the requirement for securing the self-sufficiency of cultural arts education spaces and the concept of “out of school.” - Difficulties due to limited time for program operation, and the difficulty of long-term support. - Lack of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workshops on educational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 Limitations due to the inability to execute internal staff lecture fees and the lack of a sense of responsibility due to free class operation - Low awareness of the Kumdarak Toyo Cultural School Project and the low utilization rate for the project website
□ Policy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 Vision : The learning Plaza for experiencing the infinite potential of Art, Toyo Culture School projects ○ Goal - appreciation of art and learning of artistic insight - self-expression and searching for dreams through creation - cultivation of empathy and solidarity ○ Core Task - sharing and diffusion of project identity
Abstract | xxiii
- establishing publicity strategy which meet the demands - operational improvement - building up the Integrated support system
xxiv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Ⅰ.머리말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Ⅰ. 머리말 1. 연구배경 및 목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2012년 주5일 수업제가 전면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매주 토요일 아동․청소년이 가족과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문화예술 소 양을 함양하고 또래 간, 가족 간 소통할 수 있는 여가문화 조성을 목표로 시작되었다. 동 사업은 학교 수업이 없는 토요일에 아동․청소년들이 학교 밖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단순히 아동․청소년에만 국한되지 않고 ‘가족’으로까지 사업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현대 사회의 가족문제 해결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또한 지 역의 문화기반시설과 문화예술교육단체들이 지역의 주민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장 을 마련하는 등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가진 장점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전개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2012년에 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전국 16개 시․도별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및 6개 국공립 문화 예술기관과 협력하여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장르 융합 프로그 램(아우름 프로그램)’과 주제별․장르별로 특성화된 심화교육을 통해 문화예술의 가치를 일깨우는 ‘주제특화 프로그램(차오름 프로그램)’으로 이원화하여 추진되었다. 2013년에는 기존의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연계사업 외에 다양한 참여자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가족 오케스트라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등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프로그램 사업이 더해졌으며,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인 예술 감상교육, 토요 건축문화학교, 토요 미디어문화학교 사업이 추가되었다. 2012년과 2013년에 광 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연계사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부사업으로 진행되었으며, 2013 년부터는 지역 내 문화기반시설 및 예술단체가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졌다. 2014년부터는 사업이 더욱 크게 확대되어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기획사업, 그리고 17개 시․도 지방비 매칭을 통해 이루어지는 지역 연계사업의 3개 유형으로 추진되고 있다.
Ⅰ. 머리말 | 3
<표 Ⅰ-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구조의 변화 2012년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 예술감상교육 - 토요 건축문화학교 - 토요 미디어문화학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 국공립기관 연계사업 - 국공립기관 연계 •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가족오케스트라 연계사업(한국문화예술교 - 도서관 연계 육진흥원 교부사업) - 주말문화여행 -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 해외 유수 프로그램 연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연계사업(한국문화예술교 육진흥원 교부사업)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 예술감상교육 - 토요 건축문화학교 - 토요 미디어문화학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 국공립기관 연계 - 미술감상교육 - 통합예술감상교육 - 박물관 연계 - 도서관 연계 - 가족오케스트라-합창 - 주말문화여행 -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 콘텐츠 발굴 확산 프로그 램(어린이는 무엇을 믿는 가, 꼬마작곡가, 아리랑) •지역 연계사업(17개 시・도 지방비 매칭)
2015년~현재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 예술감상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 국공립기관 연계 - 미술관 연계 - 박물관 연계 - 도서관 연계 - 가족오케스트라-합창 - 주말문화여행 -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 꼬마작곡가 - 아리랑 - 건축문화 프로그램 •지역 연계사업(17개 시・도 지방비 매칭)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이에 따라 2012년 50억원에 불과했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예산은 2016년 306.9억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약 76.9억원, 지역연계사업 약 200억원, 문화체육관광부 기 획사업 약 30억원)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참여자의 수는 2012년 9,886명에서 2016년 약 68,428명(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약 11,607명, 지역연계사업 약 29,821명, 문화체육 관광부 기획사업 약 27,000명)으로 확대되었다. 2015년 기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중 한 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주관하는 기획사업의 경우 약 122억원의 예산으로 총 14개의 세부사 업, 305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총 17,568명이 참여했으며 2016년에는 약 76.9억원의 예산으로 약 225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1) 또한 사업 참여자의 만족도 및 재참여의향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여가문화조성, 정서함양 및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 공동체의식 함양 및 소통, 인성 및 감성 발달 등에 상당 한 성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2)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유형 및 전달체계가 문화체육관 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다원화되어 있고, 각 사업유형간 관 계 또는 역할 배분 등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음에 따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효과적․통합 적 추진에 일정한 한계가 노정되고 있다. 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자료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평가. 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직접 운영사업의 경우에도 다양한 신규 프로그램이 개발․시행되 고 있으나 사업의 방향성이나 사업별 핵심 개념 정립은 다소 미흡한 부분이 지적되었으며, 차별 적 브랜딩 전략의 미흡으로 인한 홍보 부족 및 국민 인식 저조 등의 문제 또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추진현황 진단 및 사업 분석을 통해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향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나아가야 할 추진방향 및 각 사업별 추진전략, 그리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 업에 대한 효과적 홍보 및 대내외적 국민 인식 확산 도모를 위한 사업전략 또한 함께 제시하고 자 한다.
Ⅰ. 머리말 | 5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1) 대상적 범위 본 연구에서의 주요 분석대상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중에서도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에서 직접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12개 단위사업(공간기반 프로그램 5개, 콘텐츠 기반 프로 그램 7개)과, 특별프로그램으로 포함되어 있는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이하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으로 총 13개의 단위사업이다. 2016년 기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12개 단위사업에 약 51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며, 약 19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는 15개의 프로그램에 약 7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표 Ⅰ-2>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직접 운영 사업) 구분
공간기반 프로그램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특별프로 그램
세부 사업명 ㅇ ㅇ ㅇ ㅇ ㅇ ㅇ ㅇ ㅇ ㅇ ㅇ ㅇ ㅇ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기획사업 포함)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신규기획) 건축문화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소 계
ㅇ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총계
프로그램 수 (단위:개) 24 31 22 26 16 29 10 24 19 5 9 10 225
예산 (단위: 억원) 4.1 5.4 8.0 6.16 1.84 2.8 4.75 2.22 5.0 3.0 5.5 2.2 50.97
수혜자 수 (단위: 명) 2,015 3,260 999 1,638 320 540 515 360 840 100 590 430 11,607
15
7
550
240
57.97
12,157
다만 현 시점에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가지는 위상과 역할을 가늠하고, 향후 동 사업 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16개 시․도별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통해 수행되고 있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시․도 지역연계사업’에 대한 분석도 수행하였다. 또한 꿈다락 토요문 화학교사업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 업’과 기타 국내외 유사사업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과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향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추진에 있어 새로이 반영할 수 있는 요 소를 발굴하였다. 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2) 내용적 범위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12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 교 사업의 전개과정 및 추진현황을 분석한다. 둘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발전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국내외 유사사업에 대한 사례분석 을 수행한다. 셋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아동, 청소년, 가족(성인))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사업 관계자에 대한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와 초점집단면접(FGI, Focused Group Interview) 을 통해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도출한다. 넷째,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하지는 않았으나, 향후 참여가능성이 있는 아 동․청소년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인식 및 수요조사 실시, 사업 비참여자(아동․청소년과 학부모 등) 에 대한 초점집단면접(FGI)을 통해 사업에 대한 인식, 미참여 이유, 사업에 대한 요구 및 기대 사항을 파악한다. 다섯째, 국내외 사업 현황 조사, 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 및 비참여자 인식 조사 등을 종합 분석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방향성 및 지향점을 제시하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홍보 프레 임 도출 및 사업 브랜딩 전략을 수립한다.
2) 연구방법 (1) 문헌검토(literature review)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추진현황, 성과와 한계, 개선방향, 국내외 유사사례에 대한 분석 을 위해 기존의 내부 행정자료, 연구보고서, 논문 등 학술자료, 통계자료 등에 대한 문헌분석 (literature review)을 수행하였다.
(2) 설문조사(survey method)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 및 비참여자(비참여자)의 동 사업에 대한 인식, 만족도, 수 요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와 ‘예비 참여자의 인 식 및 수요조사’를 수행하였다. 먼저 ‘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는 단위사업 운영 단체 및 협회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 였고, 이들 운영단체 및 협회의 협조를 얻어 교육참여자(아동, 청소년, 가족(성인)에 대해 구조 화된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전수 발송하되, 회수율은 단 체 및 협회의 경우 50% 내외, 교육참여자의 경우 약 10% 내외로 설정하였고 설문문항은 사업
Ⅰ. 머리말 | 7
참여 현황 및 양태, 만족도 문항을 포함하되, 사업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도 추가하였 다. 한편 사업 참여자의 유형(참여 프로그램 유형, 사업 참여 경험,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에 따 라 만족도 및 효과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을 고려한 교차분석을 실시하 였다.
∙ 조사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 조사기간 : 2016년 11월 8일~2016년 12월 5일 (약 4주) ∙ 조사방법 : - 단체 및 협회 조사 : 이메일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조사 - 교육참여자 조사 : 우편을 통한 배포조사 - 비참여자 조사 : 이메일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조사 <표 Ⅰ-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단체 및 협회 만족도 조사 구분
세부 사업명 ㅇ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기획사업포함)
공간기반 프로그램
단체 및 협회 응답샘플 수
24
12(1)
(사)한국박물관협회
31
23(1)
ㅇ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10
10
ㅇ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26
20
ㅇ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신규기획)
-
16
8
ㅇ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사)한국건축가협회
(2)
ㅇ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
10
6
ㅇ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
1
1
ㅇ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
19
9
ㅇ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
1
1
ㅇ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9
7
ㅇ 아리랑 프로그램
-
10
8
157
103(4)
15
19
172
122(4)
소 계 특별 프로그램
운영단체 수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ㅇ 건축문화 프로그램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협력 협회
ㅇ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총계
주 : ( )은 협회 응답 수
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Ⅰ-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교육참여자(아동, 청소년, 학부모) 만족도 조사 구분
공간기반 프로그램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수혜자 수 (단위: 명)
세부 사업명 ㅇ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기획사업 포함)
1,999
99
ㅇ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ㅇ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3,272 999
88 102
ㅇ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1,529
223
ㅇ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신규기획)
329
118
ㅇ 건축문화 프로그램
540
50
ㅇ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515
126
ㅇ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309
64
ㅇ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840
77
ㅇ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00
6
ㅇ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590
75
ㅇ 아리랑 프로그램 소 계 특별프로그램
응답 샘플 수 (단위 : 명)
ㅇ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430
46
11,452
1,075
550
264
‘비참여자(비참여자)에 대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식 및 수요조사’의 경우 2016년 현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가 아닌 비참여자(초․중․고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인식, 미참여 이유, 기대사항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조사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패널 리스트를 토대로 전국 단위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 비례 할당표집 방식을 통해 1,200명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사업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업 참여자와 비참여자에 대해 동일한 설문문항에 대한 조사․분석도 수행되었다(참여자-비참여 자 비교 분석). 한편 만14세 미만의 비참여자(초등학생)의 경우 조사업체의 패널 리스트 확보가 어려우므로, 학부모에 대한 조사를 통해 자녀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및 수요를 파악하였다. <표 Ⅰ-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비참여자 조사 구분
목표표본 수
응답샘플 수
14~19세의 청소년
500명
500명
(자녀의 나이가 8세~19세에 해당하는) 20세 이상 학부모
700명
700명
(3) 현장방문과 심층인터뷰 및 초점집단면접(FG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와 한계, 향후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인 분석을 위해 13개 세부 단위사업별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현장방문(field study) 및 교육프로그램 관찰, 사업 관계자에 대한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 사업관계자, 프로그램 참여자, 전문가를 대상으 로 초점집단인터뷰(FGI : Focused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였다. 세부 단위사업 프로그램의 내용, 유형, 특성, 시행 연차를 고려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중심으로 현장방문 및 교육 프로그램 관찰이 이루어졌으며, 현장방문 시
Ⅰ. 머리말 | 9
사업 관계자(단체, 강사, 교육참여자)에 대한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 수행을 통해 정성 적 운영 성과 및 개선 필요사항을 확인하였다. 교육참여자(수혜자)에 대한 인터뷰의 경우 참여 대상이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도록 사전에 구성을 요청(연령, 프로그램 참여 경험(연차) 등)하여 FGI 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여기에서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비참여자(비참여자)에 대한 FGI 수행을 통해 동 사업에 대한 인식 및 수요를 질적으로 파악하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현장전문가,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여 동 사업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에 대한 자문을 얻었다. <표 Ⅰ-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관계자 인터뷰 및 FGI 방문 일자
프로그램
지역 및 시설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10/29(토)
Play with Art on Saturday (PAT)-팟!
서울 성동구 헬로우뮤지움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10/15(토)
시끌벅쩍 짚풀마을 뉴스
서울 종로구 짚풀생활사박물관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11/19(토)
연극으로 읽는 동화
서울 강남구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10/29(토)
숲속 도서관, 문학이 자란다
서울 금천구 독산도서관
작은도서관 기획사업
11/12(토)
마음에 꽃 핀 큰나무
인천 남구 큰나무도서관
건축문화 프로그램
10/22(토)
행복을 담는 건축학교
부산 남구 UN평화기념관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10/29(토)
나무나루가족합 창단
전남 목포시 목포문화예술회관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1/5,11/6 (토,일)
그림으로 기록하는 여행
강원 영월군
10/15(토)
예술로 꿈틀하기
11/26(토)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서울 중구 DDP유어스빌딩 경남 거창군 거창도서관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1/12(토)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인천 연수구 연수문화원
윤선경 팀장(연수문화원) 주강사 이의정 외 2명 참여학생 3명
아리랑 프로그램
10/23(일)
날좀보소-아리랑 동동 시즌2
경남 밀양시 공간-나눔
김금희위원장, 이대형사무국장 (밀앙아리랑콘텐츠사업단) 참여학생 및 학부모 다수
단위사업
1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참석자 박태린 담당자(헬로우뮤지엄) (사)사립미술관협회 관계자 2명 주강사 박세희 외1명 참여학생 1명 주강사 민지은(짚풀생활사박물관) 한국박물관협회 관계자 2명 고정주 주무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주강사 박경진 외 1명 참여학생 3명 조민지 담당자(독산도서관) 주강사 이여진 학부모 2명 김영아 담당자(큰나무도서관) 주강사 서희경 강주연(한국건축가협회 부산지회) 유창욱 교수님 외 3명 참여학생 및 학부모 박대성 팀장(목포문화재단) 주강사 김태영 감독 외 3명 참여자 2명(참여학생 및 가족) 주강사 김물길 작가 참여가족 2팀 주강사 박선양 참여학생 2명 주강사 백장미 작가
방문 일자
단위사업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프로그램
지역 및 시설
참석자
11/19(토)
오색빛아리랑
광주 남구 아츠펀
고지영 담당자 (문화예술교육 아츠펀) 주강사 윤종금 외2명 참여학생 5명
11/25(금)
오페라여행, 출발! 꿈을 찾아서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
노운병 교수님 외 2명 주강사 남민아 외 2명 참여학생 2명
<표 Ⅰ-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비참여자 FGI 일시
장소
2016.12.17. (11:00~13:00) 2016.12.17. (14:00~16:00)
참여자
마크로밀 엠브레인 좌담회실
학부모 8명 (초등학생 자녀 3명, 중학생 자녀 3명, 고등학생 자녀 2명) 청소년 8명 (중학생 4명, 고등학생 4명)
(4) 전문가 자문회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관련 현장전문가,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 업의 성과, 한계, 개선과제, 향후 사업의 방향성과 지향점, 사업 브랜딩 전략에 대한 전문가 자 문회의를 개최하였다. <표 Ⅰ-8> 현장조사 및 관계자 인터뷰 진행 구분
일시
장소
참석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 담당자 워크숍
9/26(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가족문화팀 사업담당자
11/1(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권순석 대표(문화컨설팅 바라) 임미혜 본부장(서울문화재단) 조재경 대표(고무신 학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지연 대표 (교육연극연구소 프락시스) 윤현옥 대표(aec비빗펌) 이지선 교수(숙명여자대학교)
전문가 자문회의 12/13(화)
Ⅰ. 머리말 | 11
Ⅱ.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전개과정 2.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3. 국내외 유사사례 분석
Ⅱ.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전개과정 1) 2012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전개과정 (1) 목표 및 대상 2011년 주 5일제 수업을 대비한 시범사업이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전신인 2009년부 터 학교교육과정 내 창의성과 인성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시행된 ‘문화예술기관 문화학교 운영사 업’은 지역문화예술기관과 협력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후 2012년에 주 5일제 수업이 전면 실시되면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가 실시되었다. 동 사업은 아동․청소년의 여가 문화 및 가족 학습 문화 조성에 일조함으로써, 세대‧계층‧가족 간 공동체 화합 유도 및 지역의 다양한 문화예술 전 문 기관․단체가 참여하여 콘텐츠 개발․운영함으로서 청소년 창의․인성 교육 기회 확대 및 문화예 술교육 활성화 도모를 목적으로 한다. 2012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은 전국 아동·청소년 혹은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추진체계 및 사업유형 2012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추진하고 국ᐧ공립 기관이 직접 연계하여 시행된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과 광역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연계 로 추진되 었다. 2012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의 전체 예산은 5,000백만 원으로 편성되었으며, 전체 151개의 프로그램(아우름 프로그램 16개, 차오름 프로그램 135개)이 운영되고, 아동·청소년 및 가족이 9,886명 참여, 753명의 예술강사가 활동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국·공립기관 연계프로그램은 차오름(주제특화)프로그램으로 6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으로 국립중앙박 물관, 소마미술관, 국립극장, 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박물관, 아시아문화 네트워크/구리시립도서관과 협력하여 진행되었다.
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 20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5
광역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프로그램은 공모사업으로 ‘꿈다락-차오름(주제특화)프로그램’을 운 영하고, 기획사업으로 ‘꿈다락-아우름(장르융합)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차오름 프로그램은 329 개의 기관이 공모를 접수하여 최종 129개의 기관이 선정되어 운영하였으며4), 선정 기관별 최대 30백만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5) <표 Ⅱ-1> 2012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추진 체계 유형
기획형
공모형
추진방식
운영주체
교육진흥원 협력 기획
국·공립 문화예술 기관
16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직접기획
16개 시·도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16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공모진행
문화예술기관
운영프로그램 주제특화프로그램 (차오름 프로그램)
(단위:백만원) 규모
예산
6개
-
장르융합프로그램 (아우름 프로그램)
16개
-
주제특화프로그램 (차오름 프로그램)
129개
-
총합
5,000
출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연구 - 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
2) 2013년~2015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전개과정 (1) 목표 및 대상 2013년부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운영사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회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운영되었다. 2013년~2015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단체에서 아동·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는 토요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운 영하여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 간·가족 간 소통할 수 있는 여가문화를 조성하고자 하 는 목적에서 시행되었다. 사업 참여 대상은 아동·청소년 및 가족으로 하되, 세부 프로그램별로 해당하는 대상의 참여를 장려한다.
(2) 추진체계 및 사업유형 2013년부터 현재까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전반적인 추진체계는 문화체육관광부 총괄, 한 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업계획 수립 및 방향설정, 운영기관 공모, 선정, 지원 등의 사업운영 의 전반을 관리하는 역할 수행 및 기획사업 운영, 광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의 연계하는 체 계로 운영되고 있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각 단위사업 별로 협력의 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꿈다락토요문화학교차오름(주제특화)프로그램 최종선정결과 안내. 5) 서울문화재단 2012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 주제특화프로그램 운영기관(단체)공모 안내. 1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필요에 따라 다양한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2013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사업 유형은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기획사업과 16개 시·도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연계사업으로 구성되었다. 문화체 육관광부 기획사업은 토요건축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토요미디어문화학교 3가지사업을 운영하 였는데 토요건축문화학교는 (사)한국건축과협회와의 협력을 통해, 예술감상교육은 (사)한국문화 예술회관연합회와의 협력을 통해, 토요미디어문화학교는 (사)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와의 협력으 로 실행되었다.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은 기존의 광역지원연계사업과 국ᐧ공립 기관 연계사업의 규모를 확대하였고, 새로운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기획사업(가족오케스트라 프로 그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등)을 신설하였다. 또한 해외 유수 프로그램 연계를 통해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을 신설하였 다. 마지막으로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연계사업은 각 센터별 사업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내 문화기반시설 및 예술단체가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2013년 꿈다락 토요문 화학교의 운영사업의 전체 예산은 18,000백만 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전국에서 537개의 프로그 램이 운영되었고, 프로그램 참여 인원은 29,116명으로 집계되었다(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예 산 및 프로그램, 참여인원 제외). 2014년에도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은 계속 유지되었고,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기획사업 에서 작년 해외 유수 프로그램 연계를 통해 발굴한 신규 프로그램을 토대로 콘텐츠 발굴 확산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운영하며 지속적인 사업의 확대와 추진체계의 다양화를 이끌었다. 또한 세부사업별 방향성 점검 및 현장점검 강화를 통한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기위해 노력하였다. 2014년의 신규 프로그램은 미술감상교육, 통합예술감상교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이 있으며, 신규 프로그램 중 미술감상교육과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은 각각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와 (사) 한국박물관협회와 협력으로 운영되었다. 201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운영사업의 전체 예산은 20,687백만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전국에서 812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고, 프로그램 참여 인원 은 45,017명으로 집계되었다(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예산 및 프로그램, 참여인원 제외). 2015년도는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은 예술감상교육과 토요 미디어 문화학교는 그대로 유지 하되, 토요 건축문화학교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부사업으로 변경되면서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과 (사)한국건축가협회와 적극적인 협력체계가 구축되었다.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의 기획사업 중 미술감상교육이 미술관 연계사업으로 사업명이 변화하였고, 콘텐츠 발굴 확산 프로그램으로 묶여있던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이 각각 의 단위사업으로 운영되었다. 2015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운영사업의 전체 예산은 22,187백 만 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전국에서 737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고, 프로그램 참여 인원은 37,939명으로 집계되었다(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예산 및 프로그램, 참여인원 제외).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7
<그림 Ⅱ-1> 2013년-2015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추진체계 문화체육 관광부
문화부 기획 사업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2013 토요건축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토요미디어문화학교
2014 토요건축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토요미디어문화학교
국공립기관 연계사업 미술감상교육 국·공립 연계사업 박물관 연계사업 한국문 도서관 연계사업 도서관 연계사업 화예술 가족오케스트라사업 교육진 통합예술감상교육 주말문화여행 흥원 가족오케스트라-합창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주관 주말문화여행 기획 해외유수프로그램 연계사업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사업 (뉴욕필하모닉, 독일 리틀 콘텐츠 발굴 확산프로그램 아트)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꼬마작곡가, 아리랑)
각 시·도 광역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연계사업
2015 예술감상교육 토요 미디어 문화학교
국공립기관 연계사업 미술관 연계사업 박물관 연계사업 도서관 연계사업 건축문화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합창 주말문화여행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꼬마작곡가 아리랑 프로그램
출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각 년도 연차보고서 참고하여 재구성.
3)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경우 2015년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진행되고 있 으나, 2015년 대비 16개 시ᐧ도별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통한 지역연계사업의 사업규모가 100억원에서 200억원으로 대폭 확대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의 경우 토요 미디어 문화 학교 사업이 빠지고 예술감상교육 프로그램만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사업은 공간기반 프로그램과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으로 재구조화되었다. 2012년부터 현재까지 사업의 전개과정을 요약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표 Ⅱ-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추진방식 및 운영프로그램의 변화(2012~2016) 연도
구분 국공립기관 연계사업
2012
2013
16개 시·도 광역문화예술교육지 원센터 연계사업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교부사업)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운영 프로그램
추진방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협력
주제특화
차오름 프로그램
장르융합
아우름 프로그램
예술감상교육 토요 건축문화학교
1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공모 진행 (문화예술기관)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직접 기획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협력 공모진행 (사)햔국건축가협회 협력
연도
구분
운영 프로그램 토요 미디어문화학교
(사)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협력 진흥원-참여 기관 간 업무 협약을 통한 사업 위탁
국공립기관 연계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기획사업
광역문화예술교육지 원센터 연계사업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교부사업)
도서관 연계
위탁사업
가족오케스트라
공모사업
주말문화여행
위탁사업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공모사업
해외 유수 프로그램 연계(뉴욕필하 모닉&독일리틀아트)
위탁사업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토요 건축문화학교
(사)햔국건축가협회 협력 (사)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협력 공모진행
토요 미디어문화학교
진흥원-참여 기관 간 업무 협약을 통한 사업 위탁
국공립기관 연계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협력 공모진행
미술감상교육 통합예술감상교육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기획사업
공모사업
박물관 연계
(사)한국박물관협회 협력 공모진행
도서관 연계
위탁사업
가족오케스트라-합창
공모사업
주말문화여행
위탁사업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공모사업
콘텐츠 발굴 확산 프로그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꼬마작곡가, 아리랑) 지역 연계사업(17개 시・도 지방비 매칭)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예술감상교육 토요 미디어문화학교 국공립기관 연계
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기획사업
광역단위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협력하여 기획사업 및 공모사업 진행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협력 공모진행
예술감상교육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추진방식
어린이, 꼬마작곡가- 위탁사업 아리랑-공모사업 광역단위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협력하여 기획사업 및 공모사업 진행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협력 공모진행 (사)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협력 기획 및 공모진행 진흥원-참여 기관 간 업무 협약을 통한 사업 위탁
미술관 연계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협력 공모진행
박물관 연계
(사)한국박물관협회 협력 공모진행
도서관 연계 건축문화 프로그램
위탁사업 (사)햔국건축가협회 협력
가족오케스트라-합창
공모사업
주말문화여행
위탁사업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9
연도
구분
지역 연계사업(17개 시・도 지방비 매칭)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운영 프로그램
추진방식 공모사업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위탁사업
꼬마작곡가
공모사업
아리랑
공모사업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협력 공모진행
예술감상교육 국공립기관 연계 공간기반 프로그램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협력 공모진행
박물관 연계
(사)한국박물관협회 협력 공모진행
도서관 연계
공모사업
건축문화 프로그램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기획사업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공모사업
주말문화여행
위탁사업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공모사업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위탁사업
꼬마작곡가
공모사업
아리랑
공모사업
고3 수험생 문화예술 교육 지원 문화예술교육사 통합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 지원
지역 연계사업(17개 시・도 지방비 매칭)
위탁사업 (사)한국건축가협회 협력
가족오케스트라-합창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특별프로 그램운영
진흥원-참여 기관 간 업무 협약을 통한 사업 위탁
미술관 연계
작은도서관 기획사업
2016
광역단위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협력하여 기획사업 및 공모사업 진행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강원,경남,전북,충남 문화예술교육센터 협력 위탁사업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기관 공모 광역단위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협력하여 기획사업 및 공모사업 진행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각 년도 사업계획서 참고하여 작성.
2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2.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학교 밖 전문 문화예술 기관․단체에서 아동․청소년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토요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 하고, 또래 간‧가족 간 소통할 수 있는 여가 문화를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간 사업의 확대 및 추진체계의 다양화 추세에 대응하여 세부사업별 방향성 점검 및 현장점검 강화를 통해 운영 내실화 도모하는 것을 추진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이하에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사업,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지역연계사업 현황을 상술하였다. <표 Ⅱ-3>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구분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기획사업
문화체육 관광부 기획사업 지역연계사업
세부사업명
(단위 : 백만원)
2015년 예산
2016년 예산
공간기반 프로그램 지원
∙ ∙ ∙ ∙ ∙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지원사업(2016년 신규 기획)
4,144
2,680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지원
∙ ∙ ∙ ∙ ∙ ∙ ∙
건축문화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꼬마 작곡가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5,332
2,642
특별 프로그램 운영
∙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 고3수험생 문화예술교육 지원 ∙ 문화예술교육사․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지원
1,710
1,450
사업성과 확산 및 관리
1,001
915
소계
12,187
7,687
3,000
3,000
10,000
20,000
25,187
30,687 국고 (20,687) 지방비(10,000)
∙ 예술감상교육
∙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연계프로그램
합계
출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자료를 재작성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21
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의 세부단위사업별로 사업개요와 추진체계를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은 미술관이 보유한 고유자원(미술작품, 공간, 예 술가 등)을 활용하여 참여자들에게 감상에 관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시각 형성의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또래, 가족 간 관계 형성과 소통할 수 있는 여가문화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대상은 학령기 아동․청소년 및 가족(학부모 및 보호자)이며, 1개 프로그램별 20명 내외로 진행되었다(취약계층 최소 10% 이상 모집). 교육장소는 미술관 내 공간, 지역예술가의 작업실 또는 창작 공간 등을 활용하도록 했으며,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4월~11월(8개월)로 기수별 4회 차 이상, 연간 25회 내외로 운영하도록 하였다. 교육내용은 VTS(Visual Thinking Strategies) 감상법, 소규모 대화식 감상법 외에 미술관별 특 성에 따라 체험, 강의 등 풍부하고 다양한 형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도록 하 였고, 운영 미술관의 자체 보유 콘텐츠를 프로그램에 적극 포함시키고, 회차별 운영내용의 연계 성을 고려하여 기획하도록 하였다(단순 체험활동 및 교과목 연계 지양). 2016년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에는 총 14개 미술관이 선정되어 지원을 받았고, 총 3억 4천만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1개 미술관 당 2천만원 지원, 기획사업 제외).
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추진계획 자료를 기초로 작성 2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은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와의 협력을 통해 수행 되고 있다. <그림 Ⅱ-2>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추진체계 문화체육 관광부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 사업 총괄
-
기본추진계획 수립 세부 사업계획 협의, 검토 사업비 교부 사업운영과정 관리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 세부사업계획 수립 - 참여미술관 공모, 심사․ ⇆ 선정 - 사업설명회 및 워크숍 등 진행 - 미술관 운영․관리
미술관
⇆ -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참여자 모집 및 관리 - 프로그램 운영․관리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구체적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에서 세 부 운영계획 수립 및 프로그램 운영 미술관의 모집, 선정, 사업운영관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를 통해 선정된 미술관들은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참여자 모집, 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관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은 박물관별 콘텐츠를 기반으로 감상, 체험 등 풍 부하고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 대상은 학령기 아동․청소년 및 그를 중심으로 한 가족(학부모 및 보호자)에 해당하며, 1 개의 프로그램별 20명 내외로 진행되었다(취약계층 최소 10% 이상 모집). 교육 장소는 박물관 내 교육 공간 및 주변 외부 장소를 활용하도록 했으며,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4월~11월(8개월) 로 기수별 4회차 이상, 연간 30회 내외로 운영하도록 하였다. 교육 내용은 박물관의 내․외부 자원을 활용한 콘텐츠를 기본으로 감상․체험․강의 등 풍부하고 다양한 형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다양한 매체․형태 등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기획․운영 하도록 하였다. 또한 박물관 내부 유물을 ‘스토리텔링 방식’을 활 용하여 단순 일회성 프로그램이 아닌 스토리텔링을 통해 소장품을 자신의 이야기로 새롭게 만 들고, 참여자들이 박물관 공간 및 내용에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하도록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23
하였다(참여대상별 프로그램 구성 및 난이도 조절 고려). 2016년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에는 총 31개 박물관이 선정되어 지원을 받았고, 총 5억 4천만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1개 박물관 당 1천5백만원 지원)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은 (사)한국박물관협회와의 협력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사)한국박물관협회에서 세 부 사업계획 수립 및 프로그램 운영 박물관의 모집, 선정, 사업운영관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사)한국박물관협회를 통해 선정된 박물관은 프로그램을 개발과 참여자 모집, 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 관리를 수행한다. <그림 Ⅱ-3> 박물관연계 프로그램 추진체계 문화체육 관광부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
사업 총괄
-
기본추진계획 수립 세부 사업계획 협의, 검토 사업비 교부 사업운영과정 관리
(사)한국박물관협회
⇆
- 세부사업계획 수립 - 참여박물관 공모, 심사․선정 - 사업설명회 및 워크숍 등 진행 - 박물관 운영․관리
박물관
⇆
-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참여자 모집 및 관리 - 프로그램 운영․관리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은 국․공립기관이 보유한 자원 및 특성을 기반 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사업 취지를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여, 다양 한 형태의 프로그램 모델을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 대상은 학령기 아동․청소년 및 가족(학부모 및 보호자)이며 취약계층 최소 10%이상 모 집을 조건으로 한다. 교육 장소는 각 국․공립기관 내의 인프라를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국․공립 기관 내의 인프라 외에는 프로그램 세부 내용에 따라 외부공간을 활용하거나 현장학습을 진행 할 수 있게 하였다.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4월~11월(8개월)로 프로그램 1회 운영 시 최소 4주차 단위부터 운영하고, 최대 예산액 기준으로 연간 40회차 이상 운영을 필수로 하였으며, 학교 학 사 일정을 고려하여 연간 탄력적으로 운영하도록 하였다.
2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교육 내용은 각 국․공립 기관이 보유한 자원 및 특성을 기반으로 기획되었으며, 각 프로그램 별 교육대상의 연령대 및 특성을 고려하고, 프로그램의 취지와 내용을 충분히 실현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소속 단원 등 해당분야 전문가를 구성하게 하여 기획되었다. 2016년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에서는 총 10개 기관에서 22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 으며, 약 8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사업 기본 추 진 방향을 제공하고, 참여 기관 확정 및 협약을 진행하며, 프로그램 운영 지원 등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고,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이 프로그램 개발․기획, 운영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그림 Ⅱ-4>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추진체계 문화체육관광부
‧ ‧ ‧ ‧ ‧
‧ 사업 총괄
→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사업 기본 추진 방향 제공 사업계획 검토 및 지원 기관 확정 및 협약 참여자 모집 협조 프로그램 운영 지원
국‧공립 문화예술기관 ‧ ‧ ‧ ‧ ‧
프로그램 개발·기획 프로그램 운영 제반사항 전반 참여자 모집 및 관리 프로그램 추진 현황 공유 결과 보고 및 정산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국ᐧ공립기관연계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작은도서관 기획사업 포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은 생활 속 가장 밀접한 문화기반시설인 도서관의 지역적 특성․자원을 기반으로 특화된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여 도서관이 문화예술교육의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대상은 도서관별 운영 프로그램 내용 등을 고려하여 아래 표의 교육대상 그룹 중 선택하 고, 기수별 30명 이상 참여(15명씩 오전․오후 2개 반 운영)하도록 하였다. <표 Ⅱ-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교육대상 그룹 대상
세부 구분
학령기 아동
(그룹1) 8세~10세
(그룹2) 11세~13세
청소년
(그룹3) 14세~16세
(그룹4) 17세~19세
출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도서관 연계프로그램 기본계획.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25
교육장소는 도서관 내 공간을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4월~11월(8개월) 로 각 도서관별 13회차 2기수(총 26회차) 또는 기수별 2개반(오전․오후반)으로 운영하게 하였다. 교육내용은 도서관의 특성을 기반으로 문학을 중심으로 하되, 여러 문화예술 분야와 연계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게 하였고, 교육내용 구성 시 문학 및 문화예술의 특성과 꿈다 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취지를 공감하는 강사와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기획․운영 하도록 하였 다. 또한 교육방식은 강의, 체험, 현장학습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기획․운영 되었다. 2016년 도 서관 연계 프로그램 지원사업은 총 26개의 도서관이 선정되어 지원을 받았고, 총 6억 1천 6백 만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내의 작은도서관 기획사업은 2016년에 새로 추진 된 기획사업으로, 지역 내 접근성이 좋은 문화기반시설이자 마을 커뮤니티의 성격을 지닌, 일반 도서관보다 지역 주민들이 생활권에서 가깝게 이용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공간인 작은도서관 을 활용하여 진행된다. 작은도서관 기획사업은 작은도서관의 성격, 역할, 환경 등을 고려한 문학 기반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 강사 지원 등을 통해 작은도서관이 문화예술기 반시설로 성장하는 기회로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교육 대상은 학령기 아동(8~13세), 청소년(14~19세) 및 가족으로 프로그램별 아동․청소년․가 족 중 선택하여 진행되었으며, 1개 프로그램별 20명 내외(취약계층 최소 10% 이상 모집)로 운 영하도록 하였다. 교육 장소는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한 작은도서관 내 교육공간을 활용하게 하 였으며,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10월~11월(2개월)로 도서관별 5회차 프로그램, 1기수로 운영하 도록 하였다. 교육 내용은 문학을 중심으로 한 5회차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가이드를 토대로 기획하도록 하였다. 2016년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내 작은도서관 기획사업 은 총 16개의 작은도서관이 선정되어 지원을 받았고, 총 1억 8천 4백만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나. 추진체계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은 2015년과 다르게 공모사업으로 추진되 었으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운영기관을 선발 및 지원하고, 도서관 담당자․강사 대상 워 크숍 및 지역별 소모임을 진행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선정된 도서관은 세부사업계획 제안 및 강사 선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예산집행관리, 홍보 및 참여자 모집 관리 등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2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5>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추진체계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
⇆
- 사업 기본계획 수립 - 운영기관·업체 선발 및 지원 → - 도서관 담당자·강사 대상 워크숍 및 지역별 소모임 진행 - 프로그램 운영지원 및 모니터링 - 사업운영과정 관리
사업 총괄
⇆
-
세부사업계획 제안 및 강사 선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프로그램 예산 집행 관리 홍보 및 참여자 모집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관리 정산 및 결과보고
-
운영업체 프로그램 운영 도서관 모집 및 강사진 구성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프로그램 예산 집행 관리 홍보 및 참여자 모집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관리 정산 및 결과보고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또한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중 작은도서관 기획사업은 위탁사업 으로 진행되었으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을 총괄하고 운영대행사 를 선정하였으며, 전문가그룹은 교육강사 및 작은도서관을 심사하고, 프로그램 컨설팅․자문을 수 행하였다. 선정된 운영대행사는 운영도서관을 선정하고, 교욱강사 선정 및 전반적인 프로그램 운영 준비, 참가자 모집 및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림 Ⅱ-6> 작은도서관 기획사업 역할분담 구분
수행역할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 사업총괄 - 사업계획 수립 및 기획‧운영 관리 - 운영대행사 선정
운영 대행사
- 사업 전체 운영‧관리 일체 ㆍ프로그램 운영 작은도서관 선정‧지원 ㆍ교육강사 선발‧지원 및 운영, 관리 ㆍ작은도서관별 프로그램 현장 운영‧관리 ㆍ작은도서관별 결과공유회, 결과자료집 제작 관련 제반사항 총괄 등 - 예산 집행 일체 - 참여자 모집·관리 ㆍ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한 프로그램 안내 및 참여자 모집‧관리 - 디자인, 홍보물 제작‧배포 ㆍ관련 홍보물(포스터, 현수막, 배너 등) 제작 - 현장 기록 ㆍ사진 및 영상 촬영 등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27
구분
교육강사 및 작은도서관, 전문가그룹
수행역할 [교육강사] ㆍ프로그램 커리큘럼 기획·진행 ㆍ교육프로그램 운영․기록 ㆍ결과공유회 및 결과자료집 기획·운영 [작은도서관] ㆍ프로그램 운영 관련 전반사항 협조 ㆍ사전 기획회의 등 참여 ㆍ지역 내 참여자 모집‧관리 [전문가그룹] ㆍ운영도서관 및 교육강사 심사․선발 ㆍ프로그램 기획 컨설팅 진행
(5) 건축 문화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건축문화 프로그램은 공간, 디자인, 환경이 연결된 종합예술분야인 ‘건 축’을 중심으로, 개인이 살아가는 지역과 공간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교육 대상은 학령기 아동․청소년 및 가족(학부모 및 보호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취약계층 최소 10% 이상 모집). 교육은 전국 4개의 지역(서울,부산,경기,울산)을 선정하여 추진하였고, 참 여인원에 맞는 규모, 시설 및 안정성을 갖춘 공간과 문화기반시설 및 공공시설 등 건축적 요소 를 탐색할 수 있는 지역 내 다양한 공간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5월~11월 (7개월)로 진행되었으며, 교육내용은 건축 소재 문화예술교육 체험을 통해 ‘공간’이라는 개념에 대한 시각을 형성하고, 단순 강의식이 아닌 지역 내 건축적 자원들을 활용한 입체적 문화예술교 육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다. 2016년 건축문화 프로그램은 총 29개의 프로그램이 진행 되었으며, (사)한국건축가협회에 2 억8천만원의 예산이 지원되었다.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건축문화 프로그램은
(사)한국건축가협회와의 협력을 통해 수행되고 있
다. 구체적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사업 추진 방향을 제안하고 사업계획 검토 및 사업 비 교부, 사업운영관리의 역할을 하고, (사)한국건축가협회에서 세부 운영계획 수립 및 제출, 프 로그램 기획․운영, 참여자 모집 및 강사관리, 운영 결과보고 및 정산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추진 되었다. 2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7> 건축문화 프로그램 추진체계 문화체육관광부
‧ 사업 총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 사업 추진 방향 제안 ‧ 사업계획 검토 및 사업비 교부 ‧ 사업운영관리
(사)한국건축가협회 ‧ ⇆ ‧ ‧ ‧
세부사업계획 수립 및 제출 프로그램 기획․운영 참여자 모집 및 강사관리 운영 결과보고 및 정산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건축문화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6)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은 가족이 함께하는 오케스트라 및 합창 교육과 활동을 통해 음악이 가족 간 소통과 화합의 매개가 될 수 있는 프로그램 기획․운영을 목 적으로 한다. 교육 대상은 학령기 아동․청소년과 보호자가 함께 참여하는 가족이며, 아동․청소년과 보호자 (부모, 조부모, 친척 등) 동반참여 하도록 하였다.(취약계층 최소 10% 이상 모집) 오케스트라․합 창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는 경우는 최소 60명 이상, 합창프로그램 운영은 최소 30명 이상 참 여하여 진행되었다.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동시에 운영할 경우 오케스트라는 참가인원의 70%, 합창은 참가인원의 30% 구성을 권장하였다. 교육 장소는 지역 내 문화기반시설 및 공공시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도록 교육장소를 섭외하여서 운영되었으며, 오케스 트라․합창 프로그램의 특성상 파트연습을 위한 세분화된 공간 및 합동연습을 위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교육 내용은 오케스트라․합창에 대한 파트별/수준별 진행으로 이루어졌으며, 아 동․청소년과 부모를 모두 고려한 선곡 및 참여자 수준에 따른 편곡으로 교육내용이 구성되었다. 2016년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은 총 10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전체 예산은 총 4억 7천 5백만원이다.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사업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프로그램 운영 단체를 공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선정된 프로그램 운영 단체는 세부사업을 계획하고, 참여자 모집 및 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체계 로 진행되었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29
<그림 Ⅱ-8>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추진체계 문화체육관광부
사업 총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프로그램 운영 단체
사업 기본계획 수립 및 방향 설정 프로그램 운영 단체 공모 운영 단체 선정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 관리 및 지원
⇆
세부 사업 계획 참여자 모집 및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관리 정산 및 결과 보고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7) 주말 문화여행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 문화여행 프로그램은 기존 고정화된 여행 방식에서 벗어나 나만의 여행 방식을 만들어나가고, 이를 통해 여행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일상에서 자발적으로 일어 날 수 있는 여가문화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 대상은 학령기 청소년(14~19세), 아동․청소년을 포함한 가족이며, 1개 프로그램별 15명 내외로 참여하였다(취약계층 최소 10% 이상 모집). 교육장소는 전국 단위로 이루어졌으며, 권역 별 1개 프로그램 이상 운영되었다. 여행지의 경우 프로그램 기획 시 교육내용, 일정 등을 고려 하여 선정되었다.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9월~12월(4개월)이며, 기수별 2회차로 운영되었다. 교육 내용은 여행의 과정, 순간에 관하여 나만의 고유 매체 혹은 분야로 기록․작업하는 예술 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 예술가의 작업 및 고유한 여행 방식을 참여자가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2016년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은 총 6개의 주제, 24개의 프로그램 으로 진행되었으며, 전체 예산은 총 2억 2천2백만원이다.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총괄, 예술가 섭외․구성, 운영대행사 선정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선정된 예술가와 운영대 행사가 실질적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과정으로 추진되었다. <그림 Ⅱ-9>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역할분담 구분
교육진흥원
역할내용 •사업총괄 •사업계획 수립 및 기획‧운영 관리 •예술가 섭외 및 협의 •사업 운영대행사 입찰 및 선정, 계약
3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구분 예술가
운영대행사
역할내용 •세부 프로그램 기획·진행 •사전/중간/평가기획회의 참석 •사업 전체 운영‧관리 - 프로그램별 운영 준비 및 현장 관리 - 진행 관련 제반사항 준비 및 운영 총괄 - 운영 관련 예산 집행 일체 - 각종 기획회의 진행(총 5회 내외) - 예술가별 운영총괄인력 및 보조인력 배치 필수 - 참여자 안전관리(여행자 보험 가입 필수) •예술가 관련 - 섭외(교육진흥원 섭외 분야 외 3팀 이상 제안) - 예술가 지원‧관리 - 예술가 비용 지급(교통비 등 활동 일체) •운영 장소 관련 - 정규 프로그램 운영 및 회의 장소 섭외 - 장소 셋팅(실내외) 및 시설·기자재 준비 - 정규프로그램 관련 준비 및 비용지급 - 여행 시 필요물품 구입/운반/배치 등 •참여자 모집·관리 - 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한 프로그램 안내 및 참여자 모집·관리 - 참여자 이동 차량 섭외 및 인솔 - 여행지 이동에 따른 계획 수립 및 참여자 안전관리 •현장 기록 및 결과물 제작 - 여행에 대한 기록 및 참여자 결과물을 바탕으로 참여자결과물 제작 및 추후 참여자에게 결과자료집 배포 - 현장 영상 및 사진기록 진행 - 사업 운영 전반에 관한 결과보고서 제작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8)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청소년이 문화예술 전문가와 함 께 관심 있는 분야를 심도 있게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간접적 진로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대상은 청소년(14세~19세)에 해당하며 1개 프로그램별 20명 내외로 진행되었다(취약계층 최소 10% 이상 모집). 교육 장소는 지역 내 문화기반시설 및 공공시설(민간시설, 학원, 가정집 불가) 및 운영단체 자체 보유 공간 등을 활용하도록 했으며,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4월~11월(8 개월)로 연중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연간 30회 이상 운영하도록 하였다. 교육 내용은 청소년 들이 다양한 전문가, 현장과의 만남을 통해 실무를 이해하고 그 과정 속에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소질, 적성 등을 탐구하고 발견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해당 분야의 전문가 중심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31
프로그램을 위한 운영진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하도록 하였다. 2016년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총 19개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으며, 전체 예산은 총 5억원이다.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사업 기본계획의 수립 및 방향설정, 프로그램 운영단체 공모, 선정 및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 하며, 선정된 운영 단체는 세부사업을 계획하고, 참여자 모집 및 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의 역할을 수 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그림 Ⅱ-10>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추진체계 문화체육관광부
사업 총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 기본계획 수립 및 방향 → 설정 프로그램 운영 단체 공모 운영 단체 선정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 관리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 단체 ⇆
세부 사업 계획 참여자 모집 및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관리 정산 및 결과 보고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9)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은 “어린이의 세계를 믿는다”라는 주 제를 중심으로 예술가가 자신의 작업을 토대로 어린이를 만나고, 어린이들의 재미나고 엉뚱한 세계가 표출되도록 지지하고 존중하는 중요성을 공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 대상은 8세~13세의 학령기 아동이며, 프로그램별 20명 내외로 진행되었다(취약계층 최 소 10% 이상 모집). 교육장소는 전국 문화기반시설 및 공공시설, 작가 창작 공간 등을 활용하 도록 했으며,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7월~12월(6개월)로 프로그램별 8~10회차로 운영하도록 하 였다. 교육 내용은 ‘어린이의 세계를 믿는다’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어린이가 충분히 자신의 이야기 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분야 예술가의 특성을 반영한 세부주제 및 진행방식을 기획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분야별 기능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참여자의 생각, 세계, 의견 등을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기록하고 전달하는 것을 중점으로 기획되었다.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지원사업에는 총 5개의 프로 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총 3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3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프로그 램 기획 및 운영 총괄, 예술가 섭외․구성, 운영 대행사 선정 등을 추진하고, 선정된 예술가 그룹 은 개별 프로그램을 기획․진행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선정된 운영대행사는 참가자 모 집․관리, 장소섭외, 현장운영 등의 사업운영 전반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림 Ⅱ-11>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역할분담 구분
수행역할
교육진흥원
ㆍ사업총괄 ㆍ사업계획 수립 및 기획‧운영 관리 ㆍ예술가그룹 섭외 및 협의 ㆍ사업 운영대행사 입찰 및 선정, 계약 ㆍ사업 관련 SNS 업데이트 진행 등
예술가그룹
ㆍ개별 프로그램 기획‧진행 ㆍ사전회의, 오픈클래스 및 결과전시회 등 운영‧협조
운영대행사
ㆍ사업 전체 운영‧관리 - 프로그램별 운영 준비 및 현장 관리 - 관련 부대행사(오픈클래스, 결과전시회, 성과공유회 등) 관련 제반사항 준비 및 운영 총괄 - 진행 관련 제반사항 준비 및 운영 총괄 - 운영 관련 예산 집행 일체 ㆍ운영 장소 섭외 ㆍ예술가그룹 지원‧관리 ㆍ참여자 모집·관리 - 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한 프로그램 안내 및 참여자 모집‧관리 ㆍ전시물 및 홍보물 제작‧배포 - 결과전시회 및 워크숍 설치물 및 아트웍 제작 - 관련 홍보물(포스터, 리플릿, 현수막, 배너 등) 제작 ㆍ현장 기록 - 사진 및 영상 촬영 - 속기록, 강의록 - 사업 운영 전반에 관한 아카이빙을 위한 현장기록 ㆍ전시도록 및 총괄 결과보고서 작성‧제출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33
(10)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은 음악을 배운 적이 없고 악기를 다루지 못해도 자신만의 음악을 만들 수 있다는 꼬마작곡가(Very Young Composers)의 기본 철학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음악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대상은 10세~13세 아동 및 가족(학부모, 보호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동의 경우 1개 프로그램별 15명 내외, 가족의 경우 1개 프로그램별 20명 내외로 진행되었다(취약계층 최소 10% 이상 모집). 교육 장소는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제반시설을 갖춘 기관을 선정하여 활용하 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3월~11월(9개월)로 1개 기관 당 연간 4개 프로그램, 1개 프로그램 당 15주 과정으로 운영하게 하였다. 교육 내용은 뉴욕 필하모닉 <꼬마작곡가>프로그램 철학을 바탕으로, 해당 내용과 운영방식을 참고하여 운영하되 국내 현실(프로그램 진행환경, 참여자 특성 등)에 맞게 적용하여 운영되었다. 2016년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은 총 9개의 단체가 선정되어 지원을 받았고, 총 5억 5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기본계획을 수립하 고 운영기관 공모 및 선발을 진행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뉴욕 필하모닉에서는 프로그램 운 영 관련 자문 및 기타 VYC(Very Young Composers) 관련 프로젝트가 있을 시 협력 진행한다. 또한 선정된 프로그램 운영 기관은 세부 사업계획을 제안하고, 참여자 모집 및 프로그램 운영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그림 Ⅱ-12>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추진체계 문화체육관광부
사업 총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 기본계획 수립 운영기관 공모 및 선발, 교부 → 사전워크숍 및 뉴욕필 워크숍 기획‧운영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및 모니터링 지역별 결과발표회 운영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3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뉴욕필하모닉 ⇆ 프로그램 운영 관련 자문 VYC관련 프로젝트 협력진행
프로그램 운영 기관 ⇆
세부 사업계획 제안 참여자 모집 및 프로그램 운영 결과발표회 진행 프로그램별 성과 관리 운영 실적‧정산 보고
(11) 아리랑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아리랑 프로그램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문화예술자원인 ‘아 리랑’을 다양한 분야와 형태로 재해석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교육대상은 학령기 아동․청소년 및 가족(학부모, 보호자)이며, 가족 프로그램의 경우 아동․청소 년을 포함한 가족으로 구성되어 1개 프로그램별 20명 내외로 참여하였다(취약계층 최소 10%이 상 모집). 교육장소는 지역 내 문화기반시설 및 공공시설(민간시설, 학원, 가정집 불가) 및 운영 단체 자체 보유 공간 등을 활용하도록 했으며,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3월~11월(9개월)로 10-15 회차 중 선택하여 구성하게 하였으며, 연간 30회 이상 운영하게 하였다. 교육 내용은 아리랑을 문화예술의 다양한 분야․형태로 재해석한 체험 및 창작활동의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기획․운영하도록 하였고, 아리랑의 고유의 가치와 특성에 대한 이해 를 바탕으로 아리랑의 의미나 아리랑이 담고 있는 세부 구성요소(가사, 장단, 유래, 정서, 시대항, 지역적 특성 등)를 콘텐츠의 주제나 소재로 활용하여 통상적 장르(가창, 기악 등) 에 국한되지 않은 넓은 범위의 문화예술분야(미술, 문학, 연극, 미디어 등)와 결합 및 연계 를 통해 프로그램 내 참여자가 자신을 표현하고 창작할 수 있는 단계적 과정을 설계하는 것 을 고려하여 기획하도록 하였다. 2016년 아리랑 프로그램은 총 10개의 단체가 선정되어 지원을 받았고, 총 2억 2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1개 단체 당 약 2천2백만원 지원)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아리랑 프로그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사업 기본계획의 수립 및 방향설정, 프로그램 운영단체 공모, 선정 및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 하며, 선정된 운영 단체는 세부사업을 계획하고, 참여자 모집 및 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그림 Ⅱ-13> 아리랑 프로그램 추진체계 문화체육관광부 ‧ 사업 총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 ‧ ‧ ‧
사업 기본계획 수립 및 방향 설정 프로그램 운영단체 공모 운영단체 선정 및 사업비 교부 프로그램 운영 관리
프로그램 운영 단체 → ←
‧ ‧ ‧ ‧
세부 사업계획 수립 참여자 모집 및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관리 정산 및 결과 보고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아리랑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35
(12)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가. 사업개요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은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기관이 보유한 인적자원 및 특성을 바탕 으로 양질의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지원을 통해 참여자의 예술적 감성을 개발하고, 문화향유 자로서의 성장을 돕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신규 문화예술교육사에게 다양한 현장 경험 을 제공하여 전문 인력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교육대상은 학령기 아동․청소년 및 가족(학부모 및 보호자)이며, 1개 프로그램 당 최소 25명 내외로 진행되었다. 교육장소는 문화예술교육활동이 가능한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교육기관 내 공 간을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2016년 10월~2017년 1월(4개월)로 기관별 1 개 프로그램 2개 반을 각 10차시로 운영하게 하였다(교육기간 내 오전․오후 또는 교육장소를 달 리하여 기관별 2개 반 운영). 교육 내용은 기초 예술분야 프로그램을 넘어 인문학, 과학, 미디어 등 통합 문화예술콘텐츠를 기관 및 수혜자의 특성에 맞게 차별화된 교육 방법론을 고려하여 기획하도록 하였다. 2016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은 총 15개의 운영기관이 선정되어 지원을 받았고, 총 7 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나. 추진체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사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운영 기관 공모, 선정 및 지원, 사업 운영과정 관리 등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선정된 운 영기관은 교육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운영, 참여자 모집 및 관리, 운영 실적․정산 보고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림 Ⅱ-14>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추진체계 문화체육관광부
사업 총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
사업 기본계획 수립 운영기관 공모 운영기관 선정 및 지원 사업 운영과정 관리
운영기관 ⇆
교육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운영 연수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참여자 모집 및 관리 운영 실적‧정산 보고
출처: 2016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사업계획서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의 교육대상, 교육장소, 협 력기관, 지원규모 등을 요약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3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Ⅱ-5>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개요 교육장소
협력기관
지원규모 (지원단체의 수)
미술관 연계 아동, 청소년, 프로그램 가족
미술관 내 공간
(사)한국사립미 술관협회
14개 미술관 (각 2천만원)
박물관 연계 아동, 청소년, 프로그램 가족
박물관 내 공간
(사)한국박물관 협회
31개 박물관 (각 1.5천만원)
국․공립기관 아동, 청소년,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가족 공간 활용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합창단, 한예종 등 국공립기관
10개 기관 (최대 6천만원)
연간 40회차 이상
800
업무협약 체결
26개 도서관 (각 2.2천만원)
13회차 2기수(기수별 2개반 : 오전/오후반) 연간 26회
616
도서관이 직접 강사 섭외
184
전문가그룹 운영
세부 사업명
교육대상
도서관 연계 아동, 청소년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도서관 내 공간
개별 도서관
아동, 청소년, 작은도서관 가족 내 공간
운영대행사
최소운영회차 기수별 4차 이상 연간 25회 이상 기수별 4회차 이상 연간 30회 내외
16개 내외 5회차 작은도서관 ∙ 협회기반(5~6개 건축문화 아동, 청소년, 건축 관련 (사)한국건축가 지역) : 29개 프로그램 가족 문화기반시설 협회 프로그램(2.8억) 500명 10개 단체 가족오케스트 ∙ 오케․합창(3) 연중 25주차 아동, 청소년, 문화기반시설 라․합창 개별 운영단체 : 각 6.5천만원, 1기수/ 12주차 가족 및 공공시설 프로그램 ∙ 합창(7) 2기수 중 택1 : 각 2.4천만원 6개 프로그램 주말문화여행 청소년, 예술가, 5개 권역 (가족 4개, 청소년 2회차씩 4기수 프로그램 가족 운영대행사 2개) 청소년 문화기반시설 10~15회차, 문화예술 19개 단체 청소년 및 공공시설 개별 운영단체 연간 30회 진로탐색 (각 2.5천만원) (사전협약) 이상 프로그램 8~10회차 어린이는 예술가그룹, 오픈클래스, 무엇을 믿는가 아동 5개 프로그램 운영대행사 정규프로그램, 프로그램 결과전시회)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아동 (10~13세), 가족
기관이 보유한 공간
개별 운영기관
9개 기관 (각 5천만원)
예산 (백만원)
비고
340
기획사업 제외
540
280
475
코디네이터
222
가족/청소년 프로그램 이원화
500
300
시각예술
개별기관이 강사와 연간 4개 악기연주자 프로그램, 550 자체 섭외, 프로그램당 (브릿지 (시범) 15주 과정 5천만원) 브릿지 (결과발표공연) 프로그램 운영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37
세부 사업명 아리랑 프로그램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교육대상
교육장소
협력기관
문화기반시설 아동, 청소년, 및 공공시설 개별 운영단체 가족 (사전협약) 문화예술교육사 아동, 청소년, 양성교육기관 가족 내 공간
개별 기관
지원규모 (지원단체의 수)
최소운영회차
예산 (백만원)
10개 단체 (각 2.2천만원)
10~15회차 연간 30회 이상
220
15개 기관 (각 4.4천원)
2개반, 각 10차시(총 30시수)
700
비고
문화예술 교육사 교육과정, 통합교육
2)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사업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가. 사업개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은 초․중․고 학생 및 학부모의 문화향유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예술기능 교육 중심이 아닌 연극, 국악, 뮤지컬 등 공연 및 전시 작품과 연계한 감상교 육 중심 프로그램의 운영 필요성을 바탕으로 주 5일 수업제 및 자유학기제 전면 실시에 따라 청소년들의 건전한 여가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은 청소년 감상교육 확산을 통한 청소년의 자발적 문화예 술 향유능력을 제고하고, 청소년들의 문화예술 소양 및 정서 함양, 감수성 및 소통능력 제고 등 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대상은 초(고학년)․중․고 재학생 및 해당 연령대 청소년이며, 연령별 또는 학년별 최적화 된 프로그램 기획에 따라 교육 대상자를 모집하게 하였다(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다문 화 등 소외계층 우선 지원, 최소 10% 이상 모집). 교육 장소는 전국 문예회관을 활용하도록 하 였으며 기반시설이 충분하지 않은 지역은 문화예술교육활동이 가능한 공공의 안정적 시설을 확 보하도록 하였다(학원, 가정집 등 민간보유시설 불가). 교육 운영기간은 3월~11월(9개월)로 학 교 학사일정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하게 하였으며(1회성 이벤트 성격의 프로그램 불가능), 매주 토요일 3시간씩 기본운영 되도록 하였다. 교육내용은 공연․전시 등 관련 감상교육 함양 프로그램으로 하도록 하였고, 문예회관이나 지 역의 문화예술 기반을 고려한 예술 감상교육으로, 음악, 미술, 연극 등 분야별 또는 세부 장르 별 예술교육 감상교육이 중심이 된 프로그램이나 융․복합적 프로그램을 선정하도록 하였다. 교 육 방식은 교육목표에 따라 감상교육을 중심으로 하되 강의, 체험, 관람, 실연 등 다양한 형태 를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연계하도록 구성하였다.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은 총 105개7)의 프로그램이 선정되었으며, 1개 프로그램 당 평균 3천1백만원이 지원되었다.
7)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홈페이지(http://www.kocaca.or.kr/Pages/Academy/List.aspx?ty=1624) 참고. 3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나. 추진체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사업 추진 및 관리 감독의 역할을 시행하고,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와의 협력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문화예술회 관연합회는 사업 실행, 관리 및 홍보, 평가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사업을 신청한 지역 문예회 관은 문화예술감상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의 역할을 하는 체계로 진행된다. 선정된 지역 문예회관들은 지역주민 및 청소년에게 문화예술감상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그림 Ⅱ-15> 예술감상교육 추진체계 문화체육관광부 사업 추진 관리 감독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지역 문예회관 ⇆
→ 사업실행, 관리 홍보 및 평가
지역 주민 및 청소년
문화예술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
문화예술 감상교육 프로그램 참여
출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사업계획서.
다. 주요성과8)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에서 주관하는 예술감상교육은 다양한 방식의 감상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2014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운영사업 고객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만족도 점수는 85.8점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에 참여한 후에 주 말여가활동으로 문화예술 교육 참여 및 관람을 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꿈다락 토요문화학 교 예술감상교육 외 타 기관(문예회관 이외 기관)의 문화예술관련 서비스를 비교해 봤을 때, ‘교 육이 흥미롭고 재미있다’는 부분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의 여러 요소 중 ‘교사의 대응성’ 및 ‘문예회관의 물리적 환경’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Ⅱ-6> 예술감상교육의 성과 년도
2013
2014
2015
2016
수혜자(명)
19,590
32,414
28,807
27,000
프로그램 수
43
85
89
95
프로그램 수
43
85
92
105
예산(백만원)
1,000
3,500
3,000
3,000
출처 :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내부자료 활용.
8)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2014). 201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만족도조사 결과보고서.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39
3)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1)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전개과정 가. 사업개요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은 전국 17개 시·도 및 시·도 문화예술교육지 원센터와 연계하여 지역 내 문화예술기관·단체와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기획·운영하는 프 로그램으로 각 지역별 고유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형이 형성될 수 있도록 운영·지원을 목적 으로 한다. 교육대상은 아동, 청소년, 가족 등(이중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다문화 등 소외계층 우선 지원, 최소 10% 이상 모집할 것을 권장)이며, 교육 장소는 각 지역의 문화기반시설을 활 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개인 공간, 학교 등 일부 공간은 지침 상으로 제한되어 있다. 교육 운영 기간은 1월~12월(12개월)로 매주 토요일 3시간씩 기본운영 되도록 하였으며, 전체 30차시 전후 로 구성하고 있다.(상황에 따라 15차시로 나누어 2회를 진행하기도 하며, 지역별로 사업 심의와 공모, 완료 시기에 편차는 있으나 3월~12월 초까지 현장에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2016년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은 총 725개의 프로그램이 선정되었으 며, 전체 200억 원이 지원되었다. 2014년부터 지방비 매칭에 따른 국고 50% + 지방비 50%로 예산이 편성되고 있으며, 2016년의 경우 전년도 대비 전체 예산액이 2배 증가했다.9) <그림 Ⅱ-16> 2012-2016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예산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총 사업비(단위: 백만원)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4,000
8,000
10,000
10,000
20,000
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 자료 4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나. 추진체계10)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의 추진체계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이 사업의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사업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와 지원은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국고를 교부받아 광 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로 사업비를 교부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각 지역에서 사업을 실행하는 구조이다. 전체적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유사 한 추진체계로 진행되고 있다. <그림 Ⅱ-17> 2016년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추진체계
다. 주요성과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은 2013년 80억의 예산에서 2016년 200억 으로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으며 참여자 수와 프로그램 수 역시 약 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은 광역 단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통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지역주민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높 이고, 지역이 보유한 다양한 문화공간과 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확산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 된다. 2016년 참여대상별로는 초등학생이 38%, 가족이 26%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교육 장르별로는 미술이 21%, 연극․뮤지컬이 15%, 음악이 11%로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 났다.
1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 자료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41
<표 Ⅱ-7>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주요성과11)
(단위 : 명, 개)
년도
2013
2014
2015
2016
참여자
18,136
21,853
20,371
31,946
프로그램 수
313
430
432
752
예산(백만원)
8,000
10,000
10,000
20,000
출처 : 각 년도 사업계획서 및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자료 활용하여 재구성.
<그림 Ⅱ-18>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참여대상과 교육장르(2016 상반기)
라.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사업의 비교 □ 주제영역 및 장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은 문화기반시설에서 진행하는 경우 미술관, 박물관, 도서관 등 문화기반시설의 고유 목적에 따라 장르가 결정되고 주제영역이 정해진다. 주로 시설을 활용 한 미술체험, 공예체험, 문학관련 프로그램이 많다. 반면에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의 경우 여행, 예술 감상, 건축, 음악창작, 청소년 진로와 같이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장르가 결합되어 현장 성과 활동성이 강조된 프로그램이 많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특히 주제 유형에 따른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들은 명시적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고유한 특질을 드러내는데 1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 자료 4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유효하다. 하지만 주로 미술과 음악에 주제와 장르가 편중되어 있거나 수요자들의 여가 문화 활 동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은 주로 주제 유형을 제시하는 것 이 아니라(물론 기획사업의 형태로 몇 가지 주제 유형을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 공모 형태 로 주제 유형에 구애 받지 않고 지역의 단체가 자율적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사업이 대부분 이므로 보다 다양한 주제영역, 예술 장르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지역특성화 문화 예술교육 또는 예술강사 중심의 교육프로그램과 차별적인 주제 및 장르를 개발하지 못하고 있 으며 여전히 장르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향후 변화하는 여가문화 트랜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문화예술 체험 주제 및 장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은 문학 장르의 비중이 가장 높다. 기획사업에 있어 도서관 과 관련한 프로그램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작은 도서관 지원사업, 총 42개 프로그램) 문학 장르를 제외하고는 모두 미술, 음악 장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꿈 다락 토요문화학교에서 놀이적 요소를 강조하지만 정작 놀이 자체를 주제로 특화한 프로그램은 각기 2%, 5%로 적다. 그것은 대부분 놀이를 예술교육의 하나의 방법론으로 접근하기 때문이다. 또한 건축, 공예 등 만들기 활동이나 노작활동 프로그램이 의외로 적게 분포되어 있다. (기획사 업의 경우 공예디자인 4%, 지역연계 사업 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하는 기획사업의 경우 주제 영역을 각 사업에 따라 ‘여행, 예술 감상, 건축, 박물관 교육, 음악창작, 청소년 진로, 전통문화로 나눌 수 있는 반면에 지역연계 사 업의 경우에는 주제에 따른 영역보다는 장르를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이 강하다. 교 육장르의 분포 또한 예술강사의 장르별 분포와 유사한 모습을 띠고 있다. 향후 장르중심에서 주 제중심으로 통합적인 프로그램, 놀이 자체를 테마로 하는 프로그램, 건축, 공예 등 노작, 공작활 동 등 손을 활용한 프로그램, 아동, 청소년들의 문화 트렌드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더 확대될 필 요가 있을 것이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43
<그림 Ⅱ-19> 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총225개 프로그램 기준)
<그림 Ⅱ-20> 2016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총762개 프로그램 기준)
□ 교육대상 전반적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교육대상으로 여전히 초등학생 비율이 높다. 17개 시·도 문화 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보다 초등생 비율이 더 높 은데(꿈다락 기획사업 33%, 지역연계 사업 43%) 이는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연계사업에 있어 모집이나 학생관리 측면에서 초등학생을 더 선호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초등, 중등 또는 중등, 고등과 같이 교급이 서로 섞이는 대상의 경우가 더러 있는데 초등, 중등 교급 과 섞이거나 초등, 중등, 고등이 함께 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지역연계 사업에서 많이 나타난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이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보다 교급 에 따른 수준별 프로그램을 좀 더 많이 고려하고 있는데, 이는 참여하는 미술관, 박물관 등 문 화시설의 교육프로그램이 학령기나 교급별로 프로그램을 더 엄격하게 적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반해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은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많았다. 많은 단체들이 문화시설을 기반을 두고 있지 못한 한계로 인해 모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해야 모집이 쉽기 때문이다. 한편 작은 단위의 지역에 서 인근 생활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다 보니 교급별 맞춤 프로그램 보다는 전 학년 아동들이 함께 섞여 상호작용하면서 교우관계를 쌓는 것에 방점을 두는 경우도 많을 것으 로 보인다.
4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한편 가족 대상 프로그램의 경우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의 기획사업이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보다 가족대상 프로그 램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순수하게 가족이 참여하는 프로그램 보다는 기존 아 동, 청소년 프로그램에 가족이 일부 섞여 프로그램이 진행된 경우가 많았다. 향후 가족 대상 특 화 프로그램, 초등, 중등 등 교급 등 교육대상에 따른 특화 프로그램, 청소년의 진로와 관련하 거나, 청소년 동아리 지원사업이 더 확대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Ⅱ-21> 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총225개 프로그램 기준)
<그림 Ⅱ-22> 2016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총762개 프로그램 기준)
□ 교육장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의 경우 80%이상이 미술관, 도서관, 박물관 등 문화기반시 설에서 진행된다. 이에 비해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의 장소는 지역아동 센터, 작은 도서관, 사회복지시설, 청소년문화시설 등 다양한 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꿈다락 토 요문화학교에서는 운영의 안정성을 위해 학교 밖 문화예술기반시설 및 공공시설 이용 권장하되 예술단체가 운영주체일 경우, 지역 공공시설과 컨소시엄 운영하고 문화예술교육 활동이 가능한 공공의 안정적 시설 확보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작은 문화시설에서 꿈다락 프로그램을 진행하 는 것이 모집의 어려움과 대중적 인지도가 떨어질 수는 있지만 기초 문화생활권 내 복합문화공 간(19%), 청소년문화시설(16%), 작은도서관(21%)에서 많은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보다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의 교육장 소가 다양하다는 것은 동 사업의 장소 접근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며 생활권 가까이에서 꿈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45
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열려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꿈다락 토요문화학교가 학교 밖 예술교육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 공간은 사업 장소에서 배제되 었다. 최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서는 이제 국공립 문화기반시설 외 다양한 문화공간에서 꿈다락 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도록 소규모 문화 공간 지원과 연계한 사업들을 개발하고 있다. (마을 유휴 공간 활용, 예술가 레지던시 연계 등) 이러한 지역 흐름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가 토요일 이라는 시간적 한계를 뛰어넘어 아동청소년들의 일상문화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향후 생활문화센터, 주민센터 등 근린 생활문화권의 다양한 소규모 문화공간을 활용하는 방안, 특별한 경우에 학교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문제에 대 한 논의가 다시 제기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 Ⅱ-23> 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기획사업 (총225개 프로그램 기준)
<그림 Ⅱ-24> 2016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 (총762개 프로그램 기준)
□ 프로그램 당 참여인원과 회차 프로그램 당 참여 인원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이 51명으로 17개 시·도 문화예술 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에 비해 더 많은 인원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 당 인원통계는 실제 출석률을 반영하지 않고 사업계획서상 목표 인원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참 여 인원수와는 많은 편차가 있다. 중요한 것은 인원수가 아니라 실제 출석률인데 출석율과 관련 한 데이터는 일일이 출석을 체크하지 않는 한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한다 고 해도 대체로 박물관, 미술관, 국공립기관과 같은 공공시설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대 체로 출석률이 높은 편이다.
4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프로그램 평균 회차의 경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이 프로그램 당 회 차가 10회차 정도 적게 나타났다. 그것은 주로 문화기반시설에서 진행해왔던 문화강좌 프로그램이 대체로 짧 은 간격으로(1달~2달)운영해왔던데 기인한다. 이러한 단기 취미교양강좌 프로그램 운영방식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은 긴 호흡의 프로그램이 많은데 이는 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과 같은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30회차 프로그램 운영 패턴을 그대로 따라 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긴 호흡의 프로그램은 주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처럼 교육대상자 와 지역과의 연계, 과정중심의 운영, 지역사회에 끼치는 효과 등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사업 에서 유효할 수 있다. 또는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일정한 미션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기반 문화예 술교육과 같은 경우에 적절한 회차 구성일 수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교육수혜자, 교육 대상의 지속적인 참여의 어려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구성의 어려움 등 프로그램 접근성의 한 계가 있다. <표 Ⅱ-8> 2016년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참여인원과 회차비교
프로그램당 평균인원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기획사업
2016 지역연계 꿈다락토요문화학교
19명
40명
평균 운영기수
2.6기
1.1기
기수당 프로그램 회차
10회차
19회차
연중 총 운영회차
22회
29회
주: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계획서상 최대 목표 인원임. 실제 인원과 차이가 있음.
라. 시사점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의 경우 사업정체성 인식의 측면과 사업운영 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한계가 제기된다. 먼저 사업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17개 시· 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의 정체성에 대한 일관성있는 전달이 부재하여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이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기획사업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어떠한 차별적 지향점을 가지고 가야하는지에 대해 지역 및 운영단체마다 다른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지역연계’라는 용어에 대한 재해석이 필 요한 지점이다. 둘째, 사업운영의 측면에서 사업운영지침의 자의적 해석 또한 문제로 제기될 수 있다. 자체판 단이 강조될수록 지역에서는 보수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나타나 사업의 효과적 수행에 저해가 될 수 있으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침과 각 지자체별 지침의 상충으로 인한 혼란 또한 문제로 제기된다. 한편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연계사업의 품질과 직결되는 여러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47
요소들(공간, 인력)에 대한 조정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공간 제한성이 프로그램의 제한성으로 나 타날 가능성이 존재하며, 기존의 예술강사 지원사업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인력운영체계가 제시 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업 대상자에 대한 목표치를 다수의 체험 및 경험에 집중할 것인 지, 소수의 참여의 질을 제고하는 데 맞출 것인지에 대한 공감대 조성 또한 필요하다. 이외에 지역별 사업여건의 차이를 고려한 자원의 지역안배와 지자체 대응 및 설득을 위한 사업설명 지 침서 등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3. 국내외 사례 분석 이하에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을 살펴보았다. 국내의 경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을 포 함, 교육부, 여성가족부, 지자체 및 민간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으 며, 국외의 경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북유럽, 아일랜드 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아동․ 청소년․가족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중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개선 및 발전 을 위해 시사점을 갖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표 Ⅱ-9> 국내외 사례분석 종합표 구분
프로그램명/주관기관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교육부)
토요방과후 프로그램(교육부) 교육부 토요문화예술동아 리(교육부)
국내
토요돌봄교실 (초등돌봄교실) (교육부)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여성가족부)
지자체 /민간 프로그 램
예술로 플러스 (서울문화재단) ‘영메이커 프로젝트’ (과천과학관
내용 및 특징 ᐧ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를 추구 ᐧ지역별 특성에 기반 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생활권 내에서 지역주민들이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 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 ᐧ여러 지역센터와 연계한 ‘학교 밖 학습경험’을 제공하고,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학습하는 토요일 교육안전망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었으며 학생, 학부모, 주민 등에 대한 토요 프로그램을 제 공 ᐧ창의, 인성강화를 위한 체험활동, 체계적인 진로탐색프로그램과 학교폭력의 치유, 새터민·다문화가정 지원 등 교육현안 해결을 위 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ᐧ토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학생의 소질개발 및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사교육비를 절감시키고자 하며, 주 중 운영하지 않는 특별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소질을 계발하고 취미활동을 통하 여 효율적인 주말 시간 활용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 으로 구성됨 ᐧ전국 초ᐧ중ᐧ고등학교 학생들이 원하는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위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동아리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자 발적인 참여를 지원 ᐧ별도 시설(전용 또는 겸용교실 등)이 갖추어진 공간에서 돌봄이 필요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수업 이외에 이루어지는 돌봄 활 동으로 여성의 사회진출확대 및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방과 후 돌봄서비스 강화 ᐧ초등돌봄교실 외에도 현재에는 3~6학년까지 방과후학교 연계형 돌봄교실이 운영되고 있으며, 연극, 창의인성놀이, 영어교육, 체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ᐧ전국 9세~13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 수련시설에서 전문체험, 학습지원, 자기계발 등의 활동이 이루어짐 ᐧ초등교육과정과 연계한 창의예술교육 수업 서울문화재단 소속 예 술가교사(TA:Teaching Artist)와 학교 교사가 초등학교 교육과정 의 내용을 예술적으로 재해석하여 프로그램 개발, 실제 학교 정규 교과시간에 수업으로 활용함 ᐧ 연극, 무용, 음악 ,시각예술, 문학 등의 전문 예술가로 구성됨 ᐧ아두이노 기술, 3D프린터, 전자장치 등을 활용하여 6주 동안 멘 토 선생님과 함께 상상했던 것들을 실제로 설계하고 제작하는 메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49
구분
프로그램명/주관기관 무한상상실) 서울댄스프로젝트 ‘춤바람 커뮤니티’ (서울문화재단) 복작복작 예술로 골목길 프로젝트 “복작복작 예술로(路)” (서울문화재단) 문화놀이터 (서울문화재단)
국 외
미국
내용 및 특징 이커 프로그램 ᐧ일상 속에서 춤으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시민예술 프로젝트 ᐧ춤을 통한 소통과 교감, 공동체 의식 회복 ᐧ2015년부터 시행된 프로젝트 형식의 공모사업 ᐧ서울시내 지역골목길 및 유휴공간에 지역주민, 예술가가 예술활동 을 하여 동네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역재생을 도모함 ᐧ선정단체는 서울시 내 동네 골목길, 유휴공간 등에서 주민과 함께 하는 문화예술활동 프로그램 운영 ᐧ문화놀이터에서는 일상공간의 문화예술환경조성을 목표로 창의적 인 디자인의 놀이터를 시공하고 그 공간에서 다양한 문화놀이 프 로그램을 운영함
‘기적의 놀이터’ 제 1호 엉뚱발뚱 (순천시)
ᐧ60명의 시민과 아이들이 기적의 놀이터를 직접 디자인하는 캠프 등을 운영하는 등 적극적인 시민 참여형 과정을 통해 사업을 추진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방과후 행복카드(舊 부산 토요스쿨패스카드)
ᐧ‘부산방과후행복카드(舊 부산 토요스쿨패스카드)’는 모든 학생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문화예술‧스포츠‧체험 활동 등에 참여할 수 있도 록 입장료 할인 혜택을 지원함
삶을 위한 학교 (광주 선운중학교)
ᐧ학교 내 예술가가 상주하며 학생들과 공간을 만들고, 업사이클 활 동을 함께함
삶의 학교 (고무신학교)
ᐧ매달 첫째 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7시간) 운영하 며 주로 넓은 마당, 주변 문화시설을 기반으로 주제중심 통합수업
광주창의예술학교 (광주문화재단)
ᐧ‘삶·예술·교육’을 융합하는 학교로 기존 교육에서 배울 수 없는 새 로운 배움의 기회를 추구함 ᐧ창의예술학교 내 바퀴달린학교, 청춘자서전학교, 우리동네마을학 교, 재미마중 노리학교로 구성되어져있으며 각각의 학교에서 다양 한 수업이 이루어짐
토요예술실험실(Saturday Arts Lab) : 뉴욕주립대학교 예술대학
ᐧ2D 스튜디오 아트(1,2학년), 3D 스튜디오 아트(3,4학년), 드로잉 +페인팅(5,6학년), 조각스튜디오(6,7,8학년), 캐릭터+카툰(7,8학 년) 프로그램으로 구성
‘옛날 옛적 필라델피아에서는’(Once Upon a Nation in Philadelphia) : Historic Philadelphia
ᐧ스토리 텔러가 국립역사공원에 설치된 13개의 벤치에서 지역 역 사에 대한 13개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프로그램 ᐧ지역 전체를 18세기 시대로 재현하여 독립선언서 낭독, 군인체험, 등의 프로그램 운영
가족워크숍(Family workshop) : 뉴 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
ᐧ공연에서 영감을 받아 다양한 장르(춤, 마술, 노래, 서커스, 연극 등)로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가족을 대상으로 함
유아예술교육 인스티튜트 (Early Learning Institute through Arts) : 울프트랩(Wolf Trap) 메이커 스튜디오 프로그램(Maker Studio program) 및
5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ᐧ교과목(STEM)에 예술(ART)을 자연스럽게 녹여 두 영역을 통합하 는 프로그램 ᐧ예술과 주요과목을 접목한 쉽고 친근하게 접근, 신체ᐧ언어발달 프로그램 ᐧ스스로 디자인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에서 자신의 아 이디어를 탐구하고 창조할 수 있게 훈련된 조력자와 함께 기초단 계, 주말수업, 합동작업 등 다양한 수업 진행
구분
프로그램명/주관기관 메이커페어(Maker Faire) : 키즈 뮤지엄(KID Museum) 국립 미술‧디자인 토요클럽(National Art&Design Saturday Club) : 소렐재단(The Sorrel Foundation) 아동‧청소년 음악 이니셔티브(Youth Music Initiative) :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Creative Scotland)
영국
프랑스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Shakespeare Schools Festival) : 셰익스피어 재단(Shakespeare Foundation) 댄스 매직 댄스(Dance Magic Dance) : 크리에이티브 에이징(Creative Ageing)
내용 및 특징 ᐧ메이커페어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만든 것을 보여주고 그 들이 배운 것을 공유함 ᐧ대학 소속 강사들이 기획한 커리큘럼으로 운영됨. ᐧ런던을 방문하여 미술관, 박물관 등을 관람하거나, 런던의 유명 예술가의 작업실을 방문, 지역 문화시설을 활용한 프로그램 ᐧ학교 내 학생들에게 무료로 음악수업을 제공하는 정부 정책의 일 환으로 운영 ᐧ학교 밖 프로그램은 수준 높은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창의적 접근 기회를 제공. ᐧ심화 프로그램은 학교, 지역기관, 협력 등 단체 별, 기간별 프로 그램으로 구성 ᐧ공연에 적합하게 고안된 셰익스피어 대본을 제공, 학교에서 원하 는 대본을 선택하여 공연제작 ᐧ연극에 필요한 각종 자료, 워크숍, 전문가 지원, 발성, 무대기술 교육 등을 제공하고 연 1회 우수학교를 선정 ᐧ하루 동안 치매노인들은 창의적인 활동에 참여하고 무보험 간병 인들에게 휴식을 제공 ᐧ지역 댄서 5명과 함께 10주 동안 춤과 운동 활동
발틱 스트리트 어드벤처 놀이터(Baltic Street Adventure Playground) : 어셈블(Assemble)
ᐧ발틱 어드벤처 놀이터는 6세~12세의 어린이들이 스스로 선택하 여 탐험하고 모험할 수 있는 놀이공간으로 아이들이 일상적인 관 리부터 공간의 개발을 위한 모든 일을 선택할 수 있는 곳임
초‧중‧고교생을 위한 아틀리에(Ateliers: écoles, collèges, lycées) : 리옹 오페라(Opéra de Lyon)
ᐧ초ᐧ중ᐧ고를 대상으로 한 일일 체험부터 연간 프로젝트까지 다양 한 프로그램 운영 ᐧ학생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으로 오페라 구성, 노래, 스토리, 의상 악기 활동 등 참여할 수 있음
디지털 아트 창작 센터 르큐브(Le Cube – Centre de création numérique)
ᐧ연령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성인 프로그램은 창의적인 워크숍으로 토요일마다 진행. ᐧ청소년 대상 10대들의 스튜디오(Les Studios Teens)은 소리와 3D비디오를 통해 게임을 만드는 프로그램으로 진행.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famille) :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
ᐧ작품을 토대로 기획된 프로그램, 아동과 함께하는 종일반 프로그 램 운영
몽트뢰이 대중의 집(Maison populaire à Montreuil)
ᐧ몽트뢰이 민중의 집은 아마추어 문화예술공간이자 전문예술인의 창작기지로, 매 시즌 2천3백여 명의 회원이 참여하며, 약 100개 의 아뜰리에를 진행
이민사 박물관(Musée de l’histoire de l’immigration)
ᐧ 프랑스 국민에게 이민의 역사를 알리고 일반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이민에 대한 편견과 인식을 제고함.
라 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La Coursive scène nationale La Rochelle)
ᐧ연령별 프로그램으로 기획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서양극 뿐 만 아니라 베트남 서커스, 타 국가의 유명 공연도 시연되고 이를 활용한 수업이 진행됨.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51
구분
독일
프로그램명/주관기관
내용 및 특징
슈트르가르트 청소년극단 프로그램(Junges Ensemble Stuttgart)
ᐧ국제연극제, 워크숍, 학교연계 연극공연 개최 등 다양한 공연 제공 ᐧ연령별 워크숍, 직접 기획한 극을 무대에 올릴 수 있는 클럽 운영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HIP HOP ACADEMY HAMBURG) : 쿨투어팔라스트 함부르크(KulturPalast Hamburg)
ᐧ힙합의 전 분야에 대해 교육, 인재양성 프로그램 ᐧ3단계 과정을 통해 전문가 육성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 센터 (Kinderkreativzentrum Krokoseum)
ᐧ아동ᐧ청소년 대상으로 매일 오후나 주말에 참여할 수 있으며 아 티스트, 공예가 등의 게스트 초대. ᐧ투어 프로그램, 생일파티, 도서관 열람 가능
키즈 오운 퍼블리싱 (Kids’s Own Publishing) 프로젝트 스튜디오 판타지(Studio Fantasy) : 아트플레이(Art Play) 온라인 예술교육(Learning Art lessons) : 호주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디지털 창의교육 프로그램(Digital Creative Learning Program)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
호주
북 유 럽· 아 일 랜 드
ᐧ어린이가 스스로 제작한 책을 출판하는 등의 활동을 함 ᐧ어린이 대상 출판 워크숍을 시행 ᐧ미술가와 함께 가족에게 어울리는 의상을 제작하고 사진작가가 직접 가족사진 촬영을 지원. ᐧ원주민 연구, 역사, 지리, 문학, 시각예술 등의 분야를 기반으로 새로운 온라인 교육 자료제공 ᐧ방문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아이폰, 키오스크 등과 같은 보조자 원 활용한 작품 소개, 소장품 교육과 연계 ᐧ지방정부 IT지원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된 프로그램으로 화상 회의 시스템 시작 이후 확산 ᐧ화상통화를 이용해 오페라하우스 투어, 연극 워크숍 등 진행
에볼루션 프로그램(Evolution program) : 시그널(Signal)
ᐧ스튜디오 제공, 지역학교 연계, 길거리 아트 프로그램 등 운영 ᐧ청소년 중에서 선별하여 멘토, 프로그램 보조교사, 강연자, 작가 등으로 선정하여 진행함.
벨 기 에
ABC하우스 : ABC(Art Basics for Children)
ᐧ평일 상시 학생과 교사 대상, 주말에는 가족 대상, 방학 중에는 개발 및 연구를 위한 코스, 소외계층 아이들 스튜디오 등을 운영
노 르 웨 이
메아리연극(Echo theater) : 시앙세 예술센터(Seanse Art Center)
ᐧ전해들은 이야기, 경험을 바탕으로 서술능력, 소통능력을 배울 수 있는 내러티브 드라마, 퍼포먼스 공연
스 웨 덴
학교과목과 서커스(School Subjects and Circus) : 서커스 시스쾨르(Circus Cirkör)
ᐧ27개의 기초반부터 심화반 까지 다양한 성격과 수준의 프로그램 으로 구성, 학교과목과 서커스를 접목시켜 이론과 개념적 사고를 움직임과 경험으로 학습하는 교육을 제공
아 일 랜 드
5Day Animation Camp: Making the Films : 디 아크(The Ark)
ᐧ평소 가정에서 사용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악기를 만들고 연주, 아 동은 나이별로 구분하여 팀을 꾸려 1-3분 길이의 영화를 제작. 두 팀당 한명의 멘토로 구성
5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1) 국내 사례 분석 (1)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12)(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가. 사업 개요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는 것을 중요한 정책목표로 추구하고 있다. 이것은 지역별 특성에 기반 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를 구축함으로 써 생활권 내에서 지역주민들이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장기적으로 다음 2가지 목표 를 추구하고 있다. 첫째,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지역주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 회 및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는 것을 장기적인 목표로 추구하고 있다. 둘째, 지 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지역 단위의 문화예술교육 실행 역량을 강화하고, 장기적 인 운영 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장기적인 목표로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의 핵심 요소를 크게 다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 다. 첫째,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에서는 ‘지역특성’에 기반을 두고,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유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지역특성’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 따라 차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것은 지역에 따라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이 다르고,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 는 지역문제 또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지 역특성’에 바탕을 둔 ‘지역밀착형’ 지원 사업이기 때문에,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에 대한 분석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지 역특성’은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으로 추진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맥락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의 정책 대상 집단은 ‘지역주민’ 전체이다. 따라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모두 정책 대상 집단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지역 특성화 문 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아동과 청소년 및 가족 등 정책 대상 집단이 구체적으로 설정되어 있 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과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정책 대상 집단은 ‘지역주민’으로 포 괄적이지만, 실제로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주민은 부부, 노숙인, 농촌마을 주민들, 아동 및 청소년, 1인 가구, 장애인, 다문화가정, 귀농 및 귀촌인, 중년여성, 가 출청소년, 문화사각지대의 지역주민 등 다양한 형태로 세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 이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에서는 ‘지역주민’을 포괄적으로 정책 대상 집단으로 설 정함에 따라 다른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의 정책 대상 집단과 중복될 여지를 내포하고 있 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2015 사회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53
다. 이에 따라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다른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과 차별화하 기 위하여 특정 향유기관에 속한 학습대상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지역 특성화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에서 제외되는 향유기관으로는 ① 아동청소년 : 아동보육시설 ② 노인 및 장애 인 : 노인복지관 또는 장애인 복지관으로 인가를 받은 시설 ③ 초, 중, 고등학교 및 학교법인으 로 인가를 받은 특수학교 및 대안학교(자유학기제 대상 학교는 제외) ④ 군부대, 교정시설, 소년 원학교, 청소년비행예방센터, 치료감호소, 보호관찰소 등을 들 수 있다.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수 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쉼터, 미인가 대안학교, 탈북청소년 민간 대안 학교의 경우에는 지원이 가능하다. 그리고 토요일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지원이 배제된다. 셋째,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지역별 특성에 기반 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계 를 구축하는 것을 중요한 정책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① 중앙과 지역, 지역 내 지 자체와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②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주민 수요를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등이 중요한 정책과제로 제시되어 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추진체계는 다음의 <그림>과 같다. 지역 특성화 문화예 술교육 지원 사업에서는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광역단위의 거점 기능을 수행하는 분권화 된 체계를 구축해가고 있다.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지역의 현황과 특성 및 수요를 반영하 여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정책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문화예술교 육진흥원은 지원 사업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을 강화하며, 지원 사 업의 성과관리를 종합적으로 추진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의 세부 전략 및 내용은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도 지방보조금 교부와 정산관리 및 사업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림 Ⅱ-25>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추진체계
출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2015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기본계획.
5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나. 주요 성과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첫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고, 지역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분권형 지역문화예술 지 원체계 정립을 위한 기반을 조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 업의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설정하지만, 지역별로 구체적인 사업전략은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통해 수립, 추진되고 있다.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획사업 및 공모사업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협 력적 거버넌스 체계는 장기적으로 지역분권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상황에서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자체 모니터링 및 컨설팅 체계, 참 여하는 문화예술교육단체 및 강사 워크숍 등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둘째,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문화예술교육단체들로 하여금 지역사회 속으로 깊숙하게 들어가서 지속적으로 지역주민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문화예술교육 단체 중에서는 지역사회에서 2년 또는 3년 이상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역주민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사례들이 많다. 이러한 단체들은 일반적으로 마을에 거점 공간을 마련하고, 참여하는 학습자 뿐 아니라 다른 지역주민들과의 소통 및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문화예술 창작에 전념했던 전문 단체들 중에는 문화예술교육을 중요한 단 체 기능으로 설정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이와 같이 지역을 거점으로 지속적으로 활 동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단체들은 문화예술교육 뿐 아니라 지역 커뮤니티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다양한 이슈, 다양한 지역주민, 다양한 프로그 램 등을 발굴함으로써 지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화적, 사회적 문제들과의 맥락 속에서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여 왔다.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에서 고 려되고 있는 지역사회 문제들로는 예컨대, 지역공동체 회복, 귀농귀촌 문제, 사회적 소수자 문 제, 노인들의 자존감, 노숙인 문제, 장애인 문제, 다문화사회 문제, 마을 문화매개자 양성문제, 환경문제, 저개발 지역의 문화 환경 조성 문제 등등 다양하다. 넷째,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지역주민을 수혜자로 인식하는데 그치지 않고, 지역주민들을 협력자, 매개자로 적극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문화 활동을 주체적으 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역문화 매개자를 발굴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발굴된 지역문 화 매개자는 개인 단위일수도 있고, 자발적인 모임 형태의 조직 단위일수도 있다. 아직은 이러 한 인적 자원의 발굴 및 조직화 수준이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장기적으로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문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살펴본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추진실적은 다음과 같다. 사업 을 시작한 2008년에는 ‘지방자치단체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시작하여 262개 기관,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55
8,197명의 교육참여자에게 350개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2010년에는 ‘지역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303개 기관, 11,525명의 교육참여자에게 827개의 프로 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이와 같은 확대는 교육대상을 일반 시민으로 확대한 결과로 보인다. 사업 명을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변경한 2012년에는 334개의 단체, 10,615명의 교 육대상자에게 539개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지원단체의 경우 연평 균 3.26%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경우 연평균 2.67%, 교육참여자의 경우 2.88%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표 Ⅱ-10>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성과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단위 : 개소, 개, 명)
2014
2015
2016
지원단체
262
273
303
251
334
500
328
389
345
시설수
350
343
841
501
503
650
400
337
413
프로그램
350
343
827
446
539
700
421
422
421
교육참여자
8,197
6,146
11,525
9,432
10,615
11,852
10,000
8,880
8,537
예산(백만원) (국고+지방비)
2,890
2,890
5,890
5,910
5,910
9,284
5,890
5,704
5,603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통계 자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내부자료 활용.
(2) 교육부 토요프로그램 가.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13) 2012년부터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교육부의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 사업은 주 5일수업제 시행에 따라 지역사회의 교육자원을 활용하여 맞벌이 가정,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토요 프로그램의 운영 필요성에 따라 추진된 사업이다. ‘가정과 사회가 함께 하는 토요학교’란 기초자치단체가 지역 내 가용 가능한 교육자원을 총동원하여 토요일에 학생․ 학부모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를 의미한다. 동 사업은 ‘학 교 밖 토요학교’를 통해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역의 교육자원(박물관, 도서관, 미술관, 복지관, 각 종 청소년시설, 주민자치센터 등)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교육 취약계층 학생 등에게 다양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며, 2012년에는 지역 내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하여 진로탐색 프로그램, 학 교폭력의 예방 및 치유, 체험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운영 하였다. 2012년 60개 지자체 에서 1,720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아동․청소년 및 부모 등 227,177명이 참여하는 성과를 거 두었다. 추진체계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13) 교육부.(2013).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 사업계획(안). 5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26> 2013년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 추진체계 ▪사업계획 수립, 사업운영 지자체 선정, 사업평가 등 총괄 ▪시․도교육청 예산(특교) 교부
교육부 국가 평생교육 진흥원
시·도교육청
▪선정 심사위원회 구성․평가 ▪지자체 담당자 연수, 협의회, 컨설팅 등 사업관리 ▪기초자치단체와의 사업협약, 예산 지원 및 관리 ▪교육지원청 및 산하기관(Wee센터, 진로정보센터, 시·도 학부모 지원센터 등) 연계․협조 지원
교육지원청
▪기초자치단체의 사업계획 수립(사업신청서 작성) 및 프로그램 운영 시 협력 ▪지자체와 학교․학생간 연계 지원
기초자치 단체 ▪거점기관 지정, 프로그램 개발․운영, 토요학교 협의체 운영 ▪사업 성과관리 등에 대한 자료조사 협조 ▪프로그램 개설 안내 및 홍보
출처 : 교육부.(2013).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 사업계획(안)
나. 토요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방과후학교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토요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학생이 학교를 중심으로 토요일 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도록 시행되었다.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를 해소 하고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 체육, 문화예술 등 다양한 특기적성분야에 대한 활동과 체험중심으 로 운영되었다. 방과후학교는 학생 수요에 따라 토요일, 휴업일, 방학 중에도 운영하여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 으며, 학생․학부모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질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한다. 또한 개인역랑계발 에 중점을 두고 개설하고, 지속적인 수강이 가능하도록 단계별 프로그램을 개설해야한다. 방과 후학교의 전체 예산은 공립 초등학교 교당 평균 9,555천원, 공․사립 중학교 교당 평균 6,000천 원, 고등학교(국립고, 특목고, 자사고 제외)교당 평균 3,000천원이 지원되며, 예산 내에서 방과 후학교 보조인력 인건비, 강사료 보전 및 저소득층 자녀 수강료 지원 및 토요방과후학교 운영 예산을 자율적으로 편성하는 방향으로 한다. 또한 토요방과후학교는 수익자 부담원칙으로 운영하되, 토요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해 특기 적성 프로그램의 수강료 지원 예산 편성을 권장한다.14) 토요방과후학교는 2011년 2,767교 12,431프로그램에서 2012년 9,702교, 51,069 프로그램으 로 확대되었다.15) 14) 서울특별시교육청(2016.02). 2016년도 방과후학교 운영 기본계획. 15) 서울특별시교육청(2013.02). 2013년도 토요방과후학교 운영 안내.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57
다.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의 협력으로 2012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토요 스포츠데이는 주 5일제 수업제 시행에 따른 스포츠․레저 활동의 수요 증가로 학생들의 주말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는 프 로그램이다. 토요 스포츠데이의 운영을 통해 학교 내 다양한 스포츠강습, 스포츠 리그 전개 등 을 통하여 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제고와 참여자의 체력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토요 스포츠데이 운영을 위한 토요 스포츠강사 채용은 2013년 총 7,873개의 학교에 배치되었 으며, 총 배치인원 수는 11,448명으로 집계되었다. 2014년에는 총 8,614개교의 학교에 11,994 명의 스포츠강사가 채용되었고, 2015년에는 총 9,968개교의 학교에 14,802명의 스포츠강사가 채용되어 점점 확대되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16)
라. 토요문화예술 동아리 프로그램 토요문화예술 동아리는 ‘주 5일 수업제 토요프로그램‘ 정책이 일환으로 전국 초ᐧ중ᐧ고등학교 학생들이 원하는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위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동아리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사회성과 협동성 함양을 목표로 한다. 매년 문화예술 소외 취약 지역의 학교, 예술강사 배치, 동아리 활동 문화예술 분야 등을 전면 적으로 확대 지원하고 있다. 가령 2012년에는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 65개에서 150개, 2013 년도는 600개소로 확대하였고, 소외지역 학교는 100교에서 500교로, 예술강사는 8개의 문화예 술 분야에 전면적으로 배치되었다. 그 밖에 신규문화예술 프로그램 도입, 저소득층 학생에게 수 강료, 교통비, 중식비 지원 등으로 소외계층을 고려한 운영이 확장되었고, 2013년 당시 토요문 화예술 동아리에 참여한 학생은 전국에 주5일 수업제에 참여하고 있는 학교의 전체 학생 중 0.09%인 62,664명이 참여하였다.
마. 토요돌봄교실(초등돌봄교실) 2004년 교육인적자원부의 ‘방과후 교실’ 시범 도입으로 시작된 돌봄사업은 2010년 초등보육 교실을 ‘초등돌봄교실’로 명칭울 변경하면서 확대되었다. 2011년에는 아침돌봄을 시범 운영 하 면서, 아침과 오후, 저녁돌봄의 체계로 운영되었으며, 2012년 주5일 수업제 전면 자율 도입에 따른 토요 돌봄 수요를 흡수하여 토요돌봄교실도 시행하게 되었다.17) 이후 초등돌봄교실은 학 부모들의 높은 만족도를 바탕으로 확대되었다.
16) 문화체육관광부. 2013-2015년도 토요스포츠강사 배치 현황. 17) 조진일 외(2015). 초등돌봄교실의 환경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 RR 2015-37. 5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초등돌봄교실은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및 맞벌이 가정 등의 증가로 안심하고 양육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을 통해 방과후 돌봄서비스의 강화 필요성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오후 돌봄(방과 후~17시 혹은 19시), 저녁돌봄(오후돌봄 후~22시), 토요돌봄(9시~학교별로상이), 방과후학교 연 계형 돌봄교실(정규수업 후~17시)로 운영되고 있다. 초등돌봄교실은 학년특성에 맞는 운영 다양 화를 통해 운영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1~2 학년은 돌봄교실, 3~6학년은 방과후학교 연계형 돌봄교실에 참여하고 있다. 프로그램비는 무상으로 진행되며, 학교 내 돌봄 전용교실 및 겸용교 실(일반교실, 특별실 등)을 활용하여 진행하고 있다. 예산은 각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돌봄교실 프로그램은 단체활동(음악줄넘기, 리코더, 프크댄스 등)과 개인활동(과제수행, 일기쓰기, 독서활 동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진다.18) 초등돌봄교실은 점점 확대되는 추세이며, 참여 규모 변화는 아래의 표와 같다. <표 Ⅱ-11> 초등돌봄교실 참여 규모 변화 (2004-2015)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단위 : 개) 2013
2014
2015
학교수
337
609
1,421
2,508
2,962
4,146
5,430
6,639
5,652
5,784
5,938
교실수
445
889
1,631
2,718
3,334
4,622
6,200
5,430
7,086
7,395
7,395 10,966
학생수 (천명)
8
13
37
50
55
77
104
124
159
160
221
5,972
240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2016). 초등돌봄교실의 양적 확대와 만족도에 관한 통계.
(3) 여성가족부 토요프로그램 :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는 2005년 청소년 기본법(제48조의2항)에 근거하여 추진된 복지사업 으로 전국의 만 9세~13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동 프로그램은 학교 외 시설(청 소년 수련시설)을 중심으로 공교육을 보안하고 사교육비를 절감하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를 지 원, 청소년 범죄ᐧ 비행 노출 예방 등을 통해 건전한 청소년 육성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 내용 은 전문체험, 학습지원, 자기개발, 생활지원 등이 있다. 2014년 기준으로 청소년 수련시설 전국 200여 곳에서 운영되며, 8,000여명의 청소년이 참여 하였고, 동 프로그램은 기존의 돌봄정책이 교육체계에서 이루어졌다면 프로그램의 특징은 복지 체계로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확대된 대상, 저소득층은 무료지원 등을 가지고 있다. 반면 교육체계의 사업과 내용이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18) 대구광역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대전광역시교육청 2016 초등돌봄교실 운영계획 참고하여 작성.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59
(4) 지자체/ 민간 프로그램 가. 예술로 플러스(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에서 실시하는 ‘예술로 플러스’는 어린이창의예술교육 중 하나로 학교 정규수업 에서 만나는 통합 예술교육으로 설명된다. 모든 어린이가 스스로 깨우치는 학교, 움직이며 배우 는 재미난 수업, 신바람 나는 학습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쓸 수 있는 다양한 창의예술교육 프로 그램을 개발하며, 학기 중에는 수업시간에 예술가교사(TA)19)가 파견되어 진행하는 이 수업을 통해 어린이들이 일반교과 수업을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일반학급이 대상이며, 연간 1학기(4월~6월)/2학기(9월~11월)에 진행된다. ‘예술로 플러스’의 사업 내용은 교과연계 창의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TA파견수업, 수업 교재 지원 등이다. 운영현황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Ⅱ-12> ‘예술로 플러스’ 운영 현황 연도
지원학교 수
개발교과
2009
5학교 5학급
2학년 2학기 즐거운생활(5,6단원)
2010
6학교 20학급
2학년 2학기 즐거운생활(5,6단원)
2011
20학교 40학급
5학년 2학기 국어(5,6,7단원)
2012
16학교 61학급
3학년 2학기 사회(3,4단원)
2013
15학교 61학급
2학년 2학기통합
2014
30학교 122학급
2학년 1학기 국어
2015
30학교 127학급
3학년 1,2학기 수학
2016
52개교 208학급
4학년 1,2학기 국어
출처 :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html/main/index.asp)
19) 예술가교사(TA)란 서울문화재단 어린이 창의예술교육 사업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를 지칭하는 말로, 예술언어 에 대한 이해 및 통합적 활용 능력을 갖추고 교육학적 역량을 겸비한자로서 학습자를 삶에 대한 미적체험의 기회로 안내하는 자를 의미한다. 6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나. 영메이커 프로젝트20)(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 ① 사업개요 메이커 운동21)은 2006년 4월 캘리포니아에서 제1회 메이커페어를 시작으로 탄생하였고, 현재 전 세계 200여개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다. 또한 2014년에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오늘 의 Do-it-yourself(DIY)가 내일의 메이드인 아메리카가 된다’라고 발표하면서 초ᐧ중ᐧ고등 교육 과정에서 메이커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국내에서는 2012년 한국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메이커페어를 시작으로 확산되어 현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주도로 설치된 전국 50곳의 무한상상실, 팹랩,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대장간, 성수 메이커스페이스, 서울혁신파크, 콘텐츠 코리아 랩 등 다양한 지역에 메이커스페이 스가 늘어나고 온오프라인으로 활동하는 메이커 커뮤니티는 약 320개가 있다. 그 중 ‘무한상상실’의 ‘영 메이커 프로젝트’는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창의과학재단의 사업으로 조성되었으며, “어린이 같은 어른, 자동차 같은 장난감, 아날로그 같은 디지털기술, 마스터 같은 예술가, 예술가 같은 메이커스들의 팩토리”를 슬로건으로 하여 기술로서의 메이커와 표현으로서 아트가 융합된 프로젝트를 지향하고 있다. 동 프로젝트는 정해진 틀에 얽매이지 않도록 스스로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방목형 수업을 지향하며,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고 이러한 상상력이 어떤 형태로든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창제작 연구프로젝트 성격이 강하다.
② 내용 및 특징 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22)에서 진행된 영메이커 프로젝트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을 대상으로 약 6주 동안 운영된다. 영메이커 프로젝트는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장난감을 주제로 한다. 장난감에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 아두이노 기술, 3d프린터 기술을 활용하여 장난감을 작동하는 장치를 고안하고 설계하며 직접 제작까지 하는 어린이 메이커스 활동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단순히 첨단기술 뿐 아니라 아날로그를 접목한 놀잇감을 발명한다.
20) 메이커교육코리아(2016). 영메이커 프로젝트 21) 메이커 운동은 ‘스스로 물건을 만들고 공유하고 나누자’ 라는 철학으로 시작된 새로운 제조업 운동으로 누구 나 쉽게 질 좋은 물건을 만들 수 있는 디지털 도구의 발달과 지식을 공유하는 오픈소스의 개발을 통해 확산 되었다. 22) 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은 과학관, 도서관, 주민센터 등의 주변 생활공간에 설치되는 창의적인 공간으로 국민 의 창의성, 상상력,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러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시험․제작을 하거나 UCC 제작․스토리 창작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며, 전문가들에게 3D프린터부터 3D스캐너 레이저 커터 간은 장비의 사용법을 배우고 친구들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61
영메이커 프로젝트는 멘토 선생님과 함께 3단계로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며, 1단계는 메이커 철 학을 담은 동영상을 보며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프로젝트를 기획과 설계를 위한 아이디어를 생성 하고 스케치하기, 내용은 구글 검색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고 과정을 기록하는 것을 중요시 하고 있다. 2단계인 프로토 타입 만들기는 어떻게 만들지 보다 왜 만드는지에 대해 생각하면서 물건 의 쓸모와 용도에 대해 고민하여 미리 제작하여 보고 이후 직접 만들어 보는 것이다. 3단계는 완성한 프로젝트 공유하고 발표하기이다. 완성된 프로젝트를 소개할 보드를 만들어 어려웠던 점 느낀 점 등을 나누고 친구들과 공유한다. 완성된 작품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리는 메이커 페 어에 전시된다. 아래 [그림]은 메이커 프로젝트 활동 과정이다. <그림 Ⅱ-27> 무한상상실 내부 및 뱀로봇 작업과정 사진
출처 :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 홈페이지 http://sangsangmaker.kr/
③ 시사점 메이커 운동은 2005년 메이크 매거진(Make:)이 발매되기 이전에는 혼자 스스로 하는 Doit-yourself(DIY)였다면, 매거진 발매 이후 자신들이 만든 것을 공유할 공간이 생기자 아이디어 를 나누고 토론하는 커뮤니티를 조직하게 되면서 함께하기(Doit-Together)로 바뀌었고, 유치원 부터 고등학교까지 참여하는 메이커 교육으로 확장되면서 전 연령대의 아이들은 다른 이들과 스스로 만들기(do-it-yourself-withothers)까지 이르렀다. 이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나누며 다른 생각과 교류할 수 있는 배움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 의의가 있다. 또한 과학과 예술이 융합된 프로그램으로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기획사업의 기본방향과 일 치하며, 혁신적, 실험적 프로그램으로서 예술교육의 교육적 효과와 동시에 취미·여가 계발을 꾀 할 수 있는 점과, 현재 붐이 일고 있는 메이커 무브먼트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로써 만 드는 과정 자체를 즐기는 메이커 문화와 접목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 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6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다. 서울댄스프로젝트 ‘춤바람 커뮤니티’(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의 서울댄스프로젝트는 ‘춤’을 통해 자유롭게 표현하는 시민예술 프로젝트이다. 서울댄스프로젝트는 춤을 통한 활력과 치유, 공감과 소통의 공동체 회복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인간적 접촉을 만들고 춤의 공공적 가치를 실현하는 시민참여형 프로젝트 형식이다. 서울댄스프 로젝트는 4월부터 11월까지 주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춤에 관심이 있는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서울 곳곳에서 운영된다. 서울댄스프로젝트의 프로그램은 게릴라춤판, 춤바람 커뮤니티, 커뮤니티 댄스 랩, 체어댄스, 서울무도회로 구성되어져있다. 그 중 ‘춤바람 커뮤니티’는 ‘일상 속에서 춤과 함께하는 시민공동체’라는 취지를 가지고, 춤을 좋아하는 서울시민 10명 이상으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선정하여 춤 워크숍 및 서울댄스프로젝트 의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14개의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으며, 각 커뮤니티 별 전담예술가가 함께 참여한다. 커뮤니티는 자발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직장인, 아빠와 아이, 대학원생, 중년여성 등 다양한 계층, 다양한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춤 워크숍은 1회 2시간, 총 12회의 워크숍을 전담예술가와 함께 진행한다. ‘춤바람 커뮤니티’에 참여하면서 서로 춤을 통한 교감의 기쁨을 누리고, 춤을 매개로 삶의 활 력과 관계성을 북돋아주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림 Ⅱ-28> ‘춤바람 커뮤니티(FUN DANCE)’ 및 ‘게릴라춤판 : 빙글뱅글 서울유랑’
출처 : 서울댄스프로젝트 홈페이지(http://seouldance.or.kr/)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63
라. 복작복작 예술로 골목길 프로젝트 “복작복작 예술로(路)”(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의 ‘복작복작 예술로 골목길 프로젝트’는 2015년에 시작된 프로젝트 형태의 공모 사업으로, 서울시내 지역골목길 및 유휴공간에 지역 주민, 예술가가 예술 활동을 하여 동네 문 화 공동체 활성화, 지역재생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2016년에는 최소 4인 이상 으로 구성된 지역 예술단체/커뮤니티를 지원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900만원에서 1,200만원 내 외로 11개 단체에게 지원되었다.(2015년에는 단체, 대학교(원)을 포함하고 5인 이상 단체를 대 상으로 하였으며, 지원금액은 500만원에서 1,000만원 내외로 12개 단체에게 지원되었음) 프로젝트에 선정된 단체들은 서울시 내 동네 골목길, 유휴공간 등에서 주민과 함께하는 문화 예술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복작복작 예술로(路) 축제주간에 참여하여 시민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2016년에는 9월 23일부터 25일까지 서울시 내 11개 동네, 11개의 프로그램이 복작복작 예술 로 페스티벌에서 운영되었으며, 골목음악회, 숲 속 콘서트, 거리 카니발, 목욕탕 퍼포먼스 등 예 술을 통해 서울의 동네들을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그림 Ⅱ-29> 2015-2016 복작복작 예술로 프로젝트 프로그램 및 페스티벌 (극단 해-나의 이야기 극장, 후즈살롱-행화탕, 에스꼴라알레그리아-기쁨의 동네북 수색작전)
출처: 복작복작 예술로 골목길 프로젝트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bokjakroad/)
6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마. 문화놀이터(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의 문화놀이터 사업은 일상공간의 문화예술 환경조성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2004년에 시작되어 2006년 현대건설과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돈암동 현대 아파트에 ‘거꾸로 놀이터’를 첫 시공하였다. ‘거꾸로 놀이터’는 거꾸로 된 집, 거꾸로 된 컵의자, 거꾸로 된 자동차 그네 등 모든 시설들이 거꾸로 된 모양을 하고 있으며, 거꾸로 이야기하고 상상해보기를 좋아하 는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디자인으로 놀이터 공간이 창의적인 공간이 되었다.23) 이후 2007년에는 SH공사와 노원구 중계동 택지개발지구와 마포구 도화동 재개발지구를 시공하였으 며, 2008년에는 SH공사와 ‘2008 임대아파트 문화놀이터 조성사업 지원’협약을 체결하고 서울시 주요 임대아파트에 약 20여개 단지에 시공하였다. 시공한 놀이터의 디자인은 2007년 (주)현대 건설과 함께 공모를 통해 선정해 발전시킨 모델로 진행되었다. 2009년에는 ‘2009 문화가 있는 놀이터’라는 이름으로 시공된 문화놀이터에서는 ‘명랑토끼 만만세’, ‘거꾸로 집의 소방대’ 등 다 양한 문화놀이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어린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놀이가 운영되었다. <그림 Ⅱ-30> ‘거꾸로 놀이터’와 ‘동물원 놀이터’ 문화놀이 현장체험 프로그램
출처:이데일리(2008.12.05.), “돈암힐스테이트 ‘거꾸로 놀이터’ ” (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area_3136060/MD20081205095105639.daum) 서울문화재단 보도자료(2009.05.08.).“환상의 놀이터에서 펼쳐지는 신나는 문화놀이 체험”
23) 한국아파트신문(2006.10.04.). “서울 성북 돈암현대홈타운아파트 내 문화놀이터 1호 시공”, 한국아파트신문, (http://www.hapt.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47)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65
바. ‘기적의 놀이터’ 제 1호 엉뚱발뚱24)(순천시) 지난 5월 전남 순천시에 새롭게 개장된 ‘기적의 놀이터’는 놀이터의 전형적 상징인 놀이기구 및 시설이 배제된 새로운 형태의 놀이공간으로 가공하지 않은 자연 소재인 돌, 흙, 통나무 등을 주재료로 시냇물, 잔디, 언덕, 동굴, 나무 그루터기 등 자연의 상태를 그대로 구성해 아이들이 스스로 상상하며 창의력과 모험심을 키울 수 있도록 만든 곳이다. 현재 순천시는 2020년 까지 총 10개의 기적의 놀이터 조성계획을 추진 중이다. 순천시는 작년 7월 관내 초등학생 1,300여 명을 대상으로 놀이터 설문조사, 8월에는 초등학생 30명과 1박 2일 기적의 놀이터 참여 시범학 교 운영, 60명의 시민과 아이들이 기적의 놀이터를 직접 디자인하는 캠프 등을 운영하는 등 적 극적인 시민참여형 과정을 통해 사업을 추진했다. 이 사업과정에는 편해문 놀이터 디자이너 등 공간디자인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나, 동시에 지역 거주 아이들이 직접 설계, 디자인, 감리 등 전 과정에 함께 주체적인 프로젝트 주도자로서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이 직접 디자인한 놀이 터가 탄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그림 Ⅱ-31> 순천시 기적의 놀이터
출처: 연합뉴스(2016.09.20.) “순천시 '기적의 놀이터' 2020년까지 10개로 늘린다” 기사 참조
24) 현재 전남 순천시는 연향2지구에 기적의 놀이터 1호를 개장하였으며, 2020년까지 10곳으로 늘릴 계획을 추진중에 있음.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20/0200000000AKR20160920105200054.HTML) 25) 하태민(2016.05.03.) ‘국내 첫 놀이기구 없는 놀이터 순천에 개장’,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241dc9a4f87d438197add6f69f282215) 6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사.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방과후행복카드 (舊 부산 토요스쿨패스카드) ‘부산방과후행복카드(舊 부산 토요스쿨패스카드)’는 모든 학생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문화예술‧ 스포츠‧체험 활동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부산 및 울산 지역 해당 기관에 입장료 할인 혜택을 지원하는 카드이다. 토요일마다 영화관, 아쿠아리움, 테마파크 등의 기관에서 할인혜택을 부여하 고, 과학관, 미술관, 박물관 등을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초, 중학교 학생 당 1매를 배부하며, 고등학생은 부산시광역시교육청 방과후학교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프린트해 서 사용할 수 있다.26) 배부 받은 학생은 입장료를 50%~10% 할인 받을 수 있으며 가족 동반 할인제가 적용되는 기관에서는 함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림 Ⅱ-32> 부산 방과후행복카드
출처 : 부산광역시교육청 방과후학교지원센터 홈페이지(http://bsafterschool.pen.go.kr)
아. 삶을 위한 학교(광주 선운중학교) 선운중학교의 ‘삶을 위한 학교’는 공간의 변화로 교육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고 믿고, 예술과 문화를 누리고 자유롭게 창작할 수 있는 권리, 즐거울 권리, 일상의 삶을 위해 공부할 권리, 그 권리를 지키는 학교를 만들어보자는 목표로 탄생한 공간이다. ‘삶을 위한 학교’는 인문학적 사 유를 배우는 것에서 시작하여 실제 내 삶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을 익히고 자신감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7) ‘삶을 위한 학교’는 ‘인문공간 2037’과 ‘예술 작업장 꼬물’로 구성된다. 이 공간들은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어 만들어진 공간이다. 특히 예술작업장 ‘꼬물’은 고물을 작품으로 만드는 예술작 업실로, 목공소를 그대로 교실에 옮겨놓은 것 같은 모습이다. 예술가 레지던시 형식으로 운영되 며 2015년 선운중학교에는 이호동 작가가 상주하며 학생들과 공간을 만들고, 업사이클(upcycl 26) 부산광역시교육청 유초등교육과(2016). 2016 「부산방과후행복카드」배부·활용 안내. 27) 교육부 행복한교육(2015.11). 광주 선운중학교, 우리가 만든 특별한 공간 ‘삶을 위한 학교’.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67
e)28)활동을 함께하였다. 2015년에는 ‘따듯한 바다’를 주제로 하여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아 이디어를 예술가와 협력하여 실현하는 과정을 거쳐 아이들의 상상력이 발현된 다양한 작품을 만들었다. <그림 Ⅱ-33> ‘예술작업장 꼬물’과 ‘따듯한 바다’를 주제로 작품을 만드는 학생들
출처: 교육부 행복한교육(2015.11). 광주 선운중학교, 우리가 만든 특별한 공간 ‘삶을 위한 학교’.
자. 삶의 학교(고무신학교) ① 사업개요 고무신 학교와 이자북스가 공동으로 제작한 영상자료, 활동지, 권장도서 등으로 운영하는 프 로그램으로 월 1회씩 총 5회로 구성되어 있고, 회 차 당 5만원의 수업료를 받는다. 고무신학교 의 삶의 학교는 2004년부터 시작하여 올해로 13기를 맞고 있다.
② 내용 및 특징 삶의 학교의 목표는 ‘즐겁게 생각하고 신나게 놀며 삶, 세상을 만나다’로 하고 있으며 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이다. 매달 첫째 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7시간) 운영하며 주로 넓은 마당, 주변 문화시설 기반의 주제중심 통합수업이다. 가령 주제는 시간이 빨리 간다 는 것, 나눔, 함께함, 즐거움 등이 있고, 주로 인문, 사회, 예술을 접목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구 성은 주제 관련하여 생각하기, 이야기하기, 글쓰기, 실천거리 만들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은 11기 수업 내용을 기록한 사진이다.
28) 업사이클(upcycle)활동은 재활용의 차원을 넘어 버려진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불어넣는 활동으로, 선운중학 교 예술작업장 꼬물에서는 버려진 고물을 활용하여 작품으로 승화시키는 업사이클 활동을 하고 있다. 6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34> 11기 수업 ‘친구에게 하고 싶은 말-팔찌만들기’,‘시를 읽고 놀이하기’
출처 : 고무신학교 블로그(http://cafe.naver.com/puljibtour/666)
③ 시사점 삶의 학교는 교과목 중심이나 예술 장르 중심이 아닌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기획, 운영되어 아이들의 사고와 생각에 대한 교육이라는 점이 의미가 있다. 일상생활에서 누구 나 경험하는 것, 느끼는 감정, 과학적인 현상, 사물의 원리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토론하며 생각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특히 예술적인 상상력과 표현방식을 활용하므로 삶 속의 예술을 경험할 수 있다.
차. 광주창의예술학교(광주문화재단)29) ‘창의예술학교’는 ‘삶·예술·교육’을 융합하는 교육실험을 학교 밖 학교, 즉 민간영역에서 실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비전과 문제의식을 공유한 광주 지역의 문화·예술·청소년·교육 관계자들의 무수한 토론 속에서 태동하였다. 각 주체들의 관심사와 현재하고 있는 모색들 안에서 ‘움직이는 학교, 노작학교, 인문예술학교’ 등 다양한 네이밍이 있었으나, 종국적으로는 ‘기존 교육에서 배 울 수 없는 새로운 배움의 기회’를 추구한다는 공통성을 갖고 있었다. 창의예술학교는 지향점 및 교육내용을 1) 자신의 삶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재해석 2) 몸의 근 육과 마음의 근육 성장 3) 일상적 삶의 힘 복원 4)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비전 설정으로 정리 하고 있다. 2012년 ‘창의예술학교’라는 이름으로 광주광역시와 광주문화재단,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가 함께 하며 개별 공모 사업을 통해 3개의 학교가 출발하였다. 2013년과 2014년은 민간영역의 힘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삶과 예술 배움청’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삶과 예술 배움청’은 실제로 물리적인 건물과 별도의 인력, 하드웨어적인 조직을 가진 학교가 아니라 그야말로 보이
29) 광주문화재단(2015), 2015창의예술학교 참여관찰연구보고서.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69
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비전을 공유해가는 ‘학교들의 네트워크’를 명명한 ‘학교’의 새로운 이름이었다. 2013년은 광주문화재단은 한 발짝 물러서고 컨소시엄 형태의 <삶과 예술 배움청>을 매개로 세 학교를 연결하는 대안의 작은 학교공동체 구성하는 시도를 했다. 작은 3개의 학교를 연결하 여 <삶과 예술 배움청>이라는 창의예술교육네트워크 새 운영 모델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노력 은 세 학교 간 교육과정을 연계, 통합 : '노작의 경험 - 모험, 탐구하는 삶의 경험-기획하는 삶 의 경험' 교육과정 연계 및 통합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예술학교 학교공동체 구성 : 세 학교 예술교사, 학부모, 학생이 연계될 수 있는 학교공동체행사, 통합 수업, 예술교사 네트워크 구성 에 초점을 두었다. 2014년은
“<삶과 예술 배움청>을 매개로 한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 공동체 형성”에 초점을
두었다. 생애주기별 예술교육과정 설계: ‘삶, 예술(경험)중심의 교육’이 전 생애에 걸쳐 교육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설계, 운영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도시를 꿈꾸는 <삶과 예술 배움청>의 운 영시스템 구축 : <삶과 예술 배움청>을 중심으로 소속된 학교는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의 거점 역할을 하며 이를 연계하는 시스템을 구축, 광주전역 확대 발전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4년차에 들어가는 2015년에 초기 핵심주체들이 각각의 상황에 따라, 사업에 참여하지 않게 됨에 따라 <삶과 예술 배움청> 이름을 내어 놓아야 했다. 그리고 당초 광주문화재단에서 제시하였던 정책용어인 <창의예술학교>를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기본적인 교육의 방 향성은 기존대로 유지하여 “삶과 예술 배움 학교”로서 삶을 둘러싼 다양한 문화예술과 지역문 화자원(인적, 물적, 공간, 정신 등)과의 관계를 통해 창조적 지성을 실험하고 발견, 실천해가는 “삶의 경험학교”를 지향하고 있다. 이 사업은 광주광역시와 광주문화재단, 광주문화예술교육지 원센터가 주최하고 있다. 특히 바퀴달린학교는 2012년부터 진행하여 5년째를 맞고 있는 유일한 학교이며, 올해는 리드 단체 측 창의예술학교 사무국을 겸하고 있다. 북구문화의집의 그간의 축적된 역량 하에, 바퀴달 린 학교는 5년간 지속적인 프로그램과 강사진, 공통학교의례 등 비교적 안정된 시스템을 갖고 있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예술가와 건축가가 기본 합의된 주제 하에 각자의 개성과 성향에 따 라 자유롭게 진행하는 ‘땅과예술’, ‘주말건축’은 바퀴달린학교의 지향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수업이라 볼 수 있다.
7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Ⅱ-13> 2015 광주창의예술학교의 구성 단위학교 프로그램명
청춘자서전 학교
우리동네 마을학교
재미마중 노리학교
예술강사
특이사항
주말건축
- 작업하는 과정이자 일환으로서 - 사전협의된 주제 혹은 기본 컨셉을기본으 의 교육 로 자유롭게 진행 현대미술작가 - 담양수북 작가작업실과 연계, - 예술가(건축가)의 성향의 영향 큼 농촌 논,밭, 저수지 등에서 수업 - 예술가와 지속적인 소통 가능한 매개자의 역할 큼 - 일상 재료로 건축적 탐색, 활동 건축가
지리탐험
- 문흥동 마을 인문지리탐구
땅과예술 바퀴달린 학교
기본방향
준비반 쓰기반
- 문화예술을 매개로 기억을 표 현, 존엄한 생애기록 (1인 1 자 서전)
미디어 예술강사
문화기획자
- 동네 문화지리를 탐구해서 매체와 결합
- 개별대상과 강사간 감정적 유대감 강함 - 전형적인 자서전 출판방식을 차용, 문화 예술적 접근
- 마을 탐구를 통한 스토리텔링 및 융합수업 무용 예술강사 마을탐험반 - 아이들과 부모 관리 우수 (마을의 역사 문화·예술·인문·정 (무용) - 지역네트워크 강점을 지닌 기획자와 열정 신 자원에 대한 탐구) 적인 강사간의 시너지 - 디자인 아이디어 구상과 미술재 예술강사이자 창의공방반 료 탐색을 통한 재활용&창의공예 작가 청춘반 가족반
- 미술+전통놀이+책
문화예술교육사, - 지역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주체 발 미술전공 다수 돋움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71
2) 국외 사례 분석 (1) 미국 가. 토요예술실험실(Saturday Arts Lab)30) : 뉴욕주립대학교 예술대학 뉴 펄츠 지역에 소재한 뉴욕주립대학교(SUNY, New Paltz) 예술대학에서 2013년부터 운영해 온 Saturday Arts Lab 프로그램은 총 8주간 매주 토요일마다 초·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술장르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클래스는 예술 교육자, 활동하는 아티스트에 의해 진행되며, 대 학 미술 교육 부서의 학생들의 지원이 제공된다. 2016년 가을클래스는 10월 15일부터 12월 10일까지 진행되며, 2D 스튜디오 아트(1,2학년), 3D 스튜디오 아트(3,4학년), 드로잉+페인팅(5,6학년), 조각스튜디오(6,7,8학년), 캐릭터+카툰(7,8 학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수업료는 $165이다. 1,2학년은 대상으로 하는 2D 스튜디오 아트는 드로잉, 페인팅, 콜라주의 기초예술 개념과 기 술을 가르치며, 3,4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3D 스튜디오 아트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조각을 만들기 위한 건설과 디자인의 기초 예술 개념과 기술을 배울 수 있다. 드로잉+페인팅 클래스는 5,6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페인트와 잉크를 활용하여 추상화와 구상화의 예술작품을 만들고, 6,7,8학년의 조각 스튜디오는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3D를 만들고, 클래스에서 조각과 건설, 디 자인의 기초를 배운다. 7,8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캐릭터+카툰은 만화를 통해 드로잉하는 사람들 의 기초 기술을 배우고 3D캐릭터를 만든다. <그림 Ⅱ-35> Saturday Arts Lab(1-8) 학생 작품(Collage) 및 활동사진
출처 : 토요예술실험실 홈페이지 The University of the Arts, Saturday Arts Lab(1-8) (http://www.uarts.edu/academics/pre-college-programs/saturday-arts-lab-k-8)
30) 토요예술실험실 홈페이지 The University of the Arts (http://www.uarts.edu/academics/pre-college-programs/saturday-arts-lab-k-8) 7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나. ‘옛날 옛적 필라델피아에서는’(Once Upon a Nation in Philadelphia)31) : Historic Philadelphia32) ① 사업개요 Historic Philadelphia은 전 필라델피아 시장과 펜실베니아 주지사가 함께 설립한 기관으로 미 국의 역사에서 필라델피아의 중요한 역할에 주목하여, 역사를 재해석하고 참여자와 상호작용 교 육을 통해 역사를 현실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Historic Philadelphia 프로그램은 필라델피 아에 거주하는 시민 및 방문하는 관광객 모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Once upon a nation, The betsy ross house, Franklin Square와 협력으로 운영되며, 펜실베니아 주(State of Pennsylvania), 필라델피아 시(City of Philadelphia), 국립공원(National Park Service) 등이 이외에 35개의 단 체ᐧ기관의 후원을 받고 있다.
② 내용 및 특징 Once upon a nation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Storytelling & Living History’ 는 Historic District Tours, Storytelling Benches, Living History등이 있다. 특히, Storytelling Benches는 6~9월 동안 공식적으로 인증된 스토리텔러(Storyteller)가 국립역사공원에 설치된 13개의 스토링 텔링벤치(Storytelling Benches)에서 13개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프로그램이다. 그 밖에 Living History는 18~19세기의 필라델피아 시민들을 직접 만나 식민지 시대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들 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은 도시 전체를 마치 당시 역사현장을 재현하듯이 18세기 복장 을 착용하고 진행된다. 지역 곳곳에서 전쟁터의 군인을 재현, 독립선언문을 낭독 등 누구나 자 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그림]은 Once upon a nation의 Living History와 Storytelling Benches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시민들의 모습이다.
3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 토요문화학교 사회적 효과분석 연구 참고하여 재구성. 32) 필라델피아(Philadelphia)는 펜실베니아 주(State of Pennsylvania)에 속한 도시로, 미국 북동부에 위치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1970년대 미국 독립의 중심이 된 곳으로 독립에 관련된 많은 유적지가 있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73
<그림 Ⅱ-36> Living History와 Storytelling Benches 프로그램
출처 : 필라델피아 히스토리 홈페이지(http://www.historicphiladelphia.org/)
③ 시사점
Historic Philadelphia은 일상 공간, 지역의 유적지를 살아있는 교육 공간으로 활용하여 자연 스럽게 참여를 유도하였다는 점에서 삶에서의 예술교육을 제공하고 역사의 순간을 재현하며 놀 이식 접근방법을 시도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또한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참여하여 재미와 놀이로 역사를 배우고, 자연스럽게 지역을 탐험하도록 기획하여 참여의 기회를 확대하였다.
다. 가족워크숍(Family workshop) : 뉴 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 ① 사업개요33) 뉴 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의 가족 참여 프로그램(Family workshops)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서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을 가지고 유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가족관계를 강 화하여 서로를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게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아동과 가족을 주요 교육 대 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전문가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뉴 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은 1900년 오스카 헤머스타인 1세에 의해 리퍼블릭극 장(Republic theater)으로 처음 문을 열었고, 재건축을 통해 1995년 뉴 빅토리 극장이라는 이름 의 비영리 공연장으로 건설되었다. 뉴 빅토리 극장은 음악, 무용, 연극, 서커스, 인형극 등 다양 한 장르의 공연 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33) New Victory Theater(http://www.newvictory.org/Home)의 내용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제 38차 가족워크숍-다양한 세대가 함께하는 워크숍 이끌기 참고. 7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② 내용 및 특징34) 가족 참여 프로그램(Family workshops)은 공연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프로그램들로 춤, 마 술, 노래, 서커스, 연극 등의 장르로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교육 내용에 따라 제한 연령이 정해진다. 프로그램은 유료로 진행되며, 대부분 90분의 교육시간을 가진다. 가족 참여 프로그램 중 아프리카댄스(African dance)는 토요일에 5세 이상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90분의 워크숍이다. 뉴 빅토리 아티스트가 이끌고 있으며, ‘Mother Africa : My Home’이라는 연극에서 영감을 받았다. ‘Mother Africa : My Home’는 케이프타운의 가장 큰 마을 칼리차(Khayelitsha)를 배경으로 한 서커스 공연으로,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공연이다. 또 다른 프로그램인 마법 그리고 환상(Magic and Illusion) 역시 토요일에 진행되며, 6세 이상 가 족을 대상으로 90분 동안 진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Jason Bishop:Straight Up Magic이라는 쇼 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이 쇼에 사용된 퍼포먼스 기술을 가르친다. <그림 Ⅱ-37> African Dance와 Magic and Illusion
출처 : 뉴 빅토리 극장 홈페이지(http://www.newvictory.org/Home)
③ 시사점 뉴 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의 가족 참여 워크숍은 아동과 가족을 대상으로 이루 어지며, 토요일에 1회성으로 진행된다. 가족 참여 워크숍의 특징은 실제로 진행되는 연극, 서커스, 쇼 등을 바탕으로 워크숍을 기획 하여 직접 관람했던 것들을 실제로 시연하거나 관련된 내용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 소개한 ‘마법 그리고 환상’프로그램은 마술쇼에서 시연했던 기술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이러한 특징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34) 뉴 빅토리 극장 홈페이지(http://www.newvictory.org/Home)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75
공연을 기반으로 영감을 받은 프로그램을 기획한 것은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공연을 본 사람들에게는 다른 공연을 보고 활동에 참여 하게 하는 효과를 줄 수 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에게는 공연에 관심을 가지고 관람하게 하는 등 예술에 관심 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이다.
라. 유아예술교육 인스티튜트(Early Learning Institute through Arts)35) : 울프트랩 (Wolf Trap) ① 사업개요 울프트랩(Wolf Trap)의 유아예술교육 인스티튜트(Early Learning Institute through Arts)는 어린 시기에 예술과 접목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진학 후의 학습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취학 전 아동 3-6세를 대상으로 한다. 교육 프로그램은 상시 운영되며, 미 교육부, 국립예술진흥기금(National Endowment for Arts-NEA)등에서 보조금을 일부 지원한다. 아동 대상 프로그램 외에도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매년 프로그램을 통해 유치원 나 이의 아이들, 어린이, 교사, 가족 등을 포함하여 50,000명 이상이 혜택을 받고 있다. 울프트랩 공연예술국립공원(Wolf Trap National Park for the Performing Arts)은 모든 장르 에 걸쳐 매년 여름 100개 이상의 공연을 하고 있으며, 공연예술 울프트랩재단(Wolf Trap Foundation)은 국립공원서비스(National Park Service)와 공식 파트너로 공원에서 콘서트 등을 제공하며, 비영리단체로서 다양한 관객, 교육, 즐거움을 위한 공연예술 환경을 만들고 있다. 공 연 외에도 교육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만들고, 울프트랩 오페라를 위한 훈련과 퍼포먼스 프로 그램을 운영한다.
② 내용 및 특징 울프트랩(Wolf Trap)의 유아예술교육 인스티튜트(Early Learning Institute through Arts) 중 아동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면, 기관 내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기관 외에 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 있다. 기관 내에서 시행되는 프로그램은 주로 STEM(과학,기술,공학,수학)과목 교육 시 예술이 자연 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면 직선과 곡선 끈을 사용하여 모양을 만들 고, 아이들은 말 그대로의 기하학을 구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수학능력과 신체적인 개발이 모두 증가하게 된다. 또한 선생님들은 인형을 이용하여 아이들과 대화하며 인형을 통해 다른 사 3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자료와 Wolf Trap 홈페이지(http://www.wolftrap.org/) 참고하여 구성. 7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람들과 관계를 맺는 법, 문제를 해결하는 법 등을 보여주는데 이용한다. 이외에도 아이들은 드 라마, 역할극에 참여하여 다양한 스킬과 어떻게 발음하는지, 느낌을 말로 표현하는 것, 협동심, 다른 관점을 이해하는 것 등을 배우며, 음악 및 댄스를 통해서도 말하는 법, 수학의 요소들을 배울 수 있게 한다. 기관 외에서 시행되는 프로그램은 필드 트립 퍼포먼스(Field trip performances)와 가족 참여 워크숍(Family involvement workshops)이 있다. 필드 트립 퍼포먼스는 울프트랩 강사들이 음 악, 드라마, 춤을 유치원 아이들과 선생님, 학부모에게 관람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울프트랩 예술 강사들은 3-6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특화된 내용을 공연한다. 가족참여 워크숍은 울프트랩 예술 강사들은 아이들과 그들의 부모님과 보호자에게 생생한 예술 경험을 경험하고 공유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가족 참여 워크숍은 아이들이 교실 레지던시 활동을 한 것을 약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이나 자동차, 식료품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술 통합 활동을 배울 수 있으며, 총 17개의 가족 참여 워크숍이 있다. <그림 Ⅱ-38> 울프트랩(Wolf Trap)의 기관 내 프로그램과 가족참여워크숍
출처 : 울프트랩 홈페이지( http://www.wolftrap.org/)
③ 시사점 울프트랩(Wolf Trap)의 유아예술교육 인스티튜트(Early Learning Institute through Arts) 중 아동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의 주요 대상인 8세-13세보다 어린 3-6세의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예술과 주요 과목(주로 수학)이 접목되어 아이들에게 어렵지 않게 접근하게 하며,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강사와 활동을 바탕 으로 진행된다. 또한 신체적 발달과 언어적 발달이 필요한 어린 아이들의 특성에 맞게 프로그램 이 구성되어져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77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도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례라고 할 수 있으며, 아이들뿐만 아니라 가족이 참여하는 워크숍을 통해 집이나 자 동차, 식료품점 등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술통합 활동을 제공하는 것도 실생활에서 예술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마. 메이커36) 스튜디오 프로그램(Maker Studio program) : 키즈 뮤지엄(KID Museum)37) 및 메이커페어(Maker Faire) 키즈뮤지엄(KID Museum)의 스튜디오 프로그램(KID's Museum Maker Studio Program)은 스스로 디자인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술적인 지원과 각 단계 별 스튜디오 과정을 수료하며 훈련된 교육자와 함께 탐구하고 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메이커 스튜디오 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도구와 장치를 어떻게 사용하고 다루는지 배울 수 있는 공간(woodshop, electronics lab, textile studio or digital fabrication lab)이 제공되고, 주말에 90분 오픈 프로그램, 여름방학 중에 여름캠프 프로그램, 방과 후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자신 의 아이디어를 탐구하고 창조할 수 있는 훈련된 조력자와 함께 매 수업 당 두 시간씩 기초단계, 주말수업, 합동작업 등 다양한 수업이 진행된다.
36) 메이커(Maker)는 기업가이자 저널리스트인 크리스앤더슨(Chris Anderson)의 저서『메이커스』에 언급된바, 다수의 사람이 공장에 모여 똑같은 물건을 다량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의 틈새로 내가 만들고 싶은 물건을 스 스로 생산하고 그것을 희망하는 소수의 사람들에게 판매하는 새로운 방식의 산업혁명이라고 설명하였다.(영 메이커프로젝트, 메이커교육코리아, 2015) 메이커는 다음과 같은 38가지 주제(3D Imaging, 3D Printing, Alternative Energy, Arduino,Art & Design, Bicycles, Biology, Computers & Mobile Devices, Craft, Drones, Education, Electric Vehicles, Electronics, Engineering, Fabrication, Fashion, Flying & Aeronautics, Food & Beverages, Fun & Games, Gaming, Hacks, Health, Home, Kids & Family, Kids Under 5 yo, Kinetic Art, Maker Pro, Maker spaces, Microcontrollers, Music, Open Source, Photography & Video, Raspberry Pi, Robotics, Rockets, Science, Sustainability & Nature, Wearables, Woodworking, Young Makers for under 18yr)를 포함하고 있다. 37) KID MUSEUM(http://kid-museum.org/maker-studio/) 7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39> 메이커 페어 작품 및 KID Museum’s Maker Studio작품
출처: We the Builders(http://www.wethebuilders.com/projects/5); THE HACTORY(https://www.thehacktory.org/)
메이커 페어(Maker Faire)38)는 2006년 처음으로 Bay Area에서 개최되었다. 당시 메이커들은 야심 찬 제작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실제 활동에 참여하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기도 하였다. 메이커 페어(Maker Faire)는 과학 분야 유형 또는 모든 장르에 속한 분야로써 모든 연 령대의 작가, 과학자, 엔지니어링, 공예가, 예술가, 과학자, 선생님, 학생 등이 함께 모여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배우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모든 메이커는 메이커페어에 참가하여 그들 이 만든 것을 보여주고 그들이 배운 것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다. 지난 2015년 뉴욕에서 참 여한 메이커 The Hacktory39)는 드릴과 해머를 이용하여 나무판에 못을 박아 악기를 만들어 각 각 소리가 날 때 LED 센서를 작동시켰다.
38) 2015년에는 Bay Area와 New York에서 215,000명의 사람들이 참여하였는데, Bay Area에서 44 %와 New York에서 61 %를 차지하였다. 메이커페어(Maker Faire)는 50% 이상 어린이들과 함께 행사에 참석하 는 가족 친화적인 행사이다. 2014 년에는 도쿄, 로마, 디트로이트, 오슬로, 선전 등 세계 각국에서 119개의 독립적으로 제작 된 Mini 및 14 개의 주요 제조사 Faires가 생겨났다. 39) THE HACKTORY (https://www.thehacktory.org/find-us-at-the-national-maker-faire-in-dc-this-weekend/)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79
(2) 영국 가. 국립 미술‧디자인 토요클럽(National Art&Design Saturday Club)40)41) : 소렐재단 (The Sorrel Foundation) ① 사업개요 소렐재단(The
Sorrell
Foundation)의
‘국립
미술‧디자인
토요클럽(National
Art&Design
Saturday Club)’은 미술‧디자인분야 교육을 통해 대학에서의 해당분야 학업 지속 여부에 대한 통찰기회를 제공하고 창의산업분야 진로 진출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시키기 위해 시행되었다. 국 립
토요클럽(National
Saturday
Club)은
50개
이상의
지역에서
시행되며,
미술‧디자인
(Arts&Design)은 2009년부터, 과학‧엔지니어링(Science&Engineering)은 2015년부터, 패션‧비즈니 스(Fashion & Business)와 쓰기‧말하기(Writing&Talking)는 2016년부터 시작되었다. 토요클럽은 소렐재단 주도로 올해로 8년째 시행되고 있으며, 매주 토요일 아침, 30주 동안 무료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교육 대상은 13세에서 16세의 아이들이며, 교육은 각 지역소재 대학, 빅토리아 알버트 박물관과 연계해서 운영한다. 토요클럽을 운영하는 소렐재단은 프랜시스와 존 소렐(Jone Sorrell)이 1999년에, 청소년들의 창의성을 고무시키는 목적으로 재단을 설립하였다. 소렐재단은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토요클럽 외에 학생들이 직접 디자이너‧건축가의 클라이언트가 되어 학교환경 개선을 위한 디자인프로젝 트를 실제로 진행하는 조인드업디자인포스쿨(joinedupdesignforschools) 등 디자인과 교육이 결 합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토요클럽은 영국 교육부, 영국 예술위원회에서 자금을 조달받는다.
② 내용 및 특징 프로그램은 런던방문(The London visit), 마스터클래스(Master Classes), 정규수업(Classes), 여름 전시(The Summer Show)로 구성된다. ‘런던방문’은 모든 수혜자들이 첫 학기에 런던을 견학 가는 것으로, 역대 클럽멤버들의 자화 상 전시 관람 및 영국 주요 박물관, 미술관을 관람한다. ‘마스터클래스’는 봄 학기가 되면 영국 의 선진 미술작가 및 디자이너들의 마스터 클래스를 참여하는 것으로, 작가들의 스튜디오나 작 업 공간에서 진행되기도 한다. ‘정규수업’은 영국의 저명한 미술, 디자인 대학 소속 강사들의 자 체적인 커리큘럼으로 진행되며, 지역 문화시설 방문 및 지역 예술가와 함께하는 프로젝트 및 70개 분야 이상의 다양하고 세분화된 영역의 수업으로 구성되어있다. '여름전시‘는 연간 프로그 40) National Saturday Club(http://saturday-club.org). 4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자료 참고. 8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램이 끝나는 여름에 모든 클럽멤버들의 작품을 런던 서머셋 하우스(Somerset House)에서 전시 하는 것으로 클럽 멤버, 부모님, 튜터 등이 방문한다. 소렐재단(The
Sorrell
Foundation)의
‘국립
미술‧디자인
토요클럽(National
Art&Design
Saturday Club)’은 2009년 4개의 클럽에서 시작되어 현재 47개 클럽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8 년까지 2,500명의 수혜자를 목표로 한다. 또한 영국 내 성공에 힘입어 소렐재단과 두바이 정부 가 함께 “두바이 토요클럽(Dubai Saturday Club)"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그림 Ⅱ-40> 런던방문(The London visit) 및 정규수업(Classes)
출처 : 국립 미술‧디자인 토요클럽 홈페이지(http://saturday-club.org)
③ 시사점 소렐재단(The
Sorrell
Foundation)의
‘국립
미술‧디자인
토요클럽(National
Art&Design
Saturday Club)’은 매주 토요일, 다양한 지역사회 소재 대학 및 박물관과 연계하여 다양한 미술 ‧디자인 분야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미술‧디자인뿐만 아니라 창의 산업 분야로의 범위 확장을 통 해 3D 바디스캐닝, 3D디자인부터 애니메이션, 건축, 캐드, 매거진 디자인, 모션 캡쳐, 페인팅, 조각, 세트디자인, 사운드아트, 업사이클링 등 순수미술 뿐만 아니라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클 래스를 선택하여 들을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참여를 바탕으로 13세-16세의 청소년들의 진 로를 개발에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모든 프로그램이 무료로 진행되기 때문에 모든 청소년들이 참여할 수 있다. 사업명에 ‘토요’가 포함되는 점, 매주 토요일 진행, 13-16세의 청소년대상, 무료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과 유사성을 띄고 있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81
나. 아동‧청소년 음악 이니셔티브(Youth Music Initiative) :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 (Creative Scotland) ① 사업개요 아동‧청소년 음악 이니셔티브(Youth Music Initiative)프로그램은 스코틀랜드 정부 음악 교육 프로그램으로, 청소년을 위한 창의적인 교육(Creative Learning and Young People)프로젝트의 한 사업이다.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Creative Scotland)에서 2003년부터 시행했으며, 스코틀 랜드 정부의 자금 지원(초기 3년 £17.5million)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작곡기회를 확대하고, 작곡을 통한 잠재력 발견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아동‧청소년의 음악부문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동‧청소년 음악 이니셔티브의 주요 대상은 스코틀랜드의 모든 학교 학생들이며, 초등학교 6학년까지 무료음악교육을 받도록 하는 것이었다. 사업 진행 3년 동안의 성공을 바탕으로 매년 추가 £10million의 예산을 제공받 았으며, YMI팀은 1명에서 5명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2016-17년의 목표는 0-25세를 위한 높은 질의 음악만들기 기회를 위한 창의적 접근과 특별히 평범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참가기회를 주 는 것과 어린 아이들이 음악만들기를 통해 그들의 잠재적인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 다. 또한 아동‧청소년 음악 부분의 개발을 지원하는 것도 2016-17년의 목표 중 하나이다.
② 내용 및 특징 아동‧청소년 음악 이니셔티브(Youth Music Initiative)프로그램은 학교 내 음악만들기(SchoolBased Music-Making), 학교 밖 음악만들기(Acess to Music-Making)를 내용으로 한다. 학교 내 음악만들기(School-Based Music-Making)는 모든 스코틀랜드의 학생들이 초등학교 6학년이 될 때 까지 무료 음악수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의 2016-17년 도 예산은 £5,849,359이다. 학교 밖 음악 만들기(Access to Music-Making)는 0-25세를 대상으로 학교 밖에서 높은 질 의 음악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창의적인 접근을 하기 위한 활동이다. 청소년 심화 프로그램은 2016-17년 동안 약 14개 정도 운영되었으며, 장기프로그램과 중기 프로그램, 단기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져있다.
8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41> 아동‧청소년 작곡가 이니셔티브(Youth Music Initiative)프로그램
출처 :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 홈페이지 (http://www.creativescotland.com/funding/funding-programmes/targeted-funding/youth-music-initiative)
③ 시사점
아동‧청소년 음악 이니셔티브(Youth Music Initiative)프로그램은 연령별 심화 프로그램 및 장 소, 지역기관과 학교 등 협력단체 별 프로그램, 수업 운영기간에 따른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 그램을 기획하였고 더불어 프로그램의 효과와 성과를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해 설문지, 인터뷰, 녹화, 참여자의 일기 등 다각도의 관찰방법을 활용하여 아카이빙 중점의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다.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Shakespeare Schools Festival) : 셰익스피어 재단 (Shakespeare Foundation)42) ① 사업개요 셰익스피어
재단(Shakespeare
Foundation)에서
운영하는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
(Shakespeare Schools Festival)은 예술적, 교육적, 사회적 목적에 따라 시행되었다.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은 셰익스피어에 대한 이해도 제고 및 전문연극 경험을 통해 평행 예술을 즐길 수 있는 토대로 만들자는 예술적 목적과, 자신감을 기르고 학교생활과 학습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며 생활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목적, 지역사회의 통합유도 및 지역에서 청소년의 인식 제고를 위한 사회적 목적을 바탕으로 한다. 교육 대상은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구성원이며, 프로그램 전체 운영 기간은 학교별로 상이하 다.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학교에서는 유료로 프로그램에 등록하며, 한 학교를 지원하는 데 4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83
에 재단에서는 약 2,000파운드가 소요되고, 그 외의 나머지 비용은 입장권수익, 협찬, 모금 등 으로 충당한다. 학교 측에서 페스티벌 참가 등록 시 재단 측에서 대본 및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교육을 실시하며 지역의 극장을 배정하여 워크숍과 공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운영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연극무대 참여뿐만 아니라 마케팅, 기술지원 등 연극 구성의 여러 역할들을 통해 학교의 모든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Shakespeare
Schools
Festival)을
주도하는
셰익스피어
재단
(Shakespeare Foundation)은 2000년 셰익스피어에 기반한 TV애니메이션을 제작한 바 있던 제 작자가 2000년 웨일즈에서 8개 학교를 시작으로 학생들이 직접 셰익스피어 연극을 전문극장에 서 공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2007년에는 영국전역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하게 되었으며, 재단은 영국 교육부와 소셜 비즈니스 트러스트(Social Business Trust)의 기금지원으 로 운영된다.
② 내용 및 특징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Shakespeare Schools Festival)은 학교등록, 대본선택, 자료수집, 교 사훈련, 학생훈련, 무대공연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학교에서 프로그램에 등록하게 되면, 학생들 의 공연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21개의 셰익스피어 극 대본을 선택하여 공연하게 한다. 21개의 대본 중 9개는 초등학교 공연에 특화되어 있으며, 10개는 특수학교 대상인 것이 특징이다. 대본 을 결정한 후에는 재단 측에서 연극에 필요한 각종 자료를 제공하고, 교사는 1일간의 워크숍 및 프로젝트 운영 툴을 제공받는다. 학생들에게는 연극 전문가가 스토리텔링, 캐릭터, 발성, 무 대기술 등을 내용으로 반일간의 워크숍을 제공하며, 훈련 후에는 전문기술자와 반일 간 리허설 후 공연장에서 공연을 실시한다. 이후에 우수학교를 대상으로 연 1회 시상을 진행한다. 2016년 1000개의 학교가 150개의 극장에서 공연하였으며, 2013년부터 2016년까지 150,000 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참가자의 19%가 소수인종이었으며, 18%는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학 습부진 학생 이었던 것이 특징이다. <그림 Ⅱ-42>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
출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8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③ 시사점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Shakespeare Schools Festival)은 학교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교사, 학생의 참여로 진행되며, 연극전문가 아이들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무대에서의 공연과 공 연 후 시상을 통해 아이들에게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셰익스피어 극 대본은 21 개의 대본 안에 초등학교 공연 특화 대본, 특수학교 대상 대본을 따로 제작하여 가능한 다양한 학교와 많은 참여자들이 참가할
있도록 대본을 구성하였다. 2012년에는 ‘맥베스’에 주연으로
참여한 학생이 공연장애를 통해 언어장애를 극복한 사례도 찾을 수 있어 다양한 참여자들이 참 여할 수 있고, 예술을 통한 효과, 변화가 느껴지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라. 댄스 매직 댄스(Dance Magic Dance) : 크리에이티브 에이징(Creative Ageing)43) 크리에이티브 에이징(Creative Aging)은 2010년에 설립되었고, 당시 노인에게 예술을 접목시 키는 전문성 있는 최초의 예술 센터 중 하나였다. 이 센터는 건강, 복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 해 고품질의 예술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개인의 독립성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크리 에이티브 에이징은 아츠하이머 학회(Alzheimer’s Society), 시 전약의 보육원, 유관 단체 등과 공 동으로 기획한 예술 세션을 제공한다. 가령 금요클럽(Friday Club)은 아츠하이머 학회(Alzheimer’s Society)와 협력한 프로젝트로 하 루 동안 치매노인들은 창의적인 활동을 참여하고 무보험 간병인들에게 휴식을 제공한다. 이곳에 서 친구 및 가족을 위해 예술창작 활동을 한다. 또한 Dance Magic Dance 프로젝트는 댄서 Diane Amans가 주도하여 지역 댄서 5명과 함께 10주 동안 춤과 운동으로 자신을 표현한다. 그 외에도 정규수업, 특별 수업이 있는데 정규수업은 학기제로 운영되고 다양한 과목(성가대, 댄스, 연극 등)과 관심사를 두루 다룰 수 있는 수업이다. <그림 Ⅱ-43>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프로그램
출처 :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홈페이지(https://www.courtyard.org.uk/aop)
43) https://www.courtyard.org.uk/aop (2016.11.21. 최종접근)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85
마. 발틱 스트리트 어드벤처 놀이터(Baltic Street Adventure Playground) : 어셈블(Assemble) 어셈블(Assemble)은 2010년에 예술, 건축 및 디자인 분야에 걸쳐 활동하는 18명의 멤버들로 구성된 단체이다. 영국 전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대중과 단절되어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기존 의 방식에 문제점을 제기하기도 하고, 도시의 변화를 위해 대중을 적극적으로 끄어들여 협업하 는 건축방식을 지지한다.44) 발틱스트리트는 (Baltic Street)는 독립적인 CIC로서 아이들의 어린 시절에 최대한 풍부하게 놀 수 있는 잠재력을 보장받고 이러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회사이다. 지원 대상은 자라나는 전국의 아동이며, 목표는 육체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적 복지를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발틱스트리트는 아동 중심 접근 방식을 중심으 로 아이들을 의사 결정의 핵심에 두고, 자신감을 키우며, 독립적 행동의 역량과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고자 한다. 그 중 발틱 어드벤처 놀이터(Baltic Street Adventure Playground)는 어셈블(Assemble)이 기획 한 6세~12세 사이의 어린이들 스스로 선택하여 탐험하고 모험할 수 있는 놀이공간으로 아이들 이 이끄는 공간으로 아이들이 일상적인 관리부터 공간의 개발을 위한 모든 일을 선택할 수 있 는 곳이다. 특히 오후 3시부터 6시(토요일은 낮 12시부터 6시까지) 사이 원하는 시간에 방문하 여 워하는 만큼 머무를 수 있고, 훈련된 전문 선생님들과 안전하게 놀고, 음식을 만들고, 본인 이 원하는 놀이를 추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014년 글래스고 국제 축제(Glasgow International Festival)에서 진행된 심포지엄에서는 타 국가의 이러한 어드벤처 놀이터의 다양한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따른 국가별 특성 및 이슈 등 에 대해 논의되었다.45) <그림 Ⅱ-44> 발틱 어드벤처 놀이터(Baltic Street Adventure Playground)활동 사진
44)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2016 문화융성포럼 ‘문화, 미래의 열쇠’ 자료집. 45) Baltie street Adventure Play ground(http://www.balticstreetadventureplay.co.uk/events) 8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출처: ASSEMBLE(http://assemblestudio.co.uk/)
(3) 프랑스 가. 초‧중‧고교생을 위한 아틀리에(Ateliers: écoles, collèges, lycées) : 리옹 오페라 (Opéra de Lyon)46) ① 사업개요 리옹47) 오페라(Opéra de Lyon)의 초‧중‧고교생을 위한 아틀리에(Ateliers: écoles, collèges, lycées)는 지역 초, 중, 고교생을 대상으로 일일체험프로젝트부터 연간 프로젝트 등 까지 다양하 게 진행된다. 동 프로그램은 예술과 문화에 의한 어린이, 청소년들의 성숙과 창의력‧상상력 향상 에 기여하며, 오페라를 구성하는 노래, 스토리, 의상, 악기 춤 등을 참여대상의 수준별로 운영하 고 오페라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여 미래 관객으로 성장시키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② 내용 및 특징 리옹 오페라(Opéra de Lyon)의 2016-2017년 프로그램은 초등, 중등, 고등학생으로 나뉘어 서 진행되며, 초등·중학생 6유로, 고등학생은 무료이다. 모든 프로그램 8명과 10명당 보호자 1
46) 리옹 오페라 홈페이지(http://ecoles-colleges-lycees.opera-lyon.com/) 47) 리옹(Lyon) : 프랑스 중남부에 위치한 오베르뉴-론-알프스(Auvergne-Rhône-Alpes) 의 주도. 프랑스 제 2 의 수도라고 불리는 만큼 교육, 행정, 문화, 과학기술의 중심지이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87
명이 동반되어야 한다. 초등학생 프로그램으로는 콘서트 <크리스마스 합창>. <피에르와 늑대>. 오페라 <트랄랄라 오 페라>. <이야기를 들려줘>. 무용 <마기 마린 & 안느 테레사 드 키에르스마에케르>, 창작 <오케 스트라 발견의 아뜰리에> 등이 있다. 그 중 <오케스트라 발견의 아뜰리에>는 리옹 오페라 소속의 예술가와 학생들이 직접 만나 같 이 음악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아이들에게 쉬운 음악을 가르쳐, 오페라의 세계에 흥미를 갖게 한다. 연습이 끝난 뒤에는 작품 공연이 실시된다. 실제로 무대 위에서 실연된 두 개의 작 품이 있는데, 하나는 조르쥬 비제(Geroges Bizet)가 1871년 작곡한 6곡으로 구성된 <아이들의 놀이>(Jeux d’Enfants)를 학생들이 직접 연주하는 공연으로 관객들이 춤을 추게 만드는 신나는 곡들이다. 두 번째로, <양배추 심는 법을 아나요?>(Savez-vous planter les choux?)는 아이들이 클라리넷과 첼로, 바이올린, 비올라 등 현악기로 연주하며 노래하는 프로그램이다. 중학생 프로그램으로는 오페라 <보르쥬와 떼아>. <크로슈씨의 여생>. 콘서트 <아를지엔느>, 무용 <지리 킬리안 & 요한 잉거>. 창작활동 <디지털 아트와 오페라>가 있다.
이 중 <디지털
창의예술과 오페라>는 중학생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하는, 예술적 언어와 디지털 문화가 융 합된 통합문화예술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프로그램은 디지털미디어 및 만들기 활동 등을 통해 일상문화에 접근하고, 직접 오페라 제작을 해보는 등의 내용으로 진행된다. 고등학생 프로그램은 명작 오페라 <일렉트라>, <불의 천사>, 베토벤의 푸가를 연주곡으로 한 무용 <거대한 세 푸가들>이 진행되며, 이러한 주제를 바탕으로 직접 공연하는 활동으로 이루어 진다. <그림 Ⅱ-45> 리옹 오페라(Opéra de Lyon)의 초‧중‧고교생을 위한 아틀리에 (Ateliers: écoles, collèges, lycées)
출처 : 리옹 오페라 홈페이지(http://ecoles-colleges-lycees.opera-lyon.com/)
8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③ 시사점
리옹 오페라(Opéra de Lyon)의 아틀리에 프로그램들은 리옹오페라라는 기관의 특성에 맞게 음악을 소재로 한 교육이 다양한 분야와 접목되어 이루어진다. 음악과 춤, 오페라와 동화구연, 오페라와 디지털 미디어 등 순수예술끼리의 접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와의 결합이 시행된다. 또한 연령별로 프로그램들이 구성되어 대상에 맞는 수준별 프로그램들을 수행할 수 있고, 참여 도가 높은 초등학생 프로그램에는 직접 체험하는 프로그램이 많으며, 비교적 참여도가 낮은 고 등학생 프로그램에는 관람 프로그램 위주로 진행된다. 지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접수 할 수 있게 되어 있어 홈페이지 활용도가 높다.
나. 디지털 아트 창작 센터 르큐브(Le Cube – Centre de création numérique)48) ① 사업개요 2001년 파리 근교 도시인 이씨-레-물리노(Issy-Les-Moulineaux) 시에 세워진 디지털 아트 창작 센터 르큐브는 프랑스 내 유일한 디지털 창작 기술 기관이자 혁신 클러스터 단체이기도 하다. 디지털 창작과 사회와 기술의 혁신을 탐구한다. 매년 200개가 넘는 활동들을 제공하며, 개관 이래 3천명의 세계적인 예술가들, 특히 젊은 예술가들과 대중들의 새로운 문화 수요를 맞 추기 위해 협업해왔다. 르큐브는 일드프랑스 주의 센느-우에스트(Seine-Ouest) 도의 기관이자 비영리 협회단체 ‘아 트 3000’가 협동 운영하고 있다. 아트 3000은 1988년 플로랑과 닐스 아지오스마노프 형제에의 해 만들어졌으며, 협회는 프랑스 예술과 뉴테크놀로지분야에서 개척자와 같은 역할을 하여 창립 초기부터 음악가, 그래픽 디자이너, 연극 연출가, 영화감독, 조형 예술가, 건축가 등 창작에 있 어서 디지털 분야를 활용하여 활동하고 있다. 디지털 창작 및 예술을 위한 디지털 아트센터 르큐브는 모두에게 열려있는 공간이며, 일 년 내내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 공연, 작가와의 만남 등을 통해 디지털예술 분야에 대해 다양하게 배울 수 있고, 실제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창작을 해볼 수 있게 되어있다.
② 내용 및 특징 르큐브의 프로그램은 16세 이상의 성인, 12~16세의 청소년, 3~11세의 어린이 그룹으로 나뉘 어서 진행된다. 대부분의 과정이 유료이며, 회원권 소지자는 할인을 받는다. 48) 르큐브 홈페이지(http://lecube.com/fr/activites_1)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89
성인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창의적인 아뜰리에(Ateliers créatifs)로 매주 토요일 오 전에 열리며 2주 동안 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로봇공학 입문, 3D 마을 제작, 미래 농업, 자바 스크립트 입문 등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매주 목요일 밤에 열리는 목요일마다 한걸음 한걸음 (Les jeudis pas à pas)에서는 전자공학 입문과 비디오 몽타쥬 제작 코스가 있다. 청소년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매주 수요일에 진행되는 10대들의 스튜디오(Les studios teens)이다. 두 가지 코스가 있는데, 3D비디오를 통해 게임을 설계를 하고 프로그래밍하 는 것과 근처 도시의 정원에서 진행되는 환경 프로그램이 있다. 그리고 방학 때마다 진행되는 방학 틴랩(Les Teenslabs vacances)에서는 순수 프랑스 기술로 만들어진 3D 인쇄술 체험 코스 가 있다. 이외에도 어린이를 위한 전시회, 파티, 디지털 관련 교육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르큐브는 매년 초등학생들에게 디지털 교육을 실시하는데, 우리 학교와 연결해요 (Connectons nos écoles)는 센느-우에스트 도의 도시들에 있는 초등학교에 1월부터 6월까지 과 학기술과 관련된 주제로 만들기 활동을 하는 교육이다.
③ 시사점 르큐브는 ‘디지털 아트’라는 테마를 바탕으로 설립되어,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예술 활동을 제 공한다. 예술 활동은 디지털 기기의 활용을 위해 연령별로 나누어 진행되며, 청소년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게임제작 등의 분야도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디지털을 활용한 예술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디지털과 접목한 예술의 종류도 다양 해지고 있기 때문에 예술 활동 분야를 더욱 개척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그림 Ⅱ-46> 디지털 아트 창작 센터 르큐브(Le Cube)
출처 : 르큐브 홈페이지(http://lecube.com/fr/ados_2825)
9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다.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famille) :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49) ① 사업개요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는
1969년
조르쥬
퐁피두(Georges
Pompidou)대통령가
(Plateau Beaubourg)의 빈 공간에 새로운 유형의 학제 간 복합문화센터 건립을 목적으로 설립 되었다. 건물 외관 10층 높이에 내부에는 모던아트 상설 전시실, 기획 전시실, 2개의 극장(315 석과 144석), 공연장(384석)과 강의실(158석), 도서관 및 편의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퐁피두 센 터(Centre Pompidou)의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famille) 프로그램은 매달 가족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섯 가지 이상 선보인다.
② 내용 및 특징 동 프로그램은 아동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스튜디오 워크숍은 예술과 창조에 대한 인식 의 발전을 기반으로 감각적인 접근법을 통한 아동의 호기심을 자극시키고, 열린 마음을 개발하 여 세계에 대한 이해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튜디오 워크숍을 통해 일상에서 경험하는 지각을 활용하여 창조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의 갤러리>, <아틀리에와 여정>, <가족 이벤트>, <나의 작업 - 어린이를 위한 퐁피두의 웹 시리즈>, <스튜디오 13/16>이다. 특히 <아틀리에와 여정> 프로그램은 미술관 작품 활용을 토대로 연령별 특성을 고려하여 기 획되었는데, 주말 박물관(Week-ends musée)은 퐁피두 센터의 상설전시 작품을 토대로 기획된 프로그램이고, 주말 전시회(Week-ends expositions)는 퐁피두 센터의 기획 전시를 토대의 프로 그램이다. 자유의 수요일(Mercredis en liberté)은 2-10세 아동과 함께 하는 종일반 프로그램으 로 언제든지 원하는 때에 참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특별한 바캉스(Spécial vacances)에서는 특별한 예술가의 철학이나 특정한 주제에 기반 하여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현재 (2016년 11월 기준) 진행 중인 파울 끌레(Paul Klee)의 전시연계 프로그램은 자연형태에서 영감 을 얻어 문지르기, 인쇄, 껍질의 나선이나 잎의 갈비뼈, 나뭇결 같은 패턴을 활용하여 새로운 알파벳을 만들어 글씨와 색상이 결합되어 자연스럽게 자연의 리듬과 움직임을 표현하는 활동이 있다.
49) 퐁피두센터 홈페이지(https://www.centrepompidou.fr/cpv/agenda/jeune-public)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91
<그림 Ⅱ-47>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의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famille)
출처: 퐁피두 센터 홈페이지(https://www.centrepompidou.fr/en/Visit/Exploring-as-a-family)
③ 시사점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는 현대미술관의 특성을 살려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기획력이 강점이다. 특히 예술작품 기반의 프로그램, 예술가가 기획한 프로그램 등 전문성과 놀이가 접목 된 교육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전문적인 교육을 아동ᐧ청소년의 눈높이에 맞게 운영하고 연 령별 특성에 맞게 종일반 프로그램이나 상시오픈수업 등 놀이방 형태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므로 미술관이 일상 속에 들어와 삶 속의 예술을 경험하게 하였다는 점이 다른 미술관과 차별화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라. 몽트뢰이 대중의 집(Maison populaire à Montreuil) ① 사업개요 몽트뢰이 대중의 집은 어린이와 성인을 대상으로 비쥬얼 아트, 디지털, 음악, 철학, 인문학과 예술의 통합을 대중들에게 호기심을 불어넣고 교류를 증진시키고 융합을 창조하기 위해 세워졌 다. 아마추어 문화예술활동을 통한 문화센터 및 전시, 공연공간을 운영하는 것을 주 활동으로 하고 있으며, 지역의 문화예술사회단체와의 연계작업과 예술 창작촌을 통해 창작과 아마추어의 문화예술 활동을 교류하는 활동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몽트뢰이 대중의 집은 청소년 대중교육 부의 산하 단체이다. 몽트뢰이 자치당국, 문화통신부의 SCPCI-DEDAC 사무국(교육 문화 예술 발전국)과 드락 일-드-프랑스(DRAC Île-de-France), 일드프랑스 지역의회(Conseil régional d'̂ Île de France), 센느-생드니 도의회(Conseil générale de la Seine-Saint -Denis)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고 있다. ② 내용 및 특징 9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몽트뢰이 대중의 집은 아마추어 문화예술공간이자 전문예술인의 창작촌으로 매 시즌 2천3백여 명의 회원이 참여하며, 약 100개의 아뜰리에를 진행한다. 프로그램은 시각예술, 디지털예술, 음 악, 철학, 춤, 연극 등 다양한 분야가 있다. 주요 프로그램은 연간 단위로 구성되며 회원가입비 15유로와 별도로 강의 한 개당 평균 135유로(주민 외 169유로)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2016-17년 몽트뢰이 민중의 집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다양한 워크숍(성인, 어린 이, 인턴십)과 세미나, 전시회, 영화 및 비디오, 콘서트, 학교프로그램 등이 시행된다. <표 Ⅱ-14> 몽트뢰이 대중의 집 주요 프로그램 분야 시각예술 디지털예술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수체화, 데생, 모자이크, 조각, 도자기, 디지털사진, 필름 사진 3D애니메이션, 시네마, 그래픽 디자인, 인포그래픽, 비디오몽타쥬, 컴퓨터음악 블로그 만들기, 인터넷사이트 만들기, 인터넷 활용 입문
언어
영어, 아랍어, 중국어, 스페인어, 일본어
음악
합창, 악기(드럼, 클라리넷, 기타 등), 음악학, 재즈 밴드, 쳄버뮤직 등
연극과무용 신체훈련
연극, 아프리카 무용, 현대무용, 살사, 탱고, 락앤롤 무용 등 합기도, 카포에라, 체조, 요가, 기공, 스트레칭 등
출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그림 Ⅱ-48> 몽트뢰이 대중의 집
출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③ 시사점 몽트뢰이 대중의 집은 다양한 장르,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또한 예술창작촌을 통해 문화예술 교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예술가들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고, 작품과 공연을 관람할 수 있어서 교육 참여자에게는 생생한 예술 교육 기회를, 예술가에게는 강의 기회를 제공하여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93
마. 이민사 박물관(Musée de l’histoire de l’immigration)50) ① 사업개요
파리에 있는 이민사 박물관은 이민의 문화와 교육과 더불어 시민들을 대상으로 프랑스 내 이 민자들이 갖는 지위의 가치를 알리는 프랑스 유일의 기관으로, 2007년 10월에 개장하였다. 2세 기 전부터 시작된 이민의 역사를 시민이 자세히 보고, 읽고, 참여하도록 만드는 특별한 장소이 다. 또한 이민과 프랑스 내 거주 외국인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시즌별 전시회가 열린다. 예를 들어, 2015년에 열린 파리 패션 위크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패션 디자이너들의 의상을 전시하는 <Fashion Mix>는 전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았다. 교육부와 협업하면서, 주위의 공립학교에게 이민의 역사와 공헌을 촉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들과 교육법을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이민에 대해 알려주기 위한 박물관 내의 적극적인 지 식 전달 활동들이 있다. 학생들이 방문했을 때 구체적인 테마를 정하여 한 시간 전후로 특별한 설명회를 열기도 하며, 테마로는 인종차별주의와 반 인종차별주의, 유산과 시민권, 이민 속의 여 성, 박물관 내 현대미술 등이 있다.
② 내용 및 특징
매 주말 오후마다 어린이들을 위해 열리는 다양한 Jeunes publics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가장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만들기를 하는 창작 아뜰리에(Atelier de création)가 있다.
이 프로그
램은 방학에 개설되며, 이민자들의 문화뿐만 아니라 이에 관계없이 아이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 는 미술 활동이 진행된다. 창작 아뜰리에는 3세~12세 아동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하며 주제에 따 라 교육대상이 달라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외에 희망을 입다(Portés par l’espoir)라는 동화책 읽기 프로그램이 있다. 3세부터 6세 반, 7세부터 12세 반으로 나누어 아이들의 연령 수준에 맞 게 30분가량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주기적인 강좌를 통해 많은 아이들이 박물관에서 이민을 주제로 다룬 아동 문학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동 프로그램은 무료이거나 10유로 안팎의 참 여비가 따른다.
50) 이민사 박물관 홈페이지(http://www.histoire-immigration.fr/) 9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49> 이민사 박물관의 어린이 프로그램
출처 : 이민사 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palais-portedoree.fr/fr/visites-et-ateliers/familles-et-jeunes-publics)
③ 시사점
프랑스는 세계에서 이민자가 일곱 번째로 많은 나라이다. 육천 육백만의 프랑스 인구 중 (2014년 1월 현재)51) 프랑스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비율은 11.6%(칠백 육십만)이다. 이들 중 정 식 이민자의 비율은 8.9%(오백 팔십만)를 차지한다. 하지만 아직도 아랍계, 흑인, 아시아계 이 민자들에 대한 차별이 여전하다. 따라서 정부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는데, 파리의 이민사 박물관의 설립과 관내 활동이 대표적이다. 교육계 전문가와 교육 구성 위원회의 원조를 통해 이민사 박물관과 파트너십을 형성, 교육적 자원을 활성화하고, 교사와 학생들에게 교육 방법을 제시한다. 교육부와의 팀워크는 교사들이 이민사와 관련된 문화예술적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도록 공조한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5년 한국의 결혼 이민자는 15만 명 으로 추산됐다52) 정부에서 다문화 가정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있지만, 점점 증가하는 이민자 사회를 고려하여 다문화 가정 자녀들뿐만 아니라 한국인 부모를 둔 아이들도 다문화에 대한 편 견을 없애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51) 프랑스 국립 통계 경제 기관(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s études économiques) 홈페이지 (https://www.insee.fr/fr/statistiques/1410693) 52) 통계청 홈페이지(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819)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95
바. 라 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La Coursive scène nationale La Rochelle)53) ① 사업개요 라 로셸은 프랑스 남서부의 누벨 아퀴텐느(Nouvelle-Aquitaine) 주에 있는 대서양의 주요 항 구 도시이다. 쿠르시브 국립극장은 1677년에 완공되었고, 1791년부터 프랑스 혁명 때문에 오랫 동안 폐관하였다가 영화와 예술 공연을 위해 1990년에 재개관하였다. 문화통신부,라 로셸 시내 커뮤니티와 라 로셸이 속한 샤렌트-마리티므 도의 후원을 받는다. 또한 라 로셸 국제 영화제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의 실질적인 프로젝트가 쿠르시브와 교육 기관(초 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와 라 로셸 대학교)들의 협업으로 진행되고 연극, 학내 아틀리에, 공연 이나 영화 같은 예술 팀워크 수업이 여러 형태로 만들어진다.
② 내용 및 특징 국립극장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들은 일 년 동안 길게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과 지 도자들의 살아있는 공연 예술의 지식, 비판 정신, 작품에 대한 의견 교환 능력, 공연 예술의 관 점 향상을 목표로 한다. 국립극장 프로그램들의 가장 큰 특징은 나이별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 그램이 다르다는 점이다. 공연들이 대체적으로 실험적이기 때문에 나이제한이 매우 엄격하게 지 켜진다. 한 프로그램 당 최소 열 명의 학생들이 참가하고 모든 수업 등록은 인터넷으로만 실시 된다. 수업료는 대부분의 수업이 5유로지만, 대형 극장에서 열리는 강좌는 7유로이다. 수업 시 간은 30분부터 한 시간 반까지 진행되고, 평균적으로 다섯 번의 수업이 실시된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학기 초에 공연 이미지 구성을 하기 위한 실험적인 유희극 각본을 받아 공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일리아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같이 유명한 서양극뿐만 아니라 베트남 서커스 <아오랑포>(À Ô Làng Phô)도 시연된다. 16명의 곡예사와 4 명의 뮤지컬 가수가 이끄는 이 무대는, 베트남 현대 예술을 대표하는 만큼 베트남계 프랑스인 전문 무용가들이 직접 가르친다. <표 Ⅱ-15> 라 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 청소년 프로그램 분야
프로그램
시작 가능 나이
연극
가방 속의 남자
9
힙합 댄스
인덱스
7
연극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9
연극
작은 피에르
8
서커스
아오랑포
7
53) 라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 홈페이지(http://www.la-coursive.com/pratique/jeune-public-et-scolaires) 9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분야
프로그램
시작 가능 나이
현대 무용
M.M.O
4
연극
일리아드
13
마리오네트극
훌루
9
출처 : 라로셸쿠르시브국립극장 홈페이지(http://www.la-coursive.com/pratique/jeune-public-et-scolaires)
<그림 Ⅱ-50> 라 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
출처: 라로셸 쿠르시브국립극장 홈페이지(http://www.la-coursive.com/pratique/jeune-public-et-scolaires)
③ 시사점 라 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의 프로그램들은 공연이라는 틀 안에서 연극, 영화, 뮤지컬, 서커 스 등의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진다는 점과, 다양한 교육기관과 함께 진행한다는 점에서 시사점 을 가진다. 또한 프로그램별로 시작 가능한 나이를 제한하여 엄격하게 준수함에 있어서 연령에 맞는 예술교육을 진행한다는 점과, 직접 공연을 수행하는 전문예술가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는 점에서 수월성이 강조된 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베트남 이민자가 많 은 프랑스의 현실을 반영하여 베트남 서커스 강좌를 여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4) 독일 가. 슈트트가르트 청소년극단 프로그램(Junges Ensemble Stuttgart)54) ① 사업개요 슈트트가르트 청소년 극단(Junges Ensemble Stuttgart)은 2004년 5월에 설립되었고, 극예술에 중점을 두고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젊은 극단이다. 아이들 5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 해외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가다. p.142-149.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97
은 극단에서 공연되는 연극의 주요 객이자 참여자로, 스스로 작품 제작부터 무대디자인에 이르 는 전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참된 자아를 발견하고, 기성세대에게는 아이들을 이해하고 관심을 갖는 계기를 마련하게 하는 것이 청소년 극단의 주 요 목표이다. 슈트트가르트 청소년 극단은 연간 200만유로의 예산으로 운영되며, 180만유로는 슈트가르트 시와 뷔덴 바리템 주가 공동으로 부담하며, 20만유로는 극단의 문화활동을 통한 입장료 등의 수입으로 충당한다. 슈트가르트 청소년 극단의 직원은 20명 정도이다.
② 내용 및 특징 슈트트가르트 청소년 극단의 주요 활동 내용은 극단이 자체 제작하거나 외부 연극인과 함께 제작하는 다양한 연극 공연, 국제연극제 개최, 인근학교와 함께 진행하는 연극 수업, 어린이와 청소년이 직접 연극을 배우고 공연할 수 있는 워크숍을 개최 등이 있다. 어린이와 청소년 참여가 가능한 프로그램은 워크숍과 클럽이 있는데, 워크숍은 연습과 이론공 부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일주일에 두 시간 동안 극단에서 제공하는 전문가와 함께 연극 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어린이를 위한 워크숍은 8세~12세, 청소년을 위한 워크숍은 12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다. 클럽은 작품을 제작해서 무대에 올리는 프로그램으로 1년에 50유 로를 내면 직접 공연을 할 수 있다. 연령별로 9세~12세, 13세~15세, 16세~20세 등으로 나뉜 다. 클럽 프로그램은 연극을 무대에 올리기 전에 토론을 통한 아이디어를 내고, 즉흥적인 연습 을 한 뒤 연습내용을 추가하여 대본을 완성한다. 이 과정에서 즉흥적으로 무엇을 해보면서 개개 인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낼 수 있다. 프로그램은 보통 방학과 개학에 맞춰 운영하며, 9~10개월가량 운영된다.
③ 시사점 슈트트가르트 청소년 극단(Junges Ensemble Stuttgart)은 연극을 소재로 하여 아이들에게 직 접 연극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경험하게 한다. 극단의 클럽 프로그램은 연령별로 나누어서 진행 하여 맞춤형 교육을 하며, 초등학생과 청소년뿐만 아니라 전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클럽과 시 니어 클럽도 운영하여 모든 계층이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서 아이들에게 결 과뿐만 아니라 과정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주며, 문화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아이 들이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극단 프로그램의 장점이다.
9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51> 슈트트가르트 청소년 극단
출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 해외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가다.
나.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HIP HOP ACADEMY HAMBURG) : 쿨투어팔라스트 함부르크(KulturPalast Hamburg) ① 사업개요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HIP HOP ACADEMY HAMBURG)는 쿨투어팔라스트 함부르크 (KulturPalast Hamburg)에서 시행하며, 힙합교육을 통한 취약계층 어린이와 청소년이 한 사람 의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내용은 13세에서 25세 의 청소년을 위한 무료힙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성과발표회를 개최하는 것이다.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는 다양한 후원자와 스폰서, 협력 파트너(학교, 기관 포함)와 함께하고 있다.
② 내용 및 특징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는 13세부터 25세까지의 청소년을 위한 힙합 교육 프로그램으로 2007년부터 시작한 무료 교육 프로그램이다. 브레이크댄스, 디제잉, 랩, 비트박스, 새로운 스타 일의 춤 등 힙합 문화와 관련한 모든 분야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다. 또한 장기적 인재육성 프 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데, 3단계 교육을 거치며 지속적인 기량 발전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을 받는다. 레벨1에서는 자신의 성향파악, 재능탐구 등 기초를 가르치며, 레벨2에서는 전문가의 집 중 교육을 통해 브레이크댄스, 비트박스, 랩, 디제잉 등의 훈련을 제공한다. 레벨3은 마스터클래 스로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전문성과 팀워크, 동기부여 등을 갖추게 한다. 3단계 교육 프로그램 을 과정을 통해 랩, 댄스 안무와 비트박스 쇼 등을 개발하고 무대에 서기도 한다. 청소년들을 위한 힙합아카데미의 과정은 언제든지 등록할 수 있고, 젊은이와 노인을 위한 무료 힙합 워크숍 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는 모두 무료이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99
<그림 Ⅱ-52>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
출처 :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 홈페이지(http://www.hiphopacademy-hamburg.de/)
③ 시사점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HIP HOP ACADEMY HAMBURG)는 힙합이라는 장르를 특성화 하여 운영하는 장기적인 인재 육성 프로그램이다. 기초부터 시작하여 전문교육까지 받을 수 있 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가진다. 모두 무료로 진행되고 있으며, 청소년뿐만 아니라 노인을 위한 무료 힙합워크숍을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모든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으며, 특히 취약계층 가정의 어린이와 청소년에 초점을 맞춰 진행함으로써 취약계 층 어린이와 청소년이 한 사람의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특성을 가진다.
다.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 센터(Kinderkreativzentrum Krokoseum)55) ① 사업개요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Kinderkreativzentrum Krokoseum)는 프랭크 재단 내에 위치해 있으며, 독일의 문화기반시설로 ‘교육은 우리를 강하게 만든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어린이와 가족을 격려한다’는 슬로건 아래 어린이 대상 복합 문화교육 및 활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 으로 설립되었다. 주로 어린이와 가족대상의 체험위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독일 의 사회교육과 문화교육의 오랜 역사가 기반이 되어 현대적으로 재탄생된 사례로, 특정 소외계 층을 대상으로 하기보다 모두를 위한 접근 가능성을 열어둔 문화미디어부의 ‘모두를 위한 문화 교육 프로젝트’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5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국가별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과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 홈페이지 참고하여 구성. 10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② 내용 및 특징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Kinderkreativzentrum Krokoseum)는 어린이들이 자신의 아이디 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어려운 과제에 도전하기도 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도 한다. 어린이 쓰기 워크숍, 어린이를 위한 과학실험, 오후에 아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학교 박 물관 투어, 박물관교육, 가족 주말 프로그램, 어린이 전시회, 어린이 도서관, 어린이 생일 파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6세부터 12세의 아이들이 참여할 수 있으며 매일 오후나 주말에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크로 코세움 팀은 작가나 아티스트, 공예가 등의 게스트롤 초대하여 문화, 박물관, 미술, 미디어 프로 그램 등의 진행을 돕는다. 프랭크 재단의 Wunderkammer과 역사 도서관은 정기적으로 프로그 램이 진행되며, 1년 내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요일별로 다른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금요일과 토요일에 진행되는 어린이 생일 파티는 유료로 진행된다. <그림 Ⅱ-53> 크르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
출처 : 프랭크 재단 홈페이지(http://www.francke-halle.de/events-v-401.html)
③ 시사점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는 특정한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모든 이를 대상으로 무료로 진행 된다. 이는 독일의 연방차원의 문화예술 정책을 담당하는 독일연방문화미디어청(Die Beauftragte der Bundesregierung fur Kultur und Medien, BKM)의 정책 중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Kultur fur alle)’이라는 전 국민 문화예술 수혜자 만들기 프로젝트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특정 소외계층 보다 모든 이를 위해 접근 가능성을 열어놓고, 예술과 문화에 더 많은 사람들이 익숙하기 위한 교육 사업 및 기관 지원사업이다. 이러한 취지로 다양한 사람들에게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제공 하고,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과의 유사성을 가진다. 또한 창의적으로 공간을 조성하여 어린이들이 상시적으로 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자유롭게 방문 할 수 있게 하여 꼭 주말이 아닌 다른 여가시간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01
(5) 호주 가. 키즈 오운 퍼블리싱 (Kids’s Own Publishing) 프로젝트 키즈 오운 퍼블리싱(Kids’s Own Publishing)은 비영리예술단체로 빅토리아 라일(Victoria Lyle), 사이먼 스페인(Simon Spain)에 의해 아이슬란드에 설립되었다. 이후 2003년에 빅토리아 는 호주에 자매기관을 설립하였다. 모든 지역사회 내 어린이들에게 책을 만들 수 있는 기회와 문화, 언어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지역사회, 단체, 학교 등과의 협력을 통해 어린 이 대상 출판 워크숍을 시행하고, 어린이가 스스로 제작한 책을 출판하는 등의 활동을 한다. 키 즈 오운 퍼블리싱은 호주 예술위원회(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 빅토리아 주정부(State Government Victoria), 멜번 시(City of Melbourne)의 후원을 받고 있다. 키즈 오운 퍼블리싱의 주요 프로젝트는 키즈 오운 퍼블리싱 워크숍(Kid's Own Publishing Workshop), 위퍼블리시(WePUBLISH), 키즈 오운 북커버(Kids Own Book Cubby)가 있다. <그림 Ⅱ-54> WePUBLISH로 제작한 책과 키즈 오운 북커버
출처 : 위퍼블리시 홈페이지(http://wepublish.net.au/book-library/);키즈오운퍼블리싱홈페이지(http://kidsownpublishing.com)
키즈 오운 퍼블리싱 워크숍은 학교, 커뮤니티, 도서관, 유치원 등에서 이루어지며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다. 아이들은 자신이 선택한 주제에 8,12 또는 24페이지의 책을 예술가와 일러스트 레이터의 도움 아래 직접 만들고, 가족 및 친구들과 공유한다. 키즈 오운 퍼블리싱 워크숍에서 사용되는 위퍼블리시는 아이패드로 활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어린이들이 직 접 8페이지의 책을 만들고 누구에게나 출력된 자료를 이메일로 보낼 수 있게 하는 디지털 기술 이다. 키즈 오운 북커버는 키즈 오운 퍼블리싱 워크숍을 통해 제작된 어린이 작가, 삽화가들의 작품을 전시한 이동식 도서관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이들은 자신이 쓰고 그린 책을 출판할 수 있으며, 아이들의 언어 사용 경험을 증진시키고, 책에 대한 애정을 가지게 해 준다. 또한 호주는 원주민 문화가 공존하
10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가는 어린이들에게 또래가 스스로 출판한 책을 공유하는 것이 문화적 격차를 좁히는 효과를 만든다.
나. 스튜디오 판타지(Studio Fantasy) : 아트플레이(Art Play) ① 사업개요 아트플레이(Art Play)는 멜버른(Melbourne)시에서 운영하는 아동특화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2004년에 설립되었다. 당시 도시개발 과정에서 버려진 기차보관소를 개조하여 아동을 위한 실 내외 공간을 조성하고 공간 변형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현재 운영기금은 호주예술위원회, 시드니 마이어 기금(sydney Myer Fund), 사이벡 재단(Sybec Foundation)을 통해 조달받는다. 아트플레이(Art Play)의 설립목표는 3세~12세 유아ᐧ아동들과 가족들에게 특별하고 다양한 경 험을 통해 문화적 표현과 사회적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며, 대부분 프로그램은 예술가들이 운영 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매년 300여개의 이벤트와 워크숍, 공연을 운영하고 대중적인 종 합예술프로그램(multi-arts program)을 기획 및 개발한다.
② 내용 및 특징 아트플레이(Art Play)에서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 중 스튜디오 판타지(Studio Fantasy)는 6~12세 아동 및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 2명과 함께하는 미술과 사진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으로 이동식 스튜디오 프로그램이며 가족과 반드시 동반해야 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참여아동이 가족 혹은 친구에게 어울리는 의상을 디자인한 후 예술가와 함께 제작하고, 가족이 직접 착용한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주는 것인데 어른들의 일상을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 작물로 느슨해지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참여아동은 2시간 동안 예술가와 함께 동반한 가족에게 어울리는 의상을 상상하고 함께 제작한다. 다음으로 사진작가 스튜디오로 이동하여 45분 동안 의상을 착용한 가족과 아동과 함 께 전문가가 직접 사진을 찍어준다. [그림]은 아트플레이(Art Play)의 전경 및 스튜디오 판타지 (Studio Fantasy)프로그램 과정이다.
③ 시사점 아트플레이(Art Play)는 폐공간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으로 재창조하여 아이들에게 자유로운 공간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공공미술 가치 확산, 예술가들이 직접 기회가고 참여하는 전문적인 예술교육프로그램이며, 또한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함으로 예술과 여가 및 놀이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03
의 경계를 허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특히 위의 스튜디오 판타지(Studio Fantasy) 프로그램은 반드시 가족 및 친구와 함께 동반하여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서로 간 유 대관계ᐧ친밀감 증진, 놀이와 재미를 통해 소통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또 한 프로그램의 결과물 전문 예술가의 스튜디오에서 찍어주는 사진으로 질적인 우수성과 동시에 전문 사진촬영과정 및 장비 등에 대한 기술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림 Ⅱ-55> 아트플레이(Art Play)의 전경 및 Studio Fantasy프로그램
출처 : 멜버른시 홈페이지(http://www.melbourne.vic.gov.au/arts-and-culture/artplay/Pages/artplay.aspx)
다. 온라인 예술교육(Learning Art lessons) : 호주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① 사업개요 호주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ustralia)은 1968년에 13명의 호주 건축가가 협력하여 건립 계획을 시작하였으나 미술관 부지 선정, 예산확보 등의 이유로 지연되어 마침내 1982년에 완공되었다. 현재 미술관은 호주의 수도인 캔버라(Canberra)에 위치하고 있으며, 미술관 건립목 적은 자국의 예술작품을 보존ᐧ수집, 세계적인 예술작품을 전시하고 미술관 소장품 전을 적극적 으로 활용하여 호주국민들의 예술적 영감을 불어넣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술관 내 전시구성 은 크게 네 분야로 오스트레일리아 예술, 호주 원주민인 어보리진 예술(Aborigines art)과 토레 스 해협예술(Torres Strait Islande Art), 세계의 예술로 분류되어 있고, 약 10만 여점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호주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ustralia)은 호주연방정부(Commonwealth Government)와 기업들이 함께 후원하고 있다.
10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② 내용 및 특징 호주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적 과정을 거쳐 시각예 술을 지식과 이해를 도모하고, 문화 정체성, 문화 다양성에 관한 감수성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최근 2013년 미술관은 ‘2013-2017 전략’(Strategic Plan)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교육 방침을 제시하였다. 그 전략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주민 연구를 포함하여 역사, 지리, 문학과 시각예술 등 다양한 분야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온라인 교육적 자료(New online educational resources)를 제공, 둘째, 방문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 아이패드 (iPad). 키오스크(Kiosk) 등과 같은 보조 자원을 활용하여 전시작품과 소장품을 교육과 연계하 기, 셋째, 미술관 홈페이지의 샵(e-Shop)을 포함한 편의시설을 제공하여 온라인 경험을 증가, 넷째, 라이브 스트리밍 강의(live streaming lectures)가 있다. 가령, 온라인 워크숍과 예술감상코 스(online workshops and art appreciation courses), 큐레이터(및 미술관 관계자)와 온라인 토 론(online discussions with curators, other staff and guest speakers) 등이다. 미술관 내에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8가지 상시투어(Discovery tours, Focus tours, Drawing tours, Early childhood tours, Special access tours, Special interest tours, Self-guided tours 등)이 있고, 그 밖에 교사교육, 장학금 제도, 소장품 연구가 있다. 특히 미술관 외부에서도 운영 가능한 예술교육을 위해 온라인을 통한 예술교육수업자료(Learning Art lessons)를 오픈하였는데 그 중에서 ‘초현실주의’(Serrealism) 프로그램은 10세 이상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관의 초현실주 의 관과 연계하여 호주아티스트를 중심으로 장르별, 주제별(수학, 과학, 기술, 인문학, 신체 등) 로 통합한 수업이다. 수업은 시작(10분)-수업(40분)-마무리(10분)-과제(가족활동)로 진행된다. 수업의 성과는 지식, 이해, 적용, 분석, 통합, 평가 단계로 측정할 수 있다.
③ 시사점 호주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ustralia)은 2013년 이후 온라인을 활용한 예술교육을 활성화 하여 다양한 방식의 온라인 교육을 시도하였다. 미술관 내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한 작품 감상 및 전문적 교육은 물론 미술관 외에서 미술관 전시관 연계된 교육 프로그램 교안 및 자료 를 제공하였다. 교육 자료에는 미술관 소장품의 작품 사진을 활용하고 이후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과제활동도 제시하며 온라인을 통한 새로운 미술관의 관객확대, 전문성 있는 교육 자료를 제공하므로 미술교육의 질제고 등에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05
<그림 Ⅱ-56> 호주국립미술관 전경 및 Learning Art lessons 수업자료로 소개된 James Gleeson의 ‘The Citadel(1945)’
출처 : 호주국립미술관홈페이지(http://nga.gov.au/)
라. 디지털 창의교육 프로그램(Digital Creative Learning 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의
Program)56) : 시드니 오페
① 사업개요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는 1973년 설립되었고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수 도 시드니에 위치한 공연장이다. 이곳은 1547석 오페라극장과 2679석 음악당, 극장, 전시관 공 서관 등이 있다.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가 추구하는 미션은 자유로운 예 술과 생각을 지향하고 향후 잠재관람객과 다음 세대 예술가들을 육성하고 개발하며 열정, 탁월 함을 통한 영감으로 일상의 정체성을 확장하는 것이다.57) 얼마 전 교육 및 청소년부서(Education and Young People)에서 아동ᐧ가족 그리고 창의학습 부서(Children, Family and Creative Learning)로 명칭이 바뀌므로 교육보다 창의학습을 주력하 고 있다.
② 내용 및 특징 Digital Creative Learning
Program은 2010년 연방정부의 IT지원확대 정책으로 시작되었고
이후 2012년 교육에 대한 생각의 변화가 일어나며 화상 회의 시스템(Video Conferencing)을 활 용한 다양한 종류와 방식의 프로그램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확산되었다. 초기에 투어 프로그램 으로 시작해 현재는 장비에 낯선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교사교육, 실시간 오페라하우 스 방문, 배우와 관객이 묻고 답하는 연극 워크숍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56) http://www.arte365.kr/?p=35104 참고하여 재구성 57) http://www.sydneyoperahouse.com 10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최근에는 뉴사우스웨일즈(New South Wales) 지역의 학교 학생들과 화상통화로 실시간 교류 (live interaction)로 공연장 투어, 원주민 문화를 배우고 원주민 진행자와 직접 소통하는 디지털 학습 및 호주 전역의 24가족들을 대상으로 동시에 접속하여 45분 동안 인터렉티브 공연 (Interactive performance)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시도하였다. 24가정에게 노트북을 전달하고 정해진 시간에 코미디언 출신의 호주배우가 진행을 맞아 진행하여 배우와 관객이 붇고 답할 수 시간을 갖았다. [그림]은 오페라하우스 투어와 가족프로그램 진행과정을 보여준다. <그림 Ⅱ-57> 가족프로그램과 오페라하우스 투어
출처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공식 유투브(https://www.youtube.com/watch?v=emytLe1Tjj4)
③ 시사점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에서 시도한 Digital Creative Learning
Program
은 초기의 실시간 교류 투어프로그램에서 교사교육, 연극 워크숍, 최근 가족 대상 동시접속 기 술까지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학교, 지역과의 연계, 데이터통신망 구축, 화상회의 장비 구입 등의 기술적인 기반 및 상호소통체계가 구축되어야 한 다. 당시 호주에서 대대적인 교육현장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예산 지원 등이 마 련되었고, 현장의 참여자들과 기관 담당자 및 학교 교사, 관계자들 간의 동의와 가 필요했다. 즉 지역문화예술기관 및 단체가 시도하기 어려운 규모와 예산투입이 필요한 프로그램에 한하여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가 주도하여 새로운 영역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ᐧ학교에서 경험할 수 있는 환경제공의 역할을 담당하므로 새로운 관객 개발과 교육적 혁신을 이룰 수 있었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07
마. 에볼루션 프로그램(Evolution program) : 시그널(Signal) ① 사업개요 시그널(Signal)은 멜번 시(City of Melbourne)에서 운영하고, 13~25세 청소년 대상의 워크숍, 전시, 라이브 이벤트, 공연 등을 기획하여 무료로 제공하는 예술교육 기관이다. 마이어 재단 (Myer Foundation), 연방전부 및 지역사회 기반 시설 등의 후원을 받고 있다. 시그널(Signal)은 과거 역에 신호를 보내는 곳으로 몇 번의 화재 이후 신호장치만 남겨진 상 태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내부에는 50여명의 수용 가능한 공연, 워크숍, 전시 등을 하는 시 그널 공간(Signal Space)으로 사방이 창문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본적인 컴퓨터 시스템을 갖춘 시그널 스튜디오(Signal Studio), 시그널 주변 야외 공간으로 큰 이벤트나 공연이 가능한 시그널 거리(Signal Street), 건물 창문에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으로 활용하여 디지털 미디어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시그널 소리(Signal Sound)로 구성되어 있다. 시그널은 매월 2~3개의 다양한 장르가 복합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58) 맬번 시에서 발표한 2014-2017 예술전략에 따르면 6가지 주제(연계, 활성화, 공간, 재원, 공 로, 자원)에 따른 목표 및 운영원칙을 내세웠다. 각 주제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갖고 있다. 가령 예술가와 관객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예술가가 현재 활동하고 있는 공간 활용, 예술가와 공공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활동, 예술가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이 공공 공간에 끼치는 공헌을 기념, 예술가들의 역동적인 활동으로 도시유산을 재해석하는 것이다. [그림]은 예술전략을 요약한 표이다. <그림 Ⅱ-58> 맬번 시의 2014-2017 예술전략
출처 : 멜버른시 홈페이지 (http://www.melbourne.vic.gov.au/SiteCollectionDocuments/city-of-melbourne-arts-strategy-2014-17.pdf)
58) SIGNAL PROGRAM 2016 (http://www.melbourne.vic.gov.au/sitecollectiondocuments/signal-program-2016-jan-jun.pdf) 10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② 내용 및 특징 Evolution program은 학교에 가지 않거나 일하지 않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창작프로그램 이다. 시그널(Signal)은 일주일에 두 번 자유로운 예술 활동을 할 수 있는 스튜디오 공간을 제공 한다. 모든 프로그램은 아티스트와 청소년 지도자와 함께 진행되며 다양한 예술분야(시각예술, 영화, 디자인, 애니메이션, 사진 등)를 다루고 있다. 신청은 협력단체인 Frontyard Youth Service에서 담당한다. 그
밖에
시그널(Signal)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학교연계
프로그램으로
지역학교
(Collingwood English Language School)와 연계하여 일주일에 한번 일 년에 두 학기 동안 운 영되는 Signal School, 예술가와 함께 길거리 아트 기법(프리핸드 기술, 스텐실, 설치 등)을 배 울 수 있는 Signal street art mentoring program, 16-25세 청소년ᐧ청년을 대상으로 매년 5명 을 선발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멘토, 보조교사, 강연자 등으로 활동하고 내부 공간을 활용하 여 전시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Signal Screen Commissions 가 있다. [그림]은 시그널(Signal) 전경과 Evolution program과
Signal street art 진행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Ⅱ-59> 시그널(Signal) 전경과 Evolution program과
Signal street art 진행
출처 : Signal홈페이지 (http://www.melbourne.vic.gov.au/arts-and-culture/signal/Pages/signal.aspx)
③ 시사점 Signal 프로그램의 주요 대상은 청소년ᐧ청년으로 그들의 나이, 소속, 관심사 등 각 다른 관점 으로 분류하여 각 대상의 상황과 환경에 맞는 지원을 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위에서 소개한 바 와 같이, 학교에 가지 않는 청소년, 직업이 없는 청년을 대상으로 구분하였고, 프로그램의 구성 또한 예술장르로 구분하지 않고 학교 수업연계, 거리예술, 아티스트 스튜디오 등 전달 방식에 따른 구분,
Signal 내의 공간(소리, 스튜디오, 거리, 등)에 따른 구분으로 나누어 제공하고 있다
는 점 역시 주목된다. 마지막으로 청소년ᐧ청년 예술가를 선정하여 예술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기관 내 하나의 전문 인력으로 양성하여 프로그램 내 멘토, 보조교사, 강연자 등의 역할을 부여함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이 의미 있게 나타난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09
(6) 북유럽ᐧ아일랜드 가. 벨기에(Belgium) - ABC하우스 : ABC(Art Basics for Children)59) ① 사업개요 ABC(Art Basics for Children, 이하ABC)의 의미는 알파벳의 첫 글자이며, C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비판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 질문하는 사람, 대화하는 사람들을 포함하고, B는 기본이라 는 뜻 이외에 의식이란 뜻이다. A는 예술뿐만 아니라 인류학, 동물의 영혼까지 포함하고 있다. ABC는 예술과 교육의 넓은 의미 속에서 미적 경험, 창의력과 예술적인 인식의 개발을 위한 실 험실이다. 초기 ABC는 1998년 브뤼셀에서 열린 BRONKS페스티벌에 공개되었고, 스튜디오와 혼합된 도서관 공간은 이후 여러 전시회, 축제, 문화센터 등에 초대되었고, 2008년 지금의 ABC House 로 변모 하였다. ABC는 각국의 언어로 출판된 12,000권의 도서를 소장하고 있고, The Creative Resource Center는 예술과 교육에 관한 프로젝트를 개발, 영감을 얻고자하는 사람에게 오픈되어 있다. ABC의 목표는 크게 다섯 가지로 제시되어 있다. 첫째, 사회 속에서 통합되는 예술과 문화, 둘째, 사려 깊은 공간적 맥락에서 미적경험을 제공, 셋째, 재능을 개발하기 위한 즐겁게 배우고 격려하며 놀기, 넷째, 의식하는 것을 보기, 듣기, 살기를 배우며 마지막으로 시민의식, 공감과 관용을 자극시킨다. ABC는 Triodos Bank, Burssels 시, 유럽연합의 지원을 받고 있다.
② 내용 및 특징 ABC하우스는 유치원, 초등 및 중등학생, 교사,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평일 은 상시 운영으로 학생과 교사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주말에는 가족을 대상으로 운영한다. 또한 방학 중에는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를 위한 코스, 소외계층 아이들을 위한 스튜디오도 마 련되어 있으며 보육원 교사 및 성인을 위한 워크숍 및 세미나를 운영한다. 특히, ABC의 프로젝트 중 카미시바이 연극은 일본에서 유래된 카미시바이(Kamisibai)60)를 새롭게 고안해 낸 그림연극으로, 연극상자, 흥미로운 이야기 세계, 그림이주는 시각적 힘을 통해
59) ABC(Art Basics for Children)는 1998년 Gerhard Jäger가 사춘기 아들을 위해 간접적인 시각적 자료로서 독서를 활용하며 함께 즐기고, 이후 예술, 문화, 교육의 핵심서적을 수집하며 다른 부모, 교사, 사서, 교육자, 아이들과 공유하고자 설립하였다. 60) 카미시바이(Kamisibai)는 일본에서 1920~1950년까지 인기 있었던 서술기법으로 12세기 일본 불교사원에서 시작된 고돼 시각적 스토리텔링 전통 중 하나이다. 승려들은 문맹자들을 위한 도덕적인 이야기 전달을 위해 두루마리에 그린 그림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자전거에 설치하여 거리 구석이나 공언에서 조립 후 청중에게 보여진 공연으로 당시 500만 명 이사의 어린이와 성인이 즐긴 스토리텔링 극이었다. 11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아이들에게 흥미로운 문학수업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3시간 동안 슬라이드, 종이접기, 콜라 쥬, 손을 이용한 춤, 장난감 피규어, 손가락인형, 손수건, 조명활용 등에 관해 배우며 이것들을 사용해 아이들이 직접 네모박스에 이야기가 담겨있는 그림들을 겹쳐놓고 그것들을 빼거나 넣으 면서 이야기를 진행한다. <그림 Ⅱ-60> ABC스튜디오 내부 및 카미시바이 연극박스
출처 : ABC 홈페이지(http://www.abc-web.be/abc-kamishibai/)
현재는 카미사바이 이야기 모음을 만들어 총 200여 편의 이야기를 수집하였고, 그 내용은 기 존의 이야기를 변형하거나 예술가 및 작가에게 주문한 이야기도 있다. 가령 터키 모로코의 이야 기, Baby Tree, Two Giants 등이 있고, 이는 무료 대여가 가능하다.
③ 시사점 ABC스튜디오의 주간 일정은 새로운 프로젝트 구상, 교사를 위한 교육, 어린이집과 협력하여 워크숍 운영, 학교그룹(5세~18세) 대상 프로그램 운영, 주말에는 가족에게 오픈하고 있다. 즉 다방면으로 다양한 단체와 교류하며 협력하고 있으며, 교육 대상도 세분화하여 진행하고 있다. 특히, 매주 월요일 휴관으로 STEAM교육에 맞는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ᐧ개발 및 기존의 20여개 의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ABC스튜디오의 프로그램 기획과 공간조성은 독창적이고 페스티벌이나 타 기관에 초대되어 소개되므로 다른 단체의 귀감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11
나. 노르웨이(Norway)- 메아리연극(Echo theater)61) : 시앙세 예술센터(Seanse Art Center) ① 사업개요 시앙세 예술센터(Seanse Art Center)는 노르웨이 볼다 대학교(Volda University College)에 위 치한 예술센터로 국가 예술활동인 문화배낭(The Cultural Rucksack Programme)62) 프로젝트를 주로 이끌며 노르웨이 예술 강사, 아동, 청소년의 예술경험을 위해 다양한 예술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시앙세 예술센터 2004년에 설립되었으며 컨퍼런스, 상주아티스트(325명), 국제교류 및 워크숍 (25회), 교사교육(24개), 아동 프로그램(140개) 등으로 운영하고 있고, 특히 예술, 학교, 유치원 간의 파트너십을 발전에 가치를 두고 예술실천 확대 및 개선하고 있다. 가령 2012년 오슬로 제 1회 국제 교수법 회의에 참석, 2011년 애니메이션 워크숍, 링컨 센터 교육과 협력하여 국제 교 육 예술가를 위한 교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의 발달문제, 문제해결 능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력 및 적응 능력에 기여하고 예술을 이해하고 심화시키며 대안적인 관점에 접근하는 방식을 중요하게 여긴다. 지속적인 전문 기술 공유, 새로운 예술관행, 회의, 연 구, 세미나 및 고품질 제작 지원 등을 마련하여 어린이를 위한 예술개선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시앙세예술센터는 노르웨이 교육연구부 (Norweg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Møre and Romsdal County, 볼다대학교(Volda University College), 노르웨이 예술위원회(Arts Council Norway)의 지원을 받고 있다.
② 내용 및 특징 시앙세 예술센터 프로그램 중 메아리 연극(Echo theater)은 한 극 당 초등학생 20여명을 대상으 로 진행하며, 전해들은 이야기,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 서술능력, 소통능력을 배우고 협의된 내러 티브를 무대에 올리는 드라마, 퍼포먼스이다. 이는 이야기를 하는 화자의 정체성 확립과 전달받는 타인에서 이야기 서술구조의 신체활동을 전달하며 결국 타인을 이해하고, 자기표현, 자기성찰을 목 적으로 한다. 가령 가족과 함께 마트에 갔다가 엄마아빠를 잃어버린 찰나의 순간의 이야기를 시작 으로 유사한 경험을 겪은 아이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전개하며 이야기에 등장하는 사물이 되어 연 기하기도 하며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라도 한편의 퍼포먼스를 만들어 나가는 프로그램이다. 6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36차 자료집을 바탕으로 재구성 62) 문화배낭(The Cultural Rucksack Programme)은 노르웨이 예술위원회가 2001년부터 문화부, 교육연구부와 함께 추진한 문화정책 프로그램의 일환이며, 이는 초등학교와 고등학생(6~19세)을 대상으로 음악, 연극, 시 각예술, 공연예술, 영화, 문학, 문화유산 등을 다양한 문화적 융합을 통한 문화예술활동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모든 학생을 위한 질 높고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학교와 문화 분야의 협력을 통해 교육과정에 따라 역할분담, 지역책임과 주체의식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동 사업은 국영 스포츠 베팅 사업자 노스크티 (Norsk Tipping)가 매년 약 300억 원을 지원하고 있다. (http://www.arte365.kr/?p=24465) 11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61> 시앙세 예술센터 프로그램
출처 : 시앙세예술센터 홈페이지(http://seanse.no/?lang=en)
③ 시사점 시앙세 예술센터(Seanse Art Center)는 학교와 유치원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어, 학교 수업과 연계된 프로그램, 학교 내에서 운영 가능한 프로그램 등을 기획하고 개발하며, 동시에 교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도 마련한다. 또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메아리 연극(Echo theater)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예술을 매개로 자기표현, 타인과 소통, 배려와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예술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예술적 소양 뿐만 아니라 인성, 사회성 교육, 적응 능력 등을 전달하는 예술교육 접근방식임을 알 수 있다.
다. 스웨덴(Sweden) - 학교과목과 서커스(School Subjects and Circus) : 서커스 시스쾨르(Circus Cirkör) ① 사업개요 서커스 시스쾨르(Circus Cirkör)는 Tilde Björfors와 일부 예술가들이 파리에서 서커스가 제공 하는 가능성을 느껴 시작하게 되었다. 서커스 시스쾨르의 비전은 우리의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현대 서커스를 통해 더 나은 세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그 결과 현재 2만 명의 사 람들이 서커스 시스쾨르의 쇼를 보고, 400,000명의 어린이와 청소년이 훈련받고 현대 서커스를 배웠다. 현대서커스는 스웨덴에서 예술 형식으로 성립되어져있다. 이들은 여러 스웨덴의 단체, 유럽 내 단체와 네트워킹을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서커스 시스쾨르는 지역 기관으로 2005년부터 정부와 지역 자금을 통해 운영되어져왔다. 스웨덴 예술위원회(Swedish Arts Council), 스톡홀롬 시의회(Stockholms County Council), 스톡홀롬 시 (Stockholm City), 봇쉬르카 시 (Botkyrka Municipality)의 지원을 받는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13
② 내용 및 특징 서커스 시스쾨르(Circus Cirkör)의 활동은 서커스 트레이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서커스트 레이닝은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프로그램, 학교프로그램, 전국공연 및 교육투어로 구성되어져
있다.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 프로그램은 서커스스쿨이라는 프로그램명으로 진행되는데, 만 5세이 상 어린이부터 성인, 장애인, 아마추어 서커스 아티스트까지 전 시민을 대상으로 한다. 총 27개 의 코스와 기초반부터 심화반까지 다양한 성격과 수준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학교프로그램의 코 스훈련팀 프로그램은 매년 학교로 찾아가 어린이와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서커스 공연을 선 보이고, 교사 대상의 워크숍 강의를 진행한다. 교사 대상의 워크숍 강의는 수학, 과학같은 이론 과목에 서커스가 녹아들게끔 하는 통합 체험을 내용으로 한다. 전국공연 및 교육투어는 서커스 놀이, 학교과목과 서커스, 트라이아웃 서커스, 생활서커스, 장애인서커스수업, 워크숍 및 강의, 고급노인서커스, 웅가 시스쾨르 등으로 구성되어져있다. 전국공연 및 교육투어는 4-5세 및 초등 학생, 고등학생, 특수학교, 노인 등의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학교과목과 서커스 프 로그램의 서커스 수학 프로그램은 저글링 공을 이용해 특정 동작에 숫자를 입혀, 이론이나 개념 적 사고 대신 이미지로 수학적 계산을 하는 등 움직임과 학습을 통합해 교육 효과를 내게 되는 특이점을 가진다. 서커스 트레이닝은 아래의 그림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된다. <그림 Ⅱ-62> Circus Cirkör Train Circus
출처 : 서커스 시스쾨르 홈페이지 Circus Cirkör(http://cirkor.se/en)
11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63> 서커스 트레이닝 프로그램 어린이·청소년 및 성인 프로그램
서커스스쿨
학교프로그램
코스훈련팀
서커스놀이
서커스 트레이 닝
학교과목과서커스
초6~고등학생 대상, 테마워크숍으로 진행
트라이아웃 서커스
초6~고등학생 대상, 서커스 부담 없이 체 험하게 함
생활서커스
전국공연 및 교육투어
4-5세 대상, 놀이를 통해 서커스 접하게 함
장애인서커스수업
과목교사와
함께하는
마을 청소년 센터 중심으로 이루어짐 특수학교 학생 대상
워크숍 및 강의
서커스 시스쾨르의 활동 공유, 성인 대상
고급노인서커스
노인대상수업, 서커스 동작 가르침
웅가 시스쾨르
9~14세, 11명 어린이들이 팀을 이뤄 공연 을 펼침
지속적 교육
사회복지기관전문가를 위한 수업, 서커스를 사업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 안내
스테잉 어라이브
노인들이 ‘계속 살아 숨쉬다’라는 공연 펼침
출처 : 곽덕주 외(2015).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을 기반으로 재구성
③ 시사점 서커스 시스쾨르(Circus Cirkör)의 프로그램들은 유아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코스가 아닌 프로그램들은 무료로 제공되고 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서 예약할 수 있다. 서커스 시스쾨르의 프로그램들은 학교과목과 서커스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특징을 가진다. 앞서 말했던 서커스 수학 프로그램의 경우 저글링 공을 이용한 서커스 활동을 통해 수 학적 계산을 함으로써 뇌와 신체를 동시에 사용하고, 움직임과 학습을 통합해 효과를 내게 된 다. 이러한 서커스활동이라는 신체활동을 통해 정규 교과과정을 교육할 수 있는 등의 교육의 방 식 변화를 가지고 왔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15
라. 아일랜드(Ireland)- 5Day Animation Camp: Making the Films : 디 아크(The Ark) ① 사업개요 디아크(The Ark, A cultural Centre for Children)는 더블린(Dublin)에 위치한 문화예술자선단 체로 2-12세 어린이가 극장, 음악, 문학, 예술, 영화, 춤 등을 탐험할 수 있도록 세계적인 수준 의 매주 다양한 공연, 전시회 및 창의적인 워크숍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협력업체, 예술가,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성 개발을 위한 워크숍을 운영한다. 디아크(The Ark)는 문화예술 에 대한 어린이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화예술자선단체 디아크(The Ark)는 기업, 개인으로부터 후원을 받고 있으며 공적자금은 전 체 소득의 평균 60%를 차지한다.
② 내용 및 특징 The Ark 프로그램 대상은 크게는 학교, 가족, 교사로 나누어져 있고, 특히 다양한 가족 프로 그램 운영하고 있다. 가령 가족 프로그램 Jim Jam Jugband는 미국 전통가수에 영감을 받을 프 로그램으로 평소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도구(여행가방, 숟가락, 빨래판, 대야, 주전자 등)를 이용 하여 악기를 만들고, 이후 하모니카, 우쿨렐레 같은 악기와 함께 연주하며 친구를 초대하여 춤 을 춘다. 또한 아동 대상의 경우 나이별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8-12세를 대상으로 하 는 5Day Animation Camp: Making the Films는 하루 6시간씩 5일 동안 컷-아웃-애니메이션 (cut-out animation)에 대해 배우고 마지막 날에는 1~3분 길이의 영화 컷-아웃-애니메이션 (cut-out animation film)을 제작한다. 첫째 날에는 스크립팅 및 스토리보드를 제작을 목표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영화 이야기를 구상하고 스토리보드를 만든다. 둘째 날은 세트 및 캐릭터 제작을 목표로 종이에 디자인 된 여러 2D인형 캐릭터를 만들고 배경과 소품도 만든다. 셋째 날부터 마지막 날까지는 애니메이션 기술을 사용하여 영화를 제작을 시작 한다. [그림]은 디아크(The Ark)의 전경과 5Day Animating Camp과 프로그램 과정 및 결과 이다.
11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Ⅱ-64> The Ark의 전경 및 5Day Animating Camp과 프로그램
출처 : The Ark 홈페이지(http://ark.ie/events/view/5-day-summer-camp-animation-making-the-film) ; Clay Animation-Dino(https://vimeo.com/177698047)
③ 시사점 디아크(The Ark)는 교육대상을 아동, 교사, 가족으로 구분하여 다각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는 점과 아동 중에서도 연령에 따른 다양한 예술장르의 운영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앞 서 소개한 5Day Animating Camp의 경우 단발성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1~3분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위해 이야기 구성부터 제작 기술까지 배울 수 있는 향후 아동 스스로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 지속가능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3) 시사점 이상 국내외 유사사례 분석 결과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표>와 같다. <표 Ⅱ-16> 국내외 사례분석 시사점 종합표 구분
국가
프로그램/주관기관 국립 미술‧디자인 토요클럽(National
영국 토요일을 활용한 문화예술 교육프로 그램
Art&Design Saturday Club) : 소렐재단(The Sorrel Foundation)
미국
한국
토요예술실험실(Saturday Arts Lab) : 뉴욕주립대학교 예술대학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교육부)
시사점 ᐧ미술ᐧ디자인뿐만 아닌 창의산업 분야로 범위확장 (바디스캐닝, 애니메이션, 건축, 잡지디자인, 회화, 조각, 무대디자인, 음향 등) ᐧ청소년 진로개발에 도움을 주었고, 참여대상의 폭 을 열러두었음(무료수업) ᐧ매주 토요일 학교 밖 미술관 및 박물관을 견학하여 문화예술 견문을 넓히고 청소년의 경우 직업체험활 동과 연계됨 ᐧ‘학교 밖 토요학교‘를 통해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역 의 교육자원과 유기적 연계 ᐧ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학습하는 토요일을 구축 ᐧ토요학교 정착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학교를 통 해 홍보역할 강화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17
구분
국가
프로그램/주관기관 토요방과후 프로그램(교육부)
토요문화예술동아리(교육부)
토요돌봄교실(초등돌봄교실)(교육부)
미국
토요예술실험실(Saturday Arts Lab) : 뉴욕주립대학교 예술대학
시사점 ᐧ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 ᐧ학교를 통한 적극적인 홍보활동 ᐧ설문 및 통계자료를 통해 수요사항 반영 및 개선 ᐧ점차적인 사업 대상, 활동분야 확대 및 다양한 사 업인력을 지원 ᐧ특히 소외계층, 소외지역에 대한 지원 ᐧ반면 타 프로그램과 내용적, 기획적 측면에서 차별 성이 부족 ᐧ학부모, 맞벌이 부모의 높은 만족도 ᐧ학생들에게 학습도움활동, 단체활동 등을 경험하며 문화예술활동을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함. ᐧ단계 별 학습 통해 심화과정까지 연속적 교육을 받 을 수 있으며 흥미와 재능을 발굴할 수 있음. ᐧ학교와의 연계는 실제적인 교육의 현장에서 대학생 들을 통해 경험을 제공함.
아동‧청소년 음악 이니셔티브(Youth Music Initiative) :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Creative
ᐧ 연령별 심화 프로그램 제공 ᐧ지역기관과 학교 등과 협력 프로그램 기획 ᐧ프로그램 효과, 성과를 기록하고 분석한 아카이빙 구축
Scotland) 셰익스피어 스쿨
영국
페스티벌(Shakespeare Schools Festival) : 셰익스피어 재단(Shakespeare Foundation) 댄스 매직 댄스(Dance Magic
장르적 범주의 확장과 체험/창작 중심의 문화예술 교육 확대
Dance) : 크리에이티브 에이징(Creative Ageing) 슈트르가르트 청소년극단 프로그램(Junges Ensemble Stuttgart)
독일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HIP HOP ACADEMY HAMBURG) : 쿨투어팔라스트 함부르크(Kult urPalast Hamburg)
노르웨이
메아리연극(Echo theater) : 시앙세 예술센터(Seanse Art enter)
초‧중‧고교생을 위한
프랑스
아틀리에(Ateliers: écoles, collèges, lycées) : 리옹 오페라(Opéra de Lyon)
11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ᐧ세익스피어 21개 대분을 유형화하여 참여단체의 특 성에 맞게 제공하므로 참여자의 다양성 확보 ᐧ언어장애 극복, 자신감 및 성취감, 예술을 통한 변 화들이 나타남
ᐧ건강, 복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고품질의 예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개인의 독립성향상 ᐧ직접 연극이 만들어지는 전 과정을 경험 ᐧ전세대가 참여할 수 있는 교육 ᐧ과정중심의 교육으로 문화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목표 ᐧ 장르적 특성화를 활용한 장기 인재육성 프로그램 으로 기초부터 전문교육까지 맡을 수 있는 체계성 이 구축 ᐧ무료이며, 청소년뿐만 아닌 노든 계층을 대상으로 진행(노인, 사회적 약자, 취약계층 청소년 등) ·학교와 유치원과의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 ·학교 수업과 연계된 프로그램 및 교사 교육 프로그 램 진행 ·예술+인성, 사회성, 적응능력 전달 ᐧ음악을 소재로 한 교육의 다양한 분야와 접목(음악 과 춤, 오페라와 동화 구연, 오페라와 디지털 미디 어 등 순수예술끼리의 접목과 다양한 장의와 결합) ᐧ초등학생은 체험 프로그램, 고등학생은 관람 프로 그램 위주로 수준별 맞춤진행 ᐧ홈페이지 활용도가 높음
구분
국가
프로그램/주관기관
시사점
디지털 아트 창작 센터 르큐브(Le Cube – Centre de création numérique) 5Day Animation Camp: Making
아일랜드
the Films : 디 아크(The Ark)
호주
벨기에
한국
키즈 오운 퍼블리싱 (Kids’s Own Publishing) 프로젝트
ABC하우스 : ABC(Art Basics for Children)
서울댄스프로젝트 ‘춤바람 커뮤니티’(서울문화재단)
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
가족 프로그램 의 확대
호주
스튜디오 판타지(Studio Fantasy) : 아트플레이(Art Play)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프랑스
famille) :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 학교과목과 서커스(School Subjects
스웨덴 STEM과 목과 연계된 통합예술 교육 및 주제중심 교육 강조
and Circus) : 서커스 시스쾨르(Circus Cirkör) 유아예술교육 인스티튜트(Early
미국
Learning Institute through Arts) : 울프트랩(Wolf Trap) 예술로 플러스(서울문화재단)
한국 삶의 학교(고무신학교)
·아동, 교사, 가족으로 구분하여 다각적인 프로그램 운영 ·연령에 따른 다양한 예술장르 프로그램 운영 ·5Day Animating Camp는 지속가능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이야기구성 부터 제작, 기술 과정까지 습 득) ᐧ지역사회 내 어린이들에게 책을 만들 수 있는 기회 와 문화, 언어능력 강화 ᐧ 스스로 만든 작품이 책으로 실현되면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낌 ·주기적인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및 주간 중 1일은 프로그램 개발 시간으로 사용 ᐧ유아 및 학교그룹 등 다양한 계층에게 공간 개방 및 상시적인 프로그램 운영 ᐧ춤을 통해 자유롭게 표현하는 기민예술 프로젝트로 시민의 활력과 치유, 공감과 소통의 공동체 회복을 목표로 함 ᐧ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르의 춤을 함 께 시연할 수 있어 일상의 예술을 실현할 수 있음
가족워크숍(Family workshop) : 뉴
미국
ᐧ디지털 기수를 활용한 연령별 예술활동을 제공 ᐧ상상력, 창의력 향상에 기여
ᐧ직접 관람했던 공연을 실제로 시연하거나 관련된 내용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제공 ᐧ이를 통해 참여자들에게 적극적인 참여도, 공연에 대한 관심도를 높임 ᐧ아이들의 공간을 조성, 공공미술의 가치 확산 ᐧ가족참여 활동과 예술가의 전문성을 가미함으로 예 술과 여가, 놀이의 경계를 허물었음 ᐧ가족과 놀이할 수 있는 예술작품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기획 ᐧ기본적으로 가족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아동의 연령 및 환경에 따라 운영시간, 운영유형(종일반, 상시오 픈, 놀이방 등)의 다양화 ·유아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프로그 램 제공 ·무료프로그램 제공(코스 제외) ·홈페이지 이용도 높음(홈페이지 통해 신청) ·학교과목과의 연계(ex.수학+서커스) ᐧ예술과 주요과목을 접목하여 쉽고 친근하게 접근한 신체ᐧ언어발달 프로그램 ᐧ가족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은 실생활 재료, 장소를 활용하여 관심을 유도함 ᐧ학교교과연계 창의예술프로그램 개발 ᐧ학교에 예술가교사가 파견하여 수업교재, 수업진행 기회를 마련 ᐧ가장 가까운 학교, 교실의 장소가 예술활동의 장으 로 상상하고 체험하고 토론하는 공간으로 변모함으 로 삶 속의 예술제공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19
구분
국가
한국 메이커 프로젝트 열풍
프로그램/주관기관
무한상상실 ‘영메이커 프로젝트’(과천과학관)
메이커 스튜디오 프로그램(Maker
영국
Studio program) : 키즈 뮤지엄(KID Museum) 및 메이커페어(Maker Faire)
몽트뢰이 대중의 집(Maison populaire à Montreuil)
프랑스 예술가 레지던시 와 결합한 공간 기반 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famille) :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 라 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La Coursive scène nationale La Rochelle)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 센터
독일
(Kinderkreativzentrum Krokoseum)
벨기에
ABC하우스 : ABC(Art Basics for Children) ‘옛날 옛적 필라델피아에서는’(Once
미국 지역의 역사 및 콘텐츠와 결합한 공공예술 프로젝트 로서의 예술교육
Upon a Nation in Philadelphia) :
Historic
Philadelphia 발틱 스트리트 어드벤처
영국
놀이터(Baltic Street Adventure Playground) : 어셈블(Assemble)
문화놀이터(서울문화재단)
한국 ‘기적의 놀이터’ 제 1호 엉뚱발뚱(순천시)
12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시사점 ᐧ예술가와 교사, 학생의 협업을 통해 즐거운 예술작 품 성취감, 학습몰입도, 흥미 높임. ᐧ혼자 상상하고 제작했던 지식과 노하우를 공유하며 함께 창작하고 토론할 수 있는 장을 마련 ᐧ자연스러운 통합교육 효과제공 ᐧ스스로 상상한 것을 만들면서 몰입도와 문제해결능 력 향상 ᐧ모든 사람은 메이커이다 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특 히 아동ᐧ청소년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메이커 프로 그램. (스스로 창작할 수 있는 공간제공, 조력자인 멘토지원 등) ᐧ메이커 커뮤니티 연합의 장을 마련하여 작품을 소 개하고 공유하고 소통하게 함. ᐧ다양한 장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 ᐧ프랑스의 문화뿐만 아니라 이민자들의 문화까지 수 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 ᐧ참여자들은 예술가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예술가에게는 강의 기회를 제공 ᐧ예술작품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기획(전문성과 놀이의 결합된 교육프로그램) ᐧ연령 및 환경에 따라 운영시간, 운영유형(종일반, 상시오픈, 놀이방 등)의 다양화 ᐧ오랫동안 폐관된 극장을 재건하여 운영 ᐧ 공연을 관람하고 그 자리에서 수업이 진행되어 살 아있는 토론, 비평, 의견을 나눌 수 있음. ᐧ모든 어린이 대상의 무료 프로그램 운영 ᐧ창의적 공간을 조성하여 상시운영하고 자유롭게 방 문할 수 있음 ·주기적인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및 주간 중 1일은 프로그램 개발 시간으로 사용 ᐧ유아 및 학교그룹 등 다양한 계층에게 공간 개방 및 상시적인 프로그램 운영 ᐧ일상공간인 지역 곳곳의 유적지를 살아있는 교육공 간으로 활용하여 주역주민과 관광객들에게 자연스 러운 참여를 유도 ᐧ역사의 순간을 재현하고 놀이 방법으로 접근하므로 남녀노소 참여가능 ᐧ참여자와 공간과 사이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재구성 하는 예술단체 ᐧ아이들의 새로운 놀이, 보다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놀이를 위한 공간을 제공. ᐧ‘거꾸로 놀이터’는 거꾸로 된 집, 거꾸로 된 컵의자, 거꾸로 된 자동차 그네 등 모든 시설들이 거꾸로 된 모양을 하고 있으며, 거꾸로 이야기하고 상상해 보기를 좋아하는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디 자인으로 놀이터 공간 제공 ᐧ자연 소재인 돌, 흙, 통나무 등을 주재료로 시냇물, 잔디, 언덕, 동굴, 나무 그루터기 등 자연의 상태를
구분
국가
프로그램/주관기관
시사점 그대로 구성해 아이들이 스스로 상상하며 창의력과 모험심을 키울 수 있음.
복작복작 예술로 골목길 프로젝트
ᐧ서울시내 지역골목길 및 유휴공간에 지역 주민, 예 술가가 예술 활동을 하여 동네 문화 공동체 활성 화, 지역재생을 도모
“복작복작 예술로(路)”(서울문화재단)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한국문 화예술교육진흥원) 온라인 예술교육(Learning Art
ᐧ온라인을 활용한 예술교육의 활성화 ᐧ미술관 소장품을 활용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여 가 정과 학교 등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홈페이지 제공
lessons) : 호주국립미술관(National
문화예술 교육 전달수단 의 다양화 : 온라인 교육, 바우처 활용
호주
Gallery of Australia) 디지털 창의교육 프로그램(Digital Creative Learning
ᐧ민간문화예술단체에서 쉽게 시도할 수 없었던 분야 를 시도함으로 지역, 단체들의 연계 등 기반마련
Program)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
한국
탈학교 청소년 및 이민자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ᐧ각 지역별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 ·다양한 계층 참여
호주
프랑스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방과후행복카드 (舊 부산 토요스쿨패스카드)
에볼루션 프로그램(Evolution
ᐧ청소년과 청년의 나이, 소속, 관심사 등 다른 관점 으로 분류하여 대상의 상황과 환경에 맞는 지원을 함
program) : 시그널(Signal) 이민사 박물관(Musée de l’histoire de l’immigration)
ᐧ저렴한 비용으로 문화예술ᐧ스포츠ᐧ체험 활동에 참 여가능 ᐧ스스로 문화예술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 주도적인 활동을 창출 ᐧ친구, 가족 대상으로 할인혜택 적용으로 가족간의 문화활동 창출에도 기여
ᐧ프랑스 이민의 역사을 소개하고, 일반 시민대상으 로 연령 별 프로그램 운영 ᐧ이에 관련된 활동을 통해 이민자에 대한 편견, 역사 및 문화를 공감을 통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함.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21
(1) 토요일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소렐재단(The
Sorrel
Foundation)의
국립
미술‧디자인
토요클럽(National
Art&Design
Saturday Club), 뉴욕주립대학교 예술대학에서 운영하는 토요예술실험실(Saturday Arts Lab)프 로그램,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 토요 방과 후 프로그램, 토요문 화예술동아리 프로그램 등은 대부분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위의 프로그램의 공통된 주요활동은 주로 박물관 미술관 관람, 유명 예술가 작업실 견학 등 학교에서 경험 할 수 없었던 생생한 현장 탐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아동에게는 학교 밖 새로운 경험을 통해 견 문을 넓히고, 청소년에게는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토요일에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창의성, 인 성 강화, 학교 폭력의 치유, 다문화가정 지원 등 교육현안을 해결하고,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대 부분 무료로 진행되므로 사교육비 절감, 문화예술 취미활동을 개발하여 향후 지속적이고 자발적 으로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을 키우는 데에 이바지하고 있다. 즉 토요일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밖’이라는 공간적 범위의 확장으로 더 넓 고 다양한 문화예술 경험을 제공하여 개인의 문화적 역량을 개발하고, 여러 예술장르의 다양한 활동이라는 내용적 다양성으로 문화예술 영역의 진로탐색 연계, 더 나아가 교육현안 및 사교육 문제 등의 사회문제의 해결방안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 장르적 범주의 확장과 체험/창작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확대 성공적인 사례로 분류되는 프로그램에는 다양한 예술장르와 참여자의 창작ᐧ체험중심 활동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서 소개했던 영국의 소렐재단(The Sorrel Foundation) 의 국립 미술‧디자인 토요클럽(National Art&Design Saturday Club)를 비롯하여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Creative Scotland)의 아동‧청소년 음악 이니셔티브(Youth Music Initiative), 셰익스 피어
재단(Shakespeare
Foundation)의
셰익스피어
스쿨
페스티벌(Shakespeare
Schools
Festival), 독일의 쿨투어팔라스트 함부르크(KulturPalast Hamburg)에서 운영하는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HIP HOP ACADEMY HAMBURG)와 프랑스의 디지털 아트 창작 센터 르큐브(Le Cube – Centre de création numérique)프로그램 등은 미술, 연극, 오페라, 힙합, 댄스, 디지털 미디어 등의 다양한 예술분야를 대상별, 수준별, 연령별 등으로 구분하여 기초부터 심도 깊은 단계의 프로그램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 밖의 호주, 아일랜드, 북유럽 등의 프로그램의 경우 메 아리 연극, 애니메이션으로 영화 만들기, 스스로 놀이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기획, 온라인 책 만들기 등 새로운 분야를 개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접목한 장르적 범주 확장을 시도하였다. 또한 대부분 참여자 스스로 직접 보고, 듣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체험 활동을 기반으로 자 신이 경험하고 느낀 것을 스스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창의적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12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창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거나 공연이나 전시를 관람, 영화ᐧ연극이 만들어지는 과정 을 체험,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우고 익힐 수 있는 방식 등의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이를 통한 개인의 체험기반 창의적 역량개발에 주력할 수 있었다.
(3) STEM과목과 연계된 통합예술교육 및 주제중심교육 강조 서커스 시스쾨르(Circus Cirkör)의 학교과목과 서커스(School Subjects and Circus)와 유아예 술울프트랩(Wolf Trap)의 예술교육 인스티튜트(Early Learning Institute through Arts), 서울문 화재단 예술로 플러스는 교과과목(STEM)과 예술(ART)을 연계하였고, 고무신학교 삶의 학교는 주제중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교과과목과 연계된 프로그램은 전문예술가를 통해 비예술분야에 예술기반 활동을 접목 한 전달 방식을 활용하는데 스웨덴의 학교과목과 서커스(School Subjects and Circus)의 경우 수학과 예술의 접목을, 국내 예술로 플러스 프로그램은 학교와 연계하여 학교 교실에서 교과목 과 연계된 예술중심 수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통합예술교육은 교과목의 이론과 개념을 실제로 예술활동에 적용하여 폭넓은 이해를 돕고, 동시에 움직임 등의 신체발달 및 감각적 예술 활동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예술교육방법이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주제중심의 교육은 고무신학교 삶의 학교처럼 학교에서 배우지 못했거나 학교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시도할 수 있는 일상의 삶 속의 주제들로 생각하고 이야기 나누고, 지 역 문화시설을 탐방하는 등 실제 학교 교육의 배움과 삶 속의 적용을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4) 가족 프로그램의 확대 과거부터 현재까지 꾸준하게 수요가 높은 프로그램 중 하나는 가족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으로 최근에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로 교육 대상자를 학령기 아동과 그의 가족들까지 확 대한 프로그램이 성행하고 있다. 참여자의 나이, 국적, 예술장르 등에 관계없이 아이와 부모(부 양자)가 함께하는 가족 대상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미국의 뉴 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의 가족워크숍(Family workshop), 퐁피두 센터 (Centre Pompidou)의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famille)는 가족을 대상으로 아동의 연 령과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특히 호주의 아트플레이(Art Play)에서 기획한 스튜디 오 판타지(Studio Fantasy)프로그램은 반드시 가족 구성원을 동반한 참여를 원칙으로 하고, 가 족과 함께 협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가족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은 아동의 안정적 인 정서적ᐧ심리적 발달에도 효과가 크지만 청소년의 경우 가족과 함께하는 공공미술 활동이나 지역연계 활동을 통해 예술적 가치, 지역의 예술적 가치를 확산시키고 이로 인해 가족과 함께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23
누리는 만족과 성취감 경험, 가족 관계 개선, 집중력 향상 등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시사하 는 바가 크다.
(5) 메이커 프로젝트 열풍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메이커 운동은 ‘모든 사람들은 무언가를 만들 수 있고 그것 을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기본 철학을 바탕으로 창작과 놀이가 결합된 운동이 다. 특히 어린학생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직종, 국적, 주제, 분야에 상관없이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것을 만들고, 즐기고, 나누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동ᐧ청소년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국내 과천과학관의 무한상상실 ‘영메이커 프로젝트’와 미국 의 키즈 뮤지엄(KID Museum)의 메이커 스튜디오 프로그램(Maker Studio program)은 메이커 프로젝트 공간을 마련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공간 및 설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메이커는 수동 적인 동기부여와 교육자로서 강사의 개입이 아닌 참여자 스스로 만들 수 있다는 자율성이 인정 되고, 그들의 적극성과 주도성을 기반으로 활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전문가는 강사가 아닌 조력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메이커 프로젝트는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메 이커페어(Maker Faire)처럼 같은 관심사 및 커뮤니티 등을 한자리에서 만나고 공유할 수 있는 장의 마련 역시 중요하며, 이러한 활동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6) 예술가 레지던시와 결합한 공간 기반 예술교육프로그램 프랑스
몽트뢰이
대중의
집(Maison
populaire
à
Montreuil)과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의 가족에서 발견하다(Découvrir en famille), 독일의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 센터 (Kinderkreativzentrum Krokoseum), 벨기에 ABC(Art Basics for Children)의 ABC하우스 등의 사례는 대부분 예술가의 레지던시, 미술관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활동,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 을 대상으로 한 워크숍 운영 및 자체 프로그램 기획 등의 연구소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 간거점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위의 사례 중 프랑스 프로그램은 예술가의 작품과 예술가 작업실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는데 주로 학부모 입장에서 선호하는 프로그램의 성향인 전문성과 놀이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참여자 입장에서도 예술가가 고민하고 노력한 결과물에 담겨있는 가치 있는 생각들을 이해할 수 있고, 예술가 또한 자신의 작품 및 재능을 활용하여 교육적인 방식으로 접근, 다른 사람들에 게 소개할 기회가 있다는 점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예술가 레지던시, 미술관 및 박물관, 창조공간 등 공간을 기반 프로그램은 기존에 활용 되지 않았던 예술공간을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장소로 탈바꿈하여 교육의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 예술가를 초정하므로 새로운 관점 수용,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12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확대 등 다양한 발전을 추구한다.
(7) 지역의 역사 및 콘텐츠와 결합한 공공예술 프로젝트로서의 예술교육 지역의 역사와 전통이라는 지역적 특색을 활용하고 놀이터, 골목길 등 지역의 공간에 공공적 의미를 살릴 수 있는 공공예술 프로그램들은 다음과 같은 사례에 해당한다. 미국 Historic Philadelphia의 ‘옛날 옛적 필라델피아에서는’(Once Upon a Nation in Philadelphia), 한국문화 예술교육 진흥원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은 살아있는 역사의 현장을 재현하거나 옛날 할머니가 전해주는 동화처럼 역사를 소개 방식 등 지역적 역사와 문화에 맞게 프로그램을 설계 하였다. 또한 영국의 어셈블(Assemble)단체의 발틱 스트리트 어드벤처 놀이터(Baltic Street Adventure Playground), 서울문화재단의 복작복작 예술로 골목길 프로젝트 “복작복작 예술로 (路)”, 순천시 ‘기적의 놀이터’ 제 1호 엉뚱발뚱 등은 지역의 다양한 장소, 콘텐츠로 시민이 직 접 참여하여 문화예술공간을 마련하고, 시민들에게 문화예술공연 및 전시, 활동에 참여하고 공 유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 지역 속의 문화예술을 소개하고 전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예술교육의 가치가 배가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8) 탈학교 청소년 및 이민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시그널(Signal)의 에볼루션 프로그램(Evolution program)과 프랑스의 이민사 박물관(Musée de l’histoire de l’immigration)에서 운영되는 교육 대상자는 타문화예술교육에 비해 도드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정하고 수체적인 대상을 타겟으로 진행되는데 가령 청소년 중에서도 학 교에 가지 않거나 일하지 않는 청소년, 프랑스 내 이민자에 대한 인식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일 반 시민 대상 프로그램이다. 점차적으로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에 관심을 갖고 편견의 벽을 허물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그 필요성이 더욱 중요해진다. 위의 프로그램에서 지향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의 역사와 문화, 예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한편, 그들의 문화적 소양과 예술적 함양을 증진시키며 사회 속에 안정적으 로 적응 할 수 있는 발판 마련에 큰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겠다.
(9) 문화예술교육 전달수단의 다양화 : 온라인 교육, 바우처 활용 세계적으로 예술교육을 전달하는 방식에 있어서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호주국립미술관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의 온라인 예술교육(Learning Art lessons), 시드니 오페라 하우 스(Sydney Opera House)의 디지털 창의교육 프로그램(Digital Creative Learning
Program)은
대표되는 사례로서 과거에는 문화예술단체나 공공기관을 포함한 다양한 기관들이 자체적으로
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황 및 유사사례 분석 | 125
개발한 프로그램 기획, 관련 자료를 오히려 공개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최근에는 가능한 한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공유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스마트 폰이나 키오스크, 온라인 시스템 상에서 교재 및 교안 공유 등과 같은 보조자원을 활 용을 통해 청소년들 관심과 호기심을 이끌어 낼 수 있고, 화상회의와 같은 기술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한다면 전 세계 각지에서 동시에 같은 프로그램을 참여하며 서로 소통할 수 있 다. 또한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방과 후 행복카드 프로그램은 저렴한 비용으로 스스로 선택한 문 화예술 활동에 참여 기회를 전달하기도 한다. 이러한 다양한 교육 전달 수단 방식을 활용하여 많은 참여자에게 다양한 교육을 전달하는 데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12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Ⅲ.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의 만족도와 효과 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단체 및 협회의 만족도 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비참여자 수요 분석 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한계
Ⅲ.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이하에서는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한 교육수혜자(아동, 청소년, 학부모)와 참여 단체 및 협회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 업’의 경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특별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함께 병렬적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의 만족도와 효과 1) 설문조사 개요 □ 참여 프로그램별 응답자 통계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중 만족도 조사에 응답한 참여자는 총 1,075명 으로 학부모가 206명, 아동이 630명, 청소년이 239명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 참여 프로그램별 응답자 통계 (단위 : 명, %) 프로그램
학부모 빈도
아동 비율
빈도
청소년 비율
빈도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19)
9.2
(29)
4.6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16)
7.8
(72)
11.4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19)
9.2
(51)
8.1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10)
4.9
(213)
33.8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33)
16.0
(61)
9.7
비율
(51)
21.3
(32)
13.4
(24)
10.0
건축문화 프로그램
(23)
11.2
(18)
2.9
(9)
3.8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48)
23.3
(46)
7.3
(32)
13.4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26)
12.6
(26)
4.1
(12)
5.0
(5)
2.4
(40)
6.3
(1)
0.4
-
-
-
-
(77)
32.2
(7)
3.4
(67)
10.6
(1)
0.4
아리랑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에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합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
-
(6)
1.0
-
-
(206)
100.0
(630)
100.0
(239)
100.0
(35)
100.0
(154)
100.0
(75)
100.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29
□ 학부모 응답자의 기초통계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중 학부모 응답자의 기초통계는 다음의 <표> 와 같다. <표 Ⅲ-2> 학부모 응답자 기초 통계 (단위 : 수, %) 토요문화학교 성별
연령별
학력별
권역별
거주지역 단위별
빈도
비율
남성
(41)
19.9
여성
(162)
78.6
무응답
(3)
1.5
30대
(52)
25.2
40대
(142)
68.9
50대
(5)
2.4
60대 이상
(3)
1.5
무응답
(4)
1.9
고등학교 졸업 이하
(15)
7.3
대학교 졸업 이하
(139)
67.5
대학원 졸업 이하
(45)
21.8
무응답
(7)
3.4
서울
(57)
27.7
경기/인천
(31)
15.0
부산/울산/경남
(21)
10.2 16.0
대구/경북
(33)
대전/충남/충북/세종
(8)
3.9
광주/전남/전북
(49)
23.8
무응답
(7)
3.4
동지역
(177)
85.9
읍/면지역
(19)
9.2
무응답
(10)
4.9
13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예술교육이 바뀐다
빈도
비율
(35)
100.0
엄마 아빠 남성 여성 30대 40대 고등학교 졸업 이하 대학교 졸업 이하 대학원 졸업 이하 대전/충남/충 북/세종
(33) (2) (3) (32) (23) (12)
94.3 5.7 8.6 91.4 65.7 34.3
(3)
8.6
(21)
60.0
(11)
31.4
(35)
100.0
동지역
(35)
100.0
전체 `참여학생과의 관계 성별 연령별
학력별
권역별 거주지역 단위별
□ 아동 응답자의 기초통계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중 아동 응답자의 기초통계는 다음의 <표>와 같다. <표 Ⅲ-3> 아동 응답자 기초 통계 (단위 : 수, %) 토요문화학교 성별
학년별
세부 학년별
권역별
거주지 역 단위별
빈도
비율
예술교육이 바뀐다
빈도
비율
남성
(238)
37.8
남성
(54)
35.1
여성
(382)
60.6
무응답
(10)
1.6
여성
(95)
61.7
저학년
(243)
38.6
무응답
(5)
3.2
고학년
(375)
59.5
저학년
(51)
33.1
무응답
(12)
1.9
고학년
(97)
63.0
1학년(8세)
(43)
6.8
무응답
(6)
3.9
2학년(9세)
(88)
14.0
1학년(8세)
(9)
5.8
2학년(9세)
(19)
12.3
3학년(10세)
(23)
14.9
4학년(11세)
(54)
35.1
5학년(12세)
(36)
23.4
6학년(13세)
(7)
4.5
무응답
(6)
3.9
서울
(8)
5.2
경기/인천
(41)
26.6
부산/울산/경남
(11)
7.1
대구/경북
(10)
6.5
성별
학년별
3학년(10세)
(112)
17.8
4학년(11세)
(189)
30.0
5학년(12세)
(119)
18.9
6학년(13세)
(67)
10.6
무응답
(12)
1.9
서울
(147)
23.3
경기/인천
(165)
26.2
부산/울산/경남
(55)
8.7
대구/경북
(83)
13.2
대전/충남/충북/세종
(36)
5.7
광주/전남/전북
(112)
17.8
강원/제주
(20)
3.2
대전/충남/충북/ 세종
(78)
50.6
무응답
(12)
1.9
무응답
(6)
3.9
동지역
(525)
83.3
동지역
(138)
89.6
읍/면지역
(75)
11.9
읍/면지역
(5)
3.2
무응답
(30)
4.8
무응답
(11)
7.1
세부 학년별
권역별
거주지역 단위별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31
□ 청소년 응답자의 기초통계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중 청소년 응답자의 기초통계는 다음의 <표> 와 같다. <표 Ⅲ-4> 청소년 응답자 기초 통계 (단위 : 수, %) 토요문화학교 남성 성별 여성 무응답 중등 학년별 고등 무응답 중1(14세) 중2(15세) 중3(16세) 세부 고1(17세) 학년별 고2(18세) 고3(19세) 무응답 서울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권역별 대구/경북 대전/충남/충북/세종 광주/전남/전북 무응답 동지역 거주지역 읍/면지역 단위별 무응답
빈도 (56) (167) (16) (152) (68) (19) (73) (49) (30) (27) (36) (5) (19) (63) (52) (34) (9) (18) (47) (16) (185) (34) (20)
13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비율 23.4 69.9 6.7 63.6 28.5 7.9 30.5 20.5 12.6 11.3 15.1 2.1 7.9 26.4 21.8 14.2 3.8 7.5 19.7 6.7 77.4 14.2 8.4
예술교육이 바뀐다
빈도
비율
남성
(34)
45.3
여성
(39)
52.0
무응답
(2)
2.7 94.7
성별
학년별
세부 학년별
권역별
거주지역 단위별
중등
(71)
무응답
(4)
5.3
중1(14세)
(50)
66.7
중2(15세)
(15)
20.0
중3(16세)
(6)
8.0
무응답
(4)
5.3
서울
(4)
5.3
경기/인천
(29)
38.7
부산/울산/경남
(6)
8.0
대구/경북
(20)
26.7
대전/충남/충북 /세종
(15)
20.0
무응답
(1)
1.3
동지역
(67)
89.3
읍/면지역
(5)
6.7
무응답
(3)
4.0
2) 참여양태 및 특성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 경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중 과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 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학부모의 경우 100%, 아동의 경우 20%, 청소년의 경우 23%로 나타났다. 한편 2014년~2016년까지 연속으로 참여한 경험자는 36명(3.3%)로 나타났다. <표 Ⅲ-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 (단위 : %) 학부모(자녀) 아동 청소년
참여경험 있음 100 20.0 23.0
2012년 3.9 1.6 3.6
2013년 13.7 8.7 9.1
2014년 27.5 33.3 25.5
<그림 Ⅲ-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
2015년 80.4 69.8 70.9
(단위 : %)
한편 2016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중 과거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참 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학부모의 경우 88.6%, 아동의 경우 11.7%, 청소년의 경우 9.3%로 나타났다. <표 Ⅲ-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경험률 (단위 : %) 참여경험 있음 학부모(자녀) 아동 청소년
2014년 88.6 11.7 9.3
2015년 0.0 11.1 0.0
100.0 83.3 100.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33
(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인지 경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어떤 경로로 알게 되었느냐는 질문에 대해 학부모의 경우 ‘지인 을 통해(34.5%)’, ‘가족/친척(12.6%)’, ‘인터넷 검색(10.7%)’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경우 ‘가족/친척’이 47.1%, ‘지인’이 24.1%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경우 ‘학교안내’가 31.8%로 가장 높았으며
‘친구 및 지인’이 29.3%, ‘가족/친척’이 26.4%로 나타났다. <표 Ⅲ-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인지 경로 (단위 : %)
학부모
34.5
12.6
10.7
7.3
7.3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페 등) 7.3
아동
24.1
47.1
3.3
4.8
3.2
1.4
청소년
29.3
26.4
1.3
1.3
5.0
친구, 직장동료, 이웃, 지인
도서관
학교 안내
학부모
6.8
아동
1.9
청소년
가족, 친척
인터넷 검색
1.7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신문, 잡지, TV 지역아동센터 등 라디오 등 광고 공공복지시설
6.3
4.4
2.9
1.0
0.5
4.3
1.6
0.6
0.5
3.5
31.8
2.1
0.4
0.4
<그림 Ⅲ-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인지 경로 (단위 : %)
13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의 경우 아동은 주로 ‘가족 및 친척(33.1%)’, ‘학교안내(31.8%)’, ‘친구 등(16.2%)’을 통해 인지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경우 ‘학교안내 (42.7%)’, ‘친구 등(28%)’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의 경우 ‘친구, 이웃, 지인(88.6%)’으 로부터 인지하게 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Ⅲ-8>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인지 경로
가족, 친척
아동 청소년 학부모
33.1 20.0 5.7
학교 안내
친구,이웃 , 지인
31.8 42.7 2.9
16.2 28.0 88.6
인터넷 검색
7.8 1.3 -
지역아동 센터 등 공공복지 시설
현수막, 홍보자료( 포스터,리 플렛등)
3.9 2.7 -
1.3 2.7 -
(단위 : %) SNS(블로 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카 페등) 0.6 -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0.6 -
<그림 Ⅲ-3>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인지 경로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35
(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경험 및 편리성에 대한 인식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학부모의 3.9%, 아 동의 9.2%, 청소년의 9.2%, 전체 응답자의 14.7%만이 이용해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홈페 이지 이용률이 상당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Ⅲ-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경험 여부 (단위 : %) 예
이용경험률
아니오
무응답
사례(수)
학부모
37.9
60.2
1.9
206
아동
9.2
84.3
6.5
630
청소년 전체
9.2 14.7
87.4 80.4
3.3 4.9
239 1,075
<그림 Ⅲ-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경험 여부 (단위 : %)
한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이 편리하냐는 질문에 대해 학부모(4.7점), 아동(5.5 점), 청소년(5.6점), 전체 응답자(5.1점)으로 나타났다. <표 Ⅲ-1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
학부모
아동
청소년
4.7
5.5
5.6
13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단위 :점/7점) 전체 5.1
<그림 Ⅲ-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
(단위 :점/7점)
(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동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동기로는 학부모의 경우 ‘자녀에게 유익할 것 같아서(40.8%)’, ‘가 족이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체험하기 위해(33%)’, ‘자녀의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10.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경우 ‘유익할 것 같아서(27.6%)’,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 어서’,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18.4%)’의 순으로 나타나, 개인적 관심분야 혹은 적성 및 진로탐색을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표 Ⅲ-1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동기 참여 동기
학부모
(단위 : %) 청소년
유익할 것 같아서
40.8
가족이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체험하기 위해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전체
27.6
33.7
33.0
4.6
17.8
10.2
18.4
14.6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어서
8.7
25.5
17.8
주말에 하는 프로그램이라서
3.9
5.4
4.7
프로그램이 알차서
3.4
4.2
3.8
가족 간 유대관계 증진을 위해
2.9
0.4
1.6
사회성을 기르게 하기 위해서/친구들을 만날 수 있어서
1.9
5.9
4.0
비용이 안들어서
1.0
1.3
1.1
학교/선생님/부모님/친구가 추천해서
0.0
6.3
0.0
동아리를 통해
0.0
1.3
0.0
기타
0.0
0.0
4.0
무응답
1.9
0.8
1.3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37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의 참여 동기로는 학부모의 경우 ‘자녀에게 유익할 것 같아서’라는 항목이 42.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가족이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체험하기 위해(22.9%)’,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어서(20.0%)’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경우도 역시 ‘유익할 것 같아서’가 32.0%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어서(22.7%)’,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10.7%)’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12>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동기 참여 동기
학부모
(단위 : %)
청소년
전체
유익할 것 같아서
42.9
32.0
35.5
가족이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체험하기 위해
22.9
1.3
8.2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0.0
10.7
7.3
20.0
22.7
21.8
주말에 하는 프로그램이라서
5.7
5.3
5.5
프로그램이 알차서
0.0
8.0
5.5
가족 간 유대관계 증진을 위해
5.7
0.0
1.8
사회성을 기르게 하기 위해서/친구들을 만날 수 있어서
5.7
1.3
2.7
비용이 안들어서
0.0
5.3
3.6
기타
0.0
8.0
5.5
무응답
6.7
0.0
4.5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어서
<그림 Ⅲ-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동기
13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단위 : %)
<그림 Ⅲ-7>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동기
(단위 : %)
(5) 함께 참여한 이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한 이들로는 학부모의 경우 ‘엄마(69.9%)’, ‘아빠 (39.8%)’, ‘형제/자매(37.4%)의 순으로, 아동의 경우 ‘가족(51.1%)’, ‘친구(34.6%)’의 순으로, 청 소년의 경우 ‘친구(46.4%)’, ‘본인만 참여(30.1%)’의 순으로 나타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가족보 다는 친구 또는 혼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한 이들 (단위 : %) 본인만 참여 학부모
-
아동
-
청소년
30.1
엄마 69.9
아빠 39.8
형제/ 자매 37.4
삼촌/ 이모 등 2.4
(외)할 머니/( 외)할 아버지 2.4
51.1 14.6
7.5
15.1
1.3
0.8
친구
선생님
이웃
기타
-
-
-
34.6
4.9
4.6
46.4
5.3
무응답 10.7 2.1 6.7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39
(6)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이외의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부모(자녀)는 35%, 아동은 27.6%, 청소년은 21.8%로 전체 응답자의 27.7%가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4>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꿈다락토요문화학교 참여자) (단위 : %) 참여경험있음 성인(학부모)
35.0
아동
27.6
청소년
21.8
2016
2015
2014
2013
2012
2012이전
61.1
54.2
33.3
12.5
6.9
6.9
67.3
21.2
7.7
0.0
3.8
0.0
<그림 Ⅲ-8>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꿈다락토요문화학교 참여자) (단위 : %)
한편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이외의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고 응답한 성인(학부모)는 17.1%, 아동은 28.6%, 청소년은 21.3%로 전체 응답자의 25.0%가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15>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예술교육이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단위 : %)
참여경험있음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2년 이전
성인(학부모)
17.1
66.7
33.3
0.0
0.0
0.0
0.0
아동
28.6
-
-
-
-
-
-
청소년
21.3
75.0
50.0
25.0
25.0
12.5
6.3
14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9>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률(예슐교육이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단위 : %)
□ 참여경험이 있는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이외에 참여 경험이 있는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는 학부모의 경우 ‘문화시설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61.1%)’,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19.4%)’의 비 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경우 ‘문화시설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과 학교동아리 프로그램 이 각 34.6%’,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17.3%)’,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11.5%)’의 순으로 나타 났다. <표 Ⅲ-16>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단위 : %) 프로그램
학부모
청소년
문화시설(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
61.1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19.4
34.6 17.3
학교동아리 프로그램
6.9
34.6
지역아동 센터 등 교육복지시설
6.9
5.8
읍면동 주민센터 등 주민복지시설
6.9
5.8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1.4
11.5
영재교육원
0.0
3.8
기타
6.9
9.6
무응답
4.2
1.9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41
<그림 Ⅲ-10>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단위 : %)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이외에 참여 경험이 있는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는 학부 모의 경우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50.0%)’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경우 ‘문화시설 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25.0%)’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표 Ⅲ-17>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프로그램
학부모
청소년
문화시설(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
33.3
25.0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50.0
12.5
학교동아리 프로그램
16.7
6.3
지역아동 센터 등 교육복지시설
16.7
6.3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0.0
6.3
기타
0.0
18.8
무응답
0.0
25.0
14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11>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단위 : %)
□ 참여경험이 있는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반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이외에 참여 경험이 있는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본인과 자녀가 함께 참여한 비율이 56.9%, 자녀만 참여한 비율이 37.5%로 나타났다. <표 Ⅲ-18>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반자 (단위 : %)
학부모
본인만 참여
자녀만 참여
본인(또는 가족)과 자녀가 함께 참여
4.2
37.5
56.9
무응답 1.4
<그림 Ⅲ-12>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반자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43
3) 만족도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만족도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의 만족도는 다음의 <표>와 같다. ‘프로 그램의 내용 및 방식에 대한 만족도’, ‘강사에 대한 만족도’, ‘장소 및 기자재에 대한 만족도’, ‘토요일 진행에 대한 만족도’, ‘프로그램 정보획득 및 신청의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 ‘프로그램 을 통한 긍정적 변화에 대한 만족도’,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만족도’, ‘향후 참여의향’, ‘타인 추 천의향’ 모두 전반적으로 6점 이상으로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프로그램이 토요일에 진행되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학부모에 비해 아동 및 청소년의 경우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획득의 용이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운영 요일 및 홍보에 대한 개선조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관 련해서는 ‘프로그램을 통한 재능과 적성의 발견’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표 Ⅲ-1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만족도 (단위 :점/7점)
내용 만족 도
강사 만족 도 장소 만족 도 요일 편리 성 효과 성
전반 적만 족도
구 분 프로그램 내용이 재미있었다. 프로그램 내용이 유익했다. 프로그램 내용과 방식이 참신했다. (새로운 것을 많이 배웠다) 프로그램이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마음에 들었다. 내용만족도 평균 강사의 역량이 뛰어났다. 강사가 친절하고 참여자들을 잘 배려했다. 강사만족도 평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편리했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장소가 쾌적했다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재료나 기자재의 품질이 좋았다. 장소 등 만족도 평균 프로그램이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편리성 평균 프로그램을 통해 재능과 적성을 발견했다. 프로그램 참여 이후 예전보다 문화예술이 더 좋아졌다. 프로그램 참여 이후 생활이 더 즐거워졌다. 효과성 평균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한다. 향후에도 참여하고 싶다. 주변사람들(친구, 가족, 지인 등)에게 추천하고 싶다. 향후에도 나의 자녀를 참여시키고 싶다. 전반적 만족도 평균
주 : ( )안은 아동 대상 설문 문항임.
14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학부모 6.4 6.5 6.4 6.4 6.4 6.5 6.6 6.6 6.2 6.4 6.3 6.3 6.5 5.8 6.1 6.1 5.8 6.0 6.1 6.0 6.4 6.5 6.6 6.6 6.5
아동 6.2 6.2 6.2 6.2 6.5 6.5 6.0 6.0 5.5 5.5 5.8 5.8 6.3 6.1 6.0 6.1
청소년 6.4 6.4 6.4 6.4 6.4 6.5 6.7 6.6 6.0 6.5 6.6 6.4 5.8 6.1 6.2 6.0 5.9 6.3 6.1 6.1 6.4 6.2 6.3 6.3
전체 6.3 6.5 6.3 6.3 6.4 6.5 6.5 6.5 6.1 6.2 6.5 6.3 5.8 6.0 6.2 6.0 5.8 6.2 6.0 6.0 6.3 6.2 6.2 6.6 6.3
<그림 Ⅲ-1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7점)
<그림 Ⅲ-1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강사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7점)
<그림 Ⅲ-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장소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7점)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45
<그림 Ⅲ-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요일 및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7점)
<그림 Ⅲ-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7점)
<그림 Ⅲ-1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단위 :점/7점)
14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에 대해 하위집단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분석 결과 남성에 비 해 여성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 프로그램에 따라서도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는 이들의 만족 도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유의수준 0.05). 그러나 연령, 거주지 역,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따라서는 집단 간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 되지 않았다. <표 Ⅲ-2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아노바 분석 결과) (단위 :점/7점) 구분 성별
대상별
연령별
참여프로그램
권역별
평균
F
남성
6.1
여성
6.4
아동
6.3
청소년
6.4
학부모
6.4
초등
6.3
중등
6.4
고등
6.5
30대
6.5
40대
6.4
50대
6.8
60대 이상
7.0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건축문화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꼬마작곡가 아리랑 프로그램
6.4 6.3 6.3 6.3 6.2 6.1 6.4 6.8 6.4 6.7 6.1 6.5
서울
6.4
경기/인천
6.3
부산/울산/경남
6.4
대구/경북
6.2
대전/충남/충북/세종
6.1
광주/전남/전북
6.4
p value 18.43
0.0000***
2.64
0.0721
1.47
0.1859
2.30
0.0087**
1.40
0.2118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47
구분
평균
거주지역
F
강원/제주
6.3
동지역
6.4
읍/면지역
6.2
이전 토요문화학교 참여경험 다른 문화예술교육 참여경험
참여
6.5
비참여
6.3
참여
6.4
비참여
6.3
p value
3.65
0.0564
5.55
0.0187*
1.87
0.1720
주 : * p< 0.05, ** p< 0.01, *** p<0.001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한 만족도 또한 전반적으로 6점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어 사 업 참여자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토요일에 프로그램에 진행되는 것’이나 ‘교육장소로 이동의 편리성’이 다소 낮게 나타나 운영요일 및 교육장소의 접근성에 대 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Ⅲ-21>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 구 분
학부모
(단위 :점/7점) 아동
청소년
전체
프로그램 내용이 재미있었다.
6.71
6.32
6.16
6.33
프로그램 내용이 유익했다.
6.63
-
6.09
6.27
프로그램 내용과 방식이 참신했다.(새로운 것을 많이 배웠다)
6.66
6.36
6.27
6.40
프로그램이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마음에 들었다.
6.74
6.23
6.05
6.25
강사 만족 도
강사의 역량이 뛰어났다.
6.74
-
6.04
6.27
강사가 친절하고 참여자들을 잘 배려했다.
6.74
6.55
6.24
6.49
장소 만족 도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편리했다.
6.43
-
5.78
5.99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장소가 쾌적했다
6.57
6.08
6.18
6.30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재료나 기자재의 품질이 좋았다.
6.54
-
6.30
6.38
요일
프로그램이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6.34
5.27
5.84
5.58
편의 성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6.11
-
5.95
6.00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6.69
-
6.10
6.29
프로그램을 통해 재능과 적성을 발견했다.
6.37
-
5.49
5.77
프로그램 참여 이후 예전보다 문화예술이 더 좋아졌다.
6.63
-
5.84
6.09
프로그램 참여 이후 생활이 더 즐거워졌다.
6.66
5.87
5.80
5.96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한다.
6.83
6.39
6.27
6.45
향후에도 참여하고 싶다.
6.83
6.08
5.88
6.12
주변사람들(친구, 가족, 지인 등)에게 추천하고 싶다.
6.83
5.98
5.95
6.08
향후에도 나의 자녀를 참여시키고 싶다.
6.77
-
-
6.77
내용 만족 도
효과 성
전반 적만 족도
주 : ( )안은 아동 대상 설문 문항임.
14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19>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내용 만족도
(단위 :점/7점)
<그림 Ⅲ-20>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강사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7점)
<그림 Ⅲ-21>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장소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7점)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49
<그림 Ⅲ-22>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요일 및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7점)
<그림 Ⅲ-23>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효과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7점)
<그림 Ⅲ-24>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5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단위 :점/7점)
□ 참여경험이 있는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참여경험이 있는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학부모 및 청소년 모두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의수준 0.001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다. <표 Ⅲ-2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과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단위 :점/7점) 학부모
청소년
전체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6.0
6.1
6.0
토요 문화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6.4
6.4
6.5
t값 3.9427
p-value 0.0001
주 : * p< 0.05, ** p< 0.01, *** p<0.001
<그림 Ⅲ-2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과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비교 (단위 :점/100점)
주: 환산식 : {(점수-1)/6}×100
(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의 적정 회차 수에 대한 인식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의 1기수가 전체적으로 몇 회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 한 질문에 대해 학부모의 경우 ‘5회~7회(22.3%)’, ‘8회~10회(20.9%)’, ‘1회~4회(20.4%)’의 응 답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경우 ‘11회~15회(23.8%)’, ‘1회~4회(22.2%)’, ‘5회~7회 (20.1%)’의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별로 살펴보면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의 경우 학부모는 8~10회, 청소년은 5~7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박물관연계 프로그램’의 경우 1~4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국공립연계 프로그 램’의 경우 학부모는 11~15회를, 청소년은 16회 이상을 선호하는 비율이, ‘도서관 연계 프로그 램’의 경우 11~15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의 경우 5~7회를 선호하는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51
비율이, ‘건축문화 프로그램’의 경우 1~4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의 경우 학부모는 16회 이상, 청소년은 11~15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의 경우 1~4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의 경우 학부모는 11~15회, 청소년은 16 회 이상을 선호하는 비율이,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경우 11~15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아리랑 프로그램’의 경우 8~10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표 Ⅲ-2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적정 회차 수
학부모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연계 건축문화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예술교육이 바뀐다 청소년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작은도서관 연계 건축문화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청소년문화예술진로탐색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예술교육이 바뀐다 전체 응답자
1∼4회 20.4 15.8 50.0 5.3 0.0 15.2 43.5 10.4 38.5 0.0 0.0 5.7 22.2 21.6 0.0 33.3 55.6 21.9 83.3 15.6 0.0 0.0 10.7 21.3
5∼7회 8∼10회 11회~15회 16회 이상 22.3 20.9 17.0 18.0 26.3 52.6 5.3 0.0 37.5 0.0 6.3 0.0 21.1 26.3 36.8 10.5 0.0 10.0 80.0 10.0 45.5 24.2 3.0 9.1 26.1 21.7 4.3 4.3 2.1 2.1 25.0 60.4 23.1 30.8 3.8 0.0 28.6 28.6 42.9 0.0 20.0 60.0 0.0 20.0 5.7 48.6 31.4 5.7 20.1 18.8 23.8 13.8 49.0 27.5 2.0 0.0 6.3 6.3 37.5 50.0 41.7 12.5 8.3 4.2 22.2 22.2 0.0 0.0 0.0 12.5 34.4 28.1 8.3 0.0 0.0 0.0 10.4 24.7 40.3 7.8 0.0 0.0 0.0 100.0 0.0 100.0 0.0 0.0 18.7 37.3 22.7 8.0 21.1 19.8 20.7 15.7
<그림 Ⅲ-2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적정 회차 수
15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단위 : %) 무응답 1.5 0.0 6.3 0.0 0.0 3.0 0.0 0.0 3.8 0.0 0.0 2.9 1.3 0.0 0.0 0.0 0.0 3.1 8.3 1.3 0.0 0.0 2.7 1.3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위 : %)
(3) 향후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장르 청소년이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장르로는 음악, 영화/영상/미디어, 연 극/뮤지컬, 미술, 만화, 디자인, 무용, 문학(인문학), 건축, 사진, 대중예술, 통합문화예술, 국악 (전통예술)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24>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장르(청소년) (단위 : %) 장르
청소년 (1순위)
청소년 (1+2순위)
청소년 (1+2+3순위)
음악
21.8
33.5
43.9
영화/ 영상/미디어
15.5
27.2
39.7
연극/뮤지컬
11.3
24.3
35.6
미술
11.3
22.2
31.4
만화
7.9
18.8
27.6
디자인
5.0
13.8
21.8
무용
4.6
11.3
17.6
문학(인문학)
4.2
9.2
16.3
건축
3.3
6.3
12.6
사진
2.1
6.3
10.9
대중예술
2.1
5.4
10.0
통합문화예술
2.1
4.6
8.4
국악(전통예술)
1.3
3.8
5.0
기타
2.1
2.5
2.5
무응답
5.4
5.4
5.4
<그림 Ⅲ-27>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장르(청소년)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53
□ 향후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한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들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으로는 학 부모의 경우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박물 관 연계 프로그램, 건축문화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나타났 으며, 아동의 경우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가족 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청소년의 경우 청 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3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에 주말문화여행 프로 그램,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25> 향후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단위 :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프로그램
학부모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55.3
29.5
24.7
33.4
25.7
40.9
33.3
36.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34.5
22.2
23.0
24.7
45.7
39.0
18.7
34.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32.0
27.8
23.8
27.7
31.4
32.5
25.3
30.3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0.6
19.7
9.6
19.5
25.7
31.8
16.0
26.5
건축문화 프로그램
26.2
19.4
17.2
20.2
11.4
27.9
22.7
24.2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23.3
12.2
35.6
19.5
25.7
24.0
16.0
22.0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19.9
24.8
12.1
21.0
28.6
20.8
18.7
21.2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18.9
7.3
12.1
10.6
25.7
18.2
9.3
16.7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18.9
18.6
13.0
17.4
14.3
12.3
25.3
16.3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3.1
20.8
11.7
17.3
11.4
17.5
8.0
14.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0.2
12.9
4.6
10.5
5.7
16.2
9.3
12.9
9.2
7.3
13.4
9.0
17.1
10.4
2.7
9.1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지역연계 프로그램 무응답
아동
청소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참여자
전체
학부모
아동
청소년
전체
2.9
10.8
3.8
7.7
0.0
10.4
10.7
9.1
11.7
4.8
3.3
5.8
11.4
8.4
8.0
8.7
1.0
6.5
3.8
4.8
2.9
9.7
2.7
6.8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들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으로 는 학부모의 경우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 램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경우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 그램, 미술관연계 프로그램,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경우도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이 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에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및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건축문화 프로그램,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및 도 서관 연계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15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28> 향후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55
<그림 Ⅲ-29> 향후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예술교육이바뀐다 참여자)
15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단위 : %)
(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로는 학부모의 경우 ‘문화예술교육’, ‘재미와 즐거움’, ‘가 족’의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아동의 경우 ‘재미와 즐거움’, ‘문화예술교육’, ‘토요일’이라는 응답 이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경우 ‘문화예술교육’, ‘재미와 즐거움’, ‘토요일’의 순으로 응답했다. <표 Ⅲ-26>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단위 : %) 이미지
학부모
아동
청소년
전체
문화예술교육
39.8
18.1
29.3
24.7
재미와 즐거움
30.6
29.4
19.2
27.3
가족
16.5
4.0
3.8
6.3
체험
8.7
11.3
7.1
9.9
토요일
6.8
17.6
13.4
14.6
꿈
5.8
6.8
8.8
7.1
여행
3.9
2.1
1.3
2.2
도전
3.4
2.4
3.8
2.9
친구
1.9
7.6
4.2
5.8
여가
1.5
1.6
2.9
1.9
학교
1.0
1.7
1.3
1.5
희망
1.0
2.5
1.3
2.0
진로
0.6
3.8
1.2
해방감/자유
1.6
0.8
1.1
2.9
1.7
2.1
2.9
2.0
기타
0.5
무응답
1.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57
4) 효과 이하에서는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2016년 꿈다락 토요 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들(참여자)과, 참여하지 않은 이들(비참여자)간의 비교분석을 수 행하였다.
(1) 문화예술 향유 및 참여 가. 연간 문화예술공연(영화 제외) 직접 관람 횟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2016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연간 문화예술공연 직접 관람 횟수를 비교한 결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와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연간 문화예술공연 관람빈도 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7> 연간 문화예술공연 직접 관람 횟수 (단위 : %) 구분 끔디락 토요문화 학교 참여자
예술교육 이바뀐다 참여자
비참여자
없음
1회
2회
3∼4회
5∼7회
8∼10회
11회 이상
무응답
학부모
10.2
12.6
20.4
30.1
15.0
5.3
5.3
1.0
아동
16.7
12.1
15.9
23.8
11.7
4.0
12.4
3.5
청소년
11.7
9.6
22.2
25.5
14.2
4.2
12.1
0.4
전체
14.3
11.6
18.1
25.4
12.9
4.3
11.0
2.3
학부모
2.9
8.6
34.3
28.6
11.4
2.9
8.6
2.9
아동
16.9
9.7
16.9
23.4
13.6
3.9
8.4
7.1
청소년
10.7
12.0
10.7
42.7
12.0
0.0
10.7
1.3
전체
13.3
10.2
17.4
29.5
12.9
2.7
9.1
4.9
학부모
27.0
15.7
21.4
20.7
8.3
5.0
1.9
청소년
23.6
19.0
25.2
19.4
5.6
4.2
3.0
전체
25.6
17.1
23.0
20.2
7.2
4.7
2.3
15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그림 Ⅲ-30> 연간 문화예술공연 직접 관람 횟수
(단위 : %)
나. 연간 전시 직접 관람 횟수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2016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연간 전시 직접 관람 횟수를 비교한 결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중 연간 전시 직접 관람 횟수가 적어도 1번 이상인 참여자가 약 90%로 높게 나타났으며, 예술교 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중 연간 전시 직접 관람 횟수 ‘없음’으로 대답한 비율이 10.2%로 낮게 조사되었다. 반면에 비참여자의 전시 직접 관람 횟수 조사 결과 ‘없음’으로 응답한 비율이 25.3%로 참여자에 비해 연간 전시 관람빈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Ⅲ-28> 연간 전시 직접 관람 횟수 구분 끔디락 토요문화 학교 참여자
예술교육 이바뀐다 참여자
비참여자
없음
1회
2회
3∼4회
5∼7회
(단위 : %) 8∼10회
11회 이상
무응답
학부모
4.9
11.7
22.8
33.5
19.4
3.9
2.4
1.5
아동
10.6
11.3
20.8
26.3
13.3
5.2
10.5
1.9
청소년
10.0
19.7
25.9
25.1
9.6
4.6
4.6
0.4
전체
9.4
13.2
22.3
27.4
13.7
4.8
7.6
1.5
학부모
5.7
11.4
31.4
34.3
8.6
2.9
2.9
2.9
아동
11.0
7.1
15.6
26.6
13.6
5.8
13.6
6.5
청소년
10.7
17.3
24.0
26.7
13.3
4.0
1.3
2.7
전체
10.2
10.6
20.1
27.7
12.9
4.9
8.7
4.9
학부모
21.9
23.3
27.7
20.0
3.7
2.0
1.4
청소년
30.0
22.2
29.4
13.6
1.6
3.0
.2
전체
25.3
22.8
28.4
17.3
2.8
2.4
0.9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59
<그림 Ⅲ-31> 연간 전시 직접 관람 횟수
(단위 : %)
다. 연간 가족과 함께 문화생활(영화 제외)을 한 횟수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2016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가족과 함께 문화생활을 한 횟수를 비교한 결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 여자와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가족들과 함께 문화생활을 한 횟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표 Ⅲ-29> 연간 가족과 함께 문화생활을 한 횟수
학부모
3.9
13.6
18.9
32.0
21.8
5.3
11회 이상 3.9
아동
14.3
13.7
19.8
21.0
12.4
6.0
11.3
1.6
청소년 전체 학부모 아동 청소년 전체
21.3 13.9 0.0 13.0 12.0 11.0
14.2 13.8 2.9 10.4 17.3 11.4
25.9 21.0 28.6 15.6 14.7 17.0
19.2 22.7 42.9 23.4 29.3 27.7
8.4 13.3 20.0 12.3 13.3 13.6
2.1 5.0 0.0 5.2 4.0 4.2
7.9 9.1 2.9 12.3 6.7 9.5
0.8 1.2 2.9 7.8 2.7 5.7
학부모
24.6
18.3
27.0
21.0
5.4
2.4
1.3
청소년 전체
41.2 31.5
19.6 18.8
19.2 23.8
13.4 17.8
2.4 4.2
2.8 2.6
1.4 1.3
구분 끔디락 토요문화 학교 참여자 예술교육 이바뀐다 참여자 비참여자
(단위 : %)
없음
1회
16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2회
3∼4회
5∼7회
8∼10회
무응답 0.5
-
<그림 Ⅲ-32> 연간 가족과 함께 문화생활을 한 횟수
(단위 : %)
라.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는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 은 편이다(5.6점)’,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5.8점)’, ‘나는 문화예술이 좋다(5.7점)’으로 조사되었다. 비참여자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는 동일한 문항에 각각 4.8점, 4.9점, 4.9점으로 나타났다. <표 Ⅲ-30>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참여자) (단위 : 점/7점) 참여자 구 분
학부모 (자녀)
아동
청소년
전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5.4
-
5.8
5.6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5.9
-
5.9
5.8
-
5.7
-
5.7
나는 문화예술이 좋다
<표 Ⅲ-31>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단위 : 점/7점) 참여자 구 분
학부모 (자녀)
아동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5.56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나는 문화예술이 좋다
청소년 -
5.60
5.68
-
5.75
-
6.04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61
<표 Ⅲ-32>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비참여자)
(단위 : 점/7점)
비참여자 구 분
학부모 (자녀)
청소년
전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4.8
4.8
4.8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5.0
4.8
4.9
4.9
4.8
4.9
평균
참여자와 비참여자 간 t-test 분석 결과 비참여자에 비해 참여자가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문 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에 대한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의수준 0.001하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표 Ⅲ-33>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선호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단위 : 점/7점) 구 분
참여자
비참여자
t
p-value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5.6
4.8
11.3466
0.0000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5.8
4.9
13.5234
0.0000
5.5
4.9
8.7403
0.0000
평균
주 : * p< 0.05, ** p< 0.01, *** p<0.001
<그림 Ⅲ-33>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선호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주: 환산식 : {(점수-1)/6}×100
16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단위 : 점/100점)
마. 주말 여가활동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의 주말 여가활동으로는 학부모는 ‘문화활동(영화, 공연, 전시, 독 서 등)’ 항목이 24.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에 TV시청, 여행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아동은 ‘TV시청’이 20.3%로 가장 높았으며, ‘가족과 함께 논다’가 17.6%로 그 뒤를 이었다. 청 소년은
‘TV
시청(18.4%)’,
‘잡담/통화/SNS(15.1%)',
‘문화활동(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13.4%)’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34> 주말에 주로 하는 여가활동(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단위 : %) 여가활동
학부모
아동
청소년
문화 활동(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
24.8
13.4
TV시청
18.9
여행
18.0
외식/쇼핑
9.2
산책
8.3
1.3
1.7
헬스/등산/스포츠/운동
5.8
1.0
1.7
생업종사
4.9
낮잠
1.9
5.1
5.9
육아 및 가사 일
1.9
인터넷 검색
1.5
잡담/통화/SNS
0.5
게임
1.0
휴식
1.0
20.3
18.4 1.3 3.8
6.0
5.0 15.1
14.9
11.3
공부
11.0
10.5
독서
1.3
종교활동
2.9
4.2
취미활동
1.0
2.1
학원
1.7
자유시간
0.8
아르바이트
0.4
가족과 함께 논다
17.5
친구와 함께 논다
14.8
부모님을 돕는다
1.6
기타
1.0
무응답
1.5
1.7 1.1
1.3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63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중 학부모의 경우 주말에 주로 TV시청(51.4%)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외에도 여행이 45.7%, 외식/쇼핑이 42.9% 문화활동(영화, 공연, 전시, 독 서 등)이 37.1%로 나타났다. 아동의 경우 공부가 53.9%로 가장 높았으며, ‘친구와 논다 (53.2%)’, ‘TV시청(50.0%)’, ‘가족과 함께 논다(47.4%)’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청소년은 게임이 46.7%로 가장 높았으며, TV시청이 41.3%, 잡담/통화/SNS가 38.7%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35> 주말에 주로 하는 여가활동(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학부모
아동
(단위 : %) 청소년
TV시청
51.4
50.0
41.3
공부
0.0
53.9
29.3
게임
5.7
40.9
46.7
친구와 논다
0.0
53.2
0.0
가족과 함께 논다
0.0
47.4
0.0
낮잠
17.1
28.6
18.7
부모님을 돕는다
0.0
25.3
0.0
문화 활동(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
37.1
0.0
32.0
인터넷 검색
31.4
0.0
25.3
잡담/통화/SNS
2.9
0.0
38.7
42.9
0.0
14.7
0.0
14.3
0.0
여행
45.7
0.0
6.7
헬스/등산/스포츠
14.3
0.0
12.0
산책
22.9
0.0
2.7
생업종사
2.9
0.0
0.0
기타
5.7
12.3
4.0
무응답
2.9
5.8
4.0
외식/쇼핑 인터넷검색/SNS
비참여자 중 학부모의 주말에 주로 하는 여가활동으로 TV시청(39.1%)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 으며, 학생의 경우는 게임이 26.4%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외에 TV시청(22.0%), 인터 넷검색(1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16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Ⅲ-36> 주말에 주로 하는 여가활동(비참여자) 여가활동
학부모
(단위 : %) 학생
TV시청
39.1
22.0
집안일
11.3
운동(헬스/등산/스포츠 등)
6.4
1.8
학원
6.2
문화활동(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
5.6
3.8
여행
5.1
.4
외식/쇼핑
4.7
.8
자녀교육활동
4.7
인터넷 검색
4.1
13.0
산책
4.0
.4
생업종사
3.6
친목활동
3.3
2.8
개인공부
3.0
게임
3.1
26.4
잡담/통화/SNS
2.1
11.2
아르바이트
2.0
낮잠
2.0
4.6
동아리활동
유투브시청
0.4
종교 활동
.7
.2
계
100.0
100.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65
(2) 여가행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의 여가행태 점수는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3.4점)’,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3.6점)’으로 평균 3.6점으로 나타났다. 비참여자의 여 가행태 조사 결과는 동일한 문항에 각각 3.1점, 3.4점으로 평균 3.3점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37> 여가행태(참여자) (단위 : 점/7점) 참여자 구 분
학부모 (자녀)
아동
청소년
전체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역코딩)
4.1
3.8
2.8
3.4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 (역코딩)
4.4
3.6
3.1
3.6
4.2
3.7
3.9
3.6
평균
주 : 부정적 의미로 서술된 문항이므로, 역코딩하여 평균점수를 구함 (값이 높을수록 긍정적 의미로 해석)
<표 Ⅲ-38> 여가행태(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단위 : 점/7점) 참여자 구 분
학부모 (자녀)
아동
청소년
전체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역코딩)
3.1
4.4
3.2
3.9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 (역코딩)
3.4
3,7
3.4
3.6
주 : 부정적 의미로 서술된 문항이므로, 역코딩하여 평균점수를 구함 (값이 높을수록 긍정적 의미로 해석)
<표 Ⅲ-39> 여가행태(비참여자) (단위 : 점/7점) 비참여자 구 분
학부모 (자녀)
청소년
전체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역코딩)
3.6
2.5
3.1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 (역코딩)
3.8
2.8
3.4
3.7
2.7
3.3
평균
주 : 부정적 의미로 서술된 문항이므로, 역코딩하여 평균점수를 구함 (값이 높을수록 긍정적 의미로 해석)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여가행태에 대한 t-test 분석 결과, 참여자의 여가행태가 비참여자에 비 해 더욱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의수준 0.001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났다. 즉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참여는 소극적 여가행태를 줄이고 긍정적 여가행 태를 증가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6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Ⅲ-40> 여가행태(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교) 구 분
참여자
비참여자
(단위 : 점/7점) t
p-value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역코딩)
3.7
3.1
7.6698
0.0000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 (역코딩)
3.6
3.4
3.2555
0.0011
3.6
3.3
5.8435
0.0000
평균
주1 : 부정적 의미로 서술된 문항이므로, 역코딩하여 평균점수를 구함 (값이 높을수록 긍정적 의미로 해석) 주2 : * p< 0.05, ** p< 0.01, *** p<0.001
<그림 Ⅲ-34> 여가행태(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교)
(단위 : 점/100점)
주1: 부정적 의미로 서술된 문항이므로, 역코딩하여 평균점수를 구함 (값이 높을수록 긍정적 의미로 해석) 주2: 환산식 : {(점수-1)/6}×100
(3) 긍정적 태도 및 자기표현 등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의 긍정적 태도 부분에서는 전체 평균 5점 이상으로 긍정적인 것 으로 조사되었다. 자기 표현에 해당하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는 5.2점, ‘나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잘한다’는 4.8점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학교생활 부분에서는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가 3.7점으로 다소 낮게 조사되었다.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67
<표 Ⅲ-41> 긍정적 태도와 자기표현, 학교생활(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
(단위 : 점/7점)
참여자 구 분
긍정적 태도
자기표현
학교생활
학부모 (자녀)
아동
청소년
전체
낙천적이다. (나는 행복하다)
5.4
6.0
5.1
5.7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강한 편이다.
5.4
5.7
5.3
5.6
자신감이 높은 편이다.
5.3
-
4.9
5.1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
5.3
-
5.1
5.2
-
4.8
-
4.8
4.1
-
3.3
3.7
-
5.8
-
5.8
나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잘한다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역코딩) 나는 학교생활이 재미있다
주1 : 부정적 의미로 서술된 문항이므로, 역코딩하여 평균점수를 구함 (값이 높을수록 긍정적 의미로 해석) 주2 : ( )안은 아동 대상 설문 문항임
<표 Ⅲ-42> 긍정적 태도와 자기표현, 학교생활(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단위 : 점/7점) 참여자 구 분
긍정적 태도
자기표현 학교생활
학부모 (자녀)
아동
청소년
낙천적이다. (나는 행복하다)
5.4
6.1
5.1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강한 편이다.
5.5
5.9
5.5
자신감이 높은 편이다.
5.3
-
5.0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
5.3
-
4.9
-
4.8
3.4 -
6.2
나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잘한다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역코딩) 나는 학교생활이 재미있다
3.1
주 : 부정적 의미로 서술된 문항이므로, 역코딩하여 평균점수를 구함 (값이 높을수록 긍정적 의미로 해석) 주2 : ( )안은 아동 대상 설문 문항임
<표 Ⅲ-43> 긍정적 태도와 자기표현, 학교생활(비참여자)
(단위 : 점/7점)
비참여자 구 분
긍정적 태도
학부모 (자녀)
청소년
전체
낙천적이다. (나는 행복하다)
4.9
4.7
4.8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강한 편이다.
4.9
4.9
4.9
자신감이 높은 편이다.
4.8
4.4
4.7
자기표현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
4.9
4.6
4.8
학교생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 (역코딩)
2.8
3.3
3.0
주 : 부정적 의미로 서술된 문항이므로, 역코딩하여 평균점수를 구함 (값이 높을수록 긍정적 의미로 해석) 주2 : ( )안은 아동 대상 설문 문항임
16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차이에 대한 t-test 분석 결과, 이러한 차이는 유의수준 0.001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참여가 긍정적태도와 자 기표현능력, 학업스트레스 감소 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Ⅲ-44> 긍정적 태도와 자기표현, 학교생활(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교) 구 분
긍정적태도
참여자
비참여자
(단위 : 점/7점) t
p-value
낙천적이다.
5.7
4.8
16.1046
0.0000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강한 편이다.
5.6
4.9
12.0853
0.0000
자신감이 높은 편이다.
5.1
4.7
5.9259
0.0000
5.1
4.8
6.0239
0.0000
긍정적 태도 평균 자기표현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
5.2
4.8
6.3858
0.0000
학교생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 (역코딩)
3.7
3.0
2.9215
0.0035
주1 : 부정적 의미로 서술된 문항이므로, 역코딩하여 평균점수를 구함 (값이 높을수록 긍정적 의미로 해석) 주2 : * p< 0.05, ** p< 0.01, *** p<0.001
<그림 Ⅲ-35> 긍정적 태도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단위 : 점/100점)
주: 환산식 : {(점수-1)/6}×10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69
<그림 Ⅲ-36> 자기표현 및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단위 : 점/100점)
주: 환산식 : {(점수-1)/6}×100
(4)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 및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의 참여자의 친구관계 및 사회적자본은 대부분 5.5점 이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 비참여자의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의 전체평균은 5.2점으로 참여자보다 낮은 점수로 조사되었다. <표 Ⅲ-45>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참여자) (단위 : 점/7점) 참여자 구 분 친구관계 사회적자본
친구관계가 원만한 편이다. (나는 친구들과 사이가 좋다)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나는 친구들을 잘 도와주는 편이다) 전체 평균
학부모 (자녀)
아동
청소년
전체
5.7
6.1
5.8
6.0
5.5
5.8
5.7
5.7
5.6
5.9
5.8
5.8
주 : ( )안은 아동 대상 설문 문항임
<표 Ⅲ-46>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단위 : 점/7점) 참여자 구 분 친구관계가 원만한 편이다. (나는 친구들과 사이가 좋다)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사회적자본 (나는 친구들을 잘 도와주는 편이다) 주 : ( )안은 아동 대상 설문 문항임 친구관계
17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학부모 (자녀)
아동
청소년
5.54
6.23
5.73
5.51
5.90
5.64
<표 Ⅲ-47>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비참여자)
(단위 : 점/7점) 비참여자
구 분 친구관계 사회적자본
학부모 (자녀)
청소년
전체
친구관계가 원만한 편이다.
5.3
5.1
5.2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5.0
5.2
5.1
5.3
5.3
5.2
전체 평균
주 : ( )안은 아동 대상 설문 문항임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차이에 대한 t-test 분석 결과, 이러한 차이는 유의수준 0.001 하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참여가 친구관계, 사회적 자본 등 사회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Ⅲ-48>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구 분 친구관계 사회적자본
참여자
비참여자
(단위 : 점/7점) t
p-value
친구관계가 원만한 편이다.
6.0
5.2
15.0348
0.0000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5.7
5.1
11.5200
0.0000
5.8
5.2
12.9718
0.0000
사회성
전체 평균
주 : * p< 0.05, ** p< 0.01, *** p<0.001
<그림 Ⅲ-37> 친구관계 및 사회적 자본(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단위 : 점/100점)
주: 환산식 : {(점수-1)/6}×10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71
(5) 가족관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의 가족관계를 조사한 결과, 참여자의 전체 평균은 대략 5.5점이상으로 긍정적인 수치로 조사되었다. 특히 학부모(자녀) 참여자는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가 5.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 참여자는 ‘나는 부모님이 좋다 (6.5점)’, 청소년 참여자는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5.6점)’으로 항목 중 가장 높은 점수로 조사되었다. <표 Ⅲ-49> 가족관계(참여자) (단위 : 점/7점) 참여자 구 분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가족 간에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가족이 함께 외식을 하거나 놀러가는 일이 많다.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 (나는 힘든일이 있으면 부모님한테 이야기한다) 나는 부모님이 좋다 우리 가족은 사이가 좋다 주 : ( )안은 아동 대상 설문 문항임
학부모 (자녀) 5.3 5.5 5.5 5.8
아동
청소년
전체
-
5.6 5.4 5.5 5.2
5.5 5.5 5.5 5.5
5.6
5.8
5.1
5.6
-
6.5 6.2
-
6.5 6.2
<표 Ⅲ-50> 가족관계(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
(단위 : 점/7점)
참여자 구 분
학부모 (자녀)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가족 간에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가족이 함께 외식을 하거나 놀러가는 일이 많다.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 (나는 힘든일이 있으면 부모님한테 이야기한다) 나는 부모님이 좋다 우리 가족은 사이가 좋다 주 : ( )안은 아동 대상 설문 문항임
아동
청소년
5.29 5.43 5.60 5.60
-
5.66 5.55 5.45 5.55
5.77
5.86
5.23
-
6.70 6.43
-
<표 Ⅲ-51> 가족관계(비참여자) (단위 : 점/7점) 비참여자 구 분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가족 간에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가족이 함께 외식을 하거나 놀러가는 일이 많다.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
17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학부모 (자녀)
청소년 4.8 4.8 5.0 4.9 4.8
전체 4.9 4.7 4.9 4.4 4.3
4.9 4.8 4.9 4.7 4.6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차이에 대한 t-test 분석 결과, 이러한 차이는 유의수준 0.001 하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참여가 가족관계에 긍정적 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Ⅲ-52> 가족관계(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교) 구 분
참여자
비참여자
(단위 : 점/7점) t
p-value
1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
5.5
4.9
8.5045
0.0000
2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5.5
4.8
9.8260
0.0000
3
가족 간에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5.5
4.9
9.0179
0.0000
4
가족이 함께 외식을 하거나 놀러가는 일이 많다.
5.5
4.7
10.7701
0.0000
5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
5.6
4.6
17.6590
0.0000
5.3
4.8
8.0273
0.0000
가족관계 전체 평균
주 : * p< 0.05, ** p< 0.01, *** p<0.001
<그림 Ⅲ-38> 가족관계(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교)
(단위 : 점/100점)
주: 환산식 : {(점수-1)/6}×10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73
5) 요구사항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와 예술교육이 바뀐다 사업 참여자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바라는 점(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바라는 점)을 조사한 결과, 아래의 <표>와 같 이 기간 및 홍보, 공간, 신청 등의 다양한 요구사항이 제시되었다. <표 Ⅲ-5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바라는 점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학부모
예술교육이 바뀐다 사업 참여 학부모
(기간/시간)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 프로그램 시간이 길었으면 함 프로그램 횟수가 많았으면 함 프로그램 진행 기간이 너무 긴걸 같음 프로그램 12주 과정이 좋을 것 같음 프로그램 시간대가 변경(오후진행)됐으면 함 (홍보)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홈페이지 보완 프로그램 홍보 시점을 앞당겼으면 함 프로그램에 대한 문자 알림 운 영 (공간)쾌적한 장소 화장실 편의 시설 접근성이 쉬운 프로그램
운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 영 프로그램 참여인원이 너무 많음
(신청/요건)프로그램 참가 연령의 세분화 프로그램 참여 인원이 많았으면 함 프로그램 신청이 용이(한곳에서 신청 접수) (기타)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취지나 목적 전달 참여자와의 춘분한 커뮤니케이션 정부 지원 확대 프로그램의 내용을 동영상/사진으로 확인 프로그램이 다양화 내 맛있는 간식을 제공 용 만들기/식물 키우기/가족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체계적인 프로그램
내 프로그램이 다양화 용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청소년 (기간/시간)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 프로그램 시간이 짧았으면 함 프로그램 시간이 길었으면 함 프로그램 횟수가 많았으면 함 운 오후에 진행하는 프로그램 늘었으면 함 영 (홍보)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프로그램 참여 인원이 많았으면 함
17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예술교육이 바뀐다사업 참여 청소년
운 영
(기간/시간) 프로그램 시간이 짧았으면 함 프로그램 횟수가 많았으면 함 (기타) 지각/조퇴가 없는 분위기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학부모
예술교육이 바뀐다 사업 참여 학부모
(공간)장소가 쾌적하지 않음 (기타)동영상을 볼 수 있었으면 함 단복을 예쁘게 해줬으면 함 친절한 관계자 정부 지원 확대 프로그램이 다양 내 맛있는 간식을 제공 용 토론/전시/활동적인/야외/관람/학교연계/도서/집에서 수 있는/다양한 미술/재미있는 프로그램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아동
프로그램의 다양화 내 맛있는 간식을 제공 할 용 카메라 사용 프로그램 예술교육이 바뀐다 사업 참여 아동 (기간/시간)프로그램 시간대가 변경 프로그램 시간이 짧았으면 함 프로그램 시간이 길었으면 함
(기간/시간)프로그램 시간이 길었으면 함 프로그램 시간대가 변경요청 프로그램 시작 시간이 늦춰졌으면 함 (홍보/장소) 운 쾌적한 장소 영 접근성 프로그램이 활성화 (기타) 안전한 장소 선생님들이 멋있었으면 함 프로그램 참여 인원이 많았으면 함 등
(장소/재료) 붓이 많았으면 함 물감 사용하지 않았으면 함 장소가 색달랐으면 함 운 교통편이 편리/장소가 가까웠으면 함 영 (홍보/지원) 공개 수업을 했으면 함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 독특하고 개성 있는 활동 (기타) 적당한 점심을 제공했으면 함 남학생만 수업을 받았으면 함
놀이/게임/방송댄스/기차박물관/가발 만들기/체험학습현 장/잠옷파티/도서/쿠키만들기/영화보는/답사,여행/그림그 리기/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쉬는 시간이 늘어났으면 함 쉽게 배울 수 있는 것 내 용 (기타) 친구들이 스티커를 출석부를 동생들이
차분하고 조용했으면 함 많이 줬으면 함 없앴으면 함 장난치지 않았으면 함
맛있는 간식을 제공 프로그램 다양화 만들기 프로그램/그림 그리기 프로그램/클레이 미니 어쳐 만들기 프로그램/꿈에 관련한 프로그램/재미있 는 퀴즈대회/재미있는 프로그램/ 몸에 대한 지식/ 내용 국악을 전문적으로/ 전통음악에 대한 프로그램 (기타) 조용히 했으면 함 초등학교 6학년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 3D프린터 할 때 간단한 것은 코딩을 했으면 함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75
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단체 및 협회의 만족도 1) 설문조사 개요 □ 참여 프로그램별 응답 단체 및 협회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 단체 및 협회 중 만족도 조사에 응답한 참여 단 체는 총 103개, 협회는 4개이며,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참여한 단체 중 만족도 조사에 응답한 단체는 19개로 나타났다. <표 Ⅲ-54> 참여 프로그램별 응답자 통계 (단위 : 수, %) 프로그램명
단체 빈도
협회 비율
빈도
비율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12
11.7
1
25.0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23
22.3
2
50.0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10
9.7
-
-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20
19.4
-
-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8
7.8
-
-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6
5.8
-
-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9
8.7
-
-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7
6.8
-
-
아리랑 프로그램
8
7.8
-
-
건축문화 프로그램
-
-
1
25.0
103
100.0
4
100.0
19
100.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전체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 참여단체 활동장르 및 소재지역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단체의 활동장르는 ‘문학(인문학)’이 33.0%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미술장르과 통합문화예술이 각각 18.4%로 조사되었다. 예술교육이 바 뀐다 지원사업은 ‘통합문화예술(57.9%)’, ‘음악(21.1%)’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단체는 서울, 경기에 50% 이상 위치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의 소재지역은 ‘경기/인천’과 ‘대전/충남/충북/세종’이 각 각 31.6%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17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Ⅲ-55> 참여 활동장르 및 소재지역
(단위 : 수, %)
토요문화학교 단체
빈도
문학(인문학)
주요활동장르
소재지역
예술교육이 바뀐다
비율
빈도
비율
(34)
33.0
국악(전통예술)
(3)
2.9
음악
(10)
9.7
(4)
21.1
연극/뮤지컬
(1)
1.0
(2)
10.5
무용
(1)
1.0
(1)
5.3
미술
(19)
18.4
디자인
(1)
1.0
(1)
5.3
건축
(1)
1.0
영화/ 영상/미디어
(5)
4.9
통합문화예술
(19)
18.4
(11)
57.9
기타
(9)
8.7
서울
(29)
28.2
(2)
10.5
경기/인천
(23)
22.3
(6)
31.6
부산/울산/경남
(9)
8.7
(1)
5.3
대구/경북
(4)
3.9
(4)
21.1
대전/충남/충북/세종
(10)
9.7
(6)
31.6
광주/전남/전북
(21)
20.4
강원/제주
(7)
6.8
2) 참여경험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경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단체 중 과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한 경 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3.8%이며, 협회는 과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참여율이 100%로 나타났다. <표 Ⅲ-5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경험률 (단위 : %) 참여경험있음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단체
73.8
7.9
28.9
60.5
77.6
협회
100.0
0
0
75.0
75.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77
<그림 Ⅲ-3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경험률
(단위 : %)
이전에 참여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박물관 및 도서관연계 프로그램이 21.1%로 가장 높았으며, 이외에도 지역연계 프로그램이 13.2% 등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57> 2016년 이전에 참여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단체) (단위 : %) 청소년 어린이 박물관 도서관 미술관 국공립 가족오 문화예 꼬마작 주말문 는 지역연계 연계 연계 연계 기관 케스트 아리랑 술진로 곡가 화여행 무엇을 연계 라,합창 탐색 믿는가 전체
21.1
21.1
10.5
9.2
9.2
7.9
5.3
5.3
2.6
1.3
13.2
미술관 연계
0.0
0.0
88.9
0.0
0.0
0.0
0.0
0.0
0.0
11.1
11.1
박물관 연계
94.1
0.0
0.0
0.0
0.0
0.0
0.0
0.0
5.9
0.0
11.8
국공립기관 연계
0.0
0.0
0.0
100.0
0.0
0.0
0.0
0.0
0.0
0.0
0.0
도서관 연계
0.0
10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작은도서관 연계
0.0
33.3
0.0
0.0
0.0
0.0
0.0
0.0
33.3
0.0
33.3
가족오케스트라,합창
0.0
0.0
0.0
0.0
83.3
0.0
0.0
0.0
0.0
0.0
16.7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0.0
0.0
0.0
0.0
0.0
0.0
60.0
0.0
0.0
0.0
40.0
꼬마작곡가
0.0
0.0
0.0
0.0
16.7
0.0
0.0
66.7
0.0
0.0
16.7
아리랑
0.0
0.0
0.0
0.0
12.5
75.0
12.5
0.0
0.0
0.0
25.0
17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한편 2016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단체 중 과거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참 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8.9%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표 Ⅲ-58>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경험률 참여경험있음 단체
2014년 78.9
(단위 : %) 2015년
40.0
86.7
(2)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가.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단 체는 57.3%로 높게 나타났다. <표 Ⅲ-59>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단위 : %) 구분
단체
협회
참여 프로 그램
전체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전체
예
아니오 57.3 58.3 65.2 30.0 25.0 50.0 66.7 77.8 85.7 100.0 75.0
<그림 Ⅲ-40>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42.7 41.7 34.8 70.0 75.0 50.0 33.3 22.2 14.3 0.0 25.0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79
나.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주관기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단체들 중 79.7%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외에 ‘지차체(33.9%)’, ‘교육부(8.5%)’등이 주관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60>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주관기관 (단위 : %) 주관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지자체 교육부 예술경영지원센터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법무부 국립민속박물관 방송통신위원회 삼성꿈장학재단 전남관광문화재단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한국사립박물관협회 메세나
단체 79.7 33.9 8.5 3.4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그림 Ⅲ-41>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주관기관 (단위 : %)
18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다.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이외에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명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Ⅲ-61> 참여한 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명 [단체] 부처 간 협력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_군부대 2016 목인박물관 특별기획전시 네팔의 목인 연계 교육프로그램 마을 수호자 이야기_목인박물관 2014 서울문화재단 토요문화학교 아카펠라 미제라 블 뮤지컬_협회 세미나홀 2016 미디어아트 꿈의학교_신능중학교 2016 하반기 민속생활사박물관 협력망 사업_한림대 학교박물관 KB국민은행과 함께하는 박물관 노닐기 가족 더하여 가까워지다_성북청소년수련원 가족국악강좌_국립국악원 가족동행프로젝트_단체회의실 경기도 공사립 박물관 미술관 지원사업_부천로보파 크 경남박물관협의회 지원사업_해금강테마박물관 교정시설(대구구치소)문화예술교육_대구구치소 국제국악연수_국립국악원 군문화예술교육_군부대 근대야 놀자_목포 원도심 일대 꼼지락 공예로 소통하다_엠마우스복지관 꿈다락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_하남문화재단 꿈다락 경기문화재단_하남문화재단 꿈다락 토요문화학교_교과서박물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_금강문화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쓰개 쓰게_경운박물관 체험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 프로그램_강의실 꿈의 오케스트라 꿈이담긴 민화이야기_학동지역아동센터 난 배우 넌 영화감독_서천군미디어문화센터 농어촌희망재단_읍내 노인정 및 노인대학 다문화프로그램_포천시립소흘도서관 도전 오토마타 스타_아트센터 나비 독서모임_도서관 내 동네방네 우리라디오_서천군미디어문화센터 들락날락미술관_스페이스몸미술관2,3전시장 마당예술공연_큰나무도서관 마지막수요일엔 작은도서관 똑똑똑_큰나무도서관 매직쇼_도서관 내 문예회관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_하남문화재단 문화가 있는 날_경기여고 백주년기념관 대극장 문화예술교육사 활용 모델발굴 지원사업_한국소리문 화의전당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_부안예술회관
미술관아이돌_헬로우뮤지움 미술특강_도서관 내 바람소리 물소리 자연을 닮은 우리국악_제천기적의 도서관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 방과후청소년_천안YWCA 부처 간 협력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립미술관문화교육프로그램지원사업 온라인미술감 상교육프로그램_상원미술관 사미협 미술관 문화가 있는 날_전주미술관 사진으로쓰는 이야기_서천군미디어문화센터 생생문화탐방_밀양 일대 생활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_작은도서관 서구어린이합창단_서구문화센터 내 서울시청 사립박물관 지원사업_짚풀생활사박물관 성인무용학교프로그램_국립현대무용단 스튜디오 숲예술학교_성산공원 시민인문강좌_인제대학교 알프스 요들 마마파파!_연수문화원 어르신 문화프로그램_인도미술박물관 어르신 영상 자서전 프로젝트_미림극장 예술가 지원프로그램_노원정보도서관 예술감상교육프로그램_ 예술경영지원센터 지역청소년과 함께하는 미술에 말 걸기_조선대학교미술관 오감스쿨(기관 제치 교육사업)_수원SK아트리움 우리가족 문화재탐험대_인제대학교 우리가족 박물관 미술관 둘러보기_인제대학교 움직임이 있는 서낭당길 갤러리_독거노인 아파트 복 지회관 웹툰창작체험관_목포어린이도서관 음악회_도서관 내 의경부대문화예술교육_용산경찰서 의사소통 미술프로그램_혜림복지관 인문학강의_도서관 내 인형극_도서관 내 자유학기제_소마미술관 작은도서관 책친구_후마네르범어도서관 전주시 미술관 문화사업_전주미술관 전통궁중머리체험_한국미용박물관 전통문화Factory_연수문화원 즐거운학교 행복한 아이_웅포초등학교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81
찾아가는 공연_학교 찾아오는 미술관_경남하동청소년수련관 책을통한 캐리커쳐그리기_작은도서관스페이스수 청소년 진로직업 체험 프로그램_영산강문화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탭탭_한국소리문화의전당 청소년 영상문화기획단_송림아뜨렛길 다목적실 푸르미르_국립국악원 하나되어 놀아보자 kpop최신댄스_하나원 학교밖청소년_시흥여자단기쉼터
행복학습센터_면/동 사무소 회의실 지역아동센터 문화예술교육_선정된 지역아동센터 어린이교육_도호부청사 군부대 [협회] 문화가 있는 날 KB 국민은행과 함께하는 박물관 노닐기 시민건축대학
3) 참여 동기 및 협회의 역할에 대한 인식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한 단체의 참여동기는 ‘기관의 고유 목적과 관련된 사업이므로(45.6%)’, ‘문화예술교육사업에 관심이 있어서(31.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협회의 참여동기는 ‘기관의 고유 목적과 관련된 사업이므로’가 100%로 조사되었다. 또한 2016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의 참여단체의 참여동기는 ‘기관의 고유 목적과 관 련된 사업이므로’, ‘문화예술교육사업에 관심이 있어서’라는 항목이 각각 47.4%를 차지하였다. <표 Ⅲ-6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및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동기 (단위 : %) 기관의고유 목적과관련 된 사업이므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교육이 바뀐다
문화예술교 육사업에관 심이있어서
기관운영에 도움이되기 때문에
타사업과의 시너지를위 해서
주말에하는 프로그램이 라서
지역아동들 기수별 에게좋은혜 수업이라는 택을주고싶 특징 때문에 어서
단체
45.6
31.1
14.6
3.9
2.9
1.0
1.0
협회
100.0
0.0
0.0
0.0
0.0
0.0
0.0
단체
47.4
47.4
5.3
협회의 역할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있어 협회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협회 담당자는 ‘워크숍 및 컨설팅을 통한 역량 강화 지원’(100%)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응답했다. ‘지역 협회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평균 3.5점으로 부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건축문화프로그램’의 경우 평균 6점으로 나타 나 지역 협회의 역할 강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4) 홍보방식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단체의 주요한 홍보 방식은 ‘현수막, 홍보자료(포스 터, 리플렛 등)’으로 81.6%로 조사되었으며, 이외에도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 페 등)’이 78.6%, ‘인터넷 홈페이지’를 활용한 홍보가 73.8%로 나타났다. 반면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의 참여 단체는 학교, 교육청 공문으로 홍보를 진행하는 방 식이 94.7%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이 89.8%, ‘친구, 이웃, 지인’이 78.9%로 나타났다. <표 Ⅲ-63> 단체 및 협회의 홍보 방식 (단위 : %) 홍보 방식
토요문화학교 단체
예술교육이 바뀐다 협회
단체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리플렛등)
81.6
50.0
89.5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폐 등)
78.6
100.0
57.9
인터넷 홈페이지
73.8
100.0
57.9
학교,교육청공문
61.2
25.0
94.7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51.5
친구, 이웃, 지인
40.8
25.0
78.9
신문,잡지,TV, 라디오등광고
30.1
50.0
63.2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29.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25.2
75.0
10.5
문화시설(박물관,미술관,공연장등)
23.3
50.0
5.3
가족, 친척
16.5
아파트 게시판, 아파트 도서관 공지문
1.9
체험학습홍보사이트(크레존, 유스네비 등)
1.0
문화원회원대상홍보
1.0
31.6
15.8
21.1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83
<그림 Ⅲ-42> 단체 및 협회의 홍보 방식
(단위 : %)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경험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단체의 홈페이지를 이용한 비율은 73.8%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였다. 협회의 홈페이지 이용률을 100%로 조사되었다. <표 Ⅲ-6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 겅험 (단위 : %) 예 이용경험률
아니오
사례(수)
단체
73.8
26.2
103
협회
100.0
0
0
18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4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 겅험
(단위 : %)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에 대한 인식 한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이용이 편리하냐는 질문에 대해 단체(4.14점), 협회 (4.25)점으로 다소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표 Ⅲ-65> 꿈다락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에 대한 인식 (단위 :점/7점)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
단체
협회
4.14
4.25
<그림 Ⅲ-44> 꿈다락 홈페이지 이용의 편리성에 대한 인식
(단위 :점/7점)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85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한 만족도 (1) 단체의 만족도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의 만족도는 다음의 <표>와 같다. ‘<표>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1)’은 사업운영방식 및 예산, 장소확보요건 및 전체적인 만족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표>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2)’ 는 참여자 모집 및 홍보, 프로그램 장소선정 및 확보, 토요일진행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표>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3)’은 사업 신청의 편 리성, 사업참여 이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의식변화, 향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참여 의향 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표>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1)’에 해당하는 사업운영방식 및 예산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에 참여한 단체는 6.00점으로 긍정적인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반면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에 참여한 단체들의 만족도는 4.56점으로 가장 낮 은 만족도로 나타났다. 사업의 예산에 대해서도 역시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참여단체가 6.14점으 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국·공립 기관 연계 프로그램 참여 단체가 4.10점으로 낮은 만족 도로 조사되었다. 사업 참여를 위한 장소확보요건에 대해서는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이 6.63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이 4.17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사업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5.67점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만족도를 받은 프로그램은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으로 6.63점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6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1) (단위 :점/7점)
단체
토요문화학교 사업 전체
참여 프로그램
사업운영방식에 대해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사업의 예산은 충분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사업에참여하기 위한수업장소확 보요건에 대해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사업에 대해 전체적으로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5.34
5.18
5.37
5.67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5.25
5.17
5.33
5.50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4.96
4.61
5.26
5.35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90
4.10
4.80
5.40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45
6.05
5.90
6.00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6.63
6.00
6.63
6.63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5.50
5.50
4.17
5.83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4.56
4.44
4.44
4.89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6.00
6.14
6.00
6.14
아리랑 프로그램
5.75
5.00
5.25
5.75
5.53
5.26
5.79
5.95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18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4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1)
(단위 :점/7점)
<표>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2)’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4.71점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청소 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은 2.89점으로 매우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프로그램 홍보에 대한 만족도는 4.88점으로 나타났으며, 홍보 역시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이 3.33점으로 타 프로그램에 비해 가장 낮은 만족도로 조사되었다. 프로그램 진행 장소의 선정 및 확보에 대 한 만족도는 5.54점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에서 진행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서는 6.11점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비교적 넓은 장소가 필요한 가족 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4.00점으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다. 프로그램의 진행 요일에 대해서는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에 대해 5.24점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아리랑 프로그램이 6.25점으로 높은 만족도 로 조사되었다.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87
<표 Ⅲ-6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2)
단체
토요문화학교 사업 전체
참여 프로 그램
프로그램 참여자를 모으는 것이 용이했다.
(단위 :점/7점)
프로그램의 홍보가쉬웠다.
프로그램 진행 장소의 선정 및 확보가 용이했다.
프로그램이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4.71
4.88
5.54
5.24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4.83
5.00
5.67
5.4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4.74
5.00
5.65
4.78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50
4.20
4.90
4.50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40
5.50
5.75
5.5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50
5.13
6.63
6.13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4.33
4.00
4.00
5.50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2.89
3.33
4.56
4.56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4.29
5.43
6.57
5.14
아리랑 프로그램
4.88
5.38
5.63
6.25
5.00
5.00
6.11
5.63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그림 Ⅲ-4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2) (단위 :점/7점)
18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3)’에 해당하는 사업 참여 신청에 대 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사업참여를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라는 문항에는 4.98점으로 다소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하지만 ‘사업참여이후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에 호감을 갖게 되었다 (5.80점)’, ‘향후에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참여하고 싶다(6.09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를 주변 동료나 단체들에게 추천하고 싶다(5.94점)’으로 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반 응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6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3)
단체
토요문화학교 사업 전체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참여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사업참여를 신청하는것이 편리했다. 4.98 4.75 4.78 5.00 4.75 5.38 4.50 5.56 5.57 5.25 5.05
(단위 :점/7점)
사업참여이후문 향후에도 꿈다락 화예술교육지원 토요문화학교 사업에대해호감 사업에 참여하고 을갖게 싶다. 되었다. 5.80 5.33 5.35 5.60 5.90 6.75 5.67 6.11 6.29 6.13 6.26
6.09 5.92 5.65 5.40 6.05 6.75 6.17 6.67 6.57 6.75 6.4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를 주변 동료나 단체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5.94 6.00 5.43 5.50 6.20 6.63 6.00 5.78 6.29 6.38 6.26
<그림 Ⅲ-4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단체 만족도(3) (단위 :점/7점)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89
한편,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과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은 각각 (사)사립미술관협회, (사)한국박 물관협회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는데, 아래의 <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한 미술 관과 박물관을 대상으로 협회의 지원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내용이다.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에 참여한 미술관들의 협회 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5.82점,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물 관들의 협회 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5.91점으로 나타났다. <표 Ⅲ-69> 협회 지원에 대한 만족도
협회 지원에 대한 만족도
전체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5.88
5.82
<그림 Ⅲ-48> 협회 지원에 대한 만족도
(단위 :점/7점)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5.91
(단위 :점/7점)
(2) 협회의 만족도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한 협회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반적인 만족도가 5.75점으로 긍정적인 결과로 조사되었다. 또한 향후 참여 의향에서 6.25점으로 높게 나타나 사 업 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업 예산부분과 강사 섭외 부분에서는 각각 3.5점, 3.75점의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어 예산과 인력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19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Ⅲ-7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협회 만족도 구분
전체
미술관
(단위 :점/7점) 박물관
건축
사업 계획이 잘 수립되었다.
5.75
4.00
6.50
6.00
사업 신청이 편리했다.
5.00
4.00
5.50
5.00
사업 계획(일정, 예산 등)에 맞게 잘 운영되고 있다.
5.50
5.00
5.50
6.00
사업 예산은 충분하였다.
3.50
2.00
4.00
4.00
강사 섭외가 쉬웠다.
3.75
2.00
4.00
5.00
강사의 수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충분하다.
5.00
2.00
5.50
7.00
사업의 성격과 프로그램 진행 장소가 잘 맞는다.
6.00
4.00
7.00
6.00
사업이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5.50
6.00
5.00
6.0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의 협력은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6.00
6.00
6.50
5.00
회원기관과의 협력은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6.25
6.00
7.00
5.00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5.75
5.00
6.00
6.00
향후에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다.
6.25
5.00
6.50
7.00
타 기관에 추천하고 싶다.
5.75
5.00
6.00
6.00
<그림 Ⅲ-4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협회 만족도 (단위 :점/7점)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91
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 (1) 단체가 느끼는 교육수혜자의 변화 단체가 느끼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의 변화는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늘었다’ 가 6.15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이외에 ‘표정이 밝아졌다’,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 현하게 되었다’가 각각 6.11점으로 나타났다.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자의 변화는 ‘자 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포현하게 되었다(6.42점)’,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늘었다(6.37점)’, ‘자 신감이 생기고 당당해졌다(6.26점)’ 등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71> 단체가 느끼는 교육수혜자의 변화 (단위 :점/7점) 구분
토요문화학교사업 참여 단체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단체
표정이 밝아졌다.
6.11
6.21
성격이 긍정적으로 변했다.
5.99
5.84
자신감이 생기고 당당해졌다.
5.99
6.26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게 되었다.
6.11
6.42
친구관계가 원만해졌다.
5.83
6.05
다른 사람을 더 배려하고 이해하게 되었다.
5.74
6.11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늘었다.
6.15
6.37
<그림 Ⅲ-50> 단체가 느끼는 교육수혜자의 변화 (단위 :점/7점)
19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2) 협회가 느끼는 변화 꿈다락 토요뮨화학교 사업 참여 이후 협회가 느끼는 변화로는 ‘기관의 위상이 강화되었다’가 6.7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로 조사되었다. 대부분 6점 이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지만 ‘기관 의 재정적 여건이 개선되었다’, ‘기관의 인적자원이 충원되었다’라는 문항은 각각 4.25점, 4점으 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표 Ⅲ-72> 협회가 느끼는 변화 (단위 :점/7점) 구분
전체
미술관
박물관
건축
회원기관(참가단체) 간의 의사소통이 더 원활해 졌다.
6.25
6.00
7.00
5.00
회원기관과의 협력이 더 강화되었다.
6.25
6.00
6.50
6.00
문화예술 관련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었다.
6.50
6.00
6.50
7.00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었다.
6.25
6.00
6.50
6.00
기관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이 강화되었다.
6.50
6.00
7.00
6.00
기관의 위상이 강화되었다.
6.75
7.00
6.50
7.00
기관의 재정적 여건이 개선되었다.
4.25
4.00
4.50
4.00
기관의 인적자원이 충원되었다.
4.00
4.00
4.00
4.00
기관 내 타사업과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였다.
5.75
5.00
6.00
6.00
<그림 Ⅲ-51> 협회가 느끼는 변화 (단위 :점/7점)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93
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식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의 적정 회차 수에 대한 인식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단체의 프로그램 적정 회차 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11회~15회(28.2%)’, ‘5회~7회(26.2%)’로 나타났다. 협회는 5회~7회가 적정하다는 의견이 100%로 조사되었으며,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단체는 ‘8회~10회’와 ‘11회~15회’가 각각 36.8%로 나타났다. 프로그램별로 살펴보면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의 경우 5회~7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의 경우 역시 5회~7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건축문화 프로그램’의 경우도 역시 5~7회,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에서는 11회~15회, 16회 이상을 선호하는 비율이,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에서는 11회~15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에서는 8회~10 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에서는 16회 이상을 선호하는 비율이, '청 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에서는 8회~10회, 11회~15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에서는 8회~10회를 선호하는 비율이, 아리랑 프로그램에서는 11회~15회, 16회 이상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표 Ⅲ-7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적정 회차 수 (단위 : %)
11회~15회
16회 이상
12.6
26.2
18.4
28.2
14.6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16.7
66.7 (100)
8.3
0.0
8.3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43.5
56.5 (100)
0.0
0.0
0.0
건축문화 프로그램
(0.0)
(100)
(0.0)
(0.0)
(0.0)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10.0
10.0
0.0
40.0
40.0
토요문화학교사업 전체
참여 프로 그램
1∼4회
5∼7회
8∼10회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0.0
5.0
30.0
60.0
5.0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0.0
25.0
50.0
25.0
0.0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0.0
0.0
0.0
33.3
66.7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프로그램
0.0
0.0
44.4
44.4
1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0.0
14.3
42.9
28.6
14.3
아리랑 프로그램
0.0
12.5
12.5
37.5
37.5
36.8
36.8
26.3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주 : ( )은 협회 응답결과
19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5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적정 회차 수
(단위 : %)
(2) 향후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단체들이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으로는 ‘청 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43.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이외에 지역연계 프로 그램(40.8%),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33.0%)’,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30.1%)’, ‘도서관 연계 프 로그램(2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미술관, 박물관, 건축문화프로그램 외에 주말문화 여행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및 어린이를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등의 참여를 희망하 였다. <표 Ⅲ-74>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단위 : %)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지역연계프로그램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박물관연계프로그램 도서관연계프로그램 예술교육이바뀐다프로그램 미술관연계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건축문화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꼬마작곡가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단체
협회 43.7
0.0
40.8
0.0
33.0
75.0
30.1
75.0
24.3
25.0
23.3
0.0
22.3
25.0
21.4
0.0
17.5
25.0
16.5
0.0
15.5
25.0
15.5
0.0
14.6
0.0
11.7
25.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95
<그림 Ⅲ-53>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단위 : %)
(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수 프로그램 이수 경험 및 참여의향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 단체 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수 프로그램을 이 수한 경험이 있는 단체는 37.9%로 비교적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여한 단체 내에서는 가족 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단체들이 각각 66.7% 로 비교적 참여한 경험률이 높았으며,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및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참여 단체들의 경험률은 각각 15.0%, 20.0%로 낮은 수치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연수 프로그램의 향후 참여 의향은 94.2%로 높게 나타나, 프로그램 참여 단체들의 연 수프로그램 참여 희망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19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Ⅲ-7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수 프로그램 이수 경험 및 참여의향
참여 프로그램
이수 경험률
(단위 : %)
향후 참여의향
전체
37.9
94.2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50.0
100.0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9.1
100.0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20.0
90.0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15.0
80.0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25.0
100.0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66.7
100.0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66.7
100.0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28.6
100.0
아리랑 프로그램
62.5
87.5
<그림 Ⅲ-5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수 프로그램 이수 경험 및 참여의향 (단위 : %)
참여한 연수 프로그램으로는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51.3%)’로 사회 문화예술교육에 해당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특성에 해당하는 연수 교육을 받는 것으 로 나타나며, 이외에 참여한 연수 프로그램으로는 ‘학교, 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33.3%)’, ‘문 화예술교육사 교육(28.2%)’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97
<표 Ⅲ-76> 참여한 연수 프로그램
(단위 : %)
참여한 연수 프로그램
단체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51.3
학교, 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33.3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28.2
학교, 사회 예술강사 의무연수
25.6
학교, 사회 예술강사 선택연수
25.6
예비기획인력양성과정,문화도담연수
10.3
학습공동체,아르떼동아리
5.1
꼬마작곡가강사교육
2.6
한국박물관협회주관 교육참여
2.6
국공립사업워크샵
2.6
다문화 교육
2.6
<그림 Ⅲ-55> 참여한 연수 프로그램 (단위 : %)
19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단체들이 희망하는 연수 프로그램으로는 ‘기획능력 개발 교육’ 부 분이 70.1%로 매우 높은 수치를 보인다. 이외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통합 워크숍(52.6%)’, ‘소통능력 개발 교육’ 및 ‘대상(아동/청소년/가족)에 대한 이해교육’이 각각 43.3%로 나타났다. 반면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참여한 단체들의 희망연수프로그램은 ‘국내외 사례교육’ 이 61.1%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이외에 ‘기획능력 개발 교육(50.0%)’, ‘장르 심화교육 (44.4%)’ 등으로 나타났다. <표 Ⅲ-77> 희망하는 연수 프로그램
기획능력 꿈다락 소통능력 대상에 개발 토요문화학교 개발 대한이해 교육 통합워크숍 교육 교육
(단위 : %)
지역 및 공간에 국내외 교육방법 장르 상담기술 대한 사례 론 교육 심화교육 개발교육 이해 교육 교육
토요문화학교 전체
70.1
52.6
43.3
43.3
37.1
37.1
34.0
25.8
24.7
미술관 연계
75.0
41.7
33.3
33.3
25.0
33.3
41.7
25.0
33.3
박물관 연계
73.9
39.1
43.5
39.1
39.1
52.2
34.8
26.1
26.1
국공립기관 연계
100.0
55.6
33.3
44.4
33.3
66.7
66.7
11.1
22.2
도서관 연계
62.5
50.0
37.5
50.0
43.8
25.0
31.3
18.8
18.8
작은도서관 연계
25.0
62.5
75.0
50.0
25.0
12.5
0.0
0.0
37.5
가족오케스트라,합창
66.7
83.3
66.7
50.0
33.3
66.7
66.7
33.3
33.3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100.0
66.7
33.3
44.4
55.6
22.2
33.3
33.3
11.1
꼬마작곡가
42.9
42.9
57.1
57.1
28.6
0.0
28.6
14.3
28.6
71.4
71.4
28.6
28.6
42.9
42.9
0.0
85.7
14.3
50.0
38.9
33.3
38.9
38.9
61.1
33.3
44.4
16.7
아리랑 프로그램 예술교육이 바뀐다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199
<그림 Ⅲ-56> 희망하는 연수 프로그램
20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단위 : %)
(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이미지에 대해 참여단체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이 33.0%로 조사되었 으며, ‘재미와 즐거움’ 27.2%, ‘토요일’ 21.4% 등으로 나타났다. 협회의 경우 꿈다락 토요문화학 교에 대한 이미지로 ‘재미와 즐거움’, ‘토요일’, ‘체험’, ‘꿈’을 선택하였다.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한 이미지도 역시 ‘문화예술교육’이 57.9%로 가장 높았으며, 이외에 ‘재미와 즐거움’, ‘도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7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단위 : %) 이미지 문화예술교육 재미와 즐거움 토요일 가족 체험 꿈 해방감 여가 친구 도전
단체
협회 33.0 27.2 21.4 4.9 4.9 3.9 1.9 1.0 1.0 1.0
0.0 25.0 25.0 0.0 25.0 25.0 0.0 0.0 0.0 0.0
<그림 Ⅲ-5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01
<표 Ⅲ-79>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한 이미지
이미지
예술교육이 바뀐다 참여단체
문화예술교육
57.9
재미와 즐거움
21.1
도전
10.5
토요일
5.3
꿈
5.3
(단위:%)
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한 요구사항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및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한 참여단체들의 요구사항을 조사한 결과 모집/홍보에 관련된 요구사항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요구사항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Ⅲ-8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한 요구사항
신 청 / 기 획
모 집 / 홍 보
토요문화학교 지원 사업 참여 단체/협회 사업 기간이 짧아 프로그램 운영준비 어려움(협회) 수업 차시가 짧아 더 많은 차시로 수업을 진행 희망 사업 선정 후 여유 있는 진행 일정 프로그램 진행 요일이나 회 차 운영 방식의 융통성 사업 공지 일정을 연초 공지/빠른 사업 공지가 필요/사업공고 후 신청까지 시간 부족 (교육 장소 협약의 편의를 위해) 사업자 선정의 일정 미리공지 사업 공모 정보를 안내 (내실 있는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사업회수를 단축 공모 시 심사자와 심사 지표 오류의 최소화 추가모집을 진행하는 프로그램 운영 가이드 차상위 계층 등 10%를 모집/저소득층에 따른 증빙서류 요청 어려움 홍보시스템을 교육부와 연계 강화(협회) 사업 선정 후 교구재 준비 및 홍보기간 부족 참여기관 선정 시 농어촌지역도서관에 우선 선발권을 부여 꿈다락사업 복수지원 제한을 없애기 꿈다락 토요문화예술학교에 대한 홍보 필요/프로그램의 홍보/모집/진행을 위해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사 업이 활성화되도록 많은 지원바람 도서벽지 지역에서 운영 선정 및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 모집 및 관리의 어려움 메일로 신청서 접수 희망 꿈다락 홈페이지의 활성화 예술단체와 기관 홍보 홈페이지가 연동 사업 홍보를 사업단 단위로 희망 사전 홍보를 위한 지원(프랑카드나 배너, 포스터)을 미리 협조
20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토요문화학교 지원 사업 참여 단체/협회
지 원 / 교 육
지속적인 사업을 위한 지원 사업 설명회가 권역별 지방에서 개최 기관들과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워크숍, 예산 집행이나 정산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서로 교류할 수 있는 시간(협회) 다양한 문화예술 전문가들로부터 도움이 되는 강의 지역에 있는 문화예술교육강사 인적 풀을 활용할 수 있는 자료 우수기관 발굴 및 사례공유, 상패 증정으로 사기 진작 우수기관 해외박물관 연수 등의 기회를 제공 박물관과의 네트워크 향상을 위해 월간소식지 같은 공유 매체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 지속적으로 좋은 프로그램 개발
예 산
담당인력 인센티브제도 운영했음 강사료를 인상하였으면 한다/강사료를 인상하였으면 한다(협회)/프로그램 진행 시 강사수급 지원 예산을 늘렸으면 한다/내부 상근 인력에 대한 강사비 또는 기획비용이 책정 강사의 초과 강의 시간(현장체험학습 및 발표회)을 인정/기관의 회차 차등에 대한 예산 지급 개선 예산의 불확실성 개선 예산 교부 일정 조정 보조금 카드발급 체계를 단순화/신속성
장 소
학교와 연계해서 교육장소를 학교로 하는 프로그램 진행 이동수단이 불편한 아동들의 참여를 위한 교통편 지원 향유기관 섭외의 어려움 교육장소에 대해 도서관이나 박물관과 같은 공공장소로의 제한을 품
기 타
행정업무(사업 교부 신청 절차)를 간소화/정산절차 및 기관 세부사항 조정 절차 개선 운영단체의 프로그램 성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자율성 참여자 무단 결석률의 감소를 위한 방안이 모색 1개 기관당 지원 사업비를 줄이고 사업대상 기관수를 확대 사업 기준 규제를 완화 무료지원보다는 최소한의 의무 참가비 제도가 마련 학생들이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프로그램/많은 곳에서 운영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 대상
신 청 / 기 획
사업 기간이 짧아 학습자 모집에 어려움/사업 선정 후 진행 일정이 여유 있었으면/사업 기간이 짧아 학습 자 모집에 어려움/프로그램의 신청기간에 대한 개선/빠른 사업 공지 수업 차시가 짧아 더 많은 차시로 수업을 진행했으면 함/ 사업 기간이 짧아 프로그램 운영준비의 어려움/ 사업 기간이 짧아 수업 관련 연수 진행 어려움/ 사업 기간이 길어 프로그램에 적합한 차시운영프로그램 이 상하반기로 나누어 진행/ 사업 진행 기간(방학 중으로)에 대한 개선이 필요
홍 보
사업 종료 후 자료집 배포를 통한 진흥원의 사업 홍보 (단체 프로그램 저작권을 고려) 사업 진행 기간(방학 중으로)에 대한 개선이 필요
예 산
강사료를 인상/주 강사 연구 참여에 대한 비용 산정/간접비 비용 책정이 필요
지 원
사업 담당자 인력을 충원/ 지속적인 사업을 위한 지원/ 사업이 잘 진행되도록 사업 운영체의 협조가 필요 / 진흥원 사업담당자와 운영단체 간에 원활한 소통이 필요/ 행정적인 지원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03
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비참여자의 수요 분석 1) 설문조사 개요 □ 비참여자 (성인) 응답자 통계 : 자녀의 나이가 8~19세에 해당하는 20세 이상의 성인 ‘2016년 문화예술교육 수요조사’라는 설문명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비참여자에 대한 온 라인 설문을 진행한 결과, 비참여자(성인)의 응답자는 700명으로 나타났다. <표 Ⅲ-81> 비참여자(성인) 응답자 통계 (단위 : 수, %) 구 분 전체 성별
연령
권역별
거주지역 단위별
자녀 학교별
비율
(700)
100.0
남성
(357)
51.0
여성
(343)
49.0
30대
(155)
22.1
40대
(398)
56.9
50대
(147)
21.0
서울
(142)
20.3
경기/인천
(223)
31.9
부산/울산/경남
(106)
15.1
대구/경북
(65)
9.3
대전/충남/충북/세종
(72)
10.3
광주/전남/전북
(63)
9.0
강원/제주
(29)
4.1
동지역
(629)
89.9
읍/면지역
(71)
10.1
초등학교
(300)
42.9
중학교
(200)
28.6
고등학교
(200)
28.6
고등학교 졸업 이하
(135)
19.3
대학교 졸업 이하
(436)
62.3
대학원 졸업 이하
(129)
18.4
200만원 미만
(32)
4.6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97)
13.9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142)
20.3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182)
26.0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
(121)
17.3
600만원 이상
(126)
18.0
학력별
월평균 소득별
빈도
20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비참여자 (청소년) 응답자 통계 : 14세~19세의 청소년 ‘2016년 문화예술교육 수요조사’라는 설문명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비참여자에 대한 온 라인 설문을 진행한 결과, 비참여자(청소년)의 응답자는 500명으로 나타났다. <표 Ⅲ-82> 비참여자(청소년) 응답자 통계 (단위 : 수, %)
성별 학년별
권역별
거주지역 단위별
구 분
빈도
비율
전체
(500)
100.0
남성
(264)
52.8
여성
(236)
47.2
중등
(226)
45.2
고등
(274)
54.8
서울
(86)
17.2
경기/인천
(159)
31.8
부산/울산/경남
(78)
15.6
대구/경북
(45)
9.0
대전/충남/충북/세종
(54)
10.8
광주/전남/전북
(55)
11.0
강원/제주
(23)
4.6
동지역
(425)
85.0
읍/면지역
(75)
15.0
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한 인지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학부모의 18.9%만이, 청소년의 15.2%만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여, 동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부모의 경우 남성에 비해 여성이, 30대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서울 지역 거주자가 다른 지 역에 비해, 동지역 거주자가 읍/면 지역 거주자에 비해, 초등학생 학부모가 중·고등학생 학부모 에 비해, 이전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해 본 경험이 있는 학부모가 그렇지 않은 학부모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은 학부모(대학원 재학 이상)가 교육수준이 낮은 학부모에 비해, 소득수준이 높은 학부모(월평균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가 소득수준이 낮은 학부모에 비해 꿈 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청소년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읍/면 지역 거주자에 비해 동지역 거주자가, 이전 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경험이 없는 청소년에 비해, 중 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05
<표 Ⅲ-8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지도 구 분 학부모 전체 성별
연령
권역별
거주지역별
자녀 학교별 이전문화예술 교육참여여부 토요문화학교 참여의향별 학력별
월평균 소득별
남성
인지율
구 분
18.9
청소년 전체
17.6
성별
(단위 : 수, %) 인지율 15.2
남성
14.8
여성
20.1
여성
15.7
30대
25.8
서울
22.1
40대
14.6
경기/인천
15.7
부산/울산/경남
9.0
대구/경북
8.9
50대
23.1
서울
29.6
권역별
경기/인천
15.2
대전/충남/충북/세종
14.8
부산/울산/경남
19.8
광주/전남/전북
21.8
대구/경북
12.3
강원/제주
4.3
대전/충남/충북/세종
12.5
동지역
15.8
광주/전남/전북
14.3
강원/제주
31.0
동지역
19.1
읍/면지역
16.9
초등학교
23.3
중학교
16.0
고등학교
15.0
참여
32.0
비참여
12.5
의향 있음
20.8
의향 없음
6.3
고등학교 졸업 이하
17.0
대학교 졸업 이하
19.0
대학원 졸업 이하
20.2
200만원 미만
12.5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16.5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17.6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18.7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
22.3
600만원 이상
20.6
20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거주지역별 이전문화예 술교육참여 여부 토요문화학 교참여의향 학년별
읍/면지역
12.0
참여
26.3
비참여
11.9
의향 있음
20.5
의향 없음
7.7
중등
13.7
고등
16.4
3) 비 참여 이유 및 특성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참여하지 않은 이유를 조 사한 결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잘 몰라서’라는 대답이 50%, ‘시간이 없어서’가 34.8%로 나타났다.
□ 학부모 <표 Ⅲ-84> 학부모 비참여 이유 및 특성 (단위 : %)
구 분
전체 남성 성별 여성 30대 연령 40대 50대 서울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권역별 대구/경북 대전/충남/충북/세종 광주/전남/전북 강원/제주 동지역 거주지역 읍/면지역 초등학교 자녀 중학교 학교별 고등학교 참여 예술교육 비참여 경험 의향 있음 참여의향 의향 없음 고등학교 졸업 학력 대학교 졸업 대학원 졸업 200만원 미만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300만원 이상 월평균 -400만원 미만 소득별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500만원 이상 -600만원 미만 600만원 이상
토요문화학 다른 해당 자녀가 기존에 하던 문화예술에 흥미로운 교프로그램 시간이 프로그램에 지역구에서 어려서/대 사람들로이루 관심이 프로그램이 을 잘 없어서 참여하고 진행하지 상이 어져 분위기가 없어서 없어서 몰라서 싶어서 않아서 안돼서 어색해서 50.0 49.2 50.7 60.0 46.6 44.1 57.1 44.1 33.3 50.0 66.7 33.3 77.8 50.0 50.0 58.6 37.5 43.3 50.7 49.2 51.6 16.7 56.5 45.8 57.7 50.0
.8 0.0 1.4 0.0 1.7 0.0 0.0 2.9 0.0 0.0 0.0 0.0 0.0 .8 0.0 0.0 3.1 0.0 0.0 1.7 .8 0.0 4.3 0.0 0.0 0.0
34.8 36.5 33.3 27.5 36.2 41.2 23.8 41.2 38.1 50.0 33.3 55.6 22.2 35.0 33.3 28.6 46.9 36.7 34.2 35.6 33.3 66.7 30.4 39.8 23.1 50.0
3.0 4.8 1.4 5.0 3.4 0.0 2.4 2.9 9.5 0.0 0.0 0.0 0.0 3.3 0.0 4.3 3.1 0.0 4.1 1.7 3.2 0.0 0.0 3.6 3.8 0.0
7.6 7.9 7.2 5.0 6.9 11.8 9.5 5.9 14.3 0.0 0.0 11.1 0.0 7.5 8.3 4.3 6.3 16.7 6.8 8.5 7.1 16.7 4.3 6.0 15.4 0.0
1.5 0.0 2.9 0.0 3.4 0.0 4.8 0.0 0.0 0.0 0.0 0.0 0.0 1.7 0.0 1.4 3.1 0.0 2.7 0.0 1.6 0.0 0.0 2.4 0.0 0.0
1.5 1.6 1.4 0.0 1.7 2.9 0.0 2.9 4.8 0.0 0.0 0.0 0.0 .8 8.3 1.4 0.0 3.3 0.0 3.4 1.6 0.0 4.3 1.2 0.0 0.0
.8 0.0 1.4 2.5 0.0 0.0 2.4 0.0 0.0 0.0 0.0 0.0 0.0 .8 0.0 1.4 0.0 0.0 1.4 0.0 .8 0.0 0.0 1.2 0.0 0.0
43.8
0.0
50.0
0.0
0.0
0.0
6.3
0.0
56.0
4.0
28.0
4.0
8.0
0.0
0.0
0.0
52.9
0.0
35.3
0.0
8.8
0.0
0.0
2.9
48.1
0.0
33.3
3.7
11.1
3.7
0.0
0.0
46.2
0.0
30.8
7.7
7.7
3.8
3.8
0.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07
<그림 Ⅲ-58> 학부모 비참여 이유 및 특성
(단위 : %)
□ 청소년 반면, 청소년에게 참여하지 않은 이유를 조사한 결과 ‘시간이 없어서’가 44.7%, ‘꿈다락 토요 문화학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잘 몰라서’가 35.5%로 조사되었다. <표 Ⅲ-85> 청소년 비참여 이유 및 특성
(단위 :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서 문화예술에 다른 프로그램에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잘 시간이 없어서 관심이 없어서 참여하고 싶어서 몰라서 전체 성별 학년별
권역별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없어서
35.5
6.6
44.7
3.9
9.2
남성
28.2
10.3
43.6
5.1
12.8
여성
43.2
2.7
45.9
2.7
5.4
중등
38.7
6.5
45.2
0.0
9.7
고등
33.3
6.7
44.4
6.7
8.9
서울
21.1
15.8
47.4
5.3
10.5
경기/인천
44.0
0.0
48.0
0.0
8.0
부산/울산/경남
28.6
28.6
14.3
14.3
14.3
대구/경북
75.0
0.0
25.0
0.0
0.0
20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서 문화예술에 다른 프로그램에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잘 시간이 없어서 관심이 없어서 참여하고 싶어서 몰라서
거주지역 문화예술 교육경험 참여의향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없어서
대전/충남/충북/세종
25.0
0.0
62.5
12.5
0.0
광주/전남/전북
41.7
0.0
41.7
0.0
16.7
강원/제주
0.0
0.0
100.0
0.0
0.0
동지역
34.3
7.5
46.3
3.0
9.0
읍/면지역
44.4
0.0
33.3
11.1
11.1
참여
36.7
3.3
46.7
3.3
10.0
비참여
34.8
8.7
43.5
4.3
8.7
의향 있음
40.0
5.0
43.3
5.0
6.7
의향 없음
18.8
12.5
50.0
0.0
18.8
<그림 Ⅲ-59> 청소년 비참여 이유 및 특성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09
4) 문화여가활동 및 문화예술교육 경험 (1) 문화여가활동 행태 가. 주말 여가활동 비참여자의 주말 여가활동으로는 성인(학부모)은 TV시청이 39.1%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이외에 ‘집안일(11.3%)’, ‘운동(6.4%)’, ‘문화활동(5.6%)’ 등으로 주말에 영화, 공연, 전시 등의 문화 활동을 하는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청소년의 주말 여 가활동을 조사한 결과 1순위로 ‘게임(26.4%)’, ‘TV시청(22.0%)’, ‘인터넷 검색(13.0%)’ 등 의 순으로 나타났다. ‘문화활동(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에 대한 비율은 역시 낮게 조사 되었다. <표 Ⅲ-86> 주말 여가활동
여가활동
성인 1순위+ 2순위
1순위
(단위 : %)
1,2,3순 위
TV시청
39.1
56.3
67.3
집안일
11.3
21.0
35.3
운동(헬스/등산/스포츠 등)
6.4
16.0
문화활동(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
5.6
여행
청소년 1순위+ 2순위
1순위
1,2,3순 위
22.0
34.0
45.4
27.6
1.8
4.8
8.2
15.3
26.7
3.8
13.2
24.6
5.1
13.6
21.7
.4
.6
1.6
.8
3.2
5.4
외식/쇼핑
4.7
13.3
18.7
자녀교육활동
4.7
11.6
17.4
인터넷 검색
4.1
11.0
15.9
13.0
33.6
47.8
산책
4.0
9.1
15.4
.4
1.8
2.6
생업종사
3.6
8.3
15.1
친목활동(친구들과의 모임)
3.3
8.0
13.0
2.8
5.4
10.8
게임
3.1
6.4
10.0
26.4
39.8
52.4
잡담/통화/SNS
2.1
4.3
8.4
11.2
25.2
39.0
낮잠
2.0
4.3
5.4
4.6
15.4
25.0
.7
1.6
1.7
종교 활동
.2
.2
.4
학원
6.2
9.0
14.8
공부
3.0
8.4
13.8
아르바이트
2.0
3.2
4.6
동아리활동
1.0
1.8
2.2
유튜브 시청
.4
.4
.4
21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60> 주말 여가활동(학부모)
(단위 : %)
<그림 Ⅲ-61> 주말 여가활동(청소년)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11
나. 문화예술 향유 및 참여 비참여자(성인)과 비참여자(청소년)에게 지난 1년 동안의 문화예술공연 및 전시, 가족과 함께
문화생활을
한
횟수에
대한
조사
결과,
공연은
학부모(자녀)
및
청소년이
각각
27.0%, 23.6%로 조사되었다. 전시 관람 횟수는 2회가 학부모(자녀) 27.7%, 청소년 29.4% 로 가장 많은 횟수로 조사되었으며, 없음이 각각 21.9%, 30.0%로 나타났다. 가족과 함께한 문화활동 횟수는 ‘없음’이 학부모(자녀)는 24.6%로 조사되었고 청소년은 41.2%로 비교적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표 Ⅲ-87> 문화예술 향유 및 참여 (단위 : %) 구분
1회
학부모(자녀)
공연 전시 가족과 함께한 문화활동
2회
3∼4회
15.7
21.4
5∼7회
8∼10회
11회이상
없음
20.7
8.3
5.0
1.9
27.0
청소년
19.0
25.2
19.4
5.6
4.2
3.0
23.6
학부모(자녀)
23.3
27.7
20.0
3.7
2.0
1.4
21.9
청소년
22.2
29.4
13.6
1.6
3.0
.2
30.0
학부모(자녀)
18.3
27.0
21.0
5.4
2.4
1.3
24.6
청소년
19.6
19.2
13.4
2.4
2.8
1.4
41.2
(2) 문화예술교육 경험 가.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학부모(자녀)는 ‘경험있음’이 32.6%, 청소년은 22.8%로 조사되었다. 2015년에 참여한 비율이 학부모(자녀) 57.5%, 청소년 48.2%로 비교적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표 Ⅲ-88>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단위 : %) 경험있음 자녀
2016
2015
2014
2013
2012
2012 이전
32.6
61.0
57.5
25.0
13.6
11.4
10.5
청소년
22.8
33.3
48.2
14.0
7.9
6.1
11.4
중학생
21.7
38.8
42.9
14.3
8.2
4.1
6.1
고등학생
23.7
29.2
52.3
13.8
7.7
7.7
15.4
21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62>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단위 : %)
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 학부모(자녀) 학부모(자녀)가 가장 많이 경험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문화시설(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하는 프로그램으로 59.6%로 조사되었다. 이외에 ‘학교 동아리 프로그램(36.4%)’,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초등돌봄교실(34.2%)’ 등으로 나타났다. <표 Ⅲ-89> 학부모(자녀)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경험률 (단위 : %) 청소년 문화시설 방과 후 방과 후 (공연장, 학교 예술분야 학교 아카데미, 박물관, 동아리 사설 학원 프로그램, 청소년 미술관 등) 프로그램 프로그램 초등돌봄교실 활동 시설 프로그램 프로그램
자녀
전체 성별
연령
권역별
지역아동 읍면동 센터 등 주민센터 등 교육복지 주민복지시설 시설 프로그램 프로그램
59.6
36.4
34.2
25.0
14.5
11.4
6.1
남성
53.2
35.5
31.5
26.6
15.3
10.5
5.6
여성
67.3
37.5
37.5
23.1
13.5
12.5
6.7
30대
64.9
17.5
47.4
24.6
10.5
19.3
8.8
40대
60.5
40.3
35.3
20.2
14.3
8.4
5.0
50대
51.9
48.1
17.3
36.5
19.2
9.6
5.8
서울
68.6
41.2
37.3
29.4
21.6
15.7
3.9
경기/인천
58.0
37.7
27.5
23.2
10.1
5.8
7.2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13
자녀
거주지역
자녀 학교별 예술 교육 참여의향
학력별
월평균 소득별
청소년 문화시설 방과 후 방과 후 (공연장, 학교 예술분야 학교 아카데미, 박물관, 동아리 사설 학원 프로그램, 청소년 미술관 등) 프로그램 프로그램 초등돌봄교실 활동 시설 프로그램 프로그램
지역아동 읍면동 센터 등 주민센터 등 교육복지 주민복지시설 시설 프로그램 프로그램
부산/울산/경남
43.8
28.1
25.0
28.1
15.6
12.5
9.4
대구/경북
63.6
27.3
50.0
18.2
9.1
4.5
4.5
대전/충남/충북/세종
59.1
36.4
45.5
27.3
13.6
22.7
0.0
광주/전남/전북
70.0
45.0
45.0
25.0
10.0
10.0
15.0
강원/제주
50.0
33.3
16.7
16.7
25.0
16.7
0.0
동지역
60.7
36.5
33.6
25.6
15.6
11.8
6.2
읍/면지역
47.1
35.3
41.2
17.6
0.0
5.9
5.9
초등학교
67.6
15.7
47.2
14.8
14.8
13.9
6.5
중학교
57.4
50.8
21.3
34.4
16.4
11.5
9.8
고등학교
47.5
59.3
23.7
33.9
11.9
6.8
1.7
경험있음
59.6
36.4
34.2
25.0
14.5
11.4
6.1
참여의향 있음
62.6
35.5
35.1
23.2
14.7
11.4
6.6
참여의향 없음
23.5
47.1
23.5
47.1
11.8
11.8
0.0
고등학교 졸업이하
52.9
55.9
23.5
23.5
2.9
14.7
5.9
대학교 졸업 이하
62.3
29.7
38.4
24.6
12.3
10.1
7.2
대학원 졸업 이하
57.1
41.1
30.4
26.8
26.8
12.5
3.6
200만원 미만
9.1
27.3
27.3
63.6
0.0
18.2
0.0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53.8
19.2
34.6
15.4
11.5
7.7
11.5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
40.5
43.2
37.8
27.0
8.1
13.5
0.0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70.4
35.2
35.2
13.0
13.0
13.0
7.4
500만원 이상 -600만원 미만
68.2
34.1
34.1
18.2
15.9
11.4
9.1
600만원 이상
67.9
44.6
32.1
37.5
23.2
8.9
5.4
21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63> 학부모(자녀)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경험률
(단위 : %)
□ 청소년 청소년이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46.5%)’, ‘학교동아리 프로 그램(37.7%)’, ‘문화시설(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프로그램(36.0%)’ 등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 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90>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경험률 (단위 : %) 문화시설 청소년 방과 읍면동 방과 후 (공연장, 학교동아리 후 아카데미, 주민센터 등 학교 박물관, 프로그램 청소년활동시 주민복지시설 프로그램 미술관 등) 설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전체 성별 학년별
권역별
예술분야 학원 프로그램
지역아동 센터 등 교육복지시설 프로그램
11.4
7.0
3.5
46.5
37.7
36.0
27.2
남성
40.7
42.4
32.2
22.0
11.9
5.1
5.1
여성
52.7
32.7
40.0
32.7
10.9
9.1
1.8
중등
55.1
36.7
24.5
28.6
10.2
8.2
6.1
고등
40.0
38.5
44.6
26.2
12.3
6.2
1.5
서울
50.0
43.8
37.5
31.3
25.0
0.0
6.3
경기/인천
35.3
29.4
41.2
23.5
8.8
11.8
2.9
부산/울산/경남
50.0
50.0
30.0
35.0
0.0
10.0
5.0
대구/경북
46.2
38.5
30.8
15.4
0.0
0.0
0.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15
거주 지역
문화시설 청소년 방과 읍면동 방과 후 (공연장, 학교동아리 후 아카데미, 주민센터 등 학교 박물관, 프로그램 청소년활동시 주민복지시설 프로그램 미술관 등) 설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예술분야 학원 프로그램
지역아동 센터 등 교육복지시설 프로그램
대전/충남/충북 /세종
54.5
36.4
45.5
27.3
27.3
18.2
9.1
광주/전남/전북
53.3
40.0
26.7
40.0
13.3
0.0
0.0
강원/제주
60.0
20.0
40.0
0.0
20.0
0.0
0.0
동지역
47.4
38.1
36.1
26.8
12.4
8.2
4.1
읍/면지역
41.2
35.3
35.3
29.4
5.9
0.0
0.0
<그림 Ⅲ-64>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경험률 (단위 : %)
21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동반자 문화예술교육을 참여할 때 함께 참여한 사람은 학부모(자녀)의 경우에는 자녀만 참여한 경우 가 56.1%, 가족이 함께 참여한 경우가 43.9%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은 가족보다는 친구와 함께 참여한 비율이 66.7%로 높게 조사되었다. <표 Ⅲ-9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동반자 (단위 : %) 자녀만 참여
가족과 함께 참여
친구와 함께 참여
학교/선생님과 단체 참여
학부모(자녀)
56.1
43.9
0.0
0.0
청소년
17.5
12.3
66.7
3.5
<그림 Ⅲ-65>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동반자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17
라.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야 학부모(자녀)가 참여했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야로는 연극/뮤지컬이 24.6%, 음악이 19.3%, 미술과 문학이 각각 13.6%, 10.1%로 조사되었다. 반면 청소년은 음악이 25.4%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연극이 23.7%, 미술이 13.2%로 나타났다. <표 Ⅲ-92>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야 (단위 : %) 학부모(자녀) 연극/뮤지컬 음악 미술 문학(인문학) 영화/영상/미디어 통합문화예술 국악(전통예술) 무용 융합예술 만화 디자인 건축 사진 과학/실험/IT 관련
24.6 19.3 13.6 10.1 9.6 5.7 4.4 3.9 2.2 1.8 1.8 1.3 0.9 0.9
청소년
중학생 23.7 25.4 13.2 5.3 8.8 1.8 5.3 2.6 2.6 2.6 3.5 1.8 2.6 .9
<그림 Ⅲ-66>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야
21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16.3 26.5 16.3 4.1 10.2 0.0 2.0 6.1 0.0 6.1 2.0 2.0 6.1 2.0
고등학생 29.2 24.6 10.8 6.2 7.7 3.1 7.7 0.0 4.6 0.0 4.6 1.5 0.0 0.0
마.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참여했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학부모(자녀) 5.04점, 청소년 5.38점으로 나타났다. <표 Ⅲ-93>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단위 : 점/7점) 학부모 5.04
만족도
청소년 5.38
전체 응답자 5.15
<그림 Ⅲ-67>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단위 : 점/7점)
□ 좋았던 점 학부모(자녀)의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중 가장 좋았던 점은 ‘프로그램이 유익했다’라 는 점이 30.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 ‘프로그램이 재미있었다(25.0%)’, ‘프로그램의 내 용과 방식이 참신했다(8.8%)’ 등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청소년의 좋았던 점은 ‘프로그램이 재미있었다’가 54.4%로 높은 수치로 조사되었으며, ‘프로그램이 유익했다(21.9%)’, ‘장소가 가깝고 이동이 편리했다(6.1%)’ 등으로 나타났다. <표 Ⅲ-94>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좋았던 점 (단위 : %) 구분
학부모
청소년
프로그램이 유익했다.
30.3
21.9
프로그램이 재미있었다.
25.0
54.4
프로그램 내용과 방식이 참신했다.
8.8
4.4
장소가 가깝고 이동이 편리했다.
7.0
6.1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19
구분
학부모
청소년
프로그램을 진행한 장소가 쾌적했다.
4.4
1.8
비용이 저렴했다.
4.4
2.6
학교 교과 과정과 연계되어 학교활동에 도움이 되었다
3.9
0.0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요일과 시간이 편리했다
3.5
0.0
강사가 친절하고 참여자들을 잘 배려했다.
3.1
2.6
제공되는 재료나 기자재의 품질이 좋았다.
2.6
0.0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2.6
.9
강사의 역량이 뛰어났다.
1.8
1.8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1.8
1.8
좋은점이 없었다.
0.9
1.8
<그림 Ⅲ-68>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좋았던 점
22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단위 : %)
5)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 (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선택 시 우선순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어떤 부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십니까?”라는 물음에 학부모(자녀)는 1순위로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54.1%)’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청소년도 역시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을 47.6%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외에 장소의 접근성, 요일 및 시간을 우선순위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95>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선택 시 우선순위 (단위 : %) 학부모 1순위
청소년
1+2순위
1+2+3순위
1순위
1+2순위
1+2+3순위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
54.1
69.7
81.7
47.6
60.2
70.4
장소의 접근성
22.4
51.4
66.4
11.2
30.6
46.0
요일 및 시간
10.4
34.7
58.4
10.8
33.4
49.8
비용
3.7
11.9
31.6
5.8
13.0
30.8
강사의 역량과 태도
3.0
12.9
22.1
9.0
22.4
33.0
학교교과과정과의 연계
2.7
7.9
15.6
신청의 편리성
2.0
5.0
11.7
2.6
10.0
14.8
공간의 쾌적성과 매력
1.3
6.3
12.0
5.0
12.8
24.0
자녀의 관심사/흥미
0.3
.3
.3
진로탐색
6.4
11.0
18.4
운영기간(장단기)
1.6
6.6
12.6
<그림 Ⅲ-69>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선택 시 우선순위(학부모)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21
<그림 Ⅲ-70>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선택 시 우선순위(청소년)
(단위 : %)
(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수요에 대한 조사는 학부모(자녀)를 대상으로 자녀가 참여했으면 좋겠 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유형,장르), 자녀가 흥미를 느낄 것 같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유 형,장르)에 대해 조사했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자신이 원하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유형,장 르)에 대해 질문하였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유형)에 대한 수요를 조사한 결과 학부모(자녀)가 원하는 문화예술교 육 프로그램은 ‘예술을 활용한 (자녀의)자신감/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이 5.46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이외에 ‘예술을 활용한 상상력과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5.42점)’, ‘예술을 활용한 기분전환/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5.40점)’ 등으로 예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도가 높 게 나타났다. 학부모가 생각하는 자녀가 흥미를 느낄 것 같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문화예 술 체험/창작 프로그램’이 6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예술을 활용한 상상력과 창의력 증 진 프로그램(27.3%)’, ‘문화예술 관람/감상 프로그램(25.1%)’ 등의 순이었다. 반면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유형)에 대한 청소년들의 수요는 ‘예술을 활용한 기분전환/스 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이 5.2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 ‘예술을 활용한 자신감/자존감 향상 프로그램(5.18점)’, ‘예술을 활용한 상상력과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5.14점)’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2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표 Ⅲ-96>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유형)에 대한 수요
구분
구분1
구분2
구분3
학부모 (점/7점)
자녀가 흥미를 느낄만한 프로그램 (%)
청소년 (점/7점)
전체 응답자 (점/7점)
문화예술 관람/감상 프로그램
5.21
25.1
4.69
4.99
문화예술 지식/이론 습득 프로그램
4.90
5.7
4.15
4.59
문화예술 체험/창작 프로그램
5.28
66.4
4.70
5.04
문화예술 기능 심화/기술 숙련 프로그램
4.79
2.7
4.46
4.66
예술을 활용한 기분전환/스트레스 해소프로그램
5.40
23.3
5.11
5.28
예술을 활용한 생각과 감정의 표현/표출프로그램
5.25
12.0
4.63
4.99
예술을 활용한 상상력과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
5.42
27.3
4.75
5.14
예술을 활용한 자신감/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5.46
10.7
4.80
5.18
예술을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5.37
2.9
4.66
5.08
가족과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
5.30
6.0
4.45
4.95
놀이 중심 프로그램
5.13
11.7
4.81
4.99
신체활동 중심 프로그램
5.22
6.1
4.58
4.95
<그림 Ⅲ-7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유형)에 대한 수요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23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장르)에 대한 수요에 대한 질문은 위와 동일하며, 자녀가 참여하길 바 라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장르)는 ‘음악(19.7%)’, ‘연극/뮤지컬(14.9%)’, ‘미술(13.3%)’, ‘영화 /영상/미디어(12.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흥미를 느낄 것 같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장르)는 ‘영화/영상/미디어’가 21.6%로 가장 높았으며, 이외에 ‘음악(17.3%)’, ‘연극/뮤지컬 (13.1%)’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장르)에 대한 청소년들의 수요는 학부모와 같이 ‘음악’이 23%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영화/영상/미디어’가 17.8%, ‘연극/뮤지컬’이 16.0%로 조사되었다. <표 Ⅲ-97>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장르)에 대한 수요 학부모 구분
학부모 (1순위)
학부모 (1+2순위)
(단위 : %) 청소년
학부모 (1+2+3순위)
자녀가 흥미를 느낄만한 프로그램
1순위
1+2순위
1+2+3순위
음악
19.7
36.3
48.7
17.3
23.0
38.0
50.4
연극/뮤지컬
14.9
27.6
42.0
13.1
16.0
31.6
43.0
미술
13.3
25.6
35.0
11.3
4.8
12.8
19.8
영화/영상/미디어
12.9
27.4
42.4
21.6
17.8
34.0
48.0
문학(인문학)
11.6
17.4
22.6
3.6
5.4
8.4
13.0
통합문화예술
6.9
13.0
21.9
5.3
1.2
2.8
6.2
만화
4.4
10.7
17.6
12.6
13.4
25.2
35.2
디자인
4.1
9.6
15.6
4.3
2.6
10.2
21.4
건축
3.3
7.4
11.7
2.1
3.2
6.8
11.8
융합예술
3.1
9.0
15.0
3.3
.4
1.6
5.2
국악(전통예술)
2.1
4.9
7.3
1.1
4.0
6.8
9.8
무용
2.1
5.7
9.3
3.0
3.2
7.8
13.8
사진
1.4
5.3
10.6
1.1
4.8
13.8
21.8
과학/실험/IT관련
0.1
0.1
0.1
0.1
.2
.2
.2
22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Ⅲ-7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장르)에 대한 수요(학부모)
<그림 Ⅲ-73>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장르)에 대한 수요(청소년)
(단위 : %)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25
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수요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의향 □ 학부모 학부모(자녀)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의향은 86.4%로 높게 조사되었으며, 특히 초등학 생 학부모의 참여의향이 93.3%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표 Ⅲ-98> 학부모(자녀)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의향 전체 성별
연령
권역별
거주지역 단위별
자녀 학교별
문화예술교육경험
학력별
월평균 소득별
(단위 : %)
사례(수)
예
아니오
(700)
86.4
13.6
남성
(357)
88.0
12.0
여성
(343)
84.8
15.2
30대
(155)
91.0
9.0
40대
(398)
88.9
11.1
50대
(147)
74.8
25.2
서울
(142)
88.7
11.3
경기/인천
(223)
82.1
17.9
부산/울산/경남
(106)
92.5
7.5
대구/경북
(65)
87.7
12.3
대전/충남/충북/세종
(72)
80.6
19.4
광주/전남/전북
(63)
92.1
7.9
강원/제주
(29)
86.2
13.8
동지역
(629)
86.8
13.2
읍/면지역
(71)
83.1
16.9
초등학교
(300)
93.3
6.7
중학교
(200)
87.0
13.0
고등학교
(200)
75.5
24.5
경험있음
(228)
92.5
7.5
경험없음
(472)
83.5
16.5
고등학교 졸업 이하
(135)
76.3
23.7
대학교 졸업 이하
(436)
88.5
11.5
대학원 졸업 이하
(129)
89.9
10.1
200만원 미만
(32)
68.8
31.3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97)
78.4
21.6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142)
92.3
7.7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182)
87.4
12.6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
(121)
89.3
10.7
600만원 이상
(126)
86.5
13.5
22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청소년 청소년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의향은 58.6%로 학부모의 참여의향보다는 낮은 수치로 조사되었다. <표 Ⅲ-99> 청소년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의향 (단위 : %)
성별 학년별
권역별
거주지역 단위별 이전 문화예술교육 참여여부별
예
전체
58.6
아니오 41.4
남성
51.1
48.9
여성
66.9
33.1
중등
54.0
46.0
고등
62.4
37.6
서울
58.1
41.9
경기/인천
57.9
42.1
부산/울산/경남
55.1
44.9
대구/경북
66.7
33.3
대전/충남/충북/세종
53.7
46.3
광주/전남/전북
60.0
40.0
강원/제주
69.6
30.4
동지역
58.1
41.9
읍/면지역
61.3
38.7
참여
72.8
27.2
비참여
54.4
45.6
<표 Ⅲ-100>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의향
참여의향
(단위 : %)
학부모
청소년
전체
86.4
58.6
74.8
<그림 Ⅲ-7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 의향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27
(2)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 학부모 참여할 의향이 있는 학부모(자녀)를 대상으로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 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24.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이외에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13.7%)’,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1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표 Ⅲ-101> 학부모(자녀)의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단위 : %)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예술대학통합문화예술교육) 건축문화 프로그램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음악분야)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시각예술분야) 아리랑 프로그램
학부모(자녀) 1순위 24.5 13.7 13.2 11.1 6.8 5.5 5.3 5.1 4.0 3.6 3.5 3.0 .8
학부모(자녀) 1+2순위 43.6 26.8 21.7 21.0 15.5 12.7 11.7 10.2 9.3 9.8 8.9 6.9 1.8
학부모(자녀) 1+2+3순위 61.3 38.0 29.6 32.2 23.1 18.7 17.0 16.5 18.0 15.5 13.1 13.4 3.5
<그림 Ⅲ-75> 학부모(자녀)의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단위 : %)
22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청소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향후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가장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으로 ‘청소년 문화예술진로 탐색 프로그램’이 28.3%로 나타났다. <표 Ⅲ-102> 청소년의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단위 : %) 1순위
1+2순위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12.6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1+2+3순위
26.6
39.2
28.3
46.1
56.7
19.1
26.6
34.1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6.1
14.3
22.5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8
18.1
26.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2.7
9.2
14.3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4.4
11.6
20.5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6.8
17.1
23.5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예술대학 통합문화예술교육)
1.7
4.1
13.0
건축문화 프로그램
5.1
13.3
23.2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음악분야)
4.8
8.2
14.0
1.7
6.5
3.1
6.1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시각예술분야) 아리랑 프로그램
2.4
<그림 Ⅲ-76> 청소년의 참여하고 싶은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29
(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참여의향이 없는 이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참여할 의향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의향이 없다고 답한 비 참여자를 대상으로 참여의향이 없는 이유에 대해 질문한 결과, 학부모(자녀)는 ‘시간이 없 어서’가 62.1%로 높게 조사되었다. 청소년 역시 ‘시간이 없어서’가 45.9%로 가장 높았으며, 이외에 ‘문화예술에 관심이 없어서(25.1%)’,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없어서(21.7%)’ 등으로 나타났다. <표 Ⅲ-10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의향 없는 이유 (단위 : %) 시간이 없어서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없어서
문화예술에 관심이 없어서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어서
기타
학부모
62.1
23.2
8.4
5.3
1.1
청소년
45.9
21.7
25.1
5.8
1.4
전체
51.0
22.2
19.9
5.6
1.3
<그림 Ⅲ-7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의향 없는 이유
23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단위 : %)
(4)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습득 채널 학부모(자녀)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채널은 ‘인터넷 검색(32.0%)’, ‘학교안 내(27.4%)’, ‘친구, 직장동료, 이웃, 지인(18.4%)’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청소년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채널은 ‘학교 안내’가 42.8%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표 Ⅲ-104>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습득 채널 (단위 : %) 습득 채널
학부모
청소년
전체응답자
인터넷 검색
32.0
14.8
24.8
학교 안내
27.4
42.8
33.8
친구, 직장동료, 이웃, 지인
18.4
10.2
15.0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페 등)
7.1
16.2
10.9
가족, 친척
5.6
3.2
4.6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3.7
3.0
3.4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2.1
5.2
3.4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1.9
1.0
1.5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1.7
1.8
1.8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8
0.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1.0
0.4
<그림 Ⅲ-78>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습득 채널 (단위 : %)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31
(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이미지 비참여자를 대상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 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문화예술교육(23.1%)’이 가장 떠오르는 이미지로 조사되었다. 이 외에 ‘체험(20.7%)’, ‘재미와 즐거움(11.5%)’, ‘꿈(1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10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이미지 (단위 : %) 이미지
학부모
청소년
전체 응답자
문화예술교육
24.9
20.6
23.1
체험
23.4
16.8
20.7
재미와 즐거움
14.4
7.4
11.5
꿈
9.6
11.0
10.2
토요일
7.7
6.6
7.3
희망
4.3
4.8
4.5
가족
3.0
3.4
3.2
여가
2.9
4.4
3.5
학교
2.1
6.8
4.1
해방감/자유
2.0
2.0
2.0
진로
1.7
8.4
4.5
도전
1.6
4.2
2.7
여행
1.3
1.6
1.4
친구
1.1
1.8
1.4
0.2
0.1
기타
<그림 Ⅲ-7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이미지 (단위 : %)
23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5) 바라는 문화예술교육 □ 학부모 학부모(자녀)가 바라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체험’관련 프로그램이 신설되었으면 좋 겠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만들어졌으 면 좋겠다는 의견이 다수로 조사되었다, <표 Ⅲ-106> 학부모가 바라는 문화예술교육 구 분
내 용
빈도 수
(%)
73
9.10
자연 체험하는 프로그램
4
0.50
농어촌문화/과실,수확체험
5
0.62
만들기 체험
3
0.37
생각의 자유와 문화라는 느낌을 직접 체험
2
0.25
체험과학습이잘조화된프로그램/지식과체험을동시에습득/학교교육과정 과연계된체험할수있는프로그램
4
0.50
박물관연계체험/극기훈련/숲/일제시대독립군의생활과친일부역자들의생 활을비교/전통문화체험할수있는프로그램
6
0.75
97
12.09
음악감상/공연체험/프로그램
13
1.62
뮤지컬 프로그램
13
1.62
악기(전통악기)/노래(국악)/작곡배우기
11
1.37
산책과 함께 이루어지는 자연의 소리를 담는 음악활동
1
0.12
다양한음악장르/실용음악/K-pop에대한소개및감상
3
0.37
41
5.11
재미있는 프로그램
16
2.00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
16
2.00
5
0.62
아이들이 문화예술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
2
0.25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놀이 활동 프로그램
1
0.12
40
4.99
다양한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
체험
전 체
음악
전 체
분야
재미/놀이 놀이 중심으로 재미있는 프로그램
전 체
기타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
12
1.50
인성교육/생활예절교육
5
0.62
힐링/마음이풍요로워지는프로그램
5
0.62
컴퓨터/수화/뜨개질/대중가요/자유로운창작,탐구예술/생활예술/관람
10
1.25
기능습득교육/학습능률향상/자기주도학습이선행되는프로그램
4
0.50
36
4.49
진로 탐색 프로그램
10
1.25
직업교육/체험프로그램
9
1.12
적성을 찾아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5
0.62
전 체 진로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33
구 분
내 용 꿈/진로관련프로그램
빈도 수
(%)
4
0.50
미래 진로에 관한 교육으로 본인에게 맞는 대학진학 프로그램
1
0.12
자녀가관심사를부모가찾아주는/특기발견/끼발휘/꿈을키우는등
4
0.50
전 체
33
4.11
11
1.37
인문학에 대한 이해와 체험 문학/역사 문학관련(시낭송,시창작/글쓰기/책,신문만들기,도서관탐방) /문화 문화예술감상을기반으로한토론/책을읽고토론
5
0.62
6
0.75
6
0.75
전통을기반으로현대문화와접목/문화기행/지역대표문화관련
4
0.50
전 체
32
3.99
3
0.37
2
0.25
역사강의및체험(박물관이나유물을통한체험등)
만화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프로그램 애니메이 션/웹툰 미술관련애니메이션/웹툰프로그램 미술/ 디자인 공예
미술 창작 및 감상 프로그램
15
1.87
미술조형물창작/친환경적공작프로그램/디자인관련체험
3
0.37
점토ᐧ흙으로작품/도자기만들기
4
0.50
공예/모형예술
2
0.25
29
3.62
자신감/자존감을높일수있는프로그램
전 체
9
1.12
사회성/자 자녀의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 신감,자존 타인 존중 배려 중심의 사회성 강화 프로그램 감 폭 넓은 사고를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
4
0.50
3
0.37
심리/치료
1
0.12
책임감/독립성/사회적응력을심어줄수있는프로그램
3
0.37
감정 표출 프로그램
1
0.12
심리치료/심리학관련/정신건강/상담프로그램
4
0.50
25
3.12
전 체
체육/ 스포츠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10
1.25
체육/운동
4
0.50
스포츠 관련 프로그램
3
0.37
창작춤발표회/춤,방송
2
0.25
행동표현/몸으로느끼는/뛰어놀수있는/어드벤처등 전체 창의력을 발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창의/상상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지역 특색과 연계 된 창의적 프로그램 전 체 사진
0.50 2.87
16
2.00
3
0.37
1
0.12
20
2.49
사진 출사 학습
1
0.12
영상/영화관련프로그램
5
0.62
8
1.00
영화/영상/ 영화 감상 및 제작프로그램 미디어 뮤직비디오제작/영화산업및만화사업체험/미디어아트체험등
4
0.50
18
2.24
공연 프로그램
7
0.87
연극 프로그램
7
0.87
전 체 연극/연기
4 23
23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구 분
내 용
빈도 수
(%)
14
1.75
여행 프로그램
10
1.25
기차 여행하며 기차 안에서 이루어지는 캠프
1
0.12
전 체 여행
전 체
11
1.37
4
0.50
3
0.37
7
0.87
426
53.12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68
8.48
가족과함께하는체험프로그램(진로체험/1박2일/아빠와놀이체험)
43
5.36
가족의화합과친목(역할놀이/아빠와소통)을우선시하는프로그램
39
4.86
가족과함께여행(기차/캠핑/주말)할수있는프로그램
25
3.12
가족과함께하는음악(뮤지컬,악단만들기,합창,악기배우기)프로그램
15
1.87
가족과함께하는미술/만들기(함께살고싶은집,동화책)활동
9
1.12
가족과함께하는연극/영화창작(드라마,콩트)및감상
15
1.87
가족이함께하는댄스/요리/체육/독서/장애아동과함께하는/아빠와국토순 례/별자리체험/자녀와토론/아빠와건축놀이/
15
1.87
가족과 함께 미술관 연계ᐧ박물관 견학 프로그램
5
0.62
가족과함께하는힐링,치료(놀이,심리),고민상담프로그램
4
0.50
238
29.68
청소년/고등학생들을위한프로그램(문화체험)
3
0.37
유명인/예술가/외국인과함께하는프로그램
4
0.50
다양한사람들/다양한연령층/소수인원이참여/또래프로그램
6
0.75
13
1.62
251
31.30
없다
49
6.11
모름
30
3.74
자유로운분위기/시간여유가많은/상설/자발적/2~3일프로그램
17
2.12
접근성용이/지방에서도참여가능/
9
1.12
프로그램의지속성/내용과질이좋아야함
3
0.37
강사의전문적/적극성/아이이해도가높아야함
5
0.62
전문성과즐길거리어우러짐/이해하기쉬운/미래지향적인사고력증진/차별 성/감성적/성향에맞는심화/성장발육에도움되는프로그렘
12
1.50
기타 총합
125
15.59
학부모 총합
802
100.00
통합,융합, 복합적인예술(음악과무용/미술과음악/연극과영화)프로그램 복합 과학과문화예술융합(최신기술과연계/창작성과IT의결합) 전 체 분야 총합
가족
대상
전 체
기타
전 체 대상 총합
기타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35
□ 청소년 청소년이 바라는 문화예술교육은 ‘재미있는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면 좋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 이 조사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Ⅲ-107> 청소년이 바라는 문화예술교육 (단위 : 수, %) 구 분
내용 진로 탐색 프로그램 진로 꿈/진로관련프로그램(특기찾기,적성에맞는진로찾기) 직업교육/체험(문화예술직종취업에도움이되는)프로그램 전 체 연극/연기프로그램 연극/연기 공연 프로그램 전 체 스포츠 댄스
체험
놀이 분야
재미/흥미
창의/상상
문학/역사 /문화
만화/웹툰 미술/도예 디자인 건축
빈도 수 22 8 5 35 7 2 9
(%) 4.10 1.49 0.93 6.53 1.31 0.37 1.68
체육/운동
4
0.75
다양한신체활동/활동적인프로그램
5
0.93
춤/방송댄스/힙합/무용등프로그램 미니올림픽/태권도프로그램 전 체 다양한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 만들기체험/과학체험 참가자들이서로배려하는체험 전 체 놀이 중심으로 재미있는 프로그램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놀이 활동 프로그램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재미있는 프로그램 아이들이 문화예술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 전 체 창의력/상상력을발휘할수있는프로그램 지역 특색과 연계 된 창의적 프로그램 전 체 다문화이해/다른나라의문화를공유할수있는프로그램 문화예술 감상을 기반으로 한 토론회 문화기행/문화를알려주는프로그램 책의저자를초청하여강연/책읽고토론프로그램 문학기행/인문학의이해/ 문학관련창작(청소년작가)프로그램 전 체 만화애니메이션/웹툰과관련된프로그램 미술그리기/감상하기프로그램 도자기/컵만들기 컵 만들기 디자인(시각디자인)관련체험 포토샵/웹디자인/컴퓨터그래픽프로그램 건축
8 2 19 15 5 1 21 5 4 68 4 81 8 1 9 4 1 2 5 1 2 15 13 6 2 1 3 3 2
1.49 0.37 3.54 2.80 0.93 0.19 3.92 0.93 0.75 12.69 0.75 15.11 1.49 0.19 1.68 0.75 0.19 0.37 0.93 0.19 0.37 2.80 2.43 1.12 0.37 0.19 0.56 0.56 0.37
30
5.60
전 체
23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구 분
내용 음악감상/공연/체험(오케스트라,콘서트,밴드)프로그램 뮤지컬/대중가요/랩/프로그램 음악 노래/악기(전통악기)/작곡배우기프로그램 음악 치유 전 체 사진 사진 출사 학습 영상/영화 영상/영화/미디어관련프로그램 /미디어 영화감상/제작/평론프로그램 전 체 요리 프로그램 요리 베이킹강좌/양식강좌
기타
빈도 수 15 13 8 1 37 5 7 3 15 4
(%) 2.80 2.43 1.49 0.19 6.90 0.93 1.31 0.56 2.80 0.75
2
0.37
6 18 8 3 6
1.12 3.36 1.49 0.56 1.12
35
6.53
분야 총합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족과함께여행/힐링할수있는프로그램 가족과함께하는체험/침목/게임/음악/연극관람프로그램 가족과함께하는신체활동/요가프로그램 전 체 친구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312 7 3 5 1 16 6
58.21 1.31 0.56 0.93 0.19 2.99 1.12
다양한사람/다양한연령(대학생)/유명인/동물도참여할수있는프로그램
16
2.99
청소년을위한/청년창업프로그램 전 체 대상 총합 모름 없다 자유로운분위기/생활에서함께할수있는/프로그램
6 28 44 79 52 19
1.12 5.22 8.21 14.74 9.70 3.54
친목을쌓을수있는/참여자들과소통할수있는/참여자수준에맞는/전문성과 즐길거리가어우러진프로그램
6
1.12
상설/학교동아리/관람/시각적인즐거움이있는프로그램
5
0.93
프로그램질/교육적인시스템으로구성된/차별적인/너무심화되지않은/형 식적이지않은/교육정책때문에경험해보지못하는프로그램
10
1.87
6
1.12
전 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를 접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자동차/컴퓨터/전문적인편집/게임관련프로그램 정치관련교육/성교육/오감교육/스마트폰교육프로그램 자유예술/현대예술/예술치유/심리학/힐링/뜨개질프로그램 전 체
가족
대상 기타
기타
프로그램참여율을높일수있는방법강구/사람들의의견이반영되면좋겠음/ 공부가전부가아니라는것을알려주었으면함 프로그램홍보가부족/교육청과연계하여운영/장소의용이성
3
0.56
기타 총합
180
33.58
청소년 총합
536
100.00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37
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의 성과는 다음과 같 이 정리될 수 있다. <표 Ⅲ-108>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직업운영사업 중 특별프로그램 제외) 구분
공간기반 프로그램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세부 사업명
프로그램 수 (단위:개)
예산 (단위: 억원)
수혜자 수 (단위: 명)
ㅇ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기획사업 포함)
24
4.1
2,015
ㅇ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1
5.4
3,260
ㅇ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22
8.0
999
ㅇ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26
6.16
1,638
ㅇ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신규기획)
16
1.84
320
ㅇ 건축문화 프로그램
29
2.8
540
ㅇ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10
4.75
515
ㅇ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6
2.22
360
19
5.0
840
ㅇ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5
3.0
100
ㅇ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9
5.5
590
ㅇ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ㅇ 아리랑 프로그램
10
2.2
430
소 계
207
50.97
11,607
1) 문화예술교육 대상의 확대 □ 소외계층이 아닌 일반적인 학령기 아동․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사업은 크게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 되어있는데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주로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이 루어져, 일반 아동․청소년과 그들의 가족들이 학교 밖에서 수준 높은 문화예술교육을 받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소외계층이 아닌 일반 학령기 아동을 주요 대상으로 한 사업으로, 신청자격의 제한이 거의 없어 누구나 문화예술교육에 접할 수 있는 접근성 확대에 기여해 왔다.
프로그램을 하기 전까지 문화예술이라는 건 시도하려고도 안했고, 어렵고 멀게 만 느껴졌었거든요. 그런데 이 프로그램은 신청자격조건이 까다롭기보다 약간 의 관심만 있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니까. 그런 점이 좋다고 생각해요. (참 여청소년) 23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아이가 문화 활동을 많이 즐겨야 할 시기인데, 부모입장에서 아이에게 못해주 는 것을 프로그램에서 충족시켜주니까 좋았어요. (참여가족)
누구나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잖아요. 토요일에 문화예술이라는 걸 다양한 예술활동으로 체험할 수 있으니까 아이들도 재미있어하고, 부모님들 도 긍정적으로 생각하시죠. (강사)
□ 아동․청소년의 가족까지 아우르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또한 일반 학령기 아동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족까지 모두 아우르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친 구/또래 간 관계개선 뿐 아니라, 가족관계 개선, 세대 간 관계 개선 아울러 지역공동체 형성까 지 이룰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참여해 보니 오페라에 대해 쉽게 알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친구들을 사귀고 친해지는 것도 좋았어요. (참여청소년)
활동을 매개로 삼아 자녀와 집에서도 소통할 수 있어요. 같이 노래도 하고 즐겁게 활동하는 게 많아져요. 제가 활동을 즐기니까 아이도 함께 즐기는 것 같아요. (참 여가족)
아이가 다녀오면 활동한 이야기를 해요. “엄마, 오늘은 책을 만들었어. 근데 그냥 책이 아니고 내가 이야기를 만드는 거야. 이야기를 다 못썼는데 뒷이야기를 들려 줄게.”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둘째아이가 좀 달라진 것 같아서 기대가 되네요. (학부모)
선생님들이 적극적인 태도로 학생들과 더 친해지고 이를 통해 오페라를 배우는 것도 있지만 인간적인 관계를 배우고 상호작용하는 것의 변화를 볼 수 있었어 요 (강사)
주말이란 시간은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어서 좋아요. 신청은 초등학생 2학년 아이만 했다가도 엄마, 아빠, 오빠까지 모두 나와서 가족 나들이를 하기도 하고 멀리서 오신 분들은 근처 다른 곳도 둘러보고 가실 수 있죠. (강사)
그림을 그리면서 가족끼리 서로 좋아했던 것을 알게 돼요. 예를 들면, 각자의 섬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39
을 그려보는 시간에 아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거나 아이의 마 음이 답답했던 것, 억눌렸던 것이 표현되어 부모님이 알게 되는 경우가 있었어요. 가족과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거죠. (강사)
2) 문화예술교육 범주(스펙트럼)의 확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체험 중심 프로그램, 예술가와의 협업 시도, 놀이와 예술의 결합, 다른 곳에서 시도하기 어려운 혁신적․실험적 프로그램의 시도, 문화예술분야의 적성과 진 로를 탐색해보는 프로그램 등과 같이 내용, 형태, 수준에 있어 다양한 모습을 통해 기존 문화예 술교육의 범주(스펙트럼)을 크게 확대한 것으로 평가된다.
□ 체험 중심 프로그램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단순히 감상이나 이론, 지식을 전수하고 전달하는 것이 아니 라 참여자가 직접 보고, 듣고, 만들고, 발표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한 체험중심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평소 배우던 방식이 아니고 직접 경험할 수 있어서 나를 더 잘 표현할 수 있었어요. 오랫동안 꾸준히 하고 싶어요. (참여아동)
감수성과 자연을 보는 눈을 키우고,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는 놀이 형태 등 지 적인 면보다는 오감으로 느끼게 해주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 록 하는 점이 마음에 들어요. (학부모)
이 수업은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닌 정서적인 성향, 사람들과 함께하면서 느끼 는 즐거움, 나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알려줘요. 이런 것들이 많이 필요한 시 대에 살고 있는 데 이런 점을 만져주고 있어서 고마운 프로그램이에요. (학부모)
□ 내용, 형태, 수준에 있어서의 다양성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놀이와 예술을 결합한 프로그램부터 소통과 공감을 이 끌어 낼 수 있는 프로그램, 기존에 시도되지 못했던 혁신적인 프로그램, 청소년들이 자신의 진 로를 경험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까지 그 내용과 형태, 수준에 있어서 다양하다. 이러한 점은
24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다양한 참여자의 수요에 맞춰 기획ᐧ운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각각의 예시이다.
○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한 예술기반 체험 프로그램
가까이에서 예술가를 만날 수 있으니까 신기해요. 선생님의 독특한 생각을 엿 볼 수도 있고 대화하며 제 생각도 나눌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요. (참 여청소년)
제가 예술가이다 보니 선생님들이 아이들에게 줄 수 없는 편안함이 있다고 생 각해요. 그리고 필드에 곧바로 투입되었기 때문에 학원이나 학교에서 받을 수 있는 교육 분위기를 줄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어요. 구속되어있는 항목에서 벗 어나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자 여타 프로그램과의 차이점이에요 (참 여예술가)
예술가들은 자기 작업을 하기 위해서 특별히 관심 있는 영역, 예술에 대한 태도, 삶에 대한 태도 등에 확고한 철학이 있어 그 부분을 아이들한테 고민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질문을 던져줄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어요 (참여예술가)
○ 놀이와 예술의 결합 프로그램
꿈다락은 놀 수 있어서 좋아요. 친구들이랑 놀기도 하고, 만들기도 하고, 그리 기도 하고, 생각나는 걸 쓸 수도 있고, 그걸 친구들이랑 또 이야기도 하고 그 래요. (참여아동)
학생들이 역사적으로 접근하되, 지식을 습득하고 정확하게 아는 것이 아니라 예술 활동을 통해 스며들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 방식(디자인, 스카프 만들기, 놀이, 염색, 미술, 가방 만들기, 컵타 등)을 제공하고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 록 기획 했어요 (강사)
책 중심이지만 예술이 포함된,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게 차별성 이라고 생각해요. 딱딱한 글쓰기가 아닌, 기존의 도서관에서 생각하지 못한 발 상의 전환이 되는 프로그램이에요.(강사)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41
○ 소통 및 공감 중심 프로그램
제가 혼자 있으면 선생님께서 오셔서 같이 참여하자고 말씀하세요. 처음에는 친구들이랑 어색했는데 같이 놀면서 이야기해보니까 지금은 많이 친해졌고, 선 생님도 계속 신경 써주시고 제 이야기를 들어주는 친구들이 있어서 좋아요. (참여아동)
아이와 엄마가 함께하는,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이 되는 모습을 보면서 아이에게 ‘그렇게 해봐, 네가 하고 싶은 대로 해’라고 했을 때 엄마가 이해할 수 없었던 아 이의 행동을 이해하게 되고 아이의 반응을 통해 저 자신도 힐링이 되어 좋았어요. (학부모)
폭력적이고 자극적인 것에 길들여져 있는 친구들이 가끔 있는데 그런 아이들은 자기 제어가 약하고 소통이 힘들어요. 그러다보니 주변 친구들을 괴롭히고, 아 이들이 싫어하죠. 그럼 그 아이는 소외되어 생활을 해요. 제가 그 아이에게 ‘친 구들이 싫다고 하는데 계속하는 것은 폭력’이라고 이야기해주고, 생각을 교환 하도록 친구를 만들어서 소통하도록 해요. 그렇게 13주 동안 섞이면서 융화가 되기도 하고, 자신감이 많이 생기고 통제력이 생겨요. (강사)
○ 혁신적․실험적 프로그램의 시도
창작적인표현,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는 것은 다른 프로그램과 비슷하지만 보존 이 가능한 결과물인 악보, 유투브 영상, 작품집이 있어요. 이 결과물은 당시에 자신이 한 생각, 급변하는 생감들을 알 수 있고 보존할 수 있다는 것이 좋은 점인 것 같아요. 특히 꼬마 작곡가는 이론을 배우지 않고 작곡을 배우는 곳은 어디에도 없을 텐데 전공을 하지 않고 작곡을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에요 (강사)
처음에는 가능할까 라는 생각은 했었어요. 음표, 리듬, 계이름 아무것도 가르치 지 말라고 해서 걱정이 되었는데 아이들이 여러 가지 소리를 요청해서 듣고, 자신만의 기호도 써서 표현했어요. 과연 음표도 없이 작곡을 할 수 있을까 했 는데, 가능했죠. 음표는 없어도 하는 것 보면 놀라웠어요 (강사)
24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버려지는 자원들을 재가공, ‘업사이클링’하는 것을 통해 학생들이 에코디자인을 배우면서 환경적인 것 등을 감안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배울 수 있었으면 했어요. 환경교육을 진행하는 곳은 많지 않은데 다른 프로그램들에 비해 실용 적이라고 생각해요. (운영단체)
어디에서도 경험할 수 없는 여행을 만들어 보자고 했어요. 다른 여행과는 달리 그림을 그리는 여행 컨셉이 가장 기억에 남았다고 생각해요 (참여예술가)
○ 진로체험, 재능과 적성의 발견
민요를 배우기 전에는 그냥 (노래를)부른다 정도였는데 배우고 나서보니 잘한 다는 것을 알았고, 이쪽으로 진로를 잡았어요(참여아동)
알만한 것이 아닌 생소한 진로를 체험해보고 싶어요. 에코디자인의 경우에는 사 회시간에 배워서 생소하지는 않았지만 직접 해보니까 좋았어요. (참여청소년)
꿈에 한 발짝 다가가는 활동이라고 생각해요. 올 때마다 설레고, 전문가 분들 이 오셔서 강의해주시니까 배우는 것도 많아요. (참여청소년)
학생의 그림을 보고 강사들이 잘 그린다고 칭찬해주면서 자신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줘요. 적성 발견해서 칭찬해주면 스스로 발전할 수 있 는 가능성을 만들어 주는 것이 변화인 것 같아요 (강사)
□ 자유와 여지를 주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대부분의 교육은 정답을 강요하고 맞다 틀리다를 이야기하는데 문화예술교육 역시 아이들이 마음껏 자신이 원하는 것을 상상하고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아보기 드문 것 또한 문화 예술교육의 현실이다. 그러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가 여타 교육 프로그램과는 다른 점은 프로그 램의 목표가 프로그램 활동의 결과물보다는 과정의 가치를 지향하고, 성공보다는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도록 실패해도 괜찮다는 것을 배우고, 실패의 경험을 딛고 일어날 수 있는 힘을 길러주 는 것이라는 점이다.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참여자 및 참여단체 담당자ᐧ강사들을 이러한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선생님께서 정답이 없으니까 마음대로 표현해보라고 하셔서 제가 해보고 싶은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43
대로 만들어봤는데 저한테 상상력이 풍부하다고 칭찬해주셨어요. (참여아동)
여타 다른 문화예술사업과 다르다고 느꼈던 것은 결과물을 반드시 도출하기 보 다는 만나는 과정, 프로젝트 전체를 운영해가는 과정을 두고 아이들의 삶에 대 한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합의가 가능 했어요 (참여예술가)
기획할 때 주안점은 실패하더라도 두려워하지 않고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성 공했을 때 또 다른 행복과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에요. 설 문지를 보면 “잘 못해도 재미있었고, 이게 미술인가 싶었는데 너무 좋았다” 는 이야기가 많아요. (운영단체)
또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즐길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기존의 계획된 수업계획서의 흐름을 따라가지 않아도 자신이 자유롭게 생각한 것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스 스로 선택해 나가며 제안할 수 있다는 차별성을 갖고 있다.
그림만 그리는 줄 알았는데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고 다양 한 것을 접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참여아동)
다른 수업에서는 선생님 말씀대로 해야 하는데, 여기에서는 선생님 말씀도 듣 지만 꾸미는 활동 같은 건 제 마음대로 할 수 있어서 좋아요. (참여아동)
초반에는 이렇게 하면 되요? 이거 다 한 것 맞나요? 이제 그만해도 되요? 라는 말을 하면서 확인을 받고 싶어 하고, 자신의 감정에 대해서도 확인을 받고 싶 어 했어요. 어느 날 어떤 친구가 “평소보다 조금 덜 했어요, 오늘은 이 정도에 만족해요. 그만 할래요” 라고 스스로 말했죠. 이런 미묘한 변화들을 매주에 걸 쳐서 느끼고 있어요. (참여예술가)
□ 문화예술에 대한 친숙함 제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문화예술에 대한 친숙도를 높여 일상에 스며드는 문화예술교육 프로 그램으로 자리매김에 힘쓰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이 단순히 교육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향후 문화여가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일상의 사물이나 소재를 재료로써 활용한 프로그램이 나 평소 다가가기 어려웠던 클래식 음악을 그리기, 만들기, 이야기하기 등 친숙하고 배우기 쉬 운 예술활동을 통해 쉽고 가깝게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제공함으로서 스스로 문화예술을 24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즐길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미술 시간은 수업시간에만 있거나 학원에 다녀야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주변에 있는 것들로도 미술을 할 수 있다는 걸 알았어요. 평소에도 자주 할 거예요. (참여아동)
실생활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미술을 하니까 생활과 미술이 가깝게 느껴지 고 사고를 넓힐 수 있는 것 같아요.(강사)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어렸을 때부터 어려운 클래식이나 오페라 음악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였고. 어렵고 체계적인 접근보다 글로 적고 그 림 그리고, 만들기 등 간접적 경험을 중심으로 구성했어요 (운영단체)
어떤 것을 감상할 때 작가의 의도나 설명보다는 아이들이 스스로 느끼는 것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으로, 아이들은 미술관을 친숙하게 느끼고 작품 이나 공간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는 시도이죠. (협회관계자)
또한 여가 속에서 즐겁고 재미있는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프로그램 내 강사는 학생과 수평 적 관계를 유지하며 참여자들이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친숙한 접근으로 다가간다. 이러한 강사 의 친숙한 접근은 돕는 조력자로서 강사와 학생 간 또래 간 등의 관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친근하게 접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문화예술을 통해 배우는 것도 흥미로웠고, 대학교 주변이라 음식점도 많고 재 미있는 것이 많아 좋았지만 선생님들이 친근하게 대해주신 것이 가장 좋았어 요. (참여청소년)
선생님이라는 벽이 존재하는데 누나 언니처럼 대해줘서 좋았어요(참여가족)
항상 긍정적인 코멘트를 전달하고 나은 방향으로 제안하되 자신감을 심어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태도예요. 선생님 보다는 재미있고 즐거운 여행의 동반자로서 평가하거나 가르치려고 하지 않아요. (강사)
아이들이 자유롭게 졸 수 있는 곳을 제공해주고 선생님은 같이 놀 수 있도록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45
돕는 조력자로 학습이 아닌 참여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요 (강사)
선생님과 학생 관계에서 수직적이기 보다는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한다는 점이 다른 프로그램이랑 좀 다른 것 같아요 (참여예술가)
□ 여가활동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여가활동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뿐만 아니라 주말 여가활동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을 즐기고,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향후 에도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여가활동을 위한 문화예술 교육으로 발돋움 하 는데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작곡을 해보니 지휘도 해보고 싶고, 바이올린도 배워보고 싶어요. (참여아동)
1박 2일 동안 다른 가족과 함께하는 것에 부담이 있었는데 아이들과 함께 그 림 그리다보니 재미있었고, 아이들이 자신감을 얻게 된 것이 가장 좋았어요. 집에서는 물감을 잘 안 주었었는데 앞으로는 집에서도
할 수 있는 시간을 많
이 만들어 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참여가족)
작년부터 올해까지 400권정도 읽었는데 프로그램을 참여한 최근 두 달 동안 100권을 넘게 읽었죠. 지금까지 읽은 것보다 최근 들어 더 많이 읽었는데, 아 무래도 프로그램을 통해 자극을 받고 관심이 많이 생긴 것 같아요. (학부모)
3) 문화예술교육 공간의 확대 : 문화예술 거점공간의 발굴 및 형성 □ 지역 문화시설의 발굴 및 활용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학교 밖’이라는 새로운 교육공간을 기반으로 운영하고자하는 사업의 방향성에 따라 사립시설공간이 아닌 지역의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국공립시설, 문화의집 등과 연계하여 학교나 일상공간에서는 느끼지 못했던 예술적 아우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고, 문화 예술과 더욱 친숙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꿈다락은 학교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좋아요. 아무래도 학교는 공간이 주는 익 숙함이나 학교 안의 유대관계로 인한 조심스러운 부분 때문에 아이들의 상상력 을 키우거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요. (강사)
24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한옥도 있고 마당에서 줄넘기하며 놀 수도 있어서 참여자분들이 이 공간 자체 를 많이 좋아하세요. (운영단체)
숲을 배경으로 산이 있고 공기도 좋아 숲속도서관으로 테마를 잡았고, 자연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되었어요. (강사)
□ 지역 문화예술 거점공간의 형성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공간이 단순히 매주 토요일이라는 제한된 시간에만 진행되는 토요 문화학교수업 참여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 내의 중요한 문화예술 거점공간이 될 수 있 도록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거점공간화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지역 내에) 워낙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없었는데 토요일에 수업에 참여하 면서 친구와 사귀고, 엄마아빠끼리도 오며가며 같이 이야기도 나누시다 보니 이곳이 만남의 장소가 되었어요. (참여아동)
□ 지역 커뮤니티 공간의 형성 또한 아동, 청소년, 가족 등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토요문화학교 공간 이 단순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에서 더불어 지역의 커뮤니티 공간의 형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 커뮤니티 공간 형성에 이바지하였다.
예전엔 지나만 다니고 들어가볼 생각을 못했었는데, 매주 토요문화학교에 다니 다 보니, 이제는 토요일이 아니어도 자주 와서 책도 읽고, 다른 엄마 아빠하고 도 이야기도 나누게 됐어요 (참여아동)
4) 밀도 높고 수준 높은 주말문화 프로그램으로 브랜드 가치 구축 □ 다회차의 연속적 운영을 통한 밀도 높은 프로그램으로 교육효과 및 참여자 만족도 제고 타 부처에서 진행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1회성의 단발적 성격을 가지는 데 비 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대부분 4~15회 차에 이르기까지 긴 호흡으로 운영되는 연속적 으로 프로그램 구성되어 보다 밀도 높고 수준 높은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 해 참여자의 교육적 효과와 참여자의 만족도 또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47
일반 프로그램은 일회성인 반면 본 프로그램은 연속성이라는 점이 운영이나 기 획에서 어렵기도 하지만 장점이기도 해요. 시간 맞추는 것에 급급하지 않고 체 계적으로 진행하여 담고 싶은 내용을 다 전달하고 여유롭게 표현하게끔 할 수 있어요. (운영단체)
연속성 있는 프로그램이다 보니 차수가 진행되면서 아이들의 변화도 점차적으 로 눈에 보이고 기수별로 서로 연대가 생겨 결석하면 챙겨주기도 하는 끈끈함 이 생겼어요(강사)
□ 정보력이 큰 학부모 사이에서 선호도가 높은 인기 있는 주말문화 프로그램으로 브랜드 가 치 확보 또한 이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참여해 본 참여자들의 경우,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 로 인해 반복적으로 다시 참여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평판이 입소문을 타고 특히 정 보력이 큰 학부모 사이에서 선호도가 높은 인기 있는 주말문화 프로그램의 브랜드 가치를 확보 하게 되었다.
프로그램 정보는 대개 지인 소개나 어플을 통해 알게 되는데, 대부분 아는 엄 마들을 통해 알게 돼요. SNS나 카카오톡은 수시로 접하기 쉬워서 이런 것을 통해 보는 것이 좋고, 카카오스토리가 좋은 것 같아요.(학부모)
전문인력 확보로 전문 강사의 체계적인 교육으로 학부모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 시켜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하므로 참여자의 높은 신뢰도 및 만족도 제고에 이바지 할 수 있었다.
관심이 많았던 분야였는데 전문가 선생님께서 가르쳐주셔서 더 열심히 배우고 있어요. 어떤 분야이던지 저 같은 학생들이 전문가를 만나기는 어렵잖아요. 좋 은 기회라고 생각해요. (참여청소년)
사실 전문적인 선생님들이 지도해주시는 거잖아요. 아무래도 그런 부분 덕분에 프로그램에 더 신뢰가 가고, 아이한테 수업했던 내용을 들어보면 굉장히 체계 적인 것 같아요. (학부모)
24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학령기 아동ᐧ청소년의 지적영역의 향상뿐만 아니라 감성적으로 긍정적인 영향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주목할 만한 변화로는 특히 정서적ᐧ정신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래 및 가족 간의 예술체험 활동을 통해 육체적 접촉과 친 밀도가 증가하면서 정서적으로 안정됨과 동시에 자신감이 커지고 높은 성취감으로 인해 본인 스스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탐구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되었다.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게 부끄러워서 얼굴이 빨개졌었는데, 요즘엔 조금 괜찮 아요. 제가 만든 걸 발표할 때 선생님이 잘했다고 칭찬해주시니까 더 자신 있 게 말하게 돼요. 여기서 친구들도 많이 사귀었어요. (참여아동)
아이 둘만 서로 놀았는데 아리랑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랑 같이 놀 기 회도 되고 친구들도 많이 만나니 성격도 많이 밝아지고 사회성도 길러지는 것 같아요 (학부모)
이 수업은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니 정서적인 것, 사람들과 같이 하면서 느끼 는 즐거움, 나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만져주는 고마운 프로그램이에요. 이런 것은 집에서 하기 정말 힘들거든요. 꾸준히 배우고 싶어요. (학부모)
처음에는 목소리도 작고 발표를 잘 못했는데 나중에는 발표도 잘하고 자신감이 생긴 것 같더라구요 (강사)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통한 꿈다락 세대의 발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이 5년차에 접어들면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고등학생이 대학생이 되어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의 보조강사나 자원봉사자로 활동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가령 건축문화 프로그램의 경우 수업을 들었던 고등학생이 프로그램 활동을 통 해 자신의 재능과 흥미를 발견하고 건축학과로 진학했고, 현재 건축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졸업생 대다수는 보조강사로 지원하였다.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화분 같아요. 아무 씨를 심어서 매주 물을 줬더니 생 각지도 못한 꽃이 피는 느낌이 항상 들어요. 고등부 학생들이 건축학과로 진학 하기도 하고, 보조강사의 절반이 건축학교 출신이에요. 보조강사 하고 싶다며 찾아오는 학생들도 많고요. (운영단체)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49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한계 1) 사업구조 및 체계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차별적 정체성 및 구조적․체계적 정합성 미흡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으로 추진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크게 ‘공간 기반 프로그램 지원’과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지원’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분은 꿈다 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과 차별성, 지향점과 목표를 드러내주지 못하며, 각 카테고리에 속해있는 단위사업 프로그램의 특성을 보여주는 단일 차원의 기준이라고 보기 어렵 다는 한계를 가진다. 단위사업 사업명칭 또한 장르적 특성이나 교육장소를 특정짓는 것 이외에 해당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특징을 보여주는 데에는 다소 취약한 형태를 띠고 있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전체로서의 가치 및 목표 공유가 이루어지기보다는 ‘개별 단위 사업(프로그램)’ 중심으로 기획, 실행, 평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에 포함된 개별 단위 사업(프로그램)들이 특정한 지향점이나 목표에 따라 체계화되지 않음에 따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전체로서의 가치 및 목표 공유 가 이루어지기보다는 ‘개별 단위 사업(프로그램)’ 중심으로 기획, 실행,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게다가 단위사업별로 전달체계, 운영방식이 상이63)하여 사업 관리 및 운영에 있어 복 잡성과 사업관계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즉 각각의 개성이 강한 단위사업으로서의 브랜드는 구축되었으나 각 단위사업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이라는 큰 범주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인식은 미약하다는 것이 한계로 제기된다.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집행업무 과중으로 통합적 전략기획 및 성과관리에 어려움 노정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이외에도 문화체육관광부 기 획사업,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연계를 통해 진행되는 지역연계 사업의 3원화된 체 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직접 운영하는 기획사업이 12개에 달 하다보니 진흥원 기획사업의 각 단위사업 집행에 소요되는 시간과 자원이 많을 수밖에 없고, 이 63) 가령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의 경우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운영되고, 미술관 연계와 박물관 연계 프로그 램, 건축문화프로그램의 경우 협회를 통한 협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일부 사업은 단체가 직접 강사를 섭외하 고, 일부는 강사를 파견 받는 구조(작은도서관 기획사업)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어 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은 운영대행사를 통한 위탁사업 구조에 예술가를 활용하는 사업의 형태를 띄 고 있고, 미술관 연계,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은 컨설팅 및 워크숍 기회가 제공되는 반면, 일부 사업은 그렇 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5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에 따라 전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통합적 전략기획이나 중장기 비전의 제시, 성과 관리를 위한 지원 등에 어려움이 노정되고 있다.
2) 대상 □ 특정집단에 의한 중복 수혜 문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 저조하고, 통합홍보보다는 운영단체의 개별 적 홍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에 따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이미 참여해본 이들을 중심으로, 혹은 정보력이 좋은 특정그룹을 중심으로 중복수혜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초등학 생의 경우 자발적 선택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대부분 부모님이 권유를 통해 프로그램 참여가 이 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부모님의 정보력에 따라 프로그램 접근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프로 그램의 참여가 대부분 선착순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특정 소수가 프로그램 신청을 선점할 경우, 토요문화학교에 참여하고 싶어도 참여하지 못하는 이들이 다수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 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아는 사람들만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구조가 아쉬워요. 이번에 모집은 어머님 들 사이에서 아는 사람만 참여할 수 있는 것 같아요. 홍보가 잘 되어서 다양한 참여자들이 참여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학부모)
소문이 났고, 특히 젊은 어머님들이 좋아하셔서 새벽 5시부터 줄서서 기다려서 신청하셨어요. 홍보가 널리 되서 많은 사람들이 알고 누릴 수 있었으면 좋겠어 요 (운영단체)
프로그램을 이미 알고 있는 분들만 물밀 듯이 오시기 때문에 구청이나 초등학 교 등에 방문하기도 하고 홍보를 요청하였는데 계속 같은 문제들이 있어요. (운영단체)
엄마들 네트워크가 무서운데 선착순이라 인기 많은 프로그램은 금방 채워져요. 아이들의 여가활동이라고 말은 하지만 특수계층에 한정되어져 있어요. (자문위원)
현재 내부적으로 동일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속참여에는 일정한 제한을 두는 내부기준이 있으 나 다른 사업에 대한 연속참여, 중복참여에 대한 기준은 없으며, 이러한 기준이 사업관계자들 사이에서 공유되지 않고 있다는 점 또한 한계로 지적된다.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51
작년에 오는 친구들이 많이 오고, 작년에 참여한 친구들을 제한할 수 있는 방 법이 따로 없어서 다 수용하고 있어요 (운영단체)
□ 소외계층 모집에 애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프로그램 정원의 10%를 소외계층으로 모집할 것을 규정하고 있 다. 그러나 운영단체의 입장에서는 소외계층에 대한 별도의 모집에 어려움이 존재하며, 낙인효 과 등으로 소외계층 증빙서류의 요구 등에 곤란을 겪고 있다.
취약계층 모집이 가장 힘들어요. 특히 저희 지역은 비교적으로 잘 사는 지역이 기 때문에 모집이 힘든 것도 있고, 지역아동센터 등과의 연계해도 이미 센터에 서 토요일에 하는 프로그램이 있기 때문에 누구를 추천해 준다는 것이 애매한 거죠. 어렵게 모집이 되었다고 해도 5주 동안 초등학생의 경우 부모님이 데리 고 오시는데, 그 친구들의 꾸준한 참여도 어렵죠. 결석이 잦아지면 또래친구들 과 적응하는 것도 힘들고 또 그 아이들을 신경쓰다보면 다른 아이들을 역 차별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해요. (운영단체)
소외계층 10% 모집 시 서류가 있어야만 하는 것이 어려워요. 필요한 부분인 건 알지만 차상위대상의 증명 등에 대한 노력으로 다른 것에 신경을 못 쓰게 돼요. (협회담당자)
공공도서관은 영아기 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연령대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 하여야 하고 소외계층이 없도록 해야 되어서 꿈다락도 차상위 계층 위주로 최 소 10% 모집을 하고 있긴 한데 모집에 어려움이 있어요. (운영단체)
차상위 계층은 모집도 쉽지 않은데, 막상 모집되어도 맞벌이 가정이 많고 어머 니들의 관심도가 달라요. 혹은 아이는 오고 싶어 하는데 부모님이 바쁘셔서 오 지 못하는 아이들이 있어 안타깝기도 하고, 그래서 출석률도 낮은 편이에요. (강사)
아이들만 왔을 경우 물어보는 것이 쉽지 않아 일괄적으로 계층조사를 실시하여 문자를 통해 응답을 받아 파악했어요 (운영단체)
25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3) 교육방식․내용 □ 강사 중심의 프로그램 진행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의 기획과 진행에 있어 강사의 역할이 매우 큼에 따라 좋은 강 사가 진행할 때는 프로그램의 질과 이에 대한 참여자의 만족도도 매우 크나, 그렇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의 질과 만족도가 크게 저하되는 등 강사의 역량에 따른 프로그램의 질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아이들의 참여도 중요하지만 강사님들의 역량이 가장 중요해요. 강의경력이나 강의 준비도의 차이도 있고, 프로그램에서 전달하려고 하는 주제가 확고하신 분들과 그렇지 않은 분들의 차이도 있어요. 강사님께서 준비가 잘 안 되어있으 면 프로그램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고 아이들의 집중력도 흩어지거든요. (운 영단체)
한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타 사업에 비해 아이들의 자율성과 주도성을 이끌어내 는 수업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자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거나 감정을 표출 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힘든 점은 아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잘 말하지 않는 다는 점이예요. 기간 이 좀 더 길었다면 생각을 이야기하거나 대화를 깊게 나눌 수도 있을 것 같아 요. 하지만 학교에서도 생각을 묻는 수업이 없어서 대답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없어서 어려워하는 것 같아요 (강사)
어린이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에 대해 어린이가 주체가 되어야하는데, 현재는 예술강사가 주체가 되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아이들이 참여하는 형식으로… (중략)… 15주차로 꽉 짜여 있는 강사 주도형 프로그램 이외에 일정한 공간을 제공하고 특정 시간대에는 누구나 와서 자신이 하고 싶은 것들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그런 공간기반형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 같아요.(전문가)
□ 대중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프로그램 내용의 평이화,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의 차별성 미흡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일반적인 대중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에 맞추다 보니 타 사업의 프로그 램과의 차별성이 도드라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매주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꽉 짜여진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53
프로그램 중심의 교육으로 인해, 대상 및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운영의 유연성과 탄력성이 부 족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 ‘지역 연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과의 차별성에 대한 공유 부족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추진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기획사업과 광역 단위 지역문화예 술교육지원센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지역 연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간의 명확한 관계 설 정이나 역할 배분에 대한 공감대가 조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두 개 사업 간 내용적 차별성이 미흡한 경우가 발생하며, 참여자들 역시 자신이 참여한 프로그램이 어디에서 주관하고 있는 프 로그램인지, 어떠한 차이가 있는 것인지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 문화예술교육과의 연계 및 협력체계 미흡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경우 학교에서 진행되는 문화예술교육과 차별성을 갖기 위해 사업 초기부터 학교와의 적극적 연계를 의도적으로 기피하였는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대상 이 초․중․고등학생임에 따라 정보를 취득하는 채널이나 활동의 주요무대가 학교인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과학이나 수학, 역사 등과 같이 교과과목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문화예술교육 등에 대 한 수요도 커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교 연계 사업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자유학기제나 창의체험활동 등이 계속해서 생겨나기 때문에 지역의 문화시설들과 협업하고 콘텐츠를 찾아야하는 데, 거기에 미술관이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연계점을 찾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요. 학교가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부분이 있어서 미술 관이 홍보를 하러 가도 교육청을 통해서만 소통하려고 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학교 연계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으면 해요. (협회관계자)
4) 공간 □ 문화예술교육 공간의 자력 확보 조건이 진입장벽으로 작용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은 교육 공간을 단체가 자체적으로 확보할 것을 조건으로 하고 있는 데, 영세한 문화예술교육단체의 경우 자체공간이 없거나, 외부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 다는 점이 한계로 제기되고 있다.
25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학교 밖’ 개념의 엄격한 적용의 문제점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개념을 엄격하게 해석하여 수업 중의 일부라 하더라도 학교 내 공간의 활용이 원천적으로 금지되어 있어, 오히려 공간적 매력도나 접근성이 떨어지고 이동이 불편한 자체확보공간을 활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도 한계로 제시되었다.
학교에서 하지 못하는 규정이 있는데 건축은 건축가가 있는 대학교에서 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 건축물을 지어놓은 것, 선배들이 한 것을 보는 활동만으로 도 유익하고 기자재나 현직 교수님이 조언이나 여러 가지 편리성이 있죠. 현재 교육공간 시설은 임차비를 지불했는데 이 자체도 어려움이 많았어요 (협회관계자)
5) 운영 □ 토요일로 프로그램 운영 요일을 한정함에 따르는 어려움 발생 현재 토요문화학교 사업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기본적으로 토요일에 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예외적으로 전체 시수의 20%에 한하여 다른 요일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 다. 그러나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을 붙여서 집중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것을 요구하는 참여 자도 다수 있었으며, 토요일 오전/오후반으로 진행됨에 따라 매주 토요일마다 아침 일찍 일어나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는 참여자도 있어 보다 탄력적으로 요일이 나 시간을 운영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시간대가 더 다양하거나 일요일까지 했으면 좋겠어요.(참여청소년)
주말이 나아요. 사실 토요일보다 중·고등학교는 토요일에 제약을 많이 받으니 까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 일요일도 되었으면, 혹은 공휴일에도 운영할 수 있었으면 해요. (학부모)
또한 프로그램 운영 기간에 있어서도 한 번 수업 3시간으로 짧은 차시 운영, 한 번 수업 1시 간 내외로 긴 호흡의 수업운영 등 운영 시간의 신축성에 대한 수요가 발견되었다. 특히 학생의 경우 시험기간, 방학 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기간은 피해서 하면 좋겠어요. 아무래도 참여하기가 어려우니까요(비참여 자학생)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55
오히려 방학 때 집중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해요. 아이들 방학 때 할 일이 많이 없거든요(운영단체)
강사입장에서 생계에 따른 어려움도 있고, 아이들의 입장에서도 방학기간에 심 화과정으로 운영한다면 좋을 것 같아요(강사)
□ 1년 단위 공모사업 구조로 다년간 지속지원이 곤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기본적으로 1년 단위 공모사업의 구조를 띠고 있다. 이 경우 예 산의 축소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우수 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선정될 것이라는 보 장이 없어 운영단체의 입장에서 예측가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오케스트라 프로그램 과 같이 기본적인 수준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프로그램의 경우 단년도 사업으 로는 소기의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 사업 준비기간 부족 현재 운영단체의 선정 이후 사업이 시작되는 4월까지 약 한달간의 준비기간이 주어지는데,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자료 제작 및 강사의 섭외, 참여자 모집 등을 수행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다수 제기되었다.
기획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이라면 작년과 프로그램이 조금 달라져서 자료조 사 시간이 필요했는데 초반에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어요. (운영단체)
프로그램이 선정된 이후에 교재를 만들다보니 준비기간이 짧아서 초기에 선정 하는 시기가 빨라졌으면 좋겠어요. (강사)
□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 대한 워크숍 참여 기회 부족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차별되는 수준 높은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하기 위 해 다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사례에 대한 공유 워크숍이나, 기획개발 워크숍에 대한 수요가 높은데, 공식적인 워크숍 기회가 부족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또 한 담당자나 강사 등의 경우 다른 일을 겸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평일 낮 이외에 평일 저녁이나 저녁 시간대에도 워크숍이 개최되었으면 한다는 요구도 있었다.
25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지역끼리의 워크샵을 통해 다른 꿈다락 프로그램, 특히 박물관에서 하는 놀이 프로그램들을 많이 소개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요. (운영단체)
학예사나 박물관 실무자분들이 다양한 사례를 보고 싶다고 말씀하세요. 아이디 어도 많이 얻고 싶어 하시고. 도서관, 오케스트라 등 다 같이 모일 수 있는 장 이 열렸으면 해요. (협회관계자)
중간매체에서 교안이나 기획에 대한 것, 사업에 대한 색깔 등의 공유가 필요해 요. (강사)
아이들에게 필요한, 반응이 좋은 수업을 빠르게 배워서 흡수하고 가르치는 것 이 중요하니까 전체 워크숍이나 진흥원의 강의 등에 참여하고 싶어요. (강사)
한편 현장에서는 학부모에 대한 요구, 만족도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학부모나 교사가 원하는 교육은 대체로 결과물 중심이나 지적인 학습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현장 담 당자 및 강사 역시 사업의 취지와 맞지 않아도 수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학부모 및 참여자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철학, 방향성에 대한 가치를 공 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달라는 요구도 나타났다.
부모님들은 아이가 많이 배워서 왔으면 하고 집에 돌아올 때 결과물을 들고 오 는 걸 원하시죠. 꿈다락 사업은 그렇지 않은데, 이런 가치 차이를 해소시킬 수 있도록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자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워크숍을 하 거나 오픈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강사)
사실 체험위주의 활동을 하고 싶은데 학부모님들은 결과물이 있는 프로그램을 선호하시니 이를 많이 고려해요. 자유로운 수업을 하고 싶어요 (강사)
엄마와 같이 수업 할 때는 엄마가 옆에서 더 잘해 보이고 좋아 보이는 방향으 로 이끌 때가 많은데 이러한 수업은 꿈다락의 취지와 맞지 않다고 생각해요 (강사)
부모 입장에서는 아이를 보냈으니 배워왔으면 하는 바람이 있는데 꿈다락 사업 의 방향을 그렇지 않아서, 박물관이 추구해야하는 것과 꿈다락의 방향성의 차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57
이를 줄이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아요(협회관계자)
□ 저학년 아동의 경우 지원인력이 다수 필요 저학년 아동의 경우 주의가 산만하거나 집중력이 낮은 편인데, 여러 아동이 모였을 때 주의가 집중되지 않아 한 사람 한 사람 챙겨주지 못하고 한 강사가 여러 아동을 신경쓰다보니 손이 많 이 가므로 주 강사 이외에 지원해줄 수 있는 보조인력이 다수 필요하다는 요구도 제기되었다.
□ 내부 담당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 부족 및 외부 강사 중심의 프로그 램 운영 운영기관 내부인력에 대한 강사비 집행 불가로 인해 내부 직원의 경우 프로그램에 대한 투입 에 대한 보상(인건비)를 받을 수가 없어 프로그램 기획이나 참여에의 인센티브가 부족하며, 이 에 따라 인건비를 지급할 수 있는 외부강사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운영단체와 프 로그램간의 유기적 연계성과 단체의 책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현재 강사비나 기획자에 대한 보상이 어려운 상황으로 이렇게 되면 전문 인력 의 역량을 전부 발휘할 수 없는 상태가 될 거예요. 특히 내부 강사나 보조강사 에 대한 교통비만이라도 지급이 되면 좋겠어요.(운영단체)
외부 인력만 강사비 지급이 가능한 것에 대해 어려움이 있어요. 현장에서는 기 획과 운영을 하고 있고 박물관의 특수성, 전문성이 있는데 외부 강사로 수업을 진행하게 되면 아무래도 (내부인력과) 차이가 나요. 현장에서는 내부인력으로 운영하는 것이 더 나아요. (협회관계자)
강사료가 적은 것과 국고 보조사업에서 어쩔 수 없겠지만 내부인력 강사비에 대해 측정이 안 되어 있는 부분이 어려워요. 외부 강사 섭외가 어떤 미술관은 맞을 수도 있지만 어떤 곳은 안 맞을 수도 있어요. (협회관계자)
□ 무료수업 운영으로 인한 참가자 출석률 저조 책임의식 부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이 참가비가 없는 무료 프로그램으로 진행됨에 따라, 프로그램 의 가치를 평가절하하거나, 책임감의 결여로 수업 도중에 중도포기나 결석하는 사례가 다수 발 생하고 있어, 소액이라도 참여자가 자비를 부담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25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아이들의 마음가짐이 공짜라고 하면 책임의식이 없어지는 것 같아요 그래서 사 실 나중에 돈을 돌려주더라도 조금 받아서 수업료나 간식비, 재료비의 소중함 을 알았으면 해요. (운영단체)
출석관리가 잘 안되고 무료강의이다 보니 무단결석하는 분들도 많고 이런 분들 을 제재를 가할 방법이 없어요 (운영단체)
6) 홍보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지도 저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자의 경우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고 재참여의향도 높은 편 이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학부모의 18.9%만 이, 청소년의 15.2%만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여 아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지도 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비참여자 중 동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로 ‘꿈다락 토요문화학 교 프로그램을 몰라서’라고 응답한 이들은 학부모의 50%, 청소년의 35.5%로 나타났으며, 사업 에 참여한 이들 또한 본인이 참여한 프로그램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인지 혹은 ‘지역연계사업’인지 등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거나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에 대한 인지도 및 활용률 저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공식 홈페이지(http://www.toyo.or.kr)가 존재하나, 꿈다락 토요문화학 교 사업 참여자 중에서도 공식 홈페이지가 있는지를 모르는 경우도 많았으며, 이를 알고 있는 경우에도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에 대한 참여자 이용률은 9%~38%(학부모 37.9%, 아동 9.2%, 청소년 9.2%)에 불과한 것으로 보아 이용률도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는 지역/참여대상/분야/프로그램 기간에 따라 검색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프로그램 계획서도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시작시기 및 문의처만이 제시 되어 있을 뿐 운영단체 홈페이지 등으로의 링크 등도 되어 있지 않아 프로그램의 상세 내용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온오프믹스를 통해 프로그램을 신청했는데, 꿈다락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공지 는 볼 수 없었고 각각 찾아야 해서 홈페이지 찾기가 어려웠어요. (참여가족)
III.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성과 및 한계 분석 | 259
□ 통합홍보체계의 취약성과 운영단체의 자체적(개별) 홍보 의존으로 인한 폐쇄적 이용 현상 심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경우 토요문화학교 사업 홍보를 위한 전담팀이 구성되어 있지 않으 며, 홍보예산 역시 약 1억5천만 원 정도에 불과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전체에 대한 통 합홍보체계가 매우 취약하다. 즉 현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기획사업에 대한 홍보는 주로 운영 단체의 개별적 홍보에 의존하고 있어 개별단체의 홍보 역량에 따라 단체가 격차가 크게 나타나 고 있다. 운영단체의 경우 주로 단체 홈페이지, 카카오스토리, 맘까페 중심의 홍보매체를 이용하 기 때문에 특정그룹에 의한 폐쇄적인 이용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홍보방식만으로도 모집인원을 채우는 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더 이상 홍보채널을 확대할 유인이 없는 단체들도 있어 정보가 부족한 일반 계층의 접근 기회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 학교를 통한 홍보 미흡 사업의 주된 대상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임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에 대한 홍보를 통해 모집을 하고 있는 운영단체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 및 비참 여자에 대한 FGI 결과, 학교를 통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안내를 받고 싶어하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을 신청할 때, 학교에서 가정통신문 식으로 알려줬으면 좋겠는데 그렇 지 않아서 선생님께 말씀드려서 신청했어요.(참여청소년)
26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Ⅳ.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개선방안
Ⅳ.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초점을 예술교육에 둘 것인지 또는 여가활동에 두 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이슈이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경우 학교교육(공교육)에서 접할 수 없었던 예술의 가치와 무한한 잠재력을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일차적 목 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이 가지는 경험재적․학습재적 성격을 고려하여 아동․청소 년기부터 다양하고 풍부한 예술 향유와 창작 기회 및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단, 학교교육 이 교과서 중심, 이론중심, 지식획득 중심, 기초적 기능교육 중심이라면 토요문화학교는 학교에 서는 할 수 없었던 현장의 체험, 향유의 범위 및 수준의 확장, 감상의 표현 및 타인과의 교감, 개인 또는 공동 창작의 실현을 통한 자신의 표현 및 공동체의식 등을 밀도 있게 경험할 수 있 는 장(場)이 되어야 할 것이다. 즉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예술의 가치를 체감하고, 예술적 통 찰력을 체득하며, 예술적 표현방식을 체화할 수 있는 ‘예술특화교육’ 또는 ‘예술기반교육’으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 향후 예술을 여가로 즐기게 되거나, 혹은 예술 교육자체를 여가로 체감하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방향성을 결과(기능) 중심 교육으로 가져갈 것인지, 혹은 과정(철학) 중심 교육으로 가져갈 것인지의 이슈이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설립 초기부터 기존의 전문예술교육이 가지는 한계, 즉 기능 중심, 결과 중심 교육의 폐해를 극복하고, 문화예 술교육을 통해 참여자가 변화해나가는 과정 자체를 중요시하는 교육을 중심으로 해왔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서 역시 이러한 ‘과정 중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철학’은 견지되어야 할 것 이다. 즉 기능적으로 숙련되거나, 정답을 강요하는 교육이 아니라, 자신의 호불호, 느끼고 생각 한 바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스스로 생각하고 발전해나갈 수 있는 방법 을 알려주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무책임한 방임이 이루어지지 않도 록 ‘원칙이 있는 자율성의 부여’가 필요한데, 이웃과 타인, 혹은 수업 시간에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들에 대한 예의를 지키도록 하는 원칙은 수업시간에 떠들거나 자거나 마음대로 결 석하는 등에 대한 행동에 대한 한가지 행동규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강사 또는 예술가의 역할과 개입범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의 이슈이다. 기존의 꿈다 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일방적 교육(education)의 성격이 강하여 강사의 역할과 주도 성이 매우 컸으나, 향후에는 교육 참여자의 능동적 배움(learning)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참 여자의 주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청소년과 그 가족이 가진 잠재력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63
을 깨우고 북돋아 줄 수 있는 조력자 혹은 가이드로서의 강사 또는 예술가의 역할을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토요문화학교 기획사업과 지역연계 토요문화학교 사업과의 관 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이슈이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의 차별적 포지 셔닝은 지역 연계 사업에서 이루어지기기 어려운 부분을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은 지역 연계 프로그램에서 쉽게 시도하기 어려운 혁신적․실험적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시범실시를 통해 모델을 구축한 뒤 이를 널리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수학, 과학, 역사, 사회 등과 같은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된 좋은 통합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널리 보급하는 것 또한 필요할 것이다. 한편 지역 연계 토요문 화학교사업이 지역민의 문화예술교육 접근성(access) 향상에 더 중요한 역할을 부여받는다면, 한 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기획사업은 예술적 수월성(artistic excellence)과 교육의 전문성을 담보 함으로써 차별적 정체성을 부여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 예술가와의 결합을 통 해 진지하고 수준있는 예술작업의 과정과 결과를 직접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수준높 고 역량있는 강사와 커리큘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고, 문체부 기획사업, 진흥원 기획사업, 지역연계 사업 전체의 과정과 결과를 함께 공유하고 연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을 발굴과 적용 역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역할이 될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향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비전, 목표, 핵심전략, 추진과제를 제시하면 다음의 [그림 Ⅳ-1]과 같다.
26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Ⅳ-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목표와 추진과제 (안)
비전
예술의 무한한 잠재력을 경험하는 배움의 광장, 토요문화학교 : 문화예술로 생각하고 꿈꾸고 표현하라
학교에서는 할 수 없었던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목표
▪문화예술 향유 범위/수준의 확장을 통한 예술의 가치 체감과 예술적 통찰력의 체득 ▪창작을 통한 자기 표현과 꿈의 모색 ▪타인과의 교감 및 공동체의식 함양
▪예술특화교육으로서의 토요문화예술교육 - 예술적 수월성의 확보, 예술가와의 결합을 통한 예술적 작업방식과 통찰력 체험 ▪과정(철학)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 참여자 주도성 확대 : 교육(education)에서 배움(learning)으로
핵심전략
- 장르기반 교육에서 통합예술교육으로 - 삶과 유리된 예술교육에서 삶에 밀착된 예술교육으로 (생활의제, 지역의제와 연계) ▪혁신적․실험적 프로그램의 발굴과 보급 - 프로젝트적 성격의 강화 ▪연계․공유 프로그램의 확대
추진과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수요에 부응하는
토요문화학교사업
정체성의 공유와 확산
홍보전략 수립 및 운영개선
통합지원체계 구축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네트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통합워크숍 추진
세부추진 과제
▪ 중앙단위 기획사업과 지역연계 사업간 역할․ 기능 재조정 ▪ 연계․공유 프로그램 확대 ▪ 기획사업 구조 개편
워크
▪통합홍보체계 구축 ▪운영방식의 유연성 제고 ▪인센티브 시스템 마련 ▪공간 및 기자재 지원 확대
허브로서의
리더십
확보 ▪연구기능 강화(프로그램 개 발 랩(lab)실 설치) ▪성과관리 및 평가체계 구축 ▪기획관리자 및 강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확대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65
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개선방안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정체성의 공유와 확산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통합워크숍을 통한 정체성의 공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정제해 내 기 위해서는 사업의 정체성을 고민하고, 그 내용을 공유할 수 있는 물리적인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즉,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지향하고 있는 비전을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는 사업 전체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통합워크숍이 정기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우선 기획자와 강사는 타 문화예술교육사업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하기 위해서 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질료라고 할 수 있는 ‘예술특화교육’, ‘과정 중심의 교육’,
‘학교 밖’,
‘놀이’, ‘가족’, ‘여가’ 등과 같은 해석의 스펙트럼이 매우 큰 개념들이 어떤 맥락 속에서 해석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수업의 내용과 참여자 및 참여자의 보호자(학부모)들이 원하는 사업 내용의 갭(gap)을 축소시키고, 참여 단체 및 담당자들이 보유 하고 있는 노하우와 경험을 함께 공유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장(場)으로서도 통합워크숍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중앙단위 기획사업과 지연연계 사업간 역할․기능 재조정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가지는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해 중앙단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과 17개 광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통해 수행되는 지역연계사업과의 역할 및 기능을 재 조정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기획사업은 지역 연계 프로그 램에서 쉽게 시도하기 어려운 혁신적․실험적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시범실시를 통해 모델을 구축 한 뒤 이를 널리 보급하는 역할, 수학, 과학, 역사, 사회 등과 같이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된 좋 은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널리 보급하는 역할, 예술적 수월성과 교육의 전문성을 담보하는 역할에 좀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한편 17개 광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통해 수행되는 지역연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의 경우 아동․청소년․학부모들이 보다 쉽게 질 높은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제고하고, 문화예술에 대한 식견이나 경험이 없는 참여자들이 문화예술에 대해 심리적인 어려움 을 갖지 않도록 좀 더 쉽고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역할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역사․문화자원,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고 연계하는 프로그램, 지역 주민들이 일상의 삶 속에서 맞부딪치게 되는 다양한 생활의제와 지역의제들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삶과 가까운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질
26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이 중요할 것이다. <그림 Ⅳ-2> 중앙과 지역 간 역할 재조정(안)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중앙 단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지역 연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 지역 연계사업에서 시도하기 어려운 혁신적․실험 적 프로그램의 발굴, 시범실시, 모델개발 및 보급 ∙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된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 그램의 개발 및 보급 ∙ 예술적 수월성과 교육의 전문성 담보
∙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접근성 확대 ∙ 문화예술에 대한 경험이 없는 이들이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 ∙ 지역의 고유한 역사․문화자원, 인적․물적자원의 활용 및 연계 프로그램 ∙ 지역의제 및 생활의제와 연계한 프로그램
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연계․공유 프로그램의 확대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가 공통된 비전과 목표 아래, 서로 발전적인 방향 으로 나아갈 수 있기 위해서는 단위 프로그램 혹은 시행주체별로 각각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자와 운영자들이 프로그램의 과정과 결과, 서로의 노하우와 궁금증을 서로 공유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연계․공유 프로그램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계․공유 프로그램으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동아리 네트워크 지원 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페스티벌’ 그리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플랫폼 구축 및 운영사업’을 들 수 있다. 먼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동아리 네트워크 지원사업’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들 이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동아리를 구성하여 지속적인 문화예술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 원하고, 다른 지역, 다른 취향을 가진 이들과 함께 교류하고 서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는 프로그램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동아리를 구성한 이들이 함께 모여 워크숍 등을 진행할 때 이를 지원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동아리 워크숍 지원’과 2개 이상의 꿈다락 동아리가 함 께 공동으로 공연, 전시, 제작 등 공동작업을 수행할 경우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을 일정 부분을 지원하는 ‘꿈다락 동아리 공동작업 지원’을 고려해볼 수 있다. 둘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페스티벌’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과 정과 결과물들을 다른 이들과 함께 공유하고 터트리는 축제의 장으로, 다른 토요문화학교 사업 이나 활동에 대해 이해하고 자극받을 수 있는 학습의 장으로, 홍보의 장으로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만 페스티벌의 형태를 ‘지역단위/권역단위/전국단위’로 가져갈 것인지, 혹은 ‘장르/분야 단위’로 가져갈 것인지, 혹은 대상별로 ‘아동/청소년/통합’으로 가져갈 것인지에 대해서는 보다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페스티벌을 개최할 때 수상(award)과 연계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67
때 수상의 방식은 최우수, 우수 등의 우열을 가리는 형태가 아니라, 사업의 과정과 결과의 가치 를 함께 공감할 수 있도록 ‘엉뚱상’, ‘기발상’, ‘참신상’ 등과 같은 창의적 수상방식의 고민이 필 요하다. 또한 참여자 개인에 대해서도 영국에서 실행하고 있는 아츠 어워드(Arts Award)와 같이 문화예술교육의 폭과 깊이를 더욱 심화시켜나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방식을 고민해볼 필 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 사례] 아츠어워드(Arts Award) 아츠어워드(Arts Award)는 Trinity College London에서 2005년부터 운영하였으며, 영국 예술 위원회(Arts Council England)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또한 10여개의 지역 단체들과 연계되 어 있다. 대상은 아동부터 25세 이전까지 해당되며, 학생 개인을 대상으로 예술분야에 출중한 능 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인증 뱃지를 수여하는 제도이다. 아츠어워드(Arts Award)는 5가지 단계(Discover, Explore, Bronze, Silver, Gold)로 구성되어져 있다. 아츠어워드의 Discover은 아이들과 젊은층(25세까지)의 입문상이다. 이것을 받기 위해서는 아이들과 젊은층은 그들 주변의 예술을 발견하고, 아티스트를 찾고, 그들의 일과 경험을 다른 사 람들과 공유한 후에 증명서를 얻을 수 있다. Explore은 입문레벨 3의 자격으로 젊은층이 예술 경 험을 수집하고. 즐거움을 찾으려 한다. Bronze는 젊은층이 예술활동에 참여하고, 예술이벤트를 통 해 자신의 예술 영감을 연구하고 다른 사람과 자신의 능력을 공유할 수 있는 레벨이다. 젊은층은 스스로 계획하고,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들의 포트폴리오는 폴 더, 스케치북, 비디오, 웹 사이트 등이 될 것이다. 대상은 11세에서 25세까지이다. Silver는 2가지 유닛을 가지는데, 아트연습 유닛과 아트리더십 유닛이다. Silver는 아트 도전, 아트이벤트 리뷰, 아 티스트와 아트 조직 찾기, 아트리더십프로젝트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 은 14세부터 25세까지 이다. Gold는 가장 높은 레벨로 어린 아이들의 창의성, 커뮤니케이션, 계 획, 팀워크, 리더십 스킬들을 개발한다. Gold도 2가지 유닛으로 구성되어져있는데, 개인적인 예술 개발 유닛과 아트프로젝트 리더십 유닛이다. Gold는 16세에서 25세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 구조 개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브랜드를 강화하고 앞서 제시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기획사업의 구조를 전반적 으로 재조정하는 방안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획사업 구조개편은 크게 ⅰ) 목표/주 제 중심 개편방안과 ⅱ) 장르/분야 중심 개편방안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26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1안] 목표/주제 중심 개편방안(안) 먼저 목표/주제 중심 개편방안(안)은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목표와 주제에 따라 ⅰ) 아동․청소년 들이 직접 문화예술을 체험하고, 창작․제작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의 재능과 적 성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꿈다락 예술학교’ ⅱ) 다양한고 실험적인 통합문화예술교육 개발을 지 원하고 시범적으로 적용하는 ‘꿈다락 통합문화예술학교’ ⅲ) 문화예술을 통해 삶에 대해 성찰하 고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타인과 소통하고 교감하는 과정을 통해 세계관을 확장시킬 수 있는 ‘꿈다락 더불어 예술학교’로 구분된다. <표 Ⅳ-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기획사업 구조개편안(1안) : 목표/주제 중심 구분
세부사업명
공간기반 프로그램 지원
∙ ∙ ∙ ∙ ∙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지원사업(신규 기획)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지원
∙ ∙ ∙ ∙ ∙ ∙ ∙
건축문화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꼬마 작곡가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특별 프로그램 운영
∙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 고3수험생 문화예술교육 지원 ∙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문화예 술교육사․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지원)
구분
세부사업명
꿈다락 예술학교
∙ 꿈다락 아뜰리에(또는 꿈다락 창작 스 튜디오) [신설] ∙ 꿈다락 메이커 [신설] ∙ 꼬마 작곡가 및 꼬마작곡가 브릿지 ∙ 꿈다락 건축가
꿈다락 통합문화예 술학교
∙ 꿈다락 예술실험실(초․중․고등학교와 연계) [신설] ∙ 꿈다락 예술캠퍼스(예술대학과 연계)
꿈다락 더불어 예술학교
∙ 예술로 생각하기(예술로 철학하기) [신설] ∙ 꿈다락 예술놀이터(꿈다락 공공예술프 로젝트)[신설] ∙ 꿈다락 오케스트라․합창 ∙ 꿈다락 예술기행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동아리 네트워크 [신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페스티벌[신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플랫폼 [신설]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69
가. 꿈다락 예술학교 ① 꿈다락 아뜰리에(또는 꿈다락 창작 스튜디오) [신설] 아동․청소년들이 예술가와 함께 문화시설 및 공간, 창작 스튜디오(작업장), 예술현장 등 에서 예술작업을 체험․감상하고 더 나아가 본인이 예술가가 되어 창작작업을 직접 수행 해보는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장르 : 문학, 인문학, 국악, 전통예술, 음악, 미술, 만화, 영상, 융합예술 등 모든 장르 및 분야 가능 프로그램 운영 주체 :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 생활문화시설(문화파출소, 생활문화센터 등), 국공립기관, 문화예술단체, 예술가 그룹 등 모두 가능 ※ 공간중심 프로그램도 포함 : 토요일 하루 동안 아동․청소년 및 가족이 자유롭게 공간 을 이용하고, 스스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조력자(코디네이터)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프로그램 설계 요소 ∙ 전문 예술가의 개입 ∙ 예술가의 작업장 또는 예술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 체험 기회 제공 ∙ 향유 및 체험부터 창작에 이르는 과정이 유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설계 ∙ 결과물을 출판물(시집, 화보집, 음원, 영상 등)의 형태로 참여자가 소유할 수 있도록 하 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플랫폼(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활용)에 공유
② 꿈다락 메이커 [신설] 아동․청소년들이 메이커(maker)가 되어 예술가 및 테크니션의 도움을 받아 자신이 상상 하는 혹은 실현해보고 싶은 것을 스스로 만들어보고, 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창조적 작업을 통한 기쁨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프로그램 설계 요소 ∙ 메이커 무브먼트(maker movement)의 철학적 지향의 견지 : 만들기(make), 나누기 (share), 이타성(give), 학습(learn), 도구를 활용(tool up), 참여(participation), 변화 (change) ∙ 예술가 1인과 테크니션 1~2인(엔지니어, 프로그래머, 물리학자 등)이 팀을 이루어 아 동․청소년이 상상한 아이디어를 현실화 시키는데 필요한 가이드를 제공; 이때 예술가와 테크니션은 강사의 역할이 아닌 단순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담당 ∙ 절차 ⅰ) 다양한 소재와 기법, 도구 활용방법, 다양한 사례 탐색과 학습 진행
27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ⅱ) 참여자가 만들고 싶은 것을 각자 제안하게 하여 아이디어 구체화 ⅲ) 예술가와 테크니션이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 가이드를 제공하여 아 이디어를 실체화 ⅳ) 참여자들이 직접 시제품(proto-type)을 제작 ⅴ) 제작한 결과물에 대한 발표를 메이커페어(maker faire)의 형식으로 진행 ⅵ) 결과물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플랫폼에 공유
③ 꼬마 작곡가 및 꼬마작곡가 브릿지 기존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을 유지(기본트랙) 심화 프로그램 트랙을 꼬마작곡가 브릿지 프로그램으로 운영 ∙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이들이 좀 더 수준 높고 장기적인 교육을 받 고 싶어하는 경우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기본트랙을 운영하는 단체 중 일부 우수한 단체에 대해 꼬마작곡가 브릿지 프로그램(심 화 프로그램)을 공모 접수하여 진행
④ 꿈다락 건축가 [프로그램명 변경] 기존 ‘건축문화 프로그램’을 ‘꿈다락 건축가 프로그램’으로 이름만 변경
나. 꿈다락 통합문화예술학교 ① 꿈다락 예술실험실 [신설] 예술가와 초․중․고등학교 교사(수학, 과학, 역사, 지리, 물리, 화학, 윤리 등)가 함께 교과 과정과 연계된 통합문화예술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이를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 그램 프로그램 설계 ∙ 통합문화예술교육 교안 기획 및 개발을 위한 예술가와 교사들의 워크숍 지원 ∙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시범교육프로그램 실시
② 꿈다락 예술캠퍼스(또는 꿈다락 예술대학) [프로그램명 변경] 기존 ‘예술교육이 바뀐다 : 문화예술교육사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틀 을 유지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71
다. 꿈다락 더불어 예술학교 ① 예술로 생각하기(또는 예술로 철학하기) [신설] 예술작품 및 예술가를 테마로 세상 및 삶에 대해 성찰․통찰하고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토론 방식의 적극 활용) 교육대상 : 아동과 청소년 및 전 세대(부모, 조부모, 친척, 이웃 등)이 함께 참여 ※ 반드시 가족 단위로 함께 참여할 필요는 없도록 하여 탄력적으로 운영(부모가 없거나, 가족 단위 참여가 어려운 아동․청소년들에 대한 배려 필요)
② 꿈다락 예술놀이터(또는 꿈다락 공공예술프로젝트) [신설] 지역의 공터, 폐가, 폐시설, 놀이터, 화단, 공원, 골목길, 학교 교실, 담벼락, 가로등, 길 등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지역)의 공간을 창조적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거나, 그 안에서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실행하는 프로그램 교육대상 : 아동과 청소년 및 전 세대(부모, 조부모, 친척, 이웃 등)이 함께 참여 ※ 반드시 가족 단위로 함께 참여할 필요는 없도록 하여 탄력적으로 운영(부모가 없거나, 가족 단위 참여가 어려운 아동․청소년들에 대한 배려 필요) 프로그램 설계 ∙ 공간 소유주 또는 지자체와의 사전 협의 필요 ∙ 참여자를 다양한 세대로 구성하고, 이들이 함께 공공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 ∙ 예술가와 건축전문가가 함께 참여하여 가이드(조력자)의 역할 담당 ∙ 지역의제․생활의제 등 지역공동체의 삶과 연관된 프로젝트로 진행
③ 꿈다락 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명 변경] 기존의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을 유지
④ 꿈다락 예술기행 예술가와 예술작품을 테마로 한 여행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이 예술에 더욱 쉽게 다 가가고, 예술적 감수성을 함양하며, 세계관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교육대상 : 아동과 청소년 및 전 세대(부모, 조부모, 친척, 이웃 등)이 함께 참여 ※ 반드시 가족 단위로 함께 참여할 필요는 없도록 하여 탄력적으로 운영(부모가 없거나, 27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가족 단위 참여가 어려운 아동․청소년들에 대한 배려 필요)
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동아리 네트워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동아리를 구성하여 지속 적인 문화예술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다른 지역, 다른 취향을 가진 이들과 함께 교류하고 서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지원 내용 ∙ 꿈다락 동아리 워크숍 지원 : 동아리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서로의 활동 내용을 공유하 고 서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꿈다락 동아리 공동작업 지원 : 2개 이상의 꿈다락 동아리가 함께 공동공연, 공동전시, 공동제작 등 공동작업을 수행할 경우 일정 비용을 지원
⑥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페스티벌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과정과 결과물들을 다른 이들과 함께 공유하고 터트리는 축제의 장으로, 다른 토요문화학교 사업이나 활동에 대해 이해하고 자극받을 수 있는 학습의 장으로, 홍보의 장으로서 활용 ‘지역단위/권역단위/전국단위’ 또는 ‘장르/분야 단위’, ‘아동/청소년/통합’ 단위 중 어떤 단위로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 필요 수상(award)와 연계 ∙ 1,2,3 등이 아니라 과정과 결과의 가치를 함께 공감할 수 있도록 ‘엉뚱상’, ‘기발상’, ‘참 신상’ 등과 같은 창의적 수상방식의 고민이 필요 ∙ 참여자 개인에 대해서도 영국에서 실행하고 있는 아츠 어워드(Arts Award)와 같이 문화 예술교육의 폭과 깊이를 더욱 심화시켜나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방식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음
⑦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플랫폼 구축 및 운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생산된 과정에 대한 기록 및 결과물에 대해 디지 털 형태로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프로그램 ∙ 단순한 아카이빙의 형태가 아니라, 자신의 작업과 생각을 다른 이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고, 서로가 배울 수 있는 공유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73
∙ 프로그램 후기가 아니라,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된 활동과정의 기록(documentation)과 공 유가 이루어져야 함 ∙ 플랫폼은 기 구축되어 있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공식 홈페이지에 함께 수록함으로써, 홈페이지 활용도와 홍보 효과를 동시에 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2안] 장르/분야 중심 개편방안(안) 장르/분야 중심 개편방안(안)은 유사 장르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단위 프로그램들을 함께 묶 어 장르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아동→청소년→성인으로 이어지는 생애주기별 설계, 기초→발전 →심화로 이어지는 수준별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참여자들이 해당 분야에 대한 적성과 재능 을 더욱 심화․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취지로 한다. <표 Ⅳ-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기획사업 구조개편안 : 장르/분야 중심 구분
공간기반 프로그램 지원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지원
특별 프로그램 운영
세부사업명 ∙ ∙ ∙ ∙ ∙
∙ ∙ ∙ ∙ ∙ ∙ ∙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지원사업(신규 기획)
건축문화 프로그램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꼬마 작곡가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 고3수험생 문화예술교육 지원 ∙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문화예 술교육사․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지원)
27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구분
세부사업명
꿈다락 음악학교
∙ 어린이들의 콘서트 등(국공립연계-음악 분야) [신설] ∙ 꼬마작곡가 & 꼬마작곡가 브릿지 ∙ 국공립연계-음악분야 ∙ 청소년 × 예술가 ∙ 토요오케스트라․합창
꿈다락 미술학교
∙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 미술관 및 레지던시 연계 프로그램 [신 설] ∙ 건축문화 프로그램 ∙ 국공립연계-시각예술분야 ∙ 청소년 × 예술가
꿈다락 예술학교
∙ ∙ ∙ ∙ ∙ ∙ ∙ ∙
꿈다락 가족 프로그램
∙ 가족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운영 [신설]
꿈다락 연계공유 프로그램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동아리 네트워크 [신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페스티벌 [신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플랫폼 구축 [신설]
➡
청소년 × 예술가 국공립연계- 무용, 연극 등 꿈다락 메이커 [신설] 예술교육놀이터 [신설] 꿈다락 예술기행 [신설] 도서관 연계 꿈다락 예술실험실 [신설] 꿈다락 예술캠퍼스
가. 꿈다락 음악학교 음악 장르와 관련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묶어, 아동부터 청소년 가족까지 생애 지 속적으로 음악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루트를 제공함 오케스트라, 합창, 오페라, 작곡, 뮤지컬, 힙합 등
① 어린이들의 콘서트(국공립기관- 음악 분야) 국공립․시립 교향악단과 연계하여 교향곡와 연극, 동화가 연결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어린이들이 음악을 스토리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② 꼬마작곡가 및 꼬마작곡가 브릿지 기존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을 유지(기본트랙) 심화 프로그램 트랙을 꼬마작곡가 브릿지 프로그램으로 운영 ∙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이들이 좀 더 수준 높고 장기적인 교육을 받 고 싶어하는 경우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③ 국공립 음악기관 연계 음악분야 국공립기관과 연계하여 아동․청소년․가족을 대상으로 음악을 중심으로 한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 진행
④ 청소년 × 예술가 기존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으로 예술가와 청소년이 만나 음악을 중심으 로 하는 교육활동 프로그램 진행
⑤ 가족오케스트라․합창 기존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유지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75
<그림 Ⅳ-3> 꿈다락 음악학교의 구성(안)
나. 꿈다락 미술학교 시각예술 장르와 관련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묶어, 아동부터 청소년 가족까지 생 애 지속적으로 시각예술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루트를 제공함 회화, 조소, 건축, 디자인, 미디어아트 등
①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기존의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유지
② 미술관 및 레시던시 연계 프로그램 미술관의 주요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과 예술가 레지던시(창작 스튜디오)를 활 용한 예술가와의 작업 프로그램
③ 청소년 × 예술가 프로그램 기존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으로 예술가와 청소년이 만나 시각예술 작업 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④ 건축문화프로그램 기존 ‘건축문화프로그램’ 유진
⑤ 국공립 시각예술분야기관 연계 프로그램 시각예술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국공립기관과 연계한 프로그램 진행 27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Ⅳ-4> 꿈다락 미술학교 구성(안)
다. 꿈다락 예술학교 음악 및 시각예술 장르를 제외한 기타 분야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 연극, 무용, 영상미디어, 놀이, 융합예술 등
① 꿈다락 예술놀이터 [신설] 지역의 공터, 폐가, 폐시설, 놀이터, 화단, 공원, 골목길, 학교 교실, 담벼락, 가로등, 길 등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지역)의 공간을 창조적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거나, 그 안에서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실행하는 프로그램(상세내용은 1안 내용 참고)
② 국공립기관 연계 –무용, 연극 등 분야 음악 및 시각예술 분야 이외에 공연, 연극, 영상미디어 등을 중심으로 하는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③ 꿈다락 메이커 [신설] 아동․청소년들이 메이커(maker)가 되어 예술가 및 테크니션의 도움을 받아 자신이 상상 하는 혹은 실현해보고 싶은 것을 스스로 만들어보고, 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창조적 작업을 통한 기쁨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상세내용은 1 안 내용 참고)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77
④ 청소년 × 예술가 기존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으로 예술가와 청소년이 만나 음악 및 시각예 술 분야 이외의 무용, 연극, 융합예술 등의 작업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⑤ 꿈다락 예술기행 [신설] 예술가와 예술작품을 테마로 한 여행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이 예술에 더욱 쉽게 다 가가고, 예술적 감수성을 함양하며, 세계관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상세내용은 1안 내용 참고)
⑥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기존의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유지
⑦ 꿈다락 예술실험실 [신설] 예술가와 초․중․고등학교 교사(수학, 과학, 역사, 지리, 물리, 화학, 윤리 등)가 함께 교과 과정과 연계된 통합문화예술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이를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 그램(상세내용은 1안 내용 참조)
⑧ 꿈다락 예술캠퍼스 기존 ‘예술교육이 바뀐다 : 문화예술교육사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틀 을 유지
라. 꿈다락 가족 프로그램 : 가족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운영 가족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범운영을 통한 모델구축
마. 꿈다락 연계․공유 프로그램 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동아리 네트워크 [신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동아리를 구성하여 지속 적인 문화예술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다른 지역, 다른 취향을 가진 이들과 27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함께 교류하고 서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상세내용은 1안 내용 참고)
②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페스티벌 [신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과정과 결과물들을 다른 이들과 함께 공유하고 터트리는 축제의 장으로, 다른 토요문화학교 사업이나 활동에 대해 이해하고 자극받을 수 있는 학습의 장으로, 홍보의 장으로서 활용(상세내용은 1안 내용 참고)
③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플랫폼 구축 [신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생산된 과정에 대한 기록 및 결과물에 대해 디지 털 형태로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프로그램(상세내용은 1안 내용 참고)
[소결] 기획사업 구조개편안의 비교 ① 1안의 장점과 단점 목표/주제중심으로 제시한 구조개편(안)의 장점은 첫째, 장르 기반 교육에서 통합문화예술교 육으로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최근의 트렌드에 부합하다는 것이다. 통합문화예술교육은 1안의 토요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로 특화되어져 있으며, 현재 진행되어지고 있는 ‘예술교 육이 바뀐다’ 지원사업과 같이 예술대학과의 통합예술교육뿐만 아니라 학교 교사와 함께 하는 통합문화예술교육을 제안함으로서 그 범위를 확장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단위사업의 목표와 주제 중심으로 구조화되었다는 점에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지향하는 교육철학 및 정체성을 보여주기에 적합하다는 점이다. 단순 장르구분과 공간 및 콘텐츠 구분이 아닌 목표와 주제로 세부사업을 구조화함으로서 학교 안에서는 할 수 없던 문화예술교육을 제시한다. 셋째, “사업목표 → 정책대상의 설정 → 사업구조 및 가이드라인의 설정 → 관리 및 운영”이 사업의 목표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일관적․체계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토요 문화학교 프로그램의 프로젝트적 성격을 강화함으로써, 스스로 고민하고 기획하며, 다른 이들과 의 공동작업을 통해 예술이 가진 다양한 가치와 가능성을 체감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1안은 장르나 분야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수혜자들에게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에서 단점을 가지는데, 홍보방식의 개선을 통해 이해 제고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79
② 2안의 장점과 단점 장르/분야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2안은 유사 장르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단위사업들을 ‘꿈다 락 음악학교’, ‘꿈다락 미술학교’ 등으로 묶어 수혜자들이 원하는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이 무엇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사업간 연계구조의 모색을 통해 단계별․심화 프로그램을 구조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2안은 장르기반에서 통합예술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최근의 트렌드와 현장 에서의 교육양태와 상충된다. 또한 장르별 구분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포함되어 있는 세부사 업의 장르와 중분류의 장르가 명확히 매치되지 않으며, 기타 장르를 모두 ‘예술학교’로 분류하 고 있어 분류기준의 체계성(총망라성과 배타성)이 미흡하다는 점이 단점이다. 이외에 유사한 내 용(목표)을 가진 단위사업이 여러 중분류 속에 흩어져 있음으로 인해 사업목표가 상실되거나 효 율적인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르적 시각에 구속될 가능성이 크고, 사업의 정체 성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음에 따라 통합 브랜드화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2) 수요에 부응하는 홍보전략 수립 및 운영 개선 (1) 통합홍보체계 구축 □ 토요문화학교사업 홍보 예산의 확대 및 통합홍보체계 구축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지도를 제고하고, 보다 많은 이들이 보다 자유롭게 꿈다 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을 위한 통합 홍보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즉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취지와 내용, 프로그램, 참여방 법 등에 대해 보다 많은 국민들이 쉽게 인지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차 원에서 통합홍보자료의 제작, 배포, 개별 단체 홍보에 대한 지원과 관리가 함께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홍보예산 증액과 홍보전담팀 구성 혹은 홍보대행사 지정․위탁을 통해 전문적 홍보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토요문화학교 전체 사업 에 대한 포스터, 리플렛, 인포그래픽의 제작과 함께 이러한 홍보자료가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인터넷 포털, SNS, 맘까페, 초․중․고등학교, 아동․청소년 시설, 읍면동 주민센터 등 주요 플랫폼 에 함께 수록․배포될 수 있도록 지원․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28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그림 Ⅳ-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통합홍보체계(안)
□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홍보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한 조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공식 홈페이지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꿈다락 토요문 화학교 홈페이지에 개별 단위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커리 큘럼(프로그램 계획서)를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며, 홈페이지를 통해 운영단체 홈페이지나 블 로그 등으로 곧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link)를 연계하여, 관심 있는 아동․청소년․가족들이 홈페이지에서 쉽게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에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진행과정에 대한 기록 및 결과물을 디 지털 형태로 공유할 수 있는 ‘토요문화학교 플랫폼’을 함께 수록․연계할 경우 홈페이지 활용도를 크게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회원제(membership)와 연계하여 홍보, 정보제공, 통계수집 등에 활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교육청과의 협력을 통한 학교를 통한 홍보 제도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주된 대상인 초․중․고등학생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보를 ‘학교 를 통해 인지’하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 지도 및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청과의 협력을 통한 학교를 통한 홍보가 대폭 강화될 필요가 있다. 매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전격적으로 시작되기 이전에 꿈다락 토요문화학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81
교 사업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과 프로그램 소개, 참여방법 등에 대한 안내 공문을 교육청의 협 조를 받아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발송하는 것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홍보 브랜딩 전략(안)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홍보를 진행할 때, 홍보 브랜딩 전략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비전과 목표, 그리고 중앙 단위 사업과 지역 연계 사업의 차별성을 염두에 두고 다음과 같은 체계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림 Ⅳ-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홍보 브랜딩 전략의 주요요소(안)
28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2) 운영방식의 유연성 제고 □ 토요일 이외의 날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참여자들의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 현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교육시간은 토요일 운영을 원칙으로 하며, 전체 운영 회차 중 20% 이내에 한하여 일요일 운영을 허용하고 있다. 또한 교육시간은 참여자를 고려하여 탄력적 으로 운영할 수 있지만, 세부 일정은 협회 및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담당자와 사전 검토 및 협의를 거친 후에 가능하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주로 토요일에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 참여자들 중에는 토요일 외에도 일요일 등 주말을 활용하여 보다 집중적으로 프로그 램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수요가 존재한다는 점, 또는 주말 이외에 평일 저녁 등을 선호하는 이 들도 있다는 점, 초등학교 고학년 및 청소년은 시험기간에 참여가 어려운 점, 방학을 활용한 집 중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에 있어서도 운영 요일 및 기간 등에 있어 보다 유연성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사업 시작 시기를 보다 여유 있게 진행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시작 시기는 4월 초로 이전보다는 늦춰졌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사업 준비기간 부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프로그램 공모를 통한 운영단체 선정 이 완료되는 시점과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간격이 매우 짧다보니, 프로그램을 운영 하는 구성원 들 내부에서 프로그램 운영 방향에 대한 공감대 조성과 조율, 교안 제작, 재료 구 입, 참여자 모집 등이 상당히 짧은 기간 내에 완료되어야 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완성도와 질 적 제고를 위해 프로그램 시작 이전에 충분한 준비기간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는 프로그램의 시작 시기를 현재보다 늦추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운영단체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 시스템 마련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의 외부 강사 의존도를 낮추고, 프로그램 운영단체 담당자의 프 로그램 기획 및 실행에 있어서의 책임성과 기여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운영단체 내부인력에 대해서도 일정한 경제적 보상이 주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운영단체 내부인력 담당자에게 도 기획 혹은 코디네이팅 역할에 대해 인건비성 경비를 지급할 수 있도록 규정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개발된 좋은 프로그램들이 보다 넓게 공유되기 위해서는 좋은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 발한 단체 또는 강사에 대한 인센티브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모니터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83
링을 통해 좋은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이러한 우수사례를 기획․개발한 단체나 강사에 대해서는 ‘표창’이나 ‘포상’, ‘차년도 공모에서 가점 부여’ 등의 보상이 주어졌을 때, 선의의 경 쟁과 좋은 사례들이 보다 널리 보급되는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4) 공간 및 기자재 지원 확대 좋은 아이디어와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으나, 충분한 교육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사업에 참여 하지 못하는 단체들도 쉽게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간 대관료를 지원하거나,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이 지역의 주요 문화공간들(문예회관, 공공도서관, 박물관․미술관, 문화파출소, 생활문 화센터 등)과 직접 협약 등을 맺어 선정된 운영단체들이 보다 용이하게 지역의 문화공간들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교의 공간에 대해서는 교육장소로 인정하는 것 이 필요하며, 문화인프라가 부족한 도서산간지역의 경우 초․중․고등학교의 공간을 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가족 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처럼 상대적으로 고가의 기자재가 필요한 경우 교육부의 악기은행사업과 같은 타 부처의 사업과 협업해서 진행할 수 있게 주관기관 차원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토요문화학교사업 통합지원체계 구축 (1)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네트워크 허브로서의 리더십 확보 향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진흥원 기획사업의 집행보다는 전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 업(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의 기획사업, 17개 시․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통해 진행되는 지역연계 사업)의 발전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네트워크 허브(network hub)로서의 리더십을 확보하는 데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와 17개 시․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이외에도, 17개 시․도 지자체와 국공립 문화기반시설, 생활문화 시설, 문화시설 관련 협회, 교육청, 복지기관 등과 협력할 수 있는 부분(예컨대 참여자 모집, 홍 보, 공간 및 기자재 확보 등)이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업무협약 체결 또는 교육․연수 프로그램, 협력사업 수행 등을 통해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28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2) 연구기능 강화 : 프로그램 개발 랩(lab)실 설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지향하고 있는 교육철학과 정체성을 보여주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 램의 개발과 보완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며, 이를 위한 전담조직인 프로그램 개발 랩 ‘(가칭)꿈다 락 랩(lab)’의 신설이 필요하다. 꿈다락 랩에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필요한 새로운 혁신적인 프로그램에 대해 상시 적으로 탐색 및 개발 작업을 수행하고, 프로그램이 보다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사업이나 지역연계사업 을 담당하는 운영단체나 담당자들이 부딪치게 되는 다양한 어려움이나 문제점들에 대해 맞춤형 컨설팅을 수행하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및 조사의 수행,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 등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성과관리 및 평가체계 구축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시행된 이후 17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통해 수행되는 지역연계사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양적 팽창으로 인해 운영단체와 프로 그램의 질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문제가 지역연계 사업 현장에서 공통적 으로 제기되고 있다. 운영단체의 선정과 과정 모니터링, 성과의 평가 및 환류체계에 이르기까지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차원에서 진행하기 어려운 성과관리 및 평가체계에 대한 가이드라인 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만 이때의 성과관 리 및 평가방식은 문화예술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감안하여 ‘수혜자 수’와 같은 정량적인 성과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과 참신성, 과정의 충실성’을 반영할 수 있는 형태로 설 계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4) 기획관리자 및 강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확대 앞서 참여단체 설문조사에서도 도출되었듯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단 체, 담당자, 강사들은 보다 나은 프로그램을 기획․개발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역량 을 강화할 수 있는 연수나 교육, 워크숍 등을 원하고 있다.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85
<그림 Ⅳ-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단체 담당자들이 희망하는 연수 프로그램 (단위 : %, 중복응답)
이러한 현장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기획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 ‘토요문화학교 통합워크숍’, ‘소통(communication)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아동, 청소 년, 취약계층, 고령자 등 대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육’, ‘지역 및 공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 ‘국내외 사례에 대한 교육’, ‘교육방법론과 교수법에 대한 교육’, ‘장르에 대한 심 화교육’, ‘상담기술을 개발하는 교육’ 등 다양한 교육 및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에서 필요 로 하는 지원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8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참고문헌
참고문헌
곽덕주 외(2015).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 광주문화재단(2015). 2015창의예술학교 참여관찰연구보고서. 교육부(2013).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 사업계획(안). 교육정책홍보매거진(2015). 광주 선운중학교, 우리가 만든 특별한 공간 ‘삶을 위한 학교’. 대전광역시교육청(2016).2016초등돌봄교실운영계획 메이커교육코리아(2016).영메이커프로젝트 문화체육관광부(2013-2015).2013-2015년도토요스포츠강사배치현황. 부산광역시교육청 유초등교육과(2016). 2016「부산방과후행복카드」배부·활용 안내. 서울문화재단 보도자료(2009.05.08.).“환상의
놀이터에서 펼쳐지는 신나는 문화놀이 체험”(http://www.
yonhapnews.co.kr/bulletin/2016/09/20/0200000000AKR20160920105200054.HTML) 서울문화재단(2012).2012토요문화학교운영사업-주제특화프로그램운영기관(단체)공모안내. 서울특별시교육청(2013).2013년도토요방과후학교운영안내. 서울특별시교육청(2016).2016년도방과후학교운영기본계획. 연합뉴스(2016.09.20.)“순천시'기적의놀이터'2020년까지10개로늘린다” 이데일리(2008.12.05.),“돈암힐스테이트‘거꾸로놀이터’”(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area_3136 060/MD20081205095105639.daum)61 조진일 외(2015). 초등돌봄교실의 환경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 RR 2015-37.54 하태민(2016.05.03.)‘국내첫놀이기구없는놀이터순천에개장’,한국일보.(http://www.hankookilbo.com/v/24 1dc9a4f87d438197add6f69f282215) 한국교육개발원(2016).초등돌봄교실의양적확대와만족도에관한통계.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2016문화융성포럼‘문화,미래의열쇠’자료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미래사회와 문화정책 비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 해외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가다. p.142-149.9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2012 꿈다락토요문화학교차오름(주제특화)프로그램 최종선정결과 안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2012문화예술교육효과분석연구-토요문화학교운영사업.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8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2012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연차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토요문화학교사회적효과분석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2015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기본계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제38차가족워크숍-다양한세대가함께하는워크숍이끌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해외전문가초청워크숍36차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추진계획 자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건축문화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국ᐧ공립기관연계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아리랑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사업계 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사업 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6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사업계획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도서관 연계프로그램 기본계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2016).각년도연차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평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2015사회문화예술교육중장기사업전략연구.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2014). 201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만족도조사 결과보고서
29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한국아파트신문(2006.10.04.). “서울 성북 돈암현대홈타운아파트 내 문화놀이터 1호 시공”, 한국아파트신 문, 60(http://www.hapt.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47) 고무신학교 블로그(http://cafe.naver.com/puljibtour/666)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 홈페이지(http://sangsangmaker.kr/) 뉴 빅토리 극장 홈페이지(http://www.newvictory.org/Home) 라로셸 쿠르시브 국립극장 홈페이지(http://www.la-coursive.com/pratique/jeune-public-et-scolaires) 르큐브 홈페이지 (http://lecube.com/fr/activites_1) 리옹오페라 홈페이지(http://ecoles-colleges-lycees.opera-lyon.com/) 리옹 오페라 홈페이지(http://ecoles-colleges-lycees.opera-lyon.com/) 복작복작 예술로 골목길 프로젝트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bokjakroad/)60 부산광역시교육청 방과후학교지원센터 홈페이지(http://bsafterschool.pen.go.kr) 서울댄스프로젝트 홈페이지(http://seouldance.or.kr/59) 서커스시스쾨르홈페이지CircusCirkör(http://cirkor.se/en) 시그널 홈페이지 (http://www.melbourne.vic.gov.au/arts-and-culture/signal/Pages/signal.aspx)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공식유투브(https://www.youtube.com/watch?v=emytLe1Tjj4) 시드니오페라하우스 홈페이지 http://www.sydneyoperahouse.com 시앙세예술센터 홈페이지(http://seanse.no/?lang=en) 울프트랩홈페이지(http://www.wolftrap.org/) 위퍼블리시홈페이지(http://wepublish.net.au/book-library/) 이민사 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histoire-immigration.fr/) 크리에이티브 스코틀랜드 홈페이지 (http://www.creativescotland.com/funding/funding-programmes/ta rgeted-funding/youth-music-initiative) 크리에이티브 에이징 홈페이지(https://www.courtyard.org.uk/aop) 키즈오운퍼블리싱홈페이지(http://kidsownpublishing.com) 토요예술실험실홈페이지(http://www.uarts.edu/academics/pre-college-programs/saturday-arts-lab-k-8) 퐁피두 센터 홈페이지(https://www.centrepompidou.fr/en/Visit/Exploring-as-a-family) 프랭크 재단 홈페이지(http://www.francke-halle.de/events-v-401.html) 필라델피아 히스토리 홈페이지(http://www.historicphiladelphia.org/)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홈페이지(http://www.kocaca.or.kr/Pages/Academy/List.aspx?ty=1624)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91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 홈페이지(http://www.hiphopacademy-hamburg.de/) 호주국립미술관 홈페이지(http://nga.gov.au/) ABC (http://www.abc-web.be/abc-kamishibai/) ASSEMBLE(http://assemblestudio.co.uk/) Baltiestreet Adventure Play ground(http://www.balticstreetadventureplay.co.uk/events) KID MUSEUM(http://kid-museum.org/maker-studio/) National Saturday Club(http://saturday-club.org). New Victory Theater(http://www.newvictory.org/Home) The Ark(http://ark.ie/events/view/5-day-summer-camp-animation-making-the-film) THE HACTORY(https://www.thehacktory.org/) We the Builders(http://www.wethebuilders.com/projects/5)
29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부 록
1. 설문지 1)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 조사 (참여자 – 아동) 2)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 조사 (참여자 – 청소년) 3)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 조사 (참여자 – 가족) 4)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 조사 (참여자 – 단체) 5)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 조사 (참여자 – 협회) 6)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참여자 – 아동) 7)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참여자 – 청소년) 8)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참여자 – 가족) 9)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참여자 – 단체) 10) 2016 문화예술교육 수요조사 (비참여자) 2. FGI 질문지 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FGI 질문지(운영단체 및 강사, 협회 등 매개기관, 수혜자) 2) 예술교육이 바뀐다 FGI 질문지(운영단체 및 강사, 수혜자) 3) 비참여자 FGI 질문지(학부모, 학생)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통계·평가실 TEL : (02)2669-0000
ID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조사 [참여자 아동(초등학생)] 안녕하십니까? 이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시행하고 있는 2016 꿈다락 토요 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여러분의 소감과 느낌, 의견을 모으고자 하는 조사입니 다. 여러분의 의견은 앞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응답하시는 내용은 “통계법(제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을 통해 얻어진 모든 정보는 통계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설문문항에는 정답이 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사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수행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연구책임 : 양혜원 연구위원, 박종웅 연구원 조사방법/시스템문의 : 권민오 차장, 김진아 연구원(☎ 02-3406-3951) 조사내용문의 : 김미현 위촉연구원, 한민아 위촉연구원(☎ 02-2669-8994~5)
참여한 프로그램명을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표시(O )해주세요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일 시
2016년 _____월 _____일 _____ 요일 (1. 오전 / 2. 오후 ) _____ 시
세부 프로그램 명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95
문 1. 학생은 2016년 이전에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나요? 1. 예 (☞ 문 1-1로)
2. 아니오 (☞ 문 2로)
문 1-1. 학생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것은 언제인가요? (모두 골라주세요) 1. 2012년
2. 2013년
3. 2014년
4. 2015년
문 1-2. 학생이 이전에 참여하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다음 중 무엇인가요? (모두 골라주세요)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건축문화 프로그램
6.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7.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8.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9.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0.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1. 아리랑 프로그램
문 2. 학생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 (하나만 골라주세요) 1. 학교 안내
2. 가족, 친척
3. 친구, 이웃, 지인
4.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6. 인터넷 검색
7.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페 등)
8.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9.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10.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11.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12. 기타 (
)
문 3. 학생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www.toyo.or.kr)를 이용해 본 적이 있나요? 1. 예 (☞ 문 3-1로)
2. 아니오 (☞ 문 4로)
문 3-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www.toyo.or.kr)의 이용이 편리했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
그런 편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2
3
4
5
6
7
29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4. 학생은 현재 참여하고 있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누구와 함께 왔나요? (모두 골라주세요) 1. 혼자서
2. 친구
3. 선생님
4. 가족 및 친척
5. 이웃
6. 기타 (
)
문 5. 학생은 현재 참여하고 있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가 얼마나 좋았나요(만족스러웠나요)? 아주 싫었다
싫었다
싫은 편이다
보통
좋은 편이다
좋았다
아주 좋았다
1
2
3
4
5
6
7
문 6. 학생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어땠나요? 다음 표의 응답보기 중 학생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O)해 주세요.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내용이 재미있었다.
1
2
3
4
5
6
7
2
새로운 것을 많이 배웠다.
1
2
3
4
5
6
7
3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마음에 들었다
1
2
3
4
5
6
7
4
선생님이 친절하고 좋았다.
1
2
3
4
5
6
7
5
장소가 좋았다.
1
2
3
4
5
6
7
6
토요일에 해서 좋았다.
1
2
3
4
5
6
7
7
나의 생활이 더 즐거워졌다.
1
2
3
4
5
6
7
8
다음에도 또 오고 싶다.
1
2
3
4
5
6
7
9
다른 친구들에게도 소개해주고 싶다.
1
2
3
4
5
6
7
문 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서 배운 것 중에 제일 기억에 남는 게 무엇인가요?
문 8. 학생은 토요일과 일요일에 주로 무엇을 하나요? (다음 보기 중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여 기입해 주세요) ( 1순위 1. TV를 본다
2순위
3순위
)
2. 게임을 한다
3. 인터넷 검색이나 SNS를 한다(페이스북, 블로그,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97
4. 잠을 잔다
5. 공부를 한다
7. 가족과 함께 논다
8. 부모님을 돕는다
9. 기타 (
6. 친구와 논다
)
문 9. 학생은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공연(음악, 무용, 전통예술 등; 영화는 제외)을 몇 번 이나 직접 방문하여 봤나요? (하나만 골라주세요)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10. 학생은 지난 1년 동안 전시(미술관, 박물관 등)를 몇 번이나 직접 방문하여봤나요? (하나만 골라주세요)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11. 학생은 지난 1년 동안 가족과 함께 직접 방문하여 문화생활(공연, 전시 관람, 예술체 험 등; 영화는 제외)을 몇 번이나 했나요? (하나만 골라주세요)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12. 학생이 생각하는 자신(스스로)에 대해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O)해 주세요.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나는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나는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다.
1
2
3
4
5
6
7
3
나는 행복하다.
1
2
3
4
5
6
7
4
나는 호기심이 많다.
1
2
3
4
5
6
7
5
나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잘한다.
1
2
3
4
5
6
7
6
나는 학교생활이 재미있다.
1
2
3
4
5
6
7
7
나는 친구들과 사이가 좋다.
1
2
3
4
5
6
7
8
나는 친구들을 잘 도와주는 편이다.
1
2
3
4
5
6
7
9
나는 문화예술(영화, 공연, 전시 등)이 좋다.
1
2
3
4
5
6
7
10
나는 부모님이 좋다.
1
2
3
4
5
6
7
11
나는 힘든 일이 있으면 부모님께 이야기한다.
1
2
3
4
5
6
7
12
우리 가족은 사이가 좋다.
1
2
3
4
5
6
7
29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13. 학생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해 본 적이 있나요? 1. 예 (☞ 문 13-1로)
2. 아니오 (☞ 문 14로)
문 13-1. 가장 최근에 참여한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이었나요?
문 14. 아래의 프로그램 중에서 다음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모두 골라주세요)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14. 지역연계 프로그램
[참고]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 미술관에서 미술관의 작품과 작가,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 의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 박물관에서 박물관의 유물과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 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국공립 기관(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에서 각 기관 의 전문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작은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적 관점에서 주변 환경과 지역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함께 배워보는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 또래와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요리, 음식 등) 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와 문화예술활동을 매개로 자신의 삶, 적성, 흥미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299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 시각예술분야 예술가와 함께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를 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뉴욕 필하모닉 교육을 기반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발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 아리랑을 테마로 우리나라의 정서를 경험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미 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등)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 문화예술대학에서 개발한 통합문화예술교육(복합예술, 예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 등) 프로그램 14. 지역 연계 프로그램 : 16개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지역문화재단)이 진행하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가깝고 친근하게 만나는 토요문화학교 사업
문 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하나만 골라주세요) 1. 문화예술교육
2. 재미와 즐거움 3. 가족
4. 여행
5. 토요일
6. 학교
8. 꿈
9. 희망
10. 친구
13. 해방감
14. 진로
7. 여가
11. 도전 12. 체험 15. 기타 (
문 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바라는 점이나 개선사항이 있다면 써주세요.
[기본사항] 1. 학생의 성별은 무엇인가요? 1. 남성
2. 여성
2. 학생의 나이는 어떻게 되나요? (
30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세
( 한국나이 기준 )
)
3. 학생은 현재 다음 중 어디에 속하나요? 1. 1학년(또는 8세)
2. 2학년(또는 9세)
3. 3학년(또는 10세)
4. 4학년(또는 11세)
5. 5학년(또는 12세)
6. 6학년(또는 13세)
4. 학생의 거주 지역은 어디인가요? 1. 서울
2. 부산
6. 대전
7. 울산 8. 세종 9. 경기 10. 강원
3. 대구
11. 충북
12. 충남
16. 경남
17. 제주
13. 전북
4. 인천
5. 광주
14. 전남
15. 경북
5. 학생의 거주 지역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나요? 1. 동지역
2. 읍면 지역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01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통계·평가실 TEL : (02)2669-0000
ID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조사 [참여자 청소년(중.고등학생] 안녕하십니까? 이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시행하고 있는 2016 꿈다락 토요 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여러분의 소감과 느낌, 의견을 모으고자 하는 조사입니 다. 여러분의 의견은 앞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응답하시는 내용은 “통계법(제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을 통해 얻어진 모든 정보는 통계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설문문항에는 정답이 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사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수행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연구책임 : 양혜원 연구위원, 박종웅 연구원 조사방법/시스템문의 : 권민오 차장, 김진아 연구원(☎ 02-3406-3951) 조사내용문의 : 김미현 위촉연구원, 한민아 위촉연구원(☎ 02-2669-8994~5)
참여한 프로그램명을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표시(O)해주세요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일 시 세부 프로그램 명
30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2016년 _____월 _____일 _____ 요일 (1. 오전 / 2. 오후 ) _____ 시
문 1. 귀하는 2016년 이전에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으십니까? 1. 예 (☞ 문 1-1로)
2. 아니오 (☞ 문 2로)
문 1-1. 귀하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것은 언제입니까? [복수선택가능] 1. 2012년
2. 2013년
3. 2014년
4. 2015년
문 1-2. 귀하가 이전에 참여하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다음 중 무엇입니까? [복수선택가능]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건축문화 프로그램
6.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7.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8.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9.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0.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1. 아리랑 프로그램
문 2.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어떠한 경로로 알게 되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학교 안내
2. 가족, 친척
3. 친구, 이웃, 지인
4.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6. 인터넷 검색
7.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페 등)
8.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9.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10.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11.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12. 기타 (
)
문 3.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www.toyo.or.kr)를 이용해 본 적이 있으 십니까? 1. 예 (☞ 문 3-1로)
2. 아니오 (☞ 문 4로)
문 3-1. 귀하께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www.toyo.or.kr)의 이용이 편리하 다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
그런 편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2
3
4
5
6
7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03
문 4.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왜 참여하게 되셨나요? [1개만 선택] 1.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어서 3. 많은 친구들을 만날 수 있어서
2. 유익할 것 같아서 4.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5. 주말에 하는 프로그램이라서
6. 비용이 안들어서
7. 가족이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체험하기 위해 8. 가족 간 유대관계 증진을 위해
9. 프로그램이 알차서
10. 기타 (
)
문 5.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프로그램 내용이 재미있었다.
1
2
3
4
5
6
7
2
프로그램 내용이 유익했다.
1
2
3
4
5
6
7
3
프로그램 내용과 방식이 참신했다.
1
2
3
4
5
6
7
4
프로그램이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마음에 들었다.
1
2
3
4
5
6
7
5
강사의 역량이 뛰어났다.
1
2
3
4
5
6
7
6
강사가 친절하고 참여자들을 잘 배려했다.
1
2
3
4
5
6
7
7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편리했다.
1
2
3
4
5
6
7
8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장소가 쾌적했다
1
2
3
4
5
6
7
9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재료나 기자재의 품질이 좋았다.
1
2
3
4
5
6
7
10
프로그램이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1
2
3
4
5
6
7
11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1
2
3
4
5
6
7
12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1
2
3
4
5
6
7
13
프로그램을 통해 재능과 적성을 발견했다.
1
2
3
4
5
6
7
14
프로그램 참여 이후 예전보다 문화예술이 더 좋아졌다
1
2
3
4
5
6
7
15
프로그램 참여 이후 나의 생활이 더 즐거워졌다.
1
2
3
4
5
6
7
16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한다.
1
2
3
4
5
6
7
17
향후에도 참여하고 싶다.
1
2
3
4
5
6
7
18
주변사람들(친구, 가족, 지인 등)에게 추천하고 싶다.
1
2
3
4
5
6
7
30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6.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의 1기수가 전체적으로 몇 회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1개만 선택] 1. 1∼4회
2. 5∼7회
3. 8∼10회
4. 11회~15회
5. 16회 이상
문 7. 귀하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주로 어떻게 시간을 보내시나요? (가장 많이 하는 활동 순 으로 응답보기 중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 1순위
2순위
3순위
)
1. TV시청
2. 인터넷 검색
3. 산책
4. 게임
5. 헬스/등산/스포츠
6. 잡담/통화/SNS
7. 낮잠
8. 문화 활동 (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
9. 외식/쇼핑
10. 여행
11. 아르바이트
12. 공부
13. 기타 (
)
문 8.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공연(음악, 무용, 전통예술 등 ;영화는 제외)을 몇 번 이나 직접 방문하여 보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9.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전시(미술관, 박물관 등)를 몇 번이나 직접 방문하여 보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10. 지난 1년 동안 가족과 함께 직접 방문하여 문화생활(공연, 전시 관람, 예술체험 등; 영화는 제외)을 한 횟수는 몇 번입니까? [1개만 선택]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05
문 11. 귀하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
1
2
3
4
5
6
7
3
낙천적이다.
1
2
3
4
5
6
7
4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강한 편이다.
1
2
3
4
5
6
7
5
자신감이 높은 편이다.
1
2
3
4
5
6
7
6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7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
1
2
3
4
5
6
7
8
친구관계가 원만한 편이다.
1
2
3
4
5
6
7
9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10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11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문 12. 귀하의 가족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3
가족 간에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4
가족이 함께 외식을 하거나 놀러가는 일이 많다.
1
2
3
4
5
6
7
5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문 13.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십니까? 1. 예 (☞ 문 13-1로)
2. 아니오 (☞ 문 14로)
문 13-1. 귀하께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시기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시나요?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 심으로 응답해주세요) [1개만 선택] 1. 2016년 4. 2013년
2. 2015년 5. 2012년
30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3. 2014년 6. 2012년 이전
문 13-2. 귀하가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나요? [복수선택 가능] 1.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2.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3. 학교동아리 프로그램
4. 지역아동 센터 등 교육복지시설
5. 읍면동 주민센터 등 주민복지시설 7. 기타 (
6. 문화시설(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
)
문 13-3. 귀하가 참여하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이외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세요) 매우 불만
불만
약간 불만
보통
다소 만족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6
7
문 14. 귀하는 다음 중 어떤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시나요? (다음 보기 중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여 기입해 주세요) ( 1순위
2순위
3순위
)
1. 문학(인문학)
2. 국악(전통예술)3. 음악
5. 무용
6. 미술
9. 디자인
10. 건축
12. 대중예술
13. 통합문화예술
4. 연극/뮤지컬 7. 사진
8. 만화
11. 영화/ 영상/미디어 14. 기타(
)
문 15. 다음의 프로그램 중에서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응답해주세요) [복수선택가능]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14. 지역연계 프로그램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07
[참고]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 미술관에서 미술관의 작품과 작가,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 의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 박물관에서 박물관의 유물과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국공립 기관(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에서 각 기관 의 전문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작은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적 관점에서 주변 환경과 지역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함께 배워보는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 또래와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요리, 음식 등) 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와 문화예술활동을 매개로 자신의 삶, 적성, 흥미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 시각예술분야 예술가와 함께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를 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뉴욕 필하모닉 교육을 기반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발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 아리랑을 테마로 우리나라의 정서를 경험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미 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등)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 문화예술대학에서 개발한 통합문화예술교육(복합예술, 예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 등) 프로그램 14. 지역 연계 프로그램 : 16개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지역문화재단)이 진행하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가깝고 친근하게 만나는 토요문화학교 사업
문 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1개만 선택] 1. 문화예술교육
2. 재미와 즐거움
3. 가족
4. 여행
5. 토요일
6. 학교
7. 여가
8. 꿈
9. 희망
10. 친구
11. 도전 12. 체험
13. 해방감
14. 진로
15. 기타 (
문 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바라는 점이나 개선사항이 있다면 작성해주십시오.
30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기본사항] 1.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한 분들을 모두 체크해주십시오. 1. 본인만 참여
2. 엄마
5. (외)할머니/(외)할아버지 8. 기타 (
3. 아빠
4.형제/자매
6. 삼촌/이모 등
7. 친구
)
2.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1. 남성
2. 여성
3. 귀하의 나이는 어떻게 되십니까?
(
)세 ( 한국나이 기준 )
4. 귀하는 현재 다음 중 어디에 속합니까? 1. 중학교 1학년(또는 14세)
2. 중학교 2학년(또는 15세)
3. 중학교 3학년(또는 16세)
4. 고등학교 1학년(또는 17세)
5. 고등학교 2학년(또는 18세)
6. 고등학교 3학년(또는 19세)
5. 귀하의 거주 지역은 어디입니까? 1. 서울
2. 부산
3. 대구
4. 인천
6. 대전
7. 울산 8. 세종 9. 경기
10. 강원
11. 충북
12. 충남
14. 전남
16. 경남
17. 제주
13. 전북
5. 광주 15. 경북
6. 귀하의 거주 지역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십니까? 1. 동지역
2. 읍면 지역
❖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09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통계·평가실 TEL : (02)2669-0000
ID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조사 [참여자 가족(성인)] 안녕하십니까? 이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시행하고 있는 2016 꿈다락 토요 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여러분의 소감과 느낌, 의견을 모으고자 하는 조사입니 다. 여러분의 의견은 앞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응답하시는 내용은 “통계법(제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을 통해 얻어진 모든 정보는 통계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설문문항에는 정답이 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사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수행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연구책임 : 양혜원 연구위원, 박종웅 연구원 조사방법/시스템문의 : 권민오 차장, 김진아 연구원(☎ 02-3406-3951) 조사내용문의 : 김미현 위촉연구원, 한민아 위촉연구원(☎ 02-2669-8994~5)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참여한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프로그램명을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표시(O )해주세요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2016년 _____월 _____일 _____ 요일 일 시 (1. 오전 / 2. 오후 ) _____ 시 세부 프로그램 명
※만
세 이상만 응답해주세요
19
31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1. 귀하는 2016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셨습니까? (참관 제외) 1. 예
2. 아니오
문 2. 귀하의 자녀는 2016년 이전에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 까? 1. 예 (☞ 문 2-1로)
2. 아니오 (☞ 문 3로)
문 2-1. 귀하의 자녀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것은 언제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1. 2012년
2. 2013년
3. 2014년
4. 2015년
문 2-2. 귀하의 자녀가 이전에 참여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다음 중 무엇입니 까? [복수선택 가능]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건축문화 프로그램
6.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7.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8.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9.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0.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1. 아리랑 프로그램
문 3.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어떠한 경로로 알게 되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학교 안내 3. 친구, 직장동료, 이웃, 지인
2. 가족, 친척 4.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6. 인터넷 검색
7.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페 등)
8.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9.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10.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11.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12. 기타 (
)
문 4.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www.toyo.or.kr)를 이용해 본 적이 있으 십니까? 1. 예 (☞ 문 4-1로)
2. 아니오 (☞ 문 5로)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11
문 4-1. 귀하께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www.toyo.or.kr)의 이용이 편리하 다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
그런 편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2
3
4
5
6
7
문 5. 귀하는 귀하의 자녀를 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참여시키게 되셨나요? [1개만 선택] 1.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어서
2. 자녀에게 유익할 것 같아서
3. 사회성을 기르게 하기 위해서 4. 자녀의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5. 주말에 하는 프로그램이라서 6. 비용이 안들어서 7. 가족이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체험하기 위해 8. 가족 간 유대관계 증진을 위해
9. 프로그램이 알차서
10. 기타 (
)
문 6.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프로그램 내용이 재미있었다.
1
2
3
4
5
6
7
2
프로그램 내용이 유익했다.
1
2
3
4
5
6
7
3
프로그램 내용과 방식이 참신했다.
1
2
3
4
5
6
7
4
프로그램이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마음에 들었다.
1
2
3
4
5
6
7
5
강사의 역량이 뛰어났다.
1
2
3
4
5
6
7
6
강사가 친절하고 참여자들을 잘 배려했다.
1
2
3
4
5
6
7
7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편리했다.
1
2
3
4
5
6
7
8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장소가 쾌적했다
1
2
3
4
5
6
7
9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재료나 기자재의 품질이 좋았다.
1
2
3
4
5
6
7
10
프로그램이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1
2
3
4
5
6
7
11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1
2
3
4
5
6
7
12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1
2
3
4
5
6
7
13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의 재능과 적성을 발견했다.
1
2
3
4
5
6
7
14
프로그램 참여 이후 예전보다 문화예술이 더 좋아졌다.
1
2
3
4
5
6
7
15
프로그램 참여 이후 나의(자녀의) 생활이 더 즐거워졌다.
1
2
3
4
5
6
7
16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한다.
1
2
3
4
5
6
7
17
향후에도 참여하고 싶다.
1
2
3
4
5
6
7
18
향후에도 나의 자녀를 참여시키고 싶다.
1
2
3
4
5
6
7
19
주변사람들(친구, 가족, 지인 등)에게 추천하고 싶다.
1
2
3
4
5
6
7
31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7.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의 1기수가 전체적으로 몇 회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1개만 선택] 1. 1∼4회
2. 5∼7회
3. 8∼10회
4. 11회~15회
5. 16회 이상
문 8. 귀하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주로 어떻게 시간을 보내시나요? (가장 많이 하는 활동 순 으로 응답보기 중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2,3순위 모두 필수 선택] ( 1순위
2순위
3순위
)
1. TV시청
2. 인터넷 검색
3. 산책
4. 게임
5. 헬스/등산/스포츠
6. 잡담/통화/SNS
7. 낮잠
8. 문화 활동 (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
9. 외식/쇼핑
10. 여행
11. 생업종사
12. 기타 (
)
문 9.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공연(음악, 무용, 전통예술 등; 영화는 제외)을 몇 번 이나 직접 방문하여 보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10.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전시(미술관, 박물관 등)를 몇 번이나 직접 방문하여보셨습니 까? [1개만 선택]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11. 지난 1년 동안 가족(또는 자녀)과 함께 직접 방문하여 문화생활(공연, 전시 관람, 예 술체험 등; 영화는 제외)을 한 횟수는 몇 번입니까? [1개만 선택]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13
문 12. 귀하의 자녀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
1
2
3
4
5
6
7
3
낙천적이다.
1
2
3
4
5
6
7
4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강한 편이다.
1
2
3
4
5
6
7
5
자신감이 높은 편이다.
1
2
3
4
5
6
7
6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7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
1
2
3
4
5
6
7
8
친구관계가 원만한 편이다.
1
2
3
4
5
6
7
9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10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11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문 13. 귀하의 가족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3
가족 간에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4
가족이 함께 외식을 하거나 놀러가는 일이 많다.
1
2
3
4
5
6
7
5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문 14. 귀하 또는 귀댁의 구성원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십니까? 1. 예 (☞ 문 14-1로)
2. 아니오 (☞ 문 15로)
문 14-1. 귀댁의 구성원이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시기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시 나요? [복수선택 가능] 1. 2016년 4. 2013년
2. 2015년 5. 2012년
31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3. 2014년 6. 2012년 이전
문 14-2. 귀댁의 구성원이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나요?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 으로 응답해주세요) [1개만 선택] 1.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2.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3. 학교동아리 프로그램
4. 지역아동 센터 등 교육복지시설
5. 읍면동 주민센터 등 주민복지시설
6. 문화시설(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
7. 기타(
)
문 14-3.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귀댁의 구성원 중 누가 참여했나요?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세요) [1개만 선택] 1. 본인만 참여 2. 자녀만 참여
3. 본인(또는 가족)과 자녀가 함께 참여
문 14-4. 귀댁의 구성원이 참여하신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이외에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 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 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세요) 매우 불만
불만
약간 불만
보통
다소 만족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6
7
문 15. 다음의 프로그램 중에서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응답해주세요) [복수선택 가능]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14. 지역연계 프로그램
[참고]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 미술관에서 미술관의 작품과 작가,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 의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 박물관에서 박물관의 유물과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 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국공립 기관(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에서 각 기관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15
의 전문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작은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적 관점에서 주변 환경과 지역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함께 배워보는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또래와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악, 사 진, 영상, 그림, 요리, 음식 등) 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와 문화예술활동을 매개로 자신의 삶, 적성, 흥미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시각예술분야 예술가와 함께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를 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뉴욕 필하모닉 교육을 기반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발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 아리랑을 테마로 우리나라의 정서를 경험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미 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등)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 문화예술대학에서 개발한 통합문화예술교육(복합예술, 예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 등) 프로그램 14. 지역 연계 프로그램 : 16개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지역문화재단)이 진행하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가깝고 친근하게 만나는 토요문화학교 사업
문 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 요? [1개만 선택]
1. 문화예술교육
2. 재미와 즐거움 3. 가족
4. 여행
5. 토요일
6. 학교
8. 꿈
9. 희망
10. 친구
13. 해방감
14. 진로
7. 여가
11. 도전 12. 체험 15. 기타 (
)
문 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바라는 점이나 개선사항이 있다면 작성해주십시오.
31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기본사항 ] 1. 귀하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관계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십 니까? 1. 엄마
2. 아빠
3. 형제/자매
4. (외)할머니/(외)할아버지
5. 삼촌/이모 등
6. 기타
2.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한 분들을 모두 체크해주십시오. 1. 엄마
2. 아빠
3. 형제/자매
4. (외)할머니/(외)할아버지
5. 삼촌/이모 등
6. 기타
3. 함께 참여한 자녀의 수는 몇 명입니까? 1. 1명
2. 2명
3. 3명
4. 4명
5. 5명
6. 6명
4. 귀하의 자녀가 해당하는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녀 자녀1
자녀2
자녀3
자녀4
자녀5
자녀6
성별 1. 남성
1. 남성
1. 남성
1. 남성
1. 남성
1. 남성
2. 여성
2. 여성
2. 여성
2. 여성
2. 여성
2. 여성
나이 (
학교 1. 유아
2. 초등학교
4. 고등학교
5. 20세 이상
1. 유아
2. 초등학교
4. 고등학교
5. 20세 이상
1. 유아
2. 초등학교
4. 고등학교
5. 20세 이상
1. 유아
2. 초등학교
4. 고등학교
5. 20세 이상
1. 유아
2. 초등학교
4. 고등학교
5. 20세 이상
1. 유아
2. 초등학교
4. 고등학교
5. 20세 이상
3. 중학교
)세
(
3. 중학교
)세
(
3. 중학교
)세
(
3. 중학교
)세
(
3. 중학교
)세
(
3. 중학교
)세
5.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1. 남성
2. 여성
6. 귀하의 나이는 어떻게 되십니까?
(
)세
( 한국나이 기준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17
7. 귀하의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1. 고등학교 졸업 이하 2. 대학교 졸업 이하(재학 및 중퇴 포함) 3. 대학원 졸업 이하(재학 및 중퇴 포함)
8. 귀하의 거주 지역은 어디입니까? 1. 서울
2. 부산
3. 대구
4. 인천
5. 광주
6. 대전
7. 울산
8. 세종
9. 경기
10. 강원
11. 충북
12. 충남
13. 전북
14. 전남
15. 경북
16. 경남
17. 제주
9. 귀하의 거주 지역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십니까? 1. 동지역
2. 읍면 지역
❖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31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통계·평가실 TEL : (02)2669-0000
00
ID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조사 [참여자단체] 안녕하십니까? 이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과 관련하여 예술교육 전문기관으로 참여하고 계신 여러분들이 프로그램을 통 해 경험한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고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취지의 조사입 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앞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 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응답하시는 내용은 “통계법(제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을 통해 얻어진 모든 정보는 통계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설문문항에는 정답이 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사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수행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연구책임 : 양혜원 연구위원, 박종웅 연구원 조사방법/시스템문의 : 권민오 차장(☎ 02-3406-3921), 김진아 연구원(☎ 02-3406-3951) 조사내용문의 : 김미현 위촉연구원, 한민아 위촉연구원(☎ 02-2669-8994~5)
2016년
참여하고 계신 프로그램명을 체크(
√)해주세요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⑤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⑥ 건축문화 프로그램 ⑦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⑧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⑩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⑪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⑫ 아리랑 프로그램
세부 프로그램 명 단체명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19
문 1. 귀 단체는 2016년 이전에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1-1로)
② 아니오 (☞ 문 2로)
문 1-1. 귀 단체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것은 언제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① 2012년
② 2013년
③ 2014년
④ 2015년
문 1-2. 귀 단체가 이전에 참여하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다음 중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⑤ 건축문화 프로그램 ⑦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⑪ 아리랑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⑥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⑧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⑩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⑫ 지역 연계 프로그램
문 2. 귀 단체는 어떻게 홍보를 하고 계시나요? [복수선택 가능]
① 학교, 교육청 공문 ② 가족, 친척 ③ 친구, 이웃, 지인 ④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⑥ 인터넷 홈페이지 ⑦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카폐 등) ⑧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⑨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⑩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⑪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⑫ 기타 ( ) 문 2-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www.toyo.or.kr)를 이용해 본 적이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2-2로)
② 아니오 (☞ 문 3로)
문 2-2. 귀 단체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www.toyo.or.kr)의 이용이 편리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
그런 편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2
3
4
5
6
7
32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3. 귀 단체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참여한 가장 큰 목적은 무엇인가요? [1개만선택]
① 기관의 고유 목적과 관련된 사업이므로 ② 주말에 하는 프로그램이라서 ③ 기관 운영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④ 타 사업과의 시너지를 위해서 ⑤ 문화예술교육사업에 관심이 있어서 ⑥기타 (
)
문 4. 귀 단체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 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매우 불만
불만
약간 불만
보통
약간 만족
만족
매우 만족
1
사업 운영방식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1
2
3
4
5
6
7
2
사업의 예산은 충분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3 4
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수업장소 확보 요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사업에 대해 전체적으로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문 5. 귀 단체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 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혀그 그렇 렇지않 지않 다 다
구 분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프로그램 참여자를 모으는 것이 용이했다.
1
2
3
4
5
6
7
2
프로그램의 홍보가 쉬웠다.
1
2
3
4
5
6
7
3
프로그램 진행 장소의 선정 및 확보가 용이했다.
1
2
3
4
5
6
7
4
프로그램이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1
2
3
4
5
6
7
사업 참여를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5 6 7 8
사업 참여 이후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에 대해 호감을 갖 게 되었다. 향후에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하고 싶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참여를 주변 동료나 단체들에 게 추천하고 싶다.
문 6. 귀 단체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1기수는 전체적으로 몇 회가 적당하다고 생 각하시나요? [1개만선택] ① 1∼4회
② 5∼7회
③ 8∼10회
④ 11회~15회
⑤ 16회 이상
문 7.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하면서 교육참여자(수혜자)에게 어떤 변화가 나타났다고 생 각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시 기 바랍니다.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21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표정이 밝아졌다.
1
2
3
4
5
6
7
2
성격이 긍정적으로 변했다.
1
2
3
4
5
6
7
3
자신감이 생기고 당당해졌다.
1
2
3
4
5
6
7
4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게 되었다.
1
2
3
4
5
6
7
5
친구관계가 원만해졌다.
1
2
3
4
5
6
7
6
다른 사람을 더 배려하고 이해하게 되었다.
1
2
3
4
5
6
7
7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늘었다.
1
2
3
4
5
6
7
문 8. 귀 단체는 최근 2년 이내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8-1로)
② 아니오 (☞ 문 9 로)
문 8-1. 귀 단체가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무엇이었습니까? [최대 3개응답] 1) 프로그램명:
, 교육장소:
2) 프로그램명:
, 교육장소:
3) 프로그램명:
, 교육장소:
문 8-2. 귀 단체가 참여하신 사업은 어느 부처의 주관으로 진행되었습니까? [복수선택 가능]
① 교육부 ⑤ 농림축산식품부 ⑨ 기타 (
② 여성가족부 ⑥ 문화체육관광부
③ 보건복지부 ⑦ 지자체
④ 행정자치부 ⑧ 잘 모르겠음
)
문 9. 다음의 프로그램 중에서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아래 설명 내용을 참 고하여 응답해주세요.) [복수선택 가능]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⑤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⑦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⑪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⑬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32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⑥ 건축문화 프로그램 ⑧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⑩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⑫ 아리랑 프로그램 ⑭ 지역 연계 프로그램
[참고]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 미술관에서 미술관의 작품과 작가,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 박물관에서 박물관의 유물과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국공립 기관(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에 서 각 기관의 전문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⑤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작은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⑥ 건축문화 프로그램 :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적 관점에서 주변 환경과 지역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⑦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함께 배워보는 프로그램 ⑧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또래와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복합문화예술(미 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요리, 음식 등) 프로그램 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와 문화예술활동 을 매개로 자신의 삶, 적성, 흥미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⑩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시각예술분야 예술가와 함께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를 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⑪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뉴욕 필하모닉 교육을 기반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음악적 지식이 없어 도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발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⑫ 아리랑 프로그램 : 아리랑을 테마로 우리나라의 정서를 경험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복합문 화예술(미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등) 프로그램 ⑬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 문화예술대학에서 개발한 통합문화예술교육(복합예술, 예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 등) 프로그램 ⑭ 지역 연계 프로그램 : 16개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지역문화재단)이 진행하는, 내가 살 고 있는 지역에서 가깝고 친근하게 만나는 토요문화학교 사업
문 10. 귀 기관의 교육사업인력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하신 경험이 있으 신가요? ① 예 (☞ 문 10-1로)
② 아니오 (☞ 문 11로)
문 10-1. 귀 기관의 교육사업인력은 어떤 프로그램에 참여하셨나요? [복수선택 가능] ① 학교․사회 예술강사 의무연수
②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③ 학교․사회 예술강사 선택연수
④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➅ 예비 기획인력 양성과정, 문화도담 연수
➆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⑧ 기타 (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23
문 11. 귀 기관은 예술교육 관련 연수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참여하실 의향이 있으신가요? ① 예 (☞ 문 11-1로)
② 아니오 (☞ 문 12로)
문 11-1. 귀 기관(또는 구성원)이 참여하고 싶은 연수 프로그램은 다음 중 무엇인가요? [복수선택 가능] ① 기획능력 개발 교육
② 소통능력 개발 교육
③ 상담기술 개발 교육
④ 장르 심화교육
⑤ 교육방법론 교육
➅ 대상(아동/청소년/가족 등)에 대한 이해 교육
➆ 지역 및 공간에 대한 이해 교육
➇ 국내외 사례 교육
➈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통합워크숍 ➉ 기타(
)
문 1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보 기 로테이션, 1개만 선택] ① 문화예술교육
② 재미와 즐거움
③ 가족
④ 여행
⑤ 토요일
⑥ 학교
➆ 여가
➇ 꿈
⑨ 희망
⑩ 친구
⑪ 도전
⑫ 체험
⑬ 해방감
⑭ 진로
⑮ 기타(
)
문 13. 귀 기관은 현재 어느 협회의 지원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고 계신가요? [1개만 선택] ① 한국사립미술관협회 (☞ 문 13-1로) ② 한국박물관협회 (☞ 문 13-1로) ③ 한국건축가협회 ⑤ 기타(
(☞ 문 13-1로)
④ 협회와 관계없음 (☞ 문 14)
) (☞ 문 14로)
문 13-1. 귀 기관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진행한 협회의 지원에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매우 불만
불만
약간 불만
보통
다소 만족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6
7
문 1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바라는 점이나 개선사항이 있다면 작성해주십시오.
32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기본사항] 설문에 응답해주신 단체의 주요 활동 장르
단체 설립 연도
① 문학(인문학) ② 국악(전통예술) ③ 음악 ④ 연극/뮤지컬 ⑤ 무용 ⑥ 미술 ⑦ 사진 ⑧ 만화 ⑨ 디자인 ⑩ 건축 ⑪ 영화/ 영상/미디어
⑫ 대중예술 ⑬ 통합문화예술
⑭ 기타(
) 년
① 서울 ② 부산 ③ 대구 ④ 인천 ⑤ 광주 ⑥ 대전 ⑦ 울산 소재 지역
⑧ 세종 ⑨ 경기 ⑩ 강원 ⑪ 충북 ⑫ 충남 ⑬ 전북 ⑭ 전남 ⑮ 경북 ⑯ 경남 ⑰ 제주
❖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25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통계·평가실 TEL : (02)2669-0000
ID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만족도조사 [참여자협회] 안녕하십니까? 이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과 관련하여 예술교육 전문기관으로 참여하고 계신 여러분들이 프로그램 을 통해 경험한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고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취지의 조 사입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앞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응답하시는 내용은 “통계법(제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을 통해 얻어진 모든 정보는 통계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설문문항에는 정답이 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사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수행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연구책임 : 양혜원 연구위원, 박종웅 연구원 조사방법/시스템문의 : 권민오 차장(☎ 02-3406-3921), 김진아 연구원(☎ 02-3406-3951) 조사내용문의 : 김미현 위촉연구원, 한민아 위촉연구원(☎ 02-2669-8994~5)
2016년
참여하고 계신 프로그램명을 체크(
√)해주세요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⑤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⑥ 건축문화 프로그램 ⑦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⑧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⑩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⑪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⑫ 아리랑 프로그램
32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1. 귀 기관은 2016년 이전에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1-1로)
② 아니오 (☞ 문 2로)
문 1-1. 귀 기관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하신 것은 언제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① 2012년
② 2013년
③ 2014년
④ 2015년
문 1-2. 귀 기관이 과거에 참여하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다음 중 무엇입니까? [복수 선택 가능]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⑤ 건축문화 프로그램 ⑦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⑨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⑪ 아리랑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⑥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⑧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⑩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⑫ 지역 연계 프로그램
문 2. 귀 기관은 어떻게 홍보를 하고 계시나요? [복수선택 가능]
① 학교, 교육청 공문 ③ 친구, 이웃, 지인 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⑦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카폐 등) ⑨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⑪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⑫ 기타 (
② 가족, 친척 ④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⑥ 인터넷 홈페이지 ⑧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⑩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
문 2-1.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www.toyo.or.kr)를 이용해 본 적이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2-2로)
② 아니오 (☞ 문 3로)
문 2-2. 귀 기관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http://www.toyo.or.kr)의 이용이 편리하다 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
그런 편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2
3
4
5
6
7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27
문 3. 귀 기관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참여한 가장 큰 목적은 무엇인가요? [1개만 선택]
① 기관의 고유 목적과 관련된 사업이므로 ② 주말에 하는 프로그램이라서 ③ 기관 운영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④ 타 사업과의 시너지를 위해서 ⑤ 문화예술교육사업에 관심이 있어서 ⑥ 기타 (
)
문 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있어 협회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1개만선택]
① 공문 접수 및 내용 전달 ② 개별사업 신청 접수 ③ 워크숍 및 컨설팅을 통한 역량 강화 지원 ④ 사업 모니터링을 통한 회원기관 관리 ⑤ 사업 평가 ⑥ 기타 ( ) 문 5. 지역 협회와 협업으로 진행되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문 6. 지역 협회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그렇지 않다 1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
그런 편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2
3
4
5
6
7
문 7. 귀 기관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 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사업 계획이 잘 수립되었다. 사업 신청이 편리했다. 사업 계획(일정, 예산 등)에 맞게 잘 운영되고 있다. 사업 예산은 충분하였다. 강사 섭외가 쉬웠다. 강사의 수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충분하다. 사업의 성격과 프로그램 진행 장소가 잘 맞는다. 사업이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의 협력은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회원기관과의 협력은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향후에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다. 타 기관에 추천하고 싶다.
32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전혀 그렇 지않 다 1 1 1 1 1 1 1 1 1 1 1 1 1
그렇 지않 다 2 2 2 2 2 2 2 2 2 2 2 2 2
그렇 지않 은편 이다 3 3 3 3 3 3 3 3 3 3 3 3 3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4 4 4 4 4 4 4 4 4 4 4 4 4
5 5 5 5 5 5 5 5 5 5 5 5 5
6 6 6 6 6 6 6 6 6 6 6 6 6
7 7 7 7 7 7 7 7 7 7 7 7 7
문 8. 귀 기관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통해 어떤 변화가 있었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회원기관(참가단체) 간의 의사소통이 더 원활해 졌다.
1
2
3
4
5
6
7
2
회원기관과의 협력이 더 강화되었다.
1
2
3
4
5
6
7
3
문화예술 관련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었다.
1
2
3
4
5
6
7
4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었다.
1
2
3
4
5
6
7
5
기관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이 강화되었다.
1
2
3
4
5
6
7
6
기관의 위상이 강화되었다.
1
2
3
4
5
6
7
7
기관의 재정적 여건이 개선되었다.
1
2
3
4
5
6
7
8
기관의 인적자원이 충원되었다.
1
2
3
4
5
6
7
9
기관 내 타사업과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였다.
1
2
3
4
5
6
7
문 9. 귀 기관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1기수는 전체적으로 몇 회가 적당하다고 생 각하시나요? [1개만 선택] ① 1∼4회
② 5∼7회
③ 8∼10회
④ 11회~15회
⑤ 16회 이상
문 10. 귀 기관은 최근 2년 이내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10-1로)
② 아니오 (☞ 문 11로)
문 10-1. 귀 기관에서 추진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무엇이었습니까? [최대 3개 응답] 1) 프로그램명:
, 교육장소:
2) 프로그램명:
, 교육장소:
3) 프로그램명:
, 교육장소:
문 10-2. 귀 기관의 (과거 혹은) 현재 진행 중인 사업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1개만 선택] ① 사업 목적
② 예술교육 장르
③ 교육 대상
④ 교육 횟수
⑤ 교육 장소
⑥ 예산 규모
⑦ 큰 차이 없음 ⑧ 기타(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29
문 11. 다음의 프로그램 중에서 향후에 추가적으로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아래 설명 을 참고하여 응답해주세요.) [복수선택 가능]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⑤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⑦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⑪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⑬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⑥ 건축문화 프로그램 ⑧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⑩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⑫ 아리랑 프로그램 ⑭ 지역 연계 프로그램
[참고]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 미술관에서 미술관의 작품과 작가,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 박물관에서 박물관의 유물과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 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국공립 기관(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에서 각 기관 의 전문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⑤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작은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⑥ 건축문화 프로그램 :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적 관점에서 주변 환경과 지역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⑦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함께 배워보는 프로그램 ⑧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또래와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악, 사 진, 영상, 그림, 요리, 음식 등) 프로그램 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와 문화예술활동을 매개로 자신의 삶, 적성, 흥미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⑩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시각예술분야 예술가와 함께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를 발현할 수 있는 프 로그램 ⑪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뉴욕 필하모닉 교육을 기반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발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⑫ 아리랑 프로그램 : 아리랑을 테마로 우리나라의 정서를 경험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등) 프로그램 ⑬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 문화예술대학에서 개발한 통합문화예술교육(복합예술, 예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 등) 프로그램 ⑭ 지역 연계 프로그램 : 16개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지역문화재단)이 진행하는, 내가 살고 있는 지 역에서 가깝고 친근하게 만나는 토요문화학교 사업
33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1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 요? [보기 로테이션, 1개만 선택] ① 문화예술교육
② 재미와 즐거움
③ 가족
④ 여행
⑤ 토요일
⑥ 학교
➆ 여가
➇ 꿈
⑨ 희망
⑩ 친구
⑪ 도전
⑫ 체험
⑬ 해방감
⑭ 진로
⑮ 기타(
)
문 1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에 바라는 점이나 개선사항이 있다면 작성해주십시오.
[기본사항]
설문에 응답해주신 협회명
사업 담당자
담당자 고용형태
① 한국사립미술관협회 ② 한국박물관협회 ③ 한국건축가협회
④ 기타(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⑤ 그 이상(
)
명)
사업담당자
고용형태
직원1
① 정규직 ② 비정규직 ③ 무기계약직 ④ 기타
직원2
① 정규직 ② 비정규직 ③ 무기계약직 ④ 기타
직원3
① 정규직 ② 비정규직 ③ 무기계약직 ④ 기타
직원4
① 정규직 ② 비정규직 ③ 무기계약직 ④ 기타
① 서울 ② 부산 ③ 대구 ④ 인천 ⑤ 광주 ⑥ 대전 ⑦ 울산 기관의 소재지역
⑧ 세종 ⑨ 경기 ⑩ 강원 ⑪ 충북 ⑫ 충남 ⑬ 전북 ⑭ 전남 ⑮ 경북 ⑯ 경남 ⑰ 제주
❖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31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통계·평가실 TEL : (02)2669-0000
ID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조사 [참여자 아동(초등학생)] 안녕하십니까? 이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시행하고 있는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한 여러분의 소감과 느낌, 의견을 모으고자 하는 조사입 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앞으로 동 사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응답하시는 내용은 “통계법(제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을 통해 얻어진 모든 정보는 통계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설문문항에는 정답이 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사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수행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연구책임 : 양혜원 연구위원, 박종웅 연구원 조사방법/시스템문의 : 권민오 차장, 김진아 연구원(☎ 02-3406-3951) 조사내용문의 : 김미현 위촉연구원, 한민아 위촉연구원(☎ 02-2669-8994~5)
일 시
2016년 _____월 _____일 _____ 요일
세부 프로그램 명
33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1. 오전 / 2. 오후 ) _____ 시
문 1. 학생은 2016년 이전에도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나요? 1. 예 (☞ 문 1-1로)
2. 아니오 (☞ 문 2로)
문 1-1. 학생이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것은 언제인가요? (모두 골라주세요) 1. 2012년
2. 2013년
3. 2014년
4. 2015년
문 2. 학생은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을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 (하나만 골라주세요) 1. 학교 안내
2. 가족, 친척
3. 친구, 이웃, 지인
4.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5. 인터넷 검색
6.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페 등)
7.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8.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9.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10.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11. 기타 (
)
문 3. 학생은 현재 참여하고 있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누구와 함께 왔나요? (모두 골라주세요) 1. 혼자서
2. 친구
3. 선생님
4. 가족 및 친척
5. 이웃
6. 기타 (
)
문 4. 학생은 현재 참여하고 있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이 얼마나 좋았나요(만족스 러웠나요)? 아주 싫었다
싫었다
싫은 편이다
보통
좋은 편이다
좋았다
아주 좋았다
1
2
3
4
5
6
7
문 5. 학생은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이 어땠나요? 다음 표의 응답보기 중 학생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O)해 주세요.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내용이 재미있었다.
1
2
3
4
5
6
7
2
새로운 것을 많이 배웠다.
1
2
3
4
5
6
7
3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마음에 들었다.
1
2
3
4
5
6
7
4
선생님이 친절하고 좋았다.
1
2
3
4
5
6
7
5
장소가 좋았다.
1
2
3
4
5
6
7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33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6
토요일에 해서 좋았다.
1
2
3
4
5
6
7
7
나의 생활이 더 즐거워 졌다.
1
2
3
4
5
6
7
8
다음에도 또 오고 싶다.
1
2
3
4
5
6
7
9
다른 친구들에게도 소개해주고 싶다.
1
2
3
4
5
6
7
문 6.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서 배운 것 중에 제일 기억에 남는 게 무엇인가요?
문 7. 학생은 토요일과 일요일에 주로 무엇을 하나요? (모두 골라주세요) 1. TV를 본다
2. 게임을 한다
3. 인터넷 검색이나 SNS를 한다(페이스북, 블로그,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4. 잠을 잔다
5. 공부를 한다
7. 가족과 함께 논다
8. 부모님을 돕는다
9. 기타 (
6. 친구와 논다
)
문 8. 학생은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공연(음악, 무용, 전통예술 등; 영화는 제외)을 몇 번 이나 직접 방문하여 봤나요? (하나만 골라주세요)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9. 학생은 지난 1년 동안 전시(미술관, 박물관 등)를 몇 번이나 직접 방문하여봤나요? (하나만 골라주세요)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10. 학생은 지난 1년 동안 가족과 함께 직접 방문하여 문화생활(공연, 전시 관람, 예술체 험 등; 영화는 제외)을 몇 번이나 했나요? (하나만 골라주세요)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33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4. 5∼7회
문 11. 학생이 생각하는 자신(스스로)에 대해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O)해 주세요.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나는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나는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다.
1
2
3
4
5
6
7
3
나는 행복하다.
1
2
3
4
5
6
7
4
나는 호기심이 많다.
1
2
3
4
5
6
7
5
나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잘한다.
1
2
3
4
5
6
7
6
나는 학교생활이 재미있다.
1
2
3
4
5
6
7
7
나는 친구들과 사이가 좋다.
1
2
3
4
5
6
7
8
나는 친구들을 잘 도와주는 편이다.
1
2
3
4
5
6
7
9
나는 문화예술(영화, 공연, 전시 등)이 좋다.
1
2
3
4
5
6
7
10
나는 부모님이 좋다.
1
2
3
4
5
6
7
11
나는 힘든 일이 있으면 부모님께 이야기한다.
1
2
3
4
5
6
7
12
우리 가족은 사이가 좋다.
1
2
3
4
5
6
7
문 12. 학생은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해 본 적이 있나요? 1. 예 (☞ 문 12-1로)
2. 아니오 (☞ 문 13로)
문 12-1. 가장 최근에 참여한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이었나요?
문 13. 다음의 프로그램 중에서 다음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모두 골라주세요)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14. 지역연계 프로그램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35
[참고]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 미술관에서 미술관의 작품과 작가,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 박물관에서 박물관의 유물과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 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국공립 기관(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에서 각 기관의 전문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작은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적 관점에서 주변 환경과 지역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함께 배워보는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또래와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악, 사 진, 영상, 그림, 요리, 음식 등) 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와 문화예술활동을 매개로 자신의 삶, 적성, 흥미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 시각예술분야 예술가와 함께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를 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뉴욕 필하모닉 교육을 기반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발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 아리랑을 테마로 우리나라의 정서를 경험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미 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등)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 문화예술대학에서 개발한 통합문화예술교육(복합예술, 예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 등) 프로그램 14. 지역 연계 프로그램 : 16개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지역문화재단)이 진행하는, 내가 살고 있는 지 역에서 가깝고 친근하게 만나는 토요문화학교 사업
문 14.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하나만 골라주세요) 1. 문화예술교육
2. 재미와 즐거움 3. 가족
4. 여행
5. 토요일
6. 학교
7. 여가
8. 꿈
9. 희망
10. 친구
11. 도전
12. 체험
13. 해방감
14. 진로
15. 기타 (
)
문 15.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바라는 점이나 개선사항이 있다면 써주세요.
33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기본사항] 1. 학생의 성별은 무엇인가요? 1. 남성
2. 여성
2. 학생의 나이는 어떻게 되나요? (
)세
( 한국나이 기준 )
3. 학생은 현재 다음 중 어디에 속하나요? 1. 1학년(또는 8세)
2. 2학년(또는 9세)
3. 3학년(또는 10세)
4. 4학년(또는 11세)
5. 5학년(또는 12세)
6. 6학년(또는 13세)
4. 학생의 거주 지역은 어디인가요? 1. 서울
2. 부산
3. 대구
6. 대전
7. 울산
8. 세종 9. 경기 10. 강원
4. 인천
11. 충북
12. 충남
13. 전북
16. 경남
17. 제주
14. 전남
5. 광주 15. 경북
5. 학생의 거주지역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나요? 1. 동지역
2. 읍면 지역
❖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37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통계·평가실 TEL : (02)2669-0000
ID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조사 [참여자 청소년(중.고등학생] 안녕하십니까? 이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시행하고 있는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한 여러분의 소감과 느낌, 의견을 모으고자 하는 조사입 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앞으로 동 사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응답하시는 내용은 “통계법(제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을 통해 얻어진 모든 정보는 통계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설문문항에는 정답이 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사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수행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연구책임 : 양혜원 연구위원, 박종웅 연구원 조사방법/시스템문의 : 권민오 차장, 김진아 연구원(☎ 02-3406-3951) 조사내용문의 : 김미현 위촉연구원, 한민아 위촉연구원(☎ 02-2669-8994~5)
일 시
세부 프로그램 명
33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2016년 _____월 _____일 _____ 요일 (1. 오전 / 2. 오후 ) _____ 시
문 1. 귀하는 2016년 이전에도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으십니까? 1. 예 (☞ 문 1-1로)
2. 아니오 (☞ 문 2로)
문 1-1. 귀하가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것은 언제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1. 2012년
2. 2013년
3. 2014년
4. 2015년
문 2. 귀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을 어떠한 경로로 알게 되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학교 안내
2. 가족, 친척
3. 친구, 이웃, 지인
4.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5. 인터넷 검색
6.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페 등)
7.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8.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9.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10.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11. 기타 (
)
문 3. 귀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왜 참여하게 되셨나요? [1개만 선택] 1.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어서
2. 유익할 것 같아서
3. 많은 친구들을 만날 수 있어서
4.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5. 주말에 하는 프로그램이라서
6. 비용이 안들어서
7. 가족이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체험하기 위해 8. 가족 간 유대관계 증진을 위해 10. 기타 (
9. 프로그램이 알차서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39
문 4. 귀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프로그램 내용이 재미있었다.
1
2
3
4
5
6
7
2
프로그램 내용이 유익했다.
1
2
3
4
5
6
7
3
프로그램 내용과 방식이 참신했다.
1
2
3
4
5
6
7
4
프로그램이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마음에 들었다.
1
2
3
4
5
6
7
5
강사의 역량이 뛰어났다.
1
2
3
4
5
6
7
6
강사가 친절하고 참여자들을 잘 배려했다.
1
2
3
4
5
6
7
7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편리했다.
1
2
3
4
5
6
7
8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장소가 쾌적했다
1
2
3
4
5
6
7
9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재료나 기자재의 품질이 좋았다.
1
2
3
4
5
6
7
10
프로그램이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1
2
3
4
5
6
7
11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1
2
3
4
5
6
7
12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1
2
3
4
5
6
7
13
프로그램을 통해 재능과 적성을 발견했다.
1
2
3
4
5
6
7
14
프로그램 참여 이후 예전보다 문화예술이 더 좋아졌다.
1
2
3
4
5
6
7
15
프로그램 참여 이후 나의 생활이 더 즐거워졌다.
1
2
3
4
5
6
7
16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한다.
1
2
3
4
5
6
7
17
향후에도 참여하고 싶다.
1
2
3
4
5
6
7
18
주변사람들(친구, 가족, 지인 등)에게 추천하고 싶다.
1
2
3
4
5
6
7
문 5. 귀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의 1개 분반이 전체적으로 몇 회가 적당 하다고 생각하시나요? [1개만 선택] 1. 1∼4회
2. 5∼7회
3. 8∼10회
4. 11회~15회
5. 16회 이상
문 6. 귀하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주로 어떻게 시간을 보내시나요? (가장 많이 하는 활동 순 으로 응답보기 중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 1순위
2순위
3순위
)
1. TV시청
2. 인터넷 검색
3. 산책
5. 헬스/등산/스포츠
6. 잡담/통화/SNS
7. 낮잠
9. 외식/쇼핑 13. 기타 (
10. 여행
11. 아르바이트
34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4. 게임 8. 문화 활동 (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 12. 공부 )
문 7.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공연(음악, 무용, 전통예술 등 ;영화는 제외)을 몇 번 이나 직접 방문하여 보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8.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전시(미술관, 박물관 등)를 몇 번이나 직접 방문하여 보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1회
2. 2회
3. 3∼4회
5. 8∼10회
6. 11회 이상
9. 없음
4. 5∼7회
문 9. 지난 1년 동안 가족과 함께 직접 방문하여 문화생활(공연, 전시 관람, 예술체험 등; 영 화는 제외)을 한 횟수는 몇 번입니까? [1개만 선택] 1. 1회 5. 8∼10회
2. 2회 6. 11회 이상
3. 3∼4회 9. 없음
4. 5∼7회
문 10. 귀하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
1
2
3
4
5
6
7
3
낙천적이다.
1
2
3
4
5
6
7
4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강한 편이다.
1
2
3
4
5
6
7
5
자신감이 높은 편이다.
1
2
3
4
5
6
7
6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7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
1
2
3
4
5
6
7
8
친구관계가 원만한 편이다.
1
2
3
4
5
6
7
9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10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11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41
문 11. 귀하의 가족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3
가족 간에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4
가족이 함께 외식을 하거나 놀러가는 일이 많다.
1
2
3
4
5
6
7
5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문 12. 귀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십니까? 1. 예 (☞ 문 12-1로)
2. 아니오 (☞ 문 13로)
문 12-1. 귀하께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시기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 하시나요? [복수선택가능] 1. 2016년
2. 2015년
3. 2014년
4. 2013년
5. 2012년
6. 2012년 이전
문 12-2. 귀하가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나요?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세요) [1개만 선택] 1.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2.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3. 학교동아리 프로그램
4. 지역아동 센터 등 교육복지시설
5. 읍면동 주민센터 등 주민복지시설 7. 기타 (
6. 문화시설(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
)
문 12-3. 귀하가 참여하신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이외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 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 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세요) 매우 불만
불만
약간 불만
보통
다소 만족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6
7
34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13. 귀하는 다음 중 어떤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시나요? (다 음 보기 중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여 기입해 주세요) ( 1순위
2순위
3순위
)
1. 문학(인문학)
2. 국악(전통예술)3. 음악
5. 무용
6. 미술
9. 디자인
10. 건축
12. 대중예술
13. 통합문화예술
4. 연극/뮤지컬 7. 사진
8. 만화
11. 영화/ 영상/미디어 14. 기타(
)
문 14. 다음의 프로그램 중에서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응답해주세요) [복수선택가능]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14. 지역연계 프로그램
[참고]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 미술관에서 미술관의 작품과 작가,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 의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 박물관에서 박물관의 유물과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 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국공립 기관(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에서 각 기관 의 전문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작은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적 관점에서 주변 환경과 지역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함께 배워보는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 또래와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요리, 음식 등) 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와 문화예술활동을 매개로 자신의 삶, 적성, 흥미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 시각예술분야 예술가와 함께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를 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뉴욕 필하모닉 교육을 기반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발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 아리랑을 테마로 우리나라의 정서를 경험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미 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등) 프로그램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43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 문화예술대학에서 개발한 통합문화예술교육(복합예술, 예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 등) 프로그램 14. 지역 연계 프로그램 : 16개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지역문화재단)이 진행하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가깝고 친근하게 만나는 토요문화학교 사업
문 15.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1개만 선택] 1. 문화예술교육
2. 재미와 즐거움 3. 가족
4. 여행
5. 토요일
6. 학교
7. 여가
8. 꿈
9. 희망
10. 친구
11. 도전
12. 체험
13. 해방감
14. 진로
15. 기타 (
)
문 16.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바라는 점이나 개선사항이 있다면 작성해주십시오.
[기본사항] 1.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한 분들을 모두 체크해주십시오. 1. 본인만 참여
2. 엄마
5. (외)할머니/(외)할아버지
3. 아빠 6. 삼촌/이모 등
8. 기타 (
4.형제/자매 7. 친구
)
2.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1. 남성
2. 여성
3. 귀하의 나이는 어떻게 되십니까?
(
34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세
( 한국나이 기준 )
4. 귀하는 현재 다음 중 어디에 속합니까? 1. 중학교 1학년(또는 14세)
2. 중학교 2학년(또는 15세)
3. 중학교 3학년(또는 16세)
4. 고등학교 1학년(또는 17세)
5. 고등학교 2학년(또는 18세)
6. 고등학교 3학년(또는 19세)
5. 귀하의 거주 지역은 어디입니까? 1. 서울
2. 부산
3. 대구
6. 대전
7. 울산 8. 세종 9. 경기 10. 강원
11. 충북
12. 충남
16. 경남
17. 제주
13. 전북
4. 인천
5. 광주
14. 전남
15. 경북
6. 귀하의 거주지역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십니까? 1. 동지역
2. 읍면 지역
❖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45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통계·평가실 TEL : (02)2669-0000
ID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조사 [참여자 가족(성인)] 안녕하십니까? 이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시행하고 있는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한 여러분의 소감과 느낌, 의견을 모으고자 하는 조사입 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앞으로 동 사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응답하시는 내용은 “통계법(제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을 통해 얻어진 모든 정보는 통계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설문문항에는 정답이 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사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수행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연구책임 : 양혜원 연구위원, 박종웅 연구원 조사방법/시스템문의 : 권민오 차장, 김진아 연구원(☎ 02-3406-3951) 조사내용문의 : 김미현 위촉연구원, 한민아 위촉연구원(☎ 02-2669-8994~5) 2016년 _____월 _____일 _____ 요일
일 시
(1. 오전 / 2. 오후 ) _____ 시
세부 프로그램 명
※만
세 이상만 응답해주세요
19
34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1. 귀하는 2016년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셨습니까? (참관제외) 1. 예
2. 아니오
문 2. 귀하의 자녀는 2016년 이전에도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까? 1. 예 (☞ 문 2-1로)
2. 아니오 (☞ 문 3로)
문 2-1 귀하의 자녀가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것은 언제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1. 2012년
2. 2013년
3. 2014년
4. 2015년
문 3. 귀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을 어떠한 경로로 알게 되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학교 안내
2. 가족, 친척
3. 친구, 이웃, 지인
4.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5. 인터넷 검색
6.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페 등)
7.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8.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9.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10.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11. 기타 (
)
문 4. 귀하는 귀하의 자녀를 왜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시키게 되셨나요? [1개만 선택] 1.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어서
2. 자녀에게 유익할 것 같아서
3. 사회성을 기르게 하기 위해서
4. 자녀의 적성과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5. 주말에 하는 프로그램이라서
6. 비용이 안들어서
7. 가족이 함께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체험하기 위해 8. 가족 간 유대관계 증진을 위해 10. 기타 (
9. 프로그램이 알차서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47
문 5. 귀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프로그램 내용이 재미있었다.
1
2
3
4
5
6
7
2
프로그램 내용이 유익했다.
1
2
3
4
5
6
7
3
프로그램 내용과 방식이 참신했다.
1
2
3
4
5
6
7
4
프로그램이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마음에 들었다.
1
2
3
4
5
6
7
5
강사의 역량이 뛰어났다.
1
2
3
4
5
6
7
6
강사가 친절하고 참여자들을 잘 배려했다.
1
2
3
4
5
6
7
7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편리했다.
1
2
3
4
5
6
7
8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장소가 쾌적했다
1
2
3
4
5
6
7
9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재료나 기자재의 품질이 좋았다.
1
2
3
4
5
6
7
10
프로그램이 토요일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1
2
3
4
5
6
7
11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1
2
3
4
5
6
7
12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1
2
3
4
5
6
7
13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의 재능과 적성을 발견했다.
1
2
3
4
5
6
7
14
프로그램 참여 이후 예전보다 문화예술이 더 좋아졌다
1
2
3
4
5
6
7
15
프로그램 참여 이후 나의(자녀의) 생활이 더 즐거워졌다.
1
2
3
4
5
6
7
16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한다.
1
2
3
4
5
6
7
17
향후에도 참여하고 싶다.
1
2
3
4
5
6
7
18
향후에도 나의 자녀를 참여시키고 싶다.
1
2
3
4
5
6
7
19
주변사람들(친구, 가족, 지인 등)에게 추천하고 싶다.
1
2
3
4
5
6
7
문 6. 귀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의 1개 분반이 전체적으로 몇 회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1개만 선택] 1. 1∼4회
2. 5∼7회
3. 8∼10회
4. 11회~15회
5. 16회 이상
문 7. 귀하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주로 어떻게 시간을 보내시나요? (가장 많이 하는 활동 순 으로 응답보기 중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 1순위
2순위
3순위
)
1. TV시청
2. 인터넷 검색
3. 산책
5. 헬스/등산/스포츠
6. 잡담/통화/SNS
7. 낮잠
9. 외식/쇼핑 12. 기타 (
10. 여행
11. 생업종사
34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4. 게임 8. 문화 활동 (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 )
문 8.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공연(음악, 무용, 전통예술 등; 영화는 제외)을 몇 번 이나 직접 방문하여 보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1회 5. 8∼10회
2. 2회 6. 11회 이상
3. 3∼4회 9. 없음
4. 5∼7회
문 9.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전시(미술관, 박물관 등)를 몇 번이나 직접 방문하여 보셨습니까? [1개만 선택] 1. 1회 5. 8∼10회
2. 2회 6. 11회 이상
3. 3∼4회 9. 없음
4. 5∼7회
문 10. 지난 1년 동안 가족(또는 자녀)과 함께 직접 방문하여 문화생활(공연, 전시 관람, 예술체험 등; 영화는 제외)을 한 횟수는 몇 번입니까? [1개만 선택] 1. 1회 5. 8∼10회
2. 2회 6. 11회 이상
3. 3∼4회 9. 없음
4. 5∼7회
문 11. 귀하의 자녀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
1
2
3
4
5
6
7
3
낙천적이다.
1
2
3
4
5
6
7
4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강한 편이다.
1
2
3
4
5
6
7
5
자신감이 높은 편이다.
1
2
3
4
5
6
7
6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7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
1
2
3
4
5
6
7
8
친구관계가 원만한 편이다.
1
2
3
4
5
6
7
9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10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11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49
문 12. 귀하의 가족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3
가족 간에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4
가족이 함께 외식을 하거나 놀러가는 일이 많다.
1
2
3
4
5
6
7
5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문 13. 귀하 또는 귀댁의 구성원이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십니까? 1. 예 (☞ 문 13-1로)
2. 아니오 (☞ 문 14로)
문 13-1. 귀댁의 구성원이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시기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시 나요? [복수선택 가능] 1. 2016년
2. 2015년
3. 2014년
4. 2013년
5. 2012년
6. 2012년 이전
문 13-2. 귀댁의 구성원이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나요?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세요) [1개만 선택] 1.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2.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3. 학교동아리 프로그램
4. 지역아동 센터 등 교육복지시설
5. 읍면동 주민센터 등 주민복지시설 7. 기타 (
6. 문화시설(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
)
문 13-3.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귀댁의 구성원 중 누가 참여했나요?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세요) [1개만 선택] 1. 본인만 참여2. 자녀만 참여
3. 본인(또는 가족)과 자녀가 함께 참여
문 13-4. 귀댁의 구성원이 참여하신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이외의 문화예술교육프로 그램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35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세요) 매우 불만
불만
약간 불만
보통
다소 만족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6
7
문 14. 다음의 프로그램 중에서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응답해주세요) [복수 선택 가능]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
8.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14. 지역연계 프로그램
․합창 프로그램
[참고] 1.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 미술관에서 미술관의 작품과 작가,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 로그램 2.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 박물관에서 박물관의 유물과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3.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국공립 기관(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에서 각 기관의 전 문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5.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작은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6. 건축문화 프로그램 :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적 관점에서 주변 환경과 지역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하 는 프로그램 7.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함께 배워보는 프로그램 8.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 또래와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요리, 음식 등) 프로그램 9.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와 문화예술활동을 매개로 자신 의 삶, 적성, 흥미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10.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 시각예술분야 예술가와 함께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를 발현할 수 있는 프로 그램 11.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뉴욕 필하모닉 교육을 기반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자 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발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12. 아리랑 프로그램 : 아리랑을 테마로 우리나라의 정서를 경험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 악, 사진, 영상, 그림, 등) 프로그램 13.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 문화예술대학에서 개발한 통합문화예술교육(복합예술, 예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 등) 프로그램 14. 지역 연계 프로그램 : 16개 광역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지역문화재단)이 진행하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 에서 가깝고 친근하게 만나는 토요문화학교 사업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51
문 15.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1개만 선택]
1. 문화예술교육
2. 재미와 즐거움
3. 가족
4. 여행
5. 토요일
6. 학교
7. 여가
8. 꿈
9. 희망
10. 친구
11. 도전
12. 체험
13. 해방감
14. 진로
15. 기타 (
)
문 16.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바라는 점이나 개선사항이 있다면 작성해주십시오.
[기본사항] 1. 귀하와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관계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십 니까? 1. 엄마
2. 아빠
3. 형제/자매
4. (외)할머니/(외)할아버지
5. 삼촌/이모 등
6. 기타
2.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한 분들을 모두 체크해주십시오. 1. 엄마
2. 아빠
3. 형제/자매
4. (외)할머니/(외)할아버지
5. 삼촌/이모 등
6. 기타
3. 함께 참여한 자녀의 수는 몇 명입니까? 1. 1명
2. 2명
3. 3명
4. 4명
5. 5명
6. 6명
4. 귀하의 자녀가 해당하는 곳에 표시(O)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녀
성별
나이
학교
자녀1
1. 남성
2. 여성
(
)세
자녀2
1. 남성
2. 여성
(
)세
자녀3
1. 남성
2. 여성
(
)세
자녀4
1. 남성
2. 여성
(
)세
자녀5
1. 남성
2. 여성
(
)세
자녀6
1. 남성
2. 여성
(
)세
35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1. 4. 1. 4. 1. 4. 1. 4. 1. 4. 1. 4.
유아 고등학교 유아 고등학교 유아 고등학교 유아 고등학교 유아 고등학교 유아 고등학교
2. 5. 2. 5. 2. 5. 2. 5. 2. 5. 2. 5.
초등학교 20세 이상 초등학교 20세 이상 초등학교 20세 이상 초등학교 20세 이상 초등학교 20세 이상 초등학교 20세 이상
3. 중학교 3. 중학교 3. 중학교 3. 중학교 3. 중학교 3. 중학교
5.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1. 남성
2. 여성
6. 귀하의 나이는 어떻게 되십니까?
(
)세
( 한국나이 기준 )
7. 귀하의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1. 고등학교 졸업 이하 2. 대학교 졸업 이하(재학 및 중퇴 포함) 3. 대학원 졸업 이하(재학 및 중퇴 포함)
8. 귀하의 거주 지역은 어디입니까? 1. 서울
2. 부산
3. 대구
4. 인천
5. 광주
6. 대전
7. 울산
8. 세종
9. 경기
10. 강원
11. 충북
12. 충남
13. 전북
14. 전남
15. 경북
16. 경남
17. 제주
9. 귀하의 거주 지역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십니까? 1. 동지역
2. 읍면 지역
❖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53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통계·평가실 TEL : (02)2669-0000
ID
2016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만족도조사 [참여자단체] 안녕하십니까? 이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 사업과
관련하여 예술교육 전문기관으로 참여하고 계신 여러분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경험한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고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취지의 조사입니 다. 여러분의 의견은 앞으로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 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응답하시는 내용은 “통계법(제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을 통해 얻어진 모든 정보는 통계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설문문항에는 정답이 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사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수행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연구책임 : 양혜원 연구위원, 박종웅 연구원 조사방법/시스템문의 : 권민오 차장, 김진아 연구원(☎ 02-3406-3951) 조사내용문의 : 김미현 위촉연구원, 한민아 위촉연구원(☎ 02-2669-8994~5) 세부 프로그램 명
단체명
35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 1. 귀 단체는 2016년 이전에도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1-1로)
② 아니오 (☞ 문 2로)
문 1-1. 귀 단체가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것은 언제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① 2012년
② 2013년
③ 2014년
④ 2015년
문 2. 귀 단체는 어떻게 홍보를 하고 계시나요? [복수선택 가능]
① 학교, 교육청 공문 ② 가족, 친척 ③ 친구, 이웃, 지인 ④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⑥ 인터넷 홈페이지 ⑦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카폐 등) ⑧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⑨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⑩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⑪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⑫ 기타 ( ) 문 3. 귀 단체가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장 큰 목적은 무엇인가요? [1개만 선택]
① 기관의 고유 목적과 관련된 사업이므로 ② 주말에 하는 프로그램이라서 ③ 기관 운영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④ 타 사업과의 시너지를 위해서 ⑤ 문화예술교육사업에 관심이 있어서 ⑥ 기타 (
)
문 4. 귀 단체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 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매우 불만
불만
약간 불만
보통
약간 만족
만족
매우 만족
1
사업 운영방식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1
2
3
4
5
6
7
2
사업의 예산은 충분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3 4
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수업장소 확보 요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사업에 대해 전체적으로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55
문 5. 귀 단체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 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프로그램 참여자를 모으는 것이 용이했다.
1
2
3
4
5
6
7
2
프로그램의 홍보가 쉬웠다.
1
2
3
4
5
6
7
3
프로그램 진행 장소의 선정 및 확보가 용이했다.
1
2
3
4
5
6
7
4
프로그램이 주말에 진행된다는 점이 좋다.
1
2
3
4
5
6
7
5
사업 참여를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1
2
3
4
5
6
7
6 7 8
사업 참여 이후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에 대해 호감을 갖 게 되었다. 향후에도 예술교육이 바뀐다 사업에 참여하고 싶다.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참여를 주변 동료나 단체들에 게 추천하고 싶다.
문 6. 귀 단체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의 1개 분반은 전체적으로 몇 회가 적당하다 고 생각하시나요? [1개만 선택] ① 1∼4회
② 5∼7회
③ 8∼10회
④ 11회~15회
⑤ 16회 이상
문 7.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교육참여자(수혜자)에게 어떤 변화가 나타 났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음 표의 응답보기 중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 (√)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표정이 밝아졌다.
1
2
3
4
5
6
7
2
성격이 긍정적으로 변했다.
1
2
3
4
5
6
7
3
자신감이 생기고 당당해졌다.
1
2
3
4
5
6
7
4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게 되었다.
1
2
3
4
5
6
7
5
친구관계가 원만해졌다.
1
2
3
4
5
6
7
6
다른 사람을 더 배려하고 이해하게 되었다.
1
2
3
4
5
6
7
7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늘었다.
1
2
3
4
5
6
7
문 8. 귀 단체는 최근 2년 이내에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이외에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8-1로)
35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② 아니오 (☞ 문 9 로)
문 8-1. 귀 단체가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무엇이었습니까? [최대 3개응답] 1) 프로그램명:
, 교육장소:
2) 프로그램명:
, 교육장소:
3) 프로그램명:
, 교육장소:
문 8-2. 귀 단체가 참여하신 사업은 어느 부처의 주관으로 진행되었습니까? [복수선택 가능]
① 교육부 ⑤ 농림축산식품부 ⑨ 기타 (
② 여성가족부 ⑥ 문화체육관광부
③ 보건복지부 ⑦ 지자체
)
④ 행정자치부 ⑧ 잘 모르겠음
문 9. 귀 기관의 교육사업인력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하신 경험 이 있으신가요? ① 예 (☞ 문 9-1로)
② 아니오 (☞ 문 10로)
문 9-1. 귀 기관의 교육사업인력은 어떤 프로그램에 참여하셨나요? [복수선택 가능] ① 학교․사회 예술강사 의무연수
②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③ 학교․사회 예술강사 선택연수
④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➅ 예비 기획인력 양성과정, 문화도담 연수
➆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⑧ 기타 (
)
문 10. 귀 기관은 예술교육 관련 연수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참여하실 의향이 있으신가요? ① 예 (☞ 문 10-1로)
② 아니오 (☞ 문 11로)
문 10-1. 귀 기관(또는 구성원)이 참여하고 싶은 연수 프로그램은 다음 중 무엇인가요? [복수선택 가능] ① 기획능력 개발 교육
② 소통능력 개발 교육
③ 상담기술 개발 교육 ⑤ 교육방법론 교육
④ 장르 심화교육 ➅ 대상(아동/청소년/가족 등)에 대한 이해 교육
➆ 지역 및 공간에 대한 이해 교육
➇ 국내외 사례 교육
➈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통합워크숍 ➉ 기타(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57
문 11.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보기 로테이션, 1개만 선택]
① 문화예술교육
② 재미와 즐거움
③ 가족
④ 여행
⑤ 토요일
⑥ 학교
➆ 여가
➇ 꿈
⑨ 희망
⑩ 친구
⑪ 도전
⑫ 체험
⑬ 해방감
⑭ 진로
⑮ 기타(
)
문 12.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에 바라는 점이나 개선사항이 있다면 작성해주십시오.
[기본사항]
설문에 응답해주신 단체의 주요 활동 장르
① 문학(인문학) ② 국악(전통예술) ③ 음악 ④ 연극/뮤지컬 ⑤ 무용 ⑥ 미술 ⑦ 사진 ⑧ 만화 ⑨ 디자인 ⑩ 건축 ⑪ 영화/ 영상/미디어
⑫ 대중예술 ⑬ 통합문화예술
⑭ 기타(
)
① 서울 ② 부산 ③ 대구 ④ 인천 ⑤ 광주 ⑥ 대전 ⑦ 울산 소재 지역
⑧ 세종 ⑨ 경기 ⑩ 강원 ⑪ 충북 ⑫ 충남 ⑬ 전북 ⑭ 전남 ⑮ 경북 ⑯ 경남 ⑰ 제주
❖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35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07511]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통계·평가실 TEL : (02)2669-0000
00
ID
2016 문화예술교육 수요조사 [비참여자] - 온라인 설문 안녕하십니까? 이 조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시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사업
에 대한 여러분의 인식과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입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앞으로 동 사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응답하시는 내용은 “통계법(제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을 통해 얻어진 모든 정보는 통계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설문문항에는 정답이 없으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사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수행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연구책임 : 양혜원 연구위원, 박종웅 연구원 조사방법/시스템문의 : 권민오 차장(☎ 02-3406-3921), 김진아 연구원(☎ 02-3406-3951) 조사내용문의 : 김미현 위촉연구원, 한민아 위촉연구원(☎ 02-2669-8994~5)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59
Ⅰ
스크리닝 질문
문 1. 귀하의 성별은? ① 남성 ② 여성
문 2. 귀하의 거주지역은? ① 서울 ② 부산 ③ 대구 ④ 인천 ⑤ 광주 ⑥ 대전 ⑦ 울산 ⑧ 세종 ⑨ 경기 ⑩ 강원 ⑪ 충북 ⑫ 충남 ⑬ 전북 ⑭ 전남 ⑮ 경북 ⑯ 경남 ⑰ 제주
문 3. 귀하의 거주지역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십니까? ① 동지역 ② 읍면 지역
문 4. 귀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① 예(☞ 문 5로)
② 아니오(☞ 문6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매주 토요일 아동․청소년 및 가족들이 문화예술기관․단체와 함께 다 양한 문화예술을 체험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문화예술교육사업입니다. 동 사업은 문화체육 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을 통해 무료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문 5. 귀하는 2016년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예 (☞ 설문 중단)
② 아니오 (☞ 문5-1으로)
문 5-1. 참여하지 않으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1개만 선택] ①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잘 몰라서 ② 문화예술에 관심이 없어서
③ 시간이 없어서
④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어서
⑤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없어서
⑥ 기타 (
)
문 6. 귀하의 나이는 ?
(
① 20세 이상
☞ 문7로
② 20세 미만
☞ 설문 Ⅲ으로
36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세 ( 한국나이 기준)
문 7. 귀하는 자녀가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7-1로)
② 아니오 (☞ 설문 중단)
문 7-1. 귀하는 자녀가 몇 명 있으십니까? (
)명
문 7-2. 귀하의 자녀가 해당하는 곳에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나이가 많은 자녀부터 차 례대로 입력해주십시오. 자녀
성별
나이
학교
(한국나이 기준)
자녀1
① 남성
② 여성
(
)세
①유아 ②초등학교 ③중학교 ④고등학교 ⑤ 고등학교 졸업 이상
자녀2
① 남성
② 여성
(
)세
①유아 ②초등학교 ③중학교 ④고등학교 ⑤ 고등학교 졸업 이상
자녀3
① 남성
② 여성
(
)세
①유아 ②초등학교 ③중학교 ④고등학교 ⑤ 고등학교 졸업 이상
자녀4
① 남성
② 여성
(
)세
①유아 ②초등학교 ③중학교 ④고등학교 ⑤ 고등학교 졸업 이상
자녀5
① 남성
② 여성
(
)세
①유아 ②초등학교 ③중학교 ④고등학교 ⑤ 고등학교 졸업 이상
자녀6
① 남성
② 여성
(
)세
①유아 ②초등학교 ③중학교 ④고등학교 ⑤ 고등학교 졸업 이상
→ ‘①유아’만 있거나, ‘⑤20세 이상’만 있는 경우 설문 중단 → 자녀의 나이가 8~19세에 해당하는 20세 이상 성인의 경우 설문 Ⅱ로 → 본인의 나이가 14~19세의 청소년인 경우 설문 Ⅲ으로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61
자녀가 있는 성인(학부모)에 대한 질문
Ⅱ
※ 다음의 문항에 대해, 자녀가 2명 이상인 가정은 19세 이하의 나이가 많은 자녀를 기준으로 응답해 주세요.
문 1. 귀하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주로 어떻게 시간을 보내시나요? (가장 많이 하는 활동 순 으로 응답보기 중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1순위
2순위
① TV시청
3순위
)
② 인터넷 검색
③ 산책
⑤ 운동(헬스/등산/스포츠 등) ⑧ 문화활동(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 ⑪ 생업종사
④ 게임 ⑥ 잡담/통화/SNS
⑨ 외식/쇼핑
⑫ 친목활동
⑦ 낮잠 ⑩ 여행
⑬ 자녀교육활동
⑮ 기타 (
⑭ 집안일 )
문 2.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공연(음악, 무용, 전통예술 등; 영화는 제외)을 몇 번 이나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보셨습니까? [1개만 선택] ① 1회
② 2회
③ 3∼4회
④ 5∼7회
⑤ 8∼10회 ⑥ 11회 이상 ⑨ 없음
문 3.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전시(미술관, 박물관 등)를 몇 번이나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보 셨습니까? [1개만 선택] ① 1회
② 2회
③ 3∼4회
④ 5∼7회
⑤ 8∼10회 ⑥ 11회 이상 ⑨ 없음
문 4. 지난 1년 동안 가족(또는 자녀)과 함께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문화생활(공연, 전시 관 람, 예술체험 등; 영화는 제외)을 한 횟수는 몇 번입니까? [1개만 선택] ① 1회
② 2회
③ 3∼4회
④ 5∼7회
⑤ 8∼10회 ⑥ 11회 이상 ⑨ 없음
문 5. 귀 댁의 자녀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5-1로)
② 아니오 (☞ 문 6로)
문 5-1. 귀댁의 자녀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시기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시나 요? [복수응답가능] ① 2016년 ② 2015년 ③ 2014년 ④ 2013년 ⑤ 2012년 ⑥ 2012년 이전
문 5-2. 귀댁의 자녀가 참여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나요? [복수응답가능]
36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①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초등돌봄교실 ②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청소년 활동 시설 프로그램 ③ 학교 동아리 프로그램 ➃ 지역아동 센터 등 교육복지시설 프로그램 ⑤ 읍면동 주민센터 등 주민복지시설 프로그램 ➅ 문화시설(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 프로그램 ➆ 예술분야 사설 학원 프로그램 ⑧ 기타(
)
문 5-3. 귀댁의 자녀가 참여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귀댁의 구성원 중 누가 함께 참여했 나요?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세요) [1개만 선택] ① 자녀만 참여
② 본인(또는 가족)과 자녀가 함께 참여
문 5-4. 귀댁의 자녀가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야는 무엇이었나요?(복수의 프로그 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 답해주세요)[1개만 선택] ① 문학(인문학)
②국악(전통예술)
③ 음악
④ 연극/뮤지컬
⑤ 무용
⑥ 미술
⑦ 사진
⑧ 만화
⑨ 디자인
⑩ 건축
⑪ 영화/영상/미디어
⑫ 융합예술
⑬ 통합문화예술
⑭ 기타(
)
※ 융합예술교육 : 여러 개의 예술장르를 융합한 문화예술교육 ※ 통합문화예술교육 : 예술분야와 비예술분야(예 : 역사, 수학 등 교과과정)를 통합한 문화예 술교육
문 5-5. 귀댁의 자녀가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만족하십니까?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 세요. 자녀만 참여했을 경우, 참여 당시 자녀의 반응을 떠올리셔서 응답해 주십시오.) 매우 불만
불만
약간 불만
보통
다소 만족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6
7
문 5-6. 귀댁의 자녀가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어떤 부분이 좋았나요? (자녀만 참 여했을 경우, 참여 당시 자녀의 반응을 떠올리셔서 응답해 주십시오.) (1순위
2순위
3순위
)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① 프로그램이 재미있었다.
② 프로그램이 유익했다.
③ 프로그램 내용과 방식이 참신했다.
④ 강사의 역량이 뛰어났다.
⑤ 강사가 친절하고 참여자들을 잘 배려했다.
⑥ 장소가 가깝고 이동이 편리했다.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63
⑦ 프로그램을 진행한 장소가 쾌적했다. ⑧ 제공되는 재료나 기자재의 품질이 좋았다. ⑨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⑩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⑪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요일과 시간이 편리했다 ⑫ 학교 교과 과정과 연계되어 학교활동에 도움이 되었다 ⑬ 비용이 저렴했다.
⑭ 좋은점이 없었다.
⑮ 기타 (
)
문 6. 귀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어떠한 부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십니 까? (다음 보기 중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2,3순
위 모두 필수 응답] (1순위
2순위
3순위
)
①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
② 강사의 역량과 태도
③ 장소의 접근성
④ 공간의 쾌적성과 매력
⑤ 요일 및 시간
⑥ 신청의 편리성
⑦ 비용
⑧ 학교교과과정과의 연계
⑨기타 (
)
문 7. 귀하는 귀댁의 자녀가 다음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얼마나 참여하기를 원하시나요?
구 분
전혀 참여 하고 싶지 않다
참여 하고 싶지 않다
참여 하고 싶지 않은 편이 다
보통
참여 하고 싶은 편이 다
참여 하고 싶다
매우 참여 하고 싶다.
1
문화예술 관람/감상 프로그램
1
2
3
4
5
6
7
2
문화예술 지식/이론 습득 프로그램
1
2
3
4
5
6
7
3
문화예술 체험/창작 프로그램
1
2
3
4
5
6
7
4
문화예술 기능 심화 / 기술 숙련 프로그램
1
2
3
4
5
6
7
5
예술을 활용한 기분전환 /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1
2
3
4
5
6
7
6
예술을 활용한 생각과 감정의 표현/표출 프로그램
1
2
3
4
5
6
7
7
예술을 활용한 상상력과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
1
2
3
4
5
6
7
8
예술을 활용한 자신감/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1
2
3
4
5
6
7
9
예술을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1
2
3
4
5
6
7
10
가족과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
1
2
3
4
5
6
7
11
놀이 중심 프로그램
1
2
3
4
5
6
7
12
신체활동 중심 프로그램
1
2
3
4
5
6
7
36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문8. 귀하가 보시기에, 귀댁의 자녀는 다음 중 어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가장 흥미를 느낄 것 같으신가요? [1개만 선택] ① 문화예술 관람/감상 중심 프로그램
② 문화예술 지식/이론 습득 중심 프로그램
③ 문화예술 체험/창작 중심 프로그램 ④ 문화예술 기능 심화/기술 숙련 중심 프로그램 ⑤ 기타 (
)
문9. 귀하가 보시기에, 귀댁의 자녀는 다음 중 어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가장 흥미를 느낄 것 같으신가요? [1개만 선택] ① 예술을 활용한 기분전환/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② 예술을 활용한 생각과 감정의 표현/표출 프로그램 ③ 예술을 활용한 상상력과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 ④ 예술을 활용한 자신감/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⑤ 예술을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⑥ 가족과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 ⑦ 놀이 중심 프로그램 ⑧ 신체활동 중심 프로그램 ⑨ 기타 (
)
문10. 귀하는 귀댁의 자녀가 다음 중 어떤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 하시나요? (다음 보기 중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1순위
2순위
3순위
)
① 문학(인문학) ②국악(전통예술) ③ 음악 ④ 연극/뮤지컬 ⑦ 사진 ⑧ 만화 ⑨ 디자인 ⑩ 건축 ⑬ 통합문화예술 ⑭ 기타(
⑤ 무용 ⑥ 미술
⑪ 영화/ 영상/미디어
⑫ 융합예술
)
※ 융합예술교육 : 여러 개의 예술장르를 융합한 문화예술교육 ※ 통합문화예술교육 : 예술분야와 비예술분야(예 : 역사, 수학 등 교과과정)를 통합한 문화예술교육
문 11. 귀하가 보시기에, 귀댁의 자녀는 다음 중 어떤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가 장 흥미를 느낄 것 같으신가요? [1개만선택] ① 문학(인문학) ②국악(전통예술) ③ 음악 ④ 연극/뮤지컬
⑤ 무용 ⑥ 미술
⑦ 사진 ⑧ 만화 ⑨ 디자인 ⑩ 건축
⑫ 융합예술
⑬ 통합문화예술 ⑭ 기타(
⑪ 영화/ 영상/미디어 )
※ 융합예술교육 : 여러 개의 예술장르를 융합한 문화예술교육 ※ 통합문화예술교육 : 예술분야와 비예술분야(예 : 역사, 수학 등 교과과정)를 통합한 문화예술교육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65
문 12. 귀댁의 자녀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
1
2
3
4
5
6
7
3
낙천적이다.
1
2
3
4
5
6
7
4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강한 편이다.
1
2
3
4
5
6
7
5
자신감이 높은 편이다.
1
2
3
4
5
6
7
6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7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
1
2
3
4
5
6
7
8
친구관계가 원만한 편이다.
1
2
3
4
5
6
7
9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10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11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문 13. 귀댁의 가족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그렇 그런 매우 그렇 지않 그렇 지않 보통 편이 그렇 지않 은편 다 다 다 다 다 이다
1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3
가족 간에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4
가족이 함께 외식을 하거나 놀러가는 일이 많다.
1
2
3
4
5
6
7
5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매년 추진되고 있습니다.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 미술관에서 미술관의 작품과 작가,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 의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 박물관에서 박물관의 유물과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 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국공립 기관(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에서 각 기관 의 전문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36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⑤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작은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⑥ 건축문화 프로그램 :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적 관점에서 주변 환경과 지역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⑦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함께 배워보는 프로그램 ⑧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또래와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악, 사 진, 영상, 그림, 요리, 음식 등) 프로그램 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와 문화예술활동을 매개로 자신의 삶, 적성, 흥미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⑩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시각예술분야 예술가와 함께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를 발현할 수 있는 프 로그램 ⑪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뉴욕 필하모닉 교육을 기반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발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⑫ 아리랑 프로그램 : 아리랑을 테마로 우리나라의 정서를 경험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미 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등) 프로그램 ⑬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 문화예술대학에서 개발한 통합문화예술교육(복합예술, 예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 등) 프로그램
문 14. 귀댁의 자녀(또는 가족)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한 참여 안내를 받으시게 된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위의 설명을 참고하여 응답해주세요) ① 예 (☞ 문 14-1로)
② 아니오 (☞ 문 14-2로)
문 14-1. 귀댁의 자녀(또는 가족)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참여하실 의사가 있다면 다음 중 어떤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시나요? (다음 보기 중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 순위를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1순위
2순위
3순위
)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⑤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⑥ 건축문화 프로그램 ⑦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⑧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⑩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시각예술분야) ⑪ 꼬마작곡가 프로그램(음악분야) ⑫ 아리랑 프로그램 ⑬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예술대학 통합문화예술교육) 문 14-2. 참여할 의향이 없으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1개만 선택] ① 문화예술에 관심이 없어서
② 시간이 없어서
③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어서
④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없어서
⑤ 기타 (
)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67
문 15. 귀하는 자녀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어떻게 얻으십니까? [1개만 선택]
① 학교 안내 ② 가족, 친척 ④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⑥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 카페 등) ⑧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⑩ 기타 (
③ 친구, 직장동료, 이웃, 지인 ⑤ 인터넷 검색 ⑦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⑨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
문 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1개만 선택] ① 문화예술교육
② 재미와 즐거움
③ 가족
④ 여행
⑤ 토요일
⑥ 학교
➆ 여가
➇ 꿈
⑨ 희망
⑩ 친구
⑪ 도전
⑫ 체험
⑬ 해방감/자유
⑭ 진로
⑮ 기타(
)
문 17. 귀하의 자녀와 가족을 위해 어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면 좋을까요? 자유롭게 작 성해주세요.
[인구통계학적 질문] 1. 귀하의 학력은? ① 고등학교 졸업 이하 ② 대학교 졸업 이하(재학 및 중퇴 포함) ③ 대학원 졸업 이하(재학 및 중퇴 포함)
2. 귀하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합니까? (세후소득) ① 200만원 미만
②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③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④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⑤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
⑥ 600만원 이상
❖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36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14~19세 청소년에 대한 질문
Ⅲ
문 1. 귀하는 토요일, 일요일에 주로 어떻게 시간을 보내시나요? (다음 보기 중 가장 많이 하는 활동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순위
2순위
3순위
① TV시청
)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② 인터넷 검색
③ 산책
⑤ 운동(헬스/등산/스포츠 등)
⑥ 잡담/통화/SNS
⑧ 문화활동(영화, 공연, 전시, 독서 등) ⑪ 아르바이트
④ 게임
⑨ 외식/쇼핑
⑫ 개인 공부
⑭ 친목모임(친구들과의 모임)
⑦ 낮잠 ⑩ 여행
⑬ 학원 ⑮ 동아리활동
16) 기타 (
)
문 2.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공연(음악, 무용, 전통예술 등 ;영화는 제외)을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몇 번이나 보셨습니까? [1개만 선택] ① 1회
② 2회
③ 3∼4회
④ 5∼7회
⑤ 8∼10회 ⑥ 11회 이상 ⑨ 없음
문 3.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전시(미술관, 박물관 등)를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몇 번이나 보 셨습니까? [1개만 선택] ① 1회
② 2회
③ 3∼4회
④ 5∼7회
⑤ 8∼10회 ⑥ 11회 이상 ⑨ 없음
문 4. 지난 1년 동안 가족과 함께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문화생활(공연, 전시 관람, 예술체 험 등; 영화는 제외)을 한 횟수는 몇 번입니까? [1개만 선택] ① 1회
② 2회
③ 3∼4회
④ 5∼7회
⑤ 8∼10회 ⑥ 11회 이상 ⑨ 없음
문 5. 귀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예 (☞ 문 5-1로)
② 아니오 (☞ 문 6로)
문 5-1. 귀하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시기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시나요? [복수 응답가능] ① 2016년 ② 2015년 ③ 2014년 ④ 2013년 ⑤ 2012년 ⑥ 2012년 이전
문 5-2. 귀하가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나요? [복수응답 가능] ①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69
②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청소년활동시설프로그램 ③ 학교동아리 프로그램 ➃ 지역아동 센터 등 교육복지시설 프로그램 ⑤ 읍면동 주민센터 등 주민복지시설 프로그램 ➅ 문화시설(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 프로그램 ➆ 예술분야 학원 프로그램 ⑧ 기타(
)
)
문 5-3.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누구와 함께 참여했나요?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 여하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십 세요) [1개만 선택] ① 본인만 참여 ② 가족과 함께 참여 ③ 친구와 함께 참여 ➃ 기타(
)
문 5-4.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야는 무엇이었나요?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 신 경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십세요) [1개만 선택] ① 문학(인문학) ②국악(전통예술) ③ 음악
④ 연극/뮤지컬
⑤ 무용
⑥ 미술
⑨ 디자인
⑩ 건축
⑦ 사진
⑪ 영화/영상/미디어
⑧ 만화
⑫ 융합예술
⑬ 통합문화예술
⑭ 기타(
)
※ 융합예술교육 : 여러 개의 예술장르를 융합한 문화예술교육 ※ 통합문화예술교육 : 예술분야와 비예술분야(예 : 역사, 수학 등 교과과정)를 통합한 문화예 술교육
문 5-5.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만족하십니까? (복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경 우 가장 최근에 참여하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응답해주십세요) 매우 불만
불만
약간 불만
보통
다소 만족
만족
매우 만족
1
2
3
4
5
6
7
문 5-6. 어떤 부분이 좋았나요? (다음 보기 중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여 기 입해주세요)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1순위
2순위
3순위
)
① 프로그램이 재미있었다.
② 프로그램이 유익했다.
③ 프로그램 내용과 방식이 참신했다.
④ 강사의 역량이 뛰어났다.
⑤ 강사가 친절하고 참여자들을 잘 배려했다.
⑥ 장소가 가깝고 이동이 편리했다.
⑦ 프로그램을 진행한 장소가 쾌적했다. ⑧ 제공되는 재료나 기자재의 품질이 좋았다. 37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⑨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⑩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것이 편리했다. ⑪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요일과 시간이 편리했다. ⑫ 비용이 저렴했다.
⑬ 좋은점이 없었다.
⑬ 기타 (
)
문 6. 귀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어떠한 부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십니 까? (다음 보기 중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2,3순
위 모두 필수 응답] (1순위
2순위
3순위
)
①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
② 강사의 역량과 태도
③ 장소의 접근성
④ 공간의 쾌적성과 매력
⑤ 요일 및 시간
⑥ 운영기간(장・단기)
⑦ 신청의 편리성
⑧ 비용
⑨ 진로탐색
⑩ 기타 (
)
문 7. 귀하는 다음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얼마나 참여하기를 원하시나요?
구 분
전혀 참여 하고 싶지 않다
참여 하고 싶지 않다
참여 하고 싶지 않은 편이 다
보통
참여 하고 싶은 편이 다
참여 하고 싶다
매우 참여 하고 싶다.
1
문화예술 관람/감상 프로그램
1
2
3
4
5
6
7
2
문화예술 지식/이론 습득 프로그램
1
2
3
4
5
6
7
3
문화예술 체험/창작 프로그램
1
2
3
4
5
6
7
4
문화예술 기능 심화 / 기술 숙련 프로그램
1
2
3
4
5
6
7
5
예술을 활용한 기분전환 /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1
2
3
4
5
6
7
6
예술을 활용한 생각과 감정의 표현/표출 프로그램
1
2
3
4
5
6
7
7
예술을 활용한 상상력과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
1
2
3
4
5
6
7
8
예술을 활용한 자신감/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1
2
3
4
5
6
7
9
예술을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1
2
3
4
5
6
7
10
가족과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
1
2
3
4
5
6
7
11
놀이 중심 프로그램
1
2
3
4
5
6
7
12
신체활동 중심 프로그램
1
2
3
4
5
6
7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71
문 8. 귀하는 다음 중 어떤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시나요? (다음 보기 중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여 기입해주세요) (1순위
2순위
3순위
)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① 문학(인문학) ②국악(전통예술) ③ 음악 ④ 연극/뮤지컬 ⑦ 사진 ⑧ 만화 ⑨ 디자인 ⑩ 건축
⑤ 무용 ⑥ 미술
⑪ 영화/ 영상/미디어
⑬ 통합문화예술 ⑭ 기타(
⑫ 융합예술
)
※ 융합예술교육 : 여러 개의 예술장르를 융합한 문화예술교육 ※ 통합문화예술교육 : 예술분야와 비예술분야(예 : 역사, 수학 등 교과과정)를 통합한 문화 예술교육
문 9. 귀하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TV, 휴대폰, 게임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주말에는 주로 집에 있는 편이다.
1
2
3
4
5
6
7
3
낙천적이다.
1
2
3
4
5
6
7
4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강한 편이다.
1
2
3
4
5
6
7
5
자신감이 높은 편이다.
1
2
3
4
5
6
7
6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7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
1
2
3
4
5
6
7
8
친구관계가 원만한 편이다.
1
2
3
4
5
6
7
9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10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11
문화예술 관람이나 체험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문 10. 귀하의 가족에 대해 가장 일치하는 곳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전혀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다
그렇 지않 은편 이다
보통
그런 편이 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가족 간에 대화가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2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6
7
3
가족 간에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4
가족이 함께 외식을 하거나 놀러가는 일이 많다.
1
2
3
4
5
6
7
5
고민이 생기면 가족이 함께 상의하는 편이다.
1
2
3
4
5
6
7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매년 추진되고 있습니다. 372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 미술관에서 미술관의 작품과 작가,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 의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 박물관에서 박물관의 유물과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 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국공립 기관(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에서 각 기관 의 전문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⑤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 작은도서관에서 문학을 매개로 한 강의, 체험, 감상 방식의 프로그램 ⑥ 건축문화 프로그램 :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적 관점에서 주변 환경과 지역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⑦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 가족과 함께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함께 배워보는 프로그램 ⑧ 주말문화여행 프로그램: 또래와 가족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복합문화예술(미술, 음악, 사 진, 영상, 그림, 요리, 음식 등) 프로그램 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와 문화예술활동을 매개로 자신의 삶, 적성, 흥미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⑩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시각예술분야 예술가와 함께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를 발현할 수 있는 프 로그램 ⑪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 뉴욕 필하모닉 교육을 기반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발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⑫ 아리랑 프로그램 : 아리랑을 테마로 우리나라의 정서를 경험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미 술, 음악, 사진, 영상, 그림, 등) 프로그램 ⑬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 : 문화예술대학에서 개발한 통합문화예술교육(복합예술, 예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 등) 프로그램
문 11. 귀하는 향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① 예 (☞ 문 11-1로)
② 아니오 (☞ 문 11-2로)
문 11-1. 귀하는 다음 중 어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시나요? (위의 설명을 참고하여, 다음 보기 중 순서대로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여 기 입해주세요) [1,2,3순위 모두 필수 응답] (1순위
2순위
3순위
)
①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②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③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④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⑤ 작은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⑥ 건축문화 프로그램 ⑦ 가족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⑧ 주말문화여행프로그램 ⑨ 청소년 문화예술진로탐색 프로그램 ⑩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 ⑪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⑫ 아리랑 프로그램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73
⑬ 예술교육이 바뀐다 프로그램(예술대학 통합문화예술교육) 문 11-2. 참여할 의향이 없으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1개만 선택] ① 문화예술에 관심이 없어서
② 시간이 없어서
③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어서
④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없어서
⑤ 기타 (
)
문 12. 귀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어떻게 얻으십니까? [1개만 선택]
① 학교 안내 ② 가족, 친척 ③ 친구, 이웃, 지인 ④ 현수막, 홍보자료(포스터, 리플렛 등) 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⑥ 인터넷 검색 ⑦ SNS(블로그, 페이스북, 밴드, 인터넷카페 등) ⑧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광고 ⑨ 시청, 구청, 동(읍,면) 주민센터 등 ⑩ 문화시설(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⑪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복지시설 ⑫ 기타 ( ) 문 1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 요? [1개만선택] ① 문화예술교육
② 재미와 즐거움
③ 가족
④ 여행
⑤ 토요일
⑥ 학교
➆ 여가
➇ 꿈
⑨ 희망
⑩ 친구
⑪ 도전
⑫ 체험
⑬ 해방감/자유
⑭ 진로
⑮ 기타(
)
문 14. 어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면 좋을까요?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인구통계학적 질문] 1. 귀하는 현재 다음 중 어디에 속합니까? ① 중학교 1학년(또는 14세)
② 중학교 2학년(또는 15세)
③ 중학교 3학년(또는 16세) ⑤ 고등학교 2학년(또는 18세)
④ 고등학교 1학년(또는 17세) ⑥ 고등학교 3학년(또는 19세)
❖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374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현장조사 및 관계자 인터뷰 예상 내용 1) 운영단체 및 강사 ○ 단체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주세요. ○ 사업은 언제부터, 어떻게 참여하게 되셨습니까? ○ 동 사업이 단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중요도)은?(예산, 투입인력 등 감안)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진행하는 다른 사업에도 참여해본 경험이 있으십니까?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기획사업) 중 다른 단위사업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연연계사업 ○ 여타 교육사업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이 어떤 점에서 다르다고 생각하십니까? 어떤 점이 달라 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사업 이미지, 사업의 정체성, 사업의 차별화 포인트) ○ 프로그램 기획 시 어떤 부분에 가장 주안점을 두셨습니까? ○ 프로그램 기획 시 가장 어려웠던 점이 있다면, 무엇이었습니까? ○ 프로그램 운영 시 어떤 부분에 가장 주안점을 두시고 계십니까? ○ 홍보 및 참여자 모집은 어떻게 진행하고 계십니까?(주요 타켓, 홍보매체, 플랫폼) 연계하고 있는 기관은? (학교, 문화재단, 문화시설 등) 특히 어느 기관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매개기관-협회가 있는 경우] 협회에서는 어떻게 도움을 주고 있나요? 협회에서 좀 더 해줬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 장소 및 재료는 어떻게 확보하셨습니까? ○ 강사 등의 섭외는 어떻게 진행하시나요? ○ 프로그램 진행하면서 참여자들에게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나요? 어떤 부분에서 특히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느끼시나요? ○ 사업을 통해 강사 본인 혹은 운영단체가 느끼는 변화나 효과가 있나요? ○ 본 프로그램의 강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 사업 진행하시면서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기획, 프로그램 개발, 대상모집, 인력확보, 예산, 장소 및 기자재 확보, 인식 부족, 협력네트워크 등) ○ 어떤 항목의 예산이 부족하다고 느끼시나요?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있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새로 포함되었으면 하는 단위사업이 있다면? * 프로그램 일정표, 자료 등 요청
2) 협회 등 매개기관 ○ 사업에 언제부터, 어떻게 참여하게 되셨습니까? ○ 협회(또는 회원기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른 문화예술 교육사업이 있다면 소개해주십시오. ○ 협회에서 추진하는 사업 중 꿈다락 사업의 비중은 어느 정도 인가요? (협회 주요 과업(모집,관리, 담당자 워크숍, 운영 등) 중 가장 비중 있는 부분은?)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한 회원기관(단체)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75
○ 협회 입장에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은 필요한 사업입니까? 어떤 측면에서? ○ 여타 교육사업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이 어떤 점에서 다르다고 생각하십니까? 어떤 점이 달라 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사업 이미지, 사업의 정체성, 사업의 차별화 포인트)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성과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어떤 부분에서 특히 효과가 있는 것 으로 느끼시나요? ○ 사업 진행하시면서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있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새로 포함되었으면 하는 단위사업이 있다면? ○ 다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에도 참여해 보셨나요? 꿈다락 프로그램 중 가장 특색 있는 프 로그램은 어떤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중앙 협회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의 연계를 통한 기획사업 구조가 광역 단위 협회와 지역문 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의 직접적 연계를 통한 지역연계사업으로 재편이 된다면 어떨까요?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게 바라는 부분이 있다면?
3) 수혜자 (아동, 청소년, 학부모) ○ 간략하게 본인(또는 자녀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 사업에 언제부터, 어떻게 참여하게 되셨습니까?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대해 알고 계셨습니까?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계셨나요? ○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왜 이 프로그램을 신청했는지? 무엇을 기대했었는지?) ○ 방과 후나 주말에 주로 어디서, 누구와, 어떻게 시간을 보내시나요? ○ (아동,청소년) 주말에 하고 싶은 여가생활은 무엇인가요? ○ 원래 문화예술에 관심이 많으신 편이었나요? 특히 어떤 분야에? ○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어떤 프로그램이었습니까? 다른 꿈다 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도 참여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 (학부모) 문화예술관련 프로그램을 알아보는 경로는 어떻게 되나요? ○ 여러 프로그램이 있는데 어떤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선택하시나요?(프로그램내용, 장르, 위치, 시간 등에서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것) ○ 프로그램 신청 과정에서 불편한 점이 있으셨나요? ○ 다른 프로그램과 비교할 때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어떤 점이 좋고, 어떤 점이 나쁜가요? ○ 직접 참여해보니 어떤가요? 기대했던 것과 비슷했나요? 어떤 점이 달랐나요? ○ 어떤 부분이 가장 좋게 느껴지셨나요? ○ 프로그램 참여 이후에 본인이나, 자녀, 가족의 삶에 변화가 있었나요?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 참여하시면서 어려운 점이나, 불편한 점,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 다음에도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으신가요? 그 이유는? ○ 만약 참여하지 않으실 예정이시라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새로 생겼으면 좋겠다 생각하시는 프로그램이 있으신가요?
376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현장조사 및 관계자 인터뷰 예상 내용 1) 운영단체 및 강사 ○ 단체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주세요. ○ 사업은 언제부터, 어떻게 참여하게 되셨습니까? ○ 동 사업이 단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중요도)은?(예산, 투입인력 등 감안)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진행하는 다른 사업에도 참여해본 경험이 있으십니까? ○ 여타 교육사업과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이 어떤 점에서 다르다고 생각하십니까? 어떤 점이 달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사업 이미지, 사업의 정체성, 사업의 차별화 포인트) ○ 프로그램 기획 시 어떤 부분에 가장 주안점을 두셨습니까? ○ 프로그램 기획 시 가장 어려웠던 점이 있다면, 무엇이었습니까? ○ 프로그램 운영 시 어떤 부분에 가장 주안점을 두시고 계십니까? ○ 기획 및 운영에 있어 업무 분담은 어떻게 이루어졌습니까? ○ 홍보 및 참여자 모집은 어떻게 진행하고 계십니까?(주요 타켓, 홍보매체, 플랫폼) 연계하고 있는 기관은? (학교, 문화재단, 문화시설 등) 특히 어느 기관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통합문화예술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예술교육사 양성과정에서 본 프로그램의 위치는? ○ 장소 및 재료는 어떻게 확보하셨습니까? ○ 강사 등의 섭외는 어떻게 진행하시나요? ○ 프로그램 운영 시간은 어떻게 정하고 계신가요? ○ 프로그램 진행하면서 참여자들에게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나요? 어떤 부분에서 특히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느끼시나요? ○ 사업을 통해 강사 본인 혹은 운영단체가 느끼는 변화나 효과가 있나요? ○ 본 프로그램의 강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 사업 진행하시면서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기획, 프로그램 개발, 대상모집, 인력확보, 예산, 장소 및 기자재 확보, 인식 부족, 협력네트워크 등) ○ 어떤 항목의 예산이 부족하다고 느끼시나요? ○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있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새로 포함되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2) 수혜자 (아동, 청소년, 학부모) ○ 간략하게 본인(또는 자녀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 사업에 언제부터, 어떻게 참여하게 되셨습니까? ○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에 대해 알고 계셨습니까?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계셨나요? ○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왜 이 프로그램을 신청했는지? 무엇을 기대했었는지?) ○ 방과 후나 주말에 주로 어디서, 누구와, 어떻게 시간을 보내시나요?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77
○ (아동,청소년) 주말에 하고 싶은 여가생활은 무엇인가요? ○ 원래 문화예술에 관심이 많으신 편이었나요? 특히 어떤 분야에? ○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어떤 프로그램이었습니까? 꿈다락 토 요문화학교 프로그램도 참여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 (학부모) 문화예술관련 프로그램을 알아보는 경로는 어떻게 되나요? ○ 여러 프로그램이 있는데 어떤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선택하시나요?(프로그램내용, 장르, 위치, 시간 등에서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것) ○ 프로그램 신청 과정에서 불편한 점이 있으셨나요? ○ 다른 프로그램과 비교할 때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어떤 점이 좋 고, 어떤 점이 나쁜가요? ○ 직접 참여해보니 어떤가요? 기대했던 것과 비슷했나요? 어떤 점이 달랐나요? ○ 어떤 부분이 가장 좋게 느껴지셨나요? ○ 프로그램 참여 이후에 본인이나, 자녀, 가족의 삶에 변화가 있었나요?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 참여하시면서 어려운 점이나, 불편한 점,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 다음에도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으신가요? 그 이유는? ○ 만약 참여하지 않으실 예정이시라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새로 생겼으면 좋겠다 생각하시는 프로그램이 있으신가요? ○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378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비참여자 FGI 조사 1. 학부모 1) 간단한 개인 소개 : 본인 (나이, 취미 등) 및 자녀 (교급, 성별) 2) 문화여가생활을 어떻게 즐기고 계시나요? (주중/주말) - 주중/주말에 주로 어떻게 여가를 보내시는지? 만족하시는지? - 문화생활을 어떻게 즐기고 계시는지? (못하는 경우 이유는?) - 주로 가는 문화공간은? -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인지? (이유) 3) 자녀교육은 어떻게 시키고 계시는지? (학교/학원/과외 등) - 어떤과목? - 주로 어떻게 정보를 얻으시는지? 4)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으신가요? (자녀 / 본인) - 학교 - 학교 외 : 학원 / 방과후 / 시설 등 (언제, 왜, 어떤 경로를 통해) - 문화예술교육 사교육 경험 / 월 사교육비 - 어떤 부분이 좋았는지 / 어떤 부분이 불만이었는지? - 경험이 없다면 왜? 5) 향후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으신가요? (자녀 / 본인 ) - 왜? (문화예술교육이 어떤 부분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어떤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싶으신가요? (본인 / 자녀) (영역, 내용, 방식, 통합문화예술교육, 캠프(여행), 진로탐색, 가족단위) - 교육 장소는 어디가 좋은지? (이유) - 요일 및 시간은 언제가 좋은지? (이유) - 회차 수는 어느정도가 좋은지? (이유) 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신지? - 왜 참여 안하셨는지?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상, 어떤 프로그램이 제일 관심이 가는지? - 알았다면 참여했을 것인지? - 토요일/다회차/교육장소/교육방식(놀이와 결합, 융합, 자율) 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향후 참여의향이 있으신지? - 어떤 프로그램? (이유) - 신규사업(안) 중에 어떤 부분이 가장 관심이 가는지? - 요일, 시간, 회차 수, 내용 및 방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8) 어떻게 홍보를 하면 좋을 것인지?
IV.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정책방향 및 개선방안 | 379
2. 학생 1) 간단한 개인 소개 : 본인 (학교, 관심영역, 취미 등) 2) 문화여가생활을 어떻게 즐기고 계시나요? (주중/주말) - 주중/주말에 주로 어떻게 여가를 보내시는지? 만족하시는지? - 문화생활을 어떻게 즐기고 계시는지? (못하는 경우 이유는?) - 주로 가는 문화공간은? -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인지? (이유) 3)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어떻게 받고 있는지? - 만족하시는지? (이유), 어떤 내용이 있으면 좋을까요? 4) 학교 외에서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으신가요? - 학교 외 : 학원 / 방과후 / 시설 등 (언제, 왜, 어떤 경로를 통해) - 문화예술교육 사교육 경험 / 월 사교육비 - 어떤 부분이 좋았는지 / 어떤 부분이 불만이었는지? - 경험이 없다면 왜? 5) 향후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으신가요? - 왜? (문화예술교육이 어떤 부분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어떤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싶으신가요? (영역, 내용, 방식, 통합문화예술교육, 캠프(여행), 진로탐색, 가족단위) - 교육 장소는 어디가 좋은지? (이유) 학교에서 한다면 어떨지? - 요일 및 시간은 언제가 좋은지? (이유) - 회차 수는 어느정도가 좋은지? (이유) 6) 동아리 활동 경험이 있는지? (언제, 어디에서?) - 동아리 활동 지원은 받고 있는지? (지원이 필요한 부분은 무엇인지? 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신지? - 왜 참여 안하셨는지?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에 대한 인상, 어떤 프로그램이 제일 관심이 가는지? - 알았다면 참여했을 것인지? - 토요일/다회차/교육장소/교육방식(놀이와 결합, 융합, 자율) 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에 향후 참여의향이 있으신지? - 기존 프로그램 중 어떤 프로그램? (이유) - 신규 프로그램(안) 중에서 어떤 프로그램이 가장 관심이 가는지? - 요일, 시간, 회차 수, 내용 및 방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9) 어떻게 홍보를 하면 좋을 것인지?
380 |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