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당선작 모음집 상

Page 1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당선작 모음집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당선작 모음집 2016년 12월 발행인 주성혜 발행일 2016.12.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교육개발센터 센터장 김세린 교육개발팀 대리 박수아 교육개발팀 주임 이혜중

등록 KACES-1630-C005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1392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사업은 전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문 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예술적 감성을 기르고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성장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우수한 프로그램을 발굴하기 위하여 추진되었습니다. 2016년도에는 특히 예술강사 지원사업(2차)과 연계하 여 다양한 분야의 예술의 본연의 가치를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 급하고자 합니다. 본 사업에서는 학교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하여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8차시 프로그 램을 공모하였고, 두 차례의 엄정한 심사를 거쳤습니다. 이를 통해 기획성, 실험성, 전 문성이 돋보이는 총 28건의 프로그램이 선정되었습니다.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 공모 당선작 모음집」은 전문가 컨설팅을 거친 19개의 당선작을 수록한 결과물 입니다. 본 모음집이 학교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보다 다양하고 유익한 문화예술교육 을 실행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선정작 컨설팅 o 공예 : 모인순 (남서울대학교 교수) o 국악 : 권덕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o 디자인 : 김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o 미디어아트 : 황용석 (건국대학교 교수) o 미술 : 안금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o 만화애니 : 조정래 (한림대학교 교수) o 무용 : 이강순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o 문학 : 박광현 (동국대학교 교수) o 사진 : 허현주 (중부대학교 교수) o 연극 : 김주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o 영화 : 이아람찬 (목원대학교 교수) o 음악 : 민경훈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목 분야

공예

국악

디자인

입상구분

프로그램명

출품자

최우수상

145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한경원

7

우수상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김민영

35

입선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윤애실, 최가희

55

최우수상

함께하는 악.가.무.락

이정민

73

우수상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박지영, 김화슬

103

입선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김현주, 박고우리

127

최우수상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김은아

153

입선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류민아, 정혜연

183

최우수상

카툰블루마블

변미섭

213

김현영

233

만화/ 우수상 애니메이션

무용

미디어아트

미술

사진

연극

영화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춘향전 픽실레이션>

놀아보세

입선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황지연

259

최우수상

어머! 내 몸이 움직여요

이정아

우수상

자기계발을 위한 Mind-up Dance

김옥희

289 309

입선

사운드무빙 Sound Moving

노수연, 박유나

337

우수상

날아오르자, 지속가능한 발전!

이다은

355

우수상

Tech위에 빛, 소리 그리고 움직임

김윤정

383

우수상

힐링 서예 (Healing Calligraphy)

양영술

우수상

시간 여행 (타임머신 여행)

한미주

409 429

최우수상

사진 자화상, 마음을 닮다

한경은

445

입선

펜과 카메라로 하는 스토리텔링

강선영

475

대상

화장실 多 가을하다!

함현경

우수상

내 삶의 스페셜리스트

서민정

497 541

입선

용.감.한 연극수업

이지현

입선

밴드로 만드는 연극세상

이연주

569 595

최우수상

박물관이 살아있다 - 숨은 보물찾기

백지현, 윤용훈

615

우수상

예술 가치 놀자 김태훈, 전현구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주영상 - 마음체조 심심통통 나는야 종합예술가! 한상욱

639

우수상 입선

657 685 5



공예

최우수상 145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한경원



공예분야 - 최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세부 분야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공예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1~3학년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중학교 자유학기제(예술체육활동, 동아리활동) 초등학교 80 분 (각 차시별), 중학교 90분 (각 차시별) “145년만의 귀환한 외규장각의궤는 무엇인가”

주제

의궤로 풀어가는 공예와 역사 이야기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대가 약탈해간 외규장각의궤가 고국의 품으로 돌아왔다. '145년만의 귀환한 의궤는 반환이 아닌 영구임대라는 의미로 고국의 품에 안겼다. 의궤는 국가와 왕실에서 행해지던 주요 의 례의 절차와 모습을 담고 있는 보고서로, 담긴 정보는 정치사와 경제사 ㆍ건축사ㆍ미술사ㆍ과학사ㆍ언어사ㆍ복식사ㆍ음식사 등 다양한 방면의 특히 국왕의 열람을 위해 제작되어진 조선 시대 최고 수준의 도서 제 작 기법을 보여준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에서 접하지 못했던 의궤를 통하여, 145 년 만에 돌아온 외규장각의 의궤와 규장각의 다양한 기록문화를 함께 읽고, 우리의 품으로 올 수 있기까지의 故 박병선 박사님의 숨은 노력 과 공로를 배우고, 우리의 문화재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과 문화예술

프로그램

에 대한 자긍심 그리고 선조들이 남긴 문화유산의 가치를 다시 한 번

내용 요약

되돌아보고 이해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아직 고국의 품 으로 돌아오지 못한 직지심체요절 등 많은 우리문화유산에 대하여 비 판만 할 것이 아닌, 돌아온 문화재에 대한 재대로의 연구와 적극 활용 이 우리의 문화재를 다시 찾을 수 있는 기회를 가져올 것임을 본 수업 을 통하여 이야기 하고자 한다. 본 수업은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위한 프로그램으 로 ‘기록문화의 꽃’이라 불리는 의궤 속 왕실의 삶과 문화를 통해 역사 와 문화의 자연스러운 이해를 돕고, 의궤에 담긴 다양한 분야의 기록을 통하여 옛 사람들의 직업과 윤리의식을 공예 융합 수업으로 표현 할 수 있다. 또한, 난이도에 맞게 교과와의 연계를 꾀하고, 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의 자유학기제 수업으로 풀어 갈 수 있도록 제작 하였다.

9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1. 정조의 선물 의궤

145년만의 귀환: 의궤 1차시

- 145년 만에 귀환한 의궤를 통하 여 역사를 읽고, 문화유산의 소중 함을 느낄 수 있다.

2. 동영상-『의궤 8일간의 축제』감상 3. 규장각과 외규장각 비교 4. 의궤는 무엇인가? PPT 감상 5. 잃어버린 의궤와 찾기 위한 잔다르크 故 박병선 박사님 6. 마포나루에 배 들어오다 : 프랑스 함대

왕실의 기쁨과 슬픔 가례와 장례 : 토우 반차도 - 나라의 경사 가례도감의궤와 왕 실의 죽음 국장도감의궤의 반차도 2차시

를 통하여 왕실 관례와 문화를 이 해 할 수 있다. - 반차도 감상을 통하여 찰흙을

7. 영화 『역린』감상을 통한 정조 스토리 텔링 8. 『영조 정순왕후 가례도감의궤』,『숙 종 국장도감의궤』 9. 종묘제례악 & 궁중 가례음악 감상 10. 의궤를 통해 본 모둠별 토우반차도 제작

이용한 입체 토우 반차도를 제작 할 수 있다. 조선의 건축과 과학: 조선의 다빈치 다산 정약용 - 『화성성역의궤』를 통하여 정 3차시

약용 선생님의 거중기 발명과 수 원성 제작과정을 읽을 수 있다. - 수원성 건축을 앞당긴 거중기의

11. 『화성성역 의궤』거중기 PPT 감상 12. 조선의 다빈치 정약용 & 동반자 정조 13. 조선식 기중기 거중기개발 원리 이해 14. 거중기 원리 이용 움직이는 오토마타 제작

원리를 이해하고, 움직이는 오토 마타를 제작 할 수 있다. 활자와 이미지의 향연-Ⅰ:

4차시

백성과 함께하는 인쇄문화

15. 『원행을묘정리의궤』PPT 감상

- 『원행을묘정리의궤』를 통하여

16. KBS-『의궤 8일간의 축제』 편집감상

수원행궁 8일간의 과정을 볼 수

17. 인쇄 기술과 판화의 이해

있다.

18. 『우리학급의궤』 제작-1 : 주제설정

- 수원행궁 8일간의 과정을 통하 여 정조의 효심과 나라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읽을 수 있다. 10

과 판화 제작 19. 밑그림 그린 후 파내고, 고무인 제작하기


공예분야 - 최우수상

- 의궤 속 인쇄의 원리와 특징을 이해하고 주제를 살려 독창적으로 판화를 제작 할 수 있다. 활자와 이미지의 향연-Ⅱ:

5차시

백성과 함께하는 인쇄문화

20. 전 차시 제작한 판화 수정 및 보완

-기록문화의 꽃 의궤를 제작하고,

21. 모둠별 분업 & 위치 정하기

인쇄하는 과정을 통하여 우리의

22. 판화 인쇄하기

뛰어난 인쇄술과 기록문화유산으

23. 『우리학급의궤』 완성하고 배포하기

로서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다. 왕실 의상& 복식-Ⅰ.

6차시

궁중 아이돌 신발 수초혜

24. 『순조무자진작의궤』의 왕실 복식 감상

-의궤에 나타난 궁중 복식의 다양

25. 춤을 사랑한 효명세자 스토리텔링

성을 감상하고, 왕실 의례 중 춤

26. 궁중음악과 춤 『춘앵전』감상

과 노래를 담당한

27. 궁중 아이돌 동기와 여령 알아보기

동기와 여령의

수초혜와 초록혜를 제작하고 디자

28. 수초혜와 초록혜 만드는 법 시연 및 제작

인 할 수 있다. 왕실 의상& 복식 -Ⅱ. 궁중 아이돌 신발 수초혜 - 궁중 복식의 문양을 나만의 문 7차시

양으로 표현 할 수 있다. - 제작된 수초혜와 초록혜 위에 나만의 궁중 문양을 수를 놓아

29. 전 차시 디자인 수정 및 보완 30. 제작된 수초혜와 초록혜 문양을 그리기 31. 그려진 문양을 따라 수놓기 32. 수초혜, 초록혜 완성 및 보정 33. 마감제 바르기

동기와 여령의 신발을 완성 할 수 있다. 임금님의 백성 읽기 - 경직도 - 경직도의 뜻과 의미를 다시 한 8차시

번 되돌아보고, 경직도를 통하 여 시대의 농경문화를 읽고 시 대의 생활상을 엿 볼 수 있다.

34. 『친잠의궤(親蠶儀軌)』 와 경직도의 뜻과 의미 알기 35. 경직도를 통한 틀린 그림 찾기 36. 우리 농경문화와 다양한 농사법 이해 37. 모둠별 경직도 제작 38. 한지 경직도발(햇빛가리개)제작 완성

11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2. 세부내용 2-1. 1차시 프로그램명 대상 및 인원 (1)학습 주제 (2)학습 목표 (3)중점 핵심 역량

145년만의 귀환 : 의궤는 무엇인가? 초등 고학년 / 중등 자유학기제 (난이도 조절 가능)

1/8 차시

차시

교육 시간

2시간 (초등80분, 중등90분 )

145년 만에 귀환한 외규장각 의궤에 대하여 알아보기 - 145년 만에 만난 규장각 의궤가 무엇인지 탐구하고 이야기 할 수 있다. - 외규장각의궤를 이해하고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자긍심을 느낄 수 있다.

공동체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외규장각의 의궤가 우리 품으로 돌아오기까지의 일화를 영상과 PPT를 통

(4)프로그램개요 하여 감상하고,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소중함과 자긍심을 함께 느끼고, 활동지를 작성한다. [6미01-05] 미술 활동에 타 교과의 내용, 방법 등을 활용 할 수 있다. [6사03-06] 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우,

(5)관련 교과 성취 기준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 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 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단계

학습 내용

교수 학습 활동

시 간

활용자료 및 유의점

n 인사하기 & 소개 n 학습동기유발1. : 2011년 4월 11일 의궤 귀환

n 학습동기 유발 2. 탐구

11월 11일은 무슨 날인가 질문하기 (빼빼로데이인가?) 5’

상황

도입

제시

학생들이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사건에 대한 보복으로

직접 만든 규

프랑스군이 침입한 사건으로 병인양요는

칙임을

그 해 11월 11일 프랑스군의 1개월 동안 강화성을 점거하고 떠

시킨다. 영상

나며 철거와 장녕전(長寧殿) 등 모든 관아에 불을 지르고 외규 장각의 고도서 345권과 은괴 19상자 등 우리의 문화재를 약탈해 가며 병인양요는 끝났다.

12

ppt

학습

n 학습 문제 제시하기

문제

145년 만에 우리 품에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에 대

5’

상기


공예분야 - 최우수상

하여 알아보자 n 활동 내용 소개하기

강화도에서 마포까지 배가 들어오다.

활동

천주교 박해와 병인양요 알아보기

소개

의궤란 무엇인가?

약탈당한 의궤는 어떻게 돌아왔는가 알아보기

의궤의 잔다르크 故 박병선 박사님

5’

■ 정조가 만든 규장각을 이야기하고 규장각도서는 어 디서 돌아온 것인가 알아보자 -외규장각은 무엇인가? 1782년 2월 정조(正祖)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도서관으로, 왕립 도서관인 규장각(奎章閣)의 부속 도서관 역할을 하였다. 설치 이후 왕실이나 국가 주요 행 사의 내용을 정리한 의궤(儀軌)를 비롯해 총 1,000여 권의 서적 을 보관하였으나, 1866년(고종 3)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프랑

ppt

스군이 강화도를 습격하면서 297권의 왕실의 주요행사를 기록

영상

한 의궤 191종(유일본 30종 포함) 297책을 포함한 도서 359점 을 약탈했다. 나머지는 불에 타 없어졌다. 외규장각 [外奎章閣] (두산백과)

-외규장각과

규장각 ◆강화도: 외규장각 1782년 2월 정조(正祖)가 왕실 관련 서적 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도 서관으로, 왕립 도서관인 규장각(奎章閣) 의 부속 도서관 -네이버케스트

활동 1 전개

(의궤 는 무엇 인가)

-네이버케스트

◆ 창덕궁: 규장각 정조 개혁정치의 산실’규장각(奎章閣)’ 창 덕궁 후원의 중심에 서 있는 전각 규장각 은 조선시대 왕실 도서관이자, 학술과 정 책을 연구하는 기관 이었다.정조 (1752~1800, 재위:1776~1800) 시대 정치 와 문화의 중흥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20’

-의궤란 무엇인가? 의궤는 어떻게 프랑스에서 돌아 왔는가? 박병선 박 사님의 일화

외규장각도서 반환에 평생을 바친 故박병선 박사님: 朴炳善, 1923년 3월 25일 ~ 2011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다.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이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임을 밝혀내었다. 프랑스 파리에서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을 발견해 내 200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시킨 1등 공신이다. -위키백과 13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활동 2 (약탈

병인양요

■ 왜 약탈당했는가?

참전한

-1866년 초 대원군의 천주교 금압령(禁壓令)

스군

당한

-살아남은 3명 중, 리델(Ridel)이 중국으로 탈출. 프랑스

의궤)

함대사령관 로즈(Roze, P.G, 魯勢)에게 박해 소식전함 보복 원정

30’

-프랑스선교사 12명 중 9명 처형

<우리 자존심을

상하게 것은 가난한 라도

『병인양요 』“그냥 돌아갈 수 없다”

프랑스군에 약탈된 우리 문화재

쥐베르

일화

-프랑스신부와 조선인 천주교신자 수 천 명을 학살

프랑

하는 아무리 집이 어디든

지 책이 있다 는

`의궤`

사실이

다.>

■ 마포나루에 <프랑스함대>배들어 오다.

활동

ppt

3

20’

(마포 나루)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활동지 작성

n 소감 이야기 나누기 학습 정리 정리

및 내면 화

- 145년 만에 귀환한 외규장각 의궤에 대한 느낌을 이 야기해보자 - 세계문화유산 기록 문화의 꽃 의궤에 대한 자긍심을 5’ 가져보자 - 이번수업의 아쉬웠던 점을 이야기하자 - 다음시간 이야기와 준비물 공지하기 평가 계획

평가 내용

평가 기준 (관찰 평가)

학습자는 145 상 : 학습자는 145년 만에 귀환한 외규장각의 의궤를 탐구하고 잘 이해하였다. 년 만에 귀환 한 외규장각 중 : 학습자는 145년 만에 귀환한 외규장각의 의궤를 탐구하고 이해하였다. 의 의궤를 14

활동지 작 성


공예분야 - 최우수상 탐구하고 잘 이 해 하 였 는 하 : 학습자는 145년 만에 귀환한 외규장각의 의궤를 탐구하고 잘 이해하지 못했다. 가?

기대효과 ● 145년 만에 귀환한 외규장각의 의궤는 영구 반환이 아닌, 5년 갱신의 임대형식으 로 우리 모두에게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다. 우리 문화유산 반환과 연구를 위해 평생을 바친 고 박병선 박사님의 끈질긴 노력에 경의를 표하며, 그 애국심 또한 우리가 물려받아야 할 유산이다. 우리에게 아직 돌려받지 못한 다른 문화재도 언 젠가는 우리의 품으로 돌아 올 것을 기약하며, 본 수업을 통하여 의궤 안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로 공예와 타 교과, 또 다른 분야와의 융합적 연구가 재미있게 전 개될 것이다. 2-2. 2차시 프로그램명 대상 및 인원 (1)학습 주제

왕실의 기쁨과 슬픔 가례와 장례 : 토우 반차도 제작 초등 고학년 / 중등 자유학기제 (난이도 조절 가능)

2/8 차시

차시

교육 시간

2시간 (초등80분, 중등90분 )

『영조 정순왕후가례도감 의궤』,『숙종국장도감 의궤』그림읽기 가례와 장례 토우 반차도 제작하기 - 나라의 경사 가례의궤와 왕실의 죽음 국장도감의궤의 반차도를 통하여 왕실

(2)학습 목표 관례와 문화를 이해 할 수 있다. - 반차도 감상을 통하여 찰흙을 이용한 입체 토우 반차도를 제작 할 수 있다.

(3)중점 핵심 역량 (4)프로그램 개요

공동체 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의궤의 반차도에서 보이는 왕실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의식과 절차를 궁중 음악과 함께 토우반차도 제작으로 표현 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6미02-03]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와 관련된 표현 내용을 구체화 할 수 있다.

(5)성취 기준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 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단 계

학습 내용

교수 학습 활동

시 간

ppt,영상

n 인사 & 전 차시 상기학습 도입

탐구

n 학습동기 유발

상황

•『영조 정순왕후 가례도감 의궤』감상과 영조의 나이

제시

와 정순왕후의 나이 몇 살인가?

활용자료 및 유의점

10’

• 어린나이에 시집온 정순왕후의 일화 스토리텔링 15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 영화 『역린』편집 감상을 통한 정조 스토리텔링 학습 문제

n 학습 문제 제시하기 - 왕실의 가례와 장례 반차도를 통하여 왕실 문화를 이해하고

5’

토우 반차도를 제작하기

활동 소개

n

활동 내용 소개하기 영화 『역린』 편집 감상(정조의 스토리텔링) 정순왕후 가례 일화 스토리텔링 궁중 가례 음악 & 종묘 제례악 감상 토우 반차도 제작

반차도의 다양한 감상

5’

▪행렬도를 감상하고 모둠별 장례의식과 혼례(가례) 행 렬도를 골라 의궤의 한 페이지를 읽기 ⦁조선시대 종묘 제례악/궁중 가례악도 함께 감상하기 ⦁반차도에 나타난 재미있는 풍경으로 스토리텔링을 하 여 보자 ▪왕후의 가마를 들고 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자 몇 명이 들고 가는가? / 또 뒤따르는 수모들과 말을 탄 사 람들은 몇 명인가? 활동

모습

영상 드라 마(장옥정 사 랑에

살다)

숙종

가례장

*가마 뒤로 붉은 옷을 입고 손을 잡고 가는 7명의 사람은 누구인 가? ** 연배여군: 가마꾼의 교체역할

1 (반차 도는 무엇

⦁조선시대 종묘 제례악/궁중 가례악도 함께 감상하기 ⦁반차도에 나타난 재미있는 풍경으로 스토리텔링을 하여 보자

10’

인가)

전개

궁중 가례 악&종묘제례 악 CD

활동 2 (입체 반차 도 제작)

▪반차도를 제작하기 ⦁전지를 받아 밑그림을 그리고 시대를 감상하며 한 장 의 의궤를 만들기 ⦁토우를 제작하는 모둠원은 옹기토를 반죽하여 가례도 의 가마행렬과 /장례행렬의 상여행렬로 나누어 제작하기 ⦁흙반죽은 갈라지지 않도록 충분히 반죽 후 모둠 구성 원과 상의하며 행렬도를 제작하기 ⦁장례행렬에 상여를 든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장례행렬도의 사람들의 의관을 이야기하자 ⦁길가 모습을 감상하자(왕이 행차할 때 길거리 풍경은

16

전지, 찰 흙, 싸인펜, 색연필, 외 그리기 도구

45’

. *모둠별


공예분야 - 최우수상 작업은 가례행 렬도나 장례행 렬도의 배경을 그리는 사람과 행렬도의 토우 를 제작하는 사람 등 모둠 원의 분업화된 작업으로 시작 한다.

어떠하였는가? ⦁가례 및 장례식의 의상을 이야기하기 ***모둠별 제작한 반차도를 감상하고 작품의 특징을 이 야기하기

⦁ 모둠별 피드백하기 정리

학습

n 소감 이야기 나누기

정리

- 반차도를 통하여 본 장례와 가례에 대한 느낌을 말해 보자

5’

17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및 내면 화

- 토우를 이용한 입체 반차도 제작의 감흥을 이야기하여보자 - 종묘 제례악의 느낌과 궁중 가례음악의 느낌을 함께 공유하고 기록 문화의 꽃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자긍심 을 가져보자 - 이번 수업의 아쉬웠던 점을 이야기하기 - 다음시간 이야기와 준비물 공지하기 평가 계획

평가 내용

평가 기준 (관찰 평가)

학습자는 의 상 : 학습자는 의궤의 반차도를 모둠 제작 활동을 통해 궁중의 가례와 장례 절차를 잘 궤의 반차도 이해하였다. 와 궁중음악 감상을 통하 중 : 학습자는 의궤의 반차도를 모둠 제작 활동을 통해 궁중의 가례와 장례 절차를 이 여 궁중 가례 해하였다. 와 장례절차 를 이해하고 토우반차도를 하 : 학습자는 의궤의 반차도를 모둠 제작 활동을 통해 궁중의 가례와 장례 절차를 잘 이해하지 못했다. 제작 하였는 가?

기대효과 * 귀로 듣고 보기만 하였던 역사 수업을 손으로 재현해 보는 것은 성인이 되어서도 아 이들에게 잊을 수 없는 수업의 한 장면으로 남을 것이리라 사료된다. 차시 여유가 있다면, 토우를 움직이는 시뮬레이션으로 제작하여 움직이는 입체반차도 로 제작해보는 기회가 되어주었으면 한다. 2-3. 3차시 프로그램명 대상 및 인원

조선의 건축과 과학 : 조선의 다빈치 다산 정약용 초등 고학년 / 중등 자유학기제 (난이도 조절 가능)

3/8 차시

차시

교육 시간

2시간 (초등80분, 중등90분 )

조선의 건축과 과학 : (1)학습 주제

『화성성역의궤』로 바라본 “수원성과 거중기” 거중기 원리이용 오토마타 만들기

18

(2)학습 목표

-『화성성역의궤』를 통하여 정약용 선생님의 거중기 발명과 수원 성 제작과정을 읽을 수 있다. -수원성 건축을 앞당긴 거중기의 원리를 이해하고, 움직이는 오토 마타를 제작 할 수 있다.

(3)중점 핵심 역량

공동체 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공예분야 - 최우수상

화성성역 의궤를 통하여 조선시대 건축과 과학을 이해하고, 수원성 (4)프로그램개요 의 제작을 앞당긴 거중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오토마타를 제작하여 본다. [6미01-05] 미술 활동에 타 교과의 내용, 방법 등을 활용 할 수 있다. [6미02-03]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와 관련된 표현 내용을 구체화 할 수 있다. [6과02-03] 에너지와 도구,

(5)관련 교과 성취 기준

[중1과 Ⅲ힘과 운동],

[중3과 Ⅲ일과 에너지]

[6사03-06] 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우,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 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 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단계

학습 내용

탐구 상황 제시

도입

교수 학습 활동

n n

인사 & 전 차시 상기학습 학습동기 유발 조선에 다빈치가 있었다는데 그는 누구인가? 다산 정약용 선생님과 동반자 정조

학습

n 학습 문제 제시하기

문제

거중기의 원리이해 & 움직이는 오토마타 제작하기

시 간

활용자료 및 유의점

5’

ppt 성

5’

n 활동 내용 소개하기 활동 소개

영상KBS

39. 『화성성역의궤 』거중기 영상과 PPT 감상

40. 조선의 다빈치 정약용 & 동반자 정조 스토리텔링

수원

5’

41. 조선식 기중기 거중기개발 원리 이해

『역사저널 그 날』

42. 거중기 원리이용 움직이는 오토마타 제작 ■ 거중기의 원리& 이해

고정도르

43. 『화성성역의궤 』거중기 영상과 PPT 감상 활동 1 (거중

래[조선 시대

고정도르래와 움직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고안 한 첨단 건축 장비인 '거중기' 20’

기의 전개

원리)

에는

도르래

활윤(滑

輪)이라 표기 하였다.] 국립중앙 박 물관 『 화성 성역의궤』

n 거중기의 원리를 이용 오토마타 제작 30’ 2 44. 도르레+회전운동+마찰자의 원리를 이용한 오토마 20’ (거중 타를 제작한다. 활동

영상 마찰자원 리: 두개의 바퀴면을 직

19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기원 리이 용 오토

45. 우드락에 지름 5cm의 두 개의 원을 그린다. 46. 커터칼을 돌려가며 두 개의 원을 오려준다. 47. 우드봉을 각 10cm 한 개, 15센티 한 개를 잘라, 오 려둔 두 개의 우드락 원에 중심선을 꽂아준다. *5T우드봉이 들어갈 정도로 꽂되 헐겁지 않게 한다. 48. 투명컵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구멍을 뚫어 빨대를 끼워 고정하고, 투명컵의 뚜껑도 우드락으로 대체 하여 중심부에 구멍을 뚫고 빨대를 끼워 고정한다. 49. 10cm 우드봉에 잘라놓은 5cm 우드락을 끼우고 15cm 우드봉은 투명컵을 가로 질러 끼우면서 5cm 우드락을 함께 끼워 고정한다. 50. 움직이는 오토마타가 제작 되면 손잡이를 달아주 고 손잡이를 돌려본다.

마타 제작)

접 접촉시켜 접촉면의 마 찰력을 이용 해 동력을 전 달하는 것

마찰자

투명커피 컵, 가위, 컷 터칼, 우드락, 컴퍼스, 5T우 드봉, 글루건, 빨대

.*우드봉을 자를 때는 손 이 다치치 안 도록 유의한 다.

51. 모둠별 피드백한다. 학습 정리 정리

및 내면 화

n 소감 이야기 나누기

- 『화성성역의궤 』의 거중기의 감흥을 이야기해보자 - 거중기 원리이용 오토마타 제작의 힘들었던 점과 즐 5’ 거웠던 점을 발표해보자 - 이번수업의 아쉬웠던 점을 이야기하자 - 다음시간 이야기와 준비물 공지하기

오토마타 놀이 제작

평가 계획 평가 내용

평가 기준 (관찰 평가)

학습자는『화 상 : 학습자는 『화성성역의궤』에 나오는 거중기의 원리를 잘 이해하였다. 성성역의궤』 에 나오는 거 중 : 학습자는 『화성성역의궤』에 나오는 거중기의 원리를 이해하였다. 중기의 원리 를 잘 이해 하였는가? 하 : 학습자는 『화성성역의궤』에 나오는 거중기의 원리를 잘 이해하지 못했다.

20


공예분야 - 최우수상

기대효과 정적인 작업보다 동적인 것을 좋아하는 학생들은 거중기의 원리에 호기심이 생긴다. 조선명탐정에서 보았다는 다산 정약용 선생은 의학, 약학, 정치, 예술, 과학 등 다방 면에 뛰어난 조선의 다빈치라는 말과, 그 옛날에 거중기라니 수원성 제작에 노역을 했을 백성을 생각하면서 참으로 감사한 기계라는 학생들의 또 다른 공감대를 형성하 는 시간이 된다. 특히나 의궤에 적힌 직급과 인력에 대한 응당한 보수 책정 등은 자 유학기제 아이들이 접해 보기 힘든 기록의 자료가 되어준다. 2-4. 4차시 프로그램명 대상 및 인원 (1)학습 주제

활자와 이미지의 향연-Ⅰ. 백성과 함께하는 인쇄문화 초등 고학년 / 중등 자유학기제 (난이도 조절 가능)

차시

교육 시간

4/8 차시 2시간 (초등80분, 중등90분 )

활자와 이미지의 향연-Ⅰ. -『원행을묘정리의궤』 [園幸乙卯整理儀軌]에 담긴 활자와 이미지

(2)학습 목표

-『원행을묘정리의궤』를 통하여 수원행궁 8일간의 과정을 볼 수 있다. -수원행궁 8일간의 과정을 통하여 정조의 효심과 나라와 백성을 사 랑하는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의궤 속 인쇄의 원리와 특징을 이해하고 주제를 살려 독창적으로 판화를 제작 할 수 있다.

(3)중점 핵심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활자와 이미지로 표현된 『원행을묘정리의궤』의 화성행궁의 8일간

(4)프로그램개요 의 기록을 감상하고, “나라의 주인은 백성”이라는 의궤에 담긴 의 미를 되새기고, 『우리학급의궤』를 판화 기법으로 제작한다. [6미01-04, 05] 미술 활동에 타 교과의 내용, 방법 등을 활용 할 수 있다. 판화의 표현 방법과 용구 알아보고, 다양한 재료와 방법으로 표현 할 수 있다. [6미02-03]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와 관련된 표현 내용을 구체화 할

(5)관련 교과 성취 기준

수 있다. [6사03-06] 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우,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 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 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단계

학습 내용

교수 학습 활동

시 간

활용자료 및 유의점

21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n 인사 & 전 차시 상기학습 n 학습동기 유발

『원행을묘정리의궤』: 수원행궁 8일간의 일정과 교 통편을 이야기해보자

수원은 어디인가? 서울에서 수원까지의 거리

동영상

한강을 건너간 8일간의 행차: 노량진 앞 한강에 배들 을 잇대어 배다리를 놓다

탐구

ppt

KBS-『의궤 8일간의 축제』

5’

상황 제시

유네스코 에 등재된 한 국의

세계기

록유산

도입

<훈

민정음. 팔만 대장경, 직지 심체요절, 의 궤, 조선왕조

n 학습 문제 제시하기 학습 문제

실록, 승정원

원행을묘의궤에서 보여준

인쇄기법을 배워 보고 5’

『우리학급의궤』를 제작하기 소개

『원행을묘정리의궤』PPT 감상 5’

KBS-『의궤 8일간의 축제』 편집감상

인쇄기술과 판화의 이해

우리반 의궤 제작-1 : 주제설정과 판화제작 『원행을묘

n 활동 내용

의궤』조선시대

『원행을묘정리의궤』PPT 감상

의궤로는 처음

KBS-『의궤 8일간의 축제』편집감상

판화를

활동 1

수원행궁의

제로

이유:-어머

함께

기록

子)의 부인인 혜경궁 홍

씨의 회갑연 –장용영: 왕

그리

권강화(미래를 위한

고,

람) –사도세자의 무덤

찍다)

의궤의 인쇄시작을 알리 다. 그리고, 찍다.(그림의

이미지는 금속으로 글자는 목판으로 인쇄)

제작한

점에 서지학적

니이자 사도세자(思悼世

22

활자와

갖춘 인쇄 체

(의궤

전개

운동기

록물>

감, 5.18 민 주화

n 활동 내용 소개하기 활동

일기, 동의보

의의가 있다.

15’


공예분야 - 최우수상 **판화들은 선원근법, 높은 시점에 서 내려다보는 오감법을 구사했습 니다. 또한 판화의 일부가 채색이 가미된 채색목판이라는 점 등을 볼 때 청나라 판화에서 영향을 받았음 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KBS의궤 8일간의 축제 파워포인트 고무판, 조 각도, 목장갑

n 판화 제작 및 시연 ⦁우리 학급 의궤의 주제를 정하고 모둠별 판화를 제작하

.*모둠별 작 업은 너무 자 기 의견을 주 장하지 말고 공통된 의견에 따르도록 한다.

활동 2 (의궤 인쇄)

⦁모둠별 정한 의궤의 주제를 개개인이 소제목으로 나 뉘어 스케치하기 ⦁판화는 반대로 찍히는 원리이므로 스케치한 그림 뒷 면에 먹지를 대고 다시 한 번 그려주기 ⦁먹지가 찍힌 스케치한 뒷면을 고무판에 대고 다시 밑그림을 그리기 ⦁고무판에 그린 밑그림의 찍힐 부분을 정하여, 주가 되는 부분을 남기고 파내기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의 특징을 이야기하기 ⦁ 모둠별 피드백하기

45’

.*예리한 칼 날에 손이 다 치지 않도록 지도한다. 조 각 도 를 이용할 때는 칼날을 몸의 바깥쪽으로 밀 어 내는 방법 을 이용한다. 이때 손은 조 각도 안쪽으로 한다.

n 소감 이야기 나누기 학습 정리 정리

및 내면 화

- 정조의 화성행궁 8일간의 기록을 통하여 느낀 점을 이야기해보자 - 원행을묘정리의궤에서 가장 인상 깊게 본 것을 이야 5’ 기해보자 - 『우리학급의궤』 판화 제작 시에 힘들었던 점을 이 야기하자 - 이번 수업의 아쉬웠던 점을 이야기하자 - 주변정리&다음시간 이야기와 준비물 공지하기 평가 계획

평가 내용

평가 기준 (관찰 평가)

학습자는 원행 상 : 『원행을묘의궤』에서 보여준 인쇄 기법을 배워 보고 『우리학급의궤』를 잘 제작 을묘의궤에서 하였다. 보여준 인쇄 기법을 배워 보고 우리학급 중 : 『원행을묘의궤』에서 보여준 인쇄 기법을 배워 보고 『우리학급의궤』를 제작하 의궤 만들기 였다. 활동을 통해 판화를 제작하 고 인쇄기법을 하 : 『원행을묘의궤』에서 보여준 인쇄 기법을 배워 보고 『우리학급의궤』를 제작하 잘 이해하였는 지 못하였다. 가?

23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기대효과 * 원행을묘정리의궤는 이번 차시에 인쇄문화를 다루었지만 의궤 안에는 음식, 복식, 진연, 경로잔치, 백성을 위한 나눔 등의 다양한 이야기 거리와 직업 등이 세세히 기 록 되어 있다. 의궤의 최초 인쇄본인 원행을묘의궤를 통하여 역사 속에 담긴 스토리 텔링과 인쇄기술의 이해로 판화의 인쇄기법을 자연스럽게 숙지 할 수 있었다. 정조의 8일간의 행차는 어머니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이었지만 왕권강화와 아버지 사 도세자의 묘 참배를 통한 아들의 효심이었던 것 같다. 백성들은 뒤주속의 고통의 8 일 보다 수원행궁의 축제의 8일을 기억 한다는 내용의 자막은 수원행궁은 인쇄문화 의 시작을 알린 정조의 `모두`, `함께` 볼 수 있는 백성들을 위한 일종의 축제와 후세 모든 이들을 위한 기록이었음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되어주었다. 2-5. 5차시 프로그램명 대상 및 인원 (1)학습 주제

(2)학습 목표 (3)중점 핵심 역량

활자와 이미지의 향연-Ⅱ. 백성과 함께하는 인쇄문화 초등 고학년 / 중등 자유학기제 (난이도 조절 가능)

5/8 차시

차시

교육 시간

2시간 (초등80분, 중등90분 )

활자와 이미지의 향연-Ⅱ. -『원행을묘정리의궤』 [園幸乙卯整理儀軌]에 담긴 인쇄문화 -기록문화의 꽃 의궤를 제작하고, 인쇄하는 과정을 통하여 우리의 뛰어난 인쇄술과 기록문화유산으로서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다. 공동체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인쇄의 시작을 알린『원행을묘정리의궤』를 통하여 제작된 『우리

(4)프로그램개요 학급의궤』를 인쇄하여보고, 기록문화의 꽃 의궤가 우리에게 얼마 나 위대한 문화유산임을 다시 한 번 상기한다. [6미01-05] 미술 활동에 타 교과의 내용, 방법 등을 활용 할 수 있다. [6사03-06] 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우,

(5)관련 교과 성취 기준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 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 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단계

학습 내용

교수 학습 활동

시 간

활용자료 및 유의점 ppt

n 인사 & 전 차시 상기학습 탐구

도입

상황 제시

24

n 학습동기 유발

1 0

지난시간 판화로 제작된 『우리학급 의궤』확인하기

수정할 부분이나 더 넣고 싶은 내용은 추가하고

잉크를 다 루는

시간임

으로

서로,

모둠에게


공예분야 - 최우수상

도판을 마무리하기

모둠별 도판을 인쇄 할 수 있도록 각자의 임무를 나누어보기 (인쇄, 종이 대기, 판 닦기 등)

학습

n 학습 문제 제시하기

문제

『우리학급 의궤』를 인쇄하고 만들어보기

5’

소개

전 차시 제작한 판화 수정 및 보완

모둠별 분업 & 위치 정하기

판화 인쇄하기

『우리학급의궤』 완성하고 배포하기

주지

않는다. 영상

n 활동 내용 소개하기 활동

불편을

5’

n 인쇄의 시작

인쇄할 공간에 바닥 천을 깔아주기

분업화된 각자의 위치로 준비하기(인쇄하는 사람과

활동 1 (우리 학급 의궤

–종이를 깔아주는 사람-말리는 사람)

롤러에 잉크를 묻혀 인쇄할 고무판위에 바르기

잉크가 발린 고무판위에 종이를 맞추어 눌러주고 바 렌으로 골고루 문질러 인쇄하기

40’

인쇄)

인쇄 바 닥 천 , 롤러, 잉크, 종이 . *모둠별 작업은 분업 하여 시작한 다. ** 바렌으 로 골고루 잘 문지른다.

n 『우리학급 의궤』를 만들고 배포하자. 전개

⦁잉크가 마른 여러 개의 인쇄된 종이를 맞추어두기

활동 2 (우리

15’

학급 의궤 제작 및 배포)

⦁각자 구멍을 뚫어 실에 끼우기 ⦁옛날 책 묶는 방법과 일자 묶기, X자형 묶기 등 다 양한 방법으로 묶어 연출하기 ⦁여러 권의 의궤를 다른 학급에도 배포하기

한지, 위, 실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의 특징을 이야기 하 여보기 ⦁ 모둠별 피드백하기

25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n 소감 이야기 나누기 학습 정리 정리

및 내면 화

- 『원행을묘정리의궤』를 통하여 제작된 『우리학급 의궤』제작완성의 소감과 감흥을 이야기하기 - 기록 문화의 꽃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자긍심을 갖 5’ 기 - 이번수업의 아쉬웠던 점을 이야기하기 - 다음시간 이야기와 준비물 공지하기 평가 계획

평가 내용

평가 기준 (관찰 평가)

* 학 습 자 는 상 : 학습자는 『우리학급의궤』의 도판작업을 통하여 의궤를 인쇄하고 잘 배포하였다. 『우리학급의 궤』의 도판 중 : 학습자는 『우리학급의궤』의 도판작업을 통하여 의궤를 인쇄하고 배포하였다. 작업을 통하 여 의궤를 인 하 : 학습자는 『우리학급의궤』의 도판작업을 통하여 의궤를 인쇄하지 못하고, 배포하 쇄하고 배포 지 못하였다. 하였는가?

기대효과 *판화제작에 앞서 시작한 의궤에 관련된 내용과 『원행을묘정리의궤』 일련의 스토 리텔링은『우리학급의궤』라는 인쇄된 한권의 책과 우리 반의 기록문화를 보여주었 다. 또한, 다양한 기록을 도판하여 인쇄해보는 것은 정조의 마음처럼 `모두`, `함께` 보고 참여 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어 주었다.

2-6. 6차시 프로그램명 대상 및 인원 (1)학습 주제

왕실 의상& 복식-Ⅰ.

차시

“왕실의 아이돌 신발 수초혜 ” 초등 고학년 / 중등 자유학기제 (난이도 조절 가능)

교육 시간

6/8 차시 2시간 (초등80분, 중등90분 )

왕실 의상& 복식-Ⅰ. 왕실 춤과 노래 담당 아이돌

수초혜 & 초록혜 만들기.

-의궤에 나타난 궁중 복식의 다양성을 감상하고, 왕실 의례 중 춤과 (2)학습 목표

노래를 담당한 동기와 여령의 수초혜와 초록혜를 제작하고 디자인 할 수 있다.

(3)중점 핵심 역량 (4)프로그램개요 26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순조무자진작의궤』 춘앵전의 춤과 노래 담당 동기와 여령의 신 발을 디자인하고 제작해 본다.


공예분야 - 최우수상 [6미01-05] 미술 활동에 타 교과의 내용, 방법 등을 활용 할 수 있다. [6미02-03]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와 관련된 표현 내용을 구체화 할 수 있다.

(5)관련 교과 성취 기준

[6사03-06] 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우,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 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 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단계

학습 내용

시 간

교수 학습 활동

활용자료 및 유의점

n 인사 & 전 차시 상기학습 n 학습동기 유발 탐구 상황

궁중아이돌 `동기`와 `여령`

5`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베푸는 각종 잔치에서 춤을 추고 노래

제시

를 하던 여자. 여령<女伶>이라하고, 남자는 동기<童伎>라 불 렀다.

- 네이버 국어사전 ppt,영상

n 학습 문제 제시하기 도입

학습

문제

학생들이

의궤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궁중 복식의 특징을 감 상하고 춤과 노래를 공연하였던 동기와 여령의 신

5`

직접 만든 규 칙임을

상기

시키다.

발을 제작하기

영상

n 활동 내용 소개하기

의궤의 왕실 복식 & 궁중음악 감상

활동

『순조무자진작의궤』춤을 사랑한 효명세자

소개

궁중 아이돌 `동기`와 `여령` 알아보기

수초혜와 초록혜 만드는 법 시연 및 제작하기

활동지이용 문양 디자인

5`

n 궁중 음악과 궁중 복식 감상

『순조무자진작의궤』의 복식& 춘앵전 감상

활동 1 전개

▪국립국악원<춘앵전> 동기와 여령

(궁중 복식 감상)

순조(純祖)의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가 모친 순원숙황후(純元肅皇

10’

KBS드라 마 『구르 미 그린 달빛』감상

后)의 보령(寶齡) 40탄신(誕辰)을 축하하기 위해 지은 것 –춘앵전<국립국악원>

27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n 수초혜와 초록혜 제작 및 시연

신발의 전개도를 자신이 원하는 사이즈로 확대 축 소 복사하기

두꺼운 도화지에 전개도를 붙이고 오리기 (한 켤례 를 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두 개씩 오려둔다.)

활동 2 (수초

오려둔 신발의 전개도를 접에 세우고, 마스킹테이프 로 고정하여 입체화하기

입체화된 신발위에 초배지를 붙이고 건조시키기

30’

혜&

전지, 찰 흙, 싸인펜, 연필, 외 그 리기 도구 .*초배지가 들뜨지 않도 록 풀칠을 골 고루 해준다.

초록 혜 만들 기)

활동지

n 수초혜와 초록혜 문양디자인

궁중 아이돌의 신발에 어울리는 문양을 디자인하기

20’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의 특징을 이야기하기 ⦁ 모둠별 피드백하기 n 소감 이야기 나누기 학습

정리 정리

및 내면 화

『순조무자진작의궤』의 복식과 춘앵전 감상을 통 한 느낌을 이야기해보자.

조선시대 궁중아이돌 어떠하였는지 자신의 생각을 5’ 발표해보자. 이번수업의 아쉬웠던 점을 이야기하자. 다음시간 이야기와 준비물 공지하기. 평가 계획

평가 내용

평가 기준 (관찰 평가)

학 습 자 는 상 : 학습자는 『순조무자진작의궤』의 왕실복식과 춘앵전 감상을 통하여 수초혜와 초 『순조무자진 록혜를 잘 제작하였다. 작의궤』의 복식과 춘앵 중 : 학습자는 『순조무자진작의궤』의 왕실복식과 춘앵전 감상을 통하여 수초혜와 초 록혜를 제작하였다. 전 감상을 통 하여 수초혜 와 초록혜를 하 : 학습자는 『순조무자진작의궤』의 왕실복식과 춘앵전 감상을 통하여 수초혜와 초 잘 제작하였 록혜를 제작하지 못하였다. 는가?

기대효과 그들은 정말 조선시대 아이돌일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시작한 이번 수업은 옛날사람 28


공예분야 - 최우수상

의 의상 중 그것도 아이돌 신발이라는 호기심을 가져 왔다. 춤과 노래를 사랑하는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같다는 아이들은 신발 모형 제작 중 동기나 여령을 떠올리며 그들이 좋아할 만한 문양 등을 응용하여 디자인 해 두었다. KBS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에서 본 효명세자가 춤을 가르치는 장면이 나오는 데, 효명세자의 춤과 노래에 대한 열정을 알 수 있다는 중학생 아이와 바른 정치와 외척의 세도 정치에 대한 나라의 기강을 바로 잡기였다고 말하는 또 다른 아이를 통 하여 역사를 되돌아보는 시간이 될 수 있었다. 또한, 본 수업은 신발하나로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문양과 복식을 디자인 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 주었다. 2-7. 7차시 왕실 의상& 복식-Ⅱ.

프로그램명 대상 및 인원

초등 고학년 / 중등 자유학기제 (난이도 조절 가능)

7/8 차시

차시

“왕실의 아이돌 신발 수초혜”

교육 시간

2시간 (초등80분, 중등90분 )

『순조무자진작의궤』의 춤과 노래 담당 궁중 아이돌의 동기와 여

(1)학습 주제

령의 신발을 디자인하고 완성해 본다. - 궁중 복식의 문양을 나만의 문양으로 표현 할 수 있다.

(2)학습 목표

- 제작된 수초혜와 초록혜 위에 나만의 궁중 문양을 수를 놓아 동기 와 여령의 신발을 완성 할 수 있다.

(3)중점 핵심 역량

공동체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4)프로그램개요

동기와 여령의 수초혜와 초록혜의 특징을 살려 문양을 넣고 수를 놓아 궁중 복식을 완성해본다. [6미01-05] 미술 활동에 타 교과의 내용, 방법 등을 활용 할 수 있다. [6미02-03]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와 관련된 표현 내용을 구체화 할 수 있다.

(5)관련 교과 성취 기준

[6사03-06] 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우,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 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 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단계

학습 내용

시 간

교수 학습 활동

영상

n 인사 & 전 차시 상기학습 탐구

도입

상황 제시

n 학습동기 유발

10`

현재 아이돌 가수들의 공연을 감상하고 옛 아이돌과 의 의상을 비교해 보기 엑소스포츠경향, IOI'드림걸스'

활용자료 및 유의점

티저 캡처.

학생들이 직접 만든 규 칙임을

상기

시키다.

29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n 학습 문제 제시하기 학습

문제

의궤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궁중 복식의 특징을 감 상하고 춤과 노래를 공연하였던 동기와 여령의 신

5` 영상

발을 디자인하고 완성해보기 n 활동 내용 소개하기

활동 소개

동기유발: 과거와 현재 아이돌 공연 감상 비교

전 차시 수초혜와 초록혜 수정 보완

제작된 수초혜와 초록혜 위에 디자인한 문양 수 넣 5’ 기

수초혜와 초록혜 완성 및 보정

마감제 바르고 완성

활동 1

n 디자인한 수초혜 & 초록혜 수놓기

(수초

디자인한 문양을 오려 붙이기

혜와

문양을 붙인 외곽선을 따라 얇은 송곳으로 구멍을 35’

초록

촘촘히 뚫어 주기

혜 수놓

수놓기. 송곳, 가 위, 풀, 색한 지, 실, 바늘 학생들의 바늘

바늘에 색실을 꿰어 구멍을 따라 수 놓기

사용에

유의한다.

기)

n 수초혜 & 초록혜 마감제 바르고 완성

전개 활동

수놓은 신발을 보정해 보고 마무리하기

완성된 수초혜와 초록혜 위에 마감제를 바르고 건 조 시키기

2

마 감 제 ,

(수초 혜와 초록 혜

***서로의 작품을 20’ 감상하고 작품의 특징을 이야기하기

완성)

⦁ 모둠별 피드백 하기

30

.*풀이 마 른후 마감제 를 바른다.


공예분야 - 최우수상

n 소감 이야기 나누기 학습 정리 정리

및 내면 화

- 서로의 수초혜와 초록혜를 감상해보기 - 내가 신고 싶은 신발은 어떤 것인가? - 옛 아이돌의 신발과 현재 아이돌의 느낌과 차이를 5` 이야기해보기 - 이번수업의 아쉬웠던 점을 이야기하기 - 다음시간 이야기와 준비물 공지하기 평가 계획

평가 내용

평가 기준 (관찰 평가)

학 습 자 는 상 : 학습자는 『순조무자진작의궤』의 왕실복식과 감상을 통하여 수초혜와 초록혜를 『순조무자진 잘 디자인하고 완성하였다. 작의궤』의 왕 실 복 식 과 중 : 학습자는 『순조무자진작의궤』의 왕실복식과 감상을 통하여 수초혜와 초록혜를 디자인하고 완성하였다. 감상을 통하 여

수초혜와

초록혜를 자인하고

디 하 : 학습자는 『순조무자진작의궤』의 왕실복식과 감상을 통하여 수초혜와 초록혜를 디자인하지 못하고, 완성하지 못하였다. 완

성하였는가?

기대효과 * 왕실의 복식은 왕과 왕비의 복식만을 생각하게 되는데, 동기와 여령이라는 생소한 이름의 궁중 아이돌의 신발제작은 재미를 가져왔다. 신발의 이름도 수초혜와 초록혜 라니 생각은 모두 같은 모양 이었다. 주제선정에서 제작까지 동기유발이 가장 중요 한 것 같다. 하나의 동기를 부여하면, 새로운 디자인이 연출되는 이번수업은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아이돌의 의상 하나하나를 생각하며 제작한 궁중신발이었다. 개성이 담긴 신발 한 켤레에 아이들의 얻은 자신감은 배 그 이상이었다.

2-8. 8차시 임금님의 백성 읽기. 프로그램명

경직도를 통하여 본 우리의 농경

8/8 차시

차시

문화 대상 및 인원 (1)학습 주제

(2)학습 목표 (3)중점 핵심

초등 고학년 / 중등 자유학기제 (난이도 조절 가능)

교육 시간

2시간 (초등80분, 중등90분 )

농업과 기술: 『친잠의궤(親蠶儀軌)』 경직도와 친잠의궤를 통하여 본 우리의 농경문화 읽기 - 경직도의 뜻과 의미를 다시 한 번 되돌아보고, 경직도를 통하여 시대의 농경문화를 읽고 시대의 생활상을 엿 볼 수 있다. 공동체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31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역량 (4)프로그램개요

경직도의 뜻과 의미를 되새기고, 시대의 생활상을 읽고 경직도를 그려 발(햇빛가리개)을 제작해 본다. [6미01-05] 미술 활동에 타 교과의 내용, 방법 등을 활용 할 수 있다. [6미02-03]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와 관련된 표현 내용을 구체화 할

(5)관련 교과 성취 기준

수 있다. [6음03-03]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 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단계

학습 내용

교수 학습 활동

시 간

활용자료 및 유의점

n 인사하기 & 전 차시 상기 n 학습동기 유발 경직도 감상 : 틀린 그림 찾기(두 개의 같은 그림 중 틀린 그림 찾기)

탐구

5`

상황 제시

농사를 지어보거나, 시골에서 농사짓는 모습을 본 경험 이야기하기

도입

어떤 농사를 지었는가?

자신만의 농사법도 이야기하기

ppt, 동영 상 경직도

n 학습 문제 제시하기

경직도는 무엇인지 이야기하기 농사짓는 일과 누에치고 비단 짜는 일 농사 채비에서부터 논밭갈이, 씨붙임, 김매기, 가을걷이, 낟 알 처리에 이르기까지 옛 농사 풍습을 살펴볼 수 있다. 당시 조선의 사회 생활상과 풍속을 알 수 있다.

학습

문제

친잠의궤(親蠶儀軌) 는 무엇인가? 조선은 주산업이 농업인 국가였다. 따라서 왕실에서도 농사를 장려하기 위해 국왕이 농사를 짓고 왕비는 누에를 치는 행사 를 거행함으로써 시범을 보였다. 친경의궤(親耕儀軌) 는 국왕이 전농동에 있던 적전(籍田)에 나가 시범적으로 농사짓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고, 친잠의궤(親蠶儀軌) 는 왕비를 비롯한 왕실의 여인들이 직접 누에를 치는 행사를 기록한 것이다.

32

친잠의례 과정 중 왕비(좌)와 옹주(우) 뽕잎을 따는 시연 장면

5’


공예분야 - 최우수상

한국콘텐츠닷컴

활동 소개

n

활동 내용 소개하기 노동요 부르기 경직도와 친잠의궤(親蠶儀軌)의 뜻과 의미 알기 우리의 농경문화 알기와 노동요 부르기 나만의 경직도 그리기 그려진 경직도 이용 한지발 제작 완성

10’

n 경직도의 뜻 안락한 궁궐 생활에 젖어 있는 통치자로 하여금 백성들의 생활을 이 해시켜 스스로 근검절약하게 하고 바른 정치를 하도록 힘쓰게 하기 위한 감계적(鑑戒的)인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활동 1 (노동 요 불러 보기)

전개

10’

n 노동요 감상 및 배우기 n 경직도 시연 및 제작 ⦁그림의 원하는 규격의 한지를 오려 천위에 놓기 ⦁연필로 경직도의 밑그림을 그리기 ⦁먹물을 이용한 서예 붓으로 밑그림을 다라 강약을 조절하며 경직도를 그리고 채색하기 ⦁세밀한 부분은 붓펜 또는 새필로 마무리하기 ⦁수묵화와 수묵 담채화로 채색을 하고자하는 사람은 채색하고 말리기

파워포인

.*세밀한 부분은 붓펜 또는 새필로 마무리 한다.

한지전지 , 먹물, 서예붓, 외 붓펜, 그 리기 도구, 가위, 도배풀, 나뭇가지

30’ •용강초 5 농촌풍경

●경직도 이용 한지발 (한지

경직도 국 립민속박물관

햇빛가리개) 제작하기 ⦁그림보다 양옆으로 3cm이상 큰 한지를 준비하기 33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이야기”

⦁양옆의 여백을 남기고 그린 경직도를 배접하기 (배접은 도배풀이나, 가루풀을 미지근한 물에 풀어 사용한다.)

⦁그림 위에 한지를 이용하여 두 개의 고리 모양을 만 들어 붙이고 나뭇가지를 끼우기 ⦁완성된 한지발을 해가 드는 창가에 걸어두기

활동 2 (경직

15`

도 제작)

**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의 특징을 이야기하기 ⦁ 모둠별 피드백하기

정리

학습

n 소감 이야기 나누기

정리

-

및 내면 화

한지발은 비가 올 때는 습하기 때문 에 거두어 둔 다.

*서로의

경직도를 통하여 본 농경문화에 대한 느낌을 말하기 경직도는 누구를 위한 그림인가 이야기하기 이번수업의 아쉬웠던 점을 이야기하기 다음시간 이야기와 준비물 공지하기

5’

평가 계획 평가 내용

평가 기준 (관찰 평가)

학습자는 의 상 : 학습자는 경직도를 감상하고 제작하며 그 뜻을 잘 이해하고 제작 완성하였다. 궤에 나타난 경직도의 의 미와 뜻을 이 해하고 중 : 학습자는 경직도를 감상하고 제작하며 그 뜻을 이해하고 제작 완성하였다. 경직도를 이 용한 한지발 을 제작 하였 하 : 학습자는 경직도를 감상하고 제작하며 그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였다. 는가?

기대효과 *박물관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경직도는 설명이 필요하다. 단지 농사를 짓는 그림 으로 보이는 이 그림이, 서민을 위한 것이 아닌 통치자가 백성의 노고를 이해하고 돌아보는 그림이라니 학생들과 할 이야기가 많아지는 시간이 되어 주었다. 한 학생이 그럼 “섬기는 리더”를 위한 그림이냐는 말을 하였다. 한 장의 옛 그림 을 통한 공감대 형성은 한마디의 말이었다. 현대를 살아가며 도시에서 멀어진 농경문화를 이해하는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유 기농을 외치는 현대인의 일상에서, 과일과 곡식이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농부들의 노 고도 돌아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어 주었다. 34


공예

우수상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김 민 영



공예분야 - 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세부 분야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공예, 디자인, 미술 중ㆍ고등학교 1∼3학년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토요동아리, 중학교 자유학기제(예술체육활동, 동아리활동) 45분 (각 차시별) 다양성과 창의성이 공존하는 삶의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 제작 ■ 프로그램 개관 및 개발 배경 공예는 폭넓은 예술 활동을 통해 생활 속에서의 기능성을 찾고 아름다 운 조형미를 인식하는 미적기능을 육성하여 창의적 역량을 기르는데 중 요한 문화예술적 의미를 가진다. 본 프로그램은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공간적 구조물인 건축을 주요 주제로 하고 있다. 교과 수업 및 기존의 수업시간에 시간적, 환경적 제약으로 자세히 다루지 못하고 평면작품 위주에 그쳤던 부분에 착안하여 개발하게 되었다. 공예의 폭넓 은 조형적 범위 속에서 공간디자인, 환경디자인, 공공미술 등과 연계하 여 수업을 통합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시각문화에 대한 미적인식과 조형 능력을 기르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내용 요약

■ 프로그램 특성 및 강점 프로젝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올해로 첫 시행되는 자유학기제 예술, 체육활동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학생들이 건축가, 디자이너, 공예 가, 조형예술가가 되어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하고 토론하며 표현하는 방 식으로 진행된다. 다양성과 창의적 예술성이 공존하는 건축조형물을 제 작함으로써 학생들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공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다. 본 프로그램은 건축의 시대적 역사를 바탕으로 한 대표적 건축물들 을 살펴보고 건축물의 재료, 구조와 기능, 형태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 다. 동서양 건축물 비교, 세계적 건축가 이야기와 더불어 내가 살고 있 는 공간, 생활 속 건축물들을 떠올려 보고 창의적 형태로 표현이 이루 어진다. 또한 개별 및 팀별 건축물들을 하나로 모아서 공공미술적 형태 와 지역문화적 특성을 살릴 수 있는 하나의 도시, 마을로써 만들어지게 되는 통합적 수업이다.

37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 삶의 공간을 만들다 : 건축물 이야기 Ⅰ - 건축의 역사와 동서양의 건축

1차시

물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주요 활동내용 - 건축이란? - 시대에 따른 건축의 역사에 대해 이해하기

(원시건축/고대건축/중세건축/근대건축/현대건축) - 재미있는 현대 건축물들을 감상하기

- 한국의 건축 및 세계문화유산 - 동서양 건축물 비교 감상하기 건축물을 애호하는 자세를 키 (건축물의 재료, 구조와 기능, 형태적 특성)

울 수 있다.

• 삶의 공간을 만들다 : 건축물 이야기 Ⅱ -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건축물

2차시

조형을 아이디어 스케치하고 디자인할 수 있다. - 재료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우

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 세계적인 건축가 이야기 해보기 - 건축물 조형 디자인 방향, 기본구조 구상하기 (개별 또는 팀별 프로젝트 형식/토론) -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 기능성, 실용성, 예술성,

창의성을 반영하여 구체적인 형태로 설계하기 -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 디자인하기 - 재료에 대해 이해하기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 우드아크 흙으로 만드는 건축물 Ⅱ : 클레이아크

•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우드아크 1 - 재료와 제작방법, 주제를 탐구

3차시

하고 건축물을 제작할 수 있다. - 일상생활 속에서 많이 사용

되는 나무재료를 활용하여 건

- 구상 스케치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기본구조 및

뼈대 제작하기 - 다양한 나무 재료 활용하기 - 제작 도구에 대한 사용방법 및 유의점 설명하기

축의 기본구조를 세울 수 있다.

•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우드아크 2 - 나무의 재질감을 살려 건축

4차시

구조물의 특성을 조화롭게 표 현할 수 있다. - 재료의 특성에 맞게 외벽을

- 창의적 형태의 건물 외벽 제작하기 - 재료가 가지는 재질감과 특성을 살려서 건축물

의 특징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나타내기 - 제작 도구에 대한 사용방법 및 유의점 설명하기

나타낼 수 있다.

5차시 38

•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우드아크 3

- 건축물의 기능적, 실용적, 예술적, 창의적 요소 들이 공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입체조형 완 성도 있게 표현하기


공예분야 - 우수상

- 건축물의 역할에 맞는 창의적

인 모형으로 작품을 제작할

- 주된 건축물 외 주변 구조물 제작하기

수 있다.

- 재료의 특성을 살려 건축물의 - 제작 도구에 대한 사용방법 및 유의점 설명하기

구체적인 공간적 형태를 만들 어 볼 수 있다.

•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우드아크 4

-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 완성하기

- 내부 인테리어 장식 및 주변

6차시

의 환경적인 모습도 꾸며볼 수 있다. - 건축물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

- 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장식 꾸미기 - 주된 건축물 외 주변 구조물 제작하기 - 제작 도구에 대한 사용방법 및 유의점 설명하기

록 작품을 완성할 수 있다.

• 흙으로 만드는 건축물 Ⅱ: - 같은 주제 다른 느낌

클레이아크

- 재료의 특징을 알고 같은 주제 - 점토를 사용하여 기본구조 제작하기

7차시

다른 느낌으로 나타낼 수 있다. - 나무로 나타내기 어려웠던 아르누보적 곡선 등 - 점토의 재질감을 살려 건축 구조물의

특성과

의 형태를 클레이아크에 적용하여 나타내기

조화롭게 - 미니어처 작은 형태로 제작하기

표현할 수 있다.

• 삶의 공간을 만들다 : 건축물 이야기 Ⅲ -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자연

8차시

과 어우러지는 친환경 건축과 조경을 계획할 수 있다. - 완성된 작품의 위치를 정하고

작은 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 개별 & 팀별 건축물 도시공간으로 나타내기 - 주변 환경과 사회적, 공공미술적 특성 고려하기 - 지역문화 특성을 반영하여 구성하기 -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 조형에 대해 서로 이야

기 나누기

- 작품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토론하기

39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2. 세부내용 2-1. 1차시 [개요] 수업주제 교수․학습방법 수업목표 준 비 물

삶의 공간을 만들다 : 건축물 이야기 Ⅰ 토론학습, 실기학습

평가방법

관찰평가, 자기성찰지

차시

1/8

1. 건축의 역사와 동서양의 건축물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의 건축 및 세계문화유산 건축물을 애호하는 자세를 기를 수 있다.

건축물 참고 PPT 자료, 활동지, 필기도구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세부활동 방법 및 내용 - 출석 확인 및 인사를 나눈다. - 수업 준비물을 확인한다. - 수업주제를 제시한다. “삶의 공간을 만들다 : 건축물 이야기Ⅰ” - 건축이란 무엇일까요? 당신에게 건축이란?

건축은 인간의 생활과 건축 재료에 의해 실용적, 미적요구를 충 족시키도록 만들어진 구조물로서 다양성과 창의성이 공존하는 공간예술이다. - 공예와 건축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볼까요? 개인적인 경험과 흥미를 반영한 자신의 이야기를 발표해본다. - 시대에 따른 건축의 역사에 대해 이해한다. 원시건축 ⇀

고대건축

중세건축

근대건축

- 재미있는 현대 건축물들을 감상한다. / 퀴즈! 질의응답 형식

40

현대건축


공예분야 - 우수상

- 동서양 건축물들을 비교 감상한다. ◆ 동서양 건축의 기본구조 동굴생활이나 움집과 같은 초기 인류의 건축물에서 의미있는 발전은 기중과 가로기 둥인 보, 지붕이라는 구조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 기본 형식을 변형하거나 장식을 첨삭하며 동서양의 건축양식은 각각 변화한다. 가령 그리스 신전의 기둥은 외벽 역할 을 할 뿐만 아니라 건축양식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한편 목조와 기와를 주 로 사용한 동양은 지붕의 형식에 따라 양식을 구분하기도 한다. 19세기 말 철근, 유 리와 같은 신소재가 대량 생산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고층 건물의 다양한 형식의 건 축이 등장하게 된다.

- 동서양 건축물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전

“한국의 건축은 토목건축이 주를 이루어 실용성과 예술성을 가미해서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했다면, 서양의 건축은 대리석을 이용하여 이상 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했어요.” - 활동지 자료 학습 : 한옥의 우수성 알기 - 건축가는 어떤 과정을 통해 건축물을 디자인 할까요?

- 세계적인 건축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요? 안토니오 가우디 / 프랭크 게리 / 안도 다다오/ 자하 하디드 등

- 건축물에 대한 역사와 구조에 대해서 잘 이해했는지 정리한다. 정

- 재미있는 창의적 건물에 대해 질의응답 하는 시간을 가진다. - 다음 차시 수업내용 및 준비물을 예고한다.

평가영역 지식

태도

평가항목

개념 이해도

․ 건축의 개념과 구조를 이해하였는가?

작품 참여도

․ 토론과 작품 감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표현 완성도

․ 활동지를 적극적으로 하여 제대로 학습했는가?

진로 탐색

․ 주제와 관련된 직업을 말할 수 있는가?

상(5)

평가점수 중(3)

하(1)

41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2-2. 2차시 [개요] 수업주제 교수․학습방법 수업목표 준 비 물

삶의 공간을 만들다 : 건축물 이야기 Ⅱ 토론학습, 실기학습

평가방법

관찰평가, 자기성찰지

차시

2/8

1.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건축물 조형을 아이디어 스케치하고 디자인할 수 있다. 2. 재료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우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건축물 참고 PPT 자료, A4용지, 색연필, 싸인펜, 필기도구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세부활동 방법 및 내용 - 출석 확인 및 인사를 나눈다.

- 수업 준비물을 확인한다. - 수업주제를 제시한다. “삶의 공간을 만들다 : 건축물 이야기 Ⅱ” - 전시 학습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건축물 조형 디자인 방향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어떤 건축물을 만들까?” - 건축물 기본구조를 어떻게 제작할지 구상한다. (개별 또는 팀별 프로젝트 형식 / 토론하기) -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건축물의 기능성, 실용성, 예술성, 창의성을 반영하여 구체적인 형태로 설계해 본다. (태블릿 PC 등 참고자료 조사, 탐색하기)

42


공예분야 - 우수상

<아이디어 자가 질문> 1. 건축과 협업할 수 있는 분야 및 주제는 무엇인가? 2. 재료에 따른 표면 질감은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3. 건축 조형물의 작품 크기는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 4. 공간을 활용한 미적 장식은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5. 작품제작이 실현 가능한 것인가? -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을 디자인해 본다. ① 건축물의 용도와 특징을 고려하여 전체적인 형태를 계획한다. ② A4용지에 제작할 기본 큰 이미지 형태를 그린다. ③ 건축 공간을 목적에 맞게 나누고 자신의 스토리텔링을 담아 세부적 으로 디자인한다. ④ 색연필과 싸인펜을 사용하여 재료적 특성에 따른 표면과 건축물을 장식하면서 디자인한다. 전

- 재료에 따른 같은 주제, 다른 느낌의 건축물에 대해 이해한다. 1.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 우드아크 2. 흙으로 만드는 건축물 Ⅱ : 클레이아크

▲ 참고사진 자료 <미술문화 교과서 학생작 도판>

-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에 대해 발표해본다. 정

- 제작할 건축물에 대해 질의응답 하는 시간을 가진다. “조형적인 곡선과 직선적 표현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세요.” - 다음 차시 수업내용 및 준비물을 예고한다.

평가영역 지식

태도

평가항목

개념 이해도

․ 제작할 건축의 기본 구조를 잘 이해하였는가?

작품 참여도

․ 토론과 작품구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표현 완성도

상(5)

평가점수 중(3)

하(1)

․ 아이디어 스케치를 적극적으로 하여 표현했는가? ․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인가?

43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2-3. 3차시 [개요] 수업주제 교수․학습방법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 우드아크 1 토론학습, 실기학습

평가방법

관찰평가, 자기성찰지

차시

3/8

1. 재료와 제작방법, 주제를 탐구하고 건축물을 제작할 수 있다.

수업목표

2. 일상생활 속에서 많이 사용되는 나무재료를 활용하여 건축의 기본구조를

세울 수 있다.

준 비 물

참고 PPT 자료, 글루건, 나무젓가락, 우드락, 천연나무조각, 커터칼, 자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세부활동 방법 및 내용 - 출석 확인 및 인사를 나눈다.

- 수업 준비물을 확인한다. - 수업주제를 제시한다.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 우드아크 1” - 전시 학습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구상 스케치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기본구조 및 뼈대를 제작한다. “개별 또는 팀별로 구상한 건축물의 뼈대를 만들어 볼까요?”

- 다양한 나무 재료 활용하여 제작한다. 나무 젓가락과 천연 나무 조각 등 나무로 된 다양한 재료들을 활용하 여 건축물 기본 뼈대를 제작해 본다.

44


공예분야 - 우수상

- 제작 도구에 대한 사용방법을 숙지시키고 유의점을 설명한다.

1. 커터칼 나무나 우드락 등 건축물 재료들을 자를 때 사용되는 도구이다. 전

칼날의 방향이 아래쪽으로 오도록 지도하고 장난치지 않도록 주의를 준다. ※ 우드락을 자를 시 칼에 힘을 주지 않고 천천히 여러 번 자르면 표면 이 부드럽고 매끈하게 자를 수 있음을 시연을 통해 보여준다. 2. 글루건 나무 등의 건축 구조 조각들을 이어 붙일 때 사용되는 접착도구이다. 도구 특성상 높은 열로 글루건 심을 녹여 액체 상태로 부착이 되는 만큼 안전에 매우 주의해야하는 도구이다. 총구를 아래로 향하게 하고 장난치지 않도록 지도한다. 또한 전기로 인해 과부하가 생기지 않도 록 멀티탭을 여유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글루건의 흘러내리는 형태를 활용하여 굳힌 뒤 조형적 요소로 활용 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매니큐어, 아크릴 물감 채색방법 안내) - 개별 & 팀별로 만든 건축물들을 정리한다.

- 건축물 기본구조와 공간구성에 대한 질의응답 하는 시간을 가진다. “기본구조를 만들면서 좋았던 점과 힘들었던 점은 무엇인가요?” - 다음 차시 수업내용 및 준비물을 예고한다.

평가영역 지식

태도

평가항목

개념 이해도

․ 제작할 건축의 기본 구조를 잘 이해하였는가?

작품 참여도

․ 작품 기본뼈대를 적극적으로 제작하였는가?

표현 완성도

상(5)

평가점수 중(3)

하(1)

․ 다양한 나무 재료들을 활용하여 표현했는가? ․ 제작도구 사용법을 숙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했는가?

45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2-4. 4차시 [개요] 수업주제 교수․학습방법 수업목표 준 비 물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 우드아크 2 토론학습, 실기학습

평가방법

관찰평가, 자기성찰지

차시

4/8

1. 나무의 재질감을 살려 건축 구조물의 특성을 조화롭게 표현할 수 있다. 2. 재료의 특성에 맞게 건축물 외벽을 나타낼 수 있다.

참고 PPT 자료, 글루건, 나무젓가락, 우드락, 천연나무조각, 커터칼, 자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세부활동 방법 및 내용 - 출석 확인 및 인사를 나눈다.

- 수업주제를 제시한다.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 우드아크 2” - 전시 학습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창의적 형태의 건축물 외벽을 제작한다. 우드락과 천연나무조각 재료들을 사용하여 창의적인 건축물 형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 재료가 가지는 재질감과 특성을 살려서 건축물의 특징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나타낸다. 나무 조각을 활용하여 각 건축물의 기능적 요소와 잘 어우러질 수 있 도록 표현한다. (도서관, 미술관, 학교, 센터, 기차역, 카페 등) - 제작 도구에 대한 사용방법 및 유의점을 설명한다. (매시간 주의주기) - 개별 & 팀별로 만든 건축물들을 정리한다.

- 건축물을 제작하면서 문제점에 대해 질의응답 하는 시간을 가진다. “작품 활동 시에 표현이 잘 안되거나 수정해야할 부분이 있나요?” - 다음 차시 수업내용 및 준비물을 예고한다.

평가영역 지식

태도

46

평가항목

개념 이해도

․ 제작할 건축의 기본 구조를 잘 이해하였는가?

작품 참여도

․ 작품 건축외벽을 적극적으로 제작하였는가?

표현 완성도

․ 다양한 재료들의 재질감을 살려 표현했는가? ․ 제작도구 사용법을 숙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했는가?

상(5)

평가점수 중(3)

하(1)


공예분야 - 우수상

2-5. 5차시 [개요] 수업주제 교수․학습방법 수업목표 준 비 물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 우드아크 3 토론학습, 실기학습

평가방법

관찰평가, 자기성찰지

차시

5/8

1. 건축물의 역할에 맞는 창의적인 모형으로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2. 재료의 특성을 살려 건축물의 구체적인 공간적 형태를 만들어 볼 수 있다.

참고 PPT 자료, 글루건, 나무젓가락, 우드락, 천연나무조각, 커터칼, 자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세부활동 방법 및 내용 - 출석 확인 및 인사를 나눈다.

- 수업주제를 제시한다.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 우드아크 3” - 전시 학습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건축물의 기능적, 실용적, 예술적, 창의적 요소들이 공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입체조형 완성도 있게 표현해본다. (스토리텔링 적용)

- 주된 건축물 외 주변 구조물들을 구상하고 제작한다. - 제작 도구에 대한 사용방법 및 유의점을 설명한다. (매시간 주의주기) - 개별 & 팀별로 만든 건축물들을 정리한다. 정

- 건축의 기능성, 예술성이 잘 드러나는지 개별 피드백 시간을 가진다. - 다음 차시 수업내용 및 준비물을 예고한다.

평가영역 지식

태도

평가항목

개념 이해도

․ 건축의 기능적, 예술적 요소를 잘 이해하였는가?

작품 참여도

․ 건축조형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표현 완성도

상(5)

평가점수 중(3)

하(1)

․ 건축의 역할에 맞게 표현하였는가? ․ 제작도구 사용법을 숙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했는가?

47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2-6. 6차시 [개요] 수업주제 교수․학습방법 수업목표 준 비 물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 우드아크 4 토론학습, 실기학습

평가방법

관찰평가, 자기성찰지

차시

6/8

1. 내부 인테리어 장식 및 주변의 환경적인 모습도 꾸며볼 수 있다. 2. 건축물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작품을 완성할 수 있다.

글루건, 나무젓가락, 우드락, 천연나무조각, 커터칼, 자, OHP 필름지, 점토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세부활동 방법 및 내용 - 출석 확인 및 인사를 나눈다.

- 수업 준비물을 확인한다. - 수업주제를 제시한다. “나무로 만드는 건축물 Ⅰ : 우드아크 4” - 전시 학습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의 내부 및 외부 모형 완성해 본다. “외형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인간의 생활을 위해 공간을 창조하기 때문에 내부구조 및 기능을 고려해야 하는 점도 유의해서 완성해 봅시다.” - 다양한 재료와 소품을 활용하여 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건축물 안팎을 세부적으로 꾸미고 장식한다.

- 건축물과 어울리는 주변 환경에 대해 생각하고 표현한다. - 건축 공간을 목적에 맞게 나눈 후 건축물의 표면을 장식적으로 나타 낸다. - 천연 나무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건축물의 외형을 창의적으로 만들어 표현한다. - 나의 이야기가 담긴 창의적인 목조 건축물을 공간적으로 완성해 본다. “건축물과 어울리는 주변 환경에 대해 상상하면서, 건축물의 용도에 따른 창의적인 건축물을 입체적으로 표현해 봅시다.”

48


공예분야 - 우수상

- 주된 건축물 외 주변 구조물들을 구상하고 제작한다. 전

- 제작 도구에 대한 사용방법 및 유의점을 설명한다. (매 시간 주의주기) - 나무건축과 관련된 직업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 대목장(大木匠),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 [Daemokjang,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대목장(大木匠)’은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 특히 전통 목공 기술을 가지고 있는 목수를 일컫는다. 그들의 활동 범위는 전통적인 한옥에서부터 궁궐이나 사찰과 같은 기념비적 목조 건축물에 이르는 역사적 건축물의 유지보수와 복원, 재건축에까지 이 르고 있다. 대목장은 건축물의 기획·설계·시공은 물론 수하 목수들에 대한 관리 감독까지 전체 공정을 책임지는 장인이다. 대목장이 완성한 목조 구조물들은 하나같 이 우아하고 간결하며 소박한데, 이런 점은 고스란히 한국 전통 건축의 고유한 특징 이기도 하다. 한국의 전통적인 건축 공정에서는 건축물을 그 규모 및 입지·용도에 걸맞게 설계하는 기술적 능력과 함께 건축 자재로 사용할 목재를 선정하여 절단하고 형태를 만드는, 또한 개개의 자재를 한데 모아 못을 사용하지 않고 서로 이어 소위 말하는‘천 년을 견디는 이음새’를 창조할 수 있는 심미적 감각을 필요로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목장 (두산백과)

- 개별 & 팀별로 만든 건축물들을 정리한다. 정

- 각 건축물들의 특징이 잘 표현되었는지 전체 피드백 시간을 가진다. - 다음 차시 수업내용 및 준비물을 예고한다.

49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가. 주재료를 제외한 표현재료의 자유로운 선택과 정답이 없는 스스로 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작품에 대한 자신감 있는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 옛 건축물과 현대 건축물에 대한 아름다움과 더불어 다른 관점에서의 숨어있는 아름다움을 찾아내려는 생각의 전환과 창의적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다. 전통과 현대를 조화롭게 넘나들며 공예에 대한, 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기대효과

인식과 흥미를 드높일 수 있다. 학생들과의 원활한 상호작용 및 피드백 과정과 함께 학생 스스로도 자 신의 작품에 대한 애착과 몰입도가 높아지면서 재미를 느끼는 게 보였고, 다양한 생각과 창의적인 건축물로 보다 깊이 있는 생각과 열린 사고를 할 수 있게끔 했던 수업이었다. 나무 건축과 관련된 전통문화와 역사 그 리고 대목장과 같은 직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향으로 생각할 수 있게 했다.

나무라는 재료적 특성이 학생들에 따라서 매우 재미있어하는 학생들도 있는 반면 조금 힘들게 느껴졌던 학생들도 있었다. 또한 안전에 주의를 주고 유의했음에도 글루건 사용에 미숙했던 학생들이 있었던 점이 아쉬 개선방향

웠지만 점차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던 점이 좋았다. 학생들의 개별적인 수준에 맞춘 수업진행과 주제를 가지고 보다 더 재 미있는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보완해야하겠다. 아울러 다양한 시각미디어 매개체를 활용한 이색적인 교육법이 필요하겠다.

평가영역 지식

태도

개념 이해도

․ 건축의 주변 환경과 장식요소를 잘 이해하였는가?

작품 참여도

․ 건축조형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표현 완성도 진로 탐색

50

평가항목

․ 건축적 공간을 창의적으로 표현하여 완성했는가? ․ 제작도구 사용법을 숙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했는가? ․ 주제와 관련된 직업을 말할 수 있는가?

상(5)

평가점수 중(3)

하(1)


공예분야 - 우수상

2-7. 7차시 [개요] 수업주제 교수․학습방법 수업목표 준 비 물

흙으로 만드는 건축물 Ⅱ : 클레이아크 토론학습, 실기학습

평가방법

관찰평가, 자기성찰지

차시

7/8

1. 재료의 특징을 알고 같은 주제, 다른 느낌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점토의 재질감을 살려 건축 구조물의 특성과 조화롭게 표현할 수 있다.

찱흙 점토, 점토용 조각칼, 신문지, 비닐, 우드락, 스펀지, 필기도구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세부활동 방법 및 내용 - 출석 확인 및 인사를 나눈다.

- 수업 준비물을 확인한다. - 수업주제를 제시한다. “흙으로 만드는 건축물 Ⅱ : 클레이아크” - 전시 학습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같은 주제, 다른 느낌> : 도자점토의 재료적 특성을 이해한다. - 점토를 사용하여 기본구조 제작한다. - 나무로 나타내기 어려웠던 아르누보적 곡선 등 의 형태를 클레이아크 에 적용하여 미니어쳐의 작은 형태로 나타낸다. ◆ 아르누보 자연형태에서 모티프를 빌린 건축·공예적 장식양식이다. 덩굴풀이 나 담쟁이 등 식물의 형태를 연상하게 하는 유연하고 유동적인 선과, 파상(波狀)·곡 선·당초무늬[唐草文] 또는 화염(火焰)무늬 형태 등 특이한 장식성을 자랑했고, 유기

적이고 움직임이 있는 모티프 등 새로운 표현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르누보 (두산백과)

51


이야기를 담은 공간, 건축물 제작

- 클레이 건축물 만들기 과정을 제시한다. ①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 구상 및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② 구상 스케치를 바탕으로 건축물 뼈대 만들기 ③ 창의적인 형태의 건축물 만들기 ④ 건축물 완성하고 정리하기 - 제작 도구에 대한 사용방법을 숙지시키고 유의점을 설명한다. “서로의 건축물 작품을 감상하고 나무로 만든 것과 흙으로 만든 건축 물

들을 통해 재료에 따른 새로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해 봅시

다.” ※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지역 미술관 소개 전

클레이아크는 흙을 뜻하는 'Clay'와 건축을 뜻하는‘Architecture’의 합성어입니다. “클레이”와 “아키텍쳐의 아크”가 만나서 도자, 건축전문 미술관임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건축도자란 흙으로 만들고 건조시켜 가마에 구워서 내구성을 높여 건축물의 내외부 와 도시공간을 장식하거나 또는 특정한 용도를 가진 도자재를 뜻합니다.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건축도자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 작품을 바탕으로 자신의 건축물에 대한 이야기를 발표한다. 정

- 각 건축물들의 특징이 잘 표현되었는지 전체 피드백 시간을 가진다. - 다음 차시 수업내용 및 준비물을 예고한다.

평가영역 지식

태도

52

평가항목

개념 이해도

․ 도자 점토의 재료적 특성을 잘 이해하였는가?

작품 참여도

․ 건축도자 조형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표현 완성도

․ 건축적 공간을 창의적으로 표현하여 완성했는가? ․ 제작도구 사용법을 숙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했는가?

상(5)

평가점수 중(3)

하(1)


공예분야 - 우수상

2-8. 8차시 [개요] 수업주제 교수․학습방법

삶의 공간을 만들다 : 건축물 이야기 Ⅲ 토론학습, 실기학습

평가방법

관찰평가, 자기성찰지

차시

8/8

1.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자연과 어우러지는 친환경 건축과 조경을 계획

수업목표

할 수 있다. 2. 완성된 작품의 위치를 정하고 작은 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준 비 물

건축물 참고 PPT 자료, 건축물 작품, 필기도구

[세부활동 내용] 학습 단계

세부활동 방법 및 내용 - 출석 확인 및 인사를 나눈다.

- 수업주제를 제시한다. “삶의 공간을 만들다 : 건축물 이야기 Ⅲ” - 전시 학습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개별 & 팀별 건축물들을 도시공간으로 나타낸다. - 건축물의 역할, 주변 환경과 사회적, 공공미술적 특성 고려해 배치한다.

- 지역 문화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구성한다. - 각자의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 조형에 대해 서로 이야기 나누어본다. - 작품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토론한다. 정

- 가장 인상적인 이야기를 담은 건축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 각 건축물들의 특징이 잘 표현되었는지 전체 피드백 시간을 가진다.

평가영역 지식 태도

평가항목

개념 이해도

․ 건축의 주변 환경과 장식요소를 잘 이해하였는가?

작품 참여도

․ 건축조형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표현 완성도

․ 건축적 공간을 창의적으로 표현하여 완성했는가?

상(5)

평가점수 중(3)

하(1)

53



공예

입선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윤애실, 최가희



공예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세부 분야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너와 나의 연결 시간

공예, 만화·애니메이션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선택교과, 토요동 아리, 중학교 자유학기제(예술체육활동, 동아리활동) 45분 (각 차시별) 너와 나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위한 ‘꼴라주 절지인형 애니메이션’ 제작과 ‘마니또 선물 탈색 한지시계’ 만들기 <개관 및 개발배경> l 부정적인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학교폭력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심각하다. l 학교폭력의 발생 이유는 친구와의 관계에서 개인주의적인 성향으로 인한 배타적인 마음으로 인해 친구의 소중함과 배려심의 결핍이다. l 앞으로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즐거운 시간을 함께 공유하기 위하 여 [만화・애니메이션]분야에서는 <꼴라주 절지인형 애니메이션>으로, [공 예]분야에서는 <마니또 선물 탈색한지시계 만들기>를 하여 서로에 대한 이

프로그램 내용 요약

해와 관계형성의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 이를 교육과정안으로 개발하였다. <특성 및 강점> l 학교폭력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사전에 예방하도록 관계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l 교우관계 개선을 위하여 서로에 대한 이해를 통해 수용과 관용의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l 관계에는 함께 공유하는 시간과 추억들이 필요하다. 이를 주제로 만화・애 니메이션 수업을 통해 거부감 없이 상대방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고 공 예 수업에서는 상대방을 위한 선물로 자신이 만든 시계를 선물함으로서 특 별한 문화예술교육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57


너와 나의 연결 시간

너와 나의 연결 시간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1차시

1. 카드를 통해 내 주변의 친구들을 연상할 수 있다. 2. 서로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친구들을 이해할 수 있다.

2차시

1. 친구들의 캐릭터를 이해하고 상황에 따른 이야기를 창작할 수 있다. 2. 구상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제작할 수 있다.

3차시

4차시

5차시

1. 나의 사진을 이용하여 꼴라주 기법으로 캐릭터 절지 인형을 제작할 수 있다. 2. 꼴라주 기법의 특징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 1.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2.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을 연출하여 제작할 수 있다. 1. 전시에 만든 절지인형 애니메이션을 감상하며 친구들과 더 가까워 질 수 있다. 2. 마니또 게임 룰을 이해하고 함께 활동하면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3. 새롭게 느껴지는 친구의 이미지를 카드에서 연상할 수 있다.

6차시

1. 탈색한지를 활용하여 마니또에게 선물할 시계 만들기를 배울 수 있다. 2. 카드이미지를 형상화 하여 시계 판 아이디어 스케치를 할 수 있다. 3. 시계 판에 탈색한지 지장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7차시

1. 탈색하는 방법을 배우고 직접 활동 할 수 있다. 2. 한지색종이를 사용해 시계 숫자부분 꾸미기를 할 수 있다.

8차시

58

1. 마감재를 바르고 시계 부품을 연결하여 시계를 완성 할 수 있다. 2. 마니또 대상을 밝히고 완성한 시계를 선물하며 긍정적인 에너지를 서로 받을 수 있다.

여러 가지 이미지의 카드를 통해 연상되는 친구들을 이야기한다. 나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시간을 공유한다. 이야기를 듣고 친구가 어떤 캐릭터인지 이해한다. 친구들이 어떤 사람인지 이해하고 어떠한 상황에 이 친구는 어떻게 행동할지 구상하여 이야기를 만든다. 만든 이야기들을 정리하여 짧은 시나리오를 완성한다. 꼴라주 기법을 이용한 작품을 감상하며 특징을 이해한다. 사진을 이용한 꼴라주 기법을 이용하여 나의 종이 관절 인형을 제작한다. 전시에 제작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촬영한다. 시나리오를 효과적으로 연출하도록 제작한다. 전 시간 만든 조별 절지인형 애니메이션 감상한다. 애니메이션 감상하며 각 조원들의 특징이나 성격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마니또 게임의 룰을 알고 미션을 함께 정해 보면서 즐겁게 활동한다. 그동안 새롭게 느껴지는 친구의 이미지를 딕싯카드에서 뽑아 연상할 수 있다. 마니또 친구에게 선물할 탈색한지 활용한 시계 만드는 방법을 배워본다. 딕싯카드 속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시계 판 아이디어 스케치를 할 수 있다. 하드보드지에 시계 판 형태를 그리고 잘라준다. 시계 판 중앙에 시계부품 설치할 구멍을 투각한다. 시계 판에 탈색한지를 주름을 주면서 지장하는 방법을 배워본다. 탈색하는 방법을 배워보고 직접 원하는 빛깔이 나올 때까지 탈색해 본다. 한지색종이를 얇고 길게 잘라 꼬아서 지끈으로 만들거나 구겨 시계 숫자부분을 표현할 준비를 한다. 시계 숫자 부분을 정확하게 표시 후 한지색종이로 꾸며 붙인다. 마감재 처리를 하고 시계부품을 연결하여 고리를 달아 완성한다. 마니또 친구를 밝히고 미션 수행 여부를 확인한 뒤 직접 만든 시계를 선물하면서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고받으며 활동을 마무리한다.


공예분야 - 입선

2. 세부내용 2-1. 1차시 [개요] 대주제: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수업주제 학습목표 준비물

소주제: 내 친구들의 이야기 1. 카드를 통해 내 주변의 친구들을 연상할 수 있다. 2. 서로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친구들을 이해할 수 있다. 이미지 카드(보드게임 딕싯), 필기구, 모래시계 등

참고자료

PPT 수업과정안

[세부활동 내용] 분‘

과정

수업과정 1. 인사 후 출석체크를 하고 이번 수업주제 <내 친구들의 이야 기> 소개하기 2. 딕싯의 이미지 카드를 소개하며 내 주변의 사람을 연상해보기

15‘

딕싯(영어: Dixit)은 Jean-Louis Roubira 가 디자인했고 Libellud가 출판한 카 드 게임이다. 딕싯은 마치 꿈꾸는 것과 같은 이미지로 된 설명된 카드 한 질을 이용해, 한 플레이어가 이 야기꾼이 되어 카드에 있는 이미지 를 설명하면, 나머지 플레이어들은 설명한 문장과 매치되는 카드를 추 측한다. 출처: 네이버 이미지 (검색어: 딕싯)

도입

딕싯의 이미지 카드를 보여준다. 다양한 느낌의 이미지 카드 를 5장정도 감상하되 한 장씩 보여주며 이 카드를 보면 연상 되는 친구를 생각하도록 하기

몇 명의 학생들의 의견을 물어보기

이렇듯 내 주변의 친구들은 다양한 이미지로 존재하며 그 개 성과 성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이 중요한 것임을 이야기 하기

<활동 1>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기 25‘

전개

모둠별 학생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시간을 갖기

자신과 관련된 이야기라면 어느 것이든 좋으며 모래시계를 이용하여 1인당 5분의 시간동안 자유스럽게 이야기하기

듣는 사람들은 이야기를 하는 동안 경청하기 59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시간이 끝나는 것에 재촉하지 말고 여유를 갖기

<활동 2> 어떤 친구인지 알아보기

이야기를 듣는 활동이 끝나면 서로 궁금한 점 물어보며 더욱 상대방을 이해하기 (친구의 예민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의하기)

대답을 하고 싶지 않은 경우엔 묵비권 행사하기

<활동 3> 우리들은 어떤 관계인가

각자 친구들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부분과 성격을 이해함으 로서 그 동안 오해하고 있던 이야기, 호감이 가는 이야기들을 자유롭게 나누며 앞으로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기

1. 자리 정돈하기 5‘

마무리

2. 다음시간 친구들의 이야기를 이용한 시나리오 제작 수업을 공 지하고 인사 후 수업마치기

2-2. 2차시 [개요] 수업주제 학습목표 준비물

대주제: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소주제: 내 친구는 이럴 땐 어떻게 했을까? 1. 친구들의 캐릭터를 이해하고 상황에 따른 이야기를 창작할 수 있다. 2. 구상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제작할 수 있다.

시나리오 학습지, 필기구, 포스트 잇, 도화지 등

참고자료

PPT 수업과정안

[세부활동 내용] 분‘

과정

수업과정

1. 인사 후 출석체크를 하고 이번 수업주제 <내 친구는 이럴 땐 10‘

도입

어떻게 했을까?> 소개하기 2. 혈액형 만화 감상하기

60


공예분야 - 입선

혈액형에 대한 간단한 고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네이버에서 연재되었던 만화이다. 어떠한 상황에 혈액형별 대처법을 만화로 그려 흥미롭게 표현하였다.

혈액형에 대한 간단한 고찰 만화를 감상하며 각 성격별로 같 은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였는지 알아보기

30‘

전개

만화적 재미있는 연출에 대해 알아보기

<활동 1> 어떠한 상황 부여하기 도화지를 나눠주며 어떠한 상황 부여하고 적도록 하고 그 아 래 모둠원들의 이름을 적기 ‘만약 길에서 만원을 발견하였다면?’/‘만약 내일 지구가 멸망한다면?’/‘식당에서 밥을 먹는데 너무 맛이 없다면?’ 등의 질문을 부여하고 이 친구라면 이렇게 했을 것 같다는 이야기를 포스트잇에 적어 친구의 이름 아래 붙이기 각 포스트잇들을 읽어보기 <활동 2> 시나리오 만들기 각 포스트잇에 적힌 이야기들을 모으고 엮어 이야기 구상하 기 (한 사람의 의견이 아니라 모둠원들의 의견이 잘 수합이 되도록 하기) 이야기를 잘 정리하여 짧은 이야기를 만들어 정리하기 이야기를 발단-전개-절정-결말의 단계에 기본을 두어 짜임새 있게 시나리오 만들기

5‘

마무리

1. 완성된 시나리오 모아서 보관하기 2. 자리 정돈하기 3. 다음 시간 자신의 머리가 모두 나온 사진 프린트 해 오는 준 비물 공지하기 4. 다음시간 시나리오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수업을 공지하 고 인사 후 수업마치기 61


너와 나의 연결 시간

2-3. 3차시 [개요] 대주제: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소주제: 꼴라주 기법을 이용한 내 캐릭터 절지 인형 제작

수업주제

1. 나의 사진을 이용하여 꼴라주 기법으로 캐릭터 절지 인형을 제작 학습목표

할 수 있다. 2. 꼴라주 기법의 특징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 자신의 얼굴 사진, 도화지, 색연필, 사인펜, 연필, 지우개, 가위, 풀,

준비물

잡지, 스태플러, 전시에 제작한 시나리오 등

참고자료

샘플 작품, PPT 수업과정안

[세부활동 내용] 분‘

과정

수업과정 1. 인사 후 출석체크 후 지난시간에 제작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우리 이야기 꼴라주 절지 애니메이션 제작> 할 것을 알려주기 2. 꼴라주 기법을 이용한 작품 소개하기

10‘

꼴라주 Collage 풀로 붙인다는 뜻으로 1912∼13년경 브라크와 피카소 등의 입체파들이 유 화의 한 부분에 신문지나 벽지 ·악보 등 인쇄물을 풀로 붙였는데 이것을 ‘파피에 콜레’라 부르게 된 것이다. 사진을 이용한 일종의 합성으로 초현 실적인 느낌과 다양한 질감과 표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입

출처: 네이버 (검색어: 꼴라주 작가)

PPT 수업과정안을 통해 방법 및 과정을 쉽게 습득하도록 지 도하기

30‘

<과정 1> 내 사진을 이용한 꼴라주 절지 인형 제작하기

전개 1. 잡지와 자신의 사진프린트, 풀과 가위, 스태플러와 A4도화지 를 준비한다.

62

2. 도화지 위에 꼴라주

3. 관절 단위로 자른

기법으로 관절 부위로

종이를 준비한다.

나눠서 몸의 부위를

(관절 부분이 겹치는

붙인다.

것을 감안하고 조금

(잡지의 여러 사진을

길게 잘라준다.)


공예분야 - 입선

자유롭게 이용한다.)

4. 부분을 연결하되 스태플러의 각 양쪽을

5. 관절인형을 완성하여

부위에 각각 박히도록

준비한다.

해준다.

6. 카메라를 세팅하여 애니메이션을 촬영할 준비를 한다.

인형은 너무 작거나 너무 크지 않도록 손바닥 크기 정도로 제작하기

팔, 다리를 너무 얇게 제작하면 관절을 잇거나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끊어질 확률이 높으니 손가락 두께 정도 이상으로 제작하기

사진만 이용하지 않고 그 위에 리터치를 하거나 질감이 있는 것들을 붙이는 등 다양한 표현방법 응용하기

시나리오에 나와 있는 소품도 제작하기

1. 나의 개성을 잘 드러내어 꼴라주 절지 인형을 제작하였는지 5‘

마무리

이야기하기 2. 제작한 캐릭터 인형들은 잘 모아서 보관하기 3. 자리 정돈 및 청소하기

2-4. 4차시 [개요] 수업주제 학습목표 준비물

대주제: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소주제: 우리 이야기 꼴라주 절지 애니메이션 제작 1.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2.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을 연출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전시에 제작한 꼴라주 절지 인형, 카메라, 삼각대, 시나리오 등

참고자료

샘플 작품, PPT 수업과정안

[세부활동 내용] 분‘

과정

수업과정

5‘

도입

1. 인사 후 출석체크 후 지난시간에 제작한 꼴라주 절지 인형을 63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이용하여

<우리 이야기 꼴라주 절지 애니메이션 제작> 할 것

을 알려주기 2. 꼴라주 기법을 이용한 절지 애니메이션에 대해 소개하기

꼴라주 애니메이션 ‘Jaaja YanYan’ 감상하며 기법의 특징과 개성 이해한 다.

출처: 유투브 (검색어: 꼴라주 애니메이션)

PPT 수업과정안을 통해 방법 및 과정을 쉽게 습득하도록 지 도하기

<과정 2>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촬영하기

30‘

전개 프레임 바이 프레임으로 촬영한 사 진들을 보고, 제작된 영상을 봄으로 써 애니메이션 촬영 방법을 이해하 기 쉽도록 지도한다.

조금씩 움직여 한 장씩 사진을 촬영하는 스톱모션 기법으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전시에 만든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자신의 캐릭터를 움직여가 며 스토리를 전개하기

10‘

64

마무리

절지 인형은 조금씩 움직여 많은 수의 사진을 찍도록 지도하기

삼각대와 카메라는 최대한 움직이지 않고 촬영하기

1. 촬영한 애니메이션은 다음 시간 편집하여 감상하도록 알려주기 2.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느낌 이야기하기 3. 친구들의 이야기를 잘 표현하여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는지 이야기하기 4. 자리 정돈 및 청소하기


공예분야 - 입선

2-5. 5차시 [개요] 대주제: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수업주제

소주제: 마니또 선물 탈색한지 시계 (1) 1. 전시에 만든 절지인형 애니메이션을 감상하며 친구들과 더 가까워 질 수 있다.

학습목표

2. 마니또 게임 규칙을 이해하고 함께 활동하면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3. 새롭게 느껴지는 친구의 이미지를 카드에서 연상할 수 있다.

준비물

딕싯 카드, 연습장, 연필, 지우개, 쪽지

참고자료

딕싯 카드, PPT 수업과정안, 동영상

[세부활동 내용] 분‘

과정

수업과정 1. 인사 후 출석체크를 하고 이번 수업주제 <마니또 선물 탈색한 지 시계 만들기> 소개하기

10‘

도입

2. 전 시간 만든 조별 절지인형 애니메이션을 다함께 감상하는 시간 갖기 3. 애니메이션을 감상하며 각 친구들의 특징이나 성격을 되돌아 보는 시간 갖기 이번시간 공예활동을 통해 소중한 시간을 함께 하자는 의미 로 마니또 선물인 시계를 직접 만들어 볼 것을 소개하기

<마니또 게임 방법 및 장점 알리기>

마니또 뽑기를 통해 반별 또는 조별로 선물할 비밀친구 정하기

마니또가 정해지면 비밀 친구로서 마니또 친구 모르게 잘 대 해주고 그 친구와 더욱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25‘

전개

알기

평소 친하지 않았던, 잘 몰랐던 친구와도 가까워 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알기

(유의: 마니또는 꼭 비밀유지가 되어야 하기)

마니또에게 수행할 미션 함께 정하고 수행할 것을 지도하기

ex) 마니또의 머리 5번 쓰다듬기, 칭찬 3가지 말 해주기, 5번 65


너와 나의 연결 시간

큰소리로 웃게 해주기, ‘넌 최고야’ 소리 3번 듣기 등.

<탈색 한지 공예에 대해 배워보기>

탈색 한지 공예란 탈색용 검정색 한지를 골격에 붙여 반 입 체적인 형태나 주름을 주어 락스나 차염산나트륨을 이용해 여러 차례 탈색을 하여 갈색 빛부터 노란 빛까지 색과 명암 의 변화를 주어 만들어내는 생활 공예품이다.

<탈색한지공예 관련 참고 사진자료 감상하기>

탈색한지 연필꽂이 탈색한지 연꽃조명 탈색한지 보석함 출처: 네이버 이미지 (검색어: 탈색한지공예, 지승공예)

<새로운 마니또의 이미지를 딕싯 카드에서 선택하고 이유 생 각해보기>

딕싯 카드를 준비하고 지금까지 활동하면서 새롭게 발견한 마니또의 이미지를 연상하며 카드 한 장 뽑기

뽑은 카드를 왜 선택하였는지 이유를 간단히 연습장에 적어보기

ex 1) 제 마니또는 태양처럼 따뜻함이 연상됩니다.

ex 2) 제 마니또는 결정을 잘 못하는 친구들에게 명확하게 결 정하도록 도와주는 모습이 판사봉 같습니다.

ex 3) 제 마니또는 항상 자신이 가는 길에 흔적을 남기고 가

는 모습이 달팽이를 닮았습니다. 1. 자신의 마니또를 위해 미션 수행을 얼마나 했는지 회상해보기 10‘

마무리

2. 자리 정돈 및 청소를 하기 3. 다음시간 같은 수업주제로 이어 활동할 것을 공지하고 인사 후 수업마치기

66


공예분야 - 입선

2-6. 6차시 [개요] 대주제: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수업주제

소주제: 마니또 선물 탈색한지 시계 (2) 1. 탈색한지를 활용하여 마니또에게 선물할 시계 만들기를 배울 수 있다.

학습목표

2. 카드이미지를 형상화 하여 시계 판 아이디어 스케치를 할 수 있다. 3. 시계 판에 탈색한지 지장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연습장, 연필, 지우개, 하드보드지, 가위, 칼, 커터 판, 밀풀물, 탈색

준비물

한지

참고자료

샘플 작품, PPT 수업과정안

[세부활동 내용] 분‘

과정

10‘

도입

25‘

전개

수업과정 1. 인사 후 출석체크를 하고 이번 수업주제 <마니또 선물 탈색한 지 시계 만들기> 소개하기 2. PPT 수업과정안을 통해 방법 및 과정의 이해 돕고 유의사항 전달하기 3. 전 시간 뽑은 딕싯카드 이미지를 시계 판 실루엣 형태로 스케 치하도록 지도하기 <뽑은 딕싯카드 통해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마니또 친구를 보면서 새로운 이미지로서 뽑은 딕싯카드를 바탕으로 시계 판이 될 부분을 어떤 모양으로 할지 아이디어 스케치 해보기

<과정 1> 시계 판 만들고 탈색한지 지장하기

1. 하드보드지 4절 1/2크기 1개, 가위, 연필을 준비한다.

2. 하드보드지에 아이디어 스케치를 바탕으로 시계 판 모양을 정확히

3. 가위로 안전에 유의하며 잘라 준비한다.

67


너와 나의 연결 시간 그려준다.

4. 시계부품이 들어 갈 부분을 연필로

5. 탈색한지, 밀풀물, 시계 판을 준비한다. 6. 책상에는 아무것도

표시하고 칼로

깔지 않거나 비닐을

투각한다.

깔아준다.

§

7. 탈색한지를 충분히 구겨 밀풀물에 골고루 적셔 물기를 적당히 조절한다.

탈색한지와 시계 판 사이에는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잘 눌러 붙여준다.

§

8. 밀풀물로 적신 탈색한지를 시계 판 위에 펼쳐 올리고 자연스러운 주름을

풀이 너무 많이 발라지면 건조가 늦어지니 잘 조절하도록 한다.

§

앞 쪽, 뒤 쪽 전부 붙여준다.

§

통풍이 잘 되는 곳에 평평하게 눕혀 건조한다.

잡으면서 감싸 붙여준다.

10‘

마무리

(주의: 하드보드지가 두꺼워 가위로 잘 잘리지 않으니 안전사 고에 유의하도록 지도하기) (주의: 칼을 사용할 때에 안전사고에 유의하며 꼭 커터 판이 나 유리판에 대고 잘라내도록 지도하기) (참고: 하드보드를 칼로 자르면서 칼날의 마모 된 정도를 보 며 자주 끊어 사용하기)

1. 각자 작업하던 작품마다 이름을 적고 한곳에 모아 보관하기 2. 자리 정돈 및 청소를 하기 3. 다음시간 같은 수업주제로 이어 활동할 것을 공지하고 인사 후 수업마치기

2-7. 7차시 [개요] 수업주제 학습목표 준비물 참고자료 [세부활동 내용] 68

대주제: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소주제: 마니또 선물 탈색한지 시계 (3) 1. 탈색하는 방법을 배우고 직접 활동 할 수 있다. 2. 한지색종이를 사용해 시계 숫자부분 꾸미기를 할 수 있다. 탈색한지 붙인 시계 판, 자, 플라스틱 용기, 신문지, 앞치마, 스펀지, 비닐장갑, 락스, 한지색종이, 가위, 목공풀, 드라이기 샘플 작품, PPT 수업과정안


공예분야 - 입선

분‘

과정

수업과정 1. 인사 후 출석체크를 하고 이번 수업주제 <마니또 선물 탈색한 지 시계 만들기> 소개하기

10‘

도입

2. PPT 수업과정안을 통해 방법 및 과정의 이해 돕도록 다시 안 내하기 3. 활동 시 안전에 관련된 유의사항 전달하기 4. 지난시간 작업하던 작업물과 준비물 준비 후 이어서 활동하기

PPT 수업과정안을 잘 관찰하고 선생님의 시범활동 설명을 잘 경청하면서 활동하도록 하기

<과정 2> 탈색 후 시계 숫자부분 꾸미기

1. 신문지, 락스 희석한 물 담긴 플라스틱 용기, 탈색한지 시계 판, 비닐장갑, 스펀지, 앞치마 준비한다.

25‘

3. 다시 락스 물을 묻혀 2. 비닐장갑을 끼고

밝게 색을 뺄 부분을

스펀지에 락스 물을

중심으로 발라준다.

묻혀 전체적으로

4. 원하는 빛깔이 나올

탈색한다.

때까지 탈색 후 드라이기로 건조한다. § 숫자 중 12, 3, 6, 9 는 그대로 나타내고

전개

다른 숫자들을 간단히 구겨 점처럼 붙여주는 방법도 있다. §

또한, 모든

7. 탈색하고 건조 된

숫자자리에 한지를

5. 한지색종이나

시계 판 중심 구멍을

구긴 공을 붙여

염색한지, 색한지 등

기준으로 정확한 숫자

표현해도 된다.

밝은 색 계열로

위치를 점으로 찍어

준비한다.

표시한다.

밝은 색의 한지들을

6. 한지들을 꼬거나

8. 각 위치에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한다.

구겨 숫자부분 꾸미기

꾸미기 한지들을

할 준비를 한다.

목공풀로 붙여

물감이나 다른

표현한다.

꾸미기 재료들을

§

§

숫자가 잘 보이도록

한지 말고 아크릴

사용해도 된다.

(유의: 탈색을 할 때 꼭 앞치마를 착용하고 락스가 옷에 닿지 않도록 활동하기) 69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유의: 한 번에 락스 물이 너무 많이 발라지지 않게 주의하기)

(유의: 탈색을 너무 밝게 하지 않도록 하기)

1. 각자 작업하던 작품마다 이름을 적고 한곳에 모아 보관하기 10‘

마무리

2. 자리 정돈 및 청소를 하기 3. 다음시간 같은 수업주제로 이어 활동할 것을 공지하고 인사 후 수업마치기

2-8. 8차시 [개요] 대주제: 너와 나의 연결 시간

수업주제

소주제: 마니또 선물 탈색한지 시계 (4) 1. 마감재를 바르고 시계 부품을 연결하여 시계를 완성 할 수 있다.

학습목표

2. 마니또 대상을 밝히고 완성한 시계를 선물하며 긍정적인 에너지를 서로 받을 수 있다. 탈색한지 시계 작업물, 앞치마, 한지 마감재(바니시), 풀칠용 붓, 드

준비물

라이기, 글루건, 목공풀, 책상 깔기 용 비닐, 건전지AA, 걸이용 고리

참고자료

샘플 작품, PPT 수업과정안

[세부활동 내용] 분‘

과정

수업과정 1. 인사 후 출석체크를 하고 이번 수업주제 <마니또 선물 탈색한 지 시계 만들기> 소개하기

10‘

도입

2. PPT 수업과정안을 통해 방법 및 과정의 이해 돕도록 다시 안 내하기 3. 활동 시 안전에 관련된 유의사항 전달하기 4. 지난시간 작업하던 작업물과 준비물 준비 후 이어서 활동하기

25‘

70

<과정 3> 시계 마감 후 시계부품 조립 및 완성하기

전개 1. 책상에 비닐을

3. 바니시 원액을 묻혀

4. 시계 부품을

깔거나 아무것도 깔지

시계 앞, 뒤 부분에

연결하고 시침, 분침,

않는다.

충분히 발라주고

초침 순서대로 흰


공예분야 - 입선 부분이 보이도록 2. 만들어 둔 시계 판과 바니시, 넓은 평 붓을

조립한다. 드라이기로 건조해준다.

준비한다.

5. 시계 부품 연결 시 글루건이나 목공풀로 붙여 고정해준다.

§

시계 바늘 부품이 작품 판에 비해 잘 보이지 않는 색으로 되어 있다면 밝은 색 아크릴 물감으로 채색해 주어도 된다.

§

바니시 원액은 한 번만 발라주어도 충분하고

6. 걸이용 고리를 시계

원액을 바르는 이유는 빠르게 마르기

판 뒤 부분에

때문이다.

글루건으로 고정하여 붙인 뒤 완성한다.

§

걸이용 시계가 아닌 뒤판을 따로 제작하여 탁상용으로 만들어도 된다.

<마니또 밝히기와 미션수행 여부 확인하고 선물전달하기>

각자의 마니또 친구가 누구인지 밝히기

시계를 만드는 동안 마니또에게 미션 수행을 완수했는지 자 유롭게 이야기하기

자신의 마니또 친구에게 긍정적인 이미지가 담긴 ‘탈색한지 시계’ 선물하며 이유도 함께 말해주기

(유의: 마감재를 바르기 전 목공풀이 완벽히 마르지 않으면 마감재 바를 때 꾸민 한지들이 떨어질 수도 있다고 안내하기)

(참고: 책상에 무엇인가 묻는 활동을 할 때 비닐 재질의 깔판 을 깔고 하면 좋다고 안내하기)

1. 서로 선물 받은 작품들을 감상하기 2. 학교에서 친구들과의 관계와 소중한 시간에 대해 다시 한 번 10‘

마무리

상기해 보고 과거의 관계, 현재 맺고 있는 관계, 앞으로 맺어 지는 관계를 살펴보면서 어떠한 시간들을 보내면 좋을지 생각 해보도록 지도하기 3. 자리 정돈 및 청소를 하기

71



국악

최우수상 함께하는 악.가.무.락 이정민



국악분야 - 최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세부 분야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함께하는 악·가·무·락 <음악(樂)에 맞춰 노래(歌)하고 춤(舞)추며 놀아(樂)보세> 국악

초등학교 6학년-중학교 3학년 기본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40분 (각 차시별) 포구락 감상활동을 통한 창의적 융합수업 ‘포구락’은 음악에 맞추어 노래 부르고 춤을 추며, 편을 나누어 공을 넣으며 즐기던 궁중의 놀이 춤이다. 음악, 노래, 춤에 놀이 활동이 포함 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다양한 예술적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종 합예술로 이루어진 포구락은 다른 교과와의 연계와, 융합수업으로도 활 용할 수 있다. 학생들이 직접 연주하고, 노래하고, 놀이하고, 창작하는 표현 활동을 통해 음악이 가지고 있는 ‘악·가·무 일체’의 특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예술로 공감하고 소통하는 즐거움을 느끼는 경험을 할 수 있기를 기대 해 본다. 본 프로그램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표현단계에서는 감상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포구락의 특징을 이해하고 악기와 신체로 표현하며 무용

내용 요약

반주에 사용되는 국악기를 탐색하면서 음악에 사용되는 장단을 구음과 장구로 표현한다. 2)창작 단계에서는 노랫말과 놀이 규칙, 재활용품으로 소품을 만들면서 창의적 융합 능력을 기르고 무용동작을 만들어 발표 하면서 음악과 몸의 협응력을 기를 수 있다. 3)생활화 단계에서는 친구 와 함께 발표회를 계획하고 준비하면서 협동심과 배려심을 기르고, 놀 이에서는 벌칙대신 덕담을 붙이면서 서로에게 복을 빌어주고 즐기면서 소통하는 발표회가 되고, 발표회를 하면서 성취감과 음악을 즐기는 태 도를 갖도록 한다.

75


함께하는 악.가.무.락

함께하는 악·가·무·락 <음악(樂)에 맞춰 노래(歌)하고 춤(舞)추며 놀아(樂)보세>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1. 감상을 통해 포구락을 이해하고 음 악적 특징을 알 수 있다.

1차시

2. 무용 반주에 사용되는 악기를 탐색 하고 삼현육각의 악기 편성을 알 수 있다.

주요 활동내용 - 감상하며 포구락 특징 이해하기 - 신체표현하며 감상하기 - 음악적 특징 찾고 악기 탐색하기 - 삼현육각 악기이름 말하기 게임 - 그림과 구음으로 타령장단 익히기

1. ‘포구락’ 음악에 사용된 장단을 2차시

구음과 악기로 연주 할 수 있다. 2. 장단을 치며 한배(빠르기)의 변화를 느끼고 표현할 수 있다.

- 장구로 ‘자진타령장단’ 연주하 기 - 음악에 맞춰 구음과 장구로 표현 하기 - 한배(빠르기)의 변화를 악기로 표 현하기

1. 감상하며 포구락의 주요동작을 3차시

따라할 수 있다. 2. 한배(빠르기)의 변화를 느끼고 신체로 표현할 수 있다.

1. 장단에 맞춰 ‘함께하는 포구락’ 4차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 기본 동작 익히기 - 장단에 맞춰 주요 동작 표현하기 - 음악에 맞춰 동작 연결하기 - 한배(빠르기)의 변화를 신체표현 하기 - ‘타령’ 감상하기 - 장단에 맞춰 노래 익히기

2. 주제에 어울리게 노랫말을 만들어 - 노랫말 창작하기 발표할 수 있다.

- 완성된 노랫말로 노래 부르기

1. 놀이 규칙을 만들고 활동에 적합한 - 경험 이야기 나누기 5차시

음악을 선택해서 표현할 수 있다. 2. 음악에 어울리는 동작을 만들어 발표할 수 있다.

6차시 76

- 놀이 규칙, 마음규칙 정리하기 - 활동에 적합한 음악 정하기 - 음악에 어울리는 무용 동작 만들기

1. 재활용품을 활용해서 포구락 소품 - 모둠이름과 역할 정하기 을 만들 수 있다.

- 보자기로 ‘포구문’ 만들기


국악분야 - 최우수상

2. 주제에 적합한 소품 만들기에 협력 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 양말과 콩으로 ‘채구’ 만들기 - 종이상자와 리본으로 ‘죽간자’ 만들기

1. 포구락 발표회를 계획하고 준비할 - 친구에게 응원 메시지 쓰기 7차시

수 있다.

- 발표회 역할 정하고 계획하기

2. 발표회에 필요한 역할을 정하고 순 - 놀이 순서에 따른 동작 연습하기 서에 맞게 연습할 수 있다.

1. 발표회에 맡은 역할과 순서를 기억 8차시

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2. 예술행사에 참여하는 바른 태도를 알 수 있다.

- 무대 준비와 준비물 점검하기 - 무대 준비하기 - 발표회에 참여하는 태도 알기 - 우리가 만든 포구락 발표하기 - 느낀 점 발표하기 - 평가하고 정리하기

1) 차시별 학습주제 및 관련교과 차시

학습 주제

관련 교과

영역

1차시

‘포구락’을 감상하고 특징 이해하기

국악 + 역사

2차시

장단을 익혀 구음과 장구로 표현하기

국악 + 미술

3차시

음악에 맞춰 포구락의 주요동작 따라 하기

국악 + 무용

4차시

타령 가락에 노랫말 만들어 노래 부르기

국악 + 국어

5차시

포구락의 놀이 규칙과 동작 만들기

국악 + 체육

6차시

재활용품으로 포구락 소품 만들기

국악 + 실과 + 공예

7차시

포구락 발회를 계획하고 준비하기

8차시

우리가 만든 ‘포구락’ 발표하기

+ 도덕

국악 + 도덕 + 무용 국악 + 무용+

체육

감상 ⇩ 표현 ⇩ 창작 ⇩ 음악 과 놀이 ⇩ 생활화

+ 도덕

77


함께하는 악.가.무.락

2. 세부내용 2-1. 1차시

함께하는 악·가·무·락 <음악(樂)에 맞춰 노래(歌)하고 춤(舞)추며 놀아(樂)보세> 1차시의 주제는 ‘포구락을 감상하고 특징 이해하기’이다. 궁중 무용의 감 상활동을 통해 음악이 속해있는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무용 반주에 사용

개요

되는 삼현육각의 악기 편성을 알 수 있다. 국악기를 탐색하며 악기가 지니 는 고유한 음색과 소리의 어울림을 함께 느끼면서 우리음악의 가치를 알고 체험하는데 목적을 둔다.

관련 교과 학습 주제 학습 목표

국악(음악), 역사

세부

감상, 문화, 악기탐색,

영역

음악과 춤의 어울림

‘포구락’을 감상하고 특징 이해하기

차시

1/8

1. 감상을 통해 포구락을 이해하고 음악적 특징을 알 수 있다. 2. 무용 반주에 사용되는 악기를 탐색하고 삼현육각의 악기 편성을 알 수 있다. 포구락 감상 동영상자료, 삼현육각 악기 사진, 악기탐색 자료,

준비물

조선시대 궁중행사도 사진, ‘삼현도드리’음원

학습

교수-학습활동 내용

단계

1. ‘포구락’의 배경 이해하기 1) ‘조선시대 궁중행사도’를 보며 궁중 잔치 모습을 이야기한다. - 정조 대왕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기념 잔치 모습 그림이다. - 궁중 잔치에서는 악기연주, 노래, 춤이 모두 함께한다.

도입

<봉수당 진찬도 >

혜경궁 홍씨 회갑기념

<원행정리의궤도> _국립중앙박물관

2) 사진을 보고 공통점을 찾아 이야기한다. S : 화려하고 웅장해요. 악기를 연주하고 춤을 추는 모습이 있어요. 3) ‘정재’의 의미를 알아본다. -

전개 78

궁중 무용을 ‘정재’라고 하는데 ‘춤을 추어서 고귀한 사람에게 드린다’

라는 의미이다. 2. ‘포구락’을 감상하고 특징 찾기 1) ‘포구락’의 뜻을 추측한다.


국악분야 - 최우수상

- 한자의 음과 뜻이 적힌 카드를 보며 추측해 본다. - 던질 포(抛), 공 구(毬), 연주할, 즐거울 락(樂) {자료 파일첨부} S : ‘공을 즐겁게 던져라’, ‘공을 던져서 즐겁게 놀아보자’ ‘음악에 맞춰 공을 던져서 놀면 즐겁다’라는 뜻인 것 같습니다. ☞ 한자를 익히는 목적이 아니라 제목의 뜻을 생각해 보며 목적과 활동을 생각해보는 동기유발에 목적을 둔다. 2) 포구락을 감상하며 특징을 찾는다. - 인상 깊은 장면이나 소품, 음악적 특징을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3. ‘포구락’ 알아보기 1) 포구락을 알아본다. - 포구락은 무용수들이 편을 나누어 공을 던져 구멍에 넣으면서 즐기던 궁중의 놀이 춤이다. 단오절이나 궁중잔치 때 즐겼는데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2) 포구락의 특징을 알아본다. - 용과 봉황이 그려진 문에 한명씩 차례대로 공을 구멍으로 던져 넣는다. - 공을 넣은 무용수는 꽃을 들고 있던 봉화로부터 꽃을 받고, 공을 넣지 못했을 때 먹 점을 그린다.

4. 음악적 특징 표현하기 1) 음악의 변화 느끼며 신체표현 한다. - 손뼉으로 기본 박을 치며 다시 한 번 감상한다. - 빠르기가 달라지는 부분을 유의해서 표현한다. ( 입장 / 박을 치는 부분/ 공을 던지는 부분/ 정리하는 부분) 2) 연주에 사용된 악기편성을 알아본다. - 연주 모습을 보며 자신이 알고 있던 악기를 이야기한다. - 연주에 사용된 악기의 이름을 알아본다. 79


함께하는 악.가.무.락

향피리

해금

대금

장구

북(좌고)

- 악기 연주 방법과 소리를 탐색하고 소리의 특징을 발표한다.

향피리

해금

대금

장구

북(좌고)

- 시작과 끝을 알리는 악기를 알아본다. (박) - 무용 반주에 사용되는 삼현육각 악기 편성을 알아본다. - 향피리2, 대금1. 해금1, 장구1, 북1 으로 삼현육각 악기편성이다. 3) 삼현육각 악기 편성 말하기 게임하기 - 삼현 육각 악기 이름을 순서대로 이어말하기 게임을 한다. - 반복해서 진행하고 멈추지 않고 연결해서 말 할 수 있는 팀이 이긴다. 향피리

향피리

해금

대금

장구

5. 음악의 어울림 발표하기 1) ‘포구락’ 감상을 통해 느낀 점을 정리하고 발표한다. - 악기 연주와 노래와 무용이 모두 함께 하는 궁중음악을 감상한 느낌을 정리

발표한다. S : 화려하고 웅장하다. 완성된 느낌이다. 잔치의 분위기가 난다. - 음악의 역할과 쓰임에 대해 이야기한다. S : 잔치나 행사의 분위기를 살려준다. 음악에 현장의 느낌이 담겨있다. ※참고자료: 국립국악원,‘우리음악과 춤 가까이 보고 듣기’.‘국악기는 내 친구’

80


국악분야 - 최우수상

2-2. 2차시

함께하는 악·가·무·락 <음악(樂)에 맞춰 노래(歌)하고 춤(舞)추며 놀아(樂)보세> 2차시의 주제는 ‘장단을 익혀 구음과 장구로 표현하기’이다. 포구락 음악 에 사용된 장단을 구음으로 표현하고 장구로 연주한다. 특히 타령장단을 구

개요

음과 그림으로 표현하면서 삼소박의 원리를 시각화하여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음악에 맞춰 장단을 치면서 장단을 익히고 한배(빠르기)의 변화를 느끼고 표현하는데 목적을 둔다.

관련 교과 학습 주제

세부

국악(음악), 미술

감상, 기악, 신체표현, 장단꼴

영역

장단을 익혀 구음과 장구로 표현하기

차시

2/8

학습

1. ‘포구락’음악에 사용된 장단을 구음과 악기로 연주 할 수 있다.

목표

2. 장단을 치며 한배(빠르기)의 변화를 느끼고 표현할 수 있다.

준비물

포구락 영상자료, 장구, 장단보, 장구 부호카드, 활동지, 음원자료(삼현도드리, 타령, 자진타령)

학습

교수-학습활동 내용

단계

1. 기본 박 치며 감상하기 1) 음악의 변화 느끼며 신체표현 한다. - 손뼉으로 기본 박을 치며 감상한다. 도입

2) 장단과 빠르기가 달라지는 부분을 나누어 신체표현 한다. 입장하는 부분

무용하는 부분

공을 던지는 부분

정리하는 부분

음악 들으며 준비

손뼉 치기

무릎치기

손뼉 치기

2. 장구 연주 방법 익히기 1) 장구의 연주 방법과 바른 자세를 알아본다. - 북편과 채편 치는 방법을 알아본다. 전개

2) 장구 부호와 구음을 알아본다. 3) 장구 부호카드에 맞게 연주하기 게임을 한다. {파일에 자료첨부} - 친구가 제시하는 장구 부호 카드를 보고 구음으로 표현하며 장구를 친다. - 구음을 읽으며 바르게 장구를 연주하는 학생이 다음 카드를 제시한다. - 익숙해지면 부호만 보고 구음을 읽는다.

81


함께하는 악.가.무.락

3. ‘타령장단’을 구음과 그림으로 표현하기 1) 장구 부호와 구음을 알아본다. - 타령장단의 장단 부호와 구음을 알아본다. 2) 타령장단의 구음을 읽는다. - 손가락으로 장단보의 박을 하나씩 짚으며 구음을 읽는다.

기덕

기덕

3) 삼각형 그림을 그리며 구음을 익힌다. - 장단보를 보며 삼소박을 이해한다.

⦶ ↳ 소박

ⅰ 3소박

- 소박 3개를 ‘3소박’이라고 하고 ‘3소박’은 한 박을 이룬다. - 손가락으로 삼각형을 그리며 구음을 읽는다.

- 활동지에 점선으로 된 삼각형을 펜으로 그리며 구음을 읽는다. - 익숙해지면 허공에 삼각형을 그리며 구음을 읽는다. - 교사의 타령장단 연주에 맞춰 학생들은 구음으로 표현한다. 4. 장구로 자진타령장단 치기 1) 부호에 따른 연주 방법을 알아본다. - 구음을 읽으며 ‘덩(⦶)’을 연주한다.

- 구음을 읽으며‘쿵(○)’을 연주한다. ○

- 구음을 읽으며‘덕(┃)’을 연주한다. 82


국악분야 - 최우수상

2) 자진타령장단의 구음을 익힌다. - 장단보를 보며 구음을 읽는다. - 무릎장단을 치며 구음을 읽는다. 3) 장구로 자진타령장단을 연주한다.

- 한 박씩 교사를 따라 장단을 치고 익숙해지면 연결한다.

☞ 장단 익히기는 난이도와 놀이 활동의 활용도를 고려하여 ‘타령장단’과 ‘자진타령장단’을 익힌다. 기본 몸동작을 익히기 위해 ‘타령장단’은 구음으로 익히는 활동으로 진행하고 ‘자진타령장단’은 장구로 연주한다. 5. 음악에 맞춰 장단 치기 1) 음악(함녕지곡)을 들으며 구음과 장구로 장단을 표현한다. - ‘타령’ 음악에 맞춰 타령장단을 구음으로 표현한다. - ‘빠른 타령’ 음악에 맞춰 자진타령장단을 장구로 친다.

정리

삼현도드리

타령

빠른 타령

타령

음악 듣고 준비

구음으로 표현

장구로 장단 치기

구음으로 표현

2) 음악에 맞춰 장단을 치며 한배의 변화를 느낀다. 3) 장단을 치며 한배(빠르기)의 변화를 느낀 것에 대해 발표를 한다. S: 느린 장단과 빠른 장단이 연결된다는 것이 신기하다. 빠른 장단으로 바뀌면 흥겨워진다. 빠르다가 다시 느려지면 끝났거나 정리하는 느낌이 든다. ☞표시: 지도상의 유의점, S표시: 학생 발문

83


함께하는 악.가.무.락

2-3. 3차시

함께하는 악·가·무·락 <음악(樂)에 맞춰 노래(歌)하고 춤(舞)추며 놀아(樂)보세> 3차시의 주제는 ‘음악에 맞춰 포구락의 주요동작 따라 하기’이다. 기본동

개요

작을 익히고, 포구락 음악과 친구가 연주하는 장단에 맞춰 주요 동작을 따 라하면서 한배의 변화를 느끼고 신체로 표현 할 수 있도록 한다. 신체표현 을 하면서 음악과 몸의 협응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관련 교과 학습 주제

세부

국악(음악), 무용, 체육

영역

감상, 신체표현, 음악과 몸의 협응력

음악에 맞춰 포구락의 주요동작 따라 하기

차시

학습

1. 감상하며 포구락의 주요동작을 따라할 수 있다.

목표

2. 한배(빠르기)의 변화를 느끼고 신체로 표현할 수 있다.

준비물 학습 단계

3/8

동영상자료(포구락, 무고), 필기도구, 장구, 한삼, ‘삼현도드리’ 음원 교수-학습활동 내용 1. 주요 절차와 규칙 알아보기 1) 포구락을 감상하며 절차를 알아본다. ➀ 죽간자를 든 두 명이 무용수들을 인도하고, 춤을 추며 입장한다. ➁ 꽃을 든 무용수와 붓을 든 무용수가 앞에 마주보고 서 있는다. ➂ 대결을 펼칠 무용수들은 양편으로 나누어 춤을 춘다. ➃ 한명씩 차례대로 공을 포구문 구멍으로 던져 넣는다. 2) 포구락의 겨루기 규칙 알아본다.

도입

- 공을 넣은 무용수는 꽃을 들고 있던 봉화로부터 꽃을 받고, 공을 넣지 못했을 때 먹 점을 그린다. 3) 포구락의 소품을 알아본다. - 포구문: 용과 봉황이 그려진 문 - 풍류안: 포구문 한 가운데 뚫린 구멍 - 봉화: 꽃을 든 사람, 봉필: 붓을 든 사람 - 채구: 여러 가지 색실로 장식한 공 - 죽간자: 대나무를 꽂아 만든 긴 막대기 2. 궁중 정재를 감상하며 주요 동작 찾아보기 1) 궁중정재를 감상하고 특징 알아보기

전개

- ‘무고’와 ‘포구락’을 감상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야기한다. S: 음악의 분위기가 화려하고 궁중잔치 분위기다. 중간에 장단이 바뀐다. 무고는 춤을 추며 북을 치고 포구락은 경기를 한다.

84


국악분야 - 최우수상

2) 포구락을 감상하며 주요 동작의 순서를 적어본다. - 장단의 빠르기에 따라 달라진 동작을 정리하고 발표한다. 예시1) 입장 -> 준비 -> 연습 -> 공 넣기 -> 상·벌 받기 -> 정리 -> 퇴장 3. 기본 동작 익히기 1) 다리 동작을 알아본다. - 교사의 동작을 보며 굴신을 따라한다. - 양다리를 자연스럽게 모으고, 어깨에 힘을 빼고 양팔을 내린다. 하

-‘하나아’에 무릎을 굽히면서 왼발에 무게 중심을 두고 오른발 뒤꿈치를 살짝 든다. -‘두우울’에 무릎을 굽히면서 오른쪽에 무게 중심을 두고, 왼쪽 뒤꿈치를 살짝 든다. - 장단의 박을 세면서 반복한다. 2) 팔 동작을 알아본다. - 한삼을 낀 두 손을 가지런히 앞으로 모은다. - 모은 두 손을 가슴까지 올렸다가 내리며 두 팔을 어깨 높이까지 들어 올린다.

→ 3) 한팔 들기, 던지기 동작을 따라한다. - ‘하아나’에 오른손을 들고 ‘두우울’에 머리 옆에서 돌린다. - ‘세에엣’에 왼손을 들었다가 ‘네에엣’에 머리 옆에서 돌린다.

- ‘하나아, 두두울’에 한 동작, ‘세에엣, 네에엣’에 한 동작을 한다. 3) 교사의 굴신과 굴신을 하며 팔 동작을 따라한다. - 교사의 굴신과 발디딤새를 확인하고, 영상을 보며 따라 한다. 4. 장단에 맞춰 주요동작 표현하기 85


함께하는 악.가.무.락

1) ‘타령장단’구음을 소리 내며, 무릎을 굽혀 굴신을 한다. 2) 장구로 연주되는 교사의‘타령장단’에 맞춰 두 손을 모으고 입장한다. 3) 친구가 연주하는‘자진타령장단’맞춰 동작을 표현한다.

☞ 학교에 한삼이 없는 경우는 두루마리 휴지를 사용해도 된다. 5. 음악에 맞춰 동작 표현하기 1) 음악을 들으며 동작을 연결해서 표현한다. - 음악과 장단에 맞춰 입장부터 정리까지 신체 표현한다.

정리

2) 음악의 역할에 대해 발표한다. - 박자를 세며 동작을 표현했을 때, 장단에 맞춰 동작을 표현했을 때, 음 악을 들으며 동작을 표현했을 때의 느낌을 발표한다. S: 음악을 들으며 신체표현 했을 때는 몸이 더욱 자연스럽게 움직였다. 음악의 느낌도 표현할 수 있는 것 같았다. 몸의 움직임이 더 자연스러웠다. ☞표시: 지도상의 유의점, S표시: 학생 발문

86


국악분야 - 최우수상

2-4. 4차시

함께하는 악·가·무·락 <음악(樂)에 맞춰 노래(歌)하고 춤(舞)추며 놀아(樂)보세> 4차시의 주제는‘타령 가락에 노랫말 만들어 노래 부르기’이다. 장단에 맞

개요

춰 노래를 부르고, 그 가락에 어울리는 노랫말을 만든다. 노랫말을 창작하 여 발표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즐거운 경험과 성취감을 갖고 창의적인 표현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관련 교과 학습 주제

세부

국악(음악), 국어

감상, 가창, 노랫말 창작

영역

타령 가락에 노랫말 만들어 노래 부르기

차시

학습

1. 장단에 맞춰 ‘함께하는 포구락’노래를 부를 수 있다.

목표

2. 주제에 어울리게 노랫말을 만들어 발표할 수 있다.

준비물

4/8

감상 음원(현악영산회상 중 타령 1장), 장구, 함께하는 포구락 악보, 활동지

학습

교수-학습활동 내용

단계

1. 현악영산회상 중 ‘타령’ 감상하기 1) 현악 영산회상 중‘타령’의 1장의 일부분을 듣는다. 2) 감상하며 구음으로 장단을 맞춘다. - 타령장단을 구음으로 읽으며 확인한다.

기덕

기덕

-‘타령’을 감상하며 음악에 맞춰 구음으로 장단을 맞춘다. 도입

임(林)

-

무 (無)

중(仲)

덩 중(仲)

기덕 임(林)

덩 중(仲)

황(潢)

-

무 (無)

기덕 임(林)

덩 태(汰)

임(林)

무(無)

-

임 (林)

기덕 황(潢)

무(無)

기덕

-

임 (林)

태(汰)

황(潢)

임(林)

중(仲)

황(潢)

황(潢)

황(潢)

황(潢)

-

무 (無)

임(林)

중(仲)

황(黃)

기덕 임(林)

더 황(潢)

기덕 -

무 (無)

임(林)

무 (無)

임(林)

기덕

(無)

임(林)

더 황(潢)

기덕 -

- 무

황(潢)

더 황(潢)

황(潢)

2. 노래 익히기 전개

1) 교사가 부르는‘함께하는 포구락’노래를 듣는다. - 교사가 부르는 노래에 맞춰 학생들은 타령 장단을 구음으로 표현한다. 87


함께하는 악.가.무.락

2) 듣고 따라 부르며 노래를 익힌다. - 한 소절씩 따라 부르고, 익숙해지면 연결해서 부른다.

3) 교사의 장단에 맞춰 노래 부른다, - 교사의 장단에 맞춰 노래 부른다. 4) 구음 장단반주에 맞춰 노래 부른다. - 두 모둠으로 나누어 노래 부르고, 구음 장단을 한다. 3. 노랫말 창작하기 1) ‘함께하는 포구락’의 말붙임새를 알아본다. - 정간보 악보를 보고 노랫말을 읽으며 말붙임새를 확인한다.

<함께 하는 포구락 정간보> 현악영산회상 중 타령가락 편곡, 작사: 이정민

중(仲)

임(林)

태(汰)

황(潢)

중(仲)

임(林)

황(潢)

임(林)

중(仲)

임(林)

무(無)

임(林)

88

-

무 (無)

- 악

-

무 (無)

- 단 -

임 (林)

- 음

ⅰ - 무

임(林)

중(仲)

황(黃)

중(仲)

임(林)

황(潢)

황(潢)

황(潢)

임(林)

황(潢)

황(潢)

(無)

- 놀

- 무 (無)

- 무 (無)

-르

임(林)


국악분야 - 최우수상

태(汰)

황(潢)

무(無)

-

임 (林)

- 으

황(潢)

황(潢)

- 무 (無)

임(林)

황(潢)

황(潢)

-

☞ 현장 시간과 상황에 따라 개인 창작이나 모둠창작으로 선택 진행한다. ☞ 단소 연주가 가능한 학년에서는 기악 활동으로 활용해도 좋다. 2) 노랫말 바꾸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활동에 적합한 주제를 정한다. (예)친구, 가족, 놀이, 경기, 응원, 꿈 등) - 율명이 있는 자리에 맞춰 2글자 또는 3글자로 노랫말을 만든다. 중(仲)

임(林)

무(無)

-

임 (林)

황(潢)

황(潢)

-

무 (無)

- 으

임(林)

3) 학생들의 난이도에 맞춰 바꾸도록 한다. - 모두 바꾸거나 빈칸 채우기로 만든다. 4. 노랫말 발표하기 1) 완성된 노랫말을 친구들 앞에서 발표한다. - 교사의 장단에 맞춰 불러보며 연습한다.

5. 완성된 노랫말로 노래 부르며 발표하기 1) 자신이 만든 노랫말로 노래 불러본다. 정리

2) 모둠별로 대표 노랫말을 선정하고 모둠별로 노래 부른다. 3) 잘 만든 노랫말을‘타령’가락에 넣어 모두 함께 부른다. ☞활동시간에 맞추어 개인발표 또는 모둠발표로 진행한다. ☞표시: 지도상의 유의점, S표시: 학생 발문

89


함께하는 악.가.무.락

2-5. 5차시

함께하는 악·가·무·락 <음악(樂)에 맞춰 노래(歌)하고 춤(舞)추며 놀아(樂)보세> 5차시의 주제는‘포구락의 놀이 규칙과 동작 만들기’이다. 경기 놀이를 할 때의 규칙을 만들면서 친구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여 자연스럽게 소통

개요

하는 방법을 익힌다. 또한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참여 할 수 있 는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다. 활동에 적합한 음악에 어울리는 무용 동작을 만들어 발표하면서 창의적인 표현력과 감수성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관련 교과 학습 주제

세부

국악(음악), 도덕, 무용

영역

감상, 인성, 창작, 신체표현

포구락의 놀이 규칙과 동작 만들기

차시

5/8

학습

1. 놀이 규칙을 만들고 활동에 적합한 음악을 선택해서 표현할 수 있다.

목표

2. 음악에 어울리는 무용 동작을 만들어 발표할 수 있다.

준비물

포구락 영상, 음악교과서, 활동지, 장구, 한삼

학습

교수-학습활동 내용

단계

1. 경험 이야기나누기 1) 경기놀이 할 때의 마음에 대해 이야기한다. - 경기에 졌을 때의 마음과 이겼을 때의 마음에 대해 이야기한다. 도입

S: 경기에 이겼을 때는 기쁘지만, 졌을 때는 속상하고 화가 났다. 2) 경기에 졌을 때 좋은 점에 대해 이야기한다. S: 박수를 치며 상대를 축하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S: 다음에는 잘해야겠다는 생각으로 더 열심히 하게 된다. S: 다음 경기에서는 어떻게 할지 생각하게 된다.

2. 포구락 감상하며 마음 규칙 만들기 1) 포구락을 감상하며 놀이 절차를 정리한다. - 활동지에 규칙과 마음을 적어본다. 전개

- 활동과 상황에 따른 놀이 규칙과 마음에 대해 이야기한다. - 모둠활동으로 이야기 나누며 마무리 정리한다. 2) 우리가 만드는 놀이에 필요한 마음 규칙을 만든다. - 정리한 내용을 친구들에게 발표한다.

90


국악분야 - 최우수상

3. 활동에 어울리는 음악 정하기 1) 음악이나 장단이 바뀌어야하는 단계별로 나누어 본다. 준비단계

입장하는 동작 ~ 서로를 응원하는 동작

놀이단계

던지기 연습할 때 ~ 던지기를 마칠 때

정리단계

서로 인사할 때 ~ 퇴장하는 동작

2) 놀이에서 사용할 음악에 대해 논의한다. - 모둠 활동을 통해 동작에 따라 필요한 음악을 이야기한다. 3) 입장할 때 사용할 음악을 정한다. - 방법1: 입장할 때는 포구락 음원을 사용한다. 4) 준비단계에 사용할 음원을 사용한다. - 방법2: 입장할 때는 굿거리장단을 친다. - 방법3: 음악 교과서에 있는 ‘늴리리야’를 부르며 입장한다. - 방법4: 친구들이‘타령 장단’을 구음으로 불러준다. ☞ 교과서에 있는 노래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5)

놀이단계에 사용할 음악을 정한다.

- 방법1: ‘자진타령장단’을 장구로 연주한다. - 방법2: ‘자진모리장단’을 장구와 북으로 연주한다. 6) 정리단계에 사용할 음악을 정한다. - 1번 활동에 사용했던 음악을 사용한다. ☞ 국악체험 정도에 따라‘방법1~방법3’을 선택해서 진행한다. 4. 주제에 어울리는 무용 동작 만들어 발표하기 91


함께하는 악.가.무.락

1) 놀이에 필요한 동작을 나누어 본다. 입장하는 동작 ⇨ 공을 던지는

⇨ 동작

서로 응원하는 동작 ⇨

연습하는 동작

줄서서 마무리 동작

⇨ 퇴장하는 동작

2) 모둠별로 주제를 선택해서 동작을 만든다. - ‘정재’의 의미를 생각하며 주재에 맞게 동작을 만든다. - 장단 칠 학생을 정하고 선택한 주제에 맞게 동작을 만든다. - 선택한 주제에 어울리는 장단도 선택해서 맞춰본다.

3) 모둠별로 만든 동작을 연습하고 발표한다. - 장단에 맞춰 완성된 동작을 연습한다. - 모둠 순서대로 친구들 앞에서 발표한다.

5. 평가하기 1) 모둠별로 발표한 동작에 대해 평가한다. - 친구들의 동작에서 잘 된 점과 보충할 점에 대해 발표한다. 2) 잘 만든 모둠의 동작을 선정한다. 정리

- 잘된 동작을 따라한다. - 주제와 장단에 어울리게 만든 것을 모두 함께 따라한다. < 다음차시 예고> ➀ 포구락 소품 만들기에 사용할 재활용 찾아오기 ➁ 모둠이름과 의미 생각해 오기

92


국악분야 - 최우수상

2-6. 6차시

함께하는 악·가·무·락 <음악(樂)에 맞춰 노래(歌)하고 춤(舞)추며 놀아(樂)보세> 6차시의 주제는‘재활용품으로 포구락 소품 만들기’이다. 포구락을 감상하

개요

고 필요한 소품을 재활용품을 활용하여 만들면서, 창의적 융합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을 둔다. 음악을 감상하며 주제에 적합하게 만들 수 있도록 탐색하고 작품을 제작하면서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관련 교과 학습 주제

세부

국악(음악), 실과, 미술

감상, 공예, 창작, 관련짓기

영역

재활용품으로 포구락 소품 만들기

차시

6/8

학습

1. 재활용품을 활용해서 포구락 소품을 만들 수 있다.

목표

2. 주제에 적합한 소품 만들기에 협력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준비물

포구락 영상자료, 유성펜, 양말, 검정콩, 실, 바늘, 가위, 상자, 리본, 빵 끈, 긴 종이상자, 포장테이프, 포스트잇, 테이프, 보자기

학습

교수-학습활동 내용

단계

1. 포구락에 필요한 소품 알아보기 1) 영상을 보며 포구락의 소품에 대해 이야기한다. - 우리가 발표할 포구락 놀이에 필요한 소품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포구문 , 죽간자, 채구, 봉화, 봉필) 2) 모둠이름을 만든다. 도입

- 각자 생각해온 이름을 모둠 원들에게 발표하고 적합한 이름을 정한다. - 정해진 모둠이름과 뜻을 모든 친구들에게 발표한다. S: 우리 모둠은 ‘전화위복’입니다. 공을 넣지 못하더라도 오히려 더 좋은 일이 생길 수 있다는 뜻입니다. S: 우리 모둠은‘백일청천’입니다. 언제나 밝고 푸르게 살아가자는 뜻입니다. 2 재활용품으로 만들 소품과 역할 정하기 1) 놀이에 필요한 소품과 재활용품을 연결한다. - 포구락소품 만들기에 사용할 재활용품과 추가 준비물을 알아본다.

전개

포구락 소품

사용할 재활용품

추가 준비물

포구문

보자기

매직, 유성 펜

죽간자

우산 포장박스, 리본

테이프, 빵 줄

채구

양말, 검정콩, 포장리본

실, 바늘

봉화가 주는 꽃

형광펜, 연필

상자 또는 바구니 93


함께하는 악.가.무.락

봉필이 그리는 먹물

포스트잇

필기도구

한삼

두루마리 휴지

가위

2) 모둠별 만들기 활동의 역할을 정한다. 2모둠 소품

구체적 활동

이름

포구문

보자기에 응원메시지 쓰기

2모둠 모두

채구

양말에 콩 담아 꿰매기

이 O O

채구 색실

포장리본으로 꾸미기

장 O O

죽간자

리본에 모둠 이름 쓰기

김 O O

죽간자

리본을 종이 상자에 연결하기

박 O O

봉필 먹물

포스트잇에 덕담쓰기

2모둠 모두

☞ 시간활용을 위해 각자 역할을 선택해서 진행한다. ☞ 주제별로 책상에 준비물을 미리 준비해 주고, 역할을 맡은 학생들이 주제별 자리에 모여서 만든 후에 자신의 모둠으로 가져가도록 한다. 3. 재활용으로 소품 만들기

{활동사진 파일첨부}

1) 보자기로 포구문을 만든다. ➀ 보자기 가운데 구멍을 뚫어 풍류안을 만든다. ➁ 매직과 네임펜으로 응원의 메시지를 적는다. ➂ 네 귀퉁이 모서리를 포장 끈으로 연결하고 칠판 틀에 건다.

2) 긴 종이상자와 리본으로 죽간자를 만든다. ➀ 선물포장 리본에 모둠별로 만든 팀 이름을 적는다.

➁ 우산 포장 종이상자의 한쪽을 열어 칼집을 낸다.

➂ 리본 끝에 구멍을 만들어 빵 끈을 건다. ➃ 종이상자 끝에 연결하고 테이프를 붙어 단단히 고정시킨다. ➄ 모둠 이름이 잘 보이도록 빵 끈의 방향을 조절한다. 94


국악분야 - 최우수상

3) 양말과 검정콩으로 채구를 만든다. ➀ 양발을 잘라 검정콩을 넣는다. ➁ 포장 리본을 채구에 묶고 결을 나누어 준다.

☞ 만들기를 하는 동안 음악과 장단이 익숙해지도록 포구락 영상은 틀어 놓는다. 4. 확인 및 정리 1) 완성된 소품을 확인하고 정리한다. - 모둠별로 완성된 소품을 나누어 갖는다. 정리

- 보완하거나 보충해야하는 부분에 대해 이야기한다. 2) 만들기에 사용했던 물품들을 정리한다. <다음 차시예고> 1) 친구나 자신에게 써 줄 덕담을 생각해오기 - 봉필로 사용할 포스트잇에 적을 희망메시지를 생각해 온다.

95


함께하는 악.가.무.락

2-7. 7차시

함께하는 악·가·무·락 <음악(樂)에 맞춰 노래(歌)하고 춤(舞)추며 놀아(樂)보세> 7차시의 주제는‘포구락 발표회를 계획하고 준비하기’이다. 친구들과 함께

개요

발표회를 계획하고 준비하면서 협동심과 배려심을 기를 수 있다. 역할에 따 라 맡은 일을 준비하면서 동료의식과 성취감을 얻고, 발표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관련 교과 학습 주제

세부

국악(음악), 도덕, 무용

가창, 감상, 기악, 인성, 신체표현

영역

포구락 발회를 계획하고 준비하기

차시

7/8

학습

1. 포구락 발표회를 계획하고 준비할 수 있다.

목표

2. 발표회에 필요한 역할을 정하고 순서에 맞게 연습할 수 있다.

준비물

포스트잇, 필기도구, 장구, 북, 장단보, 한삼

학습

교수-학습활동 내용

단계

1. 희망메시지(덕담) 쓰기 1) 봉필이 벌칙으로 붙여줄 메시지를 만든다. 도입

- 친구에게 전하고 싶은 희망과 응원의 메시지를 포스트잇에 적는다.

2. 역할 정하기 1) 장구와 북을 연주할 학생을 뽑는다. - 각 모둠에서 장구와 북 장단을 연주할 학생을 뽑는다. 2) 봉필, 봉화와 죽간자를 들고 입장할 학생을 뽑는다. 3) 채구 던지는 역할은 각 모둠 3명씩 뽑는다. 3. 장단 연습하기 전개

1) 장구, 북 연주의 부호와 구음을 확인한다. 2) 장구와 북으로 굿거리장단을 친다. - 장구 장단을 구음으로 읽고 장단을 친다.

|

기덕

더러러

기덕

- 북 장단을 구음으로 읽고 장단을 친다. 96


국악분야 - 최우수상

3) 장구와 북으로 자진모리장단을 친다. - 장구 장단의 구음을 확인하고 장구를 친다. ⦶

|

- 북 장단의 구음을 확인하고 북을 친다. ○

4) 장구와 북으로 장단을 함께 연주한다.

4. 놀이 순서에 따른 동작연습하기 (리허설하기) 1) 맡은 역할과 발표 순서에 맞게 연습한다. - 입장하는 연습을 한다.

☞ 발표는 좌측 팀 두 팀, 우측 팀 두 팀으로 나누어 진행하는데, 연습은 시간 활용을 위해 함께 한다. 2) 장단에 맞춰 순서에 따른 동작을 순서대로 연습한다.

97


함께하는 악.가.무.락

순서 입장 시작 알림 노래

동작 양팔 모으고 굴신 멈춤

사용 음악 관악영산회상 박 소리 표현

양팔 모으고 굴신

000 노래

양팔 어깨 높이로 올려서 응원

굿거리장단

한 팔씩 올리며 원 만들기.

연습

상, 벌

춤추며 봉화와 봉필 앞으로

하기 퇴장 하기

장구 장단에 맞춰 노래하기 장구, 북으로

내며 거리 확인 한명씩 채구 던지기

인사

북을 한 번 치기

한명씩 채구 던지는 흉내

던지기

받기

CD 음원사용

장단 치기

양팔 올려 뿌리기 동작 던지기

음악 표현방법

자진모리장단

장구, 북으로 장단 치기

가기 서로 마주보며 인사하기 굿거리장단 양팔 모으고 굴신하며 퇴장

장구, 북으로 장단 치기

☞ 실제 프로그램 순서대로 진행해서 자신이 맡은 순서를 확인하고 준비상 황을 점검해 볼 수 있도록 한다. 5. 무대준비 와 준비물 점검하기 1) 모둠별로 자신이 맡은 역할을 확인한다. 정리

2) 다음시간에 챙겨야할 소품을 확인한다. <다음차시 예고> 1) ‘우리가 만든 악·가·무·락’ 발표를 위해 노래 연습해 오기 2) 자신이 맡은 장단과 동작 연습해 오기

98


국악분야 - 최우수상

2-8. 8차시

함께하는 악·가·무·락 <음악(樂)에 맞춰 노래(歌)하고 춤(舞)추며 놀아(樂)보세> 8차시의 주제는‘우리가 만든 포구락 발표하기’이다. 그동안 배운 노래와 장단, 춤 등 자신이 맡은 역할을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기회를 통해 성

개요

취감을 얻고, 음악을 즐기는 태도를 갖도록 한다. 발표회에 참여 하면서 예 술 행사에 참여하는 바른 태도를 익혀, 공감하고 소통하는 즐거움을 느끼는 데 목적을 둔다,

관련 교과 학습 주제

국악(음악), 무용, 체육, 도덕

세부 영역

가창, 감상, 기악, 인성, 놀이, 신체표현

‘우리가 만든 포구락’ 발표하기

차시

8/8

학습

1) 발표회에 맡은 역할과 순서를 기억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목표

2) 예술행사에 참여하는 바른 태도를 알 수 있다.

준비물 삼현영산회상 음원, 포구문, 채구, 한삼, 봉필, 봉화, 장구, 북 학습 단계

교수-학습활동 내용 1. 무대 준비하고 참여 태도 이야기나누기 1) 소품들을 확인하고 포구문과 악기를 준비한다.

도입

- 무대 위에 친구들과 함께 만든 포구문과 장구, 북을 놓는다. 2) 발표하기에 필요한 태도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참여할 때의 태도와 관람할 때의 태도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 자신이 맡은 역할을 순서에 맞게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2. ‘우리가 만든 악·가·무·락 (포구락)’ 발표하기 1) 함께 만든 소품을 가지고 음악에 맞춰 발표를 한다. ➀ 음악에 맞춰 좌측 팀과 우측 팀으로 나누어 입장 한다.

전개

➁ 죽간자를 든 학생을 따라 포구문 양 옆으로 장단에 맞춰 굴신하며 간다.

99


함께하는 악.가.무.락

➂ 북소리로 시작을 알리면 장단에 맞춰 ‘함께하는 포구락’노래를 부른다.

➃ 노래가 끝나면 장단과 음악에 맞춰 춤을 시작한다.

➄ 춤을 추며 원을 만들고 서로 응원하는 의미의 춤을 춘다.

➅ 장단(자진모리장단 또는 자진타령장단)이 바뀌면 순서대로 공 던지는 흉 내를 내며 구멍의 위치와 거리를 확인한다.

➆ 좌측 팀이 먼저 채구를 풍류안(구멍)에 던지고 우측 팀도 채구를 던진다.

100


국악분야 - 최우수상

➇ 채구(공)가 풍류안(구멍)으로 들어가면 춤을 추며 봉화 앞으로 가서 펜을 받는다.

➈ 채구(공)가 들어가지 않으면 봉필 앞으로 가서 덕담을 붙인다.

☞ 벌칙대신 덕담을 붙이면서 경기의 결과 보다는 서로에게 복을 빌어주고, 음악에 맞춰 함께 즐기는 놀이에 중점을 두도록 한다. ➉ 모두 끝나면 각자 자리로 돌아가 서로 보며 몸을 숙여 인사한다. ⑪ 장단에 맞춰 죽간자 든 학생을 따라 퇴장한다. 3. 느낀 점 발표하기 1) ‘우리가 만든 악·가·무·락’을 발표한 느낌을 이야기한다. - 친구들의 발표를 관람한 느낌이나 발표회에 참여한 느낌을 이야기한다. 2) 음악과 놀이의 관계에 대해 발표한다. - 음악과 춤에 맞추어 놀이한 느낌을 발표한다. - 음악과 함께한 놀이를 공연 형식으로 발표한 느낌을 이야기한다. 4. 평가 및 정리 1) 나의 활동을 돌아보고 이야기한다. 정리

- 좋았던 부분과 아쉬웠던 부분, 잘 된 점과 보충할 점에 대해 이야기한다. 2) 악기와 소품들을 정리한다. <다음차시예고> ‘우리가 만든 악·가·무·락’ 발표회의 느낀 점을 일기나 그림으로 정리하기

101



국악

우수상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박지영, 김화슬



국악분야 - 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세부 분야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국악, 기타(예술공학)

초등5~6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40분 (각 차시별) 효과적인 국악 감상 교육을 위한 국악에 예술공학 접목하기 감상교육은 모든 음악적 행위의 가장 기본이 되는 음악활동이며(권덕 원 외, 2012)1), 모든 영역의 음악적 행위에 가장 밑바탕이 되는 기초적 인 학습활동이다(박주만, 2013)2). 음악 외에 타 예술영역에서도 감상교 육의 중요성은 강조되지만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감상교육은 수동적으 로 음악을 듣고 악곡에 대한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정도에 그치 고 있다. 특히 국악곡은 감상곡으로서 가치가 높은 곡이 많기 때문에 감상을 통해 음악적 감성역량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원행을묘정리의궤>는 미술, 음악, 무용 등 다양한 예술분야의 내용

프로그램

을 담고 있는데 특히 현재의 모습과 유사한 취타대의 모습이 매우 잘

내용 요약

나타나 있어 ‘대취타’ 감상 수업의 도구로 적합하다. 의궤에 나타난 취타대의 연주곡, 연주모습, 구성악기를 분석하여 전기회로를 활용한 자신만의 악기와 악공 의복을 만들어 연주하면서 자연스럽게 ‘대취 타’를 학습한다. 이 과정에서 친구들과 하나의 목표를 성취하면서 경 험하게 되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며, 2015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인 창의·융합 사고 역량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예술공학의 접목은 국악과 같은 정 적인 예술 장르에 흥미가 낮고 멀티미디어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 자 극적인 매체에 반응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국악 감상에 관심을 갖게 할 것이다.

1) 권덕원, 황병훈, 송정희, 박주만 (2012). 국악교육론. 교육과학사. 2) 박주만 (2013). 초등학교 국악교육에서 음악적 반응을 위한 감상수업 모형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8(1). 127-150.

105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1. 개요 구분

수업 주제 8일간의

1차시

행진

– 1일차 「준비기관을 만들다」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1. 프로그램의 목표와 구성내 프로그램 소개 및 강사 소개하기 용을 이해한다.

‘원행을묘정리의궤’ 알아보기

2. 정조대왕의 ‘화성능행차’ ‘대취타’와 취타대의 역할 알 에서 취타대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아보기 모둠 구성 및 역할 나누기

8일간의

2차시

행진

– 2일차 「취타대를 조 직하다」

8일간의

3차시

징 이야기하기

악적 특징을 이야기할 수 있

반차도에 나타난 취타대 관찰

다.

하기

2. 대취타 구성 악기의 음색을

‘대취타’구성

듣고 구별할 수 있다.

구별하기

혀 구음 합주를 할 수 있다.

「악보를 만들 2. 모둠별로 대취타 그림 악보 를 만든다.

다」 8일간의

4차시

1. ‘대취타’를 감상하고 음

행진 1. 대취타의 악기별 구음을 익

– 3일차

‘대취타’감상하고 음악적 특

악기의

음색

연주할 악기 선정하기

‘대취타’의 장단 익히기

악기별 연주 특징 알고 구음합 주 하기

모둠별로 그림 악보 만들기

악보 전시하기

행진 1. 2차원 재료를 활용해 3차원 전기회로 이해하기

– 4일차

입체 조형을 할 수 있다.

골판지 악기 만들기

「악기를 정비 2. 전기회로를 악기 만들기(조 전도성 테이프와 스위치를 활용 하다(1/2)」

형 활동)에 응용할 수 있다.

해 악기 위에 전기회로 꾸미기 음원App 설치하기, 골판지 악기

8일간의

5차시

행진

– 5일차 「악기를 정비 하다(2/2)」

8일간의

6차시

– 6일차

와 아두이노(소형 컴퓨터) 연결

결되어 어떻게 소리를 내는지

하기

안다.

악기별 소리 내보기

2. 정리의궤 속 악공의 의복을 의궤를 통해 악공의 의복의 조 관찰하고 조형적 특징을 안다.

행진 1. LED를 활용해 전기회로를 꾸밀 수 있다.

「의복을 갖추 2. 모둠별 취타대의 특징을 드 다」

106

1. 나만의 악기가 컴퓨터와 연

러내는 옷을 만들 수 있다.

형적 특징 관찰하기 나만의 취타대 의복 구상하기 입지 않는 옷(또는 천)을 활용 해 악공 옷 만들기 LED를 사용해 전기회로 꾸미기 악기를 연주할 때마다 빛이 나 는 옷 완성하기


국악분야 - 우수상

1. 모둠별로 그림 악보를 보고 8일간의

결하기

행진 자신이 만든 악기로 연주 할

– 7일차

7차시

나만의 악기, 아두이노, 옷 연

수 있다.

악공 옷 착용하고 모둠별로 그

「대취타를 연 2. 대취타 연주에 맞추어 ‘뉴

림 악보를 보고 나만의 악기

습하다」

연주하기

미디어 대취타’ 합주를 할 수 있다.

8일간의

‘뉴미디어 대취타’ 합주하기

나를 표현한 악기와 연주복에

행진

– 8일차

대해 소개하기

1. 모둠별로 발표한다.

「명금일하 대 2. 활동에 참여한 소감을 이야

8차시

취타

모둠별 특징을 살린 행차 퍼포 먼스와 연주 발표하기

하랍신 기할 수 있다.

다」

다른 모둠의 잘된 점 칭찬하기

활동의 참여한 소감을 작성하 고 발표하기

2. 세부내용 2-1. 1차시

8일간의 행진 – 1일차

준비기관을 만들다

◎ 개요 학습 목표

주요 활동

1. 프로그램의 목표와 구성내용을 이해한다. 2. 정조대왕의 ‘화성능행차’에서 취타대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프로그램 소개 및 강사 소개하기 ‘원행을묘정리의궤’ 알아보기 ‘대취타’ 알아보기 모둠 구성 및 역할 나누기 음악

관련 교과 및 요소, 성취기준

타악기의 음색, 다양한 소리의 어울림 사회 [6사04-01]영・ 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수업 자료

『의궤, 8일간의 축제』 동영상, PPT

대상연령

초등학교 5-6학년

연관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107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 세부 활동 내용 1. 들어가기 n 프로그램 소개 및 강사 소개하기

8차시의 프로그램 목표와 내용을 안내한다.

-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을 안내하고 동기를 부여한다.

진진가 놀이로 강사 소개를 한다.

2. 참여하기 n ‘원행을묘정리의궤’ 알아보기

참고자료 1

‘원행을묘정리의궤’의 뜻을 알아본다.

- 정조의 어머니이자 사도세자의 부인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기록한 의궤이 다. - 원행(임금이 현륭원에 행차함), 을묘(1795년), 정리(정리소에서 제작), 의궤(국가공 식기록)이다. - 8권의 책으로 행사의 그림, 행사의 진행 방법, 절차, 참가자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의궤, 8일간의 축제』 중 일부를 감상한다.

감상한 소감을 이야기 나눈다.

참고자료 2

n ‘대취타’ 알아보기

동영상에서 본 취타대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취타대가 연주하는 음악의 역할은 무엇인가? ; 행렬의 속도와 움직임을 음악으로 지휘한다. 행렬의 모습을 더욱 장엄하게 만 들어 준다 등.

동영상의 배경 음악 ‘대취타’에 대해 알아본다.

- 동영상의 배경 음악은 ‘대취타’로 임금의 행차나 군대의 행진에 사용하는 악 곡이다. - ‘대취타’를 연주하는 악단을 취타대라고 부르며, 취타대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취타수가 있다. - ‘대취타’의 구성 악기는 태평소, 용고, 자바라, 나발, 나각, 징, 장구이며 이 중 용고, 자바라, 나발, 나각을 공학적 요소를 활용하여 연주한다. n 모둠 구성 및 역할 나누기

4인 1모둠으로 모둠을 구성한다.

- 모둠의 이름을 정한다.(OOO 취타대) - 진행자(모둠활동의 리더), 기록자(모둠활동 기록), 발표자(활동 진행상황을 발표), 도우미(다른 역할들을 도움)로 모둠 역할을 나눈다.

모둠의 응집력 강화를 위한 모둠 구호를 만든다. 108


국악분야 - 우수상

발표자가 모둠 내 역할을 발표한다.

모둠별로 모둠 구호를 외친다.

3. 정리하기 n 학습 내용 정리 및 차시 예고하기

‘원행을묘정리의궤’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취타대가 연주하는 ‘대취타’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의궤, 8일간의 축제』를 찾아 감상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차시 예고를 한다.

활동의 유의점

모둠 역할을 나눌 때와 모둠 구호를 만들 때 시간을 정해주고, 진행자가 주어진 시간을 넘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 참고 자료 1

원행을묘정리의궤

정조의 어머니이자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부인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은 1795년(정조 19) 윤2월 9 <그림 1> 원행을묘정리의궤

일부터 16일까지 화성(華城: 지금의 수원 성곽)에 서 열렸다. 당시 정조는 노량진 앞 한강에 배들을 잇대어 다리를 놓은 주교(舟橋)를 설치하고 100리 길을 행행(行幸)하여 화성행궁(華城行宮)에서 8일 동안 잔치를 벌였다. 진찬(進饌) 외에도 문무과방 방(文武科放榜), 행성조(行城操), 어사(御射), 사미 (賜米), 양로연(養老宴) 등 부속 행사를 다채롭게 펼쳤다. 정조가 이렇게 전례가 없을 만큼 거창하게 행사 를 치른 까닭은 1795년이 정조 재위 20주년에 해 당하는 데다 자전(慈殿)의 나이가 육십을 바라보 고, 사도세자의 구갑(舊甲)이며, 혜경궁 홍씨의 주 갑(周甲: 회갑)에 해당하는 뜻 깊은 해였기 때문이 라고 이 의궤에 적혀 있다. 그러나 그 의도는 화 성 건설의 명분을 높이고 화성을 통한 왕권 강화 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행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참고 자료 2

- 의궤, 8일 간의 축제 (8:10‘-11:30’)

https://www.youtube.com/watch?v=OFrAMONVcRY

109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2-2. 2차시

8일간의 행진 – 2일차

취타대를 조직하다

◎ 개요 학습 목표

주요 활동

1. ‘대취타’를 감상하고 음악적 특징을 이야기할 수 있다. 2. ‘대취타’ 구성 악기의 음색을 듣고 구별할 수 있다. ‘대취타’를 감상하고 음악적 특징 이야기하기 반차도에 나타난 취타대 관찰하기 ‘대취타’ 구성 악기의 음색 구별하기 연주할 악기 선정하기 음악

관련 교과 및 요소, 성취기준

수업 자료 대상연령

타악기의 음색, 다양한 소리의 어울림 사회 [6사04-01]영・ 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TV악학궤범”중 ‘대취타’편 동영상, PPT, ‘대취타’ 음원 및 동영상, 반차도, ‘대취 타’구성 악기 음원 및 사진

연관

초등학교 5-6학년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 세부 활동 내용 1. 들어가기 n 전시 학습 상기하기

모둠별로 전시에 만든 모둠 구호를 외친다.

<원행을묘정리의궤>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확인한다.

“TV악학궤범” 중 “대취타”편을 감상한다(4:33).

감상 후 전시에 학습한 내용 외에 새로 알게 된 내용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참고자료 1

2. 참여하기 n ‘대취타’를 감상하고 음악적 특징 이야기하기

참고자료 2

‘대취타’ 동영상을 감상한다.

동영상을 감상한 후 ‘대취타’의 음악적 특징을 한 문장으로 정리한다.

- 소리가 - 악기가 주로 - 빠르기가

하다. 이다. 하다.

모둠별로 ‘대취타’의 음악적 특징을 정리한다.

정리한 내용을 발표하고 질문을 통해 친구들과 생각을 공유한다.

n 반차도의 취타대 관찰하기

반차도에 묘사된 취타대의 연주 모습을 관찰한다. 110


국악분야 - 우수상

- 말을 탄 상태로 악기를 연주한다. - 태평소와 타악기 외에 다른 악기도 볼 수 있다. 대금이나 해금 등의 악기를 연 주하는 사람은 세악수로 행렬의 뒤를 따르는데, 현재는 취고수만으로 축소 편성하 여 연주한다. <그림 2> 원행을묘정리의궤 중 반차도

n ‘대취타’ 구성 악기의 음색 구별하기

참고자료 3

‘대취타’의 구성 악기를 알아본다.

- ‘대취타’는 관악기와 타악기가 중심이 되는데, 관악기에는 나발, 나각, 태평소 가 있고 타악기에는 용고, 자바라, 징이 있다.

구성악기의 생김새와 음색을 알아본다.

- 구성악기를 사진자료로 제시하고 이름 맞히기 놀이로 생김새를 파악한다. - 구성악기의 음원 파일을 듣고 음색을 알아본다.

‘대취타’구성 악기의 음원을 듣고 악기의 음색을 구별한다.

- 구성 악기의 음원을 듣고 이름 맞히기 놀이를 한다. n 연주할 악기 선정하기

모둠 내에서 연주할 악기를 선정한다.

- 집사, 나발, 나각, 자바라, 용고로 나누어 악기를 정한다.

모둠별로 나눈 역할을 발표한다.

3. 정리하기 n 학습 내용 정리 및 차시 예고하기

‘대취타’의 음악적 특징을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대취타’의 구성 악기와 음색에 대해 이야기한다.

차시 예고를 한다.

▷ 참고 자료 1 “TV악학궤범” 중 ‘대취타’편

https://www.youtube.com/watch?v=PxCXc8gn67w ▷ 참고 자료 2 대취타 111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대취타는 임금의 거동, 현관의 행차, 군대의 행진이나 개선 등에 쓰였던 음악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무 령지곡’이라 한다. 태평소와 일정한 음이 없는 취악기와 타악기의 편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렬의 앞부분 과 뒷부분에 각각 악대가 있어 앞의 악대를 전부고취, 뒤의 악대를 후부고취라 한다. 악기편성은 시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태평소·피리 등의 가락악기와 징·자바라·용고 등의 타악기 로 편성되었다. 또한 곡의 구성은 시작부분의 집사가 ‘명금일하 대취타 하랍신다’(징을 울려 대취타 연주를 시작하라)라고 외치면 징이 울리고 용고의 신호에 맞추어 음악을 연주한다. 이후 끝부분에서는 집사가 등 채를 올려 ‘허라금’(음악을 멈추어라)하고 외치면 음악을 멈춘다. 출처: 권덕원, 황병훈, 송정희, 박주만 (2012). 국악교육론. 교육과학사. ▷ 참고 자료 3 ‘대취타’ 구성 악기

나발

나각

자바라

용고

태평소

2-3. 3차시

8일간의 행진 – 3일차

악보를 만들다

◎ 개요 학습 목표

1. 대취타의 악기별 구음을 익혀 구음 합주를 할 수 있다. 2. 모둠별로 대취타 그림 악보를 만든다. ‘대취타’의 장단 익히기

주요 활동

악기별 연주 특징 알고 구음 합주하기 모둠별로 그림 악보 또는 기호 악보 만들기 음악

관련 교과 및 요소, 성취기준

타악기의 음색, 다양한 소리의 어울림, 장단 [6음01-01]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노래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한다. [6음02-01] 5~6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와 개념을 구별하여 표현한다.

수업 자료 대상연령 112

‘대취타’동영상, A3 종이, 색연필, 사인펜, 자, 색종이, 스티커, 교사용 장구 초등학교 5-6학년

연관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국악분야 - 우수상

◎ 세부 활동 내용 1. 들어가기 참고자료

n 드라마에서 옥에 티 찾기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의 ‘7회 온양행궁 행차장면’을 감상한다.

동영상의 대취타 연주 장면에서 잘못 된 점을 찾아 발표한다.

- 취타대가 연주하는 음악은 ‘만파정식지곡’으로 ‘대취타’가 아니다. - ‘만파정식지곡’은 ‘취타’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관현악편성으로 행진하면서 연주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2. 참여하기 n ‘대취타’의 장단 익히기

‘대취타’의 장단을 알아본다.

- ‘대취타’는 12박이 한 장단으로 구성되어있다. - ‘>’은 ‘장단의 세’로 다른 부분보다 강조해서 표현한다.

장단을 장구 구음으로 부른다.

장구 장단에 맞추어 무릎장단으로 연주한다.

- ⦶(덩)은 양손, ○(쿵)은 왼손, ⅰ(기덕)은 오른손을 사용한다.

>

>

>

>

ⅰ 기덕

‘대취타’연주 동영상에 맞추어 무릎장단을 연주한다.

n 악기별 연주 특징 알아보기

각 악기의 연주 특징을 알아본다.

- 징과 자바라는 1,3,5,9박을 크게 치고, 7,8박은 가볍게 연주한다. - 나발은 홀수 장단에서 소리 낸다. - 나각은 짝수 장단에서 소리 낸다. - 태평소는 처음부터 끝까지 가락을 연주한다.

홀수 장단의 악기 구음을 살펴본다.

- 악기 구음은 학생들이 정할 수 있다. >

>

>

>

장구

용고

나발

자바라

기덕

113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짝수 장단의 악기 구음을 살펴본다. >

>

>

>

장구

용고

나각

자바라

기덕

모둠에서 나눈 악기로 역할을 나누어 구음 합주를 한다.

- 강사는 장구를 치고, 집사 역할을 맡은 학생은 시작할 때 ‘명금일하 대취타 하 랍신다’를 외치고 끝날 때 ‘허라금’을 외쳐서 시작과 끝을 알린다. n 모둠별로 그림 악보 만들기

모둠별로 그림 악보를 만들기를 계획한다.

- 진행자가 회의를 진행하고 기록자는 회의를 기록한다. - 각 악기의 그림을 표현할 아이콘을 정한다(악기 그림, 색, 스티커 등). - 홀수 장단의 악보와 짝수 장단의 악보 2장단을 만든다. - 필요한 재료를 결정하고 도우미가 재료를 준비한다.

모둠별로 그림 악보를 만든다.

- 모둠 친구들과 사이좋게 그림 악보를 만든다. <그림 3> 대취타 그림 악보 홀수 장단/ 짝수장단

출처: 장기범 외 (2014). 초등학교 음악 3-4. ㈜미래엔

발표자는 자기 모둠의 그림 악보를 친구들에게 소개하는 발표를 한다.

3. 정리하기 n 학습 내용 정리 및 차시 예고하기

모둠별로 그림 악보를 보고 ‘대취타’에 맞추어 구음 합주를 한다.

활동 소감을 이야기 나눈다.

차시 예고를 한다.

▷ 참고 자료 드라마“해를 품은 달” 중 ‘7회 온양행궁 행차장면’(11:25-13:00) 114


국악분야 - 우수상

2-4. 4차시

8일간의 행진 – 4일차

악기를 정비하다(1/2)

◎ 개요 학습 목표

1. 2차원 재료를 활용해 3차원 입체 조형을 할 수 있다. 2. 전기회로를 악기 만들기(조형 활동)에 응용할 수 있다. 전기회로 이해하기

주요 활동

골판지 악기 만들기 전도성 테이프와 스위치를 활용해 악기 위에 전기회로 꾸미기 과학 [6과13-01]전지와 전구, 전선을 연결하여 전구에 불이 켜지는 조건을 찾아 설명할 수 있다. [6과13-03] 전기를 절약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관련 교과 및

요소, 성취기준 미술 [6미01-05] 미술 활동에 타 교과의 내용,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6미02-03]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와 관련된 표현 내용을 구체화할 수

수업 자료

있다. 전기회로 실습 워크시트, 전도성테이프 와 스위치 등 전기재료, PPT자료, 골판지, 색지, 풀, 가위 등 미술활동 재료

대상연령

연관

초등학교 5-6학년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 세부 활동 내용 1. 들어가기 n 활동 내용 알아보기

본시 수업 내용과 진행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모둠별로 수업에 활용할 재료를 나눈다.

- 각 모둠의 도우미가 수업 재료를 받는다. 2. 참여하기 n 전기회로 이해하기

전기회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적 개념과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 전류란 전기의 흐름을 말한다. 전기가 흐르는 길이 바로 전기 회로이다. - 전압이란 전자가 이동하도록 하는 힘을 말한다. 우리가 만들 전기회로에서는 배터리가 전압을 만들어

낸다. - 배터리의 +극(전원)과 –극(그라운드)이 바로 연결된 상태를 합선이라고 한다. 합선이 되면 위험하니 주 의해야 한다. n 전도성 테이프와 스위치를 활용해 전기회로 꾸미기

참고자료 1

워크시트를 참고해 직접 전기회로를 만들어 본다. 115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 전도성 테이프를 붙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스위치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 워크시트를 활용해 스위치 회로를 구성한다. - 스위치를 누르면 LED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작동이 안 되는 경우 원인을 찾고 해결한다. <사진 1> 워크시트를 활용한 종이회로 만들기

n 골판지 악기 만들기

‘대취타’ 구성악기의 사진을 참고하여 나만의 악기 형태를 구상하고 종이에 스케치 한다.

골판지를 잘라 끼우거나 붙여 악기 형태를 만들고 색지 등 주어진 재료를 활용해 악기를 꾸민다.

실습 내용을 응용해 전도성 테이프로 악기 위에 스위치 회로를 구성한다. <사진 2> 골판지로 악기 만들기 (예시작품: 손바닥 모양의 자바라)

3. 정리하기 n 학습 내용 정리 및 차시 예고하기

악기를 제작한 과정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악기를 선택한 이유와 자신만의 악기 모양을 만든 이유 등)

전기회로를 악기 만들기에 적용해 본 소감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차시 예고를 한다.

활동의 유의점

악기의 형태를 만들고, 꾸미고,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단계별로 시간을 정해 가등한 시간이 지체되지 않 도록 한다.

만들기 경우 진행속도에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전기회로 구성 이전까지 완성되었으면 다음 차시에 이 116


국악분야 - 우수상 어서 완성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구현하기 어려운 형태는 피하도록 조언한다.

▷ 참고 자료 1 종이 위에 전도성 테이프를 붙여 꾸미는 ‘종이회로’Paper circuit - 전도성 테이프란 본래 회로 보수나 전자파 차단 등에 사용되는데, 자르고, 붙이기 좋고 전기가 통한다는 특징이 있어 전선 대신 활용한다. 전도성 테이프를 활용해 납땜 없이 전기회로를 꾸밀 수 있어 다양한 종이공작에 활용하기 좋다. <사진 3> 종이회로로 만든 다양한 작품들

출처: 예술공학창작소Craker 웹사이트

2-5. 5차시

8일간의 행진 – 5일차

악기를 정비하다(2/2)

◎ 개요 학습 목표

주요 활동

1. 나만의 악기가 컴퓨터와 연결되어 어떻게 소리를 내는지 안다. 2. 정리의궤 속 악공의 의복을 관찰하고 조형적 특징을 안다. 음원 앱 설치하기, 골판지 악기와 아두이노(소형 컴퓨터) 연결하기 악기별 소리 내보기 의궤를 통해 악공의 의복의 조형적 특징 관찰하기 나만의 취타대 의복 구상하기 과학

[6과13-01]전지와 전구, 전선을 연결하여 전구에 불이 켜지는 조건을 찾아 설명할

관련 교과 및

수 있다.

요소, 성취기준 미술 [6미03-01] 우리나라 전통 미술의 특징을 현대 미술과 비교할 수 있다.

수업 자료 대상연령

[6미03-02] 미술 작품이 시대적 배경과 관련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 된 아두이노, 음원 앱, 악기와 연결되는 부분 모듈(제작), PPT자료, 연필, 도화지 등 미술활동 재료 초등학교 5-6학년

연관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117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 세부 활동 내용 1. 들어가기 n 활동 내용 알아보기

본시 수업 내용과 진행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모둠별로 수업에 활용할 재료를 나눈다.

- 각 모둠의 도우미가 수업 재료를 받는다. 2. 참여하기 n 나만의 악기가 소리를 내는 방식을 이해한다.

컴퓨터와 입력 출력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 스위치를 통해 켜짐/꺼짐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다. - 입력된 신호를 받은 컴퓨터는 프로그래밍 된 내용에 따라 모바일앱으로 신호를 보내 소리를 낸다. 출

력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학생들이 수집한 음원의 소리를 모바일앱을 통해 출력한다. n 악기와 컴퓨터 연결해 소리 내보기

참고자료 1

설명을 듣고 모바일 음원 앱을 다운받는다.

앱을 실행 시킨 후 지난 차시에 만들었던 악기와 제공된 아두이노(소형 컴퓨터)를 연결한다.

악기별로 스위치를 작동하면 소리가 나는지 확인한다. 작동이 안 되는 경우 원인을 찾고 해결한다.

n 의복 구상하기

참고자료 2

의궤 속 그림에서 나타난 취타대의 의복에서 나타나는 색, 형태 등 조형적 특징을 관찰한다.

사용할 색과 재료를 결정한다.

- 5가지 이하로 재료나 색을 제한한다.

내가 선택한 악기와 모둠별 특징을 고려해 취타대를 표현할 수 있는 의복을 구상한다.

n 의복 스케치하기

의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한다. - 악기의 스위치 신호로 LED에 불이 들어오도록 한다.

스케치 할 때 고려해야 할 LED 위치 등에 대해 설명한다.

구상한 내용과 설명을 토대로 내가 만들 의복을 스케치 한다. <사진 1> LED옷 구상하기

118


국악분야 - 우수상

3. 정리하기 n 학습 내용 정리 및 차시 예고하기

나만의 악기가 어떻게 소리를 낼 수 있는 지 이야기 나눈다.

과거의 의복과 구상한 의복(현대의 의복)의 공통점,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차시 예고를 한다.

▷ 참고 자료 1 1) 음원 앱

이번 수업을 위해 스크래치 같은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인 앱인벤터로 악기 음원을 넣은 간단한 안드로이드 앱을 제작 했다. 압축파일을 다운(무료)받아 모바일에 설치해 소리를 낼 수 있다. <사진2> 다운로드 받은 음원 앱 실행 모습 (connect 버튼을 눌러 연결) 2)아두이노의 활용

최근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서 많이 활용되는 교구이다. 이 번 프로그램에서는 전기회로로 구성한 악기와 연결해 소리 를 낼 수 있도록 신호를 받고 보내며 악기 연주 시 LED에 불이 켜지도록 하는데 사용한다. 가격이 저렴해 교육용도로 적합하다.

<사진3> 아두이노 출처: 위키피디아 이미지

▷ 참고 자료 2

<그림1> 원행을묘정리의궤 중 반차도 <원행을묘정리의궤> 중 반차도에 나타나는 악공 의복의 색과 형태 등 특징을 관찰하도록 한다. 조선시대 에는 유교관에 바탕한 신분과 질서에 따라 의복의 색을 제한, 연주자들의 경우 적색, 청색계통, 황색 등을 사용하였으며, 악공은 하급계층의 통상복인 철릭(두루마기 형태)을 착용하였다.

119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2-6. 6차시

8일간의 행진 – 6일차

의복을 갖추다

◎ 개요 학습 목표

1. LED를 활용해 전기회로를 꾸밀 수 있다. 2. 모둠별 취타대의 특징을 드러내는 옷을 만들 수 있다. 입지 않는 옷(또는 천)을 활용해 새로운 형태의 취타대 의복 만들기

주요 활동

LED를 활용해 전기회로 꾸미기 악기를 연주할 때마다 빛이 나는 의복 완성하기 과학 [6과13-01]전지와 전구, 전선을 연결하여 전구에 불이 켜지는 조건을 찾아 설명할 수 있다. 미술

[6미03-01] 우리나라 전통 미술의 특징을 현대 미술과 비교할 수 있다.

관련 교과 및

[6미02-03]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와 관련된 표현 내용을 구체화할 수

요소, 성취기준

있다.

[6미02-04] 조형 원리(비례, 율동, 강조, 반복, 통일, 균형, 대비, 대칭, 점증・점이, 조 화, 변화, 동세 등)의 특징을 탐색하고, 표현 의도에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

수업 자료

다 입지 않는 옷(또는 천), 글루건, 염색용 펜, 단추, 깃털, 레이스 등 꾸미기 재료, LED, 전도성 테이프, PPT자료, 3-4차시에 제작한 악기

대상연령

초등학교 5-6학년

연관 교육과정

◎ 세부활동 내용 1. 들어가기 n 활동 내용 알아보기

본시 수업 내용과 진행 방법에 관해 알아본다.

모둠별로 수업에 활용할 재료를 나눈다.

- 각 모둠의 도우미가 수업 재료를 받는다. 2. 참여하기 n 입지 않는 옷(또는 천)으로 의복 제작하기

친구들과 지난 시간에 구상한 의복에 관해 이야기 나눈다.

참고자료를 보며 의복을 만드는 순서를 알아본다.

- 의복을 만드는 순서는 각자 다를 수 있다.

구상한 것을 토대로 자르거나 붙이는 방식으로 형태를 만든다.

잘라놓은 천에 구상한 디자인을 스케치한다.

미리 선택한 색과 재료를 사용하여 의복을 꾸민다. 120

창의적 체험활동


국악분야 - 우수상

- 사전에 활동 시간을 공지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의복 꾸미기를 완성하도록 한 다. - 꾸미는 동안 ‘대취타’를 반복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음악을 제공한다. <사진1> 의복 만들기와 꾸미기

n 전기회로 꾸미기

만든 옷 위에 전기회로를 꾸민다.

- 전도성 테이프로 전기가 지나갈 길을 만들어 준다. - 극성을 고려해 LED를 부착한다. - 투명 테이프를 붙여 합선 위험을 방지한다. - 아두이노를 적당한 위치에 고정하고 전원(+), 그라운드(-)와 연결한다. <사진 2> 스위치 회로를 활용해 만든 빛나는 LED옷 / 아두이노와 연결하기

심화활동

참고자료 1

n 악기를 연주하면 빛이 나는 LED의복 만들기

악기를 연주할 때마다 LED가 켜지는 의복을 만든다.

3. 정리하기 n 학습 내용 정리 및 차시 예고하기

내가 만든 옷을 친구들에게 소개한다. -구상한대로 결과물이 나왔는지? 왜 그렇게 만들고자 했는지?

차시 예고를 한다. 121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 참고 자료 1 악기를 연주하면 LED에 빛이 들어오는 전기회로의 구성과 원리

- 학생들은 전도성 테이프, LED를 활용해 전기회로를 꾸민다. 3-4차시에서 배운 회로를 응용해 구성한 다. - 스위치 회로로 구성한 악기로부터 연주할 때마다 on/off 신호가 LED로 전달되어 발광한다. 이때 전원

은 아두이노를 통해 공급한다.

2-7. 7차시

8일간의 행진 – 7일차

대취타를 연습하다

◎ 개요 1. 그림 악보를 보고 모둠별로 자신이 만든 악기를 연주 할 수 있다.

학습 목표

2. 대취타 연주에 맞추어 ‘뉴미디어 대취타’ 합주를 할 수 있다. 모둠별로 그림 악보를 보고 자신이 만든 악기 연주하기 LED 연주복을 착용하고 연습하기

주요 활동

‘뉴미디어 대취타’ 합주하기 음악

관련 교과 및 요소, 성취기준

한배, 다양한 소리의 어울림, 장단 [6음01-01]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노래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한다. [6음02-01] 5~6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와 개념을 구별하여 표현한다. ‘대취타’동영상, LED 연주복, 내가 만든 악기

수업 자료

연관

초등학교 5-6학년

대상연령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 세부 활동 내용 1. 들어가기 n ‘대취타’ 를 감상하며 걷기

참고자료

‘대취타’를 감상하면서 장단의 한배를 느끼며 걷는다.

- 교실의 가장 자리를 활용하여 걷기를 하는데, 공간이 좁을 경우에는 인원을 나 누어서 진행한다. >

>

>

기덕

구음과 손뼉장단을 치며 걷는다. 122

>


국악분야 - 우수상

2. 참여하기 n 연주복과 악기를 아두이노(소형 컴퓨터)와 연결하기

지난 시간 만든 옷과 나만의 악기를 각각 아두이노에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한다.

친구의 도움을 받아 의복을 착용하고 악기를 들어본다.

악기를 연주할 때 핸드폰을 통해 소리가 잘 나는지, 연주할 때 연주복의 LED에 불이 잘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사진 1> 의복 착용하고 작동 시험하기

n 모둠별로 그림 악보를 보고 내가 만든 악기 연주하기

그림 악보를 보고 친구들과 소리의 어울림을 느끼며 합주를 한다.

집사의 시종 신호에 맞추어 합주를 한다.

- 집사는 강사가 될 수 있고, 한 학급에서 한 명 또는 모둠 안에서 취타수 중 한 명이 1인 2역을 할 수도 있다.

모둠별로 음악에 맞추어 걸어본다.

불편한 부분이 없는지 확인한 후 모둠 내에서 해결 방안을 찾는다.

-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 해결이 어려울 경우 선생님께 도움을 요청한다. n ‘뉴미디어 대취타’ 합주하기

모둠별로 연습을 계획한다.

- 진행자는 연습 계획에 대한 회의를 진행하고 기록자는 회의 내용을 기록한다. - 발표자는 모둠의 연습 계획을 발표한다.

악기와 LED 연주복을 갖추고 ‘대취타’에 맞추어 연주한다.

- 교실이 너무 밝을 경우 LED 발광 효과가 떨어지므로 교실을 어둡게 만드는 것 도 좋은 방법이다.

모둠별로 호흡을 맞추어 연습하고 잘 안 되는 부분은 따로 부분 연습을 진행한다.

모둠별로 연습한 내용을 발표한다.

3. 정리하기 n 학습 내용 정리 및 차시 예고하기

활동 소감을 이야기 나눈다.

마지막 수업 시간에 보다 멋진 발표를 위해 머리 모양 통일하기, 양말 색깔 맞추기 등의 약속을 학생 123


원행을묘정리의궤로 보는 뉴미디어 대취타 - 8일간의 행진 스스로 정한다.

차시 예고를 한다.

▷ 참고 자료 한배

한배는 전통음악의 빠르기를 가리키는 용어로 음악의 빠르고 느린 정도를 가리킨다. 본래는 화살이 날아가는 거리와 시간을 뜻하였다. 느린 음악을 설명할 때 ‘한배가 긴 음악’, 빠른 음악을 설명할 때 ‘한배가 짧은 음악’이라고 표현한다. 출처: 국립국악원

2-8. 8차시

8일간의 행진 – 8일차

명금일하 대취타 하랍신다

◎ 개요 학습 목표

주요 활동

1. 모둠별로 발표하고 잘된 점을 칭찬한다. 2. 활동에 참여한 소감을 작성하고 발표한다.

나를 표현한 악기와 연주복에 대해 소개하기

모둠별 특징을 살린 행진 퍼포먼스와 연주 발표하기

활동의 참여한 소감을 작성하고 발표하기

음악

관련 교과 및 요소, 성취기준

타악기의 음색, 다양한 소리의 어울림, 장단 [6음01-01]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노래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한다. [6음02-01] 5~6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와 개념을 구별하여 표현한다.

수업 자료 대상연령

‘대취타’음원, LED 연주복, 내가 만든 악기 초등학교 5-6학년

연관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 세부 활동 내용 1. 들어가기 n 모둠별로 발표 준비하기

모둠별로 발표를 준비한다.

- 연주복, 내가 만든 악기, 머리모양, 옷매무새 등을 정비한다.

발표 순서를 정한다.

- 모둠에서 원하는 것을 반영하여 발표 순서를 정하되 서로 미루거나 정하기 어려 울 경우에는 제비뽑기 등으로 순서를 정할 수 있다.

124


국악분야 - 우수상

2. 참여하기 n 나를 표현한 악기와 연주복에 대한 소개 준비하기

내가 만든 악기와 LED 연주복을 만든 의도를 생각한다.

- 소개가 길어지면 활동 시간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포스트잇에 한 문장으로 적어서 발표하게 하는 것이 좋다.

모둠별로 발표를 전에 한 명씩 자신의 의도를 소개하는 연습을 한다.

n 모둠별 특징을 살린 행진 퍼포먼스와 연주 발표하기

미리 정한 순서대로 모둠별 특징을 살린 행진 퍼포먼스와 연주를 발표한다.

다른 모둠의 학생들은 축제의 느낌이 나도록 환호해주거나 박수를 치면서 감상한다.

한 모둠의 발표가 끝나면 다른 모둠의 학생들이 발표를 보고 잘된 점을 칭찬한다.

n 활동에 참여한 소감을 작성하고 발표하기

활동에 참여한 소감문을 작성한다.

- 3-4줄 정도로 간단하게 작성한다.

모둠끼리 활동에 참여한 소감을 나누고, 서로 서로 칭찬한다.

모둠에서 좋은 소감문을 선정하여 다른 모둠 친구들에게 소개한다.

3. 정리하기 n 학습 내용 정리 및 성찰하기

‘대취타’에 대한 느낌을 발표하고 내면화한다.

- 첫 수업 시간에 들었던 ‘대취타’의 느낌과 현재의 느낌을 비교하여 발표한다.

‘대취타’에 대해 한줄 정리로 성찰하고 수업을 마친다.

-‘대취타’는

이다.

125



국악

입선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김현주, 박고우리



국악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세부 분야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국악

초등학교 3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토요동아리, 초등 학교 돌봄 동아리, 중학교 자유학기제(예술체육활동, 동아리활동) 40 분 (각 차시당) 함께라서 더 재미있는, 신명나는 탈춤놀이 한판 놀아보세! ▸ 프로그램 개관 및 개발 배경

공동체 의식을 점점 잃어버린 우리가 사는 현재, 대가족에서 핵가족, 1인 가족으로 변천하는 과정에서 이기주의, 개인주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학생들 간의 왕따나 학교폭력 등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대동놀이의 성격이 강한 봉산탈춤을 접해봄으로써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고, 원만한 인격형성에

프로그램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내용 요약

▸ 프로그램 특성 및 강점

탈춤의 장단과 춤사위를 익히고 체험하면서 우리 고유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다. 또한 만들기 활동을 통해 자기의 개성을 표현하며 창의성을 향상시키고, 서로의 꿈을 알고 응원하며 격려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끝으로 모둠원이 함께 만든 재담으로 친구들 앞에서 작은 발표회를 함으로써 자신감 향상과 협동심, 배려심을 갖게 한다.

129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1. 탈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1차시

2. 우리나라 각 지역별 탈춤을 알아보고 이해할 수 있다. 1. 나의 희망을 담아 탈과

2차시

한삼을 만들어 볼 수 있다.

주요 활동내용 - 인사 및 진행 과정 소개 - 인사굿 배우기 - 내 감정을 탈에 비유하여 말하기 - 지역별 탈춤 소개하기 - 우리나라의 지역별 탈과 세계의 가면 알아보기 - 표정을 넣어 하나뿐인 탈 만들기 - 나의 꿈을 넣은 한삼 만들기

1. 탈춤의 기본 춤사위를 익히는 과정을 통해 친구들과 소통하고 3차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2. ‘봉산탈춤’의 기본 사위를 익혀 우리 문화를

- ‘봉산탈춤’ 감상하기 (2과장의 목중춤, 5과장사자춤) - ‘봉산탈춤’ 기본 춤사위 배우기 (불림, 고개잡이, 다리들기, 황소걸음, 외사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1. 창작국악동요 4차시

“탈춤놀이” 노래를

- 창작 국악동요 ‘탈춤놀이’ 배워보기

부를 수 있다.

- 노래에 맞추어 봉산탈춤의 기본동작 넣어

2. 노래에 맞추어 기본

춤춰보기

춤사위를 출 수 있다. 1. ‘나의 꿈’을 주제로 모둠별 재담을 만들 수 5차시

있다. 2. 재담을 통해 친구들과 어울리는 음률과 발림을 창작하여 발표할 수 있다.

130

- 우리 모둠 재담 만들기 - ‘재담’에 맞는 불림 동작 만들기 - 모둠별 발표하기


국악분야 - 입선

6차시

1. 타령장단을 배울 수 있다. - 타령장단 (기본장단, 변형장단) 배우기 2. 탈춤에 필요한 여러 - 악기로 타령장단 연주하여 보기 타악기들로 화합하여 (장구, 북, 꽹과리, 징) 연주 할 수 있다.

7차시

1. 지금까지 배우고 만든 것을 갖고 역할을 정하여 연습할 수 있다. 2. 각자 맡은 역할의 중요성을 알고 발표회 준비과정을 통해 모둠원들의 협동심을 느낄 수 있다. 1. 모둠별로 반 친구들

8차시

앞에서 자신의 꿈을 담은 탈춤을 자신 있게 발표하여 본다.

- 모둠별 팀명 만들기 - 역할 나누기(악사, 연희자) - 발표회 준비를 위한 연습하기

-

발표회 총연습 하기 탈춤 발표회 하기 우리들의 발표 모습 다시보기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소감나누기

2. 세부내용 2-1. 1차시 프로그램명 대상 학습주제 학습목표 프로그램 개요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3학년

박고우리, 김현주

1 / 8

교육시간

40분

우리의 탈춤과 세계의 탈을 보고 느끼기 1. 탈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2. 우리나라 각 지역별 탈춤을 알아보고 이해할 수 있다. 옛 선조들의 신분 갈등과 양반들의 부조리를 탈을 통해 풍자적으로 말하였듯, 학생들 역시 자신의 감정을 탈을 빌어 표현하고 이야기하여 이해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통합교과 1, 2

관련교과

지도교사

차시

남북한에서 하는 놀이를 하고, 통일을 바라는 마음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음악 3, 4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표현을 한다. 음악 5, 6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체육 5

여러 나라의 전통적인 민속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탐색한다. 131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학습

시간 자료(

교수·학습활동

단계

(분)

◇ 학습 동기 유발

) 및

유의점(*)

5

인사 및 진행 과정 소개

- 교사의 소개와 앞으로 함께 할 내용을 소개한다. S: 인사하기

도입

교사 장구

S: 수업 진행 과정 설명을 듣는다.

인사굿 배우기

- 교사의 장구 장단에 맞추어 인사굿 장단을 배운다. 학습

시간 자료(

교수·학습활동

단계

(분)

ⵀ ⵀ

ⵀ ⵀ

ⵀⵀ ⵀ ⵀ ⵀ

안녕 하

) 및

유의점(*)

S: 학생들은 손뼉장단을 치면서 인사굿을 배운다. ◇ 활동 -1

15

내 감정을 탈에 비유하여 말하기

- 교사가 준비한 탈 사진을 보고 하나를 고른다.

탈 사진

- 탈 사진을 내 감정에 빗대어 생각을 정리한다. - 2분 동안 생각한 뒤 친구들 앞에서 발표한다.

* 친구의 발표를

전개

들을 때 웃거나 놀리지 않도록 사전에 주위를 준다.

132


국악분야 - 입선

T: 왜 이 사진을 선택했나요? S: 저는 오늘 아침에 엄마한테 혼이 나서 이 우는 모습의 탈을 골랐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아침에 있었던 일이 자꾸 떠올라 슬픕니다. ◇ 활동 -2

15

지역별 탈춤 소개하기

PPT,

- 우리의 탈춤(봉산탈춤, 양주별 산대놀이,

사진,

하회별신굿탈놀이, 통영오광대 등)을 알아본다.

동영상,

- 다른 나라의 가면극(중국의 경극, 일본의

학습지

가부키, 태국의 콘 등)을 알아본다.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T: 우리의 선조들은 탈춤을 왜 추었을까요? S: 농사가 잘 되길 빌었어요. 나쁜 잡귀를 쫓게 하려고 했어요. 마을 사람들과 놀기 위해서 춤을 추었어요.

전개

- 봉산탈춤 중 5과장의 사자춤 영상을 감상한다.

사자춤

T: 어떻게 춤을 추었나요?

영상

S: 사자탈을 쓰고 사자 모습을 흉내 내며 추었어요. T: 기억에 남은 것은 무엇인가요? S: 사자탈을 쓰고 흉내 낸 것과 탈의 생김새가 무섭게 생겼어요. ◇ 학습정리

이야기나누기

- 탈을 이용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 느낌을 정리

5

이야기 해본다.

* 서로를 공감하고 이해할 수

T: 오늘 탈을 이용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였는데, 어땠나요?

있도록 진행한다.

S: 저랑 같은 감정을 느끼고 있는 친구가 있어서 133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신기하고 기분이 좋았어요. T: 우리나라 탈춤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탈춤은 무엇인가요? S: 알록달록 봉산탈춤이 기억이 나요. ◇ 차시예고

나만의 탈, 장래희망을 담은 한삼 만들어보기

2-2. 2차시 프로그램명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대상

3학년

지도교사

박고우리, 김현주

차시

2 / 8

교육시간

40분

학습주제

나만의 탈, 장래희망을 담은 한삼 만들어보기

학습목표

1. 나의 희망을 담아 탈과 한삼을 만들어 볼 수 있다.

프로그램

만들기 활동을 통해 자기의 개성을 표현하며 창의성을 향상시키고,

개요

서로의 꿈을 알고 응원하며 격려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통합교과 1, 2

관련교과

남북한에서 하는 놀이를 하고, 통일을 바라는 마음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음악 3, 4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표현을 한다. 음악 5, 6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체육 5

여러 나라의 전통적인 민속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탐색한다.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학습 동기 유발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3

국악인사 (인사굿 장단)

- 교사는 장구로, 학생은 손뼉장단 치며 인사한다. 도입

교사장구

학습동기유발

- 지난시간 탈춤에 대한 내용에 관 한 O. X 퀴즈를 자리에 앉아 손으로 표시하며 풀어본다. 134


국악분야 - 입선

T: 봉산 탈춤은 뛰는 동작이 많다. S: O (머리위로 동그라미) T: 사자탈 안에는

4명의 사람이 들어가 춤을

춘다. S: X (손으로 엑스를 만든다.)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활동 -1

시간 자료( (분)

하회탈, 각시탈, 사자탈 및 세계의 가면사진 * 탈이 상하지 않게 조심스럽 게 순서를 정해 만지고 써볼 수 있도록 한다.

우리나라의 지역별 탈과 세계의 가면 알아보기 가면(중국, 일본, 티베트, 필리핀, 이탈리아, 아메리카, 아프리카)을 교사가 준비한 사진을 통해 알아본다.

- 탈을 만져보고 느낌을 이야기한다. T: 탈을 만졌을 때 촉감은 어떤가요? S: 딱딱했어요. T: 탈을 써 봤을 때 느낌은 어떤가요? S: 불편하고, 답답해요. ◇ 활동 -2

유의점(*)

10

- 우리의 탈(하회탈, 사자탈, 각시탈 등)과 세계의

전개

) 및

20

표정을 넣어 하나뿐인 탈 만들기

- 탈을 받고 준비한 물감으로 자신의 개성을 살려 탈을 칠해 본다. - 눈이나 코를 강조 하거나, 화난표정 웃는 표정 등으로 자신만의 특징을 살려 탈을 완성하여 본다. - 다 칠한 탈은 탈 안쪽에 자신의 이름을 적고 교실 뒤에 말려둔다.

학생수에 맞는 종이탈과 물감 셋트

* 교사가 준비된 여러장의 탈 사진을 예시로 보여준다.

135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활동 -3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5

나의 꿈을 넣은 한삼 만들기

- 한사람씩 한삼 한 쌍을 받아, 한쪽에는 자신의 학생수에

장래희망을 적고 다른 한 쪽에는 미래의 내

맞는 한삼과

모습을 상상하며 그림을 그려본다.

싸인펜

- 싸인펜을 사용하여, 한쪽에는 멋진 글씨로 자신의 이름을 다른 한쪽에는 장래희망을 적는다.

전개

◇ 학습정리

소감 발표하기

- 친구의 탈과 한삼을 비교해 보고 이야기를 나눈다. 정리

- 친구의 장래희망을 알아보고 공감과 응원을 해

136

* 친구의 탈과 한삼을 보고

준다. 친구의 탈을 보고 자신의 탈과

칭찬할 수

비교해보고 장점을 칭찬해 준다.

있도록

◇ 차시예고

2

‘봉산탈춤’의 기본 춤사위 배우기

유도한다.


국악분야 - 입선

2-3. 3차시 프로그램명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대상 학습주제

3학년

지도교사

박고우리, 김현주

차시

3 / 8

교육시간

40분

‘봉산탈춤’의 기본 춤사위로 표현하고 소통하기 1. 탈춤의 기본 춤사위를 익히는 과정을 통해 친구들과 소통하고

학습목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2. ‘봉산탈춤’의 기본 사위를 익혀 우리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탈춤의 장단과 춤사위를 익히고 체험하면서 우리 고유의 문화에 대한

프로그램 개요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즐거움을 느끼고 수업에 참여하고자하는 마음이 생기며 학생들 간의 어울림과 흥미를 유발시킨다. 통합교과 1, 2

관련교과

남북한에서 하는 놀이를 하고, 통일을 바라는 마음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음악 3, 4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표현을 한다. 음악 5, 6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체육 5

여러 나라의 전통적인 민속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탐색한다.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학습 동기 유발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5

국악인사 (인사굿 장단)

- 교사는 장구로, 학생은 손뼉 장단치며 인사한다.

탈춤에 대한 경험 이야기하기

- 탈춤을 보거나 춰본 경험을 이야기 한다. 도입

T: 여러분들은 탈춤을 추는 것을 본 적이 있나요?

교사장구

S: TV에서 탈춤을 추는 것을 보았어요. 단오나 축제행사에서 봤어요. T: 직접 한삼을 들고 춤을 추어 본 적이 있나요? S: 학교에서 해봤어요. 유치원 재롱잔치에서 해봤어요.

137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학습

시간 자료(

교수·학습활동

단계

(분)

◇ 활동 -1

) 및

유의점(*)

7

‘봉산탈춤’ 감상하기

- ‘봉산탈춤’을 영상을 통해 감상하고 그 특징에 대해 이야기한다.

봉산탈춤

- 교사의 설명을 통해 노장탈, 사자탈, 말뚝이탈

영상자료

등 총 27개의 탈이 나온다는 말을 듣는다. T: ‘봉산탈춤’에는 어떤 탈이 나오나요? S: 말뚝이탈, 사자탈, 도련님탈이 생각이 나요. T: ‘봉산탈춤’의 분위기는 어떠하나요? S: 우습고 재미있어요. T: 의상과 춤의 동작은 어떠한가요? S: 뛰는 동작이 많은 것 같아요. 옷이 알록달록해요. ◇ 활동 -2 전개

23

‘봉산탈춤’ 기본 춤사위 배우기

- 구음으로 타령장단을 익힌다. - 교사는 장구로, 학생은 손으로 무릎장단을 치며 큰소리로 타령장단을 익힌다.

타령장단

- 사진을 통해 ‘봉산탈춤’의 기본춤사위 동작을

PPT 또는 사진자료

소개한다.

❘ ○

❘ 얼 - 쑤

덕 쿵

- 기본 춤사위 중 불림을 한다. (‘낙양동천 이화정’을 교사의 음률에 맞춰 큰 소리로 따라한다.) - 교사의 시범 동작을 보며 크게 ‘S’자를 그리면서 불림 구음을 소리낸다. - ‘고개잡이, 다리 들기, 황소걸음, 외사위’를 교사의 시범 동작을 보고 따라 한다.

138

교사 장구,

기본춤사위 동작 사진


국악분야 - 입선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 고개잡이는 양팔을 어깨에 맨 채 상채를 숙이고 바로 세운다. - 다리 들기는 다리를 들어 틀어준다. * 서로 부딪히지 않게 공간을 잘 확보하여

전개

주고, 잘되지 않는 동작은 반복하여 준다.

- 황소걸음과 외사위는 교사의 동작을 보고 따라 한다. - 장단에 맞추어 탈춤을 춘다. - 추임새(얼쑤)를 넣어가며 흥겹게 춤을 춘다. ◇ 학습정리

5

소감 나누기

- 탈춤의 기본사위를 학습한 소감을 이야기 나눈다. 정리

T: 오늘 탈춤추기 어땠나요? S: 뛰는게 너무 많아요. 힘들지만 재미있어요. ◇ 차시예고

‘탈춤놀이’노래에 맞추어 탈춤 춰보기

자료출처 탈춤그림: 장기범 외 9인 (2015). 초등학교 음악 5~6. 서울: (주)미래엔.

139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2-4. 4차시 프로그램명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대상 학습주제 학습목표 프로그램 개요

3학년

지도교사

박고우리, 김현주

차시

4 / 8

교육시간

40분

창작국악동요 ‘탈춤놀이’에 맞추어 탈춤 춰보기 1. 창작국악동요 “탈춤놀이” 노래를 부를 수 있다. 2. 노래에 맞추어 기본춤사위를 출 수 있다. 자신이 만든 탈과 한삼을 끼고 노래에 맞추어 춤을 춤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키고,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통합교과 1, 2

남북한에서 하는 놀이를 하고, 통일을 바라는 마음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음악 3, 4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표현을 한다. 관련교과 음악 5, 6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체육 5

여러 나라의 전통적인 민속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탐색한다.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학습 동기 유발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5

국악인사(인사굿 장단)

- 교사는 장구로, 학생은 손뼉 장단치며 인사한다. 도입

전시학습 복습하기

- 지난시간에 배운 내용을 확인한다. T: 지난 시간에 배운 탈춤 동작들을 기억하나요? S: 고개잡이, 다리들기, 황소걸음, 외사위가 있었어요.

140

교사 장구


국악분야 - 입선

학습

시간 자료(

교수·학습활동

단계

(분)

) 및

유의점(*)

T: 불림과, 타령장단을 말해볼까요? S: 낙양동천 이화정

도입

❘ 얼 - 쑤

◇ 활동 -1

10

창작 국악동요 ‘탈춤놀이’ 배워보기

- 창작국악동요 ‘탈춤놀이’를 들어본다. T: ‘탈춤놀이’노래를 들어보고 느낌을

탈춤놀이

말해볼까요?

음원과

S: 노래가 신이나요. 빨라요.

악보

- 교사의 선창을 들으며 ‘탈춤놀이’를 마디마디

교사 장구

따라 불러본다. - 교사의 장구 장단에 맞추어 노래를 반복하여 불러 본다. ◇ 활동 -2 전개

20

노래에 맞추어 봉산탈춤의 기본동작 넣어 춤춰보기

- 기본동작을 복습하여 본다. (불림, 고개잡이, 다리들기, 황소걸음, 외사위) - 자신이 만든 탈과 한삼을 끼고 교사의 동작을 보며 기본동작을 추어 본다.

탈과 한삼 교사 장구 탈춤놀이 음원

T: 탈을 쓰고 한삼을 끼니 어땠나요? S: 답답했어요. 손이 불편했어요. 재미있어요. - 노래의 구절을 나누어 어울리는 기본동작을

기본동작 활동지

넣어본다. - 천천히 교사의 노래에 맞추어 정한 동작들을 연습하여 본다. - 음원을 들으며 약속한 기본동작들로 탈춤을 춰 본다.

141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노래

미운얼굴 고운얼굴

신명나게 풀어놓는

가사

탈하나에 가려두고

탈출놀이 한마당

‘불림’ 동작(4회)

<고개잡이> 오른쪽 1번

상관없으

<고개잡이> 왼쪽 1번

나 기본

* 동작의 순서는

동작들이

전개

한번 씩 동작

다 들어갈 수 있도록 교사가 개입한다.

◇ 학습정리

5

소감 나누기

- 탈과 한삼을 끼고 노래에 맞추어 춤을 추어본 소감을 이야기한다. T: 노래에 맞추어 춤을 추니 어땠나요? S: 노래에 맞추려니 빠른 것 같아요. T: 탈과 한삼을 끼고 춤을 추니 어땠나요?

정리

정리하고 자리에 앉아

T: 노래에 맞추어 춤을 추니 흥겨움을 느낄 수

이야기를

S: 노래에 맞추니 신이 났어요. ◇ 차시예고 우리들의 꿈 이야기 ‘재담 만들기’

자료출처 탈춤그림: 장기범 외 9인 (2015). 초등학교 음악 5~6. 서울: (주)미래엔. 음원: 주대창 외7인 (2014). 초등학교 음악 3~4 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142

한삼을

S: 탈을 쓰니 답답하고, 손도 불편했어요. 있었나요?

* 탈과

나눈다.


국악분야 - 입선

2-5. 5차시 프로그램명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대상 학습주제

3학년

지도교사

박고우리, 김현주

차시

5 / 8

교육시간

40분

우리들의 꿈 이야기 ‘재담 만들기’ 1. ‘나의 꿈’을 주제로 모둠별 재담을 만들 수 있다.

학습목표

2. 재담을 통해 친구들과 어울리는 음률과 발림을 창작하여 발표할 수 있다.

프로그램 개요

‘나의 꿈’을 주제로 탈춤의 사설 일부분을 창작하여 나와 다른 사람의 꿈을 알고 존중하며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통합교과 1, 2

관련교과

남북한에서 하는 놀이를 하고, 통일을 바라는 마음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음악 3, 4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표현을 한다. 음악 5, 6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체육 5

여러 나라의 전통적인 민속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탐색한다.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학습 동기 유발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5

국악인사(인사굿 장단)

- 교사는 장구로, 학생은 손뼉 장단치며 인사한다. 도입

‘봉산탈춤’의 2과장 중 2목 대사를 감상하기 (산중에 무력이라 하여 철가는 줄 몰랐더니..... 중간생략) T: 대사를 할 때 동작은 어떠한가요?

교사 장구 봉산탈춤 영상자료

S: 가만히 있지 않고 움직이면서 팔을 휘둘러요. T: 맨 처음에 하는 대사는 무엇인가요? S: 아아~쉬, 아아~쉬~~ 했어요.

143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활동 -1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10

우리 모둠 재담 만들기

- 미래에 내가 되고 싶은 ‘나의 꿈’을 적어봅시다. - 인원이 5~6명 이내의 모둠별로 진행하고 각자의 역할을 정한다. (기록자, 발표자, 감독자 등) - <나 OOO으로 말할 것 같으면 미래에

‘재담’

○○○(꿈)가 될 것이니 지금부터 열심히

만들기

○○○(노력)를 해야하느니>라는 예시를 보고

활동지

활동지에 쓰게 한다. (예시) ‘나 홍길동으로 말할 것 같으면 미래에

* 친구의

변호사가 될 것이니 지금부터 열심히

꿈을 듣고

책을 읽어야하느니’

웃거나 놀리지

전개

않도록

- 모둠에 있는 인원들이 자신의 꿈을 이야기 하게

사전에

한다.

주의를

- 각자 적은 활동지를 보며 글을 종합하며 한

준다.

개의 재담으로 만든다. (모둠원의 꿈을 토대로 대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 활동 -2

10 탈과 한삼

‘재담’에 맞는 불림 동작 만들기

- 모둠원들이 만든 재담을 읽어본다. - 강, 약의 변화를 주어 모둠원들과 다같이 읽어본다. - 재담의 구절에 맞는 동작을 정한다. - 모둠원들이 정한 재담에 동작을 넣어 움직여본다.

교사 장구 * 활동 시 다른 모둠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사전에 주의를 준다.

144


국악분야 - 입선

학습

시간 자료(

교수·학습활동

단계

(분)

◇ 활동 -3

) 및

유의점(*)

10 뽑기스틱

전개

모둠별 발표하기

- 각 모둠이 만든 재담에 동작을 넣어 발표한다.

* 발표

- 모둠원이 다 같이 참여해야하며 재담은 외워서

순서를

진행하도록 한다.

정해준다 (뽑기)

◇ 학습정리

5

이야기 나누기

- 친구의 꿈을 주제로 대사를 한 소감을 이야기한다. T: 친구들의 재담을 들어보니 어땠나요?

정리

S: 예전에는 친구의 꿈이 무엇인지 몰랐는데 오늘 활동을 통해 알게 되었어요. ◇ 차시예고

얼쑤! 타령장단으로 놀아보세.

2-6. 6차시 프로그램명 대상 학습주제 학습목표 프로그램 개요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3학년

박고우리, 김현주

6 / 8

교육시간

40분

얼쑤! 타령장단으로 놀아보세. 1. 타령장단을 배울 수 있다. 2. 탈춤에 필요한 여러 타악기들로, 화합하여 연주 할 수 있다. 기본타령장단을 배우고 각자 악기를 정하여 합주를 함으로써 어울림을 느끼고, 친구의 연주 소리를 통해 자신의 소리를 덧붙여 하나 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통합교과

관련교과

지도교사

차시

남북한에서 하는 놀이를 하고, 통일을 바라는 마음을

1, 2 다양하게 표현한다. 음악 3, 4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표현을 한다. 145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음악 5, 6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체육 5

여러 나라의 전통적인 민속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탐색한다.

학습

시간 자료(

교수·학습활동

단계

(분)

◇ 학습 동기 유발

) 및

유의점(*)

5

국악인사(인사굿 장단)

- 교사는 장구로, 학생은 손뼉 장단치며 인사한다. 도입

전시학습 복습하기 교사 장구

- 창작국악동요 “탈춤놀이”를 불러본다. - 각 구절에 추었던 기본동작을 다시 한 번 이야기하여 본다. (말로써 동작을 상기시킨다.)

학습

시간 자료(

교수·학습활동

단계

(분)

◇ 활동 -1

) 및

유의점(*)

5

타령장단 (기본장단, 변형장단) 배우기

- 지난시간에 배웠던 타령장단을 구음으로 말해

타령 장단보

본다.

교사 장구

❘ ○

❘ 얼 - 쑤

전개 - 무릎장단으로 구음과 함께 연주하여 본다. - 타령 기본 장단과 변형장단을 알아본다.

ⵀ ⵀ

❘ ○

❘ 절 - 쑤

- 박자에 맞춰 추임새를 신명나게 넣어본다.

146

* 무릎장단 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국악분야 - 입선

◇ 활동 -2

25

악기로 타령장단 연주하여 보기

- 장구, 꽹과리, 북, 징 중 자신이 하고 싶은 꽹과리

악기를 정한다. (악기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장구, 북,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준비된 악기의 개수에 따라 악사를 정하고 같은 장단을 치게 한다.

* 악기를

- 꽹과리 -> 장구 -> 북 -> 징 순서로 연주하여

정하는

본다.

과정에서

- 각자 악기들의 연주 방법과 자세들을 알아본다.

다툼이

- 구음과 함께 악기별 타령기본 장단을 악기로

일어나지

연주하여 본다.

않도록

- 변형장단도 연습하여 본다.

교사가

- 다 같이 합주하며 기본과 변형장단을 연주하여

중재한다.

본다. - 추임새를 넣어 신나게 연주하여 본다.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학습정리

악기 정리 및, 소감 발표하기 - 악기를 바르게 정리한다. - 악기를 연주해본 소감 및 느낌을 이야기 하여 본다.

정리

T: 타령장단을 악기로 직접 연주하니 어땠나요? S: 악기를 직접 쳐보니 손도 아팠지만 신이 나고 즐거웠어요. S: 꽹과리 소리가 무척 커서 귀가 아팠어요. T: 친구들과 어울려서 합주를 해보니 어땠나요? S: 함께 합주를 하니 신기하고 멋있었어요. S: 처음에는 안 맞았지만 계속하다보니 듣기 좋은 소리가 났어요. ◇ 차시예고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5

* 교사의 발문을 통해 친구들과 어울림을 느끼고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탈춤’에서 나의 역할 정하기.

147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2-7. 7차시 프로그램명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대상 학습주제

3학년

지도교사

박고우리, 김현주

차시

7 / 8

교육시간

40분

‘탈춤’에서 나의 역할 정하기 1. 지금까지 배우고 만든 것을 갖고 역할을 정하여 연습할 수 있다.

학습목표

2. 각자 맡은 역할의 중요성을 알고 발표회 준비과정을 통해 모둠원들의 협동심을 느낄 수 있다. ‘봉산탈춤’의 각 과장마다 맡은 배역이 있듯이 모둠원들의 창의적인

프로그램

동작과 재담을 통해 역할을 배분하여 각자 맡은 배역에 충실히 할 수

개요

있게 한다. 이 세상은 나 혼자만 살 수 있는 게 아니며 다 같이 힘을 모아야 잘 살 듯이 ‘탈춤’도 그 배역의 중요성을 알게 한다. 통합교과 1, 2

관련교과

남북한에서 하는 놀이를 하고, 통일을 바라는 마음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음악 3, 4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표현을 한다. 음악 5, 6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체육 5

여러 나라의 전통적인 민속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탐색한다.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학습 동기 유발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5

국악인사(인사굿 장단)

- 교사는 장구로, 학생은 손뼉 장단치며 인사한다. 도입

전시학습 복습하기

- 지난 시간에 배운 타령장단을 복습한다. T: 지난 시간에 배운 장단이 무엇인가요? S: ‘타령장단’이요. T: 타령 기본장단을 구음으로 소리를 내 볼까요?

148

교사 장구


국악분야 - 입선

학습

시간 자료(

교수·학습활동

단계

❘ ○

(분)

) 및

유의점(*)

❘ 얼 - 쑤

도입 - 구음과 함께 무릎장단 치면서 소리를 내어 본다. ◇ 활동 -1

20

모둠별 팀명 만들기

- 우리 모둠의 특색 있는 팀명을 만들다. 타악기

(불림을 개사하기) - (ex) 낙양동천 이화정

* 역할

-> 우주최강 우리조

나누기에

역할 나누기

다툼이

- 흥겨운 놀이판이 될 수 있도록 악사(장구, 북)와

일어나지

연희자로 나눈다.(모둠원은 5~6명으로 구성하고

않도록,

악사는 2명으로 정하여 장단이 틀리지 않도록

하나하나

구음을 같이 하게 한다.) 전개

소중한

- 각자 맡은 역할을 연습한다.

역할임을

- 악사는 장구와 북을 갖고 타령장단을 연습한다.

일려준다.

- 연희자는 재담과 같이 동작을 익힌다. 기본 춤사위를 순서대로 연습한다. ◇ 활동 -2

10

* 모둠별 연습에

발표회 준비를 위한 연습하기

소란이

- 각자 맡은 역할을 다 같이 연습한다.

일어나지

- 재담을 외우고 기본 춤사위를 장단에 맞춰

않도록

연습한다. - 처음부터 진행할 동선을 그리며 하나의 작품이 될 수 있도록 연습한다.

공간 확보를 하여 준다.

149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학습

시간 자료(

교수·학습활동

단계

(분)

◇ 학습정리

) 및

유의점(*)

5

소감나누기

- ‘탈춤’하는 동안 계속 춤을 추거나 연주를 한 친구들을 위해 서로 어깨나 다리를 안마해 주며

정리

서로 격려와 칭찬을 해준다. ◇ 차시예고

‘나의 꿈’을 탈춤에 담아 발표하기.

2-8. 8차시 프로그램명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 세계로

대상 학습주제 학습목표 프로그램 개요

3학년

박고우리, 김현주

8 / 8

교육시간

40분

‘나의 꿈’을 탈춤에 담아 발표하기 1. 모둠별로 반 친구들 앞에서 자신의 꿈을 담은 탈춤을 자신 있게 발표하여 본다. 탈춤의 기본동작과 모둠원이 함께 만든 재담으로 친구들 앞에서 작은 발표회를 함으로써 자신감 향상과 협동심, 배려심을 갖게 한다. 자신의 모습을 영상을 통해 봄으로써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준다. 통합교과 1, 2

관련교과

지도교사

차시

남북한에서 하는 놀이를 하고, 통일을 바라는 마음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음악 3, 4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표현을 한다. 음악 5, 6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체육 5

여러 나라의 전통적인 민속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탐색한다.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학습 동기 유발 도입

(분)

) 및

유의점(*)

3 교사 장구

150

시간 자료(

국악인사(인사굿 장단)


국악분야 - 입선

- 교사는 장구로, 학생은 손뼉 장단치며 인사한다.

모둠별 구호 외치기

* 순서를 정해주고

- 타령장단을 복습한다. T: 팀명으로 파이팅을 왜 쳐 볼까요?

파도타기

S: ex) OOOO OOO 얼쑤~!(불림)

형식으로 구호를

우주최강 우리조 얼쑤~!

외친다.

T: 자신의 역할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나요? S: 저는 악사요, 저는 연희자 입니다.

학습

교수·학습활동

단계 ◇ 활동 -1

시간 자료( (분)

) 및

유의점(*)

7

발표회 총연습하기 타악기들 한삼과 탈

- 모둠별로 마지막 연습을 하여 본다. - 발표 순서를 정하고 발표회 규칙을 숙지한다. - 순서를 정할 때 소란스럽지 않도록 주위를 준다. ◇ 활동 -2

15

탈춤 발표회 하기

- 순서대로 나와 교실 가운데 공간을 확보하여

* 자신감이

“⼐" 자 형식으로 책걸상을 배치한다. 전개

생기도록

- 친구들 앞에서 자기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

칭찬과

발표한다. (연희자는 자신의 탈과 한삼을 끼고

격려를

악사는 악기 앞에 앉아 타령장단을 연주한다. )

많이 하여

- 교사는 학생들의 발표를 카메라 영상으로 담는다. ◇ 활동 -3

카메라 뽑기 스틱

준다.

10

우리들의 발표 모습 다시보기

- 교사가 찍은 동영상을 모둠별로 감상하고

발표회 영상자료

이야기하여 본다. - 자신의 모습을 보고 즐거워한다. - 친구들의 모습을 보고 격려하고 칭찬한다. ◇ 학습정리

5

정리

소감나누기 151


너와 나 하나 되는 탈춤의 세계로

- 지금까지 탈과 한삼을 만들어 발표회까지 한 소감을 간단하게 말하여 본다. T: 그 동안에 탈춤 수업을 하면서 느낀 점은? S: 재미있었어요. S: 탈을 볼 때마다 생각이 날듯해요. S: 영상으로 남으니 계속 보고 싶어요. S: 한 번 더 한다면 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152


디자인

최우수상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김은아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세부 분야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디자인

초등5~6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40분(각 차시별)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2050년 지구의 환경지도는 어떻

주제

게 달라져 있을까? 기후 변화에 따른 환경 문제를 살펴보고 2050 년 미래의 초록 지구를 위한 우리의 환경약속을 디자인 문제해결 능력으로 창의력 있게 표현해 볼 수 있다. 미세먼지 가득한 하늘, 폭염, 열대작물의 재배 등 지구온난화로 인 한 기후변화는 생태계에 변화를 가져다주고 있다. 현 추세로 온난 화가 가속된다면 2050년에는 다양한 생물종의 멸종과 자연을 둘러 싼 인간의 공존이 위협받을 것이다. 이에 본 수업에서는 총 8차시 에 걸쳐 1. 기후변화 인포그래픽, 2. 2050 자연사 박물관- 빙하가 사

프로그램

라진 극지방의 동물들 3.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3가지 주

내용 요약

제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문제와 해결방안을 픽토그램을 활용한 인 포그래픽으로 나타내고 2050년의 자연사 박물관의 ‘극지방 동물 멸종관’ 전시공간을 디자인하고 전시와 관련한 학교 연계 프로그램 에서 사용할 액자 디자인을 해보도록 한다. 또한 환경사업가가 되 어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해봄으로써 문제 이해, 아이디어 생성, 계획 단계를 거쳐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자한다.

155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1.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디자인과 환경이슈] 기후변화 인포그래픽Ⅰ 1차시

2.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문제와 자신에게 가

활용한 정보 수집을 통해

치 있는 환경 약속을 기술하고 이를 픽토그램 3. 자신에게 유의미한 주제의 2050년 지구

[디자인과 환경이슈]

탐사대 워크북을 완성하기 1. 방대한 정보를 시적으로 표현하는 인포그

기후변화 인포그래픽Ⅱ

래픽(infographics)에 대해 이해하기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2. 아이디어 스케치 중 몇 개를 골라 완성형

문제와 우리의 환경약속을

의 픽토그램을 제작하기

인포그래픽으로 나타낼 수

3. 2050년 기후 지도에 픽토그램을 붙여 인

[디자인과 환경홍보] 2050년 자연사 박물관Ⅰ -극지방 동물 멸종관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수집을 통해 극지방의 위기에 대해 알기 2. 기후변화로 인해 극지방에 사는 동물들의 변화된 생활에 대해 살펴보기

무대팝업기법으로 디자인할

슬로건을

-극지방 동물 멸종관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극지방 동물 멸종관을 완성하고 환경 문제를 홍보할 수 있다. [디자인과 환경홍보] 2050년 자연사 박물관Ⅲ -극지방 동물 멸종관 156

1.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3. 극지방의 동물들을 살리기 위한 자신만의

2050년 자연사 박물관Ⅱ

5차시

포그래픽 완성하기

극지방 동물 멸종관 공간을 수 있다. [디자인과 환경홍보]

4차시

으로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워크북을 제작할 수 있다.

있다.

3차시

계에 대해 조사하기

-MIE(Media In Education)를 2050년 지구 탐사대

2차시

수집을 통해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의 관

제작하고

2050년

자연사

박물관

‘극지방 동물 멸종관’ 공간을 구성하기 1. 극지방의 위기의 동물 캠페인을 위한 자 신만의 슬로건을 내걸고 배경, 로고, 대표 캐 릭터 등의 무대팝업 요소 완성하기 2. 배경을 그리고 로고, 슬로건, 캐릭터 등의 구성요소를 배치하여 환경 홍보를 위한 무대 팝업 완성하기 1. 박물관의 학교 연계 프로그램에 대해서 이해하기 2.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극지방 동물 멸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종관’ 전시와 관련한 연계 프로그램인 액자

전시와 관련한 학교 연계

디자인 완성하기

프로그램인 액자 디자인 작업을 할 수 있다. [디자인과 환경 경제]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Ⅰ 6차시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념을 이해하고 CPS(창의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창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디자인과 환경 경제]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Ⅱ

7차시

-환경홍보를 위한 아이템을 기획하고 로고, 캐릭터 등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본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디자인과 환경 경제]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Ⅲ 8차시

-아이덴티티 기본요소를 활용하여 간판, 웹 페이지, 환경 상품 등에 적용할 브랜드 아이덴티티 응용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3. 참여 프로그램으로 완성된 액자들을 전시 공간에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 생각해보기 1.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기 2.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수 집을 통해 환경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알 기 3. CPS(창의적 문제해결)에 기반하여 사실발 견, 문제발견, 아이디어 발견, 문제 해결, 수 용성 발견이라는 단계별 활동으로 창업계획 서 작성하기 1. 창업계획서를 바탕으로 판매 촉진활동, 광 고 선전활동, 홍보전략 등을 수립하기 2. 자신의 사업 아이템에 맞는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본요소 제작하기 3. 환경 브랜드의 컨셉에 맞는 상품 브랜드 의 마크・로고・색상 등을 디자인하기

1. 자신의 환경 사업 방향에 맞도록 기본요 소를 활용하여 간판, 웹 페이지, 환경 상품 등의 여러 가지 품목에 적용할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응용요소 제작하기 2. ‘원 소스 멀티 유즈’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하기 3.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을 설명하고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효과적으로 표현되었는 지 결과물 평가하기

157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2. 세부내용 2-1. 1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학습 목표

[디자인과 환경이슈] 기후변화 인포그래픽Ⅰ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수집을 통해 2050년 지구 탐사대 워크북을 제작할 수 있다. 1.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수집을 통해 기후 변화와

주요 활동내용

지구 온난화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기 2.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문제와 자신에게 가치 있는 환경 약속을 기술 하고 이를 픽토그램으로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3. 자신에게 유의미한 주제의 2050년 지구 탐사대 워크북을 완성하기

준비물

PPT, 기후변화 워크북, 도화지, 색연필, 싸인펜, 풀, 가위, 컴퓨터, 잡지 1)MIE(Media In Education)활용자료-환경재단 그린 아카이브『생생한 지구를 위한 그린아카이브 환경교실: 기후변화-냉장고』DISC1, 신문사설『http://news.naver.com/main/home.nhn』, 한국방송광고공사『https://www.kobaco.co.kr/』, 키워드: 기후변화, 지구온난화, 자연재해 2)공우석, 키워드로 보는 기후변화와 생 태계,『그림1-14 2050년의 우리나라 계절 변화 예측』,039, 기상청, 2014

참고 자료

3)공우석, 키워드로 보는 기후변화와 생태계,『그림 3-6 농작물 재배지 변화와 병충해 발생 양상』 123, 국립농원과학원, 2014

4)세계야생동물기금협회wwf, http://wwf.panda.org/

158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세부활동 내용] ▶ 1차시 학습지도안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학습 도입

◦인사나누기, 선생님 소개

(10)

◦학습 분위기 조성 및 디자인 수업 규칙 정하기

학습 도입

▣동기 유발 ◦환경재단 그린아카이브에서 학교에 제공한 기후변화에 관한 냉장고 The Fridge영상을 상영한다.

동기 유발 학습목표 확인

◦냉장고를 지구로 비유했을 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질문한다. ▣학습목표 확인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수집을 통해 2050년 지구 탐사 대 워크북을 제작할 수 있다. 【활동 1】MIE를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문제 알기 ◦MIE를 활용하여 지구온난화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자료조사 한다. -신문사설, 한국방송광고공사 등의 사이트에서 키워드를 통해 자료 조사 하는 법을 설명하고 자신에게 유의미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한다. -키워드: 폭염, 해수면 상승, 극지방 위기, 주산지 북상, 아열대 식물 재배 ▣【활동 2】환경 문제와 자신에게 가치 있는 환경 약속 정하기

(25)

◦지구의 온도를 내리기 위한 우리의 일상적인 노력은 무엇일지 생각해보기 -브레인스토밍 작업을 통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사소한 실천 약속정해보기 ▣【활동 3】2050지구 탐사대 워크북 완성하기 ◦픽토그램(사물 또는 개념을 일반 대중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상징적 인 그림으로 나타낸 일종의 그림문자)에 대해 설명한다. ◦2050지구 탐사대 워크북을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고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문제와 환경약속에 대한 유의미한 자료를 정리하여 기술한다. ◦글을 상징적인 그림문자인 픽토그램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정리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수집을 통해 지구온난화로 인 한 문제와 우리의 환경약속을 기술하고 이를 상징문자인 픽토그램으로 리 (5) 표현해 보았습니다. ▣차시예고 [디자인과 환경이슈] 기후변화 인포그래픽Ⅱ 수업의 특 장점

디자인과 환경 이슈를 결합한 수업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하나뿐인 지구를 위한 행동방식을 디자인적 문제해결 방식으로 풀어가는 자기주도적 수업을 구성하였다. 159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수집은 학생들이 환경 키워드에 바로 나오 는 신문과 방송 등의 미디어 자료를 수집하여 자신만의 정보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경을 대하는 학습자의 생각, 가치, 태도 등이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2050년 지구 탐사대 워크북 1.지구 온난화란? (지구 온난화 현상)이란 필요 이상으로 생산된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때문에 지구가 점점 더워지는 것으로 생태계와 기후이변, 건강 등에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2050년의 지구 기온변화 예측하기 (PPT사진 자료를 보며) ☠ 여름이 19일 이상 길어져 (5개월)이상 지속될 예정이다. ☠ 한라봉, 사과, 녹차의 주산지가(북상)하고, 아열대 농작물들이 재배될 것이다. ☠ 해수면 상승으로 저지대가 (침수)할 것이고 다양한 생물종이 (멸종)할 것이다. 2.MIE(Media In Education)키워드를 통해 검색하기 ☺지구 온난화 현상과 관련하여 검색한 키워드는 무엇인가? 예시) 더위, 불면증, 지구 온난화 ☺검색한 기사, 광고, 사진이 말하는 바는 무엇인가? 예시) 열대야일수, 100년 새 두 배 껑충 ☺검색한 기사, 광고, 사진을 보고 내가 느낀 것은 무엇인가? 3. 키워드와 관련한 환경 문제와 우리가 할 수 있는 환경 약속은? ☺ 예시) 열대야로 지구는 잠을 잘 수 없어요. ☺ 예시) 잠자기 1시간 전 에어컨보다는 선풍기를 사용한다.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픽토그램으로 전달하기 2050년의 지구 온난화

160

2050년 초록 지구를 위한 환경약속 픽토그램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2-2. 2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디자인과 환경이슈] 기후변화 인포그래픽Ⅱ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문제와 우리의 환경약속을

학습 목표

인포그래픽으로 나타낼 수 있다. 1. 방대한 정보를 시적으로 표현하는 인포그래픽(infographics)에 대해

주요 활동내용

이해하기 2. 아이디어 스케치 중 몇 개를 골라 완성형의 픽토그램을 제작하기 3. 2050년 기후 지도에 픽토그램을 붙여 인포그래픽 완성하기

준비물

PPT, 기후변화 워크북, 도화지, 색연필, 싸인펜, 풀, 가위, 도화지 1)초보자를 위한 기후 변화 안내서 영상- 환 경 재단 그린아카이브,『생생한 지구를 위한 그린 아카이브 환경교실-에어사이드, 알 맥퀴 시, UK, 2007, 6'1”, 애니메이션, 키워드: 기 후 변화, 나무, 삼림, 쓰레기 등』, DISC1

참고 자료 2)김영란 선임연구원,『서울시민, 환경을 생각한 행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제175호, 서울 인포그래픽스, 2016

3)공우석, 키워드로 보는 기후변 화와 생태계,『그림1-14 2050년의 우리나라 계절 변화 예측』,039, 기상청, 2014

161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세부활동 내용] ▶ 2차시 학습지도안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학습 도입 ◦인사나누기, 선생님 소개

(10) 학습 도입 동기 유발 학습목표 확인

◦학습 분위기 조성 및

디자인 수업 규칙 정하기

▣동기 유발 ◦환경재단 그린아카이브에서 학교에 제공한 ‘초보자를 위한 기후변화 안내서’ 영상을 짧게 편집하여 상영한다. ◦개개인이 지구온난화에 맞서 어떻게 대처하여 변화를 이끌어 내는가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학습목표 확인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문제와 우리의 환경약속을 인포그래픽으로 나타 낼 수 있다. 【활동 1】인포그래픽(infographics)에 대해 이해하기 ◦인포그래픽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구체적, 실용적으로 기호, 다이어그 램, 일러스트레이션 등의 시각자료를 통해서 나타내는 것이다. -서울 인포그래픽스 175호 ‘서울시민, 환경을 생각한 행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를 보며 인포그래픽의 의미와 개념, 해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활동 2】완성형의 픽토그램 제작하기 ◦1차시 작성한 워크북의 픽토그램 아이디어 스케치 중 환경문제와 환경약속

(25)

에 관한 주제 각각 하나씩 선정하여 완성형의 픽토그램으로 제작한다. -아이디어 스케치를 발전, 필요한 것만을 축약하여 완성도를 높인다. ▣【활동 3】2050년 기후 지도에 픽토그램을 붙여 인포그래픽 완성하기 ◦우드락에 붙여진 2050년 기후 지도에 완성형의 픽토그램을 붙여서 정보를 표현하는 인포그래픽으로 완성하여 본다. ◦완성형의 인포그래픽을 보며 읽히는 정보를 자유롭게 토론한다. -픽토그램이 의미하는 바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지?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 현했을 때 글보다 그림이 주는 장점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한다. ▣학습 정리

리 (5) ◦2050년 기후 지도에 픽토그램을 붙여 인포그래픽 완성해보았습니다. ▣차시예고 [디자인과 환경홍보] 2050년 자연사 박물관Ⅰ-극지방 동물 멸종관 수업의 특 장점

인포그래픽 디자인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기호, 다이어그램, 일러스트레이션을 이용하

여 쉽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디자인의 일종이다. 현대 사회에서정보를 162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수집하고 그것을 표현, 해석하는 능력은 필수적이며 픽토그램을 이용한 인포그래픽 디자 인 수업을 진행해봄으로써 학생들이 기호와 그림, 도표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 때로 는 글로 전달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인포그래픽 디자인 1.인포그래픽이란? 인포그래픽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구체적, 실용적으로 기호, 다이어그램, 일러스트레 이션 등의 시각자료를 통해서 나타내는 것이다. 2.2050년 기후변화 인포그래픽 예상도

※위 그림은 본 프로그램으로 실제 제가 수업을 진행한 학생 아이디어 스케치입니다.

※ 완성형의 픽토그램을 제작하고 이를 활용한 인포그래픽을 위 형식과 같이 제작할 예정입니다.

163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2-3. 3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학습 목표

[디자인과 환경홍보] 2050년 자연사 박물관Ⅰ-극지방 동물 멸종관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극지방 동물 멸종관 공간을 무대팝업기법으 로 디자인할 수 있다. 1.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수집을 통해 극지방의 위기 에 대해 알기

주요 활동내용

2. 기후변화로 인해 극지방에 사는 동물들의 변화된 생활에 대해 살펴보기 3. 극지방의

동물들을 살리기

위한 자신만의 슬로건을

제작하고

2050년 자연사 박물관‘극지방 동물 멸종관’ 공간을 구성하기 준비물

PPT, 도화지, 색연필, 싸인펜, 풀, 가위, 극지방 위기 동물들 1)MIE(Media In Education)활용자료-환경재단 그린 아카이브『생생한 지구를 위한 그린아카이브 환경 교실: 기후변화-펭귄의 비명』DISC1, 신문사설『http://news.naver.com/main/home.nhn』, 한국방송광고공사『https://www.kobaco.co.kr/』, 키워드: 극지방, 기후 변화, 남극, 환경 교육 등

참고 자료

2)세계야생동물기금협회wwf,http://wwf.panda.org/, http://blog.naver.com/dcube3335/220187937263

3)한국 기후환경 네트워크 공식 블로그 http://blog.naver.com/greenstartkr/220805413861

164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세부활동 내용] ▶ 3차시 학습지도안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학습 도입

◦인사나누기, 선생님 소개

(10)

◦학습 분위기 조성 및

학습 도입

▣동기 유발 ◦환경재단 그린아카이브에서 제공한‘펭귄의 비명’ 영상을 상영한다.

동기 유발

◦극지방의 상황과 펭귄, 북극곰 등 극지방의 변화된 삶에 대해 알린다.

학습목표 확인

디자인 수업 규칙 정하기

▣학습목표 확인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극지방 동물 멸종관 공간을 무대팝업기법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 【활동 1】MIE를 활용하여 기후변화로 인해 극지방에 사는 동물들의 변 화된 생활알기 ◦교사가 먼저 학생들에게 극지방 대표 위기 동물인 황제 펭귄, 북극곰, 바다 표범, 일각고래에 대한 생태와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MIE를 활용하여 지구온난화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자료조사 한다. -신문사설, 한국방송광고공사 등의 사이트에서 키워드를 통해 자료 조사 하는 법을 설명하고 자신에게 유의미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한다.

(25)

-키워드: 극지방, 기후 변화, 남극, 환경 교육 등 ▣【활동 2】슬로건 제작하기 ◦교사가 설명한 것과 자신이 직접 MIE를 활용하여 검색한 정보를 취합하 여 극지방 동물들의 변화된 삶을 살펴본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부 터 극지방의 동물들을 살리기 위한 자신만의 슬로건을 제작한다. ▣【활동 3】극지방 동물들의 위기를 알리는 무대팝업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정사각형 도화지를 반으로 접어 겹쳐 붙이면 하나의 무대가 완성된다. ◦무대 안에 극지방 동물들을 살리기 위한 배경과, 슬로건, 극지방 동물 캐릭 터를 넣어 홍보를 위한 팝업 부스를 미니어처로 만들어 볼 수 있다. ◦무대팝업 작업을 위한 아이디어스케치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정리

리 (5) ◦극지방의 위기를 알리는 무대팝업 아이디어 스케치를 해보았습니다. ▣차시예고 [디자인과 환경홍보] 2050년 자연사 박물관Ⅱ-극지방 동물 멸종관 수업의 특 장점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영향을 먼저 받는 곳은 극지방이다. 더워지는 날씨로 빙 165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하가 녹으면서 얼음과 살아가는 펭귄, 북극곰, 바다표범, 일각고래 등의 서식지가 줄어 멸 종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극지방의 상황을 설명하고 멸종위기를 맞은 동물들 을 살리기 위한 노력을 촉구하기 위한 홍보를 무대팝업의 형식으로 미니어쳐 공간을 제 작하는 수업을 계획하였다. 학생들이 실제공간을 디자인해 본다고 생각하며 아이디어 스 케치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공간을 디자인할 때 필요한 요소들이 무엇이고 강조해야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신이 계획한 컨셉에 맞는 슬로건과, 캐릭터 등을 제작하고 배치해봄으로써 공간디자인의 요소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무대팝업 아이디어 스케치

※위 그림은 본 프로그램으로 실제 제가 수업을 진행한 학생 아이디어 스케치입니다.

166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2-4. 4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디자인과 환경홍보] 2050년 자연사 박물관Ⅱ-극지방 동물 멸종관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극지방 동물 멸종관을 완성하고 환경 문제를

학습 목표

홍보할 수 있다. 1. 극지방의 위기의 동물 캠페인을 위한 자신만의 슬로건을 내걸고 배

주요

경, 로고, 대표 캐릭터 등의 무대팝업 요소 완성하기

활동내용

2. 배경을 그리고 로고, 슬로건, 캐릭터 등의 구성요소를 배치하여 환 경 홍보를 위한 무대팝업 완성하기 PPT, 도화지, 색연필, 싸인펜, 풀, 가위, 극지방 위기 동물들,

준비물

극지방 동물 입체도안 예시

[세부활동 내용] ▶4차시 학습지도안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학습 도입

◦인사나누기, 선생님 소개

(10)

◦학습 분위기 조성 및

디자인 수업 규칙 정하기

학습 도입

▣동기 유발 ◦지난시간 학생들이 작업한 슬로건을 나열하여 보여준다. -슬로건을 통해서 어떤 컨셉의 무대 팝업이 제작되면 좋을지 짧게 나누

동기 유발 학습목표 확인

어 본다. ▣학습목표 확인 -극지방 위기의 동물들 무대팝업을 완성하고 환경 문제에 대해 홍보할 수 있다. 【활동 1】극지방의 위기의 동물 캠페인을 위한 로고와 슬로건, 대표 캐 릭터 등을 완성하기 ◦자신이 계획한 홍보 무대에 어울리는 슬로건제작하기 (학생이 제작한 슬로건)

(25)

-뭔가 위험하다, 에어컨 온도가 내려가면 해수면은 점점 올라간다, 환경에 대 한 작은 생각의 방, 펭귄의 최후, 북극곰이 하고 싶은 말, 누가 극지방의 위기 를 신경 쓰나요? 나를 신경 써 주세요, 북극곰아 미안해, 북극에 있는 곰들을 제발 살려 주세요 등 ▣【활동 2】환경 홍보를 위한 무대팝업 완성하기 ◦배경을 그리고 로고, 슬로건, 캐릭터 등의 구성요소를 배치하여 환경 167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홍보를 위한 무대팝업 완성하기 -정사각형의 도화지를 반으로 접고 잘라 겹쳐서 팝업 무대를 만든다. 그 곳에 배경과 슬로건을 넣어 디자인하고 어울리는 메인캐릭터를 제작한다. -캐릭터는 다음과 같은 입체도안과 같은 형태로 반을 그린 뒤 뒤에 종이 를 겹쳐 대고 잘라서 무대 중앙에 입체의 형태로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한 다. 학생들이 제시된 도안을 직접 쓰지 않고 이를 활용한 형태로 자신만 의 메인 캐릭터가 나올 수 있도록 지도한다. -위에서부터 바다표범, 북극곰, 일각 고래의 윤곽을 나타낸 도안으로 종이 를 반으로 접어 겹쳐 자르면 무대 위 에 종이 입체의 형태로 세울 수 있다. 이때 도안을 보고 학생들이 자신만의 캐릭터를 어떻게 입체로 세우면 좋을 지 구상하도록 지도하며 스스로 동물 들의 윤곽을 그려볼 수 있도록 지도 한다. ▣학습 정리 정

◦로고, 슬로건, 캐릭터 등의 구성요소를 배치하여 홍보를 위한 무대를 리 (5) 제작해 보았습니다. ▣차시예고 [디자인과 환경홍보] 2050년 자연사 박물관Ⅲ-극지방 동물 멸종관 수업의 특 장점

기후 온난화로 멸종 위기를 맞고 있는 극지방 동물들의 위기를 알리는 홍보 공간을 기 획해 보는 수업으로 주제에 맞는 슬로건과 배경, 메인 캐릭터의 제작 등 다양한 시각 요 소를 사용하여 디자인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간에서 제일 강조해야 하는 것이 무 엇인지 파악하고 무게를 두어야 하는 것을 알아야 하며, 평면과 입체로 표현해야 할 것을 스스로 정할 수 있다. 메인 캐릭터의 입체제작을 위해서 가이드 도안을 학생들에게 나누 어 주었는데 먼저 이것을 잘라보고 무대에 세워보는 관찰을 통해 자신이 디자인한 캐릭 터가 입체로 표현되었을 때 가장 잘 표현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대 팝업을 여러 개로 붙여서 공간이 4개인 한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데 각자 한 공간 씩 개인적으로 만들고 다른 학생들의 공간을 서로 이어서 단체작품으로 표현할 수 있다. 무대팝업 완성형

168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위 그림은 본 프로그램으로 실제 제가 수업을 진행한 학생 완성작품입니다.

169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2-5. 5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학습 목표

주요 활동내용

[디자인과 환경홍보] 2050년 자연사 박물관Ⅲ-극지방 동물 멸종관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와 관련한 학교 연계 프로그램인 액자 디자인 작업을 할 수 있다. 1. 박물관의 학교 연계 프로그램에 대해서 이해하기 2.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극지방 동물 멸종관’ 전시와 관련한 연계 프로그램인 액자 디자인 완성하기 3. 참여 프로그램으로 완성된 액자들을 전시공간에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 생각해보기

준비물

PPT, 액자틀, 액자 도안, 색연필, 싸인펜, 풀, 가위 1)3차시에 교사가 설명한 극지방 위기 동물들인 황제 펭귄, 북극곰, 바 다 표범, 일각고래에 대한 생태와 학생들이 MIE(Media In Education)로 정보수집한 극지방 멸종 위기 동물들에 대해 다시 언급한다. 세계야생동물기금협회, wwf, http://wwf.panda.org/, http://blog.naver.com/dcube3335/220187937263

참고 자료

2)박물관 학교 연계 프로그램 소개

-국립 해양 박물관, “친구랑 바다랑”, http://blog.naver.com/museum4you/220846125662 -목인 박물관, “도란도란, 나의 박물관 이야기”_ 마음 길Road 목인木人 마을, https://www.knmm.or.kr/

170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세부활동 내용] ▶5차시 학습지도안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학습 도입

◦인사나누기, 선생님 소개

(10)

◦학습 분위기 조성 및 디자인 수업 규칙 정하기

학습 도입

▣동기 유발 ◦박물관의 학교 연계 프로그램에 대해서 이야기 하며 3~4차시에 제작한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멸종관의 전시를 본 학생들을 대상으로 박물관

동기 유발

학교 연계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액자 디자인을 진행할 것임을 예고한다.

학습목표 확인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와 관련한 학교 연계 프로그램인 액자 디자

▣학습목표 확인 인 작업을 할 수 있다. 【활동 1】박물관의 학교 연계 프로그램에 대해서 이해하기 ◦박물관의 학교 연계 프로그램의 목적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국립 해양 박물관의 “친구랑 바다랑”, 목인 박물관의 마음 길Road 목인 木人마을의 학교 연계 프로그램을 예시로 보여주며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멸종관 전시를 보고난 후 기후 변화가 지속되었을 때 멸종된 극지방 동물 들의 안타까운 모습을 재홛용 박스를 이용한 홍보 액자로 표현하는 체험

(25)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작해 볼 수 있음을 이야기 한다. ▣【활동 2】멸종된 극지방 동물을 이용한 액자 디자인을 완성하기 ◦교사는 재활용 박스 액자틀과 도안을 나누어 주고 조립방법을 알려준다. -액자의 가운데에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멸종관에 전시될 극지방 동물을 직접 그리고 액자의 틀에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극지방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기호 또는 그림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여 프로그램으로 완성된 액자들을 전시공간에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 생각해보기 ▣학습 정리

◦박물관 학교 연계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학생들이 전시를 보고 난 후 리 (5) 참여할 수 있는 디자인 수업을 개발하여 보았습니다. ▣차시예고 [디자인과 환경 경제]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Ⅰ 수업의 특 장점

현 추세로 온난화가 가속되어 2050년도에는 멸종했을 동물들을 가정 후 학생들과 2050년 자연사 박물관의 멸종관 전시 기획을 해본 것에 그치지 않고 본 전시를 관 171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람한 후 박물관의 학교 연계 수업에서 사용될 액자 디자인 수업을 기획하였다. 실 제 박물관의 교육활동에 관한 소개를 예시를 통해 설명하자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보였다. 전시기획자의 입장에서 교육 연계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지구온난화로 인한 생태종의 변화에 대해서 보다 명확한 생각과 개념이 확립될 수 있었다. 또한 액자의 재료는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활용 상자를 이용함으로써 재료에 대한 부담 없이 효과가 큰 수업을 구성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2050년 자연사 박물관 멸종관 학교 연계 프로그램- 액자 디자인

※위 그림은 본 프로그램으로 실제 제가 수업을 진행한 학생 완성작품입니다.

172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2-6. 6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디자인과 환경 경제]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Ⅰ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념을 이해하고 CPS(창의적 문제해결)에 기

학습 목표

반한 창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1.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기 2.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수집을 통해 환경기업의

주요

브랜드 아이덴티티 알기 3. CPS(창의적 문제해결)에 기반하여 사실발견, 문제발견, 아이디어

활동내용

발견, 문제 해결, 수용성 발견이라는 단계별 활동으로 창업계획서 작성하기 준비물

PPT, CPS기반 창업계획서, 도화지, 색연필, 싸인펜, 풀, 가위

[세부활동 내용] ▶ 6차시 학습지도안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학습 도입 ◦인사나누기, 선생님 소개

(10) 학습 도입 동기 유발 학습목표 확인

◦학습 분위기 조성 및

디자인 수업 규칙 정하기

▣동기 유발 ◦환경을 주제로 한 환경단체 또는 회사를 보여주고 그들이 제작하는 상 품과 홈페이지 등을 보여준다. -세계야생동물기금협회(WWF)의 로고와 협회서 제작하는 포스터를 제시 -멸종위기 동물을 테마로 제작한 달력, 컵, 팔찌 등의 상품을 제시 ▣학습목표 확인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념을 이해하고 CPS(창의적 문제해결)에 기반 한 창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활동 1】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기 ◦PPT자료를 학생들과 함께 보면서 아이덴티티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설 명한다.

(25)

◦환경관련 기업의 CI와 BI를 보면서 기업의 이미지를 담는 브랜드 아이 덴티티(BI)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CI와BI 개념의 차이를 설명한다. ▣【활동 2】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정보 수집 ◦MIE를 활용하여 환경기업에 대한 자료조사 한다. -신문사설, 한국방송광고공사 등의 사이트에서 키워드를 통해 자료 조사 173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하는 법을 설명하고 자신에게 유의미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한다. -키워드: 환경 기업, 환경 사업, 지구 온난화 대처, 기업가 정신, 환경 마케팅 ◦MIE를 활용한 정보 모둠별 공유하기 -MIE를 활용한 자료 조사 후 모둠별로 자신이 수집한 정보를 서로 이야 기하며 공유하고 수집한 자료에서 좋은 점과 보완했으면 하는 점에 대해 토론한다. ▣【활동 3】CPS(창의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창업계획서 작성하기 ◦환경을 위한 창업 아이템으로 좋은 성공을 거둔 사업가를 소개한다. -기발한 발상으로 네덜란드 비영리단체 오션클린업의 CEO가 된 보얀 슬랫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http://blog.naver.com/ccei_forever/220784289514 ◦PPT자료를 보면서 창업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업 아이템을 정하고 CPS(창의적 문제해결)에 기반하여 창업계획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CPS(창의적 문제해결)는 사실발견, 문제발견, 아이디어 발견, 문제 해결, 수용성 발견이라는 단계별 활동으로 진행되며 이를 따라 창업계획서 작 성하기 ▣학습 정리 정

리 (5)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념을 이해하고 CPS(창의적 문제해결)에 기 반한 창업계획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차시예고 [디자인과 환경 경제]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Ⅱ 수업의 특 장점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라는 수업주제로 1~5차시까지 계열성 있는 수업이 진 행되었기 때문에 6~8차시에 이루어지는 다소 접근하기 어려운 주제인 환경 브랜드 아이 덴티티 수업을 학생들이 보다 쉽게 문제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환경 아이템을 선정하고 브랜드를 구축할 때 발생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창의적 아이디어를 통해 합리적 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를 위해 창업계획서를 작성할 때 CPS(창의적 문 제해결)방식을 적용하도록 하여 사실발견, 문제발견, 아이디어 발견, 문제 해결, 수용 성 발견이라는 단계별 활동으로 진행하여 학생들이 사업 아이템을 구체화할 수 있 도록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CPS(창의적 문제해결) 창업계획서

174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2050년 초록 지구를 위한 환경 기업가 환경 기업가가 되어서 기업을 설립하고 지구 온난화로부터 시작된 기후 변화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알리고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자. 1.사람들에게 환경 문제를 알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환경 기금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적어보자. 2.지구 온난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기업에서는 어떠한 일을 하는가? 1단계 목표발견

2단계 사실 발견

다양한 참고자료(여러 기업에 대한 성격과, 특징, 컨셉 등) 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과정을 이해한다. -MIE(Media In Education)를 활용한 자료조사를 한다. ☺환경 기업을 설립하기 위해 나에게 유의미한 정보는 무엇인 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과정

정보 수집을 통해 문제를 구체화하고 어떤 사업을

문제의

진행할 것인지 선택하여 방향을 잡는다.

이해

사업의 방향은 환경문제 해결, 환경문제 홍보, 환경문제 교육 등으 3단계 문제 발견

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적을 수 있도록 한다. ☠내가 개선하고자 하는 환경 문제는 무엇인가? ☺기업명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업활동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업홍보전략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업상품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과정 아이 디어 생성

3과정 행위를

4단계 아이디어 발견

자신의 환경 사업에 맞는 상품 브랜드의 마크・로고・색상・취향・마인 드・코디네이션・판매 촉진활동・광고 선전활동・홍보 전략 등을 수립 한다. ☺아이덴티티 기본요소를 디자인한다.

5단계

다양한 재료와 아이디어 스케치를 바탕으로 브랜드를 구체화 시키

해결책

고 본인의 환경 사업에 맞는 응용 매체를 제작한다.

발견

☺아이덴티티 응용요소를 디자인한다.

6단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소비자에게 알릴 때 요소

수용안

중 수정해야 할 것과 보완해야 할 것들을 파악해서 현재의 상황을,

위한 계획

발견

바라는 미래 상태로 바꾸어 본다.

175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2-7. 7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디자인과 환경 경제]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Ⅱ -환경홍보를 위한 아이템을 기획하고 로고, 캐릭터 등의 브랜드 아이

학습 목표

덴티티 기본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1. 창업계획서를 바탕으로 판매 촉진활동, 광고 선전활동, 홍보전략 등 을 수립하기

주요

2. 자신의 사업 아이템에 맞는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본요소

활동내용

제작하기 3. 환경 브랜드의 컨셉에 맞는 상품 브랜드의 마크, 로고, 색상 등을 디자인하기

준비물

PPT,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계획서, 도화지, 색연필, 싸인펜, 풀, 가위

[세부활동 내용] ▶ 7차시 학습지도안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학습 도입

◦인사나누기, 선생님 소개

(10)

◦학습 분위기 조성 및

학습 도입

▣동기 유발 ◦지난 시간에 소개한 네덜란드 비영리단체 오션클린업의 CEO가 된 보얀

동기 유발

슬랫의 인터뷰를 보여준다.

학습목표 확인

디자인 수업 규칙 정하기

▣학습목표 확인 -환경홍보를 위한 아이템을 기획하고 로고, 캐릭터 등의 브랜드 아이덴티 티 기본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활동 1】CPS(창의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창업계획서 작성하기 ◦전 시간에 이어 CPS(창의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창업계획서를 작성한다. -지난시간에 1단계: 목표발견, 2단계: 사실발견, 3단계: 문제발견의 총 1

(25)

과정 문제의 이해까지 작성한 계획서를 토대로 오늘은 4단계: 아이디어 발견에서 판매 촉진활동, 광고 선전활동, 홍보전략 등을 수립한다. -3단계에서 기업의 주제와 문제를 정리하여 목록화한 것에 가능한 한 많 은 아이디어를 산출한다. -4단계에서 최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교사는 학생에게 피드 백 할 수 있어야 하며 너무 쉽게 아이디어를 평가하여 결론을 내려 기발

176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한 생각들이 묻히지 않도록 조심한다. 또한 자신의 아이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개발계획서에 의거 상품군의 판매활동이 환경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전략, 환경교육 활동, 광고활동, 홍보전략 등 환경 사업을 보다 구체화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활동 3】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계획서 작성하고 기본요소 제작하기 ◦4단계: 아이디어 발견에서 판매 촉진활동, 광고 선전활동, 홍보전략 등 을 수립한 후 환경 기업 컨셉을 선정하여 구체화시킨다. -마케팅적 사고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기획하고 개발하여 환경 기업의 가 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한다. -로고, 심볼, 캐릭터 등의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본요소 디자인을 진 행하도록 지도한다. -시각적 상징 기법인 심볼, 글자로 이루어진 로고타이프를 균형 있게 조 합 할 수 있다. ▣학습 정리 정

리 (5)

◦환경홍보를 위한 아이템을 기획하고 로고, 캐릭터 등의 브랜드 아이덴 티티 기본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차시예고 [디자인과 환경 경제]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Ⅲ 수업의 특 장점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라는 수업주제로 1~5차시까지 계열성 있는 수업이 진 행되었기 때문에 6~8차시에 이루어지는 다소 접근하기 어려운 주제인 환경 브랜드 아이 덴티티 수업을 학생들이 보다 쉽게 문제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환경 아이템을 선정하고 브랜드를 구축할 때 발생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창의적 아이디어를 통해 합리적 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디자인에 있어서 아이템 선정, 기업 운영 등의 마케팅 요소를 생각해 봄으로써 환경 기업가 정신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사 회 이슈와 결합한 디자인 수업을 통해 단순히 꾸미는 것으로 디자인을 생각하는 것이 아 닌 자기주도적 문제해결 방법을 마련하는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재고 할 수 있을 것이다. CPS(창의적 문제해결) 창업계획서

177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2050년 초록 지구를 위한 환경 기업가 환경 기업가가 되어서 기업을 설립하고 지구 온난화로부터 시작된 기후 변화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알리고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자. 1.사람들에게 환경 문제를 알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환경 기금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적어보자. 2.지구 온난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기업에서는 어떠한 일을 하는가?

자신의 환경 사업에 맞는 상품 브랜드의 마크・로고・색상・취향・마인 드・코디네이션・판매 촉진활동・광고 선전활동・홍보 전략 등을 수립 한다. ☺아이덴티티 기본요소를 디자인한다.

2과정 아이 디어 생성

3과정

4단계 아이디어 발견

5단계

다양한 재료와 아이디어 스케치를 바탕으로 브랜드를 구체화 시키

해결책

고 본인의 환경 사업에 맞는 응용 매체를 제작한다.

발견

☺아이덴티티 응용요소를 디자인한다.

위한

6단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소비자에게 알릴 때 요소

계획

수용안

중 수정해야 할 것과 보완해야 할 것들을 파악해서 현재의 상황을,

행위를

발견

178

바라는 미래 상태로 바꾸어 본다.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2-8. 8차시 [개요] 수업의 주제

[디자인과 환경경제]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Ⅲ -환경 홍보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본요소를 활용하여 간판, 웹 페이지,

학습 목표

환경 상품 등에 적용할 브랜드 아이덴티티 응용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1. 자신의 환경 사업 방향에 맞도록 기본요소를 활용하여 간판, 웹 페 이지, 환경 상품 등의 여러 가지 품목에 적용할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

주요

티 응용요소 제작하기

활동내용

2. ‘원 소스 멀티 유즈’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하기 3.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을

설명하고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효과적으로 표현되었는지 결과물 평가하기 준비물

PPT,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계획서, 도화지, 색연필, 싸인펜, 풀, 가위

[세부활동 내용] ▶ 8차시 학습지도안 학습 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학습 도입 ◦인사나누기, 선생님 소개

(10) 학습 도입 동기 유발 학습목표 확인

◦학습 분위기 조성 및

디자인 수업 규칙 정하기

▣동기 유발 ◦7차시에 학생들이 작성한 창업계획서 4단계의 아이덴티티 기본요소를 PPT로 함께 보며 간단히 살펴본다. -잘된 점과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서 이야기 해준 뒤 기본요소를 활용하 여 아이덴티티 응용요소를 완성할 것임을 이야기 한다. ▣학습목표 확인 -환경 홍보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본요소를 활용하여 간판, 웹 페이지, 환 경 상품 등에 적용할 브랜드 아이덴티티 응용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활동 1】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본요소 완성하기 ◦7차시의 로고, 심볼, 캐릭터 등의 아이덴티티 기본요소를 완성한다. -교사와의 피드백을 통해서 기본요소 디자인을 완성하고 이를 다양한 곳

(25)

에 응용시킬 수 있음을 안다. -자신의 환경 브랜드 전략에 맞도록 기본 요소를 응용해서 여러 형태의 매체와 품목에 적용해 볼 것임을 이해한다. ▣【활동 2】브랜드 아이덴티티 응용요소 완성하기 ◦CPS의 5단계 해결책 발견단계로 다양한 재료와 아이디어 스케치를 바 탕으로 아이덴티티 기본요소를 구체화시키고 자신이 기획한 환경 기업의 179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

컨셉에 맞는 응용요소를 제작한다. -학생의 창업계획에 따라 교사가 피드백 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응용요 소를 결정한다. -기본 요소를 여러 매체에 반복 적용해보면서 사람의 의식 속에 인식시 키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특징에 대해서 상기해본다. -기본 요소를 응용요소에 적용하면서 하나의 소스를 여러 곳에 적용시킬 수 있는 원소스 멀티 유즈 개념을 이해한다. ▣【활동 3】브랜드 아이덴티티 응용요소 평가하기 ◦CPS의 6단계 수용안 발견 단계로 브랜드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환경 기 업의 컨셉을 이용자에게 알릴 때 수정해야 할 부분을 파악해서 현재 보 완해야 할 부분을 바라는 미래 상태로 바꾸어 볼 수 있도록 한다. -기본 요소를 적용한 응용요소 아이덴티티 작업을 완료하고 디자인 과정 에 맞추어서 자세히 설명을 적도록 한다. -교사가 먼저 예시를 들어서 자세히 설명하고 학생이 자신의 브랜드 아 이덴티티 응용요소에 대해 프레젠테이션 한다. 예시) 지구 온난화에 대한 위험성을 알리는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환경 교육 기업을 설립하였다. 기업 교육단체 명칭은 그린교실로 이를 나타내 기 위해 지구의 형태와 녹색의 잎사귀를 사용한 로고를 제작하고 그린교 실 글씨를 디자인해서 마크로 사용하고자 한다. 환경 교육을 담당하는 기 업으로 교육이 있음을 알리는 홈페이지를 디자인 하고 환경교육에 사용 되는 보드게임과 컴퓨터 교육 영상을 게임의 형식으로 나타내 보았다. -프레젠테이션 된 내용 중 발견한 장단점이 있다면 장점은 극대화하고 단점은 보완할 수 있도록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본다. ▣학습 정리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본요소를 활용하여 간판, 웹 페이지, 환경 상품 등에 적용할 브랜드 아이덴티티 응용요소를 제작해보았습니다. 정

리 (5)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를 주제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로 발생하는 문제에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지 총 8차시 수 업을 통해 디자인 문제 해결하는 법을 배워보았습니다. 수업의 특 장점

‘2050년 초록 지구 내가 지켜요’라는 주제로 계열성 있는 8차시 수업을 구성하여 환경 문제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디자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또한 1. 기후변화 인포그 래픽, 2. 2050 자연사 박물관- 빙하가 사라진 극지방의 동물들, 3. 환경 브랜드 아이덴티 티 디자인의 3가지 주제로 8차시의 시간 배분이 어려운 경우 세분화된 주제를 선택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MIE를 활용하여 자신에게 유의미한 자료를 스스로 수집하고 180


디자인분야 - 최우수상

학생 개개인이 환경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들을 교사가 함께 피드백 하여 개인별 다른 주제의 색다른 결과물이 나오는 것도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수업의 특장점이다. CPS(창의적 문제해결) 창업계획서 2050년 초록 지구를 위한 환경 기업가 환경 기업가가 되어서 기업을 설립하고 지구 온난화로부터 시작된 기후 변화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알리고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자. 1.사람들에게 환경 문제를 알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환경 기금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적어보자. 2.지구 온난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기업에서는 어떠한 일을 하는가? 다양한 재료와 아이디어 스케치를 바탕으로 브랜드를 구체화 시키 고 본인의 환경 사업에 맞는 응용 매체를 제작한다. ☺아이덴티티 응용요소를 디자인한다. -지구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게임 개발

5단계 3과정

해결책

행위를

발견 -환경 포스터 디자인

위한 계획

-이외에 웹페이지 환경홍보 사이트 적용, 캐릭터와 로고를 이용한 생활용품 등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응용요소 도출 6단계 수용안 발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소비자에게 알릴 때 수정해야 할 것들을 파악 해서 현재의 상황을 바라는 미래 상태로 바꾸어 본다.

181



디자인

입선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류민아, 정혜연



디자인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프로그램 세부 분야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디자인, 만화·애니메이션

초등학교 5~6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80분 (각 차시당) 소통을 통한 아이콘의 무한 변신 현대 사회에 들어서며 다양한 매체의 등장으로 인해 가족 간의 관심과 소통이 줄어드는 사회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아이들 역시 세상과 사람들과의 소통의 기회가 줄어들게 되면서 사고의 방식에 제한을 가지게 되었다.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다양한 소통의 기회를 주며 흥미 있는 수업을 구성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 고민하던 중 서울 국립현 대미술관 [아이콘으로 당신을 표현해보세요] 전시를 감상하였다. 단순화된 기호에 이해하기 쉽고, 누구든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

프로그램

의 기능과 활용의 용이성에 대하여 관심을 가졌다.

내용 요약

우리 주위의 사물‧환경은 거대한 작품의 한 도구로써 사용가능하 다. 아이콘이란 대상의 특징을 충분히 관찰하고 분석한 뒤 누구 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적합한 형태로 바꾸는 단순화작업을 거친다. 우리는

러한 아이콘의 명료함을 무한 활용하여 세상-나-친구-세상이라는 소통의 순환 구 조 속에서 아이들에게 다양한 체험활동과 창의적 사고를 개발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185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I콘의

재구성”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1차시

세상과의 소통 디자인 아이콘과의 만남 - 세상의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다. - 디자인 아이콘에 대해 이해 하고,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여 단순화를 할 수 있다.

2차시

세상과의 소통 사물의 단순화 디자인하기 - 사물의 특징을 찾아보고 이 를 확대하기, 부분 표현하기, 생략하기 등의 단순화 작업을 거쳐 아이콘으로 디자인 할 수 있다.

3차시

나와의 소통 디자인 아이콘 딱지 작업 - 나와의 소통 과정을 통해 나 만의 색 무드와 이미지를 찾고 아이콘 디자인을 할 수 있다. - 나만의 색 무드와 이미지를 활용한 아이콘 딱지를 만들 수 있다.

4차시

5차시

6차시

186

친구와의 소통 아이콘을 이용한 게임 개발 - 아이콘 딱지를 활용한 놀이 를 개발 할 수 있다. 친구와의 소통 아이콘의 재구성 - 모둠원과 협력하여 제시된 게임 미션을 해결하고 아이콘 을 재구성 하여 캐릭터를 만 들 수 있다. 이야기의 소통 움직이는 아이콘 이야기1 -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역할 이해 및 역할분담을 할 수 있다. - 이야기 기본구조와 주제에 맞

주요 활동내용

-

세상의 소통에 대해 이야기해보기 디자인과 소통의 관계 알아보기 디자인 아이콘에 대해 알아보기 사물의 단순화 이해하기

- 사물의 특징을 찾아보기 - 사물의 단순화 디자인하기 - 확대, 부분 표현, 생략하기의 단순화 작업 을 거쳐 아이콘 디자인하기

- 나만의 색 무드 찾아보기 - 나만의 이미지 찾아보기 - 나만의 색 무드와 이미지를 활용한 아이 콘 딱지 만들기

- 모둠원과 함께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아이 콘 딱지 게임 개발하기 - 개발한 아이콘 게임 다 같이 즐겨보기

- 미션! 아이콘 딱지의 재구성 - 캐릭터 디자인하기

-

몸으로 말해요. 기승전결 구조 이해하기 모둠원 역할 및 캐릭터 정하기 이야기 만들기


디자인분야 - 입선

게 이야기를 구성 할 수 있다.

7차시

이야기의 소통 움직이는 아이콘 이야기2 - 잔상효과를 이해하고 스톱 - 잔상효과 및 스톱모션의 이해 모션 기법을 활용하여 움직이 - 애니메이션 촬영하기 는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8차시

세상과의 소통 아이콘 페스티벌 -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감상 - 아이콘 애니메이션 감상하기 하고 홍보영상을 제작할 수 - 아이콘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 제작하기 있다. - 우리의 소통 이야기 - 미래의 소통 방식에 대하여 이야기 할 수 있다.

2. 세부내용 단원의 설명: 본 8차시 수업으로 연계되는 이 수업은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디자 인+만화·애니메이션으로 통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세상나-친구-세상이라는 소통의 순환 구조 속에서 사물의 관찰과 확대, 부분 표현, 생 략의 과정을 통해 단순화 작업을 거쳐 아이콘을 디자인 한다. 단순화 작업을 통 해 복잡한 정보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바꾸는 작업을 거 친다. 아이콘 딱지를 제작 후, 더욱 더 발전 시켜 게임 개발, 캐릭터 개발, 애니 메이션 촬영을 통해 학생들의 다각적 시각 형성 및 사고 확장, 서로 간의 커뮤니 케이션을 통한 작품 완성과 협동심 상승을 요하고 있다. 단원의 목표: 1차시: 세상과의 소통 - 디자인 아이콘과의 만남 - 세상과의 소통을 할 수 있는 매개체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 디자인에서의 소통 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 디자인 아이콘 개념을 이해하고, 아이콘의 도식화를 알 수 있다. 2차시: 세상과의 소통 - 사물의 단순화 디자인하기 -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고 확대, 부분 표현, 생략을 통해 단순화 디자인 작업을 할 수 있다. 3차시: 나와의 소통 - 디자인 아이콘 딱지 작업 - 나와의 소통을 통해 나의 색 무드, 이미지를 찾을 수 있다. - 색 무드와 이미지를 활용한 아이콘 딱지를 만들 수 있다. 4차시: 친구와의 소통 - 아이콘을 이용한 게임 개발 - 모둠원들과 함께 서로 의견을 공유하며 아이콘 딱지 게임을 개발 할 수 있다. 187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5차시: 친구와의 소통 - 아이콘의 재구성 - 모둠원들과 제시된 게임의 미션을 함께 해결하고, 아이콘을 재구성하여 캐릭터 를 디자인 할 수 있다. 6차시: 이야기의 소통 - 움직이는 아이콘 이야기1 - 게임을 통해 말이 없을 경우 내용 전달의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 모둠원 역할을 분담하고, 서로의 의견을 나누며 아이콘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7차시: 이야기의 소통 - 움직이는 아이콘 이야기2 - 모둠원들과 함께 스톱모션 기법을 활용한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8차시: 세상과의 소통 - 아이콘 페스티벌 - 서로의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감상하고 홍보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 과거의 영화와 미래의 의사소통 수단을 예측한 영상을 비교 감상하며 미래의 소통방식에 대해 생각해 본다. 기대효과 ► 세상-나-친구-세상의 소통 구조 속에서 다양한 체험활동 ► 서로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작품 완성과 협동심 상승 ► 새로운 형태의 이미지 창조 활동을 통한 창의력 신장 ► 결합, 재조합 과정을 통한 다각적 시각 형성 및 사고 확장 ► 스토리텔링을 통한 이야기 구성 능력 신장

188


디자인분야 - 입선

2-1. 1차시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아이콘의 재구성”1차시 강사명

류민아, 정혜연

초등학교 5~6학년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 활동

1차시

2시수

세상과의 소통 - 디자인 아이콘과의 만남 - 세상의 소통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수업목표

- 디자인 아이콘에 대해 이해하고,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여 단순 화를 할 수 있다. 우리는 세상과 소통하기 위하여 어떻게 하고 있나요?

주요발문

세상의 사물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나요? 어떻게 사물을 단순화하여 디자인해야 할까요?

핵심용어 준비물, 기타

디자인과 소통의 관계, 아이콘 디자인, 사물의 관찰, 특징 찾기 PPT자료, 활동지, 필기도구

학습 과정 학습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주의 집중 〕 - 각자 자리에 앉아 인사를 하며 주의 집중한다. 〔 활동 안내 및 경험 〕 - 이번 주 활동에 대해 짧게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 활동에 관련된 소개 영상을 보여주기 전 발문한다. ➀ 소통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떠오르는 단어는 무엇일까요? 도

문제 인식

➁ 우리는 소통을 하기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요? -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눈 후, 소통 의 매개체로 사용하고 있는 SNS에 관련된 동영상을 보여준다. - [출처]영상:[문화] 트위터 창업자 "SNS로 변한 세계, 주체는 사람"(SBS8뉴스)

- 동영상을 본 후 아이들에게 발문한다. ➀ 세상과 소통하는 활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➁ 이 밖에 소통하는 활동으로는 무엇이 더 있을까요? 189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 학습 목표 제시 〕 학습 목표 안내

- 학습목표를 함께 읽기 세상의 소통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디자인 아이콘에 대해 이해하고,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여 단순화 를 할 수 있다. 〔 학습활동 1 〕 - 디자인, 소통의 매개체로 재탄생 - 활동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동영상을 보기 전 안내하다. “ 디자인과 세상의 소통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거예 요 ” - 세상과 디자인의 소통 관련 동영상을 보여주며 이야기 나눈다.

- [출처]영상:채널i(디자인, 소통의 매개체로 재탄생)https://youtu.be/FVahPMgwolY

- 동영상을 본 후, 디자인과 세상의 소통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갖는다. : 디자인의 영역 안에서 사람과 세상을 연결시켜주는 소통의 예 는 이 밖에 무엇이 더 있을까요? ex) 피아노=사람(음악과 사람의 소통) 비행기=사람 (문화의 경험과 사람의 소통) 전

관계 탐색

-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세상과 의 소통에 대한 예시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➀ 감정의 소통

190

➁ 기계와의 소통


디자인분야 - 입선

〔 학습활동 2〕- 디자인 아이콘에 대해 알아보자!

- [출처]영상:ELLE atTV_D'Factory -

https://youtu.be/3BqatsKAr94

- 아이콘이라는 소재를 활용하여 ‘세상과의 소통’이라는 활동 을 단순하면서도 쉽게 풀어낸다. - PPT자료를 통해 디자인 아이콘에 대해 알아본다. ➀ 디자인 아이콘의 정의와 유래 ➁ 디자인 아이콘의 필요성 ➂ 디자인 아이콘의 변화과정

모바일 휴지통 아이콘 디자인의 변화

〔 학습활동 3〕- 단순화의 매력 알아보기! - PPT자료를 통해 아이콘의 단순화에 대해 알아본다. 디자인의 단순화란 무엇인가? 단순화는 복잡한 정보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적합한 형 태로 바꾸는 작업입니다. 사물을 강조하고 나머지 것들은 오히 려 생략하는 것이 단순화의 핵심입니다. - [출처] [기초소양평가] 디자인에서 많이 활용되는 단순화하기

➀ 주위 사물에 대한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개념 ➁ 지도의 아이콘 (ex: 구글맵, 네이버지도) 디자인에 대해 알아본다. 발견

➂ 다양한 아이콘 (ex: 지브리, 디즈니 아이콘) 디자인에 대해

&

알아본다.

적용

-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예시 ppt자료를 보여준다.

↑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아이콘 맵지도 ↑ 구글 맵 아이콘 디자이너 “김윤재”

191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 감상 및 발표 〕 1. 세상과 인간의 소통에 대해 이야기한다. 정리 정

및 발전

2. 디자인과 세상과의 소통에 대해 이야기한다. 3. 각자 사물의 단순화 디자인을 다 같이 보며 이야기한다. 4. 친구가 이미지의 사물에서 특징을 담아 단순화 시킨 부분을 찾아본다.

2-2. 2차시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아이콘의 재구성”2차시 강사명

류민아, 정혜연

초등학교 5~6학년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 활동

2차시

2시수

수업목표

세상과의 소통 - 사물의 단순화 디자인하기 - 사물의 특징을 찾아보고 이를 확대하기, 부분 표현하기, 생략하 기 등의 단순화 작업을 거쳐 아이콘으로 디자인 할 수 있다. 주변의 사물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나요?

주요발문

복잡한 주변의 사물에서 어떤 부분을 단순하게 표현 할 수 있을까 요?

핵심용어

디자인과 소통의 관계,아이콘 디자인, 사물의 관찰, 특징 찾기, 단순화, 확대하기, 부분 표현, 생략, 목표의식 고취

준비물, 기타

PPT자료, 활동지, 필기도구(연필, 지우개, 자), 색칠도구(색연필, 싸인펜)

학습 과정 학습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주의 집중 〕 - 각자 자리에 앉아 인사를 하며 주의 집중한다.

문제

〔 활동 안내 및 경험 〕

인식

- 저번 주 활동에 대해 짧게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➀ 세상과의 소통의 매개체 ➁ 디자인과 소통의 관계 ➂ 디자인 아이콘

192


디자인분야 - 입선

〔 학습 목표 제시 〕 학습 목표 안내

- 학습목표를 함께 읽어 보기 : 사물의 특징을 찾아보고 이를 확대하기, 부분 표현하기, 생략하기 등의 단순화 작업을 거쳐 아이콘으로 디자인 할 수 있다. 〔 학습활동 1 〕- 사물의 특징 찾아보기! - PPT자료 이미지 예시를 보며 사물의 주 특징에 대해 이야기한

관계 탐색

다. ➀ 동물의 특징 (ex: 호랑이, 코끼리, 토끼 등) ➁ 사물의 특징 (ex: 주전자, 피아노, 책 등) ➂ 사람의 특징 (ex: 유재석, 박나래, 김구라 등) ➃ 건물의 특징 (ex: 남대문, 에펠탑, 이글루 등) 〔 학습활동 2〕- 사물의 단순화 디자인 경험해보기! - 우리 교실 주변의 사물을 관찰한다. - 이미지 책을 보며(ex:여행책자, 관광안내지 등)을 보며 다양한 사물의 형태를 관찰한다. - 왜 이 사물은 이러한 형태를 갖는지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하고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 예시를 보며 사물의 단순화 디자인 활동을 안내한다. - 활동지를 나누어준다. : 활동지에는 몇 개의 주제와 함께 이미지 사진을 첨부한다.

개념 발견 전

& 적용

ex) 동물, 건물 등 - 디자인 활동 방법을 안내한다. : 이미지 사진을 보고 단순화를 시켜보는 과정을 경험해보도록 할 게요. 부분적인 단순화 보다는 먼저 큰 덩어리 전체를 단순화 시 켜보도록 할게요. - 각자 자리에 앉아 디자인할 이미지 사물을 선택하고 그리는 것 을 진행한다. 〔 학습활동 3 〕- 확대, 부분 표현, 생략 경험하기! - PPT자료 확대, 부분 표현, 생략 이미지 예시를 보고 사물을 맞추어 본다. - 디자인 활동에 대해 안내한다. : 확대, 부분 표현, 생략을 통해 사물의 특징을 잡은 후 단순화 디 자인 해보도록 할게요. - 디자인 활동 방법에 대해 안내한다. 193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➀ 지정 된 도안에 특정 사물의 특징을 부분 확대, 부분 표현, 생략하여 단순화 작업을 진행한다. ➁ 칸의 크기인 가로(5cm)X세로(5cm) 안에 디자인 한다. ➂ 시작점은 1.5cm/2.5cm/3.5cm/ 중에서 정한다. - 디자인 활동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미리 작업했던 예시를 보 여주고 다시 한 번 설명한다.

실사 이미지

사물의 특징 파악 - 단순화 과정

부분 표현, 확대 과정

- 마무리 5분 전에 시간을 예고한다. - 다음 활동을 위해 활동지는 수거한다.

〔 감상 및 발표 〕 정리 정

및 발전

1. 디자인 아이콘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재확인 한다. 2. 사물의 특징을 담아내는 디자인 활동을 통해 확대하기, 부분 표현, 생략하기의 개념과 과정을 확인한다. 3. 서로의 단순화 디자인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194


디자인분야 - 입선

2-3. 3차시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아이콘의 재구성”3차시 강사명

류민아, 정혜연

초등학교 5~6학년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 활동

3차시

2시수

나와의 소통 - 디자인 아이콘 딱지 만들기 - 나와의 소통 과정을 통해 나만의 색 무드와 이미지를 찾고 아이

수업목표

콘 디자인을 할 수 있다. - 나만의 색 무드와 이미지를 활용한 아이콘 딱지를 만들 수 있다. 색상을 보고 내가 느끼는 감정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요?

주요발문

나의 색 무드와 이미지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나의 색 무드와 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의 딱지를 보며 어떠한가 요?

핵심용어

준비물, 기타

나와의 소통, 아이콘 디자인, 좋아하는 색, 이미지 연상,다각적 시각 형성 PPT자료, 활동지, 필기도구(연필, 지우개, 자), 싸인펜, 스티커지, 칼, 자, 이방성 자석

학습 과정 학습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주의 집중 〕 - 각자 자리에 앉아 인사를 하며 주의 집중한다. - 지난 주 모둠원과 같이 앉는다. 문제 인식

〔 활동 안내 및 경험 〕 - 저번 주 활동에 대해 짧게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 모둠원과 함께 저번 주 활동에서 확대, 부분 표현, 생략을 활용 하여 디자인 했던 활동지를 꺼내어 다시 한 번 체크한다. 〔 학습 목표 제시 〕 학습 목표 안내

- 학습목표를 함께 읽어 보기 나와의 소통 과정을 통해 나만의 색 무드를 찾고 아이콘 디자인 을 할 수 있다. 195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나만의 색 무드와 아이콘 디자인을 활용하여 아이콘 딱지를 만들 수 있다. 〔 학습활동 1 〕- 나만의 색 찾아보기! - 흥미를 유도하기 위해 색깔 심리 테스트를 해본다. - 색깔 심리 테스트를 활용하여 색상에도 감정이 담겨져 있으며 사람마다 다른 감정과 느낌을 갖고 있음을 경험하는 시간을 갖 는다. - PPT자료를 통해 활동을 안내한다. - 다양한 색상의 예시를 보여준다. - 모듬원들끼리 서로 색상을 보고 느끼는 감정에 대해 이야기 하 는 시간을 갖는다. - 왜 이 색상을 보고 그런 감정을 느끼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눈다. ex) 초록색을 보면 여름이 생각나. 가족끼리 다 같이 매미를 잡 으러 갔는데 나무가 많았고, 매미 소리도 가득했어. 날씨가 너 무 좋았는데 동생이랑 매미 잡으면서 놀았던 기억이 너무 즐거 웠었어. - 이야기가 끝난 후 사람마다 색상의 느끼는 감정이 다르고, 정답 이 없음을 말해준다. - 동영상을 통해 세상에서 보편적으로 느끼고 있는 색상의 의미를 알아본다. 관계 탐색 전

개 - [출처]영상:동아A미니 다큐-컬러테라피(https://youtu.be/ZFIFxVngd_I)

- 프린터 자료를 통해 디자인에서의 색상의 이미지를 안내한다.

- IRI 이미지 스케일에 대해 설명한다. : 이미지 스케일은 다양한 색이 가지는 감정 효과, 연상과 상징, 공감각, 전달 과정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조사하여 특정한 언 어로 객관화시켜서 구성한 이미지 공간을 말한다. - [출처] NAVER 지식백과 - 이미지 스케일 196


디자인분야 - 입선

- 자신의 생각하는 나만의 색 무드의 색상을 찾는 시간을 갖는다. - IRI 이미지 스케일을 보며 각자 자신의 감정(성격, 정체성)에 맞 는 형용사를 이야기 해본다. : 온화한, 부드러운, 내츄럴한, 다이나믹한 등 - 자신의 감정에 맞는 형용사를 선택 후 그 형용사를 가리키는 색 상을 선택하다. - 자신의 표현하는 색이 왜 이 색인지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 나만의 색 무드를 정한다. 〔 학습활동 2 〕 - 나만의 이미지 찾아보기! - 활동지와 스티커에 프린트한 도안을 나누어준다. - 나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단어를 마인드맵으로 작성 해 본다. - 여러 개의 단어 중 나를 생각하는 가장 대표적인 단어를 5개 정 한다. ex) 나는 수다쟁이 = 입술 고양이처럼 생긴 얼굴 = 고양이, 고양이 눈 - 내가 선택한 이미지를 확대, 부분 표현, 생략과정을 거쳐 아이콘으로 디자인한다. - 디자인한 아이콘을 스티커지에

옮겨 그린다.

〔 학습활동 3 〕- 아이콘 딱지 만들기 - 준비한 아이콘 딱지 예시를 보여준다. - PPT자료를 통해 아이콘 딱지 만드는 과정을 보여준다.

개념 발견 & 적용

- 아이콘 딱지 만드는 과정 ➀ 나만의 색의 스티커지를 선택한다. 197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➁ 스티커지의 스티커를 뜯어 자석에 붙인다. ➂ 자석의 뒷부분에는 나의 색 무드 스티커지를 붙인다. ➃ 자석의 앞부분에는 작성 한 아이콘 이미지 스티커지를 붙인다. ➄ 칼을 이용하여 딱지를 따라 자른다. - 재료를 설명한다. : 이방성 자석, 스티커지 - 재료에 대한 유의점을 알아본다. : 칼의 위험성과 사용 시 책상의 손상에 자세히 말해주며 주의를 준다. - 디자인 활동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시연을 한다. - 완성한 아이들은 모둠원끼리 딱지를 합쳐 서로의 딱지를 보며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 마무리 5분 전에 시간을 예고한다. - 완성된 아이콘 딱지는 다음 활동을 위해 수거한다.

정리 정

〔 감상 및 발표 〕

1. 서로의 아이콘 딱지를 보며 색상, 이미지 대해 이야기 해본다.

발전

2. 이번 수업의 아쉬웠던 점과 재미있었던 부분을 이야기 해본다.

2-4. 4차시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아이콘의 재구성”4차시 강사명

류민아, 정혜연

초등학교 5~6학년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 활동

4차시

2시수

수업목표

친구와의 소통 - 아이콘을 이용한 게임 개발 - 아이콘 딱지를 활용한 놀이를 개발 할 수 있다. - 모둠원들과 머리를 맞대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며 게임을 개발

주요발문

하였는가? - 아이콘 딱지를 활용하여 어떠한 형태로 재구성하였는가?

핵심용어

198

아이콘 디자인, 디자인 재구성, 다각적 시각 형성, 목표의식 고취, 성취감, 협동심


디자인분야 - 입선

준비물, 기타

PPT자료, 아이콘 딱지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학습 과정 학습단계

〔 주의 집중 〕 - 각자 자리에 앉아 인사를 하며 주의 집중한다. 문제 인식 도

- 지난 주 모둠원과 같이 앉는다. 〔 활동 안내 및 경험 〕 - 저번 주 활동에 대해 짧게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15분)

- 이전 차시에 수거하였던 아이콘 딱지를 돌려준다. 학습

〔 학습 목표 제시 〕

목표

- 학습목표를 함께 읽어 보기

안내

:아이콘 딱지를 활용한 놀이를 개발 할 수 있다.

〔 학습활동 1 〕 아이콘 딱지 게임 개발! -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PPT자료(동영상)를 활용하여 아이콘 딱지 게임을 보여준다. “같은 아이콘 카드 뒤집기”

- 딱지의 다양한 종류 및 개수가 부족할 수 있기에 수업을 위해

미리 만들어 놓았던 아이콘 딱지를 나누어준다.

(55분)

- 모둠원과 함께 서로의 딱지를 탐색하는 시간을 갖는다. 문제

- 아이콘 딱지를 새로운 형태로 재구성하는 시간을 갖는다.

해결

- 서로의 아이디어를 제시, 발전시켜 우리들만의 게임을 개발한다. 〔 학습활동 2 〕다 같이 즐기는 아이콘 게임! - 개발한 아이콘 게임을 모두에게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다. - 다른 모둠의 게임을 다함께 즐기는 시간을 갖는다. - 마무리 5분 전에 시간을 예고한다. - 다음 활동을 위해 만든 아이콘 딱지를 수거한다. 199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 감상 및 발표 〕 정

(10분)

정리 및 발전

1. 자신의 모둠원들이 만든 게임에 대해 이야기한다. 2. 서로의 아이콘 게임에 대해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한다. 3. 발표한 게임 외에는 만든 게임이 있으면 이야기한다. 4. 직접 게임 개발을 하는 것에 대해 느낀점을 이야기한다.

2-5. 5차시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아이콘의 재구성”5차시 강사명

류민아, 정혜연

초등학교 5~6학년

분 야

만화·애니메이션 / 디자인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 활동

차 시

5차시

2시수

수업목표

주요발문

핵심용어

준비물, 기타

친구와의 소통 - 아이콘의 재구성 - 모둠원과 협력하여 제시 된 게임의 미션을 해결 할 수 있다. - 아이콘을 재구성하여 캐릭터를 디자인을 할 수 있다. - 제시된 미션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아이콘의 재구성을 통해 어떤 캐릭터들이 만들어 질까요? 재구성, 캐릭터 디자인, 미션해결, 다각적 시각 형성, 성취감, 협동심 PPT자료, 아이콘딱지, 핸드폰

학습 과정 학습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활동 안내 및 경험 〕 -지난차시 활동을 상기한 후 이번 주 활동에 대해 이야기 하는 시 간을 갖는다. *지난 차시 우리는 무엇을 하였나요? 도 입

문제

지난 차시는 여러분들이 직접 아이콘딱지를 활용하여 놀이 개발

인식

을 해보았습니다. 이번차시에는 선생님이 제시한 미션을 모둠원과 함께 힘을 합쳐 해결하고 아이콘의 재구성 활동을 통해 다양한 캐 릭터를 만들어 봅시다.

학습 목표 200

〔 학습 목표 제시 〕


디자인분야 - 입선

- 학습목표를 함께 읽고 학습 과정 안내하기 안내

: 모둠원과 협력하여 제시된 게임 미션을 해결하고 아이콘을 재구 성하여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 학습활동 1 〕미션! 아이콘 딱지의 재구성 - 미션진행 순서를 안내한다. ➀ 모둠을 구성한다. ➁ 모둠원이 지니고 있는 모든 아이콘 딱지의 개수와 디자인을 확인한다. *사전에 제작되어있는 아이콘 딱지를 추가로 모둠별로 나눠준다. *모든 모둠의 아이콘 딱지의 총 개수가 같게 조정하여 나눠준다. ➂ 미션 제시어를 발표한다. * 정형화된 형태가 되지 않도록 난이도를 높이며 제시어를 준다. * 난이도 하: 토끼, 포크 등의 특징이 강하며 형태가 있는 단어 난이도 중: 히어로, 난쟁이 등 형태가 있으나 개인의 표현 방식에 따라 형태가 다양하게 나올 수 있는 단어 난이도 상: 우정, 평화, 외로움 등의 형태가 없는 추상적 단어 ➃ 모둠원은 정해진 시간동안 주어진 제시어에 맞게 딱지를 재구성 하여 배치한다.

(제한 시간: 5분)

*완성한 결과물은 사진으로 찍는다. (핸드폰) ⑤ 시간 안에 미션을 해결한 모둠에게 찬스 스티커를 나눠준다.

전 개

⑥ 3~5번 활동을 4~6회 반복한다.

< 물고기>

<사슴>

〔 학습활동 2 〕캐릭터 디자인 - 활동1을 바탕으로 모둠별로 아이콘 딱지를 활용하여 캐릭터를 디자인 한다. 이때 각 모둠은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아이콘 딱지만을 활용하여 최대한 많은 가지 수의 캐릭터를 만든다. * 아이콘 딱지 중복 사용 가능 * 정형화 된 캐릭터가 아닌 상상의 캐릭터도 가능 * 활동1에서 획득한 스티커의 개수만큼 추가 아이콘 딱지 교환 가능 -

완성 된 캐릭터 결과물은 사진으로 찍는다. 201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 사진으로 찍은 후 결과물을 해체하여 다른 캐릭터에 재사용 가능

<문어 외계인> 〔 감상 및 확인 〕 - 각 모둠은 결과물을 찍은 데이터를 전송. - 모두 함께 결과물을 확인하며 무엇을 표현한 것인지 확인한다. * 재밌거나 창의적으로 표현되었다고 생각되는 작품들이 있었 는가, 있다면 어떤 부분이 좋았는가? 정 리

- 모둠원과 소통과정에서 느낀 점을 이야기한다. *모둠원과 협동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진 않았는가?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어떻게 해결 하였는가? *소통과정을 통해 좋았던 점 혹은 얻은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 〔 차시 활동 예고 〕 - 다음 시간 활동 및 준비물을 안내한다.

2-6. 6차시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아이콘의 재구성”6차시

강사명

류민아, 정혜연

초등학교 5~6학년

분 야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 활동

차 시

6차시

2시수

수업목표

주요발문

202

이야기의 소통 - 움직이는 아이콘 이야기1 -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역할 이해 및 역할분담을 할 수 있다. - 이야기 기본구조와 주제에 맞게 이야기를 구성 할 수 있다. - 대사가 없는 애니메이션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나요? - 여러분은 등산을 해본 적이 있나요?


디자인분야 - 입선

핵심용어 준비물, 기타

스토리텔링, 메시지 전달 학습활동지, 연필, 지우개, 사진기(핸드폰), 캐릭터카드

학습 과정 학습단계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영상 감상 및 활동 안내 〕 - 픽사 단편애니메이션 <la luna> 감상: 7분

문제 인식

*여러분은 대사가 없는 애니메이션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 었나요?

도 입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한 걸까요? *대사가 없는 영상을 사람들에게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 여러분은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아이콘의 기능처 럼 대사 없이 영상만으로 누구든 쉽게 이해 가능한 아이콘 애니메 이션의 이야기를 만들어 볼 거예요. 〔 학습 목표 제시 〕 학습 목표 안내

- 학습목표를 함께 읽고 학습 과정 안내한기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역할 이해 및 역할분담을 할 수 있다. *이야기 기본구조와 주제에 맞게 이야기를 구성 할 수 있다. 〔 학습활동 1 〕몸으로 말해요. -몸으로 말해요 게임을 통해 말이 없을 경우 내용 전달의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체험한다. ① 각 모둠에서 지원자 1명씩을 정한다.

전 개

② 지원자는 말 이외의 것을 활용하여 제시된 내용을 친구들에게 설명한다. *ex) 교실 뒤에 있는 걸레를 반으로 2번 접어 내 책상 위를 닦아 주세요.

③ 설명을 이해한 사람은 메시지 내용을 수행한다.

203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 학습활동 2 〕기승전결 구조 이해하기 기-화제의 시작(발단): 산에 가기 승-시작된 화제를 이어감(전개): 등산하기 전-이어지는 화제를 전환시킴(절정): 정상에 오르기 결-화제의 결말(결말): 내려오기

- 내용 확인하기 ① 각 모둠에 이야기 카드세트를 나눠준다. *세트: 하나의 이야기 줄거리가 4개로 분리되어 있는 카드 ② 각 모둠은 카드내용을 확인하고 이야기의 기승전결 구조에 맞게 카드를 나열한다. 〔 학습활동 3 〕모둠원 역할 및 캐릭터 정하기 ① 모둠을 구성한다. (지난차시 모둠) ② 학습 활동지를 나눠준다. ③ 제작팀 역할 및 특징을 소개한다. * 한편의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해 어떠한 역할들이 필요할까요? * 제작진: 총감독, 진행감독, 소품감독, 미술감독, 스토리작가, 촬영감독 등

④ 각 구성원의 성격과 특성에 맞게 역할을 정한다. * 활동 과정 속에서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어떤 준비가 필요한 지 확인하고,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각 역할들이 어떻게 소통 해야 할지 이야기해본다. ⑤ 모둠별로 지난 차시 결과물인 아이콘 캐릭터 카드를 나눠준다. *지난 차시 각 모둠에서 나온 캐릭터 이미지를 전부 출력하여 카드로 제작해온다.

⑥ 모둠원끼리 상의하여 마음에 드는 캐릭터 카드를 3~5개 고른다. 〔 학습활동 4〕이야기 만들기 ① 활동지를 나눠준다. ② 선정한 캐릭터를 확인 후 각 캐릭터의 역할을 설정한다. ③ 활동2를 토대로 이야기 주제와 제목을 활동지에 기입한다. * 주제는 간단명료하게 정한다. ③ 기승전결 구조에 맞게 아이콘 캐릭터가 등장하는 스토리보드 를 만든다. *이때 이야기가 장황해지지 않도록 지도한다. *이야기를 아이콘으로 어떻게 표현할지, 표현 가능한 이야기 인지 204


디자인분야 - 입선

판단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활동소감 이야기하기〕 <활동1,2> -말을 하지 않고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어떤 점이 힘들었는지 이야기 해봅시다. -말을 하지 않고 내용을 전달할 때 필요한 것들은 무엇이 있을지 이야기 해봅시다.

정 리

<활동3,4> -모두의 의견을 하나로 만드는 것에는 어떠한 과정과 태도를 필요 로 하는지 이야기 해봅시다. 〔 차시 활동 예고 〕 - 다음 시간 활동 및 준비물을 안내한다. 2-7. 7차시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아이콘의 재구성”7차시

강사명

류민아, 정혜연

초등학교 5~6학년

분 야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 활동

차 시

7차시

2시수

수업목표

이야기의 소통 - 움직이는 아이콘 이야기2 잔상효과를 이해하고 스톱모션 기법을 활용하여 움직이는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 애니메이션은 ‘잔상효과’의 원리로 만들어집니다. ‘잔상효과’

주요발문

란 무엇일까요? - 어떻게 하면 정지되어 있는 물체가 스스로 움직이는 것일까요?

핵심용어

준비물, 기타 학습 과정 학습단계 도 입

문제

잔상효과,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제작 아이콘딱지, 활동지, 테이프, 삼각대, 핸드폰 거치대, 핸드폰, USB케이블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영상 감상 및 발문하기 〕 205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아이콘 애니메이션 감상 <제국의 탄생> *제목을 알려주지 않고 감상한다. 인식

*애니메이션의 내용을 이해하였나요? *어떤 캐릭터가 등장하였나요? *아이콘이 어떻게 움직인 걸까요?

〔 학습 목표 제시 〕 학습 목표 안내

- 학습목표를 함께 읽고 학습 과정 안내한기 :잔상효과를 이해하고 스톱모션 기법을 활용하여 움직이는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 학습활동 1 〕잔상효과 및 스톱모션의 이해 <애니메이션의 원리_잔상효과> -애니메이션은 잔상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잔상효과: 정지한 이미지를 빠르게 움직여 하나의 움직임으로 보 이는 효과, 이는 직전에 본 이미지의 잔상이 미처 시야에서 사라 지기 전에 그다음 이미지를 받아들임으로써 두 이미지가 자연스럽 게 연결되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 *[츨처] _한국만화영상진흥원_만화애니메이션 사전 _ 네이버 지식백과_시각효과의 진화, 그 시작과 발전

*우리 생활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잔상효과는 무엇이 있을까요? ex) 선풍기 프로펠러, 불꽃놀이, 형광등 전 개

*잔상효과를 활용한 영상 감상하기

[Amazing Animation using wheel_THE CYCLOTROPE] 206


디자인분야 - 입선

<촬영기법_스톱모션> - 스톱모션: 이미지를 한 프레임씩 변화를 주면서 촬영한 후 이 이미지들을 연속적으로 영사하여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애니메이 션 기법. * [츨처]_한국만화영상진흥원_만화애니메이션 사전

* 무한도전 클레이 애니메이션 제작과정 감상하기 〔 학습활동 2 〕애니메이션 촬영하기 - 애니메이션 제작활동을 통해 서로의 역할을 끊임없이 확인하고 유기적으로 소통하는 과정을 체험한다. ① 촬영할 세트장을 준비한다. *칠판, 화이트보드 등 (자석이 붙을 수 있는 곳) ② 주의사항을 안내한다. - 사물을 조금씩 움직인다. - 사물을 움직인 후 손을 확실하게 뺀다. - 촬영 시 지정된 곳 안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 촬영이 된 걸 확실히 확인한 후 움직인다. ③ 촬영 전 아이콘딱지의 움직임을 시나리오 순서에 맞게 리허설을 한다. ④ 촬영 순서에 맞게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다. (스톱모션 앱 활용) * 모둠 장은 전체 촬영순서 및 필요사항을 관리 감독한다. * 시간 지연 및 혼란 방지를 위하여 소품 담당자들은 다음 장면에 필요한 소품을 미리 준비하여 대기한다. ⑤ 장면 전환 시 카메라를 돌려 제대로 촬영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다.

카메라 세팅 (위치,각도)

조명 조절

스토리보드, 아이콘 준비

207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카메라 위치 조정

촬영 시안에 따른 배치

촬영

위치 변경(조금) 후 고정

촬영

위치변경 후 촬영을 반복

〔 정리 및 차시 활동 예고 〕 - 자신이 사용한 카메라세트를 정리하고 촬영장소 주변을 청소하 정 리

고 재료를 정리한다. - 완성된 영상파일을 확인 후 데이터 전송한다. - 다음 시간 활동 및 준비물을 안내한다.

2-8. 8차시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아이콘의 재구성”8차시

강사명

류민아, 정혜연

초등학교 5~6학년

분 야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 활동

차 시

8차시

2시수

수업목표

주요발문

208

세상과의 소통 - 아이콘 페스티벌 -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감상하고 홍보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 미래의 소통 방식에 대하여 이야기 할 수 있다. - 우리가 만든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소개할 수 있나요? - 미래에는 어떠한 방식으로 소통을 하며 살아갈까요?


디자인분야 - 입선

핵심용어

준비물, 기타

애니메이션 감상, 홍보영상제작, 미래의 소통방식 캐릭터카드, 가위, 풀, 테이프, 폼보드, 삼각대, 핸드폰 거치대, 핸드폰, usb케이블

학습 과정 학습단계 문제 인식

수업내용 및 주요활동

〔 지난차시 활동 상기하기 〕 *우리는 지난차시 어떤 활동을 하였나요? *친구들이 만든 아이콘 애니메이션은 어떨까요? 〔 학습 목표 제시 〕

도 입 학습 목표 안내

- 학습목표를 함께 읽고 학습 과정 안내하기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감상하고 홍보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미래의 소통 방식에 대하여 이야기 할 수 있다. 〔 학습활동 1 〕아이콘 애니메이션 감상하기 -친구들이 만든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감상 후 내용확인을 한다. * 전달 하고자 하는 내용은 무엇이었나요? * 각 작품의 좋았던 점과 아쉬운 점은 무엇이었나요?

전 개

〔 학습활동 2 〕홍보영상 제작하기 - 유튜브에 올릴 아이콘 애니메이션 홍보영상을 제작한다. ① 각 모둠에 폼보드와 캐릭터 카드를 나눠준다. ② 각 모둠은 홍보방식을 논의하여 정한다. 홍보 판넬 제작 소개, 애니메이션 감상 리뷰(인터뷰) 등 ③ 결정한 방식에 따라 홍보영상에 필요한 것들을 제작 후 촬영한다. ④ 완성된 홍보영상+ 아이콘 애니메이션을 동영상 편집앱을 활용 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만든다. ⑤ 완성된 영상을 유투브에 업로드 후 모두 함께 감상한다. ⑥ 애니메이션 영상만 봤을 때와 홍보영상까지 같이 봤을 때의 감상을 비교하여 이야기 한다. 〔 학습활동 3 〕우리의 소통 이야기 -1989년도에 제작된 <백투더퓨처>의 영상을 보며 과거에 상상했던 미래의 모습은 어땠고, 현재 얼마만큼 실현되었는지 확인한다. [출저]_https://youtu.be/UUgQklw_4cg [백투더퓨처2가 예언한 그날]

-미래의 의사소통수단을 예측하여 만들어진 영상을 감상한다. [출처]_https://youtu.be/CVprtbpfpCE

209


나와 아이들의 소통 이야기 "I콘의 재구성"

-학습활동지 작성활동을 통해 내가 살아가고 있을 미래의 소통방 식을 생각해본다. * 사회 및 생활양식 변화, 과학의 발전에 따라 우리는 미래는 어떻 게 변해 있을까요? * 20년 뒤의 나는 어떤 사람이 되어 어떻게 세상과 소통하며 살아 가고 있을까요? - 대표 학생이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한다. 〔 정리 〕 - 자신이 사용한 카메라 세트를 정리하고 촬영장소 주변을 청소하 정 리

고 재료를 정리한다. * 8주에 걸친 수업을 진행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요? * 나는 어떠한 방식으로 소통하며 수업에 참여한 것 같나요?

210


디자인분야 - 입선

211



만화/애니메이션

최우수상 카툰블루마블 변미섭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최우수상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세부 분야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카툰블루마블 만화·애니메이션 초등학교 5-6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40분 (각 차시별)

블루마블게임을 우리가 만들어 보자(카툰블루마블)

※ 프로그램 개관 및 개발 배경 -현재 만화애니메이션의 수업은 특정한 교과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전공자의 재량 에 의해 다양한 수업과 융합하여 표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만화 애니메이션을 활용하면 많은 학생들이 수업이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더욱 창 의적이고 다양한 자신만의 생각과 문제해결방법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는 모습 을 통하여 카툰블루마블이라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또한 매년 바뀌는 환경과 새로운 친구들과의 소통의 문제를 힘들어 하던 학생들이 에게 나와 너 그리고 우리에게 소통의 방법으로 활용되면 되길 바라는 마음과 나 와 같이 학생들의 고민과 생각을 함께 하고자 하는 분들과 공유되어지면 좋겠다. ※ 프로그램 특성 및 강점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기술 프로그램

1>개발을 한다는 건 누구나 힘들이야 : 블루마블 말 만들기

내용 요약

-그림그리기를 좋아하는 친구도 있지만, 그림 그리기를 싫어하는 학생들도 있을 수 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수업은 (다함께 참여하는) 어떤 것이 있을까? 생각 없이 표현할 수 있는 낙서 속에서 내가 찾던 캐릭터를 발 견해보자 2>내가 하고 싶은 건 누구나 하고픈 일 : 애니카드 만들기/ 미션카드 만들기 -블루마블 카드 제작을 통하여 내가 하고 싶은 일을 그림과말풍선을 활용하여 제 작해보자 -블루마블 카드를 이용하여 또 다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 왕카드 게임 3>카툰 속 우리세상 : 블루마블 판 디자인하기 -모둠별로 각자의 말을 이용한 시나리오 제작하기 및 말들과 어울리는 세상을 만 들어, 블루마블 판을 디자인해보자

215


카툰블루마블

카툰블루마블

1. 개요 구분

학습목표 (블루마블 말 디자인)

1차시

낙서에서 찾아보자 내가 찾던 캐릭터야!

2차시

주요 활동내용 -낙서는 누구나 할 수 있잖아! -캐릭터가 무엇인지 아니? -내 낙서에 캐릭터가 숨어있다고? -친구의 낙서에서 캐릭터를 찾아보자

(블루마블 말 디자인)

-낙서 속에서 우연하게 캐릭터를 발견해보자

낙서에서 찾은 캐릭터

-캐릭터를 슈링클스지에 스케치하고 /색칠

“블루마블 말”을

-슈링클스지의 특징을 알고/ 오븐에 굽기

만들어보자

-나만의 블루마블 말 제작하기 (3장의 카드 만들기)

애니카드! 3차시

나는 할 수 있어! -너도 할 수 있니?

애니카드! 4차시

블루마블 속 또 다른 재미 “왕카드”게임 즐기기

5차시

-애니카드(위캔카드 3칸으로 구분하기) -설명서를 통하여 난 할 수 있어 표현하기 -그림과 말풍선으로 표현하기 -에너지를 표시하자 -애니카드(위캔카드 색칠하기) -모둠 나누기 -왕카드 게임 진행하기 (진행카드제작하기)

미션카드 만들기

-일정하게 오브제를 나누어 주고 미션 만들기

-Mission Card!-

-친구들과 함께 진행할 수 있는 게임 개발하기 -나의 캐릭터 “말”을 소개해 보자 -우리의 캐릭터로 이야기를 만들어보자

6차시

블루마블 판 만들기

(릴레이 이야기) -모둠별 주제 정하기 -우정/자연/꿈/학교폭력예방 등 -주사위 도안을 이용해서 개성 있는 주사위

7차시

슈링클스지를 이용한

만들기

“캐릭터 주사위 만들기”

-스케치 및 슈링클스지에 도안 옮기기

“슈링클스지로 핸드폰 줄 만들기”

-색칠하기 및 오븐에 굽기 -코팅제 및 조립하기

216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최우수상

- 삼각대사용법 배우기 8차시

블루마블 즐기기 “스톱모션으로 촬영하기”

- 스톱모션이란? - 블루마블 판 선택하기 - 블루마블 진행순서 및 주의사항 - 모둠별 블루마블 게임진행하기

2. 세부내용 2-1. 1차시 [개요] 학습주제

낙서! 쯤은 할 수 있잖아!

학습목표

캐릭터의 의미를 알고 낙서 속에서 캐릭터를 발견해보자

학습효과

학습준비물

놀이(장난)를 하나의 수업으로 활용하여 수업에 호기심을 불어 일 으키고 관심을 가질 수 있다.

A4용지, 색연필, 네임펜, 눈동자 스티커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학습내용 ◆낙서를 해 본적 있나요? -낙서란? 1.글씨나 그림 따위를 장난이나 심심풀이로 아무데나 함 부로 씀

도입

5분

2.책 따위를 베낄 때 잘못하여 글자를 빠뜨리고 씀 3.시사나 인물에 대하여 풍자적으로 쓴 글이나 그림 ◆ 낙서는 언제 하게 되나요? -심심할 때, 짜증날 때, 화날 때 등 ◆낙서는 몇 살에 해봤나요? -3살/4살~10살/12살이요/ 217


카툰블루마블

◆ 낙서를 통해 우리는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 다 1)선의 종류에 따라 감정을 표현해보자 (30초안에 낙서로 채우기) -선의 표현선 굵기의 변화로 농담과 운동감을 준다. -수평선 느낌: 넓음, 안정, 평화, 휴식, 조용함 -수직선 느낌: 엄숙, 엄격, 길게 느껴짐 -사선 느낌: 움직임, 운동감, 방향성, 불안정, 속력, 속도감 -방사선 느낌: 집중, 확산, 수렴, 퍼져나감 -자유 곡선 느낌: 질서 있는 부드러움(무질서) -기하 곡선 느낌: 자유로움, 부드러움(단조로움)

◆캐릭터란 무엇일까? 드라마나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이나 특징. 또는 애니메이션 영화 및 만화에 등장하는 주인공. 예를 들어 미키마우스, 톰과 제리 등이다. 전개

25분

-동물이나 식물 혹은 생명이 없는 물체에 사람처럼 표현 하는 것을 캐릭터라고 한다. ◆낙서에서 캐릭터 찾기 -눈동자 스티커를 낙서종이를 돌려가며, 캐릭터를 찾아보 자 ①낙서한 종이위에②눈동자를 올려보자③종이의 방향을 바꾸어가며 새로운 캐릭터를 발견해보자

◆친구의 낙서에서 캐릭터를 찾아보자 -짝꿍과 낙서 종이를 바꾸어 캐릭터를 찾아보자 정리

218

10분

◆내가 찾은 캐릭터 발표하기 ◆낙서 속 캐릭터 감상하기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최우수상

2-2. 2차시 [개요] 학습주제

블루마블 “말” 을 만들어 보자

학습목표

낙서에서 발견한 캐릭터로 블루마블 말을 만들 수 있다. 슈링클스지라는 새로운 재료의 특징을 이해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학습효과

수 있다.

학습준비물

슈링클스지, 오븐기, 색연필, 컴퓨터용 싸인펜, 가위, 펀치, 클레이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학습내용 ◆슈링클스지의 특징을 알아보자 특수종이인 슈링클스지는 오븐기에 구워지면 크기는 1/7사이즈로 줄어들고, 두께는 7배 두꺼워집니다. -슈링클스지는 거친 면에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슈링클스지는 깎아쓰는 색연필을 사용해야 합니다. -수채화도구를 사용해도 됩니다. ◆낙서종이 준비하기

도입

5분

◆1차시, 낙서에서 내가 찾던 캐릭터 선정하여 말 만들기 전개

30분

1)캐릭터 선택하기/캐릭터 형태 정리하기 2)슈링클스지에 옮겨 그리기 ①슈링클스지 앞면과 뒷면 확인하기 ②거친 면에 캐릭터가 비취게 내려놓기 219


카툰블루마블

③유성매직이나 네임펜으로 테두리 따라하기 3)색칠하기(깎아쓰는 색연필사용 및 수채화도구 활용) 4)컴퓨터용 싸인펜으로 테두리 만들어 주기 5)캐릭터 밑면을 여유두기(클레이를 이용하여 말세우기) 6)가위로 오린 후 오븐에 굽기(180도의 열, 5분 동안 굽 기) -스케치 및 채색 작업 이후, 오븐 속에서의 슈링클스지 실제 변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학생들의 주의를 환기시 킨다. 7)두꺼운 책으로 눌러주기(구부러짐 방지) 8)클레이로 말 받침 만들기 9)클레이 받침에 꽂아서 굳히기

10)완성된 캐릭터를 정리하고, 감상하기 ◆캐릭터 말(클레이가) 잘 말릴 수 있도록 사물함위에 보 정리

5분

관을 한다. -주변 정리하기

220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최우수상

2-3. 3차시 [개요]

학습주제

애니카드 만들기1

학습목표

나는 할 수 있어! 너도 할 수 있니? 캐릭터카드를 만들어 보자

만화적 요소를 활용하여 블루마블에서 사용되는 애니카드를 만들

학습효과

어 볼 수 있으며,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학습준비물

바이시클 카드, 색연필, 싸인펜, 모양자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학습내용

◆애니카드를 만들어 어떻게 사용이 되는지 알려주기 -블루마블을 게임을 진행하면 다양한 아이템 카드가 필요 하다. 이때 우리가 직접 아이템을 개발하여 친구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애니카드를 만들어보자. 도입

5분 ◆재료소개 -바이시클 카드란? 마술도구로 활용이 되며 한쪽 면은 아 무런 그림이 그려져 있지 않다. -도형자: 일정한 형태를 자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 애니카드 기본 툴을 만들자 전개

30분

“난 할 수 있어! 넌 할 수 있니?” 새롭게 만난 학급친구들과의 소통을 위해 적극적으로 자 신을 홍보하고 친해질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보자 1>3칸으로 나누어 표현하기 221


카툰블루마블

“바이시클지 활용하기” -설명서 -그림과말풍선활용 -에너지표시하기 : 설명서와 그림처럼 진행하면 에너지가 몇 개가 되는지 표현하기 “도형자사용하기”

2> 3장의 애니카드 스케치하기 및 라인따기 -장난스럽게 진행하지 말고, 내가 할 수 있고 친구도 할 수 있는 범주 안에서 표현해주세요/

3> 내가 만든 카드 발표하기 정리

222

5분

-주변 정리하기/다음차시에는 애니카드 색칠하기 예고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최우수상

2-4. 4차시 [개요] 학습주제

학습목표

애니카드 만들기2 /왕카드 게임 즐기기

나는 할 수 있어! 너도 할 수 있니? 캐릭터 카드를 만들어 보자 애니카드로 새로운 게임을 해보자

만화적 요소를 활용하여 블루마블에서 사용되는 애니카드를 만들 학습효과

어 볼 수 있으며,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하나의 카드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학습준비물

바이시클 카드, 색연필, 싸인펜, 모양자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학습내용 ◆애니카드를 만들어 어떻게 사용이 되는지 알려주기 -블루마블을 게임을 진행하면 다양한 아이템 카드가 나온 다. 이때 우리가 직접 아이템을 개발하여 친구와 함께 즐

도입

5분

길 수 있는 애니카드를 만들어보자 ◆지난 차시에 우리는 “난 할 수 있어! 넌 할 수 있 니?”라는 주제로 새롭게 만나는 친구와의 소통을 주제로 애니카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223


카툰블루마블

◆ 애니카드 색칠하기 -다양한 색칠도구를 이용하여 3장의 애니카드 완성해보자 -에너지는 최대 6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애니카드로 “왕카드” 게임진행하기 -좋아하는 색상의 풍선을 선택하기 전개

30분

-같은색 풍선이 한 모둠으로 만들어짐(흰색은 모둠장) ◆왕카드는 진행자의 구호에 맞추어 카드를 내려놓는 게 임으로 모든 카드를 빨리 소진하는 팀이 승리한다. -레디(구호): 각 모둠 카드내기/미션: 진행자의 미션확인/ 액션(구호): 카드 확인하기

정리

224

5분

다음차시 예고: 미션카드 만들기 -주변 정리하기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최우수상

2-5. 5차시 [개요] 학습주제

미션카드 만들기

학습목표

함께할 수 있는 게임을 참여자들이 직접 개발해보자

학습효과

학습준비물

직접 게임을 만들고, 실험을 통하여 모둠원의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풍선 5개, 밀가루, 색깔사탕, 줄넘기, 구슬 5개, 이쑤시개 10개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학습내용

◆미션카드의 의미를 알아보자 -블루마블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애니카드와 함께 사용되 는 카드는 이번에 제작하는 미션카드 입니다. 모둠원들이 직접 벌칙게임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도입

5분 -모둠별로 일정한 오브제(재료준비물)를 나누어 주면 재 료들을 이용해 모둠원들이 벌칙게임을 진행카드인 미션카 드를 제작하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벌칙게임 설명서를 만화로 표현해주세요)

◆ 벌칙게임을 만들자 일정한 오브제를 각 모둠별로 똑같이 나누어 준다

전개

30분

1)모둠원들과 의논하기 - 다양한 오브제를 통해 진행할 수 있는 벌칙게임을 만들 어보자 -이번 벌칙을 수행하면 블루마블 한 칸 앞으로/ 수행을 못하면 한칸 뒤로 가기 F 풍선을 하나 빨리 불고 묶어서- 모둠원 중 두 명의 친 225


카툰블루마블

구들이 주거니 받거니를 10번하기, 못하면 뒤로 두 칸 F 밀가루 속 노랑색 사탕을 10초안에 찾아라(말 사용금 지), 못하면 뒤로 한 칸 F 줄넘기를 10초안에 15번하기 , 못하면 뒤로 한 칸

2)모둠에서 직접 실현이 가능한지 확인해보기 정리

5분

-주변 정리하기

2-6. 6차시 [개요]

학습주제

학습목표

학습효과

학습준비물

226

블루마블 판 만들기

내 캐릭터 말과, 모둠원들의 캐릭터 말을 모아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보자

이야기 만들기를 통해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블루마블 판을 완성할 수 있다.

전지, 색연필, 싸인펜, 캐릭터 말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최우수상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학습내용 ◆내가 캐릭터를 소개합니다. -모둠원들 각자 캐릭터 말을 준비한다. -내 캐릭터 말에 대하여 정리한다. -내 캐릭터 말 소개하기

도입

5분

◆모둠원에서는 어떠한 캐릭터가 있는지, 그리고 이야기 를 어떻게 진행하는지 의논합니다. ◆모둠원과 주제를 정해보자 -꿈/자연/우정 등

◆ 캐릭터 말 소개하기를 통해 우리모둠원에 있는 캐릭터 를 이용하여 새로운 이야기 만들기 다양한 캐릭터의 특징을 서로 들어보고, 우리에게 어울리 는 블루마블 판을 만들어보자 -모둠원들과 블루마블 판 모양에 대해 의논하기 -각자 작은 요소(꾸미기)를 나누어 진행하다

전개

30분

227


카툰블루마블

2)캐릭터 말을 통해 제작된 블루마블 판을 꾸며보자 -다양한 소재를 블루마블 판에 넣어서 블루마블 판을 디 자인해보자 3)우리모둠원에서 정한 주제를 발표해보자 -주제에 맞는 보드판 만들기 -주제와 어울리는 함정 만들기

정리

5분

-주변 정리하기

2-7. 7차시 [개요] 학습주제

학습목표

캐릭터 주사위 만들기 및 캐릭터 핸드폰 줄을 만들어보자

-슈링클스지를 이용해서 캐릭터 주사위를 만들어보자 -캐릭터 핸드폰 줄을 만들어보자

블루마블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모든 도구를 직접 제작하여 수업 학습효과

에 참여하는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슈링클스지를 이용해 실생활에 사용될 수 있는 공예품을 만들 수 있어서 내 물건에 애착을 가질 수 있다.

학습준비물

주사위 도안, 투명 슈링클스지, 색연필, 싸인펜, 네임펜, 핸드폰 줄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학습내용 ◆슈링클스지의 특징을 알아봅시다.

도입

5분

특수종이인 슈링클스지는 오븐기에 구워지면 크기는 1/7사이즈로 줄어들고, 두께는 7배 두꺼워집니다. -슈링클스지는 거친 면에 그림을 그려야합니다.

228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최우수상

-슈링클스지는 깎아쓰는 색연필을 사용해야 합니다. -수채화도구를 사용해도 됩니다.

◆ 주사위 도안을 사용해서 스링클스에 스케치해보자 -슈링클스지의 특징을 이해하고, 자신이 원하는 크기의 주사위를 슈링클스지에 그린다. -기본으로 나눠주는 도안은 주사위 한 면의 크기 2*2로 하자 -확대복사 하는 방법 알려준다.

전개

30분

이미지-blog.daum.net/miparang/7058301

1)캐릭터 주사위를 만들자 -숫자 혹은 캐릭터를 직접 그려놓고 개성 있는 주사위를 만들어 보자 ◆ 슈링클스지 제작하기 -스케치와 색칠이 끝나면, 가위질한다. -오븐에 구운 후, 두꺼운 책으로 눌러준다. -6개의 면이 완성이 되면, 조립해서 주사위를 만든다. ◆ 핸드폰 줄 만들기 - 캐릭터를 스케치하고, 색칠한다. - 가위질하고, 펀칭한다. - 오븐에 굽고, 두꺼운 책으로 눌러준다. - 핸드폰 줄에 연결한다.

정리

5분

-주변 정리하기 229


카툰블루마블

2-8. 8차시 [개요]

학습주제 학습목표

블루마블 즐기기(스톱모션 촬영) 내가 만든 블루마블 캐릭터와 주사위로 즐기기 삼각대를 활용하여 스톱모션 촬영을 해보자 블루마블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모든 도구를 직접 제작하여 수업 에 참여하는 즐거움을 줄 수 있다.

학습효과

애니카드와 미션카드를 진행함으로써 친구와의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스톱모션촬영을 통해 새로운 애니메이션 기법을 알 수 있다.

학습준비물

캐릭터 말, 디자인 판, 애니카드, 미션카드, 벌칙재료, 삼각대, 사 진기

[세부활동 내용] 학습단계

시간

학습내용

◆각 모둠별로 벌칙재료가 있는지 확인한다. 도입

5분

◆애니카드와 미션카드가 있는지 확인한다. ◆캐릭터 말을 준비한다. ◆디자인 보드판을 준비한다.

230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최우수상

◆블루마블 즐기기 -애니카드와 미션카드를 이용하여 블루마블을 진행해보자 -각자 만든 주사위를 활용하자 -벌칙게임을 즐기며 진행하자

전개

30분

◆ 삼각대설치 및 스톱모션촬영하기 -블루마블의 캐릭터 말의 움직임을 스톱모션으로 촬영하자

◆ 그 동안 만들어진 말과 보드판 그리고 여러 주제 맞추 어 준비한 애니카드와 미션카드 만들기를 통하여 새롭게 바뀐 친구들과의 소통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

정리

5분

-주변 정리하기

231



만화/애니메이션

우수상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김현영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 프로그램 개요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세부 분야 대상연령 연관 교육과정 소요시간(차시별) 주제

<춘향전 픽실레이션>

만화·애니메이션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3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선택교과, 토요동 아리, 중학교 자유학기제(예술체육활동, 동아리활동) 40분(각 차시별) 전통문화유산인 판소리 중 춘향전의 스토리를 재구성하여 스마트도구 로 픽실레이션 창작하기 본 교안연구의 키워드는 지역문화, 전통과 첨단, 스마트러닝, 스토리텔링, 융합교육이다. 판소리 중 춘향전을 수업의 제재로 선택한 이유는 판소리는 우리의 훌륭한 문화유산으로 그것을 보존하고 향유하는 데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춘향전의 배경이 전북지역이므로 수업에 참여한 전북 전주의 학생들 에게 자신의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부심, 애향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함이 다. 각 지역에 맞는 문화유산, 민화, 설화 등으로 교안을 활용할 수도 있다. 방법론으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중 사람의 움직임을 조작하여 촬영하는 픽 실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였다.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교육은 프레임 간 작가의 의도가 반영됨으로써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고 참여자간 협동능력이 필요한

프로그램 내용 요약

활동이므로 대상자간 소통과 협동능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기존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교육은 카메라로 촬영하고 컴퓨터로 옮겨 편집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편집 후 완성하였다. 기자재의 필요와 전문성을 요하는 제한점을 극복하고 자

간편한 주변기기인 스마트폰 앱을 사용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전문 강사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교수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 트도구의 활용은 일상의 매체가 예술창작의 도구로 활용됨으로써 예술은 멀 리 있는 것이 아닌 우리 주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문화예술교육의 의의 와 부합한다. 만화애니메이션, 국악, 연극, 사진, 지역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교육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지역문화를 이해하고 전통문화를 스마트러닝 방법론으 로 학습함으로써 전통과 첨단은 별개의 것이 아닌 함께 활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문화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기대효과이다.

235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1. 개요 구분

1차시

2차시

3차시

4차시

5차시

6차시

236

학습목표

주요 활동내용

QR코드에 숨긴 우리지역의 문화유산과 춘향전! -전북 지역의 스토리가 있는 문화유산을 찾아볼 수 있다. -전북 지역이 배경이 된 춘향전의 스토리를 새롭게 구상할 수 있다.

-QR코드에 입력된 우리지역 문화유산 찾기 -QR코드의 퀴즈를 풀면서 판소리 중 춘향전 에 대해 알아보기 -춘향전의 스토리를 <만남-사랑-이별-시련재회>로 5마당으로 나눠보기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스토리보드 만들기 -춘향전의 스토리를 재창작하여 픽실레이션의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수 있다.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중 픽실레이션의 이해 -애니메이션의 스토리텔링 구조와 스토리보 드 작성법 알아보기 -춘향전 스토리로 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 작 성하기 (춘향전을 5마당으로 나눠 모둠별 한 마당씩 이야기 구성하기)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 타블로로 리허설하기 -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의 한 장면을 연극적 타블로 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작성된 스토리보드를 보고 연극적 타블로 기법으로 한 장면씩 정지 동작으로 연출하여 리허설하기 -정지동작과 움직임 등을 몸으로 체험해봄으 로써 픽실레이션 이해하기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픽실레이션 촬영하기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춘향전을 픽실레이션으로 촬영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스톱모션 앱 사용법 이해하기 -야외에 나가 준비한 의상을 입고 지난 시간 작성한 스토리보드에 맞춰 역할별로 픽실레 이션 촬영하기

춘향전! show me the 더빙! -더빙 계획서 작성하기 -촬영된 영상에 맞는 더빙 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촬영한 픽실레이션 영상에 창, 노래, 대사, 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더 빙 계획서를 작성하기

춘향전! show me the 더빙! -영상에 더빙하기 -촬영한 픽실레이션 영상에 자신만의 방식으로 더빙할 수 있다.

-영상에 더빙하기 위한 스마트폰 앱 사용법 알아보기 -촬영한 픽실레이션 영상에 모둠별로 역할을 나눠 창, 노래, 대사, 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더빙하기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7차시

춘향이와 이몽룡! SNS 이모티콘 만들기 -나만의 감성을 담아 춘향전의 등장인물을 SNS 이모티콘으로 만들 수 있다.

-모멘트캠이라는 앱을 활용하여 춘향전의 캐 릭터들로 SNS 이모티콘을 만들기 -이모티콘으로 우리 반 SNS에서 소통 및 공 감하기

8차시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상영회, 공감 이모티콘 -모둠별 영상을 합해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상영회를 할 수 있다.

-더빙한 영상을 합해 상영회를 하고 공감 및 피드백하기 -제작한 이모티콘으로 SNS에 감상평 남기기 -지역문화유산과 전통문화, 첨단문화가 담긴 수업을 돌아보며 마무리하기

2. 세부내용 (1) 제제 : 춘향전 픽실레이션

(2) 수업에서 다루는 개념들, 주요 아이디어 -지역문화유산 바로알고 향유하기 -스마트러닝과 활용방법 -스탑모션 애니메이션 기법의 이해 -판소리 춘향전 이해하기 -주어진 스토리로 애니메이션 창작하기 -모둠 활동으로 협력하고 소통하기

(3) 학생들이 이해하여야 할 것들 -중요무형문화재인 판소리를 알아보고 그 중 춘향전을 자기만의 언어로 표현 하는 것! -애니메이션의 스탑모션 기법과 픽실레이션에 대해 이해하고 서로 협동하고 소통하여 직접 창작할 수 있는 것!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애니메이션을 창작하면서 스마트러닝에 대해서 인식하고 그 가치를 아는 것!

237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4) 세부 학습활동 -판소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중 춘향전을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하기 -스마트폰의 스톱모션 앱을 이해하고 춘향전 촬영하기 -촬영된 영상을 보고 춘향전 도창과 노랫말을 더빙하기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SNS 이모티콘을 만들어 공감 및 피드백하기 -애니메이션, 국악, 연극, 사진 등 통합문화예술수업하기 -완성된 영상을 감상하며 소감 공유하기

(5) 학생들에게 던질 가능한 질문들 -판소리 중 춘향전을 우리들만의 언어로 표현해볼까요?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의 원리와 방법은 무엇일까요? -스마트폰의 스톱모션메이커 앱 사용과 카메라로 촬영하고 컴퓨터로 편집하는 방법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춘향전의 역할을 정해 픽실레이션으로 촬영해본 소감을 말해볼까요? -친구들의 작품을 보고 느낀 점, 배울 점, 개선할 점은 무엇인가요?

(6) 학습목표 1. 판소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중 춘향전을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하여 픽 실레이션 스토리보드로 만들 수 있다. 2. 스톱모션 기법 애니메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고 스마트폰 스톱모션 메이커 앱 사용방법을 알 수 있다. 3. 춘향전 스토리를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픽실레이션을 촬영할 수 있다. 4. 영상에 춘향전 도창과 노랫말을 직접 불러 더빙하여 완성할 수 있다.

238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세부활동 내용] 1차시 차시

1차시

시수

1시수 (40분)

대상

초등 고학년

교육목표

우리지역의 스토리가 있는 문화유산을 찾아 새롭게 구상할 수 있다.

핵심개념

전통문화, 스토리보드 창작

수업명 학습목표 준비물 학습 단계

QR코드에 숨긴 우리지역의 문화유산과 춘향전! -전북 지역의 스토리가 있는 문화유산을 찾아볼 수 있다 -전북 지역이 배경이 된 춘향전의 스토리를 새롭게 구상할 수 있다. 춘향전 음악, 스토리보드

시간

교수ㆍ학습 활동

유의점

◈ 인사 및 출석체크하기 ◈ 동기부여 ◉ QR코드 속으로... 동기

▸QR코드를 보고 퀴즈를 풀어봅시다!

판소리

부분은

사전 교육강사의

유발

-전북지역의 다양한 문화유산에 관한 정보와 그 충분한

15분

중 춘향전을 유추할 수 있는 이미지와 동영상을 전제함.

연구를

통해 춘향전에 관한 퀴즈를 푼다. 교수학습지도자

◉ 판소리 중 춘향전 들어보기 ▸지금 듣는 음악이 무엇일까요?

료 1. 참고. QR코 드 관련

-판소리 중 춘향전을 듣고 느낀 점, 어떤 상황인

도입

지, 알고 있는 정보에 대해 포스트잇에 쓰고 공유 하기

학습

-판소리에 대한 선입견과 지식 공감하기 -특히 춘향전은 우리지역(전북)의 문화임을 강조하 고 춘향전의 고장 남원에 가봤는지? 등을 문답한 다.

목표 인식 5분

활동 전개

◈ 학습목표 인식 -앞으로 8차시 동안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을 스 마트폰을 활용하여 픽실레이션으로 만들어봅시다. -우리지역 문화유산 중 춘향전의 스토리를 모둠별로 5마당으로 나눠봅시다.

◈ 활동전개 1 전개 <판소리에 대해 새롭게 알아보기> 1 -판소리란 무엇인가?

판소리와 픽실레 이션은 교수.학습 지도자료 참고 239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판소리 구성요소 -현존 판소리 5마당 소개 -판소리의 역사, 문화적 가치 20분

◈ 활동전개 2 <춘향전 스토리를 5마당으로 나누기> -반 학생 모두 춘향전 스토리에 대해 릴레이로 한 문 활동 전개 2 30분

장씩 돌아가면서 말해보기 -춘향전 스토리를 모둠수대로 나누기 게임하기 만남-사랑-이별-시련-재회라고 적힌 카드 선택하 기 키워드에 맞는 춘향전 내용 구상하고 공유하기

◈학습정리 정리

10 분

-춘향전 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를 발표한다. -다른모둠의 발표를 듣고 피드백한다. ◈다음차시 예고 -춘향전 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 만들기

※ 교수.학습 지도 자료 1. QR코드 참고자료

수업 동기부여 퀴즈를 위해 제작한 QR코드 스마트폰을 열고 네이버앱에서 QR코드보기 로 다 함께 감상한다. QR코드에서 제시한 퀴즈를 학생들이 풀면서 자연스럽게 수업동기유발과 학습목표인식을 한다.

240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QR코드를 열면 이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 1. 링크(문화제청 사이트의 전북의 문화유산 소개관련 사이트), 2. 퀴즈설명, 3.이미지(판소리 춘향전을 연상할 수 있는 이미지). 4.동영상(판소리 춘향전 동영상), 5.지도(춘향전의 고장인 남원 광한루 지역 지 도)

각 링크를 열면 문화재 중 국보, 보물, 무형문화재가 포함된 링크로 이동, 이중 제시하는 힌트로 답을 찾는다. 정답은 종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 2-5호, 명칭: 판소리(춘향가, 최승희)

241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세부활동 내용] 2차시 차시

2차시

시수

1시수 (40분)

대상

초등 고학년

춘향전의 스토리로 픽실레이션 촬영을 위한 창의적 스토리보드로 만들 수 있다. 스토리보드 제작을 통해 자신만의 언어로 전통문화를 우리들의 감

교육목표

성으로 재창작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통과 화합하는 능력을 향 상시킬 수 있다. 전통문화, 스토리보드 창작

핵심개념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스토리보드 만들기

수업명

-춘향전을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하여 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로 만들

학습목표

수 있다. 춘향전 음악, 스토리보드

준비물 학습 단계

시간 동기 유발 15분

도입 학습 목표 인식 5분 활동 전개 1 20분

교수ㆍ학습 활동

◈ 인사 및 전 차시 환기 -지난 시간 작성한 춘향전 파트별 이야기를 환기한 다. ◈ 동기부여 ◉ 픽실레이션 감상하기 -픽실레이션 몇 작품을 감상하고 어떻게 만들어졌 는지, 영화일까? 애니메이션일까? 어느 점이 재 미있었는지 문답하기 ◈ 학습목표 인식 -춘향전 스토리를 픽실레이션으로 만들기 위한 스 토리보드를 만들어봅시다. ◈ 활동전개 1 <픽실레이션 알아보기> -애니메이션의 스탑모션 기법이란? -영화와 픽실레이션의 차이점은? -픽실레이션 촬영순서와 방법은? -픽실레이션의 스토리보드란?

전개

◈ 활동전개 2 <춘향전 스토리를 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로 만들기> 활동 전개 2 30분 242

유의점

-춘향전을 만남-사랑-이별-시련-재회로 나뉜 모둠별 내용 확인한다. -모둠에서 선택한 파트별로 스토리보드를 그린다.

판소리와 픽실레 이션은 교수.학습 지도자료 참고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스토리보드에 대사부분은 창의적으로 각색해도 된 다. ◈학습정리 10

정리

-춘향전 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를 발표한다. -다른모둠의 발표를 듣고 피드백한다. ◈다음차시 예고 -야외에 나가 픽실레이션 촬영하기

[세부활동 내용] 3차시 차시

3차시

교육목표 핵심개념 수업명

시수

1시수 (40분)

대상

초등 고학년

춘향전 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를 연극적 기법인 타블로, 즉 정지동작 을 몸으로 표현함으로써 내외적 방향으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다. 스마트러닝, 픽실레이션 촬영, 전통문화와 지역문화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 타블로로 리허설하기 -작성된 스토리보드를 보고 연극적 타블로 기법으로 한 장면씩 정지

학습목표

동작으로 연출하여 리허설을 할 수 있다. -정지동작과 움직임 등을 몸으로 체험해봄으로써 픽실레이션 이해할 수 있다.

준비물 학습 단계

시간 동기 유발 15분

교수ㆍ학습 활동

학습 목표 인식 5분

유의점

◈전 차시 환기 지난 시간 작성한 스토리보드를 점검한다. ◈ 동기부여 ▸ 이야기를 한 동작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요? ▸ 이야기를 말이 아닌 몸동작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도입

전개

스마트폰, 스마트폰 삼각대, 한복 등

요?

지난시간 작성한 스토리보드를 점 검하고

수정할

부분은 수정한다.

◈ 학습목표 인식 -작성한 스토리보드를 연극적 타블로 기법으로 한 장면씩 정지 동작으로 연출하여 리허설 해봅시다.

◈ 활동전개 1 ◉ 연극적 타블로 기법 알아보기 전개 -내용을 파악하여 한 장면의 정지동작으로 표현하 활동

243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1 20분

활동 전개 2 30분

는 연극적인 방법이다. -작성한 스토리보드 내용대로 모둠원들이 앞으로 나와 정지동작을 만든다. -다른 모둠학생들은 어떤 내용인지를 맞춘다. -5모둠 모두 앞으로 나와 정지동작을 하고 맞추는 게임을 한다. ◈ 활동전개 2 ◉ 타블로와 픽실레이션 장면 차이점 이해하기 -다음 시간 촬영할 픽실레이션 장면을 연습하고 리 허설 한다. ◈학습정리

10

정리

-춘향전 스토리보드를 점검하고 다음시간 필요한 의 상 및 장소 이동을 상의한다.

.

◈다음차시 예고 -픽실레이션 촬영하기

[세부활동 내용] 4차시 차시

4차시

교육목표 핵심개념 수업명

시수

1시수 (40분)

대상

초등 고학년

스마트러닝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픽실레이션을 촬영하고 모둠원들 끼리 협력할 수 있다. 스마트러닝, 픽실레이션 촬영, 전통문화와 지역문화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픽실레이션 촬영하기 -스탑모션기법 애니메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고 스마트폰 picpac 앱 사

학습목표

용방법을 알 수 있다. -춘향전 스토리를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픽실레이션을 촬영할 수 있다.

준비물 학습 단계

시간 동기 유발

도입

스마트폰, 스마트폰 삼각대, 한복 등 교수ㆍ학습 활동

◈전 차시 환기 지난 시간 작성한 스토리보드를 점검한다.

지난시간

◈ 동기부여 ◉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를 점검하고 수

15분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활동 및 앱 이야기하기 244

유의점

작성

스토리보드

정할 부분은 수 정한다.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 춘향전을 픽실레이션으로 촬영한다면? 학습

◈ 학습목표 인식 -스마트폰으로 스탑모션 애니메이션을 인식 촬영해봅시다 5분 -한복을 입고 덕진공원으로 나가서 춘향전을 픽실 레이션으로 촬영해봅시다. 목표

활동 전개 1 20분

전개

◈ 활동전개 1 <스마트폰으로 스탑모션애니메이션 촬영하기> -picpac (픽팩) 앱 사용법 익히기 ※ 교수자의 스마트폰을 프로젝터로 연결하여 교육하 기 위해 mobizen(모비즌) 앱을 사용한다.

은 ※교수.학습 지도 자료 참고

◈ 활동전개 2 <춘향전 픽실레이션 촬영하기> -야외로 이동하고 배역에 맞는 한복으로 갈아입는다. 활동 전개 2 30분

-모둠별로 맡은 장면을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픽 실레이션 기법으로 촬영한다. 즉 조금씩 사람의 움 직임을 변형하여 한 프레임씩 촬영한다.

야외이기

때문

에 특히 안전문 제에 신경쓴다.

가편집분을

◈학습정리 정리

앱 사용법 설명

10

-교실로 돌아와 촬영한 영상 가편집분을 감상한다.

◈다음차시 예고 -춘향전 소리 및 도창을 더빙한다는 것을

예고한다.

상하면서

감 다음

차시에 대한 안 내와

동기부여

를 하게한다.

※ 교수.학습 지도 자료 2. 모비즌 앱 사용방법 순서

스마트폰 화면

사용방법

안드로이드 1

스마트폰에서

‘Stop

Motiom

Maker’ 어플리케이션을 ‘Paly 스토어’에서 다 운받는다

245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스마트폰에서 지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등록한

2

순서

후 usb를 컴퓨터에 연결한다.

PC 화면

사용방법

컴퓨터에서 www.mobizen.com 1

사이트로

접속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지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시작하기를 실행한다.

로그인을 하면 화면이 열리고 스 마트폰의 화면이 컴퓨터에 보이 고 컴퓨터 마우스로 제어 가능하 다.

컴퓨터 화면으로 스마트폰 화면 이 보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어 플리케이션 기능 등 교육할 때 사용하면 편리하다.

246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 교수.학습 지도 자료 3. Picpac stop motion & Timelapse 어플리케이션 사용법 순서

스마트폰 화면

사용방법

안드로이드스마트폰에서 ‘picpac’ 어플

1

리케이션을 ‘Paly 스토어’에서 다운 받 는다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take

photo'를 클릭하여 시작한다.

auto와 manual 중 manual을 선택하고

3

이미지 사이즈는 640*480으로 맞추고 카메라 버튼을 클릭하여 스톱모션 애 니메이션을 촬영한다.

촬영이 끝난 후 오른쪽 상단 화살표를

4

클릭하면 select picture가 나온다. 이 때 삭제, 선택 등을 선택하여 편집 한다.

247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편집 후 시계모양의 버튼을 클릭하여 시간조절을 한다. gif 애니메이션일 경

5

우 1/10, 스톱모션애니메이션을 위한 동영상을 만들 경우 1/6정도로 세팅하 면 적당하다.

오른쪽 상단 화살표를 누른 후 창이

6

나오면 타이틀과 제작자 등을 적어 자 막을 넣을 수 있다.

오른쪽 상단 화살표를 누르면 만들어 진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이때 마

7

이크버튼으로 더빙을 할 수 있고 음악 버튼으로 스마트폰 내장 음악이나 공 유음악 중 선택하여 음악 삽입도 가능 하다.

오른쪽 상단 화살표를 누르면 더빙과

8

음악이 결합된 완성된 동영상을 감상 할 수 있다. 공유버튼을 눌러 공유할 수 있다.

248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세부활동 내용] 5차시 차시

5차시

시수

1시수 (40분)

대상

춘향전 픽실레이션 촬영된 영상에 맞는 개성있는 더빙 계획서를 작성

교육목표

함으로써 창의성과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핵심개념

스마트러닝, 픽실레이션 촬영, 전통문화와 지역문화

수업명

춘향전! show me the 더빙! -더빙 계획서 작성하기 -촬영한 픽실레이션 영상에 창, 노래, 대사, 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

학습목표

현할 수 있도록 더빙 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스마트폰, 스마트폰 삼각대, 한복 등

준비물 학습 단계

초등 고학년

시간

교수ㆍ학습 활동

유의점

유발

◈ 동기부여 ◉ 춘향전 픽실레이션 감상하기

15분

▸무음으로 된 영상 감상하기

로 촬영한 영상

▸영상을 보면서 어떤 소리를 더빙할지 이야기하기

을 지우지 않고

동기

도입 학습 목표 인식 5분

스마트폰

앱으

잘 간직하도록 ◈ 학습목표 인식 학생들에게 주 -지난 시간 촬영한 영상에 판소리와 도창 등을 직 접 녹음하여 더빙하기 위해 계획서를 작성해봅시 의를 준다. 다.

활동 전개 1 20분 전개 활동 전개 2 30분

◈ 활동전개 1 <춘향전 판소리 더빙 계획 세우기> 더빙 프로그램 -창, 노래, 대사, 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합한 더 은 빙 계획을 세운다. ※ 교수.학습 ◈ 활동전개 2 지도 자료 참고 <춘향전 판소리 연습하기> -영상을 보면서 시간을 계산하여 판소리 부분 연습 하기 -역할분담을 하여 서로 배려하며 연습하기 ◈학습정리

정리

10

-영상을 틀고 최종 더빙 리허설을 한다.

◈다음차시 예고 -춘향전 소리 및 도창을 더빙한다는 것을 예고한다.

249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세부활동 내용] 6차시 차시

6차시

대상

초등 고학년

화를 가깝게 느끼고 즐길 수 있다. 스마트러닝, 픽실레이션 촬영, 전통문화와 지역문화

핵심개념

춘향전! show me the 더빙! -영상에 더빙하기

수업명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픽실레이션 영상에 춘향전 도창과 노랫말을 직

학습목표

접 불러 더빙하여 완성할 수 있다. 스마트폰, 스마트폰 삼각대, 한복 등

준비물

단계

1시수 (40분)

춘향전 픽실레이션 촬영된 영상에 개성있는 더빙을 함으로써 전통문

교육목표

학습

시수

시간 동기 유발 15분

도입 학습 목표 인식 5분

교수ㆍ학습 활동

◈ 동기부여 ◉ 춘향전 픽실레이션 감상하기

유의점

스마트폰 앱으로

▸무음으로 된 영상 감상하기

촬영한

영상을

▸지난 시간 작성한 더빙 계획서 살펴보기

지우지 않고 잘 간직하도록 학생

들에게 ◈ 학습목표 인식 -지난 시간 촬영한 영상에 판소리와 도창 등을 직 준다. 접 녹음하여 더빙해봅시다.

주의를

활동 전개

◈ 활동전개 1

1 20분

<영상에 춘향전 판소리 더빙하기>

활동 전개 2 30분

다. -픽실레이션 영상에 맞게 연습한 판소리를 녹음한 다. ◈학습정리

10

-더빙하여 최종 완성된 영상을 감상한다.

-소감을 더빙했던 방식대로 창과 노래, 랩 등으로 발 표한다.

250

※ 교수.학습 지

-지난 시간에 활용한 picpac 앱을 활용하여 더빙한 도 자료 참고

전개

정리

더빙 프로그램은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세부활동 내용] 7차시 차시

7차시

대상

초등 고학년

다. 스마트러닝, 픽실레이션 촬영, 전통문화와 지역문화

핵심개념

춘향이와 이몽룡! SNS 이모티콘 만들기

수업명

-나만의 감성을 담아 춘향전의 등장인물을 SNS 이모티콘으로 만들 수

학습목표

있다. 스마트폰, 스마트폰 삼각대, 한복 등

준비물 단계

1시수 (40분)

춘향전 등장인물을 SNS 이모티콘으로 만들어 공감과 소통을 할수 있

교육목표

학습

시수

시간

동기 유발 15분

교수ㆍ학습 활동

◈ 동기부여 및 전 차시 환기 ◉ 더빙까지 완성된 춘향전 픽실레이션 감상하기 ◉ SNS에서 인기있는 이모티콘 감상하기 ▸영상을 SNS에서 봤다면 어떤 이모티콘을 보내고 싶나요?

도입 학습 목표

유의점

학생들이

좋아

하는 이모티콘을

▸춘향전 등장인물로 이모티콘을 만든다면 어떤 동 선별하여 보여주 작이 어울릴까요? 고 동기부여한다.

인식 5분

◈ 학습목표 인식 -캐릭터나 연예인 뿐만 아니라 픽실레이션을 촬영 했던 우리 자신의 얼굴을 활용하여 춘향전 등장인 물 이모티콘을 만들어봅시다. ◈ 활동전개 1

활동 전개 1 20분 전개 활동 전개

<춘향전 캐릭터 이모티콘 만들기> -모멘트캠 이라는 앱을 다운받는다.

모멘트캠

앱을

아이폰 안드로이

-앱 사용법을 숙지한다. 그 중 이모티콘 만들기를 드폰 모두에 있 클릭하여 움직이는 움짤 이모티콘을 만든다. 고 누구나 쉽게 -춘향전 캐릭터에 맞게 성격과 개성이 드러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모티콘을 만든다.

2 30분

◈ 활동전개 2 <춘향전 캐릭터 이모티콘으로 SNS에서 공감하기> 251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반 SNS에 올린 지난 영상을 보고 제작한 이모티콘 으로 공감과 칭찬을 표현한다. ◈학습정리 정리

10

-춘향전 이모티콘을 감상하며 공감한다.

◈다음차시 예고 -다음 시간 최종 마무리임을 예고한다.

※ 교수.학습 지도 자료 4. 이모티콘(gif 애니메이션) 만들기 순서

1

스마트폰 화면

사용방법

playstore에서 모멘트캠을 다운 받는 다. 안드로이드폰, 아이폰 가능

앱을 열면 ‘나만의 캐리커쳐’, ‘이모티

2

콘’, 등 기능이 있다. 이 중 이모티콘을 클릭한다.

‘내 앨범’과 ‘사진찍기’ 중 선택하여 사

3

진을 설정하다. 주어진 프레임에 맞도 록 얼굴을 맞추어 촬영 및 선택한다.

252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눈, 코, 입을 섬세하게 맞춰준다.

5

성별, 연령, 헤어스타일, 악세사리 등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움직이는 다양한 이모티콘에 설정한

6

얼굴이 반영되어 이모티콘이 만들어진 다. 주제별로 제공되는 이모티콘 중 원 하는 것을 선택한다.

움짤, 비디오 등 원하는 포맷으로 저장

7

하면 스마트폰 갤러리에 자동저장이 된다. 그 후 SNS등에서 자유롭게 이 모티콘으로 사용한다.

8

253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설정된 얼굴이 반연된 이모티콘(gif 애니메이션)이 완성된다.

[세부활동 내용] 8차시 차시

8차시

대상

스마트러닝, 픽실레이션 촬영, 전통문화와 지역문화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상영회, 공감 이모티콘

수업명

-모둠별 영상을 합해 2016년 우리학교 춘향전 상영회를 할 수 있다.

학습목표

스마트폰, 스마트폰 삼각대, 한복 등

준비물 시간 동기 유발

교수ㆍ학습 활동

촬영한

영상을

◈ 동기부여 지우지 않고 잘 ◉ 영상 상영회를 위한 자리 배치 및 주변 정리하기

도입 학습 목표 인식 5분

간직하도록 학생

들에게 ◈ 학습목표 인식 -2016년 현재 우리학교 우리가 만든 춘향전 픽실레 준다. 이션을 감상해봅시다. -감상하며 공감 이모티콘으로 소통해봅시다.

활동 전개 1 20분

◈ 활동전개 1 <영상 시사회를 위한 출연진 소개> -작품 감상 전 모든 학생이 자신의 역할을 소개하고 소감을 나눈다.

254

유의점

◈전 차시 환기 지난 시간 만든 이모티콘과 전전 차시에 더빙한 영상 을 환기한다. 스마트폰 앱으로

15분

전개

초등 고학년

션을 만든 영상을 상영회 하면서 소감을 나눌 수 있다.

핵심개념

단계

1시수 (40분)

지역 전통문화인 춘향전을 첨단도구인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픽실레이

교육목표

학습

시수

주의를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영상 시사회> -더빙한 영상을 합해 상영회를 하고 공감 및 피드백

활동

하기

전개 2

-제작한 이모티콘으로 SNS에 감상평 남기기

30분

정리

10 분

◈학습정리 -지역문화유산과 전통문화, 첨단문화가 담긴 수업을 돌아보며 마무리하기

※ 교수.학습 지도 자료 5. 픽실레이션 촬영 가이드 <그네 미는 장면>

1. 그네를 뒤로 당긴 뒤 향단 역할의 학생이 잡고 촬영한다.

3.최대한 앞으로 민 뒤, 정지 후 촬영하다.

2. 조금 민 뒤 정지하여 촬영한다.

4. 다시 뒤로 물러선 후 촬영한다.

255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5.최대한 뒤로 민 뒤, 정지하여 촬영한다.

※ 춘향전 픽실레이션 촬영 사진

256

6. 그네를 정지한 후 촬영한다.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우수상

[ 평가계획과 방법 ] 평가 방법 학습목표

평가 기준

(활동내용 혹은 결과물)

1.판소리에 대해서 알

▸창작활동의

▸판소리 중 춘향전을 자신들만의 언

아보고 그 중 춘향전

적극성, 창의성,

어로 표현했는가?

독창성

▸모둠 활동 시 배려하고 협력하였는

픽실레이션

▸창작활동의

가?

스토리보드로 만들 수

결과물(스토리

▸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를 이해하고

있다.

보드)

독창적으로 작성하였는가?

▸기능습득을

▸스마트폰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위한 질의응답

앱 기능을 잘 습득하였는가?

▸모둠 활동 시

▸모둠 활동 시 배려하고 협력하였는

협력,

가?

자신만의

표현하여

언어로

2.-스탑모션 기법 애 니메이션에 대해서 알 아보고 스마트폰 스탑 모션메이커 앱 사용방 법을 알 수 있다. -춘향전 스토리를 스 마트폰을 사용하여 픽 실레이션을 촬영할 수 있다.

배려의

태도

▸스탑모션 애니메이션의 원리와 방

▸창작활동의

법은 이해하였는가?

결과물(작품, 사

▸스토리보드를

진, 동영상 등)

창의적으로 촬영하였는가?

3.영상에 춘향전 도창

▸창작활동의

과 노랫말을 직접 불

적극성, 창의성

▸모둠활동

더빙하여

수 있다.

완성할

협력,

배려의

태도

보고

픽실레이션을

▸춘향전 판소리를 직접 부를 수 있 는가? ▸춘향전 픽실레이션 영상에 맞게 판 소리로 더빙할 수 있는가? ▸판소리와 더빙을 이해하고 자기만 의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가?

평가기준 1. 판소리에 대해서 알게 되고 그 중 춘향전을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하여 픽실레이션 스토 리보드로 재창작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257


지역문화유산으로 smART하게 놀아보세 <춘향전 픽실레이션> 2. 스마트폰 앱 기능을 습득하고 춘향전 내용을 픽실레이션으로 창의적으로, 모둠활동 시 협력하며 촬영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3. 촬영한 춘향전 픽실레이션 영상에 맞는 판소리를 직접 노래 불러 더빙할 수 있는지를 평 가한다 4.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문화예술수업인 ‘스마트폰으로 춘향전을~’의 궁극적인 목표인 창 의성과 소통능력이 향상되었는지를 평가한다.

258


만화/애니메이션

입선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황지연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명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프로그램 세부 분야

만화·애니메이션

대상연령

초등학교 2~4학년

연관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소요시간(차시별) 40분 (각 차시당) 주제

즐거운 만화 애니메이션 문화예술 소외계층인 지방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 로 개발한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으로 만화 애니메이션과 더 불어 자연, 문학, 지역사회, 직업군 등을 함께 체험할 수 있도 록 했다. 소규모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이 진행되었지만 규모가 큰 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으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프로그램 내용 요약

프로그램은 크게 3개의 프로그램으로 북적북적 우리 마을 2 차시, 공룡은 내 친구 3차시, 동화 속으로 3차시로 총 8차시 분량이다. <프로그램 키워드> ·북적북적 우리 마을 (2차시) - 만화, 미술, 지역사회, 직업 군, 지도 만들기 ·공룡은 내 친구 (3차시) - 만화, 애니메이션, 자연물, 공룡, 스마트 기기활용 ·동화 속으로! (3차시) - 만화, 미술, 동화 문학, 연극

261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1. 개요 차시

단원명

프로그램명 우리 마을에는

1

누가 누가 있을까? 북적북적 우리마을

2

주요학습활동 - 마을 사람(직업군)과 건물 그 리기 - 캐릭터와 건물 입체로 세우기 - 캐릭터에 투명 말풍선 달아주기

정다운 우리 마을 프로젝트

- 캐릭터와 건물을 바닥에 보드 에 세워 입체마을 구성하기 - 보드에 마을 구성 요소 그려 넣기 - 공룡 디자인하기

3

알록달록 공룡친구

- 공룡 소개 캐릭터 시트 작성 하기

4

공룡은 내 친구

5

앗~ 공룡이다!

내가 동화 속

6

7

뚝딱 뚝딱 공룡둥지

주인공이라고?

동화 속으로!

나는 어디에 있을까?

- 자연물 오브제 수집하기 - 자연물로 공룡둥지 만들기 - 공룡캐릭터와 배경으로 애니 메이션 촬영하기 - 동화 속 이야기 중

캐릭터

한 가지를 선택하여 캐릭터 가 면 만들기 - 동화 속 이야기 중 마음에 드 는 장면의 배경을 그려본다. - 신문지로 배역 꾸미기

8

우리가 만드는 이야기

- 배경 앞에서 친구들과 동화 속 장면 연출하여 사진 찍기

262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2. 세부내용 2-1. 1차시 단원명 학습 제재 학습 목표 학습 자료 학습 단계

북적북적 우리마을 우리 마을에는 누가

대 상 차

초등학교 2,3,4학년

1/2 시간 누가 있을까? 시 - 내가 사는 마을의 직업군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40분

- 내가 사는 마을의 상가나 건물을 만들 수 있다. 교사 : 직업군 일러스트 자료, 길거리 건물 사진, 우리 마을 활동지, 골판지, 칼, 테이프 학생 : 연필, 지우개, 색연필, 싸인펜 등 채색도구, 가위, 풀 학습 시간 교수 · 학습 활동 자료(△) 유의점(◎) 과정 (분) ○ 우리 마을 이야기 해보기

5

T : 우리 마을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요? 사진을 보고 함께 이야기 해봅시다. S : 아이스크림 가게요. 병원도 있어요!

동기 유발 생각

▷ 마을 사진이나 일러스트를 보면서 아

△직업군 일러스트 자

이들과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건물이나

료, 길거리 건물 사진

사람에 대해 이야기 해본다. ◎ 사진이나 그림자

T : 병원에 있는 사람은 누가 있을까

료 이외에 동화책 <

요?

열기

S : 의사 선생님이랑 간호사요.

북적 북적 우리 동

T : 이 가게는 무슨 가게지요?

네가 좋아 > 을 활

S : 미용실이요. 머리를 자를 수 있어

용해도 좋다.

요.

활동 하기

학습

○ 학습문제 확인하기

문제

우리 마을에 있는 사람과 건물을 입체로

확인

만들어 보자.

활동

○ 마을 구성원과 건물 그리기

1

20

△ 우리마을 활동지,

▷ 우리마을 활동지를 나누어 갖고 각자

채색도구, 풀, 가위

어떤 사람과 건물을 그릴지 정해보자.

◎ 자유로이 그리고

T: 각자 어떤 사람과 건물을 그릴지 정 했나요?

싶어하는 학생은 빈 종이를 내어주고 어 263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S : 네. 저는 꼬꼬치킨집을 그릴거예요.

느 정도 크기로 맞

▷ 우리마을 활동지에 정해둔 캐릭터와

추어 그렸으면 좋겠

건물그림을 그리고 채색한다.

다는

▷ 건물이나 캐릭터가 아닌 운송수단

가이드라인을

알려준다.

등을 그려도 좋다.

채색은

진하게

한다.

▷ 채색이 완료된 활동지는 크기에 맞 게 자른다.

△ 입체 골판지 틀, 풀

○ 캐릭터와 건물 입체로 만들기 활동

▷ 캐릭터와 건물 그림이 완성된 순서

2

대로 선생님이 만들어준 골판지 입체 틀

10

◎ 골판지 틀은 교 사가 미리 준비한다.

에 캐릭터와 건물을 붙여준다. ▷ 골판지 면과 활동지가 잘 붙을 수 있도록 충분한 풀칠을 한다.

○ 자신의 캐릭터와 건물 소개하기 ▷ 각자 마을에서 표현하고자 한 캐릭터 와 건물을 소개해 본다. ▷ 완성된 작품은 모두 제출하여 한곳에 마무리 하기

정리 및 평가

모아둔다. ○ 마을에는 누가 누가 있을까? 우리 마을에는 어떤 사람들이 함께 살고 있는지 이야기해보기 ○ 다음차시예고 ▷ 전체 캐릭터들을 모아서 하나의 마을 로 구성해보자.

264

◎ 모아둔 작품을 5

미리

세워

해두면 할

배치를

다음차시에

활동을

도움이 된다.

예고에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교수-학습지도자료> 참고작품 * 북적북적 우리 동네가 좋아 (Richard Scarry's Busy, Busy Town) 리처드 스캐리,

보물창고

(2008년) <북적북적 우리 동네가 좋아>는 동네 병원, 우체국, 은행, 도서관, 슈퍼마켓, 기차역, 공항 등지에서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북적북적 마 을 사람들을 통해 우리 이웃들의 일상과 직업을 하나하나 소개한다. 이 책 한 권으로 도 '동네'라는 테두리 안에서 볼 수 있고 만날 수 있는 사물과 사람에 대한 모든 것을 충분히 알 수 있다. 또한 지은이는 각각의 직업들을 똑같은 비중으로 소개하고 있다. 농부, 의사, 점원, 작 가 등은 직업이 다를 뿐 모두가 소중하다는 점, 이런 각각의 일을 하는 다양한 사람들 이 모여야 하나의 동네가 만들어지고 원활하게 돌아간다는 점을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게끔 한다. (출처: http://www.aladin.co.kr/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활동지- 우리마을 활동지 완전한 캐릭터 형태를 갖춘 활동지는 되도록 피한다. 캐릭터와 건물은 입체로 구성하 였을 때 캐릭터들의 크기가 너무 다르지 않을 정도로만 제시한다. 기본 틀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디자인 하고, 건물과 캐릭터 비율이 맞아야 할 필요는 없다. 활동지는 연하게 프린트 하여 학생들이 덧그림을 그리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우리 마을 활동지 - 캐릭터와 건물 가이드라인

골판지 틀 만들기 입체용 골판지 틀은 일반 박스나 우유 상자 등을 활용해도 좋다. 활동지 크기에 따라 캐릭터용은 좁게, 건물용은 넓게 만든다. 골판지 틀에 캐릭터나 건물 그림을 붙여 세워 265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두면 마을 느낌이 나기 때문에 학생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활동지 크기와 틀린 건물그림이나 캐릭터는 여분 골판지나 박스를 따로 준비해 두었다 가 크기에 맞게 맞추어 입체 틀을 만들어준다.

입체로 세우기 위한 골판지틀 준비하기

골판지 틀에 캐릭터와 건물그림을 붙인 모습

266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2-2. 2차시 단원명

북적북적 우리마을

학습

정다운 우리마을 프로

제재 학습 목표 학습 자료 학습 단계

대 상 차

초등학교 2,3,4학년

2/2 젝트 시 - 캐릭터에 맞는 말풍선을 그려줄 수 있다.

시간

40분

- 입체 캐릭터와 건물을 모아 하나의 마을로 만들 수 있다. 교사 : OHP 투명 필름, 큰 박스 여러 개 또는 폼보드, 전지, 박스테이프, 전 차시에 만든 캐릭터와 건물그림 학생 : 유성 네임펜, 색연필, 싸인펜 등 채색도구, 가위, 풀, 테이프 학습 시간 교수 · 학습 활동 자료(△) 유의점(◎) 과정 (분) ○ 어떤 말을 할까?

5

T : 저번시간에 만든 캐릭터와 건물들 △ 전 차시에 만든 캐

기억하고 있나요?

릭터와 건물 그림

S : 네~!! 저는 치킨 집 아저씨를 만들 었어요. 동기 유발 생각

S : 저는 옷가게 만들었어요. ▷ 전 차시에 만든 캐릭터와 건물을 나 누어 주고, 각자 만든 캐릭터의 직업군 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열기

T : 치킨 집 아저씨와 옷가게 점원은 어떤 말을 많이 할까요? S : 맛있는 치킨 먹고 가세요! S : 예쁜 옷이 많이 있어요~~

학습

○ 학습문제 확인하기

문제

마을 구성원 캐릭터에 말풍선을 붙여주

확인

고 입체 마을을 구성해보자.

활동

○ 말풍선 붙이기

1 활동 하기

20

△ OHP필름, 유성 네

▷ 투명 OHP필름에 유성 네임펜으로 말

임펜, 가위, 풀

풍선을 그려 넣는다.

◎말풍선

T: 각자 캐릭터에 어울리는 말을 써넣 어 보세요. ▷ 완성된 말풍선은 오려서 풀로 캐릭

OHP필름

을 붙일 때는 캐릭 터 앞면에서 글씨가 바로 보일 수 있도 267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터 뒷면에 단단히 붙여준다.

록 붙인다.

▷ 말풍선 이외에 효과선등을 그려 넣 어도 좋다. ○ 입체마을 구성하기

△ 풀, 박스테이프, 보

▷ 말풍선이 완성된 학생들부터 차례대

드, 싸인펜, 색연필

로 넓은 보드 위에 캐릭터와 건물을 고 ◎ 2절 이상 크기의

정 시키도록 한다. 활동 2

▷ 건물과 캐릭터가 짝이 맞도록 위치

10

보드나 박스등을 준 비하여 모든 학생들

시킨다.

의 건물그림과 캐릭

▷ 건물과 캐릭터의 배치가 끝나면 보

모아

하나의

드 바닥에 싸인펜이나 색연필로 길을 그

터를

려 넣는다.

마을을 만들 수 있 도록 한다.

- 도로, 횡단보도, 나무, 표지판 등등 ▷ 기본 마을 구성 후에 따로 만들어 넣

◎ 학생의 수가 많

고 싶은 소품이 있으면 추가 한다.

다면 교사가 임의로 모둠을 나누어 준다.

○ 입체마을 감상하기 ▷ 각자 만든 캐릭터와 건물이 마을 구 성원으로서 어느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지 확인해본다. 마무리 하기

정리 및 평가

▷ 우리 마을과 비슷한지 이야기해본다.

5

완성된

합동

작품은 교실이나 학

○ 우리는 소중한 사람

교 미술실 등에 전

▷ 서로의 마을 구성원의 중요한 존재임

시하도록 한다.

을 알기 ○ 다음차시예고 ▷ 자연 속에 사는 공룡을 만들어 보자!

<교수-학습지도자료> 말풍선용 OHP 필름 말풍선용 OHP 필름은 말풍선 모양일 필요는 없다. 캐릭터 크기와 비슷하게 세로로 긴 268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형태면 된다. 되도록 미리 잘라두었다가 나눠주도록 한다. 말풍선을 그리거나 말을 써 넣을 때는 OHP필름 윗부분에 써 넣도록 한다. 밑의 부분은 캐릭터에 부착을 해야 하 기 때문에 붙일 부분은 남겨놓도록 한다.

OHP 필름에 말풍선 그리기

입체마을 만들기 입체마을을 만들 때는 모든 학생들의 작품이 마을의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 도록 한 공간 안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바닥 부분의 보드판은 골판지 박스를 넓게 펼쳐서 윗부분에 전지를 덮어 사용하면 좋다.

마을 구성하기 269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2-3. 3차시 단원명 학습

공룡은 내 친구 알록달록 공룡친구

대 상 차

초등학교 2,3,4학년 1/3

시간

40분

제재 학습

시 - 공룡캐릭터를 디자인 할 수 있다.

목표

- 공룡캐릭터를 소개하는 소개지 작성을 할 수 있다. 교사 : 공룡도안, 두꺼운 종이, 캐릭터 소개 활동지, 가위, 풀, 카메라, <공룡

학습 자료 학습 단계

생각 열기

아 놀자> 동화책 학생 : 연필, 지우개, 색연필, 싸인펜 등 채색도구, 가위, 풀, 테이프 학습 시간 교수 · 학습 활동 자료(△) 유의점(◎) 과정 (분) ○ <공룡아 놀자> 보고 이야기하기 ▷<공룡아 놀자> 책을 학생들과 함께 읽 5 는다. T : 공룡 주루 이야기 잘 감상했나요? △ <공룡아 놀자>동화 동기 S : 네~~ 너무 귀여운 공룡이예요. 딸꾹 책 유발 질도 하고요! ◎ 책과 그림 ppt를 함께 준비하면 좋다. T: 여러분은 귀여운 주루 말고 좋아하 ◎ <공룡아 놀자>외 는 공룡이 있나요? 에 학생들이 관심 S : 저는 트리케라톱스요~ 있을 만한 작품도 S : 티라노사우루스가 더 멋있어요! 학습 ○ 학습문제 확인하기 좋다. 문제 공룡 캐릭터를 만들고 소개지를 작성해 확인 보자. 활동 1

활동 하기

270

○ 공룡 캐릭터 디자인하기 ▷ 공룡도안과 예시작품을 미리 보여주 며 흥미유발을 한다. T : 선생님이 몇 가지 공룡 밑그림들을 준비했어요. 이중에 한 가지를 골라서 주루처럼 멋진 공룡을 만들어 보도록 해 요. ▷ 몇 가지 공룡 도안 중 아이들이 원하 는 공룡 도안을 고를 수 있도록 한다. ▷ 공룡도안을 각자 채색도구로 꾸며준 다. ▷ 채색된 도안은 교사에게 갖고 와서 두꺼운 도화지를 붙인 후 자른다.

20

△ 공룡도안, 두꺼운 종이, 가위, 풀, 연필, 지우개, 색연필, 싸인 펜 등 채색도구 ◎ 공룡도안은 특징 적인 외곽 형태만 있으면 된다. ◎ 도안은 교사가 미리 조각내어둔다. ◎ 도안을 두꺼운 종이에 붙일 때는 분리되지 않도록 충 분히 풀칠을 한다.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활동 2

마무리 하기

정리 및 평가

○ 공룡 캐릭터 소개 활동지 작성하기 ▷ 공룡 캐릭터를 다 만든 학생부터 공 룡 캐릭터를 소개하는 활동지를 나누어 준다. ▷ 소개지에 이름, 나이, 성격, 좋아하 는 것, 싫어하는 것 등을 자유롭게 작성 할 수 있도록 한다. ▷ 공룡 소개 그림 칸에는 배경도 간단 히 같이 그리도록 한다.

○ 공룡 소개사진 촬영하기 ▷ 완성된 캐릭터와 소개 활동지를 함께 들고 촬영한다. ▷ 캐릭터를 들고 자유로운 포즈로 사진 을 찍어도 좋다. ○ 모두 함께 공룡도감! ▷ 완성된 소개지는 교실 벽에 붙여서 모두 함께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 캐릭터 소개지에 적어 넣은 것처럼 어떤 생명체든 각자의 개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본다.

10

5

△ 캐릭터 소개 활동 지, 채색도구 ◎ 이름 칸에는 공 룡 종류가 아니라 캐릭터에 붙여 주고 싶은 이름을 쓰도록 하고, 교사가 돌아보 며 활동이 저조한 학생들을 따로 지도 한다.

◎ 활동 종료 후 캐 릭터는 제출하고 소 개 활동지는 벽에 붙여 모두 함께 감 상할 수 있도록 한 다.

○ 다음차시예고 ▷ 자연물로 공룡 둥지 만들기

<교수-학습지도자료> 참고작품 * <공룡아, 놀자!> (Silly Dizzy Dinosaur!) 잭 티클,

키즈엠 (2015년)

이름을 부르면 뒤를 돌아봐 주는 주루는 간지럼을 좋아하는 공룡이에요. 한번 간질여 볼까요? 배를 간질거리자 기분이 좋아진 주루가 크게 웃어요. 그런데 이런, 그만 물에 빠지고 말았네요. 물기를 털어 내려면 책을 흔들어 줘야 해요. 탈탈 털었더니, 주루가 딸꾹질을 시작해요. 주루의 딸꾹질을 멈출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주루에게는 또 어 떤 일이 생길까요?

(출처: http://www.aladin.co.kr/ 출판사 제공 책 소개) 271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공룡도안 & 캐릭터 소개 활동지 공룡도안은 실물 공룡과 같이 섬세하지 않아도 된다. 적당히 크기와 공룡 종류 정도만 표현한 외곽라인 정도의 도안이면 충분하다. 도안 안 밖으로 학생들이 자유로운 캐릭 터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채색이 완성된 공룡도안은 두꺼운 도화지에 붙여서 잘라주도록 한다.

공룡도안 디자인

캐릭터 소개 활동지

완성된 캐릭터와 함께 촬영하기 완성된 캐릭터와 소개지를 들고 촬영하거나 공룡 캐릭터를 들고 자유로운 포즈를 취한 후 촬영한다. 남학생들의 경우에는 새로운 포즈를 취한 후 촬영하는 것을 매우 흥미로 워한다. 촬영된 공룡 캐릭터 사진이나 활동지들을 하나로 묶으면 새로운 형식의 공룡 도감을 만들 수 있다.

공룡 캐릭터 소개하기

272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2-4. 4차시 단원명 학습 제재 학습 목표 학습 자료

공룡은 내 친구 뚝딱 뚝딱 공룡둥지

대 상 차 시

초등학교 2,3,4학년 2/3

시간

40분

- 자연 속 오브제를 수집하여 공룡둥지를 만들 수 있다. 교사 : 4절 두꺼운 종이, 글루건, 글루건 심, 멀티탭 학생 : 나뭇잎, 나뭇가지, 작은 돌맹이, 꽃 등 자연 오브제, 신문지, 목공용

학습

풀 학습

단계

과정

교수 · 학습 활동

시간 (분)

자료(△) 유의점(◎)

○ 공룡이 사는 곳 T : 우리 저번 시간에 어떤 활동을 했

5 △ 전 차시에 만든 공

었지요?

룡 캐릭터와 사진

S : 공룡을 만들었어요~! 동기 유발

S : 공룡 소개도 하고 사진도 찍었어요. ▷ 전 차시 활동을 확인한다. T : 자아~ 그럼 우리 공룡들은 어디에

생각

살까요?

열기

S : 풀밭에 살아요. S : 나무가 많은 곳이요!

학습

○ 학습문제 확인하기

문제

나뭇잎, 나뭇가지 등의 자연물로 공룡

확인

둥지를 만들어보자.

활동

○ 자연물 수집하기

1

T : 지금부터 10분 동안 운동장에서 공

△ 신문지

룡 둥지 재료들을 모아 올 거예요. 재료 활동 하기

들은 어떤 것들이 좋을까요? S : 나뭇잎하고 꽃이요! 돌맹이도 좋을

◎ 자연물을 수업시 10

간에 수집할 수 없 을 때는 미리 준비

것 같아요.

해 올 수 있도록 한

▷ 종이에 나뭇잎이나 나뭇가지를 붙여

다.

만들 것이므로 되도록 평평한 것들을 수

집해온다.

시 땅에 떨어진 낙

자연물을

수집

273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 학생들이 나간동안 교사는 책상에 신

엽이나

나뭇가지를

문지를 깔아둔다.

줍도록 하고, 자연을

▷ 정해진 시간 내에 자연물 수집을 마

훼손하지 않도록 주

치고 교실로 돌아와 신문지 위에 올려둔

의를 준다.

다. △목공용 풀, 글루건,

○ 공룡 둥지 만들기 ▷ 두툼한 4절 종이를 나누어 주고 수 활동 2

20

글루건 심, 멀티탭

집해온 자연물을 올려 공룡 둥지 모양으

글루건

사용시

로 자유롭게 배치해본다.

안전사고가

우려되

교사가

▷ 너무 무겁거나 입체적인 큰 돌, 나

경우는

뭇가지, 열매 등은 금방 떨어져버리므로

직접 글루건으로 붙

이유를 설명하고 되도록 붙이지 않도록

여준다.

한다.

▷ 배치가 마음에 들면 목공용 풀이나

공룡

글루건을 사용하여 도화지에 붙인다.

차시에

자연물을

붙인

둥지를

다음

활용하므로

열매나 꽃은 시들어 버릴 수 있음을 알 려준다. ○ 공룡 둥지 감상하기 ▷ 친구들의 공룡둥지는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함께 감상하고 제출한다.

마무리 하기

○ 자연물은 모든 동물의 보금자리

◎ 활동 후 수집해

▷ 자연물로 공룡 둥지를 꾸며 보았던

온 자연물들 때문에

정리

것처럼 실제 동물들도 자연물로 보금자

리나 둥지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가

교실이 매우 지저분 하므로 뒷정리에 신 경을 쓰도록 한다.

○ 모두 함께 교실 정리

◎완성 작품은 펼쳐

▷ 쓰고 남은 자연물은 교실이 지저분하

서 보관한다.

지 않게 깨끗이 정리하도록 한다. ○ 다음차시예고 ▷ 공룡 애니메이션 만들기

274

5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교수-학습지도자료> 자연물 수집하기 자연물 수집할 때는 땅에 떨어져있는 것들 위주로 줍도록 하고, 나뭇가지에 붙어있는 것들을 꺾지 않도록 한다. 수집 시간을 정해주고 시간 내에 돌아올 수 있게 한다. 수집 해온 자연물에는 흙이 묻어있으므로 책상 위 신문지를 준비해 둔다. 교실로 돌아온 후 반드시 신문지 위에 올려둔다.

자연물 수집하기

공룡둥지 만들기 작업

공룡둥지 붙이기 수집물들의 표면이 대부분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글루건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글루건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안전사고에 주의한다. 저학년의 경우는 붙이고 싶어 하 는 부분에 교사가 직접 글루건을 쏘아준다. 글루건은 전원을 연결해야 하므로 충분한 길이의 멀티탭과 수량을 준비한다. 완성된 공룡둥지는 다음 차시에 사용될 것이므로 자연물들이 마를 수밖에 없음을 사전 에 알려준다.

자연물로 만든 공룡둥지

275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2-5. 5차시 단원명 학습 제재 학습 목표 학습 자료 학습 단계

공룡은 내 친구 앗~! 공룡이 움직인다!

대 상 차 시

초등학교 2,3,4학년 3/3

시간

40분

- 공룡 캐릭터로 움직이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교사 : 카메라 또는 스마트 기기, 데이터케이블, 컴퓨터, 프로젝터, 움직이는 공룡 예시 작품 학생 : 전 차시 제작한 공룡 캐릭터와 배경 학습 교수 · 학습 활동 과정 ○ 움직이는 사진 원리

시간 (분)

자료(△) 유의점(◎)

5

▷ 전 차시 확인 T : 자아~ 우리 저번시간에 공룡 캐릭

△ 움직이는 공룡 사

터와 공룡 둥지를 만들었지요?

진 예시

S : 네! 동기

T : 이번 시간에는 공룡이 둥지 안에서

유발

움직이도록 생명을 불어넣어 볼 거예요.

생각

선생님이 먼저 어떻게 하는지 보여줄게

열기

요. S : 우와~~ 움직인다아~~~!! ▷ 공룡 둥지 위에 캐릭터를 올려놓고 찍은 예시를 10장 내외로 보여준다.

학습

○ 학습문제 확인하기

문제

공룡 캐릭터가 둥지 위에서 움직이는 사

확인

진을 찍어보자. △

활동 1

○ 움직이는 공룡 사진 촬영하기

15

촬영기기(카메라,

스마트폰,

패드

등),

▷ 사진 촬영은 4명 정도의 모둠을 구성

데이터 케이블, 공룡

활동

하여 진행한다.

캐릭터, 공룡 둥지

하기

▷ 촬영 기기를 모둠별로 나누어준다.

◎ 촬영 기기가 학

스마트 기기의 경우 촬영외 사용은 금하

도록 한다.

개별로 진행해도 된

▷ 모둠장, 사진촬영기사, 캐릭터를 움직

다. 그러나 데이터를

276

수대로

있다면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이는 사람(애니메이터) 등 모둠 내 역할

각 기기에서 옮겨야

을 부여한다.

하므로

▷ 모둠원들의 둥지 배경을 일렬로 배치

훨씬 수월하다.

하고 공룡 캐릭터를 배치해본다.

모둠활동이

15

▷ 촬영 시 카메라 안에 배경이 꽉 차게

◎ 교사가 모둠별로

구도를 잡고 공룡 캐릭터를 둥지 배경위

촬영한 사진을 체크

에 조금씩 움직여 가며 촬영한다.

하고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다시 촬영방

○ 공룡사진 데이터 정리하기

법을 보여준다.

▷ 촬영이 끝난 모둠부터 교사에게 차례 활동 2

로 스마트 기기를 반납한다.

◎ 촬영 후 기기 반

▷ 기기 반납 후 교사는 데이터를 컴퓨

납과 교실 뒷정리를

터로 옮겨 정리하고 모둠장 학생과 촬영

미리 할 수 있도록

된 파일을 확인한다.

한다.

▷ 잘못 촬영된 것이 있으면 다시 촬영 을 해올 수 있도록 한다.

○ 움직이는 공룡 모두 함께 감상하기 ▷ 각 모둠별로 수업시간에 촬영한 공룡 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 수업시간에 촬영한 움직이는 공룡 사 마무리 하기

정리 및 평가

진이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의 한가지임 을 이야기 한다.

5

○ 애니메이션 촬영할 때 좋았던 점 힘 들었던 점 이야기해보기 ○ 다음차시예고 ▷ 동화 속에 나오는 주인공 캐릭터 가 면을 만들어보자

<교수-학습지도자료> 애니메이션 촬영 주의사항 - 촬영 기기의 충전이 충분히 되었는지 미리 확인하고, 전날 미리 체크한다. - 스마트 기기 데이터 케이블은 교사가 미리 준비해두는 편이 좋다. - 배경 크기(4절)가 큰 편이기 때문에 카메라 안에 배경이 꽉 채우도록 촬영하려면 배 277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경과 카메라의 거리가 생각보다 멀어진다. 이 경우 책상에 앉아서 촬영이 불가능해 의 자 위에 서서 촬영해야 하므로 위험성이 있다. 조금 번거롭더라도 배경을 바닥에 놓고 몸을 구부려 촬영하는 것이 좋다.

움직이는 공룡 촬영하기

촬영 데이터 옮기기 촬영 시간보다 데이터를 옮기는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촬영이 일찍 끝난 모 둠부터 데이터 정리를 시작한다. 스마트 기기의 경우 기기 내에서 사진이 찍혀있는 폴 더를 미리 정리한 후 데이터를 옮기는 편이 훨씬 수월하다.

애니메이션 촬영데이터 확인하기

수업활용 - 밖에서 촬영하기 수업의 연장으로 캐릭터를 밖으로 가지고 나가 학교 내를 돌아다니는 공룡 애니메이션 을 촬영해 본다. 화단, 놀이터, 급수대 등등 공룡과 아이들이 가는 곳 모두가 애니메이 션이 될 수 있다.

공룡 캐릭터 활용

278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2-6. 6차시 대

단원명

동화 속으로!

학습

내가 동화 속

상 차

제재 학습

주인공이라고?

목표 학습 자료 학습 단계

초등학교 2,3,4학년 1/3

시간

40분

- 동화 이야기 속 캐릭터 가면을 만들 수 있다. 교사 : 가면 도안, 코팅 필름, 코팅기, 펀치, 고무줄, 동화 ppt 학생 : 연필, 지우개, 색연필, 싸인펜 등 채색도구 학습 시간 교수 · 학습 활동 과정 (분) ○ <팥죽할멈과 호랑이> 이야기 감상하

자료(△) 유의점(◎)

5

기 △ <팥죽할멈과 호랑

T : 이번 시간에는 여러분에게 할머니

이>동화책 이미지

한분을 소개할거예요. 동기 유발 생각 열기

S : 어떤 할머니인데요?

◎ 동화책은 학생들

T : 팥죽을 아주 맛있게 만드는 팥죽할

흥미

있을만한

멈이예요. 자아~ 팥죽할멈에게 어떤 일

내용으로

바꾸어주

이 일어났는지 한번 들어볼까요?

어도 좋다.

S: 네~~ ▷ <팥죽할멈과 호랑이>이야기를 소개한 다.

학습

○ 학습문제 확인하기

문제

동화 이야기 속 캐릭터 가면을 만들어보

확인

자. △ 캐릭터가면 활동지, ○ 동화 속 캐릭터 가면 스케치하기

활동 1 활동 하기

T : <팥죽할멈과 호랑이> 이야기 어땠 어요? S : 할머니한테 팥죽을 얻어먹은 친구 들이 호랑이를 재미있게 혼내줬어요~! T : 동화 속에 나왔던 친구들 중 마음

20

연필, 지우개, 색연필, 싸인펜 등 채색도구, 가위 ◎ 캐릭터 가면 활 동지의

교사가

돌아다니며

부분은

에 드는 친구를 하나 골라 가면을 만들

뚫어주거나 미리 뚫

어볼게요!

어놓도록 한다.

S : 팥죽할멈이랑 호랑이 만들어도 되 279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나요? T : 그럼요.

10

▷ 캐릭터 가면 활동지를 나누어주고 마 음에 드는 캐릭터를 그려 넣는다. ▷ 가면은 얼굴을 가릴 수 있도록 활동 지 가이드라인을 따라 가득 차게 그릴 수 있도록 한다. ▷ 스케치가 끝나면 채색 후 오려준다. 활동 2

△ 코팅기, 코팅필름,

○ 가면 코팅하여 고무줄 달기

펀치, 고무줄, 가위

▷ 캐릭터 가면 오리기까지 끝난 학생 부터 교사에게 가지고 와서 코팅한다. ▷ 가면 외곽 부분에 0.3~5mm 정도의 여분을 남기고 코팅지 여분을 잘라낸다.

◎ 활동을 미리 마

- 가면 코팅을 하면 눈 부분이 투명하기

때문에 눈 부분은 오리지 않는다.

뒷정리를 한다.

학생들은

교실

▷ 가면 양 옆의 부분을 펀치로 구멍을 뚫고 고무줄을 달아준다. ○ 캐릭터 가면 소개하기 ▷ 캐릭터 가면을 직접 착용해보고 어떤 캐릭터 가면을 만들었는지 각자 소개해 마무리 하기

정리 및 평가

본다. ○ 동화 이야기를 보고 느낀 점 이야기 해보기

5

◎ 수업 종료 후 캐 릭터 가면은 제출한 다.

○ 다음차시예고 ▷ 동화 속 배경 그려보기 <교수-학습지도자료> 참고작품 * <팥죽할멈과 호랑이> 박운규·백희나(그림), 시공주니어 (2006년) 볼로냐 국제어린이도서전 수상작가 백희나가 할머니와 사물들을 한지 인형으로 정겹게 표현한 우리 옛이야기 그림책이다. 어느 날 호랑이가 나타나 팥죽 할멈을 잡아먹으려고 한다. 할멈은 동지 팥죽을 쒀 주겠다 280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고 하고는 겨울까지 죽을 날을 미룬다. 마침내 약속한 날이 되어 팥죽을 쑤어 놓고 할 멈이 울고 있자 알밤, 자라, 물찌똥, 송곳 등이 나타나 팥죽을 얻어먹고는 힘을 합쳐 호랑이를 물리친다.

(출처: http://www.aladin.co.kr/ 출판

사 제공 책 소개) 캐릭터 가면 활동지 캐릭터 가면 활동지는 중앙에 눈 부분과 가면 고무줄 끼울 부분 정도만 표시해두면 된 다. 코팅을 할 것이므로 활동지는 일반 A4용지면 충분하다. 눈 부분의 구멍 뚫기는 학생들이 직접 하면 찢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사가 돌아 다니면서 오려준다. 코팅을 할 수 없을 때는 두꺼운 종이에 붙여서 오리도록 한다.

가면 스케치하기

가면 활동지

캐릭터 가면 코팅하고 고무줄 달기 코팅기는 주로 A4사이즈이므로 가면 크기가 A4사이즈를 넘지 않도록 한다. 코팅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먼저 완성한 학생들 순으로 미리미리 코팅을 도와주도록 한 다. 교사는 원활한 수업을 위해 학교 코팅기기를 미리 준비하거나 휴대용 코팅기를 준 비하는 편이 좋다. 코팅 후 코팅지 여분을 잘라내고 펀치로 고무줄 끼울 부분의 구멍을 뚫어준다. 고무줄 끼우기는 미리 활동이 끝난 학생이 다른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도록 한다.

동화 속 캐릭터 가면 완성하기

281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2-7. 7차시 단원명

내가 동화 속

주인공이라고?

상 차

학습 제재 학습 목표 학습 자료 학습 단계

동화 속 세상

초등학교 2,3,4학년 2/3

시간

40분

- 동화 이야기 중 한 장면을 선택해 배경을 그릴 수 있다. 교사 : 4절 도화지, 카메라, 데이터케이블 <팥죽할멈과 호랑이>이미지 학생 : 연필, 지우개, 색연필, 싸인펜 등 채색도구 학습 시간 교수 · 학습 활동 과정 (분) ○ 동화 속 주인공이 사는 세상

자료(△) 유의점(◎)

5

▷ 전차시 학습 확인 T : 우리 저번시간에 어떤 이야기 속

△ <팥죽할멈과 호

친구들을 만들었지요?

랑이>이미지

S : 팥죽할멈과 호랑이요~! 동기

S : 저는 호랑이를 만들었어요.

유발

T : 그럼 팥죽할멈과 호랑이는 어디에 살고 있어요?

생각

S : 산속이요. 아주~~ 깊은 산속

열기

S : 할머니는 산속에 집이 있어요. ▷ <팥죽할멈과 호랑이>이야기를 다시 확인한다.

학습 문제 확인

활동 1

○ 학습문제 확인하기 동화 속 배경을 그려보자.

○ 동화 이야기 배경 선택해서 그리기 T : 동화 이야기 속에 산속, 팥죽할멈 집, 부엌 등의 장소가 나왔지요?

활동 하기

20 △ 4절 도화지, 연필,

S : 네~! 추운겨울 할머니 집이예요.

지우개, 색연필, 싸인

T : 맞아요~ 추운겨울이죠! 자아~ 그럼

펜 등 채색도구, 카메

동화 속 장소들을 상상해서 직접 그려보

라, 데이터 케이블

도록 할게요. S : 선생님! 저번에 만든 캐릭터 가면은 282

◎ 배경을 그릴 때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는 나눠준 도화지에

요? T : 배경이 완성이 되면 여러 분이 그

큼직하게 채워서 그

린 배경 앞에서 연극하는 것처럼 캐릭터

릴 수 있도록 한다.

가면을 쓰고 사진을 찍을거예요. S : 우와~~!!

◎ 사진 촬영할 때

▷ 동화 속 장소들을 다시 짚어보고 그

선명하게

배경그림

릴 배경을 정하도록 한다.

이 나올 수 있도록

▷ 4절 도화지를 나누어 주고 큼직하게

진하게 채색한다.

배경을 채워 그린다. ○ 배경 사진 촬영하기 활동

▷ 배경 그림이 완성된 학생은 교사에

2

게 가지고 와서 촬영하고 그림을 제출한

10

다. ▷ 촬영된 데이터를 확인한다.

○ 완성 배경 감상하기 ▷ 함께 어떤 장면의 배경을 그렸는지 마무리 하기

정리 및 평가

확인해본다. ▷ 동화 속 캐릭터 가면과 배경이 합쳐

5

진다면 어떤 느낌일까? ○ 다음차시예고 ▷ 동화 속 주인공이 직접 되어보자!

283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교수-학습지도자료> 배경 그리기 배경그림을 그릴 때는 연극 무대를 제작하는 느 낌으로 그린다. 그림 앞에서 캐릭터 가면을 쓰 고 상황 연출을 할 것이기 때문에 배경 안에 캐 릭터를 그릴 필요가 없다. 동화 속 배경 그리기

배경 촬영하기 학교에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스캐너 사용이 힘듦으로 사진 촬영으로 대신한다. 배 경 촬영 시 사방을 꽉 채워 촬영하면 별도의 편집이 필요 없다. 만약 스캐너를 사용한 다면 스캐너 크기에 맞는 배경 용지를 사용하도록 한다.

완성된 동화 속 배경 작품들

284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2-8. 8차시 단원명 학습 제재

내가 동화 속

주인공 이라고?

상 차

우리가 만드는 이야기

초등학교 2,3,4학년 3/3

시간

40분

학습

- 신문지로 캐릭터에 알맞은 옷을 만들 수 있다.

목표

- 동화 배경 앞에서 캐릭터 가면을 쓰고 사진을 찍을 수 있다.

학습

교사 : 배경 사진, 프로젝터, 카메라, 데이터케이블

자료 학습

학생 : 캐릭터 가면, 신문지, 가위, 풀, 테이프 학습 교수 · 학습 활동 과정

단계

○ <팥죽할멈과 호랑이> 캐릭터 가면과

시간 (분)

자료(△) 유의점(◎)

5

배경 확인하기 △ 동화 배경사진, 캐

T : 우리 어떤 활동들을 했었는지 기억

릭터 가면

하지요? S : 팥죽할멈과 호랑이 가면 만들었어 요!

생각

동기

S : 배경도 그렸어요~~

유발

T : 맞아요. 잘 기억하고 있네요! 이번 시간은 가면과 배경그림으로 동화 속 장

열기

면을 직접 표현해 볼 거예요. ▷ 걷어 두었던 캐릭터 가면을 나누어 준다. ▷ 촬영해 두었던 배경 사진을 보여준 다. 학습

○ 학습문제 확인하기

문제

친구들과 함께 동화 속 한 장면을 표현

확인

해 보자. ○ 신문지 옷 만들기

활동 하기

15

활동

T : 신문지로 캐릭터가 필요한 옷을 만

1

들어 보기로 해요. 선생님을 따라해 보

채색도구

세요!

◎ 옷 만들기가 일

▷ 신문지의 접혀있는 부분을 반달 모

△ 신문지, 테이프, 풀,

끝난

친구들은

양으로 뜯어내어 옷 모양 만드는 법을

조각난

알려주고 실제 입어보도록 한다.

줍고 정리한다.

신문지들을 285


만화 애니메이션, 모두 함께 즐겨요!

▷ 신문지를 오리거나, 풀로 붙이는 등 자유로운 방법으로 캐릭터를 꾸며본다. ○ 동화 속 장면 표현하기

15

▷ 교사는 학생들의 배경 그림을 프로 활동

젝터에 띄어준다.

2

▷ 본인이 그린 배경이 화면에 나오는

촬영된

사진이

흔들리지

않았는지

바로바로

확인하고

잘못된 사진은 다시

순서대로 촬영한다.

촬영 한다.

▷ 본인 순서 학생은 같이 촬영하고 싶 은 캐릭터를 호명한다. 또는 촬영을 희

◎ 프로젝터 화면이

망하는 친구와 함께한다.

배경이 되므로 화면 앞은 촬영에 방해가

▷ 프로젝터 배경 화면 앞에 서서 원하

되지 않도록 깨끗이

는 포즈를 취한다.

치운다.

▷ 교사가 촬영한다. 촬영하면서 학생 들이 적극적인 포즈가 나올 수 있도록

◎ 한명도 빠짐없이

도와준다.

1회 이상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촬영 데이터 옮기기와 뒷정리 ▷ 교사가 촬영 데이터를 컴퓨터로 옮기 는 동안 학생들은 교실 뒷정리를 한다. 마무리 하기

5

정리 및 평가

◎ 사용한 신문지는

○ 촬영 파일 감상하기

따로 접어 재활용함

▷ 옮겨진 파일은 모두 함께 감상하고

에 넣는다.

어떤 장면을 표현한 것인지 이야기해본 다. ○ 촬영하면서 느낀 점 발표해보기

<교수-학습지도자료> 신문지 옷 만들기 신문지 소품을 만들면 신문지가 많이 필요하므로 양을 넉넉히 준비한다. 학교 폐품 신 문지를 활용하면 좋다. 만드는 기법은 접기, 오리기, 구기기, 붙이기 등 자유롭게 만들 도록 한다. 직접 신문지 옷을 입으면 구겨지므로 깔끔하게 만들 필요는 없다.

286


만화/애니메이션분야 - 입선

신문지 옷 만들기

동화 속 장면 연출하기 사진 촬영은 개인 또는 모둠으로 진행해도 된다. 본 수업에서는 개인이 같이 촬영하고 싶은 캐릭터를 호명하여 함께 촬영하였다. 배경 무대는 프로젝터 스크린을 활용한다. 대게 프로젝터 스크린이 학생 키보다 높게 설치되어있으므로 학생들이 화면 앞에 서도 카메라에 나오지 않을 수 있다. 학생이 카 메라 화면에 잘 나올 수 있도록 의자를 활용해서 높이를 맞추어 준다. 의자를 사용할 때는 안전사고에 유의하도록 한다.

동화 속 장면 연출하기

287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