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사업
움튼 새싹, 기업과 함께하는 예술꽃 새싹학교
목차
4
사회공헌활동 소개
5
예술꽃 새싹학교 사업소개
6
예술꽃 새싹학교 돋보기
8
예술꽃 새싹학교 성과
9
예술꽃 새싹학교 현황
10
예술꽃 새싹학교 소개
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정부지원으로 문화예술 소외지역 소규모 학교에 뿌려졌던 씨앗이, 민간기업의 후원을 통해 예술꽃 새싹으로 돋아납니다. 예술꽃 새싹학교는 꿈을 품고 자라난 새싹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합니다.
flower.arte.or.kr
4
5
예술꽃 새싹학교
사회공헌활동 소개
신한은행의 사회공헌활동 소개
예술꽃 새싹학교 사업소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으로 국고를 통해 지원하고 있는 예술꽃 씨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
앗학교는 문화예술 소외지역의 소규모 학교에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함으로써 학생 개 우리 사회의 더 행복한 내일을 향해 아름다운 동행(同行)을 계속하겠습니다.
개인의 인성함양과 문화감수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고객에게는 ‘더 나은 내일을 위한 동반자’로서 변화를 통해 사랑받는 금융기관으로 거듭나고, 시장
문화예술교육 기반을 다진 예술꽃 씨앗학교가 새싹으로 발아할 수 있도록 기업의 후원을 통
에서는 ‘변화와 혁신을 통해 기존의 한계를 넘어 금융의 미래 트렌드를 선도’ 하며, 직원에게는 ‘사
해 지원하는 사업이 바로 ‘예술꽃 새싹학교’입니다. ‘예술꽃 새싹학교’는 민간의 재원과 연계
랑받는 1등 은행의 직원’이라는 자긍심을 가지고 신명 나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을 목표로
한 사업으로 공공성이 유지되고 수혜자도 만족하는 기업 사회공헌의 새로운 모델로서 주목
하고 있습니다.
받고 있습니다.
‘금융의 힘으로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행복한 미래를 열어가는 신한은행’이라 는 사회책임경영목표를 정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에 문 화예술 분야에는 신한음악상, 신한갤러리 운영, 전통문화 보존 등과 더불어 예술꽃 새싹학교를 지원 하고 있습니다. 「신한은행 홈페이지 발췌」
운영체계 구분
2015
2016
2017
2018
운영방법
합계 · 소규모 학교(400명 이하)
기부금
250백만원
270백만원
160백만원
240백만원
920백만원
예술꽃
· 4년간 연속 운영
씨앗학교
· 문화예술교육 기반 조성
공모
종료된 예술꽃 씨앗학교 대상 공모
· 지역사회 연계
심사(서류)
특화 프로그램 및 지속가능성 심사
· 사업방향 설정 신한은행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 새싹학교 선정 · 예산 및 사업운영 지원 · 대외 홍보
·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종료 대상
예술꽃
· 2년간 사업운영
새싹학교
· 특화된 문화예술교육으로 자생력 확보 · 학교 및 지역사회로 성과 확산
선정
예술꽃 새싹학교 선정
운영
예술꽃 새싹학교 운영
6
7
예술꽃 새싹학교
예술꽃 새싹학교 돋보기
“이거 우리아이들 목소리 맞아? 노래소리 너무 좋다!” 어느날 5교시 수업을 마치고 교무실에 내려오신 선생님이 하신
“선생님 저 예술중학교에 가고 싶어요. 예술꽃 오케스트라를 하면서 클라리넷에 대해 알게 되었고 이제는 클라리넷을
말씀입니다. 더워서 문을 열고 수업을 하고 있는데 아이들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소리가 바람을 타고 교실로 들어와서
중학교 가서도 배우고 싶어요.” 4년 동안 예술꽃 씨앗학교와 올해 예술꽃 새싹학교에서도 계속적으로 오케스트라
너무 좋았다고 하셨습니다. 언제나 노래하고 춤추며 행복하게 생활하는 우리학교 아이들이 보기 좋아 저도 더 힘이
활동을 한 6학년 학생의 말이 인상에 남습니다. 예술꽃 새싹학교를 통해 학생들이 꿈을 찾게 되었고 문화예술로부터
납니다. 앞으로도 노래가 멈추지 않고 예술이 곧 삶이 되는 아이들로 자라나길 기대해 봅니다.
소외된 아이들에게 예술의 씨앗을 심어 싹이 트고 꽃을 피울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이 교사로서 뿌듯하였습니다.
- 5기 오선초등학교 정창환 선생님 -
- 5기 함월초등학교 김지영 선생님 -
처음에는 합창이 재미가 없어서 힘들었지만 대회에 나가서 다른 학교 학생들이 하는 것도 보고 여러 공연을 관람하러
3학년부터 시작한 ‘예술꽃오케스트라’의 타악기 파트. 처음에는 탬버린으로 시작을 하였지만 이제는 드럼을 치는 어엿한
다니다 보니 점점 흥미가 생겼다. 특히 합창대회에서 다른 학교 아이들이 부르는 것을 보니 우리학교보다 훨씬 잘했다.
드러머가 되었습니다. 예술꽃이 아니었다면 접해보지 못했을 악기들. 오케스트라 공연을 하며 얻었던 즐거움들. 예술꽃
그래서 다음에는 우리도 1등을 하고 싶다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고 열심히 하다 보니 합창이 재미있었다. 다른 학교에서는
새싹학교는 나에게 행복을 준 것 같습니다.
하지 않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할 수 있어서 더 좋고 앞으로도 예술꽃 새싹학교를 계속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 5기 오선초등학교 조경찬 학생 -
- 5기 함월초등학교 김종문 학생 -
8
9
예술꽃 새싹학교
예술꽃 새싹학교 성과
예술꽃 새싹학교 현황
새싹학교 5기 (2017년-2018년)
현재 지원중인 10개교 중 6개교 전교생 수 증가 현황
소규모 학교 전교생 수 증가로
북촌초등학교, 오선초등학교, 함월초등학교
마을 환경 변화
118
거류초등학교
+11
129
서울 / 경기 / 인천
강원
새싹학교 4기 (2016년-2017년) 거류초등학교, 고서초등학교, 당북초등학교,
225
당북초등학교
+26
251
서명초등학교, 성남초등학교, 수남초등학교, 창호초등학교
74
수남초등학교
세종 / 대전 / 충북 / 충남
+14
88
새싹학교 3기 (2015년-2016년)
경북 / 대구
간중초등학교, 남원초등학교, 대전대신초등학교, 73
창호초등학교
+13
86
배영초등학교, 백원초등학교, 영평초등학교, 옥천초등학교, 칠성초등학교, 현산초등학교
전북
경남 / 부산 / 울산
*신한은행 –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운영)와 업무협약 체결
86
오선초등학교
+12
98
전남 / 광주
새싹학교 2기 (2013년-2015년)
287
함월초등학교
+33
320
광주지산초등학교, 삼동초등학교, 송라초등학교 전국 예술꽃 새싹학교
0
100
200
300
새싹학교 1기 (2012년-2014년) 2015년
2016년
단위: 명
금성초등학교, 봉화초등학교, 여수북초등학교 *KB국민은행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업무협약 체결
제주
2017
5기
3개교
2016
4기
7개교
2015
3기
9개교
2013
2기
3개교
2012
1기
3개교
2017년 누적 25개교 / 10개교 운영중
10
11
예술꽃 새싹학교
당북초등학교 주소 | 전라북도 군산시 백석로 40
예술꽃 새싹학교 소개
홈페이지 | www.dangbuk.es.kr 전화번호 | 063-462-8983 전교생 | 284명 학교장 | 문영찬 담당교사 | 하춘영 운영분야 | 음악예술교육
거류초등학교
- ‘창작 국악극 활동을 통한 전통예술과 친구 되기’를 주제 로 국악 실기(가야금, 해금, 양금, 대금, 소금, 피리, 태평
주소 |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거류로 693-14
소, 아쟁) 및 전래동요, 태권무, 타악 등 운영
홈페이지 | www.georyu.es.kr
- 연 3회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나눔 공연을 펼침
전화번호 | 055-672-1883 전교생 | 118명 학교장 | 홍성표 담당교사 | 이세정 운영분야 | 음악예술교육 - ‘국악관현악과 함께하는 어린이 고성농요와 고성오광
서명초등학교
대’라는 주제로 문화예술교육과정을 운영하여 학교 특색활동으로 정착 유도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명서로 48
- 저학년 대상 고성농요, 고학년 대상 고성오광대, 3~6
홈페이지 | www.seomyeong.es.kr
학년 대상 국악관현악(가야금, 거문고, 아쟁, 해금, 대
전화번호 | 051-520-5300
금, 소금, 피리) 운영
전교생 | 137명 학교장 | 이상근 담당교사 | 이혜정 운영분야 | 음악예술교육 - Art ·Edu Collaboration(예술+교육의 통합)을 통한 서명 多 행복하모니라는 주제로 채움(꿈), 보탬(행복), 엮음(사 랑), 나눔(아름다운 학교)의 4가지 테마프로그램으로 음 악예술교육 운영
고서초등학교 주소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원등 1길 7 홈페이지 | goseo.es.jne.kr 전화번호 | 061-382-3024 전교생 | 99명 학교장 | 이영훈 담당교사 | 남순현
성남초등학교
운영분야 | 공연예술교육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신덕길 95
- 연극을 통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내고 개인의
홈페이지 | snam.caees.kr
인성과 문화예술 감수성을 기르고자 함 - 학년별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교과연극(인형극, 가면극, 마당극 등) 운영
전화번호 | 041-553-0032 전교생 | 45명 학교장 | 장석주 담당교사 | 김영철 운영분야 | 공연예술교육 - 뮤페라 ‘호두요정과 함께하는 시간여행’ 공연을 중심으로 통합교육 특별 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육과정을 통해 행복한 뮤페라 학교 만들기 실현 - 통합교육과정으로 국악, 성악, 디자인, 공예, 뮤지컬 안무, 극본 창작 운영
12
13
예술꽃 새싹학교
북촌초등학교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일주동로 1481
예술꽃 새싹학교 소개
홈페이지 | bukchon.jje.es.kr 전화번호 | 064-783-9932 전교생 | 74명 학교장 | 고문섭 담당교사 | 이문희 운영분야 | 공연예술교육
수남초등학교
- “제주신화와 함께 떠나는 뮤지컬 여행” 이라는 주제로 연극, 무 용, 노래, 악기 연주 등이 통합된 뮤지컬 교육과정 운영
주소 |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수남로 21번길 24 홈페이지 | www.ksunam.es.kr
- 학부모 및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 교가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활동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함
전화번호 | 031-987-3690 전교생 | 95명 학교장 | 구병기 담당교사 | 공창수 운영분야 | 통합예술교육 - 4년간 축적한 씨앗학교 운영 프로그램을 지역주민과 지역
오선초등학교
문화와 지역공간이 함께하는 ‘전통예술 거점학교’ 구축을 위해 전통을 바탕으로 주제 중심 표현활동 프로그램 운영
주소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초금로 752번길 17
- 창작디자인, 해금, 대금, 소금, 가야금, 모듬북, 기합 합주
홈페이지 | www.oson.es.kr
등 운영
전화번호 | 043-877-0595 전교생 | 93명 학교장 | 정광규 담당교사 | 정창환 운영분야 | 음악예술교육 - “합창”을 중심으로 예술꽃 씨앗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발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와 나누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 - 교사와 강사간 협력을 통한 합창(음악극)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창호초등학교
각종 대회 및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한 문화예술 공유 주소 |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가조로 1281-16 홈페이지 | changho-p.gne.go.kr 전화번호 | 055-633-9608 전교생 | 68명 학교장 | 박람숙 담당교사 | 이원민
함월초등학교
운영분야 | 음악예술교육 - 플루트, 클라리넷, 색소폰, 목관 3중주 연주로 전교생 이 참여하는 ‘꿈소리 앙상블’을 교과와 연계운영 - 통영프린지 공연 등 지역사회 문화예술축제 적극 참여 로 지역연계 활성화
주소 |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1길 25번지 홈페이지 | www.hamwol.es.kr 전화번호 | 052-297-1221 전교생 | 303명 학교장 | 임기복 담당교사 | 김지영 운영분야 | 음악예술교육 - 전교생 1인 1악기 특기 신장을 위한 관·현악기 체험교육을 통해 개인 적 특기·적성을 기르고 아름다운 심성을 기르는 문화예술교육 실현 - 전교생이 매주 1회 아침 활동으로 클래식 음악 감상을 하고, 저학년에 맞는 악기(미니 플롯, 붐웨커 등)를 체험하여 예술적 감각을 기르는 기회를 가짐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어갑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의거해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입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개개인의 문화예술 향유 능력 및 창의력을 함양시키고, 전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학교문화예술교육지원, 사회문화예술교육지원,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문화예술교육 학술연구 및 조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업무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발행인 | 주성혜 발행일 | 2017. 6. 발행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지역활성화팀 등록번호 | KACES-1770-C004
03926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76 YTN 뉴스퀘어 11~12층 Tel. 02-6209-5900 Fax. 02-6209-1393 E-mail. contact@arte.or.kr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www.arte.or.kr 예술꽃 씨앗학교 flower.arte.or.kr
저작자와 출처 등을 표시하면 자유이용을 허락합니다. 단, 영리적 이용과 2차적 저작물의 작성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flower.art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