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 시·도 교육청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www.arte.or.kr artistinschool.arte.or.kr
경기 초 ․ 중 ․고등학교 제공용
2 0 1 6
아이들은 어른들이 상상할 수 없는 놀라운 예술적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통해 학교 안에서 예술가를 만나는 경험이 아이들 본연의 예술성을 드러내고 꽃피우는 계기가 되길 소망합니다.
예술강사 지원사업(2차) 신청 가이드북 - 경기 -
발행인
주성혜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발행일
2016. 2. 1
기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운영1팀
홈페이지
www.arte.or.kr artistinschool.arte.or.kr
본 자료집의 영리적 이용과 2차적 저작물의 작성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2016년 예술강사 지원사업(2차)
신청방법
희망 학교를 모집합니다
접수기간
2016. 2. 1(월) ~ 2. 19(금) 18:00 까지 ※ 시간엄수
신청방법
이메일 접수 (artistinschool@arte.or.kr)
예술강사 지원사업(2차)은 교육현장의 요구를 반영하고, 차별화된 학교 문화예술교육 추진을
※ 학교 지원신청서 1부, 활동지원동의서 1부,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1부 작성/날인 후 제출
위하여 ‘수혜자(학생)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고자 계획된 사업입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
※ 신청서식은 하단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진흥원은 예술가(예술강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학생들과 프로젝트를 진행 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합니다. 문화예술교육의 기능적 접근(단순 기량교육)을 지양
홈페이지
artistinschool.arte.or.kr
문의
02-6209-1353~4 / applyarte@gmail.com
하고, 공교육 내에서 예술가를 만나면서 예술 본연의 가치를 경험하게 합니다.
모집개요 모집대상
tip! 전국 초․ 중 ․고등학교 중 2016년 예술강사 지원사업(2차) 희망학교
학교 선정 및
※ 1차 예술강사 지원사업 지원대상 학교는 제외 (한 분야라도 선정되었을 경우 제외)
매칭 심사
모집규모
최대 800개교, 학교 당 최대 200시수 이내 (평균 150시수 지원 예정)
모집일정
2016. 2. 1(월) ~ 2. 19(금)
운영기간
2016. 3월 ~ 12월 이내
지원교과
기본교과,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토요동아리, 초등학교 돌봄
주요 포인트!
⁎ 지원신청서에서 요청하는 내용은 실제 학교 현장의 내용을 담아 작성하길 바랍니다. ⁎ 지원분야 및 강사 선택 시, 신중한 검토를 바탕으로 작성하되 참여 학생수와 신청시수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세요. ⁎ 특히, 학교 교육과정 연계(운영) 계획 부분은 상세히 작성 바랍니다. 하단 박스 안의 내용을 숙지하시어, 희망하는 예술강사의 프로젝트를 적용할 교과와 단원, 교육 운영 시기, 성취기준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세요.
동아리, 중학교 자유학기제(예술체육활동, 동아리활동) ※ 수익자부담으로 진행하는 방과후학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
지원분야
국악, 연극, 무용, 영화, 만화애니메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 음악(관현악, 성악, 작곡, 지휘 등),
① 적용교과
※ 본 가이드북의 프로젝트 내용을 보고 학년 교육과정에 적용교과를 신중하게 선택하세요.
미술(서예, 한국화, 서양화 등), 문학, 미디어아트 등
추진절차
학교모집 (2.1~2.19)
학교 선정 및 매칭 결과발표 (2.26)
예술교과 뿐 아니라 성취기준에 따라 타 교과도 가능하며 여러 교과도 가능합니다.
사전 준비
프로그램 실행
(3월)
(3월~12월)
신청서류 작성 후
신청서류 심사를 통한
출강 전, 매칭 예술강사의
교육실행 및
이메일 접수
학교 선정 및
학교 방문을 통한
학교 ․ 예술강사 평가
artistinschool@arte.or.kr
예술강사 매칭
교육운영 협의
(컨설팅)
② 단원
한 단원 뿐 아니라 여러 단원 선택이 가능합니다.
③ 운영시기
연간으로 운영(3월~12월 이내) 가능하며, 특정 시기에 집중한 운영도 가능합니다.
④ 성취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맞게 작성 바랍니다. ※ 여러 교과의 성취기준 작성도 가능합니다.
⑤ 학교 교육과정 내 프로젝트 적용 방안
학교 교육과정과 선택한 예술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작성해서 적어주세요.
국악
기본정보 무용
이름
장문경
지원분야(세부 분야)
국악(놀이와 노래,타악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군포시 당정동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최근 3년)
초등 영화
교과연계
사진
국악
국악학(거문고)/음악교육학
연극
A - 0567
세부전공
공예 디자인
예술활동 경력
음악 미술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6~7세
교육가능 기간
▶
3월~11월
교육 방향
▶
- 국악에 다양한 놀이(민속놀이 및 창의적 놀이)를 적용하여 국악을 쉽고 재미있게 배우도록 한다.
기획의도
- 한국의 다양한 전래놀이와 국악의 요소들을 접목시켜 국악의 장단감, 선율, 악기들을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한다. - 음악과 놀이의 조화를 통해 신체건강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즐겁고 행복한 마음을 갖 게 한다.
교육회차
- 해당학교의 연간 일정 확인 후 수업일정을 논의한다. - 수업대상 어린이들의 특징 및 유의사항을 파악한다. - 수업에 활용할 교구들이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교실, 사물놀이악기, 피아노, 빔프로젝트 등 영상수업 가능여부) - 강사소개를 한다.(PPT,사진, 음악활용) - 따라 하기 쉬운 국악놀이를 통해 친해지는 시간을 가진다. - 학생들이 앞으로의 수업에 기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10개월간 배우게 될 내용을 재미있게 소개한다.(동영상 등 영상물 활용)
1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영화
▶
다양한 국악 타악기를 연주하며 음악안의 규칙과 질서를 배우도록 하였다. 국악동요, 국악기, 민속놀이를 접목시키는 활동을 통해 국악을 쉽게 접하고 친해지도록 하였다. 민속춤을 추며 국악의 흥을 느끼도록 지도하였다. 합동 공연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였다. 모둠별 연주를 통해 협동심을 기르고 동기애를 갖게 하였다. 악기연주에 대한 친근감과 자신감을 기르도록 하였다.
▶
전래놀이 속 국악이야기
기간
사전방문 (3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주요 교육내용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놀이랑 국악이랑> ‘동대문놀이’, ‘꼭꼭숨어라’, ‘줄다리기’, ‘강강술래’, ‘문지기놀이’,
2~5
사진
- 전반기에 진행될 놀이 ‘우리집에 왜 왔니’, ‘기차놀이’, ‘팽이치기’, ‘고무줄놀이’ 등
- 전체수업 진행 시 사용할 사물놀이 장단을 연습한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리듬익히기
공예
전반기
전통놀이를 하면서 국악의 기본 장단을 익힌다. 사물놀이 악기를 통해 다양한 3박, 4박, 12박의 다양한 장단을 만든다. (장구, 꽹과리, 징, 북) 국악의 구음을 이해하고 연주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빠르기에 맞는 움직임, 강약에 따른 감정표현 등 타악기 연주를 통한 표현방법을 지도한다.
6~10
난타가 가능하도록 각종 타악기를 사용한다.
- 전래놀이와 국악을 통합시킨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우리나라의 전통 놀이와 전통음악 에 대해 알게 되었고, 우리 전통의 멋과 즐거움을 경험하게 되었다.
전래동요 : ‘꼬마야꼬마야’, ‘이박저박’, ‘남생아놀아라’, ‘대문놀이’. 민 요 : ‘군밤타령’, ‘도라지타령’, ‘닐리리야’ 등 교과서 곡 중심으로 익히기.
- 다양한 국악 타악기를 연주하며 음악안의 규칙과 질서를 배울 수 있었다. ▶
- 학생들은 처음으로 민속춤을 경험하게 되었고, 국악의 흥과 신명을 느낄 수 있었다.
- 중반기에 진행될 놀이 ‘사방치기’, ‘투호’, ‘굴비엮기’, ‘콩줍기’, ‘귓속말놀이’, ‘망차기’,
- 합동 공연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되었다.
음악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디자인
-노래익히기
‘딱지치기’, ‘닭싸움’, ‘빙빙돌아라’, ‘신발차기’, ‘비석치기’ 등의
- 모둠별 연주를 통해 협동심을 기르고 동기애를 갖게 되었다.
놀이를 하며, 상황에 맞는 민요나 국악동요 배우기. 예)‘대문놀이’를 하며 ‘도둑잡기’놀이를 진행한다.
- 악기연주에 대한 친근감과 자신감을 기르게 되었다.
‘남생아놀아라’ 노래에 맞춰 ‘망줍기’ 놀이를 진행한다. *놀이활동 시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은 각종 악기들을 사용해 응원단의 역할을 맡는다. (사물놀이, 난타 등의 장단 활용)
11~20
- 사물놀이 끈을 만들어 메고 다양한 자세로 연주한다. (앉아서 하기, 서서하기, 장단에 맞춰 뛰면서 하기) - 전체, 그룹별, 개인전 등 다양한 형태로 놀이수업 진행한다.
- 수업초반에는 아이들의 음악적 기술의 발전을 중점적으로 지도 했으나, 한 어린이의 작은 변화를 기다려주며 수업을 즐길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게 되었다. 전체의 변화 뿐 아니라 한명한명의 변화를 기대하며 모든 학생들이 최선을 다 할 수 있도록 이끌어가야겠다. ▶
- 민요랑 국악동요랑 신국악동요 : ‘산도깨비’, ‘딱지노래’, ‘동지팥죽’ 등. 전래동요 : ‘냇물이꽁꽁’, ‘나비나비짱짱’, ‘가마솥에누룽지’ 등. 쉬운 민요 : ‘아리랑 메들리’, ‘날 좀보소’, ‘너영나영’, ‘옹헤야’ 등의
- 학생들을 향한 칭찬이 국악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 었다. 다음 기회가 주어진다면 더 많이 칭찬해 주는 선생님이 되어야겠다. - 내가 가르치고자 하는 교육대상이 관심 있어 하는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것 같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중반기
다양한 노래를 지도한다.
후반기
- 그동안 배운 것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수업으로 진행한다. - 수업했던 놀이와 춤, 노래들을 종합하여 작은 공연을 연다.
23~25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연령대)
강지은 A -0231
수업명
40분
초등(저학년)
수업주제
▶
국악의 요소들을 전래놀이와 접목시켜 나를 표현하는 음악으로 만들어 낸다. 전통놀이를 하며 국악동요와 민요, 국악 춤으로 나를 표현한다.
교육목표
▶
- 국악의 장단을 활용한 놀이와 춤 축제를 열어보자. - 국악의 선율을 활용한 노래한마당을 열어보자.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지금까지 국악수업을 통해 인지된 장단감(리듬), 몸짓, 노래 등을 자연스럽게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어렵고 지루하게 느껴지던 국악을 재미있는 콘텐츠를 통해 익숙하게 함으로써, 우리 아이들의 정서를 즐겁고 신나게 한다.
▶
- 3박, 4박, 12박장단을 치며 여러 가지 전래놀이를 진행한다. - 전래동요와 국악동요, 민요를 부르며 전래놀이를 진행한다. - 놀이, 춤, 노래 중 가장 자신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요소를 선택하여, ‘나도스타!!’ (작은발표회) 시간을 갖는다.
주요 교육내용
국악(민요/판소리/시조/장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초등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수지로
만화애니
놀이랑 국악이랑
지원분야(세부 분야)
국악(정가전공) / 음악교육
영화
▶
세부전공
연극
국악
장문경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수업내용 도입
디자인
정리
- ‘나처럼 해봐요’를 하며 각자 자신 있는 춤과 노래를 한다. 게임을 통해 큰 원을 그리며 진행한다. - ‘기차놀이’를 하면서 모둠을 만든다. - 작은 모둠(5~6명)을 만들어 ‘별달거리’ 장단을 치며 ‘강강술래’ 놀이를 진행한다. - ‘신발차기’ 놀이를 통해 선택된 학생은 무대로 나와서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국악동요를 부르거나 타악기를 연주한다. - 한 어린이의 무대가 끝날 때마다 나머지 어린이들은 ‘칭찬장단’을 치며, 청중의 역할을 한다. - 짧은 전래동화 한편을 읽어주며, 이야기의 분위기와 맞는 장단을 연주하도록 한다.(전래동화는 3~4분가량으로 편집) 학생들은 빠르고 느림, 기쁨과 슬픔 등의 다양한 감정들을 타악기를 통해 표현한다. - 그동안의 ‘놀이랑 국악이랑’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모습이 어떻게 변화 되었는지 이야기 한다. - 수업에서 이루어진 내용들을 정리하며, ‘칭찬하기’ 노래를 돌아가며 부른다. - 10개월간의 수업을 담은 영상을 보면서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다. - 인사장단을 치며 다함께 마무리 한다.
예술활동 경력
공간활용 계획
활동내용
총교육시간
2013.03.01. ~ 2013.12.31
손곡중학교
기본교과 국악분야 예술강 사
42시수
2013.03.01. ~ 2013.12.31
소현중학교
기본교과 국악분야 예술강 사
120시수
2014.03.01. ~ 2014.12.31
홍천고등학교
기본교과 국악분야 예술강 사
60시수
2014.03.01. ~ 2014.12.31
용인신봉초등학교
기본교과 국악분야 예술강 사
120시수
2015.03.01. ~ 2014.11.25
중일초등학교
기본교과 국악분야 예술강 사
120시수
2015.3.1. ~ 2015. 12. 22
홍천고등학교
기본교과 국악분야 예술강 사
60시수
2015.3.1. ~ 2015.12.23
신봉중학교
기본교과 국악분야 예술강 사
84시수
미디어아트
-사물놀이 악기, 컴퓨터 및 빔프로젝트, 피아노, 각 시간별 놀이 활동에 사용될 전통놀이물품.
학교명/ 기간명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기간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한국의 다양한 전래놀이에 대해 알고, 직접 체험함으로써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질 것이다. -놀이와 국악을 함께 체험함으로써 따분하고 어렵게 느끼던 국악을 재미있고 신나는 한국의 음악으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학생들은 놀이 수업을 통해 사회속에서의 규칙과 질서의 중요성을 배우게 될 것이다. -국악의 다양한 요소(장단, 선율, 몸짓 등)들을 실제로 연주하고 노래로 불러봄으로써 쉽게 익히게 될 것이다. -책상에 앉아서 이뤄지는 음악수업과 달리 많은 활동과 신체움직임이 수업 중 이루어진다. 따라서 학생들의 신체와 정신건강에 도움을 줄 것이다. -수업 중 개인 활동 뿐 아니라 모둠활동이 많으므로 급우들 간의 협동심과 이해심, 인내심등의 발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공예
전개
- ‘남생아 놀아라’ 노래를 부르면서 수업을 위한 자리를 정리한다. - 인사장단을 치며, 인사를 나눈다.(‘우리집에 왜 왔니’, ‘문지기 놀이’) - 사물놀이 악기들을 가지고 지난시간에 배운 12박 변형장단을 연주한다.
-음악실 또는 일반교실(방음시설을 갖추었거나, 수업으로 인한 소음과 관계없는 교실) 문학
국악
2) 교육 성과 및 효과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교육가능 교급
▶
중일초등학교 5학년
교육가능 기간
▶
중일초등학교
교육 방향
▶
2015년 5월 19일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국악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우리 문화에 관심을 높이고 학생 스스로 적극적 참여함으로서 자심감과 성취감을 통해 긍정적 감성을 키워 줄 수 있다.>
만화애니
창작판소리 ’난감하네’ 1. 판소리 ‘별주부전’ 감상한다. 2. 판소리 ‘난감하네’ 부를 수 있다.
주요 교육내용
▶
디자인 음악
◎ 정리 ■ 프로젝트 락 판소리 ‘ 난감하네’ 동영상 감상하기. - 동영상에서 우리나라 악기 7가지 나오는 것 차례대로 맞추기 퀴즈를 낸다. ■ 오늘 배운 창작 판소리 ‘난감하네’를 mr반주에 얹혀 부르기 - 손뼉을 치며 흥겹게 부른다. - 오늘 배운 난감하네 가사와 느낀 점 나눈다. ■ 인사 및 정리
공예
◎ 전개 ■ ‘난감하네’ 제재곡 익히기 - 교사의 시범창 들어본다. - 첫소절 ‘ 난감하네’ 4번을 재미있게 불러본다. ( 시김새 떠는 소리 평으로 내는 소리, 올라가는 소리 , 내려가는 소리, 꺾는 소리를 표현 한다.) - 아니리 부분을 부분 연습한다. - mr 반주에 맞추어서 제재곡을 익힌다. ■ 가사 전달의 이미지 이용한 동영상 감상하기 - 재미있는 가사에 맞는 이미지의 노래를 감상하며 부른다. - 분단별로 지정하며 한절씩 부른다.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사진
◎ 도입 ■ 전시학습 확인하기 - 판소리 사랑가를 부른다. ■ 학습목표 확인하기 - 다함께 큰소리로 학습목표를 읽어 본다. ■ 흥미유발하기 - 판소리 수궁가의 별주부전에 대해 이야기한다. - ‘별주부전’ 무한도전 나오는 판소리 한 대목 감상 하여 흥미를 유발한다.
영화
▶
수업에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동영상과 수업준비를 하였는데 학생들이 만족도가 높았다. 판소리 창법 노래를 현대 감각에 맞게 재구성한 수궁가 ‘난감하네’를 즐겁게 부르고 또 노래 가사를 선생님께 쓰는 가사로 제 창작하여 불러 주어서 감동하였다. 앞으로 재미있는 창작판소리 노래 등의 연계한 수업 개발을 하여야겠다.
교육방향
연극
▶
▶ 무한도전에 나온 별주부전 짧게 감상하고 오늘 배울 제재 곡의 전통적인 내용을 흥미 유발 시켰다. ▶ 창작판소리 ’난감하네’ 동영상을 감상한다 학생들이 신나는 밴드 음악에 반주와 재미있는 이미지와 가사 말을 재미있어 하였다. ▶난감하네 ~ 소리를 4가지 방법을 손을 흔들며 표현 하였다. 난감하네 ( 평으로 내는 소리) 난감하네 ( 올라가며 지르는 소리) 난감하네 ( 하행하며 흔드는 소리) 난감하네 ( 꺾는 소리) 재미있게 표현하였다. ▶ 밴드 동영상에서 우리나라 악기 7가지 나오는 것 차례대로 맞추기 퀴즈를 통하여 국악기 이름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 하였다. ▶ mr 반주음악에 맞추어서 분단별로 손뼉을 치고 춤을 추며 노래를 불러보았다.
1) 교육개요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2~13
무용
민요를 통해 신체표현하기 • ‘개고리 개골청’ 노래 부르며 신체표현 할 수 있다. - 메기고 받으며 노래 부를 수 있다. - 노래에 맞추어 신체표현을 할 수 있다. - 모둠별로 신체표현 만들어 발표하기 •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초장을 부를 수 있다.
연간 교육주제
- 시조 형식의 특징 이해하기
함께 소통하고 재미있는 국악이야기
- 12율명 이해하기 ▶
국악이라는 음악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과 즐거움을 느끼며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며 긍정 적인 마음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중반기
- 단전 호흡하여 소리내기 - 5박과 8박 장단 게임 하기
14~16
연극
기획의도
▶
- 3가지 시김새 표현하기 - 초장 부르기 - 가사 창작하여 시조 부르기
기간
교육내용 • 악기 및 장소확인과 연간계획 논의 • 이용자 현황파악과 수업시간 조정 협의
오리엔테이션
• 선생님 소개하기 • 국악의 종류 이해하기 • 국악 악기 이해하기 • 연간 국악수업 내용과 규칙 소개하기 • 자진모리장단의 국악 인사노래 익히기 • 자신의 꿈을 넣은 이름표 만들기
17
- 아카펠라 버전 군밤타령을 부를 수 있다. • 시김새를 살려 ‘바늘귀 꿰기’ 부를 수 있다. - 오방색의 의미와 장명루 팔찌를 만들 수 있다.
18
모두가 하나가 되는 놀이 • 강강술래 놀이 - 중모리 강강술래
1
- 자진모리 강강술래 - 개고리개골청 - 고사리 꺽자 - 덕석말기, 덕석몰기
2~4
- 손치기 - 대문열기 (문지기놀이 )
- 산도깨비와 토선생 찾아라를 통해 친구들과 소고로 직접 연주해 본다.
후반기
- 뒨 (문 쥔) 쥐새끼 (꼬리잡기) • 사물도깨비가 된 악기이야기를 익힐 수 있다.
5~8
- 사물놀이가 무엇인지 배워보고 악기의 소중함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사물놀이를 감상해 보고 그림으로 표현해 볼 수 있다. • 사물놀이에 대해 배워 본다.
21~22
디자인
전반기
공예
- 지와 밝기
- 노래를 통하여 친구들과 친밀감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판소리의 춘향가 ‘사랑가’를 부를 수 있다. - 창극 판소리 동영상을 감상한다. - 판소리 사랑가를 듣고 따라 부른다. - 중중모리장단을 구음과 손 박을 치며 노래를 부른다. - 추임새와 아니리를 넣어본다. - 사랑가를 역할을 나눠서 창극을 발표한다.
19~20
- 청어엮기, 청어풀기
- 소고를 직접 만들어 자신이 만든 악기로 장단을 치며 노래를 불러본다. • 국악동요(토선생 찾아라!)를 부를 수 있다.
사진
- 남생아 놀아라
• 국악동요 (산도깨비)를 부를 수 있다. - 소고를 통해 간단한 동작과 굿거리장단의 느낌을 살려 산도깨비를 배워 본다.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 듣고 부르기로 가락을 익혀 노래 부를 수 있다.
교육회차
영화
• 아카펠라로 부르는 ‘군밤타령’
- 악기의 소중함을 강조하며 악기연주 방법, 올바른 자세를 익혀 본다. (연주법과 자세를 배워 그동안 배운 음악에 맞추어 연주해 본다.)
• 창작판소리 난감하네 부를 수 있다. - 난감하네 노래를 흥겹게 부른다.
• 사물놀이를 노래에 맞추어 연주해 볼 수 있다. (별달거리, 영남가락, 오방진가락 -
6~7
난이도 조절가능_ - 호흡을 맞추며 사물놀이를 배워 볼 수 있다.
- 재미있는 노래 가사말을 창작해본다.
음악
- 판소리 수궁가 감상한다.
- 협동심을 기를 수 있도록 사물놀이를 배울 수 있다. (별달거리, 오방진가락 - 난이
23~30
도 조절가능)
- 아리랑, 밀양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진도아리랑
8~11
미술
- 사물놀이 여러 가락을 연주할 수 있다. (발표형식으로 진행예정)
• 우리나라 민요 아리랑을 따라서 - 세마치장단을 치며 아리랑을 부른다.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수업내용
분야
교육소요 시간
강지은
국악
80분 2차시
마음을 다스리는 음악
수업주제
▶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교육목표
▶
10분
- 단전호흡을 통하여 감정을 조절 할 수 있다. - 시조의 특징을 알고 초장을 부를 수 있다. - 나의 이야기 시조 창작하여 부를 수 있다.
60분
- 느린 음악이 지루하고 참기 힘든 음악이 아닌 쉽고 흥미로운 활동을 통해 감성을 표 ▶
현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 나의 가장 힘든 부분을 가사로 만들어 시조로 노래 불러 볼 수 있다.
정리
30분
공예
시에 대해 이야기하기
ㅇ나의시조노래발표하기 - 자신이만든시조노래를불러발표한다 - 서로이해하며감정을조절하는방법을나누어본다 ㅇ인사및정리
사진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전개
- 가곡 가 사 시 조특징을비교한다 - 우리나라음계가몇개인지질문하고12율1명을설명한다 ㅇ단전호흡소리내기 - 가창시바른호흡을하기위해소리길게내기 - 연습을놀이로하여본다 ㅇ장단익히기 - 5박장단과8박장단을이해한다 - 5박5장단구음과손장단반복학습한다 - 짝궁과손을마주보며5박5과8박장단외워발표한다 ㅇ시조의3음3음계시김새표현하기 - 황종율명을읽고막대리본을제자리에서굵게흔들며소리를낸다 - 중려율명을읽고막대리본을올라가면서빠르게흔들며소리를낸다 - 임종율명을읽고막대리본을내려가면서곡선그리며아래로흔들며소리를낸다 ㅇ제재곡익히기 - 교사의시범창들어본다 - 그림악보를보며 악 곡의노랫말을이해한다 - 시김새떠는소리평으로내는소리 올 라가는소리연습한다 - 그림악보를보며율명의음의높이를색깔로확인하며초장을불러본다 ㅇ가사창작하여시조부르기 - 자기가가장하기힘들었을때, 앞,으로하고싶은꿈등등 하고싶은이야기를시조노래를만들어본다
만화애니
▶
도입
영화
수업명
시간
교육대상 초등 (고학년)
ㅇ자진모리장단인사노래부른다 ♬* 반여러분안녕하세요~ 선~생님안녕하세여~ 즐~거운국악시간 덩덩덩덕쿵덕더덩더덩얼쑤~! ㅇ전시학습확인하기 - 민요‘개고리개골청’ 불러확인한다 ㅇ학습목표확인하기 - 다함께큰소리로학습목표를읽어본다 흥미유발 ㅇ시에대해이야기하기 - 평소에알고있는시에대해이야기나눈다 - 시와시조의관계에대해이야기한다 - 황진이드라마‘청산리벽계수야’ 부분을감상하고이야기한다
연극
강사명
수업내용
무용
학습 단계
3. 1회차 교육계획안
시조 형식의 특징 이해하기
주요 교육내용
▶
단전 호흡하여 소리내기 시조의 5박과 8박 장단 게임하기
가사 창작하여 시조 부르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디자인
시조 3음계 황 중 임 리본으로 시김새 표현하며 노래 부르기
준비물 및 필요물품 음악
PPT, 영상자료, 막대리본, 장구
공간활용 계획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김남희
세부전공
A - 0 344
지원분야(세부 분야)
전통연희학 국악 (타악/탈춤)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4월~11월
교육 방향
▶
수업을 통한 나머지 학교생활의 긍정적인 에너지, 타악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
주요 교육내용
▶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
초등학교
사물놀이의 4가지 악기를 모두 연주, 경험해 본다. 악기가 가지고 있는 재미를 느끼 고 남들 앞에서 연주해 봄으로서 소극적인 아이에게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활발한 아 이에게는 스트레스 해소 및 친구들과 함께 하는 것의 재미와 중요성을 알게 해준다.
만화애니
2) 교육 성과 및 효과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2014년 뛸판,놀판,살판 참여
▶
기존에 기술만을 교육 했을 때와 인문학을 공부하고 그들의 삶과 나의 삶에 대한 관 심을 가지고 교육을 했을때 내가 행복했고 그들도 행복했다. 그들에게 기술을 알려 주는 것이 목적이 아닌 그들의 삶에 대해 관심을 갖고 행복에 대해 많은 부분 관심을 쏟았던 것이 긍정적으로 효과를 본것 같다.
2015년 시흥시립예술단 정기공연(연주및 안무) 참여 2015년 시흥일번가 청춘페스티벌 참여
공예
예술활동 경력
2014년 시흥시립예술단 정기공연(연주) 참여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사진
▶
소극적인 아이에게 자신감부여 ( 남들 앞에서 혼자 연주하는 박수 받는 시간을 가짐 으로서 소극적인 아이도 다른 학생들처럼 표정이 밝아지고 질문의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활발한 학생들의 에너지 방출을 인정함으로서 얻어지는 긍정적인 효과 (에너지가 넘 쳐 수업에 조금 도가 지나치는 학생들 역시 연주를 힘껏 하고 자신이 이룬 것에 대한 칭찬을 받음으로서 활발했던 에너지가 긍정적인 에너지로 바뀌는 것을 느낄 수 있었 다.) 이러한 작은 효과들이 나중에 그들이 살면서 기존 삶에서 다른길로 비켜 가거나 움 츠려 드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것들로 작용할 것을 믿는다.
2014년 강릉대도호부 관아 마당놀이 참여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2015년 시흥난장굿 참여
2011년~2015년 경기도 시흥시 신천중학교 풍물부 강사
2014년~2015년 경기도 시흥시 조리과학고등학교 난타부 강사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디자인
2011년~2015년 경기도 시흥시 소래중학교 풍물부 강사
2015년 경기도 시흥시 목감초등학교 음악시간 교과수업 강사 미술
2014년~2015년 경기도 시흥시 장곡중학교 장애인반 난타부 강사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함께 움직이고 연주하고
기획의도
▶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세상에서 같이 호흡하며 살아가는 법을 사자춤을 통해 익혀본다. 2인 1조 사자와 4인1조의 연주자를 통해 서로의 움직임을 느끼고 이해하면서 불일치 됐을 때의 편함과 일치 됐을 때의 긍정적 에너지를 경험해 본다.
오리엔테이션
분야
교육소요 시간
김남희
국악(타악,탈춤)
미정
교육대상 초등(고학년), 중등(전학년)
교육회차 ▶
사자야 놀자
사자공연 영상을 보며 호기심 유발, 사자춤, 사물놀이에 대한 설명 사자탈을 직접 만들고 연행하기까지의 연간 과정설명, 간단한 동작들 시범 교육
1
수업주제
▶
움직임과 연주를 통한 협동심을 익히기
2. 사자탈 만들기 ( 준비된 바구니 위에 한지로 각자가 생각하는 사자얼굴을 만들어본다)
교육목표
▶
따로는 살아갈 수 없다. 함께 하는 것이 삶에 행복이고 또한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사자 춤의 움직임을 통해 협동심을 기르고 불협에 대한 불편함들을 극복하는 방법을 익힌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3. 몸으로 표현하기( 만들어진 사자에 2인1조가 되어 자기가 생각하는 사자 혹은 고양이의 움직임 을 표현해본다) 4. 장단에 맞추어 움직이기( 자기가 생각했던 동작들을 타령장단에 맞추어 움직여 본다)
2~6
같이 움직이고 그에 맞추어 연주를 함으로서 협동심 발생, 음악에 맞추어 움직임으로
만화애니
수업명 교육공간, 악기, 사자탈재료 확인
영화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리듬감 생김, 국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자부심
5. 장단에 맞추어 움직이기 ( 자기가 생각했던 동자들을 휘모리장단에 맞추어 움직여 본다) 6. 서로의 움직임 느끼기 ( 2인1조의 사자가 다른 팀의 사자에 대해 반응하는 것을 경험해본다)
사자만들기, 표현하기, 음악에 맞추어 움직이기, 연주하기
7. 겨루어 보기 ( 서로 기본 움직임을 하며 달리기를 겨루어 본다)
사진
전반기
8. 겨루어 보기 ( 서로 기본 움직임을 하며 사탕 먹기를 겨루어 본다) 9. 장단에 맞추어 기본 춤 추기( 타령장단에 맞추어 기본 춤을 배워본다)
7~11
10.장단에 맞추어 기본 춤 추기( 휘모리잔당에 맞추어 기본춤을 배워본다) 11. 전반기 발표 ( 각자 팀별로 나와 장단에 맞추어 춤을추고 영상과 사진으로 남긴다)
공예
수업내용
12. 사자 몸 만들기 ( 준비된 천에 각자가 생각하는 사자몸을 그려본다 ) 연주배우기 ( 사물놀이 악기의 기본 타법을 배운다)
사자탈을 직접 만들고 2인1조로 사자춤을 배워본다. 사자의 움직임을 직접 표현해보고 기존의 동작들도 배움으로서 자신만의
13. 몸으로 표현하기( 완성된 사자 안에 들어가 각자가 생각하는 동작들을 표현하고 영상으로
사자춤을 출수 있게 한다. 수업 시간을 반을 나누어 사자춤을 배우는 시간과 기본 장단을 배우는 시간으로 갖고 후반기에 팀별 로 발표를 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서로의 움직임을 확인하고 같이 호흡할 때 불편함 들을 대화로서 움직임으로서 풀어가는 것
연주배우기 ( 타령장단을 배운다)
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을 진행한다.
14. 몸으로 표현하기 ( 자기가 움직였던 영상을 참고하여 수정보안하여 다시 동작을 표현한다)
디자인
남긴다)
연주배우기 (타령장단을 복습한다) 15. 장단에 맞추어 기본 춤 추기( 타령장단에 맞추어 기본 춤을 춘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연주배우기(휘모리장단을 배운다) 16. 장단에 맞추어 기본 춤 추기( 휘모리 장단에 맞추어 기본 춤을 춘다) 연주배우기(휘모리장단을 복습한다)
12~21
같이 움직이고 연주함으로서 생기는 협동심과 국악기를 연주하고 사자춤에 관심을 가짐으로서 생기는 국악에 대한 긍정적인 이 미지와 자부심, 그로인한 미래의 예술가 혹은 국악 관련 종사자 발생확률 높아짐.
17. 장단에 맞추어 기본 춤 추기( 기본 춤들을 연결해 춘다)
음악
중반기
연주배우기(난타 장단을 배운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18. 겨루어 보기 ( 기본 움직임을 하며 사탕먹기로 겨루어 본다) 연주 배우기(난타장단을 복습한다)
사자탈재료(바구니, 천, 한지) 사물놀이 악기
연주배우기(타령장단부터 난타장단까지 복습한다) 20. 사자 춤 추기 ( 장단위에 춤을 추고 영상으로 남긴다)
공간활용 계획
연주배우기 ( 사자춤 위에 맞추어 연주한다)
학교에 있는 음악실 또는 강당활용 22. 사자춤 추기 ( 사자춤 안에 자신들이 생각했던 사자동작들을 넣어 본다) 23. 사자춤 추기 ( 장단에 맞추어 사자춤을 춘다) 24. 사자춤 추기 ( 장단에 맞추어 사자춤을 춘다)
22~25
미디어아트
21. 영상 확인 ( 확인 후 수정 보안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후반기
미술
19. 겨루어 보기 ( 기본 움직임을 하며 달리기로 겨루어 본다)
25. 발표하기 ( 팀별로 각자 발표를 하고 영상과 사진으로 남긴다)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김다미
세부전공
A - 0 8 64
지원분야(세부 분야)
한국음악(경기민요 국악(민요,장구)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학교 1-6 학년
교육가능 기간
▶
1학기
교육 방향
▶
우리음악 우리국악 흥과 멋
초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 자유학기제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도입 (10분)
2015. 5. 8. 찾아가는 문화활동 (제천시 노인회관) 2015. 9. 8. 찾아가는 문화활동 (단양군 별방초등학교) 2015. 10. 22. ‘ 해설이 있는 문화예술 순회공연’ (단양영춘중학교)
주요 교육내용
▶
2014. 03. 20. ~ 2014. 12. 31 송정초등학교특 수학급 방과후 수업
- 모둠별 활동- 동물의 특징을 살린 가사 발표하기, 협동심 기르기 - 장단에 맞춰 신체 표현하기 - 여럿이 어울려 신체놀이 만들기 - 소고를 치며 노래 부르기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 03. 12. ~ 2015. 12. 23 송정초등학교특 수학교 방과후 수업
음악
정리 (10분)
2014. 3. 26. ~ 2014. 12. 18 백사중학교 방과후 사물놀이 수업
디자인
전개 (25분)
- 남생아 놀아라 뜻 알아보기 - 동물의 특징을 발표하고 여러 동물의 울음소리나 특징을 표현해보기 예시)토끼야 놀아라 깡충깡충 잘논다. 나비야 놀아라 펄럭 펄럭 잘논다. 사자야 놀아라 어흥어흥 잘논다. 염소야 놀아라 음매음매 잘논다. - 노래 익히기 한 소절씩 가락 익히기 -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노래 부르기 -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몸동작표현하기
2015.11.6./11.9. ‘해설이 있는 문화예술순회공연’(단양별방중학교/중원중학교) 2015. 11. 28. 이천국악제 이천시지부 정기공연 ‘개인발표회’
- 전래동요 감상하기 - 전래놀이를 영상으로 감상한다. - 장단 익히기, 구음을 익히고 박자에 익숙해진다. 공예
예술활동 경력
사진
<초등교과저학년 교육사례>
2013. 2. 15 ~ 2014. 05. 31 (사) 예술 창작공동체 아트앤트 단원 활동
만화애니
- 아이들이 친구들과 어울려 함께 국악을 경험하는 시간을 갖게 하여 우리나라의 장 단과 소리에 익숙해지며 친밀함을 높인다. - 음악이란 생활 속에 찾아내고 발견해가며 쉽게 익힐 수 있는 즐길 수 있는 하나의 도구가 될 수 있다. 음악은 아이들의 무한한 예술성을 잠재하고 있습니다. 그중 국악은 그 나라의 문화와 전통을 반영합니다. 저학년 아이들에게는 전래동요와 놀이를 통하여 사회성을 기를 수 있도록 집단생 활에 대한 애착을 심어줄 수 있고 ,고학년 아이들에게는 전통민요, 창작국악동요 가 창과 단소와 장구, 사물놀이 국악기연주로 국악에 대한 시선을 넓힐 수 있는 시간과 자기 표현력과 재능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아이들이 부르고 듣고 연주하는 국악을 통해 한국을 가까이 접하고 우리 음악에 대 한 자부심을 갖게 할 것입니다.
영화
교과연계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2013. 03. 02. ~ 2014. 02. 28 증포초등학교방 과후 수업 미술
2015. 04. 18. ~ 2015. 12.19 증포초동학교 방과후 수업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용인 보라초등학교 국악수업 및 민요특성화반 4년
▶
- 음악수업은 곧 한국음악수업 저학년부터 고학년까지 전 학년이 수업에 참여 국악은 공연장에서 듣는 것만이 아니라 스스로가 창자(노래 하는 사람)가 되고 연주자가 되어 소리와 악기연주를 할 수 있고 국악이라는 음악이 더 이상 어르신들이 흥얼거리는 민요가 아니라 아이들의 입에서 국악동요와 장구장단을 연주 할 수 있다.
연간 교육주제
▶
얼씨구~좋다~국악은 내친구
기획의도
▶
국악선생님과 1년 동안 함께하며 나도 국악인이 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소리와 전래놀이와 악기연주까지 장단에 맞춰 신체움직임을 표현하고 소리를 배워 시김새를 흉내내본다.
기간
교육회차 영화
사전방문 (3월)
- 담당교사와 국악수업이 가능한 장소, 국악기보유 수를 체크 - 아이들의 성향과 기악과 소리 중 어느 것에 비중을 둘지 협의
▶
- 어렸을때의 엄마품에서 듣던 자장가가 머릿속에 남아있듯이 학교교육에 있어서 국악을 많이 듣고 직접 연주한 다면 더 이상 생소하고 따분한 음악이 아닌 우리 생활 속에 함께하는 음악이 될 수 있습 니다.
오리엔테이션
- 음악교과수업에 비중을 두고 그 외에 배우고 싶은곡, 감상곡 추천받기
1
- 장구장단에 맞춰 인사배우기. 친구들과 함께 협동하여 발표하기
2~5
사진
- 아이들의 이름 익히기, 학기 초 새 학기에 낯설고 어색한 분위기를 음악을 통해 빨리 친해지기
만화애니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아이들의 마음은 깨끗한 도화지입니다 그 도화지에 여러 가지의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기회를 주어야합니다. 음악에 대한 견해도 같다고 생각됩니다. 모든 분야를 접하고 자기만의 개성을 그려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교육내용
연극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무용
2) 교육 성과 및 효과
- 한국음악과 친해지기 국악기, 소리, 감상하기
공예
전반기 - 장단 익히기 구음 익히기 - 악기가 없어도 입으로 손으로 장단 맞추기
6~10
- 모둠별 발표하기 협동심을 기르고 서로도움을 주며 사회성 기르기
디자인
- 민요의 특징과 지역적 아리랑 감상하기 - 각 지방의 대표적인 아리랑의 특징을 살펴보기
중반기
- 지역마다의 사투리, 시김새 익히기
11~20 음악
- 창작국악동요 배우기 - 장단에 맞춰 재미있는 국악동요 부르기
경기민요 시김새 익히기 교과서에 실린 기본적인 민요를 배워보고 장단에 맞춰 노래 부르기 전래동요, 창작국악동요, 전통민요 배운 곡 발표해보기 장구장단에 맞춰 노래 부르기 소고 치며 노래 부르기
21~25
미술
후반기
-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김다미
국악
초등 교과 40분
초등(전학년)
김미라
세부전공
A -0327
지원분야(세부 분야)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수업주제
▶
- 여럿이 어울려 신체를 움직이며 노래와 동작을 표현할 수있다. - 소고를 치며 동작을 익히고 장단에 맞춰 동작을 표현해 본다.
교육목표
▶
-국악이란 무겁고 어려운 장르가 아니라 아이들이 직접 몸으로 표현하며 우리생활에 소 리와 춤에 대해 거리감을 좁힐 수 있게 친근감을 길러준다. -주입식교육이 아닌 창의력과 발표력을 길러주며 자기표현력을 익히게 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친구들과의 협동력을 기르며 몸을 표현하며 적극적인 자세를 취한다 - 표현의 자유를 주고 창의성과 협동심을 익힌다.
교과연계 거주지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청백리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군밤타령-얼싸좋네. 우리것은 좋은것이여
초등 영화
▶
국악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전통공연예술전공
연극
강사명
- 신민요를 익히고 노래와 장단과 함께 표현해본다.
2007. 5 ~ 2015. 현재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0호 이천거북놀이 활동
- 소리와 악기를 통해 신체표현력을 길러준다.
사진
- 장구, 소고, 국악기를 직접 연주하며 악기와 친해진다.
2013. 2. 15 ~ 2014. 05. 31 (사) 예술 창작공동체 아트앤트 단원 활동
수업내용
10분
- 군밤타령 감상하기 - 군밤타령 가사 뜻 알아보기(계절의 특징과 우리나라의 간식거리를 발표해하고 가사에 맞는 특징을 표현해보기) - 군밤타령을 영상으로 감상한다 (기악곡, 가야금병창곡, 민요연곡듣기)
25분
- 자진모리 장단 익히기, 구음을 익히고 박자에 익숙해진다. - 노래익히기 한 소절씩 가락 익히기(모둠별로 가사에 어울리는 신체표현하기) - 경기민요의 시김새 표현해보기(떠는음, 꺽는음. 감아내리는음 익히기) -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노래부르기 -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몸동작 표현하기
15분
-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신체 표현하기 - 여럿이 어울려 신체놀이 만들기 - 장단에맞춰 소고를 치며 노래부르기 - 소고장단을 치며 맘껏 표현하기
전개
정리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5. 11. 28. 이천국악제 이천시지부 정기공연 ‘개인발표회’
2014. 3. 26. ~ 2014. 12. 18 백사중학교 방과후 사물놀이 수업
2014. 03. 20. ~ 2014. 12. 31 송정초등학교 특수학급 방과후 수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 03. 12. ~ 2015. 12. 23 송정초등학교 특수학교 방과후 수업
2013. 03. 02. ~ 2014. 02. 28 증포초등학교 방과후 수업 미술
-아이들이 친구들과 어울려 함께 국악을 경험하는 시간을 갖게하여 우리나라의 장단과 소리에 익숙해지며 친밀함을 높인다. -음악이란 생활속에 찾아내고 발견해가며 쉽게 익힐 수 있는 즐길 수 있는 하나의 도구가 될 수있다.
2015.11.6./11.9. ‘해설이 있는 문화예술순회공연’(단양별방중학교/중원중학교)
음악
도입
2015. 10. 22. ‘ 해설이 있는 문화예술 순회공연’ (단양영춘중학교)
디자인
수업내용
2015. 9. 8. 찾아가는 문화활동 (단양군 별방초등학교)
공예
학습단계
시간 (예50분)
예술활동 경력
2015. 5. 8. 찾아가는 문화활동 (제천시 노인회관)
2015. 04. 18. ~ 2015. 12.19 증포초동학교 방과후 수업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PC. 장구, 소고
교실에서 수업후 신체놀이가 필요하다면 강당이나 음악실. 또는 운동장에서 모둠, 단체 수업진행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2013년 3월~ 2014년 2월,2015년 4월~ 2015년 12월 현재
교육 방향
▶
소리를 통해서 서로의 감성을 공유한다.
▶
1. 민요배우기 - 사설따라 읽기, 내용이해하면서 서로나누기 -한소절씩 따라부르기 -이어서 부르기 -팀을 나눠서부르기 2.장단을 배워보기 - 구음을 따라해본다 - 손장단을 쳐본다.
주요 교육내용
연간 교육주제
▶
-소리야 반갑다~ 얼씨구~ 좋~다
기획의도
▶
- 우리의 전통음악 소리를 배움으로 인해 자기 내면의 감성을 일깨워주고, 소리가 밖으로 나오면서 자기내면이 건강해 집니다. - 소리를 통해서 개인적인영역에서 공동체 영역으로 넓어지며 공감대를 만들어간다.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사전방문 (3월)
- 자기소개, 아이들과 친밀감을 갖는 놀이해보기. - 보유하고있는 악기종류등
- 아리랑노래를 가지고 소리 공감대를 만들어 본다.
오리엔테이션
- 소리야 반갑다~ 얼씨구~ 좋~다(추임새 주고받기)
1
만화애니
초등학교 1-6 학년
영화
▶
연극
교육가능 교급
- 수업 전반적인 내용 (장단인사)
2) 교육 성과 및 효과 사진
- 주제: 가사와 선율을 알고 부를 수 있다 - 어랑타령, 궁조댕기, 정선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 자진모리장단 익히기,
▶
-소극적인 자세에서 적극적인 자세로 변화 - 민요사설따라 읽을 때, 민요부를 때, 손장단배울 때, -개인적인 활동에서 공동체 활동으로 -민요부를 때 옆의 사람들과 맞추면서 소리를 낸다. -자신의 흥겨움을 소리로 표현한다. -희,노,애,락 을 소리로 표현하면서 서로의 감성을 공유한다. -또다시 만남을 기다려지고 설레여진다.
- 구음하기, 손장단
전반기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2~5
-주제: 가사와 선율을 알고 부를 수 있다. - 자진방아타령, 뱃노래, 자진뱃노래, 한강수타령, 아리랑 가사와 선율 익히기 -자진모리 장단익히가
6~10
- 구음하기, 손장단
-우리의 전통음악을 통해서 아이들과 감성을 공감하는데 보람을 느끼며, 무엇을 가르친다는 것 보다는 제가 많은 것을 받고 옵니다.
디자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우리의 정서가 있는 우리의 소리는 마음을 깨워주고, 닦아주고, 우리의 마음을 어루만져줍니다. 아이들과 만나기 위해서 한주가 기다려 집니다. 내 감성이 그것을 원합니다. -주제: 가사와 선율을 알고 부를 수 있다. - 밀양아리랑, 강원도아리랑, 오봉산타령, 흥타령, 풍년가, 오돌독,
중반기
- 배운소리 반복하기
11~20
음악
- 사발가, 태평가, 날찾네, 늘이개타령.
-장구 -자진모리장단, 굿거리 , 엇모리장단배우기
미술
-주제: 가사와 선율을 알고 부를 수 있다. - 박연폭포, 자진난봉가, 한오백년 , 사설난봉가
후반기
21~25 미디어아트
-장구 - 중모리장단 익히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김미라
아동 국악
2차시 / 25차시
교육대상
김미소
세부전공
A -0684
지원분야(세부 분야)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어랑 타령
수업주제
▶
가사와 선율을 알고 부를 수 있다.
교육목표
▶
- 우리 삶속에 녹아있는 소리로 자기 내면의 감성을 끄집어 내어 서로 공감을 형성하며, 공동체의식을 가지게 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거주지
-감성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한다.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만화애니
-개인적인 활동에서 단체활동으로 활성화 시킨다.
초등 영화
교과연계
▶
국악(사물놀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초등학생
수업명
전통연희학
연극
강사명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어랑 타령”에 나오는 사설에 대해서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사진
- 민요사설에 대한 뜻을 이해하며, 읽어본다. - 한 소절씩 따라 불러본다.
2013.11.02. 제4회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전국 강강술래 경연대회 일반부 대상(문화재청상)
수업내용
2014.10. 인천 장애인 아시안게임 폐막식 공연 2014.05.02. 부안 제 3회 전국 농악 경연대회 대상
10분
30분
정리
10분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해외 문화예술 봉사활동 국악강습
미술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5.09.23.~2015.11.23. (재)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음악
전개
-출석확인 -인사나누기(눈마주치면서 ), 인사장단 -인사장단(손장단 쳐보기) 어랑 타령에 대해서 알아본다. - 가사 읽어본다. - 한 소절씩 따라 부른다. - 이어서 불러본다. - 팀을 나눠서 불러본다 장구장단을 배워본다. - 장단을 구음 한다 - 손장단을 쳐본다. - 손장단과 함께 소리를 불러본다. - 마음정리하기 (호흡) - 인사장단 (손장단)
디자인
도입
2014.09.24. 제 22회 임방울 국악 전국대회 일반부 우수상 공예
예술활동 경력
발표회를 하도록 한다.
장구, 유인물
미디어아트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교실, 음악실, 시청각실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외국인
교육가능 기간
▶
2015.09~2015.12
교육 방향
▶
국악기를 통한 한국의 음악과 문화 이해하기
연간 교육주제
▶
- 신나는 Do Dream (사물놀이)
기획의도
▶
- 전통음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타악기를 두드림으로써 청소년기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풀 수 있 고 장단에 맞는 몸의 움직임과 호흡을 배우며 참다운 한국인의 정서와 사상을 자연스레 알아간다
기간
교육내용
연극
교육가능 교급
교육회차 영화
주요 교육내용
▶
우리 악기에 대한 이해와 연주 속에서 우리 민족만의 지니고 있는 우리 소리와 몸짓 을 올바르게 지도하며 설장구 가락을 지도하고 발표학습을 하였다.
- 사물놀이 악기 보유 여부
사전방문 (3월)
- 사물놀이 악기 상태 점검 - 수업 공간 확보
- 친구들과 함께 악기를 연주하며 장단에 맞는 몸의 움직임과 연주자의 마음가짐을 배운다
1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2) 교육 성과 및 효과 - 사물놀이 악기를 관찰하며 쓰임새와 연주 방법을 익힌다.
- 연습가락을 충분히 익힌 후 웃다리 사물놀이에 입문한다.
▶
- 전통음악의 호흡과 움직임이 배어나옴 -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높아짐 - 음악성과 창의성, 음악적 정서가 풍부해짐
- 웃다리 사물놀이의 유래와 음악적 특징 알기
전반기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2~5
사진
- 원하는 악기를 선택 후 연주방법을 배우고 연습가락을 배운다.
- 인사굿, 쩍쩍이를 배우며 기초를 다진다. - 이 전 시간 복습 후 칠채를 배운다. - 칠채 변형 가락와 호흡법을 배운다.
6~10
- 칠채 가락 복습 후 육채 도입가락을 배운다. - 육채 가락과 호흡법을 배운다. ▶
- 서양음악에 익숙해져있어 한국음악의 삼분 박을 이해시키는데 어려 움이 있었다. - 사물놀이로 인해 서로에 대한 배려와 협동심이 향상되었다. - 친구의 연주를 듣고 평가하며 실력이 향상되었다.
디자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육채 변형가락을 배운 후 삼채 도입가락을 배운다. - 삼채가락과 호흡법을 익힌 후 변형가락을 배운다. - 삼채장단의 몸짓과 발 디딤새를 배워본다 . - 마당삼채 가락과 호흡법을 배운다. - 별달거리 도입가락을 배운다. - 별달거리 호흡법을 익힌 후 사설과 변형가락을 배운다.
11~20
음악
중반기
- 휘모리 도입가락을 배운다. - 휘모리 호흡법과 변형장단을 배운다 . - 꽹과리 짝쇠 놀음을 배운다. - 휘모리 가락의 몸짓과 발 디딤새를 배워본다.
21~25 미디어아트
웃다리 사물놀이 전 바탕을 충분히 연습 후 각 파트별 합을 맞춰본다. 장단 빠르기에 유의하며 연주해본다. 서로의 연주를 평가하며 복습해본다. 사물놀이 복색을 갖춘 후 연주해본다. 사물놀이 영상을 보며 자신을 평가하며 비교 분석한다.
미술
후반기
-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김다미
국악
80분
교육대상
김 솔
세부전공
A -0332
지원분야(세부 분야)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수업주제
▶
사물놀이를 통해 전통음악을 이해한다
교육목표
▶
- 웃다리 사물놀이 전 바탕을 연주 할 수 있다 - 장단에 맞는 몸의 움직임과 연주자의 마음가짐을 갖도록 한다. - 전통음악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과연계 거주지
-친구들과 악기연주를 하며 협동심과 배려심이 길러 진다.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신나는 Do Dream(사물놀이)
초등/중고등 영화
▶
국악 ( 전래동요, 단소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초등학생
수업명
판소리
연극
강사명
-청소년기 불안과 스트레스를 풀어 안정을 찾게 한다. -전통음악의 관심이 높아진다.
2012 경주 판소리명가 장월중선 명창대회 일반부 판소리 우수상 수상
-선택악기의 연주법 호흡법 지도
사진
-사물놀이의 유래 구성들을 지도 -웃다리 전 바탕을 지도
2014 서울 남대문 경찰서 ‘69주년 경찰의 날’기념 공연 및 감사패 수여
공예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2014 서울시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사업 학교방문 순회연주 순회공연
2015 성남여수초등학교 판소리 강사 사물놀이의 악기의 쓰임새와 연주법을 이해하고 기본 장단으로 충분히 연습 후 구음을 통한 악보연주를 익히고 각자 원하는 악 디자인
기 편성을 하여 웃다리 사물놀이를 학습한다. 인사굿, 쩍쩍이로 기초를 다진 후 칠채와 육채로 사물놀이 호흡법을 알아가고, 삼채, 별달거리에서 변형가락을 익힌 후 창의성을 기르며 휘모리에서 가락의 템포를 이해하고 난이도가 있는 테크닉을 배운다. 사물놀이 전 바탕을 충분히 익힌 후 서로의 합을 맞추며 실력을 향상시킨다.
2015년 5월부터 성남여수초등학교 방과 후 교실 강사(전래동요/판소리)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미술
각종 겨루기 대회에 참여하여 입상을 하고 학생 스스로가 판단하고 결론을 내려 본인의 실력과 얼마나 더 노력해야하는가를 판 단하는 계기를 경험 할 수 있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사물악기(쇠, 징, 장구, 북) 사물놀이의상
방음이 되는 교실 또는 악기 연주가 가능한곳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5월~2016년 2월
교육 방향
▶
다양한 지도방법을 통하여 우리음악과 학생간의 거리감을 좁힌다.
▶
방과 후 교실(전래동요를 포함한 국악) 1. 음악책에 수록 된 전래동요를 바탕으로 학습을 시작한다. 2. 교과서 내의 수록곡에 대한 가창과 이해를 바탕으로 장단을 몸을 사용함으로서 익 힌다.(덩-양발, 쿵-왼발, 따-오른발) 2-1. 위와 같은 방법을 처음에는 앉아서, 다음은 제자리에서서, 최종적으로 다양한 신 체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움직을 극대화 시킨다. 3. 몸으로 익힌 장단을 장구로 연주하게 한다. 4. 짝을 지어서 각자 소리꾼과 반주자로 연주 시켜본다. 5. 또한 지역 색이 나타나는 민요는 선법과 선율적인 특징을 설명해주고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설명해주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지도한다. 6. 교과서에 나오는 비교적 그리기 쉬운 악기를 학생들에게 직접 그리게 한 후 색칠 하게 한 후 각 명칭을 설명해주고 초성퀴즈를 한다.
주요 교육내용
연간 교육주제
▶
- 발표와 신체활동, 협동놀이를 이용하여 국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다.
기획의도
▶
- ‘발표’ 와 ‘신체활동’ 을 매개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선생님과 1:1 그리고 수업에 참여 하는 학생들과의 교감을 이끌어 낸다. 또한 신체활동을 통해 국악은 ‘생소하다'는 틀을 깨고 학생들 의 높은 참여도 의도하고 있다.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 학교 출강 전 학교 담당자에게 수업계획서를 제출하고, 확인해야할 사항을 검토한다.
- 학생들과 연간 교육의 주제, 세부 진행 내용 등을 공유한다.
1
만화애니
초등학교 저학년 / 8~9세
영화
▶
연극
교육가능 교급
- 교육 주제: 자신이 생각하는 국악에 관련 된 의견 혹은 키워드를 발표하게 한다.
게 전달한다. -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국악에 대한 개념을 시작으로 문화와의 연관성 (영화, 만화 등 예시를 보여
2) 교육 성과 및 효과
2~5
사진
- 주요 진행 내용: 정답이 없는 위의 주제에 관해 토의하고 발표하게 하며 본인의 생각을 듣는 이에
줌으로서 흥미를 이끌어 낸다) 더 나아가 학문으로서 최종적으로 민족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임을 끊임없이 지도한다.
▶
전반기 - 교육 주제: 국악의 악기
예를 들어 위와 같이 장단을 배우는 시간에 몸을 움직인다거나 혹은 대문놀이 같은 신체놀이를 병행하는 시간에는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또 전 시간에 배운 내 용을 수업 시작할 때 학생 중 한명이 선생님이 되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었는데 학 생들이 처음에는 다소 부담스러워 하였으나 나중에는 발표하는 것에 대한 즐거움을 느껴했고 그 시간을 기다리고 준비하는 모습을 보였다.
- 주요 진행 내용: 1. 한국 전통악기의 연주 모습을 보여주고 각 악기에 대한 인상을 발표하게 만든다. 2.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국악기를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 로 분류하고 각 악기의 구조
6~10
에 대해 설명한다. 3. 학생 별로 2-3명의 팀을 만든 후 각 팀마다 1개의 한국 전통악기를 그리 게 하고 악기의 구조를 설명하게 한다.
디자인
- 교육 주제: 교과서에서만 보던 민요를 친근감 있는 생활민요로 느끼게 만든다.
중반기
- 주요 진행 내용: 교과서에 수록 된 민요들을 기반으로 가창하며 민요 장단은 신체놀이를 사
11~20
용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도를 이끌어 낸다.
음악
2. 교과서 내의 수록곡에 대한 가창과 이해를 바탕으로 장단을 몸을 사용함으로서 익힌 다.(덩-양발, 쿵-왼발, 따-오른발) 2-1. 위와 같은 방법을 처음에는 앉아서, 다음은 제자리에서서, 최종적으로 움직이면서 다양한 신체의 움직임 극대화 시킨다. →위의 방법은 처음에는 아이들이 즐거워하였으나 중복되는 장단들이 나타나면서 한 계성을 띄게 됐다.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학생들이 가만히 앉아서 듣는 수동적인 수업보다는 비교적 신체적인 움직임이 있거 나 학생 스스로 능동적인 활동을 하는 수업시간에 더 많은 흥미와 높은 참여도를 보였다.
3. 몸으로 익힌 장단을 장구로 연주하게 한다. →먼저 몸으로 익혀서 그런지 장구 연주는 어려움 없이 소화하였다.
▶
4. 짝을 지어서 각자 소리꾼과 반주자로 연주 시켜본다. →발표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수업에 대한 긴장도를 높여줬으며 학생이 연주에 성공함 으로서 자신감 함양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문학
6. 교과서에 나오는 비교적 그리기 쉬운 악기를 학생들에게 직접 그리고 색칠하게 한 후 각 명칭을 설명해주고 초성퀴즈를 한다. →이것 역시 발표수업의 일종으로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였다.
21~25 미디어아트
5. 또한 지역 색이 나타나는 민요는 선법과 선율적인 특징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설명 해주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지도한다. →지역에 따른 민요 설명은 학생들이 특히 쉽게 느껴지는 민요로 선정하여 이해를 돕 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칠판에 지역적인 특색을 적어넣는 표를 만들어아이들이 스스로 적어 넣는 시간을 가짐으로서 발표수업을 통한 높은 참여도를 이끌어냈다.
후반기
- 교육 주제: 장구와 단소를 이용한 협동놀이를 통해 국악연주의 대한 자신감을 느끼게 한다. - 주요 진행 내용: 1. 앞서 배운 민요 중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쉬운 민요를 단소로 연 주하게 한다. (악보배부) 2. 주어진 악보를 다 소화 했다면 학생2명을 팀으로 만든 후 한 명은 단소 한 명은 장구를 치게 하여 협연 하게 유도한다.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김솔
국악
40
교육대상
김지우
세부전공
A -0097
지원분야(세부 분야)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수업주제
▶
발표와 신체활동을 통하여 국악에 대한 쉬운 이해를 돕는다.
교육목표
▶
- ‘정답’을 유도하는 하기 보다는 ‘참여’를 유도한다. - ‘경쟁심’ 보다는 ‘자신감’을 기반으로 국악에 대한 지식을 쌓게 하고 또 설명할 수 있게 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과연계 거주지
- 주입식 교육이 아닌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진행되는 수업이기 때문에 국악에 대한 학
기본교과, 선택교과,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발표와 신체활동을 통한 혁신국악
초등 영화
▶
국악(장구 및 사물놀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초등(저학년)
수업명
국악과(타악)
연극
강사명
생들의 자유로운 참여와 사고가 가능할거라 기대한다. 사진
- ‘국악이란?’ 이라는 주제에 관해 토의하고 발표하게 한다. -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난 후 국악에 대한 개념을 설명한다.
2013.05.28 용인대학교 개교 60주년 기념음악회 비상
- 예습을 준비하도록 독려한다.
- 학생 또래의 아이들이 연주하는 국악공연 영상을 보여준다. -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난 후 국악에 대한 개념을 설명한다.
예술활동 경력
2013.11.19 제19회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국악과 정기연주회 디자인
- ‘국악이란?’ 이라는 주제에 관해 토의하고 발표하게 하며 본인의 생각을 듣는 이에게 전달하게 한다.
공예
2013.09.23 전래노래 속에 들어있는 신비한 노래마법 동이동이 악동이
수업내용
- 교과서의 내용을 목차부터 함께 읽고 세세한 설명을 해준다.
2014.03.04 제8회 타악발표회 새롭게 두드려라
- 다음 수업까지 2명의 학생을 정하여 마음에 드는 내용에 대해 조사하게 만듦으로서 다음 수업에 대해 준비하게 한다.
수업에 대한 높은 참여도와 기대감을 갖게 한다.
미술
2015.12.19 2015노원구립민속예술단 정기공연
음악
2014.11.04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국악과 20th 정기연주회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교실 내에 있는 빔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국악영상을 보여준다.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03.21.~10.31 서울고일초등학교 2015.04.10.~10.16 동아리강사 풍물부
미디어아트
음악책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서울동의초등학교 4학년 ~ 6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4월 10일 ~ 2015년 10월 16일
교육 방향
▶
사물놀이를 통해 재미와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연간 교육주제
▶
기획의도
▶
영남사물놀이를 발표 할 수 있다. 영남사물놀이를 배워 협동심과 자신감을 익혀 학교 행사, 교외공연 및 대회를 나가 발표할 수 있 고, 또한 국악의 지루함이 아니라 국악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도와준다.
기간
▶
교육회차 영화
주요 교육내용
1학기에는 웃다리사물놀이, 2학기에는 영남사물놀이를 가르쳤습니다. 사물놀이에서 가장 기본적인 악기인 장구를 먼저 장단을 하나씩 익히게 한 후, 사물놀이 주요 악기 인 장구, 꽹과리, 징, 북을 학생들 명수에 맞게 나눠 각 악기의 연주법을 익혀 합주를 한다. 합주가 완성이 된다면, 호흡 및 강/약을 넣어 음악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 와줍니다.
교육내용
사전방문 (3월)
- 장구는 인원수만큼 있는지 확인하며, 장구, 꽹과리, 징, 북의 각 악기의 상태를 확인한 다. 또한 학교 행사, 대회, 교외공연에 동참할 수 있도록 상의한다.
- 사물놀이의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악기에 대한 여러 가지 사물놀이 동영상을 보 여주어 관심을 유도한다.
1
- 구음법 [덩,궁(쿵),따]의 연주법을 배워 그 구음법을 활용하여 선생님이 먼저 시범을
2~5
보여주고 학생들도 구음법을 활용하여 만들어 연주할 수 있도록 한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공예
전반기 - 영남사물놀이 장단 중 길군악, 반길군악 기본 장단을 장구로 익힌다.
학생들은 이 수업 ‘사물놀이’를 통해 국악에 대한 흥미가 생겼으며, 장구의 특징, 음색
- 영남사물놀이 장단 중 길군악 변형 장단(1~4) 및 반길군악을 장구로 익힌다.
을 알고 어떻게 연주하면 예쁜 소리가 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장
- 학생 인원수에 맞게 꽹과리, 징, 북을 나눠 각 악기의 연주법을 배워 길군악, 반길
구의 음색이 특별하지 않아도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학생들은 ▶
사진
- 사물놀이의 기본 악기인 장구에 대한 이해와 연주법, 구음법 [덩,궁(쿵),따]을 알려준다.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6~10
군악을 합주하여 강/약, 호흡을 넣어 연결시킨다.
공동체 생활이 왜 중요한지 알게 되었습니다. 사물놀이는 합주이기 때문에 공동체 생 활이 중요합니다.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연극
교육가능 교급
1학기 때는 웃다리 사물놀이를 배워 2차례의 어린이 청소년 국악대회에 참가하여 3 위(차하)로 입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 영남사물놀이 장단 중 외돌이가락, 영산다드래기. 겹맺음, 별달거리 각 장단을 장구 로 익힌다.
중반기
- 저번에 꽹과리, 징, 북을 나눠 연주한 학생들은 각 장단에 맞는 연주법을 알려주
11~20 음악
어 익힌다. - 장구, 꽹과리, 징, 북을 네 악기를 합주를 하여 강/약, 호흡을 넣어 연주한다.
학교마다 학생들의 공부 학습법과 수업 내용을 받아들이거나 학교 분위기 따라 수업방
- 지난 수업까지 배운 장단들을 연결시켜 연주한다.
식이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학교에서 교과서를 같은 것으로 한다고 해도 학생 들의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조금씩은 다르게 가르쳐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지금 ▶
현재 두 초등학교는 학습 분위기가 다르기 때문에 내용은 같아도 학습 분위기에 맞춰 수업을 진행을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처음에 시작할 때는 수업하는 방식과 어떻게 흥미가 생길지 잘 몰랐는데, 지금 현재 학 생들이 어떻게 하면 이 장단을 이해를 할지 알게 되어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후반기
21~25 미디어아트
- 영남 사물놀이 장단 중 덧뵈기가락, 버꾸놀이, 쌍진풀이, 맺음가락각 장단 을 장구로 익힌다. - 저번에 꽹과리, 징, 북을 나눠 연주한 학생들은 각 장단에 맞는 연주법을 알 려주어 익힌다. - 장구, 꽹과리, 징, 북을 네 악기를 합주를 하여 강/약, 호흡을 넣어 연주한다. - 지난 수업까지 배운 장단들을 연결시켜 연주한다. - 영남 사물놀이를 호흡 및 강/약을 살려 발표한다.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김지우
국악
40분
교육대상
김채홍
세부전공
A -0088
지원분야(세부 분야)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수업주제
▶
영남사물놀이
교육목표
▶
- 장구의 정의 및 악기구조를 이해 할 수 있다. - 장구의 연주 자세를 익히고 구음법을 배워 인사굿을 연주할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과연계 거주지
- 장구의 정의 및 악기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기본교과 , 자유학기제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사물놀이
초등/중.고등 영화
▶
국악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초등(고학년)
수업명
국악(아쟁/단소)/국악교육
연극
강사명
- 장구의 연주 자세를 익히고 구음법을 알고 인사굿을 연주할 수 있다. 사진
- 장구의 정의 및 악기 구조를 설명한다. - 장구의 연주 자세를 학생 한 명씩 확인한다. - 구음법(덩,궁,따)를 연주하는 법을 익혀 인사굿을 연주할 수 있다.
공예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학생들이 장구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해 장구의 정의 및 악기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설명을 해주며, 장구의 연 주자세를 익힐 수 있도록 학생 한명씩 확인을 한다. 학생들에게 장구의 구음법이 무엇이 있는지 물어 보고, 장구의 구음(덩,궁, 활용하여 예를 들면 덩궁따, 따궁덩 등으로 만들어 연주할 수 있도록 시범을 보여준다. 학생들은 선생님의 지시에 따라 모둠 및 개별로 구음을 활용하여 만들어 발표를 한다. 마지막으로 인사굿을 ‘덩’으로 아닌 단어(안녕, 감사)로 익히고 나서 장구 구음(덩) 으로 알려준 후,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한다. 선생님은 항상 수업을 시작하고 끝낼 때는 인사(안녕하세요) 아닌 인 사굿으로 수업을 시작하고 마무로 한다고 지도를 한다.
2013.04.01. ~ 2013.12.31. 숭덕초등학교 국악강사 (장구, 단소) 2010.08.02. ~ 2015.12.09. 당현초등학교 방과후 교육 (우쿨렐레) 아현중학교, 양서중학교 음악시간강사
미술
학생들은 장구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고 장구의 정의 및 악기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장구의 연주자세로 구음(덩,궁,따)를 연주할 수 있고 인사굿을 연주할 수 있다.
2014.04.04. ~ 2015.12.23. 영서초등학교 국악강사 (장구, 단소, 소금)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디자인
따)에 대해 설명을 한 후, 구음(덩,궁,따)의 연주법을 알려준다. 학생들이 구음(덩,궁,따)를 익히게 되면, 선생님은 구음(덩,궁,따)을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프린트, 장구(학생인원수에 맞게)
음악실, 교실, 강당 등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초등학교 고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12월
교육 방향
▶
가/무/악을 통한 활동 중심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국악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도 록 하며 악기를 통해 우리의 소리를 표현할 수 있다.
연간 교육주제
▶
- 가/무/악을 통한 활동 중심 국악 배우기
기획의도
▶
- 함께 노래를 부르며, 모둠활동을 통해 춤동작을 익히며, 관심과 흥미를 이끌고 협동심과 인내심을 기르며 악기를 통해 내면의 소리를 표현할 수 있다.
기간
▶
교육회차 영화
주요 교육내용
교과서에 나오는 국악 민요 등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창법을 익히고, 기본 장단을 익 혀 가면서, 장구를 연주해 보고, 장단에 맞추어 모둠별 끼리 기본 동작과 창의적인 동 작을 만들며 협동심과 배려심을 키우며 교과서에 나오는 기본 민요곡을 단소, 소금으 로 연주하며 내면의 소리를 표현 할 수 있다.
교육내용
연극
교육가능 교급
사전방문 (3월)
- 시정표, 학사일정, 아동명부
- 수업 전 준비물, 규칙사항 정하기, 모둠정하기
1
- 민요 이해하기 - 시김새 살려 노래 부르기
2) 교육 성과 및 효과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관심 흥미 모둠활동을 통하여 협동심, 배려심, 독창
전반기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2~7
사진
- 민요 익히기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 국악기 구비, 사용 장소 협의하기
- 가사 바꾸어 창의적으로 부르기
성을 느낀다.
- 주요 음을 가지고 가락 바꾸기
▶
-악기를 연주하면서 집중성, 자신감, 정교성을 가락 짓기를 통한 창의성을 표현 할 수
7~12
- 모둠별 표현하기
있다. 디자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교육은 학생들이 배우고자 하는 동기 부여가 있을 때 가장 효과 적은 결과를 가져온 ▶
- 기본 장단 익히기
다. 수업시간 개개인 격려와 칭찬으로 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집중력 상호작용 을 통해 믿음과 신뢰의 변화가 생겼다.
중반기
- 중중모리, 세마치, 자진모리, 굿거리장단 익히기
13~18 음악
- 장단에 맞추어 몸으로 표현하기 - 모둠별 표현하기
- 악기로 표현하기 - 장구 장단과 함께 악기에 맞춰 표현하기 - 합주하기
19~24
미술
후반기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수업내용
교육계획서
학습요소
도입
강사명
분야
김채홍
교육소요 시간
국악
40분
교육대상
학습 준비
4학년
시간
자료유의점 장구
5분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한다. 동영상
연극
교사활동 학생활동 ° 인사하기 ° 전시학습 확인하기 - 인사하기 ° 자진모리 장단치기 - 전시학습 살펴보기 학습 분위기 조성 전 시간에 불렀던 ‘청어엮자’를 - 자진모리장단에 맞추어 ‘청어엮자’를 부르며 불러 보면서 노래를 해 봅시다. 노래를 해본다. ° 동기 유발 내재적동기 청어엮기 동영상을 보고 어떤 느 -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유발 낌이 드는지 이야기 해 볼까요? ◎ 학습목표 : 자진모리장단에 동작을 만들어 청어엮기 놀이를 할 수 있다.
무용
단계
3. 1회차 교육계획안
° 장단을 몸으로 익히기 전개
수업주제
▶
청어엮기 놀이하기
교육목표
▶
- 자진모리장단에 동작을 만들어 청어 엮기 놀이를 할 수 있다.
▶
주요 교육내용
▶
- 자진모리장단에 맞추어 동작을 만들어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을 배 려하는 배려심과 협동심 창의적 표현력을 기대할 수 있다.
놀이 이해 하기
표현 방법 탐색
신체 표현 하기
- 청어 엮기 놀이하기 - 자진모리장단에 맞추어 창의적으로 몸동작 표현하기
청어 엮기
전개
창조적표현
느낌 이야기하기 차시예고
10 분
☞ 다른사람을 배려 하면서 움직이도록 한다. ☞모둠끼리 창의적동작이 나오게분위기 조성한다.
° 청어엮자 풀기를 해보고 느 낀 점 및 인상에 남는 점을 발 - 친구들이 단합 할 수 있는 거 같고 장단과 노 표해 봅시다. 래와 함께 하니 흥겨웠다. 처음에는 따라 하기가 5분 ° 차시예고 힘들었는데 하다 보니깐 재미있게 느껴졌다. 다음시간에는 강강술래 중 덕 석 몰이 놀이를 해보겠습니다. 상호 평가 및 자기 평가 ° 청어엮기 풀기를 하면서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였는가? ° 청어엮기 풀기를 자진모리장단에 몸동작을 창의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가?
음악
평가 및 관점
°‘청어풀기’놀이익히기 - 청어풀기 선두를 보면서 반대로 차례차례 풀어 선두는엮을때와반대로돌아엮 가면서 놀이를 해본다. 여있던팔을자연스럽게풀게한다. - 모둠별 놀이를 변형한다. 끝 사람으로 바꾸던 선두를 자유자재로 바꾸어 °모둠별로놀이변형하기 서 모둠별로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여러가지방법으로청어엮기,풀 - 모둠별 발표를 한다. 기를창의적으로변형시켜봅시다. 나와서 자신 있게 발표한다. - 노래를 부르면서 다른 모둠이 °모둠별발표하기 어떻게 하는지 주의 깊게 살펴본다. 다른모둠은어떤동작이나왔는 지살펴봅시다. 다른모둠이발표할때는노래를 불러줍니다.
☞선두 바꾸어 가면서 지도하도록 한다.
디자인
내면화 정리
모둠별 놀이 변형 하기
°청어엮기놀이이해하기 이놀이는청어를엮어놓는모습 을흉내내어표현한놀이이며,강 강술래에삽입된놀이로추석에 - 청어엮기 놀이를 이해한다. 어떤 놀이인지 살 하는놀이입니다. 펴본다. ◦'청어엮기'놀이익히기 모둠별로6명짝을지어서선두를 - 모둠별로 청어엮기 놀이를 익힌다. 뽑은후선두가오른손을놓고 - 한 줄로 서서 선두가 한사람씩 엮어가는 것에 제일끝사람과 그앞사람잡은 맞추어 하체동작과 함께 가볍게 뛰면서 서로 엮 손밑으로꿰어가서시계반대방 어 본다. 향으로통과하는놀이입니다. 장구장단에맞추어놀이를해봅 - 선두를 따라 전체 적으로 움직여 본다. 시다.전체적으로해봅시다.
공예
청어 풀기 놀이 익히기
10분
- 상체동작 따라 한다. - 접었다 폈다를 4번 반복한다. - 장단 소리를 들어가며 몸을 움직여 본다.
사진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강강술래
☞속도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만화애니
▶
장단몸 익히기
- 장단을 몸으로 익혀 본다. - 장단에 맞추어 몸을 움직여본다. - 하체동작 따라 한다. - 장단에 맞추어 동작을 따라한다.
영화
수업명
기초 기능 개념 익히기
청어엮자에 사용 되는 장단을 몸으로 익혀 봅시다. 장단 소리와 함께 몸을 움직여 봅시다. 하체동작을 익혀 봅시다. 상체동작을 익혀 봅시다. 처음에는 느리게 한 다음 속도 를 붙혀가며 장단을 쳐준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미술
활동적으로 하는 수업이 소란스럽기는 하지만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서로 모둠끼리 배려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몸으로 창의적으 로 표현하는 모습이 보였으며, 자신감을 가지고 수업에 임하였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확대보, 음원, 장구, PPT , 동영상 자료
강당이 없을 경우에는 교실 앞에서 모둠별로 나와서 다른 모둠은 노래와 자진모리장단을 쳐 보면서 나온 모둠은 교실 앞에서 놀 이공간을 사용한다.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노 링
A-0297
세부전공
국악(해금)
지원분야(세부 분야)
국악(해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중학교 전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12월
교육 방향
▶
해금배우기 초급부터 고급과정 교육
중·고등 기본교과,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
해금 연주법과 해금 연주에 필요한 이론을 쉽고 체계적으로 배우게 됩니다.
주요 교육내용
▶
처음에는 귀에 익숙한 동요와 민요를 통해 기본적인 운지법과 정확한 음정 내기, 활 쓰 는 방법, 악상표현법 등을 익혀가며 민요, 정악, 산조, 창작 국악곡 등을 배우게 됩니다.
영화
교과연계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전통음악을 연주하는 해금의 매력과 평상시 즐겨듣던 곡을 직접 연주하며, 성취감과 즐 거움을 느낄 수 있고, 해금만의 특징적인 표현기법으로 연주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2) 교육 성과 및 효과
안 배워 연주한 것에 보람도 느끼며 굉장히 좋아하고, 교장선생님과 담당하시는 선생 님께서도 국악특성화반이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에 좋아하시고, 특성화반 학생들에게 항상 지원을 해주시는 것 같습니다.
학생들이 그동안 배우고 익힌 솜씨를 발표하는 자리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심 어주고자 많이 준비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참여만이라도 하는 마음에 대회를 준비했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는데, 단체부분 장려상을 입상하여 더 열심히 하라는 의미에서 주신 상이라 생각하고, 학생들이 나아가서 해금연주를 통해 우리 국악을 많이 알렸으면 하는 욕심도 생겨 학 생들에게 국악을 더욱 재미있고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음악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가 르쳐주기 위해 저도 끊임없이 연습하고 노력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미술 미디어아트
인천문화학교 2015년10월1일 ~ 국악문화학교 해금강사
▶
음악
숲 뮤직아트 2012년2월1일 ~ 2013년6월30일 퓨전국악 린 해금연주단원
안중문화회관에서 주최하는 국악대회에 단체부분 장려상을 입상하여 학생들도 그동
디자인
현화고등학교 2012년3월1일 ~ 2013년2월28일 방과 후 특기적성 해금레슨지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공예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사진
예술활동 경력
2013년 11월 국회의사당 국공립 보육인 대회 초청공연 2013년 12월 전국 보육인의 날 초청공연 2014년 6월 2014 담양 서계 대나무 박람회 초청공연 2014년 11월 향음예술단과 함께하는 퓨전국악그룹 화련 2015년 3월 원천중학교 초청공연 및 국악교육 2015년 5월 강동구 천호 거리공연 2015년 5월 파주 제 1군단 정보대대 초청공연 2015년 9~10월 2015 담양 세계 대나무 박람회 초청공연 (총 48일 중 9일) 2015년 10월 포천아트벨리 음악이 흐르는 풍경 정기공연 2015년 10월 안산 커피거리 축제 초청공연 (24일, 25일) 2015년 10월 황곡초등학교 초청공연 및 국악교육 2015년 10월 5차 ASNMT &53차 KSNMT 추계 학술 대회 축하공연 2015년 11월 국립 해양 생물 자원관 개관기념 국제 심포지엄 축하 초청공연 2015년 11월 용인문학회 ‘약천남구만문학제’ 2015년 11월 1stCongress of Asia-pacific Sosiety of thyroid Surgery축하공연 2015년 11월 문화의식 함양을 위한 역사문화 콘서트 2015년 11월 보건의료분야 발전 방안 모색 대한의료기사단체 협의회 초청공연 2015년 12월 제7회 옥과권역 사또골 힐링음악회 2015년 12월 포천 소흘읍 송년모임 초청공연 2015년 12월 동대문구청 송년모임 초청공연 2015년 12월 별내선 복선 전철 기공식 축하 초청공연
퓨전국악화련 2013년3월1일 ~ 퓨전국악 화련 해금연주단원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해금배우기 초급부터 고급과정 교육
기획의도
▶
학교에서 운영하는 국악기 수업 중에서 학생들이 평상시에 접해보기 쉽지 않은 해금이라는 악기를 기초부터 체계적으로 배워나감으로써, 해금연주만의 특유의 소리와 매력을 접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교육내용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노링
국악(해금)
50분
수업명
▶
- 해금연주 기초
수업주제
▶
- 해금의 기초 및 초급과정
교육목표
▶
- 해금 연주법과 해금 연주에 필요한 이론을 쉽고 체계적으로 배우게 됩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중학교, 고등학교 (전학년)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교육회차 영화
- 학교에 악기보유현황과 악기상태점검예정입니다.
사전방문 (3월)
- 학교에 보유하고 있는 악기가 없을시 에는 담당교사와 악기대여 상의 후 준비예정 입니다.
해금이라는 악기의 구조와 명칭, 악보(정간보)보기, 기초이론, 악기소리 내어보기, 활대쓰기 등 기초교육.
1
- 연습곡과 동요를 통해 황 포지션 익히기
- 동요를 통해 중 포지션 익히기
2~5
- 해금의 특징적인 표현기법을 익혀 연주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 해금의 구조와 명칭 악보(정간보)보는 법. 활대쓰기 배우기 - 연습곡과 동요를 통해 황포지션 익히기
사진
- 연습곡을 통해 악상기호와 박을 나누는 활 익히기
- 즐겨듣던 곡을 직접 연주하며. 성취감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 악상기호와 박을 나누는 활 익히기
- 동요를 통해 무역 과 협종 음정 익히기
- 동요를 통해 고선 음정 익히기 - 동요를 통해 청협종과 청고선 음정 익히기 - 캐롤과 국악창작곡을 통해 청협종과 청고선 음정 익히기
수업내용
공예
전반기 6~10
- 연습곡을 통해 장식음 익히기
- 활대 쓰는 방법과 잡는 자세를 배우며 악기소리 내어보기. - 연습곡과 동요를 통해 황포지션 익히기.
디자인
- 해금의 구조와 명칭 및 악보(정간보)보는 법 알아보기.
- 연습곡1~3, 연습곡4~5, 학교, 개나리, 산토끼
중반기
- 익숙한 가요를 연주해보기<학생들이 연주하고 싶었던 곡으로 수업>
11~17 음악
- OST를 연주해보기<학생들이 연주하고 싶었던 곡으로 수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민요배우기 - 해금정악배우기
미술
후반기
18~25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해금, 악보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박수아 A - 0 2 37
세부전공
국악과(가야금)
지원분야(세부 분야)
국악과(가야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중학교 전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12월
교육 방향
▶
가야금 합주를 통한 국악경연대회 참여
주요 교육내용
▶
가야금 기초 주법을 통하여 가야금 운지법 및 음계를 암기하여 보는 공부를 하였으 며, 12현 창작곡 합주 수업을 진행한 결과물로 국악경연대회에 참가하였다.
초등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1동
영화
교과연계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2013~2014 청사국악관현악단 단원 역임
2) 교육 성과 및 효과 2013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참여
2014~2015 가야금 연주가 협회 회원 및 연주 참여
- 수상을 하게되어 학생들의 자신감과 악기에 대한 열정이 더 높아졌다.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학생들간 단합하는 시간이 되어 선후배간 서로 우애가 깊어졌으며, 평소 산만하고 집중을 못하던 학생들은 집중력과 자신감이 붙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어서 학생들에 개개인에게 소 중한 시간이 되었다.
디자인
2012~2013 상도중학교 강사 재능과 소질이 보이는 학생들을 재발견하는 시간이 되었으며, 나 스스로도 초심으로 돌아가 더 욱 책임감을 가지고 지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2013~15 현재 부명중학교 출강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학생들과 더욱 깊이 있게 우리음악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음악
2013~15 현재 부천문화원 출강
공예
예술활동 경력
2014~15 현재 심원 중학교 출강 미디어아트
2015~ 부천나눔소리 국악학원 강사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 흥겨운 우리가락 우리음악
기획의도
▶
- 우리음악의 우수성과 특수성을 전달하고 학생들과 함께 국악기에 대하여 친숙하게 다가가는 시 간을 만들어 보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교육을 통하여 국악의 대중성을 넓혀보는 작업을 하고자 한 다.
40~45분
초등(고학년) 4~6학년
수업명
▶
청흥둥당! 우리소리
수업주제
▶
가야금의 기초운지법 및 명칭 이해하기
교육목표
▶
- 전통음악과 친해지기 - 국악기에 대하여 알아보고 직접 체험하여 보도록 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음악적 지식 습득 - 양손 활용연주로 두뇌발달 및 집중력 향상 - 가야금의 음계 익히기 - 가야금 올바른 연주자세 익히기
사진
2~5
- 가야금 기초 다지기 - 가야금 왼손 주법 및 농현 익히기
- 가야금의 명칭 및 역사알기
-동요와 전통 민요 익히기 - ‘비행기’, ‘학교 종’을 통하여 뜯고 튕기는 연습을 심화 학 습하여 보자. -동요와 전통 민요 익히기- ‘아리랑’ ‘도라지’를 익히고 집고 뒤집는 연주법을 익혀 보도록 한다.
수업내용
공예
전반기
가야금
1
- 가야금 기초 다지기 - 가야금을 올바르게 앉는 자세와 운지법 뜯기를 익힌다. - 가야금 기초 다지기 - 가야금 운지법 중 연튕김을 익힌다.
박수아
교육대상
교육회차
- 학년별 수준별 수업진행
- 한국 전통악기 가야금을 통해 국악을 쉽고 재미있게 배워보고, 가야금의 올바른 연주법과 곡을 배워본다.
교육소요 시간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분야
영화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6~10
-동요와 전통 민요 익히기 - ‘오나라’, ‘꽃타령’, ‘군밤타령’ 암보하여보고 장구장단과 또한 가야금의 기초운지법 및 올바른 연주 자세에 대하여 배워보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디자인
가야금의 역사를 간단히 이해하고, 12줄의 음계를 암기하여 보도록 한다.
함께 연주하여 보기
- 가야금 창작곡 익히기 - 가야금 12현창작곡 ‘침향무’ 1악장 배워보기 - 가야금 창작곡 익히기 - 가야금 12현창작곡 ‘침향무’ 2악장 중 왼손 주법에 주의하
중반기
여 배워보기
11~20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여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연습을 하여보자.
음악
- 가야금 창작곡 익히기 - ‘침향무’ 중 휘모리장단에 나오는 연튕김 선율을 암보하
학교 발표회 및 대회참여 (수준을 체크하여 고학년 위주로 산조수업진행)
준비물 및 필요물품
보기
후반기
- 가야금 심화학습(산조 익히기) - 진양조에 나오는 주법과 시김새에 주의하 여 익히며, 당줄 ‘레’농현을 연습하여 보도록 한다. 수업마무리
악기 및 악보
공간활용 계획 책걸상이 없는 교실 또는 다목적 교실
미디어아트
- 가야금 수업마무리 - 1년간 배운 곡들을 총 정리하여 보고 학년별 합주로
21~25
미술
- 가야금심화학습(산조 배워보기) - 가야금산조 <성금련류> 중 진양조 배워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박영진
세부전공
A - 0 142
지원분야(세부 분야)
음악학(타악기)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
초등학교 저학년 (8세~10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11월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 방향
▶
음악능력 개발과 창조적 음악 감성 증진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음악 능력의 장단교육 _우리 음악을 이루고 있는 근본이자 음악, 노래, 춤등의 전통예술의 토대를 이루는 장단 구성을 말놀이나 장단의 호흡법 등을 응용하여 아이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 합니다
초등/중고등 기본교과,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김포시 풍무로 68번길
주요 교육내용
▶
전래동요 놀이를 통한 감성 교육 -전래동요에 실려 있는 장단과 선율의 특징을 교육 하며 ‘노래’ 와 ‘놀이’ 가 요즘 아이들의 교육 현장에 맞게 신체 발달, 언어 발달, 사회성 발달 등 아동의 종합적 발달을 위한 적절한 교육으로 진행 합니다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영화
교과연계
연극
국악
대부분 ‘한’을 많이 떠올리는 게 전통 음악이지만 사실 우리전통은 ‘흥’이 더 많이 녹아든 음악입 니다. 그래서 저의 교육의 모토는 ‘흥’입니다. 어렵게 느껴지는 우리나라 선율도 장단도 어떻게 하면 쉽게 교육할까, 항상 고민을 합니다. 예 를 들어 전통 장단 오방진 장단을 구음으로 연주하면 -
서울 원효 초등학교 / 서울 서강 초등학교 / 서울 난우 중학교 / 서울 국제 고등학교 국악 강사 역임
덩 덩 덩
덩 따 더더 따
따 덩 따
닭 루 닭
닭 맛 맛있 먹
자 게 자
음악
덩 덩 더더 덩
디자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
서울 서강 초등학교의 경우 미술, 요리, 댄스, 공예 등의 수업을 수강 아동의 자체 평가라든지 부모님 공개 수업 등의 자리를 마련하여 참여 및 평가를 합니다. 그 평가에 따라 수업이 신설, 유지, 폐강이 되기도 합니다. 저의 수업에 참여 해보신 교장 선생님이나 여러 학부모님께서 하시는 평가는 ‘아이들뿐만 아 니라 저희들도 한 시간이 어떻게 지나는지 모르게 참 재밌는 수업 이였다’ ‘어렵게 느껴졌던 국악을 너무도 쉽게 풀어내신다.’ 라는 반응을 보여 주십니다. 저는 소속도 없고 비정규직 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평가들 덕에 10년여의 시간을 서강 초등학 교 아이들과 함께 할 수 있었고 저의 대한 믿음과 신뢰로 자폐성을 지닌 도움반 아이들 수업 까지 맡아 수업을 진행 하게 되었습니다.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예술활동 경력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입니다 하지만 말놀이를 넣어서 하면, ▶
통 통 골고 통
미디어아트
로 바꿔서 아동들이 더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합니다. 전래 동요와 놀이도 마찬가지로 교과서에 수록된 놀이 방법 이외에크게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 에서 다양한 놀이를 연구 창작 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대집단 놀이에 강강술래가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보면 그와 비슷하지만 지역에 따라 ‘월워리 청청’ ‘너리 기 펀지기’ 같은 놀이도 있다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동에게 다양한 노래와 놀이의 경험을 해줄 수 있도록 끝없이 노력 합니다. 비록 문화예술사 자격증을 현장 수업과 육아를 병행하며 취득 하지 못하였지만 강사풀 시험을 앞둔 지인들은 저에게 많은 조언과 실기를 배우고 갑니다. 강사가 되어서도 현장 경험이 많지 않은 강사들은 교과서를 통째로 배워 가기도 합니다.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문화 체득 하기
기획의도
▶
장구 장단, 전래동요 놀이, 표현활동, 민속놀이에 이르는 다양한 활동을 경험해 봄으로써 민족고유의 음악 문화적 정서를 체득하게 한다
교육내용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박영진
국악
50분
교육대상 초등 (저학년)
교육회차 영화
수업명
▶
- 강강술래
수업주제
▶
- 우리나라의 민속놀이
교육목표
▶
- 한가위의 민속놀이 (강강술래)을 안다 - 민요의 시김새를 이해하며 노래를 부르며 즐겁게 놀이 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악기의 종류와 개수 확인
사전방문 (3월)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교육 연령과 수업 시간 확인 - 특정 아이의 유무 확인 (자폐성 기질이나 신체 불편 등의)
- 악기교육( 단소/ 소금/ 장단/ 사물) 등의 희망 목록 체크 및 준비여부 확인 / 악기 경험 여부 실력 체크
1
-사회관계/사회에 관심 갖기 - 우리나라에 관심 갖고 이해하기 -예술경험/예술적 표현하기 - 음악으로 표현하기 - 움직임과 춤으로 표현하기
- 채 쥐는법/ 연주자세 익히기
2~5
- 장단의 타법 연주
-소리 주고받기 -놀이 방법 이해 -대 집단 놀이 진행
수업내용
- 우리나라의 선율 기둥 이해 (평으로 내는 음/떠는음/꺽는 음 ) - 장단과 노래의 연관성 이해
1.강강술래 이해
- 전통 장단의 이해(굿거리/ 세마치/ 자진모리/ 휘모리 등의)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와 섬지방에 널리 분포, 전승되고 있는 집단놀이
- 전래놀이의 이해
2.강강술래의 놀이 방법 -손잡기
- 정간보에 장단 그려보기
오른손은 손등을 위로 해서 앞 사람의 손 위에 얹어 놓는다.
- 전통 장단 연주
왼손은 반대로 손바닥을 위로해서 뒷사람의 손을 받아준다. -간격맞추기
- 전통 장단 연주
- 소집단 위주의 전래놀이
11~20
오른손은 앞사람을 잡고 왼손은 뒷사람의 손을 잡은 채 뒷짐을 지는 동작을 한다. 모두가 이 동작이 되면 자연스럽게 한 팔 간격으로 벌어진다. 이때 걷는 동작에서는 그대로 걷고, 뛰는 동작일 때는 뒷짐을 풀고 팔을 벌린 채 뛴다.
- 관,현,타악기의 이해 (단소/ 소금/ 가야금의 접근)
-발동작
- 12율명 이해
모든 동작의 처음에 왼발이 나가게 되는데 뒷꿈치부터 자근자근 밟아나가는 동작이다.
- 단소의 구조 및 율명 알기
왼발이 먼저 나가는 것은 노동을 할 때 힘을 주는 원리에서 나오는 것이고 자근자근
- ‘아리랑’ 단소 연주
후반기
뛸 때는 보폭을 넓게 하여 멀리 뛰는 것이 아니라 제자리에서 높게 뛴다는 느낌으로
21~25
경쾌하게 뛴다. -소리주고 받기 소리는 반드시 주고받는다. 노래말은 그 지방의 사투리로 한다. 선소리꾼은 주로 노래를 하고 놀이꾼 등은 뒷소리를 부르며 놀이 동작을 하게 된다. 3. 강강술래 놀이와 종류 경쾌하게 걷기 - 느리게 걷기 - 뛰기 - 남생이놀이 - 개고리타령 - 고사리끊기 - 청어엮기
미디어아트
민요의 지역적 특성 이해하기 민요와 장단의 이해 장단과 노래에 맞춘 전통 춤사위 음악의 종류 ( 정악, 민속악, 창작곡 등) 전통음악 감상
미술
밟아가는 동작은 ‘보리밟기’의 모습 같다고 한다. -
음악
중반기
디자인
놀이의 기본 동작과 유의할 점 - 오선보와 정간보의 차이
- 전래동요와 장단(노랫말에 맞춰 장단연주)
공예
전반기 - 전래동요의 이해 (선율의 특징, 노래의 배경)
사진
- 악기의 구조 및 명칭 알기 - 악기 구음의 이해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 멍석몰이 - 대문열기 - 지와밟기 - 손치기발치기 - 밭갈이 가세 - 쥔쥐새끼 - 뛰기 - 걷기
문학
국악
기본정보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무용
이름 1. 창의적 표현력을 이끌어내는 즉흥성의 놀이 강강술래의 노랫말은 놀이가 진행되는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불려지게 된다. 또한 그 동작 역시 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열린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창의적
개인의 감성에 따라 다양
방소현
세부전공
A -0756
지원분야(세부 분야)
2. 더불어 함께하는 공동체 놀이
국악 (피리, 단소, 민요, 난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손을 맞잡고 하나의 원을 만들고, 노래에 맞춰 뛰는 것 자체가 풍성한
지원교육대상
음악적 체험임과 동시에 서로의 마음의 벽을 허물 수 있는 공동체놀이이다.
교과연계
그곳에 있어야 한다는 상호 존중하는 심성 등이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거주지
또한 혼자가 아닌 더불어 함께 하는 문화적 경험은 건전한 인격을 형성함과 아울러 따뜻한
초등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영화
내가 여기 있어야 하는 자아 정체성의 확립, 내가 이렇게 있듯이 다른 사람도
연극
감정표현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국악(국악,피리,국악교육)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탄로
세상을 만들어 가는 단초가 될 것이다.학교 발표회 및 대회참여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준비물 및 필요물품 장구 (교사용), ‘강강술래’ 음향자료, 영상 및 그림자료 (강강술래 놀이 관련), 노랫말판
사진
공간활용 계획 2015.10.31.~2015.10.31 Miracle show / 영등포아트홀 예술하우스 연주회 / 연주
공예
예술활동 경력
2015.03.30.~2015.07.13. / 매탄중학교 / 시간강사 / 4/30 2015.04.07.~2015.12.31. / 용인시기흥장애인복지관 / 시간강사 / 9/60 2015.04.07.~2016.01.22. / 잠원초등학교 / 시간강사 / 10/96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디자인
2014.03.31.~2014.12.19. / 인천신현고등학교 / 시간강사 / 9/70
2015.04.10.~2015.10.23. / 운산초등학교 / 시간강사 / 7/48 2015.09.16.~2015.12.31. / 매탄중학교 / 시간강사 / 4/32 미술
2015.09.18.~2015.11.05. / 운산초등학교 / 시간강사 / 2/70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10월
교육 방향
▶
교과서에 있는 국악부분을 연주, 가창, 이해할 수 있다.
▶
음악교과 국악부분 지도. 학교에서 민요와 단소를 중점으로 수업을 진행해 달라고 요청하셔서 수업시간의 5~10분정 도 단소수업 진행 후 민요 수업을 진행 하였습니다. 전래동요의 경우는 전래놀이와 함께 진 행하였고, 단소는 운지법을 위주로 연습하고 율명을 노래로 불러 본 후 불어볼 수 있게 지도 하였으며, 민요는 강사가 먼저 선창 후 아이들이 따라 부를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하였습니 다. 한 학급당 10차시씩 진행 하였는데 수업 마지막 시간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단소를 불 수 있었습니다.
주요 교육내용
연간 교육주제
▶
- 다양한 국악
기획의도
▶
- 국악의 종류를 기악, 성악, 타악으로 크게 나눌 때 보통 기악전공의 강사의 경우 성악, 타악에 약 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이 국악을 배울 때에는 한부분에만 치우치지 않고 수업을 진행 하는 것이 학교문화예술교육에 지향점이라고 생각하여서 다양하게 여러 분야의 국악을 준비하였 습니다.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교육회차
- 학생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내용을 기재 / 연간 교육의 주제, 세부 진행 내용 등 공지
1
- 연간 프로그램 재정비 - 국악 수업의 장소, 준비물 준비
만화애니
초등학교 5학년
영화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 교과내용 중심의 국악 국악이론 - 수업의 특성상 동작이 많고, 큰소리로 노래를 해서 몇몇 학생들이 소극적으로 수업에 참여 하였지만 수업이 진 행 될수록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고 칭찬을 통해 아이들을 격려해주니 대부분의 아이들이 적극적으로 수
▶
기악(단소, 소금, 사물놀이, 장단 등)
업에 참여하였습니다.
- 담당선생님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관심을 가져 주시고,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주십니다.
- 따뜻한 마음으로 항상 아이들을 감싸주고 가르치려고 하지만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바로 잡아 가려고 가려고 노 력합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무서워하기도 하지만 다음시간에 만나면 변함없이 환한 미소로 웃으며 인사해 줍니다.
▶
- 난타 기초 채 잡는 법, 타법배우기 난타 작품 감상하기 음악에 맞추어 난타 연주하기 난타 작품 구성하기 작은 연주회.
그러한 아이들을 본받아 더 환한 미소로 즐겁게 아이들을 지도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교육 회차는 학교의 상황 에 맞추어 연 간 교육과정 을 재정비 후 조절 예정
디자인
중반기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가창(민요, 판소리, 가곡 등),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전반기
- 국악 수업이 첫 해였지만 아이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즐겁게 국악수업을 진행하면을 아이들도 즐겁게 호응하는
-창체
후반기
음악에 맞추어 민속춤 배우기(소고춤, 부채춤, 탈춤)
음악
것을 느꼈습니다. 또한 개개인의 특성을 살려 학생 개인에 맞는 맞춤형 교육방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음악에 맞추어 전래놀이 하기 (강강술래, 포구락) 악기 만들어 보기 (장구, 소고, 용고 등)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보다 넓고 깊은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창조적이며 상상력 풍부한 문화예술 향유자로 성장하고 모든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아이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예술적인 요소를 경험하고 자신의 생각과 시각을 새롭게 구성해 나갈 수 있다.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방소현
국악
40분
초등(전학년)
교과수업 : 컴퓨터, tv
연극
준비물 및 필요물품 타악관련 수업 : 악기, 넓은공간, 스피커(음악에 맞추어 난타) 창체수업 : 필요한 준비물이 있을 경우 강사가 준비 예정
공간활용 계획 ▶
영화
수업명
양손 타법곡 ‘풍선’ 교과수업을 진행 할 때는 준비된 ppt, 영상을 보여주며 진행되기 때문에 교실, 또는 음악실에서 진행 되어야합니다. 난타, 사물놀이, 장단등을 수업할 때에는 악기가 구비된 강당 또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수업주제
▶
음악에 맞추어 난타연주
교육목표
▶
- 양손의 밸런스를 맞추어 음악에 맞추어 연주한다. - 친구들과 함께 연주하며 소통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창체수업을 진행 할 때에는 상황에 따라 넓은 공간과 교실에서 번갈아가며 수업 가능합니다.
- 스트레칭 공예
- 기본타법연습 - 음악에 맞추어 작품 연습
디자인
수업내용 시간
수업내용
도입
5분
-인사 -스트레칭 -한주간 무슨일이 있었는지 소통하기 -난타북, 채 준비하기
- 정해진 숫자만큼 치는 연습 정해진 숫자만 치고 멈추는 것을 반복 지도
미술
30분
-양손타법연습 ○⌧⌧⌧ (북테테테) ○○⌧⌧ (북북테테) 점점 크게 치기 점점 작게 치기
음악
학습단계
전개
사진
- 양손의 사용하는 곡이기 때문에 소근육을 사용해 양손의 밸런스를 맞추어 연주 할 수 있다.
만화애니
- 어렵지 않은 리듬으로 이루어 진 곡으로 쉽게 익히면서 난타가 어렵지 않음을 인지시킨다.
-음악에 맞추어 연주
5분
-칭찬의 시간 - 서로 연습이 잘 되었던 부분 칭찬해주기 -인사 -난타북 ,채 정리하기
미디어아트
정리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서장호
세부전공
A - 0 6 51
지원분야(세부 분야)
타악/연희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
일반부 / 약 30대 이후 (연령층 다양)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육가능 기간
▶
2014. 3. 8 ∼ 2014. 6. 21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 방향
▶
사물놀이에 최고 기초반으로써 장단에 원리와 기본타법을 익히고 나아가 설장고에 기본연주곡 휘모리(한부분)를 익힌다.
중, 고등
교과연계
선택교과
거주지
-장단의 구성과 호흡법, 기본타법에 관하여 전수 영화
지원교육대상
연극
국악(사물놀이, 탈춤)
-기본적인 훈련을 바탕으로 몇 가지 연습곡들을 훈련 (2분박으로 구성된 리듬훈련, 3분박으로 구성된 리듬훈련)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주요 교육내용
▶
만화애니
-우리나라에 대표적인 장단 간단하게 정리하여 전수 (굿거리장단, 자진모리장단, 휘모리장단, 세마치장단) -설장고 곡 중 휘모리부분 전수 및 훈련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2010. 12. 5 ~ 현재 용인전통연희단 연희집단 The 들썩 단원 2013. 3. 2 제 2회 들썩 공연 참가
2013. 11. 30 소리마당과 함께하는 오케스트라의 신바람 공연 참가 2014 찾아가는 문화활동 공연 참가
-기초적인 장단에 대해 이해함 (굿거리, 자진모리, 휘모리, 세마치) -한국리듬에 전반적인 호흡법과 움직임에 대해서 이해함 ▶
-학습 후에 발표회를 통하여 자신감과 성취감을 얻음 -발표회를 마친 후 대부분에 참여자들이 설장고 기초반에서 중급반으
로 이동
-국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증가
2015 찾아가는 문화활동 공연 참가 디자인
예술활동 경력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공예
2013. 3. 26 용인거리아티스트로 임명
2015 용인문화재단, 용인거리아티스트 콘서트 참가 2015. 6. 15 ~ 현재 창작연희집단 놀이꾼들 도담도담 단원 2015. 9. 12 별별연희 콘서트 공연 참가 2015. 10. 18 전통연희 페스티벌
2014. 8. 9 ~ 현재
(사)한국연희단체 총연합회 용인시 지부 풍물분과 위원장
2015. 11. 11 성남예총주최 제 14회 정금란 무용제 공연 참가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초보자를 위하여 보다 쉬운 장단에 도안이 필요 -수업 참여자들이 수업을 이해하는 수준이 각기 다름으로 이 부분에 대해서 깊게 연구할 필 요가 있음 -지금하고 있는 전공분야 외에도 심도 있는 교육을 위해서 문화예술교육과정 이수에 필요성을 느낌
음악
2015. 12. 11 아이리아 퓨전 국악 콘서트 참가
미술
2014년 3월 전통예술 나눔학교 3기 시간강사 (일반인)
2015년 9월 베트남 청소년 한국문화캠프 사물놀이 강의(베트남 현지인)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 신나는 사물놀이와 탈춤 교실
기획의도
▶
- 학생들에게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정서와 흥미를 심어주고 한국음악에 기본적인 구성원리와 한 국탈춤에 전반적인 움직임을 슥듭할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나아가 사물놀이연주와 합 동춤(봉산탈춤)같이 협동작업을 통하여 공동체의식을 체험하게 한다.
교육회차
교육소요 시간
서장호
국악(탈춤)
60분
수업명
▶
신나는 탈춤 교실
수업주제
▶
봉산탈춤 기본 춤 익히기
교육목표
▶
- 봉산탈춤에 이론적 측면에 대해서 알아본다. - 봉산탈춤 사설에 의미를 파악하고 운율 실어 읊어본다. - 봉산탈춤에 전반적인 움직임에 대해서 알아보고 몸으로 체험한다.
- 참여하는 학생인원수 파악, 악기·소품보유 현황파악
사전방문 (3월)
- 작업을 진행하는 공간 파악(강당, 음악실, 교실) - 후반기 교육을 마친후, 축제나 발표회때 공연개최 대한 여부 확인
오리엔테이션
- 운동부족인 요즘 학생들에게 체력을 증진시키고 근육량을 증가시킨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과도한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춤으로써 해소시킨다. -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 줄 수 있다
- 봉산탈춤에 대한 간단한 설명 - 봉산탈춤 사설 익히기 - 봉산탈춤 기본 춤 익히기(불림, 고개잡이)
공예
2~10 수업내용 - 봉산탈춤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 - 봉산탈춤의 지역적 특징, 유래를 설명한다. - 각 과장별 이야기 구성과 등장인물별 특징을 설명한다. - 봉산탈춤 대사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메시지가 무엇인지 파악한다. (예 : 종교적 풍자와 비판, 계급사회에 대한 풍자와 비판, 일부다처제에 대한 풍자와 비판…….)
- 11회 : 영남사물놀이에 대한 설명, 악기치배 배치, 사물놀이에 기본자세와 타법·호흡법 익히기
디자인
- 2회 : 준비운동, 봉산탈춤 사설(불림) 익히기, 봉산탈춤 기본춤 익히기(불림, 고개잡이) - 3회 : 준비운동, 봉산탈춤 기본춤 익히기(다리들기, 황소걸음) - 4회 : 준비운동, 지난시간 배운내용 복습(불림 ∼ 황소걸음), 봉산탈춤 기본춤 익히기(무불림, 외사위, 양사위) - 5회 : 준비운동, 지난시간 배운내용 복습(불림 ∼양사위) 봉산탈춤 기본춤 익히기 (겹사위, 앉아뛰기, 앉아뛰기 겹사위) - 6회 : 준비운동, 봉산탈춤 기본춤 총복습 및 훈련, 합동무 사설 익히기 - 7회 : 준비운동, 지난시간 배운내용 복습(기본춤, 합동무 사설), 합동무 등장방법 익히기 - 8회 : 준비운동, 지난시간 배운내용 복습(합동무 사설·등장), 합동무 진형 만들어지는 부분 훈련 - 9회 : 준비운동, 지난시간 배운내용 복습(합동무 사설·등장·진형) 봉산탈춤 합동춤 익하기, 퇴장 훈련 - 10회 : 지금까지 배운내용 총 복습 및 훈련
1
중등(저학년)
사진
전반기
- 탈춤과 사물놀이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 - 영상시청 (학생들이 배워야할 공연자료 위주) - 다음시간 준비물 및 복장상태에 대해 공지
교육대상
만화애니
분야
영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12회 : 영남사물놀이 익히기(영산다드래기, 다드래기, 반길군악) - 14회 : 영남사물놀이 익히기(별달거리)
음악
- 준비운동(약 10분) - 머리부터 발끝까지 전신을 스트레칭(Stretching)한다.
- 13회 : 영남사물놀이 익히기(다드래기 맺이, 연결채) - 15회 : 영남사물놀이 가락정리(반길군악 ∼별달거리)
중반기
- 16회 : 영남사물놀이 익히기(길군악)
11~20
- 봉산탈춤에 한삼잡는 방법과 기본적으로 서있는 자세를 설명한다.
- 17회 : 영남사물놀이 익히기 - 18회 : 영남사물놀이 익히기 (쌍진풀이 : 네 번째 가락 ∼ 여섯 번째 가락) - 19회 : 영남사물놀이 익히기(맺이)
미술
- 봉산탈춤에 사설 익히기 (2과장 8먹중놀이 중 2먹중 대사 중심으로) “산중에 무력일하여 철가는 줄 몰랐더니. 꽃피어 춘절이요, 잎돋아 하절이라. 오동낙엽에 추절이 요. 저 건너 창송녹죽에 백설 이 펄펄 휘날리니 이 아니 동절이냐. 나도 본시 팔도강산의 한량 으로, 산간에 묻혔다가 풍류소리 반겨듣고 염불에는 뜻이 없어. 이러한 좋은 풍류정을 만났으니 어디한번 놀다 가려던~ 낙양동천 이화정~”
(쌍진풀이 : 첫 번째 가락 ∼ 세 번째 가락)
- 20회 : 영남사물놀이 총연습 및 반복
- 22회 : 영상시청 (지금까지 배운내용을 위주로한 영상시청 후
후반기
참여자들이 하고 있는 수준과 비교·분석해 본다.) - 23회 : 우리나라 기초장단 배워보기 (굿거리, 자진모리, 휘모리, 세마치, 동살풀이, 타령)
21~24
- 봉산탈춤 기본 춤 익히기 - 봉산탈춤 불림동작 설명 및 반복훈련 - 봉산탈춤 고개잡이동작 설명 및 반복훈련
미디어아트
- 이 사설에 뜻을 파악하고, 강·약을 조절해 운율을 실어서 읊어본다. - 움직임과 동선 파악후, 사설 읊어본다.
- 21회 : 탈춤과 사물놀이 총 정리 및 훈련
- 24회 : 봉산탈춤 기본춤, 영남사물놀이 총정리 및 등·퇴장 연습
문학
국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몸으로 직접 체험함으로써 우리나라에 전통적인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 학생들에 체력을 증진시키고 단결력을 형성시킨다. - 전통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킨다.
무용
- 봉산탈춤 사설 안에서 국문학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기본정보 이름
유미래
세부전공
A -0056
지원분야(세부 분야)
국악과(경기민요) 국악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 한삼, 편한복장, 운동화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돌봄동아리
영화
교과연계
공간활용 계획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준비물 및 필요물품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가능한 학교강당을 이용할 계획이며, 대여 불가능 시, 교실 책상과 의자를 뒤로 밀어 넣어 공간을 확보할 예정임.
사진
2014 용인대학교 정기 연주회 2014 제10회 유미자 “춤노리” 정기공연 공예
2015 용인대학교 춘계연주회 2015 용인대학교 정기연주회 2015 생활문화예술공동체 연합공연 ‘별별 예술마당’
디자인
예술활동 경력
2015 의정부국악협회 정기공연 ‘달빛아리랑’ 음악
2013 6월23일 제13회 인천국악대제전 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장려상 2013 9월1일 제18회 고양행주 전국국악경연대회 민요부문 장려상
2015 3월3일~현재 의정부 문화원 경기민요장구 초급 강의
2015 청소년 문화예술 감상학교 '예술 감상하기 좋은날‘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2014 9월28일 제10회 홍성가무악전국대회 명인부 최우수상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초등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12월
교육 방향
▶
소고춤을 이용하여 활동적인 국악놀이와 함께 전통민요를 배워봅니다.
▶
먼저 국악이란 쉽고 재미있는 놀이 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장구와 단소 소고 등 친숙 한 악기로 소리를 내보고 노래도 불러 봅니다. 민요 장단에 소고춤을 더해 활동적으 로 움직이고 즐겁게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이끌어 줍니다. 처음에는 서 로 호흡이 맞지 않지만 점차 연습을 통해 공연이 완성 되었을 때는 무용과 민요 악기 3가지를 배울 수 있다는 점과 아이들의 성취감을 높다는 점이 만족스럽습니다.
주요 교육내용
연간 교육주제
▶
국악을 쉽게 이해하기
기획의도
▶
전래동요부터 전통민요 저학년 때부터 쉽게 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악기들을 통해 국악을 쉽고 재 미있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도록 알려줍니다.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영화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사전방문 (3월)
- 아이들이 국악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관심이 있는지 알아보고 기본적인 악기와 소리를 내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1
- 게임을 통하여 전래동요 배워보기 - 손장단과 무릎장단을 배워보기
2~5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 교내에 구비되어 있는 장구나 소고 등 악기가 있는지 여부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 교내 아이들이 뛰며 활동할 수 있는 강당이 있는지
- 전래 동요와 무릎장단을 함께 배워보기 가장 나이가 어린 어린이는 1학년이지만 재미있는 놀이를 통해 서라면 노래도 외울 수 있고 소고를 치며 무용도 할 수 있다는걸 경험 하였습니다. 물론 조금 느린 아이 ▶
전반기
들도 있지만 차근차근 이해할 수 있도록 선생님이 옆에서 돕는다면 스스로 공연까지 해내는 모습을 보고 정말 뿌듯하였습니다. 아이들이 즐기면서 재미있게 수업 하는
- 소고를 가지고 재미있는 놀이 배워보기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 민요 배워 부르기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6~10
- 소고 치며 노래 부르기
디자인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수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학년 아이들 도 스스로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면 고학년 못지않게 여러 방면의 예술 ▶
- 협동하고 팀을 이루어 놀이를 배워본다.
을 쉽게 이해하고 경험할거라고 생각 합니다. 저는 강요하는 것보다 함께 이야기하면 서 즐겁게 수업하는 걸 선호 합니다. 순수하고 창의적인 아이들의 꿈을 펼쳐 나가기 위
중반기
해서 억지로 수업을 강요하기보단 함께 목표를 가지고 교육을 한다면 국악교육을 더
- 민요와 더불어 소고춤을 배워본다.
11~20 음악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팀별로 장기자랑을 해본다.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 합니다.
- 지금까지 배웠던 놀이와 민요 악기를 복습하는 시간을 갖는다. - 지금까지 배웠던 국악을 가지고 발표를 한다.
21~25
미술
후반기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유미래
국악
60분
교육대상
이상순
세부전공
A -0157
지원분야(세부 분야)
판소리 국악(판소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초등 저학년
연극
강사명
지원교육대상 ▶
오리엔테이션 국악과 친해지기
수업주제
▶
국악에 관하여 친숙해 질수 있도록 여러 가지 악기와 소리를 내본다.
교육목표
▶
- 아이들에게 국악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쉽고 친숙한 것이라는 것을 알려줌 - 아이들에게 우리나라 전통 국악에 관하여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도와줌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과연계 거주지
경기도 화성시 동탄중앙로 189
만화애니
-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국악을 배우면 쉽게 국악을 이해할 수 있다
기본교과, 선택교과,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영화
수업명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그룹별 놀이를 통해 협동심과 폭넓은 음악의 이해를 할 수 있다.
- 전통악기를 통해 소리를 내보고 함께 연주해 본다.
2011. 3 ~현재 학동초 병설유치원 방과 후 특성화강사
- 우리나라 전통음악에 맞춰 무용을 배우며 함께 민요를 불러본다.
2011.3~2014
동탄초 병설유치원 방과 후 특성화강사
2014.3~2014.12 솔빛초 병설유치원 방과 후 특성화강사 2013. 3~ 현재 숲속초 병설유치원 방과 후 특성화강사
공예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사진
- 전래동요와 전통민요를 놀이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배우기
2014.5~2014.11 용인 상갈초 1,2,3,4 학년국악수업 아이들에게 우리나라 전통 국악을 쉽고 재미있게 소개합니다. 장구와 단소 소고를 준비하고 아이들에게 국악의 전통악기 소리
2015.9~12
를 들려주고 함께 쳐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장구 장단에 맞춰 전래동요를 들려준 후 전래동요를 함께 배워 봅니다. 짝꿍과 간단
광명 광문초 5,6학년 국악수업 디자인
한 놀이를 통하여 전래동요를 외울 수 있도록 도와주며 어렵지 않고 즐기면서 배울 수 있다는 점을 알려줍니다.
제79호 중요무형문화재 발탈 2014,15년 기획공연 2회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하지만 호흡을 맞춰 연주 또는 놀이를 통해 단합심과 협동심을 기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년 신나는 예술여행 (10회 공연)
음악
아이들이 각자 악기를 가지고 있을 시에는 통제가 되지 않을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꼬마대통령2013,14년 국악 발표회 2회
한국국악협회 판소리부문 장려상 신라문화제 중고등부 판소리부문 준우수상 미술
한국국악협회전라남도 신인부문 최우수상
1회차 - 장구 /단소/ 소고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수업을 점차 늘어가므로 음악실 수업을 권장합니다.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5월~11월
교육 방향
▶
전래 동요, 사물놀이, 난타와 아이들이 소통해 본다.
▶
전래동요 부르면서 무릎장단과 함께 손 유희로 노랫말을 표현해 본다. 전래동요의 쉽고 익숙한 리듬으로 노래를 익혀 본 후 전래 동요의 특징을 잘 살려 시 김새를 넣어 크게 가창을 해본다. 무릎장단으로 기본을 익힌 후 장구, 소고, 난타등의 악기로 연주하여 본다. 이어서 네 가지의 물건인 징, 북, 장구, 꽹과리를 가지고 국악 의 만중삭의 3단계에 맞추어 느리고 보통이고 빠르게 연주하여 신명나게 사물놀이를 연주합니다.
주요 교육내용
연간 교육주제
▶
- 우리의 잔치가 열렸어요.
기획의도
▶
- 국악 악기 중 타악기로 집중적으로 연간교육을 시도 할 것입니다. 양손으로 소근육의 발달이 도 움이 되며, 타악기의 두드리는 타법이 스트레스 해소와 사물놀이, 난타 같은 교육으로 협동심도 느 낄수 있습니다.
기간
교육내용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2) 교육 성과 및 효과
난타북, 장구, 소고 등의 악기들의 상태와 수량 확인 - 활동 놀이를 위해 넓은 강당, 다목적실의 공간 유, 무 확인
- 우리아이들의 정서 발달에 우리음악이 필요합니다. 우리의 것을 아끼며 사랑하 고 이해하며 정체성을 잃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익혀봅시다.
- 지루한 국악이 아닌 흥미롭고 전래동요의 노랫말을 손유희 표현함으로써 상상력을 자아내며 몸과 마음으로 느낄 수 있어 긍정적인 반응입니다. 아이들에게 참여하는
전반기
- 사물 장단의 “굿거리 장단”을 배워요.(궁따따 궁따따 궁따따 궁따~)굿거리 익히
공예
시간을 주어주면서 밝고 적극적인 자세가 좋아 보인다고 한다.
2~5
사진
- 국악동요“장구도깨비”이야기 들어요.“장구 도깨비”모듬별로 불러보기. 장구의 기본 구음표를
▶
1
- 사물놀이”알아보기. 유래 이야기와 어떤 악기가 사용되나요? 준비해온 이야기보따리와 함께 알아보아요.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교육회차
만화애니
초등학교 저, 고학년 / 8~13세
영화
▶
연극
교육가능 교급
기. 내 이름 넣어 연주하기. - “발림”장단을 배워본다. 발림이란 무엇인지 정의를 알아본 후 예쁘게 발림을 해 본다. 덩 따따따”의 장단으로 몸짓과 함께 리듬감 있게 연주한다.
6~10
- 사물 장단의“동살풀이장단”끝까지 마무리해서 배워요.“이닦기장단”으로 구음을 익혀 배워본다. 구음이 완벽히 익혀지면 바닥 장단.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장에서 아이들과 풍부한 소통력이 생기며, 더이상 아이들이 두렵거나 힘들다고 생각 하지 않습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교육을 할 수 있게 되어서 발전된 나의 교육 지도력에
디자인
11~30
후반기
- 신명나게 사물장단을 이어서 연주하여 본다.(휘모리,굿거리,발림,동살풀이, 진오방진,별달걸이) 징, 꽹과리 ,북, 장구 편성으로 힘차게 연주 하여 본다. 국 악 동요“아리오”노래에 맞춰 휘모리장단을 치면서 율동과 함께 장구병창을 하여 본다. 각 모둠별로 장기 자랑을 하여 멋지게 한 팀을 뽑아 칭찬 릴레 이 장단을 쳐준다.
31~35
만족합니다. 더 나은 모습을 위해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입니다.
음악
중반기
사물 장단의 “별달걸이 장단”을 배워요. - 장단을 구음으로 먼저 익히기. - 한마디씩 익혀보아요. - 구음대로 장구에 익혀본다. - 모듬 별로 자신 있게 따라 쳐보기. - 혼자씩 자신 있게 발표 해본다.
-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없다면 교육의 질이 높아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현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이상순
국악
40분
교육대상
이현정
세부전공
A -0330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 1~6학년 중등 1~3학년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수업주제
▶
하나의 마음으로 힘을 모아 소통해 보아요.
교육목표
▶
-개인주의에 익숙해져 가는 아이들에게 전통놀이를 통하여 하나 된 마음과 단합으로써 나 혼자가 아닌 공동체 의식을 깨워주고 전달해봅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과연계 거주지
-다소 익숙하지 않아 어색하고 소극적인자세로 시작하였지만 예술문화의 큰 장점으로
기본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파주시 가온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대문놀이, 강강술래, 청어엮자, 풀자
초등 영화
▶
국악(사물놀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가야금/타악
연극
강사명
빠르게 흡수하여 적응을 함으로써 배려하는 자세를 배워가며 즐겁게 놀이를 할 수 있다. 사진
-국악 인사로 집중한다. -대문놀이, 강강술래, 청어 엮자, 풀자 의 안전 수칙을 꼭 지도하고 진행합니다. -장단과 노래를 적극적인 자세로 몸으로 표현하며 즐겨 봅니다.
공예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첫 만남의 어색함을 없애기 위하여 소통을 전통놀이“대문놀이”로 진행합니다. 첫째, 키순서로 남, 녀 각 줄을 정렬 합니다.키 큰 두 명 친구들을 문지기로 지정합니다.(3/1 진행 후 교체) 나머지 친구들은 자연스레 꼬리가 됩니다. 꼬리와 문지기의 규칙을 정 해서 일러줍니다. 놀이의 방식을 음원에 맞춰 흐름을 익힌 후에 본격적으로 국악 선생님의 육성과 꽹과리의 리드로 놀이를 진 디자인
행 합니다. 대문놀이의 마무리는 모두 문지기가 되도록 하여 하나의 공동체를 느끼게 해줍니다. 둘째, 모두 문지기로 둥글게 원 의 형태로 손을 잡게 됩니다. 강강술래로 자연스레 넘어 갑니다. 오른발, 왼발의 국악 구음을 넣어 한발씩 이동 합니다.예) 덩-오 른발, 따-왼발 강강술래의 음원에 맞춰 국악 한배의 형식처럼 만중삭(느리게, 중간, 빠르게)의 단계를 거쳐 리듬을 충분히 느껴 본다. 셋째, 청어 엮자, 풀자 놀이입니다. 최대한 안전을 우선을 하여 진행합니다. 혼자가 아닌 여럿이 힘을 모아 만든 놀이이므
2013~2014 심학초 모둠북 창체 활동
로 더 상대를 배려하고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되도록 진행합니다.
대 보름달 같은 큰 원의 형태가 만들어 집니다.아이들의 얼굴에는 웃었다, 당황하다, 긴장하다, 또 웃는 밝은 모습이 예상됩니다.
2014~2015 마정초 모둠북 활동 2015 심학초 사물놀이 창체활동, 동아리 활동 및 돌봄 교실 2015 황룡초 사물놀이 방과후 지도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2014 문발초 방과후 지도(사물놀이 모둠북)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 꽹과리, cd 음원, 마이크, 넓은 강당
넓은 강당에서 활동을 하였을 때 첫째 , 키순서로 한줄로 선 후 각 역할의 위치로 자리를 잡은후 강당의 중앙쪽에서 둥근 원의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형태로 활동합니다. 둘째, 둥근 원과 남 녀 각 한줄로 정렬을 반복하여 강당의 중앙쪽에서 여유있게 활동 합니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초등학교 1~6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8월~11월
▶
사물놀이
주요 교육내용
▶
사물놀이 중 영남 농악 정간보/오선보 사물악기가 된 도깨비
▶
사물악기가 된 도깨비를 극음악 형태로 만들어 봄으로써 아이들에게 예술적으로 다양한 형 태의 경험을 하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기획의도
▶
사물악기가 된 도깨비라는 악곡을 통해서 아이들에게 사물놀이를 체험, 함께 즐거운 우리 음악의 느낌을 한껏 느낄 수 있게 하며 이를 연극 형태로 만들어 봄으로써 통합 교과의 특성을 체험하는 시간을 마련해 본다.
기간
2) 교육 성과 및 효과 사전방문 (3월)
악기 점검 아이들의 음악적(국악) 수준 담당 선생님께 확인 장소 확인 사물악기가 된 도깨비 소개
오리엔테이션
각 악기의 특징과 악기 소개 사물악기를 통해서 음악과 함께 국악의 사물놀이를 체험할 것을 알림
- 노래에 맞추어 악기를 연주하는 형태가 도입되면서 아이들의 듣기 훈련이 강화 됨
악기의 타법 소개, 익히기
1 사진
- 전반적인 사물악기의 이론적 실기론적 체계가 잡히는 교과 과정으로 아이들이 기 존에 사물반에 들어가고 싶다는 이야기를 많이 함
정간보 익히기(악보 읽기가 가능하도록 지도)
- 노래에 맞추어 악기를 연주하기 때문인지 신나게 아이들이 노래를 익혔으며 노래 를 부르고 흥얼거리는 생활을 할 정도로 기분 좋은 국악 시간이 됨
오선보 익히기(악보 읽기가 가능하도록 지도)
전반기
일채 장단 익히기
2~8
세마치장단 익히기
- 국악기를 좀 어색해 하던 아이들이 하나 둘 스스로 더 악기를 만지고 연주하기를 원하고 가르쳐 달라고 함
굿거리장단 익히기 인사굿장단 익히기
- 처음에는 악기를 칠 때 자연스럽지 못하게 움직였으나 점차 몸의 움직임이 자연스 러워 짐 - 시차가 거듭될수록 교사에 대한 친밀도가 생겼는지 웃고 질문에 참여 하는 등 수업 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방향으로 태도가 변함
디자인
사물 장단의 “굿거리 장단”을 배워요.(궁따따 궁따따 궁따따 궁따~)굿거리 익히기. 내 이름 넣어 연주하기. “발림”장단을 배워본다. 발림이란 무엇인지 정의를 알아본 후 예쁘게 발림을 해본다.
- 처음에는 소극적이던 아이들이 나중으로 갈수록 서로 발표를 하겠다는 등 적극적 인 태도의 변화를 보임
공예
- 초기 지루해 하던 아이들이 점점 웃고 활발하게 참여하기 시작함
만화애니
▶
교육회차
오디오, 비디오 시설 확인
- 수업이 끝나면 아이들이 국악교실을 떠나지 않고 악기를 치면서 놀다가 교실로 돌 아가는 등 적극적인 반응을 보임/전 차시 수업 확인시 반 이상이 수업 내용을 기억 하고 발표 하는 등 높은 참여도를 보임/각 수업에서 발표 형식의 수업내용 확인으로 아이들에게 자신감을 불어 넣어줌 (점차 수업에 적극적으로 발표하는 아이들이 늘어 남)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교육내용
영화
교육 방향
연간 교육주제
연극
교육가능 교급
중반기
덩 따따따”의 장단으로 몸짓과 함께 리듬감 있게 연주한다.
9~15
사물 장단의“동살풀이장단”끝까지 마무리해서 배워요.“이닦기장단”으로 구음을 익혀 배워본다.
▶
- 아이들이 어리다지만 저마다 자기 생각이 분명히 있어 질문할 때 귀 기울여 들어 주 니 관계도 좋아 지고 아이들 사이에서도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 주는 선생님으로 친구 의 역할 모델이 되었는지 아이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준 것 같습니다.(다수의 아이들을 가르칠 때는 은연중에 한아이 한 아이 신경 쓰지 못하게 되는데 질문의 시간을 정식으 로 갖고 마음껏 질문 하게 하니 질문 내용으로 볼 때 아이들이 성숙했다는 생각도 들고 발표력에도 도움을 준 것 같았으며 아이들과의 교감에도 많은 영향을 준 것 같아 뿌듯 했습니다.)
사물악기가 된 도깨비 노래 익히기
후반기
사물악기가 된 도깨비 장단에 맞추어 연주하기 국악 동요에 맞추어 무용 만들어 보기
16~25
도깨비 방망이와 옷 등 도구 만들기 발표
문학
- 중요한 주제나 꼭 전달해야 할 교육적 주제가 있을 때는 어법을 달리 하여 고음으로 말하는 등의 말하는 기법에 있어서도 율동적인 요소를 더 했더니 아이들이 재미있게 받아들이는 것 같았습니다. 좀 더 즐거운 수업을 위해 많은 교수법을 계발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짝쇠 가락 익히기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구음이 완벽히 익혀지면 바닥 장단.
미술
- 말 한마디도 놓치지 않는 귀가 열린 시기의 아이들에게 품행을 올바르게 해야겠다는 생각도 한 번 더 하게 되었으며 아이들에게 눈높이를 맞추어 주제를 제시 할 때 아이들 은 얼마든지 교사의 주제를 따라 학습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국악은 어려 운 것이 아니라 어떻게 제시 하느냐의 교수법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는 생각 또한 하 게 되었습니다.
음악
- 초등학교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선 천천히 말하고 조금씩 주제를 던져 주어야 하며 아이들과의 관계가 좋아야 아이들이 학습을 잘 따라 온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이효정
세부전공
A -0127
국악
40분
초등 고학년
▶
도깨비와 함께 즐기는 흥겨운 우리 마당
수업주제
▶
사물놀이와 국악동요 국악동요를 모티브로 한 연극 형태의 극음악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초등/중고등 기본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
사물놀이와 국악 동요의 만남을 통한 국악과 음악의 통합화를 시도, 이를 연극형태의 무 용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현시대에 걸맞은 융합 교육을 지향한다. 다각적인 면에서의 예술적 자극으로 아이들의 감성을 자극하여 한편의 극으로써의 사물 악기가 된 도깨비를 한 학급 구성원이 다 함께 참여 , 만들어 봄으로써 예술적 경험 뿐 아 니라 작은 사회를 경험하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다.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사물놀이(영남 농악 중심) ▶
사물악기가 된 도깨비라는 곡을 이해 , 가사의 내용을 살펴 극으로 표현 사진
주요 교육내용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영화
수업명
국악(가야금) 연극
이현정
지원분야(세부 분야)
국악과(가야금)
학급 전체가 음악과 극을 만들어 보는 시간
2014년 ‘광명시 찾아가는 전통음악교실’연주 참여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공예 디자인
- 도입 -인사와 전 차시 배운 사물악기가 된 도깨비 곡에 맞추어 노래 부르며 사물악기 연주 - 전개 -각 도깨비들을 뽑고 함께 몸동작 만들기 (각 도깨비군은 정해 모두 다 함께 참여) -각 도깨비군 별로 노래를 부르며 몸동작 연습 -발표 도깨비를 뽑고 노래군 연주군도 나누어 연습 - 마무리 -발표(각 파트별로 고르게 발표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사물악기를 연주 하면서 도깨비들이 각자가 만든 자신의 역할을 무용으로 표현, 노래를 부르며, 하나의 극음악을 만들어 본다. -다음 차시 예고와 인사 (인사굿)
2015.01~2015.02 서울 버들초등학교 (문에체강사)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아이들이 가사를 외우게 됨으로써 각 악기가 표현하는 자연을 자연스럽게 인지, 악기가 가지는 느낌을 습득할 수 있다. - 어렵다고 생각하는 국악을 재미있는 요소들과 접목시켜 즐겁게 학습 할 수 있으며 놀이 형태로서 수업을 진행, 아이들에게 다 양한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 노래 , 연주 , 무용의 여러 요소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다각적인 면에서 교육적 자극을 주는 계기가 된다.
2015.08~2015.12 서울 동마중학교 (자유학기제) 2015.09~2015.12 화성 정림초등학교 (방과후) 미술
- 사물놀이를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요와 접목시킴으로써 보다 쉽게 흥미 유발과 즐거움을 느끼게 할 수 있다.
2015.03~2015.07 안양 호원초등학교 (전통문화교실)
음악
- 한편의 극음악으로 무대에 올릴 수 있다.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 모두 다 함께 극음악 형식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발표력을 기르고 자신의 흥을 발산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 현시대에 맞는 복합적인 예술 활동을 통해 사회를 이해하고 현 예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깨비 옷, 도깨비 방망이, 사물악기, 분장도구, 오디오,
미디어아트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일반 오페라 공연처럼 무대와 악기를 연주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함으로 다목적실이나 체육관 , 악실에서 탁자를 밀고 공간을 문학
확보해 연주 파트와 노래 파트 연극(무용)파트를 나누어서 공간을 활용한다.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예시) 2015년 3월~12월
교육 방향
▶
우리음악을 생소하게 여기는 아이들에게 노래와 놀이표현을 통하여 건강한 심신을 기 르며 잊혀져가는 전통문화를 즐겁게 체험 한다.
▶
- 교과서에 나오는 전래동요, 전래놀이를 익혀본다 -주제에 맞는 이야기 들려주기 -차시마다 교과서에 나오는 전래동요 익히기 -노랫말 바꿔 불러보기 -노래를 부르며 신체 표현을 해본다 -주제에 맞는 교구를 활용하여 전래놀이 해보기 -음악에 맞는 장단쳐보기 - 별달거리 장단 사물악기 연주해보기 -스토리텔링을 통해 사물악기 소개하기 (사물악기가 된 도깨비) -별달거리 장단의 구호를 아이들의 수준에 맞게 바꿔 배워보기 -사물악기로 별달거리 장단 연주하기 - 악기로 연주해보기 -우리나라 대표적인 조기교육악기인 가야금으로 간단하 전래동요를 연주해보기 (강사가 악기를 가지고 감)
주요 교육내용
연간 교육주제
▶
‘소금, 가야금’ 우리 제법 잘 어울려요~
“서로의 소리에 귀기울여보자”
기획의도
▶
합주는 학생들에게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협동심을 길러줄 뿐 아니라 서로 간의 상호작용과 협조하는 마음을 일으켜 서로를 촉진하는 동기유발로 이어진다. 국악기의 대표적인 조기교육 악기인 ‘가야금’과 소리내기 용이하며 휴대가 간편한국악기 ‘소금’을 합주하며 악기들이 만들어내는 화음을 통해 음악의 진정한 매력을 느낄 수 있다.
기간
사전방문 (3월)
교육회차
- 가야금 댓수와 (단소+소금) 유무 확인 - 교육회차 상의
1
1~3
공예
- 가야금의 역사 알아보기 - 가야금의 다양한 자연의 소리 느껴보기
사진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만화애니
초등학교 저학년 (예 : 초등학교 귀국반)
영화
▶
연극
교육가능 교급
- 가야금이란 (역사, 구조, 연주자세 대해 알아본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 오른손 주법 익히기 (2번, 1번, 튕기기 익히기) - 연습곡 봄, 비행기, 학교 종 - 가야금의 음계 익히기 - 외국에서 살다온 우리음악에 생소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처음 15차시 수업을 예상했으 나 아이들이 우리음악에 대한 관심도와 흥미가 높아 총 25차시 수업으로 시간을 늘렸다.
▶
- 소금이란 (구조, 호흡법, 소리내기 연습하기) - 소금 평취 연습 (비행기,봄,)
- 우리음악에 생소했던 아이들은 쉬는 시간마다 배운 노래와 놀이를 스스로 반복하 였으며 25수업차시 수업이 마무리된 후 세마치, 자진모리, 휘모리, 굿거리 장단, 별달 거리장단 ,교과서에 나오는 전래동요를 익히게 되었다.
- 소금 역취 연습 (새야새야, 남생아놀아라)
4~7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전반기
- 소금 저취 연습 (아리랑)
- 담임선생님께서는 학급의 특수성을 잘 고려한 수업이었다고 하시고 다음연도의 수 업을 다시 부탁하셨다.
▶
- 전래동요를 가르치면서 다양한 교구와 새로운 놀이를 개발하려고 노력했으며 재미 있는 영상자료들도 많이 준비하여 아이들이 항상 재미있고 기다려지는 수업이었다고 생각한다.
중반기
음악
8~11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가야금 (홀로아리랑+아리랑 연주) - 소금 (홀로아리랑+아리랑 연주) - 가야금, 소금 합주 연주
- 외국에서 온 아이들의 특성상 의사소통이 가끔 힘들었던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11~15
미디어아트
후반기
- 축제 ost ‘꽃의 동화’ 가야금 파트 연습 - 축제 ost '꽃의 동화' 소금 파트 연습 - ‘꽃의 동화’ 합주 연주 - 작은 음악회 발표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국악
15차시
교육대상 중등, 고등 전 학년
▶
일상에서 만나는 우리음악
수업주제
▶
우리 음악과 가까워지기
▶
- 학생들이 직접 일상에서 들어 본 우리음악들을 함께 찾아보며 관심이 소홀했던 우리음 악 문화에 관한 이해를 가진다.
세부전공
A -0106
지원분야(세부 분야)
국악(가야금)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교육목표
국악과(가야금)
초등/중고등 기본교과,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오산시 부산동
▶
갖게 한다. - 간단하고 다양한 우리악기 연주를 감상하고 악기연주에 대한 부담을 낮추고 기대감을 높인다.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주변에서 익숙하게 들을 수 있는 우리음악을 통해 우리음악에 대한 관심과 인식변화를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영화
수업명
이희수
연극
이효정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주변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우리음악을 찾아본다. ▶
- 영상자료를 통해 합주음악을 들어본다.
사진
주요 교육내용
- 선생님의 다양한 우리악기 연주를 들어본다.
단국대학교 국악과 30주년 기념 정기연주회 ‘협연’ “25현 가야금 협주곡 찬기파랑가”
수업내용
도입 - 학습목표 알기
- 우리악기 알아보기
전개
- 우리악기 소리탐색
- 발표하기
UCLA대학교 ‘초청연주’
- 영화에 나오는 우리음악 들어보기 - 축제 ost ‘꽃의 동화’ 소금, 가야금 합주 음악 들어보기 -음악을 듣고 악기소리에 대해 이야기해보기
제 14회 한,중 전통문화교류회 연주
2015 금우악회 제 16회 정기연주회
- 악기감상 (강사 연주) -현악기 가야금의 다양한 소리를 스토리텔링으로 들어보기 (뻐꾸기, 말발굽, 비 소리 등 연주) -관악기 소금 연주 들어보기 (홀로아리랑) -타악기 장구 연주 들어보기 (세마치장단,자진모리장단, 휘모리장단) -찰현악기 해금 연주 들어보기 (홀로아리랑)
현) 금우악회 정회원 활동
- 나만의 ost 만들기 -국악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가야금, 단소 의 음계와 음색을 알아보기 -선생님이 제시하는 화면에 맞는 음악을 어플리케이션 악기로 간단한 음악을 만들어보기 - 어플리케이션으로 완성된 곡을 짝과 함께 발표하기 -다음시간에 직접 연주할 곡 정해보기 -각 악기의 느낌에 대해 이야기 해보기
-가야금의 음계를 이해하고 악보를 보며 연주할 수 있다.
동양초등학교 방과 후 강사 와 동아리 연계 강사 활동 중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디어아트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안산시립국악관현악단 청소년 협연의 밤 ‘협연’ “가야금 협주곡 흥”
미술
평가 및 정리하기
정리
-우리악기의 역사, 종류 알아보기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음악 알아보기
단국대학교 국악과 제 3회 현악 정기연주회 ‘독주’
음악
- 국악기 어플리케이션 연주
예술활동 경력
디자인
- 가야금,소금 합주음악듣기
- 동기유발 자료보기 -주변 환경에서 볼 수 들을 수 있는 우리음악 찾아보기(예: 지하철 환승음악) -광고에서 볼 수 있는 국악기 연주자료 보기 - 학습문제 제시하기 가까이 있는 우리음악을 찾아보고 감상하며 직접 쉽게 연주해봅시다.
공예
- 동기유발
-정간보를 이해하고 악보를 보며 소금을 연주할 수 있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학
스마트 기기 , 음악교과서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6월~11월
교육 방향
▶
가야금을 통한 활동으로 학습자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고, 더 나아가 가야금뿐만 아닌 국악에 관심 을 가지게 함.
▶
-가야금에 대한 기본기를 알고, 다양한 악곡을 습득하여 연주 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3월~6월까 지 학습함(아리랑, 도라지, 산도깨비, 내고향의 봄, 개타령 등) -가야금 병창 ‘고고천변’을 6월부터 동아리와 방과후활동으로 연계하여, 학습함 -효 봉사 활동, 학교 내 발표 활동을 통해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고, 가야금에 대한 애정을 가지게 되었고, 무대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됨 -2015년 화성오산어울림 한마당 <유앤아이 센터 화성아트홀>에서 첫째날 발표 공연 -큰 무대 경험이후, 가야금에 대한 애착과 실력이 향상됨. -학생들 스스로 무대에 공포감 없이 애착을 가지고 준비하는 모습과 가야금 이외에 다른 악기에 도 관심을 가지는 등, 국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현 12월에도 계속 하여, 내년에 있을 대회를 준비 함. (침향무, 가야금산조)
주요 교육내용
연간 교육주제
▶
-가야금에 기본기를 알고 다양한 악곡 연주하기
기획의도
▶
-가야금에 대한 기본기를 알고, 다양한 악곡을 학습하여, 수업 내, 교내,외 등 다양한 곳에서 본인의 특색을 나타 내는 도구로 활용 할 수 있게 함. 또한 더 나아가 무대 또는 발표에 대한 공포감을 없 애 자신감을 가지게 하는 것과 수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국악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는 것이 목표
기간
교육회차
-학생의 수, 학습 그룹 분반 여부, 악기관리의 상태
사전방문 (3월)
-담당 수업을 통해 학교에서 얻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수용 -담당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얻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수용
2) 교육 성과 및 효과 오리엔테이션
-가야금에 대한 기본 지식 *가야금의 유래( 가야왕, 우륵, 낙이불류애이불비 ...) *가야금의 명칭 ( 안족, 현침, 부들, 돌괘...) *가야금의 종류 ( 산조, 정악, 25현, 18현 의 쓰임새 ) -연간 교육 주제 알림 *차시별 배울 것에 대한 악곡에 대한 전반적 설명 -고학년,또는 중,고생의 경우 *블로그 또는 sns, 카카오톡 단체방 등을 활용하여, 활동 하는 것에 대한 의견 수렴 (수업 참여자만 활동 할 수 있는 계정으로 외부적 위험에 안전함)
1 사진
- 참여자(학생)의 반응<학기초,무대경험 전> 3~5학년이 학년과 나이에 상관 없이 어수선한 분위기를 띄며, 가야금 활동보다는 다른 것에 관심 이 더 집중되어 있었음.
교육내용
만화애니
초등학교 3~5학년
영화
▶
연극
교육가능 교급
- 참여자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관계자의 태도 -동아리 활동을 방과 후 활동과 연계, 더 심도 있는 학습 분위기가 형성됨. <담당 선생님 & 방과 후 강사(본인)> -다양한 학습법을 사용 가야금에 흥미를 가지게 유도함
▶
▶
-기본적 학습 방법 + 변화된 학습 방법 + 흥미, 동기 유발 너무 흥미에만 치중 할 수 없기 때문에 기본적 학습 방법에 기반을 두고, 흥미적 측면을 보완 함 *예) 저학년 - 장단의 선행에 있어서 덩 기덕 쿵 구음 이외에 말놀이, 신체놀이를 사용 칠채(간짜장간짜장짜장짜장간짜장정말맛있어요) 세마치(친구랑 서로 신체 놀이하며 장단치기) *예) 고학년 - 배운 것 까지 동영상 찍어 공유하기
문학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 기본적인 학습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습득력을 파악한 후, 학년에 맞는 또는 학교의 분위기에 맞는 수업 방식을 선택하여 지도함 참여자인 학생 스스로 수업을 즐기고, 만족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는 긍적적 측 면이 강하다고 평가함.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참여자(학생)을 변화 시키기 위한 학습 방법의 변화 기본적인 학습 방법을 사용 (구음사용, 장단의 선행, 기본기 학습) 기본기에는 충실하지만, 다소 지루 할 수 있었던 학습 방법에 변화를 주고, 학생들의 흥미와 동 기를 유발 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하게 되었음.
음악
기본적인 학습 방법으로 지도 했을 때, 잘 학습해주는 학습그룹도 있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그만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가 직접 현장에서 느낀 것 을 바탕으로 저학년 또는 초등학생까지는 흥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중,고등 학생은 눈에 보이는 것으로 동기를 유발하는 방법을 선택 했습니다. 예를 들어 초등학생의 경우, 장단 하나를 배우더라도 신체 놀이나 말놀이를 통한 학습법, 고 학년과 중,고생의 경우는 블로그 활용 또는 카톡을 활용하여, 본인이 학습한 결과물을 눈에 보이게 하여 동기를 유발 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습니다. 현재 지도 하고 있는 5학년 그룹은 배운 것을 동영상으로 찍어 각자 공유하는 것을 좋아하며, 1,2학년 그룹은 말놀이, 신체놀이를 함께 지도 했을 때 더 빨리 학습하는 것을 직접 느낄 수 있었습니다. 사례) 5학년 여학생은 1학년 때부터 가야금 방과 후 학교를 시작하였습니다. 4년간 같은 선 생님께 지도를 받다가 이번에 새로 부임한 저에게 2015년도 가야금을 배우기 시작 했습니다. 전 선생님께서는 나이가 지긋하신 할머니 선생님으로 아이들에게 좋은 편한 선생님이 셨지 만, 가야금을 즐겁게 지도 하시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 학생은 가야금을 배우는 것에 대 해 실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자신감이 많이 하락된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계속해 서 친구들과 그룹을 만들어 동영상도 찍고, 서로 공유하면서 점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고, 10월에 있었던 발표회에서는 누구보다 더 잘하고 싶은 마음을 스스로 가지고, 쉬는 시간에도 연습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공예
- 참여자(학생)의 변화 (가야금에 대한 학습적 욕심이 생김) -스스로 가야금실에 방문하여 개인연습을 함 -고학년은 저학년보다 잘하기 위해 노력함 -다양한 악곡을 학습하고 싶어함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이희수
가야금
40*2 = 80분 기준
초등학교 고학년~ 중,고생
연극
강사명
▶
12줄 위에 크리스마스
수업주제
▶
가야금으로 크리스마스 캐롤을 연주 해 보기
▶
-산조를 연주함에 있어 국악의 박자체계를 이해하고, 장단에 맞춰 연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야금 (국악)이 지루 하다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여러 가지 악곡에 적용하는 것으로 아 이들에게 흥미로운 수업이 되는 것을 제 1목표로 한다.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를 활용 크리스마스에 특별한 선물을 직접 할 수 있도록 지도하 여,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게 한다. (실제 12월 22일 동양초등학교 5,6학년 수업 중 학습하여, 부모님과 친구들에게 영상을 전달 함)
만화애니
교육목표
영화
수업명
-기대효과 - 중중모리에 대한 장단세를 알고 연주 한다. ▶
-기대효과 - 가야금에 대해 좀 더 알아가고, 애정을 가지게 되는 것을 기대함 -수업의 효과 - 실제로 가야금에 대해 애정을 가지고 캐롤을 응용하여, 다른 캐롤도 직접
사진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해보는 등, 학습응용이 가능해 짐. - 이전에 학습한 중중모리 1~4장단까지 장구 장단에 맞춰 연주 할 수 있다. ▶
- ‘루돌프’ (합주)로 연주 할 수 있다. 공예
주요 교육내용
- 연주 한 악곡을 직접 서로 촬영하여, 공유하고, 전달한다.
수업내용 -배움 열기 - 인사 <경신-인사 (선생님 안녕하세요/친구들 안녕)>
10
-중심 배움
-오른손 수법-크리스마스 캐롤 ‘루돌프 사슴코’에 대한 악곡 설명 및 수법 설명을 한후, 단계별 학습 1. 파트 나누기 <1파트,2파트> 2. 파트 별 수법 설명 , 계이름 읽고 줄찻기 3. 단락별 악곡을 학습하고, 연주 해 보기 4. 그룹 지어, 연주 해 보기 5. 파트 바꿔 학습하기 6. < 2.3.4 >반복하기
20
미술
-배움 확인 -학습자 스스로 하고 싶은 파트를 선택하여, 그룹별로 영상 촬영 및 공유
음악
-배움 복습
- 전 차시 학습에 대한 복습하기 -중중모리 1장단~4장단 까지 연주 -중중모리 1장단 오, 왼손 수법 교정 -중중모리 2장단 오, 왼손 수법 교정 -중중모리 3장단 오, 왼손 수법 교정 -중중모리 4장단 오, 왼손 수법 교정 -중중모리 장단에 맞춰 1~4장단 까지 연주
4
- 중중모리 1~4장단에 대한 장단세에 맞춘 연주 - (다음차시 안내) 중중모리 5장단에 대한 안내
1
미디어아트
- 학습한 것에 대해 마무리 하고, 다음 차시에 대한 안내를 함.
-배움마무리 - 크리스마스 캐롤 ‘루돌프’
디자인
1 4
- 마무리 인사 < 인사(경신-선생님 안녕히 계세요, 친구들 안녕)>
문학
국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기본정보
부모님, 친구들 또는 여러 다른 사람에게 직접 만든 특별한 크리스마스 선물로 사용 할 수 있음.
준비물 및 필요물품
이름
장은아
세부전공
A -0055
지원분야(세부 분야)
한국음악 국악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실제로 미술시간에 만들었던 소품을 하교 시 가져가던 학생들이 가야금 수업시간에 활용하여, 영상을 촬영한 사례가 있음)
공간활용 계획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 기본교과
영화
교과연계
연극
스마트 기기 , 음악교과서-해당 학교에서 다른 수업 시간에 만든 머리띠나 소품 등을 활용 할 수 있음
무용
유형의 결과물 (영상)
경기도 일산서구 주엽동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이화여대 소속 금화악회와 연주회를 통해 연주자로 활동
공예
예술활동 경력
디자인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초등학교 저학년, 고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 ~ 12월
교육 방향
▶
노래, 기악, 신체활동을 통한 통합교육
▶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곡과 국악활동을 주요내용으로 하여 아이들이 몸으로 느낄 수 있도록 악기를 다루며, 놀이를 병행한다.
연간 교육주제
▶
- 한민족 다른 노래
기획의도
▶
- 우리나라는 작은 국토에 여러 방언들로 소리내어 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색 있는 말투는 노래 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각 지역별 방언과 함께 지역별 민요를 통해 하나의 민족이 부르는 여러 특징 있는 노래를 다루고자 합니다.
기간 주요 교육내용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 수업할 교실확보, 아이들 학년, 성향 파악 (전화로 파악) - 파악된 이야기를 토대로 연간계획서를 만들어 제출하며 선생님과 교육방향 논의, 수정
- 아이들과 수업시간에 사용할 음악언어 만들기 (인사, 집중 등에 필요한 음악언어) - 1년동안 함께 공부할 내용을 교과서로 살펴보기
1
만화애니
2) 교육 성과 및 효과
교육내용
영화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사진
- 아이들이 좋아하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방언을 찾아 각 지역별 방언에 대해 알아보고 특징을 찾아낸다. (2차시)
- 아이들이 국악을 낯설게 느끼고 꺼려하며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하는 음악이라고 생각하였 으며, 트로트를 국악이라 생각하며 거부함 ▶
지역별 방언의 특징을 보며 지역별 민요의 특징을 유추한다.
2~4
- 통속민요와 토속민요에 대해 알아보고 통속민요곡을 2차시에 거쳐 배운다. (3, 4차시)
-> 국악에 대해 바로 알고 우리전통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 국악시간을 기다리며 여 러 가지 곡과 악기를 다루는 것에 신나함 - 선생님들이 국악시간을 그저 강사가 와서 자신의 시간을 때워주는 것으로 인식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전반기
-> 국악시간에 함께 수업을 참관하고 적극적으로 배우려는 의지를 보여주심 - 유추했던 경기민요의 특징(시김새)을 기억하며 경기민요 특징을 살펴본다. 경기민요를 2차시에 걸쳐 배운다. (5 ,6차시) - 남도민요의 특징을 배우며 유추했던 특징과 비교한다.
중반기
동부민요를 2차시에 걸쳐 배운다. (11, 12차시)
-> 아이들을 파악한 후에 교과서 내용 뿐 아니라 함께 응용하여 배울 수 있는 신체활동을 첨가 ▶
5~14
- 동부민요의 특징을 배우며 유추했던 특징과 비교한다.
- 아이들이 수업에 대해 어디까지 받아들일 수 있을지 알 수 없어 교과서대로 수업함
- 제주민요의 특징을 배우며 유추했던 특징과 비교한다.
하여 집중도를 높였다.
제주민요를 2차시에 걸쳐 배운다. (13, 14차시)
- 국악시간에만 가서 활동하는 국악강사
음악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서도민요를 2차시에 걸쳐 배운다. (9, 10차시)
디자인
남도민요를 2차시에 걸쳐 배운다. (7, 8차시) - 서도민요의 특징을 배우며 유추했던 특징과 비교한다.
-> 수업시간 전에 미리 활동을 점검하고 국악교실을 확보하여 아이들이 쉬는 시간에 와서 악 기를 만져보고 질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민요에 사용된 가락을 배운다. (세마치, 굿거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 (15, 16차시)
후반기
- 배웠던 곡에 가락을 얹어 노래한다. (17, 19차시)
15~20
- 한반도 민요에 대해 정리한다. (20차시)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② 제재곡 ‘풍년가’의 특징 파악하기
3. 1회차 교육계획안
- 이 곡의 특징을 살펴보기 전에 다시 한번 감상한다. (전문가가 부른 풍년가를 감상한다.)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 이 노래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가사를 길게 늘여서 부릅니다.)
10분 40분
국악 교과
초등(6학년)
연극
장은아
- 곡의 분위기는 어떤가요? (경쾌합니다. 즐겁습니다.) - 이 곡에 나타는 음은 무엇인가요? (솔, 라, 도, 레, 미 5음으로 이루어 졌습니다.)
수업명
▶
풍년가
수업주제
▶
악보를 보고 풍년가 노래 배우기
교육목표
▶
- 시김새를 살려 흥겹게 노래 부를 수 있다. - 창부타령조의 특징을 이해 할 수 있다.
- 이곡의 여러 가사가 적힌 가사보를 나누어 준다. - 다시 한번 감상하며 가사를 빈칸에 채운다.
사로 바꾸어 노래 부르며 언어영역으로 확장 할 수 있다. - 곡을 통해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을 이해하고 국악에 흥미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
단 익히기는 넘어간다. (1차시밖에 시간을 할
④ 노래 익히기
- 풍년가는 풍년의 기쁨을 노래한 경기민요로 모든 계절을 노래한 ‘사절가’이다. 여러 가 ▶
* 1학기에 굿거리장단으로 시험 봤으므로 장
- 가사를 설명한다.
애하지 못하므로 넘어간다.)
- 선생님의 노래를 한 마디씩 듣고 따라 부른다.
5분
만화애니
주요 교육내용
- 이 곡이 4계절을 노래하여 ‘사절가’라고도 하는 것을 설명한다. 영화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③ ‘풍년가’ 여러 가사 익히기
- 여러번 반복하며 곡을 익힌다. - 시김새를 살려 노래 부르며 익힌다. - 1학기에 배운 굿거리장단을 살핀다.
- 노래 익히기 - 가사내용을 파악하며 가사를 바꿔 부르기
사진
⑤ 창부타령조 특징 이야기하기 - 곡의 분위기와 구성음을 살펴본다.
5분
* 전개부분에 초입에 했던 질문이므로 기억을 되살리도록
한다.
- 이런 특징을 가진 곡을 창부타령조라고 합니다. 창부타령조의 특징을
수업내용
누가 정리해 볼까요? 1/1차시
수업명
풍년가
학습목표
6학년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정리 (5분)
1. 시김새를 살려 흥겹게 노래 부를 수 있다.
① 모둠별로 노래를 불러 곡의 이해도를 확인한다. ② 다음차시를 예고한다.
장구
③ 인사로 수업을 마친다.
2. 창부타령조의 특징을 이해 할 수 있다. PPT, 가사보, 장구
학습단계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교수ㆍ학습 활동
준비물 및 유의점
디자인
준비물
대상학년
공예
(곡의 분위기는 경쾌하고 즐거우며, 음의 구성은 ‘솔, 라, 도, 레, 미’ 5음으
대상학년
지금과는 다른 옛 조상들의 삶을 유추해 보며 관심을 갖고 민요가 그 시절 상황을 반영함을 기억하고 가사에 더욱 집중할 수 있다.
① 인사로 수업을 시작한다. PPT 자료제시,
- ‘장장짚세기’를 부른다.
제재곡 듣기는 학생들의 곡 이해보다는 음정
③ 제재곡 듣기
익히기에 초점을 맞춰 I-scream 음원을 이용
- 풍년가를 들어본다.
한다.
(i-scream 음원)
준비물 및 필요물품 PPT자료, 가사악보, 장구
공간활용 계획
- 어떤 것을 노래한 것일까요?
무릎장단으로 연주할 예정이므로 음악실을 평소처럼 놓고 사용 가능
(풍년의 기쁨을 노래 한 곡입니다.)
PPT 제시,
- 우리 조상들은 왜 풍년을 기뻐하였을까?
장구,
고 한 해를 잘 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굶지 않
가사악보
미디어아트
(우리 조상들은 쌀을 주식으로 하여 주로 농사를 지었으므로 모든 사람들이 양식 걱정을 하였습니다. 풍년이 되면
미술
① 가사 내용 파악하기
학습단계
음악
도입
② 전시복습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조서영
세부전공
A-0274
지원분야(세부 분야)
국악과 피리전공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
초등학교 저학년 / 8~9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4월~11월, 2015년 4월~11월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 방향
▶
악기를 통해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고, 예술성을 길러준다.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에게 장구를 가르칠 때, ‘루돌프 사슴코’, ‘쿵푸 팬더 주제가’ 등 학생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음악으로 커리큘럼을 짰습니다. 전통 음악과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악을 골고루 섞어 장구로 표현함으로써, 흥미를 잃지 않게 하였습니다. 또한, 독주를 하면서 학생들은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합주를 하면서는 다른 학생의 연주에도 귀를 기울일 수 있도록 지도 하였습 니다.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2) 교육 성과 및 효과
2014.10.12. – 2013 아리랑 한국예술가곡 대축제
▶
- 선생님들께서는 학생들이 좋아하는 음악에 장구를 맞춰 연주하는 것을 동영상과 사진으로 찍어서 보여주시며 매우 흡족해하시고, 학생들이 장구 수업에 많은 흥미를 갖고 수업한다고 하셨습니다.
2014.10.16. - 청주시립국악단 서울특별공연
공예
예술활동 경력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사진
- 수업 초반에는 학생들이 지루해하고, 집중하지 못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수업에 집 중도가 올라갔으며, 스스로 적극적으로 친구들 앞에서 독주하겠다고 나서며, 다음 수 업시간에는 어떤 음악으로 장구를 쳐보자며 건의하면서 수업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2013.12.05. - 추초문 정악의 재해석 2014.09.25. - 청주시립국악단 제96회 정기 연주회 젊은 예인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주요 교육내용
영화
교과연계
연극
국악 (사물놀이, 단소, 피리)
2015.05.14.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G-1000일 2015.05.29. - 어울림
2015.09.04. - 조수미 그리운 날의 기억 2015.09.05. - 조수미 그리운 날의 기억
▶
- 수업 초반에는 기존 전통음악의 가락을 그대로 가르치면서 많은 학생이 흥미를 갖지 못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까 고민하던 중 ‘학생들 이 잘 알고 있고, 좋아하는 음악에 맞춰 장구를 연주해보면 어떨까?’ 하며 시도하였는 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입식으로 가르치는 수업이 아니라, 학생들이 능 동적으로 참여하고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수업으로 변화했습니다.
음악
2015.09.11. - 조수미 그리운 날의 기억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디자인
2015.08.30. - 조수미 그리운 날의 기억
2012.10.10. ~ 2013.07.10. -남한산초등학교 -방과 후 피리 교사
2014.04.01. ~ 2014.11.31. -양영초등학교 -단소 장구 수업 2015.03.02. ~ 2015.12.28. -보평초등학교 -방과 후 피리 수업 2015.04.02. ~ 2015.11.26. -양영초등학교 -단소 장구 수업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2014.04.01. ~ 2014.12.31. -보평초등학교 -방과 후 피리 수업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 국악과 놀아보자
기획의도
▶
- 학생들이 가진 생각과 느낌을 국악 또는 국악기를 중심으로 한 수업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함. 국 악 또는 국악기로 학생들의 표현능력을 높여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함.
사전방문 (3월)
교육회차
- 악기 구비 여부 - 학생 인원수 - 주의해야 할 내용 - 국악과 국악기가 매개체가 되어 자기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 국악, 국악기가 놀이와 결합해 흥미로운 수업을 만들 것입니다. - 국악 또는 국악기로 자기 생각이 담긴 음악을 만들어 볼 것입니다. - 국악기와 학생들이 좋아하는 리듬감 있는 음악을 결합해 즐거운 수업을 만들 것 입니다.
1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조서영
국악
40분
초등(저학년)
수업명
▶
I say 옹헤야, You say 어절씨구
수업주제
▶
우리만의 국악 만들어보기.
교육목표
▶
우리나라 민요 ‘옹헤야’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가사를 붙여본다. 자기표현의 기회가 되고, 전통민요를 더욱 쉽게 배울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요즘 학생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국악을 직접 배우고 참여하게 함으로써 흥미를 갖게 한다. - 자신들의 이야기를 예술적 콘텐츠로 재탄생시킴으로써 창의성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된다. - 자신들이 만든 노래를 친구들과 함께 부름으로써, 친구들과 교감할 수 있다.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옹헤야’ 민요를 배우고, 학생들이 자신의 고민이나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등, 자 신들만의 주제를 가사로 적어놓고 메기는 부분을 노래하면, 친구들이 그 노래에 받는 부분 을 같이 노래해 주면서 한 곡을 완성한다. 사진
<초등 교과 전래동요를 국악기로 연주해보기> - 초등교과에 나오는 국악을 접하기 쉬운 장구, 단소 등으로 정확히 연주해본다.
수업내용
2~5
전반기
6~15
30분
정리
10분
- 곡을 개사해 부른 느낌을 이야기해본다. - 다음 시간의 수업내용을 설명한다. - 선생님과 학생들이 인사한다.
<초등교과 전래놀이 배워보기> - 전래동요에 어울리는 전래놀이를 배워본다. - 전래동요에 맞는 놀이를 스스로 만들어본다.
중반기
<나만의 국악기 만들기> - 여러 국악기의 소리를 들려주고 어떤 악기일지 상상해본다. - 자신이 상상한 악기를 직접 만들어 본다. - 자신이 만든 악기로 좋아하는 곡을 연주해본다.
16~25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26~35
- 선생님-옹헤야 악보, 옹헤야 동영상 / - 학생-노트, 필기도구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후반기
미술
친구들과 함께 팀이 되어, 기존의 곡을 하고 싶었던 이야기 혹은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로 개사해 불러보면서 수업의 흥미가 높 아지며, 자기표현의 기회가 된다. 우리가 만든 곡을 친구들과 함께 불러보며 교우 간의 친밀감이 형성되고, 협동심이 길러진다.
<나만의 국악 만들기> - 쉬운 전통민요를 배우고, 민요 멜로디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 또는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부모님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등을 개사하여 불러본다. - 친구들과 팀을 만들어 하나의 주제를 정해 가사를 적어 우리만의 음악을 만들어 본다.
음악
전개
- 민요 ‘옹헤야’를 배워본다. - 3~4명이 팀을 만들어 기존 가사를 개사할 주제를 정한다. - 정해진 주제로 개사해본다. - 바꾼 가사를 넣어 다시 불러본다. - 바뀐 ‘옹헤야’를 친구들과 함께 불러본다. - 다른 팀들이 바꾼 가사의 내용을 잘 들어본다.
도입
선생님과 학생들이 인사한다. 오늘의 수업목표와 내용에 관해 설명한다. 민요 ‘옹헤야’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기고 받는 형식) 민요 ‘옹헤야’를 들어본다. 들어본 소감을 이야기해본다.
디자인
<초등교과 전래동요에 맞춰 악기, 소품으로 표현해보기> - 전래동요를 배우고, 가사에 어울리는 율동을 소고로 표현해본다. - 전래동요를 배우고, 가사에 어울리는 율동을 한삼으로 표현해본다. - 전래동요를 배우고, 가사에 어울리는 율동을 부채로 표현해본다.
20분
-
공예
- 초등교과에 나오는 국악에 자신의 느낌대로 악기를 연주해본다.
반에서 팀을 만들어 수업하므로, 팀들이 모여 앉아 논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진행할 것입니다.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주연아
세부전공
A - 0 57 9
지원분야(세부 분야)
음악극 공예(미술콘텐츠)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학교 고학년 / 12~13세
교육가능 기간
▶
2013년 10월~12월
교육 방향
▶
국악을 이해하고 자신을 표현하기
주요 교육내용
▶
전래동화 심청전을 읽은 후 음악교과서에 나온 민요를 삽입한 창작음악극대본을 만 들어 보고 기승전결 4개의 조로 나누어 해설자, 고수, 배우, 스텝 등 각자 역할에 맞게 민요와 그에 맞는 장단을 배운 후 하나의 극 형태로 발표하기
초등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하남시 덕풍북로
2) 교육 성과 및 효과
음악극 산불
▶
-흥미로운 대사와 연출로 인한 즐거운 분위기형성과 팀별로 드라마를 나누어 소극적 인 학생들도 적극적으로 변화하는 긍정적인 경쟁을 하며 사제 급우들 간에 부드러운 관계가 형성됨 -국악을 배웠던 학생이 있는 반은 그 친구를 자랑스럽게 여겼고 음악극을 준비하며 흥미를 느낀 학생들이 국악학원 및 진로방향을 물어보기도 함.
음악극 서울의 착한여자
공예
예술활동 경력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사진
-다소 지루하고 어려울 수 있는 국악을 재미있는 음악극으로 창작하여 모두 참여 할 수 있도록 함
창작음악극 아버지의 꿈 음악극 하얀동그라미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영화
교과연계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연희극 변강쇠전 마당극 삼년고개
음악극 산국 KBS2 윤도현러브레터 코러스
-짧은 시간 동안 음악극을 준비하며 완성도가 높지 않아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변화 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며 행복했으며 보람과 고마움을 느낌 ▶
-대부분의 아동들이 재미있게 국악을 접할 수 있도록 많은 연구와 자료 수집을 하며 교사의 재능과 노력으로 국악을 접한 아동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기뻤고 전통음악을 알리며 더욱 발전시킬 수 있도록 더 노력을 해야겠다고 느낌 음악
연희극 조선스토리텔러 전기수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디자인
소리극 청이
EBS 방귀대장뿡뿡이 뮤지컬
서울잠동초등학교 음악수업 서울송파초등학교 음악수업 액터즈갱연기학원연기수업 버시액팅연기학원소리수업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서울면남초등학교 음악수업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 함께 돌자 강강술래
기획의도
▶
- 다소 어렵게 느낄 수 있는 전통음악을 친구들과 함께 놀이화하여 쉽게 다가가 성취감을 높이고 그 안에서 우리민족의 동질감과 자긍심을 느끼며 또한 전통 음악과 소통을 통한 즐거움과 공감대 형성 및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기대함
기간
교육대상
주연아
국악
40분 (2차시 / 35회 )
초등(고학년)
수업명
▶
강강술래
수업주제
▶
지혜로운 전술 강강술래
교육목표
▶
-강강술래의 관련영상을 보고 의미와 유래를 알 수 있다. -중중모리장단을 익힐 수 있다. -메기고 받으며 노래를 부를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교육대상자확인 - 교육장소와 기자재확인 - 인사 및 자기소개하기 - 연간 계획을 통해 수업 내용 알리기 - 국악하면 떠오르는 것과 국악에 관해 아는 것 말해보기 - 국악 인사를 배워보고 마무리하기 - 강강술래 강강술래의 관련영상을 보고 의미와 유래 알아보기 및 노래와 장단배우기 - 자진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 노래와 자진모리장단을 익혀보고, 강강술래 동작 배우기 - 강강술래와 자진강강술래 강강술래와 자진강강술래를 연결하여 장단에 맞춰 외워서 불러보고 신체 활동으로 연결하여 보기 - 메기는 소리 바꾸어 불러보기 강강술래와 자진강강술래를 연결하여 장단에 맞춰 불러보고 한명씩 메기는 부분의 가사를 직접 창작하여 메기며 동작하여 보기
2~5
-민족성과 동질감을 느낄 수 있다. -강강술래의 관련영상을 보고 의미와 유래 알아보기 -중중모리장단을 익히기 -메기고 받으며 노래를 불러보기
- 시작 인사굿하기
6~10
덩 안
21~25
30분
더더 안녕
덩 하
덩 세
덩 요
딱
T, S: 안녕하세요. - 출석점검하기 - 교육 목표 확인하기 -교육목표를 알아보고 이야기 나눠보자. T: 오늘의 교육목표는 ‘강강술래의 관련영상을 보고 의미와 유래를 알 수 있다, 중중모리장단을 익힐 수 있다, 메기고 받으며 노래를 부를 수 있다, 노래를 하며 신체활동을 할 수 있다.’ 입니다. 강 강술래하면 생각나는 것이나 해본 경험이 있나요? S: 사람들이 손을 잡고 노래하면서 춤을 춰요. 학교 음악시간에 배웠어요. 텔레비전에서 봤어요. T: 네 맞아요. 들어봤거나 불러본 경험이 있을 거 에요. 강강술래 동영상을 보고 이야기 나눠봅시다. - 강강술래 간단히 감상하기 가사내용 알아보고 느낀 점 이야기해보자. T: 영상을 보고 강강술래의 특징에 대해 말해볼까요? S: 노래가 빨라졌다 느려졌다 해요. 보름달이 보여요. 한복을 입고 춤을 춰요. 노래가 길어요. T: 네 맞아요. 강강술래는 한배에 따른 형식의 곡으로 빠르기의 변화가 다채로운 곡이에요. 지금부터 강강술래의 의미와 유래를 알아 봅시다. - 강강술래의 의미와 유래에 대해 알아보기 - 강강술래는 전라도 해안 지방에서 놀이와 함께 전해오는 남도민요이다. - 강강술래는 한자어로 ‘강한 오랑캐가 물을 건너오니 이를 경계하라는 구호의 의 미와 순수한 우리말로 주위를 잘 지키라는 구호의 의미로 풀이한다. -임진왜란 당시 우리의 군사 수가 많아보이도록 마을 부녀자들에게 남자 옷을 입혀 산자락을 돌게 한 이순신장군의 전술에서 비롯 되었다는 유래와 축제 때 마을에서 벌였던 농민집단원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전해진다. - 대보름이나 추석의 달 밝은 밤에 넓은 마당에서 여자들이 둥근 원을 만들어 손을 잡고 노래하며 춤을 추는 민속놀이이다. - 2009년 9월 30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T:강강술래의 여러 기원 중 대표적인 설로 명량대첩을 예로 들 수 있어요.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조선에 재침입하였는데 일본군에 전 멸하고 남은 우리 병사120명과 병선 12척으로 우수영에 진을 쳤을 때 일본수군 133척이 명량으로 진입하였는데 우리의 군사수가 많아 보이도록 마을 부녀자들에게 남자 옷을 입혀 산자락을 돌게 한 이러한 이순신의 전술로 강강술래가 비롯되었다는 유래가 있어요. - 제제곡을 익히기 T: 강강술래의 장단은 12박으로 중중모리장단입니다. 구음으로 따라해 보세요. 덩 덕쿵덕덕쿵쿵덕쿵 쿵 S: 덩 덕쿵덕덕쿵쿵덕쿵 쿵 T:다음의 손장단보를 보고 손장단을 맞춰 봅시다. T:손장단을 치면서 노래를 들어봅시다. -중중모리장단에 맞추어 양손을 치면서 듣는다. T:장구 반주에 맞추어 한 장단씩 듣고 따라 불러봅시다. -교사의 장구 반주에 맞추어 한 장단씩 듣고 따라 부른다.
미디어아트
-강강술래발표준비(1-1) 발표할 내용 알리고 계획 짜기 장소 및 준비물 확인하고 단체 및 모둠별로 연습하기 -강강술래발표준비(1-2) 전체 연습을 한 후 부족한 부분 집중연습하기 -강강술래발표준비(1-3) 전체 연습을 한 후 부족한 부분 집중연습하기 리허설 장소 및 준비물 점검하기 -강강술래발표준비(1-4) 의상을 갖춰 입고 발표할 장소에서 최종 리허설하기 -발표회 강강술래 발표하기 완성된 자신과 친구들의 모습을 보고 평가하기 및 칭찬하기
전개
덩 녕
미술
11~20
20분
덩 안
음악
- 청어엮기 청어엮기 풀기 노래를 배우고, 동작 익혀보기 - 손치기 발치기 손치기 발치기 노래를 배우고, 동작 익혀보기 - 덕석몰자 덕석풀자 덕석몰자 덕석풀자 노래를 배우고, 동작 익혀보기 - 대문놀이 :대문놀이 노래를 배우고, 동작 익혀보기 - 기습 곡 연결하기 3 청어엮기, 손치기 발치기, 덕석몰자 덕석풀자, 대문놀이 노래와 장단을 복습하고 연결하여 외 워 부르기 - 기습곡 연결하기 4 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 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꺽기, 개구리 개골청, 청어엮기, 손치기 발치기, 덕석몰자 덕석풀자, 대문놀이 노래와 장단을 복습하고 노래와 함께 율동으로 연결하기 - 꼬리따기 : 주의사항을 숙지한 후, 장단에 맞추어 꼬리따기 놀이 하여보기 - 기와밟기 : 기와밟기 노래를 배우고, 동작 익혀보기 - 술래놀이 : 술래놀이 노래를 배우고, 동작 익혀보기 - 기습곡 연결하기5 강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 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꺽기, 개구리 개골청, 청어엮기, 손치기 발치 기, 덕석몰자 덕석풀자, 대문놀이 꼬리따기, 기와밟기, 술래놀이노래와 장단을 복습하고 노래와 함께 율동으로 연결하기
덩 녕
디자인
후반기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할 수 있다.
수업내용
도입
중반기
-전통음악을 이해하며 혼자 또는 여럿이서 함께 노래를 부를 수 있다.
공예
- 남생아 놀아라 : 노래와 장단을 배우고, 남생아 놀아라 동작 익혀보기 - 고사리 꺽기 : 고사리 꺽기 노래를 배우고, 동작 익혀보기 - 개구리 개골청 : 시김새를 살려 노래를 익혀보고, 동작 익혀보기 - 기습곡 연결하기1 : 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 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꺽기, 개구리 개골청 노래와 장단을 복습하고 연결하여 외워 부르기 - 기습곡 연결하기2 : 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 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꺽기, 개구리 개골청 노래와 장단을 복습하고 노래와 함께 율동으로 연결하기
1
사진
전반기
교육소요 시간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분야
영화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문학
국악
5분
덩 랑
덩 사
덩 랑
더더 사랑
덩 합
덩 니
이름
탁혜림
세부전공
A -0619
덩 다
딱
지원분야(세부 분야)
기악(대금) 국악(대금, 소금, 단소)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T, S: 사랑합니다.
지원교육대상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거주지
중, 고등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돌봄동아리, 선택교과 자유학기제
영화
교과연계
연극
덩 사
기본정보 무용
정리
◉자세를 바르게 하고 앉아 학습정리하기 -강강술래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 한다. T: 강강술래는 어느 지방의 민요인가요? S: 전라도입니다. T: 강강술래는 언제 추는 민속놀이인가요? S: 대보름이나 추석이요. -교육목표 되짚어보기 T: 오늘의 교육목표는 무엇이었나요? S: 오늘의 교육목표는‘강강술래의 관련영상을 보고 의미와 유래를 알 수 있다, 중중모리장단을 익힐 수 있다, 메기고 받으며 노래를 부를 수 있다.'이었습니다. T: 네. 목표에 맞게 진행이 되었나요? S: 네 T: 모두들 아주 잘 했어요. 대단해요~ - 차시예고하기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설명한다. T: 다음 시간에는 한배가 변화된 ‘자진강강술래’를 배워봅시다. - 마무리 인사굿하기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다소 어렵고 헷갈릴 수 있는 중중모리장단을 기본박자에 맞추어 노래를 하였더니 조금 더 빠르고 쉽게 이해하였다.
교사장구1대, ppt자료, 강강술래동영상, 가사학습지
공간활용 계획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준비물 및 필요물품
제자리에서 바른 자세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뷔르츠부르크 음악대학 주최 공연
공예
예술활동 경력
사진
영사관 주최 독일 공연
2015. 8. 22 독주회 등 디자인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초등학교 고학년 / 12~13세
교육가능 기간
▶
2013년 3월~9월
교육 방향
▶
기본교과과정 중 단소예습 및 복습
▶
-
기획의도
▶
학생의 잠재된 특기, 적성의 조기 계발 및 표현력 형성 예술동아리 및 예술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전통음악의 우수한 인재를 발견하고 전통음악에 대한 어린이들의 관심을 높임 소금의 이론과 실기를 배울 수 있는 기회 제공
기간 주요 교육내용
단소 소리내기 반복학습 단소 율명 익히기 정간보 읽는 법 배우기 동요 및 교과서음악 익히기 음악수행평가 대비
사전방문 (3월)
2) 교육 성과 및 효과
교육회차
- 학생들에 대한 특성, 교육시설 확인 - 악기와 악보 보유 확인
- 자기소개 및 악기명칭, 구조 익히기 - 전통 음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자긍심을 심어주며 소금의 기초지식 익히기
1
- 소금의 각 명칭, 연주자세, 율명, 운지법 - 소리내기의 반복 학습 - 정간보 보는 방법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영화
▶
쉽게 배우는 ’소금‘ 연극
교육가능 교급
▶
2~6
- 운지법 연습곡
▶
전반기 - 소금의 저취, 평취 운지법 - 정간보 익히기 - 연습곡(비행기, 새나라의 어린이등)
초반에는 교육에 대해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고 아이를 상대로 수업을 진행하여 미숙 한면을 보였고, 오히려 아이에게 휘둘리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진행해야 하는 나의 교육커리큘럼과 학부모가 요구하는 학교수업대비 및 수행평가대비과정이 있었 기 때문에 차근차근 교육하였고 중반부터는 아이를 풀어주지만 진도를 나갈 수 있게 만드는 요령이 생기는 변화를 느낄 수 있었다.
- 시김새 연습하기 - 민요 배우기 (아리랑, 늴리리야. 새야 새야) - 장구 장단에 맞춰 연습하기 - 장단을 서로 맞춰주며, 민요 연주해보기 - 민요 총 복습하기
11~20 디자인
▶
7~10 공예
중반기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사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음악수행평가로 인한 학부모의 관심으로 단소레슨을 하게 된 5학년 학생은 학부모 의 관심에 비해 오래 앉아있기 힘들어하며 단소레슨 이외에 학원 및 과외로 시간이 많지 않았고 집중력이 좋지 않아 처음 단소를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2~3달이 지난 후 학생의 실력은 향상되었고, 오래가지는 못했지만 이전에 비해 집중 하는 시간이 늘었으며 단소에 대한 궁금증이 많아졌다. 음악수행평가도 상위권으로 끝나 학부모도 만족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에 알맞은 수준의 곡들을 선정하여 몇 번의 연습으로 할 수 있는 곡 들과 심화된 곡들을 적절하게 섞어 가르치면 처음에 못하겠다고 하는 아이도 심화곡 을 소화해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 시김새 복습하기 - 정악곡 이해하기 - 타령 1장 연주하기 - 장단에 맞춰 타령 연주하기
21~25
음악
후반기
- 소금 조별 발표 준비 - 조별 발표회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탁혜림
소금
45분
중등/고등(전학년)
소금! 너무 쉽다 전해라~
수업주제
▶
전통 음악에 대한 이해와 소금의 기초알기
교육목표
▶
- 소금을 이용해 국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기본연주의 바른 자세와 복식호흡으로 소리를 낼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만화애니
▶
영화
수업명
연극
강사명
- 국악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는 환경으로 국악에 대한 친밀감 상승 - 소금연주를 통한 정서안정
- 소금의 기본과정 지도 - 기본연주의 바른 자세 익히기
무용
사진
수업내용 강사 소개- 자기소개 시간
공예
소금관련 연주영상보기- 학생들의 흥미유발 소금 자세히 알기- 악기의 유래, 모양과 소리 살펴보기, 비슷한 서양악기와 비교해보기 소리내는 방법 알기- 복식호흡 익히기- 소리가 잘 나는 요령 배우기 바른 자세로 소리내기- 개인지도
디자인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소금의 소리를 낼 수 있다. 음악
한음을 5초이상씩 유지할 수 있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개인별 소금 / 소금교재 미술
공간활용 계획 교실 수업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권수진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A-0840
현대무용 무용(현대무용)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교육가능 기간
▶
3월~7월 (2010~2015년 실행)
교육 방향
▶
현대무용의 기본자세 이해하고 신체의 근력과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초등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주요 교육내용
▶
예술활동 경력
공예
<11차시~20차시> - 기본자세를 모두 이해하고 수행하는 차시이기에 하나의 완성된 기본자세의 순간을 담은 사진 을 보고 생각하기 - 처음 기본자세를 접했을 때와 익히고 난 후에 사진을 봤을 때의 차이점을 이야기하기 - 동작을 익히고 좀 더 큰 동작으로 자신 있게 수행 할 때 동영상을 촬영하여 자신의 모습을 보고 이야기 나눈다.
사진
<5차시~10차시> - 앞 차시보다 좀 더 높고, 큰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자세를 익힌다. - 이때 앞서 배운 기본자세의 방향과 속도를 비교하여 발전된 형태라는 것을 이해하고 수행한다. - 10~15가지의 기본자세들을 몸에 익혀 각 동작의 특성을 이해하여, 힘을 조절할 수 있다. - 근력, 유연성, 발란스 등 각 동작마다 필요로 하는 요소가 있기 때문에 연결되어지는 동작들마 다의 차이점을 잘 이해한다.
만화애니
<1차시~4차시> - 현대무용의 영상이나 사진을 보고 개념을 이해 - 공간을 이동하는 기본자세를 하기 전에 반드시 충분한 워밍업을 수행한다. (워밍업의 중요성 알 기) - 공간의 규칙을 정하고 (사선으로 2명씩 이동하기, 다른 사람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동선의 규 칙 정하기), 양방향 중 오른쪽이 우선임을 정한다.(한 동작에 오른손과 오른발을 먼저 익히고 반 대 방향에서는 왼손과 왼발 주도형으로 익힌다.) - 1차시에는 워킹과 기본 홉 위주로 가볍게 시작한다. - 2~4 차시에는 매 차시마다 2~3개의 새로운 기본자세를 익혀 반복 연습한다.
기본교과,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돌봄동아리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초등학교 4~6학년
영화
교과연계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2) 교육 성과 및 효과
2013.03.02.~2014.12.16. 안산 중앙초등학교 방과 후 재즈발레 강사 2013.03.11.~2015.12.03. 안양 비산초등학교 방과 후 재즈발레 강사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2013.03.11.~2015.12.03. 서울 금산초등학교 방과 후 방송댄스 강사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차시가 지날수록 자신감을 가지고 동작을 수행하고 자발적으로 질문하는 학생들을 위해 기본자세의 보충 자료들과 동작 시범을 위해 노력함. - 동작들을 익히고 난 후의 수업은 수월했으나 처음 도입부분에서 좀 더 다른 교수형태로 진행될 수 있 으며, 창작 수업과 연계해도 가능할 것 같음
미디어아트
- 기본자세 익히기의 주제를 가지고 15가지 이상의 기본자세들을 아이들이 부담스러워하진 않을까 걱정 을 했음
미술
2014.03.03.~2015.12.03. 안산 대월초등학교 방과 후 방송댄스 강사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디자인
2010.03.22.~2014.12.16 안산 성포초등학교 방과 후 재즈발레 강사
- 처음 도입 단계인 3주-4주차에는 매우 어색해하거나 동작 수행시 방향을 인지하는 것을 힘들어함 - 운동성이 크기 때문에 응원과 격려를 하며 수업을 진행함 - 1~4차시는 규칙을 잘 인지하고 수행할 수 있게 이해하기 쉬운 그림 또는 기호를 판서 또는 바닥에 표시하여 수행하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어짐 - 5~10차시에는 학생들이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갖고 세부 설명을 하지 않아도 집중하여 순서와 박자에 맞추어 수행함 - 운동성( 높이와 속도)을 이해하기에는 어느 정도 동작을 이해하고 난 후에 세부적으로 설명을 하였 을 때 이해하기가 더 수월했음 - 중반정도의 차시부터는 워밍업 시간에 유연성이 향상되었음 - 자기 차례에 강사의 동작의 교정요구를 집중 있게 듣고 다음 방향에서의 차례에서는 수정하려 노력 하는 모습이 보임 - 차시가 지날수록 점프와 속도를 이용하여 매우 자신 있게 수행함 -고학년이지만 4학년과 6학년의 신체 차이가 있기에 전체적인 동작법을 설명한 후 2인 1조가 되어 동작을 수행할 때 진행하고 있는 아이들 각각 개별적인 동작을 코칭하여 수업하니 하나의 동작이지만 각각 20명의 아이들이 20개의 질문과 관찰이 됨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따로 또 같이
▶
-미술 또는 사진의 예술작품 선정 후 질문과 탐구의 과정으로 또 다른 나만의 작품 완성하기 -다양한 시각으로 작품을 탐구하고 질문하여 그것을 나의 감정 또는 경험과 연결 짓는다. -이것을 토대로 나만의 작품을 만들고 처음과 같은 과정으로 다시 내 작품에 질문하여 원 작품과 내 작품을 비교할 수 있다. -하나의 작품을 여러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작품을 통해 예술을 경험하고 재 창작하는 과정 에서 나를 돌아볼 수 있다.
사전방문 (3월)
교육회차
- 교육 장소 및 시설 체크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권수진
무용
40분
초등학교 고학년 (4~6학년)
수업명
▶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나는 액션 페인터 헬렌 프랑캔 탈러의 작품을 보고 나도 액션 페이터가 되어보기 - 작품에서 나타나는 추상적 특징을 질문하기에 초점을 맞추어 작가의 행동기록을 찾아내기 - 질문하기를 통해 나오는 핵심 단어들을 몸으로 표현해내기
- 학생의 연령 및 담당 교사와 면담(시설 내 주의사항 등 알기) - 참여자와 함께 얼굴 익히기 (손잡고 둥글게 둥글게) - 서로 이름 불러주기 - 미술 작품, 사진을 제시하고 알아차린 점, 또는 궁금한 점 질문하기 - 옆 사람과 작품에 대해 이야기 해보기
- 탐구를 이끌어내는 질문을 통해 적극적으로 작가의 입장되어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
1 - Aerie 작품에서 알아차린 점은 ? - 내가 그렇게 생각하게 된 이유는? - 그룹지어 한 사람은 허공에 그림을 그리고 관찰자는 그 행동을 묘사해본다.
사진
- 활동 1 : 동작 탐구하기 - 오늘 아침 내가 경험했던 일들을 스케치하고 동작 만들어 촬영하기 - 활동 2 : 그룹 활동 - 2인 1조로 구성하여 대화 없이 서로의 작품을 보며 느낌을 노트에 스케치 후 서로 질문하고 경험을 이야기해주기 - 자신이 그린 핵심 동작 스케치와 상대방의 스케치를 비교 - 전체 작품 전시
- 탐구를 통해 나타나는 기법을 몸으로 경험하여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2~3
수업내용 <들어가기> <동기유발 및 주제 탐색> -수첩에 적은 내용을 발표하며, 핵심 기법들을 나열해놓기 -Aerie 작품을 다시 관찰하여 수첩에 적어보기
4~5
<움직임으로 나타내어 탐색> -Aerie 작품에 쓰여 진 핵심 기법들을 표현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했을까?(공감해보기) -핵심 기법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나의 그림에 간략히 수첩에 적어보기 -2인 1조가 되어 몸으로 표현해 내고 관찰한 상대방은 알아차린 점을 이야기해주기 -나의 작품 제목을 관찰자에게 이야기 하고 제목을 붙인 이유를 설명해주기
디자인
-안경에 관한 명상 - 정주리 작품 관찰하고 질문하기 - 무엇이 보이는가? - 그렇게 생각하게 된 이유는? - 묘사하여 작품의 동작을 따라해 보기 - 해석하기 - 이 작품에서는 어떤 분위기가 기록되어 있는가? - 작가가 우리에게 말하고자 하는 점은 무엇일까?
공예
-Aerie 작품을 보고 알아차린 점? 그렇게 생각된 이유를 각자 수첩에 적어보기 (5분소요)
전반기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기획의도
▶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생각나누기> -움직임을 해보고 난 후의 Aerie 작품의 작가의 심정을 이야기 해보기 -액션 페인터가 된 소감을 이야기하고 상대방의 작품을 관찰했을 때 어떤 마음가짐이었는지 수첩에 적어보고 이야기해보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6~7
Aerie 작품을 대해 나의 경험에 비추어 의미를 이야기 할 수 있다. 다양한 해석도 인정되고 서로 공감할 수 있다. 예술작품을 볼 때 작가의 입장이 되어 관찰할 수 있다.
빔 프로젝트( 또는 작품 사진), 스케치북, 색연필
8~12
공간활용 계획 교실5그룹을 지어 대형은 원형으로 토론하는 방식
미디어아트
후반기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 헬렌 프랑켄 탈러의 ‘에어리’작품 관찰하기 - 핵심 기법을 이해하여 동작으로 표현하고 내 동작을 다시 관찰하기 - 오늘 있었던 일들을 헨렌 프랑켄 탈러의 핵심기법을 이용해 작품으로 그리기 - 그룹별 관찰하고 질문하기 - 헨렌 프랑켄 탈러의 `솔라임프‘의 작품을 관찰하기 - 핵심기법을 이해하고 ‘에어리’와 ‘솔라임프’ 비교하기 - 작가의 입장이 되어 이야기 해보기
음악
중반기
- 4인1조가 되어 작품을 보고 일어났을 일들을 상상해보고 서로에게 이야기하기 - 작품의 스토리를 구성하고 노트에 적어본다. - 다시 노트에 적은 것을 바탕으로 5문장 정도로 이야기 해본다. - 작품의 스토리를 구성하고 노트에 적어본다. - 작품의 동작을 따라해 본다. - 해석하기 - 이 작품에서는 어떤 분위기가 기록되어 있는가? - 작가가 우리에게 말하고자 하는 점은 무엇일까?
작품은 맨 앞 칠판에 붙여 관찰 할 수 있도록 한다.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세부전공
김우진
지원분야(세부 분야)
A - 0 19 0
예술학부 무용학과(현대무용)/ 공연예술협동과정 무용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과연계
▶
중학교 저학년 고학년 (14-18세)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9월
교육 방향
▶
몸도 또 하나의 언어가 될 수 있다.
주요 교육내용
▶
내가 서 있는 곳_ 즉, 출발 지점부터 끝 지점까지 공간의 방향을 바꿔가며 이동할 수 있다. 나타날 수 있는 표현 효과는 _ 우리가 가깝게 알고 지나간, 공간의 사물을 인식하고 기억하는 과 정이다. 이것은 친구의 모습, 부모님의 모습, 선생님의 모습 등을 기억하는 기억력 깨우기
창의적 체험 활동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본동
만화애니
2) 교육 성과 및 효과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김우진 댄스프로젝트 대표 활동 2015.11월18-19 “그림속 그녀들의 이야기” 출연 2015.6월13-14 정기공연, 인천아트플랫폼 “아웃사이드” 안무 및 출연 2015.2월14, 아르코 소극장 “ 대학로예술생태계 프로젝트” 공동 협업작업 2014.10월10월6일 서울국제무용축제 청소년을 위한 “꿈 틀”안무 2014.6월28-29, 정기공연 인천아트플랫폼 “100W220W” 안무 및 출연 2013.10월13, 서울국제공연예술제 댄스컬렉션 “두 개 사이” 안무 및 출연/ 안무상 수상
인문계 고등학교. 예술대학교를 진학하면서 뜬금없는 진학과정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
공예
예술활동 경력
▶
- 중학교 과정에서 진행하던 수업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짝꿍의 짤막한 이야기를 듣고 그것을 간단하게 몸으로 표현하는 순간_ 몸의 언어로 표현해보지 않았던 학생 이 간단한 동작을 이용해 표현하는 모습에 학생도 즐겁고 바라보는 선생님도 즐거웠 던 시간이었습니다.
사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영화
거주지
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1) 교육개요
습니다. 연극이나 음악 ,무용공연을 한 번도 접해보지 않았던 저는 선생님께서 “무용해 볼래”단지 그 말 한 마디에 시작된 나의 무용 수업이 지금의 나로 성장시켜주었습니다. ▶
아이들에게 많은 지식과 예술적 표현을 많이 가르치기에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나의 말 한 마디가 또 다른 학생들에게 즐거움의 기억과 예술의 기억 그리고 더 나아가서 꿈의 기억을 찾아가는 수업이 되었다는 것이 너무 좋았습니다. 저는 아이들에게 꿈이 무엇
디자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일까? 나의 꿈은 무언인지 찾아가는 기억력 수업을 해보고자 여러 가지 창의적 수업을 해보려고 합니다.
중앙대학교 연희예술학부 실기강사_ 2014.3-현재 안양예술고등학교 실기강사_ 2013.9-현재 경기예술고등학교 실기강사_ 2012.3-현재 강원예술고등학교 실기강사_2010.3-2013.12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사람과 사람의 소통방식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는 언어를 사용하는 방법, 소리 로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몸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아이들이 ‘몸’을 통해 상호 교감하는 방법을 알아간다면 몸의 표현 또한 예술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생각하고 교과 수업에서 자 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작업을 진행하고자합니다.
교육내용
교육회차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김우진
무용
50*2
수업명
▶
몸도 또 하나의 언어가 될 수 있다.
수업주제
▶
일상의 움직임 발견
교육목표
▶
교육대상 중등(저학년, 고학년) 고등(저학년)
영화
기간
몸도 또 하나의 언어가 될 수 있다.
연극
기획의도
▶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움직임을 만들어 내기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가 오브제의 모양이나 움직임을 흉내내는 것이
오리엔테이션
몸의 언어는 의사소통을 하는 가장 중요한 감정 표현 방법 중에 하나이다. 감정 표현을 통해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소극적인 성향을 밝고 외향적 성향으로 변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자신을 돌아보는 넓은 사고를 갖게 된다. 일상의 움직임 발견 오브제를 통해 표현하기. 친구들과 함께 따라 해보기 등
수업내용 움직임의 발견. _첫번째_ 오브제를 통한 움직임의 발견 1 (준비물: 티슈 한 장) 1. 티슈를 한 손 위에 얹어서 떨어지지 않게 움직여 본다. 2, 티를 양손 위에 얹어서 떨어지지 않게 움직여 본다. 3. 티슈를 양손과 이마 위에 얹어서 떨어지지 않게 움직여 본다. 4. 위와 같은 방식으로 티슈를 하나씩 추가하여 몸 위에 얹어서 떨어지지 않게 움직여본다. - 하나의 단계가 끝나면 티슈 없이 각자가 움직였던 움직임 (기분, 동작, 장소, 흐름, 등..)을 기억하면서 움직여 본다. - 보이지 않은 티슈를 상상하면서 움직여 본다. Tip) 보통 티슈는 한 장에 두 겹인데 벗겨내어 한 겹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_ 두 번째_ 흉내 내기 통한 움직임의 발견 1
3. 입장을 바꿔서 움직여 본다. 4. 짝을 바꿔본다. -이긴 사람은 아주 느린 동작부터 시작하여 상대방이 자기의 움직임을 따라 할 수 있도록 돕고 점점 더 다양한 움직임을 시도해본다.
1. 모든 참가자가 움직임을 따라 할 리더를 뽑는다. 2. 리더의 움직임을 모두가 동시에 따라 한다. 4. 리더의 움직임과 지나가는 모든 동선을 시간을 두고 따라 한다. (이때 인원이 너무 많으면 그룹을 둘이나 셋으로 나눠도 좋다.) 5. 모두가 한번씩 리더를 경험해 본다.
미디어아트
후반기
미술
_세 번째_ 흉내 내기를 통한 움직임 발견2
3. 리더의 뒤에 일렬로 선다.
10) 너를 통해 만들어지는 나의 움직임 앞 사람의 동작을 보고 연관성이 있는 (방향, 공간, 형태, 높이 등..) 동작을 만들어 본 다. 11) 즉흥_접촉을 통한 대화 12)무용수 되어보기 13_ 안무가 되어보기
음악
1. 짝을 정한다. 2. 가위, 바위, 보를 해서 이긴 사람의 움직임을 먼저 따라한다.
7) 눈으로 듣고 몸으로 말하기 1 -상대방의 느낌이나 하고 싶은 말/ 생김새/ 하고 싶은 말 등을 자유롭게 표현해본다. 8) 눈으로 듣고 몸으로 말하기 2. 짝의 움직임을 보고 가장 인상적인 움직임, 호흡, 리듬, 등을 기억해본다. 9) 공간과 나. - 공간이 가지고 있는 여러 속성들을 들여다본다. 그 안에서 형성되는 몸과 움직임을 통 해 나를 위주로 한 주관적인 관점과 공간을 위주로 한 객관적인 관점을 기를 수 있다. 공 간 너로 부터 영감을 받아 움직임을 만들어보고, 네가 가지고 있는 움직임 을 통해 나의 움직임을 만들어본다.
디자인
4) 움직임에서 춤으로 1 짝을 정하고 . 먼저 호흡을 이용해 소리, 리듬을 만들고 그것에 반응하며 움직여 본다. 그러고 나서 역할을 바꿔가며 시도해 본다. 5) 몸으로 대화하기 1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사물을 몸으로 설명해본다. (예: 나무, 나비, 강물, 주전자 등..) 6) 몸으로 대화하기 2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감정 표함) 을 몸으로 표현해본다. (예: 바람, 햇빛, 설렘, 두려움, 배고픔 등)
중반기
공예
- 1) introduce _ 스트레칭, 일상의 움직임 발견1 (걷기, 서기, 달리기, 점프, 앉기" 를 이용하여 움직임) - 2) 움직임의 발견 오브제를 통한 움직임의 발견 1 (준비물: 티슈 한 장) / 흉내내기 통한 움직임의 발견 1,2 - 3) 움직임에서 춤으로 가) 호흡과 움직임 나) 음악과 움직임
조금은 편하면서도 자연스러운 표현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다.
사진
전반기
- 아이들의 수업 목표를 인식할 수 있게 수업의 방향과 전반적인 진행과정을 설명
다. 언어의 습득 과정도 부모를 따라 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된다. 몸으로 무언가를 표현할 때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한 반의 인원수 남녀 비율. 아이들의 출석 리스트 예술 강사 선생님이 알아야 할 아이들의 간략한 성향 파악.(참고할 부분이 있으면 꼭 숙 지 필요)
-그룹을 나눠서 혹은 짝을 지어서 함께 느꼈던 것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본다.
문학
국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기본정보
성향을 적극적이고도 밝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의 예술적 가치가 무엇인지 느끼고 각자가 가지고 있는 꿈을 생각하고 키워가고자 한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무용
무용이라는 놀이를 통해 아이들의 학교 생활을 적극적이고 친구들과도 잘 지낼 수 있는 사교성을 기르고 ,심리적으로 소극적인
이름
김재희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A -0182
공간활용 계획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초등
교과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토요 돌봄 동아리
거주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영화
아이들의 인원수에 비해 작지 않은 크기.
무용(발레) 연극
일상에서 필요한 휴지 몇 장./ 편안한 복장 준비
무용학과(발레)/ 교육학과(무용)
사진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화성시 문화재단 어린이아트인큐베이터 무용 강사 (지역아동센터 파견근무) 경기문화재단 토토 예술학교 무용 강사 (연극과 무용의 통합예술교육) 광명문화의 집 토요상상교실 무용 강사 (사진과 무용의 통합예술교육) 서울문화재단 지역연계 프로젝트 금천 무용 강사 (연극, 국악, 무용의 통합예술교육) 영통종합사회복지관 무용 강사/ 군포청소년수련관 무용 강사 능동초등학교 방과 후 발레 강사(2014우수강사인증) 서천초등학교 방과 후 발레 강사 한얼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무용 강사 소화초등학교 방과 후 발레 강사 곡선초등학교 방과 후 발레강사(2013우수강사 인증) 원당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무용 강사 팔달초등학교 돌봄 교실 창의무용 강사 광정초등학교 방과 후 발레 강사
디자인
발레누보 발레공연 및 권경미 발레단 발레공연 출연 유아 및 아동 무용 작품 공연 기획 및 안무
공예
예술활동 경력
음악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2016년 2월
교육 방향
▶
예술작품의 의미를 재창조하여 몸으로 표현하기
주요 교육내용
▶
- 생각하는 로뎅 작품을 보고 깊이 있게 관찰하기 - 로뎅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 각자의 생각 들어보기 - 그에 맞는 감정을 넣어 포즈 만들기
초등학교 1~6학년
▶
- 예술작품의 의미를 재창조하여 몸으로 표현하기
기획의도
▶
- 학생들이 이 수업을 통하여 다양한 예술작품을 감상해 볼 수 있으며 예술에 대하여 쉽게 접근해 가며 예술작품들을 직접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직접 오감을 자극하여 몸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체험을 할 수 있다.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 보여준 예술 작품을 모르는 학생들이 더 많았던지라 신기한 듯 쳐다보았고 집중해 서 관찰하는 모습을 보였다.
- 수업 대상에 대한 정보, 기자재( CD플레이어, 매트 등) 확인 - 수업공간과 수업요일, 수업시간, 전반적인 학교에 대한 숙지
- 마음열기 – 자기소개를 하면서 나를 상대방에게 알리는 기회를 갖고 내가 생각하는 무용에 대한 이야기 나 누기
- 마음열기 – 몸으로 나를 소개하기, 움직임이 있는 인사 - 몸과 친해지기 – 뼈와 근육이야기 ‘걸리버 여행기’에 나오는 거인의 그림자로 몸 구석구석 관찰하고 실제 나의 몸 형태를 그 려보기
- 직접 몸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여러 친구들이 모이면 더 풍성하고 멋진 모습으로 조각상이 탄생한다는 것에 뿌듯해하는 변화를 느낌.
사진
▶
교육회차
만화애니
2) 교육 성과 및 효과
교육내용
영화
▶
연간 교육주제
연극
교육가능 교급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 감각을 통해 구현하기 – 신체로 움직일 수 있는 동작을 이야기하고 동작 변형하기
전반기 즈만들기
공예
- 예술 작품의 의미를 재창조하여 몸으로 표현하기 - ‘생각하는 로뎅’작품을 보고 깊이 있게 관찰하고 그에 맞는 감정을 넣어 포
- 예술 작품과 연관성 만들기 – 지난 시간에 했던 생각과 감정을 토대로 모둠별로 브레인스토밍하고 스토리로 만들기 - 작품 속 역할을 입고 창작하기 – 스토리에 맞게 음악 선정을 해보고 움직임을 안무하기
▶
- 관련 있는 다양한 예술 작품 탐색하기 –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예술 작품 감상하기
중반기
디자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에서 예술 작품을 바라보고 생각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 에 대한 계기를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 - 예술 작품을 보고 표현하는 것에 있어서 학생들과 끊임없이 이야기를 나누며 소통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또 다른 배움을 이어나가는 계기가 됨.
- 관련 있는 무용 작품 다양화하기 – 예술 작품 탐색하고 모둠별로 관찰한 것에 대하여 이야기나누기 - 작품 속의 기본 움직임 표현하기 – 작품 안의 인상적인 장면을 발췌하여 직접 움직여보고 따라해 보며 모둠별 로 다르게 표현해보기
음악
- 나 그리고 우리 의미 창조하기 – 나와 우리 모둠만의 주제로 스토리 구성하기
안무 만들기
미술
- 의미 창조하여 안무 재구성하기 – 모둠별 스토리 구성에 이어 음악을 직접 선정해보고 스토리에 맞는 우리만의
후반기
- 모둠 발표 및 되돌아보기 – 우리만의 예술 작품을 만들어 모둠별로 발표하고 지금까지 여러 예술 작품에 대한 생각과 직접 만든 우리만의 작품의 의미 부여하며 되돌아보기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40분
박유나
교육대상
창의 무용
수업주제
▶
예술 작품의 의미를 재창조하여 몸으로 표현하기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무용(한국무용)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 로뎅의 조각상을 보고 다양한 생각의 이해심을 배우고 해석하고 분석할 수 있다.
무용학/체육교육
중,고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
영화
▶
지원분야(세부 분야)
A -0100
초등 3~4학년
수업명
세부전공
연극
무용
김재희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움직임을 통해 창의력과 표현력을 기를 수 있다. 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스스로가 예술작품을 통한 다양한 실습경험이 창의력 증진에 효과가 있다. - 생각하는 로뎅 작품을 보고 깊이 있게 관찰하기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예술작품을 직접 보고 생각하여 느껴보는 수업으로 오감을 자극하여 오랫동안 기
- 로뎅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 각자의 생각 들어보기 - 그에 맞는 감정을 넣어 포즈 만들기 사진
- 신체의 움직임 동작 변형하기 : 지난 시간 진행했던 신체로 움직일 수 있는 동작 중 각자 한 가지씩 선택하여 움직임의 변형을 1-2-3-4 카운트한다. - 예술 작품 생각 나누기 : ‘생각하는 로뎅’ 작품을 보고 조각상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이야기 나눔 - 조각상과 조각가 되어보기 : • 두 명씩 파트너를 정해서 한 명은 조각가, 다른 한명은 조각상 역할 나누기 • 조각가는 자신의 생각하는 감정의 의미를 조각상에게 부여하여 움직임 연출한다. • 움직임은 1-2-3-4 (4카운트로 정하여 네 동작을 연출함)-이때 조각상은 움직임의 순서 기억함 • 역할 바꾸기 --> 연습시간을 충분히 줌. • 음악과 함께 느낌을 실어 두 명이 동시에 움직이는 조각상을 표현하기(안무의 캐논형식에 맞게) - 소감나누기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디자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4.9-2014.12 2014 청소년 창의예술교육사업(대원고, 동대부속여고) 2014.3-2015.2 리라어린이집 무용 강사 2014.9-현재 Ing Story 전문직업인 강사 2008.3-현재 사랑어린이집 무용, 국악 강사 2015.4- 2015.11 곡란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무용) 강사 2015.7-현재 부곡중앙초등학교 돌봄 특기적성교실(무용) 강사 2015.8-현재 포일성모유치원 국악 강사 2015.9-2015.11 한얼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무용)강사 2015.10-2015-11 문화예술교육사 활용모델 발굴 지원사업 무용 강사(댄스팩토리-웹와치)
- 지난 한 주 이야기 : 지난 한 주 동안 나에게 가장 즐거웠던 일 이야기하기
공예
예술활동 경력
2013 끼리댄스 페스티발 “바늘구멍 속의 폭풍” 안무 2013 무용문화포럼이 선정한 안무가시리즈 5 “바늘구멍 속의 폭풍Ⅱ” 안무 2013 두리춤터의 테마가 있는 한국춤 시리즈 제10테마 소극장춤으로 보는 한국춤의 흐름 “괴다” 출연 2013 황재섭무용단 우수레퍼토리 “死者의 書 Ⅱ” 출연 2014 신촌축제 2014 작은 스테이지 “바다자욱, 바람기억” 안무 2014 차세대 안무가 페스티벌Ⅳ “Deep” 안무 한국무용음악협회·Inter-Kult주최 iNSPIRATIOn-two in motion Sound&Movement Project“死者의 書 Ⅱ”출연 김보람 전통 춤“합하여 변화하는 저울질Ⅱ” 출연 제28회 한국무용제전 글로벌 아트 춤 축제 창무회 팀“살-아리” 출연 제16회 드림 앤 비전 댄스 페스티벌 “존재의 차이” 출연 2015 삼성평택공장착공식 삼성무용단 공연 출연 2015 제96회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출연 2015 국민건강보험공단 주최 '아시아의 비만 실태와 관리전략' 국제 심포지엄 퍼포먼스 안무
수업내용
예상되는 유형 결과물 : 몸으로 만들어진 조각상, 또 다른 로뎅의 조각상 예상되는 무형 결과물 : 학생들의 관찰력, 협동심, 표현력, 상상력
생각하는 로뎅 사진, 음악, 포스트잇, 펜, CD플레이어, 매트
평면적으로나 입체적으로 주어진 모든 공간을 충분히 사용하도록 함.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9월~12월
교육 방향
▶
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자신의 감정, 생각 등을 몸으로 표현해보자.
주요 교육내용
▶
1. 무용 움직임의 기본자세 및 동작을 익혀 학생들의 유연성과 신체발달 도모 2. 음악과 영상과의 인터렉션의 기초 과정을 이해하고 체험하도록 하여 예술과 기술의 자연스러운 만남을 목표로 함 3. 움직임(무용)에 인터렉션(영상, 음악)을 접목한 작품을 창작해본다.
고등학교 저학년 / 17세
신나는 무브먼트
기획의도
▶
- 무용의 기초를 통해 스스로의 몸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가짐과 올바른 자세의 중요성을 알린다. - 무용에 대한 부담 혹은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인터렉티브 적인 요소를 소개하고 무용과 타 예술, 혹은 다양한 기술적 만남을 즐겁게 학습하고자 한다.
기간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교육회차
- 수업을 진행할 장소와 사용가능한 기자재들을 확인한다. -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나이, 성별, 특성을 확인한다.
- 예술에 대한 이해와 선입견 버리기 - 신체 인식하기 - 요가 및 필라테스 동작을 활용한 폭 넓은 범위의 표현과 움직임
2~5
6~10
공예
▶
- 학교와 학원만을 오가며 평소 자세가 안 좋고 움직임이 적었으며 무용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던 학생들이었다. 그러나 무용에서의 다양한 움직임 동작을 익히고 자신의 동작을 만들어 보며 자세 뿐 만 아니라 표현성 향상에도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 - 경쟁적 학습평가에 익숙하며 팀 활동에 대한 경험이 적은 학생들이었다. 그러나 집단별 프로젝트활 동과 작품 만들기 등의 팀워크 활동을 통해 경쟁이 아닌 협동을 통해 하나의 작품을 만들어 가며 사회 성 발달과 더불어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다.
1
사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강사소개 및 연간 교육내용 소개
만화애니
2) 교육 성과 및 효과 오리엔테이션
영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전반기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학생들 개개인 별로 이름과 특징을 빨리 외우고 기억하여 한명씩 친근하게 다가갔다. 또한 수업시간 전, 후로 아이들에게 먼저 다가가 안부도 묻고 외모를 칭찬해 주는 등의 방식을 통해 마음을 열고 선생님 에 대한 친밀함과 애정을 가지고 수업에 임할 수 있게 해 주었다. - 많이 경직되어있는 수동적 태도를 보고 무용 수업에서의 목표 및 내용은 일반적 학교수업과 다르다는 것을 분명히 해주고자 하였다. 경쟁하는 것이 아니고, 평가받는 것이 아니며, 한가지의 답이 없으며, 개개 인이 주인공이며, 다름이 가치 있는 것임을 알려주고자 노력하였다. 나는 예술교육을 강의하며 이 점을 가장 주의하고 매번 학생들을 만날 때 마다 그 중요성을 다시금 느낀다.
- 신체훈련을 위한 스트레칭과 트레이닝 - 게임을 통한 움직임 표현 익히기 - 움직임으로 상황, 감정 표현하기
11~20
후반기
- 함께 작품을 만들 팀원 구성 및 작품의 주제와 소재정하기 - 작품의 브로셔 만들기 - 팀별 소재(상황)에 맞는 움직임 발견 및 발전시키기 - 작품 발표 및 교육과정 마무리
21~25
음악
- 표현의 응용과 무대(공간) 구성의 기초 알아보고 경험해보기 - 무용과 타 예술(문학, 연극, 음악, 미술 등)의 만남 - 다른 관점에서 표현하기 - 다양한 무대 연출법(소품활용, 동선, 조명 등)을 알아보고 경험해보기
디자인
중반기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A -0745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다른 관점에서 표현하기 - 사고의 유연성
무용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身나는 舞브먼트
무용(현대무용)/무용교육
초등
교과연계
기본교과, 선택교과 , 토요·돌봄동아리
거주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3동
- 스토리 연출 - 아이스 브레이킹을 통한 고정관념 탈피 및 사고의 유연성 확장 - 남들과 다름이 가치 있을 수 있음을 느끼며 자신만의 스토리를 연출한다. - 생활 속에서 흔히 접하는 사물(도구)을 활용하여 본래의 용도와 다른 방법으로 표현한다.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중·고등 (전 학년)
추세희
영화
수업명
100분
교육대상
연극
무용
박유나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표현함에 있어서 단순 표현이 아닌 짧은 극의 스토리를 만들고 그 스토리 내에서 소품을 창의적으로 활용한다. 사진
수업내용
공예
1. 도입 (30분) - 인사, 스트레칭, 트레이닝, 지난 차시 복습, 본 차시 안내 2. 전개 (60분) - 조 편성, 재료 선택, 스토리텔링, 조별 발표
예술활동 경력 디자인
3. 정리 (10분) - 소감 나누기, 다음 차시 안내
기존의 사용법에 익숙했기에 과제수행 초반에는 난감해 하는 모습이 관찰될 수 있다. 팀 활동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 공유와 팀 웍을 통한 창의적 소품활용과 스토리텔링을 기대한다. 또한 이전 시간까지를 통해 배웠던 동작이나 구성을 활용하여 더욱 풍성하 게 연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편한 복장, 움직임 수업에 필요한 다양한 소품(휴지, 종이컵, 옷걸이, 양말, 마우스, 텀블러, 요가매트, 볼펜, 비닐봉지 등), 음악 플레 이어, 컴퓨터, 빔 프로젝터, 스크린
- 장소는 움직임 활동을 하는 동안 학생들이 사람 혹은 사물에 부딪히지 않으며 움직임이 가능한 크기 정도의 강당 혹은 교실이다. - 다양한 소품은 앞쪽 단상위에 올려놓고 프로젝트 활동 중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8월
교육 방향
▶
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자신의 감정, 생각 등을 몸으로 표현해보자.
주요 교육내용
▶
-
초등학교 4학년 (체육교과/표현활동)
리듬 표현의 의미와 특성 및 가치를 알 수 있다. 리듬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생각과 느낌을 즉흥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구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 ‘리듬을 움직임으로’
기획의도
▶
- 체육수업 표현활동으로써 학생과 함께 다양한 리듬유형을 이해하고, 신체활동을 통한 다양한 움 직임을 진행하고자 하며 창의력과 표현력을 기를 수 있는 활동을 하고자 한다.
기간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교육회차
- 학급 담임교사를 통해 학생들과 학급의 분위기를 파악한다. - 수업할 공간을 점검하고 필요한 준비물을 파악한다.
1
- 간단한 놀이를 통해 박자 이해를 돕는 놀이를 통해 동기유발을 한다. ex)- 기차 박수 놀이하기: 교사 가 손과 몸을 움직일 때마다 학생들은 ‘칙칙폭폭’ 소리와 함께 박수를 치게 한다.
사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교사소개 및 학생들의 개인소개를 한다. -리듬 표현 관련 동영상 자료를 보면서 리듬 표현에 대한 느낌을 이야기해 보게 한다. • 활동 1. 리듬 표현의 의미와 특성 알아보기 • 활동 2. 리듬 표현의 가치 알아보기 • 활동 3. 리듬 표현에서 배울 내용 알아보기
▶
- 왈츠 박수 놀이하기: 교사가 손과 몸을 움직일 때마다 학생들은 ‘쿵짝짝’ 소리와 함께 박수를 치게 한다. → 학생들은 리듬 요소인 박자를 이해하고, 박자의 변화에 맞추어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다.
2~4
- 리듬에 맞춘 다양한 움직임을 연결하여 작품을 발표할 수 있고, 바른 태도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 색깔을 보고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리듬에 맞추어 즉흥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여러 가지 소리를 듣고 떠오르는 생각과 느낌을 리듬에 맞추어 즉흥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5~7
공예
- 리듬 요소인 박자를 이해하고, 박자의 변화에 맞추어 다양하게 움직일 수 표현할 수 있다. - 리듬 요소인 빠르기를 이해하고, 리듬의 빠르기의 변화에 맞추어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다. - 리듬 요소인 리듬의 세기를 이해하고, 리듬의 세기의 변화에 맞추어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 다.
전반기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학생들에게 답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 스스로 생각하여 창작활동을 할 수 있게 과제를 제시해주거나 움 직임 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 학생들은 자신이 생각하지 못했던 다양한 창작활동을 할 수 있었다. 도한 신체를 통한 다양한 움직임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
만화애니
2) 교육 성과 및 효과 오리엔테이션
영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디자인
- 리본의 특성을 파악한 후 음악에 맞추어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 줄의 특성을 파악한 후 음악에 맞추어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 후프의 특성을 파악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음악에 맞추어 표현할 수 있다.
8~10
후반기
- 스카프의 특성을 파악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음악에 맞추어 표현할 수 있다. - 도구를 이용한 다양한 움직임을 리듬에 맞추어 연결하여 작품을 발표하고, 바른 태 도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 단원을 정리하면서 표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 했나 점검하고, 앞으로도 꾸준히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는다.
11~13
음악
중반기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추세희
무용
40분
초등(4학년)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한국무용
지원분야(세부 분야)
한국무용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리듬을 움직임으로’
지원교육대상
다양한 리듬을 통한 신체움직임 활동.
교과연계
- 신체활동을 통한 다양한 움직임활동 및 창작활동.
거주지
- 다양한 주제와 활동을 통한 창의적인 수업.
중∙고등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장차로
만화애니
수업주제
A - 0672
세부전공
- 신체움직임을 통해 건강한 체력증진. - 창작활동을 통한 창의력증진.
영화
▶
최지원
연극
강사명
수업명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리듬을 이용한 다양한 신체활동
2015년
- 리듬으로 인한 창의적인 신체움직임 - 창장활동으로 인한 창의력증긴
수업내용 ▣ 리듬 표현을 배우면 • 리듬에 맞추어 즉흥 표현과 도구를 이용한 표현을 할 수 있다. • 다양한 리듬 표현 활동을 통하여 신체 적응력의 뜻을 알고 실천할 수 있다. ▣ <활동> 리듬 표현의 의미와 특성 알아보기 • 리듬 표현의 의미 • 리듬 표현의 특성 - 리듬 표현에 관련된 다양한 표현 활동을 통하여 신체 표현력과 리듬 표현력을 기를 수 있다. - 단순한 악기 또는 도구 등을 활용하여 박자, 리듬의 빠르기, 리듬의 세기 등의 리듬 요소를 경험한다. - 다양한 리듬의 변화에 따라 표현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리듬감과 리듬 표현력을 학습한다.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4년 11월30일 제35회 서울무용제 폐막식 축하공연(전년도 수상작품)- 김선정무용단 ‘십이,후’ 11월16일 제35회 서울무용제 자유참가작 - 박영애무용단 ’느티나무에게 안부를 묻다‘ 10월31일~11월4일 신은주무용단 레지던스기획전 한.일 안무가 인큐베이션 10월12일 제46회 진포예술제 – 김선정무용단 ‘비나리, 열두마디’ 주역출연 10월1일 제17회SIDANCE 우리춤빛깔찾기– 신은주무용단’시간을 만지다‘ 출연 9월29일 제23회 전국무용제 대통령상 수상작 주역 출연 - 김선정무용단 ‘비나리, 열두마디’ 출연 8월1일 2014년 레지던스 운영 활성화 지원사업 기획공연 - 신은주무용단 ‘공감-또다른하나’ 출연 7월11일 일본 사단법인 유라비 단체 10주년 기념공연 초청공연 - 신은주무용단 전통 레파토리 공연 출연 2013년 11월14~15일 제 34회 서울무용제 경연대상 우수상 수상작 - 김선정 무용단 ‘십이, 후’ 출연 3월2~3일 렉나드댄스프로젝트 ‘What More’ 출연
• 다양한 리듬의 변화에 따라 표현 활동을 하면서 움직임의 리듬감과 리듬 표현력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2014.08.29.~2015.07.17 보평초등학교 – 아뜰리에 국악놀이 강사 2014.04.01.~2014.11.30 201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상상학교’ 강사 (인하대 문화예술교육원 소속) - 뮤지컬‘라이온킹’ 지도 및 안무 2013.09.24.~2013.12.03 용일초등학교 – 영어뮤지컬 에듀테이너 - 미디어 아트와 함께하는 디지털 창작 영어뮤지컬 / 모차르트야 놀자 마술피리 지도 및 안무
미디어아트
• 의자와 책상을 교실 뒤로 밀어 빈 공간을 만들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디자인
- 리듬 표현이란 박자와 리듬의 빠르기, 리듬의 세기와 같은 리듬 요소의 변화에 맞추어 여러 가지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술활동 경력
공예
• 리듬 요소를 이해하고, 리듬 요소의 변화에 따른 표현을 적절히 할 수 있다.
사진
11월3일 제36회 서울무용제 개막식 축하공연(역대 수상작품)-김선정무용단 ’비나리, 열두마디‘ 주역출연 4월~10월 예술인복지재단–예술인파견지원사업 참가 10월21일 Mexico Festival Internacional de DANZA EXTREMADURA 초청공연-신은주무용단 ‘Touching Time’ 출연 10월16일 제2회 PANAMA PRIZMA 한국대표 초청공연-신은주무용단 ‘Touching Time’ 출연 9월15일 제24회 전국무용제 – 박성식무용단 ‘망아’ 출연 7월28~29일 창무국제무용제 – 강지혜무용단 ‘Red more than I’ 출연 1월30일 윤미라무용단 창작 무보 – 강지혜 작품 ‘나를보다’ 출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교육 성과 및 효과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4월1일~11월30일
▶
- 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재능과 소질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 뮤지컬 ‘라이온킹’을 만드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학생들 스스로 들어 낼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 예술교육을 진행한다. - 즉흥, 연기, 움직임 등 다양한 예술교육 후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들 연을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 이 과정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성을 발달시키고, 함께 작업함으로써 며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
- 무용학원 수업을 제외하고 학교교육으로 고등학생들과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 고, 또 남고 학생들이었기 때문에 수업방식이나 교육방법에 대해 많이 생각해보면서 긴장이 되기도 하고 기대가 되기도 했다. 초반에는 남학생만 15명이 있는 그 공간이 너무 어색하고 불편하기도 했지만, 게임과 즉흥 움직임 수업을 함께 진행하면서 학생 들과의 벽이 조금씩 허물어지기 시작했다, 확실히 고등학생이라 소통도 잘되고 그들 의 생각도 정확히 알 수 있어서, 가르치는 선생님의 위치가 아니라, 그들의 어려움과 고민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친구의 모습으로 다가갈 수 있어서 나또한 즐거웠고 학생 들에게 점점 더 마음의 문을 열수 있었던 것 같다. - 그동안의 수업에서는 학생들에게 무엇을 더 많이 가르쳐주고 알려줄까에 대해서 만 고민했었다면, 이번 교육 사업을 하는 동안에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이 수업 안 에서 더 즐겁게 자기 자신을 표현하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했었던 것 같다. 더 많은 예술적 경험을 접할 수 있도록 나 의 전공분야인 무용뿐만 아니라 음악 연극적 요소들도 접해볼 수 있도록 자료도 많 이 찾아보고 주변인들에게 물어보면서, 통합적 예술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최고의 예 술교육이 될 수 있도록 노력했던 것 같다. 나의 교육 경험 중 가장 즐겁고 행복했던 교육기간이었으며 나 스스로도 많은 발전을 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던 것 같다.
결과물을 만 이 하나의 공 서로 격려하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공예
1. 신체적 움직임을 통한 자기표현 – 몸으로 말하기, 음악에 따라 감정표현하기, 즉흥 주제에 따라 움직이기, 라이온킹 영상을 토대로 동물들을 표현하기 등 2. 음악과 연극적 요소를 통한 예술의 이해 3. 라이온킹에 나오는 동물들의 가면과 의상을 직접 만들어보면서 캐릭터의 특징과 표현방법에 대한 이해를 넓힘 4. 뮤지컬에 등장하는 음악을 익히면서 감정과 느낌 표현하기, 직접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연습, 음악에 맞춰 안무해보고 움직이기 5. 직접 대본을 만들어보면서 자신만의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어보고, 라이온킹이 학 생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으로 재탄생 될 수 있도록 유도함 6. 예술교육 워크숍 ( STEAM교육에 대한 특강, 뮤지컬 ‘그리스’관람, 각 기관별 전공 강사들(무용, 연기)의 수업특강)
사진
▶
▶
-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함께했던 친구들은 부평고등학교 연극반 동아리 학생들 로, 이 사업 전에도 부평구 청소년 수련관에서 진행하는 교육 사업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예술교육을 경험해봤던 친구들이었다. 그래서인지 부평고등학교 학생들은 이번 사업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동안의 교육사업보다 규모가 큰 이번 사업에 기대를 가지고 있는 듯 했다. 또한 수련관 담당자 및 관계자들도 처음으로 수련관 내 의 프로그램이 아닌 외부 지원 사업으로 예술교육을 시도해보는 것에 대한 기대감이 컸던 것 같았다. - 연극, 음악 예술교육 경험은 있지만 무용 예술 교육은 처음이라는 학생들에게서 기대감도 있었지만 움직임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이 있었다. 그래서인지 초반에는 자신감 없고 소극적이었던 표현력이, 게임으로 움직임을 유발시키고 친구들과 스스 럼없이 몸을 부딪치고 맞대면서 부끄러움 없이 점점 움직임 표현에 있어 즐거움을 얻기 시작했다. - 뮤지컬을 그냥 본따 반복연습을 하는 것이 아니라, 뮤지컬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예술적 기능들을 직접 구성하고 시도해보면서, 그들만의 성격이 담긴 뮤지컬로 재탄 생시키자 개개인의 능력을 살릴 수 있었다. 그 결과 학생들의 참여도가 매우 높아졌 고, 각자 자신의 능력과 재능을 찾아가며 자신감을 얻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기관 담당자와 관계자들도 학생들의 이러한 적극적인 모습에 매우 만족해했다, 최종 결과보고회로 오른 공연을 통해서 학생들은 성취감과 만족감에 많은 즐거움과 뿌듯함을 느꼈고, 관계자들도 학생들의 끼와 재능을 보고 그들의 숨겨져 왔던 재능에 많은 박수를 보내며, 앞으로 더 적극적으로 이들을 위해 예술교육을 경험하게 해주겠 다고 다짐하셨다.
만화애니
주요 교육내용
고등학교 1,2학년 / 17~18세
영화
교육 방향
▶
연극
교육가능 교급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디자인 음악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모두가 주인공인 댄스컬 만들기
▶
- 즉흥을 통해 자신의 움직임의 패턴과 느낌을 알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자 함. - 음악과 영상매체, 연극적 요소를 통해 다양한 예술적 감각을 접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안에서 만들어지는 이야기들을 토대로 하나의 작품(댄스컬)을 구성해보고자 함.(예-학생들의 고민과 꿈에 관한 댄스컬 만들기)
교육회차
- 음악, 영상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 확인 - 작품을 만들어서 공연을 올릴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 조율
- 게임을 통해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 (학생들의 성격 및 반 분위기 파악) - 1년간 진행될 교육 주제 및 세부 진행 내용에 대한 설명
1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최지원
무용
1시간30분~2시간
중. 고등 (전학년)
수업명
▶
Ready, Action !!
수업주제
▶
상황, 분위기 별 즉흥주제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감정을 표현하면서 나의 마음 속 이 야기 알아보기
교육목표
▶
- 제시어, 제시상황만 주고 그 안에서 마음껏 즐기며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 스스로의 눈과 귀로 자기만의 길을 찾아갈 수 있도록 안내한다. - 무용, 움직임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 예술의 통합적 경험을 통해 자기 안에 내재되어 있 는 예술적 감각을 찾을 수 있게 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움직임활동을 통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 - 자신의 움직임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확고히 한다.
- 자기 자신에게, 상대방에게 집중하는 활동 - 게임을 통해 친구들 알아가기, 소통하기 - 붙어들어, 조각상 만들기 – 친구들과 자연스러운 신체적 접촉을 통한 친밀감형
2~5
주요 교육내용
▶
- 공간을 활용하며 다양한 방법과 느낌으로 걸어보기 - 다양한 음악을 통한 상황 제시 즉흥 움직임 - 시, 공간의 변화를 통한 즉흥 움직임 - 감정 변화를 통한 즉흥 움직임
- 움직임 데칼코마니 ! - 움직임 DDR, 움직임 무보
수업내용 6~10
- 한 가지 주제어로 팀별 즉흥 상황극 만들어보기(대사 없이) / 배우와 관객으로 나 - 뮤지컬 분석 및 이해를 통해 창의적이고 새로운 뮤지컬로 재탄생시킬 수 있도록 의견 제시 및 회의.
중반기
- 나만의 캐릭터를 설정하고 표현할 수 있는 것들 찾아보기(성격, 움직임, 외형적인
13~23
부분 등) - 자신의 이야기를 토대로 각 캐릭터들의 대사와 움직임을 정리해보며 대본을 마 - 뮤지컬 속에 나오는 음악에 맞춰 즉흥적으로 움직여보기, 종합하여 안무 짜보기. -별달거리 가락의 특징을 이해하고 바르게 연주한다. -우물굿, 덧뵈기 가락의 특징을 이해하고 바르게 연주한다. 해보기. - 연출, 조명, 의상, 분장, 음악 등 무대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마다 역할 분담하기 - 우리들의 이야기 – 뮤지컬 최종 연습 - 공연결이 될 수 있도록 연습한다.
24~27
미디어아트
-사물놀이의 처음과 끝이 연- 뮤지컬 속에 나오는 음악을 다양한 방법으로 재구성
후반기
미술
무리하기
음악
누어서 보고 서로 코멘트 해주기
<도입> - 몸 풀기 게임 - 상대방의 이름 부르며 공 주고받기 - 15명이 원으로 서서 순서대로 부르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부른다. - 자신의 이름이 불리면 바로 다른 사람의 이름을 부르고, 순서를 체크한 후 이름을 부르는 사람에게 공을 던 진다. (처음에는 공 하나로 돌아가며 부르고, 나중에는 공 4개를 동시에 던지며 복잡하게 이름과 공을 던지다) - 집중력, 전달력 향상에 포인트를 두는 몸 풀기 게임 - 기억력 향상+움직임 표현 몸 풀기 동작 만들기 - 시장에 가면 게임처럼 앞사람이 4카운트의 동작을 만들면 뒷사람이 앞사람동작+자기 동작 4카운트 만들어서 조별로 16카운트 혹은 20카운트의 몸 풀기 동작 만들기 - 4~5명의 조별로 몸 풀기 동작을 만들고 각 조별로 음악 선정하여 음악에 맞춰 조별로 발표하기 <활동> - 집중 훈련 - 눈 감고 서서 주의의 소리와 공기에 집중, 눈 뜨고 까치발 서서 중심 잡기, 눈 감고 까치발 서기 - 숫자 게임 : 동그랗게 원으로 선 후, 1-30까지 숫자 외치기, 상대방의 호흡, 느낌에 집중하기, 숫자를 동시에 외칠 경우 다 시 1부터 세기. - 거울 훈련 : 두 명씩 짝을 지어 마주본 후, 서로가 거울이 되어 상대방의 행동을 똑같이 따라한다. - 걷기 훈련 - 두 팀으로 나눈 후, 공간을 꽉 채워 걷는다. 이 때, 자연스럽게 걷되, 앞으로, 뒤로, 빨리, 느리게, 뛰기, 멈추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부딪히지 않게 빈 공간을 찾아 걷는다. - 한 사람에게 집중하며 걷기 (교사가 부르는 사람에게 집중하여 그 사람의 행동을 똑같이 따라하면서 걷는다) - 음악을 통한 상황 제시 - 슬픈 음악, 무서운 음악, 신나는 음악 등 다른 분위기의 음악을 차례로 틀고 각 음악마다 떠올릴 수 있는 상황을 생각하 고 표현하며 한 사람씩 걷기. - 시, 공간의 변화를 통한 상황 제시 - 비오는 날 질퍽거리는 진흙탕 걷기/ 한 겨울 빙판길 걷기/ 깜깜한 동굴 안에서 입구를 향해 걷기 등 - 감정의 변화를 통한 상황 제시 - 기쁨, 환희, 즐거움을 표현하는 걸음 - 슬픔, 우울, 좌절을 표현하는 걸음/ 분노, 짜증을 표현하는 걸음
디자인
- 내 마음의 소리 – 상대방의 소리에 반응하여 움직이기 - 라반움직임분석표를 통한 움직임 무보 만들기 및 시연하기 - Ready, Action! - 즉흥 움직임을 통한 나의 마음 알아보기 - 댄스비디오 만들기 – 안무 의도, 주제, 공간, 음악 등 설정하여 1분 이내의 댄스비 디오 만들기 (예시 댄스비디오 감상) - 뮤지컬 ‘Fame’ 의 한 장면을 보고, 극 속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나의 이야기로 대 체시켜보기. (뮤지컬은 학생들과 상의 후 변경가능)
공예
성.
전반기
사진
-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 움직임 표현에 대한 부담을 없애는 몸풀기 게임 - 나의 몸 깨우기 – 온몸으로 말하기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무용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연극
- 수업 안에 했던 여러 가지 즉흥들을 토대로, 예술가가 되어 자신의 이야기를 전달한다. (음악선곡, 움직임, 상황 설정, 1분이내의 짧은 이야기) -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면서 자신이 고민하고 있는 것 혹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조금씩 명확해진다. - 상대방의 행동에 집중하면서 움직임으로 소통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걸음걸이 하나만으로도 다양한 연기와 감정전달이 가능함을 알 수 있고, 움직임으로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 각자가 생각하는 것이 곧 정답이고, 그것이 바로 나만의 예술작품이 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고 자신감과 성취감을 높인다.
영화
준비물 및 필요물품 - 편한 복장
만화애니
- 중간 사이즈의 가벼운 공 - 음향기기 - 다양한 분위기의 음악 (장르별, 테마별 음악 – 강사가 준비 )
공간활용 계획
- 즉흥 움직임을 할 때는 무대와 객석의 구역을 구분하여 표현활동을 서로 관람해주도록 한다.
연극
사진
- 몸풀기 게임과 집중훈련, 걷기 활동까지는 공간을 모두 활용하여 넓고 자유롭게 움직인다.
공예 디자인 음악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김소은
세부전공
A - 0 551
지원분야(세부 분야)
연극( 연극연기,연출,신체연극)기타(마임)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
중학교 1학년 / 13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9월~10월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 방향
▶
마임연극 활동을 통하여 직업군에 대해 간접 체험을 하여 나의 직업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자신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교육내용
▶
수동적 활동에 익숙하고 체력적인 활동이 부복한 아이들에게 서로 소통하고 예술 활 동을 통해 자기 표현력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공연예술분야 중 마임과 연극의 체험 활동을 통해 새로운 예술 체험을 하게 한다.
거주지
중,고등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심곡본동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익숙하지 않은 모둠활동, 움직임 활동에 처음에는 어색해하고 친구들과도 잘 어울 리지 않고 개인적 활동을 하는 성향이 강했으나 , 마임 놀이, 음악 놀이, 물체놀이를 복합적으로 이용해 흥미를 이끈 다음 조금씩 개인의 이야기를 풀어 갈수 있게 마련 해 주었다. ▶
- 아이들이 사춘기의 시기인 점을 고려하여 강요적이지 않은 놀이를 고민하였으며 현재 아이들이 좋아하는 게임 .캐릭터, 영화. 등을 이용하여 연극놀이에 반영하고 연 극게임을 통해 부담 없는 수업이 되게 노력한 결과 수업 반 아이들 모드 마지막 수업 에는 연극발표를 통한 소통의 과정을 만들었다.
디자인
- 자유롭고 놀이를 통한 수업이 주가 되기에 단기간의 성과를 보기는 힘들다. 하지만
공예
2014년 -연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차세대 예술육성 사업 선정작 <경계> 대학로 예술극장 소극장 <그룹 S 당신과 나 당신들과 우리들> 인천아트플랫폼 2015년 -연출: <시간 남겨진 자의 기억>,<서울역광장> 프로젝트 날다 <도시어르기>,<동작대교> 외 4개, 서울문화재단 창작지원금 선정작 -제작: <숨비:물의 경계>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2) 교육 성과 및 효과
사진
2013년 -배우: 프랑스 극단 크타 <세상은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까>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영화
교과연계
연극
연극(연출, 연기)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처음 아이들의 특성과 관심사를 알고 끌어내기 위해 아이들이 현재 즐겨하고 있는 활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동을 중심으로 연극놀이를 접근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과정이라고 본다. ▶
- 이번 선인 중학교 수업을 통해 아이들의 생각과 관심사가 예상보다 폭 넓고 다양하 할 예정이다.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3년 화성 청소년 수련관 연극 교육강사 2014년 서울 명일 중학교 동아리 활동 움직임 연기수업 경희 예술직업 전문학교 소리와 리듬 수업 2015년 인천 선인 중학교 자유 학기제 연극수업
음악
다는 것을 파악, 이후 수업 소스와 연구를 좀 더 다양한 장르에서 할 필요성 판단. 반영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나의 꿈, 나의 몸, 나의 마음 (마임과 연극놀이를 통한 상상력 개발)
기획의도
▶
연극놀이를 기본으로 직업군에 대해 간접 체험 및 현재 내가 가진 관심사. 친구들이 가진 이야기를 기본으로 마임과 연극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자신에 대해 표현하는 기회를 가지고 연극발표를 통 해 예술적 잠재력을 계발, 정서적 안정감을 성취시킨다.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김소은
연극
45분
교육대상 중등 저학년, 중등 고학년
수업명
▶
내가 만약 ~라면, 여기가 만약 ~라면,
수업주제
▶
직업과 공간에 대한 간접체험을 마임으로 표현하고 그림으로 그려 극놀이에 대비하여 상상력 을 개발한다.
교육목표
▶
- 마임과 연극놀이 활동을 통하여 직업군에 대해 간접 체험을 통해 나의 직업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자신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본다. - 간접 직업 체험을 통해 상상력과 표현력을 확장 시킨다.
1
- 표현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킨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나와 너, 우리를 알고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진다. - 연극놀이 활동을 통하여 자기 표현력과 자신감을 기를 수 있다. - 나와 다름을 이해하고 학우와 원활하게 소통하는 법을 익힐 수 있다.
2~5
- 마임을 통한 공간 상상력 개발 ▶
- Job man - 명함 만들기 직업 상황 극 만들기
6~10
사진
주요 교육내용
- 느낌 나누기
수업내용 - 도입 10분 -몸으로 말해요 를 통해 움직임을 통해 흥미를 유발, 체력적 활동을 유도 한다.
공예
6. 이미지 만들기 시, 음악, 그림 등을 이용한 연극놀이1(마임,연극) 7. 이미지 만들기 시, 음악, 그림 등을 이용한 연극놀이2(마임, 연극) 8. 상상과 즉흥극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만들어 보고 정지 장면 만들어 그룹을 지어 장면을 만들어 발표하기1 9 .상상과 즉흥극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만들어 보고 정지 장면 만들어 그룹을 지어 장면을 만들어 발표하기2 10. 그림책의 그림만을 보고 이야기를 만들어 역할과 장면을 나눠 연극만들기
만화애니
1 자기소개와 연극 놀이를 통한 친해지기 (몸으로 말해요) 2. 마임 연극 수업 소개
2. 직업군에 대해 간접 체험을 통해 나의 직업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3. 미래의 자화상 표현과 명함디자인으로 자신의 모습을 탐색하고 설계하여 입체적으로 표현 해 봄으로써 미래의 진로를 구체적이고 확신 있게 선택해 볼 수 있다. 4.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잘하는 것 (마임 움직임 활동 수업) -나의 미래 5. 상상과 변형 -느낌 나누기 (마임 움직임 수업)
전반기
교육소요 시간
- 수업할 아이들에 대한 기본적 정보와 특성 공유 - 최종 공연을 위한 사전 회의
오리엔테이션
분야
영화
- 수업장소, 보유한 기자재 파악
사전방문 (3월)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직업군에 대해 간접 체험을 통해 나의 직업에 대해 생각해본다. -전개 30분 -미래의 자화상 표현과 마임 조각상 놀이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탐색하고 설계하여 입체적으로 표현 해본다. -자신이 설계한 직업에 관해 몸으로 말하는 스피드 게임의 연극놀이를 통해 표현력을 개발한다.
11~20
이후 자신이 몸으로 표현 했던 직업 상황에 대한 대사를 만들어 보고 공간을 설정하여 친구들과 대사와 함께 하는 사진놀이를 통한 즉흥 상황극 을 만들어 본다.
디자인
중반기
11~13. 가면과 인형 가면을 만들어 가면 인물에 따른 장면 만들고 인형 만들어 마임 연극 만들 어 보기 1 14~16. 그림이야기 만들기 그림책의 그림만을 보고 이야기를 만들어 역할과 장면을 나눠 마임 연극만들기 2 17~20. 우리만의 이야기 it’s me 대본 만들기 1.2.3
-마무리 5분 -수업 활동에 대한 느낀 점들을 나누고 교실을 정리 한 다음, 다음 수업 시간 얘기를 나누며 마무리 한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1~25
음악
후반기
21. 우리만의 이야기 it’s me 대본- 책으로 만들기 22. 캐릭터 분석 및 역할 나누기 23~24. 감정 표현 및 훈련공연 포스터 만들기-발표 연습 25. 우리만의 이야기 it’s me 공연 ,시상식, 연극 수업 돌아보기
-즉흥 마임놀이를 통한 활달한 활동 예상, 그림 그리기를 통해 아이들의 정서를 살펴보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향후 수업 발전 가능성을 예측 -수업 동영상을 촬영을 통해 하반기 연극수업 대본 만들기의 기본자료로 참고.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A4용지, Job man, 필기도구
공간활용 계획
3개의 모둠조 구성
미디어아트
교실에서 이루어질 경우 책상을 ㄷ 자형으로 밀고 공간 확보, 의자만 사용하여 활동성 확보.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강 남
세부전공
A- 0 6 64
지원분야(세부 분야)
연극 연극(연출)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거주지
▶
‘18~21세’ 남자 청소년 제소자 대상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4~12월
교육 방향
▶
청소년 재소자들이 직접 자신의 이야기로 만든 뮤지컬 공연의 배우로 참여. 타인의 삶을 통해 자신의 삶을 반추하고, 피해자와 부모의 입장을 이해하며 자신의 죄를 속죄하는 경험을 한다.
▶
<1학기> 연기, 움직임, 노래의 기본적인 훈련을 통해 자신의 신체를 다스리는 방법을 체득한다. <2학기> 1학기 중 아이들이 써낸 이야기 중 하나를 발췌하여 뮤지컬 대본을 만든다. 아이들은 스스로 만들어낸 이야기의 배우로 참여하며 타인과의 소통하고 자신 스스로를 제어 하는 훈련을 한다. 또, 노력의 결과를 관객(가족)과 공유하여 보상받는 과정을 통해 책임과 인정이라는 감정을 스스로 느끼게 한다.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의정부 민락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2) 교육 성과 및 효과
-참여자 - 김천 소년 교도소 재소자
공예
제로캠프 예능 중 ‘뮤지컬’의 경우 자신이 원해서 오게 된 재소자가 아니라 다른 직업훈련에서 소외되고, 형이 긴 재소자들이 모이는 교과과정이었습니다.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타인 앞에서 연기를 해야 한다는 자의식,교강사(어른)에 대한 불신,자신들 내부의 위계질서 속에서 자유롭지 못한 학습 분위기.절제하지 못하는 분노와 타인을 폄하하는 냉랭한 태도.하지만 공연을 올리기까지 9개월, 연 ▶
습과정 동안 아이들은 변했습니다. 무대 위 다른 배우들과 소통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고, 타인의 연기를 듣고, 기다려주는 법을 알게 되었습니
디자인
[뮤지컬] 2012-2014 ‘여신님이 보고계셔’ 시즌 1,2,3 <극단 연우무대> 조연출 <충무아트홀 블루 소극장/아트원 씨어터/두산아트센터 대극장 일본 투어> 2014 충무아트홀 블랙&블루 <카인과 아벨> 조연출 <충무아트홀 블루 소극장> 2015 김천 소년교도소 교화 프로그램 ‘날개’ 작사/연출 [무용] 2015 PADAF 개막작 ‘회복’ 조연출/무대감독
사진
[연극] 2013 ‘만석 상회’ 무대디자인 <까망 소극장> 2013 ‘앵그리 볼트’ 무대디자인 <까망 소극장> 2013 ‘눈 내리는 밤’ 작/연출 <떠나자 배낭 여행> *희곡작가협회 신춘문예 최종 심사작 2014 현대극 페스티벌 ‘피살된 흑인을 위한 의식’ <극단 C-바이러스> 음향 디자인 <노을 소극장> 2014 ‘햄릿_아바따’ <극단 서울공장> 조연출/무대감독 <대학로 예술극장 대극장> 2014 기업공연 ‘나는 누구인가?’ <극단 서울공장/기업 서울라인> 조연출/무대감독 <유 씨어터> 2015 서촌 예술제 ‘서 어른 – 서서 어른이 되다’ 작/연출 <O’ HOO> 2015 현대극 페스티벌 ‘정의란 무엇인가’ <극단 C-바이러스> 무대감독 <노을 소극장> 2015 ‘햄릿_아바따’ <극단 서울공장> 조연출/무대감독 <SPAF 국내 참가작 –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INDIA 투어 – Premiere Sir MuthaVenkatasubbaRao Concert Hall (Chennai) 8/25,26 Rangashankara (Bangalore)>
주요 교육내용
만화애니
교육가능 교급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1) 교육개요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다.다른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것을 내세우는 것보다 연출자와 상대 배우의 이야기를 수용하는 법도 알게 되 었습니다.상하 관계의 명령적 어조가 부탁의 말로 변했습니다.또 관객을 만나면서 누군가 자신의 이야기에 관 심을 갖고 지켜봐주는 경험을 통해 처음에 비해 자신감과 자존감이 높아졌습니다.우울감, 분노, 슬픔의 정서를 갖던 아이들이 동료애와 즐거움이라는 정서를 갖게 된 것이 가장 큰 변화였던 것 같습니다.
음악
사단법인 제로캠프 사업으로 제소자 집필 원고 기반 뮤지컬 ‘날개’ 연출 (김천 소년교도소 내 제소자 20여명 대상) 1학기 4~7월 : 연기 교육 (주 2~3회 4시수) 2학기 8~12월 : 공연 제작 (주 4~5회 4시수)
연극은 집단예술이며, 그 안에는 연출자와 배우, 스텝 모두 상하 관계가 존재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야만이 진
2015년 12월 22~23일 공연
정한 유대가 생기고 하나의 뜻으로 관객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런 마음으로 학생들을 대했지만 순간순간 ‘가르친다.’라는 마음이 들 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때마다 어른 ▶
과 아이, 전공자와 비전공자, 재소자와 일반인이라는 선입견이 생기면서 소통이 단절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 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비록 청소년일지라도 ‘가르치는’ 것이 아닌 ‘함께 한다.’라는 마음으로 대해야만이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배웠습니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소통과 울림
▶
-신체움직임과 소리 훈련을 통해 연극적 상상력을 기르는 훈련을 한다. 이후 자신의 삶의 단편을 이야기로 만들어 연극을 만드는 체험을 한다. 타인과 소통하고, 자신의 감정의 울림을 찾는 여행을 떠나는 과정이다.
교육내용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강남
연극
60분
중고등학생
수업명
▶
수업주제
▶
몸과 마음 내려놓기1
교육목표
▶
연극놀이를 통해서 타인과 교감하고 자신을 알아보는 훈련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 전체 교육 회차 및 학급 인원 - 교육 장소 확인 (연습실 혹은 움직임이 가능한 장소)
- 연극이란 무엇인가
1
- 연극을 만드는 과정
-연극놀이를 통해 쉽게 공간, 타인과 교감한다. 치유를 경험한다.
- 몸과 마음 내려놓기 (연극놀이를 통해서 타인과 교감하고 자신을 알아보는 훈련) - 소리훈련 (자신의 소리를 알고, 타인의 소리와 앙상블을 이룬다)
2~5
- 연극놀이1 - 공간 찾기 - 연극놀이2 - 거울 놀이 - 연극놀이3 - 단점 의자
사진
- 신체훈련 (자신의 몸을 알고, 타인의 몸과 컨텍한다)
- 놀이를 통해 평소 공유하지 않았던 자신의 단점을 공유하고 공감 받으면서 정서적
만화애니
- 자기소개
오리엔테이션
소통과 울림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발음과 발성 훈련 (호흡의 운용을 통한 소리의 전달 방법, 의식과
전반기
의지가 소리에 주는 영향을 몸으로 익힌다)
수업내용 6~10
(그 동안 배웠던 연기술을 이용하여 스스로 장면을 만드는 훈련) - 각 팀별로 지정된 에피소드의 한 장면을 만들고 발표한다. - 1. 공연의 대본을 완성한다.
중반기
2. 시간, 장소, 인 물, 사건 등의 개요를 정리한다.
11~20
3. 소품, 무대, 의상, 음악 등 연기 외적인 상황을 함께 고려한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4. 상대 팀원들은 발표자의 공연을 보고 좋은 점과 수정 보완할 점등에 대해 공유 한다.
디자인
-발췌한 에피소드로 각 팀별 장면 만들기
1. 연극놀이 1 - 공간 찾기 연습실을 걷는다. 지면과 나의 발의 마찰을 인지하며 빠르거나 느리게 걷는다. 시선은 나의 내면이 아닌 외면, 집중된 포커스가 아닌 전체를 인지하는 소프트 포커스를 갖는다. 공간(천장의 무늬, 커튼의 색깔 등)을 관찰한다. 2. 연극놀이 2 - 거울 놀이 두 사람이 한 팀을 이룬다. 1번과 2번을 정해 서로가 상대의 거울이 되어 상대의 움직임을 복사한다. 서로 교감하는 것에 익숙해지면 누군가 리드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교감하며 움직인다. 처음에는 손끝, 고갯짓에서 시작하여 익숙해지면 걸음까지 걸어본다. 3. 연극놀이 3 - 단점 의자 하나의 의자를 중앙에 두고 그 주변으로 학생들이 둘러앉는다. 술래는 의자에 앉아서 자신의 단점을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눈이 나쁘다 등) 술래의 단점과 같은 단점을 가진 사람들은 일어나서 자신의 자리가 아닌 자리에 가서 앉는다. 자리에 앉지 못한 학생은 술래 의자에 앉고 자신의 단점을 말한다.
공예
- 나의 이이야기 중 공연화 할 에피소드 찾기 (자신의 이야기를 타인에게 공유함으로써 공감과 치유를 받는 과정을 경험) - Who am I (나는 누구인가) 나의 삶에서 가장 인상 깊은 사건을 팀원들과 공유한다. 그 중 몇 가지 에피소드를 발췌하여 팀을 구성한다.
-최종 공연을 만들 하나의 에피소드를 선정한다. *평소 유심히 관찰하지 않았던 익숙한 공간을 새로운 시각으로 관찰함으로써 자신의 존재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한다. *타인에게 집중하면서 나의 신체를 제어하는 훈련을 통해 교감(집중과 반응)하는 방법을 배운다. *평소 말하지 못한 자신의 단점을 타인과 공유하고 공감 받으면서 나 혼자만의 문제가 아님을 깨달을 수 있다.
-공연 만들기 (전체가 하나의 목표를 위해 각자 역할을 맡고 조화를 이루는 훈련)
준비물 및 필요물품
- 1. 공연의 대본을 완성한다.
미술
- 장면발표를 통해 선정된 에피소드의 전막을 공연한다. 2. 연출자, 배우, 스텝진을 구성한다. 3. 시간, 장소, 인물, 사건 등의 개요를 정리한다. 4. 소품, 무대, 의상, 음악 등을 고려하여 완성된 하나의 작품을 만 든다. (20분 내외) -가족, 친구, 이웃 등의 관객을 초청하여 공연을 발표한다.
21~25
개인별 활동이 편한 복장, 의자 1
공간활용 계획
-공연 종료 후 품평회를 한다. - 공연을 하기 전과 후의 나의 삶에서 달라진 점 공유
미디어아트
후반기
신체 움직임이 가능하고 신발을 벗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합니다.
- 공연을 하면서 느낀 점 공유 (동료애, 자신감, 전달력 등)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강영옥
세부전공
A- 0 453
지원분야(세부 분야)
현대무용 연극(교육연극)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 저학년 (2학년)
교육가능 기간
▶
6차시 (BT)
교육 방향
▶
동화를 활용한 통합놀이극 만들기
▶
- 연극아 나랑 놀자 - 제재 “곰 사냥을 떠나자” - 들리는 대로 보이는 대로- 몸으로 표현하고 그림으로 남기는 낱말. <의성어/의태어 표현하기> - 소리를 만들자 – 너와 내가 만드는 장단. <악기로 나타내는 낱말의 맛> - 나도 작사가- 작품에 어울리는 노래 만들기. <동요 “간다간다”를 동화에 어울리도록 개사하기> - 우리가 꾸미는 무대 - 다양한 색의 천으로 동화 속 공간 만들기 - 나도 작가 - 대본 만들기 - 우리가 꾸미는 무대 - 공연하기 <성우 팀, 액션 팀, 무대 팀, 음악 팀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돌아가면서 역할을 바꿔 공연 하기>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 양주시 삼숭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주요 교육내용
만화애니
▶
영화
교과연계
초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해결해갔고 여러 분야의
공예
- 수업 초 자신의 목소리에 힘을 싣던 아이들이 조금씩 서로의 소리를 들으며 타협점을 찾아 협동하여 과제를
예술활동 경력
미적체험을 통해 자신과 친구의 또 다른 재능을 발견하며 인정하기 시작했다. 인정하고 인정받음을 통해 그들은 좀 더 성숙된 사회성을 보여 주었고 미숙하지만 서로가 협력해 완성한 자신들의 과제에 강한 성취감과 자신감을 보였다. 아울러 귀로 듣고 눈으로 보던 동화(책)에서 몸으로 표현하는 동화로 변화하는 과정을 흥미로워 했고 자신의 ▶
상상력을 최대한 발휘하려 노력하였다.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아이들의 새로운 재능을 발견할 수 있음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활동과 모둠작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 해 나가는 과정에 흡족 해 하셨다.
음악
2011-2015 의정부 초등학교 (동아리 교육연극) 2013-2015 양주 만송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연극) 2014-2015의정부 회룡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연극)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4-2015의정부 녹양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연극) 2013-2015의정부 민락중학교 (동아리 교육연극)
송현초등학교, 녹천 초등학교, 경동 초등학교 방과 후 뮤지컬강사.
▶
- 아이들에게 가급적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해 표현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알게 하고 싶었다. 수업이 진행될수 록 변화되는 아이들을 보며 상상력은 쓰면 쓸수록 유연해지고 강해진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었다.
미디어아트
그 외 서울 수락초등학교, 배봉초등학교, 전곡 초등학교, 미양초등학교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덕정 초등학교, 솔뫼 중학교 동아리연극강사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3. 1회차 교육계획안
▶
-이야기로 만들어가는 행복한 예술밥상 < 맛있는 동화읽기>
▶
-동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다독의 기회를 제공하여 독서활동의 동기부여와 독서의 즐거움을 알게 하고 수업을 통해 주제를 탐색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도하고 자신만의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과정의 경험으로 자기 효능감과 자아 존중감을 향상 시켜 변화하는 사회에서의 긍정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겸비한 사회인이 될 수 있도록 돕고자한다.
교육내용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강영옥
연극
80분
초등 전 학년
▶
창조적 언어 만들기 – 세상에 없는 언어(지브리쉬)로 이야기 전달하기 제재: 낱말 공장 나라 글: 아네스 드 레스트라드 그림: 발레리아 도캄포
수업주제
▶
상상의 날개
교육목표
▶
- 말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활동과 새로운 언어의 창작과정을 통해 상상력을 향상 시키고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 탐구할 수 있다.
교육회차
- 대상학년 확인 및 계획안에 대한 학교 측과의 조율.
사전방문 (3월)
- 공간 및 시설, 수업에 필요한 도구 및 재료 확정 및 조율 - 대상학년의 특징 및 발달사항 체크 1.- 프로그램의도 및 계획 전달.
오리엔테이션
- 활동형식 및 방법론 전달.
1
- 평소 자신의 말 습관에 대해 스스로 반성하고 언어선택에 신중해 질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것을 알 수 있다.
- 학생들의 관심사 와 언어 및 지적능력파악.
3. 놀이로 만나는 연극2 – 너에게 나를 보낸다, 난 말이야.... 4. 놀이로 만나는 연극3 – 믿고 놀아보자, 우릴 믿어 봐.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 보태기 - 생각보태기 - 내가 정하는 낱말의 값 - 창조적 언어 만들기
사진
2. 놀이로 만나는 연극1- 우리는 하나.
-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려한 말 보다 진실한 마음이 소중하다는
만화애니
수업명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2~4
*다양한 연극놀이를 통해 친숙하고 유연한 분위기를 만들어 수업에 적극적으로 동 참하고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5. 내 고민을 들어 줘~ - 나만의 걱정 인형 만들기/ 인형극 만들기
- 도입(20분)
6. 숨겨진 성격 찾기 – 탐정이 되어 인물들의 숨겨진 성격 찾기
활동1. 마임으로 인사하기
7. 짧은 동화 긴 생각 – 이야기를 짧게 줄여 친구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이야기의 핵심을 파악하고 느낌을 정리할 수 있다. 8. 나도 리듬 연출가 – 다양한 악기를 활용해 이야기의 느낌을
활동2. 난 누구야??
5~17
->단어를 몸으로 설명해주고 추측해 맞히는 게임.
10. 패러디 패러디 – 감독과 배우가 되어 이야기 패러디하기.
- 전개(50분) 활동1. 책의 표지와 제목을 보고 어떤 이야기일까 유추하기
11. where are you from~ / 다국의 동화로 만나보는 다른 나라문화
황동2. 동화 “낱말공장나라” 읽어주기 활동3. 꼬꼬무 생각보태기- 나였다면...
13. 나도 만화가- 만화로 그리는 동화
18~20
15. 낱말로 시작하는 동화 – 나만의 동화 만들기
활동4. 생각보태기- 비싼 낱말/ 값싼 낱말/ 말 찌꺼기
17. 맛있는 동화읽기- 동화 속 요리 만들어보기
2. 분리 된 낱말들끼리 모아 스토리를 만들어보고 제목을 붙인 후 그림으로 표현한다. 3. 모둠 별로 그림을 전시하고 질의응답의 시간을 갖는다.
19. 연극으로 꾸미는 동화 - 역할 정하기
-> 스스로 자신의 언어생활에 대해 반성하고 언어순화를 기대해본다.
20. 연극으로 꾸미는 동화 - 상황에 맞게 느낌을 실어 대사하기
24. 연극으로 꾸미는 동화7- 오늘은 나도 연극배우/ 공연하기 25. 나는 지금 어디쯤 왔지? - 수업과 공연 참여 후 소감나누기
활동5. 창조적 언어 만들기
21~25
1. 영화 “미니언즈”영상을 보고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본다. 2. 만들어진 새로운 언어로 이야기 전달하기 3. 말을 한 사람의 이야기 추측해보기 4. 동화 속 문제가 되었던 상황에서 주인공이 되어 재연해보기.
미디어아트
23. 연극으로 꾸미는 동화6- 나도 무대 감독/ 리허설
미술
1.미리 준비해둔 낱말 밭의 낱말들 중에서 자신이 생각할 때 위의 해당된다고 생각되는 낱말들을 찾아 분리된 낱말 벽에 붙인다
18. 연극으로 꾸미는 동화 - 아는 이야기 낯선 이야기/ 희곡 만들기
22. 연극으로 꾸미는 동화5- 우리는 무대 디자이너/ 무대 만들기
곤충채로 잡고 싶은 낱말은? 상인이라면 팔고 싶은 낱말은? / 왜? 등등... -> 이야기의 중심에 자신을 놓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이입해본다.
16. 책 사세요- 나의 동화에 가치 입히기, 광고 만들기 (15와 연결)
후반기
처음부터 이런 나라였을까? 변하였을까? 그렇다면 왜 그렇게 되었을까? , 내가 주인공이었다면 어떻게 말을 전했을까?
음악
12. 전래동화로 알아보는 선조들의 삶
21. 연극으로 꾸미는 동화4- 배우처럼
2.친구들에게 자신의 등을 보여주고 무슨 단어인지 몸으로 설명하게 한다. 3.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자리에 앉아 자기 등에 붙어 있는 단어를 얘기한다.
9. 마음속 여행 – 셀프박스 만들기
14. 창조적 언어 만들기- 지브리쉬어로 이야기 전달하기
1.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그에 맞는 단어를 종이에 쓴 후 친구의 등에 붙인다. 디자인
리듬으로 만들어보고 몸으로 표현 할 수 있다.
중반기
공예
전반기
수업내용
- 정리(10분) 활동에 대한 소감나누기 문학
차시예고
국악
교육계획서
값을 매긴 낱말들을 모아 창작한 스토리와 그림. 자신들이 개발한 새로운 언어.
무용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기본정보 이름
강영하
세부전공
A -0325
지원분야(세부 분야)
동화PPT, 이야기 자료 활동지, 포스트 잍, 색연필, 사인펜, 전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장소가 없을 땐 교실에서의 수업도 무관하지만 경험에 비춰 보았을 때 공간이 넓게 펼쳐진 곳에서의
초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 리
영화
교과연계
공간활용 계획
연극(연기) 연극
준비물 및 필요물품
연극과 연기전공/방과후아동지도자전공/ 미디어영상학전공/뮤지컬전공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예술광장1로
수업이 아이들의 창의력이나 상상력을 발휘하기에 더 적합하였고 도출의 과정이 용이하였다.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연극 <그가 사라졌다> 아내 역
예술활동 경력
사진
연극 <나 떠나도 여기에> 사순모 역 2015 연극 <햄릿> 거트루드왕비 역
공예
2014. 서울 오정초등학교, 서울 중평초등학교 방과후학교. KBS 미디어 <표현소통교실> 강사 디자인
인천 영종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방송스피치> 강사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경기도 상면초등학교. 정몽구재단 KBS 미디어 온드림 창의교실 강사 미술
2014~2015. 서울 오정초등학교 돌봄교실, 특기적성교실, 연극교실 강사. 미디어아트
2015~현재. 안양부안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연극교실> 강사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2016년 3월 ~ 2017년 2월
교육 방향
▶
연극 연기 ( 창의 교실 ) 수업
▶
연극교실 수업 중 노래를 지도하며 율동과 드라마로 만들어 대사와 동작 지도도 하 며 즉흥극 형식을 빌어 학생들 스스로 창의적으로 만들어 나가게 합니다. 또한, 대본 을 읽고 등장인물들의 성격 분석을 하고 주변 인물에 대해 탐색을 하며 자신이 속한 구성원간의 관계를 원활히 하며 문제점도 개선하고 학습 능력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며 친구간의 관계, 가족 간의 관계에서도 원만한 관계 형성을 하도록 합니다. 그리 고 발표력 향상과 독서 토론도 잘할 수 있도록 합니다. 대본의 뒷부분을 자유롭게 바꾸어 할 수 있으며 직접 맡은 역할의 성격에 대하여 논 의 한 후 결말까지 이어졌을 경우 어떤 성격의 결함이 있는지 분석해 보고 등장인물 들에게 직접 본인의 생각을 대사로서 이야기해보며 극을 창의적으로 발전시켜 나가 며 소품도 직접 만들어 보며 낭독 극 형식이나 팬터마임으로도 해보며 역할을 바꾸 어 가며 다양하게 연기하며 느낀 점을 이야기해 봅니다. 그리고 등장인물의 성향이 자신과 가깝다고 여겨지는 부분에 대하여 이야기하며 생활 속으로 연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구성원 간의 갈등 관계에서 해결점을 찾아봅니다.
주요 교육내용
기획의도
▶
여러 유형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여 장단점을 파악하여 좋은 구성원으로서의 협동심을 기르고 자신의 장점을 계발해 나간다.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교육회차
- 교육 전에 학교 담당 선생님과 확인할 사항과 내용을 기재하고 등록한 학생들의 기록을 정리한다. - 학생들과 일 년간의 교육내용에 대하여 소개하며 연간 교육의 주제와 세부 진행 내용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1
- 학생들 자신의 소개 (장점,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등)을 스토리텔링 한다. - 시나 동요, 일인극, 이인극 등 짤막한 내용의 글을 읽고 대사 연습과 호흡 훈련, 신 체 훈련과 병행한다.
2~5
- 동요 등 노래를 부르며 노래 연습을 한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전반기
- 시를 읽고 시 낭독을 하며 시를 바꾸어 쓰며 자신의 시도 쓴다.
상호 협동을 통하여 극을 만들어 봄으로써 협동심을 넓혀 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이 연기하는 것을 보며 관찰력과 듣는 능력을 키우며 말하는 능력 도 키울 수 있으며 발표력이 향상됩니다.
- 시를 읽고 시 낭독이나 시 낭송도 해본다.
디자인
▶
- 대본을 읽고 등장인물에 대하여 토의하고 등장인물에게 자신이 느낀 소감을 이 야기한다.
중반기
- 사진이나 그림을 통하여 이야기나 즉흥극을 만들어 함께 연습하며 소감을 나눈다.
11~20
- 등장인물에게 편지를 쓰고 소리 내어 발표한다. 하고 싶은 직업에 대하여 극을 만들어 극을 통하여 느낀 점을 이야기 나눈다. 음악
-또한 상대방의 연기를 보고 자신의 느낀 점을 말하며 어떤 점이 부족한 것인지 스스 로 깨닫고 발전해 나갈 수 있습니다. 생활 속에서 자신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성격을 원만히 하며 같이 상부상조하는 연극 작업을 통하여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고 협동해 가며 상대방의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는 마음과 자기 고집이나 충고가 아닌 말하 기 훈련과 상대방의 마음 헤아리기도 배울 수 있습니다. 자신이 속한 가족 구성원 간 의 문제점, 친구와 이웃 간의 갈등과 문제점도 스스로 발견할 수 있으며 대화하고 역 할극을 통하여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말하기 어려운 것도 사과하는 방법도 자연스럽게 표현하며 체험해 나갑니다.
6~10
공예
- 노래에 맞추어 동작을 만들고 대사를 넣어 역할극이나 뮤직 드라마를 만든다.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사진
▶
초등학교 저학년 / 8~9세, 초등학교 고학년/10~13세
만화애니
교육가능 기간
-여러 유형 인물의 성격에 대하여 탐구하기.
영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 대본을 정하여 익숙하게 반복연습을 통하여 인내와 협동심을 기른다. - 쉽고 재미있는 것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좀 힘겹더라도 잘할 수 있도록 꾸준히
▶
-체계적인 교육과 능률적이고 창의적인 교육이 되도록 연구하고 발전시키게 됩니다.
주도록 한다.
21~25
- 노력한 점에 대하여 칭찬을 해주고 실수한 것에 대하여 격려를 해준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학생들의 습관이나 감정 컨트롤을 잘 훈련해 주어 무한한 가능성을 이끌어 주며 학 생들의 마음에 상처가 가지 않게 세심한 노력을 기울이게 되며 학생들 모두 사랑으 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내력과 힘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연습하여 향상되는 모습에 대하여 자신감을 갖도록 하며 서로의 부족한 점은 채워
미술
후반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연기 (창의교실)
1타임=2시간(2교시)=100분
교육대상
강주리
세부전공
A -0666
지원분야(세부 분야)
A반:초등(저학년):1~2학년 B반:초등(고학년):3~6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
동화를 읽고 등장인물의 성격에 대하여 나누고 표현한다.
교육목표
▶
-좀 더 창의적으로 자신의 개성과 장점을 계발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인간의 존엄성을 깨닫고 자신이 이 세상에서 소중한 존재라는 걸 느끼며 산다.
교과연계 거주지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자신 있게 일상적인 것에서 삶의 희망을 품고 살아간다.
만화애니
수업주제
동화 읽기.
초등 영화
▶
연극(연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연극
연극
강영하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기억력을 향상하고 집중력과 발표력을 키운다.
2014년 8월 극단 길손 연극 <THE DOOR> 배우
수업내용
사진
상호 협동심을 키운다.
예술활동 경력 공예
2015년 10월~12월 화성 발안중학교 뮤지컬 수업 2015년 10월 수원 송죽초등학교 뮤지컬 수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5년 8월~10월 수원 동탄 한마음 초등학교 연극 수업
사진이나 그림, 공책이나 A4 용지, 필기도구.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년 4월~10월 수원 송원중학교 방과 후 뮤지컬 수업 2015년 4월~6월 동탄 숲속초등학교 연극 수업 2014년 9월~10월 수원 송죽초등학교 뮤지컬 수업 2013년~2014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도서관 문학-연극 융합 수업
미술
공간활용 계획
2015년 8월~12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성남 도촌종합사회복지관 연극수업
음악
신체 훈련, 즉흥 무용, 호흡, 발성 훈련, 대사와 동작 연습. 협동심 강화, 발표력 향상, 글짓기, 말하기 훈련.
준비물 및 필요물품
디자인
움직임을 통하여 사계절을 표현하며 기분과 나이 변화에 따라 속도감 있게 자유롭게 표현하며 소리 내어 발성하고 호흡 훈련을 한다. 동화책이나 대본을 소리를 내 읽는다. 극에 나오는 등장인물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고 역할을 맡아서 대사와 동작을 한다. 대본 그대로 해도 되고 상상력을 가지고 모둠별로 협의로 뒷부분을 바꾸어서 해도 좋다. 각기 등장인물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고 그 등장인물에게 서로의 가진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연기해본다. 역할을 바꾸어 해 본다. 연기하고 난 후의 느낌에 대하여 서로 논의하고 상황을 바꾸어서 연기해 보아 다른 결말에 대하여도 이야기해 본다. 등장인물에게 편지를 써보고 읽고 소감을 이야기해도 좋다.
넓게 자유롭게 몸을 움직이며 소리도 크게 내본다.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표현력 & 관계형성
기획의도
▶
-아이들에게 결여되어있는 ‘표현’에 초점을 두고 놀이를 통해 감각을 깨우고, 이후 감정이나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이 충분히 선행된 후에 즉흥극을 이용해 자연스럽 게 관계를 맺고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초등학교 저학년 / 8~11세
▶
<꿈, 상상>을 주제로 아이들의 상상력을 풍부하게 열어준다.
▶
도입) - 연극에서 가장 중요한 5요소 설명 (배우, 연출, 무대, 대본, 관객) 요소별 파생 식으로 수업 진행 -배우에게 필요한 것 발성&발음, 표현력, 상상력 등 - 복식호흡 방법, 발성훈련, 발음연습 - 표현력 관련 연극놀이- 몸으로 말해요, 이모티콘 표현하기 - 상상력 관련 연극놀이- 텔레파시, 상상걷기, 상상막대기 본시) - 장면구성 할 작품 선정 (꿈, 상상 주제에 맞는 작품 선택) <말썽꾸러기 고양이 피터와 풍선장수 할머니> 줄거리 공유 - 줄거리 전달 방식은 ①ppt, ②구연동화, ③이미지만 보여주고 줄거리예측 해보기 등 매 수업마다 다르게 시도해 봄 -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면 선택 ex) ‘할머니가 풍선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을 때 하늘에서 과연 어떤 것들을 만날 수 있을까? ’ - 하나님, 잭의 콩나무, 먼저 돌아가신 할머니 남편, 죽은 영혼들, 비행기 등 - 아이들의 입에서 나온 인물들로 장면 구성하기 (그룹 형성) ‘판서 해 놓은 많은 것들 중에서 단 세 가지만 골라서 어떻게 하면 이들이 할머니를 도와 고양이에게 데려다 줄 수 있을까?‘ - 강사가 임의로 인물을 선택해 예시를 제시한다. 이후 그룹별로 이야기구성 하도록 함 - 대본 만들기 각 역할 별로 2~3줄의 대사 제한을 두고 그룹별로 대본 만들기 (아이들 수준에 따라 대본 쓰는 것이 힘들 경우 대본작업은 생략, 움직이면서 입에서 나오는 말을 대사로 진행) 마무리 - 장면 연습하기 & 발표 & 피드백 시간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을 할지, 즉흥극에서 발전시킨다면 어떤 주제의식이 들어가면 좋겠는지, 담당 교사와
- 강사 소개 및 아이들 파악 - 연극 교육의 주제와 방향성 제시
1
- 연극의 기본 5가지 요소 설명 (배우, 무대, 연출, 대본, 관객) - 배우에게 필요한 것? - 기본 소양 – 발성&발음 훈련
2~5
- 표현력 – 관련 연극놀이 진행 - 상상력 – 관련 연극놀이 진행
전반기
- 즉흥극을 통한 관계형성 - 공간 채우기 ex) 공원, 공항, 학교 등 - 공간을 제시하고, 준비가 된 아이들이 순차적으로 그 상황 안에 들어오는 것. 앞의 친구가 어떤 인물로 공간에 들어왔는지 관찰 후 들어가는 것이므로 유기 적인 관계 형성이 가능함 - 미술 작품이나 음악, 각자의 추억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타블로 만들기 - 타블로: ‘사진’과 같이 멈춰져있는 단편적인 장면 구성 → 이후 동영상으로 발전 시킴. 간단한 움직임과 한 두 줄의 대사 정도 - 즉흥 상황 제시 후 개인 혹은 그룹별 장면 만들어보기
6~10
디자인 음악
- 수업에 대한 피드백 시간을 가질 때 아이들의 대답은 전반적으로 그냥 ‘재미있게 놀았던 수업’이 아 니라 각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체험해봄으로써 좀 더 체계적으로 연극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대답이 많았다. 수업했던 내용을 되물으면 아이들은 연극의 기본 요소 5가지부터, 어떤 것과 관련해서 어떤 놀이들을 했는지, 수업의 대주제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얘기할 수 있었다. - 특히 소극적이거나 또래 친구들에 비해 살짝 부진한 아이들도 수업이 끝날 때엔 자기 역할을 끝까지 해내는 책임감과 적극성들을 보였다.
- 이후 발표의 주제를 정함. 어떤 문학작품을 연계시킬지,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작품 충분히 대화한다.
- 수업 시작 시 연극의 주요 요소를 퀴즈로 풀어냄으로써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자신들이 정답 을 맞혔다는 것에서부터 아이들의 자신감은 상승되었다. 요소를 하나, 하나 설명해가며 파생 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니 아이들 머릿속에도 왜 우리가 이것을 배우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따라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더구나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생각하고, 충분히 대화해가며 수업을 진행한 것이 아이들 로 하여금 빠른 시간 안에 마음을 열고,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었다. ▶
교육회차
- 과정 or 공연(결과) 어떤 것에 더 무게를 두고 연극수업을 진행할지 토론.
2) 교육 성과 및 효과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교육내용
공예
교육 방향
사진
2014년 4월~12월
만화애니
▶
영화
교육가능 기간
주요 교육내용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 작품 선정하기 -교과서 내 문학작품 or 권장도서목록 문학작품 등
중반기
- 대본 만들기 (각색 혹은 창작)
11~20
- 역할 분배 - 장면 별 연습 진행 미술
- 교육철학은 ‘Friendship’ 으로써 아이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고 재미있는 수업을 진행해왔으나 올해 들어 좀 더 체계적이고 전문성을 지닌 수업으로 보완하여 수업의 질을 향상시켰다. ▶
- 수업 내용의 풍부함을 위해 다양한 소재와 방법들을 고민하며, 계획하고 실행해보고.. 적용이 잘 되 었다면 그 수업은 또 하나의 커리큘럼이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또 다시 수정해가며 수업과정 을 진화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 과정에서 흥미를 느낄 수 있었고 그것이 아이들에게 받아들여질 때 뿌듯하고 예술 강사로서의 자부심을 가질 수 있었다.
-무대 배경 및 소품 만들기
후반기
-리허설 -발표 -피드백
21~25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80분 (1,2교시)
교육대상
김가영
세부전공
A -0017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전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수업주제
▶
연극의 기본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
교육목표
▶
-자기가 가진 감정과 생각들을 거침없이 표현해낼 수 있도록 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표현의 기회를 가질수록 자신감 상승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교과연계 거주지
기본교과, 선택교과,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구리시 아치울길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그룹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관계를 맺으면서 유대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만화애니
연극
중.고등 영화
▶
연극(연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공연예술
연극
강주리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의 기본 5요소 (배우, 연출, 관객, 무대, 대본) 알기
2014년 프로포즈, 연출: 박정주, 대학로 아트센터K 동그라미 극장, 배역: 나공주 2014년 여름날의 동화, 연출: 박정주, 피카소 소극장, 배역: 언니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2013년 어느 여인의 초상, 연출: 박혜림, 대학로 소극장, 배역: 프랑신느 공예
2013년 엄마 사랑해, 연출: 박정주, 루터대학교 공연장, 배역: 할머니
디자인
1. Quiz_연극의 기본 5요소 (배우, 연출, 관객, 대본, 무대) 배우에게 필요한 것? 기본 훈련인 발성&발음과 표현력 관련 연극놀이 2. ‘.복식 호흡이란?’ 방법 배우기 & 발음기관 이완 후 발음훈련 진행 3. 표현력 관련 연극 놀이 ① ‘몸으로 말해요’ - 제시단어를 말없이 몸으로만 표현해서 정답을 맞추는 놀이 ② ‘카카오톡 이모티콘’ 활용해 감정 정해보기 → 이후 어울리는 대사 만들기 → 이후 짝을 지어 한 이모티콘에서 시작해 다른 이모티콘의 감정이나 대사로 끝나는 짧은 장면 만들기
사진
-배우에게 필요한 것 중 – ‘표현력’에 관련 된 연극놀이 진행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미술
<복식 호흡 방법>과, <발성&발음> 훈련 시에는 아이들은 수업의 흥미를 갖게 될 것이다. 배우에게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을 새롭게 배워 보기 때문이다. 이어 <몸으로 말해요>는 앞에 나와서 하는 표현훈련이지만 게임형식이기 때문에 아이들이 부담 없이 즐기면서 표현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마지막 활동인 <카카오톡 이모티콘>은 아이들에게 익숙한 것이자, 재미를 유발할 것이고 수업의 몰입도가 최 고 높은 상황에서 아이들은 적극성을 발휘할 것이다. 처음엔 이모티콘의 표정이나 상황을 보고 감정을 규정할 것이며 그에 어울리는 대사 한 마디도 만들 수 있다. 앞서 ‘몸으로 말해요’ 놀이를 통해 표현하는 것을 예행연습 해 본 아이들은 자신이 원하는 이모티콘을 선택해 앞 에 나와 혼자서 그 이모티콘의 감정+대사를 표현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좀 더 발전시켜 두 명씩 짝을 지어 한 이모 티콘에서 다른 이모티콘으로 끝나는 짧은 상황 만들기는 아주 수월하게 해낼 것이며, 다른 감정과 상황으로 해보겠다고 너나 할 것 없이 적극성을 보일 것이다. 그렇게 연극 수업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된 아이들은 이후 차시들을 잘 따라올 것이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빔 프로젝트, 칠판, 자석
1차시에는 교실에서 책·걸상을 그대로 두고 진행 할 예정이다. 이어 관련 ‘놀이’를 시작할 때부터 책·걸상을 뒤로 밀고 빈 공간에서 수업이 진행될 것이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
-나와 내 주변을 돌보기
기획의도
▶
-학생들이 연기 활동과 창작활동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더 나아가서 주위를 돌보고, 예술로 승화시키는 작업을 경험함으로써 사회와 인간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 이고자 함.
중고등학교
교육가능 기간
▶
2016년도 3월부터 12월 초
교육 방향
▶
연기를 통해 삶의 통찰력과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 지원 가능한 예산 및 아이들이 활동할 수 있는 충분한 교육환경이 되는 곳을 사전에
사전방문 (3월)
탐사하여 알아봐야 합니다.(음향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이여야 하며, 아이들 수에 맞
만화애니
아이들과 놀이를 통하여 상상력과 창의성을 일깨우며, 공연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통하여서 아이들 스스로 돌아보며 위로와 재미를 느끼며, 서로 어울릴 수 있는 배려를 배워가도록 한다.
교육내용
영화
기간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게 다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교육 환경으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오리엔테이션
- 자기소개, 연간 교육 진행 방향 소개 및 학생들이 받고 싶어 하는 교육에 대한 질 의 응답시간.
1 사진
- 다양한 활동을 통한 아이들과 친해지기 - 상상력 일깨우기
2~4
2) 교육 성과 및 효과
공예
전반기
5~12
- 만들어 놓은 대본을 가지고 직접 연기 실습하기
13~20
디자인
- 움직임을 통해 집중력과 협동심을 배우기 - 학생들이 다루고 싶은 주제 선정하여 발표하기 - 수업시간에 학생들과 함께 짧은 대본 만들기
중반기
-선생님으로써의 부족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스스로 부족함을 알고 있기에 노력을 멈추 지 않으며, 아이들이라고 해서 결코 무시하고 않고 존중하려고 노력합니다. -처음에는 아이들에게 연기를 가르치려고 했지만 뒤를 돌아보니 연기보다 아이들에게 사 람들과 살아가면서 지켜야할 것들 혹은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할 줄 아는 지혜를 알려 주게 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 공연준비 하기
후반기
( 의상, 소품, 공연장 섭외하기, 리허설 등
21~25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직접 움직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디어아트
▶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아이들의 변화: 처음에는 쑥스러워하지만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교육을 실시하니 아이들이 잘 따라오 고, 공연을 준비해가는 과정에서 아이들이 서로에 대한 배려를 보였다.
음악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1시간 30분
교육대상
김경희
세부전공
A -0630
지원분야(세부 분야)
중고등학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
연기를 통해 나와 주변을 알아가고, 학생들이 지향하는 수업을 알아가고자 한다.
교육목표
▶
-학생들이 연기를 통해 자신과 타인과 어울리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돕는다. -자신을 넘어서 혹은 자신을 통해서 창작물을 만들어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학생들 서로를 배려할 줄 아는 지혜를 배우길 바란다.
교과연계 거주지
기본교과 , 선택교과 경기도 파주시 야당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연기라는 문화예술을 통해 세상을 살아나가는 지혜를 얻길 바란다.
만화애니
수업주제
연기를 통한 나와 너를 알아가기
중고등 영화
▶
연극(연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연극영화(연기)
연극
김가영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재미와 쉼을 얻게 하기.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통해 서로를 알아가고, 예술로 승화하는 방법 찾기.
영화 : ‘원탁의천사’ 양호선생님 역 외 다수 사진
-공연준비 및 연기 연습을 통해 배려와 협동심을 기르기.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연극 : ‘유랑극단’ ‘죽은 시인의 사회’ ‘웃어라 무덤아’ ‘페임’ ‘판도라의 상자’ 등 다수 출연 공예
상상력 일깨우기 및 다양한 활동을 통해 친구들과 어울리는 방법을 배우며, 창작 활동을 통해 자신도 몰랐던 자신을 깨닫게 하고, 자신과 타인에 대한 관 심을 높여 예술로 승화하는 방법을 배운다. 디자인
국민대학교 교양 수업 ‘체험뮤지컬’ 보조 연기강사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창작극
창작극에 따라 발생되는 소품 및 의상, 조명기기, 음향기기, 대도구들
미술
공간활용 계획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준비물 및 필요물품
최적의 공간은 학생들이 신발을 벗고, 음악도 사용할 수 있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중. 고등학교 / 14~19세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12월
교육 방향
▶
연극에 기반을 둔 자아 탐구 및 공감, 소통 능력 향상
▶
-듣고 느끼고 표현하기
기획의도
▶
-연극 놀이를 기반으로 자연스럽게 친밀감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타인 및 사물에 대해 관찰하 는 수업을 통해 상호 교감 및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신체 훈련 및 언어 훈련을 접함으로써 자신을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하게 하는데 교육의 목적이 있다.
주요 교육내용
▶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강의실 규모, 스피커 유무, 참여 학생의 인원수 -자기소개하기. 연극을 어려워하지 않기. 표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 즐겁고 재밌는 놀이를 한다 생각하기.
1
만화애니
체험뮤지컬 이라는 수업을 약 3개월간 진행하였다. 연극 놀이를 통해 학생들의 친밀감과 유대감을 향상시킨 뒤,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어 본인 안에 내재되어있는 창의력과 상상력을 신체언어를 통해 표현해내고자 하였다. 이후, 기성 작품을 감상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직접적으로 표현해 내는 기술을 습득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과정들을 토대로 장면발표를 하는 형식으로 교육과정 을 마무리 하였다.
교육내용
영화
기간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 친해지기 -걷기 - 가장 기본적인 움직임인 걷기를 1~10의 속도로 분할해, 본인의 몸을 제어 -눈으로 대화하기 - 언어와 행동을 배제하고 오로지 눈을 맞춤으로써 서로의 감정
2~4
사진
함과 동시에 근육을 풀어주는 훈련 을 전달하기. -별명부르기 - 각자의 별명을 부르며 자리 뺏기. 순발력 및 집중력 강화 훈련.
전반기
-수업 초반, 표현에 서툴고 소극적이었던 학생들이 연극놀이를 통해 친밀감이 향상된 후 적극적인 참 여 자세를 보였다. 차츰 본인에게 내재되어있는 상상력을 외부로 표현하는 방식을 익혀나갔다. ▶
중반기
*. 표현하기 -신체로 그림그리기 - 상상하는 그림을 신체로 표현함으로써 창의적인 표현력을 기르는 훈련 -노래 말하기 - 노래 가사를 분석, 감정 싣기 및 전달하기. 감정표현력 향상을 위한 훈련. -흉내내기 (1) 언어 흉내 : 다른 사람이 하는 언어를 흉내내기. 같은 언어를 다른 방식으로 표 현함으로써 개인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훈련. (2) 행동 흉내 : 다른 이의 행동을 흉내내기. 관찰력을 기르는 훈련.
11~15
미술
*. 연극만들기 -이야기 만들기 - 단순한 이야기 (예 :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에 오기까지의 이야기)
▶
의 중간중간, 제 3 자가 불러주는 단어를 삽입하여 이야기 완성하기. 상상력 및 창
후반기
의력을 기르는 훈련. -희곡 읽기 및 역할놀이 -즉흥상황극 -장면 만들기 및 발표
16~25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교육을 마친 학생의 평가를 예시로 들겠다. “돌이켜보면 내가 그렇게 많이 바뀐 것 같진 않다. 여전히 처음 하는 일에 대해 부끄러움을 많이 타고, 자신감이 부족하다. 하지만 어느 정도 많이 개선되었다고는 본다. 하나도 바뀌지 않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앞으로도 차차 이 점을 유의하면서 살아갈 것이고, 그러다 보면 언젠가 어느 누구 앞에서 도 당당한 내 자신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체험뮤지컬을 통해 얻은 것이라면, 아예 성격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 성격이 바뀔 수도 있겠구나 하는 희망인 것 같다.”
음악
-기성작품 속의 인물들을 분석하는 훈련을 통해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과 이해도가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5~10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공예
2) 교육 성과 및 효과
*. 관찰하기 -사물 탐구 - 같은 사물을 다르게 인식하기. 다양한 관점을 기르는 훈련. -동물 탐구 - 동물의 특징을 관찰 및 표현하기. 관찰력 및 창의적 표현력을 기르는 훈련. -사람 탐구 - 각자의 주변 인물을 관찰하여 특징을 기반으로 그 인물의 지난 인생 을 스토리로 만들기. 관찰력과 창의력을 기르는 훈련.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2~3시간
교육대상
김관장
세부전공
A -0621
지원분야(세부 분야)
중. 고등(전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나’ 의 장점 및 단점, 내가 생각하는 ‘나’를 자유롭게 표현하자
교육목표
▶
-외부로 비춰지는 것이 아닌, 내가 아는 나만의 ‘나’ 자신을 원하는 어떤 방식으로든 표현 하여 자아를 들여다보는 시간을 갖고자 함.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외면의 내가 아닌, 내면의 나를 스스로 돌아보는 시간을 갖게 되기를 기대함.
거주지
기본교과 , 선택교과,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성남시 여수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언어적 표현 뿐 아니라 움직임을 통한 표현 능력 또한 향상을 도모함. -걷기, 눈 마주치기 등 놀이 수업. -자기소개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2015 <누가 그들을 만들었는가> 대철|11/23|예술가의 집|M FACTORY <혈우> 김방언|04/09|동숭아트센터 소극장 |M FACTORY <소뿔자르고주인오기전에도망가선생> 쥐기자|03/12-29|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창작공동체 아르케, 창작집단 상상두목
1. 걷기 - 1~10 의 단계별로 다른 속도로 걷는다. 속도는 제3자가 불시에 변경하며, 타인과 부딪히지 않도록 본인 스스로 방향을 결정하여 움직인다.
공예
2014 <경복궁에서 만난 빨간 여자> 불 쬐는 할머니|11/21-30|국립극장 백성희장민호극장|창작공동체 아르케
0. 준비운동 - 가벼운 스트레칭.
사진
▶
교과연계
만화애니
수업주제
‘나’를 표현하자
초등/중고등 영화
▶
연극(연기, 화술, 움직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연극학
연극
김경희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3. 눈 마주치기 - 언어나 신체를 사용하지 않고 눈빛만으로 대화한다. 동전을 숨기고 누가 그 동전을 가지고 있는지 아무도 모르는 상태에서 서로 눈빛만으 로 추리하여 범인을 찾아낸다.
2014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고1 기초연기지도
디자인
4. 자기소개하기 - 간단한 신상정보에서 시작하여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언어도 좋고 움직임도 좋고 노래부르기도 좋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트레이닝복(편안한 옷차림), 간단한 필기도구, 스피커
2013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고3 입시연기지도
미술
공간활용 계획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쉽게 접할 수 있는 놀이 방식의 수업으로 친밀감과 유대감이 향상된다. 타인에게 비춰지는 모습이 아닌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특징을 표현함으로써 스스로 자기 자신과 타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습득한다.
빈 공간에서 걷고, 뛰고, 말하는 훈련을 할 계획.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고등학교 1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3월~12월
교육 방향
▶
다양한 연극놀이를 통해 함께 어울리고 놀음으로서 구성원들과 교감을 나누고, 잊고 있었던 진짜 노는 것(play)에 대한 감을 되찾아 연극(play)의 기초개념에 대해서도 쉽게 접근하고 익혀가자.
-즐겁게 놀면서 배우는 연극(삶과 맞닿는 예술)
기획의도
▶
-기초 트레이닝을 통해 건강과 실력을 함께 쌓고 교육 연극 놀이를 통해 연극의 기본 개념에 대해 즐기면서 이해시키자. 다양한 감정표현을 통해 학생들의 자신감, 표현력을 고취시키고 무대 위에서 구성원들과 함께 하는 연극을 통해 소통과 협력에 대한 이해를 돕자.
기간
▶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교육 공간 체크 -연간 수업 진행에 대한 담당선생님과의 상의 -선생님 소개, 구성원들 간 인사 -연극에 대한 기본개념 소개, 연간 교육 내용의 소개
1
만화애니
주요 교육내용
-다양한 놀이(단체) -발성, 화술, 움직임 등의 기초훈련 -사물이나 감정을 몸/소리로 표현하기 -감정표현에 익숙해지기 -대본 분석 및 무대에서 움직임 익히기 -독백 해보기 -면연기 구성 및 발표
교육내용
영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간단한 기초 신체 트레이닝 -발음, 발성에 대한 기초 훈련
2~5
-놀이(play)를 통한 구성원들 간 친목도모와
사진
-기초 호흡 훈련 연극(play)에 대한 개념을 즐겁게 체득하기
전반기
2) 교육 성과 및 효과
11~20
미술
-팀별 대사 주고받기 -팀별 연습장면의 목표를 함께 나누고 소통/협력하기
후반기
-발표회 작품선정과 팀 구성하여 작품 분석 및 캐스팅하기 -팀별 장면연기 연습 -발표회
21~25 미디어아트
▶
처음에 단체로 놀 때에는 잘 놀다가도 막상 무대에 올라가고 해보라고 하면 낯설어하여 당황스러웠 다. 놀이(play)와 연극(play)가 다르지 않다는 것을 강요가 아닌 이해시키는데 다양한 방법 동원과 지도 자 스스로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요하였다. 어느 시점부터 학생들도 점차 노는 것에 대해, 연기에 대해 감이 생기고 즐기기 시작하였고 그 다음부터는 길 안내를 잘 해주는 것에 집중하였다. 연기를 함께 함 으로써 느끼는 즐거움이 단순히 연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향상된 자신감, 집중력, 표현력 등으로 학 생들의 삶이 보다 밝고 긍정적이 되는 것을 지켜볼 수 있었고 본인들의 꿈에도 한 발짝 다가서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런 순간들을 볼 때면 학생들에게 곧이곧대로 표현 못했지만 정말 짜릿하고 동시에 뭉클해진다. 예술이 삶에 맞닿는 순간이다. 정말 기뻤다.
중반기
-즉흥극 -대사 분석 방법 배우기와 실습 -무대 위에서 움직이는 방법(시선, 걸음, 손동작 등) 배우기와 실습 -개인별 독백작품(고전)에 대한 소개 -개인별 독백 연습 및 발표
음악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6~10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참여자: 한 남학생이 아버지에게 비판적으로 대드는 내용의 독백을 하다가 갑자기 멈추더니 눈물을 보임. 수업 중지 후, 면담결과 아버지와의 오래된 갈등이 있었고 독백에 스스로의 감정/상황이 이입이 되어 학우들 앞에서 감정적으로 솔직해지는 것이 견디기 힘들었음. 아버지와의 갈등에 대해 충분히 듣고 이해한 다음 어른의 관점에 대해 그리고 현실과 독백이 다른 것에 대해 잘 설명해주었고 시간이 조금은 걸렸지만 해당 독백을 수업 때 마무리하고 박수를 받음. 시간이 지나고 난 후, 학생이 아버지에 대해 조금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하였고 또한 어려운 순간을 극복하여 다른 사람 앞에서 감정을 표출하는 데 있어 실력이 일취월장함. 관계자: 모델과 학생들이 연기에서의 다양한 감정에 대해 스스로 연구/표현하고 즉흥극을 통해 상황 에 대한 대처능력과 이해도가 빨라짐으로서 카메라 앞에서 다양한 상황인식과 감정표현(포즈)을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함. 그리고 학생들 전반적으로 자신감과 집중력이 좋아짐.
공예
-일상에서 자주 쓰는 단어와 대화를 통한 기초 화술 훈련 -시 낭독하기 -감정을 소리/몸으로 표현하기 -사진이나 그림을 몸으로 표현하기 -말 없이 움직임으로 소통하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3-4시간
교육대상
김준우
세부전공
A -0051
지원분야(세부 분야)
중등(전학년)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다양한 감정과 상황의 연극적 표현
수업주제
▶
말과 움직임, 그리고 혼자 또는 함께 다양한 감정과 상황을 표현해보자.
교육목표
▶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 연극적 움직임과 표현에 대해 즐겁게 나누고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하자.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교과연계 거주지
경기도 의정부시 오목로
만화애니
-학생들끼리의 주제 연구와 방법에 대한 토론 등 다양한 소통, 함께 하는 연극적 표현을 통한 유대감과 친밀감을 자연스럽게 나눌 수 있다.
-2015년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초청작, 단편영화 ‘그러시든가’ 제작 참여
-재미있고 흥미로운 사진이나 그림을 조별로 나누어 주고 연구 후 발표하기
사진
▶
창의적체험활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단어를 가지고 다양한 감정 표현해보기
주요 교육내용
초등 영화
▶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공연영화학부(연극)
연극
김관장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다양한 상황과 캐릭터를 말없이 움직임으로 표현하기 (좀비, 집에 도둑이 들은 상황, 로봇뿐인 미래시대, 외계인과의 조우 등)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공예
- 단어를 가지고 다양한 감정 표현해보기 ' 배고파', '뭐해‘, ’사랑해‘, ’좋아‘ 등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단어와 대화들을 가지고 어미의 높낮이 조절, 소리의 크기 조절 등을 통해 표현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실습해보기 - 재미있고 흥미로운 사진이나 그림을 조별로 나누어 주고 연구 후 발표하기 농구경기에서 경기종료 3초전, 1점차로 뒤지고 있는 팀의 마지막 작전타임 사진 어떤 여자가 불같이 화를 내고 있고 그 여자 옆에 어리둥절해 있는 남자 그림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 ‘자존감을 키워주는 연극놀이’ 수업 시행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용산경찰서 606전경대 연극 강사 (2015년 8월) : 연극놀이, 즉흥극, 연기 지도 등 수업 시행
지도자 - 다양한 그림과 사진 / 가장 우수한 발표를 한 팀에게 줄 간단한 상품(사탕 등)
공간활용 계획 조별로 장면에 대해 연구/구성할 때 공간을 나눌 필요는 없다.
2014 한국도로공사 서비스대상 옥천휴게소 팀 연기코치 : 단막극 연기 지도 (대상 수상)
미디어아트
전체공간을 반으로 나누어 한 쪽은 무대 공간, 한 쪽은 객석으로 한다.
미술
참여자(학생) - 트레이닝 복
충주 디딤돌 청소년 쉼터 연극 강사 (2014년 7월~2014년 8월) 음악
처음에는 매우 흥미로워 열심히 발표를 준비하나 표현에 익숙지 않거나 목표를 정한 뒤 방법을 못찾아 헤맬 수 있다. 그럴 때는 지도자가 적극 개입하여 표현의 여러 방법이 있다는 것을 직접 시범을 보이고 설명하여 준다. 이 때 절대 답을 주어서는 안 되고 방법을 찾는 데 힌 트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자인
사회적기업 ㈜동방골바람 객원강사 소속으로 활동
- 다양한 상황과 캐릭터를 말없이 움직임으로 표현하기 좀비, 집에 도둑이 들은 상황, 로봇뿐인 미래시대, 외계인과의 조우 등을 조별로 연구하여 발표하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7월~8월
교육 방향
▶
자존감을 높여주는 연극놀이 체험하기
▶
1. 손으로 하트를 만들어 인증샷 찍기 놀이 (사진을 찍고 찍어주는 활동을 통해 유대감과 자존감을 기르기) 2. 찍은 사진을 가장 생각나는 한 사람에게 전송하기 (ex. 부모님, 친구, 친지 등) 3. 나의 뇌구조는? (자신의 생각을 스스로 정리하고 발표해보는 시간) 4. 5년 뒤 나에게 편지쓰기 (자신과의 대화, 편지는 별도의 발표 없이 개개인이 소장하였음)
주요 교육내용
기획의도
▶
-다양한 연극 놀이를 체험하고 , 흥부와 놀부 등, 전래동화의 한 장면을 아이들만의 상상력으 로 새로 구성해보면서 상상력, 표현력, 창의성, 협동심등을 기를 수 있습니다.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교육회차
-수업 시설 및 참여인원 파악, 연령대 파악, 개개인의 참고 해야 할 사항들 확인 -강사 소개, 구성원 소개, 연극 놀이 맛보기 시간, 앞으로의 진행 방향 설명
1
만화애니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 전학년 / 12~16세
-연극으로 상상하고 놀자
영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처음 만나는 연극놀이
2~5
-친구 소개하기 놀이, 과일 샐러드 게임
2) 교육 성과 및 효과
전반기
디자인
▶
-반복적인 대본 암기식의 장면 만들기 프로그램으로 인해 수업 자체에 대한 흥미를 잃고 산만한 모습을 보이던 아이들이 2차시의 연극놀이 특강으로 인해 높은 참여도 와 호응을 보였습니다. 하트를 만들어 생각나는 사람에게 문자를 전송하는 프로그램 은 평소 애정 표현에 익숙지 않았던 구성원도 거부감 없이 참여하여 가족, 친지 등에 게 사진을 보냈고, 실제로 대부분 답장 혹은 전화를 통한 피드백을 받게 되어 강사와 구성원 전부 놀랐습니다. 뇌구조 그려보기와 편지쓰기 시간 또한 모두 대단히 진지한 자세로 임했습니다.
6~10
-상황극, 즉흥극 체험 -정지된 장면 만들기, 내일의 날씨, 의자에서 일어나게 하기
중반기
-완전히 바꿔라, 무슨 사연일까?, 무얼 먹었을까?
공예
-관찰력, 협동심, 유대감을 기르는 다양한 연극 놀이 체험 -거울 게임, 팀 술래잡기, 인간 도미노 -바뀐 그림 찾기, 펭귄 게임 ,해와달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사진
-전달 악수인사하기, 이름 외우기 게임, 에너지 전달하기 게임
11~15
-동물 표현하기, 사물 표현하기, 내 멋대로 인사하기 -여기는 어디일까요? 음악
-전래동화를 이용한 상황극 체험 -흥부와 놀부
▶
-지금까지 만나본 수업대상자의 연령층이 주로 학생들과, 20대 위주였습니다. 그들이 흥미를 느낄 만한 수업을 했다고 생각하지만, 장애인, 노인분들 등 특수한 대상층은 만나본 적이 없어서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됩니다. 하지만 수업을 진행할 때 저도 즐 겁고 그들과 함께 하면서 느끼고 배우는 점들이 많습니다. 늘 좀 더 쉽고, 좀 더 재미 있는 수업을 위해 고민하겠습니다.
-의좋은 형제 -견우와 직녀
16~30
-콩쥐 팥쥐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금도끼 은도끼
미술
후반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40분
교육대상
김진미
세부전공
A -0648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저학년)
▶
금도끼 은도끼
수업주제
▶
전래동화의 한 장면으로 체험하는 상황극
교육목표
▶
‘금도끼 은도끼’ 의 한 장면을 직접 만들어보는 것을 통해 상상력, 표현력, 협동심 등을 기 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전래 동화의 프레임을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연극적 체험과 더불어
초등/중∙고등 기본교과,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돌봄 동아리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로
만화애니
ㅇ 앞선 차시들의 연극놀이 수업을 통해 발달시킨, 표현력/협동심/상상력 등을
연극(연기)
영화
수업명
연극
연극
김준우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해당 전래동화도 자연스럽게 접하게 된다. ㅇ 동화 ‘금도끼 은도끼’ 함께 읽기. ㅇ 해보고 싶은 장면 정하기 ▶
-2014년 4월 루트21 연극 <엄마젖하얀밥> - 포토그래퍼
ㅇ 구성원 전원이 참여자 및 관람객이 되어 해보고 봐주기 ㅇ 소감 이야기하기 ㅇ 뒷이야기 만들어보기
수업내용
-2015년 8월 창작집 단끌림 연극 <침묵> - 연출
예술활동 경력
사진
주요 교육내용
-2015년 10월 루트21 연극 <야만인을 기다리며> - 포토그래퍼 공예
- ‘금도끼 은도끼’ 함께 읽기. - 읽고 각자의 소감에 대해 이야기하기 - 장면 및 배역 정하기 , 모둠 나누기 - 모둠별로 15분간 각자 모여 의논 및 장면 만들기 - 각 모둠의 발표에 대해 소감 나누기
-2013년 5월 영통 모던K 실용음악학원 화술 특강
디자인
- 만든 장면을 모둠 별로 발표하기 (15분)
-2013년 10월 수원 모던K 실용음악학원 연기수업 강의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5년 9월 서울상신중학교 방과 후 연극교실 참여자 개개인에게 연극적 체험 제공, 협업 과정을 통해 협동심과 유대감을 고취
장난감 도끼(금,은,쇠 3개), 산신령 수염, 선글라스
미디어아트
교실 혹은 강당을 이용, 교실에서 할 경우는 상황에 따라 책상을 뒤로 밀어 공간을 확보
미술
공간활용 계획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준비물 및 필요물품
서울연천중학교 방과 후 연극교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
중학교 1학년 ~ 3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9월 ~ 12월
교육 방향
▶
신체활동을 통한 또래집단간의 유대감 갖기.
기획의도
-만나면 어울리는 비빔밥처럼
▶
-사회가 개인화되면서 구성원간의 소통과 협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사회 비적응자, 왕따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온다. 연극은 삶의 또 다른 버전으로 즐거운 놀이가 될 수 있는 동시에 나의 삶을 이성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트루먼쇼”같은 행위라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서로가 다름을 인정하고 그 안에서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어울리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여 외롭지 않고 따뜻함으로 가득한 사회와 마주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주요 교육내용
▶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또래집단의 형태 및 구성원 파악 -수업 진행 방안 협의 및 제안 << 만남 - 관계 형성하기, 약속정하기 >> -다양한 방법의 자기소개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신뢰감을 형성한다.
만화애니
“만나면 어울리는 비빔밥처럼”이라는 주제를 갖고 연극놀이와 연극적 활동들을 활용 하여 학생들의 마음을 열고 선생님과, 친구들간의 라포를 형성하여 타인의 존재를 인 정하고, 그들과의 만남을 통해 관계를 형성하여 타인과 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 하고 그것들이 서로 어우러져서 자연스럽게 공동체에 대한 친밀감이 형성되도록 활 동을 구성한다.
교육내용
영화
기간
연극
교육가능 교급
▶
<< 음악을 활용하여 신체 깨우기 >> -여러 가지 박자의 리듬, 템포에 맞춰서 자유롭게 몸을 움직인다. -음악을 듣고 떠오르는 느낌이나 감정을 몸짓으로 표현한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수업 때 반에서 거짓말을 너무 많이 해서 존중받지 못하던 친구가 있었는데, 수업이 시작되고 팀별로 미션을 수행할 때마다 친구들이 그 아이와 같이 팀을 하는 걸 꺼려 했고, 노골적인 표현에 당황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 친구에게 이야기 스토리텔링 하는 것에 대해 무게를 싫어주었고 그로인해 아이들이 그 아이의 말을 귀담아 듣고 이야기꾼으로 존중받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 굉장히 소극적이고 자신을 표현하는데 서툴렀던 아이들이 수업 막바지에 이 르러서는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출하고 다른 아이디어가 있으니 ‘한 번 더 하고 싶다.’ 자신의 아이디어를 조금 더 보여주고 싶다고 의사를 표현하는 모습을 올 수 있었습 니다.
<< 창의적인 몸짓 표현하기 >> -변형 놀이를 통해 다양하게 표현한다. -오브제를 활용한 창의적인 몸짓 표현한다. -시를 이용하여 몸짓으로 형상화한다. -오브제를 활용하여 광고 만들기를 한다. -우화를 가지고 몸짓 언어로만 극을 만든다. << 상상하여 이야기 만들기 >> -품사를 이용하여 즉흥적으로 이야기를 만든다. -생활 속 관심사를 중심으로 신문기사를 작성해 뉴스를 만든다. -의성어, 의태어만 가지고 이야기를 만든다.
중반기
디자인
▶
-음악과 무대 공간을 만들어 타블로 만든다.
전반기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사진
-이미지나 감정그림 등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공감각 깨우기
-신체를 이용한 소리와 리듬으로 이야기를 만든다. -대중가요를 이용하여 뮤지컬을 만든다. -문학작품의 뒷이야기를 만든다. -문학작품의 뒷이야기를 바탕으로 극적이야기로 꾸며 대본 만든다.
음악
-갈등 상황 속에서 서로의 입장을 어필하는 즉흥적 이야기를 만든다.
<< 창의적 이야기 만들기 >> -새로운 이야기를 가지고 일상적 행동과 무대 동작의 차이를 이해하고 무대 위 움
▶
직임을 만든다.
후반기
-연극적 요소를 이해하고 협동 작업으로 만들어낸 이야기에 적절한 음악 및 음향,
미술
의상, 소품, 무대, 조명 선정하기 -리허설하기 -공연올리고 평가하기.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연극수업의 장점은 아이들이 정해진 답을 향해 문제를 푸는 게 아니라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선생님과의 관계가 다른 과목 선생님과 다르게 친구 같은 선생님으로 유 대관계가 좋게 형성될 수 있는 부분이 있어 아이들과 함께 뛰며 연극 수업을 하는 모 습은 계속 가지고 가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너무 소란스럽거나 수업을 방해하고 있는 친구들이 있을 때는 빠른 판단력과 주의 집중을 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겠고 매번 기발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아이들을 보며 선입견을 깨고 순수하게 아이들에 게 접근하려는 마음가짐을 갖게 되었습니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교육대상
120분
김태영
세부전공
A -0249
지원분야(세부 분야)
중등
보물 찾아 떠나는 여행
수업주제
▶
소중한 보물에 대해 생각해보고, 보물을 찾아 떠나는 과정으로 연극을 만들 수 있다.
교육목표
▶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자연스럽게 공동체 안에서 어우러짐을 발견할 수 있다.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소중함을 터득할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구성원들의 각기 다른 보물을 보며 타인의 다름을 인정한다. -보물의대한 공유와 획득 과정을 통해 어우러짐과 존중을 이해한다.
중.고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연극(연극/뮤지컬)
영화
수업명
연극영화학
연극
김진미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자기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협동심과 이타심을 알 수 있다. -자신에게 소중한 것을 생각하고 타인의 소중한 것에 대한 배려를 알 수 있다.
-연극 [낙송정의 두 얼굴] 도석, 우의정 역/성균sk소극장 2015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뮤지컬 [달을 품은 슈퍼맨] 우현 역/ck아트홀 2013 공예
-젊은 연극제 연극 [문제적 인간, 연산] 연출/대학로 예술극장 3관 2014
ㅇ 가장 소중한 보물은?
사진
-연극 [오셀로 투맨] 이아고 역/대학로 스타시티극장 2014
모둠을 나눈 후 모둠별로 각자 자신의 보물을 이야기해보고, 모둠만의 보물을 정하여 활동지에 그림으로 그리고 보물이 소중한 이유와 특징까지 작성한다. (*보물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고, 허구의 것일 수도 있다. 보물엔 구체적 이유가 있어야한다.) ㅇ 보물지도 그리고 보물을 찾기 위한 3가지 무기 만들기.
ㅇ 삼성 신입사원 연극 강사
넘어가기 위한 3가지의 무기를 만든다.
ㅇ 삼성 인재개발원 해외 법인장 선발 롤 플레이 1vs2 discussion
(*장애물은 사람일 수도 있고, 공간일 수도 있다. 또한 무기는 그림으로 그려도 되고, 가위로 오려서 만들어도 괜찮다.) ㅇ 보물을 찾아가는 과정을 연극으로 만들어 표현하기.
ㅇ 유치원 크리스마스 연극 교육
모둠별로 보물이 필요한 상황과 보물을 찾아 떠나는 상황, 보물을 찾은 후의 3가지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후 활동지에 작
ㅇ 협동심을 통해 조 별로 만들어 놓은 보물지도와 그로인해 형성된 유대감을 얻을 수 있다. ㅇ 짧은 시간의 즉흥극이 만들어진다.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ㅇ 경원대학교 중문과 졸업발표 연극 교육
음악
성하여 정해진 상황으로 연극을 만든다. 모둠별로 돌아가면서 발표한 후 마무리 한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디자인
모둠별로 선택한 보물을 찾아갈 수 있는 보물지도를 활동지에 그린다. 이때 찾아가는 길에 3가지의 장애물을 설정하고 장애물을
ㅇ 활동지, 이미지(사진), 가위, 테이프, 필기도구, 채색도구, A4용지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ㅇ교실에서 가능하며 책상과 의자는 복도로 빼두거나, 마룻바닥으로 된 빈 공간을 활용한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교육가능 기간
▶
2011년도
교육 방향
▶
연극에 대한 이해와 실습
▶
학생들에게 애니메이션을 극화하여 뮤지컬로 희곡화하여 쓰고 연출, 배우 등 각자의 역할에 맞게 연습하여 공연을 올리도록 하였다. 기본적으로 무대에 서고 걷는 법부터 시작하여, 발성, 발음, 신체 훈련, 자세에 대한 훈련 등을 통해 배우로 준비할 수 있도 록 하였다. 다른 제반 사항들에 대해서는 공연을 위해 필요한 것들 위주로 간략하고 즐겁게 즐길 수 있도록 음향, 무대, 소품에 대해 준비하도록 지도했으며 연기에 대한 연습에서부터 교육자가 없어도 주체적으로도 보완 할 수 있는 방법들을 교육하여 효 과를 높였다.
주요 교육내용
기획의도
▶
-학생들이 함께 주제를 정해, 그에 맞는 희곡을 직접 쓰고 공연을 해보면서 연극 전반에 걸친 작업들을 쉽고 재밌게 체험하고자 함. 공동 창작 작업을 통한 의견의 조율과 주제 선정,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법 등의 희곡에서의 문학적인 교육과, 무대에 오르기 위해 여러 가지 놀이 형식의 exercise를 통한 신체훈련과 감정훈련으로 건강한 몸과 사회성을 기를 수 있 도록 함.
기간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교육회차
1
만화애니
경원대학교 연극 학회 교육
영화
▶
-연극, 처음부터 끝까지 만들기
-교육을 위해 할애될 수 있는 시간, 바닥을 활용할 수 있을 만한 연습실, 공연에 적합한 장소(조명이나 음향시설 사용가능 여부) -학생들의 관심사, 고민거리, 꿈, 교우 관계 등에 대한 이야기를
오리엔테이션
연극
교육가능 교급
▶
통해, 학생들이 가장 잘 알며 흥미 있는 주제를 가지고 희곡을 준비한다. 각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하나의 주제를 정한다. -작품 쓰기. 학생들이 직접 생각한 주제와 이야기를 공유한다. (작품을 위한 준비라는 거창한 느낌보다는 편안한 대화를 유도해 ‘정말 하고 싶은
사진
말’을 작품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진행한다) -둘러 앉아 각자가 생각한 주제와 이야기를 발표한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공감도와 주제가 가진 의미의 중요성을 판단하여 주제와 이야기의 큰 틀을 잡고 다시 에피소드 별로 이야기를 만들어 나간다.
2~7
(고전이나 다른 작품을 기반으로 2차 창작물을 만들 수도 있다) 조력자 역할 이상의 창작은 하지 않도록 한다)
전반기
-교육목표에 있어서 희곡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 회차 이후에도 필요에 의 해 지속적으로 각색을 하며 진행하도록 한다.
8~9 음악
-희곡 명작들 중 몇 작품을 선정하여 주제와 간단한 줄거리를 훑어보고, 학생들의 작품에 부족한 부분들을 점검해 보고 각색한다. (반드시 작품을 쓰기 전이 아닌 이후에 위와 같은 점검을 진행하여 틀에 갇힌 희 곡이 나오지 않도록 한다) -건강한 신체로부터 건강한 정신이 나온다. 배우로서 무대에 오르기 위한 간단한 exercise를 진행한다. -작품을 구상하며 무대, 소품, 의상 등을 정하고 실현가능한 무대를 준비하도록 한 다. (모두가 배우를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각자 스태프로서도 한 가지씩 역할을 맡도록 한다. 배우를 원치 않는 학생이 있다면 스탭장으로 전담할 수 있도록 한다.)
디자인
▶
(주제 선정부터 희곡 디테일까지 최대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창작할 수 있도록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처음 연기를 한다는 것에 대한 부담 때문에, 몇몇 참여자는 쉽게 연극이라는 틀에 적응하지 못했다. 외향적인 성격의 참여자들이 비교적 쉽게 시작하고 적극적인 참여도와 성과를 내는 편이지만 오히려 내성적이었던 참여자들이 관심과 훈련을 통해 예상 못한 좋은 성과를 내는 결과들을 보여주었다. -무대에 오른다는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 긴장을 없애는 exercise와 서로에 대한 깊은 대화, 또 연습과 집중력 훈련 등 여러 가지 노력들이 필요했다. 공연이 잘 진행되고, 전문 배우가 아닐지라도 무대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이 잘 진행되었을 땐 항상 마지막에 많은 배우들과 스탭들이 눈물을 보인다. 다른 활동에서 맛보기 힘든 새로운 성취감을 느끼거나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긴 보람, 그리고 관객들의 박수에 대한 기쁨 등 만감이 교차하는 것들을 처음 느끼고 무대를 만든 서로에 대한 신뢰와 감사, 관객들에 대한 감사를 느끼고 감사하다는 말을 수없이 하고 듣게 되었다.
-학생들이 쓴 희곡을 가지고 배역을 번갈아가며 리딩해 본다. -원하는 배역을 이야기해 보고 조율하여 배역을 정해 연습한다.
▶
-테이블 작업이 3회차 정도 진행 되면 exercise를 통해 무대에
중반기
편하게 오를 수 있도록 훈련한다. (발성, 발음, 움직임, 시선 등)
10~18
미술
학생들은 자신의 롤에 맞게 연기와, 무대, 소품, 음향 등 공연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점검하고 준비한다. 공연이 가능한 날짜와 장소를 확인하고 정한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참여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참여자 개개인에게 신경을 쓰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에 이 과정을 통해 누군가가 상처를 받거나 상처를 주지 않도록 항상 눈과 귀를 열어야 한다고 느꼈다. -참여자들은 분명 각자의 매력과 개성, 자신만의 엄청난 무기를 가지고 있다. 모두에게 그런 것들을 찾아 자신의 역할 내에서 모두가 성취감과 보람을 함께 느끼도록 이끌어야만 한다.
-정해진 공연장에 학생들이 그 동안 준비한 무대와 소품 등을 세팅하고 리허설을 진행한다.
후반기
-정해진 날짜에 공연(간단한 발표회)을 하고 촬영한다.
21~25
-마지막 차수에 품평회 겸, 공연을 통해 느꼈던 점들을 나누고 롤링 페이퍼를 통해 서로에게 간단한 글을 남긴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약 2시간
교육대상
김태임
세부전공
A -0573
지원분야(세부 분야)
중등(전학년) 고등(전학년)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수업주제
▶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학업, 진학 등에 대한 고민을 잠시 내려놓고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도와주도록 한다. 더 나아가, 이 작업을 통해 보이지 않는 크고 작은 상처들을 치유하고, 현재의 막연했던 고민들이 더 발전적이고 긍정적인 고민이 될 수 있도록 쉽고 즐거우면서도 깊이 있는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연극을 통해 학생과 학생, 학생과 선생님, 학생과 학부모 간의 좀 더 진실한 교감과 이해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거주지
경기도 군포시 용호1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새로운 창작 작업을 통한 휴식과 환기를 기대할 수 있다. -신체 훈련과 감정 exercise 등을 통해 건강한 심신을 가질 수 있다.
사진
주요 교육내용
관객이 아닌 창작자와 배우로서 무대를 느껴보고 경험해본다.
교과연계
만화애니
교육목표
“무대에 오르기까지”
초등 영화
▶
연극(연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연극(연극학)
연극
김태영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소통과 조율을 통해 건강한 교우관계와 적극성, 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 -주제 정하기, free talking ▶
-신체훈련, 간단한 exercise 체험하기 -연극 만들어지기까지의 전반에 대한 교육과 실습
예술활동 경력 공예
수업내용 o 2013년
‘공간 채우기’, ‘소리 주고받기’ 등을 통해 몸에 쌓인 긴장을 풀고 수업을 준비한다. 몸 풀기는 스트레칭이나 간단한 움직임 외에는 다양한 exercise를 활용하도록 하며,
디자인
수업이 시작되면 항상 몸 풀기로 시작한다. 간단한 게임에서부터
군포문화재단 문화 예술 지원 사업 강사
활동적인 것에서 정적인 것의 순서로 진행하여 효과적으로 다음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가족이 함께하는 연극놀이“마법의 설탕 두 스푼” 연기 지도) 둥글게 모여 앉아, 각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들을 가지고 한명씩 간단하게 스토리텔링을 해본다. 서로의 이야기에서 주제를 유추 을 얻는 주제를 찾아보고 이야기 해본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o 2014년
음악
해보고, 자신의 주제를 이야기 하면서 주제선정과 효과적인 주제의식의 전달에 대해 이야기 해본다. 가장 많이 중복되거나 공감
안산 매화초등학교 연극반 연기지도 및 발표 안산 창촌 초등학교 동아리 활동지도 안산 창촌 초등학교 돌봄 교실 연극 지도
미술
학생 수 만큼의 시놉시스, 학생들의 주요 관심사와 생각들에 대한 노트
준비물 및 필요물품
안산 매화초등학교 연극반 연기지도 및 발표
공간활용 계획 강당이나 체육관 등을 활용하여 연습실, 공연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군포 광정초등학교 연극반 연기지도 및 발표
미디어아트
o 2015년 노트, 편안한 활동복
성남 보평초등학교 국어교과연계 연극지도 (성남문화재단)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교육가능 기간
▶
초등학교 5학년
▶
기획의도
파악하고 정서적으로 접근하며 과정 속에서 학생 개개인의 개성과 장점을 발현할 수 있는
기간 -강의실 확인
사전방문 (3월)
-특별히 신경써야하는 학생 파악 -우리가 생각하는 연극 수업은?
오리엔테이션
-과정중심의 드라마 만들기에 대한 설명과 스스로 규칙 정하기 교육연극의 드라마적 관습 익히기 1. -여러 가지 연극놀이를 통한 친밀감 형성 -미술관으로 여행- 몸으로 조각상 만들고 제목 붙여주기 -하나 둘 셋 찰칵! -사진 속 한 장면을 조각상 이어붙이기로 재현 -레-디 액션! 영화(동화) 속 세 장면 만들기 -정지장면으로 만든 세 장면에 대사 만 들어 움직여 본다.
전반기
교육연극의 드라마적 관습 익히기 2. -몸으로 표현해요 - 팀별로 주어진 낱말을 몸으로 표현해 본다. (동물, 사물, 탈것, 움직이는 기계 등) -극적 상황 속으로 여행 떠나기- ‘낱말 공장 나라’동화 이용해 극적 상황 만들고 지블리시를 이용, 주어진 목표 달성 -마임으로 만나는 새로운 세상- 여러 가지 소품을 이용해 상황극을 만들어 창의적 으로 자기 표현하기 -내 안의 또 다른 나 (Hot Seating 이용)- “버드나무 집에서의 하룻밤” 광고를 보고 찾아온 사람들(인물창조)의 만들기와 그곳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나도 동화작가! -이야기 자료를 바탕으로 극화하기
6~10
전반기까지의 경험을 토대로 주제에 따른 장면 만들기 -‘북극곰 에게 냉장고를 보내야겠어.’ 책 내용을 공유하고 지구가 안고 있는 문제 알아 보기
중반기
-환경뉴스 만들기- 주어진 자료를 활용해 기사 만들기 (북극곰의 눈물, 홍수, 가뭄과 사막화, 사라지는 섬, 생태계의 변화, 가난과 빈곤 등 )
11~17
-뉴스 진행자와 기자 정하고 기사에 따른 장면 만들기 -지금 세계 여러 곳에서는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가? 자료 조 사하고 장면 만들기 지구야 안녕! (중반기 까지 만들었던 내용과 장면을 구체화 시켜 연결해 대본 만 들고 연습해 발표) -스토리 만들기 -왜 지구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가?
후반기
-어떤 방법으로 해결해 나갈 것인가? -지구수비대 NGO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결성하기 -캠페인 송 만들기 (우리가 실천 할 수 있는 작은 일들)
18~25
미디어아트
수업과는 달리 교과 연계 수업은 연극적 체험과 발표만이 목표가 아니기 때문에 담임선생
2~5
미술
▶
1
음악
게 느꼈다. 창의적 체험 학습이나 동아리 수업처럼 예술 강사가 수업을 전부 이끌어가는
-우리의 연극 만들기는 어떻게 진행 될 것인가?
디자인
야 하는 교과 연계 수업은 예술 강사만의 노력으로는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없다는 것을 크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발표의 유무 확인 (담당 교사와 수업에 대한 방향 회의)
공예
-국어 교과의 내용을 연극으로 풀어 주제를 전달하고 연극을 통해 예술적 경험도 함께 해
교육회차
사진
▶
수업을 마치며 나누었던 아이들과 선생님들의 목소리를 그대로 옮깁니다. <학생> - 수업시간에 몸을 많이 사용할 수 있어서 연극이 좋다. -연극의 여러 가지 요소를 체험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연극수업을 하고 나니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을 연극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더 재미있고 쉽게 공부 할 수 있어서 좋다. -연극수업을 하면서 친구들과 협동심도 생기고 의미 있었다. - 처음에는 자신감이 없었지만 여러 번 하면서 자신감을 찾은 것 같다. - 연극수업을 하는 동안은 어떤 근심도 걱정도 잊을 수 있었다. 또 자신감을 찾고 나설 수 있는 계기 가 되었던 점 또한 만족스럽다. <선생님> - 매번 수업 진행 후 연극 강사와 주고받은 피드백이 다음 수업에 큰 효과가 있었음 - 짧은 시간에 반 아이들의 성향에서 삶까지 그리고 숨겨져 있던 감수성마저 끄집어내는 교육연극 의 힘은 무엇인가 더욱 궁금해진다. - 이번 교육연극을 계기로 자신감을 쌓고 학급 안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아가는 아이들이 많아지기 를 또 한 번 기대한다. - 표현하는 수업인 만큼 수업 중에 소외되거나 상처받는 학생들이 없도록 평소 학생의 성향을 잘 알 고 있는 담임교사의 조율이 필요함 - 수업의 핵심 내용은 담임교사가, 얼마나 내면화 되었는지 표현할 때는 예술 강사가 맡는 형태로 활 동에 따라 구체적인 역할 부담을 사전 에 확실하게 계획하는 게 좋겠음.
교육내용
만화애니
8단원의‘언어예절과 됨됨이’ 단원과 11단원 ‘문학작품을 새롭게’ 단원이 10차시(2차시× 5회) 동안 학 교 담임들과의 협력수업으로 진행되며 딱딱한 국어 수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극적 기법들을 활용 하기로 한다. 1-3차시는 언어예절과 됨됨이를 주제로 한다. 1차시는 준비된 음성(욕과 비속어를 사용하는)만 듣고 음성의 주인을 몽타주로 그려 봄으로써 언 어가 주는 이미지에 대해 알아보며 나의 말이 곧 나의 얼굴임을 인식한다. 2차시는 ‘낱말공장나라’ 라는 동화를 소재로 언어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의 불편한 상황을 연극적으 로 경험하고 말의 소중함과 말을 사용 할 수 있음에 감사함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3차시는 내뱉기는 쉽지만 듣고 나면 상처가 돼서 잊혀지지 않는 말에 대해 이야기 한다. 말로인해 상처받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고 장면 을 만들어 발표해보며 말이 주는 상처에 대한 상황을 직면 하게 한다. 극 중 상처받은 인물을 불러내 이야기를 들어보고 주인공을 위로하기 도 한다. 4-5차시는 문학작품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간을 갖는다. 4차시는 동화를 라디오 대본으로 각색해 조별로 효과음도 만들고 역할 을 나누어 보이는 라디오 형태로 대본을 낭독해 본다. 5차시는 정지용의 ‘향수’라는 시를 소재로 시로 만들어진 노래를 배경 으로 언어가 없이 오브제를 사용해 몸짓만으로 정서를 표현해 보기 로 한다. 위의 수업은 발표를 목표로 하지 않으며 연극의 다양한 활동들을 체험하게 하여 자유로운 표현과 학생들 간의 협업에 중점을 두어 달라는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입니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모든 것이 빠름 빠름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는 요즘의 우리들입니다. 우리는 당연하게 편한 삶 을 살고 있지만 우리의 삶이 편해질수록 지구는 점점 병들어가고 있고 지구 반대편의 어딘가 에는 고통 받는 사람들이 있음을 직시해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우리들의 작은 힘이나마 지 구가 웃을 수 있는 방법들을 고민하고 지구수비대NGO를 결성해 연극화하는 과정 속에서 참 여자들은 타인을 향한 이해와 소통뿐만 아니라 발표를 통한 자기표현의 기쁨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자신감을 높이며 예술의 즐거움을 알게 한다.
영화
▶
-지구야 안녕! (현재의 환경문제를 직시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얽매이지 않고 연극의 다양한 활동들을 이용하여 단원별 주제를 참여자들이 주체적으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요 교육내용
▶
2015년 9-10월 국어교과 연계 수업으로 효율적인 내용전달과 학습을 위해 교과서의 내용 및 지식전달에
교육 방향
연간 교육주제
연극
교육가능 교급
-공연을 위한 연습과 발표 후 소감 나누며 달라진 나를 발견하기.
님과 사전에 많은 회의를 통해 교과목의 효과적인 학습결과를 내기 위해 많은 협력이 필요 하다. 협력수업에서 담임선생님은 진행자로서 뿐만 아니라 참여자로도 함께 해야 하며 서 문학
로 간섭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함께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80분
교육대상
문주환
세부전공
A -0757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 전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수업주제
▶
OO 학교 지구 수비대(NGO) 활동을 위한 캠페인 송 만들기.
교육목표
▶
-병들어 가는 지구를 살리기 위해 실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노래 가사로만들어 본다. -만든 노래는 공연의 주제곡으로 사용되며 전교생에게 알려주어 지구 지키기 활동 에 동참하도록 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지구야 안녕! OO 학교 지구 수비대 GO! GO!
교과연계 거주지
초등 기본교과, 선택교과,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영화
▶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연극(연기예술,연극영화교육)
연극
김태임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지구의 환경문제를 참여자 스스로 인식하고 문제의 해결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스스로 선택한 해결방법이므로 실천하려고 노력할 것이며 지구수비대로서 캠페인송 까지 만들어 전교생에게 들려주기 때문에 책임감도 느끼게 될 것이다. 사진
-지구를 살리기 위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 이야기 나누기 -이야기 나눈 실천사항들을 조별로 음악 선택해 가사로 만들어 보기 -조별 발표하고 모두가 공감한 내용의 노래를 캠페인 송으로 선정.
예술활동 경력 공예
수업내용 직장명
도 입 - 지구 반대편으로 가기 위한 탈 것 몸으로 만들기 (상상 속의 탈것이여도 좋으며 버튼을 누르면 작동해야함) 전 개 - 환경오염으로 인해 병들어 가는 지구의 모습 영상 보기. - 고통 받고 굶주리는 아프리카 어린의 들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가 이야 기 나누기 - 준비한 여러 개의 음악 들려주고 팀별로 한 개의 음악 선택해 나눈 이야기로 가사 만들기. 마무리 - 연습 후 팀별로 음악에 맞춰 만든 캠페인 송 불러보기 모두가 공감하는 가사 선택해 전체가 공유하고 연습하기.
만들어진 캠페인 송은 무형의 결과물이지만 공연의 주제곡으로 사용되어 전교생에게 들려줄 것이며 노래로 불려 지기 때문에 즐겁게 지구 살리기 캠페인에 동참하게 될 것이다. 캠페인 송을 만드는 과정 안에서 타인을 향한 이해 와 소통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적 감수성을 일깨우고 표현의 기쁨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영상 자료, 가사를 붙일 수 있는 음악 자료.
25명을 기준으로 5명씩 한조로 결성 후 연습할 수 있는 공간 필요, 연습 후 발표 시에는 발표할 수 있는 무대와 객석의 분리 필요. 교실이라면 책걸 상을 복도로 내보내야 함.
2015.10.19~ 2015.11.20 2015.8.18~ 2015.12.29. 2015.08.25~ 2015.10.28 2015.08.05~ 2015.12.16 2015.05.11~ 2015.06.15 2015.05.01~ 2015.12.29 2015.04.06~ 2015.05.01 2014.09.05~ 2014.12.19 2014.08.25~ 2014.10.29 2014.05.24~ 2014.12.20 2014.04.04~ 2014.10.24
서울 교육청
수업 내 연극 강사
군포 교육청
자율학기제 연극 강사
서울 교육청
수업 내 연극 강사
국방부
문화체육활동 연극 강사 수업 내 연극 강사
방과 후 연극반 파주 해솔 중학교 C.A 연극반 서울 영등포 고등학교 교내예술교육사업 서울 은평 고등학교 군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육군 61사단 연극 수업 군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육군 3군단 연극수업
2014.03.12~ 2014.06.30 2013.10.11~ 2013.10.25. 2013.10.07~ 2013.11.25. 2013.06.01~ 2013.12.05. 2013.01.12~ 2013.03.02
서울 교육청 국방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세종시 교육청
기획자
서울 교육청
방과 후 연극 강사
서울 교육청
수업 내 연극 강사
국방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서울 교육청
강사 및 연기 지도
경기도 교육청
방과 후 연극 강사
서울 교육청
강사 및 연기 지도
서울 교육청
강사 및 연기 지도
국방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방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강사 및 연기 연출 스텝
교육실습
방과 후 연극 강사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수업 내 연극 교과 활동 서울 연천 초등학교 자율학기제 연극반 활동 군포시 산본 중학교 수업 내 연극 교과 활동 서울 은빛 초등학교 군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육군 3사관학교 수업 내 연극 교과 활동 서울 연천 초등학교 군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육군 5공병대대 교육실습 세종시 성남 고등학교 방과 후 연극반 서울 화원 중학교 수업 내 연극 교과 활동 서울 은빛 초등학교 군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육군 12사단 79포병대대 방과 후 연극반 서울 연신 중학교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담당업무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근무부서
디자인
- 도착한 아프리카의 모습 팀별로 정지장면으로 표현해 보기.
근무기간
강사 및 연기 연출 스텝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2015년 3~12월
교육 방향
▶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원인을 상상하고, 뱃속에서 탈출하는 과정으로 연극 만들 기
▶
이 프로그램은『호랑이 뱃속 잔치』라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것입니다. 동화 속에서 주인공들은 호랑 이 뱃속을 동굴로 착각하고, 그 안을 탐험하게 된다. 동화 속 캄캄한 뱃속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통 해 흥미요소를 찾아냈습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직접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이유 를 상상하고, 연극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우선, 캄캄한 장소를 각자 생각하여 나누고, 그 장소들을 상상하여 움직여 봅니다. 이 활동을 통해 캄캄한 호랑이 뱃속이라는 공간적 상상력을 돕고, 캄캄한 장소가 가지고 있는 긴장감과 흥미를 유 발시킵니다. 이어 모둠별로 2컷 만화를 이용해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이유를 그려보고, 만화를 기반으로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이유부터 탈출까지의 과정을 연극으로 만들어봅니다.
기획의도
▶
-기존에 동화책에 담긴 이야기나 주제를 활용하는 것이 아닌 동화책 자체가 지닌 다양한 소재 들을 가지고 색多른 시선으로 색多르게 아이들이 스스로 재창조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 발하였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기간
주요 교육내용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교육회차
-교육 공간 협의 및 활용 가능한 교육장비 확인 -교육 인원 확인과 특이사항 확인 -만남 1. 그림을 이용한 자기소개
오리엔테이션
2. 수업소개
1
만화애니
교육가능 기간
▶
-동화책 색多르게 활용하기
영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3. 수업 규칙 정하기 4. <박수를 보내라> 놀이를 통한 협동심의 중요성 일깨우기
중반기
-상상 표현 (책의 변신은 무죄!) 1. 책을 가지고 상상 변형해 보기 2. 상상한 책을 가지고 모둠별 토의 3. 상상 변형한 책을 이용해 상황극 발표 -상상 표현 (상상고양이) 1. 고양이와 쥐 얼음땡 2. 어느 장소의 고양이일까? (고양이와 장소를 구체적으로 상상하여 연결시키기) 3. 고양이 창조하기 (고양이를 구체적으로 상상하여 인물로 창조해 본다.) 4. 창조한 고양이와 장소를 연결시켜 연극 만들기 -상상 표현 (숫자야 변해라) 1. 하나 둘 셋! 인간제로 2. 동화책 속 한 장면에 숨어있는 숫자를 찾기 3. 찾은 숫자를 변형시켜 다양한 모습으로 바꿔보기 4. 바꾼 모습을 가지고 연극 만들기
5~7
후반기
-연극 만들기 (만약 요술부채가 있다면) 1. 거리위의 조각상 2. 조각 상상하여 그림그리기 3. 요술부채 이야기 듣기 4. 요술부채 활용하여 연극 만들기 -연극 만들기 (어떤 이불이 있을까) 1. 이불 동화책 보여주기 2. 이불의 다양한 변신 알아보기 3. 변신한 이불 가지고 연극 만들기 -연극 만들기 (여긴 어디? 호랑이 뱃 속) 1. 캄캄한 공간 찾아보고, 움직여보기 2. 호랑이 뱃속에 왜 들어갔을까? 3. 탈출! 호랑이 뱃속!
디자인 음악 미술
8~10
미디어아트
연극 수업을 하며 가장 보람을 느끼는 때는 무엇보다 학생들의 즉각적이고 솔직한 변화를 바라볼 때입니다. 저는 교육 수업을 하며 이러한 학생들을 많이 봐왔습니다. 분명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모습들이었습니다. 아마 지금의 교육 연극에 임하는 제 자 세나 태도도 이러한 아이들의 맑고 건강한 반응들을 통해 발전해 오지 않았나 싶습 니다. 학부와 외부 공연을 통해 배우의 마음가짐이나 자세를 학생들에게 전해 줄 수 도 있고, 교육 대학원을 통해 배운 교육공학이나 교육론을 접목시킨 수업 과정이 저 에게는 큰 무기입니다. 날이 갈수록 저는 변화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더욱 긍정 적인 효과를 주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좋은 선생님들에게 저의 수업을 평가 받고 조언을 받는 일을 저는 피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좋은 교사는 항상 배우 는 자세를 가진 교사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스스로 노력하고, 배우는 것에 두려움이 없는 교사의 자세를 가지고 학생들에게 늘 밝고 건강한 교육을 하고 있다 고 자신할 수 있습니다.
공예
▶
평소 이 학생은 자기표현에 굉장히 미숙하고 어려워하던 학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활동을 통해 남들이 몰랐던 자신만의 상상력을 그림으로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었습니다. 이 학생이 속해 있던 모둠 학생들은 이 학생의 그림을 활용해 연극으로 만들었습니다. 수업 시간 전과 자 신의 이야기로 연극을 만든 후의 학생의 표정은 정말 많이 달라져 있었습니다. 또한 책을 읽거나 관심을 갖지 않던 학생들이 전래동화를 활용한 이 활동을 통해 자발적으로 책 속에 나와 있는 다른 소재들을 가지고 연극에 대한 토의를 하는 모습을 보고 큰 보람도 느 낄 수 있었습니다.
사진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2~4
전반기
2) 교육 성과 및 효과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마음열기 자기표현 1. 사람이나 사물이 되고픈 나 2. 연극놀이(이름 부르기,당신의 이웃) 3. 짝꿍 얼굴 그리기 -몸짓 표현 1. 연극 놀이 (방과 방 사이, 이상한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2. 신체 부위를 이용한 연극 만들기 -몸짓 표현 1. 우리도 동화책 속의 초능력자! 2. 초능력을 이용한 연극 발표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문주환
연극
80분
초등 전학년
▶
호랑이 뱃속 탈출 과정을 다양하게 상상하고 연극 만들기
교육목표
▶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원인을 상상하고, 뱃속에서 탈출하는 과정을 연 극으로 만들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탈출과정을 연극으로 만듦으로서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 캄캄한 공간 찾아보고, 움직여보기 • 호랑이 뱃속에 왜 들어갔을까? • 탈출! 호랑이 뱃속!
수업내용
한 뱃속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통해 흥미요소를 찾아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직접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이유를 상상하고, 연극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우선, 캄캄한 장소를 각자 생각하여 나누고, 그 장소들을 상상하여 움직여 본다. 이 활동을 통해 캄캄한 호랑이 뱃속이라는 공간적 상상력을 돕고, 캄캄한 장소가 가지고 있는 긴장감과 흥미를 유발시킨다. 이어 모둠별로 2컷 만화를 이용해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이유를 그려보고, 만화를 기반으로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이유부터 탈출까지의 과정을 연극으로 만든다. 탈출과정을 연극으로 만듦으로서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 향상
• 수업시간이 넉넉하다면 뱃속 탐험을 활동지를 이용해 구체적으로 활동해도 좋다.(부록) 정리 (10분) ● 활동 후 느낌 교환하기 ①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원인을 상상하여 그림으로 그려보니 어떤가요? ②탈출하는 과정을 연극으로 만들어보니 어떤가요? 예) 호랑이 뱃속에서도 빠져나온 것처럼 어떤 상황이든 이겨낼 수 있을 것 같아요.
미술
<평가계획> 평가내용 : Q.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원인을 상상하고, 뱃속에서 탈출하는 과정을 연극으로 만들었는가? 평가 수준 : 상, 중, 하 평가방법 : 관찰법, 실기법
미디어아트 문학
▶도움말◀ • 안대 착용이 이상적이나 여건에 따라 눈을 감고 활동해도 무방하다. • 죽은 황금 박쥐들이 말을 하지 않도록 하며, 활동 인원이 놀이에 집중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 눈을 감고하는 활동이므로 안전사고에 유의한다.
음악
도입 (20분) ● 활동 - 동굴 속 배고픈 불청객 활동 목표) 놀이 속 역할을 통해 어두운 환경 속 갈등을 경험할 수 있다. (활동형태) 전체 (준비물) 안대 (활동방법) ① 이야기로 놀이방법을 소개한다. 옛날 평화로운 황금 박쥐 동굴에 불청객이 찾아온다. 불청객은 바로 배고픈 사냥꾼이다. 사냥꾼이 황금 박쥐 동굴에 찾아 온 이유는 동굴 에 사는 모든 황금 박쥐들을 잡아먹어 몸보신은 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사냥꾼과 황금 박쥐는 캄캄한 동굴 안에선 모두 앞을 볼 수가 없다. 그래서 동굴 황금 박쥐들은 부딪치는 모든 박쥐와 ‘황금 박쥐’라는 인사말로 인사를 나눴다. 하지만 사냥꾼과 황금 박쥐가 부딪치는 순간 ‘사냥꾼’라는 인사말을 사냥꾼에게 들으면 황금 박쥐는 큰 비명과 함께 잡아먹히고 말았다. 황금 박쥐가 큰 비명을 지른 이유는 다른 황금 박쥐에게 사냥꾼의 위치를 알리려 함이다. 사냥꾼은 동굴의 모든 황금 박쥐를 잡을 때까지 계속 돌아다녔다. ② 원으로 둘러 선 후 눈을 감고 ‘학교 종이 땡땡땡’을 공포 버전으로 부른다. ③ 교사가 노래를 부르는 중 어깨를 쳐서 술래 ‘사냥꾼’을 정한다. ④ 사냥꾼이 정해지면 눈을 뜨고 교사의 신호에 맞춰 세 걸음 도망 칠 수 있다. ⑤ 교사의 신호에 맞춰 모두 안대를 하거나 눈을 감고 활동을 시작한다. -이때 교사의 역할은? - 황금 박쥐와 사냥꾼이 부딪히는 모든 인원들과 인사를 나누도록 하게 한다. - 죽은 황금 박쥐들은 특정 수업 공간에 표시한 무덤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 모든 황금 박쥐가 잡히면 활동을 다시 시작하고, 몇 차례 반복한다. - 응용 : 사냥꾼 수를 늘려 간다. -캄캄한 공간을 사냥꾼을 피해 다녀보니 어땠는지, 사냥꾼은 캄캄한 공간을 황금 박쥐들은 잡으러 다릴 때 어땠는지 나눈 후 마무리한다.
디자인
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 활동3 - 탈출! 호랑이 뱃속! (학습목표) 호랑이 뱃속을 탈출하는 과정으로 연극을 만들 수 있다. (활동형태) 모둠 (활동방법) ① 모둠별로 수업 공간 전체를 호랑이 뱃속이라고 상상하고 탐색하여 연상되는 부위를 정리해본다. 예) 앞문 - 목구멍, 칠판 - 갈비뼈 등 ② 모둠별로 활동지에 그린 인물이 되어 교사가 불러주는 시간을 듣고 호랑이 뱃속에서 상상하여 살아본다. 예) 오후 1시 : 뱃속에 들어 온 것도 모르는 바보 치과의사, 뱃속에서 도시락을 먹는 배고픈 사냥꾼 등 저녁 12시 : 심장 소리를 들으며 잠이 든 순진한 치과의사, 탈출 기회를 노리며 돌아다니는 사냥꾼 등 ③ 호랑이 뱃속에 들어오게 된 원인부터 탈출하는 과정까지를 연극으로 만든다. ④모둠별로 돌아가며 발표한 후 마무리한다. ▶도움말◀ • 다양한 색의 천을 이용하거나, 모둠별로 수업공간의 소품을 상상 변형해 연극의 소품으로 활용해도 좋다.
공예
이 프로그램은『호랑이 뱃속 잔치』라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것이다. 동화 속에서 주인공들은 호랑이 뱃속을 동굴로 착각하고, 그 안을 탐험하게 된다. 동화 속 캄캄
▶도움말◀ • 뱃속에 들어가는 동작은 학생들이 다양한 의견을 내어 정해도 좋다.
사진
수업주제
여긴 어디? 호랑이 뱃속!
만화애니
▶
영화
수업명
연극
강사명
전개 (50분) ● 활동1 - 캄캄한 장소 찾아보고, 움직여보기 (활동 목표) 캄캄한 장소를 찾아보고, 그 장소를 상상하며 움직여볼 수 있다. (활동 형태) 전체 (준비물) 까만색 보자기 (활동 방법) ① 까만색 보자기를 보여주고, 까만색하면 연상되는 것들을 발표한다. 예) 연탄, 저녁, 무섭다 등 ② 까만색하면 연상되는 장소를 발표한다. 예) 우주, 골목길 등 ③ 나온 장소 중 몇 가지를 선택해 장소 안에서 상상하여 움직여본다. 예)T : 지금부터 이 곳이 우주 공간으로 바뀔 거예요. 우주 공간은 어때요? S : 깜깜하고, 움직임이 느려져요. ④ 활동 후 캄캄한 장소를 움직여 본 느낌을 나누고, 마무리한다. ▶도움말◀ • 학생들 각자의 상상력을 돕는 활동이므로 활동 중 학생 상호 간에 대화나 교류가 없도록 주의한다. • 장소에서 움직임을 하고 있는 몇몇에게 인터뷰를 하여, 동일한 장소에 다른 움직임과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면 좋다. ● 활동2 - 호랑이 뱃속에 왜 들어갔을까? (활동 목표)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원인을 상상하여 그려볼 수 있다. (활동 형태) 모둠 (준비물) 활동지(호랑이 뱃속에 왜 들어갔을까?), 필기도구, 채색도구, 북, 막대기 (활동 방법) ① 모둠을 나눈 후 전체 학생은 원으로 둘러선다. ②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는 동작을 교사의 신호에 맞춰 함께 하고,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는 활동을 한다. 예)T : 이제 우리가 호랑이 뱃속으로 들어가게 될 거예요. 북소리는 호랑이 울음소리이고, 막대기는 호랑이 이빨이라고 상상해봅시다. 북소리가 나 면, 선생님이 너희들 머리 위로 이빨인 막대기를 지나가게 할 거예요. 그럼, 어떨 것 같아요? S : 비명을 지를 거 같아요. T : 맞아요. 이때 너희들은 모두 비명을 지르면서 호랑이 뱃속으로 들어간다고 상상하며 앉으면 돼요. ③ 교사의 활동지 예시를 본다. 예) ④ 모둠별로 호랑이 뱃속에 들어가게 된 원인을 구체적인 인물과 상황을 상상하여 활동지에 그려본다. ⑤ 모둠별로 호랑이 뱃속에 들어간 원인을 발표한 후 마무리한다.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이름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모둠 별로 만들어진 연극 작품과 그에 따른 미술 창작물이 결과물로 나올 수 있습니다.
문혜진
세부전공
A -0320
지원분야(세부 분야)
연극(연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북, 막대기, 각종 천
미기재
교과연계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거주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2013년 상명대학교 연극학과 단막극 제작실습 최문애 작 <실종> ‘학생2’ 역
만화애니
학생들 수에 따라 여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교실공간, 혹은 강당
영화
공간활용 계획
연극
준비물 및 필요물품
연극학
공예
2013년 상명대학교 연극학과 제작 기획 및 실습 베스 헨리 작 <마음의 범죄> ‘베이브’ 역
디자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4년 상명대학교 연극학과 제작 기획 및 실습 안톤 체홉 작 <갈매기> ‘뽈리나’ 역 (제 2회 대한민국 연극 브 릿지 페스티벌 기획 프로듀싱 상 수상) 2015년 상명대학교 연극학과 졸업 작품 이강백 작 <칠산리> 총 기획팀장
미디어아트
예술활동 경력
미술
연극제 참가작)
음악
2014년 상명대학교 연극학과 제작 기획 및 실습 막심 고리키 작 <밑바닥에서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가면극 놀이
기획의도
▶
연극이 생소 하거나 성격 상 놀이를 피하는 학생들에게 참여를 유도하는 오브제로 인형과 가 면, 조형물을 통해서 투사기법을 활용한 역할놀이를 체험해보며 다양한 상황 속에서 상상하고 행동해본다.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문혜진
연극
60분 이내
초등(저학년)
수업명
▶
아이 CAN DO IT
수업주제
▶
가면극으로 들어가기 전 몸 풀기 차시로 인형이라는 오브제와 친해지고 그것으로 표현해보기.
교육목표
▶
- 인형이라는 투사매체의 다양하게 표현된 모습을 감상한다. - 내 주변의 인형을 찾아보고 학습자가 가지는 인형의 의미를 생각해본다. - 고정되어 있는 물체를 통해서도 풍부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배운다.
교육회차
-활동대상, 수업장소, 활동시간 등을 정확히 파악
- 내가 가지고 있는 인형들
오리엔테이션
- 인형극과 가면극 영상을 감상
- 다양한 분야별의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미술, 연극, 음악 등의 예술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1
인형이라는 투사매체의 속성을 이해하고, 고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물체를 통해서도 풍부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 아이의 감정표현과 생각이 나타난 작품을 스스로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작품은 직접 만든 투사매체로 ▶
만화애니
- 여러 나라의 인형을 PPT와 영상 감상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어져 활동을 하는 도구를 직접 제작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 활동 아동의 창의력과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동의 무의식 또한 발현시킬 수 있다. - 투사 매체를 이용한 활동들이 많기 때문에 부끄러움이 많은 아이도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끌 어내는 것이 용이하다.
- 동물가면 만들어보기 - 명사상자와 동사상자
2~5
가면무도회 내가 아닌 나라는 모토 아래에서 가면이라는 투사매체를 통해 나의 감 정들을 표현하고 타인의 감정을 생각하고 공유해볼 수 있게 된다.
- 여러 나라의 인형 - 내가 만드는 테루테루보즈
6~10
수업내용 - 활동1) 내가 가지고 있는 인형들 (15분) (기대효과) 어릴 적부터 친숙하게 가지고 놀았던, 혹은 내가 제일 아끼는 인형들을 친구들에게 소개함으로써 교사는 학습자가 인형 을 가지고 어떻게 진행하는지 살펴보고 인형의 외형적 특성에 따라 인형에게 부여하는 의미와 역할, 놀이주제 내용과의 관련성을
디자인
- 여러 사조의 조각상과 조형물을 PPT로 감상 - 우리 가족 점토인형 만들기 - 문을 열면 무엇이 있을까요 - 인형의 집에서 나는 어디 있을까 이미 만들어진 사물을 이용한 역할연기가 아니라 미술 제작과정을 거쳐서 역할연 기에 돌입한다. 아동들은 한 사람의 여러 가지 역할 또는 딜레마의 양 측면을 가면 이나 인형으로 형상화해 볼 수 있게 된다.
- 내 인형 소개하기 ▶
공예
전반기
주요 교육내용
사진
- 여러 나라의 가면을 PPT와 영상 감상
살펴본다. (활동형태) 전체집단, 발표형식
- 또 하나의 나, 가면 앞 차시의 가면이 현실적인 자신과 타인의 모습에서 많이 벗어난 상상의 가면에 가까웠다면 좀 더 자신의 모습과 비슷한 모습에서 발전된 모습의 가면으로 역할연
11~20
(활동방법) 1. 학습자에게 미리 활동 전에 집에서 가지고 온 인형을 준비하게 한다. 2. 학습자는 친구들의 앞에서 자신의 인형의 특징이나 자신과 관련된 이야기를 한다.
기를 통한 체험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음악
중반기
- 활동2) 여러 나라의 인형들 (15분) (기대효과) 학습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인형극영상(혹은 그와 같은 양식의 애니메이션)과 PPT를 준비한다. 학습자들은 세계 각국의 인형들을 보며 다양한 미술양식과 연극적 움직임들을 경험한다. (활동형태) 교사의 지도아래 전체 집단
에 실행)
(활동방법)
예술가가 작품을 창조하듯이 어린이는 역할 놀이를 하면서 신체와 상상력을 이용
후반기
해 현실을 새로운 형식으로 변형하며 유희적인 수단을 사용해 혼돈과 모호함으로 부터 질서를 창출한다. 교사는 단순히 관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역할 놀이치료나, 감정을 마음껏 표출할 수 있게 독려해야 한다. 적절한 시기에 상호작용하여 아동 의 놀이를 보다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지도해야만 한다.
1. 교사가 준비한 영상과 PPT를 본다.
21~25
2. 교사는 한 이미지나 영상이 끝날 때마다 학습자들에게 느낌과 외양이 어땠는지에 대해 감상을 물어본다. - 활동3) 내가 만드는 테루테루보즈 (30분) (기대효과) 만드는 것이 어렵지 않은 테루테루보즈에 여러 가지 재료들을 이용해 장식하면서 표현력을 높인다. 또한 자신이 바라는 테루테루보즈의 능력을 추가함으로써 손 인형이라는 단순한 의미를 넘어 인형의 기원을 알게 되고 자신의 바람이 담긴 소중한 것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배운다.
미디어아트
투사기법을 이용한 치료가 진행되는 도중에 아동이 놀이라는 안전한 공간 속에서
미술
- 동화(문학) 속 그 때, 내가 있었다면 (또 하나의 나, 가면활동이 완성이 되는 차시
(활동형태) 나누어진 소집단 안에서 혼자 작업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이름 (활동방법) 1. 일본의 인형 테루테루보즈의 모습을 보여주고 설명한다. (테루테루보즈: 맑은 날씨를 불러온다는 일본의 인형) 2. 솜을 뭉쳐 흰 손수건의 가운데에 놓고 감싸 내린다. 실로 솜 밑 부분을 묶어 위의 머리가 드러나도록 한다. 3. 실은 자르지 말고 매달아 놓을 수 있도록 길게 늘여 놓는다.
박수연
세부전공
A -0640
지원분야(세부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5. 인형이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자신만의 인형이름을 붙여준다. (예를 들어 어흥어흥 인형, 호랑이 기운이 나게 도와준다.) 6. 친구들에게 완성된 자신의 인형을 보여주고 이름과 능력에 대해서 발표해 본다.
연극 (공연영상미술) 연극
4. 눈, 코, 입 등을 그려도 좋고 원하는 재료로 인형을 꾸며본다.
공연영상미술
- 활동 후 느낌 교환하기
지원교육대상
1. 앞서 보았던 가장 기억에 남았던 인형이 있었나요? 있었다면 왜 그랬나요?
교과연계
3. 친구의 인형 중에 인상 깊었던 가면이 있었나요
거주지
경기도 광명시 덕단이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영화
2. 나만의 테루테루보즈 인형을 만들어 보니 어떤가요?
중.고등
테루테루보즈 인형이 유형 결과물이 되고 인형의 대한 추억과 호기심, 상상력 등이 무형 결과물이 된다. 2013.05.14. - 2013.06.02. 2014.03.20. - 2014.05.11.
사진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25주년 기념 공연 연극 “부활” 의상 어시스턴트
준비물 및 필요물품
명동예술극장/ 연극 “한때 사랑했던 여자에게 보내는 구 소련 우주비
강사의 다양한 인형들의 모습과 인형극이 담겨있는 PT자료, 학습자가 자주 가지고 놀던 친숙한 인형, 흰 손수건, 솜, 실, 가위, 수수깡, 비즈,
행사의 마지막 메시지” 의상어시스턴트 & 의상진행
반짝이, 털실, 단추, 목공용 본드, 사인펜, 물감 등의 장식 재료들
2014.08.04. - 2014.08.30. 명동예술극장/ 연극 “유리동물원” 의상진행
오리엔테이션 다음, 1차시일 경우이기 때문에 교실 사용.
2014.09.11. - 2014.10.27.
예술활동 경력
고양아람누리 아람극장 & 대전예술의전당/ 오페라 “나부코” 의상장신
공예
공간활용 계획
구제작 & 의상진행 2014.11.10. - 2014.11.30. 청담 유 씨어터/ 뮤지컬 “무엇으로 사는가” 의상디자인 2014.12.06. - 2014.12.28. 2015.01.20. - 2015.03.08. 대학로 노을소극장/ 연극 “보이첵” 의상디자인보
디자인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연극 “리차드 2세” 의상진행
2015.02.20. - 2015.03.11. 명동예술극장/ 재공연 연극 “유리동물원” 의상진행 2015.04.10. - 2015.05.11. 명동예술극장/ 연극 “리어왕” 의상진행 충무아트홀/ 뮤지컬 “신데렐라” 의상제작 팀장
2015.11.15. - 2015.11.25. 바람꽃 연극놀이터/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탭TAP 탭TAP” 의상디자 인 지도강사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2015.07.01. - 2015.09.20.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
- 언어, 미술, 무용, 소리를 융합한 에듀테인먼트 공연 창작
기획의도
▶
- 흥미 요소를 기반으로 한 학습 활동으로 예술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직접 이야기를 만들고 이에 미술, 무용, 소리를 융합시켜 더욱 창의적인 창작 활동을 함에 있다. 창작 활동과 더불어 서로의 아이디어를 상호 보완하여 공연을 만들어 협동심을 키운다.
중학교 1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11.15. ~ 11.25
교육 방향
▶
청소년들의 자발성과 주도성을 이끄는 창작 작업
- 중학교 1학년 연극동아리 2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본인의 경험, 고민 등을 토대로 직접 창작한 이야기를 무대 위에서 관객들과 소통 하며 예술을 체험하였다. ▶
-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이야기 창작팀, 무대미술팀, 홍보&기획팀으로 나뉘 어 이에 알맞은 대본, 소품 및 장신구, 포스터 제작을 지도하였고 투표를 통해 배역을 선발하여 연기, 동선, 목소리를 지도하였다.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 학생들의 전반적인 관심사와 수업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학습 환경과 필요한 부분에 대해 알아본다. - 전반적인 공연 장르와 제작과정 이해
1
만화애니
주요 교육내용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영화
기간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 공연의 이해와 제작 과정 알아보기 - 흥미로운 관심사를 단어로 적어 단어카드를 만들고 음악에 맞추어
2~4
- 단어카드를 몸 / 소리로 표현하기 (1인, 팀)
2) 교육 성과 및 효과
사진
움직이며 친구들과 단어카드 교환해보기
전반기
5~10
공예
- 각자의 단어카드를 무작위로 배열하여 이야기 만들기 - 이야기에 맞게 자유롭게 움직여보기 - 교실 안 물건들을 활용해 이야기 장면 꾸미기 - 학생들의 경험을 토대로 나온 주된 이야기는 진로 고민이었다. 이에다양한 직업군의 캐릭터를 만들었고 어울리는 동작, 목소리, 미술, 소품 등을 창의적으로 제작하였다. 학생들은 그림으로 그 렸던 아이디어가 현실화되고 무대 위에서 실현되는 것을 가장 큰 보람 으로 여겼고 자신이 만든 ▶
캐릭터 역할을 맡았을 때 더욱 몰두하는 경향을 보였다. - 서로의 아이디어를 상호보완하며 공동 창작하는 과정에서 자발적으 로 아이디어를 냈고 이에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석고붕대와 티셔츠를 활용하여 캐릭터 가면, 공연 의상 만들어보기
중반기
자연스럽게 친목 도모와 더불어 협동심을 함양시켰다.
- 이야기에 맞는 소리를 몸을 이용하여 만들어보기 - 손전등과 셀로판지를 활용한 빛의 효과 알아보기
11~20
- 핸드 페인팅을 활용한 공연 포스터 만들기 음악
- 다양한 사례를 토대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였고 전체적인 방향을 이끌어 주었다. 칭찬과 격
▶
- 공연 발표 후 아쉬운 점, 소감 자유 토론
21~25
- 각 분야별로 나뉜 17명의 학생들을 팀별 역량에 맞는 수준별 수업 으로 진행하였고 이에 학생 들은 호기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반응하였다. - 단기 프로그램이 아닌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교육을 진행하게 된 다면 창작 작업에 대한 더욱 깊은 이해와 표현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공연 발표
미술
려로 후반부로 갈수록 학습 열의가 고조되어 더욱 다양한 의견과 심화된 과정을 보여주었다.
- 공연 준비하기
후반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3시간
교육대상
송정미
세부전공
A -0787
지원분야(세부 분야)
중학교 1, 2학년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연극, 무용, 뮤지컬, 퍼포먼스의 전반적인 특성을 소개한다. 또한 공연이 만들어 지 는 과정과 분야별 역할에 대하여 소개한다. - 공연 사례를 기반으로 통합 예술에 대한 흥미를 가진다. -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이해한다. - 공연 장르의 특성 및 제작 과정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한다.
거주지
기본교과,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선택교과 경기도 단원구 안산시 고잔2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다양한 작품을 감상 할 수 있다. - 사례를 통해 장르별 특성 및 제작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2014. 07.21~22 서울프린지페스티벌 참가작, <영웅은 죽었다> 연출
- 작품 감상의 시간을 갖는다.
사진
▶
교과연계
만화애니
수업주제
- 공연의 이해
중.고등 영화
▶
연극(연극연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연극
연극
박수연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수업내용 공예
예술활동 경력
디자인
- 전반적인 수업 및 강사 소개 - 공연 사례를 통하여 장르별 특성을 알아본다. (연극 리차드 2세, 발레 호두까기 인형, 넌버벌 퍼포먼스 난타, 뮤지컬 신데렐라) - 공연 제작 과정을 알아본다. (1.작품선정 2.대본집필 3.캐스팅 4.연출 및 분야별 디자인 과정&제작 5.연습 6.리허설 7.공연 8.마무리) - 작품 감상하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작품 감상문 음악
준비물 및 필요물품 시청각 자료, 감상문, 필기도구
2014. 01 (3주 기간) 미얀마 동파운지 학교, 겨울 교육 봉사
미술
공간활용 계획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 10월 ~12월 (10주간) 안산 다문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극교육 교사
컴퓨터, 빔 프로젝터 사용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기획의도
▶
- 윤동주의 삶을 연극으로 올려보기
다문화 중학생 대상
교육 방향
▶
한국문학 ‘소나기’를 그림자극으로 올리면서 한국정서 이해하기
▶
- 초반 단계에는 연극 놀이를 통해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 (1~3주) 각자 음악을 가지고 온 후 누구의 음악인지 찾는 게임, 서로 눈 감고 이끌어 주는 게 임, 서로의 몸의 형태를 바꾸는 틀린 그림 찾기 게임 등을 통해 서로를 보게 한다. - 중반 단계에는 ‘소나기’를 가지고 연극의 이야기를 만들 수 있는 상상력 키우기 (4~6주) 하나의 사진을 보고 주인공들의 전사를 다 같이 만들어 보기. 소나기에서 나오는 대 사를 몇 개를 뽑아서 상황 극 만들어 보기, 소나기에서 나오는 간단한 소품을 이용해 그림자 이미지 만들기 . 이런 작업을 통해 소나기를 가지고 다양한 상상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 후반 단계에는 ‘소나기’를 연극화시키기 (7~10주) 아이들이 다시 한 번 소설을 읽고 오게 하고 소나기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서 하나 로 만든다. 그 이후에는 10분 연극을 만들기 위한 장면 선정, 인물 나누기를 스스로 할 수 있게 해 주고, 연습을 하였다.
기간
교육내용
사전방문 (3월)
- 수업 주제인 ‘윤동주’ 시인에 대한 선생님과 의견을 나눠보고, 이에 맞는 자료를 수집 하거나, 맞지 않는 다면 새로운 주제를 찾아본다. - 혹시, 반에 문제가 되는 아이 (함께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특정 신체적인 문제 등) 특 이 사항을 알아본다. - 수업할 장소가 어디인 알아보고, 공연의 크기에 대해서 이야기 해본다.
오리엔테이션
첫 수업에는 아이들의 성향을 파악해라. - 아이들이 외향적인지, 내향적인지 ‘색을 이용한 자기소개’를 통해 아이들의 발표 하는 능력을 체크해서 아이들의 성향을 체크한다. - 아이들에게 연극을 본 경험이라든지, 연극을 해 본 경험이 있는지. 있으면 어떤 종류의 연극에 관심이 있는지 체크해 본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집중할 때가 가장 행복해요 학생들이 가장 좋아하는 수업은 연극게임을 이용한 놀이이다. 예를 들면 “누구의 음악인지 찾아보자” “틀린 그
1
2~5
공예
전반기
아이들 스스로, 하나가 되어 팀워크를 만들어라! ->아이들에게 연극 과정은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것과, 서로를 이해해줘야 한다는 마음을 알려 줘야 한다. -2주차 각자 자신의 음악을 가지고 온 후 , 이 음악이 누구의 음악인지 찾아내는 수업. -3주차 한명이 눈을 감고 다른 사람이 이끌어 주면서 서로를 믿는 작업 -4주차 공을 다 같이 전달하여 목표점 까지 이동하는 협동력. -5주차 몸으로 표현 하는 스피드 게임
교육회차
사진
2015년 9월~12월 (10주간)
만화애니
▶
학생들은 시대적 배경을 중점을 두어 윤동주 시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에 큰 초점을 둔다. 윤 동주 시인의 마음을 이해하고, 그 마음을 가지고 스스로 다양한 연극적 활동을 하게 된다. 다 양한 요소인 조명, 음악, 무대, 의상을 활용한 표현방식으로 인해 연극과 관련된 진로탐색 및 소통의 자유로움, 세상을 보는 새로운 관점이 생긴다.
영화
교육가능 기간
주요 교육내용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림을 찾자” 라는 식의 놀이게임은 아이들을 집중 시킨다. 항상 수업 시작과 시작 후에 5자토크를 진행한다. 아 이들의 변화는 “집에 가고 픔”에서 “너무 아쉽다” “더 놀고 싶어” 로 변화하는 것을 느꼈다.
윤동주 시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연극 연습을 즐거워한다. 대사를 외우고 행동선을 외우고, 내가 무엇을 해야지 하면서 계속 생각할 수 있 는 것을 만들어 주면, 아이들의 집중력은 향상되고, 지루해 하지 않는다. ▶ -마음의 문을 열 수 있을까요?
중반기1
관계자들이 가장 걱정했던 것은 다문화 아이들이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는 가였다. 사실은 아이들의 언어능력 이 매우 부족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두려움이 많았다. 하다가 “ 저는 발음이 매우 안 좋아요” 혹은 나의 말을 이 형태를 그림자극으로 확립 시켰다. (두 번째 수업이 끝난 후 확립) 그리고 공연이 끝난 후 아이들이 우는 모습
6~10
음악
해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때도 있었다. 그러나 몸을 많이 움직이면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래서 연극 공연
-6주차 아이들에게 연극의 소재를 ‘윤동주’ 시인이라는 것을 알려 준 다. 윤동주 시 인의 사진이나 당시 상황 사진을 보여 준 후, 스토리텔링을 해 본다. -7주차 윤동주 시를 선택해 극장으로 만들기 -8주차 윤동주 시를 선택해 극장으로 만들기 (음악과 조명을 함께) -9주차 친구들 앞에서 자신의 극장을 발표하고 합평하기 1 -10주차 친구들 앞에서 자신의 극장을 발표하고 합평하기 2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윤동주 시인의 마음을 이해했다면 , 본격적으로 연극을 구상하기
을 보고, 마음의 문이 열렸음을 확인하셨다.
중반기2 아이들의 특성 자체가, 다문화 아이들이였기 때문에 조금은 자신감 없는 모습들이 많았다. 그래서 일부러 아이 들이 좋아하는 노래를 가지고 오라고 하고, 아이들이 좋아하는 사진을 찾아오라는 식으로 초반에 수업을 많이
10~15 미술
-눈높이 맞춰라!
-11주차 아이들 발표 했던 극장 중 맘에 드는 극장 (극장 안에 있는 시. 노래. 음악) 을 5개를 선택한다. -12주차 각 극장 (극장 안에 시 . 노래. 음악)으로 10분 이내의 스토리텔링을 한다. -13주차 각자 스토리텔링에서 주요 장면을 하나 만들어 발표 한다 -14주차 5개의 극장이 이야기가 이어지도록 스토리텔링을 해본다. -15주차 스토리텔링 한 이야기에서 큰 장면을 하나 만들어본다
진행했다. 그 이유는 아이들의 성향을 파악하려고 했다. 그래서 수업 전에 아이들이 가져온 좋아하는 노래를 항상 틀어주는 식으로 수업을 많이 진행했다. 이런 모습에서 아이들이 문을 많이 열고 다가와 주었다. ▶
-10주의 짧은 시간, 첫 수업에 빠르게 아이들의 상태를 확인하라! 처음 수업계획을 작성했을 때 10주안의 아이들의 마음의 문을 여는 작업을 많이 하려고 했다. 그러다가 보니 연극의 중심 보다는 아이들의 마음을 문을 여는 연극놀이 수업을 택했다. 그러나 수업 첫 번째 수업하고 두 번 째 수업 갔을 때 생각보다 아이들의 마음의 문을 쉽게 열 수 있었고, 아이들이 밝았다. 그래서 얼른 수업 계획을 좀 더 작품 위주로 수정 하였다. 다음에는 조금 더 빠르게 아이들의 마음을 알 수 있는 놀이를 연구해서 첫 번째 수업 만에 알 수 있게 해야 될
16~25
문학
것 같았다. 또한 10주라는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어떤 방향으로 갈 지를 충분히 생각해야 한다.
후반기
본격적인 연극 연습으로 들어간다. -16주차 대본을 다 같이 읽어 본다 (스토리텔링을 반영한 대본은 선생님이 만들어 서 가져온다) -17~23주차 장면구상. 연습 -24주차 공연 -25주차 합평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송정미
연극
2~3시수
중학교 2학년 30명 내외
▶
7주차, 나는 윤동주다!
수업주제
▶
자신이 마음에 드는 시를 선정해 극장을 만들어 본다.
A -0652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주요 교육내용
▶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기본교과,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2동
-극장을 만들면서 극장이 어려운 공간이 아닌, 상사의 공간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 윤동주 시인이 시를 썼을 때 마음은 어땠을까? - 극장에는 무엇이 있을까?
수업내용
사진
▶
-윤동주 시인의 마음이 어땠을지? 상상 하는 기회가 된다.
초등
만화애니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윤동주 시인의 마음을 극장으로 만들어 보면서, 빛, 음악, 디자인으로 다양한 표현방식 으로 표현해 본다. - 극장을 만들면서 연극의 다양한 요소, 직업을 알게 된다.
연극(연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거주지
교육목표
연극영화, 무용
영화
수업명
송정현
연극
강사명
예술활동 경력 공예
<강의실 배경> 음향 : 핸드폰, 블루투스 연결 스피커 극장 모형 : 검은 박스 안에 조명(후레쉬)
디자인
< 수업 시작 > *저번 수업 복습한다. 저번수업에 했던 스토리텔링을 다시 한 번 이야기 한다. *시와 마주하다. -아이들에게 여러 개의 윤동주 시인의 시를 나눠 준다. 그리고 시를 선택하게 한다. 선택한 시를 충분히 읽고 옆 사람에게 자신의 감정을 설명한다. *극장과 마주하다 - 아이들에게 선생님이 만들어 온, 극장을 보여 준다. 그리고 내가 선택한 시를, 음악과 조명과 함께 읽어 준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미술
- 처음에는 극장 만드는 것에 흥미를 가지는 친구들과 흥미가 없는 친구들이 있을 것이다. 그럴 때는 예쁘게 만드는 것이 중요 한 게 아니 라는 인지를 주며, 옆에서 도와준다. - 감을 찾지 못한 친구들이 있다면, 오히려 극장 보다는 시와 어울리는 음악을 먼저 찾게 도와준다.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마음(극장)을 만든다. -아이들은 자신이 선택한 시가 들어 갈 수 있는 극장을 직접 만든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 극장은 박스, 검은색 종이, 칼, 가위, 풀, 본드, 극장 안에 들어가는 후레쉬, 극장 안을 꾸밀 재료는 미리 공지해서 찾아오게 한다. - 그 외에 분위기를 줄 수 있는 스피커 *후레쉬는 다 필요하지 않다. 한 5개로 돌아가면서 사용해도 무관하다.
앞 공간을 무대이다. 그래서 탁자위에 스피커와 선생님의 극장이 있다. 그리고 학생들의 공간은 책상으로 둥그런 원을 만들어 다 같이 볼 수 있게 해준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내가 좋아하는 모든 것
▶
- 자신이 좋아하는 것들이 무엇이 있으며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이야기 속에서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고 얘기하고 행동하면서 자아형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과 정서안 정을 주고 상상력과 표현력을 풍부하게 만들어 주며 예술성의 발견과 더불어 사람과의 이해 와 차이, 소통과 관계 형성에 있어서도 교류가 원활하도록 문화 예술적 표현과 토의를 통해 체 험할 수 있게 한다.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교육대상
송정현
연극
1시간
초등(저학년)
▶
새롭게 만들기
수업주제
▶
장면꾸미기
교육목표
▶
-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고 표현력과 예술성, 감수성, 관찰력을 기른다. - 관계와 소통을 통해 이해와 포용력과 협동심, 수용성을 기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1
주요 교육내용
▶
2~5
수업내용
교육회차
- 학생 수와 성비 비율, 수업시간, 수업환경, 학생들의 이름과 연락처를 알아보고 교육 기관(학교)의 성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 긍정적, 창의적인 생각으로 마음을 열고 관계의 중요성과 친밀함을 느낄 수 있다. - 생각과 감정, 행동, 표현의 다양성을 알게 하고 예술성을 발휘할 수 있다. - 조별로 정한 동화 속의 장면 토의하기 - 준비물과 연기, 춤, 노래, 색감, 그림 등 좋아하는 모든 요소들로 새롭게 만들기 - 장면 발표 & 칭찬하기
수 있는 자유로운 시간을 갖는다.)
만화애니
하고 표현할 수 있는 한해가 되길 바라며 각자 좋아하는 것들과 자기소개를 해볼
교육소요 시간
수업명
- title: 내가 좋아하는 모든 것(일 년 동안 좋아하고 긍정적인 것들을 조금 더 생각
오리엔테이션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기획의도
▶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연극놀이 (놀이를 통해 친밀감을 높이고 수업의 재미를 느끼자) (익숙하고 쉬운 것부터 연극요소를 찾고 흥미를 유발시킨다)
사진
- 동화나 애니메이션 시청, 책읽기 - 동화 정해서 토의하기 (각 동화마다 함께 보고 느낀 것들을
전반기
- 좋아하는 요소 나누기 (좋아하는 것 표현해보기, 좋아하는 것들로 팀을 만들기) - 동화 속 장면 정하기 (인상 깊은 장면을 함께 선택해보기) - 장면 꾸미기 (모든 요소들을 이용해 자유롭게 새롭게 만들기)
6~9
- 역할 정하기 (오디션보다는 자신감과 희망 순으로 정하기) - 좋아하는 모든 것들을 가지고 무대, 장면 꾸미기
중반기
(무대, 소품, 의상부터 노래, 춤, 색감, 물건, 소품, 신체 등
10~20
좋아하는 모든 요소들을 가지고 표현하기)
<정리-15분> ㅇ장면 발표하기 (시간과 종류, 순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발표, 표현해보기) ㅇ소감발표 & 토의하기 & 칭찬하기 (각 조별로 발표가 끝나면 모두 소감들을 말해보고 장면 속에서 새롭거나 달랐거나 좋았던 점 등을 서로 칭찬하며 토의하기)
(상황과 역할을 인지하고 이야기 순서에 따라 연습하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서로간의 생각의 교류, 다양한 상상력과 표현력, 성취감, 예술적 재능 발견&향상, 장점의 발견, 새로운 동화 장면과 추억, 문화예 술의 관심과 흥미, Friendship(친밀한 교우관계, 우정), 감수성과 관찰력 향상, 포용력과 협동심 & 수용성의 이해와 발전
- 리허설하기 (재창조된 하나의 이야기 완성을 위한 최종 연습하기) (부모님, 선생님, 친구들을 모셔 아이들만의 공연시간을 가지고 각자 한 해 동안 느낀 점이나 얘기하고 싶은 것들을
21~25
준비물 및 필요물품
미술
- 공연 & 발표 & 파티
후반기
음악
- 공연연습하기
디자인
- 동화 각색하기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기, 재창조해보기)
<전개-30분> ㅇ장면 만들기, 꾸미기 동화 속의 장면의 내용을 토대로 조별로 느낀 점과 구상한 것을 합해 준비물과 여러 가지 자신이 좋아하는 모든 것들로 자유롭게 장면을 표현해보자. (그림을 같이 그려서 표현해도 되고 춤을 만들어도 되고 노래를 개사해도 되고 찰흙을 이용해 장면을 묘사해도 되고 연기해도 되고 행위예술, 마임 등을 이용해도 되니 느낀점과 상상력, 관찰력을 토대로 형식과 시간에 구애없이 자유롭게 새로운 장면을 만들어 꾸미기)
공예
<도입-15분> ㅇ조별로 나누기 ㅇ조별로 정한 동화 속의 장면을 가지고 토의하기 ㅇ역할과 만들 것 필요한 것들을 정해서 장면 구상하기
무엇이든 자유롭게 얘기해보기)
도화지, 색연필, 찰흙, 노래(음악), 신문지, 박스, 꽃, 옷, 신체 등 주위의 모든 것들
얘기해보고 마무리로 즐거운 파티하기)
- 교실: 책상들을 뒤로 밀어 공간을 만들고 자유로운 수업 활동을 진행한다. 토의나 시청각 자료 이용 시 책상을 원상 복귀시켜 정리정돈 된 상태로 수업 진행한다.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 강단있는 체육관: 공연을 완성시키는 연습과정이나 공연 시 무대경험을 위해 활용할 계획입니다. - 운동장: 학생 수와 활동반경에 있어서 연극놀이 등 놀이와 표현을 위한 신체활동이 필요할 시 문학
교실의 공간이 작을 경우 실외활동으로 운동장을 통해 수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유효진
세부전공
A- 0 2 9 2
지원분야(세부 분야)
연극영화 연극(연기,뮤지컬)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3월 - 2015년 2월
교육 방향
▶
아이들의 신체 발달 및 정서안정에 도움이 되는 지도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 리
1단계 - 마음열기, 친해지기, 말문트기, 다가가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광명로
영화
교과연계
초등/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2단계 - 감각 깨우기(오감), 관찰하기
주요 교육내용
▶
4단계 - 상상력, 표현력, 협동심, 기억력, 주의력, 신체의 극대화 5단계 - 상황 만들기 (즉흥 상황연기) 6단계 - 연극 만들기 (준비, 대본, 오디션, 암기, 장면 만들기, 공연)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3단계 - 동화로 이미지 만들기 , 시를 이용해 연기하기
2013.05.01~2013.07.31 분당고등학교 연극뮤지컬수업
사진
2014.03.26~2015.02.16 장안여자중학교 연극영어뮤지컬수업
예술활동 경력
2014.06.01~2016.02.31 수원여대 아이웰센터안심학교3학년
2) 교육 성과 및 효과
영어뮤지컬방송댄스수업진행중 2014.04.01~2015.02.14 탑동초등학교 고학년456 방송댄스
- 주의가 산만한 친구들의 정서적 안정 효과가 주어짐.
연극영어뮤지컬수업진행중
- 쑥스러움이 많은 아이들이 표현력이 커졌음.
2014.08.26~2015.02.29 서현초등학교 연극수업 2014.03.05~2015.02.31 분당초등학교 연극수업
연극영어뮤지컬수업 진행 중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친구 사이에 협동심과 배려심이 길러짐. ▶
- 연기를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게 됨.
디자인
2014.09.05~2016.02.29 수원여대 아이웰센터안심학교2학년
공예
2014.06.26~2016.02.30 수원여대 아이웰센터안심학교1학년
- 상상력과 집중력이 좋아짐.
2014.05.05~2015.02.30 매현초등학교저학년123 연극수업방송댄스수업 2014.03.30~2015.02.30 안산중앙초등학교6학년 영어뮤지컬수업
- 순발력과 자신만의 개성을 갖게 됨. 음악
2015.01.05~2016.02.29 중탑초등학교 방송댄스 진행 중 2015.03.06~2016.02.29 화랑초등학교 방송댄스 진행 중 2015.04.12~2015.11.04 화랑초등학교 뮤지컬 연극 수업
▶
- 아이들의 정서적 안정 및 신체발달을 1년의 과정을 통해 변화시키고 체계화 시킬 수 있었다. - 워밍업으로 한 연극놀이가 처음 공연을 해보는 아이들에게 연기가 어렵지 않고 쉽 고 재미있게 할 수 있다. 라는 흥미를 이끌어 내기 용이했고 연기만 하는 것이 아니 라 공연에 꼭 필요한 의상-소품-음향 등... 주요 스탭 업무 또한 아이들 스스로 단체 활동을 통해 체험함으로써 공동체 작업에 대한 개념 및 배려 심을 키우기에 용이했다.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 무언가를 표현함에 있어 제약을 두지 않아 아이들만의 자연스러운 연기를 유도할 수 있었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기획의도
▶
함께 하는 즐거움, 연기하는 배우가 되어보자 ! 연극놀이를 통해 아이들의 신체 발달 및 정서 안정에 도움을 주고, 표현에 제약을 두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연기를 하게 됨으로써 아이들의 자신감과 관찰력 상상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교육내용 - 저학년 , 고학년 남녀 비율 - 수업 강의실 및 학교 행사 파악
교육회차
연간 교육주제
▶
기획의도
▶
함께 하는 즐거움, 연기하는 배우가 되어보자 ! 연극놀이를 통해 아이들의 신체 발달 및 정서 안정에 도움을 주고, 표현에 제약을 두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연기를 하게 됨으로써 아이들의 자신감과 관찰력 상상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간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교육회차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저학년 , 고학년 남녀 비율 - 수업 강의실 및 학교 행사 파악 만화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음악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기획의도
▶
함께 하는 즐거움, 연기하는 배우가 되어보자 ! 연극놀이를 통해 아이들의 신체 발달 및 정서 안정에 도움을 주고, 표현에 제약을 두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연기를 하게 됨으로써 아이들의 자신감과 관찰력 상상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교육내용 - 저학년 , 고학년 남녀 비율 - 수업 강의실 및 학교 행사 파악
교육회차
연간 교육주제
▶
기획의도
▶
함께 하는 즐거움, 연기하는 배우가 되어보자 ! 연극놀이를 통해 아이들의 신체 발달 및 정서 안정에 도움을 주고, 표현에 제약을 두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연기를 하게 됨으로써 아이들의 자신감과 관찰력 상상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간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교육회차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저학년 , 고학년 남녀 비율 - 수업 강의실 및 학교 행사 파악 만화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음악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80-100분
교육대상
이겨레
세부전공
A -0496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저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
아이들의 신체발달 및 정서적 안정에 힘써 보자.
교육목표
▶
- 기존에 아이들에게 친숙한 동요를 가지고 연극 또는 뮤지컬의 한 장면을 만들어 봄으로써 연기에 대한 거부감과 이질감을 없애준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아이들의 흥미 유도
교과연계 거주지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파주시 금촌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표현력 향상 및 자신감 유도
만화애니
수업주제
동요를 활용한 뮤지컬 만들기 ( 연극 만들기)
중.고등 영화
▶
연극(연극/연기예술)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연극영화/연극
연극
유 효진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나만의 첫인사 끝인사 만들기 - 연극놀이
2013.9.24.~10.6 대학로 정보소극장 ‘카페, 봄날의 곰’ 혜진 역 사진
- 동요 선택
수업내용 공예
a. 첫인사와 끝인사 알려주기 b. 친해지기 (선생님과 아이들의 벽을 허물고 알아가는 시간) -스토리텔링 / 진진진가, 스스로 발표하기, 공통점과 차이점 인식 c. 연극놀이 ( 친구들 간의 배려, 협동, 친밀감 형성 )
예술활동 경력
2014.6.10.~6.15 대학로 천공의성소극장 ‘죽은 자는 말이 없다’ 엠마 역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3.06월~12월 문산여자고등학교 연극반 지도강사 및 연출 공연 : 2013.12.18. 파주시민회관 대극장 작품명 : 반쪽 날개로 날아온 새
-감각 깨우기 / 동그란 원을 만들어 손을 마주잡고 훌라후프 전달 , 디자인
신문지 위에 올라가 작은 공간 활용하기, 즐겁게 춤을 추다가 신체 맞닿기 d. 팀 나누기 (팀명, 팀 구호 만들기) e. 수업 진행 (3개의 동요를 가지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준다.) - 동요 뮤지컬 / 코끼리 아저씨와 고래아가씨 , 참 좋은말, 작은동물원
음악
f. 마무리 (오자토크)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저학년 친구들의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예상
종이, 펜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2015.09월~12월 문산수억고등학교 연극반 지도강사 및 연출 공연 : 2015.12.23. 파주시민회관 소극장 작품명 : PRAY! PLAY~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교실 수업 시 책상과 의자를 밀고 빈 공간을 만든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1) 교육개요 ▶
중, 고등학교 전 학년
교육가능 기간
▶
03월~09월
교육 방향
▶
연극을 만드는 과정을 거쳐 마지막에 연극 공연을 한편 올림으로서 창의력 사고력 계발 및 자기발견과 공동체내에서의 소통을 배운다
▶
만화애니
- 연극 공연 그간에 해왔던 작업을 발표하기. 서로 협동하여 하나의 연극이라는 작품을 만들어 낸 것에 대한 열정과 기쁨, 성취감 을 느낄 수 있다. 내가 준비한 것을 끝내 성취했을 때의 희열을 느끼며 나에게 오는 자극을 느낀다.
사진
- 공연 품평회 우리의 연극 무대와 지금까지 해온 작업에 대해 느낀 점을 서로 나누는 시간. 좋거나 나쁨에 대한 것이 아닌 우리가 어떻게 했고 또 이다음에는 어떻게 해 나갈 것 인가에 대해 고찰해 보는 시간이 된다.
공예
2) 교육 성과 및 효과
미디어아트
▶
저는 연극을 아이들과 만들면서 항상 딜레마가 있었습니다. 과연 내가 교육적으로 아이들을 이끌어 가고 있는 것인가? 다른 선생님들처럼 창의력훈련 상상훈련 기발한 연극 놀이등 다양한 연극 활동을 겸 하지 않아도 이 수업 자체로 교육이 되는가? 에 대한 것 이었습니다. 제가 아이들과 이 수업을 하며 제일 우선시 하였던 것은 ‘우리 진짜 연극을 하자!’였 습니다. ‘그 안에 녹아들고 그 안에서 너와 나와 우리를 알고 소통하는 법을 알자!’였 습니다. 저는 끊임없이 효과적인 연극 교육을 위해 공부할 것입니다. 이번 수업의 목 표였던 자기발견과 공동체내에서의 소통은 수업 내 원활히 진행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여기에 그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이 안에서 창의력과 사고력을 길러내고 그 것을 삶속에 생활 속에 대입시킬 수 있는 교육을 할 것인가 에 대해 연구 해 나갈 것 입니다.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음악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처음 공동체놀이를 하였을 때 아이들은 여고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쑥스러워 하고 나 의 몸에 상대방의 몸이 닿는 것에 대해 쉽게 오픈하지 못하였으나 이 작업을 계속 해 나아가면서 아이들이 상대방을 신체뿐만이 아닌 생각과 감정까지도 받아들이고 서 로 나눌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 한 사람 한 사람이 각자의 역할을 책임지고 그 몇 사 람이 만나 하나의 장면을 책임지고 그 장면들로 우리의 연극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나’, ‘너’ 그리고 ‘우리’의 개념을 확립하고 사회성을 키워나가며 더욱 활발히 더욱 다 양하게 소통할 수 있는 아이들이 되었습니다.
디자인
▶
주요 교육내용
영화
주요 교육내용
- 오리엔테이션 자기소개 및 연극이란 무엇인가? 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연극경험의 유,무와 상관없이 우리가 생각하는 연극이란 무엇인가? 예술이란 무엇인가? 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 정리하는 시간 -자기소개 및 관심분야 소개 -자유롭게 이야기 하고 토론하기 - 신체훈련 및 공동체훈련 -연기는 목소리만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하는 연기는 무엇인가? 대사를 읽는 것? 대사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 배우의 연기는 나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느끼게 해주는것임을 상기하고 내가 가진 감정을 대사, 목소리뿐만이 아니라 호흡과 신체의 변화를 통해서 표현하는 것을 알아가는 수업. -공동체 안에서 협동하여 하나의 감정을 모두와 함께 표현해보기 -활동적 수업으로 역동적으로 이끌어나가며 아이들의 움직임과 호흡을 활용한 연기수업을 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상상력, 신체적 표현, 상대방의 연기에 대한 해석과 공감 등을 이끌어낸다. - 희곡읽기 및 희곡쓰기 아이들과 하나의 희곡을 함께 읽어보고 그 희곡의 주제와 막, 장별로의 주제를 각자 발표해 본 다. 막과 장 별로 ‘내가 연출가라면?’ 어떤 부분을 가장 두드러지게 표현 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 고 발표해본다. -나의 생각을 발표하며 내가 느끼는 방식에 대해 상대방에게 표현하고 설명하며 타인의 생각을 들어볼 때 상대방이 느끼는 방식에 공감하고 모두에게 동등하게 주어진 글 안에서 다양한 해석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 대본분석 앞서 해보았던 막, 장별 주제 정하기를 토대로 하나의 정해진 희곡에 공동의 목표를 세우기. 자유로운 토론과 발표 -다양한 시각을 함께 공유하고 그것을 나누며 하나의 공동의 목표를 정할 때 타인이 이해하는 방 식에 대한 존중과 생각의 차이에 대한 지점을 흥미롭게 받아들이고 그것을 협동하여 조합할 수 있도록 한다.어떤 의견이 옳고 그른가를 떠나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함께 만들어 갈 것인지 함 께 정하며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캐릭터분석 극 속에서 내가 맡은 역할이 어떤 인물인가? 희곡을 통해 보이는 극중 인물의 성격 및 여러 가지 정보를 캐내고 그 캐릭터가 어떤 사건을 접했을 때, 어떤 환경에 처했을 때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심도 있게 분석해 본다. 그것을 베이스로 하여 이 인물이 전혀 새로운 사건을 직면하였을 때의 모습을 추론해 보기도 한다. 또 나아가 이 인물과 같은 상황에 ‘내’가 놓여졌을때를 상상해본다 -희곡상에 나타나 있는 정보를 활용하여 그 인물을 탐구해 보는 시간을 가지며 인물에 대한 공감 과 또는 공감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 ‘왜 그러한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생각할 기회를 제공한 다. 그 사람이 되어보자! - ‘나’가 아닌 극중 인물이 되어 말하고 행동해보기 캐릭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인물을 나에게 입혀보는 시간 분석한 캐릭터의 행동양식 말투 습관 등을 입혀보고 그사람이 되어보는 시간을 갖고 또 다른 사 람이 된 친구들과 극중 인물이 되어 서로 이야기 해보기. - 주어진 대본의 대사를 활용하여 장면 만들어보기. -나의 습관 말투를 버리고 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행동할 때 ‘나’의 습관이 나오지 않도록 집중하 고 그것을 깨지 않도록 하기. 극중 인물을 나에게 입힌 후 다른 역할을 맡은 친구들과 대본 읽어보고 서로 협동하여 장면을 만 들어 발표하도록 한다. - 분장하기 서로 분장을 해주고 다른사람이 된 ‘나’와 ‘너’를 바라보기.
- 무대 만들기 공연용 무대를 함께 만들어본다. 극장의 넓이와 높이를 고려하여 무대를 함께 디자인하고 필요한 대도구 소도구들을 직접 제작해본다. 대도구, 소도구 목록 만들어서 하나하나 직접 만들고 색칠까지 하여 우리가 공연하게 될 무대를 직접 만들어본다. -공연용 대도구 및 소도구들은 일반적인 가구들과 다르게 두드러지게 커지거나 움직 임과 그 활용을 고려해야 할 경우가 많다. 각자의 또는 서로의 움직임과 도구 활용을 고려하여 무대를 제작하고 배치해 보도록 한다 - 공연준비과정 만들어진 무대세트를 활용하여 연극무대 준비하기 의상, 소품을 활용하여 연극연습하기. 연습과정을 서로 보며 느낀 점을 이야기 하고 우리가 처음에 세웠던 목표를 다시 상 기하며 그 지점에 함께 다가설 수 있도록 노력한다.
연극
교육가능 교급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3. 1회차 교육계획안
▶
뮤지컬 배우가 되어보자!!
▶
학생들이 공연할 작품을 함께 선정하고 협동된 준비과정을 통하여 연극제에서 뮤지컬 공연을 올린다. 음악적 신체적 활동 및 연극작업을 통하여 서로간의 소통능력과 공동체작업을 통해 사회성을 기른다.
교육내용
-수업 인원 수 체크
-뮤지컬이란 무엇일까? 에 대해 이야기 해보기 -뮤지컬 공연을 올리게 되는 전반적인 진행과정 이야기하기
1
(작품선정, 음악수업, 안무수업, 작품연습 일정 등)
2시간
고등학교 전 학년
수업명
▶
우리가 만드는 이야기
수업주제
▶
각자의 소재들로 구성된 이야기를 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희곡 만들기
교육목표
▶
나의 이야기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함께 조합하여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며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여 하나의 완성된 희곡을 만드는 것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쓰인 작품이 아닌 우리의 이야기로 구성하는 작품이라 좀 더 쉽게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 -서로간의 이야기를 조합하여 구성해보며 상대의 표현에 대한 이해를 하고 서로간의 소통능 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자만의 이야기가 아닌 모두의 이야기를 조합하며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공연 올릴 작품 선정하기 - 여러 작품 읽어보고 토론하기
주요 교육내용
▶
2~4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소재 찾기-마인드맵 -소재를 조합하여 사건이 있는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본다. -각자의 이야기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이야기를 이어 하나의 희곡을 완성해본다.
사진
-내가 아는 뮤지컬 발표하기 - 관람했던 혹은 읽어봤던 작품 -희곡 만들어보기
연극
교육대상
만화애니
-공연 날짜 확인
오리엔테이션
이겨레
교육소요 시간
교육회차
-연습실 유무 확인
사전방문 (3월)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작품 선정(기존극과 창작극중 택)
수업내용
8~20
음악
중반기
연극수업 -캐릭터 분석 및 대본분석을 토대로 연습하며 극의 흐름을 파악한다. 음악수업 -뮤지컬에 수록된 곡들을 중심으로 악보 읽기, 발성 훈련, 음감 훈련 실시 -노래가 뮤지컬에서 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보기 -노래를 통한 감정 표현 및 대사 전달 무용수업 -신체적 훈련을 통해 몸으로 소통하는 법을 익히기. -춤뿐만이 아닌 여러 명의 움직임으로 하나의 주제를 표현해보기 -뮤지컬에 수록된 넘버의 안무 정하고 연습하기
5~7
1. 마인드맵을 통한 소재 찾기 하나의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시작하여 각자의 종이에 마인드맵을 해본 후 그것을 발표한다. 발표한 마인드맵을 칠판에 붙이고 서로 상대의 마인드맵을 볼 수 있도록 한다. - 나의 마인드맵을 통해 찾아진 소재를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도 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2. 문장 만들기 마인드맵의 줄기를 이용하여 각 단어를 조합하고 문장을 만들어 본다. 여러 단어를 조합하여도 좋고 하나의 단어를 풀어서 문장을 만들어도 좋다 3. 이야기 구성하기 만든 문장들을 조합하여 사건이 있는 이야기로 만들어 본다. 그 이야기에서 꼭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정하고 제목을 붙인 후 다른 학생들 앞에서 구연 해본다. 4. 이야기 조합하기 여러 사람의 이야기를 돌아가며 들어본 후 이야기를 조합해 본다 - 각각 나온 이야기를 마인드맵과 동일하게 모두가 볼 수 있게 하고 각자 조합해 보도록 한다. 이야기의 구성과 조합에 따라 극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서로 느낀 것을 발표해 본다. 5. 하나의 희곡으로 만들어 보기 서로 토론하여 이야기의 흐름이 어떻게 진행될 지를 정하고 모두 모여 희곡을 완성한다. - 다른 사람이 쓴 이야기의 주제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이야기들이 개연성 있게 이어질 수 있도록 사건을 이어나가는 작업을 해 나간다.
디자인
-대본 읽기 -함께 대본을 읽어보고 뮤지컬 넘버를 들어본다. -대본 분석 -막, 장 별로 세부주제와 공연 전체의 하나의 주제를 선정한다. -대본 수정 -선정된 주제와 세부 주제들을 가지고 극의 전개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우리의 상 황(공연 시간, 인원 등)에 맞게 수정한다
공예
전반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후반기
21~25
미술
이렇게 희곡을 함께 만들어 가는 작업을 통해 우리의 이야기가 들어있는 창작극 대본을 완성할 수 있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종이, 펜, 테이프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무대 만들기 -우리가 필요한 도구를 파악하고 함께 만들어보기 -의상 및 소품 준비하고 만들기 -팸플릿 및 포스터 제작하기 공연에 오르기 전 리허설 기간 실제 공연과 같이 연습하며 사전에 준비해야 할 것들을 체크한다. 공연
연습실이나 교실 등 앉아서 글을 쓸 수 있고 또 발표할 수 있는 실내공간에서 이루어짐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이은미
세부전공
A- 0 6 7 5
지원분야(세부 분야)
연극학, 배우 연극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거주지
교육가능 교급
▶
초등학교 저학년 / 8~9세
교육가능 기간
▶
2015 년 4월~11월
교육 방향
▶
기본교과,선택교과,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부천시 원미구 역곡동
주요 교육내용
▶
2009~현재:극단동배우,단원으로활동중
2014.12.23~12.25<무엇을할것인가작업도구찾기>/극단동월요연기연구실,예술가의집/배우,참여자. 2015.3.20~29<쉬또젤라찌(무엇을할것인가)>/극단동,대학로예술극장소극장/배우,길거리여자,노동자역할 2015.10.24<무엇을할것인가2작업도구찾기워크샵>/극단동교육사업연구실,복합문화공간<필운>/진행자.연구원.
2013.3~ 2015. 12 서울문화재단 예술가 교사 TA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문학
-예술이라는 것이 정말로 아이들에게 치료자이자 위로자이고 성장하게 만드는 것을 몸소 느낀 ,그리고 씨앗의 양분자도 되는 것을 느꼈던 시간 이었다. 어떠한 예상도 기 대도 벗어나게 차시가 더할수록 생각도 , 태도도 몰라보게 안정되고 감동적이게 변화 되었던 변화들의 시간을 보내지 않았나 싶다. 차시가 더할수록 더 더욱 나와 아이들 이 긴밀하게 작업 할 수 있었던 던 같다. 그건 아마 내가 아이들에게 주고 싶은게 무 엇이고, 내가 재밌는 것을 해야 한다는 처음 수업을 만들며 했던 생각이 빚어낸 결과 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미디어아트
▶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연극뿐 아니라 타전공과 통합 프로그램을 함께 연구하고 , 시연하는 과정에서 타 전 공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 작품을 감상하며 수업의 마무리 할 때 작품 감상법이나 아이들에게 어떤 관점으로 질문을 던지면 좋은지에 대해 스터디도 하였는데 아이들 로 하여금 매 수업 시간마다 스스로 어떤 것들을 느끼고 배우게 되었는지 정리 할 수 있었던 시간 이었다. 그렇게 분야별 선생님들이 각자 전공 분야가 아닌 수업에서도 자기 방향성을 찾은 것 같다.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대상에 맞는 “놀이” 주제 선정 -대상 연령에게 적합한 수업 내용이었고, 아이들이 수업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 주었 으며 긍정적 호기심에 대한 성취도가 높았다. -통합 예술적으로 연계성 높으 프로그램 -학교별 상황에 따라 그림, 움직임, 놀이 등 융통성 있게 응용 가능하고 확장 가능성 이 높았다. -놀이+상상, 놀이+변형, 놀이+움직임등 적용과 확장이 폭이 넓은 수업 계획이었다. -프로그램 소재 및 교보재의 다양성 -다양한 수업 소재 및 교보재의 사용으로 수업에 대한 기대감, 호기심, 참여도를 높여 주었고 열어 주는 활동의 역할로 매우 적합 하였다. -차시별 독특한 소재, 평소에 접할 수 없었던 주제, 고정관념에 대한 것을 깨워주는 주제로 일상적인 것에서 나아가 다른 시각으로 바라 볼 수 있는 열리 사고를 갖게 하 였다.
디자인
: 학교 예술로 돌봄 수업, 예술로 플러스 교과수업 통합 TA 로 활동.
공예
2) 교육 성과 및 효과
사진
2014.9.30~10.19<투명인간>/극단동,남산예술센터/조연출
단계는 총 3개 단계로 몸으로 놀아요, 도구로 놀아요, 상상으로 놀아요로 나누어 져있다. 1~5는 ‘몸으로 놀아요’에서는 신체 움직임을 집중적으로 움직임이 주가 되는 놀이로 구 성하여 초등 저학년에 맞는 발산의 에너지를 통해 예술로 돌봄과 놀이를 더 적극적이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였다. 단, 3~5차시의 경우는 움직임만을 하기 보다는 놀이와의 연계 를 위해서는 놀이의 속성이 가진 질서적인 측면 역시 하나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계하 였다. 민속놀이는 몸과 이후 도구를 효과적으로 연계해주기에 연결 흐름을 원할히 해주 며 점진적으로 활동을 전개시킬 수 있었다. 6~8은 ‘도구로 놀아요’에서는 도구적인 변형 을 통해 예술적 상상력을 높일 수 있었으며 9~12차시는 ‘상상으로 놀아요’로 재구성으 로 구성하였다. 이후 단계별로 적절한 통합요소와 차시를 배치하고 논의를 통해서 차시별 순서를 정리하 였다. 매트릭스의 실제 활용은 수업 목표와 더불어 수업의 성격과 방향을 정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점이 되어 주었기에 분야 간 개인 역량에 두려움을 주지 않게 해주었다. 다 시 말하면 예술이 가진 기본에 충실해진 목표를 가지고 수업 설계가 가능하게 하였다. 가장 큰 특징은 놀이라는 주제에 기인하여 교육적인 요소에서 유희성을 매 차시마다 중 요하게 생각했다. 따라서 설계시 매트릭스를 차용할 때 전 차시에 유희성을 우선순위로 두었으며 그 외 차시별로 교육적 요소와 통합 예술적 요소가 차시별에 맞게 적절한 요소 를 두루 갖추어 다양한 요소를 고루 적용되었다.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목표: 놀이를 통해 유희를 경험하며 상상력을 발휘 할 수 있다. ‘놀이’라는 개념은 무언가 다른 목표를 위한 수단이라기보다는 하나의 문화 전반적인 방 식이며 그 자체로 충족되는 것이다. 이러한 놀이의 문화적 속성은 예술 활동과 일치한다. 놀이에 담겨있는 특징을 통해 예술수업의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영화
교과연계
초등, 중∙고등
1) 교육개요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숨겨진 시간을 찾아서 - 일상 속 숨겨진 시간을 찾는 활동으로 세 가지 변화, 날 따라해봐요 등의 다양한 연극놀이를 통하여 경험해보고 일상 속 여러 모습들을 소
연간 교육주제
▶
나를 찾아, 예술로 여행
▶
-예술을 통해 일상을 새롭고 다르게 바라보게 되고 나를 주체적으로 표현 할 수 있다. -예술 여행을 통해서 나에 대한 소중한 의미를 발견하고 나를 표현 할 수 있다. (나의 소중함과 나에게 소중한 것)
마트로프 작품을 만든다.
기획의도
연극
- 명탐정 00~!! - 명화 속 문제 상황들을 몽타주 활동을 통해 찾아주고, 문제 해결방 법을 내레이션 판토마임으로 표현하여 발표한다. - 소리를 찾아요~ - 일상 속 소리를 의성어, 의태어로 찾고 다양한 소리를 움직임 으로 경험하고 이야기를 나레이션 판토마임을 통하여 소리를 연극적으로 표현한 다. -‘쾅’의 재발견- 음성어를 제시하고 다양한 예술나라 언어(그림나라, 소리나라, 움직
영화
임 나라, 이야기 나라)로 전환하여 체험해 본다.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 따로따로 재밌는 내 얼굴 - 피카소가 그린 재밌는 자화상들을 보고 이야기 나누
중반기
- 아이가 되었어요 - 과정드라마를 통해 아기를 체험하고 , 내존재의 소중함을 느
-교실환경-수업운영에필요한시설유무(tv,오디오,컴퓨터등시청각시설)
낀다.
-수업진행에필요한교보재준비유무(명찰,색연필,풀등)
-우연으로 특별함을 상상하다- 우연을 주제로 여러 놀이활동을 통해 즉흥적으로
-학급별수업요일/담당교사확인,총학생인원수파악,학급내구성되어있는모둠확인,유의를요
이야기와 그림, 움직임을 만들고 만든 이야기를 바탕으로 장면극으로 표현한다.
하는학생의유무(지체장애,ADHD등이름,유의점등기재),학급내담임교사와학생들의주요규칙
- 나만의 엉뚱동화 개봉박두 - 역할 내 교사가 등장하여 동화 속 이야기 를 일상속
등파악.
사물과 결합하여 나만의 엉뚱하고 재밌는 이야기를 만든다.
11~20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고 , 내 얼굴 속 재밌는 모습을 재발견하여 탈로 완성하고, 런웨이로 표현한다.
- 주문을 외워라- 알리바바 이야기 속 문제 상황속으로 들어가 여러미션 활동들을 경험하고, 해결 방법을 새롭게 상상하여 내가 만든 알리바바 이야기로 문제를 해
을 표현 해보고, 감상하며 예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사진
오리엔테이션
- 예술 강사 소개 및 수업을 안내하고 몸 인사를 한 후 이름표를 만들고, 종이를 이용하여 자신
결할 수 있다. - 내가 만드는 말말말- 역할 내 교사 ‘얼쑤 도사’ 가 등장하여 오방진 장단으로 꼬
1
리꽁지말놀이, 다섯고개 말놀이 등을 경험하고 나만의 말놀이 이야기를 만들어 말 노래로 부를 수 있다.
-마녀의 비밀-이야기 속 마녀의 특징을 알아보고 몽타주로 마녀분장을 디자인하
- 맛있게 그려요- 여러 가지 맛을 느껴보고 나만의 맛의 느낌을 이야기, 그림, 움직임 등 공감각
고 분장 가면을 쓰고 직접 마녀가 되어 극 속 장면을 연기하고 표현한다.
적으로 표현한다.
- 부루퉁!퉁!퉁! -그림책 <부루퉁한 스핑키> 내용으로 감정을 여러 가지 소통의 방
- 너는 특별하단다. -너는 특별하단다 작품을 감상하고 다른 사람과 다른 특별한 나를 연극놀이
법을 연극적으로 경험하고 표현한다.
2~5
- 말하는대로~생각한 대로~ -그림(픽토그램) 속 상황을 상상하여 즉흥적인 움직임
후반기
- 따로따로 내 맘대로 그림자 -여러 가지 거울놀이 등 그림자 연극놀이 활동을 하고 , 내 몸의 부
으로 표현하고, 나만의 픽토그램으로 완성한다. - 내소중한 친구를 소개합니다.- 주변 사물을 의인화 하여 시각을 확장한 도서 ‘먼
위별로 종이에 대고 그림자를 오려 재조합하여 교실에 설치작품을 만든다.
21~25
디자인
를 통하여 발견하고 아코디언북 형식으로 특별한 책을 만든다.
공예
- 내 몸의 이 감각, 저 감각- 내 몸의 다양한 감각들을 여러 놀이 활동을 통해 새롭게 느껴본다.
지깨비’와 신선미의 작품 ‘개미요정’을 탐색하여 캐릭터화 한다. - 내 마음 속 소중한 예술 - 그동안 예술 수업을 되돌아보며 예술수업을 통해 자신 이 찾은 소중한 의미를 종이컵에 새겨 탑을 쌓고, 지도를 지문을 통하여 만들고 예 술 수업에 대해서 정리 해본다.
-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서- 일상의 사물에서 선을 찾아 선의 숨겨진 이야기를 상상하고 나만의 이야기를 만든다.
음악
전반기
- 삐리뿅뿅? 슝슝~! -지브리쉬를 이용하여 나만의 외계인으로 변신하고 연극 , 시각적인 방법으 로 표현하여 소통할 수 있다. - 낙서와 예술사이 - 무의식적으로 신체 움직임, 시각 활동 등 낙서를 경험하고 , 즉흥적으로 이 - 내가 상상한 나만의 세상 - 얀폰 홀레번의 작품과 같이 나만의 세상을 상상하고 물체변형 놀
6~10
미술
야기를 만들어 발표한다. 이 활동을 하고 물체와 결합하여 정지 동작으로 상상세상을 표현하고 사진을 찍어 함께 감상 한다. - 포장하면 보여요- 교실을 포장하여 상상세상으로 변신한 후 주어진 상황과 이야기 즉 연극으
미디어아트
로 표현하며 공간을 체험한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활동1. 호랑이를 어떻게 잡을까? (모둠활동)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이은미
연극
75분
초등(전학년)
<사또로부터 받은 여러 가지 묘책도구> 묵은김치, 하루살 이, 매미, 나팔, 거울, 곰방대, 밤송이,말똥, 낚싯대, 멧돌, 떡, 탈, 한삼, 지푸라기, 먹,붓 등의 이미지 1.4~5명이 한 모둠이 되도록 나눈다.
연극
강사명
무용
<이어가기>
3. 1회차 교육계획안
2.모둠별로 묘책도구 주머니(봉투)를 받는다.
수업명
▶
나만의 엉뚱 동화 개봉박두!
수업주제
▶
이야기 상상 변형 과 문제 해결.
교육목표
▶
- 연극적 문제 상황 속에서 협동하여 나만의 엉뚱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다.
▶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어 다양하게 상상 할 수 있고, 표현력을 기를 수 있어 용기 와 자신 감을 얻을 수 있다. -아이들에게 역할이 주어져 자발적으로 수업을 참여하고 이끌어 갈 수 있다. -문제 상황을 유희적으로 경험 하며 고정관념에 대해서 깨어 볼 수 있다.
3.모둠 원과 상의하여 도구를 통한 방법을 떠올린 후 장면으로 연출한다. -호랑이가 어떻게 하고 있을 때 잡을 것인가? -어떻게 다가갈 것인가?
발문- 닭이 3번 울 동안 방법들을 다 알아냈느냐? 그럼 어디 한번 생각해 낸 묘책들을 보여 주도록 하여라. 1.각 모둠별로 호랑이 잡느 방법을 장면 발표를 통해 보여준다. 2.모둠원 중 한명은 호랑이 역할을 하고 , 모둠 들이 생각 해 낸 방법을 순서대로 하나씩 도구를 사용하여 발표한다. 3. 사또 ta가 똑딱 악기 소리를 낼 때 마다 한 도구씩 사용하여 발표 한다.
주요 교육내용
▶
- 연극적 상황 속에서 제시된 도구를 사용하여 모둠 활동으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는다. - 생각해 낸 이야기를 장면발표로 표현할 수 있다.
4.이후, 호랑이 울음소리를 들려주어 호랑이가 잡혔음을 간접적으로 알려준다.
만화애니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영화
-도구를 어떻게 사용할 것 인가?
<맺어주기> - 각 활동별 느낌에 대한 감상을 나누어 본다.
사진
감상 및 느낌 나누기
다음차시 예고
수업내용
- 다음차시를 소개하며 예고하고 수업을 마무리 한다. 공예
<도입> 1.인사 나누고 , 지난 시간을 되돌아 보기. 2.사또의 부탁
<문제 상황제시>
-모둠별 사물을 변형하여 사용한 문제 해결 장면 연극 결과물 -한가지 동일한 사건에서 다양한 관점의 이야기로 풀어 나가는 연극의 결과물 -역할을 분담하며 수행하여 장면을 만들어 협동의 작품 결과물
디자인
-역할 내 교사로 등장한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발문: 난 이 고을 사또다. 그래 너희들이 아주 재주가 많다고 들었다. 보아하니 머리회전도 남들보다 빠를 것이고..아주 잡기에 능하겠구나. 사실 나에게는 귀한 아들이 하나 있거늘 이유 없이 오랜 시간 시름시름 앓고 있다.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로는
준비물 및 필요물품
맹수의 우두머리인 호랑이가 귀신을 물리치는 신통한 힘이 있다고 하더구나. 호랑이 잡는 묘책도구들은 구해 놓았긴 한데 호 문제 해결 사물이미지 도구 프린트물(묵은김치, 하루살이, 매미, 나팔, 거울, 곰방대, 밤송이,말똥, 낚싯대, 멧돌, 떡, 탈, 한삼, 지푸라기, 먹,붓
너희들이 방법을 생각해 오도록 하여라~!
등의 이미지) 호랑이 사진(민화) 인쇄물, 닭우는 소리 효과음, 호랑이 효과음, 마스킹테이프, 화선지, 붓펜
<시간 제시> 닭이 3번 울면 그 방법을 내 앞에 가져 오도록 하여라
음악
랑이를 잡는 방법을 알 길이 없어 아직 궁리만 하고 있단다.
공간활용 계획 마스킹 테이프로 사또 자리를 만들고 장면발표할 무대공간을 만든다.
미술
<방법 제시> [연극] 너희들은 마당극을 한 패거리들이니 잡는 방법을 직접 나와 사냥꾼들 앞에 보여주도록 하여라!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이효정
세부전공
A- 0 460
지원분야(세부 분야)
연극영화 연극(연출)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거주지
교육가능 교급
▶
부일 초등학교 6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10월 매주 금요일 4차시 (실제수업 내용 )
교육 방향
▶
국어 교과, 10단원 뉴스와 생활을 연극 수업으로 진행. 교과 내용을 바탕으로 뉴스에 대한 지식을 정리하고 녹화를 하기 위해 연극적 즐거움을 선사한다. ( 동영상을 만든 것도 있습니다. )
기본교과, 선택교과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주요 교육내용
▶
2005년 ~ 현재 어린이뮤지컬단 "리틀용인 " 창단 (한국연극협회 용인지부소속)
- 처음 연극 수업을 하기 위해 문을 열고 들어 온 아이들은 “연기하는 거예요?”라는 질문을 한다. 그런데 국어 교과와 연계하여 연극 수업을 진행 할 것이라고 말하면 “다 알아요. 배운 내용이에요.” 한다. 하지만 연극적 방식을 도입하면 아 이들은 새로운 세상을 만난다. 국어 교과에서 뉴스 만들기를 배웠던 아이들을 만난 후 교실을 방 송국으로 설정하고 참여자들을 신입 사원이라고 정하였을 때부터 연극이 시작되는 것이다. 분명 친구이긴 하나 낯설게 느껴지는 기분에 수업의 태도가 180도 변한다. 학생이 선생님의 말씀을 듣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는 일방적이고 수동적인 태도가 아니라 적극적인 자세 마치 신입 사원처럼 보이려고 노력했다. ▶
-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녹화를 하기 위해서는 연극 만들기가 필요한데 4명인 경우 아나운서(1 인 또는 2인 ). 리포터. 리포터가 취재를 하러 간 인물( 1인 또는 2인 ) 등으로 나누어 연습. 미리 음성을 녹음한 모둠도 있었고 뉴스의 시작하고 끝나는 효과음을 준비하면서 협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3년 ~ 계수초등학교 뮤지컬부 지도 강사 2014년 ~ 부천아트밸리 사업 예술강사 ( 부일초등학교 ) 2014년 ~ 용인문화재단 창의예술 아카데미 ( 키즈 뮤지컬 강사, 연출 ) 2015년 ~ 용인문화재단 유아예술강사 ( 신갈초 병설유치원. 산평초 병설 유치원 )
▶
- 수업의 주제와 내용에 따라 수업을 받는 대상자가 이야기에 등장하는 역할로 살아보는 것과 , 공간의 변화를 설정해 주는 것을 시도 한 것이 올 해 연극수업의 변화였다. 예> 동시 ‘다람쥐’ 실감나게 읽기에서 학생들이 모두 다람쥐가 되어 보는 것, 장소는 참나무 숲! 교실이 방송국/ 학생은 신입사원 등등 연극이 갖는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학생들의 집중도 를 높였다.
미디어아트
2012년 ~2014년 진말초등학교 연극부 지도 강사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2015년 용인문화재단에서 실시한 유아예술교육은 시범 사업이었다. 유아와 연극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집중도를 높이고 이해력을 키우기 위해 작은 소품에서부터 배경 음악에 이르기까지 많은 자료들이 사용된다. 저 학년일 경우 소품, 준비물이 많을수록 학생 들의 호기심은 더욱 증대 된다는 것을 실감했다. 고학년 수업에도 마이크를 준비하고 자료를 인쇄하고 카메라를 챙겨가서 녹화를 하는 일은 번거로웠지만 즐거운 연극 수업 . 참여하는 학생들을 위해 매우 중요 하다고 생각해서 각 차시별 준비물이 많았던 것이 나의 수업의 변화이고 바람직했다고 생각한다.
미술
2013년 ~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증 취득
음악
경제 분야 등 더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기울였다.
2009년 ~2013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 나산초, 도척초, 동백초 )
2013년 ~ 2015년 (사)반딧불이 문화예술학교 고등부 연극 강사 및 연출
예> 국장님 그럼 우린 무엇을 해야 하나요? 네, 알겠습니다. 국장님. - 6학년이기 때문에 취재를 할 때 핸드폰 사용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더니 게임이나
2011년~ 2013년 12월 용인시 청소년 육성재단 연극 강사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디자인
2015년 5월 제1회 용인거리축제 “옐로우 스쿨 중에서 ” 갈라공연 용인태교뮤지컬 “뮤지컬과 동요메들리” 공연 8월 광복절 기념행사 9월 용인시민의 날 축하 공연 10월 2015 전국 학생 뮤지컬 공연대회 ( 우수상 수상작) 제 5회 세계인이 하나 되는 걷기 축제 축하 공연 11월 제 1회 용인 국제 청소년 아트 페스티벌 그랑프리 수상 반딧불이 문화예술학교 “마법 같은 이야기 ” 작, 연출 12월 창작 뮤지컬 “옐로우 스쿨” 작. 연출
2) 교육 성과 및 효과 공예
2014년 1월~2월 발달장애 가족의 토요음악활동 (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 “동(감)동(심)동(행)가족음악교실 강사 3월 창작뮤지컬 “옐로우 스쿨 ” 극작 9월 원주 아동극페스티벌 개막작 연출 10월 제 4 회 한마음걷기 축제 축하 공연 연출 태교이야기 “ 어떤 하루 ” 연출 11월 “ 네모 상자 속에 갇힌 아이들 ” 연출 ( 아동학대 예방의 날 기념행사) “스크루지 할머니의 악몽” 각색, 연출 12월 창작 뮤지컬 “옐로우 스쿨 ”작, 연출
사진
2013년 7월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제 21회 여름축제 오프닝 공연 연출 8월 6일 제 11회 김천국제가족연극제 폐막작 “모글리가 된 아이 ” 작,연출 31일 제 2회 원주 아동극페스티벌 개막작 “모글리가 된 아이 ” 작, 연출 10월 제 3회 한마음걷기 축제 축하 공연 연출 12월 반딧불이 문화예술학교 뮤지컬 “New 철부지들 ” 연출 제 50회 한국연극인의 밤 및 연극인상 수상식 축하 공연 연출 용인시 문화예술 지원사업 선정 작 “모글리가 된 아이 ” 작, 연출 소외지역 찾아가는 문화 예술 활동 선정 작 연출 하트하트재단 지원 “발달 장애청소년 가족음악 활동 지원 사업 ” 중 뮤지컬 강사
- 2차시 - 취재 분야 정하기 : 연예부, 날씨부, 스포츠부, 뉴스부 등 자신이 관심이 있는 분야를 정해서 취재를 한다. ( 컴퓨터, 핸드폰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허용 ) - 3차시 - 보도 자료 정리 및 방송 녹화 : 인터넷 자료 출력. 핸드폰 이용해서 자료를 확보하고 정리해서 원고를 쓰고 뉴스 진행자와 뉴스 에 등장인물을 정해서 녹화 전 연습하고 방송 녹화 - 4차시 - ON AIR : 편집했던 영상을 모두 함께 감상하고 소감 나누기를 하며 단원을 마무리 한다.
만화애니
- 활동 목표 :텔레비전 뉴스가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고 관심 있는 분야를 취재하고 보도 할 수 있다. - 1차시 - 방송국 입사 : 학생들은 방송국에 입사한 신입 사원이 되고 예술 강사는 국장이 되어 신입 사원들에게 다양한 미션을 부여. 예>신입 사원의 포부 듣기/ 도전 골든벨을 통해 뉴스 바로 알기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서리
영화
교과연계
초등
1) 교육개요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저학년(1,2학년)을 위한 ‘연극 놀이와 연극 만들기’
▶
- 저학년은 감각활동과 신체를 움직이는 놀이 중심의 연극 활동에서 점차 연극을 만드는 활동 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으로 구성을 하였다. 보고, 듣고, 맛 본 것, 자신의 주위의 자연, 학용품, 친구들을 관찰한 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줄 알고 간단한 연극 만들기를 하며 같은 반 친 구들과 소통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교육회차
- 수업을 하게 될 학생들의 학년. 학년 별 몇 차시인가? - 수업을 하는 공간은 어디인가? - 학교에서 하는 연극 수업의 의미. - 몇 차시 동안 무엇을 배우게 될 것인가?
1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이효정
연극
40분
초등(저학년)
수업명
▶
참나무 숲에서
수업주제
▶
작은 씨앗들이 자라 커다란 나무가 된다.
교육목표
▶
- 씨앗 여행을 통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씨앗들이 자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도토리가 자라서 참나무가 되는 과정을 몸으로 표현 할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보기에는 아주 작은 도토리가 커다란 참나무가 되듯이 지금의 작은 모습에
- 여러 가지 방법으로 씨앗들이 자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망하지 말고 자신감을 얻길 . ( 그래서 저학년 연극 수업으로 진행 )
- 수업제목 : 만나서 반가워요.(4차시)
- 가을 산책
진행내용 : 음악, 게임으로 이용해서 자신을 소개하고 다른 친구들과 인사를 나눈다. - 수업제목 : 오감각 놀이(4차시) 진행내용 : 보고. 듣고 . 맛보고. 만지고 . 냄새를 맡은 것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아이들과 함께 걸으며 계절의 변화를 느낀다.
2~9
예> 한 장의 그림으로 그리기. 정지 동작으로 표현,
- 씨앗 여행
주요 교육내용
모둠별로 상황을 만들기. 얼굴 표정 짓기. 등등
▶
- 다양한 방법으로 번식하고 자라는 씨앗들에 대해 알아보기. - 도토리의 일생
사진
전반기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중력에 의해 번식하는 도토리가 자라서 참나무가 되는 과정을 몸으로 표현하기. - 소감 나누기 - 작았던 도토리가 이렇게 커다란 참나무가 되는 것처럼 우리도 무럭 무럭 자라자~
공예
중반기
- 수업제목 : 그대로 멈춰라!(4차시) 진행내용 :음악에 맞춰 몸을 움직이다가 멈춘 후 물건, 동물, 자신의 감정, 장소 등 을 동작으로 표현. - 수업제목 : 이게 뭘까?(4차시) 진행내용 : 연극 수업에는 우리의 상상력만 있다면 무엇이든지 만들 수 있다. 막 대기 변형놀이. 상장 속에 있는 물건을 상상하고 몸으로 표현하는 상상 놀이.
10~17
진행내용 :간단한 소품을 이용해서 다른 사람, 다른 장소 만들기 예> 파란 천- 바다에서 일어나는 이야기 - 수업제목 :이야기 극화 ( 4차시 ) 진행내용 :교과서에 나오는 이야기 만들기. 재미있는 동화책에 나오는 등장인물 이 되어 보고 장면 만들기. 한 장의 그림 뒤에 나오는 이야기 꾸미기 등등
18~26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2. 씨앗 여행 자 지금부터 우리는 씨앗이 되어 여행을 떠나 볼까요? - 나무가 있는 숲과 연결된 운동장의 놀이 기구를 이용해서 씨앗들의 특징을 표현한다. 예> - 바람에 날아가는 씨앗 : 프로펠러 같은 날개를 만들어 날아가는 단풍나무. 민들레는 두 팔을 벌리고 운동장을 빙글빙글 날아간다. - 터져서 힘으로 튕겨나간다. : 열매가 껍질 속에서 점점 자라서 팝콘처럼 펑 하고 터지며 튕겨나는 가는 제비꽃과 등꽃 씨앗 - 물을 타고 간다. : 파란 천 위에서 둥둥 떠다니는 연꽃씨앗은 미끄럼틀 - 동물의 몸에 붙어서 간다. : 자신의 온 몸에 털이 있는 것을 이용해서 다른 동물의 몸에 붙은 퍼지는 도깨비 바늘 되어 보기 ( 2인 1조 달리기) - 중력으로 떨어진다. : 철봉에 매달려 데롱데롱 거리다 아이들이 툭툭 떨어지듯이 열매가 익어 무거워서 밑으로 떨어지는 씨앗, 도토리, 밤, 호두나무 씨앗 되어보기는 철봉을 이용한다.
음악
보자기 - 보자기를 앞에 두르고 요리사가 되어보기
- 전개 1. 가을 산책 -아이들과 함께 숲 속 느낌이 나는 곳으로 가서 걸으며 느낌을 이야기 하고 가을 냄새도 맡고 낙엽 밟는 소리도 들어봐요. 종이컵을 하나씩 나누어 주면서 가장 담고 싶은 낙엽이나 떨어진 열매를 담아 오라고 한다. - 아이들이 종이컵에 담아 온 것과 강사가 가지고 온 여러 가지 종류의 씨앗을 하얀 천 위에 펼쳐둔다. 주위를 둘러보고 이 조그만한 씨앗이 자라서 이렇게 커다란 나무도 되고 꽃도 된답니다. 나무 모양이 제각각이듯 씨앗도 모두 다른 모양으로 생겼고 다르게 번식함을 알려준다.
디자인
- 도입 - 단풍이 멋지게 물든 가을 , 여름과 달라진 자연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모두 함께 야외로 나가 산책을 하자고 제안한다.
- 수업제목 :즉흥 놀이( 4차시 )
후반기
수업내용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이름 3. 이야기 극화 “도토리의 일생” -
임채은
세부전공
A -0163
지원분야(세부 분야)
연기 연극(뮤지컬/연기/노래/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선택교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새터로29번길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2015.11.18. 오크밸리 그랜드 볼룸 / 매지컬 ‘SG in love with you’ / 조연출, 배우 사진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5.06.19.~2015.09.30. 대학로 브로드웨이 아트홀 / 뮤지컬 ‘우연히 행복해지다’ / 배우
이렇게 모은 도토리를 이용한 악기 , 또는 액자 만들기
2015.05.10.~2015.06.18. 대학로 하모니 아트홀 / 뮤지컬 ‘우연히 행복해지다’ / 배우
예술활동 경력
공간활용 계획
공예
준비물 및 필요물품 다양한 씨앗/ 도토리 / 음악 ( 시디 플레이어 )
만화애니
- 마무리 교실로 돌아 와 가지고 온 도토리 종이컵에 이름을 쓰고 바구니에 모은다. - 작은 도토리가 커다란 참나무가 되는 것을 보니 어떤 느낌이었는지 소감을 나눈다
영화
교과연계
연극
이렇게 씨앗 여행을 하고 나면 꽃이 되고 나무도 되지요. 도토리는 이렇게 열매가 무거워 특 떨어져서 싹이 나고 키가 큰답니다. 그럼 도토리가 커다란 나무가 되는 과정을 연극으로 만들어보아요. 선생님이 해설을 하면 너희들은 도토리가 되어보렴 . ( 미리 녹음을 해 온 음향과 내래이션을 들려준다. ) 다람쥐가 도토리를 가지고 소풍을 갑니다. ( 노래를 부른다. 산골짝에 다람쥐~ ) 꼭꼭 숨겨 놓은 도토리에서 따뜻한 햇살이 비추자 싹이 돋았어요. 단단한 껍데기를 뚫고 땅속에 뿌리를 콕! 콕! 내리더니 연둣빛 싹을 쏘옥 틔웠어요. 어느 날 , 이파리가 쏘옥 나란히 나오더니 , 햇볕도 듬뿍 받고, 비도 맞고 , 바람도 맞으며 어느새 이만큼 자랐어요. ( 선생님이 햇볕, 바람, 비가 되어 키가 크게 유도한다. ) 이 작은 나무가 쑥쑥 자라면 도토리가 열리는 커다란 참나무가 돼요. 이것 좀 보세요. 시간이 흐르고 흘러서 커다란 참나무가 되었어요. 그리고 울창한 숲을 이루었어요.(아이들이 모두 모여 숲을 이루게 도와준다. )
2015.04.21.~2015.05.10. 진해문화회관 / 뮤지컬 ‘우연히 행복해지다’ / 배우
2015.02.10.~2015.02.15. 대학로 나온씨어터 / 뮤지컬 ‘원데이’ / 연출, 배우 디자인
2013.12.13.~2013.12.26. 나루아트센터 대공연장 / 뮤지컬 ‘블랙스완’ / 배우
교실에서 학교 운동장으로 . 숲의 느낌이 있는 운동장 한 켠에서 철봉이나 미끄럼틀이 있는 운동장으로 이동
2013.05.24.~2013.07.06. 10개 도시 투어 / 뮤지컬 ‘사운드 오브 뮤직’ / 배우 음악
2015.10.19.~2015.10.25. 정배 초등학교 계절학교 뮤지컬 부 강사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10.26.~2015.11.04. 레드써클 캠페인 광고 영상 안무 감독 2015.08.11.~2015.09.05. 원주 기쁨 어린이 합창단 안무 감독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
2015.10
교육 방향
▶
뮤지컬과 함께 상상하고 표현하고 소통하기
기획의도
▶
- 상상, 표현, 소통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여 뮤지컬에 흥미를 더욱 높여줄 것입니다. 나아가 아 이들의 예술적 재능을 발견해주고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어 아이들에게 소중한 시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수업의 중점적인 의도입니다.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2) 교육 성과 및 효과
- 앞으로 함께 하게 될 작품인 ‘사운드 오브 뮤직’에 대한 짧은 설명과 실현하게 될 장면을 영상으로 보여줍니다. 자기소개와 더불어 아이들이 좋아하고 흥미 있는 것 들에 대해 듣고, 앞으로의 꿈을 함께 공유합니다. - 사운드 오브 뮤직 “Do-Re-Mi song” 장면 만들기 - 연기 시간; 대본을 토대로 창의적인 캐릭터 분석과 자유로운 감정 표현을 가르쳐 줌. - 음악 시간; 간단한 악보 보는 법과 노래하는 법을 가르쳐줌. - 안무 시간; 노래에 맞는 안무로 평소 쓰지 않던 근육을 쓰게 하고 몸으로 표현하 는 것에 즐거움을 가르쳐줌.
- 사운드 오브 뮤직 “The lonely goatherd” 장면 만들기 - 연기 시간; 대본을 토대로 창의적인 캐릭터 분석과 자유로운 감정 표현을 가르쳐 줌. - 음악 시간; 간단한 악보 보는 법과 노래하는 법을 가르쳐줌. - 안무 시간; 노래에 맞는 안무로 평소 쓰지 않던 근육을 쓰게 하고 몸으로 표현하 는 것에 즐거움을 가르쳐줌.
- 내성적인 아이들이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2~7
8~13
- 뮤지컬에 대한 호기심이 늘어났습니다. ▶
- 학부모 또한 뮤지컬에 대한 호기심이 늘어났습니다. - 평소 문제 학생이나 장애가 있는 아이들이 놀라운 집중력과 많은 연습량을 보여줬습니다.
14~19
후반기
- 전반기, 중반기에 만들었던 세 장면을 복습하며 장면 연결하기. (“Do-Re-Mi song”, “The lonely goatherd”, “So long, Farewell”) - 개개인을 심도 있게 체크하여 부족 한 면을 채워줌. - 장면 발표회.
아 대사를 늘려 연기에 좀 더 중점을 둘 것입니다.
20~25
- 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아이들이 자유롭게 상상하여 표현 할 수 있도록 여유를 가지고 수업에 임할 것입
미디어아트
니다.
미술
- 아이들의 흥미 유발을 위해 노래와 춤을 위주로 진행이 되었었는데 의외로 아이들이 대사연기에 관심이 많
음악
중반기
- 사운드 오브 뮤직 “So long, Farewell” 장면 만들기 - 연기 시간; 대본을 토대로 창의적인 캐릭터 분석과 자유로운 감정 표현을 가르쳐 줌. - 음악 시간; 간단한 악보 보는 법과 노래하는 법을 가르쳐줌. - 안무 시간; 노래에 맞는 안무로 평소 쓰지 않던 근육을 쓰게 하고 몸으로 표현하 는 것에 즐거움을 가르쳐줌.
-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수업시간을 즐거워하고, 쉬는 시간을 아쉬워 할 만큼 흥미를 가졌습니다.
▶
디자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학생 인원 수 파악 (총 인원수와 남/여 성비) - 공간 파악 (교실, 피아노 사용가능 여부, 음향 장비 등 확인)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교육회차
사진
전반기
교육내용
만화애니
-뮤지컬 배우와 함께 하는 ‘사운드 오브 뮤직’ 가정교사가 7명의 아이들에게 음악을 가르쳐주는 뮤지컬인 ‘사운드 오브 뮤직’이라는 작 품을 가지고, 실제 수업과 극 속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교육하는 것이 강점입니다. 선생님도 수업을 진행하며 함께 극 속에 참여해 아이들이 더 쉽고 자연스럽게 극에 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사운드 오브 뮤직’에 나오는 장면을 함께 만들어 가며 자신만의 캐릭터 만들기로 상상력 을 자극 하고, 귀에 익숙한 노래인 ‘도레미 송’과 ‘요들송’을 통해 음악의 기초를 배우며 노 래와 연기, 춤으로 자신을 표현 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상상, 표현, 소통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여 뮤지컬에 흥미를 더욱 높여줄 것입니다. 나아 가 아이들의 예술적 재능을 발견해주고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어 아이들에게 소중 한 시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수업의 중점입니다.
영화
▶
- 뮤지컬과 함께 상상하고 표현하고 소통하기
초등학교 고학년 / 4~6학년
교육가능 기간
주요 교육내용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임채은
연극(뮤지컬)
2시간
교육대상 초등(고학년)
수업주제
▶
사운드 오브 뮤직 “Do-Re-Mi song” 장면 만들기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지원분야(세부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 뮤지컬을 통해 상상하고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게 한다. - 뮤지컬에 즐거움을 느끼고,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도와준다. - 아이들의 예술적 재능을 발견해주고, 꿈을 키워준다. - 아이들의 재능과 끼를 발견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수업을 즐겁게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여 뮤지컬에 흥미를 높인다.
- 실제 뮤지컬 곡을 직접 체험하며 노래가 즐거운 것임을 인지하게 한다. - 곡에 맞는 안무로 평소 쓰지 않던 근육을 쓰게 하고 신체 표현을 강화한다.
수업내용
- 사운드 오브 뮤직 “Do-Re-Mi song” 장면 만들기 가정교사가 7명의 아이들에게 노래하는 법을 가르쳐주는 넘버인 “Do-Re-Mi song”을 실제와 극 속을 오가며 노래와 안무를 가르쳐줍니다. 선생님도 수업을 진행하며 함께 극 속에 참여해 아이들이 더 쉽고 자연스럽게 극에 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대본을 토대로 창의적인 캐릭터 분석과 자유로운 감정 표현을 가르치고, 간단한 악보 보는 법, 노래하는 법과 노래에 맞는 안무로 평 소 쓰지 않던 근육을 쓰게 하고, 몸으로 표현하는 것에 즐거움을 가르쳐줍니다.
마지막 수업은 발표회 형식으로 간단히 교실에서 학부모님들과 선생님 또는 학생들의 자율적인 관람 형식으로 진행 할 예정입니다. 아이 들이 관객 앞에서 뮤지컬을 발표하는 데에 있어 굉장한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게 될 것입니다.
클리어 파일(학생 수에 따라 개수 필요)
첫 수업부터 마지막 발표 수업까지 교실에서 이루어짐.
미디어아트 문학
2015년 - 초등학생 연극놀이캠프 <거인의 정원> 예술강사 인재개발원 - 극단 올리브와찐콩 장애아 대상 교육연극 T.I.E. <유진아유진아>서울,경기,인천지역 15개 학교 순회공연 파라다이스재단/서울,경기,인천초등학교 - 극단 올리브와찐콩 장애아 대상 교육연극 T.I.E. <준호가 사라졌다!>, <우리는 친구, 뻐끔> 서울,경기,인천지역 19개 학교 순회공연 파라다이스재단/서울,경기,인천초등학교 - 방과후 연극반 연극만들기 <범수 이야기> 연극강사 와부중학교 - 창작 연극만들기 <내가 세종이오!> 지도교사 : 제20회 안산청소년연극제 은상, 스탭상, 우수연기상 수상 석수중학교 - 교육연극 프로그램 <너와 나의 Special Drama> 홍은종합복지재단
미술
공간활용 계획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센트럴파크로 128번길
음악
준비물 및 필요물품
기본교과,선택교과,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선택교과
디자인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4년 - 광주시청소년극단 동계/하계 연기워크숍 연극 강사 - 극단 파발극회 / 경기 광주시 관내 고등학교 - 호기심학교 <구구셈과 물방울, 그리고 씨앗> - 서울문화재단/시민청바스락홀 - 극단 올리브와찐콩 장애아 대상 교육연극 <우리는 친구, 뻐끔> 서울,경기,인천지역 18개 학교 순회공연 파라다이스재단/서울,경기,인천초등학교 - 청소년 프로그램 <삘릴리야 놀자-축제2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성남은행동청소년문화의집 - 어린이연극만들기 <숨쉬는 항아리>(초1) 예술강사 바람꽃시어터/안양부안초등학교 - 국립극장 <재잘거리는 몸, 숨쉬는 마음> 예술강사 꿈다락토요문화학교/국립극장 - 청소년교육연극 <그여름, 초록바람이 분다>예술강사 경기도 청소년수련원 - 방과 후 어린이극단 <의자맨>(초3-4) 분당탄천초등학교 - 초등학생 참여연극 <날아간다 무지개-마고할미의 빨래찾기> 배우교사 극단 올리브와찐콩/성북정보도서관
초등/중고등
공예
2013년 광주시청소년극단 동계/하계 연기워크숍 연극 강사 극단 파발극회 / 경기 광주시 관내 고등학교 극단 올리브와찐콩 장애아 대상 교육연극 <유진아 유진아>서울,경기,인천지역 순회공연 31회 파라다이스재단/서울,경기,인천초등학교 국립극장 <재잘거리는 몸, 숨쉬는 마음> 예술강사 꿈다락토요문화학교/국립극장 위기청소년 돌봄프로젝트Ⅱ <비밀의 정원에서 이야기 꽃 피우기> 한국문화예술진흥원/안산 들꽃피는세상 대안학교 청소년 프로그램 <삘릴리야 놀자-축제1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아산청소년교육문화센터 - 연극놀이 <네 마음을 보여줘>(중3) 예술강사 바람꽃시어터/안양부림중학교
- 대사연기를 통해 캐릭터 창조와 감정표현을 배운다.
연극 (연기, 놀이, 미술치료, 교육연극)
사진
뮤지컬과 함께 상상하고 표현하고 소통하기
A -0764
연기(연극)
만화애니
▶
세부전공
영화
수업명
장완희
연극
강사명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
2015년 3월~12월
교육 방향
▶
상상력을 통해 예술(연극, 미술 외)을 이해한다
기획의도
▶
보이지 않는 상상력을 찾아 표현함으로써 재미와 즐거움을 경험한다. 자유로움 속에서 창의적 인 생각을 하며 함께 협력하게 하고, 서로 이해해가는 과정을 통해 관계성을 회복하는 수업이 다. 연극놀이와 ‘장면 만들기’를 통해 연극 만들기의 성취감을 느끼게 한다.
2~5
사진
과정 드라마 경험하기 - 소리를 표현하기 / 추상적인 소리를 듣고 그림, 몸, 글로 표현하기 - 그림을 이해하기 / 그림을 보고 느낀 것을 토론하고 표현하기(동물, 자연, 사람, 물 건 등). - 생각한 것 설명하기 / 제한된 주제 안에서 자신이 상상한 것을 물건으로 만들어 보고,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하기 - 되고 싶은 사람되기 / 연극놀이를 통해 자신이 되고 싶은 사람이 되어보고, 다른 사람들을 만나도 보고 그 상황에 대한 느낀 점을 이야기하기
6~10
사전방문 (3월)
관련선생님들과의 인사, 참여자 집단의 특성, 인원 수, 참여자의 이름, 공간의 특성, 준비 물, 수업시간 등 조사 / 참여자들과의 수업에 대해 담당선생님이 원하는 것에 대한 이 야기 나누기
오리엔테이션
- 수업 안에서 상상력을 믿게 되고 표현하는 행동을 통해서 연극놀이에 재미를 느끼게 되면 참여자들은 몸의 상태가 달라지고 언어적인 표현이 달라진다. 말하자면, 몸동작이 커지고 확장되거나 단답형의 대답을 하던 참 여자들이 질문이 많아지거나 적극적으로 변하는 경우를 목격하게 된다. 소극적인 참여자는 한 번 더 해보고 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예. 은행동 청소년프로그램) - 관계자의 경우, 움직이지 않았던 참여자가 연극놀이 수업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변하는 과정을 지켜본 후 연
디자인
싶다는 욕구 때문에 작았던 목소리가 커지기도 하는데, 무기력한 아이가 주인공을 하고 싶다는 욕망을 드러내
공예
상상력 찾기 - 상상과 변형 / 연극놀이(상상의 공 전달, 고양이와 쥐, 상상과 변형 등)을 통한 상 상력 인식하기 - 모방하기 / 거울놀이, 그림표현하기(타블로) 등 모방을 통한 창조적인 상상력 경 험하기
교육내용
전반기
▶
1
기간
2) 교육 성과 및 효과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연극놀이 워밍업 : 연극적인 표현과 다양한 놀이로 상상력의 개념을 이해하고 연 극적 상상을 표현한다. 드라마와 장면 만들기 등 연극 요소를 소개한다.
만화애니
- 사고하는 근육, 상상력 키우기 첫 만남에서는 쉽고도 엉뚱한 발문이 대단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상력 없 는 사람?”과 같은데, 이 질문은 연극에 관심 없어 하는 학생들에게조차 쉽게 적극성을 끌 어낼 수 있다. 상상력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상상력을 발현시키는 경험을 하다보면 연극 이 단순히 ‘흉내내기’ 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예술보다도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활 동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 연극적 상상력은 사고하는 근육을 키우는 힘이 될 수 있다. (예) 보이지 않는 상상의 공 전달하기, 막대변형 등)
교육회차
영화
- 연극을 활용한 놀이성 강조 몸짓, 소리 등을 통한 오감을 사용하고, 체험과 놀이를 통해 흥미를 유발시킨다. 즐거움 속에서 학습 효과를 높이는 워밍업이 이루어진다. 이런 과정은 연극의 핵심 요소인 ‘상상 력’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활동은 무용․음악․미술과 연극적 요소의 통합 예술을 지향한다. ▶
보이지 않는 상상력 찾아서 연극만들기
초등학생 ~ 중학생 / 8세~16세
교육가능 기간
주요 교육내용
▶
11~20
후반기
연극 만들기 및 발표하기 - 날개 달아주기 / 날개 달아 주고 싶은 대상을 찾고 설명하기 - 대본 만들기 / 2인 1조 구성. 날개 달아주고 싶은 이유, 인물 소개 등을 바탕으로 “내가 너에게 날개를!”에 대한 그룹별 글짓기 - 발표하기 / 2인 1조로 만든 대본을 기초로 연극적으로 발표한다.
21~25
등의 지속성을 위한 열정을 보인다(예. 탄천초등학교)
음악
중반기
동화를 소재로 장면 이해하기 - 동화 소개하기 / ‘돼지 등에 날개달기’ 동화책 소개하기 - 토론하기 / 책 속의 주제, 장소, 인물, 시간 등을 토론하기 - 정지동작 보여주기 / 갈등, 인상적인 장면을 정지동작으로 표현하기 - 장면 만들기 / 장면의 상황을 구성하고 모둠별로 만들기 - 장면 바꾸기 / 자신의 상황으로 장면을 바꿔보기
극놀이의 효과와 필요성을 깨닫고 단절 위기의 수업을 되살리거나(예. 석수중학교) 연극 수업을 매년 개설하는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 참여자들이 달라지는 과정에서 나 자신의 역할의 중요성을 깨닫고 내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 몸짓, 행동을 정 만들게 된다. ▶
- 재미있게 놀기만 하면 참여자에게 무엇인가를 줄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나 단순한 놀이만은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았다. 연극이 지닌 가치와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흥미를 유도하는 ‘놀이’의 형식을 사용 했던 것이므로 자유로움 속에서 아이들이 자신의 새로운 성격, 모습 등을 발견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왔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상상하는 힘’이 ‘생각의 근육’을 탄탄하게 만든다는 생각으로 아이들이 상상력의 가치를 공 유하도록 노력했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돈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도 참여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게 되고, 창의적인 것에 더 집중해서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장완희
연극
90분
초등(저학년)
▶
연극놀이 워밍업 : 상상의 날개 달기
수업주제
▶
연극놀이를 통해 상상력을 연극적으로 표현하기
세부전공
A -0565
지원분야(세부 분야)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
▶
주요 교육내용
▶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자신의 생각이 상상력으로 증폭되어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해진다 - 연극적 경험을 통해 재미와 즐거움을 느끼면서 자유롭게 마음껏 놀기 - 연극을 활용해 상상력을 인식하기
2015.12.21. 화려한 유혹 형사 계장 역할
- 다양한 방법으로 상상력 표현하기
2015.8.15.~27 불효자는 웁니다. 무대조감독 장충체육관 특설무대
- 상상의 날개 달기
수업내용
공간활용 계획 참여자들 모두가 신발을 벗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음성이 공간에 울리지 않고, 바닥이 깨끗할 필요가 있다.
2013.10.2. 하남위례예술제 무대감독 하남문화예술회관 2013.6.29. 국희이야기 조연 하남문화예술회관 2013.4.6. 꿈길에서 나비를 좇아 주연 하남문화예술회관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9.5. 서인장 꽃피다 지도강사 신장고등학교 하남문화예술회관 (5회 하남연극제 참여 금상, 연기대상, 연출상 등 7개 부문 수상) 2015.3~8 연극반 주강사 신장고등학교 2014.11.22. 청소년연극학교 발표회 뮤지컬 “빨래” 연출 하남문화예술회관 2014.6~11 연극학교 주강사 재단법인하남문화재단 2014.3~7 연극반 주강사 신장고등학교 “하이스쿨 연극부” 발표 2014.9~12 연극부 주강사 하남고증학교 2014.3~12 연극반 주강사 신평초등학교 (하남 어린이 연극제 참여 “개똥벌레” 발표 작품 대상수상 ) 문학
일반적인 교실의 크기 정도 공간이 필요하다.
2013.10.11. 한밤의 천막극장 연출 용설아트스페이스
미디어아트
신문지 막대, 마킹테이프, 가위, 천(다양하게), 도화지, 크레파스, 싸인 펜, 색연필
2014.3.29. 의자는 잘 못 없다 무대감독 하남문화예술회관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2014.12.17.~18 소설명작극장 무대감독 하남문화예술회관
음악
보이지 않는 상상력을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그림으로 표현하고, 몸으로 표현하는 것을 공유한다.
화정 군관 역할
디자인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5.7.7.
공예
<1차시 연극놀이> 1. 친해지기 가) 인사나누기 : “나는 000을 좋아하는 000라고 해” 돌아가면서 좋아하는 것 한 가지씩을 말하고 이름을 소개한다. 나) 연극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 발문을 통해 참여자의 생각을 듣는다. 다) 상상력 소개하기 : “상상력 없는 사람?”, 연극에서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공유한다. 2. 상상력 사용하기 가) 상상의 공 전달하기 : 교사는 마임을 통해 보이지 않는 ‘상상의 공’을 만들어 조심스럽게 옆 사람에게 전달한다. 나) 상상의 공 변형하기 : 상상의 공을 자신이 생각하는 일상의 물건으로 바꾼다. 다) 상상과 변형 : 막대 변형 - 막대를 사용한 변형 놀이(일상의 것을 표현한다). 천 변형 - 천을 활용한 변형 놀이(일상의 것을 표현한다). * 때에 따라 변형놀이를 하는 가운데 상황을 극대화시켜 장면 만들기를 경험할 수 있다. 3. 협력하기 가) 박수 전달하기 : 협동심 확인하기. 박수를 옆 사람으로 전달해서 이동시킨다. 나) 눈빛 교환 : 서로서로가 눈빛을 교환하다가 눈빛이 마주치면 자리를 바꾼다. 다) 연극놀이 : <고양이 방주세요> 놀이를 통해 상상력을 사용하는 모든 것을 놀이 속에서 경험한다. 4. 상상력 그리기 가) 자신이 생각하는 상상력을 그림으로 그린다. 나) 그림으로 그린 상상력을 몸으로 만들어 본다. 5. 피드백 - 오늘 수업 하면서 재미있었던 점은? - 소감을 다섯 글자로 표현하기 - 모두가 손을 잡고 원으로 서서 구호를 외치면서 마무리하기
예술활동 경력
사진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거주지
중.고등
만화애니
교육목표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교과연계
- 초등학생에게 연극 놀이를 활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상상력을 표현하도록 유도하면서 창의적인 생각과 함께 관계 형성의 중요성, 상대방을 배려하고 협력하려는 것이 기본바탕 이 되도록 한다. - 연극을 활용한 교육하지 않은 교육을 참여자와 같이 경험한다.
연극(연기학)
영화
수업명
장인수
연극
강사명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교육가능 기간
▶
신평초등학교
교육 방향
▶
즐거운 연극, 친숙해지는 연극놀이
▶
-
주요 교육내용
연극놀이 구연동화 과정드라마를 통해 연극 만들기 공개수업을 통한 발표회 공익적 연극 만들기 사물을 몸으로 표현하기
기획의도
▶
- 성적 고민에 대하여 공감하고 소통 한다. - 성적보다 소중한 것을 찾아본다. -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막연한 고민 보다는 다양한 직업에 대한 이해와 꿈을 이루기 위한 현 재의 노력은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과 스스로의 목표를 정하는데 도움이 되 고자한다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 교육 공간과 방음과 시설 안전 사항 및 준수사항
사전방문 (3월)
- 대상 학생들의 이해 - 준비물 및 수업방향 교류 - 직업의 다양성 및 편견 등에 대한 이해
오리엔테이션
- 참여 학생들과의 생각 나누기
1
만화애니
초등학교 저학년 / 8~10세
영화
▶
- 연극놀이 및 과정드라마를 통한 개성과 다양성의 이해 연극
교육가능 교급
▶
- 연극놀이, 따블로, 과정드라마, 등 참여자에게 설명 및 이해 생각 나누기 < 라포형성 > 사진
- 강사와 참여자의 소통 - 참여자 간의 생각의 차이 소재로 확인
2) 교육 성과 및 효과
- 서로의 생각 인정하기 - 연극놀이의 이해와 참여
2~5
- 라포형성
▶
- 우리는 왜 겉만 보고 판단할까요? 직업에 대한 생각 나누기 < 직업을 체험해 보자 > - 직업의 다양성과 직업의 대한 편견을 알아보자 - 내 인생의 대박 사건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극을 통해 상황을 분석하여 본다. - 연극놀이를 통해 직업에 대한 소중함 이해 - 나의 직업의 소중함과 타인의 직업의 소중함 이해 - 다름과 틀림의 차이를 이해하는 놀이 - 다양한 직업을 연극놀이로 체험해본다
학생들이 활달해 졌다 적극적 행위로 참여 하게 되었다 주제가 주어지면 탐구 탐색에 대한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자기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다양한 상상의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서로 의견을 나누며 협동하여 규칙도 정하며 진행한다.
6~10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개성의 대해 이해
공예
전반기
연극으로 행복한 미래의 직업 찾기 - 새로운 직업의 창조, 모둠 구성과 방향 토론
중반기
- 다양한 상상으로 직업 이야기를 만들어 직접 표현 - 이야기를 확장하여 극으로 만들어보자
음악
- 과정드라마를 통해 우리들의 미래 이야기를 만들기
11~20
- 구성 및 이야기 완성 - 배경 및 소품을 직접 만들어 보자
▶
즐거운 학교생활 방법 모색 - 내가 바라는 즐거운 학교생활을 상황을 만들어 본다.
후반기
- 미래 직업을 향한 준비과정의 이해 및 따블로 표현 - 작은 발표회를 만들어 보자 - 발표회 후 노트 - 느낀점 등
21~25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학생들에 이야기를 많이 들어주는 편이다 남자 연극 선생님에 대한 편견을 좀 더 깨야 겠다. 학생의 창의성에 최소의 개입을 하려한다 놀이의 집중하게 한다 학생이 결정하고 연결 하게 좀더 기다려 줘야 겠다 학생들의 감정 표현을 더 도와주어야 겠다
미술
- 역할 놀이를 통해 직업의 즐거움을 찾는다. -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수업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o 이야기 2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장인수
연극
100분
중고등(전학년)
생일 파티에 가기위해 직업에 맞게 치장하기 o 이야기 3 파티장면과 허름한 복장의 농부의 등장을 역할극으로 만들어본다
연극
강사명
농부는 정성으로 키운 감자를 캐서 선물로 드리려고 파티에 갔지만 쫓겨난다 o 이야기 4
수업명
▶
겉만 보고 판단하니
A 모둠은 온부가 쫓겨난 이유를 한 문장으로 이야기 한다
▶
우리는 왜 겉만 보고 판단할까요?
교육목표
- 즐거운 시간 - 과정드라마를 새로운 직업의 창조와 상상력의 발휘 및 발표력 향상 - 그리고 연기를 통한 감정이입으로 서로에 대한 이해와 관심 직업에 대한 간접 체험 및 의 견 나눔
o 이야기 5
▶
다시 생일 파티에 간 농부 1)농부가 다시 생일파티에 갈 때 취하는 행동 2)술탄과 하인 마을 사람들이 농부를 맞이하였을 때 행동을 정지장면 또는 공연으로 표현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사람의 평가의 기준이 겉모습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 직업 또한 그 사람의 평가의 기준이나 편견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다 - 인식의 변화와 대사의 이해 상승 - 나는 다른 사람의 겉모습만보고 섣부르게 판단한 적이 있는지 이야기해볼까요?
만화애니
수업주제
영화
B 모둠은 쫓겨난 농부의 마음을 한 문장으로 이야기 한다. c 모둠은 쫓겨난 농부를 보고 들었던 생각을 한 문장으로 이야기 한다
4. 생각 나누기 o 타인이 바라보는 나
▶
다른 사람이 나를 겉모습만으로 판단해 버린다면 기분이 어떨까요? 사람의 평가의 기준이 겉모습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직업 또한 그 사람의 평가의 기준이나 편견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다 인식의 변화와 대사의 이해 상승
다른 사람이 나를 겉모습만으로 판단해 버린다면 기분이 어떨까요? o 내가 바라보는 타인 나는 다른 사람의 겉모습만보고 섣부르게 판단한 적이 있는지 이야기해볼까요?
o 전지 - 사람모양의 테두리 그림에 글로 생각 써보기 (외국인, 다문화, 인물사진 등) 머리: 대상이 갖고 있는 생각 심장: 대상의 마음 손: 대상과 맺고 있는 관계
다양한 나라의 재미있는 인사법 겉치장으로 사람을 판단할 수 없다는 인식 사람의 판단의 기준 남과 나를 볼 때 어떤 것이 중요할지에 대한 견해
준비물 및 필요물품 전지 . 초대장 , 보자기 , 예쁜 장갑 , 모자 등 장식품 , 감자 자루 , 작업용 장갑 등
2. 윔업
다른 나라 말로 인사하기
공간활용 계획 무대로써의 공간 생일 파티장, 거리, 농부의 집 등으로 나눠 공간 사용 토론장으로써의 공간으로 교실을 모둠별 분할하여 의견 및 수렴의 공간
인사를 받은 사람은 자기 나라말로 인사를 하고 마주친 사람에게 그 나라 말로 헤어지는 인사를 한다.
대도구와 소품으로 사용
책걸상 및 교실의 모든 사물
미술
모둠 : 전체 참여자들은 각 나라의 사람이 되어 서로 인사를 한다. (a4 정도의 카드에 각 나라이름 , 만남인사 , 헤어짐 인사 가 쓰여 있다 모둠별 또는 개인별 )
음악
발: 대상이 자주 가는 곳 외부: 대상이 외부에서 듣는 말
디자인
1. 대상 인식
o o o o
공예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수업내용 3~4개의 모둠으로 나눔
사진
주요 교육내용
-
3. 드라마 세상으로 o 이야기 1 터기의 부자인 술탄이 되어 자신의 생일파티를 위해 자신의 궁전으로 마을 사람들을 불러 모은다. 모둠 : 3~4그룹으로 나누어 참여자들은 마을 구성원이 되어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행동을 타블로로 표현한다. 그러던 와중에 술탄의 하인이 모둠에게 하나씩 초대장을 건네준다.
미디어아트
예비텍스트 배경 : 1300년대, 터키, 7월~8월
농부, 중산층, 귀족, 평민 등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전혜진
세부전공
A- 0 469
지원분야(세부 분야)
음악(뮤지컬)/연극영화(연기) 연극(연기)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거주지
교육가능 교급
▶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12월
교육 방향
▶
학교생활에 적응을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친근함과 즐거움 속에서 지적활동보다는 놀이로 연극수업의 가치를 알려 줄 수 있다.
창의적체험활동,
- 학습주제 - 2차시-여긴 숲속 동물원 - 학습목표 - 동물의 특징을 몸짓으로 표현할 수 있다. - 학습효과 - 친구의 동작을 보고 표현함으로 관찰력과 시각, 집중력을 키울 수 있다. - 동물을 관찰하고 표현함으로 관찰력 표현력을 키울 수 있다. - 학습자료 – 교사: 동물쪽지, 학생: 없음
경기도 파주시 미래로 602길
주요 교육내용
- 몸짓으로 동물 표현하기 학생들이 각자 동물 쪽지를 하나씩 뽑는다. - 예) 사자, 공작새, 뱀, 호랑이, 토끼 등 교실이라는 공간을 동물들이 사는 공간으로 인식시킨다. - 바다, 남극, 북극, 땅 등등 돌아가며 발표한 후 마무리한다. - 나머지 학생들은 친구가 표현할 때 어떤 동물인지 함께 맞춰본다.
사진
- 활동 후 느낌 교환하기 - 몸짓으로 동물을 표현한 느낌을 발표하기
공예
2) 교육 성과 및 효과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연극에 대하여 모르고 있는 아이들에게 연극이란 단어와 의미 ,본질을 심어 줌으로써 상상력, 표현력, 관찰력 , 그리고 무엇보다 표현하며, 사랑하는 법을 알려주고 싶습니다.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위에 이야기 한 것처럼 내가 교육이라기보다. 아이들과 많은 것을 나누며 공감하고 느끼는 것에 대 하여 내 교육은 정말 교육이아니라 나누는 것이 될 것 이라 믿는 다 아이들을 가르쳐 본적은 없지만 난 자신 있다. 연극이란 것이 얼마나 위대하고 그자제가 삶이라는 것을.
음악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3.06.24~2013.06.25 젊은연극제 신 놀부전 알과핵 소극장 구순이 역할 2013.10.13~2013.10.13 중부대학교 신 놀부전 리턴즈 대전서구 관저 문화예관 구순이 역할 2013.10.22~2013.10.23 중부대학교 한여름 밤의 꿈 중부대학교 야외무대 티테이니어 역할 2014.01.10~2014.01.12 중부대학교 아름다운 사인 대전 대흥동 소극장 마당 최정미 역할 2014.09.15~2014.09.16 중부대학교 한 여름밤의 꿈 리턴즈 중부대학교 야외무대 티테이니어 역할 2014.12.05~2014.12.07 중부대학교 어느 계단의 이야기 대전 둔산아트홀 로사 역할 2015.01.05~2015.01.07 연극 브릿지 페스티벌 어느 계단의 이야기 예술공간 서울 2015.05.25~2015.10.09. 도모 컴퍼니 당신만이 한성아트홀 2관 음향 2015.09.30~2016.01.31. 집기획사 러브액츄얼리 서울대학로 조연출 2015.12.24~2015.12.27. 집기획사 러브액츄얼리 제주도 수진 역의 배우
▶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거울 놀이 거울의 특성을 이해하고, 서로의 모습을 똑같이 흉내내본다. - 짝을 정한 후 가위 바위 보를 하여 한 사람은 거울을 보는 사람이 되고, 나머지 한 사람은 거울 되기 -활동을 시작하면, 거울 역할을 맡은 친구는 짝의 모습을 자세히 관찰하여 똑같이 흉내 내기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역할을 바꾸어서 진행한 후 마무리하기
영화
교과연계
초등
1) 교육개요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3. 1회차 교육계획안
▶
연극이 무엇일까?
▶
-학생들과 함께 연극이 무엇인가? 에 대하여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졸업 하고 온 아이들에게 놀이를 통하여 연극의 본질을 이해시키고 연극이 어렵지 않고 늘 우리주위에 있다는 것을 인 식해주고 알아가게 하는 것. 놀이를 통하여 연극의 본질을 몸으로 무의식적으로 느끼게 하는 것
교육내용
분야
전혜진
연극
교육소요 시간 40분
수업명
▶
놀이와 상상체험
수업주제
▶
상상력 깨우기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1
주요 교육내용
▶
2~5
수업내용
교육대상 초등(전학년)
교육회차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학교 방식에 따라 학교 특징을 가장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 학 교에서 무엇을 요구 하는지 그 요구에 맞게끔 운영 계획서를 작성 하는 것 또한 예술 을 맹세합니다.
오리엔테이션
- 외부자극을 통하여 감각기관의 예민함을 깨닫고 이를 바탕으로 상상하여 표현할 수 있다.
강사가 가지는 덕목 중에 하나라고 배웠습니다. 그러므로 학교가 원하는 교육을 할 것
- 마음열기, 서로알아가기. 이름표와 야옹놀이를 통하여 서로 탐색하며 알아가기, 연극에 대하여 알기
-아이들이 수업을 통해 연극의 본질을 알 수 있다. -연극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아이들이 수업을 통해 연극의 본질을 알 수 있다. -연극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사진
- 서로사귀기-놀며 친해지기 당신을 이웃을,,, 이라는 놀이와 고양이외쥐라는 놀이 를 통하여 사귀기 -상상과 변형 1,2- 레모네이드게임, 쥐가 나타났다 게임과 심장전달하기 놀이를 통 하여 서로를 더 이해하기.
6~10
-돌림노래와 선물상자 놀이, 인물 만들기 놀이로 음악 활동과 감각, 다른 사람을 이
11~20
해하며 소리와 장소, 몸짓과 소리 언어를 통하여 연극의 요소를 이해 할 수 있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연극 만들기
후반기
-동화를 분석하여 스스로 이야기를 덧 붙여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고 그것을 공연
21~25
쥐가 나타났다 놀이를 통하여 옆 사람의 행동에 즉각적으로 반응 하는 감각을 키우고 상상력을 통하여 스스로 표현할 수 있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편한 복장
미디어아트
화 시킬 수 있다. (발표화)
미술
ㅇ 발표 및 마무리 발표를 하며 서로의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며 다음 수업에 대한 브리핑을 한 후 마무리 한다.
음악
중반기
디자인
-연극의 요소 이해-연극의 표현 수단과 갈등 인물 이해하기
ㅇ 마음열기- (쥐가 나타났다) 1. 학생들은 동그랗게 선다. 교사 :지금 이 교실에 쥐가 한 마리 나타났습니다. 이 쥐가 여러분의 발밑으로 지나갑니다. 발에 닿으면 큰일이 나기 때문에 쥐가 지나가면 놀라며 폴짝 뛰는 것 으로 하겠습니다. 옆 사람이 폴짝 뛰면 쥐가 자기발밑으로 온 것입니다. 자! 선생님부터 해보겠습니다. 2. 교사가 놀라서 폴짝 뛰면, 시계방향의 옆 학생이 놀라서 뛰고 이것이 점점 옆 으로 전달된다. 교사: 도미노처럼 옆 사람의 행동에 즉각적으로 반응 하세요. 뛰지 마세요. 옆 사람의 발을 보세요! 3. 쥐가 한 바퀴 돌아 교사에게 다다르면 교사가 다시 한 번 반응 하여 두 바퀴째 이어간다. 4. 학생들이 어느 정도 숙달되면 적당한 간격을 두고 두, 세 마리의 쥐를 교사가 보낸다. 조금 더 생각하기 교사가 쥐를 두 마리 보냈을 때 진행하다 보면 한 마리의 쥐가 사라진 것을 느낄 수 있다. 쥐가 두 마리 있었는데 한 마리는 어디 갔을까요? 본 활동-진흙과 토기장이 1. 6명씩 모둠을 나눈다. 2. 각 모둠에서 두 명을 뽑아서 조각의 재료인 진흙이 되도록 한다. 3. 다른 모둠 원 들은 진흙을 마음대로 움직여서 만들고 싶은 조각을 만든다. 4.이때 진흙이 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움직여 주는 대로 정지해 있어야 한다. 5. 모둠별로 완성된 조각을 발표한다.
공예
전반기 -감각 일깨우기- 대장놀이, 흡혈귀놀이 몸짓 도미노 로 몸을 푼다. -거울놀이 몸으로 장소 표현하기 정지동작 만들기 놀이로 본 활동을 하며 스스로 연극을 느끼기.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공간활용 계획 인식시켜준다.
문학
놀이를 할 때 마다 이곳을 아이들이 자유롭게 상상할 수 있도록 하나의 다른 공간을 만들어주던가 여러 공간으로 나누어 여긴 교실이아니라 편한 공간으로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정준희
세부전공
A- 0 0 53
지원분야(세부 분야)
연극영화/뮤지컬 연극(연기, 뮤지컬)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학교 전학년/8~13세
교육가능 기간
▶
2013년 5월~2014년 2월
교육 방향
▶
자신의 상상력을 밖으로 표현하기
주요 교육내용
▶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창의적체험활동, 선택교과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
사진
2013.04.25.~2013.10.25. - ㈜WSM/넌센스2/AN아트홀/엠네지아 역 다수 CM송 제작 참여 (아이템풀, 자생한방병원, 천호식품, 알파문고, 시즌아이PC방 등)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다양한 상상력을 자극할 만한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을 남들 앞에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그것들을 토대로 극으로 넘어와 학교 내 왕따에 관한 뮤지컬 을 각색하여 공연하였습니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공예
예술활동 경력 1차적으로 비행기 안의 승객 혹은 기장, 스튜어디스가 되어 자유롭게 상황을 표현해보는 것을 실시하고, 이후 당시 아시아나 추락 사고가 있었는데, 그 신문기사를 스크랩하여 보여주며 다시 한 번 비행기 안의 상황을 표 ▶
현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처음에는 정적이었던 상황극이 동적으로 변화하며, 아이들도 진짜 그 비행기에 있는 듯한 상황을 보여주며,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주변에 있던 물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음악
2013.05.01.~2014.02.28. 고림초등학교 뮤지컬 연기강사 (10개월, 120시수) 1차 상황에서는 정적일 것이라 예상하였고, 기사를 접한 이후의 상황에서는 아이들의 표현이 소리를 지르는 정도, 휘청거리는 정도 일 것이라 생각하였던 것과는 달리, 아이들은 기장으로써 사고를 막기 위해 최선을 다 ▶
하고, 스튜어디스로써 승객을 안정시키려 노력하고, 두려움에 떨며 우는 아이, 탈출을 위해 주변 사물을 적극 활용하는 아이 등 생각지 못했던 무궁무진한 표현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후 아이들의 표현력을 더 이끌어 내 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교육방향을 공연이 들어가기 전 자기 표현하기에서 상상력을 자극해 표현하기로 바꾸었습니다. 지나고나니 상상력을 자극했던 수업들이 오히려 공연에 더 도움이 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3. 1회차 교육계획안
▶
- 나를 제대로 표현하기
기획의도
▶
- 자신이 하고 싶었던 이야기, 말로는 잘 표현 할 수 없었던 이야기 등을 연극이나 자기표현하 기 수업을 통해 밖으로 표현하고, 그것을 표현함으로써 마음에 쌓였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신을 잘 표현해내는 아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
교육대상
정준희
연극
2시간
초등 (전학년)
수업명
▶
넌 누구니?!
수업주제
▶
서로 친해지기
교육목표
▶
- 연극은 공동체 작업이다. 공동체간의 친밀감을 형성하고, 자신 내면의 표현력을 밖으로 끌어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 아이들의 연령대 등 간략한 정보 확인 - 교육할 환경 확인 후 필요한 사항을 시설 담당자와 확인 - 아이들과 놀이를 통해 서로 인사하고 칭찬하기 시간을 통해 서로 친해지는 시간 갖기
1
- 자기를 밖으로 표현하기 - 놀이를 통해 표현력 키우기
2~9
- 아이들이 서로 알고 친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 밖으로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한다. - 서로 칭찬해주는 시간
- 다양한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것에 익숙해지게 한다.
- 서로의 이름으로 게임하기 - 상황을 설정해보기, 직업을 표현해보기
사진
전반기
교육소요 시간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분야
영화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수업내용
- (상상력 자극을 통해 얻은 주제로) 짧은 상황극 만들어 보기
1. “친해지고 싶습니다.”놀이 : 원형으로 둘러앉은 상태에서 학생 한명이 자신을 소개하고, 다른 학생들은 원 안의 학생을 칭찬해주기
10~27
공예
- 상상력 자극하기
중반기
2. 후라이팬 놀이(게임) : 서로의 이름을 익히는 시간 3. 앉아있는 친구 일으켜 세우기 : 상대방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설정해본다. 디자인
4. 직업을 표현하고 맞추기(묵음) : 조별로 직업 하나를 묵음으로 표현하고 다른 학생들은 맞추는 게임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극으로 표현하기 - 극을 통해 새로운 인물이 되어 표현하기
28~35
1. 남 앞에서 자신 있게 자기 의견 말하기 2. 서로 친해지기 (마음을 여는 첫걸음) 3. 표현력 이끌어 내기
음악
후반기
준비물 및 필요물품
미술
아이들의 상황극 시 필요할 수 있는 몇 개의 의자나 책상
공간활용 계획 1,2의 내용은 교실 전체에 둘러 앉아 진행하고, 미디어아트
3,4의 내용은 조별로 교실 여기저기 흩어져 연습 후 앞에서 발표한다.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지성훈
세부전공
A- 0 6 31
지원분야(세부 분야)
연극학(연기) 연극(연기)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기본교과 과
▶
14세-19세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12월
교육 방향
▶
통합적 교육으로 연극을 통해 학교폭력을 예방
▶
평범한 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학교폭력 현장을 목격한다. 누군가는 방관하고 누 군가는 권력을 가지고 있는 일진에게 잘 보이려고 노력하며, 누군가는 불의에 맞서다 왕따를 당하기도 한다. 결국 왕따를 당하는 학생이 자해하는 상황까지 발생한다. 이러한 줄거리의 연극을 본 학생들이 제 3자의 입장에서 상황을 판단해 본 후, 개선 하기 위해 연극의 한 장면 속으로 들어와 시행착오를 직접 경험해봄으로서 현명한 대처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토요-돌봄동아리,자유학기제,창의적체험활동, 선택교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주요 교육내용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2013~15년 극단 작은신화 「바카이」「1914눈물」「갈매기 떼들」「사랑의 편지」「어느 계단 이야기」「공간 : 수를 놓다」「미친 키스」외 다수 출연
2) 교육 성과 및 효과 공예
예술활동 경력
-연극을 보고 난 후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을 종이에 먼저 기술했을 때,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답변들이 주를 이뤘다. ▶
-연극에 직접 참여했을 때 본인이 기술한 내용대로 상황이 쉽게 바뀌지 않았다는 걸 경험하면 당황해한다. 그 것을 본 다른 학생이 직접 참여하여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본다.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현실 가능한 좋은 대안을 깊게 고민하게 되며, 예방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음악
2015년 2월 문화예술교육 더 베프에서 TIE교육연극워크숍 수료
2015년 두 달간 신방학 초등학교에서 보조강사로 연극동아리 수업 -연극을 통해 교육함으로서 학생들의 집중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었고, 직접 경험해봄으로서 교육효 2015년 교육연극극단 해 입단
과를 높일 수 있었다. ▶ -한번의 교육을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해 학생들이 직접 연극을 만드는 과정부터 참여하여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었다.
「양들의 침묵, the next」로 전국 13개 중학교를 순회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 연극을 공동창작하면서 협동심을 키우고 다양한 시각을 기를 수 있다.
기획의도
▶
- 국어교과에 문학작품을 토대로 공동 창작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상상력을 높일 수 있다. 한 편의 연극을 학생들과 함께 공동창작하면서 서로의 생각차이를 이해하고 협동심을 기르고자 한다.
구성원들의 의견을 하나로 종합한 방향성
준비물 및 필요물품
연극
연간 교육주제
필기구, 칠판, 움직이기 편한 옷차림, 실내화
지도단계
영화
공간활용 계획 수업 내용
사진
▶ 발문: 협동을 했을 때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맞아요. 한 사람의 힘으로 하기 어려운 일을 여럿이 했을 땐 해낼 수 있어요. 그렇다면 한 사람보다 우리 모두가 경험과 상상력을 발휘한다면 아주 좋은 창작극이 만들어 질 수 있겠죠?
구성원들끼리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책상을 두지 않는 넓은 공간을 활용할 계획 만화애니
ㅇ 이야기 해보기에 앞서 선택 된 한 사람의 작품을 공연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토대로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바꿔보자고 설명한다. (길동이가 쓴 작품 잘 읽어봤나요? 어땠나요? 맞아요. 처음 써봤지만 참 잘 쓴 작품이었어요. 하지만 길동이의 이 야기였어요. 이 작품을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바꿀 것입니다.) 협동을 통해 생기는 장점들을 질문을 통해 이야기 나눈다.
ㅇ 선택 된 작품의 내용과 비슷한 경험을 이야기 해보기 길동이가 쓴 작품의 내용과 비슷한 경험을 묻는다. 사소한 것이라도 자신에게 인상 깊은 일이였다면 작품의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발문: 자 오늘 우리가 앞으로 만들 공동창작극의 주제가 정해졌어요. 주제문으로 짧게 압축되었지만 이 안에 는 우리 모두의 경험과 상상력이 녹아있어요. 연극에서는 경험과 상상력만 있으면 어떤 이야기도 할 수 있어요. 오늘 어땠나요? 다음시간에는 오늘 정해진 주제로 어떤 장면을 구성해볼지 얘기 나눠볼게요. 또 봐요!
미디어아트
ㅇ 의견 나누기
미술
▶발문: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소재들이 굉장히 많이 나왔어요. 하나 물어볼게요. 좋은 재료라고해서 무조건 다 섞으면 맛잇는 음식이 만들어질까요? 그래요. 잘 어울리는 재료 들끼리 섞어야 음식이 맛있어지듯이 우리도 잘 어울리는 소재들을 골라내볼게요. 학교, 노스페이스, 질투 등등이 골라졌네요. 이 소재들로 어떤 이야기가 만들어질 수 있을지 상상해볼까요?
음악
▶ 발문: 길동이의 작품을 보고 떠오르는 단어가 무엇이 있나요? 가족, 행복. 혹시 단어 말고 떠오르는 색깔이 있 나요? 장군이는 왜 빨강색이 떠올랐나요? 좋아요. 맞고 틀린 것은 없어요. 그럼 가족, 행복, 빨강색에서 떠오르는 건 무엇이 ㅇ 나열된 것들 중 몇 가지를 골라 우리들의 공동창작극 주제를 정해보기 나열 된 소재들 중에 비슷한 느낌이 나는 건 어떤것들인지 이야기 나눈다. 최종적으로 골라낸 소재로 어떤 주제 를 정하면 좋을지 이야기 나눈다.
디자인
도입
ㅇ 작품을 보고 난 후 떠오르는 이미지, 단어, 색깔을 마인드맵형식으로 나열해보기 길동이의 작품을 읽고 나서 머리속에 그려지는 이미지나 색깔, 혹은 단어 등을 마인드맵 형식(그림ⁱ첨부)으로 적어본다. 작품뿐만 아니라 마인드맵 가지에 달려있는 단어를 통해 떠오르는 것도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도록 유 도한다.
공예
▶ 발문: 길동이의 작품은 부모님이 용돈을 적게 줘서 대들었던 내용이었어요. 혹시 비슷한 경험이 있는 친구가 있나요? 네. 장군이도 용돈을 적게 받아서 집안일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해요. 다들 길동이와 장군이의 심정을 공감하나요? 좋아요. 이처럼 사소한 경험이라도 자신에게 인상 깊었다면 충분 히 작품의 소재가 될 수 있어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대상
1교시 (45분)
중등, 고등 (전학년)
최다연
세부전공
A - 0183
정준희
연극
▶
3. 우리들의 공동창작극, 뼈대 만들기 3-2 우리의 이야기로 비틀어보기
수업주제
▶
선택 된 작품에 구성원들의 상상력과 경험을 더해 우리들만의 이야기로 바꿔보자
▶
- 작품을 창작하기까지의 과정을 알 수 있다. - 상대의 의견을 존중하고 협동했을 때 좋은 결과물이 나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인의 이야기를 짜임새 있는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교육목표
▶
주요 교육내용
▶
- 협동 작업을 통해 교우관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초등 창의적체험활동, 선택교과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1동
만화애니
- 자신감 향상으로 학업능률이 오를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연극(연극놀이)
영화
수업명
지원분야(세부 분야)
연극전공(무대미술복수전공)
연극
교육소요 시간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창작을 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와 상상력을 키울 수 있다. - 지난 일을 되돌아보고 미래에 일어날 상황에 대한 좋은 대안을 고민해볼 수 있다. - 선택된 작품의 내용과 비슷한 경험을 이야기 해보기 2009.2~현재
- 나열된 것들 중 몇 가지를 골라 우리들의 공동창작극 주제를 정해보기
<거기누구요>,<호랑이이야기>,<불량약품 주식회사>,<팥죽할멈과 호랑이>,
극단사다리
사진
- 작품을 보고 난 후 떠오르는 이미지, 단어, 색깔 등을 마인드맵 형식으로 나열해보 기
<내 친구 플라스틱>,<길어져라 넓어져라> (책 읽는 서울, 책 예술과 만나다 선정작),<마고할미>,
수업내용
▶ 발문: 협동을 했을 때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맞아요. 한 사람의 힘으로 하기 어려운 일을 여럿이 했을 땐 해낼 수 있어요. 그렇다면 한 사람보다 우리 모두가 경험과 상상력을 발휘한다면 아주 좋은 창작극이 만들어 질 수 있겠죠?
자격증 및 연수
예술활동 경력
▶ 발문: 길동이의 작품은 부모님이 용돈을 적게 줘서 대들었던 내용이었어요. 혹시 비슷한 경험이 있는 친구가 있나요? 네. 장군이도 용돈을 적게 받아서 집안일 아르바이트를 한 다고 해요. 다들 길동이와 장군이의 심정을 공감하나요? 좋아요. 이처럼 사소한 경험이라도 자신에게 인상 깊었다면 충분히 작품의 소재가 될 수 있어요. - 작품을 보고 난 후 떠오르는 이미지, 단어, 색깔을 마인드맵형식으로 나열해보기 길동이의 작품을 읽고 나서 머리속에 그려지는 이미지나 색깔, 혹은 단어 등을 마인드맵 형식(그림첨부)으로 적어본다. 작품뿐만 아니라 마인드맵 가지에 달려있는 단어를 통해 떠 오르는 것도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6 서울시 환경체험프로그램 선정.
2015.11
미추홀학교 (장애인 연극놀이)
2015.7~2015.11
국립한글박물관 우리가족고전읽기 ( 가족프로그램)
2014. 3/25~7/1
2013.3~2013/11 서울문화재단(어린이 창의예술교육 TA) (서울권 초등학교 10개교)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09/3~현재
준비물 및 필요물품 필기구, 칠판, 움직이기 편한 옷차림, 실내화
노원 건강 증진 센터 (치매 노인미술치료)
문학
구성원들끼리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책상을 두지 않는 넓은 공간을 활용할 계획
2012/1~2013/1
극단 사다리 연극 강사 활동 <구로재단 구로 북카페>엄마와 함께하는 책놀이 <구로문화재단>구로예술대학 보조강사 <서강도서관우리신화> 세계신화 이야기 <금천구 사회복지관미술특강>연극소품만들기 <책 읽는 서울>서울내 도서관책놀이 <동대문다문화지원센터>삼신할미연극만들기 <강서도서관>가족과함께하는책놀이 <서울문화재단> 대학로(보조)연극투어 <서이천 초등학교>교사대상연극놀이워크샵 <동대문다문화지원센터>혹부리영감연극만들기 <동대문정보화도서관>우리들이만드는동화속 작은 극장
미디어아트
구성원들의 의견을 하나로 종합한 방향성
공간활용 계획
서울시청 서울문화 연극교실 (시연 및 연기 지도)
미술
▶발문: 자 오늘 우리가 앞으로 만들 공동창작극의 주제가 정해졌어요. 주제문으로 짧게 압축되었지만 이 안에는 우리 모두의 경험과 상상력이 녹아있어요. 연극에서는 경험과 상상력만 있으면 어떤 이야기도 할 수 있어요. 오늘 어땠나요? 다음시간에는 오늘 정해진 주제로 어떤 장면을 구성해볼지 얘기 나눠볼게요. 또 봐요!
2016 (진행 중)
음악
- 의견 나누기
AIE창의예술입문 수료
2014.8~2016.12 (확정)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저학년, 고학년대상 연극놀이 및 연극 만들기)
▶ 발문: 길동이의 작품을 보고 떠오르는 단어가 무엇이 있나요? 가족, 행복. 혹시 단어 말고 떠오르는 색깔이 있나요? 장군이는 왜 빨강색이 떠올랐나요? 좋아요. 맞고 틀린 것은 없 어요. 그럼 가족, 행복, 빨강색에서 떠오르는 건 무엇이 있나요 - 나열된 것들 중 몇 가지를 골라 우리들의 공동창작극 주제를 정해보기 나열 된 소재들 중에 비슷한 느낌이 나는 건 어떤것들인지 이야기 나눈다. 최종적으로 골라낸 소재로 어떤 주제를 정하면 좋을지 이야기 나눈다. ▶발문: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소재들이 굉장히 많이 나왔어요. 하나 물어볼게요. 좋은 재료라고해서 무조건 다 섞으면 맛잇는 음식이 만들어질까요? 그래요. 잘 어울리는 재료들끼 리 섞어야 음식이 맛있어지듯이 우리도 잘 어울리는 소재들을 골라내볼게요. 학교, 노스페이스, 질투 등등이 골라졌네요. 이 소재들로 어떤 이야기가 만들어질 수 있을지 상 상해볼까요?
미술치료사1급
디자인
- 선택 된 작품의 내용과 비슷한 경험을 이야기 해보기 길동이가 쓴 작품의 내용과 비슷한 경험을 묻는다. 사소한 것이라도 자신에게 인상 깊은 일이였다면 작품의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공예
- 이야기 해보기에 앞서 선택 된 한 사람의 작품을 공연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토대로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바꿔보자고 설명한다. (길동이가 쓴 작품 잘 읽어봤나요? 어땠나요? 맞아요. 처음 써봤지만 참 잘 쓴 작품이었어요. 하지만 길동이의 이야기였어요. 이 작품을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바꿀 것입니다.) 협동을 통해 생기는 장점들을 질문을 통해 이야기 나눈다.
<새를 사랑한 산>,<이중섭그림속이야기>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초등학교 1~2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12월
2) 교육 성과 및 효과
연극적 상상의 세계여행 속에 만난 위인들을 통해 세계의 문화 및 그들의 삶을 배우고 가치 있는 삶에 대한 발견과 성찰을 함으로써 나의 미래, 나의 꿈에 대해 생각한다.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교육회차
- 공간에 대한 적절성 여부 (교실 크기 공간) - 기자재 보유 여부 (컴퓨터,TV, OHP) - 체육관 또는 암실 사용여부 (그림자수업) - 요일 및 시간 수강인원확인.
우리주변에는 지구마을 훌륭한 사람들이 곳곳에 숨어, 우리에게 종종 모습을 드러낸다. 밤에는 에 디슨이, 하늘에는 라이트형제가, 지갑 속엔 세종대왕이, 할머니는 모차르트가 되고, 학교화단엔 로 댕이 있다. 이렇게 우리주변에 살고 있는 위인을 따라 지구마을을 탐험해보고 각 나라의 문화 및 위인들에 대해 배워 나가보자.
1
“북적북적 놀이주머니 속 세계여행” (신체) 활동-소근육대근육을 이용한 몸놀이 1차시: (중국)―첫 만남 첫인사 첫 만남의 어색함을 놀이로 친해져본다 가위바위보의 어원을 알아보고, 다양한 손 모양을 찾아본다. 손 유희극 만들고 발표. 2차시: (몽골) -칭기즈 칸 우리주변에서 볼 수 있는 몽골이 우리에게 준 선물과 우리가 그들에게 준 선물을 찾아보고, 전통혼 례체험을 경험해본다.
2~4
3차시: (프랑스)―로댕 학교화단에 앉아있는 저 아저씨는 누구일까? 조각가 조각상이 되어, 명작의 숨겨진 이야기를 알아보고, 우리들만의 시민 조각상을 만들어본다.
디자인
▶
▶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4차시: (영국)―찰리채플린 우리는 평소에 말없이 몸으로 말하기도 한다. 우리도 모르게 우리는 이미 마임을 하고 있다. 다양한 감정과 상황을 몸으로 표현해보며, 우리들만의 무언극을 만들어본다.
전반기
“알록달록 이야기주머니 속 세계여행 ” (감각) 활동-건축, 미술, 오브제, 음악
음악
<2013년창의예술프로그램> 대상:초등학교1~3학년방과후교실/서울권초등학교10개교 기존의연극만들기수업은다수의1학년아이들이진행하기에는한글에대한이해도및읽기에어려움이많아스 스로가거부하는경우를 볼수있다.특히나돌봄교실의아이들경우는학습능력이낮은경우가많아수업에대한 흥미,집중도와참여도가낮은편이라,우선수업에대한관심을갖게해야했다.이러한아이들에게는수업은놀이 라는생각을갖게끔연극놀이로전체를진행하고,매차시익숙한놀이및새로운놀이로수업을열었다. -놀이에열중하며,노는것이욕구충족과탐구활동을채우고,실제가아닌가상적상황에대한이입도수월하였다. -약속(싸움,괴롭힘,욕)을3번지키지못한아이는그수업의관찰자가되어친구들을관찰하고수업이끝난후소감 을말하게하였는데,수업에배제됐다는것이벌칙으로느껴졌는지,자신의행동에대한잘못을알게되고,인정하며 개선되어갔다. -수업이흥미로웠는지는관찰자의입장의아이가갑자기수업에개입하며친구들을알려주기도하고,도와주는 모습도보였다. -다양한매체를활용한결과물에애착을보였다.교실에전시해놓은아이들의작품을부모님들이보시곤만족도 가높아,교실안에서복도로작품전시공간을넓히기도하였고,연극수업이있는날엔기존학원을빼고,수업에참 여하게하는경우도있었다. -놀이및다양한매체활용으로아이들에게쉽게접근함으로써‘나’에대해집중할수있는수업이되었다
기획의도
사진
▶
<2013년 창의예술 프로그램 1학기 中> 주제: 너는 특별하단다. 목표: 다양한 시각으로 나를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내 안의 반짝이는 별을 발견한다. -다양한 놀이를 통한 약속배우기 및 몸과 마음열기 -감각열기: 소리, 맛, 색, 느낌, 냄새를 경험하고, 기억하며 다양한 느낌의 표현을 유도 하고 감각을 새롭게 깨운다. -신체 깨우기: 움직임을 통하여 신체 감각을 깨우고 다양한 신체 표현방법을 찾는다. -상상력 키우기: 타 매체( 미술, 음악, 춤)를 활용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접근으로, 상상하고 변형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 -마음열기: 타인과의 어울림을 통해 서로의 소중함을 알게 한다.
주머니 속 세계여행 (세계의 위인 따라 나의 꿈을 찾아가는 여행)
만화애니
주요 교육내용
▶
▶
영화
교육 방향
연극은 기존의 학업과 비교하면 골머리를 써가며, 힘들게 외우고 풀어야 하는 어려운 과목은 아니다. 하지만 힘든 싸움이 있다. 연극이 힘든 이유는 보이는 무언가를 표현하는. 과정 중에서 이기심이 드러나기도 하고 누구의 도움을 요청할일도 생기고, 타인에게 미안한 행동을 할 때도 있고, 자존심 상하는 일도 생기기면서 내 안의 나와 자꾸 부딪 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이 부딪힘을 힘들어한다. 혼자만의 시간, 귀한 아이들로 자라 는 게 익숙해져 타인에 대한 입장이 많이 고려되지 않았을 때 그러한 문제들이 보인다. 아이들의 진취적인 생각, 표현은 살려주면서,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잘못된 도덕적 가 치관들을, 서로 불편하지 않도록 더불어 어울릴 수 있도록 알게 하고 변화시켜 주는 것 이 연극의 가장 기본이라고 생각하며 진행한다.
연간 교육주제
연극
교육가능 교급
5차시: (인도)―석가모니 생활 속 불교 용어를 찾아보고, 본뜻이 무엇이며, 어떠한 가르침이 있는지 알아본 후 그 가르침을 가지고 우리들만의 법령을 창제하여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어본다. 6차시: (이라크)―니므롯왕 신의 노여움을 달래는 지구라트를 건설하여, 당시의 화려한 문명을 되살려본다.
8차시: (티베트)―달라이 라마 지구 곳곳의 전쟁, 기아, 기상이변 등의 영상을 보여준다. 마음을 모아 오체투지를 하고 만다라 미술로 세계 평화를 염원한다. ‘나’가 아닌 ‘우리’를 생각하도록 한다. 9차시: (가나)―조지릴랑가 릴랑가 작품에 등장하는 쉐타니를 관찰하고, 일상에서의 우리의 모습 을 탐색하여 놀이 안에서 장소 별, 우리의 일상적인 움직임을 춤으로 만들어 본다.
문학
10차시: (가나2) ‘동화처럼사는인생’ 작품을 감상하며, 그림 속 의미를 알아보고, 쉐타니의 외곽선을 새롭게 조합 하여 자신의 행복한 순간을 담아 쉐타니 캐릭터를 완성한다.
5~10 미디어아트
▶
7차시: (오스트리아)―슈베르트/모차르트 이번 시간에는 아기가 되어 어릴 때 들었던 자장가를 들으며, 편안한 마음과 몸을 느껴보고 우 리들의 자장가를 만들어본다.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내 수업의 아이들은 소란스러운 편이다.(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지켜봐준다). 누구는 신경 쓰이지 않냐고 하지만, 초반에는 당연히 거슬려서, 앉히고 얼음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했다. 하지 만 정숙한 분위기만으로는 학습자 모두의 개성을 존중하고, 주체적으로 학습에 참여시키는 것 이 가능하지 않았다. 누구는 부끄러워서 누구는 주목받고 싶어서, 누구는 더 잘하려고 수업에 더 잘 참여하는 방법을 찾는 거라고 생각한다. 점점 진행되면 소란스러운 분위기와 정숙한 분위기 가 서로 혼조하고, 즐거운 진행을 위해 아이들 스스로가 자제 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물론 그러한 과정 중에 피해를 보는 아이들이 생기기도 하지만, 같은 조가 되기도 하고, 짝꿍이 되면서, 연극의 가장 큰 힘인 동료로써 이해하고, 이끌면서 서로가 좋은 모습으로 변화되도록 도 와주며 이해해주었다. 마음껏 표현해라! 그리고 마음을 열고 나누자!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11~14
중반기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최다연
연극
90분
초등(저학년)
▶
세종대왕
수업주제
▶
잃어버린 보물을 찾아서.
▶
연극적 상황 및 연극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면서 창의적 사고의 폭을 넓혀 나가고, 흥미를 갖고 자신 의 경험과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그러한 과정은 타인과 함께 조율하면서 의사소통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되고, 이를 통해 살맛나는 삶을 찾게 하고 하는 게 나의 교육 철학이자 목표이다. 이러한 연극으로 고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위인 및 문화에 대해 접근하여, 흥미로운 교육시간이 되고 자 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세상을 바로 잡는 충효예는 무엇이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충효예를 찾아 몸으로 만들어 즉석사진기로 삼강행실도 책자를 만든다. - 세종대왕님의 지폐 속 보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보물찾기를 통해 보물을 찾아드린다. - 공란의 만원 속 지폐 안에 나의 얼굴과 이름, 미래의 나의 업적을 적어 나만의 지를 만든다.
“알쏭달쏭 상상주머니 속 세계여행” (상상) 활동-재창조
주요 교육내용
▶
- 서로 칭찬해주는 시간 - 서로의 이름으로 게임하기 - 상황을 설정해보기, 직업을 표현해보기
사진
15~17
만화애니
수업명
교육목표
14차시 :(한국)―세종대왕 -어지러워진 세상으로 인해 지폐속 보물이 자취를 감추었다. 충효예를 찾아 삼강행실도를 만들 어 세상의 질서를 바로잡고, 대왕님의 보물을 찾아 상금을 받도록 하자.
15차시:(미국)―에디슨 밤마다 반짝이는 저 빛은 어디에서 왔을까? 신비한 빛이야기를 들어보고, 우리들의 빛이야기를 만들어본다. 에디슨의 그림자이야기
분야
영화
13차시: (스페인)―엘 카노 세계여행2 엘 카노의 항해 덕에 사람들이 길을 헤매지 않고 세계여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매일 다니던 우리 동네를 곰곰이 생각해보고, 다른 동네에 살고 있는 친구에게 우리 동네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우 리 동네 지도를 만들어 선물해본다.
강사명
연극
11차시: (이스라엘)―솔로몬 "선생님의 장갑이 사라졌어요." 지혜의 왕 솔로몬이 되어, 잃어버린 장갑 찾으러 간다. 각 단계별 미션이 있으며 미션을 수행 할 때마다 하나씩 힌트나 나오는데……. 12차시: (포르투갈)―마젤란 세계여행1 마젤란의 선원이 되어 배를 만들고, 태평양을 건너 필리핀 세부 섬에 도착한다. 하지만 선원들은 원주민들에게 붙잡히고 만다. 말이 통하지 않는 원주민들의 소원을 들어주고, 무사히 탈출할 수 있을까?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신통 방통 꾀주머니 속 세계여행” (지혜) 활동-문제해결, 기억, 구성
16차시:(미국) 라이트형제 아카루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라이트 형제가 되어 아카루스의 비행을 도와주자.
수업내용 ▣ 수업열기
“세계로! 우주로! 꿈 타고 떠나는 나의 여행 ”
【활동1】
19차시: -과거의 나, 현재의 나 만나기 그동안의 세계여행과, 만났던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 나는 미래에 무엇을 하고 싶은지 생각해본다. 100년 뒤를 상상하며 나의 위인전을 만들어본다.
- 오늘의 차시 예고하기 : 힌트상자를 열어서 어떤 위인일지 예측해보기.
18~20
- 힌트상자: 익선관, 만원지폐, ㄱ ㄴ e - 오늘의 위인 ‘세종대왕’ 지갑에서 꺼내서 소개: 지폐 인형으로 만나보기. ▣ 활동 전개 【활동1】
음악
20회차: 꿈3- 나의 꿈은 별이 되어. 꿈을 잃지 않고, 노력한다면 그 마음은 하늘의 별자리가 되어, 언제나 빛나게 될 거야. 별자리 만들기 및 마무리
- 지난 차시 떠올려보기
디자인
18차시: 꿈 목록 만들기 나의 과거에 행복했던 순간과 슬펐던 순간 등을 기억하고 표현한다. 소소한 오늘의 꿈, 내일의꿈, 일주일 뒤의 꿈을 생각하고, 꿈 목록 표를 만들어본다.
후반기
공예
17차시:(미국) 닐암스트롱 오염된 지구로 인해 또 다른 지구를 찾아야 되는 지구인들. 제2의 닐암스트롱을 찾는 공고를 본 후 우주인 테스트를 거친 후 다양한 별을 탐사한다.
조선시대로의 여행 -훈장님과의 만남을 통해, 한글이 어떻게 왜 생기게 되었는지 알게 된다. (서당에서의 천자문 지도 상황극)
세상의 기본 충효예를 찾아라!
미술
【활동2】 - 글을 읽기 못하는 백성을 위해 몸그림으로 알려준다. - 삼강행실도 일화 소개를 지폐 인형극으로 소개하고 모둠별로 삼강행실도의 장면을 조각상으로 표현. (역할 및 대사 만들기) - 즉석사진기로 촬영하여 작은 책자를 완성한다.
미디어아트
- 우리가 생각하는 삼강행실도 적어내고, 뽑기를 하여 서로의 삼강행실도 조각상으로 표현한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이름
활동3】 지폐 속 보물찾기 -보물에 대한 설명을 듣고, 교실 구석구석 숨어있는 보물 이미지를 찾는다. -어떤 물건인지 상상하며 이야기를 나눠본다.
최민준
세부전공
A -0176
지원분야(세부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세종대왕님의 상금 하사. - 대왕님이 우리친구들에 대한 고마움의 답례로 ‘공란으로 만들어진 만원지폐“를 하사하셨다.
연극(연기,연출)
- 다양한 한글 디자인을 살펴보고, 지폐 안에 내 이름을 디자인하여 그려 넣는다.
지원교육대상
- 업적과 사진을 꼴라주하여 지폐에 부쳐 디자인을 완성한다.
거주지
-미래의 인물이 되어 나의 업적을 발표해본다.
초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
영화
교과연계
▣ 학습 내용 정리하기
연극
【활동4】
연극영화과(연기)/ 연극학과(연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 1동
-한글이 없었다면 어땠을지 이야기 나누기. 만화애니
▣ 차시 예고 다음에 찾을 위인/ 나라는 어디일지 초성으로 힌트.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2013. 10.29 – 2014.12.31. 뮤지컬 판타스틱/ ㈜ 해라
사진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예술활동 경력
공예
-삼강행실도 책자 조별로 1권 -개별 만원지폐 디자인 (코팅 예정) -세종대왕님의 업적 및 삼강행실도에 대한 이해.
2014. 09 - 2015.01
연극평론 2014 겨울호 편집스텝 / 한국연극평론가협회
디자인
지폐인형, PPt -각 지폐속 인물-훈민정음, 혼천의 ,천상열차분야지도, 천문대. -삼강행실도(공책), 즉석카메라. 필름. 만원A4사이즈 인원별 출력.
공간활용 계획
음악
(교실) 벽 면 : 대형 지도가 붙여 있고, 이곳에 아이들이 매주 나라를 여행한 후 즉석사진으로 자취를 남겨 놓는다. 교실문 :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공간이다. 아이들과 과거 속으로 또 현재로 돌아갈 때 또는 새로운 인물은 만날 때 교실문은 넘나들며 공 간에 대한 약속을 한다. 교실중앙: 책상과 의사는 사전에 양옆 또는 뒤로 밀어 두어 다함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넓은 공간을 확보한다. 중간에 한 번씩 책상에 앉 칠판&컴퓨터 활용: 자료 및 정보전달을 위하여 사용예정이다.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4.10- 2015.03 연극놀이 보조강사(중고생 장애인)/ 꿈다락 토요 문화학교
미술
아 간단한 필기나, 만들기를 위하여 앉을 수 있도록 배치해준다.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중고생 장애인 친구들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10월~2015년 3월
교육 방향
▶
다양한 참여를 통해 개인적 성장 및 개발 그리고 창의력을 키운다.
▶
- 오감을 통해 관찰하고 몸으로 표현하기
기획의도
▶
- 사물을 세밀하게 관찰함으로써 ‘오감’을 자극시키고 몸을 통해 표현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작업을 진행하고자 함. 신체적 활동과 더불어 무언극을 통한 소통을 체험하게 됨
주요 교육내용
▶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 수업 전 준비로 학생들과 친밀감 향상을 위해 기본적 성향을 파악 - 효과적이고 알찬 수업진행을 위해 인원 수 및 시간을 파악 - 학생들을 알아가기, ‘연극’에 대해 부담 없이 다가가기 위한 수업진행 (일상생활 에서의 소재 채택)
1
만화애니
연극 놀이를 통해서 참여자의 성장과 정신건강을 돕는다. 극적현실 속에서 참여자의 경험을 재현하고 변형함으로써 일상현실에서 그의 생각, 감정, 행동상의 특정한 변화 를 이끌어 낸다. 일반인과 다르기에 이러한 행동을 반복함으로써 정서적 기억을 이끌 어내 창의성을 키운다.
교육내용
영화
기간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 일상생활에서 ‘오감’의 소재를 채택 후 설명 - 과일을 통해 ‘오감’ 알아가기
2~5
- 홈쇼핑 광고 만들기 (조별활동 - ‘오감’을 활용하여 조원들 각각이 판매자와 팔고
2) 교육 성과 및 효과
전반기
자 하는 사물이 되어본다)
다양한 표현능력을 갖고 있는 친구들이 많아 수업진행이 원활했다. 한번은 목소리를 크게 하는 친구가 좋다고
6~10
공예
- 관찰하기 - 친구를 관찰하고 친구의 모습 따라해 보기 - 교실에 있는 물건의 입장에서 이야기 해보기 - 영상을 시청하며 영상 속 배우의 목소리가 되어보기 (성우 되어보기)
몸과 마음이 불편한 친구들이 많았지만, 신체활동을 많이 하는 새로운 수업을 접하면서도 부담을 느끼지 않고,
사진
- 음악을 통해 ‘오감’ 알아가기
하였더니 너무 소리를 지르는 친구들이 있어, 소리를 지르는 것과 큰 목소리는 다르다는 것을 이야기 하고 수 업을 진행하였다. ▶
-- 응용해서 표현하기
동물을 표현하는 수업이 있었는데 동물 표현 시에 여자친구가 호랑이, 사자등이 걸렸을 때, 강아지, 토끼같은 귀여운 동물이 하고 싶다고 바꿔달라고 하여, 동물은 모두 똑같은 것임을 이야기하고, 여자호랑이나 여자사자 는 예쁘게 표현할 수 있다고 설명한 후 수업을 진행하였다. 색깔, 모양, 행동 등에 민감한 친구들이 있어 활동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교실 안에 있는 동그라미 물건 찾아보기(다른 모양 등)
중반기
- 몸으로 말해요 (다양한 감정 및 동물 표현 맞추기 놀이)
진행 전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며 부담 없는 소재 덕분에 아이들이 즐거워
- 병원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이나 인물을 만들어 모둠별로 촌극을 만들어
하며 성장했다.
발표하기
11~15
음악
- ‘오감’을 이용한 상황 극을 만들어 발표하기 (10차시) - ‘우리가 만드는 이야기’ (자유주제로 발표할 상황 극 주제 및 이야기 정하기 - 우
▶
리가 만드는 이야기 대본 만들기
열고 활동적인 모습을 보면서 너무나 뿌듯했다. 연극을 부담 없이 놀이형식으로 진행했기에 발표를 하고 싶어
- 대사와 어울리는 움직임을 찾고 함께 어우러지며 연기하기
하거나 자신을 표현하고 싶어 하는 친구들이 많아 원활하게 수업을 진행하였다.
- 발표하고 느낀점 말하기
16~25
몸이 불편한 친구를 도와서 활동을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다리가 불편한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를 위 해서 기다려주는 시간을 갖자고 먼저 이야기를 하는 친구가 있었다. 만약 그 친구가 아니었으면 무리해서 수 업을 진행하여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장애인 친구들뿐만 아니라 일반 아이들을 대할 때 도 미리 몸이 불편하거나 다친 친구가 있는지 파악하여 활동을 진행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후반기
미술
가장 큰 변화는 아이들의 마음이었다. 처음 만났을 때 많이 닫혀있는 다는 느낌이 강했는데 수업 후에 마음을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1교시 (40분)
교육대상
최정현
세부전공
A -0560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저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
무심코 생각할 수 있는 우리주위의 물건들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표현해 본다.
교육목표
▶
- 연극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 소재를 찾는다. - 우리가 마주하는 여러 도형을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표현력을 통해 연극적 창의성을 기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과연계 거주지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다양한 도형의 응용력과 창의력을 높인다.
만화애니
수업주제
여러 도형 표현하기
초등 영화
▶
연극(동화연극놀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연극(연극학)
연극
최민준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자발적 창작 활동을 통한 표현력과 자신감을 기를 수 있다. - 바로 눈앞에 있는 도형을 소개 및 이해한다.
배우활동 사진
- 한가지 도형을 선택해서 몸으로 표현한다. - 여러 도형을 모둠별로 표현하며 세밀한 표현력과 관찰력을 기른다.
2013년 연극 <소외> 대학로 예술극장 대극장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공예
2013년 연극 <인생> 아르코소극장
2015년 연극 <벗어난 원리들> 프랑스 초청 공연
2015년 연극 <벗어난 원리들> 대학로 예술극장 대극장
디자인
2015년 연극 <불행> 남산드라마센터 음악
도입 ① 인사하기 ② 우리주위에 있는 도형 소개 및 이해하기 전개 ① ‘동그라미’ 가 들어간 물건 찾기 ☞진행방법 1. 교실을 모둠별로 자유롭게 돌아다니면서 동그라미가 들어간 물건을 찾는다. 2. 나눠준 빙고종이에다 물건 이름을 적는다. (빙고를 통한 흥미유발) 3. 모둠별로 한명씩 발표해서 3줄 빙고를 먼저 만든 모둠을 선발한다. ② ‘네모’로 된 물건 표현하기 ☞진행방법 1. 교실안의 네모가 들어간 물건을 찾는다. 2. 한명씩 나와서 지정된 물건을 몸으로 표현하고, 다른 친구들은 맞춘다. ③ ‘동그라미’, ‘네모’로 된 물건 모둠별로 표현하기 ☞진행방법 1. 모둠별로 하나의 물건을 정한다. 2. 하나의 물건 안에서 각 학생들이 세부적인 것까지 표현한다. 3. 발표하는 모둠 외에 다른 모둠은 무슨 물건인지 맞춘다.
2013년 다큐퍼포먼스 <오래된 이별> 문화역 서울 RTO
연극보조강사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2014년 수원장애인복지관 - 성인장애인 2014년 금천장애인복지관 - 아동 2015년 수원장애인복지관 - 성인장애인 2015년 수원장애인복지관 - 성인장애인 (영화보조강사)
공간활용 계획
2015년 김포장애인복지관 - 초등 문학
교실 전체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물건을 관찰하고 찾는다.
미디어아트
종이, 펜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우리와 늘 함께 하는 여러 물건들에 어떠한 도형이 숨어있는 지 찾는 과정 안에서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며 그 물건이 되어 본다는 것은 연극적 표현의 시각으로 볼 때 전자는 관찰, 후자는 표현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다양성과 열린 사 고방식을 이끌어내 아이들이 스스로가 살아있는 유기체라는 무의식 속에 성장 및 성과에 대한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초등학교 1학년 - 2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 - 12월
교육 방향
▶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서로에 대한 이해와 배려를 배운다.
▶
-연극놀이를 통한 다양한 정서 경험
기획의도
▶
-연극놀이를 통해서 다양한 정서 경험을 하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간단한 연극을 만들어서 서로에 대한 배려와 규칙을 이해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진다.
주요 교육내용
▶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수업 공간 확인. 재료준비에 대한 이야기 -학교에서 원하는 교육이나 결과에 대한 의논 -학생들이 원하는 주제나 소재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만화애니
동화를 읽어주며 서로에 대한 생각을 나눈다. 동화에 나왔던 동물이나 물건을 직접 만들고 배역을 맡아서 즉흥적으로 연기해본다. 동화에 나왔던 말이 아니더라고 본인 이 하고 싶어 하던 말이 자연스럽게 나왔다. 소극적이거나 수줍음이 많은 아이에게는 불편하지 않도록 간단한 행동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더디지만 서로 도와주는 일이 생겼으며, 자신이 만든 가면이나 소품을 소중히 하는 일도 있었다.
교육내용
영화
기간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자기 소개하기 -풍선놀이 - 풍선배구, 풍선탁구, 릴레이 -거미줄 놀이 - 실을 이용해서 장애물을 만들어 놓고 통과 한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사진
-몸으로 만드는 조각상
전반기
-평소에 수줍음이 많고 소극적이던 한 아이는 점점 적극적으로 변해서 먼저 와서 만들고 쓰레기도 치워줬다. ▶
-바다체험 - 배를 만들어 선장이 되어보기
-상상력이 풍부한 한 아이는 대사를 주지 않아도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자연스럽게 했다.
-나만의 집 만들기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공예
-청각놀이 - 종이컵에 콩, 소리 나는 알갱이를 이용, 연주해보기 -미각놀이 - 바리스타가 되어보자. 다양한 음료를 섞어서 친구에게 주기 -야외체험 - 나뭇잎, 모래, 꽃등을 만져보고 그림재료로 사용하기 -거울놀이 - 서로 움직임을 거울 보듯이 따라해 보기 -동물흉내내기 - 동물, 사물이 되어보기
-작은 실내 운동회 - 각종 게임과 체육놀이
중반기
-그림 거꾸로 보기 - 자신이 그린 그림을 거꾸로 보면서 상상놀이 -친구 그리기 - 전지에 친구의 몸 그려 색칠하기 -패션쇼 - 보자기나 부직포를 이용해서 나만의 옷 만들어 모델이 되어보기
▶
-대상자들의 개인의 특성을 잘 파악해서 놀이나, 연극을 접목시키고 계발해야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후반기
-배역정하기. 소품 만들기. 의상의논 -즉흥적으로 연기해보기 -간단한 대사와 지시문을 만들어 다 같이 읽어보고 세부적으로 연기해보기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전래동화 혹은 이야기를 정해서 연극 만들기 -더디지만 대상자들이 스트레스 받지 않게 기다려주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음악
-뽁뽁이 놀이 - 뽁뽁이 만지고 걸어 다니며 감각체험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1시간
홍초롱
교육대상
세부전공
A -0080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저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
교육목표
▶
교과연계 거주지
몸과 마음을 여는 연극놀이로 친해지기 ㅇ 참가자들 간의 스킨십을 통한 활동으로 어색한 느낌을 없애고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 다. ㅇ 오브제를 활용하여 자신에 대해 보다 쉽게 표현할 수 있다.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연원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ㅇ 어떤 주제(날씨, 계절, 동물, 음식)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 등을 몸으로 표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현할 수 있다. ㅇ 쉽고 즐겁게 게임에 임하며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있었다. 몸짓 언어로 자신의
2013.08.26. ~ 2013.08.27 창작극 ‘스쳐간다’ 솔마루극장 조연출/박찬미 역
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는 경험을 한다.
사진
ㅇ 말이 아닌 몸으로 동물이나 장소를 표현해 보고, 감정이나 상황을 조각상으로 혼
주요 교육내용
▶
만화애니
수업주제
신체, 언어적 표현을 통한 친화활동
초등/중고등 영화
▶
연극(연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방송연기/연극학
연극
최정현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자서, 둘이서, 여럿이서 만들어 본다. ㅇ 상상할 수 있는 다양한 음향을 통해 공간을 이동해 본다. 혹은 음향을 듣고 나오 는 자연스러운 감성을 표현한다.
예술활동 경력
2014.03.13. ~ 2014.03.14 창작뮤지컬 ‘당신이 사랑하는 동안에’ 리사 역
디자인
1. 스트레칭(얼굴과 관절) 2. 공간 차지하기 3. 짝짓기 - 두세 명, 열 명, 전체로 인원을 늘려가며 짝짓기, 조각상 혹은 바위 만들고 이름 붙이기. 4. 스피드 게임(동물, 음식 이름 표현하기, 맞추기) 5. 음향을 듣고 상상의 장소로 이동하기 (상상의 공간 경험하기: 파도, 기차, 새소리 ) 6. 상상의 장소에서 할 법한 행동 찾기 7. 하얀 도화지를 찢고 접어서 자신의 인생 표현하기. 혹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 표현하기. 오늘 수업의 느낌에 대한 각자의 느낌을 이야기하고, 앞으로의 진행될 수업의 방향에 대해 자신의
공예
수업내용
견해를 나타낸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4.05.23. ~ 2014.05.23 ATEC 참가작 연극 ‘옛날 옛적에 훠이훠이’ 기획참여 음악
음향듣기(간접경험하기)가 불러오는 정서적 작용이 효과가 있는 것 같았다. 정서적 자극을 동반해서 인지적 자극이 이뤄지는 형 태의 수업이 좋은 것 같다.
2013.06.14. ~ 2013.12.27 강내지역아동센터 : 연극 + 음악 통합교육
준비물 및 필요물품 2014.04.08. ~ 2014.10.14 자람아동지역센터 : 연극 + 음악 통합교육
공간활용 계획
2015.03.01. ~ 2015.12.30 갈산고등학교 : 창의적체험활동 68시수 2015.03.01. ~ 2015.12.30 광천중학교 : 토요동아리 60 (충남청소년연극제참여)
프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준다.
2015.03.01. ~ 2015.07.20 조치원중학교 : 창의적체험활동 204시수
미디어아트
최대한 스스로 공간을 이용하도록 도와주나, 필요에 따라서 종이테이프를 이용해서 공간을 나눠준다. 조각상을 만들 때는 박물관처럼 종이테이
2014.04.28. ~ 2014.04.29 성남아동지역센터 : 음악동화 및 연극놀이
미술
단어카드, 음향을 들을 수 있는 장비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09.01. ~ 2015.12.30 홍주중학교 : 창의적체험활동 90시수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초등학교 / 8~13세
교육가능 기간
▶
2013년 6월 ~ 2014년 12월
교육 방향
▶
- 음악과 연극을 접목시켜 민족의 정신과 철학이 담긴 전래동화로 우리만의 이야기 를 만들어 음악연극이라는 새로운 예술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표현력과 창의성을 제 약하지 않는 즉흥적 창작활동을 장려
기획의도
▶
학생들과 함께 다양한 연극놀이 활동을 통해 자신감을 가지고 자존감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진행하고자 함. 다양한 공동 작업을 통해 기발한 예술적 상상력을 펼치며 연극을 만 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창의성과 협동심이 배양되도록 구성하고자 함. 그 과정 속에서 학 생들은 친근하고 즐거운 주제 속에서 놀이와 상상 활동을 통해 자신과 타인, 그리고 세상을 이 해하고 관계를 맺으면서 소통하게 된다.
기간
▶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 활동 공간 및 아이들의 성향 파악 - 시설 담당자와의 협의를 통해 연간교육 조율 - 참여자들이 원하는 교육방향성 토론 ‘우리가 만드는 이야기’라는 주제를 가지고 앞으로의 수업방향성 제시
1
만화애니
주요 교육내용
- 기존 타악 교육과 같이 북을 이용한 교육이 아닌 자연과 생활 속 도구들을 활용하 여 자연에 관심을 기울이고 자연의 소리를 직접 만들어 연주 - 다양한 전래동화를 우리만의 이야기로 재해석하여 새롭게 창작하여 인형극 또는 가면극을 통한 발표회 진행
교육내용
영화
▶
‘우리가 만든 연극’ 연극
교육가능 교급
▶
( 만남, 마음열기 ) - 안녕하세요 - 참여자들과의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으로
2~5
- 너 지금 뭐하니? - 서로 생각하는 모습들을 몸으로 이야기하고 말 또는 글이 아닌
2) 교육 성과 및 효과
전반기
사진
자신이 생각하는 친구의 소개형식으로 진행 다른 도구와 몸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
6~10
공예
( 오감 깨우기를 통한 감각훈련 ) - 시각, 청각, 미각, 촉각을 깨우는 다양한 훈련 - 자유롭게 움직이며 다양한 수업을 통해 집중력 및 관찰력을 기르고 오감을 깨우 는 감각훈련으로 수업에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센터 측에서는 참여 아이들이 서로 연령차이가 크고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혹은 할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아이들이 많다보니 진실하고 따뜻한 마음으로 아이들과 함께 해주기를 바라는 점이 무엇보다 컸으며, 처음에
( 다양한 연극놀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소통 )
는 연극이라는 장르보다는 음악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계셨지만 아이들이 연극을 너무 좋아 ▶
- ㄱ,ㄴ,ㄷ 단어와 함께하는 스토리텔링 - 여러 가지 단어들로 이야기를 만들고 이
하고 내성적이었던 친구들이 연극을 통해 친구들과의 사이도 좋아지고 자신의 의견을 이전보다 조금 더 적극
야기를 무대 위에서 연기해봄으로써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극을 체험하면서 타인
적으로 표현하려고 하는 변화된 모습에서 굉장히 뿌듯함을 보였다. - 예술 활동을 처음부터 인지시키고 반드시 참여하게 하기 보다는 스스로 찾아가며 놀이형식으로 재미로부터 접근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다보니 아이들이 거부감 없이 즐기며 마무리까지 잘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중반기
과 소통하게 된다. - 사진과 함께하는 스토리텔링 - 다양한 예술적 상상력을 펼치고 이야기를 구성해
11~20
갈 수 있다. - 우리들의 조각상 만들기 - 테마에 적합한 장소와 사람들을 즉흥적으로, 시각적으 음악
로 형상화시킬 수 있다. ( 즉흥극으로 표현하기 / 연극과 만나기 ) - 동화 속 이야기(대본, 가면 만들기) - 다양한 동화들을 읽고 이미지를 상상하여 그 림으로 표현해 보거나 등장인물에 어울리는 가면이나 인형을 만들어 즉흥극으로
- 처음에는 교육이라는 점이 목표를 두고 아이들에게 접근하다 보니 많은 오류가 있었다. 연령차이가 크다보 ▶
- 가면극이나 인형극 또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춰 연극 만들기 - 직접 극을 발표해
니 글을 못 읽는 아이들이 있어 어려움이 있었으며 뭔가 교육적 효과만 찾다보니 아이들과 거리감이 느껴졌
보기. 또는 그림자극으로도 발표가능
다. 예술이라는 것에 답이 없듯 답을 찾는 것이 아닌 음악연극을 통해 서로를 알아가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 그동안의 우리 반 이야기로 뉴스를 만들기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한층 가까워질 수 있었으며 점차 활동적으로 변해가는 아이들을 보며 나 또한 한층 더 성숙해 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21~35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표현
미술
후반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연극
40분
교육대상
황아름
세부전공
A -0447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학생 8~13세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수업주제
▶
- 동시에 흥미를 가지고 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 직접 시 속 인물이 되어 이야기를 만들어가며 창의적 사고를 계발할 수 있다.
교육목표
▶
- 동시를 통해 이미지를 만들어 다양한 예술적 상상력을 펼칠 수 있다. -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이 생각한 것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시를 통한 이미지 만들기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거주지
경기도 의정부시 장곡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여러 의미의 동작들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서로의 의견을 조율할 수 있으며 이 ▶
미지를 만들어가며 동시 속 주인공들의 입장에서 시를 이해 할 수 있다. 몸으로 표현하 는 정지화면의 연출을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말을 하는데도 자신감이 생기고 남의 말
- 물체 바꿔 표현하기 (막대를 용도를 바꿔 다르게 사용하며 상상하기) ▶
- 동시를 느낌을 살려 낭독하고 이미지를 만들어 표현해보기
공연기간
단체명
작품명
공연장소
역할/업무
2015.05.09~2015.05.09
극단 북새통
어쩌면
벙커 1
2015.08.08~2015.08.30
극단 북새통
봉장취
한양레퍼토리씨어터
2015.09.17~2015.09.26
극단 북새통
LOVE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2015.10.19~2015.10.19
극단 북새통
어쩌면
2015.10.20~2015.10.20
극단 북새통
어쩌면
배우
- 동시로 장면 만들기 - 조별 발표하기
대전산성종합복지관
마자렐로센터
무대감독
배우
배우
디자인
다양한 사물들의 용도를 바꿔 사용해보며 상상력을 기르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동시를 선정하여 팀을 나누어 교사가 동시를 읽어 주면 조별로 동시의 이미지를 한 사람씩 만들어가며 하나의 그림으로 완성해본다. 동시 한 행을 구체적인 장면으로 만들어 선택한 행 의 앞 장면을 구체적인 상황의 장면으로 구성하여 모둠별로 돌아가면서 발표해 본다. 동시의 새로운 한 행을 만들어 모둠별로 돌아가 며 다시 한 번 발표한다. 모둠별로 새롭게 만들어진 동시를 기존의 시에 덧붙여 새롭게 동시를 완성한 후 함께 읽어보며 마무리한다.
예술활동 경력
제작부 공예
수업내용
사진
을 듣는 것에 대한 인내심을 기를 수 있다.
주요 교육내용
기본교과,선택교과,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돌봄동아리
만화애니
- 학생들끼리의 감정과 느낌들의 원활한 소통을 기대 할 수 있다.
교과연계
초등 영화
▶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연극연기
연극
홍초롱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동시를 낭독하거나 그림으로 그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동시 속 사물이나 인물들이 되어 몸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동시를 이미지화 시켜 몸 그림 혹은 움직이는 사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활동내용
2015.10.05~2015.12.23
한아름유치원
동화책읽기 및 연극놀이 수업
2015.11.04~2015.12.23
리덴바움 어린이집
동화책 읽기 및 연극놀이 수업
2015.11.06~2015.12.11
영희서울형어린이집
동화책읽기 및 연극놀이 수업 미디어아트
기본적으로 연극수업은 넓은 공간일수록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지만 교실에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책상을 뒤로 밀거나 활동공간을 확보 한 후 수업을 진행한다.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학교명/기관명
미술
동시, 다양한 사물
기간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10월~12월
교육 방향
▶
동화구연 및 연극놀이
▶
단지 이야기책을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책을 읽은 후에 극화를 통해서 그 작품 안에 있는 정서적 체험, 즉 미적체험을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아이들의 언어 와 논리로 유쾌하면서 진지한 연극놀이의 형태로 두려움을 극복하거나 다양한 감정 을 이완시키는 활동을 했다. 교사가 교훈을 정리해주거나 놀이의 답을 주는 것이 아 니라 아이들 스스로가 이야기를 만들거나 의문의 답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찾아내어 다양한 연극놀이의 형태를 만들어 나갔다.
주요 교육내용
기획의도
▶
- 아이들이 그림책을 통해 다양한 감정들을 마주하고 그 감정들을 해소하거나 표현해본다. 즉 즐겁거나 무서움, 두려움 등 다양한 감정들을 이해하며 균형적인 삶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 한 그림책에 나오는 인물들을 자신과 일치시켜 다양한 연극놀이를 통해 주체적인 자아인식과 상상력, 창의력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기간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교육회차
1
만화애니
아동 / 6~7세
영화
▶
- 그림이 있는 이야기책을 통한 연극놀이
- 참여인원이 움직임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공간 사용 체크 - 오디오 사용 가능한지 확인 - 몸 열기 마음 열기/ 막대 변형을 통해 즉흥적인 움직임을 경험하게 한다. (교사가
오리엔테이션
연극
교육가능 교급
▶
먼저 다양한 동작을 시연한다.) - 몸으로 인사하기/자기소개하기/ 연극놀이 규칙 정하기
- 이야기 책 그대로 해보기 (나와 너 우리, 즉 관계에 대한 내용) - 이야기 속의 주인공이 되어 ‘만약~라면’이라는 생각으로 시작해서 몸으로 표현해
2) 교육 성과 및 효과
2~5
사진
- 이야기 흐름과 관련된 연극놀이 보거나 이야기 해본다.
전반기
- 한아름유치원 어린이들 같은 경우는 기존에 연극놀이를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던 친구들이었다. 앞으로 나와 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거나 몸으로 표현하는 것을 부끄러워하던 아이들이 수업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자신감
6~10
을 찾으며 자신을 표현하는 일에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다.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공예
- 이야기책 그대로 해보기2 (다양한 사건의 이야기 혹은 오감을 자극하는 이야기 에 관한 내용) - 이야기 흐름과 관련된 연극놀이 - 이야기와 함께 하는 참여 연극의 형식 안에서 역할 놀이를 해보고 극 속의 다양 한 감정들을 경험해 본다.
▶ - 한아름유치원 교사들 역시 연극놀이 형태의 수업을 가까이에서 본적이 없었던 것 같다. 수업이 진행될수록
- 줄거리만 가지고 다 같이 연극 만들기
경계의 분위기에서 연극놀이 수업을 기다리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중반기
- 이야기와 관련된 연극놀이 - 이야기 중간에 빈 부분을 찾거나 이야기 속의 선택의 순간, 결말을 선정하여 아
11~20
이들의 반응에 따라 바꾸거나 이야기의 결말 등을 다른 방향으로 진행해 본다. 음악
- 이야기의 주제 혹은 상황만을 가지고 연극 만들기
▶
것을 하나라도 더 주려고 노력하며 욕심을 부리지만 아이들은 마음을 여는 만큼 받아들인다. 이번 교육을 통
- 이야기 몇 가지의 장면만을 보여주거나 두 가지 이상의 이야기장면을 섞어서 보 여주고 이야기 만들어 보기
21~35
- 내가 만든 이야기 연극으로 만들어 보기
해서는 아이들은 기다려 주는 만큼 마음을 연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절실히 알게 되었다. - 배움은 내가 아이들에게 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나도 아이들에게 받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않는다. 생각했던 것보다 더 재미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언제나 완벽한 수업을 짜고 내가 가진
후반기
미술
- 기존에 수업계획서를 작성할 때 머릿속에 그려지는 수업이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언제나 그것처럼 되지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황아름
연극
50분
초등 (전학년)
- 아이들이 게임을 통해 동물 역할로 변해 가는 과정에서 아이들 스스로가 역할 화 되어서 이미지를 형성화 할 것이다. - 아이들은 어렵게만 생각했던 연극놀이의 선입견을 깨고 놀이 그대로로 받아들일 준비가 된다. - 다양한 형태의 소통을 알아갈 것이다.
연극
강사명
준비물 및 필요물품 몸으로 신나게 함께 놀아요!
수업주제
▶
연극놀이를 몸으로 함께 놀며 친숙해 지며 마음을 연다.
▶
- 연극놀이를 통해서 교사와 아이들, 또 아이들 서로간의 신체적으로 정서적으로 함께 교 류하고 서로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준비 활동을 갖는다. - 연극놀이 안에서 교사와 아이들이 소통하는 방법, 친구들끼리의 다양한 의사표현 및 소 통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교육목표
- 아이들에게 연극놀이의 대한 선입견을 없애고 자기표현을 하는 데 있어서 강요하는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다양한 음악
공간활용 계획 움직이는데 위험한 물건들이 없는 빈 공간에서 진행한다. 인원수에 따라 공간을 설정할 수 있지만 최대한 아이들이 자유롭게 뛰어다닐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만화애니
▶
영화
수업명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놀이를 통해 즐길 수 있도록 한다. - 다양한 형태의 기질과 성격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이 서로를 이해하며 소통하는 방법 을 배운다. - 연극놀이란? 무엇인가 몸으로 만나고 자기소개
▶
사진
주요 교육내용
- 다양한 놀이를 통해 연극놀이를 이해한다. - 자기표현의 대한 여러 가지 소통을 배운다.
공예
수업명
미술 미디어아트
정리 (10분)
음악
전개 (30분)
풍선껌 놀이 - 우리의 몸이 풍선껌이라고 상상하고 큰 풍선을 만들었다가 ‘펑’ 하고 터지면 각자 여러 장소로 흩어진다. 다시 모여 풍선껌이 되고, 풍선껌을 만들고, ‘펑’ 터지는 것을 반복한다. 자신의 이름 몸으로 표현하기 - 원으로 서서 자신의 이름을 한 글자, 한 글자 몸으로 표현하며 외쳐본다. 이 때 모두가 그 친구의 이름과 동작을 따 라하며 이름을 익힌다. 무궁화 꽃이 ~가 되었습니다. - 처음에는 원래 게임대로 진행하며 놀이의 규칙과 약속을 이해하고 멈춤(얼음)의 연습한다. 게임이 어느 정도 진행 되면 ‘무궁화 꽃이 ~가 된다.’에 역할을 부여하여 얼음이 되어본다. 예를 들어 “무궁화 꽃이 토끼가 된다!” 라고 하면 아 이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토끼의 형상으로 얼음을 한다.
디자인
도입 (10분)
막대변형을 활용한 즉흥쇼 - 교사가 신문지 막대를 이용하여 다양한 변형을 보여준다. 몸으로 인사하기 - 다 같이 뛰어다니면서 자신의 신체일부를 부딪히며 인사한다. 자기 소개하기 - ‘자신의 이름은?’, ‘오늘 아침에 일어나 제일 먼저 한일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색깔은?’ 등 간단한 질문에 대답하 면서 자기 소개한다. 연극놀이 규칙 정하기 - 다른 사람이 말할 때 잘 들어주기, 친구를 아프게 하지 않기, 신나고 재미있게 놀기
- 이야기 나누기 - 오늘 활동에 대한 느낀 점과 앞으로 기대하는 점을 나누기 문학
국악
기본정보 무용
이름
곽경임
세부전공
A - 0637
지원분야(세부 분야)
영화영상 영화(영화연출)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조마루로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영화
영화
교과연계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예술활동 경력 공예 미디어아트
2015.03.26~2015.12.17 강서뇌성마비복지관 사회문화예술교육 영화 보조강사
미술
2015.03.11~2015.12.08 성동장애인종합복지관 사회문화예술교육 영화 보조강사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4.07.23~2014.08.19 서울시립구로청소년수련관 구로 청소년 문화예술 창작공간 그린나래 영상미디어체험교실 강사
디자인
2014.05.02~2014.12.05 서울특별시중구장애인복지관 사회문화예술교육 영화 보조강사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
고등학생 / 17세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7월~8월
교육 방향
▶
학생들이 기존 영화를 모방하고 패러디해보는 과정 속에서 나도 영화감독처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기획의도
문학작품을 활용한 방송 콘텐츠 제작, "여기는 OOO방송국"
▶
아이들이 쉽게 접하고 재밌어 하는 방송을 익숙한 문학작품(동화)을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 로 제작해 봄으로써 문학작품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고 영상제작에 대한 흥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나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도구로서 영상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모방하거나 패러디 할 영화를 선정하여 영화 속 한 씬을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로 만들어보고 이를 토대로 직접 촬영하여 편집해 봄으로써 영화제작의 전반적인 과정 을 이해하고 영화문법 및 촬영, 편집 방법을 익힘으로써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어 상 영할 수 있다.
교육회차
- 기관 담당자에게 수업할 아동들의 인적사항 및 인지해야할 부분들에 대해 전달 받고 담당자와 사전방문 (3월)
수업내용및방식을공유한다. 만화애니
주요 교육내용
교육내용
영화
기간
연극
교육가능 교급
▶
- 수업용촬영장비및장소를확인한다. - 간단한 자기소개 및 연간 교육의 주제, 세부 진행 내용 등을 공유하며 이야기 나눈다. 오리엔테이션
- 동화<피터팬>을 바탕으로 어떤 컨테츠 영상을 만들 수 있을지 이야기 나눈다. - 영화, 영상에 대해 아이들이 알고 있는 것과 앞으로 수업을 통해 알고 싶은 것들에 대해 이
1
야기 나눈다. 사진
< 피터팬의 그림자, 누가 가져갔나? > - 빛의 예술로서의 영상을 이해하고 연관된 간단한 게임을 통하여 아이들과 친밀감을 가질
2) 교육 성과 및 효과
수 있다.
2
-그림자극 ‘피터팬과 그림자도둑’ - 그림자도둑잡기 게임
3~4
<떠나자, 네버랜드로! > -특수효과의 하나인 크로마키(ChromaKey)와 픽실레이션(Pixilation), 와이어 액션을 이해하고 영상으로 만들어볼 수 있다.피터팬과 아이들이 네버랜드로 날아갔듯, ‘우리도 날 수 있을까?’, ‘어떻게 날 수 있을까?’등을 이야기해본다.크로마키 효과와 와이어 액션, 픽실레이션 등을 적 용하여 하늘을 나는 영상을 만들어 본다.
5~6
- 스토리에서 캐릭터와 배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각화해봄으로써 프로덕션 디자인을 할 수 있다.
음악
< 진짜 네버랜드! >
디자인
▶
전반기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처음에는 아이들이 영화제작과정이나 이론들이 낯설어 영화를 복잡하고 어렵게만 느끼는 듯 했다. 하지만 촬영단계에서부터는 역할을 나눠 직접 연기도 해보고 촬영기재도 다뤄봄으로써 점 차 영화제작과정을 흥미로워했으며 그만큼 더 적극적으로 제작수업에 임하였다. 자신들이 직접 촬영하여 편집한 것을 함께 보면서 나도 영화를 만들 수 있음에 무척 신기해하고 뿌듯해했으며 다음에 도전할 작품 선정에 좀 더 적극적이어 졌다 . - 매 주 주제에 맞춰 자유롭게 만들어오는 짧은 개인영상과제를 좋아했다. 처음에는 교사가 정해 준 주제에 맞춰 만들어왔지만 후엔 아이들이 직접 주제를 선정해보는 적극성을 보이기도 했다.
< 요정을 믿니? > - 영상의 시각적 최소 단위로서 Frame을 이해하고 나아가 2D에서 3D입체로의 영상변화를 이해할 수 있다.카메라를 이용하여 서로의 얼굴을 찍어본다.요정사진에 내 얼굴을 합성하여 나만의 3D 입체사진을 만들어 보고 (Make it 3D 앱 활용), 3D 안경도 만들어 본다.합성된 요정 사진으로 각자의 이름표를 만들어 본다
7~9
- 네버랜드 속 인물들을 상상해 보고 시각적인 다양한 방법으로 인물들을 표현해 본다. (그림, 콜라주, 음식,..) - 네버랜드는 어떤 곳일까를 상상해보고 시각적인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 본다.
중반기
<내가바로후크!> - 캐스팅방법중하나인오디션을이해하고캐스팅할수있다.또한카메라앞에서의자기표현을 통하여영상제작도구인카메라와슬레이트에익숙해지고서로를알아가는기회를가질수있다.
▶
10~13
-모두가오디션참가자이자제작자의기회를갖고배역오디션프로그램을만들어본다. -서로의의견을조율하여네버랜드속인물들을캐스팅해본다.
14~17
문학
<해적들의파티그리고,요정들의파티> - 프로덕션디자인단계에서구상한것을토대로배역에맞는소품과분장도구로분장을해볼수있다. -Shot의개념과종류를알수있다. -의상과분장을통하여해적과요정으로변신해본다. -해적들과요정들이먹는음식은어떤것일까생각해보고기발한한두가지음식을선정하여만 들어본다.그리고그조리과정을요리프로그램으로만들어본다.
미디어아트
- 교사로서 학생들과의 충분한 소통, 친밀감을 이끌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수업에 접목시켜 좀 더 학생들이 놀이하듯 수업을 즐기고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판을 학생들에게 만들 어줘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짧은 시간 내에 영화제작의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하고 영화제작에 대한 흥미를 이끄는 데에는 좋은 수업이었으나 개개인의 기호를 반영하여 충분히 그들의 창작욕구를 해소시켜 주지 못함이 아쉽다.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3. 1회차 교육계획안
-카메라무빙의종류와슬로우모션,패스트모션의개념을알고영상으로만들수있다. -영화나드라마속다양한결투장면,스포츠중계프로그램을보고피터팬과후크선장의결투를재미있게중계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곽경임
영화
2시간
초등 3학년 이상
연극
<피터와후크,최후의결투!> -‘대체피터와후크는왜싸우는걸까?’,‘무엇을위해싸우는걸까?’이야기해본다.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8~21
할수있는구성을생각해본다. -구성안을바탕으로스포츠중계프로그램을만들어본다.
- 게임의 룰을 만드는 과정 속에서 시나리오와 플롯의 개념을 이해하고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다. 중반기
떠나자, 보물을 찾아!
수업주제
▶
예능프로그램(리얼 버라이어티) 구성안(시나리오) 제작
▶
- 보물을 숨기고 찾는 서바이벌 게임의 룰을 정하는 과정에서 상상력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다. - 시나리오와 플롯의 개념을 이해하고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다. - 타인의 의견을 존중할 줄 안다.
22~26 -보물찾기 게임의 룰을 만들어보고 게임에 필요한 것들을 직접 제작해본다. -보물은 타임캡슐로 한다. -피터팬과 후크 선장의 대결구도를 가지고 보물을 찾기 위해 펼치는 모험을 리얼 버라이어티 형식의 예 능프로그램으로 만들어본다.
교육목표
- 새롭게 무언가를 만들어가는 것에 대한 흥미와 그것을 실현하는 것에 대한 기대감을
< 내가 어른이 되면.. > - 주어진 소재를 가지고 시나리오를 창작해 보고 영상화해볼 수 있다.
가지고 아이들이 수업을 즐길 수 있다. 27~30
▶
- 아이들이 재미있어하는 게임의 룰을 만드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고 이야기를 짜는 것이 하나의 놀이처럼 재미있는 것이라고 받아들여질 수 있다. -게임의 규칙을 정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가 가능하며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는 법
-타임캡슐을 소재로 초단편 드라마를 만들어본다.
을 배울 수 있다.
31~34
-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
- 리얼 버라이어티란 무엇인가 - 스토리와 갈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게임의 규칙을 만들어낼 수 있다.
-지금껏 만들어본 영상을 토대로 TV 편성표를 만들어본다. -방송국 이름을 정한다. -방송국 개국을 긴급속보로 뉴스를 만들어본다. -발표회 포스터를 만들어본다.
수업내용
디자인
< 일 년을 마무리하며……. > -영화수업을 통해 느낀 점과 기대를 이야기해볼 수 있다. -발표회를 통해 지금껏 만든 영상물을 상영한다.
도입
- ‘리얼 버라이어티’ 란 무엇인지 알아본다. -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게임의 규칙, 스토리 구성을 알아보고 스토리에서 갈등이 미치는 영향 (역할)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 예시<런닝맨> 中
미디어아트
- 워크시트를 작성하면서 결정된 보물찾기 게임의 규칙을 인지한다. - 게임에 필요한 준비물을 생각해 본다. (다음 시간에 직접 제작) - 시나리오란 무엇인지, 재미있는 스토리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함께 이야기해본다.
미술
정리
(ex) - “보물을 숨기려는 자, 보물을 찾으려는 자, 그들의 숨 막히는 두뇌게임이 시작된다!” - 보물의 위치는 정해져 있으며 보물지도가 존재한다. - 장애물 혹은 행운의 여신 같은 미션카드가 존재한다. - 시간은 제한되어 있다. 그 안에 보물을 찾아야 한다.
음악
-브레인스토밍 게임의 규칙을 만드는 데 있어 각 팀(피터팬팀 vs 해적팀)의 역할을 알고 재미있는 보물찾기를 하기 위한 규칙(갈등 을 고려한 스토리)을 만들어본다.
전개
공예
-우리가 만든 방송영상물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홍보할 수 있다.
주요 교육내용
사진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내가 어른이 되었을 때의 모습을 상상해보고 시각화해본다.
< 긴급속보, OO 방송국 개국! >
후반기
만화애니
▶
영화
< 떠나자, 보물을 찾아! >
수업명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보물찾기 게임의 규칙이 정해져있는 워크시트
무용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기본정보 이름
한소라
세부전공
A -0404
지원분야(세부 분야)
영화 (시나리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필기도구, 커다란 전지(브레인스토밍용), 워크시트, 보물이 숨겨질 공간 지도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 / 중-고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영화
교과연계
공간활용 계획
연극
준비물 및 필요물품
영화
경기도 의왕시 내손2동
원형탁자에 둥그렇게 모여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한다. 혹은 각 팀이 대치되게끔 자리를 배치하여 앉을 수도 있다.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안양예고 문예창작과 졸업. 사진 공예
예술활동 경력
대학 시절, 연극, 단편영화, 뮤직비디오 제작.
디자인 미술
문화재단이 영화캠프 참여.
음악
장편 시나리오 완성 후에 대학 졸업.
남양주 종합영화촬영소에서 영화 제작.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연극, 미술, 음악 활동을 통해 시나리오 제작. 강서구청에서 진행하는 ‘자유학기제’ 시범교육 교사로 세 개의 학교에서 교육활동.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창의력 수업을 통해 아이들의 창작활동을 돕고 뉴스로 연계하여 영상 자료를 만들어 수업을 진행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교육가능 기간
▶
교육 방향
▶
▶
- 나의 이야기 만들기
기획의도
▶
- 창의력 수업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것을 발전시켜 이미지화 시킨다. 영화의 기 본을 알고 나의 이야기로 짧은 영상을 만들어 봄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이야기 하는 법을 형성 하여 영상에 대한 친밀감과 전문적 지식을 구축한다.
중학교 1학년 / 14세 2015년 8월~12월 다양한 영상 직업군 교육 및 창의력 향상
▶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 학교 컴퓨터와 인터넷시설 점검 및 아이들의 영상 교육 정도 확인. - 학생들 스마트폰 사용여부 확인. - 다양한 영상직업군을 학습하며 참여 동기 성립 및 UCC장르 학습.
1
만화애니
창의력수업 및 다양한 영상 직업군 교육진행을 기반으로 확장하여 스마트폰을 사용 하여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 작성 및 촬영과 편집을 학습하여 뮤직비디오, 단편 영 화, 애니메이션등의 UCC로 완성하고 활용하는 방법 학습. 촬영, 편집, 연출까지 한 조 에서 이루어져 협동과 유대감 형성.
교육내용
영화
기간
주요 교육내용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 창의력 수업(시나리오 1) 처음-중간-끝이 있는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 간단한 스토리보드 만들기(시나리오 2)
2~5
- 연기 수업
사진
나의 이야기를 그림으로 바꿀 수 있다. 간단한 연기 수업을 통해 영화 속 배우의 역할을 안다.
전반기
2) 교육 성과 및 효과 - 자발적인 참여가 아닌 타의적인 참여로 학습에 대한 관심도가 없고 의욕이 없었음.
- 단지 ‘노는 시간’으로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학생들이 게임과 발표 위주의 수업을 통 해 자발적이고 의욕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됨. ▶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6~9
- 영상의 다양한 장르 수업 - 개인이 잘할 수 있는 영상 분야에 대하여 생각하게 됨.
- 스마트폰이 아닌 캠코더로 촬영하고 컴퓨터를 사용하여 영상물을 제작하였던 학교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장르의 영상물을 학습한다.
중반기
- 시나리오 실습 주제를 선정해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대사를 만든다.
공예
- 촬영 수업 컷과 카메라 사용법을 익힌다. - 편집 수업 그림의 배치를 다르게 하는 등 편집의 개념이 무엇인지 안다. - 영화의 스텝 구성 학습 영화 현장에 대해 간접 경험한다.
10~13
- 스토리 보드 만들기 음악
선생님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배우고, 학생들처럼 스마트폰으로 촬영을
시나리오를 6컷으로 나눠 스토리보드를 작성한다.
해보는 등 높은 관심도를 보임
스마트폰 촬영 실습
- 처음에는 이야기가 있는 영상을 만드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교육을 여러 학교 에서 진행하면서 아이들이 여러 곳에서 활동할 수 있는 영상물을 만드는 것에 초점 을 맞추고 인터뷰 영상 등 다방면의 영상 장르를 교육하게 됨. ▶
- 전문적인 형태의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 작성을 목표로 하였으나 아이들과 소통을 통해 단순화되고 만들기 쉬운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를 교육하는 법을 터득하였고
스마트폰 어플을 활용하여 영상 편집
14~16
- 상영 및 소감 공유 선생님, 친구들과 영화를 상영하고 감상후기를 나눈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후반기
미술
스텝 구성을 나누고 영화를 촬영한다. - 스마트폰 편집 실습
이것을 적극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함.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한 소라
영화
90분
중등 (전학년)
수업주제
▶
창의력수업을 통해 처음-중간-끝이 있는 나의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교육목표
▶
- 다양한 방법으로 나의 이야기를 할 수 있다. - 영상을 만드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약화시키고 영상 창작물의 활용도를 높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글을 쓰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 손쉽게 영상물을 만들어 다양한 방향에 활용 할 수 있다.
주요 교육내용
▶
- 나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법 - 시나리오의 형태 파악 - 다양한 영상 직업군 학습
만화애니
사진
내가 하고 싶은 말은!
만화애니
▶
영화
수업명
연극
강사명
수업내용 공예
1. 이야기 맞추기 놀이_ 다양한 순서 배열을 통해 아이들의 창의력을 일깨움 2. 중간 이야기 만들기_ 중간 이야기를 채워 넣음으로서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 작성 디자인
3. ‘처음-중간-끝’의 이야기 만들기_ 주제에 맞는 자신의 이야기를 여섯 줄로 작성 <여름> - 6줄만들기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여름> - 6줄만들기 <‘여름’을 주제로 중학교 1학년생들이 첫 시간에 직접 작성한 6줄 나의 이야기>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필기도구 및 자신의 일기장
교실 내에서 진행,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물 상영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이름
박상우
세부전공
A-0268
지원분야(세부 분야)
애니메이션 학과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거주지
- 만화/애니메이션 즐겁게 하기
기획의도
▶
- 학생들 개개인의 관심사 및 성향을 알고 앞으로 나아가야 될 진행 방향에 따른 기본기와 이론 습 득 (예 : 만화가 - 인체드로잉 , 3D - 3D의 대한 기본이해 - 능동적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즐거움을 구체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 향상
중고등 토요·돌봄동아리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영화
교과연계
▶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연간 교육주제
만화/애니메이션 (3D, 드로잉)
경기도 시흥시 포도원로 - 학생들이 좋아하는 게임, 만화, 영화
사전방문 (3월)
- 연습장 및 도화지, 연필 구매 여부 - 3D 수업을 할 시 컴퓨터가 있는 교실 사용가능 여부 (3D 프로그램포함 3ds MAX, MAYA)
- 지금 즐겨하는 게임, 자주 보는 만화/웹툰, 좋아하는 가수,닮고 싶은 인물, 자신의 장/단점을 알아보기, 강사에게 궁금한 점
1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 OT 때 알려준 사항들 (즐겨하는 게임, 만화, 가수 관심사 등) 을 통해 자신의 관심사를 발전시켜 성공한 현대인물 들 제
2~6
7~12
공예
13~18
디자인
- 그리거나 만들고 싶은 이미지를 관심사에서 창출(예: LOL 챔피언 3D modeling 제작, EXO 팬아트)
사진
시 (예: 롤 _ 페이커, EXO팬 _ 디즈니 아티스트)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알려줌 - 첫 주에는 관심사의 이미지화를 간략하게 드로잉 및 구상 (후반기에 비교 후 스스로 발전가능성을 확인)
2013년 3D 단편애니메이션 My world 제작 / 감독
전반기
예술활동 경력
- 단편 애니메이션, 시리즈 애니메이션 중요 화수, 극장판 애니메이션 예고편, 게임 트레일러 같은 짧지만 강렬 한 영상들 위주로 영상 시청 - 만화/애니메이션 제작 Behind cut 영상 보기 - 제작이 어떤 공정으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함
2014년 피노키오 박물관_ 피노키오 애니메이션 _ 3D Modeling
- 드로잉의 중요성 강조 및 교육 - 픽사, 디즈니는 기술직을 제외, 무조건적으로 드로잉을 우선시 함 - 크로키 수업은 매일 학교 종료 or 학교 시작 후 40분동안 진행
2014년 ~ 현재 로보카 폴리 _ 3D Modeling,Shading,Rendering,Lighting,Compositing - 관심사 위주로 그룹을 분류 (예: 3D, 만화, 애니메이션) 후그룹 별로 따로 과제 진행
중반기
- 팬아트 그려보고 해당 사이트에 올려보기 (인터넷이나 SNS를 통한 자신들의 창작물 반응 확인) - 관심사는 무조건 학생들이 정함 (그 주에 좋았던 것들 혹은 과거의 좋았던 것들)
후반기
- 관심사 별로 분류한 그룹 내에서의 기획안 작성 (개인 or 그룹)(예: 만화기획 시 캐릭터,콘티,시나리오,시놉 시스,벤치마킹자료) - 기획 중간 질문이나 검토를 통해 추가하거나 발전시킬 만한 부분의 대한 평가 , 그룹 내 토론 - 기획 완료 - 첫 주 그림과 마지막 주 그림 비교
19~25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만화/애니메이션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4시간
중/고등학교 전학년
▶
만화/애니메이션 즐겁게 하기
수업주제
▶
자신의 관심사를 통하여 만화/애니메이션으로 표현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세부전공
A -0158
지원분야(세부 분야)
애니메이션 만화/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 연습을 즐겁게 하는 법을 습득
초등/중고등 기본교과 , 창의적 체험활동 , 자유학기제, 토요, 돌봄 동아리
영화
수업명
박성민
연극
박상우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경기도 의왕시 삼동 부곡시장길
- 지향한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사례 습득
- 자신의 관심사에 디테일하게 빠져들 수 있도록 유도 - 관심사를 이용하여 발전하고 성취한 인물들의 사례 제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관심사를 즐겁게 표현하려는 시도를 기름
- 관심사를 반영한 팬 아트 형식 드로잉 - 만화/애니메이션 기본 상식 이론 수업 사진
수업내용
모바일 게임회사 캐릭터 디자인 원화가 작업 활동 (1년 이상)
공예
예술활동 경력
- 학생들의 관심사에 대한 질문과 답변 - 아이돌(ex: EXO, IKON),게임(ex: LOL, Starcraft2), 애니메이션(ex: 디즈니, 픽사, 일본TV시리즈) 만화(ex: 원펀맨, 슬램덩크), 웹툰(ex: 노블레스, 마음의 소리) 디자인
- 관심사를 자신의 특기와 접목시켜서 발전하고 인정받는 인물들의 대한 사례 설명 - EXO팬이 팬 아트를 열심히 그렸는데 그 것을 계기로 디즈니 인턴 -> 입사 - 실제 애니메이션 회사에서 하는 일 파트 별 설명- 실제 웹툰작가가 하는 일과 생활 패턴 설명 - 학생들 각자의 관심사를 반영한 실제 드로잉
2014년 문화 예술 강사 만화애니메이션 완도중학교 (60시간)
- 학생들의 드로잉 실습물
2014년 방과 후 학교 강사 남평중학교 (40시간)
2015년 꿈빛 교실 강사 곡란중학교 (54시간)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연습장, 연필(4B),지우개
- 해당 없음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
만화의 이론 이해와 실습
기획의도
▶
만화에 대해 알고 만화 작업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며 직접 손으로 그리고 몸으로 움 직이는 작업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감정, 세계관을 인식하여 표출할 수 있고 수업네 활동을 통해 반 친구들과의 유대감을 높일 수 있다.
교육 방향
▶
만화, 애니메이션의 기초에서 중급까지
▶
만화, 애니메이션에 대한 관심을 끌어올리며 학생들마다 개인적이 차이를 인지하며 그림을 잘 그 리기 보다는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상상하고 있는 것을 그림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그릴 수 있 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제가 수업을 하면서 아이들이 생각보다 그림을 그린다는 것 에 부담을 많이 가지고 있었지만 수 업이 진행되면서 스스로 부담이 없어지며 그림을 그린다는 것이 즐겁고 자신의 표현하는 방식중 하나로 생각하며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교육회차
1
만화애니
2016년 3월~12월
영화
▶
연극
▶
중, 고등학교 1~3학년
교육가능 기간
주요 교육내용
연간 교육주제
- 담당선생님, 교감, 교장선생님께 인사 후 수업할 교실 및 시설확인, 학사일정 확인하며 수업 시 주의사항 문의 - 수업을 만화 혹은 애니메이션 중 어떤 것을 진행할지 문의
- 강사소개와 함께 학교에서 정한 일정과 앞으로 어떤 방식(만화, 애니메이션 중 한 가지)를 간략하게 설명
2) 교육 성과 및 효과 - 만화의 다양한 종류와 표현방법 알아보기 - 만화의 장르와 다양한 표현방법 등을 알아본다. - 말풍선을 이용한 상황표현하기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예술 강사로 다녀온 완도중의 경우 초반에는 토요동아리라 아이들의 참석률이 적었지만 입소문이 ▶
- 종이 접어 그리기 - 종이를 접어서 펼칠 때마다 이야기가 진행되는 그림을 만들어 본다.
퍼지면서 수업에 참여하는 아이들의 수가 늘었으며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그리는 것의 기쁨을 알아가며 수업시간외에도 다양한 그림을 그려 카톡으로 주고받으며 피드백을 받았으며 담당
2~4
사진
- 단원 김홍도의 그림에 자신이 상상하여 말풍선과 대사를 넣어본다.
전반기 - 캐릭터 만들기 1, 2
선생님께서도 아이들이 수업 집중도가 높아졌다며 좋아하셨습니다.
- 다양한 속성의 캐릭터를 만들어 본다. - 연상퀴즈 만들기
5~18
- 페이퍼 차일드 만들기
공예
- 단어들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퀴즈를 만들어 본다. - 자신만의 캐릭터나 좋아하는 캐릭터를 그려 입체화 시켜본다.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완도중의 경우 이러한 수업을 접하는 경우가 힘들어 아이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많은 것을 하려는 욕심 ▶
에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병행하였지만 아이들이 수업시간에 못 끝내는 경우가 많아 과제로 나가는 경우
후반기
- 캐릭터 모작하기 1, 2 - 자신이 좋아하는 그림들을 모작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모작을 해본다. - 일러스트 북 만들기 1, 2, 3 - 일러스트 북에 들어갈 그림들을 그려보며 회지를 만들어 본다. - 학기 마무리 - 그동안 했던 그림활동들을 마무리 지으며 한 학기를 마무리한다.
9~14
15~20
음악
제를 내주지 않는 대신 수업시간에 못한 것을 다음 수업시간에 미루어 완성을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디자인
중반기
- 2컷 만화 만들기, 4컷 만화 만들기 - 2컷 혹은 4컷으로 구성된 만화를 만들어본다. - 명화 패러디하기 - 다양한 명화들을 자신만의 상상으로 패러디하여 재구성 해본다. - 캐릭터 굿즈 만들기 1, 2 - 캐릭터 굿즈(버튼. 티셔츠 등)에 들어갈 그림을 그려본다. - 배경그리기 1, 2 - 투시도법을 알아보며 실습으로 자신만의 방을 꾸며본다.
가 많았습니다. 결과물은 흡족했지만 아이들의 학업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되어 2학기부터는 과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애니메이션의 이론 이해와 실습
기획의도
▶
애니메이션에 대해 알고 애니메이션 작업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며 직접 손으로 그 리고 몸으로 움직이는 작업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감정, 세계관을 인식하여 표출할 수 있고 수업네 활동을 통해 반 친구들과의 유대감을 높일 수 있다.
사전방문 (3월)
교육회차
- 담당선생님, 교감, 교장선생님께 인사 후 수업할 교실 및 시설확인, 학사일정 확인하며 수업 시 주의사항 문의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박성민
만화, 애니메이션 (만화 )
4시수
중등 (전 학년)
수업명
▶
나만의 초능력 캐릭터 만들기
수업주제
▶
나만의 초능력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수업을 만화 혹은 애니메이션 중 어떤 것을 진행할지 문의
- 강사소개와 함께 학교에서 정한 일정과 앞으로 어떤방식(만화, 애니메이션중 한가지)를 간략적으로 설명
1
2~5
- 픽실레이션 1, 2, 3 - 픽실레이션을 이해하고 모둠을 만들어서 스토리 보드를 만들고 - 친구들과 사진을 찍으며 수정, 편집하며 픽실레이션을 만들어본다. - 애니메이션 감상 1 - 중편애니메이션을 감상하며 사용된 기법과 장르를 알아본다.
6~9
- 각각의 속성 혹은 형태의 특징을 확인하며 그릴 수 있다. - 자신이 상상하고 있는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 다양한 속성의 특징과 색의 차이를 알 수 있다. - 자신만의 초능력 캐릭터 만들 수 있나? - 그 캐릭터만의 속성과 초능력을 잘 표현 하였나 ? - 자신이 만든 캐릭터를 발표하고 수정 보완점을 알아보았나? 사진
-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종류와 표현방법 알아보기 - 애니메이션의 장르와 다양한 표현방법 등을 알아본다. - 소마트로프 만들기 - 잔상효과를 이해하고 소마트로프의 애니메이션 원리를 알 수 있다. - 스토리보드 만들기 1, 2 - 애니메이션의 기초중 하나인 스토리보드를 만들 수 있다.
- 유인물의 주제로 자신의 캐릭터를 만들어 볼 수 있다.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전반기
수업내용 캐릭터들이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특징을 부각시켜서 하는지 등을 알아본다.( PPT를 이용)
공예
도입 - 좋아하는 캐릭터가 무엇인지 이야기 해보고 그중 초능력을 사용하는 캐릭터의 특징을 설명해보고 각 나라별로 어떠한 초능력
전개 – 학생들에게 유인물을 나눠준 후 유인물에서 불, 물, 바람, 땅, 빛의 속성의 특징과 상징 색들을 알아보며 각각의 형태들의 특징 을 알아보며 캐릭터를 그리기 전 간단한 게임으로 속성, 눈, 입, 몸을 선택하고 선택된 것을 기본으로 하여 자신만의 초능력 캐릭터를
9~15
만들어 본다. 하지만 본인이 원하는 특정부위들이 있다면 그것을 선택하고 자신만의 초능력 캐릭터를 만들어 본다. 정리 - 실습 후 각자 나와서 자신의 캐릭터 이름과, 속성, 특징, 능력을 설명한 후 다른 아이들 의 의견을 들어본다. 완성된 그림은 그
디자인
중반기
- 플립북 만들기 1, 2, 3 - 플립북의 원리를 이해하고 만들어 볼 수 있다. - 컷 아웃 애니메이션 만들기 1, 2, 3, - 컷 아웃을 이해하고 개인적으로 스토리보드와 파츠 등을 만들며 - 컷 아웃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본다.
대로 코팅하여 캐릭터 카드로 만든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16~20
음악
후반기
- 애니메이션 감상 2 - 장편 애니메이션을 감상하며 사용된 기법과 장르를 알아본다. - 뮤직비디오 만들기 1, 2, 3 - 모둠을 만들고 모둠별로 음악을 정한 후 가사에 알맞은 그림이나 - 소품 등을 이용하여 뮤직비디오를 만들어 본다. - 학기 마무리 및 상영회 - 그동안 만들었던 애니메이션을 다 같이 감상하며 학기를 마무리한다.
아이들에게 나눠주는 유인물 5가지의 속성과 눈, 입, 몸의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완도중학교 1학년 학생의 작품으로 옆모습에 하나의 속성이 아닌 다양한 속성을 상상하여 그려 넣었다. 완도중 3학년 학생의 작품으로 하나의 속성에서 다양한 색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유인물, PPT, 연필, 지우개, 플러스 펜, 색연필 등
기본적으로 교실에서 수업하지만 컴퓨터실에서 포토샵을 활용한다면 cg로 여러 가지를 더 추가하여 퀄리티를 더 높일 수 있도록 수업진행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은정수
세부전공
A - 0 7 46
지원분야(세부 분야)
만화(캐릭터디자인,드로잉)/기타(경영학)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
중학교 (13~15세), 고등학교 (16세~18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03월부터 상시 가능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 방향
▶
만화가의 막연한 이상이 아닌 현실에 맞는 직업 이해와 성취방안 지도
▶
직업 만화가의 이상과 현실 색상(웹툰과 출판만화의 차이)에 대한 이해 창의적인 캐릭터 개발 방법 매력적인 스토리 제작과 연출 방법 만화 제작 도구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 소개 및 사용법 만화가로 등단하기 위한 여러 가지 경로 소개
거주지
초등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파주시 천정구로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만화가에 대한 막연한 이상과 기대를 버리고, 현실에 기반한 직업으로써의 이해와 진지한 입장을 견지 (태도 변화) - 독창적인 캐릭터 개발의 흥미 유발 - 독자들의 인기를 얻는 만화들의 공통적인 흥행 요소 분석력을 습득 - 만화가로 등단하기 위한 여러 가지 경로를 접함으로써 관련 학과가 아니더라도 비전공 분야의 일반 대학 취학에 관심을 갖게 됨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만화와 관련이 없는 경영학을 전공하였음에도 경영혁신 및 홍보만화 분야에서 수년째 수주 1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현장에서의 풍부한 경험이 가장 큰 자산이었으며 다른 작가들과 비교하기 어려운 작품의 강 점을 가졌다고 자평합니다. 이러한 소중한 경험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단순한 자신감과 흥미를 넘어서, 자신 의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경로를 탐색하고 제반 실력을 갖추는데 일익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공예 디자인
- 서울특별시교육청 조직문화 혁신 포스터 제작 - 비씨카드 고객만족 혁신 포스터 연재 - 파리크라상 고객만족 혁신 포스터 및 만화 제작 - 삼성전자 혁신의식 업그레이드 포스터 연재 - 현대자동차 회의문화 및 소통 혁신 포스터 연재 - 롯데그룹 핵심가치 포스터 및 비전, 미션 만화 제작 - 보건복지부 권역심뇌혈관 질환센터 심뇌혈관 질환 홍보 만화 제작 - 한국주택금융공사 학자금 대출 홍보 만화 및 삽화 제작 -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식품의약품안전처 계도 삽화 제작
2) 교육 성과 및 효과
사진
- 공연기획사 좋은콘서트 영상팀 미술부문 담당 - 인터넷 비즈니스 아카데미 웹콘텐츠 기획팀 팀장 - 공연기획사 낙코리아 온라인 홍보팀 팀장 - 디자인스튜디오 아이엘디자인 미술팀 팀장 역임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주요 교육내용
영화
교과연계
연극
만화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음악
- 인터넷 비즈니스 아카데미 웹콘텐츠 개발 강의 - 서울시내 주요 중학교 일일 강사 초빙, 강의 경력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만화를 통한 소통과 참여의 즐거움
기획의도
▶
직업 만화가의 이상과 현실 속에 막연한 기대가 아닌 정확한 정보를 통해 꿈을 구체화하며 창의적 인 캐릭터 개발과 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스토리 제작 및 흥미를 유발하는 연출 방법을 익혀 나갑 니다.
사전방문 (3월)
교육회차
노트북과 연결하여 프레젠테이션이 가능하길 바라며 참고 교재를 배포할 수 있는 복사기가 마련되어 있길 희망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은정수
만화
2시간
중학교, 고등학교 (전학년)
수업명
▶
선호하는 캐릭터와 만화(작품)를 얘기해보자!
수업주제
▶
학생들의 작품 성향 및 만화가에 대한 이상과 기대를 파악하는 시간나만의 초능력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합니다.
학생들과 대화를 통해 만화가에 대한 직업적 기대와 그리고 싶은 작품, 좋아하는 만화의 종류 등을 편히 나눌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1
2~4
- 창의적인 캐릭터 개발 방법 (손쉬운 접근, 다양한 견본 확인 등) - 캐릭터에 생명력을 부여하는 사연 제작 (드라마, 영화 연출론) - 캐릭터를 비롯한 작품의 저작권법 개념과 이해
5~7
상과 기대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 창의적인 캐릭터 개발과 매력적인 스토리 작성의 초석을 다지는 시간 - 만화가에 대한 이상과 기대를 파악하여 향후 수업의 난이도를 결정 - 만화는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한 최적의 수단 중 하나임을 이해한다. - 좋아하는 캐릭터와 작품을 다른 친구들과 공유함으로써 타인의 생각을 존중하고 왜 그 캐릭터가 혹은 작품이 매력이 있는지 흥행 요소를 살펴본다. 사진
- 직업 만화가의 이상과 현실 - 웹툰(화면 출력)과 출판만화(종이 인쇄)의 차이 (색상, 공정 등) - 자신만의 포트폴리오 만들기 (웹상에서의 작품 홍보)
첫 시간인 만큼 학생들이 선호하는 캐릭터와 작품을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만화가에 대한 이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전반기
수업내용 공예
첫 시간인 만큼 강사 소개를 통해 만화 비관련 전공자도 만화가가 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만화는 음악, 영화, 소설과 더불어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한 의사교환의 한 수단임을 이해한다.
- 만화 제작 도구의 선택과 사용법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 자기PR시대, 포트폴리오의 중요성과 과제 공유 - 등단을 위한 여러 가지 경로와 방법, 당부
11~13
참석한 친구들 간에 타인의 생각을 존중하고 공감(설득력)을 얻는 방법을 맛보기로 익힌다. 이러한 과정들은 학생들의 준비도와 수준을 판단하여 향후 수업의 난이도를 결정한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후반기
8~10
디자인
중반기
이를 위해 각자 좋아하는 캐릭터와 작품이 무엇인지 말해보고 왜 매력을 느끼는지 공유한다.
- 인기가 많은 만화들의 공통적인 흥행 요소 분석 - 스토리로 승부하기 (다양한 경험, 독자와의 소통 등) - 자신만의 캐릭터와 독창적 스토리를 결합해보기
만화는 단순히 자기만족을 위한 창작물이 아닌 자신과 타인 간의 소통과 공감을 이끄는 의사교환의 수단임을 깨닫는다. 이러한 수단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의사전달만 가능하다면 만화는 잘 그린 그림만이 좋다는 선입견을 깨고, 좋은 스토리를 갖는 것이 더 욱 좋은 작품이라는 의식 전환을 갖게 된다.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첫 시간은 학생들이 준비해야할 것은 없고 강사 소개 및 좋은 작품의 예시를 보여줄 수 있는 프레젠테이션이 가능한 빔프로젝터 가 필요합니다.
빔프로젝터를 통해 한 쪽 벽면에 화면을 송출할 수 있는 교실이면 됩니다.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전문선
세부전공
A - 0 146
지원분야(세부 분야)
사진학/영상디자인/예술공학/특수효과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
중·고등학교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 ~12월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 방향
▶
캐릭터의 다양한 표정과 상황 이야기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중고등 도 입 1. 복습 2. ‘표정’의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ppt) - 만화에서 표정을 표현하는 방법들에 대해 이야기하기. - 행복, 슬픔, 놀람 등의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강조하거나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얼굴 표정 따라 해보기.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주요 교육내용
전 개 1. 표정 그리기 - 캐릭터의 다양한 표정 만들어보기. - OHP자료와 실물 화상기로 여러 가지 상황에 맞는 표정 만들어 보기. - 화면에 보여 지는 표정 그리기.
영화
교과연계
연극
만화, 애니메이션
2. 상황 이야기 - 표정과 상황에 맞는 말풍선이나 만화적 요소로 재미있게 꾸미기.
사진
3. 다양한 표정의 애니메이션 감상. 정 리 - 친구들의 완성된 작품 감상하기.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학생들과 피드백 할 수 있는 수업 시간이 더 필요하다. 예를 들어 옆 짝꿍과 다양한 표정을 지으면서 서로 그려주는 시간 - 프린트 물을 단면으로 3장 나눠 줬는데 프린트물이 많아서 학생들이 혼란스러워 했다. - 단면보다는 양면으로 프린트 하는 게 좋을 것 같다. - 표정수업을 2주 동안 했는데 인물, 동물은 다양한 표정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 이였다. - 학생들이 그린 그림에서 다양한 표정의 변화가 느껴진다.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다양한 상황에 의한 표정을 이해 할 수 있다. - 실물 화상기를 이용해 수업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 완성된 작품은 공부한 내용 외에도 다양한 작품이 나올 수 있다. - 작품에 만화적 요소를 대입함으로써 만화적 상황에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음악
- 2009.03-2014.08 / 정화예술대학교 (기초디자인 및 디지털 이미지, 영상 디자인 발상, 사진감상과 촬영) - 2009.07-2014.12 / 강남대학교 (사진학, 사진영상, 디지털 사진과 그래픽) - 2012.08-2013.08 / 안산대학교 (스프레드 시트, 경영과 컴퓨터) - 2015.03-2015.12 / 한국산업기술대학 (스토리보드제작, 사진실습, 시나리오의 이해, 시뮬레이션 디자인)
2) 교육 성과 및 효과
디자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 수묵화 속의 물고기 (전시), 금천예술공장, 2014 - 한 마리. 두 마리. 세 마리 (전시), 캘리포니아 주립대, 2014 - 물고기 (전시), 안산단원 전시관, 2011 - Shit-Be Quit (전시), 2007 상외상 2, 덕원 갤러리, 2006 - the realm of dreams (전시), 남양주 아트센터 , 2005
공예
예술활동 경력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사전방문 (3월)
10시간
중. 고등(전학년)
▶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이야기 짜기 만화의 이야기 구성 방식을 이해한다. 1. 기, 승, 전, 결에 맞는 스토리를 만들 수 있다 2. 보인만의 만화책을 만든다. - 간단한 동화책 감상하기. - 글의 내용과 그림의 연관성 찾기. - 샘플 스토리 북을 한 면씩 돌아가면서 감상하기 - 재미있는 만화책 예시로 이야기 구조 익히기 - 주제, 캐릭터 설정 - 만화 그리기
수업내용 학습목표 제시 * 단원의 길잡이 학습 - 만화 창작의 첫 단추는 이야기 짜기이다. * 본문 내용 학습 - 만화는 글과 그림을 조합해 의미를 전달하는 언어 형식 중 하나이다. - 이야기는 기승전결 구도로 나뉠 수 있다. - 기승전결의 구도를 지닌 이야기는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 이야기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를 설정하고 주제를 설명할 소재를 선택한다. 이야기의 배경을
설정하고 인물을 등장시켜
사건을 전개시키면 이야기가 진행된다. - 이야기 구성을 쉽게 경험하기 위해서는 고사 성어, 속담, 시, 노래가사 등을 각색해 보는 것이 좋다. * 학생들이 작성한 만화를 가지고 기승전결에 대해 얘기한다.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종이, 만화책, 색연필, 사인펜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 12 애니메이션이란 <아니만도> 본격적인 애니메이션수업에 앞서 <아니만도>를 보고 설명을 들으며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종류 를 이해한다. --13 소마트로프 놀이와 애니메이션의 원리 익히기 1. 소마트로프를 통해 애니메이션의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한다. 2.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그림의 하나로 합쳐지는 과정을 창출하는 실습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기본 원리인 잔 상 효과를 이해한다. -- 14 절지애니메이션 1 절지 애니메이션 작업을 통해 움직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공부한다. -- 15 절지 애니메이션 2 절지 애니메이션 작업을 통해 움직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공부한다. --16 우와! 진짜 그림이 움직이네 1 플립북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해 움직임을 이해할 수 있다. 2. 한 장씩 그려진 연속동작을 통해 움직임을 이해한다.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후반기
-- 6 캐릭터 악세서리 만들기 좋아하는 캐릭터를 직접그리기고 코팅하여 악세서리 만들기 -- 7 몽타주에 대한 이해 - 유명인 몽타주 그리기 1. 게임을 통해 캐릭터의 특징을 잘 살리는 법을 습득할 수 있다. 2. 단체 놀이를 통해 교우들 간에 유대감을 높일 수 있다. 3. 단어제시만으로 캐릭터를 그려 봄으로서 상상력을 높이는 훈련을 할 수 있다. -- 8 몽타주의 이해 - 변신 캐릭터 만들기 3가지 서로 다른 캐릭터를 조합해 봄으로서 캐릭터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 9 만화와 미술 1. 미술과 만화의 다른 점을 각각 말해보고, 생활 속에서 만화의 역할을 말할 수 있다. 2. 만화가 쓰이는 범위를 살펴보고, ‘사물을 다르게 보는 눈’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 10 도트 애니메이션 - 어지러워, 글자가 막 움직여 1. 학년별 도트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해 연속적인 움직임을 이해할 수 있다. 2. 학년작업을 진행함으로 협동심을 높일 수 있다. -- 11 재미있는 지문놀이 1. 지문으로 다양한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2. 우연한 캐릭터로 재미를 더 할 수 있다.
전문선
공예
중반기
-- 1 -만화/애니메이션의 이해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기초 원리와 장르를 이해하고 우리 생활 속에서 애니메이션이 적용된 예를 찾아본다. -- 2 만화 이름표 만들기 1. 다양한 오브젝트를 사용해서 이름표 만들기. 2. 인물의 특징을 살려 캐릭터를 만들어보자. -- 3 캐릭터의 이해 1 1. 캐릭터의 이해 / 픽사 단편 <ONE MAN BAND> 2. 애니메이션 등장인물에 대한 이해 3. 캐릭터 표정 분석 -- 4 캐릭터의 이해 2 캐릭터 표정 분석 -- 5 캐릭터의 다양한 표정과 상황 이야기 1. 실물 화상기를 통해 다양한 표정을 알아본다. 2. 표정을 그리는 효과적인 방법을 학습한다. 3. 친구들의 얼굴 표정을 관찰해 보고, 그려봄으로서 다양한 표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교육대상
수업명
- 담당교사와 상의하여 연간 계획서 수정, 프로젝트, 컴퓨터, 필기도구
(가)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역사, 원리, 종류 등을 순차적 수업으로 진행함으로서 이해를 도모한다. (나) 한 시간(애니메이션의 경우 평균 두 시간) 동안 결과물이 나올 수 있는 수업 위주로 구성하여 학생들 이 부담을 갖지 않고 만화나 애니메이션을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다) 수업시간에 만화나 애니메이션의 원리를 활용한 게임 등을 통해 창작에 대한 부담을 줄인다. (라) 매 시간 학생들의 결과물을 돌려 보거나 발표하는 시간을 갖고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마) 수업 시간에 활동한 결과물을 스크랩하여 매 시간 평가를 한다. (바) 고정관념이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창의적인 사고를 유도하기 위해 토론하고, 실험을 할 수 있는 비교 적 자유로운 수업 분위기를 조성한다.
교육소요 시간
사진
전반기
교육내용
분야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
(가)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건전하게 향유 한다. (나)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창작 활동을 통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고력을 기른다. (다) 여러 가지 만화․애니메이션을 감상하며 문화의 다양성을 깨닫는다. (라) 만화 ․애니메이션 창작 활동을 통해 글이나 말 이외의 방법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하는 능 력을 기른다.
강사명
영화
기간
- 만화, 애니메이션 친해지기
연극
기획의도
▶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교실 문학
국악
기본정보 무용
이름
전민혁
세부전공
A -0823
지원분야(세부 분야)
사진학 / 영상 문화학 사진(순수사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중.고등 기본교과,선택교과,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화성시 반송동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Group Exhibitions 2015 SUMMER LOVE展,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사진
사진
영화
교과연계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예술활동 경력
2013 ‘이어지다_Tie’展, 갤러리 이앙, 서울 공예 디자인
종로 여성인력센터 강의 충북 여성경제인협회 강의 진안, 김제, 부안, 통영 농업기술센터 강의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방이복지관 강의 2013~2014 아르떼 예술강사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교육가능 기간
▶
교육 방향
▶
▶
- 새로운 바라보기 활동
기획의도
▶
- 학생들이 사진이란 매체를 통해 그 학생들 주변의 세계에 대해 일상적 시각이 아니라 새로 운 의미와 새로운 조형성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새로운 시각을 다시 ‘이미지로 쓰기’를 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유도한다.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중.고등학교 전 학년. 2016년 2월~12월 사진 활동을 통해 사물과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의 확장을 꾀한다.
▶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 학교 보유 기자재 및 학생들의 희망 수업내용 등을 확인하고 조율
- 각자의 자기소개 및 앞으로의 수업 목표와 방향을 공유
1
- 나의 뇌구조 그리기: 뇌구조 그림에 내용을 채워 넣음으로 자기 자신을 소개하고 알아가는
만화애니
중학교 동아리 아이들을 대상으로 사진의 기술적 매커니즘을 가르치기 보다는 시각 의 확정과 사유의 확장을 의도했다. 아이들이 그 스스로와 주변에 대해 좀 더 섬세하 고 민감하게 감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나아가 이러한 활동은 내적 세계관을 확 장시켜준다. 더불어 사진가의 작품 감상 및 카메라 자체의 원리 또한 수업함으로써 일상적 차원에서 더 질 좋은 사진의 제작 능력을 키워주었다.
교육내용
영화
기간
주요 교육내용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시간을 가진다. - 카메라의 기초를 익혀보기: 앞으로의 수업을 위해 카메라의 기초적 지식을 배운다. - 다른 사물들로 나를 소개하기: 자신과 닮았다고 느껴지는 사물들의 촬영을 통해 이미지로 의 미 쓰기를 연습함과 동시에 자아확인의 시간을 가진다. - 카메라의 줌 기능 활용해보기: 인간의 시각과 카메라의 시각이 가지는 차이점을 확인하고 적
2) 교육 성과 및 효과
극 활용하는 능력을 배운다.
전반기
- 사진으로 하는 사건의 재구성: 여러 장의 사진 배치를 바꿈으로서 이야기 자체를 변형하는 수업이다. 이미지로 스토리텔링을 하는 연습이다.
공예
- 사진 꼴라주 만들기: 데이비드 호크니의 작업을 패러디해 사진꼴라주로 주변의 풍경과 사물 을 재구성한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
- 카메라 없이 만드는 사진: 시아노타입을 이용해 감광만으로 사물들의 이미지를 정착시키며
- 수업제목 : 나만의 색깔을 찍어보자! - 수업 내용과 참여자 반응 : 주변의 환경과 사물들을 그대로 촬영하는 수업이 아니 라 각자 자신이 좋아하는 색깔을 고른 후 그 컬러를 주인공으로 사진을 찍는 활동을 하였다. 아이들은 사물을 그것의 대상성으로 인식하고 시각적으로 잘 나오도록 신경 써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반적인 사진 문법에서 자유롭게 주변에서 색깔 만을 축출하여 자기 자신을 색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하게 되었다. 잘 찍어야 한다는 압박에서 벗어나 훨씬 편하고 자유롭게 촬영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색을 찍은 사진 만으로도 자신을 표현 가능하다는 점에 매우 즐겁게, 그리고 집중력 있게 활동을 하 였다.
사진의 원리와 새로운 조형을 배워본다.
6~10
- 사물 속에서 사람 닮은 꼴 찾기: 사람이나 동물의 닮은 꼴을 다른 사물들에서 찾아내는 활동 을 통해 새로운 바라보기를 연습한다. - 걸리버 이야기 속 거인국과 소인국을 재현하기: 사진의 원근법 원리를 이용해 일상의 질서와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사진
2~5
규칙을 깨는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 사진으로 하는 보물찾기: 학교 곳곳의 장소와 사물 사진을 보여주고 그 동일한 장소를 사진 을 찍어 수집한다. 이런 활동을 통해 가장 가까운 주변에 대한 재인식과 사고를 돕게 된다. - 눈높이를 바꿔 고양이의 시선을 재현하기: 고양이사진가 쿠퍼의 사진을 패러디해본다. 완전
중반기
- 사진엽서와 사진우표 만들기: 그 동안의 사진들로 중간점검의 역할을 겸해 사진엽서와 우표 라는 결과물을 만든다. 새로운 동기부여가 된다.
11~20
음악
히 다른 앵글로 완전히 다른 세계를 표현하는 것을 연습한다.
- 유리에 비친 근사한 세계 촬영하기. 유리나 거울 등에 반사된 이미지를 촬영해 일상적 환상 성을 표현해본다.
▶
- 사진으로 끝말잇기: 언어로 하는 끝말잇기가 아니라, 친구의 사진을 보고 그 연상물을 다시
미술
사진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한다. 이미지로 읽고 쓰는 이미리 리터러시 능력을 키워본다. - 비오는 날의 감성을 표현해보기: 창문 등의 투명한 표면에 분무기로 물을 뿌리고 흐릿하고 왜곡된 배경의 이미지를 만든다. 일상의 환상성. - 시퀀스포토로 스토리 만들기: 듀안마이클의 시퀀스포토를 패러디해 사진과 영상의 중간 단 계를 제작해본다. 이미지를 통한 스토리텔링 능력을 키운다.
후반기
- 사진으로 학교 주변의 맛집 지도를 만들기: 학교 주변 맛집을 촬영하고 그 사진들로 지도를 만든다. 학생들이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고 이해한다. - 라이트 페인팅: 라이트 페인팅 기법을 통해 사진의 기술적 원리를 배우는 것과 함께 화려한
21~25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본 강사의 수업은 그 목적이 새로운 시각을 길러주는데 있다. 일반적이고 고정된 관념을 통한 바라보기가 아닌, 새로운 바라보기. 그리고 그것을 통한 내적 세계의 확 장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스트레칭을 통해 유연성 및 가역범위 향상이 란 신체적 훈련에 비유할 수도 있을 것이다. -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사물을 그것이 어떤 사용성질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대상 성으로 인식하고 판단한다. 하지만 그 나머지를 다 버리고 사물이 가지고 있는 조형 성 중 색깔만을 취해 촬영해 봄으로써, 사물의 성질을 새롭게 배치하고 조형요소에 대한 이해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아이들은 이 수업을 통해 좀 더 유연하고 자유로운 바라보기의 훈련이 가능했다.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두 가지 즐거움을 찾다. - 그동안의 사진들로 전시하기: 수업동안 제작한 사진들로 전시를 기획하고 진행한다. 학생들
문학
에게 그동안의 활동과 학습내용을 상기시키며 유종의 미를 거둔다.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사진
2~3시간
교육대상
한진보
세부전공
A -0736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 고학년(5~6학년) 중/고등 전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수업주제
▶
데이비드 호크니의 사진 콜라주 작업을 패러디 한다.
교육목표
▶
- 장면의 분해와 그 부분들로 다시 전체를 재구성하는 활동을 통해 분석적 시각과 총체적 시각의 능력을 동시에 연습하고 표현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사진 콜라주 만들기!
거주지
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달안로
만화애니
- 주변의 세계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좀 더 세밀하면서도 집중력 있는, 또 반대로 포괄
교과연계
초등/중고등 영화
▶
사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사진/촬영
연극
전민혁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적인 시각을 얻게 된다. - 데이비드 호크니의 작품을 감상한다.
▶
- 특정한 장면을 여러장의 사진으로 분할해 촬영한다. - 부분들을 촬영한 사진을 프린트하고 다시 붙이면서 조합하는 방식으로 콜라주를 만
사진
주요 교육내용
든다.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공예
영국의 현대미술작가인 데이비드 호크니의 작업 중 사진 콜라주 방식을 사용한 작업이 있다. 그의 작업의 특징은 각 부분을 촬 영한 사진들이 조합해 전체적인 장면과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동일한 비중으로 배치되고 표현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정 부분을 크거나 작게, 혹은 선명하거나 흐리게, 혹은 완전히 다른 방향에서의 사진을 조합함으로써 우리가 세계를 보는 실재적 인 방식을 재현했다. 이러한 작업의 의미와 방식을 학생들의 수업에서 패러디한다. 학생들은 부분들을 찍고 콜라주해 전체의 장 면을 만들지만 그 안에서 아이들이 좀더 주목한 부분이라던가,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들, 혹은 축소하고 왜곡하고자 하는 의도를
2014년 1월, 10월
통해 개념에 대한 이론적 학습과, 체험적 학습, 학습된 내용의 실제적 표현까지 상당한 양의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두산어린이아트스쿨 <찰칵, 사진탐사대> 주교사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5년 4월, 5월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년 8월, 9월
음악
사단법인 씨즈, 포스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주관
사회적기업 서비스프로그램 기억발전소 <기억의 동화책> 미술
카메라(학생 수만큼), 프린터, A4용지 한권, A0 용지(학생 수 x 1/2), 가위, 풀, 노트북(강사지참)
현대차정몽구재단, 한국메세나협회 주관
현대차토요아트드라이브 <토요일의 기억> 주교사
A1사이즈의 사진 콜라주 작품이 만들어진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두산연강재단 한국메세나협회 주관
디자인
반영할 수 있다. 최종 결과물의 크기는 A1사이즈(전지 반절)가 될 것이다. 이렇게 작품 감상과 촬영활동, 작품 제작의 과정들을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수업 진행 장소(촬영장소)는 운동장을 포함한 학교 안에서 진행 하도록 한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초등학교 고학년 / 4~6학년(11세~13세)
교육가능 기간
▶
2013년 4월~11월
교육 방향
▶
사진 기술을 습득하여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매개로써 활용하고, 이를 통해 창의력을 발산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주변 사물을 관찰하게 됨으로써 자신과 주변 환경에 애착심을 갖게 한다.
주요 교육내용
▶
[ 코끼리 다리 만지기 ] - 극도로 확대된 각 사진의 조각을 모아서 전체 큰 사진 완성하기(사진 퍼즐) - 가까이 더 가까이(망원 주밍/접사) 사진 찍기
▶
카메라를 통해 주변을 관찰하는 시각능력을 키우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매개체로써 활용 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자 함. 관찰 능력의 향상과 함께 창의력을 발산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 프로젝터(빔) 또는 TV를 통해 사진 감상이 가능한 환경인가?
사전방문 (3월)
- 실내,외 병행 수업 진행이 가능한가?
만화애니
[ 사진, 빛으로 그리는 그림 ] - 밝게 밝게 아주 밝게(+ 노출 보정) 사진 찍기 - 어둡게 어둡게 아주 어둡게(- 노출 보정) 사진 찍기 - 빛(화이트 밸런스)의 색 찾기 - 내 마음에 드는 사진 밝기 찾기(적정 노출) - 번쩍 번쩍 플래시 터트려 사진 찍기 - 라이트 페인팅
기획의도
(초등교급) 카메라야! 같이 놀자~
영화
놀이와 체험을 통한 학습.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 방식을 선발하여 수업을 진행 한다. 학습한 것을 실제로 적용하며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창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 학생 특이 사항과 관련해 특별히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안녕, 카메라?]
오리엔테이션
자기소개 및 수업진행 방향 소개. 종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고, 만들어질 이미지를 그려보며
1 사진
카메라의 원리를 이해한다.
[ 걸리버 여행기 ] - 낮게 낮게 내려가서(로우 앵글/광원 주밍) 대인국 만들기 왜곡 사진 찍기 - 높이 높이 올라가서(하이 앵글/버드 아이) 소인국 만들기 미니어처 사진 찍기
[만나서 반가워!] 디지털 카메라의 작동 방법과 간단한 촬영 방법을 습득한다.
[ 거짓말 하는 사진 ] - 사진 속의 상황 탐구하기(언제, 어디서, 누가, 왜, 어떻게, 무엇을) - 트릭 사진 만들어 보기(밤을 낮으로, 뚱뚱이를 홀쭉이로 등)
자유롭게 촬영하며 카메라와 친해지는 시간을 갖는다.
공예
[숨은 도형 찾기] 다양한 도형의 모습을 찾고 만들어 사진으로 찍어본다. 친구들이 찾은 도형과 비교해보며 관
2) 교육 성과 및 효과
찰력과 창의력을 기른다. [숨은 글자 찾기 - 2회기 진행]
2~5
사물이나 풍경 속에 숨어있는 자음과 모음을 찾아 찍어본다. 찾은 이미지들을 통해 단어를 완
▶
[숨은 얼굴 찾기] 사물에 숨겨진 다양한 얼굴을 찾아 사진으로 찍어본다. 사물을 다르게 보는 눈을 통해 관찰력 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전반기 음악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동서울지역아동센터에서 만난 아이들은 대부분 맞벌이, 한 부모 자녀 혹은 지역아동센터에 거주하 고 있는 아이들이었다. 센터에 처음 방문했을 때 다른 아이들과 달리 구석에 앉아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며 검정색 색연필로 이름표를 꾸미던 OO은 유난히 내 눈에 밟히던 아이였다. 처음 몇 주간은 퉁명스러운 얼굴로 카메라를 만지작거리며 멀찍이서 쳐다만 보던 OO. 다른 수업과는 달리 억압적 지시사항도 없고 그저 웃고 떠들면서 즐겁게 즐기면 되는 수업이라는 것을 알아챈 순간부터는 셔터 를 누르기 시작했다. 한 장 한 장의 사진을 신중하고 천천히 촬영해내는 OO의 모습이 너무나 예뻐 아이의 사진을 칭찬했고, 그날 이후로 OO은 나에게 자신의 사진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었다. “선생 님 떨어지는 벚꽃이 눈꽃 같아요.” “벽에 그려진 그림이 예뻐요.” 하루하루 지날수록 사진을 통해 소 통하는 아이의 모습을 보며 가슴 속 깊은 곳에서 왠지 모를 뭉클함이 전해졌다. 예술을 통해 소통할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나 감사했고 이렇게 작고 어린아이가 명확하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해 냈다는 사실에 예술교육을 행하는 사람으로서 참 된 보람을 느낀 수업이었다.
디자인
성해 카드를 만들어본다.
[무슨 일이 생긴 걸까요?] 사진을 보고 사진 밖의 이야기들을 생각해 본 후, 그림을 더하여 표현해 본다. 눈에 보이지 않 는 상황들을 상상해 볼 수 있다. [친구가 작아졌어요!] 원근감을 이용한 사진을 찍어본다. 손바닥에 친구를 올려보거나 손가락으로 집어 올리는 이미
[코끼리 다리 만지기 - 2회기 진행 ]
6~10
미술
지를 만들어 촬영해본다.
극도로 확대된 사진의 조각을 모아서 하나의 큰 사진을 완성한다. 주밍과 접사를 통해 하나의
▶
피사체를 조각내 촬영한 뒤 사진퍼즐을 만들어 본다. [다른 세상 만나기] 같은 장소 혹은 같은 물건을 개와 고양이 또는 독수리와 같은 시선으로 촬영해 본다. 평소에 보는 것과는 다른 모습의 세상을 만나볼 수 있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억압과 규제보다는 자율적인 활동을 지향하는 수업을 진행한 것에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좋은 평가를 내리고 싶다. 하지만 다수의 아이를 케어하는 과정에서 1~2 아이에게 쏠림현상이 있 었다는 것은 개선해야 할 문제였던 것 같다. 어떻게 하면 다수의 아이에게 공평한 분배로 관심을 줄 수 있을지는 계속해서 고민해봐야 할 문제인 듯 하다. 학교에서 입시 위주의 교육을 하던 나에게는 자율성에 의존한 즐거움을 추구하는 수업을 진행했던 경험이 꽤나 큰 변화를 가져왔고, 이를 학교 수업에서도 적용시켜 지금은 예전과는 다른 방식의 수업을 추구하고 있다. 학생들도 이전 보다는 더 적극적인 자세로 수업에 임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긍정적 효과로 나타나 매우 감사하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나도 피카소! - 2회기 진행] 피카소가 그린 인물 추상화(예. ‘파란 베레모 쓴 마리테레즈’)를 보고 친구의 얼굴을 재구성해 본다. 2인 1조 가 되어 친구의 얼굴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촬영해 본 뒤 조각들을 붙여 피카소의 그림처럼 인물을 완성해
▶
기획의도
▶
본다. [내가 만든 세상 - 2회기 진행] 제리율스만, 에릭 요한슨의 사진을 보고 자신이 만들고 싶은 세상을 머릿속에 그려본다. 필요한 이미지들을
(중,고등교급) 나를 찾아서 카메라를 통해 주변을 관찰하는 시각능력을 키우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매개체로써 활 용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자 함. 나아가 사진으로 자신을 되돌아보고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줌 으로써 스스로 자아를 찾아가는 시간을 주고자 함.
연극
연간 교육주제
촬영한 뒤 모자란 이미지는 잡지 사진을 오려 꼴라주해 나만의 세상을 완성한다. [꼭두각시 마리오네트 만들기 - 2회기 진행] 2인 1조가 되어 서로의 신체를 관절부위를 중심으로 나누어 촬영한다. 핀과 줄을 연결시켜 마리오네트를 완
11~20
성한 뒤 장식하고 싶은 소품이나 의상은 잡지 이미지를 오려 붙여 만든다. 완성된 마리오네트를 가지고 간단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영화
중반기
한 연극놀이를 해 볼 수 있다. [나의 살던 고향은 - 2회기 진행]
- 프로젝터(빔) 또는 TV를 통해 사진 감상이 가능한 환경인가?
학교를 중심으로 주변 지도를 만드는 단체 작업. 각자 구역을 나누어 주변 풍경을 촬영 한 뒤 커다란 종이 위
사전방문 (3월)
에 다 함께 지도를 완성한다.
- 실내,외 병행 수업 진행이 가능한가?
만화애니
- 학생 특이 사항과 관련해 특별히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도전 슈퍼모델 -2회기 진행]
[나는 누구일까?]
4인 1조가 되어 멋진 패션사진을 촬영해 본다. 촬영에 들어가기 전 의견을 모아 컨셉을 결정하고, 돌아가며
수업진행 방향 소개.
모델, 촬영, 반사판, 어시가 되어 각자의 역할을 소화해 본다.
오리엔테이션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 뒤(셀프 또는 서로찍어주기) 사진을 보며 서로
1
에 대한 느낌을 나눈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나와 스스로를 소개하며 자기소개의 시간을 갖는다.
[사진, 빛으로 그린 그림]
각자 좋아하는 동화책 내용을 기반으로 내용을 재구성해 나만의 스토리를 만든다. 기존 앨범에 있는 사진과
후반기
새롭게 촬영한 사진으로 동화책 속의 그림을 만들어 한권의 동화책을 완성한다.
사진
[나의 동화책 - 4회기 진행]
핀홀카메라를 만들어 보며 카메라의 원리를 이해한다. 완성된 핀홀카메라 뒷부분에 핸드폰을 장착해 디지털 이미지로
21~25
촬영해 본다.
[발표회]
공예
[뒤바뀐 낮과 밤]
지금까지 찍고 만들었던 작품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을 가지고 발표해 보는 시간.
노출에 대해 이해한 뒤 카메라 노출계를 조작해 낮과 밤을 뒤바꾸어 본다. 노출 조작을 통해 원하는 느낌의 사진을 연출할 수 있다.
2~5
[거짓말 하는 사진] 화이트밸런스를 이해한 뒤 색다른 분위기의 사진을 만들어 본다.
디자인
낮의 운동장을 새벽으로 혹은 노을이 지고 있는 것처럼 바꿀 수 있다. [슬로우 슬로우 퀵! 퀵!] 느린셔터를 이용한 패닝기법의 사진, 빠른셔터를 이용한 공중부양 사진 등을 촬영하며 셔터속 도에 대해 이해한다.
음악
전반기
[걸리버 여행기] 원근법을 이용해 걸리버가 되어보자. 학교를 먹는 모습이나 손바닥에 친구를 올려놓는 등, 다양한 모습을 연출해 촬영하며 원근법에 대해 이해한다.
[I like it!] 좋아하는 장소, 물건, 색 등을 촬영한다. 촬영한 결과물을 보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 좋아하는 느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본다.
[자유롭게 찰칵, 찰칵] 아무런 제약 없이 자유롭게 촬영하는 시간. 촬영한 결과물을 보며 왜 이것들을 촬영하게 되었고 셀렉하게 되었는지 생각해 본다. 무엇이 자신의 마음을 이끌게 되는지 알아가는 시간.
6~10 미디어아트
[새로운 친구] 2인 1조가 되어 서로를 촬영한다. 촬영한 결과물을 보며 상대방에 대해 느낀점을 나눈다. 촬영을 진행하면서 혹은 결과물을 보면서 몰랐던 상대방의 모습을 알게 된다.
미술
[또 다른 세상] 개미와 새가 되었다는 느낌으로 낮게 더 낮게, 높게 더 높게 촬영해 본다. 촬영 위치에 따른 느낌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교육내용
교육회차
무용
기간
3. 1회차 교육계획안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한진보
사진
총 4회기 진행 / 1회 40-45분 (학교 수업지침에 따름)
교육대상
[셀프 박스 - 2회기 진행]
상자의 형태는 자유롭게 구성하며 작업이 완료 된 후 작업 과정과 느낌에 대해 나누고 상자에 제목을 붙인다. 내면의 양극을 탐색할 수 있는 시간.
초등 (전학년)
연극
자기와 관련하여 무엇이든 상상하여 상자에 이미지를 표현한다.
[셀프 탐색 - 2회기 진행] ▶
나의 동화책
었는지 생각해본다. 다음으로 긍정, 부정의 이미지를 찾아 꼴라주하고, 마지막으로 한명의 인 물을 찾아 붙인 다음 그 인물을 보면서 느낀 감정, 문제, 현재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상상하여
수업주제
▶
사진을 통한 이야기 구성(스토리텔링)으로 상상력과 창의성이 돋보이는 나만의 동화책을 만들어본다.
교육목표
▶
- 스토리텔링을 통한 자기 자신의 이해 (원하는 것, 좋아하는 것, 되고 싶은 것 등) - 이미지를 통한 표현능력 향상 - 다양한 이미지 구성과 배치 능력 향상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관련된 이미지를 찾아 붙인다.
[나의 재구성 - 2회기 진행] 얼굴을 조각조각 나누어 촬영한 뒤 피카소의 인물 추상화처럼 자신의 얼굴을 재구성해 본다.
중반기
완성된 결과물을 보며 느껴지는 느낌을 공유한다.
11~22
상상력과 창의력을 더해 이야기 속 주인공이 되어 보고, 이를 눈에 보이는 실제 이미지
- 사진을 통한 스토리텔링 방법
사진
한 이미지들을 촬영한 뒤 모자란 이미지는 잡지 사진을 오려 꼴라주해 나만의 세상을 완성한다.
로 촬영해 한권의 동화책을 만들어 냄으로써 스스로의 자존감과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가 만든 세상 - 2회기 진행] 제리율스만, 에릭요한슨의 사진을 보고 자신이 만들고 싶은 세상을 머릿속에 그려본다. 필요
만화애니
수업명
잡지를 이용해 관심 가는 인물 몇 명의 사진을 찾아 붙이고 왜 이 사람들에게 관심이 가게 되
영화
셀프박스 작업과 연관해 나를 탐색하는 작업.
- 사진과 글의 구성과 배치
[나의 이야기: 과거,현재] 어릴적 사진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사진을 가지고 와 왜 이 사진이 마음에 들었는지에 대해 이
수업내용 동화책 설명(10) - 샘플북을 함께 보며 동화책 만들기에 대한 전반적 설명
[나의 이야기: 미래 - 3회기 진행]
줄거리 만드는 예시 설명(10) - 가지고온 사진을 기반으로 - 낱말 선택 용지를 기반으로 :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에 해당하는 여러 단어들을 나열해 놓은 용지. 간단한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는 예시들도 함께 첨부되어 있다. - 좋아하는 동화책을 기반으로
과거, 현재의 내 모습과 연관 지어 미래의 모습에 대해 생각해본다. 자신이 원하는 컨셉(미래의 내 모습)을 결정한 뒤 4인 1조로 촬영에 들어간다. 촬영, 모델, 반사 판, 어시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촬영을 마친 뒤(2회기 소요), 가장 마음에 드는 사진을 인화하 여 자신이 원하는 미래의 모습으로 꼴라주한다.
줄거리 만들기(20) - 가져온 사진을 보고 낱말 선택 용지를 작성하며 커다란 줄거리 완성 - 페이지 별로 나누어진 용지를 준비해 그 안에 세부 내용 적어 보기 - 내용을 만들기 어려워하는 아이 혹은 저학년에게는 기존의 동화책을 활용 - 시간이 부족한 경우 다음 시간에도 이어갈 것임을 알려 마음이 조급해지지 않게 안정시킨다.
[‘나를 찾아서’ 책 만들기 - 2회기 진행]
1회기로 진행. [발표회]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책을 발표하며 지금까지의 과정을 마무리하는 시간.
23~25
다음 시간 안내(5) - 내용에 들어갈 기존의 사진을 준비해오기 - 사진이 없을 경우 학교에서 직접 촬영 가능 -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 잡지나 인터넷상의 이미지로 대체 가능 - 스티커나 색종이를 이용한 꾸미기가 가능하니 필요한 준비물 준비해오기
미술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지금까지 작업했던 결과물을 기반으로 나에 관한 한권의 책을 만든다. 내용 구성 1회기, 제작
후반기
디자인
현재 나의 모습에 대해 이야기 한 뒤, 다시 과거와 연관 지어 이야기해 본다.
공예
야기한다. 그 뒤 현재 자신의 모습을 거울을 이용해 셀프포트레이트로 촬영한다. 사진을 보며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수업 ppt, 카메라, 기존에 촬영된 사진, 좋아하는 동화책, 잡지, 가위, 풀, 채색도구, 프린터 등
사진을 오리고 붙일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책상을 붙여 넉넉한 공간을 확보한다. 문학
국악
기본정보 무용
이름
김유라
세부전공
A -0674
지원분야(세부 분야)
생활미술/장신구와 생활오브제 공예(금속, 생활용품, 칠보)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 중∙고등 기본교과 , 선택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능곡로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공예
영화
교과연계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공예 디자인
예술활동 경력
음악
2015. 6 ‘Precious Things’ Ubi Gallery, 베이징 2015. 12 ‘22th 민금속전’. Coex, 서울 2015. 11 ‘제33회 한국칠보공예디자인협회전’ 가나인사아트센터, 서울 2015. 07 ‘칠보 그 아름다운에 대하여’ 익산 보석박물관, 익산 2014. 12 ‘2014 공예트렌드페어 주제관’ Coex, 서울 2014. 12 ‘21th 민금속전’ Coex, 서울 2014. 12 ‘제32회 한국칠보공예디자인협회전’ 가나인사아트센터, 서울 2014. 07 ‘2014 공예 플랫폼’ 문화역사서울284전관, 서울 2014. 05 ‘옥상시장전’ 갤러리 아원, 서울 2014. 05 ‘Transformed 2014’ 보고재 Art and Craft, 서울 2014. 05 ‘시김의 색’ 동덕여자대학교 미술관, 서울 2014. 04 ‘Thanks to 전’ 홍옥희 갤러리, 서울 2013. 11 ‘크리스마스 선물전’ 갤러리 마노, 헤이리 2013. 10 ‘Loot’ Museum of Arts and Design, 뉴욕 2013. 06 ‘장식과 환영 현대장신구의 세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3. 05 ‘2013 즐거운 공예가-Toycraft Maerchen’, 예술의전당, 서울 2013. 05 ‘2013 Cotton Born to Live Twice, 동덕여자대학교미술관, 서울 2013. 05 ‘Ring to be with’ 갤러리 아원, 서울 2013. 02 ‘탐탐전’ 통인갤러리, 서울 2013. 01 ‘메종 앤 오브제’ 한국관, Paros Nord Villepinte, 파리 2013 Ring to be with 전시 2013 즐거운 공예가 TOYCRAFT Märchen 2013 전시 2013 ‘2012 공예백서’ 공예교육 부분,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연구원 2013 ‘공예디자인 인력양성 기반구축 연구-초등학생 공예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연구원
미술
2014~2015 주얼리 CAD 디자인 1, 2, 3/ 주얼리 캐드 기초 강의, 숭의여자대학교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9월
기획의도
▶
움직이는 공작 - 기계장치를 이용한 조형물 만들기
▶
여러 가지 기계장치를 이용한 오토마타(automata) 공작물을 만들어, 로봇 또는 여러 생활에 사용되는 기계장치의 원리를 이해하고 만들기의 즐거움을 체험한다. 과학과 예술이 잘 융합 되어 있는 오토마타 공작물을 통해 예술적 상상력과 과학적 이해력 그리고 창의력이 향상 될 것이다.
연극
교육가능 교급
초등학교 고학년/ 11~13세 중고등/ 14~19세
조형요소(점, 선, 면, 형, 형태 및 공간)를 이용하여 조형원리(통일성, 강조, 균형, 비 례, 동세 및 리듬)을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
조형요소 및 조형원리 이해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공예 조형물의 기본인 되는 재료의 성질 이해
영화
교육 방향
기간
교육내용
사전방문 (3월)
수업 시설 및 환경 확인 (재료 및 도구 상황 점검/수도시설의 위치/ 재료 및 작 업결과물 수납공간 여부 확인 등) 학생들의 성향 및 작업 수행 집중도 확인
오리엔테이션
움직이는 공작 수업 오리엔테이션 -인사 및 프로그램 진행과정 소개: ·로봇이 된 인형 오토마타(automata)의 정의 및 역사에 대하여 설명 ·자기소개를 통해 관계형성 (공예가라는 직업소개, 수업과 관련된 작품소 개, 프로그램을 계획한 이유 ·전체 프로그램 진행과정 소개 -학습 동기 유발: ·동영상 및 실제 조형물을 이용하여 여 러 가지 오토마타 작품을 소개함으 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
교육회차
선을 이용한 조형물 만들기
면을 이용하여 조형물 만들기
주요 교육내용
▶
자연의 형태를 단순화한 조형물 만들기 반복을 이용하여 패턴 만들기 선과 면을 조합하여 공간 구성하기
1
사진
점, 선, 면 조형요소를 이용하여 모빌 만들기
만화애니
기하학적 조형물 만들기
슬라이드 판을 이용하여 날개 짓하는 새 만들기 공예
-슬라이드 움직임을 이용된 기계, 생활용품 등을 소개
2) 교육 성과 및 효과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장치의 원리 설명 -활동: 날개 짓하는 새 만들기 -작업과정과 완성 작품을 사진으로 찍고 자료를 모아서 수업 결과 포트폴
2~3
리오에 사용될 재료를 준비한다. 작품예시를 통해 참여자의 감상능력을 확대되고,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발상방법을 수업함으로써 참여자의 사고가 확장되고 창의력이 신장되었다. ▶
전반기
-응용하여 만들 수 있는 다른 예시들 소개
작업한 조형물을 이용하여 모빌을 만들어 봄으로써, 조형요소 및 조형원리가 실제 물 건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 파악하였다.
4~5
세로 회전이 가로 회전으로 변화하는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숲속을 달리는 여우 만
각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조형작품(회화, 조각, 공예, 디자인)을 예시 작품으로 보여 주어 참여자의 감상능력을 확대하고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술
들기 - 회전 움직임이 이용된 기계, 생활용품 등을 소개
▶
다양한 재료를 성격에 맞추어 조형작업에 응용하여 전통 공예 재료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현대 공예 재료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작업한 조형물을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게 하여, 조형요소 및 조형원리가 실제 물건 에서 활용되는 방법을 지도하여 응용능력을 신장하였다.
- 세로 회전이 가로 회전으로 변화하는 기계장치의 원리 설명
중반기
- 활동 : 숲속을 달리는 여우 만들기
6~10
- 작업과정과 완성 작품을 사진으로 찍고 자료를 모아서 수업 결과 포트폴리오에 사용될 재료를 준비한다. - 작업 발표 및 정리 - 응용하여 만들 수 있는 다른 예시들 소개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학습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발상 방법을 소개하여 참여자의 사고를 확장하고 창의력의 신장하였다.
음악
왕복운동을 하는 판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우주인 만들기 - 왕복 움직임이 이용된 기계, 생활용품 등을 소개 - 왕복 운동하는 기계장치의 원리 설명 - 활동 : 움직이는 우주인 만들기 - 작업과정과 완성 작품을 사진으로 찍고 자료를 모아서 수업 결과 포트폴리오에 사용될 재료를 준비한다. - 작업 발표 및 정리 - 응용하여 만들 수 있는 다른 예시들 소개
다양한 재료를 조형작업에 응용하여 전통 공예 재료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현대 공예 재료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작업 발표 및 정리
문학
국악
11~15
분야
교육소요 시간
김유라
공예
4~5차시(100분)
- 크랭크를 이용한 기계, 생활용품 등을 소개
- 작업과정과 완성 작품을 사진으로 찍고 자료를 모아서 수업
수업명
▶
움직이는 공작 - 기계장치를 이용한 조형물 만들기
수업주제
▶
왕복운동을 하는 판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우주인 만들기
▶
· 여러 가지 기계장치를 이용한 오토마타(automata) 공작물을 만들어, 로봇 또는 여 러 생활에 사용되는 기계장치의 구조 및 원리를 이해한다. · 오토마타 조형물 만들기 체험을 통해 공예작업의 즐거움 경험한다. · 오토마타 공작물을 통해 예술적 상상력 및 과학적 이해력, 창의력 향상한다.
교육목표
결과 포트폴리오에 사용될 재료를 준비한다.
초등학교 (고학년) 중∙고등학교(전학년)
- 작업 발표 및 정리
만화애니
19~21
교육대상
영화
크랭크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이 여러 동작으로 변화하는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달
- 활동 : 달리는 말 만들기
강사명
16~18
리는 말 만들기 - 크랭크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이 여러 동작으로 변화하는 기계장치 원리 설명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중반기
세로 회전이 상∙하 운동으로 변화하는 기계장치를 응용하여 꽃 위를 날라 다니는 나비 만들기 - 회전을 상∙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기계장치의 다양한 응용 방법을 소개 - 세로 회전이 다양한 상하 운동으로 변화하는 기계장치의 원리 설명 - 활동 : 꽃 위를 날아다니는 나비 만들기 - 작업과정과 완성 작품을 사진으로 찍고 자료를 모아서 수업 결과 포트폴리오에 사용될 재료를 준비한다. - 작업 발표 및 정리 - 응용하여 만들 수 있는 다른 예시들 소개
교육계획서 무용
세로 회전이 상∙하 운동으로 변화하는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모이 먹는 새 만들기 - 회전을 상∙하 움직임으로 변환하여 사용되는 기계, 생활용품 등을 소개 - 세로 회전이 상하 운동으로 변화하는 기계장치의 원리 설명 - 활동 : 모이 먹는 새 만들기 - 작업과정과 완성 작품을 사진으로 찍고 자료를 모아서 수업 결과 포트폴리오에 사용될 재료를 준비한다. - 작업 발표 및 정리 - 응용하여 만들 수 있는 다른 예시들 소개
· 로봇 및 생활에 이용되는 기계장치의 구조 및 원리 이해 움직이는 공작 수업 결과 정리 - 제작했던 기계장치의 원리 복습 - 제작한 조형물을 주제별로 정리하고 작업과정 사진 및 완성작품 사진을 정리
▶
22~23
하여 포트폴리오 만들기
· 과학과 예술이 잘 융합되어 있는 오토마타 공작물을 통해 예술적 상상력 및 과학적 이해력, 창의력 향상 · 왕복 운동하는 기계장치의 구조 및 원리 학습
▶
· 기계장치 구조 만들기 · 기계장치의 움직임을 응용할 조형물의 형태 만들기
공예
주요 교육내용
후반기
· 오토마타 조형물 만들기 체험을 통해 공예의 즐거움 경험
사진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움직이는 공작 수업 결과 감상 및 정리 - 제작한 조형물을 주제별로 전시하고 감상하기
24~25 수업내용 · 학습동기 유발 (20분)
디자인
- 수업내용 생각나누기
-왕복 움직임이 이용된 기계, 생활용품 등을 소개 -왕복 운동하는 기계장치의 원리 설명 · 활동: 움직이는 우주인 만들기(60분) · 각 차수별 수업내용은 교육대상 및 연령에 따라 난이도가 조절될 수 있다.
-왕복 운동하는 기계장치 만들기
· 완성된 조형물의 형태는 교육대상 및 연령 그리고 학생 개인의 성취결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왕복 운동 움직임을 응용할 조형물 디자인하기
음악
비고
-왕복 운동 움직임을 응용할 조형물의 형태 만들기 -완성된 조형물 뒤에 고리를 붙여 문 장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작업과정과 완성 작품을 사진으로 찍고 자료를 모아서 수업 결과 포트폴리오에 사용될 재료를 준비한다. ※완성된 조형물의 형태는 교육대상 및 연령 그리고 학생 개인의 성취결과에 따라 변화 될 수 있다.
미술
※각 차수별 수업내용은 교육대상 및 연령에 따라 난이도가 조절 될 수 있다.
· 감상 및 정리(20분) -작업 발표 및 정리 미디어아트
-응용하여 만들 수 있는 다른 예시들 소개
문학
국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이름
손양옥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A -0034
사진기
공간활용 계획
산업디자인(공예) 공예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모둠형식으로 책상을 붙여 작업
거주지
초등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영화
교과연계
연극
우드락, 두꺼운 종이, 고정용 파이프, 두꺼운 실, 색종이, 각종 꾸미기 재료, 본인 사진(얼굴만 확대할 것), 풀, 가위, 칼, 자, 글루건,
무용
왕복 운동하는 기계장치를 만든 후, 우주인 모습으로 겉을 꾸며준다. 완성된 우주인 얼굴부분에 본인의 사진을 붙여 장식한다. 완성된 조형물 뒤에 고리를 붙여 문 장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기본정보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공예
예술활동 경력
디자인
2015년 길동 복조리시장 생생체험교실(사회미술융합수업)
2013년~2014년 학생상담자원봉사(예봉중학교, 와부중학교) 아동.청소년을 위한 미술심리치료사 2013년 8월 보령 어린이날다 예술캠프강사참여 2014년 8월 무주 어린이영화.뮤지컬 예술캠프강사참여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2015년 단재학교 미술강사
2015년 8월 인제 만해마을 예술캠프강사참여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
길동초등학교 3학년~6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8월~12월(24회)
교육 방향
▶
사회미술융합수업(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공동체와 시장을 이해함)
▶
-우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자연을 닮은 아이들과 아티스트의 만남을 통해 예술과 교육이 교감하 고 공존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 한다. -발상의 전환과 다양한 표현으로 자기표현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프로세스과정중심작업) -예술을 통하여 자존감과 정체성을 발견한다.
대형마트의 획일, 규격화 되어가는 현대사회의 시장경제 활동에서 벗어나 사람과 사 람이 만나 판매와 소비가 이루어지는 전통시장 안에서의 인간적인 삶의 패턴을 아이 들에게 긍정적 경험을 갖게 한다. 시지각 표현과 공간감활동을 통해 직관적이고 감각적으로 즐거운 기억을 남기고, 경 제활동의 주체가 되어보는 시간을 만들어 시장 안에서의 존재감을 크게 만들어 본다.
기간
교육내용
-경제의 원리와 개념을 익히기 시작하는 어린이들에게 거주지 주변의 전통시장의 다 양한 경험을 통해 인식의 전환의 기회를 가진다. 전통시장이 상업공간을 벗어나 직업체험교육의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사전방문 (3월)
-작업실 장소 -재료(형광물감, 암막커튼, 또는 암막 천, 검정 비닐1롤, 폼보드, 우드락, 칼, 색테이프, 글 루건 등)
연계과목
떡,두부체험
요리
디스플레이, 장사하기
경제
미술, 공예
재료 반죽, 두부틀
오리엔테이션
-(학생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내용을 기재 / 연간 교육의 주제, 세부 진행 내용 등) -모듬과 친해지기(자기 소개 하기) -작업 시 도구 사용법(안전교육)
1
-어느 별에서 왔니?(어린왕자이야기) 박스, 클레이, 다양한 재료
-태양계(ppt)
2~5
-모둠별 아이디어 회의
공예
이야기가 있는 시장풍경
교육내용 오복떡집(산골맷돌두부)에 서 안전교육 후 사전에 준비 된 반죽과 재료를 이용해 나 만의 떡(두부)을 만들어 본다 업종별 대표점포에서 상인 과 함께 상품을 디스플레이 한 후 장사 체험을 통해 사회 성과 시장경제원리 이해하 기 내가 상인이 된다면 어떤 가 게를 운영할지 상상하며 점 포를 만들어 본다. 전통시장이라는 공간에 사 람들이 어우러지는 모습을 감상한 후 아이들의 인상 깊 은 장면들을 시장풍경에 담 아본다.
사진
미션
교육회차
만화애니
▶
-우주파티(부제 : 어느 별에서 왔니? )
영화
주요 교육내용
기획의도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전반기
14~20
음악
21~26
미술
2) 교육 성과 및 효과
6~13
디자인
-빛과 어두움 -두둘링(+음악) -우주도시건설 - 길, 건물 -우주도시건설 - 생명체 예)우주괴물 -우주도시건설 - 우주정거장
-우주 행성 만들기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시장인근에 위치한 초등학교 학생들(참여자)의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공동체와 시장을 이해함 -전통시장의 상인이 직접 상인선생님이(두부, 떡)되어 학생들을 교육시킴으로써 현장의 생생한 교육을 제공하고 사업 종료 후에도 상인들이 직접 교육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함
중반기
-친구들과 함께 할 우주 음식 만들기 -우주의 옷 만들기
-우주파티 준비
후반기
-감상과 비평 -우주 관련되 직업 알아보기 -어린왕자에세 편지 쓰기
▶
-야외수업으로 인해 안전교육에 대한 철저한 준비(아이들의 체험 동선 파악) 및 상인 선생님과 긴밀한 관계를 통해 융통성을 발휘함 -지역시장경제발전을 위한 노력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손양옥
공예
40분
교육대상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A -0615
초등저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과연계
우주파티(부제 : 어느 별에서 왔니?)
거주지 ▶
우주 행성 만들기
교육목표
▶
-모둠별로 생각한 다양한 우주의 행성을 만들고 표현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선택교과, 자유학기제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
-발상의 전환과 다양한 표현으로 자기표현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프로세스과정중심작업)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수업주제
중,고등 영화
▶
공예(염색, 금속 압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회화, 판화, 금속디자인
연극
강사명
이남실
-신체활동을 통한 자유로운 표현 -2013.10.15~2013.10.15 제18회 여성유망직종페스티벌 -2013.11.15~2013.11.16 평생학습 성과발표 및 작품전시회 대표강사
사진
-상상력
-2014.11.14~2014.11.15 연필화 초중급 지도강사 -2015.09.12~2015.09.12 팝아트 그림 체험하기 -2015.10.14~2015.10.17 여울 연필로 그리는 꿈 전시 동안문화원 지도강사 -2015.10.16~2015.10.17 평생학습 성과발표 및 전시회 만안연필 동아리 지도강사 -2015.12.02~2015.12.06 연필화팝아트 담당강사
공예
예술활동 경력
-2013.12.04~2013.12.10 제16회 한양금속조형회 국제초대전 -2014.05.01~2014.07.02 이남실개인전 -2014.07.10~2014.07.16 제17회 한양금속조형회전
수업내용 어린왕자가 있는 행성 만들기에서 시작한 놀이는 점점 상상의 우주 속으로 달려갑니다.
디자인
-2015.03.21~2015.03.27 이남실2번째 개인전
우주는 어떨까? 무엇이 있을까? 어떻게 갈 수 있을까? 어떤 색깔일까? 어떤 별들이 있을까? 얼마나 크지? 많은 것들이 궁금합니다.
신문지, 색깔 별 테이프, 폼보드, 유성매직, 칼, 글루건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3.01.07~2013.12.31 만안평생교육센터 연필화강의 -2013.04.01~2013.06.30 안양시 두드림 강좌 강사 -2013.09.03~2013.11.30 안양시 두드림 강좌 강사 -2013.09.15~2015.12.31 안양시 동아리 연필화 동아리 여울 강사 -2013.09.24~2013.10.25 안양여성인력개발센터 연필화강의 -2013.10.16~2013.12.20 평촌초등학교 교사 자율동아리 수채화 강사 -2014.01.01~2015.12.31 화성시여성비젼센터 스케치 쉽게하는 연필화 -2014.01.04~2015.12.30 안양시평생학습원 연필화 초급 중급 -2014.03.13~2015.11.25 시흥시노인종합복지관 노인미술 -2014.09.05~2014.10.31 안양시평생교육원 팝아트초상화 특강 -2014.09.15~2014.10.06 화성시여성비젼센터 나만의 팝아트초상화 특강 -2014.10.15~2014.11.19 평촌초등학교 강사 동아리 클러스트 수채화 -2015.01.09~2015.12.31 군포시여성회관 손쉽게 그리는 연필화 강사 -2015.03.12~2015.12.10 금천시립노인종합복지관 노인미술 -2015.03.18~2015.11.25 시흥시노인종합복지관 노인미술 -2015.04.22~2015.05.26 호암초등학교 교사역량강화 연수 -2015.07.07~2015.07.14 백운중학교 방과후 황동 특강 팝아트 초상화 그리기 -2015.08.19~2015.12.30 대안여중 자유학기제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중,고등
교육가능 기간
▶
예시) 2016년 3월~12월
교육 방향
▶
나의 잠재력을 깨우기
주요 교육내용
▶
모든 미술장르의 기본이 되며 그 자체로도 독립된 회화 표현예술인 드로잉을 통해 자신의 내적 잠재력을 발견하고 시각 훈련을 통해 자유롭게 그림으로 표현하는 능 력을 개발한다.
기획의도
▶
연필화 & 팝아트
▶
- 드로잉 작업을 통해 일상의 관찰과 시각 훈련을 할 수 있다. - 드로잉 시간동안 인내와 집중력을 요구하며 계속되는 수정 과정 속에서 합리적이고 냉정한 이성 이 길러집니다. - 미술 관련 직업에 대한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 드로잉 작업을 하면서 내적 잠재력을 발견 할 수 있으며 미적 감각을 키울 수 있다.
영화
▶
기간
교육내용 - 교실 장소와 학생수 - 재료준비에 관한 내용
2) 교육 성과 및 효과 오리엔테이션
- 앞으로 전반적인 수업 진행내용과 흥미를 가진 주제를 질문으로 알아본다. 사진
학업 스트레스가 쌓여있는 학생들에게 내면에 귀 기울리고 뭔가 열중해서 몰입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짐으로 인해 마음의 평정과 고요함을 느낄 수 있다. ▶
연필과 친해지기 - 재료를 직접 경험 해봄으로써 성질을 파악해 보기
그리는 것을 시도해 봄으로써 관찰력을 키우고 잠재되어 있는 재능을 발견하는 계기 가 될 수 있다.
∙연필의 기본 성질을 직접 느껴보고 경험해보기 - 연필 잡는 법 - 연필로 톤(tone) 만들기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전반기
그리는 것에 흥미를 느껴 여가시간에 그림을 그리거나 주위의 사물과 자연물을 관찰 하게 되었다고 한다.
공예
- 기본 선긋기, 무늬 ,패턴 연습 학생들과의 소통이 자유로우며 격려를 통해 잘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다.
교육회차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연극
교육가능 교급
- 낙서연습 스케치의 기법 - 다양한 소재와 기법을 살펴본다.
디자인
빛에 따른 명암 표현법 -빛에 따른 명암의 원리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기 주변의 사물 선택하여 그리기 - 주변에 대한 관심과 관찰을 끄집어 낼 수 있다. ∙본인이 그리고 싶은 사물 하나를 선택하여 자세히 관찰하여 그동안 익힌 기법으 로 표현해 보기 팝아트 스타일로 그린 정물- 개성있는 표현을 할 수 있다
중반기
현해 보기
음악
∙주변의 사물을 보고 그린 후 펜이나 다른 색채가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개성을 표 친구 얼굴 그리기 - 친구를 좀 더 관찰할 수 있고 특징을 발견 할 수 있다. ∙각자 친구의 얼굴을 자세히 관찰 한 후 특징을 잡아 보이는 대로 그려 보기 팝아트 스타일로 그린 자화상 -내 얼굴을 나만의 개성으로 표현 할 수 있다.
후반기
번 더 들여다보고 재료와 색을 선택 해 보기
미술
∙내 얼굴을 그려 봄으로써 만족감과 함께 본인의 개성을 표현 하기 위해 자신을 한 전시회 관람 - 현재 진행 중인 전시회에서 작가와의 만남 가져보기 ∙전시회 관람에서 작가와의 만남을 통해 궁금한 점 질문하고 경청
미디어아트
-각 작품의 재료와 작업과정 작가의 의도, 작가가 되기까지의 과정 등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이남실
미술
2시간
교육대상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A -0359
중.고등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교과연계
팝아트 초상화
거주지 ▶
팝아트 스타일로 그려보는 초상화
교육목표
▶
-내주변의 인물을 팝아트 스타일로 그려보기. 칼라와 선으로 그 인물의 특징과 분위기 표 현해 보기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현대적인 미적 감각을 경험하고 얼굴을 그림으로써 성취감을 올릴 수 있다./ 인물을 기존의 사실적인 표현이 아닌 단순하면서도 비비디한 칼라로 표현됨으로 색다른 느낌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안현로서9길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수업주제
초등 영화
▶
공예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문화예술
연극
강사명
화주옥
을 얻을 수 있다. 사진
현대적 감각인 팝아트양식을 살펴보고 표현해 본다. 인물을 스스로 그렸다는 만족감과
주요 교육내용
▶
비비디한 색으로 인해서 인테리어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얼굴 사진을 가지고 원색과 선으로 단순하게 그려보기. 요즘 인기있는 팝아트 스타일 을 알아보고 칼라풀하게 칠함으로써 색다른 모습을 발견하고 표현해 보기
공예
예술활동 경력
2013.12.15~21 중앙대 301 갤러리 the first step 2014.6.9~14 중앙대 301 갤러리 담Dam 2015.2.24~3.22 평택호 예술관 평택 시민 예술대학 작품전시회 2015.7.22~28 인사동 조형갤러리 리쥼전5회 2015.11.7~16 수원AK갤러리 청어람 캐리커쳐 전시회 `가족을 지켜라‘ 2015. 5~현재 평택시 시민평가단 활동(전시분야)
수업내용 디자인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캔버스,아크릴 물감,붓,마카펜,물통,사진
책상에 앉아 작업 가능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3.4~2015.12.8. 현일초 책 읽어주기 봉사 2013.9~2015.10 현일초 행복한 도서관 그림책과 함께하는 미술놀이 2014.5.29.~7.3 현일초 미술(종이접기)재능기부수업 2014.4~2015.2 현일초등학교 돌봄교실 미술 강사 2015.1~2015.12 사단법인 어린이도서연구회 경기남부 서평택지회장 역임 2015.7.20.~2015.8.26. 인주지역아동센터 미술치료강사 2015.10~현재 평택 드림유치원 미술강사 2015.6.27. 안중도서관 빛그림공연과 공예체험 활동강사 2015.9.12. 오성도서관 빛그림공연과 공예체험 활동강사 2015.12.12. 안중도서관 그림자극공연과 공예체험 활동강사
음악
팝아트 양식으로 그려진 다른 초상화를 감상한다. 그 인물을 색으로 표현한다면 어떤 색일지 생각해 본다. 피부색, 머리, 옷, 배경 색을 정한다. 얼굴색부터 칠해 나간다. 채색이 끝나면 형태의 라인 작업을 한다. 마무리 작업한다. 한 눈에 볼 수 있게 앞에 놓고 다 함께 크리틱을 한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초등학교 저학년 / 8~9세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4월~2015년 2월
교육 방향
▶
- 방과후 보육실에서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아동들이 정서적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며 작업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이야기 나누기로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서로의 생각과 느낌을 공유 하도록 하여 아동들이 보육실 밖 학교생활도 잘 해 나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기획의도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교육회차
-수업 시작 전 도서관이나 복도에서 수업에 참고 되는 그림책 전시회 개최 논의 -책전시와 함께 북토크와 별점카드 게시하여 선호도 조사
-빛그림으로 책읽어주기 -오늘날 교육적 패러다임은 융합과 통합으로 창조적 상상력을 적극 수용한다. 그리하여 책읽기의 중요성은 더 욱 커졌으며 “가슴속에 만권의 책이 들어 있어야 그것이 흘러넘쳐서 그림과 글씨가 된다“라고 했던 추사 김정 희의 말처럼 독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길 바란다. -프로그램 소개 -그림책 보면서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조적 사고력을 발휘할 수 있는 13가지 생각의 도구 알기 -공예활동 등으로 생각의 도구 단련하기 -아이스 브레이킹
1
만화애니
▶
▶
그림책은 어린이가 호기심으로 방문하는 첫 번째 갤러리이다. 어릴 적 엄마가 줄곧 읽어주던 그림 책은 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참고서나 문제집으로 소홀할 수가 있어 공예 활동 등을 통하여 책 읽 는 즐거움을 한 번 더 느낄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로버트 루트번스타인의 생각의 도구13가지를 활 용하여 아이들이 상상의 세계에서 끝나지 않고 실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미학적 감각을 길러주면서 상상의 세계와 현실세계를 끊임없이 오가며 자신의 결핍과 상처를 치유하고 자기 세계 를 완성하도록 돕는 것은 물론 새로운 시대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기간 사전방문 (3월)
칸딘스키의 ‘동심원이 있는 정사각형’을 감상하고 미술 치료기법를 활용한 집단 미술 활동으로 - 친구들과 명화을 본 소감을 이야기한다. 이 그림은 사실 에너지를 상승 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하니 더 유심히 관찰하는 것 같았다. - 정사각형 도화지에 자기가 좋아하는 색깔 크레파스로 자유롭게 동그라미를 중첩해서 그리고 물감으로 바탕을 칠한다. - 친구들이 그린 작품을 뒷면에서 테이프로 하나하나 다 부치고 작품을 볼 때는 모든 친구들을 집중해놓고 함께 보기를 한다. - 합쳐진 그림은 무엇 같은지 이걸 가지고 뭘하면 좋을지 이야기나눠본다.
그림책과 공예활동으로 막연한 상상을 창조적 상상으로
영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주요 교육내용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관찰: 모든 지식의 출발점. 수동적 보기와 적극적 관찰 구분하기 그림책으로 관찰력 테스트
사진
<늑대야 어딨니?><모나리자를 찾아라!><어디?어디?찾아봐!>
2) 교육 성과 및 효과
-형상화: 생각을 스케치하다. -주변의 잡동사니로 동물의 특성을 입체물로 형상화하기 <맛있는 그림책><하찮은 것들의 근사한 행진><눈을 감고 느끼는 색깔여행>
전반기 ▶
수 있다는 것과 추상화를 보는 눈을 기를 수 있다.
2~9
<파랑이와 노랑이><점점점> -패턴 찾기: 아르침볼도의 정물화를 거꾸로 보기, 모리츠에셔의 작품보기, 착시현상, 막스 에른스트 프로타쥬 고안<퀼트할머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관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관계자 선생님도 하고 싶다고 아이들과 함께 같이 하기도 하였다. -참여자 -흥미를 가지고 매일 무엇을 할지 질문을 던지며 기다린다. -미적 감각을 키우고 풍부한 감성과 창의성 향상 -참여자간 친밀감 형성하는 과정을 거쳐 정서적 지지를 받음으로써 정서적 안정을 도모 -자연스럽게 감정을 표출하고 성취감이 고취된다.
-추상화: 다 다른 동그라미들을 연결해서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보는 활동을 통하여 추상화가 새로운 이야기로 다시 태어날
니의 선물> -패턴만들기: 가장 단순한 요소들의 결합이 복잡한 것을 생성하고 인상적인 것은 결합되는 요소들의 복잡성이 아니라 그 결합 방식의 교묘함과 의외성이다.<쪽매> -염색종이로 패턴 만들어 손수건 염색하기 -몸으로 생각하기: 행동하면서 우리 몸에 자연스럽게 기억된 지식들 그것이 바로 나의 것이다. 어릴 때 배운 자
▶
디자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전거타기, 몸의 상상력, 잭슨 폭록의 액션페인팅, 잭슨 폴록의 No.5 1948라는 그림이 2006년 회화사상 가장 비싼
-매일 매일 정신은 없었다. 아이들이 내 마음 같으면 무슨 의미가 있겠나 싶은 생각에 그래도 즐거웠다. 오늘은 무엇을 할지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쳐다보는 것 하며 선생님 가방을 몰래 슬쩍 훔쳐보는 것이 밉지가 않기 때문이다. -수업시간에 만들고 끝나버리는 것이 아니라 집으로 가지고 가서 1차적으로 엄마한테 자랑도 하고 나의 공간에 꾸밀려고 하는 아이들 모습에 아이들 못지않는 뿌듯함과 행복함을 느낄 수 있었다. -생활에 필요한 DIY용품을 만들기를 하다보니 예술성뿐만 아니라 실용성을 고취할 수 있지만 시간의 촉박감에 여유로운 스토리텔링을 통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였다.
1330억에 팔린 이유는 이 그림의 가치는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느껴야하는 것에 있다. 그가 그릴 당시의 느낌 과 그가 췄던 춤의 느낌을 이해하여야 하는 감각적 예술작품이다. 마임예술 <짖어봐 조지야><몸으로 느끼는 ㄱ,ㄴ,ㄷ> -놀이: 게임이나 놀이는 즐거움뿐만 아니라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창조적 성과물오 이어질 수 있는 훌륭한 생 각도구 -세이프게임(종이 위에 의미 없는 모양하나를 그리고 다른 사람이 이어 받아 그림을 완성하는 창작놀이를 하면
10~14
서 끊임없이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력을 길러준다), 종이 인형 만들어 인형 놀이
음악
<꼬마곰과 프리다> 감정이입: 감정이입의 본질은 내가 다른 사람이 되어보는 것이다. “대나무를 그리려면 먼저 대나무가 내 속에서 자라나게 해야 한다.”
중반기
<내 이름은 제인구달> -꽃 만들기, 물위에서 피어나는 꽃(모세관현상) -유추: 기능성과 내적관련성이라는 특징으로 볼 때 사물간 형태의 유사성을 일컫는 닮음과 대조. 사물을 볼 때 그
미술
것이 무엇인가가 아니라 그것이 무엇이 될까하는 발상으로 훈련된다. -‘내 마음은’ 시 감상하기 -그림자 알아 맞추기 게임 <누구일까?왜일까><어느 늦은 밤><하나라도 백개인 사과> -차원적 사고 : 어떤 사물을 평면으로부터 3차원이상의 세계로 옮길 수 있는 상상력, 컬라이도사이클, 노구치에
15~19
의해 발현된 종이 접기
미디어아트
-색종이 가지고 입체 큐브 만들기 <위를봐요!> -변형: <제가 잡아 먹어도 될까요?><프레드릭>패러디그림책-재활용 옷걸이로 한지그림 부채만들기
후반기
20~23 문학
-모형만들기: 어떤 대상이나 개념을 모형으로 만들어 보는 것이지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이지 목적물자체는 아니다. -우드락으로 내가 살고 싶은 집 만들기 <위대한 건축가 무무> -통합: 지적으로 알고 있는 것과 감각적으로 경험한 것이 능동적으로 결합되어 완벽하게 이해한다 는 것이다. 고지식한 스페셜리스트보다 상상력이 풍부한 제너럴리스트가 되자. -스트링 아트로 집단 만다라 만들기: 여러 가지 패턴과 다양한 색깔로 삶의 다양함을 표현하는 것 같지만 모두 합쳐서 만다라를 만들고 보면 하모니를 이루고 통합의 파장을 만든다.
국악
교육계획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화주옥
공예
1시간20분
초등(고학년)
▶
쪽매로 탄생한 보자기
수업주제
▶
생각의 탄생으로 가는 패턴 만들기
교육목표
▶
영화
수업명
연극
강사명
-염색종이를 가지고 자기만의 패턴을 만들 수 있다. -만든 패턴을 보자기로 염색하여 실생활에 활용해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만화애니
-더 많은 패턴을 고안할수록 우리의 이해도는 더욱 풍요로워질 수 있다. -생각하는 힘을 키워 스스로의 삶을 힘차게 살아 갈 수 있다. -표현의 경험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전인적인 성장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 다.
주요 교육내용
ㅇ<쪽매>그림책 읽기 ▶
ㅇ쪽매를 이용한 우리의 전통물건과 쪽매붙임기법을 이용한 알람브라 궁전보기
디자인
사진
ㅇ염색 종이로 쪽매붙임기법을 활용하여 보자기 염색하기
수업내용 공예
1차시: -<쪽매>그림책 읽어주기 (이가을 글/ 신세정 그림) 한림에서 2014년 출판한 <쪽매>그림책을 읽어주며 쪽매에 대한 따뜻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쪽매 알기 우리의 전통 물건 속에 쪽매와 쪽매붙임기법을 이용한 대표적인 건축물로 스페인에 있는 알람브라 궁전을 보고 그 속에 단순하면서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야기하기
디자인
도 대칭적인 패턴이 깔려있음을 안다. -답은 하나가 아니다.: 탱그램 놀이하기 -깨자, 바꾸자, 새롭게 만들자!: 허물지 못하면 새로운 패턴을 만들 수 없어. 새로운 패턴에서 다시 새로운 패턴이 만들어지면서 인간 의 창조활동은 계속된다. 2차시: -도화지 위에 염색종이로 나만의 패턴 만들어보기
음악
-패턴 만들기 훈련: 염색 종이로 쪽매붙임기법을 활용하여 보자기 염색하기 -만든 패턴 위에 광목을 대고 다림질하기 -염색되어진 보자기를 보며 친구들과 이야기 나누고 다른 친구들의 작품을 감상하며 패턴을 인식한다. *주의사항: 염색종이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각을 맞춘다.
미술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쪽매기법을 활용해서 염색한 보자기
염색종이, 광목보자기, 보자기크기만한 도화지, 딱풀, 가위, 다리미.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박승아
세부전공
A - 0 16 6
지원분야(세부 분야)
실내건축디자인/ 미술치료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
2세-9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3월~2015년 2월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 방향
▶
창의력 발달 및 정서안정 미술 교육
주요 교육내용
▶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기본교과 , 선택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 자유학기제 경기도 의왕시 새터말아랫로
미술 교과목으로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 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인지발달, 소근육 발 달, 정서발달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계절적 특성, 환경적 특성, 정서적 흐름을 따라 교육내용을 구성하였고 정서적 이슈 에 대해서 안정감을 가지도록 아이들의 의견을 존중하여 진행하였다.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초등
2) 교육 성과 및 효과
▶
- 주어진 주제에서 아동 스스로 재료를 선택하여 보다 다양한 창작품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다양성 있 는 결과물에 대해 교사와 아동의 만족도가 높아졌다. - 미술교육에 문학, 음악을 더불어 사용하여 아동에게 통합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복합적으로 발전이 되었다.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아동의 순수함을 존중하고 주도적인 창작활동을 장려하여 자신의 작품을 더욱 소중히 여기게 되었다. - 미술매체의 특성(딱딱함, 부드러움)을 감성적으로 수업에 그대로 연결시켜 작품 전체의 스토리가 연결 성이 있다.
사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공예
예술활동 경력
디자인
아동 미술 교사
정서미술교사 / 아동 미술치료상담 수업 진행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영화
교과연계
연극
디자인(실내건축디자인)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엄마와 나의 이야기
▶
- 과거와 동심의 감수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옛동화책을 찾고 있는 엄마들의 동화 복고열풍이 화 제가 되고 있다. 매일매일 멋지고 화려한 동화들이 출판되고 있지만 우리의 감성 흐름은 다시 옛것 으로 가고 있는 듯하며 이것은 단순 동화가 아닌 자녀와 추억을 나누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미술교과와 통합하여 엄마의 기억 즉 엄마의 어릴 적 동화속의 기억을 재구성하고 점차적으로 창 의적인 정서작업으로까지 진행해보고자 한다.
사전방문 (3월)
교육회차
- 수업 진행시 화면을 통해 이미지 제시가 가능한 빔 프로젝터 설치 및 즉석사진기 준비 가능 여부 상의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박승아
디자인
40분
초등(저학년)
수업명
▶
- 엄마와 나의 이야기
수업주제
▶
- 부모세대의 동화책을 통해 옛감성을 떠올려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유된 감성 이해한다.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재료 준비 및 활동 세팅에 대해 상의
- 옛감성의 향수와 그에 따른 공유된 감성을 이미지를 통해 인식 - 부모님과 공유된 감성을 통한 서로를 이해할 수 있다.
1
- 가족에 관련된 옛감성의 특성에 대해 바르게 인지 - 부모님세대의 동화책을 읽고 옛감성의 특성을 인지 - 가족의 특성이 드러난 스토리를 만들어 보기
-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부모세대와의 정서적 공감대를 자연스럽게 형성 할 수 있다. - 다양한 수업 접근 방식의 기회를 통해 아동의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정서적 안정이 이루어지는 교육을 통해 아동의 사회심리적 발달에 도움을 줄 수있다. -미술매체를 통한 다양한 스토리 전개로 통합적인 사고가 가능하다.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기획의도
▶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옛감성의 향수와 그에 따른 공유된 감성을 인식하기 - 가족적 특성이 반영된 스토리를 만들어 보기(미술매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 사진
2~5
- 옛감성을 담아 자신만의 스토리를 선택하거나 창작 - 자신만의 스토리 또는 가족의 스토리를 소개하고 자신의 아이디 어를 가볍게 드로잉하기
전반기 - 스토리와 어울리는 미술기법을 그림형식으로 아이디어를 구체화해보기
수업내용
- 다양한 미술매체로 동화 속 옛감성을 표현
6~10
공예
- 스토리에 어울리는 포즈로 친구들과 사진을 찍는다 - 부모님세대의 옛감성을 떠올려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유된 감성을 도출하여 새로운 창작품으로 표현하기 - 여러 장 찍은 사진을 바탕으로 앨범형식의 창작품을 만들기
- 옛감성의 향수와 그에 따른 공유된 감성을 인식하기 ( (예)1990년대 동화책 ‘강아지똥’ 을 교사와 함께 읽고 다함께 의견을 나누고 공유된 감성에 대해
- 우정에 관련된 옛감성의 특성에 대해 바르게 인지
인식한다.)
- 부모님세대의 동화책을 읽고 옛감성의 특성을 인지 - 옛감성을 담아 자신만의 스토리를 선택하거나 창작
중반기
- 친구들과의 스토리를 소개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가볍게 드로잉 - 스토리와 어울리는 미술기법을 그림형식으로 아이디어를 구체화해보기
( 이미지를 보면서 이야기하는 작업을 통해 아이가 옛감성에 대해 반복적으로 인식하고 친구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한다.)
11~20
- 인지한 내용을 가지고 드로잉하거나 미술매체를 통해 자유롭게 표현한다.
디자인
- 옛감성의 특성에 대해 바르게 인지
- 친구관계의 특성이 드러난 스토리를 만들어 보기
- 다양한 미술매체로 동화 속 옛감성을 표현 - 친구들과 경험했던 상황을 떠올리며 사진 찍기 - 부모님세대의 옛감성을 떠올려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유된 감성을 도출하여 새로운 창작품으로 표현하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풍부한 상상력이 반영된 예술심리 동화 감상 (예) 바다를 건너간 낙타)
음악
- 출력된 사진으로 종이인형을 제작하여 친구와 대화하는 역할극을 진행해보기
- 초등 저학년보다 저연령에서 작업된 것이라 구체적인 인지 측면에서 정확히 부합되는 그림은 아니지만 초등 저학년에서는 진
- 친구들과 함께 동화책을 읽고 대화한다
행된다면 감성적인 것이 좀 더 분명하게 인지되고 표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상상력이 풍부한 특성이 드러난 스토리를 만들어 보기 - 발휘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스토리를 소개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가볍게 드로잉하기 - 다양한 미술매체로 친구들과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
21~25
준비물 및 필요물품
미술
- 스토리와 어울리는 미술기법을 그림형식으로 아이디어를 구체화해보기
후반기
- 친구들과 함께 가면, 가발, 안경, 머리띠 등 다양한 소품을 사용하여 아이의 상상력이 더욱 발휘될 수 있 도록 포즈를 취하고 사진 찍기 - 친구들과 즐거운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유된 감성을 도출하여 새로운 창작품으로 표현하기
- 빔프로젝터, 도화지, 각종 미술매체(마커, 색연필, 크레파스, 색지 등)
- 앞에서 구성했던 스토리를 출력된 사진을 붙여 하나의 스토리로 구성된 북디자인으로 완성 한다
공간활용 계획 - 4명 정도 조별로 앉아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조별배치를 한다.
미디어아트
- 수업에 대한 감상 및 평가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백경희
세부전공
A - 0 7 31
지원분야(세부 분야)
생활미술(시각디자인) / 광고디자인
▶
초등학교2학년~4학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육가능 기간
▶
2015년10월~11월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 방향
▶
한복에 깃들어 있는 오방색을 통해 전통문화를 배운다.
주요 교육내용
▶
1차시-한복을 통해 전통문화에 깃들어 있는 오방색을 알아보고, 오방색 속에 들어있 는 조상들의 삶의 철학과 색의 개념을 쉽게 학습할 수 있는 전통문화 교육이다 2차시-직접 체험하고 즐기는 문화로 확장하여 그동안 어렵고 낯설게 여겨왔던 전통 과 우리문화를 향유하는 경험을 통해 스스로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수업이다.
초등 창의적체험활동 , 선택교과, 자유학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하이파크3로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막연하게 생각해왔던 전통문화를 직접, 간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수업의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흥미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
-그동안 한복예절교육 위주로 진행되었던 수업에서 벗어나 문화교육에 초점을 둔 독 창적 수업으로써, 학교 수업에서 배웠던 부분과 연관시키면서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학생 및 담임선생님 모두 흥미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공예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학생들과 대화의 형식으로 주고받는 수업형식으로 수업의 초반부에는 돌발질문에 당 황스러운 점도 있었으나, 수업이 진행될수록 점점 자연스러워지고 순조롭게 진행되었 다. ▶
-수업에 진지하고 집중하는 학생들을 대하면서 더 많은 것을 가르쳐 줄 수 있도록 수 업의 효과적인 방법을 연습하고, 수업내용 전반에 대하여 박학한 지식을 갖도록 노력 해야겠다고 느꼈다.
디자인 음악
- 2013년 엘지아트센터 저소득층 청소년 여름캠프 보조강사 - 2015년 -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주강사-이대문화예술교육원 - 서대문구 장애우 문화예술수업 주강사 -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교수요목 개발연구 자문-한양대학교 - 찾아가는 문화교육 ‘오방색으로 찿아가는 한복이야기’-경기, 충청20개 초등학교
2) 교육 성과 및 효과
사진
- 1992년~2013년 개인전1회, 다수의 회원전 - 2013년~2015년 홈&테이블 데코페어 전시, 핸드메이드 코리아페어 전시 고양국제아트페어(호수갤러리)전시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영화
거주지
연극
교육가능 교급
교과연계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1) 교육개요
디자인(시각디자인)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 알록달록 창의력 디자인
기획의도
▶
- 오방색을 통한 다양한 디자인 활동과 아름다운 색채를 통하여 아이들의 정서발달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오방색 디자인 활동을 통해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는 부정적 감정은 해소 하고 긍정적 에너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사전방문 (3월)
교육회차
- 아이들의 성별, 및 특이사항 파악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백경희
디자인
80분
초등(고학년)
수업명
▶
알록달록 창의력 디자인
수업주제
▶
디자인의 기본요소를 오방색을 활용하여 배워봄으로서 서양의 예술과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가 일맥상통함을 알고 창의적 사고를 할 수 있다.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담당자와 협의하여 수업장소의 시설과 분위기 조성
- 참여 학생들에게 연간 진행될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하고 기대감을 고취시킨다.
1
- 기초조형요소로서의 점의 개념과 오방색 - 점과 놀기(드로잉, 다양한 재료활용)
-우리나라의 전통적 색감을 통해 세계의 예술을 알 수 있다. -오방색을 선명하고 명쾌한 색감을 통해 긍정적 감성을 일깨울 수 있다. -디자인의 요소를 알고 생활 속에서 발견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아름다운 색채를 활용한 즐거운 활동이 정서발달에 도움을 준다. - 기초조형요소로서의 선의 개념을 알아본다. -키스해링의 작품을 감상하고 발전시켜본다. 사진
2~8
-오방색 재료와 드로잉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활동 한다.
- 쿠사마 야요이-작가 탐색
전반기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수업내용 *도입
- 기초조형요소로서의 선의 개념과 오방색
9~15
- 키스 해링-작가탐색
기초 조형요소로서의 선의 개념을 설명한다. 관련 오방색의 전통 문화 설명하기
공예
- 선을 활용한 드로잉(다양한 재료활용)
주변의 선을 알아보고 발표해본다. *전개 키스해링의 작품을 감상한다. 전지위에 움직이는 몸의 다양한 표정을 연출 한다.이때 오방색 테이프를 이용해서 몸을 따라 표현해본다. 점점 몸을 움직이며 표현한
중반기
- 면을 활용한 디자인(다양한 재료활용)
16~23
- 몬드리안, 칸딘스키-작가탐색
다. 서로 협동하여 즐겁게 활동한다. *정리 완성작품을 벽에 붙여서 감상한다.
디자인
- 기초 조형요소로서의 면의 개념과 오방색
협동하여 주변정리를 한다. 활동시 서로 배려하며 활동하였는지 평가해본다. - 조형요소의 활용과 오방색 - 자연물의 채취, 감상, 드로잉 - 나만의 소품제작
24~30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후반기
내 몸이 움직이는 연속 동작을 오방색선으로 표현하여 벽면에 붙여서 감상하고 서로 평가해본다.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오방색 테이프, 색연필, 전지
벽면에 전지를 붙여서 활용한다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안희진
세부전공
A - 0 463
지원분야(세부 분야)
의상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육가능 기간
▶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교육 방향
2015년 10월~11월
▶
기존의 한복에 대한 교육은 입는 체험이 전부였다, 그러나 이제는 체험 이상의 문화적 인 인식이 필요 하다. 입는 것만으로 한복을 알 수 있는 것이 아닌, 한복 안에 깃들어 있 는 의미를 이해하며 한복문화를 알고, 설명할 수 있게 하여 한복을 문화로 인식하게 한 다.
▶
- 한복 안에 깃들어 있는 조상의 사상이나 삶을 이해할 수 있게 오방색을 매개로 설명하여 한복을 이해하고 자랑스럽게 여기는 우리의 문화 인식 교육. - 교육대상 또래의 전통 한복을 실제 입히며 설명하여 이해를 돕는다. - 저고리 옷고름 매기, 바지의 큰사폭 구분하기 등 기본적인 한복 입는 방법 교육. - 한복은 특수복이 아닌 활동복임을 느낄 수 있게 민속놀이 활동을 해본다.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초등학생 3~4학년 연극
디자인(의상)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강촌로
주요 교육내용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2013년 12월 5일 ~ 8일 home ▪ table deco fair 2013 /대구 exco 전시 참여 ,판매 2014년 7월 10일 ~ 13일 Handmade Korea Fair 2014 /coex B hall 전시 참여, 판매
공예
예술활동 경력
2015년 7월 23일 ~ 26일 Handmade Korea Fair 2015 /coex B hall 전시 참여, 판매
2) 교육 성과 및 효과 디자인
2016년 1월~ 이대문화예술교육원 문화예술교육 주강사
한복진흥센터 의 공모 지원 사업 ‘2015 찾아가는 한복문화교육’을 지원, 총괄기획, 강사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같은 반 친구가 전통한복을 갖추어 입었을 때는 모두가 집중 하고,입는 학생에게 는 한복을 입을 때는 점잖아야 한다고 하면 마술처럼 의젓해지는 모습은 수업시간 하이라이트였다.
-자주 입을 수 없는 한복 이지만 잘 알 수 있는 방법으로 오방색을 모티브로 한복문화 설명이 가능하게 한 교육 ▶
-오방색의 의미, 일상생활 속의 오방색을 학습하며 아이들의 상상력이 전통문화로, 일 상생활 속으로 까지 확대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한복은 화려하고 특별한 옷으로 알고 있었지만 오방색의 의미를 넣어 색 배치도 하 고 마음을 담은 옷 ,입고 활동을 하여도 불편하지 않은 활동복임을 체험을 통하여 바 로 알 수 있었다.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옷감이라는 새로운 재료를 관찰, 학습 할 기회를 주어 다양한 창의력 활동을 돕고, 더불어 옷 만드 는 과정 을 통해 옷의 구조, 구성을 이해하고 ,문화(디자인, 유행)를 학습 하게 되며 재료 구하기 ,실 제 만들기 ,입어보기 의 활동을 하며 진로, 적성을 탐구해 보는 시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안희진
디자인, 공예
2시간 (오리엔테이션 후 첫 시간 내용)
1학년, 2학년 중학생
수업명
▶
수업주제
▶
교육목표
▶
패션 리더의 꿀팁 !! 옷감을 사용한 만들기를 통해서 각자의 개성이 나타남을 보며 디자인, 유행을 설명한다
영화
기간
- 내 옷을 만들어 볼까? (액세서리 포함, total fashion )
연극
기획의도
▶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옷의 구조, 구성을 먼저 실제로 만들면서 이해하고 ,만든 후 에 이론적 배경을 이해, 탐구하
사전방문 (3월)
- 참여 학생, 교실 환경, 실습실 (넓은 책상이 있는 곳)
는 시간 - 이 과정에서 직업을 이해하고 진로적성을 알아본다.
2~5
- 간단한 옷감, 바느질로 할 수 있는 ,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체험.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옷감을 재료로 하는 활동의 새로움은 다양한 물질 (천연재료 ,합섬) 에 대한 학습, 관찰의 기 회가 된다.
- 간단한 옷감, 바느질도구로 가능한 창의력 발휘. - 사람이 만드는 것 에는 각자 고유의 디자인이 있다 - 원하는 옷 만들기 과정에 필요한 요소 설명 --- 재료,구매장소,구성방법,디자인,유행
사진
- 나누어준 개인별 도구(다양한 재료의 사각 천, 다양한 재료의 색실)를 이용하여 예시 (손수건, 식탁매트, 찻잔 받침, 바늘꽂이, 액세서리, 천 한 장으로 가능한 다양한 만들기)를 보고 만들기 제작 * 같은 옷감 + 다른 재료 실, 다른 옷감 +같은 재료 실을 사용한 두 가지 활동 - 각자가 만들고 싶은 옷 말하기 (한복, 실 뜨개옷, 일상복을 모두 포함한 실습 중간, 중간 옷의 이해 내용 전달. (PPT 자료) - 만들기 완성품을 보고 수준을 고려하여 만들 옷을 정한다.
1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 옷감을 가지고 다양한 표현을 해본다. - 옷을 만들며 옷의 모든 것 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 내가 필요한 것이 생기는 것은 당연! - 말보다 활동으로 말하는 시간 - 필요정보는 참고문헌을 통해 ,장소를 통해 모두 제공
전반기 6~10
수업내용 공예
- 수준별 그룹(3~4그룹)을 정하여 진행한다 - 아이템별 디자인하기 , 패턴 구매 또는 제작 - 수업 중간, 중간옷의 구조 내용전달 (PPT 자료)
- 옷감을 사용한 최소한의 도구, 재료를 주어 자유롭게 손으로 만드는 작업을 시작으로 우리가 입고 있는, 우리가 사용하는 것의 만드 는 과정을 알 수 있고, 필요에 의해 각양각색으로 만들어지는 물건은 자신만의 특징이 있는 디자인이 반드시 있게 된다. - 이것이 개
-만들어진 옷 내부관찰 - 패턴별 차이점, 시접정리, 다림질하기 -착용 후 수정할 부분 고치기 -완성
21~25
- 수업 방법 – 1. 똑같은 옷감 + 다양한 재료, 다양한 색 실과 바늘 2. 여러 가지 옷감 중 선택 + 똑같은 실 , 바늘 두 가지 활동을 통해 각자의 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고 디자인, 유행을 학습한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후반기
11~20
디자인
중반기
성이 되고 패션이 되는 것이다.
- 재료 정하기, 구하기 - 전문 시장 방문(동대문시장, 광장시장),구매 - 마름질하기 - 기본 바느질 연습 (손바느질, 재봉틀 이용한 바느질 - 재봉틀 기능은 재봉틀 관련회사 교육 강좌 연결 또는 대여 ) - 구성하기 - 손바느질 또는 재봉틀을 이용하여 만든다.
- 옷감 한 장으로 각자가 만들어 낸 창작품을 보고 만들면서 생각한 것, 생각대로 만들어지기 위해 내가 한 일, 결과물이 어울리는 곳 생각하기. - 결과물이 나온 과정을 추적하며 디자이너의 작업과정을 이해한다.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옷감, 바느질도구 (여러 가지 다양한 재료, 굵기의 색실, 바늘)
일반 교실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이혜영
세부전공
A-0609
지원분야(세부 분야)
일러스트레이션 / 미술치료
▶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육가능 기간
▶
2013년 10월~2014년 3월 (6개월 과정, 주 1회, 24회기)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 방향
▶
북아트를 이용한 자아탐색 및 자기표현 훈련으로 자존감 향상
▶
-
중고등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돌봄동아리, 자유학기제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안성맞춤대로
▶
-
첫 번째로는 형태로 표현된 북아트의 다양성에 놀란다. 표지와 형태로 표현되는 작가의 의도에 호기심을 갖는다. 글과 그림으로 표현된 작가의 생각과 이야기에 대해 흥미로워한다. 작가가 설명하는 작품의 내용을 듣고 다시 한 번 생각한다. 관계자나 전시 방문자들도 작품을 만들고 싶어 한다. 수업 이전에 누구도 상상할 수 없던 것들이 결과물로 나오기 때문에 효과가 굉장히 크다.
▶
- 모두에게 동등한 길잡이를 주지만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결과물의 질이 매우 다르다. - 아이디어나 내용은 굉장히 좋지만 기술력이 부족한 학생은 따로 기술력 습득의 시간이 필요할 듯하다. - 기술 습득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상을 현실화 시켰다는 것과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한다는 것에 학 생들이 매우 자부심을 느낀다. - 자신의 생각에 몰입하기 까지 시간이 걸리며 이를 돕는 프로그램을 대상 특성에 맞게 연구해야할 필요 성이 있다.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디자인 음악
2013.03 ~ 2013.10 : 비엔날레 꾸엔까 (에콰도르) 청소년 및 청년 현지인 대상: 한국어 캘리그라피 수업/수묵화 수업/북아트로 이야기하기 수업 2013/10-2015/01 : 꾸엔까 시청 (에콰도르) 6세~10세 현지 아동 대상 : 종이접기, 어린이 북아트, 채색하기, 캐릭터 만들기, 모형 작품 만들기 등 다양한 미술 활동 11세~80세 현지인 대상: 민화, 북아트로 이야기 표현하기, 종이접기로 작품 만들기, 한글 캘리그라피 수업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공예
<그림책 및 일러스트레이션> 아빠가 지켜줄게 : 글, 그림/ 2007년 비룡소 출판 동피랑 아이 : 글, 그림/ 2011년 리젬 출판 세상의 큰 별, 스티브 잡스 : 그림/ 리젬 출판 산거인의 여행 : 그림/ 빨간펜 누리똑
2) 교육 성과 및 효과
사진
<수 백 개의 에니메이션> 큐리스토리 : 2004년부터 대교방송 (어린이 TV), 기독교 방송 ‘영유아가 나라의 미래다’에 매 주 방영된 큐리동 요를 제작하였습니다. 큐리동요 뿐 아니라 큐리스토리에 들어가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웹카드 등 애니메이션 과 디자인 등 작업 홍보 및 교육용 애니메이션 : 홍콩 공항버스 내 공익광고 애니메이션, 기업 내 교육용 영상, 어린이 영어교육용 애니메이션, 전래동화 애니메이션 등등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주요 교육내용
창의력 및 기획력 훈련 마인드 맵, 아이디어 맵을 통한 구체화 훈련 다양한 미술매체를 통해 표현력 훈련 북아트 기술 습득 및 성취감 얻기 스토리텔링을 통한 자기표현 훈련 전시 및 발표를 통해 자존감 향상
영화
거주지
연극
교육가능 교급
교과연계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1) 교육개요
디자인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 자기존중, 타인존중 그리고 생명존중
기획의도
▶
- 나의 ‘책’ 기획부터 스토리보드, 이미지표현, 마무리 작업을 통해 자아를 탐색하여 긍정 점을 찾고 성취감을 얻어 자존감을 향상시킨다. 더불어 소통을 통해 타인의 책을 탐색하므로 서 타인 존중 뿐 아니라 생명존중까지 인지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사전방문 (3월)
수업 시간, 인원, 대상 연령, 대상 특성, 전시 가능 여부, 재료 준비
- ‘자기존중, 타인존중, 생명존중’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 표현하기 - 자아탐색 1단계 <내가 생각하는 나>에 대해 이야기하기 - 간단한 심리 검사 진행 후 이야기 나누기
- 교육 주제 : 나는 누구인가? 1. - 나의 무의식 콜라주 작업하기 - 평소 생각하는 ‘나’를 아코디언 북으로 표현하고 나누기 2. - 나의 긍정점 찾기 200가지 (과제)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 긍정적 나를 4컷 그림으로 표현하고 나누기 3. - 나의 감정 차트 만들기 - 감정 언어 단어책 만들기 4. - 나의 보호자원 소개하기 - 보호자원 속의 나를 이미지로 표현하고 나누기
이혜영
미술심리교육
1:40
중등 (전학년) 고등 (저학년)
수업명
▶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긍정적 나를 4컷 그림으로 표현하고 나누기 나의 긍정 점을 찾아 자존감을 향상시킨다.
북아트를 이용한 자아탐색 및 자기표현 훈련으로 자존감 향상과 타인존중
-나의 긍정 점을 탐색하여 긍정적 자아상을 만든다. -긍정적 사고를 유도하여 좋은 상태를 유지하는 훈련을 한다. - 자아 긍정 점 탐색 후 나누기 - 긍정적 자아상 만들기 - 4컷의 그림으로 긍정적 자아상 표현하기
2~5
수업내용 공예
- 교육 주제 : 나의 주제는 무엇인가? 1. 관심사 그림일기 쓰기 2. 개인 주제로 시 짓고 시화 그리기 3. 개인 주제로 4컷 만화 그리기 4. 마인드맵으로 줄거리 만들기 5. 스토리보드로 줄거리 표현하기
1
교육대상
사진
전반기
교육회차
교육소요 시간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6~10 자존감을 이루는 것은 자신을 신뢰하는 자신감과 긍정적 사고이다. 인간의 자동적 사고는 대부분 부정적이다. 그러므로 긍정적 사고는 훈련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후반기
- 교육 주제 : 북 콘서트 1. 전시 기획 2. 전시 준비 1 3. 전시 준비 2 4. 전시 5. 전시 및 수업 소감 나누기
21~25
입장에서 모색한다.) 긍정 점을 바탕으로 긍정적 자아상 상상하기 4컷 (또는 1컷 등 자유롭게) 긍정적 자아상 표현하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11~20
자신을 돌아보고 긍정 점 200가지를 탐색한다. (신체, 정신, 환경, 성취, 대처, 장점, 좋아하는 것, 즐거운 것 등을 주관적이고 현재의
디자인
중반기
- 교육 주제 : 나의 이야기 표현하기 1. 캐릭터 개발 2. 이야기에 맞는 미술매체 찾기 3. 이야기에 맞는 책 형태 찾기 4. 책 형태 만들기 5. 원화 표현하기 1 6. 원화 표현하기 2 7. 원화 표현하기 3 8. 책 표지 표현하기 9. 책 마무리하기 1 10. 책 마무리하기 2
긍정 점 200가지 4컷의 긍정적 자아상 이미지 자존감 향상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긍정 점 200가지 (과제) A4 용지 4장, 4절 1장 & 자신이 좋아하는 채색도구
5명씩 그룹별 활동 발표는 그룹별로 벽면 부착 후 이야기 나누는 워크샵 형태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한미주
세부전공
A - 0 7 58
지원분야(세부 분야)
미술(산업미술)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
초등학교 1~6학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육가능 기간
▶
2014.3~2015.2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육 방향
▶
다양한 미술 기본기를 바탕으로한 감성교육과 창의적 사고력 교육 ■ 프로그램 내용
교과연계
-
<창의 융합적 미술 교실!> *아동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의 생각을 마음 것 표현 할 수 있는 기본기와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 주는 프로그램으로 체계적으로 이론과 실기를 함께 배우며, 수업내용에 맞는 다양한 교수법으로 아이들 스스로 깨닫고 익히는 수업. 1.탄탄한 기초수업: 미술의 기초를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 한 습득. 2.과학적 관찰수업: 자연을 자세히 관찰하여 특징과 패턴을 찾고 다양함을 이해하는 수업. 3.감성수업: 구름과 바람을 그리고, 나무의 질감을 느끼는 등 자연과 교감하는 수업. 4.프로젝트 수업: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상호연계 된 학문을 함께 이해하는 과정을 거쳐 종합적 (융합적) 지식과 창의적 사고를 키워주는 수업. 5.창의적, 시각적 상상력 키우기 수업: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다양한 방법을 가르치고 익히는 수 업.<분류별로 생각하기/ 마인드 맵/시뮬레이션 사고법 등>
거주지
경기도 광명시 철산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영화
지원교육대상
연극
디자인(산업미술)
■ 프로그램 운영 계획
■ 기대효과 “ 물고기를 잡아주는 것이 아니라 잡는 법 & 스스로 그 방법을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주는 교육! “ -교육 이수 후 아동은, 나중에 혼자서도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의 생각을 마음 껏 표현 할 수 있 는 기본기와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음악 미술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 학교 방과후 및 교과지도 -2015.3~2015.12(현재) 광명 광일, 서울 서빙고초 방과 후 강사, 하안북 미술교과 강사 -2014.3~2015.2 12 광명 광문, 광성, 광일초 방과후강사, 하안북초 미술교과 강사 *방과후 우수강사(광명 교육지원청) -2013. 3~2014. 2 : 광문초 방과후, 하안북초 미술교과 강사. *방과후 우수강사 (광명 교육지원청) -2012. 3~2013. 2 : 광명서 초등학교 방과후 강사 - 지역 문화예술 교육 -2015.2.14.~16 : 아르떼 주관 독일 Little Art 헬레나 앵커 <어린이 창의미술> 워크숍 참여 -2014.1~12: 광명 하안누리 지역아동센터 미술 강사.
B.고학년: 재미있게 즐기기(기본완성) +자유자재로 표현하기(심화교육) 데생, 수채화 이론 및 기초 실기 익히기 다양한 장르의 표현법 익히기(포스터, 레터링, 구성, 만들기 등) 창조융합의 시대에 맞게 자유로운 발상과 표현력 키우기. *1년 기준의 계절과 학교 행사에 맞춰 실기력 +창의력의 기본을 쌓는 프로그램. ■ 강의 방법 -배우는 내용이 어디에 어떻게 쓰일지를 알게 하여, 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함께 동기유발이 될 수 있도록 합니다. -실물 또는 자료의 관찰을 통해 패턴을 찾는 방법을 알려주고, 사물의 관계와 원리를 이해 할 수 있도록 합니다. -기초 실기를 시범적으로 보이고, 아동별 능력에 따라 미숙한 부분에 있어 개별적으로 시범을 반 복하여 보여주어 아이들이스스로 교육 내용을 습득 할 수 있게 합니다.
디자인
- 전시 및 수상 경력 -2015.12.08.~2016.1.7 :어울림展 (충현 박물관 별관) -2015.11.11.~20:“전투기로 말한다!” 개인전 (서울시 주최, 신도림예술공간 고리, 프린지 주관, KAI후원/경향, 문화일보 소개) -2013.7:대한민국 여성 미술대전 입선 (서양화 부문)
▶
공예
예술활동 경력
- 훈련 -현재: 중대 문화예술 교육원 <문화예술 교육사> 과정 수학 중. -2015. 6.22.~26: <3D 프린팅 전문가 과정> 수료(숭실 대학교 산업협력단) -2015. 5.1~ 6.5: 서울 시립미술관 <시민 큐레이터 양성교육>과정 수료. -2012. 3~2014.12 : 홍대 미술교육원 미술실기 과정 (현대미술 전공). -2014. 4~6 :인권 지킴이 양성과정 수료.
주요 교육내용
사진
- 사회경력 및 문화봉사 활동 -2015.12:신도림예술공간 고리 예술나루터 참여(아트마켓) -2011. 1~2015. 2: 광명시 시민소통위원. (문화. 체육분과 위원장)
A.저학년: 미술과 친해지기(기초교육) 필수 기초실기(드로잉, C-L-R, 다양한 사물 표현, 도구 사용 & 표현법 익히기 등) 창의력 계발( 체계적인 연상, 감각열기 등을 통한 창의력과 사고력 기틀마련)
국악
2) 교육 성과 및 효과
연간 교육주제
▶
-예술가를 통해 만나는 디자인
기획의도
▶
-다원화 되어 가는 예술 표현과 산업에서의 예술과의 접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다양한 예술가의 예술작품을 알아보고, 예술가의 표현 방식에서 디자인 요소를 찾아내어 예술과 디자인 체험하기.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영화
-교육 회차 및 시간, 요일 협의
사전방문 (3월)
-학년과 회차에 따른 프로그램 선별. -디자인 상품제작 및 전시 실시 여부 협의.
오리엔테이션
-학생들과 서양미술 작가 중 아는 작가에 대한 각자의 견을 발표. -함께 할 수업에 대한 연간교육의 주제, 세부진행 내용 등 인쇄물 배포 및 설명. 질의 응답.
-폴 세잔: 폴 세잔의 ‘사과와 오렌지가 있는 풍경’ 작품을 통해색 사용 및 형태의 단순표현 등에 대한 소개 +디자인으로 응용방법 소개 -앙리 루소: 루소의 다양한 상상속 그림 소개 +디자인으로 응용 & 활용법 소개.
-알렉산더 칼더: 칼더의 움직이는 조각 소개. 칼더 조각에 있어서의 균형과 색감 & 키네틱 아트 소개/1)모빌 만들기 2)움 직이는 조각 만들기
11~12
-쿠스타프 크림트: 크림트의 작품 소개/장식적 표현 및 패턴에 대한 수업. -앙리 마티스: 앙리 마티스의 다양한 작품 소개 (자유롭고 과감한 색채 표현, 단순화 된 인체, 종이 오리기 등)
13~14
-칸딘스키: 작품 및 추상화 소개 2)점,선, 면, 동심원을 이용한 다양한 유닛 만들기 -몬드리안: 추상 작품이 되어 가는 과정 소개/2)작품을 참고로 한 조각보 디자인.
15~16
-호안미로: 호안미로의 작품 소개 및 심볼 제작 과정 소개(그림 속 상징, 기호그림) -로히 리히텐슈타인: 팝아트 소개/콜라보레이션 이해하기/1)만화 이미지를 빌려와 다른 내용으로 편집/2)만 화 주인공을 새롭게 만들어 그리기. -앤디워홀:1)실크스크린 체험/2)주변의 상품을 작품으로 만들기/3)팝아트식 초상화
17~20
-니키드 쌩팔: 생팔의 작품과 페미니즘 알아보기/1)구슬이나 스팽클로 표현하기 (그림 또는 일상 사물, 장난 감 등에 붙여 꾸미기) -강익중: 작품소개 1)타일식 그림(벽화이용)/ 2)한글을 이용한 작품 꾸미기 -데이비드 호크니:작품 소개 /1)포토 콜라주 작업하기 -쿠사마 야요이: 작품 소개/1)도형을 이용한 패턴 만들기/2) 스티커를 이용한 작품 -김준, Alexa Meade: 타투 및 페이스 페이팅 작품설명 1)상황에 맞는 페인팅 하기(패션쑈, 공연, 특수분장) -신디셔먼:작품소개 촬영법/ 1)명화 속 한 장면을 연출하거나 변장하여 사진찍기. -쟝미셀 바스키아:바스키아, 뱅크시, 키스해링 등 스트리트 아트 작가 소개 1)우리학교 벽화 디자인 하기*다 양한 방식으로 화면 구성.
21~30
-다 함께 준비해요! :그동안 작업했던 내용 중에서 마음에 드는 작가를 선정하기. (전시디자이너 되어보기) 1)어떤 내용으로 전시할지 아이디어 모으기 전시품목 및 전시장 디스 플레이 아이디어 구상하기. *전시품목:컵,티셔츠,청바지,에코백,시계 디자인/벽화 디자인 2)좋은 아이디어를 모아 결정하고 시각화 하기 + 보완. 3) 결정된 안을 바탕으로 자신의 작업 점검 & 계획. -디자인 아이디어 & 구상:1)자신이 정한 작가의 그림을 어떤 식으로 물건에 디자인할지 아이디어 스케치 & 선생님과 협의. -원본, 필름 만들기: 작품에 들어갈 디자인 작업하기.(완성 후 사진 업체에 보내기) -최종 전시 준비: 작품을 받아 전시를 위한 최종 점검 및 전시를 위한 준비 작업.(이젤을 이용한 전시 外 다양 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31~35
음악
6~10
디자인 미술
후반기
-윌리암 모리스 :디자인적 요소가 들어간 모리스의 과일 벽지작품 소개. 1)벽지 & 포장지 디자인. 2)넥타이(텍스타일) 디자인. -브리젤 릴리 :다양한 옵아트작품 감상. 1)선이나 도형을 이용한 옵아트 작품 표현. (포장 디자인 및 공공미술 벽화로 연결)
공예
중반기
2~5 사진
전반기
1
만화애니
▶
-어린시절그림을 그리는 상황에서 맞닥뜨렸던 의문이나 어려움에 대한 기억이 있어서, 아이들이 어떤 점을 힘들어 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어 떻게 하면 아동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지, 무조건적으로 방법을 가르쳐주기 보다는 아동들 스스로 이해하고 깨우칠 수 있도록 눈높이에 맞는 교육을 펼치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단순한 스킬이나 형식적이 틀에 박힌 교육이 아닌, 단계별로 미술표현에 대한 과정을 익혀 나가고, 창의적인 사고법을 익혀 스스로 자신감을 갖게 하여 자신만의 표현을 자 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프로그램 역시, 기존의 것을 답습하기 보다는 새롭고 재밌는 것을 찾아 수업에 응용 하고 있고, 저 만의 프로그램에 자신감도 있고 교육적 효과도 높다고 생각합니다. 교육 후에 아동이나 학부모님들게 감사의 말을 듣고 상급학교에 진학 후 스스로 많은 성과 를 내고 있는 것이 그 증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육을 받는 대상에 맞춰 수업의 난이도를 달리 하기는 하지만, 중대 문화 예술 교육 원 수업을 통해 (강의 계획서 작성, 수업 시연등) 제가 교육에 욕심이 많다는 것을 알 게 되었습니다. 그 부분을 조금 줄여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제 작업과 연결되어 만든 프로그램은 초등 대상보다는 중,고등 수업에 적당하다는 생 각이 들어, 기회가 닿는다면 중등 대상의 교육도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연극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로 교통 수단 쉽게 그리기 미술에 흥미와 자신감이 없던 아동이 이 수업을 하면서 수업 시간 내내 집중하여 자 신만의 표현을 해 냈습니다. -포스터 글자 배우기 / 광고 속 다양한 글자체 이 수업 이후 아이들이 글자를 표현하는데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을 하기 시작하였 고, 다양한 채색으로 창의적인 표현을 보였습니다. 아동 중 한 명은 강사의 이름으로 강사와 관련된 헬기에 맞춰 이름을 쓰는 창의적인 작품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불은 왜 나는가?” 포스터 -r 그림그리기 포스터 글자 쓰기에 이어서 포스터의 그림 내용을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바탕으 로 어떤것에 포인트를 맞춰 표현할 것인지 일련의 과정을 익히는 수업으로 아무 의 식없이 표현을 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하지 못하던 아동들이 한 가지 주제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의 생각을 끄집어 내고 적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의 색을 찾아라!” (변화무쌍 바다의 색) /구름 그리기 물은파란색이고, 하늘의 구름을 아무 생각 없이 하늘색으로 칠하던 아동들이 변의 날씨나 환경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는 것을 관찰하고 그림으로써 고정관념에 의해 칠 해왔다는 것을 깨닫고 생각을 하면서 칠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람 몸 그리기1,2,3 몸보다 얼굴울 크게 그리거나 허리에서 팔이 나오는 등 습관적으로 생각없이 그리 던 태도에서 바뀌어서 신체의 비례를 생각하고, 다양한 모습의 사람에 따라 다른 표 현을 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녹색 찾기 다양한 나뭇잎 그리기/나무 그리기 크레파스나 물감에 있는 색만을 쓰는게 아니라, 나뭇잎의 색이 아주 다양하다는 것, 색의 혼색을 통해 다양한 나뭇잎의 색을 표현하고, 나뭇잎이나 나무를 그리는데 있 어서 관찰을 통해 그 생작적 특징과 대칭이나 패턴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능숙하 지는 않더라도 다양한 표현을 하려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무용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교육계획서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수업내용 -도입
강사명
-다양한페이스(바디) 페인팅, 타투(문신)이 예술로 표현된 작품들의 감상을 통해 흥미를 끌어낸다. -패션에 이용된 페이스 페인팅의 예를 통해 의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알려준다.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90~100분
초등(고학년) 중등(전학년)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개인적인 표현을 디자인으로 확장하기 위한 수업에 대한 안내를 한다. -전개 -그동안에 가졌던 타투나 페이스(바디) 페인팅에 관한 생각을 나누어본다,
디자인
-예술에서 디자인으로 확장의 방법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본다.. -어떤 분야에 어떻게 쓸 것인지?
연극
한미주
-패션쇼와 연결하여 페이스 페인팅 구상하기 -다양한 구상(아이디어 스케치)
수업명
▶
수업주제
▶
<타투, 페이스 페인팅과 바디페인팅의 세계로...!Ⅰ>
-선택한 구상을 일러스트(디자인) 채색한다. (1가지 주제에 3~4 작품) -서로의 작품을 보고 이야기 나누기 ※활동지를 이용 1) 아이디어 구상 (주제별로 떠오르는 생각 적기)
-예술과 디자인의 접점 찾기.
교육목표
▶
-예술로서의 바디(페이스)페인팅에서의 디자인 이해하기 - 패션에서의 페이스 페인팅 디자인 체험하기. 북아트를 이용한 자아탐색 및 자기표현 훈련
2)정해진 주제에 따라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드로잉 해보기. (아이디어 스케치) *주어진 자료 사진 또는 자신의 사진이나 좋아하는 스타의 얼굴 사진 이용도 가능. 3)패션에 맞는 페이스 페인팅은? * 패션 자료사진에 맞는 페이스 페인팅 디자인 하기. -마무리 -수업 과정을 통해 예술을 디자인으로 연결 & 발전시킬 수 있음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한다. -자신의 작품에 대한 스스로의 점검을 통해, 차후 보다 창의적이고 발전된 표현을 할 수 있게 한다.
- 놀이나 화장의 일환으로 여겨지던 바디페인팅이 디자인의 분야가 될 수 이있음을 이해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예술에서 다양한 디자인의 영역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 체험을 통해 놀이가 예술로, 예술이 디자인으로 전개, 변화되는 과정을 이해한다.
-확장하기 -바디 & 페이스 페인팅 체험(다음 차시) *사진에 맞는 페이스 페인팅 또는 친구의 옷에 맞춰 팔뚝에 하는 바디 페인팅 등. -사진으로 출력하거나, 가면에 작업을 해서 전시로 연결.
사진
- 작품에 대한 스스로의 점검을 통해, 차후 보다 창의적이고 발전된 표현을 할 수 있게 한다.
-다음차시 안내를 하고, 사진촬영을 한다.
만화애니
으로 자존감 향상과 타인존중
영화
예술의 영역에서 상황에 맞는 디자인으로서의 바디(페이스) 페인팅 이해하기.
-어떤 프로젝트와 연결 시킬 수 있을지 상상(생각) 해본다. -평가 -타투, 바디(페이스) 페인팅이 세계 (유래 및 관련 작품 감상).
주요 교육내용
▶
-서로의 작품을 보고 이야기 나누기 -예술에서 디자인으로 확장의 방법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본다.(어떤 분야에 어떻게 쓸 것인 지?)
-기존의 작품을 따라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창성이 있는가? -디자인으로서 제품이나 행사의 성격에 잘 맞는가? -채색과 배색을 잘 하였는가?
공예
-패션쇼와 연결하여 페이스 페인팅 구상하기
-다양한 구상을 했는가?(과정체크)
-비판적 시각으로 토론 수업에 의견을 잘 발표했는가?
-예술이 디자인으로 연결 확장 변화 될 수 잇음을 이해한다.
디자인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활동지를 통해 아이디어를 발전 시키는 방법, 정해진 아이디어를 주제에 맞게 다듬어 가는 방법을 이해하고 익힌다. -활동지에 의해 도출 된 결과물을 통해 다음 차시에 직접 실습할 참고 자료를 얻는다.
음악
-친구들과의 작품감상을 통해 한가지 주제로도 관점과 경험에 따라 다양한 안이 나올 수 있읆을 깨닫게 된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활동지, 타투 & 바디, 페이스 페인팅 시각 자료(강사) -스케치북, 색연필, 수채화 도구 등 채색도구, 패션사진 (학생) 미술
공간활용 계획 -교실 내 컴퓨터 & 모니터 활용 -칠판을 이용한 친구들 작품 감상
미디어아트
*차후 판넬이나 이젤을 이용한 복도나 전시장 전시로 연결도 가능
문학
국악
기본정보 무용
이름
고헌일
세부전공
A -0835
지원분야(세부 분야)
성악 음악(성악)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 중,고등 기본교과선택교과창의적 체험활동,자유학기제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음악
영화
교과연계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예술활동 경력> 사진
1993년-2013년 하나로합창단 단원 2005년-2010년 의왕문화원소년소녀합창단 단무장, 부지휘자, 발성코치, 우쿨렐레지도 2014년-현재
안산필코러스 단원
공예
예술활동 경력
< 예술활동 수상경력>
2005년 –2010년
디자인
2013년 군포의왕교육지원청 예능경연대회 현악부 우수상 수상 (오전초등학교 우쿨렐레부)
의왕문화원소년소녀합창단에서 합창 및 우쿨렐레지도 음악
2011년 – 2015년 당서초등학교 우쿨렐레강사 2012년 – 2015년 신흥초등학교 우쿨렐레강사 2014년 – 2015년
내손초등학교 우쿨렐레강사
2014년 – 2015년
안양석수초등학교 동아리활동강사 오전초등학교 우쿨렐레강사
2015년 - 현재
포일초등학교 우쿨렐레강사 및 동아리활동강사
2015년 – 현재
안산원곡초등학교 우쿨렐레강사
미디어아트
2012년 – 현재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
2016년 3월 - 12월
교육 방향
▶
우쿨렐레를 통한 음악으로의 여행
▶
기간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교육회차
만화애니
우쿨렐레연주를 위한 기능적인 이해 및 연습 - 오른손의 역할인 리듬연습(주법 익히기) - 왼손의 역할인 코드 익히기 및 연결연습
- 하와이 민속악기인 우쿨렐레를 가지고 다양한 세계의 민요을 쉽고 재미있게 접해보고 세계 의 문화를 이해한다, 음악의 3요소인 멜로디 화음 리듬을 우쿨렐레를 통해 표현해본다. 또한 반주 독주 앙상블 형태의 다양한 연주를 함으로 보다 더 다양한 창작활동에 도전해본다.
영화
노래 익히기
▶
기획의도
우쿨렐레와 함께 떠나는 세계 여행
초등학생 전학년
교육가능 기간
주요 교육내용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 교육대상(저학년 또는 고학년), 교육시간을 확인한다.
고학년인 경우 타브악보를 통한 다양한 연주곡 익히기
오리엔테이션
- 우쿨렐레에 대해 (기원, 종류, 기본코드와 연주법 등)
1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 우쿨렐레 기본연주법 익히기 - 다양한 기본코드 익히기
2~5 공예
- 다양한 기본주법 익히기
전반기
▶
세계의 민요와 음악을 노래하며 우쿨렐레 반주하기 - 세계의 민요 익히기(각 나라의 다양한 문화 설명 또는 발표하기) - 그날에 필요한 코드와 리듬 익히기
- 관계자분들께서는 단 한 시간만 배워도 간단한 곡 몇 곡을 연주하는 것을 보며 흐 뭇해함을 느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다양한 음악을 접하고 연주하는 것을 보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한다.
6~15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참여하는 아이들은 우쿨렐레라는 악기를 통해 음악을 이해하고 즐기며 누구나 쉽 게 빠르게 접근함으로 인해 다른 악기에 비해 큰 만족감을 느끼는 것을 볼 수 있습니 다.
세계의 민요와 음악을 멜로디와 반주로 함께 연주하기 - 세계의 민요 익히기(각 나라의 다양한 문화 설명 또는 발표하기) - 타브악보 보며 멜로디연습 및 반주연습하기
15~20
음악
중반기
- 함께 연주하기
미술
▶
- 초창기에는 참여하는 아이들에게 너무 많은 것을 알려주고 싶은 욕심에 너무 열심 을 다함으로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다. - 하지만 좀 더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재미있게 진행함으로 많은 아이들이 우 쿨렐레를 통해 음악을 즐기는 것을 보며 행복함을 느낄 수 있었다.
세계의 민요와 음악을 혼자서 연주(독주) 하기
후반기
- 세계의 민요 익히기(각 나라의 다양한 문화 설명 또는 발표하기) - 다양한 연주패턴을 익히고 연습하여 발표하기
21~25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음악
80분
교육대상
김현정
세부전공
A -0131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학생 전 학년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
어떻게 우쿨렐레로 세계여행을 떠날까???
교육목표
▶
- 우쿨렐레 연주 이해하기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우쿨렐레와 노래를 통한 세계여행에 대한 관심도를 높인다.
주요 교육내용
▶
교과연계 거주지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수업주제
우쿨렐레와 함께 떠나는 세계 여행
초등 영화
▶
음악(관악앙상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관현악(오보에)
연극
고헌일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우쿨렐레에 대해서(기원, 종류, 연주형태 등)
수업내용
사진
- 어떻게 세계여행을 떠날 것인가!!!
예술활동 경력 공예
1) 우쿨렐레와 함께 떠나는 세계 여행이라는 수업을 통해, 우쿨렐레 연주를 어떻게 해야 하며 하기에 앞서 무엇이 필요한지 이 야기해본다. 그리고 더불어 세계여행은 어떠한 방식으로 하게 될지, 그렇게 하기 위해선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할지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2) 우쿨렐레 반주를 하기위해선 오른손으로 익히게 될 리듬연습과 왼손으로 익히게 될 코드에 대해 설명하고 간단한 C코드부터 시작해본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인천 부현초등학교 방과후 오보에 강사로 출강
통해 알아감을 이야기해준다.
디자인
3) 세계여행을 위해 택하게 될 민요와 그에 대한 설명과 각 문화에 대한 이해는 고학년이라면 발표를 통해 저학년이라면 설명을 4) 각 개인의 경험이 있다면 발표도 가진다. 5) 각 개인의 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아이들이 그 날 배운 노래와 우쿨렐레반주를 활용하여 연주를 할 것이다.
2014년에는 서울 대청초등학교에서 관악 앙상블(플룻, 트럼펫 구성)을 지도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우쿨렐레(우쿨렐레 25대 대여가능) ,컴퓨터
최대한 주어진 환경에서 수업하기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
- 악기를 통한 창의적 음악활동
기획의도
▶
- 기능적인 향상만을 요구하는 기악수업이 아닌, 몸으로 움직이고 구성원들과의 협동이 주가 되는 학습법을 선택하여 학생들이 즐겁고 쉽게 기악 앙상블 활동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함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 10-12세
▶
2016년 3월 - 11월
교육 방향
▶
기능적 기악교육이 아닌 음악적 놀이활동을 함께하는 창의적 활동수업
▶
기악연주를 위한 악곡의 박자, 리듬, 계이름 등을 익히기 위한 활동 ①박자감각 익히기 : 음악을 들으며 손뼉치기, 무릎치기, 발구르기 등의 신체로 박자 를 표현. ②리듬익히기 : 제시하는 악곡의 리듬을 악기로 표현, 코다이리듬 읽기 ③내청훈련 : 악곡 감상 및 가창 후 한마디씩 잘려있는 악곡퍼즐을 순서대로 배열 및 창작활동
영화
교육가능 기간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주요 교육내용
기간
오리엔테이션
교육회차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 학교 일정과 수업시수 및 수업 시간 정하기 - 학교에 구비되어있는 악기종류, 학생수준, 수업장소에 대한 논의
- 앙상블에 대한 이해, 창의 음악수업에 대한 체험(간단한 신체활동)
1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 음악의 기본 요소들(리듬, 박자, 계이름..) 및 기악 연주법(호흡법, 운지법..)에 쉽게 접근하기 위한 창의적 활동 - 악보를 보는 방법과 음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악곡퍼즐을 활용한 내청 및 청음훈련
2~20 공예
- 기본 8음(도레미파솔라시도)과 반음의 악기별 운지법에 대한 훈련
전반기
▶
- 운지법을 이용한 음계 합주 및 간단한 리듬 합주 - 제재곡의 리듬 음절 표현활동 (코다이리듬 읽기, 쓰기)
21~40
- 4/4박, 3/4박, 2/4 박 이해하기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반복적인 코다이 리듬읽기는 정확한 리듬을 습득하는데 가장 도움이 많이 되는 리 듬 교육법임을 학교 현장에서 확인하였고 이를 손뼉, 무릎, 발구르기 등의 신체로 표 현 시 아이들의 참여도가 높고 직접 몸에 닿는 리듬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학습되어 기악연주에 반영된다. -내청훈련을 위한 악곡 퍼즐활동을 위해 아이들은 반복해서 학습곡을 노래하게 되며 순서를 맞춰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계이름을 습득한다. 또한 박자표, 끝세로줄 등 의 순서를 인지할 수 있게 되고 맞춰진 순서의 배열을 변화시켜 새로운 곡을 만드는 창작활동을 함께 병행할 수 있다.
- 학습한 박자를 이용한 지휘활동 및 제재곡 합주활동 - 전반기보다 세분화된 리듬에 대한 학습 및 내청훈련, 창작활동 및 활동지를 통한 평가
41~55
음악
중반기
- 학습한 제재곡들을 활용한 작은 음악회 (교내)
▶
- 전반기보다 심화된 내청훈련 및 창작활동
후반기
- 학습한 운지법, 박자, 리듬을 이용한 앙상블 합주 - 음악회
56~72 미디어아트
-내가 좀 더 연구하는 만큼 학교 현장에서 반응하는 학생들의 변화 폭이 매우 크기 때문에 함께 소통하며 학습할 수 있는 좀 더 창의적인 교수법을 준비해야 한다. -창의적 음악교육과 기능적인 악기교육을 동시에 하면서, 이전과는 달리 새로운 악곡 의 박자나 리듬 등을 가르칠 때 무조건 주입하는 일방적인 교육이 아닌 함께 코다이 리듬음절을 읽는 등의 학습방법으로 개인레슨시간 또한 변화하고 있다.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분야
교육소요 시간
김현정
음악
2시수 (80분)
교육대상 초등(고학년)
1> 4/4박자의 박자와 리듬을 구분할 수 있으며 4/4박의 다양한 리듬을 익힐 수 있다. 2> 악곡퍼즐 활동을 통한 내청훈련을 통해 제재곡의 정확한 계이름을 익힐 수 있으며 퍼즐 배열을 통해 박자표와 끝세로줄의 위치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다. 3> 청음 훈련을 통해 수업시간에 익힌 계이름과 운지법을 학습할 수 있다. 4> 악곡을 변형시키며 창작활동을 체험할 수 있고, 변형시킨 악곡을 확인하며 감상수업을 함께 할 수 있다.
연극
강사명
준비물 및 필요물품 ▶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관악 앙상블 컴퓨터 또는 스피커(악곡 감상), 보면대, 책상(악곡퍼즐 배열), 칠판, 학생 의자, 학생 개인 악기 4/4박과 “도” 음 정확히 알고 나타내기
공간활용 계획 매 시간 수업 도입 때 간단한 스트레칭이 필요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의 수업은 불편할 것 같다.
- 박자와 리듬을 구분하여 신체 또는 악기로 설명할 수 있다.
박자감각 훈련을 위해서는 간단한 스트레칭뿐만 아니라 풍선치기, 공 주고받기 등의 활동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넓은 공간에서의 수업이
-‘도’음을 소리낼 수 있으며 듣고 다른 계이름과 구분할 수 있다.
필요하다.
- 모둠별(악기별) 신체타악기 ▶
- 리듬읽기, 리듬청음 - 악곡퍼즐을 이용한 내청훈련 및 청음훈련
사진
주요 교육내용
▶
만화애니
- 4박과 4/4박자의 다양한 리듬을 신체나 악기로 표현할 수 있다. - ‘도’ 의 운지법을 알고 악기로 소리낼 수 있다.
스피커와 칠판을 함께 쓸 수 있는 공간이 수업하기에 가장 좋기 때문에 교실이나 오케스트라 연습실이 적합하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영화
수업명
공예
수업내용 <도입(10분)> 몸풀기- 들려주는 음악을 들으며 4박마다 체조동작 바꾸기
<전개(50분)>
디자인
모두 둥글게 서서 박에 맞춰 공 주고받기 또는 옆사람에게 넘겨주기
제재곡 : 주먹쥐고 1) 박자와 리듬 구분하기 - 악곡을 들으며 박자에 맞춰 함께 손뼉치기, 리듬에 맞춰 손뼉치기 후 모둠별(악기별)로 음악을 들 으며 강사가 지정한 그룹은 박자에 맞춰 손뼉을 치고, 다른 그룹은 리듬에 맞춰 손뼉을 치며 함께 타 2) 운지법 및 리듬훈련 - 악기별로 ‘도’의 운지법을 익히고 함께 소리내기.
음악
악연주 (발구르기, 무릎 치기 등의 다른 신체 이용 가능) 악곡의 악보를 보고 한 마디씩 강사가 읽어주는 리듬을 함께 따라 읽기. 강사가 지정하는 학생은 강사가 읽어주는 악곡의 리듬을 듣고 악기의 ‘도’음으로 리듬을 불어본다. (소리내기 어려울 경우 악기의 헤드나 피스만으로 소리내도 무방)
미술
모두 악보를 덮고 강사가 읽어주는 리듬을 듣고 함께 ‘도’ 음으로 따라 불기. 3) 내청 및 청음 훈련 - 제재곡을 한 마디씩 잘라놓은 악곡퍼즐을 섞어 음악을 들으며 16마디의 조 각을 순서대로 배치하기. (모둠별로 함께 협동학습) 강사가 불어주는 제재곡을 들으며 ‘도’음이 나올때마다 악기 소리내기.
창작활동- 순서대로 정렬된 악곡퍼즐의 순서를 변형시켜 새로운 제재곡을 완성시킨 후 강사가 모둠별로 완성된 곡을 불어준
미디어아트
<정리(20분)>
다. (이 때 ‘도’음이 들리면 함께 손뼉치기) - 4/4박 리듬과 ‘도’의 운지법 설명 및 다음시간에 학습할 내용 설명 후 수업 마무리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박경준
세부전공
A- 0 2 0 0
지원분야(세부 분야)
오보에(부전공: 피아노) 음악(오보에)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유치부 6~7세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12월
교육 방향
▶
융합예술교육
▶
- 음악에 맞추어 동작을 익힘으로 신체를 통해 음악의 형식과 반복을 익히도록 함. - 미술작품을 감상하며 숨은 그림을 찾거나 색깔을 관찰하며 관찰력을 키우며 상상 력을 자극하는 질문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함. - 컷 아웃, 나만의 그림그리기, 작품 만들기를 통해 상상력을 키우고 표현하도록 함.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김포시 감정호
주요 교육내용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서울 젤로소 윈드 오케스트라 오보에 단원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순천음악협회와 순천 음악 실내악회의 다수의 솔로 연주 또한, 공예
예술활동 경력
광양 포스코 포에버 윈드 오케스트라에서 오보에 수석
▶
- 수업의 초반에는 교사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 자신감 없던 아이가 수업을 진행하 면서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수업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자유롭게 이야기 하도록 했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기존의 기능적인 부면을 향상시키는 수업이 아닌 유아의 내면속에 잠재되어 있는 생각과 감 각을 길어내고 표현할 수 있도록 했던 수업을 통해 아이들이 풍부한 감성과 정서를 갖고 표현할 수 있는 아이로 변화하였음을 느꼈다.
▶
- 수 년 동안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는 수업을 진행하다 보니, 아이들의 개성과 상황 과 필요한 욕구에 맞는 수업을 진행하는 면에서는 초점을 잃어가고 있는 것 같았다. 하지만 이번에 보육원 아이들의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음악교육이 꼭 기능적인 면만 이 강조되어서는 안 되고 그 수업을 통해 정서와 욕구와 감정과 감성을 골고루 다룰 수 있는 수업이 되어야겠다는 점을 계속 깨닫게 되는 것 같다. 특히 현재 배우고 있는 음악치료 수업을 통해 아이들의 심리적인 면을 알고 어떻게 접근해야하는지에 대해 서 배우면서 음악이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정서적, 감정적, 심리적인 선물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예술융합교육 수업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 유롭게 표현하는 것이 어렸을 때부터 꼭 필요하고 중요한 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그래서 앞으로도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는 음악 수업보다 아이들의 마음과 심리 와 정서와 감정을 아우를 수 있는 수업이 되도록 힘써야겠다.
음악
예술공간 ‘디귿’의 개관 초청연주회에 연주자로 초청되어 개관연주회에서 오보에 연주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에서 음악 강사로서 4년 10개월간 활동
2015년 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달 동안 음악수업을 진행
미디어아트
현재는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에서 아동 음악분야 보조강사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디자인
서울 컴파스 오케스트라의 오보에 객원 연주자로 연주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 마음을 울리는 소리 ‘오 ~카펠라’
기획의도
▶
- 목가적이며 감미로운 소리가 매력적인 악기인 오보에로 연주하는 아카펠라 연주 수업으 로 서로의 소리를 듣고 맞춰가며 협동심과 하나된 마음을 배우고 음악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체험한다.
사전방문 (3월)
- 어떤 수업 프로그램을 경험해 보았고 강사가 준비한 계획서의 내용과 연계활동이 되는 지 확인 - 최근 아동이 느꼈던 정서적으로 문제를 겪었던 이슈가 있는지 확인, 수업을 따라가기 힘 든 아동이 있는지 확인 - 악기 구입 및 기타 필요한 기자재 지원에 대해 담당자와 상의
후반기
- 성부 나누어 오카펠라 곡 연주하기 - 스타카토와 테누토, 시간, 그는 작은 배, 고사리 끊자, 5월의 기쁨, 슈바벤 춤곡, 목동의 춤
1
2~5
- 중간 B음에서 아래로 하향하는 음 인 A, G, F#, 중간C 음을 올바른 호흡을 통하여 연 주해보기 - B, A, G, F#, 중간 C 음을 롱 톤 호흡법으로 연주해보기 - 오보에 텅잉 (Tu- 투) 연습하기 - B, A, G, F#, 중간 C 음 텅잉과 손가락 연습하기
6~9
20~25
공예
- 오보에 악기의 역사와 음역대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악기관리법을 익히기 및 악기 조립하기 - 오보에 연주에 필요한 리드 사용에 대해 알고, 그 에 따른 관리법과 연주법을 습득한 후 오보에 소리내보기 - 오보에를 연주하기 앞서 불 수 있는 압력과 바람 조절 등의 연주법을 익혀 리드를 통해 B음 소리내기 - 중간 음역 B음을 올바른 호흡을 통해 연주해보기
사진
오리엔테이션
- Ice - breaking 을 통해 친밀감 쌓기- 패들드럼으로 자기이름 소개하기 - 놀이활동을 통해 배우는 호흡 기르기- 풍선 불기, 촛불끄기, 화장지불기 - 오보에 영상 감상하기-<가브리엘 오보에> 동영상 감상 후 실제연주 들어보기 - 오~카펠라 소개하기-오보에로 연주하는 아카펠라
교육회차
만화애니
교육내용
10~19 영화
기간
중반기
연극
연간 교육주제
- 고음 D음을 올바른 운지, 호흡을 통해 연주하기 - 반구멍 운지 고음 연습곡<런던다리>,<놀람교 향곡> - 고음 E, F, G 음을 올바른 운지, 호흡을 통해 연주해보고 옥타브 소리내기 및 간단한 선율 연습하 기 - 고음 A, B, C음을 올바른 운지, 호흡을 통해 연주하기, 옥타브 키를 사용하여 고음에 맞는 올바른 호흡으로 A, B, C 소리내기 - 저음 D, C, B 음을 올바른 운지, 호흡을 통해 연주하기 - 간단한 선율 연습하기 - 반음인 G#, A#음을 올바른 운지, 호흡을 통해 연주하기 -G, A음을 내는 키를 토대로 추가되는 키 익히기- 배운 음이 포함된 간단한 선율 연습하기 - F#,D#, C#음을 올바른 운지, 호흡을 통해 연주하기- <러브미텐더> 바장조, 사장조 연습 - 악기를 통해 스타카토와 테누토 표현하기-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Tu 를 토대로 처음에는 1/2 정 도의 짧기로 ‘톳’하는 느낌으로 소리내기, 테누토는 ‘투’에서 누르는 느낌으로 ‘투우’로 소리내기 - 악기를 통해 아티큘레이션 표현하기- <어진 임금님>곡 연습하기 - ♭, ♯ 연 연주표현을 할 수 있다.-교재의 간단한 선율 연습하기 - 악보에 그려진 리듬을 연주하기- <올드블루> 연주하기 - 점음표 표현을 연주하기-악보 보며 간단한 선율 연습하기 - 악보의 선율에 따라 F포크키 종류이해하고 표현하기 - 옥타브 C#,D 음의 운지를 올바른 호흡과 함께 연주하기 및 옥타브 연습 - 움직임 연습을 통해 테크닉적인 표현하기 -테크닉 연습곡 연습 - 크레센도와 데크레센도 차이를 이해하고 악기로 표현하기- 셈여림에 따른 2중주 연습곡 연습하기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디자인
전반기 음악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박경준
음악(관현악)
90분
중, 고등
두드리GO! 느껴보GO! 표현하 GO!
수업주제
▶
리듬익히기 및 연주하기
교육목표
▶
- 리듬이어치기, 리듬 전달 게임, 리듬카드 게임에 따라 리듬활동을 할 수 있다. - 리듬의 이름을 읽으며 노래의 리듬을 손뼉으로 두드릴 수 있다. - 오보에로 리듬 및 멜로디를 연주할 수 있다. - 리듬 응용 활동을 통해 신체를 통해 리듬을 느끼고 표현하며 음악적 즐거움과 흥미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준비물 및 필요물품 오보에, 리드, 악보 및 악보파일
공간활용 계획 소규모 작은 교실
만화애니
▶
무형 결과물 - 서로의 소리를 듣고 맞추려고 하지 않으면 좋은 오~카펠라 연주가 나올 수 없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은 서로의 소리 를 듣고 양보하고 협동하는 마음을 통해 팀에서 필요한 협동심과 배려심을 배우고 느낄 수 있으며, 공동체적인 마음과 나눌 수 있는 넉넉 함과 여유로움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화
수업명
유형 결과물- 학예회나 발표회 같은 작은 단위로 연주 할 수 있는 무대에서 연주 할 수 있다. 오보에만 연주 하다보면 저음부의 소리가 비 어보일 수 있기 때문에 필요시 첼로나 피아노와 같은 저음 선율을 보조할 수 있는 악기와 함께 연주해 보도록 구상하였다. 연극
강사명
를 가진다. - 리듬 이름 읽기를 통해 리듬체계를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다. - 신체와 활동을 통해 느꼈던 리듬을 악기로 연주 할 수 있다. - 음악 이론적인 리듬을 신체를 통해 느끼고 표현한다.
▶
사진
주요 교육내용
- 리듬의 이름을 익혀 구음으로, 구음과 손뼉으로 함께 리듬치기 해 본다. - ‘올드 블루’ 곡을 오보에로 연주해 본다.
공예
수업내용
- 리듬 전달게임- 줄 지어 서 있는 학생들 중 맨 뒤 학생의 등을 두드리는 방법을 통해 두마디 정도의 리
도입 (30분)
듬 신호를 한다. 그 학생은 말을 하지 않고 바로 앞 사람의 등을 두드리는 방법으로 맨 앞사람까지 그
디자인
- 리듬이어치기- 리듬을 강사와 학생들이 마디마다 번갈아 이어치기 한다.
리듬을 전달한다. - 리듬 카드 제시하기-여러가지 리듬 카드를 이용하여 강사가 학생들에게 빠른 리듬 반응과 암기력을 음악
발달시키는 게임 - 리듬계이름 읽으며 손뼉치기- ♬ ♬=띠띠띠띠
전개 (50분)
♬ ♩=띠띠 따 ♪♩♪= 띠따띠 - 오보에로 연주하기
- 오보에와 손뼉의 대결- 두 모둠으로 나누어 한 팀은 고정박, 한 팀은 손뼉치기한다.
미디어아트
정리 (10분)
미술
- ‘올드 블루’ 리듬 연습하기 =따 띠띠/ 따 띠띠/ 따따/ 따 쉼/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박영훈
세부전공
A- 0 9 30
지원분야(세부 분야)
음악(작곡) / 뉴미디어음악 음악(작곡, 이론, 앙상블, 컴퓨터음악)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거주지
1. 상명대학교 2. KB청소년음악대학 3. 기독교대한감리회 불꽃교회
교육가능 기간
▶
1. 2013년 9월 - 2015년 9월 2. 2014년 8월 - 현 3. 2005년 -현
교육 방향
▶
대학교에서 음악 관련 강사로 활동하면서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을 바탕으로 체계적 인 음악교육을 지향한다. 그리고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용적 이고 창의적인 음악교육을 진행한다.
▶
음악을 전공으로 하고 싶어 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작곡을 가르치며 관현악을 전공하는 아이들의 수준과 편성을 고려하여 앙상블을 진행한다. 음악 비전공 청소년 들을 대상으로 혼자 하는 음악이 아닌 합창 및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로 를 이해하고 음악이라는 개체를 통해 나 자신을 알아간다.
중,고등 기본교과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독 미금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주요 교육내용 2013.7~2014.6
Studio ELMU 음악감독 및 팀장
만화애니
▶
영화
교과연계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1) 교육개요
뮤지컬 ‘풍월주’ 음악 조감독 (2013) 사진
스윗소로우 2013 Summer Viva 콘서트 티져 영상음악 작곡(2013) 꿈의 오케스트라 연주 프로그램 작.편곡 (2013)
2) 교육 성과 및 효과
KBS 한국형 라이브러리제작산업 작곡가 (2013) 공예
천재교육출판사 악기동영상 컨텐츠 제작 음악감독 (2013) 만도 사내방송 시그널음악 작곡 (2013)
▶
20대 초반부터 청소년사역에 관심이 많았고 음악을 통해 아이들이 즐겁고 재밌는 삶 을 살아가길 원했다. 개인 수업을 통해서는 음악의 꼼꼼함과 소통을 통해 심도 한 이 야기를 나누고 그룹수업을 통해서는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음악으로 배우길 원했다. 그리고 음악은 과정일 뿐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래야 참여자가 마음을 열고 변한다.
박영사 고등음악교과서 음원 편곡 (2013)
예술활동 경력
메이드잇 (MADEIT) 음악감독 및 프로듀서 (2014) PPIIA 예술학교 세미나 및 공연(Phnum Penh, Cambodia) 'Love is' (2015) 모데스티(Modesty) '사봄타(사랑은 봄을 타나 봐요)‘ 작,편곡 및 프로듀서 (2015)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부천핸썹영화제 홈페이지 홍보영상음악 작곡 (2015) [국립과천과학관] 과학사랑송 장려상 (2015)
디자인
▶
1:1 개인적으로 수업을 진행할 경우 자신이 어떤 음악을 좋아하고 어떤 종류의 음악 을 잘하는지에 대해 방향성을 찾아 나가고 음악을 작곡할 경우 본인의 생각과 느낌 을 소리로 표현함으로써 즐거움과 성취감을 느끼게 해준다. 그룹수업을 진행할 경우 혼자 하는 음악과는 다르게 서로를 이해하고 하모니를 이룸으로써 공동체의 소중함 을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2015 전반기 KB청소년음악대학 관현악 앙상블 (바이올린1, 바이올린2, 플 릇, 클라리넷, 피아노)을 맡아서 진행했는데 모든 친구가 개인연주만 하다가 처음으 로 앙상블을 하게 되었는데 초반에는 자기 파트에만 신경 쓰다가 나중에는 서로의 소리를 들어가며 하모니를 이루는 모습을 보았다. 또한, 자기 파트를 연습하지 않으 면 앙상블에 피해를 준다는 생각을 가지면서 책임감이 더해졌다.
음악
[통일한국세움재단] 제1회 통일노래 우수상 (2015) [한국영상음악협회] 제2회 대한민국 영상음악제 은상 (2015) [경주시청] 경주 관광 로고송 입상 (2015)
ELAND Song Festival 음악편곡 (2015)
2013.9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강의
2014.9 ~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의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아우디코리아] 아우디디자인챌린지 2015 뮤직부문 파이널리스트 수상 (2015)
2014.8 ~ KB 청소년 음악대학 작곡교수 초빙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나를 음악으로 알리기 (작곡)
▶
- 요즘 싱어송라이터를 꿈꾸는 학생들이 많다. 본인의 생각과 철학을 담은 가사와 멜로디를 만드는(작곡)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녹음과 뮤직비디오를 제작한다. 이 과정을 통해 음악이론과 실습을 필수로 하며 기회가 된다면 작곡에 필요한 컴퓨터음악(큐베이스, 시벨리우 스)을 배운다.
박영훈
음악
21회차
교육대상 중등(전학년)/고등(저학년)
- 나를 음악으로 알리자
수업주제
▶
- 자기가 작곡한 음악을 직접 녹음하고 에디팅하기
교육목표
▶
- 우리가 듣는 음악이 어떻게 제작되었는지 실습을 통해 체험하고 알아간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자기의 음악의 장, 단점을 깨닫게 되는 동시에 추억을 남긴다.
1
주요 교육내용
▶
- 자기의 목소리로 혹은 타인의 목소리로 자신이 작곡한 곡을 녹음한다.
2~5
수업내용
교육회차
사진
▶
- 수업장소 분위기 확인
확인
교육소요 시간
수업명
- 보유하고 있는 악기 확인
- 간단한 자기소개 및 아이들이 음악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되는지
분야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여러 가지 음악의 장르를 듣고 느낌 이야기하기 (일상생활, 희로애락) 메이저와 마이너의 음악을 듣고 차이점 이야기하기 (이론수업) 다양한 악기의 소리를 듣고
공예
토론하기
전반기
- 도입 : 녹음 전에 마이크이의 종류와 유의사항을 설명한다. - 전개 : 자기의 목소리로 혹은 타인의 목소리로 자신이 작곡한 곡을 녹음한다. (개인별)
- 기존에 있는 음악에 개사하기
6~10
- 정리 : 녹음 후의 피드백 시간을 갖고 느낀 점을 얘기한다. 디자인
- 자기 생각을 글로 표현하고 음악 만들기 (기본적인 화성 및 멜로디진행 제공) - 음악이론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가사쓰고 작곡하기
중반기
- 노테이션프로그램(시벨리우스)으로 악보 만들기
11~20 준비물 및 필요물품
* 컴퓨터사용이 불가능 할 경우 다른 커리큘럼으로 대체 또는 강사 개인 컴퓨터를 사용하여 수업
- 컴퓨터, 콘덴서 마이크, 헤드폰, 보면대 등등
- 직접 레코딩하고 프로듀싱 해보기
공간활용 계획
- 곡 에디팅 및 마스터링 - 뮤직비디오 제작 또는 CD제작 및 앨범자켓 만들기
21~25
- 지원이 가능하면 외부 스튜디오 대여 미디어아트
- 지원이 불가능하다면 학교 내 스튜디오 혹은 조용한 장소 * 수업장소 환경에 맞게 레코딩 진행
미술
* 물품이 없으면 강사가 준비
후반기
음악
- 스마트폰으로 녹음하는 것이 아닌 마이크로 녹음을 받고 에디팅을 하는 것에 있어서 아이들이 새로운 경험을 체험하고 음악을 듣다가 직접 만들어 나가는 모습에 감동을 한다.
- 시퀀싱프로그램(큐베이스)으로 편곡하기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이수정
세부전공
A - 0 60 3
지원분야(세부 분야)
오르간 / 음악교육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교육가능 기간
▶
교육 방향
▶
종이로 악기를 만들어 꿈을 담은 악기를 만든다.
▶
1.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다양한 직업을 알아보고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탐색한다. -친구들과 모둠별로 발표한다. 2. 종이로 악기 만들기 -바이올린과 첼로를 재활용 종이를 활용하여 악기를 만들어 본다. -만들어진 악기에 자신의 꿈을 그림으로 그리고 채색한다. 3. 전시회하기 -만들어진 악기를 전시하도록 하여 자신의 꿈을 표현해 본다.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선택교과,자유학기제,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주요 교육내용
2015년 3월~12월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초등학교 4-6학년
영화
교과연계
초등 / 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음악 (지휘,피아노,시창청음,음악이론,합창,뮤지컬)
1) 교육개요
2013 대전시립교향악단 연주 천안 성남초등학교 예술꽃 씨앗학교 예술감독 겸 코디네이터 사진
목원대학교 음악원 오르간 교수 중부대학교 출강
2) 교육 성과 및 효과
남일중학교 바이올린부 강사 공예
2014 대전예술의 전당 음악영재아카데미 음악이론 강사 천안 성남초등학교 예술꽃 씨앗학교 예술감독 겸 코디네이터
예술활동 경력
자기표현력 상승 및 자존감 확립 타인과의 관계성 회복 및 사회성 증진 재능 발굴 및 개인의 음악적 역량 상승 긍정적 자아의 형성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해소 및 힐링 창의력 증진 및 급우관계 개선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도 증가
금산추부관악단 단장 2015 대전시립교향악단 연주 클랑 챔버오케스트라 지휘자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다양한 수업 준비 및 수업 기획 다양한 연령에 따른 유동적 수업 내용 및 수업 스킬 생김 대상자에 대한 이해의 폭 향상 테크닉 중심이 아닌 문화예술적 감성에 중심을 둔 교육이 되도록 함.
디자인
▶
-
목원대학교 음악원 오르간 교수
승당 이승신 재단 합창단 지휘자 음악
금산 보건소 실버합창단 지휘자 천안 성남초등학교 예술꽃 씨앗학교 예술감독 겸 코디네이터 대전예술의 전당 음악영재아카데미 음악이론 교수 목원대학교 음악원 오르간 교수
미술
2012~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아동 강사 2010~현재 음악교육연구소 클랑 대표 및 주강사, 기획, 총괄 2010~2015 범부처사업 강사 2015~2015 악기기부은행 강사 2012~2015 예술꽃 씨앗학교 코디네이터 및 예술감독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2014~2014 아리랑 문화예술교육사업 강사 2013~201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강사 문학
2015~2015 주말행복 클랑 타악기 오케스트라 강사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3. 1회차 교육계획안
▶
- 음악은 내 친구
▶
-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한 신체표현, 다양한 곡을 감상하며 표현하는 수업, 악기탐색 및 악기 만들기, 문학과 결합한 음악극 만들기 등 삶속에서 음악을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는 다채로 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음악과 문학, 체육, 미술 등의 다양한 분야와 함께 통합하여 창의력과 문화예술적 감성을 향상시킨다.
교육내용
교육회차
사전방문 (3월)
- 학교의 교육중점 사항 및 요구사항 확인
교육소요 시간
이수정
음악
3시간
오리엔테이션
- 지켜야할 규칙 정하기
1
▶
내 꿈을 담은 종이악기 만들기
수업주제
▶
자신의 꿈을 종이를 활용하여 악기로 만들고 그 위에 채색하여 미래에 대한 희망과 자신 의 삶을 구상하도록 한다.
교육목표
▶
- 미래의 나의 꿈이 무엇인지 정하고 그림으로 도안할 수 있다. - 종이를 이용하여 악기를 만들 수 있고 꿈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친구들과 자신의 꿈을 나눌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자신의 꿈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다. - 삶에 대한 소중함과 현재 무엇이 중요한지 알수 있다. - 타인의 꿈을 들여다 보며 나의 꿈에 대한 자신감과 확신을 갖을 수 있다. -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 본다. - 종이를 활용하여 악기를 만든다.
사진
- 강사와 대상자와의 내포형성을 위한 음악게임
-주제: 음악으로 말해요.
초,중,고등 전학년
수업명
- 담당 교사와의 소통 및 교육기자재 확인 - 1년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 전달
교육대상
만화애니
- 교육환경 및 대상자의 특성 파악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자신을 꿈을 그림으로 채색하여 꿈이 담긴 악기를 완성한다.
- 다양한 음악적 감성을 음악을 들으며 몸으로 표현하기 - 색채를 이용한 음악 표현하기
2~5
1. 다양한 꿈의 안내
- 스카프를 활용한 음악으로 소통하기
-동영상과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직업을 이해한다.
전반기
2. 자신의 꿈 찾기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그림으로 도안한다.
6~10
-모둠별로 정해진 악기를 종이로 만든다 -자신의 꿈을 도안하고 색칠한다. 4. 멋진 내꿈이 담긴 악기 -친구들과 만들어진 악기를 공유하며 자신의 꿈에 대해 나누어 본다.
-주제: 오감체험으로 즐거운 예술 - 첼로와 바이올린을 종이로 재단하기
11~20
- 꿈을 채색하고 악기 완성하기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만들어진 몸판을 연결하기 -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그림으로 도안하기
3. 종이로 악기 만들기 디자인
-주제: 즐거운 음악놀이 - 주사위와 말판으로 즐기는 신나는 음악게임 - 색칠하여 만드는 음악퍼즐 - 대형 발건반 위에서의 신나는 발건반 댄스타임 - 국악속 장단을 활용한 장단게임 - 색깔악보 만들기
중반기
수업내용 공예
- 리듬을 활용한 음악 표현하기
-개인별 꿈이 담긴 각각의 다양한 종이악기
- 다양한 악기의 체험 및 연주 - 음악극 만들기
준비물 및 필요물품 -꿈을 적는 꿈단지
- 학교 교가를 합창으로 불러보며 교가의 내용 이해하기
후반기
- 교가의 내용에 맞는 시나리오 구성,동작 연습 및 악기 연주 - 학급별 교가를 이용한 발표회 개최하기
21~25
-색칠물감
공간활용 계획 -모둠별로 책상을 배치하여 다양한 악기군을 만들도록 한다.
미디어아트
- 교가를 주제로 한 음악극 완성하기
미술
-신문지, 칼, 가위, 풀, 자, 비닐
-주제: 멋진 우리 학교 교가
-만들어진 악기를 공간에 배치하여 작은 전시회장을 만든다.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임현범
세부전공
A- 0 318
지원분야(세부 분야)
관현악 타악기 전공/음악교육 전공 음악(관현악)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 6학년, 중등 전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 ~ 12월
교육 방향
▶
타악기 연주를 통한 리듬감 향상과 자신감 향상
▶
물향기 엘 시스테마 오케스트라에 입단하여 다른 파트의 악기들과 합주를 하기 위 해 리듬 지도와 악보를 읽는 연습을 진행함. 각 음표와 쉼표, 그리고 박자를 알려주고, 변형된 리듬꼴을 알려주며, 팀파니, 베이스 드럼, 스네어드럼, 캐스터네츠, 탬버린, 트라이앵글 등 여러 악기로 연주할 수 있도록 지도함. 오케스트라, 영화음악 등 합주곡을 반주로 틀어주며, 그 안에서 악보를 보며 악상기 호에 맞추어 연주를 하도록 지도함.
선택교과 ,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탄로
주요 교육내용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영화
교과연계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청주 시립 교향악단 타악기 객원 연주 사진
청주 시립 합창단 타악기 객원 연주
2) 교육 성과 및 효과 안산 브라보 윈드 오케스트라 타악기 객원 연주 공예
예술활동 경력
민들레의 노래 드럼 세션 연주
수원 유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타악기 객원 연주 오산 팝스 오케스트라 단원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예전의 수업 진행 방식이 악보를 읽는 능력이나, 연주 능력의 향상을 위해 주입식 교육을 진행 하였지만, 현재는 합주를 통해 다른 악기들과의 호흡을 중요시 하여 지 도를 하였고, 음악을 이해하는 방법, 그 음악의 특징을 살려 연주하는 방법을 지도하 게 되어 기계적 음악이 아닌 감성적으로 음악의 느낌과 개인의 느낌을 살려 연주하 는 방법을 지도하게 되었고, 개인적으로도 음악적, 교육적으로 더 다양한 방법으로 지도하려고 교육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디자인
▶
- 음표와 쉼표를 전혀 몰랐던 학생들이 지금은 박자를 알고, 악보들을 읽으며, 악상 기호를 통해 자신의 느낌을 표현 할 수 있다. - 좋아하는 음악에 맞추어 자신이 원하는 간단한 리듬을 가지고 변형시키며 연주를 할 수 있다. - 악기를 가지고 연주를 할 때 매우 즐거워하며, 자신감이 넘치며, 자신들이 연주 해 보지 않은 도전하며 연주하려고 한다. - 무대 위에서의 자신감을 보이며, 지휘를 보며 연주하는 능력이 향상되었고, 다른 악 기들의 소리를 들으며 연주하는 능력이 향상 되었다.
일본 오카야마 마칭 페스티벌 참가 연주
음악
육군 본부 군악대 병장 만기 전역 물향기 엘 시스테마 오케스트라 타악기 강사 2015 진해군항제 해병대 사령부 군악대 Marching 연출 및 타악기지도 함안 군북 중학교 Marching 연출 및 타악기 지도
화성 소리나래 오케스트라 타악기 강사
미디어아트
31사단 군악대 Marching 연출 및 타악기 지도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성남 유니즌 오케스트라 타악기 강사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타악기의 이해
▶
- 오케스트라 타악기의 리듬 수업을 통하여, 여러 리듬꼴을 창작, 연주하게 함으로써 창의력을 계발하고 즉흥 연주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함. 또한 다른 학생들과의 합주를 함으로써 합 주 능력 및 협동심을 기르고, 음악의 선율과 셈여림, 속도 등의 여러 악상기호를 통해 학생의 표현 능력을 기르고자 함.
교육회차
분야
교육소요 시간
임현범
음악(관현악)
50분
▶
리듬의 이해
수업주제
▶
스네어 드럼의 기초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학교의 악기 구비 상태 확인하기 - 학교의 타악기 수업 공간 확인하기
- 오케스트라에서 타악기의 중요성 알기 - 타악기 수업의 진행 방향 설명
1
- 타악기의 정의 (다양한 종류의 타악기)
2~5
기대된다. - 리듬에 대한 정의적인 개념 형성이 명확해질 것이다.
로
- 박자의 개념, 음표, 쉼표의 길이 알아보기 - 리듬의 종류와 음표 읽는 방법 알아보기 - 스틱 잡는 방법과 종류, 싱글스트로크 익히기
공예
- 박자, 리듬, 셈여림 바로 알기 (다양한 박자와 리듬패턴)
- 박자, 음표의 길이, 리듬의 종류를 알 수 있다. - 스틱 잡는 방법과 그 종류를 알 수 있다. - 싱글 스트로크를 연주할 수 있다.
- 박자의 개념을 알아보고 음표를 구분하여 리듬 악보를 읽는 능력이 향상될 것으
- 오케스트라의 정의 - 오케스트라 각 악기군의 특징 (제재곡: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중등(전학년)
사진
수업명
교육대상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전반기
6~15 수업내용
디자인
- 작은북 (Snare Drum:스네어 드럼) 연주의 기초 - 싱글 스트로크 연주 방법 익히기 - 변형된 스트로크 리듬 패턴 익히기 - 악상 기호(셈여림, 박자)의 변화에 따른 연주방법 익히기
1. 도입 (10분) (1) 인사 출결 확인 (2) 동기유발(드럼라인 동영상 시청 및 스네어 드럼 시범 연주)
- 큰 북 (Bass Drum:베이스 드럼) & 심벌즈(Cymbals) 연주의 기초 - 효과 악기란? - 효과 악기(캐스터네츠, 탬버린, 트라이앵글 등) 연주 방법 익히기
16~20
(3) 학습 목표 제시 ① 박자, 음표의 길이, 리듬의 종류를 알 수 있다.
음악
중반기
② 스틱 잡는 방법과 그 종류를 알 수 있다.
- 타악기 앙상블을 통한 합주 능력 기르기
③ 싱글 스트로크를 연주할 수 있다.
(1) 박자의 개념 알아보기
미술
2. 수업 전개 (35분) - 박자 : 4/4박자 - 한 마디 안에 4분음표가 4개
후반기
- 오케스트라에 맞추어 연주하기 (MR or 합주) - 타악기 앙상블을 통한 합주 능력 기르기
21~25
3/4박자 - 한 마디 안에 4분음표가 3개 6/8박자 - 한 마디 안에 8분음표가 6개 (2) 음표, 쉼표의 길이 알아보기
미디어아트
2/4박자 - 한 마디 안에 4분음표가 2개
①온음표 : 4박자, 점2분음표: 3박자, 2분음표:2박자 ②4분음표 : 1박자, 점4분음표:1박자반 ③8분음표 : 반박자(1/2박자), 16분음표:1/4박자 문학
온쉼표, 점2분쉼표, 2분쉼표, 점4분쉼표, 4분쉼표, 8분쉼표, 16분쉼표 - 음표의 길이와 쉬는 길이가 같음
국악
교육계획서
(4) 음표 읽는 방법 ① 4분음표 : 박자는 한 박자지만 8분음표로 나누어서 1n(원엔), 2n(투엔), 3n(쓰리엔), 4n(포엔)으로 읽는다. ② 8분음표 : 4분음표 읽기와 마찬가지로 1n(원엔), 2n(투엔), 3n(쓰리엔), 4n(포엔)으로 읽는다.
무용
(3) 리듬의 종류 알아보기
기본정보 이름
지행숙
세부전공
A -0161
지원분야(세부 분야)
4en(포이엔)으로 읽는다. ④ 16분음표 : 한 박자를 4개 씩 나누는 음표로 한 박자 안에서1ena(원이에나), 2ena(투이에나), 3ena(쓰리에 나), 4ena(포이에나)로읽는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 매치드 그립 : 매치드 그립(Matched Grip)은 양손을 똑같은 모양으로 잡고 매치시켜 연주 하는 방식으로, 프렌
거주지
치 그립, 져먼 그립, 아메리칸 그립으로 나누어져 있다.
초등/중고등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웰빙타운로
③ 아메리칸 그립프렌치 그립(French Grip)과 져먼 그립(German Grip)의 중간 자세이다.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① 프렌치 그립 : 매치드 그립에서 엄지손가락의 손톱 부분이 위로 향하게 한다. ② 져먼 그립 : 매치드 그립에서 손등이 위를 향하게 하여 잡는다.
영화
(5) 스틱 잡는 방법과 종류 알아보기
음악(피아노) 연극
③ 셋잇단음표 : 한 박자를 세 개 씩 나누는 음표로 한박자 안에서 1en(원이엔), 2en(투이엔), 3en(쓰리엔),
피아노/오르간
④ 레귤러 그립(Regular Grip) - 오른손은 매치드 그립으로 잡는다. 왼손은 엄지와 검지 사이 안쪽으로 스틱의 버트 부분에서 1/3또는 1/4부분을 잡고 중지와 약지 사이에 스틱
(6) 싱글스트로크 익히기 ① 스네어 드럼을 연주함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주법. ② 한 손씩 교대로 연주한다.
2015. 10. 21 한국팬플릇오카리나강사협회수원지부 3회 정기연주회 수원시 하반기 문화지원 사업
④ 악보의 R은 오른손으로 연주하고, L은 왼손으로 연주한다.
공예
③ 느린 템포부터 속도를 점점 빠르게 연습한다.
예술활동 경력
사진
2014. 7. 13 한국팬플릇오카리나강사협회수원지부 2회 정기연주회
을 넣으며 잡는다.
3. 정리 (5분) ① 박자의 개념과 음표 확인하기
2010.3-2015.12 수원 매탄고등학교
② 리듬의 종류 확인하기
디자인
③ 악보의 기보법과 스틱 잡는 종류 확인하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필요물품 : 메트로놈, 엠프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4.3-2014.12 수원 호매실 고등학교
미술
준비물 : 드럼 스틱, 연습용 드럼패드, 타악기 (스네어드럼, 베이스드럼, 심벌, 팀파니 등)
2014.3-2014.12 수원 장애인 종합 복지관
음악
위의 수업 내용으로 인해 첫째, 음표를 구분하여 리듬 악보를 읽는 능력이 향상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리듬 개념을 여러 가지 활동으로 박자를 직접 느껴보고 학생들이 리듬을 직접 체험하도록 함으로써 자신감과 흥미를 가질 것으로 보이며, 리듬에 대한 정의적인 개념 형성 이 명확해질 것이라고 판단한다. 둘째, 악기 연주를 통해 직접 경험하도록 지도하면서 리듬 개념에 대한 기억이 오래 지속될 것이고, 리듬 감도 빠른 시간 내에 체득 될 것이다.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악기의 특성상 악기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교실에서의 수업은 한계가 있고, 음악실이나 다목적실 등 공간의 넓이가 확보되어야 하지만, 처 음 기초 수업시간에는 연습용 패드로 수업을 진행하기에 수업 인원수에 맞추어 의자만 확보 되어 있으면 수업 시 큰 문제가 없을 것입니 다.
2016.1-2016.2 경기도 교육청 꿈의 학교 지원 사업 예정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아동/ 1-2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4.5-6월
교육 방향
▶
오카리나를 통해 자기표현 능력을 키우고 같이 해나가는 성취감 체득
▶
1.오카리나라는 관악기를 통해 폐활량을 키우고 고른 호흡법을 익힘 2.노래, 리듬악기, 감상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미적 체험 3.순서를 지키고 기다릴 줄 아는 아이로 성장 4.친구들과의 협력 활동을 통한 대인관계 지능 높이기 5.발표를 통한 성취감, 만족도 고취
- 오카리나를 통한 탐험
기획의도
▶
- 오카리나는 흙으로 빚은 악기입니다.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악기중 하나입니다. 손쉽게 배웠던 오카리나에서 음역대가 다른 여러 종류의 오카리나를 활용하여 오케스트라가 연주하 는 곡들 연주해보기. 생각지 못한 사운드로 즐거울 것이며 무엇보다 옆의 친구 소리를 맞추며 들어야만 가능한 협업 수업입니다.
영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주요 교육내용
교육내용
사전방문 (3월)
-학교에서 저음역대가 가능한 오카리나 구입이 가능한지/ 안되면 대여하는 방법 제시
오리엔테이션
- 오카리나를 어느 정도 평균적으로 연주 가능한지 알아봅니다. - 기간 내에 기본 수업을 짧게 진행하고 나머지 시간엔 합주
교육회차
만화애니
기간
1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 오카리나 소개 - 오카리나 연주곡들 감상 - 기본 운지법 익히기
2~7 공예
- 간단한 선율 연주하기
전반기
▶
지역의 특성상 주의가 산만하고 수업 태도가 원만하지 않았던 학생들이 반마다 꽤 있었는데 꾸준히 칭찬해주며 관심을 보였더니 조금씩 제 눈을 맞추고 인정받고 싶어 했습니다. 처음에는 어려워 시도도 안 해 보더니 친구들이 돕기도 하고 저도 격려하 고 담임 선생님도 신경 써 주시고 하니 쉬운 곡 하나씩은 다 익혀 갔습니다. 본인도 성취감을 느끼고 만족해하며 마지막 날은 연주까지 해보이며 이런 친구들은 금방 결 과가 나오는 이런 수업이 적격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 2중주 , MR에 맞춰서
8~10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3, 5중주 - 7중주 쉬운 곡들 연주해보기 - 파트 정해서 연습
11~20
음악
중반기
- 7중주 오케스트라 버전 곡들 연주해보기
▶
- 연주회 준비
후반기
- 선정한 곡들 집중 연습 - 발표회
21~25 미디어아트
오카리나 단순 악기 익히는 수업에서 탈피해 오카리나 연주곡도 들어보고 오카리나 가 만들어진 배경에 대해서도 나누고 선생님의 연주도 들려주고 하면서 아이들이 점 차 두려움 보다는 친근함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도록 노력했습니다. 저학년이라 수 업을 진행함에 어려움도 따랐지만 넉넉한 마음으로 고르게 모든 아이들에게 대했던 것 같습니다. 오카리나로 전 학년을 만나는 기쁨이 컸던 수업이었습니다.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음악
1~2시간
교육대상
조경희
세부전공
A -0381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 (고)~ 중, 고등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수업주제
▶
협업이 가장 중요한 음악작업~ 오케스트라
교육목표
▶
-음악을 통해 행복해지기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오카리나로 오케스트라를 꿈꾸다
거주지
기본교과,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진사길 35
만화애니
- 음악은 가장 순수한 마음일 때 빛을 발합니다. 음악을 통한 힐링
교과연계
초등/중고등 영화
▶
음악(오르프 (통합음악)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음악/피아노교수학
연극
지행숙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개인주의 가득한 현실, 음악을 통한 협업작업 - 오카리나 짧은 시간에 익히기 - 간단한 2중주부터 합주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종로피아노교습소
한국무용교육
2002~2008
일산 관인음악학원
청소년예술단 “타발림” 한국무용 교육
2006~2010
뉴코아 백화점 동수원점, 분당야탑점 ,일산마 두점문화센터
한국무용 교육
2006~현재
평촌 엔씨백화점 문화센터
국악 교육
2014.10.2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음악씨의 친절한 초대 이야기가 있는클래식 병사이야기 ”
보조강사
2013.7~2013.12
부천문화재단 나눔문화사업 고강 지역아동센터
오르프 음악강사
2014.3~2014.12
경기문화재단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소리로 만든 세상’
오르프 음악강사
2014.3~2015.12
안성 내혜홀 초등학교 특성화수업
오르프 음악강사
2015.03.02.~ 2015.11.30
평택서부노인복지관
문화나눔 노인 음악 젬베 보조강사
2015.03.20.~ 2015.11.20
청주 희망원
오르프음악강사
오케스트라는 크게는 한 무리이지만 작게는 그 안에 또 악기군으로 무리가 지어져 있습니다. 오카리나 종류대로 소그룹으로 모
공예
1995~1998
사진
- 모두가 하나가 되어야 하는 오케스트라를 오카리나로 체험해보기
여 연습도 하고 소리를 맞추고 다시 큰 무리로 나와 소그룹대로 하나가 되어 또 맞춰 나가는 작업을 하고... 오케스트라를 체험해 보려면 현실상 불가능 하지만 오카리나는 익히기가 쉽기 때문에 누구나가 다 가능합니다. 기초 익히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함 께 하는 중주를 조금씩 확산시켜 진행할 계획입니다. 오카리나로 멋진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연주를 해보면 만족감과 성취감을
디자인
클 겁니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술
AC 오카리나/ 파트 오카리나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악기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한 악기를 제대로 연주가능 오케스트라로만 연주 가능한 대곡들 연주 협업을 통해 친구간의 관계 개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교육 성과 및 효과
1) 교육개요 ▶
교육가능 기간
▶
교육 방향
▶
1.음악만을 다룬 수업에 비해서 미술활동에 대한 흥미가 수업전반으로 확장되어 학 생들로 하여금 수업에 대한 호감과 적극적인 참여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년 * 음악과 미술의 통합수업을 통한 음악적 감수성 향상과 창의성 개발
주제: 거북이와 캉캉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2. 올 하반기에 한세대 달크로즈 센터에서 진행된 “smart 8” 이라는 예술 융합 프로그램 세미나를 이수하면서 세계 최고의 명화와 클래식을 통한 창의적인 거장들의 아이디어를 벤치마킹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 세미나를 통해 얻은 다양한 예술지식들을 수업 내용에 맞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학 생들의 예술적 안목과 감각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공예 디자인 음악
마무리: 두개의 작품의 차이점을 비교해본다. *확장: 빠른 동요를 느리게, 느린 동요를 빠르게 불러본다.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1. 음악이 시간예술이고 미술이 시각 예술이란 측면에서, 서로의 특징 을 상호 보완함으 로써 학생들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작품으로 남길 수 있어서 스스로 성취감을 더 느끼는 것 같았다.
사진
도입: 패러디에 대한 소개 (-다빈치의 모나리자와 패르난도 보테로, 앤서니 브라운의 모나리자 사진 제시: 여러 가지 패러디 효과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나눈다. ) 전개: 1) 생상의 거북이와 오펜바흐의 캉캉음악 탐색 2) 캉캉 댄스와 신체 활동:스카프 활용 (일정박으로) 3) 일정박 점찍기와 점묘법 미술활동 -두개의 거북이 등껍질 모티브 도형이 그려진 도화지에 음악 감상을 하며 유성매직으로 일정박으로 점을 찍는다. 4) 쇠라의 점묘법 작품을 감상하며 점이 모여 선,선이 모여 면을 이루는 것을 이해한다.
4. 음악활동과는 다르게 미술활동의 특성상 자신의 생각을 쉽게 표현하고 결과물로 남길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더 큰 흥미유발을 할 수 있었다.
만화애니
3. 매 차시마다 충분한 시간이 요구되는 미술활동이 포함되어 있어서 수업 내용을 2 차시로 나눠 구성했었는데 이는 일반적인 오르프 음악만의 수업보다 긴 시간이었지 만 학생들이 끝까지 지루해하지 않고 몰입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활동 전환이 적절하면서도 충분히 몰입 할 수 있는 과제들이 주어졌기 때문인 것 같다,
*예술 통합적 목표: 원작과 패러디 작품의 비교 감상을 통해 패러디의 개념과 효과를 이해 할 수 있다. *음악적 목표: 음악 감상을 하며 일정박으로 신체 활동을 하고 빠르기의 대비를 인지 할 수 있다. *미술적 목표: 점묘법 표현을 통해 점, 선, 면이 되는 조형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
주요 교육내용
2.일반적으로 학생들의 자유로운 표현과 묘사를 요구하는 보편적인 미술수업에 비 해, 음악과 통합된 명확한 학습목표가 있는 수업구성은 학생들의 몰입도를 상승시켰 으며 그로 인해 모든 학생들이 끝까지 작품을 완성할 수 있었으며 이렇게 만들어낸 창작물은 아동들에게 높은 성취감을 부여했다.
영화
▶
초등 전학년
연극
교육가능 교급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학생들의 음악과 미술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 표현력을 극대화 도움을 주려고 함. - 주체적인 사고와 행동을 위해 자아 정체성을 확립시키는데 도움을 주려고 함. - 음악을 향유하며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려고 함
▶
시키는데
세계 여러 나라 의 동요 부르며 춤추기
-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남미 등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배우며 민속 악기를 연주하며 춤추 기. - 악기 연주하고 노래 부르며 친구와 친밀감 형성하기 - 음악 속에 숨겨진 형식, 셈여림. 빠르기말을 이해하고, 리듬. 고무줄을 이용하여 박자놀이 등 을 해본다.
11~20
연극
기획의도
음악을 그리고 그림으로 연주하다!
▶
영화
기간
교육회차
- 학생들의 연령대. 수업 참여 학생수, 음악수업의 경험 유무. 피아노 또는 오르프 악기 구비 유무. 컴퓨터 또는 빔 프로젝트 구비 유무 - 담당 선생님과 학생들의 특성 ,교육방향 ,수업 계획안 상담
오리엔테이션
- PPT로 오르프 음악에 대한 짧은 동영상을 감상한다. - 학생들과 인사 나누기, 이름 게임하기
1
- 내가 만든 리듬 빗소리 - 비의 옛말을 알아보고 빗소리 의성어를 가지고 만든 말 리듬으로 오스티나토 앙상블을 해본다. -비에 관한 명화를 감상하고 그 위에 OHP필름을 대고 네임펜으로 자유롭게 빗방울을 그려본다. - 악기로 표현하는 점. 선. 면. 빗소리 (서세옥 화백의 작품 감상) - 노란우산 - “노란 우산” 그림책을 음악과 함께 들으며 스토리텔링하기 - 한지 우산위에 두세 가지 색상의 물감을 섞어 분무기로 뿌리며 점들이 선이 되고 면이 되는 과정들을 경험한다.
21~25 사진
2~5 공예
- 몸으로 만드는 앙상블-몸에서 나는 소리를 탐색하고, 몸의 소리를 활용하여 친구 와 앙상블을 만든다.
후반기 “빗방울의 발”
- 몸열기 마음열기-음악을 들으며 자유롭게 움직이고, 이름표를 만들며 자신을 표 현한다.
전반기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 우리 몸을 합하면 무엇이 될까 ? - 내 몸의 움직임을 탐색하고 모루로 시각화 할 수 있다.
내 몸과 소통하기
- 몸으로 말해요 -모둠별로 사진이나 그림 또는 짧은 단어에 리듬을 붙여 말리듬 만 들기. 내청으로 신체리듬으로만 해보기
디자인
- 내몸은 마술사 -나의 몸을 탐색하고, 몸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를 만들어본다.
6~10
<중반기>
- 소리 도깨비- 소리도깨비와 함께 소리박물관으로 가서 잃어버린 소리들을 찾아 주기 - 소리로 요리하자!! -요리할 때 나는 소리들을 상상하며 악기를 연주하고 주변의
11~20
미술
들리는 소리를 보 이는 소리로, 보이는 소리를 들 리는 소리로,
음악
- 나는야 조각가 -악기소리를 듣고 들리는 소리를 그림으로 그려보고 신체로 여러 가 지 몸짓으로 표현해본다.
재료를 활용하여 나만의 상상의 요리를 만든다. - 소리 몽타주-1.우리 주변의 다양한 소리들을 찾아보고 그림으로 그려본다. 미디어아트
2.들리는 소리를 현실의 물건 및 상황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한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분야
교육소요 시간
조경희
음악
80분
초등 전학년
“빗방울의 발”
수업주제
▶
“내가 만든 빗방울”
▶
- 짧은 소리, 긴소리를 구별하여 움직임으로 표현하기 - 다양한 빗소리의 실제소리를 듣고 탐색하여 말리듬, 악기소리 창작하기 - 클래식음악과 다양한 명화들을 감상하고 상호 작용을 통하여 예술적 지식을 습득하고 상상력과 창의력을 극대화 시키기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인지적 요소: 사고의 확산. 사고의 수렴 ▶
- 성향적 요소: 독립성, 개방성 - 동기적 요소: 흥미, 몰입
- 동시 “빗방울의 발”을 감상한 후 신체 표현하기 ▶
- 비의 옛말을 알고 말리듬 만들고 악기로 연주하기
전개 (60분)
1. 실제 빗소리 음원을 들어보고 어떤 비들이 숨어 있는지 상상하기 2, 재미있는 비의 옛말을 알여주면 어떤 비일지 상상해보기 (가루비-가루처럼 포슬포슬 내리는비, 도둑비-도둑처럼 예기치 않게 밤에 몰래 살짝 내리는 비. 실비 -실처럼 가늘게, 길게 금을 그으며 내리는 비,,등등) 3. 여러 가지 비가 내리는 그림들을 교사가 재시해주며 모둠끼리 말리듬을 만들어본다.
<말리듬 예> 톡톡톡톡 - ♩♩♩♩ 탁탁탁탁탁탁탁탁 - ♬♬♬♬ 좍- 좍 ♩♩ 쏴아 - º
준비물 및 필요물품 비에 관련된 명화, 사진, 네임펜, 그라나도스의 비야네스까(옛노래)cd. 리듬 악기,
미디어아트
<말리듬 예> 톡톡톡톡 - ♩♩♩♩ 탁탁탁탁탁탁탁탁 - ♬♬♬♬ 좍- 좍 ♩♩ 쏴아 - º
공간활용 계획 미술
전개 (60분)
1. 실제 빗소리 음원을 들어보고 어떤 비들이 숨어 있는지 상상하기 2, 재미있는 비의 옛말을 알여주면 어떤 비일지 상상해보기 (가루비-가루처럼 포슬포슬 내리는비, 도둑비-도둑처럼 예기치 않게 밤에 몰래 살짝 내리는 비. 실비 -실처럼 가늘게, 길게 금을 그으며 내리는 비,,등등) 3. 여러 가지 비가 내리는 그림들을 교사가 재시해주며 모둠끼리 말리듬을 만들어본다.
음악
1, “빗방울의 발”동시를 감상한 후 비 맞는 느낌 상상하기 -교사가 템플블럭과 레인스틱으로 떨어지는 빗방울 소리를 다양하게 연주하면 학생 들은 각자의 움직임으로 반 응하기
디자인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공예
- 비가 내리는 모습과 인상을 그림으로 자유롭게 표현하기
수업내용
도입
친구의 작품과 내 작품을 비교하며 서로 감상하기
사진
주요 교육내용
평가 및 마무리 (10분)
만화애니
▶
영화
수업명
교육목표
전개 (60분)
교육대상
연극
강사명
4. 모둠끼리 만든 말리듬에 맞는 악기를 고르고 신체로 표현할 학생과 악기연주 학생들을 나눈다. 5. 악기연주에 맞춰 신체동작으로 표현해본다. 6. 비에 관한 클래식 음악과 명화 감상하기 - 그라나도스의 비야네스까(옛노래)를 감상하며 빗방울 소리 같은 부분이 들리는지 - 집중해서 들어보기 - 음악을 들으며 여러 가지 비에 관한 명화와 사진을 감상하기 (마그리트- 겨울비, 카유보트-비오는날 파리의 거리, 르누와르- 우산 쓴 소녀, 등등) 7. 음악을 들으며 그림이나 사진에 OHP필름을 대고 빗방울 소리 같은 부분이 들리면 네임펜으로 자유롭게 점이나 선으로 표 현하기 8. 다른 친구의 그림에 자신이 표현한 빗방울을 대보고 감상하기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최윤정
세부전공
A- 0 2 14
지원분야(세부 분야)
바이올린 음악(바이올린)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학교 고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12월
▶
참여 학생이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의 가치를 이해하고, 나아가 성취감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함. 다양한 종류 및 연주형태로 악기를 연주하여, 표현과 소통의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함.
▶
ㆍ바이올린 연주활동. ㆍ컵타와 몸타를 통한 리듬 공부. ㆍ작사 작곡 음악활동. ㆍ학기말에 작은 음악회 열거나 사회봉사활동 나가 연주하기.
교육 방향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김포시 걸포동
주요 교육내용
사진
2015년11월 ~ 현재 강서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단원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예술활동 경력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2) 교육 성과 및 효과 공예
▶
아이들이라면 누구나 지지받고 사랑받는 환경에서 배우고, 자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육의 중심에 교사가 아닌 배우는 학생들이 있을 때 참된 교육이 되리라 믿는다. 교 사로서 학생들의 필요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배움의 과정을 격려하며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배웠다. 잘하던 못하던 학생들을 믿고, 배움의 여정을 함께 하여, 그들이 성장 하는 모습을 보는 것에 보람을 느끼게 되었다.
음악
▶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3학년 철영이는 ADHD학생이었다. 1학년 때부터 학교에서 유명한 아이로 통했는지, 담당선생님께서 내게 언질을 주시기까지 했다. 수업시간에 집중을 못하고 많이 돌아 다니며, 친구관계에서도 많이 위축된 상태였다. 그러나 바이올린 시간을 좋아했으며, 특히 음악실 내 배치된 여러 가지 타악기로 리듬을 배우는 시간을 가장 좋아했다. 전 혀 되지 않을 것 같던 곡을 서툴지만 연주할 수 있게 되면서 성취감을 느꼈고, 학기말 에 있었던 음악회를 통해 자신이 배운 곡을 사람들 앞에서 연주하고 박수 받으면서 이전보다 밝게 웃었던 모습이 기억에 남는다.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교육계획서
3. 1회차 교육계획안
▶
음악가와 함께하는 내 꿈을 찾아서
기획의도
▶
생활 속에서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진로를 탐색하여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발견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게 음악 경험이 일어나는 현장에 대한 관찰을 통하 여 다양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교육내용
교육회차
수업에 관련하여 담당교사와 논의.
분야
교육소요 시간
최윤정
음악(진로탐색)
45분
▶
음악가와 함께하는 내 꿈을 찾아서
수업주제
▶
음악의 역할과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교육목표
▶
음악이 삶에 미치는 영향력을 이해 할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1
주요 교육내용
▶
-프로그램 ‘나는 무엇을 잘할 수 있을까?’ (다중지능검사)
음악의 사회적 역할 및 음악의 가치를 이해하여 앞으로 전개될 음악분야의 다양한 직 업군들을 탐색하는 의미를 학생들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비평하면서 읽기 음악 감상 및 동영상 시청 토론하기
사진
Ⅰ.감정의 변화를 주는 음악이야기 -음악과 우리의 감정
전반기
Ⅱ.여러 종류의 가수가 있다고요?
만화애니
-인사 및 수업에 대한 간단한 소개
중학교
수업명
■ 첫 만남
오리엔테이션
교육대상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사전방문 (3월)
국악
교육계획서
2~4
수업내용
-성악가와 전통노래 연주가, 뮤지컬 가수
도입
■나의 음악 경험 -음악이 나에게 준 경험 떠올리기
공예
-오페라, 연극, 뮤지컬의 차이점
Ⅲ.기악연주자의 길 -서양악기와 서양음악의 악기편성 Ⅳ. 우리도 작곡가가 될 수 있어요. -서양음악사의 시대별 주요작곡가 이야기
전개
-모차르트 변주곡 ‘작은 별’을 이용한 난타리듬 만들기
중반기
-우리도 랩을 써보자
5~13
Ⅴ.음악분야의 또 다른 전문가들 -공연 제작가가 되려면; 좋은 음악 연주회장의 조건 오페라와 뮤지컬공연장 VS 독주와 실내악 VS 대중음악 -공연장의 젠틀맨 찾기 -악기제작가가 되려면- 바이올린, 전통악기 제작과정
정리
미술
■음악과 우리의 감정 -음악이 나의 감정과 정서에 미친 영향 이야기하기 다음 차시 예고.
음악
-공연기획자가 되려면
디자인
-국악기와 국악의 악기편성
■음악이 전하는 이야기 음악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무엇인지 생각하기 음악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기 ■마음을 움직이는 음악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5번> 감상하기 -베토벤이 작곡한 운명 교향곡의 작곡 배경 알아보기 (운명과 당당히 맞서 이뤄낸 음악) -베토벤의 작곡 의도를 알고 난 다음 음악을 통해 변화된 감정 이야기하기 -마음을 움직이는 음악 -요한 스트라우스 2세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강>작곡 배경 읽기 -음악이 오스트리아 사람들에게 준 영향 이야기하기
Ⅵ.음악교육자와 음악언론인은 어떤 일을 하나요? -음악 교육학자는 어떤 일을 하나요? Ⅶ. 나의 꿈을 위해 해야 할 일 -역경을 이긴 인물탐구, 그들은 무엇을 했나? -음악을 사랑한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
14~17
미디어아트
-음악 언론인; ‘나도 음악평론가’활동
후반기
-이력서 써보기 활동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무용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음악의 사회적 기능과 가치를 이해하고, 음악 분야에 있어 알지 못했던 다양한 직업군을 접하고, 이를 창출하는 사람들의 활동을 관찰함으로써 기대와 긍지를 가지고 스스로 진로를 설계하도록 도울 수 있다. 연극
준비물 및 필요물품 PPT자료, 활동지, 연필, 지우개.
영화
공간활용 계획 시청각 자료를 쓸 수 있는 교실
만화애니 사진
미술
공예 디자인 음악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강유정
세부전공
A- 0 6 69
지원분야(세부 분야)
서양화, 미술사학 미술(서양화)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중학교 1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9월 ~ 12월
교육 방향
▶
소묘, 수채화 등 다양한 실기 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지도했습니다.
▶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 수채화반을 담당했습니다. 자유학기제의 취지에 따라 학생들 의 꿈과 끼를 기르고 교과 외의 분야에 대한 적성을 탐색하게 하도록 했습니다. 수채 화를 교육하기에 앞서 소묘를 교육하고, 색채 소묘, 야외 드로잉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했습니다. 수업 목표는 다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미술에 대한 관심 과 재능이 제각각인 학생들이 보편적으로 수업에 흥미를 느끼는 것입니다. 둘째는 수 업에서 다양한 기법과 표현방식을 직접 체험하고 작품 완성의 메카니즘을 조금이나 마 체험해 보도록 하려는 것입니다.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성남시 분당구 양현로
주요 교육내용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2015년 상반기 미술대학 연합전시 오매불망 자나 깨나 잊지 못 함2015‘’ 사진
예술활동 경력
2) 교육 성과 및 효과 2015년 하반기 오늘의 살롱 ‘2015’
2013년 이화여대박불관 '도슨트 활동 (박물관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 미술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던 학생에게는 교내 미술 전시회 참여가 보람 있 게 느껴졌습니다. 점묘화로 인상주의를 모작하는 수업을 지도했으며, 수업의 결과물 중 일부를 전시회에 참여시켰습니다. 그 과정에서 미술에 흥미가 없었던 학생이 재능 이 있다고 느끼고 이후 수업에서 향상된 참여도를 보였다는 점에서 개선되었음을 확 인할 수 있었습니다.
디자인
▶
공예
2015년 9월부터12월성남 운중중학교 자유학기제 수업 (수채화반)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미술에 흥미가 있는 학생은 야외 드로잉 수업에 흥미를 느꼈습니다. 야외 드로잉 수업은 교실 밖에서 나무 한 그루를 정하고 정확하게 관찰하여 나무의 성장 방식을 이해하고 사실적으로 그리는 것이었습니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대상을 정확하게 관찰해본 경험이 많지 않기 때문에, 관찰방법을 알려주고 스스로 관찰하고 표현하도 록 지도했습니다. 미술에 흥미가 있는 학생에게는 정확한 관찰력을 기르는 시간이 되 었습니다.
동행프로젝트 - 수색초등학교, 청구초등학교, 성원초등학교, 연희중학교 등에서 수채화 교육 재능기부 봉사활동
▶
미디어아트
- 학교에서 미술교과를 지도할 때 다양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수준 차이를 아우르는 수업을 구상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특히 실기 중심 교육에서는 실기력이 부족한 학생이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큰데, 각자 성실히 수 행하면 일정한 수준 이상의 결과물이 탄생하는 수업을 진행하는 것도 이를 보완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미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인문학으로 그려낸 미술’
▶
- 미술을 통해 인문학에 다가가고 나아가 인간다운 삶,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 자신을 발견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술은 인문학을 습득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분야이기 때문이다. 미술과 인문학을 다양한 주제로 융합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스스로 분석, 토론, 작품활동 을 함으로써 미술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력, 융합하는 사고력은 물론이며 인문학적 소양 을 기르고자 한다.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강유정
미술 (서양화)
1회 2차시
중학교 전학년 / 고등학교 1학년
수업명
▶
‘인문학으로 그려낸 미술’
수업주제
▶
‘18세기 조선사와 진경산수화’ - 꼴라주로 현대적 진경산수화 만들기
교육목표
▶
- 역사와 미술 사조를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 진경산수화를 현대적으로 변용하여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 미술실 및 실기 가능 공간 확인 및 실습 재료 점검 - 간단한 시범 수업 - 연간 교육계획 및 주제 설명
1
<미술로 코드 읽기> - 강사의 설명과 함께 그림을 감상하고 작품 활동을 진행한다. - 학생들은 기호와 상징, 도상 등을 배움으로써 명화를 재미있게 감상할 수 있다. 스스로 작품 활동에 적용함으로써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 - ‘그리스로마 신화와 르네상스미술 읽기’
- 인문학과의 융합을 통해 미술 외 영역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 17~18세기 조선과 동아시아사를 배운다. - 겸재정선과 진경산수화 작품을 감상하고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화론을 이해한다. - 현대의 도시 이미지를 이용하여 현대적 진경산수화를 제작한다.
- ‘미술 속 여성 읽기’
전반기
사진
2~7
- 감상과 실기를 아우르는 다양한 미술 활동을 체험할 수 있다.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민화와 바니타스정물화 읽기’ - 나만의 민화 / 정물화 만들기
수업내용 8~9
본 수업은 미술과 인문학을 융합하는 수업으로, 한국화와 한국사를 엮어서 학습한 후 배운 내용을 작품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
공예
<미술로 철학 읽기> - 강사가 제시하는 철학적 주제에 맞추어 명화를 감상하고 토론을 한다. 학습지를 풀고 주제를 표현하는 드로잉 작품을 제작한다. - 철학, 미술, 음악, 영화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여 강의한다. - 학생들은 융합하는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 ‘미술로 사랑 읽기’, ‘미술로 죽음 읽기‘
표로 한다. 수업은 총 2차시로 진행된다. 수업의 과정에서는 강사의 설명, 작품 감상, 토론 등의 교수법이 사용되며, 학생들은 꼴 라주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 활동을 한다.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미술을 역사 안에서 이해하고 자신의 작품으로 제작하는 현대적 변용을 체험할 수 있다.
<미술로 역사 읽기>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조선만의 독특한 화풍으로, 이를 이해하는 데에는 17~18세기 조선과 인근의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 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17세기 명청교체기와 조선의 소중화의식, 새롭게 피어나는 근대적 정신들에 대해서 배움으로써
대적으로 변용하여 작품 활동을 진행한다.
한국사를 학습한다. 진경산수화를 감상하고 겸재정선의 화풍과 화론을 배운 후 등장의 시대적 필연성과 의의를 학습한다. 현대
- 학생들은 다양하고 창의적인 작품 제작기법을 습득할 수 있다. - ‘세계대전과 현대미술’ - 미래 도시 디자인하기
10~18
디자인
- 동서양의 역사에 비추어 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한다. 배운 내용을 토대로 현
작가들의 작품을 참고자료로 접함으로써 현대미술을 감상하고 현대적으로 변용하는 과정을 이해한다. 학생들은 잡지 등의 이미 지를 꼴라주하고 드로잉함으로써 전통 한국화 이론에 현대미술 기법을 창의적으로 접목하여 직접 현대적 진경산수화를 만든다.
- ‘18세기 조선사와 진경산수화’ - 꼴라주로 현대적 진경산수화 만들기 - ‘디자인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 아르누보와 아르데코 상품 디자인하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미술로 우리나라 읽기> - 우리나라 최신 미술작품을 소개하고 함께 감상한다. - 실제 문화생활을 영위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우리나라 현대 미술작품에 친숙해
19~20
준비물 및 필요물품
미술
질 수 있다.
학생들은 잡지와 사진 등 다양한 프린트 이미지가 꼴라주된 작품을 제작한다. 강사가 잡지와 사진 으로 익숙한 지형지물의 이 미지를 제공하고, 학생들은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마을을 구성함으로써 현대적 진경산수화를 만든다. 이때, 학생들은 자유롭게 사진을 변형할 수 있으며 드로잉을 첨가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한다.
음악
중반기
잡지, 사진, 붓펜, 공작 도구 <미술로 나를 알아가기>
후반기
아보는 시간을 갖게 한다. - 미술사 속 기법을 이용해 다양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 - ‘하이퍼리얼리즘으로 얼굴 관찰하기’
공간활용 계획 21~25 실기 수업이 가능하며 PPT 프레젠테이션이 가능한 곳.
미디어아트
- 자신의 마음에 귀 기울이는 시간이 적어지는 학생들에게 미술을 통해 자신을 돌
- ‘내 마음의 소리가 들리니’ - 자동기술법으로 초현실주의 작품 만들기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금사영
세부전공
A- 0 2 51
지원분야(세부 분야)
서양화/painting&drawing 미술(서양화)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저학년 ~ 고등 전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12월
교육 방향
▶
미술실기 영화
교과연계
초등/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기본교과,선택교과,창의적체험활동,자유학기제,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주요 교육내용
▶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대표 할 수 있는 물건이나 건축이나 인물 등을 알아 보고 문화적인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알아보고 자신의 작품으로 표현 한다 학생들의 창의 적인 사고력과 그 생각을 시각적인 예술적 표현으로 이끌어내기 위 해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작품을 창작해본다 ( 드로잉 , 수채화 , 아크릴화 ,소묘 , 콜라쥐 등 )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예술적인 표현을 향상 시킨다 .
2014 가가 갤러리 welcm 2014 전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2014 세계작가 공모전 캐피탈 갤러리 공예
2015 8번가 갤러리 . 3번째 개인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학생들은 자신들의 내면의 무의식적인 내면의 세계를 스스로 이끌어 내지 못하므로 미술이라는 예술 활동을 통해 닫혀 진 세계의 잠재력을 자극시키고 그것을 미술활 동으로 표현함으로 예술적인 표현 능력 뿐 아니라 자신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되며 그 런 활동이 자아를 형성 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경우를 학생들을 가르치며 경험 했습 니다 .
디자인
예술활동 경력
2015 세계미술작가 교류 협회전
음악
2015 대구 아트페어 ( 갤러리 고도 )
미술
▶
미술을 수업을 받는 학생들은 교과 과목에서 경험 하지 못한 자신의 상상력과 창의 력을 개발하는 미술수업 에 대해 상당히 흥미를 갖게 되고 그런 예술 활동으로 인한 결괴물을 보는 학부모들도 예술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갖게 되었습니다 .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기초 서양화 ( 드로잉과 페인팅 )
▶
- 자신이 생각하는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물건이나 , 건축물을 알아보고 그 사물의 시대성과 역사성을 알아보고 문화적 가치에 대해 토론해봄으로서 예술작품 속에서 다루어진 예술적인 주제와 역사적인 가치를 알아본다 -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예술적인 시각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그림은 3차원의 공간과 사물을 2차원으 로 표현하는 서양화 의 기본표현 기법을 드로잉 ,수채화 ,아크릴화, 유화, 소묘로 표현해본다
교육회차
분야
교육소요 시간
금사영
미술
90분~120 분
- 드로잉과 페인팅 이라는 주제로 자신의 내면과 연관된 사물 , 풍경 , 추상적인 표현을 표현하는 방법과 유명화가들의 작품 세계를 탐구해본다
1
- 드로잉으로 자신의 생각을 인물화를 통해 추상적인 패턴 으로 표현 해본다
초등저학년 ~고등 전학년
수업명
▶
수업주제
▶
자신이 이 살고 있는 세상을 대표 할 수있는 사물이나 건축물, 글자, 인물, 문화 등을 알 아보고 자신의 그림으로 표현해본다 .
교육목표
▶
- 자신이 생각하는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물건이나 ,인물의 문화적인 영향력 건축물을 알아보고 그 사물의 시대성과 역사성을 알아보고 문화적 가치에 대해 토론해보고 문화예 술에 끼치는 영향력등에 대해 알아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학교 미술시간에서 다루는 표현 기법과 내용을 확인한다 . - 학생들에게 좀더 응용된 진보된 예술표현을 알아본다
교육대상
드로잉과 페인팅
- 미술을 통한 문화적인 흐름과 역사와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서 미래의 고급문화를 만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11~20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들어 가는데 기여를 이다 .
- 자신의 자화상과 자신이 가고싶은 도시를 함께 그려보거나 자신의 꿈 , 자신이 본다 .
전반기
2~5
-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대표할수 있는 물건이나 건축이나 인물 등을 알아보 고 문화적인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알아보고 자신의 작품으로 표현한다
사진
좋아하는 물간등을 자화상과 와 연결 하여 표혀내보고 그 연관성에 대해 토론해 신발 이나 자전거 가방 등 자신의 지지고 있는 소품이나 물건등을 소묘나 수채화 로 표현해본다 .
6~10
수업내용 공예
- 꽃이나 , 바다의 물결 표현방법 , 나무 외피나 , 동물의 털 등을 수채화나 소묘 등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워본다 .
디지털 시대의 에는 컴퓨터 . 스마트폰 등 영화 ,Tv 등 시대를 대표하는 사물이나 , 음식 , 인물 ( 운동선수나 , 한류스타 등 시대 의 아이콘 등을 알아보고 ) 자신의 작품으로 표현해본다 . 또한 디지털 환경 은 우리에게 다양한 정보 와 콘텐츠를 제공한다 .
-도시 풍경이나 , 자연 , 우리나라의 남대문이나 , 고궁 , 우리나라의 탈춤등을 수채
따라서 글자를 이용한 그림을 표현해본다 . 스마트폰의 영향으로 우리는 다양한 세계적인 문화적인 변화를 시시각각으로 제공
화나 소묘 등으로 표현한다 . 풍경화 의 경우 는 원근법을 이용하여 그림에서 공간감이 표현 되도록 기법을 탐
11~20
받을 수 있고 글로벌 시대에 살로 있다 . 그런 문화적인 특성을 작품으로 표현 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구한다 . 탈춤의 경우 인물의 동작 표현 등을 배워본다 .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파르테논 신전이나 자유의 여신상 , 에펠탑등 세계적인 문화 유산등을 수채화로 표현해본다 - 파르테논 신전의 역사를 알아보고 그 건축물의 조형 미를 수채화로 표혀내보고 에펠탑이나 자유의 여신상등 의 역사적인의미를 탐구를 해보고 그림으로 표현하
준비물 및 필요물품 4b 연필 , 지우개 , 도화지 , 수채화 도구 , 캔버스 , 아크릴 물감 , 붓 ,물통 , 잡지 , 풀 , 가위 , 포스터 물감 , 파레트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교실이 필요하고 학기 말에는 자신의 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활용가능 한 공간이 필요 합니다
미술
는 방법을 배워본다 .
21~25
음악
시대를 대표하는 사물, 인물, 건축물, 글자 등을 드로잉, 소묘 수채화, 아크릴 화작품 등으로 표현해본다 .
후반기
디자인
중반기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김경진
세부전공
A- 0 7 50
지원분야(세부 분야)
미술(조형예술학/미술교육)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거주지
▶
고등학교 1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10월~12월
교육 방향
▶
캘리그라피 활동으로 미술활동에 자신감을 갖도록 한다
▶
- 캘리그라피의 이론적 배경과 작품 감상을 통해 사전 지식을 얻는다. - 나에게 보내는 응원의 글을 적어봄으로써 나를 위한 시간을 갖는다. - 글에 어울리는 글씨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봄으로써 나만의 서체를 개발한다. - 많은 습작을 통해 전문작가의 활동을 경험하고, 완성도 높은 마무리는 미술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 나의 작품 내용과 표현의도를 설명 할 수 있다. - 전시된 타인의 작품을 감상하며 작품 평가를 할 수 있다.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주요 교육내용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사진
디자인 - 2014.11 : <2014 공동육아 협동조합 설립 20주년 기념전시회> 디자인 - 2014.10 : <너랑 나랑 함께 만드는 건강한 하천, 건강한 마을>행사 디자인- - 2014.5~11 : 애플랜드 기획사 외주 디자인 - 2014.5 : <2014한국 MDRT회원의 날> 행사 디자인 - 2014.2 : 가배울 소식지 디자인 - 2013 : 제 18회 농업인의 날 메인 디자인
2) 교육 성과 및 효과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캘리그라피의 작품 감상과 이론수업을 통해 관심을 보인다. - 나를 위한 글을 구상하는 데에 많은 고민을 하기도 하고 장난을 하기도 한다. - 실제 연습에서는 다양한 도구로 인한 서체가 표현되는 활동을 매우 흥미롭게 즐기 고, 더욱더 몰입하게 된다. - 좀더 만족스러운 작품을 표현하기 위해 진지하게 임하며 독려하지 않아도 스스로 연습량을 늘려간다. - 동료 간에 감상 및 평가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최종 작품 의 완성도가 높아진다. - 최종작품에 대한 만족도가 상당히 높고, 미술활동에 대한 자신감 또한 충만해졌다.
▶
- 학생들 스스로 작품 활동(구상과 표현, 동료간 소통)에 참여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어주었다. - 사전 설명으로 학생들이 작품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 학생들이 기대 이상으로 작품 활동에 몰입하였고 결과물에 만족하는 모습을 보고 학생들에게 내재되어있는 예술적 능력과 욕구를 느낄 수 있었고 앞으로 더 표현될 수 있도록 수업 안을 연구해야겠다.
음악
단행본 일러스트 및 캘리그라피 - <방송PD>,<언어에 강한 아이로 키워라>,<요리장의 생애>,<메이크업 스타일 북>,<빅토리 다이어트>,<탈 탈탈 탈놀이> 등
디자인
벽화 - 수원어린이도서관 벽화 총괄 - 노원구청주최 광운대역 벽화작업
공예
기타 - 연극 <그남자 그여자> 총괄 디자인 - 연극 <광수생각> 총괄 디자인 등 - 놀이체험전 <종이발자국> 총괄 디자인 - 세계곤충연구소 <곤충체험전> 전시 디자인 - 앨범 총괄 디자인 <바람을 가르고>1,2집 전시 - <한글 어울림전>외 그룹전 6회
만화애니
교육가능 교급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1) 교육개요 연극
미술 (서예,서양화,동양화,조소,공예,디자인,판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방송타이틀] 2012~2013 : MBC<세상의 모든 여행> 타이틀 캘리그라피
경복고등학교 기간제 미술 교사
예술융합 글쓰기 캠프<독서와 창작 미술 융합 수업> 강사
미디어아트
노원에코센터 <우리아이 그림으로 가족 티셔츠 만들기>수업 강사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나만의 손 글씨로 표현하기
▶
- 나의 손에서 표현되는 소중한 예술적 가치를 느끼고, 의도한 대로 노력하면 표현 가능함과 작품의 만족도를 높여 자존감을 높이고자 함. 다양한 표현활동과 더불어 동료들과의 감상, 토 론을 통해 흥미로운 과정을 경험할 수 있음.
- 기자재 및 수업재료 지원 여부 확인 - 학생들과 미술수업에 대한 인식과 기대되는 바에 대해 공유 - 수업계획에 대한 공유와 질의 응답 및 준비사항 공지
감상 후기 토론
교육대상
김경진
미술
50분
중등 , 고등 (전학년)
수업명
▶
미술-캘리그라피 활동
수업주제
▶
나만의 손 글씨로 표현하기 - 캘리그라피를 활용한 나만의 에코백 만들기
교육목표
▶
- 나의 손에서 표현되는 소중한 예술적 가치를 느끼고, 작품 활동을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미술을 즐길 수 있는 기반을 다진다. - 구상 및 표현활동과 더불어 동료들과의 감상, 토론을 통해 흥미로운 과정을 경험하며 자존감을 높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1 2 3
- 학생들이 스스로 작품 활동에 몰입하며 전문작가활동을 경험한다. - 표현, 감상, 평가 활동을 통해 동료들과 함께 작업하는 즐거움을 느낀다. - 완성작에 만족하며 다른 미술활동에도 흥미를 갖는다. - 나를 표현할 수 있는 캘리그라피 문구와 이미지를 구상해본다.
사진
- 캘리그라피에 대해 이론적으로 이해하기
- 의도한 대로 다양한 재료로 표현, 연습하며 완성도를 높인다.
- 주변의 작품을 관찰, 수집해 온 후 여러 가지 서체 따라 표현하기 - 기본적인 도구로 느낌에 맞게 글씨 표현 해보기
4~7
- 가족이나 친구에게 전하는 메시지 - 글을 구상한 후 그 글에 어울리는 글씨로 표현하기 - 표현한 글씨를 바탕으로 꾸며서 작품으로 완성하기 - 작품 전달 후 인증샷 찍고 평가하기
수업내용 8~10
4. 다음 차시 안내를 한다.
디자인
- 활동지에 문구와 표현에 대해 스케치 하고 작품활동 계획을 세운다. 3. 계획에 맞게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글씨를 연습한다.
- 나를 위한 글 : 내용과 포스터 이미지 구상하기 - 1차로 최종글씨가 완성되면 2차 컴퓨터 그래픽작업 익히기
1. 에코백 만들기 과정에 대해 공유한다. 2. 캘리그라피를 활용한 나만의 에코백을 만들기 위해 구상한다.
- 나를 위한 응원의 글이 담긴 포스터 만들기 - 원하는 결과물이 나올 때 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연습하기
공예
-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 글씨 표현해보기
중반기
교육소요 시간
- 연간 계획과 연계될 수 있는 수업이 있 는지 확인
- 작품 감상 및 캘리그라피 작가의 작품세계를 다룬 영상 시청 후
전반기
교육회차
분야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1~18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이미지와 그래픽작업으로 완성하여 출력하여 전시
작업계획 활동지, 글씨연습, 글씨와 이미지작업후 새김
음악
- 전시 후 작품 감상 및 평가시간
- 캘리그라피를 활용한 나만의 에코백 만들기 - 캘리그라피를 중심으로 한 로고디자인 구상하기
준비물 및 필요물품
- 구상한대로 연습하여 1차 글씨 및 이미지 만들기
19~25
- 이미지 전사지에 출력 후 에코백에 새기기
작품계획 활동지, 붓,나무젓가락 등 자신이 준비해온 필기 도구, 먹물, 그릇, 종이, 연습종이
미술
- 2차 컴퓨터 그래픽 작업으로 에코백에 새길 이미지 마무리하기 - 나만의 에코백 제작 완료 후 전시 - 전시 후 작품 감상 및 평가 시간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후반기
- 캘리그라피 수업을 통해 느낀 점 및 보완점 토론 - 칭찬 릴레이
26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김남훈
세부전공
A- 0 0 4 0
지원분야(세부 분야)
서예 미술(서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미기재
교과연계
미기재
거주지
▶
초등학교 저학년 / 11~13세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11월
교육 방향
▶
서예란 무엇인가
주요 교육내용
▶
서예고전을 기본으로 서예기본기 습득을 위주로 하며 추후 기초 단련 후 개인 작품 정진을 통한 개인 가훈 쓰기의 완성단계까지의 과정
영화
지원교육대상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도평리
사진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회원 그룹전 5회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2) 교육 성과 및 효과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회원 초청전 5회 공예
예술활동 경력 전국휘호대회 특, 입선 다수 - 어렵다는 인식 때문에 초창기 힘들어 하지만 서예도구에 대한 선망이 있어 새롭다는 인식으로 재미를 느낀다. ▶
- 모든 과정의 끝에 결과물을 통하여 (가훈쓰기) 고진감래 및 노력에 관한 참뜻을 이해하고 느끼게 된다.
디자인
전국공모전 특, 입선 다수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음악
kt 그룹사 동아리 서예강사 1년
미술
서예학원 2년 강사 및 운영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교육은 경험으로 항상 처음보다 나은 방향의 나 자신의 발전과 전달자의 마음가짐 과 과정을 항상 생각하게 되어 나 자신과 전달받는 자의 교감을 느낄 수 있다. -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수업진행과 동시에 그들의 발전방 향을 주시한다.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서예란 무엇인가
▶
문방사우를 통한 올바른 한자 및 우리말 한글쓰기 및 서예를 통한 정진의 자세 및 침착함과 서예의 예를 배운다.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김남훈
미술 (서예)
2시간
미기재
수업명
▶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서예란 무엇인가
교육회차 서예 이론 및 쓰기
- 강의실 수용 인원 및 서예가는 테이블 미기재
- 서예란 무엇인가 (문방사우) 서예기초이론1 - 서예란 무엇인가 서예기초이론2, 한글 및 한문 선택
1
2~5
ㅇ 개인의 성향 및 성격에 따른 글씨에 갖가지 모양과 의미가 다름에 개인의 개성이 담긴 글씨를 쓰고 집중력 향상을 통한 개인수양 발전을 담는다. ㅇ 집중력향상을 통한 학업성취도 향상 ㅇ 개인의 개성을 담아 표현함으로써 개인 성취감 및 자신감 향상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ㅇ 서예실기 운용방법 및 글쓰기 사진
ㅇ 한글, 한자를 통한 고전의 중요성 및 한글 사랑 고취
전반기 수업내용 6~10
공예
- 고전한글 임서(고체 훈민정음임서), 한문해서 고전임서 - 고전한글 임서(고체 훈민정음임서), 한문해서 고전임서 - 고전한글 임서(고체 훈민정음임서), 한문해서 고전임서
옛 고전 자료를 통한 실기를 통하여 개인의 개성이 담긴 글을 먼저 찾고 글을 올바르고 정확히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교육 및 최종 자기 자신만의 작품을 완성하는 과정 중 집중력 향상 및 개인 발전을 도모한다.
중반기
- 한글 정자체 임서(한글 궁궐궁체 본), 한문해서 고전임서
11~20
- 한글 정자체 임서(한글 궁궐궁체 본), 한문해서 고전임서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디자인
- 한글 정자체 임서(한글 궁궐궁체 본), 한문해서 고전임서
개인별 가훈쓰기를 개인의 취향 및 개성있는 글씨를 통하여 내가 직접 쓴 우리집 가훈이라는 결과물이 탄생된다.
- 한글 흘림체 임서(한글 낙성비룡 본), 한문해서 고전임서
후반기
- 한글 흘림체 임서(한글 낙성비룡 본), 한문해서 고전임서
21~25
음악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방사우(분, 먹 및 먹물), 벼루, 화선지, 문진(서진), 모포
공간활용 계획
미술
- 한글 고체, 정자체, 흘림체 창작(가훈쓰기 완성), 한문쓰기 창작
기존 책상 위에 모포를 깔아서 사용함에 공간활용 문제없음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김미성
세부전공
A- 0 116
지원분야(세부 분야)
서양화과 미술(서양화)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학교 전학년 / 8~13세
교육가능 기간
▶
2013년 10월~12월(10주)
교육 방향
▶
미술을 접하기 힘든 아동(저소득층)에게 10주동안 다양한 미술활동을 접함으로서 정 서적 경험과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토요 방과 후 프로그램
▶
- 가을풍경그리기 - 주제중심내용이 잘 나타나도록 자유롭게 표현 종이판화와 우드락 판화 찍기놀이 - 연상제시그림 - 주어진 도형을 이용하여 상상하여 표현하기 재활용을 이용한 소품만들기 HP 필름을 이용한 표현 친구얼굴 그리기 예쁜손글씨로 메모판 만들기 작가와의 만남(고흐)
창의적체험활동,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동
주요 교육내용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영화
교과연계
초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예술활동 경력
공예
▶
디자인
- 2013.10~ 12 찾아가는 방과후 토요프로그램- 톡톡미술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미술을 좋아하거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은 아동, 저소득층을 우선으로 참여대 상으로 하였으며 다양한 기법, 재료탐색의 미술활동과정을 즐기며 능동적으로 활동 참여함. 다음 시간에 무얼하는 지 호기심을 가지고 궁금해 하고 추운 날씨인데도 출 석률이 좋았음. - 찾아가는 토요 방과 후 프로그램에 생각보다 참여자가 많았고, 관계자 또한 토요 방과 후 활성화에 긍정적 평가를 해 줌.
- 2014.3 ~2015.2 장성초 방과후 돌봄 미술강사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 2015.3 ~현재 장성초 방과후 돌봄 미술강사
수업 자원봉사
미술
- 2015.5 ~10 안토니아실버케어주간보호센터-노인집단상담미술심리프로그램 - 개개인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미술발달단계 따라 유연성 있게 지도함. ▶
-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결과보다는 미술활동과정을 통해 아동의 정서를 소통하고 스 토리가 있는 자신을 표현하도록 정서적으로 접근함.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3. 1회차 교육계획안
▶
- 미술로 표현하기
기획의도
▶
- 아동발달단계에 맞는 다양한 기법, 재료탐색 미술활동을 통해 자유로운 발상과 정서적 경험 을 하여 사고력 항상, 집중력, 자신감을 항상 시키고자 함
- 시설 분위기, 활동에 필요한 준비물 사용여부 - 미술활동프로그램에 대한 안내하기, 아동들의 좋아하는 활동에 대해 이야기하기 / 가족화 그리기
우리집-주제와 어우러지는 풍경그리기 종이접기-내가 좋아하는 색으로 연필꽂이 만들기
미술
40분
(전학년)
수업명
▶
십장생그리기
수업주제
▶
먹으로 표현하기
교육목표
▶
- 전통문양 십장생에 대해 알고 재해석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 합죽선에 한지와 먹을 이용하여 표현하기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 십장생문양에 대하여 자신의 느낌을 새롭게 재해석하여 표현할 수 있다. - 작품 완성 후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이야기 할 수 있다. - 십장생문양알기 - 한지, 먹의 사용법을 알고 재해석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꽃화분그리기-정물을 관찰하여 생동감있게 표현하기
도입
전개
자료 및 유의점
-교사는 참고 예시작품을 제시한다.
- 표현하기 - 주제를 생각하며 화면를 구상한다. - 구상한 밑그림을 붓의 굵기 조절에 유의하며 그린다. - 합죽선에 밑그림 완성 후, 자유롭게 물감으로 채색한다. - 그림을 마무리하여 완성한다./자신의 낙관을 장식한다. - 감상 및 평가하기 - 표현이 끝난 학생은 작품을 감상한다. - 다른 학생들과 자신의 작품을 비교하면서 잘 표현된 점과부족했던 점을 서로 이야기 한다. - 교실정리 및 차시예고 - 수업에 사용한 용구와 재료를 정리한다. - 자신의 주변을 깨끗이 정리정돈한다. - 다음시간 수업에 대한 안내 및 준비물을 예고한다.
십장생이 그려진 합죽선
-교사는 각 학생작품을 평 가하며 표현 잘 된 부분을 칭찬, 격려한다.
미디어아트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교사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돕는다.
미술
정리
교수학습활동 - 수업 분위기 조성 - 출결사항 파악하기, 출석을 부른다. - 학습주제, 학습 목표에 대해 설명한다. - 동기유발 - 교사는 참고 예시 작품을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 교사 학생들에게 자신들이 그리고 싶은 주제를 선정 하도록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음악
눈오는 날-눈오는 겨울풍경을 생각하며 표현하기 눈썰매-겨울풍경과 즐거웠던 장면을 기억하여 표현 오방색- 털실 이용하여 팽이만들기 크리스마스장식모빌-색지를 이용하여 트리꾸미기 나의 이야기를 스토리북을 만들기
학습단계
디자인
연상제시(○)-제시된 도형을 이용하여 연상되는 이미지표현 친구모습그리기-친구의 표정을 관찰하여 개성있게 표현하기 연상제시(비누방울)-우연의 효과를 이용하여 연상되는 이미지표현 종이접기-종이배를 붙인 후, 배경을 연상하여 표현하기 합죽선 십장생그리기-한지와 먹을 이용하여 표현 스탬프놀이-야채를 이용하여 포장지 디자인하기 수영장-수영장모습을 기억하며 동세표현하기 바닷속풍경-바다속의 모습을 상상하며 표현하기 에코백만들기-천가방에 염색색종이로 디자인하기 자화상-작가와의 만남(피카소)-내 모습을 단순화 HP기법-HP필름을 이용한 표현 석고부조뜨기-구조물을 이용하여 석고로 부조뜨기 키 큰 해바라기-잡지,신문지등을 이용한 콜라주기법표현 고추잠자리-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표현하기 과수원-과수원의 풍경을 자유롭게 표현하기 나무그리기-작가와의 만남(클림트) 판화(종이)-종이를 이용하여 볼록판화를 제작하기 허수아비-가을풍경과 가을색의 느낌을 살려 표현 연상제시-제시된 도형을 이용하여 연상되는 이미지표현 그림액자만들기-액자틀위에 재료토핑하여 만들기 꿈틀꿈틀 움직여요-작가와의 만남(고흐)-선을 이용하여 표현하기 연상제시(불기)-우연의 효과를 이용하여 연상되는 이미지표현
수업내용 공예
판화(우드락)-우드락을 이용하여 오목판화를 제작하기 등산-등산하는 모습을 생각하며 표현하기 과학상상화 - 미래의 모습을 상상하여 표현 종이접기-종이접기를 이용한 카드만들기 비오는 날-비오는 모습을 다양한 기법과 동세표현하기
후반기
김미성
사진
봄풍경-봄꽃들의 특징과 색감을 관찰하여 표현하기
중반기
교육대상
- 수업할 대상, 장소, 인원 파악
자유화-중심내용이 잘 드러나게 자유롭게 표현
전반기
교육소요 시간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분야
영화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학
합죽선, 붓펜, 수채물감, 붓, 물통, 신문지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김승민
세부전공
A- 0 2 0 7
지원분야(세부 분야)
서예 미술(서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학교 4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9월~12월
교육 방향
▶
누구나 할 수 있는 서예 체험 학습
▶
기초서예부터 손글씨(캘리)까지 수제 도장도 만들고 마지막 시간에는 빈족자에 작품 을 완성하여 자신이 만든 낙관을 찍고 복도에서 전시하여 여러 선생님들과 전학년이 관람할 수 있는 전시를 함으로써, 아이들의 관심도와 서예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생 겨 보람된 교육이 되었다고 사료됨.
영화
교과연계
초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자유학기제 경기도 파주시 숲속노을로 298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주요 교육내용
- 대한민국 서예대전 대상 수상 및 초대작가 사진
- 개인전 4회(서울 2회, 전주, 안산)
2) 교육 성과 및 효과
예술활동 경력
공예
- 제1회 한국 청년서예가 선발전(한국 서예박물관)
- 제1회 신진서예가 선발전(백악 미술관)
- 세계서예 전북비엔날레 본전시 초대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처음에는 먹물도 싫어하고 붓을 들고 장난만 치던 아이들이 수업을 거듭할수록 서 예를 하는 시간만큼 만이라도 차분해 지고 집중력이 향상되는 것을 느꼈으며, 손글씨 로 자신이 직접 쓴 편지를 부모님께 전해드리고 다음 주에 보니 학부모님들께서 좋 아하시고, 다음 학기에도 서예를 꼭 시키겠다고 하는 것을 보고 보람을 느낌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서실을 운영하면서 아이들과는 소통하는 시간은 별루 없었는데 예술강사를 하면서 장난도 치고 몸으로 부딪치면서 정도 나누고 하면서 딱딱한 도제식 교육보다는 서로 많이 소통할 수 있는 교육으로의 전환이 좋았음.
디자인
- 비움 서예포럼 <6인의 신진유망작가>선정(대구 시민회관)
- 한국 청년 서법가 15인전(중국 북경 중한예술 전당) 음악
- 각종 그룹전 50여회
미술
- 2014.9~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산하 원광대학교 예술강사 활동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서예(손글씨)와 친해지기
▶
- 어렵게만 생각했던 서예를 다른 미술 분야와의 접목 수업으로 흥미를 가지고 요즘 같은 디지털 시대에 자필로 글씨를 쓰면서 자신의 글씨에 감성을 입힐 수 있는 수업을 진행 하고 싶습니다.
함.
1
- 서예란 무엇인가? 서예에 대한 설명과 선긋기
교육대상
김승민
미술 (서예, 캘리)
3교시 (120분)
초등(전학년)
수업명
▶
미술(서예)
수업주제
▶
서예란 무엇인가?
교육목표
▶
- 서예가 어려운 것이 아니고 누구나 할 수 있다는 의식을 심어주고 싶고, 일상생활에도 많이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싶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2~5
주요 교육내용
▶
- 한글서예 궁체 및 판본체 익히기
- 서예에 대해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으며 집중력 향상과 자필 능력을 키워줌. - 서예의 의미와 시대별 서예의 특징 - 한글 서예의 종류와 궁체와 판본체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기 - 한문 서예의 역사와 서사 능력 증진
사진
- 서예의 종류 설명 실습하기 (한글서예와 한문서예)
교육소요 시간
교육회차
- 학교 선생님들과 많은 대화를 통해 학생들의 성향을 파악하고 필요한 재료들을 준비
- 수업전 1년간 교육하게 될 내용에 대해 학생들에게 인지 시켜줌.
분야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전반기 수업내용 공예
- 한글 판본체로 문장쓰기 - 한글 궁체로 문장쓰기 - 한문서예 기본 선 긋기
6~10 서예의 본질과 어렵게 생각했던 서예를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평소에 느끼지 못한 감성까지 끌어내는 서예 수업을 할 것입니다.
- 한문서예로 사자성어쓰기
중반기
- 지우개에다가 본인이름 도장 새기기
디자인
평상시의 집중력 향상과 손글씨의 향상은 물론 교우 간에 편지쓰기와 부모님께 편지쓰기 등
11~20
- 한문서예로 문장쓰고 낙관까지 마무리하기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서예를 배움으로써 인쇄 글씨가 아닌 본인 고유의 글씨를 가질 수 있으며, 글로 쓴 언어 전달이기 때문에 여러 방면에 활용 가능하리라 생각 됨. - 캘리그라피 연습하기 - 캘리로 부모님께 편지쓰기
21~25
준비물 및 필요물품
- 빈 족자에 문장쓰고 낙관까지 마무리 후에 복도에 전시하기
미술
후반기
붓, 벼루, 먹물, 깔판, 화선지, 문진
각 학년 교실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김은미
세부전공
A- 0 0 62
지원분야(세부 분야)
한국화 미술(한국화)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 저학년, 고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 ~ 9월
교육 방향
▶
전통 한국화에서 현대한국화 그려보기
▶
- 한국의 전통 민화나 수묵화 채색화와 현대 미술의 한국화를 감상하고 우리의 미술 재료를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모작 후 창작 그림그려보기 - 드로잉부터 채색까지 창작과정을 체계적으로 하여 그림방법을 익힌 뒤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하고 힐링하기 모둠별 전시 및 작품 활동으로 협업
영화
교과연계
미기재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서후리
주요 교육내용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2014년 The Art Students League f New Yrk 판화 및 믹스미디어, 페인팅 수학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 2014년 개인전 6회 세종문화회관 미술관본관 공예
예술활동 경력
- 2014년 개인전 7회 광화랑(세종문화회관 주관)
▶
- 관계자들은 서양화에 비해 한국화가 알려져 있지 않아 어렵고 고루하고 복잡하다 고 생각하였으며 체계적인 지도 방법으로 모작에서 실제 창작의 그림까지 결과물이 나왔을 때 한국화의 은은함과 고상함에 좋은 반응이었습니다.
디자인
- 2015년 개인전 8회 광화랑(세종문화회관 주관)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참여자의 반응은 처음에는 우리의 재료의 생소한 사용법에 대해 좀 생소해 하고 어 려워했으나 단계적 사용법과 용이하게 쓰는 표현법을 익힌 뒤에 한국화에 대한 자부 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음악
- 2013.09.06. ~ 2013.11.29. 서울특별시 평생교육과 찾아가는 평생학습강좌 강사
- 서양화의 이론이나 그림에 대해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것에 비해 다양한 한국화의 그림들에 모르고 놓치는 부분이 많이 아쉬웠었는데 교육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 화의 아름다움 컬러나 표현방법에 매료되는 모습을 보고 보람을 느꼈습니다. ▶
- 작품을 하면서 터득한 한국화의 재료를 좀더 용이하고 현대미술과 접목하여 세련 되게 응용하는 표현방법에 대해 알고 있는 부분을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소통방법을 배웠으며 사람들이 한국화를 친근하게 생각하고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어 그림 을 그리는 방법과 함께 그림감상법도 강의를 통해 많이 제시하려고 노력하게 되었습 니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3. 1회차 교육계획안
▶
- 전통에서부터 현대 한국화 그려보기
기획의도
▶
- 한국의 전통그림과 현대의 한국화 작가의 그림을 제시하여 감상하고 드로잉부터 채색까지 전통그림에서부터 현대한국화 그려보기 - (관찰- 그리기- 감상- 발표하기) 과정을 모둠 형식으로 수업진행 미술로 소통하기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김은미
미술(한국화)
3~4차시
초등(전체)
수업명
▶
전통한국화에서 현대한국화 배워보기
수업주제
▶
전통한국화와 현대한국화의 감상법과 그림표현법 및 창작하기
▶
- 한국화 전통그림에서 현대 창작화를 그리며 완성하며 한국화의 아름다움을 알게 된다. - 한국화 작가로서 작품 활동을 토대로 미술적 표현기법 뿐만 아니라 창작하는 과정을 수 업을 통해 지도하고 관찰하고 그려보고 모둠별전시를 통해 감상한다. - 그림으로 소통의 즐거움을 느끼고 그림을 감상하고 자기 표현방법을 통해 자신감을 갖 게 된다.
교육회차 교육목표
- 교육대상의 학생들 연령대와 학교안의 미술교육과 교과서 연계 교육안 상의 - 미술재료 관련하여 의논 및 교육계획 - 자기소개 및 학생들과의 인사 및 수업내용 및 방법관련 설명
1
- 한국화를 그리는 방법을 익히고 감상법을 배운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한국화 재료의 사용법에 대한 이해 및 경험
주요 교육내용
- 전통부터 현대 한국화 감상하는 법과 이론적 이해 - 한국화를 드로잉부터 창작하는 순서를 익히고 그림으로 표현한뒤 모둠별로 협동하여 전시하고 감상하는 법을 익힌다.
수업내용 6~10
3. 한국화에 관련 자료를 슬라이드로 보여주고 전통그림을 설명과 함께 감상하고 한국화 미술재료 사용법을 익혀 용도에 맞게 사용하여 그림을 그 릴 수 있게 지도한다. -미술의 이론적 기술적 표현수업수업5. 모둠별로 한가지의 주제로 같이 그려보고 그린 그림을 실내에 전시한 뒤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느낀 감정이나 표현하고 하는 것을 설명하고
디자인
4. 그림의 기본인 드로잉을 한 뒤 초충도등 전통 그림을 설명하고 순서대로 그려볼 수 있게 전통기법을 지도한다. -미술의 이론적 기술적 표현방식
- 스케치를 마무리한 뒤 한지에 전사를 하여 먹으로 드로잉을 한다. 영하여 자료로 남겨둔다.
1. 모둠을 정하고 서로 한국화가 무엇인지 알고 있는 것을 모둠끼리 이야기하도록 한다. 정리하여 모둠별로 발표한다. 2. 한국화 재료를 어떤 학습이전에 자유롭게 사용하여 그리고자 하는 자유드로잉으로 붓과 먹을 친숙하게 한다. -창의력수업-
연필로 초충도의 주제로 교정의 식물들을 스케치를 여러 장 한다. - 먹으로 여러번의 드로잉 후 가장 잘 그려진 그림을 채색을 한 뒤 중간 과정을 촬
공예
- 한국화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전통그림을 소개하고 감상 후 모둠별로 느낀 점을 이야기 한 뒤 작품에 대해 설명한다. - 신사임당의 초충도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화 재료와 사용법 설명 후 간단히 모작 을 해본다. - 모둠별로 그린 그림들을 한 그림으로 모아 교실 내에 전시를 하고 각자의 그리는 과정에서 무엇을 표현하고자 했는지 설명하고 감상한 뒤 장점을 찾아 모둠그림을 서로 칭찬하고 격려해주기 - 초충도의 모작의 경험을 통해 창작을 하기 위해 실제로 모둠별로 교정으로 나가
중반기
▶
사진
2~5
- 한국화에 대한 각자에 대한 생각을 모둠별로 이야기하고 발표
전반기
- 전통한국화와 현대 한국화의 기법의 차이와 감상법을 익히고 드로잉부터 체계적인 작품과정을 익혀 창작을 할수 있게 된다.
- 모둠(3~5명)을 정한 뒤 한국화 재료를 제시한 후 자유롭게 드로잉하기 - 서양화 재료의 차이점을 드로잉이후 체험이야기로 모둠별로 나누기
- 그림으로 소통하는 즐거움을 느낀다.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분야
영화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감상한 뒤 서로 모둠별로 장점을 격려하고 칭찬한다. -협업과 그림감상수업-
11~20
6. 야외로 나가 자연을 관찰하여 소재를 모둠별로 한 구역을 정하여 연필로 드로잉하며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아이가 설명하게 한 뒤 어려운 부분을 그릴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지도한다. 스마트폰으로 그리는 대상과 스케치 과정을 기록으로 남긴다. -관찰의 중요성과 드로잉수업-
- 여러 번 채색한 그림을 묘사를 하면서 마무리 하여 자신만의 초충도를 완성한다.
-미술 재료적 기술적 표현수업-
전시하고 그림설명을 한 뒤 감상한다. 서로 모둠끼리 장점을 칭찬하고 격려한다.
음악
7. 스케치를 마무리한 후 교실로 들어와 한지로 전사를 한 뒤 채색물감을 이용하여 채색한다.
- 초충도를 완성한 뒤 모둠별로 개인의 작품을 하나의 큰 작품으로 모아 교실 내에
8. 채색하여 완성하도록 지도한 뒤 모둠별로 각자의 그림을 다른 그림과 어우러지게 붙인 뒤 전시를 한다. 모둠별로 설명하고 감상 후 감상평으로 장점과 격려를 한다. -그림감상과 소통수업9. 한국화의 전통그림과 현대그림을 자료를 보고 설명하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활동 중인 현대 한국화 작가의 작품도 감상 후 느낌을 모둠별로 이 야기 해본다. -미술 감상 관련 이론적 수업-
대에 와서 어떻게 발전되었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한국화 작가의 그림을 감상하고
10. 한국화 재료를 가지고 각자 본인이 그리고자 하는 어떤 대상을 정하여 자유롭게 그린다. -창작 및 자기표현수업-
느낀 점을 모둠별로 발표한다.
21~25
11. 그림을 그린 후 친구들과 감상하고 자신의 그림을 설명하고 감상평을 서로에게 해준다. -감상수업
미술
후반기
- 한국화의 근대 작가의 그림과 현대작가의 작품을 감상하고 전통의 그림에서 현
- 현대 작가의 그림처럼 각자 자유롭게 현대한국화를 그려본다. 그려본 뒤 전시하 고 자신의 그림을 설명하고 서로 감상하고 장점을 이야기하여 칭찬하고 격려한다.
한국화 물감과 한지. 물통 붓(선, 채색용도) 먹, 연필, 스케치북, 스카치테잎, 담요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준비물 및 필요물품
실기 수업이 가능하며 PPT 프레젠테이션이 가능한 곳.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김지수
세부전공
A- 0 32 8
지원분야(세부 분야)
서예, 문자예술학과 미술(서예,한국화)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학교 저, 고학년(3~6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2년 5월~ 11월
교육 방향
▶
서예가 가지고 있는 자연적 특성을 이용하여 아동의 안정된 정서발달에 도움을 주고,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바탕을 마련하고자 함.
▶
1단원. ‘서예와 만나다’에서는 서예의 기본재료인 붓, 먹, 벼루, 종이가 가지는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2단원. ‘서예와 친해지다’에서는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서예를 일상생활에서 자연스 레 볼 수 있는 재료들로 친해진다. 3단원. ‘서예를 알다’에서는 서예의 기본 서체인 전,예,해서,판본,궁체의 특징과 배경 에 대해 알아본다. 4단원. ‘서예, 놀다’에서는 자연 속에서 재료를 찾아 붓글씨를 써보는 경험과 함께 여 러 창작 활동을 한다. 5단원. ‘서예, 펼치다’에서는 응용단계로 붓을 다룰 줄 알게 된 아동들이 다양한 주세 를 가지고 장문의 글씨를 써 볼 수 있도록 한다.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하동
주요 교육내용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영화
교과연계
초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 2013. 8. 金華墨林展 -名士同行(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 2014. 3. “h! 少書”展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서예‧문자예술학과) 공예
예술활동 경력
- 2014. 10. “필묵으로 꽃피운 한글”전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서예‧문자예술학과)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센터장 선생님께서는 수업 마지막에 했던 자신의 결과물을 각자 발표하는 시간이 있어서 아이들이 발표능력 향상에 좋은 것 같다고 다른 수업에도 추천하고 싶어 하 셨다.
디자인
- 2014. 8. 女人의 香氣, 불꽃처럼 바람처럼 (여성생활사박물관 특별기획전)
- 수혜 지역 아동센터를 처음 방문하였을 때에는 아이들이 경험해 보지 못한 서예라 그런지 어려워하고 조심스러워하는 모습이 보였으나 놀이와 접목 된 서예를 배우다 보니 자신감을 가지고 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2015. 8 畿人書林 (경기대학교 서예.문자예술학과 同門展) 음악 미술
- 사회초년생으로써 교육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는데 ‘아이와 춤추는 붓 놀이터’의 역 량강화 프로그램과 CP활동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많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 다.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서예와 친해지기
▶
- 아이들이 알고 있던 기존의 지루하고 어려운 서예에서 벗어나 생활 속에 묻어있는 서예재료 와 붓글씨를 스스로 찾아보고 표현한다. 또한 내적인 표현을 붓글씨로 표현하고 발표하여 올 바른 자존감을 찾아가고, 그룹작품을 통하여 협동심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교육내용
- 서예를 하기에 몸이 불편한 아이가 있는지에 대한 확인
를 배우는 기간 동안 사용 할 자신만의 특별한 아호를 정하고, 정한 이유에 대해 친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김지수
미술(서예)
2시수 (120분)
초등 (고학년)
수업명
▶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동글동글 과연 무엇이 될까?
- 재활용되는 각종 병뚜껑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내고 이야기를 써내어 서 예 작품을 만들어 낸다. - 차분한 마음으로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내며 심신안정에 도움을 준다. - 아이 자신의 상상력을 발취하여 작품 구도를 구성하고 이야기를 만들어 냄으로써 자 존감 키우기에 도움을 준다.
1차시
- 아이들이 직접 정해진 여러 크기의 원형 틀을 가지고 구도를 잡는다. - 그 위에 선생님이 담묵을 분무기로 뿌려준다. - 잠시 말린 뒤 붓과 먹물을 이용해 그림과 이야기를 쓴다.
사진
구들에게 소개한다.
각종 병뚜껑, 뚜껑을 이용하여 상상력을 표현해 보자.
만화애니
- 교실 외에 밖으로 다녀오는 활동을 할 수 있는지 여부 확인
시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옛 문인들에게 있었던 아호를 설명해주고 앞으로 서예
분야
교육회차
- 옛 사람들의 별명? - 거부감 있던 서예를 놀이와 체험을 통해 느껴보고 배워보는
오리엔테이션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서예와 친구들 - 종이와 먹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 선으로 이루어진 세상 - 산과 바다 책상과 공책등 다양한 선으로 이루어진 선을 붓으로 표현해보자.
2~4차시
수업내용 도입
전반기
- 마음과 호흡을 차분히 하며 먹을 천천히 간다. - 오늘 수업 할 주제에 대해 설명한다.
5~7차시
전개
- 재활용 병뚜껑, 각종 뚜껑 등을 조별로 나누어 준 후 각자 화선지 위에 구도를 잡는다. - 구도를 정하면 선생님이 그 위에 분무기로 물을 뿌려준다.
디자인
- 생활 속에 서예가? - 과자, 라면 등에 쓰인 붓글씨를 찾아보고 좋아하는 과자나 라면의 이름을 써보도록 하자. - 동요 함께 부르고 쓰기 - 조별로 좋아하는 동요를 선정하고 각자 구간을 나워 함 께 부르고 써보자. - 나만의 동화 - 조별로 동화를 선정하고 이야기를 나누고, 조별로 상의하여 결말 바꾸어 각자 부분을 나누어 써보도록 하자.
- 한 주간에 있었던 재미난 일을 이야기 하며 서로간의 평온함을 찾는다.
공예
- 문자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 서예의 표현방법인 문자의 생성에 대해 알아보자.
- 잠시 후 조금 마른 화선지 위에 자유롭게 그리고 글씨를 쓴다. - 작품 완성
- 주변 정리정돈을 하고 마침인사를 나눈다.
8~13차시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여러 개의 동그란 모양을 가지고 아이들의 창의적인 생각으로 만들어낸 작품
재활용 병뚜껑, 뚜껑, 분무기, 물감, 신문지
14~20차시
미디어아트
준비물 및 필요물품
미술
후반기
공간활용 계획 교실 내 조별로 모여서 활동
문학
- 사군자의 매화는 어떤 모습일까? - 매화 기둥을 표현해 보자. - 사군자의 매화의 꽃은 어떤 색일까? - 자신이 좋아하는 색으로 매화꽃을 그려본 다. - 향기로운 국화 꽃 향기 - 국화꽃을 보여주며 실물을 문인화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동글동글 무엇이 될까? - 각종 병뚜껑, 뚜껑을 이용하여 상상력을 표현해 보자. - 나만의 문패 만들기 - 화선지의 먹번짐을 이용해 물, 먹물, 담묵을 이용해 자신만 의 독특한 모양을 만들어 문패를 만들어 보자. - 나는 이 될 거야 - 꿈에 대해 붓으로 그림표현하고 글씨 써보기. - 나를 알리자 - 그 동안 배웠던 붓글씨로 내 아호와 이름을 자신만의 스타일로 정 성껏 써보자.
마무리 - 재활용 뚜껑을 이용한 작품 만들기를 통해 느낀 점과 작품 설명을 간단하게 발표한다.
음악
중반기
- 길쭉한 전서 알아보기 - 전서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기. - 납작한 예서 알아보기 - 예서의 특징에 대해 얘기하며 써보기. - 훈민정음! 판본체 알아보기 - 훈민정음 놀이를 하며 자음 모음의 모양을 자세히 관찰 후 판본체의 특징을 얘기하며 써보기. - 꽃보다 아름다운 한글 - 예쁜 궁체 정자 써보기. - 자랑스러운 후리 학교 - 판본체나 궁체로 학교 이름 써보기. - 붓으로만 쓸 수 있을까? - 붓 이외의 다양한 도구로 글씨 써보기(야외에서 나뭇가 지, 버려진 풀잎이나 풀뿌리 사용).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김현미
세부전공
A- 0 7 6 0
지원분야(세부 분야)
미술(공예학과, 미술치료) 미술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학교 전학년 / 1학년∼6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1월~11월 소통과 공감의 부재로 인해 갈수록 피폐해지고 메말라가는 정서와 획일화되고 경쟁
초등
적인 사회분위기 속에서 창의성을 키우지 못하고 위축된 자존감으로 힘들어하는 아 이들에게 흥미 있고 즐거운 놀이로 예술교육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한 다양한 통합적 예술활동을 통해 감성을 회복하고 정서적, 창의적 인성을 발달시켜
경기도 과천시 별양로
영화
교과연계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긍정적인 동기부여와 대인관계를 향상을 시켜 나갈 수 있도록 독서미술이 통합된정
교육 방향
▶
서적 체험중심의 예술인성교육을 실행한다. 와 갈등을 있는 아이들의 심리와 환경을 고려하여 예술활동을 통해 억압된 감정을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표출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공감과 지지를 얻어 자신의 잠재력을 자연스럽게 발
만화애니
특히 다문화가정과 저소득층의 생활환경 속에서 관심과 돌봄에 소홀하고 내적 상처
견하고 창의성과 긍정적 자기계발을 통해 건강한 인성과 사회성을 기를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유발과 정서적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 예술교육과 인성교육을 적용할 수
- 2013.12 ~ 현재 : 노원 늘푸른자립학교 예술교육 강사
있도록 구성되었다.
- 2013.3 ~ 현재 : 꿈틀 대안학교 예술교육 강사
프로그램의 선정 자료와 활동은 그림책, 시, 동화, 짧은 분량의 도서자료, 명화감상과
- 2013.9 ~ 2013.10 : 사직동 어린이도서관 장애인부모를 위한 예술치료교육 강사
스토리텔링, 동기부여와 진로 찾기 및 기질과 성격유형 탐색을 위한 다양한 놀이 등
- 2014.4 ~ 2014.12 : 한국출판문화문화산업진흥원 어린이독서활동 강사
▶
랜 경험을 바탕으로 준비되었다. 특히 아이가 중심이 되어 자기주도적인 참여를 해나
- 2014.7 ~ 2014.8 : 성동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인부모를 위한 예술치료교육 강사
가도록 예술표현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와 놀이
- 2014.5 ~ 2014.12 : 2014 찾아가는 장애인독서운동문화행사 사업총괄책임팀장
를 통해 즐겁게 경험할 수 있도록 아이들의 상황과 수준을 고려한 융통성 있는 프로
- 2014.5 ~ 2014.12 : 유락종합사회복지관 [홀몸어르신자서전쓰기] 강사 - 2014.6 ~ 2014.11. : 서울 세명초등학교 돌봄교실 아동 예술교육 강사 - 2014.6 ~ 2014.7 : 샘복지재단 주관 중국 길림성 조선족교사 예술교육연수 - 2014.4 ~ 현재 : 안양소년원 정심여자정보산업학교 검정고시 미술지도 및 멘토
그램으로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예술교육이 되도록 구성 했다. 본 독서지도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들은 치유적, 정서적, 창의적인 통합적 예술 활 동을 통해 자신의 강점은 발전시키고 약점을 보완하여 자신감과 적응력을 키우고 예 술문화를 향유하고 자존감도 향상 하는 경험을 갖도록 구성되었다.
디자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주요 교육내용
공예
으로 기존의 방법과 달리 흥미를 유발하고 재미있고 능동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오
- 2013.10 ~ 2013.11 : 중국 광동성 중산시 한글학교 교사 및 부모 예술치료교육
사진
본 통합적 예술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의 상황적 특성을 고려하여 독서흥미
- 2013.1 ~ 현재 : 한국심성교육개발원 미술치료 교육 및 전임강사
- 2015.12 ~ 현재 :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학교밖청소년) 강사 - 2015.4 ~ 현재 : 안양교도소 인성교육 전문강사 음악
- 2015.4 ~ 현재 : 2015년 경기도 정보소외계층 독서문화프로그램 총괄팀장 - 2015.4 ~ 2015.7 : 마포평생학습관 강독서치료연구회 미술치료 교육 강사 - 2015.5 ~ 2015.7 : 성남장애인종합복지관 예술교육 강사 - 2015.6 ~ 2015.8 : 새싹들의집 미혼모시설 예술교육 강사 - 2015.4 ~ 2015.12 : 광진구립도서관 시니어자서전쓰기 강사
미술
- 2015.9 ~ 2015.10 : 경기여자청소년자립생활관 예술교육 강사 - 2015.7 : 안양여성의전화 활동가 교육연수 강사 - 2015.9 ~ 2015.11 : 서울시남부교육지원사업 [청소년 독서코칭 스쿨] 강사 - 2015.9 : 2015년 서대문책축제 미술심리상담 부스 참여 - 2015.9 : 경기도 일동 공립유치원 부모교육연수 예술치료 인성교육 강사
미디어아트
- 2015.9 : 2015 서울시 평생학습축제 미술심리상담 부스 참여
- 2015.10 : 안양여성의전화 전문위원 교육연수 강사 - 2015.12 : 법무부 산하 화성여성지원센터 인성교육 강사 - 2015.12 : 경기도공립유치원 원감단 인성교육 교육연수 강사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기간
- 교육 재료, 시설 사용 가능 여부 및 강사준비 사항 점검 수업에 필요한 현장모니터링과 사진 촬영
오리엔테이션
- ‘마음성장 독서미술예술놀이’ - <다함께 꿈꾸기> ‘다꿈’ 에 대한 프로그램 소개 및 수업참여 시 주의사항 안내 및 자기소개
1
<나의 발견> -나의 감정탐색과 표출 -나의 장점과 약점을 찾아보고 갈등해결하기
2~5
-나의 잠재력 발견하고 창의성 계발하기
전반기 <관계의 발견> -나와 너의 관계탐색하기 -가족 관계 탐색하고 이해하기 -소통과 공감에 대해 이해하기
6~10
디자인
<꿈의 발견> -내가 꿈꾸는 삶 탐색
중반기
-진로 설정과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 기위한 적성 탐색
11~20
-자기 비전과 진로계획 세우기 -자기미래를 위한 실행계획 수립 비전노트 활동소감
음악
▶
교육회차
공예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교육내용 - 교육 장소 확인, 학교관계자와 인사 및 학생 상황 파악
사전방문 (3월)
- ‘교육은 치료다’라고 말한 독일의 사상가이자 교육가 루돌프 슈타이너의 말처럼 대학 졸업이후 유아동에서부터 시니어계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들에게 교육을 하면 할수록 이 말을 공감하고 실감하게 된다.
-<생활의 발견> -내가 생각하는 가치 있는 삶이란? -나의 생활을 탐색하고 삶의 가치 모색
후반기
-내가 찾는 인생의 가치관 탐색
21~25
미술
참가자 소감과 결과물 발표회 프로그램 평가 작성과 활동 종결 -마무리와 새로운 시작을 위한 긍정적 미래인식과 상장수여 -전체프로그램 평가 및 효과성 분석
미디어아트
특히 예술교육은 심리적, 정서적 체험을 이끌고 감성과 내면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다 보니 어느 교육보다도 치유적 경험을 많이 할 수 있고 영향력도 큰 것을 체험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과 인터넷 환경에 쉽게 노출되고 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극도 많고 감각적인 환경을 경험하는 요즘 아이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물질적 생활환경면에서는 조숙함을 보이지만 정서적인 소통 과 공감은 갈수록 부족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웬만한 흥미와 재미가 없는 경우엔, 굳이 학업과 관련된 수업이 아닌데 참여를 적극적으로 하길 기대하거나 수업을 이끌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하지만 갈수록 피폐해지고 정서가 메말라가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우리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 정서와 감성을 회복하고 창의성과 인성 발달을 도와 줄 수 있는 예술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을 절감하게 된다. 그런데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참여자가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참여하지 않는 건 환영 받지 못하고 적용도 어렵다. 특히 지나치게 많은 정보와 자극에 민감한 요즘의 아이들에게 지루하거나 어려운 예술교육은 다가가지도 못하 고 외면당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숱하게 경험하고 고민해 온 예술교육 일선에서 일하는 예술 강사로서 본인은 적재적소에 맞는 통합적 예술교육의 필요성을 실감하고 그 효과를 톡톡히 경험하고 있다. 특히 놀이처럼 즐겁게 심신을 이완하고 공동으로 참여하는 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참여자의 특성과 기관의 요구에 맞는 교육을 독서와 미술, 진로와 예술, 인성과 미술교육, 동작표현과 예술놀이 등 다양한 통합적 예술교육으로 구성하여 대상 에 맞게 적용하면서 어느 연령이나 기관에서도 호응을 얻고 지속적인 요청을 하는 수업을 이끌 수 있게 되어 감 사하다. 처음 참여자들의 긴장되고 다소 거부하거나 우려하는 모습은 1차시의 놀이처럼 즐기는 통합적 예술교육을 경험 하고 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종강이 다가올 때는 수업을 그만 참여해야 하는 것을 오히려 걱정하면서 안타까 워하는 모습을 보면서 늘 감사와 미안함이 교차하는 걸 경험하게 된다.늘 변화와 기대 속에서 즐겁게 수업을 따라 와 주는 아이들이 그저 감사할뿐이다. 예술교육은 그 어느 수업보다도 무의식의 내면을 건드리고 감성을 교감하면서 정서적으로 경험하는 수업이기에 일단 라포가 형성되고 나면 매우 효과적으로 아이들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정서적 안정과 긍정적인 인성발달에 두루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특히 억압된 감정이 풀어지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갈등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정서적 지원이 가능한 예술교육을 통해 내면의 긍정적 힘을 회복하고 자신감이 향상된 아이들은 스스로 꿈과 비전을 찾고 희망을 이야기하면서 학업에 흥미가 생기고 당당하고 밝은 모습을 보여주는 걸 거듭 확인하면 서 예술교육의 필요성과 효과를 절감하게 된다.
▶
- 어린이들에게 통합적 예술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예술 활동을 흥미롭고 즐겁게 경험하도록 한다. 또한 예술에 대해 친근감 있게 접근하고 자연스런 이해를 도우며 정서함양 과 예술문화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긍정적인 인성발달과 창의적인 진로계발 및 사회성 형성 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사진
짧지만 자신을 격려하고 희망을 갖는 시간을 통해 아이들은 자기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진정한 삶의 가치에 대해서도 다짐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특히 처음엔 강압적으로 끌려 온 아이처 럼 들어오자마자 일찍 가야 한다고 하면서 모든 활동에 반항적이거나 수동적이던 아이가 점차 변화하여 마지막 차시가 다가올 땐 제일 먼저 수업에 참여하여 발표와 활동을 가장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자 신의 꿈도 찾아 미래의 희망과 포부를 밝히며 수업을 계속하고 싶다고 매달려 참으로 감사하고 감동적 이었다. 다만 아이의 간절한 바람대로 수업을 계속해주지 못해 그저 미안하고 안타까웠다. 또한 시작 때는 우려를 보였던 관계자들도 아이들의 긍정적인 변화와 수업에 대한 애정을 보면서 10차 시의 짧은 회기에도 얼마든지 아이들에게 효과적이고 풍성한 체험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변화와 성장 을 기대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고 감사해 했다. 특히 독서나 진로, 인성교육이 예술과 통합될 때 얼마든지 새롭고 재밌는 흥미로운 교육이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면서 꼭 지원사업이 아니더라도 수업을 요청하고 싶다고 했다.
- ‘다꿈’(다함께 꿈꾸기의 줄임말)
만화애니
처음엔 독서와 진로, 인성 등의 이야기가 들어가 있어서 관계자는 물론 아이들과 학부모까지 생각을 많 이 하거나 이론이 많은 수업으로 지루할 것이라고 생각했었다고 했다. 수업 시작 후에도 방과 후 활동을 핑계 삼거나 이런 저런 이유로 늦게 오거나 빨리 가려는 아이들이 있었다. 그런데 1차시부터 ‘스트레스 풀기’를 위한 게임과 심신이완 놀이 활동, 그리고 다양한 스티커, 반짝이풀 등 아이들이 좋아하는 재료로 신나고 재밌게 맘껏 이름을 꾸며 자기를 소개하는 활동 등 기존의 수업에서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예술 표현 활동을 경험하면서 아이들은 다음 차시부터는 친구를 데려오고 차시 중반부터는 다음 학기와 내년 수업까지도 물어 올 정도로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참여를 했다.
기획의도
▶
영화
한편 참가 학생들이 다문화, 저소득층 가정의 아이들 위주로 모집되어 학습의욕이 높지 않거나 교사의 권유로 마지못해 하는 경우가 많아서 인원모집을 위해 담당교사가 애를 먹었다. 이렇게 서울시교육청의 지원으로 개설된 [독서미술 통합예술 인성교육 - ‘꿈을 찾는 책 놀이 교실’]은 이렇게 담당자와 관계기관 의 우려와 아이들의 수동적인 반응 속에서 시작 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서 무엇보다 아이들이 흥미 를 가지고 재미를 느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을 더욱 고민하고 분위기를 고려해 서 융통성 있게 준비하기 위해 더욱 노력했다.
연간 교육주제
연극
처음 독서미술이 통합된 예술인성교육에 대한 관계자(초등학교 사회복지담당 교사)의 반응은 우려가 많았다. 그동안 몇 년 동안 독서관련 수업을 외부에서 지원 받아 진행하였지만 아이들 반응이 좋지 않고 지루해하거나 어려워하였고 무엇보다 학습의 연장으로 생각해서 참여율이 매우 저조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매전 좋은 수업이 지원된다고 해도 인원모집에서부터 어려움을 겪고 출석률이 낮아 앞으로 독서관련 수업은 진행을 하지 않으려 했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번엔 통합적인 예술교육과 치유적인 인성교육을 융합한 수업을 진행한다고 해서 마지막으로 적용해 본다는 생각으로 수업을 개설했다고 했다.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무용
2) 교육 성과 및 효과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초등 저학년(90분) 초등 고학년(120분)
교육대상
나소리
세부전공
A -0901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전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
자신을 탐색하고 잠재력을 발견하여 긍정적인 태도와 자신감을 갖도록 한다.
교육목표
▶
ㅇ 치유적인 통합적 예술인성교육으로 예술에 대한 거리감을 없애고, 흥미를 유발하여 친 밀감을 높이고 창의적인 독후 활동 경험을 통하여 자기표현능력을 향상시킨다. ㅇ체계적인 통합적 예술인성교육 활동으로 독서와 예술방면에 흥미 증진 및 자율적인
교과연계 거주지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예술참여 동기를 키워 줄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ㅇ정서적 활동 지원을 통한 교우관계 개선 및 학업적응력 향상으로 학교생활에 대한 자신감부여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자기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국 연대 한국학교 미술동아리 <조형예술반> 전시기획
ㅇ 아동들의 전인적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내용 ▶
ㅇ 아동들의 독서흥미를 끌어낼 수 있는 내용 ㅇ 아동들의 독서 능력발달 단계에 맞는 내용
▶ 2014년 : 내안의 나 展 (360도 박스 위에 관찰된 나의 모습, 현재, 과거, 미래의 나를 한 공간에 표현하여 관
예술활동 경력
사진
ㅇ 틀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표현력과 창의력, 관찰력, 독창적인 사고력을 키워 줄 수 있다.
주요 교육내용
만화애니
수업주제
자아성장 - 내 마음 속 보물찾기
중.고등 영화
▶
미술(회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회화/실내디자인/미술교육학
연극
미술-독서 통합적 예술교육
김현미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객과 소통) ▶2014년 : 꿈꾸는 학교, 함께하는 학교 展 (학교 이니셜에서 떠오르는 발상표현으로 공동작품 참여전시) 공예
수업내용 주 1회 매주 한 권의 그림책을 선정하고, 책 감상 더불어 책과 관련한 미술놀이를 응용하여 책과 친해지고 사고와 이해의 폭을 확장시켜 줄 수 있습니다. 통합예술교육활동으로 자연스런 치유를 경험하여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스스로의 마음을 다스 있으며, 자연스럽게 감정이입을 하고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심리적 성장발달에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미술활동을 접목
2014~2015년 중국 연대한국학교(교육부 산하 재외국민 교육기관) 미술교사
시켜 흥미와 즐거움까지 골고루 준비한다.
디자인
릴 수 있게 하는 심리정서지원프로그램이다. 책읽기, 미술활동 등 다양한 통합적 예술교육은 물론 인성교육을 겸하여 경험할 수
재밌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감정을 이입하고 또래들과 소통하면서 사회성, 관계 맺기에 효과를 더한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미술
: 준비물은 활동기간 내내 사용하는 것이므로, 한꺼번에 준비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다양한 작품을 전시하여 참여학생들에게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예술표현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특히 정서적 안 정감과 잠재력을 계발하고 긍정적인 인성발달과 창의성 측면의 변화와 자신감을 확인할 수 있다.
세세한 리본, 탁구공 등 회기마다 주제 활동에 적합한 변동되는 재료들은 강사가 직접 준비 1) 강사 준비: ppt, 주제 도서, “주제와 관련한 활동지”와 탁구공 등 세세한 준비물은 강사가 직접 준비 2) 학교준비: 빔프로젝트, 색칠도구(크레파스, 색연필, 싸인펜 등), A4용지, 도화지(8절, 4절), 두꺼운 도화지, 전지, 신문지, 박스테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이프, 투명테이프, 포스트잇(노랑, 연두 등), 가위, 풀, 종이컵 등
교실 외에도 학교운동장을 활용해서 자유롭게 다양한 표현활동을 경험하도록 한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기획의도
▶
10년 후의 나
중학교 1학년 ∼ 고등학교 2학년 2015년 3월~12월
교육 방향
▶
미술작품(자화상 작업을 중심으로)을 통한 사회 소통 및 자아정체성 함양
▶
- 미술사 기초와 조형요소와 원리 이론을 배우고 독일 조형예술 교과서의 ‘공간속의 깃발’표현 작품을 통해 잠재되어 있는 공간 지각능력과 - 다양한 재료로 드로잉 하는 시간을 가짐 - 캔버스에 아크릴화 평면작업 혹은 입체 설치미술의 형태로 ‘10년 후의 나의 미래’라 는 주제로 현재 자화상으로 작업함 - 스스로를 다양한 시각에서 사진 촬영하고, 진로상담 및 탐색 후 어울리는 의상과 배경으로 그래픽 편집하여 회화 작품으로 완성함 - 학교 축제에 전시 될 수 있도록 작품에 대한 주제 글을 작성하고, 관객 참여의 설치 미술로 포토존 제작 - 자아를 찾는 여행 컨셉의 샌드애니메이션 제작(샌드 드로잉 제작 후 영상편집) 완 성하는 교육활동을 함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교육회차
- 학교 미술실 상황 및 구비 재료, 시설물 확인 - 필요 물품과 작품 보관 관련 안내사항 확인 - 드로잉에 대한 이해 (독일 교과서를 중심으로 조형요소와 원리 체험)
1
- 자신의 꿈, 미래에 대한 마인드맵 구성
2~5
- 현재의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 인식 형성, 컨셉 형성 및 사진촬영과 편집
전반기
디자인
▶
- 자화상 작업의 작품 활동 계획(사진촬영, 드로잉, 매체 탐색), 실천(실제 작업 시 친 구들과 서로 평가), 완성(밀도 있게 완성)을 통해 창조정신을 함양하고 구성 기획력을 키움, 성취감을 통해 자신감과 도전정신 함양되었음 - 작품 완성 후 전시 기획, 도록디자인, 설치, 관객과의 소통 과정을 통해 사회적 소통 능력이 향상 되었고, 사회현실과 문제인식 능력이 함양되었음
6~10
- 개별 재료, 제작방법 연구 후 교사와의 개별 연구과정을 거쳐 평면 r 입체 작품으 로 작품제작 시작
중반기
- 친구들과 연작 시리즈가 되도록 작품의 배경 컨셉 설정, 개별 작품이면서 배경의
공예
- 드로잉 기초 능력 향상 및 본 작업 드로잉 기법 소개 - 다양한 미술재료 탐색 및 본인 작업에 어울리는 기법, 재료 선택 - 기초 드로잉 작업 완성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사진
- 진로(직업)에 대한 토론 및 직업군 안내, 자료 탐색
2) 교육 성과 및 효과
만화애니
▶
학생 스스로 진로에 대한 고민을 미술로 탐색할 수 있도록 주제 토론을 한 뒤, 아크릴화, 사진, 설치미술, 샌드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매체로 스스로의 미래를 표현하며 사회적 소통을 체험한 다.
영화
교육가능 기간
주요 교육내용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11~20
공유로 인한 공동작품으로 완성 - 샌드애니메이션 조 편성, 기획회의, 스토리보드 작성 음악
- 미술전시(축제 및 과제전 형태)기획, 작품설치, 사진작업
▶
스스로 활용기 중시하 발전에
- 샌드애니메이션 작업, 촬영, 편집 - 전시도록, 개인 포트폴리오 컴퓨터 그래픽으로 제작
21~25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미술 작품 활동에 두려움을 갖지 않고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는 교사라고 평가함 - 작품의 시작부터 과정, 결과 후 나눔 과정 모두를 중시하여 재료의 탐색과 법을 아주 구체적으로 교육하며, 모든 작품은 전시활동을 통해 소통하는 것을 는 편임. 그 결과 작품에 대한 자연스런 평가가 이루어지며 이후 작품 활동의 긍정적 영향을 미침
미술
후반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1, 2차시 / 총 16시간
교육대상
박경민
세부전공
A -0284
지원분야(세부 분야)
중학교 전학년 / 고등학교 1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수업주제
▶
자화상 그리기(아크릴화와 샌드애니메이션을 주제로) 오리엔테이션
▶
- 기초드로잉 실력을 점검하고 자신의 꿈과 희망에 대해 이야기 학고 마인드맵을 그릴 수 있다. - 샌드애니메이션에 대해 이해하고 조를 편성하여 작품 기획회의에 참여하고 기획 서 를 작성할 수 있다.
교육목표
교과연계 거주지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 리 경기도 시흥시 한우물로
만화애니
내 안의 나를 찾는 여행
미술(서예) 영화
▶
미술(서예)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서예, 문자예술학과
연극
미술(회화, 입체미술)
나소리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미술을 통해 자신의 성장 가능성, 미래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리며 긍정적 태도를 키울 수 있다. ▶
2014.03. ‘오소서 전’ 한글작품 전시
- 미술 공동작품 활동으로 교우관계 중 사회성을 기르고, 작품 기획 및 제작 능력을 함
사진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양할 수 있다. - 드로잉 실력을 향상하고 창의적 표현능력을 신장하여 자신감을 키운다. - 드로잉에 기초수업(마인드맵 그리기) ▶
- 인물화(자화상을 중심으로)의 종류, 제작방법, 표현기법 및 재료에 대한 탐색
예술활동 경력
- 샌드애니메이션에 대해 간단하게 오리엔테이션(조편성 등)
2015.10. ‘기인서림 전’ 한문작품 전시 공예
주요 교육내용 수업내용
1. 강사 소개 및 1년 수업 계획 오리엔테이션 2. 인물화(자화상을 중심으로)의 종류, 한국 및 서양 미술사를 통해 인물화의 다양한 종류 감상 디자인
3. 재료 및 표현기법의 종류 안내 4. 자신의 꿈과 희망을 주제에 따라 분류, 마인드맵 드로잉 실습 5. 샌드애니메이션에 대해 소개 및 유명 작가들의 작품 감상(PPT) 6. 샌드애니메이션 조편성, 주제를 나눠주고 기획회의 후 기획안 작성
1. 1인 1 드로잉(마인드맵) 2. 5~6인 1조별 1기획안 작성 3. 자화상 제작 과정 (1인 1 드로잉 후 평면 r 입체 작품시작)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학생 개인 :연필, 지우개, 색연필, 8절지 ▶ 교사 준비 : 마인드맵 안내 PPT, 인물화 예시작품 (미술사 연계, 선배들의 작품) PPT, 샌드애니메이션 안내 PPT, 기획안 작성 폼
▶ 학교 미술실에서 수업 (조별 테이블 필요 5~6명이 모여 앉을 수 있도록)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3. 1회차 교육계획안
▶
- 우리의 문화, 붓과 친해지기
기획의도
▶
- 붓을 이용한 다양한 표현을 통해 우리의 문화를 직접 체험하며 우리 감성과 다양한 잠재력 을 발견할 수 있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더 나아가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쓰이는 서예를 체험하여 우수한 우리의 재료와 기법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박경민
서예
1시간
초등(전학년)
수업명
▶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붓과 친해지기
교육회차 붓은 어떻게 생겼으며 어떻게 사용할까요?
- 수업을 진행하는 날짜 및 시간 체크 - 학생들이 준비할 준비물 체크 - 붓은 어떻게 생겼으며 어떻게 사용할까요? 붓의 사용법을 배우고 자신의 이름을 자유롭게 표현하기
1
- 다양한 형태의 선을 그리며 붓과 친해지기
2~5
- 처음 사용하는 붓을 자유롭게 낙서하듯 표현하며 다른 미술용구에서 느낄 수 없었던 선의 변화를 느끼게 함으로써 붓과 한지의 특성에 흥미를 갖도록 함 - 붓의 생김새 관찰하기 - 붓으로 낙서해보기 - 자신의 이름을 붓으로 자유롭게 표현하기
- 화선지의 특징과 먹의 특징을 이용해 농담 표현하기
사진
- 기본 서법을 이용하여 판본체 익히기
- 우리의 전통 기법, 붓을 마주하는 학생들에게 재료에 대한 재미와 흥미 유발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분야
영화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전반기 수업내용 공예
- 붓의 획에 속도감 표현하여 단어 표현하기 - 붓이 아닌 다른 도구를 사용해 단어 표현하기 - 생활 단어를 적어보며 자유롭게 표현하기 - 동물의 다양한 표정을 보고 말풍선에 글씨 써보기
6~10 처음 붓을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붓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붓에 먹물을 묻혀 낙서하듯 자유롭게 붓을 그어 보며 평소 다른 미술도구에서 느낄 수 없었던 붓의 특징과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자신의 이름을 적어보며 그 안에 좋아하는 것, 자신의 꿈, 자신의 특징, 등을 표현하여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학생들은 자신을 글씨로 표현하며 재미와 흥미를 느
- 다양한 색상을 이용해 생활소재 그리기(개인작업&조별작업)
중반기
- 나의 미래 모습 상상하여 그려보고 써보기
11~15
- 학습내용을 응용하여 부모님께 편지쓰기 - 학습내용을 응용하여 부채에 표현하기
디자인
낄 수 있으며 어린이가 표현한 이름을 보면 부모와 교사는 어린이의 성향을 알 수 있습니다. - 다양한 도형 안에 글씨로 채워 넣으며 조형성 이해하기(조별작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화선지에 각자의 이름을 적은 결과물이 나올 예정이며, 각 반마다 인터넷 갤러리를 개설할 예정입니다. 학생들이 적은 이름은 인터넷 갤러리를 통해 각자의 갤러리로 들어가는 메인으로 사용되며 앞으로 나올 결과물 또한 갤러리에 하나씩 담길 예정입니 다. 부모님은 모바일과 인터넷을 통해 아이의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일주일에 한 번씩 업데이트 예정)
준비물 및 필요물품
- 학습내용을 응용하여 생활소재에 글씨쓰기 (종이컵, 쇼핑백, 책갈피 등) - 학습내용을 응용하여 TV자막에 넣어보기(강사 후작업 예정) - 학습내용을 응용하여 포스터에 영화 제목 넣어보기 (강사 후작업 예정)
15~26
서예 붓, 한지, 먹물, 벼루, 서진, 깔개(멍석)
미술
후반기
- 학습내용을 응용하여 엽서 만들기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각자의 책상 위에 깔개를 깔고 수업 진행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박미상
세부전공
A- 0 2 7 2
지원분야(세부 분야)
전공없음 미술 (서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교육가능 기간
▶
교육 방향
▶
서예를 통하여 정신적 수양과 인격적 도야는 물론 고전문자를 통하여 선현들의 고상 한 정신세계를 계승하여 좋은 글씨에 접근하고자 한다.
주요 교육내용
▶
서예를 하는 이유는 좋은 글씨를 쓰기 위함이다. 어려운 서예를 직접 체험하며 친근해지고 발전해가는 것을 느끼며, 성취감을 가지게 한다. 개개인의 수준별 수업이 필요하며 좋아하는 서체를 글씨로 표현하도록 한다.
초등학교 고학년 / 11~13세 2015년 3월~12월
영화
교과연계
초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미기재 경기도 단원구 광덕동로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2014년 단원미술제 서예-문인화 추천작가전 사진
예술활동 경력
2) 교육 성과 및 효과 - 2015년 제32회 경인미술대전 추천작가전- 2015년 안산미술협회 정기회원전 공예
- 2015년 단원미술제 서예-문인화 추천작가전
▶
- 지난 2008년 안산에 있는 휴웰요양병원에서 환자를 상대로 서예 강의를 한 적이 있었다. 환자들은 무기력한 상태에서 성취감과 희망을 가지고 아주 열심히 공부하였다. 중풍으 로 쓰러져 왼손을 오른손으로 옮겨야 하는 상태이면서도 환한 미소를 가지고 공부에 임 했다. 박식한 어르신들은 고사성어 를 붓글씨로 쓰면서 기뻐하셨고, 봄을 기다리며 입춘 대길을 써서 아들네 준다고 열심히 쓰는 할머니도 계셨다. 일주일에 2시간 강의를 하였는 데 서예시간을 기다리는 것이 즐거움이라고 하셨다.
디자인
- 2015년 국제서법예술연합 제10회 초대작가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2013. 01. 11 원곡2동사무소 서예출강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 2014. 10. 2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안산학습관 사랑방문화교실 서예출강
▶
미술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요양병원에서의 강의는 내 어머니를 보살펴드리는 심정으로 열심히 돌봐 드렸다. 반신불수의 몸으로 휠체어 타고 오시는 어르신들을 뵙고 배우는 기회는 누구에게나 다 주어져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 덕에 더욱 열심히 공부하게 되었고 비록 몸은 불편하지만 배움의 희망을 주는 수업을 하였다. 처음엔 교재를 가지고 수업을 하였으나 지식수준 정도가 다 각각이라 개개인에 맞추어 수준별 수업을 하게 되었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3. 1회차 교육계획안
▶
바른 마음으로 붓을 움직여 바른 글씨를 쓰게 한다. 서예의 기초를 배우고 붓과 본인이름과 고사 성어를 화선지에 옮길 쓸줄 알게 한다.
▶
서여기인(書如其人): “글씨는 곧 그 사람과 같다.”라는 말이 있다. 그 사람의 성품을 나타낸다면 글씨는 날카롭지 않고 부드럽게 써야 좋은 글씨라 할 수 있다. 학생들과 함께 고문자를 공부하 며 붓으로 옮겨본다. 어려운 서예를 직접 체험하며 친근해지고 발전해가는 것을 느끼며 성취 감을 가지게 한다.
교육내용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박미상
서예
2시간
초등(고학년)
수업명
▶
문방사우(화선지, 붓, 먹물, 벼루)에 대하여 알고 사용법을 설명한다. 서진, 깔판, 연적 등을 설명하고 다루는 법을 이해한다.
수업주제
▶
서예의 용구에 대해 이해하고 집필법과 완법에 대해 설명한다.
교육목표
▶
서예를 통하여 정신적 수양과 인격적 도야는 물론 고전문자를 통하여 선현들의 고상한 정신세계를 계승하여 좋은 글씨에 접근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한다.
교육회차
영화
기간
친해져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서예는 공간이 넓어야 하므로 담당자와 서예 용구와 재료비에 대하며 상담이 꼭 필요 하다. 적절한 인원도 정해야 한다. 4인1조, 2인1조, 아니면 개개인이 재료를 갖출 것인지 상담이 필요하다. 서여기인(書如其人): “글씨는 곧 그 사람과 같다.”라는 말이 있다. 그 사람의 성품을 나타낸다면 글씨는 날카롭지 않고 부드럽게 써야 좋은 글씨라 할 수 있다. 얼굴에 화장을 하고 미소로 사람을 맞이하듯이 글씨도 모나지 않고 보기 좋은 글씨가 좋
어려운 서예를 직접 체험하며 친근해지고 발전해 가는 것을 느끼며 성취감을 가지게 바른 마음으로 글자를 바르게 쓴다.
다. 다루는 법을 설명한다.
서예의 용구를 다루는 법을 이해한다.
1
2. 손가락의 자세(執筆法): 단구법(單鉤法), 쌍구법(雙鉤法)
주요 교육내용
▶
집필법(단구법, 쌍구법)을 설명한다. 완법(현완법, 제완법, 침완법)을 설명한다.
사진
오리엔테이션
1. 文房四友: 종이(紙), 붓(筆), 먹(墨)물, 벼루(硯), (서진, 깔판, 연적) 등 서예의 용구를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필진도를 그려서 화선지와 붓과 먹의 조화를 느낀다.
3. 용안법과 봉안법을 설명한다. 4. 완법(팔의 자세): 현완법, 제완법, 침완법
수업내용 1. 文房四友: 종이(紙), 붓(筆), 먹(墨), 벼루(硯),
역입, 절, 수필 등을 설명하고, 줄긋기의 기초인 필진도를 그린다. 쉬운 글자로 붓글씨를 써 본다.
사자성어를 하나 정하여 써 본다. 석고문 교재를 이해하고 임서한다. 기초 이상인 학생은 각자 서체를 선택하여 써본다.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등 각 서체에 따른 수준별 개인 지도한다. 가훈을 정한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11~20
준비물 및 필요물품
께 고문자를 공부하며 붓으로 옮겨본다. 어려운 서예를 직접 체험하며 친근해지고 발전해가는 것을 느끼며 성취감을 가지게 한다.
21~25
서예의 용구: 화선지, 붓, 먹물, 벼루, 서진, 깔판, 연적, 교재 등
미술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등 각 서체에 따른 수준별 개인 지도한다. 학생들과 함
후반기
서예를 하는 이유는 좋은 글씨를 쓰기 위함이다. 서예를 배워 가훈을 써서 작품을 한다. 어려운 서예를 직접 체험하며 친근해지고 성취감을 느끼게 한다.
음악
중반기
6~10
디자인
전반기
2~5
고문자인 석고문 교재로 붓글씨를 써본다.
(서진, 깔판, 연적) 등 서예의 용구를 다루는 법을 설명한다. 2. 손가락의 자세(執筆法) (1) 단구법(單鉤法): 연필 잡듯이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붓을 잡고 나머지 손가락은 받힌다. 연필 같은 가는 붓 잡을 때. (2) 쌍구법(雙鉤法): 연필보다 굵은 붓 잡을 때 엄지와 집게손가락과 중지로 붓을 잡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받힌다. 3. 완법(팔의 자세) (1) 현완법(懸腕法): 팔을 들고 쓰는 방법으로 큰 글자 쓰기에 적합하다. (2) 제완법(提腕法): 팔꿈치만 책상에 살짝 대고 쓰는 방법이며 중자(中字)쓰기에 적절하다. (3) 침완법(枕腕法): 왼손을 오른쪽 팔목이나 팔뚝에 받치고 쓰는 방법으로 소자(小子)쓰기에 적절하다. 4. 필진도: 4가지의 필진도를 그리며 붓과 친해지며 서예술을 즐긴다.
공예
5. 4가지의 필진도를 그리며 서예술을 즐긴다.
가훈을 써본다.
학교 교실 책상 보다 넓은 책상이 필요하며, 서예교실이 따로 있었으면 좋겠다. 깔판을 깔고 화선지를 펼쳐야하고 벼루, 먹물, 교재 놓을 공간이 필요하다.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반달림
세부전공
A- 0 2 6 0
지원분야(세부 분야)
서예전공 미술 (서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거주지
교육가능 교급
▶
초등학교 3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9월~11월
교육 방향
▶
서예를 기반으로 한 체험 및 상황학습 중심의 교육을 통해 사회성과 창의성 그리고 인성을 키워준다. 또한 전통예술에 대한 올바른 인식재고와 우리문화에 대한 자긍심 을 고취시켜준다.
▶
단순한 각각의 서예와 자신과
초등/중고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주요 교육내용
청년서예가그룹'시옷' 공존도시展
2015
이음 첫 번째 그룹전 소하x지호 花 ; 季_가을전시
2015
JAF 전북 나우아트페스티벌 참여
2015
2015 Grup Exhibitin 서주동인전 (in 광주) 참여
2015
이음 첫 번째 그룹전 소하x지호 花 ; 季_여름전시
2015
이음 첫 번째 그룹전 소하x지호 花 ; 季_ 봄전시
2014
한글일일달력전 덕담쓰기행사 참여(세종문화회관)
2014
2015 한글 일일달력전 참여
2014
제3회 대한민국 평생학습박람회 부스체험행사(캘리그라피 엽서)
2013
2013 Grup Exhibitin 서주동인전 (since 1989 24년) 참여
2) 교육 성과 및 효과
- 학교 교과내용 중 담임선생님들이 어렵게 느끼고 고민스러워 하는 편인 서예를 전 문예술강사를 통해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고 다양한 참여활동으로 진행함을 담임선 생님 모두 만족함.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서예에 대하여 대부분 제대로 알지 못했던 어린 3학년 아이들에게 올바른 인식은 기본이며 스스로 응용해서 참여 할 정도의 흥미를 심어줄 수 있었다. 일주일에 한 번 씩 수업을 시작 할 때면 늘 기다렸다는 말과 함께 일주일 중에 가장 재밌다고 발표해 주는 아이들이 대부분이었다.
2015 한장미협회계법인 특강 보조강사
2015
삼삼(森森)한 프로젝트_상지여고 특강 보조강사
2015
마장중학교 2학기 자유학기제 캘리그라피 강사
2015
삼삼(森森)한 프로젝트_갈곶초등학교 특강 보조강사
2015
문일고등학교 직업인 멘토링
2015
문화예술 힐링캠프 <동행> 보조강사 : 메세나협회
2014
종암중학교 마음으로 쓰는 붓놀이터 보조강사
2014
석계초등학교 학기 중 특강 "마음으로 쓰는 붓놀이터" 보조강사
- 아이들에게 설명해주기 위해서 언어나 설명문장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면서 스스로에게도 보다 명확한 지식을 되새길 수 있는 공부를 할 수 있었다.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몇 차례에 걸친 교육과정에서 아이들에게는 어떻게 강한 인식을 심어주는지, 그리 고 어떠한 말들로 아이들을 대했을 때 교육과정에 대한 습득의 정도가 좋은지 알게 되었다. 예를 들면 3학년 아이들 같은 경우엔 대다수가 발표와 도우미 역할에 선발되 길 희망하는 아이들이였는데 그러한 점을 응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니 보다 원만한 진 행을 할 수 있었다. - 또한 결과적으로는 모두가 함께 칭찬을 받게 되지만, 선의의 경쟁도 때때로는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음을 피부로 느끼게 되었다.
문학
- 수업계획과 진행, 평가를 지금의 나의 시선이 아닌 10살이었던 나의 시선에서 생각 해보았을 때 진정한 공감 형성과 눈높이를 맞출 수 있음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교육 이었다.
미디어아트
석계초등학교 학기 중 특강 "마음으로 쓰는 붓놀이터" 주강사
미술
2015
음악
- 초반에는 구분 짓거나 설명하기 어려워하던 판본체의 특성과 자음의 특징을 수업 을 마칠 때에는 모두가 한 목소리로 설명 할 수 있을 정도로 집중력 높은 수업이 되 었다.
디자인
2015
공예
이음 첫 번째 그룹전 소하x지호 花 ; 季_겨울전시
사진
2015
보고쓰기를 반복하는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체험을 기반으로 한 교육. 회, 차별로 주제에 따른 스토리 중심의 상황학습 실시 미술 그리고 기획 등 다양한 영역이 포함된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주변을 관찰하고 연상한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물 완성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영화
교과연계
1) 교육개요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 서예를 응용한 창의적 활동을 통해 창의성과 상상력을 길러주며, 바른 자세와 올바른 인성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초 3,4 판본체, 초5,6의 궁체를 직접 비교해가며 공통점과 차 이점을 스스로 느껴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올바른 개념정리가 가능하다.)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반달림
서예
2시간~ 2시간30분가량
초등 전학년
▶
- 단순히 보고 베낀다는 인식으로 인해 지루한 이미지의 서예를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기본 기를 거친 후 커리큘럼마다 흥미요소를 가미해 즐겁다는 인식을 기대한다. 또한, 바른 자세를 취해야지만 제대로 된 글씨를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자세교정도 함께 교육할 수 있으며, 팔과 손가락에 집중을 하게되는 과정에선 섬세한 근육의 발달과 차분함 그리고 뇌 기능의 발달에 도 효과적이게 된다.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사전방문 (3월)
- 교실 외에 사용할 수 있는 미술실 등이 있는지 확인.
▶
아름다운 우리의 붓글씨(서예) 속 너와 나.
수업주제
▶
서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교육목표
▶
ㅇ 아이들이 서로 어느 정도의 서예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사전조사. ㅇ 앞으로 진행하게 될 수업 자료들을 보여주며 서예가 고리타분하지만은 않다는 이미지 를 심어준다.
영화
- 교실의 책상 크기확인 및 깔판 구비 조율.
수업명
연극
기획의도
무용
연간 교육주제
3. 1회차 교육계획안
- 조별활동과 개별 활동 중 어느 것이 나을지 상의해본다.
ㅇ 평소 접해보지 못했던 도구를 보여줌으로써 집중력 향상.
오리엔테이션
- 시작단계에 아이들이 갖고 있는 서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며, 앞으로 함께 써 볼 여러 가지 모양의 서체들과 결과물들을 보여준다. 그리고 느낀점을 이야기 해 보도록 한다.
1
ㅇ 이색적인 도구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어수선한 분위기를 차분하게 만들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을 넓혀준다.
ㅇ 전반적인 집중력과 차분함 향상 기대.
(필필기구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연필과 붓의 차이) - <종이와 친해지자> 연습지, 이합지, 순지, 냉금지 등
2~5
- <먹물과 친해지자> 먹물의 농담조절 (연하고 흐린먹부터 진한 먹물까지 직접 화선지에 써
ㅇ 앞으로 써보게 될 서체를 화면으로 게시하여 발표 유도.
주요 교육내용
▶
ㅇ 미처 알지 못했던 우리 일상에서 쓰이고 있는 서예를(특히 그 지역의 서예, 간판, 동 화책, 음식 등) 보여줘 가깝고 친근한 이미지 기대. ㅇ 문방사우의 개념정리 및 다양한 종류 파악.
- <벼루를 알아봐요> 벼루는 한학생당 하나씩 직접 겪어볼 수 없으니 선생님의 자료로 알아
공예
보고 만져본다) *앞치마와 토시 필요
사진
수 있다.
<붓과 친해지자> 우이필, 양모필, 웅모필 등 다양한 붓
전반기
ㅇ 한 가지가 아니라 다양한 서체를 갖고 있는 서예의 다양성을 알려주어서 예술지식 ㅇ 한 글자 한 글자 정성스럽게 눌러 쓴 글씨를 보았을 때 보람차고 뿌듯함을 느껴볼
- 문방사우 소개. 다양한 재료를 직접 만져보고 느껴보기.
(특히 에이포용지와 다른 성질의 화선지를 직접 찢어보며 그 섬유질을 느껴보자)
만화애니
ㅇ 서예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를 좀 더 쉽고 친숙한 변화로 기대.
본다. 그리고 한 개의 벼루로 만져보기도 하고 먹을 직접 갈아보기도 한다.
수업내용
- 기본적인 도구 사용 방법 및 붓 잡는 방법과 바른 자세를 알아본 뒤 기초 획 연습. - 붓을 움직이고 획을 긋는 방법을 제대로 익혀본다.
6~10
- 조별로 둥근 선, 뾰족한 선, 두꺼운 선, 얇은 선 등 다양한 선을 그어보자.
* 아이들이 알고 있는 서예의 범주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방향을 잡도록 한다.
- 다양한 두께의 선으로 내 얼굴을 그려보자!
모든 수업을 마칠 때 까지 함께 써 보게 될 다양한 서체를 보여줌으로써 배우기 전 미리 보고 느낀 점을 발표해보도록 한다. 그리고
- <한자서예 – 전서> 매끈한 전서의 특징을 알아보고 직접 써보기.
서예의 필수도구인 문방사우에 대한 기본 개념과 문방사우의 다양한 이미지를 사진으로(여건이 된다면 직접 지참) 만나보며 앞으
- <한자서예 – 예서> 화려한 예서의 특징을 알아보고 직접 써보기.
로 이 문방사우를 사용하여 다양한 글씨를 쓰게 됨을 인지시켜준다. 또한 문방사우의 다양한 종류를 설명해주는 시간이다.
디자인
- 글씨를 쓰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여러 가지 필수 획 연습. (바른자세, 주변 정리) ,
- <한자서예 – 해서> 우리눈에 가장 친숙한 해서의 특징을 알아보고 직접 써보기. * 한자서예시간에는 “月火水木金土“를 다양한 서체로 써본다.
11~14
(차이점을 직접 발표할 수 있을정도의 교육 기대)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중반기
- 3가지 서체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서체를 골라서 내 이름이 적힌 필통을 만들어보자.
* 서예가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정도의 지식과 문방사우를 보고 제대로 된 설명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개념정리. - <튼튼하고 일정한 판본체>
준비물 및 필요물품
- 판본체로 내 이름 써보기. 가족과 친구 이름 연습해보기. - 나와 가족 친구의 이름을 판본체로 적고 알록달록하게 화선지의 성질을 이해하여 꾸며보자.
※1회차에는 아이들이 따로 준비 할 것은 없습니다. 설명을 위한 문방사우는 강사가 지참하여 갈 것이며 혹시 모르는 상황을 대
- 내가 좋아하는 과자이름를 판본체로 바꿔보자. (함께 과자를 먹으며 과자의 맛과 기분 표현)
- 판본체 그림일기 쓰기 : 최근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을 그림일기로 그리고 판본체로 적어봅니다. - <아름다운 글씨 궁체> 궁체의 개념과 특징을 먼저 눈으로 알아보자. 아름다운 궁체의 특징을 살려 바른 자세로 써보 고 내가 좋아하는 책 제목을 궁체로 바꿔보자!
15~25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비하여 앞치마와 토시만 아이들이 준비하면 되겠습니다.
- 다양한 도구(스펀지, 면봉, 나뭇가지, 휴지 등)으로 판본체 써서 우리 반 게시판을 꾸며보자!
후반기
미술
한글 창제의 배경을 알아보고 판본체의 특징과, 네모 모양의 판본체 쓰는 방법을 제대로 배워보자!
※기존의 교실도 무방하지만, 싱크대가 구비되어있는 미술실 혹은 과학실등이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주어진 문장을 판본체와 궁체로 각각 써서 비교해보자.
- <작품완성> 가장 자신 있는 서체로 우리 집 가훈을 족자에 완성해보자.
문학
- <작품연습> 가훈을 연습해보자.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방 진
세부전공
A- 0 0 4 8
지원분야(세부 분야)
동양화과 / 서예문자예술 미술(한국화, 서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고등학교 1-2학년/17~18세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12월
교육 방향
▶
학생들의 적성 개발과 인성 향상
주요 교육내용
▶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기본교과, 선택교과 , 자유학기제 경기도 구리시 장자호수길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한문 전통 서예(오체 전부 가능) 한글 전통 서예(고체-궁체-흘림 전부 가능) 한국화(인물화-산수화-문인화 전부 가능) 캘리그래피(현대 캘리-전각 캘리-생활 캘리)
현대 여성 미술 공모전 우수상, 특선3회 사진
현대여성미술협회 초대작가 목우회 입선 3회
2) 교육 성과 및 효과 공예
한국문화예술대전 찬조작가 서가협 서예대전 입선7회, 특선1회
예술활동 경력
화묵서가회 회원전 4회
산채수묵회 회원전 3회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인성 교육이 향상되었다. ▶
-학생 개인들의 예술적 자질 개발이 되었으며 반응이 좋았다.
디자인
봉림회 회원전 5회
화홍시서화대전 국제우수상 국민예술협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입선 음악
현) 서가협-미협 회원, 화묵회-문향회-산채수묵회 회원, 아시안캘리그래피 협회 정회원
-학생들의 인성과 예술성 개발을 할 수 있어 좋았다. 교육을 한다면 메마른 학생들의 정서 함양, 예술적 재능 개발에 도움을 주고 싶다. ▶
-학생들의 전체적 인성 향상에도 노력을 하겠지만 재질이 뛰어난 학생들을 전문가가 될 수 있게 지도, 교육 하고 싶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3. 1회차 교육계획안
▶
- 서예와 한국화의 기법의 습득과 할용 모색
▶
- 학생들에게 다양한 서예의 서체습득과 한국화의 여러 기법의 체험을 통해 정서를 함양하고 간단한 전각과 캘리그래피를 이용해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자예술을 이해시키고자 한다.
교육내용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방진
미술 (한국화-서예)
100분
고등(전학년)
수업명
▶
캘리그래피와 현대 서예의 만남
수업주제
▶
캘리그래피의 실생활 활용
교육목표
▶
- 캘리그래피의 예술성과 상업성의 조화를 통해 자신만의 캘리 서체를 창작해 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서예나 한국화-전각-캘리그래피 수업 시 재료준비사항 확인이 필요하다. - 수업시간이 보통 2시간을 필요로 하는데 연달아 수업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지의 문 제파악이 필요하다. 한글-한문서예를 통해 정서적 안정과 심리치유의 기회를 갖고 먹과 붓으로 인
오리엔테이션
물-산수-사군자를 체험해 봄으로써 다양한 한국화 기법의 습득과 전각-캘리그래
1
- 다양한 캘리그래피의 체험을 통해 실용성과 창의성을 향상시켜 학생들의 성적 향상 - 학생들의 인성 개발에 도움을 준다.
피로 실생활에 응용해 본다.
- 간단한 한자 써보기(冓-永字 쓰기) - 내 모습 그려보기-자화상 그리기(인물화 기초)
- 좋은 글귀를 여러 서체로 한글로 캘리그래피 해보기 - 그림과 글씨를 결합한 캘리 작품 만들어 보기 - 포스터나 제품의 이미지를 캘리그래피로 창작해 보기
사진
- 다양한 선의 이해(원필-방필등)
과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2~5
작품 슬라이드 감상하기
수업내용 - 고체-판본체-한글 궁체 써보기 - 내 이름 전각해 보기-좋은 글귀 캘리그래피로 써보기 - 실생활에 활용되는 실용 캘리 해보기 풍경 먹으로 묘사해 보기
실생활에 활용되는 제품의 이미지와 들어맞는 다양한 캘리그래피 자료를 슬라이드로 감상해 본다.
6~10
서양의 캘리그래피 서체와 한글의 캘리그래피 작품을 비교 감상한다. 좋은 글귀나 여러 가지 제품의 이미지를 표출하는 캘리그래피 작품을 화선지와 먹과 붓을 이용해 써본다. 그림과 글씨를 이용해 여러 가지 문구를 완성해 본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바위-동물-꽃-정물 그려보기(문인화) 사군자 그려보기(매화-난초-국화-대나무) - 채색화 해보기(견에 인물 그려보기)
디자인
서로의 작품을 제출 후 감상하고 총평하는 시간을 갖는다.
중반기
공예
전반기
11~20 음악
- 안진경 서체 써보기(안근례비 임서), 한글 흘림 써보기
준비물 및 필요물품 먹물, 화선지, 세필(붓), 동양화 물감
후반기
- 예서-행서 한자 써보기(예기비-다보탑비), 왕희지 행서 임서하기 - 학생들 작품 과제 제출 후 감상-총평하기 학생들 작품 토대로 좋은 작품 감상 토론하기
21~25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학생들이 둥글게 둘러 앉아 서로가 공감을 가질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미술
- 캘리그래피로 여러 가지 서체로 포스터 만들기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성소희
세부전공
A- 0 2 44
지원분야(세부 분야)
서예.문자예술 미술(서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학교 고학년 / 12세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10월초~11월말
교육 방향
▶
‘쌍방향적 소통’을 통한 서예교육
▶
1차시-문방사우 2차시-판본체 3차시-궁서체 4차시-감성글씨 5차시-서예와 창작활동 여러 주제를 통해 아이들과 소통하여 흥미를 이끌어내 창의성, 자신감 증진
영화
교과연계
초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권광로
주요 교육내용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평안어린이집 2014.11.05~11.26 매주 수요일 1시반~3시 (4주간) - 서예체험프로그램 사진
시범교육 사업
예술활동 경력
2) 교육 성과 및 효과 명당초등학교 2015.10.01~2015.11.30 매주 수요일 9시~12시20분(2개월) -서예-동양화관련 교육과정 운영(협 공예
력 수업) - <초등학교 서예 교육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서예교육 지도방안>연구과제 수행 (금상)
▶
- 소통하여 다가가는 교육이 아이들의 흥미를 자극하여 공부할 수 있게 만들며, 서예 뿐만 아니라 모든 방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됨. - 단지 아는 것을 가르치는 교육에서 아이들이 서예를 통해 무엇을 배우고 싶은지 천 천히 흥미를 유발하는 교육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나의 가르치는 방식에서도 변화가 생김. 아이들의 의견을 듣기는 원하고, 일방적인 가르침 보다는 서로가 서로의 생각을 듣고 다가가는 교육을 하게 됨.
음악
▶
디자인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처음 학생들 반응은 신기해하고 어리둥절함>서예에 대해 설명하고 하나씩 비교해 가며 설명함으로써 해보고 싶어 하는 도전의식이 생김 - 따라 쓰기로만 했던 아이들이>특징을 살려 자신만의 글씨창작을 하기 시작함 - ‘소통’이 바탕이 된 만큼 어색했던 아이들과 빠른 시간 내에 가까워 질 수 있었고 수 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됨. - ‘서예’에 대한 아이들의 생각이 생각보다 더 많이 변화하게 되었으며 재미로 시작한 서예를 ‘공부’하고 싶어 함.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3. 1회차 교육계획안
▶
- ‘서예’와 소통하기
▶
- 학생들과 함께 ‘서예’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고 눈높이에 맞게 차근히 교감하여 ‘서예’에 대한 생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자연스럽게 창의성과 바른 글씨 연습을 병행할 수 있는 작업 을 진행하고자 함. 서예를 통해 자신만의 글씨를 완성시키고 서로 소통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서예로 내비칠 수 있는 경험을 하게됨
교육내용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성소희
서예
40분
초등(고학년) 4.5.6학년
수업명
▶
서예, 차근차근!(1)
수업주제
▶
서예란 무엇인가?
교육목표
▶
- 서예와 소통하여 서예에 한발 더 다가갈 수 있다. - 서예작품을 보고 서예작품을 구별하며 감상 할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서예’를 할 수 있는 기본적 준비물이 갖추어져 있는지 상의(갖추어져 있지 않았다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상의하기) - 학생들을 대할 때 주의할 점이나 대하는 방법을 상의 - 학생들이 ‘서예’에 대한 생각을 들어봄.
오리엔테이션
- 학생들이 ‘서예’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 이야기해봄. - 연간 무엇을 배울지, 그 안에서 무엇을 더 배우고 싶은지 서로 소통해봄.
1
- 다양한 서예작품들을 보고 흥미를 유발함
- 서예에 대해 흥미를 유발 할 수 있다. - 서예가 무엇인지 말해 볼 수 있다. - 서예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듣기 - 서예를 통해 배우고 싶은 점 들어보기, 학생들과 친해지기
- 기본적 획 알아보기
사진
- 서예작품을 보고 감상하기
- 문방사우의 쓰임새 알아보기 - 서예의 올바른 자세알기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2~3 수업내용
- 자세와 획의 활용활동
공예
전반기
- 인사 - ‘서예’를 접해 본 적이 있는지, 본 적이 있는지 소통해보기 - 선 긋기 연습 - 다양한 굵기 변화를 이용하여 글씨쓰기 - 한붓그리기, 다양한 굵기 변화 활용
- ‘서예’라는 단어를 듣고 생각나는 것들 말해보기
4~5
- ‘서예’가 무엇인지 정의 내려 보기 - ‘서예’를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어떠한 것을 배우고 싶은지 의견 들어보기 - ‘서예’를 할 때 주의 점, 지켜야 할 점, 정리법에 대해 이야기 하여 규칙정하기
- 판본체의 변화과정 알기 - 판본체의 기본적 특징 알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판본체의 기본 획 알고 쓰기 - 판본체의 획을 이용하여 여러 활동하기 - 판본체에 어울리는 작품 만들기
6~15
- 궁체의 변화과정 알기
음악
학생들 자신이 서예에 대한 생각 그림, 글, 규칙표.
- 판본체를 이용하여 여러 단어와 문장쓰기
중반기
디자인
- ‘서예’작품을 통해 다음 시차 때 배울 ‘서예’에 대한 흥미 유발하기
준비물 및 필요물품
- 궁체의 기본적 특징 알기 - 궁체의 기본획 알고 쓰기 - 궁체에 어울리는 작품 만들기
미술
A4용지, 필기도구, 파일(결과물 접어 넣을 수 있는 일반 파일)
- 궁체의 획을 이용하여 여러 단어와 문장쓰기
공간활용 계획
- 판본체, 궁체 여러 글씨를 이용한 활동하기 - 글씨, 획을 통한 감정 맞추기 - 상황에 맞는 감성글씨 쓰기(중반기의 변형)
후반기
- 캘리그라피 소개 - 캘리그라피를 활용한 여러 작품 찾아내기
16~25
미디어아트
- 기쁨, 슬픔 등 감정을 표현한 글씨 써보기
- 캘리그라피를 모방, 활용하여 자신만의 글씨 만들기 - 서예를 활용한 작품 만들기 문학
- 서예활동을 하면서 느낀 점 표현하고 발표하기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안미정 A- 0 2 48
세부전공
미술(서예)
지원분야(세부 분야)
미술(서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학교 저학년/ 고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
교육 방향
▶
서사도구를 이용한 창의적 표현을 통하여 내면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자신감과 인 내력을 향상하고 정서함양과 내적 성장을 목표로 한다.
▶
문방사우에 대하여 알고 다양한 선의 느낌을 체험한다. 문자제자 원리에 대하여 알 고 상형문자에 대하여 재미있는 퀴즈로 문자에 대한 친근감을 갖고 창의력 향상을 위하여 나만의 상형문자 만들기를 하여 발표한다. 또한 전통서예의 한글과 한문에 대 하여 익히고 연마한 실력으로 작품을 완성한다. 전통서예 뿐 아니라 다양한 실험적 수업으로 현대서예와 캘리그라피 수업도 진행된다. 또한 표현에 있어서 서사 내용을 자신의 꿈과 좌우명 사자성어 등을 쓰도록 하면서 내적 자신을 들여다 보며 내적 성 장을 키운다.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2로
주요 교육내용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영화
교과연계
초등/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사)한국서예협회 서울지부 초대작가 사진
예술활동 경력
대한민국 서예대전 입선 5회 (사)한국서예협회
2) 교육 성과 및 효과 공예
제13회 서울서예대전 대상 수상 (사)한국서예협회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아이들이 서예를 어렵지 않은 재미있는 수업으로 받아들이게 하는데 성공적이었다 고 본다. 단순히 붓으로 표현하는 수업이 아닌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마음속 이야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적 갈등을 해소하고 아이들의 심리를 긍정적 으로 변화시키는 수업이었다고 본다. 아이들을 통하여 창의적인 사고와 순수성을 발견하였다. 敎學相長이란 말이 있듯이 나또한 아이들과 함께 배우면 발전해 나간다.
제7회 해동서예문인화대전 특선
음악
2004년 전국문화센터 휘호대회 우수상
미디어아트
‘아이와 춤추는 붓 놀이터’ 강사 (2012.5.26. - 2012.11.30.)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제14회 한국화 구상회 전시 (갤러리 라메르)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디자인
제11회 대한민국아리반 서예대전 대상 수상
처음 서예수업이라고 했을 때 대부분의 반응은 지루하고 어려운 수업이라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막상 서예수업을 해보면 과거의 수업 방식과는 다르게 흥미유발과 함께 자신의 자유로운 창의적 표현을 할 수 있고 서예수업을 통하여 자기성찰은 물론 서 로 함께 소통하는 법을 배운다. 또한 전통과 현대의 어울림을 체험하고 미적 감각을 키워 나갈 수 있었다. 소극적이고 내성적이어서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화선지에 점하나 찍기도 두 려워하던 학생이 수업을 통하여 자신감을 갖고 발표까지 할 수 있는 적극적인 모습 을 보여주었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3. 1회차 교육계획안
▶
서예를 통한 자유로운 표현과 나 자신 알기
기획의도
▶
서예라는 매체를 통하여 전통과 현대적 창의 감각을 키우며, 다양한 실험적 수업을 통하여 자유로운 표현과 자신감을 향상 시킨다. 또한 자신의 꿈과 내면을 더 들여다보며 내적 성장을 목표로 한다.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안미정
서예
60분
초등(전학년)
수업명
▶
문자 창제 원리 알기
수업주제
▶
문자가 뭐지?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교실환경과 재료준비 교육대상의 연령 나눔에 대한 의논
문자 체험을 통해 문자창제 원리 이해. 소통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좋은 소통방법 알아보기
프로그램 열기 - 수업 세부진행 내용안내 애칭 짓기로 참여하는 아동 간 친목도모/ 애칭 및 이름쓰기 교육주제 : 서예야 안녕! (서예를 만나고 알아간다)
문자 체험을 통하여 창의력을 키울 수 있다 과거 상형문자를 통하여 다양한 표현방식을 알고 서로간의 소통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
서사도구 탐색 : 서사도구 탐색. 먹 갈기 할 때 마음가짐 익히기 문자 생성 과정 : 상형문자에 대하여 알고 써보기. 현대적 감각에 맞게 나만의 상 다양한 선의 표현 : 자연과 주변세상에서 다양한 선을 관찰하고 표현한다.
전반기
한자의 제가 원리와 역사에 대하여 알기 상형문자를 보여주고 무엇을 의미하는지 퀴즈 맞추기 상형문자 관찰하고 그려보기
사진
형문자 창작하기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분야
영화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붓이 운용을 익히는 선 연습 : 필력을 키우기 위한 선 연습을 한다.
수업내용 ① 교육주제에 맞게 우선 한자의 제가 원리와 역사에 대한 이해와 상형문자에 대하여 설명 ② 또 그에 맞는 상형 문자의 여러 가
공예
교육주제 : 아름다운 한글 (한글로 자신의 꿈을 표현한다) 훈민정음 한글 판본체 알기 : 세종대왕의 한글창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기본 판본 체 획 익히기 판본체 기본4자 쓰기 : 자신의 꿈을 4자로 표현하기 궁체알기 : 궁체의 기본 필획을 연마하고 아름다운 궁체 써보기 한글작품 만들기 : 명언을 통한 서예작품 창작
지를 프린트로 가져가서 아이들에게 보여주며 맞춰보기 게임으로 한자 익히기 ③ 여러 개의 상형문자 사진을 칠판에 붙이고 그 중 맘에 드는 것을 골라 직접 상형문자 그리기 ④ 작품이 마르는 동안 시간을 이용하여 문자가 없을 때의 소통의 어려움을 깨닫 기 위한 게임으로 귓속말 전달하기 놀이. 일부러 재미있는 내용으로 또 전달하기 어려운 긴 말을 해보며 소통의 어려움을 인지 함 ⑤ 게임 후에 나만의 상형문자 만들기. 과거에는 없었던 현대문명에 나타난 물건을 가지고 상형문자 만들기를 하고 한 명씩
현대서예 알기 : 다양한 캘리그라피 소개 및 캘리작품 표현하기
나와서 발표 ⑥ 마지막으로 다음 진도에 대한 설명으로 마무리 함.
생활 속 서예 :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캘리 작품을 찾아보고(예: 과자나라면,
중반기
영화제목, 간판 등)나만의 캘리 만들기
디자인
교육주제 : 생활 속 서예 (현대서예와 캘리그리피)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캘리그라피 작품 경험 : 잘 알려진 캘리그라피 작품을 참고하여 따라 써보기 나도 광고작가 : 자신의 좋아하는 상품의 로고를 자유롭게 캘리그라피 작품으로 음악
표현하기
준비물 및 필요물품 교육주제 : 한문서예 경험과 사자성어에 얽힌 이야기 꼬불꼬불한 전서 : 한자초기 문자인 전서에 대하여 알고 써보기 반듯한 해서 : 반듯하고 안정된 해서의 특징을 알고 써보기 (전서, 예서, 해서 모두 사자성어 이야기와 함께 익힌다.)
상형문자 퀴즈, 문자창제원리 자료, 귓속말 내용. 문방사우
공간활용 계획
미술
후반기
납작한 예서 : 예서의 특징을 알고 써보기
작품 족자 만들기 : 그동안 연마한 실력으로 족자에 작품 만들기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양영술
세부전공
A- 0 32 6
지원분야(세부 분야)
서예학 전공 미술(서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국립남도국악원 직원 및 단원
교육가능 기간
▶
2013년 3월~12월
교육 방향
▶
서예의 기본과 인간의 기본 철학 관계 정립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 리
영화
교과연계
초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경기도 양주시 고덕로
주요 교육내용
▶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서예의 기본를 중심으로 붓을 다루는 인내력 향상 - 인내력으로 음양관계를 알고 자기성찰 - 서예의 기본 연습(자세, 글쓰기 등)
(사)한국서도협회 초대작가 사진
예술활동 경력
2) 교육 성과 및 효과 (사)한국서도협회 서울지회 이사 및 심사위원 역임 공예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서예학 석사
▶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 자기 자신의 차분함으로 붓 잡는 자세에서 집중력 향상 - 붓놀림의 변화에 신기해하고 끈기력을 이끌어 내 마음 정서 함양 - 5,6명 정도 고정적으로 참석하여 서예의 기본 한문 한일자 연습부터 중봉을 갖추는 필봉자세 익히는데 음양이론과 겸비해 설명해 줌으로 참여자들의 신기해하면 다음 과정에 대한 자세을 임함.
디자인
과천 추사서예대전 심사위원(2014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한국서도협회 서울지회 서예대전 대상 음악 미술
국립남도국악원 직원 및 단원 서예교육(2013.3-2013.12)
- 대부분 사람들이 자신의 인내력과 집중력에 도움이 되어 인성교육에 보탬이 됨으 로 배우고 싶어 하나 서예의 수준이상을 바라보기는 너무 많은 시간이 필요해 직장 인으로서 좀처럼 여유 있는 시간이 없음이 아쉬워 함.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3. 1회차 교육계획안
▶
- 붓과 같이 놀며 친구하자
기획의도
▶
- 문방사우(먹, 벼루, 붓, 화선지)등을 어디에 쓰며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고 왜 우리가 알아 야 되는지 관계를 체험으로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우리의 인성과 예의범절 그리고 효를 바로 아는 학생으로 거듭나게 함.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양 영 술
미술(서예분야)
60분
초등(저학년)
수업명
▶
붓글씨 쓰기
수업주제
▶
붓과 같이 놀며 친구하자
교육목표
▶
- 문방사우를 정확히 알고 체험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성과 예의범절, 효도 하게 함.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한자와 붓글씨 공부에 향상되어 언어 전달 등 소통하는데 중요성을 심어줌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 교육장소, 준비물 관계, 참여인원, 참여하는 학교학년, 담당교사가 요구하는 사항 등 - 붓과 같이 놀자란 주제로 문방사우를 다루는 방법과 준비물에 대한 설명과 서예 입문에 대한 자세와 이론을 알기 쉽게 가르침으로 흥미를 갖게 안내.
1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분야
영화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 준비물에 대한 점검 및 다루는 방법 - 우리 자세와 서예 관계 이론 설명
2~5
- 문방사우 다루는 방법 및 구분 - 서예의 기본자세
사진
- 서예를 배우려면 어떠한 단계가 있는가?
전반기
6~10
수업내용 먹물, 벼루, 화선지, 붓으로 먹물을 가는 방법을 바로 알게하고 벼루 종류와 먹물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고 붓의 종류와 자기가 가
공예
- 붓의 놀림을 기술 익히기 - 서예의 분야 파악 - 서예 기본자세 익히기와 체본 써주면 임서하기( 최하의 기본 글)
지고 있는 붓의 성질을 잘 파악하여 화선지에 쓰는 정도를 수업하고자 함. 수업 받은 학생 각자를 점검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 고 직접 지도 학생들이 문화생활 중에서 서예관련 전시회나 작품을 볼 때 기본적 소양을 갖추도록 서체의 종류 전반적 작품의 변화를 기초적
중반기
- 먹물 갈기 자세와 체험하기, 먹물 찍어 글씨 써보기
11~20
- 화선지의 종류와 구분, 한자쓰기와 서예가 다르는 점
디자인
서예 이론 지도
- 중봉으로 쓸 수 있는 기본 익히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화선지에 먹물로 직접 쓴 체험글
준비물 및 필요물품 - 기본서에서 쉬운 전서 글씨 쓰기, 천자문 익히기 및 쓰기
후반기
- 부채에 글씨를 표현한 작품 만들기
21~25
화선지, 먹, 벼루, 붓, 문진, 깔판, 교습책자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결과물에 대한 작품 전시
미술
- 종합정리 한 작품, 학교 공간에 전시회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윤원진
세부전공
A- 0 117
지원분야(세부 분야)
미술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거주지
▶
중. 고등학생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12월
교육 방향
▶
한국화에 대한 이해와 기초 체험활동
▶
전통한국화부터 현대한국화에 대하여 이해한다. 나아가 현대한국화의 다양한 그림 및 응용 작품을 감상하고, 기초실습을 통해 한국화 에 대한 흥미를 유발한다.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함으로 자신감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영화
교과연계
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1) 교육개요
동양화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주요 교육내용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6회 개인전 - 시흥예술문화 공작소 '통' (시흥-2013) 사진
시흥소방서 초대 3인3색전(시흥-2015)
예술활동 경력
2) 교육 성과 및 효과
시흥청년 작가회 13인‘화 만남 전’ (시흥-2015) 공예
안양예술고등학교 미술과 및 영재원 강사 (2004.3-현재) (2013-2015)
관내 중. 고등학교 학기당 5-6회 강연회
▶
▶
- 학생들이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접해보지 못한 한국화장르에 대해 수업에 진지하게 참여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또한 자신의 생각과 표현을 글과 그림을 통해 하면서 기발한 상상력과 아이디어를 끌어내는 것을 보며 더 쉽고 즐겁게 학생들에게 다가가는 수업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본 수업을 통해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과 생각의 전환이 이루어졌다면 교육 목표를 이뤘다고 생각합니다.
(은행중. 은계중, 소래중, 대흥중. 연성중, 월곷중, 신천중, 신천고, 소래고, 함현고, 정왕고, 군서고, 서해고, 능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곡고 등)
디자인
시흥시 교육청 자유학기제,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직업체험활동 교육기부 강사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지식으로만 알고 있고, 처음 접한 한국화 재료와 실습에 낯설어 했지만 수업 후에 는 모필이 주는 다양한 필선과 물조절, 먹물이 주는 농담변화가 신선하고 재미있다는 반응을 했습니다. 또한 학생들이 미술장르의 다양성을 느끼고 응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주어서 더 즐거운 수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 초청해주신 학교선생님들께서도 함께 수업에 참여하셔서 진지하게 실습활동을 해 주셨고, 학생들이 접하기 쉽지 않은 분야를 수업해 주어 좋았다고 말씀해 주시고 전 학년이 수업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뉴욕주립대 한국문화체험 계절학기 교환학생 캘리그래피 미술 강사 (2015.7) 대부도 조력발전소 캘리그라피 특강 (2015.8)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대야동 주민자치 마을학교 캘리그래피 강사 (2015.12 -현재)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한국화의 다양한 작업 및 응용분야에 대한 이해
▶
- 한국화의 전통재료와 혼합재료를 다뤄보고, 한국화 기초실기부터 응용실기까지의 과정을 수 업합니다. 이로써 미술의 한 장르에서 미술전반으로 확대하는 수업을 통해 창의적 표현물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윤원진
미술-한국화
2시간
고등학생 전학년
수업명
▶
한국화 - 우리그림을 알고 있나요?
수업주제
▶
한국화의 역사 및 정의를 살펴보고 , 한국화의 종류 와 특징에 대하여 알고자 한다. 한국화 기초 실기 - 사군자
교육목표
▶
- 한국화에 대한 이론과 함께 실습을 통해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재료의 특징을 살려 그림을 그린다.
교육회차
- 수업이 이루어지는 학급 인원 및 공간에 대한 상의가 필요합니다. - 시청각교육과 미술수업이 가능한 공간과 인원에 맞는 재료준비 - 이론 및 실습과정을 통해 한국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울 수 있는 교육을 하고자 합니다.
1
- 직접한국화를 그려보므로 우리나라 전통미술 재료와 그림의 가치와 소중함을 발견한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체험수업을 통해 표현력과 창의력을 기르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다.
- 한국화의 역사 및 정의
2
- 한국화 기초 실기 - 사군자 ( 선, 농담, 물조절)
- 한국화의 정의, 종류, 표현기법 - 사군자 (매,난,국,죽) - 기초 실습 ( 선, 농담, 물조절)
사진
- 한국화의 종류 및 특징
다.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전반기 수업내용 3~8
공예
- 산수화 기초 (2회) - 민화 기초 (2회) - 인물화 기초 (2회)
1.한국화란 한국적인 재료로 한국적 정서와 미감이 표현된 그림이다. 정신적 · 상징적인 미와 선을 중시하고 여백을 두어 암시적인 표현을 함. 한국화의 종류는 재료에 따라 수묵화, 수묵 담채화, 채색화로 나누어지고, 표현 기법에 따라 몰골법, 구륵법, 백묘법으로 나뉜 다. (1) 한국화의 종류 (2) 표현 기법
- 전통한국화 vs 현대한국화
중반기
- 전통회화 따라 그리기
9~14
- 다양한 재료로 한국화 그리기
디자인
수묵화, 수묵담채화. 채색화 몰골법, 구륵법, 백묘법 2.사군자란 매화·난초·국화·대나무 등 네 가지 식물을 일컫는 말.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한국화 기초 연습 및 사군자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그림 한국화 전반에 대한 이해
- 한국화 응용 - 캘리그래피 - 한국화 응용 - 핸드폰케이스 디자인 - 한국화 응용 - 도자기 그림
15~20 준비물 및 필요물품
미술
후반기
컴퓨터 및 스크린, 한국화 재료 , 미술용품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컴퓨터 및 스크린이 설치된 미술실 또는 과학실 (넓은 책상)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이강미 A- 0 0 2 3
세부전공
조형문화/서예문자
지원분야(세부 분야)
미술(한글서예문자)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학교 전학년
교육가능 기간
▶
1년
교육 방향
▶
우리 글씨 쓰는 법
주요 교육내용
▶
훈민정음체 쓰는 법 용비어천가체 쓰는 법
영화
교과연계
초등/중.고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 남양주시 별내5로 81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다산문화제 국회의원상 수상
예술활동 경력
사진
법제처장관상 수상
2) 교육 성과 및 효과
대한민국평화예술제 삼체상 수상
2015년10월22일 남양주시 금교초등학교 교사 서예문인화 교육
▶
- 훈민정음체로 각자 이름쓰기 - 용비어천가체로 각자 이름쓰기 각자 이름 쓰는 것도 뿌듯해 했으며 특히 두리꿈터 선생님들이 지역 사회에 전시 해 칭찬해 주었습니다.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처음에 싫어하던 학생들이 서예수업을 열심히 한다 -서예로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음악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디자인
2014년10월 - 2015년12월 현재 수동두리꿈터 저소득층자녀서예 자원봉사중
공예
대한민국평화예술제 우수상 수상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
기획의도
▶
3. 1회차 교육계획안
우리 글씨 쓰는 법 초성자 쓰는 법, 중성자 쓰는 법, 병서자 쓰는 법, 병서 받침자 쓰는 법, 합자 쓰는 법, 줄맞춰 쓰는 법 등 궁서체 쓰는 법 (정자, 흘림 쓰는 법등)
교육내용
사전방문 (3월) 주제 : 우리 글씨 쓰는 법 오리엔테이션, 준비물 공지(붓, 종이, 먹물)
- 도구사용법
교육대상
이 강 미 (아성)
한글서예
3월 ~ 12월
초,중,고
수업명
▶
한글서예
수업주제
▶
우리 글씨 쓰는 법
교육목표
▶
우리 글씨의 체를 분별 할 수 있도록 교육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훈민정음체 쓰기 용비어천가체쓰기
사진
- 기본 획 쓰기
교육소요 시간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분야
영화
기간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전반기 수업내용 공예
- 훈민정음체 쓰기 및 설명 - 훈민정음체 쓰기 및 설명 (체본 및 첨삭지도) - 용비어천가체 쓰기 및 설명 - 용비어천가체 쓰기 및 설명 (체본 및 첨삭지도)
한글의 역사강의와 함께 우리글씨쓰는법을 1년동안 자세하게 교육할 계획이며, ㄱ은 혀가 목구멍에 들어가는형상, ㄴ은 혀가 웃잇몸에 올라붙는형상등을 모음은 천, 지, 인을 자음은 훈민정음체는 점으로 이루어지고, 용비어천가체는 획으로 쓴다 디자인
- 창작체 쓰기 (훈민정음체)
중반기
- 창작체 쓰기 (용비어천가체) - 낙관 쓰기 - 고전작품 감상 (작품비교 및 쓰기)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서예교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 작품쓰기 - 본인이 쓴 장법 설명과 마무리
문방사우(붓,종이,먹,벼루)
- 종강
공간활용 계획
미술
후반기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이민혜
세부전공
A- 0 559
지원분야(세부 분야)
미술(조소) 미술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학교 고학년 / 10~12세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10월~11월
교육 방향
▶
우리가 만드는 상상의 집!
▶
아이들이 꿈꾸는 상상의 집을 창의적으로 직접 디자인하고 박스종이 형태의 평면도 를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조립하는 수업이었다. 5명이 한 팀이 되어 집 한 채를 짓게 되는데,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고 협동의 과정을 배우면서 관계를 통해 사회성을 기르 는 목표가 있었다. 또한 색감 대비를 통해 집의 조화로운 색을 정하고 색지, 천, 크레 파스, 물감, 지점토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아름답게 장식하였다. 제작 후에는 초 등학교 내에 돌봄 교실 동생들에게 기증하는 시간을 통해서 나눔 활동을 체험하였다.
영화
교과연계
초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의정부시 전자로
주요 교육내용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2013년 3인3색 전시회 ,인사동 토포하우스
예술활동 경력
사진
2013년 국화초대전, 코엑스
2) 교육 성과 및 효과
2013년 7호선 내방역전시회(예꼴)
[예술과 시민사회]
2015년 미래초등학교 시간강사 (드림하우스 만들기 교육복지 수업)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상상의 집은 협업의 과정을 통해 아이의 자발적 성취와 사회성 효과를 기대하는 부 분이 있었다. 지난 미래 초등학교 수업에 참여한 3학년 민서의 사례가 기억에 많이 남는데,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이었고 역할을 부여해주면 금방 싫증을 내거나 다른 것에 관심을 보이곤 하였다. 다른 팀원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어떻 게 동기부여를 하고 관계가 좋아질 수 있을지 고민하였는데, 먼저 민서가 관심을 보 이는 역할을 부여하고 함께 도와줄 수 있는 친구를 붙여주었다. 몇 차례 의견 다툼이 있기도 했지만, 아이들은 그 안에서 서로의 생각을 맞춰가고 배려하면서 협동의 과정 을 이루어 내었다. 예술을 도구로 관계 안에서 사회성을 길러갈 수 있다는 것을 경험 한 사례였다.
▶
올 한해 교사로써의 가장 큰 변화는 ‘가르치는 사람’에서 배울 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도록 방향으로 전환한 것이다. 상상의 집을 만들면서 그날의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막히는 부분이 있을 때 바로 알려주기 보다는 아이들의 생각을 묻고 기다리는 과정 을 많이 두었다. 최대한 교사의 개입을 줄이려고 노력한 결과 아이들은 스스로 생각 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발적인 모습으로 더 많은 성취를 이루어 내었다. 바로 수 업의 주체가 교사가 아닌 학생 중심으로 옮겨간 것이다.
2015년 한울중학교 일일 특강 (티셔츠 만들기)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2015년 문일중학교 진로 체험 (메트로폴리탄 조립과 게임)
디자인
2015년 매봉초등학교 시간강사 (드림하우스 만들기 교육복지 수업)
공예
2014년 상상나무 전시회 ,암사동 지역 주민 센터에서 전시회
[지역복지기관]
2015년 하이탑 아동센터(구리) 2015년~현재 성북여성회관 미술교육 시간강사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2015년 무지개 아동센터(남양주)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함께 만들어가는 미술전시회’ 전시 공간에 대한 이해와 상상력을 키우고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미술 전시회를 열어본다. 명 화를 통해 그림을 감상하는 기회를 넓히고 체험과 창작 활동을 통해 예술 활동의 전반적인(기 획-제작-전시) 즐거움을 누린다.
교육내용
교육회차
영상 장비 점검과 재료 구비 확인 전시 공간 확보와 고정적 출석 인원관리
오리엔테이션
작품 제작에 필요한 개인 준비물 숙지
1
상상의 전시 공간을 계획하며 연간 학습목표를 이해하기 ‘즐거운 상상이 있는 공간!’- 전시 공간에 대한 개념을 아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이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이민혜
미술
80분
초등(고학년)
수업명
▶
함께 만들어가는 미술 전시회
수업주제
▶
전시회 준비에 필요한 역할을 정하고 공간 장식하기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예술품이 전시되는 공간을 적절한 배치와 구성으로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협업을 이루어 나가며 필요한 소품들을 제작한다. 조별 활동을 통해 의견을 조율하며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을 갖는다. 공간의 전체와 부분의 조화를 이루며 구성 능력을 키운다.
만화애니
미술관과 화가들에 대한 호기심과 기대감 가지게 하기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전시 공간에 대한 계획 세우기 조별 활동으로 진행 (그림 액자틀, 이름표, 책상배치, 공간장식 등)
해할 수 있도록 미술관, 갤러리, 박물관의 사례를 보며 공간에 대한 관심가지기. 사진
‘유럽의 화가 루벤스 이야기’- 동화 <플랜더스의 개>의 마지막 장면 배경 속 루벤
전반기
스의 그림을 찾아보기. 주인공 네로의 이야기를 통해서 그림에 대한 흥미와 호기
2~9
심 가지기.
수업내용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에’- 고흐의 강렬한 색채와 터치 화풍이 있는 그림들을 감 도입 15분
상하기. 나무, 산, 바람, 하늘, 달과 별 등 풍경화를 주제로 체험활동.
ㅇ 학습자료 감상- 해외 전시 공간의 사례를 통해 미술 작품을 관람하는 곳의 특징을 알아본다.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영국 런던의 대
중반기
영 박물관을 살펴보고 전시 준비에 필요한 것에 대해 나누어본다. 전개 45분
10~18
ㅇ 주제 정하기- 전시의 콘셉트를 정하고 그에 맞는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상의한다. ㅇ 역할나누기- 그림 액자(우드락, 상자종이) 재단, 이름표와 전시 안내판, 공간장식, 책상 배열과 공간 구성 등 조 별로 활동할 것을 나눈다. ㅇ 전시회 준비- 필요한 소품과 맡은 역할을 진행한다. 다양한 건식 재료를 활용하거나 드로잉을 하여 꾸며본다. 조별 활동인 만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확인 하고 중간 진행 상황을 점검한다.
디자인
- ‘입체가 보여요~ 피카소의 마술’- 입체파 화가 피카소의 그림을 감상하고 여러 각 도에서 본 사물의 형태를 관찰하기. 수학과 연계하여 입체도형의 형태를 배우며 이를 응용하여 예술 작품으로 제작. - ‘유쾌한 상상력, 멘디니’- 일상 속의 사물을 재치와 창조적인 아름다움으로 재해 석한 디자이너 멘디니의 다양한 작품들을 접해본다. 우리 주변의 사물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디자인 해보고 직접 만들어본다.
공예
ㅇ 수업 내용 소개- 우리가 그 동안 만든 예술 작품으로 직접 전시회를 준비하고 개최해 볼 것에 대해 설명한다.
정리 20분 ㅇ 마음나누기- 활동 중 특별한 모습을 보여준 친구에 대해 칭찬과 격려를 한다. (예를 들어 주제가 잘 드러나도록 대표적인 색감이나 장식을 해준 친구, 협동을 잘 이루며 조 안에서 힘을 보태준 친구, 고민과 실패 후에 성취를 이루어 낸 경우 등) ㅇ 보완점 이야기하기- 진행하면서 수정해야 할 부분이나 전시에 추가로 필요한 재료와 물품들을 상의하고 다음 차시에 이어 공간을 구성 해볼 것을 예고한다.
19~25
음악
후반기
‘전시회를 만드는 사람들’- 미술 전시회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역할을 알아보기. 큐레이터, 기획자, 조명과 부품관리자, 작품을 만드는 작가 등 전시 공간을 구성하 기 위한 준비 과정을 알아보고 조별로 역할 분담하기. ‘우리들의 전시회’- 수업에서 제작한 작품들을 가지고 학교 내의 공간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주최하는 전시회를 열어 봄. 전시 공간을 꾸미고 필요한 소품들을 보완 하여 아름다운 갤러리의 공간으로 재탄생시킴. 교내의 친구들과 선생님, 학부모님 들을 초대하여 그림을 감상하고 향유하는 시간으로 예술 활동을 보다 풍성하게 만 들어 볼 수 있음.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전시 공간의 주제를 정하고 그에 맞는 구성요소들이 준비되어 질 것이다. 전시 안내판, 그림 액자틀, 콘셉트에 맞는 장식과 디자인, 작품을 배치할 아이디어와 동선 등전시 공간의 주제를 정하고 그에 맞는 구성요소들이 준비되어 질 것이다. 전시 안내판, 그림 액자틀, 콘셉트에 맞는 장식과 디
미술
자인, 작품을 배치할 아이디어와 동선 등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A4용지, 색지, 색종이, 연필, 매직, 색연필, 크레파스, 풀, 가위, 테이프, 우드락, 상자종이, 목공용 풀
교실 또는 학교 내의 전시회를 준비할 수 있는 공간을 사전에 담임선생님과 조율한다. 정해진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시 준비에 필요 없는 물건들을 한 쪽으로 정리하고, 관람하기 편한 동선을 고려하여 그림의 배치 순서를 정한다. 그림을 걸 벽면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나머 문학
지는 책상위에 배치한다. 밖에서도 미술전시회의 진행을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창문과 들어오는 문 쪽에 안내 문구를 적고 장식을 할 수 있다.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이서희
세부전공
A- 0 8 86
지원분야(세부 분야)
서예문자예술 미술(서예,한국화)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초등학교 저학년 (10세)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9월 ~ 12월
교육 방향
▶
초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 리
-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법첩위주의 서예에서 벗어나 다양한 체험을 통해 서예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어 전통 문화예술에대한이해력을증진시키고아이들의인성및창의력을높일수있도록한다.
영화
교과연계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로 - 수업 초기에는 아이들이 익숙하지 않은 서예 도구들과 친숙해질 수 있도록 게임과 놀이를 통하여 재료에 대한 수업에 집중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종이(화선지)가 없을 때는 어떻게 글씨를 썼나요?’라는 주제를 제시하고 아이들의 의견을 들 은후에‘나만의종이만들기’수업을진행하였습니다.
주요 교육내용
▶
수상 경력
- 서예수업이라고 해서 단순히 글씨를 쓰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보고, 듣고, 만지는 수업을 통해 관 찰한 대상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들의 감각을 발달시키고 그 후에 언어와 문자, 글씨로 표현하도록 하 였습니다.
2013.08 백운 서예 문인화 대전 입선 2013.12 제7회 서희선생 전국서예대전 특선
- 결과물 발표 시간에는 글씨를 가지고 평가를 하기보다는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잘했다고 생각하는점은무엇인지,아쉬웠던점은무엇인지아이들의이야기를직접듣고소통하는시간을갖도록하였습니다.
2014.07 대한민국 서화공모대전 우수상
사진
- 아이들이 단체 작품 및 조별 수업을 할 때 의견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 여의견을조율하도록하였습니다.이를통하여아이들의인성을키우고,서로의친밀감을향상시켰습니다.
2013.07 소암현중화기념 전국 대학생 경서대회 입선
만화애니
- 타 교과 연계를 통한 통합 서예교육으로 각 차시별로 주제에 맞게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수 업을이루어나갈수있도록유도하여창작물을완성함으로써아이들의성취감과자신감을향상시킬수있도록하였습 니다.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2014.10 제8회 서희선생 전국서예대전 특선(한문)
2) 교육 성과 및 효과
2014.10 제8회 서희선생 전국서예대전 특선(한글) 2015.09 백운 서예 문인화 대전 입선(한문) 2015.09 백운 서예 문인화 대전 입선(한글) 2015.11 제9회 서희선생 전국서예대전 특선 전시 경력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2014.02.05. ~ 2014.02.10. 옹언글씨 회원전 출품 2014.04.21. ~ 2014.04.25. 경기대학교 박물관 ‘서화동원展’ 출품 2014.08.30. ~ 2014.09.30. 여성생활사 박물관 ‘여인의 향기展’ 출품 2015.07.01. ~ 2015.07.06. 옹언글씨 회원전 출품
▶
2015.09.04. ~ 2015.09.08. 한국 베트남 교류전 출품 2015.10.07. ~ 2015.10.21. 성북구 ‘공존도시展’ 출품
2015.10.07 문화예술교육사 2급 2014.06.19. 바른글씨 자격증 4급 2014.10.10. 바른글씨 자격증 3급
첫 수업에 ‘서예’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을 때 /검정색/ /지루하다/ /고리타분하다/ /청학 동/ /호랑이 훈장님/ 과 같이 긍정적으로 서예를 생각하는 아이들이 많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과정의 수업이 끝난 후에 ‘서예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서예가 재미있다. 또 배우고 싶다.’ 등의 의견을 내며 아이들의 서예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설문조사 만족도 또한 높게 나왔습니다.
2015.11.09. 바른글씨 자격증 2급
2014.09 ~ 2014.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밖세상 학교문화예술교육 서예문화 시범사업 (수원 매탄초등학교, 안산 원일초등학교) 2014.12. 12 수원 수일여중학교 서예, 캘리그라피 교육
2015.02.11 대만학생 서예, 캘리그라피 교육 2015.02.12 ~ 2015.02.15 코엑스 내나라여행박람회 서예 교육 2015.02 ~ 2015.06 아리랑 유랑단 한국문화기획꾼 강연 2015.03 ~ 2015.06 수원서예문화교육진흥회 서예 강의 2015.04 ~ 2015.09 문화재청 생생문화재 사업 ‘심우장, 문학인 만해의 2015.05 ~ 2015.08 아리랑 스쿨 서예그라피 강의 2015.06.09 미국계 한국인 캘리그라피 체험
숨결을 만나다.’ 캘리그라피 강의
▶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초등학교 3학년의 아이들이 서예를 배운다면 얼마나 자신만의 개성을 살려 창의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수업을 할수록 진지하게 수업에 임하고 작품에 대해 서로 회 의를 하고 아이디어를 내는 모습을 보며 저 또한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2015.01.30~31 SETEC 세계유학박람회 서예 교육
담당 선생님께서는 ‘매주 화요일 서예수업이 시작되기 전 1교시가 끝나고 나면 아이들이 “오늘 서예수업이다!”하 며 매우 들뜬다. 그렇게 들뜬 모습을 보여주다가도 산만한 아이들이 서예 수업시간만 되면 눈빛이 달라진다. 일주 일에 단 한 번의 수업이지만 아이들이 달라지는 수업태도를 볼 때마다 놀랍다는 생각이 든다.’라고 말씀해주시며 처음에는 아이들이 어려서 먹물관리나 붓 관리가 힘이 들것 같다고 걱정하셨지만 수업이 끝난 이후에 매우 만족 하시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미술
2014.03 ~ 2015.08 수원 청명초등학교 특기적성 강의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자격증 취득
디자인
예술활동 경력
첫 수업을 들어갔을 때 유난히 개구지고 산만했던 아이. 수업 중에 돌아다니는 것은 물론, 수업과 상관없는 질문을 하고, 앞에 앉은 친구를 놀리거나 장난을 쳐서 울리는 그 아이를 담임선생님과 같은 반 친구들은 ‘원래 저런 아이’라고 저에게 이야기했습니다. 수업이 끝난 후에 고민을 많이 했지만 제가 당장 할 수 있는 것은 아이를 조금 더 지켜보는 일 밖에는 없다고 생각되어 두 번째 시간부터는 조금 더 관심을 갖고 지켜보았습니다. 수업을 몇 번 진행하면서 그 아이는 이론 설명을 할 때는 산만한 모습을 보였지만 실기 수업을 시작하면 놀라운 집중력을 보였고, 한 획 한 획을 정말 정성들여 쓰는 모습을 보고 칭찬을 해주었더니 그 아이보다도 반 친구들이 ‘네가 잘 하는 것도 있냐.’라는 반응을 보이며 더 신기해했습니다. 칭찬을 받은 날 이후로 아이의 수업태도는 180도로 변했습니다. 담임선생님도 서예 시간 만큼은 그 아이가 달라진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수업이 끝나고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아이들 뒷정리도 도와주었으 며, 떠드는 아이가 있으면 조용히 시키고 심지어는 주변에 떨어진 화선지나 먹물을 청소하기도 했습니다. 결론을 이 야기해보자면 이 아이에게는 관심이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수업시간에 장난치지 마라.’, ‘돌아다니지 마라.’와 같은 부 정적인 관심이 아닌 긍정적인 관심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비록 서예수업시간만이긴 하지만 반장에 임명된 후로 아 이는 눈에 띄게 변했습니다. 처음과 달리 많이 차분해졌고, 칭찬받으려고 노력했고 제가 학교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달려와 작은 몸으로 저를 안아주었습니다. 말썽꾸러기, 개구쟁이에서 모범을 보이는 아이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며 그 아이와 친구들, 선생님, 저 모두 밝게 웃으며 수업을 마무리했습니다.
공예
2015.06 경기 미술 문인화 대전 입선 (경기도전)
첫 수업을 시작할 때 30명이 넘는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치고 케어 해야 할지 몰라서 당황스러웠습니다. 서예 수 업 특성상 글씨를 쓸 때 한 명 한 명 모두 붓을 잡아주어야 하고 실기 수업에서는 1대 1로 수업을 해야 하기 때문 에 하지만 수업을 거듭할수록 담당선생님과 이야기를 많이 나누고 아이들과 소통을 하여 원활한 수업을 진행하 였습니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형형색색 나만의 엽서 만들기 (서예+한국화) -크레파스나 색연필을 녹이면 도화지에 그대로 녹아드는 원리를 설명한다. 강사가 직접 엽서에 미술적 효과를 보여준 다. 아이들도 원하는 디자인으로 크레파스나 색연필을 뿌리도록 하고 다리미로 녹인다. 엽서가 마르면 배경위에 붓과
▶
- 붓과 함께 떠나는 여행
▶
- 법첩위주의 서예에서 벗어나 다양한 체험과 미디어 활용을 통해 서예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 을 심어주어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시킨다. 수업에서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수업 을 이루어 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아이들의 상호 교감하는 방법, 인성 및 창의력을 높이고, 성 취감과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엽서를 꾸며보도록 한다. - 판본체 빙고게임 (서예) -판본체의 특징이 무엇인지 아이들에게 다시 한 번 상기시켜준 후에 화선지나 도화지를 사용하여 빙고 판을 만든다. 아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이들과 함께 주제를 몇 가지 정하고 그 주제에 맞게 빙고 판을 완성한 후 빙고게임을 실시한다. - 탐나는 도다, 나만의 폰트 만들기 (서예) -여러 가지 종류의 음악을 듣고 자신만의 느낌을 담아 글씨를 써보도록 한다. 강사는 아이들이 쓴 글씨에서 특징을 살 리고 글씨를 정돈하여 예쁜 글씨로 써주도록 한다. 미리 과자나 라면, 책, 영화포스터, 간판 등의 프린트를 준비하여 아이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중반기
- 계절별로 피는 꽃같이 아름다운 마음으로 (한국화) -계절별로 피는 꽃이 무엇이 있을지 이야기를 나눈다. 매화, 난, 국화, 대나무(매난국죽)에 대한 그림을 보여주고 꽃말을
11~20
영화
들이 다른 글씨체로 디자인하여 새로운 글씨를 만들어보도록 한다.
설명해준다. 사군자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매화, 난, 국화, 대나무 중 원하는 그림을 그려보도록 한다. - 교장선생님, 교감선생님, 담당선생님과 인사드리기
- 한글 보물찾기 (서예)
- 교육 시작 전 담당 선생님과 학급 약속, 규칙에 대한 이야기 듣기
만화애니
사전방문 (3월)
-아이들을 두 팀으로 나눠 진행한다. 가능하다면 수업장소를 강당이나 운동장으로 변경한다. 화선지나 도화지에 판본
- 아이들 특성에 대한 이야기 듣기
체로 미리 준비한 제시어를 쓰도록 한다. 먼저 다 쓴 팀은 제시어를 적은 화선지를 접어 수업 장소 안에 숨기도록 한다.
- 앞으로의 수업 진행 방향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상대팀은 숨긴 보물을 찾아서 다시 화선지에 그 제시어를 판본체 규칙을 맞춰쓰면 점수를 획득하는 게임을 진행한다. - 누가 누가 예쁜가, 화선지 염색 (서예+한국화) -화선지를 4등분한다. 물을 받은 접시에 원하는 물감을 푼다. 원하는 모양으로 화선지를 접어 물감을 풀어둔 물에 담근
- 아이들과 인사나누기, 서로 소개하기 - 약 10개월 동안 진행될 수업에 대한 소개 - 세부적인 수업 진행 내용 소개
다. 다양한 색으로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염색된 화선지를 말려서 다음시간에 예쁜 글귀를 글씨 디자인을 하여 써보도
1
사진
오리엔테이션
록 한다.
- 수업 규칙정하기
- 2017년달력을내손으로(서예+한국화)
-서예와 한국화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한다. 붓이나 싸인펜, 색연필을 사용하여 책상에 세워놓을 이름표를
-조별활동으로진행한다.한사람씩1월부터12월까지나눠계절에맞는글귀를정하도록한다.글씨를예쁘게디자인하고글씨에
만들도록 한다. 옆 친구의 얼굴을 그리고 얼굴 옆에 친구에 대해 소개하는 글을 적는다. 강사는 최대한 빨리
맞는그림을물감으로그리도록한다.아이들이만든달력을조별로모아프린트를하여하나의달력으로만든다.강사는프린트를
아이들의 이름을 외울 수 있도록 한다. -서예,한국화재료알아보기 어지는지영상을통해알아보고,직접만져보고재료에대한퀴즈를통해탐색하는시간을갖는다.
후반기
-재료가만들어지는과정/나도붓,종이가될수있어요! -붓과 종이를 직접 만들어보는 시간을 갖는다. 붓은 자연물을 통해, 종이는 박스나 골판지, 두꺼운 도화지를 이
- 2017년목표액자만들기(서예+한국화)
21~25
-서예를접목시킨다양한액자작품을보여준다.골판지나두꺼운색도화지로액자틀을만들고꾸민다.2017년에꼭지키고싶은
용하여여러장겹쳐만들도록한다.
전반기
하여다음시간에아이들에게나누어주도록한다.
2~5
디자인
-서예,한국화수업에필요한재료는무엇인지알아본다.문방사우에대한설명을한다.문방사우는어떻게만들
공예
- 서예, 한국화는 무엇일까요?
자신과의약속이나목표를도화지에적고액자틀에넣는다. - 우리가 개최하는 전시
-미로 판을 준비하여 아이들에게 붓으로 선을 그으며 탈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올바르게 붓을
- 마지막 차시에 그동안 수업했던 작품들을 전시하고 쉬는 시간에 친구들을 초대해 축하하고 축하받는 시간을 갖는다. 아
잡고 획을 긋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음악
- 미로의 끝을 찾아서 (서예, 한국화 수업을 위한 선긋기)
이들과 수업에 대해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보완되어야 할 것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 단어 찾기 퍼즐을 통한 판본체 익히기 (서예) -판본체로 쓰여진 글씨를 보여주고 강사가 설명하기 전에 아이들이 판본체에 대한 특징을 이야기해준다. 궁체와 비교를 하여 어떤 점이 다른지 이야기를 나눈다. 강사가 판본체로 글자를 쓰면서 다시 한 번 판본체 단어를 만들도록 한다. 찾은 단어들을 정리하여 판본체로 써보도록 한다.
6~10 미술
에 대한 설명을 하고 아이들에게 보여준다. 자음과 모음 퍼즐을 준비하여 아이들에게 자음과 모음을 결합해
- 내가 만약 조선시대의 화가였다면 (한국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한국화(풍속도)화가인 신윤복과 김홍도에 대해 배워본다. 신윤복과 김홍도의 그림의
미디어아트
차이점을 이해하고 내가 조선시대의 화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미술(서예, 한국화)
2교시 수업 (100분)
교육대상
임승균
세부전공
A - 0039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 저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
화선지 염색을 통하여 한국화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기법을 알아보고, 글씨 디자인을 하여 예쁘게 글씨를 쓰도록 한다.
교육목표
▶
화선지 염색을 통하여 먹의 농도 조절과 색깔의 어울림에 대하여 배울 수 있다. 예쁘게 글씨를 디자인하여 쓰는 것을 통해 글씨체의 다양함, 글자의 조형 및 한글의 우수 성을 이해할 수 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교과연계 거주지
기본교과, 선택교과 , 자유학기제 경기도 광명시 소하로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물과 먹, 물과 물감의 농도에 따라 어떻게 발묵이 되는지 알고 표현할 수 있다.
만화애니
수업주제
누가 누가 예쁜가, 화선지 염색 (서예+한국화)
초등 영화
▶
미술(업사이클 아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미술교육 / 조각
연극
이서희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다양한 글씨체를 창의적으로 만들어 염색된 화선지에 글귀를 쓰고 교실 벽에 붙여보고 서로를 칭찬하여 아이들의 자존감과 성취감을 높일 수 있다.
개인전 ▶
2016. 2. 24 서울문화재단 창작지원금 공모 당선 개인전 예정
한국화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법
사진
주요 교육내용
먹과 물감의 농도조절 글씨체의 다양함과 글자의 조형
레지던시 2015 광명업사이클 아트센터 레지던시 1기 입주 작가 디자인
단체전 2015.09.08 ~ 2016.01.28 RE-BORN 가구.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광명 2015.06.12 ~ 2015.08.31 RE-BORN ART.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광명 2014.12.03 ~ 2014.12.18 이동하라! 궁다방갤러리&스톤헨지. 전남광주
음악
- 동기 유발 1. 농도의 조절이 무엇인가에 대해 강사가 질문을 한다. -> 먹물이나 물감에 물을 가감하면 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색깔의 어울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 색의 유사색과 보색관계에 대하여 알 수 있다. - 본 수업 1. 강사는 화선지를 4등분하고, 아이들은 접시에 물을 받아 원하는 색깔의 물감을 풀도록 한다. 2. 화선지를 원하는 모양으로 접고 먹물을 가지고 농담조절을 하여 화선지 염색을 하고 햇빛이 드는 곳에 말려놓는다. 먹을 이용한 화선지 를 말리는 동안 물감을 가지고 유사색과 보색관계를 이용하여 화선지에 염색을 하고 햇빛이 드는 곳에 말려놓는다. 3. 준비해온 글귀를 예쁜 글씨로 디자인 해보도록 한다. 강사는 아이들이 쓴 글씨의 장점과 특징을 살려 정리하여 다시 글귀를 써주고 아 이들이 연습하도록 한다. 4. 먹으로 염색한 화선지에 글귀를 쓰고 화선지를 예쁘게 꾸미도록 한다. 5. 물감으로 염색한 화선지도 먹으로 염색한 화선지와 같은 과정으로 반복한다. - 마무리 1. 오늘 수업을 통해 알게 된 점과 어떤 글귀를 어떤 마음으로 썼는지 이야기를 나눈다. 2. 붓과 물감그릇을 정리하고 수업을 마무리 한다.
예술활동 경력
공예
수업내용
2014.06.09 ~ 2014.06.14 SCULPTURE.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2014.03.19 ~ 2014.03.25 Tasty Art. 이앙갤러리. 서울 2013.05.15 ~ 2013.05.21 상처,흉질까걱정되세요? 이앙갤러리. 서울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2015 가락중학교 미술 시간강사 2015 광명업사이클 아트센터 직업체험 프로그램 강사
문학
수업 공간은 책상을 조별로 앉도록 하여 아이들이 원하는 물감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강사가 아이들의 글씨를 다시 써주는 과정에서 원활히 다닐 수 있도록 통로를 확보 한다.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디어아트
붓, 벼루, 먹물, 화선지, 한국화 물감, 물통, 물감그릇, 스펀지
2013.04.25~2013.05.04 나이든 오빠의 충고. 인천학생문화회관.인천
미술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
▶
창의력 활성화를 위한 통합 예술교육
기획의도
▶
- 학생들과 함께 스스로 ‘시각’을 통해 상호 소통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미술 수업에서 자연스 럽게 녹아들 수 있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함. 발상의 전환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자신의 무 한한 가능성을 발견하게 하고자 함.
고등(전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6. 3월~12월
교육 방향
▶
창의력 활성화를 위한 통합 예술교육
주요 교육내용
▶
업사이클 이란? (업사이클 개념 이해) 발상의 전환 연습 (버려진 사물 다르게 생각하기) 업사이클 시계 만들기 체험 (폐품을 활용한 체험진행) 소감나누기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 학생 기본사항 전달 - 교육장소 및 기자재(컴퓨터, 스크린 등) 확인 - 미술 분야를 통해 자신에게 어떤 가능성이 있는지 찾아보는 수업 방향 소개 - 앞으로 제시할 다양한 매체와 소재를 활용한 수업 전반 소개
- 친해지기 (게임-이야기게임, 빙고 등)
- 업사이클의 개념을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업사이클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욕을 보 임 - 창의적이고 확장적 사고를 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짐.
6~10
디자인
<업사이클 아트> - 사진을 통해 찾아진 자기개성을 발산. - 업사이클의 이해 (PPT,동영상) - 업사이클 작품 만들기 (폐전선을 이용한 드로잉)
중반기
- 업사이클 시계 만들기 (재료탐색, 재료구성안, 디자인, 제작)
공예
▶
2~5
전반기 <사진수업>- 사진을 통해 자신의 내면 알아가기. - 인물사진 찍기 ( 사진발표, 강사 피드백 ) - 사물사진 찍기 ( 사진발표, 강사 피드백 ) - 풍경사진 찍기 ( 사진발표, 강사 피드백 )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1
사진
- 마음열기 (게임-마인드맵, 6색 모자)
2) 교육 성과 및 효과
교육회차
만화애니
-
교육내용
영화
기간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11~20
- 발상의 전환을 통해 버려진 것들에게 어떤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창의력 향상 을 중점적으로 지도 음악
<프로젝트> - 삶과 생활 속에서 직접적으로 변화 이끌어 내기. - 생활 속에서 불편한 점, 문제점 찾아보기 - 확장적 사고, 발상의 전환을 통해 개선 방향 모색하기 - 협의를 통해 만들어진 개선안을 실험, 제작. ▶
- 학생들이 확장적 사고를 할 시간이 충분히 주어져야 하며, 학생 주도적 수업에 초 점을 맞춰야 함 - 체험 시간이 짧아 시간을 적절히 배정하는 것이 필요함.
- 보고서 작성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21~25
미술
후반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미술
2시간
교육대상
전건형
세부전공
A -0645
지원분야(세부 분야)
고등(전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
이야기 게임
교육목표
▶
- 발상의 전환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자신의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게 하고자 함.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창의적이고 확장적 사고를 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짐.
주요 교육내용
▶
교과연계 거주지
기본교과,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전파로61번길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수업주제
확장적 발상
중.고등 영화
▶
미술 (서예, 동양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서예 / 전통화
연극
임승균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게임을 통해 친해지기
2013, 추사선생 추모휘회대회 초대작가 2013,2014, 대한민국미술대전 문인화 부문 특선, 입선
수업내용
예술활동 경력
사진
- 몇 가지 사물을 선택하여 다양한 이야기 만들어 내기
2015.02, DMC Art Fair "별의 별잔치“(상암dmc갤러리) 공예
2015.01, “세한청청전”(삼청동 스페이스 선 갤러리)
활동1 <친해지기>
2015.02. 한국 문인화의 오늘전(인사동갤러리 미술세계)
이야기 전달 게임 - 하나의 이야기를 귓속말로 전달하는 게임 이야기 엮어가기 게임 - 이야기를 한 문장씩 만들어가면서 스토리 완성
2015. 경기도 미술대전 초대작가 디자인
활동2 <상상, 편집하기> 이야기편집 - 몇 가지 사물을 선택하여 상상하고 편집하여 이야기를 완성.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2015.02 - 현재 안산시 수암 지역아동센터 미술강사
준비물 및 필요물품 컴퓨터, TV,
미디어아트
교실 안에서 모둠별 수업
미술
공간활용 계획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친밀도 형성, 협업능력 배양, 상상력, 창의력 향상.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
2016년 3월 -12월
교육 방향
▶
선비들이 사랑한 네 가지 친구를 알아보고 옛 편지글 써보기
▶
주제: 조선시대 사랑방 목표: 조선시대 편지글 써보기 내용:- 조선시대 사랑방의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기 - 문방사우의 종류를 알아보고 예술적 형태의 문방사우 알기 - 붓, 벼루, 먹, 만드는 재료, 만드는 법 알기 - 옛 선비들의 한글 편지글을 보며 쓰는 순서와 편지 내용 알기 - 한지를 만드는 순서와 각 가정마다 소장한 목판 편지지 보기 - 고무판에 찍힌 편지 모양을 한지로 탁본 뜨기 - 편지지 모양의 한지에 마음을 담아 붓글씨로 편지 써보기 - 색한지로 편지 봉투를 만들고 편지지 넣기 - 편지 봉투를 봉인하고 받는 분을 붓글씨로 쓰기 - 재료 정리 후 수업 마무리
주요 교육내용
기획의도
▶
기간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교육회차
- 매 수업 주제와 활동내용 사전에 알기 - 매 시간 준비물을 알고 실기활동 임하기 - 수업 주제: “우리의 향기를 찾아서” 라는 주제 하에 전통예술의 현대적 이해를 주 제로 실기활동을 통하여 예술적 감각 양성하기. - 수업목표: 감상활동을 통하여 창의적 시각을 키우며 다양한 체험활동으로 미적
오리엔테이션
감성을 향상시키며 더불어 전통예술을 점 더 가깝게 이해하고자 함.
1
- 수업진행내용: “나의 이름” 을 주제로 친구들에게 나의 이름을 소개하고 난 후 캘리그래피로 나의 이름을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하여 보고 더불어 색감을 입혀 작
사진
교육가능 기간
- “우리의 향기를 찾아서”라는 주제 하에 전통예술인 서예, 문인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접근하 여 보고자 함. - 생활소품에서 전통과 현대의 어우러짐을 만들어가며 더불어 캘리그래피를 통한 현대적 서예술의 의미도 함께 찾고자 함.
만화애니
초등 고학년, 중학 전학년, 고등 전학년
품을 완성하여 자신의 소중함을 한 번 새겨 보기.
2) 교육 성과 및 효과
수업 주제 매화 꽃 향기
입춘대길
봄비
우리집 가훈
.매화도 그리기 .입춘대길의 의미 알기 .봄비를 주제로 추상적 작품 .우리집 가훈 작품 만들기
.매화꽃가지, 꽃, 익히기 .매화를 주제로 자신만의 매화 도 그리기 .입춘대길 한자 익히기 .현대적 필법으로 입춘대길 디 자인하기 .다양한 색감으로 입춘방 쓰기 .봄비가 내리는 풍경 그리기 .나의 현재 감정을 봄비와 함 께 표현하여보기 .우리집 가훈을 발표하여 보기
2~5
.우리집 가훈을 훈민정음체로 곧게 써 보기 .노란색을 이용하여 개나리 자
음악
전반기
.탐매도의 의미알기
수업 내용
디자인
▶
“조선시대 사랑방 속으로” 라는 주제로 초등생과 부모님이 함께 수업에 참여하였을 때 조선시대라는 다소 딱딱한 주제로 수업을 시작함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지만 국 립중앙박물관 전시실에서 사랑방을 관람하고 더불어 사랑방의 가구와 문방사우를 실물로 관찰한 후 실기실로 돌아와서 수업을 진행함. 화면으로 수업의 내용을 인지한 것이 아닌 실물로 그 시대의 생활을 들여다보았다는 것에서 실기 수업을 하는데 한 층 적극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음. 수업 결과물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기에 아이들과 부모님이 편지를 보낼 대상을 정 하고 감사한 마음을 한껏 담아 완성하여 내며 부모님과 함께 봉투를 만들어 봉인하 여 제출함. 일방적 실기가 아닌 그 시대의 생활상을 들어다 보고 그 일부를 표현하는 것에서 교 육 대상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볼 수 있었으며 더불어 부모님과 함께 참여함에 가족 애는 물론 우리의 옛 전통의 중요성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
수업 목표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영화
▶
- “우리의 향기를 찾아서” 연극
교육가능 교급
▶
유롭게 그리기
나리 나리
.봄의 느낌을 개나리
.노란색으로 병아리 그리기
개나리
.그림으로 표현하기
.노란병아리가 노란 개나리를 바라보는 모습그리기
▶
어린이, 청소년, 성인남녀, 군인 등 다양한 계층의 지도를 통하여 우리의 전통을 다채 롭게 접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하나의 분야로서의 서예, 동양화가 아닌 함께 나누는 예술로 인지하고, 더불어 나 자신의 작품에서도 한 장르에 머무르지 않고 대중적 예 술로 발전하고 있음을 교육활동을 통하여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
고무판 편지지
편지글 쓰기 편지 봉투 단오 부채
.편지지 탁본하기 .편지지에 편지쓰기 .편지 봉투 만들기
.옛편지목판을살펴보기 .고무판에붙일나만의편지지디자 인하기 . 내가 디자인한 편지지를 고무판에 붙인후 조각도로편지지만들기 .편지고무판에한지로탁본뜨기 .편지지한지에정상담은편지쓰기
.편지봉투를 만들어 편지 넣어 봉인 하기 .단오의의미되새겨보기 .단오의 의미 알기 .부채모양의 종이본에 자유롭게 그 .부채 모양의 종이에 그림 림또는 그리기 캘리리그래피작품그려보기
6~10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편지지 만들기
미술
.고무판으로 나만의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교육내용
단오부채
나팔꽃당신
.나팔꽃의생태, 형태등알기
민화책가도
.책가도채색하기
민화책가도
.책가도의의미알기 .책가도모본그리기
이육사청포도
.이육사인물알기 .이육사청포도시알기
결실의포도
.포도그림의대가알기 .포도작품완성하기
인장만들기 들국화
절개의상징“대나무”
대나무의의미알기 대나무그림그리기
미점산수화
미점산수화의대가알기 미점산수화그리기
양초작품 양초작품
양초그림그리기 양초작품완성하기
작품배접
액자작품만들기
족자만들기
족자작품만들기
전시회
전시회디피
.배접한 작품을 자신이 원하는 액자 에제단 .배접한작품을색한지를이용하여 족자만들기 .한해동안의완성한작품배치하기 .작품전시회
수업명
▶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우리의 향기를 찾아서“
“우리의 향기를 찾아서” 라는 주제 하에 전통예술의 현대적 이해를 주제로 실기활동을 통하여 예술적 감각 양성하기 - 작업을 기반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문화예술교육 지향점이 드러나도록 기재) - 전통예술의 의미를 이해하고 현대예술과의 차이 속에서 공통점을 찾아 함께 어우러지는 예술, 현대 적 예술에서 전통을 이해할 수 있는, 누구나 편하게 감상할 수 있는 예술적 작품을 표현하기 -전통의 이해와 작품 활동을 통하여 개인의 미적능력을 향상시키며 예술을 보는 안목을 키워나감 실기활동을 통한 다양한 자신의 작품에서 만족도를 느끼며 다양한 부문에서 접목의 의미를 살려 자유 로운 표현이 가능해 지도록 함 - 자기소개
주요 교육내용
▶
- 자신의 이름을 캘리그래피로 디자인하기 - 엽서에 자신의 이름 캘리그래피로 디자인하고 배경 색 입히기 - 각각의 완성작 함께 품평하기
수업내용 1. 강사 자기소개 2. 상반기, 중반기, 하반기수업 진행 내용 소개 3. 첫 시간 수업내용 소개 (캘리그래피 법으로 자신의 이름 디자인하기) 4. 자신의 이름을 친구들에게 발표 (한자의 의미 또는 한글 뜻 소개하기) 5. 자신의 이름을 캘리그래피로 다양하게 디자인 (연필로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해보고 작은 붓으로 다양한 색감을 입혀가며 디자인하기) 6. 엽서크기의 종이에 자신의 이름 캘리그래피로 완성하기 7. 캘리그래피 작품의 배경에 색 입히기 8. 자신의 이름 캘리그래피 작품을 친구들에게 선보여 주기
21~30
9. 차기 수업내용을 소개하며 수업 마무리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준비물 및 필요물품 종이, 연필, 작은 붓, 물감, 화선지, 종이, 풀
미디어아트
액자만들기
중학교 전학년, 고등학교 전학년
미술
작품배접하기
완 . 성된그림을양초에붙여양초 작품만들기 한 . 해동안완성한작품중전시할작품 정하기 작 . 품에밀가루풀을입혀배접하기
2시간
11~20
한 . 지공예로접시만들기 색 . 한지를이용하여접시색만들고난 후 접시의바닥에나의작품붙이기 한 . 지접시작품만들기 훈 . 민정음의의미알아보기 훈 . 민정음대작합동작품만들기 선 . 비들이사랑한대나무그림살펴보기 자 . 신의대변인대나무그림그리기 대 . 나무작품완성하기 .미점산수의대가미불,미우불부자의 작품살펴보기 먹 . 으로다양한농담을표현하여미점산 주그리기 .자유화제로양초그림그리기
서예, 동양화
음악
후반기
훈민정음의의미알기 전지에훈민정음완성
전건형
디자인
합동작품
한지공예법알기 한지로접시작품만들기
교육대상
공예
한지접시
.가을의대명사국화 .국화작품완성하기
교육소요 시간
사진
인장만들기
.인장의의미알기 .나의이름한자로 알기 .인장새기기 .인장완성하기
분야
만화애니
.일필휘지의뜻알기 .여백의미알기 .대작작품만들기
강사명
영화
일필휘지
.부채에 그림 또는 캘리그래피 작품 완성하기 .완성된 부채 작품의 바탕에 색으로 물들이기 .완성작에인장찍어서완성하기 일 . 필휘지의뜻알아보기 전 . 지의종이에자신이정한하나의단 어를 일필휘지로완성하기 필 . 력을담아과감하게작품표현하기 .나팔꽃그리는법알기 .나팔꽃작품을완성하기 .구륵법으로 완성된 작품에 몰골법 으로 채색하기 .완성된 작품에 캘리그래피로 문구 남기기 .책가도의 의미와 책가도의 주재료 알기 모본의 그림에 구륵법으로 책 가도그리기 이 . 육사의인물,청포도시알아보기 캘 . 리그래피로청포도디자인해보기 .포도의대가알아보기 .포도그리는법알기 .이육사의 청포도를 쓰고 배경에 포 도그림그리기 인 . 장의종류,의미알아보기 각 . 나라별인장의종류알기 자 . 신의이름을한글,한자로인고뜨기 .칼로인장새기기 .완성된인장엽서에찍어보기 .가을국화의종류알아보기 .국화그리는법알기 .다양한형태의국화그림그리기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중반기
.부채에작품 완성하기
교육회차
무용
기간
공간활용 계획 작품을 완성하여 집에 인테리어로 활용가능하며 가족 혹은 친지들에게 정성 담은 연하장, 편지로도 선물가능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정경미
세부전공
A- 0 8 2 0
지원분야(세부 분야)
한국화/미술교육 미술(한국화) 유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학교 고학년 / 12~13세, 중학교 / 14~16세
교육가능 기간
▶
2014년 3월~2015년 12월
교육 방향
▶
오토마타, 연극, 문학, 미술 융합, 오토마타와 미디어
▶
암사 도서관 - 오토마타와 문학, 연극의 만남 도형연상을 통해 창작한 이야기(문학)를 바탕으로 움직이는 무대 배경(오토마타)을 만들고 손가락 인형극, 그림자극 등(연극) 다양한 활동으로 이루어진 놀이중심의 통 합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 ‘나’와 ‘사회‘ 라는 인식을 예술 활동을 통해 이끌고 자기표 현 및 소통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성남미디어센터 – 오토마타와 미디어의 만남 움직이는 조형물이자 아날로그 로봇인 오토마타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빛을 융합하 여 학습자들의 과학적 사고력, 예술적 상상력, 창의성을 키우고 자기 표현 및 소통 능 력을 기르는데 있다.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주요 교육내용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영화
교과연계
미기재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2013 7/30~8/4 Creator Fair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진
2013 12/20~2014 2/9 ‘움직이는 오토마타 놀이터’ 부천로보파크
예술활동 경력
2013 2/12~2/19 '어린이 날다‘ 과천 시민회관 갤러리 아라
2) 교육 성과 및 효과
2013 12/24~2014 1/5 ‘어린이 날다’ 대안공간 스페이스V 공예
2014 Maker Fair Seoul ‘만들자!! 오토마타’ 한빛미디어 2014 창조경제박람회 Wearable Hackaton 참여작가. 아트센터 나비,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Maker Fair Seoul ‘진격의 오토마타’ 한빛미디어 2015 창조경제 박람회 Maker Festival ,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창의재단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오래전부터 미술교과 수업을 진행하였지만 2011년 오토마타 작업을 시작하면서 자 연스럽게 교육의 방향도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과학적 원리와 예술적 상상력이 결합 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는 대표적인 융합수업으로서 그 자체로도 재미있고 흥미 로운 수업이 되었으며 이는 곧 현대의 과학기술을 수용하여 융합예술수업을 하면 교 육적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라는 생각으로 확장되었다. 그 결과 오토마타와 옵티컬 토 이, 오토마타▪문학▪연극 융합, 오토마타와 미디어 등 타 장르와 융합된 새로운 표현 으로 수업이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2016년도에는 전해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와 새로운 교육 을 시도하며 보다 적극적이고 나의 수업에 더욱 신념을 갖고 진행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져본다.
2013 Creator Fair 오토마타 워크샵 한국과학 창의재단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디자인
▶
- 성남 미디어 센터에서 만난 아이들은 중학생으로써 감수성이 예민하고 학업과 또 래관계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높은 편이었으며 수동적, 소극적인 모습이었다. 처음 접 해보는 현대의 과학기술을 낯설어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새로운 매체에 대한 호기심 이 아이들의 자발성에 영향을 미쳐 놀이하듯 기계장치와 아두이노를 탐색하고 생각 을 표현하는 즐겁고 흥미로운 활동으로 이어졌다. 협업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 면서 소통하고 아이디어 발상과 설계 그리고 실행까지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표현으 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오토마타와 미디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무엇보다 결과 발표를 통해 작품에 대한 애착심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자존감이 많이 향 상되었음을 엿볼 수 있었다.
2015 Heartbot (감정소통로봇) Hackaton 참여작가. 아트센터 나비
2014 꿈다락 토요문화예술학교 ‘노는 아이들의 아지트’ 기획, 강사, 강동구립 암사도서관, 서울문화재단
2014. 어린이 예술창작 캠프 프로그램 진행 무주 드림스타트센터
2015 꿈다락 토요미디어예술학교 ‘Play! 오토마타 & 미디어’ 성남 문화재단
미디어아트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거꾸로 보는 미술관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2014 아빠와 함께하는 오토마타 목공교실 용인문화재단
‘ 꼬마천재 다빈치 스쿨’ 아트센터 나비, 사립미술관협회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전통회화(한국화)의 확장 -전통과 과학기술의 만남
▶
과학적 원리를 이용한 한국화의 새로운 표현으로 전통회화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과 학적 사고력, 표현력, 창의성을 향상 시키는 융복합적 교육활동으로 진행 하고자 한다. 더불어 진부하게 여겨지는 한국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한다.
교육내용
강사명
분야
정경미
한국화 과학 융합
중 고등(전학년)
▶
수업주제
▶
현대 예술의 변화와 흐름 속에서 한국화 이해하기
▶
ㅇ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현대예술의 변화와 흐름을 살펴보고 현대 예술의 범주 안에 서의 한국화를 이해할 수 있다. ㅇ 전통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한국적 소재와 정서를 다양하게 표현한 작품 사례 를 감상하고 다양한 매체와 융합하여 표현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ㅇ 예술, 인문, 과학기술 등 다방면에서 연구했던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같은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한국화 융합 창작 교육으로서 오토마타에 사용된 기계매체와 디지털 매체인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한국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표현 할 수 있다. ㅇ 작품에 대하여 능동적이고 생산적 주체자로 참여함으로서 학생들의 표현력, 창의성 향 상시킬 수 있다. ㅇ 작품 결과물을 영상으로 제작 감상함으로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소통하여 한국화에 대 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다. ㅇ 과거 전통의 흐름을 지닌 한국화와 현대적인 표현의 한국화를 비교 감상함으로서 진 부하게 생각하는 한국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한국적 정서를 계승할 수 있다.
도화서로 간 다빈치
교육회차
- 컴퓨터 활용 여부 확인, 교육재료 확인
1
- 한국화와 기계와의 만남 한국화 소재를 기계 원리로 움직이는 오토마타 창작수업
교육목표
스토리텔링을 통한 움직이는 민화, 움직이는 풍속화로 표현하기 (민화, 영모화, 풍속화, 화조화 등 소재에 따른 분류)
2~7
-오토마타 소개하기 -움직이는 원리 이해하기(수직, 수평, 회전과 속도 변화) -한국화 오토마타 설계 및 만들기
▶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고 한국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의 전환점을 가져올 수 있다. 또 한 다양한 기술 매체들과 융합한 한국화의 다양한 표현 경험으로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 와 상상력, 창의성을 향상될 것이다.
8~11
ㅇ 현대 예술의 변화와 흐름 속에서 살펴보는 한국화 작품의 변화를 이해하고 다른 매체와의 융합 가능성 인식한다.
주요 교육내용
- 한국화와 디지털 기술의 만남 빛, 소리 등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적인 요소를 활용한 창작 수업
▶
ㅇ 한국화 소재와 기계매체를 이용하여 오토마타 작품으로 창작한다. ㅇ 디지털 매체인 아두이노와 한국화 재료을 이용하여 빛과 소리로 표현한다. ㅇ 각 과정에서 나온 결과물을 영상으로 제작하고 소통함으로서 한국화에 대한 자긍
빛나는 오방색
심을 갖는다.
-디지털 기술 아두이노 알아보기
음악
(디지털 창작도구 및 프로그램 설계 이해하기) -아두이노로 빛나는 사군자 LED조명 만들기
중반기
연주하는 삼묵법
12~20
-아두이노로 표현하는 소리 탐색
수업내용 ◎ 현대 예술 의미 알기
(먹의 사용법 -한국화의 기본 묘법, 선의 기법, 준법)
확장했음을 이해한다.
자동으로 움직이는 오토마타
발상의 전환 사례
-센서로 모터 구동방법 탐색하기
표현의 확장 :평면== 낙서화, 패러디, 차용
-아두이노로 오토마타 움직임 제어하기
입체== 시간의 개념을 도입 움직이는 조각으로 확장 ◎ 예술과 과학의 상관관계 이해하기
- 한국화로 소통하기
- 과학 발달에 따른 예술 표현의 변화
전, 중반기 작업 결과물을 활용한 공동 창작 및 감상 수업 -시나리오 구상, 영상촬영, 편집하기 -영상 감상 후 소통하기
21~25
예) 종이의 발명 -- 돌, 나무, 동물 가죽에서 종이로 재료의 확장
미디어아트
재료의 확장 :평면▪입체 == 다양한 오브제 사용, 정크아트 등장
스마트 폰 영상 제작하기
미술
- 뒤샹 이후 나타나는 현대 예술은 표현과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표현으로 발전, 영역
-스토리텔링을 기초로 모둠별 소리 연주하고 기록하기
후반기
디자인
- 무대로 간 산수화 스토리텔링을 기초로 한 산수화 무대 배경 만들기(공동수업) -산수화를 통한 한국의 원근법과 준법 이해하고 표현하기 (부감법, 삼원법 등의 원근법과 피마준, 하엽준, 부벽준 등의 준법) -산수화를 디오라마로 만들기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공예
ㅇ 본 수업을 통해 새로운 시각과 사고를 요구하는 시대 흐름에 맞추어 한국화의 다양한
-결과물 공유하고 소통하기
사진
-한국화 종류 알아보고 표현하기
만화애니
-새로운 기술의 출현에 따른 현대 예술의 흐름과 변화 살펴보기, -수업 소개하기
전반기
2시간
교육대상 (연령대)
수업명
- 현대 예술의 흐름 속 한국화 표현 양식의 변화 이해하기
오리엔테이션
교육소요 시간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사진의 발명 -- 사실적 표현에서 감성적 표현으로 표현의 확장 -예술적 상상력을 기초로 한 과학기술 장 마크 코테와 빌마르 <미래의 교실> 1900년대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문학
예)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회화,조각,사진 등 전통적인 예술에 대한 설명과 함께 미디어아트, 키네틱아트, 인터렉티브아트 사운드 아트 등 다양한 기술과 매체를 기반으로 창작된 현대의 예술 소개하기 예) 미디어아트: 사진, 전화, 영화의 발명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매체와 기술을 사용하는 예술
이름
조영희
세부전공
A -0275
지원분야(세부 분야)
움직이는 조각예술 인터렉티브아트 : 작품과 관람자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예술 사운드아트: 시각예술에 소리나 음향을 도입한 미술
미술 (한국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유
지원교육대상
◎ 현대 예술의 흐름 속 현대 한국화 변화 살펴보기
동양화
교과연계
예) 전통 재료인 먹과 종이를 사용하여 현대적 조형성으로 표현한 한국화
거주지
초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영화
- 전통 재료를 사용한 현대적 해석 사례
연극
키네틱아트 : 알렉산더 칼더의 모빌 이후 기계의 원리를 이용한
무용
◎ 기술의 발달과 변화에 따른 현대예술의 변화 감상하기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로
- 전통 소재의 현대적 해석
- 디지털 기술과 융합된 전통회화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예) 전통회화 차용하여 컴퓨터 그래픽으로 재해석한
만화애니
예)산수화, 민화 등 한국화 소제를 표현한 현대 한국화
작품 감상
빛고은 닥종이 인형 만들기
◎ 한국화와 융합 가능한 현대의 과학 기술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아날로그 움직임 체험하기
사진
- 내가 표현 하고 싶은 한국화와 사용 기술(디지털 기술과 기계 원리) 생각하기 - 주변의 사물에 사용된 움직이는 원리 탐색하기 예) 지렛대의 원리, 도르래의 원리 등 ◎ 수업 내용 정리
예술활동 경력 공예
-조 별로 정리한 내용 발표 및 차기 수업 내용 안내(한국화와 기계와의 만남)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학습지, 필기도구
미술
공간활용 계획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준비물 및 필요물품
부천시 고강복지관 결혼이주여성 한국어교실 미술수업 지원
디자인
-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현대 예술의 변화를 알고 현대 예술과 과학기술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 현대 예술 이해를 바탕으로 시대 흐름에 따른 한국화의 변화 필요성과 그 표현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기계원리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한국적 소재와 한국적 정서를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감상활동과 모둠 활동이 가능하도록 공간 구성( 수업 내용에 따라 변경 가능)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교육가능 기간
▶
2005년 4월 ~2015년 12월
교육 방향
▶
미술 수업을 통하여 사회적 관계를 인식하고 자존감을 형성한다.
▶
그림을 통하여 기술보다는 관찰력과 사고력을 성장시켜 주어야하며, 예술적 가치를 깨닫도록 도우며 그 과정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성 및 자존감 형성에 목표를 두고 있 다. 수준별 맞춤형 학습으로 수업지도에 앞서 연령과 개성에 따라 학생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결과보다는 과정을, 기능 보다는 창의성을 , 미술수업을 통한 예술 감각과 묘사력 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 주여 스스로 보고 느낀 것을 표현하게 하여 창의력을 성장시켜주는 교육이 되되도록 하여야 한다.
주요 교육내용
기획의도
▶
- 한국화 수업을 통해 한국화에 대한 관심과 상호 이해와 배려라는 탁월한 교육적 효과를 기 대하며, 개인의 능력이나 소질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 한 가지 특기신장으로 정착 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또한 색채의 다양함과 세분화됨을 교육하여 정서적 안정감 을 준다.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교육회차
- 교육 공간 및 기자재 확인 - 학생의 특성 파악 - 한국화와 우리문화를 이해하고 우리문화의 중요성을 알 수 있게 하여 재미와 흥 미유발을 위한 친밀감 형성한다.
1
만화애니
초등 전학년
영화
▶
- 한국화 수업을 통한 우리 문화의 이해 연극
교육가능 교급
▶
- 한국화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2~5
- 수묵화의 농담을 이해 - 선의 간결성, 다양성 알게 한다.
2) 교육 성과 및 효과
전반기
디자인
▶
- 아동화 지도에 앞서 아동들의 표현 세계를 이해하고 그들의 표현 양식과 표현 유형 및 내용을 살려 스스로 보고 느낀 것을 표현 할 수 있게 되었다. - 미술 수업을 통하여 창의력을 성장 시켜주고 폭넓은 미술 세계를 알아갈 수 있다.
6~10
- 한국화의 기본 표현을 기법을 통해 알게 한다.
중반기
- 백묘법, 몰골법, 구륵법 이해하여 표현해본다.
공예
- 한국화 재료 사용법과 먹의 농담 이해한다. - 다양한 기초 선 연습, 운필법 이해한다. - 운필능력, 한국화 재료와 친해지기.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사진
- 기초표현 기법 지도한다.
11~20
- 담묵, 중묵, 농묵으로 표현해본다.
음악
- 한국화를 통해 우리문화의 우수성을과 소중함을 알게 한다.
▶
- 미술수업을 통하여 개인의 능력이나 소질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알맞은 미술수업을 제공해줄 수 있다. - 즐거운 배움터를 연다는 목표로 연령과 개성에 따라 학생들에게 체계적이고 다양 한 방법으로 지도하여 상호이해와 배려라는 탁월한 교육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기술보다는 관찰력 사고력을 성장시켜 주며, 한국화수업을 통해 자아형성 능력
21~25
을 기른다.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한국화 실기 - 여러 다양한 기법을 응용하여 채색 하여본다.
미술
후반기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미술 (한국화)
80분(40분)
교육대상
주윤희
세부전공
A -0848
지원분야(세부 분야)
초등5학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
기와집 그리기
교육목표
▶
- 기와집을 관찰하여 수묵 담채화 및 채색화로 표형할 수 있다. -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우리나라 전통미술을 존중하는 태도를 갖는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서양화의 재료와 기법이 대부분이었던 교육과정에 한국화적 표현을 강조하고, 전통재료와 기법에 큰 관 심을 가질 수 있게 한다. - 화선지에 먹물의 농담 또는 물감의 농담을 변화시켜 소재를 표현하여 재료와 용 구에 부담을 느끼지 않고 자신 있게 그릴 수 있게 한다.
주요 교육내용
▶
- 고유한 우리 예술인 한국화를 이해하고 계승 시키는데 기여하고자한다. - 종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전통 및 현대 한국화의 채색기법을 알 수 있게 한다. - 먹물의 농담 효과를 알 수 있게 한다.
거주지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2015년 11월 18일~11월 24일 경기대학교 서예문자예술학과 졸업작품전 사진
수업내용
교과연계
만화애니
수업주제
한국화 실기
초등 영화
▶
미술(서예/한국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수업명
서예문자예술
연극
조영희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예술활동 경력 공예
도입 -개성 있는 표현을 하도록 분위기 조성하고 발표 시킨다. -생활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와집의 특징을 이야기한다. -참고자료를 보고 이야기한다.
- 자기작품 감상하기. - 느낌이 잘 나타났는지 감상 - 마무리 및 정리정돈
2015년 10월01일~11월30일 명당초등학교 교육실습(서예, 동양화 지도) 미술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정리
2014년04월04일~06월27일 경기대학교 재능 나눔 스쿨(창용초등학교) 디자인
전개 -연필로 스케치한 다음 먹선으로 그리기. - 강하고 약한 선으로 표현하기. - 먹색의 농담을 이용하여 느낌을 선으로 표현한다. - 지붕, 기둥, 문, 벽등 그리기. - 여러 가지 느낌의 선을 섞어서 개성있게 표현한다. - 번짐의 효과이용 - 지붕의 음양 표현하기 - 지붕의 곡선을 잘 관찰하고 그리기. - 여백을 살려 입체감있게 표현하기. - 마루. 추녀, 용마루등 강약과 농담을 조절하여 그리기. - 수묵담채로 채색하기.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우리나라 전통 미술을 존중하는 태도를 갖는다. -한국화 표현활동을 통하여 정신수양, 집중력 기르기, 끈기있는 태도육성 및 특기신장에 도움이 된다. -우리전통적인 재료와 용구로 다양한 한국화적인 표현을 체험하게 하여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느끼게 한다.
- 참고 자료, 화선지, 채색 붓. 먹물, 벼루, 동양화 혹은 수채화 물감, 물통
미디어아트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문학
재료의 소개, 표현기법 및 작품제작과정, 학생작품등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인해 학생들의 다양한 체험을 유도하고 문화적인 안목을 갖게하여 학습자료 개발에 노력을 기울 여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게한다. 한국화 관련 전시회 관람 및 견학등 한국화를 접할 기회를 마련해주고, 전통재료와 함께 현대적인 재료를 다양하게 활용하거나 실생활과 접목시켜 인지도 향상에 도움이 되게한다.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10월1일~11월30일
교육 방향
▶
서예와 동양화 기초교육과 응용 및 활용 작품 완성
교육내용
교육회차
사전방문 (3월)
- 아이들의 분위기 조사, 주의할 점 조사 - 준비된 서예 문인화 재료 여부, 영상자료 사용여부, 컴퓨터실 대여 여부 , 붓이나 벼루를 씻을 장소 섭외
오리엔테이션
- 처음 수업을 듣게 된 계기와 아이들이 배우기 전의 서예와 동양화의 대한 생각 그리 고 앞으로 배우고 싶은 서예와 동양화 / ‘이제 그만 두드리고 붓 잡자!’라는 연간주제 로 발전된 it산업시대에 더 이상 손 글씨가 그냥 글씨가 아닌 직접 감정을 넣어 썼다는 의미가 높게 평가 된다는 것을 알리고 스스로의 개성 있는 글씨체 연구를 해볼 것이 다.
1
-게임을 통해 배우는 서예 / 미로 찾기, 틀린 그림 찾기, 낱말 찾기, 끝말잇기 게임 - 지우개로 작품의 도장 만들어 보자/ 작품을 만들고 나서 찍을 자신의 도장을 지우개 로 만든다. 구도를 구상하고 총3개를 만들어본다. (한글 , 한문) -반듯한 글씨 연구/ 판본체(원필, 방필), 판각체 써보기, 시나 노래가사 적어 작품 만들 기 -옛 사람들의 편지/ 왕실이나 귀족 서민의 편지 글을 보고 편지쓰기, 1년 전 나에게 편 지쓰기, 대학생이 된 나에게 편지 쓰기
2~5
-궁체로 말하다/ 수업 시간에는 사극배우들처럼 말하고 전라도 사투리 단어를 배워서 궁체로 써본다. 궁체를 전문적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맛보기 형식으로 배워본다. -한글 서예의 활용/ 판본체, 판각체, 편지글, 궁체를 이용한 작품 만들기 -캘리그래피란?/ 캘리그래피의 설명과 기초 획 연습 , 다양한 재료로 획 연습, 짧은 단 어 ,봄여름가을겨울을 적어보기 -감정을 담아 단어쓰기 / 물감이나 다양한 재료로 캘리그래피로 쓰고 순우리말, 의성 어, 의태어 단어 적기, 부채 만들기 -내가 재해석하는 영화, 드라마/ 물감이나 다양한 재료로 드라마나 영화 제목 타이틀 을 재해석해서 적어본다.
6~10
만화애니
6주차로 한 주차에 약 80분 과정으로 처음에는 영상을 이용한 수업으로 아이들의 집 중도와 이해도를 높였다. 그리고 기초적인 판본체와 궁체의 획의 느낌 붓 잡는 법과 붓을 세우는 법을 알려 주었다.그 다음으론 편지쓰기를 활용해 글쓰기 능력과 붓을 이용한 편지쓰기로 자유롭게 적어보았고 캘리그라피와 문인화를 이용하여 달력 및 표지판 등의 인테리어 작품을 만들었다.
기간
영화
▶
▶
- 학생들이 서로 토론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말로 설명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며 내 의견이 아닌 타인의 의견을 말로 발표하면서 듣는 방법 또한 이해해 서예 수업 에서 쓰는 것뿐만 아니라 말하고 듣는 법도 익힐 수 있게 작업을 진행하고자 함. 서예를 쓰 면서 감정 표현 활동과 더불어 소통을 체험하게 할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
기획의도
주요 교육내용
- 이제 그만 두드리고 붓 잡자! 연극
교육가능 교급
▶
사진
2) 교육 성과 및 효과
음악 미술
▶
미디어아트
- 가장 잘한 점은 호통을 치지 않고 차분하게 가르쳤다는 점이다. 이런 점으로 아이 들이 너무 친구처럼 대하려는 경우가 간혹 있었지만 이것을 잘 이용하여 아이들에게 보다 더 친숙하게 했다는 점이 스스로가 느낄 때 잘한 점 같다. - 전에 수업을 준비할 땐 그 시간의 수업내용 외에 다른 수업 자료를 늘 준비해왔다. 그래서 시간이 남는 다면 해야지 하는 준비들 때문에 막상 본 수업 준비가 부족했던 것 같다. 그 수업에 해야 할 것은 완벽히 한 후에 추가로 할 수 있는 것을 준비해가는 점이 변했다.
전반기
디자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주교사를 하면서 아이들을 집중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영상만큼 큰 효과를 보는 것 이 없었다는 점을 느꼈다. 인사를 하고 다시 떠드는 아이들이 많다 하지만 영상을 틀 어주면 시청각이 자극되어 아이들의 궁금증이 유발되어 높은 집중도를 보인다. - 아이들이 서예 하면 지루하게만 생각을 했는데 첫 시간에 ‘자세를 잡아라.’ ‘붓은 저 렇게 하면 안 된다.’ ‘종이는 이쪽 면을 사용해라.’라고 강요하기 보다는 자유롭게 하되 친구들끼리 알려주면서 자연스럽게 배우며 토론하는 형식으로 스스로가 더 잘하고 싶다는 생각의 변화가 큰 것 같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주윤희
미술 (서예-한국화)
180분
중,고등(전학년)
11~20 ▶
서예에 천천히 스며들자.
수업주제
▶
내가 알던 서예란?
교육목표
▶
- 내가 알던 서예를 짝꿍 또는 조별로 토론해 보고 옆 사람의 의견을 발표해본다. - 붓을 이용하여 다양한 이름을 적어본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 서예의 기본 재료를 이해하고 말함으로써 한 번 더 기억된다. - 서예에 대한 느낌을 쓰면서 이해하고 토론하면서 서로의 느낌을 공유한다.
만화애니
수업명
영화
- 서예가 무엇인지를 간단히 알려준다. - 문방사우의 제작과정을 보여주고 사용법을 설명해준다. - 붓을 이용하여 옆자리, 본인 이름을 써본다.
사진
후반기
-한문서예 맛보기/ 자신의 이름을 한문으로 써본다. 사자성어를 배우고 교훈이 될 사자성어를 골 라 적어본다. -세종대왕님 시대의 글자 적기/ 족자에 훈민정음 전문을 적고 읽어 본다. -달력 만들기/ 내년 달력 만들기를 통해 한국화와 서예를 활용하여 a4 13장을 이어 만들어 본다. -한문과 한글서예의 활용 / 한글서예와 한문서예를 합쳐 연하장, 크리스마스, 추석카드 만들기 -자신이 만들고 싶었던 재료로 작품 만들기/ 다양한 서예를 배우면서 작품화 시키고 싶었던 것을 본인이 원하는 재료에 적어 작품 만들어보기
강사명
연극
중반기
-합동 작품 만들기 / 반 전체 학생이 토론하여 종이를 이어 작품 만들기 (예: 그림 속에 글자를 넣어 작품 만들기) -퍼포먼스 배우기 / 여러 개의 붓을 묶어 학급의 교훈이나 응원 글을 적어보기 -자신만의 글씨체 연구/ 다양한 재료로 나만의 글씨체를 만들어 본다. 만든 글씨체를 이용하여 선 생님께 바라는 점 또는 감사한 점 서운한 점을 적어본다. -감정이 담긴 초대장/ 엽서나 초대장을 캘리그래피를 활용하여 만들어 본다. -명화의 재해석/ 타인의 낙서에서 그림 찾기로 흐름을 이해하고 유명한 문인화 작품을 조각내어 화선지에 붙인 후 재해석 작품을 만들어 본다. 화재에 대해 알아보고 화재도 적어 본다. -사군자란? / 사군자 중 매난국죽 총 4개중 한 개를 골라 배운 후 화재를 써서 작품을 만들어 본다. -우산 만들기 / 투명한 다이소 천원자리 우산에 화선지에 구도를 잡고 아크릴 물감을 이용하여 우 산 안쪽 면에 자신만의 우산 만들기 -전국 탐험/ 우리나라의 도시의 특징을 말해 퀴즈를 내고 그 지역의 이름을 특징의 느낌을 살려 팀 별로 적어 지도를 만들어 본다. -집으로 가는 길 / 학교에서부터 집까지 가는 길을 그리고 간판을 서예로 적어본다. 그리고 친구들 에게 설명하고 추억이 담긴 곳을 말해준다. -두 손 이용하여 글쓰기 / 왼손과 오른손을 바꾸어 글씨 써보기, 손 모양을 화선지에 그려 장점 5개 와 단점 5개를 친구들과 상의 하여 적어보기
21~25 수업내용
디자인 음악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공예
-강사소개 -서예관련 동영상 시청(문방사우 제작과정) -시청 후 간단한 설명 -아이들끼리 문방사우, 서예관련 본인이 전부터 알고 있던 지식이나 느낌 토론 -옆자리 또는 토론했던 친구의 의견 발표 -친구가 대신 의견을 말해줬던 친구가 그 다음 발표를 하면서 틀린 사항 조정 및 다른 친구 의견 발표 -재료의 사용법 설명 -서예를 할 때 먹물의 위험성 설명 -본인 이름 서예로 쓰기 -친구의 이름 서예로 쓰기 -자기 선정 최고의 이름쓰기 작품 발표 -발표 시 이번 시간을 통해 배우고 싶은 것도 발표 -a4에 자신의 이름 적어 이름표 만들기 (삼각형으로 접어서 테이프 붙이기, 크레파스로 꾸미기) -이름표 발표 후 정리 -다음시간 설명 후 인사
아이들이 서로 의견을 토론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고 타인 또는 자신의 이름을 쓰면서 몰랐던 친구의 이름 또는 알았던 친 구의 이름을 쓰면서 서로가 어떻게 썼는가를 발표해 본다.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도포(깔판), 서예용 붓, 먹, 먹물, 벼루, 문진(서진), 화선지, 빔, 컴퓨터, 신문지, 물티슈, a4용지, 테이프, 가위 , 크레파스
미디어아트
공간활용 계획 책상과 의자에 주로 앉거나 서서 수업 할 것이고 책상을 조 대형으로 변형시켜서 할 수 있으면 좋다. 발표 시 그 자리 또는 앞에 나와서 발표할 것이다.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최경자
세부전공
A- 0 484
지원분야(세부 분야)
의상디자인/서양화/회화 미술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거주지
교육가능 교급
▶
생활예술창조학교 (신풍초 재학생 및 졸업생)
교육가능 기간
▶
3월~12월
▶
‘사라져가는 학교의 역사기록’에 포커스를 맞추는 교육프로그램입니다.신풍초등학교 는 100년의 역사가 있는 학교입니다. 그러나 화성행궁 재 복원 사업으로 현재 학생들 의 졸업과 동시에 철거가 예정되어있습니다. 역사 속으로 사라질 학교를 기록하고 여 러 가지 그리기 기법으로 자료를 만들어, 추억을 소장하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입 니다.
▶
중요한 모티브는 ‘역사의 기록’입니다. 사진으로 학교의 전경과 추억의 기록을 찍고, 그 사진을 이용해 다양한 기법으로 그리기작업을 합니다. 기록지는 투명 필름지에 매 직이나 아크릴을 사용합니다. 겹침을 통해 현대 추상화를 감상할 기회가 됩니다. 참 여자들의 창의력으로 작품을 제작하고, 아트 북으로 자료를 남겨 추억을 소장합니다.
초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교육 방향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경수대로 651번길 42
주요 교육내용
2) 교육 성과 및 효과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 사라져가는 학교의 역사기록 이 교육은 학생들에게 사라져가는 학교의 역사 기록에 포커스를 맞춘 문화예술 그램입니다. 재학생과 졸업생을 중심으로 진행한 프로그램이라 참여자의 폭이 위했습니다. 먼저 기록물을 사진으로 남기고, 그리기 수업을 하였습니다. 다양한 물들이 만들어졌습니다. 많은 추억과 시간들을 반추하면서 작업은 진행되었고, 계층이 문화로 소통하고, 상호교감을 체험함으로 참여자와 관계자들의 호응은 을 초월했습니다. 예술은 안다는 것과 한다는 것은 다릅니다. 조별로 진행되는 방법을 통해, 시간들을 서로 공유하고 추억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문화의 힘을 하게 된 프로그램으로 남아있습니다.
▶
- 저는 제작업을 연계하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작가입니다. 학교나 지 역주민과의 프로그램 진행 경험도 풍부합니다. 저는 현대인들의 삶의 질은 행복한 자 신에서 시작된다고 생각입니다. 자기를 다스리고 자기를 세우기 위해서는 자신을 잘 알아야 합니다. 그것은 우리가 우리문화를 바로 알고 잘 지키고 발전시켜야 하는 것 과 같은 것입니다. 지금 제가 진행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이런 맥락에서 추천 되어야 하고, 발전 시켜야한다고 자부합니다. 저는 행궁동 레지던시작가로서 2009년 부터 현재까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물론 특수학 교 학생, 장애인, 마을 주민까지 포괄한 프로그램진행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연계하 여 이번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지금, 우리가 안고 있는 학교 내의 폭력 과 왕따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입니다. 문화의 힘으로 치유하고, 문화예술의 씨앗으 로 행복의 씨앗들을 싹트게 해야 합니다. 문화예술교육 종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할 시기라 생각합니다.
프로 광범 기록 여러 상상 학습 실감
음악
수상 및 선정 2014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지원사업 선정
2015 프로젝트 ‘가족이 희망이다’ 화성 역사문화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신풍 꿈나무교실) 2014 별별예술프로젝트 2013 생활예술창조학교, 수원천꿈길 예술프로젝트, 공감하는 예술프로젝트-행궁동 사람들 외 다수
미디어아트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미술
현재 한국미술협회 회원, 행궁동 레지던시 작가, Art Flash회원, 문화컬럼리스트 작품소장 수원시, 수원문화재단, 인천시 문화예술부외 다수
참여 프로젝트
디자인
주요 단체전 2015 철거프로젝트전 (행궁 커뮤니티 아트센터, 수원) 행궁동 레지던시 입주작가전 (행궁 커뮤니티 아트센터, 수원) 프로젝트‘가족이 희망이다’ 초대전 (해움 미술관, 수원) La Primavera: ‘봄’ 초대전 (아트센터 피플러스, 서울) 2014 나혜석 재해석전 (예술공간 봄, 수원) 해움 미술관 개관초대전 (해움미술관, 수원) 6번항로-출발점 (행궁 커뮤니티 아트센터, 수원) '말' 작품전 (유나이티드 갤러리, 서울) 2013 예사랑 갤러리 초대전 (예사랑 갤러리, 안양) 밤밭 갤러리 초대전 (밤밭갤러리, 수원) Art Project 展 (상암 Dmc, 서울) 행궁동 레지던시 입주작가전 (행궁 커뮤니티 아트센터, 수원)
사진
개인전 2015 제9회 개인전 - 베갯송사 展 (행궁 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 2014 경기문화재단선정 개인전 만화로, Touch Touch (행궁 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 2013 초 이 개인전 - Touching Essay展 (행궁 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 아트페어 2015 서울오픈아트페어(코엑스 홀, 서울), With 아트페어(인터컨티넨탈 Hotel, 서울) , 광주국제아트페어(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2014 서울오픈아트페어(코엑스 홀, 서울), Art Shopping(Carrousel Du Louvre, 프랑스)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영화
교과연계
1) 교육개요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예술활동 경력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
- 위기의 멸종 동 . 식물 재해석하기 - Touch, Touch
▶
- 학교 내의 폭력과 왕타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입니다. 생명을 소중하게 다루는 교육과 예 술의 역할이 가장 필요한 시기라 생각합니다. 교육과 예술을 결합한 이번 프로그램은 조별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예술로 상호 교감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소통의 계기가 됩니 다. 학습과정을 통해 생명의 소중함을 체험하게 되고, 다양한기법의 드로잉으로 쉽게 다가가 려는 의도입니다.
분야
최경자
미술
1시간 이내
교육대상 중고등(전 학년, 특수 학교, 장애인) 14-19세
수업명
▶
Touch, Touch
수업주제
▶
위기의 멸종 동 .식물 재해석 - 다양한 그리기 기법으로 Touch, Touch
교육목표
▶
- ‘생명의 소중함’에 포커스를 맞추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입니다. 과중한 학과에 시달리는 학생들에게 ‘생명’ 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풍자와 의인화 등 다양한 기법의 드로잉으로 가볍게 다가가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입니다.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 학교 내의 폭력과 왕타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생명을 소중하게 다루는 교육과 예술의 역할이 가장 필요한 시기라 생각합니다. 학습과정을 통해 생명의 소중함을 체험하게 됩니다. - 교육과 예술을 결합한 이번 프로그램은 조별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예 술로 상호 교감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계기가 마련됩니다. - 풍자와 유머가 숨어있는 다양한기법의 드로잉으로 표현방법을 체험하게 되고, 재해석 작업을 통해 창의 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즐거움을 체험하게 되고, 학생들이 행복한 삶의 주체로 성장하는 기회가 됩니다.
주요 교육내용
▶
- 위기의 멸종 동 . 식물을 다양한 그리기 기법으로 재해석-창의력증진
교육회차
- 학교의 재반시설 및 실기실 여부확인 - 담당학생들의 성향이나 기타 재반 사항확인 -교육주제 - ‘위기의 멸종 동 . 식물 재해석하기’ -전반기. 중반기. 후반기 교육내용과 작업과정을 설명합니다.
1
-교육 주제 - ‘멸종 동 .식물 학습과 토론’ -교육내용 - 우리나라에서 사라져 가는 멸종 동.식물 학습 1. 우리나라에서 사라져 가는 동 .식물 멸종과정을 스토리텔링을 통해 학습합니다.
2~5
2. 강사는 영상이나 제시자료를 학생들과 공유하고, 생명을 주제로 토론합니다. 토 론은 원탁회의 형식이며, 5~6명으로 형성된 조별로 운영합니다. 조별 스스로 주제 를 정하고, 스토리텔링의 결과를 발표함
공예
- 작업진행 - 조별로 정해진 주제에 맞게 멸종 생명체들을 드로잉. 드로잉의 재료 와 기법 등은 조별로 진행하며, 강사는 조력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사진
전반적인 자료 수집과 수업의 전반적인 흐름을 강사는 설명합니다.
전반기
교육소요 시간
만화애니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강사명
영화
기간 사전방문 (3월)
3. 1회차 교육계획안
연극
기획의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6~10
수업내용 - 수업주제 - 위기의 멸종 동 . 식물 재해석하기(여러 가지 그리기 기법으로 Touch, Touch) - 작업진행 2. 작업과정동안 각조별 주제나 작업진행이 원활하게 진행되는지, 강사는 조력자의 역할을 합니다.
- 교육내용- 드로잉의 종류와 다양한 재료 학습
중반기
강사는 학생들에게 영상 및 제시 자료를 통해 드로잉을 진행. 각자의 방법으로 표현하고, 작업을 진행합니다.
디자인
1. 멸종 생명체 재해석하여 풍자와 의인화 등 다양한 그리기기법으로 드로잉 합니다. (창의력 증진)
- 교육주제 - 드로잉 학습
3. 다양한 그리기기법의 드로잉으로 조별 작업을 진행합니다.
11~13
4. 진행한 결과물을 발표함으로 문화예술로 상호 교감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소통하게 됩니다. 5. 결과물을 통해 작업과정에 있었던 에피소드나 소감들을 공유하고 감상합니다.
-작업진행 - 스토리텔링을 통해 조별 주제를 정하고, 각자 조별 주제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음악
에 맞는 자료들을 수집합니다. 주제와 작업진행 방법을 발표합니다.
1. 조별 드로잉 제작물, 재해석 드로잉 결과물 2. 다양한 형태의 아트 북 제작물 - 프로그램 참여와 소장의 즐거움을 갖게 됩니다.
-교육주제 - ‘위기의 멸종 동 .식물 재해석’ -교육내용 - 재해석 작업 진행, 결과물 제작 사라져가는 동 . 식물을 바탕으로 멸종과정을 조별 주제와 진행방법 -작업진행
후반기
1. 전반기 작업과 중반기 작업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작품들이 제작. 작업과정동안 각조별 주제나 작업진행이 가장 중요합니다. 3. 결과물을 통해 작업과정에 있었던 에피소드나 소감들을 발표함으로 문화소통의 기회부여, 작품 감상의 능력이 향상됩니다. 4. 아트 북 형태의 결과물을 완성하여 소장하는 계기가 됩니다.
조별 주제와 제작해야할 작품유형에 따라 준비물을 정합니다. (조별 준비물 예시) 1. 드로잉 용지 (A4용지, 투명 필름지, 스케치북, 한지, 수채화용지, 색지, 등) 2. 채색도구 (연필, 수채화도구, 매직, 아크릴, 붓, 물통, 파렛트, 먹, 연필, 색연필, 파스텔, 콘테 등) 3. 필요물품 (휴지, 헝겊, 물, 비닐봉지, 칼, 자, 고리 등)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2. 각자의 작업과정을 토론하는 원탁회의를 거쳐 결과물을 발표.
14~25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에 맞게 작업을 진행합니다. 풍자와 의인화 등 다양한 작업방식과 기법을 학습.
프로그램진행형식이 조별 원탁회의로 진행되므로, 3차에 걸쳐 테이블 위치를 조정합니다. (원형, 1자형, 병열형, 직열형 등으로 구조를 변경합니다 - 공간의 변화는 학습의 활기와 흥미부여) 문학
국악
기본정보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이름
홍종숙
세부전공
A- 0 37 8
지원분야(세부 분야)
회화 미술(서예)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
교육가능 기간
▶
교육 방향
▶
주요 교육내용
▶
예술강사 기존경험은 없음
올바른 인성 바로잡기 영화
교과연계
초등
교육가능 교급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1) 교육개요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장안로 54번길 서예 한자 사자성어 사자소학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대한민국 서예대전 특선 1회, 입선 6회
예술활동 경력
사진
대한민국 서울 서예대전 초대작가
2) 교육 성과 및 효과
대한민국 경기도 서예대전 초대작가 공예
대한민국 통일 미술대전 통일부 장관상 수상 및 초대작가 대한민국 해동서예 문인화 대전 우수상 및 초대작가
이기적이고 양보할 줄 모르는 팍팍한 마음가짐에서 자세를 바로잡고, 넓은 마음을 배 운 후에는 넓게 바라볼 수 있는 시야와 양보할 줄 아는 마음가짐을 갖게 되어, 대학생 활과 직장생활에 있어서도 도움이 된다고 꾸준히 연락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학생들을 수년 간 교학상장 하다 보니 20년 전 10년 전 오늘에 이르기까지 서예를 배운 아이들이 이기적인 모습에서 남들과 융화할 수 있고, 양보하며, 조화롭게 살아 가는 모습을 보았을 때 가난한 예술가로서 뿌듯한 날이 많아 마음이 넉넉합니다.
음악
▶
디자인
초대작가 회원전 및 작품 전시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3. 1회차 교육계획안
▶
- 붓과 글씨를 통한 바른 인성 찾아가기
기획의도
▶
- 학생들이 붓으로 재미있게 필법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 교감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찾 으며, 서로간의 신뢰를 키울 수 있는 체험을 하도록 한다.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홍종숙
서예
2시간
초등학교 고학년
수업명
▶
서예
수업주제
▶
서예로 하는 인성교육
교육목표
▶
- 올바른 자세 및 습관 고치기 - 정신건강과 심신수양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교육회차
- 서예공부가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담당교사와 수업과정에 대하여 의논하며 교육을 순조롭게 잘 할 수 있도록 텍스트 내용 등을 확인 진행하도록 한다.
육에 들어가기 전 수업 방향과 한글 한문 서예에 대한 지식을 미리 알도록 하여 처 음 배우고자 하는 어린 학생들에게 호기심을 갖게 하고 두려움을 해소하여 보다
1
나은 수업이 잘 진행되도록 하고자 한다. - 서예에 가장 기본이 되는 점 선 면을 시작으로 부수학습을 한다. 한글이 모음과 자음이 합하여 글자가 되는 것처럼
- 인내심 향상 - 고유문화 학습을 통한 교양의식 및 자부심 강화 - 제목 : 서예의 실용화에 대한 탐구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감성과 정신세계를 미적으로 표현한 동양의 독특한 예술을 전달
사진
이는 즉 한글에서는 가나다라 영어에서는 알파벳과 같은 것으로,
- 집중력 향상
만화애니
- 상반기 중반기 하반기 수업 전 교육대상자와 선생님과의 간담회를 마련하여 교
오리엔테이션
영화
사전방문 (3월)
교육내용
강사명
연극
연간 교육주제
기간
무용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한문 또한 부수와 부수가 합하여 글자의 형을 만들기 때문에 한자의 기초가 되 는 것으로 더욱 충실하도록 한다.
수업내용 1. 천자문 1-100자 혹은 사자성어 중 선택
2~25
공예
전반기
1. 선택된 과목
* 단 서예 한문은 해서로 진행되지만,
상반기 100자
학교 상황에 따라 다른 글씨체(예, 전서, 행서, 예서등)로 변경 가능.
중반기 300자
* 요즘 아이들의 특성 상 인내심과 너그러움이 부족하기 때문에
하반기 500자
수업을 중점으로 수업을 하고자 한다.
2. 忍 , 기초자료 1부 첨부(page 1-7)
디자인
이기적으로 변해가는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초 인성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선택된 내용 (천자문 101-300자 혹은 사자성어)
26~49
개개인의 1인 1작품 완성
음악
중반기
준비물 및 필요물품
- 선택된 내용 (천자문 201-500자 혹은 사자성어)
후반기
* 공부한 것에 대한 총정리가 진행되며 하나의 작품완성이 되도록
50~82
미술
붓, 화선지, 벼루, 먹, 깔판(담요), 서진
공간활용 계획 개인 학습에서 스스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함.
미디어아트
힘쓴다.
문학
국악
기본정보 무용
이름
안정윤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A -0570
미디어아트 미디어아트(영상, 사진)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중,고등 선택교과, 창의적 체험 활동, 자유학기제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악대로
사진
미디어아트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영화
교과연계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개인전 - 2015년 “잔상” (갤러리 도올, 서울)
- 2014년 청소년 영상캠프 [우리들의 이야기] 기획, 실행 (시흥시 단기여자청소년쉼터 주최)
미디어아트
- 2013년~2015년 -청소년창의예술교육 프로그램 [-pen the D--r] 기획, 실행 (서울문화재단 주최) -학교 밖 청소년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 [코끼리와 1/18], [일상 속 사진, 사진 속 일상] 기획, 실행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 주최)
미술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 2013년 자라섬 크리에이티브 뮤직캠프 렉처 [음악과 타 장르 간의 경계 허물기]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주최)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 2013년 서울문화재단 구의취수장 오픈스튜디오 다원예술공연 <가르강튀아> Pr-ject WAE 영상감독 - 2014년 월드뮤직그룹세움 콘서트 <환타지아> 영상감독 (인천문화예술회관 송도트라이볼) - 2015년 서울아트마켓 PAMS 폐막공연_일일사운드(즉흥연주)+안정윤(영상) (동숭아트센타) - 2015년 “The Se-ul C-nnecti-n”_지박(첼로)+백현호(판소리)+안정윤(영상) (K-rz- theater, Hague, NL) - 2015년 “As autumn departs”_바르단 옵세피언(피아노)+지박(첼로)+안정윤(영상) (율하우스)
공예
예술활동 경력
그룹전 - 2015년 “Kunst -p de Deel 2015” (SCAK, Kl--sterburen, NL)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고등학교 2학년 / 18세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3월~6월
교육 방향
▶
- 학교 내 공간과 사물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재해석하여 표현해보며 나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함 으로써 일상의 가치를 재발견한다. - 자신의 생각을 움직임과 사진, 영상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신체언어와 시각언어에 대해 이해하 고, 소통능력을 키운다.
▶
예술로 속닥속닥 (예술로 나를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하기)
기획의도
▶
주변을 시각 청각 촉각 등 다감각적로 관찰, 탐색하면서 새로움을 발견하는 즐거움을 맞보고, 일 상을 소재로 한 창작활동 과정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과의 소통에서 오는 기쁨을 느낄 수 있 도록 사진, 영상, 움직임 활동을 포함, 시각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기획하였다.
기간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2) 교육 성과 및 효과 전반기
▶
(수업 후 참여자들의 설문 내용) -모르고 지나쳤던 곳을 다시 한 번 보고 관찰하면 색 다른 게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실에만 앉아있지 않고 교실 밖으로 나가서 활동한 것이 좋았다. -지루했던 학교 곳곳이 새롭게 보이고 재밌는 추억으로 가득 차게 되었다. -학교와 교실이 놀이터처럼 여겨졌다.
▶
학생들의 일상 공간인 학교와 교실이 어떻게 하면 지루하지 않고 즐거울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타 예술 장르 강사들과 함께 고민하고 연구한 프로그램을 3년 동안 진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 함께 활동하고 그들의 생각을 들으면서 청소년들의 예술적 요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과다한 학업으로 지치고 무기력한 청소년들에게 예술 활동이 무관하고 일시적인 것이 아닌 그들의 삶에 녹아들어 삶을 더 풍요롭게 하는데 하나의 밑거름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구하고자 하는 깊은 고민과 성찰을 하게 되었습니다.
-수업 요일, 시간, 수업장소 환경 및 수업에 필요한 기자재에 대한 사항을 함께 확인하고 논의한다.
1.나의 얼굴 -강사 소개 (작품, 활동) -일상을 소재로 작품화한 다양한 장르의 예술작품을 PPT로 함께 보면서 프로그램의 주제와 다양한 매체로 이뤄진 활동 내용과 진행방식을 소개한다.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의 의견과 반영하고 싶은 의견 묻기 -종이에 각자의 얼굴을 자신의 캐릭터가 드러나게 그린 후 자기 소개하기
1
2.영역 페인팅 -두 모둠이 큰 도화지를 마주보고 앉아 자신의 자리부터 시작해 다른 사람의 자리를 넘나들며 페인팅한다. 3.움직이는 점과 선 -각자의 신체부위에 네 가지 색깔 스티커를 붙인 후 타인의 같은 색깔이 붙은 신체부위 지점끼리 서로 연결하여 하나로 이어진 신체 조각 상을 만들어본다. 4.눈으로 그린 그림 -두 사람씩 마주 서서 서로의 얼굴에 눈을 떼지 않은 상태로 상대방의 얼굴을 종이에 그려준 후 선물로 건넨다. 5.가만히 들어봐! -녹음된 주변 일상 속 다양한 소리를 들으면서 나의 느낌과 연상되는 이미지를 종이에 드로잉한다. 6.희로애락 -희로애락의 각각의 네 가지 감정들을 점, 선으로 종이에 표현한다.
2~9
7.이미지로 속닥속닥 -나의 감정을 표현해 줄 이미지를 찾아 사진으로 담아온 후 다른 참여자의 사진 이미지와 함께 구성해 감정의 대화를 나눠본다. 8.나의 색 -내가 좋아하는 색을 지닌 이미지들을 학교 곳곳을 탐색하며 카메라에 담아온다. 9.무지개퀼트 -지난 시간 각자 촬영한 다양한 색들로 이뤄진 사진 인화물들을 모둠별 정한 주제와 형식으로 구성해보고, 작품 전체를 무지개색 배열로 구성해 하나의 공동작품을 만들어본다. 10.어디서 온 무늬일까? -수업장소 주변 건물의 벽, 바닥 등 독특한 무늬나 입체적 질감을 가진 부분에 종이를 대고 색연필로 색칠해온 후 어디서 온 무늬일까 서로 맞춰본다.
공예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수업참여 대상자 특성 파악하기
사진
- 학교 공간을 탐색하고 관찰하기 - 시각예술과 움직임 활동을 통해 공간을 낯설고 새롭게 바라보기 - 익숙한 교실 속 사물과 상호작용하는 신체 움직임을 다각도로 촬영한 영상작품을 제작하여 하 나의 대상을 다양한 시점으로 보는 체험을 한다.
교육회차
만화애니
▶
교육내용
영화
▶
연간 교육주제
디자인
11.그림자 놀이 (움직임+시각예술)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연극
교육가능 교급
주요 교육내용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두 명씩 모둠이 되어 검정 전지에 한 명이 누워 동작을 취하면 다른 한 명이 외곽선을 흰 크레파스로 그려주고 다시 역할을 바꿔 이어 그려 하나의 동작을 완성 후 외곽선 속에 이미지나 글을 써서 두 명의 이야기가 들어간 그림자 작품을 만든다. 12.다함께 뛰어보자, 폴짝! (공간+움직임+사진) -모둠별 수업장소 내 외 중 선택한 공간에서의 일상적 동작을 취해보고 일탈적인 점프동작을 함께 연출해 점프 컷을 찍어 본다. 13.우리에게 자가 없다면 (공간+움직임+사진) -자신의 신체 일부분이 자가 되어 주변 사물을 측정해본 후 모둠별 선택한 수업공간을 같은 신체의 일부분, 동작으로 크기 를 함께 재어보고 정지동작을 사진으로 담아본다. 14.꼭꼭 숨어라! (공간+움직임+영상)
10~14
-모둠별 수업 공간 중 한 곳을 선택해 그 공간의 형태와 어우러지게 신체를 배치해보는 과정을 원테이크 영상 촬영한다. 15.우리의 비밀기지 (공간+움직임+사진+설치)
음악
중반기
-모둠별 맘에 드는 학교 내 공간을 선택해 마스킹테이프로 우리만의 비밀기지를 만들어보고 그 공간과 어울리는 동작을 만 들어 사진을 찍는다. 16. 수상한 이미지 (사진) -사물의 일부분이나 익숙하지 않은 각도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카메라에 담아와 어떤 사물의 이미지인지 서로 맞춰본다. 20. 이상한 나라의 돼지3 (스톱모션애니메이션)
20~23
미디어아트
후반기
문학
21. 시 (인문학+시각예술) -기존 작가의 시 작품을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눈 후 시의 두 행만 남긴채 나머지 부분을 자신의 이야기로 채 워 시 창작 후, 시의 한 연을 선택해 이미지, 소리, 움직임 등으로 묘사해본다. 22. 1분 이야기 (영상) -15초, 30초 등 1분 이내의 길이로 자신과 주변의 인상적인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스케치해본다. 자신의 신체 일부분 혹은 동작, 또는 주변의 이미지를 1분 길이의 원테이크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 본다. 23. 추억의 포토북 -그동안의 활동 사진 인화물을 시간 또는 공간의 흐름 등 자신이 정한 주제에 맞게 포토북에 붙이고 기억과 소감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해본다. 24. 우리는 전시 기획자 -그동안의 활동에서의 작업물 중 전시할 작품을 선택, 보드나 종이액자에 끼워놓고, 전시포스터와 초대장을 함께 만든다. 25. 특별한 전시회 -그동안의 활동 중 만든 작품(사진, 영상 등)들을 수업공간에 전시해 친구들과 작품을 함께 감상하고 이야기 나눈다.
미술
-지난 차시 촬영한 사진파일을 컴퓨터로 옮겨 선택한 음악과 텍스트를 넣어 함께 편집 후 완성하여 감상한다.
국악
교육계획서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강사명
-학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각자의 동물 인형 사진 작품.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다양한 시점으로 대상을 촬영 후 느끼는 시각의 낯설음과 새로움. -사진작품을 만들고 일상적인 장소인 교실에서 전시 체험 후 느끼는 뿌듯함.
미디어아트 (사진, 영상)
-작품을 함께 감상하고 이야기하면서 얻는 타인과의 소통의 즐거움.
2시간
고등 (전학년)
준비물 및 필요물품
연극
안정윤
동물인형(참여자수), 사진촬영 가능한 핸드폰 또는 카메라(참여자수), 포토프린터, 잉크, 용지, 컴퓨터, 스크린, 빔 프로젝터, 종이액자 ▶
이상한 나라의 돼지
수업주제
▶
학교를 배경으로 동물인형을 다양한 각도, 거리로 사진 촬영해본다.
교육목표
▶
▶
익숙한 주변을 다른 스케일로 바라보고 일상을 새로운 눈으로 보는 체험을 한다. -다양한 카메라앵글 촬영으로 주변을 깊이 관찰하고 다양한 각도로 바라볼 수 있다. -익숙한 주변을 낯설게 바라보며 일상적 생각에서 벗어나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다. -미니어처로 사진작품을 만드는 거리설치예술가의 작품을 함께 보며 다양한 카메라 앵글을
주요 교육내용
▶
공간활용 계획 -교실: 활동설명, 교실 벽에 작품 전시와 감상 -학교 내 전체 장소: 학교를 구석구석 다니며 인형을 설치하고 사진 촬영을 할 계획
만화애니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수업장소 곳곳을 배경으로 동물 인형을 배치하고 촬영하는 활동을 통해
(참여자수), 펜, 스카치테이프 영화
수업명
이해한다. -각자 선택한 동물인형으로 주변 배경이 미지의 장소처럼 보이게 사진 촬영해본다. -참여자의 작품을 함께 감상하며 인상적인 점을 이야기 나눈다. 사진
수업내용
1. 작은 사람들 작은 세상
공예
- 도입 15분 1) 거리설치예술가 Slinkachu의 작품을 통해 다양한 카메라 앵글 이해하기 ‘The little pe-ple-A tiny street art pr-ject’ 2) 활동 설명 -인형을 학교 내 곳곳에 설치해보고 인형의 배경이 미지의 장소처럼 보이게 촬영해보기. 2. 인형과 함께 떠나는 사진 여행 (30') - 인형과 함께 학교를 산책하며 곳곳에 인형을 설치해본다.
디자인
- 전개 90분
- 인형의 배경이 마치 미지의 장소처럼 보이게 다양한 거리, 다양한 카메라 앵글로 촬영을 시도한다. - 인형의 다양한 동작으로 장소와 어우러지는 여러 상황을 표현해본다. - 여러 컷을 찍어본 후 베스트 컷 하나를 선택하여 사진파일을 강사에게 제출한다. 4. 작품 사진 인화 및 전시 (25')
음악
3. 휴식 (10') - 사진파일을 포토프린터로 인화한다. - 각자의 작품 사진 인화물을 종이액자에 끼워넣고, 액자 뒷면에 촬영장소, 날짜, 제목, 작가 이름을 기록한 후 교실 벽 맘에 드는 부분 에 설치한다. - 전시된 사진들을 함께 둘러보며 감상한다.
미술
5. 작품 감상 (25') - 작품 중 인상적인 것들에 대하여 함께 이야기 나눈다. - 정리 15분 6. 활동 소감 나누기
미디어아트
7. 다음 수업 안내
문학
국악
기본정보 무용
이름
강세진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A -0411
극작과 문학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거주지
초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군포시 당동
사진
문학
만화애니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영화
교과연계
연극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2012 단막극페스티벌 공모전 <점검나왔습니다> 연출 입상 2014 가족음악극 <개골트리에 반딧불 총총> 작,작사
공예
예술활동 경력
2015 가족음악극 <개골트리에 반딧불 총총> 작,작사 영진위 시나리오 <주마등 판타지아> 1단계 지원작 선정 아시아문화전당 아동극 개발진행중 디자인 음악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2015 갈곶초등학교 문학 예술강사 (상상문학학교 시범사업 참여)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교육가능 교급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
▶
-상상하는 문학, 노래하는 문학, 내가 쓰는 문학!
기획의도
▶
-문학은 공부의 대상만이 아니다. 문학은 나와 상대의 감정을 표현하고 공유하여 공감하는 도구. 그 것은 결코 멀고 어려운 곳에 있지 않다. 아이들과 함께 연극, 영화, 뮤지컬적인 다양한 오브제로 ‘문 학’을 공감각적으로 감상하여, 결국에 ‘나’를 표현한다. 수업이 모두 끝난 후에는 나만의 단편집을 가진다.
초등학교 3,4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9월~12월
교육 방향
▶
놀이, 상상, 생각이 함께하는 문학
연극
연간 교육주제
예시) 동시의 날 활동 – 가사 바꾸기
2)[창작] 가사 바꾸어 보기
▶
사전방문 (3월)
오리엔테이션
교육내용
교육회차
- 학생 수, 학생 명단, 특이사항 등 담당 선생님을 통해 확인 - 공통 준비물(노트) 공지
- 수업 의도 및 계획 소개 (연간, 월간 계획) - 선생님 및 학생 자기소개 하기 - 수업 내 규칙 설정
1~5
사진
6~11
공예
중반기
*목표3 : 문학으로 ‘세상’ 이해 하기 12) <나무들도 웁니다>/움직이지 않고 살아가기 13) <살아있는 모든 것들>/움직이면서 살아가기 14) <만년샤쓰>/한 사람 연구 프로젝트 15) <셜록 홈즈>/무서운 이야기 16)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신기한 이야기 17) <깜박깜박 도깨비> /재미있는 이야기 18) 영감 넘나들기1 음악과 이야기 19) 영감 넘나들기2 춤과 이야기 20) 영감 넘나들기3 시와 이야기
12~20
디자인
*목표1 : 문학이 주는 영향력 즐기기 1) <해리포터>시리즈 /원천스토리의 엄청난 파워 2) <그대를 사랑합니다> /웹툰이 된 책, 책이 된 웹툰 3) <캣츠> /시가 뮤지컬이 되다 4) <찰리와 초콜릿 공장> /할리우드, 브로드웨이로 간 동화 5) <어린 왕자> /영원히 변하지 않는 세계인의 친구
1
만화애니
주요 교육내용
3)[체험] 친구들과 함께 바꾼 가사로 직접 불러보기 -목소리를 녹음하여 함께 들어본다. <평가> 가사 써보기 활동은 전반적으로 굉장히 반응이 좋았습니다. 가사도 시가 될 수 있고, 시 또한 가 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수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아이들은 가사 쓰는 것을 처음 해본 다고 하며 굉장히 낯설어 했습니다. 하지만 노래를 몇 번 들려주며 음절에 맞게 창작 하는 것을 알려주었더니 곧잘 따라했습니다. 시를 쓴다고 했을 때는 힘들어하던 아이들이 가사 쓰는 데에는 열정적이었습니다. 활동이 끝난 후에 그 가사를 노트에 그대로 옮겨 적게 했고. 다시 한 번 읽어 보게 하였습니다. 아이들의 가사는 꼭 한 편의 시처럼 아주 예뻤습니다. 시 창작을 어려워하는 경 우, 가사 바꾸기 활동을 하는 것은 좋은 생각인 것 같습니다.
기간
영화
1)[감상] 가요, 유미-‘별’ 악보와 함께 앞 소절 감상 해보기 -음악에 익숙해질 때 까지 3~4번 돌려 들려준다. -가사를 직접 읽어보기도, 노래하기도 한다.
후반기
*목표4 : 나도 작가! ‘단편집’ 만들기 21) 20차시 까지 써 온 이야기 선정, 단편집 작업1 22) 단편집 작업2 23) 단편집 작업3 24) 작가의 말 쓰기, 단편집 최종 완성. 25) 북파티의 날. 작가(아이들) 인터뷰 및 사인회 개최
21~25
전반기
2) 교육 성과 및 효과
*목표2 : 문학으로 ‘나’, ‘너’ 이해 하기 6) <고래가 보고 싶거든>/나는 누구일까, 너는 누구일까? 7) <다른 쪽에서> /내 마음과 네 마음의 사이 8) <돌 씹어 먹는 아이>/내 몸의 감각 찾기 9) <폭풍우 치는 밤에>/혼자 있을 때 10) <개구리네 한솥밥>/둘이 있을 때 11) <100만 번 산 고양이>/사랑이 시작될 때
수업 초반, 문학은 지루하다는 고정관념으로 아이들은 수업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또한 학교 선생님들도 문학 수업이라고 하여 모두 책을 읽고, 이론을 배우고, 글을 많이 써보는 수업으 로 생각을 하고 계신 듯하였습니다. 하지만 수업은 감상으로 접근 하여 생각할 거리를 던져 주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첫 수업에는 책을 읽어주고서 질문을 던지는 제 태도에 아이들이 되레 당황스러워 했습니다. 정답이 있다고 생각을 하며 자신의 진짜 생각을 감추기에 급급했습니다. 하지만 수업이 중간을 넘어 갈 때엔 점점 거침없이 의견을 표현해나갔고, 엉뚱하고 재밌는 결과물들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아래 메시지는 수업이 모두 끝난 후에 제 번호를 가져간 아이들 중 3학년 학생 한 명이 보낸 것입니다. 문득 생각 난 시를 제 메신저로 보낸 것입니다. 아이들과 어울리기 좋아하고, 축구를 즐기던 남자아이 가 문득 떠오른 시를 보낼 정도로 문학에 가까워졌다고 생각하니 보람찼습니다.
▶
-문학과 책이 낯선 세대. 영상 세대에 문학이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여전히 이야기 그 자체에 열광했고. 쓰기 활동, 눈에 보이는 활동에 지쳤을 뿐 순수 스토리에 대한 열망은 여전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때문에 가볍게만 접근하던 문학을 흥미가 있는 부분에 한에서는 좀 더 심도 있게 들어갈 필요도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미술
-또한 수업 초반 무렵, 강사로서의 욕심 때문에 아이들에게 미리 준비해 간 모든 것을 완료하려고만 하였지만. 문학감상에 있어 사유와 그에 필요한 시간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음악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A -0876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교과연계
내 몸 돌아보기, 우리들의 느낌 찾기
거주지
- <돌 씹어 먹는 아이>를 읽고 단편의 이야기 구조와 아름다움을 느껴본다. 수록작 <혀를 사
문학(문예창작,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지원교육대상
<돌 씹어 먹는 아이> /내 몸의 감각 찾기
문예창작학전공/문헌정보학전공
초등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지동
왔지>를 감상하면서 몸의 언어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 감각적 표현을 사용해본다. 문학작품 속에서 감각을 나타내는 표현을 찾고 이해할 수 있다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각을 비교하고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자신의 감각을 나 타낼 수 있다. - <돌 씹어 먹는 아이> 감상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초등학교 고학년
김선태
영화
수업명
40분
교육대상
연극
문학
강세진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커다란 분노가 생겼던 사건을 거침없이 종이에 써보고, 찢어 버리기 - ‘무엇이든 시장 개최’ 내가 사고 싶은, 팔고 싶은 물건을 내놓고 이유 생각하기 사진
수업내용
2) 목표 설정 - 이번 시간에는 ‘나의 몸, 감각’에 대해 탐구해보자!
예술활동 경력
공예
1) 인사
- 우리는 어떤 감각과 함께 살아가고 있나요? 3) <혀를 사왔지> 낭독 4) [질문]’나’는 왜 혀를 사려고 했을까? 디자인
[질문]’혀’는 무슨 의미일까? 5) [쓰기]’무엇이든 시장’에서 팔고 싶은 물건 사고 싶은 물건 그림과 글로 표현하기, 이유도 함께.
2015년. 수원연무초등학교 학교사회복지실. 문맹아동의 멘토링 봉사
4) [놀이]’무엇이든 시장’놀이 자신이 쓴 그림과 글을 공유하여 다른 아이들과 사고 팔기 해보기 5) [연극]몸의 감각 표현하기 우리의 몸, 감각에 대해 탐구해보았습니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6) 오늘은 <혀를 사왔지>를 읽어 보았고
미술
준비물 및 필요물품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 문학 노트, 필기구, 색연필, 돗자리(선택)
- 교실 내에서 활동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초등학교 전학년
교육가능 기간
▶
2012년 6월~12월
교육 방향
▶
문학을 느끼고 글로 표현할 수 있게 하기
주요 교육내용
▶
-
독서 감상 이야기 : 문장을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미술활동 : 책을 읽고 느낀 점을 미술활동으로 표현해보기 야외수업 : 예술 공연, 박물관을 견학해보기 창작수업 : 미니북 만들기, 시 쓰기, 콘티그리기
- 이야기하자 (관계와 감정)
기획의도
▶
- 관계에 있어서 “이야기하자.”라는 말이 그렇듯이 문학의 이야기 또한 다른 무엇을 이해하고 받아 들이는 일이다. 문학을 감상하고 각자의 삶 속의 작은 이야기들을 발견하며 문학의 감수성과 도덕 성을 깨닫는다.
기간 사전방문 (3월)
▶
1
- 초기 : 수업에 참여하지 않던 아동이 있었고 산만한 분위기였음. - 후기 : 함께 어울리고 이야기하면서 수업분위기도 좋아졌고 다른 반과 협동수업도 할 수 있었음. - 자신의 생각을 구체화 시키고 표현한다. - 오감, 단어, 그림을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 - 콘티노트를 활용하여 간단한 이야기를 만든다.
- 기존 교재의 방향대로 수업이 진행되지 않아 미술활동이나 체험활동이 주를 이루었음. - 교재의 커리큘럼을 어려워해서 시 짓기 수업에 비중을 두었음.
2~5
6~10
디자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오리엔테이션
공예
▶
- 대상 파악, 일정 및 프로그램 소개 및 조율.
사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교육회차
만화애니
2) 교육 성과 및 효과
교육내용
영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연간 교육주제
전반기 - 문학작품의 감상을 통해 표현력을 기른다. - 문학 작품이 종결된 후 이야기를 상상해보기. 등장인물 그려보기 등으로 상상력을 발휘 한다. - 사라진 주인공의 몽타주를 그리고 전시해본다.
-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이야기하게 해본다. - 자신이 말한 이야기의 줄거리를 요약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콘티와 시놉시스를 구성하게 한다.
11~20
후반기
- 야외활동 : 도서관 견학 및 이용교육. - 자신만의 이야기책을 만들어 본다. - 백일장과 발표회를 연다.
21~25
음악
중반기
미술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3시간
교육대상 초등 전학년
▶
소중한 아이
수업주제
▶
관계와 감정, 상대방 입장과 감정을 느끼기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A -0096
문학(어린이문학)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 모든 사람은 소중하다는 것을 알게 한다.
문예창작/국어국문학
초등 기본교과 경기도 파주시 한빛로
영화
수업명
김성진
연극
문학
김선태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모든 사람은 소중하다는 것을 알게 한다.
- 독서 이후에도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음을 알게 한다. - 독서활동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만화애니
- 친구의 마음을 이해해본다
- 토의활동 - 미술활동 사진
수업내용
- 진복이에 대해서 생각해보기. - 전지에 진복이를 그려보기
예술활동 경력
2014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수상 동화책 《내 이름은 구구 스니커즈》(창비, 2013), 《겁보 만보》(책읽는곰, 2015), 《라면 먹는 개》(책읽는곰,
공예
- 동화작가 김옥의 「소중한 아이」 감상.
2013년 제17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대상 수상
2015), 《읽거나 말거나 마음대로 도서관》(책읽는곰, 2015), 《걱정 먹는 우체통》(하늘을나는교실, 2015) 출간
- 자신의 얼굴도 비슷하게 그려보고 진복이의 얼굴과 바꿔보기
어린이 문학 소개 ‘주제가 있는 책읽기’ 연재 (예스24, 어린이잡지 《생각쟁이》) 디자인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전지, 색종이, 털실, 크레파스, 가위, 풀, 유성매직 등.
2013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문학예술강사(제주 애월도서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년 ‘어린이를 응원하는 걱정 먹는 우체통 프로젝트’ 진행(파주 교화도서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년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분야 시범사업 문학예술강사(고양 광성드림학교)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문학교육 (서울 고척도서관)
미술
공간활용 계획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음악
준비물 및 필요물품
전지를 펼치고 놀만한 넓은 장소
미디어아트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초등학교 중학년 / 11세
교육가능 기간
▶
2015년 9월~12월
교육 방향
▶
상상력을 길러 주는 문학 교육
주요 교육내용
▶
1. 상상하는 어린이 : 문학 교육을 통한 상상력 증진 2. 놀이하는 어린이 : 놀이를 통한 표현력 향상 및 어린이들 상호간의 연대의식 강화 3. 생각하는 어린이 : 어린이문학의 걸작들을 주요 텍스트로 활용하여 문학 감상자로서의 성장을 도움
기획의도
오리엔테이션 - 책을 자세히 깊이 읽는 습관을 갖게 되었고, 문학을 가깝게 느끼게 되었다는 어린이가 많았습니다. - 문학 수업을 통해 글쓰기가 즐거워졌다는 어린이도 많았습니다. - 수업을 들은 뒤부터는 침대에 누워 상상을 많이 하게 되었다는 어린이의 이야기를 듣고 문학예술강 사로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 학교 관계자 분들 역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셨습니다. 다른 교과 시간에 발표력이 부족했던 어린이들이 문학 수업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 표현력이 늘었다는 말씀도 하셨습니다.
교육내용
교육회차
- 학교 담당교사와 교육 기간 및 수업 진행 내용 공유 - 학교 기자재 및 수업 공간 확인, 준비물 안내
- 문학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 및 세부 내용 안내 - 즐거운 수업을 위한 약속 정하기 - 주제 : 나와 너, 그 리고 우리 / 그림책 《새가 되고 싶어》 감상 및 ‘나’와 ‘너’에 대해 알기
1
만화애니
▶
- 문학 수업이 딱딱한 학습이 아닌 즐거운 상상 놀이라는 것을 일깨워 주고자 함 - 국내외 좋은 어린이문학 책을 함께 읽은 뒤 다양한 활동을 제안해 책에 대한 이해도와 창의성을 높이고자 함 - 어린이들이 책을 통해 위로받고 상상력을 키우며 책이 좋은 친구라는 것을 깨닫게 돕고자 함 - 읽고, 말하고, 쓰고, 듣고, 느끼는 통합교육을 선보이고자 함
기간
사전방문 (3월)
2) 교육 성과 및 효과
▶
즐거운 문학 교실 : 책이랑 놀자!
영화
▶
▶
연극
교육가능 교급
- 주제 : 내 몸이 말해요 / 그림책 《진짜 코 파는 이야기》, 단편동화 〈혀를 사 왔지〉 감상 및 몸이 하는 말에 귀 기 울이기 - 주제 : 친구가 필요해 / 그림책 《우리는 친구》, 《폭풍우 치는 밤에》 감상 및 뒷이야기 상상하기 - 주제 : 친구란 무엇일까 / 동화책 《라면 먹는 개》 감상 및 ‘나만의 친구라면’ 요리법 상상하기 - 주제 : 우리 친구 하자 / 그림책 《다른 쪽에서》 감상 및 친구에게 손바닥 편지 쓰기- 자신의 생각을 구체화 시
2~5
사진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키고 표현한다.
▶
- 수업을 진행할 때 틀에 갇힌 설명이나 뻔한 질문을 하지 않습니다.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고, 묻고, 답할 수 있게 수업을 이끕니다. - 어린이책 기획편집자와 창작자로서 쌓아 온 경험을 바탕으로 좋은 책을 선정해 소개할 수 있으며, 열린 마음으로 어린이들과 눈높이를 맞추며 소통할 수 있습니다. - 어린이들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한 명 한 명의 개성을 존중합니다.
- 오감, 단어, 그림을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 - 콘티노트를 활용하여 간단한 이야기를 만든다.
전반기
공예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문학작품의 감상을 통해 표현력을 기른다. - 문학 작품이 종결된 후 이야기를 상상해보기. 등장인물 그려보기 등으로 상상력을 발휘 한다. - 사라진 주인공의 몽타주를 그리고 전시해본다.- 주제 : 나누면 행복해요 / 그림책 《무지개 물고기》 감상 및 나 눔 물고기 만들기(친구들의 물고기 그림에 자기 장점 적어 주기) - 주제 : 함께하는 세상 / 그림책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감상 및 표지 그림 다시 그리기 - 주제 : 엄마, 힘내세요 / 그림책 《돼지책》, 《엄마를 화나게 하는 10가지 방법》 감상 및 엄마에게 전하는 상장 만 - 주제 : 아빠, 힘내세요 / 그림책 《종이 아빠》, 《아빠를 화나게 하는 10가지 방법》 감상 및 아빠를 위한 변신 옷 만들기
디자인
6~10
들기
- 주제 : 사이좋은 형제 / 그림책 《내 동생은 고릴라입니다》, 《내 동생 싸게 팔아요》 감상 및 칭찬 딱지와 도움 딱 지 만들기
음악
- 주제 : 가족은 나의 힘 / 그림책 《입 냄새 나는 개》 감상 및 이야기가 있는 가족 사진첩 만들기 - 주제 : 시와 노래의 만남 / 다양한 시 노래 감상 및 노랫말 바꿔 시 쓰기 - 주제 : 오싹한 이야기 / 글 없는 그림책 《토끼들의 밤》 감상 및 그림에 맞춰 이야기 상상하기 - 주제 : 용기야 솟아라 / 동화책 《겁보 만보》 감상 및 ‘용기내 마을’ 지도 그리기 - 주제 : 식물의 하루 / 그림책 《나무들도 웁니다》 감상 및 식물이 되어 하루 일 상상하기
중반기
- 주제 : 삐삐를 만나요 / 동화책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감상 및 ‘나만의 뒤죽박죽 별장’ 꾸미기
11~20 미술
- 주제 : 구구를 만나요 / 동화책 《내 이름은 구구 스니커즈》 감상 및 ‘나만의 스니커즈’ 꾸미기 - 주제 : 별난 어른들 이야기 / 동화책 《멍청씨 부부 이야기》, 《진지한 씨와 유령 선생》 감상 및 캐 릭터 카드 만들기 - 주제 : 재미있는 글자 놀이 / 그림책 《생각하는 ㄱㄴㄷ》 감상 및 글자 모양에 맞춰 상상 그림 넣기
미디어아트
- 주제 : 마음을 전해요 / 그림책 《행복을 전하는 편지》 감상 및 반 친구들에게 마음 편지 쓰기
- 야외활동 : 도서관 견학 및 이용교육.
후반기
- 자신만의 이야기책을 만들어 본다.
21~25
- 백일장과 발표회를 연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기본정보
강사명
이름
분야
교육소요 시간
문학
2시간
▶
즐거운 문학 교실 : 1회차
수업주제
▶
나와 너, 그리고 우리
초등(3~4학년)
정정희
세부전공 지원분야(세부 분야)
A -0875
교육목표
▶
문학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무
교원자격증 (중등교육2급 이상)
무
지원교육대상 교과연계 거주지
-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문학의 개념을 이해한다.
국문학전공 / 문화예술(전공)
초등/중고등 기본교과, 선택교과 ,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토요·돌봄동아리 경기도 성남시 수정로
영화
수업명
교육대상
연극
김성진 (필명 : 김유)
무용
3. 1회차 교육계획안
- 마음의 성장과 함께 상상력 및 자기 표현력을 향상시킨다. - 양질의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어린이 스스로 정체성을 탐구한다.
- 자기 표현력을 기르고 스스로 미래를 설계한다. - 어린이들 상호 간의 연대의식을 높인다.
예술 및 교육활동경력
- 책 속의 숨은 뜻을 이해하고 주인공이 되어 상상한다. ▶
- ‘나’와 ‘너’를 돌아보고 미래의 ‘나’와 마주한다. - 스스로 자신의 꿈을 찾는 시간을 갖는다.
사진
주요 교육내용
- 문학과 예술이 현실과 맞닿아 있음을 깨닫는다. ▶
만화애니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수업내용 - 문학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 및 세부 내용 안내 2.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해 ‘우리만의 암호’를 정한다. - ‘나’ 돌아보기
예술활동 경력
1. 색도화지를 이용해 자신의 모습을 표현한 종이인형을 만든다. 2. 완성한 종이인형을 활용해 ‘나’에 대한 소개한다. 3. 친구들의 발표를 들으며 ‘나’와 ‘너’의 다름을 이해한다. 1. ‘꿈’이라는 낱말에 담긴 뜻을 찾아본다. 2. 그림책 《새가 되고 싶어》를 함께 감상하고 주인공이 되어 상상한다.
디자인
- ‘꿈’ 찾기
- 저서 : 『자녀의 잠재력을 터트려라』(공저)(2013.9, 민영사) : 문학 동인지『난해한 곡선으로서의 탈출』, 『홀로있는 풍경들』 ⦁『흔들리는 겨울(공저)』, 『가슴에 그린벽화』, 『선채로 스며 드는 점』(공저) 등
공예
1. ‘문학’, ‘상상’에 대한 개념 설명과 수업 진행에 대해 소개한다.
- 현, 한국시인협회 회원 - 현, 뮤지컬 극작, 작사가. 뮤지컬 창작단 <불과 얼음> 단원 - 뮤지컬 <만꾸르트의 노래> 독회-극작, 작사 (2015)
3. ‘나의 꿈’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공책에 적는다. - 미래의 ‘나’와 마주하기 1. ‘현재의 내가 10년 뒤 나에게 하고 싶은 말’을 공책에 적는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나’와 ‘너’의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 자신을 표현한 종이인형과 작문들을 남긴다.
미술
- 자신의 미래, 꿈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문화예술 교육활동 경력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학분야 예술강사(2011~2014) : 2013 꿈다락토요문화학교-문학분야 예술강사: 강동도서관 수업 : 2014 꿈다락토요문화학교-문학분야 예술강사: 은평구립도서관 수업 - 길 위의 인문학 특강: ‘나에게로 오는 길’(2014, 은평구립도서관) - 인문고전 프로그램 운영-‘디자인 마이 라이프’(2013~2015, 성인, 나룰도서관) - 인문고전 프로그램 운영- ‘꿈이랑 책이랑’(2013~2015, 초등학생, 나룰도서관) - 고전으로 배우는 인성 교육 프로그램 수업(2014, 서울까치서당-상림도서관)
음악
2. ‘10년 뒤 내가 현재의 나에게 하고 싶은 말’을 공책에 적는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 학생 : 스프링 공책, 필기도구, 색도화지, 색종이, 색연필, 사인펜, 가위, 풀
공간활용 계획
미디어아트
- 교사 : 그림책 《새가 되고 싶어》, PPT 자료 파일
PPT 자료와 동영상 자료를 감상할 수 있는 기자재가 갖추어진 교실이면 수업진행에 무리가 없다. 문학
국악
교육계획서
교육계획서
2. 2016년 연간 교육계획서
1) 교육개요
연간 교육주제 ▶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 고등학생
교육가능 기간
▶
2016년 3월~12월
교육 방향
▶
인문고전을 통한 자기 성찰과 나의 이야기(History) 만들기
∙ 인문고전을 통해 자기성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인문 고전읽기와 사색을 통해 자신과 세계를 향한 근본적인 질문이 생기게 한다. 끝없이 이어지는 물음표에 생각을 이어가는 동안 자기성찰을 이뤄가도록 돕는다.
기간
교육내용
교육회차
- 수업진행 교실, 교구 비치 상황 파악. (빔 프로젝트, 컴퓨터, 수업재료 등)
사전방문 (3월)
- 수업진행 학생들의 독서 상황 및 학생 수 파악. - 해당학교 도서관 도서 비치 상황 파악. - 인문고전은 오래된, 아주 새로운 여행지다! :25주간의 인문고전 여행을 떠나 신나게 놀면서 나의 이야기를 만들어보자.
오리엔테이션
- 인문고전은 통통 튀는 가벼운 놀이다!
1
- 인문 고전으로 너와 내가 통한다!
∙ 인문고전은 한국고전, 동양고전, 서양고전 등 고루 병행하여 진행한다.
사진
- 첫인사 나누기: 또 하나의 이야기가 될 자기소개(나는 oo이다)
∙ 수업 진행은 ‘텍스트 낭송 및 이해→놀이 활동하기 →사색하며 나의 이야기 만들기’ 형태로 진행됩니다. * 인문고전 텍스트는 수준별 상황에 따라 조정 가능하며, 같은 텍스트라도 눈높이에 맞춰 수업 진행이 가능합니다.
▶
- 인문고전을 통해 청소년기에 자연스러운 사색과 자기성찰이 이뤄지도록 돕는다. - 고전의 이야기를 다양한 활동과 놀이를 통해 쉽게 접근해서 고전이 책장을 넘어 우리의 생활 속 으로 들어오도록 한다. - 고전의 생생하고 입체적인 표현으로 상상력과 창의력을 일깨우고, 이를 적용해 자기의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도록 한다.
만화애니
▶
∙ 창의적 상상력과, 창조적 습관 → 글쓰기를 통해 자기 스토리를 만들어낸다 인문고전은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동시키는 보물창고다. 이를 통해 자기 삶에 대한 질문을 이끌어 내고, 이에 대한 사색이 창조적인 글쓰기 습관으로 이어져 ‘자기 이야기(History)'를 만들어 나가도록 한다.
- 인문고전을 통한 자기성찰과 나의 이야기 만들기
영화
∙ 재밌고 쉽게 놀면서 진행된다. 인문고전이 무겁고 어렵다는 통념을 깨고, 주제별로 다양한 활동과 놀이를 통해서 쉽고 즐겁게 진행한다.
기획의도
▶
연극
교육가능 교급
주요 교육내용
무용
1. 기존교육 경험
<한국 고전> - 일연 -『삼국유사』-“곰이다 문 열어라!”
전반기
- 박지원- 『열하일기』-“열하의 장관-깨진 기왓장과 똥거름”
2~9 공예
- 다산 정약용-『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다산이 물려준 유산을 받자” - 나의 이야기(History) 만들기
2) 교육 성과 및 효과
<동양 고전> - 노자-『도덕경』-“5000여 자에 담긴 도와 덕”
▶
- 관계자의 반응은 청소년기에 좋은 인문고전을 읽고 사색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인성교육까지 겸할 수 있어 매우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여기에 더해 글쓰기를 통해 ‘자기 이야기’까지 만들어 나가니 일석삼조의 교육효과가 있어서 이 수업을 오랫동안 진행하고 싶다는 의견이었다.
▶
- 그래서 학생들은 때때로 선생님의 스승이 되기도 한다. ‘선생님도 그럴 땐 너희들과 똑같이 어렵더라, 어떻게 하면 좋을까...참 난감해..같이 한번 생각해보자’라고 하면 아이들은 아주 적극적으로 참여해 다양 한 상상을 해내고 예상치 않은 색다른 방법을 찾아내기도 한다. 수업효과는 여기쯤에서 이루어지는 느낌 이다. 학생과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수업, 인문고전이기에 이 변화가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야!”(<관안 열전>, <염파 인상여 열전> 등) - 나의 이야기(History) 만들기
<서양 고전> - 헤르만 헷세-『데미안』-"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후반기
- 호메로스-『오딧세이아』- “오디세우스와 함께 모험을 떠나보자”
19~25
- 파울로 코엘료-『연금술사』-“고전여행에서 만난 내 안의 연금술사” - 나의 이야기(History) 만들기
문학
- 어린이들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한 명 한 명의 개성을 존중합니다.
10~19
미디어아트
자신의 교육에 대한 평가와 변화
- 인문고전으로 하는 수업은 서로 마음을 열게 만드는 힘이 있다. 그래서 학생과 선생님 사이에 이해와 공감을 가지게 되어 더욱 친밀해지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의 부족함 만이 아니라 똑같이 선생님의 부족 함도 토로하고 나누며 선생님도 함께 성장한다.
- 사마천 -『사기열전』- “닭 울음소리는 내가 최고야!”(<맹상군열전>/ “친구야, 내 친구
미술
- 인문고전의 장점은 어린이에서부터 성인까지 그 눈높이에 맞춰 모두에게 수업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 가르치는 선생님이나 학생이 모두 함께 성찰하고, 함께 배우고 나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함께 즐 기고 함께 깨닫고 함께 나누는 수업이라는 점에서 모두에게 이로운 교육이다.
- 장자-『장자』-"대붕의 날개와 윤편의 수레바퀴“
음악
참여자 및 관계자의 반응과 변화
- 예를 들어 사마천 『사기 열전』중, 친구들의 우정에 관한 이야기 <관안 열전>,<염파 인상여 열전> 등을 읽고 문학 활동 수업을 했을 때의 변화: 그동안 의외로 내가 친구를 배려하기보다 친구들이 나를 더 배려해주는 것에 치중해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지금까지는 나를 위해, 친구가 손해 보더라도 배려해 주었을 때 좋은 친구라고 인식했는데, 고전을 통해 ‘내가 친구를 위해 어떻게 배려해 줄 수 있을까?’, ‘친구와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내가 먼저 진심으로 사과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런 이야기는 부모나 선생님이 교훈조로 이야기할 때는 별 효과가 없으나 고전을 통해서는 매우 생생하고 진심으로 다가서게 된다는 점이 커다란 장점이다.
중반기
디자인
- 인문고전의 이야기는 표현이 생생하고 구체적이어서 학생들의 반응 또한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스며들어 오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기에 딱딱한 훈계가 아니라 문학적으로 잘 스며든 이야기에서 스스로 자기 성찰의 기회를 얻고, 자연스럽게 자기 삶으로 가져 오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교육계획서
3. 1회차 교육계획안 강사명
분야
교육소요 시간
교육대상
정정희
문학
120분
초등학교 고학년, 중고등학생
수업명
▶
수업주제
▶
교육목표
▶
기대효과 / 수업의 효과
▶
주요 교육내용
▶
곰이다 문 열어라!-(일연 -『삼국유사』) 나,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기 - 일연 -『삼국유사』중 <단군신화>를 텍스트를 낭송하고 이해한다. -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할 <나의 신화>를 만들어 보며 홍익인간의 정신 느껴보기 -역경을 헤치고, 지금 여기 존재하는 ‘나’ 라는 존재에 대한 소중함을 느낄 수 있다. -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할 미래의 자기 모습을 상상하고 이미지화 해볼 수 있다. - 일연 -『삼국유사』중 <단군신화> 낭송하고 이해하기 - 곰이 100일 동안에 역경을 이겨낸 내용을 응용해 ‘나의 통과의례 게임’해보기 -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할’ <나의 신화> 만들기
수업내용 - 도입: 일연의 『삼국유사』중 <단군신화>를 낭송해 보고 내용을 이해한다. - 놀이: 통과의례 게임-<단군 신화>의 내용 속에서 나온, 천-부-인, 어두운 굴, 마늘과 쑥, 100일, 사람으로의 환생, 신시건설 등의 과정을 만들어 서로 통과의례 게임을 해본다. - 창조: 홍익인간의 정신으로 <단군 신화>가 있는 것처럼,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할 <나의 신화>를 만들어 본다. - 감상: 새롭게 쓴 친구들의 신화 이야기를 들어보고 함께 이야기를 나눈다. 모두가 소중한 존재임을 깨닫고, 함께 협력해 더 좋은 세상을 만들어 가는 꿈을 꿔 본다.
예상되는 유형 혹은 무형 결과물 - 자신을 주인공으로 한 신화가 써지고, 그림책이나 입체 유형의 만들기가 있을 수 있다. - 자신의 꿈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그려볼 수 있게 된다.
준비물 및 필요물품 - 색종이, 색도화지(스케치북), 색칠도구, 필기도구 등, - 기타 게임에 필요한 도구는 아이들이 소지하고 있는 소지품을 활용할 수 있다.
공간활용 계획 - 통과의례 게임을 할 때는 게임공간과 관람석을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 현 교실 공간 활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