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2014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효과성연구

Page 1

2014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2014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발행인 주성혜 발행일 2014.11.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사회문화예술교육본부장 박창준 꿈의오케스트라TFT팀장 김재경 꿈의오케스트라TFT 임자영 등록

ISBN

문의 TEL : 02)6209-5900 FAX : 02)6209-1392 Email : contact@arte.or.kr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4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 백

령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위원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겸임교수

공동연구자 박신의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소장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김성혜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책임연구원 전수환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장

연구원 조은영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실장 이윤재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원

연구보조원 정지윤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원 강상진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원 신성원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원

리서치 기관 ㈜글로벌리서치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연구개요

3

1. 연구 배경 및 목적

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 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개요

9 9

2.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운영 현황 파악

15

3. 오케스트라 교육의 국내외 사례 분석

48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

61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선행 연구 검토 및 분석

61

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효과 평가 모형 설계

65

3. 사업 효과성 평가 지표 개발

73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

91

1. 평가 실행 개요

91

2. 정량평가 실행 및 결과 도출

93

3. 평가 분석 및 시사점 도출

Ⅴ.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 정립 및 발전방안

185

215

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성과 분석

215

2. 발전전략 도출

217

목차|i


표 목차

<표 Ⅱ-1>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연차별 로드맵

13

<표 Ⅱ-2>

꿈의 오케스트라 프로그램 운영과정

14

<표 Ⅱ-3>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주체 및 미션과 목표

15

<표 Ⅱ-4>

꿈의 오케스트라 전체 거점기관 현황*

19

<표 Ⅱ-5>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현황(1기)

19

<표 Ⅱ-6>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현황(2기)

20

<표 Ⅱ-7>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현황(3기)

20

<표 Ⅱ-8>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현황(4기)

21

<표 Ⅱ-9>

2014 꿈의 오케스트라 클래식 레퍼토리 (32개 거점)

23

<표 Ⅱ-10> 작곡가별 분류

25

<표 Ⅱ-11> 시대별 분류

26

<표 Ⅱ-12> 장르별 분류

26

<표 Ⅱ-13> 클래식 이외의 레퍼토리

26

<표 Ⅱ-14> 클래식 이외 레퍼토리 장르별 분류

30

<표 Ⅱ-15> 1기 교육 레퍼토리

32

<표 Ⅱ-16> 2기 교육 레퍼토리

35

<표 Ⅱ-17> 3기 교육 레퍼토리

40

<표 Ⅱ-18> 4기 교육 레퍼토리

45

<표 Ⅱ-19> 교육부 ‘학생오케스트라’ 추진계획 (2013년 기준)

49

<표 Ⅱ-20> ‘농어촌희망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현황

51

<표 Ⅱ-21> 주요 국내 오케스트라 교육 사업 비교(2013년 기준)

57

<표 Ⅲ-1>

2013년 평가 지표

64

<표 Ⅲ-2>

CIPP를 활용한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분석 개념 모형

67

<표 Ⅲ-3>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평가영역 및 요소

68

<표 Ⅲ-4>

상황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

74

ii|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표 Ⅲ-5>

투입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

78

<표 Ⅲ-6>

과정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

82

<표 Ⅲ-7>

성과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

85

<표 Ⅳ-1>

학생(단원), 학부모, 지역사회의 조사 설계

93

<표 Ⅳ-2>

교육인력 및 행정인력의 조사 설계

93

<표 Ⅳ-3>

자료처리 과정 및 분석방법

94

<표 Ⅳ-4>

참여학생 응답자 특성

94

<표 Ⅳ-5>

현 연주 악기 외에 희망 악기 여부

95

<표 Ⅳ-6>

음악관련 성취도

96

<표 Ⅳ-7>

적극성 및 관심도

97

<표 Ⅳ-8>

사회성

98

<표 Ⅳ-9>

꿈의 오케스트라 수업 만족도

100

<표 Ⅳ-10> 학부모 응답자 특성

101

<표 Ⅳ-1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

102

<표 Ⅳ-12> 꿈의 오케스트라 외 문화예술 교육 경험

103

<표 Ⅳ-13> 꿈의 오케스트라 외 음악적 사교육 여부

104

<표 Ⅳ-14> 꿈의 오케스트라 영향 요소 평가

105

<표 Ⅳ-15> 감정 표현의 적극성 정도

106

<표 Ⅳ-16> 기타 신뢰성 변화 특성

107

<표 Ⅳ-17> 교육 후 가족관계 변화

108

<표 Ⅳ-18> 학생단원의 학부모간 교류 증대 효과

109

<표 Ⅳ-19> 지역사회 응답자 특성

110

<표 Ⅳ-20>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인지 경로

111

<표 Ⅳ-21> 주변 지인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여부

112

<표 Ⅳ-22>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필요성

113

목차|iii


<표 Ⅳ-23>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평가

114

<표 Ⅳ-24> 주변지인 추천의향

115

<표 Ⅳ-25>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활성화 여부

116

<표 Ⅳ-26> 문화예술의 지역사회 영향 정도

117

<표 Ⅳ-27> 교육인력 응답자 특성

118

<표 Ⅳ-28> 교육목표 인지도

119

<표 Ⅳ-29> 교육목표

120

<표 Ⅳ-30> 학생단원 활동 목표 인지 여부

121

<표 Ⅳ-31> 학생단원 활동 목표

122

<표 Ⅳ-32> 행정 지원 인력/체계 구축 정도

123

<표 Ⅳ-33> 학생단원 선정 기준

124

<표 Ⅳ-34> 학생단원 선정 기준/절차 공정성

125

<표 Ⅳ-35> 음악 감독/강사 선정의 적절성

126

<표 Ⅳ-36> 음악 감독/강사 평가 여부(연간/분기별)

127

<표 Ⅳ-37> 교육목표 관련 계획 수립 여부

128

<표 Ⅳ-38> 교육계획 수립/개발 시 주도적 참여자

129

<표 Ⅳ-39> 교육계획 수립/계획 시 주 협의 내용

130

<표 Ⅳ-40> 교육과정 개발 시 주 참고자료

131

<표 Ⅳ-41> 사회취약계층 대상 고려 특성

132

<표 Ⅳ-42> 공간별 기자재 평가

133

<표 Ⅳ-43> 지역 단체와의 협력 정도

134

<표 Ⅳ-44> 음악감독/타 강사와 문제 해결/노력 정도

135

<표 Ⅳ-45> 학생단원 특이 사항 기록 여부

136

<표 Ⅳ-46> 특이사항 기록 공유 및 활용여부

137

<표 Ⅳ-47> 특이사항 기록 활용방안

138

iv|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표 Ⅳ-48> 수업 형태 평가

139

<표 Ⅳ-49> 학생단원 교육지도 특성

140

<표 Ⅳ-50> 학생단원의 협력활동 노력 정도

141

<표 Ⅳ-51> 교육태도 변화

142

<표 Ⅳ-52> 인성 및 사회성 변화

143

<표 Ⅳ-53>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필요성

144

<표 Ⅳ-54> 행정인력 응답자 특성

147

<표 Ⅳ-55> 예술교육 변화 특성 인지도

148

<표 Ⅳ-56> 예술교육 사회통합 필요성 공감정도

149

<표 Ⅳ-57> 구성원간 목표 이해/공유 정도

150

<표 Ⅳ-58> 교육목표 우선 순위 평가

151

<표 Ⅳ-59>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필요성

152

<표 Ⅳ-60> 기관 교육 프로그램과의 복합 정도

153

<표 Ⅳ-61> 기획 전 학생단원 요구사항 파악 노력 정도

154

<표 Ⅳ-62> 기획 전 학생단원 요구사항 파악 노력 내용

155

<표 Ⅳ-63> 기획 단계 학생/학부모 요구사항 반영 정도

156

<표 Ⅳ-64> 기획 시 외부전문가 참여/자문회의 개최 경험

157

<표 Ⅳ-65> 기관 및 지역 여건 평가

158

<표 Ⅳ-66>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 인력

159

<표 Ⅳ-67>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 학생단원

159

<표 Ⅳ-68> 학생단원 추천 경로/선정 요소 고려 여부

160

<표 Ⅳ-69> 선발 기준 존재 여부

161

<표 Ⅳ-70> 주 선발 기준

162

<표 Ⅳ-71> 선발 특성 및 공정성

163

<표 Ⅳ-72> 교육 프로그램 홍보 경로

164

목차|v


<표 Ⅳ-73> 음악감독/강사 선발 기준/절차 존재 여부 및 공정성

165

<표 Ⅳ-74> 음악감독/강사에 대한 전문성 확보 방안 수립/운영 여부

166

<표 Ⅳ-75> 음악감독/강사에 대한 전문성 확보 방안(복수응답)

167

<표 Ⅳ-76>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예산 구성

168

<표 Ⅳ-77> 운영비 규모 충분 및 합리적 편성 여부

169

<표 Ⅳ-78> 문화예술자원 활용을 위해 외부기관과의 연계/협력관계 구축 여부

170

<표 Ⅳ-79> 연계/협력관계를 구축한 외부기관

171

<표 Ⅳ-80>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계획

172

<표 Ⅳ-81> 학생단원의 자발적 참여

173

<표 Ⅳ-82> 학생단원의 교육 만족도

174

<표 Ⅳ-83> 교육 수혜자 대상 요구사항/만족도 조사 실시 특성

175

<표 Ⅳ-84> 체계적인 모니터링 실시 여부

176

<표 Ⅳ-85> 지점 내 협의회 개최 여부

177

<표 Ⅳ-86>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관련 협의회 개최 횟수

178

<표 Ⅳ-87>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관련 협의회에서 다뤄지는 내용-복수응답

178

<표 Ⅳ-88> 강사의 수업 효율성 제고 노력

179

<표 Ⅳ-89> 교육효과 평가(긍정적 변화)

180

<표 Ⅳ-90> 음악감독/강사의 문제 해결 노력

181

<표 Ⅳ-91> 예산 편성/집행 적절성

182

<표 Ⅳ-92>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상 애로사항

183

<표 Ⅳ-93> 꿈의 오케스트라 기관별 만족도 평균

184

<표 Ⅳ-94> 꿈의 오케스트라 CIPP 평가결과 (행정인력)

189

<표 Ⅳ-95> 연차별 CIPP 평가결과 (행정인력)

190

<표 Ⅳ-96> 평가영역별 상황평가결과 (행정인력)

191

<표 Ⅳ-97> 평가준거별 상황평가결과 (행정인력)

191

vi|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표 Ⅳ-98> 평가영역별 투입평가결과 (행정인력)

193

<표 Ⅳ-99> 평가준거별 투입평가결과 (행정인력)

193

<표 Ⅳ-100> 평가영역별 과정평가결과 (행정인력)

194

<표 Ⅳ-101> 평가준거별 과정평가결과 (행정인력)

195

<표 Ⅳ-102> 평가영역별 성과평가결과 (행정인력)

196

<표 Ⅳ-103> 꿈의 오케스트라 CIPP 평가결과 (교육인력)

198

<표 Ⅳ-104> 연차별 CIPP 평가결과 (교육인력)

199

<표 Ⅳ-105> 평가영역별 상황평가결과 (교육인력)

200

<표 Ⅳ-106> 평가영역별 투입평가결과 (교육인력)

200

<표 Ⅳ-107> 평가준거별 투입평가결과 (교육인력)

201

<표 Ⅳ-108> 평가요소별 과정평가결과 (교육인력)

202

<표 Ⅳ-109> 평가준거별 과정평가결과 (교육인력)

203

<표 Ⅳ-110> 평가영역별 성과평가결과 (교육인력)

204

<표 Ⅳ-111> 평가요소별 성과평가결과 (교육인력)

204

<표 Ⅳ-112> 평가준거별 성과평가결과 (교육인력)

204

<표 Ⅳ-113> 학생 만족도 조사결과

206

<표 Ⅳ-114> 부모 만족도 조사결과

207

<표 Ⅳ-115> 지역사회 인식조사 결과

208

<표 Ⅳ-116> 행정인력 및 교육인력 CIPP 평가결과 합산평점

209

<표 Ⅴ-1>

개인적 성장 지표

215

<표 Ⅴ-2>

가족의 성장 지표

216

<표 Ⅴ-3>

지역사회의 성장 지표

216

목차|vii


그림 목차

<그림 Ⅰ-1>

꿈의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수행 개념도

5

<그림 Ⅱ-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목표

11

<그림 Ⅱ-2>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구조도

12

<그림 Ⅱ-3>

교육부 ‘학생오케스트라’ 운영 모형

48

<그림 Ⅱ-4>

‘농어촌희망재단’ 문화사업 내용

50

<그림 Ⅱ-5>

서울시립교향악단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운영시스템

52

<그림 Ⅲ-1>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모형 설계 구조도

65

<그림 Ⅲ-2>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예술의 이해

66

<그림 Ⅲ-3>

CIPP 모형을 토대로 한 설문문항 개발 과정

66

<그림 Ⅲ-4>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평가모형

71

<그림 Ⅳ-1>

조사 수행 과정 절차도

91

<그림 Ⅳ-2>

현 연주 악기 외에 희망 악기 여부

95

<그림 Ⅳ-3>

음악관련 성취도

96

<그림 Ⅳ-4>

적극성 및 관심도

97

<그림 Ⅳ-5>

사회성

98

<그림 Ⅳ-6>

꿈의 오케스트라 수업 만족도

100

<그림 Ⅳ-7>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

102

<그림 Ⅳ-8>

꿈의 오케스트라 외 문화예술 교육 경험

103

<그림 Ⅳ-9>

꿈의 오케스트라 외 음악적 사교육 여부

104

<그림 Ⅳ-10> 꿈의 오케스트라 영향 요소 평가

105

<그림 Ⅳ-11> 감정 표현의 적극성 정도

106

<그림 Ⅳ-12> 기타 신뢰성 변화 특성

107

<그림 Ⅳ-13> 교육 후 가족관계 변화

108

<그림 Ⅳ-14> 학생단원의 학부모간 교류 증대 효과

109

<그림 Ⅳ-15>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인지 경로

111

viii|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그림 Ⅳ-16> 주변 지인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여부

112

<그림 Ⅳ-17>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필요성

113

<그림 Ⅳ-18>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평가

114

<그림 Ⅳ-19> 주변지인 추천의향

115

<그림 Ⅳ-20>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활성화 여부

116

<그림 Ⅳ-21> 문화예술의 지역사회 영향 정도

117

<그림 Ⅳ-22> 교육목표 인지도

119

<그림 Ⅳ-23> 교육 목표

120

<그림 Ⅳ-24> 학생단원 활동 목표 인지 여부

121

<그림 Ⅳ-25> 학생단원 활동 목표

122

<그림 Ⅳ-26> 행정 지원 인력/체계 구축 정도

123

<그림 Ⅳ-27> 학생단원 선정 기준

124

<그림 Ⅳ-28> 학생단원 선정 기준/절차 공정성

125

<그림 Ⅳ-29> 음악감독/강사 선정의 적절성

126

<그림 Ⅳ-30> 음악감독/강사 평가 여부(연간/분기별)

127

<그림 Ⅳ-31> 교육목표 관련 계획 수립 여부

128

<그림 Ⅳ-32> 교육계획 수립/개발 시 주도적 참여자

129

<그림 Ⅳ-33> 교육계획 수립/계획 시 주 협의 내용

130

<그림 Ⅳ-34> 교육과정 개발 시 주 참고자료

131

<그림 Ⅳ-35> 사회취약계층 대상 고려 특성

132

<그림 Ⅳ-36> 공간별 기자재 평가

133

<그림 Ⅳ-37> 지역 단체와의 협력 정도

134

<그림 Ⅳ-38> 음악감독/타 강사와 문제 해결/노력 정도

135

<그림 Ⅳ-39> 학생단원 특이 사항 기록 여부

136

<그림 Ⅳ-40> 특이사항 기록 공유 및 활용여부

137

목차|ix


<그림 Ⅳ-41> 특이사항 기록 활용방안

138

<그림 Ⅳ-42> 수업 형태 평가

139

<그림 Ⅳ-43> 학생단원 교육지도 특성

140

<그림 Ⅳ-44> 학생단원의 협력활동 노력 정도

141

<그림 Ⅳ-45> 교육태도 변화

142

<그림 Ⅳ-46> 인성 및 사회성 변화

143

<그림 Ⅳ-47>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필요성

144

<그림 Ⅳ-48>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과정 상 애로사항

146

<그림 Ⅳ-49> 예술교육 변화 특성 인지도

148

<그림 Ⅳ-50> 예술교육 사회통합 필요성 공감정도

149

<그림 Ⅳ-51> 구성원간 목표 이해/공유 정도

150

<그림 Ⅳ-52> 교육목표 우선 순위 평가

151

<그림 Ⅳ-53>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필요성

152

<그림 Ⅳ-54> 기관 교육 프로그램과의 복합 정도

153

<그림 Ⅳ-55> 기획 전 학생단원 요구사항 파악 노력 정도

154

<그림 Ⅳ-56> 기획 전 학생단원 요구사항 파악 노력 내용

155

<그림 Ⅳ-57> 기획 단계 학생/학부모 요구사항 반영 정도

156

<그림 Ⅳ-58> 기획 시 외부전문가 참여/자문회의 개최 경험

157

<그림 Ⅳ-59> 기관 및 지역 여건 평가

158

<그림 Ⅳ-60> 학생단원 추천 경로/선정 요소 고려 여부

160

<그림 Ⅳ-61> 선발 기준 존재 여부

161

<그림 Ⅳ-62> 주 선발 기준

162

<그림 Ⅳ-63> 선발 특성 및 공정성

163

<그림 Ⅳ-64> 교육 프로그램 홍보 경로

164

<그림 Ⅳ-65> 음악감독/강사 선발 기준/절차 존재 여부 및 공정성

165

x|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그림 Ⅳ-66> 음악감독/강사에 대한 전문성 확보 방안 수립/운영 여부

166

<그림 Ⅳ-67> 음악감독/강사의 전문성 확보 방안(복수응답)

167

<그림 Ⅳ-68>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예산 구성

168

<그림 Ⅳ-69> 운영비 규모 충분 및 합리적 편성 여부

169

<그림 Ⅳ-70> 문화예술자원 활용을 위해 외부기관과의 연계/협력관계 구축 여부

170

<그림 Ⅳ-71> 연계/협력관계를 구축한 외부기관

171

<그림 Ⅳ-7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계획

172

<그림 Ⅳ-73> 학생단원의 자발적 참여

173

<그림 Ⅳ-74> 학생단원의 교육 만족도

174

<그림 Ⅳ-75> 교육 수혜자 대상 요구사항/만족도 조사 실시 특성

175

<그림 Ⅳ-76> 체계적인 모니터링 실시 여부

176

<그림 Ⅳ-77> 거점 내 협의회 개최 여부

177

<그림 Ⅳ-78> 강사의 수업 효율성 제고 노력

179

<그림 Ⅳ-79> 교육효과 평가(긍정적 변화)

180

<그림 Ⅳ-80> 음악감독/강사의 문제 해결 노력

181

<그림 Ⅳ-81> 예산 편성/집행 적절성

182

<그림 Ⅳ-82>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상 애로사항

183

<그림 Ⅳ-83> CIPP 평가를 위한 설문 코딩 절차

186

<그림 Ⅳ-84> CIPP 평가를 위한 설문의 지표화 (행정인력)

188

<그림 Ⅳ-85> 설문 지표화 절차 (행정인력)

188

<그림 Ⅳ-86> 행정인력 대상 설문 CIPP 평가결과

190

<그림 Ⅳ-87> CIPP 평가를 위한 설문의 지표화 (교육인력)

197

<그림 Ⅳ-88> 설문 지표화 절차 (교육인력)

197

<그림 Ⅳ-89> 교육인력 대상 설문 CIPP 평가결과

199

<그림 Ⅳ-90>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의 애로사항 (교육인력)

205

<그림 Ⅳ-91> 행정인력 및 교육인력 CIPP 평가결과

209 목차|xi



Ⅰ. 연구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Ⅰ. 연구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10년부터 ‘음악을 통한’ ‘아동의 건강한 성장 과 사회의 변화’를 추구하는 지역사회형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꿈의 오케스트 라는 2014년 현재(6월 기준) 전체 32개 기관(학습자 약 2,500명, 음악감독 32명, 교육강사 약 300명, 행정담당자 32명, 코디네이터 32명)이 선정되어 진행 중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은 음악을 통한 사회적 불균형 해소를 기반으로 사회적 개혁을 가져온 베네수엘라 엘 시스테마의 핵심가치, 교육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사업은 엘 시스테마를 비롯한 세계적 유수 사례를 기반으로 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오케스트라 교육 으로 자존감 형성, 소통, 화합, 공동체 형성과 지역 사회의 변화 하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목표 로 진행하고 있다. 꿈의 오케스트라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 단위사업 평가(2011), 교육 효과성 평가(2012), 거점 기관 평가 컨설팅(2013) 진행을 통해 사업의 운영 결과, 효과 및 시사점을 도 출해왔다. 이번 연구는 기 시행된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선행연구 결과와 엘 시스테마 교육 시행 국내·외 사례 조사 분석을 토대로 꿈의 오케스트라의 정책적 지향점, 개념, 운영, 결과 도 출을 확인하고,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가치의 개념을 재정립한 후 이에 기반 한 효과를 규명 하고자 시행되었다. 기존의 여러 연구를 살펴보면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한 단원은 음악적, 사회적 역량이 함양 되었고 그들이 속한 가정과 지역, 공동체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꿈의 오케 스트라는 현재 그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공통적인 정량적ㆍ정성적 지표가 개발 되어있지 않다. 이번 연구를 통해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효과성 점 검용 지표 개발을 하고, 질적ㆍ양적 연구를 시행하고 지표를 보완하여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과 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Ⅰ. 연구개요|3


2) 연구의 목적 이번 연구는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를 위한 지표 개발 및 조사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을 연구하기 위해 현재 꿈의 오케스트라의 운영 상황을 점검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 수집 과정에서 축적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효과성 점검 지표를 개발한 다. 또한 효과성에 대한 개념을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질적ㆍ양적 연구의 지표를 점검하고 보완하여 개발한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 지표를 토대로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에 대한 현장조사(정량평 가, 정성평가)를 진행하고 기관별 평가 결과와 기존의 자료를 수집하여 효과성을 파악한다. 타 당성이 사전에 검증된 지표는 결과적으로 문화예술 교육 맥락에서 오케스트라 교육과 연계되는 효과성 연구의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게 한다. 또한 이번 연구의 조사를 통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정량적ㆍ정성적 차원의 요인을 분석한 후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한다. 이 결과를 통해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과성을 제고하고, 향후 운영을 위한 추진 방향과 추진 체계 등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내용 <그림 Ⅰ-1> 꿈의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수행 개념도

꿈의 오케스트라는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초 문헌 자료를 분석하고 꿈의 오케스트라 현 황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연구 모형 및 지표를 개발하고 지표를 토대로 현장 평가를 진행하며, 데이터를 분석한다. 그 후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과성 분석 및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오케스트라 교육관련 기초 문헌자료와 선행연구 분석을 위해 국내 오케스트라 교육 유 사사례 운영 및 관리 결과보고서 등 기초자료를 분석한다. 교육부와 복지부 등의 오케스트라 교 육 사업을 분석하고 국내 꿈의 오케스트라의 선행 연구를 분석한다. 또한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 테마, 스코틀랜드의 빅 노이즈 등 세계적인 지역 기반의 예술, 특히 오케스트라 사업 기관에 대 한 평가 관련 자료를 조사한다. 둘째, 꿈의 오케스트라의 현재 현황을 분석한다. 거점기관의 운영 프로그램을 통한 기관별 운영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꿈의 오케스트라의 세부계획서와 사업결과보고를 분석하고 거점별로 프로 그램을 분석했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의 교육과정와 레퍼토리를 분석하고, 꿈의 오케스트라의 출발 및 정착을 위한 정책과 제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립 근간이 된 정책과 제도를 분석한다. Ⅰ. 연구개요|5


셋째,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모형과 지표를 개발하는데, 기존의 문화예술 교육 효과성 파악을 위한 모형 및 지표를 개발하고 효과성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표를 확정했다.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CIPP를 활용했다. 꿈의 오케스트라 의 교육효과 측정의 방법은 미국을 시작으로 많은 교육현장 평가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되고 있 는 CIPP(Context, Input, Process, Product)를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CIPP 방법의 틀을 적용하 여 오케스트라 교육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개별 주관 단체의 사업 목표를 분석하여 정량적 지표 를 개발하고자 한다. 넷째,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를 시행한다. 개발된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검증 가능 한 모형을 개발하여 지표를 설계한다. 이를 통해 조사 기관을 선정하고 현장 조사를 진행한다. 또한 목표 분석과 지표 개발을 통해 오케스트라 교육의 핵심 요소와 구성에 대한 자료 수집과 이를 반영한 평가 지표 및 모형 개발,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과성을 분석과 사업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현황 분석과 정량 평가를 통한 데이터 분석에 기초한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을 분석하고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의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2) 연구의 방법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국내 오케스트라 교육 관련 기존 연구를 조사 하고 국내 오케스트라 교육 및 국외 엘 시스테마 관련 사례를 조사했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과성 연구를 위해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진행한다. 정량평가는 각 거점기관의 설문조사로 진행하며, 꿈의 오케스트라의 참여 단원과 가족, 교육인력(음악감독ㆍ예 술강사), 행정인력(행정담당자ㆍ코디네이터)와 지역사회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설문 조사는 전수조사를 원칙으로 하며, 1:1 개별면접,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진행한다. 정성평가는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 기관의 교육인력과 행정인력을 대상으로 한 FGI 로 진행한다. 평가를 통해 오케스트라 교육 및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의미와 효과를 논의한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과성과 발전방안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관련 정책 전문가 등으로 구성 된 전문가 자문 시스템을 구축하여 자문을 진행한다.

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

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개요 2.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운영 현황 파악 3. 오케스트라 교육의 국내외 사례 분석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 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개요 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배경 예술교육의 인간성 성장에 대한 신뢰와 문화적 빈곤을 다음 세대에게 대물림하지 않겠다는 정책을 기반으로 사회 취약계층, 사각지대의 시민을 위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이 지원되고 있 다. 문화예술교육 지원은 예술교육과 활동 기회를 제공하며 스스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 향유의 삶을 지향하고 창의적인 생각, 이해 중심의 사고력, 감성적 성장, 자기 표현력, 자아의식 개발과 문화와 생활이 다른 이들과 함께하는 공동체 인식 등의 향상과 성장에 대한 기대로 시작되었다. 경제적 어려움은 가족의 유형을 변화하게 하였고 주거 환경을 열악하게 하였다. 어린이들은 물리적 성장을 비롯해 양질의 교육 참여와 수혜의 기회, 수월성 확보를 위한 접근권 문제와 이 로 인한 행동적, 심리적, 정서적 위축과 균형 있는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린이들에게 양질의 독서, 스포츠를 위한 여건과 기초 훈련, 예술 향유와 참여 등의 다양한 교육적 기회 제 공은 신체적, 심리적 뿐 아니라 사회의 일원으로 건강하게 성장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예술교육은 숨겨진 예술적 재능을 가진 개인을 발견하고 재능을 개발하여 예술가로 성장하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은 이보다 인격적 성숙을 가능하게 하고, 자존감 과 표현력 향상, 스스로에 대해 책임감 있는 태도, 타인에 대한 배려, 소통과 협력의 역량을 가 진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기회 제공의 맥락에서 예술의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불안정한 삶의 질과 사회, 경제적인 양극화에 대처하기 위해 ‘능동적인 복지’를 5대 국정 지표 중 하나로 확정하고 중앙, 지자체, 인간사회가 함께 국민 대부분을 대상으로 하 는 예방적 미래복지를 지향하고 있다. 능동적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저소득층의 빈곤 탈피, 불평등 해소, 자립능력 배영이 가능하 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 복지, 창의성, 사회성 향상을 강화하는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에는 ‘문화를 통한 행복 체험’, ‘공정한 기회와 경쟁’ ‘자율과 창의 문화’를 교육 과학기술부는 ‘창의, 인성교육 확산’, 보건복지부에서는 ‘적극적인 탈 빈곤 지원 강화’, ‘정부, 가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9


족, 사회의 공동책임 강화’를 2011년의 주요 정책방향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정책 기조 하에 아 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악기교육 및 오케스트라 교육을 각 부처 및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다. 특히 35년간 음악교육을 통해 빈곤 탈피 및 사회 인력 개발의 효과를 검증한 ‘엘 시스테마’ 사업에 주목하였고,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오케스트라 교육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게 되면서 아동ㆍ청소년들과 함께 하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이 시작되었다.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전국 9개 지역의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 로 오케스트라 교육을 시작하였다. ‘꿈의 오케스트라’는 영재를 발굴하고, 영재를 육성하는 교육 과 달리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예술, 모두가 누릴 수 있는 오케스트라를 지향한다. 악기를 연주 해 보고 싶다는 누구나 품을 수 있는 꿈, 그 꿈을 향해 나아 갈 수 있는 교육을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까지 인천, 부천, 대전, 춘천, 부산, 화성, 목표, 익산, 전주 등 32개 지역이 선정 되어 진 행되고 있다. 지역의 지자체 추천을 받은 문화재단과 국공립 교향악단의 협력 체계로 추진된 이 사업은 지역에 맞는 오케스트라 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역 맞춤형 오케스트라 교육 실행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1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2)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목표 꿈의 오케스트라는 하모니를 만들어야 하는 오케스트라의 특성을 매개로 ‘상호 학습’과 ‘협력’ 을 이끌어내는 엘 시스테마 음악교육을 통해 아동ㆍ청소년의 건강한 다면적 성장의 유도를 목 표로 한다. 궁극적으로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지역사회의 공유를 통해 가족 및 지역사회의 변 화, 나아가서는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한다. <그림 Ⅱ-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목표

위와 같은 사업의 목표를 바탕으로 다음 5가지의 추진전략을 실행한다. 첫째, ‘음악을 통한’,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사회의 변화’를 추구하며, 다양한 계층 또는 문화적 기반의 아동들이 함 께 어우러져 지역공동체의 건강한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사회통합기제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 행정주체와 교육주체의 공동협력을 통한 거점기관의 성장을 도모 한다. 셋째, 엘 시스테마 철학 및 교육방법론을 철저히 수행한다. 넷째, 지역의 특성에 맞는 꿈의 오케스트 라 모델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범국가적인 성장을 유도하며 일반 가정 아동과 사회적 취약계층 들이 함께하는 지역중심의 문화예술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한다.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11


3)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구조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은 행정주체와 교육주체의 공동협력을 통해 거점기관을 지원하는 기본 구조를 가지며,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 거점기관, 협 력기관 5개의 주체로 이루어진다. <그림 Ⅱ-2>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구조도1)

문화체육관광부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기본 정책방향을 수립하며 국고 지원을 한다. 기본 사업방향을 토대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전체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실제 교육을 실행하는 거점기관을 선정하고 사업진행현황을 점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는 거 점기관에 꿈의 오케스트라 정착을 위한 공동 협력 및 물적·인적자원을 지원한다. 또한 행정담당 기관의 예산 사용 및 교육 운영에 있어 공공성과 투명성 담보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거점 기관은 각 기관별로 사업계획 수립과 연간 정기교육 및 특별프로그램, 연주회 등 안정적 인 교육진행을 위한 행정 및 교육에 관한 제반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한다. 또한 엘 시스테마의 지역안착과 지속가능한 운영계획 구축을 위한 중장기발전전략을 수립하며, 지역의 공동체성 회 복을 위한 문화 나눔 활동 전개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각 거점기관의 협력기관들은 지역사회 의 인적·물적 자원을 연계해나가며 거점기관 운영을 추가로 지원한다.

1) 문화체육관광부(2014). 2014 소외 아동ㆍ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기본 계획. 문화체육관광부 1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모든 거점기관은 매년 추진되는 전문가 현장점검, 평가컨설팅 결과와 차년도 사업계획서를 토 대로 연속지원여부와 지원규모를 결정하며 최대 4년까지 지원을 받는다. 따라서 각 기관은 지역 사회에 자립을 목표로 체계적인 연차별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1년차에는 커리큘럼 개발, 지역 문화자원 발굴 등 기반을 조성하고, 2년차에는 역량강화를 통한 질적 성장을 할 수 있게 하며, 3년차에는 사업의 안정화와 다각화를 거쳐 4년차에는 지역 협력 거점기관으로 자립할 수 있게 한다. <표 Ⅱ-1>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연차별 로드맵2) 1년차 (기반조성기)

2년차 (성장기)

3년차 (안정 및 확산기)

ㅇ지역현황에 맞는 엘 시 스테마 교수법 및 커리 큘럼 개발 ㅇ지역 문화자원 발굴, 네 트워킹 및 협력체계 구 축 기반 마련

ㅇ사업 참여자 역량강 화 및 질적 성장 ㅇ거점기관별 특화된 프로그램 개발‧운영

ㅇ사업 안정화 및 교육프로 그램 다각화 ㅇ지역사회의 인적·물적 협 력지원체계 구축을 통한 기관 자립기반 구축

4년차 지역협력 거점기관 (자립기) ㅇ엘 시스테마 교육의 선도 기관 및 모델로서, 지역사 회 안착 및 지역자원에 기 반을 둔 기관 자립

거점기관에 대한 지원은 연차별로 선정기준과 지원규모가 차등지원하게 된다. 신규거점기관은 공모 및 소정의 심사절차를 통해 선정하며 1개 기관 당 한정된 범위내에서 지원금이 책정된다. 2-3년차 거점기관은 당해 연도 사업운영 평가컨설팅 결과 및 차기년도 사업계획을 검토하여 연 속 지원 여부 결정한다. 사업계획에 따른 예산규모, 교육내용 등 타당성을 평가 후 차등 지원한 다. 4년차 거점기관은 지원 종료 3년차 거점기관 중 우수 기관을 ‘지역협력기관’으로 선정하여 지역의 엘 시스테마 선도 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지역자립도(연간 운영예산의 60%이상 자체 확보), 사업성과(평가컨설팅 결과 및 취약계층 비율 등), 사업기여도(이음캠프 및 합동공연, 각종 워크숍 및 강사교육 등)을 기준으로 선정하며 기관별로 예산의 40%를 지원하게 된다. 꿈의 오케스트라의 운영과정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관리 하며,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인력이 구성되고, 운영관리 체계가 구축되 며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그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 모든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과정은 꿈의 오케스트라의 사회문화적 복지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2) 문화체육관광부(2014). 2014 소외 아동ㆍ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기본 계획. 문화체육관광부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13


<표 Ⅱ-2> 꿈의 오케스트라 프로그램 운영과정 프로그램 개발

운영과 관리

평가

인력 구성 (총감독, 주강사, 보조 강사, 코디네이터)

홍보 지역사회에서의 오케스트라 활동의 정착과 활성화 방안

과정 평가 강사 역량 교육의 수월성

교육프로그램 구성과 운영

모집 모집 계획 홍보 면접 선정 활동 홍보

결과 평가 참여도 흥미유발 인성교육

운영관리 체계 구축

교육과 활동 주별 교육 (개인 레슨, 파트 연주) 캠프 연주 활동

네트워크

꿈의 오케스트라의 사회문화적 복지교육의 맥락

1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성과교육 소속감, 공동체 의식, 지 속성 확보, 자기 성장과 삶의 질 향상 지역의 변화


2.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운영 현황 파악 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현황 개요 (1)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현황 2010년 시범운영기로서 전국 8개 지역의 거점에서 운영되었으며 이를 통해 기본적인 정책적 지원방향과 사업 운영 지침을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2011년에는 본격적으로 전문가 집단으 로 구성된 ‘꿈의 오케스트라네트워크 지원본부’가 출범하였으며, 2012년에는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으로 이관되어 현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 사회문화예술교육본부의 꿈의 오케스트 라 TF로 운영되는 등 그동안 조직 운영주체의 변화를 겪어왔다. 꿈의 오케스트라는 각 운영 주체별 미션과 목표가 약간씩 변화하고 있으며, 운영주체별 미션 과 목표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Ⅱ-3>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주체 및 미션과 목표 연도

미션 및 목표 

운영주체

미션 - 소통과 조화를 기반으로 공동체 성취를 이루는 오케스트라 교육 및 활동 을 통해 아동ㆍ청소년들의 종합적 성장 역량을 강화 시켜주고 미래에

2010 ~ 2011

대한 희망을 제시하고 그 기회가 전국 아동ㆍ청소년 모두에게 제공 될 수 있도록 교육 모델을 개발, 확산 

꿈의 오케스트라 네트워크 지원본부

목표 - 배우고 가르치며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 교육

목표 - 문화 감수성 개발과 창의성, 사회성 함양

2012

- 자존감 향상, 미래 설계와 직업 체험 예술을 통한 사회적 돌봄 - 소통과 조화 기반 공동체적 성위를 통한 종합적 성장 역량 강화 

목표 - 하모니를 만들어야하는 오케스트라의 특성을 매개로 ‘상호학습’과 ‘협력’

2013

한국문화 예술교육 진흥원

을 이끌어내는 엘 시스테마 음악 교육을 통해 아동ㆍ청소년의 건강한 다면적 성장 유도 - 소외 지역 및 소외 계층을 포함한 아동ㆍ청소년 오케스트라 증진을 통해 전국적으로 균등한 음악 교육 환경 조성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15


연도

미션 및 목표 

운영주체

목표 - 개인의 성장 : 합주와 상호학습중심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자존감 및 공동체적 인성을 함양 - 가족의 성장 : 사회적 취약계층 자녀들에게 돌봄서비스 및 문화예술교육

2014

향유기회 제공을 통한 취약계층의 삶의 질 개선 - 지역사회의 성장 : 지역 문화자원 발굴 및 네트워킹, 협력체계의 구축을

한국문화 예술교육 진흥원

통한 지역문화 발전 및 문화공동체 형성 - 범국가적 성장 : 일반 가정 아동과 사회적 취약계층이 함께 하는 지역중 심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사회통합에 기여

꿈의 오케스트라는 운영주체별 미션과 목표와 더불어 2011년에는 베네수엘라와의 업무협약 (MOU)을 체결하여 ‘엘 시스테마 코리아(El Sistema Korea)’로 공식 명명되기도 하였으며 이후 캐나다 시스테마 뉴 브런즈웍 등과 연계하여 네트워크를 맺어왔다. 즉, 꿈의 오케스트라는 그 동안 많은 미션과 목표 변화 속에서도 소외 지역 및 소외 계층을 포함한 아동ㆍ청소년 오케스 트라 증진을 통해 전국적으로 균등한 음악 교육 환경 조성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오 고 있다.

(2) 꿈의 오케스트라 주요 사업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운영주체로서 거점기관의 공모·선정에서부터 거점기관 워크숍 개최, 현장점검 실시, 이음캠프 및 합동공연을 실시하고 있으며, 마스터 클래스 운영 등을 통하 여 거점기관이 해당 지역의 오케스트라 교육과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도록 육성 및 지원을 하고 있다. ① 거점기관 육성 및 컨설팅 거점기관 육성을 위하여 공모로 선정된 기관들이 해당 지역의 아동과 청소년을 선발하고(취 약계층과 일반계층 아동을 7:3의 비율로 선발), 프로그램에 따라 합주 중심의 엘 시스테마 교육 을 진행해오고 있다. 거점기관으로 선정된 주관단체에게는 사업계획 컨설팅을 실시하여,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전략적이고 명확한 사업계획서 작성을 도모한다. 해당 지자체 담당자, 행정담당자 등이 참석하 여 1차 서류심사 결과를 토대로 한 사업계획의 보완 사항 설명을 제공 받을 수 있다.

1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또한 상·하반기 각 1회 전체 거점기관을 대상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기획인력 및 외 부 전문가를 현장에 파견하여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주로 사업운영지침 적용사항과 기본운영체 계를 점검하며 거점기관별 특이사항 또는 우수 사례를 발굴한다. 이러한 현장점검은 교육 노하 우가 적은 사업 초기 단계 거점기관(1~2년차)에게는 초기 교육을 점검·개선하여 사업이 올바르 게 운영되도록 함이며, 지역협력 및 3년차 거점기관에게는 지역 네트워크 구축 및 재원 확보 여부 등을 점검하여 지역 내 자립이 가능하도록 돕고자 함이다. 2013년에는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운영하여 각 지역별 거점기관의 성과를 진단, 평가를 통하여 운영역량을 강화하고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거점기관 평가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본 사업의 취지 를 구현하고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성과를 평가하였 다. 교육운영실적, 교육성취도, 프로그램의 적정성, 오케스트라 구성의 적정성, 강사진 확보율, 단 원 유지율 총 6개의 항목에 대하여 배점하였으며 1기와 2, 3기의 가중치를 달리하였다. ② 이음캠프 및 합동공연 지원 꿈의 오케스트라는 매년 ‘이음캠프’와 ‘합동공연’을 실시하여 각 지역에서 활동하는 꿈의 오케 스트라 단원들에게 상호학습과 소통 능력, 창의성 증진의 기회를 제공해오고 있다. 이음캠프는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중, 1년 이상 꿈의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해온 연속지원 거점기관 아동들에게 흥미로운 여름캠프를 제공함으로써, 꿈의 오케스트라 소속에 대한 즐거움과 자부심 을 느끼는 동시에 음악적 역량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또한, 매년 전 거점기관의 단원들이 함께하는 ‘합동공연’은 꿈의 오케스트라의 성과를 대외적 으로 알리는 기회이자, 단원들에게는 엘 시스테마 교육이 추구하는 철학과 교육법에 부합하는 모범적인 합주 교육 및 연주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2014년에는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115명이 총 4차례의 리허설 캠프를 거쳐 90여분간의 합주연주를 선보였다. ③ 전문인력양성 및 우산형 지원체계 구축 엘 시스테마 교육철학 및 교수법을 연구·개발하고, 이를 꿈의 오케스트라 관계자 및 일반인에 게 전파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꿈의 오케스트라 1~4기 거점기관 신규 강사를 대상으로 엘 시스테마 기본철학과 교육 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경험을 제공하기 위 해 매년 마스터클래스를 개최하고 있으며, 꿈의 오케스트라 앙상블 및 합주 교육법에 대한 이 해, 실제 교육사례 공유 등에 관해 공유한다. 또한, 아동의 연주 수준, 신체적·심리적 발달단계, 엘 시스테마 교육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거점기관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17


에서 활용할 공통 레퍼토리를 개발하며, 오케스트라에 입문한 초보 수준의 아동들에게 효과적인 합주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연습곡과 교안을 편찬하여 제공하고 있다.

1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2) 거점기관 현황 2014년 현재 총 32개 기관에서 2,058명의 단원과 339명의 교육인력과 62명의 행정인력이 활 동 중이다(2014년 6월 기준). 2011년 부산, 부천, 익산, 전주, 춘천지역 총 5개 기관이 1기로 선정되었으며 현재는 3년간 연속지원 종료 후 지역거점협력기관으로서 운영되고 있다. 2012년, 2013년에는 대구, 포항, 광주 등을 포함한 21개 지역의 기관이 연속지원이 확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2014년에는 마포, 구로, 통영 등 6개 지역에서 신규로 선정되었다. <표 Ⅱ-4> 꿈의 오케스트라 전체 거점기관 현황* 구분

기관수

단원수

교육인력 (음악감독/강사)

행정인력 (행정/코디네이터)

1기

5개

410명

56명

8명

2기

8개

588명

94명

16명

3기

13개

781명

138명

26명

4기

6개

279명

51명

12명

32개

2,058명

339명

62명

* 2014년 6월 기준임. ○ 1기(2011년 선정/ 5개 기관) <표 Ⅱ-5>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현황(1기) 악기 악기 종수

우리가 만드는 오케스트라

4

10

65

1

8

1

-

부천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부천필코러스

놀라운 오케스트라

4

14

120

1

11

1

-

익산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꿈과 희망의 오케스트라

4

10

90

1

10

1

1

한소리 너+나=우리 오케스트라

4

11

65

1

10

1

1

4

12

70

1

12

1

1

410

5

51

5

3

주관 행정기관

교육 협력기관

사업명

부산

부산문화재단

(사)인코리안 심포니오케스트라

부천

부천문화재단

익산

익산문화재단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주시립교향악단 춘천시문화재단

행정인력

관수

지역

춘천

교육인력

단 원 수

춘천시립교향악단 신나는 오케스트라 합 계

음악 행정 코디네 강사 감독 담당 이터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19


○ 2기(2012년 선정/8개 기관) <표 Ⅱ-6>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현황(2기) 악기

행정인력

관수

악기 종수

4

10

70

1

11

1

1

클랑앙상블, 함께 오케스트라 심포닉밴드

4

9

80

1

10

1

1

무안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지역아동센터와 함께하는 희망의 오케스트라

4

12

80

1

10

1

1

(사)음악만들기 앙상블

푸른꿈 오케스트라

4

12

98

1

12

1

1

4

10

60

1

10

1

1

아리울 오케스트라

4

11

60

1

11

1

1

꿈나무 오케스트라

4

10

70

1

9

1

1

꿈나무 오케스트라

4

13

70

1

13

1

1

588

8

86

8

8

주관 행정기관

교육 협력기관

사업명

군포

군포문화재단

프라임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행복이 가득한 오케스트라

안동

꿈의 오케스트라_안동

무안

무안 희망의 오케스트라단

원주

원주문화재단

목포

목포문화재단

목포시립교향악단 P&S Orchestra

부안

부안 아리울 오케스트라단

전주시립교향악단

성동

성동구 도시관리공단

소월아트심포니

청주

교육인력

단 원 수

지역

청주시문화산업진 청주시립교향악단 흥재단 합계

음악 행정 코디네 강사 감독 담당 이터

○ 3기(2013년 선정/13개 기관) <표 Ⅱ-7>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현황(3기) 악기

교육인력

행정인력

음악 강사 감독

행정 코디네 담당 이터

관수

악기 종수

단 원 수

꿈의 오케스트라 강릉

4

10

70

1

10

1

1

광주대학교 평생학습 선도대학산업단

꿈의 오케스트라 광주

4

11

65

1

9

1

1

김포시 청소년육성재단

김포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드림마루 오케스트라

3

10

65

1

10

1

1

성북문화재단

서경대학 음악학부

꿈의 오케스트라 성북

3

8

50

1

8

1

1

지역

주관 행정기관

교육 협력기관

사업명

강릉

강릉문화원

관동대학교 음악학부

광주

광주남구 청소년수련관

김포 성북

2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악기

단 원 수

교육인력

행정인력

음악 강사 감독

행정 코디네 담당 이터

지역

주관 행정기관

교육 협력기관

사업명

아산

아산문화재단

아산시교향악단

꿈의 오케스트라 아산

4

10

60

1

9

1

1

안산

안산문화재단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안녕?! 오케스트라

4

10

62

1

10

1

1

안양대학교 음악대학

bravo! 오케스트라

4

10

54

1

10

1

1

안양 안양문화예술재단

악기 관수 종수

장수

장수문화원

UNO 챔버오케스트라

빛나는 오케스트라 장수

4

10

60

1

10

1

1

포항

포항시 시설관리공단

포항아트체인버 오케스트라

꿈의 오케스트라 포항

4

11

60

1

9

1

1

창원

창원문화재단

경남대학교

꿈의 오케스트라 창원

4

11

60

1

10

1

1

평택

평택문화원

중앙대학교 음악학부

꿈의 오케스트라 평택

4

11

70

1

11

1

1

정선

정선아리랑 문화재단

안겔루스 예술단

정선아라리 꿈의 오케스트라

4

11

50

1

9

1

1

대구

수성문화재단

대구MBC교향악단

대구신세계 오케스트라

4

10

55

1

10

1

1

781

13

125

13

13

합계

○ 4기(2014년 선정/ 6개 기관) <표 Ⅱ-8>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현황(4기) 악기

교육인력

행정인력

관수

악기 종수

단 원 수

이구동성 오케스트라

3

7

50

1

7

1

1

마포문화재단

마포 꿈의 오케스트라

3

7

50

1

7

1

1

오산문화재단

오산문화재단

꿈의 오케스트라 “오산”

3

8

47

1

8

1

1

연천

연천군 시설관리공단

연천군 시설관리공단

YES 오케스트라

1

5

32

1

6

1

1

유성

유성문화원

유성문화원

유성이 청소년 오케스트라

3

8

50

1

9

1

1

꿈의 오케스트라 “통영”

3

8

50

1

8

1

1

279

6

45

6

6

지역

주관 행정기관

교육 협력기관

사업명

구로

구로문화재단

구로문화재단

마포

마포문화재단

오산

통영 통영국제음악재단 통영국제음악재단 합계

음악 행정 코디네 강사 감독 담당 이터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21


3) 교육과정 및 레퍼토리 분석 32개 기관의 교육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32개 기관에서 제출한 2014년 교육계획안3)과 레퍼토리를 교차 분석하였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의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분 석에는 다소 한계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당초 수립한 계획에 따라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것으로 보인다. 1~2기의 기관에서는 신규단원 즉 초보자를 위한 교육레퍼토리와 교육방법, 운영에 대한 노하 우가 축적되어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신규 단원을 위한 교육과정에는 악기 탐색, 악기 연주에 필요한 기초이론, 악기연주에 필요한 기본주 법과 자세, 독보, 청음이 주된 내용으로 포함되었다. 또한 기관별로 차이가 있지만 기초음악이 론, 음악사, 오르프 및 코다이를 활용하여 신규단원의 기초음악성과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었다. (1) 레퍼토리 분석 32개 기관의 교육과정에 포함된 레퍼토리는 대략 188개로 이루어졌다. 동일한 레퍼토리를 다 른 편곡으로 연주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더 많은 레퍼토리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본 연 구에서는 원작자와 원곡이 동일한 경우, 편곡이 달라도 동일한 레퍼토리로 간주하였다. 전체 레퍼토리 가운데 클래식이 74개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서 우리나라 동요가 28개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고, 그 다음으로 많이 연주된 것은 영화/만화영화 주제가(OST)였다 (23개). 국내 작곡가들의 곡보다는 클래식과 외국 작곡가에 의해 잘 알려진 영화/애니메이션 주 제음악, 뮤지컬을 편곡한 곡들이 더 많이 연주되었다. 기타로 분류된 곡은 장르 구분이 모호한 연주곡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외국노래로 분류된 장르에는 <즐거운 나의 집>과 같은 해 외 동요나 <O Sole mio>같이 잘 알려진 이태리 가곡, 크리스마스 캐럴 등이 포함되어 있다. 클래식 레퍼토리 중 30곡 이상이 2기관 이상에서 레퍼토리로 쓰였다. 그 외에 클래식이 아닌 영화음악, 가요, 팝음악 24곡이 거점의 기수와 무관하게 2기관 이상에서 교육과정의 레퍼토리로 활용되었다. Elgar의 <Pomp and Circumstance>가 총 13개의 기관에서 레퍼토리로 사용하고 있었고, 이어서 Mozart의 <작은 별> 변주곡과 Beethoven의 <합창 교향곡>이 총 9개의 기관의 교육과정에 포함되었다. 그 다음으로 거점에서 많이 연주한 곡은 Beethoven의 제5번 교향곡과 Dvorak의 <신세계 교향곡>으로 8개의 기관에서 레퍼토리로 채택하였다. 3) 일부 기관은 2014년 계획안을 검토할 수 없어서 2013년 계획안을 토대로 레퍼토리를 교차 검토하였음. 2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클래식이 아닌 곡들 중에는 프랑스 샹송 “샹젤리제”와 영화/뮤지컬 <Sound of Music>에 수 록되어 잘 알려진 “에델바이스”가 총 7개의 기관에서 레퍼토리로 채택되었다. 또한 2014년의 경우에는 디즈니 만화영화 <겨울왕국>이 큰 인기를 끌어서인지 이 영화에 수록된 곡들이 레퍼 토리에 포함되었다. 그 외에 <Sound of Music>에 수록된 많은 노래들이 주요 레퍼토리로 채택 되었다. 연차별로 연주곡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1기와 4기를 비교해본 결과, 1기는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실력이나 수준, 경험의 차이로 인해 보다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였고, 반드시 그러 한 것은 아니나 2014년 처음으로 꿈의 오케스트라를 시작한 4기의 경우 신규단원이 많기 때문 인지 이들을 위한 비교적 쉽고 단순한 곡들이 주요 레퍼토리로 활용되었다. 1기 기관 중에는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수준 차이가 커서인지 서로 함께 연주하는 곡들 외에 신규와 기존단원 을 위한 레퍼토리가 구분되는 경우가 많았다. 클래식 보다는 타 장르에서 보다 다양한 곡들이 활용된 것은 클래식에 비해서 편곡이 용이할 뿐 아니라 거점의 음악감독이나 강사진들이 편곡하지 않아도 시중에 편곡 악보가 많이 보급되 어 있기 때문이 한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거점에 소속된 단원들의 연령, 흥미, 취향, 수준 등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자발적인 관심과 열심을 갖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다 양한 곡들을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표 Ⅱ-9>는 2014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에서 사용한 클래 식 레퍼토리를 열거한 것이다.

<표 Ⅱ-9> 2014 꿈의 오케스트라 클래식 레퍼토리 (32개 거점) 연번

작곡가

곡명

기관수

1

Beethoven

Egmont 서곡

1

2

Beethoven

Menuet in G Major

1

3

Beethoven

Symphony No. 3

1

4

Beethoven

Symphony No. 5

8

5

Beethoven

Symphony No. 7

1

6

Beethoven

Symphony No. 9

9

7

Bizet

아를르의 여인

3

8

Bizet

오페라 <Carmen>

7

9

Brahms

Hungarian Dances

6

10

Brahms

Symphony No. 4

1

11

Brahms

Waltz

1

12

Brahms

대학축전서곡

1

13

Charpentier

Te Deum

1

14

Diabelli

3개의 작은 소품들

1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23


연번

작곡가

곡명

기관수

15

Dvorak

Humoresque

2

16

Dvorak

<신세계 교향곡>

8

17

Elgar

사랑의 인사

2

18

Elgar

Pomp and Circumstance

13

19

Faure

죽은 황녀를 위한 파반느

1

20

Gossec

Gavotte

1

21

Grieg

<Peer Gynt> 조곡 중 “솔베그의 노래”

1

22

Grieg

<Peer Gynt> 조곡 중 “산왕의 궁전에서”

5

23

Handel

오페라 <Rinaldo> 중 “나를 울게 하소서”

2

24

Handel

Sarabande

1

25

Haydn

Symphony No. 94 <놀람>

6

26

Haydn

Symphony No. 101 <시계>

3

27

Haydn

Symphony No. 100 <군대>

1

28

Ketelby

In a Persian Market

1

29

Lichner

물망초

1

30

L. Mozart

장난감 교향곡

4

31

Mozart

Eine kleine nacht musik

3

32

Mozart

작은 별

9

33

Mozart

Cello 12 Duet No. 1 & 2

1

34

Mozart

Concerto for clarinet in A Major, K. 622

2

35

Mozart

오페라 <Idomeneo> 서곡

1

36

Mozart

오페라 <Marriage of Figaro>

1

37

Mozart

Symphony No. 21

1

38

Mozart

Symphony No. 25

1

39

Mozart

Symphony No. 40

3

40

Mozart

Serenade

1

41

Mozart

오페라 <Magic Flute>

3

42

Mussorgsky

전람회의 그림

2

43

Offenbach

<천국과 지옥> 서곡 “캉캉”

5

44

Pachelbel

Canon in D Major

3

45

Purcell

Abdelazer

2

46

Ravel

Bolero

1

47

Rossini

오페라 <세빌리아의 이발사> 서곡

3

48

Rossini

오페라 <윌리엄 텔>

7

49

Schubert

Serenade

2

50

Schubert

Ave maria

1

51

Schubert

Musical moment No. 3

1

52

Schubert

Symphony No. 8 <미완성>

1

53

Shostakovich

Jazz Suite No. 2 (Waltz)

3

54

Sibelius

Finlandia

6

2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연번

작곡가

곡명

기관수

55

Smetana

몰다우

1

56

J. Strauss

Anne polka

1

57

J. Strauss

아름다운 푸른 다뉴브 강

2

58

J. Strauss

사냥 폴카

1

59

J. Strauss

Tritsch Tratsch Polka

3

60

J. Strauss

Radetzky March

6

61

J. Strauss

Pizzicato Polka

5

62

R. Strauss

자라투스투라는 그렇게 말했다

1

63

Tchaikovsky

왈츠 모음곡

1

64

Tchaikovsky

발레모음곡 <호두까기 인형>

1

65

Tchaikovsky

<1812 서곡>

1

66

V. Williams

Greensleeves

1

67

Verdi

오페라 <리골레토> 중 “여자의 마음”

1

68

Verdi

오페라 <아이다> 중 “개선행진곡”

3

69

Vivaldi

Concerto for 2 violins

1

70

Vivaldi

Violin concerto in a minor

1

71

Vivaldi

합주협주곡 <사계> 중 <가을>

1

72

Vivaldi

합주협주곡 <사계> 중 <봄>

1

73

Wagner

오페라 <탄호이저> “기사들의 입장”

1

74

Weber

오페라 <마탄의 사수> 중 “사냥노래”

1

클래식 레퍼토리를 작곡가별, 시대별, 양식별로 분류하여 살펴보았을 때, 작곡가별로 분류한 경우 모차르트의 작품이 11곡으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베토벤과 요한 슈트 라우스의 곡이 많이 연주되었다.

<표 Ⅱ-10> 작곡가별 분류 작곡가

곡수

Mozart

11

Beethoven, J. Strauss

6

Brahms, Schubert, Vivaldi

4

Dvorak, Haydn, Tchaikovsky

3

Bizet, Elgar, Grieg, Rossini, Verdi

2

Charpentier, Faure, Ketelby, Lichner, L. Mozart, Mussorgsky, Offenbach, Pachelbel, Purcell, Ravel, Sibelius, Smetana, V. Williams, Wager, Weber

1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25


시대별 분류에 따르면, 고전 곡이 가장 많이 연주되었고, 20세기 작곡가의 작품으로 분류된 2 개의 작품 또한 19세기 낭만주의적 정서와 조성구조를 따르는 작품이었다. <표 Ⅱ-11> 시대별 분류 시대

바로크

고전

낭만(19세기)

20세기

빈도(곡)

9

34

29

2

비율(%)

12.2

45.9

39.2

2.7

클래식 레퍼토리를 장르별로 분류하여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레퍼토리를 장르별로 살펴보 면, 원곡이 관현악 편성으로 이루어진 작품 중 교향곡이 13개, 관현악합주를 위한 작품이 28곡, 그리고 오페라 서곡이 6곡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표 Ⅱ-12> 장르별 분류 장르

빈도(곡)

비율(%)

교향곡(symphony)

13

17.6

합주협주곡(concerto grosso)

2

2.7

협주곡

3

4.1

관현악곡(교향곡을 제외한)

28

37.8

오페라 성악곡(아리아, 중창, 합창)

6

8.1

오페라 서곡

6

8.1

성악독주곡

3

4.1

기악곡(독주악기)

6

8.1

기악곡(소규모앙상블)

7

9.5

32개 거점기관에서 클래식 외에 연주한 레퍼토리를 분류하면 다음 표와 같다. 클래식 이외의 연주곡을 보면 영화음악이나 뮤지컬, 만화영화 주제가 등이 많이 연주되었고, 신규단원을 위한 우리나라 동요 또한 많이 연주되었다. <표 Ⅱ-13> 클래식 이외의 레퍼토리 장르

작곡가

기관수

1

band music

Buglers Holiday

1

2

band music

Celebration

1

3

band music

Last Minute Latin

1

4

band music

Regal March

1

5

band music

Rockin’ rondeau

1

2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장르

작곡가

기관수

6

band music

Rondino

1

7

hymn

이 땅에 평화 주소서

1

8

hymn

Whispering Hope

1

9

jazz

Irandaise

1

10

jazz

Sing Sing Sing (w/ Swing)

1

11

musical

Les Miserables

1

12

musical

<Sound of music> 중 “도레미 송”

2

13

musical

Andrew Lloyd Webber : Symphonic Reflections

1

14

musical

<Phantom of Opera>

2

15

musical

<Sound of music> 중 “Edelweiss”

7

16

musical

<Westside Story> 중 “Mambo”

1

17

OST

<Sound of Music> 중 “Climb every mountain”

1

18

OST

영화 <미션> 중 “Gabriel’s Oboe” (넬라판타지아)

2

19

OST

Go West!

1

20

OST

영화 <대부> 주제가

1

21

OST

디즈니 <미녀와 야수> 주제가

1

22

OST

애니메이션 <하울의 움직이는 성> 주제가

2

23

OST

디즈니 <Up> 중 “할아버지의 괘종시계”

1

24

OST

드라마 <황진이> 중 “꽃날”

1

25

OST

영화 <올드보이> 중 “라스트왈츠”

1

26

OST

디즈니 <겨울왕국> 중 “Let it go”

3

27

OST

영화 <Pirates of Caribbean> 주제가

3

28

OST

영화 <Sound of music> 수록곡

2

29

OST

디즈니 <겨울왕국> 수록곡

3

30

OST

Stein song (Fenstad)

2

31

OST

디즈니 메들리

2

32

OST

디즈니 <겨울왕국> 중 “Do you want to build~”

1

33

OST

Animation Medley

1

34

OST

Exodus

1

35

OST

Beethoven Virus

1

36

OST/musical

I will follow you

1

37

OST/musical

My favorite thing

1

38

OST/musical

<Sound of Music> 중 “Sixteen going on seventeen”

2

39

OST/musical

<Sound of Music> Medley for Orchestra

1

40

pop

Hey Jude (Beatles)

1

41

pop

Try to remember

1

42

pop

Aura Lee (Love me tender)

1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27


장르

작곡가

기관수

43

pop

Obladi Oblada (Beatles)

2

44

pop

African Symphony

2

45

pop

샹젤리제

7

46

pop

You raise me up

1

47

가곡

그리운 금강산

1

48

가곡

섬집아기

1

49

가곡

고향의 봄

2

50

가곡

코스모스를 노래함

1

51

가요

사랑으로

1

52

가요

홀로 아리랑

1

53

가요

마법의 성

1

54

기타

Ballad of Davy Crochett

1

55

기타

Siyahamba (South African Hymn)

1

56

기타

Fine weather

1

57

기타

김포 청소년의노래

1

58

기타

숲속의 폴카

1

59

기타

왈츠 모음곡

1

60

기타

왕이야기

1

61

기타

Beat for Percussion

1

62

기타

Dream Waltz

1

63

기타

D Major와 놀자

1

64

동요

곰세마리

1

65

동요

구슬비&바둑이방울

1

66

동요

꽃밭에서

1

67

동요

나비노래

1

68

동요

넌 할 수 있어 라고 말해주세요.

1

69

동요

돌아 돌아

1

70

동요

동요 메들리 1

1

71

동요

동요 메들리 2

2

72

동요

동요 메들리 2

1

73

동요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1

74

동요

비행기

1

75

동요

뽀뽀뽀

1

76

동요

산토끼&송아지

1

77

동요

새싹들이다

1

78

동요

어버이날

1

79

동요

엄마돼지아기돼지

1

2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장르

작곡가

기관수

80

동요

우리 집에 왜 왔니

1

81

동요

이슬

1

82

동요

전래동요 메들리

1

83

동요

징검다리

1

84

동요

파란마음 하얀마음

1

85

동요

하늘나라 동화

1

86

동요

학교 종이 땡땡땡

1

87

동요

나비야

2

88

동요

아빠 힘내세요

2

89

동요

작은 별 (Mozart 작)

2

90

동요

숲 속을 걸어요

2

91

동요

자전거

1

92

만화주제가

로보캅 폴리

1

93

만화주제가

만화영화주제곡 메들리

1

94

만화주제가

뽀로로

1

95

만화주제가

아기공룡둘리

1

96

만화주제가

파트라슈

1

97

민요

강원도 아리랑

1

98

민요

도라지

1

99

민요

배 띄워라!

1

100

민요

신아리랑

1

101

민요

한오백년

1

102

민요

아리랑

2

103

연주곡

학교 가는 길 (김광민)

2

104

연주곡

El Bimbo (Paul Mauriat)

1

105

연주곡

파리 파리스 (몽라)

1

106

연주곡

Frontier (양방언)

1

107

이태리가곡

O sole mio

1

108

캐럴

White Christmas

1

109

캐럴

캐럴 메들리

4

110

캐럴

게르만 캐럴 페스티벌

1

111

캐럴

실버벨

1

112

캐럴

징글벨

1

113

외국동요

클레멘타인

1

114

외국동요

즐거운 나의 집

1

115

외국동요

Merry go round

1

116

외국민요

Lied

1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29


다음 표는 클래식이 아닌 레퍼토리를 장르별로 분류하여 나타낸 것이다. 장르별로 보면 동요 (국내)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 영화주제가(OST)가 많이 연주된 것을 볼 수 있다. <표 Ⅱ-14> 클래식 이외 레퍼토리 장르별 분류 장르

빈도

비율

동요(국내)

28

24.1

영화주제가(OST)

23

19.8

뮤지컬

6

5.2

연주곡(band/jazz)

8

6.9

종교곡

2

1.7

pop

7

6.0

외국노래(동요, 캐럴)

10

8.6

가곡(국내)

4

3.4

가요(국내)

3

2.6

만화주제가

5

4.3

민요

6

5.2

연주곡(국내)

4

3.4

기타

10

8.6

합계

116

100.0

(2) 각 기수별/연차별 레퍼토리 분석 4기를 제외한 1~3기 지역거점에서는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수준차이를 고려하여 이원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신규단원을 위해서는 개별 악기 연주에 필요한 기본적인 테크닉, 독보력, 음감훈련, 기초이론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이 연주할 악기에 대한 이해와 흥미 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대다수의 기관에서는 신규단원의 음악적 창의성과 감 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오케스트라 교육에 앞서서 실행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와 소통하기 위한 음악봉사와 나눔을 위한 나눔음악회 등과 공연체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 속에서 지역과 공동체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하였다. 지 역별로, 연차별로 교육과정이나 레퍼토리 구성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똑같이 Beethoven의 <Symphony No. 9> 중의 “환희의 송가”나 “샹젤리제”를 연주하더라도 편곡에 따 라 수준차이가 있을 수 있고, 특히 편곡에 따라서 장르의 성격 뿐 아니라 분위기, 표현 등에 많 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상에 반영된 레퍼토리에 비해 서 실제로는 보다 더 다양한 레퍼토리가 연주된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3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① 1기: 부산, 부천, 익산, 전주, 춘천 꿈의 오케스트라 1기에 해당하는 5개 지역인 부산, 부천, 익산, 전주, 춘천의 교육과정 운영이 나 레퍼토리를 분석하면, 먼저 부산은 상반기에는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수준별 수업, 분반수 업을 실시하여 신규단원들에게 필요한 음악에 대한 기초이론, 소양, 실기, 독보능력을 배양하고 자 하였다. 클래식 레퍼토리 위주로 교육과 연주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부천 역시 기존단원과 신규단원의 음악적 기량, 독보력, 표현력, 합주능력에서의 수준차이를 고려하여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같은 레퍼토리라도 초 보자들이 파트연습을 위한 악보와 연주용 악보가 달라 초보자들의 수준향상과 흥미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기존단원들과 신규단원들 간의 음악적 교감과 화합을 위해 기존단원이 신규단원의 멘토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는 음악적 표현이나 기능 의 향상뿐 아니라 상호이해와 소통, 책임과 공감과 같은 인성교육요소가 교육과정에 반영된 것 으로 보인다. 익산은 총 16개의 레퍼토리를 교육과정에 포함시켰는데 클래식 레퍼토리 9개와 함께 “아리 랑”이나 “샹젤리제”, “에델바이스”와 같은 익숙한 뮤지컬이나 민요 등을 레퍼토리에 포함시켰다. 기존단원을 위한 레퍼토리가 6개, 신규단원을 위한 레퍼토리가 4개로 이루어졌는데 단원들간의 수준차를 고려하여 신규단원들은 복잡한 화성과 리듬, 구조를 갖고 있는 클래식보다는 짧고 단 순한 대중음악이나 동요로 이루어진 레퍼토리를 학습하게 하여 학생들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 한 흥미와 관심을 견인하고자 하였다. 그 외에 다양한 난이도와 길이의 클래식 곡을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이 함께 연주하는 레퍼토리를 구성하였다. 전주는 11개의 레퍼토리 중 9개가 클래식 음악으로 신규단원을 위한 별도의 레퍼토리가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이 함께 연주할 수 있는 적절한 난이도와 수준의 곡을 선정하여 학생들이 서로 화합하면서 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또한 클라리넷 과 바이올린 협주곡을 레퍼토리에 포함시켜 기교가 뛰어난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과 흥미에 맞 춰서 음악적 능력과 표현을 개발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모습이 특징적이다. 춘천은 기존단원과 신규단원의 수준차와 오케스트라 활동이나 악기 연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 의 차이를 고려하여 신규단원들은 영화음악주제가, 만화영화 등을, 기존단원들은 클래식 레퍼토 리를 학습하였다. 신규단원의 경우, 현악과 관악 앙상블을 별도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유사한 악 기군의 음색과 화음에 익숙해진 후에 전체 관현악 앙상블에 참여하도록 악기별로 개별화 수업 (앙상블)을 실시하였고, 현악과 관악의 숙련된 연주를 위해 소요되는 학습기간을 고려하여 레퍼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31


토리 구성 시 차이를 두었다. <표 Ⅱ-15> 1기 교육 레퍼토리 지역

부산

부천

익산

연번

곡명

레벨

구분

1

샹젤리제

신규/기존

합주

2

Rossini, William Tell

신규/기존

합주

3

Beethoven, Symphony No. 9

신규/기존

합주

4

Brahms, Hungarian Dances

신규/기존

합주

5

Rossini, 세빌리아의 이발사 서곡

기존

합주

6

게르만 캐럴 페스티벌

신규/기존

합주

7

Haydn, Symphony No. 100

신규/기존

합주

8

Mozart, Symphony No. 25

기존

합주

9

Mozart, Symphony No. 40

신규/기존

합주

10

Bizet, 아를르의 여인 중 ‘미뉴에트’

신규/기존

합주

11

Bizet, 아를르의 여인 중 ‘파랑돌’

신규/기존

합주

12

J. Strauss, Tritsch Tratsch Polka

기존

합주

1

Sibelius, Finlandia

기존

파트/합주

2

In a Persian Market

기존

파트/합주

3

고향의 봄

신규

파트/합주 (초보용)

4

고향의 봄

신규

파트/합주 (연주용)

5

에델바이스

신규

파트/합주 (초보용)

6

에델바이스

신규

파트/합주 (연주용)

7

Mozart, Symphony No. 40

기존

파트/합주

8

Mozart, 작은 별

신규

파트/합주 (초보용)

9

Mozart, 작은 별

신규

파트/합주 (연주용)

10

Tchaikovsky, 호두까기 인형 (March)

기존

파트/합주

11

Tchaikovsky, 호두까기 인형 (Trepak)

기존

파트/합주

12

Tchaikovsky, 호두까기 인형 (Waltz Of The Flower)

기존

파트/합주

1

Aires De Venezuela

기존

합주

2

Beethoven, Symphony No. 5

기존

합주

3

샹젤리제

신규

합주

4

Sibelius, Finlandia

신규/기존

합주

5

Grieg, Peer Gynt (산왕의 궁전에서)

신규/기존

합주

6

Mozart, Magic Flute

신규/기존

합주

7

West Side Story (Mambo)

기존

합주

8

Dvorak, New World Symphony

신규/기존

합주

9

Tchaikovsky, Overture 1812

기존

합주

10

아리랑

기존

합주

11

Elgar, Pomp and Circumstance

신규/기존

합주

3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지역

익산

전주

춘천

연번

곡명

레벨

구분

12

Bizet, Carmen (투우사의 노래)

신규/기존

합주

13

Rossini, William Tell

신규

합주

14

Frontier (양방언)

기존

합주

15

동요 메들리

신규

합주

16

에델바이스

신규

합주

1

Purcell, Abdelazer

기존

앙상블/ 관현악

2

J. Strauss, Pizzicato Polka

기존

앙상블/ 현악

3

Stein song

신규/기존

앙상블/ 관현악

4

Schubert, Ave Maria

신규/기존

앙상블/ 관현악

5

Mozart, Clarinet Concerto, K. 622

기존

앙상블/ 클라리넷

6

Last Minute Latin

신규/기존

합주

7

Mozart, Le nozze di Figaro, K. 492

기존

합주

8

Mozart, Symphony No. 21

기존

합주

9

Beethoven, Symphony No. 3

기존

합주

10

Haydn, Symphony No. 94

기존

합주

11

Vivaldi, Violin Concerto in a minor

기존

앙상블/ 바이올린

1

J. Strauss, Radetzky March

기존

합주

2

겨울왕국 - Let it go

신규

현악

3

Pirates of the Caribbean

신규

현악

4

Haydn, Symphony No. 94

기존

합주

5

Mozart, 작은 별

신규

현악

6

Brahms, Academic Festival Overture

기존

합주

7

Celebration

기존

합주

8

D Major와 놀자

신규

현악

9

Beethoven, Egmont Overture

기존

합주

10

Go West!

기존

합주

11

Les Miserables

신규

현악

12

Regal March

신규

관악앙상블

13

Rockin’ Rondeau

신규

관악앙상블

14

Siyahamba

신규/기존

합주

15

Beethoven, Symphony No. 7

기존

합주

16

Sound of Music - Medley

기존

합주

1기 기관은 4년 동안의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과 교육 경험을 토대로 지역의 레퍼토리를 구성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참여기간이나 전공악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준별 수업과 차별 화된 레퍼토리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간 계획에서도 레퍼토리간의 연계성과 전년 도, 차년도 교육과의 연계성과 계속성을 고려하려는 모습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33


② 2기: 군포, 목포, 무안, 부안, 성동, 안동, 원주, 청주 2기에 해당하는 군포, 목포, 무안, 부안, 성동, 아산, 안동, 원주, 청주의 교육과정과 레퍼토리 를 살펴보면, 먼저 군포는 13개의 레퍼토리에서 신규단원과 기존단원 간의 수준차를 고려하여 신규단원을 위해서는 쉽고 단순한 선율과 리듬으로 이루어진 귀에 익숙한 클래식 음악이나 캐 럴 메들리를, 기존단원과 신규단원이 공동으로 연주하는 레퍼토리로는 클래식을 채택하였다. 무안은 신규단원이 소수라는 지역의 특성 때문에 기존단원을 중심으로 레퍼토리를 구성한 것 으로 보인다. 기존단원과 신규단원의 레퍼토리를 차별화하지는 않았지만 소수의 신규단원과 기 존단원의 수준차를 고려하여 세부교육내용과 방법에서는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기존단원은 합주 중심교육을 받았고, 신규단원은 ‘놀이중심-앙상블교육-합주교육’의 3단계 교육을 받았다. 부안은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수준차이를 고려한 차별화 수업을 실시하였고, 합동캠프와 연 주 이후에는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이 같은 레퍼토리를 연주함으로써 1년간의 수업과정에서 신규 단원이 기존단원에 비해 음악적 기량이나 표현의 수준이 낮지만 음악에 대한 관심과 연습과 연 주에 임하는 태도와 자세, 열정을 갖출 수 있도록 수업을 구상하는 것으로 보인다. 성동의 교육과정에서 특이한 점은 신규단원 뿐 아니라 기존단원의 음악문해력(문법, 구문, 구 조 등) 개발을 위해 음악구조에 대한 이해와 해석과 관련된 내용이 교육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안동은 다양한 양식의 클래식 음악과 영화 및 만화영화 주제가, 동요, 민요 등을 주요 레퍼토 리로 활용하였다. 신규단원과 기존단원간의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앙상블과 합주를 위한 레퍼토리를 미리 선정하고 동일한 레퍼토리를 2단계 혹은 3단계로 난이도를 구분하여 신규단원 과 기존단원이 같은 곡을 자신의 수준에 맞는 편곡에 맞춰 연습할 수 있도록 한 점이 눈에 띄 었다. 즉, 난이도의 차이가 있는 과제곡을 익히는 과정에서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은 각자 수준에 맞게 음악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외에도 감상과 이론 수업을 병행하여 음악에 대한 기 초지식이나 음악문법적 유창성 계발에 대한 관심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있었다. 원주는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을 위한 별도의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는데, 신규단원은 상반기 동 안 집중적으로 악기에 대한 이해, 음악 실기에 적합한 자세와 주법, 그 외에 기초이론과 표현을 학습하였다. 신규단원을 위해서는 동요나 만화영화 주제가와 같은 평소 익숙한 선율과 리듬을 갖는 레퍼토리를 활용하였고, 제시된 자료에 의하면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이 공동으로 연주하는 레퍼토리가 없었다.

3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청주는 제한된 레퍼토리, 장르에 대한 집중교육을 실시하였는데 신규단원과 기존단원간의 소 통과 멘토십 관계 형성을 통해 음악에 대한 관심, 학습동기를 자극하고자 하였다. 오리엔테이션 에서 기존단원들이 신규단원들에게 악기를 소개하고 연주하도록 하여 단원들 간의 화합과 상호 소통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한 점이 특징적이었다. <표 Ⅱ-16> 2기 교육 레퍼토리 기관

군포

목포

무안

연번

곡명

레벨

구분

1

Bizet, Carmen

기존

현악관악타악 합주

2

Elgar, Pomp and Circumstance

신규

현악목관타악 합주

3

J. Strauss, Radetzky March

기존

현악관악타악 합주

4

Disney Medley

신규

현악목관타악 합주

5

Offenbach, 천국과 지옥 서곡 “캉캉”

신규

현악목관타악 합주

6

캐럴 메들리

신규

현악목관타악 합주

7

Lichner, 물망초

기존

현악관악타악 합주

8

J. Strauss, 사냥 폴카

신규/기존

현악관악타악 합주

9

Elgar, 사랑의 인사

신규/기존

현악목관타악 합주

10

왈츠 모음곡

신규/기존

현악관악타악 합주

11

Shostakovich, Jazz Suite

신규/기존

현악관악타악 합주

12

Bizet, Frandole

신규/기존

현악관악타악 합주

13

하울의 움직이는 성 (인생의 회전목마)

기존

현악관악타악 합주

1

Bizet, Carmen

신규/기존

파트/합주

2

Sibelius, Finlandia

신규/기존

파트/합주

3

Brahms, Hungarian Dances

신규/기존

파트/합주

4

Gabriel’s Oboe

신규/기존

파트/합주

5

Elgar, 사랑의 인사

신규/기존

파트/합주

6

섬집아기

신규/기존

파트/합주

1

샹젤리제

기존

합주

2

Mozart, Magic Flute

기존

합주

3

Rossini, William Tell

기존

합주

4

Brahms, Hungarian Dance No. 5

기존

합주

5

Pirates of the Caribbean

기존

합주

6

Mozart, Symphony No. 40

기존

합주

7

African Symphony

기존

합주

8

Webber: Symphonic Reflections

기존

합주

9

Animation Medley

기존

합주

10

Mozart, Opera <Idomeneo> Overture

기존

합주

11

코스모스를 노래함

기존

합주

12

Stein song

신규/기존

합주

13

Exodus

신규/기존

합주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35


기관

부안

성동

안동

연번

곡명

레벨

구분

1

Rossini, William Tell

기존

파트/앙상블/합주

2

Edelweiss

신규

파트/앙상블/합주

3

동요메들리

신규

파트/앙상블/합주

4

하울의 움직이는 성

신규/기존

파트/앙상블/합주

5

Mozart, Clarinet concerto

기존

파트/앙상블/합주

6

Sousa, 위풍당당행진곡

신규

파트/앙상블/합주

7

Vivaldi, <사계> - 겨울

기존

파트/앙상블/합주

8

Saint-Säens, 동물의 사육제

기존

파트/앙상블/합주

9

Beethoven, Ode to Joy

기존

파트/앙상블/합주

10

Mozart, Symphony No. 40

기존

파트/앙상블/합주

11

샹젤리제

신규/기존

파트/앙상블/합주

12

Verdi, 축배의 노래

신규/기존

파트/앙상블/합주

13

J. Strauss, 봄의 소리 왈츠

신규/기존

파트/앙상블/합주

14

Elgar, 사랑의 인사

신규/기존

파트/앙상블/합주

15

Anderson, 썰매타기

신규/기존

파트/앙상블/합주

1

Beethoven, Symphony No. 5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2

Sibelius, Finlandia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3

Mozart, Magic Flute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4

Elgar, Pomp and Circumstance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5

나비야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6

Rossini, <세빌리아의 이발사> 서곡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7

Haydn, Symphony No. 101 <시계>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8

아리랑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9

Mozart, 작은 별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0

Beethoven, Symphony No. 9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1

곰세마리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2

구슬비/바둑이방울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3

Schubert, 군대행진곡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4

돌아 돌아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5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6

Brahms, Symphony No. 4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7

뽀뽀뽀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8

산토끼/송아지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9

우리 집에 왜 왔니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20

자전거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21

징글벨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22

하늘나라 동화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23

학교 종이 땡땡땡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

Beethoven, Symphony No. 5

신규/기존

파트/합주

2

Verdi, <Aida> 중 ‘개선 행진곡’

신규/기존

파트/합주

3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기관

안동

원주

청주

연번

곡명

레벨

구분

3

에델바이스

기존

현관앙상블

4

Beethoven, Symphony No. 9

기존

현관앙상블

5

겨울왕국

신규/기존

파트/합주

6

겨울왕국

기존

현관앙상블

7

아빠 힘내세요

신규/기존

파트/합주

8

Mozart, 작은 별

기존

현관앙상블

9

L. Mozart, 장난감 교향곡

기존

현관앙상블

10

L. Mozart, 장난감 교향곡

신규/기존

합주

11

Pachelbel, Canon in D Major

기존

현관앙상블

12

캐럴 메들리

신규/기존

파트/합주

13

Ravel, Bolero

신규/기존

합주

14

동요 메들리 1

신규/기존

파트/합주

15

동요 메들리 2

신규/기존

파트/합주

16

Disney OST <미녀와 야수>

신규/기존

파트/합주

17

새싹들이다

신규/기존

파트/합주

18

J. Strauss,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기존

현관앙상블

19

어버이날

신규/기존

파트/합주

20

하울의 움직이는 성(인생의 회전목마)

신규/기존

파트/합주

21

전래동요 메들리

신규/기존

파트/합주

22

Mozart, 터키 행진곡

기존

현관앙상블

23

Haydn, Symphony No. 94

신규/기존

파트/합주

1

Sibelius, Finlandia

기존

현관앙상블

2

Dvorak, New World Symphony

기존

현관앙상블

3

J. Strauss, Radetzky March

기존

현관앙상블

4

넬라 판타지아

신규

현관앙상블

5

J. Strauss, Pizzicato Polka

기존

현관앙상블

6

Haydn, Symphony No. 94 <놀람>

기존

현관앙상블

7

강원도 아리랑

신규

현관앙상블

8

그리운 금강산

신규

현관앙상블

9

동요 메들리 2

신규

현관앙상블

10

만화영화주제곡 메들리

신규

현관앙상블

11

Smetana, <나의 조국>

기존

현관앙상블

12

배 띄워라!

신규

현관앙상블

13

Shostakovich, Jazz Suite No. 2

신규

현관앙상블

14

Faure, 죽은 황녀를 위한 파반느

기존

현관앙상블

15

한오백년

신규

현관앙상블

1

Elgar, Pomp and Circumstance

기존/신규

합주

2

J. Strauss, Radetzky March

기존/신규

합주

3

Rossini, <세빌리아의 이발사> 서곡

신규

합주

4

천둥과 번개 폴카

신규

합주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37


2기의 경우에는 1기와 마찬가지로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수준차이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과 이원화된 교육과정 운영 속에서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을 위한 교육과정간의 연계성과 계열성, 그리고 중장기적인 안목에서의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의 특화, 레퍼토리 개발에 대한 관심이 보 였다. ③ 3기: 강릉, 광주, 김포, 성북, 수성, 아산, 안산, 안양, 장수, 정선, 창원, 평택, 포항 3기에는 12개의 지역(강릉, 광주, 김포, 성북, 수성, 아산, 안산, 안양, 장수, 정선, 창원, 평택, 포항)이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으로 선정되었는데, 일부 기관의 경우, 당초 제출한 교육계획안에 연간 교육계획이 제시되지 않아 연간 교육과정 운영현황을 파악할 수 없었다. 1~2기에 정착된 것과 같이 엘 시스테마 오리엔테이션에 이어서 악기와 기악연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자발적 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코다이, 오르프 등과 같은 음악교수법을 활용한 사전교육이 이루어졌다. 그 외에 일부 기관에서는 재활용 악기나 종이 악기 만들기 등을 통해서 악기에 대한 이해와 관 심을 견인하고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차이가 만들어내는 조화 를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광주는 클래식 외에 민요, 잘 알려진 대중음악, 동요 등을 교육과정의 레퍼토리로 활용하였는 데, 신규단원 보다는 기존단원 위주로 수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악에 비해서 연주가 용이한 관악앙상블은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이 같이 연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차별 차별화 수업 외에 악기별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수업을 실시하였다.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수준별 수 업이 이루어지지만 기초이론과 현장학습에서는 기존단원과 신규단원 모두에게 필요한 공통수업 을 구성하여 오케스트라 구성원들간의 음악적, 정서적 연대감 형성을 위한 교육환경을 마련하고 있었다. 신규단원의 음악적 감수성과 청각적 변별력, 표현력을 높이기 위해서 오르프와 코다이 같은 음악교수법을 활용하여 기초음악이론 수업을 실시하였고 현장체험을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학생들 스스로 음악활동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김포는 신규단원과 기존단원 간의 차별화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계획상에서는 명확하 게 드러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타기관과 마찬가지로 기존단원은 클래식 중심으로, 신규단원은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익숙한 가요, 만화영화주제가를 레퍼토리로 선정한 것으로 보아 수준별 차 이를 고려한 수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성북의 경우, 신규단원의 수가 많지 않은 듯 하고 수준차이를 고려하여 동요와 같은 단순한 레퍼토리를 신규단원을 위한 곡으로 제시하고 있다. 수성은 4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 교육목표와 내용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였다. 1~4단계 교육목표와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1단계는 기초음악능력 배양과 실기능력

3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배양을 위한 실기와 관련된 기초음악수업, 2단계는 협업능력 향상을 위한 앙상블과 오케스트라 합주, 3단계는 성취감과 건강한 자아개념 확립을 위한 연간 2회 이상의 공연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와 노력, 마지막 4단계는 음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 정서 함양을 위한 수준 높은 전문연주 자들의 공연 체험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수준별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계획안에는 반영되지 않아 실제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파악할 수는 없었다. 아산은 총 6개의 레퍼토리를 학습하였는데 6곡 모두 클래식 레퍼토리이다. 계획안에 제시된 2013년 상반기 교육과정에 의하면 스즈키를 중심으로 학생들에게 익숙한 동요나 클래식 소품 등을 중심으로 음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안산은 2013년 계획안을 토대로 보았을 때 신규와 기존단원의 레퍼토리가 구분되어 있고 파 트연습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규단원과 기존단원 의 교육과정을 차별하여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는데, 기초이론과 리듬활동이라는 기초음악성 및 음악문법적 유창성 개발을 위한 사전교육 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안양은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차별화된 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과정이 계획안에는 제시 되지는 않았지만 실제 레퍼토리를 살펴보면 기존단원과 신규단원에 대한 교육과정이나 그에 따 른 내용과 방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규단원은 독보력, 음악에 대한 기초이론이나 실기능력, 소양 등이 부족하기 때문에 합주나 소규모의 앙상블보다는 파트연습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을 실행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육계획안에 명시한 것과 같이 한 차시에 교육이 끝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계단식 교육구성 보다는 한 곡을 여러 차시에 걸쳐 제시-심화학습-복습 의 형태로 학습하는 레이어드식의 교육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1곡에 집중해서 1차시 수업이 이 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레퍼토리를 1차시 수업에서 동시에 학습하는 방식으로 수업이 이루 어졌다. 장수는 악기 탐색, 오케스트라 구성 악기에 대한 이해, 악기 연주에 필요한 기초이론과 실기 능력 등에 대한 이해를 신규단원을 위한 교육과정에 포함시켰다. 상반기에는 파트연습 위주로 수업이 진행되었고, 하반기에는 파트연습과 앙상블, 전체 합주의 다양한 형태로 수업이 이루어 졌다. 신규단원을 위한 레퍼토리가 별도로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신규단원이 소수이거나 진흥원 집계에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정선과 평택은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을 구분하여 수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나 신규단원과 기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39


존단원의 앙상블이나 합주 수업이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신규단원과 기존단원간 수업의 연계 성 확보를 위한 진입프로그램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평택의 경우에는 관악기와 현 악기의 수준차이를 고려하여 관악과 현악 앙상블을 별도로 편성하여 신규단원의 교육과 연주가 이 루어졌다. 창원은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이 모든 레퍼토리를 함께 학습하였지만 레퍼토리에 따라 악 기편성에 차이를 둠으로써 기존단원과 신규단원의 수준을 고려한 파트, 앙상블, 합주 연습이 이루 어진 것으로 보인다. 반면 포항은 신규단원을 위한 레퍼토리가 제시되지 않아 2014년에 신규단원 이 소수이거나 신규단원을 위한 레퍼토리에 대한 정보가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표 Ⅱ-17> 3기 교육 레퍼토리 지역

강릉

광주

연번

곡명

레벨

구분

1

Dvorak, New World Symphony

기존

합주

2

Elgar, Pomp and Circumstance

기존

합주

3

J. Strauss, Radetzky March

기존

합주

4

Rossini, William Tell

기존

합주

5

Disney Medley

신규/기존

합주

6

오블라디 오블라다

기존

합주

7

Offenbach, 천국과 지옥 서곡 “캉캉”

기존

합주

8

Pachelbel, Canon in D Major

기존

현악앙상블

9

Carol Medley

기존

합주

10

Haydn, Symphony No. 94 <놀람>

기존

합주

11

디아벨리의 세 개의 작은 소품들

신규/기존

합주

12

Beethoven, Minuet in G Major

기존

현악앙상블

13

Vivaldi, <사계> - ‘가을’

기존

합주

14

Shostakovich, Jazz Suite No. 2

기존

합주

15

Mussorgsky, 전람회의 그림

신규/기존

합주

1

Beethoven, Symphony No. 5

기존

합주

2

샹젤리제

기존

합주

3

Sibelius, Finlandia

기존

합주

4

Grieg, <Peer Gynt> (산왕의 전당에서)

기존

합주

5

Dvorak, New World Symphony

기존

합주

6

Elgar, Pomp and Circumstance

기존

합주

7

Rossini, William Tell

기존

합주

8

동요 메들리

신규

합주

9

Edelweiss

신규

합주

10

이 땅에 평화 주소서

기존

합주

11

Haydn, Symphony No. 94 <놀람>

기존

앙상블/ 바이올린

12

Schubert, Serenade

기존

현악 앙상블

13

Offenbach, 천국과 지옥 서곡 “캉캉”

기존

앙상블/ 바이올린

4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지역

광주

김포

성북

수성

연번

곡명

레벨

구분

14

Annen Polka

기존

합주

15

Mozart, Clarinet Concerto in A

기존

합주

16

즐거운 나의 집

기존

관악앙상블

17

I will follow you

기존

관악앙상블

18

Grieg, <Peer Gynt> (Solvejg’s Lied)

기존

합주

19

Beethoven, Symphony No. 9

신규

합주

20

Whispering Hope

신규

관악앙상블

21

White Christmas

기존

합주

22

도라지

기존

현악 앙상블

1

Beethoven, Symphony No. 5

기존

현관앙상블

2

Dvorak, New World Symphony

기존

현관앙상블

3

Elgar, Pomp and Circumstance

기존

현관앙상블

4

Verdi, <Aida> - 개선 행진곡

기존

현관앙상블

5

겨울왕국 - Let it go

기존

현관앙상블

6

마법의 성

신규

현관앙상블

7

Mozart, Serenade

신규

현관앙상블

8

Mozart, Eine kleine nacht musik

기존

현관앙상블

9

L. Mozart, 장난감 교향곡

기존

현관앙상블

10

Offenbach, 천국과 지옥 서곡 “캉캉”

신규

현관앙상블

11

Sing Sing Sing

기존

현관앙상블

12

김포 청소년의노래

신규

현관앙상블

13

Handel, Sarabande

신규

현관앙상블

14

O sole mio

신규

현관앙상블

15

파트라슈

신규

관악앙상블

1

Edelweiss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2

The Sound of Music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3

숲 속을 걸어요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4

도레미 변주곡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5

Climb every mountain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6

My favorite thing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7

Sixteen going on seventeen

기존

파트/현관앙상블/합주

8

넌 할 수 있어 라고 말해주세요.

신규

파트/현관앙상블/합주

1

Elgar, Pomp and Circumstance

신규/기존

파트/합주

2

J. Strauss, Radetzky March

신규/기존

파트/합주

3

Dvorak, Humoresque

신규/기존

파트/합주

4

Haydn, Symphony No. 101 <시계>

신규/기존

파트/합주

5

아리랑

신규/기존

파트/합주

6

Bizet, L’Arlesienne Suite No.2 (Minuet)

신규/기존

파트/합주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41


지역

수성

아산

안산

안양

연번

곡명

레벨

구분

7

‘Beethoven Virus’ O.S.T.

신규/기존

파트/합주

8

로보캅 폴리

신규/기존

파트/합주

9

뽀로로

신규/기존

파트/합주

10

아기공룡둘리

신규/기존

파트/합주

1

Beethoven, Symphony No. 5

기존

합주

2

Dvorak, New World Symphony

신규

합주

3

Verdi, <Aida> 중 개선 행진곡

기존

합주

4

Haydn, Symphony No. 94 <놀람>

신규

합주

5

Wagner, <Tanhäuser>

신규

합주

6

R. Strauss,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기존

합주

1

샹젤리제

기존

합주

2

Bizet, <Carmen> “투우사의 노래”

기존

앙상블

3

Brahms, Hungarian Dances

기존

합주

4

마법의 성

기존

합주

5

학교 가는 길

기존

파트

6

Buglers Holiday

신규

앙상블

7

Mozart, Cello Duet No. 1 & 2

기존

파트

8

Clementine

기존

합주

9

Vivaldi, Concerto for two violins

기존

파트

10

Weber, Der Freischutz(hunting song)

신규

앙상블

11

Schubert, Moment Musical No. 3

신규

파트

12

My Favorite Things Song

신규

파트

13

Charpentier, Te Deum

기존

합주

14

You raise me up

기존

합주

15

Vivaldi, <사계> ‘봄’

기존

파트

16

사랑으로

기존

파트

17

황진이 OST 중 “꽃날”

기존

파트

1

Beethoven, Symphony No. 5

기존

합주

2

Elgar, Pomp and Circumstance

기존

합주

3

미솔라

신규

파트

4

Edelweiss

신규

파트

5

반짝 반짝 작은 별

신규

파트

6

학교 가는 길

기존

합주

7

Offenbach, 천국과 지옥 서곡 “캉캉”

기존

합주

8

Dream Waltz

기존

합주

9

Gossec, Gavotte

기존

앙상블

10

Verdi, Rigoletto (여자의 마음)

기존

앙상블

11

Medley of waltz

기존

합주

4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지역

안양

장수

정선

창원

연번

곡명

레벨

구분

12

Merry go round

신규

파트

13

Rondino

신규

파트

14

나비 노래

신규

파트

15

왕이야기

신규

파트

16

징검다리

신규

파트

17

Haydn, Trumpet concerto

기존

앙상블

1

Mozart, The Magic Flute

기존

합주

2

Beethoven, Symphony No. 9

기존

합주

3

Phantom of the Opera

기존

합주

4

The Sound of Music

기존

합주

5

V. Williams, Fantasia on Greensleeves

기존

합주

6

Shostakovich, Jazz Suite No. 2

기존

합주

1

샹젤리제

기존

합주

2

Elgar, Pomp and Circumstance

기존

합주

3

Rossini, William Tell

기존

합주

4

Pirates of the Caribbean

기존

합주

5

겨울왕국

기존

합주

6

아빠 힘내세요

신규

합주

7

오블라디 오블라다

기존

합주

8

Mozart, 작은 별

신규

합주

9

Offenbach, 천국과 지옥 서곡 “캉캉”

기존

합주

10

Carol Medley

기존

앙상블/ 플루트

11

L’Arlesienne Suite No. 2 (Farandole)

기존

합주

12

대부

기존

합주

13

<올드보이> OST “라스트 왈츠”

신규

앙상블/ 클라리넷

14

Grieg, <Peer Gynt> “산왕의 궁전에서”

기존

합주

15

신아리랑

기존

합주

16

이슬

신규

합주

17

파란마음 하얀마음

신규

합주

18

몽라 <파리 파리스>

기존

앙상블/ 플루트

1

샹젤리제

신규/기존

앙상블/ 플루트

2

Grieg, <Peer Gynt> “산왕의 궁전에서”

신규/기존

합주

3

Elgar, Pomp and Circumstance

신규/기존

합주

4

Bizet, <Carmen> “투우사의 노래”

신규/기존

합주

5

Brahms, Hungarian Dances

신규/기존

현악앙상블

6

Phantom of the Opera

신규/기존

합주

7

African Symphony

신규/기존

합주

8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

신규/기존

앙상블/ 클라리넷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43


지역 창원

평택

평택

포항

연번

곡명

레벨

구분

9

꽃밭에서

신규/기존

앙상블/ 바이올린

10

Brahms, Waltz

신규/기존

앙상블/ 바이올린

11

홀로 아리랑

신규/기존

앙상블/ 목관

1

Elgar, Pomp and Circumstance

신규

합주

2

Bizet, <Carmen> “투우사의 노래”

신규

합주

3

Rossini, William Tell

기존

합주

4

Beethoven, Symphony No. 9

신규

현악앙상블

5

Dvorak, Humoresque

신규

앙상블/ 비올라

6

Let it go

신규

합주

7

Ballad of Davy Crochett

신규

금관 앙상블

8

Paul Mauriat, El Bimbo

신규

앙상블/ 클라리넷

9

Beatles, Hey jude

기존

합주

10

C. Boiling, Irandaise

신규

파트/플루트

11

L. Mozart, 장난감교향곡

신규

현악앙상블

12

Schubert, Symphony No. 8

기존

합주

13

Try to remember

신규

파트/첼로

1

Beethoven, Symphony No. 5

기존

파트/합주

2

Grieg, <Peer Gynt> “산왕의 궁전에서”

기존

파트/합주

3

Dvorak, New World Symphony

기존

파트/합주

4

Bizet, <Carmen> “투우사의 노래”

기존

파트/합주

5

Purcell, Abdelazer

기존

현악파트/현악앙상블

6

J. Strauss, Pizzicato Polka

기존

현악파트/현악앙상블

7

도레미 변주곡

기존

파트/합주

3기 기관의 경우에는 2014년 교육계획안이 제시되지 않아 확실하지는 않으나 레퍼토리상의 수준 표기에 의하면,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차별화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기관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비율이 명확하게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3기의 기관 에서는 신규단원과 기존단원간의 화합과 조화, 연계성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거나 고민은 하나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적합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지 않은 기관들이 적지 않아 보였다. 1~2기 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벤치마킹이나 컨설팅, 모니터링을 통해서 이를 보완하 고 개선할 수 있는 지역 자체의 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들이 3기 기관에 요구된다. ④ 4기: 마포, 연천, 오산, 유성, 통영 4기는 올해 처음으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시작한 마포, 연천, 오산, 유성, 통영의 5개 지 역거점으로 초보자들의 기초적인 실기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목적에서 레퍼토리와 교육과정을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1~3기와 달리 4기 기관의 레퍼토리에는 공연에 적합하지 않은 파트별 4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연습곡이 포함되어 있었고 실제 합주를 위한 레퍼토리는 1-3기의 기관에 비해서 매우 적은 편 이다. 모든 기관에서 개인이 연주할 악기 선정에 앞서 4주 정도의 악기 탐색기간을 가졌고 악기탐 색기 동안 여러 악기를 경험하면서 동시에 기초 이론과 감수성 수업을 실시하여 오케스트라 활 동에 대한 이해와 관심, 흥미와 함께 기본적인 자세, 소양 등을 갖추는 교육을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 계획서를 토대로 보았을 때, 구로는 연극 활동, 연천은 댄스와 스텝 등을 이용한 신체협응과 융합활동을 교육과정에 포함하였고, 오산은 극장 백스테이지 경험과 극장 나들이를 교육내용에 포함시켜 연주 외에 공연과 관련된 다양한 역할을 간접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여 공연에 대한 다 양한 관심과 흥미를 촉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4기 기관의 경우에는 교육과정에 포함된 레퍼토 리에 대한 정보나 연간 교육계획을 살펴볼 수 없어서 실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파악하 기가 쉽지 않았다. <표 Ⅱ-18> 4기 교육 레퍼토리 기관

마포

연천

연번

곡명

레벨

합주

1

Elgar, Pomp and Circumstance

신규

현악앙상블

2

Beethoven, Symphony No. 9

신규

파트

3

Haydn, Symphony No. 94 <놀람>

신규

합주

4

Haydn, Symphony No. 101 <시계>

신규

합주

5

Pachelbel, Canon in D

신규

앙상블/비올라·첼로

6

Mozart, 작은 별

신규

합주

7

Beethoven, Symphony No. 9

신규

합주

8

Beat for Percussion

신규

앙상블/ 타악

9

Handel, Lascia ch’io pianga

신규

합주

10

Lied

신규

파트

11

개방현 합주

신규

합주

12

비행기

신규

합주

13

뻐꾸기

신규

합주

14

Mozart, Serenade

신규

파트

15

숲속의 폴카

신규

파트

16

엄마 돼지 아기 돼지

신규

앙상블/ 바이올린

17

Handel, <Rinaldo> “나를 울게 하소서”

신규

파트

18

할아버지의 괘종시계

신규

앙상블/ 바이올린

1

개방형긋기

신규

합주

2

스케일연주

신규

합주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45


기관

연천

연번

곡명

레벨

합주

3

J. Strauss, Pizzicato Polka

신규

파트

4

나비야

신규

파트

5

Mozart, Eine kleine nacht musik

신규

합주

6

반짝 반짝 작은 별

신규

파트

7

Dvorak, New World Symphony

신규

합주

8

Fine weather

신규

파트

9

J. Strauss, 다뷰느강의 잔물결

신규

파트

10

실버벨

신규

합주

1

슬금슬금

신규

파트/합주

2

장음계(Major Scale)

신규

파트/합주

3

Mozart, 작은 별

신규

파트/합주

1

진흥원 입문교재

기존

파트/합주

유성

2

Mozart, 작은 별

기존

파트/합주

3

오라리(Love me tender)

기존

파트/합주

통영

1

Beethoven, Ode to Joy

신규

합주

오산

(3) 교육 레퍼토리 분석의 시사점 1~4기에 이르는 32개의 거점에서 이루어진 교육과정을 사전에 제시한 교육계획안과 레퍼토 리만으로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표면적으로 드러난 정보를 토대로 분석하였을 때,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1~4기 기관의 교육과정, 내용, 방법 등에 드러난 공통된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체로 신규단원과 기존단원간의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신규단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는 기초음악이론과 음악감수성 및 창의성 수업이 포함되어 있어 신규단원 의 음악적 흥미와 관심을 견인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신규단원과 달리 기존단원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음악문법적 유창성 계발을 위한 심화된 프로그램이 충분하지 않았다. 넷째, 신규단 원과 기존단원간의 수준차이를 고려하면서도 전체 단원, 악기군별 앙상블과 합주를 통해 신규단 원과 기존단원간의 수준별, 경험의 차이를 아우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었으나 일 부 기관에서는 수준별 수업의 진행이 어려운 것으로 보였다. 다섯째, 신규단원은 동요와 영화, 뮤지컬, 만화영화 주제가 등과 같은 익숙한 선율 위주의 레퍼토리를, 기존단원은 주로 클래식 레퍼토리를 학습하고 있었다. 여섯째, 기관별, 지역별, 연차별 레퍼토리 선정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4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그러나 32개 기관의 교육과정이나 레퍼토리 선정에서 지역별, 연차별 차별성이 크게 드러나 지 않았다. 일부 기관에서는 기관의 특성, 그리고 지역, 참가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프로그램이나 교수학습법을 제안하고 있었지만 대개의 교육과정이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그 외 에 레퍼토리 선정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여 밝고 경쾌한 곡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보다 다양한 장르와 작곡가의 작품을 선정하여 다양한 음악 레퍼토리를 경험하고 표현할 수 있 도록 하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꿈이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단원의 70% 이상이 사회취약계층이라는 점을 고려하 여, 또래간 협업학습이나 다양한 장르의 수준 높은 공연 감상과 예술통합프로그램(연극, 동작놀 이, 무용 등) 체험 기회를 제공하여 표현의 확장과 미적 감각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관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꿈의 오케스트라가 지향하는 엘 시스테마가 자생적인 프로그램이 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지역의 특성과 단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개별화된 교육과정과 프 로그램, 레퍼토리에 대한 고민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47


3. 오케스트라 교육의 국내외 사례 분석 오케스트라 교육 사례는 국내사례와 국외사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국내사례에서는 교육 부, 마사회, 서울시립교향악단 등의 오케스트라 교육 사례를 분석하였고, 국외사례에서는 베네수 엘라의 엘 시스테마를 비롯하여 미국의 하모니, 스코틀랜드의 빅노이즈 등을 분석하였다.

1) 국내사례 ① 교육부 <학생오케스트라>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으로 정부의 예술교육지원이 본격화되고 2008년 교육과학기 술부와 문화체육관광부의 학교예술 및 체육교육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기점으로 정 부의 예술교육에 대한 정책적 의지를 표명함에 따라, 교육부는 학생오케스트라를 운영하여 학생 들의 예술적 능력 향상과 더불어 인성 함양 및 교육 불균등 해소 등을 도모하고자 2011년 전국 초ㆍ중ㆍ고등학교 65개교에 학생오케스트라 창단을 지원하였다. 이후 2012년 상반기 85개교, 하반기 150개교, 2013년 100개교를 선발하여, 전국 17개 시ㆍ도에서 총 400개교 학생오케스트 라를 운영하고 있다(초 190, 중 137, 고 66, 특수 7개교).4) 학생오케스트라는 교육지원청이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관내학교 등에 서 운영되는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을 총괄적으로 지원한다. 교육지원청은 지역의 문화예술계,

<그림 Ⅱ-3> 교육부 ‘학생오케스트라’ 운영 모형

4) 2014학생오케스트라 운영매뉴얼, 교육부지정 서울대학교 학생오케스트라 사업단 4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예술대학, 예술전문가, 지자체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지역예술교육협의체를 운영하며 동 협의 체를 통해 악기강사와 재정 등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지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단기: 악기 강사풀 등 인력지원의 확보, 중장기: 재정지원의 확보) 교육부는 학생 오케스트라 운영을 위한 초기비용지원 및 관계자 연수, 컨설팅 등을 지원할 수 있게 한다. 지원 체계는 1년간 운영성과를 평가하고 추가로 2년을 더 지원하여 2~3년차 지원을 하는 사 업으로 2011년에는 65개교, 2012년 235개교, 2013년에는 100개교 등 3년 동안 총 400여개 교 를 지정하였다. 2~3년차 지원금은 신규 창단 학교가 2천만원, 기존 운영학교는 500만원 정도이 다. 2014년부터는 신규 창단 뿐 아니라 자생적으로 학생 오케스트라를 운영하는 학교를 지원하 기도 하며, 2014년 650개교를 선정할 예정으로, 총 985개교가 지원될 예정이다. <표 Ⅱ-19> 교육부 ‘학생오케스트라’ 추진계획 (2013년 기준) 구 분

주 요 내 용

시기(안)

1. ◦시도교육청 주도로 관내 학교중에서 학생 오케스트라 취지에 부합하고, 학생오케스트라 운영 의지와 여건이 적합한 학교를 선정 ’13. 2 ~ 3월 운영학교 공모 ․ 선정 * ’13.2.21~3.15(공모신청), ’13.3.29(선정학교 발표)

2. 지역별 지원체제 마련

◦교육지원청 주도로 지역예술교육협의체를 구성하여 지역사회와의 협력 체제 구축 ’13. 4 ~ 5월 - 지역의 예술단체, 음악대학, 기업 등의 참여 유도 - 악기교육 강사 및 운영 인력 지원, 재정 지원 등

3. 학생오케스트라 사업단 운영

◦예술전문가로 구성된 학생오케스트라 사업단을 운영하여 총괄 지원(서울 대 사업단 선정) - 사업설명회, 교사연수(지휘법, 교수법 등), 자료개발(운영메뉴얼, 악보 등 지원), 현장컨설팅, 행정시스템 구축, 홈페이지 구축, 정책연구(발전 방안, 인성교육 관련) 등 추진

’13. 3월 ~

◦연간계획 수립, 지도교사 및 강사 선정 ◦단원 모집 및 교육 ◦연습 시설 구비, 악기 구입 ◦합주 연습 및 연주회 참가

’13. 4월 ~

◦참가연주단 신청 및 연주 프로그램 확정 5. 전국 학생오케스트라 ◦전국 학생오케스트라 페스티벌 개최(시도교육청 추천 2~3교) 페스티벌 개최 ◦국제교류 및 홍보(별도 계획 수립)

’13. 11월 (예정)

4. 학교별 운영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49


② 농어촌희망재단 <농어촌희망 청소년 오케스트라(KYDO)>5) 농어촌희망재단6)은 문화예술공연사업, 문화예술 기반 조성사업, 문화복지 증진사업 등을 진행 하고 있으며, 한국마사회(KRA) 경마수익금을 주 재원으로 하고 있다. <그림 Ⅱ-4> ‘농어촌희망재단’ 문화사업 내용

농어촌희망 청소년 오케스트라(Korea Young Dream Orchestra)는 농어촌 지역사회의 청소년 음악교육 지원을 통해 지역 문화 예술을 풍요롭게 하고 오케스트라의 질서, 배려, 책임과 의무 의 가치를 전파하여 시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2011년 4월 금난새 지휘자를 단장으로 하여 출범되었다. 현재 농어촌희망 청소년 오케스트라는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에서도 운영 되고 있다. 매년 농어촌 지역(군단위)에 소재지를 둔 단체(신규 또는 기존)를 대상으로 공모를 받아 선정하며, 현악, 목관, 금관, 타악기로 구성된 오케스트라 단체로 한정한다. 단원 구성은 초등학교부터 고등학생까지 30명 이상으로 다문화가정 및 차상위계층 이하 청소년이 가급적 30~50% 이상 포함되도록 권장하고 있다. 지원 내용으로는 오케스트라 직접 운영비(강사 지도비, 악보 등 제반 운영비)를 향후 3년간 5) 농어촌희망 청소년오케스트라 http://www.kydo.co.kr/ 6) 2005년 6월 22일 농식품부의 허가로 설립되어 한국마사회 특별적립금을 주재원으로 대학생 및 고교생 장학 사업, 국내외 연수사업, 농어촌 노인복지사업 및 문화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는 비영리 공익법인임 5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매년 25,000천원 이내로 지원하며, 초기년도에는 악기 등 구입비로 20,000천원을 1회 지급한다. 자금지원 외에는 운영 관련 외부전문가 방문 자문, 지원단체 대상 정기 합동연주회 등을 시행한 다. 또한 1개년차 지원 후 활동내역 등 평가하여 차년도 지원여부 결정한다. 2014년에는 신규 로 강원 평창군(평창문화예술재단), 충남 부여군(부여문화원), 경남 남해군(남해군 음악동아리연 합회), 전북 정읍시(사)한국뮤직하임협회), 전남 강진군(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전남지역본부)가 신 규로 선정되었다. 2014년도에 개최한 합동연주회는 올림픽 홀에서 개최하였으며 연습캠프는 사전에 5박 6일간 이루어졌다. 참가자는 280여명(KYDO 200명, KYDO-US 20명, KYDO-중국 10명, 유라시안 20명, KUCO(대학생관현악단) 30명)이 참가하였으며, 참가자는 20개 단체에서 10명씩 선발하고 참가 및 행사관련 사항은 단체별 대표 및 금난세 예술감독과 협의하여 추진하였다. <표 Ⅱ-20> ‘농어촌희망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현황

강원

경기

경남

경북 전북 전남 제주 충남 세종 충북 미국 중국

지역 양구군 화천군 평창군 안성시 양주시 파주시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고령군 칠곡군 남해군 정읍시 목포시 영암군 해남군 강진군 서귀포시 금산군 서천군 부여군 세종시 괴산군 단양군 충주시 캘리포니아주 상하이직할시

양구읍 화천읍 진부면 미양면 광적면 교하동 가야읍 함양읍 합천읍 고령읍 왜관읍 남해읍 수성동 산정동 삼호읍 해남읍 강진읍 서홍동 추부면 서천읍 부여읍 조치원읍 괴산읍 매포읍 수안보면 산호세 상하이

오케스트라명 양구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화천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평창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안성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양주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파주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함안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함양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합천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고령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칠곡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남해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정읍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목포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영암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해님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강진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서귀포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금산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서천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부여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세종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괴산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딘양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층주농어촌청소년오케스트라 KYDO US KYDO CHINA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51


③ 서울시립교향악단 <우리 동네 오케스트라> 우리 동네 오케스트라는 서울시립교향악단에서 2010년부터 저소득층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작한 지역밀착형 오케스트라 교육이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전․현직 단원과 전문교육강사들이 직접 오케스트라 교육을 시행하여 예술교육에서 소외된 학생들에게 클래식 악기를 배울 기회를 제공하고, 오케스트라 교육과 연주를 통해 자존감과 성취감을 키워주어 우리사회를 이끌어갈 건 전한 성인으로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시립교향악단, 서울특별시, 자치구, 운영기관의 유기적인 협업체계로 운영된다. 2010년부 터 2013년까지 4년간 시범사업으로 운영된다. 1차년도에는 구로구를 선정하여 30명 규모로 운 영하였으며, 2011년 2차년도 시범사업지구로 도봉구를 추가로 선정, 총 2개 지구 90명 운영, 2012년 3차년도 시범사업지구로 종로구, 용산구, 노원구, 금천구를 추가로 선정, 총 6개 지구 270명 운영, 2013년 4차년도 시범사업 마지막년도로 총 6개 지구 270명 운영하였다.7) 2014년 부터는 총 8개 운영기관이 선정되어‘우리 동네 오케스트라(노원문화예술회관, 송파구립 마천청 소년수련관 등)’와 ‘우리 동네 뮤지컬(강서구립 꿈꾸는 어린이도서관, (재)종로문화재단)’로 나뉘 어 교육이 진행된다. <그림 Ⅱ-5> 서울시립교향악단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운영시스템

7) 서울시립교향악단 http://www.seoulphil.or.kr/ 5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2009년에‘한국형 엘 시스테마’사업추진을 위한 기초 연구용역을 시행하였으며, 2013년 자치구 오케스트라사업에 대한 실무진 회의, 서울시 문화예술분과위원회 안건상정 및 전문가 검토를 실 시하였다. 2014년 1월에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꿈의 오케스트라’ 본부장 자문을 받기도 하였다. ④ 세종문화회관 <꿈나무 하모니 오케스트라> 세종문화회관의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시작한 꿈나무 하모니 오케스트라는 문화예술을 접하기 어려운 환경의 유소년들이 음악을 배우고 함께 어울리며,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함을 목표로 한다. 또한 저소득층 자녀가 음악적 경험을 통해 사회공동체의 일 원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할을 배우고 습득할 수 있도록 예술교육의 목적을 확장하였다. 2010년 서울지역 8곳의 지역아동센터 소속 45명 아이들과 함께 시작하였으며, ‘꿈나무하모니 오케스트라’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2012년 ‘종로 꿈나무 오케스트라’를 진행하였다. 현재는 12곳의 지역아동센터가 참여, 총 56명의 아이들이 단원으로 활동 중이다(2013년 기준).8) 한국형 엘 시스테마(모집 → 교육 → 육성 → 희망실현의 기회 제공)의 구축과 ‘꿈나무하모니 오케스트라’ 콘텐츠 개발 및 확산, ‘세종 꿈나무 하모니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개최 등 다양한 연주 활동을 하며 악기지도와 합주, 무대경험을 통한 감성개발 및 인성함양을 도모한다. 오케스트라단에서 사용하는 악기들은 국내 악기회사에서 악기를 무료로 제공하며, 악기 관리 와 보수는 세종문화회관에서 담당한다. 또한 음악을 전공한 지도 강사 4명 외에는 모두 자원봉 사자들로 구성된다. ⑤ 보건복지부 <아동정서발달지원 서비스-클래식 음악교육> 핵가족화, 한부모, 조손가정 증가 등 아동 양육 기능 저하와 학교폭력, 왕따 등 아동 건전 성 장의 저해 요소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여 보건복지부에서는 클래식 음악과 정서순화 프로그램을 접목하여 아동의 정서순화와 전인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아동정서발달지원 서비스’를 실시 하고 있다. 2008년 시작하여 음악대학, 오케스트라 등 28개 기관이 주관하고 있으며, 만 8세 이상~만 13세 이하를 대상으로 하며 현재까지 34,164명의 아동들이 서비스를 이용하였다. (2013년 기 8) 세종문화회관 http://www.sejongpac.or.kr/nanum/dreamtree/dreamtree.asp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53


준) 월 4시간 클래식 이론 및 실기와 월 4시간 정서순화 프로그램으로 예술심리치료를 진행하 고 총 8시간 수업을 진행하며, 공연 연주회 초청관람과 향상음악회 참여 및 개인별 서비스 기 록지를 제공한다. 교육 피아노, 바이올린, 플루트, 첼로, 클라리넷, 성악분야에서 수준별 맞춤형 레슨을 기본으로 유명 연주자나 교수님을 초청하는 공개레슨인 마스터클래스, 정기 발표회인 향 상음악회 등을 진행한다.

2) 국외사례 ① 베네수엘라 <엘 시스테마(El Sistema)> 1975년 베네수엘라는 세계 5위 석유 수출국으로서 유가가 급등하며 빈부의 격차가 심화되었고, 이에 따라 1인당 국민소득은 1만 달러가 넘지만 80%의 국민이 빈곤에 허덕이고 청소년들은 마약과 범죄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에 경제학자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José Antonio Abreu)는 음악을 위한 사회운동(social action for music)의 이념으로서, 엘 시스테마의 전신이 된 후안 호세 란다에타 국립 청소년오케스트라단을 창단하였다. 엘 시테마는 사회적 기회를 박탈당한 사람들을 통합하고 사회에 참여 하도록 하는 문화접근권의 민주화를 이루고자 한 것이다. 이후 베네수엘라 정부는 이 오케스트라에 대한 지지를 법령화시켜, 1979년 ‘엘 시스테마’ 재단이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각 마을 단위의 뉴클레오(Núcleo)라는 실행주체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각 뉴클레오는 시몬 볼리바르 음악재단(Fundación Musical Simón Bolívar, Fundamusical)이 총괄하고 있다. 엘 시스테마는 오케스트라를 매개로 지역의 청소년을 모집하여 음악가 양성을 교육의 기본요 소로 오케스트라 교육을 시작하면서, 혼자 배우는 연주자 교육에서 오는 좌절과 고립감을 공동 연주를 통해 상호 소통을 이루면서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내었다. 이러한 효과로 1977년 에버딘 스코틀랜드 국제 경연에 참가하여 기대 밖의 연주와 국제적 호응을 얻게 되었고 이후 베네수엘 라 국가적 지원과 국민적 관심을 받게 되었다. 지금의 베네수엘라 엘 시스테마를 가능하게 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독일과 유럽에서 교육 받거나 연주 경험이 있는 전문 연주자가 프로그램 매니저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러한 노력들 때문에 엘 시스테마는 인종적·경제적·사회적으로 분리된 계급을 초월한 사계적인 성공 사례로 자리 잡게 되었다. 2010년 베네수엘라 내에서 엘 시스테마와 연계 지역교육센터 (뉴 클레오) 221개, 청소년 오케스트라 145개, 어린이 오케스트라 156개, 취학 전 아동 오케스 트라 83개, 입문단계 유아 오케스트라 112개, 체임버 음악 앙상블 363개, 교육담당자 6천여명, 장애아 특수 프로그램 20개, 교육생 297,933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후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 마 사례를 모범으로 시스테마 스코틀랜드, 뉴욕 하모니 프로그램, 엘 시스테마 USA가 진행되고 있다.9) 5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콜롬비아 <바투타(La Fundación Nacional Batuta)> 바투타(Batuta)는 엘 시스테마를 모델로 하며 1991년 콜롬비아 정부에 의해 Batuta 국가재단 이 설립하였고, 어린이와 청소년의 권리를 존중하고 음악 교육을 통해 여러 가지 범죄나 사회적 문제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아이들뿐만 아니라 가족과 지역 사회의 통합을 도모하는 데에 목적 이 있다. 운영구조는 중심부에 국립 재단이 있고 5개의 지역 단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지역 단체에서 각각의 상황과 특성에 맞게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아동프로그램과 청소년프로그램으로 나누어지며, 아동프로그램은 악기에 대해 기본적 지식을 배우게 되고 앙상블 수업을 통해 그룹 교육에 익숙해지도록 하며 청소년 프로그램은 각자 맡은 악 기와 오케스트라 내에서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고 다양한 악곡에 필요한 지식과 음악적 해석력을 계발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음악도서관을 만들어 교사 및 학생들에게 악보, 음반, 교수법 등 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며, 악기를 제조하고 수리하는 센터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③ 캐나다 <시스테마 뉴브런즈윅 청소년 오케스트라(Sistema New Brunswick)> 2009년, 뉴 브런즈윅 청소년 오케스트라(NBYO)는 엘 시스테마와의 제휴로 남미 국가 프로 그램에 대한 실질적 조사를 근간으로 한 1년간 시범사업 실행 후 최종적으로 4개년에 걸친 확 장 계획을 수립하였다. 주정부의 예산은 50%비중을 차지하며 나머지는 기업, 커뮤니티 리더, 자선단체 등을 대상으로 한 캠페인으로 자금을 마련한다. 현재 총 4개의 뉴클레오(Moncton, Saint John, Richibucto, Tobique First Natio)를 운영하며 총 500여명의 아동ㆍ청소년들이 참 여하고 있다. 주 5회 3시간 집중교육을 실시하여 연주 실력의 향상과 자존감 향상을 핵심으로 한다. 또한 종이악기 수업으로 이제 막 음악을 접하는 아이들에게 악기를 존중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저렴 한 비용으로 가르치며, Richibucto지역의 경우 남부 불어학군과 협력 운영하여 불어교육을 진행 하기도 한다. ④ 미국 <하모니(Harmony)> 미국은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 연구원들을 중심으로 뉴욕, 마이애미, 로스앤젤레스의 시 단위의 하모니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뉴욕시의 하모니 프로그램은 2003년 정부에서 시범사업으 로서 시작하여, 2008년 뉴욕시립대학과의 협력관계를 맺으며 현재의 운영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엘 시스테마를 모태로 하여 집중교육, 앙상블 연주, 티칭 훈련 등을 중점으로 하며, 대학과의 9) 백령(2012), CIPP모델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교육효과 연구. 문화예술경영학 연구, 5(1). 31-32.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55


파트너십으로 자원을 조달하며 기타 기관과의 협력으로 악기, 장소, 교육, 자원, 인력조달 등을 지원받는다. 악기연주 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교수법을 시도하는데, 노래, 손뼉, 종이 악기 등을 사용하여 협동의 즐거움과 하모니 창조의 교육 효과를 내고자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외부 평가자를 도입하여 객관적인 시각의 평가와 계획수립을 도모한다. ⑤ 스코틀랜드 <시스테마 스코틀랜드 –빅 노이즈(Big Noise)> 2007년 스코틀랜드 지역 중에서도 생활수준이 하위 5%에 해당하는 매우 낙후된 지역인 래플 록(Raploch)에 시스테마 스코틀랜드를 설립하고 오케스트라단인 ‘빅 노이즈(Big Noise)’를 창설 하였다. 8인으로 구성된 이사회(Board)에는 Creative Scotland(전 스코틀랜드 예술위원회), BC 스코틀랜드 등 방송관련인들, 연주자이자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는 음악가, 예술교육 전문가가 포함한다. 특히, BBC 스코틀랜드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여 아이들에게 동 기를 부여하고,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래플록 지역 외에도 2013년에는 Govanhill, 2015년 Aberdeen’s Torry지역까지 확장 예정이다. 2010년에는 지역사회 참여를 본격화하는 의미로, 참여 아동의 부모들을 중심으로 ‘성인 오케 스트라’를 창단하여 부모들이 아이들이 받는 교육을 직접 경험하여,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이 해를 넓힌다. 또한 엘 시스테마의 ‘per-teaching(또래 학습)’을 확대하여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per-mentoring(또래 멘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에게 강사로서의 권한을 부여해서 동반 발전을 유도한다. ⑥ 영국 <인 하모니·시스테마 잉글랜드 (In Harmony·Sistema England)> 2007년 영국의 첼리스트인 Julian Lloyd Webber를 비롯한 여러 음악가들이 중심이 되어 빈 곤 지역 아이들의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 시작하였다. 정부의 지원으로 약 2년 동안은 운영 계 획을 수립하는 준비 기간을 가졌고 2009년 본격적으로 프로젝트가 운영되었다. 2009년 3개에서 2012년 6개 지역으로 확장하였으며 선정기준은 영국의 빈곤 지역 및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 는 환경이며, 총 6개 지역이 선정되어 교육지원을 하고 있다(Lambeth, Leeds, Liverpool, Newscastle Gateshead, Nottingham, Telford and Stoke-on-Trent). 실제 주관은 각 지역의 오케스트라, 예술단체에서 운영하며 Leeds의 경우 오페라 회사를 중 심으로 Windmill Primary School에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며 현재 1-6학년까지 약 30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5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3) 사례분석의 시사점 사례분석을 보면 국내 오케스트라 교육 사업의 교류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국내 오케스트라 사업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엘 시스테마의 기본 철학을 바탕으로 지역 기반의 파트너십을 형성 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부처 별, 지역 별, 실행 주체 별로 파편화되어 진행되고 있으며, 공 공 영역에서도 사업 추진에 있어 서울시립교향악단 <우리 동네 오케스트라>가 2014년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의 자문을 받은 사례 외에는 상호 협조나 교류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민 간 영역에서는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어 사업 현황이나 성과에 대한 구체적 자 료가 없어 파악하기 어려웠다. 콜롬비아의 바투타 홈페이지를 보면 실제 교육에 쓰이는 레퍼토 리나 연간 운영 보고 등에 관한 자료들을 공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외사례에서 공교육과의 연계가 성공의 주요 요인으로 거론되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의 공공 및 민간사업 간의 정보 공 유와 공동 교수법과 지도안에 대한 교류 가능한 플랫폼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부분의 오케스트라 교육 사업이 자체적으로 재원 조성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보인다. 공공 예술단체 등에서 운영하는 재정구조를 보면 거의 대부분이 공공의 지원에 의지하고 있으 며 아직 자생적으로 교육을 지속할 수 있는 재원 마련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꿈의 오케스트 라는 지역 거점들에게 자체 예산 비율을 연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으나 아직은 자체 조달에 관한 성과는 미미하다. 캐나다의 NBYO의 경우 50%만 주정부 예산이며, 미국의 하모니는 대학과의 파트너십으로 자원 조달을 하는 등의 해외 사례를 보면 국가 중심으로 추진 하더라도 지속가능성을 위해 국제 지원 기금이나 민간 재원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오케스트라 교육 대부분 사업이 실행의 성과와 영향을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미 비한 상황이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의 경우 시행단계에서의 기초연구용역을 시행하였으나, 성과 평가에 대한 부분은 확인되지 않았다.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및 운영의 질적 관리가 필요하며 따라서 평가도구 개발과 시사점에 대한 환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표 Ⅱ-21> 주요 국내 오케스트라 교육 사업 비교(2013년 기준)10) 구분

꿈의 오케스트라

학생 오케스트라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서울특별시

대상

초등학생

초‧중‧고

초등학생

예산

4,600백만원 → ‘14년 4,900백만원

-

860백만원 → ‘14년 863백만원

10) 서울특별시 ‘2014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운영 추진계획’ 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이해|57


구분

꿈의 오케스트라

학생 오케스트라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규모 (서울)

전국 30개 거점기관 → ‘14년 32개 기관 (서울지역 2개 기관 : 성동 도시 관리공단, 성북문화재단)

전국 400개교 (서울시: 34개교 초ㆍ중ㆍ고 → ‘14년 : 40개소 지원) ※ ‘13년 신규사업 자생적 오케스트라 지원 (전국 550개소, 서울 50개소, 각 5백 만원 운영비)

6개 자치구 (구로, 도봉, 노원, 용산, 금천, 종로)

지원금

거점기관 당 90백만원 내외(국 가:단체=9:1,8:2매칭사업)

신규지정 학교 80백만원 재지정 학교 20백만원

학생 30명 기준 90백만원 (학생 1인당 3백2십만원)

인원

1개 거점기관 당 40명 이상(평 균 64명)

1 개교 당 30~50명

270명(구로90, 도봉60, 노원, 용산,금천,종로 각 30명)

운영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 사 업단구성

서울대학교음악대학 위탁 (‘13년 지정)

서울시립교향악단 위탁 → ‘14년: 시 직접시행 검토

지원내용

지역 거점기관 선정ㆍ운영 - 악기대여 및 음악강사 지원 - 방학캠프 실시 - 통합정기연주회 지원 - 전문강사 선발 국ㆍ내외연수 (교재개발, 현장점검ㆍ평가)

-

-

5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악기대여 및 음악강사 지원 음악강사 지원 국ㆍ내외 교사연수 컨설팅 지원 및 자료개발

악기대여 및 음악강사 지원 방학캠프 실시 교사연수실시 교안개발 지원 통합정기연주회 지원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선행 연구 검토 및 분석 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효과 평가 모형 설계 3. 사업 효과성 평가 지표 개발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선행 연구 검토 및 분석 1) 국외연구 (1) 트리시아 탈수탈의 <삶의 변화-두다멜, 엘 시스테마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음악의 힘> 트리시아 탄수탈의 연구는 베네수엘라 엘 시스테마를 음악 평론가의 입장에서 장기간 현장 관찰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엘 시스테마의 원칙과 교육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연구에서 소개하는 베네수엘라 엘 시스테마의 운영 원칙은 함께하는 합주로 공동체와의 결합, 취약계층 어린이들에게 무료 학습 제공, 공연은 학습과정과 통합하는 핵심 요소, 연주 학습은 이론기반의 그러나 현장 활용도가 높은 워크숍, 단원들은 함께하면서 서로 서로에게 연주를 위 한 지원자 (서로를 가르치고 배우는 관계 형성), 오케스트라 합주를 통해 서로 부족하거나 취약 한 점을 개선하는 과정, 최상의 연주를 위한 노력, 오케스트라 참여를 통한 자존감, 존엄성(그들 이 명칭 할 수 없을 지라도)을 느낄 수 있게 기회, 열악한 지역일수록 높은 음악적 수월성 지향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세-3세부터 시작하는 음악 교육을 바탕으로 꿈의 오케스트라를 운영 하고 있다. (2) Keith Solomon Solution from Venesuella <American Harmony and Scotland Big Noise> 연구에서는 청소년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도입된 음악교육인 미국의 하모니와 스코트랜드 빅 노이즈의 사회적 효과와 목표를 달성한 음악교육(합창, 합주, 밴드, 오케스트라)의 여러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연구에 소개하는 미국의 하모니와 스코틀랜드의 빅 노이즈 사례는 음악적 수월 성은 물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개인의 변화와 성장에 초점을 두고 있다. 미국은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 연구원들을 중심으로 뉴욕, 마이애미, 로스앤젤레스의 시간 위의 하모니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의 하모니 프로그램은 음악을 통한 삶의 변화를 미 션으로, 젊은 음악인들이 매일 질 높은 음악교육을 소외 계층 어린이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프로그램은 양질의 음악 강사 양성과 매일 렛슨을 통한 학생의 음악적 역량 성장, 다양 한 사회 문화 행사에 참여하는 기회를 통해 학생들의 자존감과 성취감을 향상이 목적이다. 2010년 시작된 스코틀랜드의 빅노이즈는 음악을 통한 어린이 삶의 변화, 지역의 자율권 강화,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61


미래 전문 오케스트라로 성장의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 2013년 기준 300명의 어린이들 이 참여하고 있으며 BBC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 (3) 체피 보르사치니(지음) 김희경(역) <엘 시스테마 꿈을 연주하다> 빈민가 어린이들에게 미래를 약속한 베네수엘라의 음악 사회운동인 엘 시스테마를 소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음악을 모든 사람이 누려야 할 권리로 인식하고 음악으로 삶이 변화한 베 네수엘라의 다양한 사례를 함께 소개하고 있다. 꿈의 오케스트라의 기본구성과 전략의 모델인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는 1975년 베네수엘 라의 경제학자이자 음악가였던 호세 아브레우의 ‘음악을 위한 사회 운동’(social action for music)의 이념으로 시작되었으며, 오케스트라를 매개로 지역에서 사회계급을 초월한 공동체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엘 시스테마는 1977년 에버딘 스코틀랜드 국제 경연에서 국제적 호 응을 얻게 되었으며, 베네수엘라 국가적 지원과 국민적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엘 시스테마의 경우 오케스트라 활동 내에서 규율, 질서, 인내, 존중, 사랑을 학습하면서 자기 표현을 통해 자아 존중감을 시작으로 자의식을 심어주고 부지런히 미래를 설계하여 문화적인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최상의 목표를 갖게 하는 교육으로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여 최고의 음악 가를 배출하고 있다.

6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2) 국내연구 (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소외 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단위사업 평가 연구>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지역사회형 오케스트라 교육 지원 사업 꿈의 오케스트라를 추진하고 있다. 2011년 평가에서는 지역 사회형 오케스트라 교육 및 지역 네트워크 지원(지역재단 연속 지원 사업 6개 재단)및 우산형 지원체계 구축 등 현황을 분석하고 있다(신규 3개 단체). 2011년 소외 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단위사업 평가 연구에서는 9개 지역 아동ㆍ청 소년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사업적 영역, 문화예술영역, 사회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업적 영역의 경우 사업 계획과 정책성 연관성, 사업성과 및 환류 체계를 평가하였고, 문화 예술 영역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의 우수성과 독창성, 교육 인력 및 프로그램 운영 환경을 평가한 다. 사회적 영역에서는 학습대상자의 관리 및 만족도, 지역 기반 파트너십 구축 및 확산을 평가 한다. 이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여섯 개의 세부 영역의 결과를 5점 척도로 환산하여 방사형 차트로 도 식화하여 분석하였으며, 막대그래프를 통해 사업적, 사회적 영역의 결과(50점 척도), 문화예술교육 적 결과(100점 척도)로 방사형 차트와 각 사업 기관의 종합적 결과 수준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평가(효과 측정) 2차 연구> 꿈의 오케스트라 네트워크 지원 본부가 진행한 2차 연구로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교육 효 과 파악을 위한 평가 모형과 지표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사업 운영과 교육 효 과 평가를 통해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사전 과정, 사후 관리 등의 진단 지표와 모델을 개발 하고 이를 적용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1년에 참여한 8개의 재단과 1개의 악단, 총 9개의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CIPP 모델을 적용하여 개별 지표를 개발하였고, 현장 모니터링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한 상황 파악하였다. 또한 기관의 방문을 통해 목표 달성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중장기적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내용과 진행을 설계하였다.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63


(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 기관 평가 컨설팅 운영> 지역 별 거점 기관의 성과를 진단하고 평가하여 지역 거점 기관의 운영 역량 강화를 위한 개 선 방안을 도출하였고, 운영 모델의 정립과 중장기 발전 전략의 제언하였다. 3년차, 2년차, 1년차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30여개의 거점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하였으며, 서 면 진단, 현장 컨설팅, 진단보고서와 워크숍을 통한 평가를 중심으로 꿈의 오케스트라를 평가하 였다. 평가지표는 교육운영실적, 행정 운영, 지속가능성으로 구분되어 설계되었으며, 각각의 평가 지 표는 아래 2013년 평가지표와 같다. <표 Ⅲ-1> 2013년 평가 지표 교육 운영 실적 -

교육 성취도 프로그램 적정성 오케스트라 구성의 적절성 강사진 확보율 단원 유지율

6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행정 운영 -

사업 전문 예산 단원 교육 악기 사업 아동

수행 조직의 적절성 인력 선발 과정의 적정성 운영의 적정성 구성 비율 공간 확보율 확보율 수행인력의 팀워크와 협력 관리와 학부모 지원

지속가능성 -

중장기 발전 계획의 적절성 현재재원 조달율 미래 지원 확보율 사업 수행 조직의 지속성 외부 후원 조직의 지속성 사회적 가치 창출을 통한 기여도


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효과 평가 모형 설계 1) 평가 모형 설계 개요 평가는 체계적인 기준과 지표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운영 기획, 실행, 결과의 과정과 성과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이는 객관적 지표로 현황을 파악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것의 여부 확인과 검토, 문제점 도출 및 해결 방안 모색 등의 활동으로 이해된다. 의미 있는 평가를 위해서는 사 전의 평가 목적과 과정 및 방법, 결과활용의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기대되는 평 가 활용을 위해 평가의 틀 구성, 모델과 지표 개발의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목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평가 목표를 선정하고, 평가 방법을 선정하며 평가 실행과정에서의 조정과 보완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하지만 꿈의 오케스트라의 경우 사업의 운영 철학과 체 계, 관리 및 교육방식 등의 총체적 일관성이 부재한 상황으로 정량, 정성평가를 통한 사업 효과 를 먼저 측정하고 그 후 사업 목표 미션과 꿈의 오케스트라 정책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을 설계했다. <그림 Ⅲ-1> 꿈의 오케스트라 평가 모형 설계 구조도

본 연구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4년 10월 8일부터 10월 31일까 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의 목적은 단원과 가족, 교육인력(음악감독ㆍ예술강사), 행정인력(행정담당자ㆍ코디네이터)과 지역사회 등 각기 다른 형태로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 여하는 이들이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과를 무엇이라 인식하는지, 그리고 그 효과를 어떻게 체감 하는지, 또한 이들이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사업에 대해 갖고 있는 요구와 전망 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에 있어서 기본적인 전제가 되는 것은 단원, 행정인력 및 교육인 력인 개인의 역량이 함양되고 이를 통해 공동체의 협업의식이 높아져서 가족과 친구의 소통과 유대감이 향상되고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결과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평가를 위해서 CIPP 평가 모델이 사용되었다.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65


<그림 Ⅲ-2>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예술의 이해

설문문항 개발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평가모형 중 의사결정관점을 기반으로 하는 CIPP모형을 토대로 평가기준과 평가항목, 평가요소,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지표를 응답자가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설문문항으로 제시하였다. 다음 <그림 Ⅲ-3>은 CIPP 평가모형을 토대로 평 가영역, 평가요소,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지표에서 설문문항을 도출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Ⅲ-3> CIPP 모형을 토대로 한 설문문항 개발 과정

평가모형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측정을 위해 의사결정관점을 기반으로 하는 CIPP 모형 채택 상황평가, 투입평가, 과정평가, 성과평가 실시

⇩ 평가영역

CIPP 평가모형에 따라 총 12개의 평가영역 도출

⇩ 평가요소

12개의 평가영역에서 총 23개의 평가요소 도출 상황(5개), 투입(10개), 과정(5개), 성과(3개)

⇩ 평가지표

25개의 평가요소에서 총 44개의 평가지표 도출 상황(8개), 투입(18개), 과정(13개), 성과(5개)

⇩ 전문가 협의회

평가지표의 연구목적과의 부합성 및 활용성 점검

⇩ 설문문항 개발

6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응답자에 따라 5유형의 설문지 개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이나 교육기관운영평가를 위해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CIPP 평가모형을 토대로 CIPP 모형을 토대로 한 설문문항 개발 과정에서와 같이 평가모형에서 평가영역, 평가요 소,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되는 평가는 꿈의 오케스트라의 목표 달성 정도를 비롯하여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발전 방안 모색의 틀을 제공한다. 이번 연구를 위해 활용된 교육 효과 평가 모델인 CIPP 모델은 장기적으로 사업의 효과를 비롯하여 영향, 지속성, 유배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CIPP 모델의 경우 연차별 상이한 목표를 중심으로 각 기관별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기획 및 현황을 검토하여 사업 취지를 이해하고 연차별 장착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지표를 개발하였다. CIPP 평가 지표 개발은 현장 모니터링 등을 통한 현재 상황 파악, 목표 달성 정도 파악, 목표 달성을 위한 내용과 진행 설계를 근간으로 하며, 투입과 산출, 결과의 논리적 모델 과 CIPP 모델을 결합하여 교육 효과를 평가한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기획과 실행의 과정을 아래 <표 Ⅲ-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Ⅲ-2> CIPP를 활용한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분석 개념 모형 투입

교육기회 (인력, 고유의 방법과 내용)

효과

- 사업 안정화 및 교육 프로그램 다각화 - 지역사회의 인적·물 적 협력지원체계 구 축을 통한 기관 자립 기반 구축

과정

- 지역 현황에 맞는 엘 시스테마 교수법 및 커리큘럼 개발 - 지역 문화자원 발 굴, 네트워킹 및 협 력체계 구축 기반 마련

학습 캠프 공연

결과 (1기)

성과

- 사업 참여자 역량강 화 및 질적 성장 - 거점기관별 특화된 프로그램 개발‧운영

영향

엘 시스테마 교육의 선 도기관 및 모델로서, 지역사회 안착 및 지역 자원에 기반을 둔 기관 자립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67


본 연구에서 CIPP 모형을 채택한 이유는 꿈의 오케스트라의 목표, 자원, 교육과정, 결과의 문 제점과 개선점을 보다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이다. 의사결정지향 접근법인 CIPP 모형은 관리자가 직면하는 네 측면의 의사결정 평가, 즉 ‘상황(Context), 투입(Input), 과정(Process), 성 과(Product)’를 가리키는 것이다. CIPP는 네 종류의 평가의 영문 앞 글자를 딴 것이다. CIPP 유 형은 (1) 상황평가: 계획에 관한 의사결정, (2) 투입평가: 구조화에 관한 의사결정, (3) 과정평 가: 실행에 관한 의사결정, (4) 결과평가: 피드백에 관한 의사결정. 여기서 CIPP의 각 측면은 순차적인 단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교육과정 평가의 네 가지 측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네 측면은 서로 연계되고 상호 연합하여 다른 측면에 상호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CIPP의 평가항목과 내용을 정리하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평가모형 의 하위영역과 평가요소를 제안하면 <표 Ⅲ-3>와 같다. <표 Ⅲ-3>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평가영역 및 요소 평가영역

상황 평가

1. 사회취약계층 대상 예술향유 교육의 목표 2. 교육기관의 운영 능력 1. 선발기준 및 대상 선발방법

평가요소 1.1 꿈의 오케스트라사업의 사회적 요구 이해 1.2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목표에 대한 이해 1.3 사회취약계층의 특성 파악 2.1 프로그램의 비전과 발전 전략 2.2 운영 조직의 전문성 1.1 선발 기준 및 방법의 적절성 2.1 교육목표의 적절성

2. 교육프로그램 계획

2.2 교육내용의 적절성 2.3 교육방법의 적절성

투입 평가

3. 인적 자원

3.1 강사의 전문성 3.2 지원인력 확보 4.1 교육시설 확보

4. 물적 자원 및 재정

4.2 악기 및 자료 확보 4.3 지역문화예술 자원 확보 4.4 재정 확보

1. 교육과정 운영 과정 평가

2. 교수학습 방법 3. 자원 활용

성과 평가

1. 교육효과 2. 만족도

6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1.1 프로그램 운영의 충실성 2.1 교수학습 방법의 적절성 2.2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성 3.1 인적자원 활용의 적절성 3.2 물적자원 활용의 적절성 1.1 결과물 평가 1.2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2.1 학습자 만족도 3.1 평가결과 환류


2)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 평가 모형 설계 (1) CIPP 모형을 활용한 효과 평가 모형 설계1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를 위해 CIPP 모형을 채택한 이유는 첫째, CIPP 모형은 과정과 결과에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이 적절한가를 평가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둘째, 꿈의 오케스 트라 교육에 대한 개인 혹은 사회의 요구가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수렴하는데 적합하 기 때문이다. 셋째, CIPP 모형이 학습자와 교육프로그램이 적용되는 상황을 전제로 효용성을 평 가하고 그에 따른 대안 결정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넷째, CIPP 평가는 대개 새로운 교육과정 설 립보다는 이미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나 교육과정의 효율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CIPP 즉, 상황, 투입, 과정, 성과에 대한 평가는 각 단계에서 초기 계획과 목표의 성취 정도, 그리고 각 단계별 연계성 점검을 통해 프로그램의 목표와 방향 설정의 문제점과 한계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CIPP 모형의 네 측면, 즉 상황, 투입, 과정, 성과평가를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 관련시켜보 면 다음과 같다(Stufflebeam, 1985). 먼저, 상황평가는 계획에 대한 결정과 관련되는데, 계획 단 계에서 추구할 목표를 선정하고 조성하는 결정을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자면, 사회취약계층 예 술향유교육으로서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 관련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인 식, 학습자의 요구, 관련 집단의 요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의지, 현재의 학 습 환경 등이 해당된다. 이 측면은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의 목적을 무엇으로 인식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에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투입평가는 구조에 대한 결정과 관련된 것으로 설정된 목표와 사정된 요구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을 구체화하기 위한 결정을 위한 것이다. 투입평가는 운영되고 있는 자원 또는 자원 자체의 활용방법 또는 실행과정상 고려해야 할 가용자원들을 탐색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대상자의 적절성, 인적자원의 적절성, 물적 자원의 확보, 구체적인 교육계획, 예산 편성의 적절성 등이다. 과정평가는 실행에 대한 결정과 관련되는데, 설계대로 실행하기 위한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 해, 즉 조직을 위한 수행과정 중에 어떤 활동을 어떻게 실행하고 어떤 자원을 언제 어디에 어떻 게 활용할 것인가 등을 결정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 교육과정을 계획대로 실행해 나가는 것을 돕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얻거나 당초 계획이 부적절한 것으로 드러났을 때 필요에 따라 수정 하기 위한 평가가 과정평가이다. 예를 들면, 실행되고 있는 계획에 대한 지속적 점검, 교육과정 11) 이 부분의 내용은 CIPP 평가모형 개발과 관련한 김성혜(2012)의 연구 중 일부를 본 연구에 맞게 차용한 것임.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69


의 운영방법 및 절차, 일정 및 계획준수, 진행 원활도, 가용자원 활용, 당초 목적과의 비교 등이 해당된다. 성과평가는 순환에 대한 결정과 관련되는데, 교육과정의 결과나 성과를 측정하거나 판단하며, 참가집단의 요구 충족도를 확인하여 교육과정의 성공여부를 평가한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효과성, 지속가능성, 예산사용의 적정성 등이 이에 해당된다.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검증에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할 경우, 상황평가에서는 오늘날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사회취약계층의 예술교육과 예술향유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꿈의 오케스트라 교 육의 목표와 방향에 대한 관심과 내용을 현재 운영 중인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수렴할 수 있 는 방법을 찾도록 도와야 한다. 투입평가와 과정평가를 통해서는 앞서 제시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단계별 교육목표, 내용, 방법의 실효성 있는 실행방법과 내용을 점검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성과평가에서는 예술교육을 통한 개인의 삶의 질 제고, 사회통합과 같은 꿈의 오 케스트라 교육의 성과, 그리고 현행 교육과정의 지속성 및 적절성 여부 등을 총괄적으로 평가하 고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7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2) 효과성 평가 모형 개발 <그림 Ⅲ-4>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평가모형 상황(Context)

  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필요성 운영의지 및 목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요구분석

투입(Input)      

선발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예산편성 교육계획수립 교육체계 구성

과정(Process)

 

성과(Product)

교육과정운영 자원 활용

 

↓ 총

교육효과 지속가능성

↓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의사결정

※ 출처: 이경진 외(2011). p. 152 수정제시

연구에서 개발한 의사결정 관점을 기반으로 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평가모형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평가모형에서와 같이 상황평가가 CIPP의 다른 단계들 즉, 투입평가, 과정 평가, 성과평가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에서 상황평가의 결과가 다른 평가영역들과 상호 밀접하게 지속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사회적, 교육적 필요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꿈의 오케스트라 교 육의 목표가 무엇인지에 따라 대상자 선발기준이나 선발방법, 인적·물적 자원 투입, 교육계획 수 립,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효과 검증 방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기대나 요구는 궁극적으로 다음 단계 의 투입, 과정, 성과의 근간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문항을 위해 개발한 평가지표는 CIPP 평가모형을 따르기 때문에 다 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전체적인 상황과 환경적인 여건, 학습자의 요구를 중시하여 꿈의 오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71


케스트라 교육의 사회적 필요성과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다차원적으로 구분 하여 사회·문화적 및 교육적 맥락을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파악을 위한 평가지표를 구성하는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상황평 가에는 교육의 필요성, 운영의지, 학습자의 인식 및 의지가, 투입평가에는 선발, 인적·물적 자원, 예산편성, 교육계획 수립, 교육체계구성이, 과정평가에는 교육과정운영과 자원 활용이, 마지막 성과평가에는 교육효과, 만족도, 지속가능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CIPP 모형에 의거하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영역과 평가 요소를 제안하고 본 연구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렇지만 CIPP 모형은 실천적 차원을 중시한 평가모형이란 점에서 일정 기간 이상의 평가와 적용이 지속 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의 한계와 문제점 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바탕으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이 연령별, 수준별 교육목표와 내용, 방 법, 교과과정 설립 연구 및 실천과 병행해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CIPP 모형에서 제시된 평가지표가 현행 꿈의 오케스트라 프로그램 평가모형으로 활용되기 위 해서는 우선 평가기준이 되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목적, 성격 및 교육 내용, 교육 방법, 평 가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연구를 통해서는 이상적인 차원의 이론적 기준 뿐 아니라 교육이 실제 이루어지는 상황과 조건을 고려한 실천적인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CIPP 모형에 의거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평가지표가 평가 상을 특성을 이해하지 못 한 채, 교육프로그램이나 기관에 대한 평가로서 단일하게 다루어진다면 다소간의 위험이 있다. 그 이유는 교육프로그램 평가시에는 표준화된 지표에 의한 객관화된 평가 못지않게 지속관찰이 나 인터뷰 등과 같은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모니터링을 대신하여 관계자와의 개별 혹은 집단면담 등을 통해 CIPP 평가모형과 병행 가능한 질적 평가(현장 정성평가)를 실시하여 지표를 토대로 이루어지는 양적 평가(정량 평가)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7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3. 사업 효과성 평가 지표 개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효과성 검증, 즉 평가의 목적은 현재 시행되는 교육과정이나 성과에 대한 판단이 아니라 교육 수준을 향상시키고 개선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 라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이 어떤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 교육을 위해 어떤 요인들 이 투입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과정을 통해 교육이 실행되었는지, 그리고 교육의 결과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이 평가지표에 수렴되어야 할 것이다.

1) 상황평가 – 목적 우선 상황평가는 교육과정 평가가 필요하게 된 바로 그 시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으로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계획 단계에서 추구할 목표를 선정하고 조성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상황평가는 전체적인 상황과 환경적 여건을 파악하는 평가, 학습자의 요구가 무엇인지, 이를 위해 어떤 목적과 성과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단계의 목적은 평가를 통해서 해결해야할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을 위한 새로운 지표 또는 목적을 설정 하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실은 당초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이 목 표했던 바가 현재 교육과정에서 어느 정도 성취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를 배제해서는 안 된다 는 것과 사회·문화적 맥락과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상관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황평 가는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요구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과정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목표에 따라 실제로 교육에 투입되는 인적, 심리적, 사회적, 정서적, 물리적 요인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상황평가는 큰 그림에서 보다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맥락에 대한 이해로 이동해야 할 것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목표를 토대로 하여 꿈의 오 케스트라 교육이 지향하는 바가 단순히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 기회 제공이냐, 음악활동에 서 성취를 경험함으로써 개인의 자아효능감과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냐, 혹은 협업을 통해 개인 과 공동체 간의 관계를 인식하는 공동체 의식 함양이냐에 따라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서의 상황평가 뿐 아니라 CIPP의 요소는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상 황평가의 평가영역, 평가요소, 평가지표는 다음의 <표 Ⅲ-4> 상황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 와 같다.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73


<표 Ⅲ-4> 상황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 평가영역

평가요소 1.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사회적 요구 이해

1.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 교육의 목표

1.2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 목표에 대한 이해

평가지표 1.1.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 파악 여부 -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최근 예술교육의 흐름과 사회적 요구를 파악하고 있는가 1.1.2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을 통한 사회통합성 인식 여부 -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교육 및 사회통합 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1.2.1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의 개념에 대한 이해 및 교육의 필요성 인식 -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인 꿈의 오케스트라에 대한 개념 및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가 1.3.1 학습자 요구 파악 - 예술향유교육에 대한 사회취약계층의 요구를 파악하고 있는가

1.3 사회취약계층의 특성 파악

1.3.2 학습자 특성 파악 - 사회취약계층의 정의 및 환경적 특성 등을 이해하고 있는가 1.3.3 학습자의 문화적 배경 파악 - 해당 지역 학습자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있는가

2. 교육기관의 운영 능력

2.1 프로그램의 비전과 발전 전략

2.1.1 프로그램의 비전과 발전 전략 공유 -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과 관련한 기관의 비전과 발전 전략 을 강사 및 학부모와 공유하고 있는가

2.2 운영 조직의 전문성

2.2.1 운영 조직의 체계성 및 전문성 -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조 직을 갖추고 있는가

(1) 교육의 필요성 ① 사회·문화적 필요성 누구를 대상으로 하느냐, 그리고 그 내용이 무엇이냐, 사회와 시대가 처한 상황과 요구가 무 엇이냐에 따라서 교육의 목표와 성격은 달라진다. 인성교육이나 문화다양성, 사회통합 등에 대 한 최근 우리 사회의 요구와 관심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런 점에 서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과성 평가는 기존의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목표 달성과 동시에 사회 통합, 인간본연의 가치 등을 중시하는 사회와 문화의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교육의 목표와 관심 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해서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의 교육목표와 방향을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비단 꿈의 오케 스트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교육부에서 지원하는 학교 오케스트라 등 2010년 이후 사회

7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취약계층을 위한 오케스트라 교육이 붐처럼 일어나는 이유가 우리 사회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El sistema의 ‘성과’를 우리 사회에 이식하고자 하는 사회 전반 의 바람에서 비롯된 것인지, 혹은 단순히 정책적인 차원의 지원과 관심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서 는 사회·문화적 맥락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세밀하게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다. ②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이해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이해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대상자를 선정하고 이 프로그램의 특성을 규명하는 기초가 된다. 요컨대 환경적 요인이나 조건으로 인해 형성된 사회취약계층의 내재적 특성과 외재적 환경 특성에 대한 이해에 따라 선발, 교육내용, 방법, 목표에 차이가 생길 수 있 다. 그런데 실제 교육현장에서 수요자와 운영자의 요구는 사회·문화적 조건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회취약계층의 특성을 어떻게 정의하고 이해하는지에 대한 점검은 CIPP에서 이후의 평가항목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다. ③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에 대한 이해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대상과 목표가 규명되면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에서 는 교육의 목표와 사회취약계층을 어떻게 연계시킬 것인가에 대해 고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교육운영주체가 설정한 교육목표에 대한 점검, 둘째,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여부, 셋째, 목표와 대상에 적합한 교육을 시행하는지에 대한 점검항목이 포함되어 야 한다. 따라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차원에서 가감 없 이 분명하게 기술되어야 한다. 즉 진술적 목표 외에 기대하는 구체적인 목적들이 무엇인지에 대 해서 구체적 성취 수준들이 명시되어야 한다. ④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 성취수준 당초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목적과 기대하는 바를 조사한 후, 당초의 목적과 그에 따른 성 취수준들이 현재는 어느 정도나 달성 되고 있는 것인지를 검증할 수 있는 실질적인 데이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꿈의 오케스트라 단원의 음악과 관련한 성취, 학업성실도, 책임의식, 약속 지키기 등을 알아보는 것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서 목표했던 내용들, 즉 ‘효과성’을 파악할 수 있는 어떤 증거들을 포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나 교수자와의 면담은 현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성취상황을 진단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이때 학습자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프로그램을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75


계획하고 수행하고 있는 교육의 주체들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는 당초 프로그램에 투 여된 교육 목적과 성취 목적에 따른 현 상황의 진단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⑤ 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 상황평가의 하위항목 중 하나는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이는 현재 프로 그램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런 점에서 상황평가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여러 방식으로 수집된 정보와 단서들을 종합하여 프로그램의 목적 대비 현재 운용 상태를 분석 하고 정리, 당면한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된다. 다시 말해서 교육목표 중 어떤 내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지 또는 교육의 내용과 운용에서 드러나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를 뜻한다. 그리고 최초에 이러한 평가를 필요로 했 던 평가수요자(교육기관, 프로그램 운용자, 교육 수요자 등등)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CIPP 모 형에서는 가능하면 정확하고 소통이 원활한 언어와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평가의 목적이 결과의 명문화가 아니라 실제로 교육과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2) 운영의지 상황평가의 하위항목에는 교육기관의 운영의지 즉, 교육기관이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실천의지에 대한 점검이 포함된다. 교 육기관의 운영의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우선 한편으로, 교육기관이 합리적인 운영과 관리능력 을 갖추고 있는지, 즉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의 체계적이고 적법한 운영을 위한 다양한 소통과 자 문체계를 확보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 교육기관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재정을 효과적으로 집행 했는지에 대한 자문 및 감사체계를 확보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 로, 교육기관이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설계에 있어서 운영자의 목표와 의지를 반영할 수 있는지, 다시 말해서 프로그램을 지속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는지에 대한 상호검토가 수 반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 운영자와 교육인력들 그리고 행정인력들 및 상담 담당자들이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의 특수성, 교육목표와 대상, 방법의 특수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문성과 지속적인 관리 능력을 갖추었는지를 점검해야 할 것이다. 이는 운영의 전문성, 지속성, 충실 성 점검을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항목이고 이후의 투입, 과정, 성과평가에서도 반복된다.

7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3)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요구분석: 학습자의 인식 및 의지 본 연구의 평가영역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향후 상황평가에서는 운영기관의 운영의지와 관리능 력, 전문성 등에 대한 점검 못지않게 학습자의 인식과 의지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 당초 프로그램이 설정한 목적이 현재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관한 평가와 관련된 학 습자의 인식과 의지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 수집이 중요하다. 자료 수집의 방법으 로는 학생들의 현재 능력 평가(실기, 실적, 사고적 측면에 대한 다양한 자료), 현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교육 수행자나 학생, 학부모 등을 중심으로 한 교육의 내용적 효용성에 대한 평가와 요구사항(설문지, 심층 면담, 집중그룹인터뷰, 간담회의 등등의 다양한 방식), 실적 평가(오케스 트라 공연 등의 자료)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관련된 학생, 학부모, 지역 등이 현재의 프로그 램에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문조사, 상담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활용한 정보 수 집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다양한 방식을 활용한 정보 수집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세부항목에 대한 학습자의 기대심리와 인식을 파악, 이후의 교육과정과 내용을 구체화하고 교육목표 계획과 수립에 활용하도록 한다. ① 주체성 및 정체성 확립, ② 사회와의 소통능력 개발, ③ 창의성 및 심미성 계발, ④ 음악문해력 및 실기능력 신장, ⑤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관리능력 등을 활용해 야 한다.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77


2) 투입평가 - 계획 투입평가는 상황평가에서 제시된 문제점, 비효율성, 개선해야할 점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결정을 위한 평가로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 대상인 학생,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시설, 교과과정의 요 소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실제 교수학습활동의 질을 좌우하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비전이나 목적에 대한 올 바른 이해와 관심, 전문성을 갖춘 교수자 등이 투입평가에서의 평가 요소에 해당한다. 투입평가 는 현 상황에 대한 파악, 그리고 문제점을 파악하도록 도와 실제로 추후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과 평가에서 적절하고 다양한 유연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필요하다. 투입평가의 평가영역, 평가요소, 평가지표는 다음의 <표 Ⅲ-5> 투입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와 같다. <표 Ⅲ-5> 투입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 평가영역

평가요소

평가지표

1.1.1 추천 및 선정 요소의 다양성 - 교육대상자를 선발할 때 다양한 추천 경로와 선정 요소를 고려했는가 1. 1.1 선발기준 선발 기준 및 1.1.2 선발기준의 적절성 및 대상 방법의 - 교육대상자 선발기준은 사회취약계층의 상황과 교육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했는가 선발방법 적절성 1.1.3 선발자의 공정성 및 일관성 - 교육대상자 선정시 일관된 기준에 따라 공정하게 선발하였는가 2.1 2.1.1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 목표 및 방향의 적절성 교육목표의 -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예술향유교육의 사회적, 교육적 요구와 학습자의 특성을 적절성 파악하여 교육목표를 설정했는가 2.2.1 교육내용 구성의 연계성 - 연간교육과정의 구성이 적절하며, 주간교육내용과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있는가 2.2.2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 목표와의 연계성 2.2 2. -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의 목표 달성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구성했 교육내용의 교육 는가 적절성 프로그램 2.2.3. 학습자를 고려한 교육내용 선정 여부 계획 -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 주체인) 학습자를 고려한 교육내용을 선정했는가 (기초음악성, 심미성, 창의성, 인성 함양 등) 2.3.1 교육방법의 다양성 2.3 -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했는가 교육방법의 2.3.2 교육방법의 적절성 적절성 -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 목표에 적합한 교육방법을 계획했는가 3.1.1 전문가 확보 계획 여부 - 전문가를 강사로 확보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했는가 3.1 3. 3.1.2. 전문가 선정 기준 및 방법의 적절성 강사의 인적 - 교육에 참여하는 강사가 음악실기지도를 담당할 전문성과 교육경력을 갖추었는가 자원 전문성 3.1.3. 강사의 질 관리 방안 수립 여부 및 질 제고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수립 여부 - 교육에 참여하는 강사의 질을 유지 및 제고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갖고 있는가

7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평가영역

평가요소

평가지표

4.1 교육시설 확보

4.1.1 교육 공간 및 기자재 확보 - 교육을 위한 적절한 실습 공간(대합주실, 소합주실, 개인연습실 등) 및 관련 교 육 설비를 갖추었는가 4.2.1 악기 및 교구 제공 4.2 - 교육을 위한 다양한 악기, 악보, 음향장비 및 음향자료 등을 적절히 제공하는가 악기 및 교구 4.2.2 악기 및 교구 활용 확보 4. - 악기 및 교구의 다양한 활용 방법(대여, 수리 등)이 마련되어 있는가 물적자원 4.3 4.3.1 지역문화예술자원 협력 관계 구축 및 재정 지역문화예술 - 지역의 문화예술자원(인력, 시설, 공간, 행사, 악기, 교구 등) 활용을 위한 협력 자원 확보 관계를 구축했는가 4.4.1 예산의 충분성 - 예산을 충분하게 확보했는가 4.4 재정 확보 4.4.2 예산 편성의 적절성 - 예산을 적절하게 편성했는가

(1) 선발 교육실행을 위해 교육기관에서 적절한 교육대상자를 선발하는 일은 교육의 첫 걸음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목표에 맞게 대상학생 선발이 잘 이루어졌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사회취약계 층 선정에 적절한 절차와 방법이 적용되었는지, 그리고 선발자들이 교육목표를 수행하기에 타당 한지 등을 점검해야 한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선발조건에 대한 분명한 명시와 함께 교육대상 자 선발을 위해서 교사(학교장)추천서 외에 자기소개서, 부모추천서 등이 투입했는지, 그리고 이 교육의 목표를 잘 아는 평가자들이 선발에 참여했는지 등에 대해 평가해야 한다. (2) 교육계획 수립 – 교육과정 교육계획이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대상자에게 적절한 교육내용과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으로 인정할 만한 수준과 내용으로 편성되었는지 그리고 목표성취에 적절한 시간과 활동이 편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내용 구조가 교육과 정의 목적과 일관성이 있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또한 교과 내 혹은 교과 외 음악수업, 개인 실기 수업과 달리 당초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서 목표했던 수준의 성취가 가능한 교육내용과 방법, 교재, 교수자의 수준이 차별성을 갖는지를 분명하게 검토해야 한다. (3) 교육체계 및 교수학습 다양한 유형의 사회취약계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의 학습 특성을 반영한 교육 방법을 실 천하고 있는지, 음악 문법적 유창성 계발이나 실기능력 습득 외에 타인과 소통하고 공감하는 협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79


업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개방적으로 수업이 계획되어 있는지, 개인에게 나타나는 개별성, 수 준의 차이를 고려하여 교수자와 학생간의 개별화 수업 및 수준별 수업 등에 대한 고려가 반영 되는지, 레퍼토리 선정에서 학생의 수준과 취향을 고려하는지 등을 점검해야 한다. 또한 교수학습방법의 적절성, 개인수업과 협업수업의 병행, 교실과 현장 활동의 병행 여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한 자아존중감과 공동체 의식 함양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4) 인적 자원 - 교육 수행자(교육인력, 전문가, 상담가, 행정인력 등) 우선 교수인력이 꿈의 오케스트라를 지도할 수 있는 음악적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지, 혹은 사 회취약계층의 특성과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목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학생들의 음악 적 기능 외에 학습태도, 동기를 지도하고 긍정적인 자극을 주는지를 점검해야 한다. 그 외에 교 수인력이 사회취약계층의 학습적, 성향적 특성을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교육에 적용하고 있는 지, 그에 적절한 내용, 주제, 교수학습모형을 실천, 적용하고 있는지, 또는 사회취약계층 학생의 음악관련 소양이나 기능 향상 외에 인성 함양을 위한 어떤 조치와 처방 등이 있는지, 개별수업 과 단체수업을 지도하기에 적합한 분야 전문성과 소양을 갖춘 전문 인력의 투입여부, 융통성 있 는 수업운영 및 교재활용, 그 외에 탄력적인 교육계획 수립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 아야 한다. 또한 현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외부전문가 활용 및 오케 스트라 리허설 참관이나 공연 감상 등 현장수업에 대한 계획수립 및 운영방법 또한 검토해야 할 것이다. 그 외에 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여 행정의 전문성을 갖춘 행정인력과 행정체계의 설립, 그 리고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적절한 의사전달체계가 구성되어 있는지 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내재적, 외재적 환경 특성을 갖고 있는 사회취약계층 학생 들이 한 공간에서 생활하는 경우 여러 가지 복합한 심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여건상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의사와 감정 표현, 생활습관 등에서 나타나는 특이성을 잘 이해하고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 외에 학교생활과 교우관계 등에 대해 안내와 조언을 제공하 는 상담체계와 전문상담가나 상담교사를 채용하여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시기에 적절한 상담을 제공하는 상담지원 여부가 투입평가에서 고려해야 할 항목이다. (5) 예산 편성: 재정지원 안정된 재원 확보는 모든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꿈의 오케스트라 교 육은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중앙기관인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의존해서 이루어지지만 궁극적으로 지방거점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책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 8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정적으로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사회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추후 재정위원회 혹은 이 사회 설립, 기업이나 독지가 등을 활용한 발전기금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체계 적이고 적법하게 발전기금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나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지를 파악하 기 위해서 장기적 안목에서 예산확보, 수립, 계획의 적절성을 검토한다. (6) 물적 자원(교재 및 도구, 학습 환경, 시설, 수업보조도구 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위한 학습 환경과 시설 확보, 그리고 교재와 도구가 확보되어 있는지 그리고 각각의 시설은 사용목적을 고려하여 방음, 환기, 조명, 크기 등 음악관련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전문가의 자문구조가 준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① 교육시설 및 환경 실기수업을 위한 음악실 및 시청각실의 확보, 개인 및 앙상블 연습과 지도를 위한 소규모의 실기실, 앙상블과 같은 협업 활동이 이루질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음악실 혹은 시청각실, 꿈의 오케스트라의 공연을 위한 소연주실 및 콘서트홀, 음악(문헌 및 시청각 교재) 도서관 등이 확보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② 외부시설 및 환경 지역의 음악관련 공연시설, 지역의 음악공연단체(오케스트라, 실내악단, 오페라단 등), 지역음 악가의 작업실, 음악관련 전시실, 악기박물관, 음악관련 산업체(악기공장, 출판사, 잡지사 등) 등 이 확보되어있는지 확인한다. ③ 교재 및 도구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기초실기능력 외에 청각적 감수성을 자극할 수 있는 충분한 양과 다양한 종류의 악기 구비 및 확보 또는 대여, 연주에 필요한 충분한 양과 다양한 레퍼토리의 악보 확보, 시청각 교재의 다양성, 음악 및 영상감상이 가능한 기자재, 기타 음악실 기 및 이론 수업에 필요한 교재 및 전공도서 구비 여부 등을 확인한다.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81


3) 과정평가 – 실행 과정평가는 대상 프로그램의 실천성을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인 동시에 이전 단계인 투입 평가로부터 제안된 대안들을 단계적으로 실천하면서 그 효과를 지속적으로 살펴가는 과정이다. 따라서 과정평가는 어떤 대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할 때 나타나는 수행적 측면을 평가함과 동 시에 제시된 대안이 제대로 적용되고 있는지, 대안의 효과가 발견되는지 등을 관찰, 분석, 평가 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상황평가와 투입평가를 통해서 제시된 교육의 목표와 투입자원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 해서는 피드백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그룹을 활용하여 교육내용의 수행과정, 프 로그램 수행을 위한 시설, 장비 등의 환경적 지원, 프로그램을 위한 예산의 편성과 수행, 학생, 교수자 등 교육대상과 교육 수행자의 효율적 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당초 수립한 계획이 실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 달성에 적 합한지 여부를 점검하고 목표 수행을 이루는 것이 이 단계 평가의 주된 목적이다. 수업에서 제 시한 교육목표, 교육계획, 일정이 그대로 준수되는지의 여부, 수업에 투입하고자 했던 다양한 물 적, 인적 자원이 적절하게 투입되고 활용되고 있는지, 당초 계획했던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혹은 실제 교수학습에서 실천적인 대안이 모색되어 구체화되고 있는지, 당초 목표에 맞 는 적절한 교수학습활동, 교재활용, 도구 활용 여부 검토 등을 점검하는 것이 이 단계 평가의 목적이다. 실제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지만 학습자들 스스로 중간단계의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 수학습방법 및 내용 평가를 실시할 수도 있다. 과정평가의 평가영역, 평가요소, 평가지표는 다음 의 <표 Ⅲ-6> 과정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와 같다. <표 Ⅲ-6> 과정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 평가영역

평가요소

1. 교육과정 운영

1.1 프로그램 운영의 충실성

2. 교수학습 방법

2.1 교수학습 방법의 적절성

평가지표 1.1.1 학습자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개별화 - 학습자의 다양성과 특성에 따라 진도와 단계를 조절하여 운영하는가 1.1.2 수업의 문제점 파악 및 개선 노력 - 학습자의 성장을 기록 및 분석하여 이를 수업 개선에 활용하는가 1.1.3 운영의 문제점 파악 및 개선 노력 -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 기 위해 노력하는가 2.1.1 교육목표 달성에 적절한 교수학습방법 적용 - 교육목표 달성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는가 2.1.2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교수학습방법 적용 -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는가

8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평가영역

평가요소

2. 교수학습 방법

2.2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성

3.1 인적자원 활용의 적절성 3. 자원 활용 3.2 물적자원 활용의 적절성

평가지표 2.2.1 학습자의 수준, 특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활용 - 학습자의 수준별, 발달단계별, 전공별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는가 2.2.2 학습양식에 따른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활용 - 학습양식(전체합주, 파트연습, 기교연습 등)의 차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고 있는가 3.1.1 강사의 수업효율성, 프로그램 질 제고 노력 - 강사는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높여 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 고 있는가 3.1.2 학부모 소통 및 참여 여부 - 교육의 과정에서 학부모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참여를 유도하는가 3.1.3 지역 문화예술 전문인력풀 확보 및 적절한 활용 - 교육의 과정에서 지역 문화예술 전문가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교육의 질 을 높이고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자극하기 위해 노력하는가 3.2.1 교육 시설 및 기자재 활용의 적절성 -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교육 시설 및 악기, 교구 등 기자재를 적절하게 활용하는가 3.2.2 지역 문화예술 자원 활용의 적절성 -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문화예술과 관련한 자원을 적절하게 활용 하는가 (프로그램 연계여부 등) 3.2.3 예산 집행 시기 및 방법의 적절성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예산을 적절한 시기에 타당하게 활용하는가

(1) 교육과정의 운영 교육과정의 운영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 운영조건, 일정 및 계획준수, 교수학습방법 등과 같이 교수학습과 직접 관련된 조건들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① 지속점검 프로그램의 당초 계획과 실제 프로그램 운영절차와 내용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 런 점 때문에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서는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점검이 더욱 더 중시된다. 특히 프로그램 변경에 따른 학습자의 성취도와 만족도, 그리고 프로그램의 변경과 관련한 교수자의 관점은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개인별, 그룹별, 단체 수업에서의 교육목 표 달성, 그리고 큰 그림에서의 수준별 목표 달성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와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한 개인의 예술향유능력 신장이나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의식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되어 궁극적으로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평가 자료로 활용된다. 그 밖에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원칙이나 조건은 아니나 학습자 개인의 내재적, 환경적 특성 못지않게 수준의 차이를 고려한 탄력적인 차별화, 수준별 교육이 교육의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83


지 또한 살펴봐야 한다. ② 운영조건 보다 효율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프로그램별로 운영조건을 파악해야 하고 이러한 조 건이 잘 구비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개별 프로그램에 필요한 교육적 자원에 대한 세밀한 사전 점검과 중간 점검이 필요하고 투입된 자원이 개별 프로그램의 당초 목표달성에 적 합한지에 대한 중간 점검이 필요하다. 이는 개별 프로그램을 지속할지 혹은 수정, 폐지할지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단서가 된다. ③ 일정 및 계획 준수 어떤 의미에서 실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은 교수인력과 학습자 사이의 쌍방의 합의 와 소통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당초 목표 달성 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핵심부분은 준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당초 계획했던 활동이 제대 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즉 프로그램 일정과 계획, 진도가 당초 교육계획에 부합되는지를 지속적 으로 점검해야 한다. 동시에 개인별로도 프로그램 단계에 맞게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서 프로그램 목표달성이 가능할지에 대해서 교수인력은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검토해야한다. ④ 교수학습방법 오케스트라 활동은 개인별 그리고 그룹별 활동이 모두 이루어진다. 따라서 평가자는 교육인력 이 프로그램의 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법을 적절하게 활용하는지, 학습자와 교수인력 사이의 소 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실제 교수학습에서 실천적인 대안이 모색되어 구체화되고 있는지, 학 습자가 교육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또한 교사가 동기유발에 적합 한 교수학습법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지 등을 점검해야한다. (2) 자원의 활용 프로그램에서 투입하고자 했던 다양한 물적, 인적 자원이 적절하게 투입되고 활용되고 있는지 를 알아보는 것은 실제 교육목표와 내용이 얼마나 잘 실행되었는지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 다. 따라서 과정평가에서는 프로그램 계획에서 제안했던 시설의 효율적 사용 여부, 교육 자재 및 교보재 사용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교강사의 전문성, 외부전문가의 전문성 및 투입방법의 적절성 등과 같은 인적 자원에 대해서도 평가해야 한다. 그 외에 외부시설을 활용하거나 현장학습을 실시했을 시의 투입인력과 물적 조건의 적절성 여부 역시 판단해야 한다. 8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4) 성과평가 - 산출물 성과평가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상황, 투입, 과정의 순환과 연계성, 일관성을 알아보는 순환적 평가와 그에 따른 대안의 제시 그리고 대안의 적용을 일정 기간 수행한 후 나타나는 변 화, 결과를 측정 할 수 있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어떠한 개선이 이루어졌는지를 재평가하는 과정 이다. 따라서 CIPP에서 상황, 투입, 과정, 성과평가의 4단계가 순환되면 CIPP가 일단락된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안이 효과가 있는지, 개선의 폭이 만족스러운지, 프 로그램을 계속 유지할지 대폭 수정할지 아니면 완전히 폐기할지 등의 최종 결론을 내리게 된다. 최종 결론을 위해서는 개개인의 포트폴리오, 연주발표회, 자기평가, 동료평가 등을 살펴보고 동 시에 학습자, 교수자, 학부모 등의 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기존 교육과정의 지속성 여부를 결정 하도록 한다. 그 외에 예산확보의 적법성과 예산수립계획과 시행의 적절성에 대한 점검과 평가결과 환류 및 공유 방식과 구조 또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서의 성과평가는 교육 효과, 만족도, 지속가능성이라는 세 가지 세부 항목으로 구성된다. 성과평가의 평가영역, 평가요 소, 평가지표는 다음의 <표 Ⅲ-7> 성과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와 같다.

<표 Ⅲ-7> 성과평가의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 평가영역

1. 교육효과

평가요소

평가지표

1.1 결과물 평가

1.1.1 공연 등 산출물 평가 - 수업과정에 의한 결과물이 수업목표를 반영하여 ‘성실하게(완성도 있게)’ 제작되었는가 1.2.1 프로그램 목표 달성 여부 -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 개인별, 프로그램 참여 구성원 전체의 성취도와 교육목표가 효율적으로 달성되었는가

1.2 1.2.2 학습자 인성 및 사회성 함양 여부 교육과정에 대한 -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인성(자아존중감 등) 및 사회성 등에 긍정적 평가 인 변화가 이루어졌는가 1.2.3 학습자 음악향유능력 향상 여부 -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음악향유 및 다양한 표현능력, 소통능력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는가

2. 만족도

2.1 학습자 만족도

2.1.1 학습자 만족도 - 학습자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했는가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85


(1) 교육효과 ① 교육효과 교육효과는 학습 결과와 과정에 대한 질적, 양적 평가를 통해 판단한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 육에서 교육효과는 주로 기초실기능력(음악지각력 및 민감성, 독보력, 음악문법적 유창성, 레퍼 토리 이해, 악기를 다루는 실기능력 등) 배양이나 공연과 같이 가시적인 성과를 의미하는 것으 로 인식되고 있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은 단기간의 가시적 성과에 목표를 두는 프로그램은 아 니다. 그러나 과정에 대한 기관과 프로그램 참여자(교수자, 학습자, 운영자 등)의 자체평가나 반 성의 기회가 많지 않아 결과적으로 공연의 질과 양에 따라서 그 성과를 판단하는 면이 없지 않 다. 그러나 초기 프로그램의 목표와 종료 후의 결과가 일치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가시적 인 산출물 못지않게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교육효과와 발전에 대한 질적 평가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에 따른 문제점들을 재고하기 위해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서도 포트폴리오 및 일지를 활용하거나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과정 평가를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 다. 실제로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힘든 학습자의 음악적, 정의적 변화 및 성장, 인성 요소(자존 감,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등), 음악 외 다른 영역의 학습능력 및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찰, 심층 면담, 집중그룹인터뷰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도 있다. ②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는 교육효과를 검증하고 당초 프로그램의 목표의 성취여부를 판단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교육효과의 한 부분으로 흡수될 수도 있다. 만족도 조사는 학습자, 교수자, 학부모, 운영 자 등이 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과정, 방법 및 결과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프로그램의 목표달성 여부를 평가하고자 실시한다. 만족도 조사를 통해서 평가자는 프로그램 참 여 전후에 나타나는 실기능력 성장과 같은 가시적인 변화 뿐 아니라 자신과 타인에 인식과 관 심, 자존감 및 주체성 확립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2)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은 변화하는 사회취약계층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비추어 꿈의 오 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의 발전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협의회 자문 결과 당초 지속가능성과 관련해서 연구진에서 제시한 2개의 평가요소가 배제되었다. 그러나 지 속가능성은 CIPP가 의사결정관점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지향평가모형이라는 점에서 사실상 핵심 적인 부분이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평가지표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평가지 8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표에 대해 간단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지속가능성에는 ‘평가결과 환류’와 ‘예산 확보 계획’이라 는 2개의 평가요소가 포함된다. 그리고 전자에는 ‘개선방안 수립, 차년도 교육계획 수립, 중장기 교육계획 수립’이, 후자에는 ‘예산 확보 계획’이 평가지표로 제시될 수 있다. 지속가능성은 단순히 산출물에 대한 결과평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운영과정에서 축적된 교육기관의 다양한 역량과 네트워크를 토대로 하는 평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이 확장되고 지속될 수 있도록 문화예술 현장, 다른 예술교육기관 혹은 사회취약계 층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일반교육기관과 연계될 수 있는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는가를 평가하 여야 한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개발이나 평가에 대한 연구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지, 그리고 연구와 현장사이의 긴밀한 관계가 유지되는지 등을 판단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기관 자체적으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단기·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계획에 따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속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마 지막으로 안정적인 예산 확보 체계를 구비하고 있는지, 예산집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예산관리시스템 구축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지속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Ⅲ.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교육 효과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87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

1. 평가 실행 개요 2. 정량평가 실행 및 결과 도출 3. 평가 분석 및 시사점 도출 4. CIPP 평가모형에 따른 설문분석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

1. 평가 실행 개요 1) 평가 실행 목적 이번 연구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실행한다. 지 표 개발을 통해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대상별 분류 체계를 마련하고, 검증 가능한 모형을 개발하여 모형을 구성하는 영역별 지표를 개발한다. 이를 통해 꿈의 오케스트라 의 사회적 효과 측정을 위한 각 대상별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평가 분석을 통해 꿈의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한 여건 및 환경, 운영체계, 교 육과정 설계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활성화를 위한 독립적 운영주체의 구성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2) 조사 설계 <그림 Ⅳ-1> 조사 수행 과정 절차도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9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분석은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로 구분하여 진행된다. 정량평가는 32개 거점기관을 방문하여 1:1 기입식 설문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정량평가는 꿈의 오케스 트라 효과성 분석을 통해 조사를 기획하고, 준비하며 본 조사를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설문 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정성평가는 정량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꿈의 오케스트라 발 전방안 도출이 가능한 기관으로 선정하여 진행하였으며, 각 기관의 교육인력과 행정인력을 대면 하여 면접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통해 기수별 거점의 설정된 목표 달성의 정도와 비젼 및 중장기 발전 방안의 설정과 구현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한 참여 단원의 지역 및 참여 연도별 활동 효과성 도출을 위해 다양한 요소들간의 교차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참여 인력의 집중 인 터뷰를 통한 꿈의 오케스트라의 중장기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도 청취하였다.

9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2. 정량평가 실행 및 결과 도출 1) 정량평가 실행 개요 정량평가는 9월 3주부터 10월 4주까지 진행되었으며, 각 기관의 방문 조사를 통해 32개 거점 기관에서 학생(단원), 학부모, 지역사회, 교육인력(음악감독/예술강사), 행정인력(행정직원/코디네 이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표 Ⅳ-1> 학생(단원), 학부모, 지역사회의 조사 설계 구 분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

(1) 조사 대상

단원

단원 학부모

지역주민 등

(2) 표본 추출

전수조사

전수조사

표본조사

(3) 표본 수

1467명

455명

123명

(4) 조사 방법 (5) 자료 처리 방법 (6) 표본 오차

현장방문조사 및 자기기입식조사 병행 수집된 자료는 Editing – Coding – Punching – Cleaning 과정을 거쳐 통계패키지 SPSS 21.0 for Windows로 분석함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6.2%p

(7) 조사 기간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5.7%p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5.7%p

2014년 9월 15일 ~ 10월 20일

<표 Ⅳ-2> 교육인력 및 행정인력의 조사 설계 구 분

음악감독/예술강사

행정직원/코디네이터

(1) 조사 대상

학계 등 전문가

20세 이상 주민

(2) 표본 추출

전수조사

전수조사

309명

63명

(3) 표본 수 (4) 조사 방법 (5) 자료 처리 방법 (6) 표본 오차 (7) 조사 기간

현장방문조사 및 자기기입식조사 병행 수집된 자료는 Editing – Coding – Punching – Cleaning 과정을 거쳐 통계패키지 SPSS 21.0 for Windows로 분석함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6.2%p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5.7%p

2014년 9월 15일 ~ 10월 20일

수집된 자료는 coding, punching, editing 과정을 거쳐 SPSS 21.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해 전산 처리하였다. 분석방법은 열(Row)에 따라 모든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중복응 답의 경우 카테고리의 사례수를 전체 사례수에 근거하여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자료는 기본적인 응답자 특성에 따라 문항별로 교차 분석하였으며, 평균값이 필요한 경우 cross tabulation에서 평균값 산출하였다.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93


<표 Ⅳ-3> 자료처리 과정 및 분석방법 Coding/ Punching

Editing 기록상의 오류 및 누락검증

설문 내용의 부호화 및 자료 입력

Data cleaning 입력 자료의 오류 검색

Data processing spss 21.0 for window

Table

문항별 교차 집계 (Crosstable)작성

표본조사의 경우 일정 수준의 표본오차가 발생하므로 반드시 사례수의 관찰치 (Observed Percentage)에 따른 표본오차(Sampling Error)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사례수가 충분히 크지 않 을 경우(n<30) 극단치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 값 또는 세부 집단 간 비교 시 해석 의 주의가 필요하다.

2) 참여학생(단원)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은 32개 거점기관의 1,467명의 학생이 응답했으며, 남성이 593명 (40.4%), 여성이 867명(59.1%)이었다. 초등학생이 92.4%로 가장 많았으며, 사업 참여 횟수의 경우 3년차 참여자가 가장 많았다. <표 Ⅳ-4> 참여학생 응답자 특성 구 분

사례수

%

전 체

1467

100.0

남성

593

40.4

여성

867

59.1

모름/ 무응답

7

0.5

초등학교

1355

92.4

중학교

110

7.5

고등학교

2

0.1

신규(1년차)

210

14.3

2년차

388

26.4

3년차

592

40.4

4년차

277

18.9

성별

학년

사업참여 횟수

9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1) 현 연주 악기 외에 희망 악기 여부 현재 꿈의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하고 있는 악기 이외에 배워보고 싶은 악기를 묻는 질문에 47.8%가 긍정적으로 응답했으며, 52.2%의 학생은 다른 악기를 배워보고 싶은 생각이 없었다. <그림 Ⅳ-2> 현 연주 악기 외에 희망 악기 여부

있다 47.8%

없다 52.2%

<표 Ⅳ-5> 현 연주 악기 외에 희망 악기 여부 (단위: %)

성별

학년

사업 참여 횟수

사례수

있다

없다

(1467)

47.8

52.2

100.0

남성

(593)

33.2

66.8

100.0

여성

(867)

57.7

42.3

100.0

모름/ 무응답

(7)

57.1

42.9

100.0

초등학교

(1355)

46.8

53.2

100.0

중학교

(110)

59.1

40.9

100.0

고등학교

(2)

100.0

0.0

100.0

신규(1년차)

(210)

47.6

52.4

100.0

2년차

(388)

46.4

53.6

100.0

3년차

(592)

48.6

51.4

100.0

4년차

(277)

48.0

52.0

10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95


(2) 음악관련 성취도 꿈의 오케스트라의 음악관련 성취도 평가 결과, “연주 경험을 통한 새로운 즐거움”과 “오케스 트라 교육을 통해 음악에 대해 많이 배움” 등의 요인에 대한 성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림 Ⅳ-3> 음악관련 성취도 (단위: 점) 평균 (5점 척도)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3.29

3.20

3.60

3.67

4.05

4.17

0.1

0.1 5.9 15.7

0.1 4.4

0.3 1.8

0.3 2.0 3.1

0.1 1.3 2.7

23.0

19.3

7.2 11.9

10.9 28.3

③ 보통

40.5

모름/ 무응답

37.9

42.4

② 그렇지 않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5.0

32.6 26.2

24.1

14.2

11.8

1

2

3.17

0.2 4.2 5.5

0.1 9.5 15.6

23.7

31.4

31.2

3.96

38.7

23.4

34.6

23.7

20.3

3

4

40.4

45.1

43.1

5

6

7

20.0 16.0 8

<표 Ⅳ-6> 음악관련 성취도 (단위: 점)

성별

학년

사업 참여 횟수

사례수

1

2

3

4

5

6

7

8

(1467)

3.29

3.20

3.60

3.67

4.05

4.17

3.96

3.17

남성

(593)

3.20

3.15

3.45

3.58

3.91

4.05

3.76

3.14

여성

(867)

3.35

3.24

3.72

3.73

4.15

4.24

4.10

3.20

모름/ 무응답

(7)

3.00

2.86

3.29

3.43

3.71

4.14

4.17

3.43

초등학교

(1355)

3.24

3.17

3.58

3.66

4.05

4.17

3.94

3.13

중학교

(110)

3.79

3.54

3.87

3.75

4.10

4.14

4.22

3.68

고등학교

(2)

3.50

3.50

4.50

4.50

4.50

4.00

5.00

3.50

신규(1년차)

(210)

3.41

3.34

3.74

3.64

4.16

4.23

4.09

3.28

2년차

(388)

3.34

3.20

3.62

3.73

4.05

4.17

3.99

3.21

3년차

(592)

3.17

3.14

3.53

3.59

4.02

4.14

3.91

3.16

4년차

(277)

3.36

3.23

3.66

3.76

4.04

4.16

3.91

3.06

9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3) 적극성 및 관심도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효과 중 적극성과 관심도 관련 평가 결과, 인내심을 기르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며 향후 오케스트라 교육을 받고 싶은 의향도 더 커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림 Ⅳ-4> 적극성 및 관심도 (단위: 점) 평균 (5점 척도) ⑤ 매우 그렇다

3.07

3.45

11.7

5.0 10.9

3.35

36.3 ③ 보통

4.01

2.3 5.9

1.4 3.5

5.5 12.1

17.7

④ 그렇다

3.68

24.8

36.3 40.8

② 그렇지 않다

20.2 ① 전혀 그렇지 않다

29.4

3.56

9.1 12.6

7.1 8.8

38.5

33.3

36.5

3.27

18.1

16.1

1

2

3

4.03

4.2 5.9

3.6 4.7

22.4

23.2

25.5

21.9

41.9

46.5

8

9

32.1

24.4

32.0 21.3

25.4

13.8

3.95

36.6

23.2 4

18.3

5

6

27.2 7

<표 Ⅳ-7> 적극성 및 관심도 (단위: 점)

성별

학년

사업 참여 횟수

구 분

사례수

1

2

3

4

5

6

7

8

9

전 체

(1467)

3.07

3.45

3.35

3.68

4.01

3.27

3.56

3.95

4.03

남성

(593)

3.01

3.33

3.21

3.59

3.91

3.13

3.48

3.72

3.84

여성

(867)

3.11

3.53

3.44

3.75

4.07

3.37

3.62

4.11

4.17

모름/ 무응답

(7)

2.86

3.86

3.43

3.43

4.29

3.29

2.86

3.57

3.14

초등학교

(1355)

3.04

3.43

3.33

3.67

4.01

3.25

3.55

3.94

4.02

중학교

(110)

3.41

3.72

3.57

3.87

3.99

3.50

3.72

4.05

4.11

고등학교

(2)

4.00

3.50

4.00

3.50

4.50

3.50

4.50

3.00

4.50

신규(1년차)

(210)

3.22

3.57

3.50

3.69

4.08

3.37

3.67

4.04

4.15

2년차

(388)

3.18

3.51

3.37

3.69

3.98

3.35

3.63

3.97

4.10

3년차

(592)

3.08

3.38

3.36

3.63

3.95

3.20

3.54

3.93

3.98

4년차

(277)

2.75

3.42

3.17

3.77

4.11

3.26

3.42

3.90

3.95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97


(4) 사회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사회성 영향 정도를 평가한 결과, “단원들과의 관계 중요성 인식” 및 “단원들과 함께 음악을 하고 싶은 욕구 증대” 부분에서 인식의 변화가 컸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Ⅳ-5> 사회성 (단위: 점) 평균 (5점 척도)

3.41

⑤ 매우 그렇다

3.56

3.94

3.62

4.12

4.14

3.99

3.5 6.3

4.2

4.8

1.5 3.3

0.7 1.3

1.8 2.2

20.4

23.2

30.3

32.0

43.3

41.8

35.9

5

6

7

4.4 8.7

④ 그렇다

38.9

43.6

③ 보통

4.2

8.7

23.0 29.4

② 그렇지 않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38.4 16.0

18.9

1

2

32.3

28.8

31.6

26.5

26.7

31.2

3

25.7 4

<표 Ⅳ-8> 사회성 (단위: 점)

성별

학년

사업 참여 횟수

사례수

1

2

3

4

5

6

7

(1467)

3.41

3.56

3.94

3.62

4.12

4.14

3.99

남성

(593)

3.25

3.39

3.68

3.45

3.96

4.03

3.89

여성

(867)

3.52

3.69

4.13

3.74

4.23

4.21

4.07

모름/ 무응답

(7)

3.57

3.29

3.14

3.71

3.86

4.00

4.00

초등학교

(1355)

3.40

3.55

3.94

3.62

4.12

4.14

3.99

중학교

(110)

3.61

3.69

4.03

3.68

4.14

4.12

4.04

고등학교

(2)

3.50

4.00

4.50

4.00

4.50

4.50

4.50

신규(1년차)

(210)

3.59

3.69

3.98

3.74

4.16

4.22

4.13

2년차

(388)

3.45

3.61

4.02

3.72

4.13

4.12

4.01

3년차

(592)

3.39

3.52

3.92

3.54

4.09

4.13

3.95

4년차

(277)

3.28

3.50

3.86

3.57

4.15

4.11

3.97

9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 음악관련 성취도 1. 나는 선생님의 도움 없이 악보를 보고 연주할 수 있다 2. 나는 다양한 음악을 처음부터 끝까지 듣고 들은 것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3. 내가 배운 악기 연주법을 다른 친구들에게 설명할 수 있다 4. 나는 악기를 바른 자세와 연주법으로 연주할 수 있다 5. 나는 연주 경험을 통해 새로운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6. 나는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서 음악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되었다 7. 나는 음악회에 갈 기회가 생긴다면 가보고 싶다 8. 나는 오케스트라 교육에서 감상했거나 연주한 곡의 작곡가가 누구인지 알고 있다

󰋫 적극성 및 관심도 1. 나는 오케스트라 수업 시간에 모르는 부분이 나타나면 손들어 질문한다 2. 나는 전체적인 연주를 위해 다른 사람과 연습하고 준비한다 3. 어려움이 있는 친구가 있으면 함께 해결하고자 시도한다 4. 나는 악보를 보면서 순서를 지켜 연주할 수 있다 5. 나는 내가 맡은 부분이 나올 때까지 참고 기다린다 6. 포기하지 않고, 혼자서 악보를 처음부터 끝까지 연주할 수 있다는 것을 자랑하고 싶다 7. 꿈의 오케스트라를 참여하면서 생활과 학교 수업이 더 재미있어졌다 8. 오케스트라 교육을 받은 후 다양한 악기, 연주방법 등에 대해 배우고 싶어졌다 9. 앞으로도 계속 오케스트라 교육을 받고 싶다

󰋫 사회성 1. 나는 오케스트라 연주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친구를 돕고자 한다 2. 나는 연습 중 함께하는 친구와 문제가 생겼을 때 친구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3. 나는 친구의 악기를 연주해 보고 싶을 때 친구에게 허락을 얻고자 한다 4. 나는 함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는 이들을 친구로 생각하고 가족들에게 이들에 대 해 이야기한다 5. 나는 오케스트라 친구들과 함께 음악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6. 오케스트라 활동을 위해 단원들과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7. 오케스트라 활동에서는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99


(5) 꿈의 오케스트라 수업 만족도 꿈의 오케스트라 수업에 만족한다는 비율은 76.6%(매우만족 42.4% + 만족 34.2%)으로 나타 났다. <그림 Ⅳ-6> 꿈의 오케스트라 수업 만족도 (N=1,467,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15점

42.4 34.2

18.9

⑤ 매우 만족

④ 만족

③ 보통

2.4

1.4

0.8

② 불만족

① 매우 불만족

모름/ 무응답

<표 Ⅳ-9> 꿈의 오케스트라 수업 만족도 (단위: %)

성별

사례수

⑤ 매우 만족

④ 만족

③ 보통

(1467) 42.4

34.2

18.9

2.4

1.4

0.8

76.6

3.7

100.0 4.15

사업 참여 횟수

평균

남성

(593)

40.5

29.8

22.4

3.5

2.7

1.0

70.3

6.2

100.0 4.03

여성

(867)

44.1

36.9

16.4

1.6

0.3

0.7

81.0

2.0

100.0 4.24

모름/ 무응답

(7)

0.0

57.1

28.6

0.0

14.3

0.0

57.1

14.3

100.0 3.29

(1355) 42.2

33.6

19.6

2.3

1.5

0.9

75.8

3.8

100.0 4.14

중학교

(110)

45.5

40.0

10.9

3.6

0.0

0.0

85.5

3.6

100.0 4.27

고등학교

(2)

0.0

100.0

0.0

0.0

0.0

0.0

100.0

0.0

100.0 4.00

신규(1년차)

(210)

47.1

32.9

17.1

1.4

1.0

0.5

80.0

2.4

100.0 4.24

2년차

(388)

46.4

30.2

19.6

2.6

1.0

0.3

76.5

3.6

100.0 4.19

3년차

(592)

40.0

37.8

17.7

1.7

1.5

1.2

77.9

3.2

100.0 4.15

4년차

(277)

38.3

32.9

21.7

4.3

1.8

1.1

71.1

6.1

100.0 4.03

초등학교 학년

② ① 매우 모름/ ◐TOP2 ◐BOT2 불만족 불만족 무응답 (④+⑤) (①+②)

10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3) 참여 학부모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부모는 32개의 거점기관에서 455명의 학생이 응답했으며, 여성이 84.6%였고, 30-40대가 가장 많았다. 사업 참여의 경우에는 2-3년차 거점기관의 학부모가 가장 많이 응답했다. <표 Ⅳ-10> 학부모 응답자 특성

성별

사례수

%

455

100.0

남성

67

14.7

여성

385

84.6

모름/ 무응답

3

0.7

30대

136

29.9

40대

270

59.3

50대 이상

33

7.3

모름/ 무응답

16

3.5

신규(1년차)

71

15.6

2년차

125

27.5

3년차

181

39.8

4년차

78

17.1

연령대

사업참여 횟수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01


(1) 음악적 체험 특성 ①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 학부모의 경우, 꿈의 오케스트라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림 Ⅳ-7>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 (단위: 점) 평균 (5점 척도)

4.60

4.50

4.58

0.7 0.9 0.2 4.0

1.1 0.2

38.2

31.9

56.0

62.4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이 교육이 아이들의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켜주는데 도움이 된다

0.2 0.4 3.7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30.8

4.0

0.4

③ 보통 ② 그렇지 않다

64.8

① 전혀 그렇지 않다 모름/ 무응답

꿈의 오케스트라 음악교육은 주변사람에게도 권하고 싶다

<표 Ⅳ-1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

성별

연령

사업 참여 횟수

꿈의 오케스트라 교 육에 전반적으로 만 족한다

(단위: %) 이 교육이 아이들의 음 악적 능력을 향상 시켜 주는데 도움이 된다

사례수

꿈의 오케스트라 음 악교육은 주변 사람 에게도 권하고 싶다

(455)

4.60

4.50

4.58

남성

(67)

4.48

4.43

4.58

여성

(385)

4.62

4.52

4.57

모름/ 무응답

(3)

4.33

4.00

4.67

30대

(136)

4.64

4.54

4.61

40대

(270)

4.58

4.47

4.55

50대 이상

(33)

4.52

4.58

4.59

모름/ 무응답

(16)

4.63

4.56

4.69

신규(1년차)

(71)

4.62

4.59

4.68

2년차

(125)

4.56

4.47

4.60

3년차

(181)

4.66

4.53

4.56

4년차

(78)

4.49

4.39

4.47

10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꿈의 오케스트라 외 문화예술 교육 경험 꿈의 오케스트라 외 다른 문화예술 교육 경험은 27.9%로 나타났으며, 다른 문화예술 교육 경 험자 중 89.8%는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됨. <그림 Ⅳ-8> 꿈의 오케스트라 외 문화예술 교육 경험 모름/무응답 2.0%

(N=455)

(N=127, 단위: %) 55.9

5점 척도 평균 : 4.52점

예 27.9%

33.9

아니오 70.1%

6.3 ⑤ 매우 만족

④ 만족

3.9

③ 보통

모름/ 무응답

<표 Ⅳ-12> 꿈의 오케스트라 외 문화예술 교육 경험 (단위: %) 모름/ 무응답

(455) 27.9

70.1

2.0

100.0 (127) 55.9 33.9

6.3

3.9

89.8

100.0 4.52

남성

(67) 16.4

83.6

0.0

100.0 (11) 36.4 45.5

0.0

18.2

81.8

100.0 4.44

여성

(385) 30.1

67.5

2.3

100.0 (116) 57.8 32.8

6.9

2.6

90.5

100.0 4.52

100.0

0.0

100.0

-

-

-

성별

모름/ 무응답

연령

사례 수

(3)

0.0

사례 수

⑤ 매우 만족

아니오

-

-

④ 만족

-

③ 모름/ ◐TOP2 보통 무응답 (④+⑤)

-

평균

-

30대

(136) 30.1

67.6

2.2

100.0 (41) 56.1 24.4 12.2

7.3

80.5

100.0 4.47

40대

(270) 27.8

71.1

1.1

100.0 (75) 57.3 36.0

4.0

2.7

93.3

100.0 4.55

50대 이상

(33) 27.3

69.7

3.0

100.0

(9)

55.6 44.4

0.0

0.0

100.0 100.0 4.56

모름/ 무응답

(16) 12.5

75.0

12.5 100.0

(2)

0.0 100.0 0.0

0.0

100.0 100.0 4.00

신규 (71) 33.8 (1년차)

64.8

1.4

100.0 (24) 50.0 41.7

4.2

4.2

91.7

100.0 4.48

72.8

1.6

100.0 (32) 43.8 37.5 12.5

6.3

81.3

100.0 4.33

65.2

3.3

100.0 (57) 59.6 33.3

3.5

3.5

93.0

100.0 4.58

82.1

0.0

100.0 (14) 78.6 14.3

7.1

0.0

92.9

100.0 4.71

사업 2년차 (125) 25.6 참여 횟수 3년차 (181) 31.5 4년차

(78) 17.9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03


③ 꿈의 오케스트라 외 음악적 사교육 여부 꿈의 오케스트라 외 다른 음악 사교육 경험은 52.3%로 절반정도이며, 다른 음악 사교육을 받 은 경우 90.3%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9> 꿈의 오케스트라 외 음악적 사교육 여부 (N=455)

모름/무응답 2.6%

(N=238,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37점

49.2 41.2

아니오 45.1%

예 52.3% 7.6 2.1 ⑤ 매우 만족

④ 만족

③ 보통

모름/ 무응답

<표 Ⅳ-13> 꿈의 오케스트라 외 음악적 사교육 여부 (단위: %) 아니오

모름/ 무응답

평균

(455) 52.3

45.1

2.6

100.0 (238) 49.2 41.2

7.6

2.1

90.3

2.1

100.0

남성

(67) 34.3

62.7

3.0

100.0 (23) 43.5 47.8

4.3

4.3

91.3

4.3

100.0

여성

(385) 55.6

41.8

2.6

100.0 (214) 50.0 40.2

7.9

1.9

90.2

1.9

100.0

33.3

66.7

0.0

100.0

0.0 100.0 0.0

0.0

100.0

0.0

100.0

30대

(136) 54.4

41.2

4.4

100.0 (74) 51.4 36.5 10.8

1.4

87.8

1.4

100.0

40대

(270) 52.6

45.2

2.2

100.0 (142) 46.5 44.4

6.3

2.8

90.8

2.8

100.0

50대 이상

(33) 45.5

54.5

0.0

100.0 (15) 60.0 40.0

0.0

0.0

100.0

0.0

100.0

모름/ 무응답

(16) 43.8

56.3

0.0

100.0

57.1 28.6 14.3

0.0

85.7

0.0

100.0

신규 (71) 62.0 (1년차)

38.0

0.0

100.0 (44) 50.0 34.1 15.9

0.0

84.1

0.0

100.0

54.4

2.4

100.0 (54) 38.9 51.9

5.6

3.7

90.7

3.7

100.0

37.6

3.9

100.0 (106) 55.7 35.8

5.7

2.8

91.5

2.8

100.0

53.8

2.6

100.0 (34) 44.1 50.0

5.9

0.0

94.1

0.0

100.0

성별

모름/ 무응답

연령

사례 수

(3)

사업 2년차 (125) 43.2 참여 횟수 3년차 (181) 58.6 4년차

(78) 43.6

10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사례 수

⑤ 매우 만족

③ 모름/ ◐TOP2 보통 무응답 (④+⑤)

(1)

(7)

④ 만족


④ 꿈의 오케스트라 영향 요소 평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감정 표현, 음악에 대한 흥미, 음악 감상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Ⅳ-10> 꿈의 오케스트라 영향 요소 평가 (단위: 점) 평균 (5점 척도)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4.51

4.49

4.02

1.1

2.0

1.3 7.3

3.7

1.3 0.2 0.7 4.6 36.7

4.39

2.4

0.7

0.9 9.0

21.3

31.9

39.1

③ 보통

39.8

② 그렇지 않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58.5

56.5

48.6

32.5

모름/ 무응답 음악능력 향상

흥미/적극 참여

음악/공연 감상 참여 의향

참여 후 음악 관심 증가

<표 Ⅳ-14> 꿈의 오케스트라 영향 요소 평가

성별

연령

사업 참여 횟수

(단위: %) 참여 후 음악관심 증가

사례수

음악능력 향상

흥미/적극참여

음악/공연감상 참여 의향

(455)

4.51

4.49

4.02

4.39

남성

(67)

4.34

4.38

3.82

4.17

여성

(385)

4.54

4.51

4.05

4.42

모름/ 무응답

(3)

4.00

4.33

4.33

4.67

30대

(136)

4.54

4.55

3.99

4.36

40대

(270)

4.49

4.45

4.05

4.40

50대 이상

(33)

4.50

4.67

3.94

4.47

모름/ 무응답

(16)

4.40

4.38

3.88

4.31

신규(1년차)

(71)

4.49

4.59

4.11

4.44

2년차

(125)

4.46

4.47

4.10

4.42

3년차

(181)

4.56

4.50

3.94

4.38

4년차

(78)

4.46

4.41

3.99

4.31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05


(2) 자존감 및 사회성 변화 특성 ① 감정 표현의 적극성 정도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더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Ⅳ-11> 감정 표현의 적극성 정도 (N=455,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06점

45.3

31.2 21.1

2.0

0.2 ① 전혀 그렇지 않다

0.2

② 그렇지 않다

③ 보통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모름/ 무응답

<표 Ⅳ-15> 감정 표현의 적극성 정도 (단위: %)

성별

연령

사업 참여 횟수

① ② ⑤ ◐TOP ◐BOT 전혀 ③ ④ 모름/ 그렇지 매우 2 2 사례수 보통 그렇다 무응답 그렇지 않다 그렇다 (④+⑤) (①+②) 않다

(455)

0.2

2.0

21.1

45.3

31.2

0.2

2.2

76.5 100.0 4.06

남성

(67)

0.0

3.0

20.9

55.2

20.9

0.0

3.0

76.1 100.0 3.94

여성

(385)

0.3

1.8

21.0

43.6

33.0

0.3

2.1

76.6 100.0 4.08

모름/ 무응답

(3)

0.0

0.0

33.3

33.3

33.3

0.0

0.0

66.7 100.0 4.00

30대

(136)

0.0

2.9

19.1

45.6

32.4

0.0

2.9

77.9 100.0 4.07

40대

(270)

0.4

1.9

21.9

45.2

30.7

0.0

2.2

75.9 100.0 4.04

50대 이상

(33)

0.0

0.0

27.3

36.4

36.4

0.0

0.0

72.7 100.0 4.09

모름/ 무응답

(16)

0.0

0.0

12.5

62.5

18.8

6.3

0.0

81.3 100.0 4.07

신규(1년차)

(71)

0.0

2.8

26.8

39.4

29.6

1.4

2.8

69.0 100.0 3.97

2년차

(125)

0.0

1.6

16.8

44.0

37.6

0.0

1.6

81.6 100.0 4.18

3년차

(181)

0.0

2.2

22.1

46.4

29.3

0.0

2.2

75.7 100.0 4.03

4년차

(78)

1.3

1.3

20.5

50.0

26.9

0.0

2.6

76.9 100.0 4.00

10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평균


② 기타 신뢰성 변화 특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후 인성 변화, 지역사회 참여 등에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향후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이 지속적으로 운영되길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12> 기타 신뢰성 변화 특성 (단위: 점) 평균 (5점 척도)

3.95

4.06

4.25

⑤ 매우 그렇다

0.9 3.1

1.5 0.7

④ 그렇다

24.6

0.9 1.8 11.6

19.1

1.1 0.4 4.8

1.1 0.4 2.6

39.6

① 전혀 그렇지 않다 모름/ 무응답

39.6

28.4

25.5 내 아이는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한후 지역에 친구들이많아졌다

19.6

46.2

50.3

45.9

4.74

26.6

③ 보통 ② 그렇지 않다

3.90

76.3

27.5

내 아이는꿈의 나는내 아이가 나는내 아이가꿈의오케 오케스트라에참여 꿈의오케스트라에 스트라에참여 하기전에 비해 하기전에 비해참여후인 참여하기전에비해 성적측면에서 참여후 음악교육과 참여후 방과 후 긍정적변화를보였다 지역문화예술활동에대해 아이들의교육에 긍정적으로 대한스트레스가 인식하게되었다 줄어들었다

나는꿈의 오케스트라가 지속적으로 운영되기를 바란다

<표 Ⅳ-16> 기타 신뢰성 변화 특성 (단위: %)

사례수

체 남성 여성 모름/ 무응답 30대 40대 50대 이상 모름/ 무응답 신규(1년차) 2년차 3년차 4년차

(455) (67) (385) (3) (136) (270) (33) (16) (71) (125) (181) (78)

전 성별

연령

사업 참여 횟수

내 아이는 꿈의 오케 내아이는꿈의오케 스트라에 참여하기 스트라에참여한후 전에 비해 참여 후 인 지역에친구들이많 성적 측면에서 긍정 아졌다 적 변화를 보였다

3.95 3.97 3.94 4.00 3.90 3.95 4.00 4.13 3.90 4.02 3.93 3.91

4.06 4.05 4.07 3.00 4.02 4.09 4.03 3.93 4.00 4.15 4.03 4.05

나는 내 아이가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 하기 전에 비해 참여 후 음악교육과 지역 문화예술활동에 대 해 긍정적으로 인식 하게 되었다

4.25 4.12 4.28 3.00 4.26 4.25 4.21 4.07 4.38 4.32 4.21 4.10

나는 내 아이가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 나는 꿈의 오케스트 하기 전에 비해 참여 라가 지속적으로 운 후 방과 후 아이들의 영되기를 바란다 교육에 대한 스트레 스가 줄어들었다

3.90 3.97 3.89 3.67 3.87 3.91 3.88 4.00 3.84 3.98 3.87 3.88

4.74 4.58 4.76 5.00 4.81 4.72 4.70 4.40 4.81 4.74 4.73 4.67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07


③ 교육 후 가족관계 변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 후, 가족간 대화의 빈도가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61.8%로 기 존과 비슷하다는 비율 37.6%보다 배 정도 많았다. <그림 Ⅳ-13> 교육 후 가족관계 변화 (N=455, 단위: %) 61.8

37.6

참여 이전에 비해 가족간 대화빈도가 증가함

참여 이전과 가족간 대화빈도가 비슷함

0.4

0.2

참여 이전에 비해 가족간 대화빈도가 증가하지 않음

모름/ 무응답

<표 Ⅳ-17> 교육 후 가족관계 변화 (단위: %)

성별

연령

사업 참여 횟수

참여 이전에 참여 이전에 참여 이전과 비해 가족간 비해 가족간 가족간 대화빈도가 대화빈도가 대화빈도가 증가하지 증가함 비슷함 않음

모름/ 무응답

0.4

0.2

100.0

40.3

0.0

0.0

100.0

62.1

37.1

0.5

0.3

100.0

(3)

66.7

33.3

0.0

0.0

100.0

30대

(136)

63.2

35.3

0.7

0.7

100.0

40대

(270)

61.1

38.5

0.4

0.0

100.0

50대 이상

(33)

63.6

36.4

0.0

0.0

100.0

모름/ 무응답

(16)

56.3

43.8

0.0

0.0

100.0

신규(1년차)

(71)

59.2

39.4

1.4

0.0

100.0

2년차

(125)

66.4

32.0

0.8

0.8

100.0

3년차

(181)

58.0

42.0

0.0

0.0

100.0

4년차

(78)

65.4

34.6

0.0

0.0

100.0

사례수

(455)

61.8

37.6

남성

(67)

59.7

여성

(385)

모름/ 무응답

10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④ 학생단원의 학부모 간 교류 증대 효과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부수효과로 학생단원의 학부모 간 교류증대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 었다는 응답이 58.5%로 나타났다. <그림 Ⅳ-14> 학생단원의 학부모간 교류 증대 효과 (N=455, 단위: %) 5점 척도 평균 : 3.69점

34.7 29.5 23.7

10.3 1.5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② 그렇지 않다

0.2

① 매우 그렇지 않다

모름/ 무응답

<표 Ⅳ-18> 학생단원의 학부모간 교류 증대 효과 (단위: %)

성별

연령

사업 참여 횟수

⑤ ④ 사례수 매우 그렇다 그렇다

③ 보통 이다

② ① 매우 모름/ ◐TOP2 ◐BOT2 그렇지 그렇지 무응답 (④+⑤) (①+②) 않다 않다

(455)

23.7

34.7

29.5

10.3

1.5

0.2

58.5

11.9

100.0 3.69

남성

(67)

17.9

50.7

26.9

4.5

0.0

0.0

68.7

4.5

100.0 3.82

여성

(385)

24.9

31.7

30.1

11.2

1.8

0.3

56.6

13.0

100.0 3.67

모름/ 무응답

(3)

0.0

66.7

0.0

33.3

0.0

0.0

66.7

33.3

100.0 3.33

30대

(136)

23.5

28.7

34.6

11.0

1.5

0.7

52.2

12.5

100.0 3.62

40대

(270)

23.3

36.7

28.1

10.4

1.5

0.0

60.0

11.9

100.0 3.70

50대 이상

(33)

27.3

42.4

21.2

9.1

0.0

0.0

69.7

9.1

100.0 3.88

모름/ 무응답

(16)

25.0

37.5

25.0

6.3

6.3

0.0

62.5

12.5

100.0 3.69

신규(1년차)

(71)

22.5

36.6

29.6

11.3

0.0

0.0

59.2

11.3

100.0 3.70

2년차

(125)

28.0

36.0

24.0

9.6

1.6

0.8

64.0

11.2

100.0 3.80

3년차

(181)

23.2

33.1

32.0

9.9

1.7

0.0

56.4

11.6

100.0 3.66

4년차

(78)

19.2

34.6

32.1

11.5

2.6

0.0

53.8

14.1

100.0 3.56

평균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09


4) 지역사회 설문조사에 참여한 지역사회의 경우 전체 32개 거점기관의 지역인들로 전체 123명이 응답했 다. 그 중 30대가 34.1%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응답자 55.3%, 남성 응답자가 44.7%였다. <표 Ⅳ-19> 지역사회 응답자 특성 구

사례수

%

123

100.0

20대

39

31.7

30대

42

34.1

40대

26

21.1

50대 이상

16

13.0

남성

55

44.7

여성

68

55.3

연령대

성별

11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인지 경로 지역사회의 경우,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에 대해 대부분 교육수행기관의 사업/프로그램 홍보를 통해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15>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인지 경로 (N=123, 단위: %) 67.5

18.7

교육수행기관의 사업/ 프로그램 홍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업/프로그램홍보

4.9

4.1

주변 지인의 소개

관련 업무/근무를 하여서

<표 Ⅳ-20>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인지 경로 (단위: %)

연령

성별

사업 참여 횟수

교육수행기관의 한국문화예술교육 사업/프로그램 진흥원의 사업/ 홍보 프로그램홍보

주변 지인의 소개

관련 업무/근무를 하여서

18.7

4.9

4.1

76.9

12.8

5.1

5.1

(42)

76.2

11.9

4.8

0.0

40대

(26)

50.0

30.8

3.8

7.7

50대 이상

(16)

50.0

31.3

6.3

6.3

남성

(55)

60.0

23.6

1.8

5.5

여성

(68)

73.5

14.7

7.4

2.9

신규(1년차)

(25)

80.0

12.0

4.0

4.0

2년차

(32)

62.5

21.9

9.4

3.1

3년차

(51)

64.7

23.5

2.0

2.0

4년차

(15)

66.7

6.7

6.7

13.3

사례수

(123)

67.5

20대

(39)

30대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11


(2) 주변 지인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여부 주변 지인의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4.1%이며, 66.7%가 이웃(자녀)라고 응답하였다. <그림 Ⅳ-16> 주변 지인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여부 (N=123)

(N=42, 단위: %) 66.7

있다 34.1% 없다 65.9% 14.3

이웃(자녀)

친구(자녀)

7.1

7.1

7.1

센터/직장/회사의 아동,청소년

지인 자녀

기타

<표 Ⅳ-21> 주변 지인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여부 (단위: %) 구

사례수

아니오

사례수

이웃 (자녀)

센터/직장/ 친구 회사의 (자녀) 아동ㆍ청소년

(455)

52.3

45.1

2.6

(238)

49.2

41.2

7.6

2.1

90.3

20대

(67)

34.3

62.7

3.0

(23)

43.5

47.8

4.3

4.3

91.3

30대

(385)

55.6

41.8

2.6

(214)

50.0

40.2

7.9

1.9

90.2

40대

(3)

33.3

66.7

0.0

(1)

0.0

100.0

0.0

0.0

100.0

50대 이상

(136)

54.4

41.2

4.4

(74)

51.4

36.5

10.8

1.4

87.8

남성

(270)

52.6

45.2

2.2

(142)

46.5

44.4

6.3

2.8

90.8

여성

(33)

45.5

54.5

0.0

(15)

60.0

40.0

0.0

0.0

100.0

신규 (1년차)

(16)

43.8

56.3

0.0

(7)

57.1

28.6

14.3

0.0

85.7

연령

성별

지인 자녀

기타

사업 2년차 참여 횟수 3년차

(71)

62.0

38.0

0.0

(44)

50.0

34.1

15.9

0.0

84.1

(125)

43.2

54.4

2.4

(54)

38.9

51.9

5.6

3.7

90.7

4년차

(181)

58.6

37.6

3.9

(106)

55.7

35.8

5.7

2.8

91.5

11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3)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필요성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95.1%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그림 Ⅳ-17>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필요성 (N=123,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50점

53.7 41.5

4.1 ⑤ 매우 필요하다

④ 필요하다

0.8

③ 보통이다

모름/ 무응답

<표 Ⅳ-22>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필요성 (단위: %)

연령

성별

사업 참여 횟수

⑤ 매우 ④ ③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모름/ 무응답

◐TOP2 (④+⑤)

평균

사례수

(123)

53.7

41.5

4.1

0.8

95.1

100.0

4.50

20대

(39)

43.6

51.3

2.6

2.6

94.9

100.0

4.42

30대

(42)

52.4

47.6

0.0

0.0

100.0

100.0

4.52

40대

(26)

53.8

30.8

15.4

0.0

84.6

100.0

4.38

50대 이상

(16)

81.3

18.8

0.0

0.0

100.0

100.0

4.81

남성

(55)

72.7

25.5

1.8

0.0

98.2

100.0

4.71

여성

(68)

38.2

54.4

5.9

1.5

92.6

100.0

4.33

신규(1년차)

(25)

52.0

44.0

4.0

0.0

96.0

100.0

4.48

2년차

(32)

62.5

34.4

0.0

3.1

96.9

100.0

4.65

3년차

(51)

52.9

43.1

3.9

0.0

96.1

100.0

4.49

4년차

(15)

40.0

46.7

13.3

0.0

86.7

100.0

4.27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13


(4)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평가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하고 있는 가운데, 표현/소통 능 력, 자존감/사회성 및 지역에 대한 긍정적 영향 등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Ⅳ-18>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평가 (단위: 점) 평균 (5점 척도)

4.35

⑤ 매우 그렇다

4.33

7.3

4.16

8.9

16.3

4.41

3.93

4.08

4.15

0.8

8.9

0.8 0.8 4.1

2.4

0.8 0.8 0.8

21.1

22.0

41.5

35.0

28.5

34.1

40.7

5

6

7

24.4

④ 그렇다

50.4

③ 보통

41.5

49.6

51.2

41.5

② 그렇지 않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42.3

41.5

1

2

모름/ 무응답

1. 2. 3. 4. 5. 6. 7.

꿈의 꿈의 꿈의 꿈의 꿈의 꿈의 꿈의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

49.6

32.5 3

4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음악향유 및 다양한 표현능력, 소통능력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교육에 참여하면서 학습자의 인성(자아존중감 등) 및 사회성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교육에 참여하면서 학습자의 교우관계(갈등 감소 등)가 좋아졌다고 생각한다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우리 지역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교육목표에 대해 알게 된 후, 지역사회의 이슈(문제점)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교육에 참여한 이후,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교육에 참여한 이후, 지역에서 진행되는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표 Ⅳ-23>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평가

연령

성별 사업 참여 횟수

사례수

1

2

3

4

5

6

(단위: %) 7

(123)

4.35

4.33

4.16

4.41

3.93

4.08

4.15

20대

(39)

4.18

4.31

4.05

4.31

3.82

4.03

4.15

30대

(42)

4.38

4.24

4.14

4.40

3.88

4.00

3.93

40대

(26)

4.38

4.31

4.12

4.38

3.96

4.04

4.20

50대 이상

(16)

4.63

4.63

4.56

4.69

4.31

4.50

4.63

남성

(55)

4.58

4.49

4.40

4.56

4.16

4.38

4.40

여성

(68)

4.16

4.19

3.97

4.28

3.75

3.84

3.94

신규(1년차)

(25)

4.32

4.32

4.04

4.36

3.84

3.96

4.00

2년차

(32)

4.41

4.31

4.28

4.41

3.97

4.13

4.16

3년차

(51)

4.39

4.31

4.10

4.43

3.96

4.12

4.24

4년차

(15)

4.13

4.40

4.33

4.40

3.93

4.07

4.07

11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5) 주변지인 추천의향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에 대해 주변지인 추천의향은 96.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림 Ⅳ-19> 주변지인 추천의향 (N=123, 단위: %) 56.9

5점 척도 평균 : 4.54점 39.8

3.3 ⑤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④ 추천한다

③ 보통이다

<표 Ⅳ-24> 주변지인 추천의향 (단위: %)

연령

성별

사업 참여 횟수

⑤ 적극적으로 ④ 추천한다 ③ 보통이다 추천한다

◐TOP2 (④+⑤)

평균

사례수

(123)

56.9

39.8

3.3

96.7

100.0

4.54

20대

(39)

51.3

46.2

2.6

97.4

100.0

4.49

30대

(42)

54.8

45.2

0.0

100.0

100.0

4.55

40대

(26)

50.0

38.5

11.5

88.5

100.0

4.38

50대 이상

(16)

87.5

12.5

0.0

100.0

100.0

4.88

남성

(55)

72.7

25.5

1.8

98.2

100.0

4.71

여성

(68)

44.1

51.5

4.4

95.6

100.0

4.40

신규(1년차)

(25)

40.0

60.0

0.0

100.0

100.0

4.40

2년차

(32)

68.8

28.1

3.1

96.9

100.0

4.66

3년차

(51)

62.7

33.3

3.9

96.1

100.0

4.59

4년차

(15)

40.0

53.3

6.7

93.3

100.0

4.33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15


(6)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활성화 여부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이 향후 활성화 될 것으로 응답한 비율은 87.8%로 나타났으나, 매우 그 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35.8%로 그리 높지 않았다. <그림 Ⅳ-20>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활성화 여부 (N=123,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20점

52.0

35.8

9.8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0.8

1.6

② 그렇지 않다

① 매우 그렇지 않다

<표 Ⅳ-25>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활성화 여부 (단위: %) ⑤ 매우 ④ 그렇다 그렇다

③ 보통 이다

② ① 매우 ◐ ◐ 그렇지 그렇지 TOP2 BOT2 않다 않다 (④+⑤) (①+②)

사례수

(123)

35.8

52.0

9.8

0.8

1.6

87.8

20대

(39)

25.6

59.0

10.3

0.0

5.1

30대

(42)

35.7

50.0

11.9

2.4

40대

(26)

42.3

46.2

11.5

50대 이상

(16)

50.0

50.0

남성

(55)

50.9

여성

(68)

신규(1년차)

연령

성별

사업 참여 횟수

평균

2.4

100.0

4.20

84.6

5.1

100.0

4.00

0.0

85.7

2.4

100.0

4.19

0.0

0.0

88.5

0.0

100.0

4.31

0.0

0.0

0.0

100.0

0.0

100.0

4.50

43.6

5.5

0.0

0.0

94.5

0.0

100.0

4.45

23.5

58.8

13.2

1.5

2.9

82.4

4.4

100.0

3.99

(25)

36.0

52.0

8.0

0.0

4.0

88.0

4.0

100.0

4.16

2년차

(32)

43.8

43.8

12.5

0.0

0.0

87.5

0.0

100.0

4.31

3년차

(51)

35.3

52.9

7.8

2.0

2.0

88.2

3.9

100.0

4.18

4년차

(15)

20.0

66.7

13.3

0.0

0.0

86.7

0.0

100.0

4.07

11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7) 문화예술의 지역사회 영향 정도 문화예술의 지역사회 영향 중, 아동ㆍ청소년의 교육과 성장 및 문화적 욕구해소 등에 보다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림 Ⅳ-21> 문화예술의 지역사회 영향 정도

<표 Ⅳ-26> 문화예술의 지역사회 영향 정도 구 전

연령

성별 사업 참여 횟수

사례수

1

2

3

4

5

6

(단위: %) 7

(123)

4.31

4.57

4.48

4.33

4.40

4.11

4.25

20대

(39)

4.28

4.64

4.54

4.28

4.38

4.05

4.28

30대

(42)

4.36

4.57

4.45

4.36

4.45

4.07

4.24

40대

(26)

4.23

4.38

4.35

4.23

4.27

4.00

4.08

50대 이상

(16)

4.38

4.69

4.63

4.56

4.50

4.50

4.50

남성

(55)

4.45

4.69

4.58

4.58

4.60

4.35

4.47

여성

(68)

4.19

4.47

4.40

4.13

4.24

3.91

4.07

신규(1년차)

(25)

4.24

4.72

4.64

4.36

4.32

4.08

4.20

2년차

(32)

4.38

4.56

4.38

4.41

4.50

4.06

4.22

3년차

(51)

4.41

4.59

4.51

4.31

4.39

4.22

4.33

4년차

(15)

3.93

4.27

4.33

4.20

4.33

3.87

4.13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17


5) 교육인력(음악감독, 예술강사) 설문조사에 참여한 교육인력(음악감독, 예술강사)의 경우 총 309명이 답변했으며, 3년차 거점 기관이 가장 많았고 교육경력은 15년 이상과 5년 이상~10년 미만 인력이 가장 많았다. <표 Ⅳ-27> 교육인력 응답자 특성 구

사례수

%

309

100.0

신규(1년차)

45

14.6

2년차

75

24.3

3년차

128

41.4

4년차

61

19.7

1년 미만

10

3.2

1년~3년 미만

47

15.2

3년~5년 미만

52

16.8

5년~10년 미만

73

23.6

10년~15년 미만

55

17.8

15년 이상

72

23.3

사업참여 횟수

교육 경력

11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1)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 평가 ① 교육목표 인지도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에 대한 인지도는 96.8%(매우 60.8% + 대략 35.9%)로 매우 높다. <그림 Ⅳ-22> 교육목표 인지도 (N=309, 단위: %) 60.8

35.9

3.2 ⑤ 아주 잘 알고 있다

④ 대략적으로 잘 알고 있다

③ 보통이다

<표 Ⅳ-28> 교육목표 인지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수

⑤ 아주 잘 알고 있다

④ 대략적으로 잘 알고 있다

③ 보통이다

(309)

60.8

35.9

3.2

100.0

신규(1년차)

(45)

60.0

40.0

0.0

100.0

2년차

(75)

61.3

36.0

2.7

100.0

3년차

(128)

60.2

35.9

3.9

100.0

4년차

(61)

62.3

32.8

4.9

100.0

1년 미만

(10)

40.0

40.0

20.0

100.0

1년~3년 미만

(47)

38.3

46.8

14.9

100.0

3년~5년 미만

(52)

51.9

46.2

1.9

100.0

5년~10년 미만

(73)

56.2

43.8

0.0

100.0

10년~15년 미만

(55)

70.9

29.1

0.0

100.0

15년 이상

(72)

81.9

18.1

0.0

10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19


② 교육목표 꿈의 오케스트라의 교육목표로 ‘수혜자의 자아존중감 및 인성함양’(91.3%)이 가장 많이 꼽히 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수혜자의 사회성 강화’(83.5%), ‘수혜자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 (7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23> 교육목표 (N=309, 단위: %) 91.3

83.5

77.3

71.5

68.6 52.8

45.3

40.8

2.9 수혜자의 자아존중감 및 인성 함양

수혜자의 사회성 강화

수혜자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

수혜자의 사회통합성 잠재성 발굴 강화 및 계발

문화예술 소외지역 해소

수혜자의 예술향유 능력 배양

수혜자의 음악실기 능력 계발

기타

<표 Ⅳ-29> 교육목표 (단위: %) 수혜자의 수혜자의 수혜자의 문화예 수혜자 사회 수혜자의 수혜자의 문화 잠재성 술소외 사례 자아 존중 의 사회 통합성 예술향유 음악실기 기타 예술향유 발굴 및 지역 수 감 및 인성 성 강화 강화 능력 배양 능력 계발 함양 기회 확대 계발 해소

(309)

91.3

83.5

77.3

71.5

68.6

52.8

45.3

40.8

2.9

신규(1년차)

(45)

86.7

82.2

88.9

68.9

80.0

66.7

60.0

51.1

0.0

2년차

(75)

92.0

84.0

69.3

70.7

65.3

52.0

38.7

28.0

6.7

3년차

(128)

90.6

85.9

77.3

70.3

69.5

47.7

43.0

41.4

1.6

4년차

(61)

95.1

78.7

78.7

77.0

62.3

54.1

47.5

47.5

3.3

1년 미만

(10)

70.0

80.0

70.0

60.0

60.0

30.0

30.0

10.0

0.0

1년~3년 미만

(47)

80.9

63.8

74.5

66.0

42.6

40.4

38.3

40.4

0.0

교육 3년~5년 미만 경력 5년~10년 미만

(52)

88.5

80.8

61.5

57.7

63.5

46.2

36.5

19.2

1.9

(73)

94.5

84.9

80.8

79.5

74.0

49.3

43.8

45.2

1.4

10년~15년 미만 (55)

100.0

89.1

83.6

70.9

70.9

61.8

50.9

45.5

3.6

93.1

93.1

83.3

79.2

83.3

65.3

55.6

52.8

6.9

사업 참여 횟수

15년 이상

(72)

12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③ 학생단원 활동 목표 인지 여부 응답자의 75.4%(아주 28.5% + 대략 46.9%)는 학생단원들이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림 Ⅳ-24> 학생단원 활동 목표 인지 여부 (N=309, 단위: %) 46.9

5점 척도 평균 : 4.01점

28.5 19.4

4.2 ⑤ 아주 잘 알고 있다

④ 대략적으로 잘 알고 있다

③ 보통이다

1.0

② 잘 모르는 편이다

① 전혀 모른다

<표 Ⅳ-30> 학생단원 활동 목표 인지 여부 (단위: %)

④ 대략 ⑤ 아주 ② 잘 적으로 ③ 보통 ① 전혀 ◐TOP2 ◐BOT2 사례수 잘 알고 모르는 잘 알고 이다 모른다 (④+⑤) (①+②) 있다 편이다 있다

(309)

28.5

46.9

19.4

4.2

1.0

75.4

4.2

100.0 4.01

신규(1년차)

(45)

24.4

51.1

15.6

6.7

2.2

75.6

6.7

100.0 3.95

2년차

(75)

22.7

46.7

28.0

1.3

1.3

69.3

1.3

100.0 3.92

3년차

(128)

34.4

46.1

14.8

3.9

.8

80.5

3.9

100.0 4.12

4년차

(61)

26.2

45.9

21.3

6.6

0.0

72.1

6.6

100.0 3.92

1년 미만

(10)

10.0

30.0

40.0

20.0

0.0

40.0

20.0

100.0 3.30

1년~3년 미만

(47)

21.3

48.9

23.4

6.4

0.0

70.2

6.4

100.0 3.85

교육 3년~5년 미만 (52) 경력 5년~10년 미만 (73)

15.4

57.7

21.2

3.8

1.9

73.1

3.8

100.0 3.86

21.9

46.6

27.4

2.7

1.4

68.5

2.7

100.0 3.89

10년~15년 미만 (55)

43.6

40.0

10.9

3.6

1.8

83.6

3.6

100.0 4.26

40.3

45.8

11.1

2.8

0.0

86.1

2.8

100.0 4.24

사업 참여 횟수

15년 이상

(72)

평균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21


④ 학생단원 활동 목표 음악감독/예술강사는 학생단원들의 활동 목표로 ‘공동체의식 및 사회성 향상’(86.7%)과 ‘자존 감 및 자아성취감 형성’(85.8%)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림 Ⅳ-25> 학생단원 활동 목표 (N=309, 단위: %) 86.7

85.8 69.3

66.3 56.6

52.1 41.1

38.8

1.3 공동체의식 자존감 및 및 사회성 자아성취감 형성 향상

예술문화 자기 고유의 체험 기회 소통 및 표현 방법 계발 확대

음악적 잠재성 계발

기초음악성 배양

예술향유 능력 배양

음악 실기능력 신장

기타

<표 Ⅳ-31> 학생단원 활동 목표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공동체 자존감 자기 고유 예술문화 음악적 기초 의식 및 및 자아 의 소통 및 사례수 체험 기회 잠재성 음악성 사회성 성취감 표현방법 확대 계발 배양 향상 형성 계발

(309)

86.7

85.8

69.3

66.3

56.6

52.1

41.1

38.8

1.3

신규(1년차)

(45)

82.2

95.6

84.4

64.4

53.3

57.8

53.3

33.3

0.0

2년차

(75)

80.0

78.7

64.0

74.7

50.7

40.0

37.3

22.7

1.3

3년차

(128)

92.2

89.8

66.4

64.8

58.6

50.0

41.4

44.5

1.6

4년차

(61)

86.9

78.7

70.5

60.7

62.3

67.2

36.1

50.8

1.6

1년 미만

(10)

90.0

90.0

50.0

80.0

50.0

40.0

20.0

20.0

0.0

1년~3년 미만

(47)

87.2

72.3

59.6

48.9

46.8

42.6

38.3

31.9

0.0

3년~5년 미만

(52)

86.5

92.3

55.8

75.0

53.8

42.3

28.8

25.0

0.0

5년~10년 미만

(73)

82.2

86.3

71.2

65.8

58.9

45.2

39.7

39.7

0.0

10년~15년 미만

(55)

85.5

87.3

85.5

74.5

63.6

60.0

49.1

45.5

0.0

15년 이상

(72)

91.7

87.5

73.6

63.9

58.3

68.1

50.0

50.0

5.6

12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예술 향유 능력 배양

음악 실기 능력 신장

기타


⑤ 행정 지원 인력/체계 구축 정도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행정지원인력과 체계 구축과 관련, 응답자의 77.3%(매우 27.5% + 어느 정도 49.8%)가 ‘그렇다’고 긍정적 응답을 하였다. <그림 Ⅳ-26> 행정 지원 인력/체계 구축 정도 (N=309,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03점

49.8

27.5 21.0

1.6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② 그렇지 않다

<표 Ⅳ-32> 행정 지원 인력/체계 구축 정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수

⑤ 매우 그렇다

④ ③ ② 그렇지 ◐TOP2 ◐BOT2 그렇다 보통이다 않다 (④+⑤) (①+②)

(309)

27.5

49.8

21.0

1.6

77.3

신규(1년차)

(45)

17.8

55.6

24.4

2.2

2년차

(75)

24.0

38.7

36.0

3년차

(128)

28.9

52.3

4년차

(61)

36.1

1년 미만

(10)

1년~3년 미만

평균

1.6

100.0

4.03

73.3

2.2

100.0

3.89

1.3

62.7

1.3

100.0

3.85

18.0

.8

81.3

.8

100.0

4.09

54.1

6.6

3.3

90.2

3.3

100.0

4.23

20.0

60.0

20.0

0.0

80.0

0.0

100.0

4.00

(47)

34.0

42.6

21.3

2.1

76.6

2.1

100.0

4.09

3년~5년 미만

(52)

17.3

59.6

21.2

1.9

76.9

1.9

100.0

3.92

5년~10년 미만

(73)

17.8

56.2

26.0

0.0

74.0

0.0

100.0

3.92

10년~15년 미만

(55)

38.2

40.0

21.8

0.0

78.2

0.0

100.0

4.16

15년 이상

(72)

33.3

47.2

15.3

4.2

80.6

4.2

100.0

4.1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23


(2) 교육 관련 투입 요소 ① 학생단원 선정 기준 음악감독과 예술강사의 소속 기관에서 학생단원의 선정기준으로 주로 ‘개인면접’(84.1%)과 ‘서류전형’(79.6%)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Ⅳ-27> 학생단원 선정 기준 (N=309, 단위: %) 84.1

79.6

23.9 14.6

개인면접

서류전형

자기소개서

14.2

교과담당 (담임)교사 추천서

9.1

11.7

7.1

학교장 추천서 음악적성검사 개인실기능력 (표준화검사)

기타

<표 Ⅳ-33> 학생단원 선정 기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교과담당 음악 적성 자기 학교장 (담임) 교사 검사(표준 소개서 추천서 추천서 화 검사)

개인 실기 능력

기타

사례수

개인 면접

서류 전형

(309)

84.1

79.6

23.9

14.6

14.2

9.1

7.1

11.7

신규(1년차)

(45)

95.6

88.9

31.1

11.1

17.8

15.6

4.4

17.8

2년차

(75)

84.0

74.7

9.3

20.0

16.0

4.0

8.0

12.0

3년차

(128)

77.3

75.0

24.2

14.1

13.3

10.9

3.9

11.7

4년차

(61)

90.2

88.5

36.1

11.5

11.5

6.6

14.8

6.6

1년 미만

(10)

70.0

70.0

30.0

10.0

20.0

10.0

10.0

20.0

1년~3년 미만

(47)

74.5

76.6

17.0

8.5

8.5

8.5

8.5

6.4

3년~5년 미만

(52)

88.5

75.0

26.9

3.8

5.8

11.5

3.8

7.7

5년~10년 미만

(73)

83.6

82.2

21.9

12.3

15.1

11.0

6.8

11.0

10년~15년 미만

(55)

83.6

87.3

29.1

29.1

16.4

7.3

9.1

10.9

15년 이상

(72)

90.3

77.8

23.6

18.1

20.8

6.9

6.9

18.1

12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학생단원 선정 기준/절차 공정성 오케스트라 학생단원 선정 기준과 절차에 대해 ‘공정하다’는 응답은 91.3%로 공정하다고 생 각하고 있다. <그림 Ⅳ-28> 학생단원 선정 기준/절차 공정성 (N=309,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35점 48.9 42.4

7.4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0.3

1.0

② 그렇지 않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표 Ⅳ-34> 학생단원 선정 기준/절차 공정성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 수

⑤ ④ 매우 그렇다 그렇다

(309) 42.4

③ 보통 이다

② ① 전혀 ◐TOP2 ◐BOT2 그렇지 그렇지 (④+⑤) (①+②) 않다 않다

평균

48.9

7.4

.3

1.0

91.3

1.3

100.0

4.35

신규(1년차)

(45)

44.4

48.9

6.7

0.0

0.0

93.3

0.0

100.0

4.38

2년차

(75)

26.7

56.0

17.3

0.0

0.0

82.7

0.0

100.0

4.09

(128) 44.5

47.7

5.5

.8

1.6

92.2

2.3

100.0

4.38

3년차 4년차

(61)

55.7

42.6

0.0

0.0

1.6

98.4

1.6

100.0

4.57

1년 미만

(10)

30.0

50.0

20.0

0.0

0.0

80.0

0.0

100.0

4.10

1년~3년 미만

(47)

34.0

51.1

8.5

2.1

4.3

85.1

6.4

100.0

4.22

3년~5년 미만

(52)

36.5

51.9

9.6

0.0

1.9

88.5

1.9

100.0

4.27

5년~10년 미만

(73)

41.1

52.1

6.8

0.0

0.0

93.2

0.0

100.0

4.34

10년~15년 미만 (55)

45.5

50.9

3.6

0.0

0.0

96.4

0.0

100.0

4.42

52.8

40.3

6.9

0.0

0.0

93.1

0.0

100.0

4.46

15년 이상

(72)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25


③ 음악감독/강사 선정의 적절성 음악감독과 강사 선정기준과 다양한 추천경로의 마련 여부에 대해 ‘그렇다’가 74.4%(매우 22.3% + 어느 정도 52.1%)로 ‘그렇지 않다’(3.3%)보다 많다. 또한, 음악감독과 강사 선정/추천 기준을 준수하고 있는 경우가 80.6%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Ⅳ-29> 음악감독/강사 선정의 적절성 선정기준/추천기준 마련 여부

선정기준/추천기준 준수 여부

전혀 그렇지 않다 1.0%

그렇지 않다 2.3%

매우 그렇다 22.3%

보통이다 22.3%

전혀 그렇지 않다 1.3%

그렇지 않다 2.3%

보통이다 15.9%

매우 그렇다 24.3%

그렇다 56.3%

그렇다 52.1%

5점 척도 평균 : 3.95점

5점 척도 평균 : 4.04점

<표 Ⅳ-35> 음악 감독/강사 선정의 적절성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 례 수

전 체 (309) 신규(1년차) (45) 2년차 (75) 3년차 (128) 4년차 (61) 1년 미만 (10) 1년~3년 미만 (47) 3년~5년 미만 (52) 5년~10년 미만 (73) 10년~15년 미만 (55) 15년 이상 (72)

⑤ 매우 그렇 다

④ 그 렇 다

22.3 24.4 12.0 23.4 31.1 10.0 21.3 13.5 21.9 25.5 29.2

52.1 42.2 48.0 53.1 62.3 60.0 51.1 55.8 50.7 47.3 54.2

12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선정기준/추천기준 마련 여부 ◐ ◐ ① TOP BOT ② 전혀 2 2 ③ 그렇 그렇 보통 계 지 ① 이다 지 ④ + 않다 않다 + ⑤ ② 22.3 28.9 38.7 18.0 6.6 30.0 25.5 28.8 24.7 20.0 13.9

2.3 4.4 1.3 3.1 0.0 0.0 2.1 1.9 2.7 5.5 0.0

1.0 0.0 0.0 2.3 0.0 0.0 0.0 0.0 0.0 1.8 2.8

74.4 66.7 60.0 76.6 93.4 70.0 72.3 69.2 72.6 72.7 83.3

3.2 4.4 1.3 5.5 0.0 0.0 2.1 1.9 2.7 7.3 2.8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⑤ ④ 평 매우 그 균 그렇 렇 다 다 3.95 3.87 3.71 3.99 4.25 3.80 3.91 3.81 3.92 3.94 4.16

24.3 26.7 13.3 28.1 27.9 10.0 23.4 17.3 23.3 29.1 29.2

56.3 55.6 53.3 52.3 68.9 60.0 55.3 53.8 60.3 47.3 61.1

(단위: %) 선정기준/추천기준 준수 여부 ◐ ◐ ① TOP BOT ② 전혀 2 2 ③ 평 그렇 그렇 보통 계 균 지 ① ④ 이다 지 + 않다 + 않다 ⑤ ② 15.9 13.3 32.0 13.3 3.3 30.0 17.0 25.0 13.7 20.0 5.6

2.3 4.4 0.0 3.9 0.0 0.0 4.3 1.9 2.7 1.8 1.4

1.3 0.0 1.3 2.3 0.0 0.0 0.0 1.9 0.0 1.8 2.8

80.6 82.2 66.7 80.5 96.7 70.0 78.7 71.2 83.6 76.4 90.3

3.6 4.4 1.3 6.3 0.0 0.0 4.3 3.8 2.7 3.6 4.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4.04 4.04 3.81 4.07 4.25 3.80 3.98 3.88 4.04 4.06 4.21


④ 음악감독/강사 평가 여부(연간/분기별) 연간 혹은 분기별로 음악감독과 강사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다’는 응답은 67.3%로 ‘평가를 하고 있지 않다’(8.7%)보다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Ⅳ-30> 음악감독/강사 평가 여부(연간/분기별) (N=309, 단위: %) 5점 척도 평균 : 3.75점

52.8

20.4 14.6 8.1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4.2

② 그렇지 않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표 Ⅳ-36> 음악 감독/강사 평가 여부(연간/분기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① ⑤ ③ ② ◐TOP ◐BOT ④ 전혀 사례수 매우 보통이 그렇지 2 2 그렇다 그렇지 그렇다 다 않다 (④+⑤) (①+②) 않다

(309)

14.6

52.8

20.4

8.1

4.2

67.3

신규(1년차)

(45)

11.1

62.2

13.3

11.1

2.2

2년차

(75)

8.0

50.7

29.3

6.7

3년차

(128)

18.0

46.9

19.5

4년차

(61)

18.0

60.7

1년 미만

(10)

10.0

1년~3년 미만

(47)

3년~5년 미만

평균

8.7

100.0

3.75

73.3

11.1

100.0

3.75

5.3

58.7

6.7

100.0

3.63

9.4

6.3

64.8

10.9

100.0

3.74

16.4

4.9

0.0

78.7

4.9

100.0

3.92

60.0

20.0

10.0

0.0

70.0

10.0

100.0

3.70

8.5

48.9

25.5

10.6

6.4

57.4

10.6

100.0

3.59

(52)

17.3

48.1

21.2

9.6

3.8

65.4

11.5

100.0

3.71

5년~10년 미만

(73)

15.1

54.8

21.9

8.2

0.0

69.9

8.2

100.0

3.77

10년~15년 미만

(55)

16.4

47.3

21.8

7.3

7.3

63.6

9.1

100.0

3.73

15년 이상

(72)

15.3

59.7

13.9

5.6

5.6

75.0

5.6

100.0

3.9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27


⑤ 교육목표 관련 계획 수립 여부 연간 혹은 분기별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 수립 여부를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90.9%는 ‘그렇다’고 응답하고 있다. <그림 Ⅳ-31> 교육 목표 관련 계획 수립 여부 (N=309, 단위: %) 57.0

5점 척도 평균 : 4.27점

34.0

7.8 1.3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② 그렇지 않다

<표 Ⅳ-37> 교육 목표 관련 계획 수립 여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② ⑤ 매우 ④ ③ 보통 ◐TOP2 ◐BOT2 그렇지 사례수 그렇다 그렇다 이다 (④+⑤) (①+②) 않다

(309)

34.0

57.0

7.8

1.3

90.9

신규(1년차)

(45)

37.8

57.8

4.4

0.0

2년차

(75)

21.3

60.0

17.3

3년차

(128)

37.5

53.9

4년차

(61)

39.3

1년 미만

(10)

1년~3년 미만

평균

1.3

100.0

4.27

95.6

0.0

100.0

4.33

1.3

81.3

1.3

100.0

4.04

6.3

2.3

91.4

2.3

100.0

4.32

59.0

1.6

0.0

98.4

0.0

100.0

4.38

20.0

80.0

0.0

0.0

100.0

0.0

100.0

4.20

(47)

31.9

48.9

17.0

2.1

80.9

2.1

100.0

4.15

3년~5년 미만

(52)

21.2

67.3

9.6

1.9

88.5

1.9

100.0

4.12

5년~10년 미만

(73)

32.9

58.9

6.8

1.4

91.8

1.4

100.0

4.26

10년~15년 미만

(55)

43.6

50.9

5.5

0.0

94.5

0.0

100.0

4.38

15년 이상

(72)

40.3

54.2

4.2

1.4

94.4

1.4

100.0

4.37

12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⑥ 교육계획 수립/개발 시 주도적 참여자 교육계획 수립과 교육과정 개발의 주도적 참여자로 ‘음악감독, 강사, 코디네이터’가 67.3%로 가장 많이 응답됐고, 그 다음으로 ‘음악감독 및 강사’(23.9%)가 뒤를 따르고 있다. <그림 Ⅳ-32> 교육계획 수립/개발 시 주도적 참여자 (N=309, 단위: %) 67.3

23.9

음악감독, 강사, 코디네이터

• 강사, 코디네이터

1.3

• 음악감독, 강사, 코디네이터, 행정담당자

1.0

• 강사

1.0

• 강사, 코디네이터, 행정담당자

0.3

• 행정매니저

0.3

음악감독 및 강사

3.6

5.2

음악감독

기타

<표 Ⅳ-38> 교육계획 수립/개발 시 주도적 참여자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음악감독, 음악감독 및 강사, 강사 코디네이터

사례수

음악감독

기타

(309)

67.3

23.9

3.6

5.2

100.0

신규(1년차)

(45)

71.1

24.4

2.2

2.2

100.0

2년차

(75)

46.7

37.3

5.3

10.7

100.0

3년차

(128)

70.3

21.1

3.1

5.5

100.0

4년차

(61)

83.6

13.1

3.3

0.0

100.0

1년 미만

(10)

60.0

20.0

10.0

10.0

100.0

1년~3년 미만

(47)

66.0

25.5

0.0

8.5

100.0

3년~5년 미만

(52)

61.5

26.9

3.8

7.7

100.0

5년~10년 미만

(73)

71.2

21.9

2.7

4.1

100.0

10년~15년 미만

(55)

72.7

21.8

3.6

1.8

100.0

15년 이상

(72)

65.3

25.0

5.6

4.2

10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29


⑦ 교육계획 수립/계획 시 주 협의 내용 소속 기관의 교육계획 수립과 교육과정 협의 시 주로 다루는 내용으로 ‘교육과정’(46.3%), ‘학생지도 및 관리방안’(38.2%), ‘교육일정 협의’(12.9%) 등의 순으로 응답되었다. <그림 Ⅳ-33> 교육계획 수립/계획 시 주 협의 내용 (N=309, 단위: %) 46.3 38.2

12.9 2.6 교육내용 (레퍼토리 포함) 협의

학생지도 및 관리방안

교육일정 협의

기타

<표 Ⅳ-39> 교육계획 수립/계획 시 주 협의 내용 (단위: %) 구

사례수

교육내용 (레퍼토리 포함) 협의

(309)

46.3

38.2

12.9

2.6

100.0

신규(1년차)

(45)

62.2

17.8

17.8

2.2

100.0

2년차

(75)

34.7

44.0

14.7

6.7

100.0

3년차

(128)

45.3

42.2

11.7

0.8

100.0

4년차

(61)

50.8

37.7

9.8

1.6

100.0

1년 미만

(10)

70.0

20.0

10.0

0.0

100.0

1년~3년 미만

(47)

42.6

46.8

6.4

4.3

100.0

3년~5년 미만

(52)

38.5

40.4

17.3

3.8

100.0

5년~10년 미만

(73)

42.5

37.0

19.2

1.4

100.0

10년~15년 미만

(55)

49.1

38.2

9.1

3.6

100.0

15년 이상

(72)

52.8

34.7

11.1

1.4

100.0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13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학생지도 및 관리방안

교육일정 협의

기타


⑧ 교육과정 개발 시 주 참고자료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개발 시 주된 참고자료로 ‘전문음악단체의 자료’(31.4%), ‘다른 기 관의 자료’(26.9%), ‘전년도 자료’(22.3%), ‘동료의 자료’(8.4%) 등의 순으로 언급되고 있다. <그림 Ⅳ-34> 교육과정 개발 시 주 참고자료 • 개인의 경험을 통한 자료

31.4 26.9 22.3

(N=309, 단위: %)

0.3

• 아동단원의 의견 수용 및 타 강사와의 협의

0.3

• 교육 연차 별 악기 테크닉 발전

0.3

• 회의를 통한 자료

0.3

• 음악 감독 경험담

0.3

• 음악 감독

0.3

• 전문 교수법

0.3

8.4

전문음악단체의 자료

다른 기관의 자료

전년도 자료

동료의 자료

5.8

2.9

2.3

자체 연구 및 개발한 자료

기타

모름/ 무응답

<표 Ⅳ-40> 교육과정 개발 시 주 참고자료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전문음악 다른 단체의 기관의 자료 자료

전년도 자료

자체 연구 동료의 및 개발한 자료 자료

기타

모름/ 무응답

2.9

2.3

5.8

100.0

6.7

0.0

4.4

2.2

100.0

25.3

5.3

2.7

1.3

9.3

100.0

22.7

20.3

10.2

3.9

1.6

7.0

100.0

31.1

37.7

13.1

9.8

3.3

3.3

1.6

100.0

(10)

40.0

30.0

30.0

0.0

0.0

0.0

0.0

100.0

1년~3년 미만

(47)

19.1

46.8

19.1

6.4

2.1

0.0

6.4

100.0

3년~5년 미만

(52)

36.5

17.3

15.4

17.3

0.0

1.9

11.5

100.0

5년~10년 미만

(73)

27.4

28.8

26.0

8.2

2.7

2.7

4.1

100.0

10년~15년 미만

(55)

43.6

20.0

20.0

7.3

1.8

1.8

5.5

100.0

15년 이상

(72)

29.2

23.6

26.4

5.6

6.9

4.2

4.2

100.0

사례수

(309)

31.4

26.9

22.3

8.4

신규(1년차)

(45)

28.9

22.2

35.6

2년차

(75)

28.0

28.0

3년차

(128)

34.4

4년차

(61)

1년 미만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31


⑨ 사회취약계층 대상 고려 특성 사회취약계층 대상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교육내용 구성 및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활용 하고 있는지 물어본 결과, ‘그렇다’는 응답이 84.1%(매우 21.0% + 어느 정도 63.1%)로 ‘그렇지 않다’(0.6%)보다 많았다. 또한 학생단원의 수준/필요를 고려한 여러 장르의 레퍼토리를 탐색하 고 준비하는 경우는 79.0% (매우 22.3% + 어느 정도 56.6%)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Ⅳ-35> 사회취약계층 대상 고려 특성 교육과정/교수방법

장르/레퍼토리 탐색

전혀 그렇지 않다 0.3%

그렇지 않다 0.3%

보통이다 15.2%

매우 그렇다 21.0%

전혀 그렇지 않다 0.3%

그렇지 않다 4.5%

보통이다 16.2%

매우 그렇다 22.3%

그렇다 63.1%

그렇다 56.6%

5점 척도 평균 : 4.04점

5점 척도 평균 : 3.96점

<표 Ⅳ-41> 사회취약계층 대상 고려 특성

사 업 참 여 횟 수

전 체 신규(1년차)

사 례 수

교육과정/교수방법 ◐ ◐ ① TOP BOT ⑤ ② ④ ③ 전혀 2 2 매우 그렇 그렇 보통 계 그렇 그렇 지 ① 다 이다 지 ④ + + 다 않다 않다 ⑤ ②

(309) 21.0 63.1 15.2 0.3 (45) 24.4 60.0 13.3 0.0

(단위: %) 장르/레퍼토리 탐색 ◐ ◐ ① TOP BOT ⑤ ② ④ ③ 전혀 2 2 평 매우 평 그렇 그렇 보통 계 그렇 균 그렇 균 지 ④ ① 다 이다 지 + + 다 않다 않다 ⑤ ②

0.3 84.1 0.6 100.0 4.04 22.3 56.6 16.2 4.5 0.3 79.0 4.9 100.0 3.96 2.2 84.4 2.2 100.0 4.04 11.1 73.3 11.1 4.4 0.0 84.4 4.4 100.0 3.91

2년차

(75) 13.3 69.3 17.3 0.0

0.0 82.7 0.0 100.0 3.96 14.7 58.7 21.3 5.3 0.0 73.3 5.3 100.0 3.83

3년차

(128) 21.1 60.9 17.2 0.8

0.0 82.0 0.8 100.0 4.02 25.8 49.2 18.0 6.3 0.8 75.0 7.0 100.0 3.93

4년차

(61) 27.9 62.3 9.8

1년 미만 1년~3년 미만 교 육 3년~5년 미만 경 5년~10년 미만 력 10년~15년 미만 15년 이상

0.0

0.0 90.2 0.0 100.0 4.18 32.8 57.4 9.8 0.0 0.0 90.2 0.0 100.0 4.23

(10) 30.0 60.0 10.0 0.0

0.0 90.0 0.0 100.0 4.20 30.0 60.0 10.0 0.0 0.0 90.0 0.0 100.0 4.20

(47) 17.0 63.8 19.1 0.0

0.0 80.9 0.0 100.0 3.98 27.7 53.2 17.0 2.1 0.0 80.9 2.1 100.0 4.06

(52) 11.5 61.5 25.0 0.0

1.9 73.1 1.9 100.0 3.81 21.2 50.0 17.3 9.6 1.9 71.2 11.5 100.0 3.79

(73) 17.8 63.0 19.2 0.0

0.0 80.8 0.0 100.0 3.99 13.7 57.5 23.3 5.5 0.0 71.2 5.5 100.0 3.79

(55) 25.5 61.8 12.7 0.0

0.0 87.3 0.0 100.0 4.13 23.6 52.7 21.8 1.8 0.0 76.4 1.8 100.0 3.98

(72) 29.2 65.3 4.2

0.0 94.4 1.4 100.0 4.22 26.4 65.3 4.2 4.2 0.0 91.7 4.2 100.0 4.14

13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1.4


⑩ 공간별 기자재 평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자들을 위한 파트별 연습실, 전체합주실 등의 공간이 확보된 경우 는 85.5%로 대체로 활동에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적합 한 공간구조와 배치, 동선에 대해 ‘적합하다’ 77.0% (매우 30.7% + 어느 정도 46.3%)로 상당 수 기관의 시설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교육기자재 확보 여부에 대해 응답자 10명 중 9명 이상(92.2%)이 ‘확 보됐다’고 밝혔다. 교육을 위해 구비된 다양한 악기의 상태에 대해 ‘좋은 상태’라는 응답은 79.3%이다. <그림 Ⅳ-36> 공간별 기자재 평가 (N=309, 단위: %) 평균 (5점 척도)

⑤ 매우 그렇다

4.26

0.3 1.9 12.3

4.05

4.37

4.04

0.3 3.2 19.4

1.6 6.1

0.6 3.9 16.2

④ 그렇다

42.1

③ 보통이다

45.6 49.2

46.3

② 그렇지 않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43.4 공간 확보

46.6

30.7 공간 활용도

30.1

기자재 확보

악기 구비

<표 Ⅳ-42> 공간별 기자재 평가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수

공간 확보

공간 활용도

기자재 확보

(309)

4.26

4.05

4.37

(단위: %) 악기 구비 4.04

신규(1년차)

(45)

4.04

3.82

4.09

3.71

2년차

(75)

4.24

3.91

4.31

3.73

3년차

(128)

4.21

4.03

4.44

4.21

4년차

(61)

4.56

4.43

4.52

4.31

1년 미만

(10)

4.40

4.10

4.30

4.20

1년~3년 미만

(47)

4.40

4.11

4.36

3.85

3년~5년 미만

(52)

4.10

3.90

4.31

4.04

5년~10년 미만

(73)

4.27

4.05

4.40

4.12

10년~15년 미만

(55)

4.15

3.95

4.42

3.91

15년 이상

(72)

4.35

4.18

4.38

4.17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33


⑪ 지역 단체와의 협력 정도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위해 지역예술가, 지역예술대학, 지역문화예술단체 등과 협력해 교육 과정과 프로그램의 세부내용을 계획하는 곳은 전체 응답자의 65.0%로 과반에 달했으나, 긍정이 나 부정 견해를 회피한 ‘보통이다’ 응답은 28.5%로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지역 단체와 의 협력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Ⅳ-37> 지역 단체와의 협력 정도 (N=309, 단위: %) 46.3

5점 척도 평균 : 3.78점

28.5 18.8

4.9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1.6

② 그렇지 않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표 Ⅳ-43> 지역 단체와의 협력 정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⑤ 매우 ④ 그렇다 그렇다

③ 보통 이다

② ① 전혀 ◐TOP ◐BOT 그렇지 그렇지 2 2 않다 않다 (④+⑤) (①+②)

사례수

평균

(309)

18.8

46.3

28.5

4.9

1.6

65.0

6.5

100.0

3.78

신규(1년차)

(45)

17.8

48.9

28.9

4.4

0.0

66.7

4.4

100.0

3.80

2년차

(75)

8.0

45.3

38.7

8.0

0.0

53.3

8.0

100.0

3.53

3년차

(128)

25.0

38.3

30.5

2.3

3.9

63.3

6.3

100.0

3.83

4년차

(61)

19.7

62.3

11.5

6.6

0.0

82.0

6.6

100.0

3.95

1년 미만

(10)

30.0

50.0

10.0

0.0

10.0

80.0

10.0

100.0

4.22

1년~3년 미만

(47)

14.9

46.8

31.9

6.4

0.0

61.7

6.4

100.0

3.70

3년~5년 미만

(52)

15.4

40.4

40.4

1.9

1.9

55.8

3.8

100.0

3.71

5년~10년 미만

(73)

20.5

46.6

20.5

9.6

2.7

67.1

12.3

100.0

3.73

10년~15년 미만

(55)

18.2

49.1

27.3

3.6

1.8

67.3

5.5

100.0

3.78

15년 이상

(72)

20.8

47.2

29.2

2.8

0.0

68.1

2.8

100.0

3.86

13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3) 교육과정 개발 ① 음악감독/타 강사와 문제 해결/노력 정도 학생단원 지도 시 어려움이나 문제가 발생하면 대다수 응답자(94.8%)는 음악감독이나 다른 강사들과 함께 해결방법을 찾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Ⅳ-38> 음악감독/타 강사와 문제 해결/노력 정도 (N=309,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37점

52.1 42.7

4.2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0.6

③ 보통이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표 Ⅳ-44> 음악감독/타 강사와 문제 해결/노력 정도 (단위: %) 구 전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수

⑤ 매우 ③ ④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① 전혀 ◐TOP2 ◐BOT2 그렇지 (④+⑤) (①+②) 않다

평균

(309)

42.7

52.1

4.2

0.6

94.8

0.6

100.0

4.37

신규(1년차)

(45)

55.6

40.0

4.4

0.0

95.6

0.0

100.0

4.51

2년차

(75)

34.7

58.7

5.3

0.0

93.3

0.0

100.0

4.30

3년차

(128)

42.2

50.8

5.5

1.6

93.0

1.6

100.0

4.32

4년차

(61)

44.3

55.7

0.0

0.0

100.0

0.0

100.0

4.44

1년 미만

(10)

40.0

60.0

0.0

0.0

100.0

0.0

100.0

4.40

1년 ~ 3년 미만

(47)

40.4

51.1

6.4

2.1

91.5

2.1

100.0

4.28

3년 ~ 5년 미만

(52)

36.5

51.9

11.5

0.0

88.5

0.0

100.0

4.25

5년 ~ 10년 미만

(73)

45.2

52.1

2.7

0.0

97.3

0.0

100.0

4.42

10년 ~ 15년 미만

(55)

41.8

52.7

1.8

1.8

94.5

1.8

100.0

4.35

15년 이상

(72)

47.2

51.4

1.4

0.0

98.6

0.0

100.0

4.46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35


② 학생단원 특이 사항 기록 여부 학생단원의 출석, 지각, 조퇴뿐 아니라 수업 중 특이사항 발견 시 응답자 10명 중 9명 (90.0%)은 이를 기록하며, 기록자 중 74.8%는 기록한 특이사항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활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활용방안으로는 ‘수업 내용에 반영/교육 시 참고’, ‘감독/강사/ 직원/코디네이터와 상의 후 해결’, ‘회의를 통해 공유 및 상의’ 등이 주로 언급되었다. <그림 Ⅳ-39> 학생단원 특이 사항 기록 여부 모름/ 무응답 1.6% 아니오 8.4%

예 90.0%

<표 Ⅳ-45> 학생단원 특이 사항 기록 여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수

아니오

모름/ 무응답

(309)

90.0

8.4

1.6

100.0

신규(1년차)

(45)

82.2

13.3

4.4

100.0

2년차

(75)

94.7

4.0

1.3

100.0

3년차

(128)

92.2

6.3

1.6

100.0

4년차

(61)

85.2

14.8

0.0

100.0

1년 미만

(10)

80.0

20.0

0.0

100.0

1년~3년 미만

(47)

89.4

10.6

0.0

100.0

3년~5년 미만

(52)

92.3

7.7

0.0

100.0

5년~10년 미만

(73)

89.0

9.6

1.4

100.0

10년~15년 미만

(55)

96.4

1.8

1.8

100.0

15년 이상

(72)

86.1

9.7

4.2

100.0

13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1. 수업 중 기록한 특이사항에 대한 공유 및 활용여부 <그림 Ⅳ-40> 특이사항 기록 공유 및 활용여부 74.8

23.0 2.2 예

아니오

모름/ 무응답

<표 Ⅳ-46> 특이사항 기록 공유 및 활용여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수

아니오

모름/ 무응답

(278)

74.8

23.0

2.2

100.0

신규(1년차)

(37)

78.4

16.2

5.4

100.0

2년차

(71)

74.6

25.4

0.0

100.0

3년차

(118)

74.6

24.6

0.8

100.0

4년차

(52)

73.1

21.2

5.8

100.0

1년 미만

(8)

50.0

50.0

0.0

100.0

1년~3년 미만

(42)

71.4

26.2

2.4

100.0

3년~5년 미만

(48)

72.9

27.1

0.0

100.0

5년~10년 미만

(65)

78.5

20.0

1.5

100.0

10년~15년 미만

(53)

71.7

24.5

3.8

100.0

15년 이상

(62)

80.6

16.1

3.2

10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37


②-2. 수업 중 기록한 특이사항 활용방안 <그림 Ⅳ-41> 특이사항 기록 활용방안

13.5

수업 내용에 반영/교육 시 참고

12.5

10.1

7.7

아이의 회의를 감독/강사/ 특성 직원/코디 통해 공유 및 파악 후 상의 네이터와 인성교육에 상의 후 활용 해결

7.7

5.8

코디 네이터와 공유 및 상의

5.8

출강확인서 작성

4.3

다른 강사 학생/학부모/ (선생님)와 지도교사와 의 의사소통 공유 및 으로 해결 상의

4.3

4.3

학생과의 면담 시 활용

학부모 상담

<표 Ⅳ-47> 특이사항 기록 활용방안 (단위: %)

수업 내용에 사례수 반영/ 교육 시 참고

(208)

13.5

12.5

10.1

7.7

7.7

5.8

5.8

4.3

4.3

4.3

신규 (1년차)

(29)

27.6

6.9

27.6

6.9

17.2

0.0

6.9

3.4

0.0

0.0

2년차

(53)

3.8

20.8

11.3

9.4

3.8

7.5

5.7

5.7

1.9

5.7

3년차

(88)

18.2

11.4

6.8

9.1

8.0

5.7

4.5

4.5

6.8

6.8

4년차

(38)

5.3

7.9

2.6

2.6

5.3

7.9

7.9

2.6

5.3

0.0

1년 미만

(4)

75.0

0.0

25.0

25.0

25.0

0.0

0.0

0.0

0.0

0.0

1년~3년 미만

(30)

13.3

3.3

6.7

10.0

13.3

3.3

10.0

0.0

0.0

0.0

3년~5년 미만

(35)

20.0

8.6

11.4

2.9

8.6

14.3

5.7

2.9

8.6

2.9

(51)

3.9

15.7

15.7

5.9

7.8

5.9

5.9

2.0

2.0

5.9

10년~15년 (38) 미만

10.5

10.5

7.9

7.9

7.9

2.6

2.6

5.3

2.6

7.9

15년 이상 (50)

16.0

20.0

6.0

10.0

2.0

4.0

6.0

10.0

8.0

4.0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5년~10년 미만

13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감독/강사 /직원/코 디네이터 와 상의 후 해결

회의를 통해 공유 및 상의

아이의 다른 코디 출강 특성 파 강사 네이터 확인 악후인 (선생님) 와 공유 서 성 교육 와 공유 및 상의 작성 에 활용 및 상의

학생/학부 모/지도교 사 와의 의사소통 으로 해결

학생과 의 면 학부모 담 시 상담 활용


③ 수업 형태 평가 학생단원의 수준별로 파트수업과 전체수업을 활용하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84.5%(매우 29.1% + 어느 정도 55.3%)로 많았다. 또한 초보자를 위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는 경우는 83.5%에 달했다. 숙련자를 위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는 경우도 74.8%로 많은 편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42> 수업 형태 평가 (N=309, 단위: %) 평균 (5점 척도)

① 매우 그렇다

4.10

4.06

3.88

0.3 2.6 12.6

0.3 1.6 14.6

3.9 1.6

55.3

58.6

29.1

24.9

20.1

파트 수업과 전체수업 적절성

수준별 수업 실시 여부

실기능력 수준별 수업여부

19.4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54.7

⑤ 전혀 그렇지 않다 모름/무응답

<표 Ⅳ-48> 수업 형태 평가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단위: %) 실기능력 수준별 수업여부

사례수

파트 수업과 전체수업 적절성

수준별 수업 실시 여부

(309)

4.10

4.06

3.88

신규(1년차)

(45)

4.20

4.00

3.89

2년차

(75)

3.84

3.85

3.56

3년차

(128)

4.16

4.13

3.95

4년차

(61)

4.23

4.23

4.13

1년 미만

(10)

4.00

4.00

4.22

1년~3년 미만

(47)

3.89

3.74

3.70

3년~5년 미만

(52)

3.98

3.85

3.62

5년~10년 미만

(73)

4.15

4.15

3.93

10년~15년 미만

(55)

4.13

4.11

3.98

15년 이상

(72)

4.28

4.31

4.01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39


④ 학생단원 교육지도 특성 학생단원의 개인연습이나 파트연습 시 학생단원들의 연습과정이나 태도 등을 지켜보고 적절 한 ‘도움을 준다’는 응답은 96.8%(매우 32.7% + 어느 정도 64.1%)로 매우 높았다. 또한 학생 단원의 개인연습이나 파트 연습 시 학생단원에게 자율연습 시간을 제공하는 음악감독과 예술강 사는 83.5%였다. <그림 Ⅳ-43> 학생단원 교육지도 특성 (N=309, 단위: %) 평균 (5점 척도)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4.29

4.03

3.2

0.3 16.2

64.1 64.1

③ 보통이다 ② 그렇지 않다

32.7

19.4

연습과정/태도 적절한 도움 정도

자율연습 시간 부여 여부

<표 Ⅳ-49> 학생단원 교육지도 특성 (단위: %) 구 전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수

연습과정/태도 적절한 도움 정도

자율연습 시간 부여 여부

(309)

4.29

4.03

신규(1년차)

(45)

4.27

4.09

2년차

(75)

4.17

4.03

3년차

(128)

4.34

3.98

4년차

(61)

4.36

4.08

1년 미만

(10)

4.50

4.10

1년~3년 미만

(47)

4.23

3.85

3년~5년 미만

(52)

4.25

3.92

5년~10년 미만

(73)

4.30

4.16

10년~15년 미만

(55)

4.35

4.02

15년 이상

(72)

4.29

4.07

14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4) 교육 효과 ① 학생단원의 협력활동 노력 정도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의 교육효과 중 ‘학생단원 간 서로를 배려하고 돕기 위해 노력한다’는 응답은 82.5%(매우 20.7% + 어느 정도 61.8%)이다. <그림 Ⅳ-44> 학생단원의 협력활동 노력 정도 (N=309,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03점

61.8

20.7

17.5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표 Ⅳ-50> 학생단원의 협력활동 노력 정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수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TOP2 (④+⑤)

평균

(309)

20.7

61.8

17.5

82.5

100.0

4.03

신규(1년차)

(45)

24.4

60.0

15.6

84.4

100.0

4.09

2년차

(75)

14.7

64.0

21.3

78.7

100.0

3.93

3년차

(128)

24.2

60.2

15.6

84.4

100.0

4.09

4년차

(61)

18.0

63.9

18.0

82.0

100.0

4.00

1년 미만

(10)

30.0

40.0

30.0

70.0

100.0

4.00

1년 ~ 3년 미만

(47)

10.6

63.8

25.5

74.5

100.0

3.85

3년 ~ 5년 미만

(52)

28.8

55.8

15.4

84.6

100.0

4.13

5년 ~ 10년 미만

(73)

13.7

72.6

13.7

86.3

100.0

4.00

10년 ~ 15년 미만

(55)

23.6

61.8

14.5

85.5

100.0

4.09

15년 이상

(72)

25.0

56.9

18.1

81.9

100.0

4.07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41


② 교육태도 변화 교육효과 중 ‘자신의 파트가 아닌 다른 파트 연습/지도 시 경청/집중한다’는 공감자가 55.3% (매우 8.4% + 어느 정도 46.9%) 수준이다. 퇴실 시 정리정돈 효과에 대해선 93.9%(매우 40.5% + 어느 정도 53.4%)가 ‘그렇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학생단원들이 무단결석, 지각, 조퇴에 대해선 ‘하지 않는다’는 평가가 75.4%(매우 21.0% + 어느 정도 54.4%)로 나타났으며, 학생단원의 수업 중 질의응답 및 적극적인 참여태도를 보이 는지 물어본 결과, 응답자 5명 중 4명(81.9%)은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그림 Ⅳ-45> 교육태도 변화 (N=309, 단위: %) 평균 (5점 척도)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3.58

4.34

3.88

4.06

0.3 5.5

0.6 5.5

2.3 4.2 18.1

1.6 16.5

38.8

53.4

③ 보통이다

56.6

54.4

② 그렇지 않다

46.9 40.5

① 전혀 그렇지 않다

8.4 경청/집중

기자재 정리정돈

21.0

25.2

출결석

적극적 태도

<표 Ⅳ-51> 교육태도 변화 (단위: %) 구 전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수

경청/집중

기자재 정리정돈

출결석

적극적 태도

(309)

3.58

4.34

3.88

4.06

신규(1년차)

(45)

3.62

4.29

3.87

4.13

2년차

(75)

3.37

4.19

3.88

4.01

3년차

(128)

3.72

4.46

3.92

4.09

4년차

(61)

3.49

4.30

3.79

3.97

1년 미만

(10)

3.40

4.60

3.90

4.10

1년~3년 미만

(47)

3.30

4.13

4.06

4.15

3년~5년 미만

(52)

3.58

4.42

3.88

4.04

5년~10년 미만

(73)

3.58

4.38

3.77

4.08

10년~15년 미만

(55)

3.62

4.35

3.96

4.09

15년 이상

(72)

3.75

4.32

3.79

3.94

14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③ 인성 및 사회성 변화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으로 인성 및 사회성 측면에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는 견해는 88.4%였다.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으로 음악향유, 표현능력, 소통능력이 향상됐다는 응답은 88.1%로 조사되었다. <그림 Ⅳ-46> 인성 및 사회성 변화 (N=309, 단위: %) 평균 (5점 척도)

⑤ 매우 그렇다

4.13

4.14

11.3

0.3 11.3

64.1

62.5

24.3

25.6

인성/사회성

표현/소통능력 긍정적 변화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② 그렇지 않다 모름/ 무응답

<표 Ⅳ-52> 인성 및 사회성 변화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사례수

인성/사회성

표현/소통능력 긍정적 변화

(309)

4.13

4.14

신규(1년차)

(45)

4.09

4.13

2년차

(75)

4.07

4.01

3년차

(128)

4.16

4.19

4년차

(61)

4.17

4.18

1년 미만

(10)

4.10

4.00

1년~3년 미만

(47)

4.00

4.06

3년~5년 미만

(52)

4.12

4.06

5년~10년 미만

(73)

4.12

4.14

10년~15년 미만

(55)

4.16

4.25

15년 이상

(72)

4.21

4.17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43


(5) 교육 전반 평가 ①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필요성 보다 많은 지역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이 이뤄져야 한다는 견해는 85.4%(매우 35.3% + 어느 정도 50.2%)로 부정적 견해(2.6%)보다 월등히 많았다. <그림 Ⅳ-47>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필요성 전혀 그렇지 않다 0.3%

그렇지 않다 2.3%

보통이다 11.7% 매우 그렇다 35.3%

그렇다 50.2%

5점 척도 평균 : 4.18점

<표 Ⅳ-53>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필요성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교육 경력

⑤ ④ 매우 그렇다 그렇다

③ 보통 이다

① ② ◐ ◐ 전혀 그렇지 TOP2 BOT2 그렇지 않다 (④+⑤) (①+②) 않다

사례수

평균

(309)

35.3

50.2

11.7

2.3

0.3

85.4

2.6

100.0

4.18

신규(1년차)

(45)

22.2

48.9

20.0

6.7

2.2

71.1

8.9

100.0

3.82

2년차

(75)

34.7

49.3

12.0

2.7

0.0

84.0

2.7

100.0

4.18

3년차

(128)

35.9

51.6

11.7

0.8

0.0

87.5

0.8

100.0

4.23

4년차

(61)

44.3

49.2

4.9

1.6

0.0

93.4

1.6

100.0

4.36

1년 미만

(10)

50.0

20.0

30.0

0.0

0.0

70.0

0.0

100.0

4.20

1년~3년 미만

(47)

29.8

57.4

10.6

2.1

0.0

87.2

2.1

100.0

4.15

3년~5년 미만

(52)

34.6

42.3

19.2

3.8

0.0

76.9

3.8

100.0

4.08

5년~10년 미만

(73)

37.0

52.1

5.5

4.1

1.4

89.0

5.5

100.0

4.19

10년~15년 미만

(55)

36.4

50.9

12.7

0.0

0.0

87.3

0.0

100.0

4.24

15년 이상

(72)

34.7

52.8

9.7

1.4

0.0

87.5

1.4

100.0

4.23

14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필요/불필요 요인 부정응답 이유로는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아서’가 가장 많았고, 긍정응답 이유로는 ‘사회성이 높아져서’, ‘균등한 기회가 제공되어서’ 등이 다수 언급되었다.

보다 많은 지역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50.0

◉ 거점 집중 운영이 효율적이라서

12.5

◉ 지역 학생수가 부족해서

12.5

◉ 생활수준의 격차로 학생단원 선발이 어려워서

12.5

◉ 현 기관에서도 제대로 운영되지 않아서

12.5

◉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들어가고 싶은 오케스트라를 만들기 위해서

12.5

보다 많은 지역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이 필요한 이유 ◉ 사회성이 높아져서

17.4

◉ 균등한 기회 제공이 되어서

12.9

◉ 많은 아이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서

11.7

◉ 다양한 기회 확대의 요인이 되어서

9.5

◉ 정서발달에 도움이 되어서

8.3

◉ 소외 계층 아이들에게 많은 기회를 주기 위해서

7.6

◉ 인성교육에 도움이 되어서

6.8

◉ 자아형성에 도움이 되어서

6.8

◉ 협동심이 생겨서

6.1

◉ 모름/ 무응답

15.2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45


③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과정 상 애로사항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수행과 교육과정 운영의 애로사항을 복수로 응답 받은 결과, ‘수준별 지 도 미흡’(12.0%)이 가장 애로사항으로 손꼽혔으며, ‘악기 교체 및 구입/악기 상태 불량’(7.1%), ‘부족한 예산지원’(6.8%) 등이 주로 언급되었다. <그림 Ⅳ-48>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과정 상 애로사항 (N=309, 단위: %)

12.0

수준별 지도 미흡

8.4

없음

7.1

악기 교체 및 구입/악기 상태 불량

6.8

부족한 예산 지원

4.5

학교/학원으로 인한 시간부족 레퍼토리 계발

3.6

강사들의 처우 개선

3.6

수준에 맞지 않는 선곡/어려운 곡 선정

3.6

감독/강사/행정과의 소통 부족

2.9

연습 시간 부족

2.9

적은 보수/적은 강사비

2.9

출결상황 파악이 어려움

2.3

인적자원 부족

1.9

지역사회에 맞는 교육과정의 자율화

1.9

사춘기 아이들과의 의사소통

1.9

학생들의 적극적인 노력 및 연습, 의지

1.9

협소한 장소/연습실 부족

1.9

아이들이 기초가 잡혀 있지 않음

1.9

집중적인 파트연습 불가

14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1.6


6) 행정인력(음악감독, 코디네이터) 설문조사에 참여한 행정인력(음악감독, 코디네이터)의 경우 총 63명이 답했으며, 3년차 거점 기관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경력은 1년 미만이 가장 많았다. <표 Ⅳ-54> 행정인력 응답자 특성

사업참여 횟수

사례수

%

63

100.0

신규(1년차)

9

14.3

2년차

16

25.4

3년차

28

44.4

4년차

10

15.9

1년 미만

17

27.0

1~3년 미만

16

25.4

3~5년 미만

11

17.5

5~10년 이상

9

14.3

10년 이상

9

14.3

모름/ 무응답

1

1.6

경력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47


(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인식 특성 ① 예술교육 변화 특성 인지도 응답자의 92.1%는 사회취약계층의 예술교육 기회 접근성을 강화하고, 문화향유 격차를 해소 하려는 교육프로그램 확대 흐름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아주 잘 알고있다’는 47.6%로 매우 높았다. <그림 Ⅳ-49> 예술교육 변화 특성 인지도 (N=63, 단위: %) 47.6

5점 척도 평균 : 4.37점

44.4

⑤ 아주 잘 알고 있다

④ 대략적으로 잘 알고 있다

4.8

3.2

③ 보통이다

② 잘 모르는 편이다

<표 Ⅳ-55> 예술교육 변화 특성 인지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⑤ ④ 아주 잘 대략적 사례수 알고 으로 잘 있다 알고 있다

③ 보통 이다

② ◐BOT2 ◐TOP2 잘 모르는 (①+②) (④+⑤) 편이다

평균

(63)

47.6

44.4

4.8

3.2

92.1

3.2

100.0

4.37

신규(1년차)

(9)

44.4

55.6

0.0

0.0

100.0

0.0

100.0

4.44

2년차

(16)

37.5

43.8

12.5

6.3

81.3

6.3

100.0

4.13

3년차

(28)

53.6

42.9

3.6

0.0

96.4

0.0

100.0

4.50

4년차

(10)

50.0

40.0

0.0

10.0

90.0

10.0

100.0

4.30

1년 미만

(17)

23.5

64.7

5.9

5.9

88.2

5.9

100.0

4.06

1~3년 미만

(16)

43.8

50.0

6.3

0.0

93.8

0.0

100.0

4.38

3~5년 미만

(11)

45.5

45.5

0.0

9.1

90.9

9.1

100.0

4.27

5~10년 이상

(9)

55.6

44.4

0.0

0.0

100.0

0.0

100.0

4.56

10년 이상

(9)

100.0

0.0

0.0

0.0

100.0

0.0

100.0

5.00

모름/ 무응답

(1)

0.0

0.0

100.0

0.0

0.0

0.0

100.0

3.00

14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예술교육의 사회통합 필요성 공감정도 최근 예술교육이 사회통합에 기여하려는 흐름에 대해 ‘알고 있다’라고 대답한 응답자는 92.1%에 달하였다. <그림 Ⅳ-50> 예술교육 사회통합 필요성 공감정도 (N=63, 단위: %) 47.6

5점 척도 평균 : 4.40점

44.4

7.9

⑤ 매우 긍정적이다

④ 긍정적인 편이다

③ 보통이다

<표 Ⅳ-56> 예술교육 사회통합 필요성 공감정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⑤ 매우 ④ 긍정적인 ③ 보통이다 긍정적이다 편이다

◐BOT2 (①+②)

평균

7.9

92.1

100.0

4.40

44.4

22.2

77.8

100.0

4.11

31.3

62.5

6.3

93.8

100.0

4.25

(28)

57.1

35.7

7.1

92.9

100.0

4.50

4년차

(10)

60.0

40.0

0.0

100.0

100.0

4.60

1년 미만

(17)

41.2

58.8

0.0

100.0

100.0

4.41

1~3년 미만

(16)

56.3

31.3

12.5

87.5

100.0

4.44

3~5년 미만

(11)

54.5

27.3

18.2

81.8

100.0

4.36

5~10년 이상

(9)

33.3

66.7

0.0

100.0

100.0

4.33

10년 이상

(9)

55.6

44.4

0.0

100.0

100.0

4.56

모름/ 무응답

(1)

0.0

0.0

100.0

0.0

100.0

3.00

사례수

(63)

47.6

44.4

신규(1년차)

(9)

33.3

2년차

(16)

3년차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49


③ 구성원간 목표 이해/공유 정도 구성원 간 사업 목표의 이해와 공유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96.8%(매우 46.0% + 어느 정도 50.8%)로 조사되었다. <그림 Ⅳ-51> 구성원간 목표 이해/공유 정도 (N=63,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43점

50.8

46.0

3.2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표 Ⅳ-57> 구성원간 목표 이해/공유 정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BOT2 (①+②)

평균

(63)

46.0

50.8

3.2

96.8

100.0

4.43

신규(1년차)

(9)

66.7

33.3

0.0

100.0

100.0

4.67

2년차

(16)

43.8

50.0

6.3

93.8

100.0

4.38

3년차

(28)

50.0

46.4

3.6

96.4

100.0

4.46

4년차

(10)

20.0

80.0

0.0

100.0

100.0

4.20

1년 미만

(17)

17.6

76.5

5.9

94.1

100.0

4.12

1~3년 미만

(16)

81.3

18.8

0.0

100.0

100.0

4.81

3~5년 미만

(11)

45.5

54.5

0.0

100.0

100.0

4.45

5~10년 이상

(9)

44.4

55.6

0.0

100.0

100.0

4.44

10년 이상

(9)

44.4

55.6

0.0

100.0

100.0

4.44

모름/ 무응답

(1)

0.0

0.0

100.0

0.0

100.0

3.00

15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④ 교육목표 우선 순위 평가 행정직원과 코디네이터는 꿈의 오케스트라의 교육 목표로 ‘수혜자의 자아 존중감 및 인성함 양’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수혜자의 문화예술향유 기회 확대’와 ‘수혜자의 사회성 강화’ 등이 뒤따랐다. <그림 Ⅳ-52> 교육목표 우선 순위 평가 (N=63, 단위: %) 88.9

50.8

46.0 33.3

31.7

23.8

19.0 4.8

수혜자의 자아 수혜자의 존중감 및 문화예술향유 인성 함양 기회 확대

수혜자의 사회성 강화

수혜자의 잠재성 발굴 및 계발

사회 통합성 강화

문화예술소외 수혜자의 예술 지역 해소 향유능력 배양

1.6

수혜자의 음악실기 능력 계발

다양한 다른 아동과의 만남 및 소통

<표 Ⅳ-58> 교육목표 우선 순위 평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수혜자의 수혜자의 수혜자의 수혜자의 수혜자의 사회 문화예술 수혜자의 사례 자아 존 문화예술 잠재 성 예술 사회 성 통합성 소외지역 음악 실기 수 중감 및 향유 기회 발굴 및 향유능력 강화 강화 해소 능력 계발 인성 함양 확대 계발 배양

다양한 다른 아동 과의 만남 및 소통

(63)

88.9

50.8

46.0

33.3

31.7

23.8

19.0

4.8

1.6

신규(1년차)

(9)

100.0

44.4

44.4

11.1

44.4

33.3

22.2

0.0

0.0

2년차

(16)

75.0

50.0

50.0

37.5

37.5

6.3

31.3

12.5

0.0

3년차

(28)

96.4

64.3

42.9

28.6

21.4

28.6

14.3

3.6

0.0

4년차

(10)

80.0

20.0

50.0

60.0

40.0

30.0

10.0

0.0

10.0

1년 미만

(17)

88.2

47.1

76.5

29.4

29.4

11.8

5.9

5.9

5.9

1~3년 미만

(16)

100.0

56.3

37.5

31.3

37.5

18.8

18.8

0.0

0.0

3~5년 미만

(11)

72.7

45.5

45.5

18.2

45.5

45.5

27.3

0.0

0.0

5~10년 이상

(9)

100.0

22.2

33.3

44.4

22.2

44.4

22.2

11.1

0.0

10년 이상

(9)

88.9

77.8

22.2

55.6

22.2

11.1

22.2

0.0

0.0

모름/ 무응답

(1)

0.0

100.0

0.0

0.0

0.0

0.0

100.0

100.0

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51


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필요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98.4%(매우 68.3% + 어느 정 도 30.2%)가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그림 Ⅳ-53>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필요성 (N=63,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67점

68.3

30.2

1.6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표 Ⅳ-59>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필요성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⑤ 매우 필요하다

④ 필요하다

③ 보통이다

◐BOT2 (①+②)

평균

(63)

68.3

30.2

1.6

98.4

100.0

4.67

신규(1년차)

(9)

66.7

33.3

0.0

100.0

100.0

4.67

2년차

(16)

68.8

25.0

6.3

93.8

100.0

4.63

3년차

(28)

71.4

28.6

0.0

100.0

100.0

4.71

4년차

(10)

60.0

40.0

0.0

100.0

100.0

4.60

1년 미만

(17)

64.7

35.3

0.0

100.0

100.0

4.65

1~3년 미만

(16)

81.3

18.8

0.0

100.0

100.0

4.81

3~5년 미만

(11)

72.7

27.3

0.0

100.0

100.0

4.73

5~10년 이상

(9)

55.6

44.4

0.0

100.0

100.0

4.56

10년 이상

(9)

66.7

33.3

0.0

100.0

100.0

4.67

모름/ 무응답

(1)

0.0

0.0

100.0

0.0

100.0

3.00

15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⑥ 기관 교육 프로그램과의 복합 정도 오케스트라 사업이 해당 기관의 교육프로그램 사업에 부합하는가에 대해 응답자의 93.7%는 ‘예’라고 응답해 ‘아니오’(4.8%) 응답을 능가하였다. <그림 Ⅳ-54> 기관 교육 프로그램과의 복합 정도 모름/ 무응답 1.6%

아니오 4.8%

예 93.7%

<표 Ⅳ-60> 기관 교육 프로그램과의 복합 정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아니오

모름/ 무응답

(63)

93.7

4.8

1.6

100.0

신규(1년차)

(9)

100.0

0.0

0.0

100.0

2년차

(16)

87.5

6.3

6.3

100.0

3년차

(28)

92.9

7.1

0.0

100.0

4년차

(10)

100.0

0.0

0.0

100.0

1년 미만

(17)

88.2

5.9

5.9

100.0

1~3년 미만

(16)

100.0

0.0

0.0

100.0

3~5년 미만

(11)

90.9

9.1

0.0

100.0

5~10년 이상

(9)

100.0

0.0

0.0

100.0

10년 이상

(9)

100.0

0.0

0.0

100.0

모름/ 무응답

(1)

0.0

100.0

0.0

10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53


⑦ 기획 전 학생단원 요구사항 파악 노력 정도 교육 프로그램 기획단계에서 학생단원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경우는 92.1%로 조사되었다. 하 지만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비율도 4.8%로 나타났다. <그림 Ⅳ-55> 기획 전 학생단원 요구사항 파악 노력 정도 모름/ 무응답 3.2%

아니오 4.8%

예 92.1%

<표 Ⅳ-61> 기획 전 학생단원 요구사항 파악 노력 정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아니오

모름/ 무응답

(63)

92.1

4.8

3.2

100.0

신규(1년차)

(9)

100.0

0.0

0.0

100.0

2년차

(16)

87.5

6.3

6.3

100.0

3년차

(28)

92.9

3.6

3.6

100.0

4년차

(10)

90.0

10.0

0.0

100.0

1년 미만

(17)

94.1

0.0

5.9

100.0

1~3년 미만

(16)

100.0

0.0

0.0

100.0

3~5년 미만

(11)

81.8

9.1

9.1

100.0

5~10년 이상

(9)

100.0

0.0

0.0

100.0

10년 이상

(9)

88.9

11.1

0.0

100.0

모름/ 무응답

(1)

0.0

100.0

0.0

100.0

15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⑦-1. 기획 전 학생단원 요구사항 파악 노력 내용 구체적으로 학생단원과의 만남, 학생단원 학부모와의 만남, 지역아동센터 담당자와의 회의 등 의 노력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구사항 파악을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 었으며, 미술 심리치료를 병행하는 기관도 있었다. <그림 Ⅳ-56> 기획 전 학생단원 요구사항 파악 노력 내용 (N=58, 단위: %) 60.3 53.4 36.2

15.5 1.7 아동단원과의 학생 만남

학생 아동단원 학부모와의 만남

지역아동센터 담당자와의 회의

1.7

요구사항 파악을 미술심리치료 병행 교육담당자와 아이 위한 설문조사시행 들과의 정기적 면담

<표 Ⅳ-62> 기획 전 학생단원 요구사항 파악 노력 내용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학생 사례수 단원과의 만남

지역 요구사항 학생단원 미술 교육 담당자와 아동센터 파악을 위한 학부모와의 심리치료 아이들과의 담당자와의 설문조사 만남 병행 정기적 면담 회의 시행

(58)

60.3

53.4

36.2

15.5

1.7

1.7

신규(1년차)

(9)

66.7

88.9

55.6

33.3

0.0

0.0

2년차

(14)

71.4

35.7

21.4

14.3

0.0

0.0

3년차

(26)

57.7

50.0

38.5

15.4

0.0

3.8

4년차

(9)

44.4

55.6

33.3

0.0

11.1

0.0

1년 미만

(16)

75.0

31.3

25.0

0.0

0.0

0.0

1~3년 미만

(16)

68.8

62.5

37.5

25.0

0.0

0.0

3~5년 미만

(9)

22.2

55.6

33.3

22.2

11.1

0.0

5~10년 이상

(9)

33.3

66.7

33.3

11.1

0.0

0.0

10년 이상

(8)

87.5

62.5

62.5

25.0

0.0

12.5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55


⑧ 기획 단계 학생/학부모 요구사항 반영 정도 교육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 학생 및 학부모의 ‘의견이 반영됐다’라는 응답은 68.3%였다. <그림 Ⅳ-57> 기획 단계 학생/학부모 요구사항 반영 정도 (N=63, 단위: %) 5점 척도 평균 : 3.88점

52.4

27.0 15.9 4.8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모름/ 무응답

<표 Ⅳ-63> 기획 단계 학생/학부모 요구사항 반영 정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모름/ 무응답

◐BOT2 (①+②)

평균

(63)

15.9

52.4

27.0

4.8

68.3

100.0

3.88

신규(1년차)

(9)

11.1

66.7

22.2

0.0

77.8

100.0

3.89

2년차

(16)

12.5

43.8

37.5

6.3

56.3

100.0

3.73

3년차

(28)

21.4

57.1

17.9

3.6

78.6

100.0

4.04

4년차

(10)

10.0

40.0

40.0

10.0

50.0

100.0

3.67

1년 미만

(17)

17.6

41.2

35.3

5.9

58.8

100.0

3.81

1~3년 미만

(16)

25.0

75.0

0.0

0.0

100.0

100.0

4.25

3~5년 미만

(11)

0.0

63.6

36.4

0.0

63.6

100.0

3.64

5~10년 이상

(9)

22.2

33.3

33.3

11.1

55.6

100.0

3.88

10년 이상

(9)

11.1

44.4

33.3

11.1

55.6

100.0

3.75

모름/ 무응답

(1)

0.0

0.0

100.0

0.0

0.0

100.0

3.00

15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⑨ 기획 시 외부전문가 참여/자문회의 개최 경험 교육 프로그램 기획 시 외부 전문가 참여/자문회의 개최 경험은 54.0%로 조사되었다. 또한 경험자 중 ‘외부전문가 참여’는 20.6%, ‘자문회의 개최’는 17.5%, ‘둘다 수행’은 15.9%로 응답 되었다. <그림 Ⅳ-58> 기획 시 외부전문가 참여/자문회의 개최 경험 (N=63, 단위: %) 36.5

20.6

17.5

15.9 9.5

경험 없음

외부전문가 참여

자문회의 개최

둘 다 수행

모름/ 무응답

<표 Ⅳ-64> 기획 시 외부전문가 참여/자문회의 개최 경험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경험 없음

외부전문가 참여

자문회의 개최

둘 다 수행

모름/ 무응답

(63)

36.5

20.6

17.5

15.9

9.5

100.0

신규(1년차)

(9)

66.7

11.1

11.1

11.1

0.0

100.0

2년차

(16)

43.8

31.3

6.3

0.0

18.8

100.0

3년차

(28)

25.0

21.4

17.9

28.6

7.1

100.0

4년차

(10)

30.0

10.0

40.0

10.0

10.0

100.0

1년 미만

(17)

52.9

11.8

5.9

17.6

11.8

100.0

1~3년 미만

(16)

18.8

25.0

25.0

18.8

12.5

100.0

3~5년 미만

(11)

36.4

18.2

18.2

9.1

18.2

100.0

5~10년 이상

(9)

44.4

22.2

22.2

11.1

0.0

100.0

10년 이상

(9)

22.2

33.3

22.2

22.2

0.0

100.0

모름/ 무응답

(1)

100.0

0.0

0.0

0.0

0.0

10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57


(2) 교육 프로그램 운영 ① 기관 및 지역 여건 평가 기관과 지역 여건에 대해 살펴보면, ‘전문인력 보유’(98.5%)와 ‘교육에 필요한 시설, 교육기자 재 확보’(93.7%), ‘교육에 적합한 공간구조, 배치, 동선 구성’(85.7%)에서 높게 평가된 반면,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강사 인력 수급 수월성’(60.3%)과 ‘다른 기관/단체와의 네트워크 구축’ (73.0%)에서는 낮게 평가되었다. <그림 Ⅳ-59> 기관 및 지역 여건 평가 (N=63, 단위: %) 평균 (5점 척도)

4.79

4.35

⑤ 매우 그렇다

1.6 17.5

12.7

3.2

④ 그렇다

4.46

4.16

4.8 9.5

6.3

1.6 14.3

3.95

3.63

1.6

1.6 12.7

25.4

25.4

41.3

30.2

46.0

③ 보통 ② 그렇지 않다

4.21

50.8 49.2

81.0 54.0

① 전혀 그렇지 않다

전문인력 보유여부

39.7

52.4

33.3

전담 업무 처리 교육에 적합한 교육에 필요한 교육에 필요한 조직 구성여부 공간구조, 시설, 다양한 종류의 배치, 동선 교육기자재 악기 확보 여부 구성 여부 확보 여부

41.3

23.8

19.0

다른 기관/ 단체와의 네트워크 구축 여부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강사 인력 수급 수월성 여부

<표 Ⅳ-65> 기관 및 지역 여건 평가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전 체 신규(1년차) 2년차 3년차 4년차 1년 미만 1~3년 미만 3~5년 미만 5~10년 이상 10년 이상 모름/ 무응답

교육에 적합 교육에 전담 업무 사례 전문 인력 한 공간 구조, 필요한 시설, 처리 조직 수 보유 여부 배치, 동선 교육기자재 구성여부 구성 여부 확보 여부 (63) (9) (16) (28) (10) (17) (16) (11) (9) (9) (1)

4.79 4.67 4.75 4.96 4.50 4.82 4.81 4.82 4.78 4.78 4.00

15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4.35 4.56 4.56 4.25 4.10 4.35 4.44 4.45 4.11 4.33 4.00

4.21 3.67 4.25 4.32 4.30 4.18 4.25 4.18 4.00 4.44 4.00

4.46 4.44 4.31 4.71 4.00 4.41 4.63 4.45 4.33 4.44 4.00

교육에 필요 한 다양한 종류의 악기 확보 여부 4.16 4.00 4.31 4.18 4.00 4.12 4.31 4.18 3.89 4.22 4.00

(단위: 5점척도 점) 다른 기관/ 문화예술교육 단체와의 프로그램 강사 네트워크 인력 수급 구축 여부 수월성 여부 3.95 4.00 4.00 3.93 3.90 3.71 4.06 3.82 4.11 4.22 4.00

3.63 3.00 4.06 3.71 3.30 3.65 3.88 3.45 3.44 3.56 4.00


② 참여 인력 및 학생단원 구성 특성 조사 대상기관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인력 구성을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행정직원 1.2 명, 코디네이터 1명, 음악감독 1명, 주강사 7.6명, 보조강사 2.7명으로 조사되었다. 꿈의 오케스 트라 교육 참여 학생단원의 규모는 현악기 파트가 평균 38.3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관악기 파 트는 평균 17.3명 타악기 파트는 평균 3.7명으로 응답되었다. <표 Ⅳ-66>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 인력 (단위: %) 구

1명

2명

3명

4명

5명

6명 이상

행정직원

77.8

15.9

3.2

0.0

0.0

0.0

1.2

코디네이터

98.4

1.6

0.0

0.0

0.0

0.0

1.0

음악감독

100.0

0.0

0.0

0.0

0.0

0.0

1.0

주 강사

0.0

0.0

0.0

3.2

12.7

76.2

7.6

보조 강사

11.1

17.5

17.5

3.2

6.3

1.6

2.7

음악 강사

<표 Ⅳ-67>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 학생단원 (단위: %) 구

10명 이하 11~20명

21~30명

31~40명

41~50명 51명 이상

평균

현악기 파트

0.0

0.0

27.0

39.7

15.9

11.1

38.3

관악기 파트

12.7

54.0

22.2

3.2

0.0

0.0

17.3

타악기 파트

88.9

0.0

1.6

0.0

0.0

0.0

3.7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59


③ 학생단원 추천 경로/선정 요소 고려 여부 학생단원 선발 시 추천 경로와 선정 요소를 고려한다는 응답자는 96.8%(매우 42.9% + 어느 정도 54.0%)였다. <그림 Ⅳ-60> 학생단원 추천 경로/선정 요소 고려 여부 (N=63,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40점

54.0 42.9

3.2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표 Ⅳ-68> 학생단원 추천 경로/선정 요소 고려 여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BOT2 (①+②)

평균

(63)

42.9

54.0

3.2

96.8

100.0

4.40

신규(1년차)

(9)

22.2

55.6

22.2

77.8

100.0

4.00

2년차

(16)

43.8

56.3

0.0

100.0

100.0

4.44

3년차

(28)

50.0

50.0

0.0

100.0

100.0

4.50

4년차

(10)

40.0

60.0

0.0

100.0

100.0

4.40

1년 미만

(17)

35.3

64.7

0.0

100.0

100.0

4.35

1~3년 미만

(16)

56.3

37.5

6.3

93.8

100.0

4.50

3~5년 미만

(11)

27.3

63.6

9.1

90.9

100.0

4.18

5~10년 이상

(9)

44.4

55.6

0.0

100.0

100.0

4.44

10년 이상

(9)

55.6

44.4

0.0

100.0

100.0

4.56

모름/ 무응답

(1)

0.0

100.0

0.0

100.0

100.0

4.00

16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④ 학생단원 선발 특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단원 선발 기준에 대해 대부분(98.4%) 마련되어 있었 다고 응답하였다. <그림 Ⅳ-61> 선발 기준 존재 여부 아니오 1.6%

예 98.4%

<표 Ⅳ-69> 선발 기준 존재 여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아니오

(63)

98.4

1.6

100.0

신규(1년차)

(9)

100.0

0.0

100.0

2년차

(16)

93.8

6.3

100.0

3년차

(28)

100.0

0.0

100.0

4년차

(10)

100.0

0.0

100.0

1년 미만

(17)

100.0

0.0

100.0

1~3년 미만

(16)

100.0

0.0

100.0

3~5년 미만

(11)

100.0

0.0

100.0

5~10년 이상

(9)

100.0

0.0

100.0

10년 이상

(9)

100.0

0.0

100.0

모름/ 무응답

(1)

0.0

100.0

10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61


④-1. 주 선발 기준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학생단원의 선발 시 주된 기준으로 ‘사회취약계층 여부’가 80.6%로 가 장 많았고, ‘학생단원의 참여의지’가 뒤를 이었다. <그림 Ⅳ-62> 주 선발 기준 모름/ 무응답 1.6%

아동단원의 참여의지 29.0%

사회취약계층 여부 80.6%

<표 Ⅳ-70> 주 선발 기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사회취약계층 여부

학생단원의 참여의지

모름/ 무응답

(62)

80.6

29.0

1.6

신규(1년차)

(9)

77.8

33.3

0.0

2년차

(15)

73.3

33.3

0.0

3년차

(28)

85.7

28.6

0.0

4년차

(10)

80.0

20.0

10.0

1년 미만

(17)

88.2

17.6

0.0

1~3년 미만

(16)

75.0

31.3

6.3

3~5년 미만

(11)

81.8

36.4

0.0

5~10년 이상

(9)

88.9

22.2

0.0

10년 이상

(9)

66.7

44.4

0.0

16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④-2. 선발 특성 및 공정성 학생단원 선발기준의 사회취약계층/교육특성을 고려한 경우가 85.5%(매우 30.6% + 어느 정 도 54.8%)로 많았다. 이 같은 절차의 공정성에 공감하는 응답은 96.8%에 달하였다. <그림 Ⅳ-63> 선발 특성 및 공정성 (N=62, 단위: %) 평균 (5점 척도)

4.13

4.54

3.2 8.1

⑤ 매우 그렇다

44.4

④ 그렇다

54.8

③ 보통이다

52.4

① 전혀 그렇지 않다

30.6 사회취약계층의 상황/ 교육특성 고려여부

선발기준/절차 공정성

<표 Ⅳ-71> 선발 특성 및 공정성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사회취약계층의 상황/교육특성 고려여부

선발기준/절차 공정성

(62)

4.13

4.54

신규(1년차)

(9)

4.22

4.50

2년차

(15)

4.27

4.63

3년차

(28)

4.07

4.57

4년차

(10)

4.00

4.33

1년 미만

(17)

4.12

4.65

1~3년 미만

(16)

4.40

4.69

3~5년 미만

(11)

4.00

4.50

5~10년 이상

(9)

3.50

4.25

10년 이상

(9)

4.44

4.44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63


⑤ 교육 프로그램 홍보 경로 교육 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홍보 방식으로 ‘홈페이지’(65.1%)를 꼽은 경우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문자메시지 안내’(47.6%), ‘전화 안내’(34.9%), ‘대내외 포스터 부착’ (31.7%),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 활용’(3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64> 교육 프로그램 홍보 경로 (N=309, 단위: %) 65.1

• 공문 발송

6.3

• 지역아동센터 등 유관 기관 방문 4.8

47.6 34.9

31.7

• 보도자료 배포

1.6

• 현수막

1.6

30.2 19.0

홈페이지

문자메세지 안내

전화 안내

대내외 포스터 부착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 활용

문화예술교육 관련 사이트 및 커뮤니티 게시

12.7

14.3

웹메일 발송

기타

<표 Ⅳ-72> 교육 프로그램 홍보 경로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문자 사례수 홈페이지 메세지 안내

전화 안내

문화예술 교육 페이스북 관련 대내외 , 트위터 웹메일 포스터 사이트 등 SNS 발송 및 부착 활용 커뮤니티 게시 31.7 30.2 19.0 12.7

(63)

65.1

47.6

34.9

신규(1년차)

(9)

88.9

33.3

11.1

22.2

55.6

2년차

(16)

68.8

43.8

43.8

50.0

12.5

3년차

(28)

57.1

57.1

39.3

28.6

35.7

4년차

(10)

60.0

40.0

30.0

20.0

20.0

10.0

66.7

기타

14.3

33.3

22.2

0.0

12.5

31.3

17.9

10.7

7.1

0.0

0.0

1년 미만

(17)

64.7

35.3

23.5

35.3

17.6

23.5

5.9

5.9

1~3년 미만

(16)

62.5

56.3

43.8

43.8

43.8

25.0

25.0

37.5

3~5년 미만

(11)

45.5

45.5

36.4

18.2

27.3

9.1

9.1

0.0

5~10년 이상

(9)

88.9

33.3

22.2

22.2

22.2

22.2

11.1

11.1

10년 이상

(9)

77.8

77.8

55.6

22.2

44.4

11.1

11.1

11.1

모름/ 무응답

(1)

0.0

0.0

0.0

100.0

0.0

0.0

0.0

0.0

16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⑥ 음악감독/강사 선발 기준/절차 존재 여부 전문 음악감독 및 강사 확보를 위한 기준과 절차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95.2%로 많았고, 또한, 공정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림 Ⅳ-65> 음악감독/강사 선발 기준/절차 존재 여부 및 공정성 아니오 4.8%

(N=60,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45점 53.3 38.3

예 95.2%

8.3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표 Ⅳ-73> 음악감독/강사 선발 기준/절차 존재 여부 및 공정성 (단위: %) ⑤ 매우 ④ ③ 보통 ◐BOT2 사례수 그렇다 그렇다 이다 (①+②)

사례수

아니오

평균

(63)

95.2

4.8

100.0

(60)

53.3

38.3

8.3

91.7

100.0

4.45

신규 (1년차)

(9)

100.0

0.0

100.0

(9)

55.6

33.3

11.1

88.9

100.0

4.44

사업 2년차 참여 횟수 3년차

(16)

87.5

12.5

100.0

(14)

50.0

50.0

0.0

100.0

100.0

4.50

(28)

100.0

0.0

100.0

(28)

60.7

35.7

3.6

96.4

100.0

4.57

4년차

(10)

90.0

10.0

100.0

(9)

33.3

33.3

33.3

66.7

100.0

4.00

1년 미만

(17)

94.1

5.9

100.0

(16)

56.3

31.3

12.5

87.5

100.0

4.44

1~3년 미만

(16)

100.0

0.0

100.0

(16)

68.8

25.0

6.3

93.8

100.0

4.63

3~5년 미만

(11)

100.0

0.0

100.0

(11)

18.2

72.7

9.1

90.9

100.0

4.09

5~10년 이상

(9)

88.9

11.1

100.0

(8)

62.5

37.5

0.0

100.0

100.0

4.63

10년 이상

(9)

100.0

0.0

100.0

(9)

55.6

33.3

11.1

88.9

100.0

4.44

경력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65


⑦ 음악감독/강사 전문성 확보 방안 수립 및 운영 음악감독과 강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수립/운영에 대해 ‘그렇다’ 77.8%로 ‘아니 다’(20.6%)보다 57.2% 더 많았다. 음악감독과 강사의 전문성 확보 방안으로 ‘음악감독 및 강사 에 대한 평가’(42.9%), ‘학부모 공개수업’(30.6%),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18.4%) 등이 주 로 언급되었다. <그림 Ⅳ-66> 음악감독/강사에 대한 전문성 확보 방안 수립/운영 여부

<표 Ⅳ-74> 음악감독/강사에 대한 전문성 확보 방안 수립/운영 여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그렇다

아니다

모름/ 무응답

(63)

77.8

20.6

1.6

100.0

신규(1년차)

(9)

88.9

11.1

0.0

100.0

2년차

(16)

81.3

18.8

0.0

100.0

3년차

(28)

82.1

17.9

0.0

100.0

4년차

(10)

50.0

40.0

10.0

100.0

1년 미만

(17)

70.6

29.4

0.0

100.0

1~3년 미만

(16)

93.8

6.3

0.0

100.0

3~5년 미만

(11)

63.6

27.3

9.1

100.0

5~10년 이상

(9)

77.8

22.2

0.0

100.0

10년 이상

(9)

77.8

22.2

0.0

100.0

모름/ 무응답

(1)

100.0

0.0

0.0

100.0

16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⑦ -1 음악감독/강사 전문성 확보 방안 <그림 Ⅳ-67> 음악감독/강사의 전문성 확보 방안(복수응답) (N=63, 단위: %)

42.9 30.6 18.4 10.2 음악감독 및 강사에 대한 평가

학부모 공개수업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조사

역량강화 교육/ 워크샵

4.1

2.0

2.0

2.0

재단 관계자 수업 참관

타 지역 탐방

정기 발표회 및 연주회

해당 파트 아동과의 상담

<표 Ⅳ-75> 음악감독/강사에 대한 전문성 확보 방안(복수응답)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음악 교육 재단 정기 해당 학부모 역량강화 감독 및 프로그램 관계자 타 지역 발표회 파트 사례수 공개 교육/ 강사에 만족도 수업 탐방 및 아동과 수업 워크샵 대한 평가 조사 참관 연주회 의 상담

(49)

42.9

30.6

18.4

10.2

4.1

2.0

2.0

2.0

신규(1년차)

(8)

37.5

50.0

0.0

12.5

0.0

12.5

0.0

0.0

2년차

(13)

30.8

38.5

23.1

15.4

0.0

0.0

0.0

7.7

3년차

(23)

43.5

26.1

26.1

8.7

8.7

0.0

0.0

0.0

4년차

(5)

80.0

0.0

0.0

0.0

0.0

0.0

20.0

0.0

1년 미만

(12)

66.7

25.0

0.0

0.0

0.0

0.0

8.3

8.3

1~3년 미만

(15)

26.7

26.7

13.3

20.0

13.3

6.7

0.0

0.0

3~5년 미만

(7)

42.9

42.9

14.3

14.3

0.0

0.0

0.0

0.0

5~10년 이상

(7)

28.6

42.9

28.6

0.0

0.0

0.0

0.0

0.0

10년 이상

(7)

42.9

28.6

57.1

14.3

0.0

0.0

0.0

0.0

모름/ 무응답

(1)

100.0

0.0

0.0

0.0

0.0

0.0

0.0

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67


⑧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예산 구성 응답자가 소속된 기관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을 운영하기 위한 예산지원을 살펴보면,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1억390만원, 지역자치단체 2,030만원, 기관자체 920만원, 기타 60만원씩을 평균적으로 지원받고 있다. <그림 Ⅳ-68>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예산 구성

<표 Ⅳ-76>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예산 구성 (단위: 백만원)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63)

103.9

20.3

9.2

06

신규(1년차)

(9)

78.3

26.7

11.1

4.4

2년차

(16)

85.0

8.6

5.7

0.0

3년차

(28)

81.1

22.5

11.9

0.0

4년차

(10)

230.0

25.6

4.4

0.0

1년 미만

(17)

134.4

17.2

10.0

1.2

1~3년 미만

(16)

72.8

22.6

7.2

0.0

3~5년 미만

(11)

84.5

10.8

11.9

0.0

5~10년 이상

(9)

151.1

36.2

5.6

0.0

10년 이상

(9)

79.4

16.7

12.1

2.2

16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지역자치단체

기관자체

기타


⑨ 운영비 규모 충분 및 합리적 편성 여부 운영비 규모가 충분한가를 물어본 결과, ‘충분하다’라는 응답은 12.7%로 ‘충분하지 않다’ (36.5%)보다 적었다. 예산의 합리적 편성 정도를 물어본 결과, 응답자 3명 중 2명(66.7%)은 ‘합 리적’이라고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그림 Ⅳ-69> 운영비 규모 충분 및 합리적 편성 여부 (N=63, 단위: %) 평균 (5점 척도)

2.76

3.63

4.8

⑤ 매우 그렇다

34.9

27.0

② 그렇지 않다

50.8

61.9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1.1 1.6

4.8

운영비 규모의 충분정도

예산의 합리적 편성정도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표 Ⅳ-77> 운영비 규모 충분 및 합리적 편성 여부 (단위: 5점척도 평균)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운영비 규모의 충분정도 예산의 합리적 편성정도

(63)

2.76

3.63

신규(1년차)

(9)

2.33

3.56

2년차

(16)

2.94

3.88

3년차

(28)

2.82

3.61

4년차

(10)

2.70

3.40

1년 미만

(17)

2.53

3.47

1~3년 미만

(16)

2.88

3.81

3~5년 미만

(11)

2.73

3.45

5~10년 이상

(9)

3.11

3.44

10년 이상

(9)

2.56

4.00

모름/ 무응답

(1)

4.00

4.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69


⑩ 연계/협력 기관 특성 외부기관과의 연계/협력관계를 구축 여부에 대해 응답자의 81.0%는 ‘예’라고 답하였으며, 실 제로 연계/협력관계를 구축한 외부기관으로는 ‘문화예술단체’, ‘정부 및 공공 기관‘, ‘학교(대학 교, 초중고)’ 등이 있었다. <그림 Ⅳ-70> 문화예술자원 활용을 위해 외부기관과의 연계/협력관계 구축 여부 모름/ 무응답 1.6%

아니오 17.5%

예 81.0%

<표 Ⅳ-78> 문화예술자원 활용을 위해 외부기관과의 연계/협력관계 구축 여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아니오

모름/ 무응답

(63)

81.0

17.5

1.6

100.0

신규(1년차)

(9)

100.0

0.0

0.0

100.0

2년차

(16)

81.3

18.8

0.0

100.0

3년차

(28)

85.7

14.3

0.0

100.0

4년차

(10)

50.0

40.0

10.0

100.0

1년 미만

(17)

70.6

29.4

0.0

100.0

1~3년 미만

(16)

87.5

12.5

0.0

100.0

3~5년 미만

(11)

81.8

9.1

9.1

100.0

5~10년 이상

(9)

77.8

22.2

0.0

100.0

10년 이상

(9)

88.9

11.1

0.0

100.0

모름/ 무응답

(1)

100.0

0.0

0.0

100.0

17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⑩-1. 연계/협력관계를 구축한 외부기관 <그림 Ⅳ-71> 연계/협력관계를 구축한 외부기관 (N=63, 단위: %)

37.3

35.3 29.4 23.5

2.0 문화예술 단체

정부 및 공공기관

학교(대학교, 초중고)

기타

모름/ 무응답

<표 Ⅳ-79> 연계/협력관계를 구축한 외부기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정부 및 학교(대학 공공기관 교, 초중고)

기타

모름/ 무응답

23.5

29.4

2.0

100.0

33.3

11.1

88.9

11.1

100.0

53.8

15.4

23.1

23.1

0.0

100.0

(24)

33.3

41.7

29.2

16.7

0.0

100.0

4년차

(5)

40.0

60.0

20.0

0.0

0.0

100.0

1년 미만

(12)

58.3

25.0

25.0

16.7

0.0

100.0

1년~3년 미만

(14)

21.4

42.9

28.6

28.6

7.1

100.0

3년~5년 미만

(9)

11.1

44.4

22.2

66.7

0.0

100.0

5년~10년 미만

(7)

42.9

28.6

14.3

14.3

0.0

100.0

10년~15년 미만

(8)

62.5

25.0

25.0

25.0

0.0

100.0

15년 이상

(1)

0.0

100.0

0.0

0.0

0.0

100.0

사례수

문화예술단체

(51)

37.3

35.3

신규(1년차)

(9)

22.2

2년차

(13)

3년차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71


(3) 교육과정 평가 ①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계획 교육계획 항목별 평가와 관련, 기관의 연간/분기별 교육계획을 수립한다는 응답은 92.1%였 고, 음악감독/강사의 연간/분기별 교육계획 수립을 한다는 응답도 88.9%로 나타난다. <그림 Ⅳ-7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계획 (N=63, 단위: %) 평균 (5점 척도)

⑤ 매우 그렇다

4.43

4.41

7.9

11.1

41.3

36.5

④ 그렇다

50.8

52.4

기관의 연간/분기별 교육계획 수립 여부

음악감독/강사의 연간/ 분기별 교육계획 수립 여부

③ 보통이다

<표 Ⅳ-80>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계획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기관의 연간/분기별 교육계획 수립 여부

음악감독/강사의 연간/ 분기별 교육계획 수립 여부

(63)

4.43

4.41

신규(1년차)

(9)

4.33

4.11

2년차

(16)

4.44

4.38

3년차

(28)

4.57

4.64

4년차

(10)

4.10

4.10

1년 미만

(17)

4.47

4.47

1~3년 미만

(16)

4.69

4.69

3~5년 미만

(11)

4.18

4.18

5~10년 이상

(9)

4.33

4.33

10년 이상

(9)

4.33

4.22

모름/ 무응답

(1)

4.00

4.00

17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학생단원의 자발적 참여 학생단원의 자발적 열정 여부에 대해 응답자의 87.3%(매우 20.6% + 어느 정도 66.7%)은 ‘가지고 있다’고 답하고 있다. <그림 Ⅳ-73> 학생단원의 자발적 참여 (N=63, 단위: %) 66.7

5점 척도 평균 : 4.06점

20.6 11.1 1.6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② 그렇지 않다

<표 Ⅳ-81> 학생단원의 자발적 참여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⑤ 매우 ④ ③ 보통 ② 그렇지 ◐BOT2 ◐TOP2 사례수 그렇다 그렇다 이다 않다 (①+②) (④+⑤)

평균

(63)

20.6

66.7

11.1

1.6

87.3

1.6

100.0

4.06

신규(1년차)

(9)

0.0

88.9

11.1

0.0

88.9

0.0

100.0

3.89

2년차

(16)

6.3

93.8

0.0

0.0

100.0

0.0

100.0

4.06

3년차

(28)

35.7

53.6

10.7

0.0

89.3

0.0

100.0

4.25

4년차

(10)

20.0

40.0

30.0

10.0

60.0

10.0

100.0

3.70

1년 미만

(17)

5.9

70.6

23.5

0.0

76.5

0.0

100.0

3.82

1~3년 미만

(16)

37.5

62.5

0.0

0.0

100.0

0.0

100.0

4.38

3~5년 미만

(11)

9.1

81.8

9.1

0.0

90.9

0.0

100.0

4.00

5~10년 이상

(9)

33.3

44.4

11.1

11.1

77.8

11.1

100.0

4.00

10년 이상

(9)

22.2

66.7

11.1

0.0

88.9

0.0

100.0

4.11

모름/ 무응답

(1)

0.0

100.0

0.0

0.0

100.0

0.0

100.0

4.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73


③ 학생단원의 교육 만족도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학생단원의 만족도는 92.1%(매우 15.9% + 어느 정도 76.2%) 로 높다. <그림 Ⅳ-74> 학생단원의 교육 만족도 (N=63, 단위: %) 76.2

5점 척도 평균 : 4.06점

15.9 6.3 ⑤ 매우 만족

④ 만족

1.6

③ 보통이다

② 약간 불만

<표 Ⅳ-82> 학생단원의 교육 만족도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⑤ 매우 만족

④ 만족

③ ② 약간 ◐BOT2 ◐TOP2 보통이다 불만 (①+②) (④+⑤)

(63)

15.9

76.2

6.3

1.6

92.1

신규(1년차)

(9)

33.3

66.7

0.0

0.0

2년차

(16)

12.5

81.3

6.3

3년차

(28)

14.3

78.6

4년차

(10)

10.0

1년 미만

(17)

1~3년 미만

평균

1.6

100.0

4.06

100.0

0.0

100.0

4.33

0.0

93.8

0.0

100.0

4.06

7.1

0.0

92.9

0.0

100.0

4.07

70.0

10.0

10.0

80.0

10.0

100.0

3.80

0.0

94.1

5.9

0.0

94.1

0.0

100.0

3.94

(16)

31.3

62.5

6.3

0.0

93.8

0.0

100.0

4.25

3~5년 미만

(11)

0.0

100.0

0.0

0.0

100.0

0.0

100.0

4.00

5~10년 이상

(9)

33.3

44.4

11.1

11.1

77.8

11.1

100.0

4.00

10년 이상

(9)

22.2

66.7

11.1

0.0

88.9

0.0

100.0

4.11

모름/ 무응답

(1)

0.0

100.0

0.0

0.0

100.0

0.0

100.0

4.00

17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④ 교육 수혜자 대상 요구사항/만족도 조사 실시 특성 교육 수혜자 대상 요구사항 조사 혹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경우는 46.0%였고, 실시횟수는 연 평균 2.7회로 집계된다. 연 1회 조사를 실시한 경우가 51.7%로 많았다.

<그림 Ⅳ-75> 교육 수혜자 대상 요구사항/만족도 조사 실시 특성

<표 Ⅳ-83> 교육 수혜자 대상 요구사항/만족도 조사 실시 특성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아니오

모름/ 무응답

(63)

46.0

50.8

3.2

100.0

신규(1년차)

(9)

33.3

66.7

0.0

100.0

2년차

(16)

50.0

50.0

0.0

100.0

3년차

(28)

42.9

53.6

3.6

100.0

4년차

(10)

60.0

30.0

10.0

100.0

1년 미만

(17)

23.5

76.5

0.0

100.0

1~3년 미만

(16)

56.3

37.5

6.3

100.0

3~5년 미만

(11)

63.6

27.3

9.1

100.0

5~10년 이상

(9)

33.3

66.7

0.0

100.0

10년 이상

(9)

55.6

44.4

0.0

100.0

모름/ 무응답

(1)

100.0

0.0

0.0

10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75


⑤ 체계적인 모니터링 실시 여부 응답자 5명 중 4명(79.4%)은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의 문제점 파악을 위해 체계적인 모니터링 을 실시했다고 답하였다. 주된 평가 주최는 ‘자체평가’(92.0%), ‘외부평가’(6.0%)였다. <그림 Ⅳ-76> 체계적인 모니터링 실시 여부 외부 평가 6.0%

모름/ 무응답 1.6%

모름/ 무응답 2.0%

아니오 19.0%

예 79.4%

자체평가 92.0%

<표 Ⅳ-84> 체계적인 모니터링 실시 여부 (단위: %) 구

사례수

아니오

모름/ 무응답

사례수

자체 평가

외부 평가

모름/ 무응답

(63)

79.4

19.0

1.6

100.0

(50)

92.0

6.0

2.0

100.0

신규 (1년차)

(9)

77.8

22.2

0.0

100.0

(7)

100.0

0.0

0.0

100.0

2년차

(16)

75.0

25.0

0.0

100.0

(12)

100.0

0.0

0.0

100.0

3년차

(28)

85.7

10.7

3.6

100.0

(24)

87.5

12.5

0.0

100.0

4년차

(10)

70.0

30.0

0.0

100.0

(7)

85.7

0.0

14.3

100.0

1년 미만

(17)

64.7

35.3

0.0

100.0

(11)

100.0

0.0

0.0

100.0

1~3년 미만

(16)

81.3

18.8

0.0

100.0

(13)

92.3

7.7

0.0

100.0

경력 3~5년 미만

(11)

72.7

18.2

9.1

100.0

(8)

75.0

12.5

12.5

100.0

5~10년 이상

(9)

88.9

11.1

0.0

100.0

(8)

100.0

0.0

0.0

100.0

10년 이상

(9)

100.0

0.0

0.0

100.0

(9)

88.9

11.1

0.0

100.0

사업 참여 횟수

17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⑥ 거점 내 협의회 개최 여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관련 협의회를 개최한다는 응답은 79.4%였다. 협의회 개최 빈도는 ‘월별 정기회의 1~2회’가 가장 많았다. 협의회에서 주로 다뤄지는 내용은 ‘교육프로그램 기획/ 교육방향’(34.0%), ‘아동선발 및 관리’(22.0%),‘수업 내용 공유’(16.0%), ‘레퍼토리 선정’(14.0%), ‘행사일정’(10.0%) 등의 순이다. <그림 Ⅳ-77> 거점 내 협의회 개최 여부 모름/ 무응답 1.6%

아니오 19.0%

예 79.4%

<표 Ⅳ-85> 지점 내 협의회 개최 여부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아니오

모름/ 무응답

(63)

79.4

19.0

1.6

100.0

신규(1년차)

(9)

88.9

11.1

0.0

100.0

2년차

(16)

75.0

25.0

0.0

100.0

3년차

(28)

82.1

17.9

0.0

100.0

4년차

(10)

70.0

20.0

10.0

100.0

1년 미만

(17)

76.5

23.5

0.0

100.0

1~3년 미만

(16)

87.5

6.3

6.3

100.0

3~5년 미만

(11)

54.5

45.5

0.0

100.0

5~10년 이상

(9)

100.0

0.0

0.0

100.0

10년 이상

(9)

77.8

22.2

0.0

100.0

모름/ 무응답

(1)

100.0

0.0

0.0

10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77


⑥-1. 거점 내 협의회 개최 횟수 <표 Ⅳ-86>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관련 협의회 개최 횟수 (단위: %) 구 전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연간 분기별 월별 사례수 정기회의 정기회의 정기회의 수시로 1~2회 1~2회 1~2회

분 체

매 주 월요일

모름/ 무응답

(50)

10.0

16.0

38.0

32.0

2.0

2.0

100.0

신규(1년차)

(8)

12.5

12.5

62.5

12.5

0.0

0.0

100.0

2년차

(12)

8.3

8.3

50.0

33.3

0.0

0.0

100.0

3년차

(23)

13.0

13.0

30.4

39.1

4.3

0.0

100.0

4년차

(7)

0.0

42.9

14.3

28.6

0.0

14.3

100.0

1년 미만

(13)

7.7

7.7

46.2

23.1

7.7

7.7

100.0

1~3년 미만

(14)

7.1

7.1

42.9

42.9

0.0

0.0

100.0

3~5년 미만

(6)

0.0

16.7

50.0

33.3

0.0

0.0

100.0

5~10년 이상

(9)

11.1

33.3

22.2

33.3

0.0

0.0

100.0

10년 이상

(7)

14.3

28.6

28.6

28.6

0.0

0.0

100.0

모름/ 무응답

(1)

100.0

0.0

0.0

0.0

0.0

0.0

100.0

⑥-2. 거점 내 협의회의 내용 <표 Ⅳ-87>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관련 협의회에서 다뤄지는 내용-복수응답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교육 프로그램 아동선발 사례수 기획/교육 및 관리 방향

수업 내용 공유

아동의 예산 레퍼토리 심리/성향 행사일정 집행 및 선정 등 특이 확보 사항 파악

발전 방안 모색

(50)

34.0

22.0

16.0

14.0

10.0

8.0

8.0

6.0

신규(1년차)

(8)

25.0

25.0

12.5

12.5

12.5

0.0

0.0

0.0

2년차

(12)

25.0

8.3

8.3

8.3

0.0

8.3

16.7

16.7

3년차

(23)

47.8

34.8

17.4

21.7

17.4

13.0

8.7

4.3

4년차

(7)

14.3

0.0

28.6

0.0

0.0

0.0

0.0

0.0

1년 미만

(13)

23.1

30.8

7.7

30.8

15.4

7.7

7.7

7.7

1~3년 미만

(14)

28.6

7.1

35.7

7.1

14.3

7.1

21.4

7.1

3~5년 미만

(6)

33.3

0.0

16.7

16.7

0.0

0.0

0.0

0.0

5~10년 이상

(9)

44.4

33.3

0.0

0.0

11.1

11.1

0.0

11.1

10년 이상

(7)

57.1

42.9

14.3

14.3

0.0

14.3

0.0

0.0

모름/ 무응답

(1)

0.0

0.0

0.0

0.0

0.0

0.0

0.0

0.0

17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⑦ 강사의 수업 효율성 제고 노력 수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강사가 노력하는가에 대해 응답자의 71.4%(매우 25.4% + 어느 정도 46.0%)가 ‘노력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림 Ⅳ-78> 강사의 수업 효율성 제고 노력 (N=63, 단위: %) 46.0

5점 척도 평균 : 3.95점

27.0

25.4

1.6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② 그렇지 않다

<표 Ⅳ-88> 강사의 수업 효율성 제고 노력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② ⑤ 매우 ④ ③ 보통 ◐BOT2 ◐TOP2 사례수 그렇지 그렇다 그렇다 이다 (①+②) (④+⑤) 않다

평균

(63)

25.4

46.0

27.0

1.6

71.4

1.6

100.0

3.95

신규(1년차)

(9)

11.1

33.3

44.4

11.1

44.4

11.1

100.0

3.44

2년차

(16)

18.8

56.3

25.0

0.0

75.0

0.0

100.0

3.94

3년차

(28)

35.7

46.4

17.9

0.0

82.1

0.0

100.0

4.18

4년차

(10)

20.0

40.0

40.0

0.0

60.0

0.0

100.0

3.80

1년 미만

(17)

17.6

58.8

17.6

5.9

76.5

5.9

100.0

3.88

1~3년 미만

(16)

31.3

37.5

31.3

0.0

68.8

0.0

100.0

4.00

3~5년 미만

(11)

18.2

45.5

36.4

0.0

63.6

0.0

100.0

3.82

5~10년 이상

(9)

44.4

22.2

33.3

0.0

66.7

0.0

100.0

4.11

10년 이상

(9)

22.2

55.6

22.2

0.0

77.8

0.0

100.0

4.00

모름/ 무응답

(1)

0.0

100.0

0.0

0.0

100.0

0.0

100.0

4.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79


⑧ 교육효과 평가(긍정적 변화) 교육효과와 관련 ‘학생단원의 인성(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는 응 답은 84.1%였고, ‘학생단원의 음악향유 및 표현/소통능력 등에 긍정적인 변화’ 응답은 93.7%로 나타났다. <그림 Ⅳ-79> 교육효과 평가(긍정적 변화) (N=63, 단위: %) 평균 (5점 척도)

4.19

4.33

6.3

15.9

⑤ 매우 그렇다

49.2

54.0

34.9

39.7

인성/사회성

표현/소통능력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표 Ⅳ-89> 교육효과 평가(긍정적 변화) (단위: %) 인성/사회성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신규(1년차)

사 례 수

⑤ 매우 그렇 다

④ 그렇 다

③ ◐ 보통 TOP2 이다 (④+⑤)

(63) 34.9

49.2

15.9

(9)

표현/소통능력 ⑤ 매우 평균 그렇 다

④ 그렇 다

③ ◐ 보통 TOP2 이다 (④+⑤)

84.1 100.0 4.19 39.7

54.0

6.3

평균

93.7 100.0 4.33

55.6

33.3

11.1

88.9 100.0 4.44 44.4

55.6

0.0

100.0 100.0 4.44

2년차

(16) 12.5

87.5

0.0

100.0 100.0 4.13 18.8

81.3

0.0

100.0 100.0 4.19

3년차

(28) 50.0

35.7

14.3

85.7 100.0 4.36 60.7

35.7

3.6

96.4 100.0 4.57

4년차

(10) 10.0

40.0

50.0

50.0 100.0 3.60 10.0

60.0

30.0

70.0 100.0 3.80

1년 미만

(17) 29.4

70.6

0.0

100.0 100.0 4.29 41.2

58.8

0.0

100.0 100.0 4.41

1~3년 미만

(16) 43.8

43.8

12.5

87.5 100.0 4.31 43.8

56.3

0.0

100.0 100.0 4.44

3~5년 미만

(11) 27.3

36.4

36.4

63.6 100.0 3.91 27.3

54.5

18.2

81.8 100.0 4.09

5~10년 이상

(9)

22.2

44.4

33.3

66.7 100.0 3.89 33.3

44.4

22.2

77.8 100.0 4.11

10년 이상

(9)

44.4

44.4

11.1

88.9 100.0 4.33 44.4

55.6

0.0

100.0 100.0 4.44

(1) 100.0

0.0

0.0

100.0 100.0 5.00 100.0

0.0

0.0

100.0 100.0 5.00

모름/ 무응답

18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⑨ 음악감독/강사의 문제 해결 노력 음악감독/강사와의 함께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가에 대해 응답자의 95.2%(매우 52.4% + 어느 정도 42.9%)는 ‘그렇다’고 대답하였다. <그림 Ⅳ-80> 음악감독/강사의 문제 해결 노력 (N=63,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44점

52.4 42.9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3.2

1.6

③ 보통이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표 Ⅳ-90> 음악감독/강사의 문제 해결 노력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① 전혀 ④ ③ ◐BOT2 ◐TOP2 그렇지 그렇다 보통이다 (①+②) (④+⑤) 않다

사례수

⑤ 매우 그렇다

(63)

52.4

42.9

3.2

1.6

95.2

신규(1년차)

(9)

33.3

55.6

11.1

0.0

2년차

(16)

56.3

37.5

6.3

3년차

(28)

64.3

32.1

4년차

(10)

30.0

1년 미만

(17)

1~3년 미만

평균

1.6

100.0

4.44

88.9

0.0

100.0

4.22

0.0

93.8

0.0

100.0

4.50

0.0

3.6

96.4

3.6

100.0

4.54

70.0

0.0

0.0

100.0

0.0

100.0

4.30

52.9

35.3

11.8

0.0

88.2

0.0

100.0

4.41

(16)

56.3

37.5

0.0

6.3

93.8

6.3

100.0

4.38

3~5년 미만

(11)

63.6

36.4

0.0

0.0

100.0

0.0

100.0

4.64

5~10년 이상

(9)

33.3

66.7

0.0

0.0

100.0

0.0

100.0

4.33

10년 이상

(9)

55.6

44.4

0.0

0.0

100.0

0.0

100.0

4.56

모름/ 무응답

(1)

0.0

100.0

0.0

0.0

100.0

0.0

100.0

4.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81


⑩ 예산 편성/집행 적절성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예산 편성 및 집행 적절성에 대해 ‘그렇다’는 93.6%로 긍정 평가 가 많았다. <그림 Ⅳ-81> 예산 편성/집행 적절성 (N=63, 단위: %) 5점 척도 평균 : 4.43점 49.2

44.4

6.3 ⑤ 매우 그렇다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표 Ⅳ-91> 예산 편성/집행 적절성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사례수

⑤ 매우 그렇다

◐BOT2 (①+②)

평균

(63)

49.2

44.4

6.3

93.7

100.0

4.43

신규(1년차)

(9)

66.7

33.3

0.0

100.0

100.0

4.67

2년차

(16)

50.0

43.8

6.3

93.8

100.0

4.44

3년차

(28)

50.0

42.9

7.1

92.9

100.0

4.43

4년차

(10)

30.0

60.0

10.0

90.0

100.0

4.20

1년 미만

(17)

29.4

58.8

11.8

88.2

100.0

4.18

1~3년 미만

(16)

68.8

31.3

0.0

100.0

100.0

4.69

3~5년 미만

(11)

63.6

27.3

9.1

90.9

100.0

4.55

5~10년 이상

(9)

33.3

66.7

0.0

100.0

100.0

4.33

10년 이상

(9)

55.6

33.3

11.1

88.9

100.0

4.44

모름/ 무응답

(1)

0.0

100.0

0.0

100.0

100.0

4.00

18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④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⑪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상 애로사항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상의 애로사항을 3순위까지 응답받은 결과, ‘예산, 재정 확보’를 답한 경우가 77.8%로 가장 많고, ‘행정업무의 과중’(41.3%), ‘기관 내 시설, 악기, 공간 등 인프라 부 족’(38.1%)이 다수 언급되었다. <그림 Ⅳ-82>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상 애로사항 (N=63, 단위: %) 77.8

41.3

38.1 20.6

예산, 재정 확보

행정업무의 과중

기관 내 시설, 악기, 공간 등 인프라 부족

19.0

19.0

14.3

11.1

9.5

음악감독 및 기관의 전문ㆍ 교육프로그램 타 기관과의 음악감독 및 강사 섭외 전담인력 부족 참여자 저조 협력체계 미비 강사의 학생 관리 능력 부족

음악감독 및 강사의 책임 의식 부족

<표 Ⅳ-92>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상 애로사항 (단위: %)

사업 참여 횟수

경력

기관 내 음악 기관의 교육프 타 음악감독 음악감독 예산, 행정 시설, 악기, 감독 및 전문ㆍ전 로그램 기관과의 및 강사의 및 강사의 사례수 재정 업무의 공간 등 인 강사 담인력 참여자 협력 체계 학생관리 책임의식 확보 과중 프라 부족 섭외 부족 저조 미비 능력 부족 부족

(63)

77.8

41.3

38.1

20.6

19.0

19.0

14.3

11.1

9.5

신규(1년차)

(9)

77.8

33.3

44.4

22.2

0.0

33.3

0.0

0.0

22.2

2년차

(16)

81.3

12.5

56.3

12.5

37.5

6.3

12.5

25.0

12.5

3년차

(28)

85.7

71.4

35.7

21.4

10.7

25.0

17.9

3.6

7.1

4년차

(10)

50.0

10.0

10.0

30.0

30.0

10.0

20.0

20.0

0.0

1년 미만

(17)

76.5

35.3

29.4

17.6

23.5

29.4

17.6

5.9

23.5

1~3년 미만

(16)

81.3

43.8

50.0

12.5

12.5

12.5

12.5

6.3

0.0

3~5년 미만

(11)

81.8

45.5

36.4

27.3

0.0

18.2

27.3

9.1

9.1

5~10년 이상

(9)

55.6

44.4

33.3

44.4

33.3

22.2

0.0

22.2

0.0

10년 이상

(9)

100.0 44.4

33.3

11.1

22.2

11.1

11.1

11.1

11.1

모름/ 무응답

(1)

100.0

0.0

100.0

0.0

0.0

100.0

0.0

0.0

0.0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83


3. 평가 분석 및 시사점 도출 이번 연구에서 진행했던 설문의 경우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의 경우에는 꿈의 오케스트라의 사업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성을 지표로 삼아서 평가했으며, 연구에서는 행정인력(행정담당자, 코디네이터)과 교육인력(음악감독, 예술강사)의 경우에는 CIPP 모델을 활용하여 평가를 분석했 다. 만족도와 효과성의 경우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다.

1) 효과성과 만족도 분석 꿈의 오케스트라의 학생, 학부모 그리고 행정인력과 교육인력 중 전체적으로 사업의 효과성과 만족도를 분석하기에 가장 적절한 질문들을 찾아서 각 기관별로 분석해보았다. 분석을 진행했던 설문 문항의 경우 수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강사의 노력 여부(행정인력),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행정지원인력과 체제 구축의 여부(교육인력), 오케스트라 수업에 대한 만족 도(학생),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학부모)를 기관별로 교차 분석했다. 아래 지표를 보면 전체적인 평균에 비해서 기관별로 만족도가 높은 기관과 낮은 기관을 판단 할 수 있다. 각 기관 중 차이가 심하게 벌어지거나, 각 인력별 효과성이나 만족도의 차이가 발 생하는 경우의 기관을 선정하여 정성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정성평가의 결과는 부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표 Ⅳ-93> 꿈의 오케스트라 기관별 만족도 평균 No.

행정/코디1)

감독/강사2)

학생3)

학부모4)

전 체

3.95

4.03

4.15

4.50

기수

기 관

1

1기

(재)부산문화재단

3.50

4.44

4.25

5.00

2

1기

부천문화재단

4.00

4.45

4.14

4.83

3

1기

춘천시문화재단

3.50

3.89

3.83

4.20

4

1기

익산문화재단

4.67

4.13

3.69

4.44

5

1기

한국소리문화의전당

5.00

4.20

4.29

5.00

6

2기

성동구 도시관리공단

5.00

3.89

4.23

4.90

7

2기

군포문화재단

3.50

3.55

4.17

4.35

8

2기

원주문화재단

3.00

4.00

4.03

4.22

9

2기

청주시 문화산업진흥재단

5.00

4.29

4.06

4.19

10

2기

안동시 안동문화예술의전당

4.00

4.27

3.98

4.27

11

2기

목포문화재단

4.00

3.89

4.11

4.08

18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행정/코디1)

감독/강사2)

학생3)

학부모4)

무안 희망의오케스트라단

4.50

4.55

4.38

4.42

2기

부안 아리울오케스트라단

4.50

3.50

4.00

4.60

14

3기

강릉문화원

3.00

3.50

4.24

4.50

15

3기

광주남구청소년수련관

4.50

3.89

4.13

4.70

16

3기

재단법인김포시청소년육성재단

4.00

3.45

4.35

4.56

17

3기

재단법인수성문화재단

3.50

3.80

4.41

3.79

18

3기

재단법인성북문화재단

5.00

4.70

4.18

4.65

19

3기

(재)아산문화재단

4.00

4.10

3.93

4.41

20

3기

(재)안산문화재단

2.50

3.36

4.33

4.50

21

3기

(재)안양문화예술재단

3.00

3.75

4.34

4.70

22

3기

장수문화원

4.00

3.90

4.06

4.68

23

3기

(재)정선아리랑문화재단

4.50

3.86

4.42

4.60

24

3기

재단법인창원문화재단

5.00

4.55

4.19

4.61

25

3기

평택문화원

3.00

4.30

4.09

4.50

26

3기

포항시 시설관리공단

4.00

4.50

4.12

4.22

27

4기

구로문화재단

3.50

4.71

4.37

4.50

28

4기

마포문화재단

4.00

3.38

4.00

4.60

29

4기

오산문화재단

3.00

3.89

4.30

4.63

30

4기

연천군 시설관리공단

5.00

4.00

4.32

4.86

31

4기

유성문화원

4.00

4.10

4.41

4.75

32

4기

통영 국제음악재단

3.50

4.13

3.72

4.79

No.

기수

12

2기

13

기 관

1) D7. 수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강사의 노력 여부 2) C5. 꿈의 오케스트라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행정지원인력과 체제 구축 여부 3) 문8. 오케스트라 수업에 대한 만족도 4) 문5-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 D7, C5 등은 설문문항번호임

위의 표를 보면 대체적으로 사업에 만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평균치도 매우 높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꿈의 오케스트라가 학생이나 학부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다.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85


2) CIPP 평가모형에 따른 설문분석 (1) CIPP 평가를 토대로 한 설문결과 분석 과정 본 연구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CIPP 평가모형을 토대로 평가지 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그 평가지표를 토대로 32개 거점에서 교육과 운영에 참여하는 관련자 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앞서 제시된 설문결과를 ‘상황, 투입, 과 정, 성과’로 재구성하여 CIPP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 운영과 교육과정을 평가하였다. CIPP 모형 에 따라 설문을 재구성하고 평가하는 이유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성장을 촉진하고 체계적 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CIPP 모형에 따라 설문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CIPP 모형에 따라 설문 을 구성한 음악감독 및 강사 대상 설문결과와 행정인력 및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문항을 검토하 였다. 설문문항 중 5점 리커트 척도로 된 문항을 추려내고, 그렇게 추려진 설문문항을 CIPP의 네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설문문항에서 CIPP 평가준거와 관련된 주제어를 찾아내어 코 딩하고, CIPP 평가에 적합한 주제어를 중심으로 설문문항을 지표화하였다. 그렇게 지표화된 설 문문항들을 CIPP 평가요소와 평가영역에 맞게 재배치하고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5점 리커트 척도가 아닌 개방형 설문들은 정량평가 만으로 드러나지 않는 기관 내부의 상황을 파악하는 정 보로 활용되었다. 앞서 평가지표를 개발할 때는 CIPP라는 큰 영역에서 보다 세부적인 항목으로 이동한 것과 달 리, CIPP 평가에서는 세부적인 지표에서 보다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내용으로 평가하도록 평가 의 체계를 구성하였다. <그림 Ⅳ-83>은 설문문항을 CIPP 평가모형에 맞게 변환시킨 과정을 나 타낸 것이다.

<그림 Ⅳ-83> CIPP 평가를 위한 설문 코딩 절차 5점 리커트 척도의 설문문항 추출 ⇩ 지표화: 설문문항을 CIPP 평가지표에 맞는 주제어로 코딩 ⇩ CIPP에 맞게 지표화된 설문문항 재구성 ⇩ 평가준거, 평가요소에 따라 설문결과 분석 ⇩ CIPP 평가 및 피드백

18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행정인력과 교육인력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를 CIPP에 따라 평가하는 주된 목적은 개별 항 목이 실제 프로그램과 운영의 어떠한 부분과 연계되어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개별문제를 보다 큰 틀과 연계시켜 그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기 위한 것이다. CIPP 평가는 상 황, 투입, 과정, 성과라는 각 각의 영역에서 세부적인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할 뿐 아니라 CIPP의 다른 영역과 연계시켜 개별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프로그램의 운영에 관련된 4가지 영역(상황, 투입, 과정, 성과)에서 어느 영역이 미흡한 지, 그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해당 영역 뿐 아니라 다른 영역의 어떤 요인을 보완해야 하는 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제로 CIPP의 장점은 프로그램을 다면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평가결과가 실제 교육실천과 토대 마련에 적용되어 실질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부분에서는 연차별 비교를 행정인력과 교육인력 대상 설문을 CIPP 평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차별로 비교한 이유는 꿈의 오케스트라가 중장기적으로 발전하는데 장애요 인이 무엇인지를 찾아 단계별로 이에 적합한 지원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2) CIPP 평가모형에 따른 설문분석: 행정인력 ① CIPP 평가를 위한 설문문항의 지표화 꿈의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에서 교육지원과 행정을 담당하는 행정전문인력과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결과를 CIPP 모형에 따라 평가하기 위해서 우선 5점 리커트 척도로 된 29개의 설문문항을 코딩하여 29개의 소지표로 지표화하였다. 그리고 29개의 소지표들을 CIPP 평가준거에 따라 코 딩한 후 다시 22개의 중지표로 통합하였다. 마지막으로 22개의 중지표를 11개의 대지표로 통합 하여 CIPP의 네 측면과 연계시켰다. 그 과정에 의해 도출된 소지표(평가준거), 중지표(평가요 소), 대지표(평가영역)와 CIPP와의 연계성을 나타내면 <그림 Ⅳ-84>과 같다.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87


<그림 Ⅳ-84> CIPP 평가를 위한 설문의 지표화 (행정인력) 소지표 평가준거 (29개)

중지표 평가요소(22개)

1.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에 대한 이해

사회적 필요성 인식

2. 예술향유교육 변화 동향 인식

교육의 필요성 인식

3. 교육담당자간의 적극적 소통

합리적 운영

4. 교육과정 계획의 체계성

대지표 평가영역(11개) 교육에 대한 이해

운영의지

조직체계의 전문성

5. 운영조직의 전문성

CIPP

상황

6. 학습수준 및 특성 7. 사회문화적 배경

수요자 요구

요구분석

8. 학부모/학생요구 반영 9. 사회취약계층교육에 대한 인식

학습자에 대한 인식

10. 선발의 공정성

선발방법의 적절성

11. 선발기준 및 절차에 기반한 선발

선발기준의 적절성

12. 교육계획 단계 및 시기

학습자선발

교육계획수립의 적절성

13. 학습자의 요구반영

교육계획수립

교육목표의 적절성

14. 강사선발기준/공정성

15. 교육내용별 전문인력

강사의 전문성

인적자원 확보

16. 교육공간 및 시설 확보

인적 자원

교육시설

17. 교육기자재

투입

교육용기자재 및 도구

18. 교육도구(악기) 19. 지역문화예술자원

교육환경

20. 예산확보의 충분성

예산확보

21. 예산편성의 적합성

물적 자원

예산편성

예산 편성의 합리성

22. 예산편성의 합리성 23. 실행정도에 대한 정기적/단계적 점검

교육과정 운영의 합리성

24. 강사의 문제해결노력

교육과정 운영

교수학습의 효율성

25.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자기주도학습) 26. 강사의 전문성

인적자원의 효율적 활용

27. 인성 및 사회성

자원활용

과정 및 결과

28. 소통 및 표현 29. 학습자 만족도

과정

교육효과

성과

만족도

CIPP 평가를 위한 설문문항의 지표화 과정을 간락하게 나타내면 <그림 Ⅳ-85>과 같다. <그림 Ⅳ-85> 설문 지표화 절차 (행정인력) 설문문항 29개 분석 및 코딩

소지표 29개 도출 (평가준거)

18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중지표 22개 도출 (평가요소)

대지표 11개 도출 (평가영역)

CIPP 평가


② CIPP 평가결과 행정인력 대상 설문을 CIPP 평가모형에 따라 평가한 결과는 <표 Ⅳ-94>와 같다. <표 Ⅳ-94> 꿈의 오케스트라 CIPP 평가결과 (행정인력) CIPP 평가

상황 4.35

평가영역

평가요소

교육에 대한 이해 4.51

사회적 필요성 인식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에 대한 이해

4.37

교육의 필요성 인식

∘예술향유교육 변화동향 인식

4.65

합리적 운영

∘교육담당자간의 적극적 소통

4.43

∘교육과정 계획의 체계성

4.36

∘운영조직의 전문성

4.37

∘학습수준 및 특성

3.88

∘사회문화적 배경

4.14

∘학부모/학생요구 반영

3.83

학습자에 대한 인식

∘사회취약계층교육에 대한 인식

4.04

학습자선발 4.42

선발방법의 적절성

∘선발의 공정성

4.51

선발기준의 적절성

∘선발기준 및 절차에 기반한 선발

4.34

교육계획수립 4.27

교육계획수립의 적절성

∘교육계획단계 및 시기

4.31

∘학습자의 요구반영

4.14

인적 자원 4.55

강사의 전문성

∘강사선발기준/공정성

4.38

인적자원 확보

∘교육내용별 전문인력

4.72

∘교육공간 및 시설 확보

4.14

∘교육기자재

4.37

∘교육도구(악기)

4.12

교육환경

∘지역문화예술자원

3.96

예산확보

∘예산확보의 충분성

2.70

예산 편성의 합리성 4.03

∘예산편성의 적합성

4.44

∘예산편성의 합리성

3.61

운영의지 4.40

요구분석 4.14

투입 4.15

조직체계의 전문성 4.36 수요자 요구 3.94

교육목표의적절성

교육시설 물적 자원 4.12

예산의 편성 3.37

교육용기자재 및 도구 4.25

평가준거

교육과정 운영의 합리성 ∘실행정도에 대한 정기적/단계적 점검 과정 3.81

교육과정 운영 4.01 자원활용

성과 4.16

교육효과 4.16

교수학습의 효율성 4.18

평점

3.84

∘강사의 문제해결노력

4.39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자기주도학습)

3.98

인적자원의 효율적 활용 ∘강사의 전문성

3.52

과정 및 결과 4.26

∘인성 및 사회성

4.19

∘소통 및 표현

4.33

만족도

∘학습자 만족도

4.06

평점

4.14

※ 평가영역 및 요소의 항목별 평균수치임.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89


위의 결과를 연차별 구분 없이 CIPP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면 <그림 Ⅳ-86>와 같다.

<그림 Ⅳ-86> 행정인력 대상 설문 CIPP 평가결과

위의 결과를 CIPP에 따라 연차별로 분류하여 나타내면 <표 Ⅳ-95>과 같다. <표 Ⅳ-95> 연차별 CIPP 평가결과 (행정인력) 연차

상황

투입

과정

성과

평점

1년차

4.32

4.22

3.38

4.39

4.08

2년차

4.30

4.39

4.09

4.11

4.22

3년차

4.39

4.46

4.00

4.27

4.28

4년차

4.20

4.16

3.60

3.75

3.93

평점

4.30

4.31

3.77

4.13

4.13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분석에 앞서서 CIPP별로 평가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가장 높은 평점을 받은 영역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기반이 되는 ‘상황’이었다. 영역별 평가결과에서 드러난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연차별 구분 없이 모든 기관들이 대체적으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목표가 무엇인지 잘 이해하고 있고 운영의지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과정’ 영역 (3.77)이 다른 영역보다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된 것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전반의 공통 된 문제일수도 있지만 기관마다 개별적인 각기 다른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 해석된다. 투입평가에서는 예산 편성과 관련한 평가요소가 3점대 초반으로 매우 낮게 평가되었다. 거점 과의 지역파트너십 등이 모색되는 현 시점에서 예산편성이나 집행의 합리성(4.03)에 비해 안정 된 예산확보(2.70)가 낮게 평가된 것은 거점에서 프로그램의 지속여부를 결정하는데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관련부처의 예산지원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거점 자체적으로 예산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해보이나 4년차 기관들의 상황을 고려할 때 예산확보를 위해 거점만이 노력해서 될

19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CIPP별로 문제점과 개선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다른 요인과 어떻게 연계 되어 문제가 심화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 상황평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상황에 대한 평가는 ‘교육목표에 대한 이해, 운영의지, 요구분석’의 3 가지 영역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차별로 비교했을 때, 4년차 기관들의 상황평가결과가 비교적 낮았다. 1년차, 2년차와 근소한 차이기는 하나 3년차의 상황평가 평점이 가장 높았다. ‘교육목표 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 4년차와 3년차 기관이 프로그램 지속시간이 길었기 때문인지 1~2년차 에 비해 이해도가 높았다. 연차와 무관하게 모든 기관들에서 학부모나 학습자, 그리고 문화예술 에 대한 사회의 요구와 관련된 ‘요구분석’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평가영역별로 상황평가 결과를 나타내면 <표 Ⅳ-96>과 같다. <표 Ⅳ-96> 평가영역별 상황평가결과 (행정인력) 연차

교육목표에 대한 이해

운영의지

요구분석

평점

1년차

4.39

4.45

4.11

4.32

2년차

4.44

4.50

3.97

4.30

3년차

4.61

4.41

4.16

4.39

4년차

4.60

4.10

3.91

4.20

평점

4.51

4.36

4.04

4.30

<표 Ⅳ-97>은 평가준거별(소지표) 상황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Ⅳ-97> 평가준거별 상황평가결과 (행정인력)

연차

교육 사회취약 사회취약계층 변화 동향 교육과정 사회 담당자간 운영조직 계층교육 학습 수준 예술향유교육 및 계획의 문화적 적극적 의 전문성 에 대한 및 특성 에 대한 이해 인식제고 체계성 배경 소통 인식

학부모/ 학생 요구반영

평점

1년차

4.11

4.67

4.67

4.56

4.33

4.44

3.89

4.22

3.89

4.31

2년차

4.25

4.63

4.38

4.56

4.44

4.13

3.73

4.27

3.73

4.24

3년차

4.50

4.71

4.46

4.25

4.57

4.50

4.04

4.07

4.04

4.35

4년차

4.60

4.60

4.20

4.10

4.10

4.30

3.67

4.00

3.67

4.14

평점

4.37

4.65

4.43

4.37

4.36

4.34

3.83

4.14

3.83

4.26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91


9개의 평가준거에 대한 평가결과를 토대로 운영 상황 개선을 위해 필요한 부분들을 살펴보 면, 우선 1년차는 교육 담당자들간의 소통이나 운영진의 전문성이 높은 것에 비해서 ‘사회취약 계층을 위한 예술향유교육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그리고 ‘학습자나 학부모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2년차는 1년차보다 운영 상황에서 보다 많은 개선이 요청된다. 이는 1년차 기관이 겪는 시행착오의 과정으로 보인다.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습자의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요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앞서 교육과정과 레퍼토리 분석에서도 잠시 언급되었던 것으로 2년차의 모든 거점이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타기 관의 벤치마킹이나 외부전문가와의 협업, 컨설팅 등이 요구된다. 3년차는 대체적으로 상황에 대 한 이해가 높고 운영의지도 높은 편이다. 마지막으로 4년차 기관들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 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도는 높았지만, 이와는 별개로 프로그램 운영의지(전문성, 체계, 교육계 획 등)나 요구분석에서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그 원인이 무엇인지는 후속되는 CIPP 평가를 통 해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4년차 기관들에서 요구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은 시사를 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는 거점운영기간이 길어지면서 신규단원과 기존단원 간의 실기능력과 음악 즉 능력에 수준차가 커지면서 제각각 다른 수준과 참여 동기를 갖는 학습자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전략적 이고 유연한 대처가 필요함을 말한다. 이는 4년차만의 문제가 아니라 1년차부터 3년차까지 다 른 거점들 또한 운영기간이 길어지면서 현재 4년차가 겪는 갈등상황에 놓일 수 있으므로 이 같 은 평가의 원인이 무엇인지 후속되는 투입, 과정, 성과평가를 통해 파악해야 할 것이다. 나. 투입평가 ‘선발, 교육계획수립,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예산 편성’의 5개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투입 평가 에서는 물적 자원과 예산 편성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연차별로 비교해보면 상황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던 4년차 기관들이 다른 연차에 비해서 투입에서도 조금 미흡한 부분이 드러났다. 3년 차 기관들은 선발, 교육계획,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 예산을 적절하게 잘 안배하고 교육을 수 행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년차 기관들은 선발에 대한 고민이 있는 것 으로 보이며, 물적 자원과 예산에서 보다 많은 지원을 요구하였다. 투입평가 결과를 평가영역별 로 나타내면 <표 Ⅳ-98>와 같고, 평가준거별로 나타내면 <표 Ⅳ-99>과 같다.

19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표 Ⅳ-98> 평가영역별 투입평가결과 (행정인력) 연차

선발

교육계획수립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예산 편성

평점

1년차

4.25

4.22

4.56

4.03

4.03

4.22

2년차

4.54

4.36

4.63

4.22

4.22

4.39

3년차

4.54

4.43

4.77

4.29

4.29

4.46

4년차

4.37

4.07

4.25

4.05

4.05

4.16

평점

4.42

4.27

4.55

4.15

4.15

4.31

<표 Ⅳ-99> 평가준거별 투입평가결과 (행정인력) 교육 강사 선발의 선발 학습자 계획 선발 연차 공정성/ 기준 요구 단계 및 기준/ 일관성 및절차 반영 시기 공정성

교육 지역 교육용 내용별 교육 교육용 문화 도구 전문 공간 기가재 예술 (악기) 인력 자원

예산 확보 충분 성

예산 편성 의적 합성

예산 편성 합리 성

평점

1년차

4.50

4.00

4.11

4.22

4.44

4.67 3.67 4.44

4.00 4.00 2.33 4.67 3.56 4.05

2년차

4.63

4.44

4.38

4.27

4.50

4.75 4.25 4.31

4.31 4.00 2.94 4.44 3.88 4.24

3년차

4.57

4.50

4.64

4.07

4.57

4.96 4.32 4.71

4.18 3.93 2.82 4.43 3.61 4.25

4년차

4.33

4.40

4.10

4.00

4.00

4.50 4.30 4.00

4.00 3.90 2.70 4.20 3.40 3.99

평점

4.51

4.34

4.31

4.14

4.38

4.72 4.14 4.37

4.12 3.96 2.70 4.44 3.61 4.13

투입에서의 개선사항에 대한 세밀한 검토를 위해 평가준거별로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1년차는 교육공간과 예산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된 운영 ‘상황’과 연계되어 교육프로그램에 적합한 대상자 선발에 개선이 필요해 보 인다. 정량평가에서는 분명하게 드러나지는 않았으나 거점이 위치한 지역의 특성에 맞는 기준을 찾기 위한 고심일 수도 있다. 그런 경우라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로 지원자를 모 집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동시에 강구해야 할 것이다. 한편 악기의 부족은 레퍼토리 선정 등에 서 오케스트라 운영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악기는 주어진 예산안에서 연차가 지나면서 조금씩 확보되겠지만 교육공간이 미흡하다는 점은 거점운영 뿐 아니라 오케스트라 교육에 상당 한 장애요인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프로그램의 특성상 악기별 파트연습, 악기군별 앙상블 연습을 위해서 많은 연습과 실습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거점에서 교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 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근지역의 다른 적절한 문화시설이나 공공기관을 찾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93


2년차와 3년차는 ‘예산의 불충분’ 외에는 대체적으로 투입에 문제점이 없었다. 반면 4년차는 ‘선발기준과 절차’ 그리고 ‘예산의 불충분’ 이외의 다른 준거들에서는 다소 미흡한 면이 보였다. 그 외에 교육계획수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은 앞서 상황평가에서 기관의 교육계 획, 즉 비전이 요구된다는 평가와 같은 맥락으로 상황과 투입에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 라서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오케스트라 합주를 위한 실기교육 외에 보다 다양한 음악교육프로그램이나 타예술분야와의 융합프로그램을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거나 강사들에 대한 재교육이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맞춤형 연수 등을 실시하여 투입의 문 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다. 과정평가 과정평가는 앞서 상황과 투입에서의 장점이나 미비점이 실제 교육과 어떻게 연계되어 나타나는 지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실제 교육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하거나 보완되어야 하는 항목에 대한 피드백을 주목적으로 한다. <표 Ⅳ-100>는 과정평가결과를 평가영역별로 나타낸 것이다. <표 Ⅳ-100> 평가영역별 과정평가결과 (행정인력) 연차

교육과정 운영

자원활용

평점

1년차

3.75

3.00

3.38

2년차

4.11

4.06

4.09

3년차

4.29

3.71

4.00

4년차

3.90

3.30

3.60

평점

4.01

3.52

3.77

1년차 기관들은 앞서 상황평가와 투입평가와는 달리 과정평가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자원활 용’ 모두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년차는 투입과 상황에서 누적된 문제들이 교육과정에도 반영되어 장기간의 프로그램 운영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운영, 자원 활용’에서 1년차 못지않게 많은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그 외에 앞서 투입에서 강사 선정 기준 및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는 것과 달리 과정에서는 인적자원 활용이 2년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3점 대로 평가되었다. 이는 강사의 ‘전문성’을 외적인 기준, 예를 들어, 학력이나 경력에 따라 판단 함으로 실제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꿈의 오케스트라에 적합하지 않은 강사가 교육을 담당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강사들의 능력이나 자질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는 교육과정 운영이나 교육계획으로 인해 생긴 문제점일 수도 있어 보인다. <표 Ⅳ-101>은 과정평 가결과를 평가준거별로 나타낸 것으로, 준거별 평가결과는 영역별 평가결과와 유사하였다.

19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표 Ⅳ-101> 평가준거별 과정평가결과 (행정인력) 교육과정운영의 합리성

교수학습의 효율성

인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

강사의 문제해결노력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

강사의 전문성

3.44

4.22

3.89

3.00

3.64

2년차

3.94

4.50

4.06

4.06

4.14

3년차

4.18

4.54

4.25

3.71

4.17

4년차

3.80

4.30

3.70

3.30

3.78

평점

4.51

4.34

4.31

4.14

4.33

연차

실행정도에 대한 점검

1년차

평점

이는 설문응답자가 교육과정보다는 운영과 행정을 담당한다는 이유로 교육과정과 관련된 문 항을 4문항만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정인력들이 교육과정을 3점대로 낮게 평가한 것이 실제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육내용이나 교수학습의 문제와 동일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런 점 에서 교육인력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평가와 교차비교를 통해서 연차별로 실제 교육에서 어 떠한 어려움이 있는지, 그리고 그에 적합한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라. 성과평가 일반적으로 교육프로그램의 성과평가에서는 산출물인 성취도, 특히 공연과 같은 대외활동이 성과평가의 한 요소로 포함된다. 그러나 꿈의 오케스트라는 일반적인 음악교육프로그램과 달리 가시적인 성과로 그 효과를 측정하는 것을 지양, 조심스러워 한다. 따라서 행정인력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도 실제 공연의 우수성, 음악실기능력 향상과 같은 내용들을 포함시키지 않았다. ‘인 성/사회성, 소통/표현’을 ‘과정과 결과’와 관련된 지표로 제시함으로써 꿈의 오케스트라 성과에 서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만족도’는 학습자의 만족도를 의미하는 것 이고, ‘과정 및 결과’는 평가자가 본 학습자의 인성적 측면의 변화를 의미한다. 성과평가 결과는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결과, 그리고 강사들의 설문조사 결과와 교 차, 분석함으로써 연차별로 실제 학습자의 자아의식, 교우관계, 그리고 그 외에 인성적 요소들이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살펴보아야 제대로 된 효과성 검증이 가능하리라 본다. 평가영역별로 성과 평가결과를 나타내면 <표 Ⅳ-102>와 같다. 상황, 투입, 과정평가 속에서 어느 정도 예측된 것과 같이 4년차 기관들은 프로그램의 성과 또한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4년차 기관들의 행정인력들은 학습자 스스로의 만족도도 낮 고, 학습자들의 학습태도나 생활태도, 성격에서도 좋은 의미에서의 변화가 많이 나타나지 않았 다고 보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1년차 기관들은 표현하고 소통하는 데는 다소 서툴지만 교우관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95


계나 인성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가 있다고 보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만족감도 높 다고 평가하였다. <표 Ⅳ-102> 평가영역별 성과평가결과 (행정인력) 과정 및 결과물

만족도

인성/사회성

소통/표현

평점[만족도]

학습자 만족도

평점 [만족도+과정/ 결과물]

1년차

4.44

4.44

4.44

4.33

4.39

2년차

4.13

4.19

4.16

4.06

4.11

3년차

4.36

4.57

4.47

4.07

4.27

4년차

3.60

3.80

3.70

3.80

3.75

평점

4.19

4.33

4.26

4.06

4.13

연차

CIPP 모형에 따라 이루어진 행정인력 대상 설문분석에서는 2년차와 3년차 기관의 프로그램 운영이나 체계, 운영의지 등에서 특별히 주목할 만한 문제점이 드러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4년 차 기관들은 CIPP의 모든 항목에서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었지만, 설문조 사만으로는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나 노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 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1년차의 만족도가 높은 것은 꿈의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의 질적 확대 못 지않게 양적확대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하는 측면도 고려해볼만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 거 점의 운영안정과 내실을 다지기 위한 기관과 관련부처의 지속적인 노력과 인내가 먼저 요청된 다. CIPP 평가만으로는 기관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그리고 여러 가지 행정업무를 담당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정확하게 읽어내는 데는 분명 한계가 있다. 그러나 CIPP 평가는 CIPP의 각 항목이 별개가 아니라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자들에게 서로 많은 영향 을 미침을 보여준다. (3) CIPP 평가 모형에 따른 설문분석: 교육인력 ① CIPP 평가를 위한 설문문항의 지표화 꿈의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에서 실제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교육을 담당하는 음악감독과 강사 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를 CIPP 모형에 따라 평가하기 위해서 앞서 행정인력의 경우와 동일 하게 우선 5점 리커트 척도로 된 25개의 설문문항을 코딩하여 25개의 소지표로 지표화하였다. 그리고 25개의 소지표들을 CIPP 평가준거에 따라 유형화하여 다시 15개의 중지표로 코딩하였 다. 마지막으로 22개의 중지표를 10개의 대지표로 통합하여 CIPP의 네 측면과 연계시켰다. 그 과정에 의해 도출된 소지표(평가준거), 중지표(평가요소), 대지표(평가영역)와 CIPP와의 연계성 을 나타내면 <그림 Ⅳ-87>과 같다. 참고로 성과평가의 소지표 중 ‘학습태도’는 이와 관련된 4 19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개 세부항목으로 이루어져있으나, ‘학습태도’라는 하나의 지표로 환원하여 4개 세부항목에 대한 평점을 나타내었다. <그림 Ⅳ-87> CIPP 평가를 위한 설문의 지표화 (교육인력) 소지표 평가준거 (25개) 1.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 이해 2. 조직의 체계성 3. 학습수준 및 특성(학생 및 학부모) 4. 선발의 공정성과 일관성 5. 교육시기 및 교육단계

중지표 평가요소(15개)

대지표 평가영역(10개)

교육목표 이해

교육에 대한 이해

조직체계의 전문성

운영의지

학습자 요구

요구분석

선발방법의 적절성

선발

CIPP

상황

교육계획 수립의 적절성

6. 학습자의 요구 반영

교육목표의 적절성

7. 학습자 특성에 맞는 세부 내용 설정

교육내용의 전문성

교육계획 수립

8. 강사선정기준의 적절성 9. 강사선정방법의 적절성

강사의 전문성

인적 자원

투입

10. 강사평가의 타당성 11. 교육공간 및 실기공간 확보

12. 교육공간 활용 13. 교육용기자재

교육 시설

교육기자재 및 도구

14. 교육도구(악기) 15. 소통적 환경(지역문화예술자원 활용)

물적 자원

교육환경

16. 교육과정 운영의 합리성(학생관리/지도)

교육과정 운영

17. 단계/진도 및 개별적 조정(실기능력) 18. 파트수업과 전체수업의 연계성 19. 수준별 수업

교육과정 운영

교수학습의 효율성

과정

20. 다양한 교수학습전략 활용 21. 자기주도학습활동(자율연습) 22. 협업 23. 학습태도(경청/집중, 책임, 성실), 적극성

과정 및 결과

교육효과

교육성과 공유

지속가능성

성과

24. 인성 및 소통 25. 운영의 필요성

CIPP 평가를 위한 설문문항의 지표화 과정을 간락하게 나타내면 <그림 Ⅳ-88>과 같다. <그림 Ⅳ-88> 설문 지표화 절차 (교육인력) 설문문항 25개 분석 및 코딩

소지표 25개 도출 (평가준거)

중지표 15개 도출 (평가요소)

대지표 10개 도출 (평가영역)

CIPP 평가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97


② CIPP 평가결과 음악감독 및 강사와 같은 교육인력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CIPP에 따른 평가결과는 <표 Ⅳ -103>과 같다. <표 Ⅳ-103> 꿈의 오케스트라 CIPP 평가결과 (교육인력) CIPP 상황 4.20

평가영역

평가준거

교육에 대한 이해

교육목표 이해

운영의지

조직체계의 전문성

요구분석

학습자 요구

선발 교육계획 수립 4.09

투입 4.10

평가요소

선발방법의 적절성

4.02

∘학습수준 및 특성(학생 및 학부모)

4.01

∘선발의 공정성과 일관성

교육내용의 전문성

∘학습자 특성에 맞는 세부 내용 설정

3.96

∘강사선정기준의 적절성

3.95

∘강사선정방법의 적절성

4.04

∘강사평가의 타당성

3.75

∘교육공간 및 실기공간 확보

4.26

∘교육공간 활용

4.05

강사의 전문성 3.91 교육 시설 4.16 교육기자재 및 도구 4.21

교수학습의 효율성 4.07

교육효과 4.07

4.37

∘교육도구(악기)

4.04

∘소통적 환경(지역문화예술자원 활용)

3.78

∘교육과정 운영의 합리성(학생관리/지도)

4.37

∘단계/진도 및 개별적 조정(실기능력)

3.88

∘파트수업과 전체수업의 연계성

4.10

∘수준별 수업

4.06

∘다양한 교수학습전략 활용

4.29

∘자기주도학습활동(자율연습)

4.03

과정(학습태도) 및 결과 ∘학습태도 4.07 ∘인성

지속가능성

교육성과 공유 평점

4.04

∘교육용기자재

∘협업 성과 4.13

4.35 4.27

∘학습자의 요구 반영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운영 4.22

4.57

교육목표의 적절성

교육 환경

과정 4.2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 이해 ∘조직의 체계성

교육계획수립의 적절성 ∘교육시기 및 교육단계

인적 자원 3.91

물적 자원 4.05

평점

4.03 3.97 4.13

∘소통/표현

4.14

∘운영의 필요성

4.18 4.10

위의 결과를 상황, 투입, 과정, 성과 평가별로 구분하여 도표로 나타내면 <그림 Ⅳ-89>와 같 다.

19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그림 Ⅳ-89> 교육인력 대상 설문 CIPP 평가결과

평가영역별, 평가요소별 분석에 앞서서 CIPP별로 평가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앞서 행정인력 대상 설문에서는 ‘과정’이 가장 미흡했는데, 교육인력 대상 설문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실 천이 이루어지는 ‘과정’(4.24)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투입’(4.04)이 가장 미흡한 것 으로 나타났다. CIPP에 따라 연차별로 분류하여 나타내면 <표 Ⅳ-104>와 같다. <표 Ⅳ-104> 연차별 CIPP 평가결과 (교육인력) 연차

상황

투입

과정

성과

평점

1년차

4.15

4.06

4.30

3.97

4.12

2년차

4.12

3.92

4.05

4.09

4.05

3년차

4.26

4.14

4.22

4.22

4.21

4년차

4.24

4.33

4.33

4.23

4.28

평점

4.19

4.11

4.23

4.13

4.16

CIPP 평가에서 드러난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연차별 구분 없이 모든 기관들이 대체적으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목표가 무엇인지 잘 이해하고 있고 운영의지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둘 째, 행정인력과 동일하게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 혹은 학습 참여 동기 등을 파악하는 데는 미흡 한 편이다. 셋째, 지역문화예술 자원에 대한 적절한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계속해서 CIPP의 영역별로 문제점과 개선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다른 요인과 어떻게 연계되어 문제가 심 화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 상황평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상황에 대한 평가는 ‘교육목표에 대한 이해, 운영의지, 요구분석’의 3 가지 영역에 따라 이루어졌다. 교육인력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상황과 관련된 문항이 3문항 뿐이었지만,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에 대한 이해, 운영의지, 요구분석’과 관련된 질문들이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199


각 각 1개씩 포함되어 있어 교육인력이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는 알아 볼 수 있었다. <표 Ⅳ-105>는 평가영역별 상황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Ⅳ-105> 평가영역별 상황평가결과 (교육인력) 연차

교육목표에 대한 이해

운영의지

요구분석

평점

1

4.60

3.89

3.95

4.15

2

4.59

3.85

3.92

4.12

3

4.56

4.09

4.12

4.26

4

4.57

4.23

3.92

4.24

평점

4.58

4.02

3.98

4.19

연차별로 비교했을 때, 상황에서 가장 점수가 낮은 2년차와 가장 점수가 높은 3년차의 차이 는 0.14점으로 상황에서는 연차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목표에 대한 이해는 1년차 기관이 가장 높았고, 운영의지는 4년차 기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나 행정인력의 평가와는 다소 차이를 보여준다. 그러나 행정인력대상 설문결과와 마찬가지로 3년차 기관을 제외한 다른 연차의 기관들은 학습자 요구를 파악하는 것에 미흡하였다. 사회취약계층의 오케스트라 참여 동 기나 목적, 그리고 학습자의 특성이나 수준 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실제 교육에서 적지 않 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교육계획수립(투입)이나 교육과정 운영(과정)과 연계되는 항목이라는 점에서 상황평가에서 학습자의 요구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평가는 이 후 투입과 과정에서도 이와 관련된 부분에 개선이 필요함을 예측케한다. 나. 투입평가 교육프로그램 평가에서 투입평가는 대체적으로 계획과 관련된 것으로, 학습자를 어떻게 선발 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과 실제 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어떻게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있는지, 또한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물적 자원과 인적 자원, 예산을 어떻게 투입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투입평가결과를 평가영역별로 나타내면 <표 Ⅳ-106>과 같다. <표 Ⅳ-106> 평가영역별 투입평가결과 (교육인력) 연차

선발

교육계획수립

인적 자원

물적 자원

평점

1년차

4.38

4.09

3.89

3.89

4.06

2년차

4.09

3.94

3.72

3.94

3.92

3년차

4.38

4.09

3.93

4.14

4.14

4년차

4.57

4.26

4.14

4.35

4.33

평점

4.36

4.10

3.92

4.08

4.11

20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교육인력을 위한 설문 중 투입과 관련된 12개의 문항은 ‘선발, 교육계획수립, 인적 자원, 물적 자원’이라는 4개의 평가영역에 포함되는데, 4년차를 제외한 다른 기관들은 투입평가에서는 인적 자원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요구되었다. 1년차와 2년차 기관은 물적 자원에서도 다소 미흡 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Ⅳ-107>는 투입평가결과를 평가준거별로 나타낸 것이다. <표 Ⅳ-107> 평가준거별 투입평가결과 (교육인력) 학습자의 요구 반영

교육 내용

강사 선정 기준

강사 선정 방법

강사 평가

교육 공간 확보

교육 공간 활용도

교육용 기자재

악기

소통적 환경

평점

4.33

4.04

3.91

3.87

4.04

3.75

4.04

3.82

4.09

3.71

3.80

3.98

4.09

4.04

3.96

3.83

3.71

3.81

3.63

4.24

3.91

4.31

3.73

3.53

3.90

3년차

4.38

4.32

4.02

3.93

3.99

4.07

3.74

4.21

4.03

4.44

4.21

3.83

4.10

4년차

4.57

4.38

4.18

4.23

4.25

4.25

3.92

4.56

4.43

4.52

4.31

3.95

4.30

평점

4.36

4.27

4.05

3.98

3.96

4.04

3.76

4.26

4.05

4.34

3.99

3.78

4.07

연차

선발 교육시기 공정성 및 단계

1년차

4.38

2년차

투입에서 연차별로 미흡한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소지표별로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평가영역 에서 드러난 것처럼 2년차 기관들은 물적 자원에 포함된 4가지 준거이외에 다른 준거에서도 가 장 낮은 평점을 보였다. 4년차 기관들은 모든 영역에서 투입과 관련해서 가장 안정적이다. 연차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미흡한 사항은 ‘강사평가’와 ‘소통적 환경’ 즉 지역문화예술자원 활용과 관련된 항목이었다. 지역에 꿈의 오케스트라에 대한 홍보나 인식이 확산되어 있는 4년차 기관들 도 여전히 지역문화예술단체 기관 뿐 아니라 지역의 예술가들과의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 다는 것은 미적 감각이나 다양한 예술체험기회가 부족한 사회취약계층 학생들을 위해서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 또한 지역사회의 인프라나 인적 자원을 활용하기 힘든 부분이 무엇인지 그 원인을 분석하여 이를 적극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평가 준거만으로는 지역단체나 시설, 인력과의 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이 지역사회의 무관심이 나 비협조로 인한 것인지, 혹은 거점 자체적으로 지역의 인프라와 인력을 활용하기 위한 계획이 나 관심이 부족한지는 분명히 드러나지는 않았다. 그 외에 앞서 행정인력의 평가에서와 마찬가 지로 1년차는 물적 자원과 관련된 4가지 준거에서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기자재와 악기를 보충하고 교육공간 확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투입평가에서 주목할 만한 평가준거는 인적 자원 확보에 대한 선정 기준이나 전문가들에 대 한 정기적인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부분이다. 거점운영에서 우수한 강사를 확 보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다른 거점이나 외부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강 사 선정을 위한 적절한 기준과 방법을, 그리고 강사평가방법을 고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201


육계획수립과 관련해서 연차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사회취약계층의 요구를 교육 계획 수립에 반영하고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내용설계를 위한 고민과 도움이 필요해 보인 다. 개방형 설문에서 교육계획의 주도적 참여자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연차를 구분 하지 않고 살펴보았을 때 ‘음악감독, 강사, 코디네이터’가 67.3%로 교육계획에 참여하고 있었고, ‘음악감독, 강사’가 23.9%로 나타났다. 교육계획 수립과 관련해서 가장 많은 개선이 요구되었던 2년차 기관들은 ‘음악감독 단독’(5.3%)과 ‘기타’(10.7%)의 응답비율이 다른 연차에 비해서 높았 다. ‘기타’는 음악감독이 없어 강사, 행정인력, 코디네이터에 의해 교육계획이 수립되는 것을 의 미한다. 교육계획 수립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실제 교육이 제대로 실행되지 못해 교육적 효과가 낮아질 수밖에 없고, 그런 경우 학생들에게 가장 큰 피해가 간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개선이 이 루어져야 한다. 그 외에 3년차와 4년차 기관들은 코디네이터가 교육계획 수립에 적극 참여하고 있었다. 한편, 학습자 전원과 접촉하는 코디네이터가 교육계획 수립에 참여하는 것은 학습자의 요구를 보다 잘 수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다. 과정평가 실제 교육을 실행하는 장면과 관련된 과정평가는 투입평가에서 계획한 사항들이 실질적으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실행되는지와 관련된 사항들을 평가하는 것이다. 그래서 투입평가의 항목 들 중 많은 부분이 과정평가의 항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과정 운영의 평가요소 중 하 나인 ‘교육과정의 충실성’의 평가준거들은 투입평가에 포함된 평가준거들이 반영되었는지를 의 미한다. 그러므로 과정평가는 투입평가의 결과와 상관성을 가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과정평가 는 ‘교육과정 운영’이라는 단 하나의 평가영역으로 이루어져있어 평가영역의 하위준거인 평가요 소별로 그 결과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는 <표 Ⅳ-108>과 같다. <표 Ⅳ-108> 평가요소별 과정평가결과 (교육인력) 연차

교육과정 운영

교수학습의 효율성

평점

1년차

4.51

4.09

4.30

2년차

4.20

3.89

4.05

3년차

4.32

4.11

4.22

4년차

4.44

4.21

4.33

평점

4.39

4.07

4.23

과정평가에서는 4년차 기관이 투입에 이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반면 2년차 기관은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학습의 효율성에서 가장 미흡하였고, 특히 5개의 평가준거로 이루어진 교 수학습의 효율성에서는 많은 개선이 요구되었다. 4년차를 제외한 다른 기관들은 교육과정 운영

20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에 비해 교수학습의 효율성이 상당히 낮게 평가되어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평가준거별로 과정평가결과를 나타내면 <표 Ⅳ-109>과 같다. <표 Ⅳ-109> 평가준거별 과정평가결과 (교육인력) 연차

교육과정 운영합리성

단계/진도 및 개별적 조정

파트수업과 전체수업의 연계성

수준별 수업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 활용

자기주도 학습활동

평점

1

4.51

3.89

4.20

4.00

4.27

4.09

4.16

2

4.30

3.56

3.84

3.85

4.17

4.03

3.96

3

4.32

3.95

4.16

4.13

4.34

3.98

4.15

4

4.44

4.13

4.23

4.23

4.36

4.08

4.25

평점

4.39

3.88

4.11

4.05

4.29

4.05

4.13

연차별로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2년차는 ‘자기주도 학습활동’ 외의 다른 5개 지표에서 가장 미흡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그 가운데서 특히 ‘단계/지도 및 개별적 조정’에서 특히 개선이 필요 해 보인다. 반면, 4년차는 2가지 지표를 제외한 4가지 지표에서 가장 평점이 높았다. 즉, 4년차를 제외한 다른 기관들은 학생들의 수준차이를 고려한 단계와 진도 조정,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활동에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3년차 역시 자기주도 학습활동과 단계/진도 및 개 별적 조정에서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체적으로 3년차와 4년차는 교수학습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과 수준별 수업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잘 운영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 면, 2년차는 다양하고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레퍼토리 분석을 통해서 어느 정도 예측되었던 결과로 2년차 행정인력의 평가와 달리 실 제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인력은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학습자의 수준에 맞춰 교육을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정성평가와 별도의 컨설팅을 통해서 2년차 기관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에 대한 원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같은 연차라도 특별히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이 있는 기관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컨설팅을 통 해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기관 자체내에서도 진흥원 내에서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 로 보인다. 라. 성과평가 성과평가의 평가영역은 ‘교육효과’와 ‘지속가능성’으로 이루어져있다. 전자는 ‘협업, 학습태도, 인성, 소통/표현’의 4개의 평가요소(중지표)로 세분화되고, 후자는 ‘운영필요성’이라는 하나의 평 가준거로 이루어져있다. 평가영역별 성과평가결과는 <표 Ⅳ-110>과 같다.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203


<표 Ⅳ-110> 평가영역별 성과평가결과 (교육인력) 연차

교육효과

지속가능성

평점

1

4.12

3.82

3.97

2

4.00

4.18

4.09

3

4.20

4.23

4.22

4

4.09

4.36

4.23

평점

4.10

4.15

4.13

공통적으로 ‘교육효과’ 중 인성적 측면에서 좋은 성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지속가능성’ 은 4년차 기관이 가장 높았고, 연차가 줄어들수록 평점이 낮아져 1년차 기관은 지속가능성을 상 당히 낮게(3.82)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효과와 관련해서는 학생들의 학습태도가 협업, 인성 항목 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차별로 보았을 때 2년차는 상황, 투입, 과정에 이어서 성 과에서도 가장 미흡한 결과를 보였고, 3년차가 모든 지표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표 Ⅳ-111>은 성가평가결과를 평가요소별로 나타낸 것이고, <표 Ⅳ-112>은 평가준거별로 나타낸 것이다. <표 Ⅳ-111> 평가요소별 성과평가결과 (교육인력) 연차

협업

학습태도

인성

소통/표현

지속가능성

평점

1

4.09

3.98

4.29

4.13

3.82

4.06

2

3.93

3.86

4.19

4.01

4.18

4.03

3

4.09

4.05

4.46

4.19

4.23

4.20

4

4.00

3.89

4.30

4.18

4.36

4.15

평점

4.03

3.95

4.31

4.13

4.15

4.11

<표 Ⅳ-112> 평가준거별 성과평가결과 (교육인력) 연차

협업

1

학습태도

인성

소통/표현

운영필요성

평점

4.13

4.09

4.13

3.82

4.01

3.88

4.01

4.07

4.01

4.18

3.96

4.46

3.92

4.09

4.16

4.19

4.23

4.11

3.49

4.30

3.79

3.97

4.17

4.18

4.36

4.03

3.55

4.31

3.87

4.05

4.12

4.13

4.15

4.03

경청/집중

책임/성실

출결석

적극성

4.09

3.62

4.29

3.87

2

3.93

3.37

4.19

3

4.09

3.72

4

4.00

평점

4.03

20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학생들의 변화와 관련된 항목들 중 정리정돈과 관련된 ‘책임과 성실’에서 연차별 구분 없이 모두 성과가 좋았다고 평가하고 있는 반면 학습태도와 관련된 ‘경청과 집중’은 모두 미흡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2년차는 ‘경청과 집중’에서 낮은 점수(3.37)를 보여 강사들이 학생지도와 수업운영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출결석과 적극성은 4년차 기관이 가장 미흡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인력들이 운영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이 필요한 이유와 불필요한 이유’에 대해 질문하였다. 꿈의 오케스트라 지속 가능성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 부정적 견해를 제시한 응답자의 의견 중에서는 ‘불확실한 지 원’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운영의 어려움’과 ‘선발의 어려움’, 그리고 ‘꿈의 오케스트라의 목적 이 기관에서 지향하는 목적과 맞지 않아서’가 그 뒤를 이었다. 이는 외부의 지원과 내부의 운영 능력이 사업의 지속성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반면 지속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한 응답자들은 교육복지 차원에서 꿈의 오케스트라의 지속성과 효과성을 중시하고 있었다. 긍정적으로 답한 응답자들은 지속되어야 하는 이유로 ‘기회균등’과 ‘인성교육’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또한 교육인력을 대상으로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상의 애로사항을 3순위까지 복수로 응답할 것을 요청한 질문을 순위에 대한 가산점 없이 비율로 나타내었을 때, ‘수준별 지도 미흡’ (12.0%)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드러났다. 이어서 ‘악기 교체 및 구입/악기 상태 불량’(7.1%), ‘부족한 예산지원’(6.8%) 등이 애로사항으로 언급되었다. 개별항목들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보면, 교수학습과정(53%), 물적 자원(14%), 강사 처우(13%), 예산부족(10%), 학생지도 및 관리(6%), 그리고 조직체계(4%)의 비율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교육과정에서는 수준별 수업과 레퍼토리 개발이 어렵다는 답이 많아 신규단원과 기존단원의 수준 차이를 고려하여 지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림 Ⅳ-90>은 교육인력이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의 애로사항에 대해 응답한 내용과 그 비율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Ⅳ-90>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의 애로사항 (교육인력)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205


(4) 학생 및 학부모 만족도 조사 및 지역 인식 조사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가한 학생과 부모의 만족도, 그리고 거점이 속한 지역의 인식조사결과를 살펴봄으로써 수혜자의 입장을 반영하여 연차별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 다.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인적 성취도(8문항), 적극성 및 관심도(9 문항), 사회성(7문항), 수업만족도(1문항)의 4개의 평가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았는데, 4점 대에 약간 못 미치는 결과가 나왔다. <표 Ⅳ-113>은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 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결과이다. <표 Ⅳ-113> 학생 만족도 조사결과 연차

음악적 성취도

적극성 및 관심도

사회성

수업만족도

평점

1

3.74

3.70

3.93

4.24

3.90

2

3.66

3.64

3.87

4.19

3.84

3

3.58

3.56

3.79

4.15

3.77

4

3.65

3.53

3.78

4.03

3.75

평점

3.66

3.61

3.84

4.15

3.82

연차별로 비교했을 때 4년차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1년차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학생들 의 만족도는 연차가 낮을수록 높았고, 다른 항목에 비해서 ‘수업만족도’ 항목의 만족도가 높았 다. 음악적 능력이나 소양 계발이나 적극적인 학습태도 등에서 만족도가 낮았고, 교우관계와 같 은 사회성 항목도 그다지 높지 않았다. 그러나 수업만족도가 높은 것은 문항수가 1개이기 때문 에 이와 관련된 문항을 세분화했을 때의 결과는 다소 달라질 가능성이 있음을 고려해야 할 것 이다. 4년차 기관의 학생들의 만족도가 낮은 것은 앞서 행정인력, 그리고 교육인력 대상 설문에 대 한 CIPP 평가와 함께 꿈의 오케스트라의 중장기적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한다. 교육과 행정을 담당하는 음악감독, 강사, 행정인력의 경우, 거점의 위상이 변하고 예산이 축소될 수 있다는 여러 가지 외부환경적인 요인으로 프로그램 운영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이 기관운영상황을 인지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운영과 교육을 담당하는 행정인력과 교육인력에 대해 수혜자의 만족도가 낮은 것은 실제 수업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강사의 역량이나 교수학습, 수준별 지도, 레퍼토리 선정 등에서 미흡한 부분들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외에 행정인력과 교육인력의 CIPP 평가에서 나타난 것처럼 사회취약계 층이라는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과 학생지도가 미흡한 것이 그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본다. 20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학생들에 이어서 부모의 만족도 조사 결과 역시 4년차 기관이 가장 낮았고, 2년차 기관의 학 부모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다음 <표 Ⅳ-114>는 부모 만족도 조사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Ⅳ-114> 부모 만족도 조사결과 연차

교육효과

효과성

인성/사회성

자존감

가족의성장*

지속성

지역사회성장

평점

1

4.21

4.63

4.06

3.97

4.15

4.81

3.70

4.22

2

4.22

4.54

4.15

4.18

4.66

4.74

3.80

4.33

3

4.14

4.58

4.06

4.03

4.30

4.73

3.66

4.21

4

4.09

4.45

4.05

4.00

3.94

4.67

3.56

4.11

평점

4.17

4.55

4.08

4.05

4.26

4.74

3.68

4.22

* ‘가족의 성장’ 항목은 응답자 비율을 5점 단위로 환산한 점수를 의미한다. ‘참여 이전에 비해 가족간 대화 빈도가 증가함(5점)’, ‘참여이전과 가족간 대화빈도가 비슷함(3점)’, ‘참여이전에 비해 가족간 대화빈도가 증가하지 않음, 모름 및 무응답(1점)’으로 환산한 점수임.

학부모 만족도 조사는 ‘교육효과, 효과성, 인성 및 사회성, 자존감, 가족의 성장, 지속성, 지역 사회의 성장’이라는 7개 항목에 대해 이루어졌다. 학부모 만족도 조사에서도 학생들과 마찬가지 로 4년차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2년차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부모는 학생들의 판단에 직 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 대상 만족도 조사와 유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평점을 비교했을 때 부모와 학생이 체감하는 교육의 효과성이 일치하지 않는 것 으로 보인다. 설문항목을 비교했을 때, 교육적 효과나 성과에 비해 인성이나 사회성과 자존감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은 학생과 부모의 만족도가 연계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연차와 무관하게 부모들은 자녀의 인성이나 성격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고 인식하였고 프로그 램의 지속성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학생과 부모의 만족도가 타기관에 비해 높다는 점에서 2년차 기관은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해서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지역과 수혜자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4년차 기관은 학생에 이어 부모 만족도가 낮았다는 점에서 운영자(행정 및 교육인력)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것처럼 수혜자의 프 로그램 참여 동기와 목적이 무엇인지를 보다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고자 하는 실천적 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학생과 부모 만족도에 이어 많은 수의 응답자를 확보하지는 못했으나 지역에서 꿈의 오케스 트라의 효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꿈의 오케스트라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 조사는 크게 ‘지역사회의 성장’과 ‘지역사회의 영향’이라는 두 유형과 관련된 문항으로 이루어졌 다. 대체적으로 지역의 인식은 긍정적이고 좋은 편이었지만 연차별로 비교했을 때 3년차 기관들 의 지역사회 인식이 가장 긍정적이었고, 4년차 기관의 인식이 가장 낮았다. 지역 사회 인식 조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207


사는 연차별 평점의 차이가 거의 없고 긍정적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꿈의 오케스트 라 운영되고 있고 지역에서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 Ⅳ-115>은 지역 사회 의 인식 조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Ⅳ-115> 지역사회 인식조사 결과 연차

지역사회의 성장

지역사회의 영향

사회성

1

4.12

4.37

4.24

2

4.24

4.36

4.30

3

4.22

4.39

4.31

4

4.19

4.15

4.17

평점

4.19

4.32

4.25

20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3) CIPP 평가결과 정리 및 제언 CIPP 평가결과는 연차 구분 없이 모두 4점대를 넘었다는 점에서 대체적으로 프로그램이 잘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전적으로 내부평가자에 의해 이루어진 평가결과이고, CIPP의 모든 측면을 상세히 분석하기에는 평가문항의 수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분명 한계가 있 다. 평가결과를 토대로 CIPP별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 그리고 연차별로 보여주는 운영상의 미흡 한 부분들을 언급하기에 앞서서 행정인력과 교육인력 대상 설문에 대한 CIPP 평가결과를 합산 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Ⅳ-116>와 <그림 Ⅳ-91>와 같다. <표 Ⅳ-116> 행정인력 및 교육인력 CIPP 평가결과 합산평점 교육/행정

상황

투입

과정

성과

평점

1년차

4.24

4.14

3.84

4.18

4.10

2년차

4.21

4.16

4.07

4.10

4.14

3년차

4.33

4.30

4.11

4.25

4.25

4년차

4.22

4.25

3.97

3.99

4.11

평점

4.25

4.21

4.00

4.13

4.15

<그림 Ⅳ-91> 행정인력 및 교육인력 CIPP 평가결과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결과와 교육인력과 행정인력의 CIPP 평가를 교차 비교해본 결 과, 서로 간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행정인력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결과를 CIPP 로 통합한 평균을 산출한 결과, 상황, 투입, 과정, 성과평가 가운데 ‘과정평가’ 평점이 가장 낮아 실제 교육실행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IPP 평가결과에 따른 제언의 상당수는 교육과정과 관련된 내용이 될 것이다. 그러나 전반적인 제언에 앞서서 CIPP별로 개선 사항을 살펴보면, 먼저 상황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투입에서는 예산의 안정성과 충족성, 그리고 강사 및 음악감독 선발 및 관리 기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209


준의 보완이, 그 외에 지역문화예술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전문가풀 활용 등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성과에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기는 하나 실제 교육효과에서 다소 보완이 요구되는 사항들이 있었다. 성과평가와 과정평가에서 미흡한 부 분들은 상황과 투입에서 사회취약계층의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참여동기나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분명히 보여준다. 연차별로 살펴보았을 때, 1년차는 CIPP 네 측면의 평점에서는 가장 미흡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상황에서는 2년차가, 성과에서는 4년차가 가장 미흡하였고, 2년차는 투입과 과정에서 개 선이 요구되었다. 3년차 기관은 CIPP 네 측면에서 모두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고 학생과 학부 모, 지역의 만족도도 좋은 편이었다. 그러나 이번 평가에서 4년차가 보여준 여러 가지 문제점과 한계를 답습하지 않지 위해서는 학습자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교육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많 은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교수학습법의 활용에서 미흡한 면이 드러났으므로 이를 개선하 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1년차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끄는데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었지만 수준별 수업이나 파 트, 앙상블 연습간의 연계성에 대한 고민이 해결되지 않아 보인다. 내년부터는 신규단원과 기존 단원의 수준차이가 더 커지면서 수준별 수업이 많아질 것으로 보이므로 적절한 레퍼토리 선정 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교수학습법을 활용하기 위한 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년차와 마찬가지로 2년차는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수준 차이를 고려한 교수학습전략 수립 및 적용, 레퍼토리 선정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년차와 함께 2년차 기관들이 많은 부분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교육인력의 설문결과는 프로그램 운영의 기반이 되는 사회적 요구, 프로그램의 목표, 학습자의 요구와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 로 드러났고, 실제 교육과정에서도 학습자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한 부분이 있어 학생들 의 학습효과성 또한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2년차 기관의 경우는 학생과 부모, 지역의 만족도가 다른 연차에 비해 높았다는 점에서 기관 차원에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하는 노 력이 더해진다면 향후 좋은 프로그램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4년차는 과정과 성과에서 미흡한 부분이 드러났고, 학생, 학부모의 만족도, 지역의 인식 또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습자의 요구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점, 교육계획에 사회취약계층의 특 성을 고려한 내용이 많이 포함되지 않는 점을 보완하여 실제 학생들이 원하는 수준과 내용을 반영한 교육계획과 실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어떤 의미에서 4년차의 이같은 결과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꿈의 오케스트라를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과 자생성을 갖기 위한 또 다

21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른 차원의 고민이 시작된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단순히 매너리즘에 빠졌다거나 중장기적 비전이 없다고 판단해서는 안 될 것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은 Top-down 형식의 사업으로, 4년차 거점기관이 그동안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경험했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자체 적인 고민일 수도 있고, 아니면 예산감축이나 중장기적 관점의 부재로 인한 혼란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한 가지만이 원인이 아닐 것이라는 점에서 기관 자체적인 개선의 노력에 더하여 4년차 거점의 현재 ‘상황’을 관리기관인 진흥원도, 관련부처에서도 눈여겨봐야 하지 않 을까 생각한다. 이번 CIPP 평가결과는 첫째, 거점 운영과 지원에서 연차별, 지역/권역별, 기관별 차별화 지원 전략이 마련되어야 하고, 단순히 교육과정 운영이나 효과성 평가에 머물지 않고 거점의 외부 환 경적인 조건 등을 고려한 다면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둘째, 전반적인 CIPP 평가결과는 좋았지만 CIPP의 모든 측면에서 수혜자의 특성에 대한 이 해, 수혜자의 요구 파악에서 미흡한 부분들이 반복적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CIPP의 교육계획 및 실천 등에서 수혜자의 특성과 요구를 파악하고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를 위해서는 우선 사회취약계층 예술향유교육의 목표를 잘 이해하고 수혜자 요구를 잘 반영하 기 위해서 현재 실시하는 설문조사나 개인면담 등이 실질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환경적 특성이나 조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 사회취약계층을 ‘동일집단’으로 대하지 않 고 학습자들이 꿈의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혹은 학교나 가정, 또래집단 속에서 겪 는 심리적, 정서적 어려움을 상담해주는 상담 전문가를 교육인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에 수혜자의 특성이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은 교육과정에 교육의 목 표나 비전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도 있다. 교육계획안이 실제 교육을 그대 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악곡 습득을 위한 반복연습, 즉 오케스트라 공연을 위한 실 기연습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꿈의 오케스트라는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사회취약계 층에게 예술향유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예술향유를 통한 인성과 사회성 함양을 목표로 한다. 하지 만 일부 기관의 경우, 이 목표에 다가가는 실행의 과정 보다 주어진 악곡을 무난하게 소화할 수 있는 기교와 표현의 숙련도 향상이라는 결과에 치중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체험형 프로그램이나 타 예술분야와의 융합프로그램 등을 포함하 거나, 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성이나 요구를 반영하거나, 최근 음악교육에서 개발된 다양한 프로 그램과 교수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탐구와 노력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기관에 서처럼 신규단원의 리듬감과 음감, 협업능력을 계발하기 위해 신체협응활동, 리듬수업, 음악놀이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211


를 활용하는 것은 음악에 대한 학습동기와 호기심을 자극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나 물론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한 인성과 예술향유교육이라는 본래적인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선 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넷째, 거점에서 이러한 수업을 담당할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혹은 거점에서 이러 한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경우를 대비하여 강사대상 연수와 체험형 워크숍을 개설하 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도 있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전략, 현장에 적용 가능 한 프로그램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으로 그 내용을 보완한다면, 기존 기관들의 높은 운영 필요성과 상황적 이해를 기반으로 보았을 때 충분히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프로그램의 당초 목표에 맞는 교육과정을 운영하 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 교육목표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안하고 이에 적합한 세부적인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모든 기관의 교육과정을 표준화해야 한다거나 획일화시 켜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꿈의 오케스트라가 중장기적 방향성을 가지고 지향하는 목표를 담 고 있는 교육과정 모델이 무엇인지를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컨설팅을 실시하여 일부 연구자들이 제한된 기간에 잠시 가는 단발성, 일회성의 모니터링이 아니라 실제로 프로그램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체계적이고 지속 적인 컨설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IPP 평가를 마무리하면서 이번에 실시한 설문조사가 갖는 몇 가지 한계점을 논함으로써 추 후 평가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번 CIPP 평가의 한계는 첫째, CIPP를 토대로 지표를 개발하였지만 CIPP 평가에 대한 이해도가 형성되지 않은 외부전문가들이 설문개 발 단계에 평가자로 참가하면서 CIPP 평가에 필요한 모든 항목들이 설문에 포함되지 못하였다 는 점이다. 둘째, 내부평가자에 의한 평가결과라는 점에서 객관성과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는 문항이 좀 더 보완되어야 한다. 따라서 문항개발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 째, 당초 기관들에 대한 정성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으나 연구기간이 충분하지 못해 4년차 기관 을 제외한 다른 기관들은 방문하지 못했고, 4년차 기관에 대한 정성평가 또한 1회에 그쳤기 때 문에 거점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었다. 넷째, 연차별로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지만 기관별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지 못했다. 비록 본 연구는 CIPP 네 측면에서 어느 부분이 어떻게 보완되어야 하는지 구체적이고 상세한 피드백을 제공하지는 못했다는 한계가 있지만 연차별 문제점과 애로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데는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

21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Ⅴ.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 정립 및 발전방안

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성과 분석 2. 발전전략 도출



Ⅴ.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 정립 및 발전방안

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성과 분석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성과를 꿈의 오케스트라의 사업 목표를 바탕으로 한 5가지 추진전략을 실행한다. 이는 개인의 성장과 가족의 성장, 지역사회의 성장, 범국가적 성장으로 이어지는 사업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꿈의 오케스트라는 음악을 통해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다. 먼저, 꿈의 오케스트라 관련 인력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의 세부사항을 살펴보면 개인적 성 장의 항목에 의거하는 개인적 성취도, 자존감, 사회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 의 경우 사회성이 많이 성장되었으며, 자존감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가 평가하는 아이의 자존감 형성 지수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신규 1년차의 평균이 3.97인데 반해서 2~4 년차로 갈수록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Ⅴ-1> 개인적 성장 지표 학생

개인적 성취도

자존감

사회성

학부모

개인의 자존감

전체

3.64

3.60

3.83

전체

4.06

신규(1년차)

3.74

3.70

3.93

신규(1년차)

3.97

2년차

3.66

3.64

3.87

2년차

4.18

3년차

3.58

3.56

3.79

3년차

4.03

4년차

3.65

3.53

3.78

4년차

4.00

이를 통해 꿈의 오케스트라가 추구하는 개인의 성장 중 자존감의 형성과 공동체적인 성장 및 인성 함양이 잘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음악 교육을 통해 개인의 능력 뿐 아닌 공동체성 과 사회성이 모두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가족의 성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는 참여이전에 비해 가족 간의 대화빈도의 증가 이다. 이를 추가적으로 분석해보면, 이전에 비해서 가족 간의 대화의 빈도가 증가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단원들이 사회취약계층임을 고려할 때 이는 매우 의미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꿈의 오케스트라를 통해 가족 간의 화해가 시도되고, 가족 간 대화빈 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족들 역시 성장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215


<표 Ⅴ-2> 가족의 성장 지표 학부모

참여 이전에 비해 가족간 대화빈도가 증가함

참여 이전과 가족간 대화빈도가 비슷함

참여 이전에 비해 가족간 대화빈도가 증가하지 않음

모름/ 무응답

전체

61.8

37.6

0.4

0.2

신규(1년차)

59.2

39.4

1.4

0.0

2년차

66.4

32.0

0.8

0.8

3년차

58.0

42.0

0.0

0.0

4년차

65.4

34.6

0.0

0.0

다음은 지역사회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학부모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지역사회의 성장을 묻는 질문에, 평균치가 매우 높게 나왔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지 역사회가 바라보는 지역사회의 성장의 경우 거의 대부분 매우 만족하는 평균점이 도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보면, 꿈의 오케스트라를 통해 어느 정도 지역사회의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 는 것을 볼 수 있다. <표 Ⅴ-3> 지역사회의 성장 지표 학부모

지역사회의 성장

지역사회

지역사회의 성장

지역사회의 영향

전체

3.69

전체

4.20

4.35

신규(1년차)

3.70

신규(1년차)

4.12

4.37

2년차

3.80

2년차

4.24

4.36

3년차

3.66

3년차

4.22

4.39

4년차

3.56

4년차

4.19

4.15

정량평가를 통해 살펴보면, 꿈의 오케스트라는 개인과 가족, 그리고 사회의 성장의 목표를 어 느 정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합동공연과 이음캠프 등을 통해 음악적 능력이 향상되고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개발된 지표를 바탕으로 꿈의 오케스트라의 운영 성과와 형 태들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성과를 분석하면 차후 성과를 발전시킬 수 있다.

21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2. 발전전략 도출 꿈의 오케스트라는 2010년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지난 5년간 베네수엘라 ‘엘 시스테마’와의 연계를 기반으로 지속성 성장을 이루어 왔다. 베네수엘라, 미국, 캐나다와의 현장 연수 참여, 국 내 합동공연과 더불어 국내 강사 연수와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꿈의 오케스트라는 비전과 목표 를 설정하고 구체적 구현을 바탕으로 지역 정착화의 시기에 도달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지난 사업운영에 대한 경영 진단, 관련 인력의 역량 검증을 통해 사업의 성과 파악과 현재 설정한 사업이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는 베네수엘라로부터 출 발한 세계 유수 오케스트라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의 내용과 효과 검토를 진행하여 현 시점에서 한국형 오케스트라 운영의 당위성의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2010년 이후 제시하고 있는 비전, 미션과 가치는 문화예술교육의 진흥을 담당하는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의 미션과 운영철학과의 연계성 속에서 구체화 될 수 있다. 현시점에서 음악교육 의 접근성과 수월성을 용이케 하고 교육을 통해 지역 내 소통 향상과 공동체 형성을 비롯한 발 전 가능한 네트워크 형성와 여건 마련이 사업의 대표적 지향점일 것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참여가 단지 지역 오케스트라 운영을 위한 예산을 지원하는 사업이 아 니라 중앙과 지역이 오케스트라를 매개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는 지원사업으로 도약하기 위 해 다음의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1) 발전 전략 1: 원활한 소통 채널구성 꿈의 오케스트라의 지속 가능한 운영 패러다임은 중앙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지역 거 점들간의 네트워크 구성, 원활한 소통과 협업의 꿈의 오케스트라 거버넌스 체계 마련이라 할 수 있다. 거버넌스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현재 참여 중인 32개 지역 거점이 설정한 비전, 미 션과 가치의 구현을 위한 신뢰와 진정성을 바탕으로 유기적이고 순환적 협력 관계로부터 시작 된다. 꿈의 오케스트라의 지속성을 담보 할 수 있는 거버넌스(민관 협치)가 절실하다. 거버넌스(민 관 협치)의 핵심은 소통이다. 소통의 시작은 중앙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지역 거점 간의 이해와 신뢰의 근간이 된다. 이러한 소통은 연차별 지역 거점의 역할과 업무에 대해 규정하고 실행 가능한 방안 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지역 거점 담당자들과 공유하는 것으로 시 작될 수 있다.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217


2) 발전 전략 2: 지속가능한 운영 패러다임 구성 꿈의 오케스트라 현장에서 이해 할 수 있고 적용 가능한 운영 매뉴얼과 가이드, 글로서리(용 어 해설집)제작, 연간 운영일정을 확정하여 운영의 체계와 일정을 참여 기관들과 공유하는 것 역시 중앙과 지역의 신뢰와 믿음을 만들어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운영 매뉴얼은 운 영 행정상 필요한 사항을 포함해 사업의 개요, 지역 거점의 역할, 심사-교육- 캠프-공연-컨설 팅-모니터링-평가 등의 일정과 운영 과정 등에 대해 소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꿈의 오케스 트라 연간 일정을 지역 거점과 사전에 공유하여 원활한 운영 여건을 마련할 것이다. 또한 지역의 상황을 반영한 예산 구성 및 운영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대해 중앙과 협의할 수 있는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현재 사업이 요구하는 시수 확보를 위한 지역별 차별화된 방안 마 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3) 발전 전략 3: 운영지원단과 협의체 구성 중앙단위와 지역단위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운영지원단12)을 구성하여 사업 방향과 전략 등 운영 전반을 검토하고 발생하는 이슈에 대처하는 방안 마련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운영지 원단을 비롯해 지역 거점 내 담당하는 역할별 주체(음악 감독, 행정인력, 코디네이터, 음악강사 등)들의 협의체 구성과 이들과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업의 채널을 마련하는 것으로 확대 될 수 있다. 이를 지역 내에서 구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외부 음악, 오케스트라,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단 혹은 운영 위원회를 구성 하여 사업주체들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지속적으로 논의하여 사업 운영의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활동의 일정을 초기에 확정하여 다양한 관련 구성인들의 협업은 사업 운영의 투명성과 신뢰도 등을 담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음악감독, 음악강사, 행정코디 등 담당역할별, 지역별, 기수별 협의체를 구성하여 사업의 주요 구성인들은 이들 간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의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전체 사업 운영에 협업 할 수 있는 여건 마련도 새로운 운영의 기반이 될 수 있다.

12) 운영지원단은 음악교육, 오케스트라교육, 문화예술교육, 거점 운영과 예술경영에 대한 전문가로 ‘꿈의 오케스 트라’ 사업의 취지와 의도를 이해하고 지원 가능한 이들로 구성하여 사업 운영의 여러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21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4) 발전 전략 4: 지역 간 교류와 합동 공연을 통한 리더십 성장 현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방학을 활용한 이음캠프, 선발된 참 여자의 합동공연과 음악 강사를 위한 마스터 클래스를 진행하고 있다. 이음캠프와 합동공연을 지역 간 교류를 통해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시도해 볼만하다. 언급한 바와 같이 영역별 협의체를 구성하여 광역, 권역별 지속적 모임을 통해 지역거점 간의 공동 워크숍, 캠프, 합동공연의 진행을 가능하게 하여 지역 간 교류와 협업을 독려할 수 있다. 마스터 클래스는 음악 감독과 강사의 연수프로그램으로 지역 거점간의 회의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나 주제를 중심으로 지역거점간의 협의를 통해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도하여 주제를 선정하고 장소를 섭외하여 지역거점 참여를 독려 하는 것도 운영 지원에 도움이 될 것이나 지역거점 혹은 권역이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것도 지 역 거점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주도적 역할을 부여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지역 거점의 리더십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 지역 간 협업과 교류는 사업 참여 관련자들 간의 시 너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기관별, 기관 간 주체적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은 프로그램의 참 여도를 향상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단계별 운영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5) 발전 전략 5: 꿈의 오케스트라 지원 사업 효과에 대한 지속적 연구체계 마련 악기 연주의 음악교육이 아닌 소통과 공동체를 이루는 수월성과 접근성을 근간으로 한 지역 기반 오케스트라 활동을 위한 교육과 활동의 이론과 논리의 근간 마련을 위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은 운영관련 평가(2010년), 교육효과 평가(2011년), 컨 설팅 (2013년)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후속 연구로 운영 체계 구축과 컨설팅, 교육 효과 등 사업 운영에 지원 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과정 분석과 우수사례 선정은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에 일조 할 것이며 연구와 더불어 오 케스트라 관련 자료와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교육 자료와 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R&D 기능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지속적 사업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추적조사와 교육효과를 가시화 할 수 있는 비참여자들과의 비교 연구 등은 꿈의 오케스트라만의 차별화된 교육 방향과 전략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에 대해 모니터링, 컨설팅과 평가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발전의 근간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Ⅳ. 평가 실행과 결과 도출|219


참고문헌

김인설 외(2014). 문화예술활동이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28(1), 한국문화관광연구 원, 225-250. 문화체육관광부(2014). 2014 소외 아동ㆍ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기본계획. 문화체육관광부. 빅토리아 D.알렉산더(2003). 「예술사회학」(최샛별, 한준, 김은하 역). 서울:살림출판사. 박신의(2013). 예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 분석과 정책적 함의, 문화정책논총, 26(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57-75. 박신의 외(2013). 󰡔2013성북예술창작센터 예술치유 모델 평가체계 개발 및 발전방향 연구󰡕, 서울 문화 재단. 배호순(2008). 교육프로그램 평가론. 서울: 원미사. 백령(2012). CIPP 모델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교육효과 연구, 문화예술경영학연구, 5(1). 29-50. 오스틴 해링턴(2014). 「예술과 사회 이론:사회학적 미학의 길잡이」(정우진 역). 서울:이학사. 이경진·김경자(2010).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와 가능성 탐색.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이경진·김경자·김성혜·김선아·오레지나·권도희(2011). 예술영재교육과정 평가모형 개발. 서울: 한국예술영 재교육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2011 소외아동ㆍ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단위사업 평가󰡕,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엘 시스테마의 교육과정: 단계적 레파토리 구성을 통한 오케스트라 교 육󰡕,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2). 󰡔문화복지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추정과 정책 방향󰡕,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꿈의 오케스트라 지역 단위 사업 교육사례 나누기 2011󰡕,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법 활용안󰡕,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꿈의 오케스트라 공통 레퍼토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 󰡔2013 토요문화학교 사회적 효과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 󰡔2013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평가 컨설팅 운영 완료보고서󰡕,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 󰡔201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평가(효과 측정) 2차 연구󰡕, 서울. Adams, D and Golbard. (2005). Creative Community : The Art of Cultural Development. USA: LightningSourceInc. Bacon, B.S. &Korza, P. (2010). Articulating the Civil and Social Impact of the Arts: The Arts & Civc 22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Impact Initiative at Americans for the Arts. Borrup, T. (2006). The Creative Community Builder’s Handboolk St. Paul MN: Fieldstone Alliance. Beattle, Donna Jay. (1997). Assessment in Art Education. USA: Davis Pubns. Belfiore, E. and Bennett. (2010). The Social Impact of the Arts. USA: Palgrave Macmillan. Boerner, Sabine, Krause, Diana E. (2004). Leadership and co-operation in Orchestr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7(2004) 465-479. Evaluation of Big Noise, Sistema Scotland (2011). Scotland Goverment, Social research. Fitzpatrick, J. L., Sanders, J. R., & Worthern, B. R. (2004).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3rd Ed.). Boston: Allyn & Bacon. Helguera, Pablo (2011). Education for Socially Engaged Art A Material and Techniques Handbook Charle King. Stufflebeam, D. L. (1971).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5, 19-25. Stufflebeam, D. L. (2005). CIPP model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In Mathison, S. (Ed.), Encyclopedia

of evaluation. Thousand Oak, CA: Sage. The Arts and Civic Engagement Impact Initiative ar American for the Arts Culture Work 14(4).Universityof Oregon. Tricia Tunstall (2012). Changing Lives-Gustavo Dudamel, El Sistema and thr Transformative Power of Music> W.W. Norton &Company, NY(2012).

참고문헌|221



부록

부록 1. 2014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설문지 부록 2. 정성평가 분석 및 시사점



부록 1. 2014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설문지

1] 학생단원 대상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의견조사 (참여 학생)

ID

안녕하세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꿈의 오케 스트라 활동에 대한 의견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함으로써, 향후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 이번 설문조사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학생 여러분이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면서 느낀 점에 대한 의견을 받아, 유익한 꿈이 오케 스트라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합니다. 설문에 응답하신 내용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 운영에 필요한 개선 방안과 정책 제언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솔직하게 설문에 응답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4년 9월 ※ 설문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 이용되지 않으며,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등) 및 34조 (통계작성사무 종사자 등의 의무)에 따라, 비밀이 보장됩니다. ■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실사기관 : 글로벌 리서치

응답자 성명

응답자 연령

응답자 성별 ① 남성

② 여성

)세

응답자 연락처

학교명 응답자 거주지역

만 (

학년 ① 서울 ⑨ 강원

② 부산 ⑩ 충북

③ 대구 ⑪ 충남

④ 인천 ⑫ 전북

⑤ 광주 ⑬ 전남

⑥ 대전 ⑭ 경북

⑦ 울산 ⑮ 경남

⑧ 경기 ⑯ 제주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25


문1. 오케스트라 교육 외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방과 후 수업은 어떤 것이 있나요?

① 영어

② 스포츠(운동)

④ 기타(

)

③ 보충학습

⑤ 없다

문2. 현재 연주하는 악기는 무엇인가요? (

)

문3. 현재 연주하는 악기 외에 배워보고 싶은 악기가 있나요? ① 있다 ☞ 문3-1로 이동

② 없다 ☞ 문4로 이동

문3-1. 만약 다른 악기로 바꿀 수 있다면 어떤 악기로 바꾸고 싶은가요? ( 문4.

)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 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합동공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합동 공연에 대해서 알고 있나요? ① 예

② 아니오

문5. 다음의 의견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고 생각하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면 1점에 를 해주세요.

내 용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1) 나는 선생님의 도움 없이 악보를 보고 연주할 수 있다

2) 나는 다양한 음악을 처음부터 끝까지 듣고 들은 것에 대해 이야 기할 수 있다

3) 내가 배운 악기 연주법을 다른 친구들에게 설명할 수 있다

4) 나는 악기를 바른 자세와 연주법으로 연주할 수 있다

5) 나는 연주 경험을 통해 새로운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6) 나는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서 음악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되었다

7) 나는 음악회에 갈 기회가 생긴다면 가보고 싶다

8) 나는 오케스트라 교육에서 감상했거나 연주한 곡의 작곡가가 누 구인지 알고 있다

22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문6. 다음의 의견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고 생각하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면 1점에 를 해주세요. 매우 그렇다 그렇다

내 용

보통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1) 나는 오케스트라 수업 시간에 모르는 부분이 나타나면 손들어 질문한다

2) 나는 전체적인 연주를 위해 다른 사람과 연습하고 준비한다

3) 어려움이 있는 친구가 있으면 함께 해결하고자 시도한다

4) 나는 악보를 보면서 순서를 지켜 연주할 수 있다

5) 나는 내가 맡은 부분이 나올 때까지 참고 기다린다

6) 포기하지 않고, 혼자서 악보를 처음부터 끝까지 연주할 수 있다는 것을 자랑하고 싶다

7) 꿈의 오케스트라를 참여하면서 생활과 학교 수업이 더 재미있어 졌다

8) 오케스트라 교육을 받은 후 다양한 악기, 연주방법 등에 대해 배 우고 싶어졌다

9) 앞으로도 계속 오케스트라 교육을 받고 싶다

문7. 다음의 의견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고 생각하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면 1점에 를 해주세요. 매우 그렇다 그렇다

내 용 1) 나는 오케스트라 연주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친구를 돕고자 한다

보통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2)

나는 연습 중 함께하는 친구와 문제가 생겼을 때 친구의 입장에 서 생각해볼 수 있다

3)

나는 친구의 악기를 연주해 보고 싶을 때 친구에게 허락을 얻고 자 한다

4)

나는 함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는 이들을 친구로 생각하고 가족들에게 이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5) 나는 오케스트라 친구들과 함께 음악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6)

오케스트라 활동을 위해 단원들과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7) 오케스트라 활동에서는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27


문8. 오케스트라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어떤가요? ① 매우 만족

② 만족

③ 보통

④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문9. 합동공연에 참여한 경험이 있나요? ① 예 ☞ 문9-1로 이동

② 없다 ☞ 문9-2로 이동

문9-1. 참여했던 합동공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 ① 꿈의 오케스트라를 대표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②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즐거움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③ 다른 기관에서 활동하는 꿈이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④ 악기 연주 실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⑤ 기타 (

)

문9-2. 합동공연에 참여하기에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① 참여선발 과정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② 참가를 위한 정보가 없었다 ③ 합동공연에 대해서 잘 모른다 ④ 합동공연 연습 시간 등이 너무 많아서 참여하기 힘들다 ⑤ 기타 (

)

문10.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있어서 합동공연의 참여 기회가 생길 경우 참여하고 싶은가요? ① 참여하고 싶다

② 참여하고 싶지 않다

※ 설문조사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2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2] 학부모 대상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의견조사 (참여 학부모)

ID

안녕하십니까?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중장기적 방 향성을 제안하고자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의 목적은 꿈의 오 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부모님들께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효과에 대한 의견을 구함으로써 꿈의 오케스트라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와 전략을 재점검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제 안하기 위한 것입니다. 답변해 주신 내용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 운영에 필요한 개선 방안과 정책 제언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연구의 중요성을 감안하시어 성심껏 응답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4년 9월 ※ 설문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 이용되지 않으며,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등) 및 34조 (통계작성사무 종사자 등의 의무)에 따라, 비밀이 보장됩니다. ■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실사기관 : 글로벌 리서치

응답자 성명

응답자 연령

응답자 성별

① 남성

응답자 거주지역

① 서울 ⑨ 강원

② 여성 ② 부산 ⑩ 충북

③ 대구 ⑪ 충남

만 (

)세

응답자 연락처 ④ 인천 ⑫ 전북

⑤ 광주 ⑬ 전남

⑥ 대전 ⑭ 경북

⑦ 울산 ⑮ 경남

⑧ 경기 ⑯ 제주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29


문1. 귀하의 자녀가 꿈의 오케스트라에 다닌 기간은 얼마나 되었습니까? 약 (

) 개월

문2. 귀하의 자녀가 꿈의 오케스트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파트는 무엇입니까? ① 현악기 파트

② 관악기 파트

③ 타악기 파트

문3. 현재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한 귀댁 자녀는 몇 학년입니까? ① 초등학교 (

문4.

) 학년

② 중학교 (

) 학년

자녀가 참여하고 있는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 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합동공연을 진 행하고 있습니다. 합동공연에 대해서 알고 있습니까? ① 예

23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아니오


[음악적 체험] 문5. 다음의 의견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고 생각하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면 1점에 를 해주세요. 매우 그렇다 그렇다

내 용

보통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1) 꿈의 오케스트라 음악교육은 주변사람에게도 권하고 싶다

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3) 이 교육이 아이들의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켜주는데 도움이 된다

문6.

귀하의 자녀는 지금까지 꿈의 오케스트라 수업이외 학교나 다른 문화예술 기관(예: 미술관, 박물관, 도서관, 문화원, 복지관 등)이 운영하는 문화예술 관련 수업(예: 방과후 학교)을 받 은 적이 있습니까? ① 예 ☞ 문6-1로 이동

② 아니오 ☞ 문7로 이동

문6-1. 현재 보내고 계신(또는 가장 최근에 보내셨던) 학교나 다른 문화예술 기관이 운영 하는 문화예술 관련 수업은 무엇입니까?

문6-2. 이전의 수업에 비해서 꿈의 오케스트라 만족 수준을 해당되는 점수에 표시해주시기 바랍 니다. ① 매우 만족

문7.

② 만족

③ 보통

④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귀하의 자녀는 꿈의 오케스트라 수업 이외 다른 음악 관련 사교육 수업(예: 학원, 개인교 육 등)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① 예 ☞ 문7-1로 이동

② 아니오 ☞ 문8로 이동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31


문7-1.

기존의 수업에 비해서 꿈의 오케스트라 만족 수준을 해당되는 점수에 표시해주시 기 바랍니다. ① 매우 만족

② 만족

③ 보통

④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문7-2. 다음 의견에 대해“매우 그렇다”라고 생각하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면 1 점에 를 해주세요. 내 용 1)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나는 꿈의 오케스트라 수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문8.

다음 의견에 대해“매우 만족”이라고 생각하면 5점, “매우 불만족”이라고 생각하면 1점에 를 해주 세요. 내 용

1) 꿈의 오케스트라를 통해 아이들의 음악적 능력은 높아졌다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문9. 다음의 의견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고 생각 하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면 1점에 를 해주세요. 내 용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내 자녀는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열심히 참여했다

2)

내 자녀는 여가시간이 생기면 음악 감상/공연감상 등을 하고 싶 어한다

3)

내 자녀는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기 전에 비해 참여 후 음악 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문10. 귀하의 자녀는 합동공연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까? ① 예 ☞ 문10-1로 이동

23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아니오 ☞ 문10-2로 이동


문10-1. 자녀가 참여했던 합동공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꿈의 오케스트라를 대표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②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즐거움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③ 다른 기관에서 활동하는 꿈이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④ 악기 연주 실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⑤ 기타 (

)

문10-2. 합동공연에 참여하기에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① 참여선발 과정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② 참가를 위한 정보가 없었다 ③ 합동공연에 대해서 잘 모른다 ④ 합동공연 연습 시간 등이 너무 많아서 참여하기 힘들다 ⑤ 기타 (

문11.

)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있어서 와 합동공연 참여 기회가 생길 경우 자녀를 참여시키고 싶으십니까? ① 참여시키고 싶다 ☞ 문12로 이동

② 참여시키고 싶지 않다 ☞ 문11-1로 이동

문11-1. 자녀를 참여시키고 싶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33


[자존감 및 사회성의 변화]

문12.

다음의 의견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고 생 각하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면 1점에 를 해주세요. 매우 그렇다 그렇다

내 용

1)

내 아이는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기 전에 비해서 자신의 감정 을 표현하는 것이 더 적극적이 되었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내 용

보통

보통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②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2) 내 아이는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한 후 지역에 친구들이 많아졌다

3)

내 아이는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기 전에 비해 참여 후 인성적 측면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4)

나는 내 아이가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기 전에 비해 참여 후 음악교육과 지역문화예술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5)

나는 내 아이가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기 전에 비해 참여 후 방과 후 아이들의 교육에 대한 스트레스가 줄어들었다

6) 나는 꿈의 오케스트라가 지속적으로 운영되기를 바란다

문13.

귀하의 자녀가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 참여 이전과 이후 가족간에 대화를 나누는 빈도가 달라지셨습니까? ① 참여 이전에 비해 가족간 대화빈도가 증가함

② 참여 이전과 가족간 대화빈도가 비슷함

③ 참여 이전에 비해 가족간 대화빈도가 증가하지 않음

문14.

귀하께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이 학생단원의 학부모 간 교류증대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23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매우 그렇지 않다


[ 응답자 기본 정보 ] DQ1. 귀하의 가정은 맞벌이를 하십니까? ① 예

② 아니오

DQ2. 귀하의 최종 학력은 무엇입니까? ① 초등학교 졸업

② 중학교 졸업

④ 대학교 졸업

⑤ 대학원 졸업

③ 고등학교 졸업

DQ3. 귀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① 전문/자유직

② 일반사무직/관리직

③ 판매직/서비스직

④ 생산직/기술직

⑤ 농림/어업/축산업

⑥ 학생

⑦ 가정주부

⑧ 무직/은퇴

⑨ 군인

⑩ 기타(직접 기재:

)

DQ4. 귀댁의 월평균 소득은 얼마입니까? ① 100만원 미만

② 100~200만원 미만

③ 200~300만원 미만

④ 300~400만원 미만

⑤ 400~500만원 미만

⑥ 500~600만원 미만

⑦ 600~700만원 미만

⑧ 700만원 이상

※ 바쁘신 와중에 설문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35


3] 지역사회 대상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의견조사 (지역사회)

ID

안녕하십니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경제적ㆍ사회 문화적으로 열악한 지역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오케스 트라 음악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일상의 삶을 살아가는데 자존감을 높이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건강 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중장기적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해 본 설문을 기 획하였습니다. 선생님께서 주신 의견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 운영에 필요한 개선 방안과 정책 제 언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바쁘시겠지만, 잠시만 시간을 내어주셔서 설문에 응답해주시면 감사하 겠습니다. 2014년 9월 ※ 설문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 이용되지 않으며,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등) 및 34조 (통계작성사무 종사자 등의 의무)에 따라, 비밀이 보장됩니다. ■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실사기관 : 글로벌 리서치

응답자 성명 응답자 성별

응답자 연령 ① 남성

지역명

23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여성

응답자 연락처

만 (

)세


문1. 귀하께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은 하모니를 만들어야 하는 오케스트라의 특성을 매개로 ‘상호 학습’과 ‘협력’을 이끌어내는 엘 시스테마 음악교육을 통해 아동ㆍ청소년의 건강한 다면적 성장을 유도하며, 나아가 일반가정 아동과 사회적 취약계층이 함께하는 지역중심의 문화예술교육으로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시작되었습니다. ① 알고 있다 ☞ 문1-1로 이동

② 모른다 ☞ 설문종료

문1-1. 귀하께서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을 알게 된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업/프로그램홍보

문2.

② 교육수행기관의 사업/프로그램 홍보

③ 참여했던 다른 아동의 부모 소개

④ 주변 지인의 소개

⑤ 기타(직접 기재:

)

귀하의 주변에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가족, 지인의 자녀 등)이 있 습니까? ① 있다 ☞ 문2-1로 이동

② 없다 ☞ 문3으로 이동

문2-1.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은 다음 중 누구입니까? ① 친척(자녀)

문3.

② 이웃(자녀)

③ 친구(자녀)

④ 기타(

)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은 음악교육을 통해 아동ㆍ청소년의 건강한 다면적 성장을 유도하는 사업입니다. 귀하께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필요하다

② 필요하다

③ 보통이다

④ 필요하지 않다

⑤ 전혀 필요하지 않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37


문4. 귀하께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 니까?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고 생각하시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시 면 1점에 를 해주십시오. 내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1)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음악향유 및 다양한 표 현능력, 소통능력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면서 학습자의 인성(자아존중감 등) 및 사회성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3)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면서 학습자의 교우관계(갈등 감소 등)가 좋아졌다고 생각한다

4)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우리 지역에 대해 긍정 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5)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에 대해 알게 된 후, 지역사회의 이 슈(문제점)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6)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한 이후,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7)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한 이후, 지역에서 진행되는 행사 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문5. 귀하께서는 주변 사람들에게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추천하시겠습니까? ①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② 추천한다

④ 추천하지 않는다

⑤ 절대 추천하지 않는다

③ 보통이다

문6. 귀하께서는 향후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이 현재보다 더 활성화 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23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③ 보통이다


문7.

귀하께서는 문화예술이 지역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다음의 의견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고 생각하시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시면 1점에 를 해주십시오. 내

전혀 매우 그렇지 그렇다 보통 그렇지 그렇다 않다 않다

1)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될 것이다

2) 지역 아동·청소년들의 교육과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3) 지역 아동·청소년들의 문화적 욕구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문화인력을 양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5) 지역 내 문화향유층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6) 거주 지역에 대한 주민들의 애착심이 커질 것이다

7) 거주지역의 이미지가 안팎으로 좋아질 것이다

※ 바쁘신 가운데 본 설문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39


4] 교육인력(음악감독, 예술강사)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의견조사 (음악감독/예술강사)

ID

안녕하십니까?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남다른 관심과 열정을 갖고 정진하시는 선생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중장기적 방 향성을 제안하고자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의 목적은 꿈의 오 케스트라 교육과 운영을 담당하고 계신 선생님들께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운영현황에 대한 의견을 구함으로써 꿈의 오케스트라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와 전략을 재점검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입니다. 선생님의 풍부한 현장경험과 전문가로서의 식견은 꿈의 오케스 트라 교육과 운영에 필요한 개선 방안과 정책 제언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연구의 중요성을 감안하시어 성심껏 응답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4년 9월 ※ 설문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 이용되지 않으며,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등) 및 34조 (통계작성사무 종사자 등의 의무)에 따라, 비밀이 보장됩니다. ■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실사기관 : 글로벌 리서치

24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Part A. 개인 관련 문항 A1. 소속

A2. 직위

A3. 연령

만 (

)세

A4. 전공 ① 음악(기악, 성악, 작곡, 이론 등)

②기타(

① 1년 미만

② 1년~3년 미만

③ 3년~5년 미만

④ 5년~10년 미만

⑤ 10년~15년 미만

⑥ 15년 이상

A6. 사회적 배려대상 교육경력

① 1년 미만

② 1년~3년 미만

③ 3년~5년 미만

④ 5년~10년 미만

⑤ 10년~15년 미만

⑥ 15년 이상

A7. 오케스트라 교육경력

① 1년 미만

② 1년~3년 미만

③ 3년~5년 미만

④ 5년~10년 미만

⑤ 10년~15년 미만

⑥ 15년 이상

A5. 교육경력

)

Part B. 꿈의 오케스트라 현황 B1. 기관명 B2. 기관 소재지 B3. 기관 내 역할

① 서울 ⑨ 강원

② 부산 ⑩ 충북

③ 대구 ⑪ 충남

④ 인천 ⑫ 전북

⑤ 광주 ⑬ 전남

⑥ 대전 ⑭ 경북

⑦ 울산 ⑮ 경남

① 음악감독

② 강사

③ 보조강사

④ 코디네이터

⑤ 행정지원인력

⑥ 기타 (

⑧ 경기 ⑯ 제주

)

B4. 귀 기관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는 담당자 수를 직접 기입해 주십시오. 행정직원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이상(직접 기재:

)

코디네이터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이상(직접 기재:

)

음악감독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이상(직접 기재:

)

주강사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이상(직접 기재:

)

보조강사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이상(직접 기재:

)

음악 강사

B5. 귀 기관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단원은 몇 명입니까? 현악기 파트 (

)명

관악기 파트 (

)명

타악기 파트 (

)명

초기 등록생 수

중도 탈락생 수

(

(

)명

)명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41


Part C.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 관련 ※ 다음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와 방향에 관련된 문항들입니다. 선생님의 의견을 로 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C1.

C2.

귀하께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에 대해서 잘 알고 있습니까? ① 아주 잘 알고 있다

② 대략적으로 잘 알고 있다

④ 잘 모르는 편이다

⑤ 전혀 모른다

③ 보통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하여 주십시오. ① 수혜자의 잠재성 발굴 및 계발

② 수혜자의 문화예술향유 기회 확대

③ 수혜자의 음악실기능력 계발

④ 수혜자의 예술향유능력 배양

⑤ 수혜자의 자아존중감 및 인성 함양

⑥ 수혜자의 사회성 강화

⑦ 사회통합성 강화

⑧ 문화예술소외지역 해소

⑨ 기타 (직접 기재:

)

C3. 학생단원들이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습니까?

C4.

① 아주 잘 알고 있다

② 대략적으로 잘 알고 있다

④ 잘 모르는 편이다

⑤ 전혀 모른다

③ 보통이다

꿈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단원들이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들을 모두 선택하여 주십시오. ① 기초음악성 배양

② 음악 실기능력 신장

③ 예술향유능력 배양

④ 자기 고유의 소통 및 표현방법 계발

⑤ 자존감 및 자아성취감 형성

⑥ 공동체의식 및 사회성 향상

⑦ 음악적 잠재성 계발

⑧ 예술문화체험 기회 확대

⑨ 기타 (직접 기재:

24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


C5.

귀 기관에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행정지원인력과 체제가 갖 추어져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Part D.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위한 투입요소 관련 ※ 다음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계획(교육내용 및 방법 등)과 인적·물적 자원에 관련된 문항들 입니다. 문항의 내용에 대한 선생님의 의견을 해 주십시오. D1.

D2.

귀 단체에서 학생단원을 선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하여 주십시오. ① 개인면접

② 서류전형

③ 자기소개서

④ 교과담당(담임)교사 추천서

⑤ 학교장 추천서

⑥ 개인실기능력

⑦ 음악적성검사(표준화검사)

⑧ 기타 (직접 기재:

)

오케스트라 학생단원은 기관의 선정 기준과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선발되고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D2-1. (D2에서 ④,⑤번 응답자만) 학생단원 선정 기준과 절차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 시는 이유나 근거를 서술하여 주십시오.

D3.

음악감독과 강사 선정을 위한 선정기준과 다양한 추천경로가 마련되어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43


D4.

D5.

D6.

D7.

음악감독과 강사는 사전에 정해진 선정 기준과 다양한 추천경로에 따라 선정됩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매년 혹은 분기별로 음악감독과 강사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수행에 앞서 연간 혹은 분기별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귀 기관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계획 수립과 교육과정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사 람은 누구입니까?

D8.

① 음악감독

② 음악감독 및 강사

④ 음악감독, 강사, 코디네이터

⑤ 기타 (

③ 음악감독 및 전문가협의회 )

귀 기관에서 교육계획 수립과 교육과정에 대해 협의할 경우, 어떤 내용들을 가장 많이 다 루십니까? 다음 보기 중에서 우선순위별로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1순위 :

D9.

2순위 :

3순위 :

① 교육내용(레퍼토리 포함) 협의

② 교육일정 협의

④ 학생지도 및 관리방안

⑤ 기타 (

4순위 :

5순위 :

)

③ 강사 추천 및 섭외 )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어떠한 자료들을 가장 많이 참고하십니까? 다 음 보기 중에서 우선순위별로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1순위 :

2순위 :

3순위 :

① 다른 기관의 자료

② 전년도 자료

④ 동료의 자료

⑤ 기타 (

24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4순위 :

5순위 : ③ 전문음악단체의 자료

)

)


D10.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음악교육과 문화예술체험이 부족한 사회적 배려대상의 특성을 충분 히 고려하여 교육내용 구성 및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까?

D11.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음악감독과 강사들은 학생단원들의 다양한 수준과 필요를 고려하여 여러 장르(클래식 외 에 뮤지컬, 재즈, 대중음악편곡, 월드뮤직 등)의 레퍼토리를 탐색하고 준비합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D12. 파트별 연습실, 전체합주실 등의 공간이 확보되어 있습니까?

D13.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학생단원들의 안전과 연령의 특성을 고려하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적합한 공간구 조와 배치, 동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까?

D14.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교육기자재(보면대, 의자 등)가 확보되어 있습니 까?

D15.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악기들이 좋은 상태로 구비되어 있습니 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45


D16.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위해 지역예술가, 지역예술대학, 지역문화예술단체 등과 협력하 여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의 세부내용을 계획합니까?

D17.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 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합동공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합 동공연에 대해서 알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Part E.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개발 ※ 다음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에 관련된 문항들입니다. 문항의 내용에 대한 선생님의 의 견을 해 주십시오. E1.

학생단원 지도시 어려움이나 문제가 발생하면 음악감독이나 다른 강사들과 함께 해결방법을 찾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E2. 학생단원의 출석, 지각, 조퇴 뿐 아니라 수업 중 특이사항이 발견되면 기록합니까? ① 예 ☞ E2-1로 이동

E2-1.

② 아니오 ☞ E3으로 이동

[E2에서 ①번 응답자만) 수업 중 특이사항을 기록한 이후, 해당 자료를 공유 및 활용하십니까?

① 예 ☞ E2-2로 이동

24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아니오 ☞ E3으로 이동


E2-2. [E2에서 ①번 응답자만) 수업 중 기록한 특이사항을 어떻게 활용하십니까?

E3.

초보자와 경험자의 수준차이와 흥미 등을 고려하여 파트수업과 전체수업을 적절히 활용합 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E4. 초보자의 독보력, 기초실기능력 배양을 위해 필요한 경우 수준별 수업을 실시합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E5. 음악교육경험이 풍부한 학생단원들의 실기능력 향상을 위해 수준별 수업을 실시합니까?

E6.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학생단원들의 개인연습이나 파트연습시 학생단원들의 연습과정이나 태도 등을 지켜보고 적절한 도움을 주고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E7. 개인연습이나 파트연습시 학생단원들 스스로 연습할 수 있는 시간을 줍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E8. 귀 기관의 학생단원들은 합동공연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까? ① 예 ☞ E8-1로 이동

② 아니오 ☞ E8-2로 이동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47


E8-1. 학생단원들이 참여했던 합동공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꿈의 오케스트라를 대표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②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즐거움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③ 다른 기관에서 활동하는 꿈이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④ 악기 연주 실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⑤ 기타 (

)

E8-2. 합동공연에 참여하기에 어려운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참여선발 과정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② 참가를 위한 정보가 없었다 ③ 합동공연에 대해서 잘 모른다 ④ 합동공연 연습 시간 등이 너무 많아서 참여하기 힘들다 ⑤ 기타 (

E9.

)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있어서 합동공연 참여 기회가 생길 경우, 학생단원들을 참여시키 고 싶습니까? ① 참여시키고 싶다 ☞ F1로 이동

② 참여시키고 싶지 않다 ☞ E9-1로 이동

E9-1. 학생단원들을 참여시키고 싶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24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Part F.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효과 관련 ※ 다음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효과와 관련된 문항들입니다. 문항의 내용에 대한 선생님의 의견을 해 주십시오. F1.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 활동이 진행되면서 학생단원들이 서로를 배려하고 돕기 위해 노 력하는 것을 자주 발견합니까?

F2.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학생단원들은 자신의 파트가 아닌 다른 파트가 연습하거나 지도를 받을 때에도 경청하고 집중 합니까?

F3.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학생단원들은 자신의 악보와 악기 등을 잘 관리하며 수업을 마친 후 악보와 악기를 제자 리에 놓고 퇴실합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F4. 학생단원들은 대체적으로 특별한 사유 없이 무단결석이나 지각, 조퇴를 하지 않습니까?

F5.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학생단원들은 수업 중 궁금하거나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이 있으면 적극적인 태도로 질문합 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49


F6.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 활동을 통해 학생단원의 인성(자아존중감 등) 및 사회성 등에 긍 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보십니까?

F7.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 활동을 통해 학생단원의 음악향유 및 다양한 표현능력, 소통능력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보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Part G.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전반 ※ 다음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전반에 대한 선생님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입니다. G1.

보다 많은 지역에서 꿈의 오케스트라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G1-1. (G1에서 ④,⑤번 응답자만) 보다 많은 지역에서 꿈의 오케스트라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이유를 서술하여 주십시오.

G1-2. (G1에서 ①,②번 응답자만) 보다 많은 지역에서 꿈의 오케스트라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이유를 서술하여 주십시오.

25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G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수행과 교육과정 운영에서 애로사항이 무엇인지 직접 기입해 주십시 오. 1순위 2순위 3순위

G3.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수행과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하여 어떠한 점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서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바쁘신 와중에 설문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51


5] 행정인력(행정담당, 코디네이터)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의견조사 (행정직원/코디네이터)

ID

안녕하십니까?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남다른 관심과 열정을 갖고 정진하시는 선생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중장기적 방 향성을 제안하고자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의 목적은 꿈의 오 케스트라 교육과 운영을 담당하고 계신 선생님들께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운영현황에 대한 의견을 구함으로써 꿈의 오케스트라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와 전략을 재점검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입니다. 선생님의 풍부한 현장경험과 전문가로서의 식견은 꿈의 오케스 트라 교육과 운영에 필요한 개선 방안과 정책 제언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연구의 중요성을 감안하시어 성심껏 응답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4년 9월 ※ 설문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 이용되지 않으며,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등) 및 34조 (통계작성사무 종사자 등의 의무)에 따라, 비밀이 보장됩니다. ■ 주관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실사기관 : 글로벌 리서치

25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Part A. 기관의 일반적 현황 A1. 기관명 A3. 사업추진 협력유형

A2. 설립(개관)연도 지 자 체

① 광역자치단체

행정담당기관

① 문화재단

① 서울 ⑨ 강원

A5. 해당기관의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참여횟수

① 신규(1년차) ☞ A6-4 응답 ③ 3년차 ☞ A6-2,3,4 응답

A6. 꿈의 오케스트라 프로그램 참여자수

② 부산 ⑩ 충북

② 기초자지단체 ② 문예회관

A4. 기관 소재지

③ 대구 ⑪ 충남

④ 인천 ⑫ 전북

A6-1. 2011년

③ 기타 (

⑤ 광주 ⑬ 전남

⑥ 대전 ⑭ 경북

) ⑦ 울산 ⑮ 경남

⑧ 경기 ⑯ 제주

② 2년차 ☞ A6-3,4 응답 ④ 4년차 ☞ A6-1,2,3,4 응답 A6-2. 2012년

A6-3. 2013년

A6-4. 2014년

초기 등록생 수

중도 탈락생 수

Part B.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에 대한 인식 및 현황 ※ 사회취약계층 아동은, 2013년 보건복지부에서 발간한 <2013년 지역아동센터 운영지침>에서의 ‘우선 보호아동’(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가정 아동, 차상위・조손・다문화・장애・한부모 아동, 기타 승인아동 등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아동) 및 교육부의 ‘교육비지원클릭시스템(저소득층 학생 교육비지원시 스템/ oneclick.mest.go.kr )에서 지원이 확인되는 아동을 의미합니다.

B1.

최근 예술교육은 문화향유 기회가 제한적인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예술교육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강화하고, 문화향유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등 일 련의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귀하께서는 이러한 예술교육의 변화에 알고 계십니까?

B2.

① 아주 잘 알고 있다

② 대략적으로 잘 알고 있다

④ 잘 모르는 편이다

⑤ 전혀 모른다

③ 보통이다

귀하께서는 예술교육을 통해 사회취약계층의 인성을 함양하고, 문화향유의 격차를 해소함 으로써 사회를 통합할 필요가 있다는 최근 예술교육의 흐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긍정적이다

② 긍정적인 편이다

④ 부정적인 편이다

⑤ 매우 부정적이다

③ 보통이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53


B3.

귀 기관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진행하는 구성원들(행정직원, 코디네이터, 음악감독, 음악 강사 등)은 사업의 목표를 이해 및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B4.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를 우선순위별로 3가지를 선택하여 주십시 오.

(1순위 :

2순위 :

① 수혜자의 잠재성 발굴 및 계발

② 수혜자의 문화예술향유 기회 확대

③ 수혜자의 음악실기능력 계발

④ 수혜자의 예술향유능력 배양

⑤ 수혜자의 자아존중감 및 인성 함양

⑥ 수혜자의 사회성 강화

⑦ 사회통합성 강화

⑧ 문화예술소외지역 해소

⑨ 기타 (직접 기재:

B5.

3순위 :

)

)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은 음악교육을 통해 아동ㆍ청소년의 건강한 다면적 성장을 유도하는 사업입니다. 귀하께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B6.

① 매우 필요하다

② 필요하다

③ 보통이다

④ 필요하지 않다

⑤ 전혀 필요하지 않다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은 소외아동ㆍ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으로서 아동ㆍ청소년 의 건강한 다면적 성장 유도 및 균등한 음악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귀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은 그 목적에 부합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예 ☞ B7로 이동

② 아니오 ☞ B6-1로 이동

B6-1. 그렇게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타 기관 및 시설에서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과 차별성이 없어서 ② 사업 수행기관이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해서 ③ 기타(직접 기재:

B7.

)

귀 기관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학생단원들의 요구사 항을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습니까? ① 예 ☞ B7-1로 이동

25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② 아니오 ☞ B8로 이동


B7-1. 학생단원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셨습니까? ① 지역아동센터 담당자와의 회의

② 학생단원 학부모와의 만남

③ 학생단원과의 만남

④ 요구사항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시행

⑤ 기타(직접 기재:

B8.

)

귀하께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학생 및 학부모의 요구가 잘 반영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B9.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귀 기관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 기획 시, 외부전문가의 참여나 자문회의를 개최 한 경험이 있습니까? ① 외부전문가 참여

② 자문회의 개최

③ 둘 다 수행

④ 경험 없음

B10.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 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합동공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합동 공연에 대해서 알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55


Part C.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 운영 관련 C1.

다음은 귀 기관과 지역의 여건에 대한 질문입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고 생각하시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시면 1점에 를 해주십시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내용

보통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1)

우리 기관에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 한 전문인력(행정, 코디네이터, 강사, 감독 등 포함)이 있다

2)

우리 기관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의 전담 업무를 처 리할 수 있는 조직이 구성되어 있다

3)

우리 기관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적합한 공간구조와 배치, 동선으로 이루어져있다

4)

우리 기관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교육기자 재(오디오, 보면대, 의자 등)를 확보하고 있다

5)

우리 기관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악기들을 좋은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6)

우리 기관은 다른 기관/단체들과의 네트워크가 적절하게 이루 어지고 있다

7)

우리 기관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강사 인력을 구하는 것이 수월하다

C2.

귀 기관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는 인력 구성은 어떻게 됩니까? 행정직원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이상(직접 기재:

)

코디네이터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이상(직접 기재:

)

음악감독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이상(직접 기재:

)

주강사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이상(직접 기재:

)

보조강사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이상(직접 기재:

)

음악강사

C3.

귀 기관에서 현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단원은 몇 명입니까? 현악기 파트 (

)명

25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관악기 파트 (

)명

타악기 파트 (

)명


C4.

귀 기관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단원을 선발할 때 다양한 추천 경로 와 선정 요소를 고려하고 있습니까?

C5.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귀 기관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단원을 선발하는 기준을 갖고 있습니까? ① 예 ☞ C5-1로 이동

② 아니오 ☞ C5-3으로 이동

C5-1. 귀 기관에서 학생단원을 선발하는 가장 주된 기준은 무엇입니까? ① 사회취약계층 여부

② 학교장 추천

③ 교과담당(담임)교사 추천

④ 음악적성검사

⑤ 학생단원의 참여의지

⑥ 기타(직접 기재:

C5-2.

)

귀 기관에서 학생단원을 선발하는 기준이 해당 지역 사회취약계층의 상황과 교육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C5-3.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귀 기관에서는 오케스트라 학생단원을 기관의 선정기준과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선발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C5-4.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C5-2 또는 C5-3에서 ④,⑤번 응답자만) 학생단원을 선발하는 기준 및 절차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이유나 근거를 말씀해 주십시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57


C6.

C7.

귀 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홍보는 어떤 방식으로 하고 있습니까? ① 대내외 포스터 부착

② 홈페이지

③ 웹메일 발송

④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 활용

⑤ 문자메세지 안내

⑥ 문화예술교육 관련 사이트 및 커뮤니티 게시

⑦ 전화 안내

⑧ 기타 (직접 기재:

)

귀 기관에는 유익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적합한 전문가를 음악감독 및 강사로 확보하기 위한 기준 및 절차가 마련되어 있습니까? ① 예 ☞ C7-1로 이동

C7-1.

② 아니오 ☞ C8로 이동

음악감독과 강사는 사전에 정해진 선정기준과 다양한 추천경로에 따라 선정됩니

까?

C8.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귀 기관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음악감독과 강사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질 관리 방안을 수립ㆍ운영하고 있습니까? ① 그렇다 ☞ C8-1로 이동

② 아니다 ☞ C9로 이동

C8-1. 어떤 방법을 통해 음악감독과 강사의 전문성 및 질을 관리하고 있습니까?

C9.

① 학부모 공개수업

② 교육프로그램 만족도조사

③ 음악감독 및 강사에 대한 평가

④ 기타 (직접 기재:

)

귀 기관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을 운영하기 위한 예산지원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습 니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

258|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지역자치단체 원

기관자체

기타 ( 원

) 원


C10. 귀하께서는 현재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운영비 규모가 충분하다고 생각하십니까?

C11.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귀 기관에서 운영 중인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예산은 합리적인 기준에 의해 편성되었 다고 생각하십니까?

C12.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귀 기관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문화예술자원(인력, 시설, 공간, 행사, 악기, 교구 등) 활용을 위해 외부기관과의 연계/협력관계를 구축하였습니까? ① 예 ☞ C12-1로 이동

② 아니오

C12-1. 어느 기관 또는 단체와 연계/협력하고 있습니까? ① 문화예술단체

② 정부 및 공공기관

③ 학교(대학교, 초중고)

④ 기타 (직접 기재:

)

C13. 귀 기관의 학생단원들은 합동공연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까? ① 예 ☞ C13-1로 이동

② 아니오 ☞ C13-2로 이동

C13-1. 학생단원들이 참여했던 합동공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꿈의 오케스트라를 대표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②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즐거움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③ 다른 기관에서 활동하는 꿈이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 각한다 ④ 악기 연주 실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⑤ 기타 (

)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59


C13-2. 합동공연에 참여하기에 어려운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참여선발 과정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② 참가를 위한 정보가 없었다 ③ 합동공연에 대해서 잘 모른다 ④ 합동공연 연습 시간 등이 너무 많아서 참여하기 힘들다 ⑤ 기타 (

C14.

)

꿈의 오케스트라 활동에 있어서 합동공연 참여 기회가 생길 경우, 학생단원들을 참여시 키고 싶습니까? ① 참여시키고 싶다 ☞ D1로 이동

② 참여시키고 싶지 않다 ☞ C14-1로 이동

C14-1. 학생단원들을 참여시키고 싶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Part D.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 관련 D1.

다음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계획에 관련된 항목입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 라고 생각하시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시면 1점에 를 해주십시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내용

보통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1)

우리 기관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 육수행에 앞서 연간 혹은 분기별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

음악감독과 강사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 해 교육수행에 앞서 연간 혹은 분기별 교육계획을 수립한다

D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학생단원들이 자발적으로 열정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다고 생각하 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260|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③ 보통이다


D3.

D4.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학생단원들의 만족도는 어떠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만족

② 만족

④ 약간 불만

⑤ 매우 불만

③ 보통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의 수혜자를 대상으로 요구사항조사 혹은 만족도조사를 실시하고 있 습니까?

D5.

① 예 ☞ D4-1로 이동

② 아니오 ☞ D5로 이동

D4-1. 그렇다면, 연 몇 회 실시합니까?

연 (

)회

귀 기관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체계적 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까? ① 예 ☞ D5-1로 이동

D5-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운영에 관한 평가는 누가 하고 있습니까? ① 자체평가

D6.

② 아니오 ☞ D6으로 이동

② 외부평가(직접 기재:

)

귀 기관에서는 거점 내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과 관련된 협의회를 개최합니까? ① 예 ☞ D6-1로 이동

② 아니오 ☞ D7로 이동

D6-1.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정과 관련된 협의회는 얼마나 자주 개최합니까? ① 연간 정기회의 1~2회

② 분기별 정기회의 1~2회

④ 수시로

⑤ 기타(직접 기재:

③ 월별 정기회의 1~2회 )

D6-2. 협의회에서 다뤄지는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61


D7.

귀하께서 보시기에 교육프로그램을 진행 중인 강사는 다양한 교수ㆍ학습자료 활용을 통해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D8.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다음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효과에 관련된 항목입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다” 라고 생각하시면 5점,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시면 1점에 를 해주십시오. 매우 그렇다 그렇다

내용

보통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1)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 활동을 통해 아동단의 인성(자아존 중감 등) 및 사회성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과 활동을 통해 학생단원의 음악향유 및 다양한 표현능력, 소통능력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D9.

귀하께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어려움이나 문제가 발생하면 음악 감독이나 다른 강사들과 함께 해결방법을 찾습니까?

D10.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귀하께서는 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예산의 편성 및 집행을 적절하게 수행하 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D11.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운영상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우선순위 별로 3가지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1순위 :

2순위 :

① 예산, 재정확보

3순위 :

② 기관의 전문ㆍ전담인력 부족

③ 기관 내 시설, 악기, 공간 등 인프라 부족

④ 음악감독 및 강사 섭외

⑤ 교육프로그램 참여자 저조

⑥ 타 기관과의 협력체계 미비

⑦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능력 부족

⑧ 행정업무의 과중

⑨ 음악감독 및 강사의 책임의식 부족 ⑪ 기타 (직접 기재:

262|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⑩ 음악감독 및 강사의 학생관리 능력 부족 )

⑫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


D12.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말씀해주십시오.

Part E. 응답자 기본 정보 E1. 응답자 연령

만 (

)세

E3. 응답자 성별

① 남성

② 여성

E2. 응답자 연락처 E4. 응답자 직위

E5. 응답자 연령 E6. 응답자 경력 ① 1년 미만 (관련 직종 누적)

② 1~3년 미만

E7. 응답자 학력

② 석사 수료

① 학사

① ② E8. 응답자 전공 ③ (최종학력 기준) ④ ⑤

③ 3~5년 미만 ③ 석사

④ 5~10년 이상 ④ 박사 수료

⑤ 10년 이상 ⑤ 박사

인문계열(언어학, 철학, 미학, 역사학 등) 사회계열(심리학, 사회학, 사회복지, 문헌정보, 정치학, 교육학, 경영학, 경제학, 관광학 등) 자연계열(자연과학, 공학, 보건학, 간호학, 의학 등) 문화예술체육계열(순수예술, 응용예술, 체육, 예술경영, 문화기획, 예술교육, 박물관학, 예술사 등) 기타 (직접 기재: )

※ 바쁘신 와중에 설문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록 1.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평가 연구 설문지|263


부록 2. 정성평가 분석 및 시사점

정성평가는 중장기적 발전방향 도출에 사례가 될 수 있는 조직, 운영, 관리 주체가 어느 정도 자리잡고 있는 4년차 기관(1기 꿈의 오케스트라) 5개 중 4개의 기관에서 이루어졌다. 1~3기까 지의 지원에서 4기 기관으로의 정책적 변화(지역협력형 거점기관)가 생기는 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지금까지의 운영의 장단점을 진단할 수 있는 기관의 행정인력 등과 정성평가를 진행 했다.

진행일

거점기관

참여자

2014.11.24(월)

부천문화재단

음악감독, 행정인력

2014.11.28(금)

춘천시문화재단

음악감독, 행정인력

2014.11.24(월)

익산문화재단

행정인력

2014.11.28(금)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음악감독, 행정인력

1기 지역 거점의 사업 담당자들과의 FGI를 통해 파악한 운영 이슈는 다음과 같다. 가. 사업 취지 및 의도에 대한 공감대 형성 - 2010년 이후 꿈의 오케스트라 지원 사업에 참여한 기관 담당자들은 사업 운영 전반에 걸 친 진흥원과의 함께하는 수평적 파트너십과 사업 운영의 협업체계를 희망하고 있음 (현재 상황에서는 장기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의 공동주체라기 보다 단년도 지원사업 참여 기관으 로 취급되는 느낌을 가지고 있음) - 매년 공모-심사를 통해 선정되는 방식에 대한 개선점 마련 필요 - 사회취약계층과 일반학생들의 비율은 적절하다고 생각하지만, 관리를 하는 입장에서 사회 취약계층의 지속적인 모집이 쉽지 않은 상황이며, 모집 기준에 따른 보완책 마련이 필요 - 진흥원의 운영 방식의 변화(꿈의 오케스트라네트워크 지원본부→진흥원)로 사업운영의 지 속성 유지에 대한 설명과 사업 운영 방향에 대한 정보 공유 필요 - 지원본부가 진행한 2010-2011년 공유된 사업 운영 체계, 방향의 전문성이 담보 되었으나 진흥원으로 전환된 후 오케스트라 운영, 예술경영 등의 전문가 확인이 어려움(현재는 행정 만 남아 있음) -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리더십 상실

264|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나.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방식 공유 방법 - 현재 제공된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운영지침>은 행정의 매뉴얼이지 사업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아님 (거점 기관, 교육운영, 행정 운영, 예산 관리, 서식을 제공하고 있음. 꿈 의 오케스트라 운영을 위한 용어에 대한 해설이 필요함 * 사례: 마스터 클래스 운영(1년차 연천에서 진행한 마스터 클래스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오는 문제) - 또한 진흥원이 운영하는 꿈의 오케스트라가 지나치게 관리와 행정에 집중하고 있다는 생각 을 하고 있으며, 이에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의 자립이나 지역 협력에 대해서는 신경쓰 기가 다소 힘든 상황임 - 4기가 되면 거점기관이 지역협력형이 되어야한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1 기~3기 진행 시 진흥원과 지역협력을 위해 해왔던 일이 없어서 지역에 협력형이 되어달라 고 이야기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임 - 진흥원에서 진행하는 이음캠프와 합동공연이 거점기관의 전체적인 스케쥴과 상이할 때가 있어, 거점기관 입장에서 아이들을 참여시키고 거점기관의 행사를 동시에 진행시키는 것에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음 (이음캠프나 합동공연은 공식적인 행사로 지침을 내려, 거점기관 의 운영과 부딪히지 않게 할 필요가 있음) -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의 글로서리 정리 필요 다. 현재 TF의 운영 - 재단이나 이후 변화에 대한 관심 (진흥원과 문화예술교육 맥락에서의 꿈의 오케스트라 운 영의 당위성 마련 필요) - TF의 인력의 전문성 이슈 (특히 음악적인 부분의 전문성이 결여된 것으로 보임) 라. 기수별 지역 거점간의 역할 부여 - 지역 간 교류와 멘토링 프로그램 기획을 지역별 거점이 자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하여 진흥원 은 지역 멘토링, 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진행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기대함 (현재 진흥원이 가르치고 지역이 배우는 방식으로 참여 지역 거점이 불편하게 생각하고 있음) - 인력 역량개발 프로그램 운영 위한 자체 기획과 운영이 허용되어야 함 - 본부 혹은 재단이 조성되어 꿈의 오케스트라의 전반적인 운영의 멘토가 될 수 있는 기관 또는 인력이 상주할 필요가 있음

부록 2. 정성평가 분석 및 시사점|265


마. 지원금 감소에 따른 시수 확보 - 4년차로 단원 수, 참여 인력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운영비가 감소하고 있음. 216시간 확보 를 위한 음악감독, 주강사, 보조강사등의 시수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이들에게 현재 이상의 활동을 기대하기 어려움 - 전주의 경우 위탁 기관 운영으로 이후 매칭 펀드의 어려움이 가속화 될 수 있음 - 부천의 경우 희망재단이나 지역의 재단들에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재정지원을 호소하고 있으나, 그 재단의 입장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의 특별성을 발견하지 못한다고 이야기하며 재단의 지원을 꺼리는 상황임

266|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