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표정이 달라집니다 문화예술교육은 아이들에게 삶의 활력을 찾아주고 더 큰 세상을 만나게 해줍니다. 문화예술을 오감으로 체험하면 몸도 마음도, 생각도 달라집니다. 문화예술교육으로 내일이 더 즐거운 학교가 됩니다.
02_03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tro
스스로 느끼며 깨달아갑니다. 배움의 즐거움을 느낄 때, 아이들은 한 단계 더 성장합니다. 문화예술교육은 아이들 스스로 무릎을 치며 즐거워하는 새로운 체험의 기회를 만들어 줍니다. 미래는 꿈을 꾸는 아이들의 것입니다.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찾아 떠나는 무한의 상상여행. 문화예술교육을 만나는 순간, 아이들의 감성이 피어나고 상상력이 무럭무럭 자랍니다.
느낌 feeling
“학교문화예술교육이 아이들을 웃게 합니다.” 경기도 곤지암에 사는 도형이는 요즘 학교생활이 너무나 즐겁습니다. 도형이가 다니는 만선초등학교가 예술꽃씨앗학교에 선정돼 마음껏 전통음악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함께 음악을 배우며 마음 맞는 친구도 많이 생겼습니다. 처음엔 서툴렀지만, 이제는 근사한 상모를 쓰고 장구며 소고 같은 전통 악기를 신명나게 연주할 수 있답니다. 집에서는 또 얼마나 의젓해졌는지 모릅니다. 도형이는 환하게 웃으며 이렇게 말합니다. “연주 시간이 기다려져요. 그리고 자꾸자꾸 웃음이 나와요.”
04_05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tro
이해와 나눔을 배워갑니다. 문화예술교육은 표현력과 성취감 그리고 스스로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심어줍니다. 대견하고 자랑스러운 나를 발견하면 타인을 향한 진정한 이해와 배려가 뒤따르며 당당히 세상과 만날 수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으로 얻게 된 자존감과 표현력으로 우리 아이들은 서로 사랑하고 사랑받는 법을 가꿔갑니다.
표현 expression
“학교문화예술교육이 자존감을 키워줍니다.” 중학생인 혜원이는 얼마 전까지는 소심하고 의욕도 부족한 학생이었습니다. 하지만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도예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많은 것이 달라졌습니다. 이 모양이 좋을까? 저 모양이 좋을까? 점토를 꾹꾹 누르고 반죽을 하며 스스로 만들 도자기를 상상하는 일이 너무 즐겁습니다. 마음과 생각을 도자기로 표현하면서 표정이 밝아졌고, 자신감도 높아졌습니다. 물레를 돌릴 때만큼은 혜원이가 이 세상의 주인공이니까요. 덩달아 학교생활도 즐거워졌습니다. 혜원이는 오늘도 환하게 웃으며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있습니다.
06_07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tro
생각하는 힘을 길러줍니다. 이 방법이 좋을까? 저 방법이 좋을까? 즐겁게 고민하면 생각하는 힘이 저절로 길러집니다. 생각하는 힘은 자신감을 키워주고 대안을 찾게 해줍니다. 문화예술교육은 문제에 부딪혔을 때 주저앉지 않고 다시 시작하게 해주며 시야를 넓혀 주고 새로운 세상을 스스로 발견하게 해줍니다. 세상과 소통하는 동안 공감 능력도 자연스럽게 발전합니다.
공감 communication
“학교문화예술교육이 감성과 소통 능력을 키워줍니다.” 형준이는 고등학교 1학년입니다. 학교에서 예술강사 선생님께 영화를 배운 지 반년이 지났습니다. 영화를 찍는 것도 좋지만 만드는 과정, 그러니까 대본을 만들고, 장소를 섭외하고, 힘을 합해 촬영하는 일이 더 즐겁습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친구들과 토론해 해결 방법을 찾습니다.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는 말뜻도 영화를 촬영하면서 처음 깨달았습니다. 형준이는 이렇게 친구들과 생각을 나누고 공감하는 법을 배워가고 있습니다. 형준이는 점점 성장하는 자신이 너무나 뿌듯합니다.
08_09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business activities
school arts education 학│교│문│화│예│술│교│육
10 예술강사 지원 1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18 예술꽃씨앗학교 21 예술꽃새싹학교
아이들, 표정이 달라집니다. 상상과 즐거움이 넘치는 학교, 학교문화예술교육이 만들어갑니다. 문화예술교육은 교육 현장에 웃음과 활기를 불러옵니다. 풍부한 감성과 상상력으로 우리 아이들은 더 멀리 더 높이 날 수 있습니다. 아이들과 청소년이 밝게 웃는 희망의 사회, 문화예술교육이 만들어갑니다.
10 _ 예술강사 지원 14 _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18 _ 예술꽃씨앗학교 21 _ 예술꽃새싹학교 22 _ 예술강사 지원사업 관계 기관
10_11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part 1
예│술│강│사│지│원
전문 예술강사를 전국 학교로 보내드립니다 국악, 영화, 연극, 무용, 만화애니메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 등 8개 분야에서 선발된 예술강사의 전문적인 예술 수업을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지원합니다.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학기술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17개 시·도 교육청 및 지방자치단체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국악운영단체의 협력사업으로 진행됩니다.
예술강사란?
예술강사 지원
예술강사는 서류제출과 면접, 실기시험을 치러 엄격히 선발한 각 분야의
지원 분야 국악, 영화, 연극, 무용, 만화애니메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
전문가로 구성되며, 연 2회 예술강사 연수로 효과적인 교수법, 학습자 이해,
지원 내용 예술강사, 커리큘럼, 기자재 등
각 전공별 전문교육 등 재교육을 받게 됩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지원 과정 기본교과, 선택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토요동아리
8개 분야별 전문가로 교육위원회를 구성해 예술강사의 수업을 돕고 있으며
지원 기간 교육과정에 따라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
분야별 예술강사 대표가 참여하는 강사협의회를 운영, 문화예술교육의 자율 발전에 힘쓰고 있습니다
1,628 706,656
예술강사 연혁 2000년 국악분야로 시작된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2002년 연극, 2004년 영화 분야를 추가로 지원하며
20
교육장르를 확대하였습니다.
20
06
1,764 1,010,240
20
07
2,243 1,180,480
20
08
국악·연극·영화 만화애니·무용
국악·연극·영화 만화애니·무용
국악·연극·영화 만화애니·무용
국악·연극·영화 만화애니·무용
4,263 1,900,000
4,164 1,847,040
4,156 1,739,520
3,483 1,535,680
이후 2005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과 함께 지속적으로 확대·발전해나가고 있습니다.
20 예술강사 수
artist in school program
05
1,431 782,400
수혜학생 수
지원과목
12 국악·연극·영화·만화애니 무용·공예·사진·디자인
20
11 국악·연극·영화·만화애니 무용·공예·사진·디자인
20
10 국악·연극·영화·만화애니 무용·공예·사진·디자인
20
09 국악·연극·영화 만화애니·무용
12_13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part 1
⊙ 수업 내용 소개
⊙ 수업 유형 소개
교육 과목
수업 내용
지원기자재
국악 교육
가창, 기악, 전통음악의 이론과 실기 지도로 국악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줍니다. 초중고의 음악 교과 내용과 연계해 더욱 내실 있는 커리큘럼으로 꾸며집니다.
연극 교육
연극놀이(Creative Drama)와 공연 지도로 공감과 소통 능력을 키워줍니다. 건전한 삶의 가치와 능동적인 자세를 배양해 학습 활동과 면학 분위기 조성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연극 수업용 교구
영화 교육
영화의 이해과 창작, 감상의 단계별 프로그램으로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워줍니다. 다양한 교과와 연계한 통합 학습으로 문화 다양성을 배워가며 사회성과 인성을 길러줍니다.
영화 촬영용 캠코더
무용 교육
몸의 언어인 무용 교육으로 심미 능력과 통합 능력, 자존감을 키워줍니다. 놀이(초등), 문화유산(중등), 예술(고등)로 구분해 효과적인 연령별 커리큘럼으로 접근합니다.
무용 수업용 교구
만화애니메이션 교육
재미있는 만화를 매개로 사회 현상이나 과학 이론을 접하는 통합형 예술 교육입니다. 문화 다양성 이해와 상상력 신장(초등)과 통합 학습과 비평 능력 향상(중등)을 돕습니다.
만화애니메이션 수업용 교구
※수익자 부담의 방과후 학교 교육은 지원 안 됨
공예 교육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험 활동으로 전통 문화와 현대 사회를 더욱 폭 넓게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창작의 재미를 느끼며 얻은 작은 성취감이 전반적인 학습 의욕을 높여줍니다
공예 수업용 교구
⊙ 지원 신청과 선정 방법
사진 교육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의 특수성과 활용법을 이해시켜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높여줍니다. 교과과정과 연계해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사진 수업용 카메라
디자인 교육
쉽고 재미있는 디자인, 생활 속의 디자인을 이해하고 창의적 사고와 표현의 즐거움을 일깨워 줍니다. 사회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직업적 전망도 모색합니다.
디자인 실습 교구
기본교과 국악(음악), 연극(국어), 무용(체육, 즐거운 생활) 지원 선택교과 기본교과 외에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교과목 중 연극, 영화, 만화애니메이션 분야에 한해 고등학교에 지원 창의적 체험활동 학교 특성에 맞게 다양한 활동으로 자유롭게 구성. 자율활동·봉사활동·동아리활동·진로활동 등을 선택운영. 전교급 8개 분야 창의적 체험활동 지원 가능 토요동아리 8개 분야 매주 토요일 동아리 수업 운영 ※동일 분야 내 교육과정 복수신청 가능
온라인 접수(ums.arte.or.kr) 선정 학교에 지원되는 시수는 학교의 수요, 지역별 강사 수급 상황, 예산 규모 등을 고려하여 관계기관(문화부, 교과부, 시·도 교육청, 지자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6개 광역문화예술교육센터 및 국악운영단체)이 조정해 결정합니다.
14_15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part 2
꿈│다│락│토│요│문│화│학│교
학생과 학부모에게 주말 문화예술활동을 제공합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로고 이야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아동·청소년 및 가족을 중심으로 여가 문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로고는 문화예술교육으로 소통하고 공감하고자 하는 교육
가족 학습문화 창출 및 공동체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바탕을 이루고 있는 검정 말풍선 형상은 소통을 의미합니다.
토요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그 위에 영화·사진·무용·미술·국악·문학·음악 등 여러 장르의 아이콘을
주요 키워드 학교 밖, 학생과 학부모(가족) 참여, 여가문화 창출
배치하였습니다. 각 장르는 따로, 또 같이 운영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따로’는 특별한 문화를 하나씩 배우는 ‘차오름 프로그램’을, ‘같이’는 모든 문화를 한 곳에서 배우고 체험하는 ‘아우름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초중고등학교 주5일 수업제를 맞이해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국공립기관, 해외기관, 전국 16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문화예술기관과 함께 준비한,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소통을 상징하는 말풍선
creative program on saturday
꿈다락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장르를 아이콘으로 형상화
16_17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part 2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유형별 안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운영 체계 보고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사업 총괄)
흥미 유발 위한 해당 장르 관람 교육
주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세부 추진계획 수립과 사업 운영 관리), 16개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운영 국내외 유수 문화예술기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구성 특징
▶관람형
듣고 해당 장르 이해 교육 ▶강의형
예술·인문 등 소양 함양 프로그램 분야별 기본 소양 함양 및 지역 문화를 탐방하는 문화예술 체험 프로그램으로서 음악, 미술, 미디어, 연극 등 다양한 장르의 지역 문화예술기반시설, 예술가 및 전문가와 함께합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강의, 체험, 관람, 실연, 캠프 등 다양한 형태를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연계 구성된 프로그램들로 이루어집니다.
나누고 체험 워크숍 결과물 전시, 공연, 상영 등 ▶실현형
주요 내용 보고-듣고-잇고-느끼고-만들고-나누어 완성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문화예술 소질 개발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청소년들이 자신의 소질과 취향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 탐색 및 미래 설계의 계기를 제공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입니다.
잇고 해당 장르+타장르 (인문, 역사, 과학) 연계 교육
만들고 제작, 실연 등 체험 워크숍
▶강의형
느끼고 이해 교육 적극적 관람 or 현장교육 ▶관람형
▶체험형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소통 프로그램 초·중·고등학생은 물론 학부모 및 가족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또래끼리, 그리고 가족 사이의 소통과 교감의 토대를 제공합니다.
18_19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part 3
예│술│꽃│씨│앗│학│교
작은 학교에 특화된 문화예술교육이 찾아갑니다 예술꽃씨앗학교는 소외 지역 작은 초등학교 전교생이 문화예술 분야를 학교에서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중점 사업입니다. 예술꽃씨앗학교는 2008년 사업 첫해부터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모범 사례로 시민사회와 언론의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dream, imagine & experience the arts
예술꽃씨앗학교란? 예술꽃씨앗학교는 소외 지역의 작은 학교 어린이들에게 양질의 문화예술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정서 안정과 올바른 인성을 함양합니다. 나아가 학교를 중심으로 지역 주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해 지역 사회의 삶의 질을 높여갑니다. 오케스트라, 국악관현악, 영화, 통합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특화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며, 아이들의 정서와 학습 능력 향상은 물론, 폐교 직전의 학교에 다시 학생들이 돌아오는 등 지역 사회에 활기를 불어넣어주는 부수적인 효과도 거두고 있습니다.
지원 내용 연도
학교 수
사업기간
각 학교 지원 예산
2008년 지정
10
2008년 ~ 2011년
연간 1억 원
2011년 지정
16
2011년 ~ 2014년
연간 1억 원 이내
2012년 지정
10
2012년 ~ 2015년
연간 1억 원 이내
20_21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part 3
⊙ 교육 여건 지원
⊙ 2012 예술꽃씨앗학교 현황
지역별·학교별 특성화 모델 개발 지원
● 예술꽃씨앗학교
● 예술꽃새싹학교
학교별 프로그램 선택과 운영 방식을 연구하고 컨설팅합니다. 또한 학부모와 지역
강원 인제남초 332명┃음악극 전통문화
주민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강좌, 지역 주민 평생 교육, 문화예술 네트워크 구축 등의 지역 사회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예술꽃씨앗학교 사업 관계자의 문화예술교육 운영 역량 강화
서울 개화초 254명┃문화예술통합 강원 서상초 50명┃디자인 프로그램
경기 수남초 60명┃문화예술통합
학교장, 담당 교사, 행정실장, 참여 강사 등 관계자 워크숍을 개최하며 해외연수 추진을 통해 교육 역량을 강화합니다.
경기 옥천초 281명┃퓨전 국악 음악 경기 만선초 137명┃전통문화예술
예술꽃씨앗학교 성과 확산 학교별 특색 성과를 보여주는 성과대회 개최 및 우수 사례의 언론 홍보 등을 통해
충남 성남초 57명┃뮤지컬·오페라
충남 거산초 123명┃문화예술통합
충북 칠성초 90명┃음악 미술 연극
예술꽃씨앗학교의 성과를 확산하는 데 이바지합니다.
경북 봉화초 189명┃시각·영화
문화예술교육 코디네이터 지원
대전 대신초 95명┃전통문화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기획. 운영 전문가와 협력 운영으로 사업 내실화와 지역 연계성을
대전 동명초 75명┃디지털 뮤지컬
강화합니다. 교육과정, 현장 학습, 교내외 행사 기획과 운영을 지원하고 교사들의
대전 남선초 63명┃국악
경북 백원초 68명┃문화예술통합 대구 덕성초 385명┃서양악
자율 연구 모임 등을 지원합니다. 전북 당북초 159명┃문화예술통합 전북 간중초 86명┃국악관현악 전북 남원초 392명┃국악 관현악
부산 금성초 120명┃문화예술통합 부산 서명초 275명┃문화예술통합
전남 고서초 163명┃연극
부산 배영초 68명┃문화예술통합 경남 거류초 145명┃전통문화
여수 북초 83명┃음악 전남 한천초 76명┃미술 연극 영화
경남 남포초 53명┃음악 미술 경남 창호초 51명┃국악 전남 현산초 76명┃문화예술통합
제주 영평초 138명┃음악 미술
예│술│꽃│새│싹│학│교
예술꽃씨앗학교가 새싹학교로 자랍니다. 예술꽃새싹학교는 4년간의 예술꽃씨앗학교 지원 사업이 종료된 학교 중 자생력을 갖고 문화예술교육을 이어나가고 있는 학교를 칭합니다. 새싹학교는 교육청이나 지역기관, 기업 등에 협력을 이끌어 내어 문화예술교육을 지속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예술꽃씨앗학교 사업을 통해 축적한 경험이 토양이 되어 새싹학교로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예술꽃씨앗학교
예술꽃새싹학교
4년간 운영
운영 경험 바탕 자생력 확보
교육 성과 축적
학교 및 지역사회로 성과 확산
문화예술교육 기반 환경 조성
조성된 환경을 활용한 심화교육
지역사회와의 연계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
22_23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organization
예술강사 지원사업 관계 기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17개 시·도교육청 및 지방자치단체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
17개 시·도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7개 시·도 국악분야 운영단체
●
●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서울문화재단_ 02 758 2031 www.e-sac.or.kr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강원문화재단/강릉문화원_ 033 255 3408 www.gwarte.or.kr
서울국악운영단체 단국대산학협력단_ 02 749 0198 www.dankook.ac.kr
강원국악운영단체 강릉문화원_ 070 8275 3014 www.gncc.or.kr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재단_ 051 518 4734 www.bsarte.or.kr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충북문화재단 문화사업팀_ 043 222 5316/224 9143 www.cbfc.or.kr
부산국악운영단체 부산문화재단_ 051 514 8735 www.bsarte.or.kr
충북국악운영단체 충북문화재단 문화사업팀_ 043 222 5316 /224 9145 www.cbfc.or.kr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대구문화재단_ 053 422 1217 www.dgarte.or.kr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충남, 세종 통합 운영 관리) 한국예총 충청남도연합회_ 041 592 2278 www.arture.or.kr
대구국악운영단체 한국국악협회대구광역시지회_ 053 256 7957 www.koreamusic.or.kr
충남국악운영단체 (충남, 세종 통합 운영 관리) 한국예총 충청남도연합회_ 041 592 2278 www.arture.or.kr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광주문화재단_ 062 670 5764 www.gjarte.or.kr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한국예총 전라북도연합회_ 063 255 2615 www.jbarte.or.kr
광주국악운영단체 광주문화원연합회_ 062 527 1991 gwangju.kccf.or.kr
전북국악운영단체 전통문화마을_ 063 232 1902 http://cafe.naver.com/tcvillage1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인천문화재단_ 032 521 4875 arte.ifac.or.kr
전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전남문화예술재단_ 061 280 5833 www.jnarte.or.kr
인천국악운영단체 한국국악협회인천광역시지회_ 032 875 4644 cafe.daum.net/incheonkukak
전남국악운영단체 한국국악협회전라남도지회_ 062 351 2360 http://cafe.daum.net/jnkukak
대전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대전문화재단_ 042 480 1051 www.djarte.or.kr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금수문화예술마을/인문사회연구소_ 054 931 5345 http://gbarte.or.kr
대전국악운영단체 대전예총_ 042 252 7187~8 www.tjart.or.kr
경북국악운영단체 한국국악협회경상북도지회_ 054 742 1516, 1518 cafe.daum.net/kbkukak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울산민예총/울산사회문화원_ 052 246 4684 www.usarte.or.kr
경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경남문화재단_ 055 283 7105 www.gnarte.co.kr
울산국악운영단체 한국국악협회울산광역시지회_ 052 266 4764 www.울산국악협회.org
경남국악운영단체 한국국악협회경상남도지회_ 055 246 0582 www.kukakkyungnam.kr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경기문화재단_ 031 231 7258, 59, 69 www.ggace.or.kr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제주문화예술재단_ 064 800 9178 http://artreach.or.kr
경기국악운영단체 한국국악협회경기도지회_ 031 236 1070 www.gukak.or.kr
제주국악운영단체 한국국악협회제주도지회_ 064 759 3888 cafe.daum.net/jejukukak
발행인
박재은
발행일
2013년 1월 30일
발
행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
의
서울시 구로구 가마산로 25길 21(구로5동 102) 홈페이지
tel 02 6209 5900 fax 02 6209 5999 www.arte.or.kr│www.arte365.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