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CES-1631-C068
전통 민요와 탈춤, 그림 속 우리악기로 예술수업 만들기
일
시 : 2016.8.22(월)~8.24(수), 18시수
장
소 : 용인 한라인재개발원
주
최 : 문화체육관광부
주
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목 차
1. 2016 하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안내 ······························································ 5
2. 전통 민요를 바탕으로 한 나만의 극 만들기 ······················································· 13 김예진(중앙대학교 강사)
3. 탈춤의 종류와 지역 ··································································································· 35 안대천, 최영호, 허창열, 이상영(연희집단 The 광대)
4. 옛 그림 속 우리 악기와 음악 ················································································· 39 송지원(서울대학교 연구원)
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 59
2016 하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안내
아르떼 아카데미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예술강사, 교원,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예비문 화예술교육 인력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연수를 제공 합니다. ■ 2016 하반기 연수개요 ㅇ 연수대상 :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교원, 문화예술교육 예비인 력, 행정인력 등 ㅇ 연수일정 : 2016.7.16(토)~8.24(수) /약 40일 간 ㅇ 연수장소 : 한라인재개발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기흥단지로 46) ※ 각 과정별 입소 및 퇴소일에 셔틀버스(서울↔연수원) 제공 예정(참여자 확정 후 별도 안내) ㅇ 참 여 비 : 전액 무료 (숙식 제공) ■ 2016 하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프로그램 ㅇ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선택연수 연수구분
연수과정
국악/무용/마임 국악 공연 예술
연극 무용
연수대상
시수
정원
18
25
18
25
8.1(월)~8.3(수)
18
25
8.22(월)-8.24(수)
18
25
8.4(목)-8.6(토)
18
25
학교·사회 예술강사
7.16(토)~7.18(월)
18
25
동양 시각예술 감상의 이해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7.22(금)~7.24(일)
18
25
현대미술체험을 통한 예술감각 키우기
학교예술강사
8.4(목)-8.6(토)
18
25
사진기호학을 통한 이미지 들여다보기
7.16(토)~7.18(월)
18
25
애니메이션 감상교육의 이해와 활용
7.19(화)~7.21(목)
18
25
7.22(금)~7.24(일)
18
25
공예 속 우리의 가치를 찾다 : 섬유공예
8.1(월)~8.3(수)
18
25
마음과 생각을 잇는 예술놀이
8.4(목)~8.6(토)
18
25
8.22(월)-8.24(수)
18
25
움직임과 국악 속으로 떠나는 예술여행
문화 예술
시각 예술
사진 만화애니메이션 미디어 공예 빅드로우 무용/미술
기타 예술
디자인
학교예술강사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2차 아이들 무용으로 상상력 키우기 오토마타로 풀어보는 내면초상화
미술
7.16(토)~7.18(월)
사물놀이 장구 교수법과 국악동아리 운영의 실제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2015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모 당선작 사례공유: 미디어 분야
연수기간
학교예술강사
마음과 생각을 잇는 예술놀이 2차 무용, 미술 문화예술교육 수업 레퍼토리 워크숍
사회예술강사
7.16(토)~7.18(월)
18
25
창의적인 미래를 준비하는 디자인 교육
학교예술강사 (디자인분야)
7.19(화)~7.21(목)
18
25
문화예술교육 씨앗심기 <문화예술교육의 영향과 가치 : 성공사례공유 및 일반인 디자인 워크숍>
교원, 학교예술강사
8.1(월)~8.2(화)
18
25
- 7 -
연수구분
연수과정 소리와 움직임, 상상으로 표현하는 예술 놀이
음악/움직임/ 미술/사진
음악/연극
사운드아트
창의성
지역
음악, 연극 문화예술교육 수업 레퍼토리 워크숍
생각키움-예술로 즐기는 소리, 사운드 아트
문화예술교육 창의놀이 개발 프로젝트
연수기간
시수
정원
학교·사회 예슬강사
7.22(금)~7.24(일)
18
25
사회 예슬강사
8.22(월)-8.24(수)
18
25
사회예술강사
7.22(금)~7.24(일)
18
25
학교·사회 예술 강사,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8.8(월)-10(수)
18
25
사회예술강사
8.11(목)~8.13(토)
18
25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7.19(화)~7.21(목)
18
25
8.18(목)~8.20(토)
18
25
인문/예술
지역 밀착형 인문·예술 중심 국내외 지역문화 콘텐츠 워크숍
문화다양성
다름다움, 문화 다양성의 이해
문화콘텐츠
지역 공통체․네트워크 중심 국내외 지역문화 콘텐츠 워크숍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8.22(월)-8.24(수)
18
25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사회예술강사 수업 컨설팅
사회예술강사
8.11(목)~8.13(토)
18
25
18
25
18
25
18
25
18
25
18
25
수업분석
교육 실행
소리와 움직임, 상상으로 표현하는 예술 놀이 2차
연수대상
신규 사회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하반기) / 아동 공연예술 시각예술 대상이해
신규 사회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하반기) / 노인
사회예술강사 (16년 신규선발)
8.15(월)~8.17(수)
신규 사회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하반기) / 장애 심리극을 활용한 교육대상의 이해 교육
교육 전문성
교육대상
스마트 도구 전통문화 교육 기획
프로그램 기획 기획 컨설팅
기초 소양
경영․ 행정
개인 계발
개인소양 전문성 강화
관계· 협력
네트워킹
경영 관리
단체/운영 관리
학교·사회 예술강사
7.19(화)~7.21(목)
대안학교 학생, 미혼모, 북한이탈 청소년을 위한 문 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특수교육대상의 이해
학교예술강사
8.1(월)~8.3(수)
18
25
학교·사회 예술강사
7.22(금)~7.24(일)
18
25
문화예술교육 단 체 실무자
7.19(화)~7.21(목)
18
25
하반기 복지기관 맞춤 수업 설계를 위한 프로그램 기획 워크숍
사회예술강사
8.8(월)~8.10(수)
18
25
신규사업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기획 컨설팅 <문화예술교육을 부탁해!>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8.22(월)-8.24(수)
18
25
문화예술교육 단 체 실무자
7.22(금)~7.24(일)
18
25
사회 예술강사
8.11(목)~8.13(토)
18
25
문화예술교육 단 체 실무자
8.18(목)~8.20(토)
18
25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8.22(월)-8.24(수)
18
25
스마트도구와 프레지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수업하기 전통문화와 예술 기획
문화예술교육 기획자를 위한 라이프코칭 문화예술교육, 새로운 현장 발견하기 문화예술교육자 ! 전국고민자랑
문화예술교육 사업 보조금 정신과 저작권의 이해
- 8 -
ㅇ 교원 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 연수 연수구분
연수과정
연수대상
일정
시수
정원
7.29(금)~7.30(토)
10
25
8.8(월)~8.9(화)
10
25
8.10(수)~8.11(목)
10
25
문화예술교육 씨앗심기 2기 <문화예술교육 영향과 가치성공사례공유 및 전통음악과 옛 그림 속 이야기>
8.15(월)~8.16(화)
10
25
문화예술교육 씨앗심기 3기 <문화예술교육 영향과 가치성공사례공유 및 시각예술체험>
8.8(월)~8.9(화)
15
25
내 안에 숨겨진 예술감성 1기 <통합예술 : 연극, 무용, 음악이 만나다>
8.10(수)~8.11(목)
15
25
내 안에 숨겨진 예술감성 2기 <통합예술 : 연극, 무용, 음악이 만나다>
8.12(금)~8.13(토)
15
25
예술체험워크숍 3기 <통합예술 : 일상의 재료가 예술이 되다>
8.15(월)~8.16(화)
15
25
디자인 교육, 발산과 수렴 1기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의 디자인 사고를 경험하다>
8.5(금)~8.6(토)
15
25
디자인 교육, 발산과 수렴 2기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의 디자인 사고를 경험하다>
8.12(금)~8.13(토)
15
25
문화예술교육, 예술과 사회의 연결고리 1기
7.25(월)~7.26(화)
15
25
문화예술교육, 예술과 사회의 연결고리 2기
8.10(수)~8.11(목)
15
25
마임과 움직임 1기
7.29(금)~7.30(토)
15
25
마임과 움직임 2기
8.15(월)~8.16(화)
15
25
몸으로 상상하기 1기
8.12(금)~8.13(토)
15
25
예술체험워크숍 1기 <통합예술 : 연극, 무용, 음악이 만나다> 예술체험워크숍 2기 <통합예술 : 일상의 재료가 예술이 되다> 문화예술교육 씨앗심기 1기 <문화예술교육 영향과 가치-성 공사례공유 및 3D 디자인 체험>
교원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연수
학교장 / 교감
몸으로 상상하기 2기
8.19(금)~8.20(토)
15
25
수업동기유발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놀이체험 1기
7.27(수)~7.28(목)
15
25
수업동기유발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놀이체험 2기
8.1(월)~8.2(화)
15
25
세계의 춤과 음악 1기
8.5(금)~8.6(토)
15
25
세계의 춤과 음악을 2기
교사
8.8(월)~8.9(화)
15
25
미디어아트와 문화예술교육 1기
8.10(수)~8.11(목)
15
25
미디어아트와 문화예술교육 2기
8.17(수)~8.18(목)
15
25
기획에서 연출, 공연예술의 세계 1기
7.27(수)~7.28(목)
15
25
기획에서 연출, 공연예술의 세계 2기
8.3(수)~8.4(목)
15
25
음악과 미술로 인문학 다시 보기 1기
8.5(금)~8.6(토)
15
25
음악과 미술로 인문학 다시 보기 2기
8.12(금)~8.13(토)
15
25
몸을 통한 표현의 미학 1기
7.25(월)~7.26(화)
15
25
몸을 통한 표현의 미학 2기 <통합예술 : 일상의 재료가 예술이 되다>
8.17(수)~8.18(목)
15
25
연극놀이로 나를 찾다 1기
8.3(수)~8.4(목)
15
25
연극놀이로 나를 찾다 2기
8.8(월)~8.9(화)
15
25
지역문화와 함께 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 기획 워크숍 1기
8.1(월)~8.2(화)
15
25
지역문화와 함께 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 기획 워크숍 2기
8.3(수)~8.4(목)
15
25
- 9 -
ㅇ 예비문화예술교육 기획인력 양성과정 연수구분
연수과정
연수대상
신청기간
문화도담 1차 워크숍 예비문화예술교육 기획인력 양성과정 ‘문화도담’
문화예술교육 및 문화예술 전반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대학원생
현장탐방 및 모둠활동 문화도담 2차 워크숍
일정
시수
7.21(목)~7.23(토)
18
정원
7.25(월)~8.12(금)
9
8.18(목)~8.20(토)
18
8.27(토)
5
연수대상
일정
시수
정원
16개 광역문화예술지원 센터, 국악운영단체 및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직원 *별도안내
8.1(월)~8.2(화)
10
25
8.17(수)~8.18(목
10
25
8..19(금)~8.20(토)
10
25
8..19(금)~8.20(토)
10
25
연수대상
일정
시수
정원
8.8(월) - 8.10(수)
18
25
8.15(월) - 8.17(수)
18
25
8.18(목) - 8.20(토)
18
25
5.23(월)~ 6.24(금)
문화도담 결과 공유회
40
ㅇ 행정인력 역량키움 연수 연수구분
연수과정 [실무자코스1] 문화예술교육 전문성을 키우는 워크숍
행정인력 역량키움 연수
[실무자코스2] 음악과 움직임으로 예술적 감수성 키우기 [실무자코스3] 창의적 예술체험을 통한 새로운 나 발견하기 [실무자코스4] 예술로 나의 마음 속 들여다보기
ㅇ 해외 전문가 연계연수 연수구분
연수과정 듣고, 발견하고, 즐기기!
해외 전문가 연계연수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The Invisible Matters) 1차
학교․사회 예술강사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The Invisible Matters) 2차
■ 문의 ㅇ 이메일 : academy@arte.or.kr ㅇ 전
화 : 02)6209-1327, 1318
ㅇ 아르떼 아카데미(AA) 연수신청 : http://hrd.arte.or.kr ㅇ 아르떼 아카데미(AA)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akeyum
- 10 -
연수 안내
□ 연수개요 1) 연 수 명 : 전통 민요와 탈춤, 그림 속 우리악기로 예술수업 만들기 2) 연수기간 : 2016.8.22(월)~8.24(수), 18시수 3) 연수장소 : 용인 한라인재개발원 4) 연수대상 : 학교 예술강사(국악분야) 5) 주요내용 : - 민요(가창), 탈춤(연희, 극)으로 극 만들기 체험 - 기록 속 악기와 우리음악사의 주요 인물을 깊이 있게 보기
□ 연수시간표 일시
16. 8.22. (월) 1일차 5H
시간
교육과목
주요내용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세부내용안내
12:50-13:00
입소식
13:00-14:00
수업 내용 소개 및 민요 부르기
[강의, 실습] ◦수업 내용 소개, 그룹 구성하기 ◦진도아리랑 등의 민요를 통해 발성 및 갈래에 따른 소리 차이 체험하기 [강의, 실습] ◦주제, 역할 정하기 ◦이야기 (극 대본) 구성하기 ◦극에 따른 노래가사에 민요를 붙여서 노래 불러보기
1
14:00-16:00
2
우리만의 이야기와 노래 만들기(그룹)
16:00-18:00
2
우리 이야기 발표하기
16. 8.23. (화) 2일차 8H
교육개발팀
김예진 (중앙대 전통예술학부 강사, 국립국악원 교육강사)
[강의, 실습] ◦그룹 별로 발표하기
18:00-19:00
09:00-12:00
교육강사
저녁식사
3
12:00-13:00
탈춤의 종류와 특성
[강의, 체험] ◦지역별 탈춤의 특성 알아보기 ◦지역별 탈춤의 불림, 장단, 동작 따라하기
안대천, 최영호, 허창열, 이상영 (연희집단 The 광대) 안대천, 최영호, 허창열, 이상영 (연희집단 The 광대)
점심식사
13:00-15:00
2
창작 탈춤 만들기
[강의, 체험] ◦탈춤의 재담과 장단으로 탈춤과장 만들기 ◦완성 작품 발표하기
15:00-18:00
3
우리음악인 이야기
[강의] ◦우리 음악사에서 손꼽히는 음악가들의 삶과 그들의 활약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기
- 11 -
송지원 (서울대학교 연구원)
일시
16.8.24. (수) 3일차 5H
시간
교육과목
주요내용
09:00-10:00
1
그림 속 우리 악기
[강의] ◦각종 의궤, 국가전례서, 도병, 각종 기록화 속에 나타 난 다양한 악기와 음악 양식
10:00-12:00
2
조선의 오케스트라
[강의] ◦조선시대 그림 속에 기록된 악기 및 편성형태 고찰
12:00-13:00 13:00-15:00
송지원 (서울대학교 연구원)
점심식사 2
15:00-15:30 합계
교육강사
연주곡 감상 퇴소식
[강의, 체험] ◦그림 속의 음악 감상
송지원 (서울대학교 연구원)
◦설문지 작성 및 퇴소안내
교육개발팀
18
- 12 -
전통 민요를 바탕으로 한 나만의 극 만들기 김예진 /
중앙대학교 강사
2016년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자율학기제 연수 프로그램
전통 민요를 바탕으로 한 나만의 극 만들기 강사 : 김 예 진
목 차 Ⅰ. 민요의 이해 1. 정의 2. 분류 3. 가창 방식 및 형식 4. 음계
참고자료 1. 아리랑 2. 강원도 아리랑 3. 밀양 아리랑 4. 진도 아리랑 5. 상주 아리랑
Ⅱ. 나만의 극 만들기 1. 지향점 2. 방법 및 순서 3. 교사의 역할
Ⅰ. 민요의 이해 1. 정의 우리 민족은 언제 어디서나 항상 노래를 불렀다. 들이나 밭에 나가 일할 때, 추수가 끝나 한 바탕 놀 때에도 민요는 흥을 돋구어 주는 신명의 촉매제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오는 슬픔이나 고통을 이겨내려고 불리우는 민요는 한(恨)의 정화제이기도 했다. 민요는 특별한 재주나 기교가 없이 이 땅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만들고 부를 수 있는 것이었으며, 또 그것을 즐기는 데에도 특별한 격식이나 절차가 필요치 않았다. 아정(雅 正)한 선비들의 음악과는 달리 민요는 모두가 함께 즐기고 노는 음악이었다. 그래서 민요란 민중들 가운데서 발생하여 전승된 노래라 할 것이다. 따라서 민요 속에는 민중들의 삶의 모습 이 가장 솔직하게 표현되어 있다. 민요 속에는 농민의 신세 한탄을 내용으로 하는 신세자탄가 가 있는가 하면, 님을 그리는 여인네의 애틋한 사랑이 있다. 시집살이의 어려움에서부터 해마 다 풍요로운 결실을 베풀어 주는 자연의 섭리에 대한 예찬에 이르기까지, 민요는 각양각색으 로 과거 우리 민족의 삶을 그려 오늘에 전하고 있다.
- 15 -
우리나라의 민요도 다른 나라의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 민족의 심성과 정서를 솔직하고 소박 하게 담고 있는 민중의 노래로서 민족 정서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들 노래에는 민중의 소리가 담겨 있고, 민족 공통의 생활 감정이나 풍습, 그리고 우리 민족의 종교적인 심 성이나 소망 다양하고 공통된 삶의 모습 등이 숨김없이 표현되어 있다고 하겠다. 언제 누구의 손에 작사되고 또 작곡되었는지도 모르고, 엄격한 규범이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지역이나 부르는 사람에 따라, 또는 같은 사람이 부르더라도 부를 때마다 조금씩 달라지기도 하는 예술 음악이 아닌 생활음악이며 전통적이고 소박한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오랜 세월 동안에 한국의 특유한 풍토 속에서 소박성에다 세련미를 더해 온 우리 민요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음악적인 자질과 소양을 충분하게 보여 준다.
2. 분류 가. 토속민요와 통속민요 이 분류법은 구한말 이후의 민요를 범주화한 방법이며, 통속민요가 생겨난 후에 생긴 분류 법이다. 통속민요라는 것은 구한말의 전통적 질서가 무너지면서 사회·경제·문화적 변화 속에서 생 겨난 것이다. 통속민요는 어떤 특정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지방에서 고루 불리우는 민요 를 말한다. 따라서 토속민요와 같이 단순하지 않고 음악적으로 세련된 모습을 갖추고 있는 것 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통속민요는 민요를 전문으로 부르는 사람들에 의해 주로 불리웠다. 통속민요의 예로는 경기무악에서 유래한 경기민요 <창부타령><노랫가락>이 있고, 강원도의 노동요에서 파생한 <강원도 아리랑><정선아리랑>, 민속음악인이 작곡하여 세간에 퍼뜨려진 <진도아리랑>, 일제 때 생겨 유행한 <천안삼거리>, 전라도 <흥타령>, 가요화된 민요인 <청춘 가> 등을 들 수 있다. 토속민요는 기층 민중에 의해 만들어지고 불리우는 소박하고 단순한 노래로 그 역사는 오래 되어 통속민요와는 대(對)를 이룬다. 각 지방의 농업노동요, 어업노동요, 의식과 관련된 민요, 놀이와 관련된 민요, 부녀요, 동요 등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는데 그 세세한 곡목수는 한이 없 이 많다. 나. 민요권에 따른 분류 지방마다 방언이 있듯이 특정지역 민요는 다른 지역 민요의 음악적 특징과 구별되는 고유한 음악어법을 갖는다. 그래서 한 지역 민요의 고유한 음악적 특징을 ‘토리’라는 말로 통칭해서 쓰기도 한다. 한 지역의 민요의 음악적 특징이란 민요를 구성하고 있는 음(音)과 그 음들의 기 능, 음이 움직이는 방식, 발성법, 장식음 사용법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그 지방민들에 의해 - 16 -
공통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음악어법을 말한다. 이러한 ‘토리’의 차이에 따라서 민요권을 구분할 수 있다. (1) 경토리권 : 서울, 경기도 <창부타령>, <노래가락>, <양산도>, <경복궁타령> 등 (2) 서도토리권 : 평안도, 황해도 <수심가>, <긴아리>, <산염불> 등 (3) 메나리토리권 : 함경도, 강원도 동부, 경상도 <정자소리>, <메나리>, <아라리>, <목도소리>, <쾌지나칭칭나네>, <강원도아리랑>, <정 선아리랑>, <한오백년>, <어랑타령> 등 (4) 육자배기토리 : 충청도 서부, 전라도, 경상도 서남부 <육자배기>, <진도아리랑>, <강강술래>, <개구리타령>, <농부가>, <까투리타령> 등 (5) 제주도토리권 : 제주도 <오돌또기>, <이야홍>, <이어도사나> 등 다. 기능에 따른 분류 민요가 사회적으로 어떻게 기능하는가, 즉 민요의 용도에 따른 분류법이다. 최근에 민요를 분류하는 데 많이 쓰이는 방법이다. 그러나 실제 조사에 의하면 민요의 사용처가 한 용도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용도로 넘나들고 있어서 곡에 따라서는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한다. (1) 농요 : 농사와 관련된 민요 <쟁기질소리>, <모찌기소리>, <논매기소리>, <모심기 소리>, <벼베는 소리>, <맷돌소 리>, <밭매기소리> 등 (2) 어요 : 어업과 관련된 민요 <닻줄꼬는 소리>, <닻감는 소리>, <그물 당기기 소리>, <노젓기 소리>, <그물 올리는 소 리>, <고기푸는 소리>, <만선하여 돌아오는 소리> 등 (3) 기타노동요 : 농업·어업과는 관계없이 일할 때 부르는 민요 <나무꾼 소리>, <지경닫는 소리>, <망께소리>, <말뚝박는 소리>, <가래소리>, <베틀소 리>, <삼삼기소리> 등 (4) 의식요 : 의식(儀式)과 관련된 민요 <축원가>, <발인소리>, <운상소리>, <달구소리>, <고사덕담> 등 (5) 부녀요 : 부녀자들의 생활과 관련된 민요
- 17 -
<자장가>, <시집살이>, <다듬이 소리> 등 (6) 동요 : 어린이들의 생활을 어린이가 노래한 민요 <강강술래>, <잠자리노래>, <거미타령> 등 (7) 잡요 : 위의 분류에 포함되지 못하는 것과 통속민요가 토속화된 민요 <방아타령>, <장타령>, <달거리>, <노랫가락>, <창부타령>, <강원도아리랑>, <산염불>, <화투풀이> 등
3. 가창 방식 및 형식 가. 가창방식 민요는 노래의 종류에 따라 부르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민요의 가창 방식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선후창방식(先後唱方式), 교환창방식(交換唱方式), 독창(또는 제창)방식이 그것들이다. (1) 선후창방식 : 메기고 받는 형식이라고도 하는데, 말 그대로 한 사람의 선소리꾼이 소리 를 메기면 여러 사람이 후렴을 받아서 노래하는 방식을 말한다. 대부분의 민요가 이런 방식으 로 부른다. 이런 방식을 쓰는 민요에서, 소리는 앞소리와 뒷소리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혼 자서 소리를 메기는 앞소리 부분은 가락이나 가사에 있어서 즉흥성이 강하고 개방적인 반면, 여러 명이 받는 뒷소리는 가락이나 가사가 비교적 고정적이다. 여기서 뒷소리(후렴)는 선창자 에게는 목을 쉬게 하고, 여유를 줄 뿐만 아니라 후창자에게는 집단적 신명을 고조시키고 선창 자의 소리에 동조의 뜻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후렴이 있기 때문에 일하는 사람 상 호간의 연대감이 형성되어 일의 능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2) 교환창방식 : 두 개의 그룹이 서로 번갈아가며 부르는 가창방식이다. 이는 메기고 받는 방식에 비해 덜 개방적이다.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이 노래의 가사를 알아야 하며 행의 수도 짝수가 되어야 한다는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후창방식 보다는 그 길이가 짧을 수 밖에 없다. 이 가창형식은 후렴이 없는 것이 특징적이다. (예 : 강릉의 <오독떼기 >등) (3) 독창방식 : 일의 성격상 행동의 통일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 민요는 대부분 독창으로 불리운다. 이 경우 가사는 한없이 길어지며 가락보다는 가사의 내용이 더 중요한 의미를 띠게 된다. 가락은 일정한 선율을 반복하는 단순한 형태로 되어 있다. (예 : <길쌈노래>, <강원도 금강산 조리장사> 등) 나. 형식 민요의 형식은 빠르기(한배=tempo)에 따른 형식과 엮음형식의 두 가지로 유형화(類型化) 해 볼 수 있다. - 18 -
(1) 빠르기에 따른 형식 : 긴-자진 형식이라고도 하는 것인데, 민요에는 느린소리, 즉 긴 소 리 다음에 빠른, 즉 잦은 소리를 잇대어 부르는 형식이 있다. 예를 들면, <긴 육자배기>와 <자 진 육자배기>, <긴 농부가>와 <자진 농부가>, <방아타령>과 <자진 방아타령>, <산(긴)염불> 과 <자진 염불>등이 있다. (2) 엮음형식 : ‘엮음’은 ‘사설’과 같은 뜻으로 반드시 짝소리를 갖고 있다. 즉 엮음에 선행하 여 긴 소리를 한 다음 엮음 소리를 하는데, 마치 구성지게 책을 읽어 나가듯이 긴 사설을 한참 줏어 엮어 나가다가 끝에 가서는 원곡을 길게 늘어뜨려 부름으로써 매듭을 짓는다. 예를 들면, <강원도아리랑>과 <엮음아리랑>, <수심가>와 <엮음 수심가>, <긴난봉가>와 <사설난봉가>, <공명가>와 <사설공명가> 등이 있다.
4. 음계 가. 경(기)토리권 민요의 음계 경(기)토리란 경기도와 서울지방 민요의 음악어법이라 할 수 있다. 경기민요는 주로 5음 음 계의 평조로 되어 있다.
위의 ‘솔, 라, 정도로 그 음고가 약간 높다. 이러한 음계를 경조(京調) 또는 경제(京制), 경 토리 등으도, 레, 미’의 ‘미’는 조금 낮은 ‘파’와 혼용되기도 할로도 부르는데, 5음이 골고루 다 쓰인다. 경토리민요의 음진행상의 특징은 장, 단 3도 진행이 많다. 이렇게 3도 진행을 하는 것은 선 소리(立唱)에서 많이 보인다. 경토리민요 중 많은 곡이 입창과 혼동되기도 한다. 음색은 대체 로 부드럽고 유장하며 서정적이다. 이러한 경토리의 민요들은 맑고 깨끗하며 경쾌한 느낌을 준다. 장단은 대체로 세마치나 굿거리장단을 쓰고 빠른 속도로 노래하는 것이 많다. 대표적인 경토리 민요로는 <창부타령>, <방아타령>, <한강수타령> 등이 있다. 나. 서도토리권 민요의 음계 서도민요권을 수심가토리권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수심가>가 서도민요의 대표곡이기 때 문이다. 서도라 하면 보통 황해도와 평안도를 가리킨다. 이 지방 민요의 음계는 몇가지 예외 가 있긴 하지만 주로 다음과 같이 완전 5도위에 단 3도를 쌓아 놓은 모양을 하고 있다.
- 19 -
위의 악보 ‘레, 미, 솔, 라, 도, 레, 미’에서 ‘레, 라, 도’의 3음이 중요한 음들인데 ‘라, 도’의 음정은 약간 낮은 단 3도로 되어 있다. 또 ‘라’에 비브라토(搖聲)를 하는 점도 이지방 민요의 특징 중 하나이다. 떠는 음은 얇고 잘게 떨며 콧소리를 쓴다. 큰 소리를 내다가 갑자기 콧소리 를 섞어서 잘게 떠는 것이 수심가토리(서도토리)의 창법상의 특징이다. 대표적인 민요곡으로 평안도 지방에는 <수심가>, <배따라기>, <자진 배따라기>, <긴아리> 등이 있고, 황해도 지방에는 <산염불>,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병신난봉가>, <몽금포타 령> 등이 있다. 다. 육자배기토리권 민요의 음계 육자배기토리권의 민요라 함은 전라도와 충정 · 경상도 일부에서 부르는 민요를 가리킨다. 흔히 남도민요라고 하는 것이다.
음계는 ‘떠는 목’, ‘평으로 내는 목’, ‘꺾는 목’(또는 ‘흘리는 목’)의 주로 3음이 많이 쓰인다. ‘떠는 목’과 ‘평으로 내는 목’사이의 음정은 4도이고, ‘평으로 내는 목’과 ‘꺾는 목’ 사이는 장 2 도보다 조금 좁다. 꺾는다는 말은 먼저 앞꾸밈음을 강하게 내야 하므로 마치 목소리를 꺾는 듯한 인상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서도소리가 구성음의 중간음인 ‘라’를 떠는 반면, 육자배기토 리로 된 민요는 ‘미’를 강하게 떤다. 또 육자배기토리는 그 발성법이 목을 눌러내는 소리를 쓰 고 있다는 점이 다른 지역의 민요와 다르다. 남도민요는 구성지고 처연한 한(恨)의 정서를 느 낄 수 있다. 라. 메나리 토리권 민요의 음계 메나리토리권의 민요란 강원도 동해안, 함경도, 경상도지역에서 불리는 민요를 말한다. 이 지역 대부분의 노동요들이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는데, 그중에서도 제일 두드러지는 것이 <정 자소리>, <메나리>, <어산용>, <아라리>, <목도소리>, <노젖는 소리>등이다.
- 20 -
‘미, 솔, 라, 도, 레’의 5음 중 ‘솔’은 경과음으로 쓰이고 ‘레’는 ‘도’로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지방 민요의 음계는 ‘미-라-도’의 3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통속민요 중 메나리토리에 속하는 노래는 <쾌지나칭칭나네>, <강원도아리랑>, <정선아리 랑>, <한오백년> 등이 있다. 마. 제주도 토리권 민요의 음계 제주도민요는 주로 ‘솔, 라, 도, 레, 미’의 5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경토리의 민요와는 느낌 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독립된 민요권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선율진행도 도약적인 것보다는 2도나 3도의 순차 진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장식음 사용도 비교적 적다. 이러한 음악적 특 징이 제주도의 방언과 결합되어 다른 지방 민요에서는 느낄 수 없는 독특한 느낌을 주고 있다.
참고자료 진희숙,「국악의 향연」-민요편- 한국전통음악대전집 해설집3. 서울 : 중앙일보사, 1988. 한국문화예술진흥원,「국악교육지도서」서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
- 21 -
Ⅱ. 나만의 극 만들기 1. 지향점 우리나라 민요는 우리나라 음악의 모국어라 할 수 있으며, 표현양식이 다양하게 열려 있다 는 민요의 본질은 현 시대의 자기주도학습을 바탕으로 한 창의력 인재육성을 목표 로한 교육 과정과 맞닿아 있다. 우리나라 민요를 바탕으로 극을 창작하는 수업은 우리나라의 민요를 각자가 직면해 있는 현 시대와 상황에 연결 해봄으로써 전통에 대한 이질감을 없애고 직관, 통찰, 정서, 교감 등의 영 역에 대한 교육적 접근을 통해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방법 및 순서 가. 주제 찾기 (1)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 Brain(두뇌) + Storming(폭풍) 아이디어를 많이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창의성 개발 기법. 1) 정의 1939년 미국 광고회사 부사장 A.F.오즈번이 제창한 회의방식으로 일정한 테마에 관하여 회 의 형식을 채택하고, 구성원의 자유발언을 통한 아이디어의 제시를 요구하여 발상을 찾아내려 는 방법으로 아이디어의 발상과 평가를 철저히 분리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제안된 타인의 아이디어에 대한 비판보다 “열린 마음”으로 “자유로운 사고”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어떠한 내용의 발언이라도 그에 대한 비판을 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자유분방하고 엉뚱 하기까지 한 의견을 출발점으로 해서 아이디어를 전개시켜 나가도록 하고 있다. 이를 테면 일 종의 자유연상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① 예시 이 방법은 원래 토론이나 수필을 쓰는데 사용, 머리에 떠오르는 즉흥적인 생각들을 순서 없 이 적은 다음 시간을 두고 하나씩 정돈하며 필요한 소재만을 선별/정리 하여 문장으로 만들어 가는 형태에서 시작. 1) 5-8명 정도(되도록 소규모)의 인원이 모여 정해진 주제 틀에서 자유로운 발상을 펼침. 2) 타인이 내놓은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며 의견을 교환. 3) 자기주장이 강하거나, 지나치게 전문가적이거나, 상사의 경우, 별도 그룹으로 분류하여 회의를 진행하는 편이 아이디어 도출에 도움. - 22 -
4) 회의 진행은 한 시간 정도가 일반적이며, 발표된 아이디어들에 대한 구성원의 평가는 다 음날 진행하는 것이 좋음. 2) 구체적 방법 ① 회의장소 준비 & 진행자 설정 전원이 서로 얼굴을 볼 수 있는 곳이 좋다. 제안된 아이디어를 기록해둘 칠판을 구비해두자. 회의 진행자는 미리 주제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의 검토 및 기반지식을 쌓아둔 자(혹은 실무자)로, 회의 방향 조절 및 아이디어 유도의 역할을 겸한다. 회의에 참가하는 계층은 특정인원에 집중되기보다, 다양한 위치의 사람들을 모아 두는 것 이 좋다. ② 회의 주제 및 테마 설정 주제의 설정은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규정한다. 모든 참가자가 동일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토론 주제를 설명한다. 토론의 방향이 중구난방이 되지 않도록, 문제에 대해 최대한 많은 제약을 둘 필요가 있다. ③ 아이디어 생각의 시간 회의 참가자 들이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충분히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30분 정도의 시간이 적당하며, 회의에 참가한 인원이 많으면 이 시간을 늘려주자 ④ 브레인스토밍 진행 모든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발언하도록 한다. 타인이 내놓은 아이디어에 대한 비판은 일절금지한다. 실행 가능성에 대한 제약없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받는다. 질보다는 양, 되도록 다양한 아이디어를 유도하라 타인의 아이디어를 힌트로 이를 응용한 다른 아이디어가 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발언된 모든 아이디어는 칠판에 기록한다. 서기는 아이디어를 재빨리 요령있게 적을 수 있는 전문적인 사람으로 정하되, 진행자가 서기를 겸해도 된다. ※ 주로 마인드맵 형태가 많이 쓰임. ⑤ 회의 종료 한 시간 정도를 목표로 하되, 그 이상 계속 될 때에는 5-10분 정도의 휴식기간을 갖는다. ⑥ 아이디어의 평가 아이디어에 대한 평가는 그 즉시보다 하루정도 뒤에 진행하는 것이 좋다. 평가하는 멤버의 절반 정도는 회의 참가자로 구성하도록 하자. 이때에는 아이디어에 대한 비판이 가능하며, 제시된 아이디어 끼리의 결합은 허용한다. - 23 -
문제 해결에 필요한 아이디어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몇 가지 기준을 적어두자(실현 가 능성, 효과, 독창성 등) 기준에 대한 점수를 매기는 것으로 아이디어에 대한 최종 평가점수를 계산, 가장 점수가 높은 아이디어를 채택한다. ⑦ 탈락한 아이디어의 보존 이때 회의에서 탈락된 아이디어는 현재 쓰이진 못하지만 추후 다른 케이스에 응용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채택된 아이디어 중 일부가 구현이 어렵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들을 위해 선택 된 (혹은 제안된) 모든 아이디어의 평가점수를 기록하고 이를 철저히 보존해 둔다. 3) 특징 ① 토의를 위한 회의에서 벗어나기 위해 생각나는 데로 발언하는 자유 연상법. ② 짧은 시간 내에 방대한 아이디어를 얻기에 효과적임. 4) 기본 규칙 ① 판단보류(Deferment-of-Judgment) : 다른 사람의 의견에 대해 비판하지 말 것. ② 자유분방(Free-Wheeling) : 자유로운 아이디어가 창의적인 아이디어임을 잊지 말 것. ③ 질보다 양(Quantity yield quality) : 좋고 나쁜 아이디어는 따로 없음. 질보다 양. ④ 결합 개선(Combination and Improvement) : 모든 아이디어를 조합하고 개선하여 재창 조 할 것. 5) BS의 유의점 ① 발언권의 기회 독점을 방지 ② 사회자가 발언을 기입하기 때문에 뉘앙스가 바뀌는 경우가 있음, ③ 항상 발언이 엇갈리기 때문에 차분히 생각할 수 있음.
- 24 -
<그림자료 1>
<그림자료 2>
- 25 -
<그림자료 3>
<그림자료 4>
- 26 -
나. 주제에 따른 극 만들기 “드라마는 참여자들이 드라마의 내용(Contents)에 참여할 뿐 아니라 드라마의 형식(Form)까 지 어떻게 조율할 지 배울 때 훨씬 성공적이다.”(Neil Kitson) 1) 극 만들기의 규칙 ① 무대에서는 무엇이든지 될 수 있고,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 무조건 자신 있게! ② 상대방의 의견을 무조건 수용한다. ③ 극은 최대한 관객을 존중. - 등을 돌리지 않는다. - 관객에 대사와 노래가 잘 들릴 수 있도록 크고 또박또박하게 발음한다. 2) 우리가 만드는 극의 특징 ① 상황을 만들고 그 상황의 인물이 되어 말하고 움직이고 노래한다. ② 상대방의 대사를 잘 듣고 받아주어야 한다. ③ 최대한 자기가 맡은 역할에 진지하게 집중해야 한다. ④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해서 만들어야 한다. 3) 대본 쓰기 ① 구성원리 육하원칙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서론 - 본론 - 결론 기승전결 도입- 행동 - 긴장 - 절정 - 결말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 - 결말 ② 주제선택 현 시대와 상황에서 하고자하는 이야기 (※ 브레인스토밍 활용) ③ 대사 명백, 정당성, 성격 - 일관표현, 특징, 개성, 행동에 우선 암시, 행동일치, 관객 상상, 자극, 구어체 감정 풍부, 주제와 직결. ④ 대본 내용 발단 : 기초 정보, 짧게 전개 : 발전, 사건진행, 긴장 갈등 창조 위기 : 긴장유지, 정적
- 27 -
절정 : 사건폭발, 해결, 주제 직접 노출, 속도감 결말 : 갈등해소, 아름다운 결론. 다. 극 구성에 따른 민요 선정 라. 민요의 노가바 (노래가사바꾸기) <참고자료 1>
마. 극 내용에 맞는 (배경음악, 소품, 의상) 등의 선정 및 제작 바. 끊임없는 연습 및 암기 사. 총 연습 및 실연 * 연습은 실전처럼, 실전은 연습처럼
- 28 -
3. 교사의 역할 가. 외부의 시각에서 즉흥의 상황을 객관화 전체의 맥락 안에서 바라볼 수 있는 비평적 관 점이 필요하다. 나. 만들어진 상황의 안과 밖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어야 한다. 교사의 역할은 구조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그것에 집중하여 자신 있고 만족스러운 표현을 해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참고자료 1>
- 29 -
<참고자료 2>
- 30 -
<참고자료 3>
- 31 -
<참고자료 4>
3. 춥냐 더웁냐 내 품안으로 오너라 베게가 높고 낮거든 내 팔을 비어라. 4. 청천 하늘에 잔별도 많고 우리 님 가슴속에 희망도 많다. 5. 만경창파에 둥둥둥 뜬 배 어기어 차 어야뒤여라 노를 저어라.
- 32 -
- 33 -
- 34 -
탈춤의 종류와 지역 안대천, 최영호, 허창열, 이상영 / 연희집단 The 광대
탈춤의 종류와 지역 1. 해서탈춤 - 봉산탈춤, 강령탈춤 강령, 봉산, 해주 같은 황해도 지방의 여러 곳에서 단옷날 행하던 탈춤이다. 탈의 색깔과 생 김새가 강렬하고 한삼을 휘두르는 몸짓도 아주 크며 춤추는 모습이 화려한게 특징이다. 주로 큰 장이 서는 곳에서 구경꾼을 모아 놓고 행하였는데 나쁜 기운을 쫓거나 복을 빌기보다는 다 함께 즐기는 놀이로서 내려오고 있다. 2. 산대놀이 -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서울과 경기도 지방에서 놀던 탈춤으로 서울의 애오개, 녹번, 구파발에서 행해지던 탈춤을 본산대놀이라 하고 그것을 본떠 다른 곳에서 만들어 놀던 것을 별산대놀이라고 한다. 지금은 양주와 송파의 산대놀이만 전해지고 있다. 3. 서낭굿탈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농촌에서 액이나 잡귀를 막고 농사가 잘되기를 서낭신한테 빌면서 함께 놀았던 탈춤이다. 해마다 지내는 동제와 몇 년에 한 번씩 지내는 별신굿이 있다. 경상북도 안동 하회 마을에 전 해 내려오는 탈춤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먼저 굿으로 시작해서 한바탕 탈춤을 놀고 다시 굿으 로 마무리됩니다. 4. 오광대 - 가산오광대, 통영오광대, 고성오광대, 진주오광대 낙동강의 서쪽인 경상남도 가산, 고성, 통영, 진주 지방의 탈춤으로 주로 들에서 이루어졌 다. 흔히 다섯 광대가 나오거나 다섯 마당으로 이루어진다. 강에 떠내려 온 궤 안에 탈 다섯 개와 탈놀이 도구가 들어 있어 놀이가 시작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특히 고성오광대는 춤에 무게를 두고 즐기는 놀이로 몸을 어느 한쪽으로 힘껏 던졌다가 풀어 주는 몸짓인 ‘배김 새’가 특징이며 ‘덧뵈기춤’이 일품인 탈춤이다. 5. 들놀음 - 수영야류, 동래야류 낙동강 동쪽 지역인 부산 지방 사람들이 정월 대보름에 세시놀이로 즐기던 탈춤이다. 길놀 이, 춤놀이, 탈놀이, 뒤풀이로 이어지는 마을 축제의 한 부분으로, 지역의 토박이들이 여러대 에 걸쳐 놀이를 이끌어 왔다. ‘야류’는 부산 지방에서 쓰는 말로 ‘들놀음’이라는 뜻이다.
- 37 -
고성오광대, 양주별산대, 봉산탈춤 1. 고성오광대 ㅇ 불림 : 산 좋고 물 좋고 어절씨구 좋~다! ㅇ 주요 장단 : 굿거리 장단 ㅇ 주요 인물 : 문둥이, 말뚝이, 양반, 비비, 중, 선녀, 큰어미, 작은어미, 시골영감 ㅇ 과장 구성 : 제1과장 문둥북춤, 제2과장 오광대놀이, 제3과장 비비과장, 제4과장 승무과장, 제5과 장 제밀주과장
2. 양주별산대 ㅇ 불림 : 나비야 나비야 청산가자 호랑나비야 너도 가자 ㅇ 주요 장단 : 타령 ㅇ 주요 인물 : 상좌, 옴중, 먹중, 연잎, 눈끔적이, 완보, 원먹중, 가먹중, 노장, 원소무, 가소무, 말뚝 이, 쇠뚝이, 샌님, 서방님, 도련님, 소무, 신할아비, 미얄할미, 도끼, 도끼누이
ㅇ 과장 구성 : 제1과장 상좌춤, 제2과장 상좌와 옴중, 제3과장 옴중과 먹중, 제4과장 연잎과 눈끔적 이, 제5과장 팔목중놀이, 제6과장 노장놀이, 제7과장 샌님놀이, 제8과장 신할아비와 미얄할미
3. 봉산탈춤 ㅇ 불림 : 낙양동천이화정 ㅇ 주요 장단 : 염불, 타령, 굿거리 장단 ㅇ 주요 인물 : 상좌, 목중, 거사, 소무, 노장, 신장수, 원숭이, 취발이, 양반, 도령, 말뚝이, 영감, 미 얄, 덜머리집, 남강노인, 무당, 사자
ㅇ 과장 구성 : 제1과장 사상좌춤, 제2과장 팔목중춤, 제3과장 사당춤, 제4과장 노장춤, 제5과장 사자 춤, 제6과장 양반말뚝이춤, 제7과장 미얄할미영감춤
- 38 -
옛 그림 속 우리 악기와 음악 송지원 /
서울대학교 연구원
옛 그림 속 우리 악기와 음악 송지원(서울대학교)
Ⅰ. 그림 속 음악의 현장 예나 지금이나 음악은 인간의 생활 가까이에 있었다. 옛 그림을 감상하다 보면 음악이 매우 다양한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왕실에서 행해진 각종 국가례 의 현장을 그린 그림, 민간에서 다양한 현장에서 연주된 음악 관련 그림은 음악 연주 현장을 보여준다. ◦ 조선왕실의 궁중기록화 : 국가례로 규정되어 왕실의 의례로 행해진 오례(五禮; 길례, 가 례, 빈례, 군례, 흉례)의 구현 현장이 각종 기록화로 그려짐. / 도설, 도병의 형태 많음. ◦ 의궤(儀軌)에 담긴 의례의 현장 및 악기 그림. ◦ 오례서, 악서(樂書) 속의 음악 관련 그림 ◦ 문인화 속의 음악 그림 ◦ 풍속화의 음악 그림
1. 궁중기록화의 음악 그림 궁중에서 행해지는 행사 대부분은 그림으로 그려짐 ◦ 길례 : 종묘, 사직 등 제사관련 그림 ◦ 가례 : 회갑연, 기로연, 양로연, 책봉례, 은영연(恩榮宴), 왕세자탄강진하, ◦ 빈례 : 사신 영접 관련 그림 ◦ 군례 : 대사례(활쏘기) 등 ◦ 흉례 : 흉례 반차도 악대(陳而不作; 진설만 하고 연주하지 않음) 등.
2. 의궤와 오례서, 악서의 음악 그림 ◦ 행례도(行禮圖) :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 낙남헌양로연도(洛南軒養老宴圖), 알성도 (謁聖圖), 명정전진찬도(明政殿進饌圖), 방방도(放榜圖), 연희당진찬도(延禧堂進饌圖), 자 경전진찬도(慈慶殿進饌圖) 등 의례를 행하는 그림. ◦ 악현도(樂懸圖, 악기배치도): 의례에서 연주하는 음악의 악대를 그림. - 41 -
종묘등가도설(宗廟登歌圖說), 종묘헌가도설(宗廟軒架圖說), 풍운뇌우등가(風雲雷雨登歌), 고취도설(鼓吹圖說) 등 ◦ 악기도(樂器圖) : 가야금, 거문고 등, 의례를 연주하는 악기를 그림. ◦ 정재도(呈才圖) : 궁중정재를 그린 그림. 헌선도정재, 학무정재, 포구락정재 등. ◦ 반차도(班次圖) : 각종 행렬 그림. ◦ 명기악기(明器樂器) : 왕의 무덤에 묻는 악기 그림.
3. 문인화, 풍속화의 음악 그림 ◦ 문인화의 음악 그림 : 조선시대의 문인들은 육예(六藝)의 하나로 음악을 연마함. 거문고 를 가까이 함. 거문고와 관련된 그림이 특히 많음. ◦ 풍속화 속의 다양한 음악 연주 현장. 악기 연주 그림, 행사 그림, 줄타기 광대, 무동 등 <참고도상자료> <원행을묘정리의궤, 봉수당진찬도>
<순조기축진찬의궤, 명정전진찬도>
- 42 -
<원행을묘정리의궤, 포구락정재>
<원행을묘정리의궤, 학무>
<평양감사향연도>
<무동>
- 43 -
<경모궁의궤, 경모궁등가>
<국장도감의궤, 종>
Ⅱ. 왕실의 음악 악기편성도: 길례와 가례의 악기편성 <왕실의 음악: 길례의 악현도>
1. 종묘제례악 악현도 1) 성종대 국조오례서례(1474)에 수록된 종묘제례악 악현도 ① 등가 악현도 노래[歌] 6, 가야금, 거문고, 당비파, 향비파, 아쟁, 대쟁, 해금, 월금 등의 현악기, 대금, 당적, 퉁소, 피리, 생, 지, 화, 훈 등의 관악기, 특종, 특경, 편종, 편경, 방향, 박, 축, 어, 장구, 절고 등 타악기, 총 25종.
- 44 -
<종묘등가 악현도; 국조오례서례>
② 헌가 악현도 노래[歌] 8, 가야금, 거문고, 당비파, 향비파, 월금, 해금 등의 현악기, 대금(大笒), 중금(中 笒), 소금(小笒), 당적, 퉁소, 피리, 태평소, 생, 우, 화, 관, 훈, 지 등의 관악기, 방향, 편경, 편 종, 노고, 노도, 교방고, 장구, 진고, 어, 축 등의 타악기. 총 29종의 악기(노래 포함)
<종묘헌가 악현도: 국조오례서례>
2) 숙종대 종묘의궤(1706)에 수록된 종묘제례악 악현도 ① 등가 악현도 종묘의궤에 수록된 숙종 대 종묘제례악 등가 악현도는 성종 대에 비해 많이 축소. 노래 [歌] 2, 가야금, 거문고, 당비파, 향비파, 아쟁의 현악기 5종과 대금, 당적, 퉁소, 피리의 관악기 4종, 편종, 편경, 방향, 박, 축, 장구, 절고의 타악기 7종. 노래까지 포함한다면 전체 16종의 악 - 45 -
기가 편성되어 성종대의 국조오례서례에 보이는 25종의 악기에 비해 9종이 적어졌음.
<종묘등가 악현도: 종묘의궤>
② 헌가 악현도 종묘의궤에 수록된 숙종 대 종묘제례악 헌가 악현도 성종 대에 비해 많이 축소되었음. 노 래[歌] 2명. 이들은 타악기인 대금(大金), 즉 징과 소금(小金) 즉 꽹과리를 겸하여 연주. 당비 파, 해금의 현악기와, 대금(大笒), 중금(中笒), 소금(小笒), 당적, 피리, 태평소, 훈, 지 등의 관 악기, 방향, 편경, 편종, 노도, 박, 장구, 진고, 축, 대금(大金), 소금(小金) 등의 타악기. 총 21 종의 악기(노래 포함) 국조오례서례의 종묘헌가에 비해 8종의 악기가 축소.
<종묘헌가 악현도: 종묘의궤>
3) 정조대 춘관통고(1788)에 수록된 정조대 종묘제례악 악현도 ① 등가 악현도 노래[歌] 2, 가야금, 거문고, 당비파, 향비파, 아쟁의 현악기 5종, 대금, 당적, 퉁소, 피리, 생, 훈의 관악기 6종, 편종, 편경, 방향, 박, 축, 어, 장구, 절고의 타악기 8. 노래까지 포함하면 전 체 20종의 악기가 편성. 숙종 대에 비교해 몇몇 악기가 더 갖추어졌음. 여덟 가지 제작재료인 - 46 -
팔음(八音)의 악기를 두루 갖추어 종묘제례악을 연주하고자 한 정조대의 노력이 반영된 것으 로 해석됨.
<종묘등가 악현도: 춘관통고>
② 헌가 악현도 춘관통고에 수록된 정조대 종묘제례악 헌가 악기편성은 노래[歌]가 두 명에 당비파, 해금 의 현악기와, 대금(大笒), 당적, 피리, 태평소, 생, 훈, 지 등의 관악기, 방향, 편경, 편종, 장구, 진고, 어, 축, 대금(大金), 소금(小金) 등의 타악기가 포함되어 있다. 현악기 2종, 관악기 7종, 타악기 9종에 노래까지 포함하면 전체 19종의 악기가 편성되어 음악을 연주했다. 춘관통고 에 수록된 다음의 악현도에 그 편성이 보인다.
<종묘헌가 악현도: 춘관통고>
- 47 -
4) 대한제국 시기 대한예전(1898)에 수록된 종묘제례악 악현도 ① 등가 악현도 대한예전에 수록된 고종 대 종묘제례악 등가 악기편성은 노래[歌]가 두 명에 가야금과 거 문고, 당비파, 향비파, 아쟁, 대쟁, 월금의 현악기 7종과 대금, 당적, 퉁소, 피리, 생, 화, 훈의 관악기 7종, 특종, 특경, 편종, 편경, 방향, 축, 어, 장구, 절고의 타악기 9종이 포함되어 있다. 노래까지 포함한다면 전체 24종의 악기가 편성되어 정조대 비해 몇몇의 악기가 더 갖추어졌음 을 알 수 있다. 대한예전에 수록된 다음의 악현도에 그 편성이 보인다.
<종묘등가 악현도: 대한예전>
② 궁가(宮架) 악현도 대한예전은 황제국의 악현을 그린 것이므로 제후국의 위상을 지녔던 조선의 헌가(軒架) 대신 황제국의 악현인 ‘궁가’로 그 명칭을 바꾸었다. 칭제(稱帝) 이후 대한제국 시기 종묘제례 악 궁가의 악기편성은 노래[歌]가 두 명에 향비파, 해금의 현악기와, 대금(大笒), 중금, 소금, 당적, 피리, 태평소, 생, 우, 관, 훈, 지 등의 관악기, 방향, 편경, 편종, 노고, 노도, 장구, 진고, 어, 축, 대금(大金), 소금(小金) 등의 타악기가 포함되어 있다. 현악기 2종, 관악기 11종, 타악 기 11종에 노래까지 포함하면 전체 24종의 악기가 편성되어 음악을 연주했다. 대한예전에 수록된 다음의 악현도에 그 편성이 보인다.
- 48 -
<종묘궁가 악현도: 대한예전>
2. 사직제례악 악현도 1) 성종대 사직제례악 악현도 ① 등가 악현도 남쪽으로부터 북쪽의 방향으로 보면, 제1단의 서쪽과 동쪽에 각각 절고節鼓1, 제2단의 서쪽 에는 강椌1․특종特鐘1, 동쪽에는 갈楬1․특경特磬1, 제3단의 서쪽과 동쪽에 각각 금琴3, 제4단 의 서쪽과 동쪽에 각각 슬瑟3. 제5단과 6단의 서쪽과 동쪽에 각각 가歌[노래]6, 제7단의 서쪽 과 동쪽에는 각각 관管1․약籥1․화和1․우竽1․생笙1, 제8단의 서쪽과 동쪽에 각각 소簫1․훈壎1․지 篪1․적篴1이 대칭을 이루어 편성. 서쪽에는 편종編鍾1, 동쪽에는 편경編磬1,
<국조오례서례>
② 헌가 악현도 남쪽으로부터 북쪽의 방향으로 제1단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진고晉鼓1, 제2단의 중앙에 영 고靈鼓와 영도靈鼗. 제 3단에는 주로 편경과 편종, 특경과 특종이 북면北面을 제외한 삼면에
- 49 -
배치. 제4단에는 서쪽에 축祝1, 동쪽에 어敔1, 제5단에는 관管10, 제6단에 약籥10, 제7단에 생 笙10, 제8단에 우竽10, 제9단에 소簫10, 제10단에 적篴10, 제11단에 지篪10, 제12단에 부缶 10, 제13단에 壎10. 아악기로만 편성. 악대樂隊는 남향北向하여 음악을 연주.
2) 정조대 사직제례악 악현도 ① 등가登歌 (今儀社稷)
<춘관통고>
제1단 동쪽에는 협률랑協律郞이 휘麾를 들고 있고, 제2단에는 중앙으로부터 서쪽에 도창導 唱1․노래1․금琴1․슬瑟1, 동쪽에는 도창1․노래1․금1․슬1이 대칭적으로 편성. 제3단에는 서쪽에 강 椌1․편종編鐘1․절고節鼓1, 동쪽에는 갈楬1․편경1․봉소鳳簫1이 편성. 제4단에는 서쪽에 생笙1․지 篪1․약籥1․적篴1, 동쪽에 1塤․지1․약1․적1. 악대樂隊는 모두 남향南向하여 연주. - 50 -
② 사직헌가今儀社稷軒架
<춘관통고>
남쪽으로부터 아래로, 제1단에 동서로 영도靈鼗 2, 제2단 중앙으로부터 서쪽에 축祝1․편경編 磬1․진고晉鼓1, 동쪽에는 어敔1․편종編鐘1․붉을 밝히는 조촉照燭1. 제3단 서쪽에 관管1(지篪로 대용함)․약籥1․지篪1․소簫1․적篴1, 동쪽에 지篪1․관管1(지로 대용함)․지篪1․약1․적1. 제4단 서쪽 에 훈塤1․부缶1, 동쪽에 훈1․부1이 편성. 악대樂隊는 모두 남향하여 연주.
3. 정조대 경모궁제례악 악현도 ① 경모궁등가景慕宮登歌
<춘관통고>
북쪽으로 부터 아래로 제 1단의 중앙에 박拍 1, 제 2단 동쪽에 현금玄琴 1․아쟁牙箏 1․당비파 唐琵琶 1, 서쪽에 퉁소洞簫 1, 생笙 1․가야금伽倻琴 1, 제 3단의 동쪽에 가歌 1․훈塤 1․피리觱
- 51 -
篥 1, 서쪽에 가歌 1․대금大笒 1․당적唐笛 1, 제 4단의 중앙에 절고節鼓 1, 동쪽에 축祝 1․장고 杖鼓 1․編鐘 1, 서쪽에 어敔 1․편경編磬 1․방향方響 1. 19종의 악기가 노래를 포함하여 총 20인 에 의하여 연주 ② 경모궁헌가景慕宮軒架
<춘관통고>
북쪽으로 부터 아래로 제 1단의 동쪽에 노도路鼗 1, 서쪽에 박拍 1, 제 2단의 동쪽에 축祝 1․편경編磬 1․방향方響 1, 서쪽에 어敔 1․편종編鐘 1․진고晉鼓 1, 제 3단의 동쪽에 가歌 1․대금 大笒 1․태평소太平簫 1, 서쪽에 가1․피리觱篥 1․훈塤 1, 제 4단의 동쪽에 장고杖鼓 1․당적唐笛 1․향비파鄕琵琶 1, 중앙에 대금大金 1이, 생笙 1․지篪 1․해금奚琴 1. 총 4열 20종의 악기가 노 래를 포함하여 총 21인이 연주.
4. 문묘제례악 악현도 ① 문선왕등가
<春官通考>
- 52 -
춘관통고春官通考에 수록된 성종대 문묘제례악 등가악현도樂懸圖. 북쪽으로부터 남쪽으 로 내려가면 제1단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절고節鼓1, 제2단의 동쪽에 강椌1․특종特鐘1, 서쪽에 갈楬1․특경特磬1, 제3단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금琴3, 제4단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슬瑟3. 제5 단과 6단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가歌[노래]6, 제7단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관管1․약籥1․화和1․ 우竽1․생笙1, 제8단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소簫1․훈壎1․지篪1․적篴1이 대칭을 이루어 편성. 동 쪽에는 편종編鍾1, 서쪽에는 편경編磬1이 위치하여 제 1단의 특종 특경과 함께 헌현軒懸의 편 성을 이룸. 악대樂隊는 북향北向하여 음악을 연주. ② 문선왕헌가文宣王軒架
<春官通考>
정조대의 <<춘관통고春官通考>>에 수록된 성종대 문묘제례악 악현도樂懸圖.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제1단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진고晉鼓1, 제2단의 중앙에는 뇌고雷鼓와 뇌도雷鼗가 편성되어 있으나 문묘제례는 인귀에 대한 제향이므로 노고路鼓와 노도路鼗로 보아야 함. 제 3 단에는 편경과 편종, 특경과 특종이 남면南面을 제외한 삼면에 배치됨(제후의 악현인 헌현軒 懸). 제4단에는 동쪽에 축祝1, 서쪽에 어敔1, 제5단에는 관管10, 제6단에는 약籥10, 제7단에는 생笙6, 화和3, 관管1, 제8단에는 우竽10, 제9단에는 소簫10, 제10단에는 적篴10, 제11단에는 지篪10, 제12단에는 부缶10, 제13단에는 壎10이 편성. 아악기로만 편성됨. 악대樂隊는 북향北 向하여 음악을 연주.
- 53 -
Ⅲ. 왕실의 음악: 가례의 악기편성 사례
1. 성종대 (1) 국조오례서례 전정헌가
악기편성은 북쪽으로부터 건고1을 중심으로 삭고1, 응고1, 편종3, 편경3, 축, 어1, 생1, 우2, 화1, 소2, 훈2, 관2, 노래 6, 당적2, 당비파4, 장고8, 방향2, 태평소2, 피리6, 해금2, 대금4, 중금 2, 소금2, 퉁소2, 현금1, 가야금1, 교방고1의 편성 (2) 국조오례서례 고취도설
방향4, 화2, 생2, 노래8, 비파8, 피리6, 우2, 당적3, 월금2, 대금9, 대쟁2, 아쟁2, 가야금2, 거 문고2, 향피리2, 퉁소4, 향비파2, 해금2, 장고18, 교방고2 - 54 -
(3) 악학궤범 처용무반주 악기편성 대금
해금
피리
아쟁
대쟁 당비파 향비파 월금
당적
퉁소 가야금 거문고 방향 교방고 대고
전도
5
2
3
1
1
4
2
2
2
1
2
2
1
1
후도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장고
박
동발
4
1
1
1
1
1
1
2. 숙종대 (1) <경현당사연도> 등가 악현 1720년(숙종 46) 박 해금
당비파
해금
당비파
대쟁
아쟁
당비파
해금
당비파
해금
교방고 대금
대금
퉁소 장고 장고
장고 장고
퉁소 대금 대금
(2) <경현당사연도> 전정헌가 악현 1720년(숙종 46)
편종
편경
삭고
축
건고
어
삭고
편경
편종
(3) <기사사연도> 처용무 반주 악현 1720년(숙종 46) 해금
대금
당비파
퉁소
퉁소 당비파
대금
해금
교방고 당비파 장고
퉁소 해금
대금
대금
해금
퉁소
장고
당비파
(4)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반차도 전악 비파
장고
횡적
북
횡적
장고
비파
장고
횡적
비파
편종
비파
횡적
장고
- 55 -
3. 영조대 가례반차도 악공고취 장고
장고
비파
비파
횡적
횡적 거문고
나발
나발
북
종적
종적
가야금 가야금
거문고
악공
자바라 자바라
전악
4. 정조대 (1) 춘관통고의 (금의)전정헌가 건고 삭고 어
박
방향
편종
축
피리
피리
피리 당비파
편경 피리
피리
피리
공수
공수
공수
공수
응고
공수
편경
당비파
대금
대금
대금
생
생
대금
대금
대금
해금
해금
퉁소
당적
당적
장고
장고
공수
편종
공수
5. 순조대 (1) 기사진표리의궤의 전정헌가 악현 1809년(순조 9) 비파
퉁소
생
해금
해금
해금
해금
당적
당적
대금 대금
대금
대금
편종
대금
대금 피리
피리
피리
피리
피리 피리
장고
박
편경 삭고
건고
- 56 -
생
방향
방향
당적
당적 퉁소
방향
대금
대금
대금 대금
편종
장고
피리
피리 피리
피리
편종
어 응고
비파
(2) 기사진표리의궤의 등가 악현 1809년(순조 9) 교방고 교방고 당적 당적 퉁소 생
생
퉁소 당적 당적 방향 방향
피리 피리
피리 피리 피리 장고
장고 피리 피리 피리 피리 피리
해금 대금
대금 대금 대금 대금
대금 대금 대금 대금 대금 대금
교방고 해금
비파 아쟁 가야금 현금 박 현금 가야금 아쟁 비파 해금 방향
6. 헌종대 (1) (무신)진찬의궤 등가 악현 1848년(헌종 14) 해해장양통당비아가거방
방거가아비당통송가해해
금금고금소적파쟁야문향
향문야쟁파적소
금고
금금
고금
대대대대대피피피피피장교
교장피피피피피대대대대대
금금금금금리리리리리고방
방고리리리리리금금금금금 고
고
(2) (무신)진찬의궤 전정헌가 악현 1848년(헌종 14) 피리 피리 피리 장고 편경 편종 방향 삭고 어 건고 축 응고 편경 편종 장고 대금 대금 대금 대금 대금 생
생
비파 피리 피리 피리 피리 피리 박 대금 대금 대금 비파 당적 당적 퉁소 퉁소 해금 해금
- 57 -
- 58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의거해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 관입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개 개인의 문화예술향유 능력 및 창의력을 함양시키고, 전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전 략 기획 및 정책 연구, 대외홍보 및 국제교류,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콘텐츠 개발, 학교 및 복지 기관 예술강사 파견,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 기획사업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략기획연구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의 질적 제고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전략기획 및 연구개발, 연구 서비스화 등의 사업을 수행합니다. - 연구 개발 - 연구 서비스화 & 문화예술교육 포럼 교육개발 교육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적 자원이고, 인적 자원의 자질이 높아지면 교육의 수준도 높아집니다. 교육진흥원은 창의적인 리더와 인재를 키워 문화예술교육의 주춧돌로 삼고자 합니다. - 문화예술교육 ArtE Academy : AA -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 문화예술교육 정보관 구축 대외협력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목표로 대중과 소통하고, 전략적 국제교류 활동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합니다. - 문화예술교육 국내외 홍보 - 해외 온오프라인 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 - 61 -
교육운영 1 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진취적이고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지원합니다. 특히, 학생들의 입장에서 함께 고민하고 역량있는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예술적 감수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타인과 교감할 수 있는 자세 를 배울 수 있도록 합니다. -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 - 학교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학교 예술강사 교육활동 지원
교육운영 2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문화 소외계층의 현재와 미래를 풍요롭게 합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 영을 통해 모든 어린이·청소년이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도록 창의교육의 기반을 만 들어 갑니다. -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 -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 사회교육 문화예술교육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며 사회 공동체를 건강하게 만듭니다. 우리 사회 모 든 세대와 계층이 문화예술을 배우고 경험하는 조화로운 사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만들어 갑니다. - 부처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 - 시민 문화예술교육, 예술치안센터 - 문화예술치유 가족문화 자라나는 아이들과 가족 구성원 모두가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가족 간 서로 소통하 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만들어갑니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 지역협력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구현될 수 있도록 중앙과 지역 간 긴 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합니다. 지역의 어린이, 청소년에게 문화예술의 체험기회를 지속적으로 제 공합니다. - 62 -
- 예술꽃 씨앗학교 - 꿈의 오케스트라 -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기획사업 참신한 아이디어와 신선한 기획으로 무장한 문화예술교육이 찾아갑니다. 다양한 형태의 문화예 술교육 사업으로 전 국민의 일상의 삶에 활력을 제공합니다. - 문화예술교육 명예교사 - 창의예술캠프 -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2016 ArtE Academy, AA ‣ 예술강사 의무연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신규 예술강사로 선발된 예술강사는 교육현장의 안정적 적응 및 교육 활동을 위해 최소한의 직무교육인 의무연수에 참여해야 합니다. 총 60시수으로 구성된 의무연수는 상‧하반기 방학기간에 집체식으로 진행되며, 주로 ‘사례 중심 현장 기반 예술체험과 교수학습 방법, 교육대상과 현장에 대한 이해’ 등의 내용으로 학교와 복지 시설로 출강하는 신규 강사의 교육역량을 계발하고 어려움을 최소화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 예술강사 선택연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경력이 쌓인 강사를 위해 지속적인 문화예술 교육 전문성을 강화하고 예술가이자 예술교육자로서의 역량 개발을 목표로 다양한 선택연수를 개설 운영합니다. 학교 및 복지기관의 예술강사는 예술분야별 교수학습 역량 강화, 예술놀이 체 험 워크숍,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기획 워크숍, 상담기법 등 예술강사의 수요와 현장의 니즈를 반 영한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연수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장 실무자의 창의적인 기획 역량과 문화예술 교육 전문성, 기초 직무 소양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단체 실무자 및 강사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양질의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실제 현장 업무에 도움이 되는 의무연수 및 선택 연 수과정을 구성하여 제공합니다.
- 63 -
‣ 교원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연수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의 핵심 주체인 교원을 대상으로 서울시교육연수원 특수분야 직무연수 와 연계하여 학점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교원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및 문화예술 교육 전문성을 강화하는 연수를 제공합니다. ‣ 행정인력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연수 문화예술교육 기관의 원활한 네트워킹 및 동반 성장을 목표로 실무자 및 관리자의 전문성 및 직 무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제공합니다. ‣ 공무원 문화예술정책 역량 강화 연수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문화정책 기획역량 강화 및 문화적 리더십 함양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융합의 이해, 문화예술교육 정책현장 탐방 등 문화정책 전반의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 ‣ 대학(원)생 대상 문화도담 연수 문화도담은 전국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문화예술교육 기획인력 양성과정입니 다. 문화도담 참여자는 각 지역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화예술을 이해하며, 우리 일상생활 곳곳 에 숨은 문화예술자원을 스스로 탐방하여 발굴하고 공유하는 활동을 하게 됩니다. 대학(원)생의 시각으로 일상에서 문화예술교육 관련 주제를 발굴하고, 그에 대한 활동을 기획해 보는 과정으로, 선배 문화예술교육자와의 ‘체험워크숍’등을 통해 실질적인 멘토링과 네트워킹을 경험해볼 수 있습니다. ‣ 주제 중심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연수 문화예술교육 키움은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등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및 교원, 공무원, 광역센터 담당자 등 문화예술교육 협력자를 대상으로 필요한 핵심 교육내용에 따라 단계별 연수프로그램 을 모듈화한 교육입니다. 열쇠를 의미하는 ‘Key’와 공간을 의미하는 ‘-Um’이 결합된 키움(Key-um)은, 대상별, 분야별 다양 한 연수프로그램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인 주제 중심으로 특화된 프로그램을 가리킵니다. ※ 인문, 창의, 융합, 생각, 감성, 예술, 역량의 7가지 키움(Key-Um)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Community of Practice)’는 특정 분야를 공통 관심사로 하는 구성원들이 온·오프라인을 통해 지식을 공유·학습·창출하는 실천적 지식 동아리 형태의 연 수입니다. 현장 중심의 실용적인 주제로 매개자 간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사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학습자 중심의 ‘멘토-멘티간 밀착형 학습공동체’ 연수를 지향합니다.
- 64 -
전통 민요와 탈춤, 그림 속 우리악기로 예술수업 만들기 발 행 인
주 성 혜
발 행 일
2016. 8
발 행 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www.arte.or.kr
주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76
소
(상암동, YTN 뉴스퀘어) 연 락 처
T:02-6209-1323 F:02-6455-5969
기획/제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개발센터 교육개발팀
인
쇄
리드릭(사단법인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본 자료집 내용의 무단전재 및 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