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 - 산
GC000P0001_북한산 백운대, 만경봉, 노적봉
GC000P0002_창릉천에서 바라본 북한산
지리 - 산
GC000P0003_북한산 대서문
지리 - 하천
GC000P0004_망원동 진선미아파트에서 바라본 불광천
GC000P0005_상암교에서 북향으로 바라본 불광천
지리 - 하천
GC000P0006_중암교에서 남향으로 바라본 불광천
지리 - 고개
GC000P0007_북향으로 바라본 만리재로
지리 - 고개
GC000P0008_북향으로 바라본 만리재 옛길과 만리재로 전경
GC000P0009_남향으로 바라본 만리재 옛길과 만리재로 전경
지리 - 마을
GC000P0010_구지면 내리 항공 사진
GC000P0011_마을 입구에서 바라본 구지면 내리 전경
지리 - 마을
GC000P0012_구지면 내리 마을 입구의 느티나무 보호수와 농협창고
지리 - 중심가
GC000P0013_마포아크로타워에서 북향으로 바라본 공덕오거리
지리 - 중심가
GC000P0014_르네상스타워에서 바라본 공덕오거리 야경
GC000P0015_공덕오거리 마포대로 북향 버스 정류장
지리 - 시장
GC000P0016_김포장 겨울 풍경
지리 - 시장
GC000P0017_김포 현대아파트에서 바라본 김포장 전경
GC000P0018_김포장 뻥튀기 장수
역사 - 고분
GC000P0019_서오릉 항공 사진
GC000P0020_창릉 어도와 정자각
역사 - 고분
GC000P0021_예릉 전경
지리 - 기념비
GC000P0022_양주 가래비 3.1운동 순국기념비 좌측면
역사 - 기념비
GC000P0023_양주 가래비 3.1운동 순국기념비 전경
GC000P0024_양주 가래비 3.1운동 순국기념비 비문
역사 - 박물관
GC000P0025_장흥아트파크 조각아카데미 외부 전경
GC000P0026_장흥아트파크 미술관 전시장 내부
역사 - 박물관
GC000P0027_장흥아트파크 미술관의 전시 작품
역사 - 문헌
GC000P0028_화성성곽의궤 권수(卷首)의 표지
역사 - 문헌
GC000P0029_화성성곽의궤
GC000P0030_화성성곽의궤 권수(卷首)의 내용
생활ㆍ민속 - 행사
GC000P0031_영주 평은초등학교 제8회 총동창회 체육대회
생활ㆍ민속 - 행사
GC000P0032_영주 평은초등학교 제8회 총동창회 체육대회 단체사진
GC000P0033_영주 평은초등학교 제8회 총동창회 체육대회
생활ㆍ민속 - 의식주 생활
GC000P0034_중요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의 양장
생활ㆍ민속 - 의식주 생활
GC000P0035_중요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의 당의
GC000P0036_중요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의 액주름포
생활ㆍ민속 - 전통놀이
GC000P0037_중요무형문화재 제11-나호 평택농악 무동놀이
생활ㆍ민속 - 전통놀이
GC000P0038_중요무형문화재 제11-나호 평택농악의 외줄타기
GC000P0039_중요무형문화재 제11-나호 평택농악 공연
시청각 ID
자료명
설명문
소재지
자료종류 읍/면/동
제작
제공
저작권
리/지번
출처
GPS 좌표
채록
제작일
위도
경도
사진 GC000P0001
북한산 백운대, 만경봉, 노적봉
좌측부터 백운대, 만경봉, 노적봉 봉우리이다
사진
덕양구
지축동 686 일대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647741
126.910033
2007년 07월 14일
GC000P0002
창릉천에서 바라본 북한산
창릉천에서 바라본 북한산 전경
사진
덕양구
동산동 306 일대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649626
126.903650
2007년 10월 19일
GC000P0003
북한산 대서문
북한산 대서문에서 바라본 북한산 전경
사진
진관동
산 34 일대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653645
126.955977
2007년 11월 12일
GC000P0004
불광천 북향
망원동 탑건 진선미아파트에서 북향으로 바라본 불광천
사진
망원동
506 일대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61349
126.899872
2013년 10월 22일
GC000P0005
불광천 북향
상암교에서 북향으로 바라본 불광천
사진
성산동
400 일대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66074
126.899670
2013년 11월 07일
GC000P0006
불광천 남향
중암교에서 남향으로 바라본 불광천
사진
성산동
446 일대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72554
126.900028
2014년 04월 02일
GC000P0007
만리재 고개 전경
만리재길 동측에 있는 만리재로 북향 전경
사진
공덕동
115-13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47614
126.958735
2013년 09월 02일
GC000P0008
만리재 옛길과 만리재로 전경
사진
공덕동
456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51395
126.962134
2013년 09월 22일
GC000P0009
만리재 옛길과 만리재로 전경
만리재 옛길과 만리재로 남향 전경
사진
아현동
397-3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44001
126.952942
2013년 08월 30일
GC000P0010
구지면 내리 항공사진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내리 마을의 항공 사진
사진
구지면
내리 405-6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5.640011
128.409825
2013년 05월 08일
GC000P0011
구지면 내리 마을 전경
사진
구지면
내리 75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5.634595
128.415594
2013년 07월 10일
사진
구지면
내리 405-5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5.639723
128.408183
2012년 09월 28일
아현동 405-7 옥상에서 바라본 만리재 옛길과 만리재로 북 향 전경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내리는 모정 안쪽이 된다 하여 내 동 또는 내모정이라 이름 붙였다. 자연마을로는 노곡, 모정, 성산, 장동, 세암 마을이 있다 GC000P0012
대구 달성군 구지면 내리 마을 입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내리 마을 입구의 느티나무 보호 구
수와 농협창고
GC000P0013
공덕오거리 전경
마포아크로타워에서 북향으로 바라본 공덕오거리
사진
도화동
563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41273
126.948867
2013년 06월 04일
GC000P0014
공덕오거리 야경
르네상스타워 옥상에서 바라본 공덕오거리 야경
사진
신공덕동
167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43381
126.952923
2013년 09월 22일
GC000P0015
공덕오거리 버스 정류소
공덕오거리 마포대로 북향 버스 정류장
사진
공덕동
237-9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46748
126.953102
2013년 08월 30일
GC000P0016
김포장 모습
김포시 북변동에 2·7일에 열리는 5일장
사진
북변동
1021-3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627824
126.711667
2011년 02월 02일
GC000P0017
김포장 전경
사진
북변동
1021-3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628342
126.711441
2010년 11월 22일
GC000P0018
김포장 뻥튀기 가게
사진
북변동
1021-3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627123
126.711487
2010년 02월 02일
GC000P0019
서오릉 항공 전경
사진
용두동
산 30-1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618721
126.899110
2008년 06월 26일
GC000P0020
창릉 어도와 정자각 전경
조선 제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 한씨의 능
사진
창릉동
산 54-5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634604
126.893161
2008년 09월 26일
GC000P0021
예릉 전경
조선 제25대 철종과 왕비 철인왕후 김씨의 능
사진
원당동
산37-1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664327
126.868640
2008년 09월 26일
GC000P0022
가래비 3·1운동 순국기념비
만세배미에 있는 가래비 3·1운동 순국기념비의 좌측면 모습
사진
가납리
732-18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822747
126.985370
2011년 09월 30일
GC000P0023
가래비 3·1운동 순국기념비 전경 만세배미에 있는 가래비 3·1운동 순국기념비의 전경
사진
가납리
732-18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822747
126.985370
2011년 09월 30일
GC000P0024
가래비 3·1운동 순국기념비
사진
가납리
732-18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822747
126.985370
2011년 09월 30일
사진
장흥면
일영리 10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7346666
126.952611
2012년 05월 15일
사진
장흥면
일영리 8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7251388
126.948944
2012년 05월 15일
사진
장흥면
일영리 9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7251666
126.949027
2012년 05월 15일
김포시 현대아파트 옥상에서 바라본 김포장의 모습.북변동 에 2·7일에 열리는 5일장 김포장의 뻥튀기 장수 서오릉의 항공 사진. 명릉, 경릉, 창릉, 익릉, 홍릉을 서오릉 이라고 한다.
만세배미에 있는 가래비 3·1운동 순국기념비의 비문 2008년 개장한 장흥조각아카데미의 전경이다. 작업장과 조
GC000P0025
장흥조각아카데미 전경
각 공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주 작가 오픈 스튜디오, 작 품 전시회, 조각 심포지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 다.
GC000P0026
장흥아트파크 미술관 전시장
GC000P0027
장흥아트파크 미술관 전시작품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장흥아트파크미술관의 전시장 모습이 다.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장흥아트파크미술관의 전시장 모습이 다.
관련 기사명
조선시대 화성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기 GC000P0028
화성성곽의궤 권수(卷首)
록한 책. 권수(卷首) 1권, 본편(本編) 6권, 부편(附編) 3권의
사진
매향동
36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282571
127.018937
2011년 06월 15일
사진
매향동
36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282571
127.018937
2011년 06월 15일
사진
매향동
36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282571
127.018937
2011년 06월 15일
사진
평은면
금광리 297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6.741311
128.674566
2013년 04월 28일
사진
평은면
금광리 297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6.741218
128.674783
2013년 04월 28일
10권 10책. 조선시대 화성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기 GC000P0029
화성성곽의궤의 전체
록한 책. 권수(卷首) 1권, 본편(本編) 6권, 부편(附編) 3권의 10권 10책. 조선시대 화성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기
GC000P0030
화성성곽의궤의 내지
록한 책. 권수(卷首) 1권, 본편(本編) 6권, 부편(附編) 3권의 10권 10책.
GC000P0031
평은초등학교총동창회 체육대회 제 8회 평은초등학교총동창회 체육대회 모습 91년 역사의 평은초등학교는 영주댐 건설로 인한 이전 대상
GC000P0032
평은초등학교총동창회 체육대회 인 91년 역사의 평은초등학교에서 마지막 개최된 제 8회 평 은초등학교총동창회 체육대회 단체 사진.
GC000P0033
평은초등학교총동창회 체육대회 제 8회 평은초등학교총동창회 체육대회 모습
사진
평은면
금광리 297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6.741311
128.674566
2013년 04월 28일
GC000P0034
중요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 중요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 김해자 작품 양장의 모습
사진
관훈동
182-2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74016
126.984231
2007년 08월 10일
GC000P0035
중요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 중요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 김해자 작품 당의의 모습
사진
관훈동
182-2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74016
126.984231
2007년 08월 10일
GC000P0036
중요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
사진
관훈동
182-2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74016
126.984231
2007년 08월 10일
GC000P0037
평택농악 무동놀이
사진
서탄면
금각리 286-4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068515
127.008703
2009년 10년 15일
중요무형문화재 제107호 누비장 김해자 작품 액주름포의 모습 중요무형문화재 제11-나호로 지정된 평택농악 무동놀이 장 면. 나이 어린 소년을 뽑아 여장을 시켜 남자의 어깨 위에 올 라서 연행하는 놀이.
GC000P0038
평택농악 외줄타기
중요무형문화재 제11-나호로 지정된 평택농악 외줄타기
사진
서탄면
금각리 286-4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068711
127.008735
2009년 10년 15일
GC000P0039
평택농악 공연
중요무형문화재 제11-나호로 지정된 평택농악 공연
사진
서탄면
금각리 286-4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068622
127.008763
2009년 10년 15일
영상
길음동
길음동 일대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614375,
127.019333
2010년 01월 29일
영상
세종로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577947
126.976885
2013년 11월 18일
영상
유양동
유양동 262 일대 한국기록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37.786104
127.031553
2012년 06월 30일
영상
통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7.555822
126.971711
2014년 10월 26일
영상
GC000V0001
2009 서울생활역사자료조사 기록 영화 '길음동'
뉴타운 조성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길음 지역의 개발 전 마지 막 모습을 주민들의 인터뷰, 소장 자료 등을 활용해 기록영 화로 제작 이미지 헤리티지 콘텐츠로 1년에 두차례 개방하는 경복궁의
GC000V0002
경복궁의 가을밤, 빛으로 물들다
야경을 담았다. 시원한 가을 밤 은은한 조명으로 꾸며지는 경복궁의 단아하고도 웅장한 이미지들을 볼수 있다.
세종로 1번지 일 대
양주의 신명과 흥을 대표하는 5대 무형 문화재인 양주소놀 GC000V0003
신명과 흥의 미학, 양주 5대 무형 문화재
이굿[중요 무형 문화재 제70호], 「양주 들노래」[양주시 향토 문화재 제18호], 양주농악[경기도 무형 문화재 제46호], 양주 별산대놀이[중요 무형 문화재 제2호], 「양주 상여와 회다지 소리」이다. 2014년 10월 25~26일 양일간 문화역 서울284에서 열린 행
GC000V0004
2014 한복의 날
사의 이모저모를 담았다. 기념식, 한복입기 체험, 한복패션 쇼, 한복댄스파티 등 다채로운 행사내용들을 통해 한복의 아 름다움과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통일로 1번지
한국기록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