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ulsan

Page 1

Web Magazine for Korea Fine Art

2014

Vol. 10

9

www.nowart.kr A Review Magazine to highlight Artists in South Korea, Vol.10, September 2014

Special Edition


http://2014ulsan.nowart.kr

September 2014 vol. 10

Publisher Editor Design Date Adress

Park Il-cheol Shin Min-jeong NOWART korea 10 September 2014 715 Dosaniljuro, Dosanmyeon, TongYoeng, Kyungnam, South Korea

http://nowart.kr Š2014 by Artists and NowArt korea Tel. +82-10-3833-8096


2014 TECHNO IMAGENATION Smart on Face, art Ulsan 스마트 온 페이스, 아트 울산

2014. 9. 15 mon - 23 tue



스마트 온 페이스, 아트 울산

Smart on face, art Ulsan

<스마트 온 페이스, 아트 울산> 은 전문적인 의미와 영리함과 맵시 있는‘ 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미디어 아트, 즉 기술기반 창작의 탁월한 사례들을 통해 예 술가들이 현재를 어떻게 다층적으로 해석하는 지를 보여 주고자하는 기획으로 ‘첨단산업도시인 울산 에서 미디어 아티스트들이 우리가 알고 있는 기술적 대안들이 어떻게 새로운 현실로 생산 해내는지를 보 여주자 한다.

<Smart on face, Art Ulsan>, a concept that puts together ‘professional,’ ‘clever,’ and ‘smart,’ is planning that shows how artists interpret the present in a multi-layered way through excellent cases of technology-based creation, and intends to show how artists in Ulsan, ‘a city of high-tech industry,’ produce new realities from technological alternatives known to us.

‘새로운 매체예술’이란 뜻의 네오 미디어아트는 미디어의 일반적인 정의인 매스미디어 즉, 텔레비전 이나 신문, 영상 등 매체를 가리킨다. 미디어아트는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인 대중매체를 미술 에 도입함으로 대중에게 파급효과가 큰 의사소통 수 단인 영상·사진·텔레비전·비디오·컴퓨터 등의 형식을 빌리게 된다.

Neo-media art, which means ‘new media art,’ implies mass media, a general definition of media, that is, media such as TV, newspaper or image. The media art borrows the formats of image, picture, TV, video, computer, etc., which are means of communication that have great ripple effects on the public, as it introduces into art the mass media, which are the major means of modern communication.

특별전으로 울산의 문화유산인 반구대 암각화를 현 대적인 해석과 자료의 디지털화 같은 고전의 현대화 실험도 할뿐더러 새로운 의미의 미디어 영상을 소개 하는 의미 있는 전시는 울산 문화 도시에 ‘품격 높 은 현명함’으로 울산의 반구대 문화적 유산과 함 께 새로운 꿈과 비젼을 공유하는 즐거운 자리가 되 리라 본다. 스마트한 미디어 예술 세계와 인문적인 사고를 바탕 으로 울산의 지역 미술 영역을 넘어서 첨단 예술로 확장하고 미디어 작가발굴과 해외 교류 사업을 위한 글로벌네트워크 프로젝트를 지하며. 창의적인 실험 예술 장르를 계획하여 예술의 첨단성을 확보에 또한 큰 의미를 두어야 겠다. 이 전시에 참여하여 주신 작가에게 감사의 마음과 함께 울산에서의 새로운 기억의 깊은 자리를 만들기 를 기대 하며, 본 전시, 학술행사, 현대음악 바디페 인팅과 시민이 참여하는 시민체험 예술과 함께 울산 문화 축제의 장으로 즐거움을 경험하기를 바란다. 전시감독 김 결 수

It is supposed that the meaningful special exhibition of Ulsan’s cultural heritage Bangudae Petroglyphs, which introduces media images of new senses as well as conducts experiments in the modernization of classics such as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Bangudae Petroglyphs and the digitalization of their data, will be a happy occasion for sharing new dream and vision as well as the ‘elegant sagacity’ of Ulsan cultural city. The exhibition also has the implication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s the regional art of Ulsan into the state-of-the art on the basis of smart media art world and humanistic thinking, that it aims at a global network project for picking out media artists and realizing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and that it has secured the cutting edge of art through planning the creative experimental art genre.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is exhibition, and wish that they will have a meaningful occasion of new memory in Ulsan. In addition, I wish that this exhibition will be a joyful cultural festival of Ulsan, together with academic events, modern music body painting and citizens’ experience art. Exhibition Director Kim Kyul-soo


윤영화 Yun Young-hwa 빛, 영상 매체와 형식에 과도한 탐닉과 추구를 기반으로 한 동시대 미술의 제 경향들 속에서 미술은 실로 인간의 자기인식과 세계이해의 적 절한 소통언어가 될 수 있는가? 종교의 시대가 지나간 흔적 위에 미디어와 복제의 범람, 세속의 현란한 소용돌이 가운데서 ‘聖’과 ‘초월’의 개념은 아직도 유효한 것인가? 나는 성상과 십자가 상징 등의 종교적 도상을 회화에 극단적으로 적용한 1990년대 파리 체류기를 거쳐, 2000년 전후의 사진기반 작업으로 물고를 튼 ‘그리드(Grid)’연작을 필두로, 귀국 후 줄 곧 회화의 재해석으로서의 일련의 ‘photo-drawing & photopainting’에 이은 형식적 진화과정, 즉 ‘영상·빛 설치작업’ 으로 진입하였다. 나는 예술을 통해 인간실존의 궁극적 자유구현과 해방을 위하여, 회화와 사진, 영상, 설치 및 퍼포먼스 등, 형식적 접근방법의 다 양성을 토대로 그 외연의 확장을 기하면서, 차안(此岸)과 피안(彼 岸)의 삶을 긴밀히 연결 짓는 존재의 근원적 명제와 그 서사(敍 事)라는 드넓은 聖의 영역에서 맘껏 유영(遊泳)하고 싶은 것이다. I am expending the appearance by a way to approach to the typical basis such as paintings, photographs, videos, installments and performances through many artistic performances, in order to save the ultimate freedom achievement and independence of existence of human. Heritage - Fate? We who live and hugging the every unavailable heritages of the paradoxical and unreasonable age without any way to escape. Do you think is it possible to find out a piece of shinning light in the wheel of original? Or the piece of light came from universe where is so far away from here approaches and hugs us tightly? The modern art is not enough to provide an answer with a reliable ground. It’s diversely running as a crazy questioner. The only and one true reason that I have strayed around the art is ridiculously just the fact that I obsessed with. The waves come to me and are coming to me and overwhelm all of my gestures. -2012





이완승 Lee Wan-seung 이완승의 작업은 큰 양감의 부재, 비재현과 비제작이라는 특성을 지닙니다. 작업에서 사용되는 철편이나 돌 파편은 작가가 직접 가공한 것이 아니라 폐물로 버려져있던 두꺼운 철판을 프레스 커 팅기로 자르거나 폭파된 큰 바위덩어리의 파편을 공사장에서 주 은 것입니다. 이렇듯 이완승은 충격으로 인한 깨어짐과 부서짐을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키는 힘을 자연스레 소유하고 있고, 그의 예 술은 이러한 과격함을 통해서만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거 대한 충격의 순간, 산산이 부서진 파편들은 각기 다른 형태의 입 체들로 새롭게 탄생하게 됩니다. 부서진다는 뜻의 라틴어 ‘프락 투스’(fractus)에서 나온 프랙탈 구조를 닮은 수많은 입체들은 혼돈스러워 보이는 현상에서도 질서정연하게 반복되는 패턴, 즉 카오스 속에서 작은 다면체 모양 프랙탈의 연결고리를 형성합니 다. 이완승은 바로 카오스 속에서 나름의 독특한 질서를 잡아가 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박소영 (조형예술학 박사) Works by Wan-Seung LEE contain an atmosphere of absence of volume, non-representation and non-artificiality. Materials used in his work such as broken iron and stone residues are not handled by the artist but are just scraped from the spots where they were left over as useless garbages in the process of powerful cutting and demolition. LEE has an ability of changing powers of destruction and shattering into beauty, and I may say that his art exists through theses violent actions. At a moment of enormous impact, debris are reborn as completely different shapes. A Latin word ‘fractus’ means fracture and became the origin of ‘fractal structure’. Various shapes which resemble this structure compose an orderly repeating pattern in a seemingly chaotic phenomenon, that is to say, that they exist as connecting links as small multi-facet fractals in the chaos. LEE is working for setting an orderliness in this chaotic environment. So-Young PARK (Ph.D., Theory of Plastic Arts)





이이남 Lee Lee-nam 조춘도-보이지 않는 빛 작가는 명화 속 산수의 너머에는 어떠한 풍경이 있을지 궁금증을 품었다. 우리가 보고 있는 명화는 단편적인 이미지 이지만 디지 털기법을 통하여 산수의 이면을 다뤄보고 그 안에 뜻밖의 인물과 상황을 설정하여 작가만의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였다. 인간의 보이지 않는 부분, 너머의 환상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작 가의 세계관으로 초대하고자 하였다. Early Spring Views - Non-visible Lights The artist has a curiosity of what landscapes there are over the mountains and rivers in famous paintings. Noted paintings as we know show us one-eyed fixed images. But this artist, using digital techniques, tries to analyze different aspects of well-known landscape paintings and creates brand new spaces of in them installing unexpected figures and situations. The artist invites us to his own vision of the world, fulfilling fantasy which is not visible by human eyes.





이태희 Lee Tae-hee 작가의 근작은 세계지도가 서서히 눈에 의해 덮혀나가면서 결국 사 라지는 장면을 보여준다. 혹은 각국의 국기들이 온통 하얀 분말로 죄 다 뒤덮였다가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는 장면이다. 그것은 이미 존재 하는, 완강하게 국가라는 정체성 혹은 기표를 지닌 대상을 임의적이 고 자의적으로 해체하거나 분절시키는 은밀한 혁명적 전복이나 쾌감 을 동반한다. 고정되고 확정된 경계를 지운다는 의미이다. “본질적 으로 인간은 국지적 실재가 아니다. 특별한 나라에 살며, 특수한 문화, 특정한 종교, 서로 다른 국가와 국경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태희의 영상작업은 그 같은 장면/의미를 시간에 의해, 동사형으로, 진행형으로 보여준다. 그것은 가상 속에서 실현되는 기묘한 쾌감이 다. 조금씩, 느리게 화면을 다르게 변질시켜나가는 움직임, 힘을 느낀 다. 지도와 국기, 견고한 구분가 차별의 경계가 흰 눈에 의해 지워져 나가고 빗물에 의해 씻겨나가면서 온통 비시각적 존재로 바뀐다거나 다시 하나씩 살아나는 경과가 오버랩 되는, 이 기이한 시간의 착종과 멀미는 영상작업만의, 시간을 다루는 매력 속에서만 가능하다. 그래 서인지 작가는 비디오 아트에서 무엇보다도 ‘시간’을 중요시한다. 이태희 - 정체성과 시간에 대한 영상적 탐사’ 작품평론 중 미술평론가 박 영 택 (경기대학교 교수) Recent works of the artist deal with the images of world map over which snow covering slowly and melting down finally. Or they show us national flags which are all covered with white powder and reveal themselves slowly. In fact, a notion of nation is a result of modern thoughts. In case of Western Europe, nations which are established by political means have united people acting for the God. Nations and races were also artificial, historical or unnatural systems and concepts prepared for the specific necessity of times. They have insisted on the differences and distinctions driving people into the limitlessly competitive system. Think about the harsh struggles for the supremacy of nationalism, fascism and ethnic chauvinism, and think about rivalry among countries towards religion, myth and culture. It has been argued that those power were their identities. Imagery works by LEE shows those moments and meanings through the stream of time, by the style of verb and progressive form. They are odd satisfaction which are realized in unreality. I feel energy of movement and strength which slowly and slightly changes the image on a screen. Maps and flags, evident distintion and boundary are effaced by white snow and washed off by rain changing themselves into the overall invisible condition or reviving one after one. This overlapping of images, this strange delusion or dizziness are only possible with imagery works which deal with time and which is so attractive. Thus she mostly gives emphasis on ‘time’ in video art. Young-Taek PARK(Art Critic / Prof., Gyung-gi University)





이하우 Lee Ha-woo 영남대학교미술대학졸업(1980). 경주대학교대학원에서 ‘한국 선사암각화의 제의표현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 했다(2009). 지난 20여 년간 선사미술과 암각화연구를 위하여 몽골, 시베리 아, 알타이 등 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중 국, 호주의 암각화를 조사 연구하고 있다. 아울러 작가로서 3번 의 개인전(1987, Stone Totempol. 2001, Walking the RockSurround Uluru. 2005, Water, Overflow)과 260여 회의 그룹, 기획전에 참가하였다. 저서 1994 칠포마을 바위그림, 고문연. 1998 몽골의 岩刻畵(공저), 열화당. 2003 잃어버린 신화 바위문화, 민속원. 2008 알타이의 바위그림, 민속원. 2011 한국 암각화의 제의성, 학연문화사. 2013 암각화연구 기초자료의 검토-반구대암각화를 중심으로-, 한국암각화연구17. Born in 1956, Andong, South Korea Graduated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1980). Received a doctorate in literature by presenting a thesis “A study on ritual representation of Korea prehistory Petroglyph” from Gyeongju University(2009). Researching petroglyphs of North Asia, Central Asia such as Mongolia, Siberia, Altai and also researching petroglyphs of South-East Asia, China and Australia for 20 years for research of Prehistoric Art and Petroglyph. Held solo exhibition 3 times as a painter. (1987, Stone Totempol, 2001, Walking the Rock-Surround Uluru,, 2005, Water, Overflow)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 and special exhibition for 260 times. Written Books 1994, Petroglyhps of Chilpo-ri, gomunYeun. 1998, Petroglyhps of Mongolia, Youlhwadang. 2003, Lost mythology rock culture, Minsokwon. 2008, Petroglyhps of Altai, Minsokwon. 2011, 2011, Ritual representation of Korean Petroglyhps, Hagyon Munhwasa.





정진용 Jeong Jin-yong 정진용은 언어적 서사와 형상적 재현을 초월하는 대상 너머의 세 계에 대한 믿음과 감각적 체험의 실재성을 전제로 이질적인 사 회, 경제, 문화, 역사의 시공간이 뒤얽힌 대도시공간을 유영하듯 순례해왔다. 마치 손을 내밀며 다가가서 만지고 싶은 가상(假想) 을 펼치며 장엄함, 웅장함, 영예로움, 영적임, 신성함, 거룩함, 초 자연적이고, 초인적인 불가사의한 신비감과 같은 비가시적인 요 소들을 지금, 여기로 불러들인다. 그러나 정진용의 가상(假想)은 세계는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동질적이고 객관적인 진리값으 로서 여겨질 수 있도록 수의 형상으로 획일적으로 재현하고, 기 계적으로 복제하여, 일상의 범주로 모조리 불러들이는 소위 디 지털 가상과는 차별화된다. 오히려 그는 전방위에서 예측불허의 순간에 자신에게 시선을 던지며 다가온 대상과의 지극히 주관적 인 교감을 다양한 시점과 거리를 자유자재로 변용ㆍ구사하며 위 풍당당한 개별적인 사건들로 옮겨놓는다. 동시에 빛과 색이 어우 러진 화면은 화면의 사건을 특정지점과 거리에서 정면으로 독대( 獨對)할 때에만 유일하고 일회적인 사건으로서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감각적 체험을 공유하도록 한다. 조성지(미술비평/CSP111아트스페이스 아트디렉터) Jing-Yong JEONG has taken a pilgramagic attitude in order to reveal aspects of metropolitan city entangled with heterogenious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s. This attitude lies on a premise of the belief of a world considered to exist beyond lingistic description and visual representation or sensual experience. He invites us to invisible entities of solemnity, grandeur, honour, spirituality, sacred, holliness, divinity and to both supernatural and superhuman mystique at this moment and at this spot. Nevertheless, the unreal images presented by JEONG are different from the random digital images which can be regarded as homogeneous and objective reality and which may be depicted uniformly, and which gather everything into vernal category reproducing itself mechanically. But rather, he replaces the very subjective interaction with objects which come up to him from unexpected moments and direction into the very specific and solemn events freely changing distance and viewpoint. At the same time, images of light and color permits to share experiences which the artist wants to deliver only from a specific spot and distance, that is to say, from the exact frontality. Seong-Ji JO (Art Director, CSP111 Art Space)





최정유 Choi Jeong-yu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엔 기억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작은 물건 하나에도 그것을 지녔던 사람이나 그곳에 머물렀던 사 람의 체취와 기억이 남아있다. 한순간 스쳐 지나갔을지라도 어떤 형태와 의미로던지 그 사물의 구석 한켠에 희미하게 흔적으로나 마 그 찰나의 기억이 남아 있을 것이다. 의자에는 그곳에 머물렀 던 사람들의 이야기와 사연들이 남아 있을 것이고, 옷에는 그 옷 을 걸쳤던 사람의 체취와 꿈, 삶의 향기가 남아 있을 것이다. 사 랑하는 친구나 연인들이 어떤 장소에 들러 머물렀을 때 그 장소 에는 그들의 꿈과 사랑의 흔적이 남아 있을 것이고, 같이 거닐었 던 거리의 추억이 남아 있을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러한 의미를 담고 있고, 만들어 내고 표현하 는 글자나 기호를 이용해 구체적 형상을 만들고 우리가 익히 알 고 있는 사물의 겉모습 이면에 숨겨져 있는 사물에 대한 우리들 의 의식을 형상화하여 실연하고자 한다. There are shadows of remembrance over which everything existing in this world. And there remains odor or vestige of person who owned it or stayed there. However short the moment it was, there must be a memory of instance in whatsoever form and meaning in that small facet of a thing. There may remain stories and circumstances of people who used be sit on chairs. And there remain odors, dreams and scents of their lives inside of their clothes. And there might be vestiges of their dream and love on the certain places lovers stayed, and remembrances of street over which they walked with. For this exhibition, I want to make detailed forms which contain these kinds of meaning using expressive letters and symbols, and want to make our consciousness, which is hidden beneath common things, visually realized.





하광석 Ha Kwang-suk 시뮬라크르의 기억 전시장 가득 푸른색이 담겨있고, 심상치 않은 바람이 느껴진다. 바람에 따라 춤추듯이 일렁이는 나뭇잎의 그림자가 사방에 드리 워져 관객의 온몸을 둘러싸고 마음 깊숙한 곳의 서정을 떠올리 게 한다. 머리 위에는 새벽녘 하늘 사이로 둥근 달이 떠있다. 마 치 물속에서 수면 위에 비친 풍경을 바라보는 기분이다. 바닥에 는 특별한 제의식의 신비를 준비하는 도구처럼 푸른빛을 발하 는 투명한 유리수조가 잔잔한 움직임을 품은 채 놓여있다. 이것 은 작가가 마련한 시뮬라크르의 미혹 속이다. 현실과는 다르지 만 현실감을 지닌 가상현실, 실재가 아닌 파생 실재로 대체된 인 위적인 풍경을 하나의 사건으로 펼쳐놓은 관객의 환경이다. 이 사건‘Reality-Illusion’는 관객의 방문과 몰입 상황을 염두에 두고 설계한 것이며, ‘허상’에 관한 작가의 기억 혹은 질문의 공유이기도 하다. ‘Reality-Ilusion’은 실재의 ‘부재’를 질문한다. 원본에 해 당하는 모델은 어디에도 없으며, 영상매체에 의해 복제되어 바 닥의 수면에 투사된 그림자 영상이 이 공간에서는 첫 모델이 된 다. 진리와 삶을 둘러싼 인간의 근원적인 질문을 가시화하려는 작가는 인류의 오랜 기억들을 결핍 혹은 부재와 역동적인 그림 자의 관계로 재생하면서 우리가 잊어버리고 있을지도 모르는 ‘ 실체’에 대하여 언급하려한다. 전시기획 정 종 구 Memory of Simulacre We see green filing all in the gallery and fill some strange wind. Shadows of leaves which are dancing as wind blows cover all around the space, and make spectators remember deep lyrics surrounding their bodies. Above them there is the full moon in the early sky. It looks like a landscape overcasting on the surface of water. On the floor there is a transparent glass water tank showing placidity, as an implement for some special mysterious ritual. This is an obvious delusion of simulacre offered by the artist. As a different with reality but a virtual reality of the real, and as a derivation of reality of artificial landscape and an accidental circumstance which is spreaded in front of spectators. This happening, the ‘realty-illusion’, is designed keeping in mind of visiting and thoughts of spectator, and is both memory and question which the artist has about ‘illusiveness’. ‘Reality-Illusion’ is questioning of ‘absence’ of realty. There does not exist any model of the original, only projected images which reproduced by an image mechanism become the first model. The artist trying to visualize the fundament curiosity on truth of life, talks about the ‘substantial’ which we might forget by reproducing a relation between oldest memories of mankind and absence or dynamic movement of shadow. Jong-Gu JEONG (Art Director)





한 호 Han Ho 마음의 눈으로 하늘을 바라보다. 한호의 작품은 두가지 방향으로 펼쳐지는데 그 방향은 서로 상반 되지 않는다. 그 주제는 땅, 흙, 역사, 인간에 대한 이야기로 발전 된다. 그러나 그럴수 있는 이유는, 초기 근원으로의 귀환을 끊임 없이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근원이란 유럽식 우주관인 태 양광이 아니라, 제2의 천체관, 반사하여 빛나지만 동시에 어둠을 밝히는 존재, 동양 싯구에서 우주의 중심으로 표현 되는 것, 그것 은 바로 ‘달’이다. 한호는 빛을 선택함에 있어서 맹목적인 근원의 의미가 아닌 영 감의 원천으로생각한다. 그래서 달은 우리에게하늘로 향하는 방 향을 제시해주기 위하여 작품속에 존재한다. 한호는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 되고 우리는 그를 통해 다시 고 개를 들어 하늘을 바라보게되는 것이다. 쟝-루이 뿌아트방 (Jean-Louis Poitevin) Looking at the Sky with Eyes of Mind Works by Ho HAN are directing in two ways but they do not contrast each other. Their themes are upgrading toward the story of ground, soil, history and mankind. The reason of such is that the artist tries coming back to the earliest fundamental constantly. That fundamental is not the sunlight in a sense of European thought, but is the light which is reflected and brights darkness, that is ‘the mo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center of universe in the oriental poems. Ho HAN deals with lights not in a sense of meaningless fundamentality but as an origin of inspiration. Thus, the moon exists in his works as a method of showing us a way to the sky. He himself becomes fingers pointing the moon, and so we look upward to see the sky by his action. Jean-Louis Poitevin





FARID RAHIMI 무지개 본 작품은 꽃과 식물이 어우러진 연못에 피어나는 아름다운 무지 개를 3D 프로그램으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이 신비한 인공적인 무지개를 카메라 시점이 그 중심을 회전하며 부분적 특징들을 관객에게 보이도록 만들었습니다. 자연에 대한 새로운 매체로의 재해석이 바로 이 영상 작업이 표 현하고픈 미의 방식입니다. 또한 현재 사용되어지는 첨단 3D 프 로그램으로 차가운 기술이라는 인식을 버리고 오히려 더 환상적 이고 따스한 표현을 하는 것이 저의 의도이기도 합니다. 기술은 인간을 위하여 그리고 예술가를 위하여 쓰여 져야 합니다. 이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생긴 기술적인 결함이나 불완전한 표 현 방식은 이 작업의 한계를 넘어 더욱 자연스럽게 자연을 드러 내는 방법이 되었습니다. Rainbow This work expresses a beautiful rainbow hanging on a pond, in which flowers and plants harmonized with each other, using a 3D program. It was produced in such a way that the viewpoint of the camera shows the partial characteristics of this mysterious artificial rainbow, revolving around its center. The reinterpretation of nature into a new media is the very mode of beauty that this visual work wishes to express. Further, it is my intention to give more fantastic and warm expression, throwing away the perception that the stateof-the-art 3D program currently used is cold technology. Technology should be used for the sake of human beings and for the sake of artists. Technical defects or incomplete modes of expression, which occurred in the course of this work, have become methods for revealing nature more naturally, exceeding the limits of this work.





TODD HOLOUBECK A natural sense of curiosity and wonder about our world, and how it works in relation to who we are and how we move through this world establishes a scenario wherein without human presence to create a context, there is an absence of content and meaning. This viewpoint, somewhat empirical in nature, denotes that, without a conscious mind to observe and interpret phenomena, no phenomena exists. In the absence of data, our minds process a natural desire and ability to fill the void. The contents we place in this void provide information about ourselves. With a clear mind, we can review the contents and construct a picture of who and what we are. Creatively deploying the void(s) in interactive or participatory works is where the artist enables the user to become the content. It is in the user.s mind that context for the work is created and their participation or interaction becomes the message. Regardless of how much or how little the user interacts with the work, a message is conveyed. This is because it is the interaction on the part of the user creating the content. Calling upon the user.s imagination, sense of wonder, and curiosity is not enough. It is the role of the artist to act as a guide for the user. The artist provides a basic structure, a set of rules. in turn, the user then becomes an integral part of the process by which their actions create a wholly exclusive experience for each participant. This process relies on the individuality of each user. This individuality is derived from the users past life experiences. they are ?he sum of their memories? It is in this fact alone that the user is ensured an unprecedented experience. We see this in the five works here. Whether it is rearranging the Everybody Wins tiles creating a new pattern. generating a fresh composition with the Music Table. or projecting our own details and memories on the generalized Hermetically Sealed objects, we are creat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rules set forth by the artist. This takes on a most literal interpretation with Get Into My Head where the user is asked to wear an oversized model of the artists head and finds a piece of the artist past inside. The most powerful perhaps, is the experience generated by Safe Place wherein the user is positioned in a corner, disciplined, and isolated then treated to hypersonic audio, which only the user can hear, of a maternal voice pouring love and affection over the user. This is a private moment in a public space requiring the user.s personal memories and feelings regarding their own maternal figures. It is each users sui generis reactions that determines the context and the content of their experience. Holoubek’s works employ the users natural sense of curiosity and wonder. These works are effective for both the pro active participant, and the passive user preferring to stand back and observe. He provides a simple structure. The users actions revolve around this set of rules, allowing appreciation from infinite views and dimensions as a digestible, one of a kind experience.





http://2014ulsan.nowart.kr



http://goo.gl/2LNsGi

http://goo.gl/x9WEVv

http://goo.gl/kfHuHl

http://goo.gl/zkdTTf

http://goo.gl/vPfqSV

http://goo.gl/9g5kNb

http://goo.gl/vQlwun

http://goo.gl/XWNHge

전자도록, SNS로 날려 주세요! 미술포털 나우아트는 SNS 시대에 부응하여 작가님들의 작품세계와 전시 소식을 알릴 수 있는 전시도록을 전자도록으로 제작해드립니다. 도록 인 쇄는 일반 도록형태로하며, 웹매거진으로 인터넷에 올릴 수도 있습니다. 인쇄도록과 웹 매거진을 동시에 잡아드립니다.

전자도록의 특징 1.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전자 도록을 볼 수 있습니다. 2. ISSUU 앱을 통해 전 세계에 무료 로 배포됩니다. 2. 문자, 카톡, 페이스북, 트위트를 통해 공유할 수 있습니다. 3, 한글 영문/영문.한글 병행으로 국 내 및 전 세계에 홍보합니다. 4. 인쇄본 출력은 도록형태 또는 웹 매거진 형태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5. 지역을 초월한 홍보, 저렴한 홍보 문의 010-3833-8096


http://goo.gl/oXaPkX

http://goo.gl/cZceWH

http://goo.gl/JLwdBx

http://goo.gl/wjUEEC

http://goo.gl/Gpak8E

http://goo.gl/gkpyfl

http://goo.gl/YSA2G4

http://goo.gl/Y3sKUT

NowArt Korea 월간 웹 매거진, 창간호 발행 ! 미술포털 나우아트는 SNS 시대에 부응하여 작가님들의 작품세계와 전시 소식을 알릴 수 있는 웹매거진 ‘NowArt Korea’를 2015년1월부터 매월 정 기적으로 발행하여 전 세계인이 보는 전자도록 사이트 ISSUU.COM을 통 해 무료로 배포하며 보관용 인쇄본도 발행합니다.

웹 매거진 NowArt의 특징 1.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웹 메거진을 볼 수 있습니다. 2. ISSUU 앱을 통해 전 세계에 무료 로 배포됩니다. 2. 문자, 카톡, 페이스북, 트위트를 통해 공유할 수 있습니다. 3, 한글 영문/영문.한글 병행으로 국 내 및 전 세계에 홍보합니다. 4. 인쇄본 출력으로 보관용 잡지를 발송해 드립니다. 5. 지역을 초월한 홍보, 저렴한 홍보 문의 010-3833-8096

www.nowart.kr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