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629c3deca4d8a5187e43d9b6243276d5.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ec2d8de240d0b1a1bc13bf6c7de0649b.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acc3e19209f392237bd02e6aefb3ff62.jpeg)
“민족문화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033807ac0e52032c7b3b1f3472176878.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85b88f50ccc4015c41a646f7a93d4099.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a2b57bcda72b214a975210ba72747a68.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2eb9ff58aa6ce4be60ac411d6eeeae0f.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77f897abf4d5f24cc81d0c42ffdc1d8f.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03e7bc55cbb975b3dfd55808ac5003d3.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6a7ad99497112e35a00f5ae4c31ea102.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03e7bc55cbb975b3dfd55808ac5003d3.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fbdafa9c75687eb73a590455b36a6ee8.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7f3e1aa6b5d91f2351e7b0f14ef52e9a.jpeg)
Ryan Park 외 6명의
Kate Kim
피영
은 김미경 씨의 영남교방청춤과
안명순 씨 외 2명의 기원무가 수상
의 영예를 차지했다.
이날 주최측 김천수 뉴욕한국
문화원장은 시상식에서“한국문
화는 5천 년의 유구한 역사를 거쳐
발전해 왔고, 오늘날 전 세계인이
함께 즐기고 사랑하는 문화로 자
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K-팝, K-
푸드, K-드라마, 한글, 태권도 등
‘K’로 대표되는 다양한 한국문화
가 이제는‘K-라이프 스타일’로
확대되어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그들의 일상생활 속으로 스며들고
있다. 오랜 세월에 걸쳐 전승된 국
악과 같은 한국의 전통문화는 다
양한 한국문화의 뿌리이자 정체성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d1203dea601829c5bfa57e030fa1e6c4.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ee1df344312cca11a808f4054f46ce19.jpeg)
을 담고 있는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고리임”을
강조하고,“앞으로도 세계한국국
악경연대회는 한국의 우수한 무형
문화인 국악을 더욱더 계승 발전
시켜 세계적인 국악 저변확대에
기여할 뿐 아니라, 자라나는 미국
현지 후손들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심어 주는 중요한 역할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6d0529ef69b1cf781fa3b4f643093927.jpeg)
을 반드시 해 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미주한국국악진흥회 이 경로 회장은“미주한국국악진흥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72d0038a749e0d5cc4ebaea4c91c4a69.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7de9f3a49f4a2b46d6e14c38a3fd8429.jpeg)
취지에 공감하며 동참하고 있 다. 이에 힘 입어 경연대회 참가자 들의 기량 또한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매우 고무적 일이다”라고 밝 히고, 세계 속에 국악인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고, 더 많은 차세대 국악인들이 발굴될 수 있도록 미주한인동포사회는 물 론, 750만 재외동포사회 지도층 인 사들의 각별한 관심과 동참”을 촉 구했다.
이날 경연대회 심사위원장은 이경하 전 커네티컷한인회장이 맡 았다. 대회 심사는 공정성과 전문 성을 담보하기 위해 한국에서 특 별히 초청된 6명의 전문 국악인들 이 맡았다. 6명의 전문 국악인은 △김묘 선-국가무형유산 승무 전승교육 사 및 살풀이춤 이수자 & 사단법 인 우봉이매방춤보존회 이사장 △ 송재용-전주대사슴놀이 장원 대 통령상 수상 & 전북도립국악원 판소리 교수 및 창극단장 △최은 정-전국무용제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713d4eac97ebe120ffbe876c2d3948b9.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56ddcececf7fef0ef6099121e9f0a5ac.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3c1c924fe49e214ee7dbe67332fc15ab.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bb5d6a38250ca313ddf3fbf1d45fdca4.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c8dd815d46a29707bc81462a1c07ec6a.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04e5365406deca7d6490a0d71ae9feb8.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e4191facc9867a516f094e82dc82babc.jpeg)
대뉴욕지구한인원로목사회는 6월 27일(목) 퀸즈에 있는 앨리폰드 공원에서
원로목사 50여명이 참석했다. [사진 제공=21희망재단]
이사들과 사 모님들에게 감사드린다”며“오늘 한인사회의 어려운 분들을 돕기
헌금액 을 21희망재단에 전달했다.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30366e34b9d35a657ab097caf437576d.jpeg)
변종덕이사장은“1970년 에 이민 와 당시 원로목사들이 많 은 도움과 정신적 지주역할을 해 둔 것이 생각난다. 오늘 원로목사 들을 초청하여 식사와 선물을 제 공할 수 있어 하나님께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bf68639fefdb3a20f0623c463c2e7631.jpeg)
한미경찰자문위원회, 이우혁 커네티컷지회장에 임명장 전달
패밀리터치,‘스트레스·분노관리’온라인
패밀리터치(원장 정정숙)가 7
월 15일부터 9월 24일까지 매주 월
요일 오전 10시 줌(ZOOM)으로 ‘스트레스·분노관리 세미나’를 개최한다. 강사는 원장 정정숙 박
사로“우리의 일상의 삶 속에서
겪는 다양한 스트레스와 분노를 관리하며 긍정적인 감정을 향상 시켜 내적으로 건강한 자아를 만 드는 경험을 할 수 있다“며 많은 한인들의 참여를 당부했다. 화상 프로그램 줌으로 진행되
는 이번 세미나는는 9월 2일을 제 외하고 8주 동안 매주 월요일 실 시된다. 참가비는 1인당 150달러 와 교재비 20달러. △ 등록 문의: 201-242-4422 info@familytouchusa.or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3e5d8a77e227c7189ed4223881703c18.jpeg)
재미한국학교 동북부협의회 (회장 설지안)가 주관하는 제 77 회 교사연수회가 6월 29일(월) 뉴 저지 한소망교회에서 개최됐다. 연수회에서 주뉴욕총영사관 임수용 영사의 축사가 있었고, 기 조 강연을 맡은 박길재 교육학 박 사를 비롯한 각 한국학교의 교사, 동북부 협의회 집행부 임원, 한국 학교 관계자 등 150여 명이 모인 가운데‘미래를 위한 발전적인 교 육 방안’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뉴저지 한국학교 최지민 교사는 ‘학교에서의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c48002f1b00fb111fc9268c23bce3cd7.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fffb56f6cd8516a73b76c6300aaefd8f.jpeg)
9월부터 새로 시작
뉴욕가정상담소(소장: 이지 혜) 청소년 리더십 프로그램
YCPT(Youth Community
Project Team, YCPT) 참여 학생
들이 지난 1년간의 활동을 마무리 하고 6월 28일(금) 오후 5시 뉴욕가정상담소 교육센터 (154-19 Northern Blvd. 2F3 Flushing NY 11354)에서 졸업식 을 개최했다.
청소년리 더십 프로그램 (YCPT)은 가정폭력 성폭력, 아 동학대 방지 및 더 나아가 청소년
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트 폭력, 이 민자 차별 및 환경 문제 등 지역사 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청소 년들이 주축이 되어 개선을 추진 하는 뉴욕가정상담소 프로그램이 다. 이 활동은 매주 금요일 오후 약 40명 내외의 뉴욕시 및 롱아일랜 드 지역 고등학교 청소년들의 자 발적인 참여로 진행되며, 지역사 회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이슈 에 대하여 토론하고, 대안을 고민 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이번 졸업식은 작년 9월부터 시작되어 1년 동안 진행한 YCPT
활동을 마무리하는 자리로, 지난 1년 간의 소회를 나누며 YCPT 학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8c1326007a72b67d0dfd1b98f4b25686.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4cb082b2424b227edbaf7c7211a0b446.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dd779f111d34f8ed0ca17443a57eb681.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314bc210a218f085cab443bd4776c059.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702042349-3612cff0f949a0ddeb87ae46ea0b8881/v1/ab56319238cb60fa86aadc8d6b082e02.jp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