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ies Archive Pavlina Mladenova
Space Beam Community Baedari Pro_ject & Pro_posal Inchon, South Korea 2011
Families Archive Space Beam Community Baedari Pro_ject & Pro_posal 2011
가족 아카이브 스페이스빔 Baedari Pro_ject & Pro_posal 2011
Author: Pavlina Mladenova (Bulgaria)
저자: 파블리나 믈레데노바 (불가리아)
Director: Min Woongi (South Korea) Photo Camera: Pavlina Mladenova (Bulgaria) Yeon Sun Jang (South Korea) Administrative Support: Yeon Sun Jang (South Korea) yiyagi (South Korea) Minjeong Park (South Korea) Translation: Yeon Sun Jang (South Korea) Minjeong Park (South Korea) Publisher: Trak Books Designer: Pavlina Mladenova Acknowledgments Thanks to Min Woongi, Yeon Sun Jang, yiyagi, Minjeong Park, Park Cha Yeong, Jongbok Lee; all Space Beam staff; Space Beam resident artists Emilija Skarnulyte, Sabina Grasso, Lotus Park, Lee Wook; my friends all around the world and my family in Bulgaria for the their support. Space Beam Community 7, Changyoung-Dong, Dong-Gu 401-802 Incheon, South Korea http://spacebeam.cafe24.com/ http://www.spacebeam.net spacebeam@hanmail.com 032 422 8630
기획: 민운기 (한국) 사진: 파블리나 믈라데노바 (불가리아) 장연선 (한국) 행정지원: 장연선 (한국) 이야기 (한국) 박민정 (한국) 통역: 장연선 (한국) 박민정 (한국) 발행자: Trak Books 디자이너: 파블리나 믈레데노바 감사의 말 민운기, 장연선, 이야기, 박민정, 박차 영, 이종복, 스페이스 빔 스태프들과 입 주작가들(에밀리아 케놀라이트, 사비 나 그라소, 박혜련, 이욱)과 세계 곳곳 에 있는 나의 친구들 그리고 불가리아 에 있는 가족과 그들의 응원에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스페이스빔 인천 동구 창영동 7 한국 401-802 http://spacebeam.cafe24.com http://www.spacebeam.net spacebeam@hanmail.com 032 422 8630
Families Archive
가족 아카이브 3
Project Summery “Families Archive” is a research-based community art project whose main outcomes are presented in a sketchbook with a collection of hand-written interviews with Baedary locals about their family and family archive pictures. “Families Archive” includes short hand-written interviews with 50 Baedari citizens, who share basic clues about their families and curious personal information with data and images. This information is presented as a collage in a way where the written words correspond with the portrait of the interviewee and the archive family pictures. The project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st and October 5th 2011. The project deals with the ‘family’ as a basic unit of the society, emphasizing its meaning for the local culture cultivation and preservation. The participants in the project were provoked to share memories and tell stories about their families which could later easily be rebuilt as a puzzle by the book holders. “Families Archive” stresses the interaction between Baedari locals and Space Beam community as a vivid local art representative in order to defend common cultur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in Baedari by the language of art. The project “Families archive” was developed within the Art Residency Program at Space Beam in the frame of Baedari Pro-ject & Pro_posal, Incheon, South Korea.
프로젝트 요약 <가족 아카이브> 프로젝트는 <배다리 프로젝트 & 제안 (Baedari pro_ject & pro_posal)>이라 는 주제하에 스페이스빔 레지던시 동안 전개되었다. <가족 아카이브>는 사회(지역)의 기본 구성단위인 ‘가족’을 다루는 장소 특정형 지역 예술 프로 젝트 리서치로 지역문화의 배양과 보존의 의미를 강조한다. 이 프로젝트는 각 개인의 이미지와 그들의 가족 환경자료와 사진 간에 연관성으로는 확실히 알 수 없는 가족사의 재현과정을 살펴 본다. <가족 아카이브>는 배다리 주민과 활발한 지역 예술 대표자인 스페이스빔 간의 상호 소 통을 확고히 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이 활동은 예술이라는 언어를 통해 배다리에 대중문화와 정치, 경제적 관심들을 지키고자 한다. <가족 아카이브>는 기본적인 가족정보와 가족사진 그리고 흥미로운 개인적 정보를 공유한 배 다리 주민 50명의 짧은 서면 인터뷰를 포함한다. 서면에 기재 된 정보는 인터뷰대상자의 개인 사진과 그들 가족의 이미지와 일치하며 이 정보는 앨범에 수록되었다. <가족 아카이브> 프로 젝트는 2011년 9월 1일부터 10월 5일 사이 진행되었다.
5
6
7
8
9
Photography As An Archive Tool “Families archive” presents the pictorial history of Baedari families in a journal or diary and reaches people on a level that they have been familiar with since their childhood. “Families archive” is organized in a way that it has become many things to many people. As a photo journal it shares family’s experiences, travels and friends. As a photo diary it shares family’s accomplishments and heartaches, the unseen and iconic moments of everyday life.
10
아카이브 도구로서의 사진
<가족 아카이브>는 잡지나 일기에서 사진으로 볼 수 있는 배다리 가족사를 소개한다. 이것은 아카이브에 소개 된 이들과 유년시절이래로 유사한 환경에 있는 사람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 키며 다가간다. <가족 아카이브>는 이것이 많은 이들에게 많은 것들이 되어가는 것과 같은 방 법 하에 계획되었다. 사진잡지로서 <가족 아카이브>는 가족의 경험과 여행, 친구 등을 함께 나 누며, 사진일기로서 <가족 아카이브>는 가족의 업적과 괴로움, 일상생활에서 눈에 보이지 않 는 상징적인 순간들을 함께 나눈다.
11
Family Is An Object Of Importance The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Korean life. In Confucian tradition, the father is the head of the family and he has a main responsibility to the family members. The eldest son has special duties: first to his parents, then to his brothers from older to younger, then to his sons, then to his wife, and lastly to his daughters. Family welfare is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needs of the individual. Members of the family are tied to each other because the actions of one family member reflect on the rest of the family. In many cases the family register can trace a family’s history, through male ancestors, for over 500 years.
한국사람들의 삶에 있어 가족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유교적 전통에서 아버지는 가족의 수 장으로 가족 구성원들에 대해 중요한 책임을 갖는다. 장남은 특별한 책임을 갖는데, 첫째로 부 모님, 둘째로 나이 순서의 남자형제들, 셋째로 그의 아들, 넷째로 그의 아내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여자형제들에 대한 책임이 그것이다. 가족의 안녕이 개개인이 필요로 하는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 묶여 있다. 그 이유는 가족 한 구성원의 행동이 다른 가족들에 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다수의 경우에서 남자조상을 따른 호적이 500년 이상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2
가족은 중요한 대상이다
Baedari Pro_ject & Pro_posal Process, Incheon, South Korea, 2011
파블리나 믈라데노바는 불가리아 출신의 다문학적인 예술 연구자이자 독립 큐레이터이다. 믈레데노바는 스페이 스빔 레지던스(한국,2011), 경기창작센터 레지던스(한국,2010-2011), UNIDEE 치타델라르떼 피스톨레토 재단 레지던스 (이탈리아,2008) 등 여러 기관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여작가로 선정되었으며 불가리아 경제대 박사 펠루우쉽 (2004-2008)에 선정 된 바 있다. 그녀의 예술 리서치 프로젝트 가운데는 <고추 드로잉 (한국, 2011)>, < 가족 아카이브 (한국, 2011)>, <첫 번째 접촉 (한국, 2010-2011), <단어 (재)연구 (이탈리아, 2008)>, <예술을 위한 소통 마케팅 (이탈리아, 2008)> 등이 있다. 믈라데노바는 플로브디브 박물관 미술관의 밤을 위한 큐레토리얼 프 로젝트 (불가리아,2011), 보-페스트 비디오 페스티벌 (우크라이나,2011), 아테네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그리스, 2011), 에스프레소니 행위예술 영화 페스티벌 2010 (이탈리아,2011)을 비롯한 다수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그녀 는 또한 게오르기 벨체브 미술관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근무하였고 2006년, 2008년 8월 아트 비엔날레에 큐레토리얼 어시스턴트와 바르나 경제대학에서 강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그녀는 국내외 프로젝트 및 전시를 준 비 중이며 국내외 예술관련 출판물에 기사와 에세이를 기고하고 있다. 그녀는 2008년부터 시작한 불가리아 바르 나 비디오홀리카 페스티벌의 공동 창립자이자 공동 기획자이며 공동 큐레이터이다.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