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출
문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장 귀하
본 보고서는 2006년 11월 24일 제출한 ‘U-Eco City 사업단’의 구 보고서를 보완하여 제출하는 최종보고서 입니다.
사전기획연
2007. 7. 13
연구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 장 : 정 낙 형
■ 총괄연구책임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 연구원 협동연구책임자 / 한 국 토 지 공 사 책임 연구원
조 동 우 한 형 근
■ 연 구 참 여 자 / 주관연구기관(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 위원 김 긍 환, 수석연구원 수석연구원 박 흥 석, 수석연구원 수석연구원 김 현 수, 수석연구원 수석연구원 구 지 희, 선임연구원 선임연구원 김 주 형, 수석연구원 선임연구원 나 준 엽, 선임연구원 연 구 원 유 정 연, 연 구 원 연 구 원 김 태 훈, 연 구 원
송 박 조 안 황 정 권 이
호 재 혜 홍 인 재 민 상
면, 로, 진, 규, 주, 형, 규, 훈,
수석연구원 수석연구원 수석연구원 선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연 구 원 연 구 원
오 이 강 이 김 유 이 남
현 윤 재 건 태 기 재 상
제 규 식 호 형 형 혁 관
협동연구기관(한국토지공사) 책임연구원 김 상 욱, 책임연구원 이 은 엽, 책임연구원 강 명 수 책임연구원 정 연 우, 책임연구원 김 영 진, 책임연구원 진 규 남 기획위원회 및 전문위원회 박종복, 이기완, 김은형, 장성주, 김정훈, 류중석, 박환용, 송준화, 송영배, 유창균, 박규홍, 송인식, 김갑득, 김성종, 고경철, 박중수, 유지용, 정창무, 김 억, 손영석, 박경수, 노현국
편무욱, 임상채, 윤재신, 고일두, 제해성,
홍상기, 최봉문, 이승은, 임윤택, 조병완,
홍지만, 이태현, 황혜주, 오양기, 신상철,
이상호 이우균 곽효경 조 수 고경철
요 약 문
Ⅰ. 제 목 “U-Eco City 사업단 사전기획 연구”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o
국민들의 생활수준과 삶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아지면서 첨단 기술을 도시에 도입함으로써 생활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자연과 공생하는 도시환경에 대한 요구가 확대
o
유비쿼터스 환경과 친환경 도시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높은 단계에 달해 있으 나, 민간이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의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고 국지적임.
이에
국가적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실제적인 기술 구현을 위해서는 공공주도 하에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며, 기술 경쟁력의 실제 주체가 되는 민간 부문의 참여를 유도하여 기술을 개발하도록 하고, 나아가 민간 부문 스스로 발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함 o
최첨단 IT 기술이 융합된 U-Eco City는 다가오는 미래도시의 유력한 대안으로, 미래도시 건설 기술 확보와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사업임
o
U-Eco City 구축을 통해 성취될 수 있는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비전 제시 필요
o
U-Eco City 연구개발사업은 본질적으로 국가적 차원의 대규모 사업단 과제이 므로 목표지향적인 사업계획 및 추진 전략의 수립이 필요함
o
사업단의 연구목표와 핵심과제 연구내용 및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 로 사업단장 및 사업단 과제를 공모하기 위한 RFP를 작성함
- i -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o
U-Eco City 사업의 배경 및 기술동향 분석
U-Eco City 의 연구개발의 배경과 국내외 기술동향 및 사례 분석
U-Eco City 구축을 위한 복합 건설기술에 관한 동향 분석
o
국내외 정책/기술/인프라/시장/R&D 투자현황 등 환경분석
국내외 정책․시장현황 및 전망, 관련 인프라 현황, 정책/시장/인프라 등의 현황 분석
o
U-Eco City 사업단 과제의 최종 연구목표 및 범위 설정
최종 연구목표 및 성과물 제시하고 과제의 연구범위 설정하는데, 이는 직 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을 중심으로 목표와 범위를 설정
o
U-Eco City 핵심과제와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기술 도출
U-Eco City사업을 위해 주요 핵심과제를 도출하고, 세부기술을 우선순위 별로 선정하며, 핵심과제간의 연계성과 통합성을 검토하여 현장적용 가능 성이 높은 실용화 기술을 도출
o
연구 추진전략 수립
핵심과제와 세부기술별로 국내외 환경을 토대로 하여, 사업단 컨소시엄 형 태 등 추진체계, 연구역량 확보 방안 제시, 시범사업(Test Bed 구축) 등 사 업화 방안 제시, 기타 추진시 고려사항 등을 수립
o
사업단장 공모 RFP 작성 및 평가기준 설정
향후 사업단을 이끌어가는 사업단장 자격 요건, 사업단장 평가기준, 사업단 장의 책임과 권한 등을 정량적으로 평가․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
- ii -
Ⅳ. 연구개발결과 요약 사업단명 사업단 비전 및 목표
U-Eco City 사업단 국가 핵심 성장 동력으로 성장 발전가능한 세계적인 명품도시 건설
U-Eco City의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 및 친환경기술이 도시공간에 융 정의
합된 지속가능한 미래도시 - 정보통신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지능형 도시
사업단 성과 목표
- 공공서비스가 기능적으로 복합화되어 제공되는 편리한 도시 - 쾌적하고 즐거운 삶이 보장되는 건강한 도시 - 도시 통합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안전한 도시 - 생태적 친환경 도시 - U-Eco City Test Bed 구축에 의한 기술개발 선투자를 통해 민간분야가 참여하는
사업단 추진전략
세계적인 기술 개발 - 타 부처 원천기술 활용을 통해 실현가능한 U-Eco City 기술개발 - 개발된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체계 확립
핵심과제명
목표
세부기술
U-City 미래 도시상과 공간구 미래도시 전략
조를 예측하고, 이를 효율적으
및 U-City
로 구현하기 위한 계획 및 설
지원정책
계 기술, 중장기 전략 그리고 U-City 지원 정책 모색
- U-City 미래 사회상과 미래 공간 - U-City 공간구조 변화예측과 바람직한 공간구조 모델 -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술 개발 - 효율적인 구현을 위한 중장기 전략 - U-City 지원정책
U-City
U-City의 기반 인프라 구축
- U-City 인프라 구축 및 활용기술
인프라
및 통합운영을 위한 건설-IT
- 도시통합운영센터 관련기술 개발
융복합 실용화 기술 개발
- U-City구현을 위한 핵심전략기술 제품화
U-융합기술을 적용한 도시공
- U-City 조성을 위한 융복합 건설기준
간 구축을 통하여 U-City 웰
- 공공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기술개발
빙 라이프 구현
- 민간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기술개발
환경파괴를 수반하는 기존 도
- 환경생태정보 구축기술 개발
시건설 기술을 대체할 수 있
- 3차원 도시환경계획기법 및 평가기술 개발
는 생태적 도시공간 조성 기
- 유비쿼터스 물순환시스템 개발
술 개발
- Eco-Road 조성기술 개발
구현기술
U-Space 구축 기술
U-based Eco Space 구축 기술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핵심과제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 - Test Bed용 적용기술선정 및 운용방안 하여 Test Bed에 적용하여 최 - Test Bed 건설관리 프로세스 구축 고 수준의 U-Eco City 건설을 - Pilot Project 적용 및 적합성 평가 추진
- Test Bed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 iii -
<차 제 1 장 1.1
례>
U-Eco City 사전기획 연구의 필요성 ························1
U-Eco City 사업의 추진 필요성 ·····································································1
1.2 사전기획 연구 목표 및 내용 ·············································································2 1.3 연구 추진전략 및 방법 ·······················································································5
제 2 장 2.1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7
U-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7
2.1.1
국내 U-City 관련 기술의 현황 ··································································7
2.1.2
국외 U-City 관련 기술의 현황 ································································38
2.1.3
U-City 관련 정부지원정책 현황 ······························································54
2.1.4
U-City 관련 특허동향 분석 ······································································88
2.1.5
국내외 U-City 관련 여건변화와 시장전망 ············································91
2.2.
Eco-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100
2.2.1
국내 Eco-City 관련 기술의 현황 ···························································100
2.2.2
국외 Eco-City 관련 기술의 현황 ···························································111
2.2.3
Eco-City 관련 정부 정책 현황 ·······························································115
2.2.4 Eco-City 관련 특허동향 분석 ·································································119 2.2.5 2.3
국내외 Eco-City 관련 여건변화 및 시장전망 ·····································125
U-Eco City 기술경쟁력 분석 ·······································································128
2.4 핵심과제 도출 ···································································································130 2.4.1
U-Eco City 추진현황 ···············································································130
2.4.2
핵심과제의 도출 ·························································································135
2.4.3
U-Eco City 관련 개선항목 도출 및 기대효과 ···································142
제 3 장
U-Eco City 사업단의 비전 및 목표 ·····················149
3.1
U-Eco City 사업단의 비전 및 목표 ···························································149
3.2
U-Eco City 기술개발 방향 ···········································································154
- iv -
3.3
U-Eco City 사업단 추진전략 ·······································································156
3.4 U-Eco City Test Bed 구축방안 ··································································158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167
4.1 핵심과제 개요 ···································································································167 4.2 핵심과제 추진 로드맵 ·····················································································168 4.3 핵심과제별 세부계획 ·······················································································170
제 5 장
핵심과제별 투자계획 ···················································201
5.1 투자계획 ·············································································································201 5.2 투자재원 조달방안 ···························································································202
제 6 장
U-Eco City 사업단 기술개발 추진체계 및 운영방안 ···································································205
6.1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체계 ···································································205
6.2
U-Eco City 사업단의 운영방안 ···································································207
6.3
U-Eco City 사업단의 성과관리 방안 ·························································209
제 7 장 7.1
U-Eco City 기술개발의 기대효과 ·························211
U-Eco City 기술개발의 기대효과 ·······························································211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215
8.1 사업단장 임무 ···································································································215 8.2 사업단장의 임무에 따른 자격 요건 ·····························································217 8.3 사업단장 공모 및 평가 기준 ·········································································220 8.4 사업단장 공모 양식 ·························································································222
- v -
< 그림 차례 >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2.1.1] 도시/문명의 발달 추이 ·······················································································7 2.1.2] 유비쿼터스 혁명과 공간 : 공간개발의 인류역사 ·········································8 2.1.3] U-IT 개념 ·············································································································8 2.1.4] U-City 개념 ········································································································10 2.1.5] U-City 구성요소 ································································································11 2.1.6]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의 분류 ·········································································13 2.1.7] MICROS 하드웨어 구조 ··················································································16 2.1.8] ETRI의 임베디드 S/W 플랫폼 ······································································17 2.1.9] BHMS 구성도 ····································································································17 2.1.10] 토목 & 건설 모니터링 시스템 ·····································································18 2.1.11] 국내 U-City 구축 동향 ··················································································22 2.1.12] 부산 U-City 컨셉 ····························································································22 2.1.13] 부산 U-City 통합 개념도 ··············································································23 2.1.14] 부산 U-City 4대 핵심 과제 ··········································································24 2.1.15] 용인흥덕 디지털시티(U-City) 통합 개념도 ···············································26 2.1.16] 정보통신 인프라 발전 방향 ···········································································27 2.1.17] 지하시설물 통합 관리 서비스 ·······································································27 2.1.18] 교통정보서비스 ·································································································28 2.1.19] 생활안전 서비스 ·······························································································28 2.1.20] 원격검침 서비스 ·······························································································29 2.1.21] 도시 정보관제센터 ···························································································30 2.1.22] 도시종합관제센터의 종합상황실 모습 ·························································30 2.1.23] 부산 정보 서비스 개념 ···················································································32 2.1.24] 용인 흥덕 정보서비스 구축 개념 ·································································32 2.1.25] 행정복합도시 정보서비스 구축 개념 ···························································33 2.1.26] RFID 개념도 ·····································································································34 2.1.27] WiBro와 기존 방식의 차이점 ·······································································35 2.1.28] Zigbee 무선 모뎀(예) ······················································································36 2.1.29] TRON 프로젝트의 인텔리전트 약병 ···························································39 2.1.30] 미국의 도로기상정보시스템 ···········································································39 2.1.31] 내장형 디바이스인 Smart-Its ·······································································40 2.1.32] MSC Vision ······································································································46 2.1.33] 아리비안란타 배치도 ·······················································································47 2.1.34] Cyber Port 개발 계획(홍콩) ·········································································48
- vi -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2.1.35] 오카야마시 정보화 수도 구축(일본) ····························································49 2.1.36] 크로스로드 배치도 ···························································································49 2.1.37] T&M Free Zone (Dubai) ··············································································50 2.1.38] 인터넷 시티(Dubai) ·························································································51 2.1.39] 미디어 시티(Dubai) ·························································································51 2.1.40] 날리지 빌리지(Dubai) ·····················································································52 2.1.41] 미디어 파크(독일) 배치도 ··············································································52 2.1.42] 미디어파크 전경 ·······························································································52 2.1.43] 국가 주요 정보화 정책 추진현황 ·································································56 2.1.44] U-City 구축 정책 ····························································································59 2.1.45] 스웨덴 시스타 사이언스파크 사례 ·······························································64 2.1.46] 혁신도시 개발유형 ···························································································66 2.1.47] IT839 전략 ········································································································70 2.1.48] IT839 전략 개념도 ··························································································70 2.1.49] 정보통신부 BcN 구축 단계별 표준모델 ·····················································71 2.1.50] 유통물류 개념도 ·······························································································76 2.1.51]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론티어 사업 개요 ·····················································78 2.1.52] 서울시 정보화 추진단계 ·················································································81 2.1.53] U-City 추진과 관련인증 ················································································82 2.1.54] 한국과 미국의 특허동향 비교 ·······································································88 2.1.55] 주요국가의 역점 기술분야 ·············································································89 2.1.56] 유비쿼터스 IT 발전단계와 서비스 ······························································94 2.2.1] 도시 물순환 변화 ·····························································································101 2.2.2] 서울지역 집중호우 빈도수(일수)의 변화 [1961~2000] ···························101 2.2.3] 서울 지역의 지표면 온도분포 (1987년 5월과 2003년 5월) ····················102 2.2.4] 지리정보시스템 활용 ·······················································································107 2.2.5] LiDAR 기술을 이용한 초정밀 지형정보 ····················································108 2.2.6] 생태지도 작성을 통한 공간계획 ···································································108 2.2.7] 미국의 ADVISE 시스템 구성도 ···································································114 2.2.8] 추진 중인 생태도시 현황 ···············································································118 2.2.9] Eco-City 분야의 특허동향 비교 ··································································120 2.2.10] 주요국의 기술 분야별 역점 기술 분야 ·····················································121 2.4.1] 세계최고 기술수준대비 우리나라 기술수준 현황 (참조 : 2006 정통부 보도자료) ·····································································136 [그림 2.4.2] 핵심과제 도출 과정 ·························································································139 [그림 2.4.3] 핵심과제의 구성 ·······························································································141
- vii -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3.1.1] 3.1.2] 3.1.3] 3.4.1] 3.4.2] 3.4.3] 3.4.4] 3.4.5] 3.4.6] 3.4.7]
U-Eco City 사업단의 비전 수립 ·································································149 인간 중심의 U-Eco City ···············································································150 U-Eco City 사업단 연구 메트릭스 로드맵 ·············································153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전략(건교부, 2006) ···············································159 살고 싶은 신도시 모델 및 Test Bed 후보지 ···········································159 Test Bed 적용방안 ·························································································163 Test Bed 및 Pilot Project 규모 ··································································164 Test Bed 선정기준 및 방법 ·········································································164 Test Bed 사업 추진절차 ···············································································165 Test Bed 사업 시나리오 ···············································································165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4.3.1] 4.3.2] 4.3.3] 4.3.4] 4.3.5]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개념도 ··································································178 U-Space 구축기술 개념도 ·············································································183 U-Eco Space 구축기술 구현 개념도 ··························································190 U-Eco Space 주요개발 기술 ········································································191 U-Eco City Test Bed 구축 사업 개념도 ··················································198
[그림 6.1.1] U-Eco City개발 추진체계 ·············································································206 [그림 6.2.1] 사업단장 평가 절차 ·························································································207 [그림 6.2.2] U-Eco City 사업단 운영방안 ·······································································208
- viii -
< 표 차례 >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2.1.1>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 현황 ··············································································14 2.1.2> 국내 u-City 추진 현황 ······················································································19 2.1.3> 국내 U-City 구축 동향 ·····················································································21 2.1.4> 국외 U-City 추진 현황 ·····················································································41 2.1.5> 추진기관 주요 정책 추진내용 ··········································································57 2.1.6> 정책 기본전략 비교 ··························································································60 2.1.7> 국토 균형발전 추진방안(건설교통부) ·····························································61 2.1.8>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3대 원칙 ········································································62 2.1.9> 9대 IT 신성장동력 ·····························································································74 2.1.10> 국내 관련 인증제도 운영현황 비교 ······························································83 2.1.11> U-City 주요 트랜드 별 국내외 전망 ···························································93 2.1.12> IT 관련 주요 트랜드 별 국내외 전망 ·······················································93 2.1.13> U-City 관련산업의 국내 시장규모 전망(단위 : 억원) ··························95 2.1.14> 향후 10~20년 후의 국내 U-City 산업의 시장 규모 전망(단위 : 억원) 95 2.1.15> IT 융합건설기술 국내 시장규모 전망(단위 : 억원) ·································95 2.1.16> 세계 U-City 산업 시장규모 예측(단위 : 억달러) ····································97 2.2.1> 도시개발사업의 환경친화성 분석 ··································································100 2.2.2> Eco-Technopia 21 사업의 단위사업 및 후보 중점기술 현황 ··············103 2.2.3> Eco City 관련 국내 연구 발주 현황 - 환경부 ·········································104 2.2.4> Eco City 관련 국내 연구 발주 현황 - 건설교통부 ·································105 2.2.5> Eco City 기반 기술 현황 ···············································································106 2.2.6> 국외 Eco City 기반 기술 현황 ·····································································111 2.2.7> 국내 Eco-City 추진 현황 ···············································································116 2.2.8> Eco City 구축을 위한 각 요소기술별 현황 ···············································126 2.2.9> 생태도시 관련산업의 국내 시장규모 전망(단위 : 억원) ·························127 2.3.1> U-Eco City의 SWOT 분석 ···········································································129 2.4.1> 신도시의 구성요소 ····························································································135
<표 <표 <표 <표 <표
4.3.1> 4.3.2> 4.3.3> 4.3.4> 4.3.5>
미래도시전략 및 U-City 지원정책 ·······························································173 U-City 구현기술 개발 부문 주요 개발기술 ···············································179 U-Space 구축기술 개발 부문 주요 개발기술 ············································184 U-based Eco Space 구축 부문 주요 개발기술 ·········································192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주요 개발기술 ·······································199
<표 6.3.1> U-Eco City 사업단의 기술개발 성과지표(안) (3년 성과지표) ··············210
- ix -
제 1 장
제 1 장
U-Eco City 사전기획 연구의 필요성
U-Eco City 사전기획 연구의 필요성
1.1 U-Eco City 사업의 추진 필요성 ◦ 국민들의 생활수준과 삶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아지면서 첨단 기술을 도시에 도 입하여 생활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자연과 공 생하는 도시환경에 대한 요구가 확대 ◦ 유비쿼터스 환경과 친환경 도시․건축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매우 높은 단계에 달해 있으나, 민간이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의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고 국지적임 ◦ 이에 국가적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실제적인 기술 구현을 위해서는 공공주도 하 의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며, 기술 경쟁력의 실제 주체가 되는 민간 부문의 참여 를 유도하여 기술을 개발하도록 하고, 나아가 민간 부문 스스로 발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함. ◦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U-Eco City는 다가오는 미래도시의 유력한 대안 으로, 미래도시 건설 기술 확보와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수적으로 시행되어 야 할 사업임. ◦ 한편, 유비쿼터스와 생태건축기술은 요소기술 및 첨단기능 등이 부분적으로 결합 될 수 있어, 본 사업을 통해 U-Eco City가 실현될 경우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첨단기술이 함께 하는 U-Eco City 개발 국가가 될 수 있음. ◦ 따라서 U-Eco City 연구개발사업은 본질적으로 국가적 차원의 대규모 사업단 과제이므로 사전에 체계적으로 철저한 목표지향적인 사업계획 및 추진 전략의 수립이 필요함
- 1 -
제 1 장
U-Eco City 사전기획 연구의 필요성
1.2 사전기획 연구 목표 및 내용
가. 연구의 최종목표 1) 최종목표
•
U-Eco City 사업단의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추진전략 수립 - 사업단의 추진방안, 연구성과 달성방안 및 계획 수립 - 테스트베드 등 사업화 방안 제시 - 사업단장 공모 RFP 작성 및 평가기준 설정
•
핵심과제연구단별 연구개발사업 제안서(RFP) 제시 - 주요 핵심과제 대상 도출 - 우선순위 선정을 통한 핵심과제 선정 - 개발목표 설정, 추진전략, 연구수행방법, 주요 연구내용 연구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등 제시
◦ 본격적인 사업단의 추진에 앞서 대규모 예산 투입에 따른 예산 효율성과 연구개 발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업단 과제의 방향성 및 실행방안을 제시함. ◦ 사업단의 연구목표와 핵심과제 연구내용 및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사업단장 및 사업단 과제를 공모하기 위한 RFP를 작성함.
- 2 -
제 1 장
U-Eco City 사전기획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표 및 내용
연구목표
주요 연구내용
U-Eco City 사업의 배경 및 기술동향 분석
▪ U-Eco City 의 연구개발의 배경과 국내외 기술동향 및 사례를 분석 ▪ U-Eco City 건설을 위한 복합 건설기술에 관한 동향 분석
국내외 정책/기술/인프라/시장/ R&D 투자현황 등 환경분석
▪ ▪ ▪ ▪
사업단 과제의 최종 연구목표 및 범위 설정
▪ 환경 분석을 토대로 과제의 최종 연구목표 및 성과물 제시 ▪ 과제의 연구범위 설정
U-Eco City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과제 및 세부기술 도출
연구 추진전략 수립
사업단장 공모 RFP 작성 및 평가기준 설정
국내외 정책․시장현황 및 전망 U-Eco City 관련 인프라 현황 정책/시장/인프라 등의 현황 분석에 기반한 분석 기존 연구개발과제 분석(연계성, 중복성, 차별성)
▪ 주요 핵심과제 대상 도출 ▪ 우선순위 선정을 통한 핵심과제 선정 ▪ U-Eco City 목표달성을 위한 세부기술 도출
▪ ▪ ▪ ▪
사업단 컨소시엄 형태 등 추진체계 국제 공동연구 등 연구역량 확보 방안 제시 Test Bed 등 사업화 방안 제시 기타 추진시 고려사항
▪ 사업단장 자격 요건 ▪ 사업단장 평가기준 ▪ 사업단장의 책임과 권한
- 3 -
제 1 장
U-Eco City 사전기획 연구의 필요성
나. 연구내용 및 범위 ◦ U-Eco City 사업의 배경 및 기술동향 분석 ■ U-Eco City 의 연구개발의 배경과 국내외 기술동향 및 사례를 분석하여 새로 운 개념의 U-Eco City 건설을 위한 복합 건설기술에 관한 동향 분석 ◦ 국내외 정책/기술/인프라/시장/R&D 투자현황 등 환경분석 ■ 국내외 정책․시장현황 및 전망, 관련 인프라 현황, 정책/시장/인프라 등의 현 황 분석 ◦ U-Eco City 사업단 과제의 최종 연구목표 및 범위 설정 ■ 환경분석을 토대로 과제의 최종 연구목표 및 성과물 제시하고 과제의 연구범 위 설정하는데, 이는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을 중심으로 현실 가능 하도록 목표와 범위를 설정하도록 함. ◦ U-Eco City 핵심과제와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기술 도출 ■ 위에서 도출된 U-Eco City사업을 위해 주요 핵심과제를 도출하고, 세부기술 을 우선순위별로 선정하고, 핵심과제간의 연계성과 통합성을 검토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이 높은 실용화 기술을 도출함 ◦ 연구 추진전략 수립 ■ 핵심과제와 세부기술별로 분석된 국내외 환경을 토대로 하여, 사업단 컨소시 엄 형태 등 추진체계, 연구역량 확보 방안 제시, 시범사업(Test Bed 구축) 등 사업화 방안 제시, 기타 추진시 고려사항 등을 수립함. ◦ 사업단장 공모 RFP 작성 및 평가기준 설정 ■ 향후 사업단을 이끌어가는 사업단장 자격 요건, 사업단장 평가기준, 사업단장 의 책임과 권한 등을 정량적으로 평가․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함.
- 4 -
제 1 장
U-Eco City 사전기획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 추진전략 및 방법 일련 번호
연구내용
1
U-Eco City 사업의 배경 및 기술동향 분석
세부추진 계획 및 방법 - U-Eco City 의 연구개발의 배경과 국내외 기술 동향 및 사례를 분석 - 새로운 개념의 U-Eco City 건설을 위한 복합 건설기술에 관한 동향 분석
수행기간 (주)
0.5
2
- 문헌조사를 통한 최종 연구목표 및 범위 설정 사업단 과제의 - 전문가 회의를 통한 최종 연구목표 및 범위 설정 최종 연구목표 및 - 다른 세부기술간의 토의분석을 통한 범위 설정 최종 연구목표 및 범위 설정
3
- 연구총괄(기획/운영 및 적용기술) 부문에서의 U-Eco City 핵심과제 도출 연구목표 달성을 - 기획/운영 프로그램 도출 위한 핵심과제 및 - 여타 세부기술을 단위기술, 단지, 도시 차원의 세부기술 도출 연계할 수 있는 세부기술 과제 도출
1
4
국내외 정책/기술/인프라/ - 문헌조사, 전문가 회의, 시장조사 및 조사자료 시장/R&D 분석을 통한 환경분석 (기획/운영 및 적용기술) 투자현황 등 환경분석
1
0.5
연구 추진전략 수립
- 문헌조사를 통한 연구전략수립(기획/운영 및 적용기술) 부문에서의 추진전략 - 전문가 회의를 통한 연구총괄(기획/운영 및 적용 기술) 부문에서의 추진전략 수립 - Test Bed 적용을 위한 연구총괄(기획/운영 및 적용기술) 부문에서의 추진전략 수립
1
6
사업단장 공모 RFP 작성 및 평가기준 설정
- 연구총괄(기획/운영 및 적용기술) 극대화를 위한 사업단장의 역할 및 기준 설정 - 단위기술, 단지, 도시 차원의 연계를 위한 연구총괄(기획/운영 및 적용기술) 부문에서의 사업단장의 역할 및 기준 설정 - 실용화 및 Test Bed 적용을 위한 사업단장의 역할 및 기준 설정
0.5
7
보고서 작성
- 종합적 분석을 기초로 한 보고서 작성
0.5
5
- 5 -
제 2 장
제 2 장
2.1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U-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1.1
국내 U-City 관련 기술의 현황
가. U-City 개발 배경 1) 도시/문명 발달 ■ 1차 산업 사회(봉건-전제) 도시(고대도시) → 2차 산업-상업 사회 도시(중세도 시) → 3차 산업 사회 도시(근대 도시) → 지식정보화 사회 도시(현대 도시) → 미래 도시(U-Eco City)
[그림 2.1.1] 도시/문명의 발달 추이
◦ 현대 첨단기술 중 도시 형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는 IT1) ■ Digital과 Networking, Internet 그리고 mobile과 wireless → Computerized Ubiquitous City ■ U-IT(ubiquitous technology) → 도시의 장소와 장소의 문화에 필연적 영향 → 새로운 도시기반시설 요구, 새로운 도시 공간(장소)의 형성
1) 김도년, ‘도시에서의 첨단기술로써 유비쿼터스 기술의 적응과 대응’, 2006 U-City 국제심포지엄, 2006. 7.
- 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2] 유비쿼터스 혁명과 공간 : 공간개발의 인류역사 (출처 : 하원규, ETRI, 2004. 2.)
[그림 2.1.3] U-IT 개념
◦ 미래 도시에 대한 새로운 요구 ■ 삶의 질에 대한 욕구 증대 : 교육, 의료, 환경, 방범, 방재 등 ■ 대규모 도시건설에 따른 통일성 확보 : 신도시, 기업도시, 혁신도시, 행복도시 등 ■ 국토균형발전 등 정책적 요구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국토균형발전 기반 구축(어디서나 살기 좋은 국토 개발) 2) U-City 개념 ■ 도시 구성원의 편리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삶과 경제적인 기업 활동, 도시관 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 전반의 기능을 지능적(Intelligent)으로 통합하고(Integrated), 최적화(Optimized)한 도 시 [박진식, KT U-City 사업단, 2005. 4]
- 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도시기능과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기존 정보인프라를 혁신하고 유비쿼터스 기 술을 기간시설에 접목시켜, 도시 내에 발생하는 모든 업무를 실시간으로 대처 하고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민에게 편리하고 안전하며 안락한 생활 을 제공하는 신 개념의 도시 [한국정보사회진흥원, 한국형 U-City모델 제안, 2005. 9] ■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 기능을 제고시킴으로써, 거주민의 생활편의 증대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한 편, 대규모 IT 수요 촉진으로 선순환 산업구조 창출이 가능한 21C 첨단도시 [건교-정통부 U-City 건설 MOU, 2006. 2.] ■ 유비쿼터스 첨단 IT 인프라 및 통합계획에 의해 건설된 도시 [삼성SDS U-City 추진단, 2006. 5] ■ 첨단IT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의 제반 기능을 혁신. 이를 통해 도시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신산업 창출 [SK Telecom, 행정복합도시 U-City구축을 위한 실행방안 및 기본설계, 2006. 8] ◦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 여 생활의 편의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과 주민복지증 대, 신사업창출 등 도시 제반 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21C 첨단도시(건설교통 부)2)
2) 엄정희(건설교통부), ‘건설교통부 U-City 추진 전략’, 2006 U-City 국제 심포지엄, 2006. 7.
- 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4] U-City 개념 (출처 : 건설교통부, u-City 추진전략, 2006.7)
◦ U-City 개발 목표 ■ 편리한 도시 : 온라인 행정, 온라인 금융, e-Learning, ITS, e-business, 도시 포털 서비스, DMB, 원격제어 ■ 쾌적한 도시 : 토양오염관리, 대기오염관리, 수질오염관리 ■ 건강한 도시 : 방범/안전 모니터링, 치안/보안관리, 시설물관리 및 재해감시 ■ 안전한 도시 : 통합건강관리, 원격진료, 응급구조 ◦ U-City 구성 요소 ■ 정보서비스 부문 : 도시 내 어느 시간, 어느 곳에서든 정보를 생산, 처리, 분배, 제공할 수 있는 U-IT의 구현 ■ 건설기반서비스 부문 : U-IT/USN을 기반으로 한 U-City 도시 건설서비스 운영 체계 구축 ■ 도시통합운영센터 부문 : U-City의 도시통합운영을 위한 센터의 구축 (HW/MW/SW)
- 1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5] U-City 구성요소
3) 사업단 과제 추진의 필요성 ◦ U-City 목표의 다양성 ■ 정부부처별 관점의 차이 - 정보통신부 : IT839 및 U-Korea 전략을 통한 국가정보사회 기반 수립 및 신성장 동력원 확보 → IT 기술 중심의 관점 - 산업자원부 : 정보통신 및 유관 산업 육성 추진 → 경제 산업적 관점 - 과학기술부 :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론티어 사업 등 → 미래 기술 및 기반 기술의 연구개발적 관점 - 문화관광부 : 디지털 공공도서관 사업 → 사업 목표에 따른 단위 서비스 지향 → 단위 컨텐츠 중심의 관점 - 건설교통부 : NGIS, ITS, IB, 국토, 도시 및 주택개발 사업 관장 → 통합적 국토 및 도시 개발 관점 ■ 도시개발별 목표의 다양함 - 지자체별 지역특성을 고려한 도시개발 방향에 U-City 기술의 접목 (원주 : BT+IT, 대구 : 내장형SW, 메카트로닉스, 부산 : 지능형 물류, 제주 : 텔레메틱스, 광주 : U-문화, 대전 : R&D 특구 등)
- 1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파주 운정 등 주거중심의 U-City 개발사업 -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 - 충남 현대건설(관광레저형), 전남 무안(산업교역형) 등 기업 도시 개발 ◦ U-City 관련 기술의 복합성 ■ 행정 서비스 : 건설 행정, 산업 행정, 교육 행정, 민원 행정, 의료 행정, 사회 문화 행정 등 ■ 건설 관련 기술 : 국토개발, 도시계획/설계, 건축, 토목, 에너지 및 환경, 기계 설비, 조경, 전기 및 정보통신 설비 등 ■ 정보통신 관련 기술 :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 등 ■ 기기 관련 기술 : 컴퓨터 등 정보화 단말기, 센서 등 ■ 사회적 문화적 서비스 : 유통, 교육, 의료, 대중매체, 도서관 등 ■ 학문적, 정신적 기반 : 철학, 사회학, 통계학, 행정학, 미래학, 법학, 종교학 등 ■ 도시관리 기술 : 방재, 방범, 자원관리, 시설물관리, 재개발, 구제 등 ◦ 국가적 차원의 정책 지원 불가피성 ■ 국토 및 도시 개발의 기본 계획 및 이행 → 국가 및 지자체 ■ 새로운 기술, 새로운 요구에 대한 수용 → 법/제도의 개정 요구 ■ 자원 및 재원 확보, 토지 수용 등에 있어서 인센티브 부여 → 기술개발 및 활 성화의 기반 마련 ◦ 광범위한 사업주체 및 참여관계자 ■ 사업주체 : 정부, 지자체 및 공사, 민간 사업자, 해외 사업자 등 ■ 참여관계자 : 정부 지자체 등 행정기관, NGO, 공공 및 민간 단체, 대학, 연구 소, 시행사, 투자사, 금융사, 개발사, 방송사업자, 대중매체 사업자, 통신망 사 업자, 정보 서비스 사업자, 사회 문화 관계자 등 ◦ 대규모의 재원 및 인적, 물적 자원 필요 ◦ 실질적 시범 사업을 통한 선도력(先導力) 확보 필요 ◦ 연구개발 및 시범사업 소요기간의 장기화 ∴ 연구개발 및 시범사업 간의 총괄 마스터플랜 수립 및 사업추진의 일관성이 절대적 성패 요인 ⇒ 사업단 과제를 통한 선택과 집중 추진 필요
- 1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나. U-City 기반 기술 개요 ◦ U-City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기술은 인프라, 서비스 및 통합관제와 밀접한 관련 을 가지며, 수많은 정보기기들의 존재를 전혀 의식하지 않고, 오직 그 결과만을 얻을 수 있어야 함 ◦ 즉, 전기, 상수도, 가스 등 일상의 도시생활에서 이용하는 인프라처럼 원하는 서 비스를 도시내에서 언제든지 어디에서든지 자유롭게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하며 이는 기존에 거주민이 도시에 맞추어 생활하는 게 아니라, 반대로 거주민의 요구
(혹은 필요한 것을 생각만 해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도시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 ◦ U-City 구축을 위해 필요한 기술로는 크게 RFID/USN, 센서, IPv6, 유무선네트 워크, 미들웨어, Embedded S/W 등과 같은 기반기술과 다양한 응용서비스에 연 계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GIS, LBS, 텔레매틱스, 도시통합관제기술 등과 같은 응용서비스 연계기술로 나눌 수 있음, 이러한 기술들은 각각 독립적으로만 사용 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연계․융합되어 사용됨으로써 더 큰 활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됨
[그림 2.1.6]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의 분류
- 1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1>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 현황
분 류
기 반 기 술
항목
내용
현황
현재 국내외적으로 IPv4에서 IPv6로 넘어가는 128비트 주소체계로 기존 IPv4의 인터넷 IP부 과도기적인 시기임 IPv6 주소체계 족해결, 보안,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 세계 각국에서 상용화를 위한 준비중이며, 정부 에서도 시범사업을 수행중 u-IT839의 전략의 하나로써 유통․물류․출입관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리 등의 분야에서 활발하게 산업화가 진행중 RFID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처리하는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중 가장 활성화 됨(초기 비접촉식 인식시스템 활성화 단계) Ubiquitous Sensor Network의 약어로서 사물에 아직 RFID만큼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으며, 실 부착된 센서(태그)로부터 정보를 감지/저장/가 USN 험실 수준의 다양한 시범사업이 진행중(실험 단 공/전달하여 인간생활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 계) 게 하는 네트워크 광대역 통합망(BcN)이란 통신ㆍ방송ㆍ인터넷 현재 정통부에서 2단계 시범사업을 시작중에 있 BcN 이 융합된 품질 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 으며, 2010년 본격서비스를 목표로 진행중 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 기존에는 산업이나 공공용으로 주로 활용되었으 폐회로 텔레비전으로 방문자확인, 보안, 모니 나 최근 영상인식기술의 발달 및 가격 하락으로 CCTV 터링 등에서 널리 활용 다양한 분야 및 개인용으로까지 확산중. 개인프 라이버시 침해에 관련된 문제에 대립중 현재 건설, 교통, 시설물 관리 등에서 다양한 센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정보 서가 활용되고 있으나 아직 아날로그 센서가 많 Sensor 으며, 가격도 고가인 상황임. USN을 위한 말단 를 취득하기 위한 감지기 노드로써 사용됨 각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접속하여 기본적으로 1Gbps급의 E-PON 국사 장치와 E-PON 가입자 가입자 당 하향 100Mbps의 대역폭을 보장함으 FTTH 장치를 개발, 광주 첨단지구에서 HD급의 고화 로써 광케이블 한가닥으로 TV 방송, 초고속인 질 영화, 영상회의, 원격교육 서비스를 시험제공 터넷, 인터넷전화 등의 서비스를 한번에 제공 WCDMA는 음성, 동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멀 WCDMA 티미디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 3세대 2005년부터 WCDMA에 대한 투자를 확대중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의 높은 가격과 이동중에 언제, 언디서나 이동중에도 높은 전송속도로 끊김없는 연결이 불가능한 무선랜의 단점을 보 WiBro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서비스 완할 기술로 2006년 6월부터 상용화 서비스 시 작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약어로서 디 지털 방송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중에 TV, 라 현재 위성 DMB 및 지상 DMB가 서비스되고 있 DMB 디오, 데이터 방송수신이 가능토록 하는 서비 으나 아직 데이터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음 스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통 현재 근거리 무선인터넷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WLAN 신망(LAN). Wi-Fi라고도 불림 있으며, 상용화된 서비스도 제공중(예:넷스팟) 가정, 사무실 등의 10~20m 내외의 근거리 무 한번에 수백개, 수천개의 센서노드들을 연결할 ZigBee 선 네트워킹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유비쿼 수 있는 근거리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여, 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 USN용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음 휴대용 장치간의 양방향 근거리통신을 복잡한 2.4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주로 이동통신 Bluetooth 케이블 없이 저가격으로 구현하기 위한 근거 단말기나 컴퓨터 주변기기와의 연결에 활용 리 무선 통신기술 Embedded S/W
u-IT839 성장 동력 사업의 8대 서비스를 제공하 핸드폰이나, MP3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들을 기 위한 서비스 단말에 들어가는 주요 핵심 기 제어하고 운영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및 술로 인식하고 있으며, 국민 보급형 지능형 로 플랫폼 봇, 제주 텔레매틱스 시범 서비스, 자동차 센서
- 14 -
제 2 장
연 계 기 술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미들웨어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간의 서 버와 클라이언트들을 연결해주는 소프트웨어
암호화기술
통신할 내용을 일정한 체계에 따라 암호로 바 꾸는 기술
그리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해 수많은 컴퓨터를 연결해 컴 퓨터의 계산능력을 극대화한 차세대 디지털 신경망 서비스
GIS
지리정보시스템은 인간의 의사결정지원을 위 해 공간상의 위치를 도형자료 및 속성자료로 연결하여 처리하는 시스템
LBS
Location Based Services의 약자로 이동체 및 보행자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정 보를 비롯한 다양한 부가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으로 인공위성들을 이용 선박이나, 항공기,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 주는 기술
RS
원격탐사(Remote Sensing)는 물체에 직접 접촉 하지 않고 항공기나 인공위성에 탑재된 센서 를 이용하여 탐지하는 기술
위치정보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차량 운전 자에게 교통안내, 긴급구난 정보 등을 제공하 텔레매틱스 고 동승자에게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서비스
ITS
전자, 통신, 제어 등 첨단기술을 응용하여 실 시간 교통정보를 수집, 가공처리하여 제공함으 로써 효율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교통체계
u-City내 통신망, 교통망, 시설물 등으로부터 도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 도시통합 여 도시를 효과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시민이 관제기술 나 관련기관에 분석된 도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
용 OS 등에 기본적인 플랫폼으로 적용 홈네트워크 RFID, DMB, USN 등 다양한 시스템 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 국 산화 제품도 많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추세 임 암호학적인 방법 및 비암호학적인 다양한 기술 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해킹사례가 빈 번히 출현, 최근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와 관련하여 중요성 부각 이론은 확립되었으나, 아직 상용화되지는 못한 상황으로 다양한 관련 기술 개발 및 시험테스트 가 진행중. 최근 Web GIS, Mobile GIS, 3D GIS 등이 활발 히 활용되고 있음, 3차 NGIS 계획 및 지능형국 토정보기술혁신 사업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GIS 기술개발을 계획중 최근 산업적으로 많이 활성화된 차량 네비게이 션에 활용되는 기술로써, 물류관리, 응급상황, 위치추적 등의 분야에도 활용됨, 실내위치추적 기술도 현재 활발히 개발중 미국 국방부에서 개발된 기술로 항법 시스템시 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최근 유럽의 갈릴레오 프로젝트 등에 의해 견제를 당하고 있 음 1m이하의 상용화된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 할 수 있으며, 도시변화탐지, 지형, 지질, 토양, 환경, DEM 제작 분야 등에 널리 활용중. 최근 LiDAR라는 기술의 등장으로 아주 정밀한 DEM 제작이 가능해졌으며, 2006년 하반기에 발사된 우리나라 Kompsat 2호 위성을 통해 1m급 영상 을 제공받는 등 국내기술도 비약적 발전을 이룸 제주도에서 시범사업이 추진중이나, 아직 상용 화되지는 못함. 현재 비싼 통신비나 데이터 끊 김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으나, 저렴한 통신서비 스의 등장 및 기술발전으로 해결될 것으로 예상 첨단교통관리분야, 첨단교통정보분야, 첨단대중 교통분야, 첨단화물운송분야, 첨단차량 및 도로 분야 등이 있고, 제주시, 대전시, 전주시가 시범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수도권 국도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ITS시스템을 구축 확산중 현재 u-City 포럼에서 표준화 모델 개발 등을 논의하고 있으며, KT, IBM, 삼성SDS, LG CNS 등에서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음, 아직 법 제도나, 다양한 관련기관의 문제, 서비스표준화, 기술표준화 등이 미비하여 추진에 어려움이 있 음
정통부에서 9대 신성장 동력 가운데 하나로 선 집 안의 가전제품을 유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정하여 기술개발 및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 홈네트워크 모두 연결하여 한꺼번에 제어, 관리하는 미래 며, 국내외로 시장선점을 위해 가전 및 전자업 형 체제 체에서 활발하게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 1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다. 국내 기술 및 산업 동향 ◦ KAIST 미세정보시스템 연구소의 MICROS 프로젝트
[그림 2.1.7] MICROS 하드웨어 구조
■ 마이크로스(MICROS : Micr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mote Object-oriented Systems) 프로젝트는 여러 감시 및 진단기능을 갖고 무선통 신을 할 수 있는 동전만한 크기의 미세 원격정보시스템으로, 약 2년 이상 배 터리가 지속될 정도로 극소 전력을 사용하며 기능적으로는 최소한의 컴퓨팅 능력과 함께 무선랜과 같은 양방향 무선 네트워킹 통신 능력을 보유 ◦ ETRI의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임베디드 S/W 플랫폼 기술 개발 ■ 임베디드 S/W 플랫폼이란 가전제품, 통신장비, 의료기기 등 컴퓨터 이 외의 다양한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내장형 S/W로서, 2001년 세계 마이크로 프로 세서 생산량 47억 3천만개 중 97%가 컴퓨터 이외의 기기에 사용되었음 ■ ETRI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비하여 표준형 임베디드 S/W 플랫폼, Micro 임베디드 플랫폼, Nano 임베디드 플랫폼의 3 단계로 나누어 임베디드 S/W 의 국산화 기술 개발을 시작함 ■ 초소형 SoC(System on Chips) 기기용 임베디드 S/W 개발이 일반화될 경우 건설, 환경, 의료, 교통, 통신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
- 16 -
제 2 장
방범·방재
표준형 표준형 임베디드 임베디드 S/W S/W 플랫폼 플랫폼 Micro Micro 임베디드 임베디드 S/W S/W 플랫폼 플랫폼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정보가전
교육
개인휴대단말
Network 통신장비
Broadband Wireless
Internet 유통·지불
Nano Nano 임베디드 임베디드 S/W S/W 플랫폼 플랫폼 환경
군사·항공
의료
교통
[그림 2.1.8] ETRI의 임베디드 S/W 플랫폼
◦ 영종대교 교량계측모니터링 시스템(BHMS : Bridge Health Monitering System) ■ 신공항 하이웨이(주)에서는 영종대교 구간의 현수교와 Balanced Arch Truss Type인 방화대교의 계측 모니터링 시스템을 장착하여 교량의 사용성 및 안전 성을 확보하며, 수명연장 및 유지관리 비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음
[그림 2.1.9] BHMS 구성도
■ 이 시스템은 주요 부재에 설치된 가속도계, 지진계, 변형율계, 풍향풍속계, 레 이저 처짐계 등 각종 센서(현수교 393개, 방화대교 129개)를 통하여 교량의 정, 동적 구조응답을 실시간으로 계측, 분석하고 있음
- 1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타 체계인 교량유지관리시스템(BMS) 및 교통관리시스템(FTMS)과 통합 연계 되어 태풍이나 지진과 같은 갑작스런 외부 조건에 대한 경보시스템을 갖추고 있음 ■ 현재 교량 센서와 모니터링 센터와의 거리가 20km로서 원거리 통신에 따른 문제점 때문에 광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수집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통신 프로그램과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구축되어 있음 ◦ Engineering Korea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Engineering Korea(주)에서는 광센서를 활용하여 소량, 경량, 고감도 등의 장 점을 갖는 광계측 기술을 시설물 모니터링 분야에 적용하고 있음 ■ 이러한 광 파이버(Optical Fiber)를 이용한 광계측 기술은 우수한 전송특성, 내 뢰성, 전송라인 이중화 등의 장점도 함께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유선 인터넷 을 이용하여 메인 서버에서 모니터링을 하고 있음
[그림 2.1.10] 토목 & 건설 모니터링 시스템
라. 국내 U-City 구축 현황 ◦ 국내에서의 지자체별 u-City 추진은 인천 송도, 용인 흥덕 등이 설계단계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기본계획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아직 구체적인 실체를 가지고 있지는 못한 실정임
- 1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2> 국내 u-City 추진 현황 도 시
사업규모
사업 기간
도시
2005~
일원
2013
특 징 ㆍ해양수도를 지향
부산
인천
일부
2003~
신도시
2020
광역 자치 단체별 도시전체
대전
도시전체 2005~
제주
도별
시별
2005~
광주
충남
2012
지자체
2003~
일부
2004~
신도시
2008
ㆍ남부경제권 중추도시
제공기술/적용서비스 ㆍu-Port/u-Traffic ㆍu-Health ㆍu-Convention
ㆍ동북아 문화 과학 중심도시 ㆍ인천자유경제구역(송도, 영종, 청라지구)에 국제업무ㆍ교류의 ㆍ지능형교통시스템 ㆍ홈 네트워킹 Hub ㆍ원격의료 ㆍ동북아 거점 지역 ㆍ재해방지관리시스템 ㆍ국내에서 가장 많은 작업이 ㆍ환경오염관리시스템 진행된 곳임 ㆍu-Culture 문화산업 혁신도시 조성 ㆍ광대역통합망(BcN) ㆍu-Commerce 산업화 동력 육 ㆍ홈 네트워킹 성 ㆍ쿨 타운(Cool Town) 프로젝트 ㆍ유비쿼터스 기반의 미래지향 적 디지털 라이프 구현 ㆍU-Smart Town ㆍ삶의 질이 높은 U-Wellbeing ㆍU-R&D cluster 도시건설 ㆍU-ITS 구축 ㆍ텔레매택스 서비스 ㆍ관광산업에 중점을 둔 계획 시작 ㆍCool Town을 통한 생활형, ㆍu-Traffic/Museum 체험관광형 유비쿼터스 구현 ㆍu-Park/coupon ㆍ건강관리 서비스 ㆍ제조업의 성장으로 경제규모 ㆍ건강상태, 운동량 에 비해 1인당 지역 내 총 생 모니터링 산이 2위를 기록 ㆍ생활건강 정보제공
도시전체, 2006~ ㆍ안전한 도시, 혁신적인 도시를 ㆍ모바일 전자정부 충북 일부 지향하는 u-City ㆍ지능형교통시스템 2010 신도시 ㆍ전통문화와 영상산업 등 경쟁ㆍ전통문화체험 u-기반구축 력 있는 핵심역량 보유 2005~ ㆍ디지털 영상산업 전주 도시전체 ㆍ문화향유도시, 단기업육성도 활성화 지원 2010 시, ㆍu-Life 실현 살기 좋은 도시 지향 기반구축 수원
도시전체
2005~ ㆍ유비쿼터스 기반의 열린 시정 ㆍ행정맞춤시스템 구현 2008 ㆍ관리자맞춤정보시스템
- 1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ㆍ대민인터넷웹포탈 개선 ㆍ행정지식관리시스템 ㆍ전체를 초고속 광통신망으로 구축하여 도시 내 정보인프라ㆍ도시기반 시설물 관리 격차 해소 용인 64만 2004~ ㆍ원격검침 흥덕 9천평 2008 ㆍ도시 지하매설물 관리, 생활 안전, 교통, 환경 등의 공공 정 ㆍ생활안전 서비스 보서비스 제공 ㆍ교통정보서비스, ㆍ자족형 복합도시 광교 위치추적시스템 2005~ ㆍ친환경 계획이 처음으로 도입 테크노 335만평 ㆍ도시정보서비스: 된 생태도시 2010 지하매설물 정보 밸리 ㆍR&D 클러스터 형성계획 ㆍ홈 네트워크 구축 기타 파주 신도시 운정
285만평
화성
273만
동탄
4천평
성남 판교
283만 6천평
2003~ ㆍ물순환형 친수환경 생태도시 ㆍITS/도시교통서비스 ㆍ환경감시정보서비스 2009 ㆍ수도권 서북부 거점도시 ㆍ생활안전서비스 ㆍ교통서비스 ㆍ첨단산업 중심의 성장거점도 ㆍ도시민 정보제공 2007 시 건설 서비스 ㆍu-생활안전 ㆍu-Ecotopia ㆍu-교통 2003~ ㆍ도시 및 정보통신 기술이 제ㆍu-시설물 관리 공하는 편리성과 자연 친화적ㆍu-교육 2009 인 삶을 추구하는 현대 도시ㆍu-민원 민의 이상을 동시에 충족 ㆍu-환경 2001~
ㆍ수도권 남부지역의 중심
- 2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마. 국내 U-City 구축 사례3) 1) 개요 ◦ 국내는 각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U-City 구축’에 관한 개략적인 로드맵이 제 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그 움직임이 매우 활발함 ◦ 아래 표와 그림은4) 국내에 구축 예정인 ‘U-City’를 신도시 및 기존도시로 구분하 여 나타낸 것임 <표 2.1.3> 국내 U-City 구축 동향
신도시 U-City 개발
▪ ▪ ▪ ▪
기존 도시 U-City 개발
▪ U부산, U경북, U전주, U광주, 송도신도시(RFID/ USN 관련IT 허브) U충북, U대전 화성 동탄, 용인 흥덕, 광교 ▪ 상암DMC (Digital Media City) 파주 운정, 아산 배방 ▪ 창원U시티 행정중심복합도시 ▪ U-제주(텔레메틱스시범도시)
(출처 : 표 : 국내외 U-City 개발동향, 임미숙,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그림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3) 한국형 U-City 모델 제안, 한국 전산원
- 2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11] 국내 U-City 구축 동향
2) 부산(기존도시의 U-City화)
[그림 2.1.12] 부산 U-City 컨셉 (출처 : 부산 U-City 추진상황 보고, 부산광역시, 2006.08)
◦ 장기 로드맵 : ‘21세기 동북아시대 해양수도’라는 부산 비전 실현을 위해 ‘부산발 전 2020 비전과 전략’을 이루기 위한 7대 프로젝트를 선정하였고 이중 부산
- 2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U-City 프로젝트가 속함 - 7대 프로젝트 : 부산 U-City 프로젝트, 문화도시부산 프로젝트, 도시 재창조 프로젝트, 동부산 프로젝트, 아시안 게이트웨이 프로젝트, 낙동강 프로젝트, 국 제자유도시 부산 ◦ 부산 U-City 프로젝트 : 차세대 유비쿼터스 기술을 항만, 교통, 컨벤션 등 도시 의 주요 인프라와 시민생활과 밀접하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부산의 틀과 구 조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도시혁신 프로젝트임. 아울러 정보서비스, 건설기반 서 비스 및 통합 운영 센터가 포함된 종합적인 U-City 구축 프로젝트임
[그림 2.1.13 ] 부산 U-City 통합 개념도
◦ 사업기간 : 사업기간은 아래와 같이 총 3단계(2006~2012)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 계는 주로 인프라 및 정보서비스 사업, 2단계는 통합 운영 사업 그리고 3단계는 문화 및 환경 사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 예비단계(2005) : 사전조사 ■ 1단계(2006~2010) : 4대 분야 39개 전략 사업 ■ 2단계(2008~2012) : U-안전, U-Valley, U-관제센터 ■ 3단계(2010~2012) : U-환경, U-엔터테인먼트, U-Expo ■ 4대 핵심과제 : U-Port, U-Traffic, U-Convention, U-Health
- 2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14] 부산 U-City 4대 핵심 과제 (출처 : 부산 U-City 추진상황 보고, 부산광역시, 2006.08)
◦ 핵심 과제 추진 현황 ■ U-Port - 목표 : 항만물류 이동경로의 실시간 관리와 물류정보 공유체계 구축 - 2006년 계획 : 부산항, RFID 기반의 항만물류 효율화 사업 추진(부산지역 컨테이너 터미널 및 ICD에 RFID 인프라 구축, 차량·컨테이너 위치정보 및 화물정보 제공) - 추진 상황 및 향후 계획 : 해양수산부, 항만물류 효율화 사업 착수, U-Port 협의체 구성 및 참여 (해수부, 정통부, 부산시 등) ■ U-Traffic - 목표 : 실시간 고품질의 교통정보 서비스, 교통흐름의 실시간 제어 - 2006년 계획 : U-Traffic 환경 구축을 위한 실시설계 추진(대
상 : 택시정
보화, 교통정보통합 서비스, ETCS, 도시고가도로 정보서비스 등 4개 사업), U-Traffic 민자사업 기본계획 수립 - 추진 U-Traffic 실시설계('06.8~'06.12), U-Traffic 1단계 민자사업 추진 (2007) ■ U-Convention - 목표 : U-기술을 이용한 관광정보, 전시/컨벤션 정보 제공 - 2006년 계획 : U-관광·시티투어 서비스 구축(이동중 관광안내 서비스, 인터 넷,
DMB,
버스도착알림이),
U-전시/컨벤션
- 24 -
서비스
구축(U-Ticket,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U-Gate, U-카탈로그, U-회의시설, U-광고 등) - 추진 상황 및 향후 계획 : 유비쿼터스 시티투어 버스 운행 개시(8.14예 정)U-시티투어 및 Convention 서비스 사업 완료(07.2) ■ U-Health - 목표 :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원격진료 및 건강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2006년 계획 : 복지시설과 의료기관을 연계한 U-Health 서비스 구축 - 추진 상황 및 향후 계획 : U-Health 2단계 사업 추진 (2007년) 3) 용인흥덕지구 5) ◦ 한국토지공사에서는 정보화 시대로의 변화에 맞게 도로․공원․녹지 등의 기반 시설은 물론 쾌적한 환경에서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정보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디지털 도시개발’을 추진하며 이를 위한 첫 시도로 경기도 용인시 흥덕 일원 (646천평)에 9,330세대를 수용할 수 있는 신도시를 계획하고 있으며 입주가 예상 되는 2008년을 고려하여 디지털 도시(U-City)를 조성 ◦ 디지털 도시 개념은 부산 U-City와 마찬가지로 아래 그림과 같이 정보서비스부 문(초고속 광통신망, 흥덕 포탈 서비스), 건설 기반 서비스(공공서비스, 지하 매 설물 위치 정보 서비스) 및 통합 운영(도시정보 관제 센터)으로 구성되어 있음
5) 용인흥덕지구 개발사례, 박 용 철, 한국토지공사 U-City 단장
- 2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15] 용인흥덕 디지털시티(U-City) 통합 개념도
◦ 핵심 과제 추진 현황 ■ U-Korea의 일환으로 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광대역 통합망(BcN)계획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용인흥덕지구의 디지털 정보통신 인프라를 광케이블로 구축하여 지역내 차별화 없는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 ■ 도로의 이중굴착 방지, 통신관로, 맨홀 등 통신시설 공동사용을 통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을 도모하고 도시 미관의 훼손 방지 및 주민의 일상생활을 편리하 고 안전하게 고품질의 통신서비스를 제공 ■ 기본적인 통신망 인프라 방식과 관련하여 신기술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전제로 주거지역은 FTTH (Fiber To The Home), 업무지역 및 상업시설지역은 매트 로 MSPP6) (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방식을 고려하여 구축 ■ 도시정보관제센터를 구축, 운영하여 공공의 도시기반시설물을 관리하고, 사업 지구내 구축한 인프라를 활용하여 주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다양한 공공 및 상용 정보서비스를 제공
6) MSPP(Multi 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메트로이더넷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비로서, 기존의 통신업체들이 사용하 던 SONET/SDH에 IP, ATM, DWDM 등의 기능을 추가하고, 이더넷 모듈을 장착해 음성과 함께 데이터까지 지원함
- 2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개발 내용 ■ 정보 서비스 - 정보 통신 인프라 : 용인흥덕지구는 도시정보관제센터 내 통신센터(국사)에 설치하여 기간통신사업자가 통신장비 유지보수 및 운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초기 구축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계 획이며 가입자당 제공 대역은 동시 사용을 감안하여 최소 50Mbps, 평균 200 ∼ 300Mbps, 최대 1Gbps 대역 제공을 목표로 하여 도시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활용한 서비스의 안정성, 고품질 및 도시 내 장소의 차별이 없는 서비스를 제공 통신속도(bps)
기존도시
디지털도시
100M~1G 협대역통신망
광대역 광통합망
초고속통신망
약 10-30배 의 속도차이
8M 9.6K 년도(year) 1995
2004
[그림 2.1.16] 정보통신 인프라 발전 방향
■ 건설 기반 서비스
상하수도 전력 용인시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2007년 6월 구축)
도시 가스 통신 지하매설물 현황 모니터링
모니터링
[그림 2.1.17] 지하시설물 통합 관리 서비스
- 지하시설물 통합관리 서비스 : 굴착 작업 시 정확한 매설물 정보의 확보를 위하여 해당기관을 방문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자료의 신뢰성이 의 문시되는 현실을 개선할 수 있으며, RFID와 같은 지하매설물 탐지와 관련 된 신기술 적용으로 정확한 정보의 실시간 반영과 접속환경이 전제된다면,
- 2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온라인상에서 검색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그 정확성을 높일 수 있어 시설물 관리와 운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또한 정확한 매설위치파악의 어려 움으로 인한 지하매설물의 파손 등의 유틸리티공급의 피해발생소지를 최소 화할 수 있어 주민 삶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음. - 교통정보 서비스 : 용인흥덕지구에서 ITS7)에 적용된 요소기술과 설비의 응 용, 상용 ITS와의 정보제공협약 등을 통하여 도시민의 실생활에 편익을 줄 수 있는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함
주변지역 교통정보 서울
경기도
흥덕지역 교통정보
정보 표출 및 상용화
주민에게 제공(공공기능)
[그림 2.1.18] 교통정보서비스
- 생활안전 서비스 : 생활안전서비스는 범죄를 사전에 예방한다는 사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상황발생 시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범죄로부터 주민 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한 생활을 통해 주민의 삶을 향상시키는 서비스임. 이를 위해 도시 내 주요 공공장소에 방범용 CCTV카메라를 설치 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경기도 경찰청, 용인경찰서 등의 관련 기관과의 긴 밀한 협조를 통해 주민의 안전을 도모함 112신고를 통한 신속한 초동조치
주요공공장소 CCTV 모니터링
[그림 2.1.19] 생활안전 서비스
- 원격검침 서비스 : 원격검침8)을 통하여 검침이 가능한 유틸리티는 수도, 전 7)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은 현재 심각히 대두되고 있는 교통 혼잡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키고 안전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첨단기 술을 활용한 교통시스템으로서 도로, 차량, 신호 시스템 등 기존 교통체계의 구성요소에 전자, 제어, 통신 등 첨단기술을 접 목시켜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교통체계를 말함.
- 2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기, 가스, 난방열 등 일반적으로 도시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들이 해당되며 이러한 원격검침 서비스의 도입을 통해 공급량과 사 용량의 시간적 일치성확보를 통해 정확한 검침과 과금으로 에너지관리의 효율화를 추구할 계획임 801호
검침모뎀 관리사무실
101호 주계량기(수도,전기,난방열)
한국전력공사
수도 전력 가스 난방 검침모뎀
수도
전력 가스 난방
RF중계기
도시가스회사 관리PC
공동주택 공동주택 용인시청 가스 전력
가스 검침모뎀
수도
전력
검침모뎀
지역난방공사
수도
A 가구
RF중계기
B 가구
공 공급 급사 사
단독주택 단독주택
[그림 2.1.20] 원격검침 서비스
■ 통합 운영 - 도시정보관제센터 : 용인흥덕지구에 계획 중인 도시정보관제센터는 기존의 홈네트워크에 의한 댁내 관리를 뛰어넘어 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 로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주민의 요구를 수렴하며, 도시기반시설을 관리 하는 것으로서, 일체의 공공서비스를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제공하는 디 지털 도시의 기반시설물임
8) 검침원이 일일이 고객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지에 있는 계측기의 지시 값과 감지기로 검출한 사항을 케이블 또는 전파를 이용 한 통신 회선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수집하여 컴퓨터로 집계·분석하는 것
- 2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지하시설물관리 상용서비스( 양방향 TV예시) 환경/기상정보
생활안전서비스
스포츠
도시정보관제센터
TCommerce
교통정보 공공서비스
원격 교육
공공 기관
투표 및 여론조사
119 구급대
연계 경찰 소방서
··· 전광판
단독주택지역
지역포털
지역유선
공동주택지역
업무/상업지역
[그림 2.1.21] 도시 정보관제센터
- 종합상황실 : 용인흥덕지구내 설치된 CCTV, 웹카메라, 전광판 등을 이용하 여 생활안전과 교통, 환경등과 같은 생활정보서비스를 주민들이 인터넷 또 는 TV를 통하여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함. 이밖에 도시 기반 시설물의 운용 상태를 관측하여 이상, 장애가 발생할 시 관련 해당기 관에 통보하는 기능을 담당
정보 획득 및 연계
정보 획득 및 연계 도시가스
전력
상하수도
통신
경찰시스템 연계
생활안전
도시기반시설
생활정보 경기도청 재난/재해 시스템 연계
기상 관측 정보
방범CCTV
범죄예상지역, 공공장소 실시간 모니터링
지하매설물 모니터링
교통, 환경,기상, 풍우량정보 모니터링
센서 계측정보 (강우,대기 및 수질)
교통상황 정보
[그림 2.1.22] 도시종합관제센터의 종합상황실 모습
4) 소결 o 국내 U-City 구축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계획되고 있으며 일부 프로젝트는 현재 수행 중에 있음 o U-City 구축시 주안점은 크게 정보서비스(정보 네트워크, 정보 전송, 컨버전스
- 3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서비스 등), 건설기반서비스(건물 관리 및 모니터링, 재해․재난 및 안전관리, 도로 및 항만 관리, 교통정보화 등) 및 도시 통합 운영(통합 운영 센터, 도시 종합 관제 센터 등)으로 되어 있으며 이 3가지 서비스가 통합되었을때 U-City 의 기능을 포괄적으로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o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정보서비스, 건설기반 서비 스 및 도시 통합 운영 에 관한 전반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한국형 ‘U-City' 개발을 위한 기획’ 이 이루어져야 함
바. 국내 U-City 관련 요소 기술 개발 현황 1) U-City 도시 유형에 따른 정보 서비스 기술 현황 ◦ 도시 유형 : 대도시, 물류 중심 도시 ■ 정보서비스 기술 : 정보고속도로(U 부산)9) ■ 정보서비스 목표 : 유비쿼터스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행정자가망 구축 ■ 사업 대상 : 282개 행정기관(시, 구, 군 16, 사업소 23, 읍면동 226, 보건소 16) ■ 사업내용 : 전자결재, 지적, 재정 등 온라인 민원서비스를 위한 임차회선 2,310 회선(330종) → 자가망으로 전환 ■ 대도시 특성상 방대한 데이터에 대한 효과적이고 빠르며 저렴한 정보서비스를 위해 광케이블을 이용한 자가망 구현을 목표로 함
9) 부산 U-City 추진상황 보고, 부산광역시, 2006.08
- 3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23] 부산 정보 서비스 개념 (출처 : 부산 U-City 추진상황 보고, 부산광역시, 2006.08)
◦ 도시 유형 : 주거 중심 도시(용인 흥덕)10) ■ 정보서비스 기술 : 무선랜과 FTTH & FTTO 단독주택 지역
통신국사 FDF
이동통신 WiBro 무선랜
통신구
EPON용 ONT 수공
FTTO
Optical Splitter
전송장치 동도
EPON용 ONT 수공
FTTH
업무 및 상업 지역
광케이블
광대역 통신단말
인공
통신관로
광케이블 인공
ONU
인공
공동주택 지역 FTTH EPON용 ONT
광접속함체
[그림 2.1.24] 용인 흥덕 정보서비스 구축 개념
■ 사업 대상 : 단독․공동주택 및 업무․상업시설 ■ 주거건물과 비주거건물의 특성을 고려해 정보서비스 기술을 FTTH와 FTTO 로 구분해 제공 ■ FTTH 및 FTTO 기술 : 용인 흥덕 지구에는 정보 품질과 정보 격차가 발생 하는 현 도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업지구 전체에 균일하게 초고속광통 신망을
구축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공동주택
및
단독주택지역에는
FTTH(Fiber to the Home)중 E-PON11)(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방식을 이용하여 점대다점(Point-to-Multi-Point) 기술로 접속을 권고하며 통 10) 용인흥덕지구 개발사례, 박 용 철, 한국토지공사 디지털도시팀장 11) E-PON(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전화국에 위치하는 하나의 OLT 시스템과 가입자 지역 또는 가입자 댁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ONU나 ONT가 광분배기를 이용하여 중간에 별도의 장치 없이 tree 구조로 연결되는 망구조에서 Ethernet 프레임을 상하향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 3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신사업자의 OLT12)(Optical Line Terminal)는 기본적으로 통신센터에 위치함. 업무지역 및 상업지역의 경우는 다양한 전송방식과 장애 시 보호 및 절체기법 이
뛰어난
NG-SDH13)방식의
메트로
MSPP(Multi
Service
Provisioning
Platform)기술 사용을 고려한 FTTO(Fiber to the Office)방식의 인프라로 구 현할 계획에 있으며, 또한 이 지역은 통신인프라의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추구 하는 구조이므로 통신망 토폴로지는 Ring 방식을 고려하고 있음. ■ 무선망 구축 : 공용기지국을 설치하여 이동통신 3사(SKT, KTF, LGT)의 기지 국 안테나를 수용하고, 서비스 측면에서 이동통신인 PCS, Cellular, W-CDMA 와
정통부에서
추진하는
휴대인터넷
기술인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기지국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고려함. 또한, 휴대인터넷 요 금은 공용(Public) 무선랜 방식인 핫스팟보다는 가격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므 로 노트북, PDA등의 무선랜 사용을 위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인 공원시설 및 건물의 로비 등에 공용 무선랜을 설치 할 계획임 o 도시 유형 : 행정중심복합도시14)
[그림 2.1.25] 행정복합도시 정보서비스 구축 개념
■ 정보서비스 기술 : 공공정보통신망 + 임대망 ■ 정보서비스 목표 : 도시의 성장과 변화에 따라 진화 가능한 인프라 구축 ■ 행정중심복합도시 특성을 고려해 안정성, 호환성 및 효율성에 중점 ■ 주요 고려사항 : 단계별 도시개발 및 수요변동에 따른 적정 가용성 확보, 개인 정보 및 외부 침입에 대한 완벽한 보호체계 12) OLT(Optical Line Terminal): 광가입자망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망측에 설치되는 통신장비 13) NG-SDH 기술: TDM, ATM, Ethernet 등 여러 종류의 트래픽을 SDH기반으로 통합 전송하는 기술 14) 행정중심복합도시 U-City 구축을 위한 실행방안 및 기본설계 용역 착수보고, 한국토지공사, SK컨소시엄, 2006
- 3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 RFID/USN ◦ RFID는 무선통신(Radio Frequency)방식으로 데이터를 자동으로 인식/처리 (Automatic Identification Data Collection; AIDC)하는 시스템으로, 흔히 유사기 술인 바코드를 대체하는 기술로 인식되고 있지만 RFID만의 장점과 무궁한 응용 가능성을 감안할 때 RFID는 새로운 생활방식을 여는 Disruptive Technology. ◦ RFID/USN는 인식정보를 제공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중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Sensing
기능이
추가되고
네트워크가
구축되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으로 발전
Reader
Antenna Data Energy
RFID Tag
Sever Control System
Antenna
DB DB
Chip(FRAM)
[그림 2.1.26] RFID 개념도
3) WiBro ◦ 와이브로(WiBro)란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의 줄임말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지 및 이동중에 언제, 어디서나 고속의 전송속도(약1Mbps급) 로 인 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 및 콘텐츠 사용이 가능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말함. 즉, 실내의 유선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실외에서 이동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 개념. ◦ 이것은 2.3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셀 반경 1km이내, 이동시 최소 60km/H 이상에서도 끊김없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보장하고, 보다 저렴하게 무선 인터 넷을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로서, 현재에는 70km/H의 이동성과 가입자당 1Mbps의 전송속도까지 지원하는 수준으로 개발되었으며, 상용화되면 100km/H 의 이동성과 3Mbps의 전송속도까지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와이브로 서비스가 시작되면 노트북용 무선랜 카드나, USB 무선 랜카드처럼 생 긴 장치를 연결하면 길거리나 달리는 차 안에서 영화를 즐기고, 온라인 게임을 이나 웹 서핑을 하는 것을 지금 사무실에서 인터넷 서핑을 하듯 할 수 있게 됨.
- 34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27] WiBro와 기존 방식의 차이점
4) DMB ◦ DMB는 영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 전송 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됨. ◦ CD 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휴대폰·PDA나 차량용 리시 버를 통해 이동하면서도 다채널 멀티미디어 방송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 불림. ◦ 지상파 DMB와 위성 DMB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상파 DMB는 유럽 디지털 라디오방송(DAB)의 기술표준인 유레카-147을 기본 규격으로 사용. 현재 비어 있 는 VHF 12번 채널을 이용해 이동 수신용 멀티미디어 방송을 하는데, 1개 채널을 쪼개면 3개의 블록이 생기고, 블록 1개당 몇 개의 비디오·오디오 채널이 생김. ◦ 주파수는 174~216㎒이고, 압축 방식은 MPEG4 기술을 이용. 전파는 장거리에 알 맞도록
회절
특성을
가지고
있음.
주로
차량에서
이용할
목적으로
KBS·MBC·SBS·YTN·CBS 등이 방송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음. 방송료는 무료를 목표로 하고 있음. ◦ 반면 위성 DMB는 지상파 DMB와 달리 위성체를 이용해 방송을 서비스함. 따라 서 수신율이 낮은 도심 지역은 갭필러(gap filler)라는 중계기를 이용해 방송을 수신하며, 주파수는 2.605㎓ 이상이고, 압축 방식은 지상파와 같고, 채널 수는 비 디오 20개 안팎, 오디오 50개 안팎임.
- 3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5) 지그비 (Zigbee) ◦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 버 튼 하나로 하나의 동작을 잡아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 제어 및 홈보안 시스템 VCR on/off 등을 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한 전화 접속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더 욱 편리하게 이용하려는 것에서부터 출발한 기술. IEEE 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며, 듀얼 PHY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GHz, 868/915MHz를 사용하고, 모 뎀
방식은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S-SS)이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20~250kbps임.
[그림 2.1.28] Zigbee 무선 모뎀(예)
◦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를 로서, 가정·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 한 기술. 즉, 지그비는 휴대전화나 무선LAN의 개념으로, 기존의 기술과 다른 특 징은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대신 소량의 정보를 소통시키는 개념. 지능형 홈네 트워크, 빌딩 등의 근거리 통신 시장과 산업용기기 자동화, 물류, 환경 모니터링, 휴먼 인터페이스, 텔레매틱스, 군사 등에 활용된다. 작은 크기로 전력 소모량이 적 고 값이 싸 홈네트워크 등 유비쿼터스 구축 솔루션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음. 6) 소결 ◦ 현재 국내외적으로 컴퓨팅 기술의 발전을 배경으로 무선 통신 기술, 초소형 지능 형 칩셋 기술(SoC), 위치추적 기술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이들을 결합하여 주변 사물에 적용하는 유비쿼터스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
- 3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게 진행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미세정보시스템(MICROS) 등 통신 가능한 소형 칩셋이 개 발단계이며, 실용화에 많은 기술 투자를 하고 있음 ◦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통신 인프라가 세계 최대이고, 무선 인터넷을 비롯한 관련 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러 있으며, 정보통신부에서 차세대 유비쿼터스 환경 을 지원하기 위한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를 추진하고 있어,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 에 매우 유리한 실정임 ◦ 건설분야에서도 이미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기초적인 유비쿼터스 기술의 도입 노력을 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 분야에 적용할 경우 많은 비용 절감 및 안전을 위한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 3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1.2 국외 U-City 관련 기술의 현황 가. 국외 기술 및 산업 동향 ◦ 최근 미국, 일본, 유럽 등과 같은 선진국들은 유비쿼터스 관련 차세대 IT기술을 가까운 미래에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기술로 인식하고, 유비쿼터스 관련 기반기술과 기존 6T 관련기술의 타 산업 활용분야 개척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사회기반시설물의 유지관리, 상시모니터링 등 건설 분야에도 혁신을 가져와 모든 시설물의 안전도와 노후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전달하여 시설물의 안전관리, 재해․재난 대응 분야 등에 혁신적인 기 술발전을 선도할 것임 ■ 기술 개발단계에서 응용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실용 화 기술의 선점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음 ◦ 일본의 경우 10여년 전부터 지능형 칩셋 개발을 시작하여 시제품 제작 단계까지 진행되었고, 미국 및 유럽의 경우에도 유비쿼터스 개념을 IT 기술 뿐만 아니라 실제 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하여, 실용화 단계에 접근하고 있음 ◦ 현재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연구는 미국, 일본, 유럽의 주요 선진국에서 중점적으 로 연구 되고 있으며, IBM의 경우 이미 상업화된 제품을 출시하였음 ◦ 일본 노무라연구소 TRON(The Real Time Operating System NUcleus) 프로젝트 ■ 유비쿼터스라는 단어가 나오기 이전인 1984년 일본 도쿄대학에서 ‘모든 물건 에 컴퓨터를’이란 모토로 TRON 프로젝트 발족했으며, 현재 임베디드 시스템 점유율 세계 1위임 ■ 모든 물건에 네트워크가 가능한 칩을 내장하고, 실제 세계 상황을 인식한 컴 퓨터 군이 공동으로 인간 생활을 서포트 하는 대규모 협조 분산 시스템 모델 을 제공 ■ 리얼타임 OS, 프로그래밍 툴, 표준 하드웨어, 표준 인터페이스, Java 프로파 일, 보안등 임베디드 설계를 위한 종합적인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음 ■ 모든 물건 속에 전자태그와 센서를 내장하여, 제품의 사용법, 수명 등까지 점 검가능. 인텔리전트 약병, 세균 센서 부착 반창고, 온도․습도․부패 센서를 부착한 식료품 등이 예
- 3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29] TRON 프로젝트의 인텔리전트 약병
◦ 도로 기상정보 시스템 (RWIS : Road Weather Information System) ■ RWIS는 도로변에 설치된 도로기상관측장비와 도로 표면에 박힌 습도․온도 센서로부터 기상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운전에 위험이 되는 기상상황을 1~2시 간 전에 운전자에게 미리 통보해 줌으로서 교통사고 예방 ■ 일반 기상예보는 광범위한 지역의 날씨를 예측하지만 RWIS는 특정 도로구간 만 다루기 때문에 기상예측의 정확도가 훨씬 뛰어남
[그림 2.1.30] 미국의 도로기상정보시스템
■ 일본에서는 이미 1000여 곳의 사고다발지역에 RWIS가 설치됐으며 국내에서 도 서울 북악 스카이웨이와 남부순환도로, 제주시 한라산 횡단도로 등 11개 구간에서 시험운영 중임. ◦ 유럽의 Smart Its Project ■ 2001년에 시작된 EU의 정보화사회기술계획(IST)의 일환으로「사라지는 컴퓨 팅(Disappearing computing)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 3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대한 대응 전략을 모색
Smart-Its
[그림 2.1.31] 내장형 디바이스인 Smart-Its
■ ETH(스위스), TecO(독일), VTT(핀란드), Interactive Institute(스웨덴) 등을 중심으로 사라지는 컴퓨팅 실현을 위한 16개의 프로젝트를 유럽 각국의 대학 및 연구소, 기업 등이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음 ■ 사물에 소형의 내장형 디바이스인 Smart-Its를 삽입하여 감지, 인식, 컴퓨팅 및 무선통신 등의 기능을 지닌 정보 인공물(Information Artefacts) 개발 ■ 일반 머그컵에 Smart-Its를 탑재하여 컵과 관련한 정보를 인식, 처리 및 전달. 사물의 지능화를 통해 컵의 이동경로 및 사용자 정보와 컵 내용물의 온도 및 상태 등의 정보 제공
나. 국외 U-City 구축 사례 및 동향 ◦ 국외에서 추진하고 있는 첨단신도시 또는 Digital City는 u-City라는 개념을 직 접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으며, 첨단 IT기술을 도시의 고유한 기능과 접목하 여 도시별 특성을 발전시키고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
- 4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4> 국외 U-City 추진 현황 지역
국가
프로젝트 추진주체/기간/규모
추진목표 및 전략
정부 주도 ․실리콘 밸리와 같은 첨단정보산업단지를 2020 기간 : 1996년 2020년 년까지 완공 (Multimedia 개발면적 : 15km × ․업무, 주거, 교육 문화를 종합하여 친환경적으 Super 50km 로 개발 Corridor) 투자금액 : 200억$ ․Green City 표방 ․아시아의 IT허브 구축 Hong Kong Cyberport ․항구도시라는 특징을 살려 홍콩을 아시아 지 Management company 역 경제활동의 교두보로 추진 Limited(공공출자) Cyberport ․금용, 무역, 광고, 위락 통신 등의 서비스들을 기간 : 2000년 - 2007년 지원할 수 있는 첨단 정보기술과 정보서비스 , 개발면적 : 240,000㎡ 멀티미디어 관련 기업과 전문 인재 및 설비 투자금액 : 20억$ 를 집중 유치해 디지털 클러스터를 조성 정부 주도 ․최첨단의학도시, IT․미디어 중심도시 등과 기간 : 2001년 - 2020년 같은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첨단산업을 집적 One-North (총 3단계 개발) 하고, 다국적 체류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응 개발 면적 : 2,000,000㎡ 하는 도시 개발 Art & Design City ․도시문화를 보존하고 디자인-교육이 연계되는 헬싱키 (공공․민간합자) 도시 개발 ․대학 기반으로 IT, 미디어, 디자인 제품육성 Arabianranta 기간 : 2000년 - 2010년 개발 면적 : 850,000㎡ 및 기술 개발 Crossroads Copenhagen ․개인과 기업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국제적 연구 코펜하겐 (공공․민간합자) 기관(R&D) 도시 구축(테스트베드 역할) ․대학기반으로 IT/미디어 기술 개발 Crossroads 기간 : 2002년 - 2007년 개발 면적 : 450,000㎡ ․IT & ECO 도시 MediaPark Koln Co. 퀼른 (공공, 민간출자) ․미디어/IT 도시 & 관광도시 ․미디어산업 및 친수환경, 건축계획이 조화 MediaPark 기간 : 1989년 - 2004년 개발 면적 : 200,000㎡ ․정보산업의 세계적 허브를 구축 정부 주도 두바이 ․IT기업을 위한 친환경 Digital-City 건설 기간 : 1999년 - 2003년 ․IT기업 유치를 위한 최적의 비즈니스 여건 조성 첨단신도시 개발 면적 : 4,000,000㎡ ․인터넷/미디어시티+Knowledge Village 집적화 MSC
말레 이시아
아시아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
유럽
덴마크
독일
기타
두바이
(출처 : 임미숙, 해외 U-City 사례, 정보과학회지, 제23권 제 11호 통권 제198호, ’05.11. pp.27-37, 한국정보과학회)
다. 이론적 연구동향 1) HP의 쿨타운 프로젝트 ◦ 개요 ■ 글로벌 서비스 대비 최소 인프라로 지역서비스 ■ 전자장소(Web Presence)에 현실속의 사물에 대한 물리적 관계부여(사람과 사물과 장소가 하나가 됨) ◦ 쿨타운의 개념 ■ 광의(廣義)의 개념: 현실세계의 사람, 사물, 장소가 웹페이지를 보유하게 되어
- 4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인터넷상의 가상공간과 현실세계를 하나로 묶음으로써 현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웹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 ■ 협의(狹義)의 개념: 스마트 전자기기를 웹과 연동하기 위한 일련의 핵심 애플 리케이션과 표준을 개발하며 단말기의 컴퓨팅화를 구현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 한 정보기기를 개발하는 것 ◦ 쿨타운 환경(사례) 쿨 타운에서 독거노인이 갑자기 몸에 이상 이 생겨 쓰러지는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할머니가 차고 있는 손목시계형 단말기가 자동으로 응급구조요청을 하게 됨
응 급
이 장치와 응급기관 사이에 커뮤니케이션 이 이루어져 즉시 구급차가 출동하여 할머 니에게 응급조치를 취함
상 황
혼자있는 경우에도 손목시계와 같은 유비 쿼터스 단말기로 마치 옆에 보호자가 있는 것처럼 보호를 받을 수 있음
프 리 젠 테 이 션
운 전 중
직장에서 중요한 발표를 해야 하는 데 자료 를 두고 온 경우 휴대폰 단말기를 이용하여 발표자료를 수신한 다음 단말기와 발표장소 에 설치된 스크린을 연동시켜 발표를 마침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자료의 송수신을 가 능하게 함으로써 물리적인 장소에 대한 제 약을 최소화 함
혼자 운전을 하는 경우 신호등,보호자 등에 신경을 쓰면서 동시에 지도를 보면서 길까 지 찾아가야 하는 경우 자동차에 내장된 단 말기가 초행길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안내 자동차단말기가 내비게이터 기능을 가지고 앞 유리에 운전자가 가야 할 길을 영상으로 보여주며, 운전자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든 명령은 음성으로 인식되고 실행됨
- 4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 MS의 EasyLiving 프로젝트 ◦ 개요 ■ 상황인식과 위치감지, 분산, 이동 및 무선 등의 컴퓨팅을 통해 유비쿼터스 스 페이스의 가능성을 보여줌 ■ 지능형 환경을 기반으로 이동컴퓨팅 기술을 지원하는 시험프로젝트이며, 일상 생활에 적용할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방법의 사례 ◦ EasyLiving의 개념 ■ 유비쿼터스 컴퓨팅 = 이동컴퓨팅 + 지능적 환경 ■ 이동 컴퓨팅 : 무선 연결성, 컴퓨터 이주성 ■ 지능적 환경 : 핸즈프리 인터페이스, 상황인식 컴퓨팅 ■ MS사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위치 감지 컴퓨팅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 4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객체감지 인터페이스(필콘 - physical icon) ◦ EasyLiving의 주요시나리오 ■ 인지력과 월드모델 (Perception and the World Model) ■ 개인확인 (Personal Identity) ■ 분산 컴퓨팅 (Disaggregated Computing) ■ 자동행위 (Automatic Behavior)
라. 해외의 혁신도시 및 U-City 개발동향 1) 뉴욕시 ◦ 뉴욕시에서 관리 운영하는 온라인 가상커뮤니티(online virtual communities)의 가치 제고 ◦ 환경, 건강, 안전 등 웰빙(well-being) 내지 주민 복지에 중점을 두는 추세 2) 캐나다 NBtel 사례 ◦ 캐나다 Aliant가 운영, 지역 및 장거리 전화 서비스, 무선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최신 네트워크 서비스와 쌍방향 멀티미디어 제품을 제공 ◦ New Brunswick에 기반을 두고 40개 이상의 주요 콜센터를 유치, 전자 물류 산 업의 중심지로 역할 수행 지원 ◦ 1,000여개가 넘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지역 발전에 기여 ◦ 현재 가정과 기업 및 모바일 솔루션(Mobility solutions)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 ◦ 최근 케이블을 이용한 VibeVision이라는 디지털 TV 서비스 제공 3) 대만의 신죽(新竹) 단지 ◦ 1979년 신죽단지 설치를 전담하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National Science Council) 를 구성하여 '과학공업원구설치관리조례' 제정, 신죽단지 관리국 설립 ◦
1980년도에
10개년
개발계획
수립,
신죽단지(新竹科學工業園區:
Hsinchu
Science-based Industrial Park) 개발 ◦ 단지의 개발구상 및 계획 집행까지 국가가 주도 ◦ 과학단지의 유치업종을 6개 범주(직접회로, 컴퓨터 및 주변기기, 통신, 광학전자, 정밀기계 및 신소재 생물공학)로 제한 ◦ 입주기업에 조세지원, 금융지원, 연구개발 활동지원, 외국인 투자기업 특별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 44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투자지분에 대한 한도 및 이익 및 이자소득에 대한 송 금제한 폐지 등 투자의 안정성을 보장 4) 말레이시아의 MSC(Multimedia Super Corridor) ◦ 1991년 마하티르 총리가 주창한 Vision 2020의 구현 전략으로 프로젝트 추진 ◦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KLIA) 기술공원(Technology Park), 정보산업단지(Cyber -jaya), 사이버정부, 신도시(Putrajaya) 등으로 구성 ◦ MDC(Multimedia Development Company)라는 공기업 형태의 국영회사 설립, 프 로젝트 추진 → 기술 혁신을 장려하는 환경 조성 및 국제적 IT 사업자들과의 파 트너십 구축
- 4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32] MSC Vision
- 4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5) 스웨덴의 시스타 사이언스파크(Kista Science Park) ◦ 스웨덴 수도 스톡홀롬의 북서쪽 20km 지역에 위치 ◦ 70년대 중반 에릭슨의 무선통신 관련 사업본부와 연구소 설립, 같은 해에 IBM이 추가로 진출하면서 정보통신산업의 메카로 발전 ◦ 대표적 대기업 주도형 클러스터 ◦ 무선이동통신(Wireless Communication)과 무선인터넷 분야에서 강점 → ‘와이어 리스밸리(Wireless Valley)’ 혹은 ‘모바일 밸리(Mobile Valley)’로 불림 ◦ 무선통신 관련 세계 최고 수준의 GSM기술 확보 ◦ 유럽지역의 경우 도시차원의 디지털화가 아닌 이러한 특정기술 또는 특정 기업 의 실험적인 연구중심으로 개발 6) 핀란드 ◦ 울루 테크노파크(Oulu Techopark) ■ 울루(Oulu)는 헬싱키에서 북쪽으로 500km 떨어져 있는 소도시, 1958년 울루대 학의 설립과 1973년 노키아 진출을 계기로 하이테크 클러스터로의 도약 기반 마련, 노키아(Nokia)를 비롯 200개 이상의 기업과 연구기관에 1만 1,500명 이 상이 근무 ■ 울루 테크노파크는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노키아에 의해 구축된 네트워크 조 직 → 관 주도로 형성되어 연구기관, 대학, 대기업, 관련 지원산업 등의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클러스터 형성, 울루대학이 산학연계의 중추적 역할 담당 ■ 기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구성주체간 정보와 인력의 유동 용이 ◦ 아라비안란타(Arabianranta Verkkolehti)15) ■ 헬싱키 내 Arabianranta라는 작은 도 시의 재개발 사업 ■ 도시개발 목표는 2010년 거주자 12,000명, 일자리 9,000개,
학생
6,000명의
커뮤니티 형성 ■ 정보통신 기술력을 바탕 으로 IT와 디자인 기업 육성 [그림 2.1.33] 아리비안란타 배치도 15) 임미숙, ‘유럽의 첨단도시’, HN Focus, ’05.9, vol.07, pp.6-14, 한국홈네트워크 산업협회
- 4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중소기업들과 거주민이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서비스 제공 , 해당 지역의 정 보화 사회화 7) 홍콩의 사이버 포트(Cyber Port) 16) ◦ 1999년 개발착수, 2007년 완공 목표 ◦ 홍콩을 선도하는 IT 기업 및 관련 전문가들의 사업지원을 위한 정보 기반 구축 목표 ◦ Pokfulam의 Telegraph Bay에 240,000㎡ 규모의 Cyberport와 보조 거주지역을 개발, IT 설비가 구축되는 Intelligent Offices, 박물관, 다양한 소매점, 교육 및 오 락을 위한 Cybercenter의 개발 등으로 구성 ◦ 정보통신 서비스 기반설비 구축 완공(2002~2005) ■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서비스 제공 ■ 하이테크 설비, 호텔 객실, 공유지, 사무실 및 일반 거주지 대상 ■ 100BaseT ~ 1Gbps 제공
[그림 2.1.34] Cyber Port 개발 계획(홍콩)
8) 일본 오카야마시 ◦ 초고속인터넷이 가능한 환경 정비(지역정보 수도 구상) ■ 하수도시설을 활용 광케이블 네트워크 정비 16) 임미숙, ‘아시아의 첨단도시’, HN Focus, ’05.7, vol.06, pp.8-15, 한국홈네트워크 산업협회
- 4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일반가정으로 100Mbps, 학교 및 기업에 1Gbps 제공 ■ 망 구성 및 네트워크 관리 - 운용관리 사업자
[그림 2.1.35] 오카야마시 정보화 수도 구축(일본)
9) 덴마크 코펜하겐의 크로스로드(Cross Roads) 17) ◦ 개인과 기업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국제적 연구기관 도시 구성 ◦ 문화, 미디어와 통신기술에 대한 국제적 발전 중심지로 만드는 공사 기업 간 협 동 사업 ◦ 리빙랩(Living Lab)이라는 연구실 개념화 → 일반인들이 원하는 주거환경을 수 용하고 도시 방향 제시
[그림 2.1.36] 크로스로드 배치도 17) 임미숙, ‘유럽의 첨단도시’, HN Focus, ’05.9, vol.07, pp.6-14, 한국홈네트워크 산업협회
- 4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10) 중동 두바이(Dubai) 18) ◦ 두바이는 80년대 중반 이후 자유무역지대 조성 추진 ◦ 90년대 후반부터 정보산업의 세계적 허브 지향, 최적 비지니스 환경 조성을 위한 "기술. 미디어 자유지대(Technology & Media Free Zone)" 조성 ◦ T&M Free Zone은 Internet City, Media City, Knowledge Village로 구성 ◦ 인터넷 시티(Internet City) ■ 세이크 모하메드 왕세자 주도, 쟈발알 리
자유무역지대(Jebel
Ali
Free
Zone) 인근 4km 내에 약 2억5천만 달러 투자, 2000년10월 개장 ■ 현재 IT관련 기업 700개사, 5천5백명 유치 ■
제공
서비스
:
One-stop
shop
service, Reak Estate service, Event & Hospitality service, Incorporation services,
Government
Operation
service, Technology services ■ Technology services : Telephony, Hosting
services,
LAN,
WAN,
Internet Access services
[그림 2.1.37] T&M Free Zone (Dubai)
■ 100Mbps와 무선LAN 제공, VoIP Telephony,
18) 임미숙, ‘두바이 인터넷 시티’, HN Focus, ’05.11, Vol.08, pp.6-12, 한국홈네트워크 산업협회
- 5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38] 인터넷 시티(Dubai)
◦ 미디어 시티(Media City) ■ 2001년 1월 개장 ■ 현재 850개 기업, 5천명의 미디어 관련 인력 근무 ■ 제공 서비스 : Media Business center, IT 서비스, Government Operation services, Partner relations
[그림 2.1.39] 미디어 시티(Dubai)
◦ 날리지 빌리지(Knowledge Village) ■ 2003년 10월 완공 ■ 영국, 호주계의 6개 해외 대학 분교 유치, 2천5백명 학생 교육을 비롯 100여개 의 교육 및 훈련 기관 입주
- 5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40] 날리지 빌리지(Dubai)
11) 독일 퀼른 미디어 파크(Media Park) 19) ◦ 1989년에 추진되어 2004년 완공 ◦ 공공과 민간이 출자한 Madia Park Koln Co.가 건설주체 ◦ 미디어/IT 도시 & 관광도시 ◦ 16개의 건축물군 : Cinedom, 뮤직타워, 병원, 포럼, In the Media Park, 문학하우 스, KOMED House, 퀼른타워, Living Queue, 변전소 ◦ 유선망 중심의 인프라, 100Mbps 제공
[그림 2.1.41] 미디어 파크(독일) 배치도
[그림 2.1.42] 미디어파크 전경 19) 임미숙, ‘유럽의 첨단도시’, HN Focus, ’05.9, vol.07, pp.6-14, 한국홈네트워크 산업협회
- 5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12) 기타 해외 IT 기반 도시건설 추진 국가 및 도시 ■ 아일랜드 디지털파크 ■ 미국 샌프란시스코 Mission Bay ■ 중국 중관촌 ■ 싱가포르 One-north
마. 소결 ◦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인프라(GIS, 초고속 통신망)가 세계 최고 수준이고, 무선통 신 컴퓨팅, 반도체 칩셋 분야 기술을 선도하고 있어, 사회기반시설 및 건축물로 의 유비쿼터스 기술의 활용이 매우 유리한 여건에 있음 ◦ 우리나라에 구축된 여러 가지 인프라적인 장점을 살려 건설분야에서 IT와 접목 된 일류화 기술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할 필요가 있음 ◦ 유비쿼터스 기술과 건설기술의 접목은 도래하는 디지털사회에 부응하는 기반기 술로 국민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 국가적 차원에서 건설, 전자, 정보통신 등 기반과 첨단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 치는 국가경쟁력 제고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고부가가치의 기술임 ■ 더 나아가 건설 업무 전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은 유비쿼터스 관련 산업분야에 영향을 미쳐 타 산업육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 5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1.3 U-City 관련 정부지원정책 현황 가. 주요 정책 추진 현황 1) IT강국을 위한 활발한 정책 추진 ◦ 우리나라는 초고속 인터넷 보급 등 정보통신 인프라 측면에서 이미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정보통신 IT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지 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IT 산업을 경제 성장의 핵심엔진으로 부상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음 ◦ 정부는 급변하는 IT 환경 속에서 새로운 정보 대변혁이라 할 수 있는 "유비쿼터 스 혁명"을 국가 발전의 계기로 삼아 세계적인 IT 중심국가로 뻗어나간다는 비 전을 제시하고, 환경 정비는 물론, 기술 및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 추진해 나가고 있음 ◦ 국내에서는 2002년부터 21세기 새로운 가치 공간을 창출하는 유비쿼터스에 대한 논의가 연구기관 및 언론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2003월 4월 발족한 ‘유비쿼터스 IT 코리아 포럼’을 비롯, 2004년 구체적인 U-Korea 비전 및 전략 수립을 위해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을 중심으로 'U-Korea 전략기획단'을 구성하여 다양한 연구 및 지원 활동을 벌이고 있다. 민간 기업 및 연구소들도 유비쿼터스 기술을 발전시키고 활용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
2) 건설교통부․정보통신부 공동으로 U-City 구축 추진 ◦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거주민 의 생활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인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과 주민복지 증대, 신산업 창출 등 도시 제반 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21C 첨단도시 U-City 구축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임 ◦ 2005년 10월 28일 개최된 경제정책조정회의를 통해 건교부와 정통부는 체계적인 U-City 구축을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양부처가 공동으로 T/F 팀을 구성하였음
- 54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첨단 IT 기반시설을 갖춘 U-City 건설을 공동 추진하는 건교부-정통부가 2006 년 2월 6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본격적인 추진에 나섬 ◦ MOU체결을 통해서 양 부처는 ▲U-City구축을 위한 법제도 정비 ▲표준화된 U-City 모델 개발 및 인증 ▲U-City 시범사업 추진 ▲U-City관련 요소기술 연 구개발 ▲U-City과제 발굴 및 추진 ▲정보 및 인력교류 ▲U-City분야 전문인력 양성 ▲법 제정 등에 공동보조 ▲국제 표준화 및 해외진출 지원 등 국제협력 활 동 ▲기타 협력이 필요한 사항 등에 포괄적으로 협력하기로 하였음 ◦ 양해각서(MOU) 체결에 따라 건설교통부는 U-City의 계획 및 건설, 관리․운영 관점에서 'U-City 건설지원법(가칭)' 제정, 도시계획 및 건설 관점에서 도시개발 관련 법제도정비, 도시기능․유형 정비, 난개발 방지 등의 분야에서 주된 역할을 맡아 수행하게 됨
3) U-City건설지원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 개최 ◦ U-City 건설지원법 작업은 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부문을 건설교통부는 전체적인 법 작업을 공동추진중임. ◦ 건설교통부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주택공사 및 한국토지공사가 공동으 로 주최하는 U-City건설지원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를 2006년 5월 3일(수) 건설 회관에서 개최함 ◦ 건설교통부는 금년 4월에 「U-City 건설 지원을 위한 제도개선 용역」을 대한국 토․도시계획학회, 대한주택공사, 한국토지공사에서 수행하도록 함 ◦ 그 동안 지자체․도시개발사업자가 개별적으로 추진해온 U-City 건설이 체계적 이고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기 위해서는 도시계획과 IT 기술을 접목할 수 있 는 법적인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옴
- 5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4) 유비쿼터스 사회 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 및 기반 시설 마련을 위한 다양한 정책 추진 ◦ 현재 유비쿼터스와 관련된 정부의 움직임을 보면, 우선 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U-Korea 건설을 위한 전략 및 기본계획 수립 등이 추진되고 있으며, 건설교통 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농림부 등 각 부처에서 유비쿼터스 사회 구현을 위 한 기술 개발 및 기반 시설 마련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 중에 있음 ◦ 또한 국내 각 지자체별로 U-City 구축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대부분 선 언적인 전략수립 단계로서 유비쿼터스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 나 명확한 이해가 없어 도시간 서비스 연계․통합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고 실제 이를 도시공간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시계획과의 접목 및 법․제도 개선 등이 요구됨
[그림 2.1.43] 국가 주요 정보화 정책 추진현황 (출처 : 대한주택공사, u-City 추진현황 및 계획 재구성, 2006. 5.)
- 5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5> 추진기관 주요 정책 추진내용
추진기관
건설교통부
정책
추진내용
U-City 건설지원법 제정 추진
지자체․도시개발사업자가 개별적으로 추진해온 U-City 건설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기 위해서는 도시계획과 IT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법적인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옴에 따라 건설교통부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 주택공사 및 한국토지공사와 공동으로 U-City건설지원 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를 2006년 5월 3일(수) 건설회관 에서 개최
지능형교통시스템 (ITS) 추진
교통혼잡완화(20-30%)를 위한 교통시설 이용효율의 극 대화, 교통사고감소(40-60%)를 위한 도로 및 차량의 안 전체계 확충, 대중교통 이용확대를 위한 대중교통의 정 보화 및 첨단화, 물류비 절감을 위한 물류수송체계의 정보화 및 관리의 과학화 등을 위한 지능형교통시스템 (ITS) 추진
국가지리정보체계 (NGIS) 사업
도시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 인프라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다룰 수 있는 지리정보 시스템 구축
일본과의 유비쿼터스 IPv6, 광네트워크 기술, 유비쿼터스코마스 실현을 향한 연구개발 협력 시큐러티·인증 기술 분야 등의 연구개발 체제 구축 IT839전략
IT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라 8대 신규서비스, 3대 인프라, 9대 신성장동력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정책추진을 통해 국민소득 2만불을 달성
BcN 기본 계획
'10년까지 2천만 유무선 가입자에게 50~100Mpbs급의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
USN 기본 계획
'05년 종합시험센터 구축 및 시범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10년에는 실행활에 본격 활용하여 U-Life를보편화
IPv6 기본 계획
'05년 IPv6시범사업 확대 및 공공/상용망에의 선도 도 입을 추진하고, '10년 이후에는 All-IPv6 기반의 서비스 제공
9대 IT 신성장동력
2007년까지 이동 통신, 포스트PC, 지능계 로봇, 반도체, 디지털 콘텐츠, 디스플레이, 디지털 TV, 인베디드소프 트웨어, 텔레마케팅 부문에 2조 5 천억원 투자
U우체국
RFID를 통한 우편물 분류 및 배송 등
정보통신부
- 5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추진기관
과학기술부
정책
추진내용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론티어사업
2003년 9월부터 2013년까지 10년간에 걸쳐 연간 200억 규모로 UT서비스 운영 및 테스트베드, UT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및 지능처리기술개발, UT 컴퓨팅·통신 엔진기술 개발, UT 인프라 네트워크 기반 상황적응 접 속 기술 개발
지능형 종합 물류 시스템 기술 개발
RFID기반 전자물류시스템, 신속 물류망 형성 기술, 모 바일기반의 공급망관리(SCM) 시스템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UT모델 개발 및 시스템 통합, UT 상황인지 멀티모델 네트워크 원천기술 인터랙션 실시간처리 기술, UT 컴퓨팅 엔진/플랫폼, UT 인프라 네트워킹 접속 기술 개발 등 산업자원부 개발
농림부
RFID 활용 확산 및 산업화
RFID 시험 적용 사업, RFID 기술개발 및 산업화 지원, 국제 표준화 대응
지능형 홈네트워크
지능형 홈을 위한 네트워크 및 핵심요소 개발
농축산식품안전관리
산지에서 소비자에게까지 농식품에 대한 이력제공
재정경제부 LBS 시장 활성화 문화관광부
서울시
상공회의소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및 유통물류체계의 혁신
디지털 공공도서관사업
RFID 부착을 통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관리운영
서울 정보화 마스터 플랜
상암지구에 DMC 건설 및 I-Guide를 통한 관광 서비스 제고
RFID기반 유통물류혁신을 위한 RFID 도입 및 전자물류 시스템 전자물류시스템 개발 구축
(출처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자료 재구성, 2005. 4.)
- 5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나. 관련부처별 정책 추진 현황 ◦ 우리나라의 공공부문에서 추진하고 있는 U-City 추진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의 U-City 추진을 위한 정책적 개발 과제를 설정 하고자 함
[그림 2.1.44] U-City 구축 정책 (출처 : 건설교통부, 지능형건축물인증제도, 2006. 6.)
1) 건설교통부 U-City 정책 ◦ 건설교통부는 국토 균형발전의 주관 기관으로 국토의 동반성장과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혁신주도형 국토균형발전시책 방향으로 2006년부터 행정, 혁신, 기업도 시 등 국토균형발전 시책을 본격 추진하고 있으며, 지방이전 공공기관 및 산․ 학․연․관이 서로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최적의 혁신여건과 수준 높은 주거․ 교육․문화 등 정주환경을 갖춘 새로운 차원의 미래형 도시 개발을 위한 혁신도 시 건설 사업을 추진중에 있음. ◦ 또한, 도로, 차량, 신호 등 기존 교통체계의 구성요소에 정보․통신․전자․제어 등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기존 교통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교통사고율을 감소시키려는 차세대 교통체계인 지능형교통시스템(ITS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을 추진
- 5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2003년 12월 유비쿼터스 사이버 국토 실현을 위한 공간정보 DB구축 및 활용시 스템 개발을 골자로 하는 2004년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사업 시행계획을 확 정․발표한 바 있음.
가) 국토균형발전 ◦ 산업화 과정에서 부족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채택한 불균형 성장 정책 은 인구의 대도시 집중현상을 초래하였다. 이는 일정 수준을 초과한 주거비․물 류비 상승으로 대변되는 국토의 고비용 구조화와 지역간 개발 불균형에 따른 지 역차별 논쟁을 야기하여 국민화합을 저해하고 국력 낭비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 고 있음 ◦ 국토 균형발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무한경쟁시대에 신속하고 효과적 인 대응력을 확보하고자하며, 21세기 한반도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자하는 「국 민의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최우선 과제임 <표 2.1.6> 정책 기본전략 비교
연
대
시책구분
기본전략
세계적 추세
60년대 이전
시책 발아기
빈곤극복, 국토복구
성장 모델
70년대
시책 착근기
성장 추구
재분배 모델
80년대
시책 성숙기
성장의 문제
유연적 모델
90년대
시책 안정기
세계화, 지역특성화
환경 모델
(출처 : 건설교통부,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기술개발 연구기획, 2006. 4.)
◦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정부 정책 ■ 건설교통부는 국토 균형발전의 주관 기관으로 국토의 동반성장과 삶의 질 향 상을 위한 혁신주도형 국토균형발전시책 방향으로 2006년부터 행정, 혁신, 기 업도시 등 국토균형발전 시책을 본격 추진하고 주요 방안은 아래 표와 같음
- 6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7> 국토 균형발전 추진방안(건설교통부)
• • • • •
21세기 미래지향적 모범도시, 행정도시 본격 추진 지역발전의 거점, 활력 있고 살고 싶은 혁신도시 낙후지역 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선택, 기업도시 체계적 지역발전 촉진시책 추진 수도권의 계획적 관리를 통한 삶의 질 향상
■ 국토균형발전시책의 기본 방향은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전환하여 중앙정부주 도의 개발시책에서 벗어나, 지방이 창의력을 발휘하여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체계적으로 조성하는 것임. SOC확충 등 물리적 정책수단과 더불어 제 도적인 시스템 구축과 소프트웨어의 발전을 통해 행정․재정․금융․교육․문 화․SOC 등 각 분야의 정부시책을 국토균형발전의 목표와 조화되도록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추진전략 a. 지역개발에 대한 협소한 시각을 버리고, 국제화시대를 맞이하는 새로운 성 장전략으로 추진 b. 지방에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하여 행정․재정 등 지역발전의 핵심요소를 지방에 분산 c. 지방에서 기업하는 것이 편리한 여건을 만들고, 지식산업 등을 육성하여 일자리를 지방에서 대대적으로 창출 d. 지방의 교육․문화․정보환경을 개선하여 전국 어디에서도 기본적인 삶 의 질을 보장 e. 지방중심의 새로운 국토골격을 구축하고 수도권 억제시책의 실효성을 제 고하여, 지역이 골고루 발전할 수 있는 기반 구축 ■ 국가균형발전 위원회 :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균형발전의 지속적 추진을 위 해 그동안 균형발전 특별회계 신설,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 수립 등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또한 낙후지역 개발, 지역산업 육성, 공공기관 지방이전 및 혁신도시건설, 수도권종합발전대책 등 국토의 체질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을 개발하고 추진함
- 6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8>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3대 원칙
• 지방분권, 지역균형발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 등 종합적인 접근으로 지방화 추진 • 자립형 지방화를 위해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고 지방경제를 혁신주도 형 경제로 전환 • 지방우선 육성과 수도권의 계획적 관리를 통해 지방과 수도권의 상생 발전 토대 구축
나) 혁신도시 건설 ◦ 혁신도시의 개념 지방이전 공공기관 및 산․학․연․관이 서로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최적의 혁신여건과 수준높은 주거․교육․문화 등 정주환경을 갖춘 새로운 차원의 미 래형 도시 ■ 공공기관,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상호교류하는 네트워크도시 ■ 지식창출과 기술혁신의 터전이 되는 지식기반도시 ■ 혁신주체간 상호학습을 통해 혁신역량이 강화되는 학습도시 ■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지는 친환경도시 ◦ 추진배경 ■ 40년간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수도권 집중현상은 날로 심화되었고, 근본적인 대책이 없는 한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전망임. 국토면적의 11.8%에 불과한 수 도권에 전국인구의 47.6%, 전체 공공기관의 85%, 100대 기업 본사 91%가 집 중 * 수도권 집중도 변화 추이 : 인구 28%(‘70) → 47.6%(’02), GRDP 45.6%('90) → 47.8%('01), 금융대출 62.9%(‘90) → 64.7%(’01) * 교통혼잡 12조 4천억원, 대기오염 10조 4천억원, 환경처리 4조 2천억원(연 간) ■ 국제경쟁의 중심이 국가간에서 지역간으로 전환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혁신성 과 역동성을 갖춘 특성화된 도시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며, 이러한 세계적 추 세에 부응하여 우리나라도 혁신주도형 발전 패러다임에 근거한 역동적 국가균 형발전정책을 추진 ■ 그러나, 우리나라 지방도시들은 자족기능 및 사회간접자본 부족, 지역간․혁신
- 6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주체간 연계미흡 등으로 혁신과 시너지효과를 발휘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은 실 정 * 다만, 최근 경부고속철도 개통 및 정보통신 인프라 확충 등의 여건변화로 혁신을 위한 새로운 기회요인이 많이 발생 ■ 참여정부가 중점 추진 중인 각종 국가균형발전정책들을 지역적 공간에서 체계 화․조직화하기 위해서는 지방도시의 혁신이 필요 * 특히,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촉매로 혁신성과 역동성을 갖춘 특성화된 도시 또는 지구를 건설하여 지역발전거점으로 육성 ◦ 추진경과 및 현황 ■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대구구상(’03.6)을 통해 공공기관 지방이전 방침을 발표 - 국가균형발전특별법(’04.4.1 시행)에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기관 현황조사 및 각계 의견수렴 등 체계적인 준비 - ‘혁신도시 건설 및 공공기관 이전방안’을 마련하고 기본원칙과 추진방향 발 표(‘04.8.31) - 시․도 정책설명회, 공공기관 대화 등 공감대 확산에 주력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특별법’ 국회통과(‘05.3.2) 이후 이전대상 공공기관, 시․ 도별 배치내역 등 이전계획의 확정․발표를 위한 준비작업 본격 추진 - 국회 ‘신행정수도후속대책특위’ 보고(2.24, 균형발전소위), 국무회의 보고 (3.8), 시․도지사 간담회*(3.30) 개최 -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상생발전, 공동협력, 정치논리 배제 등 합의 - 각 부처별로 T/F를 구성하고, 소관기관에 대한 이전계획 검토, 노조․직원 상대 설명회 개최, 의견수렴 등 준비작업을 진행 ■ 국회 논의, 공개 토론회 등 공론화 과정과 국가균형발전위원회․국무회의 심 의 후 5월말까지 확정하여 발표할 계획 ◦ 혁신도시 개발구상 ■ (공공기관 이전과 연계) 지역전략산업과 연관이 있고 지역혁신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관을 기능군으로 묶어 혁신도시로 집단이전 ■ (혁신환경 조성) 지역특화발전 관련기능을 유치 및 육성하고, 개발초기부터 산․학․연․관의 상호교류를 촉진하는 제도적 환경 조성 - 지역전략산업 및 공공기관 기능군과 관련한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을 중점 유치하고 one-stop 서비스체제 구축
- 6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혁신주체들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연구-생산 협력 프로그램, 기술혁신센 터, 지역협력센터 등 확충 ■ (인프라 조성) 혁신도시 전체에서 구성원간의 협력과 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구조와 주거․문화, 교통․통신 등 인프라와 어메니티 (Amenity) 구비 - 혁신주체의 지식교류와 상호학습을 위한 공간인 혁신중심지구 조성 -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상업․업무, 문화, 스포츠․여가시설 등을 보행자몰 주변에 배치
[그림 2.1.45] 스웨덴 시스타 사이언스파크 사례 (혁신센터(Electrum) 건물내부 및 단지내 보행자 몰) (출처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공공기관이전 및 혁신도시 건설방안, 2005. 5.)
- 미래형 도시에 걸맞는 첨단 교통․정보통신체계 구축 - 고급인력을 끌어 들이고, 정주할 수 있도록 매력있고 쾌적한 주거․여가환 경과 우수한 교육인프라 조성 - 국내․외 혁신도시 유사사례
- 64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혁신도시의 대표적 유사사례로는 국내의 대덕연구단지와 프랑스의 소 피아 앙띠폴리스 등이 있음 - 대덕연구단지는 첨단기업유치와 연구성과 상업화, 산학연 네트워크 강 화를 통한 클러스터화로 혁신도시 지향 - 프랑스의 소피아 앙띠폴리스는 국립공과대학, 국립컴퓨터 연구소 등이 입주하고, 단지내 연구소, 기업 등과 네트워킹으로 세계적 혁신단지로 발전 <외국의 혁신도시 유사사례> 유
형
사
례
사이언스파크, 테크노폴 ․ 소피아앙띠폴리스(프랑스), 메츠(프랑스) 사이언스파크, 테크노폴 ․ 캠브리지(영국), 시스타(스웨덴), 오울루(핀란드 등) 혁신형 산업단지
․ 도요타시(일본), 신죽(대만) 등
연구학원도시
․ 쯔꾸바(일본)
※ 이들 지역은 긴밀한 산․학․연․관체제를 이루고 있으며, 공공기관이 혁신 의 촉매 기능 수행 ※ 또한, 고급기술인력, 벤처자본, 모험적 사고, 양호한 도시 인프라 등을 바탕으로 네트워킹이 중요한 역할 차지
◦ 혁신도시 개발방안 ■ 개발유형 : ‘기존도시 활용형’(혁신지구)과 ‘독립 신도시형’(혁신도시)으로 구분 - 재개발 방식 : 도심 인근에 입지(소규모) - 신시가지 방식 : 도시내부 또는 외곽에 입지(중규모) - 신도시형(New Town) : 기존 도시와 공간적으로 분리(대규모)
- 6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기존도시 미개발지
기존도시
기성시가지 산업단지 등
미개발지
혁신지구
혁신지구
(재개발형)
기성시가지 산업단지 등
(신시가지형)
기존도시 활용형 개발
기존도시 기성시가지 혁신도시 연계 인프라
독립 신도시 개발 [그림 2.1.46] 혁신도시 개발유형 (출처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공공기관이전 및 혁신도시 건설방안, 2005. 5.)
■ 개발주체 : 공공부문이 주도하되, 필요한 경우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허용하고 지역여건에 따라 기업도시와 연계 추진 ■ 혁신도시의 수 : 정부는 수도권과 대전․충남을 제외한 시․도에 1개씩 총 11 개의 혁신도시를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중 - 다만, 일부 지자체에서는 2개 이상의 혁신도시 건설을 요구 - 그밖에, 일부 시․도는 광역자치단체간 합동 혁신도시를 건설하는 대신 이 전대상기관의 추가 배치를 요구하는 등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음 다) 지능형교통시스템(ITS) ◦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개념 ■ 도로, 차량, 신호 등 기존 교통체계의 구성요소에 정보․통신․전자․제어 등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기존 교통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교통사고율을 감 소시키려는 차세대 교통체계 ◦ 추진배경 ■ 만성적인 교통혼잡(‘96 교통혼잡비용 16조원)에도 불구하고 사회간접자본의 대 폭적 확충에는 재원의 한계
- 6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교통사망율이 선진국의 4-9배, 교통사고비용이 연간 6.6조원(‘93) ◦ 기본계획 수립경위 ■ ‘93. 4 : 대통령비서실 사회간접자본투자기획단 주관으로 ITS 국내 도입방안 검토 ■ ‘93. 11 : 관계기관 협의에서 범부처적인 ITS 추진방향 결정 ■ ‘94. 7 ~ ’96. 7 : ITS기본계획 수립연구용역 시행(대한교통학회 등) ■ ‘97. 9 : 정보화추진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에서 ITS기본계획 확정 ◦ 해외 ITS 추진동향 ■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70년대 중반부터 민간의 개별사업으로 추 진되다가, ’80년대 후반부터 주요 국책사업으로 추진중 ■ 미국은 ITS-America, 유럽공동체는 ERTICO, 일본은 VERTIS라는 ITS기구 를 구성하여 독자적인 연구개발을 추진 ■ 이들 기구간 합동이사회를 구성(‘94)하고, 매년 ITS 세계대회 개최를 통해 ITS 관련기술과 정보를 상호 교환 ■ 국제표준화기구(ISO)를 통하여 관련기술의 표준화를 추진 ◦ ITS 추진목표 ■ 교통혼잡완화(20-30%)를 위한 교통시설 이용효율의 극대화 ■ 교통사고감소(40-60%)를 위한 도로 및 차량의 안전체계 확충 ■ 대중교통 이용확대를 위한 대중교통의 정보화 및 첨단화 ■ 물류비 절감을 위한 물류수송체계의 정보화 및 관리의 과학화 ◦ ITS 단계적 추진전략 ■ 1단계(1996~2000) : 수도권 중심으로 ITS 기반구축 ■ 2단계(2001~2005) : 주요 광역시 권역으로 확산 ■ 3단계(2006~2010) : 전국적으로 구축확대 ◦ ITS 분야별 구축시스템 ■ 5개 분야의 14개 시스템 - 첨단교통관리분야(ATMS) : 도시․고속도로․국도 교통관리시스템, 자동교 통단속시스템, 자동요금징수시스템, 중차량관리시스템 - 첨단교통정보분야(ATIS) : 권역별 교통정보시스템, 부가교통정보시스템
- 6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첨단대중교통분야(APTS) : 시내․시외․고속버스 정보시스템 - 첨단화물운송분야(CVO) : 종합물류정보전산망 사업에 포함하여 추진 - 첨단도로․자동차분야(AVHS) : 첨단차량․첨단도로시스템 ■ 해당 시스템에 대하여 건교부, 정통부, 산자부, 경찰청, 지자체, 도로공사, 민간 등 관련주체별로 구축 ■ 건교부는 국도교통관리․중차량관리․권역별교통정보․시외버스정보․첨단차 량․도로시스템 등 구축 추진 ◦ ITS 표준화 및 산업화 ■ 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 확보 및 중복투자 방지를 위하여 기존 국제표준 및 국 립기술품질원의 KS표준, 정통부의 국가통신표준 등을 활용하되, ITS 표준은 건교부가 단체표준으로 제정․관리 ■ 개발된 기술을 초기에는 정부에서 시범사업 등 ITS 관련사업을 적극 추진함 으로써 국내시장의 여건을 조성하고 산업화 추진 ◦ ITS 법 제정 추진 ■ 산․학․연․관의 협조체제 구축 및 활동 근거, ITS시스템의 표준화 근거 및 안정적인 재원조달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라)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 ◦ 건설교통부는 2003년 12월 유비쿼터스 사이버 국토 실현을 위한 공간정보 DB구 축 및 활용시스템 개발을 골자로 하는 2004년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사업 시행 계획을 민․관․학계의 의견 수렴을 거쳐 확정․발표하였음. 이 시행계획에는 관 련 11개 중앙행정기관의 47개 사업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기본지리정보 구축, GIS 활용 및 유통체계 구축, 표준화 및 전문인력 양성, 기술개발 및 연구 등을 지원할 예정임 ◦ 좀 더 세부적인 주요사업 내용을 보면, 국토의 지형정보를 디지털화한 수치지도 를 최신자료로 수정하고, 토지행정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DB화하여 2005년 말 에는 전체 248개 지자체 중 150여개 지자체에서 토지관련 민원을 온라인에서 서 비스 할 예정이며, 건축행정 정보망 등 유관기관 시스템과도 연계하여 토지종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계획임. 또한, 기타 도로와 지하시설물 통합구축사업도 도시정보체계(UIS)와 연계를 추진하고, 해양지리정보망 등 유관
- 6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기관과 연계한 전국 네트워크의 지리정보유통망을 완성하여 일반국민들이 인터 넷을 통해 다양한 지리정보 포탈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온/오프라인 교육의 확대로 GIS 활용을 촉진하며, 첨단 센서를 통해 취득한 지리정보 처리기술 등 신기술 ◦ 개발 사업을 추진해 가는 것도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비하여 현재의 2차원의 공간정보를 입체화한 3차원 공간정보구축사업이 처음 으로 시행될 예정임 ◦ 본 사업은 국가기반지리정보의 지속적 확충과 활용시스템간의 연계뿐만 아니라 유비쿼터스라는 신개념의 정보화환경에 대비하기 위한 신규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임 ◦ 2005년 현재 범정부적으로 추진되는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사업에 총 1104억 원이 투입됨. 특히 토지종합정보망사업에 322억원이 지원돼 부동산 실거래가 시 스템이 연내 완비됨. 정부는 건교부 등 11개 중앙부처를 활용, 토지종합정보망 등 41개 NGIS 사업을 연내 추진함
2) 정보통신부 U-City 정책 ◦ 정보통신부는 유비쿼터스 사회 실현을 위한 기반이 되는 BcN, USN 등의 구축 및 이용확대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사회구현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가) IT839전략 ◦ IT839전략은 IT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라 8대 신규 정보통신 서비스를 도입.활성 화하여 3대 유무선통신, 방송 인터넷 관련 인프라에 투자를 유발하고, 이를 바탕 으로 9개 첨단기기와 단말기, 소프트웨어, 컨텐츠 산업을 동반 성장시키고자 하 는 IT산업의 발전전략
- 6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47] IT839 전략 (출처 : 정보통신부, 2006년 연두업무보고, 2006. 2.)
◦ IT839전략은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기반을 확충하고, 선 택과 집중을 통해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을 육성하여 투자성과 및 고용을 극대화 하는 '정보통신부IT산업 전략'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음
[그림 2.1.48] IT839 전략 개념도 (출처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2005.4)
◦ 정보통신부가 계획하고 있는 BcN에 기반한 IT 산업 활성화 환경조성 전략을 차 질 없이 잘 추진할 경우, 참여정부가 끝나는 2007년에 그 중간단계의 목표로서 IT 산업이 생산 380조 원, 고용 150만 명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리
- 7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하여 2012년 국민소득 2만 달러가 달성되는 시점에서는 GDP 비중을 25%까지 늘려 1인당 국민소득으로 환산하면 5천 달러를 IT 분야에서 담당하게 될 것 ◦ IT839 전략은 U-Korea 건설을 위한 인프라 구현과 유비쿼터스 관련기술의 산업 화를 촉진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음. 특히 839의 3대 인프라인 BcN과 USN, IPv6 는 유비쿼터스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 인프라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정통부는 국 가 전체의 IT화로 효율성이 극대화된 지능기반사회를 유비쿼터스 사회로 보고 IT839전략을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진입을 준비 나) BcN 기본계획 ◦ BcN(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이란 통신·방송·인터넷 등을 통합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품질 보장형 통합 네트워 크를 뜻함. 2010년까지 BcN이 우리나라 통신 인프라로 자리 잡는다면 정부가 궁 극적으로 추구하는 ’유비쿼터스 망 시대‘가 도래하게 된다. 정보통신부는 2010년 까지 총 3단계로 나누어 단계별 망구조, 기술 규격 및 서비스 제공기준 등을 제 시하여 주고, 산․학․연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세부적인 표준모델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할 예정임
[그림 2.1.49] 정보통신부 BcN 구축 단계별 표준모델 (출처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2005. 4.)
◦ BcN은 지난 2004년 8월, 1단계 시범사업을 시작하였음. 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1단계 BcN 시범 사업자로서는 KT, SK 텔레콤, 데이콤이 선정되었으며, 이들 기 업은 각각 ‘옥타브 컨소시엄’, ‘유비넷 컨소시엄’, ‘광개토 컨소시엄’을 주도하며 다른 기업들과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들이 함께 참여하여 연구를 계속해 나가고 있음
- 7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정보통신부는 광대역통합망(BcN)의 표준모델을 마련, 2005년 하반기부터 시작되 는 2단계 시범사업에 적용한다는 계획을 세움. 기본적으로 BcN 표준모델의 서비 스는 망구조에 기반하여 유ㆍ무선, 음성ㆍ데이터, 방송ㆍ통신 서비스를 모두 제 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표준모델의 설정은 상호 연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BcN의 기술적인 모델을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음 ◦ 정보통신부는 이처럼 광대역 통신망 구축 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 인프라로서 한단계 도약하고, 정보 통신 1등 국가로서 위상을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대국민 행정 서비스 개선, 기업의 생산성 향상, 국가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향후 2010년까지 약 67조원의 BcN 관련 민간투자를 유발함으로써, 2010년 관련 장비 와 서비스 생산액이 95조원에 달하고 동시에 135억 달러의 수출과 37만명의 고 용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다) USN 기본 계획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란 사물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 -cation), 고기능 센서 등을 부착하여 유.무선 가입자망과 연동함으로써 이용자를 중심으로 각 사물의 정보를 수집.가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 는 통신망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은 먼저 인식정보를 제공하는 전자태그 (RFID)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이에 Sensing 기능이 추가되고 이들 간의 네트워 크가 구축되는 과정을 통해 발전하게 됨. 기존에 단순한 용도로만 쓰이던 전자태 그(RFID)를 모든 사물에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 체계를 발전시키고, 단순 인식 기능뿐만 아니라 Sensing 기능까지 갖추고 그것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자율 센서 망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임 ◦ 정통부는 ‘U-센서네트워크 구축 기본계획’에서 `RFID 보급촉진을 통한 U-Life 구현'을 기치로 삼아 2007년까지 세계 1위의 U-Life 기술을 확보하겠다는 목표 를 밝힘. 2007년 까지 세계 RFID 및 U센서네트워크 시장의 5%(9.5억달러)를 점 유하고 실생활에도 U-Life를 구현하기 위한 기반 구축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아울러 2010년까지 세계 1위의 U-Life를 실현하고 세계 RFID 및 U센서네트워크의 7%(53.7억 달러)를 점유한다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지속적으
- 7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로 투자 및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음. 국제표준화 대응 및 국내 표준화 수립을 위해서 2004년 4월에 는 USN 표준화 포럼도 설립되어 추진되고 있음 라) IPv6 기본 계획 ◦ IPv6은 인터넷 프로토컬(IP) 버전 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을 뜻하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 주소 체계인 IPv4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IP 주소 체계를 말함.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의 공식규격으로, 차세 대 인터넷통신규약이라는 뜻에서 IPng(IP next generation)라고도 함. 이는 폭발 적으로 늘어나는 인터넷 사용에 대비하고 기존 IPv4보다 더 빠른 네트워크 속도 와 안전성, 특정한 패킷 인식을 통한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 점 때문에 최근 들어 급속도로 연구가 진전되고 있음 ◦ 정보통신부는 IPv6의 기술 및 표준안을 선진국보다 먼저 개발, 지적재산권을 확 보할 경우 IPv6 관련 생산유발효과가 2007년까지 7조6천억원에 이르고 고용유발 효과도 약 4만7천명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2005년 차세대 인터넷주소체계(IPv6) 사업에 총 105억원을 투입해 관련 장비 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전자정부 통신망 을 중심으로 우선 도입하기로 함. 또한, 최종적으로 현행 인터넷 프로토콜 체계 (IPv4)의 주소부족 문제 해결과 인터넷망고도화를 목표로, 오는 2007년까지 1천 885억원을 투입, 차세대 인터넷망(IPv6) 구축을 추진할 예정 마) 9대 IT신성장동력 ◦ 과거의 성장전략이 노동ㆍ자본 등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늘려 생산량을 증대하는 ‘규모의 경제(Scale of economies)’였다면, IT 신성장 동력은 R&D투자ㆍ인력양성 등 생산시스템의 혁신과 고부가가치에 핵심역량을 집중한 시장선도의 전략을 요 구. 우리에게 강점이 있고 부가가치가 큰 신성장 동력의 발굴과 이에 대한 R&D 투자는 5~10년 간 우리경제 성장의 ‘버팀목’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 7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9> 9대 IT 신성장동력 품 목
개
념
지능형
■인공지능 등 IT기술을 바탕으로 인간과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가
서비스
사지원,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
로봇 차세대 PC 텔레 메틱스
선정분야
는 인간 지향적 로봇
■문서작성․인터넷 검색․테이터 관리 등 종합 정보 기기 개념의
신시장을
PC와는 달리 정보이용환경과 사용목적에 따라 특화된 기능과 선점하기 위한 분야 형태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반의 차세대 컴퓨터
■위치정보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이용자에게 교통안내, 긴급 구 난, 인터넷 등 “Mobile Office"를 제공하는 서비스 - 텔레매틱스는 Telecommunication + Informatics"의 합성어
■정지 및 이동 중에 안테나를 통하여 음성, 문자, 동영상 등의 차세대 이동통신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를 원래의 정보로 검축하는 통신방식 - 차세대 이동통신은 음성은 물론 문자, 그림, 동영상 등의 멀티 확보를 통해
수신하는 서비스를 의미 디지털 TV 홈 네트워크
IT SoC
디지털 컨텐CM Embeded S/W
원천기술
미디어 정보를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통하여 고속, 고품질로 송
■아날로그 TV보다 고선명의 영상과 고품질의 음향을 제공하면서 경쟁 우위를 언제 어디서나 시청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유지할 수
개인용 컴퓨터처럼 다양한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지능형 TV ■가전 내의 정보 가전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기기․시간․장
있는 분야
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미래 가정환경인 디지 털 홈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IC신호’를 제어․처리하는 ‘시 스템 IC(SoC)' 그리고 단품의 ’개별소자‘로 대변
■IT SoC(System-on-Chip)는 정보통신기기의 短小화, 多,高 기 고부가가치화 능화를 가능하게 하는 비메모리 반도체 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는 문자, 이미지, 음향, CG 등으로 제작․디지털화 되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되는 것으로 게임, 영상, 모 기반이 되는 바일, e-Learning 컨텐츠 등이 대표적임 ■휴대폰, 첨단 로봇 등 다양한 디지털 제품에 내장되어 멀티미디 어, 인터넷, 게임,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해 주 는 핵심 소프트웨어
(출처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2005. 4.)
- 74 -
분야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바) U우체국 ◦ 현재 정통부(우정사업본부)를 중심으로 ‘우정사업 정보화 종합계획 수립’을 통해 우정분야 정보화에 대한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제시하고 ‘우편물류 통합정보시스 템’ 등 정보화를 통한 우정업무 전반의 혁신을 추진 중 ◦ U우체국의 주요 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음 ■ U 우표 : 발신자 및 수신자와 우편물정보(요금, 무게, 등급 등) 자동인식, 저장 및 실시간 정보전송 ■ U 우체통 : 가장 근접한 U 차량에 우편물수집 요청 ■ U 우편함(아파트) : 필요한 우편물선별, 수신자에 원격통지, 부재 시 수령 확 인 및 고지서 결제 대행 ■ U 집중국 : U 차량과 U 집중국과 실시간으로 우편물량정보 교환, 도착 물량 을 사전 파악하여 최적화된 작업스케줄에 따라 작업수행 ■ 택배차량 : 위치측정시스템(GPS), 지리정보시스템(GIS), 지능형 교통시스템 (ITS) 등을 활용하여 최적경로로 배달 3) 산업자원부 U-City 정책 ◦ 산업자원부는 자체 추진중인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중 지능형 홈네트워크 발전전략의 12개 세부과제 중 하나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 원천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여기서 개발하는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홈의 구 현을 위한 제품 및 서비스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의 총사업 기간은 5년(2004~2008년)이며, 1, 2단계로 나누어 추진중임 ◦ 이 사업의 목표는 첫째, 실제 환경의 물리적인 공간과 컴퓨팅 기반의 가상전자공 간을 융합화한 새로운 유비쿼터스 컴퓨팅 공간을 창출하는 것이며, 둘째, 유비쿼 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UT) 사회를 구현하여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 는 것이며, 셋째, 관련 분야의 핵심원천 기술력 향상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로 초일류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UT) 기술 강국을 실현하고자 함
- 7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50] 유통물류 개념도 (출처 : 산자부, ‘RFID 기술에 의한 유통물류 혁신 개념도’, 2003.7.11)
가)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 원천기술 개발 ◦ 산업자원부는 자체 추진중인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중 하나인, ‘지능형 홈네 트워크 발전전략’의 12개 세부과제에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 원천기술 개발’을 포함하여 추진하고 있음. 이 사업은 2단계로 나누어 추진되며, 총 5년 (2004~2008년)의 사업 기간이 소요됨 ◦ 이 사업의 목표는 첫째, 실제 환경의 물리적인 공간과 컴퓨팅 기반의 가상전자공 간을 융합화한 새로운 유비쿼터스 컴퓨팅 공간을 창출하는 것이며, 둘째, 유비쿼 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UT) 사회를 구현하여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 고, 셋째, 관련 분야의 핵심원천 기술력 향상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로 초일류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UT)기술 강국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임 나) RFID 활용확산 및 산업화 추진 ◦ RFID관련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RFID 시스템이 기존 바코드 중심의 상품식별 시스템을 단시일 내에 대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이에 유통.물류, 디지털가전 등 관련 산업계의 신속한 대응 및 IC 칩.판독기 등 국내 관련 산업의 성장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7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현재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 정부 및 ISO 등 국제표준기구에서는 RFID 표준 화(주파수 대역 및 부착위치 등) 관련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그중 일본의 경우 ‘유비쿼터스 ID센터(180개 기업 참여)’를 설립, RFID 기술개발 및 산업활성 화를 지원하고 있음 ◦ 2004년 RFID 주파수대역에 대한 국제표준이 결정되고 RF-chip 가격이 5센트대 로 하락하면 주요 산업분야로 급속히 확산될 것임. 특히, Wal-Mart은 2005년까 지 RFID 도입을 발표하는 등 글로벌 유통물류기업들의 RFID 시스템 도입은 급 증할 것으로 예상됨 ◦ 산자부에서도 이런 예측을 통해 ‘RFID 활용확산 및 산업화’전략을 수립하고 RFID 시범적용 사업 추진, RFID기술개발 및 산업화 지원, 국제 표준화 대응, 제 도적 인센티브 도입 등 방안을 마련하여 지원하고 있음 4) 과학기술부 U-City 정책 ◦ 과학기술부에서는,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 원천기반기술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론티어 사업은 2003년 9월부터 2013년 3월까지 3단계에 걸쳐 UT홈/빌딩, UT 타운, UT 코리아 실현에 필요한 유비쿼터스 핵심기술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 인간/환 경친화적인 고도지능의 전자사회 구현을 위한 유비쿼터스 컴퓨팅/통신 엔진 및 고도지능시스템솔루션 원천기반기술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음 ◦ 과기부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 원천기반기술개발사업단을 만들어 이 를 총괄주관하게 하고 있으며, UT-Korea 국가 성장엔진의 효과를 가져 올 것으 로 기대하고 있음 가)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론티어 사업 ◦ 과학기술부는 UT(Ubiquitous technology) 세계기술 선도 5위권 진입, 휴먼 디지 털 라이프 신시장 산출 및 UT 인력 고도화, UT 세계시장 20% 점유, 인간.환경 친화적 그린 휴먼소사이어티 실현을 통한 초일류 UT 기술강국 건설이라는 비전 을 실행하기 위하여 2003년 9월부터 2013년까지 10년간에 걸쳐 연간 200억 규모 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론티어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였음.
- 7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이 사업은 크게 1)UT서비스 운영 및 테스트베드, 2)UT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 스 및 지능처리기술개발, 3)UT 컴퓨팅.통신엔진기술 개발, 4)UT 인프라 네트워 크 기반 상황적응 접속 기술 개발이라는 4개의 테마를 가지고 총 9개의 세부과 제로 구분되어 추진되고 있음. 단계별로 첫 3년은 UT-홈.빌딩/캠퍼스, 그 다음 4 년은 UT-타운, 마지막 3년은 UT-소사이어티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영역을 확장 하고,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선진 연구기관들과의 협력 모델을 수립하는 등 글로 벌 전략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음
[그림 2.1.51]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론티어 사업 개요 (출처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자료 재구성, 2005. 4.)
◦ 이 사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특징은 정보기기가 지능적으 로 스스로 인간에 맞추어 동작되어 지는 것과 자가학습(Self-learning)을 통해 스 스로 성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음. 예를 들어, 리모콘 없이 운영되는 디지털 홈, 자동으로 사전에 A/S되는 가전기기, 키보드 없이 문자입력 가능한 휴 대폰, 그리고 배터리 교체없는 전등, 시계, 휴대정보단말기 같은 것임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단순한 IT 응용기기 및 인프라의 통합을 추구하지 않고, 통합 그 이상의 인간중심의 지능화 서비스가 이루어 질 수 있는 UT 시스템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임
- 7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5) 농림부 U-City 정책 ◦ 농림부에서는 2007년까지 완료할 예정인 농식품안전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유비쿼 터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는 농축산․농가 이력정보통계 및 농축식품정 보 체계 및 농축산물 유통체계 구축, 국내가축방역 지리정보시스템, 국가검역 DB체계 구현 등이 포함되어 있음 가) 농축산식품안전관리 ◦ ‘농축산식품안전관리 정보체계’는 전체식품 중 농.축.식품안전 관련정보의 체계적 이고 종합적인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One-stop 식품안전정보체계를 구축하고, 농축식품관련 유관기관.단체간 역할분담을 통한 협업(Collaboration)체계 기능강 화 및 추진체계의 상설화를 목적으로 함 ◦ 농림부는 총 3단계 추진계획을 세워 수행중인데, 먼저 1단계는 중장기 정보화전 략계획(ISP)을 수립하는 것임. 여기에는 생산이력제(Traceability), 원산지.지리적 표시제, 친환경농산물인증제, 축산물위생(HACCP), 국경검역.검사, 국내가축방역 (질병) 등이 포괄적으로 수용 가능한 IT기반의 농축식품안전정책 시스템프레임 을 구성하고, 농축식품안전 관련 정보연계에 필요한 유관기관별 정보시스템개선 및 표준화 적용방안, 법.제도 개선 방안 등을 도출함. ISP 결과를 토대로 2단계 에는 유관기관별 기존 업무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관기관간 정보지식공유 및 정보공동활용DB를 구축하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농축식품안전정보포탈을 구 현하여 관련 민원 등의 정보교류 창구를 일원화시키고, 농축식품의 위해사고 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기능과 농축식품위해 사고 발생 및 징후에 대한 유관기관별 긴급경보시스템(RAS : Rapid Alert System)을 구현하여 종합 적인 안전 대응체계를 마련할 계획
- 7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6) 문화관광부 U-City 정책 가)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구축사업 ◦ 문화관광부는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구축사업 추진계획’을 2001년 7월부터 2003년 10월까지지 총 3단계에 걸쳐 진행한바 있음. 그 중 2단계 사업에서 4개 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
부산시립도서관,
대구시립도서관,
대전한밭도서관)에
RFID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U-도서관 관련사업을 추진 ◦ RFID를 활용한 의한 U-도서관의 서비스는 자료관리 및 운영이 편리해져 도서관 사서의 과중한 단순 업무를 경감시켜 주었고, 인력 재배치를 통해 이용자들을 위 한 고급 서비스 창출에 기여함. 24시간 대출 반납이 가능한 무인 시스템을 구축 하여 시간적 제한사항을 줄였으며, 자료관리의 효율성으로 관리 비용 절감 및 이 용의 편의성을 제공하였다. 또한, 보안이 견고해져 도서관 자료 분실을 차단할 수 있음 ◦ 이외에 삼성전자가 인천시 계양.연수도서관에, ECO가 은평구립도서관, 청주시립 도서관, 의정부정보도서관, 김천시립도서관에, 코리아센서닷컴이 순천 기적의 도 서관에, 한국쓰리엠이과천도서관 및 한성대 도서관에 RFID 시스템을 구축한 사 례가 있음
7) 서울시 U-City 정책 ◦ 서울시는 ‘서울 정보화 마스터플랜’에 I-가이드를 포함하고 있는데, ‘05년 하반기 부터 서비스 예정인 I-가이드의 주요서비스는 건축물, 고궁, 박물관, 거리등에 RFID 설치 및 휴대폰, 스마트 디스플레이로 안내서비스를 제공 가) 서울정보화 마스터플랜 ◦ 서울시는 시민이 만족하는 최고의 정보도시 건설이라는 비전 아래 5000억원을 투입해 생활·산업·도시기반·행정 등 4개 분야 17대 과제 추진전략을 담은 서울정 보화 마스터플랜(Intelligent City Seoul 2006)을 수립, 시행할 방침. 또한 마스터 플랜에 포함된 분야별 과제추진을 위해 ‘2004 정보화사업 시행계획(e-Seoul
- 8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004)’을 별도로 수립, 오는 2006년까지 82개 정보화사업을 추진키로 했음
[그림 2.1.52] 서울시 정보화 추진단계 (출처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2005. 4.)
◦ 2004년 시행계획에 따르면 서울시는 4월 1일부터 30일까지 하이서울 페스티벌과 연계한 ‘Hi Seoul e-페스티벌 2004’를 기획, 전자정부 세계1위 퀴즈대회, 지리정 보시스템 시연, 서울시 위성사진전 등을 추진. 시는 2억 5200만원을 들여 전자민 원종합센터를 구축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원클릭 민원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써 행정의 투명성 및 효율화를 구현한다는 방침. 또한 10억여원을 들여 서울시 인터넷방송을 개국해 시정 운영을 시민에게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소년소녀 가장 등에 대한 신규 및 중고 PC 보급, 시민인터넷 교육과정 확대 등을 통해 계층간 정보격차를 줄여 나간다는 계획 ◦ 이와 함께 6월까지 92억여원을 들여 버스종합사령실(BMS)을 구축, 버스도착예정 시간을 제공해 대기시 불편을 해소하고 각종 과태료의 인터넷 납부 확대, 정책지 표 개발을 통한 서울서베이 실시, 지리정보서비스 고도화 등에도 나설 방침 ◦ 이렇게 되면 서울시민은 앞으로 버스도착 예정시간을 미리 알 수 있게 되며 인 터넷방송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정정보를 알 수 있고 모든 민원을 인터넷을 통해 원클릭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됨
- 8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다. 관련 인증제도 현황 ◦ 현재 국내에서 운영중인 관련 인증제도는 건설교통부의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 지능형건축물인증제도(‘06,9 시행예정)와 정보통신부의 초 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제도, 홈네트워크건물인증제도(’06,12 시행예정), 산업자원부 의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 등이 있음 ◦ 건설교통부에서는 건축법 제58조(친환경건축물의 인증)에 근거를 두고 2002년 5 월부터 환경부와 함께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를 시행, 주택법 제21조(주택성능등 급의 표시 등)에 근거를 두고 2006년 1월부터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를 시행, 지 능형건축물인증제도시행지침에 근거를 두고 2006년 9월(예정)부터 지능형건축물 인증제도를 시행할 예정임 ◦ 정보통신부에서는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업무처리지침에 근거를 두고 1999년 4 월부터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또한, 정통부는 2006년 홈 네트워크건물인증제도를 준비․시행하고, 2007년 하반기부터는 ‘U-City 인증제 도’를 도입 연계 운영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음 ◦ 산업자원부에서는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에관한규정(산자부고시 제2005-10호)와 에너지이용합리화를위한자금지원지침에 근거를 두고 2001년 8월부터 건물에너지 효율등급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그림 2.1.53] U-City 추진과 관련인증 (출처 : (사)IBS Korea, 지능형건축물인증제도, 2006. 2)
- 8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10> 국내 관련 인증제도 운영현황 비교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인 증에 관한규정(산자부 관련 건축법 제58조(친환경 주택법 제21조의2(주택 지능형건축물인증제 초고속정보통신건물 고시제2005-10호), 건축물의 인증) 성능등급의 표시 등) 도 시행지침 인증업무처리지침 에너지이용합리화를위 근거 (건교부․환경부) (건교부) (건교부) (정통부) 한자금지원지침(산자 부) 시행 2002. 5 (개정중) 2006. 1 2006. 9 (예정) 1999. 4 2001. 8 시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증 대한주택공사, 한국에 한주택공사(주택도시연구 정보통신부, 체신청 한국에너지기술연구 너지기술연구원, (주)크 원), 한국시설안전기술공 미정 (자문기관: TTA) 기관 레비즈큐엠 단, 한국감정원, 대한주 원, 에너지관리공단 택보증주식회사 인증 예비인증(설계도서) 설계성능평가 예비인증(설계도서) 예비인증(설계도서) 예비인증(설계도서) (설계도서) 본인증(완공후) 정식인증(완공후) 본인증(완공후) 구분 본인증(완공후) 구분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심사 처리기간 : 90일 기간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
접수 후 20일 이내
지능형건축물 인증제도
초고속정보통신 건물인증제도
접수 후 45일 이내 접수 후 30일이내 (예비인증은 30일 이 접수 후 20일 이내 본인증시 실내공기청 내) 정평가포함: 40일이내
공동주택(50세대 이 건축법 제2조제1항제 상) 신축 공동주택 2호의 규정에 의한 업무시설 (18세대 이상) 건축물(업무용) (연면적 3,300㎡ 이 상) -공동주택 : 지표수 -건축계획 및 환경 (44) -기계설비 -공동주택:특(25), -업무시설 : 지표수 -전기설비 1~3급(22) 소음, 구조, 환경, 생활 평가 (40) -정보통신 -업무시설:1~3등급 환경, 화재․소방 등(성능 -에너지관련지표(17) -시스템통합 (20) 항목 -주거복합건물:지표수 부문 : 5) (41) -시설경영관리 -오피스텔:1~3등급 -학교시설 : 지표수 (6개 분야 124개 항 (23) (43) 목)
인증 공동주택, 업무용, 주거복합건축물, 대상 학교시설
2,000세대 이상 공동주택(신축)
등급 최우수, 우수 구분 (2단계)
1등급, 2등급, 3등급 (3단계)
인증 실적
43개 인증 (2006. 1 기준)
1등급, 2등급, 3등급 특등급, 1등급, 2등 1등급, 2등급, 3등급 (3단계) 급, 3등급(4단계) (3단계)
-
-
3,552개 인증 (2005. 5 기준)
52개 인증 (2006. 3 기준)
성능등급이 우수한 주택 인증서 및 인증명판 인증필증․ 인증명판 2등급 이상 예비인증 혜택 인증서 및 인증명판 제 을 건설한 사업주체에 교부, 신문,방송,견본 교부, 신문,방송,견 시 에너지 이용합리화 공, 홍보자료로 활용 「정부표창규정」에 의 주택에 인증마크 활 본주택에 인증마크 자금 저리융자(인증 한 포상 용 활용 서) -건물설계단계에서 -구내통신 관련기술 주택구입을 지능형건축물의 기 발전 촉진 -건물의 환경 친화성에 -소비자의 -입주자:건물정보취득 위한 선택의 용이성 및 추진 대한 정보제공 술적 수준에 대한 -건설업체간 주택 -건설사 : 마케팅전략 객관적인 지표에 따른 품질 경쟁촉진, 민 -국가 : 에너지절약, 효과 -친환경 건축물의 건설 소비자 보호, 주택성능 객관적 정보 제공 유도 및 촉진 향상 및 기술개발유도 -쾌적하고 생산적인 간의 적극적인 호 기후변화협약 대응 실내환경 조성 응
- 8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라. 소 결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이 정체기에 머물고 있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성장엔진과 국가전략이 필요한 시기이며 유비쿼터스 선도국가로 나아가는 것은 이러한 시기의 적절한 국가전략이 될 수 있음. 이를 위해 U-City의 추진 시 필요한 제도적 지 원 및 장애요인 발굴 개선이 필요함 1) U-City 정책 추진체계의 정립을 위한 법제 개선방향 ◦ 유비쿼터스 사회로 진화되면서 정보기술의 사회 전 분야 적용 확대 및 다수 부 처가 관련된 신규영역의 지속적인 출현 등은 부처중심의 기존 추진 체계에 있어 소관업무의 불명확성을 증대 ◦ 또한 소관부처 단위의 정책운영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정책이 운영됨에 따라 범국가적 관점에서의 총괄조정과 분과 간 상호조정 및 연계에 한계 ◦ U-City를 추진하기 위한 추진체계를 법률상 명확히 하여 U-City 추진의 근거 확립 ◦ 추진체계 상 관련부처의 역량을 결집시키고 조정할 수 있는 강력한 범부처적인 실질적 조정권한을 법적으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 ■ 특히 조정권한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U-City를 추진하기 위한 추진체계의 위상 강화 필요 - 일본 역시 국가차원의 IT 전략 추진을 법제화 하고 수상을 본부장으로 하 는 수상 직속의 ‘전략본부’를 중심으로 U-Japan 전략 수립 ■ 기존의 정보화추진위원회 전자정부전문위원회 등 유관 추진체계의 권한과 책 임을 법제화 하여 정책의 추진에 혼선 예방 ◦ U-City 추진 관련 하위 정책들이 유연성을 가지고 상호 연계 집행되어 시너지효 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현행 부처 위주의 정보화추진 분과위체계를 프로젝트 단 위의 실무위분과위로 개편하는 방안을 관련법 시행령 등에 반영 ◦ 정책 결정 및 추진과정에서 민간의 전문가와 이해관계자의 적극적 참여를 위한 협력체자문단 구성 등에 관하여 관련법에 구체화
- 84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특히 민간이 공공기관에 공식적인 상호조정 및 연계가 필요한 부분이나 장애 요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루트를 법률상 명확화 ■ U-City 추진체계상 위원으로 민간기관의 전문가의 참여 및 위원수를 필요에 따라 일정부분 증감할 수 있는 여지를 둠으로써 추진위의 융통성 확보 ◦ 평가체계를 U-City 추진체계 내로 수용하여 상시 운영체제로 법제화함으로써 평 가기능 강화 ■ 사전․사후 평가 및 평가환류 체계 등을 관련법에 명확히 함으로써 중복투자 방지 및 사전점검기능 확보
2) 신뢰기반 U-City 사회 구현을 위한 법제 개선방향 가) 현행 정보화 역기능 방지 관련 법제 현황 ◦ 변화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법적 유연성이 미흡 ■ 새롭게 등장하는 정보화 역기능에 대한 법제의 예방적 기능이 미흡 ■ 개인정보의 개념 확대(위치정보, 생체정보, RFID 등)에 따라 기존의 법제에서 다룰 수 없는 부분에까지 개인정보로서의 보호 요구는 있으나 법률의 경직으 로 인하여 능동적으로 대처가 불가능 ◦ 전통적 불법행위에 U-IT기술이 이용됨으로써 기존의 법리적용으로는 예방적 효 과 미흡 ■ RFID기술을 이용한 스토킹, 타인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본인 사칭 등 U-IT기 술을 이용한 불법행위의 변화에 대한 현행법 제고 필요 ◦ 기존의 정보화 역기능의 심화현상에 대한 정보화 관련 법제의 형사법적 대처 미 비 ■ 해킹 바이러스 유포 등 심화되는 정보범죄에 대한 법적 예방 조치 및 사후 대 응체계 개선 시급 나)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U-City 안착을 위한 법제 개선방향 ◦ 정보보안(security)․인증 강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마련 ■ 기술 융합 및 네트워크의 복합화로 정보보안 및 인증은 더욱 중요한 문제로
- 8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부각 ■ 개발자는 충분한 사용자의 정보 및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들에 대해 연구하고 제품 생산에 반영해야 할 것이며 또한 어떠한 정보라도 노출되거나 도청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가이드라인 및 대안을 마련하도록 법제화 ■ 해킹․바이러스 등 사이버공격의 증대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백신회사의 성장 및 기술 투자를 위한 인센티브제 필요 ◦ U-IT 기술이 응용된 불법행위의 위험성 정도를 감안하여 처벌에 반영할 수 있 는 법적 근거 마련 ■ 각종 형사․민사특별법(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 법률 등) 의 범죄 가중요건 혹은 손해배상 산정기준에 U-IT기술을 이용한 경 우 이를 고려할 수 있는 규정 마련 ◦ 정보 평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 신체적․사회적 여건으로 인한 정보소외계층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U-IT 기술 개발 및 보급에 정부의 적극 지원 및 유인책 제도화 필요 ■ 한국인터넷진흥원(2004)의 조사에 의하면 인터넷 이용율이 여성의 경우 62.0% 로 남성에 비하여 12.4%가 낮으며 생산관련직의 경우 36.4%로 전문관리직에 비해 58.0%, 중졸 일반인의 경우 17.2%로 대졸 이상 일반인에 비해 75.1%, 그 리고 50대의 경우 27.6%로 20대에 비해 68.4%나 낮은 실정 ◦ IT의 신기술 발전에 따른 각종 사회문제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방안 확립 ■ 정보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의 융합 혹은 환경기술의 융합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전자파 등의 문제에 대한 정책 법제화
3) U-City 건설을 위한 정책 개발 방향 가) U-City 건설은 기존의 신도시 개발이나 정보화사업과는 다른 방식의 접근 필요 ◦ U-City는 정보기술과 건설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사업 ■ 정보기술 전문가와 도시 전문가의 정보기술과 공간개념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 과 전문지식으로 접근 필요 ◦ 정부․기업․시민 간의 상호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도시민 중심의 추진 필요
- 8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정부 정책 수립, U-City 서비스에 대한 인식제고 및 수용성 증대, U-City 건 설 관련 이슈 공유 등을 위한 수단으로 상호협력 네트워크 활용 ◦ IT, 건설 등 기술중심이 아닌 인간중심의 도시로 구축 ■ 인간중심의 도시 인프라 설계, 도시민 중심의 U-서비스 구축, 녹지 공간 확대 등을 통해 인간중심의 U-City 구축 필요 ◦ 일부 신도시 건설에서 보여준 Bed Town 기능에서 탈피하여 독자적인 산업모델 을 갖춘 생산도시로 구축 ■ U-City를 독자적인 산업모델을 갖춘 생산도시로 구축하기 위해 정부에서 추 진하는 기업도시, 혁신도시, 행복도시 등과 결합하여 추진 나) U-City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국가 차원의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도시건설 추진 필요 ◦ 지자체 등 U-City 건설 주체는 U-City 추진의 타당성, 비용 계획, 효율성 등에 대한 세부적인 선행연구부터 추진 ◦ 건설 및 정보화 부문의 특성을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 정비 추진 ■ 도로, 건물, 시설물 등 건설 인프라에 IT를 접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규정 및 요건의 추가, 완화, 강화 등이 반영되도록 도로법, 건축법, 전기통신사업법 등 관련 법규의 정비 필요 ■ U-교육, U-문화, U-교통, U-환경 서비스 등의 시행에 필요한 제도 신설, 시 행 및 관리 주체 등을 명문화한 법적 근거 마련 필요 ■ U-City 서비스로 인해 새로이 등장할 개인정보 유출형태 및 기회에 대처할 수 있도록 보안 및 개인정보침해 관련 법규의 보완 필요 ◦ 향후 50년을 내다보는 미래도시 건설을 목표로 단계적이고 총체적인 접근 필요 ■ 지자체 등에서 독자적으로 선정한 특화산업에 대해 국가의 전략적 성장 및 균 형 발전 차원에서 검토 및 재정리 필요 ■ 기존의 도시개발처럼 난개발이 되지 않도록 U-City내 설계뿐만 아니라 U-City간 연계까지 고려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계획 수립 필요 ■ 도시공간과 IT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U-City 전문가 양성 필요
- 8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1.4 U-City 관련 특허동향 분석 가. U-City 분야 기술은 포트폴리오 기본 모델에서 발전기 단계 ◦ 연구결과물(특허건수)와 연구주체(출원인)수 변화의 상관관계를 통해 기술의 위 치를 살펴보는 포트폴리오 기본 모델에서, 한국특허와 미국특허는 발전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특허동향은 ‘02∼’04 연도구간에서 기술혁신의 주체인 출원인수와 기술혁신의 결과인 특허건수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서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음 ◦ 미국특허동향은 90년대 초반부터 최근까지 서서히 증가하고 있으며, ‘03∼’05 연 도구간에서 활발한 특허등록이 이루어져 현재까지 발전기의 모습이 나타남 한국특허
25
미국특허
25
성숙기 20
퇴조기
성숙기 20
퇴조기
부활기
특 15 허 건 10 수
부활기
특 15 허 건 수 10
발전기
5
발전기
5
0
0 0
2
4
6
8
10
0
출원인수
2
4 특허권자수
[그림 2.1.54] 한국과 미국의 특허동향 비교
- 88 -
6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나. U-City 분야 중 한국의 역점분야는 방재와 시설물 분야 ◦ 특허활동지수(AI)를 통해 한국, 미국 및 일본, 유럽의 기술분야별 주요 국가의 특허활동 및 역점분야를 살펴본 결과, 한국에서는 ‘방재’, ‘시설물’, ‘교통’ 분야에 서 특허활동지수가 평균이상20)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은 ‘교통’과 ‘환경’ 분야에서, 일본은 ‘시설물’ 분야에서, 유럽은 전 분야에서 저조한 특허활동을 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남 ◦ 그러나, 상기의 특허활동의지수(AI)의 유효 대상건수가 너무 적어서 교통을 제외 한 환경, 방재, 시설물에 대한 특허 활동의 지수를 높다, 낮다로 단언할 수는 없 는 것으로 판단됨
[그림 2.1.55] 주요국가의 역점 기술분야
다. 현황 ◦ 아직까지 도시 내에서의 구조물과 환경 등에 직접적인 서비스를 적용하는 연구 개발은 다소 미흡 ◦ 이미 유비쿼터스 기반의 태그, 센서, 리더, USN 등에 대한 기술개발과 미들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관련기술, 음성/화상인식 등의 시스템 플랫폼과 의료, 교 육, 교통, 가정, 물류 등의 사회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관련 기술과 전송 관련기 20) AI지수는 1.0을 기준으로 1.0보다 높으면 활발한 특허활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냄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술, 통신 관련기술 등이 활발한 연구개발을 통해 많은 특허가 출원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정통부를 주최로 많은 특허맵들이 작성되었거나, 진행되어지고 있음 ◦ 하지만, 교통을 제외한 수질오염, 대기오염, 산불 등의 환경관리와 지진, 태풍, 산 사태 등의 방재관리와 교량, 터널, 지하시설물 등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유 비쿼터스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허문헌은 다소 미흡하게 출원(등록)을 나 타내고 있음
- 9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1.5. 국내외 U-City 관련 여건변화와 시장전망 가. U-City 여건 변화 ◦ 현대 도시는 급격한 산업화로 그 골격을 세웠으며 정보화를 통해 현재도 끊임없 이 변화하고 있는 공간으로써 기존 구조물과 기반 시설의 긴 수명으로 인해 정 보화에 의한 도시 구조의 변화는 비교적 천천히 이루어져 왔지만 그 속도는 점 차 빨라지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정보통신과 도시공간의 컨버전스를 기점으로 더욱 가속화될 전망임 ◦ 기존의 정보통신 시장이 포화되어 더 이상의 획기적인 통신시장 창출이 어려운 상황하에 ICT 산업과 도시공간의 컨버전스 트렌드는 도시개발, 건축, 토목 분야 에서 새로운 통신시장창출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개발업자들에게는 ICT 접목 을 통한 부동산 가치 상승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어 U-City 관련 산업은 급격히 확대되어 왔음 ◦ 정책적으로는 정통부의 IT-839, 산업자원부 (Time to market), 행정자치부 (U전 자정부), 교육인적자원부 (U러닝), 건설교통부 (vc-10) 등 각 부처에서 유비쿼터 스 관련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여 왔으며 또한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지 역 균형발전 정책(행정중심복합도시, 기업도시,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 혁신클 러스터 등)이 추진되어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 규모의 신도시에 대한 계획과 개발이 활기를 띠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역시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기업 / 거 주민 / 관광 인구를 유치하기 위한 도시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음 ◦ 기술적으로는 디지털 컨버전스의 가속화로 복합적 기능에 따라 서비스 영역의 확대,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산업간 융합 등 서비스 및 산업간 컨버전스가 확장
추세이며
WiBro,
4세대(4G)
이동통신,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전자태그)와 센서 기술 등 사물과 공간의 지능화를 위한 필수 기술들이 빠르게 발전하여 실생활에서의 활용이 검토되고 있음
나. U-City 여건 전망 ◦ U-City 에서는 기존의 도로와 상하수도 등의 도시 기반 시설은 물론 개인의 주
- 9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거 공간과 사무 공간 역시 도시통합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통합/관리될 것이 며 도시 내의 어떠한 정보 수요도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접근 가능하 게 될 것임, 반면 도시공간이 정보 통신 기술과 융합함에 따라 여러 가지 잠재적 이슈사항들도 대두될 것이며 이러한 이슈사항들로 인하여 향후 예상되는 여건 변화와 전망은 다음과 같음 ◦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신뢰성, 효율성,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개인정보 보호, 도시 통합운영에 따른 많은 이해 관계자들간의 이해상충 해결, 시장환경 변화에 대한 법/제도적 정비가 고려되어야 할 것임 ◦ 또한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각종 정보가 실시간으로 활용되는 유비 쿼터스 시대를 맞아 각종 단말장치와 네트워크, 콘텐츠 등 분야별 표준이 서로 난립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한 분야의 기술 표준 마련이 시급 한 실정임 ◦ 마지막으로 U-서비스가 현실화 되기 위한 사례 검증이 미비하고, U-서비스 모 델의 도입시 필요한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의 장기적 회수 방법 등에 대한 방안 이 검토되어야 하며 사회 계층 간 U-서비스 제공의 차이에서 오는 빈부 간 디 지털 격차 및 불균형에 대한 이슈에 대한 해결책 역시 제시되어야 함 ◦ 이처럼 유비쿼터스 사회로 가는 과정에는 많은 이슈와 난관 등이 존재하지만 우 리 사회는 앞에서 보여진 바처럼 도시환경적, 경제적, 정책적, 기술적 측면에서 도 시환경의 유비쿼터스화를 위한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여기에 첨 단 정보통신을 적극 수용하는 국민적 정서가 맞아 떨어져 U-ICT와 도시개발의 융합인 U-City가 미래도시의 새로운 메가 트렌드로 존재할 것임이 분명해 보임
다. 국내 U-City 시장전망 ◦ 세계주요 기관에서는 2006년 글로벌 환경변화와 디지털 세계에 대한 보고서 잇 달아 출간 ◦ 글로벌 환경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다양한 불안 요인이 표면화 되는 양상을 보 일 것으로 전망21) 21)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6
- 9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11> U-City 주요 트랜드 별 국내외 전망 해외전망
주요트랜드
국내전망
Mckinsey 미래학회 SERI
중국, 인도 경제의 부상
●
개방형 산업 구조와 인플레로의 전환 고령화 시대의 도래 지식사회 실현 및 글로벌 공조 강화 환경문제와 무공해 에너지에 대한 투자
SERI
LG경제 현대경제
●
●
△
●
△
◐
●
●
◐
●
●
◐
△
◐
◐
●
◐
●
◐
※ 국내 특수상황(수출 3천억, 통일, 부동산, 한류 등)은 제외 ◦ 특히, IT의 발전으로 인해 유비쿼터스 환경 구현과 디지털 생활 양식으로의 변화 가 더욱 촉진될 것으로 전망 <표 2.1.12> IT 관련 주요 트랜드 별 국내외 전망 국내
해외전망 주요트랜드
Red SynComputing IDC eMaketer LG경제 Herring telligence
유비쿼터스 환경의 구현
●
●
IT 산업의 확장과 발전
△
●
◐
◐
U-Life 실현과 IT 신 문화코드의 탄생 새롭게 제공되는 유비쿼터스 IT기술
전망
◐
△
●
◐
◐
●
△
●
◐
△
◐
●
◐
◐
※ 긍정(●), 부분 긍정(◐), 관망 필요(△) ◦ 유비쿼터스 기술의 발전에 따른 진화단계 - 크게 나누어 3단계에 걸쳐 진화할 것으로 예상
- 9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1.56] 유비쿼터스 IT 발전단계와 서비스
■ 국내는 “초고속 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의 성공적인 도입으로 세계 최초의 정 보화아파트 상용화 국가이자 최고의 가정 인터넷 이용국가로서의 주택건설사, 정보가전, 홈네트워크 및 홈오토메이션 업체, ISP 등이 주택의 정보화 관련 기 술을 주도해 왔음 ■ 정부의 주도하에 관련 업체를 중심으로 사이버아파트 개발경험을 기반으로 주 택의 Intelligent화에 대한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주택건설사의 첨 단 주택전시관, 정보가전사 및 정보통신업체의 전시관(LG DreamNet, KT의 HDS 등), 한국정보통신대학원 대학교의 미디어랩, 광주 과기원의 Ubihome과 같은 관련 기술의 테스트베드가 건립되고 있어 이 분야의 연구개발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됨 ■ IT 국내 시장규모는 연평균복합성장률(CAGR)=7.4%임. 따라서, U-City관련 산업은 현재 IT+건설의 복합 사업으로 15%의 연평균 성장률을 예상하고, 국 내 시장규모를 2005년 인텔리전트 건물시장규모 15조에 기타 U-City관련산업 시장규모를 3조라 할 때, 총 18조로 볼 수 있으며, 이후 시장규모를 상기와 같 이 예측할 수 있다.22)
22) 건설교통부, 2006
- 94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13> U-City 관련산업의 국내 시장규모 전망(단위 : 억원) 구 분
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시장규모(예측)
180,000
362,000
728,000
1,464,000
<표 2.1.14> 향후 10~20년 후의 국내 U-City 산업의 시장 규모 전망(단위 : 억원) 구 분
2015년
2020년
평균증가율(%)
ITS 산업기술
46,000
350,000
50
홈네트워크
104,000
240,000
18
RFID
40,000
210,000
40
합계
284,000
800,000
■ 2005 ITS 800억규모, 홈네트워크는 2조, RFID는 1,350억임 ◦ IT 융합 건설기술 ■ 건설시장 규모가 민간과 공공을 통틀어 약 80조임을 감안할 때 예산의 약 0.4% 인 3200억원정도의 건설 IT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이 약 2% 의 정보화 예산 수준과 우리나라의 IT 시장의 급속한 발전을 감안할 때 앞으 로 IT 융합 건설 부문 시장규모는 급격한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표 2.1.15> IT 융합건설기술 국내 시장규모 전망 (단위 : 억원) 구 분
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시장규모
3,200
7,000
16,000
30,000
◦ 정부 발표에 의하면, 서울, 수원, 부산, 광주, 전주, 제주도, 경기도 판교, 창원, 강 원도, 파주, 송도신도시 등 11개 도시의 U-City 관련 도시개발 예산이 2010년까 지 약 28조 8500억원 이라고 보고하고 있음. 사업기간 및 사업예산이 파악되지 않은 다른 도시까지 추정한다면 약 50조~80조원까지 증가하므로, U-City의 개발 은 단순히 U-City를 계획하거나 추진하는 도시뿐만 아니라, 국내 산업 전체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지대할 것으로 사료됨.23) ■ 2005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시장조사 결과에 의하면 도시 활성화의 기반이 23) 지경용, U-City 시장전망과 발전방향, 2006.1. 25.
- 9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되는 소비자의 U-City에 대한 수용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IT기술발전을 통한 혜택에 대한 선호도의 증가와 U-City 갖고 있는 편리성에 대한 높은 호감과 매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따라서, 소비자 의 잠재적 수요와 정부의 강력한 정책의지가 맞물린다면, U-City는 성공적인 결실을 보게 될 것으로 전망. ■ 또한 U-City의 개발은 산업적으로 경제적 파급효과뿐만 아니라, 지나친 수도 의 집중화로 생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아울
러 U-City에서의 공통 플랫폼(platform)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U-City의 서비 스를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혜택이 부족한 지방의 발전에 도움 이 될 수 있을 것임. ■ U-City는 단순히 공간적 개념이 아니라 정보통신 인프라를 이용하여 전 국민 에게 첨단 유무선 통합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해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지역 간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이에 따라 전 국민이 관련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되고, 소비자의 복지는 크 게 향상될 것임. ■ 또한 U-City 관련 정보통신 기술과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조화시킴으로 서 U-City 핵심기술 및 서비스를 해외에 수출함으로서 U-City는 국내외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국제전기통신연합 보고서 (ITU)는 "한국이 정보통신 분야에서 이룩한 발전은 기적이며, 더는 권고할 것 이 없는 성공적 사례"라고 평가하고 있음. 현재 우리나라는 IT 강국으로서 U-City와 첨단 IT 기술을 조화시킨다면, 최초의 U-City 실현국가로서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라. 국외 U-City 시장전망 ■ 세계의 IT 융합 건설기술 시장규모는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방대하며, 따라 서 국내의 공격적 R&D전략을 바탕으로 기술개발이 수행될 경우, 세계 시장 선점을 통한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측됨.
- 9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1.16> 세계 U-City 산업 시장규모 예측(단위 : 억달러) 구 분
2005년
2010년
연평균 성장률(%)
홈네트워크
488
978
15
RFID
159
542
28
지능형 서비스 로봇
2
44
86
무선 인터넷
850
3,238
30.67
마. 소
결
o 실용적이면서 성공적인 R&D수행을 위해서는 관련 기술현황과 여건전망이 입체적으 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함 o 이를 위해 국내외 U-City관련 기술현황 조사와 각 부처별 추진되고 있는 정책에 대 한 조사를 병행하였으며, 관련 핵심기술에 전략적 가치를 분석하고자 특허동향도 조 사하였음 o 또한 U-City관련 기술들을 실용화하여 성장동력으로의 기회가치와 산업적 영향 등 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시장전망을 분석하였음 o 이러한 국내외 U-Eco City기술현황 및 여건전망을 통해 U-Eco City 기술개발의 비 전과 전략을 수립하고, 핵심과제를 도출하는 논리적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임. o 국내 U-City 기술현황에서 유무선 통신인프라를 중심으로 센서와 암호화 기술 및 미들웨어 등 기반 기술위에 공간 정보인식을 위한 입체적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기 술, 홈네트워크 및 지능형건축기술 등을 응용서비스 연계기술을 융합함으로 다양한 특화 및 공통 서비스를 거주자들에게 제공하는 기술 프레임으로 U-City기술체계가 구성되었으며, IT중심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음 o 국내 U-City 추진 현황에서는 지자체별 다양한 형태의 u-City가 추진되고 있었으나, 인천 송도, 용인 흥덕 등이 설계단계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기본계획 수준 에 머물러 있으며, 아직 구체적인 실체를 가지고 있지는 못한 실정인 것으로 분석되 었음 o 우리나라의 경우 통신 인프라가 세계 최대이고, 무선 인터넷을 비롯한 관련 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러 있어서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
- 9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고 있음 o 건설분야에서도 이미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기초적인 유비쿼터스 기술의 도입 노력을 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 분야에 적용할 경우 많은 비용절감 및 안전을 위한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o 국외 U-City 현황을 살펴보면 아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 홍콩, 싱가포르, 일본등으로 조사되었고, 유럽에서는 필란드, 덴마크, 독일 등과 중동의 두바이 등이 있음 o 국외에서 추진하고 있는 첨단신도시 또는 Digital City는 U-City라는 개념을 직접적 으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으며, 첨단 IT기술을 도시의 고유한 기능과 접목하여 도시 별 특성을 발전시키고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음 o 그러나 최근 미국, 일본, 유럽 등과 같은 선진국들은 유비쿼터스 관련 차세대 IT기술 을 가까운 미래에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기술로 인식하고, 유비쿼터스 관련 기반기술과 기존 6T 관련기술의 타 산업 활용분야 개척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 o 국내외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에 구축된 통신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여러 가 지 인프라적인 장점을 살려 건설교통분야에서 IT와 접목된 일류화 기술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유비쿼터스 기술과 공간 및 건설기술을 융복합화 접목을 할 경우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국가경쟁력 제고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고부가가치의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가치가 충분하리라 판단됨 o 또한 U-City가 국가 전략적 측면에서 체계적이고, 기회가치 사슬을 선순환 구조화로 소프트하게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책적인 뒷받침이 필수적이라 하겠음 o 따라서 각 부처별, 지자체별 추진 중인 U-City관련 로드맵과 정책을 살펴본 결과 U-City의 추진 시 필요한 제도적 지원 및 장애요인 발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 석되었음 o 또한 소관부처 단위의 정책운영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정책이 운영됨에 따라 범국 가적 관점에서의 총괄조정과 분과 간 상호조정 및 연계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o 유비쿼터스 사회로 진화되면서 정보기술의 사회 전 분야 적용 확대 및 다수 부처가 관련된 신규영역의 지속적인 출현 등은 부처중심의 기존 추진 체계에 있어 소관업무 의 불명확성만 증대되고 있는 실정임 o 따라서 U-City 정책 추진체계의 정립을 위한 법제 개선방향을 U-City 추진체계를
- 9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법률상 명확히 하여 U-City 추진의 근거를 확립하는 것이 가장 우선해야할 것으로 판단됨 o 일본 역시 국가차원의 IT 전략 추진을 법제화 하고 수상을 본부장으로 하는 수상 직 속의 ‘전략본부’를 중심으로 U-Japan 전략을 수립하여 정책 추진의 혼선을 예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o U-City 건설을 위한 정책 개발 방향으로는 U-City는 정보기술과 건설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사업을 수용하고, 정부․기업․시민 간의 상호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도시민을 위한 기술과 정책 추진이 필요함
- 9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2 Eco-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2.1 국내 Eco-City 관련 기술의 현황 가. Eco City 기술개발 배경 1) 기존 도시 개발의 문제점 ◦ 1960년대 이후 개발 우선의 사회 분위기에서 생태계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수행 된 도시건축 및 개발은 결국 환경오염과 생태계파괴, 나아가 도시기후변화 등 심 각한 생태적 문제를 초래 <표 2.2.1> 도시개발사업의 환경친화성 분석24)
조사항목 내용 지형변형면적율(%) 녹지면적율(%)
불투수면적율(%)
세부항목 지형변형면적율(%) 개발전 개발후 녹지훼손면적율 개발전 개발후 변동량(후-전)
사업구분 택지개발사업 토지구획정리 90.55 91.46 84.07 86.76 13.11 2.47 84.4 97.2 13.56 12.19 66.40 75.31 52.84 63.12
◦ 도시생태문제는 생활의 질 저하는 물론 경제적인 성장과 국토의 지속적인 개발 (Sustainable development)을 가로막는 주요 요인 ■ 과도한 도시개발과 산업화로 인해 도시 내 자연 환경이 크게 훼손되고 녹지 공간은 점점 감소됨에 따라 토양기능이 상실되고, 자연스러운 물순환 체계가 훼손됨으로써 도시기후변화 뿐만 아니라 해마다 대규모 도시 홍수가 일어나는 원인을 제공
24) 1999년에 계획된 26개 택지개발사업과 15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대한 분석 결과
- 10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2.1] 도시 물순환 변화25)
[그림 2.2.2] 서울지역 집중호우 빈도수(일수)의 변화 [1961~2000]26) ■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야기되는 도시고온현상은 도시열섬현상의 악화, 생물종 의 감소, 생물체의 기형현상 초래
25) 서울시 물순화 기본계획 연구, 시정개발연구원, 서울특별시 2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도시연구, 김연희(2005)
- 10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2.3] 서울 지역의 지표면 온도분포 (1987년 5월과 2003년 5월)27)
2) Eco City 의 개념 발달 배경 ◦ 생태도시라는 개념이 형성되고 등장하게 된 배경은 1차적으로 자연환경의 변화, 지구환경문제의 대두로 볼 수 있음. 이러한 환경적 위기의식에 의해 자원 및 에 너지 이용기술, 자연복원기술의 진보가 이루어지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도시개 념의 모색과정에서 현재는 전 세계적인 도시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음. ◦ 자연환경의 변화 ■ 우리나라는 현재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도시인구가 폭발적 으로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도시인구는 1960년대 676만 명이었으나 현재는 약 4,000만 명이 도시에 밀집하여 살고 있음 ■ 이러한 급속한 도시화는 자연환경을 크게 변화시켰다. 농지와 녹지는 공업, 상 업, 주거를 위한 용지로 전환되어 녹음과 수변 등의 자연이 상실되었고 그 곳 에 살고 있는 다양한 생물과 만날 수 있는 기회도 상실되었다. 또한, 도시 내․외곽의 인공시설 확충으로 인해 도시 생태계가 파괴되어 환경정화기능 및 국토보전기능도 점차 약해져 기후온난화, 도시열섬화 등 환경오염에 취약한 구조로 변해가고 있는 실정임 ◦ 에너지 수요 및 폐기물 발생량의 증가 ■ 도시민의 다양한 활동을 지탱하기 위해 막대한 양의 화석연료가 도시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이로 인해 도시민의 건강에 악 영향을 미칠 뿐 아 니라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황산화물질, 질소산화물질 등을 배출시키고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폐열과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는 등 지구환경문제의 원 27) 경일대학교 조명희
- 10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현대의 도시에서는 빈번하게 도시열섬현상이 관측된다. 도시열섬현상의 원인 은 녹지가 적고 지표의 많은 부분이 콘크리트로 덮여있는 도시의 특성에 기인 한다. 도시열섬현상으로 야간에도 기온이 떨어지지 않는 열대야 현상이 빈번 하게 발생하게 되어 야간에도 냉방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는 악 순환이 계속되고 있음. ◦ 지구환경문제의 대두 ■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지구환경은 공기, 물, 토양, 동․식물 그리고 미생물 등 의 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간은 이러한 균형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 러나 19세기 이후의 급격한 도시화와 더불어 이러한 균형은 급격히 무너지기 시작하였으며 그 이유는 환경에 대한 배려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채 도시 의 조성이 행해졌기 때문이다. 도시화와 같은 인간 활동에 의해 범지구적으로 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 산성비 등의 다양한 환경문제가 제기되고 있음.
나. Eco City 기술 개발 현황 ◦ G7 사업, Eco-Technopia 21 사업 등 체계적 R&D의 수행으로 생태도시 조성 요 소기술 개발 저변은 지속적으로 확대 <표 2.2.2> Eco-Technopia 21 사업의 단위사업 및 후보 중점기술 현황28)
단위사업명
중점기술(후보)
계
25
① 통합환경관리기술 개발사업
○ 6개 : 배연탈황·탈질설비의 대형화 및 수출촉진기술 등
② 생태계 및 오염토양 복원기술 개발사업 ○ 5개 : 자연환경복원기술(산불에 의한 생태훼손 복원기술) 등 ③ 사전오염예방기술 개발사업
○ 5개 : 환경유해물질 대체 또는 저감기술개발(저독성 용매 개발)
④ 환경관리정보화촉진기술 개발사업
○ 3개 : 환경센서 등의 소재·부품 개발 및 측정기기 국산화 등
⑤ 지구환경보전기술 개발사업
○ 6개 : Biomass 및 메탄가스 자원화기술 개발 등
◦ 주로 환경부와 건교부를 중심으로 2000년 이후 생태도시 조성 요소기술 중심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28) 환경부 차승환
- 10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2.3> Eco City 관련 국내 연구 발주 현황 - 환경부 과제명 연구기간 과제 내용 하천 생태 기능 복원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높이 1m 이상의 콘크리트 저수로를 대체하는 재료 및 공법 개발, 하도의 다양성 창출
2001~2004
공법 개발 여건 확립, 자연형 수제 공법 개발, 어도 공법의 시험 적용, 인공 어소/어초 개발 지속가능한 도시녹지 조성을 위한 생태통로 설계기법 개발 연결성 측정 및 이동모의실험을 통한 입지선정, 국내외 사례조사 및 모니터링 실시 대상지 선정 및 선정된 대상지에 대한 설계도 작성
2002~2005
도시녹지공간의 생태corridor 설계기법
2002~2004 생태 corridor설계를 위한 연구 대상지 선정, 국내외 사례조사 및 설계자료 구축 도시 인공지반의 자연생태계복원을 위한 기술개발
도시인공지반의 자연생테계 복원을 위한 국내외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 통합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요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설정, 데이터베이스 및 통합평가시스템 구축
2005~2008
도로의 야생동물 서식지 단절 정도의 분석과 Road-kill의 원인 분석에 따른 도로유형별․동물종별 관리 기법 개발
2004~2007 도로의 유형화 및 GIS D/B 구축, 도로 주변의 포유류 포획 및 표식기와 발신기 부착, 연구 대상 도로의 road-kill 모니터링 도시·산단지역의 통합환경관리를 위한 수용체 중심의 위해도 분석시스템 개발·적용 연구
2001~2004 인체 및 생태 위해성 평가 시스템 모형 작성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에코효율성 평가 지수와 소프트웨어 개발 및 보급 확산
에코효율성 평가기술 기반 구축 (국가 기반의 에코효율성 핵심지수개발, 평가소프트웨어 및 관련 데이터 수집), 산업계 평가지수 적용을 위한 보급 확산 기틀 마련
2004~2007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vitellogenin 센서 및 분석시스템 개발
2004~2006 면역센서 제작기술 확보 및 분석기 및 S/W 설계
- 104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2.4> Eco City 관련 국내 연구 발주 현황 - 건설교통부 과제명
연구기간
과제 내용 친환경·지능형 도로 설계기술 개발 안전-친환경-지능형 도로설계 통합프로그램 연구개발 친환경 4S (Safe, Silence, aeSthetic, and user Satisfaction guaranteed) 포장시스템 개발 연구
2005~2010 2004~2007
주-보조간선도로에 적용할 수 있는 배수성/투수성 포장 시스템 개발 생태복원 기능성 인공토 개발 생태복원에서 요구되는 수분, 미생물, 비료성분, 양이온치환능력 등 다양한 기능성을 충족시켜주는 인공토 개발
2003~2005
호소 및 하천의 퇴적오니 분포조사 및 환경친화적인 준설·재이용 기술개발 하천 및 호소의 퇴적오니 분포 및 성상조사, 현장 적용 가능한 패키지형태의 퇴적오니 선별, 분리기술 개발, 선별-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준설토와 불용토의 성상에 따라 활용목적에 적합한 건설자재로의 재이용 기술개발 및 실용화
2001~2003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식생방음벽 실용화 기술연구 실용화를 전제로 한 식생 방음벽 시스템 개발, 설계 및 시공 매뉴얼 개발, 시범사업을 통한 적용가능성 평가, 식생방음벽의 활용 방안 도출
2000~2002
하천관련 친환경 기술개발 하천관련 친환경 기술 개발 사업의 구체적인 추진 방안, 연구 성과 달성 방안 및 계획 수립, 연구개발 목표 및 연구 핵심 기술과 수행 로드맵, 개발 특허 로드맵 작성, 연구 수행 인프라 구축, 연구개발 추진 전략, 연구내용과 예산, 연구 성과의 활용 방안 및 기대 효과 등이 국가연구개발사업계획서 완성
2005~2006
자연친화형 도로건설을 위한 친환경 배수재 활용 연약지반개량기술 연구 연직 및 수평천연섬유배수재를 활용한 친환경 연약지반개량공법/시스템 개발, 한국형
2003~2006
천연섬유배수재 개발 건설현장 등의 자연생태계 보전 기법 및 복원기술개발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사업별 계획. 설계지침, 자연 생태계 훼손시설물에 대한 조사 및 평가 지침 개발
2001~2003
생태도시조성 핵심기술 개발 (생태도시, 환경친화적 공간이용기술 개발) 환경계획지표 개발, 환경친화적 공간계획 체계 구축,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Habitation Model 계획 지속가능한 도시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평가지표의 공간 데이터베이스화 및 도시정보시스템(UIS)도입
1999~2002 2001~2003
생태도시 단지조성을 위한 핵심요소기술 개발 및 적용방안 생태적 도시·단지 조성을 위한 물순환 체계 중심의 핵심적 요소기술 개발, 생태적 도시·단지 통합시스템 개발
2005~2006
유비퀴터스 환경의 차세대 국가교통정보 수집체계개발 및 시범사업 국가교통정보 통합관리시스템 혁신, RFID를 할용한 수집기술 개발, 시범지역 운영 및 시스템 구축
- 105 -
2005~2007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기존의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 개발 기술은 내용의 관점에서 도시생태환경정보 구축, 생태적인 공간계획 및 설계, 시스템기술, 생태복원․조성 기술, 평가 기술, 관리 기술로 구분 가능
<표 2.2.5> Eco City 기반 기술 현황 분류
기술명
기술 설명
현황
GPS 및 GIS를 이용한 지형, 건축물, 토목 구조 ․ GIS/RS/GPS를 이용한 3차원 도시환경 시스템에 물의 3차원 측위기술 구축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상용화 서비 위성생태학(Satellite Ecology)활용, 지상 LiDAR, 스도 제공 중임 도시 환경 원격 탐측 기술 지상 스캐너 이용하여 3차원 도시 환경 탐측 ․ 재해 감지 및 예방시스템 부분은 감지와 예방이 홍수, 산사태, 산불, 지진, 해일 등 재해분야 실 별도의 장비 및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나 종 재해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합․체계적인 시스템은 개발되어 있지 않음 시간 감시 및 예 ․ 경보 ․ 환경부에서 온실가스 감축 추진기획단을 출범하여 지구온난화, 교토의정서 등 국가현안을 고려한 기후변화협약에 대비 중임 기후 변화 등 국제 환경 현안 대응 도시 환경 변화 예측 3차원 지형지물 측위기술
도시 환경 정보
계획/ 설계 기술
생태통로 계획․설계
Fresh Cold Air / Eco Corridor
도시환경(생태) 계획
환경보전 관점의 공간계획
생태단지 조성 설계 기법 생태 도로 시스템 기술
생태 하천 유비쿼터스 물순환 시스템 훼손된 자연생태계 복원
생태 복원 ․ 조성 기술
평가 기술
개발 공간의 자연생태계 복원 생태 녹화
관리 기술
생태, 에너지, 물순환형 단지 시스템
․최근 일부 도시개발에 있어서 생태 단지, 도로, 하 천의 개념이 들어간 설계 및 시설 도입이 검토되고 교통 약자의 고려와 녹색 교통 활성화를 위한 있으나, 아직 초기단계이며 적용 가능한 요소기술의 미래 도로 계획 실용화가 요구되고 있음 환경친화적인 수변구역 하천 조성 기술 ․유비쿼터스를 기반으로 한 생태도시개발에 대한 관 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도시의 환경적 기능을 향상시 도시 전반 물 순환 고려한 시설정보 통합 관리 키고 도시생태계를 회복하기 위한 기술이 부재한 실 기술, 도시 하천/호수, 지하수 침투시설 정임 훼손된 임지 및 녹지 복원 기술 개발 택지, 비탈면, 인공지반 등을 생태기능성 복원 기술 ․옥상녹화, 벽면녹화와 같은 도시녹화 기술이 개발되 식생방음벽, 입체녹화, 인공토 개발 등 수직/수평 고 있으나 실용화는 미약한 실정임 도시 녹화
생태도시/단지조성 요소기술
도시 각 부분의 생태적 순환을 고려 한 에너지 저감형 건물 자재 및 설계 기법 개발
위해성 평가 및 관리
도시민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위해 요인 제거
도시공간의 생태적 건전성
개발공간의 지속가능성 가치 평가
환경관리 기술
유해오염물질 관리, 생태환경 관리
원격모니터링 기술 고정밀 센서 기술 Built Environment 관리
․ 바람길, 생태통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 ․ 도시 개발 시 환경ㆍ생태계획을 수립 적용 사례가 늘어나고 있음
휴대형 무선 측정 및 자동 멀티 측정기를 이용 한 오염원별 모니터링
․환경영향평가, 사전환경성검토 등의 평가가 이루어 지고 있음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여 모니터링 되고 있으나 많 대기 및 수질분야 분자인식용 모니터링을 위한 은 비용이 소모되며 자동 원격 시스템구축이 미흡한 센서 개발 실정임 건물 전과정 평가(LCA) 및 개별 공간 성능 관 리
- 10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다. 소결 1) 생태도시 계획 관련 기술 개발 ◦ 1999년 건교부의 생태도시조성 핵심기술 개발 연구를 필두로 환경친화적인 공간 계획 및 환경계획지표 개발 연구의 토대 구축
◦ 환경부는 분야별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구축을 통해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의 사결정지원시스템(DSS; Decision Support System)과 TMS 기술을 기반으로 한 대기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음
[그림 2.2.4] 지리정보시스템 활용
◦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기술을 활용한 3차원 지형분석, 구조물 및 식생의 3차원 자료구축 등의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초정밀 지형정보를 구축 과 다양한 분야에의 응용기술 개발 연구가 진행 중임
- 10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그림 2.2.5] LiDAR 기술을 이용한 초정밀 지형정보
◦ 2006년, 고양시의 ‘친환경 도시건설 (경관생태관리ㆍ생태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에서는 공간정보통신(Geomatics) 기술을 활용한 도시 계획이 이루어졌으나 유비 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3차원 공간 계획 기법은 국내에서는 아직 시도된 바 없음
[그림 2.2.6] 생태지도 작성을 통한 공간계획
◦ 국내에서는 도시 계획의 단계에서 개별 건축물 또는 공원 녹지가 도시 환경에 미치는 측면을 고려한 Low Impact 도시 설계의 사례는 없음
- 10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 생태도시 조성 요소기술 개발
◦ 2000년대 초반부터 도시공간의 생태적 기능 향상을 위한 인공지반녹화, 옥상녹 화, 투수성포장, 생태연못 등 생태적 외부 공간 조성 기술의 국산화 노력 지속 ◦ 특히, 2001년 하천복원 가이드라인 보급과 함께 양재천을 시작으로 오산천, 안양 천, 갑천 등에 하천환경 개선사업이 추진되었고, 최근에도 중앙정부, 지방자치단 체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많은 하천환경 복원사업이 계획 및 시행되고 있는 상태임 ◦ 1989년-1994년 건설부와 일본 건설성이 6회에 걸쳐 한일하천환경기술협력회의를 통해 하천환경이란 개념을 국내에 처음 소개한 이후, 건설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하천환경관리기법 개발, 자연형 하천공법 개발 등의 연구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 1990년대 중반부터 토지공사는 단지 차원에서 적용하기 위한 각종 생태 및 친수 형 단지계획 및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수립/적용하기 시작함 ■ 친수형 단지설계 가이드라인(‘95) ■ 환경친화적 단지계획 기법(‘96) ■ 생태도시 개념을 도입한 친수형 단지계획 기법에 관한 연구 ◦ 국내 도시부 도로의 도로환경 저해요인에 대한 감지 및 예방 시스템은 분야별로 별도의 장비 및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고 있어 도시부 도로환경의 종합적이고 체 계적인 시스템은 개발되어 있지 않음 ◦ 국내의 U-Eco 생태도로를 구현할 수 있는 도시부 도로 재해 예측 및 제어기술 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과 평가기법은 초기단계로서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 으며,
쾌적하고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한 보도, 자전거도로 등 녹색교통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나날이 증대되고 있어 생태도로의 조성 및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함. ◦ 최근에는 분산식 빗물관리(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개념의 도입으 로 도시 내 물순환 합리화를 위한 우수 전처리, 저류, 침투 및 이용 기술 개발이 진행
- 10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최근 조성되는 중소규모 신도시 사업에서 홍수 등 재해에 안전한 물순환의 개념 이 들어간 설계 및 시설 도입이 검토되고 있으나, 아직 초기단계이며 적용 가능 한 요소기술의 실용화가 요구되고 있음 ◦ 물순환 인프라 기술의 경우 IT기술과 연계한 통합 용수관리 시스템 기술, 초고도 하수처리기술, 차세대 도시 상하수도 관망기술, 우수저류침투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생태도시의 Blue-network 구축을 위한 기술은 부재하며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음
- 11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2.2 국외 Eco-City 관련 기술의 현황 가. 국외 Eco City 관련 기술 개발 현황 ◦ 독일은 1980년대 후반 실용화 시기를 거쳐 2000년대에는 건설 전분야에서 기존 기술과 산업을 대체하는 수준에 도달 ■ 1990년대 후반 Potsdamer Platz의 생태적 신도심 개발 ■ 1990년대 후반 독일 프라이부르그의 ‘Vobong' 주거단지 ■ 2000년대 하노버 엑스포 주거단지(Kronsberger 생태주거단지) ◦ 일본의 경우 1990년대 중반부터 실용화시기에 진입하면서, 환경공생주택 및 단지 건설, 마을가꾸기, 도시재생 사업 등을 활발히 전개 ◦ 영국 런던의 ‘Greenwich Millennium Village', 중국 상하이 근교의 ’Dongtan' 신도 시 등이 생태도시 및 주거단지 사례로 전 세계적인 건설 기술 변화 경향을 대표 <표 2.2.6> 국외 Eco City 기반 기술 현황 분류
현황
도시 환경 정보
․미국 Wisconsin: Environmental Remote Sensing ․프랑스: Global Monitoring for Environment and Security (GMES)
계획/설계 기술
․독일 슈트트가르트 : 바람길을 배려한 토지이용계획 ․독일 Freiburg : 투영건설 (Transparent Construction) ․독일 Saarbrucken : 기후지역계획 (Climate zone plan) ․독일 베를린 : 크로이크벨크 주거단지내 비오톱형성
시스템 기술
․영국 요크 : LOTS(Living Over The Shops) program ․독일뒤셀톨프: 도로공간의 비오톱 시책 ․네덜란드, 덴마크 :자전거와 철도․버스와의 연계시스템 ․미국Austin : Watershed protection ․미국Seattle : Stormwater Drainage System
생태 복원․조성 기술
․일본 나고야시: 녹화지구-친환경녹화추진모델지구사업 ․네덜란드 Utrecht: Highway Roofing ․미국 산타모니카 : Green Building Design & Construction Guideline ․오스트리아 Linz: 옥상녹화 프로그램
평가 기술
․영국Leicester : 지속가능성지수 시책 ․네덜란드 Den Haag : 환경온도계 ․덴마크 Albertslund : Green Account Program ․독일 하이델베르크 : 환경재정계획
관리 기술
․말레이시아 : E-waring System ․Netherlands : Life Cycle Assesment
- 11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1) 생태도시 계획 및 관리 기법
◦ 환경친화적인 공간계획 기법 개발의 경우 독일의 환경지도(Umwelt Atlas) 제작 기술과 경관생태계획(Landschaftsplanung) 기법이 대표적 ■ ‘환경지도’와 ‘경관생태계획’ 기법은 내용적 측면에서 세계적인 모범 사례 ■ 이를 토대로 개발 공간의 생태적 건전성에 대한 합리적 평가기법이 개발되어 “자연침해조정규정(Eingriffsregelung)"으로 제도화 ■ 기술적 측면에서 최근에 급변하고 있는 공간정보통신 기술 변화를 충분히 반 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음 ◦ 원격탐사 기술과 GIS 기술을 생태기술과 융합하여 환경 및 생태계 정보를 구축 하고
관리하는
기술은
현재
미국
버클리대학의
CAMFER(Center
for
Assessment and Monitoring of Forest and Environmental Resources), 일본 기 후대학의 위성생태연구단, 중국과학원의 응용생태연구소, 스웨덴 Lund 대학의 LUCSUS(Lund University Center for Sustainability Studies) 등 많은 곳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유비쿼터스 기술과 같은 첨단 IT기술까지 접목시킨 사례는 아직 거의 없음 ◦ 도시생태환경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건전성 지수 및 모델에 관한 연구는 지속가 능 지표의 개발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와 알 버타주, 뉴질랜드의 해밀턴, 미국의 시애틀 등의 사례가 대표적임
- 11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 생태도시 조성 기술
◦ 생태적 공간 조성 기술 분야의 대표적 선진국인 독일의 경우, "IBA-Emscher Park"과 같은 대규모 Test Bed형 R&D 사업을 통해 생태공학 기술과 기존의 건 설기술의 융합을 실현하고 생태도시 조성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 ■ 엠셔강 유역 17개 도시 환경, 생태 복원 프로그램 ■ 총사업비 약 15조원 (R&D 비용 약 3,000억원) ■ 1989년~1999년에 걸쳐 5가지 주제 120여개 프로젝트 실현
◦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환경친화적인 안전한 도로건설을 위해서 강풍, 노면 온도, 습도, 시정 거리 등 다양한 환경관련 정보를 센싱하고 이를 모니터링하여 도로관리자가 의사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고 방지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토록 하고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함. ■ 도로환경의 안전성을 확보는 미국의 FORETELL 시스템, ADVISE 시스템, DOT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강풍 경고 시스템 등이 대표적 ■ 일본의 경우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도로노면 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음 ◦ 미국의 ADVISE 시스템 ■ 악천후 등 시정에 따른 운전자의 행태와 경고시스템에 대한 운전자의 반응을 연구하고 차량간 속도변이를 감소시키고, 낮은 시정이 발생했을 때 총 평균 차량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임. 시스템의 구성은 4가지 기본적인 구성요 소(4개의 시정센서, 2개의 가변정보표지, 6개의 교통량 측정기, 지역네트워크
- 11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와 전달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터)로 이루어졌다. 시정센서는 HSS 모델 PW 600-120 기상센서이고, 고속도로에 사용된 광섬유보다 더 좋은 각도와 거리에 서 읽을 수 있는 bulb-matrix technology로 설계하였다. 교통량측정기는 주행 속도와 교통량을 수집하기 위해서 6개의 지점에 설치. 컴퓨터 H/W와 S/W는 안개센서에 의해 측정된 시정이 안전정지시거 이내로 정의될 때 ‘짙은 안개, 위험 30mph(48kph)'등과 같은 적당한 메세지를 VMS에 배열하도록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설계됨.
[그림 2.2.7] 미국의 ADVISE 시스템 구성도
◦ 선진국에서는 도시 내 물순환 관리를 도시계획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여 활발 하게 추진 중임 ■ 미국에서는 EPA와 AWWA의 주도 하에 SDWA (Safe Drinking Water Act) 를 근거로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함. ■ 유럽에서는 10~20년전에 이미 도시용수의 합리적 공급을 위한 민영화 시스템 을 도입함. 영국의 WRC, 프랑스의 OTV와 비벤디, 독일의 Isar River나 Potsdamer Platz 등은 물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여 도시 생태환경을 향상시킨 예가 있음. ■ 일본에서는 후생성 및 건설교통성의 지원하에 용수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ACT21, MAC21, e-Water, FLUSH 프로젝트 등을 수행 ■ 싱가포르에서는 물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통합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여 싱가포르 전체를 A city of gardens and waters로 바꾸어가고 있음.
- 114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2.3 Eco-City 관련 정부 정책 현황 가. 관련 정책 변화 ◦ 2000년 “성장 중심의 개발에서 탈피하여 환경과 조화된 개발을 추구하는 새로운 친환경 건설로 거듭나야한다”라는 건교부의 친환경 건설 선언으로 환경을 고려 한 환경친화적인 생태도로의 개념이 본격화됨 ◦ 2004년 12월
건교부, 환경부 공동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 지침」 마련
◦ 2006년 1월부터 신규건설 도로 등에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 지침을 전면적으로 시행함 ■ 건설교통부는 도로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설계단계부터 환경측 면을 적극 고려하기 위하여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지침(’04.12)」을 환경부 와 공동으로 제정하였고 시범 운영까지 마침 ■ 건설교통부는 2006년부터 전국의 고속도로와 국도, 지방도 등에 확대 적용한 다고 밝히고, 그간의 환경문제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상당부분 감소할 것으로 예상함 ◦ 최근 환경부에서는 도시 내 물순환 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물산업 육성방안 및 처리수 재이용에 관한 정부차원의 정책수립을 위한 연구개발을 추 진하고 있으며, 보조적 수원 확보차원에서 빗물의 순환이용에 대한 정책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상태임. ■ 물순환이용촉진법의 제정법률(안)을 만들어 순환이용을 촉진하고 물순환의 관 리를 체계화, 적정화함으로써 물순환이용의 확대와 지속성 및 안전성의 유지 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틀을 법제화 함. ■ 이에 따라 미래 도시는 물순환 이용 기본계획에 의한 조성 및 관리가 이루어 질 것임
- 11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나. 국내 Eco City 조성 현황 ◦ 국내에서는 대전광역시, 동해시, 김포시, 서귀포시 등에서 생태도시계획이 수립되 었고, 하남시는 30만7,000평 규모의 풍산지구를 그린시티, 환경생태자원 보유, DMZ 환경생태와의 연계에 주안점으로 두고 개발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생태도시 로 알려져 있음 <표 2.2.7> 국내 Eco-City 추진 현황 도 시
서울
사업규모 21만 1,000여평
사업 기간
특 징
제공기술/적용서비스
ㆍ상암산과 봉산을 잇는 대규모 광 역 생태축 형성 ㆍ마포구 상암 택지개발사업지구 3공 2004~2007 구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ㆍ녹지, 물, 바람, 커뮤니티, 경관, 정보 계획 . 시장공약사업의 300만 그루 나무 심기
인천
광주
제주 혁신
도시 전반
도시 중앙부
34만여평
7만4000㎡
전남
도시
담양군
전반
전주
하남 풍산지구
진행 중
ㆍ인천시정 5대 목표중 하나
ㆍ태양도시를 표방
ㆍ굴포천 등 5대 하천의 자연형 복 원 ㆍ도심중앙의 공원 조성 ㆍ광주역~동성중에 이르는 길이 7.9㎞ 폭 8~15m의 폐철로 부지 의 공원화 사업
ㆍ제주 환경생태도시
도시
태안군
진행 중
도시 부분
30만평
2007~ 2012
ㆍ돌담과 방풍림 등 독특한 자연환 ㆍ북유럽 스웨덴 ․ 핀란드의 모델을 경 보전 가능한 보행로 네트워크 결합시켜 신재생 대체 에너지형 도 ㆍ서귀포시의 다양한 물순환 요소 도입 시
ㆍ생태계를 보전 및 학습과 체험공 간이 어우러진 자연생태공원 조 2단계사업 성사업 ㆍ관광 사업 및 신재생 에너지 사업의 2006.3~20 적격한 도시 ㆍ해상풍력단지를 중심으로 태양광 07. 발전, 바이오디젤 등 신재생에너 지 특구지정사업 ㆍ노르웨이의 DNV(Det Norske ㆍ보촌지구 도시개발사업 Veritas)인증원으로부터 친환경 국제 규격인 'ISO 14001(국제환경경영시 ㆍ대나무 생태공원 2006~ 스템)' 인증. ㆍ관방제림 ㆍ환경부로부터 '그린시티(Green ㆍ가사문학권 City)'로 지정 ㆍ사업 초기부터 민관공동협의회를 동서학동에서 서신동 삼천 합류지 가동 2000 ~ 점까지의 전주천 7.2㎞ 구간 복 2002 ㆍ친수공간 조성에서 생태복원으로의 원 중심 이동 ㆍ도시전체의 생물다양성 전략의 ㆍ하남은 UN이 지정하는 우리나라 최 수립은 물론, 물순환체계를 구축 2005~2007 초의 생태도시 ㆍ바람통로를 확보
- 11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ㆍ기존 농업대수로를 살려 운하친수도 시를 구상
김포
155.5만평
ㆍ철새도래지로서의 특성을 감안, 한강 변 농지 18만평이 생태공원으로 조 ㆍ강변탐방로 성 2008~2012 ㆍ생태탐방벨트 ㆍ철새와 습지를 연계한 생태탐방벨트 ㆍ전통 농촌체험마을 가 조성 ㆍ생태탐방벨트 주변에는 관광객 유치 를 위한 전통 농촌체험마을 조성 ㆍ전천환경가로공원 ㆍ환경시범거리 조성계획
동해
도시 전반
진행 중
ㆍ추암근린공원 조성계획 ㆍ토지이용과 교통, 그린웨이, 소생물 ㆍ동해항 주변 활성화 사업 권, 택지개발, 생태적 공업단지 ㆍ봉오동 택지개발 사업지구 ㆍ환경시범도시 가로수 계획 ㆍ자연친환형 하천 조성
용인 흥덕
64만 9천평
2004~ 2008
ㆍ도시 지하매설물 관리, 생활 안전, ㆍ도시기반 시설물 관리 교통, 환경 등의 공공 정보서비스 제 ㆍ원격검침 공 ㆍ자족형 복합도시
광교 테크노 밸리
335만평
파주 운정
285만평
화성 동탄
273만 4천평
2005~ 2010
2003~ 2009
2001~ 2007
ㆍ교통정보서비스, 위치추적시스템 ㆍ도시정보서비스: ․물, 바람, 녹지를 일체화한 녹지체계 지하매설물 정보 를 형성 ㆍ물순환형 친수환경 생태도시 ㆍ친환경 계획이 처음으로 도입된 생 태도시
ㆍ수도권 서북부 거점도시
ㆍ환경감시정보서비스
․저수지와 연결된 대규모 중앙생태공 원 조성 ㆍ생활안전서비스 ㆍ교통서비스 ㆍ첨단산업 중심의 성장거점도시 건설 ㆍ도시민 정보제공 서비스 ㆍ수도권 남부지역의 중심
ㆍu-생활안전 ㆍu-교통 ㆍ도시 및 정보통신 기술이 제공하는 ㆍu-시설물 관리 편리성과 자연 친화적인 삶을 추구 ㆍu-교육 하는 현대 도시민의 이상을 동시에 ㆍu-민원 충족 ㆍu-환경 ㆍu-Ecotopia
성남 판교
283만 6천평
아산
111.4만평
고양 삼송
148.8 만평
2003~ 2009
2002 ~ 2020
2007 ~ 2008
ㆍ구릉지를 보전하여 지형에 순응하는 ㆍ천안아산역사 전면에 3만3천㎡ 규모의 호수공원 조성 공사( 200 한국형 생태도시를 구상 6~2008) ㆍ인간 + 환경 중심의 도시 ㆍ생태공원, 생태녹지축, 생태하천 ㆍ커뮤니티 단위의 만남과 교류공간 등 도시전체의 생태화 및 녹지네트 구성 워크 구축 ㆍ보행자도로와 연결된 격자형 물길 ㆍ격자형 물길 조성
- 117 -
제 2 장
화성 향남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51.3
2002~2008
ㆍ가장 높은 지역에 환경저류지를 조 ㆍ환경 저류지 성하고 물길을 연결 ㆍG-2 ㆍG5 프로젝트
340천평(G-2) 춘천
64천평(G-3) 37천평(G-5)
2005 ~2010
-주요시설: 식물가든, 생태공원, 곤 충하우스, 워터테마파크 등
ㆍG-2. 중도 World Class Garden 조 G-3 성 -주요시설: 호반경관 조망 Night ㆍG-3.근화동 WaterFront 개발 Spot ㆍG-5. 근화동 생태공원 조성 G-5 근화동 생태공원 조성
[그림 2.2.8] 추진 중인 생태도시 현황
- 11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2.4 Eco-City 관련 특허동향 분석 가. 발전기 단계의 Eco-City 분야 기술 ◦ 특허건수와 출원인수 변화의 상관관계를 통해 기술의 위치를 살펴보는 포트폴리 오 기본 모델에서, 한국특허와 미국특허는 발전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일본특허는 발전기에서 성숙기에 접어들고, 유럽특허는 발전기 단계에서 퇴 조기 단계로 기술이 후퇴하는 것으로 나타남 ◦ Eco Space 분야의 한국특허동향은 기술혁신의 주체인 출원인수와 기술혁신의 결 과인 특허건수가 동시에 증가함에 따라, 포트폴리오 기본 모델에서 발전기에 해 당하는 것으로 나타남 ◦ 미국특허는 전체적인 등록건수가 한국과 일본에 비해 적지만, 출원인수와 특허건 수가 모두 증가하는 발전기에 있어 최근 기술 발전이 빠르게 진전되는 것으로 예상됨 ◦ 일본은 친환경 사업을 ‘90년대 초반부터 시작하여 관련 특허가 ’90년대부터 급증 하였지만, 최근 특허 출원이 감소하면서 점차 성숙기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 유럽특허는 급격한 발전기의 성향을 보이다가 최근에는 성숙기를 거치지 않은 퇴조기 형태를 보이면서 기술 발전의 하락상을 보이고 있으며, 특허건수도 감소 하는 형태로 나타남
- 11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미국특허
한국특허 280
180 성숙기
240 퇴조기
200
성숙기 150
부활기
부활기
퇴조기
120 특 허 90 건 수 60
특 허160 건120 수 80
발전기
30
발전기
40
0
0 0
50
100 출원인수
150
0
200
30
60 90 출원인수
120
150
유럽특허
일본특허
40
400 성숙기
350
퇴조기
성숙기
부활기
300
30
특 250 허 200 건 수 150
특 허 20 건 수
100
부활기
퇴조기 1구간과 3구 간의 크기가 동일함
10
발전기
발전기
50 0
0 0
50
100
150 200 출원인수
250
300
0
5
10
15 20 출원인수
25
30
1. 분석구간 : 한국, 일본, 유럽 - ‘86~‘91, ‘82~‘95, ‘96~‘99, ’00~‘03(출원년도)
미국 - ´87~’91, ´92~´96, ´97~‘01, ‘02~‘05(등록년도) 2. X축: 출원인수(특허권자수), Y축: 출원건수(특허건수)
[그림 2.2.7] Eco-City 분야의 특허동향 비교
나. Eco-City 기술 개발 역점 분야 ◦ 특허활동지수(AI; Activity Index)를 통해 한국, 미국 및 일본, 유럽특허에서의 주요국가(한국, 미국, 일본, 독일, 스위스)의 기술분야별 특허활동도를 살펴본 결 과, 생태공간 분야 중 미국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였으며, 그 중에서 생태보도 와 생태도로의 특허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생태공간 AI지수에서 한국은 생태공간과 생태도로의 특허활동이 활발한 가운데 도시녹화나 생태보도는 특허 활동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은 생태공원, 생태도로, 생태보도 분야의 특허활동이 활발하고, 도시녹화는 저조함. 반면에 일 본은 도시녹화가 활발한 가운데 미국과 반대로 생태공원, 생태도로, 생태보도 분
- 12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야의 특허활동이 저조하며, 유럽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생태공원, 생태도로, 생태 보도 분야의 특허활동이 활발하며, 생태하천은 저조함
도시녹화
생태공원
생태도로
생태보도
생태하천
4 3.46
3 2.36
2
1.78
1.50
1.56 1.43 1.29
1.41
1.40
1.11
0.95
1
0.49
0.93
0.77
0.62
0.72 0.55 0.47 0.35
0.41
0 한국
미국
일본
열섬현상 저감
유럽
온실가스 저감
3
2.06
2
1.88 1.61 1.22
1 0.70
0.67
0.58
0.66
0 한국
미국
일본
유럽
1.분석구간: 한국,일본,유럽- ~2004년(출원년도), 미국- ~2005년(등록년도) 2.산출예시
생태하천 분야의 한국 건수(20건)
생태하천분야 한국특허에서 =
한국 전체건수(20건)
한국의 AI
생태하천 분야 특허 건수(50건) 전체건수(100건)
[그림 2.2.8] 주요국의 기술 분야별 역점 기술 분야
- 121 -
= 2.0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White Network AI지수에서 한국은 열섬현상 저감과 온실가스 저감 분야의 특허 활동이 다른 국가와 비교할 때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은 온실가스 저감 분야의 특허활동이 활발하고, 열섬현상 저감 분야는 저조함. 반면에 일본은 열섬현상 저감과 온실가스 저감 분야의 특허활동이 모두 저조하며, 유럽은 온실 가스 저감 분야의 특허활동이 다른 국가에 비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다. 현황 종합 ◦ 친환경 개선 산업은 기존의 도시공간을 생태 녹지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산업으 로 성장 발전 가능성이 있는 분야로서 국가에서 추진하는 전략 산업 중에 한 분 야임 ◦ 본 보고서의 과제로 분석하는 Eco-City 건설기술 분야는 기존의 도시 건설 계획 이 건물의 증축이나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못한 측면이 강하므로 인간과 자연의 조화가 어울리는 자연 친화적 도시 환경 개선을 기반으로 기술 개발을 꾀하고 있음 ■ 한국은 생태환경 측면에서 생태하천 분야와 도시녹화 분야에서는 발전단계에 있지만, 전반적인 생태도로나 생태공원 그리고 온실가스 저감 및 열섬현상 저 감 분야에서는 기술이 미약함 ■ 일본에서는 일본 건설성이 중심으로 친환경 기술협력회의를 통해 1990년대부 터 계획적인 도시환경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한국도 2000년대부터 경쟁력 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임 ■ 하지만 기초연구개발에 대한 노력이 기업 중심보다는 개인에 의한 연구개발이 앞서 있어 전략적인 특허 출원이 이 시점에서 중요시되고 있음 ◦「Eco-City 건설기술」과 관련하여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의 특허를 살펴 본 바, 각 국가의 특허 출원 및 등록현황은 90년대 초반부터 특허건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일본 특허점유율이 90년에 걸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 국은 2000년 대 이후로 특허 점유율이 일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특허건수와 출원인수 변화의 상관관계를 통해 기술의 위치를 살펴보는 포트폴
- 12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리오 기본모델에서 각국의 특허는 발전기 단계에 있으며, 유럽특허는 발전기 단계에서 성숙기 단계 없이 퇴조기 단계의 경향이 나타남 ■ 각국의 세부기술별 점유율면에서 살펴보면 각국은 생태환경에서 생태하천 분 야, White Network에서는 온실가스 저감 분야의 특허출원인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각국의 기술분야별-구간별 출원동향을 살펴 본 결과 한국의 생태하천 분야는 2000년대 이후부터 급속도로 특허활동이 활발하였으며, 그 이외의 기술분야도 2000년도를 기점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일본의 생태하천 분야는 1990 년대 중반부터 가장 많은 특허활동이 시작되었고, 대부분의 기술도 1990년대 를 기점으로 가장 많은 특허활동이 이루어졌으며, 미국은 한국에 비해서 특허 활동이 저조함 ■ 세부기술별 출원인 국적분포를 살펴보면 각 기술분야에서 한국은 약 93%, 일 본은 약 99% 이상으로 자국의 출원인이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고, 미국 은 약 67%, 유럽은 유럽인이 차지한 특허 점유율이 약 57% 정도임을 알 수 있음 ◦ 한국의 양적인 수준과 질적인 수준을 동시에 고려하여 기술경쟁력의 추이를 살 펴보면 미국 등록특허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한국특허의 건수가 다른 국가에 비 해 적은 관계로 영향력 지수는 ‘97-’05년 구간에 6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술력 지수 역시 4위를 차지하여 양적 수준과 질적 수준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은 타 국가에 출원한 특허건수가 미국, 일본, 유럽의 특허등록․출원량에 비해 절대적으로 적으며, 주요국에 대한 특허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지 않는다면 향후 관련 기술 분야의 특허권을 상당수 확보한 미국, 일본 등에 막 대한 기술료를 지불하거나, 경쟁사로부터의 특허권 침해소송 등으로 인한 손 해배상금 지불 우려 등이 예상되므로 한국은 주요국가에서의 특허권 확보를 위한 출원 확대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Eco Space 건설기술 분야의 주요 핵심기업으로 선정된 KAJIMA, NISSHOKU에 대한 심층 분석을 보면 두 기업은 일본을 주요 시장 타겟으로 특허출원을 집중 하고 있음 이것은 Eco system을 설계하는 국가가 최초로 일본에서 시작되었으
- 12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며, 최근 들어 점점 확대하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음 ◦ Eco Space 건설기술 분야 중에서 식물성장 보도블록 분야에서는 포장도로에 대 한 개선 사항을 중심으로 주변 환경을 개선하는 방향이 주를 이루다가 최근에는 도로 주변 여건의 식물 성장을 위한 환경 조성이 주요 기술로 등장하면서 특허 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옥상녹화 분야는 지붕이나 빌딩의 옥상에서의 녹화시스 템이 발전하여 환경을 고려하는 열섬방지 효과까지 나타나는 기술로 발전하면서 특허가 출원되었음 그리고 벽면녹화는 단순한 방음벽의 재질 및 설계에서 환경 을 고려한 녹화 작업을 수행하면서 벽면 설계에 추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생태연 못은 수질개선을 중심으로 생태환경을 고려한 설계 계획의 확장으로 특허가 발 전함 ■ 2000년 이후, 한국은 Eco Space 건설기술 분야에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였고, 일본의 선진기업들의 기술을 따라가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전체적인 특허 건수에서도 일본보다 앞서 나타났으나, 개인의 의한 출원이 대부분으로 전문적인 연구소에 의한 기술의 전문화가 필요한 시점임 ■ 특허 출원에 있어 출원인이 출원한 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권리분석 및 지속 적인 특허분석을 통해 기술개발을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임
- 124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2.5 국내외 Eco-City 관련 여건변화와 시장전망 가. 국내외 기술 수준 비교 ◦ G7 사업, Eco-Technopia 21 사업 등의 수행으로 생태도시 조성 요소기술 개발 저변은 지속적으로 확대 ◦ 유비쿼터스를 기반으로 한 생태도시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주로 조경위주의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으며, 도시환경의 양적인 기능과 질적인 기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복합화, 통합화된 기술이 범부처적 차원에서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기술이 부재하고 관련 연구투자가 전무한 실정임 ◦ 기존의 생태계 모니터링 기술의 기술적 한계인 공간적 제약을 유비쿼터스 기술 을 접목하여 진정한 의미의 실시간 생태계 순환 모니터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됨 또한 도시의 계획 단계에서부터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 한다면 도 시내의 다양한 활동으로 인한 환경변화에 바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음 ◦ 또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주거성능등급표시제도 등의 영향으로 환경친화 또 는 생태 주거단지를 표방하는 개발 사업이 점진적으로 확산되고 있음 ◦ Eco Space와 관련하여 건설교통부 12건, 환경부 8건, 농림부 2건의 연구 발주가 이루어졌으나 유비쿼터스 기술과 같은 첨단 IT기술과 접목된 융ㆍ통합화 기술 사례는 없음 ◦ 우리나라는 UN에서 물부족 국가로 분류되어 있으며, 물부족으로 인하여 지역적, 사회적인 갈등이 현재보다 심화될 수 있음. 이에 대한 국가 연구 사업에 의한 기 술개발이 G7 사업과 프런티어 연구 사업으로 수자원의 확보 및 처리기술 중심 추진되고 있음. ◦ 용수 공급원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은 미미한 실정임. 따라서, 물의 공급과 이용 및 처리과정의 물순환을 도시 단위에서 통합 관리함으로써, 물 이용의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고, 극심한 가뭄 혹은 홍수 발생 시의 물공급 실패 로 인한 경제 사회적 혼란과 물순환 환경 파괴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 12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필요함 ◦ Eco City를 구축하기 위한 각 요소기술의 개발수준은 평균 50%, 전문인력 보유 50% 정도이나 인프라 구축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연구 및 시설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분야임29) ◦ 특히, 생태적 공간의 실현에 필수적인 ‘요소기술의 융합화 및 통합화 기술’은 선 진국의 20% 수준 <표 2.2.8> Eco City 구축을 위한 각 요소기술별 현황 세부항목
기술수준 (%)
전문인력 보유정도(%)
인프라 구축정도(%)
계획 및 설계/시공 기술
50
50
50
Eco City 건설 관련 BT
50
50
50
Eco City 건설 관련 ET
50
50
50
Eco City 건설 관련 에너지 확보 기술
30
30
30
요소기술의 융합화 및 통합화 기술
20
20
20
인프라 개발 및 보급기술
20
20
20
나. 시장의 변화 ◦ 최근 조성되고 있는 중소규모 신도시(혁신도시, 행복도시, 기타 공공기관 주도의 신도시 건설사업)의 규모가 100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가운데 약 15% 정도의 공사규모만을 예상하더라도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건설시장 규모는 약 15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됨. ■ 전국적으로 20여개 이상의 도시에서 생태도시 조성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중
29)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 보고서, 2006
- 12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2.9> 생태도시 관련산업의 국내 시장규모 전망
(단위 : 억원)
구 분
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생태도시 조성
10,000
30,000
50,000
60,000
◦ 정책변화로 인한 생태도시 조성 기술 개발 요구는 생태도시 조성 건설시장 규모 를 지속적으로 확대시켜나가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다. 전망 ◦ 첨단기술의 발전과 기술의 융합화로 생태도시 조성 기술도 IT, ET 등 타분야의 기술 변화를 수용하여 융ㆍ복합화 할 것으로 전망 ◦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요구와 함께, 도시 개발에 필수적 인 안전성, 재해 예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통합기술 개발 요구가 대두될 것으로 전망 ◦ 생태도시 조성 관련 기술의 국내외 동향, 시장규모 예상, 정책 변화 등을 종합하 여 비교분석한 결과 ‘첨단기술의 변화를 수용하고, 다양한 도시 개발 요구에 복 합적으로 대응 가능하며 융ㆍ복합화된 생태적 공간(Eco-Space) 조성 기술’의 개 발이 예상됨
- 12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2.3 U-Eco City 기술의 경쟁력 분석 ◦ 국내의 경우 미래의 U-Eco City 구축을 위한 세계시장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원천기술 및 인프라는 보유하고 있음 ◦ 반면, U-Eco City의 핵심기술인 IT 기반 건설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져있음 ◦ 약점으로는 아직 U-Eco City에 대한 구체적인 실체를 가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 며
민간이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의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고 국지적임
◦ 또한, 다분야 융․복합화 기술 개발 경험 부족과 건설 분야의 IT분야에 대한 낮 은 인식도도 약점으로 제시되고 있음 ◦ 위협요인으로는 많은 선진국에서도 IT관련 기반기술의 타산업 활용분야에 심혈 을 기울이고 있음 ◦ 전통적으로 건설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의 도입시 문제 발생 우려사항도 위협요인 으로 제시되고 있음 ◦ 따라서 세계 최고 수준의 IT인프라, 국민들의 높은 첨단기술 이용능력, U-City 개발붐 등을 기반으로 U-City 건설기술의 세계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시점에 서 기술개발에 대한 국가 차원의 강력한 지원이 요구됨
⇨ 인터넷, 유비쿼터스 관련 첨단 IT기술, 그리고 다양한 신도시 개발 경험과 축적된 기술을 기회요인으로, 약점으로 지적된 한정적이고 국지적으로 진 행되고 있는 민간 기술, 다분야 융복합 기술의 연계성 부족 등에 대하여 이를 U-Eco City Test Bed에 기술적용의 장(場)을 도입함으로써 건설산업 과 IT산업의 융합에 의해 국제경쟁력 동반 상승 및 국제 기술경쟁력 확보 가능
- 12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표 2.3.1> U-Eco City의 SWOT 분석
강 점
약 점
․ 통신 인프라가 세계 최고 수준 ․ 무선 인터넷을 비롯한 관련 기술이 세계적인 ․ 아직 U-Eco City에 대한 구체적인 실체를 가 지고 있지 못한 실정 수준 ․ 짧은 기간에 많은 신도시를 건설할 수 있는 경 ․ 민간이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의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고 국지적임. 험과 기술 축적 ․ 건설 + IT 신성장 동력관련 산업 활성화 정책 ․ U-Eco City 관련기술의 복합성 지원 ․ 요소기술 개발에 편중된 기술 개발 현황 ․ 정책변화로 인한 U-Eco City 기술 개발 요구 ․ 건설 분야의 IT분야에 대한 낮은 인식도 ․ 정부 및 공공기관 주도의 건설사업 추진으로 ․ 요소기술을 융합한 시스템 기술 취약 시장규모 확대 예상 ․ 계획, 설계, 시공 및 관리 기술의 연계성 부족 ․ IT 등 첨단 기술의 발달로 기술의 융복합화를 ․ 다분야 융․복합화 기술 개발 경험 부족 통한 국제 경쟁력 확보 유리 ․ 다양한 신도시 개발계획으로 U-Eco City 구축 기술 개발 요구의 실재
기회요인
위협요인
․ U-City건설은 IT 와 건설기술의 융합된 고부가 가치 영역 ․ 국민들의 높은 첨단기술 이용능력, U-City 개 발붐 ․ 최첨단 IT 기술이 융합된 건설기술은 다가오는 미래도시의 유력한 대안으로 제시 ․ 유비쿼터스 환경과 친환경 도시에 대한 높은 사회적 요구
․ 많은 선진국에서도 IT관련 기반기술의 타산업 활용분야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 ․ 획일적, 기술종속적 U-Eco City 양산 및 소외계층 (Digital Divide)의 심화현상에 대한 우려
․ 세계의 IT 융합 건설기술 시장규모는 예측하기 ․ 새로운 기술의 도입 시 문제 발생 우려 어려울 정도로 방대 ․ 계획, 설계, 시공, 평가 기술의 부조화 및 기술간 격차 ․ 국민소득 2만불 시대에 부응하는 건설아이템 ․ 창출 및 대국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 ․ 미래 도시 건설에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의 실현을 위한 기술적 수단 제공
․ 부처간의 기술개발분야 중복성 및 이해관계 존 재
․ 중간진입 가능한 선진국 기술 및 기존 연구 성과의 실재
- 129 -
제 2 장
2.4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핵심과제 도출
2.4.1 U-Eco City 추진 현황 가. 신도시 미래상과 중앙정부 정책적 고려사항 ◦ 새로운 주거 요구인 “살고 싶은 신도시”에 대한 개념 정립 필요하며, U-City와 Eco City의 추진현황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해야 함. ◦ 건교부를 비롯한 중앙정부의 정책 기조와 신도시 계획시 반영해야 할 주요 추진 전략 및 방향성 설정이 요구됨.
구분 건교부 6대 정책목표
주요 고려 사항 ○ 건교부 ‘살고 싶은 신도시’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2006년 6대 정책 목표로 설정 - 도시 경쟁력, 도시 효율성, 편의성, 가치 중심적 - 신도시 유형화 및 개념 정립 요구
○ 건교부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전략 : 9대 전략 과제) - 환경문화경관 여건만들기 ① 다양하고 개성있는 도시문화 창출 ② 아름답고 품격있는 경관 조성 ③ 자연과 공존하는 환경 친화적 도시관리 건교부 - 일자리 만들기 신도시 ④ 활기찬 경제기반 마련 9대전략 - 기초적 생활여건 조성 및 ⑤ 대중교통과 보행중심의 녹색교통 신성장동력화 ⑥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도시안전 확보 ⑦ 건강을 보장하는 의료복지 구현 ⑧ 미래지향적 교육환경 조성 ⑨ 주거복지의 실현 ○ 기반 기술의 신도시 테스트베드를 통한 시장화 진입시간 최소화 신도시계획의 유연성 확보
○ 미래의 변화를 수용 할 수 있는 신도시계획의 필요 - 인구증가, 여건변화로 도시 기능 확대와 시설분포 변화 대비 - 유동적 시설계획, 유보지 확보가 사전 요구
- 13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자연과 ○ 자연과 인공이 계획적으로 어우러진 도시에 대한 사회적 요구증대 인공의 - 자연생태환경에 대한 질적인 욕구변화에 대비 조화성 요구 - 자연생태환경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신도시계획기준이 요구 시설인프라 ○ 신도시 시설기준의 향상 요구 증대 - 소득수준향상과 건강관심증대로 시설요구수준이 향상 경관관리 ○ 토지이용계획의 단계를 넘어선 차세대 경관관리계획이 필요 계획의 - 계획의 미비와 관리미비로 대응책이 필요 체계성 요구 자족성의 확보
○ 신도시 공간적 위계에 부합되는 자족성에 대한 정책적 고려 필요
나. 1기 신도시 거주민 및 전문가 관점 신도시 개발시 보완요구 사항 ◦ 1기 신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향후 2기를 비롯한 차기 신도시 계획 수립시 반 영해야 할 방향성 설정이 필요함.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에서 수립한 살고 싶은 신도시 모델수립에서 수립된 주요 고려사항은 사회복지, 문화레저, 경관, 녹지에 대한 관심사항이 크며, 이에 대한 사전 도시 계획적 반영은 주요 고려요소가 되 어야 함. 구분 커뮤니티 부분
주요 고려 사항 ○ 커뮤니티 구성 및 활성화 - 주민참여제도 및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사전 고려 ○ 사회적 혼합기능에 대한 요구 - 지속가능 에너지 및 자원이용 활성화 요구
주민 설문조사 결과 시사점 도출
○ 사회복지, 문화레저, 경관, 녹지 및 환경에 대한 고려 관심 ○ 미래상으로 그린네트워크(자연), 경관미관, 자족기능 등 자연, 생태, 환경에 관심
전문가의 신도시 시사점
○ 미래신도시 비전에서 중요한 요소는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진 생태적인 도시가 요구 → 경관도시 -> 네트워크 도시 -> 건강 안전 도시 순임.
도시 확장성 문제
○ 확장성 부족으로 미래개발 공간 설정이 불가 - 유보지의 확보가 요구
- 131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지형보존 및 친환경 계획
○ 기존지형보존 및 친환경적 계획 소홀 - 자연지형 보존, 친환경적 토지개발계획 필요
그린네트워크 구축
○ 대중교통과 녹지공간, 보행공간 연계화가 필요
경관 및 도시미관 ○ 생태, 경관 조망축, 도시 이미지 관리, 특성유지가 요구 유지 방안 도시 자족기능 생태부분 기능요구
○ 생활편익시설, 성장산업 유치가 요구 - 공간이용 효율화, 커뮤니티 ○ 친수환경, 물순환 필요성, 공간이용의 효율화
유비쿼터스 환경
○ 유무선 정보통신체계 및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요구
건강, 안전 부분
○ 자연재해 예방 및 대피 전파 체계화 ○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도시관점의 고려
역사, 문화 부분
○ 대중교통에서 관련 시설 접근체계화 필요
다. U-City 추진 현황 ◦ 2006년까지 국내에 전략계획의 수립이 완료된 신도시와 현재 구축이 진행중인 U-City 지향 신도시에 대한 추진 현황 분석을 통한 향후 방향성 제시가 필요함. ◦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U-City 구축의 관점에서 생태환경의 사전기획을 통한 계 획의 수립 및 보존방안에 체계화가 필요하며, 도시 인프라 및 센터를 통한 정보 집계 분배를 통한 거주민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질의 향상이 요구됨.
분야
주요 고려 사항
○ U-City 관련 시설물을 신도시 실시계획 반영으로 중복성 회피 신도시 건설 방안에 대한 체계성 필요 일정과 연계 ○ 도시 최적 공동구 개발 - 통신/상하수도/전기/가스 등 포함하는 공동구
- 132 -
제 2 장
도시간 추진 전략 표준화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신도시간 U-City 개발과정에서 내용상 편차 발생 - 공통 부분과 특화 부분의 특성 분류로 추진 ○ 신도시간 서비스 분류체계의 상이에 따른 표준성 문제 대두와 분류, 정의와 정보 교류를 위한 연계 표준화 영역 처리 요구
법제도 준비 ○ U-City 건설지원법의 법제화 및 지속적인 보완 체계화 요구 수행주체에 ○ U-Eco City 구현에 따른 신규 조직 및 행정절차화 요구 따른 ○ 기관 및 부서간 정보 연계화에 따른 규정 및 처리절차 명문화 행정처리 지역 연계
○ 신도시간 정보 연계성에 대한 방안의 체계화 필요 ○ 신도시와 구도시간의 정보 확장성에 대한 고려
기술발전 수용성
○ 타 부처 기반기술의 U-City 건설시 활용을 위한 공인 인증의 필요 ○ 기반기술을 이용한 테스트베드의 활성화로 시장진입시간 축소요구
지역발전 확장성
○ 신도시 확장에 고려한 수용성을 사전에 고려
○ ○ 공공 서비스 ○ 영역 ○ ○
교통 일반 방재 산불 복지
약자를 고려한 교통편의 서비스의 확대 필요 방범 CCTV 기능을 극복한 지능형 기능의 요구 정보의 집계 체계화와 재난대피안내 기능의 요구 및 화재 발생의 조기 포착기능 필요 및 건강의료 정보의 현실화로 도시복지 기능의 보강
민간 서비스 ○ 도시정보 인입과 기기제어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기능의 요구 영역 유선 ○ 자가망 및 임대망에 대한 지자체 요구의 제한성 해소 통신인프라 무선 ○ 무선망 발전추이를 고려한 설치 및 확장에 대한 방안 필요 통신인프라 센터 및 ○ 센터에 통합된 서비스의 구성의 논리성 요구 조직구성방안 ○ 운영 체계화 및 운영에 필요한 공공 및 민간 조직의 구성 필요 운영 통합 플랫폼
○ 미래 기술의 수용성을 고려한 센터통합 플랫폼의 요구 ○ 표준성 및 도시간 특성에 따른 최적화 용이성 요구 ○ U-City 통합 단말기 개발
강제과금 대안
○ 특수목적회사를 통한 거주자 혜택 서비스 운영비 충당 방안 필요
민관협력 방안 도출
○ 공공 부분의 구축 및 운영비용의 제한성을 극복하기 위한 민간 부분의 합작 방안 요구
- 133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라. Eco City 추진 현황 ◦ 도시에서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체계화가 필요하며, 생태적인 문제는 도시계획 사전단계에서 3차원적인 공간활용기법과 연계하여 시뮬레이션에 의한 지능적인 관리기능이 요구됨. ◦ 도시전체의 생태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관리체계가 필요하고, 쓰레기 등의 자원 운영에 대한 시스템 연계 운영화가 필요함.
분야
주요 고려 사항
○ 도로, 보도 등의 포장 기준작성 및 빗물 활용을 위한 연계화 및 수량정보의 체계화 필요 토지 환경 ○ 지형과 경사지를 고려를 위한 3D시뮬레이션 구축방안과 운영체계 필요 생태 녹화 ○ 포장, 에너지 등 관련 분야와의 녹화 연계 구축 필요 환경
생태 네트워크
○ 실개천 및 저류지 등을 이용한 물순환 체계화로 도시환경 개선요구5 ○ RS 및 GIS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네트워크 및 비오톱 지도 작성 필요 ○ 생태이동통로 주변 모니터링을 통한 운영목적의 유지 필요
○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통한 환경관리 체계화 필요 ○ 기존 자연형 하천(소하천, 지방2급 하천)에 대한 보전 방향 물자원관리 연구 필요 ○ 저류지 유량 및 수질, 생태계 모니터링으로 상황변동의 대처방안 필요
도시기후 관리
○ 바람통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시 미기후와 경관관리의 체계화 요구 ○ 바람길 관리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도시기후관리요구에 대응 ○ 열섬 차단을 위한 포장재의 교체와 건축물 녹화계획 필요
자원순환 관리
○ 수량확보를 위한 유수량 정보집계 및 통계정보와 연계를 통한 체계적 운영 필요 ○ 쓰레기량에 대한 통계정보 및 실시간 모니터링 및 순환시스템 개발 필요
- 134 -
제 2 장
2.4.2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핵심과제의 도출
가. U-Eco City 사업의 핵심과제 도출 기본 방향 ◦ 본 U-Eco City 사업단의 목적은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 스 및 생태환경 기술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도시의 경쟁력 향상 및 국가 균 형발전 선도, IT산업의 선순환 촉진을 위해 세계 최고수준의 U-Eco City 건설을 추진하는 것임 ◦ U-Eco City 사업단의 조직과 운영은 U-Eco City 구축과 관련되는 다양한 분야 의 R&D 노력들을 결집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이러한 노력들이 통합적으로 Test Bed에 적용되어 실제 U-Eco City 구축과정에서 효용성을 검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함 나. 핵심과제 도출을 위한 고려사항 ◦ U-Eco City 사업단 과제는 다양한 서비스와 기술, 사업주체가 참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이므로 핵심과제도 이러한 측면을 다양하게 검토하여 핵심과제를 도출 할 필요가 있음 <표 2.4.1> 신도시의 구성요소
구분
판교
대전서남부
동탄
양산물금
단독주택
5.95
8.7
6.79
7.4
공동주택
19.31
21.3
22.6
20.5
근린생활시설
0.31
0.3
0.43
0.3
상업시설
2.38
2.7
3.76
5.9
업무시설
0.56
1.4
0.32
1.1
도시지원시설
4.66
2.1
9.69
-
공원 / 녹지
25.56
22.6
24.42
15.8
17.23
24.9
16.23
21.3
학교시설
7.6
10.6
4.82
14.5
공공시설
16.49
5.4
10.94
13.1
계
100%
100%
100%
100%
도
로
- 135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1) 도시 구성요소의 다양성 ◦ <표 2.4.1>은 최근 건설되고 있는 신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살펴본 것으로, 공원/녹지, 공동주택, 도로, 공공시설, 단독주택, 도시지원시설 순으로 다 양하게 구성되어 있음 ◦ 따라서 이와 같은 도시 구성요소들에 의해 궁극적으로 도시민에게 각종 서비스 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핵심과제가 구성될 필요가 있음 2) U-Eco City 관련 기술 수준 검토 ◦ U-Eco City 구축은 다양한 IT기술 및 GIS 관련기술, 건설관련 기술의 접목으로 구현될 수 있음. ◦ IT관련 기술수준은 세계최고 기술수준 보유국인 미국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적으 로 기술격차는 1.6년, 상대수준은 85.8%로 조사되었으며, 차세대이동통신이나 텔 레매틱스, 홈네트워크 등의 기술들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됨
[그림2.4.1] 세계최고 기술수준대비 우리나라 기술수준 현황(참조 : 2006 정통부 보도자료)
◦ GIS, LBS, GPS, RS 등의 위치정보 관련기술은 평균 선진국 대비 1~2년 정도의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이동단말 GIS서비스, 공간정보처리기술, LBS플랫폼
- 136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기술 등은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지능형 국토정보기술혁신 기획 연구자료 참조) ◦ 국내 건설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약 70%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도로와 교량, 터널 부분은 우수한 것으로, 상수도 및 상업용 고층건물 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됨 3) U-Eco City 관련 기술의 복합성 ◦ U-Eco City 구축을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통신기술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RFID/USN, 센서, IPv6, 유무선 네트워크, 미들웨어, Embedded S/W 등과 같은 기반기술과 다양한 응용서비스에 연계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GIS, LBS, 텔레매 틱스 등과 같은 응용서비스 연계기술로 크게 나눌 수 있음 ◦ 이러한 기술들은 각각 독립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연계․융합되어 사용됨 ◦ 또한, 실제적으로 최종 도시민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서도 공공분야, 비즈 니스분야, 생활분야로 100여개로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음 ◦ 따라서 복합적인 많은 기술들에 대하여 건설교통 분야에서 중심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술을 선별하여 중점적인 연구를 추진할 수 있도록 핵심과제를 구성 4) 국내 기술 수준 및 관련 부처의 중점 추진 기술 연계를 고려 ◦ U-Eco City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수준은 대부분 세계 최고 수준대비 약 1~2년 정도의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관련 부처에서는 각자의 중점 분야 기 술개발을 독립적으로 추진중 ◦ U-Eco City의 구축은 단일 기술 혹은 단일 부처의 능력과 의지로만 될 수 없으 며, 다양한 기술들이 융․복합되고 부처간 기술 개발 성과들의 연계 및 통합을 통해서만 이루어 질 수 있음 ◦ 따라서 본 기획연구에서는 국내 기술 수준과 지원가능 분야를 고려하면서, 관련
- 137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부처에서 진행되는 기술들 간의 중복성을 피하고 연관성을 가지면서 통합 또는 융합될 수 있는 기술을 핵심과제로 도출할 수 있도록 구성 ◦ 이러한 기술개발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핵심 인프라 기술 및 구현기술 을 개발하고 시험 테스트를 통해 검증해야 하며, 정책 및 제도적인 지원 방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적인 연계 추진체계로 구성되어야 함 5) 사업주체 및 관산학연의 광범위한 참여 고려 ◦ Test Bed 사업주체로서 정부, 지자체 및 공사, 민간 사업자 등이 있으며, 그리고 연구개발주체로서 관산학연 등이 참여하게 되며, 기타 참여관계자로서는 행정기 관, NGO, 공공 및 민간단체, 개발사, 대중매체 사업자, 통신망 사업자, 정보 서비 스 사업자, 사회 문화 관계자 등이 있음 ◦ 따라서 이와 같은 다양하고 광범위한 주체의 의견을 수렴하고 각 주체들이 참여 할 수 있는 역할을 부여할 수 있는 분야를 핵심과제에 구성 5) 연구개발 및 시범사업의 연계성 ◦ 본 U-Eco City 사업단 과제는 “R&D”와 “시범사업”의 개념을 통합한 형태의 핵 심과제가 마련되어야 함 ◦ 따라서 각 핵심과제에서 기반기술, 응용기술, Test Bed 적용기술이 완성되어 Test Bed에 구축될 수 있도록 연계성을 갖도록 구성 ◦ 사업단 최종성과물이 가시적인 형태로 도출될 수 있도록 세부과제에 대해서는 목표 지향형 과제로 설정 ◦ 또한 도시의 구성요소 측면에서 “세부 실용화기술”부터 “도시단위기술”까지 연계 가 될 수 있도록 구성 ◦ 이와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고려하면서 U-Eco City을 위한 기술개발과 Test Bed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이 있는 매트릭스 연구체제가 이루어지도 록 유기적인 체계를 구축
- 138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U-Eco City 사업단의 조직과 운영은 U-Eco City 구축과 관련되는 다양한 분야 의 R&D 노력들을 결집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이러한 노력들이 통합적으로 Test Bed에 적용하여 실제 U-City구축과정에서의 효용성을 검토할 수 있는 방 향 설정 다. 핵심과제 구성 ◦ 본 U-Eco City 사업단의 연구방향이나 핵심과제의 구성은 정보통신 분야의 기 술과 유비쿼터스 서비스와 관련하여 도시의 인프라와 도시를 구성하는 공간 또 는 시설물 등과 융복합화하는 기술분야와 생태도시 조성 기술을 IT, ET 등 타 분야의 기술 변화를 수용하여 융ㆍ복합화하는 기술분야에 집중하여 Test Bed를 완성시키는 방향으로 기획방향을 설정 ◦ 핵심과제는 먼저 연구팀과 전문가 그룹에서 세부기술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한 후 이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그리고 건교부 등과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면서 핵 심과제를 도출하였음
[그림 2.4.2] 핵심과제 도출 과정
◦ 한편, 세부기술들이 타부처 또는 건교부에서 추진되고 있는 기존 기술개발과제와 중복성을 피하기 위해, 국가 R&D에 대한 조사, 그리고 Checklist를 만들어 중복 성 여부를 평가하였음 ◦ 유비쿼터스기술에 대하여는 도시를 기반으로 운영이 이루어지는 인프라기술 분
- 139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야와 도시를 구성하는 시설물과 공간 등의 활용기술 분야로 구분하여 2개의 핵 심과제로 도출 ⇨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개발 ⇨ U-Space 구축기술 개발 ◦ 또한 도시의 생태적 기능을 부가하고 U-기술과 접목되어 지속가능한 도시가 건 설될 수 있도록 U-based Eco Space 기술을 구분하여 핵심과제로 도출 ⇨ U-based Eco Space 구축기술 개발 ◦ Test Bed는 기존 연구개발 프로세스와는 성격이 다르고 시범도시가 선정된 후 신도시개발사업의 진행프로세스와 기술개발에 대한 활용측면에서의 중요성, 그리 고 Test Bed에 대한 통합관리 측면에서 핵심과제로 도출 ⇨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 U-Eco City 기술개발 이외에 법규와 제도 개선과 관련한 연구를 병행하여 향후 의 신도시 건설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법/제도적 지원 및 미래도시 건설을 위한 다양한 전략프로그램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하나의 핵심과제로 도출 (여기에는 미 래 도시화를 위하여 문화, 인문, 사회의 변화, 경제적 파급효과, 전략 산업화 분 야가 포함) ⇨ 미래도시 전략 및 U-City 지원정책 ◦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은 공공 R&D예산의 효율적인 투자를 위하여 세 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U-기술을 대상으로 기술개발 역량을 집중하여 U-Eco City 시범사업을 성공리에 마쳐질 수 있어야 함 ◦ 따라서 성과도출을 위하여 핵심과제를 “R&D” 분야와 “Test Bed 현장적용” 분야 로 크게 구분하여 추진 ◦ U-Eco City 사업기간 6개년을 1단계인 전반 3개년은 핵심기술 개발과정과 연계 한 Test Bed 사업을 위한 핵심기술 선정, 관계기관협의, 기본/실시설계를 진행하 고, 후반 3개년은 Test Bed 현장시공 및 검증 단계로 설정하고 개발기술의 특성 에 따라 Pilot Project를 운영하면서 현장적용의 시기가 탄력적으로 조정될 수 있 도록 방향 설정
- 140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따라서 “U-Eco City 사업”을 위한 시범사업(Test Bed)을 기반으로 하고, “U-Eco 핵심 융․복합 기술”을 통해 도시, 건설 분야 활용기술을 공통 지원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5개의 핵심과제를 도출하여 구성하였음
[그림 2.4.3] 핵심과제의 구성
- 141 -
제 2 장
2.4.3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U-Eco City 관련 개선항목 도출 및 기대 효과
가. 추진현황 및 테스트베드 사업 연계
제1 핵심과제 : 미래도시 전략 및 U-City 지원 정책
신도시 미래상과 중앙정부 정책적 고려사항 ○ ○ ○ ○ ○ ○
건교부 6대 정책목표 건교부 신도시 9대전략 및 신성장동력화 신도시계획의 유연성 확보 자연과 인공의 조화성 요구 시설인프라 요구 증대 경관관리계획의 체계성 요구
○ U-City 미래기술상과 미래공간 ○ U-City 공간구조 모델 ○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술 개발 ○ U-City 중장기 전략 ○ U-City 지원정책
○ 자족성의 확보
제2 핵심과제 :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1기 신도시 거주민 및 전문가 관점 신도시 개발시 보완요구사항 ○ ○ ○ ○ ○ ○ ○ ○ ○ ○ ○ ○
커뮤니티 부분 주민 설문조사 결과 시사점 도출 전문가의 신도시 시사점 도시 확장성 문제 지형보존 및 친환경 계획 그린네트워크 구축 경관 및 도시미관 유지 방안 도시 자족기능 생태부분 기능요구 유비쿼터스 환경 건강, 안전 부분 역사, 문화 부분
○ ○ ○ ○ ○ ○ ○ ○ ○
신도시 건설 일정과 연계 도시간 추진 전략 표준화 법제도 준비 수행주체에 따른 행정처리 지역 연계 기술발전 수용성 지역발전 확장성 공공 서비스 영역
○ U-City 인프라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 도시통합관제센터 관련 기술개발 ○ U-City 구현을 위한 핵심 전략기술 제품화
제3 핵심과제 : U-Space 구축기술 개발 ○ U-City 조성을 위한 융복합 건설기준 개발 ○ U-Space 공공서비비 개발 ○ U-Space 민간서비스 개발
U-City 추진 현황 ○ 민간 서비스 영역 ○ 유선 통신인프라 ○ 무선 통신인프라 ○ 센터 및 조직구성방안 ○ 운영 통합 플랫폼 ○ 강제과금 대안 ○ 민관협력 ○ 방안 도출
제4 핵심 과제 : U-based Eco Space 구축기술 개발 ○ U-공간환경 정보시스템 개발 ○ 3차원 도시환경 계획 및 평가 기술개발 ○ U-물순환시스템 개발 ○ Eco-road 조성기술 개발
Eco-City 추진 현황 ○ ○ ○ ○ ○
제5 핵심과제 : U-Eco City
토지 환경 생태 녹화 환경 생태네트워크 물자원관리 도시기후관리
Test Bed 구축사업 ○ Test Bed용 적용기술 선정 및 운영 방안 도출 ○ Test Bed 건설관리 프로세스 구축 ○ Pilot Project적용 및 적합성 평가
○ 자원순환관리
○ Test Bed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 142 -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나. Test Bed 개선/개발 항목 및 기대 효과 ◦ 제1 핵심과제 : 미래도시 전략 및 U-City 지원 정책 기대 효과 세부 과제
세부과제 주요 내용 정성적 효과 미래 사회상 연구
ㅇ 중장기 도시발전 비전 활용 ㅇ 다목적 공간활용성 확보로 도시공간 이용효율화 기반
ㅇ 신도시 원가 3% 절감 예상
기반기술 중장기 전략
ㅇ 기반기술 현장 활용성 확대 ㅇ 기술개발 중복투자 방지 ㅇ 타 부처간 협력체계화 정착
ㅇ 상품화가속20% ㅇ 중복투자 예산 절감 100억
미래 U-Eco City 공간모델 정립
ㅇ 공간활용을 통한 공간이용 효율화 예상
U-City Space관련 공간 연구
ㅇ 경관 및 시설물, 배치체계화 지침규정으로 초기 관련 활동비용 절감 예상
Eco Space관련 공간 연구
ㅇ 공간배치의 체계 지침 예상
ㅇ 지침으로 활용
도시 규모별 표준방안 연구
ㅇ 도시규모와 특성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단계 축소 및 설계 비용 절감
ㅇ 지침활용으로 최소 2천만원 예산 절감
서비스 표준화 연구
ㅇ 도시간, 부처간 정보연계성 ㅇ 도시당 재설계 강화로 운영 안정성 확보 및 비용절감 건당 인력 및 예산 효율화 최소 2천만원
U-City 시설물 실시설계 반영
ㅇ 재굴착, 재공사 미연 방지 가능
도시간 서비스 표준연계 방안
ㅇ 연계 체계 확보로 재설계 비용 절감
미래도시 발전전략(발전 로드맵)
ㅇ U-City와 연계된 발전전략 확보
기술평가 방식에 대한 체계화 연구
ㅇ 테스트베드 검증 체계화로 ㅇ 공인, 인증으로 예방비용 절감 기술개발 활용의 시스템화로 사업화 프로세스 개선 도시당 5억
법 제도, 행정지원 연구
ㅇ 건설지원법의 지속적인 보완 ㅇ 관련 수행조직활용근거 수립
지자체 협력방안 연구
ㅇ 인수 지자체와의 현안문제의 해결로 프로세스 개선 예상
민간협력 및 투자모델의 연구
ㅇ 신도시당 민간 ㅇ 민간협력의 체적화 방안으로 투자유발 5천억 관련 산업 경제유발 가능 ㅇ 민간 비지니스 ㅇ 민간 투자모델의 체계화 유발 3백억
U-City 미래 공간변화 연구 미래기술상과 미래공간
U-City 공간구조 모델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술 개발
U-City 중장기 전략
U-City 지원정책
정량적 효과
- 143 -
ㅇ 도시당 재공사 예방으로 50억 이상 예산절감
ㅇ 선진격차 해소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제 2 핵심과제 :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기대 효과 세부 과제
세부과제 주요 내용 정성적 효과
전자위치표지 인프라 구축 및 활 용방안 연구
유비쿼터스 인프라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ㅇ 유비쿼터스 기술의 활용으로 자재관리 및 재원관리의 효율성 강화
정량적 효과 ㅇ 자재 및 재원 관리 효율화로 관련 20% 절감
도시 센서망 공동 활용 및 통합관 ㅇ 센서망 공동활용을 통한 비용 ㅇ 개별 활용기술 대 절감 및 부가기술 향상 비 20%이상 비용절감 리 연구
ㅇ RFID, USN 센서의 도시 운용 활용체계 수립으로 표준가이드 제공, 통합관리
통함 유무선 활용체계 연구
ㅇ 통합운영 효율 화 20% 이상
체계화로 운영효율화 가능
도시통합운영센터 운영체계 연구
ㅇ 센터의 표준 운영프로세스 수립으로 프로세스 정규화 ㅇ 공공 및 민간 융복합 운영
U-City 도시통합운영센터 모델 개 발 도시통합 운영센터 관련 기술개발 U-City 기반 설비 원격제어 및 관리 시스템 개발
도시특성별 적용체계 연구
지능형 영상취득 인프라 네트워크 구축기술 개발 U-City 구현을 위한 핵심전략 기술 제품화
모델 설정으로 인력 최소화, 운영효율화, 서비스질 개선 예상, 전산자원 효율화 가능 ㅇ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관리 제어에 따른 인력 및 예산 절감 및 운영 효율화 기대
지상돌출 구조물 지하화 연구
인력 50%로 운영 ㅇ 자원 30% 효율 ㅇ 인력 80% 절감 ㅇ 서비스질 50% 향상 예상
ㅇ 도시특성에 따른 적용체계에 능동적 대처 가능
ㅇ 시스템 구축 비용 절감
ㅇ 지능형 장비로 제한된 장비 로 무인화, 최소인력화 운영
ㅇ 서비스질 개선 ㅇ 모니터링 인력
가능으로 인력, 예산 절감
80% 절감
U-City 통합생활정보 제공을 위한 ㅇ 복합 기능화와 사전 설치 U-Post 기술 개발
ㅇ 비통합 대비
지침으로 예산절감 가능 ㅇ 지하구조물로 변경에 따른 경관기능 향상
- 144 -
ㅇ 추가 비용절감 대당 300만원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제 3 핵심과제 : U-Space 구축 기술 개발 기대 효과 세부 과제
세부과제 주요 내용 정성적 효과 U-City 조성을 위한 융․복합건설 ㅇ 융․복합건설기준을 통해 프로 기준 연구
세스 절감 및 성능수준 향상
U-City 조성을 위한 융․복합 건설기준 개발
U-City 개발단계별 융․복합건설
ㅇ 프로세스 개선 20% 이상 ㅇ 성능 20% 향상
ㅇ 도시건설단계의 효율화 및 타 도시 건설을 위한 자료로 활용 ㅇ 지침 활용으로 인한 프로세스 개선 효과발생
지침 및 가이드라인 연구
방재 서비스 및 관련 건설기술 개 ㅇ 재해 예방을 통하여 안전하게 발
살 수 있는 도시환경 조성
방범 서비스 및 관련 건설기술 개 발 공공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 기술 개발
정량적 효과
교통관리 및 관련 건설기술 개발
ㅇ 재해 20% 절감 ㅇ 도시 서비스의 질 향상 30%
ㅇ 범죄 예방형 도시 건설을 통해 안심하고 편안히 살 수 있는 도시 환경 제공 ㅇ 교통, 보행, 주차 등 교통 관련 ㅇ 교통, 보행 효율화 시설의 운영 효율화 및 인력절 향상 20% 감
도시 핵심 공공 융합서비스 및 관 ㅇ 도시의 부가가치 향상 련 건설기술 개발 ㅇ 도시 삶의 질의 실질적 향상
ㅇ 도시 생산성 10% 향상
U-Space 공공서비스 적용을 위한 ㅇ 공공서비스 향상 및 시설운영 ㅇ 도시관리 효율화 시설 및 운영가이드라인 개발 의 효율화 예상 20% 향상
주거대상 생활환경서비스 및 관련 건설기술 개발
ㅇ 홈네트워크 연계를 통한 테마 ㅇ 표준화 주도, 적합형 서비스 질 향상 ㅇ 관련 민간 산업 ㅇ 유비쿼터스 서비스제공 체제 확보
500억 가치 유발
U-City내 주거단지 건설을 위한 ㅇ 테마 적합형 주거단지를 지침 개발 통한 비용 절감 민간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 미래주거를 위한 시범주택 개발 기술 개발 건축물 군관리 서비스 및 관련 건 설기술 개발
ㅇ 시범주택의 관광 명소화 ㅇ 단지 공통운영을 통한 관리 효율성 향상 및 인력 절감
ㅇ 관리비 10% 절감
예상
U-Space 민간서비스 적용을 위한 ㅇ 구축 지침활용으로 프로세스 시설 및 운영가이드라인 개발
ㅇ 관련 산업유발 300억 예상
개선 및 운영효율화 예상
- 145 -
ㅇ 민간시설 부문 효 율화 20% 향상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제 4 핵심과제 : U-based Eco Space 구축기술 개발 세부 과제
기대 효과
세부과제 주요 내용
정성적 효과
첨단 공간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공간환경
정량적 효과
ㅇ 개발공간의 생태적 가치 평가 ㅇ 환경생태정보지도
3차원 환경생태정보 구축기술 개발
토대 구축
제작비 절감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환경생태정보 구축기술 개발
ㅇ 도시 환경성능의 실시간 모니 ㅇ 도시환경생태 터링 및 정보제공 토대 구축 정보시스템 정보의 계량화 및 ㅇ 과학적 환경계획 및 관리 기반 개발 정밀도 개선 공간환경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및 제공 활용기술 개발 ㅇ 관련 기술의 산업화 기반 구축 첨단 공간정보통신 기술과 생태계 ㅇ 자연자원의 이용 및 자연침해 ㅇ 생태도시 조성 획 기술을 융합한 3차원 도시환경 초기 투자비 절감 사전 예방 계획기법개발 및 테스트베드 적용 ㅇ 기존 도시 대비 ㅇ 환경계획의 실현을 위한 기술 3차원 도시환경계획 기법을 공간 생태적 건전성 3차원 도시환경 적 수단 제공 계획에 접목하기 위한 Low Impact 200% 개선 계획 및 평가기술 ㅇ 관련 산업의 기존 건설 시장 도시설계기법 개발 개발 진입 토대 구축 도시환경 관리 시뮬레이션기술개발 ㅇ 사전예측능력 향상 개발된 도시공간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 및 보상기법 개발
ㅇ 개발과 보전의 경제적 가치 평가 토대 제공
도시 용수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유비쿼터스 용수관리시스템 개발
ㅇ 도시 용수 확보의 다양화
유비쿼터스 활용 하수 처리수 모니터링 및 재이용기술 개발
ㅇ 관리비용 절감 ㅇ 합리적 보상 비용 결정 토대 제공
ㅇ 용수 확보 비용의 절감 ㅇ 생태적 수자원 확보 기술 기반 구축
U-Eco 도시기반 하천, 호수조성 ㅇ 도시 수공간의 생태적 기능 유비쿼터스 ㅇ 기존 도시 대비 및 관리기술 및 어메너티 개선 물순환 시스템 물순환 기능 100% 구축 및 관리기술 GIS/GPS based 도심지형 지하수 개선 ㅇ 우수의 지하수 함양 기능 개선 관리시스템 개발 ㅇ 미래 수자원 확보 ㅇ 효율적 물순환이용 기술 기반 ㅇ 우수유출량 저감 유비쿼터스 기반 물순환이용 시스 구축 으로 도수홍수 템 개발 ㅇ 개발 물순환시스템의 실용화 관비 비용 절감 토대 제공 ㅇ 생태도로 조성 요소기술의 Eco-road 네트워크 구축기술 개발 안정적 관리 기반 구축
Eco-Road
ㅇ 물순환 및 대기오 염 정화, 소음 저감 등 생태적 기능 복원
Eco 도로 환경센싱기술 및 예측 시 ㅇ 도로 환경성능의 실시간 모니 ㅇ 도로 환경성 유지 스템 개발 터링 및 안전성 확보 관리 비용 저감
조성 기술 개발 도로환경부하 저감기술 개발
ㅇ
보행, 자전거 등 녹색교통시스템 ㅇ 차량이용의 억제기능화로 개발 도시 쾌적성, 거주만족 향상
- 146 -
ㅇ 거주만족도 30%이상 향상 ㅇ 사고발생 억제 30% 이상 ㅇ 녹색교통이용율 30% 기여
제 2 장
국내외 U-Eco City 기술 현황 및 여건 전망
◦ 제 5 핵심과제 :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기대 효과 세부 과제
세부과제 주요 내용 정성적 효과
Test Bed용 적용기술 선정 및 운영방안 도출
단위 요소기술별 최적의 Test Bed ㅇ 구성방안 설정에 따른 표준 구성 및 검증방안 개발 방안의 제시로 지침화 가능
U-Eco City의 융복합 서비스의 최적의 Test Bed 전략 개발
U-Eco City 도시개발 기획 정보 통합 DB 구축
Test Bed 건설관리 프로세스 구축
ㅇ 도시개발계획의 시스템화로
ㅇ 중복 개발억제
ㅇ 공간정보의 객체화로 다분야 에서 공용활용 체계 구축
ㅇ 중복비용 억제 건당 5천만원
4D기반 U-Eco City Test Bed 시공관리 기술 개발
ㅇ 테스트베드 환경 구현관련 시공관리의 효율성 기대
ㅇ 지침서 활용
Test Bed 적용을 위한 GIS 연계
ㅇ 지능화된 빌딩통합관리체계
ㅇ 에너지절감비용
로 비용절감, 지능화 운영 ㅇ 수행방법론상의 표준화, 확산의 체계화 가능
Pilot Project의 적합한 규모, 평가, ㅇ 테스트 적합성과 관련 최적 장비 선정 화를 통한 표준화, 지침활용 해당 기술의 Test Bed에 적용성
및 모니터링
건설, SI, 통신 2조원이상
객체기반 U-Eco City 공간정보 구축 및 설계기술 개발
평가
Test Bed 시범사업
ㅇ 관련산업 유발
도시 융복합 서비스의 실행 신도시 패러다임 창출
비용 최소 1억
Pilot Project 수행 기술항목 도출
적합성 평가
ㅇ 단위 및 통합 테스트 방안,
주요 자원정보의 효율화가능
BIM 유지관리 기술 개발
Pilot Project적용 및
정량적 효과
15% 이상 ㅇ 실패비용최소화
ㅇ 표준성 확보
ㅇ 적용성 평가를 통한 보완 체계구현과 활용체제의 실현
Test Bed 선정 및 사업연계방안 분석
ㅇ 진행중 사업과의 연계 확보 로 결과의 직접 확산화 가능
ㅇ 프로세스 절감 비용 5억이상
업단계별/적용기술별/적용 규모 분석
ㅇ 확산화 작업에서 적용 분야 규모별 적정성에 대한 지침
ㅇ 예산 절감 건당 5천만원이상
ㅇ 운영을 위한 표준성 제시
ㅇ 관련사업 유발
ㅇ 성과지표로 활용 및 지역별 차이의 현장화 방법 제시
ㅇ 커스터마이징 비용절감 50%
통합 모니터링을 위한 HW 및 SW 개발 운영 평가지표 도출 및 평가시스템 개발
- 147 -
제 3 장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U-Eco City 사업단의 비전 및 목표
3.1 U-Eco City 사업단의 비전 및 목표
비전
국가 핵심 성장동력으로 성장 발전가능한 세계적인 명품도시 건설
◦ 정보통신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지능형 도시
◦ 공공서비스가 기능적으로 복합화되어 제공되는
개발목표
◦ 쾌적하고 즐거운 삶이 보장되는
건강한 도시
◦ 도시 통합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 생태적
편리한 도시
안전한 도시
친환경 도시
첨단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U-Eco City 건설
발전방향
정보통신
공공
도시
생태
인프라
서비스
공간
환경
미래도시
주요
개발전략 및
기술분야
U-City 지원정책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효율화
U-Space 구축 기술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그림 3.1.1] U-Eco City 사업단의 비전 수립
- 149 -
안전성
U-based Eco Space 구축 기술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가. 비전 ◦ 국가 핵심 성장동력으로 성장 발전가능한 세계적인 명품도시 건설
나. U-Eco City의 정의 ◦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 및 친환경기술이 도시공간에 융 합된 지속가능한 미래도시
다. U-Eco City의 목표 설정 ◦ 정보통신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지능형 도시 ◦ 공공서비스가 기능적으로 복합화되어 제공되는 편리한 도시 ◦ 쾌적하고 즐거운 삶이 보장되는 건강한 도시 ◦ 도시내 통합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안전한 도시 ◦ 생태적 친환경 도시
[그림 3.1.2] 인간 중심의 U-Eco City
- 150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라. U-Eco City의 개요
◦ U-Eco City는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집대성한 유비쿼터스 인프라를 바탕으로 도 시관리 기술과 생태계 순환기능 등의 기술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쾌 적한 환경을 갖춘 미래형 첨단 친환경 도시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임 ◦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도시조성을 위해 IT기술을 활용한 연구를 국가 주도로 진행하고 있음 ◦ 그러나 이들 나라에서는 대부분 부분적 적용이나 시범단지 조성 차원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임 ◦ 건설교통부는 오는 2015년 국내 U-City 산업시장규모가 28조4천억원, 2020년에 는 80조원으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151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 건교부는 국내외 U-City 산업시장규모가 이같이 커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오 는 2012년까지 총 1천억원 규모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을 투자, 통합된 U-Eco City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시범 적용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 이같은 계획을 통해 국내의 앞선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 스 및 생태환경기술을 이용하여 세계를 선도할 종합적인 U-Eco City 모델을 개 발, 세계적 기술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싱가폴의 one-north, 두바이의 Internet City, 홍콩의 CyberPort 등의 첨단도시의 경우 주로 IT인프라 구축수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싱가폴, 두바이, 홍콩 등 보다는 기술 우위확보가 충분할 것으로 예상됨
◦ 또한 그동안 하천, 단지, 도로, 상하수도 등 각 공간별로 개별적으로 진행돼 온 건설기술 개발을 도시계획 수준에서 통합, 진행함으로써 연구개발 성과를 실제 도시조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임
◦ 이 같은 U-Eco City 건설로 국민들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 뿐 아니라 교통, 문화, 행정, 교육 등 복합생활서비스 수준을 획기적으로 향상, 국민 복지를 증진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
◦ U-Eco City는 미래도시를 선도할 최초의 Test Bed 사업으로서의 상징성을 가지 게 될 것이며, 모범적인 미래도시로 후속 도시 개발의 본보기가 될 것을 기대
◦ 또한 향후 세계적 도시구축의 흐름이 될 유비쿼터스와 친환경 개념을 통합적으 로 구현, 제시함으로써 신 부가가치 해외 수출산업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전망
- 152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마. U-Eco City의 전략 ◦ 자원 특성별(기능에 따른) 선택적 분산과 재조합 ■ 자연 자원 사용과 시설 기능에 따른 시설물(도시) 배치계획 ◦ 새로운 도시 생성 레이어에 따른 단계별 Value Chain을 통한 성장 진화 모델화 ■ 도시의 인프라를 자연과 인공 시설물로 구분하여 자연환경의 극대화와 가시적 /비가시적 인공 시설물을 도시 레이어 모델로 구현 ◦ U-Eco City에 필요한 물리적 시스템을 통합 운영하는 새로운 기능 제시와 기존 의 기능을 재정립 ◦ 인간 중심의 기술을 통하여 도시 레이어 모델의 단계와 연결
[그림 3.1.3] U-Eco City 사업단 연구 메트릭스 로드맵
- 153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3.2 U-Eco City 기술개발 방향 가. 상용화 가능한 관련 기술 개발 ◦ 정통부, 산자부, 건교부 등에서 개발되었거나 개발 중인 원천기술들에 대한 선별 작업을 통해 상용화 가능한 융합기술 도출
◦ U-City의 공간적인 요소, 건설프로세스별 설계 요소, 기준요소 등을 포함한 기술 개발을 추진하며, 시뮬레이터의 활용을 통해 개발기술 및 모델의 효율성 검토
◦ U-Eco City 구축을 위한 분야별 기술들을 상호 연계되어 조합할 수 있도록 하 여,
U-Eco City 개발시 패키지 형태로 적용될 수 있도록 추진
나. End-User 인 도시 입주민의 Needs에 부합되는 기술 개발 ◦ 최종 서비스 사용자이고 구매자인 도시 입주민의 예상 요구사항을 도출한 후 시 급성과 중요도를 고려 우선 추진 과제 선정 ◦ Test Bed가 완성되었을 때, 일반인들이 체감적으로 느낄 수 있는 방향으로 R&D 가 이루어져야 함 ◦ 공공 관련 기술 및 시스템 개발의 경우 향후 민간으로 확대 발전될 수 있는 기 술개발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
- 154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다. Test Bed형 사업 등 실행력 제고를 위한 사업화 방안 전제 ◦ 대형실용화 연구개발사업을 통한 연구결과를 Test Bed에 반영 ■ 부처간․산학연 협력 및 연계 강화 ■ 민간부문의 참여 유도 및 민간투자사업 적극 추진 ■ Test-Bed형 사업추진을 통한 실행력 및 경제성 제고 ◦ 민간투자사업의 적극 추진 ■ U-Eco City 시범사업 추진시 일부 민간투자 대상 및 수익형 사업에 대해 민 간투자사업 병행 추진 ■ 각 과제별 사업화 방안 및 수익모델을 도출하여 민간투자사업 Package화 방 안 검토 ■ 정부출연예산과 민간투자사업의 병행을 통해 재정부담을 완화하고 공공성과 민간의 효율성이 조화될 수 있는 큰 틀의 실행방안 연구
- 155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3.3 U-Eco City 사업단 추진전략 가. U-Eco City Test Bed 구축에 의한 기술개발 선투자를 통해 민간분야가 참여하는 세계적인 기술 개발
◦ 현재 민간이 개발할 수 있는 U-Eco City 관련 기술력의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 고 국지적임 ◦ 이에 국가적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실제적인 기술 구현을 위해 공공주도의 Test Bed 시범사업을 통해 기술경쟁력의 실체가 되는 민간부문의 참여를 유도 ◦ 기 구축된 기술을 바탕으로 민간으로 확대 발전될 수 있는 기술개발 사업을 우 선적으로 추진하여 민간부문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세계 제일의 U-Eco City 실현 및 해외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한 세계시장 진출
나. 타 부처 원천기술 활용을 통해 실현가능한 U-Eco City 기술개발 ◦ 과기부, 산자부, 정통부 등에서 개발된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중복투자 방지 및 활용 극대화 도모 ◦ 우리나라의 경우 통신 인프라가 세계 최대이고, 무선 인터넷을 비롯한 관련 기술 이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정보통신부에서 차세대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를 추진하고 있어,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에 매우 유리한 실정임 ◦ 건설분야에서도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 분야에 적용할 경우 많은 비용절감 및 안 전을 위한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 원천기술의 확보로, 향후 5년 이내에 구현 가능한 현실적인 기술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추진
- 156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다. 연구단 역량 강화
◦ 각 과제별 최적의 컨소시엄 및 인력 구성 방안 마련을 위해 필요 연구역량 분석, 전문가 자문 등을 실시 ◦ 산학연 협동연구, 국제 공동연구, 정부 선도과제화 방안 등 역량강화 및 결집 방 안 마련
라. 개발된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체계 확립 ◦ 건설교통부, 전문기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및 사업총괄기관과의 명확한 역 할분담을 통한 기술개발 성과확보 ◦ Test Bed용 시범도시 선정은 사업단 출범 후 바로 선정, 실용화를 위한 준비를 해야 하기에, 시범도시 선정(안)을 사업단장이 제안하는 것으로 해야 함. ◦ U-Eco City Test Bed 구축을 위한 연구가 상호 기술간의 연관성을 갖고 개발될 수 있도록 매트릭스형태로 네트워킹이 이루어지는 연구추진체계 구축
- 157 -
제 3 장
3.4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U-Eco City Test Bed 구축 방안
가. 신도시 건설 현황 및 전망 ◦ 우리나라에서 현대적 의미의 신도시가 본격화된 것은 ‘60년대 이후부터로 대체로 두 가지 정책목표에 의해 추진 ■ 국토 및 지역개발 목적의 신도시 ■ 대도시 문제해결 목적의 신도시
600
면적(만평)
500 400 300 200 100 0
분 일 당 산
평 촌
산 본
중 동
판 화 김 파 수 양 교 성 포 주 원 주
◦ 21c 미래신도시는 기존 수도권 신도시의 양적 공급확대 정책으로 인한 교통 혼 잡, 자족기능 부족, 단조로운 경관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신도시 정책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수행하고, 새로운 주거 요구에 부응하는 『살고 싶은 신도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개발할 계획임.
- 158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그림 3.4.1]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전략(건교부, 2006)
◦ 현재 수립중인 살고 싶은 신도시 모델은 미래 신도시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임.
[그림 3.4.2] 살고 싶은 신도시 모델 및 Test Bed 후보지
나. Test Bed 사업 성공을 위한 고려사항 ◦ 신도시 개발사업은 관련법(택지개발촉진법 등)에 의거, 매우 복잡한 인허가 절차
- 159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를 거처 시행되는 사업이고, 시간이 장기간 소요됨. 따라서, 본 연구사업단의 총 연구 개발기간과 신도시 개발 추진과정과 연계성을 이루어야 함. ◦ 신도시에 도입되는 각종 도시계획시설물들은 해당 지자체에 사업 후 인수인계되 어 입주 후에 지자체가 관리하도록 되어 있기에, U-Eco City 사업단에서 도입하 는 시설물들은 계획단계에서부터 지자체와 사전협의를 거치고 시공 후에는 정상 적인 가동여부를 거쳐 인수인계하여야 하는 복잡함을 가지고 있음. ◦ U-Eco City 연구성과물이 Test Bed에 적용하였으나, 입주민의 요구수준에 미도 달로 사업시행자에게 민원제기시 사업시행자는 그에 따른 책임이 수반됨. 이에 따른 교체/교환(중간단계), 사업주체 이원화(사업시행자~연구사업단)에 따른 책 임문제 갈등이 있을 수 있음. ◦ 사전기획 연구에서 예상한 Test Bed 사업지구가 연구단 출범 후, 사업시행자의 협조기피, 협의지연, 지구변경 또는 타기관의 사업지구를 Test Bed로 선정할 경 우, 연구개발기간(6년) 내에 시범사업 효과를 검증과 피드백하는 성과를 보여주 기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Test Bed로 선정된 신도시에 연구성과물을 적용하는데 소요되는 설계비 및 공사 비는 사업시행자가 부담하여야 함. ◦ 즉, 정부지원 연구비는 순수하게 연구개발비로만 사용되어야 하며, 사업시행자는 토지공급 가격 및 지자체 요구수준에 부합토록 적정수준의 U-Eco 연구성과물을 도입하여야 함.
다. Test Bed 지구선정시 고려사항 ◦ U-Eco City라 함은 신도시가 사람과 자연동식물이 공존하는 생태적으로 건전성 을 지닌 환경 위에 U-City가 가능한 서비스, network 및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도시통합센터를 갖춘 도시이어야 함. ◦ Eco City 구현을 위해서는 신도시 및 주변지역과의 생태적 연결성을 가져야 하 고, 신도시 개발시 수행하는 환경영향평가와 연계되도록 해야 함. 이를 효과적으 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음 요건을 갖추어야 함.
- 160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 Green Network(녹색도시 공간계획) - 계획대상지 주변의 광역녹지축과 신도시 내부의 주녹지축 및 부녹지축의 유기적 연결 - 생활공간에서 각종 생태계 설정을 통해 그린 네트워크의 체계와 골간을 형성 ■ Blue Network(친수 공간계획) - 사업지구 내외 및 하천 상하류가 연계된 생태하천 조성 - 사업지구내 우수저류시스템 및 수생비오톱의 계획 - 사업지구 물순환체계 계획 ■ 생태 주거지계획 -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주거공간 계획 - 자연자원을 보전하는 주거지 계획 - 에너지 절약적이고 대체에너지를 활용하는 주거지계획 - 자원순환적인 주거지계획 - 비오톱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주거지계획 ◦ 생태적으로 건전한 Eco City 위에 U-City 구현을 위해서는 다음 요건을 갖추어 야 함. ■ U-City 서비스의 제공 - 공공 업무처리를 위한 서비스로 교통, 민원행정, 시설물관리, 방재/방범, 포털, 교육, 환경, 보건복지, 도시관리 등의 공공서비스 제공 - U-상업, 홈네트웍, U-러닝 등의 민간서비스의 제공 ■ 초고속 유선 및 무선 통신망 - BcN 기반의 초고속 유선통신망의 이용이 가능한 통신인프라 구현 - FTTH, IP-TV, IPV6, VoIP가 기본으로 구현되는 통신 구현 - DMB, Wibro, HSDPA, 4G 수용이 가능한 유선 통신망 구현 ■ 센터 중심의 도시 운영 체제 - Eco Space의 모든 요소들로부터의 정보를 센터에 통합관리 - 도시 U-서비스의 관련 요소를 센터에서 집중하여 관리 - 통합 플랫폼으로 관리하여 운영상 운영 효율화
- 161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라. 신도시 개발과 연계한 Test Bed 선정 ◦ 본 연구사업에서 핵심은 신도시개발에 장애가 되지 않으면서 연구결과를 실용화 해야 하기에, Test Bed의 선정이 중요함. ◦ 신도시 규모30)에 따른 Test Bed 적정성 검토 ■ 인구 5만명 미만 도시의 서비스시설31)은 학교, 동사무소 등 기초 공공시설 등 에 국한되고, 생태환경도 아파트 단지내 녹지, 어린이공원 등에 입지하고 총괄 적인 생태녹지체계를 구축하기에 미흡함. ■ 인구 5만명 이상 도시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도서관, 경찰서, 구민회관, 소방 서, 종합경기장, 전화국 등의 주민편익시설이 입지하게 되어 통합관제시설 설 치 등을 통해 U-City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게 됨. ■ 생태녹지축, 근린공원, 저류지, 하천 등이 입지하여 Eco-City의 Test Bed로서 다양한 환경을 구비하여 Green(녹지), Blue(수계), White(바람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함. ◦ 단위기술 적용의 다양한 비교사례 확보측면에서 검토 ■ 건축기술 측면에서 접근하는 경우, Test Bed가 소규모라도 가능하나, ■ 같은 도시내 타 사례와의 비교분석을 위해서는 일정규모 이상의 도시에서 다 양한 비교대상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함. ◦ Test Bed는 사업기간이 장기간이고 사업면적이 큰 사업지구(수백만평 이상)를 선정하고, 5년 이내에 실현가능한 기술개발을 우선으로 적용하고 피드백 해야 본 사업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임. ◦ 본 사업단에서는 기초적인 요소기술보다는 기개발된 응용기술들이 현장여건에 따른 적용성 평가로 핵심기술의 실용화에 주안점을 두어야 함. ◦ Test Bed 구축사업에서는 이러한 취지를 감안하여 기개발된 응용기술의 적용성 미검증, 시공실적 부재, 제도적 측면 등에서 애로가 있었던 것을 해결하는 방향 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30) 100만평 규모의 신도시 수용인구는 약 5~7만명임. 31) - 도시시설은 시설별로 입지가능한 인구규모가 있으며, 방송국이나 종합병원 등은 인구가 10만 이상일 경우 가능함. - U-City의 운영관리를 위해서 규모의 경제가 있어 관리규모가 적을 경우, 적정한 가격의 고품질 서비스 제공이 어려워짐
- 162 -
제 3 장
기존 U-City 적용기술
........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 IT기술 위주 ․ 기술개발이 주 목표
⇓ ․ 도시의 효율성 제고 (ex. 통합플랫폼, 시설물통합관리 등)
신규/개선 U-Eco City 기술의 Test Bed 적용 ........
․ 기존 도시 문제점 개선 (ex. ITS, u-주차관리 등)
․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기술 (ex. 바람길, 자원순환 기술 등)
⇓ 사람-생태환경-첨단기술이 융합된 도시공간 창조 - 타 사업지구 확산 - 세계시장 진출 기반 마련 [그림 3.4.3] Test Bed 적용방안
◦ 실효성있는 Test Bed 성과도출을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사업지구를 선 정해야 함. ■ Test Bed의 설계비 및 시공비는 해당지구 사업비 재원으로 충당 가능한 지구 ■ Test Bed 사업으로 과도한 사업비 증액이 없는 사업지구 ■ 민간 사업시행자보다는 국책사업 일환으로 공공기관이 사업시행자인 지구 ■ Test Bed를 실현할 수 있는 기본 인프라가 구축된 사업지구 ■ Feed-back할 수 있는 적정규모 및 사업기간이 확보된 사업지구 ■ 향후 타 사업지구 및 해외진출에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사업지구 ◦ 단, 민간 및 소규모 사업지구는 다음 제약사항이 있을 경우 Pilot Project를 목적 으로 함. ■ 특정핵심기술이 Test Bed 전체 구역내에 구현하기에는 기대효과에 비해 시공 비가 과다 소요되는 경우 ■ Test Bed 적용이전에 Risk 감소를 목적으로 단기간 Test를 요하는 경우 ■ 도시전체와 연계성이 적은 핵심기술의 적용성 평가의 경우
- 163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그림 3.4.4] Test Bed 및 Pilot Project 규모
◦ 따라서, 사업단장 응모자는 본 사업단의 추진일정에 따라 핵심기술이 Test Bed 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사업계획(인허가 및 설계)이 어느 정도 추진되고 있는 신 도시중에서 Test Bed 후보지 선정(안)을 제시하되, 연구성과물을 Test Bed에 적 용하여 가시적인 형태로 도출될 수 있도록 실용화 전략(Test Bed 구축사업)을 제시하여야 함.
[그림 3.4.5] Test Bed 선정기준 및 방법
마. Test Bed 사업 추진과정 ◦ U-Eco City Test Bed 시범사업을 원활히 완료하기 위해서는 관계기관협의→기 본구상→기본설계→실시설계→시공→시설물인수인계 등 장기간이 소요되는 반면, 연구개발기간은 6년으로 단기간이므로 사업단 출범 초기부터 기술개발과 동시에 Test Bed 사업 준비를 해야 함. ◦ 연구사업의 일환인 Test Bed 사업이 도시개발사업 시행자에게 큰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Test Bed 사업이 성공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와 시간적인 연계성 을 가져야 함.
- 164 -
제 3 장
U-Eco City 사업의 비전 및 목표
[그림 3.4.6] Test Bed 사업 추진절차
[그림 3.4.5] Test Bed 사업 시나리오
- 165 -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제 4 장
제 4 장
4.1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핵심과제 개요
핵심과제(5개)
추진방향
주요 개발 기술
미래도시 전략 및 U-City 지원정책
U-City의 정책적 지원 및 중장기 개발전략 수립
- U-City 미래 사회상과 미래 공간 - U-City 공간구조 변화예측과 바람직한 공간구조 모델 -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술 개발 - 효율적인 구현을 위한 중장기 전략 - U-City 지원정책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U-City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 U-City 인프라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 도시통합운영센터 관련기술 개발 - U-City구현을 위한 핵심전략기술 제품화
U-Space 구축기술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생활 환경 구현
- U-City 조성을 위한 융․복합건설 기준 개발 - 공공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구축기술 개발 - 공공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구축기술 개발
U-based Eco Space 구축기술
첨단기술과 생태도시기술의 융합으로 차별화된 생태공간 기술 개발
- 공간정보통신 기술 응용 환경생태정보 구축기술 개발 - 3차원 도시환경계획 기법 및 평가기술 개발 - 유비쿼터스 물순환시스템 개발 - Eco-road 조성기술 개발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성공적인 U-Eco City 시범사업 구현
-
Test Test Pilot Test
- 167 -
Bed용 적용기술 선정 및 운용방안 Bed 건설관리 프로세스 구축 Project 적용 및 적합성 평가 Bed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제 4 장
4.2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핵심과제 추진 로드맵 핵심과제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U-City 미래 사회상과 미래공간 U-City 공간구조 모델
미래도시전략 및 U-City 지원정책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술 개발 U-City 중장기 전략 U-City 지원정책 유비쿼터스 인프라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U-City 인프라 구현 기술
도시통합운영센터 기술 개발
핵심전략기술 제품화
U-City 조성을 위한 융합건설기준 개발
공공서비스 구현을 위한 구축기술 개발 U-Space구축을 위한U-Space 공공서비스 기술개발
U-Space 구축 기술 U-Space구축을 위한U-Space 민간서비스 기술개발 민간서비스 구현을 위한 구축기술 개발
공간환경정보시스템 개발
3차원 도시환경계획기법 및 평가기술
U-based Eco Space 구축기술
U-물순환시스템 개발 Eco road 조성기술 개발 Test Bed적용기술선정 및 운용방안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Test Bed건설관리프로세스 Pilot Project Test Bed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요소기술개발
기술 실용화
- 168 -
Test Bed 적용
제 4 장
□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U-Eco City 사업을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
□ U-Eco City 사업을 위한 단계별 로드맵
- 169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4.3 핵심과제별 세부계획
1
미래도시 전략 및 U-City 지원 정책
중점 추진분야 ▪ U-City 미래 사회상과 미래 공간 ▪ U-City 공간구조 변화 예측과 바람직한 공간구조 모델 ▪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 기술 개발 ▪ U-City 효율적인 구현을 위한 중장기 전략(TRM) ▪ U-City 지원 정책
□ 필요성 ◦ 급변하는 정보통신 기술의 변화에 대응한 U-City 전략 수립 ◦ 정보통신기술과 건설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건설기술 모델 제시 ◦ U-기술을 이용한 현재 도시문제의 해결과 미래도시의 발전 방향 제시 ◦ 도시의 기능 및 계획요소 변화에 따른 공간구조 계획 및 설계기술 개발 ◦ U-City의 효율적인 구축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정책
□ 도출근거 ◦ 도시/문명 발달 추이를 보면 현재의 단계는 3차 산업 사회 도시(근대 도시)를 넘 어 지식정보화 사회 도시(현대 도시)에 이미 도달했으며 첨단화된 정보통신기술 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도시생활을 영유하는 미래 도시(U-Eco City)로 진보하게 될 것임. ◦ 현대 첨단기술 중 도시 형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는 IT분야로 U-IT(Ubiquitous technology)는 도시의 장소와 장소의 문화에 필연적 영향을 미
- 170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치게 되고 이는 새로운 도시기반시설 요구, 새로운 도시 공간(장소)을 형성하게 될 것으로 예상됨. ◦ 미래 도시에 대한 새로운 요구에 대한 대응 ■ 삶의 질에 대한 욕구 증대 : 교육, 의료, 환경, 방범, 방재 등 ■ 국토균형발전 등 정책적 요구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국토균형발전 기반 구축(어디서나 살기 좋은 국토 개발)
□ 현재 기술 수준 ◦ 우리나라의 경우 U-City 기반에 해당하는 핵심요소인 IT 기반기술을 토대로 초고 속 통신망의 구축과 국민의 높은 첨단기술 이용능력, 홈네트워크 구축 경험이 풍 부하므로 U-City 건설관련 기술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Ubiquitous에 관한 기술적인 기반은 정보통신부의 U-IT839정책에서 정리된 U-City 구축요소기술로 파악할 수 있으며, 공간과 관련된 측면에서는 애플리케 이션 부문의 기술이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임. ◦ 애플리케이션 기술은 여러 기술요소들이 결합된 기술 분야로서 Ubiquitous 환경 에서 제공될 수 있는 고도화된 서비스 기술들을 통칭함. 현재 부각되고 있는 서 비스들은 교통 및 위치에 기반한 정보 서비스들이 대부분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Ubiquitous 서비스들과 다양한 컨텍스트들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됨. ◦ GIS 부문은 국가가 중심이 되어 진행한 NGIS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으로 국토전 체에 대한 공간정보기반이 구축되었으며, 전 국토를 연결하는 초고속 통신망과 함께 U-City의 기초를 구축하고 있음
□ 목표 ◦ 최종 목표 ■ 도시의 효율성, 쾌적성, 민주성, 편리성 확대와 시민의 삶의 질 향상 ■ 정보통신기술과 건설기술의 융복합 기술 선점과 고부가가치 도시 건설
- 171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U-City 지원 정책을 통한 시행착오의 최소화와 효율적인 U-City 구현 ■ U-City 핵심 기반 기술 선점 ◦ 단계별 목표 ■ 1단계(’07년~’09년) : U-City 사회상과 미래공간, U-City 중장기전략, U-City 지원 정책 ■ 2단계(’10년~’12년) :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술 그리고 공간구조변화 모 델 제시
□ 주요 개발기술 ◦ U-City 미래 사회상과 미래 공간 ◦ U-City 효율적인 구현을 위한 중장기 전략(TRM) ◦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 기술 개발 ◦ U-City 공간구조 변화 예측과 바람직한 공간구조 모델 ◦ U-City 지원 정책
- 172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표 4.3.1> 미래도시전략 및 U-City 지원정책
분야
주요개발기술(예시)
U-City 미래
o U-City 사회․경제․문화․정치등 미래 사회상 예측
사회상과 미래 공간
o 건축/단지/지구/도시 단위별 도시활동 및 미래 사회상
U-City 도시공간구조 변화예측과 바람직한
o U-서비스․기술․인프라․공간․제도의 변화 예측 o U-City 건설 및 운영 모델 o Eco-City 건설 및 운영 모델
공간구조모델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술의 개발 및 적용
U-City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한 중장기 전략(TRM)
o U-City 공간 단위별 정보 소통 (P to P, P to T, T to T) 기술 개발 o U-Urbanism, 건축/단지/지구/도시 단위별 U-City 계 획 및 설계기술 개발
o U-서비스․기술․인프라․공간․제도의 변화 예측 o U-City 건설 및 운영 중장기 전략
o U-City 국내외 추진현황과 진단 그리고 문제점 o U-City 사회․경제․기술적․환경적 타당성 U-City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지원정책
(feasibility) 평가 시스템 o U-City를 위한 국가․지자체․민간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o 국제간․지역간 U-City 기술 적용 방안과 효과 분석 o 유비퀴터스 건설 정책 모니터링과 활용 방안 o U-City 건설과 운영관리 적합한 제도 정비 방안
- 173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기대효과 ◦ 미래형 U-city 기반 기술 중장기 전략 (TRM)으로 활용 ◦ U-City 미래도시의 중장기 지원 정책(안)으로 활용 ◦ 최적의 Test-Bed 구현 ◦ 미래도시 공간구조론과 최적 도시공간 구조 모델로 활용 ◦ 공간 유형별 Prototype 개발과 U-기술 도입 타당성 평가로 보급확산에 기여 ◦ 미래 성장동력산업의 중심축으로서 국가 및 미래도시의 경쟁력 제고 ◦ 지속 가능한 U-City 개발의 기반 구축 ◦ 지속가능한 미래형 U-city의 평가 모델 및 평가법으로 활용 ◦ U-City를 기반으로 한 미래도시의 국민의 삶의 질 향상 ◦ U-City를 기반으로 한 미래도시의 사회상과 전개방향을 제시
- 174 -
제 4 장
2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개발
중점 추진분야 ▪ U-City 인프라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 도시통합운영센터 관련기술 개발 ▪ U-City 구현을 위한 핵심전략기술 제품화
□ 필요성 ◦ U-City 구현을 위한 전략 수립은 개별 지자체 및 기업체별로 이루어지고 있으 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체적인 광역적 비전이 부재 ◦ U-City 건설단계에서의 기본 인프라 구축을 위해 유비쿼터스 관련 활용기술의 개발 필요 ◦ U-City의 행정, 생활, 문화의 중심인 통합운영센터 구축에 관한 기술 개발 필요 ◦ U-City 인프라 구축에 요구되는 핵심기술 개발 및 제품화 필요
□ 도출근거 ◦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U-City 구축 관련 기술은 주로 IT측면 및 소규모 홈네트 워크 등의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U-City를 건설하기 위한 도시 전체 관 점의 유비쿼터스 관련 인프라 및 활용기술 등은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못한 상황임 ◦ 이에 지자체 및 관련기관에서 U-City를 추진할시 개발 초기 단계부터 도시 전반
- 175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의 유비쿼터스 인프라 구축 및 활용기술의 부재 등으로 방향을 선정하지 못하는 등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따라서 실질적으로 U-City를 조성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인프라 구축 관련 활용 기술, 다양한 서비스 및 인프라를 통합․관제하는 도시통합운영 센터 관련 기술, 직접 시민들이 체감하고 제공받을 수 있는 상용화 가능한 핵심전략기술 제품화 를 중심으로 R&D 방향을 설정 ◦ 즉, U-City 인프라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분야에서는 도시개발 초기단계인 계 획, 설계부터 운영 유지관리까지 필요한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 및 관련 인프라를 개발․구축함으로써 대상지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 이 주요 목표임 ◦ 특히 도시통합운영 관련기술 개발은 지능형 국토정보기술혁신 사업등과 연계하 여 세부 기술별 역할 분담을 통해 중복성을 배제하고 상호 보완된 최적의 산출 물이 도출될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 ◦ 핵심전략기술 제품화의 경우 U-City를 대표할 수 있는 상용화 가능한 제품 및 기술이 도출되도록 하여 시민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에 역점을 둠 ◦ 이러한 2핵심 과제의 성과들은 3핵심 과제의 U-Space 구축이나 5핵심과제의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과 연계되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기술 수준
◦ U-City를 구축하기 위한 필요한 기반 기술(IPv6, RFID/USN, BcN, Sensor, WiBro, ZigBee, Embedded S/W, Middleware, 암호화 기술 등) 및 연계기술(GIS, GPS, LBS, ITS, 홈네트워크 등)은 기술마다 차이는 있지만, 선진국 대비 약 7 0~80%정도 수준이며, 일부 기술(WiBro, 광통신망 등)은 세계를 선도하는 수준 으로 발전되어 있음
- 176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U-City는 이러한 다양한 모든 기술들이 융복합되어 적용되는 도시로서, 현재 기 반 요소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나 활용분야에 있어서 국내에서는 소규모 홈네트워크 정도의 적용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며 해외에서도 네트워크 기반중심 의 Digital City 정도의 수준으로 진행되어 그 사례가 미비한 바, 진정한 U-City 의 구현을 위해서는 개발기술에 대한 다양하고 충분한 실증실험 및 현장테스트 가 반드시 필요
□ 목표 ◦ U-City의 기반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 실용화 기술 개발
■ U-City의 유비쿼터스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자위치표지 구축, 도시 센서망 공동활용, 통합 유무선 활용체계 등의 기술 개발 ■ IT 신기술을 활용한 U-City 서비스의 통합 및 상호연동성을 보장하는 통합 운영모델 구축 및 관련 기술 개발 ■ U-City 통합 생활정보 수집 및 안내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제품화
- 177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그림 4.3.1]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개념도
◦ 단계별 목표 ■ 1단계(’07년~’09년) : U-City 구현을 위한 유비쿼터스 기반 인프라 기술 개발 ■ 2단계(’10년~’12년) : 기반 인프라 혁신을 위한 장비 및 기술 개발
□ 주요 개발기술 ◦ U-City 인프라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 도시통합운영센터 관련기술 개발 ◦ U-City 구현을 위한 핵심전략기술 제품화
- 178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표 4.3.2> U-City 구현기술 개발 부문 주요 개발기술 분야
U-City 인프라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도시통합운영센 터 관련기술 개발
U-City 구현을 위한 핵심전략기술 제품화
주요개발기술 (예시)
o 전자위치표지 인프라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o 도시 센서망 공동활용 및 통합관리 연구 o 통합 유무선 활용체계 연구 o 도시통합운영센터 운영체계 연구 o 도시통합운영센터 모델 개발 o U-City 기반 설비 원격제어 및 관리 시스템 개발 o 도시 특성별 적용체계 연구
o 지능형 영상취득 인프라 네트워크 구축기술 개발 o U-City 통합생활정보 제공을 위한 U-Post 기술 개발 o 지상돌출 구조물 지하화 연구 등
□ 기대효과 ◦ U-City 인프라 구축의 체계화를 통한 지자체별 중복투자 방지 및 표준화된 기술 구현 가능 ◦ U-City 거주민들의 생활편의 증진, 기업 경쟁력 제고 ◦ 패키지화된 기술개발을 통한 국가 효율성 증대, 사회적/경제적 비용 절감
- 179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3
U-Space 구축 기술 개발
중점 추진분야 ▪ U-City 조성을 위한 융․복합건설 기준 개발 ▪ 공공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 기술 개발 ▪ 민간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 기술 개발
□ 필요성 ◦ 도시민 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공간과 서비스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도시 민의 생활 중심의 응용서비스 기술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 국내 건설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은 국가가 추구하고자 하는 ‘건 설산업의 새로운 가치창조’, ‘건설기술의 고도화’ 및 ‘국제 경쟁력 강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미래주택 모델 개발’로 이에 부합하는 R&D전략이 필요 ◦ U-City는 기존 개발방식과 달리 도시개발 초기단계인 계획, 설계부터 운영유지 관리단계까지 융복합 건설기술로서 필요로 하는 설계기준, 지침, 건설단계별 시 방 등을 확립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음 ◦ U-City를 구성하는 다양한 U-Space들 중 도시민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시설물 및 도시공간에 적용 가능한 U-기술들을 선별하여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개 발이 필요
□ 도출근거 ◦ U-City는 유비쿼터스 IT 활용으로 지능화된 사물과 환경 속에서 도시민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며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을 실현 목표로 삼고 있 음
- 180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U-City는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의 경제 및 사회 구조의 선순환 시스템을 구현하는 새로운 가치 및 응용서비스를 도출하여 도시 거주민들이 편안하게 생활하고 주변 환경은 쾌적하고 안전하게 만들어 질 수 있 도록 기본적인 가이드로서 역할을 하여야 함 ◦ 일반적으로 신도시의 경우 도로, 상하수도, 광장 등과 같은 공공시설과 상업업무 시설, 주거시설과 같은 민간시설 등으로 구분되는데 모든 지역에서 도시거주민들 이 U-서비스기술을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 도시를 관리하는 측면에서의 U-인프라 기술 뿐 아니라 도시의 최종 고객인 도시 민 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공간과 서비스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도시민의 생활 중심의 응용서비스 기술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도시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측면에서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도시민의 요구사 항을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며, 한편 민간 건설업체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여 일정부분의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음 ◦ U-Space에 대한 건설 및 운영단계에서 향후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공공 및 민 간 서비스기술들의 성격과 요건들을 미리 고려하여 공통되는 U-서비스의 융․ 복합화 기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U-Space 구축기술 핵심과제의 주된 구성 내용임 ◦ 따라서, U-Eco City Test Bed 가 완성되었을 때, 일반인들이 체감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도시생활 서비스기술을 중심으로 R&D 방향을 설정 ◦ 이와 같은 관련 U-응용서비스와 융합기술들은 패키지화된 형태로 기술개발이 완 성된 후 바로 민간부문으로 확대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o 이와 같은 기술들이 접목될 수 있는 주거 및 공공건축물, 도로, 외부공간(공원, 광 장) 등은 U-City를 체감할 수 있는 명소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또한 정보통 신분야에서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 기술들과 접목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하게 될 것임
- 181 -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제 4 장
□ 현재 기술 수준 ◦ U-City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기술(IPv6, RFID/USN, BcN, Sensor, WiBro, ZigBee, Embedded S/W, Middleware, 암호화 기술 등)의 수준은 선진국 대비 7 0~80% 정도이며, 전문인력 보유 50% 이하, 인프라 구축 정도 또한 30% 이하로 연구 인프라 및 역량의 보강이 필요함 ◦ 전 세계적으로 HA, OA/BA System in Responsive Spaces, Plug & Play System Integration, Adaptive/Preference Based Control 등 U-City의 핵심기술 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으나 시장성이 미약하여 연구결과의 실용화는 오 래 걸릴 것으로 전망됨 ◦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U-City 기반에 해당하는 핵심요소인 IT 기반기술을 토대 로 국민의 높은 첨단기술 이용능력, 홈네트워크 구축 경험이 풍부하므로 도시유 형별 개발 모델에서부터 설계, 시스템 개발, 시공 및 유지관리에 이르는 일련의 연구환경이 주어진다면 전세계적으로 U-City 건설관련 기술의 선두주자로 자리 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목표 ◦ 최종 목표 ■ U-City구축을 위한 핵심 융․복합기술 활용을 통하여 U-City웰빙 라이프 구현
유비쿼터스 융․복합기술의 건설단계 및 운용을 위한 건설기준 및 관 련 기술 개발
U-City 웰빙라이프 구현을 위한 공공서비스 및 관련 건설기술 개발
U-City 웰빙라이프 구현을 위한 민간서비스 및 관련 건설기술 개발
- 182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그림 4.3.2] U-Space 구축기술 개념도
◦ 단계별 목표 ■ 1단계(’07년~’09년) : U-Space 구축을 위한 융․복합 건설기준 및 서비스기술 개발 ■ 2단계(’10년~’12년) : U-Space 구축을 위한 현장적용기술 및 Test Bed 적용 기술 개발
□ 주요 개발기술 ◦ U-City 조성을 위한 융․복합 건설기준 개발 ◦ 공공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 기술 개발 ◦ 민간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 기술 개발
- 183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표 4.3.3> U-Space 구축기술 개발 부문 주요 개발기술 분야
주요개발기술
U-City 조성을 위한
o U-City 조성을 위한 융․복합건설 기준 및 관련 기술 개발
융․복합 건설기준 개발
공공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 기술 개발
o U-City 개발단계별 융․복합건설 지침 개발
o 도시핵심 공공 융합서비스 및 관련건설기술 개발 o U-Space 공공서비스 적용을 위한 시설 및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o U-City 커뮤니티 건설을 위한 설계지침 개발 o 건축물 군관리 서비스 및 관련건설기술 개발
민간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 기술 개발
o 주거대상 광역 생활환경 서비스 및 관련건설기술 개발 o 미래주거단지를 위한 시범주택 개발 o U-City내 주거단지 건설을 위한 지침 개발 o U-Space 민간서비스 적용을 위한 시설 및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 기대효과 ◦ 도시민의 생활 중심의 응용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U-City 거주민들의 편리하고 안전하며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도시환경 마련 ◦ 쾌적한 주변 환경과 안전한 도시시설, 편리한 도시환경을 시민들에게 제공 ◦ 패키지화된 기술개발을 통한 국가 효율성 증대, 사회적/경제적 비용 절감
- 184 -
제 4 장
4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U-based Eco-Space 구축 기술 개발 중점 추진분야
▪유비쿼터스 공간환경 정보시스템 개발 ▪첨단 공간정보통신(Geomatics : GIS+GPS+RS) 기술과 생태계획 기술을 융합한 3차원 도시환경계획(Science based 3D EcoPlanning) 및 평가 기술 개발 ▪유비쿼터스 물순환(Blue Network) 시스템 구축 및 관리기술 ▪Eco기반 생태도로 조성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
□ 필요성 ◦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한 U-Eco City는 주 5일제 및 웰빙의 욕구 증대 등으로 도 시기능에 녹지 및 친수공간의 확대 요구를 충족시키며, 도시를 자연과 조화를 이 루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도시를 편리하고 안전함과 동시에 쾌적하고 건전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함. ◦ 첨단 Eco Space의 계획 및 관리에 필요한 실시간 3차원 도시생태환경정보를 효 과적으로 수집 및 처리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술과 Geomatics 기술이 접목된 환경생태정보시스템을 구축, 관리할 필요가 있음 ◦ 도시의 순환 네트워크 구축과 환경수용력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첨단 공간정보통 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개념의
3차원
도시환경계획(Science
based
3D
Eco-planning) 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인명손실 및 도로시설의 손실을 저감시키고 쾌적하고 안전한 교통체계를 구축하 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유비쿼터스 기반 안전관리시스템 조성 기술의 개 발이 필요함.
- 185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U-Eco City의 건설에서 물은 도시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도시 물순환의 건전화 및 물관리 체계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도시용수 인프 라시설을 네트워크 형태로 통합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는 Blue-Network 시스 템의 구축이 필요함. ◦ 또한, 유비쿼터스 기술과 GIS를 활용하여, 도심지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과 동시에, 도심운용에 있어서 필요한 민방위 용수, 도심 청소수, 도심지 열섬 (Heat Island)현상 제어용수, 친수환경유지용수(예, 청계천)등을 지하수를 활용하 여 안정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음.
□ 도출근거 ◦ 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는 Eco City 건설기술의 개발을 위해서는 첨단 기술의 활 용이 필수적임. Eco City 기술 중 유비쿼터스 기술과 정합성이 높은 기술 개발이 필요 ◦ 도시의 생태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도시공간의 생태적 건전성 향상과 직결된 기 술의 우선 개발 ◦ 생태도시의 실현을 위해 건설 전과정 및 관련 분야 기술과 융복합이 필요한 분 야 우선 개발 ◦ 기술개발 현황에서 취약성을 보이고 있는 분야 우선 개발
- 186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U-Eco Space 구축기술 분류
기술명
3차원 지형지물 측위기술
타부처 중복성
기술 설명
GPS 및 GIS를 이용한 지형, 건축물, 토목 구조물의 3 차원 측위기술 구축
위성생태학(Satellite Ecology)활용, 지상 LiDAR, 지상 도시 도시 환경 원격 탐측 기술 스캐너 이용하여 3차원 도시 환경 탐측 환경 정보 재해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 홍수, 산사태, 산불, 지진, 해일 등 재해분야 실시간 감 템 시 및 예 ․ 경보 기후 변화 등 국제 환경 현안 지구온난화, 교토의정서 등 국가현안을 고려한 도시 대응 환경 변화 예측 계획/ 생태통로 계획․설계 설계 기술 도시환경(생태) 계획 생태단지 조성 설계 기법 생태 도로 시스템 기술 생태 하천 유비쿼터스 물순환 시스템 훼손된 자연생태계 복원 생태 개발 공간의 자연생태계 복원 복원 ․ 생태 녹화 조성 기술 생태도시/단지조성 요소기술 위해성 평가 및 관리 평가 도시공간의 생태적 건전성 기술 환경관리 기술 원격모니터링 기술 관리 기술 고정밀 센서 기술 Built Environment 관리
Fresh Cold Air / Eco Corridor
기존연 구 중복성
기술적 타당성 실용화 경제적 가능성 타당성 생태적 U중요성 융합성
점수 합계
순위
○
8
1
○
5
2
○
10
1
○
5
3
●
11
1
◎
10
2
6
1
✔ ◎
●
◎
✔ ✔
◎
○
○
✔
환경보전 관점의 공간계획
◎
생태, 에너지, 물순환형 단지 시스템
◎
교통 약자의 고려와 녹색 교통 활성화를 위한 미래 도 로 계획
◎
●
◎
●
환경친화적인 수변구역 하천 조성 기술
훼손된 임지 및 녹지 복원 기술 개발
✔
택지, 비탈면, 인공지반 등을 생태기능성 복원 기술
✔
식생방음벽, 입체녹화, 인공토 개발 등 수직/수평 도시 녹화
✔
도시 각 부분의 생태적 순환을 고려 한 에너지 저감형 건물 자재 및 설계 기법 개발
○ ●
●
✔ ✔
✔
개발공간의 지속가능성 가치 평가
●
유해오염물질 관리, 생태환경 관리
✔
휴대형 무선 측정 및 자동 멀티 측정기를 이용한 오염 원별 모니터링
✔
대기 및 수질분야 분자인식용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개발
✔
건물 전과정 평가(LCA) 및 개별 공간 성능 관리
○
●
✔
도시 전반 물 순환 고려한 시설정보 통합 관리 기술, 도시 하천/호수, 지하수 침투시설
도시민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위해 요인 제거
●
○
○
○
✔ (○: 1, ◎: 2, ●: 3)
◦ Eco-Space 구축기술을 도시환경정보 구축기술, 계획 및 설계기술, 시스템 구축 기술, 생태복원 및 조성기술, 평가기술, 관리기술로 분류하여 평가. ◦ 각 기술에 대하여 기술적 타당성, 실용적 가능성, 경제적 타당성으로 평가하고 각 평가항목에 대하여 1~3점으로 점수화하여 점수 합계 순으로 우선순위를 도출 - Eco City 기술 중 유비쿼터스 기술과 정합성이 높은 기술 개발로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간환경 정보시스템 기술
- 187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도시의 생태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도시공간의 생태적 건전성 향상과 직결된 기 술로는 첨단 공간정보통신 기술과 생태계획 기술 - 생태도시의 실현을 위해 건설 전과정 및 관련 분야 기술과 융복합이 필요한 분 야의 기술로는 3차원 도시환경계획 및 평가 기술 - 기술개발 현황에서 취약성을 보이고 있는 분야의 기술은 도시 전반의 물순환 시 스템 개발 기술과 생태도로 조성 기술
□ 현재 기술 수준 ◦ Eco City를 구축하기 위한 각 요소기술의 개발수준은 평균 50%, 전문인력 보유 50% 정도이나 인프라 구축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연구 및 시설인프라 구축이 필요함 ◦ 특히, 생태적 공간의 실현에 필수적인 ‘요소기술의 융합화 및 통합화 기술’은 선 진국의 20% 수준 ◦ 선진국을 중심으로 CAMFER, LUCSUS 등 많은 곳에서 Eco City 구축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나 유비쿼터스 기술과 같은 첨단 IT 기술까지 접 목한 사례는 아직 거의 없음 ◦ 우리나라의 경우 IT 등 첨단 기반기술의 발달로 Eco City 구축을 위한 기술의 융복합화에 유리하고 정부 및 공공기관 주도의 건설사업 추진으로 시장규모 확 대가 예상되므로 계획, 설계, 시공 및 관리 기술을 연계를 위한 연구 환경이 주 어진다면 Eco-City 구축에 있어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대국민 삶의 질 향상 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188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목표 ◦ 최종 목표 ■ 도시생태 문제(환경오염, 기후변화, 생태계 파괴 등) 해결에 필수적인 생태적 도시 공간(Eco-Space) 조성 핵심기술 개발 ■ 첨단 공간정보통신기술과 기존 생태도시 조성 기술의 융합으로 차별화된 생태 도시 조성 기술 개발 ■ 경제적, 효율적 생태도시(Eco-City)의 실현을 위한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평가 기술 연계 개발 ■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향상과 함께 재해 예방, 안전성 제고에 효과적인 생태 적 도시 공간 조성 기술 개발
도시공간의 생태적 기능(건전성) 200% 이상 개선 - 기존 도시의 생태적 기능 : 가용지 평균 0~20% 수준 - Test-Bed의 생태적 기능 : 가용지 평균 30~60% 수준 - 개발 기술의 적용으로 인한 가용지의 생태적 기능 개선 효과 200% 이상
개발공간의 물순환 기능 개선 - 기존 도시의 물순환 : 가용지 증발량 및 지하수함양량의 극단적 감소 - Test-Bed의 물순환 : 자연 물순환의 80% 수준 개선 - 개발 기술의 적용으로 인한 가용지의 물순환 기능 개선 효과 100% 이상
발전기 수준의 생태도시 조성 기술을 성숙기로 진입 유도 - 선진국의 50% 수준인 계획, 설계 기술을 80% 수준으로 개선 -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한 기술 차별화로 선진국 기술 추월 추구
유비쿼터스 기술과 Eco City 기술 접목에 따른 고 부가의 신 시장 개척
- 189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그림 4.3.3] U-Eco Space 구축기술 구현 개념도
◦ 단계별 목표 ■ 1단계(’07년~’09년) : U-Eco Space 구축 핵심 요소기술 개발 ■ 2단계(’10년~’12년) : U-Eco Space 구축 기술 체계화 및 Test Bed 적용 기술 개발
- 190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주요 개발기술
[그림 4.3.4] U-Eco Space 주요개발 기술 ◦ 유비쿼터스 공간환경정보시스템 (Spatial &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구축기술 개발 ◦ 첨단 공간정보통신(Geomatics : GIS+GPS+RS) 기술과 생태계획 기술을 융합한 3차원 도시환경계획(Science based 3D Eco-Planning) 및 평가 기술 개발 ◦ 유비쿼터스 물순환(Blue Network) 시스템 개발 ◦ Eco-road 조성기술 개발
- 191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표 4.3.4> U-based Eco Space 구축 부문 주요 개발기술
분야
주요개발기술 (예시) o 첨단 공간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3차원 환경생태정보 구축기
유비쿼터스 공간환경정보 기술 개발
술개발 o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환경생태정보 구축기술개발 o 공간환경정보시스템 (Spatial &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구축, 관리 및 활용기술 개발
o 첨단 공간정보통신(Geomatics) 기술과 생태계획 기술을 융합
3차원 도시환경계획 및 평가기술 개발
한 3차원 도시환경계획 기법 개발 및 Test Bed 적용 o 3차원 도시환경계획 기법을 공간계획에 접목하기 위한 Low Impact 도시설계(Urban Design) 기법 개발 o 도시환경 관리 시뮬레이션(management simulation) 기술개발 o 개발된 도시공간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 및 보상 기법 개발
o 도시용수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유비쿼터스 용수관리시스템
유비쿼터스 물순환시스템 개발
개발 o 유비쿼터스 활용 하수처리수 모니터링 및 재이용 기술 개발 o U-Eco 도시기반 하천, 호수 조성 및 관리기술 o GIS/GPS based 도심지형 지하수 관리시스템 개발 o 유비쿼터스 기반 물순환 이용시스템 개발
Eco-road 조성기술 개발
o Eco-road 네트워크 구축 기술 개발 o 도로환경 부하 저감기술 개발 o Eco-road 환경모니터링 및 제어기술 개발 o 보행, 자전거 등 녹색교통시스템 개발
- 192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기대효과 ◦ 개발 기술의 적용으로 인한 0~20%에 불과한 기존 도시의 생태적 기능을 200% 이상 획기적으로 개선 - 이에 따라 도시 경관의 개선은 물론 대기질 개선 등 도시환경의 획기적 개선 ◦ 개발 기술의 적용으로 인한 가용지의 물순환 기능 개선 효과 100% 이상 - 가용지의 경우 100%에 달하는 우수유출량을 획기적으로 저감하고, 증발산량 증대, 지하수함양량 증대로 도시기후조절 효과 개선 - 도시열섬현상 저감을 통한 국민 생산성 향상 - 도시홍수의 원천적 예방을 통한 재해비용 절감 ◦ 선진국과 차별화된 생태도시 조성 기술의 개발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적 토대 구축 ◦ 광역 3차원 실시간 환경생태정보의 수집 및 구축의 효율성 향상 ◦ 수질, 대기질, 토양, 도시기후 등의 환경생태정보 센서 네트워크 구축으로 환경측 정기기 및 유비쿼터스(IT) 산업 활성화 ◦ Eco-road 조성기술이 개발되어 현장에 직접 반영됨으로써 적용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및 평가기술의 개발을 통해 개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음 ◦ 도시기반 Eco-road의 조성이 완료되면 도시부 도로의 각종 재해 및 도로환경 변 화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해 지는 도시를 현실화 시킬 수 있음 ◦ 유비쿼터스 도시 물순환 인프라 건설기술 및
친수공간 조성기술의 체계적 개발
에 의한 미래형 U-City 건설기술 수준 향상 ◦ 사업 결과물은 최근 조성되는 중소규모 신도시(혁신도시, 행복도시 등 공공기관 주도형 신도시 건설사업)에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경제적 산업적 파급효과는 매우 큼
- 193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5
U-Eco City Test Bed 구축 사업
중점 추진분야 ▪ Test Bed용 적용기술 선정 및 운용방안 도출 ▪ Test Bed 건설관리 프로세스 구축 ▪ Pilot Project 적용 및 적합성 평가 ▪ Test Bed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 필요성 ◦ U-Eco City에 적용될 유비쿼터스 미래 핵심기술을 전국적 신도시에 직접 적용 하기 전에 Test Bed32)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기술적용의 성숙도를 향상시키고 활용 오차율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음. ◦ 표준화되고 체계적인 통합플랫폼 마련 및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위한 종합대응 체계 필요 ◦ U-Eco City 건설시 기획, 설계, 시공 추진 단계별로 중복적인 정보처리의 발생 을 줄이며, 향후 시설물 유지관리 단계에서 필요한 각종 정보들의 효율적인 관리 필요 ◦ Pilot Project는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이전 단계로 U-Eco City 적용 기술 및 운영, Process 구축에 따른 타당성 및 문제점 파악(Risk 최소화)을 위해 필요 ◦ U-Eco City 기반 요소기술에 대한 종합적 연계성 및 운영효과 평가의 객관적 지표 제시를 위한 사전․사후 모니터링 기법 구축 필요 32) Test Bed란? 핵심기술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시범적용을 위한 100만평 규모 이상 의 신도시 전체공간, 도시계획시설(도로, 하천, 공원 등), 통합운영센터 및 시스템 등을 말하며, 특정핵심기술을 특정장소에서 국한하여 Test하는 Pilot Project와 대별됨.
- 194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도출근거 ◦ U-Eco City를 구현하기 위하여서는 Eco-City 기술과 U-City 기술을 동시에 구 현하여야 하며, 최종적으로 총체적인 Test Bed 구조 하에 시범사업으로 연결시 키기 위한 적용기술 선정 및 운용방안 도출을 연구과제로 추진함 ◦ 기초적인 요소기술보다는 개발된 응용기술과 현장여건에 따른 적용성 기술을 대 상으로 핵심기술의 실용화에 주안점을 두기 위한 연구과정이 요구됨 ◦ 신도시 개발시 수행하는 환경영향평가 결과와 연계되는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건설관리 프로세스를 실용화 연구과제로 추진함 ◦ 실용화 대상기술에 대한 선정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적용기술에 대하여 철저한 사전 검증을 거쳐서 Test Bed에 적용하는 과정이 요구됨 ◦ 여건(사업비 과다소요, Risk 내재 등)에 따라 일부기술은 Test Bed 구축사업 이 전 단계에서 적용기술의 타당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Pilot Project 실시 및 적합성 평가 연구를 진행함 ◦ 국내 U-Eco City 건설사업의 연계성 및 지속성을 확보하고, 각 핵심기술의 운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Test-Bed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을 세부 연구과제로 추진 함 ◦ Test Bed 구축을 위해 적용되는 기술 및 도시개발사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자료 및 정보를 수집․관리할 수 있는 정보통합DB 구축 및 관리프로세스가 연 계되어야함 ◦ U-Eco City 시범사업(Test Bed)에서 도출된 기술, 정보 및 노하우 등을 통합 패키지화하여 다른 도시 및 국제적 경쟁력이 있는 기술에 대하여 수출 상품화할 수 있는 추진계획이 마련되어야 함 ◦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U-Eco City 기술의 테스트를 통한 기술개발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대국민 홍보를 위한 방안(U-Eco City 체험관 구축사업 등)이 요구됨
- 195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현재기술 수준 ◦ 국내 U-Eco City 구축은 지자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계획되고 있으며, 일부 프로 젝트는 현재 수행중에 있으나, 아직 구체저인 실체를 가지고 있지 못한 실정임 ◦ U-City 구축시 주안점은 크게 정보서비스(정보네트워크, 정보전송, 컨버전스 서 비스 등), 건설기반서비스(건물관리 및 모니터링, 재해․재난 및 안전관리, 도로 및 교통정보화 등) 및 도시통합운영(통합운영센터, 도시종합관제센터 등)으로 되 어 있음 ◦ 최근 미국, 일본, 유럽 등과 같은 선진국들은 유비쿼터스 관련 차세대 IT산업을 가까운 미래에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기술로 인식하고 유비쿼터스 관련 기반기술의 타산업 활용분야와의 접목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 ◦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인프라(GIS, 초고속 통신망)가 세계 최고 수준이고, 무선통 신 컴퓨팅, 반도체 침셋 분야 기술을 선도하고 있어, 사회기반시설 및 건설분야 로의 유비쿼터스 기술의 활용이 매우 유리한 여건에 있음 ◦ 우리나라에 구축된 여러 가지 인프라적인 장점을 살려 건설분야에서 IT와 접목 된 일류화 기술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할 필요가 있음
□ 목표 ◦ 1핵심과제~4핵심과제에서 단기, 중기, 장기적으로 요구되는 기술을 개발하되, 5 핵심과제에서는 5년 이내에 신도시에서 필요로 하는 실현가능한 U-Eco 핵심기 술을 추출하여 Test Bed에 우선 적용하여 실용화 측면에서 검증하고, 향후 사업 지구에 확대 적용을 목표로 함. ◦ 다양한 U-City 기술 및 Eco-City 기술 중 우선적 수요가 있는 국부적 적용기술 부터 도시단위 기술까지 Test Bed에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실용화하고, 국내 건 설산업, 정보통신산업 및 타 산업과의 연계될 수 있도록 함. ◦ 세계적인 U-Eco City와 비교하여 경쟁우위에 있을 수 있는 랜드마크적인 Test Bed를 구축하여 해외수출산업으로 발판을 마련함.
- 196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Test Bed 구축을 통한 도시, 건설, 정보통신 등의 연계성 및 Win-Win 전략 도출 ◦ U-City 기술 및 Eco-City 기술의 표준화 및 고부가 미래가치 기술 개발 ◦ 단계별 목표
1단계(’07년~’09년) : U-Eco City Test Bed 적용기술 선정, 건설관리 프로세스 구축 및 관계기관협의, 기본/실시설계 반영
2단계(’10년~’12년) : U-Eco City Test Bed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 주요 개발기술 ◦ Test-Bed용 적용기술 선정 및 운용방안 도출 ◦ Test-Bed 건설관리 프로세스 구축 ◦ Pilot Project 적용 및 적합성 평가 ◦ Test-Bed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 197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그림 4.3.5] U-Eco City Test Bed 구축 사업 개념도
- 198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표 4.3.5 >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주요 개발기술
분야 Test Bed용 적용기술 선정 및 운용방안
주요개발기술 (예시)
단위 요소기술별 최적의 Test Bed 구성 및 검증방안 개발
U-Eco City의 융복합 서비스의 최적의 Test Bed 전략 개 발
도출
U-Eco City 도시개발 기획 정보 통합 DB 구축
Test Bed
객체기반 U-Eco City 공간정보 구축 및 설계기술 개발
건설관리
4D 기반 U-Eco City Test Bed 시공관리 기술 개발
프로세스 구축
Test-Bed 적용을 위한 GIS 연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유지관리 기술 개발
Pilot Project
Pilot Project 수행 기술항목 도출
적용 및 적합성
Pilot Project의 적합한 규모, 평가, 장비 선정
평가
해당기술의 Test Bed에 적용성 평가
Test Bed 선정 및 사업연계방안 분석
Test Bed
사업단계별/적용기술별/적용규모 분석
시범사업 및
관계기관 협의, 기본설계, 실시설계, 시공
모니터링
통합 모니터링을 위한 H/W 및 S/W 개발․운영
평가지표 도출 및 평가시스템 개발
- 199 -
제 4 장
핵심과제별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계획
□ 기대효과 ◦ Test-Bed용 적용기술 선정 및 운용방안 도출 분야 ■ 요소기술의 단위별 운영 및 융합운영의 적용성 완성으로 기술적용 완성도 향상 ◦ Test-Bed 건설관리 프로세스 구축 분야 ■ 도시 및 단지, 시설물의 추진 단계별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 확보를 통해 시스 템 중복 개발을 방지하며, 향후 시설물 유지관리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의 효 율적 관리가 가능 ◦ Pilot Project 적용 및 적용성 평가 분야 ■ 적용 분야별 항목의 도출로 U-Eco City 핵심 요소기술 선정하고 적용성 평가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U-Eco City 통합기술 구현의 Risk 감소 ◦ Test Bed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분야 ■ 신도시 전체에 걸친 시범사업을 통해, 통합적인 핵심기술의 실현가능성을 검 증하고, 시공 후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해 전국 사업지구 확산 및 세계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
- 200 -
제 5 장
제 5 장
5.1
핵심과제별 투자계획
핵심과제별 투자계획
투자계획
가. 부문별 투자소요 ◦ 계획기간 중 총투자소요액은 1,044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 ◦ 사업비 총괄예산 (단위 : 백만원) 구분
1차년도 (2007)
2차년도 (2008)
3차년도 (2009)
4차년도 (2010)
5차년도 (2011)
6차년도 (2012)
합 계
정부
출연금
7,780
8,200
23,010
23,060
22,510
19,840
104,400
민간
부담금
2,100
3,360
9,005
9,005
9,105
6,225
38,800
9,880
11,560
32,015
32,065
31,615
26,065
143,200
합계
◦ 핵심과제별 총괄예산 (단위 : 백만원)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합 계
구분 정부
민간
정부
민간
정부
민간
정부
민간
정부
민간
정부
민간
정부
민간
사업단 운영비
500
105
500
400
500
405
500
405
500
405
500
220
3,000
1,940
상세기획
300
1핵심과제 : 미래도시 전략 및 U-City 지원정책
390
300 280
940
830
940
1,220
4,600
2핵심과제 : 2,500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610
2,510
1,000
7,950
2,500
7,950
2,500
6,350
2,700
4,760
1,600 32,020 10,910
3핵심과제 : 2,190 U-Space 구축 기술 개발
885
2,260
900
6,550
3,000
6,650
3,000
7,390
3,000
6,600
2,050 31,640 12,835
4핵심과제 : U-based Eco Space 구 1,150 축기술 개발
500
2,010
800
5,130
2,200
5,130
2,200
5,330
2,200
4,760
1,600 23,510 9,500
640
260
1,940
900
2,000
900
2,000
800
2,000
5핵심과제 : U-Eco City Test Bed 구 축사업
750
합계
7,780
2,100
8,200
755
9,330
3,615
3,360 23,010 9,005 23,060 9,005 22,510 9,105 19,840 6,225 104,400 38,800
- 201 -
제 5 장
핵심과제별 투자계획
나. 주체별 투자소요 ◦ U-Eco City Test Bed 사업의 특성을 감안하여 공공부문의 투자를 우선적으로 계획함 ◦ 민간부문은 사업의 활성화와 민간기업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과제 의 착수단계에서부터 매칭펀드 형태로 진행 ◦ 공공부문은 정부예산․과학기술혁신법․건설기술관리법 등에 따르며, 민간부문은 산․학․연 공동연구개발사업 등에 따라 투자
5.2
투자재원 조달방안
가. 민간투자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기술의 조기실현 ◦ 공공성이 강한 기반기술개발 부문은 국비 지원 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하 여 정부 지원 확대 ◦ 활용 및 서비스 부문 민간부문의 투자 적극 추진 ■ 상대적으로 민간의 수요가 많은 건설 분야를 중심으로 민간투자를 적극 유도 ■ 민간분야 시장 등 상대적으로 수익창출 가능성이 높은 사업에 대해서는 민간 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 Test Bed 사업시행자, 사업단 및 민간부문이 Matching Fund를 구성하여 재원배 분 유도 ◦ 전문성이 요구되고 수익창출 가능성이 높은 사업에 대해서는 민간 연구기관 및 민간기업의 연구과제와 연계시켜서 현물투자 및 비용부담을 최대한 유도 ■ 민간투자를 통한 기대효과 : 한정된 재원의 대체재 확보, 신기술 분야 적용의 공공 위험을 민간에 분산 수용, 민간기업 참여를 통한 신속한 사업 추진, 규모 의 경제를 통한 파급효과 등
- 202 -
제 5 장
핵심과제별 투자계획
나. 재원확보에 있어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 역할 설정 ◦ 공공성이 강하고 기술개발 파급효과가 큰 기술개발의 투자재원은 원칙적으로 중 앙정부에서 확보 ◦ 기술개발의 외부효과가 크고 기술료 등을 징수하여 일정 수준의 수익성을 확보 할 수 있는 기술개발은 민관 합동방식으로 추진 ◦ 향후 수익창출 가능성이 높은 사업을 추가 발굴하여 민자유치 과제로 포함
다. 기술의 공공성에 따라 중앙정부의 지원을 차등화 ◦ 상대적으로 수익성은 미미하나 공공부문에 꼭 필요한 기술은 중앙 정부에서 대 폭지원 ◦ U-Eco City의 균형적인 발전측면을 적극 고려하여 합리적인 지원방안 강구
- 203 -
제 6 장
제 6 장
U-Eco City 사업단 기술개발 추진체계 및 운영방안
U-Eco City 사업단 기술개발 추진체계 및 운영방안
6.1
U-Eco City 기술개발 추진체계
가. 사업단장 책임 추진체계 도입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에 의거 비전 및 전문지식을 갖춘 사업단장이 연구 개발 과제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책임 운영체계 도입 ■ 연구개발․시험평가․성과확산 등 연구사업과 Test Bed 시범사업의 전주기적 경영관리 업무를 총괄하는 역할 수행 ■ 사업단장에게 핵심 및 세부과제 구성, 연구팀 편성, 연구비 배정 등에 관한 권 한을 부여하고 엄정한 평가로 이에 대한 책임부여
나. 운영조직 구성 및 역할 정립 ◦ 건설교통부 ■ 사업총괄기관으로서, 연구사업 기획․관리․감독을 총괄하고, 기술개발 촉진 및 성과보급을 위한 법․제도 개선 업무 지원 ◦ 전문기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 사업관리전문기관으로서, 연구사업 기획․관리․평가업무를 수행하고, 사업단 기획, 진도점검, 단계(중간)평가, 기술확산 등을 중점 관리 ◦ 운영위원회 ■ 사업단 과제 진도점검 결과검토, 예산조정, 이의 신청, 사업단장 해임 등 사업 단 운영에 관한 주요사항 심의․조정 및 관리
- 205 -
제 6 장
U-Eco City 사업단 기술개발 추진체계 및 운영방안
◦ 평가위원회 ■ 사업단 과제의 선정평가, 단계(중간)평가, 최종평가를 수행하여, 과제의 계속 추진여부 판정 및 사업단장에 대한 업무평가 ◦ 사업 단장 ■ 사업단 내에 사무국을 두어 세부과제 기획, 선정․평가, 진도관리, 정산․보고 등에 관련된 업무 수행 ■ 사업단에 개발된 기술의 국내외 표준 제・개정, 법제도 개선, 시범사업에 반영, 정책반영 등 실용화를 위한 상설조직 운영
※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사업단과제 운영관리지침"에 세부사항 규정
[그림 6.1.1] U-Eco City개발 추진체계
- 206 -
제 6 장
6.2
U-Eco City 사업단 기술개발 추진체계 및 운영방안
U-Eco City 사업단의 운영방안
가. 사업단장 선정 평가 ◦ 사업단장은 건교부 담당기획관을 포함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서류심사 및 발 표평가를 통해 선정
[그림 6.2.1] 사업단장 평가 절차
나. 사업단 운영 방안 ◦ 네트워크형 사업관리 시스템 운영 ■ 선정평가 및 결과평가를 위한 위원회 구성․운영(운영위원회, 전문위원회) ■ 관리 종합 계획 및 연도별 시행 계획 수립 ■ 성과중심 및 확산지향형 관리 시스템 구축 ■ 온라인 연구 모니터링(일정관리, 보고시스템) 시스템 구축 ◦ 사업단 단계(중간)평가를 통한 인센티브제 및 패널티제 적극 활용 ■ 인센티브, 가점 부여 및 평가결과에 따른 과제조정 또는 책임자 교체 요구 ◦ 프로젝트 진행의 신뢰성 도모
- 207 -
제 6 장
U-Eco City 사업단 기술개발 추진체계 및 운영방안
■ 정기적 내부 기술 교류를 통한 상호 정보 교환 및 보완 ■ 과제간 정기적 기술 교류를 통한 공감대, 일체감 조성(정기 워크샵, 세미나 수행) ◦ 사업단의 정기 및 특별회계감사 수행 ■ 예산 집행 및 배분의 적정성 등에 대한 검증절차 확립 ◦ 사업단의 진도관리 수행 ■ 분기/년차/단계별 Activity에 의거한 목표 규격 설정, 수행기간 계획 및 검토 ■ 계획대비 실적이 부진한 경우에 대한 각종 제재조치방안 마련 ■ 사전 수요 예측 등을 통한 유연한 목표 관리 체제 ◦ 수요기관의 과제관리 참여방안 검토
[그림 6.2.2] U-Eco City 사업단 운영방안
- 208 -
제 6 장
6.3
U-Eco City 사업단 기술개발 추진체계 및 운영방안
U-Eco City 사업단의 성과관리 방안
가. 연구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확산 지향적 연구개발 추진 ◦ 개발된 기술의 실용화를 고려하여 성과관리와 평가를 추진하는 한편, 사업단 체 제의 발족과 함께 정량화된 성과관리 체계 도입
나. 성과지표 및 성과측정 ◦ 본 사업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의 성과지표를 참조하여 기본지표 로 설정 ■ 공통적인 성과부분을 평가하고, 각 사업 분야별 특성화된 성과부분을 추가지 표로 설정하여 성과를 효과적으로 측정 ■ 사업 분야별로 지표에 가중치(점수) 부여를 다르게 설정하여 성과측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도출토록 함 ■ 도출된 성과지표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추후에 지속적인 검토 및 시범적용을 통해 더 효율적이고 적합한 성과지표로 수정․보완
- 209 -
제 6 장
U-Eco City 사업단 기술개발 추진체계 및 운영방안
<표 6.3.1> U-Eco City 사업단의 기술개발 성과지표(안) (3년 성과지표) 성과목표 기획․집행 공통지표 (10%)
과학기술 연구성과 (10%)
사업화 성과 (50%)
결과 인력양성 성과 (5%)
국제협력 성과 (5%)
경제사회 파급효과 (10%) 표준화 활동 성과 (10%)
가중치 (0~1)
성과지표
달성 목표치
사업목적 및 내용의 타당성 사업관리 체계의 적절성 전년도 평가결과 활용 국내외 학술지 논문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SCI 논문게재 인용논문 선진국과 기술수준 년수 국내외 특허등록 국내외 특허 인용 소프트웨어 등록 환경 신기술 인증 기술이전 건수 기술공개 건수 기술료 징수액 사업화 현황 및 성공도 제품판매량(매출액) 전공별 인력양성 배출실적 연수지원 건수 연수 지원액 외국연구자 유치수 기술무역 대상국가 수 국제회의 개최 기술협력(MOU) 수 공동연구 논문 건수 산업지원 기술지도 산업지원 기술이전 산업지원 기술평가 고용창출 표준 제정/개정 건수
20건 40건 4건 4건 -1년 4건 10건 6건 1건 1건 2건 6억 1건 10억 20명 4건 2억 3명 1개 1회 4건 2건 10건 4건 4건 100명 4건
0.07 0.02 0.01 0.03 0.02 0.01 0.01 0.03 0.1 0.02 0.1 0.01 0.1 0.05 0.01 0.05 0.01 0.04 0.03 0.03 0.01 0.01 0.01 0.01 0.02 0.01 0.01 0.01 0.01 0.04
3건
0.06
정책반영 건수
- 210 -
0.1
0.1
0.5
0.1
0.06
0.04
0.1
제 7 장
제 7 장
7.1
U-Eco City 기술개발의 기대효과
U-Eco City 기술개발의 기대효과
U-Eco City 기술개발의 기대효과
가. 도시민의 편의성 및 쾌적성 20% 향상 ◦ 교통, 환경, 시설물관리, 도시안전관리, 문화 등 다양한 도시 활동을 U-IT를 통 해 지능형 서비스로 구축하여 도시민의 주거편의 20% 증진 및 여가생활 개선 ◦ 사고/재해/범죄의 예방과 적기 대응으로 도시민의 안전성 증대 ◦ 교통 및 물류 네트워크 지능화로 도시민의 이동성 증대 및 물류 운송 비용 20% 절감 ◦ 도시내 오염물질 이동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환경재해 예방 및 도시환 경에 대한 쾌적성 20% 향상 실현 ◦ 시간, 공간, 거리 제약의 극복으로 언제 어디에서나 끊김없이 네트워크에 접속가 능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생활 및 기업업무 환경의 만족도 20% 향상
나. 도시 기능의 최적화 및 인프라 중복투자 방지로 10% 비용 절감 ◦ 유비쿼터스 기술과 인프라. 플랫폼, 다양한 서비스를 기반으로 도시 환경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도시 기능을 혁신화함 ◦ 체계화된 도시환경 계획 및 관리를 통한 사회적 환경부담 비용의 10% 절감 ◦ 도시의 계획 및 관리에 필요한 3차원 실시간 생태환경정보를 제공하여 도시행정 의 효율성 10% 제고 ◦ 도시운영관련 인프라의 중복투자 방지로 10% 비용 절감 ◦ 도시 인프라 및 시설물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통합 운영함으로써 효율성 20% 증대
다. 관련 산업 활성화로 매출 50% 증대 ◦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U-City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성공적인 모델을 제 시함으로써 효용성을 검토 가능
- 211 -
제 7 장
U-Eco City 기술개발의 기대효과
◦ 산업 환경에 적합한 통신인프라 및 기술 지원으로 이를 통해 건설, 교통, 및 관 련 유비쿼터스 IT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교두보를 확보하고 국가정보화 및 산업 화 전략에 부응 ◦ 환경관련 산업 등 U-Eco City에 접목할 다양한 구현 기술 및 융합 기술을 도출 함으로써 산업간 시너지효과를 통해 50%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 ◦ 양질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의 Play Ground 로서의 선 순환 구조 마련
라. 지자체 경쟁력 향상 ◦ 도시관리 효율화를 통한 대민서비스를 향상, 도시 가치상승을 통한 이미지 제고, 운영관점에서의 비용절감 및 효율화, 지역산업 활성화 및 기업유치 등을 통한 재 정자립 ◦ 사용자 요구 중심형(On-demand)의 최상의 도시정보서비스를 제공 ◦ 다양한 도시정보를 통합․관리하여 신속한 정보 제공으로 효율성 향상
마. 국가 경쟁력 향상 ◦ 패키지화된 첨단 기술 및 표준화 모델을 도출하여 시범사업을 통해 검증함으로 써 관련 산업의 해외 수출을 위한 기반 마련 ◦ 도시의 효율성 향상 및 도시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상호 기능을 보완함으로써 국가전체의 경쟁력 증대 ◦ 지능화되고 통합된 도시 Infra는 도시정부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도시 운영 효율화를 통한 지방 정부의 재정부담 경감
마. 해외 건설시장 점유률 10% 증대 ◦ 세계의 U-City의 시장규모는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방대하며, 특히 외국시장 인 경우 건설기술과 더불어 우리나라 관련 장비, 정보기술, 제어기술 등을 적용 하여 구축하므로 잠재적인 시장규모는 매우 클 것으로 예측 ◦ 베트남(하노이, 호찌민), 태국, 말레이지아 등 동남아 각 국이 역점 추진하는 신 도시 건설시장 적극 개척 ◦ 한국이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U-City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아랍에미
- 212 -
제 7 장
U-Eco City 기술개발의 기대효과
레이트(UAE), 카타르 등지의 U-City 건설시장에 주도적으로 참여 ◦ 2015년까지 해외 건설시장 점유율 10% 달성에 공헌
- 213 -
제 8 장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사업단장 공모기준
8.1 사업단장 임무 ◦ 사업단장은 U-Eco City 사업단 운영을 총괄하며, 사무국을 설치 운영하고 사업 단 핵심과제 및 세부과제의 계획을 수립, 평가함. 또한 신규과제 기획,
대외기술
협력 등 해당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해야 함. 사업 단은 사업단 평가위원회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운영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사업 단장 해임 및 계속지원여부 등의 평가를 받게 됨.
가. 사업단 핵심과제 수행의 전 주기적 총괄 ■ "U-Eco City 사업단“의 과제는 ① 미래도시 전략 및 U-City 지원정책, ②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③ U-Space 구축기술, ④ U-based Eco Space 구축 기술, ⑤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등 큰 규모의 핵심과제와 이를 구성 하는 각각의 하부 연구과제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과제 및 예산 규모가 기존 연구 사업에 비해 방대함. 또한 각각의 핵심과제를 통합하여 Test Bed를 구 축, 실용화 단계까지 이루어져야 하므로 전체 연구 사업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총괄 기능이 중요함. ■ 또한 각각의 핵심 과제 기술 및 하부 연구과제의 기술들은 실질적으로 Ubiquitous 기술과 연계된 하부 IT 기술의 원천을 개발하거나, 혹은 Eco Space 건설 기술의 기초 기술을 처음부터 개발하는 것은 아님. 오히려 기존에 개발되어있는 요소기술을 통합하여 도시 전체에 적용 및 운영하는 기술 표준 을 개발하는 성격이 강함. ■ 따라서 사업단장은 사업단 사무국을 구성․운영하고 핵심 과제 및 세부과제 각각에 대한 목표관리, 평가, 진도관리 등 여러 범위에 걸쳐있는 과제 연구 조 직 전체를 총괄․관리해야 함.
- 215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나. Test Bed 구축사업의 총괄기획 및 운영 ■ 사업단장은 해당 사업의 핵심 과제별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그 역 할을 적절히 배분하여 각 연구기관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성과를 관리함. 또 한 각각의 과제가 실제 도시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신기술로 발전할 수 있도 록 종합적이고 표준화된 모델을 정립함. 최종적으로는 전체 연구 성과를 유기 적으로 결합하여 Test Bed를 구축, 표준화된 U-Eco City 모델을 개발해야 함. ■ Test Bed 사업은 개발된 기술을 현재 사용되는 건설 기술의 미래 대안으로 정립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실용화가 필수임. 따라서 사업단장은 도시 단위 규 모의 시범 사업을 기획, 관리, 통제하는 역할과 연구 개발의 결과로 나온 성과 물을 보급 확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에 필요한 홍보 및 실제 사업 적용 등 의 대외 실무를 총괄함.
다. 건설교통부 관련업무 자문 및 업무협조 ■ U-Eco City 사업은 “건설교통 R&D 혁신 로드맵”의 일부로서 건설 분야의 기 술 수준을 혁신하고 비용을 절감하여 세계적 수준의 건설기술을 개발하기 위 한 사업의 일부분임. ■ 따라서 사업단장은 건설교통부에서 실시하는 해당 분야의 산업 육성, 발전 정 책 및 종합계획 수립 등 관련 업무 추진 시 기술 자문 및 적극적인 업무 협조 역할을 수행해야 함.
라. 사업단과제 성과 관리 ■ U-Eco City 사업은 5개의 핵심 과제와, 각 핵심 과제의 하부 연구 과제를 포 함하는 광범위한 연구 과제로 구성됨. 사업단장은 각 핵심 과제와 하위 과제 의 사업성과를 관리하고 다양한 참여기관의 연구 성과를 실제 부가가치를 창 출할 수 있는 사업과 연계하여 발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또한 각 성과에 관 한 지적 재산권 및 정보 관리 등 지원 업무를 수행함.
- 216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마. 연구 결과 통합 및 표준화, 사업화 ■ U-Eco City 사업은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의 10대 사업(Value Creator 10)의 하나로서 건설 분야에서 세계 수준의 기술력을 창출하여 비용을 절감하 고 실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가치 지향적 사업임. 따라서 사업단장은 연구 결과를 통합, 조정하여 기초요소기술에서 상용화까지 연결하는 대형 실 용화를 추진하여 실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화 방안을 개발하고 해 당 기술이 건설 현장에 적용되어 전체 건설 시장에 기여할 수 있는 홍보 방안 을 마련해야 함.
8.2 사업단장의 임무에 따른 자격 요건 ◦ 사업단장은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의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마스터플랜에 따라 국가 건설교통기술 수준을 향상시키는 임무를 가짐. 따라서 과거 국가경제 발전의 성장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넘어 글로벌 시장경제와 이상 기후변화, 에너 지 위기, 고령화, 첨단기술 융․복합, 지역균형발전, 사회적인 안전망 확보 등 사 회․경제적 분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창조를 실현해 나가기에 적합한 자격 요건을 갖출 필요가 있음.
가. 사업단 총괄 운영 능력 ■ U-Eco City 사업단은 R&D 사업이지만 또한 방대한 규모의 Ubiquitous IT 기술과 미래형 친환경 건설기술을 접목하여 도시 단위의 표준 모델을 만들어 내는 사업을 진행하는 조직이므로 해당 사업단을 책임지기 위해서는 도시 규 모의 총괄적인 사업관리 능력이 필수적임. 사업단장은 하부 단위의 연구를 직 접 진행하는 역할보다는 각 핵심과제의 연구단장을 선발하여 역할과 예산을 적절히 배분하고 하부 연구 과제를 책임지는 각 연구기관의 이해관계를 조정 하여 사업단 과제를 충실히 이행할 수 있는 리더십이 요구됨.
- 217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나. 연구 성과 및 핵심과제 성과 관리 능력 ■ U-Eco City 사업단에는 전체적으로 1,000억원 이상의 국가예산과 6년 이상의 연구기간동안 5개의 핵심과제와 각각의 하부 연구 진행을 위해 수백 개의 하 위 연구기관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사업단장은 5개 핵심과제를 수 행하기에 적합한 연구단장을 선발하여 각 연구단의 성과 및 진도 현황을 관리 하고, 사업단 사무국을 구성하여 각 핵심과제의 하위 연구 기관의 성과를 관 리하기 위한 행정력과 전문지식을 겸비해야 함.
다. Test Bed 사업 구축을 위한 대외협력 및 사업추진 능력 ■ 개별적인 연구 성과를 통합, 표준화 모델을 구축하는 Test Bed는 실제 사업이 진행되는 신도시나 기존에 사람이 살고 있는 도시가 될 것이므로 주변 환경의 완벽한 통제가 가능한 실험실 내의 Test Bed와는 다른 다양한 외부적 문제점 이 발생할 수 있음. ■ 대표적인 예로 이미 실시계획이 확정된 신도시에 U-Eco City 관련 기술을 도 입하기 위해서는 계획 변경을 위한 해당 지자체와의 협의 및 인허가 과정이 필수이고, 지자체 담당자들과의 업무 협조가 중요함. 또한 기존의 도시에 U-Eco City Test Bed 구축을 위해 새로운 Ubiquitous 관련 IT 시설이나 친 환경 Eco City 건설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지자체 조례에서 포함 할 수 없는 영역의 시설물 설치가 필요할 수도 있음. ■ Test Bed 구축은 도시 단위의 시설물을 설치하고, 도시 전반적인 범위로 새롭 게 운영하는 표준을 마련하는 것이므로 전반적인 설계나 기획, 기반시설 공사 준비 및 과정, 전체적인 운영 방식 등에서 해당 지자체 담당자들의 기존 업무 방식과 상충될 수밖에 없음. 따라서 사업단장은 Test Bed 구축과 관련된 다양 한 이해관계자들의 원활한 의견 조율 및 업무 협조 체제를 구축하는 대외 협 력 능력 및 사업추진 능력을 갖추어야 함.
- 218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라. 사업단의 성격에 맞는 전문성과 경력 ■ 사업단장은 U-Eco City 사업단의 성공적인 과제 완수를 위해 사업단의 성격 에 맞는 다음과 같은 수준의 전문성과 경력을 갖추어야 함. 1) 도시 규모의 대단위 사업 과제 수행 경력 - 1,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기반으로 국가 차원의 비전과 전략 하에 이루어지 는 연구 및 실무 사업단의 과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여 국가 건설교통기술 을 세계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수준에 비견될만한 사업 과제를 수행해 본 경험이 필요함. 2) 도시 개발 분야의 전공자로서 전문 지식과 해당분야 경력 - 건설교통기술과 관련하여 중요한 국가 사업을 수행하는 책임자인 사업단장 은 도시개발이나 건축 등의 관련 분야에 대한 학문적 지식 기반과 더불어 해당 분야에서 다년간 종사하면서 꾸준한 관심과 성과를 쌓아온 인물이어 야 함. 또한 도시개발 및 건설교통 분야에서 실무적, 학문적 성과를 발휘하 여 국가 건설기술과 제도 등에 직접적인 기여를 한 인물이어야 함. 3) 도시 개발 및 건설교통기술 발전에 대한 의지와 철학 - 사업단장은 “건설교통 R&D 혁신 로드맵”을 충분히 이해하고 로드맵에 적 합한 국가 건설교통기술 발전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인간이 살기 좋은 도 시에 대한 깊이 있는 철학이 요구됨. 4) 대규모 조직 구성 및 운영 경력 - 건설교통 분야에서 유례가 없는 방대한 사업 과제를 수행하는 사업단을 총 괄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업단의 규모에 버금가는 대규모 사업단을 직접 지 휘․관리해본 경력이 필수적임.
- 219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8.3 사업단장 공모 및 평가 기준 가. 총괄기관 평가 기준 1) 자격 및 운영기간 가) 총괄기관 자격은 사업단을 운영할 수 있는 전문성과 기술력, 행정능력을 겸비한 기관으로서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운영규정 제4조에 해당하는 기관으로 한다. 나) 사업단 운영기간은 사업단과제의 총 연구개발기간으로 한다. 2) 역할 및 기능 가) 사업단장 후보 추천 나) 사업단 운영을 위한 지원인력, 시설․장비, 공간 등을 제공할 수 있음. 다) 필요시 사업단 총괄과제 또는 핵심과제를 수행할 수 있음. 3) 평가기준 가) 1,000억대의 예산을 집행하고 연구 및 실제 사업을 추진하는 사업단 규모에 걸맞은 지원시설 및 인력을 갖춘 조직. 나) Test Bed 구축 및 Matching Fund 구성을 지원할 역량을 겸비한, 도시개발 및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자리매김한 조직.
나. 사업단장 평가 기준 1) 서류 평가 가) 사업추진 계획 평가 - 사업추진 목표의 적절성 및 타당성 평가 - 사업단 구성 및 역할의 적정성 평가 - 핵심과제 구성 및 목표 평가 - 사업단 세부 운영계획 평가 - Test Bed 구축․실현 가능성 평가 - 사업 실용화 방안 및 현장 적용, 사업화 가능성 평가 - 최종 결과물의 기대성과 및 파급 효과 - 사업추진 인프라 및 총괄기관 지원 시스템 평가 - 핵심과제 연구단장 선정 및 연구단 구성 계획 평가 - 최신동향 분석 및 사전계획 평가
- 220 -
제 8 장
- 사업 추진 체계 및 추진전략 평가 - 사업기간 및 사업 수행․연구개발비 계획 평가 나) 사업단장 및 총괄기관 역량 평가 ① 사업단장 역량 - 사업수행 실적 및 주요 경력 - 사업수행 실적의 적합성 - 사업단과제 기획 및 운영능력 ② 사업단 총괄기관 역량 - 사업단 총괄기관의 보유역량 - 사업단 총괄기관 지원 시스템 평가 2) 발표 평가 가) 운영계획 평가 - 운영계획의 실현 타당성 - 실용화방안의 타당성 - 구성체계 및 추진계획의 구체성 나) 사업단장 평가 - 사업단 과제 추진을 위한 실천 능력 - 사업단 과제 추진을 위한 기획관리 능력 - 유사 업무에 대한 경험과 지적 능력 - 사업단 과제 추진 자격의 적정성
- 221 -
사업단장 공모기준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8.4 사업단장 공모 양식
별지 서식 제4-2호
사업총괄기관 및 사업단장 신청서
별지 서식 제4-3호
사업단 운영계획서
별지 서식 제4-7호
사업단과제 선정평가서 양식
- 222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별지 서식 제4-2호]
사업총괄기관 및 사업단장 신청서
- 223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건설교통연구개발사업 사업총괄기관 및 사업단장 신청서 사업단명
기 사업단 총괄기관
사업단장
관
명
기관유형
사업자등록번호
기업( ),연구기관( ), 연구조합( ), 학교( ) 기타( )
인터넷 URL
주
소
성
명(한문)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팩스번호
휴 대 폰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운영규정 및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사업단 관리지침에 따라 사업단 사업을 성실히 수행하고자 건설교통연구개발사업 사업 총괄기관 및 사업단장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200
년
사업단장 신청자
:
사업단 총괄기관장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장
귀하
- 224 -
월
일
(인)
(직인)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Ⅰ. 사업단 총괄기관 현황 1. 기관현황 1-1. 기관개요 기
관 명
대
표
자
대표자 주민등록번호
인터넷 URL
본사
(
-
)
전화 :
FAX :
연구소
(
-
)
전화 :
FAX :
주소
설 업
유
립
일
사업자등록번호
종
법인등록번호
형
기업( ),연구기관( ), 연구조합( ), 학교( ) 기타( )
상시종업원수
주연구분야 구분 재무 상황 (단위: 백만원)
자기자본
2004년도
2005년도
부채
총매출액
당기순이익
2004년도
2005년도
2004년도
2005년도
연구개발투자비 (단위:백만원)
연
총자산
혁
- 225 -
R&D 투자비율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1-2. 해당 사업분야 사업수행기반 현황 (1) 개요 ㅇ 기 관 명 ㅇ 설 립 일 ㅇ 책임자명 ㅇ 주 소
: : : :
(2) 자본금 및 주주구성 현황
(3) 인원 및 조직 현황
(4) 연구기관 현황
(5) 하부조직(지사, 출자회사 등) 현황
- 226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2. U-Eco City 관련 주요실적(최근 10년간) 2-1. 주요 실적 번호
총사업기간 (시작-종료일)
사 업 명
총사업비 (백만원)
비 고
작성요령 ㅇ필요시 실적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첨부 ㅇ상세 설명이 필요한 실적인 경우 각 3쪽 이내의 요약본(자유양식)을 작성하여 첨부 ㅇ연구 중심의 실적인 경우 Test Bed 형 연구사업, 혹은 사업화가 이루어진 실적 중심으로 기재 ㅇ사업수행기간 : 년도월을 기재후 총 개월 수 기입 ex) 2001.4~2004.2(34월)
2-2. 대외수상 실적 번호
시상기관
시상품격
- 227 -
수상자 (개인 또는 기관)
수상연도
비고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3. 사업단 지원계획 3-1. 공간 지원
3-2. 시설 및 연구기자재 지원
3-3. 연구인력 지원
3-4. 기타 지원
작성요령
◦ 사업단 총괄기관이 사업단에 제공하는 사무실 등의 공간, 연구장비, 연구인력 등의 지원 계획을 구체적으로 서술 3
◦ 공간 지원의 경우 사무공간, 연구공간으로 나누어 m 단위로 제시 ◦ 연구기자재 지원의 경우 지원기자재명, 구입연도, 규격, 구입가격, 수량, 용도등을 제시 ◦ 연구인력의 경우 연구관리인력, 연구인력으로 나누어 기관에서의 인력부담여부 등을 제시 ◦ 기타 지원의 경우 사무용기기, 사무용품지원 등을 제시
- 228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Ⅱ. 사업단장 현황 1. 인적사항 1-1. 개요 성
명(한문)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팩스번호
휴 대 폰
소속 기관명
기관유형
부
직위/직책
서
주
명
기업( ), 연구기관( ), 연구조합( ), 대학( )
소
1-2. 학력 연도(부터~까지)
학
교
전
공
학위
기
관
부
서
직위/직책
최종학위논문제목
1-3. 경력 연도(부터~까지)
- 229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2. 사업 및 연구 수행실적 □ 총괄표
구분
정부출연 개발사업 수행실적
소속조직내 사업 수행실적
연구개발사업 수행실적
연도 과제수
사업비 건
과제수
억원
사업비 건
억원
연구 개발비
과제수 건
억원
2-1. 주요 사업수행성과
작성요령
◦ 최근 10년 이내에 수행한 실적을 작성 ◦ 사업개발성과(사업개발수행실적 둥) 중 가장 대표적인 사업개발성과물(2건 이내)에 대해 각 3쪽 이내의 요약본(자유양식)을 작성하여 첨부
- 230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2-2. 사업 및 연구 수행실적 (단위: 백만원)
사 업 명
개발기간
사업개발 수행당시의 소속기관 (참여유형)
역할 (과제책임 개발사업 사업비 사업개발 자 또는 비 지급기관 결과 참여자)
1)
2)
작성요령
◦ 최근 10년이내에 수행한 사업개발과제 목록 ◦ 기술개발수행 당시의 소속기관의 참여유형에 주관기관, 참여기업, 위탁기관 등을 ( )내에 기재 ◦ 기술개발 결과는 사업화 진행 유무를 표시(사업화 실시중, 완료, 미실시 등)
2-3. 사업개발 관련 수상 실적 수상명
수상일자
수여기관
작성요령
◦ 정부기관, 협회 및 학회 등(비고란에 국내, 국외를 구분) ◦ 필요시 수상 실적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첨부
- 231 -
수상내역
비고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2-4. 해당 사업분야 기술보급 및 사회적 공헌 실적 사업분야
기술보급 및 사회적 공헌 실적
기간
비고
작성요령 ◦ 해당 사업분야, 기업, 정부기관, 협회 및 학회 등(비고란에 국내, 국외를 구분) ◦ 필요시 공헌 실적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첨부
2-5. 기타 실적
작성요령 ◦ 해당 사업분야, 기업, 정부기관, 협회 및 학회 등(비고란에 국내, 국외를 구분) ◦ 기술료 수입 및 기타 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실적을 자유롭게 기술
- 232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2-6. 국내외 논문게재 실적 가. 국 내 ◦ 관련논문
◦ 기타논문
나. 국 외 ◦ 관련논문
◦ 기타논문
작성요령
◦ 최근 5년간 국내외 논문게재 실적을 연차순으로 정리하고, 저자명, 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 호, 쪽의 순으로 표기 예) Hong, K.D., 199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J. of Science & Technology, Vol 20, No. 5, PP. 20-29 ◦ 기재시 해당 사업 관련논문과 기타논문으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각각의 논문 중에서 3개 이내의 대표논문은 밑줄을 그어 표기
- 233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3. 기획관리능력 3-1. 사업기획 실적 기획사업명 수행기관
기획 책임자
기술개발 기간
역할 (책임자 또는 참여자)
지원기관
비고
1) 2)
작성요령 ◦ 최근 10년이내 건설기획사업 참여 실적 ◦ 수주 계약서가 있는 경우 사본 첨부 ◦ 기획한 사업의 성과 관련자료(기획 보고서 표지(요약포함), 사업 leaflet, 관련기사 등) 첨부 ◦ 비고란에는 사업착수여부, 착수사업명, 사업성공여부, 사업수행현황을 기재
3-2. 사업개발관리 실적 역할 기술개발사업명 (사업단장 또는 총괄책임자 등)
주관기관
사업비 지원기관
사업비
주요내용
1) 2)
작성요령 ◦ 최근 10년이내 수행한 사업개발사업의 관리 실적 ◦ 관리한 사업의 성과 관련자료(기획 보고서 표지(요약포함), 사업 leaflet, 관련기사 등) 첨부 ◦ 비고란에는 사업착수여부, 착수사업명, 사업성공여부, 사업수행현황을 기재
- 234 -
제 8 장
4. 대외활동 등 지도력 4-1. 건설교통연구개발사업 비전
작성요령
◦ 해당 사업단 수행에 관한 비전을 기술(자유형식으로 A4 2장이내)
- 235 -
사업단장 공모기준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4-2. 학술활동 수행실적 학회명
역할
활동기간
활동중 주요 실적
1) 2)
작성요령
◦ 국내외 학회 편집위원(editor, referee) 활동 등 기술 ◦ 역할은 직책 등을 기술
4-3. 국가과학기술 또는 건설교통 관련 주요 위원회 참여실적 위원회명
주관부처
참여기간
역할 (위원장 또는 위원 등)
1) 2)
작성요령
◦ 최근 5년이내 국가과학기술관련 주요 위원회 참여실적 ◦ 위촉장이 있는 경우 사본 첨부
- 236 -
주요내용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4-4. 국제활동 수행실적
기구명/회의명
역할
활동기간
1) 2)
작성요령
◦ 국제기구 및 국제회의 활동
- 237 -
활동중 주요 실적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별지 서식 제4-3호]
사업단 운영계획서
- 238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계획서(사업단 과제) 1)사업단명
2)총괄기관
3)사업단장
사업자등록번 호
기 관 명 주
소 (
-
)
성
명
부
서
주민등록번 호 전 화
직
위
F A X
휴대전화
4)총개발기간
200
.
.
~
200
.
.
5)당해단계 ( 단계) 개발기간
200
.
.
~
200
.
.
6)총사업비 (천원)
구 7)당해단계 ( 단계)의 연차별사업비 (천원)
8)실무담당자
민 간 현금 부담금 현물
정부 출연금 분
1차년도
계
2차년도
3차년도
계
정부출연금 민간 현금 부담금 현물 합
계
성
명
전
부서/직위
화
휴대전화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운영규정 및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사업단 관리지침에 따라 사업단 사업을 성실히 수행하고자 건설교통연구개발사업 사업단 총괄기관 및 사업단장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200 년
월
일
:
(인)
사업단 총괄기관장 :
(직인)
사업단장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장 귀하 - 239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목
차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00 1-1. 연구개발의 중요성(필요성) ·························································································· 00 1-2. 국내․외 관련기술의 현황 ··························································································· 00 1-3. 연구개발시 예상되는 파급효과 및 활용방안 ··························································· 00 2. 시장현황 및 사업화 전망 ··································································································· 00 2-1. 시장현황 및 규모 ··········································································································· 00 2-2. 실용화 및 사업화 전망 ································································································· 00 3.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 00 3-1. 최종목표 ··························································································································· 00 3-2. 단계별 개발목표 ············································································································· 00 3-3. 단계별 연차계획 개발내용 및 범위 ··········································································· 00 3-4. 핵심과제별 주요목표 및 추진방안 ············································································· 00 4. 당해단계 연구개발 추진전략 및 체계 ············································································ 00 4-1. 연구개발 추진전략 ········································································································· 00 4-2. 연구개발 추진체계 ········································································································· 00 4-3. 사업단 편성도 ················································································································· 00 4-4. 실용화 전략(Test bed 구축사업) ··············································································· 00 5. 당해단계 연구개발 추진일정 ···························································································· 00 6. 연구개발실적 및 연구원 ····································································································· 00 6-1. 총괄기관 주요기술개발 및 실용화실적 ····································································· 00 6-2. 사업단장 ··························································································································· 00 7. 당해단계 사업비 ··················································································································· 00 7-1. 연차별 총괄 ····················································································································· 00 7-2. 연차별 핵심과제 사업비 현황 ····················································································· 00 8. 당해단계 사업단 운영비 ····································································································· 00 8-1. 연차별 총괄 ····················································································································· 00 8-2. 비목별 총괄 ····················································································································· 00
- 240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8-3. 1차년도 비목별 소요명세 ····························································································· 00 8-4. 2차년도 비목별 소요명세 ····························································································· 00 8-5. 3차년도 비목별 소요명세 ····························································································· 00 9. 사업총괄기관 현황 ··············································································································· 00
- 241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 본 장부터 Page No.를 기입 할 것 ※ 서술란의 크기는 사업내용에 따라 조정가능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1. 연구개발의 중요성(필요성)
1-2. 국내․외 관련기술의 현황
1-3. 연구개발시 예상되는 파급효과 및 활용방안
2. 시장현황 및 사업화 전망 2-1. 시장현황 및 규모 (1) 주시장(국가 또는 지역):
,
,
(2) 시장규모 구
분
현재의 시장규모 ( 200 년 )
예상 시장규모 (200 년)
세 계 시 장 규 모
억원
억원
한 국 시 장 규 모
억원
억원
* 산출근거: (3) 세계시장의 성격(해당란에 모두 표시) □ 안정성이 큼 □ 영속성이 있음 □ 성장성이 있음 □ 독점성(또는 과점성)이 있음 (4) 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외 회사는? 5개사 미만 □ 회사 : (국명 : )외 5개사 이상 □
- 242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2-2. 실용화 및 사업화 전망 (1) 사업화 추진현황 및 향후 추진계획 (2) 매출실적 및 계획 (3)
3.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3-1. 최종목표
3-2. 단계별 개발목표 (1) 1단계 개발목표
(2) 2단계 개발목표
(3) 3단계 개발목표(☞ 3단계 사업과제가 아닌 경우에는 동 항목을 전체 삭제)
3-3. 단계별 연차계획 개발내용 및 범위(상세히 기재)
3-3.-1. (
) 단계 연차계획
(1) 1차년도 ① 개발목표 ② 개발내용 및 범위(시스템 구성도, 구조 등은 그림으로 표현)
- 243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2) 2차년도 (☞ 2차년도 사업과제가 아닌 경우에는 동 항목을 전체 삭제) ① 개발목표
② 개발내용 및 범위(시스템 구성도, 구조 등은 그림으로 표현)
(3) 3차년도 (☞ 3차년도 사업과제가 아닌 경우에는 동 항목을 전체 삭제) ① 개발목표
② 개발내용 및 범위(시스템 구성도, 구조 등은 그림으로 표현) 3-3.-2. ( )단계 연차계획
(1) 1차년도 ① 개발목표
② 개발내용 및 범위(시스템 구성도, 구조 등은 그림으로 표현)
(2) 2차년도 (☞ 2차년도 사업과제가 아닌 경우에는 동 항목을 전체 삭제) ① 개발목표
② 개발내용 및 범위(시스템 구성도, 구조 등은 그림으로 표현)
(3) 3차년도 (☞ 3차년도 사업과제가 아닌 경우에는 동 항목을 전체 삭제) ① 개발목표
② 개발내용 및 범위(시스템 구성도, 구조 등은 그림으로 표현)
- 244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3-4. 핵심과제별 주요목표 및 추진방안
4. 당해단계(00단계) 연구개발 추진전략 및 체계 4-1. 연구개발 추진전략
4-2. 연구개발 추진체계 ※ 다음 예시와 같이 작성함(예 : 저진공 펌프 개발)
계획수립 및 자료조사
설계도면 작성
1차년도 (200 년)
진공펌프 설치
전체시스템 구성
주요평가방법에 따른 성능 평가항목 결정 실험실에서 성능평가 모의 실험 성능평가 표준방법 확립
1차 시제품 설계 도면작성
1차 시제품 가공
2차년도 (200 년)
3차년도 (200 년)
- 245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4-3. 사업단과제 편성도
총 괄 기 관 사업단장 사업단장(○○○)외 ○○명
핵심과제명 (수행기간) 00.00.01~00.00.31
핵심과제명 (수행기간) 00.00.01~00.00.31
핵심과제명 (수행기간) 00.00.01~00.00.31
핵심과제명 (수행기간) 00.00.01~00.00.31
제1세부과제명 제2세부과제명
제1세부과제명 제2세부과제명
제1세부과제명 제2세부과제명
제1세부과제명 제2세부과제명
...
...
...
...
연구개발내용
연구개발내용
연구개발내용
연구개발내용
연구수행주체 구성비율
연구수행주체 구성비율
연구수행주체 구성비율
연구수행주체 구성비율
산업계( 학계 ( 연구계( 기타 (
산업계( 학계 ( 연구계( 기타 (
산업계( 학계 ( 연구계( 기타 (
산업계( 학계 ( 연구계( 기타 (
)% )% )% )%
)% )% )% )%
- 246 -
)% )% )% )%
)% )% )%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5. 당해단계 기술개발 추진일정 (
일련 번호
)단계 추진일정
핵심과제명
비고 1년
2년
3년
1 2 3 4 5 6 7 8 9 10
6. 연구개발실적 및 연구원 6-1. 총괄기관 주요기술개발 및 사업화 실적 구
분
내
용
지 원 기
연구개발실적
사업화실적
- 247 -
관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6-2. 사업단장 (1) 인적사항 성 명
직 장
자 택
국 문
(한문)
주민등록번호
영 문 기관명 부 서
전 화 F A X
직 위
휴대전화
주 소
( - )
주 소
( - )
전
화
(2) 학 력 연
도
학교명
전 공
학 위
~ ~ ~ ( 최종학위논문명 )
(3) 경 력 연
도
기 관 명
직
비
위
고
~ ~
(4) 수상경력 연
도
수
상
명
수 상 내 용
~ ~
(5) 특허/프로그램 출원․등록실적 일련 번호
특허/프로그램명
국가명
출원 등록일
- 248 -
출원․등록순번 / 출원․등록자수
비 고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6) 정부출연 개발과제 수행실적 일련 프로그램명 번호 (시행부처/기관)
과
제
명
총개발기간 (시작-종료일)
총사업비 (백만원)
비 고
(7) 주요사업화 성공과제 내용 및 실시기업 번호
과 제 명
실시기업
내 용
7. 당해단계 사업비 7-1. 연차별 총괄 (천원) 1차년도(200 ) 구
2차년도(
%
금 액
정 부 출 연 금 현 금 현 물 계 합
3차년도(
) 합
금 액
민 간 부담금
)
분
계
- 249 -
%
금 액
%
계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7-2. 연차별 핵심과제별 사업비 현황
7-2-1. 핵심과제명 : ※핵심과제 수 만큼 연차별 사업비 현황 작성 (1) 1차년도 (단위:천원) 세부과제명
정부 출연금
민간부담금 합 계 현금
현물
구성비 (%)
1. 2. 3. : : 사업관리비 계
(2) 2차년도 (단위:천원) 세부과제명
정부 출연금
민간부담금 합 계 현금
1. 2. 3. : : 사업관리비 계
- 250 -
현물
구성비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3) 3차년도 (단위:천원) 정부 출연금
세부과제명
민간부담금
구성비 (%)
합 계 현금
현물
1. 2. 3. : : 사업관리비 계
8. 당해단계 사업단 운영비 8-1. 연차별 총괄 (천원) 1차년도(200 ) 구
2차년도(
) 합
%
금 액
정 부 출 연 금 현 금 현 물 계 합
3차년도(
분 금 액
민 간 부담금
)
계
- 251 -
%
금 액
%
계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8-2. 비목별 총괄 (천원)
1차년도(200 )
2차년도(
현금
현금
)
3차년도(
총
)
계
비 목 현물
현물
현금
현물
현금
현물
소계
인건비
직접비
간접비
-
-
-
-
합 계
8-3. 1차년도 비목별 소요명세 (1) 1차년도 비목별 총괄 (천원)
비
목
현
금
현
물
계
구성비(%)
1. 인 건 비
2. 직 접 비
3. 간 접 비
합
-
계
100%
- 252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2) 1차년도 비목별 소요명세 ① 인건비 (단위 : 천원)
구 분
인력 구분
성명
월급여
직위
(A)
합 참여율(%) (B)
기존 인력 총괄기관 내부인건비 신규 인력
소
계
소
계
외 부 인건비
합
계
- 253 -
현금
계(A×B/100) 현물
계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② 직접비 (단위 : 천원)
구 분
연 구 기자재 및 시설비
품 명
규 격
단위
수량
단 가
금 액 (천원)
용도(당해 비고 개발사업에의 (현금, 관련내용) 현물)
구입
임차
재료비 및 전산처리․ 관리비 시작품 제작비 소
계
구 분
여
국내
비
국외
천원(현금
내
역
천원, 현물
단 가
회수 (수량,건)
천원)
금 액 (천원)
비고
수용비 및 수수료 기술정보 활동비 연구활동비 소
계
천원(현금
천원)
합
계
천원(현금
천원)
- 254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③ 간접비 (단위 : 천원)
구
분
단
가
회수 (수량,건)
금액(천원)
비
고
간접경비
연구개발 준 비 금
국 내 지적재산권 출원․등록비 국 외
과학문화활동비
연구실 안전관리비
합
계
천원(현금
8-4. 2차년도 비목별 소요명세 ※ 8-3. 1차년도 사업비 비목별 소요명세 양식에 준하여 작성 (☞ 2차년도 사업과제가 아닌 경우에는 동 항목을 전체 삭제)
8-5. 3차년도 비목별 소요명세 ※ 8-3. 1차년도 사업비 비목별 소요명세 양식에 준하여 작성 (☞ 3차년도 사업과제가 아닌 경우에는 동 항목을 전체 삭제)
- 255 -
천원)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9. 사업총괄기관 현황 기관명 구 분 대
표
자
성
명
기 업 유 형 (중소기업, 벤처기업, 대기업) 설
립
년
월
일
주
생
산
품
목
상시
종업원
수
전 년 도 매 출 액 (백 만 원) 매출액 대 비 연구개발비 비율 부 자기
채
비
자본
율 비율 (
주
소
전
화
F
A
X
담
당
자
-
)
(
- 256 -
-
)
(
-
)
제 8 장
[별지 서식 제4-7호]
사업단과제 선정평가서
- 257 -
사업단장 공모기준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 평가항목 총괄 1) 서류평가(100점) ◦ 사업추진계획 평가(70점) 평가항목 연구개발 목표 (10점)
연구개발 내용 (20점)
추진전략 및 계획 (15점) 연구수행능력 (15점) 실용화 방안 및 사업화 가능성 (15점)
점수
사업단 비전 및 목표 설정의 타당성
5
단계별 개발목표 및 성과지표의 적정성
5
U-Eco City의 개념 및 연구 필요성
5
국내외 기술현황 분석을 통한 핵심과제 도출과정의 적정성
5
핵심과제별 개발내용 및 범위의 적정성
5
세부과제의 구성 및 추진방안의 적정성
5
연구개발 추진전략의 적정성
5
연구개발 추진체계의 적정성
5
연구개발비 편성의 적정성
5
사업단 조직구성 및 관리계획의 적정성
5
총괄기관 지원시스템의 적정성
5
실용화 방안 및 사업화 전망
5
TEST BED 사업계획의 타당성 및 현실성
5
기술개발 우선순위 및 추진일정의 적정성
5
◦ 사업단장 및 총괄기관 역량 평가(30점) 평가항목 사업단장 역량 (15점)
사업단 총괄기관 역량 (15점)
점수
U-Eco기술 및 도시계획 관련 주요실적
5
U-Eco City 관련 전문성 및 기여도
5
사업단과제 기획능력 및 운영능력
5
사업단 총괄기관의 보유 역량
5
사업단 총괄기관 지원시스템의 적절성
5
사업단과제 추진을 위한 제안의 적정성
5
- 258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2) 발표평가(100점) 평가항목
운영계획 평가 (50점)
사업단장 평가 (50점)
점수
운영계획의 RFP에 대한 부합성
10
운영계획의 실현 타당성
10
운영계획상의 독창성
10
Test Bed 사업계획의 타당성 및 구체성
10
구성체계 및 추진계획의 구체성
10
사업단과제 이해도
10
사업단과제 추진 자격의 적정성
10
사업단 과제 추진을 위한 기획관리 능력
10
사업단 과제 추진을 위한 실천 능력
10
U-Eco기술 및 도시계획에 대한 경험과 지적능력
10
3). 종합 점수 종합 평가점수 : < 1)+2) >/2
- 259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Ⅰ. 서류 평가 Ⅰ-1. 사업추진계획 평가 평 가 척 도(B) 평 가 항 목
가중치 수 (A) 5
우
미
양
가
4
3
2
1
연구개발 목표 사업단 비전 및 목표설정의 적정성
1
단계별 달성목표 및 성과지표의 적정성
1
연구개발 내용 U-Eco City의 개념 및 연구 필요성
1
국내외 기술현황 분석을 통한 핵심과제 도출과정의 적정성
1
핵심과제별 개발내용 및 범위의 적정성
1
세부과제의 구성 및 추진방안의 적정성
1
추진전략 및 계획 연구개발 추진전략의 적정성
1
연구개발 추진체계의 적정성
1
연구개발비 편성의 적정성
1
- 260 -
점 수 (A×B)
판 정 근 거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평 가 척 도(B) 평 가 항 목
가중치 수 (A) 5
우
미
양
가
4
3
2
1
연구수행 능력
사업단 조직구성 및 관리계획의 적정성
총괄기관 지원시스템의 적절성
1
1
실용화 방안 및 사업화 가능성
실용화 방안 및 사업화 전망
TEST BED 사업계획의 타당성 및 현실성
기술개발 우선순위 및 추진일정의 적정성
소계
전문가 평가점수 (70점 만점)
1
1
1
14
- 261 -
점 수 (A×B)
판 정 근 거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Ⅰ-2. 사업단장 및 총괄기관 역량 평가 평가척도(B) 평 가 항 목
가중치 수 (A) 5
우
미
양
가
4
3
2
1
점 수 (A×B)
판 정 근 거
사업단장 역량
U-Eco 기술 및 도시계획 관련 주요실적
1
U-Eco City 관련 전문성 및 기여도
1
사업단과제 기획능력 및 운영능력
1
사업단 총괄기관 역량
사업단 총괄기관의 보유 역량
1
사업단 총괄기관 지원시스템의 적절성
1
사업단과제 추진을 위한 제안의 적정성
1
소계
전문가 평가점수 (30점 만점)
6
※ 타과제 수행 등으로 연구역량 집중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4~5” 항목에 낮은 점수 부여
- 262 -
제 8 장
사업단장 공모기준
Ⅱ. 발표 평가 평가척도(B) 평 가 항 목
가중치 수 (A) 5
우
미
양
가
4
3
2
1
점 수 (A×B)
판 정 근 거
운영계획 평가 운영계획의 RFP에 대한 부합성
2
운영계획의 실현 타당성
2
운영계획상의 독창성
2
Test Bed 사업계획의 타당성 및 구체성
2
구성체계 및 추진계획의 구체성
2
사업단장 평가 사업단 과제 이해도
2
사업단 과제 추진 자격의 적정성
2
사업단 과제 추진을 위한 기획관리 능력
2
사업단 과제 추진을 위한 실천능력
2
U-Eco기술 및 도시계획에 대한 경험과 지적능력 전문가 평가점수 소계 (100점 만점)
2 20
Ⅲ. 종합 점수 종합 평가점수 : (Ⅰ+Ⅱ)/2
- 263 -
최종평가점수
별첨 1
U-Eco City 사업단장 공모 제안요구서(RFP)
사 업 단 명
U-Eco City 사업단
1. 사업추진 최종목표 ◦ 첨단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 및 생태공학기술을 활 용하여 국민 삶의 질 향상, 도시의 경쟁력 향상 및 국가 균형발전 선 도, IT산업의 선순환 촉진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U-Eco City Test Bed 건설 ◦ 중점추진 핵심과제 - 미래도시 전략 및 U-City 지원정책 개발 -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개발 - U-Space 구축기술 개발 - U-based Eco Space 구축기술 개발 -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 핵심과제의 세부내용은 "U-Eco City 사업단 사전기획연구"보고서를 참조 2. 사업의 최종성과물 ◦ 미래도시 전략 및 U-City 지원정책 -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술 - U-City 중장기 전략(TRM)과 지원정책 ◦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개발 - U-City 인프라 구축을 위한 활용 기술 - 도시통합운영체계 및 모델 - 영상취득․U-Post 등의 제품 ◦ U-Space 구축기술 개발 - U-City 조성을 위한 융․복합건설 기준 - 공공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 및 Test Bed 적용기술 - 민간서비스 구현을 위한 U-Space 구축 및 Test Bed 적용기술 ◦ U-based Eco Space 구축기술 개발 - 공간환경정보 제작 기법 - 첨단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3D 도시환경계획기술 - 생태도로교통시스템 / 환경성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 - 생태적 물순환 관리 시스템 구축 기술 ◦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 U-Eco City Test Bed 건설관리 프로세스 및 DB 구축 - Pilot Project 및 Test Bed 시범사업 ※ “U-Eco City 사업단 사전기획연구”를 참조하여 제안서 제출시 중장기적인 실용화 방안 제시와 함께 Test Bed 구현과 같은 각 핵심과제의 중간성과물을 실용화하는 방안을 반드시 구체적으로 제시
- I -
3. 사업추진 필요성 □ 연구개발의 필요성
◦ U-Eco City 구축을 통해 성취될 수 있는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비전 제시 필요 ◦ 유비쿼터스 환경과 친환경 도시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높은 단계에 달해 있으나, 민간이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의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 고 국지적임. ◦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전 과정의 도시개발 기술과 U 기반 기 술이 접목될 경우 U-City 건설관련 기술의 선두주자로 부상 가능 o o 최첨단 IT 기술이 융합된 U-Eco City는 다가오는 미래도시의 유력 한 대안으로, 미래도시 건설 기술 확보와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사업임.
□ 기술동향
◦ 국내기술동향 - 국내 U-Eco City 구축은 지자체 별로 다양한 형태의 U-City가 추 진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본계획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아직 구체적 인 실체를 가지고 있지 못한 실정임 - 우리나라의 경우 통신 인프라가 세계 최대이고, 무선 인터넷을 비롯 한 관련 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고 있어 유비쿼터스 기술을 건 설분야에 적용하는 데 매우 유리한 여건을 갖추고 있음 - 건설분야에서도 이미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기초적인 유비쿼터 스 기술을 도입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기술의 건설 분야 적용시 많은 비용절감 및 안전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우리나라에 구축된 여러 가지 기반 기술의 장점을 살려 건설분야에 IT기술이 접목된 첨단 IT 융합 건설기술을 도출하여 새로운 부가가 치를 창출할 수 있는 성장엔진과 국가전략이 필요한 시기임 ◦ 국외기술동향 - 해외 U-City 현황을 살펴보면 아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 홍콩, 싱가포 르, 일본 등으로 조사되었고, 유럽에서는 핀란드, 덴마크, 독일 등과 중 동의 두바이 등이 있음 - 국외에서 추진하고 있는 첨단신도시 또는 Digital City는 U-City라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으나, 첨단 IT기술을 도시의 고 유한 기능과 접목하여 도시별 특성을 발전시키고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음 - 최근 미국, 일본, 유럽 등과 같은 선진국들은 유비쿼터스 관련 차세대 IT산업을 미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기술로 인식하고 유비쿼터 스관련 기반기술의 타산업 활용분야 개척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 - 세계의 IT 융합 건설기술 시장규모는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방대하 므로 국내의 공격적 R&D전략을 바탕으로 기술개발이 수행될 경우, 세 계시장 선점을 통한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측됨.
- II -
4. 추진 전략 및 목표 □ 추진 전략
◦ U-Eco City Test Bed 구축에 의한 기술개발 선투자를 통해 민 간분야가 참여하는 세계적인 기술 개발 유도 - 국가적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실제적인 기술 구현을 위해서는 공공주도의 Test Bed 시범사업을 통해 기술경쟁력의 실체가 되 는 민간부문의 참여를 유도 - 기 구축된 기술을 바탕으로 민간으로 확대 발전될 수 있는 기 술개발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여 민간부문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세계 제일의 U-Eco City 실현 및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한 세계 시장 진출 ◦ 타 부처 원천기술 활용을 통해 실현가능한 U-Eco City 기술개발 - 우리나라의 경우 통신 인프라가 세계 최대이고, 무선 인터넷을 비 롯한 관련 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고 있어 U-Eco City 구축 환경에 매우 유리한 실정임 ◦ 세계적인 U-Eco City와 비교하여 경쟁우위에 있을 수 있는 랜드 마크적인 Test Bed를 구축하여 해외수출산업으로 발판을 마련 ◦ 개발된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추진체계 확립 - 사업주무부처(건설교통부), 전문기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및 수행기관과의 명확한 역할분담을 통한 기술개발 성과확보 - 시범지역 및 사업협력기관을 선정, 실용화를 위한 Test Bed 구축
□ 단계별 목표
◦ 1단계 (2007년 ∼ 2009년) - U-City 사회상과 미래공간, U-City 중장기전략, U-City 지원 정책 - U-City 구현을 위한 기반 인프라 기술 개발 - U-Space 구축을 위한 융․복합건설기준 및 서비스 기술 개발 - U-Eco Space 구축 핵심 요소기술 개발 - Test Bed용 적용기술 선정 및 건설관리 프로세스 구축 ◦ 2단계 (2010년 ∼ 2012년) -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술 그리고 공간구조변화 연구 - 기반 인프라 혁신을 위한 장비 및 기술개발 - U-Space 구축을 위한 현장적용 기술 및 Test Bed 적용기술 개발 - Test Bed 적용 기술 개발 및 U-Eco Space 구축 기술 체계화 - Test Bed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 III -
5. 사업단 추진체계 ◦ ’06년 5월 수립된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에 의거 비전과 전문지 식을 갖춘 사업단장이 과제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책임운영체계 도입 - 연구개발․시험평가․성과확산 등 연구사업의 전주기적 경영관리 업무를 총괄하는 역할 수행 - 사업단장에게 핵심 및 세부과제 구성, 연구팀 편성, 연구비 배정 등 에 관한 권한을 부여하고 엄정한 평가로 이에 대한 책임부여 ※ 세부사항은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사업단운영관리지침(’06.9)”을 따름 6. 핵심과제 구성 내용
◦ 핵심과제명 및 과제내용 ▪ 미래도시 전략 및 U-City 지원정책 개발 - U-City 미래 도시상과 공간구조를 예측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구현 하기 위한 계획 및 설계 기술, 중장기 전략 그리고 U-City 지원 정 책 모색 ▪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개발 - U-City 기반 구축에 요구되는 유비쿼터스 건설기술의 구체적 적용 방안 및 도시통합운영모델, 정보수집 및 안내를 위한 기술개발 ▪ U-Space 구축기술 개발 - 도시민 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공간과 서비스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도시민 생활 중심의 도시시설물, 도시공간, 건축물 및 주거단 지에 대하여 U-융합기술을 개발하여 Test Bed에 구축 ▪ U-based Eco Space 구축기술 개발 - 심각한 환경부하를 유발하는 기존 도시건설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Eco Space 조성 기술을 개발하여 Test Bed에 실현 - 첨단기술의 활용으로 선진국과 차별화 가능한 Eco Space 기술 개발 ▪ U-Eco City Test Bed 구축사업 - 핵심과제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하여
Test Bed에 적용하여 최고 수
준의 U-Eco City를 건설
7. 시작품 제작 또는 테스트베드 유형
◦ 사업단장 응모자는 본 사업단의 추진일정에 따라 핵심기술이 Test Bed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사업계획(인허가 및 설계)이 어느 정도 추 진되고 있는 신도시중에서 Test Bed 후보지 선정(안)을 제시하되, 연 구성과물을 Test Bed에 적용하여 가시적인 형태로 도출될 수 있도록 실용화 전략(Test Bed 구축사업)을 제시하여야 함.
- IV -
8. 기대효과
ㅇ 국민 주거생활의 편의성 및 쾌적성 20% 증진 ㅇ 도시 기능의 최적화 및 인프라 중복투자 방지로 10% 비용 절감 ㅇ 도시 운영 효율화를 통한 지방 정부의 재정부담 10% 경감 ㅇ 건설 + IT 신성장 동력관련 산업 활성화로 매출 50% 증가 ㅇ 생태도시 조성 기술의 첨단화, 과학화로 선진국의 50% 수준인 생태공 간 조성 기술을 80% 수준으로 개선 ㅇ U-Eco City Test Bed 구현을 통하여 국제 경쟁력 향상 ㅇ 해외 건설시장 점유률 10% 증대
9. 사업단 운영형태 및 실용화 방안
◦ 사업단 운영형태 - 사업단 : 법인 또는 독립된 조직형태의 사업단 구성 - 산․학․연․관의 연계를 활용한 역할분담과 효율적인 운영체계를 확립 ※ 세부사항은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사업단운영관리지침(’06.9)”에 따름 ◦ 실용화 방안 - 기술수요처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유도를 통하여 실용성면에서 완성도 높은 기술(시스템, 제품 등) 개발 - 사업단장이 사업의 전체에 대한 실용화 방안 제시 - 사업단장이 각 핵심과제별로 구체적인 실용화 방안 제시 10. 단계별 사업기간 및 소요예산 □ 전 체
◦ 사업기간 : 2007년 ∼ 2012년(6년) ◦ 사업예산 - 총사업비 : 정부 1,044 억원
□ 제1단계
□ 제2단계
◦ 사업기간 : 2007년 ∼ 2009년(3년) ◦ 사업예산 - 총사업비
: 정부 390억원
2007년
: 정부 78억원
◦ 사업기간 : 2010년 ∼ 2012년(3년) ◦ 사업예산 - 총사업비
: 정부 654억원
11. 기 타 ◦ 법제도, 표준 및 실용화를 위한 조직체계 및 인력 투입방안 제시 ◦ 2차년도 이후 예산은 정부 예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사업단장 선정 후 사업운영계획에 따라 과제내용이 일부변경 될 수 있음 ◦ 기타 세부사항은 “U-Eco City 사업단 사전기획연구'를 참고
- V -
이 보고서는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에서 시행한 U-Eco City 사업단 사전기획연구 최종 보고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