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YMCA1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Page 1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01

인사말씀

서광선 (한국YMCA100주년기념사업회 공동대표)

02

축 사 1

야마다 고헤이 (아시아태평양YMCA연맹사무총장)

축 사 2

이시재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03

심포지엄

01

09

13

17

순서 & 발표자 및 순서담당자 약력소개

19

세션1. 한국YMCA 1세기 역사를 통해 본 새로운 전망과 비전 - 시민사회 형성과 발전의 관점에서

30

* 발 제 : 김흥수 (목원대교수, 한국YMCA100주년 역사편찬위원회 위원) * 토론1 : 정현백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 토론2 : 조대엽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토론3 : 김용복 (YMCA 생명평화센터 고문, 아시아태평양생명학연구원 원장) 세션2. 지구시민사회의 흐름과 전망 그리고 한국시민사회 운동의 과제

88

* 발 제 : Ingrid Srinath (CIVICUS 전 사무총장) * 토론1 : 이성훈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 * 토론2 : 이정옥 (대구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한국NGO학회 학회장) * 토론3 : 신대균 (YMCA 시민운동위원회 위원장) 세션3. 세계 평화운동의 전망과 YMCA운동의 과제 : 시민평화교육운동의 관점에서 * 발 제 : Dr. Swee-Hin Toh (유엔평화대학 석좌교수) * 토론1 : 김정수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부설 한국여성평화연구원 원장) * 토론2 : 강순원 (한신대학교 심리아동학부 교수 교수) * 토론3 : 정지석 (YMCA 생명평화센터 소장, 국경선평화학교 대표)

146


Opening

David Kwang-Sun SUH

Remarks

(Presidium of Centennial Commemoration Committee)

Congratulatory

Mr. Kohei YAMADA

Remark 1

(General Secretary, Asia and Pacific Alliance of YMCAs)

Congratulatory

Dr. LEE, Si Jae

Remarks 2

(Presidium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etwork in Korea)

01

09

17

Program & Introduction of Resource Persons

19 30

* Presenter : Dr. KIM, Heung Soo (Professor, Mokwon University; Member of Centennial Chronicle Committee of Korea YMCA) * Panelists1 : Dr. JEONG, Hyun Baek (Co-Representativ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etwork in Korea ) * Panelists2 : Dr. CHO, Dae Yop (Professor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 Panelists3 : Dr. KIM, Yong Bok (Advisor, Center for Life and Peace in Korea YMCA; Director, Asia Pacific Center for Integral Study of Life) 2. Global Civil Society Trends and Prospects; Tasks for Korean Civil Society Movemen

88

* Presenter : Ms. Ingrid SRINATH (Former President of CIVICUS) * Panelists1 : Mr. LEE, Seong Hoon (Executive Director, Korea Human Rights Foundation) * Panelists2 : Dr. LEE, Jung Ok (Professor of Sociolog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Presid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NGO Studies) * Panelists3 : Mr. SHIN, Dae Kyun (President, Korea YMCA Civil Movement Committee) 3. World Peace Movement Prospects and Tasks for YMCA Movement: From Civil Peace Education Movement Perspective * Presenter : Dr. Swee-Hin TOH (Distinguished Professor, UN Mandated University for Peace) * Panelists1 : Dr. KIM, Jeong-Soo (Researcher, Korea Women’s Peace Research Institute, Women Making Peace) * Panelists2 : Dr. KANG, Soon-Won (Professor in Education, Psychology and Children Department, Hanshin University) * Panelists3 : Dr. JUNG, Jiseok (Director, Center for Life and Peace in Korea YMCA; Representative, Border Peace School )

02

13

Symposium

1. New Prospects and Vision through 100 years of Korea YMCA - From civil society formation and development perspective

01

146

03



01


인사말씀 Opening Remarks

01

서광선 Ⅰ한국YMCA100주년기념사업회 공동대표

David Kwang-Sun SUH ⅠPresidium, Centennial Commemoration Committee of NCYK

한국YMCA, 기독교 청년회의 지나 온 역사와 앞으로 오는 100년의 내일을 바라보며 어제 와 내일을 연결하는 고리, 비전, 이념과 상상력을 생각해 봅니다. 첫째, YMCA의 출발점과 종착점은 기독교이고 기독교 정신이고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예 수 운동 입니다. 한국의 젊은이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을 따라, 그의 제자 되기를 각오하고 그리스도의 복음을 선포하고 그리스도가 살아온 길을 따라 가겠다는 다 짐과 약속으로 시작된 운동입 니다. 미국 선교사들이 교회 안과 학교 안에 모여 든 학생들에게 성경을 읽게 하고 복음의 뜻을 일깨우 고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의 뜻을 몸에 익히고, 교회와 사회에서 어떻게 말하고 행동하는가를 배우 고 훈련하게 한 것이 한국YMCA 운동의 시작이었습니다. 둘째로, 한국YMCA 운동은 시대적인 운동이었습니다. Y는 기독교 운동이지만, 교회 안에만 머문 운동이 아니었습니다. 교회 밖의 세계, 한국 사회가 처한 역사적인 상황에 응답하는 사회운동이었습 니다. 19세기 말, 외국의 선교사들이 한국 땅에 들어서서 시작한 일들은 학 교를 세우고 학생들을 가 르치고, 병원을 세워서 근대 서양 의술을 가르치고 병자들을 치유하는 일과 함께 교회를 세워서 교인 들을 불러 모아 세례를 주는 일이었습니다. 그러면서 기독교 학교 안과 밖에서 YMCA 운동을 펴 나갔

0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습니다. 기독교 사회운동, 종교의 이름으로 시작한 최초의“시민사회운동”이었습니다. 셋째로, 시대적 운동체, 시민사회 운동체로서의 한국YMCA는 20세기 초 한반도, 한국 민족이 당면 한 시대적인 도전에 대응하였습니다. 1894년 120년 전 갑오년의 청·일 전쟁과 1904년 러·일전쟁 의 소용돌이 속에서 이 땅에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 침략의 야수가 밀려들어오는 종말적 위기의 시대 에 한국YMCA는 탄생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자유와 해방, 그리고 사랑과 정의의 복음으로 인하 여 민족적 각성과 자유와 자주 해방과 독립 정신으로 이 위기에 용감하게 직면했습니다. 시대적 악마 의 세력에 대항하는 선한 싸움의 시작이었습니다. 한국 기독교 청년회는 민족 자주 독립의 운동체였 습니다. 그래서 1910년 이른바 105인 사건에, 그리고 1919년 3.1 독립만세운동 사건의 주체가 되었 던 것입니다. 넷째로, 한국YMCA는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치하에서 억압과 착취에 시달리는 민족의 희망의 빛이 되었습니다. 일본제국주의는 YMCA를“이적단체”로 규정하고 억압과 감시와 단속과 간섭으로 일관 하다가 1938년에는 아예 강제 해산 명령을 단행했습니다. Y는 굴하지 않고 청년 운동을 계속하였습 니다. 농촌 계몽운동을 비롯하여 물산장려운동, 노동청년운동 등 문화운동과 함께 체육운동과 노동운 동을 지혜롭고 용기 있게 이끌어 왔습니다. 그리고 암암리에 반제국주의 기독교 사회주의 운동의 길 역시 모색하기도 했습니다. 다섯째로, 해방과 분단 그리고 한국전쟁 시대의 한국YMCA는 분단과 전쟁의 폐허 위에 다시 그 정 체성을 회복하고 복구하는데 힘을 모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참으로 어려운 시대였습니다. 어둠의 시 대, 죽음과 폐허의 시대, 불타다 남은 잿더미 위에 허물어진 Y를 다시 일으켜 세워야 하는 시대였습니 다. Y만을 복구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나라를 다시 세우고, 민족이 다시 일어나야 하는 시대였습니다. 배고픈 시대였습니다. 창백하고 야윈 얼굴의 굶주린 백성들이 다시 일어서고 밥 먹고 힘을 얻어 나라 를 다시 세우는 일터로 나가야 하는 시대였습니다. 새로운 나라, 새로운 비전, 새로운 희망과 꿈과 생 명력이 요구되는 시대에 Y는 다시 일어났습니다. 여섯째, 한국Y는 분단한국, 유신독재 시대에 한국 민주주의의 등불이 되었습니다. 반공주의와 경제 개발 독재를 내세운 군사 유신시대의 어둠을 뚫고 한국Y는 민주주의의 깃발을 띠웠습니다. 학생들과

03


01

인사말씀 Opening Remarks

노동자들과 지성인들이 손잡고 민주주의 회복을 위하여 말하고 행동하였습니다. 억압의 시대에 한국 Y는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한국YMCA목적문”을 창조해 냈습니다. 이 땅에 하느님 나라를 이룩하기 위해서 일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궁극적인 만방의 그리스도인들의 존재 이유와 목적을 위해서 그리 스도의 뒤를 따라 함께 배우고 훈련을 하면서 어두운 이 역사 속에서 자유와 해방의 역사의식을 계발 하고 사랑과 정의를 구현하고 청년문화를 일구고 민중의 복지 향상을 위하여 일하겠다는 약속을 했습 니다. 1976년의 일입니다. 대학생들과 교수들과 목사들과 기자들이 유신정권의 감옥에서 고생하고 있던 때였습니다. 그리고 Y 지도력 개발 을 향하여“간사학교”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일곱째, 1980년대 이른바 신군부의 유신강화 세력의 대두와 함께 일어난 광주 민주회복 봉기 운동 은 한국Y를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했습니다. 그것은 남북 분단의 시대적 민족적 위기에 대응하는 일 이었습니다.‘민주주의 없이 통일은 없다. 민주주의 없이 평화는 없다.’라는 명제들에 더하여, 분단의 극복 없이 민주주의와 인권은 바랄 수도 없다. 평화 없는 민주주의는 없다. 통일 없이 국민의 자유권과 생명권은 보장할 수 없다. 민주주의와 정의와 자유와 평화 그리고 생명은 기대할 수 없다. 한반도의 평 화와 통일은 아시아와 나아가서 온 세계의 평화와 연결된다는 뼈저린 각성입니다.

앞으로 100년, 한국YMCA의 도전은 세계YMCA의 도전과 일치합니다. 그것은 단적으로 이 세상에 사랑과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고, 평화의 바람이 불게하고 그리고 생명의 물결이 온 누리에 넘쳐나게 하는 일입니다. 한국YMCA는 세계 119개국 5천만 회원들과 연대하는 세계 적인 기독교 청년 시민사회 운동체, 에큐메니칼 기독교 공동체입니다. 그래서 힘이 있고, 꿈 이 있고 희망이 있습니다. 우주와 역사 창조의 하느님, 사랑과 정의의 하느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굳은 믿음이 우리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0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As we think back on the past journey undertaken by YMCA Korea and look forward to the next 100 years, I would like to contemplate on the link, vision, ideology and imagination that connect our past to future. Firstly, YMCA begins and ends in Christianity and Christian spirit, and is the movement focusing on Jesus Christ. This movement was started by Korean youths promising to cherish teachings and life of Jesus Christ as His students and follow His footsteps. YMCA Korea was founded when American missionaries read the Bible with students in church and school, teaching them the meanings of the Gospel, significance of becoming Christians, and trained them how to speak and act in church and society. Secondly, the YMCA Korea movement was a historical movement. Y is a Christian movement but was not confined to churches. It was a social movement responding to historical situations of the world outside of churches, and the Korean society. By the end of Secondly, the YMCA Korea movement was a historical movement. Y is a Christian movement but was not confined to churches. It was a social movement responding to historical situations of the world outside of churches, and the Korean society. By the end of 19th century, foreign missionaries built schools, taught children, established hospitals to teach modern western medicine, treated patients; they also built churches and baptized Christians. Meanwhile, they also led YMCA movement in mission schools and the community outside the schools. This was a Christian social movement and the first civic social movement that began under religion.? Thirdly, as historical and civic social movement, YMCA Korea responded to historical challenges faced by the Korean peninsula and Korean people. The Sino-Japanese War of 1894 and the Russo-Japanese War of 1904 unleashed waves of Japanese colonialism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 was then YMCA Korea was founded. YMCA Korea bravely fought against the crisis with the spirit of patriotic awareness, liberty, autonomy, and independence, all supported by Jesus Christ’s gospel of love, justice, freedom, and emancipation. It signaled the beginning of the war of the good against the historical evil. YMCA Korea was a movement of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ople. Thus, Korean YMCA became a main actor in the 105-Man Incident of 1901

05


01

인사말씀 Opening Remarks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Fourthly, YMCA Korea was a beacon of hope for the people suffering from repression and exploit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ism. Imperial Japan labeled YMCA as an enemy group and proceeded to suppress, monitor, crackdown on and interfere with Korean YMCA. In 1938, they even forced YMCA Korea to disband. Y never gave in and continued with youth movement. YMCA led cultural movements such as rural enlightenment movement,‘MulsanJangnyeo’ movement, labor youth movement, and sports as well as labor movements. Korean YMCA also secretly sought the path to anti-imperial Christian social movement. Fifthly, in the era of liberation, division and the Korean War, YMCA Korea did its utmost to recover its identity in the ashes of the war. It was a truly difficult time. It was the era of darkness, death and ruins; Y had to be literally rebuilt on the ashes. We also had to rebuild our country and people. We were all hungry. These hungry people, pale and gaunt, had to stand up, gather their strength, and work hard to rebuild the country. In the era that demanded the new country, new vision, new hope, new dream and new life, Y began anew. Sixthly, Korea Y was a beacon of Korean democracy in the era of divided Korea and dictatorship. Overcoming the darkness of dictatorship thinly veiled under anti-commu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Y served as a hope for democracy. Students, workers, and intellectuals all spoke and acted together for recovery of democracy. In this repressive era, to establish its identity, Korea Y created“Purpose of YMCA Korea.”It spoke of building the kingdom of heaven on this country. For this universal goal of all Christians, we were to follow the footsteps of Jesus Christ, train ourselves, establish liberty and emancipation, realize love and justice, promote youth culture and improve well-being of the people. The year was 1976. University students, professors, ministers and journalists were suffering in prisons of the dictatorship. To develop Y leadership, we started“Gansa (Secretary) School.” Finally, the Gwangju’s movement to recover democracy in the face of the emergence of new military dictatorship in 1980s drove Korea Y to be faced with another challenge: to respond to the historical and national crisis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o the motto “No reunification without democracy, no peace without democracy,”we also believed that

0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without reunification, democracy and human rights cannot be truly attained; that there would be no democracy without peace, no right to life and freedom guaranteed without reunification; that democracy, justice, freedom, peace and life all had to go hand in hand. We also realized that peace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inevitably linked with the peace of Northeast Asia and the entire world.

For the coming 100 years, YMCA Korea’s challenges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world YMCA. We want the world with love and justice, peace and life. YMCA Korea is an ecumenical Christian community, the world Christian youth civic social movement in solidarity with 50 million members in 119 countries. This gives us strength, dream, and hope. We believe our Lord, who created universe and history, and protects love and justice, are with us.

07



02


축사 1 Congratulatory Remarks 1

02

야마다 고헤이 Ⅰ아시아태평양YMCA연맹 사무총장

Kohei Yamada ⅠGeneral Secretary, Asia and Pacific Alliance of YMCAs

우선 아태지역 24개국 YMCA연맹의 연합체인 아시아태평양YMCA 연맹을 대표하여 한국 YMCA 100주년을 축하드립니다. 작년 6월 아시아태평양YMCA 연맹은 서울에서 열리는 사회경제 지역 워크샵에 참여했습니다. 당 시 우리는 한국 YMCA가 자신의 미션과 목표를 다양한 빈곤완화, 환경문제 해결, 평화구축 프로그램 참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특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한국YMCA는 빈곤 및 환경문제 해결과 평화구축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청년을 비롯한 모든 사람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대안을 찾는 노력을 해왔습니다. 이러한 YMCA가 아시아에 존재한다는 것이 매우 놀라웠습니다. 한국 MCA에 영감을 받아 우리는 YMCA를 통한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과 같은 경제의 대안적 패러다임 구축에 더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당시 워크샵 통해 배운 것은 한국의 현지 정부가 파트너십과 거버넌스 정신에 입각하여 사회 적 기업, 공공무역,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같은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건강한 사회 만들기와 같은 막중한 책임을 맡을 때 시민 사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그

1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러한 점에서 한국에서는 시민 사회가 의식적으로 지원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오늘 심포지엄이 여러분과 해외YMCA지도자들에게 우리 공동의 목표인 사회변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유익하고 의미 있는 경험이 되길 바랍니다. 오늘 심포지엄의 주제에서 알 수 있듯 이 YMCA는 시민 사회 성장에 다양한 기여를 하며 맡은 역할을 다해왔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시민사 회에 대해 배우고 이를 발전시키는 것, 더 나아가 YMCA가 시민사회 확대에 어떻게 기여 할 수 있는지 모색하는 일은 의미 있는 일입니다.

다시 한 번 역사적인 심포지엄에 초대해주셔서 감사드리며 생산적이고 결실 있는 토론을 기 대합니다.

First of all, on behalf of the Asia and Pacific Alliance of YMCAs which is comprised of 24 YMCA movements, I would like to congratulate you on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 It was last year in June when we, Asia & Pacific Alliance of YMCAs met in Seoul for the Workshop on Social Economy. We learned that the YMCA in Korea has been very unique in a way that it has been focusing its mission and direction toward involving in various poverty alleviation programs, environmental programs and peace building programs. And also, the YMCA has been exploring various ways and means to address the issues of poverty, environment, peace building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approaches to enriching the

11


02

축사 1 Congratulatory Remarks 1

lives of common people as well as young people. We were very surprised at the fact that this kind of YMCA exists in Asia. Such model inspired us to be more involved in creating alternative paradigm of economies such as cooperatives and social enterprises through the work of YMCAs. I also learned that the local governments have encouraged concrete programs of social enterprises, fair trade,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n the spirit of partnership and governance. I realized the important roles of civil society in assuming a heavy responsibility in the process of a healthy society-building. I was also impressed with people’s power within civil society consciously supporting individuals in Korea. I am hoping the symposium today would be very fruitful an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to you as well as to all the overseas YMCA leaders in our common search for relevant ways of social change. As indicated by the theme of the symposium, YMCA has played its roles in various ways as a seedbed for civil society to grow. In this context, it will be meaningful to learn and develop the future of civil society, and explore how YMCA could further contribute to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civil society.

Thank you once again for inviting me to this historic symposium today, and I look forward to productive and enriching discussions together.

12


축사 2 Congratulatory Remarks 2

02

이시재 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Dr. LEE, Si Jae ⅠPresidium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etwork in Korea

한국 YMCA의 백주년 기념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한국 YMCA는 우리 사회에 굳건히 뿌리내린 시민사회의 중추입니다. 창립 100년을 맞이한 YMCA 는 항상 시대의 부름에 호응하여 그때 그 때의 역사적인 사명을 해왔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운 동과 교육운동을 앞장서 이끌어 왔고, 청년들을 조직하여 농촌 계몽운동을 전개하는 등 우리 사회의 근대화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해방 후 YMCA는 정기적인 토론회 등을 통해서 한국사회의 공론형성을 위해 좋고 많은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근대화 과정에 어둡고 소외된 계층을 위해 시민자구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이러 한 시민자구운동과 공론형성운동이 밑거름이 되어 시민사회의 역량을 키웠고, 이것이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큰 역할을 하게 된 것입니다. 1980년대 이후 한국YMCA는 여러 사회 운동의 산실 역할을 해왔습니다. 정치적인 상황이 어려웠 던 당시에 노동운동도 YMCA를 기반으로 성장하였고, 교사들의 운동도 YMCA를 거점으로 발전해 왔 습니다. 오늘날 전국 60여개의 지역YMCA는 환경교육과 환경운동을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으며 지역

13


02

축사 2 Congratulatory Remarks 2

사회에서 여러 시민단체의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YMCA가 우리의 시민사회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것을 높게 평가하고 이를 위해 헌신해 주신 여러 YMCA의 역대 임원, 활동가, 회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이제는 한국의 시민사회도 큰 규모가 커지고 다양해졌습니다. 환경운동, 여성운동, 시민참여운동, 교육운동 등 다양한 운동이 각 전문 영역에서 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종래의 YMCA가 맡아왔던 선 도적이고 중추적인 역할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저는 여전히 우리 사회의 발전을 위해 시민사 회의 규모를 더 키우고 그 힘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저는 한국YMCA가 우리 사회 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역할을 해 주기를 기대합니다. 우리 사회는 지금 정치적으로 분열되어 있고 이 념적인 스펙트럼도 다양해졌습니다. 이때 YMCA가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의 정신에 입각하여, 우리 사회의 진정한 정의가 실현되고 보다 높은 차원의 통합을 위해 큰 역할을 해 줄 것을 기대합니다. 전국의 YMCA의 임원, 활동가 그리고 10만 회원들에게 창립100년을 맞이하여 다시 한 번 축하드 리며, 앞으로의 100년을 위해 더 큰 전진이 있기를 진심으로 축원합니다.

I’d like to congratulate YMCA of Korea on its 100thanniversary. The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 is the backbone of our civil society. It has always answered the call of times to play its role throughout the history. YMCA of Korea has played important role in our modern history by leading the national and education movement during Japanese colonialism and carried out enlightenment movement for rural communities by organizing youth.

1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After liberation, YMCA created various programs to form social consensus through regular debates and forums. Furthermore, it has carried out civil movement for those who were alienat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Based on these movements and efforts, capacity of civil society was strengthened which contributed to Korea’s democratization movement. Since the 1980’s, YMCA of Korea has served as a cradle for various social movements. During difficult political times, labor movement grew out of YMCA and teachers’movement was also developed based on YMCA. Today, sixty Local YMCAs across the nation are leading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 movement and are playing critical role for civil organizations in Korea. To this end, I would like to highly praise the contribution of YMCA to the development of our civil society and thank YMCA executives, activists and members. The size and type of civil society in Korea has increased. Various movements including environment, women, and civil participation and education movements are doing their part in specialized field. Today, the central and leading role that YMCA has played in the past has relatively decreased. But I believe we need to grow the size of civil society as well as its power in order to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To do that, YMCA of Korea needs to play a new role. These days, our society is politically divided and ideological spectrum has diversified. To address such issues, I look forward to YMCA to play a bigger role based on ecumenical spirit for integration of our society to realize justice.

I’d like to once again congratulate executives, activists and one hundred thousand members of YMCA of Korea on its 100th anniversary and hope for bigger progress for the next 100 years.

15



03


03

18

순서 & 발표자 및 순서담당자 약력소개 Program & Introduction of Resource Persons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사회 : 박재창 (아시아태평양YMCA동맹 전 회장, 숙명여대 명예교수) I부 : 개 회 식

2:00-2:15

인사말씀

서광선 (100주년기념사업회 공동대표)

축사

야마다 고헤이 (APAY 사무총장) 이시재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II부. 심포지움 1. 한국YMCA 1세기 역사를 통해 본 새로운 전망과 비전 - 시민사회 형성과 발전의 관점에서발제 : 김흥수 (목원대교수, 한국YMCA100주년 역사편찬위원회 위원) 토론 : 정현백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조대엽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김용복 (YMCA 생명평화센터 고문, 아태생명학연구원 원장) 2. 지구시민사회의 흐름과 전망 그리고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과제 발제 : Ingrid Srinath (CIVICUS 전 사무총장) 토론 : 이성훈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 이정옥 (대구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한국NGO학회 학회장) 신대균 (YMCA 시민운동위원회 위원장) 3. 세계 평화운동의 전망과 YMCA운동의 과제 : 시민평화교육운동의 관점에서 발제 : Dr. Swee-Hin Toh (유엔평화대학 석좌교수) 토론 : 김정수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부설 한국여성평화연구원 원장) 강순원 (한신대힉교 심리아동학부 교수 교수) 정지석 (YMCA 생명평화센터 소장, 국경선평화학교 대표)

전체토론 (30분)

19


03

순서 & 발표자 및 순서담당자 약력소개 Program & Introduction of Resource Persons

Moderator : Dr. PARK, Jai Chang (Former President, Asia Pacific Alliance of YMCAs; Professor Emeritu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art I. Opening Ceremony

Opening Remarks

14:00 ~ 14:15

David Kwang-Sun SUH (Presidium of Centennial Commemoration Committee)

Congratulatory Remarks

Mr. Kohei YAMADA (General Secretary, APAY (Asia Pacific Alliance of YMCAs))

Dr. LEE, Si Jae (Presidium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etwork in Korea)

Part II. Symposium

1. New Prospects and Vision through 100 years of Korea YMCA - From civil society formation and development perspective Presenter : Dr. KIM, Heung Soo (Professor, Mokwon University; Member of Centennial Chronicle Committee of Korea YMCA)

Panelists : Dr. JEONG, Hyun Baek (Co-Representativ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etwork in Korea )

Dr. CHO, Dae Yop (Professor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Dr. KIM, Yong Bok (Advisor, Center for Life and Peace in Korea YMCA; Director, Asia Pacific Center for Integral Study of Life)

2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2. Global Civil Society Trends and Prospects; Tasks for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 Presenter : Ms. Ingrid SRINATH (Former President of CIVICUS) Panelists : Mr. LEE, Seong Hoon (Executive Director, Korea Human Rights Foundation) Dr. LEE, Jung Ok (Professor of Sociolog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Presid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NGO Studies) Mr. SHIN, Dae Kyun (President, Korea YMCA Civil Movement Committee)

3. World Peace Movement Prospects and Tasks for YMCA Movement: From Civil Peace Education Movement Perspective Presenter : Dr. Swee-Hin TOH (Distinguished Professor, UN Mandated University for Peace) Panelists : Dr. KIM, Jeong-Soo (Researcher, Korea Women’s Peace Research Institute, Women Making Peace) Dr. KANG, Soon-Won (Professor in Education, Psychology and Children Department, Hanshin University) Dr. JUNG, Jiseok (Director, Center for Life and Peace in Korea YMCA; Representative, Border Peace School )

General Discussion (30minutes)

21


03

순서 & 발표자 및 순서담당자 약력소개 Program & Introduction of Resource Persons

잉그리드 스리나쓰 Ⅰ Ingrid Srinath 차일드라인 인도재단, 상임이사 콜카타 인도경영대학 CRY (Child Rights and You) 대표이사 CIVICUS 사무총장 UNDP (유엔개발계획), UNDCF (유엔개발협력포럼), WEF (세계경제포럼), 인도NGO 책임헌장 (INGO Accountability Charter), 공익법원 (Public Interest Registry and The Rules)등 자문위원

Executive Director, CHILDLINE India Foundation Indian Institute of Management, Kolkata CEO, CRY (Child Rights and You) Secretary General, CIVICUS Advisory boards,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Cooperation Forum (UN DCF), the World Economic Forum (WEF), INGO Accountability Charter, Public Interest Registry and The Rules.

고헤이 야마다 Ⅰ Kohei Yamada 아시아태평양YMCA연맹 사무총장(현) 일본 도쿄‘게이오 대학교’졸업, 미국에서 사회복지학 석사 학위 수료. 미국 볼티모어 YMCA에서 2년간 근무 도쿄YMCA, 도치기 YMCA 및 일본YMCA동맹에서 재직.

General Secretary, Asia and Pacific Alliance of YMCAs Graduate from Keio university, Japan and studied in US for Master of social work. YMCA of Baltimore for 2 years Tokyo YMCA, Tochigi Y, National Council

2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토 스위힌 Ⅰ Toh Swee-Hin 코스타리카 소재 UN평화대학 석좌교수 그리피스대학교 다종교센터의 창립위원 유네스코, IPRA의 평화교육위원회, 세계종교회의, 한국의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센터 아시아 태평양 종교 간 모임 호주 공식대표단 유네스코 평화교육상을 수상

Chair Professor, UN University for Peace in Costa Rica Founding member of the religious center of Griffith University UNESCO, IPRA's Peace Education Commission, the World's Religions conference, South Korea, Asia-Pacific Center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The official delegation of the Asia-Pacific inter-religious meeting in Australia UNESCO Peace Education Prize

강순원 Ⅰ Kang, Soon-Won 한신대 심리아동학부 교수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장 인권재단 사람 이사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래교육원 자문위원 한신대 교육대학원장(2003-2005)

Professor, Department of Psychology and Child Care President, Korean Society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Board member, Saram(Human Being)/Human Rights Foundation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UNESCO Asia-Pacific Center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Dean, Hansh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3-2005)

23


03

순서 & 발표자 및 순서담당자 약력소개 Program & Introduction of Resource Persons

김용복 ⅠKim, Yong-Bock 한국YMCA전국연맹 생명평화센터 고문 아시아태평양생명학연구원 원장 생명평화 연구교육협동조합 이사장 한일장신대학 전 총장

Advisor, Korea YMCA Center for Life and Peace, Chancellor, Asia Pacific Center for Integral Study of Life Chair of Board of Trustees, Research and Education Cooperative - Life and Peace President Emeritus, Hanil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김정수 Ⅰ Kim, Jeong-Soo 한국여성평화연구원 원장 전 평화를만드는여성회 공동대표 기독교여성평화연구원 상임연구원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한국여성단체연합, 통일평화위원장을 역임.

Korea Women's Peace Research Institute Former co-head Women Making Peace Christian Women's Peace researchers researchers Permanent Adjunct Professor School Sungkonghoe Korea Women's Association United, Served as Chairman of Peace and Unification.

2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김흥수 ⅠKim, Heung Soo 목원대학교 한국교회사 교수 전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소장(2006-2012) 전 대전YMCA 이사장(2010-2012)

Professor of Korean Church History, Mokwon University Director, The Institute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2006-2012) President, Daejeon YMCA(2010-2012)

박재창 Ⅰ Park, Jai-Chang 숙대 명예교수(현) 아시아태평양YMCA연맹 회장 한국행정학회 회장 대통령 소속 지방이양추진위원회 민간 측 위원장

Professor Emeritus, Sookmyung Women's University(present) President, Asia and Pacific Alliance of YMCAs President,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Co-chair, Presidential Commission on Devolution Promotion for Local Authorities

25


03

순서 & 발표자 및 순서담당자 약력소개 Program & Introduction of Resource Persons

서광선 ⅠDavid Kwang-Sun SUH 한국YMCA전국연맹 100주년기념사업회 공동대표. 미국 뉴욕 유니언 신학대학원에서 MDiv 신학석사, 밴더빌트대학교에서 PD 철학박사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교수(1964-96), 현 이화여대 명예교수 한국YMCA 전국연맹 이사 목적과 사업위원회 위원장 역임, 1976년 제정된 '한국 YMCA 목적문' 기초위원. 전 세계YMCA연맹 회장 역임 (1994-98)

Presidium, Committee on Centennial Celebration of National Ccouncil of YMCAs of Korea.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New York City, M.Div, Vanderbilt University, Ph.D in Religion Professor of Theology, Ewha Woman's University (1964-96) Professor Emeritus of Theology Trustee of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 Chair, Committee on Purpose and Programs; a drafter of "Korean YMCA Mission Statement" in 1976 President, World Alliance of YMCAs (1994-98)

신대균 Ⅰ Shin, Dae Kyun 한국YMCA전국연맹 이사 및 시민운동위원장 바이오컨사 대표이사 및 자원순환거버넌스포럼 공동대표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 역임. (1994-2000) 대통령자문행정쇄신위원회 실무위원회위원 (1993-2002)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초대 조직위원장 (1989-1994) 대구YMCA 간사 (1981-1984)

Board Member and Chairman of Citizen's Movement Committee of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 President of Biocon Waste Recycling Co, and Co Representative of Resource Recirculation Governance Forum of Korea Ombudsman of Korea(1994-2000) Member of Working Committee for Presidential Commission on Government Reform(1993-2002) Founding Chairman of Organizing Committee of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1989-1994) Secretary of Daegu YMCA (1981-1984)

2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이성훈 ⅠAnselmo Seong Hoon Lee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정책센터장 세계시민참여연대(CIVICUS) 국제이사 아시아개발연대 Asia Development Alliance(ADA)와 Asia Democracy Network (ADN) 공동 운영위원장. 현재 경희대 공공대학원과 사이버대학, 성공회대학 MAINS에 프로그램에서 인권, 개발, 아시아시민사회를 주제로 강의.

Executive Director, Korea Human Rights Foundation (KHRF) Director, Policy Center of the Korea NGO Council for Overseas Development Cooperation (KCOC), Board member of CIVICUS, World Alliance for Citizen Participation Co-convener, Asia Development Alliance (ADA) and Asia Democracy Network (ADN). Teaching about human rights, development, Asian civil society, etc. at Kyunghee and Sungkonghoe University.

이시재 Ⅰ Lee, Si Jae 성공회대학 초빙교수 가톨릭대학 명예교수(사회학)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Visiting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the Anglican Church Professor Emeritus at the Catholic University (Social Sciences) Co-head, Korea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27


03

순서 & 발표자 및 순서담당자 약력소개 Program & Introduction of Resource Persons

이정옥 Ⅰ Lee, Jung Ok 대구 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 한국NGO학회 회장 ARENA 국제위원 DMZ평화생명동산 이사 Ecopeace Asia 이사 저서 <Global Citizens in Charge (공저)>, <Hope and Realities of Global Democracy Promotion> 등 다수

Professor of Sociolog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Chairperson, the Korean Association of NGO Studies International Coordinator of ARENA Board Member, DMZ Life and Peace Village Board Member, Ecopeace Asia, Author of <Global Citizens in Charge>, <Hope and Realities of Democracy Promotion> etc.

정지석 ⅠJeong, Jiseok 국경선평화학교 대표와 한국 YMCA 생명평화센터 소장 영국 버밍험 우드부룩 퀘이커 대학원 미국 펜들힐에서 <퀘이커 평화사상과 함석헌 평화사상> 비교연구로 박사학위(PhD in Sunderland Univ.)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회교육원,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UNESCO-APCEIU), 대화 문화 아카데미 재직. 한신대 신학대학원과 성공회 대학에서 평화윤리와 영성을 강의.

Director of Border Peace School Director of Life-Peace Center in the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 PhD for Peace Studies, Quaker Peace Testimony and Ham Sokhon's Idea of Peace Worked for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Christian Academy, UNESCO-APCEIU, Dialogue Academy. Taught in Hanshin Seminary and Songgonhoe University

2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정현백 ⅠJeong, Hyun Baek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참여연대 공동대표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Sungkyunkwan University, Department of History, Professor of Liberal Arts Co-Representativ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etwork in Korea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co-head Korea Women's Association United, Co-representative

조대엽 Ⅰ Cho, Dae Yop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현)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장 (현) 한국비교사회학회장 한국정치사회학회 부회장 한국 NGO학회 부회장

Professor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Director, Korea Society Research Institute, Korea University President, Korean Association of Comparative Sociology Vice President, Korea Institute of Social and Political Vice President, Korean Association of NGO studies

29


03

세션 1 Session 1

한국YMCA 1세기 역사를 통해 본 새로운 전망과 비전 - 시민사회 형성과 발전의 관점에서-

S e s s i o n

1

김흥수 (목원대학교 교수, 한국YMCA 100주년 역사편찬위원)

이 글의 목적은 한국YMCA전국연맹 한 세기를 맞이하여 한국YMCA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데 있다. 여기서 한 세기가 넘는 한국YMCA의 과거를 다 거론할 수는 없고 어떤 사람들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YMCA 운동을 이끌어 왔는지, 한국의 역사 속에서 YMCA의 과제를 어떻게 설정했는지, 그것이 사업 이나 프로그램으로 어떻게 구체화되었는지 하는 문제만을 간단하게 살펴볼 것이다. 한국 시민운동사 에서 장구한 역사를 가진 YMCA의 미래를 내다보는 것은 필자의 능력 밖의 일이나 이 글의 마지막 부 분에서 YMCA의 역사적 경험에 비추어서 YMCA의 앞으로의 과제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것이다. YMCA의 역사를 살펴보는 일은 한국YMCA의 역사가라고 할 수 있는 전택부, 김천배, 민경배가 해 왔다. 최근에는 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총장을 지낸 강문규의『나의 에큐메니컬운동 반세기 그 미완 의 여정』(2010)도 간행되었다. 전택부의『한국기독교청년회운동사』(1978년)가 1945년 이전 시기의 YMCA 역사를 다룬다면,『한국YMCA운동사』(1986)는 YMCA 연맹 70주년을 기념해서 출판된 것으 로 연맹 결성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의 YMCA 활동을 되돌아보고 있다.『한국YMCA운동사』에서 처 음으로 1945년 이후의 한국YMCA 역사가 정리되었는데, 송건호와 김천배가 이 책을 썼다. 서울 YMCA는 도시 YMCA의 하나지만, 오랫동안 YMCA연맹과 분리되지 않았던 데다 한국YMCA를 대변 했기 때문에 민경배의『서울YMCA운동 100년사』(2004)도 한국YMCA의 역사서이다. 이 글은 이 책 들의 관점을 참고하여 YMCA의 역사를 돌아볼 것이다. 한국 YMCA는 세계YMCA연맹 및 북미YMCA

3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국제위원회와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활동해 왔으므로 이 기구들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 하는 점 도 한국YMCA를 이해하는데 긴요하다.

YMCA 민족자주운동 조지 윌리엄스(George Williams)가 동료들과 함께 런던에서 YMCA를 조직한 것은 1844년이었다. 그 운동이 유럽과 북미로 확장되자 YMCA 지도자들은 1855년 파리에 모여 세계YMCA연맹(World Alliance of YMCAs)을 조직하고 파리 기준(The Paris Basis)을 만들었다. 오늘날까지도 YMCA의 본질 과 목적에 대한 가장 만족스러운 선언으로 남아있는 파리 기준의 핵심은 YMCA가“성서에 따라 하나 님이요 구세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를 따른다는 것이었다. 1864년에는 미국과 캐나다의 YMCA 대 표들이 보스턴에서 모여 북미YMCA연합을 결성하고 1879에는 북미YMCA 국제위원회로 그 명칭을 변경하였다. 미국YMCA는 그 후 세계 많은 나라로 퍼졌는데, 북미YMCA의 국제위원회가 세계YMCA 확장에 주도적인 일을 하였다. 각국의 YMCA 협동총무도 제네바의 세계YMCA연맹이 파송한 것이 아 니라 모두 북미YMCA 국제위원회가 파송하였다. 한국YMCA를 탄생시킨 것도 북미YMCA 국제위원회였다. 1899년 호러스 G. 언더우드와 헨리 G. 아펜젤러가 북미YMCA 국제위원회에 한국청년 150명의 YMCA 설립 청원서를 전달함으로써 한국 YMCA 창설이 구체화되었다. 1901년 가을 배재학당 학생 YMCA가 조직된 것으로 보아 150명의 청 년들 중에는 배재학당의 학생회로 출발한 협성회 회원들이 다수 있었을 것이며, 교회 밖의 청년들로 정부 고관과 지식층 인사들의 자제들도 있었을 것이다.1) 선교사들이 상류·지식층 청년들의 전도기관 으로서의 YMCA 설립을 원했다면, 청년들이 원한 것은 그들만의 교제 및 신앙고백 공간으로서의 YMCA였다. 북미YMCA 국제위원회의 질레트(P. L. Gillett)가 YMCA 창립 차 서울에 도착한 것은 1901년 9월이 었다. 질레트는 그 해 바로 배재학당 학생회를 학생YMCA로 개편하고 중국 홍콩YMCA 전체위원회에 가입시켰다. 1903년 3월 17일 질레트는 중국·한국·홍콩YMCA 전체위원회의 총무 브로크만(F.S. Brockman)을 연사로 초청, YMCA 설립 준비회의를 개최하였다.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는

1) 전택부,『한국기독교청년회운동사 1899년-1945년』(정음사, 1978), 60-61.

31


03

세션 1 Session 1

그 회의에서 장차 YMCA가 일반적인 정치단체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신중히 논의했다며,“복음 을 전하는 일 뿐만 아니라 교육하는 일과 계몽하는 일”이 서울에 있는 YMCA의 목적이 될 것이라고 했다.2) 이 모임에서 질레트는 모금을 위한 자문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1903년 10월 28 일 마침내 도시 청년회인 황성기독교청년회가 설립되었다. 회장에 게일(J.S. Gale), 총무에 질레트가 선임되고, 서울 배재학당에서 공부한 최재학과 미국 로노크대학에서 공부한 김규식이 간사가 되었다. 황성기독교청년회의 설립 직후 가장 큰 일은 1904년 1월 일부 독립협회 회원들의 가담이었다. 1903년의 원산부흥과 1907년의 평양부흥이 한국기독교의 기본을 주조하는 것이었다면, 독립협회 회 원들의 YMCA 가담은 향후 민족적 YMCA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1896년 7월 조직된 독립협 회의 사업은 독립문과 독립공원의 설립이었으나 자주독립, 민권, 자강운동 단체로 활동을 넓혀갔다. 그러나 1898년 12월 독립협회가 해산당하고 회원 일부가 구속되었다. YMCA는 이들(이상재, 김정식, 유성준, 이원긍, 안국선 등)을 받아들이고 YMCA의 지도력으로 삼기까지 했다. 1904년 후반기에 김정 식이 수석간사(한인총무)가 되었는데, 이상재 등과 함께 투옥되었던 김정식을 한인총무로 선임한 것은 그 의의가 자못 큰 것이었다.3) 김정식의 선임은, 한국YMCA가 한국사회의 사회적 정치적 환경에 맞게 사업과 프로그램을 전개하게 될 것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미국 유학을 다녀온 김규식, 배재학당 YMCA 회원 출신의 육정수, 게일의 한문교사 이교승이 간사가 된 것도 이 때였다. 윤치호는 1905년 에, 김규식은 1906년에 이사가 되었으며, 이상재는 교육위원장(1906년)을 거쳐 59세에 종교부 총무 (1908년)가 되었다. 김정식은 1906년 도일,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재일본 동경 조선기독교청년회를 조직함으로써 독립협회의 영향은 동경 YMCA에까지 미쳤다. 독립협회 출신들은 우리 민족의 문제를 YMCA 운동의 과제로 삼고 YMCA를 독립협회 운동을 계승하는 기독교 시민단체로 만들어 갔다. 황성기독교청년회 1907년 5월 건축공사를 시작, 1908년 12월 3일 개관식을 가졌다. 공간의 확충 도 중요하지만 기독교청년회의 목적과 사업을 알리는 일도 필요하였다. 기독교청년회는 새 회관을 공 개하면서『황성기독교청년회 개관식 요람』을 간행하였다. 이 요람은 YMCA의 설립과 목적, 지도이 념, 사업취지를 설명하면서 청년단체로서의 YMCA, 교육, 민족의 자립 등을 사업으로 내세웠다.4)

1) Humer B. Hulbert,“Editorial Comment,”The Korea Review March 1903, 165. 2) 위 책, 88. 3) 위 책, 121-131.

3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YMCA의 발전은 국제교류 분야에서도 나타났다. 한국YMCA는 1907년 4월 동경에서 열린 세계기 독학생연맹(World Student Christian Federation, WSCF) 총회에 대표를 파송하였다. 윤치호(이사), 김정식(동경 한인YMCA 총무), 김규식(이사), 김필수, 민준호, 강태웅, 그리고 학생부 간사 브로크만 (F.M. Brockman)이 WSCF 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가하였다. WSCF는 1895년 스웨덴에서 조직된 북 미와 유럽 학생자원운동의 연합기구지만, 미국YMCA 대학부가 탄생시킨 단체였다. YMCA 학생운동은 1910년 6월 삼각산 진관사에서 열린 제1회 하령회를 계기로 전국적인 모임으 로 발전하였다. 제2차 하령회는 미국에서 귀국한 이승만이 학생부 간사를 맡고 나서 열렸다. 1911년 개성에서 열린 제2차 하령회에는 전국 21개 학교에서 93명의 회원이 참석하였다. 이처럼 YMCA운동 이 서울과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을 때 105인 사건이 일어났다. 초기 YMCA의 민족적, 정치적 성격은 독립협회 회원들의 유입에서 형성되고 있었지만, 105인 사건 에서 그 구체적인 모습이 드러났다. 이 사건은 1911년 일본총독부가 독립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데라 우찌 총독의 모살 미수사건을 조작, 기독교인을 포함한 105인의 독립 운동가를 감옥에 가둔 사건이었 다. 이 사건의 주범으로 몰린 윤치호는 황성YMCA 부회장이었다. 질레트는 이 사실을 에든버러에 본 부를 둔 세계선교협의회(World Missionary Conference) 계속위원회에 알렸다. 조선총독부가 이 사실 을 알게 되면서 질레트와 YMCA를 향한 탄압은 거세졌다. 결국 질레트는 사표를 냈고 이후 입국이 금 지됐다. 1908년부터 1909년까지 황성기독교청년회의 교육부 공동 학감을 지낸 김규식과 학생 YMCA를 맡고 있던 이승만은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이 점에서 105인 사건을 일제의 YMCA 탄압과 관련시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은 일리가 있다. 105인사건의 주모자로 지목된 윤치호는 표면상 신민회 회장이라는 이유로 체포되었지만, 윤치호의 투옥은 청년들이 몰려들고 있던 YMCA를 타도하려 한 면 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5) 이런 위기 상황에서도 YMCA의 활동은 결코 위축되지 않았다. 1914년 4월 9개 학생YMCA(중앙기 독교청년회 학관, 경신학교, 배재학당, 세브란스의전, 한영서원, 신흥학교, 군산 영명학교, 숭일학교, 재일본동경기독교청년회)와 중앙기독교청년회 대표 45명이 참가한 가운데 학생YMCA와 도시YMCA

5) 윤경로,『105인사건과 신민회 연구』(한성대학교출판부, 2012) 개정증보판, 88-89; 전택부, 『한국기독교청년회운동사 1899년-1945년』, 81.

33


03

세션 1 Session 1

의 연합기구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가 결성되었다. 황성기독교청년회가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로 명칭이 바뀐 지 꼭 일년 후의 일이었다.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의 결성은 한국YMCA 운동사에서 학 생YMCA의 위치를 확고히 해주었다.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의 회장은 언더우드, 총무는 학생부 간 사였던 브로크만이 맡았다. 그 후 1916년 105인 사건으로 구속되었다 1915년에 석방된 윤치호가 1916년에 총무를 맡았다. YMCA의 민족운동의 영향은 1919년의 3.1운동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3·1운동이 동경 한인 YMCA에서의 2·8독립선언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민족대표 33인 중 YMCA 관련 인사는 9명이나 되었다. 민족대표 박희도(회우부 및 학생부 간사), 이필주(전 체육부 간사), 오화 영(이사 및 종교부위원장), 최성모(전 이사), 정춘수(전 이사), 양전백(신성학교 YMCA 설립), 이승훈(오 산학교 YMCA 설립), 이갑성(회원), 박동완(회원)은 YMCA 활동에 깊이 참여했던 인물들이었다.6) 위에서 보았듯이, 독립협회의 핵심 회원이 가담한 후 YMCA는 105인사건, 2·8독립선언, 3·1운 동 등을 통해 일제의 식민 지배에 저항하는 세력으로 급부상하였다. 이런 형태의 YMCA 운동은 YMCA의 파리 기준이나 한국YMCA 창립에 참여했던 선교사들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라 한국YMCA 지도부의 독립협회 참여 경험 및 그들의 신앙고백에서 나온 것이었다. 이승만 이상재 등은 옥중에서 기독교인이 된 사람들이었으며, 기독교를 문명화의 원동력으로 보았던 윤치호처럼 기독교가 장차 조 국의 정신적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황성기독교청년회 창설 이후 20여 년 간 YMCA 운동을 이끌어왔다. 1920년대에 들어서면 농촌사업이 YMCA의 주력사업이 되는데, 이 사 업을 추동케 한 힘은 사회주의자들의 기독교 비판, 사회복음(Social Gospel), 국제선교협의회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IMC) 예루살렘대회 등으로부터 나왔다.

YMCA 농촌사업 3·1운동 이후 YMCA는 선천(1919년), 평양(1921년), 대구(1915년 또는 1918년), 광주(1922년), 원산(1925년), 전주(1925년), 신의주(1925년), 함흥(1918년) 등지에 YMCA를 조직하였다. 학생 YMCA도 1925년까지 18개가 되었다. 도시 YMCA의 전국적인 확산은 1920년대 한국YMCA의 가장

6) 전택부,『한국기독교청년회운동사 1899년-1945년」, 246.

3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큰 변화 가운데 하나로 YMCA의 신진 지도력의 등장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물론 1920년대까지도 독 립협회 회원 및 105인 사건 연루자들이 YMCA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것은 평양YMCA의 경 우에도 마찬가지였다. 평양YMCA의 임원 중에는 이덕환(이사), 변인서(이사), 안세환(평양YMCA 야소 교서원 총무) 등 105인 사건 연루자가 여러 명 있었다.7) 1921년 창설된 평양YMCA의 초대 총무는 동경 한인YMCA 이사를 지낸 조만식이었다. 그는 1932 년까지 총무로 봉사하였다. 평양YMCA가 다른 YMCA와 구별되는 점은 무엇보다도 물산장려 운동의 참여였다. 조선물산장려회는 평양YMCA를 모체로 하여 1922년 조만식에 의해서 창립되었는데, 이것 은 조선물산장려회의 사무실이 평양YMCA에 있었을 뿐만 아니라 창립이사 12인 가운데 회장(조만 식), 부회장(이덕환)을 비롯한 9인이 평양YMCA의 임원이었던 데서 알 수 있다. 조만식이 조선물산장 려회를 처음 발기한 것은 평양YMCA 창립되기 전 1920년 7월이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와 일본상인 들의 반대로 창립을 하지 못하다가 YMCA 총무에 취임하고 나서 다시 추진하였다. 조선물산장려회는 평양의 유수한 제조업체와 상점을 가입시켜 토산품의 가격과 품질을 관리했으며, 지역 경제운동의 협 의체 내지 네트워크로 존재하면서 교회와 시민단체를 통해 시민 감시망을 가동하였다.8) 이 점에서 평 양YMCA를 기반으로 한 물산장려운동은 민간 차원에서 경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시민·민족운 동의 한 형태였다. 전국으로 확산된 학생 YMCA도 해마다 하령회를 열고 연합해서 활동하였다. YMCA 활동이 전국에 확산됨에 따라 전국 YMCA의 소식을 알리고 YMCA의 목적과 사업을 공유할 필요성도 생겼다. YMCA가 1921년『청년』을 간행한 것도 이것이 하나의 이유였다. 지역 및 학교에서의 YMCA의 확장 과 함께 일본YMCA로부터의 독립도 이 시기 YMCA의 발전에서 큰 성과였다. 이 모든 사업을 이끈 이 는 신흥우였다. 배재학당에서 공부한 신흥우는 졸업 후 덕어학교(德語學校)에서 더 공부했는데 학생회 활동 문제로 1901년 11월 한성감옥에 갇혔다. 신흥우는 감옥에서 독립협회 사건으로 체포된 이승만을 비롯하여 1902년 6월 개혁당 사건으로 투옥된 이상재, 유성준, 이원긍, 김정식, 홍재기 등을 만났다. 이승만 이

7) 윤경로,『105인사건과 신민회 연구』, 383, 394, 404, 409. 8) 장규식,『일제하 한국기독교민족주의 연구」(혜안, 2001), 265.

35


03

세션 1 Session 1

상재 등과 마찬가지로 신흥우도 옥중에서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되었으며, 미국 유학 후 1920년 2월 윤 치호 후임으로 YMCA연합회의 총무가 되었다. 서울 중앙YMCA의 총무도 겸하였는데, 그 때 그의 나 이 38세였다. 신흥우는 1920년부터 15년 동안 YMCA 총무로서 YMCA 이념을 확인하고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그 가운데 하나가 농촌사업이었다. 이 사업은 한국YMCA 운동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업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YMCA는 1925년 1월부터 농촌사업을 시작, 2월에는 YMCA연합회에 농촌부 를 신설하였다. 도시 및 학생 YMCA에서도 속속 농촌사업을 시작하여 1929년에는 모두 18개의 YMCA가 170개 촌락에서 농촌사업을 실행하였다. 10여 년 동안 계속된 YMCA의 농촌사업은 농민교 육 및 농촌계몽운동(1925-1928)에서 시작하여, 협동조합 및 농사개량운동(1928-1932), 농촌지도자 양성(1932-1937)으로 이어졌다. YMCA는 1929년 당시 19개의 농민학교, 22개의 협동조합, 82개의 농민회를 설립하고 227개의 촌락에서 10,507명의 야학생을 교육하고 있었다. 이 사업으로 YMCA는 종래의 상류층 청년 중심, 도시 중심의 운동에서 농촌에도 운동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한국 YMCA는 농민들이 절대빈곤에 빠져있는 이러한 절망적인 시기에 부름 받고 있었다.9) 앞에서 언급했지만, 이 시기 YMCA를 비롯한 한국교회의 농촌사업은 한국 사회주의 세력의 기독교 공격에 대한 응답이기도 했다.10) 한국의 사회주의자들은 1923년부터 반기독교운동을 전개하고, 기독 교를 제국주의의 수족이며 자본주의의 주구로 비난하였다. 이에 대한 YMCA의 대응은『청년』을 통해 신흥우와 북경대학에서 공부한 학생부 간사 이대위가 했다. 신흥우는 유산자들이 실권을 잡고 있는 교회에게“무산계급의 앞 운명을 개척하는 교회”가 될 것을 촉구하면서11) 시대적 과제로서의 농촌사 업을 실천해 나갔다. 한국교계에서 가장 먼저 농촌사업에 뛰어든 것은 YMCA였다. 신흥우는 1924년 도미, 북미YMCA 국제위원회에 YMCA의 농촌사업 지원을 요청하였다. 1925년에는“금년부터는 사업의 입장을 바꾸어 도시를 버리고 전체의 8할 이상이나 되는 농촌의 계발을 표준하고 일을 하려고 한다.”는 계획을 밝혔

9) D. Willard Lyon’s Notes of a Conference on YMCA Rural Work in Korea, 1926. 전택부,『한국기독교청년회운동사 1899년1945년』, 186-187에서 재인용. 10) 한규무,『일제하 한국기독교 농촌운동 1925-1937』(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7), 39-40. 11) 신흥우,“반기독교운동에 대하여,” 『청년』, 1925년 11월, 4.

3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다.12) 농촌의 계발은 YMCA로서는 민족자주운동에 이어 새로운 형태의 민족생존 사업이었다. YMCA 는 1925년부터 1932년까지 북미YMCA 국제문제위원회가 파송한 5명의 농촌 전문가들, 한국측의 홍 병선(YMCA연합회 농촌부 간사) · 이순기(함흥YMCA 총무) · 계병호(선천YMCA 총무) · 최영균(광 주YMCA) 등과 함께 농촌사업을 전개하였다.13) 사회복음이 YMCA의 농촌사업을 정당화시켜 주었는 데, 홍병선도 사회복음 노선에서 농촌사업에 매진하였다. 농촌사업이 세계교회에서 가장 먼저 논의된 것은 1910년의 세계선교협의회에서였다. 세계선교협 의회는 국제선교협의회 개칭한 후 예루살렘대회(1928년)에서 농촌문제를 주요 이슈로 다루지만, 농 촌사업은 그보다 앞서 미국YMCA의 사회복음의 영향 하에서 실행되고 있었다. 미국에서 일어난 사회 복음의 강조점은 사회 안에서 예수의 가르침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이 땅 위에 건설되는 이상 적 사회, 즉 하나님의 나라를 실현하고자 했다. 미국YMCA에서 1897년 시작된 4중 프로그램(fourfold program) 그리고 그 후 사회복음을 수용한 것은 뉴욕YMCA였다. 이때부터 미국YMCA는 그 성격 이 뉴욕YMCA와 복음주의적 프로그램을 강조한 시카고YMCA로 나뉘어졌다. 한국YMCA에서 시카고 YMCA의 경향을 따른 것은 경건주의 노선에 섰던 현동완이었다. 4중 프로그램이란, 복음이 청년들의 마음을 청결하게 하고(덕), 몸을 죄로부터 구해 거룩하게 하며(체), 정신을 계발하며(지), 매력적인 사회 적 품성을 만든다(사교)는 것이었다. 미국YMCA는 셔우드 에디(Sherwood Eddy)의 지도력 하에서 1 차대전 후 사회복음을 정책으로 채택하였다. 사회복음은 1920년대부터 한국사회에서 소개되고 있었 는데, 사회복음 주창자 월터 라우센부쉬(Walter Rauschenbush)의『야소의 사회훈』(Social Principles of Jesus)이 한국어로 번역된 것은 1930년이었다. 농촌사업은 1928년 국제선교협의회의 예루살렘 대회 이후 한국교회에 크게 영향을 미치면서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예루살렘대회는 기독교와 타종교 문제, 농촌 문제(농촌선교, 농촌교육, 농촌위 생, 농촌경제) 등을 토론했는데, 한국대표들에게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은 농촌문제였다.14) YMCA는 1929년 YWCA, 장로교회, 감리교회,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와 공동으로 더욱 효율적인

12) 신흥우,“농촌계발에 진력,” 『동아일보』, 1925년 1월 1일. 13) 한규무,『일제하 한국기독교 농촌운동 1925-1937』,62-63. 14) 김활란,“예루살렘대회와 금후 기독교,” 『청년』1928년 11월, 4-5; 양주삼,“예루살렘대회의 특색,” 『기독신보』1928년 7월 11일.

37


03

세션 1 Session 1

농촌사업을 하기 위해 농촌사업협동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이 위원회의 위원장은 윤치호, 부위원장은 YMCA 협동총무 클라크였다(F.O. Clark). 농촌사업협동위원회는 농촌사업지도자강습소를 설치하고 농사강습회를 개최하는 일을 했지만,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하기 위한 한국교회의 협력사업이었다. 따 라서 YMCA가 한국교회연합운동에 끼친 공헌의 차원에서도 이 위원회의 구성과 사업은 지대한 의미 를 가지는 것이었다.15) 1925년부터 시작된 YMCA의 농촌사업은 1930년대 중반부터 위축되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경제 불황으로 YMCA 국제위원회의 지원은 1934년부터 예년에 비하여 40% 이상 삭감되었다. YMCA 국 제위원회는 6명의 농업전문가 가운데 4명의 전문가를 소환하였다. 이렇게 YMCA 농촌사업의 물적 인 적 자원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 상황에서 1935년 신흥우가 적극신앙단 사건으로 YMCA 총무직을 사 임하였다. 이로써 YMCA 농촌사업은 큰 난관에 부딪혔지만,“이 땅의 기독교 사업 중 가장 빛나는 사 업의 하나였다.”16) 신흥우는 YMCA 지도자로서 한국교회의 연합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1925년 12월 북미YMCA 국제위원회 총무 존 모트(John R. Mott)가 내한했다. 19세기 후반의 세계YMCA운동을 지배한 것이 조지 윌리암스라면, 20세기 전반기에 YMCA를 이끈 것은 존 모트였다. 존 모트의 방한을 계기로 모인 장로교, 감리교, YMCA, YWCA의 지도자들은 한국교회의 IMC 가입 문제와 1928년 예루살렘에서 열 릴 IMC 참가 문제를 협의하였다. 존 모트는 1929년 4월에도 내한했는데, 예루살렘대회를 보고하는 자리를 주선한 것도 신흥우였다. 신흥우는 1931년 9월 조선예수교연합회의 3인 실행위원으로 선출되 어 한국교회연합운동에도 앞장섰다. 이처럼 신흥우의 활동은 YMCA를 넘어서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는 1930년대 중반 적극신앙단을 조직하여 한국기독교를 실제적 기독교로 갱신하려다 교회의 반발 에 부딪혔으며, YMCA 총무직도 물러나야 했다. 신흥우가 퇴진하고 나서 일제는 YMCA를 해산, 1937년 일본YMCA에 통합시켰다. 1937년으로 운동체로서의 YMCA는 종말을 고하고17) 사업체로서 의 YMCA만 남게 되었다. 일제 말 쇠락의 시기에 YMCA의 사업은 체육 사업이 주류를 이루었다.

15) 민경배,『서울YMCA운동 100년사』(서울YMCA, 2004), 276. 16) K. L. Butterfield, Rural Construction Work in Korea. 전택부,『한국기독교청년회운동사 1899년-1945년』, 402 재인용. 17) 김천배, 대한YMCA연맹 엮음,『한국YMCA운동사 1895-1985』(로출판, 1986), 142.

3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YMCA 시민운동 해방 후 YMCA는 지도력 문제에 봉착했다. 초대 학생부 간사를 지낸 이승만, 총무를 지낸 신흥우, 구자옥도 있었지만 모두 정치로 가버렸다. 윤치호는 1945년 12월 사망했다. 1949년 9월 총무 변성옥 이 근 1년간의 구미(區美)YMCA 연수여행을 마치고 귀국하였다. 그의 귀국 직후 개최된 전국 시 청년 회 간부수양회는 해방 후 최대의 간사훈련 집회였다. 그러나 1950년 초 변성옥이 갑자기 병사함으로 써 그의 YMCA 재건의 비전과 계획도 사라졌다. 다행스런 것은 학생YMCA의 재건이었다. 한국의 기독학생 운동을 주도한 학생YMCA는 이를 이끌 던 신흥우 연합회 총무와 이대위 간사가 YMCA를 떠난 이후 유명무실해졌다. 그 후 1946년 연세대학 교 대학Y가 활동을 재개함으로써 조직을 재건하였다. YMCA 학생회는 빠르게 재건되어, 1947년 4월 까지 연세대·경북대 등 18개 대학Y와 배재·경신·신흥·계성 등 54개 고교Y가 활동을 재개하였 다.18) 학교와 교회에서의 학생회 조직 그리고 YMCA 대학부의 재건은 그 해 8월 삼각산 진관사에서의 전국기독학생 하령회로 이어졌다. 하령회에서 학생들의 전국적인 연합체 조직이 논의되었다. YMCA 의 학생 하령회는 1910년 6월 진관사에서 열린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1936년까지 거의 매년 열린 모임이었다. 해방 후의 자생적 결사체인 서울시 기독학생연합회, YMCA, YWCA는 1948년 서울 YMCA 강당에서 대한기독학생회 전국연합회(KSCF)를 창립하였다.19) 그러나 YMCA와 YWCA 계열의 학생들은 KSCF의 조직 후 여기서 이탈하였다. 북한 지역 YMCA의 복구 문제도 긴급한 과제였다. 평양, 함흥, 선천, 신의주YMCA는 즉시 재건되었 으나 1948년을 전후해 소멸했다. 평양 YMCA는 1921년부터 1932년까지 조만식이 총무로 있었던 평 양YMCA가 활동을 재개한 것은 유엔군과 국군이 40일 동안 평양을 점령했을 때였다. 평양YMCA는 강당과 15개의 큰 사무실을 갖춘 2층 건물을 되찾았다. 바로 이 시기에 YMCA연합회의 출판부 겸 학 생부 간사 박영창이 YMCA를 재건하기 위해 평양에 갔다.20) 당시 북한에는 평양에 1천여 명, 다른 지 역에 1천여 명, 모두 2천여 명의 YMCA 회원이 있었다. 그러나 중공군이 참전하자 평양YMCA 회원들 은 월남해야 했다.

18) 전택부,『한국에큐메니칼운동사』(한국기독교회협의회, 1979), 212. 19) 김흥수,“대한민국 건국과 기독학생 청년운동,” 『신학과 현장』23집(2013년), 52-56. 20) Robbins Strong,“Report from Korea”(1950). 미간행물. 세계YMCA연맹 아카이브 소장.

39


03

세션 1 Session 1

전후의 1950년대에 한국YMCA 운동에 신학적 기력을 불어 넣어 준 것은 WSCF였다. 한국의 학생 YMCA는 1907년 4월 동경에서 열린 WSCF 7차 총회에 대표단을 파송한 바 있었다. 그 후, 1922년 북경총회에는 이상재, 신흥우, 이대위 등이 대표로 참석했으며, 1924년 영국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조 선YMCA·YWCA연합회가 합동해서 가맹을 승인받았다. 1950년대 이후에는 학생부 간사 김천배(독 일 툿싱, 1956)와 강문규가 WSCF총회(그리스 데살로니키, 1960)에 참석했다. WSCF는 기독교 에큐 메니컬 운동권 내에서 진보적인 신학자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던 단체였다. 이렇게 YMCA는 6.25전쟁 이후의 혼란기에 WSCF를 통해 서구교회의 진보적인 신학과 연결되고 있었으며, 다른 한편 으로는 북미YMCA 국제위원회가 파견한 일본YMCA 협동총무들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대학 YMCA가 세계적으로 강한 곳은 일본이었다. 일본에는 대학 YMCA 협동총무가 파송되었다. 한국 YMCA는 1960년대에는 뉴욕시 유니온신학교 출신의 델마 웨델(Delma Wedel) 같은 일본YMCA 협동 총무들로부터 사상적으로 큰 영향을 받았다. 한국YMCA에는“불행히도”도시 YMCA 협동총무밖에 오지 않았다.21) 1968년 YMCA연맹은 YMCA 학생부와 한국기독학생회(KSCM)의 통합을 선언하였다. 그 후 1969 년 11월 두 단체는 서울YMCA에서 열린 통합대회에서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orea Student Christian Federation, KSCF)을 탄생시켰다. KSCF는 정치, 경제, 사회 정의의 실현을 위하여“사회개 발운동”에 착수하였다. 이 운동이 노동현장에 직접 개입하는 운동이 된 것은 1970년 11월 전태일 분 신자살의 영향이었다. 그 후 KSCF의 기독학생운동은 박정희 정권 하에서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험로를 걸어가야 했다. 1970년대는 한국YMCA로서는 새로운 도전의 시대였다. 1960년대 후반부터 YMCA의 운동성 회복 과 사회적 책임 문제가 제기되고 있었다. 1969년 7월 영국 노팅험에서“아이덴티티와 사명”이라는 주제 하에 열린 제5차 세계YMCA대회는 한국YMCA의 사회적 책임을 더욱 고조시켰다.22) 이 총회는 사회개발에 대한 YMCA의 의무를 강조하였다. 이 총회는 혁명적 총회였는데, 여기서 1855년 이후 처 음으로 파리 기준의 변경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 총회에서 파리 기준은 바뀌지 않았지만, 파리 기준 위 원회가 만들어졌다. 그 후 1973년 우간다 캄팔라 총회의 캄팔라 원칙과 1998년의 도전 21이 덧붙여

21) 강문규,『나의 에큐메니컬운동 반세기 그 미완의 여정』((2010),59. 22) 대한YMCA연맹 엮음,『한국YMCA운동사 1895-1985』, 288-290.

4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졌다. 파리 기준이 하나님의 초월성을 강조하는 것 같다면, 캄팔라 원칙의 하나님의 나라는 내재적인 것으로서 해석되었다.23) 노팅험 총회 후에 YMCA는 청년, 여성, 인권, 개발 운동에 뛰어들었다. 노팅험 총회와 함께 1960년대 후반 대학YMCA의 학생사회개발단 운동, 서울YMCA의 시민논단 및 지방 YMCA의 사회참여 프로그램은 1970년대의 YMCA가 사회개발 사업에 참여하게 된 직접적인 계 기가 되었다. 이 상황에서 한국YMCA의 도전의 시대에 막을 올린 것은 YMCA연맹 총무로 취임한 강 문규였다. WSCF의 아시아국장을 역임한 강문규는 1974년 연맹 총무로 취임했다. 강문규는 캄팔라 원칙이 권고한 대로 한국YMCA의 목적과 사업을 연구하는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위원회는 YMCA이 사 50%, 실무자 30%, YMCA를 잘 아는 신학자 20%로 구성되었다. 이 위원회는 1975년부터 시작해 서 20여 년 동안 매년 보고서를 냈다. 이 사업이“새로운 YMCA 정신의 투입구”가 되었다.24) 한국 YMCA 목적문의 초안을 쓴 이는 현영학 교수였다. 이 목적문은 전문에서 YMCA가“민중의 입장에 서”하나님의 역사적 선교활동에 참여하는 순례자의 무리로 규정하고, 젊은이들이“그리스도의 뒤를 따라”사랑과 정의를 실현하며, 민중의 복지향상과 새 문화 창조에 기여함으로써 이 땅에 하느님 나라 를 이룩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선언하였다.25) 이 목적문은 1976년 4월 부산에서 열린 제23차 YMCA연맹 전국대회에서 채택되었다. 이때부터 한국YMCA는 세계YMCA의 주목을 받았다. 간사 양성의 문제도 중요했다. 그래서 간사양성학교의 커리큘럼을 완전히 바꾸고 YMCA연맹이 간 사양성학교를 운영하였다. 세 학기의 교육기간 중 한 학기는 다락원에서 합숙했다. 이 기간에 YMCA 의 역사, YMCA의 이념, YMCA의 사명 등에 대해서 두 달 동안 이론교육을 했다. YMCA연맹은 독일과 화란 기독교 후원기관의 지원을 받아 다락원을 수리한 후 사회교육 프로그램 을 시작했다. 지금의 전교조 전신인 전국중등교사협의회 회원들이 다락원에서 사회교육 훈련을 받았 고, 전국농민회의 지도력도 다락원에서 사회교육을 받고 탄생했으며, 오늘의 민주노총의 지도력이 태 어나는 데도 다락원의 교육이 기초가 되었다.26) 당시에는 청소년 지도, 선교 지도 같은 프로그램들은 좀 있었지만 사회 지도자 교육은 별로 없었다. 사회교육 프로그램은 교사 교육, 노동자 교육, 농민 지

23) Kjetil Fretbeim,“Whose Kingdom? Which Context? Ecumenical and Contextual Theology in the World Alliance of YMCAs,”International Review of Missions Vol. 97 No. 384/385, January/April 2008, 124. 24) 강문규,『나의 에큐메니컬운동 반세기 그 미완의 여정』, 222. 25) 전문(前文)과 목적문은 대한YMCA연맹 엮음, 한국YMCA운동사 1895-1985, 298 참조. 26) 강문규,『나의 에큐메니컬운동 반세기 그 미완의 여정』, 301.

41


03

세션 1 Session 1

도자 교육을 포함하였다. YMCA연맹은 중등교육자협의회(1982년)를 만들어 의식교육을 시작했는데, 여기서 교육받은 사람 들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일원이 되었다. 민주교육과 교사들의 권익옹호를 목적으로 창립된 YMCA 중등교육자협의회는 전국적인 조직망을 구축하여 당시 교사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다.27) 다락원 에서 훈련받은 노동자들은 후일 노동운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YMCA연맹의 농민 지도자 교육 은 일제 시기 YMCA의 농촌사업을 복원하는 것이었는데, 다시 농촌사업을 하게 된 이유는 박정희 정 부의 산업화 과정에서 가장 많이 희생된 계층이 농민이었기 때문이었다.28) 이 사업들은 YMCA가 민주적 시민사회 형성을 목표로 전개한 것으로 일제 하에서 민족운동의 요람 으로서 주요한 역할을 감당했던 YMCA의 기독교 사회운동체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렇 게 오랫동안 침체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던 YMCA가 운동성을 회복하고 시민사회운동의 영역을 개척 하고 있었다.29) 그러나 이 일이 준비 없이 된 일은 아니었다. 1930년대 후반 이후 1960년대 후반까지 전통으로부터의 단절이 너무 길어 YMCA의 새 사업은 새 시대를 경험한 새 일꾼을 필요로 하고 있었 다. 1970년대 초반부터 산업선교에서 활동한 이창식, 1974년의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었던 황주석, 신대균 등 10여명이 YMCA운동에 가담했다. 민주화운동 참여세력의 YMCA운동 가담은 1900년대 초 반 독립협회 참여 세력의 YMCA운동 가담에 비견할 만한 일이었다. YMCA는 1980년대에 시민운동 을 전개하는데, 이 일은 민주화운동 참여 세대가 담당하게 되었다. 이들은 모두 지방 YMCA에 배치되 었다. 1984년은 한국기독교 100주년의 해이자 YMCA연맹으로서는 창립 70주년을 맞는 뜻 깊은 해였다. YMCA연맹은 기념사업으로 YMCA의 이념 추구 시리즈의 합본 출간(『한국YMCA의 이념추구』), YMCA 간행물『청년』(1921-1940)의 영인,『한국YMCA 운동사』(의 출간을 계획하였다. 심혈을 기울 인 사업은『한국YMCA 운동사』였다. 집필은 군사정권에 저항하다 해직기자가 된 송건호(1편 민족 수 난기 YMCA운동)와 김천배(2편 조선기독교청년회 지도 정신, 3편 해방 후의 YMCA 운동)에게 맡겼다. 김천배는 한국의 YMCA운동을 기독교사의 차원에서 이를 주체적으로 규명하려고 하였다. 그는 자

27) 강문규,“1980년대 한국기독교사회운동의 흐름,” 『기독교연감』(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90), 99. 28) 강문규,『나의 에큐메니컬운동 반세기 그 미완의 여정』, 223-224, 255. 29) 강문규,“1980년대 한국기독교사회운동의 흐름,”97.

4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신의 접근을 민족운동의 틀 안에서 파악하려 하는 민족사적 방법과 교회확장의 한 분절(즉 상류층, 지 식층에게 전도하는 한 수단 등)로 다루는 교회사적 처리방식을 보완하는 것으로 보았다. 강문규에 의 하면, 여기서 주체적으로 규명한다는 것은 파리선언에서 연장되어 밀려온 것이 아님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교회확장의 한 분절의 역사를 보완하겠다는 것은 한국YMCA의 기원을 상류층, 지식층에 게 전도하는 한 수단으로 보는 서술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였다.30) 이는 전택부의『한국기독교청년회 운동사 1899년-1945년』에 대한 비판인데, 종래의 1903년의 황성기독교청년회의 창설과 한국YMCA 운동의 발단을 동일시하는 통념을 수정하는 것이었다. 김천배는 19세기 말에 태동한 에큐메니컬 운동 의 물결과 조선조 말의 유신운동의 물결의 만남에서 한국YMCA 운동의 기원을 포착하고자 했다. 그 래서 황성기독교청년회 창설의 해가 아니라 유학중 미국YMCA와 관계를 맺었고, 밴더빌트대학 신학 부에서 공부한 윤치호의 귀국년도 1895년을 YMCA운동사의 시발점으로 볼 것을 제시하였다.31) 그 당 시 밴더빌트 대학 신학부에는 학생YMCA가 활동하고 있었다. 김천배는 이런 시각에서 한국 YMCA운 동의 두 지평, 즉 시 청년회운동과 학생-청년회 운동의 통일성과 그 인과관계를 밝히려 하였다. 그 정 도로 김천배는 한국YMCA운동사에서 학생YMCA의 전통을 중시하였다. YMCA연맹 70주년 기념사업과 함께 YMCA는 1984년 제27차 YMCA연맹 전국대회를 계기로 운동 의 내용을 시민운동으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그간 부분적으로 해오던 시민여론 형성, 법률구조, 민주 시민 지도력 개발 등의 시민운동을 더 체계화, 전국화하기 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 후 YMCA는 계속해 서 공정보도와 민주언론 창달을 위한 시청료 납부 거부운동, CBS 기능 정상화운동, 교육민주화운동 (1986년), 민주정부 수립을 위한 공정선거 감시운동(1987년), 양담배 불매운동, 수입농축산물 불매운 동(1988년), 경제정의 수립과 건전시민문화 창조를 위한 향락 과소비 추방운동, 소비자운동(1989년) 같은 시민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YMCA연맹에서 이 일들을 지휘했던 강문규는 1996년 퇴직하 였다. 강문규는 자신의 책에서 1970년대 중반 이후 20년의 시기를 한국YMCA가 세계YMCA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시기로 회고하고 있다.32)

30) 위 책, 281. 31) 대한YMCA연맹 엮음,『한국YMCA운동사 1895-1985』,vii-viii. 32) 강문규,『나의 에큐메니컬운동 반세기 그 미완의 여정』, 235.

43


03

세션 1 Session 1

맺는 말 - 한국YMCA의 과제 YMCA의 미래를 내다보는 일은, YMCA가 어떻게 주체성을 유지해왔는지 주요 사업은 무엇이었는 지 되돌아보고 그 주체성을 바탕으로 앞으로 해야 할 일의 가능성을 내다보는 일일 것이다. YMCA는 지난 100년 이상 동안 다양한 활동을 해왔지만, 이 글은 민족자주운동, 농촌운동, 시민운동을 통해 YMCA의 과거를 살펴보았다. 이 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YMCA는 정치권력에 저항하거나 견제하 고 정부정책을 비판하는 역할도 수행해 왔다. 위에서 보았듯이, 이 운동들을 통한 YMCA의 봉사는 선 구적인 것이었으며, 때로는 희생을 동반하기도 했다. 그 뿐만 아니라 이 운동들은 YMCA가 한국 근현 대 사회의 형성에 어떻게 참여하고 기여했는지를 보는 주는 것들이자 한국YMCA의 미래 과제와도 밀 접히 연관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세계YMCA의 강조점은 대체로 복음전도로부터 사회활동으로 바뀌었다. 파리 기준의 하나님 나라 의 개념은 시간이 지나면서 이 세계 밖의 초월적인 것으로부터 이 세계 안의 내재적인 것으로 바뀌었 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파리 기준의 해석에서 그 강조점이 변해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며 YMCA는 계속해서 기독교 안에 머물렀으며 파리 기준을 거듭 확인해왔다. 이것은 한국YMCA도 마찬 가지여서 초기부터 지금까지 YMCA는 기독교 신앙에 근거해서 활동해 왔다. 세계YMCA와 다른 점이 있다면 한국YMCA는 처음부터 자연스럽게 우리 민족의 자주적인 삶에 관심을 가졌으며, 그 후로는 농민의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한 농촌사업,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정의사회 구현을 위한 사업에 매진해 왔다. YMCA는 이 사업들을 기독교 신앙에 근거해서 해왔는데, 1900년대 초 우리 민족의 미래에 대 한 신앙 고백적 전망, 1920년대 농촌운동의 신학적 토대가 된 사회복음, 1970년대 이후 시민운동을 정당화해 준 하나님의 선교 신학이 그것들이다. 세계YMCA가 파리 기준 이후 세계YMCA총회를 통해 부단히 YMCA의 주체성을 질문하고 확인했듯이 한국YMCA도 이를 질문했으며, 한국YMCA 목적문 과 1970년대 이후 20년간 계속된 YMCA의 이념추구 작업이 그 예이다. 한국YMCA의 이 전통은 YMCA로 하여금 한국사회의 가장 오래된 시민단체로서 한 세기 넘게 존속하게 해주었으며, 앞으로도 YMCA가 계속해서 존속하려면 기독교 경전의 재해석을 통해서 한국YMCA의 아이덴티티를 재확인하 고 YMCA의 과제를 찾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위에서 YMCA의 이상을 추구하고 목적에 관심을 가진 것은 프로그램 위주로 기구의 운영을 할 수밖에 없는 도시 YMCA보다는 학생YMCA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학생YMCA와 학생부 간사의 중요성이 여기에 있는데 우리는 1950년대 이후 한국YMCA의 존재 이유를 부단히 물었던 김천배와 강문규가 학생YMCA 간사 출신이었다는 것을 기억한다. 김천배는, 1950년 4월부터 11월까지 서울에

4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머물렀던 YMCA 협동총무 로빈스 스트롱(Robbins Strong)이 YMCA의 가장 유능한 연맹 간사라고 평 하면서 전시의 안전을 염려했던 인물이다.33) 그래서 1914년 학생YMCA와 도시 YMCA의 연합기구로 서의 YMCA연맹의 결성이 한국YMCA운동사에서 크게 중요하며, 우리가 YMCA연맹의 100주년을 기 념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YMCA의 미래가 학생YMCA에만 달려있는 것은 아니지만, YMCA의 주체성 을 질문하는, 학생YMCA 없이는 YMCA가 자칫하면 방향을 상실할지도 모른다. 이것이 YMCA의 주체성과 관련된 것이라면, 한국YMCA의 과제와 관련해서는 한 가지만 언급하고 싶다. 민족자주운동, 농촌운동, 시민사회 운동으로 이어져 온 YMCA 운동사에서 보면 오늘날의 YMCA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말할 것도 없이 민족분단의 문제일 것이다. 이것을 통일 사업이라고 한 다면 1920-30년대의 농촌사업처럼 전국의 YMCA가 향후 10년 동안 청소년 통일교육, 통일NGO 및 통일협동조합의 조직, 군축운동 같은 통일 사업에 전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미 YMCA가 생명평화 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므로 이 운동을 통일중심 사업으로 더 강화시키면 될 것이다. 현재의 생명평화 운동은 1920년대의 농촌사업이나 1980년대의 시민운동처럼 선구적이지 못하며 YMCA의 주력사업 으로 보이지도 않는다. YMCA는 이미 통일운동을 위한 유용한 역사적 자원을 가지고 있는데, 1919년 까지의 민족운동, 1920년대 사회복음 및 전향적 사회주의 이해에 근거한 농민운동과 평양YMCA의 시민운동, 해방 후 YMCA 이사 경력을 가진 인물(허헌)의 북한존재 등은 YMCA로 하여금 북한과의 교 류를 용이하게 해줄 수 있는 것들이다. 한국YMCA는 독립협회의 해산 이후 시민운동을 이끌어왔을 뿐만 아니라 시민운동의 내용까지도 결정해 왔다. 그 과정에서 YMCA는 교육활동을 통해서는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봉사형 NGO의 역 할을 수행하고, 시민운동을 통해서는 사회개혁에 참여하는 견제형 NGO의 역할의 해왔다. 통일운동 은 남북분단을 극복한 이후에도 한동안 필요한 일일 것이므로 장기간의 과제이며, YMCA는 봉사하고 견제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통일한국을 앞당기는 민족적 과제에 투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일을 위해 필요하다면, 과거 농촌부를 신설했던 것처럼 YMCA연맹에 또는 YMCA마다 통일부를 신설하는 문제 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한 세기 이상 동안 YMCA를 존속시킨 것은 제도나 재정이 아니라 사 람과 일이었다. YMCA의 시대적 과제가 이런 활동가를 기다리고 있다.

33) Robbins Strong,“Report from Korea”(1950). 미간행물.

45


03

세션 1 Session 1

New Prospects and Vision through 100 years of Korea YMCA - From civil society formation and development perspective

S e s s i o n

1

Dr. KIM, Heung Soo (Professor, Mokwon University; Member of Centennial Chronicle Committee of Korea YMC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back the history of the YMCA Korea, as we celebrates the 100 years anniversary of the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 (NCYK). It would not be possible to elaborate all the details of its history, but it would be suffice to review who led the YMCA movement with what purpose, and how the tasks of the YMCA was set up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history, and how those tasks were specified through projects and programs. It would be beyond my capacity to predict the YMCA’s future, which has left long and remarkable footprints in the history of Korean civil movements, but at the end of this paper, I would like to venture to look into what challenges lie ahead of the YMCA. The YMCA’s history has been reviewed by Jeon Taek-Bu, Kim Chun-Bae, and Min KyungBae, who can be called to be historians of the YMCA. More recently,‘The Half Century History of the Ecumenical Movement in Korea, the Road Less Traveled’(2010) by Kang Mun-Kyu, the fomer General Secretary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The History of Korea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Movement’(1978) by Jeon Taek-Bu looked into the history of the YMCA before the period of 1945, while‘The History of YMCA Korea Movement’(1986), which was published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 covered

4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the history of YMCA Korea until mid 1980s period. It was in the‘The History of YMCA Korea Movement’that enlisted the history of Korea YMCA for the first time, which was written by Song Geon-Ho and Kim Chun-Bae.‘The 100 years of History of Seoul YMCA Movement’by Min Kyung-Bae is also can be included the books on the YMCA Korea history, since Seoul YMCA was not separated from the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 for a long time, albeit it was one of the city YMCAs, and practically represented YMCA Korea.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history of the YMCA based on these books. Korea. In understanding YMCA Korea, it would be also useful to observe how World Alliance of YMCAs and International Committee for YMCA North America influenced the activities of YMCA Korea, since YMCA Korea worked closely with the two organization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s of the YMCA It was 1844 when George Williams organized the YMCA with his colleagues in London. When the movement was expanded to Europe and North America, leaders of the YMCA gathered in Paris to establish the World Alliance of YMCAs and devised the Paris Basis. The essence of the Paris Basis, which remains still the most satisfactory statement of the YMCA on its identity and purpose, is that the YMCA is vowed“to seek to unite those young men who, regarding Jesus Christ as their God and saviour, according to the holy scriptures”. In 1864, the representatives of YMCA of the U.S.A and Canada had a conference in Boston in which they organised the North America Alliance of YMCA, which later changed its name to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Y North America. YMCA of the USA expanded its movements to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Y North America played a leading role in expanding the YMCA movements across the globe. This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all of the General Secretary of YMCA Cooperation in each country was dispatched not from the World Alliance of YMCA in Geneva but from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Y North America. It was also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Y North America that gave birth to YMCA Korea. In 1899, the groundwork for the foundation of YMCA Korea was laid by Horace G. Underwood

47


03

세션 1 Session 1

and Henry G. Appenzeller who submitted the Pet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YMCA Korea of 150 Korean youth to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Y North America. The missionaries wanted the establishment of YMCA Korea for they thought it would help them to lead upper class, intellectual Korean youth to God, who were quite weary of joining the Korean church. As for Korean youth, they wanted a space to learn about the Christianity and some of them thought that the YMCA Korea, if established, would be of a great use in promoting their enlightenment and independent movements. In September, 1901, P. L. Gillett from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Y North America arrived at Seoul, upon which he embarked on the organization of PaiChai Hakdang YMCA (a Methodist School), the Student YMCA. On October 28th, 1903, Hwangsung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a association of youth in the city was founded. J.S. Gale was appointed as the president and Gillett was appointed as the general secretary. Meanwhile Choi Jae-Hak and Kim Kyu-Sik, who studied at Roanoke College in the U.S, became secretaries. The most notable incident since the foundation of Hwangsung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happened when some members of the Independence Club joined the Association in January, 1904. It can be said that the framework of Korean Christianity was laid through the 1903 Wonsan Revival and the 1907 Pyeongyang Revival while the social foundation for the YMCA movement was set when the members of the Independence Club join the YMCA. The main projects of the Independence Club, which was founded in July, 1896, were to establish Independence Gate and Independence Park, but gradually it expanded its work of scope to include independence, civil rights, self-strenuous efforts. However, the Independence Club was forced to be dispersed and some of its members were arrested. The YMCA took the members (including Lee Sang-Jae, Kim Jeong-Sik, Yoo Sung-Jun, Lee Won-Geung, Ahn GukSeon) under its wing and even appointed them as the organization leaders. At the end of 1904, Kim Jeong-Sik became the senior secretary(general secretary of Korea), and given the fact the he had been arrested with Lee Sang-Jae along with others, the

4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appointment has quite significant meaning.34) The appointment also herald that YMCA Korea would embark on programs and project in the context of Korea’s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It was around this time that Kim Kyu-Sik, who studied in the U.S and Yuk Jeong-Soo, the member of PaiChai Hakdang YMCA, Lee Gyo-Syng, who was Gale’s Chinese Character teacher, became secretaries of the YMCA. Yun Chi-Ho, Kim Kyu-Sik became members of the committee in 1905 and 1906 respectively, while Lee Sang-Jae became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Religion department in 1908 at the age of 59, after serving as the education director since 1906. Kim Jeong-Sik went to Japan and founded the Organization of YMCA Korea in Japan with other Korean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the country, thereby expanding the Independence Club’s influence to the YMCA Korea in Japan. These facts well illustrate that the Independence Club members of the YMCA took the national issues head on and sought to address them through the YMCA movements and fostered the YMCA as a Christian civil organization that inherited the sprit of the Independence Club. Hwangsung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had its opening ceremony on December 3, 1908 after the construction began in May 1907. Securing space for the organization was important, but raising public awareness on the purpose and project of the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was also critical. Therefore, the association published‘The Hwangsung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Opening Ceremony brochure on the opening day of the building. The brochure explained the foundation of the YMCA, its purpose, guiding principles, and goals of its projects, and presented YMCA as the youth organization and education and self-reliance as the key objectives of its projects.35) The YMCA’s progress was shown in its international exchanges. YMCA Korea sent

34) Jeon Taek-Bu,『The History of Korea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Movement 1899-1945』,(Jeungeumsa, 1978), 88. 35) Ibid, 121-131.

49


03

세션 1 Session 1

representatives to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World Student Christian Federation(WSCF), which was held in Tokyo, in April, 1907. The representatives were Yun Chi-Ho, Kim Jeong-Sik, Kim Kyu-Sik, Kim Pil-Soo, Kang Tae-Woong, and F.M. Brockman. The WSCF is the student association of Europe which was organised in Sweden in 1895, but it was the University YMCA of the U.S.A that created the organization. The student YMCA movement gained the momentum in the first YMCA Student Summer Conference(Hakryunghoe), which was held at the Jinkwansa, the temple in the Mt. Samgak in June, 1910. The second YMCA Student Summer Conference was held when Rhee Syngman was the secretary of the student department after coming back to Korea from the United sated. At the second summer conference, which was held in Kaesung in 1911, 93 members from 21 schools across the nation. But when the YMCA began to spread across the nation including Seoul, the 105-Man Incident occurred. The nation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YMCA in its early period began to distinct with the acceptance of Independence Club members, but it was the 105-Man Incident that fully revealed these features. The incident was fabricated by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which arrested 105 independence activists(including Christians), on the false charges of their attempted murder of General Terauchi. Yun Chi-Ho, the accused ringleader of the case was vice president of Hwangsung YMCA. Gillett informed the World Missionary Conference of the Incidence, which was headquartered in Edinburgh When this was known to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it suppressed Gillett and the YMCA even more stringently. In the end, Gillett had to step down from his post and leave Korea, and his return to the country was forbidden. And Kim Kyu-Sik, who were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department of the Hwangsung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from 1908 to 1909 and Rhee Syngman who was leading the Student YMCA had to defect to America. In this regard, the argument that the 105-man Incident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Japanese crackdown on the YMCA has valid points. Yun Chi-Ho, the accused ringleader of the Incident was arrest on the grounds that he was the leader of Shinminhoe, but in essence, his

5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arrest was to suppress the YMCA which was gaining ground among Korean youth.36) Despite the crisis, the YMCA remained undaunted. In April, 1914, the nine Student YMCAs (The Central Christian Youth Hakgwan, Kyungshin School, PaiChai Hakdang, Severance Medical School, Hanyeong Seowon, Shinheng School, Kunsan Youngmyung school, Sungil School, Organization of YMCA Korea in Tokyo, Japan) and 45 representatives of the Central YMCA forged the Chosun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which aligned the Student YMCA and urban YMCAs. It was one year since the Hwangsung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changed its name to the Chosun Central YMCA The new alliance firmly established the position of Student YMCA in the history of YMCA Korea. Its first president was Underwood, while Brockman was appointed as the general Secretary. Later Yun Chi-Ho, who was arrested in 1916 amidst the 105-Man Incident and released in 1915, became the general secretary. The YMCA’s influence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found i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It is well-known fact that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affected from the February Eighth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t the Korea YMCA in Tokyo. Among 33 representatives who signed the Declaration, 9 of them were deeply involved in the YMCA, including Park Hee-Do (secretary of Hoewoobu), Lee Pil-Ju (former secretary of the physical activity department), Oh Hwa-Young(member of the committee), Jeong Chun-Soo (former member of the committee), Yang Jeon-Baek (the founder of Shinsung YMCA school), Lee Syng-Hun (the founder of Osan YMCA), Lee Kap-Sung (a member of the YMCA), Park Dong-Wan (a member of the YMCA).37) As aforementioned, after the main members of the Independence Club joined the YMCA, the organization rapidly emerged as the pivotal organization in the figh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36) Yun Kyoung-Ro,『Study on 105-Man Incident and Shinminhoe』(Hangsung University Press, 2012) Updated version, 88-89; Jeon Taek-Bu,『The History of Korea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Movement 1899-1945』, 81. 37) Jeon Taek-Bu,『The History of Korea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Movement 1899-1945』, 246.

51


03

세션 1 Session 1

rule.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YMCA movement during this period were driven by leaders of YMCA Korea who worked in the Independence Club and were dedicated Christians, neither by the Paris Basis of the YMCA nor by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Y North America. Rhee Syngman and Lee Sang-Jae were among those who became Christians in prison, and all of them, including Yun Chi-Ho, who saw the Christianity as the driving force of the civilization, believed the Christianity could offer spiritual strength for the country. And it was these figures who led the YMCA movement for the two decades since the foundation of Hwangsung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In the 1920s, programs for rural area became the focus of the YMCA movement. The rural movement was mainly led by Socialists who criticised the Christianity, the International Committee for the Y North America, and Jerusalem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IMC).

YMCA’s Rural Project Since the March Frist Independence Movement, YMCA organized local YMCAs in Sonchon (1919), Pyongyang (1921), Daegu(1921), Gwangju (1922) Wonsan (1925), Jeonju (1925), Sinuiju(1925), and Hamhung (1918). The number of Student YMCAs grew to 18 by 1925. The nationwide spread of City YMCAs was one of the biggest changes of the 1920’s in Korea and was the sign of new rising leadership of YMCA. Of course, members of The Independence Club and people involved in The 105-Man Incident influenced YMCA until the 1920’s, and was same for Pyongyang YMCA . Some of the executives of Pyongyang YMCA were people involved in The 105-Man Incident such as Lee Deok-Hwan (board member) Byeon In-Seo (board member), Ahn Sae Hwan (General Secretary, Pyongyang YMCA Christianity Hall).38) First General Secretary of Pyongyang YMCA , which was established in 1921, was Cho ManSik who served as the board member of Korean YMCA in Tokyo. He resigned in 1932. One aspect that sets Pyongyang YMCA apart from other YMCAs is their participation in Moolsan

38) Yun Kyoung-Ro,『Study on 105-Man Incident and Shinminhoe』, 383, 394, 404, 409.

5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Jangneo Movement (encouragement of national production). Chosun Moolsan Jangneo Committee created by Cho Man-Sik in 1922, was born out of Pyongyang YMCA. This is because not only Committee’s office was located in Pyongyang YMCA but also out of twelve founding board members, nine including Cho Man-Sik (Chairman) and Lee Deok-Hwan (Vice Chairman) were from Pyongyang YMCA. The first time Cho Man-Sik promoted Chosun Moolsan Jangneo Committee was July 1920 before the establishment of YMCA in Pyongyang. He wasn’t able to carry out his plan due to opposition from Governor-General Korea and Japanese merchants, but he pushed ahead once he became General Secretary. The Committee managed price and quality of local products by encouraging leading manufacturers and stores in Pyongyang to join in, and as a consultative body of regional economic movement or network, it operated citizen surveillance system through churches and civic groups.39) Student YMCA that was spread across the nation held YMCA Student Summer Conference every year and cooperated with other YMCAs. As YMCA activities expanded, there was a need to report YMCA activities and share YMCA’s goal and its projects. This was one of the reasons why YMCA published <Youth> in 1921. With the spread of YMCAs in regions and schools, YMCA of Korea became independent from YMCA Japan. This was a great achievement at the time, which was led by Shin Heung-Woo . After studying in PaiChai Hakdang, Mr. Shin went to Kaiserliche Deutsche Sprachschule to continue his study, but was jailed in Hansung Prison in November 1901 due to his participation in the student council. There he met Rhee Syngman who was arrested on his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ce Club and also Lee Sang-Jae ,Yoo Sung-Jun, Lee Won-Geung, Kim Jeong-Sik and Hong Jae-Ki who were involved in The People’s Revolutionary Party Incident in June 1902. Just like Rhee Syngman and Lee Sang-Jae, Shin Heung-Woo developed his faith in Christianity in prison, and after going to the United States he became Secretary General of NCYK as

39) Kyu-Sik Jang,『Study on Korea’s Christian Nationalism Under Japanese Rule」(Hyeahn, 2001), 265.

53


03

세션 1 Session 1

successor of Yun Chi-Ho in February 1920. He was also Secretary General of Seoul Central YMCA at the age of 38. Since 1920, as General Secretary of YMCA, Mr. Shin identified YMCA’s ideology and pursued projects for 15 years. One of those projects was rural work which is deem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jects of YMCA Korea’s Movement history. YMCA started rural project from January 1925 and newly created Agriculture Department under NCYK. City and Student YMCAs also started rural projects and by 1929 there were 18 YMCAs that implemented the project in 170 rural communities. YMCA’s rural work that continued for about 10 years began with Education for Farmers and Agriculture Enlightenment Movement (1925-1928) and evolved to Cooperatives and Farming Improvement Movement (1928-1932)and to Training of Agricultural Leaders (1932-1937). YMCA by 1929, established 19 Nongmin schools (Farmers’School) 22 cooperatives and 82 Nongminhoe (Farmers’Association) and educated 10,507 night school students in 227 rural communities. With this project, YMCA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agricultural movement which was mostly focused on upper class youth and urban cities. Under the situation where farmers were suffering from absolute poverty,“YMCA Korea answered the call of the desperate time.”40) As mentioned earlier, Korean churches’rural work was also a reaction to attack on Christians by socialists in Korea. 41) They started anti-Christianity movement in 1923 and criticized Christianity as part of imperialism and a tool of capitalism. Shin Heung-Woo and Lee Dae-Wi from student department responded through <Youth>. If Mr. Lee, who studied in Beijing University focused on ideological perspective of the relations between Christianity and socialism,42) Mr. Shin persuaded churches whose control was with bourgeois, to lead the fate of

40) D. Willard Lyon’s Notes of a Conference on YMCA Rural Work in Korea, 1926. Jeon Taek-Bu,『The History of Korea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Movement 1899-1945』, 186-187 re-quote. 41) Han Kyu-Mu,『Rur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s Under Japanese Rule1925-1937』(The Institute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1997), 39-40. 42) Jang Kyu-Sik,『Study on Korea’s Christian Nationalism Under Japanese Rule』, 167-169.

5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the proletariat and implemented agricultural project at the same time.43) In Korea, YMCA was the first to jump into rural project among other religions. Mr. Shin asked International Committee of YMCA North America for their support in the project. In 1925, he announced his plan to“standardiz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areas that takes up 80% of the nation and focus on this area instead of urban cities.”44) Development of agricultural area was new kind of people’s survival project along with independence movement. From 1925 to 1932 YMCA worked with five experts in agriculture dispatched from Y North America and Hong Byeong-Seon (Secretary, NCYK Agricultural Department), Lee Sun-Ki (General Secretary, Hamheung YMCA ), Kye Byeong-Ho (General Secretary, Sonchon YMCA and Choi Young-Kyun (Gwnagju YMCA) from Korea.45) Social evangelism justified YMCA’s rural project. It was World Missions Association in 1910 when rural project was discussed for the first time by churches around the world. After changing its name to IMWC it mainly dealt with agricultural issues in Jerusalem (1928) but the project was implemented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evangelism of YMCA United States. Social evangelism that rose in the United States emphasizes realizing the teachings of Jesus within society therefore it sought to create ideological society or Kingdom of God. It was NY YMCA that adopted social evangelism and four programs among YMCAs in the United States. YMCA U.S.A chose social evangelism as its policy under the leadership of Sherwood Eddy after the First World War. Social evangelism was also valid in Korea in the 1920’s. Rural project heavily influenced Korean churches since IMC in Jerusalem, and began to expand. IMC in Jerusalem mostly discussed issues that Christianity faces with other religion and rural issues (rural missionary work, education, hygiene, and economy) and Korean delegation paid attention to rural issues.46)

43) Shin Heung-Woo,“About Anti-Christianity Movement,” 『Youth』, 4 November, 1925. 44) Shin Heung-Woo,“Effort into Rural Development,” 『Dong-A Ilbo』, 1, January,1925 45) Han Kyu-Mu,『Rur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s Under Japanese Rule1925-1937』,62-63. 46) Kim Helen,“Jerusalem IMC and Future of Christianity,”『Youth』4-5 November, 1928; Yang Ju-Sam,“Distinct Feature of Jerusalem IMC,” 『Ikidok』11, July, 1928

55


03

세션 1 Session 1

In 1929, YMCA organized Rural Project Cooperative Committee with YMCA Presbyterian Church, Methodist Church and Korean National Christian Council for more efficient work. The Chairman of this Committee was Yun Chi-Ho and Vice Chairman was F.O. Clark who was also Secretary of YMCA Cooperation. Although the Committee established Rural Project Leaders School and provided farming lessons, it was a cooperative work of Korean churches to implement specific program. Therefore, the Committee and the project held significant meaning in a sense that it contributed to Communion of churches movement.47) YMCA’s rural project that started from 1925 began to weaken in the mid 1930’s. Due to Economic De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starting 1934, aid from YMCA’s International Committee was cut by 40% compared to previous year. YMCA International Committee recalled four out of six experts on agriculture from Korea. Material support and manpower largely decreased in the project. In 1935, Shin Heung-Woo resigned due to Positive Faith League Incident. Although YMCA’s agricultural project was met with difficulty,“it was the most significant Christian project in Korea.”48) As YMCA leader, Mr. Shin actively participated in communion movement of Korean churches. In December 1925, John R. Mott , General Secretary of YMCA International Committee for North America visited Korea. If George Williams dominated YMCA movement in the late 19th century, it was John Mott who led the movement throughout 20th century. Upon his visit, YMCA Presbyterian Church, Methodist Church and YMCA leaders talked about Korea’s IMC membership issue and its participation in Jerusalem in 1928. John Mott visited Korea again in April 1929, and Shin Heung-Woo organized a meeting to report on the IMC Jerusalem . Mr.Shin was selected as one of three executive committees by Korean National Christian Council and led Communion of Korean churches movement. Mr. Shin’s contribution was beyond YMCA but had

47) Min Kyung-Bae,『The 100-Year History of Seoul YMCA Movement』(SeoulYMCA, 2004), 276. 48) K. L. Butterfield, Rural Construction Work in Korea. Jeon Taek-Bu,『The History of Korea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Movement 1899년-1945년』, 402 re-quote.

5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to resign his seat as Secretary General of YMCA because he was faced with Korean church’s opposition against changing Christianity by organizing Positive Faith League Incident in the mid 1930’s. After Shin Heung-Woo left the post, Japan dissolved YMCA and integrated it to YMCA Japan in 1937. The only project YMCA had at the end of Japanese Rule was sports.

YMCA’s Citizens Movement After liberation, YMCA was faced with leadership issue. Rhee Syngman who served as first Student Deparment’s Secretary, Shin Heung-Woo, former General Secretary and Gu Ja-Ok all jumped into politics. Yun Chi-Ho died in December 1945. In September 1949 General Secretary Byeon Sung-Ok came back to Korea from one-year study tour under Gumi YMCA. Right after his arrival, nationwide City YMCA executive conference was held which was the biggest executive meeting since liberation. However, with Byeon Sung-Ok’s death in early 1950’s, his vision for YMCA restoration vanished. Fortunately, Student YMCA was restored. Student YMCA that led Christian students’ movement of Korea eventually weakened after General Secretary of NCYK Shin Heung-Mu, and Secretary Lee Dae-Wi left YMCA. As Yeonsei University’s YMCA resumed its activities in 1946, an effort to restore the organization began. YMCA’s Student Council was rapidly restored, and by April, 1947 there were 18 University YMCAs including Yeonsei University 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nd 54 Highschool YMCAs including Paichai, Gyeongsin, Shinheung, Keisung Highschool.

49)

The restoration of student council in universities and highschools and YMCA’s

student department led to Student Summer Conference in Jinkwansa, Samgak Mountain in August 1947. During the conference, organization of student’s nationwide alliance was discussed. The Student Summer Conference of YMCA was held every year beginning in June 1910 to 1936. Seoul City’s Christian Student’s Alliance, YMCA and YWCA which were naturally

49) Jeon Taek-Bu,『The History of Korea’s Ecumenical Movement』(KNCC, 1979), 212.

57


03

세션 1 Session 1

born associations established KSCF in 1948 at YMCA Seoul’s auditorium.50) But students from YMCA and YWCA left KSCF right after its creation. Restoration of local YMCA in North Korea was also an urgent issue. Pyongyang YMCA faced difficulties when Cho Man-Sik who served as Secretary of Pyongyang YMCA from 1921 to 1932 had conflict with Kim Il-Sung regime. Pyongyang YMCA resumed its activities when the U.N Army and Nation’s armed forces occupied Pyongyang for 40 days. The YMCA was able to recover two-story building with one auditorium and fifteen big offices. At this time, Park YoungChang , Secretary of YMCA Publication Department and Student Council went to Pyongyang to restore YMCA. 51) There were about two thousand YMCA members in North Korea - one thousand in Pyongyang, and other thousand in other region. But when Communist Chinese Army went to war, members of Pyongyang YMCA had to defect to South Korea. In the 1950’s, WSCF was the one who brought vitality to Korea YMCA’s movement. Korea’s Hangseng YMCA sent delegation to 7th WSCF General Meeting held in Tokyo in April 1907. Since then, in 1922 Beijing General Meeting, Lee Sang-Jae, Shin Heung-Woo , and Lee Dae-Wi participated as a delegation member and in 1924 London Meeting, YMCA Chosun and YWCA Cooperative Council came together, and received approval to be a member. After the 1950’s, Kim Chun-Bae (Tutzing, Germany 1956)and Kang Mun-Kyu (Thessaloniki, Greece 1960) attened WSCF General Meeting. WSCF was an organization with many progressive theologians under ecumenical movement. On one hand, since the Korea War, YMCA was connected to Western Church’s progressive theology through WSCF and on the other , was under the influence of General Secretaries of YMCA Japan Cooperation dispatched by Y North America. University YMCA in Japan had the strongest power. In Japan, University YMCA Cooperation’s General Secretaries were dispatched. In the 1960’s, YMCA Korea was ideologically most influenced by YMCA Japan

50) Kim Heung-Soo,“Foundation of Republic of Korea and Youth Movement Led by Christian Students,”『Theology and Field』vol. 23(2013), 52-56. 51) Robbins Strong,“Report from Korea”(1950). unpublished. World Alliance of YMCAs Archive.

5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Cooperation’s General Secretaries such as Delma Wedel of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the City of New York.“Unfortunately”, only City YMCA Cooperation’s General Secretaries were sent to Korea.52) In 1968, NCYK declared integration of YMCA Student Council and KSCM. Since then, in November 1969, two organizations gave rise to KSCF. KSCF embarked on“social developing movement”to realiz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justice. The movement directly got involved in labor field after Jeon Tae-il committed suicide by fire. Since then, KSCF’s Christian Student movement walked harsh path to realize democracy and social justice under Park Chung-hee regime. The 1970’s was an era of new challenge for YMCA Korea. Since late 1960’s, YMCA’s effort to restore movement and its social responsibility was faced with a question. During the 5th World YMCA Convention that was held in Nottingham, UK in July 1969 under the theme of “identity and mission”, the seriousness of YMCA Korea’s social responsibility issue was heightened.53) The meeting emphasized the obligation of YMCA toward social development. The meeting was revolutionary, in fact it was this meeting where the issue of revision of The Paris Basis was raised. Although it did not change, committee was formed. Since then, Kampala Principle was added in Uganda General Meeting of 1973 and Challenge 21 in 1998. After Nottingham Meeting, YMCA jumped into youth, women,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movement. Along with Nottingham Meeting, University YMCA’s Student Social Developing movement and Seoul YMCA’s citizens forum and local YMCA’s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in the late 1960’s became direct causes for YMCA to get involved in social development projects. And it was Kang Mun-Kyu who became NCYK Secretary that started the era of challenge for YMCA Korea. Kang Mun-Kyu who served as General Manager of WSCF Asia branch took office as General

52) Kang Mun-Kyu,『The Half Century History of the Ecumenical Movement in Korea, the Road Less Traveled』((2010),59. 53) Compiled by NCYK , The History of YMCA Korea Movement 1895-1985(Ro Publication, 1986), 288-290.

59


03

세션 1 Session 1

Secretary in 1974. Based on what Kampala Principle recommends, he organized committee that studies Korea YMCA’s purpose and projects. The committee was composed of 50% board members, 30% staff and 20% of theologians that know YMCA well. The committee released annual report for 20 years since 1975. The project became“entrance to the spirit of new YMCA.”54) Draft of the YMCA Korea’s mission statement was written by professor Hyun YoungHak. The mission statement defined YMCA as a group of pilgrims who participate in God’s historic missionary work from the“perspective of people”and declared young men to create Kingdom of God by contributing to enhancing welfare and creating new culture by realizing love and justice“following Jesus Christ.”55) The mission statement was adopted in the 23rd NCYK National Convention held in Busan in April 1976. Since then, YMCA Korea garnered attention from World Alliance of YMCAs. The issue of Secretary training was important. So curriculum of school was overhauled and NCYK ran the school. During three semester training, everyone had to stay in Darakwon for one semester. During this two month period, they learned history, ideology and mission of YMCA. NCYK received support from Germany and Hwaran Christianity sponsor to fix Darakwon and start social education program. Members of National Secondary Education Teachers’Meeting or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today, were trained in Darakwon and National Nongminhoe leadership was born out of here as well. Also,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leadership was born based on Darakwon’s education.56) Although there were youth training, missionary work programs there weren’t education on nurturing social leaders. Social education program included teachers, workers and rural leaders’education. NCYK started conscious education by creating Secondary Education Teachers’Meeting and those who were educated here became members of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54) Kang Mun-Kyu,『The half century history of the Ecumenical movement in Korea, the Road Less Traveled』, 222. 55) Preamble and mission statement compiled by NCYK, The History of YMCA Korea Movement 1895-1985, 298 reference. 56) Kang Mun-Kyu,『The half century history of the Ecumenical movement in Korea, the Road Less Traveled』, 301.

6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Union . YMCA’s Secondary Education Teachers’Meeting , which was established under the goal of advocating teachers’rights, built nationwide network and became the pivot of teachers’ movement.57) The goal of NCYK’s rural leader education was to restore rural projects, and the reason why YMCA started rural projects again was because it was farmers who were most affected under President’s Park Chung-hee’s industralization.58) These projects were carried out by YMCA to form democratic civil society and they contributed to YMCA, which served as a cradle of national movement under Japanese Rule, to recover its root as Christian social movement. But it didn’t happen out of nowhere. From late 1930’s to late 1960’s, YMCA’s new projects required new staff who were experienced in new era ,since YMCA has been disconnected from its tradition for too long. Lee Chang-Sik who served in industrial missionary work since the early 1970’s, Hwang JuSuk, Shin Dae-Kyun and other seven who were involved in National Federation of Democratic Young Students incident of 1974 participated in YMCA movement. The participation of these democratic movement activists in YMCA movement was comparable to the Independence Club participants getting involved in YMCA movement in the early 1900’s. YMCA began its citizens movement in the 1980’s, and it was led by the generation who was involved in democratic movement. They were all dispatched to Local YMCAs. The year 1984 was meaningful since NCYK celebrated 70th anniversary and was 100th anniversary of Korean Christianity. NCYK planned to publish series of books that dealt with YMCA ideology such as『Pursuit of ideology by YMCA Korea 』,『Youth』,『The History of YMCA Korea Movement』but they put their heart and soul in『The History of YMCA Korea Movement』 Song Geon-Ho (1st volume People’s Ordeal, YMCA Movement) and Kim Chun-Bae (2nd volume Leadership of Chosun Christians Student Council, 3rd volume YMCA Movement Since Liberation) wrote the book.

57) Kang Mun-Kyu,“1980’s Social Movements of Korean Christians” 『The Yearbook of Christian Church』(KNCC ,1990), 99. 58) Kang Mun-Kyu,『The half century history of the Ecumenical movement in Korea, the Road Less Traveled』, 223-224, 255.

61


03

세션 1 Session 1

Kim Chun-Bae tried to define Korea YMCA’s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ity. He seemed to supplement Christian perspective which see the movement as part of expansion of churches (in other words, using the movement as a means to lead the upper class and intellectuals to God) with an approach to define the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movement. According to Kang Mun-Kyu,‘to independently define’is to emphasize that it is not an extension of The Paris Basis and‘supplementing the history of church expansion’is to raise a question against the idea that YMCA is used as a means to propagate to upper class and the intellectual class.59) This was also a criticism against Jeon Taek-Bu’s book『History of Korea’s Christian Students’Movement 1899-1945』. This was to change the common idea of identifying the birth of Hwangsung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with the birth of YMCA movement. Kim Chun-Bae tried to find the origin of YMCA movement from late 19th century’s ecumenical movement and Yushin movment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He suggested that 1895 -when Yun Chi-Ho, Vanderbilt University Faculty of Theology, returned to Korea - should be the beginning of YMCA movement. 60) Kim Chun-Bae tried to find unity between City YMCA movement and Student -YMCA movement and their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long with the celebration of 70th anniversary, YMCA defined their movement as citizens’ movement upon 27th NCYK National Convention. It was to nationalize and systemize the formation of citizen opinion, legal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democratic citizen leadership. Since then YMCA continued to implement citizens movement such as Anti-subscription Fee movement for fair news and democratic press as well as movement for Normalization of CBS , Democratization movement on Education (1986), Fair Election Monitoring movement to establish democratic government (1987), Anti-imported Cigarette movement, Anti- imported Agro and Livestock movement (1988), Anti-overconsumption of Adult Industry movement and Consumer movement (1989) to create sound citizens culture and economic justice. Kang Mun-Kyu that

59) Ibid, 281. 60) Compied by NCYK,『The History of YMCA Korea Movement 1895-1985』,vii-viii.

6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directed these works resigned in 1996. In his book, he looks back 20 year- period since the mid 1970’s as the time when YMCA Korea led the world YMCA movement.61)

Closing- YMCA Korea’s tasks Predicting the future of YMCA is about looking back how YMCA has maintained its independence and what its main projects were and thinking about what its tasks will be based on that independence. YMCA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activities in the past 100 years, but this paper focused on YMCA’s past through independence movement, agricultural movement and citizens movement. Implementing these movements meant resisting the political power and criticizing government’s policies. As seen in this paper, YMCA played pioneering role through these movements but at the same time it had made various sacrifices too. These movements also show how YMCA participated and contributed to Korea’s modern history and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future of YMCA. World Alliance of YMCAs focus moved from evangelical work to social activities. the definition of Kingdom of God of Paris Basis transformed from transcendental character to immanent. But this change simply shows that the focus has chang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is Basis. YMCA has always remained within Christianity and identified The Paris Basis. The same applies to YMCA Korea so it had always implemented its activities based on Christianity. The difference between World Alliance of YMCAs and YMCA Korea is that it naturally paid attention to independent lives of the people and then moved on to rural work and other projects to realize democracy and social justice. YMCA did their projects based on their faith, and a case in point are a confession of faith about Korean’s future in early 1900’s, social evangelism that became the foundation of rural work of the 1920’s and mission theology that justified citizens movement in the 1970’s. As YMCA questioned and identified its independence through World Alliance of YMCAs after The Paris Basis, YMCA Korea has also done the same. A case in point is YMCA’s

61) Kang Mun-Kyu,『The half century history of the Ecumenical movement in Korea, the Road Less Traveled』, 235.

63


03

세션 1 Session 1

pursuit of its ideology for 20 years since the 1970’s after the creation of its mission statement. The tradition of YMCA Korea enabled YMCA to exist for over a century as the oldest civic group, and to continue this path, YMCA Korea will need to find its tasks and identify itself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he Bible. We learned that it was Student YMCA not City YMCA that paid attention to the pursuit of YMCA’s ideal and its purpose. The significance of Student YMCA and its Secretary lies in here, Kim Chun-Bae and Kang Mun-Kyu who questioned the existence of YMCA after 1950’s were all Student YMCA’s Secretary. Robbins Strong, YMCA Cooperation Secretary praised Kim ChunBae as the most competent Secretary of YMCA and worried about his safety during the Korean War.62) That is why NCYK, the alliance of student YMCA and City YMCA is so important in the history of Korea’s YMCA movement and it is also why we are celebrating 100th anniversary today. The future of YMCA Korea lies not just in Student YMCA, however without this organization, YMCA might lose its direction. If this is related with YMCA’s independence then I’d like to mention something on YMCA’s tasks. YMCA realized that independence movement, rural movement and other movements related with the civil society are the most important to people’s lives and focused its leadership and energy on participating on these movements. Based on the past of YMCA, the most important task of today will be division of nation. This in other words is reunification project so just like rural projects of the 1920’s YMCAs in Korea will need to focus on education of reunification, organization of reunification NGOs and reunification cooperatives and disarmament movement. YMCA is already implementing various movements related with life and peace but it lacks more detailed activities and they don’t seem to be YMCA’s core projects. YMCA already has historical resources useful for reunification work and case in point are -understanding of socialism by YMCA leaders in the 1920’s, adoption of social evangelism, citizens movement of

62) Robbins Strong,“Report from Korea”(1950). unpublished

6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Pyongyang YMCA and the existence of Huh Hun who was former board member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 they will contribute to exchanges with North Korea. YMCA Korea not only led citizens movement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Independence Club but also decid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movement. In this process YMCA acted as voluntary NGO that provides social service through education and also an NGO that keeps things in check by participating in social reform. Reunification movement will be necessary even after overcoming the division therefore it is a long-term task and YMCA will need to play its role of the past to advance reunification and devote to national tasks. Creating Reunification department by every YMCAs in Korea will also need to be in consideration. YMCA was able to exist for 100 years not because of system or finance but people and programs. Just like YMCA involved members of the Independence Club and democratic movement in their work, YMCA Korea will need to include people with experience in reunification movement. There were only each ten members from the Independence Club and democratic movement who became the members of YMCA. Maybe this will be task for YMCA today.

65


03

세션 1 Session 1

한국YMCA 1세기 역사를 통해 본 새로운 전망과 비전 - 시민사회 형성과 발전의 관점에서-

S e s s i o n

1

정현백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김흥수선생님이 쓰신 YMCA의 과거 역사를 접하면서, 평자에게는 YMCA를 새로이 이해하고 공감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YMCA 스스로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의 비 전을 모색하는 자리에서 제가 토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100년의 역 사를 읽으면서, 그 속에서 YMCA가 겪은 고난의 세월과 그 와중에서 스스로의 활동을 찾아가고, 이를 통해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파노라마와 같은 역정을 감동적으로 읽었습니다. 그러나 평자의 의무에 충실하기 위해서, 몇 가지 지점에 대한 문제제기와 제안을 하고자 합니다. 1. 그간의 YMCA의 활동을 좀 더 적극적으로 역사화(Historisierung, 혹은 역사만들기)하는 작업을 적극 권유하고 싶습니다. 민족의 개화(근대화)와 독립을 둘러싼 고뇌, 상류 지식층 청년의 전도 (기독교화), 미국 YMCA로부터 독립하여 스스로의 주체성의 모색, 민족생존 혹은 사회문제에 대 한 천착(농촌운동과 노동문제를 둘러싼 활동), 지도력형성과 교육운동, 시민사회 형성을 위한 각 종 운동, 통일운동 등이 YMCA의 활동에 녹아 있습니다. 그러나 민족의 근현대사 속에서 YMCA 가 함께 해온 고뇌와 활동의 역사화작업은 잘 진행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와이 내부에서는 논의 가 있었을지언정 이것이 사회 내에서 얼마나 알려지고 통용되는 지식이 되고 있는가를 회의적입 니다. 저에게는 YMCA가 기독교 청년을 결집하기 위한 운동, 사회복지활동 그리고 시민의 여가

6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선용의 장을 제공하는 단체로 알려져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다른 운동단체처럼 이념화하 거나 첨예한 투쟁의 전면에 서지는 않았을 지라도, 보통의 시민 혹은 보다 중간집단에 가까운 국 민들을 민족이나 국가, 혹은 사회의 여러 고민과 도전에 대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해왔던 것이 아 닌지, 하였다면 어느 정도이었는지에 대한 냉정하게 평가하고, 이를 자신들의 정체성으로 가져가 는 작업까지도 해야 할 시점에 왔다는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김흥수 선생님의 글은 전체 흐름을 짚어주는 개설서적인 서술이지만, 그간의 역사를 좀 더 쟁점화하고 의미화하는 작업은 되지 않은 듯합니다. 이런 토론의 자리에서 이와 관련한 보다 치열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글의 제목대로 전망과 과제도 좀 더 적극적으로 제시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길고 긴, 파란 만장했던 100년의 역사를 쟁점으로 다루는 것이 서술자의 입장에서 부담스러우시리라 생각하지만, 적어도 토론의 장에서라도 좀 더 적극적인 논의가 이루어지면 좋을 듯합니다. 2. 미국 YMCA로부터 독립하여, 스스로의 주체성을 찾으면서 활동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 대한 보 다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이는 서구중심주의(Eurocentrism)를 벗어나 어떻게 스스로의 독 자적인 정체성을 찾아갔는가를 알려주는 중요한 분석이 될 것입니다. 이는 최근 역사학계에서 논 쟁의 초점이 되고 있는 한국 역사학의 서구중심주의와 관련하여서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입니 다. 글의 내용을 보아서, YMCA는 스스로의 독자적인 정체성과 활동방향을 찾아갔다고 생각되 어, 이런 것들이 정리되어 국제사회에서 발표된다면, 최근 자율적인 발전을 시도하고 있는 다른 제3세계 국가들에게도 좋은 전범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3. 100주년이 된 지금 YMCA의 또 다른 고민은 민족주의를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 입니다. 11쪽에 서 김천배 선생님이 YMCA운동을 주체적으로 규명하시면서, 이를 민족운동의 틀 안에서 파악하 는 시도를 하였습니다. 귀중한, 올바른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김 선생님의 시도에 대해서는 크게 이의를 제기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런데 지금의 현실 속에서 YMCA는 민족 운동적 접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다시 한 번 성찰해볼 시점에 온 것 같습니다. 민족의 독립이 풍 전등화의 상황에 있었던 일제시대와 해방 전후 시대의 문제의식을 지금은 어떤 방식으로 승계해 나갈 것인가의 고민이 들어있어야 합니다. 최근에는 미국산 쇠고기 관련 촛불시위이후 청년세대 사이에서 공화주의나 애국주의 등이 다시 거론되고 있습니다. YMCA는 이런 시대적 과제에 어떻 게 부응할지도 궁금합니다.

67


03

세션 1 Session 1

4. 바로 위의 문제와 관련하여 지적하고 싶은 것은 김흥수 선생님의 글이 최근의 변화와 맥락 속에 서 YMCA의 활동과 역할은 거의 다루고 있지 않은 점입니다. 이는 오히려 100주년을 성찰하는 지금의 시점에서 이 부분이 더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토론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 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 최근의 활동과 과제들이 좀 더 언급되면 좋겠습니다. 당연히 최근의 변화 를 다루지 않으니, 이 논문의 제목에 있는 과제 부분에 대한 언급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5. 필자는 YMCA의 통일 사업을 언급하시면서,“생명평화운동은 구체적 활동이 미약해보이며 YMCA의 주력사업으로 보이지도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YMCA는 다른 통 일운동단체에 비해 평화운동 쪽으로 많이 기울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평화운동이 성과는 크게 내지 못하지만, YMCA의 주력사업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YMCA가 하고 있 는 생명평화운동은‘소극적인 평화(negative peace)’보다는‘적극적인 평화(positive peace)’를 만드는 활동이라 생각하여, 여기에 대해서도 YMCA의 자체평가를 듣고 싶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저는 후자의 일환으로 일상생활에서‘평화 만들기’운동을 해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6. 마지막으로 12쪽에서‘시 청년회운동과 학생-청년회 운동의 통일성과 그 인과관계’를 언급한 부 분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해주시기 바랍니다.

6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New Prospects and Vision through 100 years of Korea YMCA - From civil society formation and development perspective

S e s s i o n

1

Jeong, Hyun Baek (Professor of Sociology, Sungkyunkwan University)

New Prospects and Tasks Through 100 Years of NCYK Reading and learning about the history of YMCA Korea which Dr. Kim Heung Soo wrote in celebration of 100th anniversary of YMCA, ha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me to newly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the YMCA. I am deeply honored to be given a chance to stand here to discuss with all of you at this venue gathered together to reflect on YMCA’s past and seek for its future vision. While reading about its 100 years’worth of history, I was deeply moved by the long journey of how YMCA has sought its purpose and found its true identity while going through the tough times. However, in order to carry out my duty as a critic, I would like to raise some questions and offer suggestions. 1. I highly recommend that YMCA Korea actively work on Historisierung, or historicization. Some of the activities that YMCA Korea has worked on include its agony towards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national independence, the evangelism (or Christianization) of young people in upper intellectual class, seeking to stand on its own after achieving

69


03

세션 1 Session 1

independence from YMCA USA, dealing issues related with survival of the people and social problems (rural movement and labor problems), developing leadership and education movement as well as other various movement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civil society, and the reunification movement. However, it seems that the historicization of the painful efforts and activities of YMCA i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s not been well proceeded. It may have been discussed internally, but it is skeptical as to how much these facts are being known and spread within society. To me, it seems that the YMCA is known as an organization which works on movements on gathering young Christians,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providing grounds for recreational activities for the citizens. But even if YMCA Korea may not be at the forefront of idealization or acute struggle like other organizations, it is now time for it to objectively assess whether or not it has taken the role of making ordinary citizens, or rather the nation - the intermediary group to face various troubles and challenges of the people, state, or society. And if it did, then YMCA needs to think to how much extent did it take to do so; by doing so, YMCA Korea will need to integrate this into building its identity. In that sense, I believe Dr. Kim’s paper touched on the overall history of YMCA Korea, but it still seems to need more working on signifying and making an issue of the past history. I feel that there needs to be a more fierce debate regarding this matter today. Thus, as indicated in the title of this paper , I feel there needs to be more suggestion on the prospect and tasks of YMCA. It may be somewhat a burden for a writer to handle the issue of long and turbulent 100 year history, but I hope there will be an aggressive discussion at least in here at the discussion forum. 2. There needs to be an in depth analysis on YMCA’s process of seeking activity while achieving independence from YMCA USA. This will be a significant analysis that shows how YMCA Korea established its own identity by breaking away from Eurocentrism. This will also serve as a meaningful research that relates to the Eurocentrism in Korea’s historical study, which has recently been the focus of debate in the academia of history. According to the

7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paper, YMCA is deemed to have found its own identity and direction, so if this research is announced in global society, then I believe it will serve as a good example for other Third World nations that are recently attempting for autonomic development. 3. Another concern for YMCA Korea upon celebrating its 100th year anniversary, is how to clear up the nationalism in Korea. In page 11 (of「The History of YMCA Korea Movement」), Kim, Chun-Bae subjectively defined the YMCA Korea Movement and made an attempt to clarify this in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This is a valuable and proper attempt and there is no need for questioning such attempt. However, it seems that it is now time for YMCA Korea to rethink over what it thinks about its national movement approach. It needs to ponder on how to inherit the sense of awareness it had during Japanese colonialization when the nation’s independence was at stake as well as pre and post liberation. The young generation of today are raising issues on republicanism and patriotism since the candlelight protest against US beef import. I am curious as to how YMCA Korea will respond to such challenges of the time. 4. What I would like to point out in regards to the problem stated just before, is that Dr. Kim’s paper does not deal much about the activities and roles of YMCA Korea in the context of recent changes. I believe that this is rather a subject that should be more focused on and debated upon at this time when we are here to reflect on the 100 year history. This is why I hope that recent efforts and challenges of YMCA Korea will be mentioned a little more in this paper. It is only natural that none can find any mentions on the challenges stated in the title, because the recent changes have not been dealt with. 5. The writer also points out that“movements related with life and peace lacks more detailed activities and they don’t seem to be YMCA’s core projects”while mentioning the reunification project of YMCA Korea. But in my opinion, YMCA Korea is more focusing on peace movement than any other reunification movement organizations. There may have not

71


03

세션 1 Session 1

been much progress in the peace movement, but I think this is the core project of YMCA Korea. In this sense, I believe that YMCA Korea’s life and peace movements are activities that seek‘positive peace’than‘negative peace’, and I would like to hear from YMCA Korea on its self evaluation on this matter. I also plead YMCA Korea to promote everyday life‘peace making’movements in regards to the latter matter. 6. Lastly, I cannot quite comprehend the part where it mentions the‘unity between City YMCA movement and Student YMCA movement and their cause-and-effect relationship’in page 12. I kindly ask for an elaboration on this part.

7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한국YMCA 1세기 역사를 통해 본 새로운 전망과 비전 - 시민사회 형성과 발전의 관점에서-

S e s s i o n

1

조대엽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생활 공공성 시대와 YMCA운동 한국 YMCA 100주년을 축하드리며 함께 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주신데 대해 감사드린다. 한국 YMCA운동 100년의 역사는 발제문의 제목이 제시하는 그대로 한국 시민사회의 형성에 기여한 점이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시민사회의 형성 경로는 다양한 측면에서 찾을 수 있으나 서구사 회든 비(非)서구사회든 기독교 시민운동의 역할은 중요했다. 더구나 기독교 시민운동은 계몽적 시민사 회에서부터 혁명적 시민사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으로 시민사회 형성에 기여했다. 여기에는 다 른 무엇보다도 혁신성과 보수성이 공존하는 기독교 윤리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다. 적어도 기독교 정 신에는 봉건적, 왕권적 질서를 무너뜨린 영국의 청교도혁명이나 미국혁명을 가능하게 한 혁신성이 내 재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 오늘날의 사회질서의 측면에서는 자본주의적 축적을 가능하게 한 문화적 요소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보수성이 동시에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기독교 시민운동으로서의 한국 YMCA운동 또한 기독교 윤리의 혁신성과 보수성이 당대 한국사회의 특수한 조건에 따라 달리 나타남 으로써 다양한 역사적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에 YMCA운동이 도입된 구한말과 일제의 초입에서 YMCA는 독립협회의 영향으로 민족자주운 동에 개입했고, 1920-30년대에는 농촌계몽운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1970년대 유신체제에서 민중지

73


03

세션 1 Session 1

향의 민주화운동과 관련되어 일정한 혁신성을 드러냈으며, 1980년대에는 온건개혁운동으로서의 시 민운동을 추구했다. 김흥수 교수는 이러한 YMCA 100년의 역사를 대단히 응축적으로 잘 정리하고 있 다. 사회운동을 특정시기의 지배적 프레임에 대한 저항프레임으로 볼 때, 일제하 식민제국주의 역사 프레임에 저항하는 민족해방운동의 시기에 YMCA는 민족자주를 위한 혁신적 사회운동과 농촌계몽을 지향하는 온건한 사회운동을 이어갔다. 나아가 1970년대, 80년대 분단국가주의 역사프레임에 저항하 는 민족민주운동의 시기에도 급진적 민주화운동과 관련되기도 했지만 주로 온건 개혁적 사회운동(시 민운동)에 전념했다. 보다 보편적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시민운동과 한 시대의 역사적 특수성을 반영한 저항적 시민운동 을 구분한다면, YMCA운동은‘보편주의 시민운동’과 함께‘특수주의 시민운동’의 역사를 동시에 갖 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특수주의 시민운동은 민주화라는 정치적 성과를 얻었던 반면 시민사회의 내재적 윤리를 성숙시키는 보편주의 시민운동은 오랜 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취약했던 게 사실이다. 무엇보다도 계몽적 시민사회, 합리적 시민사회의 형성을 지향하는 보편주의 시민운동에 YMCA운동이 기여한 바가 크다. 시민사회의 발전이라는 점에서 본다면 독재와 억압에 저항하는 시민 사회가 중요하지만 시민사회의 내면적 합리성을 축적하는 과정 또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YMCA운동의 의의가 큰 것이다. 이제 100년의 역사를 맞은 한국 YMCA는 어떤 새로운 전망을 갖는가? 무엇을 할 것인가? YMCA 운동의 새로운 전망과 과제는 우리 시대의 현실을 지배하는 역사적 프레임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 대정신으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 1990년대 이래 세계는‘탈냉전 시장주의’역사국면이 전개되었으 며 한국에서 이에 대한 저항의 프레임은‘시민사회운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의 1990년대는 지연된 민주화의 과제를 추구하는‘정치경제개혁운동’의 주기였다. 2000년대 들어서야 한국사회에 는 신자유주의적 시장화경향의 지구적 팽창이 양극화와 공동체적 삶의 해체, 사회적 약자의 삶의 파 괴 등 시장주의의 결과에 저항하는 생활정치운동이‘주류화’되었다. 적어도 우리 시대 시민운동의 새 로운 과제는 해체되고 파편화되며 파괴되는 삶의 양식을 새롭게 공공적으로 재구성해내는‘생활 공공 성’의 질서를 구축해내는 데 있다. 우리 시대 지구적 핵심과제로 상식화된 생태가치는 인간의 생활양 식의‘선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생활 공공성’은 생태공공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생활 공공성 운동은 진화된 민주주의의 모델로‘생활민주주의’를 지향한다. 우리 시대의 민주주의 는 적어도 대의민주주의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민주주의가 합의와 통합의 정치적 수단이나 절차로서 의 의미에 머물렀기 때문에 시민이나 주민은 절차와 수단으로서의 민주주의를 정당화시키는 장식에

7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불과했다. 시민과 주민의 실질적 삶은 민주주의 절차와 제도로부터 유리되어 있었던 것이다. 민주주 의는 과정과 절차의 문제가 아니라 결과와 목적으로서의 시민의 삶을 포괄하는 개념이 되어야 한다. 개인의 실존적 영역으로 간주됨으로써 공공적 영역에서 배제되었던‘생활’공간을 훨씬 더 공공화함 으로써 자아 실현적이고 자기 확장적인‘생활’로 재구성하는 것이야말로‘생활민주주의’의 과제인 것이다. 김흥수 교수가 제안하는 통일운동의 과제는 한국 YMCA운동의 새로운 방향과 관련해서 대단히 의 미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통일운동을 냉전 국가주의 프레임을 넘어‘생활 공공성 운동’으로 새 롭게 접근하는 것, 나아가 생활민주주의를 기초로 한 통일운동을 구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쩌면 100년의 역사 동안 한국 YMCA는 이미 다양한 방식의 생활 공공성 운동을 누적시켰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전의 역사시기에는 이러한 운동이 주류적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었다면, 우리 시대에 생활 공공성 운동은 보다 근본적이고 주류적인 운동의 가치를 담고 있는 것이다. 김흥수 교수의 발제 에서 많은 것을 배웠고, 향후 YMCA운동이 생활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생활 공공성 운동으로 재구성되 어 시대적인 가치를 주도하는 운동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는다.

75


03

ě„¸ě…˜ 1 Session 1

New Prospects and Vision through 100 years of Korea YMCA - From civil society formation and development perspective

S e s s i o n

1

Dr. CHO, Dae Yop (Professor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The Era of Life Publicness and YMCA Movements I would like to congratulate 100th anniversary of YMCA Korea and express my gratitude to YMCA Korea for organizing this event. As the title of the presentation implies, a century-old YMCA Movement should be highly praised since it ha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Korean civil society. There are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civil societies, but Christian citizen's movements especially have played a crucial role both in Western and non-Western societies. Also, Christian citizen's movements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ivil societies of various levels from enlightened civil societies to revolutionary civil societies.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ethics where radical and conservative ideas coexist. Christian ethics are radical because those ethics led to the Puritan Revolution of the UK and the American revolution that brought down feudalism and royalism. At the same time, Christian ethics are conservative considering that they include cultural factors that made accumulation of wealth possible. As a Christian citizen's movement, YMCA Movement in Korea has also achieved

7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historical success due to radical and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ethics under the unique conditions of Korean society at the time. During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the early stage of Japanese colonization, YMCA participated i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ce Club. From the 1920s and 30s, YMCA paid attention to enlightenment movements in rural areas. YMCA had radic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democratization movements for the 'minjung' under the Yushin regime in the 70s. In the 80s, YMCA pursued citizen's movements as moderate reform movements. Professor Kim Heung- Soo well summarized the 100 year history of YMCA. Social movements are the resistant frame against the dominant frame in certain times. In that sense, YMCA was engaged in radical social movements for independence under the historical frame of Japanese colonization.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engaged in moderate social movements for enlightenment of rural areas during the era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Furthermore, although YMCA was occasionally engaged in radical democratic movements, it mainly focused on moderate social movements (citizen's movement) even in the era of national democratic movements during the 70s and 80s. There are citizen's movements for universal citizens and resistant citizen's movements that reflect historical specialties. YMCA movements, however, have characteristics of both universalism and specialism of citizen's movement. In case of Korea, while special citizen's movements led to political achievements of democracy, universalism of citizen's movements that mature intrinsic ethics did not lead to remarkable success in the process of democratic movements. YMCA movements have greatly contributed to universalism of citizen's movement that aim for enlightened and reasonable civil societie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ies, resistance against authoritarianism and repression is important. At the same time, building reasonable civil societies is also necessary. In that sense, YMCA movements are crucial. Celebrating the 100th anniversary, what new perspectives does YMCA Korea have? What will it do in the future? The new perspectives and challenges need to be derived from historical frames that determine the reality of our time and from Zeitgeist to get rid of such frames. Since the 90s, post - Cold war market principles were

77


03

세션 1 Session 1

dominant around the world and Korea resisted such trends in forms of civil society movements. However, Korea was going through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 movements that pursued democracy during the 90s. From the 2000s when neoliberal marketization expanded throughout the world, life politics movements became mainstream in Korea. Such movements resisted the adverse effects of market principles, such as polarization, dismissal of communities, and breakdown of lives of the vulnerable. The new challenges of citizen's movements of our time include establishing the order of life publicness that reorganizes dismantled and destructed lives in public ways. Ecological values, the major challenges of our time, are determined by lifestyle choices. Therefore, life publicness includes ecological publicness. Life publicness movements aim for living democracy as an evolved form of democracy. Democracy of our time should be more than indirect democracy. As democracy was merely used as a political means in the past, citizens were merely used as tools to justify democracy. Real lives of the people were separated from the processes of democracy and institutions. However, democracy is not just a process but a concept that embraces the lives of the people. Individuals’'living' space used to be excluded in public areas, but tasks of living democracy nowadays include making such space public in order to achieve self-realization and self-expansion. Tasks of unification movements that Professor Kim proposes are meaningful in relation with the new direction of YMCA Korea.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to approach unification movements that go beyond the frame of cold war nationalism and to come up with unification movements based on living democracy. During its 100 years of history, YMCA Korea has already accumulated various types of life publicness movements.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these movements did not reflect mainstream Zeitgeist in the past, life publicness movements of our time have more fundamental and mainstream values. I have learned a lot from Professor Kim’s presentation and I hope YMCA movements will be reorganized and become life publicness movements that lead the values of our time.

7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한국YMCA 1세기 역사를 통해 본 새로운 전망과 비전 - 시민사회 형성과 발전의 관점에서-

S e s s i o n

1

김용복 (아시아태평양생명학연구원 원장, 한국YMCA 생명평화센터 고문)

향후 100년간 한국YMCA가 그려나갈 미래, 한국YMCA 운동의 변화 김 교수님의 한국YMCA역사에 대한 훌륭한 분석을 잘 들었습니다. 박사님의 YMCA 운동에 대한 미래 지향적인 설명에 대해 감히 몇 가지 보충 설명을 드리면서 새로운 세기를 이끌어나갈 한국 YMCA운동의 미래에 대해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YMCA는 지구상 모든 생명체를 위해 조직된 인간의 모습을 한 신의 공동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YMCA는 현재 기존과 다른 세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현재 한반도는 새로운 문명으 로의 대전환의 시기에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현재 문명의 태극과 같은 존재입니다. 한국 역사의 산 증인인YMCA운동은 국내에서 없어서 는 안 될 중요한 신앙 공동체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국YMCA의 정체성에 대해 논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날의 한국YMCA는 지난 세기 말YMCA가 출범할 당시와는 크게 달라졌습니다. 이에 따라 YMCA는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성경에 나오는 인물들처럼YMCA는 한국이 고난의 시기를 지나오면서 변모했습니다. 또 다른100년 을 맞이하는 바로 지금 이 시점에서 한국YMCA의 믿음과 정체성을 새롭게 하여 새 땅의 산 증인이 되 면 국내외적으로 새로운 신앙 공동체가 부상하게 될 것입니다.

79


03

세션 1 Session 1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에 새로운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이며 명백하게 드러나고 있는 징조는 인간의 상상력과 통제력 밖에 있는 테크노 크라트 문명을 세울 테크노크라트 권력(technocrat)의 등장 입니다.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 과 경제, 군대, 문화의 힘을 가진 여러 국가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러한 힘의 암류는 가장 선진화된 테크노크라트 세력의 통합을 통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선진화된 테크노크라시란(technocracy)다수의 강국이 경쟁하며 공생하는 관계에서 생성됩니다. 이렇게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인간의 문명과 우주의 관계는 급격한 변화를 목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미국이 선도하고 있으며 러시아, 중국, 일본은 긴밀한 결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한국도 글로벌 테크노크라트 집합체의 일원으로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1) 테크노크라트의 모든 생명체의 오이코스 (Oikos) 정복 현대 과학기술은 생명을“성공적”으로 정복했습니다. 생태권이 파괴되고

침식되어 이제 모든 생

명의“오이코스는”지속 불가능한 상태에 다다랐습니다. 기후변화, 환경파괴, 오염, 환경침식 등이 그 예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벌어지는 생산, 무역, 소비는 생명체의“오이코스를 파괴하는 악순환이 되었 습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이는 더 이상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습니다. 2) 테크노크라트의 글로벌 경제 운영 현대 산업 발전, 신자유주의 글로벌 금융 구조와 마치 도박과 같은 무역 활동, 바이오텍 산업화와 같 은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산업 생산방식, 원자력 산업, 사이버기술과 이들의 융합 때문에 글로 벌 경제는 치명적인 무질서를 겪을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테크노크라시가 현 글 로벌 경제의 핵심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오이코노미아 콘비벤시아 (Oikonomia Convivencia 공존의 집)”을 지속시키지 못 할 것입니다. 3) 테크노크라트 군사정권 전쟁은 세계적으로 긴밀히 연관된 문제이며 패권을 장악하려는 지정학적 싸움으로 인해 대량살상 무기를 가진 군들이 전 세계적으로 등장하고 테크노크라시 사이버전쟁이 발생합니다. 치열한 라이벌 관계에 놓여 있는 4개 국가를 살펴봤을 때 전쟁의 위험이 임박했음을 알 수 있으며 지구의 모든 생명

8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의 멸망을 불러오는 세계 전쟁도 발생 할 수 있습니다. 4) 최후의 테크노크라트 권력? 국가 관료 정치에 테크노크라트 조직이 생기면서 민주주의가 심각하게 악화되었습니다. 존 갤브레 이스가 (John Kenneth Galbraith) <새로운 사업국가 New Industrial State> 통해 설득력 있는 예언을 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현대 국가와 국내,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심각한 재평가가 있어야 하며 국민 을 정치적 대상으로 보고, 억압하고, 조종하고 소외하는 사회를 바로 잡아야 합니다. 강력한 경제, 군 사, 관료를 가진 국가들은 사람들의 정치적 삶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민주주의 국가를 포함한 전 세계 모든 국가의 롤 모델이 되고 있습니다. 5) 테크노크라트 사회 이는 전체 사회 과정이 테크노크라시적으로 구축된다는 뜻입니다. 근본적으로 사회 과정이 영향 받 기 때문에 테크노크라시 권력과 자원에 의해 사회적 고립과 소외가 생겨납니다. 6) 테크노크라트 문화 글로벌 시장, 소비 사회, 정치적 선전, 군사적 정보는 교육, 언론, 커뮤니케이션과 심지어 예술과 같 은 문화적 삶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입니다. 문화적 삶은 문화 패권에 대한“궁극적 집착”으로 인해 황 무지가 될 것이며 혼란에 휩싸일 것입니다. 7) 테크노크라시와 종교 테크노크라시 문명의 등장이 임박한 상황에서 종교는 테크노크라시 권력자들에게 마법과도 같은 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권력자들은 종교와 상생적 관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실제로 서양의 테크노 크라시 역사 상 종교와 테크노크라시 권력은 근본적으로 분리된 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기독교에겐 가장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시대의 암울한 징조의 관점에서 한국 YMCA의 기본 정체성은 신앙 공동체 입니다. YMCA 는 생명의 오이코스에 효모 역할을 하는“콘비벤시아 (공존)”,종교, 평화, 정의를 이루기 위 해 신앙 공동체가 해야 하는 역할이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던져 왔습니다.

81


03

세션 1 Session 1

1) 생명의 정신은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곳에 깃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정신은 모든 생명체에 대한 “공존의 주체성”을 만들어냅니다. 2) 신체의 정신은 오이코스 안에서 재물에 (Mammon) 대한 욕심을 극복해냅니다. 3) 콘비비알리티의 정신 (Conviviality) : 오이코노미아 콘비벤시아 함께 하는 삶의 경제 4) 평화의 정신 (Taiping 거대한 평화) 은 군사정권의 폭력을 쫓아낼 수 있는 힘이 있습니다. 5) 코이노니아의 정신(Koinonia 참여) 으로 모두가 참여하는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공통의 이익과 모 두가 풍성한 삶을 사는 운명을 위한 연대를 만들어 냅니다. 6) 디아코니아의 정신은(Diakonia) 이웃과 친구들이 자신의 삶에 주체가 되고 운명을 결정지을 수 있게 하는 진정한 협력적 정신입니다. 7) 축제의 정신(fiesta) 은 절망을 없애고 기쁨을 가져다줍니다. 하나님과 함께 하는‘집’은 바로 모든 국가, 문화, 종교, 생명체에게 늘 문이 열려 있는 곳입니다.

8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New Prospects and Vision through 100 years of Korea YMCA - From civil society formation and development perspective

S e s s i o n

1

Kim Yong-Bock (Advisor, Center for Life and Peace in Korea YMCA; Director, Asia Pacific Center for Integral Study of Life)

For the Future of Korean YMCA Movement in the New Century Transformation of YMCA Movement in Korea In response to the excellent analysesof the history of the Korean YMCA by Professor Park, it is my humble task to make a few footnotes to his grand and future oriented story telling of the KYMCA movement, projecting a little into the future of Korean YMCAMovement for a New Century. I believe that YMCA movement is uniquely challenged to face this coming new century as a specially incarnated agencyof faith community for the whole community of all living beings.It happens that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emerging as one of pivotal points in this century of great transition for new civilization. Korea may be perceived as a Taeguk (T’aichi) of civilizational transition. Just as YMCA Movement has made a great witness among the Korean people, it is radically transformed into a

83


03

세션 1 Session 1

vital faith community among the Korean people.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nature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YMCA. It cannot be viewed as the YMCA which came to Korea at the turn of the last century. It has been transformed as it has been witnessing in the midst of the suffering nation, in similar way as the Biblical people. Especially in the new century the faith and identity of the Korean YMCA will have to experience a new birth in faith and witness in the new world for the new world.It will have to be manifested as a new faithful community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n peninsula.

We are facing New Signs of Timestoday. A most clear sign of our times ahead is technocratic regime of powers that be forming a technocratic civilization beyond human imagination and control. Korean is surrounded by the most powerful powers, economic, military and cultural. The undercurrent of these powers is shaped by the most advanced technocratic integration of the life in the universe. Advanced technocracy is the symbiotic power nexus of these powers, which are many and competing rivalries. In a fierce competition among these nations the whole human civilization and its relation with universe reached at the verge of radical transformation. United States are leading the process, and Russia, China and Japan form closely intertwined nexus in which Korea is also situated and integrated as a part and parcel of the global technocratic complex. 1) Technocratic Conquest of the Oikos of All living Beings.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successful”in conquering the whole of the abode of life. Ecosphere is being destroyed and eroded to the point where all living beings are in unsustainable“oikos”of life.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pollution and erosion are concrete manifestation and global market in production, exchange and consumption has become a vicious cycle of the destruction of the“Oikos”of all living beings. This is an undeniable reality in Korea as well as in the East Asian eco-sphere.

8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2) Technocratic Management of Global Economy Permeation of modern industrial development, neo-liberal global financial architectureand casino like transaction and hi-tech based new industrial production such as bio-tech industrialization, and nuclear industry and cyber technology and convergence of thereof has reached a point where the global economy is in a fatal disorder. Once again the technocracy is the symbiotic core of this global economy. This shall not sustain the global“oikonomia convivencia.” 3) Technocratic Military Regime Wars are globallyinterlinked and hegemonic geo-political struggles forge globally competing military regimes with weapons of mass-destruction and technocratic cyber warfare. The military order of four big nations in fierce rivalry contains imminent dangers of war, indeed world wars which will bring about“Omni-cidal consequences”for all living beings on earth. 4) Technocratic Power as ultimate? There has been serious democratic erosion due to the technocratic organization of the state bureaucracy. Prophetic view of John Kenneth Galbraith (New Industrial State) comes into pervasive reality. This demands critical re-evaluation of the modern nation states and their domestic and global governance, in which are people as political subjects are suppressed, manipulated and alienated. Economic, military and bureaucratic powers are dominant in the political life of people’s. The United States are becoming a role model for all states, including democratic states. 5) Technocratic Society This entails that entire social process becomes technocratically forged. Fundamentally social process and, therefore, social alienation and marginalization have to do with access with technocratic power and resources.

85


03

세션 1 Session 1

6) Technocratic Culture The global market and consumer society, political propaganda and military intelligenceare dominant factors in the formation of the cultural life, such as education, media, communication and even arts. Cultural life becomes that of a“waste land”and a chaos under the influence of “ultimate fetish”cultural hegemony. 7) Technocracy and Religion In this emergent technocratic civilization religion becomes a holy magic for the technocratic powers. Here we find fundamentalization of religions and technocratic powers seek symbiotic relations with religions. There no fundamental separation of religion and technocratic powers in the Western technocracy. This maybe a greatest challenge to Christian religions.

In the light of grave signs of times KYMCA is raising its basic identity as faith community: Faithfulnessof Faith Stance in Movement of Transformation. It has been raising the question of role of faith community for life, peace and justice for the“Convivencia”which may be regarded as leaven of a new civilization of life in the Oikos of Life. 1) Spirit of Life dwells together among all living beings in the habitat of Universe. The spirit constitutes“Convivial Subjecthood”of all living beings. 2) Spirit of the Body overcomes the Mammon of Greed in the Oikos of Life. 3) Spirit of the Conviviality: Oikonomia ConvivenciaEconomy of life together. 4) Spirit of Taiping (Grand Peace) has power of exorcism over the violent power of the military regime.

8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5) Spirit of Koinonia (participation) forms a new community of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for commongood and common destiny for life in abundance. 6) Spirit of Diakonia is the true cooperation to making our neighbors and friends as the master of their own life and destiny for its fullness. 7) Spirit of fiesta in the“Oikos”of life, dispelling the despair and hoplessness and bring about joy and celebration. The Dwelling Place with God is the spiritual abode where all the doors open for all nations with all cultures and religions and all living beings

87


03

세션 2 Session 2

지구시민사회의 흐름과 전망 그리고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과제

S e s s i o n

2

Ingrid Srinath (CIVICUS 전 사무총장)

시민사회의 현주소 아름다운 한국을 방문하고 한국YMCA의 역사적 순간을 축하하기 위해 모인 자리에 함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 방문은 처음인 만큼 이 기회를 빌려 여러분과 교류하고 서로 배움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한국을 떠나기 전에 새로운 동료와 친분을 쌓으며 우 리 지구와 전 인류의 운명을 결정지을 가치를 공유하고 연대할 뿐만 아니라 한국 고유의 가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훌륭한 경험을 하게 되기를 희망합니다. 저는 붐바이(뭄바이의 옛 지명)에서 자랐습니다. 제가 다니던 학교는 YMCA 바로 길 건너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방과 후 YMCA에 들러서 농구를 하거나 세미나에 참석하면서 세계 각지에서 지역사회를 구축하고 양성하는 것이 YMCA 역할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여타 지역에서와 마찬 가지로 뭄바이에서도 지역YMCA가 주축이 되어 수많은 청소년들과 주민들이 생애 처음으로 소속감, 안전, 격려의 손길을 누리며 다양한 기회를 접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께 서 잘 아시듯 100여개 국가에서 YMCA는 매일 수백만 명의 생명을 살리고 수백만 명에게 꿈과 희망 을 되찾아주고 있습니다. 파국으로 치닫는 상황 속에서 이 땅에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을 정도의 영향력과 역량을 갖추고 있

8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으면서 공신력과 정통성 있는 단체는 많지 않습니다. 전 세계 시민사회의 현황, 우리가 걸어온 발자취, 우리 앞에 놓인 기회와 난제를 살펴보면 오늘 날과 같은 잦은 변화 속에서 여러분의 네트워크에 내재 되어 있는 가치의 힘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부푼 기대와 낙관 속에서 새천년을 맞이했습니다. 당시 모든 국가는 이 땅에 살아가는 인류 의 삶을 뒤바꿀만한 가치와 원칙에 대한 합의를 했습니다. 새천년 선언문에 담긴 내용을 기억하십니 까? 당시 세계 정상들은 자유, 존엄성, 민주주의적 거버넌스, 평등, 연대, 사회정의, 자연에 대한 경외 감 증진과 기아, 폭력, 억압, 불평등 타개를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자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나 지구 반대편 뉴욕에서 항공기 자살 테러로 쌍둥이 빌딩이 무너지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새천 년 선언문에 명시했던 고귀한 목표를 향한 결의가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세계 제1의 강대국과 여러 동맹국은 테러와의 글로벌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잇따른 군사적 조치로 인해 수 천 명, 수백 만 명에 이르는 불구자, 고아, 과부, 노숙자, 난민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지정학적 영향, 시민사회가 입은 영향 으로 인해 예상보다 급격한 파급 효과가 쓰나미처럼 몰려왔습니다. 지정학적으로 살펴보면 소위 대 테러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역학구도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기존의 G7에 더 많은 국가가 참가하여 G20이 출범했고 브릭스(BRICS)라 불리는 경제 5국이 부상했습니다. 시민사회의 경우를 살펴보면 시애틀 WTO 반대 집회를 통해 증진되는 듯 해 보였던 시민사회의 힘, 글로벌 연대감, 도덕적 권위는 테러 이후 사그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전쟁 발발 방지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면서 정부의 결정을 돌이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주체는 시민이 라는 믿음에 금이 가기 시작했습니다.“우리 편이 아니면 적”이라는 식의 단순 구분법으로 인해 진정 한 협력을 통해서 새천년 선언문과 리우 선언문에 명시된 원대한 비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 망이 산산조각 났습니다. 더 나아가 이 땅의 모든 정부는 권위주의, 민주주의, 빈국, 부국, 보수할 것 없이 그 형태를 막론하고 냉전 이후 인류가 일군 집회, 연대의 자유 등 소중한 가치를 짓밟으며 이를 뒷받침할만한 명분 찾기에 급급했습니다. 미국과 짐바브웨에 이르기까지 각 정부가 신규 법과 정책을 제정하기 위해 안보를 위협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낙관주의가 설 자리를 잃고 비관주의가 팽배하게 되 었습니다. 테러 공격에 대한 공포로 인해 인권단체와 CIVICUS와 같은 시민단체연합의 경고 메시지가 묻히게 되었습니다. 많은 민족 단체가 사회에서 소외 당하다가 이후에는 전쟁, 인종 프로파일링, 민주 주의적 자유, 행정상의 투명성 및 책임정신 상실로 인해 극단주의 색깔을 띠기 시작했습니다.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 있는 독재정권은 민주주의와 인권 옹호라는 이름 아래 자금통제에서부터 검열, 감 시, 독단적인 감금, 고문, 암살 등을 통해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을 제한했습니다.

89


03

세션 2 Session 2

이와 같은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2008년 금융위기가 터지면서 전 세계 시민사회 는 또 한 번 타격을 입었습니다. 재정적인 압박으로 인해 선진국에서는 공공서비스 제공이 줄어들고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원이 어려워졌습니다. 이에 따라 시민사회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 증하고 있는 가운데 가용 자원은 계속 줄어들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장기적인 계획을 필요로 하고 결 과 측정이 어려우며 정치적으로 인기가 없는 분야에서 종사하는 CSOs가 가장 많은 타격을 입었습니 다. 무조건적인 경제성장 회복에 눈이 멀어 환경문제 및 불평등 해소 등‘반(反)성장’이라 간주되는 사 안이 등한시 되었습니다. 국가재정이 고갈되고 공공기부가 정체하면서 시민사회 어젠다의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서‘대형 자선단체’와 기업의 입김은 더욱 커지기만 했습니다. UN에서부터 아프리카 작 은 마을에 이르기까지 늘 그래왔듯 우리는 자금 조달을 위해 민간부문의 기호와 방향에 맞추려 부단 히 노력했습니다. 박애 자본주의가들이 단기적인 목표를 세우고 기술 시장중심의 접근 방식을 추구하 는 단체와 일하기를 선호하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정의·평등 보다는 효율·시장자유화를 우선시합니다. 경제회복에 몰두하고 있는 서구 민주주의 국가 리더는 자국 경제 에 도움이 되는 시장·자본·천연자원이 있는 국가라면 권위주의의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해도 눈 감아 주고 있습니다. 국제 공조에 대한 서구사회의 열정이 식어가고 신흥경제국가가 국제 사회에서 마땅히 져야 할 책임 을 거부함에 따라 기후 관련 협상에서 드러나고 있듯 우크라이나, 시리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을 비 롯하여 글로벌 사회는 현재 G-Zero(지 제로) 상태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G-Zero는 인터넷 거버넌스, 금융부문 개혁, UN·세계은행·IMF 개혁 등의 문제 해결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줄 리더십이 사라진 ‘무기한 진공’상태를 의미합니다. 협력과 국제 공조를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는 위기가 발생한 현 시 점에서 바로 이와 같은 G-Zero 시대가 도래한 것입니다. 태국, 터키, 베네수엘라, 키예프, 심지어 영국이나 캐나다에서조차 일반 시민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거리나 도시 광장을 점령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국가 정부는 무력 사 용과 감시를 마다하지 않는 등 기본 권리나 자유 침해 행위를 일삼으며 맞대응하고 있습니다. 과연 우리에게 희망의 불씨가 남아있는 것일까요? 수많은 시민이 불만으로 들끓고 있는 이 시점에 서 국가·시장·시민사회의 역할을 재정립해주며 성장을 바로 잡아주고 경제·정치·환경 등 분야에 서 우리의 자원을 보다 더 평등하고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재분배해줄 수 있는 새로운 사회계약을 맺 음으로써 전환점을 찾게 될 수 있을까요? 다음과 같은 7가지 이유를 들어 왜 우리에게 아직 희망의 불씨가 남아있다고 생각하는지 말씀 드리

9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겠습니다. 첫째, 지난 30년간 우리 사회를 지배해온 신자유주의 경제 패러다임에 대한 이의 제기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 수 백 만 명의 인구가 지속되는 금융위기의 여파 속에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세계화 의 시장근본주의의 한계점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위기가 지속되면서 상위 1%와 나머지 99% 간의 격차가 너무 명백해진 나머지 현재는 자유시장경제의 옹호자도 문제점을 인식할 정도입니다. 억 만장자, 학계, 시민 모두 무조건적으로 이익만을 추구하는 현 경제 구조상의 문제로 인해 가난이 극심 해지며 지구가 병들어가고 있다는 점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저명한 경제학자 시민사회단체는 다보스, 워싱턴 DC 등지에서 열린 국제회의의 주요 의제로 불평등 및 불평등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명하기 시작했습니다. 각종 글로벌 포럼을 대표하는 강대국과 부국은 시민사회야말로 증가하 는 민중의 불만을 잠재우고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한 주체라는 점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둘째, 각종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금융기관의 만행, 개혁 에 대한 거부, 양심부재와 대기업·대형 언론사·정계 간 밀월관계를 기반으로 한 강자독식의 구조 아래 금권정치에서 자산, 발언권, 제도를 장악하고 현존하는 수많은 문제의 공동 원인을 찾고 해결하 고자 하는 민중의 노력 또한 저해하려고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미시간에 사는 자동차 업계 직 원, 설 자리를 잃은 인도네시아 현지 지역사회, 급증하는 교육비에 허덕이는 청소년, 제대로 된 끼니도 해결하기 힘든 노년층 모두 현재 모든 문제의 원인은 부를 비롯해 거버넌스, 목소리, 세계관까지 통제 해 온 강자독식의 자본주의 체제 때문이라는 점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셋째, 전례 없는 수준으로 새로운 유권자 층이 동원되고 있습니다. 긴축조치, 부패, 정실주의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젊은 층, 중산층이 분노를 표출하자 해당국가 당국은 권위주의적인 조치 이행 으로 즉각 대응했습니다. 이는 결국 시민사회 지지층 확대로 이어졌습니다. 일자리 상실, 식료품 가격 인상, 은행가의 보너스 잔치, 공공서비스 감축 등으로 민중의 삶이 심각하게 어려워지는 가운데 정부 가 위키리크스와 에드워드 스노든에 대한 제재 조치를 취하고 관련 사건을 폭로한 결과 각 분야 전문 가와 극우 자유주의자는 정부로부터 등을 돌리게 되었습니다. 독재정권·대기업에 대항한 시위, 억압 적인 입법행위 등을 통해 시민사회는 오히려 탄력을 얻어 더 큰 포부를 갖고 반대세력에 굴하지 않으 며 용기를 다해 동원 가능한 활동가와의 연대를 확장하고 담대함을 기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넷째, 휴대폰을 중심으로 한 통신 기술의 보급으로 지역·문화·경제적 장벽을 타파하여 전자 거버 넌스·시민언론·신규 헌법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등을 망라한 시민 활동에 새롭게 참여하는 단체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억압정권 아래 눌려 날개를 펼치지 못했던 시민, 소수단체, 지리적으로 분

91


03

세션 2 Session 2

산된 지역사회 등은 신기술을 통해 목소리를 되찾고 자원을 동원하며 임계질량에 도달할 수 있게 되 었습니다. 민간네트워크의 확장과 더불어 이와 같은 도구를 통해 시민사회운동의 범위 확장 속도 활 동 영역이 눈에 띄게 진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시민사회는 새로운 세계관 가치전략을 접하 고 있습니다. 대중의 힘은 하늘 저 멀리 구름에까지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대중 운동의 효율성 또한 상 당히 증대되어 정부는 거침없는 검열·무차별한 사생활 침해·내부 고발자 강경 처벌 등 광범위하고 가혹한 조치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기존 네트워크도 새로운 채널을 찾고 더 강력한 연대감을 조성해가고 있는 가운데 공동 위협의 존재로 인해 예상 밖의 파트너 십도 새롭게 구축되고 있습니다. 그린피스·CIA간의 연대, 미국시민자유연맹·전미총기협회간의 파트너 십 구축 등의 사례만 봐도 불확실성의 시대에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기존 성공의 법칙이 깨지고 있습니다.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존 경제 모 델의 허점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GDP나 순이익을 대체할만한 지표를 통해서 삶에 진정한 가치를 가져다주는 요소도 측정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습니다. 젊은 층과 여성을 중심으로 보다 더 통합적이며 건강에 유익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함에 따라 일, 커리어, 지역사회, 성공, 시민 권, 리더십에 대한 재정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바로 지금 이 순간에도 시민사회는 변화하고 있습니 다. 민관 파트너 십에서부터 사회기업에 이르기까지 협동조합, 사회운동, 크라우드소싱을 통해 설정 한 어젠다 등은 자발적인 단체 행동을 재정립하고 기존 단체 운동 형태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습 니다. 실제로 각 주체 간 경계선은 빠르게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NGO 말고도 무수히 많은 형태의 자발적인 단체 행동이 탄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섯 번째, 신뢰에 관한 것입니다. 모든 위기는 각 기관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정계, 재 계, 국제기구, 언론계 고위급인사와 운동선수가 저지른 불법행위가 폭로되고 각 분야 전문 집단이 위 기를 예측하지 못하거나 위기 여파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불신은 전 지구차원에 서 증가하고 있으며 당국은 철저한 예의 주시 대상이 되었습니다. 각종 연구에 따르면 신뢰가 가장 우 선시되는 시대에 시민으로부터 꾸준히 신뢰를 받는 집단은 정부, 기업, 언론이 아니라 시민사회라고 합니다. 투명성·합법성에 대한 시민의 기대치는 급증하고 있으며 모든 당국에 대해 도전하려는 의지 와 불법행위 폭로를 위한 수단과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일곱 번째, 위기와 위기를 통해 더 분명하게 드러난 상호의존도로 인해 글로벌 역학구도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기반의 다극화 체제를 통해 의사를 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대되었 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글로벌 사회에서의 의사 결정 과정이 단번에 달라지기 보다는 오히려 정

9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체시기에 접어들었지만 진작 이행했어야 할 주요 글로벌 기구 개혁이 다시금 추진되고 있으며 의견 교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존 세력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기반으로 하며 합법 성·공정성·포괄성을 겸비한 기관을 추구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사료됩니다. 포스트 2015 의제와 관련해서 글로벌 사회가 논의해야 할 사항은 어떤 방법을 통해 번영·공정·자유·지속가능성을 동 시에 추구하느냐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이는 현 인류에게 주어진 또 한 번의 기회라고 생각합니 다. 리오+20에 대해서 노암 촘스키는 다음과 같이 말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현존하는 규칙 대다수 가 소수에 의해, 소수를 위해 만들어졌다는 매우 간단한 사실을 우리는 종종 망각하곤 합니다. 이러한 규칙·규칙 제정 과정·제정 주체를 바꾸지 않는 한 글로벌 시스템에 내재되어 있는 부당성을 제거할 수 없을 것입니다. 노암 촘스키의 말이 맞습니다. 점진적인 움직임만으로는 우리가 원하는 위와 같은 변화를 가져올 수 없습니다. 이집트, 리비아, 짐바브웨의 사례에서 봤듯 독재자 타파 또는 선거 승리는 진정한 변화를 가져오기에 불충분합니다. 종교·경제·정치·사회 근본주의 지지 세력의 반발이 거세졌습니다. 우 리 선배들이 어렵게 확보한 여성, LGBT 커뮤니티, 토착민, 소수집단, 이민자의 자유와 권리가 다시금 위협받는 사례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체가 보여주는 끈기·용기· 회복력은 매우 고무적입니다. 바로 이러한 분들의 용기가 밑거름이 되어 우리가 희망의 끈을 놓지 않 고 변화를 추구하며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는 것입니다. 지속되고 있는 글로벌 전쟁이 글로벌 약탈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사회에 유익이 되는 방향 으로 종식되기 위해서는 우리가 각자 위치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재고해봐야 합니다. 전 세계 도처에 있는 가장 취약한 지역사회에 대해서도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러분의 네트워크 라면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풀뿌리 운동에서부터 글로벌 운동에 이르기까지 청년이 주축이 되어 이끌어가는 미래, 공공·사설 기관 거버넌스의 밑바탕이 되어야 할 가치관과 원칙에 대 해 지역사회 내외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 지역사회 중심부에 동정, 공감, 사랑을 회복시 킬 수 있는 방법, 단순히 합의에 이르는 것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의견을 생산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방법, 단체행동을 위해 참여의 힘을 활용하는 방법, 청년층이 진정한 시민이 되기 위해 역량을 키우고 헌신을 다하는 등 대중적인 이슈에 대해서 생각하고 필요한 행동을 취하도록 하는 방법 등에 대해 논 하기에 적합한 무대를 마련해 줄 수 있는 단체는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상명하달 기술 만능주의 통제형 시스템과 하의상달 참여형 시스템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속해있는 단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영역과 대륙을 막론하

93


03

세션 2 Session 2

고 힘의 재분배를 이끌어 낼만한 기회가 우리에게 주어졌습니다. 비록 초기에 불과하고 여러 제약과 취약점이 존재하지만 힘의 재분배를 통해 공정성·책임성·지속가능성·자유를 향한 도약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개인·가정·단체·지역사회·국가별로 내면을 들여다보고 스 스로에게 끊임 없이 질문하고 지속적으로 변화를 추구하며 실패하더라도 교훈 얻기를 마다하지 않으 며 무조건적으로 협력하며 자가진단하기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의 진정한 목표에 대해 명 확한 정의를 확립하고 에너지와 시간을 전적으로 할애하고 시스템과 구조를 동원하여 브랜드의 프로 필 향상이나 자금조달 증대 보다는 우리가 설정한 진정한 목표를 향해 전진해야 합니다. 솔선수범이 야 말로 절대적인 투명성·책임성·합법성이 요구되는 새로운 시대에 우리가 취해야 할 자세입니다. 공동 어젠다를 통해 신뢰 복구에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합법성·책임성·투명성의 개념과 관련해 서 현 실태를 점검하고 우리가 의지하고 있는 힘의 공식 또한 완전하게 재정비해야 합니다. 새로운 규 범을 탄생시키고 성공·진전·웰빙 간 매트릭스를 개선시켜나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협력이 필요합니 다. 파트너 십을 재정비하여 새로운 협력 대상과 방법을 찾아나서야 합니다. 또한 새로운 방법을 찾아 서 지지 세력과 유권자 층의 참여를 유발하여 단순히 수혜자, 자원봉사자, 후원자가 아니라 통합적인 개념의 유권자, 소비자, 전문가, 가족 구성원, 시민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핵 심 목표를 재점검하고 어떤 방법으로 지식 자원, 네트워크, 힘을 사용하여 자유와 정의를 위한 싸움에 서 승리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야 합니다. 우리의 활동을 통해 더 많은 인구가 보편적인 권리를 누 리고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살고 있는지에 대해 매일 점검해야 합니다. 세계 도처에 있는 시민사회와 더불어 YMCA는 위와 같은 목표 달성에 필요한 지식 역량과 네트워 크 영향력을 갖추고 있는 공신력 있는 단체입니다. 간디가 말했듯 현재 우리가 하고 있는 일과 할 수 있는 일의 차이를 줄여나가면 전 세계가 직면한 문제 대부분을 해결하는데 부족함이 없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9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Global Civil Society Trends and Prospects; Tasks for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

S e s s i o n

2

Ms. Ingrid SRINATH (Former President of CIVICUS)

Civil society: Where are we now? Thank you so very much for this opportunity to visit your beautiful country and to join you in celebrating this moment in your remarkable history. It is my first time in Korea and I look forward to meeting with and speaking to and learning from you. I hope I will leave Seoul with new friends, new understanding and fantastic experiences of both, the things that are unique to this country as well as the shared values and solidarity that are so vitally critical to the fate of citizens around the world and the planet that is our shared home. Growing up in Mumbai, or Bombay as it was then called, my school was situated across the road from the neighbourhood YMCA. Dropping in there to play a game of basketball, or to attend a seminar, gave me my first understanding of the role that‘the Y’plays in building and nurturing communities across the globe. In Mumbai, as elsewhere, local YMCAs are for many young boys and men their first, and sometimes only, experience of belonging, safety, opportunity and encouragement. You know far better than I do of the millions of lives that are saved, the

95


03

세션 2 Session 2

millions of hopes fulfilled and the millions of dreams set in motion at YMCAs in over 100 countries every single day. Very few networks have the reach, the credibility, the legitimacy and the capacity to be a force for change in a world that seems everyday to be veering towards catastrophe. Perhaps a quick glance at the state of civil society around the world, how we got to where we find ourselves and wha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wait us will provide a sense of the particular value that your network has to offer in these changing times. This millennium started with great optimism and promise.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agreed to a set of values and principles that could transform our existence as a species. Do you remember the fine words of the Millennium Declaration? It promised collective effort towards freedom, dignity, hunger, violence, oppression and injustice. Towards democratic governance, equality, solidarity, social justice and respect for nature. Those lofty goals were derailed when a few young men flew airplanes into 2 towers in faraway New York. The reaction of the world’s only remaining superpower and its allies launched the Global War on Terror. The military actions that followed killed thousands, rendered millions maimed, orphaned, widowed, homeless and displaced. But the impact on geo-politics and on civil society set off a tsunami of consequences whose effects have been far more drastic. Geo-politically, the so-called war on terror accelerated a shift in global power that saw the G-7 become the G-20 and the rise of the so-called BRICS. For civil society, however, the war on terror reversed the momentum that had been gained from the WTO protests in Seattle that demonstrated the growing power, global connectedness and moral authority of civil society. The failure of the anti-war protest movements challenged the belief that citizens in their millions could change the course of their governments. The polarisation of the world into those‘for us and against us’shattered any hope of genuine collaboration in achieving the grand visions of the

9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Millennium Declaration and the Earth Charter. Most significantly, it allowed governments on every continent - authoritarian or democratic, rich or poor, conservative or liberal - the excuse to roll back freedoms of expression, assembly and association that had been won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Optimism gave way to pessimism as governments used security threats to push through new laws and policies from America to Zimbabwe. Human rights organisations and civil society networks like CIVICUS found their warnings drowned out by people’s fears of terror attacks. Whole ethnic groups were first marginalised, then radicalised by war, profiling and the erosion of democratic freedom and executiv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uthoritarian governments in Africa and Asia seized the opportunity to introduce new constraints on civil society groups from funding controls to censorship, surveillance, arbitrary detention, torture and assassination legitimised by the actions of so-called champion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Even as we grappled with the new threats, the financial implosion of 2008 unleashed a new onslaught on civil society around the world. Fiscal pressures impacted both public servic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aid to the developing world, reducing resources even as demand grew dramatically for the services that civil society provides. Of course, the hardest hit were those CSOs who work in areas that are long-term, hard to measure or politically unpopular. Causes that are portrayed as anti-growth, from the environment to inequality, were marginalised in the rush to restore economic growth however unsustainable. As state resources dried up, and contributions from the public plateaued, the power of‘big philanthropy’and business to determine civil society’s agenda and priorities multiplied. From the UN to the smallest village in Africa, it was, and is, the private sector we have to turn to and whose tunes we must sing, if we want funding. It’s hardly surprising that‘philanthrocapitalists’prefer causes and organisations that adopt a short-term, technocratic, market-oriented approach. Their priorities are efficiency and market liberalisation not justice or equity. Leaders of Western democracies desperate to restore economic growth payed no heed to authoritarian excesses here in Asia or Africa if the country concerned was a key market or a source of capital or natural resources.

97


03

세션 2 Session 2

The combination of declining Western appetite for international action and the reluctance of the new economic powers to shoulder global responsibilities has left us in a state some call G Zero, currently on display at climate negotiations, in Ukraine, Syria and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Whether it is internet governance, financial sector reform or, indeed, reform at the UN, the World Bank or the IMF, G Zero means indefinite paralysis. This at a time when the existential crises that we face can only be resolved by concerted, coordinated global action. While ordinary citizens from Thailand to Turkey and Venezuela to Kyiv, find that the only way to be heard is to occupy the streets and squares of their cities, their governments, even in countries like the UK or Canada, seem able to respond only with more force, more surveillance, more violations of fundamental rights and freedoms. Is there then any cause for optimism? Anything we can do to turn this‘boiling point’into a ‘tipping point’that shifts the balance towards a new social contract that redefines the proper roles of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That rebalances growth, and the distribution of all assets - economic, political and environmental - more equitably and sustainably?

I believe there are at least seven. The first is the growing challenge to the neo-liberal economic paradigm that has held sway for over 3 decades. The longevity of the financial crisis and its sweeping impact on millions of people across countries, have demonstrated the limitations of the market-fundamentalist paradigm of globalisation. As the crises have dragged on, the gap between the 1% and the 99% has become starkly visible even to ardent champions of free-market economics. Billionaires, pundits and citizens alike increasingly recognise the structural flaws of the pursuit of profit at any cost that impoverishes lives and imperils our planet. Persistent advocacy from renowned economists and civil society groups has finally placed inequality and its economic consequences on the agenda from Davos to DC. And in every global forum of the rich and powerful, civil society is seen as the

9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only answer to the rising tide of popular discontent. The second cause for optimism is the growing, shared diagnosis of the root causes of the crises. The sheer criminality, resistance to reform and utter lack of remorse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toxic nexus between big business, big media and politics have exposed the plutocratic capture of assets, voice and institutions of governance that underpin the prevailing predatory model and focused energies on the common cause of our myriad problems. The autoworker in Michigan and the displaced indigenous community in Indonesia, the teenager seeing rising education costs and the grandmother who cannot put food on her table all now recognise that their problems have a common root cause - predatory capitalism that has effectively captured not just wealth but also governance, voice, and world views. Third is the mobilisation of new constituencies on an unprecedented scale. The outrage of young people and the middle classes directly impacted by austerity measures, corruption and cronyism has been met by knee-jerk authoritarian responses from authorities, further expanding the constituency for civil society. If job losses, food prices, bankers bonuses and cutbacks in public services were not enough, governments have now succeeded, through the revelations and persecution of Wikileaks and Edward Snowden, in mobilising even geeks and extreme right wing libertarians against themselves. Each success against a tyrant, a mega-corporation or a regressive legislation have fuelled agency, ambition, resilience and courage, continually expanding the range of the possible and emboldening activists. The spread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 mobile phones, in particular - are permitting groups once muted by location, culture or economic conditions to now access to a range of citizen actions from e-governance to citizen journalism, even the crowdsourcing of a new constitution. Previously excluded groups such as citizens ruled by repressive regimes, minorities and geographically dispersed communities, can increasingly find voice, resources and critical mass through new technologies. Coupled with the proliferation of human networks, these tools

99


03

ě„¸ě…˜ 2 Session 2

have massively increased the scale, speed and scope of civil society engagement and introduced new world-views, values and strategies to civil society. The power of the crowd has met the reach of the cloud. Their efficacy is evident in the scale and severity of governmental response in the form of crude censorship, sweeping invasions of privacy and the severity of penalties imposed on whistleblowers. Not only are existing networks finding new channels and greater solidarity, shared threat perceptions are creating new partnerships between unlikely allies. When Greenpeace and the CIA find shared interests or the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makes common cause with the National Rifle Association you know that it is true that when nothing is certain everything is possible. The fifth cause for optimism is visible in the new norms of success that are emerging. The visible gaps in prevalent economic models, assisted by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looming climate crisis, has lent momentum to demands for measures of progress beyond GDP and net profit which measure everything except the things that make life worthwhile. As young people and women in particular seek more integrated, wholesome lifestyles, definitions of work, career, community, success, citizenship and leadership are being re-negotiated and reinvented. Civil society itself is changing as we speak. From public-private-partnerships to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social movements, crowd sourced agendas, resources and protests the definitions and forms of collective, voluntary actions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m are blurring rapidly. The traditional NGO may well soon be just one form among many. Sixth is trust. A major casualty of the crises has been trust in institutions of all kinds. Revelations of malfeasance by senior figures in politics, business,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e media, even sportspersons, and the collective failure of so-called experts across sectors, to predict the crises and to manage their impact, have discredited these sectors across the globe and subjected their authority to greater scrutiny. Study after study reports that civil society is consistently trusted far more than government, business and the media at a time when trust is by far the most valuable currency. Citizen expectations of transparency and legitimacy, their

10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willingness to challenge authorities of all types and the availability of tools and networks to expose malfeasance have risen drastically. Finally, the crises, and the recognition of interdependence they have made obvious, have accelerated shifts in global power, opening up greater possibilities for multi-polar and multistakeholder approaches in global decision-making. Though the immediate consequence of these shifts is stasis in global decision-making, these shifts have also brought new impetus and voices to the long overdue reform of major global institutions. Despite resistance from incumbents, the progress towards more legitimate, equitable, inclusive, multi-stakeholder institutions is inexorable. The global debate around the post-2015 goals present another key opportunity to achieve convergence between paths to prosperity, equity, freedom and sustainability. But as Noam Chomsky said about Rio+20:“We often miss the simple truth that so many of these rules are still made by the few, for the few. Until we change those rules, how they are made, and even who makes them, we will never change the injustice at the heart of our global system.” He is right. None of these shifts is anywhere near being conclusively won by progressive forces. As Egypt or Libya or Zimbabwe have shown, merely toppling a dictator or winning an election is insufficient to effect real change. The backlash from purveyors of religious,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fundamentalisms has been vicious. Everywhere women, LGBT communities, indigenous peoples, minorities and immigrants face resurgent attacks on hard-won freedoms and rights. The resilience, perseverance and courage they have shown in response is inspiring to us all. It is their incredible courage that prevents us from giving up hope of change or sinking into despair. If the ongoing global battles are to be decided in favour of the global village rather than global pillage we must each rethink our own contribution. A network like yours, with global reach in the most vulnerable communities, can play an extraordinary role. Very few organizations can convene conversations about the future led by youth, extending from the grassroots to the

101


03

ě„¸ě…˜ 2 Session 2

global. Platforms that build the connections within and between communities about the values and principles that must inform governance in every institution public or private. Dialogues that restore compassion, empathy and love to the heart of our communities. That help us to not only find agreement but also to discover productive ways to disagree. That teach the practice of participation in the exercise of power over collective outcomes, and the practice of thinking about and acting on public issues in public arenas, where young people can develop the skills and commitments necessary to be citizens. We still face a protracted battle between obsolete notions of top-down, technocratic, controlbased systems and emergent bottom-up, participatory ones. Most particularly in our own organizations. Nonetheless, on every continent and in every sector, we have within our grasp a chance at redistribution of power that, while nascent, fragile and fiercely contested, promises quantum advances in equity, accountability, sustainability and freedom. If those values are to prevail, we will each have to dig deep within ourselves - as individuals, families, organizations, communities and nations - and question ourselves relentlessly, change continuously, fail thoughtfully, collaborate ruthlessly and evaluate fearlessly. We will need clear definitions of our true purpose and focus our energies, our time, our systems and our structures on to focus on that purpose rather than on our brands, our funding or out profile. The entry price in this new age of radical transparency, radical accountability and radical legitimacy is leadership by example. Our shared agenda must focus on rebuilding trust. We will have to address both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legitimacy, accountability, transparency and squarely tackle the power equations among ourselves. We will need to work together to evolve new norms and metrics of success, progress and well-being. We will need to reinvent partnership to discover new allies, and new modes of collaboration. We will have to find new ways of engaging supporters and constituents - not just as beneficiaries or volunteers or donors but as integrated voters,

10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consumers, professionals, family members and citizens. Above all, we will have to reexamine our core purpose and how we use our knowledge, resources, networks and power to advance the struggle for freedom and justice. We will have to ask ourselves everyday: Are more people in more places better able to exercise their universal rights and live up to their potential because of our actions? Civil society around the world and this group here today most particularly, has the knowledge, the skills, the networks, the influence and the credibility to achieve those goals. As Gandhi put it: ‘The difference between what we do and what we are capable of doing would suffice to solve most of the world’s problems.’ Thank you!

103


03

세션 2 Session 2

지구시민사회의 흐름과 전망 그리고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과제

S e s s i o n

2

이성훈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

Ingrid Srinath 전 CIVICUS의 발표문은 지난 수십년간 CIVICUS 포함 국제 및 인도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특히 90년대 탈냉전 이후‘국가’와‘자본’과의 경합과 투쟁을 거쳐 성장하면서 또한‘좌절’ 을 경험한 국제 / 세계 사회운동 / 시민사회운동의 경험을 조망하면서 오늘날의 위기에 대한 진단과 다양한 방식의 극복 방안을 적절히 제시하였다. 이 글은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여‘세계시민’또는‘지구시민사회’의 비전을 정립해나가고 있는 한국YMCA 에 많은 시사점과 통찰을 주고 있다. 발표문을 읽으면서 몇 가지 핵심 개념과 말들이 겹쳐 서 떠올랐다.‘글로벌 위기’,‘지구적 무정부 또는 글로벌 거버넌스의 작동 불능을 의미하는 G zero’ ‘풀뿌리와 지구적 정의운동’그리고 최근 한국사회의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는 표현인‘분노하라’, ‘점령하라’,‘응답하라’,‘안녕들 하십니까”… 이러한 개념과 표현의 홍수 속에서 발표문을 읽고, 평상시 YMCA의 협력단체로서의 경험과 외부관 찰자로서 들은 생각 몇 가지를 공유하고자 한다. 필자가 고백했듯이 본인에게도 어렸을 적 YMCA는 수영장이 주된 이미지였다. 80년대 초 대학 진

10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학과 함께 서울에 왔을 때, YMCA의 이미지는 종각의 YMCA 호텔과‘개혁적’청년운동의 이미지로 다가왔다. 그러다가 2008년 촛불시위를 계기로 YMCA는‘선도적’시민정치 운동으로 달리 보였다. 이후 인권재단에서‘인권도시’운동에 관여하면서 YMCA는 지역 또는 풀뿌리 운동으로,‘개발과 인 권’의제를 다룰 때는 동티모르 피스커피와 공정무역 그리고 라온아띠 청년‘해외봉사단’, 최근에는 사회적 기업 운동… 내가 목격하고 경험한 YMCA는 너무도 많은 얼굴과 이미지를 지닌, 동물로 하면 문어발과 같다. 이는 YMCA가 고정된 정체성과 미션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 - 시대의 징표 - 에 민감하 게 반응하고 새로운 의제를 부단히 만들어온 개척자 정신을 실천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YMCA 100년 역사는 한국 사회운동 / 시민사회운동의 역사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YMCA를 역사 와 오늘의 모습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미래를 만들어 가는데 시금석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아래 표에서 보듯이 100년의 비전과 100년 후인 2014년의 비전은 매우 달라 보인다. * 1914년 YMCA 비전 “근대국가 설립, 독립, 지도력 육성, 공론과 자치의 시민사회’ * 2014년 100년 후 한국 YMCA의 비전 ‘생명의 물결, 평화의 바람”- 평화, 통일, 생명, 정의, 지구시민(사회), 정의에 기초한 평화, 생명을 살리는 평화, 평화를 추구하는 지구시민, 한반도의 평화통일, 동북아시아와 지구촌의 정의로운 평화 를 위한 새로운 비전 이러한 YMCA와 현재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도전과 과제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발표자가 설명한 국 제적 상황에 비추어서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Global Korea에 부응하는 Global 시민사회운동으로의 인식 또는 패러다임 전환이다. 시민사 회 특히 YMCA의 관점에서 Global은 Glo-cal 즉 지구화와 지역(방)화의 동시진행을 의미한다. YMCA 는 한국의 다양한 시민사회단체 중 가장 지역적(local)이면서 가장 global한 단체이다. 즉 glo-cal의 의 미를 조직적으로 체득한 단체이다. 한국사회에서 이미 사회운동의 패러다임은 국민운동 -> 민중운동 -> 시민운동 -> 주민운동 / 세계시민운동 으로 패러다임이 역사적으로 진화해왔다. Glo-cal 시대는 이

105


03

세션 2 Session 2

러한 중층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통합적 비전과 리더십 창출이 미래의 관건이 된다. 발표자의 통찰과 제안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데 매우 유효하다고 본다. 둘째, 발표자도 지적했듯이 기존의‘경계’를 넘나들면서 분야별 시민사회운동의 융합과 통섭을 통 해 새로운 가치와 운동 모델의 창출하는 것이다. 기존의‘국가-제1섹터’,‘시장-제2섹터’,‘시민사회제3섹터’, 또는‘정치-경제-사회’와 같이 기계적으로 사회 나누어 이해하는 방식으로는 현재의 국내 적, 지구적 위기에 대처할 수 없다. 시민사회운동은 80년 말, 정치적 민주화 이후 20년간 평화/통일, 인권, 환경, 여성/젠더, 개발협력, 노동, 이주, 그리고 장애, 성소수자 등 다양한 당사자 운동으로 분화 발전해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발생한 인식과 실천의 파편화와 분절화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연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한국 시민사회의 화두인‘시민정치’,‘사회적 연대경제’, ‘시민사회-정부-기업 거버넌스’등의 패러다임이 대표적이다. 영어 표현에서도 최근 존재론적인 개념인 Sector보다는 가치와 행위 중심의 Entity를 강조하고, 장 소적, 조직적 뉘앙스를 지닌‘시민사회(civil society)’보다는 관계성, 운동성을 강조하는 시민적 참여 (civic engagement)란 표현이 더 사용된다. 특히 Civic 이란 개념이 국가, 시장, 시민사회를 연결하는 공통의 가치이나 프레임으로 부각되고 있다. 셋째, 지구적 위기를 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이다. 발표자가 지적했듯이 탈냉전 이후 시 민사회의 최대 도전이자 위협이었던 2001년 9.11 사태와 2008년 지구적 금융위기는 모두 뉴욕에서 시작되었다. 뉴욕은 국제정치의 본산인 유엔 본부가 위치한 공간이다. 9.11은‘반(反)테러’를 명분으 로 이라크의 비극을 발생시켰고 지금 국제 시민사회는 시리아‘딜레마’에 직면하여 분노와 무력감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현재의‘안보’와‘금융경제위기’는 오늘날 국가와 시장의 위기를 상징한다. 둘 다 세계 자본주의의 심장부인 미국에서 발생했다. 이는 미국 중심의 정치경제적 세계질서의 붕괴 를 의미한다. 마치 70-80년대‘주변부’개도국(당시 제3세계)의 외채위기가 90년대 말‘반주변부’인 태국 발 동아시아 IMF 위기로 이어지고 최근에는 자본주의 심장부인 미국에서 출발하여 유럽으로 확 산되었다. 이러한 경제위기에서 유럽의 주변부 국가와 개도국의 빈곤층이 가장 책임이 없음에도 불구 하고 가장 큰 고통을 겪은 피해자가 되었다. 발표자가 강조했듯이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세계질서 패러다임 - 신자유주의 경제적 세계화,‘국가

10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중심의 안보’,‘군산복합체’ ‘문명 간의 충돌’등 - 의 수명이 다했음을 보여준다. 이를‘문명의 위기’ 라 지칭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 전환이든 그람시의 위기론을 빗대어 설명하든 현재는 구 패러다임이 새 패러다임으로 교체되는 역사적 이행기이자 전화의 시기이다. 새로 운 패러다임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고 수많은 시행착오와 프레임의 축적을 통해 발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구적 과제는 한국의 시민사회가 감당하기에는 너무나 크고 아직 멀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문제는 Global Korea는 이러한 세계질서와 체제 속에 너무나 깊이 들어왔고 한국의 문 제와 지구적 문제를 단계적으로 분리해서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문화적으로는‘가장 한국 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글로벌)이다’라고 말한다. 그러한 사회운동에서‘가장 한국적인 문제는 가장 세계적인 문제이다’즉‘세계의 문제가 곧 한국의 문제이다’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한국은 세계사에서 지리적으로‘변방’이었지만 동북아의 지정학적 현실, 특히 G2를 운운하는 세계 질서의 변혁기에‘허브’로서의‘중심’이 될 수 있는 잠재성과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냉전기 중립국 스위스 보다는 세계로부터 새로운 문물과 사상을 배우고 수용하고 다시 이를‘국제화’했던 역 할을 수행한 네덜란드와 유사하다. 한국의 YMCA는 동북아의 평화를 넘어 (동)아시아 그리고 아시아 태평양 공동체 시대에 한국의 시민사회가 어떤 리더십 역할을 할 것인지를 본격적으로 고민하고 구체 적인 프로그램으로 실현해야 하는 도전을 받고 있다. 필자가 보기에 YMCA는 100년 수명의 고목나무가 아니라 느티나무이다. 느티나무는 많은 사람, 아 이디어, 실험을 품안에 안아줄 수 있는 넉넉한 그늘을 만들어주는 곳이다. 100년간 인고의 세월을 거 쳐 축적된 Glo-cal 경험과 지혜를 바탕으로‘세계 속의 한국’과‘한국 안의 세계’를 연결하고‘교회속 의 시민사회’와‘시민사회속의 교회’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 많은 사상가가 지적하듯이 21세기 문명적 위기는 종교의 위기이자 영성의 위기이다. 기독교 사상에 바탕 하여‘하나(느)님 나라’의 실현에 앞서온 YMCA에게 이는‘사회운동의 영성화 와 영성의 사회운동화’로 발현될 수밖에 없다. 이는 통섭(統攝)의 시대에 YMCA가 풀어야 할 화두이 자 동반자로서 거는 기대이기도 하다.

107


03

세션 2 Session 2

Global Civil Society Trends and Prospects; Tasks for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

S e s s i o n

2

Mr. LEE, Seong Hoon (Executive Director, Korea Human Rights Foundation)

Presentation of Dr. Ingrid Srinath, former president of CIVICUS rightly presents the assessment on the current crisis and diverse ways to overcome it. It is based on the experiences in the global community and India including CIVICUS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and cites the experiences in the international social movements/ civil society movement which have experienced ‘frustrations’and developed through competing and confronting with a‘nation’and‘capital’ since post-Cold War era of 1990s. This article offers ample implications and insights for YMCA Korea which is setting up a vision of‘global citizen’or‘global citizen society’in commemoration of its centennial anniversary. The article reminded me of several key concepts and ideas;‘global crisis’,‘global anarchy’,‘G zero’which refers to the malfunction of global governance,‘grass roots and global justice movement, and the phrases which reflect the trends of the Korean society;‘time for outrage’, ‘occupy’,‘Answer me’and‘how are you all doing?’ I have read the article at a time when such concepts and ideas were dominant in the society

10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and I would like to share my experience and ideas as a member of partner organization of YMCA and an outside observer. As I confessed, the first thing that came into my mind when I heard of YMCA was a swimming pool when I was a child. When I entered a college and came to Seoul in the 1980s, the sophistication of YMCA hotel in Jonggak and‘reformative’youth movements were the images that I had about the organization. 2008 candlelight vigil made me consider the organization a‘leading’ civil political movement. When the human rights foundation got involved in the‘human rights city’ campaign, YMCA served as a regional or grassroots movement leader, and also dealt with ‘development and the human rights’agenda through the campaigns ranging from Peace Coffee of East Timor, fair trade, youth volunteers group Raonatti to the rec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 have witnessed diverse images and aspects of the organization so far. It was all possible since the organization swiftly responded to the changes of the time and continued to come up with new agenda with pioneering spirit instead of sticking to fixed identity and missions. 100-year-long history of YMCA resembles the history of social movements/civil society movement in the Korean society. Understanding today’s YMCA and its history is the first step to chart a future direction of Korea’s civil society movement. As shown in the table below, the organization’s vision of 2014 seem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100 years ago. Vision of YMCA in 1914 “Establishment of modern state, independence, leadership fostering and a civil society of public opinion and autonomy” Vision of YMCA in 2014 ‘Wave of Life, Wind of Peace ? Peace, Unification, Life, Justice, Global citizen (society) A new vision for peace based on justice, peace that saves life, global citizens pursuing peace,

109


03

세션 2 Session 2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peace in Northeast Asia and the whole global community. I would like to share my ideas on the task and challenges of today’s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 and YMCA based on the global trends mentioned by the presenter. Firstly, there should be a paradigm shift in the recognition of Global civil society movement which meets the requirements to realize“Global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civil society and YMCA, being“global”is to pursue“Glo-cal”, a combination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YMCA is one of the most local and global civil society groups in Korea. In other works, YMCA has learned and absorbed“glo-cal”across the organization. The paradigm of social movements in the Korean society has already shifted from a national movement to popular movement, to civil movement and to residents’movement/ global citizen movement. In the“Glocal”era, integrated vision and leadership creation based on such multi-level identity will determine the future. Presenter’s insights and suggestions are very relevant and helpful for creating new paradigm. Secondly, new values and movement models need to be created through convergence and consilience of civil society movement in each sector crossing the existing boundaries as the presenter rightly pointed out. We cannot properly respond to the global crisis with the conventional approach which divides a society into a‘nation- sector 1’,‘market-sector 2’,‘civil society-sector3’or into‘politics-economy-society’. Over the last two decades since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the late 1980s, civil society movement has developed into diverse movements of people concerned which advocate peace/unification, human rights, environment, women/gender, development cooperation, labor, migration, the disabled and sexual minorities. On the course of such changes, however, segmentation of recognition and action was witnessed and diverse unions are being formed increasingly in order to address such problems. ‘Civil politics’,‘social union economy’,‘civil society-government-corporate governance’, the key topics in the Korean society, are the prime examples.

11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In the English speaking societies,“entity”is more emphasized than“sector”as the word places more importance on value and action. In addition,“civic engagement”is more commonly used than“civil society”as the former highlights relationship and movement while the latter has organizational nuance. In particular, the concept of“civic”is being emphasized as a common value or frame which connects a nation, market and civil society together. Thirdly, there is a need to seek a new paradigm to overcome the current global crisis. As the presenter pointed out, both 9.11 terrorist attack and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e biggest challenge and threat to civil society since the end of Cold War, started in New York. New York City is a home to the U.N headquarters, a symbol of international politics. 9.11 attack resulted in the tragedy in Iraq in the name of‘anti-terrorism’and today’s global civil society is experiencing rage and helplessness as it is faced with‘dilemma’on Syria issues. The current crisis of ‘security’and‘finance-economy’represents the crisis of a country and a market both of which started in the U.S, the center of global capitalism. This represents the collapse of the U.S-centric political and economic world order. The debt crisis in the‘peripheral’developing nations (then the third world countries) in the 1970s-80s led to the East Asia financial crisis which started in Thailand, a‘semi-peripheral’country in the 1990s. The current economic recession first started in the U.S, the heart of capitalism and then spread to Europe. Amidst such recessions, the poor of peripheral European countries and developing economies were hit hardest while they are the least responsible people for the crisis. As the presenter highlighted, such changes show the existing world order paradigm - neoliberal economic globalization,‘nation oriented security’,‘military-industrial complex’‘the clash of civilizations’, etc. - is coming to an end. Such phenomenon can be described as the‘crisis of civilization.’As‘paradigm shift’of Thomas Samuel Kuhn and crisis theory of Gramsci suggest this is the time of transition where the existing paradigm is replaced by a new one. New paradigm cannot be established overnight. Instead, it requires numerous trials and errors and accumulation of frames.

111


03

세션 2 Session 2

However, such global issues are too grave to handle for the civil society in Korea. The problem is that Global Korea is already deep inside the world order and regime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separate problems in the Korean society from the global issues. There is a saying that goes“what’s most Korean is most global,”which can also be applied to social movement. Concerns in the Korean society also concern the global community and vice versa. Korea has been on the periphery of the world history, however, it has great potential to become the‘hub’and the‘center’of the global order which is currently undergoing a shift as seen in the geopolitical situation in Northeast Asia and the rise of G2. The country resembles Netherlands more than Switzerland which maintained the position of neutrality during the Cold War. Netherlands absorbed new culture and ideas from the world and moved on to globalize them. YMCA Korea is being challenged to contemplate on the role of the Korean civil society in the era of (East) Asia and Asia-Pacific community and come up with specific programs going beyond bringing peace in Northeast Asia. YMCA is more like a zelkova tree than a 100-year-old tree. A zelkova tree provides large shades which can embrace different people, ideas and experiments. I expect the organization will continue to serve as a‘church in the civil society’and a‘civil society in the church’and to connect‘Korea in the world’to‘the world in Korea’based on its global experiences and wisdom accumulated over the last 100 years. As many thinkers point out the civilization crisis of the 21th century is the crisis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It is revealed in the form of‘spirituality that resembles social movements’and‘social movements that resemble spirituality’for YMCA which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the effort to realize the kingdom of God. It is the challenge that YMCA needs to meet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consilience. As a partner of the organization, I expect that the organization will successfully accomplish the task.

11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지구 시민사회의 흐름과 전망 그리고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과제

S e s s i o n

2

이정옥 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학 / 한국 NGO 학회 회장)

안녕하십니까? 한국 YMCA 100주년을 기념하는 국제 심포지엄에 토론자로 초대해 주신 것에 감사 드립니다. 100년이라는 역사의 부침 속에서도‘청년’이라는 활동 주체를 만들어 사랑과 정의라는 지 침을 기초로 역사적 책임을 다하게 하는 사명을 꾸준하게 수행해 오신 것에 존경을 담은 축하의 인사 를 드립니다. 사랑과 정의는 무릇 하나를 강조하면 다른 것을 잃게 되는 불균형과 불안정에 빠지기 쉬 운데 사랑과 정의를 두 바퀴로 삼아 역사의 수레를 이끄는 청년상을 만들어 온 것이 지난 100년간의 YMCA의 모습이 아니었나 생각해 봅니다. 한국사회에선‘ 청년’이라는 단어는 여전히 사회발전과 변 동 그리고 사회운동의 주역으로 우리를 가슴 뛰게 하는 단어입니다. YMCA는 그런 의미에서 물리적 연령이 아닌‘사회적 청년’상을 만들어 오신 것 같습니다. 이 귀중한 자리에서 전 세계 시민사회를 조망하는 인그리드 스리나드 박사님의“시민사회가 지금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을 들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더 나아가 그에 대한 박사님의 넓고 깊은 경 험에 근거한 성찰적인 답변을 들을 기회를 갖게 된 것을 귀중하게 새깁니다. 컵에 물이 반이나 있다 반 밖에 없다는 진술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지구시민사회는 새천년 목표를 설정하고 전 지구적 차원에 서 자유, 존엄, 민주적 협치, 정의, 자연에 대한 존중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하기로 다짐하자마자, 테러 와의 전쟁, 2008년 금융위기 등으로 시애틀 이후로 성장해 왔던 지구 시민운동도 방향을 잃고 다가온

113


03

세션 2 Session 2

지구차원의 사회문제에 대해 그 누구도 주도적으로 나서지 않는 마비 상태 즉, 바야흐로 G-0 상태에 이르렀다고 박사님께서는 진단하고 계십니다. 마비 상태에서 나타나는 사회운동의 모습은‘점령하 라’라는 구호가 반복되고 그에 대한 답변은 물리적이고 폭압적인 대응으로만 보입니다. 그러나 박사님은 이러한 비관적 상황이 오히려 낙관의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보고 계십니다. 신자유 주의 패러다임에 대한 문제 제기, 자본주의 경제구조에 대한 문제제기, 정치 결정권의 정당성에 대한 문제제기, 시민사회진영의 다양한 연대, GDP 라는 성장 중심의 프리즘을 통해 보는 시각 교정의 움직 임, 권위의 해체, 다자기구의 다자적 의사결정 체계에 대한 도전 등의 조짐을 통해 낙관의 실마리를 말 씀하십니다. 투명성, 설명책임성에 대한 급진적인 요구 수위가 높아지면서 기존의 체계 자체에 균열 을 낼 수 있는 가능성을 낙관하고 계십니다. 저도 지구 시민사회의 흐름을‘흰 그늘’로 표현한 적이 있습니다. 그늘이지만 그 속에 희망의 씨를 품고 있기 때문에 흰 그늘입니다. 제가 보는 희망의 조짐은 실패에 대한 대응 속에‘시민사회’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시민사회의 인프라 없이 엘리트 관료와 당료를 통한 국가 사회주 의의 한계가 이미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이후 1990년대에 입증되었습니다. 정부 대표가 아닌 비정 부 대표의 위상이 높아진 것도 이 시기와 맞물립니다. 국가의 역할을 축소해야한다는 주장, 다시 말해 서 민영화와 탈규제로 요약되는 신자유주의 정책 기조가 정당성을 얻게 된 것도 규제 권을 남용했던 국가 엘리트에 대한 불신과 연계되어 있습니다. 탈규제라는 차원에서 제한된 의미로만 해석한 시장 만능주의, 시장의 자유에 대한 환상과 기대가 금융위기로 제동이 걸리게 된 것은 다행이라고 생각합 니다. 시애틀에서 주장했던 수레바퀴에 모래를 뿌리자는 이야기, 금융거래세를 도입하자는 논의, 관 료제적 규제도 아니고 시장의 고삐 풀린 자유도 아닌‘ 사회적 규제’를 복원하자는 논의가 이는 것은 박사님 말씀대로 낙관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이미 아리스토텔레스는 사회가 필요 없는 것은 짐승과 신뿐이라고 하면서 인간이 사회적 존재임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 대처 수상은 한 잡지와의 인터뷰에서‘사회란 없다. 있는 것은 가족과 개인뿐’이 라고 하여 신자유주의적 가치관을 그대로 보여주었습니다. 그런 대처 수상이 버젓한 장례식도 치르지 못하고 이미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대처 수상의 장례식이 신자유주의 패러다임에 대한 장례식이었다 고 평가하는 것은 속단이겠지만 퇴조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는 것을 박사님의 발표로 확인할 수 있

11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었습니다. 무엇보다 그 질서를 예찬했던 이론가 지식인들의 성찰이 눈길을 끕니다. 그야말로 빠른 속 도의 변화입니다. 지구촌 사회의 변화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곳에서는 이미 구원 투수로‘시민사 회’를 호명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보수 정부에서도‘빅 소사이어티 론’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이렇게 지방적 차원, 국가적 차원, 지역적 차원, 전 지구적 차원에서 다차원적으로 시민사회의 역할을 주문하 고 있는데 그렇다면 시민사회의 주체는 누구일까요? 대처 수상의 말처럼 개인으로서의 우리의 아이덴티티는 가족의 일원이며, 소비자이며 유권자이기 도 합니다. 시장 중심적 가치가 지배적이 되면 가족의 일원도 시장의 계산적이고 영리적인 논리가 작 동됩니다. 유권자의 권리도 영리적 차원에서 행사됩니다. 소비자의 권리는 말할 것도 없고요. 이러한 차원을 칸트는 이성의 사적사용이라고 규정한 바 있습니다. 이성의 공적 사용을 내용으로 하는 공익 시민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길러지는 것입니다. 때로는 사회운동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때로는 교육을 통해 인위적으로 구성되는 존재입니다. 프랑스의 시토와 엥은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역사적 으로 형성되었습니다. 영국의 브루주아지는 경제활동의 자유를 강조하는 개념입니다. 이렇게 각 나라 의 역사적 배경에 따라 시민의 개념은 다르게 형성됩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시민은 역사적으로 구 성되고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지구촌에 활동하고 있는 수많은 공익을 위한 NGO 활동가들은 어디 서 교육을 받고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이미 대학도 기업의 논리에 종속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이들 지구시민을 양성하는 시스템으로 아시고 계시는 바가 있으면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의 시민운동은 사회운동을 기반으로 해서 헌신적인 공익 활동가를 배출한 역사적 배경을 토대 로 1990년대라는 지구촌 차원의 계기를 포착하여 빠르게 성장하였습니다.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에 대한 논의, 개발중심주의에 대응하는 생태주의 운동,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이주자에 대한 공생과 다 문화 가치의 강조, 반부패와 투명성에 대한 캠페인, 입법제안, 권력기관에 대한 감시 등 다방면에서 많 은 성과를 낸 것이 사실입니다. 실로 한국의 시민사회는 정당, 중앙 정부, 지방정부, 언론, 사법부, 기 업, 입법부 등의 모든 활동에 새로운 혁신적 대안을 제시하고 기존 관행을 변화시켰습니다. 최근에는 마을 만들기,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의 영역에 시민사회의 손길이 닿고 있습니다. 국가 차원의 입법 활 동에서 이제는 풀뿌리 차원까지 접맥하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갈 길이 멉니다.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유럽에서 가장 먼 극동에

115


03

세션 2 Session 2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구촌 사회의 변화의 흐름이 늦게 당도합니다. 다보스 포럼으로 별칭 되는 세계 경제 포럼, 세계은행 등에서도 세계사회포럼의 주장을 수용하는 추세인데도 한국에서는 아직도 사회 포럼의 주장은 들리지 않고 경제 포럼의 주장이 정책결정가들의 담론을 주도합니다. 탈규제, 민영화 의 논의가 정책 결정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들은 생활 중심, 풀뿌리 중심이 되어 이러한 거대 담론의 변화에 대한 도전에서 한 걸음 벗어나 있는 상태입니다. 한국이 분단 상태라는 현실이 경제와 사회를 넘나드는 소통에 여전히 제약을 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담론 지형은‘산업화’냐‘민주 화’냐 하는 것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박사님은 CIA까지도 시민사회와 연대하는 상황이 벌어진다고 했 는데 한국에서는 제조업 기반을 가진 산업화와 민주화가 양자택일적인 방식으로 담론을 진행합니다. 고용 있는 자본주의와 고용 없는 투기자본의 차이가 섬세하게 부각되지 않고 있습니다. 더 무서운 위 협에 대응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차이는 연대의 대상이 되는 흐름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고 있습 니다. 변화의 흐름이 외부에서 왔기 때문에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한 과감한 연대의 발상이 만 들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의 시민사회 단체들이 국가적 차원에서 이제는 지방적 차원으로, 제도개선에서 생활문화 개선 으로 방향을 바꾸었지만 국경을 넘어 지구촌까지 가는 것은 아직 역부족입니다. 많은 시민사회 단체 들은 재정기반이 취약하고 전업 시민운동가들이 전문성을 축적하고 새로운 활동가를 양성하는 시스 템이 제도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시민사회를 육성하지 많고 시민사회로 부터의 헌신을 기대하는 분야 는 늘어나고 있는 상태입니다. 한국시민사회의 의제를 지구화 하는 것, 지구촌 차원의 의제를 한국에 뿌리내리게 하는 것이 현 단계 한국시민사회에게 주어진 새로운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이 과제를 달 성하기 위해 아시아라는 지역적 차원의 거점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과 지구촌 사회 의 소통을 위한 아시아적 거점을 만들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있으시면 같이 머리를 맞대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아시아 자원의 시민사회학교 같은 것을 만들면 어떨까요? 박사님께서는 공동체와 공동체의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계신데 국가는 여전히 많은 결정권을 가진 실체입니다. 국가를 사회적 국가로 만드는 것 자체가 효과적인 변화의 지렛대라고 보고 있습니 다. 그러나 시민적 책임을 가진 유권자 운동, 시민사회와 괴리되어 있는 정당 시스템을 어떻게 변화시 킬 수 있을 까요? 시민사회운동은 국가적 차원은 건너뛰고 공동체 차원으로 내려가야 하는 것일까요?

11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지구 시민운동은 그간‘권리’라는 개념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어 왔습니다. 여성인권, 문화 권, 평화권이라는 개념도 이제는 생소하지 않습니다. 권리라는 개념을 확장하는 것이 시민으로서의 자각을 가져오는 일차적인 관문이라는 것을 압니다. 그렇지만 이제는 책임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요? 수많은 권리에 응답할 책임이 누구에게 있을까요? 최근 한국에서는‘응답하라’라 는 드라마가 유행한 적이 있습니다. 응답의 책임이 있는 책임자에게 책임을 정확하게 묻는 것이 필요 할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책임’을 묻는 지구시민운동은 물론 지구적 차원의 소통을 전제로 합니다. 이 소통의 네트워크를 어떻게 현실적합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을까요? 우리 모두가 노력을 하고 있는 데도 우리가 쓰는 단어들은 점점 후퇴하고 있습니다. 대안을 이야기 하다가‘지속가능한 발전’을 말합니다. 그런가 하면 인간 안보라는 개념도 씁니다. 일차적인 생존의 위기에 대한 불안이 사용하는 개념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포스트 2015 의제 역시 불평등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현실을 의제로 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여전히 희망 그리고 대안이 필요합니다. 이 런 희망과 대안을 담을 수 있는 개념은 무엇이 될 수 있을까요? 질문을 던진다는 것은 답을 모색하지는 제안이 담겨 있습니다. 100년간 역사의 짐을 마다하지 않고 져 왔던 YMCA와 함께 이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여정을 같이 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117


03

세션 2 Session 2

Global Civil Society Trends and Prospects; Tasks for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

S e s s i o n

2

Dr. LEE, Jung Ok (Professor of Sociolog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Presid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NGO Studies)

Good afternoon, Thank you for inviting me to join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f the Centennial Anniversary Ceremony of YMCA of Korea as a panelist. For the last 100 years of historical turbulence, the YMCA of Korea consistently carried out its mission; a mission to motivate‘the youth’to do their share of responsibility with love and justice as the core values. More often than not, it is difficult to keep the delicate balance between love and justice, for too much emphasis on one can riskundermining the other. But for the last century, the YMCA successfully has made youth hold dear to both love and justice, as their two guiding principles on the path to become a leader of our society. In Korea society, the word,‘youth’still has power to fill our hearts with hopes, for it was the ‘youth’who has led the social revolutions and movements. In this regard, I believe the YMCA has established the true meaning of youth, not only in terms of age but in terms of agility and willingness to make a difference in the society. I deeply appreciate the opportunity to listen to Dr. Ingrid SRINATH‘s presentation on the

11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question, ’Civil society: Where are we now?’at this meaningful occasion. Dr. Ingrid SRINATH provides a very insightful answer based on his broad experience and expertise. As we can see the proposition;‘The glass half full or half empty’, at the very moment when the world civil society set up the Millennium Goals and vowed to work together to make our world a place where freedom, dignity, democratic governance, justice, due concern for environment is preserved, the global civic movement was derailed in the vortex of the War on Terror, and the 2008 Financial Crisis. As a result, Dr. Ingrid SRINATH diagnoses that we are in a state some call ‘G Zero’where no one is willing to step forward and take responsibility. At this paralyzed state, often the social movement seems to only chant‘Occupy’slogans, which are met with violent crackdowns. Nonetheless, Dr. SRINATH finds a glimpse hope in this abject situation. He said he could find grounds for optimism among other things, but not confined to; the growing challenge to the neoliberal economic paradigm, the structural flaws of the capitalism, and the legitimacy of the governance, broad solidarity among civic organizations, the efforts to correct the GDP-oriented paradigm, the movements for de-authorization, and multi-stakeholder approaches in global decision-making. He also sees grounds for optimism in the rising demand for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nd offers his optimistic view that those demands are likely to lead to the crack of the incumbent institutions and systems. I once likened the trend of the global civil society trends to a‘white shadow’. Because, yes, we are in a‘shadow, but it is a‘white’shadow for it is embedded with seeds of hope. In particular, I see the glimpse of hope in the increased expectations for the‘civil society’as a response to the failures. Already in the 1990s, after the collapse of the Berlin Walls in 1989,the limitations of state socialism based on the rules by the elite public officials and communist party members were laid bare, as there was no civil society infrastructure. It was also during the 1990s when the status of the NGOs representatives was elevated. The neo-liberalism, which argued the needs for small government, privatization and deregulation, gained the ground largely because the state elites lost trust of the public.

119


03

세션 2 Session 2

I think it is a positive development that the illusion of the infallibilityof the market capitalism and market freedom are now challenged in the aftermath of the financial crisis. The‘Sand in the Wheels’argument in Seattle, the discussions for the Tobin Tax and for the needs to restore ‘social restraints’, instead of neither bureaucratic regulations nor unbridled freedom of the market, implies that there are hopes as Dr. SRINATH argues. Already long time ago, Aristotle emphasized that human beings are, by nature, a social animal, arguing that those who have no need for the society of others is either a beast or a god. The former British Prime minister, Margaret Thatcher clearly demonstrated the neo-liberalism values in an interview with a magazine by saying, "There is no such thing as society: there are individual men and women, and there are families." But now, she has gone, in the quite obscure funeral. It can be too early to declare that her funeral symbolizes the end of neo-liberalism, but Dr. SRINATH’s presentation reaffirms the notion that neo-liberalism distinctively began to lose ground. Most notably, many intellectuals who used to praise the neo-liberalism now offer introspective talks. Indeed, the change is happening rapidly. Many world leading institutions already begin to call for‘Civil Society’as a relief pitcher. Even the conservative government of Britain argues the need for‘Big Society’. Consequently, there are multilateral calls for the civil society, from local,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level. Then, the question that needs to be asked is,‘who is the principal agent of the civil society?’ As PM Thatcher said, individually we have an identity as a member of family, a consumer and a voter. When the market values dominate our life, the same profit, gain-seeking logics of the market begin to pervade even the domestic sphere, elections, not to mention of the consumption activities. This phenomenon was defined by Kant as a private use of reasoning. Citizens who use their reasoning with the public interest in mind are not born, but nurtured, sometime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social movements or sometimes through education. ‘Citoyen’of the France was come into being amidst the French Revolution. Bourgeois of the

12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Britain were those who defended the freedom of economic activities. Likewise, the concept of a citizen can differ in each country, depending on its historical backgrounds. But what is clear is that citizens are comprised and‘constructed’in the historical context. Where all the NGO activists who work for the public interest were educated and trained? At this time and age when even colleges and universities fell under the clout of the enterprises, please enlighten me if you know any system that nurtures a global citizen. In Korea, thanks to many dedicated activists who worked in the social movements, the civil movement grew fast during the 1990s, by capturing the momentum offered by many global events at that time. It is true the Korean civil movement have produced many fruitful results, including the discussion for female representativeness in the political arena, ecology movement against reckless developments, emphasis for shared prosperity and multicultural values for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migrants, anti-corruption and pro-transparency campaigns, legislative proposals, and oversight on authorities. Indeed, the Korean civil society presented ground-breaking alternatives for every activity of political partie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media, the legislature, and brought changes in the old practices. Recently, the civil society touches on building local communities, social enterprise of cooperative associations. This means that civil movement has now reached the grassroots of the society, down from the national legislative level. Despite these changes, the daunting tasks are ahead of us. Geopolitically, Korea is located the farthest east from Europe, so a trend of change in the global society reaches late to the country. The World Economic Forum (Davos Forum) and the World Bank began to embrace ideas from the world social forums (Porto Alegre Forum), but in Korea, the economic logics still dominate the policy decision making tables. Discussion on deregulation and privatization are main themes of the policy making in Korea. In the meantime, civil organizations took a step aside in the changes of the great debate, and focus on daily livelihood issues and grassroots activities. The division of Korea still blocks the cross-borders communication that encompasses both the economy and society sphere. Instead, the dominant debates in Korea still centers on industrialization vs. democratization.

121


03

세션 2 Session 2

Dr. SRINATH said that even the CIA is now working with the civil society, but in Korea, you have to choose between the two, industrialization with manufacturing base or democratization. The difference between capitalism that creates jobs and the speculative capital that hires none is largely ignored. Sometimes we have to put aside our minor differences to form an alliance against more grave danger, but there is not a sign of that kind of solidarity. Since the trend of change came from outside, we have yet to come up with brave ideas for broad solidarity to bring about a new change. Many Korean civil organizations have shifted from the nationalagenda to local agenda, from institution reforms to lifestyle culture improvement, but they cannot afford to look beyond the national border and reach the global community. Most of them are financially instable, and do not have a system to train full-time civic activists with expertise. Yet more and more sectors begin to expect dedicated contribution of a civil society, without fostering one. I think the new task for the Korean civil society is to globalize their agenda, and make the global agenda taken root in Korea. To this end, I believe we need to make a regional foothold for Asia. It would be great if we can discuss together the effective ways to establish the Asian foothold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the global community. In particular, how about founding a civil society school in Asia? Dr. SRINATH values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cation of the community, but the state is still an institution that has overarching power in decision making. Make a state a social state can be an effectiveleverage for the change. But what can be and should be done in order to change the political party system, which has been so alienated with the civil society, and to bring about voters’movement mindful of the civil responsibility? Should the civil society movement forgo the national level and dive into the community level? So far, the global civil movement was pursued in a way to expand the meaning of the‘rights’. Human rights of women, the right to peace now become the norm. I am very well aware that broadening the meaning of the rights is the first step to raise public awareness as a citizen. But isn’t it a time for us to talk about responsibility? Who are responsible for answering the calls for the numerous rights?

12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Recently, a soap-opera,‘Reply’wasvery popular in Korea. I think we need to hold those who have a duty to reply accountable. The prerequisite for the global civil society movement demands accountability is the communication on the global level. Then what are the practical ways to forge the communication network? Despite our efforts, the words we use have gradually regressed. Once we talked about the alternatives, but now we talk about‘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meantime, the concept of the human security is now under discussion. Theconcern for the basic survival seeps through the term we use.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also takes issue with inequality. However we still need a hope, we still need an alternative. Then, what can be the concept that reflects the hope and the alternative? We ask a question to find an answer. In this search of an answer, it would be my privilege to join the journey with you, the YMCA, which has dutifully fulfilled its share of social responsibilities for the last 100 years. Thank you.

123


03

세션 2 Session 2

지구시민사회의 흐름과 전망 그리고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과제

S e s s i o n

2

신대균 (YMCA 시민운동위원회 위원장)

지난 20년 동안 한국사회는 시민운동의 놀라운 발전을 경험하였다. 전국적으로 지명도 높은 단체들 을 비롯하여 수백 개의 분야별 및 지역별 시민단체들이 조직되었고, 시민의 힘으로 사회문제를 개혁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많은 전문가들의 참여와 활동가들의 헌신적 활동으로 전문성을 갖추고 기민한 시민운동이 전개되었고 많은 일반 시민들이 시민운동을 참여하고 지원하였다. 그러나 지난 20년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시민운동은 더 발전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은 외세 침략에 저항한 의병운동과 불의에 저항한 민중운동에 역사적 배경을 두고 100년 전 일본제국주의에 의한 국권상실의 민족적 위기에서 시작된 민족독립운동과 이를 집대성한 3ㆍ1 운동 에 역사적 원천을 두고 있고 독재와 군사정권에 저항한 민주화 운동의 흐름을 이어 온 운동이다. 한국의 민주화 운동은 6ㆍ10 민주항쟁으로 1960년대 이래의 군사독재정권을 타파하여 한국을 민 주국가의 반열에 올려놓았고, 국민의 자유선거에 의한 정부선택이 이루어지는 시대를 맞이하여 구체 적인 정치 경제 사회개혁을 위한 시민운동으로 전개된 것이 지난 20년의 한국의 시민운동이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식민지지배를 벗어나고, 경제성장을 이루고 민주화를 성취하는 발전을 이루었 으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권력집단의 사익추구로 민주주의와 사회정의는 위기에 처하고 사회 공 동체는 붕괴의 위험에 처해 있다. 사회적 약자들은 꿈을 잃고, 아직 민족분단의 고통을 벗어나지 못하 고 있고, 동북아의 전쟁 위협은 높아가고 있다.

12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사회적 권력집단이 사익추구가 극심해지는 상황에서 사회 구성원들의 공익추구를 위한 역량이 더 욱 발전해야 한다. 이러한 역량을 구축하지 못하면 사익추구집단의 압력을 견디지 공익추구 정신과 운동이 쇠퇴하게 되고, 그러면 사회 권력 집단들의 사익추구와 공동체의 붕괴 및 사회적 약자의 고통 은 무제약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국의 시민운동을 창출한 정신적 역량이 사회적 권력집단의 극심한 사익추구 압력과 맞서기위해 더 많은 시민역량의 창출을 필요로 하는 단계에 도달하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한국의 시민사회운동 은 일반 시민들 속에서 공익추구 정신을 불러일으키고 이를 바탕으로 시민사회운동에 대한 일반 시민 들의 참여를 확대해 나가며 시민의 공익적 참여로 사회적 권력집단의 사익추구를 통제함으로써 공동 체의 붕괴를 막는 새로운 시민운동의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은 바로 한국사회의 수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출발점과 해답이 시민운동에 있 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이것은 정당한 인식이었지만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이 사회문제 해결의 해답 이 될 만큼의 발전을 이루는 데는 이르지 못했다. 그동안 한국의 시민운동은 쟁점 중심적 운동을 전개 하면서 시민들의 공익적 참여 정신을 확충하는 데는 미흡했다. 이제는 그 정신적 기반을 확충하는 동 시에 사회 문제의 개혁을 추진하는 새로운 차원의 시민운동을 전개하여야 한다. 또한 노암 촘스키가 말한 대로 현존하는 규칙 대다수가 소수에 의해, 소수를 위해 만들어졌으므로 이러한 규칙·규칙 제정 과정·제정 주체를 바꾸지 않는 한 글로벌 시스템에 내재되어 있는 부당성을 제거할 수 없다. 시민의 참여를 용이하게 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거버넌스 체제를 창출하 여야 한다. 이것이 오늘날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에 주어진 새로운 과제이며 도전이다. 새로운 차원의 시민운동을 전개하여야 할 필요성은 지구적 차원의 시민운동을 보더라도 마찬가지 인 것으로 여겨진다. 발제자에 의하면 2008년 금융위기와 경제악화로 국제 공조에 대한 서구사회의 열정이 식어가고 신흥경제국가 또한 국제 사회에서 마땅히 져야 할 책임을 거부함에 따라 협력과 국 제 공조를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는 위기가 발생한 현 시점에서 인터넷 거버넌스, 금융부문 개혁, UN·세계은행·IMF 개혁 등의 문제 해결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줄 리더십이 사라진‘무기한 진공’상 태인 G-Zero 시대가 도래했다고 한다. 서구사회의 국제공조에 대한 책임감은 계몽주의시대 이래의 서구사회의 민주주의와 진보의 흐름에 기반한 것인데, 경제위기가 서구사회의 기본적 책임감을 빼앗아가는 상황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 흥경제국가의 지구적 상황에 대한 책임감은 더욱 기대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서구사회나 신흥사

125


03

세션 2 Session 2

회나 공히 새로운 시민운동의 필요성은 마찬가지라고 여겨진다. 오늘의 상황은 세계적인 범위에서 일반 시민들 속에서 공익추구 정신을 불러일으키고 이를 바탕으 로 시민사회운동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해 나가며 시민의 공익적 참여로 사회적 권력집단 의 사익추구를 제어하여 정의 생명 평화의 세계를 이루어 가는 시민사회운동 르네상스가 필요한 상황 이라고 보인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세계적 범위 시민사회운동 지원 기구 혹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국제적인 협력 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한국YMCA는 100년 전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으로 국권상실의 민족적 위기에 형성되어 한국시민사회를 상징하는 단체였고,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 정신문화운동체로서 사회구성원 전체의 공익추구 정신을 새롭게 고양하고 정의 생명 평화의 사회를 만드는 큰 사명을 감당하는데 앞장 서야 할 책무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12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Global Civil Society Trends and Prospects; Tasks for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

S e s s i o n

2

Mr. SHIN, Dae Kyun (President, Korea YMCA Civil Movement Committee)

Over the past 20 years, the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astonishing progress in civil movement. Hundreds of civic groups including well-known ones were organized in different sectors and regions across the nation which empowered citizens to address social problems. Participation of a number of experts and devoted efforts made by activists brought expertise and speed to civic movements and many ordinary citizens also participated in and supported civic movements. Despite such accomplishments over the last two decades, Korea’s civic movement is still facing another task of going beyond the progress made so far. Civil society movement in Korea is based on the civilian army movement which was to defend the country against foreign intrusion and popular movements where people fought against injustice. The nation’s civil society movement has its historical roots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started by the national crisis when the country lost its sovereignty to Japanese Imperialism 100 years ago an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e pinnacle of such movements. It also inherits the spirit of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protested against dictatorship and the military regime. Korea’s democratization movement brought democracy to the country by overthrowing the

127


03

세션 2 Session 2

military dictatorship which had lasted since 1960s through the June Democracy Movement and it ushered in an era where citizens can choose their government through free elections. Over the last two decades, civic movement in Korea has developed into the one that calls for specific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reforms. Today’s Korean society rose from the tragedy of Japan’s colonial rule and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However, the nation’s democracy and social justice are at risk and social groups are about to collapse due to excessive pursuit of private interest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power population. Dreams of social minorities are being denied and the country still remains divided all while tensions and war threats are escalating in Northeast Asia. As privileged popul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excessive in their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members of the society are required to develop the capacity for public interest pursuit. Without such capacity the spirit and movements for public interest will be undermined by the pressure from private interest groups, which may lead to uncontrollable private interest pursuit of privileged classes, collapse of communities and increased pains on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t seems that the willpower which has driven civil movements in the Korean society is reaching the stage where it requires increased capacity of people in order to respond to the pressures from the privileged classes which seek private interest excessively. This is why Korea’s civil society movement needs to encourage ordinary citizens to pursue public interest and participate in related activities. By doing so, it can usher in a new era of civil movement which will prevent the collapse of community by controlling privileged groups’private interest pursuit. Civil society movement in Korea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solution to numerous problems in the society lies in civil movements. It was right recognition, however, the country’s civil society movement has not made enough progress in presenting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Korea’s civil movement so far has mainly focused on issues which left little room for strengthening citizens’willpower to participate in public interest activities. Now is the time to start a new civic movement which will strengthen the willpower and lead the resolution of social problems simultaneously.

12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As Noam Chomsky famously stated, most of the rules that exist today were set by and for the privileged few. Therefore unless we change the rules and how they are established, it will be impossible to eliminate unjustness in the current global system. It is time to establish a governance regime which will encourage citizens’participation in an effective way. This is a new task faced by today’s civil society movement in Korea and a new civic movement is needed at a global level as well. According to the presenter,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subsequent economic recession weakened the Western society’s commitment for global coordination while emerging economies are refusing to shoulder their due responsibility in the global community. As a result, the world is facing G-Zero era where the leadership which will drive the resolution of various problems such as internet governance, financial sector reform, and reform of UN, World Bank, IMF is absent while the world is confronting a crisis that can only be resolved through global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Western society’s responsibility for global coordination is based on the trend of democracy and progress in the society since the Enlightenment. However, it seems today’s economic recession has weakened its sense of responsibility.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expect emerging economies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global issues. This is why a new civic movement is needed in both Western society and emerging economies. The current circumstance calls for the efforts to encourage ordinary citizens to pursue public interest and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civil society movement. Today’s world is in need of the Renaissance of civil society movement which will create a society of justice, life and peace by controlling power population’s private interest pursuit with increased participation of people in public interest activities. In this regard, it will be meaningful and appropriate to establish an institution or a network which will facilitate global cooperation. YMCA Korea, established in the times of national crisis when the country lost its sovereignty to Japanese Imperialism 100 years ago, has been an organization which symbolizes the Korean civil society. As a spiritual culture community based on Christianity, the organization has a duty to lead the efforts to encourage people to pursue public interest and create a society of justice, life and peace.

129


03

세션 3 Session 3

세계 평화운동의 전망과 YMCA운동의 과제 : 시민평화교육운동의 관점에서

S e s s i o n

3

Dr. Swee-Hin Toh (유엔평화대학 석좌교수)

세계 평화“운동”구축하기 : 평화교육 시점에서 바라본 이정표, 가능성, 도전과제 서론: 위기, 모순, 변화 인류와 지구는 그 존재와 생명에 있어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위기를 겪고 있 습니다. 인류를 포함한 셀 수 없이 많은 종의 생존을 위해서 이러한 위기는 시급하고 신중하게 해결해 야만 합니다. 이러한 위기의 원인과 역학을 성찰하려면 현재 우리 행성의“문명”의 깊은 모순에 의문 을 던지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달과 먼 행성에 우주선을 쏘아 올리는 일은 이제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지난 수세기 전의 경제 발전 상태와 비교해 볼 때, 기하급수적인 경제 산업화와 “세계화”는“양질의 삶”을 위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거의 무한한 종류와 양의 제품과 서비스를“대 량”소비하는 문화를 창출하였습니다. 기술 및 ICT 혁명은 세계화된 국제 질서에 필수적인 초고속 커 뮤니케이션 및 거래 시스템을 창조하였으며“사이보그”에 가까운 인간 문화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 습니다. 그러나 이런 경제 및 기술“발전”에도 불구하고, 세계는 계속되는 전쟁, 직접적인 폭력으로 이어지 는 분쟁, 점점 증가하는 고비용의 군국화,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가 부족한 수십억의 사람들, 노골적인

13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인권 침해, 다양한 문화 차별, 지속 불가능한 환경 문제, 내면의 평화 부족 증상(소외, 절망, 중독, 자살 등) 등 크나큰 모순과 위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회의 몇몇 개인들은 이런 위기와 모순에 대해 절망, 좌절, 무기력함, 무관심으로 일관합니다. 그러나 점점 더 많은 사람들과 커뮤니티, 기관과 단체가 이러한 문제, 갈등, 폭력에 무릎을 꿇지 않고 있다는 점은 희소식입니다. 이들은 이러한 갈등을 적극적인 비폭력 운동을 통해 평화의 문화를 공통 기반으로 하는 대안적인 관계와 구조로 바꾸어 나갔습니다. 세계 사회 포럼(World Social Forum)의 연대의 모토를 빌어 말하자면, 더 평화로운 세계는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세계 평화“운동”의 대두와 평화 교육의 활용 특히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시대에는, 다양한 지역과 국가에서는 정부가 갈등, 분쟁 해결이나 지정학 적 국익을 위해 전쟁이나 직접적인 폭력을 사용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데에 대한 시민들의 반대 여론 이 점차적으로 늘어갔습니다. 이런 반전 운동을 대중은“평화 운동”이라 불렀으며 운동가들은“평화 운동가”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그러나 세계평화를 옹호하는 이들은 점진적으로 평화를 그저 전쟁이 나 직접적인 폭력의 부재로만 보지는 않게 되었습니다. 오히려 평화는 각각 고유의 역학과 자율성을 지닌 다중적이고 다양한 측면과 요소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전인적인 틀 안에서 서로 얽혀 있고 의 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사회가 전쟁이나 무장 분쟁, 직접적 폭력을 경험하고 있지 않다 하더라 도, 고통, 굶주림, 질병으로 고생하거나 노숙자가 많고 인권 침해가 빈번하다면 이 사회의 시민들이 정 말로 평화를 경험할 수 있을까요? 빠른 경제 발전이 갖가지 제품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지구 환경이 계 속해서 파괴되고 차세대의 생존을 위협한다면 사람들이 평화로울 수 있을까요? 기존 사회가 이미 다 양한 문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사회 안의 문화적 다양성이 계속되는 현대의 국제 이민으로 증가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문화적 다양성이 존중 받지 못하고 일정 문화나 민족이 차별, 문화적, 사회 적, 정치적 폭력의 희생자가 된다면 이를 평화라 부를 수 있을까요? 깊은 내면의 평화도 전쟁으로부터 의 자유나 의식주가 충족되어 존엄성과 정의가 있는 삶을 영위하는 것, 지속 가능한 세계를 만드는 것 만큼이나 중요하지 않을까요? 삶 및 사회적 현실에서 평화가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인 층위의 다중성을 타고 날 수밖에 없다는 사 실을 생각해 볼 때, 세계 평화“운동”의 대두는 필수적으로 복잡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운동”을 단 일적인 존재로 여겨서는 안 됩니다. 세계 평화 옹호자와 평화 구축자들이 조직한 여러“운동” “네트워

131


03

세션 3 Session 3

크” “커뮤니티”는 전인적인 세계 평화“운동”의 상호연결성과 상호의존성을 점차적으로 적절히 인식 해가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국가와 지역적인 층위에서 다양한 평화“운동”과“커뮤니티”의 개인 및 사회적 주체는 서로 협력하고 상호의존적 시너지를 창출하는 과제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 로, 각 개인 또는 참가하는 기관, 단체, 커뮤니티, 심지어는 국가는 하나 또는 여럿의 세계 평화“운동” 안에서의 입장과 비전, 실천을 규명할 수 있는 자유와 책임이 있으며 평화로운 자신과 세계를 만들어 가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에너지와 결의를 바치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세계 평화 도모라는 어렵고도 크나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화 교육이나 평화 문 화를 위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많은 이들이 인식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평화 교육의 두 가지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평화 교육은 개인적, 상호관계적, 커뮤니티적, 국가적, 지역적, 세계적 층위에서 갈등, 폭력, 평화 부재의 근본 원인에 대한 중요한 이해에 기여하려 합니다. 두 번째, 평화 교육은 개인과 사회가 행동을 통해 보다 평화로운 자신, 가족, 커뮤니티, 사회, 궁극적으로는 평 화로운 세계를 만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가치관과 태도를 동시에 가꾸어 나가려 합니다. 평화 교육이 시작된 사회에서는 유년기부터 대학 수준까지 평화 교육이 공식 커리큘럼에 포함되어 있으며 비공식 적인 교육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평화 교육의 진행 수준은 필리핀, 케냐 등 주류 평화 교육 커 리큘럼을 모든 수준의 교육기관에서 강의하는 국가들부터 개인 교육자, 학교, NGO, 시민 사회 단체, 정부간 기구(UNESCO, UNICEF)까지 들쑥날쑥합니다. 또 하나 평화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필수적인 교육적 원칙과 과정을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브라질의 성인 교육자 파울로 프레이리의 교훈적인 비전 및 응용에 따라,“은행 저금식(역주: 주입식)” 페다고지 및 학습 및 교육자가 전문가로서 수동적인 학생에게“지식”을 전해주는 식의 페다고지를 피 할 수 있게 됩니다. 평화로운 페다고지는 전인적이며 대화를 포함하고 가치관을 창조하며 학생(과 교 육자)에게 중요한 역량 강화의 촉매제로서 학생들이 현실과 갈등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이해를 평화로운 세계를 구축하기 위한 개인과 사회의 행동의 계기로 삼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이정표, 가능성, 도전과제 다양한 현대 세계의 위기 및 갈등의 확실한 예를 통해서 필자는 세계 평화“운동”구축에서의 평화 교육의 이론 및 응용을 위한 여러 이정표, 가능성, 도전과제를 파악하고 탐색하려 합니다. 한국의 맥락 에서 갈등과 평화 부재를 불러일으킨 여러 이슈나 문제 또한 강조할 것이며, 평화 교육의 잠재적 또는

13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진행 중인 역할에 대한 시사점도 논할 것입니다.

비군국화된 세계를 향한 발걸음 세계 정치 안보 체제의 변화로 인해 두 번의 세계대전의 참극이 되풀이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수백만 인구가 아직도 피비린내 나는 무력 갈등,“내전,”군사 개입, 끊임없이 계속되는 것처럼 보이는 “테러리즘”과“대 테러 전쟁”의 고통으로 시달리고 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콩고, 시리아는 장기화 된“내부”무력 분쟁이 어떻게 대부분이 여성, 아동을 포함한 민간인인 수백만 인명을 살상했는지 잘 보여주는 음울한 예입니다. 젠더 기반의 폭력 (예: 전쟁 수단으로서의 강간)은 군국화의 기반에 가부장 제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과의 분쟁, 정치적으로 분열된 한반도의 장기적인 군 사 긴장 상태, 현재 진행 중인 크림 반도의 갈등은 무력 분쟁과 군국화로부터 자유로운 평화로운 세계 를 만들기 위해 해결해야 할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의 일부일 뿐입니다. 점차적으로 미합중국과 같은 강력한 국가들은 드론 등을 사용하여 소위“민간인 사상자collateral casualties”를 발생시키는 원격전을 하는 추세입니다. 멕시코와 콜롬비아처럼 마약 조직 폭력이 문제로 대두된 사회에서는 심각한 마약 중독으로 인한 사 회적 타격 외에도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고 있으며, 수많은 국가에서 총기 소유가 확산되어 교전에 휘 말려 무고한 이들이 살해당하곤 하는 조직적인 갱단 폭력을 포함한 군국화 문화가 강조되고 있습니 다. 학교에서 학생들의 물리적 폭력 사건 증가나 체벌 증가를 통해 아동들은 어릴 때부터 군국적인 문 화를 학습하게 됩니다. 매우 폭력적인 비디오 게임이나 엔터테인먼트 채널의 선정적인 폭력 장면 등 에서 볼 수 있듯이, 미디어의 폭력 문화에 대한 의존성의 영향에 대해서도 많은 이들이 우려를 하고 있 는 실정입니다. 마지막으로, 핵무기 및 대량살상무기 확산이 핵으로 인한 대량학살과 대량살상무기 사용으로 상상조차 할 수 없는 피해를 불러일으킬 갈등을 낳을 수 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렇게 심각한 군국화 과정에 직면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문화를 무너뜨리기 위 한 운동이나 이니셔티브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고무적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의 예시에는 무 력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평화 회담이나 협상(예: 인도네시아의 아체, 필리핀 민다나오의 MILF_GRP 평화 협의), 진실규명 및 화해 위원회, 무기 교역 조약을 정립하기 위한 노력 (개선하려는 노력은 꾸준 하나 아직 단점이 많습니다), 前 전투병(성인과 아동 모두 포함)의 비무장, 제대, 사회 통합, 무력분쟁 또는 가정에서의 젠더 폭력 방지, 새로운 군사기지 건설 반대 캠페인 (예: 제주도의 강정마을), 핵무기

133


03

세션 3 Session 3

폐지를 위한 행동 (예: UN 협정, 핵 시설에 진입하는 개인 반핵 운동가들), 안전하고 학생들을 배려하 는 학교 환경 조성 (예: 따돌림 및 괴롭힘 방지) 등이 있습니다. 비 군국화된 세계를 구축하기 위한 모든 이니셔티브와 운동 중에서도 비무장 교육은 명백히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무장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것은 보통 시민들에게 주요 의식을 함양시키고, 시민 및 정치 지도자들이 군국화 정책에 의문을 던지고 대안적인 정책을 제시하며 갈등을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무력 분쟁을 벗어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절차는 평화 협정에서 막을 내리는 것이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군사 개입을 옳지 못한 방식으로 정당화하는“안보”와 “공포”라는 지배적인 개념과 이데올로기를 시민들이 재성찰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아동들은 평화 구축에 노력하는 미래의 성인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분쟁의 비폭력적 해결을 위한 가치관과 역량을 길러야 합니다.

인권 문화 지지하기 세계인권선언 이후 66년간 수많은 인권헌장, 협약, 선언, 서약이 만들어졌고 인권 문화가 세계 전체 에 서서히 뿌리내리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여러 정부뿐만 아니라 국가적, 지역적 차원 에서 다양한 시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관련 권리를 채택하고 효율적으로 시행했으며 수백만 시민 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습니다. 개인의 권리가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단체의 권리도 인정받았습니 다. 수십 년의 고통스러운 투쟁과 지지운동을 통해 여성, 아동, 원주민, 민족, 장애인, 이주 노동자, LGBT 등 특히 소외되었거나 취약한 계층의 사람들의 권리 또한 인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진전이 있었다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많은 국가와 지역의 현실을 보면 아직도 인권 법 안 입안과 시행의 이론과 실천 사이에는 큰 간극이 확실히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정부가 인권 관련 법안을 제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과 단체의 권리가 아직도 공공연히 침해되고 있습니다.‘국가 안보’라는 미명하에 일부 국가들은 심지어 내국인들 또는‘우방국’(예: 용의자 인도 프로그램)을 통해 ‘고문’사용을 합리화하기도 했습니다. 민간인을 무력 분쟁 시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인도적 개입’또 는‘R2P’(보호책임) 를 강대국이‘적대적인’정부와 지도자들을 퇴출하기 위한‘정권 교체’를 위해 이용하고 있다는 불안한 징조가 있습니다. 유감스럽게도 전략지정학적 이익으로 인해 개인, 단체, 정부 의 인권 현황 모니터링과 평가에 소위‘이중적인 기준’이 적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무력분쟁이 종료된 상황에서‘승자’들은 너무 자주 인권 관련 침해 사실에 대해 조사 받는 것을 거부하곤 합니다.

13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최근 수년간 시민 또는 정치적 권리와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이 다양한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이는 필리핀의 마르코스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EDSA 혁명이나 아파르트헤이트를 마침내 무너뜨리는 데 성공했던 남아공의 여러 운동, 중동과 북아프리카의“아랍의 봄”등 민중의 힘을 보여주는 움직임 과 혁명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 움직임이 성공적이었던 곳에서 이러한 민중 운동은 보통 시민이 강력한 독재정부에 도전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와 용기를 동원하는데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가 명백히 드러났습니다. 그러나“아랍의 봄”이, 특히 이집트가 보여주듯이, 체계적인 평화 및 인권 교육이 이러한 운동에 통합되지 않는다면 강력한 엘리트 집단은 이런 민중의 힘을 조작하거나 끌어들일 수 있으며 또 다시 인권 침해를 자행할 새로운 지도자들을 자리에 앉히기 위해 기존 정권을 무너뜨리려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권 문화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교육자들과 평화 구축자들이 느 리지만 지속적인 진전을 보여주고 있으나, 인권교육이 맞선 도전과제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이정표가 희망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많은 학교에서 인권 원칙과 전략이 커리큘럼, 교과서, 교실 페다고지에 포함되었습니다. 전체적인 학교 접근을 통해 인권 교육은 인권 문 화가 모든 관계와 교육기관 전체에 주류로 자리잡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풀뿌리 인권 교육은 소외 계층(예: 여성, 아동, 원주민, LGBT 등)을 보호하고 그들의 인권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 소외계층 을 동원하고 조직하는 움직임을 촉진시켰습니다. 유엔인권이사회의 보편적 정례검토에서 NGO들은 자신이 속한 국가에서의 인권 현황 및 정부의 역 할을 모니터링하고 비판하는 매우 중요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정부들이 보편적인 인권 기준을 따르도록 하는 중요한 평화 교육 사업의 기반을 닦고 있습니다.

문화간의 적극적인(active) 조화와 이해 인류 구성원들은 지역이나 국가와 상관없이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 때문에 현재 세계의 거대한 문화적 다양성이 무시되어서는 안 됩니다. 언어, 음악, 다양한 예술, 의식, 일상생활 속의 관습, 종교, 신앙, 교리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문화 및 문명 다양성을 통해 인류는 아름다워지고 심오해졌습 니다. 그러나 앞에서 지적했듯이, 세계는 아직도 다른 문화, 민족, 문명의 구성원들 사이에 벌어지는 분쟁과 심지어는 전쟁으로 가득합니다. 이해, 존중, 적극적인 조화라는 포용적인 태도를 취하는 대신 배타적이고 극단적인 다양한 차별, 편견, 불수용, 혐오, 인종주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135


03

세션 3 Session 3

다문화 또는 이문화간의 이해, 의사소통, 연대를 위한 교육은 평화 교육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 다.“문명의 충돌”이라는 잘못된 주장을 따르는 대신, 다양한 문화와 민족 구성원은 UN 기구가 문명 간의 연대라 부르는 문명 간 대화의 정신으로 서로에게 다가가야 합니다. 문화적 다양성과 이해를 포 용하는 전 세계 사회들에서 이문화간 또는 다문화 교육은 서로 다른 문화의 지식과 지혜에 대한 배움 과 상호 이해의 문을 열어줄 것입니다. 평등하고 포용적인 방법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다문화 사회에서 이문화간 또는 다문화 교 육을 위한 학교의 역할은 자주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습니다. 비 중심적(non-centric)하고 복잡한 방식 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시킨다면, 이 학생들은 서로를 좀 더 존중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동기를 얻게 됩니다. 학생들은 또한 타인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잠재적인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깨닫게 되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식을 배우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반인 종주의 교육 하에서 학습자들은 다양성을 존중하고 공통 가치를 발견할 뿐만 아니라 인종주의나 여러 다양한 형태와 층위의 차별에 도전하고 이를 극복하는 법을 배웁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제 다문화 사회로 떠오르고 있는 대한민국(예: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자 여성의 증가)은 이문화간 교육에 대한 양질의 관련 기준을 고안할 수 있는 기회와 책임에 당면하게 되었습니다. 원주민과 현재 문명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세력에 대한 투쟁은 다문화 및 이문화간 교육 에 중요한 도전과제를 던집니다. 이 교육은 식민주의에 의해 탄압된 문화의 생존에 대한 필요에 대응 할 뿐만 아니라,“발전” “성장” “이익”의 약속을 다시 바라볼 수 있도록 이들에게 힘을 부여합니다. 인 도 오디샤 주의 동그리아콘드 원주민의 특별한 이야기를 보면, 원주민들 자신이 실천에 옮긴 중요한 교육 과정이 국제 NGO와 해외의 관심 있는 시민들의 평화 교육과 연대 행동과 함께 인도 대법원과 인도 정부가 초국적 광물기업인‘베단타’가 원주민들의 성산에서 대규모 보크사이트 채굴을 하겠다 는 결정을 거부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캐나다와 호주에서 원주민들은 식민주의의 고통스러운 상처(예: 학대가 자행된 기숙사 학교,“도난당한 세대”) 를 문화 그리고 영적인 지혜를 통해 치유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또한 원주민인권헌장에 명시된 토지권과 여러 권리를 찾기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이문화간 교육에서 최근 대두되고 있는 것은 신앙간 대화(interfaith dialogue)로서, 세계의 종교, 신 앙, 영적 전통의 다양성이 모두 존중되고 재확인을 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대화를 통해 다른 종교와 신앙을 가진 이들이 서로의 신앙과 관습에 대해 보다 깊은 이해를 갖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서로의 차 이에 대해 존중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통 가치와 원칙을 공유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러 한 공통점을 통해 이들은 서로와 정신적, 정서적, 영적 교감을 갖고 협력하게 되어 신앙 기반의 행동을

13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통해 평화의 문화를 쌓아나가게 됩니다. 평화를 위한 종교 또는 세계 종교 회의와 같은 세계적인 신앙 간 운동이나 풀뿌리 신앙 단체 또는 CSO (필리핀 민다나오의 시실라, 호주의 다신앙센터)들의 경험에 기반하여 신앙간 대화와 교육은 평화건설의 다양한 측면(지역/국제 정의, 기후변화 대응, 난민 인권, 이슬람혐오주의 반대) 에서 다양한 신앙의 사람들이 함께 일을 하도록 도왔습니다. 동시에 신앙간 대 화는 인권 관련 이슈가 대두되면 도전에 직면합니다. 따라서 신앙간 교육은 신앙 커뮤니티가 세속 인 권 단체와 대화를 나누어 이러한 긴장을 해소하도록 장려해야 합니다.

동정과 정의의 경제를 향해 현재 국제 질서에서 강력한 기업 세력이 세계화를 이끌어 왔고, 이에 따라“무한한”성장, 이익 극대 화, 제약 없는“자유 시장”의 저렴한 노동력과 자원에 대한 접근성에 기반한 지배적인 경제 패러다임 을 낳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빈부격차가 극심하며 세계 인구의 20% (북반구와 남반구의 엘리트들)가 세계 에너지의 80%를 소비하는 모순이 발생합니다. 거대한 초국가적인 기업은 그들 정부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지지에 힘입어 모든 종교와 국가에 그물을 던졌습니다. 농업비즈니스, 채굴, 벌목, 어획, 제조업에 이르기까지 초국가적 기업은 주요 광 물, 여타 천연자원, 토지, 대단히 저렴한 노동력에 쉽게 접근하며 많은 이익을 올립니다. 중산층을 비 롯한 북반구의 소비자들과 남반구의 엘리트들은 수출중심의 경제활동에서 혜택을 얻습니다. 신자유 주의 경제 정책을 시행하는 많은 정부들이 북반구의 정부 및 국제금융기구(IMF, 세계은행)의 원조와 대출에 심하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IMF는 이러한 정부들로 하여금 빈부격차, 소외층 빈곤 을 심화시키며 사회복지를 축소하는 구조조정 등 여러 경제 정책을 시행하게 하고 있습니다. 부정부 패 또한 남반구에 만연하며 사회적 제품 및 서비스의 배급을 가능케 하는 자원의 평등 분배를 막고 있 습니다. 빈민들은 충분한 급여를 받지 못하며 이러한 가정의 어린이들은 아동 노동으로 착취당합니 다. 시골에서 빈곤한 농부들은 조그만 땅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어민들은 작은 구식의 배 에서 외국 또는 현지 트롤 어선과 오염된 해안선에 맞서 충분한 어획량을 올리기 위해 투쟁해야 합니 다. 도시에서 빈민들은 과밀한 슬럼이나 판잣집에서 깨끗한 물, 위생, 여러 기본적인 의식주를 갖지 못 한 채 생활하고 있습니다. 평화 문화의 이러한 점에 대응하여, 평화 교육자들은 개발교육을 창립한 이들의 오랜 과업을 인정 하고 있습니다. 도시 및 농어촌 빈민들 등 소외층에게 있어 개발 교육은 자신의 현실에 대한 중요한 인

137


03

세션 3 Session 3

식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사회변화에 대한 결심 또한 굳히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그의 결과 하나는 대 안적인 소규모 적절 기술 사회 기업들로 중간업자의 착취를 거치지 않고 개인들이 지역사회 차원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입니다. 도시 빈민 사회에서 이러한 개발 교육은 국가 자원에 대한 접근을 요구할 수 있도록 빈민들에게 역량강화를 해 줄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식 수준이 높은 소외 지역사회가 국경을 넘어 동원하고 협력하여 자원과 아이디어, 좋은 경험을 나누고 있다는 희소 식이 들려옵니다. 이것이 바로 세계사회포럼입니다. 이와 동시에, 개발교육은 非빈민 교육에도 집중합니다. 이미 중산층에 속해 있는 북반구 주민들이 자신의 책임을 인식할 수 있는 양심적인 태도를 지니고 세계의 구조적 폭력에 도전하고 이를 변화시 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공정무역 운동은 사회 및 경제 정의와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하여 북반 구인들이 남반구 지역사회의 지역경제를 도울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발교육에서 또 떠오르고 있는 분야는 민간 기업이 윤리적인 기업 활동, 사회적 기업 활동,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베네핏 기업benefit-corporations”, 사회적 영향력을 위한 투자를 통해 소외계층을 위한 정의와 지속가능성을 돕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면에서 평화 교육이 공공부문, 민간부문, 사회부문을 창의적이고 건설 적인 방식으로 통합하여 지배적인 경제 패러다임(예: 이익 극대화)의 논리를 뒤엎을 수 있는“제4의 부 문”을 탐색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제4의 부문”은 인류와 환경에 사회적 혜택, 정의, 안녕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 변화가 해결해야 하는 도전과제는 이를 악용하려는 이들에게 휩쓸려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지난 2년간“오큐파이(점령) 운동”이 시작되어 미국에서 성장하였으며, 대한민국을 비 롯한 세계 전 지역에서 조직되었습니다. 이는 세계의 상위 1%에게 집중된 부와 경제력에 대해 세계인 들이 더 우려하고 비판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개발 교육이 세계의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인 식을 증진시켜 사람들이 오큐파이 운동에 동참하도록 하는 데 기여를 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 다. 그러나 오큐파이 운동이 비교적 단기간 동안만 집중된 에너지를 발휘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평화 교육과“사회적 저항”전략 관의 연계에 대해 주의 깊게 살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하나뿐인 지구를 공유하며 함께 살아가기 평화교육의 전인적인 프레임워크 안에서 모든 개인, 지역사회, 기관, 단체, 사회, 세계질서는 지속 불가능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패러다임과 실천으로 인한 문제, 갈등, 평화 부재에 시급히 대응해야

13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만 합니다. 소모자원 고갈, 생물다양성 손실, 토양 침식, 사막화, 오염, 오존층 파괴, 벌목, 삼림파괴, 어장 고갈, 이산화탄소 배출, 극단적 기온 등 기후변화의 여러 증상, 낭비와 과소비를 부추기는 문화와 생활습관이 반드시 없어지거나 해소되어야만 인류는 단 하나뿐인 지구에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생태 족적의 개념에서 추정해 보면, 세계 인구의 생태 족적의 총합은 1.7 지구라고 합니다. 만약 세계 인류 전체가 평균적인 미국 시민의 삶을 영위한다면 지구가 4개는 더 필요할 것입니다. 지속가능성과 패스 트푸드 소비량, 비만 증가처럼 기본적인 생활습관 지표간의 관계를 보면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 해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속가능성 교육이 필요함을 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평화 교육은 건강 및 건강한 삶을 위한 교육과 합쳐질 수 있습니다. 기술적인 문제 해결만으로 인류와 지구가 직면한 생태학적 위기를 해결할 수 없음은 자명합니다. 물론 대체 에너지와 기술을 통해 화석연료의 고갈을 완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오염 수위를 낮 추고 재활용을 장려하며 생태계 발자국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위기의 근본적인 문제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합니다. 즉 과도하고 끝없이 제품을 소비하는 것에 중독되어 버린 우리 모습을 바 로잡아야 합니다. 의도적으로 상품을“진부화”시키는 체제와 광고들이 우리의 의식을 지배해“특별 한”브랜드의 최신 상품을 원하고, 필요로 하게 된 우리의 모습을 바로 잡아야 합니다. 최신기술의 혁 명으로 개인들은 단순히 실질적 제품(예를 들어 휴대폰 최신모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데에서 나아 가, 무수한 앱들이 있어야만“대중”의 일부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 한 우리의 모습을 바로잡는 것은 진심 어린 교육과정에 달려있습니다. 평화교육자들은 세계 평화 구 축을 위해 소셜미디어가 보다 균형 잡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하고 지속 가능한 도구의 사용을 장 려해야 합니다. 인류가 직면한 생태학적 위기의 심화로 인해 발생하는 상황들이 때로는 잠재적인 카타르시스로 작 용하기도 합니다. 즉 내면의 두려움과 감정을 깨우쳐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절박한 행동을 촉구할 수 있습니다. 삼 년 전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바로 그런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당시 사고 이후 일본 국민 들은 한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들과 국제연대활동을 시행했고, 이 활동들은 원자력 산업이 인류에 얼 마나 심각한 위험이 되는지 역설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수천 개의 고 방사성 핵 연료봉을 제거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느리게 진행되고 있고 수천 톤의 방사성물질이 주변 해양을 지금도 오염시키고 있지만, 후쿠시마 원전사태가 얼마나 심각하고 위험한 일이었는지를 일본인뿐만 아니라 전 세계 시민 들에게 다시 한 번 깨우쳐줄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재앙이 원자력발전의 지속불가능성을 시 사하고 우리 모두에게 경종을 울리고 있음이 분명하지 않습니까?

139


03

세션 3 Session 3

내면의 평화로의 여정 세계 평화교육자들의 커뮤니티 내에서 내면의 평화가 더 존중 받고 이해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서서 히 대두되고 있습니다. 소비주의와 물질주의와 풍요, 심지어는 북반구 사회의 더 높은 GNP 수준에도 불구하고 소외, 우울증, 불안 등의 정신 질환과 자살, 약물중독이 만연합니다. 매년 과음으로 2백50만 명이 사망합니다. 15에서 29세 사이의 젊은이들 중 32만 명이 알코올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하며, 이 는 같은 연령대 전체 사망의 9%를 차지합니다. 최소 1천5백3십만 명이 약물로 인한 질병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2012년 중반 통계자료에 따르면 12에서 19세 청소년 중 4백만 명이 항 우울제 를 사용하거나, 집중력 장에 혹은 과잉행동장애(ADHD)를 겪습니다. 이에 따라 화학적 약물 의존의 부 작용에 대한 의학적 근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질문할 수 있는 점은 이러한 정 신적 질환의 근본 원인이 발견되었는가 혹은 의약품으로 정신질환의 근본원인을 치료하고 있는가, 증 상에만 대응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내적 평화를 증진하는데 특히 초점을 두고 있는 평화 교육자들은 내적 고요함, 균형, 평형상태, 그리 고“집중”을 위한 장기적인 문화적, 시민적 실천을 위해 명상, 묵상, 기도 등의 비전과 전략을 선호합 니다. 일부 공동체나 문화권에서는 이런 방법이 종교나 신념 영적 전통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 다. 하지만 현대 세계에서는 내적 평화에 다가가기 위한 개발 전략이 특정 지역이나 믿음, 종교를 초월 한 집단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기독교에서 참선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불교에서 기독교 명상이나 수 피 명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깊은 내면의 평화를 얻기 위한 보완적인 방법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 다. 따라서 점차 더 많은 학교에서 학생들이 학교 수업을 듣기 전에 차분해질 수 있도록 교사들이 수업 일과에 명상을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한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학교 환경이 무겁고 경쟁적이기 때문에 내적 평화를 함양하는 것은 고려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평화로운 세상을 만드는 목표를 실행하기 위해 내적 평화를 그리는 것은 자아나 내적 존재에서부터 시작합니다. 내적 평화를 기르는 것은 영성이라는 개념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지곤 합니다. 개인의 발전 은 직업적 성공이나 성격, 인지적 지식, 육체적 건강 등의 외부 지표만으로는 표현될 수 없습니다. 따라 서 개인의 영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영성은 반드시 종교나 종교적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그들의 종교, 믿음과 영성 사이에 중요한 연결고리가 존재합니다. 마지막으로 평화교육에 있어서 내적 평화를 함양하기 위해 외부의 평화, 즉 사회적 평화를 추구하

14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고 실천하는 것만 추구해서는 안됩니다. 자기중심적이며 자기애적인 사고를 내적 평화와 분리시키기 위해 중요한 것은 내적 평화의 함양을 평화로운 세계를 만들기 위한 노력과 연결시켜야 합니다. 따라 서 내적 평화를 위해 자기자신에 대한 사랑과 연민을 기르는 것에서 나아가 이러한 사랑과 연민이 지 구상의 다른 존재들에게도 적용되어야 합니다. 개인의 행복을 추구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행복을 경 험하고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행동을 위한 에너지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평화를 구축하고 평화교육을 증진하기 위한 YMCA의 아이디어 1. 배경 풀뿌리 민주주의의 확산과 더불어 YMCA의 지역은 국내 65개이며, 대규모 자원봉사단을 포함해 회 원 수가 수천 명이 넘는 등 YMCA의 영향력이 높아진 점을 고려할 때, 평화교육과 페다고지에 대한 대 학 YMCA연맹의 관심과 노력은 웰빙(안녕), 안보, 한국사회의 미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YMCA 지사와 대학YMCA 연맹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남녀의 비공식 교육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과 스포 츠, 여가활동, 읽기 프로그램, 가치형성, 방과후 돌봄 서비스, 환경친화적 라이프스타일, 녹색소비주 의,“녹색 상점”, 대학교 동아리, 남북 평화통일, 국제 연대 프로젝트(팔레스타인의 정의, 인권 구현, 동티모르의“피스 커피”공정무역 사회적 기업), 등을 통해, YMCA는 이미 가치와 원칙을 지지하고 평 화문화교육의 비전과 관련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평화교육프로그램을 공식화하는 제안서는 YMCA의 기존 평화분야 교육노력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을 뿐만 아니라 YMCA의 조직적 구조통합을 통해 새로운 분야나 측면을 만들어 낼 것입니다. 따라서 YMCA 연맹이 한국의 공식 교육시스템과 협력적 파트너십을 맺을 기회를 탐색하는 것은 의 미 있는 일입니다. YMCA 리더십은 평화교육과 페다고지를 교사들과 학교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데 엄청난 기여를 합니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YMCA의 이니셔티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의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이 자라나 평화로운 한국 나아가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를 위 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시민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학교와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2012년 6월 15일 YMCA 연맹과 코스타리카의 UPEACE 사이에 MOA가 체결되었는데 이는 YMCA가 기관네트워크와 한국학교에서 평화 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해 끊임 없이 진전하고 있다는 것 을 의미합니다. 이번 MOA를 통해 평화교육과 페다고지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가진 교수들이 YMCA

141


03

세션 3 Session 3

직원들 및 다른 한국인 교육자들과 협력하여 YMCA 직원들과 한국 교사들의 공동훈련을 실시하고 이 를 통해 어린이, 청소년, 성인, 공동체 일원들이 평화로운 한국과 평화로운 세계를 만들기 위한 적극적 인 시민이 될 수 있도록 촉진할 것입니다. YMCA 평화교육 및 페다고지 팀과 코스타리카의 평화대학의Toh Swee-Hin 교수 등의 핵심 멤버들 이 2012년 중반 자세한 논의를 했는데, 이 전략계획 초안에서 제시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활동을 설 계하기 위한 첫 단계는 이 논의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YMCA의 부문, 프로그램, 혹은 기관이나 광범위한 한국사회에서 적용될 수 있는 계획안의 각각의 요소에 대한 개관을 다루겠습니다.

2.1 YMCA의 비공식 교육 프로그램 이 전략계획의 내용 중 첫 번째는 YMCA 지사와 사무국에서 관리하고 실행하는 비공식 교육 프로 그램입니다. YMCA의 비공식 교육프로그램, 개인개발 및 시민형성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어린이, 청 소년 및 성인들은 가치와 이해를 증진하는 데 집중할 것이며, 평화 교육 및 페다고지에 대한 역량과 기 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한국 대학 내 YMCA 그룹들의 구성원들은 미래의 3차 시민이자 전문가로서 평화로운 한국사회와 한반도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에 이들은 평화교육 및 페다 고지를 통합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평화교육 및 페다고지 원칙과 지식은 다양한 교육형태 그리고 스포츠, 여가, 예술, 문화개발 분야, 읽기, 사회 행동 및 변혁 등의 사회적 활동과 통합될 것입니다. 소셜미디어와 ICT는 어린이들과 청소 년들의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것 또한 탐색할 만한 중요한 주제입니다. 트레이닝 모듈 초안과 관련 읽기자료가 워크샵에 준비되어 있으며 워크샵 참가자들의 경험과 피드 백에 기반하여 수정 및 개정된 내용은 다양한 지역 워크숍 웹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지역 및 국가 YMCA 기관 및 단체의 직원들과 지도자들은 또한 평화교육 및 페다고지를 그들의 인 간관계와 직업적 관계에 통합시키고 기업 관습 및 문화 YMCA 구성원과 광범위한 한국 사회 내 시민 들과 지도자들 간의 상호작용에 통합시킴으로써 도움을 받을 것입니다. 3일 동안의 워크샵에서 지역 및 국가 YMCA 기관의 직원들 혹은 지정된 지역 센터들을 위해 기관 및 단체 개발과 관련한 문제점과 주제에 대해 다룰 것입니다. 트레이닝 모듈 초안과 관련 읽기자료가 워크샵에 준비되어 있으며 워크샵 참가자들의 경험과 피드백에 기반하여 수정 및 개정된 내용은 다양 한 지역 워크숍 웹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14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2.2 YMCA 기구와 조직의 발전 3일 동안의 워크샵에서 지역 및 국가 YMCA 기관의 직원들 혹은 지정된 지역 센터들을 위해 기관 및 단체 개발과 관련한 문제점과 주제에 대해 다룰 것입니다. 트레이닝 모듈 초안과 관련 읽기자료가 워크샵에 준비되어 있으며 워크샵 참가자들의 경험과 피드백에 기반하여 수정 및 개정된 내용은 다양 한 지역 워크숍 웹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2.3 한국 학교에서의 평화 교육 및 페다고지 통합 이 전략계획의 세 번째 내용에서는 YMCA가 한국 학교에서 평화 교육 및 페다고지를 통합하는 데 관련 있는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기 위한 비전과 목표를 다루고 있습니다. 한국의 교육 시스템에서 학교가 기관으로서 복잡성을 지닌다는 것을 고려하면, 또 한국 내 교사, 학생, 학교의 수를 고려하면 이는 어려운 프로젝트입니다. 하지만 YMCA가 사회적으로 존경을 받고 있으며 YMCA의 목표와 활동 에 대해 부모, 청소년, 어린이들이 친숙하다는 점은 전략계획의 세 번째 내용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 는 요소입니다. 만약 한 개 이상의 학군이나 개별 학교에서 고위행정가나 교사들이 이미 평화 교육에 관심을 보였거나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실행했다면 이러한 학군이나 학교들은 YMCA의 이니셔티브를 시작하기에 이상적인 곳입니다. 참여자의 범주나 트레이닝 워크샵의 목표와 관련한 이 계획의 구체적인 측면은 후에 구체적으로 설 명될 것입니다. 교사 : 모든 교육 시스템에서 교사들은 사회학, 역사, 과학, 수학, 인류학, 언어, 음악, 미술, 체육, 보 건, IT 등의 다양한 학습 분야에 있어서 어린이와 청소년을 교육하는 중요하고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 다. 커리큘럼 가이드라인, 강의계획서와 교과서가 교수에 있어서 교사들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 지만,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근간은 교사의 특정 주제에 대한 지식과 페다고지 기술입니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평화교육 및 페다고지를 커리큘럼에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려면 재직 중 직업개발 워 크샵에 참여하여 갈등과 평화구축뿐만 아니라 페다고지 원리와 절차 등에 대해 교육받아야 합니다. 교사들은 또한 커리큘럼 매핑과 개발 워크샵에 참여하여 학교 내 모든 학습분야의 기존 커리큘럼과 강의계획서 가이드라인을 리뷰하고 맵핑해야 합니다. 맵핑 경험을 통해 이미 평화교육과 관련이 있는

143


03

세션 3 Session 3

주제를 포함하는 커리큘럼을 발견 할뿐만 아니라 평화교육 내용이 부재하는 커리큘럼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전 세계 평화교육에 있어서 교사들에게 교육자로서의 역할이 우선이지만 평화교육 및 페다고지에 대한 전인적 이해를 공유하는 행정가들의 의견도 필요합니다. 학교장이나 감독관 같은 행정가들이 평 화교육 및 페다고지의 비전과 목표와 전략에 대해 잘 이해하거나 공감하지 못한다면 평화교육을 막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YMCA와 시도교육감, 교육부 직원들과 협력하여 교장선생님과 학교행정가 들을 위한 워크샵을 개최할 것입니다. 평화교육자들은 평화교육 및 페다고지의 통합이 교사들과 그들의 수업 혹은 교수학습활동에만 국 한되어서는 안 된다는데 강력히 동의합니다. 수업에 기반한 평화교육은 또한 공동체로 인식되는 학교 의 모든 지역에서의 수평적인 변혁에 의해 보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행정 절차, 학생-교사간 행정적 관계, 행동강령, 엄격한 규칙과 메커니즘, 교과 외 활동(예: 스포츠, 콘서트, 전시, 학생 클럽 등)과 같은 분야나 갈수록 관심을 받는 주제인 소셜미디어가 아동 및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 등의 주요 미디어 문헌, 학교와 공동체 관계(예: 학생과 교사 협회, 공동체 발전 을 위한 학교 프로젝트, 교회 등 종교기관 등)이 모두 평화교육 및 페다고지의 가치, 원칙, 관행과 융합 되어야 합니다. 네트워킹 및 지지활동 : 전략적 계획의 이 부분에서는 YMCA 전국연맹이 다양한 트레이닝과 직업 개발 워크샵에 참여하는 교사, 행정가, 학교와 공조하고 이들과 네트워킹을 강화할 것을 요청합니다. 요즘은 이러한 활동이 한국 교사들과 전 세계 평화공동체가 제작한 잘 설계된 웹사이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웹사이트는 교수학습 교훈, 평화교육 및 페다고지를 위한 가장 좋은 실천을 담고 있습니다. YMCA 연맹은 또한 시민지도자 및 교육지도자들의 이해, 공감, 지지를 얻기 위해 YMCA 지사의 임직원, 고위급 교육행정가와 지지활동과 로비활동을 해야 합니다.

결론 본고에서는 이정표, 가능성, 도전과제를 통해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글로벌 평화 운동을 구축하는 것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일부 초안에서는 당시 제시된 포괄적이고 전인적인 비전과 YMCA가 글로벌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들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의 평화교육에

14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YMCA 지역과 한국 학교, 대학, 교육부 등 예상되는 파트너들에게 제시된 평화교육 프로그램들은 발전 중이며 다른 지역의 YMCA전국연맹과 연계하여 한국 YMCA의 경험과 통찰력을 공유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평화로운 자아와 평화로운 세계를 만드는 데 영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들의 영감 적인 목소리를 담았습니다. 불교신자인 조안나 메이와 몰리 영 브라운은 위기의 시대에 인류의 미래 의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하여 삶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서 삶에 전환을 이뤄내야 한다고 했 습니다. 그러한 사회는 1) 지구와 생명체에 가하는 피해를 줄이고 2) 구조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구조 적인 대안을 만들고 3) 세계관과 가치에 있어서 근본적인 변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삶으로 돌아가기, p.17] “영혼을 다스리는 법”이라는 강력한 책에서, 이론 정신치료사인 토머스 무어는“세속적인 신성”이 라는 개념을 다음과 같은 표현으로 제시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성자를 찾아내는 비밀은 도덕주의와 이데올로기를 현재 사건에 적용하는 데 있는 것 이 아니라 내재적인 심오함과 매 순간의 영성을 포착하는데 있다. 사실만을 제시하는 것 같지만 항상 불가사의가 존재한다. 비전을 가지고 모든 상황에서의 불가사의를 인식하는 것은 영적 삶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한 비전으로부터 비전, 참여, 숙고, 행동을 찾을 수 있다. 독특한 삶의 방식이 생 겨나고 이것이 바로 영적 깨달음의 꽃이다.”(p.279) 이러한 인용문들은 필자가 평화교육을 통한 세계평화로의 여정이라는 관점을 직선적이고 환원적이 며 테크노크라시의 과학적인 방법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의미 있는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마지막 으로, 필자는 이전 논문에도 다음과 같이 기술했습니다.“영적 성장은 자기중심적인 목표와 절차가 되 어서는 안 된다. 사회적, 정치적 행동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모든 사람들이 영적 성장과 기본 권리, 인간 존엄성과 자유를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대안적인 관계, 구조, 시스템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145


03

세션 3 Session 3

Building a Global Peace“Movement”: Signposts,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from a Peace Education Perspective

S e s s i o n

3

Dr. Swee-Hin TOH (Distinguished Professor, UN Mandated University for Peace)

Introduction: Crises, Contradictions & Transformations Humanity and planet Earth today faces a plethora of monumental crises spann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of existence and life. These crises need to be resolved and transformed urgently and mindfully to ensure the very survival of innumerable species, including human beings. A helpful starting point to discern the causes and dynamics of the crises lies in questioning the deep contradictions of contemporary planetary“civilization”. It is no longer surprising that spaceships can be sent to the moon and distant planets. Compared to the state of economic“development”just a few centuries ago, the exponential growth of industrialization and“globalization”of the economy has generated a culture of advanced“mass” consumption of an unlimited range and quantity of products and services now deemed essential for“the good life.”The technological and ICT revolutions have also created super-rapid communication and transaction systems which are essential for a globalized world order and are inexorably shaping human culture towards a“cyborg”identity. Yet despites such economic and technological“advances”, the world is entrapped in massive

14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contradictions and crises, such as continual episodes of wars or other conflicts leading to direct violence, increasing and costly militarization, billions of people lacking basic needs required for a humane existence,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diverse forms of cultural discrimination, environmental un-sustainability and symptoms of a lack of inner peace (e.g. alienation, despair, addictions, suicides etc). For some individuals in all societies, one common response to these crises and contradictions has been expressed as a sense of despair, hopelessness, apathy or indifference. The good news, however, is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communitie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have chosen not be feel overwhelmed by all the problems, conflicts and violence. Rather, through active nonviolence, they have taken on the struggles and challenges of transforming these conflicts toward alternative relationships and structures encompassed by the umbrella concept of a“culture of peace”. To paraphrase the solidarity motto of the World Social Forum, another more peaceful world is possible!

An Emergent Global Peace“Movement”& the Praxis of Peace Education Especially in the post-World War II era, diverse regions and countries have witnessed a growing opposition among citizens against the resort of their Governments or non-state groups to“resolve’conflicts and disputes or to pursue geostrategic interests through wars and other strategies of direct violence. Such anti-war actions have in the popular consciousness often been labeled the“peace movement”and their practitioners as“peace activists”. Increasingly, however, advocates for world peace no longer view peace as only the absence of war or direct violence. Rather, peace necessarily encompasses multiple and diverse dimensions and components, each with its own dynamic sand autonomy while at the same time deeply inter twined and interdependent within a holistic framework. Hence, even if a society is not experiencing wars or armed conflicts or other manifestations of direct violence, can its citizens experience peace if they are still affected by the pain and suffering of hunger, ill health, homelessness and other human rights violations? Or even though rapid economic growth may

147


03

세션 3 Session 3

be providing people with all kinds of consumer products, can they feel at peace knowing that the Earth’s environment is being incessantly destroyed and threatening the survival of future generations? Or if existing societies are already multicultural and modern global migration flows are increasing cultural diversity within societies, can there be peace if such cultural diversity is not respected, and some cultures or ethnic groups experience discrimination and cultural violence as well as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violence? Or is not experiencing a deep sense of inner peace just as indispensable as freedom from wars or meeting one’s basic needs with dignity and justice or building a sustainable world? Given this inherent multi-dimensionality of peace at local, national, international and global level so flife and social realities, the emergence of a global peace“movement”is hence necessarily complex. The“movement”, in sum, cannot be envisioned as a monolithic entity. More appropriately, global peace advocates and peace-builders constitute a myriad of“movements”, “networks”and“communities”which increasingly recognize their interconnectedness and interdependencies within a holistic global peace“movement”. Simultaneously,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individual and social actors in diverse peace“movements”or“communities”are also rising to the challenges of forging collaboration and interdependent synergies. In turn, each individual or participating institution , organization or community or even a nation, has the freedom and responsibility to articulate its position, vision and practices within this global peace “movement”of“movements”and actively contribute his/her or its energies and commitment to the building peaceful selves and a peaceful world. Furthermore, it is now widely recognized that this massive and challenging project of promoting global peace requires the indispensable contribution of peace education or educating for a culture of peace. Essentially, peace education affirms two goal: first, it seeks to contribute to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root causes of conflicts, violence and peacelessness at the personal, interpersonal, community,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levels; and secondly, it endeavors to simultaneously cultivate values and attitudes that will encourage individual and social action for building more peaceful selves, families, communities, societies and ultimately a more peaceful world. In societies where it has been initiated, peace education can be found

14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within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early childhood to university levels as well as in nonformal educational contexts. However, its progress has been uneven, ranging from countries such as the Philippines or Kenya where official Government policies have sought to institutionalize or mainstream peace education curricula in all levels of schooling to the efforts of individual educators, schools or NGOs or other civil society organizations or intergovernmental agencies (e.g. UNESCO, UNICEF). Another vital dimension of peace education lies in the need to consistently integrate critical pedagogical principles and processes. Following the inspirational vision and praxis of the Brazilian adult educator, Paulo Freire, this avoids a“banking”mod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ntrenching the educator as the“expert”transmitting“knowledge”to passive learners. Rather, a peaceful pedagogy needs to be holistic, dialogical, affirms values formation and catalyzes critical empowerment of a learner (and educator) to translate his/her critical understanding of realities and root causes of a problem into personal and social action toward a peaceful world.

Signposts, Possibilities & Challenges: Through various concrete exemplars of crises and conflicts in the contemporary world, this essay will endeavor to clarify and explore a number of signposts,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for the theory and practice (or praxis) of peace education in the building of a global peace “movement”. Some issues and problems that have catalyzed conflicts and peacelessness in the Korean context will also be highlighted and implications drawn for the potential or ongoing roles of peace education.

Footsteps toward a demilitarized world While the terrible scourge of the two world wars appear unlikely to be easily repeated due to changes in the global political security system, millions of human beings are still experiencing the pain and suffering of bloody armed conflicts,“civil”wars, military interventions and the seemingly

149


03

세션 3 Session 3

endless cycle of“terrorism”and“war on terrorism”. Afghanista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and Syria are grim reminders of protracted“internal”armed conflicts which have inflicted death and injuries on millions of people, a majority of whom are civilian children, women and men. Gender-based violence (e.g. rape as a weapon of war) highlights the patriarchal underpinnings of militarization.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the long-standing heavily militarized tensions on the politically divided Korean peninsula and the very recent and ongoing dispute over Crimea demonstrate a few of the complex and difficult challenges of building a world free of armed conflicts and militarization. Increasingly, powerful states such as the USA have resorted to remote-controlled warfare by drones, which often result in so-called collateral casualties. In a number of societies, the rise of organized drug violence (e.g. Mexico, Colombia) has, apart from the social impact of heightened drug addictions, added to the deadly statistics on homicides, while proliferation of guns in numerous countries has accentuated a culture of militarization including organized gang violence with numerous innocent citizens caught in the middle of the crossfires. Physical violence in schools among students or via corporal punishment clearly also contributes to the experience of militarization from an early age. Much concern has also been raised about the impact of the depending of a culture of violence through media, including very violent video games and graphic violence depicted on entertainment channels. Last but not least, the 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ry and other weapons of mass destruction promises the possibility of a nuclear holocaust and other unimaginable WMD-based conflicts. Yet, in the face of such terrible processes of militarization, it is hopeful to see movements and initiatives seeking or struggling to dismantle a culture of war, including: peace-talks and negotiated settlements to armed conflicts (e.g. Acheh in Indonesia, MILF-GRP peace accord in Mindanao, Philippine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s; efforts at the establishment of an arms trade treaty (albeit still flawed in need of much improvement); the disarmament, demobilization and reintegration of ex-combatants (adults, children); preventing gender-based violence in armed conflicts or domestic contexts; campaign to stop a new military base undergoing building (e.g. Gangjeong Village, Jeju Island); actions to abolish nuclear weapons (e.g. a U.N. convention; individual anti-nuclear activists entering nuclear facilities); creating safe

15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and caring schools (e.g non-bullying). Clearly in all these initiatives and movements to build a demilitarized world, disarmament education plays an indispensable role. The raising of critical awareness of ordinary citizens and civic and political leaders to question militarization policies and replace them with alternative policies and ways of resolving conflicts nonviolently is a vital dimension of disarmament education. The sustainable steps out of an armed conflict do not stop with the signing of peace accords. Most importantly, citizens need to be engaged in reconsidering dominant conceptions and ideologies of“security”and‘fear”which are used to mis-justify militarized interventions. From an early age, children also need to cultivate values and capacities for nonviolent resolution of conflicts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roles as future adult citizens committed to peace-building.

Promoting a culture of human rights After some 66 years of the proclamation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n Human Rights, followed by numerous human rights covenants, conventions, declarations and treaties, it can be argued that a culture of human rights is slowly being weaved worldwide. Diverse civi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when adopted by governments internationally as well as implemented effectively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have help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millions of citizens. Not only are the rights of individuals recognized, but so also are group rights. Likewise, the rights of especially marginalized or vulnerable sectors, including women, children, indigenous peoples, ethnic groups, persons with disabilities, migrant workers and LBGT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fter decades of patient struggle and advocacy. But while acknowledging these steps forward , the realities in many countries and regions undoubtedly demonstrate that large gaps still exist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human rights legislation and implementation. Violations of individuals and groups continue to be visible, even if their governments may have already ratified the human rights instruments. In the name of ‘national security”, some nation states have also even rationalized the use of“torture”by their own personnel or through“friendly”allies (e.g. rendition programs). Increasingly, there are

151


03

세션 3 Session 3

disturbing signs that concepts such as“humanitarian intervention”and R2P “responsibility ( to protect”), which were designed to protect civilians during armed conflicts, have been manipulated by powerful states to bring about“regime change”, namely to depose“unfriendly” governments and leaders. Regrettably, geostrategic interests can also lead to the so-called double standards in monitoring and assessing human rights records of individuals, groups or government. Likewise, in post-armed conflict situations,“victors”too often resist being investigated for their human rights conduct. In recent years, the struggle for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democracy”in diverse regions have come to the fore in people-power uprisings and“revolutions”, such as the EDSA revolution that toppled the Marcos dictatorship in the Philippines , the movements that finally dismantled apartheid in South Africa and the“Arab Spring”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Where successful, such people power movements clearly showed the crucial role of education in mobilizing the energies and courage of ordinary citizens to challenge powerful authoritarian regimes. However, as demonstrated by the“Arab Spring”, notably in Egypt, unless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is systematic and integrated into the movement, powerful elite forces can manipulate and co-opt people power to eventually retain power or replace existing elites with a new set of rulers under whom human rights violations will continue. Despite the slow but steady progress made by educators and peace-builders active in building a culture of human rights, the challenges for human rights education are therefore substantive. Nevertheless, innumerable hopeful signposts can be discerned. In many school systems, human rights principles and strategies can now be found within curricula, textbooks and classroom pedagogies. Via a whole school approach, human rights education seeks to mainstream a culture of human rights through all relationships and parts of a school institution. Grassroots human rights education has also facilitated the mobilizing and organizing of certain marginalized groups to protect and improve their human rights (e.g. women, children, indigenous peoples, LBGTs etc). The very important work of human rights NGOs in monitoring and critiquing the human rights record of their countries and the role of their Governments at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sessions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s at its foundations a vital peace educational

15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project in holding their governments to universal standards of human rights.

Active Harmony and Understanding among Cultures While members of the human species shar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region or nation, such commonalities should not lead to a lack of recognition of the enormous cultural diversity still present in the world today. From languages, music and other art forms to rituals and practices of daily life and religious or faith beliefs and doctrines, it is this rich mosaic of cultures and civilizations that gives humanity its beauty and depth. Yet, as earlier noted, the world is still beset with conflicts and sometimes even wars between members belonging to different cultures, ethnicities and/or civilizations. Instead of an inclusive attitude of understanding, respect and active harmony, there are exclusivist and extremist expressions of various discriminations, prejudices, intolerances, hatred and racism. As an essential dimension of peace education, there is therefore a vital need for education that encourages intercultural 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Rather than the flawed thesis of a“clash of civilizations”, members of diverse cultures and ethnicities approach each other in a spirit known as the“dialogue of civilizations”that the UN body, known as the Alliance of Civilizations. Worldwide, in societies which affirm cultural diversity and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ercultural education or multicultural education hence opens doors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from each culture’s knowledge and wisdom. In many multicultural societies that affirm their cultural diversity in an equitable and inclusive way, the role of schools in promoting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education has often yielded positive outcomes. In enhancing the capacity of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own cultural identity in a non-centric and complex manner, they are better motivated to understand others in a respectful way. They also become aware of possible prejudices and stereotyping that they may hold of“others”and learn to overcome such tendencies. Most importantly, when envisioned under the name of anti-racist education, learners not only appreciate diversity and discover shared values, they also are empowered to overcome or to challenge racism and other forms

153


03

세션 3 Session 3

and levels of discrimination. In this regard,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which is now emerging as a multicultural society (e.g.increased umber of migrant workers and non-Korean wives) are faced with the opportunities and responsibilities to develop good and relevant curricula for intercultural education. The specific case of indigenous peoples and their struggles against economic,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forces released by contemporary globalization also present a vital challenge to multicultural or intercultural education. Not only does this education respond to their needs for cultural survival that were invariably suppressed during colonization, it also empowers them to demystify promises of“development”,“growth”and“profit”, to build on their indigenous knowledge and to demand their ancestral domain or land rights. In this regard, the recent inspirational story of the Dongria Kondh indigenous people in Odisha state, India, shows how critical education processes practiced by the peoples themselves , together with the peace education and solidarity action of international NGO and concerned citizens overseas, finally led to the Indian Supreme Court decision and the national Government to reject the bid by a transnational mining company, Vedanta , to mine the people’s scared mountain for huge reserves of bauxite. In Canada and Australia, indigenous peoples have also drawn deeply on their cultural and spiritual wisdom to heal from the painful traumas of colonization (e.g. abusive residential schools,“stolen generations”) and to struggle for land and other rights as codified in the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Another emergent sector in intercultural education lies in the field called interfaith dialogue, whereby the diversity of the world’s religions, faiths and spirituality traditions is affirmed and respected. Through dialogue, members of different religions or faiths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beliefs and practices. In this process, they not only develop a respect for each other’s differences, but also discover that they share many common values and principles. This common ground in turn motivates them to join hands, minds, hearts and spirit in collaborative or faith-based action to build a culture of peace. Based on the experiences of global interfaith movements such as Religions for Peace and Parliament of the World’s Religions, and grassroots local interfaith groups or CSOs (e.g. Silsilah in Mindanao, Philippines; Multi-Faith

15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Centre, Australia), interfaith dialogue and education has catalyzed faiths and religions to work together on various dimensions of peace-building (e.g. local/global justice, addressing climate change, rights of refugees, challenging Islamphobia). At the same time, interfaith dialogue also faces a challenge when issues of human rights are raised; hence interfaith education also needs to encourage faith communities to dialogue with secular human rights advocates to try to resolve such tensions.

Toward Economies of Compassion and Justice In the contemporary world order, the very powerful forces of corporate led globalization or globalization rom above have resulted in a dominant economic paradigm based on the logic of “unlimited”growth, maximizing profits and unfettered“free market”access to cheap labor and resources. Given such assumption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planet has never seen such disparities between the“rich”and the poor and the earlier noted contradiction when 20 percent of the world’s population (elites in the global north and global south) consume 80 percent of the world’s energies. With the support, implicit or explicit, of their Governments, giant transnational corporations (TNCs) cast their nets wide and far across all regions and countries. Through agribusiness mining, logging and fishing to global manufacturing assembly lines, the TNCs gain highly profitable access to essential minerals and other natural resources, land and super-cheap labor. The global north consumers, including the middle classes and elites in global south contexts, benefit from such export-oriented economic activities. Governments which adopt such neoliberal economic policies are often also heavily dependent on aid and loans from global north Governments a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IFIs) (e.g. IMF, World Bank). In turn, such dependency is often accompanied with IMF dictated policies of structural adjustment, which accentuate rich-poor disparities, poverty of the marginalized classes and reduced social welfare services. Graft and corruption also affects many global South economies, diverting resources away from equitable and relevant distribution of funds for social goods and services. The meagre

155


03

세션 3 Session 3

wages given are insufficient to meet the basic needs of poor families whose children then often have to engage in exploited child labor. In the rural areas, the poor farmers struggle to survive on their small plots while the fisher folk in their small, low - technology boats, struggle to catch enough fish in the face of incursions by foreign or local trawlers and polluted coastal waters. In the urban sector, the poor live in overcrowded slums or shanties lacking clean water, sanitation and other basic amenities. In responding to this dimension of a culture of peace, peace educators recognize the longstanding work of those who established the field called development education. For people who belong to marginalized sectors (e.g. rural poor, urban poor), development education serves to help raise their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ir own realities and catalyzes their commitment to engage in societal transformation. One outcome could be the creation of alternative small-scale appropriate technology social enterprises that excludes middlemen exploitation and motivates individuals to cooperate in community-level economic activities. Among urban poor communities, such development education can empower them to demand equitable access to state resources. Globally, the good news is that critically aware and organized marginalized communities are mobilizing and cooperating across national boundaries to share resources, ideas and fruitful experiences, such as during the regular World Social Forum. At the same time, development education also focuses on the education of the“non-poor”, whereby peoples in the global north (in North or South contexts) whose economic levels are already middle class and above are conscientized to consider their responsibilities in also challenging and transforming structural violence in the world. For example, the fair trade movement has grown to provide a pathway for global north people to promote the local economies of global south communities based on principles of social and economic justice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Another emergent field of development education lies in catalyzing businesses or the private sector to engage in ethical business ventures, social enterpris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actices,“benefit-corporations”and social impact investment that help to promote justice and sustainability for marginalized sectors. In this regard, it is worthwhile for peace education to explore the concept of the“fourth sector”that integrates the

15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public sector, private sector and social sector in a creative and constructive way that shifts the logic of the dominant economic paradigm (e.g. profit maximization) towards social benefits, justice and well-being for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The challenge in this emergent area of economic transformation is of course the need to be mindful of possible cooptation. Last but not least, over the past two years, the“Occupy Movement”has commenced and grown in the USA and similarly organized in other regions worldwide, including in South Korea, reflecting an increased concern and critique of the concentration of wealth and economic power in the hands of the top 1% of very rich elites worldwide. While development education invariably contributed to catalyzing Occupy protestors to join the movement, which has helped to raise awareness about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ies within and across the world, the relatively short period in which“Occupy”has sustained concerted energies suggests the need to reflect closely on the links between peace education and“social protest”strategies.

Sharing and Living in our One Planet In a holistic framework of peace education, all individuals, communities, institutions, organizations, societies and the global order have to urgently address the problems, conflicts and peacelessness that have arisen and deepened due to unsustainabl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paradigms and practices. The depletion of non-renewable resources; loss of biodiversity; soil degradation; desertification; pollutions; ozone layer destruction; deforestation; depletion of fisheries; carbon emissions and all other symptoms of climate change, including increased intensity of weather extremes; and cultural and lifestyle habits of waste and over-consumption all need to be reversed or resolved if humanity and our one planet is to survive. As estimated via the ecological footprint concept, the total ecological footprint for all the world’s peoples is already 1.7 planet Earths. If the entire population is to live like the average American citizen, we would need some 4 planets. The relation between sustainability and basic lifestyle indicators, such as the amount of fast food consumed and the growing problem of obesity, hence also requires sustainability education that increases the mindfulness of people towards their health. In sum,

157


03

세션 3 Session 3

through the lens of sustainability, peace education also merges with health and healthy living education. It is clear now that technological fixes alone will not resolve the ecological crisis facing humanity and our planet. Alternative energies and technologies can and do contribute to reducing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increasing energy efficiencies, lowering pollution levels , enhancing recycling and reducing ecological footprints. Rather, the root cause of the crisis must be healed, namely an addiction to over and endless consumption of products in which engineered“obsolescence”is built into their frames and the advertising juggernaut moulds our consciouness the belief that we must“want”and“have”the latest model of the“privileged” brands. Such healing necessarily depends on a deep educational process, since with the rise of the hi-tech revolution, each consuming citizen will need not only to rethink the need for an actual commodity (e.g. a cell phone, the latest model) but also question the necessity for the innumerable apps enticing him/her to keep up with the“crowd”. For peace educators, the contributions that social media can make to building a peaceful world needs to be balanced by a moderat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of the tool itself. The escalation of the ecological crises facing humanity has sometimes also presented episodes that can serve as a potential“catharsis”to awaken fear and emotion and hopefully catalyze actions to urgently resolve the crises. In this part of the world, the Fukushima nuclear plant disaster three years ago may be seen as one such episode. No doubt, affected and concerned Japanese citizens, together with international solidarity movements from neighbors such as Korea and many other regions, have assertively drawn on the disaster to highlight the grave dangers posed by the nuclear power industry. But even though the slow and highly delicate task of removing the thousands of highly radioactive rods is ongoing and tons of radioactive water are still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 ocean, there is clearly a need to further awaken the global consciousness of how dangerous the Fukushima plant poses, not only to the Japanese people but to the world community. Moreover, surely this massive disaster is a monumental wake up sign about the un-sustainability of nuclear power?

Journeying toward Inner Peace

15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Within the community of peace educators worldwide, there is a slowly growing recognition that the dimension of inner peace needs more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Despite the abundance of materialism, consumerism and ever higher GNP levels in advanced industrial global North societies, there are worrying symptoms of alienation, psychological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ies, suicides and increasing drug addictions. The harmful use of alcohol results in 2.5 million deaths each year. 320,000 young people between the age of 15 and 29 die from alcohol-related causes, resulting in 9% of all deaths in that age group. At least 15.3 million persons have drug use disorders. In the USA, for example, a mid-2012 statistic shows that about four million teenagers (12-19 years) are using antidepressants or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this regard, a growing body of medical evidence is cautioning against such reliance and dependency on chemical medications as side effects are being found. A relevant ques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ace education is whether the root causes of those“psychological”illnesses have been found and whether the medications are sustainably healing the causes or responding only to some symptoms. For peace educators focusing especially on the cultivation of inner peace, the preferred vision and strategy is to draw on long-standing cultural or civilizational practices of maintaining a sense of inner calm, balance, equilibrium and“centredness”, such as appropriate methods of meditation, contemplation and praying. In some communities and cultures, the source for such methods is often derived from a religion or faith or spirituality tradition. In the contemporary world, however, access to such inner peace development strategies need not be tied to belief in a particular region or faith and in the interfaith dialogue community, a Christian religious may choose to practice Zen meditation, or a Buddhist may find Christian or Sufi meditation a positive and complementary pathway toward a deeper sense of inner peace. There are hence a growing number of schools or classrooms where teachers have integrated meditation sessions into their daily lessons as a fruitful way to“calm’students prior to their academic sessions. In the context of heavily and over-competitive school environments, such as those found in South Korea, such

159


03

세션 3 Session 3

inner peace cultivation may possibly be relevant and worthy of consideration. Envisioning inner peace as part of the goal of building a peaceful world naturally begins with the self or“inner being”. A related concept that is often deemed relevant in cultivating inner peace is spirituality. Here, personal or individual“development”is not merely expressed in terms of outer indicators such as career or work succes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ognitive knowledge, physical health and other dimensions. Rather, there is a mindful focus on careful growing of one’s spirituality, though it should not be defined as necessarily requiring a religious or faith basis while for some people there is an integral link between their religion or faith and their spirituality. Last but not least, in peace education, inner peace cultivation cannot be pursued in isolation from the search and praxis of outer or social peace. To avoid a self-centred or narcissistic attachment to one’s inner peace, it is crucial to complement its cultivation with a conscientious commitment to building a peaceful world. Hence, although developing a sense of love and compassion for oneself is a part of inner peace, likewise this love and compassion needs to be extended to all other beings and our one planet. A search for personal happiness also catalyze energies for social action that helps others to experience happiness and transform suffering.

Exploring ideas for the YMCA in Building Peace and Promoting Peace Education. 1. Background: The interest and commitment of the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 to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is very significant for the well-being, human security and future of Korean society, given the widespread grassroots outreach and impact of the YMCA through its 65 branches nationwide and many thousands of members which include a large body of dedicated volunteers. Through the programs of YMCA branches and the National Council focusing on the non-formal education of children, youth and adults, both girls, boys, women and men, through

16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sports and recreational activities, literacy programs, values formation and after-school childcare; environmentally-friendly lifestyles, green consumerism and“green shops”; university student clubs; advocating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or international solidarity projects (e.g. support for justice and human rights of Palestinian peoples; a Fair Trade “Peace Coffee”social enterprise located in East Timor ), the YMCA clearly already endorses values and principles and undertakes activitie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vision of education for a culture of peace. The proposed plan for establishing formally a peace education program therefore can build upon existing peace-related areas of YMCA educational efforts as well as establish new areas and dimensions within the YMCA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integration. In this regard, it would be meaningful for the National Council to explore possibilities for a collaborative partnership with the formal educational system in South Korea. The YMCA leadership greatly appreciates the need to bring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into the work of teachers and programs of schools. This is a very crucial extension of the YMCA‘s initiative to build a culture of peace in Korean society, since schools and teachers play such a vital role in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to grow up as active citizens committed to building a peaceful South Korea and hopefully a peaceful, reunified Korean peninsula. The MOA which was signed on June 15, 2012 between the YMCA’s National Council and the University for Peace(UPEACE) in Costa Rica represented a major and constructive step forward in YMCA’s quest to promote peace education in its own network of institutions and in Korean schools. Guided by this MOA, professors with considerable knowledge and experience in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will be collaborating with YMCA staff and other Korean educators in the co-training of YMCA staff and Korean teachers to catalyze youth and children, adults and community members to become active citizens for building a peaceful Korea and a peaceful world.

2. Multiple Sectors & Programs for Promoting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161


03

ě„¸ě…˜ 3 Session 3

The initial step of designing specific program activities suggested by this draft strategic plan are based on detailed discussions in mid-2012 involving core members of the YMCA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team and Professor Toh Swee-Hin from the University for Peace in Costa Rica. In the following sections, an outline will be provided of each respective component of the plan that may be applicable to one sector or program or institution in the YMCA or in the wider Korean society.

2.1 YMCA Non-formal Education Programs: The first component of the strategic plan refers to non-formal education programs managed and implemented by YMCA branches and the National Council Secretariat. Children, youth and adults involved in various YMCA non-formal educational, personal development and citizenship formation programs will be oriented to values and understanding, and enhanced in their capacities and skills in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YMCA groups in Korean universities also constitute an important focus for integrating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since their members as future tertiary educated citizens and professionals have a key role to play in building a peaceful South Korean society and Korean peninsula. Peace education and pedagogical principles, knowledge and skills will be integrated in diverse learning and social activities including sports and recreation, arts or other cultural development fields, literacy and social action or transformation. The role of social media and other forms of ICT that nowaday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aily lives of children and youth will also be crucial themes to explore. A draft training module and relevant readings will also be prepared for use in the workshops and edited and revised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feedback of workshop participants in various regional workshop sites.

2.2 YMCA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16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The leaders and staff of local and national YMCA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ill also benefit from the integration of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into their interpersonal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s, organizational ethos/culture and interactions with YMCA members and other citizens and leaders in the wider Korean society. A series of 3 day workshops oriented to issues and topics relevant to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will be held for staff of local and national YMCA organizations or offices in selected regional centres. A draft training module and relevant readings will also be prepared for use in the workshops and edited and revised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feedback of workshop participants in various regional workshop sites.

2.3 Integration of Peace Education & Pedagogy in South Korean Schools In this third component of the strategic plan, the vision and goal of the YMCA seeks to collaborate with relevant stakeholders in integrating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in South Korean schools. This is a challenging project, given the complexity of schools as institutions i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and also the number of teachers, students and schools throughout the country. However, the respected social status of the YMCA and the familiarity of parents, youth and children with its goals and activities will be helpful factors in implementing this component of the strategic plan. If there is already one or more Korean school districts or individual schools in which senior administrators or teachers have already indicated an interest in peace education or have implemented initial training programs, then these districts or schools would be ideal starting areas for the YMCA initiative. The specific dimensions of the plan will be clarified in terms of the category of participants or goal of a training workshop: Teachers: In any educational system, teachers serve the primary and indispensable role in educating children and youth across diverse learning areas (e.g. social studies, history, sciences, mathematics, humanities, languages,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health, IT). While curriculum

163


03

세션 3 Session 3

guidelines, syllabuses, and textbooks are essential to assist teachers in their teaching responsibilities, it is the teacher’s knowledge of the learning or subject area(s) as well as their pedagogical skills, which are foundational for the effective teaching of children and youth in classrooms. Hence, in order to build the capacity of teachers to integrate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in their curricula, teachers will participate in in-service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 enable the themes of conflicts and peace building, as well as pedagogical principles and processes. The teachers will also engage in Curriculum Mapping and Development Workshops to review or mapping of existing curricula and syllabus guidelines for all learning areas in schools. Such a mapping exercise seeks to identify areas of the curricula which already include themes or topics relevant to peace education, as well as areas which are lacking in peace education content or emphasis. In peace education worldwide, it is recognized that despite their primary role as educators, teachers also need the input of administrators who share a holistic understanding of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Administrators such as school principals and inspectors can pose barriers to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if they are not aware and empathetic to its vision, goals and strategies. Hence the YMCA, in coordination with Provincial or City upper intendents of Education and where relevant, Ministry of Education officers, will also organize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workshops for principals and other school-related administrators. Among peace educators, there is a strong consensus that the integration of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cannot be limited to only the work of teachers in their own classroom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Such class-room based peace education also need to be complemented by parallel transformation of all areas of a school conceived as a whole community. Hence areas such as administrative procedures, student/teacher administration relationships, code of conduct, discipline rules and mechanisms, extra-curriculum activities (e.g. sports, concerts, exhibitions, student clubs etc); critical media literacy (including the increasingly popular social media impact on children and youth) and school-community relationships (e.g. parent-

16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teacher associations; school projects for community development; churches and other faith institutions etc.) all need to be also infused with values, principles and practices of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Networking and advocacy: This component of the strategic plan calls on the YMCA National Council to coordinate and facilitate networking among teachers, administrators and schools who have engaged in various training an d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s. This is best done nowadays through a well-designed website that compiles creative ideas, teaching-learning lessons and best practices in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submitted by Korean teachers as well as those gathered from the peace education community worldwide. The YMCA National Council will also need to engage actively in advocacy and lobbying with staff and leaders of YMCA branches and also senior-level educational administrators to gain the understanding, empathy and support of civic and educational leaders.

A Concluding Reflection This essay initially sought to clarify and explore some signposts,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in building a global peace“movement”from the perspective of peace education. Some draft suggestions were then presented for a broad and holistic vision and practical ways for the YMCA to contribute to the goals and tasks of global peace building and in particular of peace education in especially Korea. However, as the proposed peace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YMCA branches and for anticipated partners including Korean schools, colleges, universities, and Ministry or Departments of Education develops and grows, hopefully possible linkages with national YMCA councils in other countries and region can be promoted to share the Korean YMCA’s experiences and insights. To conclude, may I draw on a few inspirational voices for whom engaged spirituality are central themes in the building of peaceful selves and a peaceful world. The engaged Buddhists Joanna Macy and Molly Young Brown have reminded us in these times of crises and“nightmare

165


03

세션 3 Session 3

scenarios”for the world’s and humanity’s future, we need to commit ourselves to the“great turning” “to , choose life by building a life-sustaining society, which encompass1) actions to slow the damage to earth and its beings; 2) analysis of structural causes and creation of structural alternatives; 3)a fundamental shift in world view and values.”[Coming back to life, pg. 17] In his empowering book“To care for the soul”, the theologian - psychotherapist Thomas Moore suggested the concept of“secular holiness”in these gentle words:“The secret off in ding the sacred in ordinary life is not in applying moralisms and ideologies to current affairs but in grasping the inherent profundity and indeed spirituality of every situation. Always there lies a mystery, perhaps very much in hiding while the surfaces suggest only facts. Having the vision to perceive the mystery in all situation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spiritual life. From that vision flows values, involvement, reflection and action. A distinctive way of life emerges, and that is the true flowering of spiritual awareness”(pg.279). These quotes are especially a meaningful guide in my view to journey towards a peaceful world through peace education not in a linear, reductionist, technocratic and scientistic way. Finally, as I reflected in an earlier paper,“spiritual growth cannot be a self-centred goal and process. It cannot be divorced from social and political action, but rather must help to build alternative relationships, structures and systems that yield conditions for all people to cultivate spiritual growth whiles imultaneously fulfilling their basic rights, dignities and freedoms.”

16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세계 평화운동의 전망과 YMCA운동의 과제 : 시민평화교육운동의 관점에서

S e s s i o n

3

김정수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부설 한국여성평화연구원 원장)

한국YMCA의 창립 100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이번 심포지움을 준비하신 모든 분들, 특히 귀한 논문을 통해 평화교육에 대한 통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토 교수님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 니다. 평화를만드는여성회에서는“나의 평화, 우리의 평화, 세상의 평화”라는 일종의 캐치프레이즈를 통 해 평화활동이나 평화교육의 통합적 관점을 견지하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개인적 경험을 말씀드리자 면, 토 교수님께서 그동안 꾸준히 제시해 오신 Holistic Framework of Peace Education으로부터 평 화여성회의 활동이나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데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험이나 젠 더 관점에서 폭력에 대한 민감성을 기르고, 고통 받는 사람들에 대해 연민하고 연대하는 평화감수성 의 개발에서부터, 다양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평화적 해결(Conflict Resolution Programs), 더 나아가 여성의 관점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운동을 전개하는 차원까지 통합적인 여성평화운동을 전개하는 데 있어 holistic and comprehensive framework of peace education and pedagogy는 항 상 평화운동의 방향을 수립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데 하나의 기준이 되었고 아울러 인지적 차 원-정서적 차원-참여적 차원을 통합하는 방법론 역시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저는 오늘 토 교수님의 논문에서 두 가지 점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먼저, 비군사화 세계를 향한 발걸음(Footsteps toward a demilitarized world)과 관련된 것입니다.

167


03

세션 3 Session 3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지난 몇 년 동안 남북관계는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으며, 그동안 남한주 민들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더 높아졌습니다. 북한에 대한 두려움이나 전쟁에 대한 직접적인 공포를 느끼기 보다는 보다는 북한을 혐오하거나 아니면 무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이 더 많아졌습니다. 천안함 사건이나 연평도 피격, 핵실험이나 3대 세습 등이 원인이기도 하지만, 한편 정부의 통일교육이 안보중심의 교육, 즉‘남한의 평화와 안보를 지키는 데’중점을 둔 안보통일교육도 남한사람들의 북 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 점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튼튼한 안보 위에 평화를 지키고 통일을 준비한다는 정책은 결과적으로 북한에 대한 경계와 경쟁, 적대감을 강화시키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것은 북한에 대해‘주적’개념을 견지하는 국방부 뿐 아니 라 현재 광범위하게 진행되는 정부 주도형 사회통일교육이나 학교통일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납 니다. 적대감과 경쟁, 경계심은 비단 북한에 대한 것 뿐 아니라 한국사회를 지역-성별-정치적 성향-성적 지향성 등에 따라 분리하고 나와 다른 집단에 대한 극도의 적대와 혐오를 무차별적으로 표출하는 현 재의 사회문화적 트렌드에서도 일상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작년 가을인지 잘 기억은 나지 않지 만, 저는 이름이 꽤 알려진 대중문화평론가가 TV뉴스에 나와서“여성혐오”가 대중문화의 트렌드라고 말하는 데 대해 깜짝 놀란 적이 있었습니다. 일베와 같은 일부 극단적 누리꾼들만이 아니라“대중문 화”가 그런 경향성을 가진다는 점을 별 느낌 없이 자연스럽게 말하는 점이 저를 더 놀라게 하기도 했 습니다. 그 후 저는 그 평론가의 블로그를 들어가 보니 그런 표현을 사용하면서 쓴 문화평론이 있는 것 을 발견하면서, 그것이 그냥 방송에서 즉흥적으로 한 말이 아니라 사회문화 현상을 읽는 하나의 코드 가 되어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실 요즘 여성들에 대한 비하가 점점 더 도를 넘어서고 있는 것 도 사실이어서, 그 평론가의 진단이 그리 틀린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YMCA가 향후 평화교육과 페다고지를 한국의 학교교육과 통합시키려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안보중심의 교육, 그리고 북한 뿐 아니라 나와 다른 것,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과 집단, 가치관에 대한 혐오와 적대감을 재생산시키는 문화와 현실에 어떻게 대면할 것인가, 하는 점은 향후 평화교육을 확 산시키는 데 커다란 도전이자 과제라 생각합니다. 저는 YMCA와 유엔평화대학이 향후 전개하려고 하 는 공동의 프로젝트를 통해 이 점에 대해 많은 도움을 기대합니다. 두 번째는 한국 YMCA 100년에 대한 성찰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YMCA운동은 성서의 하나님나라 운동을 한국 시민사회 현장에서 종교적 언어를 넘어서 세속화된 혹은 사회문화적 언어로 번역하여 이 를 전개하는 것이라 저는 개인적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16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최근에 저는 어떤 신학교에서“성서와 평화”라는 과목을 강의하면서 거의 20년 만에 새롭게, 아니 거의 처음으로“평화를 만드는 사람은 하느님의 자녀가 될 것이다”라는 마태복음 5장 10절의 말씀과 예수님께서 처음 제자를 부르시면서“사람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라고 하신 말씀의 통합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교회에서“사람 낚는 어부”란 흔히“기독교인을 늘리는”전도개념으로 이해하 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것을 토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holistic framework of peace education과 관 련되어 말씀드린다면, 저는“사람을 낚는 어부를 만드는 일”, 즉“사람을 키우는 일”과“평화를 만드 는 일”을 그동안 분리해서 생각하지 않았나 하는 점을 반성하게 됩니다. 달리 말해 제가 그동안 만들 고자 노력한 평화는‘우리의 평화’,‘공동체의 평화’,‘세상의 평화’라 명명될 수 있는 정치-사회적 영역의 평화 만들기에 집중되어 왔습니다. 그렇지만 평화교육을 말하면서도“사람을 키우는 일”, 즉 “평화를 만드는 일에 대한 자의식을 가진 사람들을 키우는 일”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점을 반성하 고 있습니다. YMCA가 지난 100년 동안 한국사회에서 빛과 소금이 역할을 감당할 수 있었던 것은 다양한 요인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바로“내가 곧 YMCA”라는 자기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을 지난 100년 동안 꾸준히 길러왔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저는 이제 YMCA의 정체성을 가진 이들이“나 는 평화를 만드는 YMCA”라는, 좀 더 확장된 혹은 발전된 정체성을 가진 분들로 길러내고 양성하는 일을 YMCA 평화교육이 담당했으면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선포하신 평화의 때, 평화의 카이로 스는 평화를 만드는 일을 자신의 소명으로 인식하는 이들에 의해 준비되고, 도래되고 결국은 이 땅에 서 완성될 것을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169


03

세션 3 Session 3

World Peace Movement Prospects and Tasks for YMCA Movement : From Civil Peace Education Movement Perspective

S e s s i o n

3

Dr. KIM, Jeong-Soo (Researcher, Korea Women’s Peace Research Institute, Women Making Peace)

I’d like to deeply congratulate YMCA Korea on its centennial celebration. Also I’d like to extend my gratitude to you for organizing today’s event as well as Professor Toh Swee-Hin for giving me an opportunity to have an insight into peace education. Women Making Peace has been making effort to stick to peace activities or peace education’ s standpoint through its catch-phrase“My peace, Our peace, World peace”. Personally, Holistic Framework of Peace Education that Professor Toh has been suggesting helped Women Making Peace to plan its activities and programs. In particular, Holistic and Comprehensive Framework of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helped us to raise awareness on violence against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or women’s experience, emphasize with suffering people, plan Conflict Resolution Programs and conduct comprehensive Women’s Peace Movement which includes peace and reunification movement in Korea. It has served as a standard for planning our education program and also Professor’s methodology of integrating cognitive level - emotional level- participation level was very helpful.

17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Today I’d like to touch on the two points in Professor’s paper. First is related with footsteps towards a demilitarized world. As you well know, inter-korean relations has failed to improve and at the same time South Koreans increasingly think negatively toward North Koreans these dyas. There are also a lot of people who express hatred or ignorance toward North Koreans instead of fearing North Korea or possible war. Attack on Cheonan Ship, Artillery attack on Yeonpyeong Island, nuclear test and third-generation succession of power are some of the reasons, however it is also because government’s reunification education is solely centered on security. It is the reunification education that is only focused on‘protecting peace and security of South Korea’that makes South Koreans to view North Koreans negatively. Protecting peace while preparing for reunification based on strong security can enhance the alert, competition and hostility towards North Korea. This can be seen in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at view North Korea as an enemy as well as in Government-led reunification education in society or re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Hostility, competition and sense of alert can be seen in our social and cultural trend where people divide Korean society into region - gender- political & sexual orientation groups and express extreme hostility and hatred towards other group. I think it was last fall when a famous pop culture critic talked about“misogynie”being the trend of popular culture. I was really surprised. I was more surprised by the fact that popular culture as a whole can have that kind of trend because I thought it was only those few from“il-be”, an extreme conservative website users, who express strong hostility and hatred. I visited the critic’s blog and found out that it wasn’t a spontaneous idea, rather I realized that‘hatred and hostility’really has become our trend. In fact, I now know that it is true because there is too much depreciation towards women these days. I believe it is going to be a huge challenge for YMCA to confront today’s culture and reality that embraces security centered education, reproduces hatred and hostility towards North Korea and people with different value and idea in the process of making strategy to integrate peace

171


03

세션 3 Session 3

education and pedagogy with Korea’s school education. In this sense, I look forward to the joint project of YMCA and University for Peace (U-Peace) which will contribute to addressing this concern. Second point has to do with looking back on 100 year history of YMCA Korea. I believe that YMCA Movement is about reinterpreting the Bible which mentions‘building Kingdom of God’ into developing social and cultural movements that go beyond religions in our society. I was lecturing on“Bible and Peace”in a theological school and encountered verses from Matthew 5:10 where Jesus called his disciple for the first time and said“Blessed are the peacemakers for they will be called sons of God”and“I will make you fishers of men”(Churches normally see“fishers of men”as a concep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Christians or in other words“missionary work”.) If I view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or Toh’s Holistic Framework of Peace Education, then I regret having been separating“making people fishers of men”or“nurturing people”with “building peace”. In other words, the peace that I strove to make was solely focused on‘us’, ‘community’and‘the world’or peace related with politics and society. I regret that I was not able to pay attention to“nurturing people”or“nurturing people who are committed to building peace”while talking about peace education. I believe the reason YMCA Korea was able to be the light and salt of Korean society is because they were able to nurture people who identify themselves with YMCA for the past 100 years. I hope that these nurtured people from YMCA will nurture others who will see themselves as YMCA that builds peace and I look forward to YMCA’s peace education to contribute to this work. Because Kairos of peace will be prepared, will arrive and be completed in this land for people who answer their calling of building peace.

17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세계 평화운동의 전망과 YMCA운동의 과제 : 시민평화교육운동의 관점에서

S e s s i o n

3

강순원 (한신대학교 교수)

아래로부터의 평화교육을 실천하여 세계시민사회의 성숙에 기여하자. 한국사회에서 YMCA는 지역사회 밀착형 시민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온 역사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부인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일제식민지하에서부터 권위주의정권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 까지 성숙한 시민사회를 구성해 오는 역사적 현장에 늘 YMCA가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오늘 이 자 리는 특별한 의미가 있다. 토수힌 교수님은 평화교육적 관점에서 글로벌 평화운동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를 논의하고 있다. 글로벌 수준에서 폭력의 문화를 어떻게 평화의 문화로 변혁할 것인가, 여기서 YMCA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말하고 있다. 기실 평화란 직접적 폭력을 포함한 구조적, 문화적 폭력이라는 사회악에 대항할 수 있는 윤리적 힘 이며, 평화교육은 그러한 윤리적 힘을 배양시키는 평생 교육적 과정이다. 학교교육을 포함한 생애 교 육적 과정으로서 평화교육은 그런 의미에서 적극적인 가치교육의 성격을 갖는다. 일제 식민지화를 목 도에 둔 상황에서 우리나라 이준열사가 1899년 헤이그 만국평화회담에 참석하여 대한민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던 바로 그 헤이그만국평화회담 100주년을 맞이하여 1999년 헤이그 어필로 채택한‘전 지 구적 평화행동(Global Action for Peace)’어젠다 50개 중 제1의 조항이 바로 평화교육이다.“우리 사

173


03

세션 3 Session 3

회에 만연한 폭력문화를 근절하기 위해 미래 세대는 매우 다른 교육을 받을 자격이 있다. 이 교육은 전 쟁 미화가 아닌 평화에 대한 교육을 의미한다. 헤이그 어필은 이 목적을 위해 전 세계적인 캠페인을 펼 칠 것이다. 평화교육은 교육제도의 모든 단계에서 의무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하지만 식민지를 거쳐 민족분단의 아픔도 겪고 동족상전이라는 비극에서 300백만 명이라는 전대미 문의 희생도 치렀건만, 이후 군부독재와 개발주의를 거쳐 OECD국가에 편입되는 놀라운 성장에 도취 되어 분단된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자신이 피해자인지 가해자인지도 모른 채 우리 모두는 풍요로운 평 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는 환상에 취해 있다. 이 혼미의 시대상 속에서도 우리를 자각시키는 해방의 힘 이 존재하며 그러한 힘은 간혹 정치력으로 승화되기도 하는 것 같다. 이러한 균형자로서의 힘은 대부 분 시민사회로부터 나온다. 평생교육자로서 시민사회의 역할과 태도는 우리 사회의 비평화적 경향을 질타하며 대안을 모색하게 하고 국제사회의 연대노력과 더불어 편향된 개발주의를 제어하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요한 갈퉁(J. Galtung)이 평화교육과정으로 언급했듯이 평화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 공통된 일반목표설정이 중요하다. 토수힌 교수님도 강조하듯이 일반적 평화교육목표는 분명 우리 사 회에 폭력의 문화를 근절하고 평화와 비폭력문화를 개인적, 제도적, 지역 사회적, 국가적, 지역적, 글 로벌 수준에서 뿌리내리는 것이다. 이를 위한 노력으로 무엇이 평화교육의 방향인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174

보수적 평화교육

비판적 평화교육

한반도평화

힘의 우위

평화공존

군축

군비경쟁

절대 군축

안보

군사적 안보

사회적·인간 안보

한민족

애국주의로 미화

세계시민으로 참여

문화화

문화적 배타주의

다문화적 포용주의

태도

비정치적 태도

적극적 참여태도

가치

경쟁

인권존중과 나눔

행동

비폭력적 침묵

비폭력적 공생의 행동

환경

개발주의

지속가능한 발전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보수적 평화교육

비판적 평화교육

학교구조

개인적 관료주의

공동체적 교육복지

학교규율

통제와 서열화

자율 규제

교육과정

교과서/교사 중심

경험/학생 중심

전망

마음속의 평화

사회정의가 실현되는 평화

일반적 목표가 설정이 되면 이에 따른 비판적 사회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사회의 갈등과 비 평화성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적인 비판적 식자교육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는 스웨덴의 학습 서클에서의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지역단위의 시민교육에서 매우 요구되는 것으로서 이미 한국 의 YMCA는 지역차원의 소규모 시민모임으로 진행하고 있다. 실제로 오늘날 우리 사회의 비평화의 문제는 개인적 수준에서 오가는 직접적 폭력의 외현으로 드러나기는 하지만 기실 이러한 폭력성은 우 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 낳은 사회악에서 연유한 것이다. 사회적 양극화 및 정치적 통제 및 언론의 편 향성 등은 우리 모두로 하여금 균형 잡힌 시민의식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런 연후 다양한 형태의 평화교육이 제안되어 논의하는 구성(Proposal-making)의 단계를 거친다. 이 때 우리는 평화교육의 중심에“think globally, act locally”라는 아주 원론적인 시민운동차원을 고민 하며 실천적 효과가 검증될 수 있는 평화교육양식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의 프로그램과 시 민사회의 프로그램이 이러한 맥락에서는 아주 다르다. 따라서 YMCA가 학교와 협력하여 평화교육을 실천하려는 노력은 치하 받을 만하지만 분명한 한계가 노정된다. 오늘날 학교평화교육은 교육과정에 서는 거의 대부분 학생 자치 프로그램적인 성격으로 굳어지는 경향이 있다. YMCA가 위치한 지역사 회 기반의 평화교육을 다원화하는 평생 교육적 방안이 요구된다.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전쟁도 많이 치렀고, 식민지도 경험했으며, 냉전체제하에서 민족이 분단되어 오늘날까지 서로 반목하면서도 OECD회원국으로서 강한 경제력을 과시하는 국가로 부상하였다. 이제는 원조 수혜국에서 원조 공여 국이 된 우리나라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부국강병만이 나라의 평화를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힘에 대한 맹신이 비평화의 징표이다. 평화교육은 역사적으로 야기된 구조화된 왜곡의식을 공생적 평화의 식으로 변혁시키기 위한 총체적 교육과정을 일컫는다. 그런 맥락에서 토수힌 교수님의 홀리스틱한 다 차원적인 틀을 견지한 평화교육 개념에 동의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 어떻게 평화교육을 행동화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나는 이것을 아래 로부터의 평화교육이라고 칭한다. grassroot적 관점의 평화교육으로 지역과 함께 하며 시민사회와 함

175


03

세션 3 Session 3

께 하는, 모두가 다 참여하는‘민중적’,‘미래지향적’평생학습으로서 평화운동과 평화연구가 결합된 평화교육이다. 이론과 실천이 상승효과를 가져오고, 개인이 사회를 변화시키고 또한 사회가 개인을 변화시키고 상호의존적인 역학학습이 평화교육이다. 그런 점에서 평화교육은 구조적 폭력에서 야기 된 사회적 악에 대항하는 평화적 본성을 자극하고 도전역량을 길러주는 의식적인 교육과정이다. 평화 적 수단에 의해 평화를 이룰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이 평화교육이다.

17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World Peace Movement Prospects and Tasks for YMCA Movement : From Civil Peace Education Movement Perspective

S e s s i o n

3

Dr. KANG, Soon-Won (Professor in Education, Psychology and Children Department, Hanshin University)

Promoting grassroots peace education is a way to contribute to a mature civil society in the world. YMCA has consistently launched grassroots movements with local communities in Korea, and no one would doubt the historicity of YMCA Korea. From times of Japanese colonial rule to authoritarianism to today, YMCA has always been at the historical scene where the people strived to build a mature civil society. This is why today’s event is particularly meaningful. The discussion of Professor Toh focuses on how to establish a global peace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eace education. How can we turn a culture of violence into a culture of peace across the world? YMCA tells us what to do. Peace is a power of ethics that can fight the social evils of violence, which include direct violence, structural violence and cultural violence. And peace education is a lifelong process that empowers the power ethics. In this regard, peace education has a constructive value in its

177


03

세션 3 Session 3

nature, and school education is also part of peace education. Do you remember the Hague Convention of 1899 where a patriotic martyr LEE, Jun Yeol appealed to the world the independence of Korea at a time when Japan almost colonized the entire Korea? Commemo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1899 convention, the 1999 Hague Appeal for Peace adopted fifty agenda for“Global Action for Peace,”and peace education was one of them.“In order to combat the culture for violence pervading our society, the future generation deserves a radically different education?one which does not glorify war, but which educates for peace. The Hague Appeal will launch a worldwide campaign for that purpose. Peace education must be incorporated in every step of education system.” Korea has suffered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and the division of the nation, and has sacrificed her three million sons and daughters during the tragic Korean War. Having gone through the military authoritarianism and a rapid developmental period, Korea did achieve a remarkable growth joining the OECD. It appears to justify Koreans believing we all are living the era of peace and abundance. It is regrettable, however, that the truth is Korea is still a divided nation whose people do not even know whether they are victim or aggressor. In this time of confusion, there is a power that awakens and liberates the people and it is grateful that we often see the power in political leaders. We should know that it was the civil society that nurtured the power in the leaders. Therefore, the society should remain as a lifelong educator for the people that chides anti-peace activities, provides peaceful alternatives, cooperates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stops a biased developmentalism. As Johan Galtung said, setting up a common goal is most important in peace education. As professor Toh emphasizes, the common goal in peace education is to terminate the culture of violence in our society and to build on the culture of non-violence on individual, institutional, regional, national, and global levels. In pursuing this goal, we now need to agree on the direction of peace education.

178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ConservativePeaceEducation Critical Peace Education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Predominance of power

Peaceful existence

Disarmament

Arms race

Absolute disarmament

Security

Military security

Social·human security

The Korean people

Glorifying it as patriotism

Participating as a world citizen

Culture

Cultural exclusivism

Multicultural embrace

Attitude

Non-political attitude

Actively participating attitude

Value

Competition

Human rights respect and sharing

Action

Nonviolent silence

Nonviolent action for coexistence

Environment

Developmentalism

Sustainable development

School structure

Individual bureaucracy

Education welfare supporting

School rules

Control and ranking

Self-imposed control

Curriculum

Textbook and teacher centric

Experience and student centric

Vision

Peace in mind

Peace for social justice

Based on the common goal we set, critical social education must be pursued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e of conflict and anti-peace attitude in our society. A successful example of Swedish study circles suggests that critical social education is necessary in civil education on a regional level, and YMCA Korea has already launched regional civil education toward that direction. Although anti-peace attitude is reflected in violence among individuals in our society, such violence actually arose due to the social structure with contradictions. Bipolarized society, political control and biased media make it hard for all of us to maintain a balanced citizen. After deciding the direction of peace education, we should go on a“proposal-making process” where various types of peace education are discussed. Incorporating the principle of“think globally and act locally”in peace education mechanism will do well to verify its practical effect. As school education and civil society education are very different in this context, YMCA’s cooperation with schools for peace education will clearly face limitations although it is a

179


03

ě„¸ě…˜ 3 Session 3

commendable action. Instead of cooperating with schools, YMCA should work with local communities to diversity local education and provide it to people for their lifetime. Overcoming the history of intrusion, colonization and the national division during the cold war era, Korea has grown to an OECD member with a strong economic power. But Koreans are still in antagonism with our own brothers and sisters in the North. Korea has now become a donor country from an aid recipient, but its people still believe enhancing the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is a way to keep peace in the nation. A blind belief in power goes against peace. Peace education is a holistic education that will transition the distorted view in our society to a peaceful view for coexistence. In this regard, I agree with professor Toh on the holistic and multidimensional concept of peace education. Last but not least, what is most important in peace education is how we turn the education into ac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grass-root education for peace is the answer. Peace education should support grassroots perspective and future-oriented lifelong learning to promote peoples participation in every region. Peace education should support both movement and research for peace because the combination of the two will surely generate synergy effect. Peace education will create a virtuous cycle of mutual benefits, where individuals will change society and the society will change individuals in turn. Peace education is a conscious education that touches on the peaceful nature in people that fights social evils arising from structural violence and encourages challenging spirit. Peace education is surely the best way to build and keep peace through a peaceful means.

180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세계 평화운동의 전망과 YMCA운동의 과제 : 시민평화교육운동의 관점에서

S e s s i o n

3

정지석 (YMCA 생명평화센터 소장, 국경선평화학교 대표)

Toh Swee-Hin 교수의 발표에 대해 나는 먼저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 Toh Swee-Hin 교수의 발표에 서 나는 깊은 배움과 감동을 느낀다. 첫째, Toh Swee-Hin 교수는 단순히 평화교육의 이론을 가르치는데 그치지 않고 평화교육을 실천 하는 용기와 지혜를 우리 가슴 안에 심어준다. Toh Swee-Hin 교수는 평화교육이 머리로 지식을 전수 하는 교육 활동이 아니라 나 자신, 이웃과 가족, 사회와 세계에 대한 진실한 애정과 책임정신에서 하는 것임을 깨우쳐 준다. 둘째, Toh Swee-Hin 교수는 진정한 피스메이커(peacemakers) 또는 평화교육가(peace educators) 가 되는 길로써 내적 평화를 말한다. 평화운동가와 평화 교육가는 내적 평화를 추구하고 체험하는 사 람이어야 한다. 이 조언은 평범하고 당연한 말처럼 들리지만, 사실은 우리가 귀담아 듣고 우리 삶에서 실천해야 하는 매우 귀중한 말이다. 자신 안에서 평화를 체험한 사람이 평화운동가요 평화교육가가 될 수 있다. 내적 평화는 단지 종교인들만이 추구하는 일이 아님을 Toh Swee-Hin 교수는 일깨운다. 나는 Toh Swee-Hin 교수가 종교인인지 아닌지 잘 모르며, 또 종교를 가졌다면 어떤 종교를 신봉하는 지 모르지만, 그가 평화를 이론적으로 사색하는 사람이 아니라 평화를 사랑하고 자신의 삶 속에서 실 천하려고 하는 평화의 종교인이라고 느낀다. 그는 평화 교육가는 내적으로 평화의 영성을 체험하고, 체험된 확신의 힘을 갖고 평화로운 사회와 세계를 만드는 일에 참여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나는 평생

181


03

세션 3 Session 3

을 평화교육가로서 살아온 Toh Swee-Hin 교수의 지혜의 가르침에 깊이 감사드리고 싶다. 셋째, Toh Swee-Hin 교수는 한국 YMCA에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평화교육의 구체적인 실천방안 에 대하여 고민한 모습을 보여준다. 한국 YMCA 생명평화센터의 소장으로서 평화교육 활동에 수년간 참여해 온 나는 이것을 느낄 수 있으며, 외국의 저명한 평화교육학자가 한국 YMCA에 깊은 관심을 가 져 주심에 감사드린다. Toh Swee-Hin 교수는 오늘날 평화가 지닌 중층적multiple이고 다양한diverse 차원을 밝혀준다. 평 화의 차원을 폭넓게 이해하는 일은 현대 사회와 세계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평화로운 세계를 건 설하는 출발점이다. 이런 점에서 Toh Swee-Hin 교수가 제시하는 현대 지구적 평화운동은‘운동들의 운동’이란 사상은 매우 통찰력 있는 표현이다. Toh Swee-Hin 교수는 이런 인식 틀에서 평화교육의 두 가지 목표를 제사한다. 첫째, 갈등과 폭력의 근본 원인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개인적 수준에서뿐 아니라 전체 사회적 지구적 차원에서 갖도록 하는 것, 둘째 자신과 사회의 평화를 건설하기 위한 평화 의 가치와 태도를 양육하는 일이다. 이와 같은 명료한 설명으로부터 우리는 평화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한 좋은 대답을 얻을 수 있다. Toh Swee-Hin 교수는 평화의 문화를 건설하는 일이 평화교육이 목표라고 말한다. 그것의 구체적 인 실천 과제들로서 그는 비군사화된 세계(de-militarized world), 인권존중(human rights), 문화적 이 해와 조화(active harmony and understanding among cultures), 사랑과 정의의 경제(economies of compassion and justice), 생명과 나눔(sharing and living), 마음의 평화(inner peace)를 제시한다. 이 와 같은 다양한 평화의 과제들을 갖는 평화교육은 다양한 이름으로 표현된다. 비무장 군축 교육 (disarmament education), 평화와 인권 교육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반 인종 차별 교 육(anti-racist education), 문화 간 교육(inter-cultural education), 발전 교육(development education), 그리고 평화교육과 사회적 저항 운동의 결합(the links between peace education and social protest strategies) 등. Toh Swee-Hin 교수가 제시하는 평화교육의 다양한 과제들은 오늘 우리 한국 사회와 한반도의 상황에서도 매우 적절한 의미를 갖는다. 생명평화운동과 평화교육을 21세기 과제로 삼는 한 국 YMCA에게 이 관점들은 운동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좋은 도움을 준다. 특히 Toh Swee-Hin 교수는 내적 평화를 위한 평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목에서 정신적 장애와 우울, 자살, 약물 중독의 문 제를 예시한다. 이것은 오늘 우리 YMCA가 담당해야 할 청소년 평화교육의 주요과제이다. 내적 평화 의 양육을 위한 평화교육의 길로써 Toh Swee-Hin 교수는 침묵과 명상과 기도를 제안한다. 나는 Toh Swee-Hin 교수가 제안하는 침묵과 명상과 기도의 무한한 평화성(peaceableness)를 많이 느끼고 체

182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험하고 있다. 철원에서 나는 국경선 평화학교(border peace school)를 열고 피스메이커를 육성하고 있다. 국경선평화학교는 평화의 영성 강좌를 매우 중시한다. 수업 시작 전에는 잠시 침묵한다. 매일 오 후 3시에는 소이산을 오르면서 평화기도 순례를 한다. 평화교육은 지식 전수만으로는 부족하다. 현장 체험 교육은 중요하지만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스스로 평화를 체험하는 영성 체험의 시간이 중요 하다. 나는 이것을 철원에서 새롭게 깊이 깨닫고 있는데, Toh Swee-Hin 교수가 이것을 강조하는 것을 보고 매우 공감하며 기쁘다. Toh Swee-Hin 교수께 작은 몇 가지 질문을 한다. 첫째, 평화교육과 페다고지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데 두 개념은 다른 것인지 질문하고 싶다. 둘째, 평화교육을 통해 평화운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믿고 있는가 묻고 싶다. 이 질문은 평생 평화교 육을 해 온 분의 가슴 속의 말을 듣고 싶은 것이다. 셋째, 미래 직업으로서 평화교육의 전망은 있다고 생각하는가?

183


03

세션 3 Session 3

World Peace Movement Prospects and Tasks for YMCA Movement : From Civil Peace Education Movement Perspective

S e s s i o n

3

Dr. JUNG, Jiseok (Director, Center for Life and Peace in Korea YMCA; Representative, Border Peace School )

First of all I’d like to thank Professor Toh Swee-Hin for his thoughtful presentation. There are many things I have learned from his presentation. First, he goes beyond just teaching the theory of peace education, rather he gives us courage and wisdom needed for practicing peace education. Professor Toh Swee-Hin reminds us that peace education is not just about delivering knowledge but it is an act based on responsibility and love for ourselves, neighbors, families, societies and the world. Second, Professor talks about inner peace to become true peacemakers or peace educators. Peacemakers and educators need to be the ones who pursue and experience internal peace. This advice seems nothing new but it is very important to remember and practice in our daily lives. Only those who experience internal peace can become peacemakers and peace educators. Professor Toh Swee-Hin reminds us that internal peace is not something only pursued by religious people. I don’t know what kind of religion he has or whether he has religion or not to begin with. However I feel he is a man of‘peace religion’who loves and practices peace in his

184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life rather than someone who only talks about the theory of peace. He suggests that peace educators need to experience the spirituality of peace internally and participate in making peaceful society and world based on that conviction. As a person who lived his life as a peace educator, I’d like to deeply thank Professor Toh Swee-Hin for his wisdom and lesson, based on his life-long experience of peace education. Third, Professor’s presentation shows how much he thought about specific ways to practice peace education based on deep understanding of YMCA Korea. I know this since I have been participating in peace education for years as a director of Center for Life and Peace in Korea YMCA, and in this sense I want to thank Professor Toh Swee-Hin, an eminent peace education scholar, for his sincere paper with a deep concern for the activities of Korea YMCAs. Prof. Toh Swee-Hin reveals multiple and diverse dimensions of peace. Broadly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peace can be the first step towards overcoming the crises of modern society and building the peaceful world. In this sense, his thought on global peace movement being‘movement of movements’is very insightful. He suggests two goals of peace education under this framework: firstly, getting the critical perception of the foundamental causes of conflict and violence at the levels of individual, society and global village; secondly, promoting the value and attitude of peace for ourselves and society. This clear explanation helps us to realize what a true peace education is. Professor Toh Swee-Hin says the goal of peace education is to create a culture of peace. He suggests the specific tasks we need to deal with aiming at demilitarized world,human rights, active harmony and understanding among cultures, economies of compassion and justice, sharing and living, and inner peace. There are various peace educations on these tasks such as disarmament education,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anti- racist education, intercultural education, development education and the links between peace education and social protest strategies etc. These all have significant meaning in Korean society and Korean Peninsula today. These perspectives help us

185


03

세션 3 Session 3

to set the direction forward Korea YMCAs' movement which is focused on the life and peace movement and peace edu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 particular, he illustrates psychological disorder, depression, suicides and drug addiction as an examp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eace education for inner peace. These are important matters that need to be dealt with in YMCA peace education for youth. Professor Toh Swee-Hin suggests using silence, meditation and prayer as the ways of peace education for cultivating inner peace. I experience quite often the peaceableness of silence, meditation and praying in Cheorwon, one of the border villa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here I am responsible for the Border Peace School which started to educate peacemakers on March 1, 2013. The school curriculum emphasizes spirituality of peace and silence. The class begins and ends with silent time . Every day at 3pm, we climb Mt.Soi for peace prayer pilgrimage. Delivering knowledge is not enough for peace education.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field is very important but that is not enough either. Spiritual experience is vital. I have realized this currently in Cheorwon, and am very happy to hear Professor Toh Swee-Hin stressing this in his presentation. I’d like to ask three questions to Professor Toh Swee-Hin. First, you use both terms of peace education and pedagogy. Are they two different concepts? Second, do you believe that peace education can generate peace movement in this divided Korean peninsula? Third, do you think peace educator is a promising job?

186


100주년 국제 심포지엄 Centennial anniversary International Symposium

발 행 일

2014년 4월 2일

발 행 처

한국YMCA100주년기념사업회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길 39 T. 02-754-7891~4 www.ymca100.net

디자인S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